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적 연구 방법론 - 1:1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Qualitative Research - focused on 1:1 interview)

2005/11/22 화요토픽리뷰 Qualitative Research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예방의학교실

R2 주 수 영





먼저, 질적 연구의 특징(김창엽, 2004)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가장 질적 연구를 이 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① 현상을 기술하기 위해 숫자 대신 언어를 사용한다(uses words rather than numbers to describe findings) 

  • 역동적인 현실변화를 나타낸다(assume a dynamic reality) 

  • 대상자의 관점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것을 강조한다(emphasize seeing the worl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articipants) 

  • 목적은 예측이 아니라 이해다(goal is understanding rather than prediction) 

  • 인간 경험의 주관적인 측면을 강조한다(emphasize the subjective dimensions of human experiences)

  • 환원론적이기 보다는 전체론적이다(holistic rather than reductionistic) 

  • 사실대로, 발견 중심적이고 설명적이고, 기술적이고, 귀납적인 방법으로, 해석하는 접근 방법과 관련이 있다(associated with the interpretive approach which is discovery oriented, explanatory, descriptive, and inductive in nature) 

  • 일반적인 질문이나 문제로 시작한다(starts with general question or problem) 

  • 미리 가정을 세워두지 않는다(no pre-defined hypothesis) 

  • ⑩ 단순 무작위 표집이 아닌 유의 표집을 사용한다(uses a purposive sampling, not a random one) 

  • 상대적으로 작은 표본을 이용한다(uses a relatively small sample)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는 서로 배타적인 성격을 지니기 보다는 상호 보완적이다. 어떤 사회 조사를 막론하고 어느 한 쪽의 방법론만으로 훌륭한 결과를 거두기는 어 렵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이 두 방법론의 원리와 기법을 배합하여 활용하기 마 련이며, 단지 연구주제, 연구 대상의 성격, 연구자의 성향에 따라 어느 쪽을 위주로 하느냐의 결정이 있을 뿐이다. 그러나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이 두 가지 방법론을 단순히 반대되는 접근방법으로 생각하고 있다. 양적 방법론의 기법들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질적인 접근 방법을 부담 없이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 향도 있다(김두섭, 1999).


질적 연구 방법과 양적 연구 방법이 동시에 사용되기도 한다. 연구론의 삼각 측정 (methodological triangulation)이라고 불리는 이 방법은 질적 연구의 신뢰도 (credibility)를 높이기 위해 쓰이기도 하는 것으로, 

  • simultaneous triangulation은 질적 방법과 양적 방법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을 말하고, 

  • sequential triangulation은 한 가지 방법으로 얻어진 결과가 다른 방법을 시행하는데 요긴하게 활용되는 방식 을 의미한다. 

즉, 한 가지 사실은 여러 방법으로 접근하여 사라펴본다는 것이다(이 중규, 2003, J. Maison, 김두섭 역, 1996).


삼각측정(triangulation)을 시행하는데 4 가지 원칙이 있다(이중규, 2003).


  • ① 연구 질문은 반드시 명확해야 한다(The research question must be clearly focused) 

  • ② 각 방법의 장점은 각 방법의 단점을 보완해 주어야 한다(The strength and weakness of each chosen method must complement each other) 

  • ③ 연구 방법은 연구 현상의 성질과의 관련성에 따라 정해져야 한다(The methods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their relevance to the nature of the phenomenon being studied) 

  • ④ 연구 중에 접근 방법에 대한 평가가 계속 이루어 져야 한다(Continual evaluation of the approach should be undertaken during the study)


질적 연구가 사용되면 효과적인 보건의료 분야는 다음과 같다(신호철, 2005).


① Study of explanatory models (e.g. Health Belief Model) 

② Comparing different perspectives of different groups 

③ Identifying social networks 

④ Assessing the social impact of events 

⑤ Studying medical pluralism 

⑥Study of deviance (e.g. non-compliance) 

⑦ Understanding behavior of social groups


실제 질적 연구가 주요한 연구 방법으로 쓰이고 있는 학문 분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J. Maison, 김두섭 역, 1996).


① 현상학(phenomenology) 

② 민속방법론(ethnomethodology) 

③ 후기 근대주의자(postmodernist) 

④ 인류학(anthropology) 

⑤ 언어학(linguistics) 

⑥ 인본 지리학(human geography) 

⑦교육학(education) 

⑧역사학 

⑨ 매체 연구, 문화 연구 

⑩ 보건학(public health) 

⑪여성학(feminism)





4. 1:1 심층 면접 순서 및 면접 방법


4.1. 질적 연구의 기획과 디자인


많은 사람들은 지나치게 간단하 게 일반적인 형태로 서술하는데 그치고, 반대로 일부 연구자들은 그들의 연구 초점 을 너무 길고 진부하게 만들어버린다. 연구자들은 탐구하고자 하는 본질이 무엇인가를 분명하게 가려낼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선(질적 연구이든 양적 연구이든 간에) 다음 5 가지에 대한 질문들 을 제기해 볼 필요가 있다(J Maison, 이두섭 역, 1999).


    • 내가 탐구하고자 하는 현상, 실재(entity) 또는 사회적 실체의 본질이 무엇인가?

    • 무엇을 내가 탐구하고자 하는 실재 또는 사회적 실체에 대한 지식이나 증거로 간주할 것인가? 

    •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제, 또는 주관심 영역이 무엇인가? 

    • 이론적, 지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궁금증이 무엇인가? 무엇을 설명하고자 하는가? 풀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무엇인가? 

    • 내 연구의 목적이 무엇인가? 나는 왜 이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가?


특정 조사방법과 자료가 어떻게 그리고 왜 연구 문제를 풀어 가는데 도움이 되는가를 명백히 인지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문제 와 방법론을 특정한 조사방법 및 기법과 연계시키기 위해서, 연구자는 자신의 지적 문제 및 연구문제를 푸는데 필요한 지식과 증거가 무엇인가를 꼼꼼히 따져 보아야 한다. 그리고 그러한 지식과 증거를 어떻게 만들어내고 수집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아야 한다(J Maison, 이두섭 역, 1999).



표 2. 연구문제와 조사방법을 연계시키는 점검표의 예시





표 3. 학자에 따른 질적 연구 설득력(trustworthiness)를 위한 요소 분류 체계



신뢰도(credibility)

기술의 정확성 (accuracy of the description) 조사 장소에서 오래 있으면 있을수록 신뢰도 높아진다. 

대상자를 자주, 계속 관찰하고 관계를 맺음으로써 신뢰도가 높아진다. 

대상자가 자료 분석 과정에 개입하도록 한다. 

수집한 자료, 자료 수집 방법, 자료의 종류, 연구자, 연구론의 삼각 측정 (methodological triangulation)


타당성(dependability)

반복해서 조사했을 때(다른 때, 다른 환경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오는 것 

사람들의 상황은 항상 변한다는 것을 반영 

이를 위해서 비슷한 훈련을 맏고 대상자와 비슷한 신뢰정도가 형성된 조사자를 한 명 씩 더 투입하여 같은 대상자를 인터뷰하도혹 한다. 

이것은 audit trail(감사 과정)으로 확인한다.


전의 가능성(transferability)

일반화(generalization)가 가능한 정도, 적합(fittingness)한 정도를 의미 

독자들이 전의 가능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충분한 세부 설명이 있어야 한다. 

전의 가능성의 부족이 질적 연구의 약점이기도 하다


확실성(confirmability)

neutrality 중의 하나이다. 

2 명의 독립적인 조사자가 자료로부터 도촐된 의미를 동의해야 한다. 

audit trail(감사 과정)을 사용한다. 

개인적의 편견(personal bias)이 어떻게 들어갔는지, 다른 설명은 없는지를 정리해 야 한다.




4.2. 자료의 창출 : 면접


면접 시 연구자는 다음 사항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 피면접자가 납득할 수 있어야 한다. 

  • 피면접자에 대한 사전 지식을 바탕으로 그의 주변상황, 경험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 연구자의 윤리적 입장에 위배되지 않고, 피면접자의 요구와 권리를 고려하여야 한다. 

  • 면접하는 상호작용-‘목적을 지니고 이루어지는 대화’-의 흐름을 방해하기보다는 원활이 하는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 

  • 연구자의 연구문제에 관련되는 주제와 화제에 적절한 초점이 모아져야 한다.




질젹 면접을 위한 준비과정은 크게 7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제 1단계 : 커다란 연구 문제


연구가 탐구하고자 하는 커다란 연구문제들의 목록을 만든다(표2 참고).


‹ 제 2단계 : 작은 연구 문제


이 커다란 연구문제들을 일단의 작은 연구문제들로 쪼갠다. 커다란 연구문제들과 하위범주들 간의 연계는 적절한 번호나 부호로 표시되거나 도표로 그려질 수 있으 며, 상호확인을 위한 색인카드를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 제 3단계 : 가능한 면접 화제와 질문


각각의 작은 연구문제들에 대하여, 면접을 통하여 적절한 내용을 얻어내는 방법을 모색하기 시작한다. 이는 연구자가 탐구하고자 하는 크고 작은 문제들을 면접의 화 제로 전화시키고 면접에서 사용할 질문들의 내용과 형태를 만들어냄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것이 면접에서 그대로 사용될 질문의 대본을 작성한다는 뜻은 아니며, 면 접의 화제와 질문을 개발함으로써 면접과정에서의 상화적용에 적절히 대비하는 것 이다. 이 경우에도 면접에서 사용될 구체적인 질문들과 크고 작은 연구문제들 간의 연계는 구체적으로 명시되어야 한다.


‹ 제 4단계 : 교차 점검


면접 화제와 질문들이 거꾸로 커다란 연구문제와 작은 연구문제를 탐구하는데 도움 이 될 것인가를 점검한다.


‹ 제 5단계 : 느슨한 형태의 면접 지침표


면접을 위하여 이들을 느슨한 형태로 엮어낸다. 이는 유연성과 가변성을 지녀야 하 며, 논의하고자 하는 핵심적인 주제나 연구문제에 대한 일단의 실마리를 얻어 낼 수 있는 형태로 꾸며져야 한다.


‹ 제 6단계 : 표준화된 질문과 항목


면접에 표준화시킨 질문이나 항복들을 도입할 것인가를 확정한다. 모든 사람들에 똑같은 형태로 물을 수 있는 질문이 있을 수 있다. 위에 제시된 예에서는 고새서 명 부분이 상단 수준 표준화되었으며, 이는 연령이나 혼인상태 등 개인적/사회적 특 성을 묻는 일부 질문들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피 면접자에게 자료의 비밀 보장을 확신시키기 위해서 전하는 이야기도 표준화된 형태로 작성할 수 있을 것이다.


‹ 제 7단계 : 교차 점검


면접표와 표준화된 질문 및 항복들이 가능한 모든 주제와 질문들을 적절하고 충분 하게 포괄하고 있는가를 교차 점검한다.


베르토와 베르토-와이암은 표본의 크기는 탐구하고자 하는 사회과정에 따라서 결정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에 의하면 연구자가 상황을 충분히 파악하고 이에 적 절한 설명을 이끌어낼 수 있는 시점에 도달 할 때까지 표집이 계속되어야 한다. 만 약 수집되는 자료가 탐구하고자 하는 사회과정에 관하여 전혀 새로운 사실을 알려 줄 수 없게 되면 이러한 시점에 도달한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Bertaux and Bertaux-Wiame, 1981, J Maison, 이두섭 역, 1999 재인용). 즉, 대상자들의 면접 내용이 전에 수집한 자료와 같은 내용이 반복되고 전의 내용을 확인해 주기만 할 때가 자료 수집의 종료단계이다.


5. 질적 자료의 분류/정리/지료화, 분석/설명


5.1.횡단적, 범주적 지표화


5.2. 비횡단적, 범주적 지표화


5.3. 도형과 도표


5.4. 분석, 설명











7. 참고문헌

1) 질적연구방법론, 제니퍼 메이슨, 김두섭 역, 나남출판사, 1999

2) 질적연구 해석과 이해, 이효선 외, 학현사, 2005

3) Nahid Golafshani, Understanding Reliability and Validity in Qualitative Research, the Qualitative Report, 8(4);2003;597-607

4) Kyung Rim Shin, 한국 폐경 여성의 몸의 변화,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Methods 1(2);2002

5) Nicholas Mays, Catherine Pope, Qualitative research in health care: Assessing quality in qualitative reseach, BMJ;320(7226);2000;50-52

6) 신호철, 질적연구과 양적 연구, 가정의학회지;26(4);2005

7) 2004년 의료관리학 교실 Staff Lecture 중 'Introduction to Qualitative Research. 김창엽'

8) 2003년 의료관리학 교실 토픽리뷰 중 '질적 연구 방법, 이중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