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학은 식민지적 부산물이다: 의학교육연구의 탈식민지화 소개(Acad Med, 2021)
Modern Medicine Is a Colonial Artifact: Introducing Decoloniality to Medical Education Research
Thirusha Naidu, PhD, MClinPsych

 

 

카스마
Chasm

내 말 외에는 아무 말도 할 수 없어
I can speak no words but my own,
나는 내 목소리 외에는 아무 목소리도 낼 수 없다.
I can speak with no voice but my own
내 혀는 너의 귀에는 낯선 사람이다.
My tongue is a stranger to your ears
우리의 마음은 서로에게 닿는다.
Our minds reach towards each other
역사의 바다를 넘어
Over oceans of history
하지만 넌 내 마음의 의미를 절대 모를 거야.
But you will never know the meaning of my heart
영원히 너와 나는 수천명의 죽음을 맞이할 것이다.
In forever you and I will die a thousand deaths
우리 물질의 원자들은 끝없이 다시 결합할 것이다.
The atoms of our material will re-join endlessly
하지만 오늘은 안돼, 지금은 안돼.
But not today, not now
여기서 우리는 결코 삶의 동요를 공유하지 않을 것이다.
Here we will never share the sway of life.

—T. 나이두
—T. Naidu

의학 교육과 연구에서 사회 정의, 형평성, 다양성, 반인종주의로 향하는 현대의 변화는 적절한 이론적, 철학적 렌즈에 대한 탐구를 촉발시켰다. 현대 의학은 식민주의의 유물로, 현재 지배적인 구조와 행위자를 통해 강력한 인식론적 기반을 보존하고 재생하기 위해 조직된다. 의학에서의 [인식론적 혁명]은 [서양의 지식에 기반을 둔 현대 의학의 기초와 지식 생산]을 [의심하고 재상상]할 수 있는 학문과 교육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The contemporary shift toward social justice, equity, diversity, and antiracism in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has prompted a search for appropriate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lenses. Modern medicine is an artifact of coloniality, organized to preserve and regenerate powerful epistemological foundations through currently dominant structures and actors. The epistemic revolution in medicine must begin with scholarship and education where modern medicine’s basis in Western knowledge and knowledge production can be questioned and reimagined.

페미니스트 이론과 비판적 인종 이론과 같은 [비판 이론]은 의학 교육에서 언어, 종교, 문화, 성별, 성별과 관련된 문제들을 설명하기 위해 대용물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이론들은 의학을 실천하고 가르치고 연구하는 다양한 세계적 맥락에서 마주치는 [교차, 세대 간, 사회역사적 불평등]을 설명하지 않는다. 더욱이, 이러한 이론들은 억압적인 맥락이 어떻게 정체성, 자기 이미지, 관점을 형성하고 사람들이 그들 자신의 억압에 공모하도록 강요하는지 설명하지 않는다. 한 가지 유망한 접근법은 탈식민지화이다
Critical theories such as feminist theories 1 and critical race theory 2,3 have been used as a proxy to explain issues that pertain to language, religion, culture, gender, and sexuality in medical education. These theories do not account for intersectional, intergenerational, and sociohistorical inequities encountered in the multiplicity of global contexts in which medicine is practiced, taught, and researched. Moreover, these theories do not explain how oppressive contexts shape identities, self-image, and perspectives and coerce people to be complicit in their own oppression. One promising approach is the decoloniality.

박스 1에서 나는 탈식민지성의 몇 가지 핵심 개념에 대한 정의를 제공한다. 그런 다음 이러한 핵심 개념의 맥락을 제공하고 독자들이 고려할 수 있도록 탈식민지 관행에 대한 조치를 제안한다. 이러한 개념은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Learn Serve Lead 2021 RIME에서 확장될 것이다.
In Box 1, I provide definitions of some key concepts in decoloniality. I then provide some context of these key concepts and suggest actions toward decolonial practice for readers to consider. These concepts will be expanded upon in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Learn Serve Lead 2021 RIME Address.


Box 1 개념 개요
Box 1 Overview of Concepts


식민지화: 원주민의 몸과 마음을 억압하고, 토지, 노동, 자원을 유용하며, 식민자의 언어와 지식 및 교육 시스템을 강제하는 역사적 과정
Colonization: the historical processes of suppressing Indigenous peoples’ bodies, and minds, appropriating land, labor, and resources, and enforcing colonizers’ languages and knowledge and educational systems.

식민주의: 한 국가의 주권이 강대국을 제국으로 만드는 다른 국가의 힘에 의존하는 정치적, 경제적 관계.
Colonialism:
 a political and economic relation where the sovereignty of a nation rests on the power of another making the powerful nation an empire.

[식민성Coloniality]은 식민주의에서 생겨난 오랜 권력의 패턴이지만, 식민지 정권의 한계와 존재를 넘어 [문화, 노동, 관계, 지식 생산 등]을 규정한다. 식민성은 식민주의보다 오래 남아 존재하며, 책, 학문적 수행의 기준, 문화적 패턴, "상식", 자아 이미지, 자아에 대한 열망, 그리고 현대 경험의 다른 측면들에 보존되어 있다. 
Coloniality
 is the long-standing patterns of power that emerged from colonialism, but that define culture, labor, relationships, and knowledge production beyond the limits and existence of colonial administrations. Coloniality outlives colonialism and is preserved in books, the criteria for academic performance, cultural patterns, “common sense,” self-image, aspirations of self, and other aspects of modern experience. 5

[식민지적 권력 매트릭스]는 성차별주의, 가부장제, 자본주의 시장, 인종주의, 권위, 주관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대 세계 사회를 영구적으로 갈등하고 불안정한 상태에 있게 한다.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29 composed of sexism, patriarchy, the capitalist market, racism, authority, and subjectivity keeps modern global societies in a permanently conflictual and destabilized state.

[권력의 식민성]지식을 형성하며, [사람이 되는 것]의 의미를 결정한다. 이는 식민지배자colonizer들이 어떤 사람들과 집단을 비인간성의 영역에 할당하기 위해 휘두른다.
Coloniality of power
 shapes knowledge and determines what it means to be a person and is wielded by colonizers to assign some people and groups to the zone of subhumanity. 5,29

[탈식민지화]는 사고 방식, 언어, 삶의 방식, 그리고 세상에 존재하는 것을 재구성하기 위해 [지식의 전체 구조와의 연결을 끊어내는 것delinking]을 포함한다. [탈식민지화]는 원주민 지식 체계, 방법, 언어의 재구축, 재구조화, 재중심화를 전면에 두며, 반대로 [식민주의에 의해 야기되고 식민지에 의해 유지된 적자deficit]를 바로잡는 것을 전제로 한다.
Decoloniality
 involves delinking from the overall structure of knowledge to reconstitute ways of thinking, languages, ways of life, and being in the world. Decoloniality foregrounds reclaiming, reframing, and recentering of Indigenous knowledge systems, methods, and languages and correcting deficits created by colonialism and maintained by coloniality. 6,7,30


 

탈식민주의는 의학교육에서 덜 친숙한 접근법으로서, 식민지화의 역사적 영향에 저항하는 젠더, 인종, 이성애적 가부장제(동성애적, 남성적, 온정주의적 사고방식, 상황, 정체성 및 관계를 보고, 보고, 행동하고, 통제하는 방법) 대한 사회역사적, 지정학적, 경제적 관점을 중심으로 이론과 토론을 포함한다. 탈식민주의는 [억압]을 [교차, 다차원, 다체계, 제도적, 역사적, 자기 영속적]인 것으로 본다. 다음이 관찰되었다.

Decoloniality, a less familiar approach in medical education, encompasses theory and debate around sociohistorical, geopolitical, and economic perspectives on gender, race, and heteropaternalism (heterosexual, male, paternalistic ways of thinking, viewing, acting, and controlling contexts, identities, and relationships) resisting the historical effects of colonialization. Decoloniality sees oppression as intersectional, multidimensional, multisystemic, institutional, historical, and self-perpetuating. It has been observed that

… 평화와 정의를 표방하고 있는 한 세기 이상 된 서양의 의료 기관은, 그 성공이 식민주의의 야만적인 유산에 기초했다는 아픈 진실에 직면해야 한다. 
… any western medical institution more than a century old and which claims to stand for peace and justice has to confront a painful truth—that its success was built on the savage legacy of colonialism. 4

 

식민지 사람들은 [백인, 남성으로 대변되는 권력의 식민성]이 규정하는 인격적 이상을 이루기 위해 (언어, 민족성, 조상 지식, 자신의 몸에 대한 자부심 등) [자신의 일부분을 억압]할 수밖에 없다. [살아남기 위해 자아의 일부를 억압하는 영향]은 소외된 사람들에게 익숙한 희생이다. 식민지의 성공은 자신의 인간성을 부정하고, 유럽계 미국인의 우월성에 굴복하고, 그것을 재생산하도록 강요된 식민화된 민족에 의한 [무력한 재생산]에 달려 있다. 근대성Modernity이란, 식민주의의 현대적 반복으로서, 무엇이 [인간, 공간, 시간, 구조, 문화, 주관성, 객관성, 그리고 방법론]으로 간주되는지를 정의한다. 최근 캐나다에서 집단 묘지에 대한 보도가 나오면서 1800년대 이후 원주민 자녀들이 동화 정책의 일환으로 가족과 떨어져 거주 학교에 다닐 수밖에 없었다는 사실이 다시금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잔인한 행동의 영향은 생존자들과 그들의 후손들 사이에 울려 퍼진다. 그러한 예는 식민지화가 정착된 세계 어디에서나 확산되며 이 논평의 범위를 벗어난다. 여기서 목적은 현대사회에서의 식민지화의 지속적인 영향에 대해 독자들을 양심시키고 비식민지화를 회복적 접근과 연구 실천으로 도입하는 것이다.
Colonized people are forced to suppress parts of themselves such as language, ethnicity, ancestral knowledge, and pride in their bodies to attain the ideal of personhood defined by the coloniality of power as White and male. The impact of suppressing parts of the self to survive is a familiar sacrifice to marginalized people. The success of coloniality hinges on its effortless reproduction, by colonized peoples who are forced to deny their humanity and submit to and reproduce Euro-American superiority. 5,6 Modernity, the contemporary iteration of coloniality, defines what is considered human, space, time, structure, culture, subjectivity, objectivity, and methodology reinforcing the colonial foundations that perpetuate the superiority of some versions of being human over others. 6,7 Recent reports of mass graves surfaced in Canada drawing attention again to the fact that since the 1800s, Indigenous children were forced to attend residential schools away from their families as part of an assimilation policy. 8 The effect of this brutal action reverberates among survivors and their descendants. Such examples proliferate wherever in world colonization took hold and are beyond the scope of this Commentary. Here, the aim is to conscientize readers to the enduring effects of colonization in the modern world and introduce decoloniality as a restorative approach and practice in research.

[탈식민지적 실천Decolonial praxis]은 반란, 위반, 식민지에 저항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우리가 식민지를 영속시키기 위해 자기 검열에 세뇌되어 있기 때문에 그것은 기만적이고 은밀하게 느껴질 수 있다. 탈식민지화는 [인식, 숙의, 행동]의 세 가지 요소를 포함한다.

Decolonial praxis is about rebellion, transgression, and resisting coloniality. It can feel devious and surreptitious because we are indoctrinated to self-censor in the interests of perpetuating coloniality. Decoloniality in practice involves 3 elements: awareness, deliberation, and action.

[인식Awareness]은 자신의 정체성, 역사 및 맥락을 참조하여, [권력의 식민지적 매트릭스]에서 자기가 어디에 놓여 있는지 깨닫는 것을 말한다. 소외된 사람들은 [억압자의 시각]과 [자신의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밖에 없다. 흑인 여성이라고 밝힌 아야나 랭스턴은 의학교육에서 이러한 "이중 의식"을 되새기며 이렇게 말한다.
Awareness refers to positionality or realizing where you are placed in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with reference to your identity, history, and context. Marginalized persons are compelled to view the world from both the oppressors’ perspective and their own. Reflecting on this “double consciousness” 9 in her medical education, Ayana Langston, who identifies as a Black woman, says,

인체의 생리를 알면 알수록, 흑인의 몸에 대한 비하에 맞설 수밖에 없었다. 내가 진단, 치료, 의료 제공의 알고리즘을 더 잘 배울수록, 이 알고리즘은 결코 [나처럼 보이는 환]자를 치료하거나, 낫게 하거나, 구하거나, 보호하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더욱 분명해졌다. 
the more I learned about the physiology of the human body, the more I was forced to confront the degradation of the Black body. The better I became at learning the algorithms for diagnosis, treatment, and delivery of health care, the more apparent it was that these algorithms were never meant to cure, heal, save, or protect any patient who looked like me. 10

[특권의 개인적 역사와 정체성]은 타인을 억압해온 [식민지적 권력 매트릭스]로부터 어떻게 이익을 얻었는지를 인식하는 것을 요구할 수 있다. 
A personal history and identity of privilege may require recognizing how one has benefitted from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that has oppressed others. 11

저는 매일같이, 제 의학 지식은 저와 닮은 사람들이 발견한 것에 기초하고 있다는 것을 떠올립니다. 그리고 가장 고통스러운 발견들 중 일부가 유색인종을 대상으로 한 비인간적이고 비협조적인 실험을 통해 이루어졌다는 것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습니다.
I am reminded daily that my medical knowledge is based on the discoveries made by people who looked like me without being reminded that some of the most painful discoveries were made through inhumane and non-consensual experimentation on people of color. 11

[숙의Deliberation]는 [지배적인 구조의 해체를 이론화]하기 위해 [개인적인 역사를 성찰]하는 것을 포함한다. 탈식민지주의 페미니스트 학자 Gloria Anzaldua는 이것을 "독사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라고 부르며, "경계적 사고border thinking"에 참여하기 위해 우리 내부의 침묵되고 지워진 역사를 다르게 듣는다. 현대 서구 문화는 [합리성]과 [허구fiction]을 구별짓는 반면, 전통과 토착 문화는 [꿈과 상상력을 중시]한다. 탈식민지적 관점은 식민주의가 현대 지식 생산에서 배제된 관점을 통합한 권력의 식민지적 매트릭스 밖에서 이론과 인식론을 적용하는 것을 지지한다. [경계적 사고]는 식민지 권력 매트릭스의 억압적인 작동에 대한 실생활의 투쟁에 반응한다.  
Deliberation involves reflecting on personal histories to theorize the dismantling of dominant structures. Decolonial feminist scholar Gloria Anzaldua calls this “entering into the serpent” and listening differently to the silenced and erased histories within us to engage in “border thinking.” 12 Modern Western cultures draw a distinction between rationality and fiction while traditional and indigenous cultures value dreams and imagination. A decolonial perspective supports applying theories and epistemologies from outside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incorporating perspectives that coloniality excluded from modern knowledge production. Border thinking responds to real-life struggles against the oppressive operations of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13

탈식민지화 접근법에서 [행동Action]은 주류의 근간을 이루는 이론에 도전하는 것이다; 그들이 생성하는 질문, 그들이 지원하는 연구 방법, 그리고 그들이 사용하는 글쓰기 스타일은 적용 전에 비판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중요한 행위이다.  
Action in decolonizing approaches challenges mainstream foundational theories; the questions they generate, the research methods they support, and the writing styles they employ as significant acts to be critically examined before application. 14

[탈식민지화(脫식민지화)]는 '동사verb'로 이해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이 동사는 [정치적, 규범적 윤리]와 [저항과 의도적 취소undoing의 실천(즉 부당한 관행, 가정, 제도를 반학습unlearning하고 해체하는 것)]을 수반하며, [대안적인 공간과 방법을 형성하고 구축하기 위한 지속적인 긍정적인 행동]을 수반한다.
Decolonizing, is best understood as a verb that entails a political and normative ethic and practice of resistance and intentional undoing – unlearning and dismantling unjust practices, assumptions, and institutions – as well as persistent positive action to create and build alternative spaces and ways of knowing. 15

연구에서의 탈식민지 행동은 [행위자를 바꾸는 것, 권력을 이동하는 것, 식민지 구조와 제도를 해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동작은 [순차적이거나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교차적이고 동시적]이다. 의학 교육 연구의 학자 및 연구자들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탈식민지 활동을 시작할 수 있다.
Decolonial action in research involves changing the actors, shifting power, and dismantling colonial structures and institutions. These actions are not sequential or independent, but intersectional and contemporaneous. Scholars and researchers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may begin decolonial action in the following ways.

배우를 바꾸는 것
Change the Actors

[배우들을 바꾸는 것]은 소외된 학자들의 연구를 인용하고 주류 잡지에 그들을 발표하도록 초대하는 것으로 시작할 수 있다. 소외된 학자들의 연구를 인용하는 것은 그들의 학문과 인식론을 뒷받침한다. 최근 랜싯 글로벌 헬스(누가 이야기를 하는가?)와 학술 의학(새로운 대화)과 같은, 영향력이 큰 저널에 글을 쓰도록 소외된 그룹의 저자들을 초대하여 지배적인 장학 플랫폼에 공간을 창출하려는 자극이 그러한 이니셔티브이다. 그러나 언제, 어떻게, 누가 말할 수 있는지를 결정delineating하는 것은 잠재적인 이익을 부정한다. 편집자들은 기꺼이 겸손을 받아들이고 권력을 포기해야 한다. 소외되고 대표성이 떨어지는 작가들이 특정 초대가 필요하도록 출판의 공간을 구성한다면 기존의 권력 구조는 강화된다. 그 공간이 전통적인 힘에 의해 유지되는 한, 그것은 진정으로 재정의될 수 없다. 억압받는 사람들의 목소리가 들릴 수 있도록 공간이 허락할 때 동맹이나 대변은 불필요하다.
Changing the actors might begin by citing marginalized scholars’ work and inviting them to publish in mainstream journals. Citing the work of marginalized scholars foregrounds their scholarship and epistemologies. The recent impetus to create space on dominant scholarship platforms by inviting authors from marginalized groups to write in high-impact journals such as the call by The Lancet Global Health (Who tells the story?) 16 and Academic Medicine (New Conversations) 17 are such initiatives. However, delineating what may be said, when, how, and by whom negates potential benefits. Editors must be willing to embrace humility and surrender power. 18,19 Existing structures of power are reinforced if the space of publica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marginalized and underrepresented authors need a specific invitation. As long as the space is held by traditional power, it cannot truly be redefined. Allyship or speaking for and behalf of the oppressed is unnecessary when the spaces allow for their voices to be heard. 20


강력한 위치에 있는 자금 제공자, 편집자 및 연구원들은 그들의 조상, 위치 및 정체성의 특권에 대해 의문을 제기해야 한다. 상대적인 특권에 대한 의식적이거나 무의식적인 맹목은 적어도 새로운 대체 관점을 차단할 것이며, 최악의 경우에는 착취적이고 억압적일 수 있다. 특권에 직면하는 것은 고통스럽고 위협적일 수 있다. 이는 비생산적이고 억압에 대한 도발, 방어, 부정 또는 과도한 보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특권층에게 수치를 주는 것이 목적이 아니다. 기존의 인식론적 틀 안에서 자신의 특권을 부정하거나 설명하는 반응을 보일 수 있는데, 이는 초점을 잘 못 잡은 것이다. 바로 이러한 틀이 인종, 성별, 성별, 지리적 위치 및 언어와 관련된 특권을 만들고 유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Funders, editors, and researchers in powerful positions must question the privileges of their ancestry, location, and identity. Conscious or unconscious blindness to relative privileges may at best block emerging alternate viewpoints and at worst be exploitative and oppressive. 11 Confronting privilege can be painful and threatening. The aim is not for the privileged to be shamed as this is unproductive and likely to provoke, defensiveness, denial, or overcompensating for oppression. Reactions can be to deny or explain one’s privilege within epistemic frameworks, which is pointless, as it is these very frameworks that create and maintain the privileges associated with race, gender, sexuality, geolocation, and language.

최근 의학 교육 연구의 경향은, 특권층과 직책의 저자들이 소외된 집단의 저자들을 사회 정의, 형평성, 인종 차별 및 차별에 대한 공동 저자로 초대하는 것을 보았다. 이것은 한편으로는 고무적이지만, 특권층 저가가 이미 주요 저자 직책(첫 번째와 마지막)를 담당하고 있거나, 어떻게 그리고 무엇을 써야 하는지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은 [탈식민지적 실천]에 반대된다. 탈식민지 보호는 지적 작업을 이끄는 소외된 작가들을 촉진한다. 마찬가지로, 의학 교육 저널의 [백인 남성 편집자]를 역사적으로 특권을 가진 그룹의 [백인 여성 편집자]로 대체하는 것은 역사적 성차별을 조화시킬 수 있지만 [탈식민지적 실천]은 아니다.
A recent trend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has seen authors from privileged groups and positions invite authors from marginalized groups to co-author papers on social justice, equity, racism, and discrimination. While this is encouraging on one hand, the tendency for privileged authors to claim prime authorship positions (first and last) or to influence how and what should be written is counter to decolonial practice. Decolonial praxis promotes marginalized authors leading intellectual work. Similarly, replacing White male editors of medical education journals with White female editors from historically privileged groups may reconcile historical gender discrimination but not is not a decolonial practice.

연구력 변화
Shift Power in Research

의도된 청중은 연구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고 그 결과로부터 누가 이익을 얻는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수특권연구자가 참여한 컨퍼런스]에게 연구결과를 발표하는 것은 [동일한 내용이 소외계층에게 발표될 때]와는 다른 이슈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강력한 자금 출처는 연구 의제에 영향을 미친다. 상당한 기금은 서구가 지배하는 연구 초점과 패러다임을 복제하는 데 성공했음을 입증하는 연구자들에게 돌아간다. 자금 제공자들은 백인, 남성 또는 지배적인 국가에서 온 연구원들이 주도하는 파격적인 아이디어로 더 위험한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해야 한다.

Intended audiences can influence what direction research takes and who benefits from the outcomes. Research findings presented at conferences of majority privileged researchers will focus on different issues than if the same research project were presented to marginalized people. Powerful funding sources influence research agendas. Significant funding goes to researchers demonstrating success in replicating Western-dominated research foci and paradigms. Funders must fund more risky projects with unconventional ideas, led by researchers who are not the White, male, or from a dominant country.

연구에서, [탈식민지적 실천]은 [식민지적 권력 매트릭스]의 맥락에서 누구와 협력할 것인지, 그리고 당신의 상대적 특권과 불이익이 무엇인지 질문하는 것을 수반한다. 이러한 상대적 특권을 염두에 두고, 누가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지 물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누가 누구를 참여하도록 초대했습니까? 그리고 각각에 대한 동기는 무엇인가? 특권 연구자는 소외 계층에서 연구를 하게 된 동기가 무엇인지 성찰할 필요가 있다. 화이트헤드 등은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관계의 본질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언어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면, 의학 교육자들은 더 협력적이고 역량을 키우는 국제 파트너십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 이러한 [권력 격차]는 [이론 및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이 기원하는 장소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 지배적인 서양 의학 연구자들은 방법론에서 [영성, 직관, 꿈 또는 상상력]을 얼마나 자주 고려합니까? 
  • 데이터와 연구 결과는 소외된 관점을 무시하거나 깎아내리면서 세계를 이해하는 서양의 방식을 재확인하는 근거 자료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

In research, decolonial praxis entails interrogating who one chooses to collaborate with and what your relative privileges and disadvantages are in the context of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With these relative privileges in mind, one would need to ask who is leading the research? Who has invited whom to participate? And what the motivation is for each? Privileged researchers need to reflect on what their motivations are for doing research among disadvantaged groups. Whitehead et al have noted that

“paying close attention to the language used to describe the nature of a relationship, medical educators may be able to move toward more collaborative, capacity-building international partnerships.” 21 
  • How do these power disparities impact on where the theories and ways of viewing the world originate from?
  • How often do dominant Western medical researchers consider spirituality, intuition, dreams, or imagination in their methodology?
  • How are data and findings are used as an evidence base to reaffirm Western ways of understanding the world while ignoring or diminishing marginalized perspectives?

식민성은 지배적인 지식, 사고, 이해(감정론), 연구(방법론)의 방식을 영속시키고 강화한다. 그리고 우리는

  •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는 것]이 어떻게 [우리의 몸에 묶인 감각과 그 너머로 확장]되는지 깨달아야 하고,
  • 우리가 인지하고 이해하는 방법은 [신체, 공간, 시간에 대한 지배적인 현대 서양의 과학적 개념화 너머로 확장]된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연구에서 맥락과 데이터를 보고 이해하는 또다른 개념화 방법을 고려하기 위한 [방법론적 겸손]을 적용하는 것은, [다른 도구와 관점] 뿐만 아니라,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방법]도 필요하다.

Coloniality perpetuates and reinforces dominant ways of knowing, thinking, understanding (epistemology), and conducting research (methodology), and we must come to the realization that how we make sense of the world extends beyond our body-bound senses and how we perceive and understand extends beyond dominant modern Western scientific conceptualizations of the body, space, and time. Applying methodological humility by considering different ways of conceptualizing seeing and understanding contexts and data in research requires different tools and perspectives as well as varied ways of processing data. 22

구조물 및 기관 해체
Dismantle Structures and Institutions

[탈식민지적 실천]은 [대안적 형태의 글쓰기와 연구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공명을 찾을 수 있다. 여기에는 시, 산문, 시청각 및 혼합 매체 형태, 현장 작업에 앞선 의사소통 연구 또는 개념 작업의 형태 등이 있다. 최근 많은 영향력 있는 의학 저널에서 사회 정의, 형평성, 다양성 및 소외에 대한 개념 논문, 관점 논문, 수필, 논평, 사설 및 서한의 증가가 탈식민지 보호로 전환되고 있다. 이 작품들은 이전에 숨겨지고 베일에 싸인 인식론, 관점, 목소리를 소개한다. 풍자적인 글이나 시는 "가축화(길들여지기)domestication에 저항하는 방법"이다. 반란의 시는 지배적인 [식민지적 이분법] 너머로 글을 확장하기 위해 우리 내부의 "타인"을 포함한 타자성otherness에 관여한다. 

Decolonial praxis may find resonance through alternative forms of writing and presenting research findings. Poetry, prose, and audiovisual and mixed media forms of communicating research or conceptual work that precedes fieldwork. A recent increase in concept papers, perspective papers, essays, commentaries, editorials, and letters on social justice, equity, diversity, and marginalization in a number of high-impact medical journals is a turn toward a decolonial praxis. These works introduce previously hidden and veiled epistemologies, perspectives, and voices. Satirical writing or poetry are “a way to resist domestication—methodological and otherwise.” 23,24 Insurgent poetry engages otherness, including the “other” inside ourselves, to extend writing beyond dominant colonial binaries. 25

[자기 민족학]은 탈식민지적 실천으로 인식된다. 의대생 라샤이라 놀렌이 뉴잉글랜드 의학저널(NEJM)에 쓴 글은 다른 관점을 드러내면서 자신을 드러내는 사례다. 의학을 공부하는 흑인 여성으로서의 놀렌의 성찰을  탈식민지적으로 읽은 것은 의학의 기준점으로서의 흰 피부가 유색인종의 건강에 위험하다는 그녀의 깨달음을 보여준다. 그녀는 이러한 이중 의식을 인식하게 되고, 자신의 입장을 숙고하게 되며, [NEJM의 신식민지적 공간neocolonial space of NEJM]에서 자신의 글을 통해 행동하게 된다. 식민주의적 기관인 NEJM은 흑인 여성의 목소리가 들릴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배우의 변화를 시작하였고, 검은 피부가 다르게 제시하는 대중적 깨달음을 위한 공간으로 자신을 재상상함으로써 작은 권력 이동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La Shyra Nolen이 미국 흑인 여성들이 경험하는 의대 입학의 장벽을 극복하는 일을 하기 전에는 그렇지 않았다. 놀렌의 훈련된 분노는 새로운 것이 아니다. 그것은 그 신성한 공간에 초대된 적이 없는 종류의 경치를 나타낸다. 과거에는 이 구조 안에서 그녀의 목소리가 공명할 수 수 없었다. NEJM과 Nolen의 협력은 배우의 변화, 권력 이동 및 구조 해체를 향한 초기 단계를 나타낸다.

Autoethnography is recognized as decolonial praxis. 25 Medical student LaShyra Nolen’s writing in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NEJM) is an example of revealing self while revealing another perspective. 26 A decolonial reading of Nolen’s reflection as a Black woman studying medicine reveals her realization that White skin as reference point in medicine is dangerous to the health of people of color. She becomes aware of this double consciousness, deliberates on her position, and acts through her writing in the neocolonial space of NEJM. The NEJM, an institution of coloniality, initiated a change of actors by creating the space for a Black woman’s voice to be heard, and a small shift in power by reimagining itself as a space for the public realization that black skin presents differently; but not before LaShyra Nolen did the work of overcoming the barriers to entering medical school experienced by Black women in the United States. 27,28 Nolen’s disciplined outrage is not new. It represents the kind of view that has been never invited into that hallowed space before. Her voice could not previously find resonance within this structure. 17NEJM and Nolen’s collaboration represents a nascent step toward changing the actors, shifting power, and dismantling structures.

이 기사에 요약된 원칙은 실제로 탈식민지화를 탐구하려는 독자들에게 입문서의 역할을 한다. 의식적인 인식, 숙의, 그리고 행동을 통해 의학 교육자들과 보건 전문가들은 현대 세계에서 번창하는 식민지 시대의 유물과 관행을 해체하기 시작할 수 있다.

The principles outlined in this article serve as a primer for readers endeavoring to explore decoloniality in practice. Through conscious awareness, deliberation, and action medical educators and health professionals can begin to dismantle colonial artifacts and practices that thrive in the modern world.

 


Acad Med. 2021 Nov 1;96(11S):S9-S12 doi: 10.1097/ACM.0000000000004339.

Modern Medicine Is a Colonial Artifact: Introducing Decoloniality to Medical Education Research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T. Naidu is head of clinical psychology, King Dinuzulu Hospital Complex, and a lecturer, Department of Behavioural Medicine, University of KwaZulu-Natal, Durban, South Africa.

PMID: 34380933

DOI: 10.1097/ACM.0000000000004339

Abstract

Modern medicine is an artifact of colonialism because the science that underpins modern medicine emerged from Western knowledge structures based on a history of colonialism. The author suggests the colonial roots of Western-based modern medicine must be reexamined. While there are various critical theories that may be applied in this reexamination, most do not adequately account for intersectional, intergenerational, and sociohistorical inequities encountered in the multiplicity of global contexts in practice teaching and research within medicine. The author presents decoloniality as a theoretical perspective from which to interrogate sociohistorical, geopolitical, and economic perspectives on gender, race, and heteropaternalistic influences in medicine emanating from a basis in colonially developed systems of knowledge production. The author offers definitions of relevant theoretical terms and suggests that decolonial praxis begins with an initial realization or awareness of one's position within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followed by the reflecting or deliberation, or a grappling with real-life struggles that are encountered in confronting the oppressive operations of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Decolonial praxis involves action through challenging mainstream foundational theories-the questions they generate, the research methods they support, and the writing styles they employ. In medical education, this may involve changing powerful actors, such as medical journal editors and researchers, with historical privilege; shifting the balance of power in research spaces; and dismantling physical and intellectual structures and institutions established on colonial epistemologie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