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고났다'는 가정에 도전하기 - 모든 것을 확인하라 (Med Educ, 2019)

Challenging assumptions of innateness – leave nothing unturned

Jason J Han1 & Neha Vapiwala2



개인이 어떤 근본적인 능력이나 직관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는 것이 여러 학계에서 한때 보편화되었다(예: 경제학 및 사회과학 분야의 합리성 가정). 그러나 복잡한 기계로서 인간의 뇌는 체계적인 오류에 취약하다.

It was once common in various academic fields to assume that individuals possess certain fundamental abilities or intuitions (e.g. the assumption of rationality in the fields of economics and social sciences).1 However, the human brain as complex machinery is vulnerable to systematic errors.


Daniel Kahneman과 Amos Tversky는 이것을 두 가지 처리 메커니즘의 공동 존재 탓으로 돌렸다.2 그들은 

  • 첫 번째, 적절한 이름을 가진 시스템 1을 빠르고, 자동적이고, 직관적이며, 무의식적인 접근법

  • 번째(시스템 2)를 더 느리고, 더 고의적이고, 분석적이고, 의식적인 접근방식이라고 묘사했다.

Daniel Kahneman and Amos Tversky, attributed this to the co- existence of two processing mechanisms.2 They described the first, aptly named System 1, as the fast, automatic, intuitive, unconscious approach and the second (System 2) as the slower, more deliberate, analytical and conscious mode.


이 분류의 목적은 계층을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두 시스템 모두 직무에 따라 각각의 장단점이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었다. 

  • 시스템 1은 효율적이지만 오류가 발생하기 쉽다. 

  • 시스템 2는 더 철저하지만 더 많은 자원을 필요로 하며 작업 메모리와 주의를 빠르게 고갈시켜 오류를 일으키기 쉽다.

The purpose of this categorisation was not to assign a hierarchy, but rather to acknowledge that both systems have their respective pros and cons depending on the task. 

  • System 1 is efficient but more error-prone. 

  • System 2 is more thorough but requires greater resources and quickly drains our working memory and attention, thereby making it too susceptible to error.


편중성 또는 좌우식별(LRD)하는 우리의 능력. LRD의 오류는 잘못된 진단과 개입, 그리고 궁극적으로 환자의 위해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능력은 의학에서 특히 중요하다.

our ability to discern laterality or left–right discrimination (LRD). This ability is particularly critical in medicine, as errors in LRD can lead to wrong diagnoses and interventions, and ultimately patient harm.


LRD는 흔히 인간발달 초기 단계에서 선천적이거나 획득된 것으로 가정되지만, 실제로는 LRD는 여성의 17%, 남성의 9%가 어려움을 보고한 복잡한 신경심리학적 과정이다.3 의대생들은 이 도전으로부터 면제되지 않는다. 한 연구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객관적 LRD 시험에서 77% 미만의 점수를 받았다.4

although LRD is often assumed to be innate or acquired during early stages of human development, in reality LRD is a complex neuropsychological process with which 17% of women and 9% of men have reported difficulty.3 Medical students are not exempt from this challenge. In one study, a majority of students scored less than 77% on an objective LRD test.4


이러한 연구결과는 의학 교육계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이는 LRD가 선천적인 인간의 기술이라는 가정을 뒤집고 교과과정에 있어서의 편중성 교육의 중요성을 높일 필요성을 시사한다.5

these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suggesting the need to overthrow assumptions that LRD is an innate human skill and to raise the importance of laterality training in the curriculum.5


우리가 선천적이거나 직관적이거나 쉬운 것으로 가정하는 다른 것은 무엇이 있는가?

What else are we assuming is easy, innate or intuitive?


더 나아가, 우리는 [개인의 인지적 편견을 인식]하거나 [공감과 명확한 소통 같은 '소프트'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능력]등의 다른 역량에도 동일한 질문을 적용할 수 있었다. 우리가 효과적으로 그리고 전문적으로 나쁜 소식을 깼다고 가정하고, 실수를 폭로하거나, 정보에 입각한 동의를 얻었다고 가정하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는 상황이지만, 환자의 눈에는 우리의 수행능력이 부족하게 보이는 상황이 있다.

Extrapolating further, we could apply the same line of questioning to other competencies in medical education, such as our ability to recognise personal cognitive biases or develop ‘soft’ skills such as empathy and clarity of communication. There are undoubtedly circumstances in which we assume we effectively and expertly broke bad news, disclosed error or obtained informed consent, but in the eyes of the patient our performance was lacking.


의학 교육에서 [선천성에 대한 암묵적인 가정]은 배제되어서는 안 된다. 여기에는 LRD뿐만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공감, 청렴과 같은 다른 기술도 포함된다.

No tacit assumption of innateness should go unchecked in medical education. This includes LRD but also other skills such as communication, empathy and integrity.


마지막으로 [무엇인가가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것이라는 가정]을 버려야만 자신의 능력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을 얻고 창의적인 해결책을 내놓을 수 있다.

Lastly, only when we discard assumptions of innateness, can we begin to gain important insights into our own abilities and come up with creative solutions.


이 연구의 세 가지 중요한 통찰력은 이 노력에 중요하다. 

  • 첫째는 아무리 직관적으로 보일지라도 현실은 항상 더 분산되어 있다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LRD를 기본적인 읽고 쓰는 능력만큼 의과대학에서 입학해야 하는 필수 조건이라고 생각하겠지만, 다양한 연구들은 이제 이러한 가정과 모순되어 오류를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새로운 연구 분야를 만들어낸다.

Three critical insights from this study are important to this endeavour. The first is that no matter how intuitive a skill may seem, the reality is always more distributed. Although LRD would be considered by many to be as much of a prerequisite to matriculating in medical school as basic literacy, various studies now contradict this assumption, thus giving rise to a new field of study with the potential to reduce errors.


  • 둘째로, 선천성을 의심함으로써 사람이 스스로 인식한 능력과 실제 능력 사이의 차이를 완화시킬 수 있다. 더닝 크루거 효과에 따르면, 사람들은 자신의 능력을 평균보다 더 나은 것으로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8

Secondly, challenging assumptions of innateness can mitigate the gap between people’s perceived abilities and actual abilities. According to the Dunning-Kruger effect, people tend to overestimate their own abilities as being better than average.8


흥미롭게도, 그들의 실적이 나쁠수록, 과대평가 정도가 더 높다. 이러한 편견으로부터 보호되고, 사실 자신의 능력을 과소평가한 유일한 집단은 [최고수준의 4중주단]이었는데, 이는 그 주제를 잘 알고 있는 사람들 역시 더 자기 인식적인 사람들이었음을 암시한다.

Interestingly, the worse their performance, the higher the degree of overestimation. The only group that was protected fromthis bias, and in fact underestimated their ability, was the top-performing quartile, suggesting that those who knew the subject well were also more self-aware.


더닝-크루거 효과의 심리적 메커니즘은 자기중심적으로 유리한 방식으로 증거를 선택하거나 해석하려는 우리의 경향과 같은 다요소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다른 사람들은 우리가 체계적으로 비교의 낮은 점들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고 제안했다.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the Dunning-Kruger effect is believed to be multifactorial, such as our tendency to select for or to interpret evidence in an egocentrically favourable manner (‘egocentrism’). Others have suggested that we tend to systematically choose inferior points of comparison (‘selective recruitment’).


  • 세 번째 통찰은 도전적인 선천성이 탈-낙인, 적응, 강력한 문제 해결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자들이 밝힌 바와 같이, 자동적으로 편중성을 결정할 수 없었던 학생들은 다양한 적응 전략의 개발을 보고했다. 여기에는 자신의 몸에 단서(예: 시계 착용)를 사용하여 laterality을 결정하고 다른 맥락에 project하는 것뿐만 아니라 '안전망'을 사용하여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는지 반복적으로 작업을 점검하는 것도 포함된다.

The third insight is that challenging innateness can lead to de-stigmatisation, adaptation and robust problem solving. As the authors reveal, students who could not automatically determine laterality reported development of various adaptive strategies. These include using cues on their own bodies (e.g. wearing a watch) to determine laterality and projecting it to other contexts, as well as ‘safety netting’, checking their work repeatedly to ensure no error has been made.


LRD를 2진법 또는 고정된 기술로 간주하는 대신, 그들은 LRD를 신중하게 연습하면 개선할 수 있는 플라스틱으로 간주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성장 지향적인 사고방식은 단지 [자신의 부족함을 인식한 사람만을 돕는 것]에서 [모든 사람들이 현재의 단점을 더 자각하고 그것들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도록 격려하는 것]으로 네러티브의 변화를 가져온다.

Instead of regarding LRD as a binary or fixed skill level, they begin to regard it as plastic, something that can be improved with deliberate practice. This growth-oriented mindset changes the narrative from only helping those with a perceived deficit to encouraging everyone to become more self-aware of current shortcomings and work towards overcoming them.


의학에는 직관적이라고 가정하는 다른 많은 기술들이 있지만, 실제로는 더 분산된 스펙트럼에 존재한다. Dunning-Kruger 효과에 따라 이러한 영역에서 인식된 능력과 실제 능력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기술들을 선천적인 것이 아니라 가변적인 것malleable으로 보는 데 힘써야 한다. 그래서 우리는 [deficit의 낙인]을 제거하고 전반적인 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보다 창의적이고 의도적인 전략을 장려할 수 있다.

There are many other skills in medicine that are assumed to be intuitive, but in reality, exist on a more distributed spectrum. There may be significant gaps between perceived and actual abilities in these domains according to the Dunning-Kruger effect. We must work towards viewing these skills as malleable, not innate, so that we can destigmatise the deficit and encourage more creative and deliberate strategies to augment overall performance.





 2019 May;53(5):423-425. doi: 10.1111/medu.13824. Epub 2019 Mar 3.

Challenging assumptions of innateness - leave nothing unturned.

Author information

1
Division of Cardiovascular Surgery, Department of Surgery, University of Pennsylvania, Philadelphia, Pennsylvania, USA.
2
Division of Radiation Oncology, Perelman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hiladelphia, Pennsylvania, USA.
PMID:
 
30828859
 
DOI:
 
10.1111/medu.138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