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PE연구의 네러티브 분석의 잠재력: 다섯 개의 분석적 렌즈(Med Educ, 2021)
The potential of narrative analysis for HPE research: Highlighting five analytic lenses
Abigail Konopasky1,2 | Lara Varpio1 | Renée E. Stalmeijer3
1 소개
1 INTRODUCTION
현대 보건의료전문직교육(HPE) 연구자들은 [여러 가지 고약한wicked 문제]에 직면해 있다1. 몇 가지만 열거하더라도, 전문가간 협력, 의학 학습에서의 수치심 경험, 소수자 의사와 훈련생에게 인종차별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등등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고약하게 만드는 이유 중 일부는 그것들이 사회적 특성social nature을 가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도전들에 관련된 개개인의 특별한 경험, 믿음, 선택은 그들이 그들 자신의 주관적인 해석이 수반되기 때문에, [확정적인definitive 공식이나 설명을 거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회적 뿌리를 고려할 때, 질적 연구 방법은 HPE의 고약한 문제를 이해하고, 부분적으로는 맥락을 고려한context-bound 해결책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Contemporary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researchers are faced with a number of wicked problems1: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experiences of shame in medical learning and how racism affects minoritised physicians and trainees, to note a few.2-12 Part of what makes these problems wicked is their social nature; the particular experiences, beliefs and choices of individuals involved in these challenges mean that they defy definitive formulation or explanation since the multiple people involved all bring their own subjective interpretations. Given these social root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can be helpful in understanding HPE's wicked problems and constructing some partial, context-bound solutions.13
이러한 문제를 다루는 질적 분석은 가치 있는 통찰력을 만들어냈지만, 다수는 [유사한 질적 방법과 방법론]에 의존해 왔다.
- 전문가간 협력에 대한 연구는 일반적으로 관찰, 인터뷰 및 포커스 그룹 방법의 조합을 사용하여 전문가간 협업을 가능하게 하거나 방해하는 요소를 푸는 정성적 접근법을 사용해 왔다.
- 수치심 조사는 일대일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로 현상학을 활용했다.
- 의사와 훈련생에게 미치는 인종차별의 영향에 대한 탐구는 종종 비판적 이론의 관점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일대일 인터뷰를 이용했다.
분석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이러한 고약한 문제에 대한 접근법은 [지속적인 비교 및 주제적 내용 분석]을 포함한다.
Qualitative analyses addressing these problems have generated valuable insights, but many of them have relied on a similar set of qualitative methods and methodologies:
- studies of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have generally used qualitative approaches using a combination of observation, interview and focus group methods to unpack what enables or hinders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4, 12, 14-16
- Investigations of shame have harnessed phenomenology with data collected via one-on-one interviews.6, 7
- Explorations of racism's effects on physicians and trainees have also used one-on-one interviews to collect data, often from a critical theory perspective.8-10, 17, 18
Analytically, approaches to these wicked problems have included constant comparative and thematic content analysis, among others.
추가적이고 보완적인 통찰력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분석 접근법의 또 다른 세트는, 사람들이 자신의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사용하는 [핵심적 도구]에 의존한다. 바로 네러티브(서사)이다. 브루너는 이야기는 개인이 '삶의 바로 그 사건들을 목적적으로 만드는' 원칙적인 수단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사람들이 그들의 경험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야기]가 [인간이 의미를 만드는 기본적 과정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고 믿었다.
Another set of analytic approaches that may help provide additional, complementary insights relies on a central tool many individuals use to make sense of their world: narrative.19, 20 Bruner argued that stories are a principle means by which individuals ‘purpose-build the very events of a life’19, 15; he believed the stories people have of their experiences offer insight into humans' basic meaning-making processes.
[내러티브 분석 방법(NA)]은 HPE 연구원들이 임상의 교육자와 HPE 학습자가 자신의 삶을 이해할 수 있는 내러티브 방법을 활용하고자 하기 때문에 귀중한 자산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자산을 활용하려면 다양한 [NA 렌즈]가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분석적 렌즈analytic lenses는 질적 연구를 하는 특별한 '스타일'이다. 이론과는 달리, 그것들은 우리가 보는 것을 규정하지 않지만, Blumer의 [민감 개념sensitising concept]처럼, '어떤 방향에서 볼지를 제안'함으로써 질문과 주장을 형성한다.22
Methods of narrative analysis (NA) can be valuable assets as HPE researchers seek to tap into the narrative ways of knowing19 by which clinician educators and HPE learners may understand their lives. To harness these assets, it may be helpful to review the possibilities different NA lenses can provide. Analytic lenses are particular ‘styles’ of doing qualitative research21; unlike theories, they do not prescribe what we see but, like Blumer's sensitising concepts, ‘suggest directions along which to look’, shaping the questions asked and the claims made.22
이 연구 접근 논문은 NA 방법이 연구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다섯 가지 분석 렌즈(전체론, 위치론, 언어론, 대리인, 순차론)를 강조한다. 우리는 사회과학 연구의 '서사적 전환narrative turn'을 검토함으로써 이 설명을 시작합니다. 그런 다음 HPE에서의 사용(과거 및 잠재력)과 한계에 대해 논의하는 다섯 가지 렌즈(홀리스틱, 위치, 언어, 대리 및 순차)를 각각 설명한다. 또한 렌즈에 액세스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특정 NA 방법을 이해하기 위한 두 가지 접근 방식을 논의한다. 우리는 우리의 렌즈와 경험을 되새기며 NA의 약속과 편파성을 탐구함으로써 결론을 내린다.
This Research Approaches article highlights five analytic lenses NA methods can offer researchers: holistic, situated, linguistic, agentive and sequential. We preface this description by reviewing the ‘narrative turn’ in social science research.23, 24 We then describe each of the five lenses—holistic, situated, linguistic, agentive and sequential—discussing their use (past and potential) in HPE and limitations. We also discuss two approaches to understanding specific NA methods that can be used to access the lenses. We conclude by exploring the both the promise and partiality of NA, reflecting on our own lenses and experiences.
2 배경: '서사적 전환'
2 BACKGROUND: THE ‘NARRATIVE TURN’
1980년대 중반 제롬 브루너와 다른 사람들이 내러티브 연구의 정당성을 확고히 확립한 사회과학 연구의 '사서적 전환'을 이루었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들은 실증주의에 도전했고 (패러다임이나 범주적 방식 대신) 내러티브 방식의 지식을 장려했다. 학자들은 [내러티브에 대한of 연구]뿐만 아니라, [실천과 사건을 내러티브로as 해석하는 연구를 포함하는 서사적 탐구narrative inquiry]를 통해 이러한 지식을 탐구했다. 이후 학자들은 여러 연구 패러다임, 학문 분야, 방법론에 걸쳐 서사적 탐구를 사용해오면서, 사고의 서사적 모드의 가치를 인정하고 이용해왔다. 연구참여자들이 자신의 경험담을 어떻게 구성하는지를 연구하거나, 연구자들의 스토리텔링으로부터 전개drawing를 통해 참가자들을 더 잘 이해하게 된 것이다.
The mid-1980s marked the ‘narrative turn’ in social science research, when Jerome Bruner and others firmly established the legitimacy of narrative inquiry.23, 24 In so doing, they challenged positivism and promoted narrative—versus paradigmatic or categorical—ways of knowing.19, 23, 25, 26 Scholars explored these ways of knowing through narrative inquiry, which encompasses any study of narrative (or collections of narratives) as well as studies interpreting practices and events as narratives.20, 26, 27 Scholars have used narrative inquiry across multiple research paradigms, academic disciplines and methodologies, but they all value and harness this narrative mode of thinking, either studying how participants construct the stories of their experiences or drawing on researchers' storytelling to better understand participants.28-31
학자들이 서사적 분석(NA)에 대한 접근 방식을 개발한 것은 바로 이러한 방향에서이며, 서사적 탐구를 해나갈 지향orientation을 의미한다. NA 방법은 광범위하고 유연하게 해석하고 적용할 수 있으므로, 우리가 도출하거나 가리키려고 하는 [NA 방법의 목록]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 아래는 NA 문헌과 우리의 경험을 바탕으로 NA가 HPE 연구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렌즈 5개를 제공합니다. 각 렌즈는 데이터와 연구 맥락의 일부 측면을 강조하는 동시에 다른 부분을 강조하므로 연구 설계자는 그 중에서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It is from within this orientation that scholars develop their approach to narrative analysis (NA), that is, orientations through which they carry out a narrative inquiry. NA methods are wide-ranging and can be flexibly interpreted and applied, so there is no single list of NA methods we draw from or point to. Instead, below, based on the NA literature and our own experiences,23, 25, 26, 32 we offer five lenses NA can offer HPE researchers. Each lens highlights some aspects of the data and research context while deemphasising others, so research designers must carefully select from among them.
3 과정: 5개의 렌즈 장착
3 PROCESS: FIVE LENSES ON NA
NA의 [전체론적 렌즈holistic lens] 는 이야기의 지위를 복잡하고 통합된 단위로서 보존한다. 이 렌즈는 데이터를 별도의 청크나 테마로 분류하기 보다는 [하나의 이야기, 하나의 사건, 심지어 하나의 이야기와 사건의 시리즈 내에서의 연결]에 초점을 맞춘다. 내러티브에 대한 이 조감도 렌즈는 연구자에게 [데이터를 하나의 (또는 소수의) 해석으로 합성]하도록 요청하며, 아마도 [전체적인 주제, 도덕 또는 스타일]을 생성할 것이다. 이것은 프라이스와 동료들이 그들의 직업 선택에 대한 밀레니얼 간호사들의 설명에 대해 연구한 것과 같이 이야기 간 비교를 가능하게 한다(표 1 참조). 전체론적 렌즈는 각 [참가자의 이야기를 복잡하고 일관되게 이해]할 수 있게 해주었고, 프라이스와 동료들이 말하는 '참가자 이야기의 전체성과의 연결'을 유지했습니다.34 이 렌즈는 참가자의 이야기를 일관성 있게coherent 설명할 수 있게 해준다. [하나의 사건이나 순간이 네레이터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조사할 뿐만 아니라, [이야기의 모든 사건과 순간들이 어떻게 의미를 창조하기 위해 함께 작용하는지]를 보여준다.
The holistic lens on NA preserves the status of a story as a complex and integrated unit.23 Rather than categorising data into separate chunks or themes, this lens focuses on connections within a story, an event or even a series of stories and events that build a systematic whole.33 This bird's eye lens on narrative asks the researcher to synthesise data into a single (or small number of) interpretation(s), perhaps generating an overall theme, moral or style. This allows comparison across stories, as Price and colleagues34 did in their study of millennial nurses' accounts of their career choice (see Table 1). The holistic lens provided an understanding of each participant's story that was both complex and coherent, maintaining what Price and colleagues call, ‘ongoing connection to the wholeness of the participants' stories’.34 This lens allows for a coherent account of participants' stories, examining not just how one event or moment may have affected the narrator but how all the events and moments of a story work together to create meaning.
NA의 전체론적 접근법을 사용하는 연구자들이 해결해야 할 근본적인 과제는 '전체' 단위, 즉 '전체' 이야기를 기술하는 것이다. 즉, 전체론적인 NA 렌즈를 사용하는 학자들은 [분석해야 할 '전체'가 어느 정도인지 결정]해야 한다. 이 결정은 [길고 다부진 인생 이야기]부터, [단 몇 구절의 '작은 이야기']까지 매우 다양할 수 있다. 그리고, 미슬러의 주장처럼, 무엇이 이야기이고 무엇이 이야기가 아닌지를 묘사하는 선line과, 그 이야기를 어떻게 표현하는지는 해석 과정의 일부이다. 게다가, [연구자의 전체론적 관점]은 [참가자들이 그들의 이야기 전체를 보는 방식]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전체론적 렌즈를 사용하는 학자들은 자신의 해석의 잠재적 우위에 대해 인식하고 NA 과정에 참여자를 포함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A foundational challenge that researchers using NA's holistic approach must contend with is delineating what is a ‘whole’ unit, a ‘whole’ story. In other words, scholars using the holistic NA lens must decide how much of a person's story is the ‘whole’ to be analysed. This decision can be highly variable, ranging from a long and multi-part life story down to ‘small stories’ of just a few phrases or sentences.32, 38 And, as Mishler argued, the lines delineating what is and is not a story and how to represent that story are part of the interpretative process.39 Moreover, a holistic researcher perspective may not align with the ways participants see the whole of their stories. Scholars using the holistic lens, then, must be aware of the potential primacy of their interpretations and work to include participants in the NA process.
NA의 [상황적 렌즈situated lens]는 개인이 내러티브를 형성하는 [특정 문화적 맥락]을 전경foregrounds으로 한다. 이 렌즈는 청중, 서술의 목적 또는 기능, 그리고 해설자들이 끌어 들이는 문화적 자원을 고려하여, 이러한 맥락에서 무엇이 논쟁되고 정규화되거나 '표준화'되는지를 이해하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야기는 [그 문화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사적 자원을 사용하여, 화자와 청자에 의해 공동 구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구자들은 네러티브가 그것이 말해지거나 집행되는 맥락context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완전히 탐구한다.41 예를 들어, 연구자들은 언제 그리고 어떻게 청자가 긍정하고, 이의를 제기하고, 심지어 이야기를 이어받는지 보기 위해 [화자와 청자 사이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을 추적하면서 연구자들은 공동 창작자들이 이야기를 그리는 [사회적 구성](예: 성별, 인종 또는 민족 정체성)과 [문화적 구성](예: 과로한 레지던트, 보조 간호사, 영웅적 외과의)에 관심을 기울인다.
The situated lens on NA foregrounds the particular cultural context(s) in which individuals create narratives.23, 40 This lens seeks to understand what is contested and what is normalized or ‘typified’31 in these contexts, considering audience, the purpose(s) or function(s) of the narrative and the cultural resources narrators draw upon.23, 40 From this perspective, stories can be seen as co-constructed by the teller and hearer using the narrative resources available in the culture; researchers fully explore how the narrative connects with the context in which it is told or enacted.41 For instance, researchers might focus on the interactions between teller and hearers to see when and how hearers affirm, contest or even take over the story.41 As they trace these interactions, researchers attend to social constructs (e.g., gender, racial or ethnic identity) and cultural constructs (e.g., the overworked resident, the supportive nurse and the heroic surgeon) on which story co-creators draw.23, 42
Sargeant 등에 의한 연구는 상황적 렌즈를 사용하여 모의 환자들이 그들의 일에 대한 서사에서 의대생과 비교해서 자신들을 어떻게 위치시키는지position 탐구했다(표 1 참조). 이 위치 렌즈는 사회적, 문화적 신념과 구조가 그들의 세계에 대한 화자의 이해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자들의 통찰력을 뒷받침했다. 이 연구에서 모의 환자들은 [가족]이라는 문화적 개념을 활용하여 [자신을 의대생들의 부모상parental figures]으로 이해했다.
A study by Sargeant and colleagues35 used a situated lens to explore how simulated patients position themselves vis-a-vis medical learners in their narratives about their work (see Table 1). This situated lens supported researchers' insights into the ways social and cultural beliefs and structures shape a narrator's understanding of their world. In this35 study, simulated patients drew on the cultural notion of family (among others) to understand themselves as parental figures to the medical learners.
그러나, 상황적 렌즈situated lens를 사용하는 다른 학문과 마찬가지로, 연구자들은 궁극적으로 분석, 해석, 그리고 궁극적인 연구 네러티브에서 [어떤 지역적, 문화적 맥락의 요소들을 전경에 둘지foreground]를 선택한다. 연구자는 자신의 경험, 문화적 배경, 이론적, 개념적 프레임워크에 영향을 받아 특정 서술이 수행하는 작업에 대한 연구자의 해석은 맥락의 [일부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다른 측면을 모호하게] 할 수 있다. 미슐러가 지적했듯이, 내러티브 학자들은 연구참가자들처럼 스토리텔러이다: '우리가 이야기를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를 만드는 것이 분명하다. 우리는 분석적인 재설명을 통해 응답자들의 설명을 다시 말한다. 우리도 역시 스토리텔러이다….25
As with any scholarship using a situated lens, however, researchers ultimately choose which elements of the local and cultural context to foreground in the analysis, interpretation and eventual research narrative. Influenced by their own experiences, cultural background and theoretical and conceptual frameworks, researchers' interpretation of the work a particular narrative is doing may overemphasise some aspects of the context and obscure others. As Mishler noted, narrative scholars are, like their participants, storytellers: ‘It is clear that we do not find stories; we make stories. We retell our respondents' accounts through our analytic redescriptions. We, too, are storytellers …’.25
NA의 [언어적 렌즈linguistic lens]는 내러티브의 형식과 구조, 내용 모두를 질문한다. 인간 언어는 스토리텔링을 위한 단어, 구, 융통성, 의미의 무한한 잠재적 조합을 제공하는 문법적 자원을 제공하며, 이 렌즈는 화자들이 그 자원들에 대해 하는 선택을 조사한다.
- 예를 들어, 거의 틀림없이 같은 정신 상태를 서술하더라도, '모른다'(즉, 나는 당신의 질문에 대답하는 데 필요한 지식이 없다)는 '당신[일반]은 알 수 없다'는 말과 다른 함축적 의미를 갖는다. (즉, 누구도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다.)
NA's linguistic lens interrogates both the form and structure of a narrative as well as its content.40, 42 Human languages offer grammatical resources that provide an infinite number of potential combinations of words, phrases, inflexions and meanings for storytelling,43 and this lens examines the choices narrators make about those resources.40, 42, 44, 45
- For instance, while narrating what is arguably the same mental state, ‘I don't know’ (i.e., I haven't the knowledge required to answer your question) has different connotations from the statement ‘you [generic] just can't know’ (i.e., nobody has the knowledge to predict the future).46
이러한 차이는 NA의 [언어적 렌즈]에 초점을 맞춘다. 언어적 렌즈의 중심적인 이점은 전문적인 딜레마의 의대생 내러티브에 대한 리스, 몬루제, 맥도날드 47의 연구에서 증명된 바와 같이 서술자narrator의 정체성에 대해 드러낼 수 있는 것이다. 한 학생의 딜레마에 대한 한 줄 한 줄 분석에서, 연구원들은 그녀가 괴롭힘의 피해자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매우 강한 여성'으로 구성하기 위해 어떻게 언어를 사용했는지를 보여주었다.47 이 언어 렌즈는 참가자가 그녀의 부정적인 경험에 대한 '통제'를 얻고' 그녀를 의사 커리어를 지속하게 하는 [정체성 작업identity work]을 하는데 어떻게 내러티브를 사용했는지를 강조하였다.
These differences are brought into focus with NA's linguistic lens. A central benefit of the linguistic lens is what it can reveal about narrator identity,32, 40, 42 as demonstrated in Rees, Monrouxe, and McDonald's47 study of medical student narratives of professional dilemmas (See Table 1). In a line-by-line analysis of one student's dilemma, the researchers showed how she used language to construct herself as a ‘VERY strong woman’, despite being a victim of bullying.47 This linguistic lens highlighted how this participant used narrative to do the identity work of ‘gain[ing] control over her negative experience’ and persisting in her medical career.47
모든 연구 방향과 마찬가지로 NA의 언어 렌즈에도 한계가 있다.
- 첫째, 단어에만 집중하는 것은 다른 방법, 즉 억양, 몸짓, 또는 신체 위치 결정과 같은 부언어적 단서들로 전달되는 중요한 메시지들을 놓칠 수 있다. 전사된 단어에 대한 분석적인 집중은 '말하는' 다른 것들을 모호하게 할 수 있다.
- 둘째, 데이터를 이산적discrete 언어 범주(예: 언어적 망설임 표식)로 분할함으로써, 연구자들은 내러티브의 전체적인overall 목적을 상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론적 렌즈]또는 [상황적 렌즈]가 제공하는 잠재력을 포기하게 되는 것이다. 스털리 교수는 언어 렌즈와 같은 분석적이고 패러다임적인 접근은 '이상화의 경향에 있으며, 연구자들이 이야기를 사전 설정된 범주로 강제하도록 장려하고… [특정한 사회적 사건]에서 [구체적인 서술]이 어떻게 작용work하는지를 놓치고 있다'고 주장했다.
Like all research orientations, NA's linguistic lens has limitations.
- First, a focus on the words alone can miss the important messages communicated in other ways, i.e., paralinguistic cues like intonation, gesture or body positioning. An analytic focus on the transcribed word can obscure the other things being ‘said’.
- Second, by fragmenting the data into discrete linguistic categories (e.g., linguistic markers of hesitation), researchers may lose the overall purpose of the narrative, abandoning the potential that, for instance, a holistic or situated lens offers. Bleakley argued that analytical, paradigmatic approaches like that of the linguistic lens, ‘tend to idealisation, encouraging researchers to force stories into preset categories … missing how specific narratives work for specific social occasions’.20
NA의 [행위자적 렌즈agentive lens]는 행위자성agency, 즉 제약 조건 속에서 행동을 선택하고 실행할 때 인간의 의도적인 활동을 강조한다. 많은 학자들은 이야기를 하는 것을 [행위자적 행위agentic act]로 간주한다: 내레이터는 청자를 위하여, 그리고 청자와 함께 경험을 해석하고 평가한다. 이 렌즈는 이야기의 목적을 이해하기 위해 화자의 선택에 부분적으로 주의를 기울인다: 지금 이 서사적 행위자(또는 에이전트 그룹)는 무엇을 달성하려고 하는가?
An agentive lens on NA highlights agency—i.e., the intentional activity of humans as they choose and execute actions amidst constraints.48, 49 Many scholars position telling a story as an agentive act: narrators interpret and evaluate experiences for and with the listener.23, 28, 29, 50 This lens attends to the narrator's choices in part to understand the purposes of a story: what is this narrative agent (or group of agents) trying to accomplish?23, 42, 50
예를 들어, Caps와 Ochs는 고소공포증을 가진 참가자에 대한 그들의 분석을 어떤 객관적인 진실과의 일치보다는 서술자로서 그녀가 했던 해석적 작업에 초점을 맞췄다. 이 행위자적 렌즈는 [서술자 자신의 의도와 행동]뿐만 아니라 [그들이 타인의 의도와 행동을 어떻게 보는지]에 대한 이해를 지원한다. 예를 들어, Warmington과 McColl의 의대생들이 환자 치료 경험을 설명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행위자agency'이라는 단어를 명시적으로 사용하지 않았지만, 학생들을 행위자적 스토리텔러로 만들어 환자와 강사에 대한 '위치positioning'를 지정했다(표 1 참조). Warmington과 McColl의 참가자들은 일부 동의 절차를 무시한 것을 정당화하기 위해, 조건부로 자신의 스토리를 사용했다. 이 렌즈는 나레이터들이 이야기를 통해 만드는 수사적인 움직임rhetorical moves 을 강조합니다.
For example, Capps and Ochs42 focused their analysis of the participant with agoraphobia on her ‘struggle to achieve coherence and continuity’, on the interpretative work she did as a narrative agent rather than on her story's alignment with some ‘objective truth’. This agentive lens supports understanding not only of narrators' own intentions and actions, but also of how they see the intentions and actions of others. For example, Warmington and McColl's49 study of the ways medical students narrate patient care experiences, while not using the word ‘agency’ explicitly, framed the students as agentive storytellers, ‘positioning’ themselves vis-a-vis patients and instructors (see Table 1). Warmington and McColl's49 participants used their stories to justify, with reservations, ignoring some consent procedures (e.g., getting full consent for a medical student to practice rather than just implying it is not a choice). This lens highlights the rhetorical moves narrators make with their stories.
[행위자적 렌즈]는 참가자들의 의도적인 활동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지만, 이러한 전략들은 또한 화자가 [기존의 규범과 담론에 의해 어떻게 위치지어지는지positioned by]를 반영한다. 서술형 에이전트는 그들이 자신을 발견하는 [상황과 구조에 의해 제약]을 받으므로, [행위자적 렌즈]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또한 이러한 제약을 설명해야 한다. 게다가, 연구 내러티브를 구성할 때, 연구자도 자신의 행위자성을 행사한다는 사실이, 행위자적 렌즈를 더욱 복잡하게 만든다. 참여자의 내러티브를 분석하든, 사건과 경험에서 내러티브를 생성하든, 연구자들은 자신의 이야기에서 일부 내러티브 에이전시를 [공동 선택co-opt]한다.
While the agentive lens can provide insights into participants' intentional activities, these strategies also reflect how the narrator is positioned by existing norms and discourses (recalling the situated lens above).41 Narrative agents are constrained by situations and structures in which they find themselves, so those using an agentive lens must also account for these constraints.48, 49 Moreover, in constructing research narratives, scholars exercise their own agency, further complicating an agentive lens. Whether analysing participant narratives or creating narratives from events and experiences, researchers co-opt some narrative agency in their own telling.
마지막 렌즈 NA는 [순차적sequential 렌즈]이다: 이야기 세계(즉, 이야기 세계)와 경험 세계(즉, 삶의 세계)에서 사건의 순서를 의미한다. Riessman은 내러티브의 기본 정의에 [스토리 세계]와 [삶의 세계]의 순서를 모두 포함시켰다.
- '일시적으로 순서가 매겨지고 일련의 사건들을 요약하는 대화의 경계지어진 세그먼트'와
NA의 구별되는 특징인 '행동 순서에 대한 주의'를 취하는 것
The final lens NA offers is sequential: the ordering of events in a story (i.e., the story world) and in experience (i.e., the life world).41 Riessman included both story world and life world ordering in her basic definition of narrative:
- ‘a bounded segment of talk that is temporally ordered and recapitulates a sequence of events’23 and took ‘attention to sequences of action’ to be the distinguishing feature of NA.23
행동의 순서는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세계를 이해하는 한 가지 방법]이며, 종종 시간적 순서로부터 [인과관계를 귀속]시킨다. 이야기 세계나 삶의 세계에서 [사건의 시퀀스]에 집중하는 것은 다음의 이해를 뒷받침한다.
- 참가자들이 그들의 삶에서 다양한 사건과 개인을 어떻게 이해하는지,
- 그들이 서로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그리고
- 그들이 다른 사람들을 야기시키는 어떤 사건과 행동을 어떻게 경험하는지 .
Sequencing of actions is one way many people make sense of their world, often imputing causality from temporal ordering.31, 40 Attending to the sequence of events—either in the story world or the life world—supports an understanding of
- how participants understand the different events and individuals in their lives,
- how they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 how they experience some events and actions causing others.31, 40
예를 들어, 신경외과 의사들의 이야기에서 질병 위신에 대한 요한네센의 연구에서, 그는 이러한 이야기들 - 파단, 진단, 치료 그리고 정상으로의 복귀 - 의 일련의 사건들이 [서양 문화에서 강한 남성적 영웅과 함께 영웅적 스토리]를 미러링한다고 주장했다. 이 경우, [순차적 렌즈]는 어떻게 신경외과의사들이 그들의 행동과 결과에 대해 상상하는지, 그리고신경외과의사로서의 정체성을 구축하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면서 [특정한 유형type]의 이야기 구조를 드러낸다.37
For example, in Johannessen's study of disease prestige in neurosurgeons' narratives, he argued that the sequence of events in these narratives—rupture, diagnostics, treatment and return to normality—mirrored heroic stories with a strong masculine hero in Western culture (see Table 1).37 In this case, the sequential lens revealed a particular type of story structure, offering insight into how those neurosurgeons conceived of their actions and consequences, building prestige for their identity as neurosurgeons.37
[언어적 렌즈]와 마찬가지로 [순차적 렌즈]는 단편화를 초래할 수 있고, 내러티브의 전체적인 목적을 보는 데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행위자적 렌즈]와 마찬가지로, 이 렌즈는 순서 선택에 있어 서술자narrator의 행위자성을 지나치게 강조할 수 있다. 게다가, 철학자 게일런 스트로슨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가로지르는 사람으로서의 자아를 기본적으로 직교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모든 사람에게 선천적인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어떤 이들은 그들의 시간적 자아를 삽화episodic로 생각하기 때문에, 자신의 삶을 내러티브로 인식하지 못한다. 그러한 개인에게 순차적 선택은 근본적인 인과적 이해나 감각 형성 방법을 반영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Like the linguistic lens, the sequential lens can lead to fragmentation and difficulty seeing the overall narrative purposes. Also, like the agentive lens, this lens can overemphasise the agency of the narrator in making sequencing choices. Moreover, the philosopher, Galen Strawson,51 argued that the basic diachronic understanding of the self as someone who stretches across past, present and future is not innate to everyone. Some conceive of their temporal selves as episodic and, therefore, have no sense of their lives as narratives.51 For such individuals, sequential choices are likely not reflective of underlying causal understandings or ways of sense-making.
위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가 논의하는 5개의 NA 렌즈는 HPE 연구원들이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잠재력을 설명하기 위해 분석적 접근법이 이 다섯 개의 렌즈에 해당한다고 믿는 다섯 개의 HPE 논문으로부터 위의 예를 제공했다. 우리는 표 1에 이것들을 요약한다. 독자에게 NA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식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론과 방법을 사용하는 다양한 국가에서 왔다.
As the descriptions above illustrate, the five NA lenses we discuss hold different kinds of potential that HPE researchers can harvest. In order to illustrate this potential, we offered examples above from five HPE articles whose analytic approaches, we believe, correspond to these five lenses. We summarise these in Table 1. They are from a variety of countries, using a variety of methodologies and methods to give the reader a diversity of approaches to NA.
4 렌즈에서 방법으로: 내러티브 분석 유형
4 FROM LENSES TO METHODS: NARRATIVE ANALYSIS TYPOLOGIES
우리가 위에서 사용한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전체론적, 위치적, 언어적, 행위자적 및 순차적 렌즈는 각각 잠재적인 이점과 한계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 렌즈들은 그 자체로 방법methods이 아니다. 플롯 분석, 대화식 서술 분석, 내러티브 분석에 대한 브라운 교육 가이드(BEGAN) 그리고 아마도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접근법인 라보프와 왈레츠키의 구조 분석 등, 연구자들은 다양한 연구 질문을 다루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해 왔다.
As the examples we use above demonstrate, the holistic, situated, linguistic, agentive and sequential lenses each offer potential benefits and limitations. But these lenses are not, themselves, methods: researchers have used various methods to address their research questions like plot analysis,52 dialogic narrative analysis,36 the Brown Educational Guide to the Analysis of Narrative (BEGAN)53 and, perhaps, the most widely used approach, Labov and Waletzky's structural analysis.35, 47, 54-56 Scholars have described different typologies to try to make sense of this variety of methods.20, 25, 26, 32, 41
학자들은 이러한 다양한 방법을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학을 설명해왔다. 한 가지 접근방식은 NA 방법이 다루는 [내러티브의 '수준level']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다.
- 예를 들어, 밤버그는 이야기 자체의 실제 텍스트, 텔러와 청자 사이의 상호작용적 공동 구성, 텔러와 청자가 각각 어떻게 자기 자신에 대한 특정한 개념을 별도의 분석 수준으로 '설립하고 보여주는'지에 접근했다. 밤베리는 각 수준에서 내용과 맥락을 단계적으로 해석함으로써 내러티브를 이해하게 된다.
- 예를 들어, Warmington과 McColl은 '대화적 서술 분석'을 사용하여 밤버그의 세 가지 수준을 모두 조사했으며, 이야기 자체, 내레이터와 인터뷰 진행자 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전문적 정체성 내레이터가 스스로 만들어 내는 것을 조사하였다.
One approach is to classify NA methods according to which ‘level’ of the narrative they attend to.25, 41
- For instance, Bamberg41 approached the actual text of the narrative itself, the interactional co-construction of the narrative between teller and hearer, and how teller and hearer ‘establish and display particular notions of selves’ each as separate levels of analysis. Bamberg comes to understand narratives through stepwise interpretation of the content and context at each level.
- Warmington and McColl,36 for instance, used ‘dialogic narrative analysis’ to examine all three of Bamberg's levels, examining the stories themselves, the interactions between narrators and interviewers, and the professional identities narrators were creating for themselves.
약간 다른 접근법으로 폴킹혼과 스털리(Starlyley)는 각각 역할 서사극에 기초하여 NA를 비슷하게 입력했다.
- 내러티브가 연구자들이 생각think about하는 [패러다임적 분석]의 대상인지 여부 (예: 범주 분석 및 기사 정리)
- 내러티브가 연구자들이 생각think with하는 [합성적 분석]의 산물인지 여부 (즉, 스토리 분석 및 새로운 스토리 작성)
In a slightly different approach, Polkinghorne26 and Bleakley20 each typologised NA similarly, based on the role narrative plays:
- whether narratives are the object of paradigmatic analysis (i.e., categorical analysis and chunking up stories) that researchers think about or, instead,
- whether narratives are the product of synthetic analysis (i.e., narrative analysis and creating a new story) that researchers think with.
이 접근법에서 NA의 일부 방법은 이야기를 데이터로 가져다가 분해break down한다. 반면 다른 사람들은 경험과 사건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스토리를 만들어create 더 잘 이해한다. 지금까지 HPE 학자들은 (위에서 논의한 5개의 HPE 연구와 마찬가지로) 참가자들의 이야기를 이해하기 위해 NA 방법을 사용할 때 주로 전자의 접근법을 취했다. [이야기를 가지고 생각하는 것Thinking with stories]은, 패러다임적 접근법과 달리, 이야기를 단순 데이터로 환원하지 않으면서, 내러티브의 잠재적인 '감정적 영향'을 희생시키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강력하지만 개발되지 않은 방법론적인 도구이다.20
Within this approach, some methods of NA take stories as data and break them down, while others use the data of experiences and events to create stories to better understand them. Thus far, HPE scholars have mainly taken the former approach, using NA methods to make sense of participants' stories,20 as with the five HPE studies we discussed above (see Table 1).34-37, 47 Thinking with stories is a potentially powerful, but untapped, methodological tool for tackling HPE's wicked problems because, unlike a paradigmatic approach, it does not threaten to reduce stories to mere data, sacrificing the potential ‘affective impact’ of narrative.20
5 진주: 서사의 약속과 편파성
5 PEARLS: THE PROMISE AND PARTIALITY OF NARRATIVE
NA 렌즈(그리고 각 렌즈에 따르는 잠재적인 이점 및 제한 사항)를 선택할 때, 연구자들은 다양한 분석 방법(즉, 분석 및 합성 대 패러다임 분석의 수준)이 해당 렌즈를 어떻게 형성하는지 고려해야 합니다.
- 예를 들어, 연구자들은 밤베르크의 상호작용적 수준의 분석을 통해 [상황적 렌즈]의 잠재적인 통찰력, 즉 사회 문화적 맥락이 어떻게 세계에 대한 나레이터의 이해를 형성하는가에 접근할 수 있다.
- 또는, 학자들은 밤베르크의 스키마의 한 단계 아래로 내려가 [순차적 렌즈]에 대한 잠재적인 통찰력을 얻을 수 있으며, 텍스트 자체에서 어떤 사건의 시퀀스가 원인과 결과의 내레이터 구성에 대해 드러내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 대조적으로, 정체성에 초점을 맞춘 한 단계 '상위' 분석은 [행위자적 렌즈]와 참가자들이 자신과 타인의 의도와 행동을 표현하기 위해 하는 수사적 움직임을 뒷받침할 수 있다.
In choosing an NA lens—as well as the potential benefits and limitations that come with it—researchers must consider how various analytic methods (i.e., the level of analysis and synthetic versus paradigmatic analysis) shape that lens.
- For instance, researchers could access the potential insights of a situated lens—an understanding of how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shape narrators' understandings of the world—through Bamberg's41 interactional level of analysis.
- Alternatively, scholars could go one level ‘down’ in Bamberg's schema to the textual level to gain the potential insights of the sequential lens, understanding what particular sequences of events in the text itself reveal about narrators' constructions of cause and effect.41
- In contrast, an analysis one level ‘up’, with its focus on identity, could support the agentive lens and the rhetorical moves participants make to represent their own and others' intentions and actions.41
- 폴킹혼의 분석적 유형론을 본다면, [전체론적 렌즈]를 가지고 전체 스토리에 대한 복잡하고 일관성 있는 이해를 추구하는 사람들은 [참가자들의 경험을 재-스토리restorying하는 합성적 접근법]을 사용할 수 있다.
- 반대로, [언어적 렌즈]를 통해 서술자들이 그들 자신과 그들의 세계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내리는 선택들을 더 잘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은 [패러다임적 분석]을 사용할 수 있다.
분석적 접근의 범위와 NA 렌즈의 다양성은 HPE 학자들의 연구 실습을 풍부하게 할 가능성이 있다.
- Working from Polkinghorne's26 analytic typology, those seeking a complex and coherent understanding of a full story through the holistic lens might use a synthetic approach, restorying participants' experiences.
- In contrast, researchers who want to better understand the choices narrators make in representing themselves, and their world through the linguistic lens might use paradigmatic analysis.26
The range of analytic approaches and the variety of NA lenses hold the promise to enrich the research practices of HPE scholars.
그러나 여기서 설명하는 5개의 렌즈 중 어떤 것도 어떤 분석적 접근법에도 완벽하게 매핑되지 않으며, HPE의 고약한 문제에 대한 '기성품' 솔루션을 제공하지도 않습니다. NA 렌즈는 개념적 프레임워크, 특정 연구 질문, 수집된 데이터 및 수집 방법 및 대상과 일치하는 연구 설계로 의도적으로 짜여져야 한다. 또한 선택된 NA 렌즈는 연구자가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또는 질문과 일치해야 하며, 연구자가 설명하고자 하는 청중에게 말해야 한다. NA를 하는 것은 연구 조건에 특정한 [특정한 노력particularistic endeavour]이다. 스토리는 일종의 [상식적인 현실]을 창조하는 힘을 가지고 있는데, 린드는 이를 '보편적 사실성의 문제로 위장한 도덕성의 문제'라고 불렀다.
Yet, none of the five lenses we outline here map perfectly onto any analytic approach, nor do they offer ‘off the shelf’ solutions to HPE's wicked problems. The NA lenses must be deliberately woven into a study design, concordant with the conceptual framework,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the data collected and how and by whom it is collected. Furthermore, the NA lens selected must be congruent with the problem or question the researcher is trying to address, speaking to the audience for whom she is trying to address it. Doing NA is a particularistic endeavour, specific to the conditions of research.13 Stories have the power to create a kind of commonsense reality, what Linde40 called ‘an issue of morality disguised as an issue of universal factuality’.
우리는 NA 방법과 렌즈도 이러한 힘을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방법과 렌즈를 선택했으니, '등장'하는 진리가 유일한 진실the truth이라고 믿기 쉽다. 예를 들어, 인종 차별 치료에 대한 흑인 의사의 이야기에 대한 [순차적 렌즈]는 반복된 경험들이 서로에게 쌓이는 방식을 강조할 수 있지만, 이것은 [행위자적 렌즈]로 더 명확해질 수 있는 인종 차별적 권력 구조에 대한 저항을 가릴 수 있다. 게다가, 이 렌즈들 중 어느 것도 참가자들이 경험하는 것을 진실로 드러내지 않을 것이고, 애초에 이야기를 하는 그들의 행위자성을 잠재적으로 감소시킬 것이다. 즉, 각각의 NA 렌즈는 무언가를 가리면서, 무언가를 드러낸다. 리스만은 이렇게 모함했다. '이야기적 진실은 항상 편파적이다- 어딘가에 열성적이고, 불완전하다'
We maintain that NA methods and lenses can also have this power. Having chosen a method and a lens, it is easy to believe that the truth that ‘emerges’ is the truth. For instance, a sequential lens on a Black physician's stories of racist treatment might highlight the ways repeated experiences build on each other, but this may mask the resistance to racist power structures that might be clearer with an agentive lens. Moreover, neither of these lenses may reveal what participants experience as truth, potentially diminishing their agency in telling the story in the first place. In other words, each NA lens both obscures and reveals. Riessman23 framed it this way: ‘Narrative truths are always partial—committed and incomplete’.
이 편파성은 이 작품의 작가로서 우리 각자에게도 적용됩니다. 우리는 우리의 이론적이고 방법론적이며 개인적인 렌즈를 이 작업에 가져옵니다.
- 아비게일은 언어학자이자 교육심리학자이며 질적, 혼합적 방법 연구자이다. 연구자, 교사, 학부모로서, 그녀는 자신의 이야기 전달 기관인 개인적이고 전문적인 것을 받아들이는 법을 배우고 있다.
- 라라는 이론가이자 질적 방법론자로 HPE의 다양한 주제를 탐구해 왔으며, 대부분은 개인이 집단과 함께 참여하는 근본적인 전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녀는 이야기를 연구를 공유하고,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가정에 도전하는 강력한 수단으로 본다.
- 르네는 교육학자, 이론가, 질적 방법론자이다. 그녀는 직장 학습, 직장 지도, 그리고 직장 내에서의 직업 간 학습과 교육 역학에 대해 글을 쓴다. 그녀는 깊고 의미 있는 학습과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가르치고 연구하는 이야기의 힘을 믿습니다.
This partiality holds for each of us as authors of this piece as well. We bring to this work our own theoretical, methodological and personal lenses.
- Abigail is a linguist, educational psychologist and qualitative and mixed methods researcher who writes about experiences of agency. As a researcher, teacher and parent who has moved across fields and across the country, she is learning to embrace the agency of her own storytelling—personal and professional.
- Lara is a theorist and qualitative methodologist who has explored a range of topics in HPE, most of which focus on the foundational premises through which individuals engage with groups and vice versa. She sees stories as powerful means of sharing research, of impacting actions and challenging assumptions.
- Renee is an educationist, a theorist and qualitative methodologist. She writes about workplace learning, workplace guidance and the interprofessional learning and teaching dynamic within the workplace. She believes in the power of stories in teaching and research to provide deep and meaningful learning and understanding.
이런 경험들을 볼 때, 우리는 모두에게 있지 않을 수도 있는 이야기들에 힘과 효용을 돌릴 수 있고, 다른 사람들과는 다르게 NA의 렌즈를 볼 수도 있다. 우리가 제시하는 5개의 NA 렌즈와 마찬가지로, 우리만의 렌즈는 어떤 부분은 비추고 어떤 부분은 가립니다. NA에 대한 우리의 이야기는 모든 이야기와 마찬가지로 '경험된 현실 속에서 승리를 거둔 구성자'이다. 우리는 NA 렌즈를 사용하는 다른 사람들의 구성을 기다리고 있는데, 그들이 우리의 연구 문제를 가지고 우리의 분야로 나아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Given these experiences, we may attribute power and utility to stories that may not be there for everyone, and we may see the lenses of NA differently than others would. Just like the five NA lenses we present, our own lenses illuminate some areas and conceal others. Our story about NA, like all stories, is ‘a triumphant configurer of experienced reality’.42 We await others' configurations using NA lenses, with the hope that they can help us move forward as a field with our research problems, wicked or otherwise.
doi: 10.1111/medu.14597. Epub 2021 Aug 29.
The potential of narrative analysis for HPE research: Highlighting five analytic lenses
PMID: 34291492
DOI: 10.1111/medu.14597
Abstract
Context: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has increasingly turned to qualitative methodology to address a number of the field's difficult research problems. While several different methodologies have been widely accepted and used in HPE research (e.g., Grounded Theory), others remain largely unknown. In this methodology paper, we discuss the value of narrative analysis (NA) as a set of analytic approaches that offer several lenses that can support HPE scholars' research.
Methods: After briefly discussing the 'narrative turn' in research, we highlight five NA lenses: holistic, situated, linguistic, agentive and sequential. We explore what each lens can offer HPE scholars-highlighting certain aspects of the data-and how each lens is limited-obscuring other aspects. To support these observations, we offer an example of each lens from contemporary HPE scholarship. The manuscript also describes methods that can be employed in NA research and offers two different typologies of NA methods that can be used to access these lenses.
Conclusions: We conclude with a discussion of how different analytic methods can be used to harness each of the lenses. We urge the deliberate selection and use of NA methods and point to the inherent partiality of any NA approach. Reflecting on our position as narrative scholars, we acknowledge how our own lenses illuminate some areas and conceal others as we tell the story of NA. In conclusion, we invite other researchers to benefit from the potential NA promises.
© 2021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Medical Education and John Wiley & Sons Ltd. This article has been contributed to by US Government employees and their work is in the public domain in the USA.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의학교육연구(Re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When I say… 여행 개념(Med Educ, 2020) (0) | 2022.08.06 |
---|---|
성찰은 비누와 같은 것인가? 의학교육연구에서 성찰에 대한 비판적 엄브렐라 리뷰(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2) (0) | 2022.05.25 |
질적 내용분석: Trustwothiness에 초점을 두고(SAGE Open, 2014) (0) | 2022.03.14 |
보건전문직 교육에서 질적 에고 네트워크: 나를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잡아내기(Med Educ, 2022) (0) | 2022.01.20 |
템플릿 분석 하기 (Qualitative Organizational Research, Chapter 24) (0) | 2022.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