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실에서의 인류학: 문화적 역량의 문제와 그것을 고치는 법(PLoS Med, 2006)

Anthropology in the Clinic: The Problem of Cultural Competency and How to Fix It

Arthur Kleinman*, Peter Benson




문화적 역량은 임상의와 연구원들에게 유행하는 용어가 되었다. 그러나 아무도 이 용어를 임상 훈련과 모범 사례best practice에서 운용할 만큼 정확하게 정의할 수 없다.

Cultural competency has become a fashionable term for clinicians and researchers. Yet no one can define this term precisely enough to operationalize it in clinical training and best practices.


임상에서 문화가 중요하다는 것은 분명하다. 문화적 요인은 진단, 치료, 관리에 중요하다. 그들은 건강과 관련된 믿음, 행동, 그리고 가치를 형성한다 [1,2].

It is clear that culture does matter in the clinic. Cultural factors are crucial to diagnosis, treatment, and care. They shape health-related beliefs, behaviors, and values [1,2].


문화적 역량이라는 개념의 문제

Problems with the Idea of Cultural Competency


문화적 역량의 개념의 한 가지 주요 문제는 문화라는 것을 [의사가 훈련을 통해 개발될 수 있는 전문지식으로서의 테크니컬한 기술]로 전락시킬 수 있다는 이다[4]. 이 문제는 의학에서 문화가 정의되는 방식에서 비롯되는데, 이는 문화의 개념이 유래한 분야인 인류학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것과 현저하게 대조된다[5–9]. 문화는 종종 민족, 국적, 언어와 동의어로 만들어진다.

One major problem with the idea of cultural competency is that it suggests culture can be reduced to a technical skill for which clinicians can be trained to develop expertise [4]. This problem stems from how culture is defined in medicine, which contrasts strikingly with its current use in anthropology— the field in which the concept of culture originated [5–9]. Culture is often made synonymous with ethnicity, nationality, and language.


문화적 역량은 특정 민족적 배경을 가진 환자를 치료하는 방식을 규정하는 일련의 "할 것과 하지 말 것"이 된다[10]. 이러한 [공유된 문화적 의미를 가진 고립된 사회]라는 개념은 오늘날 인류학자들로부터 reject된 것이다. "중국인들은 이것을 믿는다", "일본인들은 그렇게 믿는다" 등과 같은 위험한 고정관념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마치 전체 사회나 민족 집단이 이러한 단순한 구호에 의해 묘사될 수 있는 것처럼 말이다[11 – 13].

Cultural competency becomes a series of “do’s and don’ts” that define how to treat a patient of a given ethnic background [10]. The idea of isolated societies with shared cultural meanings would be rejected by anthropologists, today, since it leads to dangerous stereotyping—such as, “Chinese believe this,” “Japanese believe that,” and so on—as if entire societies or ethnic groups could be described by these simple slogans [11 –13].


또 다른 문제는 문화적 요소가 항상 사건의 중심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Another problem is that cultural factors are not always central to a case,


역사적으로 보건 분야에서 문화는 거의 전적으로 환자와 가족의 영역에만 언급되었다. 박스 1의 사례 시나리오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특히 병원, 의원, 의과대학과 같은 기관에서 드러나는 보건전문직의 문화(의사, 간호사 또는 사회복지사의 문화적 배경과 바이오메디컬 자체의 문화)에 대해서도 이야기할 수 있다[14].

Historically in the health-care domain, culture referred almost solely to the domain of the patient and family. As seen in the case scenario in Box 1, we can also talk about the culture of the professional caregiver— including both the cultural background of the doctor, nurse, or social worker, and the culture of biomedicine itself—especially as it is expressed in institutions such as hospitals, clinics, and medical schools [14].


상자 1. 사례 시나리오: 문화적 가정은 실제적인 이해를 도울 수 있다.

Box 1. Case Scenario: Cultural Assumptions May Hinder Practical Understanding

그가 병원에 오지 못한 것은 문화적 차이 때문이 아니라 실질적인, 사회경제적인 상황 때문이었다. 그와 대화하고 그의 "현지 세계"를 고려하는 것은 급진적으로 다른 멕시코의 건강 신념을 상정하는 것보다 더 유용했다.

His failure to attend was not because of cultural differences, but rather his practical, socioeconomic situation. Talking with him and taking into account his “local world” were more useful than positing radically different Mexican health beliefs.


문화는 정적이지 않다

Culture Is Not Static 


오늘날 인류학에서 문화는 동질적이거나 정적인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인류학자들은 문화는 하나의 변수가 아니라 여러 가지 변수로 이루어져 경험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한다. 문화는 경제적, 정치적, 종교적, 심리적, 생물학적 조건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In anthropology today, culture is not seen as homogenous or static. Anthropologists emphasize that culture is not a single variable but rather comprises multiple variables, affecting all aspects of experience. Culture is inseparable from economic, political, religious, psychological, and biological conditions.


문화적 프로세스는 [연령 코호트, 성별, 정치 협회, 계급, 종교, 민족성, 심지어는 성격에 차이] 등으로 인해서 종종 같은 민족이나 사회 집단 내에서도 다르다.

Cultural processes frequently differ within the same ethnic or social group because of differences in age cohort, gender, political association, class, religion, ethnicity, and even personality.


민족지학의 중요성

The Importance of Ethnography


물론 임상의들이 문화적 차이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인류학적 관점에서 문화적 문제를 다루는 관리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은 정당하고 매우 바람직한 일이다. 우리는 이를 위한 최적의 방법은 임상의사를 민족지적으로 훈련하는 것이라고 믿는다. "Ethnography"는 인류학에서 핵심 방법론으로 사용되는 기술 용어다. 그것은 "(인류학자의 일반적 세계와는 다른)국지적 세계"에서의 삶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인류학자의 설명을 가리키며, 한 사회의 구체적인 배경을 말한다.

It is of course legitimate and highly desirable for clinicians to be sensitive to cultural difference, and to attempt to provide care that deals with cultural issues from an anthropological perspective. We believe that the optimal way to do this is to train clinicians in ethnography. “Ethnography” is the technical term used in anthropology for its core methodology. It refers to an anthropologist’s description of what life is like in a “local world,” a specific setting in a society—usually one different from that of the anthropologist’s world.


이것을 다른 사회 연구 방법들과 구별해주는 것은 [원주민의 관점을 이해하는 것]을 중시한다는 것이다 [25]. 민족학자는 원주민의 경험에 대하여 집중적이고 상상적인 공감을 실천한다. 그들의 이질감을 인식하고, 인간적으로 관여하며, 그들의 종교, 도덕적 가치 및 일상적 관행을 이해한다[27,28].

What sets this apart from other methods of social research is the importance placed on understanding the native’s point of view [25]. The ethnographer practices an intensive and imaginative empathy for the experience of the natives— appreciating and humanly engaging with their foreignness [26], and understanding their religion, moral values, and everyday practices [27,28].


민족지학은 문화적 역량과 다르다. 그것은 "중국인들은 돼지고기를 먹고, 유대인들은 먹지 않는다"와 같은 이미 알려진 요소들의 집합으로서 문화를 이해하는 "trait list 접근법"을 회피한다. 

Ethnography is different than cultural competency. It eschews the “trait list approach” that understands culture as a set of already-known factors, such as “Chinese eat pork, Jews don’t.” (Millions of Chinese are vegetarians or are Muslims who do not eat pork; some Jews, including the corresponding author of this paper, love pork.) 


민족학은 다른 사람들과의 engagement를 중시하고, 사람들이 local world에서 수행하는 관행을 강조한다. 그것은 또한 (문화적 역량과는 다른 방식으로) 많은 사람들이 "두 세계 사이의 존재"로서 느끼는 양면성을 강조한다(예를 들어, 아프리카계 미국인 및 아일랜드인, 유대인 및 기독교인, 미국인 및 프랑스인으로 식별되는 사람). 그리고 인종학은 "역량"이라는 용어가 제시하는 기술적 숙달성을 존중한다. 인류학자 및 임상의는 공통의 신념을 공유한다. 그것은 경험의 중요성이다[29–33]임상의는 일종의 인류학자로서 환자의 병에 대한 살아 있는 경험에 공감할 수 있으며, 환자가 이해하고 느끼고 인지하고 반응하는 대로 병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Ethnography emphasizes engagement with others and with the practices that people undertake in their local worlds. It also emphasizes the ambivalence that many people feel as a result of being between worlds (for example, persons who identify as both African-American and Irish, Jewish and Christian, American and French) in a way that cultural competency does not. And ethnography eschews the technical mastery that the term “competency” suggests. Anthropologists and clinicians share a common belief—i.e., the primacy of experience [29–33]. The clinician, as an anthropologist of sorts, can empathize with the lived experience of the patient’s illness, and try to understand the illness as the patient understands, feels, perceives, and responds to it.


설명모델 접근법

The Explanatory Models Approach


우리 중 한 사람[AK]은 오늘날 미국 의과대학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설명 모델 접근법"사용하여, 사회적 세계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려는 인터뷰 기법(아래 설명)으로 설명했다.

One of us [AK] introduced the “explanatory models approach,” which is widely used in American medical schools today, as an interview technique (described below) that tries to understand how the social world affects and is affected by illness. 


그것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종종 임상의사와 임상의 학생들이 설명 모델을 잘못된 사용하는 것을 목격했다. 그들은 모형을 일종의 물질이나 측정(헤모글로빈, 혈압, X선 등)으로 구체화하고 대화를 시작하기보다는 대화를 끝내는 데 사용한다. [질병의 인간적 경험]이 [기술적 질병 범주]로 recast되는 순간, 그 경험에 중요한 무언가가 사라진다. 왜냐하면 [적절한 임상 문제]로서 검증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34].

Despite its influence, we’ve often witnessed misadventure when clinicians and clinical students use explanatory models. They materialize the models as a kind of substance or measurement (like hemoglobin, blood pressure, or X rays), and use it to end a conversation rather to start a conversation. The moment when the human experience of illness is recast into technical disease categories something crucial to the experience is lost because it was not validated as an appropriate clinical concern [34].


오히려 설명 모델은 임상 의사를 인간적 의사소통을 하도록 열어주고, 의사는 환자의 설명과 관점에 따라alongside 전문적 지식을 세팅해야 한다(over, above가 아니다). 이 접근법을 사용하여 임상의는 일련의 6단계로 구성된 "작은 민족지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정신장애 진단통계 매뉴얼(DSM-IV) 제4판에 수록된 문화형식의 개정이다([35]의 부록 I 참조 [36,37].

Rather, explanatory models ought to open clinicians to human communication and set their expert knowledge alongside (not over and above) the patient’s own explanation and viewpoint. Using this approach, clinicians can perform a “miniethnography,” organized into a series of six steps. This is a revision of the Cultural Formulation included in the fourth edition of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 (see Appendix I in [35]) [36,37].


개정된 문화적 형성

A Revised Cultural Formulation 


1단계: 민족적 정체성

Step 1: Ethnic identity. 


첫 번째 단계는 인종 정체성에 대해 묻고 그것이 환자에게 중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그것이 환자의 자아 감각의 중요한 부분인지 여부. 이 조사의 일환으로, 한 개인의 인종과 질병에 대한 경험을 인정하고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어떤 치료적 상호작용의 기본이며, 그 사람의 신원에 대한 존중하는respectful 조사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대화를 통해) 임상의는 사람마다 자신의 민족성을 다르게 살아가며, 민족성에 대한 경험이 복잡하지만 중요하고, 헬스케어 환경에서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는 인식을 전달할 수 있다. 

The first step is to ask about ethnic identity and determine whether it matters for the patient—whether it is an important part of the patient’s sense of self. As part of this inquiry, it is crucial to acknowledge and affirm a person’s experience of ethnicity and illness. This is basic to any therapeutic interaction, and enables a respectful inquiry into the person’s identity. The clinician can communicate a recognition that people live their ethnicity differently, that the experience of ethnicity is complicated but important, and that it bears significance in the health-care setting. 


민족성을 경험적 증거의 문제로 취급한다는 것은 상황에 따라 핵심적 측면salience이 좌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민족성은, DSM-IV 문화적 공식화가 암시하는 것처럼, 추상적인 정체성이 아니라, 삶을 어떻게 살아가는가에 대한 중요한 측면이다. 그것의 중요성은 경우에 따라 다르며 사람에 따라 다르다. 그것은 사람들이 가족, 직장, 사회적 네트워크 내에서 자신과 자신의 위치를 어떻게 보는지를 정의한다. 고정관념으로 이어질 수 있는 환자에 대한 지식을 전제로 하기보다는, 단순히 환자에게 민족성과 그 salience에 대해 물어보는 것이 가장 좋은 출발지점이다.

Treating ethnicity as a matter of empirical evidence means that its salience depends on the situation. Ethnicity is not an abstract identity, as the DSM-IV cultural formulation implies, but a vital aspect of how life is lived. Its importance varies from case to case and depends on the person. It defines how people see themselves and their place within family, work, and social networks. Rather than assuming knowledge of the patient, which can lead to stereotyping, simply asking the patient about ethnicity and its salience is the best way to start.


2단계: 무엇이 가장 중요한가?

Step 2: What is at stake? 


두 번째 단계는 환자와 그들이 사랑하는 사람들이 질병의 한 에피소드에 직면할 때 무엇이 걸려있는지at stake 평가하는 것이다. 이 평가에는 가까운 관계, 물질적 자원, 종교적 약속, 심지어 삶 그 자체가 포함될 수 있다. 임상의들이 "무엇이 위태로운가?"라는 질문을 할 수 있다. 이 질문에 대한 반응은 인종 집단 내부와 집단 사이에 다를 것이며, 환자와 그 가족의 도덕적인 삶을 조명할 것이다. 

The second step is to evaluate what is at stake as patients and their loved ones face an episode of illness. This evaluation may include close relationships, material resources, religious commitments, and even life itself. The question, “What is at stake?” can be asked by clinicians; the responses to this question will vary within and between ethnic groups, and will shed light on the moral lives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3단계: 질병 서사

Step 3: The illness narrative. 


3단계는 환자의 "질병 서사"을 재구성하는 것이다 [38]. 이것은 질병의 의미에 대한 이해를 얻기 위한 일련의 질문(박스 2)을 포함한다. 

Step 3 is to reconstruct the patient’s “illness narrative” [38]. This involves a series of questions (about one’s explanatory model) aimed at acquiring an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illness (Box 2). 


환자와 가족의 설명 모델은 [보살핌에 대한 중대한 시사점을 줄 수도 있는 문화적 의미]에 대한 대화를 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대화에서 임상의는 지역 세계의 문화적 차이에 대해 개방적이어야 하며, 환자는 의사가 그들 자신보다 더 이상 일정한 고정관념에 맞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The patient and family’s explanatory models can then be used to open up a conversation on cultural meanings that may hold serious implications for care. In this conversation, the clinician should be open to cultural differences in local worlds, and the patient should recognize that doctors do not fit a certain stereotype any more than they themselves do. 


4단계: 심리적 스트레스

Step 4: Psychosocial stresses. 


4단계는 사람들의 삶을 특징짓는 지속적인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원을 고려하는 것이다. 임상의사는 질병과 그 치료와 관련된 주요 정신사회적 문제들을 기록해야 한다(가정의 긴장, 업무상의 문제, 재정적인 어려움, 개인적인 불안). 예를 들어 박스 1의 사례 시나리오에서 설명한 임상의가 4단계를 수행했다면 멕시코계 미국인 환자와의 오해를 피할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임상의사는 전문적인 치료, 자가 치료, 가족 지원, 대체 또는 보완 의약품과 같은 환자의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인터벤션들을 열거할 수 있다.

Step 4 is to consider the ongoing stresses and social supports that characterize people’s lives. The clinician records the chief psychosocial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illness and its treatment (such as family tensions, work problems, financial difficulties, and personal anxiety). For example, if the clinicians described in the case scenario in Box 1 had carried out step 4, they could have avoided the misunderstanding with their Mexican-American patient. The clinician can also list interventions to improve any of the patient’s difficulties, such as professional therapy, self-treatment, family assistance, and alternative or complementary medicine. 


5단계: 문화가 임상 관계에 미치는 영향 

Step 5: Influence of culture on clinical relationships. 


5단계는 문화를 임상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의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이다. 임상의는 환자의 세계, 자신의 개인 네트워크, 그리고 생체 의학 및 기관의 전문적 세계에 기반을 두고 있다. 민족지학에서 중요한 한 가지 도구는 비판적 자기성찰critical self-reflection이다. 이것은 두 개 이상의 사회적 세계social worlds(예를 들어 연구자/의사의 세계, 인간학 연구의 환자/참여자의 세계) 사이에 있는 불안하지만 계몽적인 경험에서 유발된다.

Step 5 is to examine culture in terms of its influence on clinical relationships. Clinicians are grounded in the world of the patient, in their own personal network, and in the professional world of biomedicine and institutions. One crucial tool in ethnography is the critical self-reflection that comes from the unsettling but enlightening experience of being between social worlds (for example, the world of the researcher/doctor and the world of the patient/participant of ethnographic research). 


따라서, 또한, 임상의들을 훈련시킴으로서 [가장 일상적인 임상 관행에 대한 생물의학 및 기관의 문화가 가지는 형성적 효과를 드러내도록unpack 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에는 편견, 부적절하고 과도한 첨단 기술 사용, 그리고 물론 고정관념도 포함한다. 의사가 [생의학 문화의 영향]을 고려하도록 가르치는 것은 [전문가를 권위자로 보는 시각과, 기술적 전문지식이 항상 최선의 해답]이라는 미디어의 시각에 반하는 것이다.

So, too, it is important to train clinicians to unpack the formative effect that the culture of biomedicine and institutions has on the most routine clinical practices—including bias, inappropriate and excessive use of advanced technology interventions, and, of course, stereotyping. Teaching practitioners to consider the effects of the culture of biomedicine is contrary to the view of the expert as authority and to the media’s view that technical expertise is always the best answer. 


"무엇보다 고정관념으로 해를 끼치지 말라"는 문장은 이민자, 난민, 민족소수자들을 진료하는 모든 병원의 벽에 나타나야 한다. 그러나 문화는 이들 집단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모든 병원의 벽에 붙어있어야 한다.

The statement “First do no harm by stereotyping” should appear on the walls of all clinics that cater to immigrant, refugee, and ethnicminority populations. And yet since culture does not only apply to these groups, it ought to appear on the walls of all clinics.



6단계: 문화적 역량 접근법의 문제

Step 6: The problems of a cultural competency approach. 


마지막으로, 6단계는 효과성의 문제를 고려하는 것이다. 즉, "이 개입이 실제로 특정한 경우에 효과가 있는가?"를 묻는 것이다. 물론 잠재적인 부작용도 있다. 모든 개입은 잠재적으로 원하지 않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또한 문화주의적인 접근에도 해당된다. 아마도 문화적 역량의 가장 심각한 부작용은 [문화적 차이에 대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오히려 환자와 가족들에게는 불편할 수 있고], 심지어 [singled out된다는 기분이나 낙인을 쓰게 된다는 느낌을 받게]할 수 있다는 것이다 [3,11,12]. 또 다른 위험은 문화적 차이에 대한 지나친 강조는 문제의 문화적 근원을 규명할 수만 있다면 모든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잘못된 생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Finally, step 6 is to take into account the question of efficacy—namely, “Does this intervention actually work in particular cases?” There are also potential side-effects. Every intervention has potential unwanted effects, and this is also true of a culturalist approach. Perhaps the most serious side-effect of cultural competency is that attention to cultural difference can be interpreted by patients and families as intrusive, and might even contribute to a sense of being singled out and stigmatized [3,11,12]. Another danger is that overemphasis on cultural difference can lead to the mistaken idea that if we can only identify the cultural root of the problem, it can be resolved. 


상황은 보통 훨씬 더 복잡하다. 예를 들어, 영향력 있는 책인 "정령"에서 앤 파디만은 문화적으로 중요한 요인에 대한 무관심이 간질을 앓고 있는 젊은 흐몽 환자의 관리에 혼란을 야기하지만, 일단 문화적 문제가 해결되더라도, 여전히 쉬운 해결책이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33]. 대신에, 완전히 새로운 일련의 질문들이 제기된다.

The situation is usually much more complicated. For example, in her influential book, The Spirit Catches You and You Fall Down , Ann Fadiman shows that while inattention to culturally important factors creates havoc in the care of a young Hmong patient with epilepsy, once the cultural issues are addressed, there is still no easy resolution [33]. Instead, a whole new series of questions is raised.



환자에게 무엇이 중요한지 결정하기

Determining What Is at Stake for the Patient


고 프랑스의 도덕 철학자 에마뉘엘 레비나스에게 있어서, 한 사람의 고통 앞에서, 첫 번째 윤리적 과제는 인정acknowledgement이다[39]. 면대면의 도덕적 문제가 우선이며, 이것은 인식론적, 문화적 문제보다 우선한다[40]. 환자의 삶을 이해하는 데는 문화적 능력보다 더 기본적이고 결정적인 것이 있으며, 이것은 고통의 도덕적 의미, 즉 환자에게 위태로운 것, 환자가 깊은 수준에서 얻거나 잃는 것을 말한다

For the late French moral philosopher Emmanuel Levinas, in the face of a person’s suffering, the first ethical task is acknowledgement [39]. Face-to-face moral issues precede and take precedence over epistemological and cultural ones [40]. There is something more basic and more crucial than cultural competency in understanding the life of the patient, and this is the moral meaning of suffering—what is at stake for the patient; what the patient, at a deep level, stands to gain or lose. 


설명 모델 접근법은 예를 들어, "멕시코인들은 이 문제를 뭐라고 부르는가?"라고 묻지 않는다. "이 문제를 뭐라고 부르느냐"고 묻는다. 따라서 그룹의 대표자가 아닌 개인으로서 환자에게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호소가 이루어진다.

The explanatory models approach does not ask, for example, “What do Mexicans call this problem?” It asks, “What do you call this problem?” and thus a direct and immediate appeal is made to the patient as an individual, not as a representative of a group.


결론

Conclusion


다른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것을 알아내는 것은 테크니컬한 기술이 아니다. 그것은 환자에 대한 적극적elective 친화력이다. 이러한 성향은 의사의 자아 감각의 일부가 되며, 대인관계 기술은 시술자의 임상 자원의 중요한 부분이 된다[41]. Franz Kafka는 "타고난 의사"는 "사람에 대한 굶주림"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42]. 

Finding out what matters most to another person is not a technical skill. It is an elective affinity to the patient. This orientation becomes part of the practitioner’s sense of self, and interpersonal skills become an important part of the practitioner’s clinical resources [41]. It is what Franz Kafka said “a born doctor” has: “a hunger for people” [42]. 


그리고 그것의 주요 추진력은 고정관념이 아닌 개인으로서 환자에게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위험과 불확실성에 직면한 인간이란, 단순한 사례가 아니다. 그리고 이것은 의사가 비용 회계의 문제가 아니라 필수적인 도덕적 과제에 관여할 수 있는 기회이다 [43].

And its main thrust is to focus on the patient as an individual, not a stereotype; as a human being facing danger and uncertainty, not merely a case; as an opportunity for the doctor to engage in an essential moral task, not an issue in cost accounting [43].  







 2006 Oct;3(10):e294.

Anthropology in the clinic: the problem of cultural competency and how to fix it.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Anthropology at Harvard University, Boston, Massachusetts, United States of America. kleinman@wjh.harvard.edu
PMID:
 
17076546
 
PMCID:
 
PMC1621088
 
DOI:
 
10.1371/journal.pmed.003029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