뱀띠 해를 맞아 우리나라 의학교육의 혁신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까?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의학교육연구소

허 선


뱀띠 해(癸巳年)를 맞은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을 앞으로 어떻게 발전시키면서 우리나라 의학교육 발전과 학생이나 교원 등 모든 교육관련 관계자를 행복하게 도와줄 수 있을까? 유럽 문화에서는 뱀 한마리가 지팡이(Caduceus)를 오르는 것이 ‘의술의 신 ’인 아스클레피오스(Asklepios)의 상징이다. 대한의사협회 휘장에는 뱀 두마리가 기어오르는 헤르메스(Hermes)의 지팡이가 있으며 대한의학회는 헤르메스의 지팡이에 뱀한 마리가 오르는 휘장을 사용한다. 십이간지가 생활에 깊숙이 자리 잡은 동아시아 문화권에서는 뱀을 의술과 관련된 상징으로 여기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근대의학이 들어오면서 비록 아스클레피오스가 아닌 ‘상인의 신’이자 ‘연금술사의 신’이기도 한 헤르메스의 지팡이를 사용 한다는 오류는 있으나 의술에 뱀이 상징으로 등장하는 것은 흔한 일이다[1]. 이럴 경우 양쪽 문화를 융합하여 뱀띠 해는 의술의 해라고 한번 꿰어 맞추어 보고싶다. 즉, 뱀띠 해에 의료계의 혁신적인 발전과 더불어, 의학 교육에서도 뛰어난 성과가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2013년도에 우리나라 의학교육에는 어떤 내용이 화두가 될 것인가? 먼저, 2012년도 의과대학 인증평가에서 모두 6개 학교가 참여하여 6년 인증과, 4년 인증을 각각 세 학교가 받았다. 이후 모든 대학이 인증평가에 적극 참여 준비를 하고 있다. 제 2주기 인증평가에 참여하지 않았던 한 의대에 2013년 1월, 정부가 졸업생 학위 취소요구를 하여 앞으로 진행 여부가 의학 교육계에 초미의 관심이 되고 있다. 또한 이런 사안을 미리 방지하기 위하여서도 국내 의과대학 인증평가기구가 곧 정부로부터 인가를 받을 것으로 기대한다. 2012년도부터 인증평가에서 색다른 내용은 학생이 작성한 평가보고서이다. 비록 정식 보고서에 반영하는 것이 아닌 참고자료이지만 이제 의학교육에서 학생의 눈높이와 만족도를 더욱 더 고려하여야 한다. 두 번째, 늦어도 2016년도 의사국가시험에 컴퓨터바탕시험을 도입하는 것을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논의하고 있다. 즉, 임상실기시험에 이어 우리나라 의사국가시험에서 또다른 패러다임을 도입할 것이다. 이미 미국이나 캐나다 의사 시험에서는 일상이된 컴퓨터바탕시험을 도입하는 것은 인터넷 왕국이자 정보통신 강국인 우리나라 수준에는 늦은 감이 있으므로 각 의과대학에서 준비가 필요할 것이다. 세 번째, 2015년부터 인턴제 폐지가 올해 입법예고 된다. 인턴제도가 폐지될때 학부 교육과 전공의 교육 과정은 어떻게 운영하여야 할지 의학교육계에서 치밀하게 준비하여야 할 것이다.



이런 주변 환경에 우리는 어떤 개혁을 통하여 의학교육을 발전시킬 수 있을까? 당연하지만 각 의과대학과 수련병원이 국제 수준에 맞는 의학 교육 환경을 위하여 적극적인 투자와 교원 훈련을 시행하고, 교원 평가에서도 역시 교육 부문을 더 강조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또한 의학교육에 대한 연구에도 정부나 대학 모두 투자를 강화하여 새 사실을 밝히고 외국의 이론을 우리 실정에 맞추어 수용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연구비가 있으면 반드시 연구 지원자가 있고 결과가 나온다.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Education을 통하여 연구 결과를 교육 현장에 반영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데 계속 최선을 다할 것이다.



이번 호에도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흥미로운 주제를 다양하게 다루었다. 멘토링에 대한 종설과 전공의 멘토링에 대한 주제가 실렸다. 종설에서는 체계적인 지도교수제도 또는 다양한 유형의 멘토 전인적 멘토링 (holistic mentoring) 프로그램을 의과대학생 또는 의학전문대학원생 전 학년에 걸쳐 적용할 수 있게 개발하는 내용을 다루었고 특히 부록에서 국내 멘토링 시스템을 소개하였다 [2]. 앞으로 일반 대학생이 아닌 의대생, 나아가서 전공의를 위한 멘토링 시스템을 제공 할 수 있으면 학생의 지도를 맡은 의대 교원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나라 전공의는 대개 주당 100시간 이상이라는 상상하기 어려운 높은 노동 강도 아래 근무하고 있다.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성별과 멘토 존재 여부를 꼽았다. 여성이 더 높고, 멘토가 있을 경우가 더 만족도가 높다고 하였는데, 직무 만족도에 성별 차이가 있었다는 점은 흥미로운 결과로 왜 성별 차이가 직무 만족도와 상관이 있는지 설명 하는 후속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의사는 결국 환자를 돌보는 직업이고, 환자뿐 아니라 병원 내 다양한 직종 동료 의료인과 라포(rapport) 형성을 하여야 하므로 여성이 남성보다 의사 직종에 더 적합한 성별이라고 여길 수 있다. 즉, 여성상이 더 필요한 직업이라고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멘토 존재 여부는 병원 내 다양한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고, 정서적인 안정감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 비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멘토가 존재한다는 것이 긍정적인 결과를 보인 다는 점도 역시 멘토와 라포 형성이므로 환자와 다양한 직종 의료인과 라포 형성과 일맥상통한다고 여길 수 있다 [3].



유급생에 대한 지도 문제는 멘토의 역할을 필요로 하는 내용으로 의대마다 모두 달라서 어떠한 문제 해결도 시도하지 않는 곳부터 지도교수 면담까지 다양하나 집단 상담을 시도 하는 곳은 드물다. 이런 집단 상담의 효과는 유급생 개인의 수용도에 따라 또한 자신의 의대생으로서 정체성 인지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매년 유급생이 발생하지 않는 의대는 거의 없는 형편이므로 여러 대학에서 시도하여 볼만한 내용이다. 이번 집단 상담에서는 동의한 유급생만 참여하여 개인이 선택하게 하였으나 개별 지도교수와 면담을 의무로 하는 것과 같이 의무로 할 수 있을지는 앞으로 집단상담을 지속하는데 어려운 과제이다. 비록 상담을 통하여 학생을 도와주려는 의도이나 이번 상담 후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대상자가 소수지만 존재하는 것에 비추어 자신의 모습을 노출 시키고 들여다보는 것을 원치 않는 경우는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지 매우 어렵다. 이런 집단 상담을 받은 뒤, 받은 사람과 받지 않은 사람이 그 후 어떤 학업 성과를 올리고 또한 자기 존중감에 어떤 차이가 있었는지 추적 조사를 하면 조금 더 집단 상담의 필요성을 잘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4]. 의대생이 꼽은 강의 우수 교원의 중요한 역량으로 의사소통 및 효과적인 교수 방법, 교수자의 수업 준비도와 열정, 학생에 대한 이해를 들었고 이런 역량에 전공지식의 깊이와 범위, 평가의 공정성과 편견 없는 태도보다 높은 가중치를 두었다. 의대 교원에 대하여 학생과 의사소통 능력, 교수법 등에 대한 훈련이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5].



앞의 내용이 대부분 교원과 학생 관계와 문제해결방법을 다루었다면 의대생의 전문과목 선호도에서 성별 차이를 다룬 내용은 최근 의사 배출에서 성별 인원차이가 과거보다 준 현실에서 흥미롭다. 남녀 의대생의 전문과목 선호도 차이는 정형외과, 가정의학과 이외는 유의하지 않았다. 즉, 비록 한 의대 81명이라는 대상의 한계는 있으나 이제 성별 전문과목 선호도는 대부분 전문과목에서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의대에서 여학생의 성적이 유의하게 남학생보다 높다는 점에 비추어 앞으로 성적이 전문과목 선택을 좌우하면 여학생이 선호하는 과목에 남는 정원을 남학생이 차지하는 경우가 점점 늘 것이다. 즉, 26종 전문과목 지원에서 성별 선호도 차이가 줄고 현 정부와 의료계의 협의대로 2015년부터 인턴 제도가 폐지되는 경우 전문과목 선택은 철저하게 성적 위주로 이루어질 것이다 [6].







의대생의 진료 역량을 어떻게 증진시킬 수 있을까?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의학교육연구소

허 선


지난 5월 7일 교육부는 지난해 실시한 감사 결과에 따라 한 의과대학에 대하여 폐과 조치하겠다고 발표하였다. 1945년 식민지 지배에서 벗어난 뒤 68년 동안 우리나라 의학 교육 역사에서 최초로 일어난 사태이다. 다만 지난 3월 18일 서울 행정법원에 이 대학의 재단에서 감사처분 통보 취소와 감사처분 집행정지 소송을 제기하여 앞으로 서울 행정법원의 1심 판결 후에 조치하기로 하였다. 나아가서 교육부는 의과대학 진료 실습(임상 실습, clinical clerkship)을 강화하기 위하여 ‘고등교육법시행령’과 ‘대학설립 운영규정’을 개정하여 앞으로 부속 병원을 갖추지 못한 의과대학에 대하여 학과를 폐지시키는 근거를 마련하겠다고 하여, 더욱더 깊숙이 의과대학의 교육 질을 유지하는 의지를 보였다[1]. 그러나 이런 의과대학 폐지와 같은 사안은 굳이 정부가 나서기보다 전문가 집단에게 평가를 맡겨서 의사 사회에서 자율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것이 전문가집단을 존중하는 것일 터인데 아직도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을 정부에서 공식 평가기구로 인정하지 못하고 있어서 안타깝다. 이미 폐과 조치 해당 대학은 제 2주기 평가를 받지 않은 상태이었다. 이미 이런 상황이면 정부가 나서기 전에 ‘한국의학교육평가원’에서 인증평가 결과를 알려 그것을 정부가 받아들여 조치하거나 사전에 문제 해결을 해당 학교에서 하였으면 굳이 지금처럼 정부가 나설 필요는 없었다. 대통령령으로 ‘고등교육기관의 평가·인증 등에 관한 규정’을 2009년 1월 1일부터 시행하면서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이 인정기관으로 지정을 신청하였을 때 인정기관의 지정하는 조항에 따라 의료계에서 자율로 설립하고 이미 실적도 충분한 기관이므로 인정하여 모든 의과대학이 의무적으로 평가받도록 하였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남는다[2].


이렇듯 정부가 의학교육에서 진료 실습의 중요성을 더 강조하겠다고 발표한 즈음에 우리 학회지 이번 호에서 진료 실습에 관한 네 편의 원저를 실었다. 명선정 등은 진료수행평가(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를 한 의과대학 의학과 4학년 147명을 대상으로 치른 뒤, 성적이 낮은 2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진료능력 향상을 위한 보충수업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운영한 경험을 다루었다[3]. (...)


진료수행평가에서 모든 대상자에게 같은 문항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시험장과 시간, 평가자 수 한계 등으로 일시에 평가를 수행하기 어려우므로 몇 개 집단으로 나누어 각각 다른 문항을 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집단에 공통문항(가교문항)을 포함시켜 집단마다 다른 문항으로 조합하여 진료수행평가를 치를 경우에 어떻게 수험생 능력을 동등화 하는지 방법론을 제시한 내용을 실었다[4]. 저자들이 사용한 Tucker의 선형 동등화 방법(Tucker’s linear equating method)은 두피험자 집단의 능력의 차이가 크지 않고, 총점수의 공통문항점수에 대한 회귀식의 선형성을 가정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선형 회귀식 잔차 분석 결과를 제시하지 않았지만 회귀식의 선형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만족하였다. 세 집단으로 나누었을 때, 많은 수의 가교 문항을 포함하는 조합인 한집단의 원점수를 기준으로 하여 동등화 점수를 계산하면 다른 두 집단에서 원점수와 동등화 수 점수가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즉, 교육 현장에서 집단마다 다른 문항을 제시하고 수험생 능력의 동등화를 시도할 때 이런 선형 동등화 방법을 시행할 수 있음을 제안한 내용으로 진료수행평가에 동등화 측정 이론을 도입한 내용은 매우 적은 현실에서 새 시도이다[5]. 최근에는 흔히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에 따른 동등화를 사용하지만 Tucker 동등화 방법은 가정만 맞는다면 조금 더 계산법이나 결과 설명이 간단하여 충분히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외 의대생이 실제 환자 진료할 때와 진료수행평가에서 표준화 환자를 진료할 때 면담이 어떤 특성을 각각 보이는지를 비교하여 학생들을 진료수행평가에서 어떤 환경에 노출시키는 것이 실제 진료할 때에 도움이 되는지를 제시한 내용은 의학교육자에게 새 과제를 제시하였다[6]. Measure of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방법으로 학생의 면담 기법을 측정하였는데 이 방법은 국내에서 처음 시도한 내용으로 기존에 사용하던 방법보다 환자 중심 면담의 수준을 관찰자가 깊이 있게 측정할 수 있다. 측정할 때 세 가지 구성요소를 보았다. 우선 환자의 질병과 병 경험에 대한 탐색, 그리고 환자에 대한 전인적인 이해, 마지막으로 진단과 치료 과정에 대하여 환자와 협의하는 과정이다. 이런 과정은 진료 현장에서 그대로 흔히 부딪치는 내용이므로 면담과정 측정에 이미 적절하다고 알려져 있다. 결과를 보면 전체 점수에서는 두 상황에서 차이가 없었지만 구성 요소를 보면 ‘환자의 질병과 병 경험에 대한 탐색’요소는 실제 진료에서 더 높은 값을 보였다. 이런 차이는 아무래도 실제 환자 면담이 더 생생한 현장이고 환자 스스로 있는 그대로 답을 하므로 진료수행평가에서 모의환자를 보는 것보다 더 자연스러웠을 것으로 추정한다. 가장 큰 차이가 나는 것은 ‘공감’으로 이것은 환자 면담에서 높은 점수가 나왔는데 진료수행평가는 시험이라는 긴장감이 작용하고 실제 환자에서는 조금 더 편안하게 환자를 대하여서 가능하였다고 여긴다. 이 연구에서 학생들의 두 경우 다 전반적인 점수가 낮아서 앞으로 조금 더 환자 중심 면담 과정을 강조하고 훈련시킬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기술적인 면은 훈련이 가능하나 공감능력은 환자와 관계를 장기간 유지하면서 깊이 이해하는 경험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공감 능력은 쉽게 배양하기 어렵고 이미 성격에서 대부분 결정된다고 여기지만 잠재하고 있는 능력을 끌어내는 노력이 교육자에게 필요하다. 결국 의료인으로서 환자, 보호자, 동료 의료인과 관계형성(rapport)을 유지하는 것이 기본이므로 이런 면담측정이 얼마나 우리 학생이 이런 능력을 갖추었는지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흔히 병의원에서 의료진은 환자 중심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라고 하지만 현장에서 이런 환자 중심 태도를 환자와 의사는 각각 어떻게 바라보고 또는 기대하고 있는지를 밝히고 어떤 방향으로 의료인이 환자 중심 태도에서 주의하여야 하는지를 분석한 내용도 흥미롭다[7]. 환자가 의사보다 ‘공유’면에서 환자 중심인 태도를 보인 반면, ‘돌봄’에서는 의사가 환자보다 진료 자체에 중심을 두어 환자 중심 태도를 보였다. 이 내용은 비록 의대생의 진료 태도에 대한 설문을 한 것은 아니지만 앞으로 의사로 활동할 때 환자 중심 태도를 환자와 공유하는 데 더 관심을 가져야 함을 알려준다. 이런 환자 중심태도에 대한 내용은 학부 때부터 진료 실습 현장에서 강조하여 앞에서 제기한 공감 능력을 포함한 환자 면담 태도와 더불어 환자 중심 태도를 함양하여야 할 것이다. 의료는 서비스 산업이다. 모든 과정에 노동집약적어서 개개 의료인의 서비스 수준이 의료 수준을 결정하는 것이므로 기본으로 시스템 안에서 일하지만 환자 중심 태도가 밑바탕에 있을 때 모든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점에 비추어 진료 현장에서 더욱 강조할 필요가 있다.


그 밖에 종설로 다룬 ‘의료인문학교육에서 질병체험서사의활용 방안’은 진료 현장에서 서사(이야기, narrative)를 통하여 사건을 이해하고 타인과 소통할 수 있으므로 우리 의학 교육에서 적극적으로 도입하자는 내용이다[8]. 평행차트(parallel chart)를 기술하는데 의무 기록이 아닌 일상 언어로 차트처럼 작성하는 방법으로 환자가 질병을 겪는 과정을 이해하고 학생도 그 과정을 배우는 것이 목적이다. 이런 과정으로 의사소통과공감 능력을 키울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런 과정을 의대 학부과정에서 다루려면 이런 주제를 전문으로 하는 인문학자가 나서는 것이 가장 좋으나 모든 대학에서 가능하지는 못하므로 관심 있는 교원이 다룬다면 충분히 시행하여 볼 수 있다. 그런면에서 이번 종설은 새 지식과 술기를 교원에게 제공하고 있다.







의과대학 신입생 선발에서 최선의 방법은 무엇이며 입학 후 어떻게 돌볼 것인가?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의학교육연구소

허 선



2013년 7월 31일 교육부는 국회 박인숙 의원이 대표 발의한‘고등교육법 일부 개정법률안’을 각 의과대학에 전하고, 개정법률안에 대해 의견이 있는 경우 회신을 원한다고 하였다. 이 개정법률안은 그동안 지지부진하던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 자율적인 의과대학 인증평가 사업을 ‘고등교육법’에서 인정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 법률에 의거하면 의과대학 인증평가 사업에 최대 연 10억 원을 정부가 지원할 수 있다. 개정법률안의 주 내용은 ‘의과대학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평가인증을 받아야 하며 의과대학의 교육과 연구, 조직과 운영, 시설과 설비 등을 평가인증하기 위하여 의사회 중앙회(대한의사협회) 소속으로 의학대학․전문대학원평가위원회를 두고, 실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평가위원회에 전문기구를 둔다’는것이다. 여기서 전문기구가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이미 간호계와 치과계 등에서 의료인 양성기관을 인증하는 전문기구를 정부가 인정한 것에 비하여 늦은 감이 있지만 의사 양성기관의 인증사업을 주관하는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을 정부가 인정하고 지원하는 계기가 된다는 면에서 국회의원의 개정법률안 발의가 소중하기 그지없다. 국회에 분야 전문가가 있으면 어떻게 국가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앞으로 국제적으로 인증평가사업에 선도 역할을 하는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이 더욱 더 의학 교육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번 호에는 의과대학 신입생 선발에 대한 흥미로운 결과가 실렸다. 의학전문대학에서 지원자의 자기 소개서와 지도교수 추천서를 입학사정에 반영할 때 기술한 내용을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행동특성으로 나누어 빈도분석하고, 자기소개서와 교사추천서 특성 간에는 상관관계 분석하였다. 자기소개서에 인지적 특성이 서술되어 있는 학생일수록 교수추천서에서는 인지적 특성이 강조되고 있고, 자기소개서에 정의적 특성이 서술되어 있는 학생일수록 교수추천서에서는 인지적 특성과 정의적 특성이 강조되어 언급되어 있었다[1]. 이런 결과는 앞으로 신입생 선발에서 두 종류의 서류를 평가할 때 참조할 수 있다. 즉, 피추천인과 추천인이 얼마나 동일한 특성을 강조하였는지를 보고,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어 사정에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한 의과대학에서 수시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이 정시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보다 의과대학에서의 학업성과가 더 좋았으며 유급률, 중도탈락률도 낮았다는 보고는 우리가 그럴 것으로 추정한 내용을 잘 분석하였다[2]. 수시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이 대학에 대한 사전 정보가 충분하고 애착도가 높은 것으로 추정하지만 수시전형과 정시전형으로 입학하는 학생들의 입학성적 외의 다른 특성, 예를 들어 성격 등의 정의적 특성, 가정배경, 의학과 선택 이유 등이 어떠한지를 분석하여 어떤 면에서 수시 입학생이 더 나은 성취도를 보이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여러 의과대학에서 공동으로 연구하여 볼 필요가 있다. 유급과 중도탈락은 의과대학 입장에서는 큰 어려움이므로 이런 내용을 바탕으로 수시 입학 정원을 더 늘릴 것인지 줄일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의과대학 신입생의 동기향상을 위한 의료봉사활동 프로그램을 통하여 의대생으로서 자신의 역할에 대한 사회화를 시도한 내용은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본 결과로 흥미롭다. 설문을 통하여 4가지의 핵심 요인을 분석하였다. 직접 환자를 대면하는 체험으로 ‘봉사정신’과 ‘전공 의학 공부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켰다. 반면 ‘의료인문학’이나 ‘자기관리’는 프로그램사전-사후 변화가 적거나 없었다[3]. 이런 프로그램 분석을 통하여 만족하지 못한 학생에게 어떻게 접근하여야 할지 고민하고 조금 더 의대생으로 자긍심을 가질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개선이 필요하다.


7개 의과대학에서 학생지도 프로그램을 분석한 연구에서 학생 상담소의 상담 프로그램에 대해 교원은 ‘약간 도움이 된다’가 33.3%로 가장 많았으나, 학생의 44.8%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로 차이가 있었다. 학생 지도 프로그램에 대해 ‘매우 만족’과 ‘만족’에 응답한 교원은 38.3%, 학생은 45.1%로 나타났는데, 절반 이상이 부정적인 응답을 하거나 그저 그렇다는 의견을 보였다. 학생들은 지도교수제도에서 단지 교원과 친목도모만을 원하지 않으며 학업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진로상담, 의사로서의 삶이나 인생에 대한 상담도 원하고 있다[4]. 교원은 상담에 대한 전문적인 훈련을 받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라 준비가 되어 있지 못하므로 학생에게 조금 더 효율적인 지도교수제를 운영하려면 교원에 대한 상담 훈련이 필요하나 과연 의과대학에서 이렇게 교원을 훈련시킬 수 있을지 쉽지 않다. 문제가 있을 때는 전문 상담사가 교내 상주하여 도와주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지도교수제를 운영하면서 지도교수의 역할이 무엇이고 어떻게 학생들에게 접근하여야 하는지를 교수개발 워크숍에서 다루는 것이 필요하다. 교원 훈련과정에 교수법에 대한 내용은 많이 다루나 학생과 의사소통법을 별도로 다루는 의과대학은 많지 않다. 의과대학에서 교원과 학생 관계는 동업자 훈련과정이므로 앞으로 관심을 더 기울여야 할 분야이다.


한 의과대학에서 의과대학생 대상 학습윤리의식 검사 도구를 개발한 내용은 의과대학생으로서 학습 윤리가 앞으로 임상 현장에 나가서도 거의 바뀌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흥미롭다. 29문항으로 구성한 검사 설문지를 요인분석하여 몇 가지 도메인으로 나누었는데 이런 검사도구 개발은 다른 나라에서도 시도하여 보지 못한 것이므로 앞으로 여러 의과대학 현장에서 전문직업성을 확보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5]. 결국 의사로서 뿐 아니라 어느 누구라도 적어도 굶어 죽을 만큼 고단한 삶이 아니라면, 생애 마지막에는 ‘얼마나 정직하였는가? 또한 실수를 하면 그것을 인정하고 밝힐 수 있었는가?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살아왔는가?’로 인생에 대한자기 스스로 가치 판단을 하게 된다. 하물며 환자를 대하는 의사라면 더욱더 철저히 전문직업성에 입각한 생을 살아야 하는데 의과대학 학부에서부터 어떤 행동이 전문직업성에 따른것인지 잘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의대생은 또래 집단 가운데 가장 높은 학업 성취도를 보이는 인지적으로 가장 우수한 집단이므로 당연히 가장 정직한 집단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이런 우수한 집단이 임상 현장에서 그리고 생애를 마칠 때까지 정직하게 살면서 의사로서 자존감을 끝까지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의과대학 교육의 큰 역할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이번 학습윤리 도구 개발은 여러 의과대학에서 적용하여 볼 것을 권한다.








의과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의사소통술을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을까?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의학교육연구소

허 선



2013년이 지나가면서 우리 의학교육계에서 논의되는 것은 어떻게 마무리가 되었을까? 우선 지난 2013년 5월 7일 교육부가 지난해 실시한 감사 결과에 따라 한 의과대학을 폐과 조치한다는 안은 아직도 서울행정법원의 1심 판결이 나오지 않아 해당 의과대학은 2014년도 신입생 모집 공고를 하였다. 이렇게 지속적인 대학 운영 여부가 미정인 상태에서 신입생을 모집하는 것이 국내법 절차에서 하자가 없다고 하므로 판결이 나오기를 기다릴 뿐이다.


2013년 7월 31일 교육부가 ‘고등교육법 일부 개정법률안’에서 의과대학 평가인증하기 위하여 의사회중앙회(대한의사협회) 소속으로 의학대학‧전문대학원평가위원회를 둔다는 안을 각 의과대학에 전하고, 의견을 들은 후 아직 개정 법률안이 통과되지 않았으나 빠른 시일 내 통과되어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이 정부가 인정하는 기구로 활동할 수 있을 것이다.


임상실습병원으로 지정할 수 있는 교육병원을 인증하는 제도가 아직 시행되지 않았으므로 ‘교육병원 지정에 관한 평가인증 규정’을 논의하는 자리인 의료정책연구소 정책과제 연구팀이 주관하고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이 주최하는 공청회가 2013년 11월 25일 열린다. 최소한 어느 기준을 갖추어야 교육병원으로 지정하고 또한 의대생이 임상실습에 참여할 수 있는지를 확정한다면 앞으로 의대생이 충실한 임상실습 과정을 마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더 나아가서 임상교원이 학교법인 소속이 아닌 별도 재단법인 산하 협력병원에서 근무하는 경우, 교원으로 인정 여부가 해당하는 여러 사립의과대학 임상교원 신분에 매우 중대한 문제로 다가왔다. 교원에 대한 정부 지원금, 교원 연수과정 기회 등으로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사학연금 수령 혜택과 연구비 신청 등에서 신분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이러한 인증과정을 거쳐 교육병원으로 지정 받으면 신분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논의는 2011년 10월 13일 대법원에서 ‘대학 부속병원이 아닌 협력병원에서 근무하는 교수는 전임교원으로 볼 수 없다’는 판결을 내린 후 활발히 이루어졌다. 이에 판결에 대하여 교육부는 교원 해임을 유보하고 2012년 7월 24일 대통령령 제23974호에서‘의학·한의학·치의학과를 둔 대학 소속 교원이 학생의 임상교육을 위해 필요한 경우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을 충족하는 병원에서 겸직 허용’을 골자로 하는 사립학교법 개정안을 공포하였다[1]. 그 기준은 대학설립․운영 규정에 따라 인턴과정 수련병원인데 앞으로 인턴제도가 변하면 이 인턴과정 수련병원이라는 용어도 바뀌어야 할 것이다[2]. 인턴과정 수련병원이 교육병원으로 역할을 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준을 마련하여 인증하는 제도를 논의하는 자리이므로 어떤 인증 기준이 나오고 또한 해당 병원은 어떻게 기준을 충족시킬지가 관심 대상이다.


이렇게 의학교육계의 여러 물결을 살펴보았는데, 이번 호에는 대인관계에 대한 흥미로운 기사를 싣는다[3]. 의사의 대인관계와 의사소통술은 환자를 돌보는 데 의사가 중심이 되어 다양한 동료, 여러 직종 전문가와 협력하여야 하는 의료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자질이며 진료 수행 역량과 더불어 이런 소통을 잘 하는 의사가 유능한 지도자로 환자나 가족을 잘 돌보고 의사결정을 이끌 수 있다. 의과대학 학생들의 성격유형과 대인관계욕구 특성을 분석한 원고에서, 한 의과대학 학생의 성격유형 분석을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를 이용하여 수행하고 대인관계 욕구 분석을 Fundamental Interpersonal Relations Orientation-Behavior (FIRO-B)검사로 하여 두 유형 사이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대인관계 훈련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에 기본 자료로 삼으려고 하였다.MBTI 유형에 따라 대부분 FIRO-B 타입에 특별한 상관관계는 없었으나 ISFJ (9, 5.26%)와 INFJ (2, 1.27%) 유형 학생들은 wC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INFP 유형 학생들은 eA가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ISFJ는 내향, 감각, 감정, 판단형이며, INFJ는 내향, 직관, 감정, 판단형으로 이런 유형의 학생은 높은 비율은 아니나 wC가 높은, 즉 명확한 지침이 규정된 상황에서 일하는 것을 편하게 느끼는 정도가 높았다. INFP (8, 4.68%)는 내향, 직관, 감정, 인식형으로 eA, 즉 사람들에게 친밀하게 대하고 개인적으로 가까워지기 위해 노력하는 정도가 낮았다. 이렇게 MBTI 유형이 특별히 대인관계 욕구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경우 어떤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지 매우 어렵다. 공동체 생활을 하면서 주위 교우와 또한 교원, 다른 분야 전문 보건의료인, 환자, 보호자 등 다양한 역할을 하는 사람들과 교류하고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의사로서 자질에 기본이지만 이런 대인관계 욕구와 이후 의사소통술을 어떻게 교육과정을 통하여 향상시킬 수 있을 지는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 대인관계와 의사소통만을 위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것도 한 방법이고, 지역사회보건이나 임상실습 과정에서 이런 내용을 집어넣어 다루는 것도 방법이다. 이런 성격 유형이 전공을 선택하는 데도 영향을 준다고 하므로 개인의 성격유형을 잘 파악하여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면 도움을 줄 것이다. 이런 프로그램을개발하는 것은 앞으로 의학교육에서의 한 과제이다. 다음에는 이런 프로그램을 소개하는 내용이 다시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에 실리기를 기대한다.


의학교육에서의 사회적 역량에 대한 우리나라 의사들의 인식을 다룬 원고에서 한국의학교육학회와 대한전공의협의회 소속 의사를 대상으로 의사의 사회적 역량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의사의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전공, 직책), 사회적 역량 관련 학습특성(영역별 학습경험)과 인식특성(영역별 필요성, 만족도)을 독립변수로 두고, 종속변수로는 전문연구‧교육기구 필요성과 전문 인력 필요성을 선정하였다. 의사의 프로페셔널리즘과 윤리, 의사소통,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 역량들이 필요하다는 인식특성은 전문인력성에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4]. 인식 특성 독립변수의 상대적 영향력을 보면 리더십이 가장 높았다. 이후 인간과 사회의 이해,프로페셔널리즘과 윤리였으며, 네 번째로 의사소통술이었다. 즉, 이런 네 가지 내용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학부나 대학원 또는 전공의 수련과정 등 다양한 교육과정에서 현재 다루고 있는 내용에서 이러한 주제를 더욱 더 효율 있게 다루어 전문인력성을 잘 갖춘 의사로 키우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 가운데 흥미로운 결과는 프로페셔널리즘과 윤리 영역 학습경험이 있는 의사는 전문 연구‧교육기구나 전문 인력 모두 의사의 사회적 역량을 증진하는 데 필요하지 않다고 여기는 점이다. 이런 내용은 교육이 전문 인력에 대한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므로 앞으로 더욱 교육과정을 세심히 설정하고 수준 높게 진행할 필요가 있음을 알려 준다.










Korean J Med Educ > Volume 25(1); 2013 > Article






Korean J Med Educ > Volume 25(2); 2013 > Article




Korean J Med Educ > Volume 25(3); 2013 > Article

©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Education. All rights reserved.



Korean J Med Educ > Volume 25(4); 2013 > Article

©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Education. All rights reserved.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xcellent Lecturers in Medical School

의과대학 우수 강의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

Haebum Lee and Eunbae B. Yang

이혜범, 양은배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Ye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과



Saunders [11]는 이러한 선행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여 열정(enthusiasm), 명료성(clarity), 상호작용(interaction), 조직화(organization), 속도(pacing), 공개성(disclosure), 발표기술(speech), 관계성(rapport), 관련성(relevance), 학습중심(learning centered), 융통성(flexibility), 리더십(leadership)등이 효과적인 교수 특성이라고 규명하였다.


의과대학의 강의식 수업은 일반대학의 강의식 수업과 구별되는 몇 가지 특성이 있다. 

예를 들어 의과대학 대부분의 강의는 여러 과목이 동시에 한 학기 동안 개설되는 것이 아니라 과목별로 일정한 기간 동안 개설된다. 면역학 과목이 일주일 동안 개설되고, 이후 감염학이 4주 동안 개설된다. 다른 특징은 한 과목에 여러 명의 교수자가 강의를 담당하는 팀티칭의 형태로 강의가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강의에 참여하는 교수들은 자기 전공분야에서 최고의 전문가들로 구성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편, 의과대학 학생들의 학습행동은 일반대학의 학생들과 구별된다. 과도한 학습분량으로 인해 교과서보다는 학생들 스스로 작성한 강의노트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러한 의과대학의 강의식 수업 특성을 고려할 때 학습효과를 극대화하는 교수행동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은 중요하다. 


일반대학과는 차별화되는 의과대학의 교육과정편성과 교육여건에서 Saunders가 제시한 12가지 교수행동이 의과대학 학생들의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지 검토될 필요가 있다. 교수행동을 규명하는 것은 우수 강의자의 특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분석이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의과대학의 많은 교수자들은 학생들이 어떤 강의를 요구하는지 정확하게 알지 못하고, 대부분 전공 지식을 학생들에게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강의자와 학생들 사이에 좋은 강의의 특성에 대한 괴리가 있다. 많은 의과대학에서 강의평가를 통해서 학생들의 만족도가 분석되고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 양적인 정보에 국한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어떤 강의가 좋은 강의인지를 알려주지는 않는다.



결과


1. 우수 강의자의 일반적 특성

우수 강의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서 학생들은 Table 2와 같이 총 10개의 특성을 인지하였다. 많은 학생들이 반복적으로 응답한 특성은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게 내용을 요약해주는 것이었으며(38.9%), 다음으로는 학생들과 적극적으로 의사소통하려는 것(15.3%)기억에 오래 남을 수 있도록 사례를 활용 하는 것(15.3%)을 지적하였다. 지식의 적용 사례를 통해 학습흥미를 불러일으키는 것(10.2%) 또한 중요한 특성으로 인식되었다. 반면, 학생에 대한 존중, 의업에 대한 비전 제시, 편안한 수업분위기 조성, 의사의 마음가짐과 태도 강조,효과적인 전달기술, 역할 모델 등은 우수 강의자 특성으로 인식되지 않았다.


2. 학생들이 선정한 우수 강의자

학생들이 지금까지 수강한 수업에서 가장 강의를 잘 한다고 생각하는 강의자의 이름과 그 이유를 개방형으로 기술하게 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학생들 눈높이에 맞춰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준다는 생화학 담당 A교수가 가장 많은 27.4%의 지지를 받았다. 다음으로는 강의에 대한 열정, 학생과의 상호작용, 학습 동기 및 흥미 유발, 사례 제시 및 직업의 의미 등을 일깨워 준 정신과학을 담당하는 교수 3명이 선정되었다. 그 외에도 임상면역학, 소아과학, 임상감염학 및 조직학 교수가 우수 교수자로 선정되었는데, 의학지식의 실제적 의미 강조, 사례 제시 등이 중요한 선택 이유로 기술되었다. 5명 미만이 우수 강의자로 응답한 기타 의견으로는 앞서 언급된 특성 이외에 시험문제 요약, 성실 및 인간적이라는 키워드가 제시되었다. 전체적으로 의과대학 학생들은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기 쉽고 분명하게 설명해주는 교수자를 가장 효과적인 교수자로 인식하였으며, 학생들을 배려하고 학생들의 학습을 도와주려는 태도를 가진 교수자를 선호하였다. 다음으로는 수업에 대한 열정, 교육내용의 체계적인 조직, 의학지식과 실제 임상과의 관련성을 제시해 주는 교수자를 효과적인 교수자의 특성으로 지적하였다.


3. 우수 강의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

우수 강의자가 갖추어야 할 다섯 가지 역량에 대한 의과대학 학생들의 우선순위 부여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응답 학생의 88.6%가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의사소통 및 효과적인 교수방법을 선택하였으며, 교수자의 수업 준비도와 열정(49.0%)은 두 번째로 중요한 역량으로 인식하였다. 학생에 대한 이해(52.1%)는 세 번째 중요한 역량으로 인식되었다. 학생들이 선택한 우수 강의자가 갖추어야 할 교육역량 우선순위에 대해 학생들의 반응 빈도를 가중한 결과는 의사소통과 교수방법, 수업준비와 열정 및 학생에 대한 이해도가 전공지식의 깊이와 범위, 평가의 공정성과 편견 없는 태도와 비교하여 높은 가중치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의사소통과 교수방법에 대한 가중치 점수가 높았다.










결론


학생들은 우수 강의자의 첫 번째 특성으로 가르치는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조직화하여 요약해주는 교수자라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학문분야의 우수 강의자 특성과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일반 대학의 경우에는 학생들과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우수 강의자의 중요한 특성이다[12].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의과대학 학생들이 강의내용을 쉽게 요약해 주는 교수자를 우수 강의자로 인식하는 것은 학생들의 학습 분량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Im et al.[13]은 의과대학 학생들이 짧은 시간에 많은 의학 지식을 체계적으로 학습해야 하는 학습 부담을 갖고 있기 때문에 교과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해주는 수업을 선호한다고 지적한 바있다. Kim & Jeon [14]도 의과대학생의 유급경험을 분석하면서 학생들은 수업내용을 효과적으로 정리한 소위 ‘족보’를 중심으로 학습하는 형태에 대해 지적하였는데, 족보는 방대한 학습내용을 핵심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정리한 요약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업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잘 요약해주는 특성은 일반대학과 달리 의과대학 강의자에게 요구되는 차별화된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학생들은 실제 임상 사례를 사용하거나 지식이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보여줌으로써 지적인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는 교수자를 우수 강의자로 인식하였다. 반면, 편안한 학습 분위기조성, 교수자로서의 역할모델 보여주기 및 효과적인 프레젠테이션 기술과 같은 것들은 우수 강의자의 특성으로 강조되지 않았다. 우수 강의자에 대한 이러한 인식 경향은 의과대학의 강의가 일반대학과 달리 단일 교과목에 여러 교수들이 참여하는 팀티칭의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한 명의 교수자가 단일 교과목을 한 학기 동안 운영하는 일반대학의 경우에는 교수자와의 지속적인 관계 형성이 가능하다.따라서 교수자가 역할모델을의과대학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의학과 1~2학년 동안 학생들은 대략 200~250명 내외의 강의자들을 만나게 된다. 이러한 강의자들 가운데 우수 강의자로 선택된 교수가 8명 내외라는 점은 흥미로운 결과이다. 특히 학생들이 개념적 지식과 원리를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요약해주는 강의자를 우수 강의자로 생각한다는 점은 개방형 설문 결과와 일치된 결과이다. 방대한 분량의 의학지식이 나열식으로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경우 학생들은 무엇이 더 중요한지 파악하기 어렵고, 자신들이 학습하는 의학지식이 어떤 형태의 지식인지 그 구조를 알기 어렵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방대한 의학지식의 구조를 보여주는 구성주의적 관점이 중요하다. 이런 맥락에서 Bruner [15]는 학문중심 교육과정에서 지식의 구조적 접근이 중요함을 강조한 바 있다. Im et al. [13]도 좋은 수업의 사례를 분석하여 의과대학에서의 수업에서 교과내용을 조직할 때 지적 탐구심과 성취감을 불러일으키는 지식의 구성 관점을 좋은 수업으로 규정하였다



생화학 과목을 강의한 A교수의 경우는 많은 학생들이 최고의 우수 강의자로 선택하였다는 것은 학생들이 우수 강의자로 인식하는 분명한 특성이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러나 Saunders가 지적한 효과적인 교수자의 12가지 특성과 의과대학 학생들이 선정한 우수 강의자의 특성에는 차이가 있었다. 특히 Saunders가 지적한 학생과의 상호작용, 강의 속도, 공개성, 화술, 관계성, 융통성, 리더십 등은 의과대학 교육환경에서는 우수 강의자의 특성으로 거론되지 않았다. 의과대학 학생들이 우수 강의자로 선택한 이유는 다음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1) 학생들의 지적 이해 수준에 맞춘 교육 내용 선택, 2)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는 교육 자료 구성, 3) 지식의 적용과 활용을 강조하는 수업 전략, 4) 학생에대한 배려와 열정이다. 강의 교수자들이 가져야 하는 역량 우선순위 분석에서 전공지식의 깊이와 범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우선순위를 받았다.



본 연구는 의과대학 학생들이 지각하는 우수 강의자의 특성과 역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의과대학에서의 우수 강의자의 특성은 일반대학과는 다른 경향을 보인다. 그들이 갖추어야하는 역량의 우선순위도 차이가 있다. 일반대학에서 우수강의자의 중요한 특성인 전공 분양의 지식과 전문성은 이미 검증되었기에 우수 강의자의 차별화되는 속성은 아니다.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 편견 없는 태도, 역할모델 등도 우수 강의자의 중요한 특성과는 거리가 있다. 이러한 차이의 근본적인 원인은 팀티칭을 바탕으로 하는 의과대학의 수업 특성과 방대한 학습분량 등이 밀접한 관련이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학생들에 대한 이해와 학생들의 수준에 맞춘 강의 교수법의 획득과 상호작용 노력이다. 따라서 의학교육의 질적인 수월성 추구를 위해서 강의를 담당하는 교수자의 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규명된 의과대학 우수 강의자의 특성과 역량 우선순위는 교수개발 프로그램 개발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Korean J Med Educ > Volume 25(1); 2013 > Article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xcellent lecturers, as perceived by medical students, and identified the teaching competency that lecturers should possess to enhance the quality of medical education in medical school.

Method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xcellent lecturers and teaching competency, we administered open-ended questionnaires to a sample of 128 Year 2 medical students in May 2011.

Results:

The students placed high value on the ability to organize and summarize the lecture as the most significant competence of lecturers, due to the massive amounts of information that is disseminated in medical college. Further, they chose lecturers who communicated to students actively and used real clinical cases properly with regard to how medical knowledge applied. They also considered generating an interest in learning by linking knowledge and its application as an important priority of excellent lecturers.

Conclusion:

We conclude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and competencies of excellent lecturers, as perceived by medical students and others. To increase the quality of teaching, it might be necessary to offer the opportunity to observe excellent lecturers, develop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and create educational culture.




Introducing Medical Students to Careers in Medical Education: The Student Track at an Annual Medical Education Conference

Benjamin Blatt, MD, Margaret Plack, PT, EdD, Mari Suzuki, MD, Sruthi Arepalli, Scott Schroth, MD, MPH, and Alex Stagnaro-Green, MD, MHPE







Junior faculty를 모집하고 유지하는 것은 쉽지 않은 과정이며, 특히 academic medicine이 마주하고 있는 쉽지 않은 도전들을 감안할때 더욱 그러하다. 

The recruitment and retention of junior faculty is a daunting process, especially given the challenges presently confronting academic medicine.1,2 

    • New faculty are entering a revenue-driven environment focused on clinical productivity and grant procurement at a time when health care reform legislation promises to transform the practice of clinical medicine. 
    • In addition, they are fulfilling the educational core mission of an academic health center—training the next generation of clinicians.3,4 
    • Faculty physicians must negotiate this complex landscape while sometimes receiving lower income than their colleagues in clinical practice.


academic medicine으로의 진로에 흥미를 갖게 하려면 일찍 노출시키고,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아주고, 확실한 진로 방향을 잡아줘야 한다. 임상의 또는 연구자로서의 진로는 제법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의학교육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이 교실 바깥에서 의학교육자들과 활발히 교류하기 위한 방법은 많지 않다. 이렇게 불분명한 진로 pathway는 현재와 같이 전 국가적으로 교육과정이 개편되고, competency based education을 하고, 혁신적인 교육 기법들이 활용되는 시기에 더욱 문제가 된다.

To generate interest in careers in academic medicine, experts recommend early exposure, clarification of misperceptions, and delineation of clear career pathways.5–7 Medical students—who are in the process of considering, testing, and exploring career options—are an obvious group to target. 

      • Interestingly, the pathway to a career as a clinician or funded researcher is relatively well delineated, as medical schools and national organizations offer students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student interest groups and research experiences. 
      • Few avenues exist, however, for students interested in medical education to become actively involved with medical educators beyond the classroom. The lack of a clear pathway to a career as a clinician–educator is particularly troubling given the current national-level focus on curriculum reform,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innovative pedagogical techniques—all of which require trained professionals for successful design and implementation.



아마 학생들이 의학교육 진로에 노출될 수 있는 가장 용이한 방법은 교육과정 위원회에 대표로서 참여하는 것일 것이다. 그러나 이는 영역이 제한적이고, 참여할 수 있는 학생도 제한적이다. 또 다른 접근법은 여른방학 시기를 이용한 의학교육 리더십 프로그램이 있고, 또한 scholarly concentration 또는 track system도 가능하다. 

Perhaps the most common way in which students are exposed to medical education careers is through involvement as representatives on curriculum committees. This exposure is limited in scope, though, and typically includes few students in a given class. Other approaches include summer medical education leadership programs 8 and medical schools’ structured scholarly concentrations (SCs) or track systems. SCs, some of which span all four years of medical school, enable students to elect longitudinal experiences in education, research, global health, and other areas, depending on their interests.9 Initially, most SC programs focused on basic or clinical research, but a number of schools have recently implemented SCs in other domains, including medical education.10–13


 

의과대학생들이 의학교육에 노출될 수 있는 또 다른 기회는 의학교육학술대회로서 학문적인 것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협동, 정보공유의 장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학회에 참여함으로서 진로 개발에 필요한 학습을 하고, 기술을 개발하고, 롤모델을 찾고, 긍정적 학습환경을 경험하고, 네트워크를 쌓을 수 있다. 2011년 NEGEA의 연례 컨퍼런스 행사.

A venue with rich potential for exposing medical students to careers in medical education is the annual medical education conference, which is a principal source of educational scholarship, networking, collabor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Attendance at such a conference offers students opportunities for career-specific learning, skill development, role models, positive and encouraging learning environments, and networking, all of which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choice.6 To harness the March 2011 Northeast Group on Educational Affairs (NEGEA) annual retreat’s career-building potential for medical students, we incorporated a student track, with an array of events in which they could become actively involved.


 

의학교육 SC가 있는 대학에 다니는 학생에게 있어서 의학교육학회에 학생으로서 참여하는 것은 아주 좋은 경험이 될 수 있다. 대부분의 SC에서 학술 업적을 이룰 것을 요구하기 때문에, 학생은 여기에 참여함으로서 자신의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동료로부터 의견을 받을 수도 있다. 그 외에도 여러 장점이 있음.

For students who attend a school with a medical education SC, participating in a student track of a medical education conference fits nicely with their concentration. 

    • Because most SCs require scholarly products, a conference student track complements the SC by providing a means for students to present their work, thus fulfilling the peer-review and dissemination elements of scholarship. 
    • In addition, a student track enables students to acquire experience, knowledge, and skills through participation in activities specially designed for and focused on them. 


의학교육 SC가 없는 대학 학생이라면 의학교육 관련 진로에 대한 안내를 받는 경험이 될 수 있다.

For students who attend schools without medical education SCs (the vast majority), a student track may serve as the only introduction to careers in medical education.


NEGA컨퍼런스의 사례를 보여주고자 함. SCCT는 의학 분야에서 만들어진 이로느 아니나, 의학 분야에서 career-building effort에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어왔다.

In this article, we describe how we instituted the NEGEA conference’s first student track and provide guides for building future student tracks based on our experience and the constructs of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CCT). This theory, which was developed in nonmedical fields, has emerged in the medical literature as a useful means for anchoring career-building efforts in medicine.7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no other student career-building program nested within a medical education conference has been described in the literature.




The NEGEA Student Track
    • Design of the student track
    • Recruitment of participants






Guides for Planning Student Tracks

In considering how we might enhance future student tracks, we reflected on our experience and drew from SCCT. Below, we offer guides for recruiting and designing student tracks and share lessons learned. Although our focus is on medical education, we believe the suggestions they present will be useful for educators planning conference-based student tracks in any field.


참여자 모집 가이드

A guide to recruiting participants

The recommendations in the following guide are generalized from our experience and participant input regarding recruiting students:

 

    • 초기에 운영위원회에 요청
      Solicit
      student participation early in planning committee activities. Enlist students in important roles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 student track. 
    • 비용은 낮게, 숙박과 식사 제공.
      Design the conference to be low cost for students and, if possible, provide free student housing and meals. 
    • 교수 및 다른 학교 학생과의 교류 기회 강조
      Emphasize opportunities to engage with faculty and students from other institutions in a nonthreatening, learner-centered environment 
    • 타겟 학생 확인
      Identify and target students with a special interest in the conference topics. (Most of our attendees had prior interest in medical education.) 
    • 다른 학생들 대상 의학교육학회의 전반적 가치를 강조
      Target other students by emphasizing the general value of a medical education conference. 
      (We emphasized the usefulness of teaching, leadership, and medical education research skills to any academic career.) 
    • 교수의 직접 접촉
      Make personal and direct contact with faculty at other institutions to tell them about the student track and ask them to identify and invite interested students. (This was our most successful means of recruitment.)



학생 트렉 설계 가이드

A guide to designing student tracks

 

As we considered ways to maximize the potential long-term impact of a student track, we looked to SCCT. SCCT has long history in nonmedical fields and has built an evidence base to support its effectiveness in predicting career choice and success.5 Because of its predictive value, SCCT can be used to guide the development and estimate the long-term career influence of a student track such as ours.

 

SCCT contends that the interaction of personal characteristics with the environment results in experiences that can affect future career choices and work performance. These experiences exert their effect through influencing self-efficacy (the belief in one’s ability to succeed) and outcome expectations (the belief that a career choice will lead to valued outcomes).5,14,15 


자기효능감을 강화하고 기대 성과 강화하기 위한 SCCT에서 제시하는 네 가지 요인

SCCT proposes that four factors can strengthen self-efficacy and outcomes expectations: 

      • personal success experience, 
      • exposure to successful role models, 
      • social and verbal persuasive communications, and 
      • positive emotional reactions (as would be elicited by a supportive learning climate).5,7 


To promote career building through a medical education conference, it then follows that planners should aim to fully incorporate each of these factors into the student track experience. In Table 1, we present a guide for planners. In it we populate each of the four factors with features that, from our experience, we believe will help planners realize this goal.


 


효과적인 학생 트렉 설계를 위한 기타 고려사항

Other considerations for designing effective student tracks

 

In reflecting further on our experience with the NEGEA student track, we identified concerns that should be addressed when creating a new program. 


네 개의 SCCT factor가 잘 달성되었는지 불확실함.

First, although our track addressed the four SCCT factors, it is unclear whether it addressed them optimally. Many students’ comments indicated that they would have liked the conference to have provided them with more opportunities to develop self-efficacy and interact with faculty role models. Planners of future student tracks should consider ways to maximize these opportunities and to evaluate their quantity and quality.



학생들에게 barrier가 될 수 있는 것을 고려해야 함.

Second is a concern about barriers, which, as noted by Lent and colleagues,16 prevent students from pursuing educational exposures and may influence career choices. Although we recognized the need to provide a low-cost conference with housing and food included, we did not address financial and other barriers to career choice and progression beyond the conference. Student track planners should consider including programming that addresses these barriers. Also, studies are needed to clarify the barriers and supports that may most influence the decision to choose a career in medical education.


 

지속적 경험이 되기 위한 강화(reinforcement)가 필요하다. 

Third, as our student track was a one-time event without built-in follow-up, it could not offer the reinforcing benefits of a continuity experience. Without reinforcement, the inspiration that students glean from attending a conference may dissipate when they return to their home institutions. SCCT theoris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ntinuity for effective career building.5,7 Continuity provides repeated exposure to opportunities that SCCT deems critical to optimizing student career interest.6 From such exposure comes the chance for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scope of a medical education career, clarification of potential misperceptions, and bonding with role models.6,17 Continuity experiences can also promote ongoing goal setting, which is an important predictor of career choice.6,17


 

Considering the value of continuity through mentoring,18 we recommend that future student tracks be designed as springboards for participants’ further development in medical education at their home institutions. Continuity may be arranged through faculty advisor relationships with medical educators, perhaps the very educators that sponsored their attendance at the conference. It may also be promoted by participation in formal students-as-teachers programs, which as of 2010 were offered by 43% of medical schools.19 Better still is the continuity provided when a student track is integrated with a medical school SC in medical education. In doing so, the annual conference student track can become part of a comprehensive model to support students in their journey toward a medical education career. Ideally, SC student participation should be yearly and progressive, with increasing involvement in medical education conferences as students advance through their concentration. For example, first-year medical students could focus on gleaning information and skills from conference workshops and from others’ scholarship, while more advanced medical students might focus on their own scholarship through submitting and presenting posters, workshops, and papers.









 2013 Aug;88(8):1095-8. doi: 10.1097/ACM.0b013e31829a3a33.

Introducing medical students to careers in medical education: the student track at an annual medical educationconference.

Abstract

Few avenues exist to familiarize medical students with careers as clinician-educators, and the clinician-educator career pathway has not been well defined. In this article, the authors describe how they integrated a career-oriented student track into the 2011 Northeast Group on Educational Affairs (NEGEA) annual retreat to introduce students to careers in medical education. Annual education conferences are principal sources of educational scholarship, networking, collabor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as such, they represent attractive venues for early exposure to the culture of medical education. The authors' goal in creating the NEGEA conference student track was to excite students about careers in medical education by providing them with an array of opportunities for active involvement in both student-specific and general conference activities.The authors draw from their experience to provide a guide for recruiting student participants to career-building student tracks. They also offer a guide for developing future student tracks, based on their experience and grounded in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lthough their focus is on medical education, they believe these guides will be useful for educators planning a conference-based student track in any field.

PMID:

 

23807107

 

[PubMed - indexed for MEDLINE]


의과대학생의 전공과목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1

김형준․박서진․김정은․박은철1․이후연1

한국의학교육 : 제 15 권 제 2 호 2003 



서 론

의대생들의 전공분야 선택에 대한 국내 연구로는 의과대학 학생들의 임상의학과 기초의학에 대한 희망정도를 측정한 박정한 (1999) 등의 연구가 있었고, 의과대학생의 희망진로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회인구학적 특성, 입학동기 특성으로 나누어 고찰한 권성준 (2001) 등의 연구가 있었다. 그러나 의대생의 전공분야 선택에 관한 국내연구는 위의 논문을 제외하면 미비한 실정에 있으며, 전공 선택 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하거 나 범주화해서 살펴보지 못한 한계가 있다. 


반면, 국외 연구에서는 의과 대학생들의 전공선택과 관련된 요인을 다양하게 접근한 연구들이 많았다. Kassebaum (1994) 등은 의과대학 졸업생들의 전공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36가지 항목으로 제시하였고, 임상의학 분야를 일반전공 분야(generalist specialties), 내과전문 분야 (medical specialties), 외과전문분야 (surgical specialties), 진료지원 분야 (support specialties)로 세부적으로 나누어 각각의 요인들이 전공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Lieu (1989) 등의 연구에서는 의과대학 기간의 경험과 전공한 과의 내적 특성 변수를 포함하여 연구하였다. 이외 다른 연구에서는 학생 때의 성적, 의료 시장변화, 의료사고 위험 정도, 삶의 질, 임상 교수의 영향 등이 진로선택에 관련 있는 요인으로 제시하고 있다 (Schwartz, 1990; Carline, 1991; Jarecky,1993; Osborn, 1993; Xu, 1999; Griffith, 2000;Novielli, 2001; Retchin, 2001).


국외 연구들에서와 같이 국내에서도 의대생의 전공선택을 단지 임상의학과 기초의학에 한정시킬 것이 아니라, 임상분야도 다양한 기준에 따라 범주화시켜 나눠볼 필요가 있고, 의과대학생의 전공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다양하고 구체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몇 년간 각 과별 의료인력 공급의 양을 좌우할 대상인 의과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각 전문과목에 대한 선호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서, 이를 근거로 좀더 합리적인 전공의 수급정책을 마련하는데 기초가 되고자 한다.


결 과

다. 전문과목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인기과와 비인기 과목의 선택비교

2) 임상과 임상 외 분야의 선택비교

3) 내과계와 외과계의 선택비교

4) 주요과목과 비주요 과목의 선택비교


고 찰

가. 연구방법에 대한 고찰

본 연구에서는 의대생의 전공선택을 임상의학분야/비임상의학분야, 내과계/외과계, 주요과목/비주요 과목, 인기과/비인기과로 각 분야의 특성에 따라 범주화 시킨 후, 의과대학생의 진로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국내 및 외국 문헌고찰을 통해 사회인구학적 특성, 입학동기특성, 개인적 특성, 과의 특성,사회경제적 특성을 변수로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따라서 전문과목 선택에 영향을 주는 대부분의 요인을 연구에 포함시켜 분석하였다는 점에는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각 요인간의 상호연관성을 분석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을 수 있다.


나. 연구결과에 대한 고찰

전반적인 과선호도는 임상의학이 전체의 87.9%를 차지하였고 기초 의학 및 특수분야는 12.1%로 낮게 나와 이 분야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관심도가 낮음을 알 수 있다. 임상과목에서는 선호도가 내과, 소아과, 일반외과 순이었고, 임상병리학과, 병리학, 흉부외과, 진단방사선과 등은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이는 2001년 레지던트 1년차 지원율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또한 박정한 (1999) 등의 연구조사에서 나온 과선호도와 전반적으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한가지 특이한 사항으로 본 연구에서는 내과 다음으로 소아과 희망자가 많았는데 이는 의약 분업 후 개원가능성이 높아져 소아과에 대한 관심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결론 및 제언

의과대학생의 전반적인 과선호도 경향을 보면 임상의학이 87.9%, 기초의학 및 특수분야는 12.1%였다. 그러나 실제 비임상 분야 지원율은 이보다 훨씬 적은데 비임상분야의 인력확보를 위해 임상과 기초의학간의 보수격차를 줄이고, 기초 의학에 대한 투자나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한편 임상과 비임상을 선택하는데 입학전형방법이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학사편입이나 전문대학원제를 도입한다 해도 기초의학이나 의학관련 특수분야를 전공할 사람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복수전공이나 학사편입제도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이 필요하고, 기초의학 활성화를 위한 다른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또한 의료사고의 위험을 고려할수록 내과계를 선호하는 것은 의료 사고에 대한 보험제도의 확립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그리고 경제적 수입정도가 전문과목 선택에 있어 비주요 과목을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았을 때 좀더 합리적인 수입배

분을 위한 의료정책이 수립되어야 전문과목별 적정한 의사인력 수급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Peer teaching in medical education: twelve reasons to move from theory to practice

OLLE TEN CATE1 & STEVEN DURNING2

1Center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at UMC Utrecht, the Netherlands, 2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USA



Abstract

목적 : 얼마나 Peer teaching(동료교수, PT)이 자주 이용되는지, 그리고 그 이유

Objective: To provide an estimation of how often peer teaching is applied in medical education, based on reports in the literature and to summarize reasons that support the use of this form of teaching.


방법 : 2006년의 문헌을 살펴보고 카테고리별 분류

Method: We surveyed the 2006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and categorised reports of peer teaching according to educational distance between students teaching and students taught, group size, and level of formality of the teaching. Subsequently, we analysed the rationales for applying peer teaching.


결과 : 12개의 서로 다른 이유들을 찾아내었음

Results: Most reports were published abstracts in either Medical Education’s annual feature ‘Really Good Stuff’ or the AMEE’s annual conference proceedings. We identified twelve distinct reasons to apply peer teaching, including ‘alleviating faculty teaching burden’, ‘providing role models for junior students’, ‘enhancing intrinsic motivation’ and ‘preparing physicians for their future role as educators’.


결론 : 자주 사용되는 방법이긴 하나 논문으로까지 나오지는 않는다. near-peer teaching이 효과적이며, 견습생(apprentice)와 장인(master)의 사이 단계인 journeyman이라는 비유가 의학교육의 연속체에서 중요하고 가치있지만 아직 잘 활용되고 있지는 않은 것이라 할 수 있다.

Discussion: Peer teaching appears to be practiced often, but many peer teaching reports do not become full length journal articles. We conclude that specifically ‘near-peer teaching’ appears beneficial for student teachers and learners as well as for the organisation. The analogy of the ‘journeyman’, as intermediate between ‘apprentice’ and ‘master’, with both learning and teaching tasks, is a valuable but yet under-recognized source of education in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Ten Cate와 Durning은 peer teaching에 대한 광범위한 프레임워크(틀)를 제시했는데, 이 틀은 Peer teaching의 세 가지 독특한 특징을 바탕으로 한다 - 교사와 학생간의 거리, 격식, 학습그룹 크기

In Ten Cate and Durning (this issue) we provided a framework for approaching the broad concept of peer teaching. This framework is based on theory and addresses three distinct features of the peer teaching encounter: the educational distance between teacher and learner, the formality of the setting, and the learner group size.






의학교육에서 peer teaching에 대한 최근 묘사

Recent descriptions of peer teaching in medical education


2006년의 문헌을 살펴봄

A comprehensive review is beyond the scope of this paper and other authors have reviewed this topic well (Ten Cate et al. 1984; Whitman 1988; Topping 1996; Falchikov 2001). To acquire a more recent impression, we reviewed the 2006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다음의 저널에 2006년에 발간된 모든 논문을 살펴보았다. 

We explored the full contents of all 2006 issues of Medical Teacher, Medical Education, Academic Medicine, Teaching and Learning in Medicine, Education for Health,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The Clinical Teacher, BMC-Medical Education, Medical Education Online and the abstracts of the 2006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for Medical Education in Europe (AMEE). We found no reports in Teaching and Learning in Medicine, Education for Health, The Clinical Teacher, Medical Teacher and Academic Medicine in 2006.


peer teaching은 journal article까지는 잘 나오지는 않는다. 그 이유가 잘 알려져 있지는 않다.

It appears that peer teaching is practiced enough to produce a substantial number of abstracts, but does not often lead to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the reasons for this are not known.

    • Educational distance
    • Formality of the educational setting
    • Learner group size
    • Terminology used
    • Reasons cited

Peer teaching의 Rationale.

Rationales for the practice of peer teaching


교육에 대한 교수들의 부담 경감

To alleviate teaching pressure for faculty


4학년 학생이 교수들의 강의를 대체한다고 학습의 질이 떨어지진 않는다.

Tolsgaard et al. and Burke et al. (both in this issue), provide empirical support for the idea that replacing faculty teachers with senior medical students does not compromise the learning of the students taught, a conclusion that was previously drawn by Haist et al. (1998).


그 외에도 장점이 많다.

But even without these scaffolds, peer teaching may provide surprisingly beneficial effects (Tolsgaard et al. this issue).


학생의 인지수준에 맞는 교육 제공

To offer education to students on their own cognitive level


인지적 일치 가설(cognitive congruence hypothesis) : 지식 수준이 비슷한 경우 교육이 더 효과적이다.(지적 '거리(distance)'가 먼 경우보다 효과적이다.

The cognitive congruence hypothesis argues that a teacher with a knowledge base that is similar (i.e. congruent) to the learner’s is a more effective teacher than an expert in the field who has a dissimilar knowledge base, i.e. who is cognitively incongruent, or has a large ‘cognitive distance’ (Cornwall 1979; Lockspeiser et al. 2006).


학생간 지식의 거리가 멀지 않을 때, 비형식적인 교육일 때 'collaborative'혹은 'cooperative' 이라고 한다. 이 경우 학습에 있어서 장점은 조금 덜하다. 

When there is no cognitive distance and when the teaching task is not explicit but informal, we rather speak of collaborative or cooperative learning among students than peer teaching. Here, the relative benefit in terms of learning is less obvious. When the objective is to acquire independent, personal clinical skill, mere collaborative learning may not be more effective than individual study.



편안하고 안전한 교육환경

To create a comfortable and safe educational environment


교육 환경이 중요함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r learning climate is appears to be important for optimizing learning and is one of the principal topics addressed in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Skeff et al. 1997).


동료가 학습자에게 덜 위협적이고 의학교육에서 받는 스트레스를 잘 이해할 수 있음.

Peers and near-peers however may be in even a better position to do this as they are potentially seen as less threatening by learners and often have a rich understanding of the stresses of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according to the so-called social congruence theory (Lockspeiser et al. 2006).


교육의 성과가 더 나을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는 낮다.

Topping (1996) cites authors who found not only better achievement in reciprocal one-to-one peer tutoring arrangements, compared to traditionally taught groups but also significantly reduced stress indicators.


학생들을 사회화시키고 롤모델을 보여줌

To socialize students in medical school and provide role models


의과대학 1학년을 시작하며 사회적으로 소외되거나 사회화 문제가 있을 수 있음. 'student counselling peer'원칙, 'helper therapy'원칙.

Specifically in the first year of medical school, the transition from secondary education or college may create alienation and problems of socialization. The ‘students counselling peers’ principle has been described as beneficial for both the student being counselled as well as the student counsellor, according to the ‘helper therapy principle’ (Whitman 1988).


뛰어난 학생들은 롤모델이 될 수도 있고, peer modelling이라고 함. hidden curriculum의 한 종류

More advanced students can also serve as powerful role models Topping (2001) has called this ‘peer modelling’. The so-called ‘hidden curriculum’ encompasses all those unwritten rules that students should follow to survive or excel the curriculum; peer modelling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is phenomenon.


학습방법 뿐만 아니라 동기부여가 됨

To offer students an alternative motivation as well as another method for studying


어떤 부분을 가르치게 된 학생은 그 부분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단순히 '두 번 배우는' 것이 아니라 더 지식의 유지가 더 강화된다.

Students who are tasked to teach or train others in a domain that interests them and that is relevant for their career, do not only ‘learn twice’; the literature suggests that they learn in a different way, which possibly adds to a longer and more solid retention of knowledge.


비록 예전에 공부한 것과 같더라도 가르치는 역할을 한 학생은 그것을 준비하면서 더 동기부여가 된다. 학습의 강력한 유도(driving)

One of the salient experiences with the student teaching rotation as described in this issue (Ten Cate 2007) is that students who taught were highly motivated to thoroughly prepare for the teaching, even though they studied the same content material themselves some years before. Apparently the teaching task evoked this motivation. Teaching can, next to assessment, clearly serve a powerful drive for learning.


4학년 학생이 2학년 학생에게 사회문화적 다양성을 가르치는 것이 그 이슈에 대한 지식을 높여주는데, 학습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가르치는 학생의 지식을 의미있는 방향으로 증대시킨다. 

Tang et al. (2004) showed how the teaching of sociocultural diversity issues in medicine to second year students, as an educational method, enhanced the knowledge of fourth year peer teachers on these issues. Not only is teaching a drive for learning, it appears to add to the teacher’s knowledge in a meaningful way. This could be through re-learning and further organizing knowledge or it may be that teaching evokes different knowledge acquisition and retention which may act synergistically to learning the material.


학생의 내적 동기 강화

To enhance intrinsic motivation in students


가르쳐야 되는 상황은 '외적 동기'처럼 보일 수 있으나, '내적 동기'도 강화시킨다. Self determination theory에 따르면 교사의 위치에 있는 학생이 단순히 학생의 역할만 하는 학생보다 더 내적 동기가 빨리 강해진다.

The obligation to teach can be viewed as an extrinsic motivator, but teaching may also enhance intrinsic motivation. Self determination theory predicts that students in a teacher role will more quickly develop intrinsic motivation to study material then when they just act in a regular student role (Ryan & Deci 2000).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the conditions for feelings of competence, autonomy and relatedness are more optimized when assuming the role of the teacher on a topic area as opposed to being a more passive learn


의사의 한 역할인 교육자로서의 준비과정

To prepare physicians for their future role as educators


'의사는 교육자가 되어야 한다'라는 점차 확대되고 있는 컨센서스에 대한 것. 

A very different argument for peer teaching is the growing consensus among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that doctors need to be educators. Dandavino et al. have elaborated this argument in a paper in this issue. Several recent competency frameworks for future physicians stipulate the role of the physician as educator (Frank et al. 1996; Bleker et al. 2004). 


The need to prepare physicians for this future role has led to...

      • initiatives to train students and residents in teaching skills (Edwards et al. 2002; Busari et al. 2006; Haber et al. 2006), 
      • provide teaching rotations for residents (Borleffs et al. 2002) and educational fellowships (Searle et al. 2006), 
      • and make medical students qualify for teaching tasks (Evans et al. 2007; Ten Cate this issue).

동료에게 피드백 주는 것에 대한 연습

To practice peer feedback as part of multi source feedback


MSF는 직무기반 medical competence의 평가에 있어서 점차 늘어나고 있는 접근법이다. 이 때 정보원중 하나는 동료들에 의한 평가이고, 이를 위해서 학생들은 서로를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

Multi source feedback (MSF) is an increasingly popular approach to the assessment of work-based medical competence in trainees and physicians (Epstein 2007). One of the sources of information for feedback and appraisal in MSF is the peer. To fulfil this objective, students should be trained to assess each other. 


Peer assessment is often not considered a easy task (Arnold et al.), and its validity is questioned (English et al. 2006; Lurie et al. 2006) (동료에 대한 평가가 너무 후함.)as students tend to rate their peers too highly (Tyler 2006). Essential is the difference between summative assessment and formative feedback. The latter appears to be much suitable to be executed by peers (Dannefer et al. 2005; Lockyer & Clyman in press). Peer assessment is not the topic of the papers in this theme issue, but the literature shows that it is increasingly practised (Arnold et al. 2005, 2007).


리더십 스킬과 자신감 훈련

To train leadership skills and confidence


리더십은 다음에 필요하다.

The role of the teacher is not merely one of knowledge transmission. 

Leadership is necessary to...

organise teaching, 

to guide and facilitate a group, 

to make decisions about what courses of action are needed during a classroom session and 

to prioritise the subject matter being taught. 

Students, who are experienced in acting as a peer teacher, specifically when distance, formality and group size are large, will likely also develop leadership skills that may be useful in other situations that an academic graduate will be expected to handle.


교육을 중요한 임무로 받아들이는 문화 형성

To modify the academic medical culture toward embracing education as a core task of health care


선진국에서 교육이 중시되지 않는 것은 단순히 재정적 문제뿐은 아니다. 

One problem regarding current medical training in western countries is the undervalued importance as well as the relative paucity of resources available for academic medical education (Cooke et al. 2006). This is not only a matter of finances; a culture that fosters educational leadership and acknowledges the importance of a profession to adequately transmit its knowledge, skills, habits and professional codes of conduct to future generations requires an attitude that is not just focused on the here an now of managed care.


자원이 제한적인 환경에서 의료 훈련 프로그램을 지속시키기 위해서

To sustain medical training programmes in severely resource-constrained settings


In most developed countries, the provision of resources for education is under pressure and peer teaching may help to alleviate some of this pressure, as was mentioned above. However, in some developing countries, the mere existence of medical education is threatened by the accumulation of societal problems. In an excellent overview, Burch (2007) discusses how South Africa’s recent combination of economic decline, a sharp increase in disease burden, a substantial emigration of medical graduates from a country with already one of the world’s lowest healthcare workers to population ratio, seriously threatens the capacity to train sufficient doctors. One recent regulation issued in this country is to spend one compulsory postgraduate year in public health care before registration as a doctor is possible


역량바탕프로그램의 졸업후 교육에서 감독책임(supervision responsibility) 강화

To offer supervision responsibility to trainees in competency-based postgraduate programmes


역량바탕교육과정에서 수련의 outcome이 중요함.

In competency-based curricula, specifically in postgraduate medical training, the outcome of training – i.e. the competence of the specialists –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the input of the training – i.e. the training circumstances (Long 2000; Carracio et al. 2002; Ten Cate 2005; ACGME 2007).


이러한 상황에서 레지던트들은 동료 레지던트에 대한 supervision responsibility가 있다.

It has been suggested that in competency-based training, residents may be formally awarded supervision responsibilities for fellow residents, once they have mastered the required competency-level in predetermined areas, ahead of others (Ten Cate & Scheele 2007). This supervision includes being a clinical teacher and role model.




The natural interaction of learningand teaching in medical education


오랜 기간 의학은 '전문가-초심자' 관계로 전수되어왔다. 많은 세대가 개인지도를 해주는 길드 구조에서 전문직으로 키워졌으며, 이러한 길드 구조는 초심자-중간자-마스터의 단계를 이룬다. 점차 독립하게 되는 것이다. 이 중 가장 흥미로운 단계는 'journeyman'이다.

In history, medicine has long been practiced and learned in apprentice–expert arrangements. Many generations have acquired competence in our profession by joining the guild structure of personal guidance. A typical guild structure shows three levels of expertise: apprentice, journeyman and master; phases that reflect growth toward independence. Perhaps the most interesting phase is that of the journeyman, the midskilled craftsman who has completed the apprenticeship.


journeypersons는 가르치는 역할을 자주 하게 되지는 않지만, 마스터가 되기 위해 연마하는 단계를 더 밟아야 하고, journeyperson이 가르치는 역할을 맡음으로서 더 마스터에 가까워질 수 있다.

Journeypersons were often entitled to teach, but still had to develop their own skills further to become a master; indeed it is believed that having the journeyperson teach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mastery.


Collins는 apprenticeship을 교육에 대입해서 'cognitive apprenticeship'이라 불렀다.

Collins et al. (1989) reintroduced the apprenticeship concept in education, and called it ‘cognitive apprenticeship’. But the intermediate stage, the journeyman, seems to have vanished. Following Collins et al. (1989) ‘cognitive journeymanship’ could very well serve as a logical concept in long educational tracks, such as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2007 Sep;29(6):591-9.

Peer teaching in medical educationtwelve reasons to move from theory to practice.

Abstract

OBJECTIVE:

To provide an estimation of how often peer teaching is applied in medical education, based on reports in the literature and to summarizereasons that support the use of this form of teaching.

METHOD:

We surveyed the 2006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and categorised reports of peer teaching according to educational distance between students teaching and students taught, group size, and level of formality of the teaching. Subsequently, we analysed the rationales for applying peerteaching.

RESULTS:

Most reports were published abstracts in either Medical Education's annual feature 'Really Good Stuff' or the AMEE's annual conference proceedings. We identified twelve distinct reasons to apply peer teaching, including 'alleviating faculty teaching burden', 'providing role models for junior students', 'enhancing intrinsic motivation' and 'preparing physicians for their future role as educators'.

DISCUSSION:

Peer teaching appears to be practiced often, but many peer teaching reports do not become full length journal articles. We conclude that specifically 'near-peer teaching' appears beneficial for student teachers and learners as well as for the organisation. The analogy of the 'journeyman', as intermediate between 'apprentice' and 'master', with both learning and teaching tasks, is a valuable but yet under-recognized source of education in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PMID:

 

17922354

 

[PubMed - indexed for MEDLINE]





의학교육과 의사들의 진로선택 : 우리는 스스로를 과대평가하고 있지는 않은가?

Medical Education and Physicians' Career Choices: Are We Taking Credit beyond Our Due?

Donald E. Pathman, MD, MPH



<민족사관고등학교 교훈>






많은 의학교육자들은 일차의료 로테이션과 같은 다양한 지역사회-기반 수련 프로그램이 졸업생이 일차의료 내지는 농어촌, 의료취약지역에서의 진로를 선택하는데 영향을 줄 것이라고 믿는다.

Many medical educators believe that primary care rotations and various types of community-based training programs affect graduates' likelihoods of choosing careers in primary care and in rural and underserved areas.


또한 많은 연구가 - 비록 모든 연구가 그런것은 아니지만 - 이러한 일차의료/지역사회기반 수련이 진로선택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Many studies-though not all-support the belief that primary care and community-based training influence careers.


그리나 이들 연구는 거의 공통적인 한계점이 있다. 즉, 이미 가지고 있었던 특성, 흥미, 진로계획이 고려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들 특성은 다양한 학교/프로그램에 따라서도 달라지며, 어떤 경험을 하기로 선택한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 사이에서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but they share a near-universal shortcoming: little or no accounting for the pre-existing characteristics, interests, and career plans of students and residents as they vary across schools and programs, and between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of elective experiences. 14-19


여기서 하고자 하는 질문은, 이 연구들이 아직 답하지 않은 질문이다. "학습자에 대한 교육과정의 영향, 롤모델의 영향, 수련 장소의 영향에 학습자가 이전부터 가지고 있었던 진로흥미나 성향은 얼마나 중요한가?"

The question that these studies have not yet answered, the question raised in this paper, is "How important are learners' pre-existing career interests and inclinations relative to the influences of curricula, role models, and sites of training?"


여러 프로그램간 차이를 비교하면서, 학습자가 기존에 가지고 있던 특성을 통제하지 않는 것은, 모든 학교/프로그램의 학생이 동일하다는 지지할 수 없는 가정을 깔고 가는 것이다.

When studies comparing programs do not control for the pre-existing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hey make the implicit but untenable assumption that all schools and programs have the same types of students


연구자들은 이 문제에 대해서 이미 오래 전부터 인지하고 있었고, '논의' 부분에 이에 대한 언급을 해왔다.

Researchers have long been aware of this issue and have cautioned in discussion sections of their papers that "the degree to which self-selection was a factor . . . was not examined,"8 and "some of the importance attributed here to schools reflects characteristics of their students."17


학교마다, 레지던트 프로그램마다 입학생의 특성이 다르다는 것은 데이터로 뒷받침된다. 매년 AMA는 학교별 입학생 특성을 설명하는 자료를 발간한다.

The data are clear that matriculants differ across medical schools, residencies, and programs. Each year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publishes a description of the significant school-by-school differences in the gender and in-state versus out-of-state compositions of matriculating medical students. 20


이런 것은 다른 면에서 보면,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의 흥미에 맞는 프로그램을 찾아서 지원하고 합격한다고 볼 수도 있는 것이다.

Viewed from the other side, we can say that students are able to identify and gain admission to medical training programs suited to their interests


마찬가지로, 학생과 레지던트의 특성이 전공과 진료 지역를 정하는데 중요하다는 데이터도 상당히 설득력을 갖는다.

The data are equally convincing that students' and residents'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predictors of their choices of specialty and practice locations.26·27


이런 것들을 모두 고려하면, 이제 해야 할 질문은 이와 같다. "어떤 프로그램의 졸업생이 선택하는 진로가 이 프로그램에 입학한 학생의 타입에 따라서 온전히 설명이 되는가?" 매우 드물지만, 학생의 무작위 배정을 활용한 Rosenblatt 등의 연구를 보면 학생이 가정의학 코스에 참여한 것과 전공을 선택하는 것은 서로 관계가 없다고 말한다. 몇몇 다른 결과도 비슷하다.

With these considerations in mind, the obvious question becomes, "Are the favorable career paths taken by graduates of certain programs solely explained by the types of learners these programs matriculate?" In a rare study that employed randomization of students, Rosenblatt et al.37 found no association between students' participation in a family medicine course and their specialty selections.  


따라서 교육적 intervension과 학교의 기본적 특성에 초점을 두고 시행된 가장 강력한 연구에서 나온 근거도 이들 프로그램이 전공 선택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Thus, evidence from the strongest available studies assessing relatively focused educational interventions and basic school characteristics suggests that these programs do not affect specialty choice.


"학생이 어느 장소에서 자라났는지가 결국 그 학생이 어디서 자리를 잡는지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의과대학이 어디에 위치했는가에 따른 영향이나 농어촌지역 수련 프로그램의 영향은 미미한 영향을 줄 뿐이다"

that physicians' place of rearing "can have a considerable impact on eventual location decisions" but that there was only "weak empirical support . . . for locational effects of medical schools and rural training programs."


"프로그램이 외형적으로 어떤 특정 의사를 양성하는데 '성공'해 보이는 것은 주로 '선택적 이끌림(selective attraction)'때문이다. 대부분의 연구는, 평균적으로, 학생의 진로계획이 바뀌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programs' apparent 'success' in producing particular types of practitioners is due largely to selective attraction .... Most research indicates that on average, student career plans are not changed."


"전공 선택과 의과대학 환경 사이에 관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는 거의 없는 반면, 학생의 성격과 배경이 영향을 준다는 연구는 꾸준하다."

"little research has been perform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pecialty choices and aspects of the medical school environment when other factors such as students' personality and background traits are held constant."


"농어촌지역 프리셉터십(preceptorship)과 같은 프로그램은 철저한 평가 연구에 따른 근거가 있다기 보다는, 주로 경험적 근거나 전통적 지혜에 기반하고 있다"

"programs such as rural preceptorships . . . are based more on attitudinal evidence and conventional wisdom than they are on evidence from rigorous evaluation studies."


하지만 이러한 연구에 너무 낙담할 필요는 없으며, 일반적으로 장기적(longitudinal), 다면적(multidimensional) 훈련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다고 받아들여진다.

Before becoming too discouraged about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programs, It is generally (and reasonably) believed that longitudinal, multidimensional training programs are more effectiveY-45


일부 연구들은 의료인력 배치에 교육자들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지지하고 있으며, 우리는 좀 더 다면적이고, 장기적인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Through the strength of their designs and findings, these two studies provide the greatest support to date for the role of educators in influencing physician distribution. Clearly, we need more studies of multifaceted, longitudinal programs and of career outcomes that go beyond specialty choice.


it is more likely that long-term, intensive, multifaceted, and carefully designed curricula in primary care, rural, and underserved settings will be found effective.


우리는 학생을 현명하고, 성공적이고, 자기주도적인 성인으로 봐야 하며, "교수를 따를 준비가 된 아기오리"로 봐서는 안된다.

We must become more mindful that students are to be treated as the bright, successful, self-directed adults they are, and not believe, as aptly stated by Schwenk, that they are "ready to follow the faculty like baby ducks."51


우리는 더 이상 우리의 일차역할을 진로설계자로 보아서는 안될 것이며, 그보다는 우리의 역할은 일차적으로는 교육, 그리고 진로 지도는 부차적인 역할로 재발견해나가야 할 것이다.

We will no longer be able to envision our primary role with students to be that of career architects; instead, we must rediscover that our task is primarily to educate and only secondarily to guide careers




 1996 Sep;71(9):963-8.

Medical education and physicians' career choices: are we taking credit beyond our due?

Source

Faculty of the Center for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Program, Chapel Hill, NC, USA.

Abstract

There is great enthusiasm for curricula that place students and residents in community-based primary care practices and in rural and underserved areas. Interest in these primary care training experiences is based, in part, on studies that report that they can prompt learners to pursue careers in primary care specialties and underserved areas. Given that these programs attract learners with prior career interests in primary care and underserved area medicine, however, it might be that the favored career choices of their graduates are better explained by programs' selection than by their curricula. In studies where learners are randomly assigned to various training programs, no curriculum effect is found, at least for the typical one- or two-month primary care and rural rotation. Only in studies of longitudinal, multidimensional programs have career effects been demonstrated when learners are randomized. The need for a balanced physician workforce, and therefore the need for curricula to create it, demands ongoing, rigorous assessments of the efficacies of the various primary care training programs. Critical reevaluation will probably show that most schools and residencies need extensive curriculum changes if learners' careers are to be affected, and that admission committees can play a pivotal role in creating a balanced physician workforce. These discussions challenge educators to be as thoughtful and as empirically grounded as possible when changing the content and process of medical training.




(출처 : http://www.uclahealthcareers.org/career-areas/non-clinical-roles)


"위대해지는 것을 두려워하지 마십시오."





Introduction


의학 분야에 있어서 의사의 역할은 진화해왔으며, 점차 다양해지고 있고, 다른 학문의 분야와 융합되어감으로써 임상의학의 양상도 변화하고 있다. 그 결과 일부 국가에서는 임상의사 외의 다른 진로를 희망하는 의과대학 학생들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The physician’s role has evolved and diversified as the field of medicine becomes more convergent with other disciplines and the landscape of clinical practice changes [1]. Consequently, the proportion of medical school graduates who pursue careers other than full-time clinical practice has increased in some countries [2]


인구학적 특성이나 개인의 성격이 임상과 선택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진로의 종류에 대한 생각도 임상과 선택에 영향을 준다. 개인적 특성 외에도 임상실습이나 튜터링을 하는 동안 학생이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도 진로 선택에 영향을 준다. 더 나아가서 생활습관이나 수입과 같은 외적 요소들고 임상과 선택에 영향을 준다고 연구된 바 있다.

Some studies show that student demographics and characteristics are associated with their specialty choice [3-7]. Medical students’ orientations towards career types also influence their specialty choices [8]. In addition to personal attributes, studies have found medical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such as clerkships and peer tutoring have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ir career choices [5,9-12]. Furthermore, some studies suggest that external factors such as life style and income influence a student’s choice of medical specialty [13-15].


의과대학 학생들의 진로 선택이 몇몇 국가에서 연구된 바 있다.

Although medical students’ career choice has been studied in several countries [16-18],


이 연구에서 밝히고자 하는 질문은 아래와 같다.

임상 진로와 비임상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의 배경(background)에 차이가 있는가?

이 두 그룹간 의학을 공부하는 동기나 흥미에 차이가 있는가?

이 두 그룹간 의료계 직종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이 두 그룹간 진로 계획(career plan)의 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In more detail,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e present study are:

Are there differences in background between students who intend clinical careers and those who intend non-clinical careers?

Do these groups differ in their motivation for and interest in studying medicine? 

Do these groups differ in their perceptions of medical professions?

Do these groups differ in their attitudes towards career plans?




Methods


문헌 조사를 통했고, 연구에 적용할 만한 영문으로 된 자료는 없었고 한글 자료를 사용하였다. 1990년대에 전국 의과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기 위해 개발된 질문지이다.

A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of existing research instruments suited for the present study in both English and Korean. No research instrument was available in English, so we decided to adopt one in Korean [19] for the present study. This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Park in the 1990s for a national survey of medical students on their perceptions of medical education and medical practice.


Results


Survey respondents and their career intentions




Respondents’ motivation for and interest in the study of medicine



Respondent perceptions of medical professions



Respondents’ attitudes towards career plans




Discussion and conclusions


본 연구에서는 비임상 진로를 희망하는 한국 의과대학 학생의 비율이 상승했음을 보여준다. 이는 미국에서 조사된 것과 비슷한 결과이다. 그러나 여전히 비임상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이 학년이 높아감에 따라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아마도 학생들이 임상 경험을 쌓아가면서 임상에 더 흥미를 가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의과대학 학생들의 임상 전문과에 대한 생각은 시간이 지나며 변하는 것처럼, 비임상 진로에 대한 생각도 같이 변화한다. 이러한 경향은 어린 학생들이 더 비임상 진로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the percentage of Korean medical students who intend non-clinical careers has increased over the past decade; from 7.3% in Park’s study [19] to 12.3%. This finding is similar to other studies of US medical students which show the national trend of an increase in medical students intending non-traditional careers [1,2]. Still, we found a trend of gradually decreasing number of students intending non-clinical careers over the years of study in medical school. It may be that students become more interested in clinical practice as they gain more clinical experience over the course of study. As medical students’ views of clinical specialties change over time [20,21], the same may be true of their views of non-clinical careers. This trend is also consistent with our finding that younger students are more interested in nonclinical careers than older students


의료 직종에 관한 생각은 두 그룹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의과대학 공부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일부 차이가 있었다. 첫째로 비록 두 그룹이 의과대학에 입학한 동기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비임상 진로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은 의학 공부에 흥미를 덜 느꼈다. 두번째로 비임상 진로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은 의학 공부에 어떤 면이 흥미가 없는가에 대한 점이 달랐다. 특히 암기 위주의 학습이라는 점을 강하게 느끼고 있었다.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ents’ views of medical professions between those who intended non-clinical careers and their peers, bu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s of the study of medicine. First, students with intentions in non-clinical careers are less interested in the study of medicine than their peers, although the two groups are comparable in their motivation for getting into medical school. Second, those who intend non-clinical careers differ from their peers in their perceptions of what is uninteresting about the study of medicine. In particular, a higher portion of the students who intended non-clinical careers found there was too much to memorize in studying medicine than their peers


학습에 대한 학생의 관심은 인지적, 그리고 학습 스타일과 관련이 있음이 밝혀진 바 있고, 이는 학습 결과와도 연결된다. 또한 의과대학 학생들의 인지적 스타일과 학습 스타일은 임상과 선택에 영향을 준다.

The literature indicates that students’ interest in learning is related to their cognitive and learning styles, which also influence their learning outcomes [22]. Additionally, research suggests that medical students’ cognitive and learning styles influence their specialty choices [22,23]. 


또한 이번연구에서 대부분의 의과대학 학생들이 임상 외의 진로를 생각해보는 것은 중요하며, 의과대학이 이러한 진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여전히 의과대학 교과과정은 이러한 수요를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Our findings indicate that a majority of medical students think it is important for them to consider careers outside clinical practice and that medical schools need to offer programs that provide information on such careers. Still, our finding indicates that medical school curricula do not address such needs sufficiently


이번 연구의 한계는 첫 번째로 샘플 숫자가 41개 의과대학 중 6개로 제한되었다는 것이다.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should be acknowledged. First, the sample size was limited in that only six out of 41 medical schools across the nation were included.


두 번째로, 한국 의과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이번 연구의 결과는 한국의 보건의료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았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Second, this study reflects the perspectives of Korean medical students, which may be affected by the health care environment that they are in.






 2013 Jun 4;13:81. doi: 10.1186/1472-6920-13-81.

What is different about medical students interested in non-clinical careers?

Source

Department of Social and Preventive Medicine, Samsung Biomedical Research Institute,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300 Cheoncheon-dong, Jangan-gu, Suwon, Gyeonggi-do 440-746, Korea. pjaehyun@skku.edu.

Abstract

BACKGROUND:

The proportion of medical school graduates who pursue careers other than full-time clinical practice has increased in some countries as the physician's role has evolved and diversified with the changing landscape of clinical practice and the advancement of biomedicine. Still, past studies of medical students' career choices have focused on clinical specialties and little is known about their choice of non-clinical careers. The present study examined backgrounds, motivation and perceptions of medical students who intended non-clinical careers.

METHODS: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students at six Korean medical schools distributed across all provinces in the nation. The questionnaire comprised 40 items on respondents' backgrounds, their motivation for and interest in the study of medicine, their perceptions of medical professions, and their career intentions. Data was analyzed using various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RESULTS:

In total, 1,388 students returned the questionnaire (60% response rate), 12.3% of whom intended non-clinical careers (i.e., basic sciences, non-clinical medical fields, and non-medical fields). Those who planned non-clinical careers were comparable with their peers in their motivation for studying medicine and in their views of medical professions, but they were less interested in the study of medicine (P < 0.01). The two groups also differed significantly on their perceptions of what was uninteresting about the study of medicine (P < 0.01). The two groups were comparable in gender and entry-level ratios but their distributions across ages and years of study differed significantly (P < 0.01). A majority of respondents agreed with the statements that "it is necessary for medical school graduates to pursue non-clinical careers" and that "medical schools need to offer programs that provide information on such careers." Still, our finding indicates that medical school curricula do not address such needs sufficiently.

CONCLUSIONS:

Our study found some differences in backgrounds and perceptions of the study of medicine in medical students interested in non-clinical careers from their peers. Future studies are suggested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medical students" choice of non-clinical careers.













(출처 : http://linked2leadership.com/2009/01/26/seeking-feedback/)


  • 의학교육의 연구 주제로 Feedback seeking behavior 다루기 시작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 Organizational and social psychology에서는 제법 오래된 주제.
  • Feedback 찾는 동기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Motives are shaped by personal characteristics, situational circumstances, and perceived benefits and costs.4,5
  • Bok et al
    • Fatigue, accessibility of supervisor, safety of the learning environment 영향을 미친다.
    • 피드백에 대한 불안감이나 주저함은 피드백에 대한 안좋은 경험이 있어서 그런 것일 수도 있다.
    • 학생들은 supervisor good communicator이거나 supervisor student 오랜 시간 같이 일한 적이 있을 feedback 찾는다.
  • Pilgrim EAM
    • Trainee performance 대한 feedback 어떨지 걱정한다.
      • 그러나 이러한 fear feedback 효과적인 학습과 competence 증진에 도움이 된다고 느낄 극복될 있다.
    • 피드백 제공자는 관찰과 피드백에 대한 계획을 주도적으로 세운다거나 롤모델의 역할을 함으로서 피드백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할 있게 도움을 있다.
    • self-reflection 피드백을 받기 전에 facilitative effect 있다.
      • (A somewhat similar effect emerged in our research, in which we found a facilitative effect from self-reflection on performance prior to receiving feedback.)

 

  • 피드백을 받은 사람은 feedback beneficial effect 완전히 이해하지 않았더라도 feedback 진행해야 한다. feedback processing이야말로 교육적 개입이 효과를 발휘할 있게 만들어주는 타겟이다.
    • Apparently(듣자하니), recipients need to process feedback before they are ready to assimilate its beneficial effects for learning, performance and practice. Feedback processing thus may be a fruitful target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 Feedback provider 중요하다.
  • Crommelick et al
    • 리더십 스타일은 조직심리에서 가장 많은 관심을 받은 분야 하나이다.

  • FEEDBACK PROVIDER SEEKER 관계가 FEEDBACK SEEKING 긍정적인 영향을 있다.





 2013 Mar;47(3):225-7. doi: 10.1111/medu.12128.

How can medical education benefit from the evidence on learners seeking and using feedback?

Source

e.pelgrim@elg.umcn.nl








  • 1910 Flexner Report이후 의학지식은 팽창했고, health care system 복잡성이 증가했으며, 교수방법이 진화했다. 하지만 학생들은 라이트 형제가 Kitty Hawk에서 어설프게 비행기를 만들고 땜질하던 시대와 별반 다를 없는 교육을 받고 있다.
  • 이제는 의사를 양성하는 방법을 바꿀 때다. 하루에 사용가능한 시간은 변하지 않았으니, 현실적으로 하나의 대안밖에는 남지 않는다. 바로 학생들의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 메시지를 'stickier' 달라붙게, 만들고 self-paced, mastery-based 학습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대안이 것이다.
    • 어떤 특징이 이야기를 " 달라붙게" 하는가에 대한 연구가 많이 되어있다. 하나는 호기심을 자극할 만한 unexpected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 또한 청중의 감정을 자극할 이야기가 " 달라붙는" 다는 것도 알려져 있다. 환자로부터 직접 나오는 이야기는 의학지식에 관심을 두지않을 없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 Sir William Osler 이렇게 말했다. " 없이 의학을 공부한다는 것은 아무도 가보지 않은 미지의 바다를 항해하는 것과 같다. 하지만 환자 없이 의학을 공부한다는 것은 아예 바다에 나가지 않는 것과 같다"
      • 그러나 의과대학생들의 말에 따르면 1학년 과목의 절반 이상은 최소한의 환자에 대한 언급도 없이 이뤄진다고 되어 있다.
    • 20세기 이전까지는 강의(lecture) 지식을 전달하는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YouTube TED같은 방법이 있다. 이런 디지털 미디어의 발전으로 video lecture 만드는 것이 간편해졌고, 학생들은 자신의 학습 속도에 따라 공부할 있다. Khan Academy 예이다.

  • Class time 자유롭게 활용해서 상당한 차이를 만들 있다. 최근 연구에서 그룹은 노벨상을 받은 물리학자에게 강의를 들었고, 다른 학생 그룹은 TA 의해서 실제 세계의 물리 문제를 풀게 하였다. 후자의 그룹이 engaged하였고 수업에 참여하였다.



 2012 May 3;366(18):1657-9. doi: 10.1056/NEJMp1202451.

Lecture halls without lectures--a proposal for medical education.

Source

Stanford School of Medicine, Stanford University, Stanford, CA, USA.

Comment in

PMID:
 
22551125
 
[PubMed - indexed for MEDLIN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