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교육에서 개념지도: 분석적 문헌 고찰(Med Educ, 2010)

Concept maps in medical education: an analytical literature review

Barbara J Daley1 & Dario M Torre2




도입

INTRODUCTION

 

슐먼에 따르면, 1 '여러 전문직의 시그니처 교수법은 영원하지 않고 불변하지 않는다. 그들은 어느 시점에서도 현저히 안정되어 보이지만, 직업 그 자체와 전문적인 서비스나 관리를 제공하는 기관의 조건이 더 큰 사회적 변화를 겪기 때문에 항상 변화의 대상이 된다.'

According to Shulman,1 the signature pedagogies of the professions are not eternal and unchanging. Even though they seem remarkably stable at any one point in time, they are always subject to change as conditions in the practice of the profession itself and in the institutions that provide professional service or care undergo larger societal change. 


의미 있는 학습, 즉 관련 의학 개념을 사전 지식에 연결하여 이해하고 관련시킬 수 있는 능력은 의대생들에게 커다란 형태적 가치가 있다. 

Meaningful learning,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relate relevant medical concepts by linking them to prior knowledge, is of great formative value to medical students.

 

개념지도: 무엇인가?

CONCEPT MAPS: WHAT ARE THEY?

 

정의

Definitions

 

지식을 체계화하고 표현하기 위한 그래픽 도구인 개념 맵은 노박과 고윈3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아우수벨의 4,5 동화 학습 이론에 기초하고 있다. 노박과 고윈3는 개념 지도를 ‘명제의 틀에 내재된 개념의 의미 집합을 나타내는 도식적 장치’라고 설명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는 새로운 개념을 이미 알고 있는 것과 연결시켜 개념으로 생각하고 배운다.6

The concept map, a graphic tool for organising and representing knowledge, was developed by Novak and Gowin3 and is based on Ausubels4,5 assimilation theory of learning. Novak and Gowin3 describe a concept map as a schematic device for representing a set of concept meanings embedded in a framework of propositions. In this view, we think and learn with concepts by linking new concepts to what we already know.6 


또한, 학문이 성장함에 따라 개념을 계층적으로 저장하고 차별화한다. 개념 맵을 사용하여 학습한다는 것은 학습자가 개념을 서로 연결, 차별화 및 관련시키기 위해 의도적으로 노력하고 있음을 의미한다.3,7 

In addition, concepts are stored hierarchically and differentiated as learning grows. Learning with concept maps means that the learner is making an intentional effort to link, differentiate and relate concepts to one another.3,7

 

이론 프레임워크

Theoretical framework

 

Ausubel과 그의 공동저자들은 개념으로 사고와 학습하는 과정에서 개인은 세 가지 과정을 사용한다고 믿는다. 즉, 하위분화, 점진적 분화, 통합적 화해를 이용한다.5,8 

    • 하위분화에서 하위 수준의 개념은 상위개념에 따라 포함된다.9 

    • 점진적 분화에서는 개념을 더 미세한 요소와 더 미세한 요소로 세분화한다. 이와 같이 점진적 분화는 분석 과정과 유사하다. 

    • 마지막으로, 통합적 화해는 학습자가 지도 왼쪽에 있는 개념을 오른쪽의 개념과 조화시키고 연결하려고 시도할 때 발생한다.10,11 이것은 통합의 과정과 유사하다.

Ausubel and his co-authors believe that during the process of thinking and learning with concepts, an individual uses three processes: subsumption, progressive differentiation and integrative reconciliation.5,8 

    • In subsumption, lower-order concepts are subsumed under higher-order concepts.9 

    • In progressive differentiation, concepts are broken down into finer and finer components. In this way, progressive differentiation is similar to the process of analysis. 

    • Finally, integrative reconciliation occurs when the learner attempts to reconcile and link concepts on the left side of the map with those on the right.10,11 This is similar to the process of synthesis.


개념 맵의 개념 맵인 그림 1은 이 세 가지 프로세스를 보여준다. 

Figure 1, a concept map of a concept map, depicts these three processes.


 

개념지도 만들기

Creating concept maps

 

개념 맵을 작성하기 위해 학습자는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능동적 프로세스에 참여한다. 

    • 첫째, 학습자는 가장 일반적인 개념을 식별하여 지도의 맨 위에 배치한다. 

    • 둘째로, 학습자는 일반적인 개념과 관련된 보다 구체적인 개념을 어떤 방식으로 식별한다. 

    • 셋째로, 학습자는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개념을 자신에게 맞는 단어와 연계시킨다. 

    • 마지막으로 학습자는 적극적으로 지도의 한쪽에서 다른 쪽 개념으로 개념을 묶는 교차 링크를 찾는다.

To create a concept map, the learner engages in an active process that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 Firstly, the learner identifies the most general concepts and places them at the top of the map. 

    • Secondly, the learner identifies more specific concepts that relate to the general concepts in some way. 

    • Thirdly, the learner ties together the general and specific concepts with linking words that make sense to him or her. 

    • Finally, the learner actively looks for cross-linkages that tie concepts from one side of the map to concepts on the other.

 

개념 맵 사용 시 당면 과제

Challenges in using concept maps

 

개념 지도는 학생과 교수진 모두에게 새로운 학습방식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으며, 그러한 만큼 개념지도를 학습전략으로 이해하고 통합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 의과대학 교과과정에 개념 매핑을 통합하는 초기 단계에서 학생들의 저항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이 저항은 보통 지도를 만드는 데 걸리는 시간과 관련이 있다. 또한 지도 제작과 학습이 표준화된 시험에서 점수를 잘 받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학생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2.3

Concept maps are often considered a new way of learning by both students and faculty staff, and as such it takes time for both to understand and incorporate mapping as a learning strategy. Student resistance is sometimes seen during the initial stages of incorporating concept mapping into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This resistance is usually related to the time it takes to create maps. It may also be related to the students inability to understand how constructing maps and learning meaningfully will assist them in scoring well on standardised tests.2,3 


지도를 사용하는 또 다른 도전은 지도들이 의미 있는 학습 개념을 구현하도록 설계되었다는 것을 교수들이 이해하도록 돕는 것이다. 이것은 교직원의 초점이 내용을 가르치는 것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의료실무의 맥락 안에서 개념의 의미를 만들고 이해하도록 돕는 것으로 바뀐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생들이 의미에 대한 이해를 발달시킴에 따라, 그들의 지도에는 커리큘럼의 내용뿐만 아니라 임상 실습에서의 경험도 포함될 것이다. 이것은 학생들의 학습이 성장함에 따라, 그들이 만든 지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뀔 것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Another challenge in using maps involves helping faculty understand that maps are designed to implement the concept of meaningful learning. This means that the faculty member’s focus shifts from teaching content to helping the student create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concepts within the context of his or her medical practice. As students develop an understanding of meaning, their maps will incorporate not only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but also their experiences in clinical practice. This implies that as the students’ learning grows, the maps they create will change over time. 


지도 교직원은 이것을 지도에서 'unreliability'로 볼 수 있는데, 실제로 지도의 특이성이 학생들의 학습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발전하고 변화했는지를 보여준다. 이것은 전문지식의 발달에서 일어나는 과정과 유사하다. 의사들의 전문지식이 발달함에 따라 특정 주제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고 깊어진다. 한 사람이 두 전문가에게 같은 주제에 대한 지도를 개발하라고 한다면, 이 지도들은 그 전문가들의 다양한 임상 경험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인지 구조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다르게 보일 가능성이 높다. 이처럼 콘셉트 맵핑은 학생과 교직원 모두의 조정이 필요한 학습전략이다. 

Teaching staff may see this as unreliability in the maps, when in reality the idiosyncratic nature of the maps demonstrates how the students learning has grown and changed over time. This is analogous to the process that takes place in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As doctors develop their level of expertise, their understanding of particular topics grows and deepens. If one asks two experts to develop maps on the same topic, it is likely that these maps will look different because they reflect the cognitive structures of different people, as well as the varied clinical experiences of those experts. As such, concept mapping is a learning strategy that requires adjustment on the part of both students and teaching staff.

 

 

방법

METHODS

 

표 S1은 본 검토를 위해 선정된 35조 13~47항의 목적과 결과를 간략히 설명한다.

Table S1 briefly describes the purpose and findings of the 35 articles1347 selected for this review.

 

결과

RESULTS

 

여기서 검토한 연구는 개념 맵이 의학 교육에서 네 가지 주요 방식으로 기능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The studies reviewed here indicate that concept maps function in four main ways within medical education:


1 의미 있는 학습을 촉진하는 방법 

2 학습을 위한 추가 자원을 제공함 

3 강사가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

4 학습 및 성과 평가를 수행한다.


1 by promoting meaningful learning; 

2 by providing an additional resource for learning; 

3 by enabling instructors to provide feedback to students, and

4 by conducting assessment of learning and performance.

 

의미있는 학습을 촉진

Promoting meaningful learning

 

개념 지도는 25년 이상 45년 이상 교육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증가하는 문헌은 의학 교육에서 사용이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대다수의 기사는 개념 맵이 학습자의 의미 있는 학습, 비판적 사고 및 문제 해결의 개발을 촉진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Concept maps have been successfully used in education for over 25 years45 and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indicates that their use in medical education is increasing. The vast majority of articles indicate that concept maps foster the development of meaningful learning,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in the learner.13,1720,22,24,26,37,40,42,46


의미 있는 학습은 학생이 새로운 지식을 이전의 지식과 연결시켜 더 통합된 인지 지식 구조를 만들 때 일어난다. 개념 맵을 사용하여 학생들은 기본 및 임상 과학 정보를 통합하고, 선형적 사고 패턴에서 보다 통합된 전체론적 패턴으로 이동하고, 그들의 학문 내에서 비판적 사고 능력을 보여줄 수 있었다.

meaningful learning occurs when the student links new knowledge with previous knowledge, thereby creating more integrated cognitive knowledge structures. through the use of concept maps, students were able to integrate basic and clinical science information, move from linear thinking patterns to more integrated holistic patterns, and demonstrate critical thinking abilities within their disciplines.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많은 흥미로운 발견들이 이 검토에서 명백하다. 첫째, 개념 맵은 의료 및 보건 전문직 교육에서 [문제 기반 학습(PBL) 접근법]의 제공에 통합되고 있다. Hsu25는 PBL의 토론 구성요소 내에서 콘셉트 맵의 성공적인 사용을 보고한다. 그녀의 결과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개념지도에 대한 명제 및 계층 점수가 상당히 높았다’.25 Rendas 등.37은 유사한 결과를 설명하고 ‘개념지도의 사용이 PBL 과정 내에서 의미 있는 학습을 자극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난다’고 보고했다. 그들은 'PBL과 개념 매핑은 정보 수집, 가설 생성, 그리고 개념 맵에서 시각화된 광범위한 지식 요구의 노출에 허용된 학습 문제의 식별 방법 때문에 상호 보완적인 도구로 입증되었다.'37

Despite these limitations a number of interesting findings are apparent in this review. Firstly, concept maps are being integrated into the delivery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approaches in medical and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su25 reports the successful use of concept maps within the discussion component of PBL. Her results indicate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proposition and hierarchy scores for their concept ma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25 Rendas et al.37 describe similar findings and report that their results appear to indicate the use of concept maps stimulated meaningful learning within a PBL course. They go on to state: PBL and concept mapping proved to be complementary tools because the method of information gathering, hypothesis generation, and identification of learning issues allowed for the exposure of a broad range of knowledge needs that were visualised in the concept maps.37 


둘째로, 개념 맵은 [그룹과 협업 학습]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의료 및 보건 전문직 교육에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Kinchin과 Hay27은 학생들의 컨셉 맵을 분석할 때 세 가지 주요 패턴이나 구조를 식별하는 정성적 연구를 수행했다. 이러한 패턴이나 구조물(스포크, 체인, 네트)은 서로 다른 발달 이해의 지표로 식별되었다. Kinchin과 Hay28은 협업 학습에서 이 작업과 개념 매핑을 확장하기 위해 계속되었다. 연구결과는 매우 다른 지식구조를 가진 3인 1조로 이루어진 학생들이 더 유사한 지식구조를 가진 그룹에 속한 학생들보다 학습에 더 큰 향상을 보인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Secondly, concept maps are being used in medical and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to foster the development of group and collaborative learning. For example, Kinchin and Hay27 performed a qualitative study that identified three major patterns or structures when analysing students concept maps. These patterns or structures (spoke, chain and net) were identified as indicators of different developmental understanding. Kinchin and Hay28 went on to expand this work and study concept mapping in collaborative learning. Findings indicated that students who were in triads of individuals with very different knowledge structures showed greater improvements in their learning than students who were in groups with more similar knowledge structures.

 

셋째로, 최근의 연구는 특정한 학습 스타일을 가진 학생들이 개념 지도의 사용으로부터 이익을 얻는지 그리고 어떻게 얻는지 조사했다.

Thirdly, recent research has examined if and how students with specific learning styles benefit from the use of concept maps.


이 연구자들은 개념 맵이 다종다양한 학습 스타일을 가진 학습자 그룹 전반에 걸쳐 잘 기능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These researchers indicate that concept maps can function well across groups of learners with multiple and varied learning styles.


마지막으로, 두 가지 연구는 의학 교육 분야에서 흥미롭고 새로운 이슈를 제기했는데, 이것은 추가적인 연구와 탐구가 필요할 것이다. 한 연구에서 All과 Huycke14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학생의 사고의 진화를 보여주기 위해 대학원 교육에 직렬 개념 지도를 사용했다. All과 Huycke14는 직렬 개념 맵을 '지정된 기간에 걸쳐 단일 개념에 대해 생성된 일련의 진화하는 맵'으로 정의한다.

Finally, two studies have raised interesting and new issues within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that will need additional research and exploration. In one of the studies, All and Huycke14 used serial concept maps in graduate education to demonstrate the evolution of a students thinking over time. All and Huycke14 define a serial concept map as a series of evolving maps created about a single concept over a specified time period.


또한 곤자'레즈 외 연구진.21의 새로운 연구는 개념 지도를 사용하는 그룹이 문제 해결 시험에서 상당히 더 잘 수행되었음을 나타낸다. 그들의 객관식 시험 성적은 전통적인 그룹의 성적과 비슷했다.

In addition, new work by Gonza´lez et al.21 indicate that the group using concept maps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on the problem-solving examination. Their performance on the multiple-choice examination was similar to that of the traditional group. 


West et al.,2는 개념 맵을 사용한 평가가 더 표준화된 테스트를 사용한 평가와 다른 인지 영역을 측정하고 있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곤자'레즈 외 연구진.21 연구에서 더욱 흥미로운 것은 문제 해결에서 개념 지도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낮은 인지 능력을 가지고 연구에 참가한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다. 

West et al.,2 indicate that assessments with concept maps may be measuring different cognitive domains from assessments with more standard tests. Even more interesting in the Gonza´lez et al.21 study is the finding that using concept maps in problem solving had the most impact on students who came into the study with the lowest cognitive competence.

 

학습을 위한 리소스 제공

Providing a resource for learning

 

학습을 위한 자원으로서, 개념 지도는 학생들이 특정한 지식의 기관과 관련된 개념에 대한 숙달된 지식을 보여줄 수 있게 해준다. 개념 매핑은 자신의 이해에 대한 반성을 촉진하는 창조적인 활동이다.6 Pinto와 Zeitz에 따르면, 개념 지도는 학생들이 중요한 개념의 조직과 통합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토레 외 연구진은 학생들이 보고한 것에 주목한다: '개념 지도는 패턴 인식, 주제에 대해 폭넓게 생각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마지막으로 지식 통합을 가능하게 하는 사고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창의성을 허용했다.'

As a resource for learning, concept maps allow students to demonstrate their mastery of the concepts associated with a particular body of knowledge. Concept mapping is a creative activity that fosters reflection on ones own understanding.6 According to Pinto and Zeitz,9 concept maps can facilitat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organisation and integration of important concepts. Torre et al.40 note that students reported: ‘…the concept maps allowed for creativity by developing a system of thinking that included pattern recognition, the ability to think broadly on topics, and finally, allowed for knowledge integration. 


Laight30은 미리 준비된 개념 맵이 유용한지 물었다. 많은 학생들이 미리 준비된 개념 맵이 학습에 유용하다고 보고했다. 따라서, Laight30에 따르면, 미리 준비된 개념 맵은 대규모 수업에서 대안적이고 혁신적인 학습과 교수 기회와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Laight30 asked whether Pre-prepared concept maps were useful . A significant majority of students reported that pre-prepared concept maps were useful to their learning. Therefore, according to Laight30, pre-prepared concept maps may offer alternative and innovative learning and teaching opportunities and methods in large classes. 


Patrick et al.36과 Weiss와 Levison41은 모두 개념 맵을 학습과 커리큘럼 개발을 위한 자원으로 설명한다. Weiss와 Levison은 또한 지도들이 학과와 학과들 간의 커리큘럼 주제 통합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Patrick et al.36 and Weiss and Levison41 both describe concept maps as a resource for learning and curriculum development. Weiss and Levison also indicate that the maps can serve to assist with the integration of curricular themes across and among departments and disciplines,


카스트로 외 연구진 15명과 윌렘슨 외 연구진.43은 개념 맵이 지식 모델 개발에 기능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카스트로 외 연구진 15명은 어떻게 그들이 영양학 커뮤니티 내에서 지식 온톨로지를 구축하기 시작했는지 묘사한다. Willemsen 외 연구진.43은 방대한 양의 정보를 시각화할 수 있는 지식 모델에서 155개의 개념 맵을 함께 만들었다.43 

Castro et al.15 and Willemsen et al.43 indicate that concept maps can function in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models. Castro et al.15 describe how they used concept maps to begin building a knowledge ontology within the nutrigenomics community. Willemsen et al.43 created 155 concept maps linked together in a knowledge model that allows for the visualisation of vast amounts of information.43

 

피드백 제공

Providing feedback

 

피드백과 관련하여 개념 매핑은 학생들이 주제를 명확히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교사들은 지도를 사용하여 피드백을 제공하고 학생들의 오해를 확인할 수 있다.38 Kinchin과 Hay에 따르면, 27개의 콘셉트 맵은 학생과 교사 사이의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로 보여지는데, 이것은 학생들의 연결 구조를 보여준다.

In relation to feedback, concept mapping can assist students in clarifying a topic, and teachers can use maps to provide feedback and identify student misunderstandings.38 According to Kinchin and Hay,27 concept maps are seen as a tool for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 and teacher which reveals the students constructions of connections. 


에드몽슨과 스미스18 학생의 거의 절반은 개념 지도를 만드는 것이 효과적인 학습 장치라는 데 동의했다. 개념지도는 교사에게 학생들의 과오를 이해시켜 주었고, 이에 따라 교사가 피드백을 제공하고 내용과 성과를 명확히 할 수 있게 되었다.

Edmondson and Smith18 Almost one-half of the students agreed that creating a concept map was an effective learning device. As a teaching method, the concept map provided the teacher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errors, thereby allowing the teacher to provide feedback and clarify both content and performance. 


모스와 주트라스35. 통제 그룹은 개념 맵을 구성하지 않았다. 두 번째 그룹은 개별적으로 맵을 작성했고, 세 번째 그룹은 개별적으로 맵을 생성한 다음 피어 및 강사 피드백을 제공하는 팀으로 맵을 논의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 피드백이 없는 개념 맵은 학생들의 성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지만, 피드백이 있는 개념 맵은 학생들의 문제 해결 능력 및 실패율의 감소를 측정할 수 있는 수준으로 증가시켰다.3

Morse and Jutras35 . The control group did not construct concept maps; the second group constructed maps individually, and the third group created maps individually and then discussed them in teams that provided both peer and instructor feedback.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concept maps without feedback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 performance, whereas concept maps with feedback produced a measurable increase in student problem solving performance and a decrease in failure rates.35 


노박과 고윈3은 개념 매핑의 주요 목적이 교육자와 학생 사이에 공유된 의미의 개발을 촉진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강사들과 학생들이 개념 지도에 대해 토론하고, 생각하고, 수정함에 따라, 그들의 학습과 공유된 의미 부여 과정은 깊어진다.

Novak and Gowin3 believe that a major purpose of concept mapping is to foster the development of shared meaning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 As instructors and students discuss, think about and revise concept maps, their learning and shared meaning-making processes deepen.

 

학습과 수행능력 평가

Assessment of learning and performance

 

개념 맵은 다양한 연구에서 학생 임상 성과를 확인하고, 학생의 사고와 추론 과정을 이해하고, 학생 맵을 전문가 맵과 비교하기 위한 평가 도구로 사용되어 왔다. Williams44는 개념 맵이 단지 학습의 최종 과정으로서가 아니라 학습을 평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로버츠에 따르면 38 ‘개념지도는 스타일이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유형의 지도에 맞는 채점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고 한다.

Concept maps have been used in a variety of studies as an assessment tool to identify student clinical performance, understand student thinking and reasoning processes, and compare student maps with expert maps. Williams44 notes that concept maps can be used to assess learning rather than just as an end process of learning. However, according to Roberts,38 because maps can vary greatly in style, a scoring method which suits the particular type of map must be chosen. 


Daley et al.17은 개념 지도를 학습 전략과 평가 전략 둘 다로 사용했다. 결과는 이번 학기의 첫 번째와 마지막 컨셉 맵 점수 사이에 통계적으로 중요한 변화가 있음을 나타낸다. 힉스-모어와 파스티리크23도 컨셉 맵으로 비판적 사고 수준을 평가하는 연구를 실시했다.

Daley et al.17 used concept maps as both a learning and an assessment strategy. Results indicat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between the first and last concept map scores of the semester. Hicks-Moore and Pastirik23 also conducted a study to assess the level of critical thinking with concept maps. 


West et al..2 Daley et al.,17 West et al.2에 의해 수행된 연구는 개념 매핑 평가(CMA) 점수는 과정 지시 후에 향상되었지만, CMA 점수는 최종 과정 또는 표준화된 시험 점수와 관련이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West et al.에 따르면, 2 '긍정적 상관관계가 없다는 것은 CMA가 객관적 검사를 수행하는 것과 다른 지식 특성을 측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따라서 CMA는 학생이나 레지던트가 기존의 시험이 할 수 없는 방식으로 지식을 어떻게 조직하고 사용하는지를 평가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study carriedout by West et al.2 Like Daley et al.,17 West et al.2 found that concept mapping assessment (CMA) scores improved after course instruction; however, CMA scores did not correlate with final course or standardised test scores. According to West et al.,2 the absence of a positive correlation suggests that CMA measures a different knowledge characteristic than do multiple-choice examinations; therefore, CMA has the potential to evaluate how students or residents organise and use knowledge in a way that traditional tests cannot. 


West et al.10은 구조적 채점 방법과 관계적 채점 방법을 연구함으로써 이 작업을 확장했다. 

    • 구조 점수는 지도의 계층 구조, 개념 링크 및 교차 링크 구성에 기초한다. 구조 채점에서는 4개 범주의 유효한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점수를 부여한다. 

    • 관계 점수는 지도의 전체 구조와 관계 없이 각 구성요소의 품질이나 중요도에 기초한다.

West et al.10 expanded on this work by studying both a structural scoring method and a relational scoring method. 

    • Structural scoring is based on the maps organisation of hierarchical structure, concept links and cross-links. Structural scoring assigns points for each valid component in four categories. 

    • Relational scoring is based on the quality or importance of each component, with no regard to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map.

강사 지도와 학생 지도의 유사성은 지침에 따라 현저하게 증가했다. 

the similarity of student maps with instructor maps increased significantly following instruction.

 

그러나 부차적으로 맥가기 등은 전문가 지도에서 매우 다양한 내용을 보고하고 있다.33

However, as a side note, McGaghie et al. report a wide variety in the maps of experts.33


가장 최근에는 CMA에 대한 이해가 고무와 복수 채점 시스템 개발로 옮겨갔다. 예를 들어, Moni와 Moni34는 지도의 내용, 논리 및 표시에 기초한 평가 루브릭을 개발했다.

Most recently, the understanding of CMAs has moved to the development of rubrics and multiple scoring systems. For example, Moni and Moni34 developed an assessment rubric based on the content, logic and presentation of the maps.


D'Antoni et al.16은 West et al.2에 의해 개발된 CMA 점수 시스템을 채택하고 지도의 깊이를 개념 링크, 교차 링크, 계층, 예제, 그림 및 색상에 기초하여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DAntoni et al.16 adapted the CMA scoring system developed by West et al.2 and found that the depth of the map can be assessed based on concept links, cross-links, hierarchies, examples, pictures and colours.


스미니바산 외 연구진 39는 CMA의 신뢰성을 시험하기 위한 연구를 개발했다. 그들은 4개의 채점 시스템을 만들었고, 지도의 품질, 개념의 품질과 중요성, 그리고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초점을 맞춘 채점 시스템은 유사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전체적으로 지도의 구조에만 초점을 맞춘 채점 시스템보다 더 신뢰성이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Srinivasan et al.39 developed a study to test the reliability of CMAs. They created four scoring systems and found that the scoring systems that focused on the quality of the map, on the quality and importance of concepts, and a hybrid system had similar reliability and were overall more reliable than the scoring system that focused on the structure of the map alone.

 

의학교육과 미래 연구를 위한 함의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AND FUTURE RESEARCH

 

이 리뷰에서 인용된 연구는 개념 맵이 의대생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심사자들은 의학 교육에 이 전략을 사용하는 것의 해로운 영향을 나타내는 어떤 연구도 찾을 수 없었다.

The research cited in this review demonstrates that concept maps can assist in medical student learning. The reviewers could find no studies that indicate detrimental effects of using this strategy in medical education.  


마지막으로, 네스비트와 아데소프47이 언급하고 있듯이: ‘...투자자들은 학생들이 개념 지도와 함께 배우는 과정과 문제해결 전달, 응용, 분석, 개념적 변화와 학습 기술의 발전과 같은 더 높은 수준의 학습 목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해야 한다.' 우리는 의학 교육에서도 개념 지도와 임상 추론, 의료 문제 해결, 진단 오류 사이의 관계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믿는다.

Finally, as Nesbit and Adesope47 state: ‘…investigators should examine the processes by which students learn with concept maps and their effects on higher-level learning goals such as problem-solving transfer, application, and analysis; conceptual change and the development of learning skills. We believe that further research into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cept mapping and clinical reasoning, medical problem solving and diagnostic errors in clinical practice is also needed in medical education.


노박과 캔 ̃as가 말한 것처럼: '처음에는 개념 맵이 정보의 또 다른 그래픽 표현으로 보일 수 있지만, 이 도구의 기초와 적절한 사용을 이해하면 사용자는 이것이 정말 심오하고 강력한 도구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처음에는 단어의 단순한 배열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단어로 대표되는 개념을 체계화하는 데 주의가 사용되며, 명제나 사상이 잘 선택된 연결 단어로 형성되면, 좋은 개념 지도는 한 번에 간단하지만 심오한 의미를 지닌 우아하게 복잡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12 

As Novak and Can˜as state: While at first glance concept maps may appear to be just another graphic representation of information, understanding the foundations for this tool and its proper use will lead the user to see that this is truly a profound and powerful tool. It may at first look like a simple arrangement of words into a hierarchy, but when care is used in organising the concepts represented by the words, and the propositions or ideas are formed with well-chosen linking words, one begins to see that a good concept map is at once simple, but also elegantly complex with profound meanings.12

 



 2010 May;44(5):440-8. doi: 10.1111/j.1365-2923.2010.03628.x. Epub 2010 Mar 30.

Concept maps in medical education: an analytical literature review.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Administrative Leadership, School of Education, University of Wisconsin - Milwaukee, Milwaukee, Wisconsin, USA. bdaley@uwm.edu

Abstract

OBJECTIVES As the medical profession continues to change, so do the educational methods by which medical students are taught. Various authors have acknowledged the need for alterna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hat will enable medical students to retain vast amounts of information, integrate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solve a range of complex clinical problems. Previous research has indicated that concept maps may be one such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This article aims to: (i) review the current research on concept maps as a potential pedagogical approach to medical student learning, and (ii) discuss implications for medical student teaching and learning, as well a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METHODS The literature included in this review was obtained by searching library databases including ACADEMIC SEARCH, ERIC, EBSCOHost, PsychINFO, PsychARTICLES, PubMed/MEDLINE, CINAHL and EMBASE. This literature review is a summary of both conceptual and empirically published literature on the uses of concept mapping in medical education. RESULTS The 35 studies reviewed here indicate that concept maps function in four main ways: (i) by promoting meaningful learning; (ii) by providing an additional resource for learning; (iii) by enabling instructors to provide feedback to students, and (iv) by conducting assessment of learning and performance. CONCLUSIONS This review provides ideas for medical school faculty staff on the use of concept maps in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such as fostering critical thinking and clinical reasoning, incorporating concept mapping within problem-based learning, and using concept mapping in group and collaborative learning are identified. New developments in medical education include the use of serial concept mapsconcept maps as a methodology to assist learners with lower cognitive competence, and the combination of group concept maps with structured feedback.

PMID:
 
20374475
 
DOI:
 
10.1111/j.1365-2923.2010.03628.x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