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  - Giorgi, Colaizzi, Van Kaam방법을 중심으로 (JKAN, 1999)

A Comparison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 Focused on Giorgi, Colaizzi, Van Kaam Methods

김분한, 김금자, 박인숙, 이금재, 김진경, 홍정주, 이미향, 김영희, 유인영, 이희영

JKAN(대한간호학회지) 제29권 제6호, 1999.12, 1208-1220 (13 pages)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0세기 동안 제 학문을 주도해 온 2가지 패러다임은 논리 경험주의적 접근을 근거로 한 실증주의적 패러다임 과 인본주의에 근거한 자연주의적 패러다임이라 볼 수 있다. 오랫동안 많은 학문분과들이 실증주의적 패러다임 을 채택함으로써 자신의 학문분야를 '과학'으로 인정받 기 위해 노력해왔고, 간호학 역시 과학적 방법과 통계처 리, 연역법, 인과관계 추론의 방법을 통해 기능적 수준에 머물렀던 간호를 professional discipline과 practice science 로 정착하는데 어느정도 성공하였다(김남선, 1992). 


그러나 실증주의적 패러다임은 인간을 너무 단순화하 여 양적인 구성단위로서 인간이 갖는 의미를 축소함으로 써 인간을 전체로 파악하는데 제한적이며, 살아있는 인 간을 역동적인 전체로 어떻게 되돌려 줄 것인가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지 못한다.  


이에 많은 간호 연구자들은 대안을 찾고자 하여 1960 년대에 이르러 간호에 있어서 인간 경험의 의미와 본질 을 찾고 간호 현상을 포괄적으로 탐구하기 위한 주관적 이고 통찰, 발견, 해석에 중점을 두는 자연주의적 연구방 법인 질적 연구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1970년대에 는 간호학계에서 질적 연구접근에 본격적인 관심을 보이 기 시작하였고, 국내에서도 1980년대 후반기부터 간호학 박사과정생을 중심으로 질적 연구방법이 쓰여지면서 최 근 들어 간호연구에 있어 질적 연구접근이 활발하게 전개 되고 있다(신경림, 1996; Oiler, 1980; Anderson, 1991). 


질적 연구의 철학적 배경은 다양하지만, 참여자 중심의 시각에 근거하여 실재세계를 자연주의적, 총체적, 맥락중 심적, 역동적, 개별적, 사례중심적, 연역적, 서술적으로 발 견하고자 하며, 연구방법으로는 현상학적 접근, 근거이론 적 접근, 문화기술지적 접근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상학적 접근은 인간의 경험에 대한 연구에서 중요 하다. 현상학 연구자들은 지각과 판단의 모든 복합성을 가진 인간에 의해 경험되는 현상을 연구함으로써, 경험 의 개인적 의미를 파악하는 기술(description)을 통하여 대상자들의 실재에서 그들을 알고, 대상자들을 도울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현상학적 질적연구를 시도하려는 초보 연구자들을 위한 길잡이 역할로써 암환자 가족의 경 험을 중심으로 Giorgi(1970), Colaizzi(1978), Van kaam (1969)의 세가지 방법을 비교 고찰하여 각 분석법에 따른 결과의 측정을 비교해 실제에 적용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2. 연구의 목적  


II. 방법론적 배경 


학문을 연구하는 방법에서는 자연과학 철학에 근거한 양적 연구방법만이 과학적이며 객관성이 높고 체계적이 라는 생각이 오랫동안 지배해 왔다. 그러나 여러 학문 분야에서 인간을 탐구하는데 있어서 인간을 너무 단순화 하고 의미를 박탈한다는 양적 연구방법의 한계를 지적하 였다. 


간호학문 역시 인간을 총체적으로 보며, 인간은 통합 된 전체(unitary whole)라는 신념과 이런 통합체로서의 인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본주의에 기반을 두고 총체 적으로 접근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Oiler, 1982; Omery, 1983). 


따라서 인간의 주관적 경험이 중요함을 인지하고, 인 간의 생활세계와 밀접히 관련을 맺고 있는 인간 과학 철 학에 근거한 질적 연구방법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신경림, 1997). 질적연구 방법론은 사회적 세계에 대한 일련의 철학적, 인식론적, 이념적 가정들을 그 밑바탕에 깔고 있으며, 구체적인 질적 연구방법들은 서로 다른 이 론적 전통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질적 연구에 인식론 적 근거를 제공해 주는 주요 학문적 이론적 전통은 다양 하지만 가장 대표적이면서 질적 연구방법의 기초를 이루 고 있는 것은 현상학,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해석학 문화기술학이다(최영희, 1993). 


현상학은 살아 있는 인간 경험을 기술하는 것이며, 대 상자의 실재에 접촉하는 총체적인 접근을 요구한다. 현상 학(phenomenology)의 목적은 인간에 대한 이해의 증진으 로 명상적인 사고를 기초로 행동의 본질을 설명하는 것이 다(Omery, 1983). 현상학적인 방법은 몇 개의 학파가 있는 철학이며 연구 방법으로, 그 방법은 철학에 기인하는 것으 로서 후설(Edmund Husserl), 하이데거(Martin Heidegger), 사르트르(Jean- Paul Sartre), 그리고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 Ponty)의 연구를 이용한다(Cohen, 1987; Van Manen, 1990). 현상학적인 전통은 각자의 삶의 경험과 자신의 생활 세계 내의 목적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상학은 사물의 현상과 외양에 대한 연구이고, 그들의 본질 을 발견하는 것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다(Van Manen, 1990). 


따라서 현상학적인 접근은 간호의 맥락과 일치하며 통합된 인간에 대한 간호 개념을 파악하는데 가치가 있 다고 인식하였다. 현상학적인 방법은 대상자의 기술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인간이 경험하는 현상의 의미를 밝히 는 것으로, 귀납적이고 기술적(descriptive)인 연구 방법이다. Davis (1978)는 현상학이 임상 실무로부터 나오는 연구 문제와 임상 간호의 기능에 좀 더 적합하게 연구 문제를 제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현상학적인 방법이 주시를 받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이고 1980년대에 간호 연구에 현상학적 접근의 사용이 급증한다. 


간호학적 지식을 탐구하는 방법론적 원리로서 현상학적 접근이 지니는 의의는, 현상학적 판단중지는 기존의 지배적인 이론과 실천의 모든 간호모델에 대해 그 모델 속에 포함되어 있는 선관념적 요소들을 불식할 것을 요 구한다. 특히, 경험분석적 과학주의에 상응하는 인간관, 간호관 및 그러한 방법적 원리에 바탕한 질병위주의 목적달성 이론에 대해 현상학은 깊이 있는 반성적 성찰의 근거가 된다는 점이다. 또한 현상학적 상호주관성은 간호주체와 간호 대상의 간호관계에서 인간애에 바탕한 간 호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최남희, 1991). 즉 현상학이 간호에 의미하는 바는 주의깊은 기술과 대화를 통해 타 인을 알게 되는 인식을 만듬으로써 그리고 간호 경험에 서의 다양한 견해를 탐구함으로써 우리의 실재를 증가시 킬 수 있다는 것이다(최영희, 1993). 


훌륭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 결과가 될 수 있도록 하 기 위해서 

- 첫번째는 적절하고 충분한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고, 

- 두번째는 자료 분석의 창의성이다. 

연구자의 입 장에서 보면 창의적인 견고한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능 수능란한 질문과 가차없는 답변 추구, 적극적인 관찰, 그 리고 정확한 회상이 필요하다. 그것은 자료를 서로 조화 시키고, 보이지 않는 것을 분명하게 만들고, 그 결과들을 선례와 연결해서 인과 관계를 만드는 과정이다. 그것은 추측과 검증, 수정과 변형, 제안과 방어의 과정이다(신경 림, 1997). 


현상학 연구과정의 일련의 절차는 설명하기 어렵고, 그래서 많은 사람들에게 당혹감을 주는 원천이 되지만 성(reflection), 직관(intuiting), 판단중지(bracking ), 현상학적인 시각(seeing)은 현상학의 방법에서 그 과정을 밝히 기 위한 것이며, 분석단계의 기술은 이를 성취하기 위한 노력이다(최영희, 1993). 현상학적 방법의 자료분석은 현 상학적 분석을 이끄는 원리(guiding principles)를 준수할 것을 연구자에게 강요한다. 즉 연구참여자의 살아있는 경험의 의미를 밝히려는 의도를 가지고, 다른 데로 주의를 돌리지 않고 기술을 읽고 또 다시 읽어 연구자로 하여금 자료에 있는 함축적인 메시지 및 명백한 메시지에 대해 개방적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Parse et al, 1985). Boyd (1989)는 현상학적 연구의 자료 분석은 대상자의 면담 내 용으로부터 경험의 의미를 서술하는 것이라 하였다. 


현상학적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자료 분 석방법으로는 Spiegelberg에 의해 제시된 철학적 방법과 그로부터 변형되어 사회과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Giorgi, Colaizzi, Van Kaam, Van Manen의 방법 등을 들 수 있 으며, 간호학자 Benner와 Paterson과 Zderad가 변형시킨 현상학적 방법도 있다. 이들 방법은 다소의 차이를 가지 고 있다. 현상학적 자료분석방법의 진행 절차는 Giorgi, Colaizzi, Van Kaam, 등에 의해 제시되고 있다(Oiler, 1982 ; Omery, 1983). 



Ⅲ. 연구 방법 


1. 자료 수집  


2.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들로부터 얻은 면담내용을 Giorgi(1970), Colaizzi(1978), Van Kaam(1969)의 세가지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여 비교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면담자료는 현상학적 연구 경험이 있는 간호학 교수 1인 과 박사과정생 9명이 서로 토의하여서 타당성을 검정하 였고 Giorgi(1970), Colaizzi(1978), Van Kaam(1969)의 자료 분석방법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Giorgi의 방법 

Giorgi에 의해 제시된 현상학적 분석은 연구대상자의 기술에 대한 심층 연구를 통해 살아있는 경험의 의미를 밝히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 ① 사고를 시작하고 끝내는 단위 즉, 대상자의 언어 그대로 의 자신의 경험을 표현한 본래의 의미단위(identifying natural meaning unit )을 규명한다. 

  • ② 대상자의 언어로 표현된, 대상자의 경험을 나타내는 주제(theme)를 규명한다. 

  • ③ 연구자의 언어로 주제를 구체화하여 대상자의 경험이 대상자에게 의미하는 중심의미(focal meaning )을 규 명한다. 

  • ④ 중심의미를 통합하여 연구대상자의 관점에서 파악된 경험의 의미인 상황적 구조적 기술(situated structural  description)을 만든다. 

  • ⑤ 상황적 구조적 진술을 통해 전체 대상자의 관점에서 파악된 경험의 의미인 일반적 구조적 기술(general structural description)을 만든다(최영희, 1993). 



2) Colaizzi의 방법 

Colaizzi는 자료수집 방법을 기술하는데 거의 전체적 인 강조점을 두었다. 특히 그는 적절한 자료출처를 적절 한 자료 수집방법과 일치시키는 것에 강조를 두고 있다. Colaizzi 방법의 자료 분석과정은 다음과 같다. 

  • ① 자료에서 느낌을 얻기 위해 대상자의 기술(protocols) 을 읽는다. 

  • ② 탐구하는 현상을 포함하는 구, 문장으로부터 의미있 는 진술(significant statement )을 도출한다. 

  • ③ 의미있는 진술에서 좀 더 일반적인 형태로 재진술 (general restatement)한다. 

  • ④ 의미있는 진술과 재진술로부터 구성된 의미(formulated meaning)를 끌어낸다. 

  • ⑤ 도출된 의미를 주제(themes), 주제모음(themeclusters), 범주(categories)로 조직한다. 

  • ⑥ 주제를 관심있는 현상과 관련시켜 명확한 진술로 전하게 최종적인 기술(exhaustive description)을 한다(김분한외, 1996). 


3) Van Kaam의 방법 

Van Kaam(1969)은 Spiegelberg (1976)에 의해 규정된 필수 활동과 일치되는 현상학적 분석을 위해 다음과 같 은 수정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 ① 대상자와 녹음한 면담 내용을 여러 번 반복하여 들으 면서 대상자의 말 그대로를 글로 옮겨 기록하였다. 

  • ② 기술된 내용에서 본 연구와 관련하여 의미있는 진술 을 추출하였다. 

  • ③ 추출된 의미 있는 진술 즉, 원자료(raw data)를 반복 하여 읽으면서 각 진술에서 공통의 속성으로 묶어지 도록 범주화 작업을 실시하였다. 원자료(raw data)에서 공통적인 요소들끼리 모아서 부주제(subtheme)를 정했고, 비슷한 속성을 지닌 부 주제들을 다시 모아 주제(theme)로 모았으며 주제들 의 속성을 전체적으로 모아 범주화(category)하였다. 범주화된 자료에서 주제들은 자료의 우선 빈도별의 순위에 따라 나열하였다. 

  • ④ 분류된 범주화를 통해서 분석과 통합을 통해 현상에 대한 기술을 하였다(조영숙외, 1992). 


Ⅳ. 연구결과 및 논의 


1. Giorgi(1970) 방법의 결과 


암환자 가족의 질병경험은 암을 진단 받은 이후 치료 과정에 있어서 가족의 느낌, 생각, 행동, 생활변화를 중 심으로 연구참여자(사례1, 2, 3)의 경험을 표현한 43개의 의미있는 진술을 도출하였고, 연구참여자의 의미있는 진 술을 연구자의 언어로 주제를 구체화하면서 연구참여자 에게 의미하는 중심의미를 규명하였으며, 중심의미를 통 합하여 연구참여자의 관점에서 파악된 경험의 의미로서 상황적 구조적 기술이 <표1- 1, 1- 2, 1- 3>에서 제시되고 있다. 또한 연구에 참여한 사례1, 2, 3의 개별적인 상황 적 구조적 기술을 종합하여 일반적 구조적 기술로써 암 환자 가족경험을 말해주고 있다.  


2. Colaizzi(1978) 방법의 결과 


암환자의 가족경험을 나타내는 원 자료(protocols)로부 터 도출된 43개의 의미있는 진술(significant statements) 을 주의깊게 보면서 의미를 구성하였다. 이때 연구자는 통 찰력을 가지고 직관과 분석기술을 이용하여 원 자료와의 일치여부를 확인하면서 연구참여자의 의도를 명확히 기 술하고자 노력하였고 이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의 표현을  가능한 그대로 사용하여 좀 더 일반적인 형태로 재진술 (general rest atement )하여 <표 2>에서와 같이 21개의 구성된 의미(fomulated meaning )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의미에서 15개의 주제(themes)를 선정하였고, 이 과정에 서 현상학을 이해하고 있는 간호학 교수 1인, 간호학 박 사과정생 9인으로부터 타당성을 검정한 후 5개의 주제 모음(theme clusters)-부담감, 역할갈등, 가족이나 타인에 대한 고마움, 간병의지, 치료에 대한 양가감정으로 확정하 였고. 이를 부정적 대처, 긍정적 대처의 범주(categories)로 최종적으로 조직하였다.  


3. Van Kaam(1969) 방법의 결과 


43개의 의미있는 진술을 여러번 반복하여 읽고 문헌 고찰 및 국어사전을 참조하여 연구자의 직관에 의해 분 석한 암환자 가족의 경험을 가족기능의 변화 의 경험과 부담감 경험의 두가지로 범주화(categories) 하였다   


〈표 l> Giorgi 방법 분석결과 

<표 1- l> 사례 1(남편 )   



4. 논 의  

세 가지 방법의 분석결과가 모두 주제(theme)를 기술한다는 점이 기술(description of reporting )상의 공통 속성이면서도 분석상의 서로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다. 


  • Giorgi 방법의 특성은 상황적 구조적 진술에서 연구 참여자의 개인의 독특성을 자세히 설명해 주고 있으며, 전체 연구 참여자의 경험은 일반적 구조적 진술에서 통 합하였다  

  • Colaizzi 방법의 특성은 개인적 속성보다는 전체 연구 참여자의 공통적인 속성을 도출해 내는데 초점을 맞춘 방법이다. 참여자의 의미있는 진술에서 구성된 의미가 도출되고, 구성된 의미(formulated meaning )에서 주제 (theme) 및 주제모음(theme cluster )을 확인하여 범주화 (category )한 결과 부정적 대처의 범주에는 부담감, 역할 갈등, 치료에 대한 양가감정이 나타났고, 긍정적 대처의 범주에는 간병의지, 가족이나 타인에 대한 고마움으로 나타났다. Colaizzi 방법은 가족구성원 전체의 경험을 도출해 내기 때문에 암환자 간호중재를 위한 이론개발을 하기에 용이한 방법으로 사료되나, 가족구성원 개개인의 경험을 파악하기는 어렵다는 단점을 고려해야 한다. 

  • Van Kaam 방법의 특성은 의미있는 진술문의 빈도와 순서를 찾아낼 수 있는 양적 특성도 가지고 있다. 또한 전체 연구참여자의 공통적인 속성을 도출한다는 점과 분석한 내용을 주제(theme)와 범주(category)로 조직한다 는 점에서 Colaizzi의 방법과 유사하나 분석 기술상의 차이는 Colaizzi의 방법에서의 주제(theme)는 연구참여자가 표현한 언어를 빌어서 기술하는 특성을 갖고있는 반면에 Van Kaam 방법에서는 참여자의 의미있는 진술에서 부 주제(subtheme)를 선정하고 이를 다시 통합하여 주제 (theme) 및 범주(category)로 조직하는데, 주제(theme)를 기술함에 있어서 Van Kaam과 Giorgi의 방법은 참여자 의 표현 그대로가 아니라 연구자의 정련된 언어로 기술 한다는 점이 다르다.  


V. 결 론 


본 연구는 현상학적 질적연구를 시도하려는 초보 연 구자들을 위한 길잡이 역할로써 암환자 가족의 경험을 중심으로 Giorgi(1970), Colaizzi(1978), Van Kaam(1969) 의 현상학적 방법론적 결과의 특성을 비교 고찰하기 위 한 목적으로, 경기지역 S병원 암환자 병동에 입원 중인 말기 암환자의 가족들을 면담한 결과 가족구성원을 대표 하는 환자 배우자, 딸, 맏며느리를 연구참여자로 하여 심 층면담한 자료를 Giorgi(1970), Colaizzi(1978), Van Kaam(1969)의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암환자 가족경험을 세가지 방법으로 분석해 보았을 때 

  • Giorgi의 방법은 가족 구성원중 개인적 경험에 초점 을 두고 있으므로 암환자를 간호하는 가족 구성원 개인 의 주관적인 경험을 자세하게 파악할 수 있었고, 

  • Colazzi 의 방법은 가족 전체의 경험을 광범위한 차원에서 분석 함으로써 암환자 가족간호중재를 위한 이론개발에 유용 한 자료가 될 것이며, 

  • Van Kaam의 방법은 암환자 가족 구성원 전체의 경험을 빈도별로 제시함으로써 우선순위를 고려할 수 있다.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 Giorgi, Colaizzi, Van Kaam방법을 중심으로
= A Comparison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 Focused on Giorgi, Colaizzi, Van Kaam Methods

http://www.riss.kr/link?id=A100114825 복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