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탄력성척도의 리뷰(J Nurs Meas, 2009)

A Review of the Resilience Scale

Gail Wagnild, RN, PhD

Worden, Montana




연구원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회복탄력성을 측정해 왔다. 대부분은 자존감, 사기, 삶의 만족도, 일관성의 감각 등을 포함한 회복력을 측정하기 위해 여러 지표와 도구를 선택했다. 다른 이들은 현재 여러 가지가 있는 회복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도구를 사용했다.

Researchers have measured resilience in a variety of ways. Most have selected multiple indicators and instruments to measure resilience including self-esteem, morale, life satisfaction, sense of coherence, and so forth. Others have used instruments designed specifically to measure resilience of which there are now several.


회복탄력성 척도의 배경

BACKGROUND OF THE RESILIENCE SCALE


The Resilience Scale(RS) 는 1993년에 발표되었다(Wagnild & Young, 1993). 이 척도는 (1) 주요 인생 사건에 이어 성공적으로 적응한 노년층 여성에 대한 1987년 질적 연구와 (2) 그 당시까지의 회복력에 관한 문헌을 철저히 검토한 것에 기초하였다(Wagnild & Young, 1990년).

The Resilience Scale was published in 1993 (Wagnild & Young, 1993). The scale was based on (a) a 1987 qualitative study of older women who had adapted successfully following a major life event, and (b) a thorough review of the literature on resilience up to that time (Wagnild & Young, 1990).


RS의 개념적 토대 역할을 하는 탄력성의 다섯 가지 특징이 있다. 

The five characteristics of resilience, which serve as the conceptual foundation for the Resilience Scale, are 

  • 끈기 또는 끈기의 행위는 역경이나 낙담에도 불구하고 , 자신의 삶을 재구성하고 역경 속에서도 계속 관여하려는 투쟁을 계속하겠다는 의지를 내포하고 있다. 인내란 좌절에도 불구하고 계속 나아갈 수 있는 능력이다. 

  • 평정주의는 삶과 경험에 대한 균형 잡힌 관점이며, 느슨하게 앉아 다가오는 것을 취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따라서 역경에 대한 극단적인 반응을 완화시킨다. 침착한 사람들은 종종 유머감각을 가지고 있다. 

  • 의미심장함은 삶에는 목적이 있다는 깨달음과 살아갈 무언가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다. 

  • 자립심이 강한 사람들은 자신을 믿는다. 그들은 자신의 개인적 강점과 능력을 인식하고 의지하며 과거의 성공을 이용하여 자신의 행동을 지원하고 지도한다. 

  • 존적 고독은 각 개인이 유일하고 어떤 경험은 공유될 수 있지만 다른 사람들은 혼자 직면해야 한다는 깨달음이다. 실존적 고독과 함께 독특함과 아마도 자유라는 느낌이 든다(Wagnild & Young, 1990, 1993).

  • perseverance or the act of persistence despite adversity or discouragement, connoting a willingness to continue the struggle to reconstruct one's life and remain involved in the midst of adversity. Perseverance is the ability to keep going despite setbacks. 

  • Equanimity is a balanced perspective of life and experiences and might be viewed as sitting loose and taking what comes, thus moderating the extreme responses to adversity. Those with equanimity often have a sense of humor. 

  • Meaningfulness is the realization that life has a purpose and recognition that there is something for which to live. 

  • Those who are self-reliant believe in themselves. They recognize and rely on their personal strengths and capabilities and draw upon past successes to support and perhaps guide their actions. 

  • And finally, existential aloneness is the realization that each person is unique and that while some experiences can be shared, others must be faced alone. With existential aloneness comes a sense of uniqueness and perhaps freedom (Wagnild & Young, 1990, 1993).


1990년대 초반의 몇몇 소규모 연구들은 대학생과 대학원생, 알츠하이머병에 걸린 배우자의 간병인, 직장에 복귀하는 첫 번째 엄마, 공공주택 거주자를 포함한 회복 규모의 가장 이른 신뢰성과 유효 데이터를 제공했다(Wagnild & Young, 1993) Cronbach's 알파 계수는 일관되게 허용되고 적당히 높았다(.73 ~ 0.91).

Several small studies in the early 1990s provided the earliest reliability and validity data for the Resilience Scale including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caregivers of spouses with AlzheimerÊs disease, first-time mothers returning to work, and residents in public housing (Wagnild & Young, 1993). CronbachÊs alpha coefficient was consistently acceptable and moderately high (.73 to .91).


회복력 척도의 신뢰성과 유효성은 중년과 노년층 810명의 표본에서 추가로 시험되었고, 그 중 48%가 남성이었다.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ilience Scale were tested further in a sample of 810 middle-aged and older adults, 48% of whom were male.



출판된 연구의 리뷰

REVIEW OF PUBLISHED STUDIES


1999년 이후, 12개의 선정된 연구들이 이 기사에 대해 완성되고 검토되었다. 가능한 경우, 복원력 척도 점수, 다른 변수와의 상관 관계 및 표본 특성이 보고되었다. 표 1은 각각 발표된 년도의 순서대로 연구를 보여준다.

Since 1999, 12 selected studies were completed and reviewed for this article. Wherever available, Resilience Scale scores, correlations with other variables, and sample characteristics were reported. Table 1 shows the studies in order of the year in which each was published.


성인

Adolescents


TABLE 2. Resilience Scale Findings Among Adolescent Samples


젊은 중년여성

Young–Middle-Aged Women


TABLE 3. Resilience Scale Findings Among Young–Middle-Aged Women


중년, 노인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ABLE 4. Resilience Scale Findings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 Samples



고찰

DISCUSSION


이 기사는 12개의 연구를 검토했다. 회복력 척도는 청소년에서 아주 나이(16세 ~ 103세)에 이르는 다양한 연령층에서 사용되었다. 검토한 모든 연구에서 회복력 척도 점수에 대한 연령 관련 차이는 없었다.

This article reviewed 12 studies. The Resilience Scale was used with a variety of age groups ranging from adolescents to the very old (16 to 103 years old). In all studies reviewed, there were no age-related differences on Resilience Scale scores.


헌터와 챈들러버그의 연구(1999년)를 제외하고, 인종 집단들 사이의 회복력 척도 점수에 대한 차이는 보고되지 않았다.

With the exception of Hunter and ChandlerÊs study (1999) , differences on Resilience Scale scores among racial groups were not reported.


도구적 타당도는 검사도구가 측정할 대상을 측정하는 범위로 정의된다. 구인 타당성은 특정 조치가 측정되는 개념과 관련하여 이론적으로 도출된 가설과 일치하는 다른 측정과 관련된 범위와 관련이 있다. 이 기사에 대한 12개 연구의 연구원들은 개인이 회복력이 있는 경우, 

  • 회복력 척도와 심리적 웰빙, 건강 증진 활동, 삶의 목적, 일관성, 사기, 용서 사이에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 연구원들은 또한 회복력 척도 점수가 스트레스, 우울증, 불안, 외로움, 절망과 반비례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연구에서 이러한 가설이 입증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회복탄력성 척도의 구인 타당성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였다.

Instrument validity is defined as the extent to which an instrument measures what it is intended to measure. Construct validity is concerned with the extent to which a particular measure relates to other measures consistent with theoretically derived hypotheses concerning the concept being measured. Researchers in the 12 studies reviewed for this article hypothesized that if individuals are resilient, 

  • there would b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Resilience Scale scor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ealth promoting activities, purpose in life, sense of coherence, morale, and forgiveness. 

  • Researchers also hypothesized that Resilience Scale scores would be inversely associated with stress, depression, anxiety, loneliness, and hopelessness. 

These hypotheses were supporte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strengthening support for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Resilience Scale.


회복력 척도에 대한 응답은 오른쪽으로 치우치는 경향이 있었다.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가능한 점수 중 상위 구간에 해당하였다. 예를 들어, 만점은 175점이고 대부분의 표본의 평균 점수는 140점부터 148점이었다. 이것은 반응에 설정된 편견, 특히 사회적 바람직함에 대한 편향과 묵인 때문일 수 있다. 사회적 바람직함 반응 편견은 사회적으로 매력적으로 보이는 방식으로 반응하는 경향이다.

Responses to the Resilience Scale tended to be negatively skewed. Most respondents scored in the upper range of possible scores. For instance, a perfect score is 175 and the average scores for most samples ranged from 140 to 148. This may be due to response set bias, particularly social desirability and acquiescence. The social desirability response bias is the tendency for a person to respond in a way that seems socially appealing.


Resilience Scale의 모든 항목은 동일한 방향으로 키로 표시되기 때문에, 특히 묵인된 응답 편견acquiescence response bias의 영향에 취약하다. 묵인된 반응 편향은 같은 문항의 워딩을 달리 하거나, 부정문으로 바꿈으로써 완화될 수 있다. 또한 응답 형식을 강제로 나뉘게 하는 것도 반응 편향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립적인 반응을 포함한 7가지 가능한 응답 대신에, 각 항목을 4개 응답만 가능하도록 한다면응답자는 특정 항목 중 (긍정이든 부정이든) 어느 한쪽이나 다른 쪽을 지지해야 한다.

Because all items in the Resilience Scale are keyed in the same direction, it is particularly susceptible to the effects of an acquiescence response bias. The acquiescence response bias might be alleviated in the Resilience Scale by rewording and negatively keying current items. Also, revising the Resilience Scale so that there is a forced choice format to the response format might minimize response bias. For instance, instead of allowing seven possible responses including a neutral response, the Resilience Scale might be revised so that there are only four possible responses to each item thus forcing the respondent to endorse either one side or the other of a particular item.


특히 RS에서 항목의 표현은 일부와 수정의 필요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브로일스(2005)는 자신의 연구에서 "나는 누구보다도 나 자신에게 의존할 수 있다"라는 항목에 응답할 때, 몇몇 응답자들이 그들이 의지하는 사람은 신이지 자기 자신이 아니라고 말했다고 보고했다.

The wording of one Resilience Scale item in particular may be problematic for some and in need of revision. Broyles (2005) reported that several respondents in her study, when responding to the item „I can depend on myself more than anyone else,‰ stated that was it was upon God whom they depended; not themselves.






 2009;17(2):105-13.

review of the Resilience Scale.

Author information

1
gwagnild@resiliencescale.co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12 completed studies that have used the Resilience Scale (Wagnild & Young, 1993). Completed studies were identified through PubMed and CINAHL. Studies that identified Resilience Scale scores, sample descriptions, and tested relationships between the Resilience Scale and study variables were selected for inclusion.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ranged from .72 to .94 supporting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of the Resilience Scale. Hypothesized relationships between the Resilience Scale and study variables (e.g., forgiveness, stress, anxiety, health promoting activities) were supported strengthening the evidence for construct validity of the Resilience Scale. In the studies reported here, the Resilience Scale has been used with a variety of individuals of different ages, socioeconomic, and educational backgrounds. The Resilience Scale has performed as a reliable and valid tool to measure resilience and has been used with a wide range of study populations.

PMID:
 
197117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