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학습의 장벽과 해결책(BMC Med Educ, 2018)
Barriers and solutions to online 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 an integrative review
Diane O’Doherty1*, Marie Dromey2, Justan Lougheed1, Ailish Hannigan1, Jason Last3 and Deirdre McGrath1
배경
Background
의료 교육은 오랫동안 교사 중심의 모델을 통해 강의실에서 대면 강의를 포함하여 학습에 대한 교육학적 접근법을 확립해 왔다[1]. 교육 관행에 대한 이러한 특정 접근방식은 교육 문화[2] 내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조직이나 교육 분야 내에 만연되어 새롭고 새로운 관행과 기술을 채택하는 것을 꺼리게 된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의료 교육 관행은 전통적인 형태의 교육 방식에서 온라인, 거리 또는 전자 학습을 사용하는 다른 매체로 바뀌었다[3]. Howlett 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4], "전자(e) 또는 온라인 학습은 학습과 교수 모두를 전달, 지원 및 향상시키기 위해 전자 기술과 미디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하는 학습자와 교사 사이의 의사소통을 포함한다."
Medical education has many long established pedagogical approaches to learning including face to face lectures in classrooms via a teacher-centred model [1]. This particular approach to educational practices can manifest within a teaching culture [2], becoming pervasive within an organisation or discipline, leading to a reluctance to adopt new and emerging practices and technologies. Over the last number of decades there has been a shift in medical education practice from traditional forms of teaching to other media which employ online, distance or electronic learning [3]. As described by Howlett et al. [4], “Electronic (e) or online learning can be defined as the use of electronic technology and media to deliver, support and enhance both learning and teaching and involves communication between learners and teachers utilising online content”.
온라인 학습은 학생들에게 "더 쉽고 더 효과적인 접근"을 제공할 수 있다[5]. 그러나 전통적인 학습에서 온라인 학습으로의 전환이 아무 어려움 없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점점 더 많은 시간 제약과 요구가 학생과 교육자들에게 지속적으로 주어지며, 각 과에서는 보다 개인화되고 자기주도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도록 유도한다.
Online learning can provide students with “easier and more effective access to a wider variety and greater quantity of information” [5]. However, the transition from traditional to online learning is not without challenges. Increasing time constraints and demands are continually placed on students and educators alike, driving departments to find new ways of providing a more personalised, self-directed learning experience.
21세기의 의과대학 졸업생은 '출세hit the ground running'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6]. 역동적인 작업장에서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통적인 임상 교육뿐만 아니라, 최신 기술을 사용하는 교육도 필요하다.
Medical graduates of the twenty-first century are expected to ‘hit the ground running’ [6], requiring not only a traditional clinical education but also one that is up-to-date with the latest technologies in order to ensure flexibility in a dynamic workplace.
교육자, 학생 및 임상의가 지속적으로 기술을 업데이트하고, 변화하는 의료 환경에 뒤처지지 않으며, '디지털 사용' 상태를 유지할 필요성이 더 커지지 않았다. 디지털 리터러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었다.
(a) '디지털 기술, 통신 도구 또는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정보를 찾고, 평가하고, 사용하고, 생성할 수 있는 능력',
(b) '정보가 컴퓨터로 제공될 때, 다양한 출처에서 다양한 형식으로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능력',
(c) '리터러시는 미디어를 읽고 해석하고, 디지털 조작을 통해 데이터와 이미지를 재생산하며, 디지털 환경에서 얻은 새로운 지식을 평가하고 적용하는 능력을 포함한다' [7].
There has never been a greater need for educators, students and clinicians to continuously update their skills, to remain abreast of the changing healthcare environment and to remain ‘digitally literate’. Digital literacy has been defined as:
(a) ‘The ability to use digital technology, communication tools or networks to locate, evaluate, use and create information’,
(b)‘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use information in multiple formats from a wide range of sources when it is presented via computers.’,
(c) ‘Literacy includes the ability to read and interpret media, to reproduce data and images through digital manipulation, and to evaluate and apply new knowledge gained from digital environments’ [7].
모바일 기기, Web 2.0, Web 3.0 및 보다 최근의 Web 4.0의 출현과 소셜 미디어 기술의 폭발은 학습자들이 자신만의 개인화된 학습 경험을 만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교수와 강사들은 그러한 학습을 위한 기술의 효과적인 사용을 지도하고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The advent of mobile devices, Web 2.0, Web 3.0 and more recently Web 4.0 and the explosion of social media technology provides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create their own personalised learning experiences. Academic faculty and tutors therefore have a crucial role in guiding and supporting the effective use of technology for such learning.
많은 요인들이 학생 주도 요인에서 직원 주도 요인에 이르기까지 온라인 학습 프로그램의 성공 여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8, 9]. 예를 들어, 직원들 사이의 "문화적 저항"은 이전에 기술 기반 교육에 대한 학생 참여의 장벽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직원 중심의 이니셔티브가 성공적인 e-러닝 프로그램 도입의 열쇠가 될 수 있다[8]. 또한 의학교육의 변화와 발전이 이미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는 교수들에게 추가적인 압력을 가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다[10]. 의대나 프로그램 내에서 e-러닝으로의 이행을 고려할 때, 강력한 근거기반 연구는 교수진이 기술적 진보에 뒤처지지 않도록 자신의 위치를 강화할 수 있다.
Many factors can influence whether or not an online learning programme will succeed or fail, ranging from student led factors to staff led factors [8, 9]. For example, “cultural resistances” amongst staff have previously been identified as a barrier to student engagement with technology-based education; therefore, staff focused initiatives may be key to the introduction of successful e-learning programs [8]. It has also been recognised that changes and developments in medical education are putting extra pressure on already overworked faculty [10]. When considering the implementation of e-learning within a medical school or programme robust evidence based research may strengthen one’s position when encouraging faculty to remaining abreast of technological advances.
그것은 e-러닝을 교수 관행에 통합하는 데 저항할 수 있는 의료진의 근본적인 우려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의료 교육에서 e-learning에 대한 강력한 근거 기반을 확보하려면 모든 관점(학생, 교육자, 교육자, 교육자, 교육자/학교/대학)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까지 의료 교육자의 관점에서 장벽과 해결책에 대한 증거에 대한 검토는 없었다. 그러나 학생들이 직면하고 있는 장벽과 온라인 학습과의 참여를 개선하기 위한 해결책과 관련하여 완료된 작업이 있다[11–13]. 따라서 이 검토는 문헌의 이 격차를 메우기 위한 것이다.
It will aid in addressing underlying concerns amongst medical faculty who may be resistant to integrating e-learning into teaching practices. In order to ensure a robust evidence base for, or against, e-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it is crucial that account be taken of all perspectives (student, educator, training body / school / university). To date there has been no review of the evidence on barriers and solutions from a medical educator’s perspective but there has been work completed in regards to the barriers which students face and the solutions to improve engagement with online learning [11–13]. This review therefore aims to fill this gap in the literature.
리뷰 목적
Review aims and objectives
방법
Methods
실험적 설계와 비실험적 설계를 모두 갖춘 연구와 같이 다양한 방법론을 가진 연구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문헌의 통합적 검토를 실시했다. Whittemore & Knafl [14]의 프레임워크는 검토의 엄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었다.
An integrative review of the literature was conducted in order to allow for the inclusion of studies with diverse methodologies, such as those with both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designs. The framework of Whittemore & Knafl [14] was used to enhance the rigour of the review.
Search strategies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Data appraisal
Data extraction
Data analysis
주제 분석은 이 검토에 포함된 혼합 방법 연구에 대한 가장 적절한 데이터 분석 형태였다. 각 기사는 두 개의 표제 하에 분석되고 연역적으로 부호화되었다.
Thematic analysis was the most appropriate form of data analysis for the mixed method studies included in this review. Each article was analysed and deductively coded under two headings:
1. 온라인 학습의 발전과 구현에 대한 장벽
2. 온라인 학습의 개발 및 구현의 장벽에 대한 해결책
1. Barriers to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online learning
2. Solutions to the barriers to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online learning.
결과
Results
Search results
Coding
핵심 주제
Core themes
스킬 Skills
장벽 – 스킬 부족
Barrier – Skill deficit
기술, 특히 테크니컬 스킬의 부족은 온라인 학습의 개발과 구현에 관여할 때 교육자들이 직면하는 장벽 중 하나임이 밝혀졌다[19]. 열악한 기반 시설과 함께 컴퓨터 및 타이핑 기술[20]이 부족하면 교육자가 온라인 학습의 개발 또는 전달에 관여할 의향이나 능력을 저해할 수 있다[20].
Lack of skills, in particular technical skills, was found to be one of the barriers met by educators when engaging with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online learning [19]. Insufficient computer and typing skills [20] together with poor infrastructure can inhibit educator’s willingness or ability to engage with the development or delivery of online learning [20].
솔루션 – 참여
Solution – Engagement
필요한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개발을 비롯하여, e-러닝에 참여하는 것이 교수실습을 위한 기술을 습득하는 데 중요하다는 것이 인정되었다[19].
In order to gain the necessary skills, it was acknowledged that engaging with e-learning,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such programs, was important for gaining skills for teaching practice [19].
펄먼 외 [21] ePortfolio 툴 사용에 대해 제공된 교육을 통해 교수진에게 필요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워크샵을 통해 교직원들은 이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도구에 익숙해질 수 있다. 또한 워크샵에 참석한 instructional design 스텝으로부터 배울 수도 있었다. 프로그램의 성공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교수진이 도구에 대한 필요한 교육을 받는 것이 매우 중요했다.
Perlman et al. [21] argue the importance of providing faculty with the necessary skills via training provided on the use of the ePortfolio tool. Workshops allowed faculty to learn this new skill and gain familiarity with the tool through use and from instructional design staff who were present during workshops. In order to ensure the success of the program it was crucial that faculty received the necessary training on the tool.
자원 Resources
장벽 – 시간
Barrier – time
의료 교육자들은 이미 개인 생활과의 균형을 유지하며 교직, 연구 및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찾아야 한다는 압력을 받고 있다[22]. 이러한 맥락에서 온라인 학습 도구의 숙달, 개발 및 구현에 전념할 시간이 불충분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투자 시간의 예상은 컴퓨터 기반 도구가 "항상 예상보다 오래 걸린다"는 선입견과 함께 교육자 자신의 교육자 자신의 교육학 시스템에 해로운 것으로 볼 수 있다[19]. 흥미롭게도, 시간 부족은 온라인 또는 e-러닝에 참여할 인센티브의 부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23]. 펄먼 외 [21] 전자 ePortfolio 툴을 사용하는 교수진의 장애물로 시간을 강조한다. 교직원들은 프로그램의 시범적 성격으로 인해 보호되는 행정시간을 제공받지 못하기에 보상받지 못한 수업시간을 투자해야 했다. 이러한 교육 기구의 효과적인 사용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교육자들이 이러한 유형의 도구에 익숙해지고 참여할 수 있는 시간을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에 주목했다. 교수진은 이 도구를 준비하고 사용하는 데 4~5 half days of clinical work를 사용했다.
Medical educators are already under pressure to find sufficient time to manage teaching, research and maintain a work life balance personal life commitments [22]. In this context, inadequate time to devote to the mastery,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online learning tools can be seen as a significant barrier. This expectation of time to be invested can be seen as detrimental in an educator’s own pedagogical system in conjunction with preconceived notions that computer based tools “always take longer than expected” [19]. Interestingly, lack of time appears to be linked with lack of incentives to engage with online or e-learning [23]. Perlman et al. [21] highlight time as a barrier for faculty engaging in using an electronic ePortfolio tool. Faculty members had to invest uncompensated teaching time as they were not afforded protected administrative time due to the pilot nature of the program. It was noted that in order to ensure the effective use of such a teaching instrument, it is crucial that educators are afforded the time to become familiar with and engage with this type of tool. Faculty spent on average four to five half days of clinical work in preparing and using the tool.
솔루션 – 시간
Solution – time
사실 디지털 도구의 채택은 의료 교육자가 개념을 배우고 실무에 반영할 수 있도록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20]. 또한, 교육자가 온라인 학습의 개발 또는 구현에 관여하는 데 시간을 보내도록 요청받는 경우, '교직원 보상 및 노력에 대한 인정에 대한 공식적 메커니즘'이 있을 것을 제안한다. [23].
The adoption of digital tools can, in fact, free up time allowing medical educators to learn concepts and to reflect on practices [20]. Furthermore, where educators are asked to spend time engaging with the development or implementation of online learning it is proposed that there be a ‘formal mechanism for faculty reward and acknowledgement for efforts…‘ [23].
장벽 – 인프라
Barrier – infrastructure
많은 경우, 기반시설과 기술의 부족은 의료 교육에서 장애물로 볼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 저소득 국가에서 그러하다[9]. 이러한 국가들 중 많은 나라들은 전자 우편과 같은 기술적 기초가 부족한 반면, 다른 나라들은 인터넷 접속이 간헐적으로만 가능하거나, 복사 같은 서비스의 질이 떨어지는 것에 대해 언급한다. 이러한 기술적 제한은 교수진과 지리적 맥락에서 e-러닝의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다[9]. 예를 들어, Attardi & Rogers [24]는 열악한 인터넷 연결과 같은 기술적 문제를 캐나다에 있는 기관의 강의 생중계 장벽이라고 지적했다. 베디앙 등 [9] 카메룬과 같은 저소득 국가에서 직면하고 있는 인터넷 연결성, 와이파이 및 물리적 인프라 접근성이 얼마나 열악한 문제인지를 강조한다. Lakbala의 연구[25]는 또한 이란과 같은 저소득 국가에서 e-러닝을 시행할 때 보건 전문가 교육자들이 직면하는 다양한 장벽들을 강조한다. 확인된 장애물에는 컴퓨터에 대한 제한된 접근과 열악한 물리적 인프라가 포함된다.
In many instances, the lack of infrastructure and technology can be seen as a barrier in medical education, typically in low-medium income countries [9]. Many of these countries lack technological basics, such as email, while others comment on the poor quality of services, such as intermittent internet access or photocopying. These technological limitations can act as a barrier to e-learning within a faculty and geographical context [9]. For example Attardi & Rogers [24] identified technical issues such as poor internet connectivity as barriers to live broadcasting of lectures in their institution in Canada. Bediang et al. [9] highlight how poor internet connectivity, Wi-Fi and access to physical infrastructure are issues which are faced in a low-income country such as Cameroon. Lakbala’s study [25] also highlights the different barriers met by health profession educators in implementing e-learning in a low-income country such as Iran. Barriers identified include limited access to computers and poor physical infrastructure.
솔루션 – 비용
Solution – cost
말루니 외 [26] 웹 기반 교육의 실제 비용을 결정하기 위해 균등분석이 완료되는 경우, 웹 기반 접근방식은 '전통적인 대면 교육보다 확실히 우수하여, 프로그램이 중단점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등록enrolment 건수가 낮아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러한 분석은 온라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의대들이 채택하는 접근방식은 아닐 수 있지만, 인프라의 구축 비용을 장애물이 아니라, 장애물에 대한 잠재적 해결책으로서 볼 수도 있다.
Maloney et al. [26] found that where a break-even analysis is completed to determine the true cost of a web-based education, the web-based approach was ‘robustly superior than a traditional face-to-face education, allowing lower number of enrolments for a program to reach its break-even point’. While this analysis might not always be an approach adopted by medical schools in developing an online programme, it is suggested as one of the ways in which one might look at the cost of establishing the correct infrastructure not as a barrier but as a potential solution to a barrier.
제도적 전략 및 지원 Institutional strategies & support
Barrier – poor communication
장벽 – 의사소통 불량
도구나 프로그램이 어떻게 구현될 것인지에 대해 제도적 지원이 부족하고 방향성이 부족한 경우, 구현은 거의 성공적이지 않았다[27].
Where there was a lack of institutional support and limited direction as to how tools or programs would be implemented, implementation was rarely successful [27].
e-러닝의 구현은 종종 양극화에 채택되는 과정으로 보고된다. e-러닝 도구의 채택은 기관의 여러 부서에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부처간 의사소통의 부족은 장애요인이 된다.
Implementing e-learning is often reported as a process which is adopted in polarisation; while the adoption of e-learning tools may be taking place across a number of departments in an institution, there may be a lack of interdepartmental communication which is seen as a barrier.
생성된 비동기 환경은 아이디어와 공유된 지식의 적극적인 교환을 지원하지 않는 환경으로 인식된다.
The asynchronous environment generated is perceived as one which does not support the active exchange of ideas and shared knowledge.
"때때로 (온라인에서는) 다른 사람들이 말하는 것의 정확한 의미를 확신하지 못하기 때문에, 온라인에서 '토론'을 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았다." [20]
“I have found it difficult at times to have a ‘discussion’ online as you are never quite sure about the exact meaning of what people are saying.” [20]
솔루션 – 협업
Solution – collaboration
베디앙 등 [9] 온라인/전자 학습 프로그램의 구현이 성공적으로 완료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방법 중 하나는 모든 관련 이해 관계자 및 부서를 교수진 내에 포함시키고 협업을 촉진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방식을 채택하는 것임을 발견했다. 그들은 'i) 자격 있고 헌신적인 인적 자원, ii) 재정 자원 할당 및 iii) 모든 이해관계자의 필요성에 따라 지원을 하기 위해 e-러닝 관리자가 적절한 메커니즘을 수립해야 할 필요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Bediang et al. [9] found that one of the most important ways in which implementation of online / e-learning programs can be completed successfully is to include all relevant stakeholders and departments within a faculty and for new approaches to be adopted to facilitate collaboration. They specifically outlined the need for e-learning managers to put appropriate mechanisms in place in order to ‘
i) have qualified and dedicated human resources,
ii) allocate financial resources and
iii) support of all stakeholders according to their needs’.
펄먼 외 [21] 교수진이 온라인 프로그램 개발과 그 미래의 성공을 위해 지속적으로 참여하게 하려면, 교육기관에 대한 지원의 제공이 필수적이라는 점에 주목했다.
Perlman et al. [21] noted that the provision of institutional support to faculty so that they might continue to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online programs and for its future success is imperative.
그러므로 온라인 학습을 실시할 때 핵심 기술의 구현과 교수들이 그 전략을 채택하도록 촉진하는 제도적 전략이 필요하다[9].
An institutional strategy is therefore required which facilitates the implementation of key skills and the adoption of methodologies by faculty when implementing online learning [9].
태도 Attitude
장벽– 태도
Barrier – Attitude
새로운 기술과 도구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교육자들 사이의 부정적인 태도는 온라인 학습의 개발과 실행에 장애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교육자들은 새로운 도구를 사용하는 전체 과정에 압도되고 사소한 기술적 문제를 탐색하는 데 인내심이 거의 없다는 사실에 주목했다[28].
Negative attitude amongst educators in engaging with new technologies and tools can be seen as a barrier to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online learning. Educators noted feeling overwhelmed with the entire process of engaging with new tools [16] and having little patience for navigating minor technical issues [28].
특정 도구에 대한 제한된 지식이나 적절한 훈련의 부족에서 기인하는 그러한 감정은 온라인 학습 관행을 구현하고 개발하도록 요청 받았을 때 일부 교육자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Such feelings of inadequacy, stemming from limited knowledge of, or proper training with, a particular tool may be influencing the attitude of some educators when asked to commit to implementing and developing online learning practices.
솔루션 – 문화
Solution – culture
사용하기가 어려워 보이는 전자 학습 도구와 기술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는 것은 상당히 문제가 될 수 있다. 한 연구에 참여한 교육자들은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20].
Maintaining a positive attitude in the face of seemingly difficult to use and time consuming e-learning tools and technologies can be quite problematic. Educators involved in one study noted that it was important to try to maintain a positive attitude [20].
이러한 새로운 도구를 채택하면 실제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경험을 얻을 수 있으며 선입견을 깨트릴 수도 있다.
Adopting these new tools may in fact produce a positive experience overall and even break down preconceived notions;
고찰
Discussion
긍정적인 경험이 확인되었고, 일부 교육자들은 새로운 도구를 사용하는 것을 즐겼다는 사실을 언급했지만[9, 20], 그러한 개발의 배후에 강력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고히 강조하였다. 제도적 지원이 부족하고 그러한 도구나 프로그램이 어떻게 구현될지에 대한 방향이 제한적이었던 경우, 구현은 거의 성공적이지 않았다[24]. 그러므로 온라인 학습을 도입할 때는 명확한 제도적 전략이 권장된다[9, 26]. 또한 학습자가 응집력 있는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수간 협력이 필요하다 [9, 20].
While positive experiences were identified, with some educators commenting on the fact that they enjoyed engaging with new tools [9, 20], there was firm emphasis on the need for strong institutional support behind such developments. Where there was a lack of institutional support and limited direction as to how such tools or programs would be implemented, implementation was rarely successful [24]. A clear institutional strategy therefore is recommended when implementing online learning [9, 26]. There is also a strong need for inter-faculty collaboration to ensure that a cohesive education is available for learners [9, 20].
이 리뷰에서 확인된 많은 주제들은 보건 직업 교육에 관한 이전 연구들에 부합한다. 예를 들어 Childs 등. [29]에서는 의료 전문가와 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e-러닝의 장벽과 해결책에 대해 논의했으며, technical skill을 장애요인이자 동시에 해결책으로 언급했다. 열악한 교육자 기술도 페테르손 & 올로프손에 의해 장벽으로 지적되었다[2]. 훈련 부족을 둘러싼 문제가 확인된 경우, Childs 등이 제안한 해결책 중 하나는 그러한 훈련의 도입(또는 개선)이다. Childs 등은 또한 기본적인 컴퓨터 사용능력 정책의 시행을 권고하기까지 했다[29].
Many of the themes identified in this review compliment previous studies in health profession education. For example Childs et al. [29], discussed the barriers and solutions to effective e-learning for health professionals and students and identified technical skills as both a barrier and a solution. Poor educator skills was also noted as a barrier by Pettersson & Olofsson [2]. Where issues surrounding lack of training are identified, one of the solutions proposed by Childs et al. [29] is the introduction (or improvement) of such training. Childs et al. also went so far as to recommend the enforcement of a basic computer literacy policy [29].
Petterson & Olofsson의 연구는 또한 e-러닝 기술의 구현을 방해하는 원인으로 시간을 언급한다[2]. 그들은 교수들이 이러한 새로운 기술을 배울 수 있는 시간이 제한되어 있고 이는 사실상 자신감을 손상시킨다고 언급했다. 또한 교수진은 가용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원격교육의 교육적 측면과 조직적 측면에 대해 우려했다. 교육자가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데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기관은 교육자가 이러한 기술을 개발하고 개념을 배우고 실천요강을 반영할 수 있는 보호된 시간을 허용해야 한다[20].
Pettersson & Olofsson’s study also references time as a barrier to the implementation of e-learning technologies [2]. They noted that there is limited time available for faculty to learn these new technologies which in effect damages self-confidence. The lack of time available also made faculty concerned about the pedagogical and organisational aspects of distance teaching. In order to allow educators the necessary time to learn new technologies, institutions should allow for protected time for educators to develop these skills, learn concepts and reflect on practices [20].
함의
Implications for educators
이 검토에서 확인된 온라인 학습에 대한 장벽과 해결책은 온라인 학습으로의 이동을 장려할 때 개별 교육자로부터 "buy-in"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The barriers and solutions to online learning identified in this review highlight the need for significant “buy-in” from individual educators when encouraging a move to online learning.
BMC Med Educ. 2018 Jun 7;18(1):130. doi: 10.1186/s12909-018-1240-0.
Barriers and solutions to online 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 an integrative review.
Author information
- 1
- Graduate Entry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Limerick, Limerick, Ireland. diane.odoherty@ul.ie.
- 2
-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College Dublin, Dublin, Ireland.
- 3
- Graduate Entry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Limerick, Limerick, Ireland.
- 4
- University College Dublin, Dublin, Ireland.
Abstract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literature on known barriers and solutions that face educators whe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online learning programs for medical students and postgraduate trainees.
METHODS:
An integrative review was conducted over a three-month period by an inter-institutional research team. The search included ScienceDirect, Scopus, BioMedical, PubMed, Medline (EBSCO & Ovid), ERIC, LISA, EBSCO, Google Scholar, ProQuest A&I, ProQuest UK & Ireland, UL Institutional Repository (IR), UCDIR and the All Aboard Report. Search terms included online learning, medical educators, development, barriers, solutions and digital literacy. The search was carried out by two reviewers. Titles and abstracts were screened independently and reviewed with inclusion/exclusion criteria. A consensus was drawn on which articles were included. Data appraisal was performed using the Critical Appraisal Skills Programme (CASP) Qualitative Research Checklist and NHMRC Appraisal Evidence Matrix. Data extraction was completed using the Cochrane Data Extraction Form and a modified extraction tool.
RESULTS:
Of the 3101 abstracts identified from the search, ten full-text papers met the inclusion criteria. Data extraction was completed on seven papers of high methodological quality and on three lower quality papers. Findings suggest that the key barriers which affect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online 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include time constraints, poor technical skills, inadequate infrastructure, absence of institutional strategies and support and negative attitudes of all involved. Solutions to these include improved educator skills, incentives and reward for the time involved with development and delivery of online content, improved institutional strategies and support and positive attitude amongst all thos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and delivery of online content.
CONCLUSION:
This review has identified barriers and solutions amongst medical educators to the implementation of online 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Results can be used to inform institutional and educator practice in the development of further online learning.
KEYWORDS:
Barriers; E-learning; Medical education; Medical faculty; Online learning; Solutions
- PMID:
- 29880045
- PMCID:
- PMC5992716
- DOI:
- 10.1186/s12909-018-1240-0
'Articles (Medical Education) > 교수법 (소그룹, TBL, PBL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교육에서 개념지도: 분석적 문헌 고찰(Med Educ, 2010) (0) | 2020.01.31 |
---|---|
PBL의 가설연역적추론에서 논증의 역할(IJPBL, 2018) (0) | 2019.11.11 |
하나보단 둘이 낫다?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9) (0) | 2019.11.01 |
강의시간 동안의 집중력: 8초? 10분? 그 이상? (Adv Physiol Educ, 2016) (0) | 2019.10.29 |
PPT발표의 오류와 실패: 심리적 분석(Front Psychol, 2012) (0) | 2019.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