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보건의료인 교육에서 TBL 활동 보고 가이드라인(Acad Med, 2012)

Perspective: Guidelines for Reporting Team-Based Learning Activities in the Medical and Health Sciences Education Literature

Paul Haidet, MD, MPH, Ruth E. Levine, MD, Dean X. Parmelee, MD, Sheila Crow, PhD,

Frances Kennedy, PhD, P. Adam Kelly, PhD, MBA, Linda Perkowski, PhD,

Larry Michaelsen, PhD, and Boyd F. Richards, PhD



TBL은 1970년대 후반에 급속히 증가하는 학생수로 인해, 교실당 100명 이상의 학생들이 입학하게 되는 비즈니스 교육에서 문제 해결과 개념 응용 프로그램에 초점을 맞추는 수단으로 개발되었다.

TBL was developed in the late 1970s as a means of maintaining a focus on problemsolving and concept applications in business education, where rapidly rising enrollments resulted in more than 100 students per classroom.


1999년 이후 TBL은 "건강과 질병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원칙과 기술을 현명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학습자의] 능력을 개발"하는 교육 전략을 요구하는 LCME의 입장에 부합하였기 때문에 보건의료계의 관심을 끌었다. 또한 리더십, 커뮤니케이션 및 팀워크 기술을 배양해야 한다는 요구에도 부합했다.2 또한, 교육과정 리더들은 TBL이 다른 소규모 그룹 교육 방법보다 더 적은 수의 교수진을 필요로 하기 한다는 점에서, 교수진의 시간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고려할 때, TBL이 매력적이라고 생각한다.3

Since 1999, TBL has attracted interest in the health sciences because it is consistent with Liais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standards that call for teaching strategies that “develop [learners’] ability to use principles and skills wisely in solving problems of health and disease”1 and because it helps address a growing need to cultivate learners’ leadership, communication, and teamwork skills.2 In addition, given ongoing erosion of faculty time for teaching, curriculum leaders find TBL attractive because it requires fewer faculty than other small-group instructional methods.3


점점 더 많은 수의 의과대학들이 TBL을 임상 전 및 임상 교육과정에 어떤 식으로든 채택하고 있다.5,6 2011년 11월 현재 MedEdPORTAL 온라인 커리큘럼 리소스는 다양한 기본 및 임상 과학에 걸친 40개 이상의 TBL 모듈과 자료가 올라와있다.

A growing number of medical schools are adopting TBL in some fashion in their preclinical and clinical curricula.5,6 As of November 2011, the MedEdPORTAL online curriculum resource offered more than 40 peer- reviewed TBL modules and materials spanning a variety of basic and clinical sciences.7


TBL은 다양한 조합과 순서가 있으며, 구현가능한 범위도 단일 세션부터 전체 과정까지 다양하다.38 이러한 가변성 때문에 TBL에 대한 발표된 논문을 이해, 비평, 복제 또는 비교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TBL occurs in a variety of combinations and permutations; possible implementations range from single sessions3,37 to entire courses.38 Because of this variability, it may be difficult to understand, critique, replicate, or compare published reports about TBL


TBL의 구조

The Structure of TBL


TBL은 [실세계 시나리오에 담긴 내용의 유의미한 적용]을 강조하면서, 기초적 사실 습득 이상을 추구하고 있다. 여기에는 일반적으로 [복잡한 추론, 토론 및 "건설적 논쟁"]을 촉진하기 위해 특별히 준비된 문제에 대한 그룹 내 및 그룹 간 논의가 포함된다.

TBL moves beyond basic acquisition of facts to emphasize meaningful application of session or course content in real-world scenarios. This typically involves intra- and intergroup discussions of problems that are specifically prepared to foster complex reasoning, debate, and “constructive controversy.”48


권고안 개발

Developing the Recommendations



우리는 TBL에 대한 문헌 검색 결과와 자체 경험을 활용하여 12개 기사 각각에 대해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함으로써 이러한 논의를 풍부하게 했다.

We used the results of our literature search and our own experiences with TBL to enrich these discussions by asking the following questions about each of the 12 articles:


  •   보고된 교수법을 TBL이라고 부를 수 있는가?

  •   그렇지 않다면 누락된 TBL 요소는?

  •   TBL이라고 부를 수 있다면, 어떤 요소가 특정 방법을 TBL로 정의하는 데 가장 중요한가?

  •   Can the teaching method described in the article accurately be called TBL?

  •   If not, which TBL elements are missing fromthe teaching method as described?

  •   If it can accurately be called TBL, which TBL elements as described are most instrumental in defining the teaching method as TBL?


TBL의 7가지 핵심 요소: 팀 구성, 준비 상태 보증(RA), 즉각적인 피드백, 동급 문제 해결 순서, "4 S", 인센티브 구조 및 안전 점검.

the seven core elements of TBL: 

  • team formation, 

  • readiness assurance (RA), 

  • immediate feedback, 

  • sequencing of in-class problem solving, 

  • the “four Ss,” 

  • incentive structure, and 

  • peer review.


우리의 개념 모델은 핵심 요소의 특성이 학습자 참여의 매개 변수를 통해 학습 성과와 간접적으로 연계된다고 가정한다. 이 모델은 

  • 텐츠에 대한 참여(예: 노출/사고/학습, 주제 적용)와 

  • 료와의 참여(예: 팀 내 상호작용의 효과)

...의 두 가지 유형의 상호 관련 학습자 참여를 가정한다.

This conceptual model (Figure 1) assum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ployed core elements are indirectly linked to learning outcomes through the mediating factor of learner engagement. This model assumes two types of interrelated learner engagement: engagement with content (e.g., depth of exposure/thought/ learning, application of the subject matter) and engagement with peers (e.g., effectiveness of interactions within teams).


9명의 저자는 모두 58개 조항의 최종 목록을 검토하여 새 조항이 가이드라인을 변경해야 하는 문제를 제기했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최종 기사 목록은 보충 디지털 부록 1 참조)

All nine authors reviewed the final list of 58 articles to evaluate whether the new articles raised issues that would necessitate a change in the guidelines. (For the final list of articles, see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http://links.lww.com/ACADMED/A72.)




TBL 보고 가이드라인

Guidelines for Reporting TBL Implementations in the Medical and Health Sciences Education Literature


우리는 

  • (1) TBL 구현의 일반적인 맥락과 범위를 기술하는 것

  • (2) 7가지 핵심 TBL 요소와 관련된 설계 결정을 기술하는 것

...의 두 개의 전체 섹션으로 지침을 정리했다. 우리는 저자들이 TBL 구현 결과를 보고하는 논문의 "방법" 또는 "교육과정 개발" 섹션에 이 지침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We have organized guidelines into two overall sections related to describing 

  • (1) the general context and scope of the TBL implementation and 

  • (2) the design decisions related to the seven core TBL elements. 

We anticipate that authors could use these guidelines to shape “method” or “curriculum development”50 sections of articles reporting results of TBL implementations.




TBL의 7가지 핵심 요소별 설계 결정 설명

Describe the design decisions specific to the seven core elements of TBL


TBL 구현의 맥락과 범위에 대한 설명에는 다음 항목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야 한다.

Descriptions of a TBL implementation’s context and scope should contain information about the following items:


  •   팀당 전체 클래스 크기 및 학습자 수

  •   관련 교직원의 수 및 전공(예: TBL에 대한 이전 경험)

  •   과목(TBL을 사용한 전체 과정 또는 세션 중 하나)

  •   구현 상황(예: 단일 세션, 과정 내 일련의 세션, 전체 과정)

  •   구현 전 TBL에 대한 학습자의 친숙성 추정

  •   Overall class size and number of learners per team

  •   Number and background (e.g., prior experience with TBL) of faculty involved

  •   Subject (either of the overall course or of the sessions that used TBL)
  •   Context of the implementation (e.g., single session, series of sessions in a course, entire course)

  •   Estimate of learners’ familiarity with TBL prior to the implementation



TBL 구현의 일반적인 컨텍스트 및 범위 설명

Describe the general context and scope of the TBL implementation



표 1은 7가지 핵심 요소에 대한 개요를 보여준다.

Table 1 presents an overview of the seven core elements,



7가지 핵심 요소에 대한 설명은 구현과 관련된 설계 결정의 내용, 시기, 시기, 방법 및 이유에 초점을 맞출 때 가장 유익할 것이다.

Descriptions of the seven core elements will be most informative when they focus on the what, when, who, how, and why of the design decision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팀 구성

Team formation.


TBL에서는 팀 간에 자원이 균등하게 배분되어야 한다. 학습자가 자신의 팀을 구성하도록 허용된 경우, 그러한 동등한 분포는 일반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The TBL method calls for resources to be distributed equally across teams. Such equal distribution does not typically occur when learners are allowed to formtheir own teams,



프로세스

Processes

    •   팀이 자체 구성 또는 강사에 의해 구성되었는지 여부

    •   학습자에게 분류 프로세스가 투명했는지 여부

    •   Whether teams were self-formed or formed by the instructor

    •   Whether the sorting process was transparent to learners

요인

Factors

    •   코스 또는 세션 내용에 대한 사전 지식 및 학습자의 배경

    •   학습자의 전반적인 경험 수준(예: 3학년 의대생, 거주자)

    •   팀 구성 프로세스에 사용된 이러한 요인 또는 기타 요인에 대한 논리적 근거

    •   선택된 요소들이 팀 간에 균등하게 분포되었는지에 대한 추정치

    •   Learners’ background with and prior knowledge of course or session content

    •   Learners’ overall experience level (e.g., third-year medical students, residents)

    •   Rationales for these or other factors used in the team formation process

    •   Estimate of the success with which the selected factors were equally distributed among teams


준비도 확인

Readiness assurance.


RA 프로세스와 자료에 대한 적절한 설명은 학습자의 습득, 보존 및 지식 전달에서 관찰된 변화를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Adequate description of RA processes and materials will therefore help the reader evaluate observed changes in learners’ acquisition, retention, and transfer of knowledge.


구조

Structure

    •   사용된 일반 RA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

    •   개별 학습자 및/또는 팀의 참여(예: 개별 RA 테스트 [RAT], 그룹 RAT)

    •   RA 프로세스 중에 책, 노트 또는 기타 자료의 사용 허용 여부 및 방법

    •   팀이 등급 결정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지 여부 및 이를 위한 프로세스

    •   Description of the general RA process employed

    •   Involvement of individual learners and/ or teams (e.g., individual RA tests [RATs], group RATs)
    •   Whether and how use of books, notes, or other materials was permitted during the RA process

    •   Whether teams could appeal grading decisions, and the process for doing so


내용

Content

    •   RA 프로세스 중에 포함되는 콘텐츠의 양과 수준

    •   가능한 경우, 콘텐츠의 예

    •   The amount and level of content covered during the RA process

    •   Examples of content, where possible


즉각적 피드백

Immediate feedback.


RAT와 일반적인 퀴즈 간의 주요 차이점 중 하나는 성과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이 개인과 팀 모두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프로세스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One of the main differences between RATs and typical quizzes is the presence of a process to ensure that immediate feedback about performance is provided both to individuals and to teams.


따라서 즉각적인 피드백에 대한 다음 세부 사항은 중요하다.

The following details about immediate feedback are therefore important

    •   즉각적인 피드백이 제공되었는지 여부
    •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RA 프로세스(즉, 개별, 그룹)의 부분
    •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절차
    •   Whether immediate feedback was provided

    •   The portions of the RA process (i.e., individual, group) for which immediate feedback was given

    •   The procedures used to provide immediate feedback


수업 내 문제해결의 순서 

Sequencing of in-class problem solving.


문제 해결 또는 "응용 프로그램" 활동은 TBL 방법의 핵심이다. 응용 프로그램 활동의 순서는 과정 콘텐츠와 동급생 모두의 학습자 참여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Problem-solving, or “application,” activities represent the heart of the TBL method. The sequencing of application activities is important because it can affect learner engagement with both course content and their peers.

    •   팀 내 / 팀 간 토론의 존재여부와 순서

    •   각 유형의 토론에 할애된 시간의 상대적 비율

    •   수행된 application activities의 활동 수

    •   The presence and sequence of intrateam and interteam discussions

    •   The relative proportion of time devoted to each type of discussion

    •   The number of application activities performed


네 가지 S

The four Ss.


4개의 S는 팀 내 토론과 팀간 토론 모두에서 개념적 깊이를 창출하는 핵심이며, 따라서 학생의 이해, 지식 유지 및 참여와 매우 관련이 있다.

The four Ss are at the heart of creating conceptual depth in both intrateam and interteam discussions and are therefore critically related to student understanding, knowledge retention, and engagement.


    •   4개의 S를 구현한 방법

    •   학습자가 application activities를 수행하는 장소

    •   팀별 솔루션이 전체 클래스에 보고된 방법

    •   응용 프로그램 태스크의 컨텐츠 세부 정보(가능한 경우 대표 응용 프로그램 태스크 사용 가능)

    •   How the four Ss were implemented

    •   The location(s) where learners worked on application activities

    •   How team solutions were reported to the entire class

    •   Details of the application tasks’ content (where possible, make representative application tasks available)


인센티브 구조

Incentive structure.


학습자는 개별 준비, 개방된 팀 커뮤니케이션, 존중하는 의견 불일치 및 고품질 문제 해결과 같은 규범적 행동을 개발하기 위한 인센티브를 요구한다. 따라서 인센티브 구조는 학습 과정의 중요한 구성 요소다.

Learners require incentives to develop normative behaviors such as individual preparation, open team communication, respectful disagreement, and high-quality problemsolving. The incentive structure is therefore a critical component of the learning process.


    •   코스의 채점 절차(또는 성적과 관련이 없는 경우, 다른 인센티브 구조)

    •   인센티브의 성격과 시기

    •   인센티브가 주어지는 대상자(개인 또는 팀)

    •   복수의 인센티브를 사용한 경우 인센티브 가중치

    •   학습자가 인센티브 구조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예: 등급 가중치에 대해 요청된 클래스 입력)

    •   The grading procedures of the course (or, if grades are not relevant, any alternate incentive structures)

    •   The nature and timing of the incentives

    •   To whom the incentives were directed (individuals or teams)

    •   The weighting of incentives, if multiple incentives were used

    •   Whether learners had any influence in determining the incentive structure (e.g., class input solicited on grade weights)


동료평가

Peer review.


동료평가의 logistics를 관리하고, 학습자에게 의미 있고 정직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고안되었다.

A number of methods have been devised to manage logistics and provide learners with a safe environment in which they can provide meaningful and honest feedback to their peers.


    •   동료평가를 사용했는지 여부

    •   동료평가 절차의 구조 설명

    •   동료 검토 프로세스 결과에 대한 평가 데이터(예: 학습자 자기 성찰 수준, 행동 변화, 만족도)

    •   Whether peer-review methods were used

    •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peer- review procedures

    •   Evaluation data regarding peer-review- process outcomes (e.g., levels of learner self-reflection, behavior changes, satisfaction)


현실에서의 가이드라인 적용

The Guidelines in Practice


예를 들어, 우리는 제안된 지침을 사용하여 TBL에 대한 3개의 초기 보고서, 338,51과 1개의 최근 보고서52를 비평했다. 우리의 비평 결과는 표 2에 나타나 있다.

As an example, we used our proposed guidelines to critique three early reports3,38,51 and one recent report52 about TBL. The results of our critique appear in Table 2.



2011년 문헌 검토에서, 우리는 팀 구성 프로세스에 관한 더 자세한 내용을 포함하고 동료 검토 프로세스를 포함하거나 포기하기로 결정한 뒤의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많은 기사들이 개선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In our 2011 review of the literature, we noticed that many articles could be improved by including more detail regarding the teamformation process and by providing the rationale behind decisions to include or forgo a peer- review process.



결론

Conclusion


다른 대학원과 전문학교와 비교했을 때, 의료 및 보건과학 교육은 많은 차원에 따라 높은 수준의 가변성을 가진다. 이러한 차원의 예로는...

  • 과정과 관련된 교수의 수와 전공

  • 코스의 길이 

  • 코스의 성적이 매겨지는지 여부

  • 다양한 수준의 학습자 또는 코스 내용과 관련된 전문 지식이 있는지 여부 

  • 학습자가 코스 제공과 동시에 여러 개의 경쟁적 책임을 갖는지 여부(예: 거주 의사의 환자 관리 책임)

Compared with other graduate and professional schools, medical and health sciences education settings have a high level of variability along a number of dimensions. Examples of these dimensions include 

  • the number and background of faculty involved in a course, 

  • the length of a course, 

  • whether the course is graded, 

  • whether there are multiple levels of learners or of expertise relative to the course content, and 

  • whether learners have multiple competing responsibilities at the same time that the course is delivered (e.g., resident physicians’ patient care responsibilities). 


또한, 의료 및 보건 과학 교육자들은 리더십, 커뮤니케이션, 팀워크와 같은 기본적인 사실적 지식을 뛰어넘는 과정 콘텐츠에 점점 더 많이 통합되고 있다. 이 환경은 전통적으로 비건강 환경에서 사용되었던 교육 방법을 조정하여 혁신의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나 TBL과 같은 새로운 방법의 적응은 구현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특정 교수법의 효과와 결과에 대한 일반적인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 어렵다.

In addition, medical and health sciences educators are increasingly incorporating into courses content that goes beyond basic factual knowledge, such as leadership, communication, and teamwork. This environment provides opportunities to innovate by adapting methods of instruction that traditionally have been used in nonhealth settings. However, adaptations of novel methods, such as TBL, may differ across implementations, making it difficult to draw general conclusions about the effect and outcomes of a particular teaching method.


예를 들어, 문제 기반 학습(PBL)의 경우, 불완전한 implementation과 교수들이 "PBL"이라는 용어를 해석하는 방식의 가변성으로 인하여 의학교육 문헌에서 모호성이 생겼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성공적인 능동 학습 방식으로 판명된 것의 배포를 지연시켰을 수 있다.53

For example, in the case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incomplete descriptions of implementations and variability in the way that faculty interpreted the term “PBL” created a degree of ambiguity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that may have slowed the dissemination of what ultimately proved to be a successful active-learning mode of instruction.53


17 Zgheib NK, Simaan JA, Sabra R. Using team- based learning to teach pharmacology to second year medical students improves student performance. Med Teach. 2010;32: 130–135.









 2012 Mar;87(3):292-9. doi: 10.1097/ACM.0b013e318244759e.

PerspectiveGuidelines for reporting team-based learning activities in the medical and healthsciences education literature.

Author information

1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Hershey, USA. phaidet@hmc.psu.edu

Abstract

Medical and health sciences educators are increasingly employing team-based learning (TBL) in their teaching activities. TBL is a comprehensive strategy for developing and using self-managed learning teams that has created a fertile area for medical educationscholarship. However, because this method can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ways, published reports about TBL may be difficult to understand, critique, replicate, or compare unless authors fully describe their interventions.The authors of this article offer a conceptual model and propose a set of guidelines for standardizing the way that the results of TBL implementations are reported and critiqued. They identify and articulate the seven core design elements that underlie the TBL method and relate them to educational principles that maximize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within teams. The guidelines underscore important principles relevant to many forms of small-group learning. The authors suggest that following these guidelines when writing articles about TBL implementations should help standardize descriptive information in the medical and health sciences education literature about the essential aspects of TBL activities and allow authors and reviewers to successfully replicate TBL implementations and draw meaningful conclusions about observed outcomes.

PMID:
 
22373620
 
DOI:
 
10.1097/ACM.0b013e318244759e


중국 의학교육에서 TBL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BMC Med Educ, 2018)

Meta-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team-based learning on medical education in China

Minjian Chen1*, Chunhui Ni2, Yanhui Hu3, Meilin Wang1, Lu Liu4, Xiaoming Ji1, Haiyan Chu1, Wei Wu5, Chuncheng Lu1, Shouyu Wang1, Shoulin Wang1, Liping Zhao6, Zhong Li7, Huijuan Zhu4, Jianming Wang8, Yankai Xia5 and Xinru Wang5




배경

Background


방법

Methods


연구 설계

Study design


In this study, we planned and conducted meta-analysis following the guidelines of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rotocols 2015 statement recommendations [14].


문헌 검색

Literature search


포함 기준

Inclusion criteria


자료 추출과 퀄리티 평가

Data extraction and quality assessment


통계적 풀링과 이질성 평가

Statistical pooling and evaluation of heterogeneity


민감도 분석
Sensitivity analyses


출판편향 평가

Publication bias evaluation



결과

Results


연구 특징과 퀄리티 평가

Study characteristics and quality assessment


The inclusion process of all studies is shown in Fig. 1.


Table 2 shows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13 included studies.











자료 통합

Data synthesis


The effectiveness of TBL on medical education was assessed by pooling theoretical examination scores, and the results on the learning attitude and self-directed learning skill are shown in the present study (Fig. 2, Table 3).


We found that TBL significantly increased students’ examination scores when compared with LBL in random-effects model (SMD= 2.46, 95% CI: 1.53–3.40, I2 =98.0%, Pheterogeneity < 0.001) (Fig. 2,Table3).




이질성 평가

Test of heterogeneity


Total methodological quality는 이질성의 원인이 아니다.

We used meta-regression method to explore the sources of heterogeneity. Table 4 shows that the total methodological quality could not explain the source of heterogeneity (P = 0.975).



educational classification이 원인일 수 있다.

Meta-regression analysis further showed that education classification might be a contributing factor of heterogeneity in nonrandomized group (P=0.073) (Table 5).


undergraduate students에서 heterogeneity가 크게 감소한다.

Figure 3 shows that the heterogeneity was dramatically decreased in nonrandomized studies of undergraduate students (5-year program)


TBL은 유의한 시험성적 향상을 가져온다.

we found TBL significantly increased examination scores in random-effects model (Fig. 3) (Table 5).


여학생만으로 구성된 medical college에서 heterogeneity는 없다.

There was no heterogeneity in the pooled analysis of the medical college students of only females (I2 = 9.4%, P heterogeneity = 0.332, Fig. 4, Table 5),













민감도 분석

Sensitivity analyses


When any research was removed from the model, the significant results of TBL effect on the students’ examination scores were unchanged in these models (SMD: 2. 26–2.67, 95% CI: 1.32–3.67, n = 13) (Fig. 5).


All the abov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indings were robust.




고찰

Discussion


보고서는 학생들이 TBL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때 학습이 더 효과적이며, TBL은 미국에서 높은 학생 만족도를 야기한다고 밝히고 있다[33–35]. TBL은 능동적인 학습 교육학 접근법으로서, 교사와 교실의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학생-교사 비율이 허용된 중국 같은 의학교육에 적합하다[13].

Reports reveals that learning is more effective when students are actively involved in TBL, and TBL results in high student satisfaction in the USA [33–35]. TBL as an active learning pedagogical approach fits for the status of Chinese medical education, such as permission of a large student-teacher ratio to solve the problem of lack of teachers and classrooms [13].


우리는 TBL이 풀링된 분석에서 LBL 교육학에 비해 학생 이론 시험 점수, 학습 태도, 학습 능력을 향상시켰으며, 이론 시험 점수에 대한 TBL의 긍정적인 영향도 부분군 분석과 민감도 분석에서 검증되어 중국에서의 TBL 시행의 중요성을 나타냈다. 특히, TBL과 전통적인 LBL에 대한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일본과 미국에서 수행된 연구[36–38]와도 비슷한데, 이는 본 연구에서 TBL의 긍정적 효과가 국가-특이적이진 않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We found that TBL improved student theoretical examination scores,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skill compared to LBL pedagogy in the pooled analysis, and the positive effect of TBL on theoretical examination scores was also verified in sub-grouping analysis and sensitivity analysis,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the implement of TBL in China. Notably, these findings about TBL and traditional LBL were also supported by studies conducted in Japan and the USA [36–38], indicating the positive effectiveness of TBL in the present study may be not country-specific.


  • 중국에서는 undergraduate course(5년 과정)는 이론적이고 실용적인 가르침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이 과정의 학생들은 종종 learning basis를 가지고 있다. 

  • 반면 medical college(3년 과정)은 실용적 가르침에 초점을 맞춘다. 

따라서 학생들의 이론적 시험 점수는 교육 수준과 긍정적으로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나(계수 = 2.69, 95% CI:0.16–5.21, P = 0.041(표 4-5), learning basis와 learning objective가 의료 교육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나타낸다.

In China, undergraduate course (5-year program) focuses on theoretical and practical teaching, and its students often have better learning basis, while medical college course (3-year program) focuses on practical teaching. The students’ theoretical examination scores appeared positively related to education levels (meta-regression for all studies, Coefficient = 2.69, 95% CI:0.16– 5.21, P = 0.041) (Fig. 3) (Tables 4-5), indicating the learning basis and learning objective may impact the effect of TBL on medical education.


이질성이 낮은 학부생에 대한 비랜덤화 연구(I2 = 57.5%, Pheterynthia = 0.052), 풀링된 분석(그림 3)에서 TBL이 중국의 undergraduate students에 대한 의학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증거를 제공하였다.

in the nonrandomized studies of undergraduate students with lower heterogeneity (I2 = 57.5%, Pheterogeneity = 0.052), significant effect was observed in the pooled analysis (Fig. 3), providing the evidence about the positive effect of TBL on medical education in undergraduate students in China.



한계와 미래 연구

Limitations and future studies


중국에서는 편의상 서로 다른 학년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대부분의 교육 연구가 실시되었다. 그러나, 우리는 무작위화되지 않은 이 설계가 그 결과를 손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 메타 분석에서, 무작위화가 연구 결과(계수 =-4.28, 95% CI:-7.61–0.95, P =0.021)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작위화된 연구 설계를 사용하여 교육적 연구 품질을 개선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In China, most educational studie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comparison of different classes for convenience. However, we should notice that this nonrandomized design may compromise the findings. In this meta-analysis, we observed that the randomization appeared to change the study results (meta-regression for all studies, Coefficient =−4.28, 95% CI:-7.61–0.95, P =0.021),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 educational study quality by using randomized study design.


LBL은 여전히 중국에서 의학 교육을 이론적으로 가르치는 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교육학이다. 따라서 어떤 새로운 교육학적 접근법의 효과성을 LBL과 참고자료로 비교해야 하는데, 이는 매우 실질적인 의미를 갖는다.

LBL is still the most commonly used pedagogy in theoretical teaching of medical education in China. Therefore, the effectiveness of any new pedagogical approach should be compared with LBL as a reference, which has a great practical significance.


이 연구는 학생 조사에 의한 학습 태도 및 숙련도 측정의 객관성뿐만 아니라 높은 인지 수준을 측정하기 보다는 암기를 테스트할 수 있는 연구들에서 이론적 시험에 여전히 제한되어 있었다.

the study was still limited in theoretical examination in those studies which might test memorization rather than measuring higher cognitive levels as well as the objectivity of measures of learning attitude and skill by student survey.



Conclusions






 2018 Apr 10;18(1):77. doi: 10.1186/s12909-018-1179-1.

Meta-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team-based learning on medical education in China.

Chen M1Ni C2Hu Y3Wang M4Liu L5Ji X4Chu H4Wu W6Lu C4Wang S4Wang S4Zhao L7Li Z8Zhu H5Wang J9Xia Y6Wang X6.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Occupational Medicine and Environmental Health, School of Public Health, Nanjing Medical University, No. 101 Longmian Road, Nanjing, 211166, China. minjianchen@njmu.edu.cn.
2
Experimental Teaching Center of Preventive Medicine, Nanjing Medical University, Nanjing, 211166, China.
3
Safety Assessment and Research Center for Drug, Pesticide and Veterinary Drug of Jiangsu Province, Nanjing Medical University, Nanjing, 211166, China.
4
Department of Occupational Medicine and Environmental Health, School of Public Health, Nanjing Medical University, No. 101 Longmian Road, Nanjing, 211166, China.
5
Department of Student Affairs, School of Public Health, Nanjing Medical University, Nanjing, 211166, China.
6
Department of Toxicology, School of Public Health, Nanjing Medical University, Nanjing, 211166, China.
7
Office of School of Public Health, Nanjing Medical University, Nanjing, 211166, China.
8
Department of Nutrition and Food Hygiene, School of Public Health, Nanjing Medical University, Nanjing, 211166, China.
9
Department of Epidemiology, School of Public Health, Nanjing Medical University, Nanjing, 211166, China.

Abstract

BACKGROUND:

Team-based learning (TBL) has been adopted as a new medical pedagogical approach in China. However, there are no studies or reviews summarizing the effectiveness of TBL on medical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obtain an overall estim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BL on outcomes of theoretical teaching of medical education in China.

METHODS:

We retrieved the studies from inception through December, 2015. Chinese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hinese Biomedical Literature Database, Chinese Wanfang Database, Chinese Scientific Journal Database, PubMed, EMBASE and Cochrane Database were searched. The quality of included studies was assessed by the Newcastle-Ottawa scal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 was applied for the estimation of the pooled effects. Heterogeneity assumption was detected by I2 statistics, and was further explored by meta-regression analysis.

RESULTS:

A total of 13 articles including 1545 participants eventually entered into the meta-analysis. The quality scores of these studies ranged from 6 to 10. Altogether, TBL significantly increased students' theoretical examination scores when compared with lecture-based learning (LBL) (SMD = 2.46, 95% CI: 1.53-3.40). Additionally, TBL significantly increased students' learning attitude (SMD = 3.23, 95% CI: 2.27-4.20), and learning skill (SMD = 2.70, 95% CI: 1.33-4.07). The meta-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randomization, educationclassification and gender diversity were the factors that caused heterogeneity.

CONCLUSIONS:

TBL in theoretical teaching of medical education seems to be more effective than LBL in improving the knowledge, attitude and skill of students in China, providing evidence for the implement of TBL in medical education in China. The medical schools should implement TBL with the consideration on the practical teaching situations such as students' education level.

KEYWORDS:

China; LBL; Medical educationMeta-analysis; TBL

PMID:
 
29636039
 
PMCID:
 
PMC5894173
 
DOI:
 
10.1186/s12909-018-1179-1


보건의료인 교육에서 TBL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BEME Guide No. 30 (Med Teach, 2013)

The effectiveness of team-based learning on learning outcom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BEME Guide No. 30

MIM FATMI, LISA HARTLING, TRACEY HILLIER, SANDRA CAMPBELL & ANNA E. OSWALD

University of Alberta, Edmonton, Canada




도입

Introduction


보건전문직 학생이 증가함에 따라, (능동적인 학습이 향상된 지식 유지와 기술 적용을 초래한다는 믿음으로 인해) 능동적인 학습 전략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Forsetlund 등). 2009). 전통적인 강의 기반 학습이 학생들에게 정보를 상기시키는 것을 가르치는 데는 성공할 수 있지만, 보건의료인은 비판적으로 생각하고 새로운 상황에 그들의 지식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Parmlee & Michaelsen 2010).

With increasing enrolment in health professions programmes,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active learning strategies due to the belief that active learning results in enhanced knowledge retention and skills application (Forsetlund et al. 2009). While traditional lecture-based learning can be successful in teaching students to recall information, health professions students must also be able to think critically and apply their knowledge in novel situations (Parmelee & Michaelsen 2010).


문제 기반 학습(PBL) 사례 기반 그룹 토론, 워크샵 및 청중 응답 시스템

Problem-based learning (PBL) case-based group discussion, workshops and audience response systems.


이러한 방법들이 학생들의 참여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지만, 그들은 또한 극도로 자원 집약적일 수 있다.

While these methods have proven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student engagement, they can also be extremely resource-intensive.


팀 기반 학습(TBL)은 능동적 학습과 교수진 교육 시간의 이슈의 균형을 맞추려고 시도한다(Searle et al. 2003).

Team-based learning (TBL) attempts to balance the issues of active learning and faculty teaching time (Searle et al. 2003).


TBL은 래리 마이클슨 박사에 의해 1970년대 비즈니스 커리큘럼에서 개발되었다.

TBL was developed by Dr. Larry Michaelsen in a business curriculum in the 1970s.


Michaelsen은 TBL의 과정을 세 가지 주요 단계로 세분화하여, 

  • (1) 학생에 의한 사전 준비, 

  • (2) 개인 및 그룹 준비도 확인, 

  • (3) 전체 학급과의 토론 및 분석을 포함한 적용(Koles et al. 2010). 


또한

  • 같은 팀의 유지

  • 즉각적인 피드백 

  • 의미 있는 동료 평가 프로세스

...역시 TBL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 전략의 토대가 된다(Michaelsen & Parmelee, 개인 커뮤니케이션, 2011).

Michaelsen refined the process of TBL over the years to characterise it with three main phases: (1) advanced preparation by the students, (2) individual and group readiness assurance and (3) application, including discussion and the The analysis with entire class (Koles et al. 2010). permanence of teams, immediate feedback and a meaningful peer evaluation process are additional cornerstones of this learner-centred educational strategy (Michaelsen & Parmelee, personal communication, 2011).


보건전문직교육에서 TBL의 첫 번째 구현은 2001년 베일러 의과대학에서 보고되었다(Haidet et al. 2002). 그 후 1년이 지나지 않아 미국의 10개 의료기관이 TBL을 시범 운영하였다(Searle et al. 2003).

The first reported implementation of TBL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was at the Baylor College of Medicine in 2001 (Haidet et al. 2002). Within one year, 10 medical institutions in the United States piloted TBL (Searle et al. 2003).


임상 교육의 몇 가지 구체적인 특징은 보건의료인 교육에만 있는 특징이다. 예를 들어, 보건의료인이 될 학생들은 intense WBL에 준비가 되어있어야 하며, 종종 high stake상황으로, 팀워크와 협력같은 다양한 영역의 역량을 필요로 한다(Amin & Eng 2009). 또한, 임상추론, 환자 기반 교육, 학생-교사-환자 간의 삼각 상호작용과 같은 요소는 다른 교육 분야와는 보건의료인 교육을 구별짓는 부분이다(Amin & Eng 2009).

Some of the specific features of clinical teaching are unique to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For example, health professions students require preparation for intense workplace-based learning which is often in a high stakes setting that requires attention to multiple domains of competency such as team work and collaboration (Amin & Eng 2009). In addition, elements like clinical reasoning, patient-based teaching and tripartit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teachers and patients set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part from other educational disciplines (Amin & Eng 2009).


연구 문제

Research question


TBL이 건강 전문가 교육에서 학습 성과를 개선하는 데 효과적인가?’’

‘‘Is TBL effective in improving learning outcom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방법

Methods


검색 전략

Search strategy


We identified relevant studies from the electronic databases listed in Table 1. T


The specific terms and search strategies can be found for health-related databases in Table 2 and general databases in Table 3.




스크리닝과 연구 선택

Screening and selection of studies


The titles and abstracts generated from the electronic database searches were collated in a RefWorks reference management database.


방법론적 퀄리티 평가

Assessment of methodological quality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included studies was evaluated independently by two reviewers (TH and MF) using 

    • the Cochrane Risk of Bias tool for controlled trials (Higgins & Green 2009) and 

    • the Newcastle–Ottawa Scale (NOS) for cohort studies (Wells et al. 2000).


자료 추출
Data extraction


Data were extracted and entered into an electronic data extraction form.


분석

Analysis


Our inclusion criteria allowed for a mixture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The data were synthesized with guidance from methods described by Ogawa and Malen (1991) who have developed a method for synthesis based on the exploratory case study method. Thus, evidence was iteratively synthesised by grouping studies by various constructs including by the population involved and nature of the comparison group, and summarised according to the reported outcomes which were grouped by Kirkpatrick level. The results of this synthesis were then described, categorised and summarised in Table 5.


Evidence tables detailing study characteristics (including population,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s, design and any modifications to classic TBL) (Table 6), results and authors’ conclusions are provided (Table 7).






결과

Results


그림 1은 연구 선택 과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30030개의 연구가 확인되었고, 14개가 포함되었다(표 6).

Figure 1 presents a flow diagram of the study selection process. Three hundred and thirty studies were identified, and 14 were included (Table 6)






포함 14개 연구 중 12개가 미국에서, 1개는 레바논에서, 1개는 오스트리아에서 각각 실시되었다(위너 외 연구). 2009). 의과 8명, 약국 3명(Letcy et al. 2008; Conway et al. 2010; Zgheib et al. 2010), 치과의학(Pilegi & O'Neill 2008) 및 간호학(Menga 2010)을 포함한 13개의 학부 교육이 관련되었다.

Of the 14 included studies, 12 took place in the United States, 1 in Lebanon (Zgheib et al. 2010) and 1 in Austria (Wiener et al. 2009). Thirteen of the studies concerned undergraduate education, including eight in medicine, three in pharmacy (Letassy et al. 2008; Conway et al. 2010; Zgheib et al. 2010), one in dentistry (Pileggi & O’Neill 2008) and one in nursing (Mennenga 2010).


그 어떤 연구도 skill 향상이나 환자를 위한 개선과 같은 상위 성과를 평가하지 않았다.

None of the studies evaluated Kirkpatrick outcomes such as skills or improvements for patients.




포함된 연구의 방법론적 품질 및 편중 위험

Methodological quality and risk of bias of included studies


품질평가는 다양한 방법론적 단점을 드러내며 이는 표 8과 9의 연구에 의해 보고된다.

Quality assessment reveals various methodological shortcomings and these are reported by study in Tables 8 and 9.


11개의 코호트 연구 중 8개의 경우, 연구대상이 실제로 평균적인 보건의료전문직 학생을 대표했으며, 노출된 코호트와 노출되지 않은 코호트는 모두 동일한 커뮤니티에서 도출했다(Nieder et al. 2005; Levine et al. 2004; Letshy et al. 2008; Pilegi & O'Neill 2008; Conway et al. 2010; Mennenga 2010; Zgheib et al. 2010; Zingone et al. 2010. 한 연구는 다섯 명의 학생이 낙제로 lost되었고, 따라서 남은 코호트는 [대체로는 보건의료전문직 학생군을 대표하지만] 진정으로 대표하지는 않는다고 보았다.

For 8 of the 11 cohort studies, the learners were truly representative of the average health-care professions student, and both exposed and non-exposed cohorts were drawn from the same community (Nieder et al. 2005; Levine et al. 2004; Letassy et al. 2008; Pileggi & O’Neill 2008; Conway et al. 2010; Mennenga 2010; Zgheib et al. 2010; Zingone et al. 2010). One study lost five failing students, leading the reviewers to deem the remaining cohort somewhat, but not truly, representative of the average health professions class.


대부분의 연구는 학습 적합도, 이력 등과 관련하여 노출된 코호트와 노출되지 않은 코호트 사이의 잠재적 교란 요인에 대한 통제를 시도하지 않았다.

The majority of studies did not attempt to control for potential confounders between the exposed and non-exposed cohorts with regard to learning aptitudes, histories, etc.;


모든 연구에서는 수집 및 평가할 성과가 명확했는데, 하나는 지식 점수였고, 다른 하나는 학습자 반응이었다.

All studies had a clear definition of the outcome being assessed and collected the outcome data via record linkage for knowledge scores and via student self-reporting for learner reaction.


포함된 연구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included studies


표 5는 포함된 모든 연구의 중재, 대조군, 측정 결과 및 주요 결과에 대한 요약을 제공한다.

Table 5 provides a summary of the interventions, comparators, outcomes measured and main findings of all included studies.


TBL 정의와 연구에서 구현된 모델 사이의 사소한 불일치는 표 6에 설명되어 있다.

minor discrepancies between our definition of TBL and the model implemented in the study are described in Table 6.


표 6과 7은 포함된 모든 연구의 결과를 설명한다.

Tables 6 and 7 describe the results of all included studies.






지식

Knowledge


모든 14개의 연구는 TBL 그룹의 지식 기반 학습 성과를 보건 교육 커리큘럼의 non-TBL 그룹과 비교하여 평가했다.

All 14 studies evaluated knowledge-based learning outcomes in a TBL group compared with a non-TBL group in a health education curriculum,


모든 연구는 지식 결과를 보고했으며, 이러한 결과는 TBL이 시행된 학기 또는 과정 내에서 측정되었다. 7개 연구에서는 TBL 그룹의 지식 점수가 non-TBL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했다고 보고하였다(p50.05)

All studies reported knowledge outcomes and these were measured within the semester or course in which TBL was implemented. Seven studies repo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p50.05) in knowledge scores for the TBL group compared with a nonTBL group.


4개의 연구는 TBL과 비TBL 그룹의 지식 점수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보고했다(p40.05).

Four studies report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nowledge scores of the TBL and non-TBL group (p40.05).


비교군

Comparison group


비교대상군을 어떻게 선택하는지는 TBL에서 지식 점수가 높은지 여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8개의 연구는 TBL을 전통적인 교육 강의와 비교했으며, 이 중 3개는 TBL 그룹의 지식 점수의 상당한 향상을 보고했다(Nieder 등, 2005; Levine 등). 2004; Koles 등 2010).

The choice of comparator did not appear to influence whether knowledge scores favoured TBL or any one alternate teaching method. Eight studies compared TBL to traditional didactic lectures, three of which repor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knowledge scores for the TBL group (Nieder et al. 2005; Levine et al. 2004; Koles et al. 2010).


학습자 반응

Learner reaction


최소 1152명의 참가자를 포함한 7개 연구(726명 중 TBL을 받은 사람)는 TBL과 비 TBL 그룹 사이의 제어된 학습자 반응 점수를 보고했다(한 연구에서는 제어 그룹 참여자 수를 보고하지 않았다). 단 하나의 코호트 연구(p50.05)만이 TBL 그룹을 유의하게 선호한다고 보고했다(Levine 등). 2004).

Seven studies, involving at least 1152 participants (726 of whom received TBL), reported controlled learner reaction scores between a TBL and non-TBL group (one study did not report the number of control group participants). Only one (p50.05) cohort study reported a significant difference favouring the TBL group (Levine et al. 2004).


반복적인 TBL 커리큘럼이 시행된 연구는 문헌 검색에서 발견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학생들이 TBL이라는 새로운 학습 전략에 익숙해지면 reaction 점수가 시간에 따라 향상될지 여부는 불확실하다.

Studies in which a recurrent TBL curriculum was implemented were not found in the literature search, and therefore the authors were not able to determine if learner reaction scores might improve over time as students become familiar with this new learning strategy.


고찰

Discussion


여기서 제시된 연구는 TBL 커뮤니티의 설립자 및 리더와 함께 검증한 TBL의 정의를 준수했다.

the studies presented here complied with a definition of TBL that was verified with founders and leaders of the TBL community.


결과는 지식 점수에 대한 긍정적 효과와 중립적 효과를 모두 보여주며, 반면 TBL에 대한 학습자 반응은 엇갈렸다. 이러한 발견들은 TBL의 효과를 시사하는 증거를 찾는 사람들에게 유익하다. TBL이 반드시 더 나은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전통적인 방법들과 동등한 수준의 지식 목표를 달성한다고 볼 수 있다. 단, TBL을 시행하는 커리큘럼 계획자는 학습자의 잠재적인 부정적 반응을 완화하기 위해 예방 조치를 취할 것을 권고한다.

The results show both positive and neutral effects on knowledge scores, while learner reaction towards TBL was mixed. These findings are beneficial to those who seek evidence suggesting the effectiveness of TBL in achieving the same, if not better, knowledge objectives as more traditional methods. However, curriculum planners who do implement TBL are advised to take precautions to mitigate potentially negative learner reactions to this teaching strategy.


14개의 연구가 분석에 포함되었고, 이 연구의 절반(7개)은 TBL을 선호하는 지식 점수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p50.05)를 보고했다.

Fourteen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nd half (7) of these studies repo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p50.05) in knowledge scores favouring TBL


연구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보고된 네 가지 연구(p40.05)는 견고했고 품질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표 8과 9 참조).

The four studies reporting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tudy groups (p40.05) were robust and scored high on quality assessment (see Tables 8 and 9).


학습자 반응의 통제된 비교를 보고한 7개 연구 중 단 1개만이 TBL을 선호하는 학습자 반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고했다(Levine 등). 2004), 한 연구는 대조군을 선호했다(Willett et al. 2011).

Of seven studies reporting a controlled comparison of learner reaction, only one repo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er reaction favouring TBL (Levine et al. 2004), while one study favoured the comparator (Willett et al. 2011).


[TBL에서 지식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했다는 것]과 [통제된 학습자 만족도 데이터]를 둘 다 보고한 네 개 연구 중 단 한 연구에서만 학습자 반응의 유의한 향상을 보고했다(Levine et al. 2004). 이러한 상충되는 지식과 학습자 만족도 결과는 TBL과 관련된 학습부하 증가(예: 사전 읽기 및 준비 필요)와 TBL에서 요구되는 동료평가에 대한 전문적 문화와 책무성 때문일 수 있다. 우리에서 대학의 근골격계 의학에 관한 임상 전 의과 학생 강좌에서 TBL을 시행한 몇몇 저자들의 최근 경험도 이러한 가설과 비슷하다.

Of the four studies that reported both a significant increase in knowledge scores for TBL and also reported controlled learner satisfaction data, only one study repor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learner reaction (Levine et al. 2004). We hypothesise that these conflicting knowledge and learner satisfaction results may be due to the strain of increased workload associated with TBL (e.g. required advanced readings and preparation) and a change in the professional culture towards peer assessment and accountability that TBL introduces. These hypotheses are supported by some of the authors’ (AO and TH) recent experiences of TBL implementation in a preclinical medical student course on musculoskeletal medicine at our home university.


Knowledge outcome에 대한 성과는 대조군의 유형에 관계없이 일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대부분의 비교 집단은 전통적인 강의로 구성되었고, CBGD와 SGL도 TBL에 대한 일반적인 대안 교육 방법이었다.

The results for knowledge outcomes appeared to be consistent regardless of the type of comparator used in the included studies. The majority of comparison groups were comprised of traditional lectures, while CBGD and SGL were also common alternative teaching methods to TBL.


이 검토의 주요 제한사항은 포함된 연구의 방법론적 품질 때문이다. 포함된 연구의 대부분은 코호트 설계였고, 대다수는 non-concurrent한 설계였다. 또한, 이러한 편의 연구의 저자들은 종종 통계적 비교를 허용하기에 충분한 통계 정보나 충분한 데이터를 보고하지 않았다.

The major limitations of this review are due to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included studies. Most of the included studies were cohort designs, and the majority of them were non-concurrent. Further, the authors of these convenience studies often did not report full statistical information or sufficient data to allow for statistical comparisons.


두 번째 잠재적 제한은 이 검토에 대한 포함 기준의 제약과 관련이 있다. 한 가지 제약조건은 이 검토를 위해 등록된 프로토콜에서 수용된 TBL의 검증된 정의를 완전히 준수하는 연구에 대한 포함을 제한하는 것이었다.

A second potential limitation relates to the constraints of the inclusion criteria for this review. One constraint was restricting inclusion to studies that fully complied with the validated definition of TBL that was accepted in the registered protocol for this review.


TBL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학습 전략이 지식의 적용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상위 수준의 application outcome이 보고되지 않았다는 점은 다소 실망스럽다. 우리는 TBL에 대한 미래 연구는 지식 보유와 같은 학문적 성과를 넘어서, 비판적 사고 능력과 같은 비학문적 결과를 똑같이 검토할 것을 권고한다.

This is somewhat disappointing as this learning strategy is meant to emphasise the application of knowledge, and these higher level application outcomes were not reported in the included studies. We recommend that future studies on TBL look at academic outcomes beyond knowledge retention, such as critical thinking abilities, and non-academic outcomes alike as studies of these outcomes were not found through our searches.


TBL이 학생들이 기존의 교육 전략보다 높은 지식 점수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는 증거의 증가 외에도, 이 검토에서 포착되지 않은 TBL에 대한 다른 잠재적 이득도 존재한다. 여기에는 다음이 있다.

  • 학생들 간 그룹 활동에 대한 새로운 감사appreciation, 

  •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에 대한 통제를 해야 한다는 요구, 

  • 다른 소규모 그룹 학습 방법에 비해 교수 시간의 현저한 감소 (Searle et al. 2003; Parmelee & Michaelsen 2010).

In addition to the growing body of evidence suggesting that TBL enables students to achieve knowledge scores as high as, or higher, than traditional teaching strategies, there also exist other potential benefits to TBL not captured in this review. These include 

  • a renewed appreciation for group work amongst students, 

  • a demand that students take control over their learning and 

  • significant reduction in faculty time as compared to many small group learning methods (Searle et al. 2003; Parmelee & Michaelsen 2010).


결론

Conclusions


어떤 연구도 TBL 그룹의 점수의 감소를 보고하지 않았으며, 우리는 이것이 이전에 습득한 지식의 적용을 강조하는 능동적인 학습 전략을 찾고 있는 커리큘럼 계획자들과 소규모 그룹 학습 활동에 대한 교수진의 수가 제한된 사람들에게 안도감을 준다.

no studies reported a decrease in scores in the TBL-group and we feel this is reassuring to curriculum planners who are looking for active learning strategies that emphasise the application of previously acquired knowledge and to those who have limited numbers of faculty for small group learning activities.


TBL에 대한 학습자 반응은 일반적으로 학생들의 지식 점수가 높아졌을 때에도 대조군 그룹보다 높지 않았다. 즉, 성적이 향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대체 교육 방법보다 TBL을 선호하지 않았다. 이는 학생들의 업무량 및 책임감이 증가했기 때문일 수 있다.

Learner reaction to TBL generally was not higher than the comparator group, even when students’ knowledge scores increased; that is, despite improved performance, students did not prefer TBL to the alternate teaching method. This may be due to the increased student workload and accountability


연구 함의

Implications for Research


(1) TBL에 대한 향후 연구는 특히 비판적 사고 능력 및 지식의 적용과 같이, 지식 보유 이상의 학문적 성과에 초점을 맞출 것을 권고한다. 이러한 결과가 있는 연구는 우리의 검색을 통해 발견되지 않았으며, 이러한 교육 전략의 기초가 되는 원칙에 핵심적이기 때문이다.

(1) We recommend that future research on TBL specifically focus on academic outcomes beyond knowledge retention, such as critical thinking abilities and application of knowledge, as studies with these outcomes were not found through our searches and are core to the principles underlying this teaching strategy.


(2) 보통 반응과 학습은 다른 학습 전략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진다. 그런데 TBL에서는 학습자 반응이 혼합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지식 보유의 명백한 증가와 비교했을 때 학습자 반응이 긍정적이지 않은 이유를 보다 자세히 검토하기 위해 향후 연구를 권고한다.

(2) We recommend future research to examine in more detail why learner reaction is mixed and generally not positive compared to evident increases in knowledge retention, as these two outcomes often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in other learning strategies.


(3) TBL에서 철저하고 서술적인 보고를 통해 보다 강력한 1차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음을 알게 된다. 우리는 이것이 통계적 메타분석이나 완전한 질적 메타합성 작용을 이 분야에서 수행할 수 있기를 바란다.

(3) We find that there is a definite need for more robust primary research to be conducted in TBL with thorough and descriptive reporting. We hope this will allow for statistical meta-analyses or full qualitative metasynthesis to be performed in this field.


(4) 학문적 학습 성과 향상에 관한 TBL의 효과에 대한 예비 증거를 확립한 후, TBL의 특정 요소가 어떻게, 그리고 왜 특정 방법에서 효과적이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연관성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를 권고한다.

(4) Having established some preliminary evidence for the effectiveness of TBL on improving academic learning outcomes, we recommend that future research work towards drawing specific associations on how and why particular elements of TBL are effective in the way they are.



CBGD – 사례 기반 그룹 논의는 애플리케이션 문제를 중심으로 소규모 그룹 및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보건 직업 교육에서 약 5-15명의 학습자로 구성된 팀은 실제 임상 사례를 시뮬레이션하는 환자 사례를 연구한다.

CBGD – Case-based group discussion takes place in small groups and centres around application problem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 teamof about 5–15 learners works on a patient case simulating a real-life clinical case.


전통적 강의 – 일부 교육적 프레젠테이션 형식으로 학습자 그룹(규모에 따라 다름)에게 강의하는 강사로 정의됨. 학습자 상호 작용과 그룹 토론은 전통적인 강의에서 보통 미미하다.

Traditional Lecture – Defined as an instructor lecturing to a group of learners (varying in size) in some didactic presentation format. Learner interaction and group discussion is usually minimal in a traditional lecture.







 2013 Dec;35(12):e1608-24. doi: 10.3109/0142159X.2013.849802.

The effectiveness of team-based learning on learning outcom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BEME Guide No. 30.

Author information

1
University of Alberta , Edmonton , Canada.

Abstract

BACKGROUND:

Team-Based Learning (TBL) is a student-centred active learning method, requiring less faculty time than other active learning methods. While TBL may have pedagogical value, individual studies present inconsistent findings. The aim of this systematic review wa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BL on improving learning outcom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ETHODS:

A peer-reviewed systematic review protocol was registered with the Best Evidence in Medical Education (BEME) organization. After comprehensive literature searching, title and full-text review were completed by two independent reviewers. Included studies assessed TBL and a valid comparator in health professions. Included studies were assessed for methodological quality by two independent reviewers. Studies were categorised by outcomes using the Kirkpatrick framework.

RESULTS:

Of 330 screened titles, 14 were included. Seven studies reported significant increase in knowledge scores for the TBL group, four reported no difference and three showed improvement but did not comment on statistical significance. Only one study report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learner reaction for the TBL group while another study reported a significant difference favouring the comparator.

CONCLUSIONS:

Despite improvement in knowledge scores, there was mixed learner reaction. This may reflect the increased demands on learners in this student-centred teaching strategy, although further study is needed.

PMID:
 
24245519
 
DOI:
 
10.3109/0142159X.2013.849802


기존의 확립된 가이드라인을 TBL 프로그램에 적용하기(Acad Med, 2014)

Applying Established Guidelines to Team-Based Learning Programs in Medical Schools: A Systematic Review

Annette W. Burgess, PhD, MBT, MEd, MMedEd, Deborah M. McGregor, MHSc(Ed), and

Craig M. Mellis, MD, MPH




Parmlee와 동료1은 팀 기반 학습(TBL)을 "[개별 학습, 팀 활동, 즉각적인 피드백]을 포함하는 일련의 활동을 통해 학생들에게 개념적 지식을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능동적 학습이자 소그룹 교육 전략"으로 정의했다.

Parmelee and colleagues1 defined team-based learning (TBL) as “an active learning and small group instructional strategy that provides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apply conceptual knowledge through a sequence of activities that includes individual work, team work, and immediate feedback.”


가장 순수한 형태의 TBL은 고도로 구조화되어있으며, 특정 단계를 구현해야 하고, 권장되는 핵심 설계 요소가 있다.

In its purest format, TBL is highly structured and requires the implementation of specific steps and recommended core design elements.1


TBL은 최근 몇 년 동안 의학 교육에서 인기를 얻었다.1 어떤 형태로든 TBL을 채택한 의과대학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2,3

TBL has gained popularity in medical education in recent years.1 A growing number of medical schools have adopted TBL in some format.2,3


하이데트와 동료4는 의학 및 보건과학 문헌에서 TBL이 보고되고 비평되는 방식을 표준화하기 위한 일련의 지침을 제안했다.

Haidet and colleagues4 proposed a set of guidelines for standardizing the way in which TBL is both reported and critiqued in the medical and health sciences literature.


이 지침에 따라, 연구자는 프로그램의 범위(클래스 크기, 주제 등)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것 외에, "TBL 방법의 기반이 되는 7가지 핵심 설계 요소"에 대해서도 보고해야 한다.4

According to these guidelines, in addition to outlining the scope (class size, subject, etc.) of the program, researchers should also report on the “seven core design elements that underlie the TBL method.”4


이러한 요소는 팀 구성, 준비 상태 보증(RA), 즉각적인 피드백, 동급 문제 해결의 순서, 4개의 S(중대한 문제, 동일한 문제, 특정 선택 및 동시 보고), 인센티브 구조 및 안전 점검이다.

These elements are 

  • team formation, 

  • readiness assurance (RA), 

  • immediate feedback, 

  • sequencing of in-class problem solving, 

  • the four S’s (significant problem, same problem, specific choice, and simultaneous reporting), 

  • incentive structure, and 

  • peer review.


방법

Method


우리의 문헌 검색은 학부 의료 프로그램에서 TBL에 관한 147개의 잠재적 문헌을 산출했다(우리의 완전한 검색 및 연구 선택 전략은 그림 1 참조).

Our literature search yielded 147 potential publications on TBL in undergraduate medical programs (see Figure 1 for our complete search and study selection strategy).


이 전체 텍스트 분석에서 TBL 프로그램의 구현 컨텍스트 및 범위와 관련된 데이터를 추출했다(부록 1 참조).

From this full-text analysis, we extracted data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context and scope of the TBL program (see Appendix 1),


그런 다음 우리는 하이데트와 동료4가 개발한 지침을 사용하여 TBL에 대한 문헌을 비평했다.

We then used the guidelines developed by Haidet and colleagues4 in critiquing the body of evidence on TBL.


우리는 (1) 사전 준비, (2) RA, (3) 응용 연습의 3단계를 포함하는 고전적인 TBL 프로그램을 고려했다.2

We considered a classic TBL program one that included three phases: 

  • (1) advanced preparation, 

  • (2) RA, and 

  • (3) application exercise.2




결과

Results


최종 검토에 포함시킨 20개 기사 중 14개는 고전적인 TBL 프로그램을, 6개는 변형된 것을 기술했다. 이 연구는 10개의 다른 국가에서 실시되었으며, 미국 내 7개 대학이 이 연구의 절반(10개)을 차지한다.

Of the 20 articles we included in our final review, 14 described a classic TBL program and 6 described modified ones. The studies were conducted in 10 different countries, with seven universities in the United States representing half (10) of the studies.


TBL 프로그램 맥락

Context of TBL programs


기초과학, 의학 윤리학, 신경학, 약학, 해부학, 증거 기반 의학, 보행 치료, 정신의학, 병리학, 생리학

basic sciences, medical ethics, neurology, pharmacology, anatomy, evidence-based medicine, ambulatory care, psychiatry, pathology, and physiology.


TBL 프로그램은 임상기간(6/20)보다 임상전기간(14/20)에 더 많이 적용되었다.

TBL programs were more commonly applied during the preclinical years (14/20) than the clinical years (6/20).


기간

Scope


대부분의 TBL 프로그램들은 1시간 반에서 2시간이었다.

the majority of TBL programs were one and a half to two hours long.


전체학생 및 팀 크기

Class and team size


학급 크기는 정신과 임상실습 학생 20명부터 기초 과학 임상 애플리케이션 과정 240명까지 다양했다.13 팀당 학생 수는 4명부터 최대 12명까지 다양했다.9

Class sizes ranged from 20 students in a psychiatry clerkship12 to 240 in a basic sciences clinical application course.13 The number of students per team ranged from as low as 4 members14 to up to 12 members.9


팀 구성

Team formation


무작위 또는 알파벳 순으로 할당하는 것은 팀 구성의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었다.

Random or alphabetical allocations were the most commonly described methods of team formation.


니더와 동료들은 무작위 할당 전략을 적용하는 것 외에도, 니더와 동료들은 성별 혼합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를 사용했다고 보고했고, 토머스와 보웬14는 성별 혼합과 경험적 혼합을 모두 보장하기 위한 조치를 사용했다고 보고했다.

In addition to applying a random allocation strategy, Nieder and colleagues17 reported using measures to ensure gender mix, whereas Thomas and Bowen14 reported using measures to ensure both gender and experience mix.


학생들이 자신의 그룹을 스스로 선택할 수 없도록 하라는 권고에도 불구하고, 한 연구에서는 이 방법을 사용하였다.

Despite recommendations to not allow students to self-select their groups,4 one article reported using this method.7



준비도 평가

Readiness assurance


RA는 학생 개개인과 팀 수준에서 모두 평가하였다. 대부분의 기사(15/20)는 RA 프로세스를 보고하고 설명했으며, 이는 대부분 권장사과 일치했다.

RA was assessed at both the individual student and team level. The majority of the articles (15/20) reported and described the RA process, which largely was in line with recommendations.1,4


RA평가문항의 숫자는 일반적으로 10에서 13개 까지였다. 저자들이 RA에 대한 시간 할당을 설명한 몇 가지 사례에서, 그것은 12분에서 30분 사이에 상당히 달랐다.

the number typically ranged from 10 to 13. In the few instances where the authors described the time allocation for RA, it varied considerably between 12 and 30 minutes.


즉각 피드백

Immediate feedback


11개 기사는 교수들이 수업 토론을 통해 tRAT에 이어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했다고 보고했다.

Eleven articles reported that faculty provided immediate feedback following the tRAT using a class discussion,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대안적인 방법으로는 스크래치오프 답변서, 11,13,14 청중의 응답 시스템을 포함하는 즉각적인 피드백 평가 기법이 포함되었으며, 이는 모든 학생들이 볼 수 있도록 화면에 직접 결과를 표시했다.

Alternative methods of providing immediate feedback included the immediate feedback assessment technique, which involved scratch-off answer sheets,11,13,14 electronic audience response systems, which displayed results directly on a screen for all students to see,5,8


수업 내 문제해결의 순서

Sequencing of in-class problem solving


대다수의 기사들은 그룹 내 및 그룹간 논의의 순서를 명확히 논의했지만 문제의 길이나 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제공하지 않았다.

The majority of articles clearly discussed the sequence of intra- and intergroup discussion but did not provide detail on the length or number of problems.


네 가지 S

The four S’s


    • Significance 측면에서, 몇몇 저자들은 응용application 질문이 RA 프로세스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필수 지식 회상 질문보다 높은 수준의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요구한다고 강조했다.15,16,21 종종 문제는 관련성을 높이기 위해 복잡한 real-world 문제나 흔한 임상 시나리오에 기초했다. 

    • Same 측면에서, 한 경우를 제외하고, 9개 팀이 같은 문제를 연구했다. 

    • Specific 측면에서, MCQ는 대체로 팀이 하나의 답변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특정 선택 방법이었다. 

    • Simultaneous 측면에서, 마지막으로, 대부분의 기사들은 동시 보고의 사용을 기술했다. 팀들이 그들의 반응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도록 Color-coded and lettered placard를 일반적으로 사용했다.

In terms of significance, several authors emphasized that the application questions required higher-leve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than the essential knowledge recall questions typically applied during the RA process.15,16,21 Often, problems were based on complex real-world issues or common clinical scenarios to increase relevance. Next, in all but one case,9 teams worked on the same problem. In addition, MCQs were by and large the method of specific choice used for teams to indicate their single- best-fit answer. Finally, the majority of the articles described the use of simultaneous reporting. Color-coded and lettered placards were commonly used so teams could simultaneously reveal their responses.


인센티브 구조

Incentive structure


세 가지 기사는 등급 가중치를 포함한 인센티브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제공했다.13,22,23 대부분의 저자들은 점수가 수여된다고 언급했지만, 마크 분포mark distribution에 대한 설명은 제공하지 않았다.

Three articles provided detailed descriptions of incentive structures, including the weighting of grades.13,22,23 The majority of authors stated that grades were awarded, but they did not provide a description of the mark distribution.


동료평가

Peer review


동료평가의 다양한 요소로 '학습에 도움됨' '팀워크' '대인관계스킬' 등을 언급했다. 동료평가는 일반적으로 코스 마지막 날에 이루어졌지만, 니더와 동료들은 주요 시험을 보는 때에 함께 세 차례의 동료평가를 했다고 보고했다.

Several other articles reported evaluating various parameters of peer review, including helpfulness of team members in terms of learning and understanding19,22,23 and team members’ teamwork and interpersonal skills.23 Although peer review typically took place on the last day of the course, Nieder and colleagues17 reported a peer review that occurred at three points throughout the course coinciding with major examinations


고찰

Discussion


의대생 수가 증가하고 교직원 수가 감소함에 따라, TBL 프로그램의 시행은 의과대학에 자원 절약 대책을 제공한다.

with an increasing number of medical students and a decreasing number of teaching staff, the implementation of TBL programs offers resource-saving measures for medical schools.


TBL 프로그램 맥락

Context of TBL programs


우리는 임상 전 해에 TBL 프로그램의 dominance를 두 가지 요인 탓으로 돌린다. 즉, 전임상교육에서 종종 한 반에 숫자가 더 크기 때문이고, 소규모 그룹 학습에 자원을 활용한다면 이 기간 동안 큰 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 교수진이 임상실습 수행 중에 TBL을 사용한 경우는 주로 예정된 수업시간이나, 학생들이 teaching block이나 weekly academic half-days로 병원에서 학교로 왔을 때였다.

We attribute the dominance of TBL programs in the preclinical years to two factors—preclinical students often are placed in larger groups during this phase of their training, and the resource application of small-group learning could provide the greatest measurable benefit during this period. When faculty used TBL during a clinical rotation or clerkship


기간

Scope


우리는 TBL 세션의 범위가 넓음을 발견했다. Searle과 동료2는 TBL에 대한 노출이 매우 미미할 때(즉, 몇 번의 세션만 있을 경우) 부정적 편향이 발생하여 방법의 편익(수업 내 참여 및 콘텐츠의 적용 증가)이 실현되지 않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

We found a large range in the number of TBL sessions (from two to eight). Searle and colleagues2 suggested that a negative bias might result when exposure to TBL is so minimal (i.e., through only a few sessions) that benefits of the method may not be realized (i.e., increased in-class engagement and application of content).


전체 학생 및 팀 규모

Class and team size


위너와 동료 21은 RA 시험에서 숫자가 너무 적은 팀(즉, 학생 2명)이 정규 팀(즉, 학생 5~7명)보다 훨씬 낮은 점수를 받았다고 보고하여 학생들을 토론에 참여시키는 최적의 팀원이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Michaelsen과 동료들에 따르면 26개 팀은 5명에서 7명 사이의 학생들로 구성되어야 한다. 팀원의 숫자는 프로세스의 발달과 팀 역동을 극대화할 수 있을 만큼 작으면서, 동시에 충분한 지적 자원과 토론을 포함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커야 한다.

Wiener and colleagues21 reported that undersized teams (i.e., two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lower than regular- sized teams (i.e., five to seven students) on RA tests, suggesting that an optimal number of team members to engage students in discussion may exist. According to Michaelsen and colleagues,26 teams should consist of between five and seven students—small enough to develop process and maximize team dynamics, yet large enough to include sufficient intellectual resources and discussion.


팀 구성

Team formation


학생들은 투명한 절차에 따라 교수에 의해 팀에 배정되어야 하며, 각 팀에 다양한 학생 조합을 제공하고 기존의 사회적 또는 우정관계에 기반한 그룹이 형성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무작위적이고 알파벳순으로 할당하는 방법은 친구들의 팀이 자기 형성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학습자 특성의 선호 다양성을 충분히 달성하지 못할 수 있다.

students should be assigned to teams by the facilitator using a transparent process, giving each team a diverse mix of students and ensuring that no preexisting social or friendship-based groupings are formed. Although random and alphabetical allocation methods are likely to prevent teams of friends from self-forming, these methods may not adequately achieve the preferred diversity of learner characteristics.


가이드라인에서는 팀들이 "가능한 한 오래 함께 지내라"고 권고하지만, 라빈드라나스와 동료7은 각 TBL 세션이 시작될 때 팀 동역학의 확립과 발전을 허용하지 않는 팀들을 개혁했다.

although guidelines1 recommend that teams “stay together as long as possible,” Ravindranath and colleagues7 reformed their teams at the start of each TBL session, which did not allow for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team dynamics.


준비도 평가

Readiness assurance


우리는 개인에 대한 지식과 팀의 지식을 시험함으로써, 학생들이 그들의 팀을 실망시키지 않기 위해 동기부여를 받아 수업시간 내에 수업시간을 자유롭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We anticipate that, by testing the knowledge of individuals and then the knowledge of the team, students will come to class prepared, motivated by not wanting to let their team down, thus freeing up class time for in-class problem- solving activities.


인센티브 구조

Incentive structure


Michaelsen과 Sweet27은 tRAT 이후의 즉각적인 피드백학생들에게 콘텐츠 지식과 응용 능력을 이해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TBL 프로세스에 본질적inherent한 것이라고 본다. 또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 개인과 팀 간의 경쟁을 촉진하고, 

    • 지식 획득과 보존의 핵심이 되며, 

    • 팀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27,28

Michaelsen and Sweet27 describe immediate feedback following the tRAT as being inherent to the TBL process to provide students with an understanding of their content knowledge and application ability. In addition, providing immediate feedback 

    • encourages competition between both individuals and teams, 

    • is key to knowledge acquisition and retention, and 

    • affects team development.27,28


프로그램 내 문제해결의 순서

Sequencing of in-class problem solving


문제 해결 활동 동안 학생들은 복잡한 현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팀으로 일함으로써 수업내용에 대한 지식을 적용할 기회를 가졌다. 파르므리와 동료1이 지적한 바와 같이, 학생들은 응용활동 중에 특정한 선택을 하기 위해 정보를 해석, 분석, 합성해야 하며, 필요한 경우 전체 학생들에게 자신의 선택을 방어해야 한다.

During the problem-solving activities, students had the opportunity to apply their knowledge of course content by working in teams to solve complex, real- life problems. As Parmelee and colleagues1 noted, students must interpret, analyze, and synthesize information to make a specific choice during the activity, and they must defend their choice to the class if necessary.


어떤 연구자는 tAPP를 TBL의 심장이라고 설명했지만,4 이 설계 요소는 우리가 검토한 글에서 자세히 언급된 경우는 거의 없었다.

Although some have described the tAPP as the heart of TBL,4 this design element was rarely mentioned in detail in the articles we reviewed.


네 가지 S

The four S’s


문제는 중요할 필요가 있고, 모든 팀은 같은 문제를 해결해야 하며, 그들은 그들의 대답에 특정한 선택권을 제공해야 한다. 그들은 그들과 다른 팀들이 동시에 보고해야 한다. MCQ를 사용하는 것이 표준적이었으며, 이것은 TBL을 개방형 문항을 사용하는 사례 기반 학습CBL등의 다른 액션 기반 학습 기법과 구별해주는 점이다.

the problem needs to be significant, all teams need to have the same problem to solve, and they need to provide a specific choice in their answer, which they and the other teams need to report simultaneously. The standard use of MCQs differentiates TBL from  other action-based learning techniques, such as case-based learning,16 that use open-ended questions.


즉각적 피드백

Immediate feedback


평가는 학생들의 코스 목표 달성에 큰 영향을 미치며, TBL에서는 개인의 수업 외 준비와 팀 협업을 극대화하도록 설계된다.4 그러나 우리가 검토한 많은 논문에서 저자들은 인센티브 구조를 명확하게 기술하지 않았다.

Assessment has a large effect on students’ achievement of course objectives, and, in TBL, it is designed to maximize both individuals’ out-of-class preparation and team collaboration.4 Yet, in many of the articles we reviewed, the authors did not clearly describe the incentive structure.


Michaelsen과 Sweet27은 [개별적인 기여]와 [효과적인 팀워크]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고 [그룹워크에 대한 학생들의 우려를 완화]시키기 위해 효과적인 평가제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IRAT, tRAT, tAPP 및 동료 검토에 대한 등급이 부여되어야 한다.1

Michaelsen and Sweet27 argued that an effective grading system is necessary to provide rewards for both individual contributions and effective teamwork and to allay students’ concerns about grading for group work. Thus, grades should be given for iRAT, tRAT, tAPP, and peer review.1


동료평가

Peer review


그 기사들의 거의 절반은 동료평가에 대해 보도하지 않았다. Michaelsen29는 학생 책임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동료 평가를 TBL의 핵심 요소 중 하나로 간주했다. 또한 피드백을 주는 연습을 통해 학생들은 전문적인 역량을 개발하고 피어리뷰의 책임을 가진 임상의로서 그들의 전문직으로서의 삶을 준비할 수 있다.30,31

almost half of the articles did not report on peer review. Michaelsen29 considered peer assessment to be one of the key components of TBL, because it helps to ensure student accountability. In addition,  the practice of giving feedback allows students to develop professional competencies and prepare for their professional lives as clinicians with peer review responsibilities.30,31


한계

Limitations


2001년까지 TBL 프로그램의 실행이 의학 교육 내에서 인기를 얻지 못하였기 때문에, 우리는 이 검토에서 단지 10년의 자료에 대해 보고했다.

as the implementation of TBL programs did not gain popularity within medical education until 2001,1 we have reported on only 10 years of data in this review.


결론

Conclusions


비록 Parmlee와 Michaelsen이 TBL이 "모든 구성요소가 설계와 구현에 포함될 때 가장 잘 작동한다"고 지적했지만, 3 우리의 검토 결과 TBL 프로그램의 설계, 구현 및 보고마다 광범위한 차이variation가 나타났다.

Although Parmelee and Michaelsen noted that TBL “works best when all of the components are included i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3 our review revealed extensive variations in the design, implementation, and reporting of TBL programs.


그러므로, 미래에는 교수진이 프로그램의 각 특징에 대한 영향과 상대적 장점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표준화된 TBL 프레임워크를 고수해야 한다.

Thus, in the future, faculty should adhere to a standardized TBL framework, to better understand the impact and relative merits of each feature of their program.


4 Haidet P, Levine RE, Parmelee DX, et al. Perspective: Guidelines for reporting team- based learning activities in the medical and health sciences education literature. Acad Med. 2012;87:292–299.












 2014 Apr;89(4):678-88. doi: 10.1097/ACM.0000000000000162.

Applying established guidelines to team-based learning programs in medical schools: a systematic review.

Author information

1
Dr. Burgess is executive officer, Central Clinical School,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Sydney, Sydney, New South Wales, Australia. Ms. McGregor is research project officer, Workforce Education and Development Group,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Sydney, Sydney, New South Wales, Australia. Professor Mellis is professor of medicine and associate dean, Central Clinical School,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Sydney, Sydney, New South Wales, Australia.

Abstract

PURPOSE:

Team-based learning (TBL), a structured form of small-group learning, has gained popularity in medical education in recent years. A growing number of medical schools have adopted TBL in a variety of combinations and permutations across a diversity of settings, learners, and content areas. The authors conducted this systematic review to establish the extent, design, and practice of TBL programswithin medical schools to inform curriculum planners and education designers.

METHOD:

The authors searched the MEDLINE, PubMed, Web of Knowledge, and ERIC databases for articles on TBL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published between 2002 and 2012. They selected and reviewed articles that included original research on TBL programsand assessed the articles according to the seven core TBL design elements (team formation, readiness assurance, immediate feedback, sequencing of in-class problem solving, the four S's [significant problem, same problem, specific choice, and simultaneous reporting], incentive structure, and peer review) described in established guidelines.

RESULTS:

The authors identified 20 articles that satisfied the inclusion criteria. They found significant variability across the articles in terms of the application of the seven core design elements and the depth with which they were described. The majority of the articles, however, reported that TBL provided a positive learning experience for students.

CONCLUSIONS:

In the future, faculty should adhere to a standardized TBL framework to better understand the impact and relative merits of each feature of their program.

PMID:
 
24556770
 
PMCID:
 
PMC4885587
 
DOI:
 
10.1097/ACM.0000000000000162


TBL의 이론적 토대(Med Teach, 2012)

The educational theory basis of team-based learning

PATRICIA HRYNCHAK1 & HELEN BATTY2

1School of Optometry, University of Waterloo, 200 University Ave. Waterloo, ON, N2L 3G1, 2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500 University Ave. Toronto, ON, M5G 1V7





나는 결코 학생들을 가르치지 않는다. 나는 단지 그들이 배울 수 있는 조건들을 제공하려고 노력할 뿐이다.

알버트 아인슈타인

I never teach my pupils. I only attempt to provide the conditions in which they can learn.

Albert Einstein


도입

Introduction


의료제공자는 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공통의 능력 세트를 필요로한다.

Health care providers require a common set of abilities to meet the needs of their patients.


이 프레임워크에 포함된 두 가지 요소는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능력(의료 전문가)과 팀으로 효과적으로 일하는 능력(협업자)이다(Frank 2005).

Two of the components embedded within this framework are the ability to think critically (medical expert) and work effectively in a team (collaborator) (Frank 2005).


보건 직업에서의 전통적인 교육은 선생님과 강좌의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Peters 2000). 이 강의식 모델에서, 목표는 선생님으로부터 학생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Traditional education in the health professions is centered on the teacher and the content of the courses (Peters 2000). In this didactic model, the goal is to transfer information from the teacher to the student.


강의식 모델에서 학생의 역할은 그들이 배우고 있는 것에 대해서 [실질적인 적용을 이해하는 수준]보다는 [사실을 암기]하는 것이다(Michaelsen et al. 2008, p. 76). 사실을 recall하는 것은 그 과정에서 필수적인 단계지만, 학생들은 그렇게 함으로써 자료에 대해 진정으로 이해하게 되었으며, 새로운 맥락에서 정보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잘못 생각하게 된다(Michaelsen et al. 2008, 페이지 77).

the role of the student is to memorize facts rather than work at the level of understanding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what they are learning (Michaelsen et al. 2008, p. 76). Recalling facts is a vital step in the process; however, students may mistakenly believe that by doing so they have gained a true understanding of the material and will be able to apply the information in a novel context (Michaelsen et al. 2008, p. 77).


TBL(Team-based Learning)은 래리 마이클슨이 개발하고 지난 20년 동안 의료 교육에 적응한 변증법 강의의 일종이다(Michaelsen et al. 2008, p. 5).

Team-based learning (TBL) is a form of dialectic teaching developed by Larry Michaelsen and adapted to health care education in the last two decades (Michaelsen et al. 2008, p. 5).


학생들은 [관점을 제시하기 전]에 [비판적 사고를 통해 얻은 추론reason의 힘을 배우고 적용]해야 하며, [다른 사람들의 진술을 평가할 때 이것과 동일한 접근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이 과정을 얼마나 잘 수행하느냐가 해당 분야에서 능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정의한다(Michaelsen et al. 2008, 페이지 80)

Students need to learn and apply the power of reason gained through critical thinking before offering viewpoints and to apply this same approach when evaluating statements made by others. The extent to which a person accomplishes this process defines his or her competency in a given field. (Michaelsen et al. 2008, p. 80)



표 1. 구성주의 학습의 주요 요소 요약(Kaufman 2003).

Table 1. Summary of the main elements in constructivist learning (Kaufman 2003).


1 선생님은 학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지침이다.

2 가르침은 학습자의 현재 이해와 새로운 경험 사이의 불일치를 노출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계획을 개발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3 학습은 관련 문제 및 그룹 상호작용을 사용하여 활성화되어야 한다.

새로운 경험에 대한 성찰을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다. 


1 The teacher is a guide to facilitate learning.

2 Teaching involves providing opportunities to expose inconsistencies between learners’ current understandings and new experiences therefore providing the opportunity to develop new schemes.

3 Learning should be active using relevant problems and group interaction.

4 Time is needed for reflection on new experiences.


구성주의 이론

Constructivist theory


인식론은 지식의 본질을 조사하는 철학의 한 분야이다(Hunter 2008). 구성주의적 인식론에서 지식은 개인적 경험에 의해 구성되는 과정으로 간주된다. 새로운 경험은 이전의 이해에 더해져서 그존의 이해를 수정하기 위해 사용된다(Peelech & Piper 2010). [진리]의 개념은 [실제reality]의 개념으로 대체되는데, 이것은 [개인은 경험을 통해 쌓아간다]라고 세계를 보는 관점이다(Peters 2000). 따라서 이 이론에서 '지식은 자율적이고 주관적인 construction'이다(Peelech & Pieper 2010). 이와는 대조적으로 실증주의'지식과 진리는 개인의 마음 밖에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실증주의에서 지식은 고정되어 있으며 한 개인에서 다른 개인으로 옮겨질 수 있다(Peters 2000).

Epistemology is the division of philosophy that examines the nature of knowledge (Hunter 2008). In constructivist epistemology, knowledge is viewed as a process that is structured by personal experiences. New experiences are used to add to and modify previous understandings (Pelech & Pieper 2010). The concept of truth is replaced by that of reality, which is a view of the world that the individual builds through experience (Peters 2000). Therefore, in this theory, ‘‘knowledge is an autonomous and subjective construction’’ (Pelech & Pieper 2010). In contrast, positivism purports that ‘‘knowledge and truth exist outside the mind of the individual’’ (Peters 2000). Positivist knowledge is, therefore, fixed and can be transferred from one individual to another (Peters 2000).


20세기 전반기 동안, 연구자들은 두 가지 주요 학습 이론을 개발했다. 하나는 행동주의 이론이며, 다른 하나는 인지 이론이다(Mohanna 2010, 페이지 45). 

  • 행동주의적 관점에 따르면, 학습자는 수동적이고 자극은 학습자에게 반응을 일으킨다. 

  • 인지적 관점에 따르면, 학습자는 정보에 대해 생각하고, 정보를 처리한 다음, 상황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행동한다(Mohanna 2010, 페이지 45).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researchers developed two main learning theories: The behaviorist and the cognitive theory (Mohanna 2010, p. 45). 

  • In the behaviorist view, learners are passive and a stimulus produces a reaction in the learner. 

  • In the cognitive view, the learners think about the information, process it, and then act upon it in different ways depending on the situation (Mohanna 2010, p. 45).


구성주의 학습 이론은 인지 학습 이론을 정교화한 것이다. 또한 구성주의적 인식론에서 도출된 것으로, "학습자에 의한 정보의 정신적 표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학습자는 환경과 경험의 새로운 정보와 일치하도록 장기 기억 표현을 재구성한다(Svinicki 2004). 이를 위해서는, 학습자가 새로운 자료를 처리하고 기존 이해와 통합하여 자신의 학습 과정을 바탕으로 자신에게 고유한 새로운 인지 구조를 형성해야 한다(문 2004).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is a refinement of cognitive learning theory and is derived from constructivist epistemology where the ‘‘focus is on the mental representation of information by the learner’’ (Svinicki 2004, p. 242). The learner reconstructs long-term memory representations to be consistent with new information from the environment and experience (Svinicki 2004). For this to occur, learners must process the new material and integrate it with existing understandings to form a new cognitive structure that is unique to them based upon their own process of learning (Moon 2004).


구성론 이론을 교육 방법에 적용하는 4가지 주요 원칙은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The four main principles of applying the constructivist theory to educational methods are summarized in Table 1.


첫째, 학습의 초점은 교사보다는 학습자에게 있다. 학습자의 아이디어와 질문에 초점을 둘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강사의 역할은 학생이 학습에 있어 적극적인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전문적인 촉진자 중 하나이다(Hunter 2008). 이러한 환경은 평등주의적이고, 비위계적이며, 비권위주의적이다. '학습은 교사와 학습자 사이의 양방향 과정'이라는 인식이 있다(Davies 2000). 이전의 경험을 이해함으로써 지식이 쌓이기 때문에, 선생님의 역할은 이전에 가졌던 의견과 이해에 도전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Peters 2000; Torre et al. 2006). 강사는 또한 [커리큘럼과 학생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하며, 두 사람이 의미 있는 방식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Peters 2000).

First, the focus of the learning is on the learner rather than the teacher. An opportunity to focus on the learner’s ideas and questions should be provided. The instructor’s role is one of expert facilitator where the student takes the active central role in learning (Hunter 2008). These environments are egalitarian, nonhierarchic and nonauthoritarian. There is an acknowledgement that ‘‘learning is a two-way process between the teacher and the learner’’ (Davies 2000). As knowledge is built by making sense of prior experiences, the role of the teacher is to provide opportunities to challenge previously held opinions and understanding (Peters 2000; Torre et al. 2006). The instructor is also a mediator between the curriculum and the student, allowing the two to interact in a meaningful way (Peters 2000).


둘째, 구성주의 학습 이론에서 문제 해결은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문제는 [학습자의 요구 및 이해 관계에 직접적 관련성]이 있어야 하며,  기존에 학습자가 갖고 있던 construct에 대한 도전에 challenge할 필요가 있다. 이전의 경험과 문제 해결에 기초한 학습은 학습자의 입장에서 자기 주도적 능력을 필요로 한다. 교사 또는 동료 학습자는 학습자가 완전한 자기 방향을 달성할 때까지 이를 지원할 수 있도록 비계를 제공할 수 있다(Davies 2000). 이 프레임워크 내에서 학습자는 학습 과정에 대해서 더 잘 이해하게 되고, 그러한 과정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된다. 이것을 메타 인식이라고 하며 학습의 자기 방향의 기초가 된다(Peters 2000).

Second, in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problem-solving plays a central role. The problems need to be of immediate relevance to the needs and interests of the learner and challenge on previously held constructs. Learning based previous experience and solving problems requires the ability for self-direction on the part of the learner. Guidance from teachers or fellow learners can provide scaffolding for learners to support them until they achieve full self-direction (Davies 2000). Within this framework, the learners’ awareness of their learning process and the ability to control those processes is enhanced. This is called metacognition and is the basis for selfdirection in learning (Peters 2000).


셋째, 사회 구성주의 이론에서는, 세계를 함께 경험함으로써 얻어지는 공통의 이해의 발달뿐만 아니라 다른 학습자와의 대화와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에 대한 크게 강조한다(Svinicki 2004). 따라서 최고의 구성주의 교육 방법은 다른 학생들과 함께 일할 기회를 통해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것이다(Svinicki 2004). 예를 들어, 학생들은 관련된 실제 생활 경험에서 파생된 문제에 대해 소그룹으로 작업할 수 있다.

Third, in social constructivist theory, there is a strong emphasis on learning with dialogue and interaction with other learner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a common understanding that is achieved by experiencing the world together (Svinicki 2004). The best constructivist instructional methods, therefore, will provide new experiences through opportunities to work with other students (Svinicki 2004). For example, students could work in small groups on problems derived from relevant real life experiences.


마지막으로, 학습자가 기존 지식을 수정하는 시기와 방법을 판단할 수 있도록 성찰이 필요하다. 성찰은 RIA와 ROA의 두 종류가 될 수 있다. 

  • "Reflection in action"은 현재와 과거의 경험을 현재와 현재 일어나고 있는 새로운 경험에 적용함으로써 즉시 발생한다. 

  • "Reflection on action"은 사람이 일어난 일, 그것에 기여한 일, 취한 조치가 최적인지 여부, 그리고 이 정보가 미래의 관행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상기할 때 발생한다(표 1).

Finally, reflection is required to allow the learners to make judgments on when and how to modify their existing knowledge. Reflection can be of two kinds: Reflection in action and reflection on action. 

  • ‘‘Reflection in action’’ occurs immediately by applying current and past experience to novel experiences as they are happening. 

  • ‘‘Reflection on action’’ occurs when the person recalls what happened, what contributed to it, whether the actions taken were optimal and how this information may used to enhance future practice (Mohanna 2010, p. 66) (Table 1).


학습에 대한 구성주의적 접근법의 원칙은 다양한 의료 교육 프로그램에 사용되어 왔다(Davies 2000). 고전적인 문제 기반 학습은 이 이론의 가장 초기 적용 사례 중 하나이다.

The principles of the constructivist approach to learning have been used in a variety of health care training programs (Davies 2000). Classic problem-based learning is one of the earliest applications of this theory.


문제 기반 학습은 소규모 그룹 프로세스에서 교수진 대 학생 비율이 낮기 때문에 자원이 집약적이다(Walton 1997).

problem-based learning is resource intensive due to the low faculty-to-student ratios in the small group process (Walton 1997).


TBL

Team-based learning


TBL은 원래 래리 마이클슨에 의해 1970년대에 경영학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개발되었다(Michaelsen et al. 2008). TBL은 학습자 중심이지만 강사가 주도하는 능동적 학습 방법이다(Koles et al. 2010).

TBL was originally developed by Larry Michaelsen for instructing business students in the 1970s (Michaelsen et al. 2008). TBL is an active learning method that is learner centered but instructor led (Koles et al. 2010).


팀 내 다양성은 최대지만 팀 간의 상대적 균일성을 갖는 소규모 그룹(팀이라고 함)으로 나뉜 대규모 클래스에 활용할 수 있다. 이는 팀의 성공을 촉진할 개별 구성원의 주요 특성이 무엇인지를 결정한 다음 이러한 자질을 가진 사람들을 팀 간에 균등하게 배분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Michaelsen et al. 2008). 이렇게 하면, 각 팀은 분석 문제를 협력적으로 해결할 때 도출할 수 있는 구성원의 지식과 경험에서 최대한의 다양성을 가진다.

This method is used for large classes that are divided into smaller groups (referred to as teams) that have maximal diversity within the teams but relative evenness between the teams. This is accomplished by deciding what the key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members are that would promote success of a team and then distributing people with these qualities evenly between the teams (Michaelsen et al. 2008). In that way, each team has a maximal diversity in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of the members that can be drawn upon when collaboratively solving the analysis problems.


교수는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이러한 학습 목표를 다루는 모듈로 코스를 의도적으로 설계한다. 모듈은 세 개의 반복 단계로 구성된다(그림 1).

The instructor sets the learning objectives and purposefully designs the course into modules that will address those learning objectives. The modules consist of three repeating phases (Figure 1).


적용 연습. 이 문제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도록 설계되었다. 모든 그룹에 대해 동일하며, 문제는 학습자에게 중요하며, 그룹은 정확한 대답(예: 객관식 질문)에 대해 특정한 선택을 해야 하며, 결과는 모든 그룹에 의해 동시에 보고된다.

application exercises. The problems are designed to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they are 

  • the same for all of the groups, 

  • the problems are significant for the learners, 

  • the groups must make a specific choice for the correct answer (e.g., a multiple choice question) and 

  • the results are simultaneously reported by all groups.


TBL의 중요한 구성요소는 동료 평가다. 팀 구성원은 코스 중 한두 번 다른 그룹 구성원에게 팀 성과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An important component of TBL is the group evaluations. Team members give feedback to the other group members on team performance once or twice during the course.


TBL의 이론적 토대로서 구성주의

Theoretical grounding of TBL in constructivism


TBL에서 교사는 교육 목표를 설정하고, 그룹이 해결할 수 있는 학습 자료, 시험 및 적절한 문제를 개발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지침 역할을 한다. 강사는 학습자에 의해 생성되는 토론을 안내한다. 강의와 같은 수동적 학습을 제공하는 전략은 이 과정에서 감소한다. 따라서, 구성주의 학습 이론에서 중요한 '학생 중심 원칙'과 '지지적 비계'는 일관되게 내재되어 있다.

In TBL, the teacher acts as a guide to learning by setting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developing study materials, tests, and appropriate problems for the groups to solve. The instructor guides discussion that is generated by the learners. Strategies providing passive learning such as lecturing are reduced in this process. Student centered principles and supportive scaffolding important in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are consistently inherent.


TBL은 학습자가 그룹과 현재 이해도를 비교하고 GRAT 및 그룹 적용 연습에서 논란이 되는 사항에 대해 토론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새로운 경험으로 얻은 정보를 기존의 정신 계획에 통합시킴으로써 학습이 일어난다는 구성주의적인 견해와 일치한다. 

TBL allows learners to compare their current understandings with those of the group and debate controversial points in the GRAT and group application exercises. This is consistent with a constructivist view that learning occurs by integrating information obtained by new experiences into existing mental schemes. 


응용 연습은 임상 실습에서 발생하는 실제적인 문제로 만들어진다. 비판적 사고는 이 능동적인 과정에서 모델링되고 학습된다.

The group application exercises are real world problems that occur in the clinical practice. Critical thinking is modeled and learned in this active process.


RIA는 GRAT 동안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연습의 사례 문제를 해결할 때 학생들이 그룹의 이해도를 비교할 때 발생한다. 새로운 연결은 이해에 대한 불일치를 노출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학생들이 모든 팀 구성원의 기여를 평가하는 순간도, ROA의 한 형태다. 학습자들은 또한 다른 그룹 멤버들로부터 받은 피드백을 활용하여 팀 멤버로서의 자신의 성과를 성찰해야 한다.

Reflection in action occurs when students compare their understanding to that of the group during the GRAT and in solving the case problems in the application exercises. New connections are made by exposing these inconsistencies in understandings. When the students are required to evaluate the contributions of all the team members it is a form of reflection on action. Learners also reflect on the feedback they receive from other group members on their own performance as team members.


보건의료인 교육에서 TBL

Team-based learning in healthcare education


"고-기능 팀"에는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여기에는 모든 구성원의 높은 참여 수준, 팀 식별복잡한 사고 프로세스 사용 능력이 포함된다(Thompson 등 2009). TBL은 목표 달성을 촉진하고 그룹 등급을 공유함으로써 공통 목표를 향한 진정한 팀워크를 촉진한다(Morrison et al. 2010). Davidson은 TBL을 사용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생들이 자신이 '집단작업group work의 원리를 얼마나 이해했는지'에 대한 추정이 상당히 증가했다는 것을 발견했다.

There are several features of high-functioning teams. These include high levels of involvement by all members, team identification and the ability to use complex thought processes (Thompson et al. 2009). TBL fosters these attributes by encouraging true teamwork toward a common goal with each student facilitated in contributing to that goal and by sharing a group grade (Morrison et al. 2010). Davidson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tudents’ estimation of their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of group work’’ over time using TBL (Davidson 2011).


개별 학습자에게는 "사회적 태만(무임승차)"을 감소시켜야 할 책임이 있다(즉, 사전 준비와 그룹활동 참여를 통해서 '회피'할 기회를 줄이는 것). 교수진들은 일반적으로 학생들의 준비, 출석 그리고 수업 토론의 질이 향상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Thompson et al. 2007a). 헌트 외 연구진(2003)은 TBL 세션 중 외부 관찰external observation을 사용했으며, TBL에서는 강의 기반 과정에 비해 학생들의 참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리바인 외 연구진(2004)은 학생들이 TBL을 '전통적인 수업didactics보다 훨씬 더 효과적이고 즐거운' 것으로 평가했다.

There is accountability on the part of the individual learners with a reduction in ‘‘social loafing’’ (i.e., reduced opportunity for avoidance by students of advance preparation and engagement in the group work) (Michaelsen et al. 2008, p. 104; Koles et al. 2010). Faculty members generally see an improvement in students’ preparation, attendance and quality of class discussions (Thompson et al. 2007a). Hunt et al. (2003) used external observations during the TBL sessions and found a relatively high level of engagement of the students compared to lecture based courses. Levine et al. (2004) found that students rated TBL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and enjoyable than traditional didactics.’’


TBL에 대한 긍정적 연구가 쌓이고 있지만, 일부 한계도 있다(Thompson et al. 2007b). TBL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교수, 학생, 행정부의 참여buy-in가 필요하다. 기술적 측면에서 전문지식과 TBL도입을 위한 훈련이 있어야 하며, 교육과정 내 시간이 확보되어야 하고, 교수들이 TBL을 개발해야 한다. CBL보다는 교수자원이 덜 들지만, 공간, 자료, 행정지원 등 다른 자원이 필요하다. 코스의 규모와 내용 또한 중요하다(Thompson 2007b).

While the research support for TBL is building, there are also some limitations (Thompson et al. 2007b). For TBL to be effective there must be buy-in from faculty, students and the administration. There must be expertise and training in the technique as well as time provided in the curriculum and for the faculty member to do the development. While teaching personnel resources are less than in case-based learning, other resources are required such as space, materials and administrative support. The size and content of the course is also important (Thompson 2007b).


TBL에서 적절한 복잡성을 갖추어 진정으로 유용한 assignment를 만들려면 교수의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다(Parmlee 2010; Zgheib et al. 2010). 자원이 부족한 시스템에서 TBL을 적용하게 되면, 교수의 참여 부족이 발생할 수 있다(Thompson et al. 2007b).

TBL requires significant instructor effort to make the assignments useful with an optimal amount of complexity (Parmelee 2010; Zgheib et al. 2010). There may be a potential lack of engagement by instructors if the method is imposed on the system with insufficient resources (Thompson et al. 2007b).


몇몇 연구는 학생들이 소규모 그룹이나 강의와 같은 다른 교육 방법보다 TBL에 대한 만족도가 낮다는 것을 발견했다(Hunt et al. 2003; Haidet et al. 2004; Willett et al. 2011). 그러나 데이빗슨은 몇 년에 걸쳐서 적극적인 학습 전략의 수용이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Davidson 2011). 학생들은 특히 동료평가에서 어려움을 겪는데, 특히 그룹원 간 differentiate하도록 요구받을 경우, 그리고 동료평가가 성적에 들어갈 경우 그러하다.(Nieder et al. 2005; Thompson et al. 2007a; Parmelee et al. 2009).

Several studies have found that students have lower levels of satisfaction with TBL than other teaching methods such as small group or lecture (Hunt et al. 2003; Haidet et al. 2004; Willett et al. 2011). However, Davidson found that the acceptance of active learning strategies can increase over several years (Davidson 2011). Students can also have difficulty with the group evaluation process, especially when they are required to differentiate among group members and the evaluation counts towards their grade (Nieder et al. 2005; Thompson et al. 2007a; Parmelee et al. 2009).


또한, 이 방법은 커리큘럼에 있는 다른 과목들의 요구와 잘 통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별 학습은 학생들이 커리큘럼의 다른 부분에서 해야 하는 다른 과제와 시험과 충돌할 수 있다(Thompson et al. 2007a).

Also, the method may not integrate well with the demands of other courses in the curriculum. For example, the individual study might conflict with other assignments and examinations that the students are required to do in other parts of the curriculum (Thompson et al. 2007a).


결론

Conclusions


TBL은 구성주의적 학습원리에 기초한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교수법이다.

TBL is an effective and economical teaching method based on constructivist learning principles.





 2012;34(10):796-801. doi: 10.3109/0142159X.2012.687120. Epub 2012 May 30.

The educational theory basis of team-based learning.

Author information

1
School of Optometry, University of Waterloo, Waterloo, ON. hrynchak@uwaterloo.ca

Abstract

BACKGROUND:

Health care providers require the ability to use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work effectively in a team as a part of an overall set of competencies. Therefore, educational programs should use appropriate methods based in educational theory to effectively graduate learners with these abilities. Team-based learning (TBL) is a method that has been introduced in healthcare education to foster critical thinking skills while students work in high functioning teams.

AIMS:

This article will show how TBL follows the principles of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METHOD:

The principles of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teaching method of team-based learning. The effectiveness of TBL in healthcare education is then reviewed.

RESULTS:

TBL is learner centered with the teacher acting as an expert facilitator and also provides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expose inconsistencies between their current understandings and new experiences thus stimulating development of new personal mental frameworks built upon previous knowledge. The learning is active using relevant problems and group interaction. Teamwork skills are strengthened by focused reflection on new experiences during the group sessions and on teamwork success by providing feedback to group members.

CONCLUSION:

Since these aspects are all essential components of constructivist educational theory, TBL is solidly grounded in the theoryand is a promising method to strengthen healthcare education.

PMID:
 
22646301
 
DOI:
 
10.3109/0142159X.2012.687120


의과대학생의 학업성과에 TBL의 영향(Acad Med, 2010)

The Impact of Team-Based Learning on Medical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Paul G. Koles, MD, Adrienne Stolfi, MSPH, Nicole J. Borges, PhD, Stuart Nelson, PhD, and Dean X. Parmelee, MD




임상전 의학교육은 커리큘럼 딜레마의 진퇴양난에 빠져있다.

Preclinical medical education is increasingly impaled on the horns of a curricular dilemma.


이러한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자들은 필수 지식을 교실 밖 독립적인 학습을 위한 접근 가능한 형식으로 구성하는 교과서, 강의록, 전자 자료 및 웹 기반 학습 단위에 점점 더 의존하고 있다. 학생들이 이러한 학습 도구에 적응함에 따라, 교수진은 강의 프리젠테이션을 위해 이전에 예약되었던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면대면 시간은 능동적 교육 및 학습 전략에 더 많이 사용할 수 있다.

To address this dilemma, educators rely increasingly on textbooks, syllabi, electronic resources, and Web-based units of study that organize essential knowledge into accessible formats for independent learning outside class.1,2 As students acclimate to these learning tools,faculty may reduce hours previously reserved for lecture presentations, making face-to-face time more available for a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그러한 능동적 학습 방법 중 하나인 문제 기반 학습(PBL)은 지난 40년 동안 학부 의대에서 그 유용성을 입증해 왔다.3 PBL은 커리큘럼 우선순위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 1969년 맥매스터 대학교에서 1차 학습 전략으로 도입되었으며, 두 차례의 교육과정 주요 개편에서도 살아남았다.4

Problem-based learning (PBL), one such active learning method, has demonstrated its usefulnes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during the past 40 years.3 PBL seems to be adaptable to changing curricular priorities. It was introduced as the primary learning strategy at McMaster University in 1969 and has survived two major revisions of the curriculum.4


2001년 베일러 의대에 도입된 팀 기반 학습(TBL)은 의학 교육에서 PBL보다 그 역사가 훨씬 짧다. 능동적인 학습 전략으로 설계된 TBL은 학습자 중심이지만 강사 주도형이다.

Team-based learning (TBL), which was introduced at Baylor College of Medicine in 2001, has a much shorter track record than PBL in medical education.6,7 Designed as an active learning strategy, TBL is learner-centered but instructor- led.


TBL은 동료들이 서로 대화하고 경청하여 합의된 결정을 내리는 과정을 통해서, 동료들로부터 학습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러 기회를 제공한다. 교수들은 각 팀이 자신들의 선택에 대해 공개적으로 설명하도록 요청하며, 여러 팀이 최선의 결정이 무엇인지 그 정당성에 대해 토론할 수 있도록 촉진한다.

TBL provides frequent opportunities for peers to enhance learning, as teammates talk and listen to one another to arrive at consensus decisions. Faculty invite teams to explain and support their choices publicly, and facilitate as teams debate justification for the best decision.


이상적으로, 응용 질문은 학생들이 단지 관련 지식을 얻는 것이 아니라 비판적 사고를 필요로한다. 잘 짜여진 응용 질문은 팀에게 "복잡한 문제의 분석을 기반으로 구체적인 결정을 내리도록 동기를 부여한다."10(p41)

Ideally, application questions require students to engage in critical thinking, rather than to merely retrieve relevant knowledge. Well- crafted application questions motivate teams to “make a concrete decision based on analysis of a complex issue.”10(p41)


TBL은 의대생들의 학습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촉진하는가?

How effectively does TBL promote medical students’ learning?


Nieder와 동료들은 TBL이 사용되기 전의 성과에 비해 평균 과정 시험 성과는 아무런 변화도 보이지 않았지만, TBL의 사용으로 인해 인간 구조 코스에 낙제하는 학생이 줄어들었다. Nieder와 동료들의 연구는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이 TBL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Nieder and colleagues11 showed no change in mean course examination performance compared with performance in years before TBL was used, but the use of TBL resulted in fewer students failing a human structure course. Nieder and colleagues’11 study suggests that academically weaker students may benefit fromTBL.



종합 과정 시험(CCE),
comprehensive course examinations (CCEs),


기존 문헌이 많지 않고, 일관되지 않은 이전 연구 결과를 고려하고, TBL에 대한 우리 자신의 축적된 경험을 고려할 때, 우리는 이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질문을 받았다. 

(1) TBL에 참여하는 것이 과정 시험에서의 학생들의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가? 

(2) TBL은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 또는 더 높은 학생에게 우선적으로 혜택을 주는가?


Given the small amount of such literature, the mixed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f academic outcomes, and our own accumulated experience with TBL, we were guided in this study by two questions: 

(1) Does participation in TBL affect students’ performance on course examinations? 

(2) Does TBL preferentially benefit academically lower- or higher-performing students?




방법

Method


분스호프트 2학년 교육과정

Boonshoft’s second-year curriculum


분쇼프트의 시스템 기반 2년 과정에서는 임상 의학에 적용할 수 있는 생리학, 병리학, 약리학의 기초지식을 강조하는 10개의 과정(두 개의 용어 사이로 구분)으로 구성되었다.

Boonshoft’s systems-based second-year curriculum consisted of 10 courses (divided between two terms) emphasizing foundational knowledge of physiology, pathology, and pharmacology applicable to clinical medicine.


표 1은 연구에 포함된 학술 용어, 과정, CCE 및 TBL 모듈을 요약한 것이다.

Table 1 summarizes the academic terms, courses, CCEs, and TBL modules included in the study.


5명에서 7명의 학생들로 구성된 팀은 학년 초에 무작위 분류에 의해 구성되었다; 학생들은 10개의 모든 과정 내내 같은 팀에 있었다.

Teams of five to seven students were formed by random sorting at the beginning of the academic year; students remained on the same teams throughout all 10 courses.


TBL 세션은 보통 2시간(RAT의 경우 40분, 응용 문제의 경우 80분)이었으며, 교수진 중 한 명이 모듈을 만들었다.

TBL sessions were usually two hours long (40 minutes for RATs, 80 minutes for the application exercise) and facilitated by two members of the faculty, one of whom had created the module.



자료 분석

Data analysis


우리는 이러한 CCE 문항 중 병리학적 기반 질문(PBQ)을 식별했다. 우리는 PBQ로 연구를 제한했다.

We identified these CCE questions as pathology-based questions (PBQs). We limited our study to PBQs


PBQ는 두 개의 하위 그룹으로 더 세분되었다. 

    • TBL 관련 PBQ(TR)로 지정된 한 그룹이 있다. 이 그룹은 TBL 모듈의 사전 학습자료에 포함되거나 TBL 애플리케이션 연습 중에 논의된 지식을 평가하는 질문을 포함했다. 

    • TBL과 무관한 PBQ(TU)로 지정된 두 번째 그룹은 TBL 모듈의 내용과 개념적으로 관련이 없는 질문들로 구성되었다.

PBQs were further divided into two subgroups . One subgroup, designated TBL-related PBQs (TRs), contained questions that assessed knowledge included in a TBL module’s advance assignment or discussed during aTBL application exercise. The second group, designated TBL-unrelated PBQs (TUs), consisted of questions that were conceptually unrelated to any TBL module’s content.


각 PBQ의 변별도는 질문 품질의 유용한 지표로서 CCE 항목 분석에서 얻었으며, TR과 TU에 대한 평균 차별 지수를 계산했다.

The discrimination index of each PBQ was obtained from CCE item analysis as a useful indicator of question quality, and we calculated mean discrimination indices for TRs and TUs.



결과

Results


이 705개의 PBQ는 2년간의 연구 동안 모든 CCE 질문의 26.4%를 차지했다(표 2).

These 705 PBQs accounted for 26.4%of all CCE questions during our two-year study (Table 2).




이 연구에 포함된 178명의 학생들의 점수는 표 3에 요약되어 있다.

Scores for the 178 students includ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in Table 3.




학업성취도(표 4)를 기준으로 학생들의 성적을 분석한 결과 TU(P.001)와 비교했을 때 1/4분위 학생과 4/4분위 학생 모두 TR에서 훨씬 높은 점수를 받았다.

Analysis of students’ performance by academic quartiles (Table 4) revealed that students in both the highest (n  45) and lowest (n  45) quartile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on TRs compared with TUs (P  .001).




토론 & 고찰

Discussion and Conclusions


우리의 생각에, 5.9% 더 높은 평균 점수는 학습 목표 달성이 공통적인 목표인 교육자와 학습자에게 의미가 있을 만큼 충분히 크다.

In our opinion, a 5.9%higher mean score is large enough to be meaningful for educators and learners whose common goal is achievement of learning objectives.


TBL 세션이 시작될 때 IRAT 시험이 있음을 아는 것은 학생들이 사전 과제에 포함된 지식을 독자적으로 습득하려고 노력함으로써 잘 준비하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이해하지 못한 것이나 어려웠던 내용은 동료들과 GRAT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향상된다. 각 팀별로 질문의 구체적인 답이 무엇인지에 대한 이유를 동료들에게 설명해야 하기 때문이다.

Knowing that the IRAT will be administered at the beginning of a TBL session motivates students to prepare well by attempting to independently master knowledge contained in the advance assignment. Gaps and deficiencies in understanding are improved as peers explain to their teammates why they favor specific answers to questions as the group works toward consensus for the GRAT.


최종 응용 연습은 각 팀이 교수가 설계한 문제를 해결하면서 응집된 지식을 활용해야 하는 과제를 주게 된다. 팀은 정보를 분석하고 단기간에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협상해야 한다. 팀들이 그들의 결정을 밝힌 후, 그룹간 토론은 각 팀들이 자신들의 결론을 뒷받침하는 증거와 추론을 반 학생들에게 설명하도록 요구한다.

The culminating application exercises challenge each team to use their aggregate knowledge as they wrestle with faculty-designed problems. Teams must analyze information and negotiate to achieve consensus within a short time. After teams reveal their decisions, the intergroup discussion requires teams to explain to the class the evidence and reasoning that support their conclusions.


TBL의 순차적 전략은 학습자들이 단순히 필수적인 사실들을 숙달하는 것을 넘어설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잘 구성된 응용 연습은 팀들이 특정 환자에게 가장 적합하거나 가능성이 높은 현실적인 상황에 지식을 적용하도록 요구한다. 합의에 도달하는 과정은 학생들은 듣기, 가르치기, 활발한 협상 기술을 개발하고 보여줄 것을 요구한다. 이어지는 팀간 논의는 모든 팀에게 그 결론에 관한 즉각적인 비교 피드백을 제공한다.

TBL’s sequential strategy motivates learners to go beyond mere mastery of essential facts. A well-crafted application exercise requires teams to apply knowledge to realistic situations, is most likely or most appropriate for a particular patient. The process of arriving at consensus demands that students develop and demonstrate listening, teaching, and vigorous negotiation skills. The interteam discussion that follows provides every team with immediate comparative feedback regarding its conclusions.


프랭크 스미스16(p87)은 장기 학습을 향상시키는 활동의 종류를 기술하면서 "우리는 우리 자신에게 흥미롭고 이해할 수 있는comprehensible 활동으로부터만 배울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만족스러운satisfying 활동에서 배울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렇지 않다면 비효율적인 암기, 즉 암기만 있을 뿐이며, 망각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In describing the kinds of activities that enhance long-term learning, Frank Smith16(p87) argues that “we can only learn from activities that are interesting and comprehensible to us; in other words, activities that are satisfying. If this is not the case, only inefficient rote learning, or memorization, is available to us and forgetting is inevitable.”


사분위수가 가장 낮은 학생들의 시험 성적에 더 큰 이점은 TBL의 전략과 관련이 있다. GRAT 및 애플리케이션 연습 동안 이뤄지는 [동료들 간의 날카로운 exchange]는 팀간 논의 시간에 [교수들의 management와 결합]하여 학생들이 지식의 기준을 달성하도록 돕는 [orchestrated 학습 연구소]로 볼 수 있다. 동료들은 합의된 답변에 도달하기 위하여 서로를 가르치고 있기 때문에, TBL 시작시점에서 내용 숙달력이 적은 사람들이 학습 이득이 더 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e larger beneficial effect on examination performance for lowest-quartile students compared with highest- quartile students correlates with TBL’s strategy. Pointed exchange among peers during the GRAT and application exercises, combined with faculty management of the interteam discussions, may be viewed as an orchestrated learning laboratory that helps students achieve a baseline of knowledge. Because peers are teaching each other while arriving at consensus answers, it seems reasonable that learning gains are likely to be greater for those who have less content mastery at the start of a TBL session.


이와 달리, 잘 준비된well-prepared 학생들은 다른 학생들과 대화하고 협상함으로써 그들 자신의 지식을 명확히 하고, 그들의 개인과 팀워크에 대한 점수를 받는다.

Well-prepared students clarify their own knowledge by verbalizing and negotiating with peers, are rewarded with grades for their individual and team efforts,


그러나 준비가 덜 된 학생들이 [동료들의 지식과 비판적 사고력]으로만 배우는 것이 아니다. 준비가 덜 된 학생이라고 해도 두 가지 요소에 의해서 앞으로 더 철저하게 준비해야 할 동기부여가 된다. 하나는, [IRAT에서 더 좋은 점수를 얻고자 하는 열망]이며, 다른 하나는 [이들도 조별 논의에 귀중한 기여를 할 것이라는 동료들의 기대]이다. intragroup teaching에서 드러나는 peer influence와, 잘 준비해와야 한다는 사회적 압력이 학업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학생도 수업 내용을 숙달하는 데 도움을 준다.17

However, students who arrive less prepared are not just enriched by their teammates’ knowledge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They are also motivated by two factors to prepare more thoroughly for future sessions: the desire to achieve a better grade on the IRAT, and their peers’ expectations that they will make valuable contributions to intrateam discussions. Peer influence, expressed through intragroup teaching and social pressure to prepare well, assists the academically challenged student in mastering course content.17


TBL이 효과적으로 구현되면 학업적으로 "위험한" 학생들도 과목의 상당 부분을 배울 수 있도록 한다.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BL enables students who are academically “at risk” to learn significant portions of course


그러나 peer tutoring과 같은 다른 교육 전략은 보건 직업 교육에서 학업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문헌에 제시되었다.18 그러나, peer tutoring을 하기 위해서는 수업 외 시간에 상당한 시간적 헌신이 필요하다.

Other educational strategies, such as peer tutoring, have been shown in the literature to improve academic performance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18 Peer tutoring, however, requires significant time commitments outside class.


TBL 관련 학습 편익에 대한 우리의 결론은 다른 의학 분야에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our conclusions about TBL-related learning benefits may not apply to other medical science disciplines.


[TBL 모듈이 종료된 후 수 개월 이후에 시행되는 검사] 또는 [TBL을 사용한 여러 과정으로부터 얻은 지식을 평가하는 종합 시험]에 대한 수행 등을 통해서 장기 학습에 대한 잠재적 편익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Potential benefits for longer-term learning need to be evaluated, such as performance on examinations administered several months after a TBL module or performance on comprehensive examinations assessing knowledge gained from several courses in which TBL was used.


마지막으로, 그리고 아마도 가장 중요한 한계는 콘텐츠 관련 TBL 모듈 이후 4주 이내에 검사 성과를 측정한 것이다. 따라서, 우리의 결과는 비교적 단기적인 학습에 대한 이점을 보여준다.

Finally, and perhaps the most important limitation, examination performance was measured within four weeks after content-related TBL modules. Therefore, our results show benefits for relatively short-term learning.






 2010 Nov;85(11):1739-45. doi: 10.1097/ACM.0b013e3181f52bed.

The impact of team-based learning on medical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Pathology, Boonshoft School of Medicine, Wright State University, Dayton, Ohio 45435-0001, USA. paul.koles@wright.edu

Abstract

PURPOSE:

Since team-based learning (TBL) was introduced as a medical education strategy in 2001, few studies have explored its impacton learning outcomes, particularly as measured by performance on examinations. Educators considering implementing TBL need evidence of its effectivenes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student performance on examinations is affected by participation in TBL and whether TBL benefits lower- or higher-performing students.

METHOD:

The authors analyzed the performance of second-year medical students on 28 comprehensive course examinations over two consecutive academic years (2003-2004, 2004-2005) at the Boonshoft School of Medicine.

RESULTS:

The 178 students (86 men, 92 women) included in the study achieved 5.9% (standard deviation [SD] 5.5) higher mean scores on examination questions that assessed their knowledge of pathology-based content learned using the TBL strategy compared with questions assessing pathology-based content learned via other methods (P < .001, t test). Students whose overall academic performance placed them in the lowest quartile of the class benefited more from TBL than did those in the highest quartile. Lowest-quartile students' mean scores were 7.9% (SD 6.0) higher on examination questions related to TBL modules than examination questions not related to TBL modules, whereas highest-quartile students' mean scores were 3.8% (SD 5.4) higher (P = .001, two-way analysis of variance).

CONCLUSIONS:

Medical students' higher performance on examination questions related to course content learned through TBL suggests that TBL enhances mastery of course content. Students in the lowest academic quartile may benefit more than highest-quartile students from the TBL strategy.

PMID:
 
20881827
 
DOI:
 
10.1097/ACM.0b013e3181f52bed


피드백의 범위를 넓혀서 근무지 학습의 Relevance 높이기(Acad Med, 2018)

Broadening the Scope of Feedback to Promote Its Relevance to Workplace Learning

Renée M. van der Leeuw, MD, PhD, Pim W. Teunissen, MD, PhD, and Cees P.M. van der Vleuten, PhD




일을 통해 배우는 것을 WBA와 맞추는 것은 도전이다. 피드백과 학습의 단절은 피드백에 대한 지식과 풍부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현재 놓치고 있는 학습 기회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aligning learning through work with workplace-based assessment is a challenge.4–6 The disconnect between feedback and learning implies that there are learning opportunities that are now being missed—despite the knowledge and wealth of research on feedback.


다음과 같은 피드백 

"연수생들의 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관찰된 성과와 기준을 비교한 구체적인 정보."

a review described feedback as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comparison between a trainee’s observed performance and a standard, given with the intent to improve the trainee’s performance.”7


동일한 저자의 보다 최근의 메타 리뷰에서는 피드백의 주요 문헌들은 [피드백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또는 메시지의 어떤 측면(즉, 출처, 형태, 내용, 타이밍)이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같은 피드백의 도구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8 "좋은 피드백을 주는 것은 결국 학습과 성과 개선으로 이어질 것이다"는 가정이 널리 퍼져인느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가정은 직장에서 학습과 행동 변화에 대한 더 복잡한 이해와 잘 맞지 않는다. 따라서 이렇게 피드백을 좁게 정의하는 것은 work를 통한 학습을 지원하는 데 있어서 제한된 가치만을 가진다. 많은 연구 간행물과 의학 교육의 최근 이니셔티브는 근무지학습에서의 피드백에 사회적 상호 작용과 문화적 측면이 미치는 영향을 강조한다.

A more recent meta-review by the same authors showed that most research regarding feedback focuses on instrumental aspects, such as how to give feedback effectively and which aspects of the message (i.e., source, form, content, timing) influence the outcome.8 The pervading assumption seems to be that “giving good feedback” will lead to learning and performance improvement. This assumption does not align well with a more complex understanding of learning and behavioral change in workplaces.9–13 This narrow definition of feedback therefore has limited value in supporting learning through work. Many research publications and recent initiatives in medical education emphasize the influence of social interactions and cultural aspects on feedback in workplace learning.14–18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드백 자체에 영향을 미칠 때, "기술적" 접근이 여전히 지배적이다.

Nevertheless, when honing in on feedback itself, the “technical” approach is still dominant,


피드백의 더 넓은 범위로서 '수행관련정보PRI'

Performance-Relevant Information as a Broader Scope for Feedback


  • 피드백의 더 광범위한 범위는 특정 맥락에서의 수행과 관련하여 업무 공간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정보를 통합해야 한다. 아무리 우리가 피드백의 정의를 확대하더라도, 그것은 여전히 "주고 받는" 정보의 개념이 될 것이다. 피드백이라는 용어를 쓰는 한, 학습자로서 당신에게 주어지는 것에 대한 판단은 주로 다른 사람들에 대한 인식에 기반을 둔다. 

  • 반대로 '성과 관련 정보(PRI)'의 개념에서, 기존의 관점은 [자신의 인식, 감정, 경험에 대해서, 무엇이 자신의 학습과 관련이 있다고 간주하는지]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바뀐다. 이것은 새로운 접근방식이며 관찰자가 관찰한 것에 대한 시각을 제공하는 기존의 관점과는 매우 다르다.

  • A broader scope for feedback should incorporate all information that affects learning in the workplace related to one’s performance within that context. Although we could have broadened the definition of feedback, it would continue to be the concept of “giv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With feedback, the judgment of what is given to you as a learner lies primarily in the perception of others. 

  • With the concept of performance-relevant information (PRI), this perspective shifts to appreciate the importance of what a learner, with his/her perception, emotions, and experiences considers relevant, for his/her learning. This is a new approach and is very different from the perspective in which an observer provides his/her vision of what was observed.


근무지환경에서 학습자가 이용할 수 있는 수많은 학습 기회를 반영하기 위해, 우리는 먼저 범위를 넓히기 위한 개념으로서 "관련 정보"라는 용어를 선택했다

  • 관련 정보는 학습자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사실이나 세부사항을 기술하는 더 중립적인 용어인 반면, 

  • 피드백은 어떤 것이 얼마나 성공적이거나 유용한가에 대한 판단을 요약한다. 

To reflect the numerous learning opportunities that are available to learners in the workplace setting, we first chose “relevant information” as a concept to broaden our scope. Relevant information is a more neutral term to describe facts or details that directly relate to the learner, whereas feedback encapsulates a judgment about how successful or useful something is. 


또한 우리는 관련 정보가 어디에서 파생될 수 있는지를 설명하고자 했으므로, PRI의 개념을 보여주기 위해 "수행performance"을 추가했다.

Because we aimed to address where the relevant information could be derived from, we added “performance,” to yield the concept of PRI.


간단히 말해, PRI는 학습자가 어떻게 직장에서 자신의 성과를 학습과 관련된 정보로 해석하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이 PRI는 개인의 업무 수행과 직장에서의 상호작용에 대한 해석에서 발생하는 학습에 대한 모든 잠재적인 정보의 source를 포함한다. 

  • 치료 후 환자의 결과, 

  • 역할 모델의 수행능력

  • 평가 및 평가, 

  • 의사 소통에 있어 동료와 동료의 반응, 

  • 실패 또는 성공의 느낌에 대한 탐구

In short, PRI as a concept focuses on how learners interpret their performance in the workplace in terms of what is relevant information for their learning. This notion of PRI includes all potential sources of information for learning arising from the interpretation of one’s performance and interaction in the workplace. Among these are 

  • patient outcomes after treatment; 

  • the performance of role models; 

  • evaluations and assessments; 

  • responses of colleagues and peers in communication with you; and 

  • exploring feelings of failure or great successes.


근무지학습은 [직장에서의 사회적 상호 작용과 경험]에서 발생하는 성과에 대한 관련 정보의 해석에 기초한다. 사회적 상호작용은 [개인이 학습을 위한 input으로서 무엇을 encounter 할지]를 결정하기 때문에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22 이는 다양한 학습자를 위해 다양한 학습 경험을 생성한다.

Workplace learning is based on an interpretation of relevant information for performance arising from social interaction and experiences in the workplace.10,22,23 Social interaction influences individual learning because the interaction determines what the individual encounters as input for learning.22 This creates a multitude of possible learning experiences for different learners.10,23


PRI에는 보다 명확한 평가 피드백에서 직장 경험, 감정 또는 환자 결과에 대한 보다 암묵적인 해석에 이르기까지 모든 범주 또는 유형의 정보가 포함된다.

PRI includes all categories or types of information, ranging from the more explicit assessment feedback to the more implicit interpretation of workplace experiences, emotions, or patient outcomes.



PRI라는 새로운 관점에서의 학습기회
Opportunities Emerging From the New Scope of PRI


근무지학습

Workplace learning


성과 개선을 중심에 두는 피드백의 정의에는 측정하기 어렵거나 눈에 잘 띄지 않는 성장 또는 학습의 측면이 포함되지 않는다. 여기에는 예를 들어, 한 인간으로서의 성장, 자신이나 타인에 대한 더 깊은 통찰력, 근무지 프로세스 또는 문화적 측면에 대한 인식, 어려운 감정을 처리 방법을 경험하고 확인하는 것 등과 같은 것이 포함된다.

The definition of feedback in its primary association with performance improvement does not include aspects of growth or learning that are less visible, let alone measurable.7 for example, growth as a human being, deeper insights into oneself or others, awareness of workplace processes or cultural aspects, experiencing and identifying ways to deal with difficult emotions, or gaining confidence.


PRI의 광범위성은 [단기적으로 관찰 가능한 성과 변화에서는 도출되지 않는 학습]을 포함할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냄에 따라, 개인이 어떻게 근무지에 embed된 정보를 선택하고 이해하는지를 설명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직장에서의 상황에 대한 해석이 어떻게 개인적 경험을 result in 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As the broader scope of PRI creates room to include learning that may not result in short-term observable performance change, it could also elucidate how individuals select and make sense of information that is embedded in the workplace. This can add to our understanding of how interpretations of situations in the workplace result in personal experiences.


평생학습

Lifelong learning


의학 교육에서는 "효과가 있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There is a tendency to focus on “what works” in medical education


이것은 직장 학습에 필수적인 [관계의 질과 상호작용의 중요성]으로부터 눈을 떼게 한다. 학습이 발생하는 학습자와 맥락 사이의 상호작용과 PRI에 초점을 맞추면 결과물보다는 프로세스를 강조하게 된다. 학습의 프로세스는 여러 해가 지나도 여전히 relevant한 평생학습과 매우 관련이 있는 반면, 학습 과정의 결과물은 언제나 한정된 유통기한을 가지고 있다.

It distracts attention from the importance of the quality of the relation and interaction that are vital for workplace learning.13,14 The focus on PRI and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their context that accommodates learning emphasizes process rather than product. This can also be highly relevant in lifelong learning, where the process of learning remains relevant throughout the years,26 whereas the product of the learning process has a constantly elapsing expiration date.


실수

Making mistakes


실수하는 것이 인간의 일부이긴 하지만, 시행착오를 위한 제한된 공간이 있는 의료 훈련 상황에서는 큰 부담이 된다. 수치심, 죄책감, 실수나 실패에 대한 두려움은 다루기 어렵다.

Although making mistakes is part of being human, the stakes are high in medical training situations in which there is limited room for trial and error. Shame, guilt, or fear of mistakes or failure are difficult to deal with.


PRI에 초점을 맞출 때 부정적인 감정을 극복하는 것이 더 쉬울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무슨 잘못을 했느냐" 보다는 무슨 일이 일어났고, 어떤 것이 수행과 관련이 있는지를 이해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it might be easier to overcome negative emotions when focusing on PRI and also to discuss these with others, as the focus is drawn to making sense of what happened and what is relevant in terms of performance, rather than “what did you do wrong.”


결론

Concluding Remarks


PRI는 또한 더 많은 암묵적인 배움의 원천으로 관심을 끌기 때문에, 중요한 문제는 [어떻게 일상에서 PRI로부터 배우는 것을 가장 잘 지원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Because PRI also draws attention toward more implicit sources of learning, an important question is how best to support learning from PRI in daily practice.


요약하자면, 관계나 교육동맹은 근무지학습의 필수적 측면으로 간주되는데, 이 경우에 PRI의 개념이 잘 부합하며, 근무지에서의 상호작용으로부터 도출가능한 관련 정보에 집중하게 한다.

In summary, the relationship or educational alliance can be considered a vital aspect in workplace learning, in which the concept of PRI fits well as it draws attention toward relevant information that is derived from interaction in the workplace.


Van den Eertwegh et al28은 근무지에서 레지던트의 의사소통 학습 과정을 조사하고 학습 과정을 설명하는 5단계 모델을 식별했다. 첫 단계는 바람직한 행동이나 임상 결과에 직면하는 것이다. PRI는 직장 내 학습을 위한 모든 소스(예를 들어 암묵적 또는 환자-관리 관련 소스)를 조명함으로써 이 첫 번째 단계에 추가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Van den Eertwegh et al28 investigated residents’ communication learning processes in the workplace and identified a five-phase model to describe the learning processes. The first phase is confrontation with (un) desired behavior or clinical outcomes. PRI could add to this first phase by shedding light on all sources for learning in the workplace—for example, also the implicit or patient-care related sources.


PRI는 [평가 정보의 사용]을 넘어, 의학교육에서 학습 기회를 명시적으로 확장하는 방식으로 피드백의 범위를 넓혀준다. 더욱이, 쉽게 측정하거나 이야기하지 않는 측면(예: 감정, 신뢰, 밤에 깨어 있는 상태)까지 고려함으로써, 근무지 맥락의 복잡성을 인정한다. 

PRI broadens the scope of feedback in a way that will explicitly expand learning opportunities in medical education beyond the use of assessment information. Moreover, it acknowledges the complexity of the workplace context, taking into account aspects that are not easily measurable or talked about (e.g., feelings, trust, lying awake at night). 


  • PRI는 어떤 정보가 당신과 관련되는지, 그리고 왜 관련되는지 찾는데 집중함으로써 성찰을 지원한다. 

  • 상호작용을 PRI를 수집하는 과정 중 하나로 인식하고, 따라서 PRI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에 기여한다. 

  • PRI는 무슨 일이 일어났고 어떤 것이 학습과 관련이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해롭거나 불리한 영향을 예방할 수 있다. 

  • 마지막으로, PRI는 직장에서 학습과 평가에 관한 우리 커뮤니티의 범위확장에 부합한다.

  • PRI supports reflection by focusing on seeking out which information is relevant to you and why. 

  • It recognizes interaction as one of the processes to gather PRI, thus contributing to learning through social interaction. 

  • PRI may prevent harmful or adverse effects as the focus is on making sense of what happened and what is relevant in terms of learning. 

  • Finally, PRI matches our communities’ broadening scope on learning and assessment in the workplace.



28 van den Eertwegh V, van der Vleuten C, Stalmeijer R, van Dalen J, Scherpbier A, van Dulmen S. Exploring residents’ communication learning process in the workplace: A five-phase model. PLoS One. 2015;10:e0125958.


21 Eva KW, Bordage G, Campbell C, et al. Towards a program of assessment for health professionals: From training into practice.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6;21:897–913.





 2018 Apr;93(4):556-559. doi: 10.1097/ACM.0000000000001962.

Broadening the Scope of Feedback to Promote Its Relevance to Workplace Learning.

Author information

1
R.M. van der Leeuw is a postdoc researcher in medical education and elderly care medical resident, Department of Elderly Care Medicine, Gerion, VU University, Amsterdam, the Netherlands. P.W. Teunissen is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and gynecologist, VU University Medical Center, Amsterdam, the Netherlands. C.P.M. van der Vleuten is professor of education, Department of Educational Development and Research,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Abstract

The common goal in medical education is to support the health care workforce, both present and future, in becoming and remaining competent professionals. Both during and after medical training, learning takes place in the clinical workplace. Yet, how feedback is defined in medical education and how it is practiced in clinical training situations, combined with a research focus on "what works," limits its potential for learning. This article explor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learning in interaction and current trends in medical education to broaden the scope of feedback and promote its relevance to workplace learning.A new, wider perspective is outlined in which feedback could be redefined as "performance-relevant information" (PRI). PRI can incorporate all information that is deemed relevant to the learner, drawn from interaction in workplace learning and one's interpretation of performance in the clinical workplace. This information can, for example, come from the evaluation of patient outcomes after treatment; observations of role models' performance; evaluations and assessments; exploring feelings of failure or success; and responses of colleagues and peers.PRI draws attention to learning opportunities that better fit the highly social learning of clinical workplaces and current trends in medical education. It supports the interpretation of individual or team performance in terms of relevance to learning. This allows for a comprehensive way of viewing and stimulating workplace learning and the performance of professionals, providing an opportunity to create lifelong learning strategies and potentially improving the care of patients.

PMID:
 
29068817
 
DOI:
 
10.1097/ACM.0000000000001962


"교육 동맹"의 맥락에서 의과대학생의 피드백 인식과 피드백 행동(Acad Med, 2017)

Medical Student Perceptions of Feedback and Feedback Behaviors Within the Context of the “Educational Alliance”

Lucy Bowen, Michelle Marshall, PhD, and Deborah Murdoch-Eaton, MBBS, FRCPCH, MD



저학년 학생들과 비교했을 때, 졸업에 가까워지는 학생들은 자신의 학습 목표를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이 더 크고, 성숙도와 관련된 요소인 자기 주도적 학습에 더 능숙하다.4 따라서 학습자가 성숙함에 따라 자신의 학습에 더 큰 책임을 지고 내부적으로 생성한 피드백에 점점 더 의존해야 한다는 가설이 있다.5–7

Compared with junior students, students nearer completion of training have a greater capacity to assess their own learning goals and are more proficient in self-directed learning, a factor related to their maturity.4 It is therefore hypothesized that as learners mature, they take greater responsibility within their own learning and should rely increasingly on internally generated feedback.5–7


학습 성과를 개선하는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은 오랫동안 의료 교육의 아킬레스건이었다. 중요한 문제는 제공된 피드백에 대한 학생들의 기억이다.

Providing effective feedback that improves learner performance has long been the Achilles’ heel of medical education. A key issue is the student’s recollection that feedback has been provided.


피드백 발생에 대한 인식은 메시지를 해석하고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전제 조건이지만, 학습자가 피드백을 항상 인식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4,11,12

Recognition of feedback occurring is an important prerequisite to interpreting and understanding its message, but learners may not always recognize feedback.4,11,12


이 결과로 6개의 부적응 반응이 발생하는 것으로 개념화되었다.

  • 외부 피드백을 무시하거나, 

  • 외부 피드백을 거부하거나, 

  • 피드백을 무관한 것으로 보거나, 

  • 내부와 외부 피드백 간의 관련성을 보지 않거나, 

  • 외부 피드백을 내부 판단에 맞게 해석하거나, 

  • 피상적인 방식으로 행동하는 등, 

Six maladaptive responses have been conceptualized as occurring as a result of this conflict, including 

  • ignoring external feedback, 

  • rejecting external feedback, 

  • viewing feedback as irrelevant, 

  • refusing to see a connection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feedback, 

  • reinterpreting the external feedback to align it with internal judgment, or 

  • acting on feedback in a superficial manner.17


McLean et al22는 피드백 개념화를 "telling", "Guiding", "depthing development", "다른 관점을 여는 것"으로 분류한다.

McLean et al22 categorize feedback conceptualizations as “telling,” “guiding,” “developing understanding,” and “opening up a different perspective,”


현재 best practice는 학습자를 피드백의 수동적 수신자로 위치시키고 "너무 교사 중심"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27-30 그러나 최근에는 피드백을 양방향 대화로 다시 인식함으로써 학습자가 피드백을 받고 행동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더 많이 강조하게 되었다. Beaumont et al는 피드백이란 학습자가 피드백을 구할 시기와 장소를 결정해야 하는 dialogic cycle이라고 설명한다. 이 접근방식에서 학습자는 피드백을 요구하는 성과 영역 쪽으로 교육자를 "cueing"하는 자세를 취해야 하는 학습의 공동 제작자로 간주된다.32

Current best practice approaches position learners as passive receivers of feedback23–25 and have been criticized as “too teacher centred.”26 Reconceptualizing feedback as a two-way conversation has led to a greater emphasis on the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 in receiving and acting upon feedback.27–30 Beaumont et al31 describe a dialogic cycle within which the learner must decide when and where to seek feedback. In this approach, learners are seen as coproducers of learning who need to be positioned for “cueing educators” toward areas of performance requiring feedback.32




Method


Setting


The five-year integrated hybrid curriculum is delivered over four phases. 

  • Early phases (phases 1 and 2A, years 1 and 2) covering underpinning clinical and medical sciences are predominantly delivered on the university campus. Instruction comes from a defined cohort of university-based teachers responsible for whole student year cohorts and with in-depth curricular knowledge. 

Clinical exposure increases sequentially. 

  • For the first half of the third year (phase 2B), small groups of learners are principally placed in hospitals or community health premises, where they are supervised by a multitude of clinicians teaching in their discipline and with less insight into wider curricular detail. 

  • Teaching modes transition, with reduced structured learning in lectures and university-based small-group tutorials, and reflect an expectation of increasing self-directed learning responsive to the changing clinical environment as students move through phases 3A, 3B, and 4 (second half of year 3 through year 5).


Feedback map


본 연구에 앞서, 의료 교육 프로그램 전반에 걸친 모든 주요 피드백 접점에 대한 포괄적인 매핑 작업이 수행되었다.36 교육 동맹 개념을 개선 피드백을 조사하는 렌즈로 사용한 이 작업은 [학습자와 교육자가 피드백을 위한 기회를 식별하고], 교육 제공 내에서 [피드백의 기본 목적을 이해하고 인정하도록 돕는] 중요한 단계로 간주되었다.

Prior to this study, a comprehensive mapping exercise of all key feedback encounters across our medical education program was undertaken.36 This exercise, which used the educational alliance concept as the lens through which to investigate enhancing feedback,33 was considered to be a crucial step to help learners and educators identify opportunities for feedback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the underpinning purpose of feedback within the educational provision.



Study design


For this study, we selected a qualitative methodology based on the principles of grounded theory37 to facilitate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students’ perceptions and behaviors toward feedback within the context of the educational alliance. We used the feedback map as a facilitatory tool through which to explore student engagement with the feedback process.


The study was undertaken between February and April 2015. Ethical approval for this study was granted by the University of Sheffield’s ethical review board. 

    • An invitation to participate in the study’s focus groups was initially sent to all students, using the communication platform within the VLE and linkage to an online signup. No incentive was offered for participation. 

    • We purposively selected study participants by year group from the respondents to be representative of the demographics of their year and the academic population. 

    • We held five focus groups, one per year group, to represent students in all phases of the program and allow for exploration of potential maturational differences across the student population.4


Participants attended a briefing session at which they were provided with further written study information including processes for data collection, storage, and anonymization, and a printed copy of the feedback map. 

    • After an opportunity for clarification, students signed a study participation consent form, which also stated their potential to withdraw from the study at any time (either through not attending their planned focus group or removal of their data from the study upon request). 

    • To prepare for their focus group sessions to be held the following week, they were asked to consider the feedback map and were encouraged to discuss it with their peers. 

    • The purpose of this was to ensure a focused and informed discussion to strengthen the data. 


We designed the focus groups to generate multiple perspectives, through both facilitated discussion and spontaneous conversation, and to explore student perceptions as well as the context and circumstances in which their views about feedback have been formed.38,39 

    • A primary moderator (L.B.) facilitated discussion, with an assistant recording contemporaneous field notes and observations. 

    • The moderator was purposefully selected to be nonthreatening and impartial to the results of the study. 

    • The focus group discussion guide included a flexible framework of questions generated from the literature14,28,33,40–43 (see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at http://links.lww. com/ACADMED/A435). 

    • Introductory questions initiated discussion around feedback and educational relationships, with prompted inquiries around the feedback map content if the areas had not been covered spontaneously. 

    • Discussions continued until saturation was reached, with no new content emerging. 


Data analysis

  • The primary moderator (L.B.) transcribed the audio-recorded discussions, and included the field notes. 

  • The NVIVO software package (version 10, QSR International, London, United Kingdom) was used to assist with data management. 

  • The initial scoping analysis (conducted by L.B.) identified key themes. 

  • These themes were then refined by the research team (L.B., M.M., D.M.E.), using a constant comparative approach based on the principles of grounded theory,37 to elicit a theoretical understanding from the data. 

  • We included systematic and iterative stages within the analysis: 

    • (1) comparing themes amongst participants within a group, 

    • (2) comparing themes within a group, 

    • (3) comparing themes amongst different groups, and 

    • (4) comparing themes amongst participants in different groups.44 

  • Peer debriefing and reflexive dialogue with the research team took place throughout all stages of the analysis. 

  • Two of the research team members were experienced medical educationalists (D.M.E., M.M.), and one was a recent biomedical science graduate who was new to this field (L.B.). 

  • Although member checking was not performed, audio recordings were used to check authenticity of the data interpretation. 

  • Our analysis focused on core messag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maturational differences, relationships between themes, commonalities of themes, and conflicting views between participants.



Results


학습 문화

Learning culture


학생들은 임상 학습 환경이 영향력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잦은 로테이션과 짧은 배치]는 [의미 있는 교육 관계를 발전]시키는 데 이용 가능한 시간에 영향을 미쳤다. 학습자들은 학생과 지도자의 관계가 성숙해질 때 피드백 질에 대한 향상된 인식을 보고했다.

Students identified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s as influential. Frequent rotations and shorter placements affected time available to develop meaningful educational relationships. Learners reported enhanced perceptions of feedback quality when student–supervisor relationships were able to mature.


학생들은 competence에는 중점을 두지만 excellence에는 중점을 두지 않는 학습 문화를 기술했다. 그들의 논평은, 그들이 일단 학습 단계에 만족스럽다고 여겨지는 성과 기준에 도달한 이후에는, 감독자가 추가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Students described learning cultures focusing on achieving competence but not excellence. Their comments indicated that after they reached a performance standard considered satisfactory for their stage of learning, supervisors were less likely to be recognized as providing additional feedback.


특히 임상 로테이션 중에는, 표준화된 역량 지향 평가 문서의 필수 완료를 반영하는 "tick box" 문화가 있다고 간주하였다. 학생들은 "단순히 동그라미 표를 체크하는지만 보고" 피드백을 "슬쩍 보고 넘기며", "절대 그것을 진지하게 수용하지 않는다"고 말했다(Y3:04:M).

Students considered there to be a “tick-box” culture reflecting the required completion of standardized competency-anchored assessment documentation, particularly during clinical rotations. Students described this as leading learners to “just look at the circles” and “glance over” feedback but “never really take it in” (Y3:04:M).


학습자들은 글로 쓰여진 서면 피드백의 약점을 지적하였는데, 별다른 가치가 없었고, generic nature로 한정되어 있어서 다른 상황으로의 학습의 transference를 제한했다.

Learners expressed the weaknesses of written feedback, as lacking in value and being of a limited generic nature, restricting transference of learning to other situations.


피드백 인식(그림 1)

Recognizing feedback (Figure 1)


피드백을 받고 응답할 수 있는 근본적인 전제조건인 피드백 인식의 challenge는 일부 참가자, 특히 더 저학년 학생의 코멘트에서 설명되었다.

The challenge of feedback recognition, a fundamental prerequisite to receiving and being able to respond to feedback, was illustrated in the comments of some participants, particularly those more junior.


참여자들에게 포커스 그룹 이전에 피드백 맵의 인쇄본을 제공하면서 검토와 반성의 시간을 허용한 것은, 이용 가능한 피드백 기회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토론을 생성한 것이 명백했다. 학생들은 signposting은 학습자가 피드백을 인식하고 들을 수 있도록 더 잘 준비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It was apparent that providing participants with a printed copy of the feedback map prior to the focus groups, allowing time for review and reflection, had resulted in an increased awareness of available feedback opportunities and generated discussion. Students indicated that signposting has potential to better prepare learners to recognize and listen for feedback.


학습자의 신념, 태도, 인식

Learner beliefs, attitudes, and perceptions.


데이터는 모든 학년의 학습자들이 실제로 피드백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종종 혼란스러워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학생들은 지도에 표시된 만큼의 잠재적으로 이용 가능한 피드백의 양을 받지 못했다고 느꼈다.

data revealed that learners across all program years were often confused about what actually constituted feedback. Students felt they did not receive the amount of feedback potentially available as indicated within the map.


그러나 피드백의 인지과 인식은 학생들이 피드백에 기대하는 것과 그것에 부여하는 중요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일부 학생들은 피드백을 "어떤 것을 적극적으로 듣기보다는 현장에서 signed off 하는 것"이라고 보았다(Y5:02:F).

However, perception and recognition of feedback may be influenced by what students expect and the importance they place upon feedback. Some students viewed feedback as “getting signed off the placement rather than actively hearing something” (Y5:02:F).


관계 

Relationships.


학생들은 감독관들과의 관계를 "주요 결정 요인"이라고 설명했다(Y4:01:M).

Students described their relationships with supervisors as a “major determinant” (Y4:01:M)


의과대학과의 관계도 중요했지만, 일부 저학년 학생들은 [academic entity로서의 의과대학]과 [개인으로서의 감독관]의 역할과 책임의 차이에 대해 잘 알지 못했다.

The student’s relationship with the medical school was also important, although some junior students had a blurred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dical school, as an academic entity, and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supervisors as individuals.


교수 특성

Teacher attributes.


학습자들은 교육자들의 노력 수준과 참여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신뢰성에 대한 판단을 내렸고, 이것은 피드백과 학습에 참여하려는 동기 부여에 중요한 결과를 낳았다. 학습자들은 "집중하고 있고" "교육적인 관점에서 학생들의 최선의 이익에 기여한다"고 느끼는 교수를 더 높게 평가했다.

Learners made credibility judgments based on perceptions of educators’ effort level and engagement, with important consequences for their motivation to engage with feedback and learning. Learners valued educators who they felt were “focused” and “worked in the students’ best interests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Y1:01:M).


피드백 방식

Mode of feedback.


언어적 피드백은 서면 피드백보다 덜 인식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특히 임상적 맥락에서 저학년 학생들에 의해 더욱 그러했다. 고학년 학생은 "피드백에 대해 토론하고 명확히 할 수 있는 양방향 대화로서의 결과"라는 구두 피드백의 가능성을 더 자주 확인했다(Y5:01:F).

Verbal feedback was reported to be recognized less than written feedback, particularly by junior students when in a clinical context. More senior students identified the potential for verbal feedback to “result in two-way dialogue where they could discuss and clarify aspects of feedback” (Y5:01:F).





피드백 사용(Figure 2)

Using feedback (Figure 2)


우리는 모든 학년에 걸쳐 학생들이 그들의 피드백을 거의 다시 보거나 관찰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상급 학생들은 [학습자와 교육자 사이의 공유된 책임을 인정하면서], 참여를 입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We found that students across all years rarely revisited or monitored their feedback. However, senior students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demonstrating engagement, recognizing a shared responsibility between learner and educator.


학습자 신념, 태도, 인식

Learner beliefs, attitudes, and perceptions.


많은 학생들이 참여 부족과 무관심을 보고했다. 저학년은 피드백을 이용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의과 대학의 책임이라고 생각했다; 몇몇은 단순히 평가에서 요구되는 최소 기준을 알고 싶어 했다. 일부 학생들은 피드백을 받는 것이 인센티브가 되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Many students reported a lack of engagement and sense of apathy. Junior students felt it was the medical school’s responsibility to motivate them to use feedback; some were focused on wanting to simply know the minimum standard required within assessments. Some students suggested that engaging with feedback should be incentivized.


다른 이들은 피드백을 포함한 학습 기회에 대한 그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장벽을 "유용성"에 대한 그들의 인식이라고 생각했다.

Others considered the biggest barrier affecting their behaviors toward learning opportunities, including feedback, to be their perceptions of “usefulness.”


특히 참여와 학습자 행동과 관련하여 학년마다 성숙도에 따른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고학년 학생들은 추가적인 자기 주도적 접근법을 표현했고, 저학년보다 피드백을 사용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Distinct maturational differences were evident across the study cohort, particularly regarding engagement and learner behaviors: Senior students articulated an additional self-directed approach and were more likely than junior students to use feedback.


교수 특성

Teacher attributes.


신뢰성 판단은 학생들의 피드백 사용 가능성에 영향을 미쳤다. 교육자들이 "조직화된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보았을 때, 학습자들은 "progression"을 볼 수 있고 "실제로 그것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고 느꼈다. (Y3:02:M)

Credibility judgments affected students’ likelihood of using feedback. When educators were seen to have an “organized system,” learners felt they could see their “progression” and they could “actually see the use of doing it” (Y3:02:M).


서면 내용에서는, 서로 동일한 피드백을 받는 학생들 사이에서 상당한 불만을 발견했다.

We found significant dissatisfaction amongst students receiving the same feedback as each other, particularly in written content;



관계

Relationships.


학생들은 감독관이 개인적인 수준에서 이해한다고 느꼈을 때 높이 평가하였는데, 이는 감독관들이 학생들이 개선하는데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는 인식을 반영한다.

Supervisors were valued when students felt understood by them on a personal level, reflecting a perception that the supervisors were better able to understand the skills and knowledge required for the students to improve.


피드백 방식

Mode of feedback.


선배 학습자들은 특히 구두 피드백을 더 유용한 피드백이라고 표현했다. 대화에서는 더 "대화에 열중"했고, 그 피드백이 더 "정직한" 것이라고 느꼈다. (Y5:01:F) 더 오랜 기간 동안, 서면 피드백은 다시 찾아보기는 더 쉬웠지만, 구두 피드백은 빠르게 잊혀졌기 때문에 높이 평가되었다. 그러나, 학습자들은 서면 피드백의 질적 품질이 피드백에 대한 인식의 유용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여러 번 불평했다.

Senior learners particularly described verbal feedback as more useful feedback; in the context of a dialogue they were more “engaged in the conversation” and felt the feedback to be more “honest” (Y5:01:F). Over longer periods, written feedback was appreciated because it was easier to come back to, whereas verbal feedback was quickly forgotten. However, learners made numerous complaints that the quality of the written feedback affected its perceived usefulness to them.







피드백 탐색(Figure 3)

Seeking feedback (Figure 3)


자신을 피드백의 수혜자로 여겼던 저학년에서, 의식적으로 피드백을 추구하기 위해 행동을 바꾼 고학년으로 분명한 전환을 보았다. 상급생들은 감독관이 피드백을 주는 "최고의 사람"인지에 대해 판단을 하기 시작했고, 피드백 전달자를 선택할 수 있는 권한에 대한 명확한 견해를 밝혔다.

We saw a clear transition from junior students, who viewed themselves as recipients of feedback, to senior students, who had changed their behavior to consciously seek feedback. Senior students discussed making judgments about whether the supervisor was the “best person” to give feedback and articulated views on being empowered to select feedback givers.


학습자 신념, 태도, 인식

Learner beliefs, attitudes, and perceptions.


저학년 학생들의 기대는 의대 이전의 고등학교에서의 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피드백은 "굳이 찾아나설 필요가 없이도 얻는" 것을 함의하고 있었고, "더 나아지기 위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Y1:02:M). 일부 후배들은 그들의 피드백 추구는 그들의 피드백을 요청하는 것에 대한 다른 학생들의 부정적인 반응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고 보고했다.

Junior students’ expectations were influenced by experiences in high school prior to medical school; feedback was perceived as “being better” with implications of feedback being “given without them having to seek it out” (Y1:02:M). Some junior students reported that their feedback-seeking behaviors were influenced by other students’ reports of negative reactions to their asking for feedback.


또한 저학년 학생들은 peer comparison이 퍼포먼스 기준을 정확히 반영한다고 간주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고학년 학생들에게 있어 피드백은 이용할 수 있는 학습 기회가 늘어났다는 것을 인식했고, 이렇게 수동적에서 능동적으로 전환하는 시기에 지지적 학습 문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나는 지금 질문하는 것이 훨씬 더 자신감 있다"

Junior students were also more likely to consider peer comparisons as credible reflections of performance standards. Students nearing graduation recognized increased learning opportunities available from feedback,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a supportive learning culture during this transition from passivity to proactivity: “I’m a lot more confident to ask now” (Y5:04:M).


고학년 학생들은 피드백 맵이 기대치를 재조정하고 피드백을 찾는 과정에서 proactive한 활동을 장려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

Senior participants observed that the feedback map could be useful for realigning expectations and encouraging proactivity in seeking feedback.


교수 특성

Teacher attributes.


상사의 접근가능성은 피드백을 추구하는 행동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요소였으며, 현장에서의 가변성이 형성된 교육 동맹 관계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되었다. 지도자의 태도는 학습자 참여에 중요한 결과를 가져왔다. 학생들이 devalue되었다고 느낀다면, 그들은 피드백에 덜 참여하게 되고, 따라서 그것을 탐색할 가능성이 줄어들었다.


The supervisor’s approachability was a crucial factor in facilitating feedback-seeking behaviors, and reported variability whilst on placement had an impact on the educational alliance relationships formed. Supervisor attitudes had significant consequences for learner engagement: If students felt devalued, they became less engaged with feedback and were therefore less likely to seek it.


관계

Relationships.


학생들이 상사와 좋은 관계를 갖는다면, 그들은 더 많은 피드백을 요청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자들이 이 관계에 노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인식되었을 때, 학생들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그 피드백에 더 많이 참여했으며, 감독자를 신뢰할 수 있는 사람으로 생각했다.

If students had a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supervisor, they were more likely to be able to ask for feedback. When educators were perceived as putting effort into the relationship, students reacted positively, were more engaged with the feedback, and considered the supervisor as credible.








고찰

Discussion


치료 동맹의 핵심 원칙이 교육 동맹에도 적용되며, 이는 목적에 대한 상호 이해를 뒷받침한다.33,45 이것은 감독자와 학습자의 학습 의도와 일치하는 피드백의 상호 이해를 촉진하기 위한 도구로 우리의 피드백 맵을 사용하는 것의 가치를 강조한다. 피드백 맵은 피드백 접점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에 대한 의미 있는 논의를 지원했다. 또한 효과적인 피드백 경험에 대한 영향의 범위와 효과적인 교육 동맹 개발에 대한 함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Core principles from the therapeutic alliance form the educational alliance and are underpinned by a mutual understanding of purpose.33,45 This emphasizes the value of using our feedback map as a tool to facilitate a mutual understanding of feedback aligned with the learning intentions of both supervisor and learner. The feedback map supported meaningful discussion with learners about their perceptions around feedback encounters; it also helped us understand the range of influences on effective feedback experiences and the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of an effective educational alliance.


학습 문화는 학습자 피드백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교육 기관 및 개인 교육자 수준에서 학습 문화를 다루기 위한 필수 의무가 있음을 보여주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피드백 교육 연합의 실행 가능성을 강화할 것이다.

The learning culture emerged as a key influence on learner feedback behaviors and would indicate a required commitment at the institutional and individual educator levels to address the learning culture, and thus enhance the potential for implementing an effective feedback educational alliance.


바쁜 직장에서는 학생들을 감독하는 의료 감독관이 차지하는 역할이 다양하기 때문에 의도치 않은 것이건, 긍정적인 교육 동맹에 대한 약속과는 상관없이 피드백 품질은 불가피하게 그 차이가 클 수 있다variability.

In the busy workplace, the multiplicity of roles held by the clinical supervisors who oversee students inevitably leads to a variability in feedback quality, however unintended and irrespective of the commitment to a positive educational alliance.


Kluger와 Van Dijk43은 의학교육에서 현재의 피드백에 대한 best practice는 불충분할 뿐만 아니라, 잠재적으로 비현실적이라고 주장한다. 임상 환경 내의 맥락적 다양성과 학습자의 이전 경험 범위는 피드백 인식과 학습 요구에 모두 영향을 미치며, "초점이 뒤섞여 있어서" 감독자를 더 어렵게 만든다.43 피드백 제공자는 학생의 조절초점과 개인의 학습 요구를 알아야 하지만, 그것을 명백히 비현실적인 시간 내에 수행해야 한다. 또한 의료 훈련의 현실과 의료 환경을 통한 단기 로테이션에서 다수의 supervisor는 피드백 품질을 모니터링을 어렵게 만든다.

Kluger and Van Dijk43 argue that current feedback “best practice” in medical education is insufficient and potentially unrealistic. The contextual diversity within clinical environments and the range of learners’ prior experiences will influence both their feedback perceptions and learning needs and indicates the challenge to supervisors of “working with a mixed foci.”43 The feedback giver is required to acquire an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regulatory focus and individual learning needs in an almost certainly unrealistic time frame. Additionally, the reality of medical training and the number of supervisors in short rotations through health care settings make it difficult to monitor feedback quality.


이러한 환경은 학습자의 통제 범위를 벗어나지만, 어떻게 피드백에 참여하고 적극적으로 피드백을 구할 수 있을지는 학습자의 통제 하에 있을 수 있다. 문헌에서 나온 증거는 [학습자가 피드백을 수용하는 것]에서 [학습자를 지원하고 준비시키는 것]으로 변화하며, 학습자를 학습의 "공동생산자"로 변화했음을 암시한다.32 임상 실습이라는 이상적이지 못한 교육 환경 내에서, 지저분한 현실은 많은 사람들이 학습자에게 "적대성"에 대한 준비를 요구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명백히, 학습 도구로서 피드백을 최적화하도록 학습자와 교육자 모두에게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Whilst this is beyond learners’ control, how they engage and actively seek feedback can be under their control. Evidence from the literature suggests a shift from focusing on learner acceptance of feedback to supporting and priming learners as “coproducers” of learning.32 The messy reality of learning within the often less- than-optimal educational environment of clinical practice may be regarded by many as requiring the preparation of learners for “adversity.” This, more explicitly, highlights the necessity of educating both learners and educators in optimizing feedback as a learning tool.46,47


Molloy47은 학생들이 "감독 관계 내에서 피드백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자신감을 갖기 위해 피드백의 이론과 실습을 배울 필요가 있다고 제안한다. 학습자가 피드백을 의미 있는 활동으로 만들기 위해 concurrent 훈련이 필요하다는 생각은 우리의 학습 결과로부터의 의미를 뒷받침한다. 교육자를 위한 지속적인 훈련과 동시에, 교육 동맹의 맥락에서 학습자가 피드백을 인지하고, 사용하고, 피드백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전략을 그들에게 부여함으로써 학습자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커리큘럼의 추가적 투명성을 필요로 한다. 의도된 결과와 일치하는 피드백 기회를 파악하면 "피드백 갭"에 접근하는 방법을 재고할 수 있는 매력적인 관점을 제공한다.

Molloy47 suggests that students need to learn the theory and practice of feedback to afford them the confidence to “give and receive feedback within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The notion that learners need concurrent training to make feedback a meaningful activity supports the implications from our study outcomes. Supporting learners by empowering them with strategies to enable them to recognize, use, and seek feedback within the context of an educational alliance, alongside ongoing training for educators, additionally requires curricular transparency. Identifying feedback opportunities aligned with intended outcomes provides an inviting perspective from which to reconsider how to approach the “feedback g a p.” 11,26,34


과거 접근 방식처럼, 교사의 행동을 개선하는 데에만 자원이 집중된다면 교육 동맹 프레임의 피드백은 inhibit 될 수 있다. 효과적인 피드백 교환의 맥락에서 의학교육 내에서 학습 문화의 중요한 영향을 고려할 때, 실용적인 차원에서의 초점은 교육자가 할 수 있는 일에서 학습자가 할 수 있는 것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요인이 피드백 과정에서 학습자의 인식과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교육자와 학생 간의 상호 책임의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한 종합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교육동맹의 틀 안에서 동등한 파트너십을 약속함에 있어 학습자는 피드백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피드백을 인지, 사용 및 탐색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갖춰야 한다.

Feedback within the framework of an educational alliance may be inhibited if resources are merely focused on improving the practice of teachers, as has been the historical approach. Given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learning culture within medical training in the context of an effective feedback exchange, on a pragmatic basis the focus needs to shift from what the educator can do to what the learner can do. In this study, we have shown that multiple factors have an impact on learner perceptions and behaviors in the feedback process. A holistic strategy is required, based on partnerships between educators and students with mutual responsibilities. In committing to an equal partnership within the framework of an educational alliance, learners need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feedback and be equipped with the necessary skills to recognize, use, and seek feedback.


모델 내 요소의 네트워크는 피드백 교환을 둘러싼 복잡성을 설명하고 있으며, 피드백 전략을 검토할 때 고려해야 할 여러가지 영향을 강조한다.

the network of factors within the models illustrates the complexity surrounding the feedback exchange and highlights a multitude of influences to be considered when reviewing feedback strategies.


피드백 상호작용 뒤에 있는 목적의 상호 명확성을 강화하기 위한 매핑 도구의 제공은 가치가 있을 수 있다.

Provision of a mapping tool intended to potentiate mutual clarity of purpose behind a feedback interaction may be of value.


[학습자의 피드백 읽고 쓰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고, 학습자가 자신의 개인적 학습 요구와 관련된 피드백을 인식하고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관심을 필요로 하는 교육동맹의 주요 측면으로 보인다. 관계를 개선함으로써 학습자가 피드백을 인식하는 방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아마도 더 중요한 것은 다양한 학습 문화 내에서 받은 피드백의 가변적variable 퀄리티에 적응할 수 있는 힘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것은 학생들이 nonideal한 직장의 현실에 직면했을 때 그들 자신의 학습을 책임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Shifting focus to enhancing learners’ feedback literacy skills, to enable them to recognize and seek out feedback relevant to their own personal learning needs, would seem to be the key aspect of the educational alliance in need of attention. Whilst improved relationships might influence how feedback is perceived by learners, perhaps more essential is empowering learners to adapt to the variable quality of feedback received within diverse learning cultures. This involves empowering students to take charge of their own learning when faced with the reality of a nonideal workplace.















 2017 Sep;92(9):1303-1312. doi: 10.1097/ACM.0000000000001632.

Medical Student Perceptions of Feedback and Feedback Behaviors Within the Context of the "Educational Alliance".

Author information

1
L. Bowen was a science graduate intern and research assistant, Academic Unit of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Sheffield, Sheffield, United Kingdom, at the time of the study. M. Marshall is director of learning and teaching, Academic Unit of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Sheffield, Sheffield, United Kingdom. D. Murdoch-Eaton is dean of medical education and departmental head, Academic Unit of MedicalEducation, University of Sheffield, Sheffield, United Kingdom.

Abstract

PURPOSE:

Using the "educational alliance" as a conceptual framework, the authors explored medical students' beliefs about feedback and how their feedback behaviors reflect their perceptions.

METHOD:

Five focus groups (four to six medical students each) at one UK medical school in 2015 were used to capture and elucidate learners' feedback perceptions and behaviors within the context of the learner-educator relationship. A map of key feedback opportunities across the program was used as a tool for exploring student engagement with the feedback process.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an approach based on grounded theory principles.

RESULTS:

Three learner feedback behaviors emerged: recognizing, using, and seeking feedback. Five core themes influencing these behaviors were generated: learner beliefs, attitudes, and perceptions; relationships; teacher attributes; mode of feedback; and learning culture. Conceptual models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hemes and each behavior were developed. Learning culture influenced all three behaviors with a wide context of influences.

CONCLUSIONS:

Ensuring that feedback leads to improved performance requires more than training educators in best practices. The conceptual models support the educational alliance framework and illustrate the context and complexity of learning culture surrounding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learner, and feedback exchange. The educational alliance approach is underpinned by a mutual understanding of purpose and responsibility. Enhancing learners' feedback literacy skills seems to be the key aspect of the educational alliance in need of attention. Empowering learners to recognize, seek, and use feedback received within diverse learning cultures is essential.

PMID:
 
28272114
 
DOI:
 
10.1097/ACM.0000000000001632


R2C2: 전공의 피드백과 코칭을 위한 근거기반모델(J Grad Med Educ, 2017)

R2C2 in Action: Testing an Evidence-Based Model to Facilitate Feedback and Coaching in Residency

Joan Sargeant, PhD

Karen Mann, PhD

Sarah Manos, MD, FRCP(C)

Ian Epstein, MD, FRCPC

Andrew Warren, MD, MSc, FRCPC

Cindy Shearer, PhD

Michelle Boudreau, MA




도입

Introduction


이 모델은 3가지 이론적 관점에서 기초한다: 휴머니즘과 인간 중심적 접근, informed 또는 guided 자기 평가, 그리고 행동 변화의 과학.19 4단계는 다음을 포함한다. 

(1) 라뽀 및 관계 구축 

(2) 피드백에 대한 반응 탐색 

(3) 피드백 내용 탐색 

(4) 변화 코칭 

The model is founded in 3 theoretical perspectives: humanism and person-centered approaches,17 informed or guided self-assessment,18 and the science of behavioral change.19 The 4 phases include 

(1) rapport and relationship building; 

(2) exploring reactions to feedback; 

(3) exploring feedback content; and 

(4) coaching for change. 



이 모델을 R2C2(관계, 반응, 내용, 코칭)라고 한다.

The model is referred to as R2C2 (relationship, reaction, content, coaching).


기존 피드백 모델에 R2C2는 몇 가지 기능을 추가한다.

  • 관계 수립 

  • 일방적인 전달보다는 피드백 대화 작성에 초점을 맞춘다. 

  • 학습자의 성과 데이터에 능동적으로 참여시키고, 그리고 

  • 감독자가 코칭할 수 있도록 한다.

To existing models of feedback, R2C2 adds several features: 

  • establishing rapport; 

  • focusing on creation of a feedback conversation rather than a 1-way delivery; 

  • actively engaging learners in their performance data and in reflection; and 

  • enabling supervisors to coach.


우리는 교육에서의 코칭의 정의를 사용한다: "[자신 인식과 개인적 책임감을 증가시킴으로써 학습과 발전을 증진시키는데 초점을 맞춘 1:1 대화]로서, 코치가 지지적이고 encouraging한 분위기 속에서 질문, 적극적인 경청, 그리고 적절한 도전을 통해 피코치에 대한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촉진하는 것"21(p17)

We use a definition of coaching from education: ‘‘a 1-to-1 conversation focused on the enhancement of learning and development through increasing self-awareness and a sense of personal responsibility, where the coach facilitates the self-directed learning of the coachee through questioning, active listening, and appropriate challenge in a supportive and encouraging climate.’’21(p17)


Methods


Design


Recruitment


Supervisor Preparation


Data Collection


Analysis


    • We used template analysis to examine the feedback session transcripts, specifically to determine the use of the model overall and each phase, and to identify helpful phrases used in each phase.23,24 

      • Template analysis is appropriate when using an a priori coding structure to guide the analysis. 

    • The 4 stages of the R2C2 model comprised our template, and through analysis, we identified in each feedback interview the extent to which each phase was used, particular phrases used by supervisors, and residents’ responses to them. 

    • We used thematic analysis for the debrief transcripts to identify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the model and factors that influenced its use.25


결과

Results


일반적으로 모든 네 phase에 걸쳐 R2C2 모델을 지지

Overall, the small group of participating supervisors and residents expressed general support for the R2C2 model and reported using all 4 phases. The BOX provides sample phrases used in each phase.


촉진적 문구의 예시들

BOX Sample Facilitative Phrases Used by Supervisors in Each Phase of the R2C2 Model



1단계: Rapport 및 Relationship Building

Phase 1: Rapport and Relationship Building


& "지난 3개월 동안 받은 피드백에 대해 알려줘."

& "사람들이 말한게 너의 강점 또는 개선점이라고 말한 것은 무엇인가?"

& "어떤 종류의 설정/로테이션/환자"를 즐겼는가?

& "여러분은 여러분의 피드백에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어떤 경향이나 어떤 것들을 보십니까?"

&"이 로테이션에서 무엇을 얻기를 바랐니?"

&"당신이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장점은 무엇인가?"


& ‘‘Tell me about feedback you’ve received in your last 3 months.’’

& ‘‘What are some things that people have said were your strengths/you could improve on?’’

& ‘‘What kind of settings/rotations/patients have you enjoyed?’’

& ‘‘Do you see some trends or some things that come up consistently in your feedback?’’

& ‘‘What were you hoping to gain in this rotation?’’

& ‘‘What are some strengths you think you bring?’’



2단계: 피드백에 대한 반응 탐색

Phase 2: Exploring Reactions to Feedback


& "그래서 이 평가에서 여러분을 놀라게 한 것이 있었는가, 아니면 기대했던 종류의 피드백인가?"

& "첫 느낌은 어땠는가?"

& "그래서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이 평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공평한가? 이것이 네가 기대했던 것인가?'

& 그리고 이 단계에서, 나는 단지 피드백의 관점에서 내가 방금 당신에게 준 것에 대해 생각해 보기를 원한다. 내가 방금 말한 네 강점에 대해 놀라웠던 게 있니? 내가 말 한 당신의 강점들 중에서 놀랐던 것이 있는가?

& 이것은 다른 곳에서 받은 피드백과 일치하는가?'


& ‘‘So was there anything in this evaluation that surprised you, or were you pretty much expecting that sort of feedback?’’

& ‘‘What’s your initial reaction to this?’’

& ‘‘So what do you think? Like what do you think about this evaluation? Is it fair? Is it what you expected?’’

& ‘‘So in this stage here, I just want us to reflect on what I just gave you in terms of the feedback. Were there any surprises to what I just told you in terms of your strengths? Were you surprised by any of the strengths that I mentioned or any of the areas to work on?’’ 

& ‘‘Is this consistent with some of your other feedback?’’


3단계: 피드백 콘텐츠 탐색

Phase 3: Exploring Feedback Content


& '' . . . 명확하지 않거나 더 명확히 하고 싶은 모든 것은?'

& "그래서 내가 말하는 것이 말이 되지 않거나 불분명한 것이 있었는가?'

& "어떤것이라도 너에게 충격을 주었니?'"

& "패턴이라는 측면에서, 당신은 당신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해서 꽤 일관된 피드백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 "그래서 당신은 무엇이 당신이 생각했던 것보다 더 부드럽게 만들었을까?

& ‘‘. . . Anything that you are unclear about or want more clarification about’’

& ‘‘So was there anything I said that didn’t make sense or was unclear?’’

& ‘‘Anything that sort of struck you?’’

& ‘‘In terms of recognizing a pattern, you had mentioned that you had been getting fairly consistent feedback with regards to your communication . . .’’

& ‘‘So what do you think made it go smoother than you thought it was going to?’’


4단계: 변화를 위한 코칭

Phase 4: Coaching for Change


& "어려운 점이 있었거나, 다르게 할 것이 있었거나, 또 다른 로테이션 전이나 로테이션 도중에 하고 싶은 것이 있었는가?'

& "소아과 병동 첫 근무에서 무엇을 얻고 싶은가? 여러분이 얻고자 했던 학습 목표는 무엇인가?

& "그러나 그 다음 로테이션이 계속 있을 때, 개인적으로 이루고 싶었던 변화들이 있었는가?'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무엇을 할 작정인가?

&이러한 변화들을 어떻게 추적하시겠습니까? 아니면 향후 6개월 내에 그 지식을 쌓을 수 있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 것인가?'

& ‘‘Was there anything that you found difficult, would do differently, or want to work on prior to or during another rotation?’’

& ‘‘What are you hoping to gain from your first stint as junior on the pediatric medical unit? What are some of your identified learning objectives that you wanted to gain?

& ‘‘But in terms of moving toward next week for rounds and the week after, were there any changes that you were hoping to make personally?’’

& ‘‘What are you going to do to make sure . . . to reach that goal?

& ‘‘How are you going to track those changes or how are you going to know that you’re, in the next 6 months, building that knowledge?’’


Phase 1: Rapport and Relationship Building

1단계: Rapport 및 Relationship Building


1단계의 목표는 레지던트를 참여시키고 관계와 신뢰를 구축하는 것이었다. 몇몇 감독관들은 그들이 거주자들을 잘 안다고 보도했지만, 대부분은 관계를 더 발전시키기 위해 특정한 표현을 사용했다. 그들은 3가지 관계 구축 전략을 사용하는 것 같았다. 

The goal of Phase 1 was to engage the resident and build the relationship and trust. While several supervisors reported that they knew the residents well, most used specific phrases to further build the relationship. They appeared to use 3 relationship-building strategies. 

    • The first, as reported in the BOX, was to engage the resident in the feedback conversation and learn his or her perspectives about progress and past experience. 

    • The second was to confirm and support the resident’s perspectives, using phrases like ‘‘I still find that challenging’’ and ‘‘I find the more you do, the more comfortable you get’’ (S01). 

    • The third was providing positive feedback: ‘‘You did very well with time management’’ (S02) and ‘‘In terms of communication . . . I think you really have a nice way with families’’ (S04).

    • 첫 번째는 BOX에 보고된 바와 같이 레지트를 피드백 대화에 참여시키고 진행상황과 과거 경험에 대한 그들의 관점을 배우는 것이었다. 

    • 두 번째 방법은 "나도 여전히 그 그것이 쉽지 않다"와 "네가 더 많이 할수록 더 편안하게 느낄 것이다"와 같은 문구를 사용하여 레지던트의 관점을 확인해주고 지지해주는 것이었다. 

    • 세 번째는 "시간관리도 잘했다" (S02)와 "소통도 잘했다. 가족과 함께 정말 좋은 길을 가고 있다고 생각한다." (S04)와 같은 긍정적 피드백을 주는 것이다.


2단계: 피드백에 대한 반응 탐색

Phase 2: Exploring Reactions to Feedback


2단계의 목적은 평가 보고서 및 피드백에 대한 레지던트의 반응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질문들은 레지던트들에게 그들이 어떻게 행동하고 있는지를 성찰해보게 하고, 그리고 자신의 행동과 피드백을 비교해보도록 격려했다. 예를 들어, "이 평가에서 여러분을 놀라게 한 것이 있었는가 아니면 그러한 피드백을 상당히 기대하고 있었는가?" (S03)

The purpose of Phase 2 was to explore residents’ reactions to their assessment report and feedback. Questions encouraged residents to reflect on and compare how they thought they were doing and their feedback. For example, ‘‘Was there anything in this evaluation that surprised you or were you pretty much expecting that sort of feedback?’’ (S03)


3단계: 피드백 콘텐츠 탐색

Phase 3: Exploring Feedback Content


3단계에서 관리자들은 레지던트와 함께 보고서의 특정 피드백을 검토하고 확인함으로써 그들이 그것을 이해했는지 확인한다. 우리의 연구에서 감독자들은 또한 이 단계를 사용하여 보다 완벽한 피드백을 제공하게 되며, 레지던트와 함께 평가를 confirm하였다.

In Phase 3, supervisors reviewed and confirmed the specific feedback in the report with residents to ensure that they understood it. In our study, supervisors also used this phase to provide more complete feedback and confirm their assessments with those of the resident:


4단계: 변화를 위한 코칭

Phase 4: Coaching for Change


4단계의 목적은 최소 1개의 퍼포먼스 갭을 확인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계획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들은 그들을 목표와 그것을 달성할 방법(예: 시간 관리, 주니어 학습자 교육, 환자 및 가족 커뮤니케이션)을 식별했다. 3단계와 4단계는 종종 겹친다. 감독자와 레지던트는 4단계가 구체적인 조치에 대한 계획이 필요하기 때문에 가장 유용한 단계라고 확인하였다. 감독자들은 (매우 잘 하는 학생일지라도) 반성을 촉진하고 목표 설정을 안내하기 위해 촉진 코칭 접근법을 사용했다.

The purpose of Phase 4 was for the supervisor and resident together to identify at least 1 gap in performance and develop a plan to address it. They identified goals and ways to meet them (eg, time management, teaching junior learners, patient and family communication). Phases 3 and 4 often overlapped. Supervisors and residents identified Phase 4 as the most useful phase because it required planning for specific action. Supervisors used facilitative coaching approaches to promote reflection (even for students doing very well) and to guide goal setting:



전반적인 반응

Responses to R2C2 Model as a Whole


여기에 참여한 레지던트 및 감독자 그룹은 R2C2 모델이 레지던트의 평가, 피드백 및 목표에 대한 논의에 참여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감독관들은 피드백 대화를 위한 구조를 갖는 것을 높이 평가했고, 또한 4단계가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들은 지도할 기회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특히 대화에 레지던트를 참여시키고, 성찰을 촉진하고, 목표를 파악하고, 계획을 개발할 기회가 있다는 것에 만족했다. 그들은 이 모델이 그렇지 않았더라면 간과되었을 개선 영역을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잘 하고 있다고 생각해온 레지던트들과 함께 일할 때에도 유용하다는 것을 알았다.

The small group of participating residents and supervisors found the R2C2 model helpful in engaging residents in discussions about their assessment, feedback, and goals. Supervisors valued having a structure for feedback conversations, and also noted that the 4 phases could be used iteratively. They appreciated the opportunity to coach and specifically to engage the resident in conversation, promote reflection, identify a goal, and develop a plan. They found the model useful when working with residents who were doing well as it allowed for identifying areas for enhancement that might otherwise have been overlooked.


레지던트들은 그 모델이 유용하고 편안한 대화를 할 수 있다는 데 동의했다. 그들은 특히 상사와 함께 일하는 것에 대해 감사했다.

Residents agreed that the model enabled a helpful and comfortable conversation. They especially appreciated working collaboratively with the supervisor.


감독관들과 레지던트들 모두 R2C2 사용 시 당면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들은 각자가 피드백 세션을 준비하기 위해 미리 평가 보고서를 검토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나, 평가 테크놀로지는 레지던트가 자신의 보고서를 미리 볼 수 있도록 허용하지 않았다. 감독관들은 R2C2 모델의 사용법을 배울 시간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다른 새로운 스킬과 마찬가지로, 반복적을 사용하면서 더 쉬워졌으며, 세세한 안내책자는 도움이 되는 안내서였다.

Both supervisors and residents discussed challenges in using R2C2. They identified the need for each to review the assessment report ahead of time to prepare for the feedback session, yet the assessment technology did not allow residents to view their reports beforehand. Supervisors noted that they needed to make time to learn to use the R2C2 model. As with any newskill, though, repeated use made it easier, and the trifold brochure was a helpful guide.


고찰

Discussion


아마도 가장 주목할 만한 발견은 피드백 토론에 참여하는 보고에서 레지던트와 상사의 일관성일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들은 레지던트의 성과를 검토하고 개선을 위한 목표를 확인하기 위해 협력했다. 그들은 4단계 코칭이 생산적인 협업 작업을 가능하게 한 가장 유용하고 새로운 단계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협력적 학습 관계를 지원하는 이전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며, 피드백을 제공하고 받는 감독자 및 레지던트의 불안을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12,15

Perhaps the most compelling finding was residents’ and supervisors’ consistency in reporting being engaged in the feedback discussions. In general, they worked collaboratively to review residents’ performance and identify goals for improvement. They described Phase 4, coaching, as the most helpful and novel phase as it enabled productive collaborative work. Such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earlier work that supports collaborative learning relationships,15 with the potential for reducing supervisor and resident anxiety in providing and receiving feedback.12,15


레지던트 및 감독자 모두 R2C2와 같은 반사 모델을 [정의된defined 코칭 단계에 사용하는 것이 피드백을 제공하고 받는 것]에 대해 이전과는 다르게 생각하게 만든다고 보았다. 피드백 대화를 개선을 위한 코칭 기회로 만드는 것은 피드백에 긍정적인 빛을 비추는 것처럼 보였다.

Both residents and supervisors observed that using a reflective model like R2C2 with a defined coaching phase prompted them to think differently about providing and receiving feedback. Framing feedback conversations as opportunities to coach for improvement seemed to shine a positive light on feedback.






 2017 Apr;9(2):165-170. doi: 10.4300/JGME-D-16-00398.1.

R2C2 in ActionTesting an Evidence-Based Model to Facilitate Feedback and Coaching in Residency.

Abstract

BACKGROUND:

Feedback is increasingly seen as a collaborative conversation between supervisors and learners, where learners are actively and reflectively engaged with feedback and use it to improve. Based on this, and through earlier research, we developed an evidence- and theory-informed, 4-phase model for facilitating feedback and practice improvement-the R2C2 model (relationship, reaction, content, coaching).

OBJECTIVE:

Our goal was to explore the utility and acceptability of the R2C2 model in residency education, specifically for engaging residents in their feedback and in using it to improve, as well as the factors influencing its use.

METHODS:

This qualitative study used the principles of design research. We recruited residents and their supervisors in 2 programs, internal medicine and pediatrics. We prepared supervisors to use the R2C2 model during their regular midrotation and/or end-of-rotation feedbacksessions with participating residents to discuss their progress and assessment reports. We conducted debriefing interviews with supervisors and residents after each session. We analyzed transcripts as a team using template and content analysis.

RESULTS:

Of 61 residents, 7 residents (11%) participated with their supervisors (n = 5). Schedules and sensitivity to feedback prevented broader enrollment. Supervisors found the structured R2C2 format useful. Residents and supervisors reported that the coaching phase was novel and helpful, and that the R2C2 model engaged both groups in collaborative, reflective, goal-oriented feedback discussions.

CONCLUSIONS:

Participants found that using the R2C2 model enabled meaningful feedback conversations, identification of goals for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strategies to meet those goals.

Comment in

PMID:
 
28439347
 
PMCID:
 
PMC5398131
 
DOI:
 
10.4300/JGME-D-16-00398.1
[Indexed for MEDLINE] 
Free PMC Article


PBL의 효과: 평가의 관점에서 메타분석(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2005)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A Meta-Analysis From the Angle of Assessment

David Gijbels University of Antwerp

Filip Dochy University of Leuven

Piet Van den Bossche University of Maastricht

Mien Segers University of Leiden and University of Maastricht




PBL

Problem-Based Learning


캐나다에서 그 당시 의학교육의 일반적인 관행에 대한 불만으로 50년대와 60년대에 개발되었다.

PBL, as it is known today, originated in Canada in the 1950s and 1960s in response to dissatisfaction with common practices in medical education there (Barrows, 1996).


정의

Definition


문헌에서, PBL은 다양한 방법으로 정의되고 기술되어 왔다. PBL은 학습과 가르침의 많은 부분을 구체적인 문제에 anchor시키는 교육에 대한 많은 상황별 접근법을 언급하는데 사용된다(Evenson & Hmelo, 2000). 대부분의 PBL 정의에서 구체적인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것을 핵심으로 말한다

In the literature, PBL has been defined and described in various ways. PBL is used to refer to many contextualized approaches to instruction that anchor much of learning and teaching in concrete problems (Evenson & Hmelo, 2000). This focus on concrete problems as initiating the learning process is central in most definitions of PBL.


Vernon과 Blake (1993, 페이지 550)는 PBL을 정의했다 : "다음을 강조하는 학습(또는 교육) 방법

(1) (실제 또는 가상의) 임상 사례에 대한 연구 

(2) 소규모 토론 그룹,

(3) 협력적 독립 연구, 

(4) 가설-연역적 추론 

(5) 정보전달보다는 그룹 progress에 집중하는 교수 지도 스타일. 

Vernon and Blake (1993, p. 550) defined PBL : “a method of learning (or teaching) that emphasizes

(1) the study of clinical cases, either real or hypothetical, 

(2) small discussion groups,

(3) collaborative independent study, 

(4) hypothetico-deductive reasoning, and 

(5) a style of faculty direction that concentrates on group progress rather than imparting information.” 


이 정의의 범위는 하나의 보편적인 정의를 내리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준다. (Chen, Cowdroy, Kingsland, and Ostwald, 1995)

This range of definitions illustrates how difficult it is to come to one universal definition (Chen, Cowdroy, Kingsland, & Ostwald, 1995).


Savin-Baden(2000)은 PBL의 특성은 좁게 정의되지 않으며, 다양한 PBL 접근을 사용하는 다양한 상황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있다고 주장한다.

Savin-Baden (2000) argues that there simply are no narrowly defined characteristics of PBL, only people working in various contexts using various PBL-approaches.


Barrows(1996)는 McMaster University의 원래 방법을 기반으로 핵심 모델을 개발했다. 의학 교육의 맥락에서 유래된 맥매스터 접근법은 많은 다른 맥락에서 확고한 기초가 되었다. (Boud & Felti, 1997) Barrows의(1996) 핵심 모델은 PBL의 6가지 핵심 특성을 설명한다.

Barrows (1996) developed a core model based on the original method from McMaster University. The McMaster approach that originated in the context of medical education has served as a robust basis for many other contexts (Boud & Feletti, 1997). Barrows’s (1996) core model describes six core characteristics of PBL:


1. 배움은 학생 중심이다.

2. 배움은 소그룹 학생 집단에서 일어난다.

3. 지도교사가 조력자 또는 안내자로 참석한다.

4. Authentic 문제는 학습 전 또는 준비단계와 같이 학습 시퀀스의 시작 부분에 나타난다.

5. 마주친 문제들은 결국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문제 해결 능력을 얻기 위한 도구로 사용된다.

6.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해 새로운 정보를 얻는다.

1. Learning is student-centered.

2. Learning occurs in small student groups.

3. A tutor is present as a facilitator or guide.

4. Authentic problems are presented at the beginning of the learning sequence, before any preparation or study has occurred.

5. The problems encountered are used as tools to achieve the required knowledge and the problem-solving skills necessary to eventually solve the problems.

6. New information is acquired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PBL의 정의가 애매한 것과 마찬가지로, 기존의 강의 기반 프로그램의 구성에 대한 정의도 모호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 기존 교육은 대규모 그룹 강의와 강사가 제공하는 학습 목표와 과제에 의해 결정된다(Albanese & Mitchell, 1993년).

It should be noted that, just as the definition of PBL is ambiguous, so too is the definition of what constitutes a conventional lecture-based program. For the most part, conventional instruction is marked by large group lectures and instructor provided learning objectives and assignments (Albanese & Mitchell, 1993).


PBL의 주요 목적

Main Goals of PBL


고등교육의 문제 기반 학습 환경은 학생들이 학문 분야의 전문가가 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discipline과 관련된 문제를 식별하고, 해결책을 분석하고, 기여할 수 있다.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s in higher education are intended to guide students to become experts in a field of study, capable of identifying the problems of the discipline and analyzing and contributing to the solutions.


전문가 성과에 대한 두 가지 일반적인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Feltovich, Spiro, & Coulson, 1993; Gagné et al., 1993; Glaser, 1990).

Two general characteristics of expert performance can be identified (Feltovich, Spiro, & Coulson, 1993; Gagné et al., 1993; Glaser, 1990):


1. 전문가들은 논리정연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 

1. Experts possess coherent knowledge. 


그들은 주요 현상과 그들의 관계를 정확하게 나타내는 도메인에서 개념과 원칙의 잘 구성된 네트워크를 장악하고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초보자들의 지식은 기본적인 원칙과 패턴을 이해하지 못하는 분절된 정의들로 구성되어 있다.

They have command of a well-structured network of concepts and principles in the domain that accurately represents key phenomena and their relationships. In contrast, beginners’ knowledge is patchy, consisting of isolated definitions without an understanding of underlying principles and patterns.


2. 전문가들은 새로운 문제를 기술하고 해결하기 위해 관련 지식 요소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

2. Experts know how to use the relevant elements of knowledge in a flexible way to describe and solve novel problems.


글레이저(1990, 페이지 447)가 지적한 바와 같이, "전문가 및 초보자는 특정 정보 항목의 리콜에 있어 동등하게 유능할 수 있지만, 더 많은 경험이란 이러한 아이템들을 문제 해결의 목표와 행동 조건과 관련지을 수 있는 것이다." 초심자는 종종 사실, 개념 및 원칙을 [적용하는 조건]과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모른 채로 사실적 지식만을 알고 있다.

As Glaser (1990, p. 447) noted, “experts and novices may be equally competent at recalling specific items of information, but the more experienced relate these items to the goals of problem solution and conditions for action.” Novices often know facts, concepts, and principles without knowing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y apply and how they can be used most effectively.


PBL의 효과

Effects of PBL


PBL의 도입을 심사숙고한다면, 중요한 질문은 PBL을 사용하는 학생들이 전통적인 교육을 받은 학생들보다 더 효과적인 방법으로 목표에 도달하는가 하는 것이다. 알바네즈와 미첼(1993, 페이지 56)은 다음과 같이 질문을 제기하였다. 

If one ponders the implementation of PBL, a major question is: Do students who use PBL reach the goal in a more effective way than students who receive conventional instruction? Albanese and Mitchell (1993, p. 56) posed the question this way: 


"뭉뚱그려 말해보자면, 문제 기반 학습이 단순히 같은 결과를 달성하는 또 다른 방법이라면, 왜 고통스러운 커리큘럼 개정에 드는 비용과 노력을 들여야 하는가?"

“Stated bluntly, if problem-based learning is simply another route to achieving the same product, why bother with the expense and effort of undertaking a painful curriculum revision?”



알바니아인과 미첼(1993)의 리뷰는 아마도 가장 잘 알려져 있을 것이다.

The review by Albanese and Mitchell (1993) is probably the best known.


이 검토의 주요 결과는 

(a) 학생들은 PBL이 기존의 교육보다 더 nurturing하고 즐거운 것임을 알게 되었다. 

(b) PBL 졸업생은 기존 교육을 받은 학생보다 임상시험 및 교수진 평가에서 더 잘 수행했다. 

The main results of this review were that 

(a) students found PBL to be more nurturing and enjoyable than conventional instruction, and 

(b) PBL graduates performed as well, and sometimes better, on clinical examinations and faculty evaluations than did students who had received conventional instruction. 


그러나 PBL 학생들은 기초과학 시험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그들 스스로는 전통적으로 훈련된 다른 학생들과 비교했을 때 기초과학에서 준비가 덜 되어 있다고 생각했다. 더욱이, PBL 졸업생들은 전문가들이 관여하는 전향적인 추론보다는 오히려 역추론에 참여하는 경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생 수가 100명을 초과할 때 PBL의 비용은 높았다.

However, PBL students scored lower on basic science examinations and viewed themselves as less well prepared in the basic sciences in comparison with their conventionally trained counterparts. Furthermore, PBL graduates tended to engage in backward reasoning rather than the forward reasoning that experts engage in. Finally, the costs of PBL were high when class sizes exceeded 100.


(1993), Vernon and Blake


PBL은 자신의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와 의견과 학생들의 임상 성적 측정 면에서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전의 검토 결과와는 달리, 사실 및 임상 지식에 대한 다양한 테스트에서 PBL 학생들의 점수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학습한 학생들의 점수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PBL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superior with respect to students’ attitudes and opinions about their programs and with respect to measures of students’ clinical performance. Contrary to the previous review findings, the scores of PBL students on miscellaneous tests of factual and clinical knowledg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scores of conventionally taught students.


Berkson (1993)


그 결과는 PBL 졸업생과 기존 교수진 간의 차이를 보여주지 못했지만, PBL은 학생과 교수진 모두에게 스트레스를 주었고 터무니없이 비싼 것으로 보였다.

The results showed no distinction between graduates of PBL and conventional instruction, but PBL was stressful for both students and faculty and appeared to be unreasonably expensive.


Colliver는 PBL이 학생들의 지식 기반이나 임상적 성과를 향상시킨다는 설득력 있는 증거는 없다고 결론짓는다. 적어도 PBL 커리큘럼에 필요한 자원을 감안할 때, 그 정도만큼은 아닐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PBL은 의료 교육에 대해 더 도전적이고, 동기 부여적이며, 즐거운 접근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olliver concludes that there is no convincing evidence that PBL improves students’ knowledge base or clinical performance, at least not of the magnitude that would be expected given the resources required for a PBL curriculum. Nevertheless, PBL may provide a more challenging, motivating, and enjoyable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Dochy et al. (2003)


그들의 메타 분석 결과는 문제 기반 학습이 학생들의 지식 적용에 통계적으로 그리고 실질적으로 중요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암시한다. 문제 기반 학습이 학생들의 지식 기반에 미치는 영향은 부정적이다.

The results of their meta-analysis suggest that problem-based learning has statistically and prac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students’ knowledge application.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on the knowledge base of students tends to be negative.


PBL의 평가

Assessment in Problem-Based Learning


PBL에서 학습하는 학생들을 평가하기 위해 전통적인 객관식 시험과 논술 시험에서부터 사례 기반 평가, 자기 및 동료 평가, 성과 기반 평가 및 포트폴리오 평가와 같은 새로운 평가 기법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었다.

Widely varied methods have been used to assess students learning in PBL, from traditional multiple-choice exams and essay exams to new assessment techniques such as case-based assessment, self and peer assessment, performance based assessment, and portfolio assessment.


이제는 7번째 특성을 Barrows의 PBL의 핵심 모델인 PBL의 6가지 특징에 더해야 한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즉, PBL에서는 학생들이 대표적인representative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함으로써 배우는 것이 필수적이다. 결과적으로, 타당한 평가 시스템은 PBL 환경과 일치하는 평가 환경에서 학생들의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할 것이다. 이는 PBL의 평가가 지식 기반(의 조직화)과 학생의 문제 해결 기술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Segers et al., 2003).

It is now generally recognized that a seventh characteristic should be added to the six characteristics in Barrows’s (1996) core model of PBL: That is, it is essential to PBL that students to learn by analyzing and solving representative problems. Consequently, a valid assessment system would evaluate students’ problem-solving competencies in an assessment environment that is congruent with the PBL environment. This means that assessment in PBL should take into account both the organization of the knowledge base and the students’ problemsolving skills (Segers et al., 2003).


다음을 함의한다

implies the following:


1. 학생들의 문제해결 능력은 authentic 평가 환경에서 평가되어야 한다. 즉, authentic 평가 과제나 문제를 이용하여 평가된다. (Baxter & Shavelson, 1994; Shavelson, Gao, 1996)

1. Students’ problem-solving skills are evaluated in an authentic assessment environment, i.e., using authentic assessment tasks or problems (Baxter & Shavelson, 1994; Shavelson, Gao, & Baxter 1996).



2. Authentic 문제는 학생들에게 novel해야 하며, 이로서 학생들이 이전에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전이하여,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상황 요소가 문제 분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보여주도록 요구해야 한다. (Birenbaum & Dochy, 1996)

2. The authentic problems are novel to the students, asking them to transfer knowledge and skills acquired previously and to demonstrate understanding of the influence of contextual factors on problem analysis as well as on problem solving (Birenbaum & Dochy, 1996).


3. 문제 분석 평가 과제는 학생들이 다양한 관련 관점을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을 주장하도록 요구한다(Segers, 1997).

3. The problem-analysis assessment tasks ask students to argue for their ideas on the basis of various relevant perspectives (Segers, 1997).


4. 시험항목은 개별 개념에 대한 지식 이상의 것을 요구한다. 통합지식, 관련 아이디어와 개념의 통합을 요구하는 것 등이 강조된다. 실생활 문제는 대부분 다차원적이며, 따라서 한 연구분야에 다양한 분야를 통합하기 때문에 평가는 이러한 통합적 특성의 문제에 초점을 맞춘다(Segers, 1997년).

4. The test items ask for more than the knowledge of separate concepts: Integrative knowledge, requiring the integration of relevant ideas and concepts, is stressed. Because real-life problems are mostly multidimensional and, as such, integrate various disciplines within one field of study, assessment focuses on problems with this integrative characteristic (Segers, 1997).


5. 핵심은 [문제 해결을 위한 지식의 적용]에 대한 평가이다.

5. Assessment of the application of knowledge in problem solving is the heart of the matter.


문제해결의 이론적 프레임워크

Theoretical Framework on Problem Solving


문제 해결에 대한 Sugrue의 이해에 대한 이전의 구절은 문제 해결 평가에 의해 대상이 될 수 있는 지식 구조의 세 가지 측면 사이의 구분을 뒷받침한다.

The preceding paraphrase of Sugrue’s understanding of problem solving supports a distinction between three aspects of the knowledge structure that can be targeted by assessment of problem solving.


첫째, 개념에 대한 이해는 "attributes이나 properties을 정의하고, 동일한 이름으로 식별되는 객체, 이벤트, 사람, 기호 또는 아이디어의 범주"로 정의될 수 있다(Sugrue, 1993, 페이지 9). 그것은 인지심리학자들이 소위 말하는 선언적 지식의 범주에 속한다.

First, the understanding of concepts, which can be defined as “a category of objects, events, people, symbols or ideas that share common defining attributes or properties and are identified by the same name” (Sugrue, 1993, p. 9). It belongs to the category of what cognitive psychologists have called declarative knowledge.


다음으로, (개념을 연결하는) 원리에 대한 이해는 구별되어야 한다. Sugrue (9페이지)는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둘 이상의 개념 사이의 관계(흔히 인과 관계)를 특징짓는 규칙, 법, 공식 또는 if-then statement. Principles는 문제를 해석하고, 행동을 guide하고, 시스템을 문제 해결하며, 왜 어떤 일이 발생했는지 설명하거나, 일부 개념의 변경이 다른 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If-then production rule또는 단계적 순서는 절차적 지식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았다(Anderson, Reynolds, Schallert, and Goetz, 1977년).


Next,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that link concepts should be distinguished. Sugrue (p. 9) defined a principle as “a rule, law, formula, or if-then statement that characterizes the relationship (often causal) between two or more concepts. Principles can be used to interpret problems, to guide actions, to troubleshoot systems, to explain why something happened, or to predict the effect a change in some concept(s) will have on other concepts.” If-then production rules or sequences of steps have often been called procedural knowledge (Anderson, Reynolds, Schallert, & Goetz, 1977).


마지막으로 개념과 원칙을 적용을 위해 조건 및 절차에 연결하는 것 또한 평가에 의해 목표가 되어야 한다. 

  • "절차"는 "개념의 인스턴스를 분류하거나 개념의 상태를 변경하여 다른 것을 변경하기 위해 수행할 수 있는 단계 집합"으로 정의한다(Sugrue, 페이지 22). 

  • "조건"은 "개념의 인스턴스(instance)의 존재를 나타내는 환경 범위 및/또는 원칙이 작동 중이거나 적용될 수 있거나 특정 절차가 적절하다"로 정의된다(Sugrue, 페이지 22). 

...조건적 지식의 범주에 넣을 수 있다(Paris, Lipson, and Wixson, 1983) 


Finally, the linking of concepts and principles to conditions and procedures for application should also be targeted by assessment. 

  • A “procedure” defined as “a set of steps that can be carried out either to classify an instance of a concept or to change the state of a concept to effect a change in another” (Sugrue, p. 22) and 

  • “conditions” defined as “aspects of the environment that indicate the existence of an instance of a concept, and/or that a principle is operating or can be applied and/or that a particular procedure is appropriate” (Sugrue, p. 22) 

...can be placed in the category of conditional knowledge (Paris, Lipson, & Wixson, 1983). 


지식 구조의 마지막 측면(응용을 위해 조건 및 절차에 개념과 원칙을 연결하는 것)에서 선언적 지식은 절차적 지식에 캡슐화된다.

In this final aspect of the knowledge structure—linking of concepts and principles to conditions and procedures for application—declarative knowledge becomes encapsulated in procedural knowledge.




연구질문

Research Questions


Using Sugrue’s model (1993, 1995) as a frame of reference, the research questions can be formulated as follows: What are the effects of PBL when the assessment of its main goals focuses respectively on 

(a) the understanding of concepts, 

(b) the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that link concepts, and 

(c) the linking of concepts and principles to conditions and procedures for application?


Method


Criteria for Inclusion


Literature Search


Coding Study Characteristics


Synthesizing Research


문학 비평은 서술, 정량적 방법, 통계적 메타 분석의 세 가지 접근법 중 하나를 취할 수 있다. 서술적 리뷰에서 저자는 체계적이고 창의적인 방법으로 문학에 대해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Van IJzendoorn, 1997) 정량적 방법은 연구 통합에 기초 수학적 절차를 사용한다(예: box score를 산출하기 위한 빈도 계산). 

Literature reviews can take any of three approaches: narrative, quantitative method, and statistical meta-analysis. In a narrative review, the author tries to make sense of the literature in a systematic and creative way (Van IJzendoorn, 1997). Quantitative methods use elementary mathematical procedures for synthesizing research studies (e.g., counting frequencies to produce box scores). 


정량적 접근법은 서술적 검토보다 더 객관적이지만 깊이는 더 적다(Dochy et al., 1999). 유리(1976)는 정량적 절차의 접근방식을 체계화하고 메타 분석이라는 용어를 도입했다. 즉, 결과를 통합하기 위한 개별 연구의 대규모 분석 결과의 통계적 분석이다(Kulik & Kulik, 1989). 

A quantitative approach is more objective than a narrative review but also has less depth (Dochy et al., 1999). Glass (1976) systematized the approach of quantitative procedures and introduced the term meta-analysis: the analysis of analyses, i.e., the statistical analysis of a large collection of analysis results from individual studies for the purpose of integrating the findings (Kulik & Kulik, 1989). 


메타분석의 두 가지 중요한 장점은 

(a) 실질적으로 다양한 연구를 통합할 수 있다. 

(b) 통합은 검토자의 결과 해석 또는 사용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Two important advantages of meta-analyses are that 

(a) large numbers of studies that vary substantially can be integrated, and 

(b) the integration is not greatly influenced by the interpretation or use of the findings by the reviewers.


연구를 통합하는 가장 오래된 절차는 서술적 검토다. 서술적 또는 정성적 검토에서, 각 연구의 결과는 "표면적 가치"로 간주되고, 누군가는 결과를 포괄적 이론에 통합하려고 한다. (Hunter & Schmidt, 1990) 이것은 체계적이고, 동시에, 창조적인 방법으로 일어난다. 그러나 통합은 종종 적은 수의 연구만 고려하고 다른 모든 연구를 불충분으로 분류하는 것에서 발생한다(Glass, 1976년).

The oldest procedure for integrating studies is the narrative review. In the narrative or qualitative review, results from each study are considered at “face value,” and one tries to integrate the findings in an umbrella theory (Hunter & Schmidt, 1990). This takes place in a systematic and, at the same time, creative way. However, the integration often arises from taking only a small number of studies into account and classifying all other studies as deficient (Glass, 1976).


Van IJZendoorn(1997)은 서술적 검토자와 정량적 검토자가 동일한 방식으로 가설의 공식화와 관련 연구의 체계적 집계에 대해 설정했다고 지적했다. 이는 데이터 분석 단계에서 그들의 방법이 갈라지는 것이다. 따라서 통계적이고 정량적인 메타분석에 대한 해석은 서술적 검토의 강점인 창의성과 직관을 전제로 한다. 반 이젠도른(1997, 페이지 4)과 함께, 우리는 "서술적 요소는 항상 메타분석 접근법에 통합되어야 한다"고 결론짓는다.

Van IJzendoorn (1997) points out that the narrative reviewer and the quantitative reviewer set about the formulation of hypotheses and the systematic gathering of relevant studies in the same way; it is at the stage of data analysis that their methods diverge. Thus the interpretation of the more statistical, quantitative metaanalysis presupposes the narrative reviewer’s strengths: creativity and intuition. With Van Ijzendoorn (1997, p. 4), we conclude that “a narrative component should always be integrated in the meta-analytic approach.”


Metric for Expressing Effect Sizes


Identifying Independent Hypothesis Tests


Combining Effect Sizes Across Studies


Analyzing Variance in Effect Sizes Across Studies


결과

Results


In general, the results of the vote cou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for the assessment of the first level of the knowledge structu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udents in PBL perform better at the second and third levels of the knowledge structure.




결론 및 고찰

Conclusion and Discussion


이 검토의 목적은 평가를 통해 측정하는 underlying focal construct의 각도에서 PBL의 영향을 검토하는 것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BL from the angle of the underlying focal constructs being measured with the assessment.


우리는 다양한 연구에 사용된 평가 방법을 세 가지 분석 범주로 분류하기 위해 문제 해결의 인지 요소에 대한 수그루의(1995) 모델을 사용했다. 이 세 가지 범주는 개념의 이해, 개념을 연결하는 원리의 이해 그리고 개념과 원칙을 적용을 위한 조건과 절차에 연결하는 문제 해결의 평가에 의해 대상이 될 수 있는 지식 구조의 세 가지 수준이었다.

We used Sugrue’s (1995) model on the cognitive components of problem solving to classify the methods of assessment used in various studies into three categories of analysis. These three categories were the three levels of the knowledge structure that can be targeted by assessment of problem solving: 

  • understanding of concepts, 

  •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that link concepts, and 

  • linking of concepts and principles to conditions and procedures for application.


메타분석에 대한 또 다른 비판, 즉 좋은 것과 나쁜 것의 혼합을 가리키는 "쓰레기 내, 쓰레기 배출" 비평 (Hunt, 1997)도 우리의 검토에 적용될 수 있다.

Another criticism of meta-analysis, the “garbage in, garbage out” critique (Hunt, 1997), which refers to the mixing good and bad studies, may also apply to our review.


Sugrue(1993, 1995)가 제시한 모델은 문제 해결의 구성요소에 대한 하나의 가능한 프레임워크일 뿐이다. 모델의 힘은 동시에 모델의 가장 큰 약점이다.

The model presented by Sugrue (1993, 1995) is only one possible framework for the components of problem solving. The strength of the model is at the same time the greatest weakness of the model.


이러한 제한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 검토의 연구 분석에서 몇 가지 유용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일반적으로 PBL의 효과는 측정하는 지식 구조의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PBL은 평가 대상이 되는 focal construct가 지식 구조의 두 번째 수준인 개념을 연결하는 원칙을 이해하는 수준에 있을 때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단 하나의 연구만이 유의한 부정적 결과를 보여주었다(Martenson et al., 1985). 지식 구조의 3번째 단계에서 부정적인 발견은 발견되지 않았다.

Despite these limitations, we feel that several useful conclusions may be drawn from the analysis of studies in this review. In general, the effect of PBL differs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 knowledge structure being measured. PBL had the most positive effects when the focal constructs being assessed were at the level of understanding the principles that link concepts, the second level of the knowledge structure. Only one study presented significant negative findings (Martenson et al., 1985). No negative findings were found at the third level of the knowledge structure.


Dochy 등과의 결론과 마찬가지로, PBL의 효과는 [개념을 연결시켜주는 원리에 대한 이해]가 평가의 중심에 있을 때 더욱 긍정적이다(가중 평균 ES = 0.795). 지식 구조의 더 복잡한 수준을 평가할 때 PBL의 효과가 더 커야 한다는 제안과 달리, 여전히 긍정적이지만, 지식 구조의 3차 레벨에 속하는 효과 크기는 더 작고(가중 평균 ES = 0.339)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

In line with the conclusion of Dochy et al., the effect of PBL is more positive when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that link concepts is at the heart of the assessment (weighted average ES = 0.795). Contrary to the suggestion that the effects of PBL should be larger when more complex levels of the knowledge structure are being assessed, the effect size belonging to the third level of the knowledge structure, although still positive, is smaller (weighted average ES = 0.339)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이러한 결과를 PBL의 주요 목표와 전문가-초보자 연구의 주요 목표와 연계하여, 전문성을 향한 학생들의 진로가 가속화되었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Glaser, 1990). 

  • 째, PBL 학생들은 고도로 구조화된 개념과 원칙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는 것 같다(레벨 2). 

  • 째, PBL 학생들은 좀 더 전통적인 학습 환경의 학생들과 비교했을 때, 특정 정보 항목을 기억하는 데 있어서 동등하게 능숙하다.

Linking these results to the main goals of PBL and the expert–novice studies, it could be concluded that students’ path toward expertise has been accelerated (Glaser, 1990). 

  • First, students in PBL seem to posses a highly structured network of concepts and principles (Level 2). 

  • Second, students in PBL are equally competent at recalling specific items of information, as compared with students in more conventional learning environments.


학생들의 전문성 수준은 도치 외 연구진(2003)에 의한 메타 분석의 조정 변수 중 하나이다. 그들의 결과는 지식 습득에 있어서 전통적인 교육 방법의 이점이 2년 후 사라졌다는 것을 암시한다.

The expertise level of the students was one of the moderating variables in the meta-analysis by Dochy et al. (2003). Their results suggest that the advantage of the conventional education method in knowledge acquisition disappears after the second year.


PBL은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학생들을 교육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교육 목표와 그에 따른 교육 원칙 및 실천요강에 부합하기 위해 문제 해결에 대한 지식 적용에 대한 평가는 PBL의 핵심이다. 따라서 PBL 학생들이 이 수준의 지식 구조를 더 잘 수행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PBL의 효과는 평가가 [개념을 연결하는 원칙의 이해]에 초점을 둘 때 더 크다.

PBL aims to educate students who are able to solve complex problems. To be congruent with its education goals and resulting instructional principles and practices, the assessment of the application of knowledge in solving problems is at the heart of the matter in PBL. Therefore, one could expect students in PBL to perform better at this level of the knowledge structure. The effect of PBL is larger when assessment appeals to the understanding of principles that link concepts.


효과 크기의 실질적인 유의성에 대한 평가는 교육과 다른 분야의 연구자들 사이의 논의 대상이다(Springer et al., 1999). 글래스 외 연구진(1981, 페이지 104)에 따르면, "효과 크기 측정치의 영역을 '작은', '한계', '큰' 등과 같은 서술적 형용사와 연관시키려는 시도는 전혀 지혜가 없다." 

The evaluation of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an effect size is a subject of discussion between researchers in education and other fields (Springer et al., 1999). As Glass et al. (1981, p. 104) note, “There is no wisdom whatsoever in attempting to associate regions of the effect-size metric with descriptive adjectives such as ‘small,’ ‘moderate,’ ‘large,’ and the like.” 


Cohen(1988)과 Kirk(1996)는 행동과학의 다양한 조사 분야로서 전력분석에 사용하기 위해 기존의 운영 정의를 제공하는 데 내재된 위험이 있다고 말하며 일반 지침(ES = 0.20, 소효과, ES = 0.5, 중간 효과, ES = 0.80, 대규모 효과)을 제시하였지만 hesitant하였다.

Cohen (1988) and Kirk (1996) hesitantly suggested general guidelines (ES = 0.20, small effect; ES = 0.50, moderate effect; and ES = 0.80, large effect), stating that “there is a certain risk inherent in offering conventional operational definitions for those terms for use in power analysis in as diverse a field of inquiry as behavioral science” (Cohen, 1988, p. 25). 


일반적으로 교육 연구 분야에서는 0.33의 효과적 크기가 실질적인 중요성을 확립하는 데 필요한 최소치로 간주된다(Gall, Borg, & Gall, 1996).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현재 메타 분석의 결과는 지식 구조 조직의 평가에 실질적인 중요성을 가지며(ES = 0.339), 평가가 개념과 원칙과 적용 조건 및 절차의 연계를 다룰 때(ES = 0.795) 실제로 중요하다.

In general in the field of education research, an effect size of 0.33 is seen as the minimum necessary to establish practical significance (Gall, Borg, & Gall, 1996). Considered in this light, the results of the present meta-analysis 

  • are of practical significance (ES = 0.339) for the assessment of the organization of the knowledge structure, and they certainly 

  • are of practical significance when assessment addresses the linking of concepts and principles to application conditions and procedures (ES = 0.795).


동질성 분석에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평가 방법이 PBL의 보고된 효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만, PBL의 효과를 검사할 때 PBL의 다른 moderator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은 분명하다. 연구 설계, 구현 범위 및 연구 연도가 PBL 효과 보고에서 가능한 온건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Dochy et al., 2003).

From the homogeneity analysis, it is clear that the method of assessment has an important influence in the reported effects of PBL, as stated above, but also that other moderators of PBL play a substantial role when the effects of PBL are examined. Study design, scope of implementation, and year of study have been shown to be possible moderating variables in the reporting of the effects of PBL (Dochy et al., 2003).







This meta-analysis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assessment on the reported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by applying Sugrue’s (1995) model of cognitive components of problem solving. Three levels of the knowledge structure that can be targeted by assessment of problem solving are used as the main independent variables: (a) understanding of concepts, (b)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that link concepts, and (c) linking of concepts and principles to conditions and procedures for application. PBL had the most positive effects when the focal constructs being assessed were at the level of understanding principles that link concept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implications of assessment must be considered in examining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and probably in all comparative education research.


효과적인 피드백의 특징은? Scoping review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8)

What attributes guide best practice for effective feedback? A scoping review

Christine Ossenberg1 · Amanda Henderson1 · Marion Mitchell1




배경

Background


보건 교육 프로그램에서 성과에 대한 피드백은 직장 기반 학습의 필수적인 부분이다(van der Luw et al. 2018).

In health education programs, feedback on performance is a vital part of workplace based learning (van der Leeuw et al. 2018).


  • 학습자는 피드백의 순간/발생 순간을 인식하거나 기억하지 못할 수 있고, 피드백을 가지고 뭘 해야하는지를 모를 수도 있다(Bowen et al. 2017; Groves et al. 2015; Murdoch-Eaton and Sarcin 2012). 따라서 많은 학생들이 피드백에 대한 불만을 보고한다(Boud and Molloy 2013; Carless 2015).

Learners may not recognise or recollect the moments/occasions of feedback (Bowen et al. 2017; Groves et al. 2015; Murdoch-Eaton and Sargeant 2012) or indeed know what to do with it (Nicol and MacFarlane-Dick 2006; O’Donovan et al. 2016). As such, many students report dissatisfaction with feedback (Boud and Molloy 2013; Carless 2015).


역사적으로 피드백은 전문가에서 초보자(Ajazawi and Boud 2017)로 일방적인 정보 전송으로 간주되어 왔다. 

  • 프로세스로서의 피드백의 현대적 관점은 개인들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한다(Archer 2010). 

  •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지식 구축에 중점을 두는 역동적인 대화의 과정이다(Killion 2015; Molloy and Boud 2013; Yang and Carless 2013).

  • 그레이브릿과 피터슨은 "Dialogue는 conversation이나 아이디어의 교환 그 이상이다. 본질적으로 그것은 참가자들(교사와 학생)이 함께 생각하고 추론하는 상호존준적 관계를 포함한다"(2002, 페이지 282). 

  • 따라서 대화 피드백은 학습 과정 전체에 걸친 통합을 의미하며, 다양한 참여 지점과 출처(예: 구두 및 서면)를 포함한다(McArthur 및 Huxham 2013). 

피드백의 관점이 독백에서 대화로 바뀌면서, 현재 그 효과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 피드백의 그러한 측면에 대한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해졌다.

Historically, feedback has been viewed as a one-way transmission of information from expert to novice (Ajjawi and Boud 2017). Contemporary views of feedback as a process, infers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s (Archer 2010). It is dynamic and dialogic, focusing on construction of knowledge rather than merely the delivery of information (Killion 2015; Molloy and Boud 2013; Yang and Carless 2013). Gravett and Peterson state “…dialogue is more than conversation or exchange of ideas. In essence it involves a respectful relationship, in which the participants (teacher and students) think and reason together” (2002, p. 282). Dialogic feedback, therefore, implies integration throughout the learning process and incorporates multiple points of engagements and sources (e.g. verbal and written) (McArthur and Huxham 2013). The shift from a monologic view of feedback to that of a dialogic process dictates deeper scrutiny of those aspects of feedback that are presently understood to contribute to its effectiveness.



대화식으로 피드백을 이해하려는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은 피드백을 받는 과정에서 침묵하는 것처럼 보인다. 학습자의 침묵은 피드백에 대한 이전의 경험 때문일 수도 있고, 또는 (학습자의 약점을 드러낼 때 자존감을 위협하거나 두려움을 갖게 하는) 학습자와 '선생님' 사이의 불평등한 권력 관계에 기인할 수 있다. 

Despite the move to understanding feedback as a dialogic process, learners appear silent in their engagement with feedback. Learner silence may be attributed to their prior experiences with feedback (Greer et al. 2010) or perceived unequal power relations between the learner and ‘teacher’ which may threaten the learner’s self-esteem or fear of exposing their weaknesses. 


또한 '선생님'은 학습자 중심의 접근법을 피드백에 통합하는 방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할 수 있다(Carless 2015). 학습자의 목소리가 지나치게 소극적이거나 학생이 침묵을 지킨다는 것은 경고신호인데, 성인 학습 원칙에 따라, 고등 교육 제공자는 학생 자신이 학습 성과를 결정하고 달성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책임을 질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Chipchase et al. 2012).

Additionally, ‘teachers’ may have a lack of understanding of how to incorporate learner-centered approaches in feedback (Carless 2015). The apparent passivity and silence of the learner’s voice is alarming given that in line with adult learning principles, higher education providers expect students themselves to actively engage and accountable in determining and meeting their learning outcomes (Chipchase et al. 2012).


방법

Methods


Review question and relevant papers


Selection of relevant studies


Data charting


Data sorting and analysis


결과

Results


As indicated in the search strategy (Fig. 1), this review resulted in the inclusion of 61 publications. Publication years of the final sample ranged from 1975 to 2017 (Table 1).



특징

Nature of publication


용어

Terminology


23가지 용어가 사용됨

Twenty-three terms were used across the literature to label feedback elements.


세팅

Setting


근무지/임상환경과 교육환경

Findings from the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elements that guide effective feedback were evident across two key settings: 

    • workplace-based learning and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n = 41); and 

    • education (i.e. primary,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within classroom and/or online settings) (n = 17). 

2개만이 비-서구권 국가 연구

An overwhelming 59 publications originated from western countries, with only two publications addressing feedback originating from non-western countries (Bhattarai 2007; Suhoyo et al. 2017). Characteristics of the included publications can be found in Supplementary Material 1.


요소

Feedback elements


633개 요소

Feedback elements were extracted from the 61 publications. A total of 633 elements (nonempirical, n = 571, 90%; empirical, n = 62, 10%) were extracted. That is, for every one element extracted from empirical sources, 10 were extracted from non-empirical sources


피드백 요소 적용

Application of feedback elements


피드백 특징

Feedback attributes


Emerging from the iterative process of analysis, was a core set of 11 feedback attributes from within the extracted list of feedback elements. This core set of feedback attributes describes feedback as: 

a process; 

  • 기준 기반 

  • 복수의 형태 및 근거 출처를 사용한다. 

  • 수신자가 원하는 경우(즉, 초청 및 환영) 

  • 적시에 

  • 학습자에 대한 반응성(즉, 학습자의 개발 요구/학습 선호도에 따라 맞춤) 

  • 빈번한

  • 미래 지향적 

  • 호혜적(양방향

  • 능숙한 상호작용을 수반 

  • 다차원(즉, 학습자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참여) 

  • criteria-based; 

  • uses multiple forms and sources of evidence; 

  • desired by the recipient (i.e. invited and welcomed); 

  • timely; 

  • responsive to the learner (i.e. tailored to developmental needs/learning preferences of the learner); 

  • frequent; 

  • future-focussed; 

  • reciprocal (i.e. two-way); 

  • involves skilful interaction; and is 

  • multidimensional (i.e. engages the learner in more than one way). 


가장 많이 나온 것

The most represented attribute was 

  • '기술적 상호작용'(31%) 

  • '학습자 반응적'(11%) 

  • '다양한 형태 및 근거 출처 사용'(11%) 

  • '미래 중심'(10%)

  • ‘skillful interaction’ (31%), followed by 

  • ‘responsive to learner’ (11%), 

  • ‘use of multiple forms and sources of evidence’ (11%) and 

  • ‘future-focused’ (10%).



제외된 것

Table 2 provides examples of these excluded items.



경험적 연구의 서포트

Support of feedback attributes in empirical studies


Analysis of evidence supporting feedback attributes identified in empirical studies is outlined in Table 3.



고찰

Discussion


이와 함께 이 특정 조사와 관련된 문학의 수가 급증하고 있다. 이 검토에 포함된 문헌의 약 50%는 2010년부터 제작되었다. 이는 문학의 부피가 이전 10년(2000~2009)에 비해 72%, 1990년부터 1999년까지 287% 증가한 것이다.

Coupled with this, is the burgeoning volume of literature related to this specific inquiry. Approximately 50% of the included literature in this review was produced from 2010. This is a 72% increase in the volume of literature compared to the previous decade (2000–2009) and a 287% increase from 1990 to 1999.


또한 이 검토는 식별된 피드백 요소가 피드백 요소의 transferability적 성향을 인정하면서, 피드백 요소가 특정 분야 또는 환경에 고유하지 않다는 것을 강조한다.

This review also highlights that feedback elements identified are not unique to one specific discipline or setting, acknowledging a propensity for the transferability of the feedback elements.


서구의 출판물이 비서구의 출판물보다 훨씬 더 많다는 것은 인정된다. Suhoyo 등은 피드백의 효과가 주로 서구의 문화권에서 탐구되었으며, 비 서구 문화권에서는 거의 연구가 수행되지 않았다는 것을 인정한다. 이 저자들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학생들의 학습과 발전을 최적화하기 위해 국제 피드백 표준을 구현할 때 문화를 고려해야 한다.(수호요 외 2017, 페이지 6). 이 시점에서 제기되는 질문은 우리의 서양적 가치와 피드백에 대한 이해가 다른 문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는지, 아니면 실제로 관련이 있는가이다.

It is recognised that publications from western countries heavily outweigh that of nonwestern countries. Suhoyo et al. acknowledge that the effectiveness of feedback has mainly been explored in western cultures with little research conducted in non-western cultures. These authors state “…culture should be considered when implementing international standards for feedback in order to optimise student learning and development” (Suhoyo et al. 2017, p. 6). The question posed at this juncture is whether our western value and understanding of feedback can, or indeed is, relevant for other cultures?


피드백 요소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의 상당한 다양성이 관찰되었다(보조 자료 1).

Significant diversity in the terminology used to identify the feedback elements was observed (Supplementary Material 1).


추출된 피드백 요소의 분포는 비경험적 출처도 상당부분이 있음을 나타낸다(표 3 참조).

Distribution of the feedback elements extracted demonstrates substantial representation in non-empirical sources (refer to Table  3).


포함된 문헌에서 눈에 띄는 미숙함은 학습자가 피드백 과정에 참여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A noted deffciency in the included literature concerned the engagement of learners in the feedback process.


이 검토서는 '능숙한 상호작용', '미래에 초점을 맞춘' 및 '학습자에 대한 반응성'을 지원하는 요소에 대한 상세한 이해를 밝혔다. 그러나, 학습자에게 피드백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하는 강력한 경험적 증거에도 불구하고, 'desired' 및 'reciprocal'과 관련된 요소들은 잘 이해되어있지 않다(Getzlaf et al. 2009; Winstone et al. 2016).

This review identiffed a detailed understanding of elements that support ‘skilful interaction’, ‘future-focused’ and ‘responsive to learner’. However, there is less understanding of elements that relate to ‘desired’ and ‘reciprocal’ despite strong empirical evidence demonstrating their importance in feedback to the learner (Getzlaf et al. 2009; Winstone et al. 2016).


이 문헌 검색에서 수집되고 합성된 정보는 좋은 피드백 관행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간주되는 것에 대한 증거를 제공한다. 경험적 및 비소설적 문헌의 우선 순위는 

  • 피드백을 주는 데 필요한 기술과 관련된 속성('기술적 상호작용'), 

  • 피드백의 목적('미래 초점'), 

  • 학습자 요구에 기초한 피드백('학습자에 대한 응답')

...을 상세히 이해하는 데 있다. 

Information collected and synthesised from this literature search provides veriffcation of what is considered necessary for good feedback practice. Priority in both the empirical and non-empirical literature is given to providing a detailed understanding of attributes pertaining to 

  • the skills needed to give feedback (‘skilful interactions’), 

  • the purpose of feedback (‘future-focused’) and 

  • the need to base feedback on learner needs (‘responsive to learner’). 



Limitations of the review



Conclusion


11개의 특징을 설명했다.

This review has articulated 11 attributes that guide best practice for effective feedback.


van der Leeuw, R. M., Teunissen, P. W., & van der Vleuten, C. P. (2018). Broadening the scope of feedback to promote its relevance to workplace learning. Academic Medicine, 93(4), 556–559.










 2018 Oct 3. doi: 10.1007/s10459-018-9854-x. [Epub ahead of print]

What attributes guide best practice for effective feedback? A scoping review.

Author information

1
Griffith University, Brisbane, QLD, Australia. christine.ossenberg@griffithuni.edu.au.
2
Griffith University, Brisbane, QLD, Australia.

Abstract

There has been an observed increase in literature concerning feedback within the last decade, with the importance of feedback well documented. Current discourse promotes feedback as an interactive, dialogic process between the learner and the learning partner. While much has been written about effective feedback, less is known about key elements that support dialogic feedback. It is therefore important to investigate what is known about the elements that guide best practice for effective feedback. A scoping review of the extant literature following Arksey and O'Malley's methodology was conducted. A search of literature published in English identified sixty-one publications eligible for this review. Publications were representative of the international literature from both empirical and non-empirical sources. Feedback elements were extracted from the included publications and categorised into 11 core attributes. The attributes identified feedbackas: being a process; criteria-based; requiring multiple forms and sources of data/evidence; needs to be desired by the recipient (i.e. invited and welcomed); timely; responsive to the learner (i.e. tailored to developmental needs/learning preferences of the learner); frequent; future-focussed; reciprocal (i.e. two-way); involves skilful interaction; and is multidimensional (i.e. engages the learner in more than one way). Despite the rhetoric on feedback as a 'dialogic process', a gap remains in our understanding around what is required to engage the learner as an equal partner in the feedback process. Further research exploring the impact of specific aspects of the feedback process on practice is required.

KEYWORDS:

Attributes; Best practice; Effective; Feedback; Scoping review

PMID:
 
30284067
 
DOI:
 
10.1007/s10459-018-9854-x


피드백 문해력 발달: 피드백을 수용하도록(AEHE, 2018)

The development of student feedback literacy: enabling uptake of feedback

David Carlessa and David Boudb

aFaculty of Education, University of Hong Kong, Hong Kong, Hong Kong; bMelbourne City Centre, Deakin University, Melbourne, Australia





도입

Introduction


이전 정의(Boud and Molloy 2013; Carless 2015)를 바탕으로 한 피드백은 학습자가 다양한 출처에서 얻은 정보를 이해하고 이를 사용하여 학습 전략을 강화하는 과정으로 정의된다. 이 정의는 주로 강점, 약점, 개선 방법에 대해 학생들에게 정보를 주는 교사에 대한 피드백이라는 개념을 넘어, sense-making 및 후속 작업을 개선하기 위해 코멘트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학생의 중심적 역할을 강조한다.

Building on previous definitions (Boud and Molloy 2013; Carless 2015), feedback is defined as a process through which learners make sense of information from various sources and use it to enhance their work or learning strategies. This definition goes beyond notions that feedback is principally about teachers informing students about strengths, weaknesses and how to improve, and highlights the centrality of the student role in sense-making and using comments to improve subsequent work.


학생들의 progress에 대한 자기평가에 대한 정보는 동료, 교사, 친구, 가족 또는 자동화된 컴퓨터 기반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출처에서 올 수 있다.

Information may come from different sources e.g. peers, teachers, friends, family members or automated computer-based systems to support student self-evaluation of progress.


피드백 문해력이 있는 학생의 특징

Features of student feedback literacy



피드백 인식

(1) 이러한 과정에서 업무 개선에 있어 피드백의 역할과 적극적인 학습자 역할을 이해하고 높이 평가한다.

(2) 피드백 정보가 다양한 형태로, 그리고 다양한 출처에서 온 것임을 인지한다.

(3)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피드백에 접근, 보관, 재방문한다.

Appreciating feedback

Feedback literate students:

(1) understand and appreciate the role of feedback in improving work and the active learner role in these processes;

(2) recognise that feedback information comes in different forms and from different sources;

(3) use technology to access, store and revisit feedback.


판단 내리기

(1) 자신의 업무와 타인의 업무에 대해 건전한 학술적 판단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한다.

(2) 동료 피드백 프로세스에 생산적으로 참여한다.

(3) 시간 경과에 따라 자기 평가 능력을 개선하여 보다 강력한 판단을 내린다.

Making judgments

Feedback literate students:

(1) develop capacities to make sound academic judgments about their own work and the work of others;

(2) participate productively in peer feedback processes;

(3) refine self-evaluative capacities over time in order to make more robust judgments.


영향 관리

(1) 비판적 피드백을 받을 때 정서적 평형을 유지하고 방어적이 되지 않는다.

(2) 동료 또는 교사의 제안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필요에 따라 그들과 대화를 지속한다.

(3) 내부 및 외부 피드백에 근거하여 지속적인 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습관을 개발한다.


Managing affect

Feedback literate students:

(1) maintain emotional equilibrium and avoid defensiveness when receiving critical feedback;

(2) are proactive in eliciting suggestions from peers or teachers and continuing dialogue with them as needed;

(3) develop habits of striving for continuous improvement on the basis of internal and external feedback.


실천

(1) 피드백 정보에 대한 대응 조치를 취해야 할 의무를 인식하고 있다.

(2) 지속적인 개선을 목적으로 다양한 피드백 경험에서 추론할 수 있다.

(3) 피드백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의 레퍼토리를 개발한다.

Taking action

Feedback literate students:

(1) are aware of the imperative to take action in response to feedback information;

(2) draw inferences from a range of feedback experiences for the purpose of continuous improvement;

(3) develop a repertoire of strategies for acting on feedback.



피드백 독해력 발달을 위한 활동

Enabling activities to develop student feedback literacy


동료피드백 써보고 받아보기

Composing and receiving peer feedback


동료의 피드백이나 동료의 리뷰는 또래들의 일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와 판단을 포함한다(Nicol, Thomson, Breslin 2014). 동료의 일에 노출되는 것은 학생들이 자신의 일과 다른 이들의 작품을 비교하기 때문에 자신의 작품을 더 효과적으로 스스로 평가하도록 돕는다(McConlogue 2015). 

Peer feedback or peer review involves students evaluating and making judgments about the work of peers (Nicol, Thomson, and Breslin 2014). Being exposed to the work of peers helps students self-evaluate their own production more effectively because they are making comparisons between their own work and that of others (McConlogue 2015). 


동료에게 코멘트를 제공하는 것은 흔히 [기준 적용, 문제 진단 및 솔루션 제안]과 같은 고차적원 프로세스를 수반하는 인지적 개입이 더 많기 때문에 이를 받는 것보다 더 유익하다(Nicol, Thomson 및 Breslin 2014). 이러한 과정을 통해 안전 점검은 사회 구성주의 원칙 내에서 협력적 상호작용을 지원한다.

Providing comments to peers is often more beneficial than receiving them because it is more cognitively-engaging: involving higher-order processes, such as application of criteria, diagnosing problems and suggesting solutions (Nicol, Thomson, and Breslin 2014). Through these processes, peer review supports collaborative interaction within social constructivist principles.



동료 피드백에 대한 훈련과 지원이 없이는 예상되는 이득이 하지 않을 것이다(Patton 2012; Tai et al. 2016). 학생들은 실질적인 코칭을 받아야만 동료 평가를 통해 피드백 독해력이 발달한다. 

Without training and support for peer feedback, anticipated gains are unlikely to occur (Patton 2012; Tai et al. 2016). Students are primed to develop their feedback literacy through peer reviews when they receive substantial coaching. 


이러한 과정을 모범적으로 다루는 과정에서 교사 조사관(민 2006년)은 문제를 식별하고 설명하고 구체적인 제안을 하는 등 다양한 유형의 피드백을 모델링하기 위해 학생 에세이를 사용했다. 두 사이클 동료의 피드백이 있은 후, 교사-연구자는 학생들이 동료들의 과제물에 대한 코멘트 개선을 위한 코칭을 제공했다.

In an exemplary treatment of these processes a teacher-researcher (Min 2006) used a sample student essay to model different types of feedback, including identifying and explaining problems, and making specific suggestions. Then after two cycles of peer feedback, the teacher-researcher coached students in improving their commentaries on the work of peers. 


이를 통해 구체적이고 관련된 피드백의 작성 능력이 개선되었고, 동료 피드백의 수용이 입증되었다(Min 2006). 요컨대, 피어리뷰는 학생이 동료 피드백의 가치를 인식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지도받음으로써 학생 피드백 읽고 쓰는 능력을 시킨다.

Reviewers demonstrated improvement in composing specific and relevant feedback, and receivers evidenced uptake of peer feedback (Min 2006). In sum, peer review seeds student feedback literacy when students appreciate the value of peer feedback and are coached in how to carry it out effectively.



모범 사례 분석

Analysing exemplars


다른 사례로부터 배우는 것은 학문적 담론으로 들어오는induction 한 부분이다. 모범사례란 퀄리티 영역을 보여주고, 평가 기대치를 명확히 하기 위해 사용되는, 신중하게 선정된 학생 과제물 표본이다(Carless and Chan 2017). 

Learning from examples of different genres is part of induction into academic discourses. Exemplars are carefully chosen samples of student work which are used to illustrate dimensions of quality and clarify assessment expectations (Carless and Chan 2017). 


기대치를 명확히 함으로써, 모범 사례는 평가 기준과 요구조건에 대한 학생 불안을 감소시킨다(Yucel et al. 2014). 또한 모범 사례는 예상치 못한 교사 판단에서 비롯될 수 있는 원치 않는 놀라움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표준과 관련하여 학생들의 평정심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2016년까지).

Through making expectations clear, exemplars reduce some of the inevitable student anxiety about assessment standards and requirements (Yucel et al. 2014). Exemplars can also help to maintain student equilibrium in relation to standards by removing some of the unwanted surprise that can arise from unexpected teacher judgments (To 2016).


교사들은 학생들이 모범사례를 따라할 것을 우려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Handley와 Williams 2011). 이러한 우려는 아마도 대학교 교수와 학생 모두에게 있어서 표본을 통해 배우고 적응adapt하는 것이 학문적 apprenticeship의 핵심 요소라는 점에서 완전히 정당화되지는 않을 것이다. 모범 사례는 모델 정답이 아니라 분석 및 진행 중인 작업과 비교할 수 있는 표본이다. 

Teachers sometimes have misgivings about the use of exemplars in that they worry that students may see them as models to be imitated (Handley and Williams 2011). These concerns are perhaps not fully justified in that learning from, and adapting, samples is a core element of academic apprenticeship for both university teachers and students. Exemplars are not model answers but samples to be analysed and compared with work in progress. 


양질의 성과물은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여러 가지 예를 사용할 수 있다(Sadler 1989). 교사에 대한 능숙한 해설은 양질의 일자리에 대한 주요 측면을 강조하고 교사의 판단 뒤에 숨겨진 논리를 명확히 한다(To and Carless 2016). 모범 사례에 대한 대화는 학생들의 견해와 관점을 바탕으로 하여, 퀄리티를 평가하는 작업의 복잡성에 대한 진정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Carless와 Chan 2017).

Multiple exemplars can be used to emphasise that quality is manifested in various ways (Sadler 1989). Skilful teacher-orchestrated discussion of exemplars highlights key aspects of quality work and clarifies the reasoning behind teacher judgments (To and Carless 2016). Dialogues about exemplars should build on students’ views and perspectives so that there is genuine interaction around the complexities of judging quality (Carless and Chan 2017).


교사 역할

The teacher role


활성화 활동Enabling activities은 교사들이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를 위한 적절한 커리큘럼 환경을 조성하고 관련 지침, 코칭 및 모델링을 제공하는 경우에만 학생 피드백 능력 개발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 교사의 주요 역할은 활성화 활동 위한 이론적 근거를 설명하는 것이다

    • 어떻게 작동하는지 설명하고, 

    • 학생들에게 잠재적인 이점을 설명하고, 

    • 학생들이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설명하는 것

Enabling activities are only likely to be successful in developing student feedback literacy if teachers create suitable curriculum environments for active learner participation, and also provide related guidance, coaching and modelling. A key teacher role is to communicate the rationale for enabling activities; 

    • explain how they operate, 

    • elaborate the potential benefits for students, and 

    • address challenges that students might encounter. 


교수들은 [학생들이 충분히 이익을 얻기 위해서는 pro-active해야 한다]는 기대를 명확히 해야한다. 대화를 통해, 교사들은 피드백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의견 불일치를 줄이기 위해 노력할 수 있다. 학자들은 그것을 학생보다 지속적인 학습에 더 중요하다고 본다. (Adcroft 2011) 학생들이 피드백을 사용할 기회를 탐색하는 방법을 배우기 위해서는 동기 부여와 안내를 필요로 한다(Price, Handley, Millar 2011).

Teachers need to set expectations that students will be pro-active if they are to benefit fully. Through dialogue, teachers can strive to reduce dissonances between teacher and student views about feedback, in that academics see it as more central to ongoing learning than students (Adcroft 2011). Students need motivating and guiding as they learn to navigate opportunities to use feedback (Price, Handley, and Millar 2011).


피드백의 흡수를 모델링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교사들이 잘 못하는 것 중 하나는 학생들이 피드백을 사용하도록 지원하고 장려하는 것이다. 학자들이 피어리뷰 방식의 피드백에 어떻게 노출되는지에 대해 논하는 것은 

    • 비평에 대한 반응을 모델링하고, 

    • 몇 가지 감정적인 문제들을 공유하고, 

    • 행동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Modelling the uptake of feedback is an important but underplayed part of a teacher’s repertoire in supporting and encouraging students to use feedback. Discussing how academics are exposed to feedback from peer review can be used to 

    • model responses to critique, 

    • share some of the emotional challenges, and 

    • illustrate the need for action. 


그러한 모델링은 [자기 발전을 학문적 습관의 핵심 요소로서 강조함으로써] 교사와 학생 사이의 거리를 줄이는 데 역할을 한다. 

Such modelling plays a role in reducing distanc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by emphasising self-improvement as a core element of academic habits. 


교사 그룹은 커리큘럼 설계와 프로그램 전반의 피드백 접근 방식을 통해 학생 피드백 독해력의 발달을 지원할 수 있다(Boud and Molloy 2013). 학생들이 느끼는 피드백의 일관성, 범위, 유형 등은 [피드백이 전체 프로그램에 걸쳐서 학습 기회의 연계된 시리즈]로 여겨질 때 더욱 의미가 있다(Jessop, El Hakim, Gibbs 2014)

Groups of teachers can support the development of student feedback literacy through curriculum design and programme-wide approaches to feedback (Boud and Molloy 2013). The consistency, range and types of feedback students experience are more meaningful when seen as a linked series of learning opportunities across an entire programme (Jessop, El Hakim, and Gibbs 2014). 


학생들에게 making judgement에 관한 실질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것은 선택 사항이 아니라 커리큘럼의 전략적 부분이다(Sadler 2010). 이렇게 커리큘럼을 설계함으로써 

    • 평가적 판단에 참여하는 것은 교육과 학습의 정상적인 부분이 되고, 

    • 동료의 상호작용이 교육적으로 가치를 갖게 되며, 

    • 학생들은 피드백을 생성하고 행동할 기회를 갖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커리큘럼 내에서, 학생들은 프로그램에 걸쳐 일관성 있게 포함된 활동을 통해 점차적으로 더 높은 수준의 정교함을 개발한다.

Providing students with substantial experience in making judgments is not an optional extra but a strategic part of the curriculum (Sadler 2010). Such curriculum designs establish that participation in evaluative judgment is a normal part of teaching and learning, peer interaction is seen as a worthwhile aspect of pedagogy, and students have opportunities to generate and act on feedback. Within this kind of curriculum, students develop feedback literacy through activities embedded coherently across programmes and at progressively higher levels of sophistication.


평가 설계는 학생 피드백 능력의 개발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 특징이다. 그것은 중요성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논문의 주요 초점에 부차적인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 간단하게 언급되었다. 교사가 평가 작업을 설계하는 방식에 따라서 생산적인 피드백 프로세스를 위한 기회가 열리 수도 닫힐 수도 있다(Carless et al. 2011). 

Assessment design is an additional feature which impacts on the prospects for the development of student feedback literacy. It is mentioned only briefly here, not due to a lack of importance but because it is secondary to the main focus of the paper. The way teachers design assessment tasks opens up or closes down opportunities for productive feedback processes (Carless et al. 2011). 


다단계 과제, 팀 프로젝트 또는 e-포트폴리오는 서로 다른 형태의 내부 및 외부 피드백 기회를 자연스럽게 수반하는 평가의 예다. 평가 설계 내에서, 교사들은 학생들이 피드백을 생성, 수신 및 사용하는 일관성 있는 반복적 시퀀스를 통해 feedback literacy에 관한 학생들의 학습 기회를 촉진한다.

Multi-stage assignments, team projects or e-portfolios are examples of assessments which naturally involve opportunities for different forms of internal and external feedback. Within assessment designs, teachers facilitate opportunities for student development of feedback literacy through coherent iterative sequences in which students generate, receive and use feedback.



함의

Implications


첫째, 피드백 과정에 대해 교사와 학생 간의 메타 대화(meta-dialog)가 필요하다. 메타 다이얼로그는 특정 작업의 세부 사항보다는 평가와 피드백의 프로세스와 전략을 논의한다. 그들은 

  • [지속적인 학습에서 피드백의 역할], 

  • [피드백 주기가 얼마나 효과적인지], 그리고 

  • [피드백을 생산적으로 사용하는 어려움]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메타 다이얼로그는 학생들의 피드백 과정에 대한 이해와 교사와 학생 의견 사이의 좁은 차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Firstly, there is a need for meta-dialogu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bout feedback processes. Meta-dialogues discuss processes and strategies of assessment and feedback rather than the specifics of a particular piece of work. They can be profitably focused on the role of feedback in ongoing learning, how effective feedback cycles can be developed, and the challenges of using feedback productively. Meta-dialogues provide opportunities to facilitate students’ appreciation of feedback processes and narrow gaps between teacher and student perceptions of feedback.


둘째, enabling activities는 학생 피드백 문해력 개발을 지원하고 평가 판단을 촉진할 잠재력을 실현하기 위해 커리큘럼의 핵심 요소가 되어야 한다. 피드백 문해력이 높은 학생들은 [교사들에게 그들의 발달상황을 알려주고, 교사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일환으로] 평가적 판단에 대한 능력을 개발한다. 자기 평가를 하는 반복된 경험을 통해 학생들은 내부 피드백을 생성하는 법을 배우고 점차 더 정교한 학업적 판단을 하는 전문성을 습득한다. 동료의 피드백은 학습자가 인정하고 의도적인 코칭을 포함해야 한다. 모범 사례는 모델이 아니라 고퀄리티 작업의 특성을 명확히 하고 판단을 하는데 있어서 학생들의 능력을 계발하는 대화의 기회로 보아야 한다.

Secondly, enabling activities need to become core elements of the curriculum in order to realise their potential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student feedback literacy and promote evaluative judgment. Feedback literate students develop their capacities in evaluative judgment as part of reducing their reliance on teachers to inform them about their progress. Through repeated experiences of making self-evaluations, students learn to generate internal feedback and gradually acquire expertise in making more sophisticated academic judgments. Peer feedback needs to be appreciated by learners and include purposeful coaching. Exemplars should be seen not as models but as opportunities for dialogues that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y work and develop student capacities in making judgments.


셋째, 학생들이 함께 피드백을 토론하는 학습 활동은 특히 유용하다(Price, Handley, Millar 2011). 학생들은 그들이 받은 피드백에서 의미를 함께 구성하거나, 또는 피드백 논평의 데이터 뱅크를 활용하여 피드백에 이해해볼 수 있다

Thirdly, learning activities in which students discuss feedback together are particularly useful (Price, Handley, and Millar 2011). Students could co-construct meanings from feedback that they have received or alternatively they could be exposed to a databank of feedback comments and invited to make sense of them. 


넷째, 커리큘럼 설계와 관련 학습 활동은 학생 피드백 능력의 핵심 특징, 즉 실천의 필요성을 가능하게 한다. 후속 작업을 통해서 학생들은 피드백 루프를 closing하기 위해서 앞서 받은 코멘트를 어떻게 사용했는지 보여달라는 요청을 받거나 요구받을 수 있다(O'Donovan, Rust, Price 2016). 정보가 피드백이 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작업물의 향상을 위해서 피드백에 기반한 실천을 하거나 또는 학습 전략을 향상시키는 행동을 해야 한다. 이러한 교육학적 의미는 사회 구성주의 학습 이론과 대체로 일치한다.

Fourthly, curriculum design and related learning activities enable a core feature of student feedback literacy: the need for action. In subsequent work, students can be prompted or required to show how they have used previous comments as part of closing feedback loops (O’Donovan, Rust, and Price 2016). Information becomes feedback only when students act on it to improve work or learning strategies. These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broadly consistent with social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ies.


학생들의 피드백 읽고 쓰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커리큘럼 설계는 프로그램 전체에 체계적으로 포함되어 있다면 더 효과적으로 실행될 것이다. 예를 들어, 학생들은 첫 학기에 피드백 읽고 쓰는 능력에 대한 개념을 소개하고, 단계적 활동을 통해 그것을 점진적으로 개발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피드백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이 이전 피드백 경험(Price, Handley, Millar 2011)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생산적인 피드백 기풍을 확립하기 위해 첫 해에 충분한 자원을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생들은 피드백의 가치를 경험해야 그 장점도 인정받을 수 있다.

Curriculum designs to enhance students’ feedback literacy will be implemented more effectively if they are systematically embedded throughout programmes. For example, students could be introduced to the notion of feedback literacy in their first semester and be expected to develop it progressively through staged activities. Given that student response to feedback is influenced by previous feedback experiences (Price, Handley, and Millar 2011), it is important that sufficient resources are invested in the first-year so that a productive feedback ethos is established. Students need to experience the value of feedback so that its benefits are appreciated.








Student feedback literacy denotes the understandings, capacities and dispositions needed to make sense of information and use it to enhance work or learning strategies. In this conceptual paper, student responses to feedback are reviewed and a number of barriers to student uptake of feedback are discussed. Four inter-related features are proposed as a framework underpinning students’ feedback literacy: appreciating feedback; making judgments; managing affect; and taking action. Two well-established learning activities, peer feedback and analysing exemplars, are discussed to illustrate how this framework can be operationalized. Some ways in which these two enabling activities can be re-focused more explicitly towards developing students’ feedback literacy are elaborated. Teachers are identified as playing important facilitating roles in promoting student feedback literacy through curriculum design, guidance and coaching. The implications and conclusion summarise recommendations for teaching and set out an agenda for further research.


임상실습의 수행능력 평가에서 피드백-제공 행동(Med Teach, 2015)

Feedback-giving behaviour in performance evaluations during clinical clerkships

HAROLD G. J. BOK1, DEBBIE A. D. C. JAARSMA2, ANNEMARIE SPRUIJT3, PETER VAN BEUKELEN1, CEES P. M. VAN DER VLEUTEN3 & PIM W. TEUNISSEN3,4

1Utrecht University, The Netherlands, 2University of Groningen, The Netherlands, 3Maastricht University, The Netherlands, 4VU University Medical Centre, The Netherlands



도입

Introduction


임상 훈련 프로그램에서 미니 임상 평가 연습(mini-CEX)과 같은 작업장 기반 평가를 통한 성과 평가는 학생들의 임상 성과 개선을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Norcini & Burch 2007). 그것은 교사, 즉 임상 감독자가 성과에 대한 관찰 후에 곧바로 의미 있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In clinical training programmes, performance evaluations through workplace-based assessments like the mini-clinical evaluation exercise (mini-CEX) are aimed at helping students improve their clinical performance (Norcini & Burch 2007). It allows the teacher, i.e. the clinical supervisor, to provide meaningful feedback directly following observation of performance.


성과 평가의 피드백이 효과적일 수 있도록, 교사들은 종합적 목적을 위한 평가와 형성적 평가(즉, 의미 있는 피드백 제공) 간에 전환해야 하는 어려운 과제를 안고 있다(Govaerts et al. 2013). 교사들은 성과에 대한 판단을 내리기 위해 관련 성과 정보를 지속적으로 획득, 조직 및 해석해야 한다(McGill et al. 2011). 

For feedback in performance evaluations to be effective, teachers have the demanding task of shifting between assessment for summative purposes and formative assessment (i.e. providing meaningful feedback) (Govaerts et al. 2013). Teachers are supposed to continuously acquire, organise and interpret relevant performance information to arrive at judgements about performance (McGill et al. 2011). 


교사마다 관찰하는 행동, 이러한 관찰 결과를 평가 및 평가에 통합하는 방법, 그리고 어떻게 피드백을 학생들에게 제공하는지가 다르기 때문에 피드백-제공 행동의 큰 편차가 생기는 것이 일반적이다(Van der Vleuten et al. 2000; Mazor et al. 2007). 이것이 문제가 되는 또 다른 이유는 형성적 WBA에서 서술적 피드백의 질적 변화와 관련되기 때문이다(Pelgrim et al. 2011; Driessen & Scheele 2013; Bok et al. 2013a).

Since teachers vary in the behaviour they observe, how they assess and integrate these observations into a judgement and how they provide feedback to the student, large variations in feedback-giving behaviour is common (Van der Vleuten et al. 2000; Mazor et al. 2007). This is problematic because research has also shown that this is related to significant variations in the quality of narrative feedback in formative workplace-based assessments (Pelgrim et al. 2011; Driessen & Scheele 2013; Bok et al. 2013a).


의료 교육뿐만 아니라 인적 자원 관리에서 얻은 놀라운 증거는 성과 개발에 있어 고품질 서면 서면 피드백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있다(Govaerts et al. 2005; Brutus 2010). 그러나, Govaerts 외 연구진(2013)은 특히 서면 피드백이 학생들이 임상 성과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가 부족하다는 증거를 발견했다. 가능한 설명으로, 저자들은 의미 있고 효과적인 서면 서술 코멘트를 제공하는 것은 교사의 피드백 능력에 대한 높은 요구(즉, 더 많은 시간과 더 많은 인지 노력이 필요하다)를 한다고 말했다(Govaerts et al. 2013).

Scholarly evidence from human resource management as well as medical education has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high-quality written narrative feedback in performance development (Govaerts et al. 2005; Brutus 2010). However, Govaerts et al. (2013) found evidence that especially written feedback lacked information that could help students to improve their clinical performance. As a possible explanation, the authors stated that giving meaningful and effective written narrative comments places high demands (i.e. this takes more time and requires more cognitive effort) on teachers’ feedback skills (Govaerts et al. 2013).


성과 평가는 종종 복잡한 임상 작업 공간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교사, 학생 및 그 관계와 더불어 상황 및 조직적 요소도 교사의 피드백을 주는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Kogan et al. 2009; Watling & Lingard 2012; Fokkema et al. 2013; Pel).암울 외 2013).

Because performance evaluations are often performed within a complex clinical workplace, in addition to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eacher, student, and their relationship, contextual and organisational factors have also been proved to influence teachers’ feedback-giving behaviour (Kogan et al. 2009; Watling & Lingard 2012; Fokkema et al. 2013; Pelgrim et al. 2013).



방법

Method


Study design


Setting


Participants and procedure


Participants were sampled by maximum variation sampling to ensure variety in the teachers’ levels of expertise, animal species track and specialty. This sampling procedure provided us with information-rich cases for in-depth study (Patton 2002). The principal researcher conducted interviews between February and June 2013. In total, 14 supervisors were invited and all agreed to participate. Each interview was conducted by the principal researcher at FVMU, lasted between 30 and 45 minutes and was audio taped and transcribed verbatim.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performed iteratively for emerging issues that would be identified in subsequent interviews.


Interview development


Data analysis


The transcriptions were analysed using template analysis (King 2004). This technique involved an iterative process of qualitative data reduction and display. We created a template that consists of coded themes representing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data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Based on existing theory (Kogan et al. 2009, 2011; Pelgrimet al. 2013; Watling et al. 2013; Bok et al. 2013b) and initial coding of parts of the dataset, the principal researcher created an ‘‘initial template’’. Subsequent iterative collection and analysis of the data modified this template.


    • The principal researcher (H. G. J. B.) was responsible for coding the data and constructing themes, resulting in further development of the template. 

    • After interviews 4, 10 and 12, the template’s evolution, including the identified themes, was discussed research with the group in order to prevent narrowing of ideas. 

    • Using open coding, two researchers (P. W. T. and D. A. D. C. J.) analysed the sixth transcript, which was compared with the template generated by H. G. J. B. 

    • Discrepancies between analyses were discussed, which resulted in minor template adjustments. 

    • After 12 transcripts were coded, theoretical saturation was reached, i.e. no new themes emerged. 

    • The principal researcher, D. A. D. C. J., P. v. B., C. P. M. v. d. V. and P. W. T. discussed and agreed on the final analysis of the data. 

    • Two additi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ir transcripts were analysed and confirmed the final template.


결과

Results


교수 관련 요인

Teacher-related factors


(개인적 또는 업무 관련 사유로 인해)신체적 또는 정신적으로 지칠 때, 교육보다 환자 치료나 연구 활동과 같은 다른 전문적 업무에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순위가 주어졌다.

When they were physically or mentally exhausted (due to personal or work-related reasons), other professional tasks, like patient care or research activities, were given a relatively higher priority than education.


교수-학생 상호작용 관련 요인

Teacher–student interaction-related factors


교사들은 철저하게 준비되고, 경험이 많고, 적극적인 학습 행동을 보이는 학생들에게 더 많은 임상적 책임을 부여하는 경향이 있다. 

Teachers tend to give more clinical responsibilities to thoroughly prepared, more experienced, and highly motivated students who displayed active learning behaviour. 


교사와 학생 사이에 신뢰할 수 있는 관계를 구축하려고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형성적 피드백을 제공할 기회를 창출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합의되었다. 학생들이 팀 구성원으로 참여하는데 편안함을 느끼고, 환자 관리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고, 그들의 행동에 대한 피드백을 구하고 요청할 만큼 충분히 확신하는 전문적 관계를 구축하는 것은 의도된 방식으로 mini-CEX가 사용되게 할 것이다. 

Trying to create a trustworthy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was generally agreed to be an important influencing factor in creating opportunities to provide formative feedback. Building professional relationships in which students felt comfortable participating as team members, felt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patient care and were confident enough to seek and ask for feedback on their behaviour, would enhance the use of mini-CEX instruments in the intended way. 


교수-맥락 상호작용 관련 요인

Teacher–context interaction-related factors


미니-CEX는 형성적 목적을 갖기 때문에, 초점은 의미 있는 서면 서술 피드백을 수집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미니-CEX는 평가 프로그램의 일부가 되었고, 수행해야 할 미니-CEX의 최소 숫자가 있었기 때문에, 학생들은 필요한 미니-CEX 수를 채우는 쪽으로 피드백 탐색 행동을 바꾸었다. 결과적으로, 교사는 질적 정보를 더 적게 제공했다. 

As mini-CEXs were intended to be formative, the focus was on collecting meaningful written narrative feedback. However, because mini-CEX instruments had become part of the assessment programme and minimum numbers of completed mini-CEXs were required, students changed their feedback-seeking behaviour towards completing the required number of mini-CEXs. As a consequence, the teacher provided less qualitative information (i.e. narrative feedback). 


다른 교수들이 WBA의 가치를 인정한다고 느끼는 교수들은 미니-CEX 도입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을 거의 드러내지 않았다. 

Teachers who felt that their peers recognised the value of workplace-based assessments voiced few negative feeling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mini-CEX instruments. 


양질의 피드백은 시간과 인지적 노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구조화되지 않은) 임상 환경의 높은 업무량은 미니-CEX 사용의 장벽으로 간주되었다. 평가를 위한 시간이 주어지는 임상 환경에서 일하는 교사들은 미니-CEX를 수행하는 것이 더 쉽다고 생각했다. 또한, 조직이 점차 재정적 손실을 방지하는 것에 초점을 둠에 따라 모든 고객(환자 소유자)이 교육 목적에 적합하다고 여겨지지는 않았다. 

As good quality feedback requires (some) time and cognitive effort, the high workload of the unstructured clinical environment was seen as a barrier to using the mini-CEX instrument. Teachers working in a clinical environment that included time for assessment considered the mini-CEX easier to perform. Furthermore, the increasingly important organisational focus on preventing financial losses meant that not every client (patient owner) was perceived to be suitable for educational purposes. 




교수의 mini-CEX 적용

Teachers’ application of mini-CEX instruments in the clinical workplace


(1) 수행능력 평가를 위한 직접 관찰

(1) Direct observation in performance evaluations.


직접관찰은 성적 평가에 있어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데 중요하다. 왜냐하면 그것은 교수가 학생에 관련된 정보를 얻도록 지원해주기 때문이다. 게다가, 학생을 관찰하는 것은 교수에게 교과과정에 대한 정보를 준다.

Direct observation is crucial in providing effective feedback in performance evaluations because it supports the teacher in acquiring relevant information about the student. Furthermore,student observations also give the teacher information about the curriculum.


임상 업무는 업무량이 많기 때문에, 종종 교수들은 관찰 직후 학생들과 피드백을 토론하는 시간을 제한했다. 따라서 일부 교수들은 관찰 중에 학생의 수행에 대해 메모하고 나중에 피드백 토론과 후속 미니-CEX 완료 과정에서 그 메모를 기억 보조 자료로 사용했다.

due to the highly demanding tasks of clinical practice, the teacher often had limited time immediately after the observation to discuss the feedback with the student. Therefore, some teachers made notes about a student’s performance during the observation and later used them as a memory aid during the feedback discussion and the subsequent completion of the mini-CEX.


Mini-CEX를 사용하여 의견을 나누고 토론할 시간이 거의 없을 뿐 아니라, 교수들은 학생들을 관찰하기 위한 공간과 시간을 찾기 위해 애썼다.

Besides having little time to discuss and deliver the feedback using a mini-CEX, teachers also struggled to find space and time for observing students.


성과 평가를 통해 학생들이 달성하고자 하는 것에 대한 명확한 합의를 갖는 것도 중요했다(예: 특정 주제에 대한 피드백을 받고 피드백을 몇 번 받는지) "우리 학생들은 내가 항상 성과 평가에 그날의 첫 번째 환자를 사용한다는 것을 안다" (P3)

making clear agreements on what students themselves would like to accomplish through performance evaluations (e.g. receiving feedback on a specific topic and how many times feedback should be given) ‘‘My students know that I always use the first patient of the day for performance evaluations.’’ (P3)


관찰의 단점은 환자와 학생 모두 보통 그들의 행동을 바꾸고 교수에게 집중한다는 것이었다. 이것은 학생의 직무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 제공된 피드백에도 영향을 미쳤다.

a disadvantage of observation was that both the client and the student usually alter their behaviour and focus on the teacher. This influenced the student’s task performance and subsequently affected the provided feedback.



(2) 수행능력 관찰 기간과 교수-학생 관계

(2) Duration of performance observation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Mini-CEX를 의도한 방식(즉, 특정 직무와 명시적으로 관련되고 짧은 시간 동안)대로 사용하는 교사는 환자가 마주치는 것을 짧은 관찰하면 교사가 특정 작업에 집중하고 특정한 서면 서술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학생들을 장시간(하루 또는 심지어 일주일) 관찰하는 교사들은 그들이 미니-CEX 도구를 다르게 사용했다고 보고했다. 

Teachers using the mini-CEX instrument as intended (i.e. explicitly related to a specific task and over a short period of time) mentioned that the short observation of a patient encounter allowed the teacher to focus on a specific task and provide specific written narrative feedback. In contrast, teachers observing students over a prolonged period of time (a day or even a week) reported that they used the mini-CEX instrument differently. 


더 오랜 시간 동안 피드백을 제공했을 때, 교사들은 더 일반적인 능력(예: 협업 기술, 개인 개발)을 포함한 다양한 관련 역량에 대해 더 많은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었다. 그들이 어떤 임상 task를 관찰하는 것에만 국한되었을 때, 교사들은 그들의 피드백이 대부분 기술적 능력에만 한정되어 있다고 느꼈다.

When feedback was given over a longer period of time, teachers were able to provide more feedback on a variety of relevant competencies, including the more generic ones (e.g. collaboration skills, personal development). When they restrained their observation to a certain clinical task, teachers felt that their feedback was mostly limited to the technical competencies.


임상 작업장에서 교사들은 학생들의 독립성을 높이고 점차 더 많은 책임을 줌으로써 학생들의 학습을 지원하고 유도하기를 원했다. 그들은 학생들에게 도전과 동기를 부여하고, 학생들에게 자기성찰을 가르치도록 피드백을 제공했다. 이것은 안전한 학습 환경에서 더 오랜 시간 동안 함께 작업해야 했다. 

Within the clinical workplace, teachers wanted to support and guide students’ learning by increasing their independence and gradually giving them more responsibilities. They provided feedback to challenge and motivate their students and to teach them to be self-reflective. This required working together over a longer period of time in a safe learning environment. 


게다가, 교사들은 학생들의 수행 능력이 향상되는 것을 보고 앞서 제공한 피드백을 추적하기 위해 학생들과의 보다 종단적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긴박하다고 느꼈다. 이것은 교사들이 학생들의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했고, 그들이 제공된 피드백으로부터 발전하고, 반영되고, 반응하는지 확인할 수 있게 했다. 그 결과, 그것은 학생들이 일정 기간 동안 학생들의 학업 진척도를 더 잘 판단할 수 있게 했다.

Furthermore, teachers felt a sense of urgency in building more longitudinal relationships with students in order to see improvements in their performance and to follow-up on the previously provided feedback. This allowed teachers to follow-up with the students and to see whether they developed from, reflected on and reacted to the provided feedback. As a consequence, it allowed them to better judge students’ progress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3) 수행능력 평가를 위한 구두 또는 서면 서술형 피드백

(3) Verbal and written narrative feedback in performance evaluations.


그 설계상, 교수는 미니-CEX에서 서술적 피드백을 기록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피드백에 대해 논의하고, 그것을 적고, 학생들과 함께 검증하는 것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과중한 업무량 때문에 일부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구두로 논의된 피드백을 받아 적으라고 요청했다. "나는 학생들에게 내가 구두로 제공한 피드백을 작성해 달라고 요청한다. 해당 미니-CEX 양식이 내 디지털 포트폴리오에 업로드되기 때문에 보통 저녁에 적절한 시간에 조정 및 승인할 수 있다.(P1)

By design, the teacher should be the person who documented the narrative feedback in the mini-CEX. However, discussing the feedback, writing it down and validating it together with the student required time and effort. Due to their high workloads, some teachers asked the students to write down the verbally discussed feedback themselves. ‘‘I ask my students to fill in the feedback I verbally provided. Because the corresponding mini-CEX form is uploaded in my digital portfolio, at an appropriate time, usually in the evening, I can adjust and approve it.’’ (P1)


하지만 참가자들은 또한 학생들이 자신에 대한 피드백을 받아쓰게 함으로써 생기는 부정적인 결과도 언급했다. 때때로 미니-CEX는 개선을 위한 단서들을 포함하는 의미 있는 피드백을 포함하기보다는, 자기평가보고서가 되고는 했다. 게다가, 교수가 직접 피드백을 기록하는 것은 교수로 하여금 어떻게 그들의 의견을 의미 있게 표현해야 하는지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하게끔 자극하게 만들었다. "특히 개선을 위해 코멘트를 공식화하고 작성해야 할 경우, 여기에는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However, participants also mentioned some negative results from letting students write down feedback about themselves. Sometimes the mini-CEX became more of a self-evaluation report instead of containing meaningful feedback that included clues for improvement. Furthermore, documentation of feedback by the teacher was acknowledged to stimulate teachers to really think more about how to formulate their comments in a meaningful way. ‘‘Especially when I need to formulate and write down comments for improvement, this requires time and effort.’’ (P7)


교사들의 피드백 제공 행동은 또한 부정적인 피드백에 대한 학생들의 실제적 또는 인식된 반응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대부분의 경우 부정적인 피드백이 구두로 제공되었고 미니-CEX에 문서화되지 않았다. 교사들은 부정적인 피드백을 기록하는 것을 꺼렸다. 왜냐하면 그들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기를 원했기 때문이다. 그들은 부정적인 피드백이 학생의 ego를 해치는 것을 두려워했다. 또한, 교수들은 학생들에게 perceived ego 또는 image에 damage를 입을 위험이 있기 때문에 부정적인 피드백은 개인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선호했다.

Teachers’ feedback-giving behaviour was also influenced by the student’s actual or perceived reaction towards negative feedback. In most cases, negative feedback was provided verbally and not documented in the mini-CEX. Teachers were reluctant to document negative feedback because they wanted to focus on motivating students, they were afraid of damaging the student or experienced ego damaging themselves when providing negative feedback. Also, they preferred to provide negative feedback privately due to the risk of perceived ego or image damage to the student.


(4) 형성적 목적과 총괄적 목적이 모두 있는 수행능력 평가

(4) Performance evaluations for both formative and summative purposes.


Mini-CEX의 목적이 의미 있는 서술적 피드백을 수집하는 것이라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교사와 학생 모두요구되는 수의 평가를 완료하는 쪽으로 초점이 이동했다. 이러한 총괄평가적 측면 때문에 학생들은 그들의 피드백 탐색전략을 바꾸었다. "많은 경우에, 나는 개선을 위한 문제에 대한 의미 있는 피드백 대신에 긍정적인 피드백만을 제공한다. 그리고 학생들은 자신의 수행에 대해 자신 있을 때만 미니-CEX를 요청한다.(P8)"

Notwithstanding the fact that the purpose of the mini-CEX was to collect meaningful narrative written feedback, the focus of both teachers and students shifted towards completing the required number of performance evaluations. Due to this summative aspect, students changed their feedback-seeking strategies. ‘‘A lot of times, I only provide positive feedback instead of meaningful feedback on issues for improvement. Students only ask for a mini-CEX when they are confident about their task performance.’’ (P8)


포트폴리오 검토 과정 때문에 교사들은 종종 부정적인 서술적 피드백을 미니-CEX에 포함하기를 꺼렸다. 그들은 자신들의 의견이 고부담 평가 절차에 포함될 만큼 충분히 중요하지 않다고 느꼈다.

Because of the portfolio review process, teachers were sometimes reluctant to include negative narrative feedback in the mini-CEX. They felt that their comments were not important enough to be included into a high-stakes assessment procedure.


형성적 목적으로 고안된 미니-CEX가 [장기적으로 종단적 고부담 평가 프로토콜의 일부라는 사실]이 원래 의도를 왜곡되게 만든 것으로 보인다.

The fact that the mini-CEX instrument that was intended to be formative was, in the long run, part of a longitudinal high-stakes assessment protocol, apparently corrupted its original intentions.




고찰

Discussion


교사의 개인 교육 목표와 신념이 형성적 WBA라는 당초의 의도와 일치할 때, 의도한 방식으로 더 자주 사용되었다. 이는 평가자의 수행평가에 대한 self-theory(평가자의 신념이 학생들의 미래 행동에 대한 판단과 기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에서의 기존 문헌과 일치한다(Hong et al. 1997; Teunissen & Bok 2013).

When teachers’ personal educational goals and beliefs. align with the intended ideas underpinning formative workplace-based assessment, they were more frequently used in the intended way. This is in line with literature on the influence of assessors’ self-theories on performance evaluations, which assessors’ state that beliefs affect their judgements and expectations of students’ future behaviour (Hong et al. 1997; Teunissen & Bok 2013).


교사들의 경험 수준은 특히 그들이 성과 평가를 어떻게 사용했는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Govaerts 등은 의미 있는 피드백을 제공하고 학생의 성과를 평가하려면 성과 평가에 대한 특정 수준의 전문지식이 필요하며 과제 관련 경험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Govaerts et al. 2011). 경험이 부족한 교사는 장기 지원, 성과 평가를 위한 추가 할당 시간, 현장 훈련 및 감독을 받아야 한다(Govaerts et al. 2013).

Teachers’ levels of experience appeared particularly relevant to how they used performance evaluations. Govaerts et al. discussed that providing meaningful feedback and assessing a student’s performance required a certain level of expertise in performance assessment and demanded task-related experience (Govaerts et al. 2011, 2012). inexperienced teachers should receive long-term support, additional allocated time for performance evaluations, and on-the-job training and supervision (Govaerts et al. 2013).


안전한 학습 환경에서 교사-학생 간의 종단적 관계를 조성하는 것은 피드백을 주는 행동을 용이하게 했다. 이러한 신뢰할 수 있는 관계는 교사가 학생을 관찰하는 데 더 많은 가능성을 만들어 냈으며, 교사가 학생의 임상적 수행 능력이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게 하고 이전에 제공된 피드백에 대한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했다.

Creating longitudinal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in a safe learning environment facilitated feedback-giving behaviour. Such trustworthy relationships created more possibilities for the teacher to observe the student, and allow the teacher to see improvements in the student’s clinical performance and to follow-up on the previously provided feedback.


보다 능동적인 피드백을 추구하는 행동은 학생들이 편하게 참여할 수 있는 전문 학습 문화에서 발생한다. 학생들의 이러한 활동적인 행동은 교사들의 피드백-제공 행동에 자극적인 효과를 가지며, 그 결과 미니-CEX 도구를 더 자주 사용하게 만든다.

More active feedback-seeking behaviour occurs in a professional learning culture where students feel comfortable participating. This active behaviour by students has a stimulating effect on teachers’ feedback-giving behaviour, resulting in a more frequent use of mini-CEX instruments.


WBA 도구는 일반적으로 의미 있는 서술적 피드백을 수집하는데 초점을 맞춘 형성적 목적을 가져야 한다. 명백히, 미니-CEX를 종단적 고부담 평가 프로토콜에 포함시키는 것은 이러한 원래의 의도를 방해한다.

Workplace-based assessment instruments are usually intended to be formative with the focus on collecting meaningful written narrative feedback. Incorporating mini-CEXs in a longitudinal high-stakes assessment protocol apparently hinders these original intentions.


문헌은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WBA가 총괄평가로서 것으로 인식되었을 때, 학생들의 피드백 탐색을 감소시켰다는 증거를 제공한다(Driessen et al. 2010;Govaerts et al. 2013; Bok et 2013a,b). 

Literature provides evidence that when workplace-based assessment methods, designed to provide feedback, were perceived to be summative, students’feedback-seeking behaviour decreased (Driessen et al. 2010;Govaerts et al. 2013; Bok et al. 2013a,b). 


그러나, 모든 개별 평가가 궁극적으로 최종적 총괄평가 결정에 기여했다는 사실은 학생들이 모든 개별 평가를 형성평가라기보다는 총괄평가로 인식하게 했다.

However, the fact that all individual assessments ultimately contributed to the final summative decisions caused students to perceive all individual assessments as summative rather than formative. 


강점과 한계

Strengths and limitations


미래 연구

Future research



실천에 대한 함의

Implications for practice


일부 부서는 일일 임상 프로그램의 성과 관찰에 대한 시간을 할당하여 관찰과 피드백에 대한 시간을 일정에 포함시키는 데 성공한다. 임상 실습에 관찰을 포함시키면 교사가 성과 관찰에 따라 직접 의미 있는 업무 관련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 

Some departments succeed to incorporate time for observations and feedback in their schedules by allocating time for performance observations in the daily clinical programme. Embedding observations in clinical practice creates opportunities for teachers to provide narrative meaningful and task-related feedback directly following performance observations. 


이와 동시에, 이것은 학생들이 선생님들에게 성과평가를 요구하는 것을 더 쉽게 만든다. 그러나, 조직의 중요한 초점이 점점 더 재정적 손실을 막는데 집중됨으로 인해서, 보다 효율적인 워크플로우 및 프로토콜에 집중하게 되므로 평가 프로세스를 방해한다. 왜냐하면 성능 평가와 관련된 관찰 및 피드백을 위한 시간이 더 짧아지기 때문이다.

Simultaneously, this makes it easier for students to ask their teachers for a performance evaluation. However, the increasingly important organisational focus on preventing financial losses interferes with the evaluation process due to a focus on more efficient workflows and protocols that leaves less time for observations and feedback related to performance evaluations.


효과적인 피드백 제공을 강화하기 위해, 교사와 학생 모두 전문적인 관계를 정립하는 데 투자해야 하고 피드백 교환을 지원하고 촉진하는 안전한 학습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좀 더 종단적으로 구성된 임상실습에 투자하면 신뢰할 수 있는 교사-학생 관계를 개발할 수 있으며, 이는 역량 개발을 문서화하는데 중요하다. 이것은 또한 임상의가 [스스로를 학생들을 지도하고 지원할 임무가 있는 교사]라고 자신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To enhance the provision of effective feedback, both teachers and students should invest in establishing a professional relationship and strive to create a safe learning environment that supports and facilitates the feedback exchange. Investing in more longitudinal clinical clerkships allows trusting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to develop, which is important for documenting competency development. This could also have potential positive effects on helping clinicians identify themselves as teachers with tasks in guiding and supporting students. 


학생들을 책임을 지는 임상팀의 일원으로 편입시킴으로써, 학생들은 보다 적극적인 피드백을 추구하는 행동을 보여줄 것이고, 교사들의 피드백을 주는 행동은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다(Bok & Teunissen 2013). 더욱이, 임상 환경 내에서 교사의 피드백-기부 행동은 상호 관련 요소(교사, 교사-학생 상호작용 및 교사-텍스트 상호 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우리는 교수개발 프로그램에 교사의 피드백 제공 행동을 강화하는 요인들을 통합할 것을 제안한다.

By incorporating students as members of the clinical team with subsequent responsibilities, students will demonstrate more active feedback-seeking behaviour and teachers’ feedback-giving behaviour will be influenced positively (Bok & Teunissen 2013). Furthermore, as teachers’ feedback-giving behaviour within the clinical setting is influenced by interrelated factors (teacher,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teacher–context interaction), we propose incorporating those factors that enhance teachers’ feedback giving behaviour into faculty development programmes.


형성적 미니-CEX의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우리는 WBA 프로토콜을 조정하고 총괄적 판단에 통합되지 않게 하여 진정으로 저부담 평가가 되게 할 것을 제안한다. 이것은 교사와 학생 모두가 제공되거나 요청되는 피드백의 결과적 부정적 영향이나 비용을 인식하지 않고 안전한 학습 환경에서 피드백을 주고 구할 수 있도록 한다. 

To stimulate the usage of formative mini-CEX instruments, we propose to adjust workplace-based assessment protocols and include instruments that are truly low-stakes and not integrated into a final summative judgement. This allows both teachers and students to give and seek feedback in a safe learning climate without perceiving costs or consequential negative effects from provided or sought feedback. 


예를 들어, 미니-CEX는 엄격하게 patient encounter를 관찰하고 형성적 평가에만 활용하여 교사가 task에만 집중하고 의미 있고 건설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장기간의 성과를 평가하는 WBA 에 의해 보완된다. 이것은 더 고부담 평가에서 교수들이 학생 역량의 모든 측면에 대한 학생들의 임상 개발, 반사, 피드백 후속 조치를 신중하게 고려할 수 있도록 한다. 학부 및 대학원 의료 훈련에서 이 중요한 문제에 대한 더 많은 통찰을 얻기 위해서는 더 많은 경험과 연구가 필요하다.

For example, mini-CEX instruments can be used for strictly formatively assessments of short observations of patient encounters allowing the teacher to focus on the task and provide meaningful and constructive feedback, supplemented by workplace-based assessments evaluating performance over a prolonged period of time. This allows the teacher to carefully consider the student’s clinical development, reflections and feedback follow-up on all aspects of clinical competence in a more high-stakes evaluation. More experience and research are needed to create more insight into this important issue in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medical training.












 2016;38(1):88-95. doi: 10.3109/0142159X.2015.1017448. Epub 2015 Mar 17.

Feedback-giving behaviour in performance evaluations during clinical clerkships.

Author information

1
a Utrecht University , The Netherlands .
2
b University of Groningen , The Netherlands .
3
c Maastricht University , The Netherlands .
4
d VU University Medical Centre , The Netherlands.

Abstract

CONTEXT:

Narrative feedback documented in performance evaluations by the teacher, i.e. the clinical supervisor, is generally accepted to be essential for workplace learning. Many studies have examined factors of influence on the usage of mini-clinical evaluation exercise (mini-CEX) instruments and provision of feedback, but little is known about how these factors influence teachers' feedback-giving behaviou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eachers' use of mini-CEX in performance evaluations to provide narrative feedback in undergraduate clinical training.

METHODS:

We designed an exploratory qualitative study using an interpretive approach. Focusing on the usage of mini-CEX instruments in clinical training, we conduc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to explore teachers' perceptions. Between February and June 2013,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14 clinicians participated as teachers during undergraduate clinical clerkships. Informed by concepts from the literature, we coded interview transcripts and iteratively reduced and displayed data using template analysis.

RESULTS:

We identified three main themes of interrelated factors that influenced teachers' practice with regard to mini-CEX instruments: teacher-related factors; teacher-student interaction-related factors, and teacher-context interaction-related factors. Four issues (direct observation,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verbal versus written feedback, formative versus summative purposes) that are pertinent to workplace-based performance evaluations were presented to clarify how different factors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influence teachers' feedback-giving behaviour. Embedding performance observation in clinical practice and establishing trustworthy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in more longitudinal clinical clerkships were considered important in creating a learning environment that supports and facilitates the feedback exchange.

CONCLUSION:

Teachers' feedback-giving behaviour within the clinical context results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personal, interpersonal and contextual factors. Increasing insight into how teachers use mini-CEX instruments in daily practice may offer strategies for creating a professional learning culture in which feedback giving and seeking would be enhanced.

PMID:
 
25776225
 
DOI:
 
10.3109/0142159X.2015.1017448
[Indexed for MEDLINE]


피드백의 프레이밍이 만족, 자기효능감, 수행에 미치는 영향(Adv in Health Sci Educ, 2014)

Framing of feedback impacts student’s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J. M. Monica van de Ridder • Claudia M. M. Peters • Karel M. Stokking •

J. Alexander de Ru • Olle Th. J. ten Cate




도입

Introduction


피드백은 임상 훈련에 중요한 것으로 간주된다(Bowen and Irby 2002; Dornan 2006; Irby 1995; Liberman et al. 2005; McIlwrick et al. 2006). 임상교육에서 피드백은 '연수생 성과와 연수생 성과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주어진 기준과의 비교에 관한 특정 정보'로 정의되었다(van de Ridder et al. 2008).

Feedback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clinical training (Bowen and Irby 2002; Dornan 2006; Irby 1995; Liberman et al. 2005; McIlwrick et al. 2006). In clinical education feedback has been defined as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comparison between trainee’s performance and a standard given with the intent to improve trainee’s performance’ (van de Ridder et al. 2008).


학생들은 임상적 맥락(Dornan 2006년)에 참여할 때 피드백을 supportive하게 것으로 보고, "건설적인 피드백"을 preceptor의 두 번째 중요한 행동 특성으로 평가한다(Schultz et al. 2004).

Students view feedback as supportive when participating in the clinical context (Dornan 2006), and they rate ‘‘giving constructive feedback’’ as the second most important behavioral characteristic of a preceptor (Schultz et al. 2004).


피드백 효과가 다양하다는 것에 대한 가능한 설명은 제공방식이 여러 가지라는 점이다(Branch and Paranjape 2002; Daelmans et al. 2005; Van de Ridder et al. 2006 미공개). Valence framing - 피드백 메시지를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프레이밍하는 것 - 도 그 한 가지이다(Dunegan 1996; Levin et al. 1998).

A possible explanation for the diverse feedback effects are the different ways in which it is provided (Branch and Paranjape 2002; Daelmans et al. 2005; van de Ridder et al. 2006 unpublished). Valence framing -framing the feedback message positively or negatively- is one variety (Dunegan 1996; Levin et al. 1998).


Valence framing은 '동일한 비판적 정보를 긍정적인 방식 또는 부정적인 방식'으로 프레이밍하는 것으로 정의되었다(Levin et al. 1998). 따라서 프레임은 메시지의 포장을 의미하며, 메시지의 내용과는 무관하고, 메시지 내용은 개선을 위한 포인트 또는 개선점에 대한 긍정적인 - 좋은 점 또는 부정적인 피드백 - 또는 둘 다로 구성될 수 있다. 

  • 긍정적 프레이밍: "당신이 이것을 아주 잘 했지만, 개선해야 할 몇 가지 요점이 있다.'

  • 부정적 프레이밍: "당신은 이것을 정확하게 하지 않았다. 당신은...이렇게 해야 한다"

두 예에서 모두 피드백 메시지의 내용은 부정적이다.

Valence framing has defined as casting ‘the same critical information in either a positive or a negative light’ (p.150) (Levin et al. 1998). So, framing refers to the packaging of the message and it is independent of the message content, which can consist of positive -about good points- or negative feedback -about points for improvement-, or both. ‘‘You did this quite well, but there are some points for improvement…’’ would be considered a positively framed feedback message. Negatively framed feedback is: ‘‘You did not do this correctly. You should…’’ In both examples the content of the feedback message is negative.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만족도, 자기 효과 및 성과와 같은 결과 척도에 대한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피드백의 영향을 평가했다.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 of positively and negatively framed feedback on outcome measures such as students’ satisfaction, self- efficacy, and performance.



만족

Satisfaction


학생들의 긍정적인 반응(예: '나는 이 피드백을 받는 것을 좋아한다')은, 설령 그들의 인식이 정확하지 않더라도, 학습을 자극하고 충성으로 이끌 수 있다(Kirkpatrick과 Kirkpatrick 2006; Morgan과 Rego 2006). 연구에 따르면, 성적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이 학생들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Nesbit and Burton 2006).

Positive reactions of students (e.g., ‘I liked to receive this feedback’) can motivate, stimulate their learning and lead to loyalty (Kirkpatrick and Kirkpatrick 2006; Morgan and Rego 2006), even if their perceptions are not accurate (Jussim 1991). Research shows that positive feedback on performance positively influences students’ satisfaction (Nesbit and Burton 2006),


Self-efficacy


밴두라(1986)는 자기효능감을 '지정된 유형의 퍼포먼스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과정이나 조치를 조직하고 실행하는 능력에 대한 판단'으로 정의한다(p.391). 그것은 자기 인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자기 인식은 enactive attainment, 대리적 경험, 언어적 설득, 그리고 생리적인 상태에 기초한다. 자기 효능감은 행동선택, 노력 투입 및 지속성, 사고 패턴 및 감정 반응과 같은 것들에 영향을 미친다. 자기신뢰는 심리사회적 기능에 다양한 방식으로 기여한다.

Bandura (1986) defines self-efficacy as: ‘people’s judgments of their capabilities to organize and execute courses or action required to attain designated types of performances’ (p.391). It can be classified as self-perception. This self-perception is based on enactive attainment, vicarious experiences, verbal persuasion, and one’s physiological state. Self- efficacy influences for example choice behavior, effort expenditure and persistence, thought patterns, and emotional reactions. Self-beliefs contribute in various ways to psychosocial functioning (Bandura 1986).


자기 강화 이론은 모든 사람이 자신의 기능을 개선하기를 원하므로 좋은 점들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만 효과적이다라고 말한다(Swann et al. 1987). 이 이론에 따르면, 특히 부정적인 피드백은 자기효능감을 줄이고 긍정적인 피드백은 자기효능감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Reynolds 2006) 부정적 피드백은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보다) 자기효능감이 낮은 사람에게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Baker 2001).

Self-enhancement theory suggested that everyone wants to improve their own functioning and therefore only positive feedback -about good points- is effective (Swann et al. 1987). Results in line with this theory show that particularly negative feedback reduces self-efficacy and positive feedback increases self-efficacy (Reynolds 2006). Negative feedback has more influence on subjects with low self-efficacy compared to subjects showing high self-efficacy (Baker 2001).


자기 검증 이론은 피드백이 개인의 '자기개념'과 일치한다면, 피드백이 부정적일 때조차 valid하다고 인정할 것이라고 기술한다(Swann et al. 1987). 자기 검증 이론에 따르면, 부정적 피드백은 (높은 자기효능감을 가진 사람보다) 낮은 자기효능감을 가진 사람들이 더 잘 수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Nease et al. 1999)

Self-verification theory states that when the feedback is in line with a person’s self- concept they will endorse the feedback as valid, even when it is negative (Swann et al. 1987). Empirical research in line with self-verification theory shows that negative feedback is better accepted by people with low self-efficacy about a specific competency compared to subjects with high self-efficacy (Nease et al. 1999).


Performance


일반적으로 피드백은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작거나 중간 정도인 것으로 간주된다(Ivers et al. 2012) 효과 크기는 종종 작거나(Kluger and DeNisi 1996), 엄청난 변화를 보인다(Hattie and Timperley 2007). 피드백을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 의해 체계적으로 제공하면 교육이나 지침과 같은 다른 개입과 결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Ivers et al. 2012; Veloski et al. 2006).

Generally feedback is considered to have a small or moderate impact on performance (Ivers et al. 2012) effect sizes are often small (Kluger and DeNisi 1996), or show an enormous variation (Hattie and Timperley 2007). When feedback is given systematically, by a credible source, combined with other interventions such as education or guidelines, it appears to be more effective (Ivers et al. 2012; Veloski et al. 2006).


방법

Methods


설계

Design


과제

Task


프레이밍

Framing


두 조건 모두에서 학생들은 WR 작업에 익숙한 숙련된 의사 역할을 하는 최종 1학년 의대생에 의해 제공되는 부정적인 내용의 피드백 메시지를 받았다. 

    • 긍정적인 프레임 조건에서는 다음과 같은 피드백이 제시되었다. "너는 이것을 잘했다. 몇몇 팁은...’’ 

    • 피드백은 부정적으로 시작됨: "이것이 잘 되지 않았다. 당신은 바꾸어야 한다...’’

In both conditions students received a feedback message with negative content, provided by a final year medical student with stage-play experience, acting as an experienced physician familiar with the WR task. 

    • In the positive framing condition, feedback was voiced as: ‘‘You did this well; some tips are…’’ 

    • Feedback framed negatively started with: ‘‘This is not well done; you should change…’’


참가자

Participants


60~70%는 여성

The medical student population in the Netherlands consists of a stable 65–70 % woman since early 1990s (Ten Cate 2007).


절차

Procedure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June 2007, in the skills lab of the UMCU. Other instructional events were unlikely to interfere with the study, as at this time of the year no classes take place and students are preparing for exams. To collect the outcome measures for this study, each individual went through the route according to Fig. 1.



도구

Instruments


만족도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video instruction, training opportunities, and the received feedback is measured with a five-item scale. 


자기효능감

A visual analogue scale (VAS) was used to measure self-efficacy regarding the detection of hearing loss by using the WR task (0 mm = ‘I am extremely confident’, 100 mm = ‘I am extremely unconfident’). This procedure for measuring students’ self- efficacy towards medical skills has been used in a study by Turner (Turner et al. 2008).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for the validity of the instrument for a similar purpose.


자료분석

Data analysis


Correlations were determined to get insigh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satisfaction (SAT), performance (P1, P2, P3) and self-efficacy (SE1, SE2, SE3 and SE4). Whenever assumptions of normality, linearity, homogeneity of variances, and/or homogeneity of regressions slopes were violated, a Mann–Whitney U test was performed, otherwise a mixed model analysis or T test was used to compare framing effects on satisfaction (SAT), performance (P1, P2, P3) and self-efficacy (SE1, SE2, SE3 and SE4).


Effect sizes (ES) were reported using partial g2 and r. Small, medium, and large effect sizes are respectively 0.01, 0.06, and 0.14 for partial g2 (for those unfamiliar with partial g2, this is equal to d = 0.2, 0.5. and 0.8) and 0.1, 0.3, and 0.5 for r (Cohen 1988).


결과

Results


참가자

Participants


도구의 퀄리티

Quality of the instruments


가정

Assumptions


상관관계

Correlations


피드백 효과

Effect of feedback framing on satisfaction


(Table 1).


자기효능감에 대한 영향

Effect of feedback framing on self-efficacy


퍼포먼스에 대한 영향

Effect of feedback framing on performance



고찰

Discussion


의대 학생들이 개선을 위한 포인트와 관련하여, 부정적인 내용이 포함된 피드백 메시지를 받을 때, 메시지의 프레임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피드백에 대한 만족, 직무 수행 및 직무 성과에 대한 자신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는 긍정적 프레임 피드백 그룹이 더 만족했고, 피드백을 받은 직후 더 높은 자기효율을 보였으며, 부정적 프레임 상태의 그룹보다 피드백을 받은 후 2주 후에 더 잘 수행했다고 결론 내렸다. 또한, 부정적 프레임 피드백 조건에서, 학생들은 T2에서, 즉 피드백을 받기 전에도 상당히 낮은 점수를 보였다는 것을 발견했다.

When medical students receive a feedback message with a negative content -about points for improvement- the framing of the message, either positively or negatively, affects their satisfaction with the feedback, their self-efficacy regarding task performance and their task performance. We conclude that the positively framed feedback group was more satisfied, had higher self-efficacy immediately after receiving feedback, and performed better 2 weeks after receiving feedback than the group in the negatively framed condition. In addition, we found that in the negatively framed feedback condition,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scores at T2, i.e., even before feedback was received.


우리의 연구 결과를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만족도에 대한 결과는 다른 연구와 일치하는 패턴을 보여준다. 칭찬, 칭찬(Boehler et al. 2006) 또는 고성능 피드백(Nesbit and Burton 2006)과 같은 긍정적 피드백 메시지는 학생들의 만족도를 증가시킨다.

How do we explain our findings? The results on satisfaction show a pattern which is in line with other studies: positive feedback messages, such as compliments, praise (Boehler et al. 2006) or high performance feedback (Nesbit and Burton 2006) increase students’ satisfaction.


SE3과 SE4 사이의 시간은 학생들이 WR 과제를 연습하지 않은 2주이다. 이 새롭고 복잡한 작업의 실행 부족은 SE4가 그렇게 많이 떨어진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SE4에서 학생들은 더 이상 무지하지 않았고 그들은 과제 난이도에 대해 무엇을 기대해야 하는지 알고 있었다. 이것이 왜 T4의 자기효능감이 T1보다 더 낮았는지 설명해 줄 것이다.

The time between SE3 and SE4 is 2 weeks, in which students have not practiced the WR task. The lack of practice of this new, complex task might explain why SE4 dropped so much. At SE4 students were no longer ignorant and they knew what to expect regarding task difficulty. This may explain why self-efficacy at T4 was even lower than at T1.


성과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소 헷갈린다. 양성 프레임 피드백 조건의 P1 학생들은 음성 프레임 조건에서보다 훨씬 더 좋은 성적을 얻었다. 이것은 우연일까 실험적인 효과일까? 가능한 설명은 두 조건 모두에서 학생들이 무의식적으로 피드백 제공자의 비언어적 행동과 메시지 유형에 대한 목소리의 톤으로부터 신호를 '인식'했고, 이는 행위자가 상황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그들의 첫 번째 수행에 영향을 미쳤으며, 간단하게 지시하는 동안 candidate들을 무의식적으로 이 인식을 불안하게 노출시켰을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나쁜 소식이 전달되는 상황에서도 유사한 현상을 본다. 즉, 피드백을 받는 사람들은 종종 무엇이 오는지 '감각'을 갖는다(Maynard 1996년). 그녀가 학생들의 실험 상태에 대해 사전에 알리지 않았기 때문에, 그녀가 T2 이전의 상태를 무의식적으로 밝히는데 SP가 도움이 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The findings on performance are somewhat puzzling. At P1 students in the positively framed feedback condition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than in the negatively framed condition. Is this coincidence or an experimental effect? A possible explanation is that students in both conditions unconsciously ‘perceived’ signals from feedback provider’s non-verbal behavior and tone of voice about the message type, and that this influenced their first performance, as the actor was aware of the condition and may have unconsciously disclosed this awareness while briefly instructing the candidate. We see a similar phenomenon in situations in which bad news is transmitted: feedback recipients often have a ‘feeling’ of what comes (Maynard 1996). It is very unlikely that the SP could have been instrumental in any unconscious revelation of the condition prior to T2 as she was not pre- informed about the experimental condition of the students.


우리는 중간 효과 크기에 근접한 양의 프레임 조건에서 편익을 제안하는 유의하지 않은 P2 차이를 관찰했다(r =-.25). 더 많은 수의 학생들이 상당한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다. 유의적인 영향력의 부재도 업무 유형의 결과일 수 있다. Kluger와 DeNisi(1996)는 복잡한 작업에 대한 피드백이 쉬운 작업에 비해 덜 효과적이라는 것을 제안하면서 이러한 가능성을 다룬다. 가능한 설명은 복잡한 정신운동가 작업에 대한 피드백은 (단일 직무에 대한 피드백 또는 인지 직무에 대한 피드백과 비교하여) 처리되고 흡수하는데 까지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는 것이다. P3에서 발견된 효과는 이것을 보여주는 것 같다.

We observed a non-significant P2 difference suggesting a benefit in the positively framed condition with a close to medium effect size (r =-.25). A larger cohort of students might have generated a significant effect. The absence of a significant effect might also be a consequence of task type. Kluger and DeNisi (1996) address this possibility, suggesting that feedback on complex tasks is less effective than on easy tasks. A possible explanation is that feedback about a complex psychomotor task might need more time to be processed and to sink in, compared to feedback on single task, or feedback on a cognitive task. The effect found at P3 seems to illustrate this.


또 다른 설명은 과제의 특정 측면에 대한 피드백이, 바로 그 다음에 적용될 때에는 'good performance'를 희생하는 댓가로 적용되게 되며, 이것이 결국 overall한 performance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Another explanation is that feedback given on one specific aspect of the task is applied in the next performance but at the expense of the good performance of other task aspects, and this does not lead to an increase of overall performance.


Implications


임상 학습 환경에서 매일의 실습을 위해 이러한 결과의 의미는 무엇인가? 긍정적인 표현은 피드백 직후 더 높은 자기효율을 가진 더 많은 학생들을 만족시켰다. 비록 만족과 자기효과는 지각적 수준에서 측정되지만, 우리는 지각이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안다(Jussim 1991; Sitzman et al. 2008). 또한 긍정적인 프레임 피드백 조건에서는 기존 차이가 2주 후에도 여전히 존재하며, 이는 긍정적인 프레임을 사용하여 피드백을 제공하라는 권고에 추가된다.

What is the meaning of these results for daily practice in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The positive formulation led to more satisfied students with higher self-efficacy immediate after the feedback. Although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are measured on the perceptual level, we know perceptions affect behavior (Jussim 1991; Sitzman et al. 2008). Further, we see that in the positively framed feedback condition the pre-existing differences still exist after 2 weeks, which adds to the recommendation to give feedback using a positive framing.





 2015 Aug;20(3):803-16. doi: 10.1007/s10459-014-9567-8. Epub 2014 Dec 27.

Framing of feedback impacts student's satisfactionself-efficacy and performance.

Author information

1
Center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Utrecht, The Netherlands, m.van.de.ridder@asz.nl.

Abstract

Feedback is considered important to acquire clinical skills. Research evidence shows that feedback does not always improve learning and its effects may be small. In many studies, a variety of variables involved in feedback provision may mask either one of their effects. E.g., there is reason to believe that the way oral feedback is framed may affect its effect if other variables are held constant. In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positively and negatively framed feedback messages on satisfactionself-efficacy, and performance. A single blind randomised controlled between-subject design was used, with framing of the feedback message (positively-negatively) as independent variable and examination of hearing abilities as the task. First year medical students' (n = 59) satisfactionself-efficacy, and performance were the dependent variables and were measured both directly after the intervention and after a 2 weeks delay. Students in the positively framed feedback condition were significantly more satisfied an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elf-efficacy measured directly after the performance. Effect sizes found were large, i.e., partial η (2) = 0.43 and η (2) = 0.32 respectively. They showed a better performancethroughout the whole study. Significant performance differences were found both at the initial performance and when measured 2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effects were of medium size, respectively r = -.31 and r = -.32. Over time in both conditions performance and self-efficacydecreased. Framing the feedback message in either a positive or negative manner affects students'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directly after the intervention be it that these effects seem to fade out over time. Performance may be enhanced by positive framing, but additional studies need to confirm this. We recommend using a positive frame when giving feedback on clinical skills.

PMID:
 
25542198
 
DOI:
 
10.1007/s10459-014-9567-8
[Indexed for MEDLINE]


왜 피드백을 받는 것이 자기결정과 충돌하는가?(Adv in Health Sci Educ, 2013)

Why receiving feedback collides with self determination

Olle Th. J. ten Cate




임상 환경에서 훈련생들은 다양한 형태로 피드백을 자주 받는다. 많은 대화는 암묵적 피드백의 형태를 포함한다. 

  • '도와줘서 고마워' 

  • '다음 시간에는 검사 결과를 추가하십시오.' 

  • '이 환자가 요통과의 투쟁에 대해 의사의 관심을 더 받고 기대한다는 것을 알아두시오.' 

  • '시험은 잘 봤지만, 아이의 몸무게를 재는 것을 잊었으니, 항상 탈수된 아이들의 몸무게를 재는 것을 잊지 말아라.' 

훈련생들이 무언가를 배우게 하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보다 더 쉽고 자연스러운 것은 없어 보인다. 정말 그런가?


In clinical settings, trainees receive feedback often and in various formats. Many conversations include forms of implicit feedback, 

  • ‘thanks for your help’, 

  • ‘next time, please add the lab results’, 

  • ‘be aware that this patient expects more interest of the doctor about her struggle with the back pain’, 

  • ‘you did a great job of examination, but forgot to weigh the kid; remember to always weigh dehydrated children’. 

Nothing seems easier and more natural than providing feedback that makes trainees learn something. True?


자기결정이론

Self-Determination Theory


자기결정이론(SDT)은 인간의 내재적 동기는 세 가지 심리적 필요를 충족함으로써 자극되고 지속된다고 주장한다. 

  • 역량이 있는 존재라는 느낌은 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자극을 준다. 사람들은 종종 그들이 잘하는 것을 하고 싶어하고, 그들이 이미 숙달한 것을 더 발전시키는 것을 좋아한다. 

  • 자율성은 자신의 행동을 선택하고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자유를 의미한다. 

  • 관계성은 참여하고자 하는 욕망을 의미하며, 중요한 사회적 집단의 구성원으로 인정받고 보상받는 것이다. 이것은 가족, 동료 또는 업무 환경일 수 있다.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holds that intrinsic motivation ofhuman beings is stimulated and sustained by the satisfaction of three psychological needs: 

  • A feeling of being competent stimulates to enact a skill. People often like to do what they are good at and to develop further what they already have mastered. 

  • Autonomy refers to the freedom to choose and self-determine one’s actions. 

  • Relatedness refers to the desire to belong, and be rewarded and accepted as a member of a significant social grouping. This could be a family, peers, or a work environment.


SDT에 따르면 동기부여는 스펙트럼에 걸쳐 있어서 무동기부터, 다양한 색조의 외적 동기, 그리고 내적 동기로 이어진다. 또한 주어진 맥락은 외부 보상을 내부화하고 행동에 대한 자기 결정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SDT는 인간은 모름지기 자율성을 향해 성장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 현상은 환경에 의해 뒷받침되거나 방해될 수 있다(Ryan and Deci 2000).

According to SDT, motivation ranges over a spectrum of lack of motivation (‘‘amotivation’’), through different shades of extrinsic motivation, toward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context can help to internalize extrinsic rewards and develop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SDT holds that human beings have a natural tendency to grow toward autonomy, which development can be supported or hampered by the environment (Ryan and Deci 2000).


SDT 렌즈를 통해 보는 피드백 프로세스 

Understanding the feedback process through the SDT lens


우리는 왜 강습자가 유용한 피드백을 제공한다고 생각하지만, 학습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지, 또는 왜 피드백이 측정가능한 효과를 내지 않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 SDT를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Ten Cate et al. 2011).

As we struggle to understand why preceptors think they provide useful feedback, but learners to not recognize it as such, or to understand why feedback often does not result in measurable effects, looking at SDT may help (Ten Cate et al. 2011).


역량

Competence


Trainee의 장점을 강조하거나 지지적 의견 사이에 교정적 피드백을 부여하는 피드백에 대한 샌드위치 접근 방식에도 불구하고(Cantillon and Sarcin 2008; Pendleton et al. 1984), 피드백은 기본적으로 개선할 사항을 목표로 한다. 오직 강점만을 인정하는 방식으로는 내재적 동기부여의 발전을 자극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없다. 훈련 상황에서 피드백은 Trainee의 부족한 점을 해결하고 기술과 행동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것은 충분히 그러하지만, SDT에 따르면 역량, 자부심, 그리고 결과적으로 내재적인 동기를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한다.

Despite approaches to feedback that start with stressing the strengths of the trainee or that sandwich corrective feedback between supportive statements (Cantillon and Sargeant 2008; Pendleton et al. 1984), feedback is basically aimed at something to improve. We simply cannot expect that this will stimulate the development of intrinsic motivation in a way that acknowledgement of only strengths will do. In training situations, feedback is to help correct deficiencies of the trainee and improve skill and behavior. This is fully acceptable, but SDT predicts that it will not help in developing a feeling of competence, pride, and consequently, intrinsic motivation.


강점을 추가하는 것은 기껏해야 훈련생들이 그들의 전반적인 능력에 대해 우울해 하지 않도록 하는 균형 효과를 가지고 있다. 학생들은 샌드위치 방법을 좋아하지만, 별로 효과적이지 않은 것 같다(박스 외 2012). 교정적 피드백에 잘 대처하기 위해서는, 이미 자신감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대부분의 연수생들은 이런 능력을 가지고 있고, 결국 많은 사람들이 그 정보를 발전시키는데 사용할 것이지만, 우리는 그것이 내재적인 동기를 자극할 것으로 기대해서는 안 된다. 성공은 실패가 아니라 성공이 낳는 것이다.

At best, the addition of strengths has a balancing effect to make trainees not feel depressive about their overall competence. Students like a sandwich method, but it appears not very effective (Parkes et al. 2012). It requires self confidence to be already present, to cope well with corrective feedback. Most trainees have this ability and many will eventually use the information to develop, but we should not expect that it stimulates intrinsic motivation. It is success that breeds success, not failure.


자율성

Autonomy


특히, preceptor나 기관이 피드백이 제공되는 이유, 시기, 방법을 결정하는 경우, 자율성은 대개 피드백 과정에 의해 충족되지 않는다. 이런 점에서, SDT에 따르면 피드백은 쉽게 내재적 동기부여를 강화하도록 유도하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한다. 일부 저자들은 연수생들가 FSB를 하는 것의 가치를 강조했다(Tunissen et al. 2009). 만약 내적 동기를 강화하는 것이 목표라면, 그러한 행동은 스스로 결정하고 자율적인 행동과 일치하므로 높이 평가되어야 한다.

The need for autonomy is usually not satisfied by the feedback process, particularly if a preceptor or the institution determines why, when and how feedback is provided. In this respect, SDT predicts that feedback will not readily lead to strengthening intrinsic motivation. Some authors have stressed the value of feedback seeking behavior of trainees (Teunissen et al. 2009). Such behavior concords with self-determined, autonomous behavior and should be highly valued if enhancing intrinsic motivation is the objective.


그러나 다른 사람으로부터 아직 피드백을 받지 못했다면 스스로 피드백의 요구를 찾아내기란 어렵다. 훈련생들이 스스로 인지하지 못하는 약점에 대해서 피드백을 구할 수는 없다.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나쁜 자기 평가자(Eva et al. 2004)이며, 피드백을 받을 기회를 놓치거나 필요하지 않을 때 이를 요청할 수 있다.

But identifying a need for feedback on your own is difficult if you have not already received it from someone else. Weaknesses that trainees are not aware of may not lead to seeking feedback. Students are generally bad self-assessors (Eva et al. 2004) and may miss opportunities to get feedback, or ask for it when not necessary.


관계성

Relatedness


관계성은 다른 사람들과의 연결성, 다른 사람들에 의해 보살피고 보살피기, 그리고 다른 개인들과 한 개인의 공동체와 소속감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Deci와 Ryan 2002). 피드백을 받는 것은 보통 사회적 상호작용이다. 주로 일대일 상황 또는 그룹 내에서 제공된다. 명백히, 사회심리학적 메커니즘이 그 역할을 한다. 정보 교환의 배경에서, 사회적 관계는 피드백의 제공과 수신을 결정한다. 피드백을 이용하는 것은 관계에 영향을 미치며, 피드백 제공자에 의해 선택된 단어들은 종종 (피드백 제공자가) 이 관계를 바꾸거나 보존하고자 하는 방법을 반영한다.1

Relatedness refers to the feeling of connectedness to others, to caring for and being cared for by others and to having a sense of belongingness both with other individuals and with one’s community (Deci and Ryan 2002). Receiving feedback is usually a social interaction. It is mostly provided in one-on-one situations or within a group. Cleary, social-psychological mechanisms then play a role. In the background of the information exchange, social relationships determine the provision and reception of feedback. Uttering feedback affects a relationship, and the words chosen by the feedback provider often reflect the way he or she would like to reshape or preserve this relationship.1


훈련생들이 피드백을 받을 때에는 늘 감정이 동반되며, 다음과 같은 함축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이 사람은 내가 원하는 만큼 나를 좋아하지 않는다. 나는 분명히 그 또는 그녀의 기준에 부응하지 못한다. 나의 최적의 성과가 나를 이 공동체의 완전한 구성원으로 여기지 않는다." 그러한 모든 측면은 관련성의 감정에 영향을 미친다.

Trainees do not receive feedback free of emotion, but may add connotations: ‘‘this person does not like me as much as I hoped, I clearly do not live up to his or her standards, my less than optimal performance does not make me be considered full member of this community’’. All such aspects affect feelings of relatedness.


그리고, 자율성과 역량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피드백이 칭찬과 감탄만을 보여주어 관계성에 대한 감정을 강력하게 형성하는 피드백은 이례적이며, 더 이상의 발전과 발전을 자극하는 목적을 이루지 못한다.

And, as is the case with autonomy and competence, feedback that only reflects praise and admiration and thus would build strong feelings of relatedness is unusual and does not serve the purpose of stimulating further development and progress.


고찰

Discussion


명백히, 자기 결정 이론은 임상 환경에서 제공되는 피드백의 많은 부분이 훈련생들의 본질적인 동기를 향상시키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한다. 아마도 우리는 이것을 그냥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성장하기 위해서, 동기부여는 때때로 단지 외부적으로 통제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고, 항상 내재적일 것으로 기대할 수는 없다. 다른 중요한 사람들이 제공한 피드백은 체면의 상실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것은 학생들에게 체면 상실은 너무나 고통스러운 경험일 수 있다. (황 외, 2002).

Cleary, Self-Determination Theory predicts that much of feedback provided in clinical settings will not lead to enhancing the intrinsic motivation of trainees. Perhaps we should just accept this. In order to grow, motivation may at times just need to be extrinsically controlled and cannot always expected to be intrinsic. Feedback provided by significant others may lead to loss of face, which can be such a painful experience that students avoid to receive it (Hwang et al. 2002).


그러나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내재적인 동기를 자극할 수 있다면 그것은 정말로 멋지고 생산적일 것이다. 어떻게 그것이 능력, 자율성, 그리고 관련성의 감정을 시뮬레이션하거나 혹은 적어도 손상시키지 않는 방식으로 전달될 수 있을까?

But it would indeed be wonderful and very productive if providing feedback could also stimulate intrinsic motivation. How can it be conveyed in a way that simulates, or at least does not harm feelings of competence, autonomy and relatedness?


역량, 자율성 및 관련성이 어느 정도 사회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피드백 제공자의 역할과 위치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상사의 직접적인 구두 개입 없이도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As competency, autonomy and relatedness are, to some extent, socially determined, the role and position of the feedback provider seems crucial. But feedback can also be provided without a direct verbal intervention by a supervisor.


두 가지 사례 모두에서, 피드백은 교사나 멘토 해석 및 가치와 함께 제공되지 않으며, 따라서 피드백 제공자와 관련된 강점을 방해하지 않는다. 자율성 또한 보존된다. 피드백 수령자가 자유롭게 자신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고 느끼는 경우, 적응된 행동은 그들 자신의 선택이며, 교구의 지침이나 제안을 따르지 않는다. 평가자의 역할을 코치의 역할에서 분리하는 것이 현명할 수 있다(Cavalcanti and Detsky 2011).

In both examples, feedback is not provided with teacher or mentor interpretations and values, and hence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trength of relatedness to the feedback provider. Autonomy is also preserved. If feedback recipients feel free to draw their own conclusions, adapted behavior is their own choice and does not follow directions or suggestions by a preceptor. It may be wise to disentangle the role of assessor from the role of coach (Cavalcanti and Detsky 2011).


또래들의 행동을 보는 것은 그들과의 관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만약 어떤 value statement도 교환되지 않는다면 이것은 심각한 단점이 아닐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역량, 즉 자기 효능감은 어떤 기준에 대한 자신의 숙련도를 비교해야 한다. 밴두라의 자기 효능에 관한 연구(Artino 2012년)는 또한 어떻게 피드백 정보가 구두 대화 이외의 다른 출처에서 파생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자신의 행동을 관찰하는 것과 다른 사람들을 관찰하는 것 또한 다른 요인이다.

Seeing the behaviors of peers can affect their relatedness to them, but if no value statements are exchanged this may not be a serious drawback. The feeling of competence, or selfefficacy, finally, requires a comparison one’s own proficiency against some standard. Bandura’s work on self-efficacy (Artino 2012) also shows how feedback information may be derived from other sources than oral conversation (‘verbal persuasion’ in Bandura’s terminology). Observation of one’s own behavior (‘enactive mastery experiences’) and observing others (‘vicarious experience’) are other sources.


결론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은 내재적 동기를 자극할 것 같지 않다. 피드백이 [significant others로부터의 value statement가 배제된 상태의 정보 출처]로 보완될 수 있는 경우, 훈련생들의 자율성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는 내재적 동기를 훨씬 더 자극할 가능성이 높다(Kusurkar et al. 2011; Reeve 2002).

In conclusion, providing feedback is not likely to stimulate intrinsic motivation. If the feedback provision can be supplemented by information sources that exclude value statements of significant others, the autonomy of trainees may be supported (Kusurkar et al. 2011; Reeve 2002), which is much more likely to stimulate intrinsic motivation.


Artino, A. R. (2012). Academic self-efficacy: From educational theory to instructional practice. Perspectives on Medical Education, 1(2), 76–85.






 2013 Oct;18(4):845-9. doi: 10.1007/s10459-012-9401-0. Epub 2012 Nov 21.

Why receiving feedback collides with self determination.

Author information

1
Center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Room HB 4.24, Universiteitsweg 98, 3584 CG, Utrecht, The Netherlands, t.j.tencate@umcutrecht.nl.

Abstract

Providing feedback to trainees in clinical settings is considered important for development and acquisition of skill. Despite recommendations how to provide feedback that have appeared in the literature, research shows that its effectiveness is often disappointing. To understand whyreceiving feedback is more difficult than it appears, this paper views the feedback process through the len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SDT claims that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intrinsic motivation, associated with effective learning, requires feelings of competence, autonomy and relatedness. These three psychological needs are not likely to be satisfied in most feedback procedures. It explains why feedback is often less effective than one would expect. Suggestions to convey feedback in ways that may preserve the trainee's autonomy are provided.

PMID:
 
23180108
 
DOI:
 
10.1007/s10459-012-9401-0


고등교육에서 성취와 관련된 변인들: 메타분석의 체계적 고찰(Psychol Bull, 2017)

Variables Associated With Achievement in Higher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of Meta-Analyses

Michael Schneider and Franzis Preckel

University of Trier




효과적인 고등 교육 설계의 핵심 질문은 학생들의 학업 성취의 원천에 관한 것이다. 어떤 학생, 선생님, 그리고 가르침의 특성이 다른 사람들보다 더 높은 학습 성과와 관련이 있는가? 

A key question in the design of effective higher education concerns the sources o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hich characteristics of students, teachers, and instruction are associated with higher learning outcomes than others? 


우리의 연구에서 우리는 학문적 성취의 정의를 사용한다. 

In our study, we use this definition of academic achievement: 


"교육 환경(특히 학교 및 대학)에서의 활동의 초점인 특정 목표를 달성했음을 나타내는 성과 결과.


 학업 성취도를 나타내는 많은 기준들 중에서, 교육 시스템에서 습득한 절차적, 선언적 지식과 같은 매우 일반적인 지표들이 있다. 또는 교육 성취도 시험에서의 성적이나 성과와 같은 커리큘럼 기반 기준도 있다." (Steinmayr, Meißner, Weidinger, & Waswein, 2014).


“. . . performance outcomes that indicate the extent to which a person has accomplished specific goals that were the focus of activities in instructional environments, specifically in school, college, and university [. . .] 


Among the many criteria that indicate academic achievement, there are very general indicators such as procedural and declarative knowledge acquired in an educational system [and] more curricular-based criteria such as grades or performance on an educational achievement test” (Steinmayr, Meißner, Weidinger, & Wirthwein, 2014).


메타분석과 표준화 효과크기

Meta-Analyses and Standardized Effect Sizes


성취에 관한 기존 메타분석 고찰

Previous Reviews of Meta-Analyses on Achievement


고등교육은 어떻게 다른가?

How Different is Higher Education?


국제표준교육분류(UNESCO, 2012)와 유럽자격제도(European Commission, 2008)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초등교육과 중등교육은 학생들에게 후년에 많은 분야에서 중요한 광범위한 기본 지식과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As described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Education (UNESCO, 2012) and in the European Qualifications Framework (European Commission, 2008),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aim at providing students with broad sets of basic knowledge and skills that are important in many areas in later life. 


대조적으로, 3차 교육은 [복잡한 프로젝트의 관리, 예측할 수 없는 업무 환경에서 의사 결정, 다른 이들의 전문적 발전에 대한 책임감]과 같은 몇몇 분야의 일반적인 능력과 함께 특정 콘텐츠 영역에서 고급 지식을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학과 대학은 초, 중, 고등학교보다 선택적이다. 

In contrast, tertiary education aims at equipping students with advanced knowledge in a specific content domain, along with general competencies in several areas, such as management of complex projects, decision making in unpredictable work contexts, and taking responsibility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others. Universities and colleges are more selective than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대학과 대학생들은 학교 학생들보다 더 긴 학습 역사, 더 많은 축적된 학업적 지식과 기술, 그리고 공식 교육에 대한 더 많은 경험을 가지고 있다. 고등교육기관의 강의는 학교 수업보다 더 규모가 큰 경향이 있다.

University and college students have a longer learning history, more accumulated academic knowledge and skills, and more experience with formal education than school students. Lecture classes in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tend to be larger than school classes.


Debates and Open Questions in Research on Higher Education


The Current Study


요컨대, 고등교육의 성취와 관련된 변수들에 대한 풍부한 경험적 발견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결과는 아직 종합적으로 검토되고 통합되지 않았다.

In sum, despite the wealth of empirical findings on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achievement in higher education, these results have not yet been reviewed and synthesized comprehensively.


Method


Literature Search and Selection Criteria


Extraction of Effect Sizes and Coding


Results


Characteristics of the Included Meta-Analyses


Characteristics of the Included Effect Sizes


Instruction variables 

  • Social interaction 

  • Stimulating meaningful learning 

  • Assessment 

  • Presentation 

  • Technology 

  • Extracurricular training programs 


Student variables 

  • Intelligence and prior achievement

  • Strategies 

  • Motivation 

  • Personality Context 


고찰

Discussion


효과크기 비교: 주의할 점

Comparing Effect Sizes: A Cautionary Note


핵심 결과

Ten Cornerstone Findings


다음에서, 우리는 연구의 핵심 결과에 대해 토론한다. 우리는 고의적으로 105개의 효과크기의 비교에서 명백하게 드러난 학습과학의 중심 주제나 고등교육에 대한 연구의 진행 중인 토론에 관한 10개의 초석 조사 결과를 포함시키는 것에 한정한다. 토론을 10개의 핵심 포인트로 제한함으로써, 우리는 메타분석이 포함된 38개의 중복을 피하고 우리의 105개 변수들에 대한 5,460개의 쌍방향 비교에 대한 포괄적인 논의를 제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인정하려고 노력한다.

In the following, we discuss central findings of our study. We deliberately limit ourselves to covering 10 cornerstone findings, which have become apparent from the comparison of the 105 effect sizes and concern central topics in the learning sciences or ongoing debates in the research on higher education. By limiting the discussion to 10 key points, we try to avoid redundancies with the 38 included meta-analyses and to acknowledge the fact that it is impossible to present a comprehensive discussion of all possible 5,460 pairwise comparisons of our 105 variables.


1. 무엇이 고등교육을 효과적으로 만드는가에 관한 광범위한 경험적 증거가 있다.

1. There is broad empirical evidence related to the question what makes higher education effective.


문헌 데이터베이스에서 볼 수 있듯이, 고등교육에 관한 오래된 간행물은 주로 이론적 접근법을 사용하였고, 경험적 연구를 무시하였다. 이것은 완전히 바뀌었다. 체계적 검토에서는 총 1,920,239명의 학생이 참여한 정량적 경험적 연구에서 3,330개의 효과 크기를 종합한다. 

As can be observed from literature databases, the older publications about higher education mainly used theoretical approaches and neglected empirical research. This has thoroughly changed. In our systematic review, we synthesize 3,330 effect sizes from quantitative empirical studies involving a total of 1,920,239 students. 


고등교육의 교사들은 이러한 발견을 교과 과정의 준비와 전달에 사용함으로써 과목을 더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다. 이용 가능한 연구와 메타분석의 방법론적인 질은 혼합되어 있으며 경험적인 발견의 해석에서 고려될 필요가 있다.

Teachers in higher education can make their courses more effective by using these findings in the preparation and delivery of their courses.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available studies and meta-analyses is mixed and needs to be considered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empirical findings.


2. 대부분의 교수법은 긍정적인 효과 크기를 가지고 있지만, 어떤 교수법은 다른 교수보다 훨씬 더 큰 효과 크기를 가지고 있다.

2. Most teaching practices have positive effect sizes, but some have much larger effect sizes than others.


조사된 105개 변수 중 87%는 적어도 작은 효과 크기를 가지고 있다(표 3 참조). 따라서, 대부분의 교수법과 학습자 특성은 체계적으로 성취와 관련이 있다. 해티(2009년)는 이미 일반적인 교육에 대해 유사한 관찰을 했다. 

Of the 105 investigated variables, 87% have at least a small effect size (see Table 3). Thus, most teaching practices and learner characteristics are systematically related to achievement. Hattie (2009) already made a similar observation for education in general. 


해티가 경고한 대로, 교사가 어떤 교수법이나 도구를 사용하든, 교사들은 성과에 대한 영향을 관찰할 것이며, 가르침이 최적의 효과를 준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것은 어떤 교수법도 허용될 수 있다는 견해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일부 효과 크기는 다른 것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이러한 관점은 잘못된 것이다. 

As Hattie warned, teachers using almost any instructional method or tool might observe an impact on achievement and conclude that their instruction has an optimal effect. This could lead to the view that any teaching approach is acceptable. This perspective is wrong because some effect sizes are much larger than others. 


진짜 문제는 특정 교육적 방법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여부가 아니라 대안적 접근법보다 효과적 크기가 더 높은지의 여부다. 메타분석에 대한 리뷰는 이 정보를 제공한다.

The real question is not whether an instructional method has an effect on achievement but whether it has a higher effect size than alternative approaches. Reviews of meta-analyses provide this information.


3. 과목의 효과성은 교사들이 무엇을 하는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3. The effectivity of courses is strongly related to what teachers do.


주로 학교 학습에 초점을 둔 성취의 상관성에 대한 메타분석의 이전 리뷰에서는 [근위 변수(=교사와 학생이 수업 중에 무엇을 하고 생각하는지)]가 학교 인구통계나 주 정책과 같은 [원위 변수]보다 성취와 더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Hattie, 2009, P. 22; Kuliki) & Kulik, 1989; Wang et al., 1993b, 페이지 74). 

Previous reviews of the meta-analyses on the correlates of achievement, which mainly focused on school learning, found that proximal variables, that describe what teachers and students do and think during a lesson, are more closely related to achievement than distal variables, such as school demographics or state policies (Hattie, 2009, p. 22; Kulik & Kulik, 1989; Wang et al., 1993b, p. 74). 


고등교육에 대한 우리의 결과는 간접적으로 이 결론을 뒷받침한다. 사회적 상호작용, 의미 있는 학습 자극, 프리젠테이션에 속하는 많은 변수들은 예를 들어, [닫힌 질문 대신 개방형 질문을 하거나] [프레젠테이션 슬라이드에 절반 문장이 아닌 몇 개의 키워드를 쓰는 것]과 같은 특정한 형태의 선생님 행동과 관련된다. 

Our results for higher education indirectly support this conclusion. Many variables in the categories [social interaction, stimulating meaningful learning, and presentation] relate to specific forms of teacher behavior, for example, asking open-ended questions instead of close-ended ones or writing a few keywords instead of half sentences on presentation slides. 


이 디테일한 수준의 세밀한 부분을 교육의 미세구조라고 부르기도 한다.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 교사들은 수업의 미세 구조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Dumont & Istance, 2010).

This fine-grained level of detail is sometimes called the microstructure of instruction. To be effective, teachers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microstructure of their courses (Dumont & Istance, 2010).


무작위 대조 시험의 인과 증거를 명시적으로 보고하는 포함된 메타 분석 중 다수는 교육의 미세구조적 요소를 조사했는데, 이는 이러한 요소가 실험 설계에서 조작하기 쉽기 때문이다. 교사와 관련된 인과관계의 근거는 학생과 관련된 내용, 숙달 학습, 개념 지도, 지능형 개인교습 시스템, 빈번한 시험, 시각화 설명 및 애니메이션에 관한 내용을 다루는 것 등이 있다(표 1 참조).

Many of the included meta-analyses that explicitly report causal evidence from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vestigated elements of the microstructure of instruction, because these elements are easy to manipulate in experimental designs. Evidence on causal relations was reported for the teacher 

    • relating content to students, 

    • mastery learning, 

    • concept maps, 

    • intelligent tutoring systems, 

    • frequent testing, 

    • spoken explanation of visualizations, and 

    • animations (see Table 1).


도입부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교육방식의 선택이 K-12 학교교육에서와 같이 고등교육에서도 중요한지 여부에 대한 질문이 있었다. 무엇보다, (고등교육에서) 선생님들과 학생들은 평균 이상의 적성과 기술을 가진 매우 선별적인 그룹이다. 우리의 리뷰는 심지어 고등교육에서도 교수법의 선택이 성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As described in the introduction, it has been asked whether the choice of teaching methods is as important in higher education as it is in K–12 school education. After all, teachers and students are highly select groups with above average aptitude and skills. Our review indicates that even in higher education the choice of teaching methods has substantial effects on achievement.



4. 교수법의 효과성은 교수법의 시행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4. The effectivity of teaching methods depends on how they are implemented.


교사들이 미시적 수준에서 무엇을 할 뿐만 아니라 그들이 정확히 어떻게 그것을 하느냐가 성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우리가 검토한 모든 메타분석 중에서, 95%는 적어도 하나의 중요한 moderator 효과를 발견했다. 

It is not only what teachers do on the microlevel but also how exactly they do it that critically affects achievement. Of all the meta-analyses in our review, 95%found at least one significant moderator effect. 


    • 예를 들어 질문을 할 때 닫힌 질문보다 개방형 질문을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Redfield & Rousseau, 1981) 

    • 몇 개의 키워드가 있는 프레젠테이션 슬라이드가 절반의 문구나 전체 문장이 있는 프레젠테이션 슬라이드보다 더 효과적이다(Adesope & Nesbit, 2012). 

    • 개념 맵은 중심적인 아이디어만을 묘사하고 세부 사항을 제공하지 않을 때 더 효과적이다(Nesbit & Adesope, 2006). 

    • 교사가 세심하게 준비하고 세심하게 감독하는 학생 프로젝트는 순수한 (혼자) 발견 학습을 요구하는 학생 프로젝트보다 훨씬 더 효과적이다(Alfieri et al., 2011). 

    • 정적 시각화(예: 사진, Reinwein, 2012)보다 동적 시각화(예: 필름)에서는 사진에 대한 서면 설명보다 구두 설명을 제공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 많은 메타분석들은 지시 방법의 효과성에 대한 둘 이상의 진행자를 확인하였다. 예를 들어, 문제 기반 학습에 대한 메타 분석은 다양한 moderator 변수 수준의 48 효과 크기를 보고한다(Dochy et al., 2003).

    • For example, when asking questions it is more effective to ask open-ended than close-ended questions (Redfield & Rousseau, 1981). 

    • Presentation slides with a few written keywords are more effective than presentation slides with written half sentences or full sentences (Adesope & Nesbit, 2012). 

    • Concept maps are more effective when they only depict central ideas and give no details (Nesbit & Adesope, 2006). 

    • Student projects that are prepared carefully and supervised closely by a teacher are much more effective than student projects requiring pure discovery learning (Alfieri et al., 2011). 

    • Giving an oral rather than a written explanation of a picture is more effective for dynamic visualizations (e.g., a film) than for static visualizations (e.g., a photograph; Reinwein, 2012). 

    • Many meta-analyses identified more than one moderator of the effectivity of an instructional method. For example, a meta-analysis on problem-based learning reports 48 effect sizes for the levels of various moderator variables (Dochy et al., 2003).

이는 마이크로 레벨에서 구현되는 방법에 따라 동일한 교육 방법이 달성에 더 강하거나 더 약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표 1에 제시된 것과 같은 교수법의 평균 영향에 대한 메타 분석 결과는 효과적인 클래스 설계에 충분하지 않다. 교육자들은 moderator 효과를 고려해야 하며, 궁극적으로는 효과적인 방법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실질적인 기술이 필요하다.

This shows that the same instructional method can have stronger or weaker effects on achievement, depending on how it is implemented on the microlevel. Meta-analytical results on the average effects of a teaching method, such as the ones provided in Table 1, do not suffice for designing effective classes. Educators should consider the moderator effects, and ultimately, they need the practical skills required for implementing effective methods in effective ways.


(36개의 경험적 연구의 문헌 리뷰에서 결론지은 대로) 다행히도 고등교육에서 교사들을 위한 훈련 프로그램은 그들의 교실 행동, 기술, 태도에 광범위한 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Stes, Min-Leliveld, Gijbels, and van Petgem, 2010 

Fortunately,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in higher education can have broad beneficial effects on their classroom behavior, skills, and attitudes, as concluded in a literature review of 36 empirical studies (Stes, Min-Leliveld, Gijbels, & van Petegem, 2010). 


교사들이 교육 단위의 세부사항에 대한 비디오 및 동료 피드백을 받는 마이크로티칭 및 이와 유사한 접근방식과 같은 교육 방법은 특히 고등 교육 내부(Brinko, 1993; Johannes & Seidel, 2012; Remesh, 2013) 및 외부(Fukink, Trienkens, 2011; Hattie, 2009)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진다. 

Training methods such as microteaching and similar approaches, where teachers receive both video and colleague feedback on the details of an instructional unit, have particularly strong positive effects inside (Brinko, 1993; Johannes & Seidel, 2012; Remesh, 2013) and outside (Fukkink, Trienekens, & Kramer, 2011; Hattie, 2009) higher education. 


총 439개의 효과 크기를 가진 4개의 메타날리스를 평균한 Hattie(2009, 112– 113)는 K–12 학교 교사들을 위한 마이크로트래칭 방법이 Hattie의 138개 성취도 목록에서 4번째로 높은 0.88의 학생 성취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했다.

Averaging over four metaanalyses with a total of 439 effect sizes, Hattie (2009, pp. 112– 113) reports an effect of microteaching methods for K–12 school teachers on student achievement of d  0.88, which was the fourth highest effect size in Hattie’s list of 138 correlates of achievement.


교사들이 미시적 수준에서 행하는 행동이 학생들의 학습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면, 교사들이 교과 과정의 마이크로 구조를 계획하고 구성하는 데 투자하는 시간과 노력은 학생들의 성취와 강하게 연관되어야 한다. 이것은 실제로 사실이다. (Feldman, 1989) 

If teachers’ behaviors on the microlevel affect students’ learning outcomes, then the time and effort that teachers invest in planning and organizing the microstructure of their courses should be strongly associated with student achievement. This is indeed the case (Feldman, 1989). 


105개의 변수 중에서, 선생님의 수업 준비/구성은 세 번째로 큰 효과 크기의 변수다. 성취에 더 큰 효과를 가진 그 두 변수는 교사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없는 것들이다. 

Of our 105 variables, the teacher’s preparation/organization of a course is the variable with the third largest effect size. The two variables with larger effects are correlates of achievement that cannot be directly influenced by a teacher. 


따라서, 교사들이 직접 영향을 줄 수 있는 표 1의 모든 변수 중에서, 강좌의 마이크로 구조를 준비하는데 투자하는 시간과 노력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효과적인 지침의 설계 원칙을 특정 과정, 내용 및 학생 모집단에 세심하게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이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 

Thus, of all the variables in Table 1 that teachers can directly influence, the time and effort that they invest in the preparation of the microstructure of a course have the strongest effect. This is no surprise, as the design principles of effective instruction need to be carefully adapted to specific courses, content and student populations. 


이것은 교사들의 지식, 기술, 창의성뿐만 아니라 그들의 시간과 노력도 요구한다.

This requires not only teachers’ knowledge, skills, and creativity, but also their time and effort.


Feldman(1989)은 예를 들어 출판 편향을 확인하지 않고 상관 관계에서 매우 약한 메타 분석적 증거만 제시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이크로구조와 성취 사이의 인과 관계가 문헌에 확고히 확립되었기 때문에 교사가 강의의 마이크로 구조를 준비하는데 투자하는 시간과 노력은 학생 성취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기초적인 발견 3 참조) 

Feldman (1989) only presented very weak meta-analytical evidence from correlations, for example, without checking for publication bias. Nonetheless, it is still highly likely that the time and effort that a teacher invests in preparing the microstructure of instruction causally affect student achievement because a causal link between the microstructure and achievement has been firmly established in the literature (see cornerstone finding 3). 


결과적으로, 고등 교육 시스템은 교사들에게 효과적인 교수법과 이를 이행하는 기술에 대한 지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수업의 세부사항을 계획하고 준비하기 위한 시간과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

As a consequence, higher education systems do not only have to give teachers knowledge of effective teaching methods and the skills for implementing them, but also time and incentives for planning and preparing the details of their courses.


5. 교사들은 여러 가지 작은 변화들을 통해 강의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Teachers can improve the instructional quality of their courses by making a number of small changes.


첫 4가지 포인트는 교사들이 경험적으로 뒷받침되는 많은 디자인 원칙을 따름으로써 그들의 교육과정의 질과 학생들의 성취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고등교육에서 교육의 질을 개선한다고 해서 반드시 고등교육 시스템의 혁명적인 변화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각 교사가 따를 수 있는 상대적으로 작고 실천하기 쉬운 원칙은 다음과 같다.

The first four points imply that teachers can increase the instructional quality of their courses and their students’ achievement by following a number of empirically supported design principles. Improving instructional quality in higher education does not always require revolutionary changes of the higher education system. Relatively small and easy to implement principles that each teacher can follow are:


• 빈번한 출석 권장(6위)

• 질문 및 토론 자극(11위),

• 명확한 학습 목표 및 코스 목표 제공(13위)

• 개방형 질문(16위),

• 학생과 내용을 관련시킴(17위)

• 세부 과제-중심 및 개선 지향적 피드백 제공(등급 30, Kluger & DeNisi, 1996 참조)

• 우호적이고 학생들을 존중한다(30위).

• 시각화 또는 필기 단어로 구어 단어를 보완한다(예: 유인물 또는 프레젠테이션 슬라이드, 순위 42).

• 프레젠테이션 슬라이드에서 절반 또는 전체 문장 대신 몇 개의 필기 키워드 사용(moderator analysis, Adesope & Nesbit, 2012), 

• 학생이 과정에서 다루는 핵심 아이디어의 개념 맵을 구축하고 토론하도록 허용(45위)

• Advance organizer로 함께 각 교육 단위 시작(랭크 64)

• 프레젠테이션에서 주의를 산만하게 하거나 유혹적인 세부 사항을 지양(매력적인 세부 정보의 프레젠테이션에 대한 순위 101과 d0.30).


• encouraging frequent class attendance (rank 6),

• stimulating questions and discussion (rank 11),

• providing clear learning goals and course objectives (rank 13),

• asking open-ended questions (rank 16),

• relating the content to the students (rank 17),

• providing detailed task-focused and improvement-oriented feedback (rank 30; see also Kluger & DeNisi, 1996),

• being friendly and respecting the students (rank 30),

• complementing spoken words with visualizations or written words (e.g., handouts or presentation slides; rank 42),

• using a few written keywords instead of half or full sentences on presentation slides (moderator analysis in

Adesope & Nesbit, 2012), 

• letting the students construct and discuss concept maps of central ideas covered in a course (rank 45),

• beginning each instructional unit with an advance organizer (rank 64), and

• avoiding distracting or seductive details in presentations (rank 101 and d0.30 for the presentation of seductive details).



6. 교사 중심과 학생 중심 교육 요소의 조합이 어떤 형태의 교육보다 더 효과적이다.

6. The combination of teacher-centered and student-centered instructional elements is more effective than either form of instruction alone.


교사 중심 및 학생 중심 교육 방법의 효과성을 직접 비교한 메타 분석은 없다. 그러나 다수의 메타분석가들은 특정 교사 중심 교육 요소(예: 교사 프레젠테이션 및 학생 중심 교육 요소(예: 학생 프로젝트)에 대한 효과 크기를 보고하였다. 

No meta-analysis directly compared the effectivity of teacher-centered and student-centered instructional methods. However, a number of meta-analyses reported effect sizes for specific teacher-centered instructional elements, for example, teacher presentations, and student-centered instructional elements, for example, student projects. 


프레젠테이션 범주 아래의 9개 변수 중 6개가 ...중규모 또는 대형 효과 크기(표 3 참조). 

    • 교사의 명확성과 이해력 
    • 강의와 강의 주제에 대한 선생님의 관심 자극 

    • 교사의 해설 기술 

    • 과목이나 교육에 대한 선생님의 열정 

    • 시각화의 구두 설명 

    • 애니메이션

Six of the nine variables under the presentation category (

    • teacher’s clarity and understandableness; 

    • teacher’s stimulation of interest in the course and its subject matter; 

    • teacher’s elocutionary skills; 

    • teacher’s enthusiasm for subject or teaching; 

    • spoken explanation of visualizations; and 

    • animations

...had medium–large or large effect sizes (see Table 3). 


동시에, 사회적 상호작용 범주 아래의 모든 5개 변수...는 중간 크기 또는 큰 효과 크기를 가졌다. 따라서, 두 가지 형태의 지침이 모두 효과적이다.

    • 교사의 질문 및 토론 장려 

    • 선생님의 유용성과 유용성 

    • 개방형 질문 

    • 소그룹 학습 

    • 교사의 학생에 대한 관심과 존중, 친근감

At the same time, all the five variables under the social interaction category (

    • teacher’s encouragement of questions and discussion; 

    • teacher’s availability and helpfulness; 

    • open-ended questions; 

    • small-group learning; 

    • teacher’s concern and respect for students, friendliness

...) had a medium–large or large effect size. Thus, both forms of instruction are effective.




추가 연구는 두 가지 형태의 결합이 두 가지 형태의 분리보다 훨씬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대화형 요소들은 강의 수업의 효과성을 증가시키고(캠프벨 & 메이어, 2009; 해크, 1998; 킹, 1990), 교사 주도 요소는 학생 프로젝트의 효과성을 강화한다(Alfieri et al., 2011; Mayer, 2004). 이러한 연구 중 적어도 일부(예: Campbell & Mayer, 2009)는 단순한 상관관계가 아닌 실험적인 설계를 가지고 있어서 인과관계를 나타낸다.

Additional studies show that combinations of the two forms are even more effective than either form in isolation. For example, interactive elements increase the effectivity of lecture classes (Campbell & Mayer, 2009; Hake, 1998; King, 1990), and teacher-directed elements enhance the effectivity of student projects (Alfieri et al., 2011; Mayer, 2004). At least some of these studies (e.g., Campbell & Mayer, 2009) had experimental designs and, thus, indicate causal effects rather than mere correlations.



교사 중심과 학생 중심 교육 요소를 결합하는 효과도 사회적 상호작용 범주에서 발견되는 높은 효과 크기로 입증된다. 이 범주에 속하는 5개 변수 모두 중간 크기 또는 큰 효과 크기를 가지며, 가장 많은 수의 강한 효과를 갖는 교육관련 변수의 범주였다. 많은 메타분석과 사회적 형태의 학습에 대한 리뷰는 교사들이 학생들의 활동과 상호작용을 주의깊게 준비하고 지도하면서, 동시에 학생들에게 그들 자신의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그들 자신의 경험을 만들 수 있는 충분한 자유를 줄 때 최대로 효과적이라고 결론짓는다. 

The effectivity of combining teacher-centered and student-centered instructional elements is also demonstrated by the high effect sizes found for the category social interaction. All five variables under this category have medium-large or large effect sizes, making it the category of instruction-related variables with the highest number of strong effects. Many meta-analyses and reviews on social forms of learning conclude that it is maximally effective when the teachers careful prepare and guide their students’ activities and interactions while at the same time giving their students enough freedom to develop their own ideas and to make their own experiences. 



따라서 교사 중심 및 학생 중심 요소의 결합은 사회적 상호작용이 효과적이 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이다(Hmelo-Silver, Duncan, & Chinn, 2007; Johnson, Johnson, & Smith, 2014; Slavin, 2010; Springer 등, 1999). 이런 관점에서 볼 때, 강의는 흥미롭고 상호작용적인 방법으로 주어진다면 여전히 시기적절하고 효과적인 강의 형식이다. 소그룹 학습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도 잘 준비되고 교사들에 의해 면밀하게 관리된다면 시기적절하고 효과적이다.

Thus, the combination of teacher-centered and student-centered elements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social interaction to be effective (Hmelo-Silver, Duncan, & Chinn, 2007; Johnson, Johnson, & Smith, 2014; Slavin, 2010; Springer et al., 1999). From this perspective, lectures are still a timely and effective form of instruction provided they are given in an engaging and interactive way. Small-group learning and project-based learning are likewise timely and effective provided they are well prepared and closely supervised by the teacher.


7. 교육 테크놀로지는 강의실 상호 작용을 보완할 때 가장 효과적이다.

7. Educational technology is most effective when it complements classroom interaction.


전반적으로, 경험적 결과는 다른 형태의 교육을 희생하여 정보 및 통신 기술의 사용을 확대하는 것은 성취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6가지 교육 관련 변수 범주 중에서, 기술은 중간 크기 또는 큰 효과 크기의 두 번째로 낮은 숫자를 가졌다. 사회적 상호작용, 의미 있는 학습 촉진, 평가, 프리젠테이션 등의 범주는 더 큰 효과 크기를 가졌다. 

Overall,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expanding the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t the expense of other forms of instruction is likely to have detrimental effects on achievement. Of the six instruction-related variable categories, technology had the second lowest number of medium-large or large effect sizes. The categories social interaction, stimulating meaningful learning, assessment, and presentation had larger effect sizes. 


동시에 테크놀로지 범주에서 가장 큰 효과 크기를 갖는 세 가지 변수는 구현 비용이 높으며 매우 구체적인 내용(가상화 현실 게임, 27위,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37위, 지능형 과외 시스템, 47위)에만 유용하다. 강의실 교육을 교육 기술로 대체하는 것의 위험성의 두 가지 구체적인 예는 

    • 개인교습자가 지능형 개인교습 소프트웨어(Steenbergen-Hu & Cooper의 변조자 분석, 2014년)보다 더 효과적이고 

    • 강의실에서 직접 대면하는 소그룹 학습(등급 27)은 테크놀로지를 사용한 소그룹 학습(등급 77)보다 높은 성취도와 관련이 있다.

At the same time, the three variables with the highest effect sizes in the category technology have high implementation costs and are useful only for very specific content (games with virtual reality, rank 27; simulations with virtual reality, rank 37; intelligent tutoring systems, rank 47). Two concrete examples of the dangers of replacing classroom instruction with educational technology are 

    • that human tutors are more effective than intelligent tutoring software (moderator analysis in Steenbergen-Hu & Cooper, 2014) and 

    • that face-to-face small-group learning in the classroom (rank 27) is associated with higher achievement than small-group learning with technology (rank 77).


경험적 증거에 따르면, 온라인 및 강의실 교육의 경우, 혼합 학습 방식으로 결합될 때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온라인 학습(등급 88)은 강의실 학습만큼 효과적이지만(평균 외, 2013), 혼합 학습(등급 52), 즉 두 형태의 학습이 강의실 교육만 사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이다(버나드 외, 2014). 

For online and classroom instruction, the empirical evidence indicates that they are most effective when they are combined into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 Online learning (rank 88) is about as effective as classroom learning (Means et al., 2013), but blended learning (rank 52), that is, the combination of both forms of learning, is more effective than classroom instruction alone (Bernard et al., 2014). 


그러므로 교육적 효과의 관점에서, 향후 연구에 있어 가장 중요한 문제는 한 가지 형태의 지침이 다른 것을 대체해야 하는지 여부가 아니라 두 가지 형태를 결합해야 하는 방법이다. 교육적 접근방식, 복잡성 및 사회적 상호작용 기회(Bonk & Graham, 2006; Means et al., 2013)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혼합 학습이 필요하므로 보다 상세한 진행자 분석을 통한 메타 분석도 필요하다.

Thus, from the perspective of instructional effectiveness, the most important question for further research is not whether one form of instruction should replace the other but in which ways the two forms should be combined. As there are many forms of blended learning that differ in their educational approaches, complexity, and opportunities for social interaction (Bonk & Graham, 2006; Means et al., 2013) further meta-analyses with more detailed moderator analyses are needed.


여기에 제시된 결과는 현재 또는 미래의 교육 기술이 아닌 과거의 교육 기술에 대해서만 대표적이다. 교육 기술은 빠르게 발전한다. 이 범주에 속하는 메타분석은 2001년과 2014년 사이에 실시되었다. 그들은 이미 출판되어 메타분석보다 더 오래 된 연구만을 포함할 수 있었다. 

The results presented here are representative only for instructional technology in the past, not for instructional technology in the present or future. Instructional technology advances quickly. The meta-analyses in this category had been conducted between 2001 and 2014. They could only include the studies that had already been published and thus were older than the meta-analyses themselves. 


특히, MOOCs, Clickers 및 소셜 미디어는 무작위 통제 시험(있을 경우)이 거의 없고 메타 분석은 아직 출판되지 않았다. 그 효과성에 대한 명확한 증거 기반 결론은 아직 도출할 수 없다(Hew & Chheung, 2013; Lantz, 2010; McAndrew & Scanlon, 2013).

Particularly, MOOCs, clickers, and social media have only been investigated in very few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f any, and no meta-analysis has been published yet. No definite evidence-based conclusions about their effectivity can be drawn yet (Hew &Cheung, 2013; Lantz, 2010; McAndrew & Scanlon, 2013).


이러한 배경에서 기술 진보로 인해 교육 기술 분야의 효과 크기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했는지를 테스트하는 것은 흥미롭다. 기술 범주에서 6개 메타 분석 중 4개가 효과 크기가 출판 연도와 관련이 있는지 여부를 시험했다. 네 마리 중 어느 것도 효과 크기의 증가를 발견하지 못했다. 

Against this background it is interesting to test whether the effect sizes in the field of instructional technology increased over time due to the technological progress in the past. Four of the six meta-analyses in the technology category tested whether the effect sizes were related to the publication year. None of the four meta-analyses found an increase in effect sizes. 


1990년부터 2011년까지 지능교습 시스템(Sinbergen-Hu & Cooper, 2014)의 효과규모는 크게 줄었고, 다음에 대해서는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 1964년부터 1999년까지 테크놀로지를 사용한 소규모 그룹 학습에 대해, 

    • 1996년부터 2008년까지 온라인 학습에 대해(Means et al., 2013), 

    • 1990년부터 2010년까지 혼합 학습에 대해(Bernard et al., 2014). 

The effect size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990 to 2011 for intelligence tutoring systems (Steenbergen-Hu & Cooper, 2014) and stayed constant 

    • from 1964 to 1999 for small-group learning with technology (Lou et al., 2001), 

    • from 1996 to 2008 for online learning (Means et al., 2013), and 

    • from 1990 to 2010 for blended learning (Bernard et al., 2014). 


분명히, 기술의 발전이 자동적으로 교육 관행을 개선하거나 학생들의 성적을 올리는 것은 아니다.

Obviously, technological advances do not automatically improve educational practices or raise student achievement.


기술 범주에서 경험적 증거는 좋은 품질의 것이었다. 기술 범주에서 메타 분석 방법론적 권고사항 중 2개가 평균 이상의 수를 따랐으며, 그 이후로는 평균 이하의 권장사항(cf)을 따르지 않았다. 표 2) 또한, 우리의 결과는 중소 효과 크기(Hattie, 2009, p. 201)와 시간의 경과에 따른 효과 크기 증가(Hattie, 2009, p. 221)로 특징지어지는 K–12 학교에서의 교육 및 통신 기술에 대한 메타 분석 결과를 반영한다. 

The empirical evidence in the technology category was of a good quality. Two of the meta-analyses in the technology category followed an above-average number of methodological recommendations and none followed a below-average number of recommendations (cf. Table 2). Our results also mirror the meta-analytic findings for instruc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K–12 schools, that are characterized by small to medium effect sizes (Hattie, 2009, p. 201) and a lack of effect size increases over time (Hattie, 2009, p. 221). 


지금까지, 교육과 통신 기술이 적어도 학생들의 성취도와 관련해서도, 고등교육에 혁명을 일으킬 것이라는 주장에 대한 경험적인 지원은 없다. 테크놀로지는 교사의 부족이나 고등교육에서의 teacher training의 부족을 보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없다. (기초적인 발견 3과 4 참조) 그러나, 테크놀로지 사용은 교사들이 신중하게 준비된 중요한 didactic 개념의 일부로서, 목표를 지향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때 성취도와 약하거나 중간 정도의 강한 연관성을 가질 수 있다.

So far, there is no empirical support for the claim that instruc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ill revolutionize higher education, at least not with respect to student achievement. Technology cannot be used to compensate for a lack of teachers or a lack of teacher training in higher education (see cornerstone findings 3 and 4). However, technology use can have weak to medium–strong associations with achievement when teachers use it in goal-directed ways as part of a carefully prepared overarching didactic concept.


8. 평가는 프레젠테이션 실행만큼이나 중요하다.

8. Assessment practices are about as important as presentation practices.


우리의 결과에 따르면 평가 실무는 프레젠테이션 실무만큼 성과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교사들은 그들의 프레젠테이션에서 하는 것만큼 많은 시간을 그들의 평가 관행에 투자해야 하는데, 이것은 현재 항상 그렇지는 않다. 평가 행위에는 시험뿐만 아니라 명확한 학습 목표 설정, 성공을 위한 명확한 기준 설정, 학습 지향적 피드백 제공이 포함된다(Boud & Falchikov, 2007). 

Our results indicate that assessment practices are related to achievement about as strongly as presentation practices. Thus, teachers should invest as much time in their assessment practices as they do in their presentations, which is currently not always the case. Assessment practices include not only giving exams but also setting explicit learning goals, establishing clear standards for success, and giving learning-oriented feedback (Boud & Falchikov, 2007). 


이러한 교육적 요소들은 학생들의 선별적인 관심, 그들이 스스로 정한 목표, 그리고 그들이 시험을 준비하는 방법을 안내한다. (Broekkkamp & van Hout-Wolters, 2007; Lundeberg & Fox, 1991) 따라서 평가 실습은 학생들이 배우는 것what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배우는 방식how에도 영향을 미친다. (10을 찾는 기초) 

These instructional elements guide students’ selective attention, the goals they set for themselves, and the way they prepare for exams (Broekkamp & van Hout-Wolters, 2007; Lundeberg & Fox, 1991). Thus, assessment practices do not only influence what students learn but also how they learn it (cf. cornerstone finding 10). 


고등교육 분야에서 메타 분석적 증거가 혼합된 반면(표 2 참조), 고등교육 외부의 학습 전략, 동기 및 성취도를 결정하는 요소로서 평가와 피드백 관행의 중요성은 잘 조사되고 비교 가능한 결과를 도출한다(Clark, 2012; Hattie & Timpe).2007년, 클루거 & 드니시, 1996년).

Whereas the meta-analytic evidence in the area of higher education is of a mixed quality (see Table 2), the importance of assessment and feedback practices as determinants of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motivation, and achievement is well investigated for learning outside higher education and yielded comparable results (Clark, 2012; Hattie & Timperley, 2007; Kluger & DeNisi, 1996).



9. 지능과 중등교육 이전의 학업성취은 고등교육의 성취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9. Intelligence and prior achievement are closely related to achievement in higher education.


학생 관련 변수 5개 중 지능과 선행 성과는 큰 효과크기의 수가 가장 높다. 즉, 학생들이 더 높은 교육 프로그램에 등록해야 하는지 여부를 물어볼 때 지능과 이전 성취는 높은 예측 가치와 진단적 중요성을 지닌다. 고등학교 평점과 입학 시험 결과에 기록된 사전 지식은 큰 효과 크기를 보이는 반면에, 일반적인 인지 능력 시험은 중간 정도의 큰 효과 크기를 가진다. 인지 능력 시험의 효과 크기가 범위 제한에 대해 보정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Poropat, 2009). 

Among the five student-related variable categories, the category intelligence and prior achievement has the highest number of large effect sizes. That is, intelligence and prior achievement are of high predictive value and diagnostic importance when students are asking whether they should enroll in a higher education program. High school GPA and prior knowledge documented in admission test results show large effect sizes whereas general cognitive ability tests have a medium large effect size. It has to be taken into account that the effect size for cognitive ability tests has not been corrected for range restrictions (Poropat, 2009). 


범위 제한의 증가 수준은 예를 들어 초등교육의 d 1.42에서 중등교육의 d 0.49, 그리고 Poropat의 연구에서 3차 교육에서의 d 0.47로 증가하는 교육적 성취도와 인지 능력 시험의 관계에 대한 효과 크기가 감소하는 이유를 부분적으로 설명한다. 입학시험은 특별히 고등교육을 신청하는 학생 모집단을 위해 설계되는 반면, 인지능력시험은 보통 더 넓은 모집단을 위해 설계된다. 따라서 고등교육을 받는 학생들에게 적용될 때 범위제한으로 인해 더 심한 고통을 받는다. 

Increasing levels of range restriction partly explain why effect sizes for the relation of cognitive ability tests with academic achievement decrease with increasing educational level (Jensen, 1998), for example, from d   1.42 in primary education to d   0.49 in secondary education and d   0.47 in tertiary education in the study by Poropat (2009). While admission tests are specifically designed for student populations applying for higher education, cognitive ability tests are usually designed for broader populations, therefore suffering more strongly from range restrictions when applied to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또한, (초등 또는 중등교육보다) 3차 교육이 특정 콘텐츠 영역에서 고급 지식을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교육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사전 지식의 중요도가 높아지는 것 같다(예: 도치, de Rijdt, & Dyck, 2002) . 지능뿐만 아니라 이전의 성취나 지식도 선행교육의 양과 질에 영향을 받는다. (Ceci & Williams, 1997) 

Further, with increasing educational level prior knowledge seems to gain importance (e.g., Dochy, de Rijdt, & Dyck, 2002) because tertiary education, more so than primary or secondary education, aims at equipping students with advanced knowledge in a specific content domain. Prior achievement or knowledge as well as intelligence are affected by the amount and quality of prior schooling (Ceci & Williams, 1997). 


그러므로 대학은 고등교육의 성취와 관련하여 K-12 학교의 높은 교육수준에서 혜택을 받고 있으며, 예를 들어, K-12 학교 교사들을 위한 우수한 교육 프로그램을 설립하거나 기여함으로써 이러한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노력해야 한다.

Regarding achievement in higher education,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refore benefit from high instructional quality in K–12 schools and should try to improve this quality, for example, by establishing or contributing to excellent training programs for K–12 school teachers.



10. 학생들의 전략은 학생들의 성격이나 개인적인 배경보다는 성취와 더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10. Students’ strategies are more directly associated with achievement than students’ personality or personal context.


학생들의 [학습과 시험 준비뿐 아니라 노력 규제 및 목표 설정에 대한 전략]은 그들의 성격이나 성별과 나이와 같은 개인적 배경보다 성취와 더 강한 관계를 보여주는 경향이 있다. 학생들은 그들의 성격이나 개인적인 배경보다 그들의 전략을 더 쉽게 바꿀 수 있다. 

Students’ strategies for learning and exam preparation, as well as for effort regulation and goal setting, tend to show stronger relations with achievement than their personalities or personal backgrounds, such as their gender and age. Students can change their strategies more easily than their personalities or personal backgrounds. 


과학 분야와 관련하여 [정규 수업에서 학생들의 전략을 개선하는 것]은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문제로 [extracurricular 환경에서 학생들을 훈련시키는 것]보다 더 효과적이다. (Hattie et al., 1996; Tricot & Sweller, 2014) 가장 생산적인 학생 전략에는 

    • 빈번한 수업 출석(Credé et al., 2010), 

    • 노력 조절, 

    • 학습에 대한 전략적 접근 방식, 

    • 효과적인 시간 및 학습 관리(Richardson et al., 2012)가 포함된다. 

Improving students’ strategies in their regular classes in the context of their scientific discipline is more effective than training them in extracurricular settings with artificially created problems (Hattie et al., 1996; Tricot & Sweller, 2014). Among the most productive student strategies are 

    • frequent class attendance (Credé et al., 2010), 

    • effort regulation, 

    • a strategic approach to learning, and 

    • effective time and study management (Richardson et al., 2012). 


크레데 외 연구진(2010)과 리처드슨 외 연구진(2012)의 두 메타분석은 높은 방법론적 품질(cf)이었다. 표 2) 그들의 발견은 가능한 한 항상 열심히 일하는 것이 높은 성취를 위한 최고의 학생 전략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그보다는 시간과 정신적 자원을 언제, 어디에서 투자할지를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The two meta-analyses of Credé et al. (2010) and Richardson et al. (2012) were of a high methodological quality (cf. Table 2). Their findings indicate that working as hard as possible all of the time is not the best student strategy for high achievement. Instead, it is important to choose deliberately when and where to invest time and mental resources. 


학생들의 성격과 관련하여, 성실함은 고등교육에서의 학업 성취와 가장 가까운 긍정적인 관계를 보여준다. 이 association의 힘은 여러 교육 단계에 걸쳐 상당히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교육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빅 파이브 모델 내의 다른 성격 특성과 학업 성과 사이의 연관성은 감소한다(Poropat, 2009; Walton & Billera, 2016 참조).

Regarding student personality, conscientiousness shows the closest positive 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in higher education. The strength of this association remains fairly constant across educational levels, while associations between other personality traits within the Big Five model and academic performance decrease with increasing educational level (Poropat, 2009; see Walton & Billera, 2016, for a review).



Conclusion


본 연구는 국제 연구 문헌에 발표된 고등교육의 성취와 관련된 변수에 대한 메타분석의 첫 번째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검토다. 결과는 일반적으로 학교 학습 또는 일반적인 학습에 대한 유사한 검토의 결과와 호환된다. 그들은 고등교육에서의 현재 논쟁에 대한 증거에 기초한 논거를 제공한다. 교육적 방법과 그것들을 마이크로 레벨에서 실행하는 방법은 사실상 고등교육의 성취와 관련이 있다. 

This study is the first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review of the meta-analyses on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achievement in higher education published in the international research literature. The results are generally compatible with those of similar reviews for school learning or for learning in general. They offer evidence-based arguments for current debates in higher education. Instructional methods and the way they are implemented on the microlevel are substantially associated with achievement in higher education. 


이것은 고등교육에서 교사 연수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가르치는 것에 대한 다른 접근법들 중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은 높은 양의 효과 크기의 가장 높은 빈도를 가지고 있다. 강의, 소그룹 학습, 그리고 프로젝트 기반의 학습 모두 교사 중심의 교육적 요소와 균형을 이룬다면 성취와 긍정적인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아직까지 교육 및 통신 기술은 지난 수십 년 동안 증가하지 않은 비교적 약한 효과 크기를 가지고 있다. 

Thi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eacher training in higher education. Among the different approaches to teaching, social interaction has the highest frequency of high positive effect sizes. Lectures, small-group learning, and project-based learning all have positive associations with achievement provided they balance teacher-centered with student-centered instructional elements. As yet, instruc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comparably weak effect sizes, which did not increase over the past decades. 


고등교육을 잘 받는 학생들은, 예를 들어, 선행교육, 자기 효력, 지능, 그리고 목표 지향적인 학습전략의 이용과 같은, 부분적으로는 선행학교육의 영향을 받는 자질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따라서, 대학들은 K-12 학교의 높은 교육적 질로부터 간접적인 혜택을 받는다. 우리의 연구 결과를 실제로 적용하는 것은 실무자, 교육 연구원, 정책 입안자들의 협력이 필요한 복잡한 과정이다. 

High-achieving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are characterized by qualities that, in part, are affected by prior school education, for example, prior achievement, self-efficacy, intelligence, and the goal-directed use of learning strategies. Thus, universities indirectly benefit from a high instructional quality in K–12 schools. The application of our findings into practice is a complex process that requires the collaboration of practitioners, educational researchers, and policymakers. 


이 체계적 검토에 포함된 메타분석의 효과적 크기는 그러한 증거 기반 접근법이 고등교육의 성취를 증가시킬 수 있는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The effect sizes of the meta-analyses included in this systematic review indicate that such an evidence-based approach has great potential for increasing achievement in higher education.






 2017 Jun;143(6):565-600. doi: 10.1037/bul0000098. Epub 2017 Mar 23.

Variables associated with achievement in higher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of meta-analyses.

Author information

1
Psychology Department, University of Trier.

Abstract

The last 2 decades witnessed a surge in empirical studies on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achievement in higher education. A number of meta-analyses synthesized these findings. In our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e included 38 meta-analyses investigating 105 correlates of achievement, based on 3,330 effect sizes from almost 2 million students. We provide a list of the 105 variables, ordered by the effect size, and summary statistics for central research topics. The results highlight the close relation between social interaction in courses and achievementAchievement is also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stimulation of meaningful learning by presenting information in a clear way, relating it to the students, and using conceptually demanding learning tasks. Instruc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comparably weak effect sizes, which did not increase over time. Strong moderator effects are found for almost all instructional methods, indicating that how a method is implemented in detail strongly affects achievement. Teachers with high-achieving students invest time and effort in designing the microstructure of their courses, establish clear learning goals, and employ feedback practices. Thi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eacher training in higher education. Students with high achievement are characterized by high self-efficacy, high prior achievement and intelligence, conscientiousness, and the goal-directed use of learning strategies. Barring the paucity of controlled experiments and the lack of meta-analyses on recent educational innovations,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achievement in higher education are generally well investigated and well understood. By using these findings, teachers, university administrators, and policymakers can increase the effectivity of highereducation. (PsycINFO Database Record.

PMID:
 
28333495
 
DOI:
 
10.1037/bul0000098


환자의 피드백이 보건전문직학생의 스킬 발달과 학습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체계적 문헌고찰(Med Teach, 2017)

How does feedback from patients impact upon healthcare student clinical skill development and learning? A systematic review

Emma Fincha,b,c , Jennifer Lethleanb, Tanya Rosea , Jennifer Fleminga , Deborah Theodorosa,

Ashley Camerona,b , Adele Colemana, David Coplanda and Steven M. McPhailc,d




도입과 목표

Introduction and aims


최근 몇 년 동안 소비자(환자) input을 의료에 포함시키는 세계적인 추세가 있었다(Victorian Auditor General 1999; Nilsen et al. 2006; WHO 2012). 환자가 의료 시스템에 중요한 기여자가 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은 학생 학습에 참여하는 것이다. 즉, 미래의 의료 서비스 제공자를 교육하는 것이다. Jha와 동료(2009)의 체계적인 검토는 환자들이 의학 교육에서 할 수 있는 역할의 유형을 조사했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world-wide trend towards the inclusion of consumer (patient) input in healthcare (Victorian Auditor-General 1999; Nilsen et al. 2006;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 One way that patients can be vital contributors to the healthcare system is through participation in student learning; that is, training the healthcare providers of tomorrow. A systematic review by Jha and colleagues (2009) explored the types of roles patients can play in medical education.


저자들은 의학교육에 환자가 참여하는 것은 [근골격계 검사 기술을 가르치고 평가하는데 유익한 역할을 하고], [표준화된 환자로부터 얻을 수 없는 진정한 환자 상호작용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비롯하여 긍정적인 단기적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지었다. 그러나 교육에 환자가 참여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그 심리적 영향에 대한 증거가 제한적이었는데특히 공격적인 환자와 함께 일하는 것에 대한 학생들의 불안과 환자에게 잠재적인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이 있다(Jha et al. 2009). 이 검토는 의대생에만 국한됐기 때문에 환자들이 다른 건강관리 분야의 학생 교육에 비슷한 역할을 하는지 여부는 알 수 없다.

The authors concluded that patient involvement in medical education has positive short-term impacts including beneficial roles in teaching and assessing musculoskeletal examination skills and providing an authentic patient interaction experience unattainable from standardized patients. However, there was limited evidence about the long-term effects of patient medical involvement in education and its psychological impact on students,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students’ anxiety about working with aggressive patients and their perception of being a potential burden to patients (Jha et al. 2009). As the review was limited to medical students, it is unknown whether patients are involved in similar roles in student education in other healthcare disciplines.


Morgan과 Jones(2009)는 Jha 및 동료(2009년)와 유사한 시기에 의료 교육 프로그램에 서비스 사용자(환자, 가족, 보호자 포함)를 참여시키는 데 사용되는 접근법을 식별하기 위해 문헌 검토를 실시했다.

At a similar time to Jha and colleagues (2009), Morgan and Jones (2009)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to identify the approaches used to involve service users (including patients, families and carers) in healthcare education programs.


검토 결과, 서비스 사용자를 참여시키는 주된 방법은 서비스 사용자가 전문직 간 워크숍을 공동 기획하고 강의의 일부로 자신의 의료 이야기를 들려주고, 커리큘럼 개발에 관여하는 것과 같은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학생들은 보건전문직교육 프로그램에 복지혜택을 받는 서비스 사용자가 참여하는 것에 대해 대부분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여기에는 

  • 환자의 관점에 대한 학습과 이해 증진, 

  • 커뮤니케이션 기술 향상, 

  • 환자와 대화하는 자신감 향상 등이 포함된다(Morgan and Jones 2009).

The review found that the predominant way to involve service users was in the delivery of the program, such education as service users co-facilitating interprofessional workshops and telling their medical story as part of a classroom lecture, followed by involvement in curriculum development. Students had mostly positive perceptions towards the involvement of service users in benefits healthcare education programs, with including 

  • increased learning and understanding of the patient’s perspective, 

  • improved communication skills and 

  • increased confidence talking to patients (Morgan and Jones 2009).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보고한 연구는 전혀 없으며, 서비스 이용자들은 자신들의 참여가 매우 유익하다고 생각했다. 서비스 사용자에 대한 구체적인 편익에는 자신감 증가, 의미 부여, 권한 부여, 자신의 의학적 상태에 대한 이해 증대가 포함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들은 건강관리 학생 교육에 서비스 사용자를 포함시키는 것이 학생들의 행동을 실제로 변화시켰다는 증거는 거의 없다고 결론지었다(Morgan and Jones 2009).

Service users perceived their involvement as highly beneficial, with no studies reporting negative effects for service users. Specific benefits for service users included increased confidence, a sense of meaning, empowerment and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eir own medical condition. Despite this, the authors concluded that there was little evidence that involving service users in healthcare student education actually changed the behaviors of the students (Morgan and Jones 2009).


자 외 연구진(2009)이 제기한 [교사로서 환자]는 더 고려할 필요가 있다. 환자들은 그들 자신의 의학적 조건에 전문가일 수 있으며, 그들의 상태가 심리적, 재정적, 감정적 측면에서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다 전체적인 정보를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Hajek et al. 2000; Jha et al. 2009; Anderson et al. 2011). Stockhausen(2009)은 경험이 많은 간호사와 학생들이 학습에 참여하는 방식과 환자가 학생 학습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인식에 대해 환자들을 인터뷰했다. 연구는 환자들이 경험 많은 간호사에 비해 학습에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는데, 이는 환자들이 학생을 관찰하면서 동시에 care를 받기 때문에, 이것들이 학생들의 학습 경험에서 중요한 요소가 되도록 하기 때문이다(Stockhausen 2009).

The idea of patients as teachers raised by Jha et al. (2009) warrants further consideration. Patients may be experts in their own medical conditions and can provide students with more holistic information about the impact of their condition in psychological, financial and emotional terms (Hajek et al. 2000; Jha et al. 2009; Anderson et al. 2011). Stockhausen (2009) interviewed patients about their perception of the manner in which experienced nurses and students engage in learning moments and how patients could contribute to student learning. The study identified that patients bring a different perspective to learning compared to experienced nurses, as patients both observe and receive care from the student, making them important elements in th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Stockhausen 2009).


보다 최근에, 방사선 치료에서 환자 피드백과 학생 학습을 조사하는 연구에서, 브리지와 동료(2014년)는 환자와 학생 사이의 모든 상호작용에 대해 의료진이 항상 존재할 수는 없으므로, 환자 피드백은 감독하는 임상의사가 없을 때 조차도 학생들이 임상 배치보다 그들의 기술을 향상시키도록 도울 수 있다고 말했다이러한 연구의 결과(Stockhausen 2009; Bridge et al. 2014)는 이전에 발표된 문헌(Stillman et al. 1978; Black and Church 1998)과 일치하며, 의료 시스템 내 환자는 학생들에게 임상 및 의사소통 기술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교사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More recently, in a study investigating patient feedback and student learning in radiotherapy, Bridge and colleagues (2014) suggested that, as clinical staff cannot always be present for every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patients, patient feedback can help students improve their skills over the clinical placement even when a supervising clinician is not present. Findings from these studies (Stockhausen 2009; Bridge et al. 2014) are consistent with previously published literature (Stillman et al. 1978; Black and Church 1998) which has also argued an important role for patients in the healthcare system may be that of teachers providing feedback to students about their clinical and communication skills.


학생 학습 경험에 대한 환자 피드백의 잠재적인 이점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실제 환자를 사용하는 것은 내재된 위험이 없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위험에는...

  • 참여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수의 적절한 환자를 소싱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 

  • 평가자 내- 평가자 간- 신뢰성 

  • 학생 및/또는 환자가 피드백에 대해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가능성 

  • 특히 피드백이 부정적일 경우, 후속 의료 서비스에 미칠 영향에 대한 환자의 우려(Lyons et al. 2009; Debyser et al. 2011).

Despite the potential benefits of patient feedback for the student learning experience, using real patients to provide feedback to students is not without inherent risks. These risks include 

  • difficulties sourcing sufficient numbers of appropriate patients who are well enough to participate, 

  • inter- and intra-trainer reliability, 

  • the potential for students and or patients to feel uncomfortable about the feedback, and 

  • patients’ concerns regarding the subsequent impact on their healthcare, particularly if the feedback is negative (Lyons et al. 2009; Debyser et al. 2011). 


또한, 문화적으로나 언어적으로 다양한 배경을 가진 환자나 의사소통 장애가 있는 환자가 피드백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한정되어 있다. 이 문제는 특히 Jha et al. (2009)가 환자들이 학생 학습 과정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좋은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고 제안함에 따라 관련이 있다.

Furthermore, limited research has focused on whether patients from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CALD) backgrounds or patients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can participate in the feedback process. This issue is particularly relevant as Jha et al. (2009) suggested that patients need to possess good communication skills in order to participate in the student learning process.


질문: 환자들의 피드백이 헬스케어 학생의 임상 기술 개발과 학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the question: How does feedback from patients impact upon healthcare student clinical skill development and learning?


방법과 분석

Methods and analysis


164개 논문

The searches identified a total of 164 unique articles after the removal of duplicates (Figure 1).





그림

To enabl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methodological ratings, the data were displayed using modified harvest plots (Ogilvie et al. 2008; Crowther et al. 2011)(Figures 2 and 3). To create the harvest plots similar questions on the ratings form were grouped together to form categories(Table 1). 




결과

Results


자료 추출

Data extraction


참가자

Participants


12개 기사에는 총 709명의 학생이 포함되었다. 이 연구는 다수의 의료 분야를 대상으로 했지만, 참여자들은 의대생이었다(보조 표 2). 학생 훈련에서 환자 피드백 시간은 훈련 첫 해부터 훈련 마지막 해까지 다양했다. 세 가지 연구(Gall et al. 1984; Fairchild 1985; Davies and Lunn 2009)는 환자 피드백이 발생한 시점에 대해 명확하게 언급하지 않았다. 

The 12 articles included a total of 709 students. The studies spanned majority multiple healthcare disciplines; however, the of participants were medical students(Supplementary Table 2). The timing of the patient feed-back in the students’ training ranged from the first year of training through to the final year of training. Three studies(Gall et al. 1984; Fairchild 1985; Davies and Lunn 2009) did not clearly state at which point in the training process the patient feedback occurred. 


환자들이 경험한 건강 상태는 12가지 연구에 걸쳐 매우 다양했다. 

The health conditions experienced by the patients varied greatly across the 12 studies. 


검토에 포함된 연구는 환자와 학생이 스스로 선택했는지 또는 의무적인 훈련 활동을 통해 자발적으로 채용되었는지에 대해 다양했다.

The studies included in the review varied as to whether patients and students were recruited voluntarily through self-selection or through a compulsory training activity.


피드백 세팅

Feedback setting



환자 피드백은 커뮤니티 시설(Anderson et al. 2011), 의료 학교(Bokken et al. 2010), 병원(Debyser et al. 2011; Bridge et al. 2014), 학교(Fairchild et al. 1985) 및 대학(Gall et al. 1984; Rees et al. 2009)에서 다양한 환경에서 이루어졌다. 

The patient feedback occurred in a number of settings ranging from 

    • community facilities (Anderson et al. 2011),

    • medical schools (Bokken et al. 2010), 

    • healthcare facilities including hospitals (Debyser et al. 2011; Bridge et al. 2014),

    • schools (Fairchild 1985), and 

    • universities (Gall et al. 1984;Reese et al. 2009). 


한 연구(Pal et al. 2014)에서는 호스피스, 병원, 외래환자 병원, 지역사회 환경 등 다양한 환경을 사용했다. 네 가지 연구는 피드백이 발생한 설정(Stillman et al.1980; Simek-down et 1986; Davies and Lunn 2009; Anderson et al. 2011)을 명시하지 않았다(보조 표 2). 

One study (Pal et al. 2014) used a variety of settings including hospices, hospitals, outpatient clinics and community settings. Four studies did not specify thesetting in which the feedback occurred (Stillman et al.1980; Simek-Downing et al. 1986; Davies and Lunn 2009;Anderson et al. 2011) (Supplementary Table 2). 



피드백 전달 디테일

Feedback delivery details


피드백 프로그램의 지속시간은 하루 워크샵부터 전체 연구 학기까지 포함했다(보조 표 3). 설문지와 체크리스트는 가장 일반적인 피드백 형태였지만, 학생들의 비디오 녹화를 검토하는 것도 두 가지 연구에 포함되었다(시메크 다운 외 1986; Bokken et al. 2010). 피드백 전달 방법은 언어 및/또는 서면 피드백을 포함하여 다양했다.

The duration of the feedback programs included single day workshops through to whole semesters of study (Supplementary Table 3). Questionnaires and checklists were the most common forms of feedback, however, reviewing video recordings of students were also included in two studies (Simek-Downing et al. 1986; Bokken et al. 2010). The feedback delivery methods varied, encompassing verbal and/or written feedback.


피드백 성과

Feedback outcome


피드백의 효과는 일반적으로 설문지, 체크리스트 및/또는 인터뷰를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이들 중 대부분은 목적을 가지고 개발되었으며 표준화된 도구가 아니었다. 표준화된 결과 측정치를 사용한 리즈 외 연구진(2009)을 제외하고(보조 표 3)이들은 결과 평가 척도(ORS)와 세션 평가 척도(SRS)로 구성된 변경 결과 관리 시스템(PCOMS) (Miller 및 Duncan 2000)의 파트너였습니다(Miller et al. 2000). Davies와 Lunn(2009)은 의료 교육자의 합의에 의해 개발된 커뮤니케이션 기술 도구 상자에서 적응된 커뮤니케이션 평가 도구를 개발했다(Rider and Keefer 2006). 이 도구는 통신 역량과 이러한 역량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으로 구성되었다.

The effects of feedback were typically evaluated using questionnaires, checklists and/or interviews; the majority of which were purposefully developed, and not a standardized tool. With the exception of Reese et al. (2009) who used standardized outcome measures (Supplementary Table 3).These were the Partners for Change Outcome Management System (PCOMS) (Miller and Duncan 2004) comprising the Outcome Rating Scale (ORS) (Johnson and Duncan 2000) and the Session Rating Scale (SRS) (Miller et al. 2000). Davies and Lunn (2009) developed an adapted communication assessment tool from a communication skills toolbox developed by consensus of medical educators (Rider and Keefer 2006). This tool was comprised of communication competencies, and strategies to achieve these competencies.


검토한 12개 연구 중 11개 연구는 환자 피드백이 학생들의 임상 능력을 향상시켰다고 보고했다(보조 표 3). 이러한 개선은 

    • 식 변화에 대한 자기 인식(Anderson et al. 2011), 

    • 환자 성과 개선(Reese et al. 2009), 

    • 시험 성과 개선(Anderson and Meyer 1978; Stillman et al. 1980), 

    • 터뷰 시 심리사회적 내용 증가(Simek-downing et al. 1986)이다.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피드백을 긍정적이라고 생각했다(7/9개 연구).

Eleven of the 12 studies reviewed reported that the patient feedback improved students’ clinical skills (Supplementary Table 3). These improvements 

    • self-perception of changes in knowledge (Anderson et al. 2011), 

    • better client outcomes (Reese et al. 2009), 

    • improved exam performance (Anderson and Meyer 1978; Stillman et al. 1980), and 

    • increased psychosocial content in interviews (Simek-Downing et al. 1986). 

Students generally perceived the feedback as positive (7/9 studies).



방법론적 분석 - 양적

Methodological analysis – quantitative


McMaster University 정량적 비판적 평가 양식을 사용하여 10개의 기사가 평가되었다(그림 2). 다음 3개 기사(Bokken et al. 2010; Anderson et al. 2011; Bridge et al. 2014)는 McMaster University 정성적 평가 양식(그림 3)을 사용하여 평가한 질적 구성요소를 수록하였다. 검토에 포함된 어떤 기사도 최대 14점을 받지 못했다(그림 2).

Ten articles were rated using the McMaster University Quantitative Critical Evaluation Form (Figure 2). Three of these articles (Bokken et al. 2010; Anderson et al. 2011; Bridge et al. 2014) contained qualitative components that were also rated using the McMaster University Qualitative Critical Evaluation Form (Figure 3). No article included in the review received the maximum score of 14 (Figure 2).


방법론적 약점의 주요 영역은 표본 추출, 즉 표본의 상세 설명 여부 및 표본 크기가 정당한지 여부로서 선택 편향을 반영했다.

The main area of methodological weakness was in sampling, that is, whether the sample was described in adequate detail and whether the sample size was justified, thus reflecting selection bias.



방법론적 분석 - 질적

Methodological analysis – qualitative


McMaster University 질적 비판적 평가 양식을 사용하여 5개 항목을 평가하였다. 검토에 포함된 어떤 기사도 최대 22점을 받지 못했다(그림 3).

Five articles were rated using the McMaster University Qualitative Critical Evaluation Form. No article included in the review received the maximum score of 22 (Figure 3).


방법론적 약점의 영역은 목적적 선택 과정을 기술하는 표본 추출, 포화될 때까지의 표본 추출, 그리고 정보에 입각한 동의의 사용에 대한 명확한 언급을 포함하는 표본 추출에서 발생했다.

The areas of methodological weakness arose in the sampling which included 

    • describing the process of purposeful selection, 

    • sampling until saturation and 

    • the explicit mentioning of the use of informed consent.


또 다른 약점의 영역은 신뢰도, 신뢰성, 신뢰도 및 적합성의 증거를 포함한 전반적인 엄격함이다.

Another area of weakness was in the overall rigor, which included evidence of trustworthiness, credibility, dependability and conformity.


방법론적 약점의 최종 영역은 현장 및 참가자에 대한 명확한 설명, 연구자와 참가자의 관계, 연구자의 가정과 편견의 식별을 포함하는 데이터 수집이었다.

The final area of methodological weakness was in data collection which comprised a clear description of the site and participants, the relationship of the researcher to the participants, and identification of the assumptions and biases of the researcher.


고찰

Discussion


본 연구는 Jha et al. (2009)와 Morgan and Jones (2009)의 이전 검토 결과를 학생들에게 임상 기술에 대한 피드백 제공에 환자가 참여하는 것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확대하였다. 이 리뷰는 일반적으로 환자 설명과 엄격함 분야에서 방법론적인 약점이 있지만, 연구 목적 및 배경 문헌의 사용에 있어 방법론적인 강점을 가진 문학의 작은 부분을 발견했다. 잠재적 방법론적 단점과 연구 설계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여러 근거는 환자 피드백이 건강관리 학생들의 임상 기술 개발과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일관되게 나타냈다. 

The present study extended the findings of previous reviews by Jha et al. (2009) and Morgan and Jones (2009) by focusing on the involvement of patients in the provision of feedback about clinical skills to students. The review uncovered a small body of literature with methodological weaknesses generally in the areas of patient description and rigor, but methodological strengths in the identification of the study purpose and use of background literature. Despite potential methodological shortcomings and variation in research designs, the available evidence consistently indicated that patient feedback had a positive impact upon healthcare student clinical skills development and learning. 


검토된 연구의 대다수는 환자 피드백이 지식에서 스스로 인식되는 변화(Anderson et al. 2011), 더 나은 고객 결과(Reese et al. 2009), 향상된 시험 성과(Anderson and Meyer 197; Stillman et al. 1980) 및 환자 인터뷰에서의 증가된 심리사회적 내용 등을 비롯하여 학생들의 임상 기술을 향상시켰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모건과 존스(2009년)의 조사 결과와 일관되게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환자의 피드백을 긍정적으로 인식했다.

The majority of studies reviewed indicated that the patient feedback improved students’ clinical skills, with the improvements ranging 

  • from increased self-perceived changes in knowledge (Anderson et al. 2011), 

  • to better client outcomes (Reese et al. 2009), 

  • to improved exam performance (Anderson and Meyer 1978; Stillman et al. 1980), and 

  • increased psychosocial content in patient interviews (Simek-Downing et al. 1986).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Morgan and Jones (2009), students generally perceived the feedback from patients positively.


현재 검토에서 피드백을 전달하는 방법은 구두 및 서면 피드백 모드에 따라 달랐다. 두 가지 모드 모두 학생들은 유익하다고 생각했다. 모건과 존스(2009년)와 유사하게, 우리는 현재의 검토에 포함된 연구가 실제 행동 변화보다는 피드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탐구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검사 수행 변화를 보고한 스틸맨 외 연구진(1980)과 앤더슨 및 마이어(1978)은 예외였고, 리즈 외 연구진(2009)은 피드백 그룹이 피드백 그룹이 없는 것보다 통계적으로 더 나은 환자 성과를 보였다고 보고했다.

In the current review, the method of delivering the feedback varied with both verbal and written modes of feedback used. Both modes were perceived by students as being beneficial, with no indication of preferred mode. Similar to Morgan and Jones (2009), we found that the studies included in the current review tended to explore students’ perceptions towards the feedback rather than changes in actual performance. Exceptions were Stillman et al. (1980) and Anderson and Meyer (1978) who reported changes in exam performance, and Reese et al. (2009) who reported that the feedback group demonstrated statistically better patient outcomes than no feedback group.


자 외 연구진(2009)은 환자들이 건강관리 학생 교육에 효과적으로 참여하기 위해 보유해야 할 두 가지 주요 특성이 생각이 또렷한 것being articulate과 우수한 의사소통 기술 보유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본 리뷰에 포함된 연구는 의사소통 장애가 있는 환자들에게 초점을 맞추지 않았다.

Jha et al. (2009) found that being articulate and possessing good communication skills were two key attributes that patients needed to possess to be involved effectively in healthcare student education. The studies included in the present review did not focus on patients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의사소통 장애는 획득한 뇌 손상을 따르는 것과 같은 많은 건강 조건에서 널리 퍼지며, 임상 환경에서 자주 발생한다. 현재의 리뷰는 환자가 의사 소통장애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 학생들에 대한 환자 피드백의 효과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Communication disorders are prevalent in many health conditions, such as following an acquired brain injury, and are encountered frequently in clinical settings. The current review suggests that there is a lack of knowledge about the effectiveness of patient feedback to students when the patient has a communication disorder.


일반적으로, 검토에 포함된 논문은 방법론적으로 약한 경향이 있었다. 흥미롭게도 질적인 기사들은 양적인 기사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정량적 기사에 대한 점수가 낮은 것은 무작위 대조 시험과 같은 보다 엄격한 연구 설계보다는 의도적으로 개발한 체크리스트와 조사를 포함한 정량적 연구에 상대적으로 약한 연구 설계를 사용했기 때문일 수 있다. 흥미롭게도, 두 유형의 연구에 대한 약점 영역은 description of patients에 있는 경향이 있었고, 연구는 선택 편견의 가능성에 민감하게 되었다. 또한 검토된 연구들은 study rigor 분야에서의 성과가 좋지 않은 경향이 있었다. Study rigor라 함은, 정량적 연구의 경우, 이는 co-intervention과 contamination을 방지하는 것이고, 질적 연구의 경우에는 신뢰성, 전달성, dependability에 대한 것이다. 이것은 좀 더 엄격한 연구 설계로 그 분야에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In general, the articles included in the review tended to be methodologically weak. Interestingly the qualitative articles scored more highly than the quantitative articles. The lower scores for the quantitative articles may have been due to the use of relatively weak study designs for the quantitative studies including purposefully developed checklists and surveys rather than more rigorous study designs such a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terestingly, the areas of weakness for both types of studies tended to be in the description of patients, leaving the studies susceptible to the possibility of selection bias. The studies reviewed also tended to perform poorly in areas pertaining to study rigor. For quantitative studies, this was in the avoidance of cointervention and contamination, while for qualitative studies this was in the areas of credibility, transferability and dependability. This suggests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in the area with more rigorous study designs.


현재 체계적 검토의 임상적 의미는 환자 피드백이 학생 학습에 유용한 요소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엄격한 방법론을 가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의사 소통 장애를 포함한 다양한 장애가 있는 환자와 연합된 건강 학생 학습에 대한 환자 피드백의 영향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환자 피드백은 학생 훈련에서 잠재적으로 강력하지만 활용률이 낮은 기법이다.

The clinical implication of the current systematic review is that patient feedback may be a useful component of student learning; however, more studies with rigorous methodologies are required. Additionally, there is a need for further research into the effects of patient feedback on allied health student learning and into patients with a variety of disorders, including communication disorders. Patient feedback is a potentially powerful but underutilized technique in student training


한계와 나아갈 방향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Lyons et al. (2009)가 제기한 바와 같이, 문헌에서 확인된 연구는 단기 학생 학습 성과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환자로부터 받은 피드백이 향후 임상 실습 후 학생들의 임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것은 불확실한 것으로 남아 있다.

As raised by Lyons et al. (2009), the studies identified in the literature focused on short-term student learning outcomes and uncertainty remains as to whether feedback received from patients influences students clinical practice behaviors in their future clinical practice postgraduation.



Conclusions


이 체계적인 검토는 환자 피드백이 특히 학생들의 의사소통과 임상적 기술의 발달에 있어 학생 학습의 유용한 구성요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보고된 복리후생은 지식의 증가, 고객 결과 개선, 학생 시험 성적 향상, 환자 인터뷰에서의 심리사회적 내용 증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환자 피드백이 건강관리 학생들이 의료 전문가로서 더 나은 장비를 갖추도록 교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ystematic review suggested that patient feedback may be a useful component of student learning, particularly i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communication and clinical skills. Reported benefits spanned from an increase in self-perceived changes in knowledge, to improved client outcomes and student examination performance, and to an increase in psychosocial content in patient interview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tient feedback may play a vital role in training healthcare students to be better equipped as healthcare professionals


환자 피드백: 의료 제공자 또는 서비스에서 받은 치료의 모든 측면에 대해 환자(의료 제공자)가 제공하는 정보. 피드백은 구두 또는 서면 등 다양한 형태로 발생할 수 있으며 임상 기술과 전문적인 행동을 포함한 영역을 다룬다.

Patient feedback: Information provided by patients (receivers of healthcare) about any aspect of the care that they have received from a healthcare provider or service. The feedback can occur in a number of forms, including verbal or written,and address areas including clinical skills and professional behaviors.






 2018 Mar;40(3):244-252. doi: 10.1080/0142159X.2017.1401218. Epub 2017 Nov 26.

How does feedback from patients impact upon healthcare student clinical skill development and learning? A systematic review.

Author information

1
a School of Health and Rehabilitation Sciences ,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 Brisbane , Australia.
2
b Speech Pathology Department , Princess Alexandra Hospital , Brisbane , Australia.
3
c Centre for Functioning and Health Research , Metro South Health , Brisbane , Australia.
4
d School of Public Health & Social Work and Institute of Health and Biomedical Innovation ,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 Brisbane , Australia.

Abstract

BACKGROUND:

A key feature of health professionals' training, irrespective of discipline, is the acquisition and application of clinical and communication skills. Despite this, little is known about the potential role of patient feedback on this process. This systematic review aimed to answer the question: How does feedback from patients impact upon healthcare student clinical skill development and learning?

DESIGN:

Systematic review of published literature.

METHODS:

Electronic databases were searched for studies that explored the effects of patient feedback on student learning and were published before March 2016. Eligible articles underwent methodological evaluation using the McMaster University Critical Evaluation Forms and data extraction.

RESULTS:

A total of 237 articles were retrieved following searches of electronic databases and hand searches of reference lists. Twelve (7 quantitative, 2 qualitative, 3 mixed methods)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Eleven studies reported that patient feedback improved students' clinical skills.

CONCLUSION:

Minimal research has explored the impact of patient feedback on student learning. The research to date suggests that direct feedback from patients may be beneficial for the development of students' communication and clinical skills; however, the wide variety of evaluation methods and the lack of validated tools for patients to provide feedback suggest that further exploration is warranted.

PMID:
 
29172899
 
DOI:
 
10.1080/0142159X.2017.1401218
[Indexed for MEDLINE]


피드백 탱고: 교수-학습자 피드백 교환의 내용 분석(Acad Med, 2018)

The Feedback Tango: An Integrative Review and Analysis of the Content of the Teacher–Learner Feedback Exchange

Robert Bing-You, MD, MEd, MBA, Kalli Varaklis, MD, MSEd, Victoria Hayes, MD,

Robert Trowbridge, MD, Heather Kemp, MLIS, and Dina McKelvy, MA, MLS, AHIP




의학 교육에서 학습자를 위한 피드백은 오랫동안 의학교육자들에게 중요한 주제였다.12 어떻게 피드백을 주는가에 대한 지침의 출판에도 불구하고 의대 학생들과 레지던트들은 그들이 적절한 피드백을 받지 못한다고 계속해서 주장해왔다.5–7 피드백은 의학교육에서 "아주 다루기 힘든 문제"로 기술되어 왔다.8 부정확한 자기 평가, 피드백의 평가절하 할인 또는 거부, 피드백의 정의 등이 그 이유였다.

Feedback for learners in medical education has long been a topic of importance for medical educators.1,2 Despite the publication of guidelines on how to give feedback,3,4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have continued to claim they do not receive adequate feedback.5–7 Feedback has been described as an “intractable problem” in medical education.8 Reasons have been given for the challenges with feedback, including inaccurate self-assessment and discounted or rejected feedback,9 and definitions of feedback have been explored.10


이 통합 검토의 근거 합성은 우리의 scoping review 작업의 연장이다.11 우리는 다음의 연구 질문을 탐구하기 위해 특정 일부 기사를 선택했다.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피드백의 내용은 교사와 학습자 사이의 피드백 통신에 대해 무엇을 알려주는가? 

우리는 피드백 내용에 대한 심층 분석이 왜 여전히 피드백이 의학교육에서 난제로 남아 있는지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믿는다.

The evidence synthesis of this integrative review is an extension of our scoping review work.11 We selected a specific subset of articles to explor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hat does the content of the feedback to learners tell us about feedback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We believe that an in-depth analysis of feedback content may help determine why feedback remains a challenge in medical education.


우리는 피드백 교환의 적절한 은유로서 탱고를 선택했다. 탱고는 "중남미 출신의 복잡한 사교춤"과 "직설성의 결여로 특징지어지는 상호 작용"으로 정의된다. 평범한 관찰자에게 탱고는 예측 가능하고 예상 밖의 춤 스텝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두 개인으로 나타난다. Tango Linguinga는 "탱고의 중심에는 당신이 춤추고 있는 사람과 듣고, 이해하고, 대화하고 싶은 욕망이 있다." 피드백을 개념적으로 비추기 위해, 우리는 이 댄스 양식을 사용하여 두 개인 간의 역동적인 협력 관계를 제안한다. (단방향 정보 전송 프레임워크와는 대조적으로)

We have chosen the tango as an apt metaphor of the feedback exchange. The tango is defined as a complex “ballroom dance of Latin American origin,” as well as an “interaction marked by lack of straightforwardness.”15 To the casual observer, the tango appears as two individuals actively engaged with dance steps that are both predictable and unexpected. Tango Lingua16 notes that “at the heart of [Argentine] tango is the desire to listen to, understand and converse with the person you’re dancing with.” As a way to illuminate feedback conceptually, we use this dance form to suggest a dynamic partnership between two individuals (in contrast to a framework of unidirectional transmission of information).



방법

Method


Scoping review의 연구 질문은 "의학 교육에서 학습자를 돕기 위한 피드백에 관한 문헌에 광범위하게 발표된 것은 무엇인가?"11이었다.

The research question of the scoping review was, “What has been broadly published in the literature about feedback to help learners in medical education?”11


Goug et al.,17에 의해 요약된 문헌 검토와 관련하여 제안된 전략에 따라, 우리는 특정 연구 질문이 있는 논문의 하위집합으로서 더 좁은 검토를 결정했다2016년 9월, integrative review 접근법은 다양한 방법론을 사용하여 기사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통합 검토 접근방식을 선택했다.18,19 지식을 통합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통합 검토는 연구자들로하여금 정량적 및 정성적 자료 모두 포함할 수 있는 다양한 근거 출처에서 패턴이나 주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Following the suggested strategies regarding literature reviews as outlined by Gough et al,17 we subsequently determined a narrower review as a subset of articles with a specific research question. 

In September 2016, we selected an integrative review approach because it allows for the inclusion of articles using various methodologies.18,19 As a specific method to synthesize knowledge, the integrative review permits investigators to identify patterns or themes from a set of diverse evidence sources that may include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18 


우리의 범위 검토11에서 피드백과 관련하여 높은 수준의 증거(예: 무작위 시험)를 가진 기사가 거의 없다는 것을 발견했기 때문에, 우리는 근거의 계층 구조를 정량화하기 위한 체계적 검토는 실현가능하지도 적절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20 

We discovered in our scoping review11 that there were few articles with higher-quality levels of evidence (e.g., randomized trials) regarding feedback, so we concluded that a systematic review to quantify hierarchies of evidence would be neither feasible nor appropriate.20 


이 통합 검토는 의료 교육 증거 통합에 대한 권장 간행물 표준(즉, STORIES 기준20)을 따른다.

This integrative review follows the recommended publication standards for health care education evidence synthesis (i.e., STORIES criteria20).



Data sources and search strategy


Data extraction and analysis


결과

Results


포함된 논문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included articles


공통 주제

Common themes


몇 가지 공통적 주제 발견

We identified several common themes during our review of the 51 articles: 

  • 관용성 편형 leniency bias, 

  • 저품질 피드백 low-quality feedback, 

  • 교수의 피드백 역량 부족 faculty deficient in feedback competencies, 

  • 피드백 도구의 문제 challenges with multiple feedback tools, and 

  • 성별 영향 gender impacts (Table 1).


관용성 편향

Leniency bias.


Fifteen articles (29%) described issues with low-quality feedback. 

A leniency bias was noted in many articles (n = 19; 37%). In other words, feedback providers were often reluctant to give any, or even minimally, constructive (i.e., negative) feedback to the learners. 

This occurred across multiple contexts: 

    • audiotapes (n = 3; 6%),21,22,24 

    • CEX (n = 1; 2%),29 

    • feedback cards (n = 2; 4%),33,38 

    • MSF (n = 5; 10%),39,40,45–47 

    • videotapes (n = 2; 4%),48,53 and 

    • written feedback (n = 6; 11.8%).56,57,64,66,69,70 

The tendency to provide predominantly positive feedback occurred even when feedback was given using a structured feedback tool22 or in a group discussion.24 Both faculty29,38 and student peers53,56 were found to be lenient.


저품질 피드백 

Low-quality feedback.


너무 일반적, 가이드라인 따르지 않음

Twelve articles (24%)22,23,26,27,31,33,40,48,51,61,64,67 indicated that the feedback given to learners was limited in amount or too general and did not conform to published guidelines for feedback.2–4 


피드백에 이후 계획이 없음. Previous action plans도 없음

Six articles (12%)22,34,36,38,40,61 revealed that action plans for learners were either not included in the feedback or were limited in scope; previous action plans, from which to judge progress, were not included.


교수의 피드백 역량 부족

Faculty deficient in feedback competencies.


경험이 있어도 포맷을 잘 따르지 않음. 훈련을 해도 적절한 피드백을 주지 않음

Eight articles (16%) indicated challenges with the faculty as they provided feedback. They did not use the feedback forms appropriately,31,46,62 even if they were experienced teachers,26 or they did not provide adequate feedback after training.28,29 


상호작용하지 않고 교수가 대화를 주도함.

Two articles (4%), which analyzed audiotapes, noted that the feedback sessions were not interactive and the faculty dominated the conversations.21,22



피드백 도구의 문제

Challenges with multiple feedback tools.


다양한 방식 사용

Various types of feedback tools were used (see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at http://links.lww.com/ ACADMED/A484). 


그냥 도구가 사용되지 않거나, 사용시 피드백 정보 누락

Seven articles (14%) described challenges related to these feedback tools. The authors reported that the tool simply was not used26,36,46 or that information on the completed feedback tool was missing.33,35,41 


손으로 쓰는 경우에 읽을 수가 없는 경우가 많음

When a handwritten method was the means for communicating feedback, authors noted the frequent illegibility of such information.35,55


성별 영향

Gender impacts.


학습자나 피드백 제공자의 성별은 피드백 교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7개 연구(14%)에 기록되었다. 

The gender of the learner or the feedback provider was noted in 7 articles (14%) as having an impact on the feedback exchange. 


언어병리학 학생들과 관련된 기사에서, 여성들은 다른 여성들에게 부정적인 판단을 줄 때 우회적implicit으로 했다(즉, 긍정적인 피드백은 명시적이었다).21 내과 임상실습생에게 피드백 카드를 사용하여 실시한 연구에서 동일한 성별의 학생이 pair일 경우 개선을 위한 권고사항은 거의 없었다.36 

In the article involving speech pathology students, women gave negative judgments to other women in an implicit manner (i.e., positive feedback was more explicit).21 In a study with internal medicine clerkship students using feedback cards, fewer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were noted with gender-concordant pairs.36 


  • 대조적으로, 1학년 의대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주어진 서면 피드백의 일부로서 동일한 성별일 경우(특히 여성 쌍)이 더 상세한 목표를 설명하였다.62 

  • 전문직 종사자들의 행동에 관한 MSF 기사에서, 여성 평가자는 남성 평가자보다 여러 전공과에서 거주자들을 더 낮게 평가했다.41 

  • 또 다른 MSF 기사에서, 남성 OB/GYN 전공의는 여성 OB/GYN 전공의들보다 간호사들로부터 더 많은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았다.43 

  • 사례 발표에 관한 기사에서, 의대 1학년 남학생들은 여학생들보다 또래들에게 비판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66 

  • 서면 총괄 피드백을 평가하는 기사에서, 3학년 여학생들은 남학생들보다 이 정보를 seek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71


  • In contrast, in a study with first-year medical students, gender-concordant pairs—specifically female pairs—resulted in more detailed goals as part of the written feedback given.62 

  • In an MSF article on interprofessional behaviors, the female raters scored residents in multiple specialties lower than the male raters.41 

  • In another MSF article, male OB/GYN residents received more negative feedback from nurses (who were more likely female) than did the female OB/GYN residents.43 

  • In an article on case presentations, male first-year medical students were more likely than female students to provide critical feedback to peers.66 

  • In an article assessing written summative feedback, third-year female medical students were more likely than male students to seek out this information.71


고찰

Discussion


여기 포함된 논문들을 단독으로 읽을 경우 피드백에 대한 개별 질문을 제기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검토에서와 같이, 여러 논문을 함께 분석할 때, 공통된 주제들이 나타난다. 적절한 피드백을 받지 못했다는 학습자의 수년간 불만은 사실인 것 같다5-7! 우리의 조사 결과, 피드백은 종종 구체적이지 못하고, 양이 부족하고, 실행 계획이 부족하며, 주로 긍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춘다는 학습자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이러한 관용적 편견은 부정적인 반응을 두려워하거나, 건설적인 피드백을 주는 능력이 부족한 것 등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이유로 발생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보면, 이러한 발견들은 실망스러운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즉, 어비가 말한 "피드백이 다루기 어려운 문제"라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하지만, 보다 긍정적인 관점에서, 우리는 학습자에 대한 피드백이 환자 성과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다른 곳에서 설명했다.

When these articles are read in isolation, they may raise individual questions about feedback. But when they are analyzed together, as in this review, common themes emerge. Learners’ complaints over the years that they do not receive adequate feedback5–7 appear to be true! Our findings support their claims that often feedback is nonspecific, limited in amount, lacking in action plans, and focused predominantly on the positive aspects of their performance. This leniency bias could occur for many reasons, including faculty fearing negative reactions or lacking skills in giving constructive feedback. Collectively, these findings may seem discouraging—supporting Irby’s8 claim that feedback is an intractable problem—but, from a more positive perspective, we have described elsewhere how feedback to learners is related to patient outcomes:


교훈

Lessons learned


탱고와 마찬가지로, 73 피드백 상호작용은 복잡한 일련의 움직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 다양한 상황(예: CEX, MSF, 서면 피드백), 도구 및 포맷, 퍼포먼스에서 피드백의 관심이 되는 영역 등이 모여서 매우 복잡한 상호작용을 이룬다.74,75 

  • 탱고의 다방향 움직임에 비교할 수 있듯, 피드백 교환은 선형적이지 않으며 직설적이지 않고 교사 특성과 맥락과 같은 요소의 상호 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25 

  • 댄스 파트너의 감정적 상태가 탱고에 영향을 미치듯이, 피드백 제공자와 수신자의 정서적 반응은 피드백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76 

  • 댄스 파트너가 서로 신뢰해야 하듯, 피드백을 주고받는 사람도 마찬가지이다.77,78 

  • 그리고 복잡성과 도전에 더하여, 탱고 파트너는 각 파트너의 상태, 환경, 잠재적 장애물(예: 다른 댄스 커플)을 예리하게 의식하고 상황적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는데, 피드백을 주는 사람도 마찬가지어서 예를 들면 학습자의 반응과 환경적 방해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Like the tango,73 the feedback interaction can appear to be composed of a complex set of movements. 

  • The various contexts (e.g., CEX, MSF, written feedback), tools and forms used, and focus areas of performance make for a very complex interaction.74,75 

  • Comparable to the multidirectional movements in the tango, feedback exchanges are not linear and straightforward and can be affected by the interplay of factors such as teacher characteristics and context.25 

  • Just as the emotional state of the dance partners may affect the tango, the affective reactions of the feedback provider and receiver may impact the feedback interaction.76 

  • Dance partners must trust one another and believe their partner is credible, as must individuals in a feedback exchange.77,78 

  • Adding to the complexity and challenge, tango pairs need to be keenly mindful and situationally aware of each partner’s state, their surroundings, and any potential obstacles (e.g., other dance couples), as do feedback providers, who need to account for, as examples, environmental distractions and the reactions of the learner.


피드백 교환은 독백도 아니고 일방적인 것도 아니다. 오히려 양방향 대화여야 한다. 49,74 단순한 정보(예: 수치 데이터)를 피드백으로 제공하는 일방적 정보는 유용하지 않을 것이다. 속담에도 있듯이, "탱고를 추기 위해서는 두 사람이 필요하다." 탱고는 즉흥적이고 자발적인 춤일 수 있다. 두 파트너는 서로에게 빠르게 적응하고 "흐름에 맞춰" 갈 필요가 있다. 탱고를 한 사람이 출 수 없는 것처럼, 피드백도 개인이 단독으로 행동하는 방식으로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즉, 도움이 되는 파트너가 없음). 피드백을 주고받는 양측 모두 뒤이어 무엇이 따라올지에 대한 고정된 생각을 가지고 있지 않아야 하며, 상대방에게 적절하게 반응할 용의가 있어야 한다.

The feedback exchange should neither be a monologue nor unidirectional; rather, it should be an interactive, two-way dialogue.49,74 The one-way provision of simple information as feedback (e.g., numerical data)55,58,68 is not likely to be helpful. As the saying goes, “it takes two to tango.” The tango can be an improvisational, spontaneous dance, with both partners needing to adapt quickly to one another and “go with the flow.” Just as the tango cannot be performed by a single individual,79 feedback should not happen with an individual acting in isolation (i.e., without a helpful partner). Neither partner in the feedback exchange should have a fixed idea of what is to ensue, but each should be willing to respond appropriately to the other.


적절한 교육과 연습 없이 복잡한 춤을 배우는 것은 꽤 어려울 것이다. 마찬가지로 피드백과 같은 복잡한 과정에는 충분하고 정기적인 교수 훈련이 필요하다. 이 검토에 포함된 여러 논문과 다른 저자에 따르면, 피드백과 관련한 교수개발이 불충분하거나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80,81 피드백에 대한 최소한의 지침(예: 양식의 지침에 대한 간단한 설명 읽기)만 주고 deliberate practice가 없다면 잘 풀리지 않을 것이다.

Learning a complex dance without proper instruction and practice would be quite challenging. Similarly, sufficient and periodic faculty training is necessary for such a complex process as feedback. Several of the articles included this review and by other authors suggest that faculty development in feedback is insufficient26,28,29,31,46,62 or may not be effective.80,81 Minimal instruction in feedback (e.g., reading a short description of instructions on a form) without deliberate practice is not likely to work out well.


오랜 기간 동안 댄스 파트너와 함께 일하는 것은 두 사람의 성과를 향상시킨다. 교사와 학생 간의 장기적 관계를 확립하는 것은 피드백의 내용과 과정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25,32,50,58,82,83 오랜 시간에 걸쳐, 같은 파트너와 춤을 연습하게 되면, 어떻게 하면 적은 저항으로 서로에게 동작이 점진적으로 제공되는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피드백 교환 중에 학습자와 교사가 정보를 상호 수용하는 것이 중요하다.85

Working with a dance partner over longer periods improves the performance of the pair. Establishing longer-term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ppears to help the content and process of feedback.25,32,50,58,82,83 Over time, practicing with the same dance partner may improve how movements are progressively offered to one another with less resistance,84 similar to how during the feedback exchange it is important for learners and teachers to mutually accept information.85


통합 검토에서 배운 다른 두 가지 교훈은 탱고의 은유에 딱 들어맞지 않는다. 

  • 첫째, 성별은 제공자와 수신자 간에 교환되는 피드백 정보에 영향을 미친다. 피드백 제공자와 수신자는 또한 가능한 성별과 무의식적인 편향 효과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 

  • 둘째, 손으로 쓴 피드백은 많은 경우에 정보를 판독할 수 없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의료 교육자들은 이제 정보 기술을 이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손으로 쓰는 방식의 피드백의 제공을 제거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Two other lessons learned from our integrative review do not fit neatly into the tango metaphor. 

  • First, gender has an impact on the feedback information exchanged between the provider and receiver. Feedback providers and receivers should also be mindful of possible gender and unconscious bias effects. 

  • Second, handwritten feedback is problematic because of the frequency of illegible information. With the information technology now available, medical educators should consider eliminating the provision of feedback through handwritten means.


권고

Recommendations


이 통합적 검토와 학습자에 대한 피드백 내용의 분석에서 얻은 교훈을 바탕으로 피드백을 개선하기 위한 몇 가지 향후 방법 및 추가 연구를 위한 영역을 제안한다. 우리의 권고사항 중 일부는 일반적인 관행에서 상당한 이탈일 수 있고 다른 자원을 필요로 할 수 있지만, 우리의 증거 통합은 낮은 품질의 피드백, 관대함 편견, 피드백 도구의 부적절한 사용, 피드백 제공자의 피드백 능력의 결여, 성별에 따른 영향 등을 포함하는 현재의 상황들을 보여준다.

Based on the lessons learned from this integrative review and analysis of the content of feedback to learners, we propose several future methods for improving feedback as well as areas for additional research. Some of our recommendations may be significant departures from normal practices and require different resources,86 but our evidence synthesis shows that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with feedback includes low-quality feedback, leniency biases, inadequate use of feedback tools, deficiencies in the feedback competency of feedback providers, and gender impacts.


잘 훈련된 교수진 공급자의 수를 제한한다.

Limit the number of well-trained faculty providers.


모든 사람이 춤을 잘 출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훈련된 피드백 제공자의 수를 상당히 줄일 것을 권고한다. 우리는 모든 교수진의 피드백 능력 수준을 균일하고 지속적으로 올리는 것을 기대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라고 생각한다. 피드백이 성공하려면 학습자와 긴밀하게 협력하는 unique한 의학교육자 그룹이 요구될 수 있다.37 오늘날, 임상 학습 환경은 선생님과 학습자 사이의 매우 간소화된 서비스 요건 및 상호작용으로 가득 차 있으며, 이는 피드백 교환을 더욱 어렵게 한다. 비록 단기 교수진의 존재와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무시할 수는 없지만, 교사와 학습자 모두 이러한 상황에서 의미 있는 또는 품질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의 한계를 인식하고, 왜 피드백이 무시되거나 거부되는지 이해해야 한다. 제안된 전담 교수 피드백 제공자 그룹은 대학원 의학 교육 이정표 또는 CanMEDS와 같은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원하는 역량의 학습자 성취도를 평가하는 그들의 노력을 지시할 수 있다.

Not everyone can dance well. We recommend that the number of trained feedback providers be narrowed down significantly. We believe it is unrealistic to expect to uniformly and consistently raise the level of feedback competency for all faculty. A unique group of medical educators working closely with learners may be required for feedback to be successful.37 Today,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is fraught with briefer teacher and learner service requirements and interactions, which makes feedback exchanges challenging. Although we cannot ignore the presence of short-term faculty and their interactions with learners,87 both teachers and learners should recognize the limitations for providing any meaningful or quality feedback in these situations and understand why feedback may then be ignored or rejected. The proposed dedicated group of faculty feedback providers could also direct their efforts toward assessing learner achievement of desired competencies using frameworks, such as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ine Education Milestones or CanMEDS.



피드백은 주로 교수진과의 종단적 관계 내에서 발생해야 한다.

Feedback should predominantly occur within longitudinal relationships with faculty.


이 훈련된 피드백 제공자의 소규모 그룹은 학습자와의 종단적 관계뿐만 아니라 그들의 피드백 기술에 대한 장기적인 deliberate practice을 약속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좀 더 멘토링이나 도제식 방식의 접근이 필요할지도 모른다. 물론, 종단적 관계가 기능적이지 않다면 양날의 칼이 될 수 있는데, 이것은 올바른 춤(즉, 교육) 파트너를 찾아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따라서, 장기적인 관계에서 중요한 것은 교육 동맹을 만드는 것이어야 한다뛰어난 탱고의 한 쌍과 유사하게, 강력한 교육 연합을 이룬 선생님들과 학습자들은 서로를 존중하고, 함께 일하는 것의 성공을 돌보고, 그들 각자의 역할의 결점을 논의할 만큼 충분히 심리적으로 안전하다고 느낀다.

This smaller group of trained feedback providers will need to commit to long-term, deliberate practice of their feedback skills, as well as to longitudinal relationships with learners.88 More of a mentoring or apprenticeship-like approach may be needed.50 A longitudinal relationship can, of course, be a double- edged sword if it is not functional, which emphasizes the need to find the right dance (i.e., educational) partners. Consequently, the emphasis of the long- term relationship should be to create an educational alliance.86,89 Similar to a high- performing tango pair, the teacher and learner in a strong educational alliance have mutual respect for one another, care for the success of their work together, and feel psychologically safe enough to discuss shortcomings in their respective roles.86


기존 피드백 도구 수정.

Modify existing feedback tools.


이 검토에 포함된 기사에 설명된 피드백 도구 중 일부는 성공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였다.23,43, 피드백 도구의 사용을 개선하고, 피드백 제공자의 관대함 편향을 다루며, 교수 평가 노력의 품질을 극대화하기 위해, 우리는 긍정적인 피드백에 대한 기존의 서술적 공간을 제거하는 식으로 피드백 도구를 변경할 것을 권고한다. 그러나 건설적인 피드백을 위한 서술적 공간을 남긴다. 피드백 제공자는 여전히 구두로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가능성이 높지만, 개선 분야와 실행 계획에 도구를 명시적으로 집중하면 결국 보강과 건설적 피드백의 균형을 더 잘 유지할 수 있다

Some of the feedback tools described in articles included in this review seemed to be used with success.23,43,63 To improve the use of feedback tools, address the leniency bias of feedback providers, and maximize the quality of the faculty evaluative effort, we recommend changing feedback tools by eliminating existing narrative spaces for positive feedback but leaving narrative spaces for constructive feedback. Providers will likely still provide positive feedback, maybe verbally, but explicitly focusing the tools on areas of improvement and action plans may lead to a better balance of reinforcing and constructive feedback in the end. 


일반적으로 피드백 도구는 

    • 명시적(즉, 일반적인 질문은 작동하지 않는다), 

    • 단순(예: 평가되는 역량 또는 행동 수 제한), 

    • 장기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사용

    • 상황 특이적으로 설계(더 효과적일 수 있음)

...되어야 한다.69 

그러나, "완벽한" 피드백 도구를 만들기 위한 고립된 노력은 헛수고일 수 있으며, 너무 환원주의적 접근이 될 수 있다.74

In general, feedback tools need to be made 

    • explicit (i.e., general questions do not work), 

    • simplified (i.e., limit the number of competencies or behaviors being assessed), 

    • used frequently over time,62 and 

    • designed to be situation-specific (which may make them more effective).69 

However, an isolated effort to create the “perfect” feedback tool may be a futile exercise and too reductionistic an approach.74



피드백 교환을 위한 적절한 단계 결정

Determine the right steps of the feedback exchange.



탱고는 일련의 구조화된 단계를 포함하며, 이러한 단계를 효과적으로 실행하면 성능이 향상된다.90 

적절한 시간에 적절한 기술을 사용하여 피드백 교환의 연속체에 대해 효과적인 일련의 단계를 결정하는 것은 여전히 중요한 연구 영역이다.91,92

The tango includes a series of structured steps, and the effective execution of these steps results in an enhanced performance.90 

Determining an effective series of steps over the continuum of the feedback exchange, completed at the appropriate times and with the proper technique (e.g., two-way dialogue), continues to be an important area of study.91,92


지속적, 외부 피드백 제공

Deliver ongoing, external feedback.


Archer74는 피드백 문화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외부 피드백(무용수나 운동선수에 대한 코칭 및 빈번한 피드백과 유사함)을 통해 학습자 성찰을 높일 것을 지지한다.

Archer74 advocates increasing learner reflection-in-action informed by external feedback (similar to the coaching and frequent feedback professional dancers and athletes receive) as a way to improve the feedback culture.


우리는 보다 지속적이고, 예측가능하며, 반복적인 외부 피드백의 시스템을 만들고, 형성적 피드백과 총괄적 피드백이라는 잘못된 이분법을 제거할 것을 권고한다.74 총괄평가(예: 성적)에 너무 많이 집중하면 피드백에 대한 학생 수용률이 낮아질 수 있다.96 학생들은 또한 형성피드백을 총괄적 목적을 가졌다고 혼동하고 피드백을 무시할 수 있다. 총괄평가 자체는 불가피할지라도, 평가와 관련한 빈번하고 신뢰할 수 있는 피드백을 포함하는 지속적인 평가 프로그램이 형성피드백 및 총괄피드백의 목표를 달성하고 잠재적으로 피드백 문화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98 

We recommend creating a system of more continuous, expected, ongoing, external feedback95 and eliminating the false dichotomy between formative and summative feedback.74 Too much focus in a learning environment on summative assessment (e.g., grading) may lead to less student receptivity to feedback.96 Students may also confuse formative feedback as serving summative purposes and ignore the feedback.97 Although summative assessment is unavoidable, an ongoing program of assessment with associated frequent, credible feedback could help achieve the goals of both formative and summative feedback and potentially improve the feedback culture.98 


피드백 시스템의 구성 요소에 대해여 자주 그리고 여러 가지 수단을 통해 학습자와 의사소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최적의 문화는 동료피드백을 유용하게 만들어줄 수 있다.58 또한 우리는 피드백을 받고 배우는 학습자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보다 concerted하게 초점을 맞출 것을 권고한다. 이 능력은 교사와 학습자가 원하는 이상적인 피드백 문화와 학습 환경을 개발하는 또 다른 수단이다.

The components of this improved feedback system would need to be communicated often and through multiple means with learners. The optimal culture may allow for peer feedback to be useful.58 We also recommend a more concerted focus on improving learners’ abilities to receive and learn from feedback,99 as another means of developing the ideal feedback culture and learning environment that teachers and learners likely desire.



전반적 피드백 문화 개선

Improve the overall feedback culture.


조직의 전반적인 피드백 문화는 교육 리더들이 [구체적이고 공식적이며 지속적인 교수개발을 포함하는] 강력한 구조를 설계함으로써 강화될 것이다. 교수진이 이 평가 노력에 투자하는 시간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개선하면서 전체 평가 시스템에 대해 사전 예방적이고 사려 깊은 접근법이 있어야 한다(피드백만을 고립하여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

The overall feedback culture of an organization would be enhanced by its educational leaders designing a robust structure that includes specific, formal, ongoing faculty development. To maximize the value of the time that faculty invest in this evaluative effort, there should be a proactive and thoughtful approach to the entire evaluation system (i.e., not just thinking about feedback in isolation), with the system being internally assessed and improved upon continuously. 


탱고 은유로 돌아가면서, 우리는 댄스 스튜디오의 소유자 또는 수석 안무가가 최적의 환경 (예: 댄스 스튜디오의 신체적 조건, 좋은 음악, 숙련된 트레이너, 무용수들의 적절한 짝짓기, 안무), 긍정적인 문화 장려, 그리고 지속적인 향상을 강조할 책임이 있다고 제안한다. 댄스 쌍과 스튜디오 전체의 피드백 문화에 대한 향후 연구는 전체 피드백 및 평가 시스템과 피드백을 통해 현재의 문제로부터 필요한 변화를 달성하기 위한 모범 사례를 확립하는 책임을 지는 의료 교육 지도자 또는 팀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Returning to our tango metaphor, we put forward that the dance studio owner or senior choreographer is responsible for creating the optimal environment (e.g.,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 dance studio, good music, skilled trainers, appropriate pairing of dancers, choreography), encouraging a positive culture, and emphasizing the continuous enhancement both of dance pairs and of the entire studio. Future research on feedback culture could focus on the medical education leaders or team responsible for establishing the entire feedback and evaluation system and the best practices to achieve the needed shift from our current state of affairs with feedback.


Limitations


Conclusions





 2018 Apr;93(4):657-663. doi: 10.1097/ACM.0000000000001927.

The Feedback Tango: An Integrative Review and Analysis of the Content of the Teacher-LearnerFeedback Exchange.

Author information

1
R. Bing-You is professor, Tuft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oston, Massachusetts, and vice president for medical education, Maine Medical Center, Portland, Maine. K. Varaklis is clinical associate professor, Tuft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oston, Massachusetts, and designated institutional official, Maine Medical Center, Portland, Maine. V. Hayes is clinical assistant professor, Tuft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oston, Massachusetts, and faculty member,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Maine Medical Center, Portland, Maine. R. Trowbridge is associate professor, Tuft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oston, Massachusetts, and director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Department of Medicine, Maine Medical Center, Portland, Maine. H. Kemp is medical librarian, Maine Medical Center, Portland, Maine. D. McKelvy is manager of library and knowledge services, Maine Medical Center, Portland, Maine.

Abstract

PURPOSE:

To conduct an integrative review and analysis of the literature on the content of feedback to learners in medical education.

METHOD:

Following completion of a scoping review in 2016, the authors analyzed a subset of articles published through 2015 describing the analysis of feedback exchange content in various contexts: audiotapes, clinical examination, feedback cards, multisource feedback, videotapes, and written feedback. Two reviewers extracted data from these articles and identified common themes.

RESULTS:

Of the 51 included articles, about half (49%) were published since 2011. Most involved medical students (43%) or residents (43%). A leniency bias was noted in many (37%), as there was frequently reluctance to provide constructive feedback. More than one-quarter (29%) indicated the feedback was low in quality (e.g., too general, limited amount, no action plans). Some (16%) indicated faculty dominated conversations, did not use feedback forms appropriately, or provided inadequate feedback, even after training. Multiple feedback tools were used, with some articles (14%) describing varying degrees of use, completion, or legibility. Some articles (14%) noted the impact of the gender of the feedback provider or learner.

CONCLUSIONS: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exchange of feedback is troubled by low-quality feedback, leniency bias, faculty deficient in feedback competencies, challenges with multiple feedback tools, and gender impacts. Using the tango dance form as a metaphor for this dynamic partnership, the authors recommend ways to improve feedback for teachers and learners willing to partner with each other and engage in the complexities of the feedback exchange.

PMID:
 
28991848
 
DOI:
 
10.1097/ACM.0000000000001927


의학교육에서 학습자를 위한 피드백: 알려진 것은? (Acad Med, 2017)

Feedback for Learners in Medical Education: What Is Known? A Scoping Review

Robert Bing-You, MD, MEd, MBA, Victoria Hayes, MD, Kalli Varaklis, MD, MSEd,

Robert Trowbridge, MD, Heather Kemp, MLIS, and Dina McKelvy, MA, MLS




학습자들을 위한 피드백은 의학교육자들에게 여전히 중요한 연구 분야로 남아 있다. 

  • 학습자에 대한 효과적인 피드백은 특히 역량 기반 교육에서 학생이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요하다.

  • 피드백은 또한 교수 개발 프로그램과 레지던트-교사 및 학생-교사 프로그램의 일반적인 구성요소다. 

  • 교수진의 평가에는 일반적으로 피드백 전달 능력에 대한 평가가 포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피드백에 대한 주의에도 불구하고, 의대 학생들과 레지던트는 오랫동안 그들이 충분한 피드백을 받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Feedback for learners continues to be an important area of study for medical educators.1,2 Effective feedback to learners is important for them to be able to acquire new knowledge and skills, especially in light of the shift toward competency-based education.3 Feedback is also a common component of faculty development programs4 and residents- and students-as-teachers5 programs. Evaluations of faculty typically include assessments of their feedback delivery skills.6 Nonetheless, despite this attention to feedback,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have long indicated that they receive insufficient feedback.7,8


의학 교육의 피드백에 대해 가장 자주 인용되는 논문 중 하나에서, 엔데9는 임상 교사들이 학습자와 함께 사용해야 하는 피드백 행동을 규정했다. 그러나 이러한 권고안은 경영 및 조직 심리학 같은 다른 분야로부터 도출되었으며, 반드시 의학 교육의 증거에 기초하지는 않았다.

In one of the most frequently cited articles on feedback in medical education, Ende9 prescribed feedback behaviors that clinical teachers should employ with learners. However, these recommendations were drawn from other fields, such as business administration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were not necessarily based on evidence in medical education.


우리는 학습자의 피드백에 관한 의학 교육 문헌이 광범위하고, 광범위하게 평가되지 않았으며, 다양한 접근법을 포함하고 있으며, 체계적인 연구에 명백히 적합하지 않다고 본다.

In our view,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regarding feedback for learners is far-ranging, has not been broadly assessed, contains varied approaches, and is not obviously suitable for systematic study.



방법

Method


이 범위 검토의 방법론은 Arcsey와 O'Malley20이 제안한 프레임워크와 Levac와 동료21이 제안한 후속 권고에 기초했다.22,23 이 범위 검토는 5단계를 따랐다. 

(1) 연구 질문의 식별 

(2) 잠재적으로 관련 있는 문서를 확인한다. 

(3) 물품 선정 

(4) 차트 작성 데이터 

(5) 결과의 취합, 요약, 보고

The methodology for this scoping review was based on the framework suggested by Arksey and O’Malley20 and the subsequent recommendations proposed by Levac and colleagues21 and others.22,23 This scoping review followed five phases: 

(1) identifying the research question; 

(2) identifying potentially relevant articles; 

(3) selecting articles; 

(4) charting data; and 

(5) collating, summarizing, and reporting the results.


연구 질문

Research question


이 범위 검토는 "의학 교육에서 학습자를 돕기 위해 피드백에 관한 문헌에 광범위하게 발표된 것은 무엇인가?"라는 연구 질문에 집중되었다.

This scoping review was focused 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hat has been broadly published in the literature about feedback to help learners in medical education?”


우리의 목표는 의료 교육에 대한 실천과 추가 연구를 알리기 위한 핵심 개념, 문헌의 gap 및 근거의 출처를 식별하는 것이었다. 문헌의 질을 결정하는 것도 아니고, 이용할 수 있는 증거에 대한 해석에 기초하여 학습자에게 피드백을 전달하기 위한 권고안을 개발하는 것이 아니었다. 범위 검토는 문헌에 대한 광범위한 관점을 제공하며, 후속 체계적인 검토의 형태로 "더 깊은 탐구deeper dive"으로 이어질 수 있다.

Our goal was to identify key concepts, gaps in the literature, and sources of evidence to inform practice and additional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24; it was not to determine the quality of the literature or develop recommendations for delivering feedback to learners based on interpretations of the available evidence. Scoping reviews offer a wide perspective of the literature,22 which may lead to a “deeper dive” in the form of subsequent systematic reviews.


Data sources and search strategy


Citation management


Screening, selection, and data extraction


결과

Results


We included 650 articles in this scoping review, after excluding 186 articles that were irrelevant, duplicates, or unobtainable (see Figure 1 for a flow diagram of the process and Table 2 for characteristics of the included articles). The complete list of included articles is available in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at http://links.lww.com/ACADMED/A426.


Characteristics of included articles


국가별

The majority of the 650 included articles originated from 

    • the United States (n = 306; 47.1%) and 

    • the United Kingdom (n = 104; 16.0%). The remaining articles came from 

    • Canada (n = 66; 10.2%), 

    • the Netherlands (n = 49; 7.5%), 

    • Australia (n = 38; 5.8%), and 

    • other countries (n = 87; 13.4%). 

기간별

    • There were few articles on feedback for medical education learners from the years 1980 through 1989 (n = 29; 4.5%). 

    • Even from 1990 through 1999, the decade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seminal 1983 article by Ende,9 there were few articles found (n = 67; 10.3%). 

    • There was a large increase in articles from the years 2000 through 2009 (n = 213; 32.8%), and 

    • there were even more from the most recent years of the search, 2010 through 2015 (n = 341; 52.4%).


학습자 유형

Types of learners and disciplines involved


단계

Of the 543 articles (83.5%) in which a type of learner was specified, the majority focused on 

    • medical students (n = 274; 50.5%) or 

    • medical residents (n = 192; 35.3%). 

전공: 학생

Among the 79 articles focused on medical students that specified a discipline, the disciplines included 

    • internal medicine (n = 27; 34.2%), 

    • surgery (n = 17; 21.5%), 

    • pediatrics (n = 12; 15.2%), 

    • OB/GYN (n = 6; 7.6%), 

    • psychiatry (n = 6; 7.6%), 

    • family medicine (n = 5; 6.3%), 

    • emergency medicine (n = 4; 5.1%), and 

    • anesthesiology (n = 2; 2.5%).

전공: 전공의

For the 159 articles focused on medical residents and fellows and specifying disciplines, the disciplines included 

    • internal medicine (n = 56; 35.2%), 

    • surgery (n = 31; 19.5%), 

    • pediatrics (n = 22; 13.8%), 

    • emergency medicine (n = 14; 8.8%), 

    • anesthesiology (n = 9; 5.7%), 

    • radiology (n = 8; 5.0%), 

    • family medicine (n = 8; 5.0%), 

    • OB/GYN (n = 7; 4.4%), and 

    • psychiatry (n = 4; 2.5%).



유형

Types of articles


97%는 한 가지 유형으로 분류가능

Ninety-seven percent of the 650 articles in this scoping review (n = 630) could be categorized into a single type of article (Table 3), with the remaining articles (n = 20) including multiple types (e.g., a survey of learners plus a literature review).


The majority of the 630 articles (n = 327; 52.0%) described a new or altered curricular approach


피드백 방법과 포커스

Feedback method and focus



피드백 평가

Evaluation of feedback impact


An evaluation of a feedback intervention was described in 300 articles (46.2%). 

    • The majority of these 300 articles (n = 173; 57.7%) used the lowest of Kirkpatrick’s levels of evaluation,38 assessing learners’ reaction to feedback (i.e., level one). 

    • This was obtained mainly through surveys of learners. Assessing differences in learning after feedback (i.e., level two) primarily involved changes in examination or case study scores (n = 12; 4.0%). 

    • Assessing changes in behavior after feedback (i.e., level three) included describing the use of simulation as an evaluation method (n = 25; 8.3%), using standardized patients and OSCEs (n = 17; 5.7%), and using observation of learners (n = 7; 2.3%). 

    • Level four outcomes could reflect the impact on patients from feedback to learners. Nineteen articles (6.3%) elaborated on the use of clinical patient data, and an additional 9 articles (3.0%) described chart reviews, to assess the clinical impact of the feedback intervention (e.g., interviews with or examination of actual patients, test ordering, adherence to practice guidelines).



고찰

Discussion


이 scoping review의 결과는 의학 교육에서 학습자들을 위한 피드백에 대해 알려진 것을 매핑하였다. 피드백 접근에 대한 권고사항을 설명하는 수많은 논문에서 입증되었듯이, 피드백은 학습자 개선의 중요한 동인으로 간주된다. 대부분의 논문들은 2000년 이후로 출판되었다. 의대생과 레지던트을 포함한 기사들이 많이 있다. 치과, 간호, 약학과 같은 다른 분야의 학습자들을 포함한 논문의 비율은 훨씬 더 적다. 소수의 논문은 피드백 후 학습자 행동의 변화를 설명하고 있으며, 심지어 소수의 기사는 환자 결과에 대한 피드백의 영향을 평가한다.

The findings from this scoping review add to the literature by mapping what is known about feedback for learners in medical education. As evidenced by the large number of articles outlining recommendations for feedback approaches, feedback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driver of learner improvement. Most of the articles have been published since the year 2000. There is an abundance of articles that include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much smaller proportions of articles include learners from other disciplines such as dentistry, nursing, and pharmacy. A small number of articles describe changes in learner behavior after feedback, and even fewer articles assess the impact of feedback on patient outcomes.


의학 교육에서 학습자들을 위한 피드백에 대해 알려진 것들의 대부분은 의학 교육 분야에서 강한 증거에 기초하지 않는다.39 우리의 범위 검토는 [성인 학습자를 위한 권고사항의 기반이 된 이론적 구성을 제공한] K–12 및 중등과정 학생들에 대한 광범위한 피드백 문헌을 무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비록 논문에서 그들의 피드백 요구나 피드백의 인식에 관해 성인 학습자에 대한 조사를 계속 기술하고 있지만, 무작위 교육 시험을 통해 피드백에 대한 다양한 접근법을 평가하는 의학 교육에는 엄격한 연구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 범위 검토에 포함된 많은 논문은 신규 또는 변경된 커리큘럼 접근방식을 기술하였으며, 낮은 수준의 근거만을 보고했다(예: 적은 수의 학습자에게 단일 관찰 피드백 조정)

Much of what is known about feedback for learners in medical education is not based on strong evidence in the medical education field.39 Our scoping review is not intended to dismiss the large body of feedback literature with K–12 and postsecondary students, from which theoretical constructs have informed recommendations for adult learners. Although articles continue to describe surveys of adult learners in medicine as to their feedback needs or their perceptions of feedback,40,41 there appear to be few rigorous studies in medical education assessing various approaches to feedback through randomized educational trials.42–44 Many articles included in this scoping review described new or altered curricular approaches that fall into lower-quality levels of evidence (e.g., single, observational feedback interventions with small numbers of learners).


즉, 소수의 논문만이 1983년부터 자주 인용되는 엔데의 논문인 피드백에 대한 행동주의 접근방식을 support하고 있다. 예를 들어, Saraf et al44는 비판보다는 칭찬의 형태로 피드백이 산부인과적 시뮬레이션에서 학생들의 지식과 기술을 향상시켰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대조적으로, Boehler 등은 수술 매듭묶기에서 학생들의 성적은 단지 칭찬만 했을 때보다, 결점에 대한 피드백과 함께 제공되었을 때 향상되었음을 발견했다. LIC 모델과 같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피드백은 유익해 보인다.

That said, a small number of articles do support behaviorist approaches to feedback, the basis for Ende’s9 often-cited article from 1983. For example, Saraf et al44 demonstrated that feedback in the form of praise rather than criticism improved students’ knowledge and skills in obstetrical simulations. In contrast, however, Boehler et al43 found that students’ performance in surgical knot tying only improved with feedback about their deficiencies rather than just compliments. Feedback that occurs repeatedly, such as in the model of longitudinal integrated clerkships, appears to be beneficial.45,46 


즉각적인 피드백은 학습 이득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47 반면에 최종적 피드백(예: 연습 후)은 동시적 피드백(예: 연습 중) 보다 테크니컬 스킬 능력에서 더 나은 학습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8 

Immediate feedback appears to be helpful for learning gains,47 whereas terminal feedback (i.e., after practice) has been shown to result in better learning in technical skills than does concurrent (i.e., during practice) feedback.48 


피드백 "샌드위치" (즉, 양성-음성-양성 피드백)는 실제 성능을 변화시키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학생들은 그렇게 인식하고 있다.49 프로페셔널리즘과 관련 있는 태도와 행동을 개선하는데 있어서, 개별기준에서 발생하는 피드백은 집단환경에서 주어진 피드백보다 더 효과적이다.50

The feedback “sandwich” (i.e., positive–negative–positive feedback) does not appear to change actual performance, although students perceive that it does.49 In improving professionalism attitudes and behaviors, feedback occurring on an individual basis appears to be more effective than feedback given in a group setting.50


위에 열거된 행동주의 접근방식을 완전히 인정하기 전에, 우리는 이들 연구의 방법론과 품질에 대한 평가를 권고한다.

Before endorsing the behaviorist approaches listed above, we recommend assessment of the methodology and quality of these articles.


피드백의 전달 측면에서 피드백 대화와 교사와 학습자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문헌의 변화를 반영하듯, 우리가 도입부에서 강조했듯이, 보다 최근에 발표된 논문은 주로 피드백의 비행동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피드백의 효과는 학습자의 정서적 상태 또는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의 정서적 반응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Reflecting the shift in the literature from the delivery aspects of feedback to the feedback conversation and interactions between the teacher and learner,14–19 as we highlighted in our introduction, more recently published articles have primarily focused on the non-behavioral aspects of feedback. The effectiveness of feedback may be impacted by the affective state of the learner or the learner’s emotional reaction to the feedback.15,51–54 


학습자가 피드백을 전달하는 사람의 신뢰성을 어떻게 인식하는지가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학습자는 환자의 피드백의 이점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가지고 있으며, 환자는 학습자를 비판하기를 꺼릴 수 있다. 다른 연구는 피드백과 잠재적인 성별, 문화적 차이점에 초점을 맞추었다. 조사관들은 또한 피드백 상호작용의 내용 분석을 통해 학습자와 교사 사이의 복잡한 상호교류를 탐구했다.66

How the learner perceives the credibility of the individual delivering the feedback appears to be important.14,55–57 Learners have varying opinions on the benefits of feedback from patients,58,59 and patients may be reluctant to be critical of learners.60 Other research has focused on feedback and potential gender61–63 and cultural differences.64,65 Investigators have also explored the complex interchange between a learner and teacher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feedback interactions.66


피드백을 위한 다양한 루브릭이 있다.

Several rubrics, with various acronyms, have been suggested for use in feedback with learners: 

  • BEGAN (The Brown Educational Guide to the Analysis of Narrative),67,68 

  • REFLECT (Reflection Evaluation for Learners’ Enhanced Competencies Tool),69,70 

  • FAIRness (feedback, activity, relevance, and individualisation),71,72 

  • ECO (emotion, content, outcomes),73 

  • RIME (reporter– interpreter–manager–educator),74 and 

  • PEARLS (partnership, empathy, apology, respect, legitimation, support).75 


그러나, 이러한 루브릭은 최근의 저자들이 피드백의 모델을 재개념화하라는 요구가 증가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는다.17~19,51 새롭게 제안된 피드백 모델은 순수한 행동 기반 접근법에 대한 비판을 반영한다.9

However, these rubrics do not consider the increasing calls by recent authors to reconceptualize models of feedback.17–19,51 The proposed newer models for feedback reflect the criticism of a purely behavioral-based approach.9


이 범위 검토에서는 의학교육에서 학습자의 피드백에 관한 고품질 증거가 부족한 가능한 이유가 연구 방법론 및/또는 사용된 접근법에 대한 challenge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학습자와 교사를 교육적 개입에 맹목적으로 보는 것은 종종 가능하지 않지만, 피드백 개입에 대한 연구는 결과의 품질을 향상시키거나, 최소한 잠재적 교란 요인을 통제하기 위해 무작위화를 수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학습자는 이미 피드백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하므로, 통제군에 배정된 학습자는 피드백의 차이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를 평가하는 사람은 blind되어야 한다. 의학교육자는 더 나은 피드백 활동과 정량적 연구 방법을 알리기 위해 더 많은 질적 연구 방법 또는 피드백 상호작용의 내용 분석을 사용할 수 있다. 피드백 개입에 관한 다기관 연구는 실현가능하며 촉진되어야 한다.

This scoping review suggests that a possible reason for the lack of high-quality evidence regarding feedback for learners in medical education relates to challenges in study methodology and/or the approaches used. Although blinding learners and teachers to educational interventions is often not feasible, we believe studies of feedback interventions could involve randomiz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results, or at least control for potential confounding factors. Learners already perceive that they do not receive feedback,7,8 and therefore learners randomized to a control arm may not recognize any differences in feedback. Consideration should also be given to blinding the evaluators of the data. Medical educators could use mor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or content analysis of feedback interactions66 to inform better feedback activities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Multisite trials involving feedback interventions are feasible42 and should be promoted.


이 범위 검토는 또한 추가적인 학문적 노력을 위한 잠재적인 분야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 학생들이 피드백을 요청하고 수용하는데 도움이 되는 방법, 학생과 레지던트가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교육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 

  • 피드백이 어떻게 인식되는지는 전공마다 다르다.81 

  • 첨단 기술은 학습자들에게 더 많은 기회와 피드백을 줄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을 제공하고 있다.82 

  • 피드백의 장기 영향력은 알 수 없다: 피드백의 장기적 효과(즉, 5년)를 평가한 한 개 연구가 있을 뿐이며, 나머지 연구들은 단기적으로는 피드백이 거의 기억되지 않는다고 제안했다.84 

  • 능력이 떨어지는 학습자는 피드백을 다르게 받거나 사용할 수 있다.85 

  • 학습자에 대한 피드백은 영향을 거의 주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의 원인을 발견하는 것은 새로운 피드백 방법을 개발하고 평가하는 데 필수적일 수 있다. 

  • 조직의 피드백 문화를 어떻게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는지에 대한 추가 조사가 있을 수 있다.89 다양한 직업에서 피드백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탐구함으로써 배울 수 있는 귀중한 교훈이 있을 수 있다.65

This scoping review also helps identify potential areas for additional scholarly efforts. 

  • Methods to help students ask for and receive feedback76–78 and to train students and residents in giving feedback could be further explored.79,80 

  • How feedback is perceived appears to differ by specialty.81 

  • Advancing technology is providing more opportunities and novel means for capturing and providing feedback to learners.82 

  • The long-term efficacy of feedback is unknown: Only one study assessed the long-term (i.e., 5-year) effect of feedback,83 and other studies suggested that little feedback is remembered short-term.84 

  • Less competent learners may receive and/or use feedback differently.85 

  • Feedback to learners may have minimal to no impact,86–88 and discovering the reasons behind this lack of improvement could be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ew feedback methods. 

  • There can be further investigation into how the culture of feedback in an organization can be assessed and improved.89 There may be valuable lessons to learn from exploring how feedback occurs in different professions.65



Limitations


Conclusions


피드백에 대한 높은 수준의, 근거 기반의 교육적 권고가 부족하다

High-level, evidence-based educational recommendations for feedback are lacking.



16 Bok HG, Jaarsma DA, Spruijt A, Van Beukelen P, Van Der Vleuten CP, Teunissen PW. Feedback-giving behaviour in performance evaluations during clinical clerkships. Med Teach. 2016;38:88–95.


17 ten Cate OT. Why receiving feedback collides with self determination.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3;18:845–849.


13 van de Ridder JM, Peters CM, Stokking KM, de Ru JA, ten Cate OT. Framing of feedback impacts student’s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5;20:803–816.






 2017 Sep;92(9):1346-1354. doi: 10.1097/ACM.0000000000001578.

Feedback for Learners in Medical Education: What Is Known? A Scoping Review.

Author information

1
R. Bing-You is professor, Tuft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vice president for medical education, Maine Medical Center, Portland, Maine. V. Hayes is clinical assistant professor, Tuft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faculty member,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Maine Medical Center, Portland, Maine. K. Varaklis is clinical associate professor, Tuft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residency program director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Maine Medical Center, Portland, Maine. R. Trowbridge is associate professor, Tuft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director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Department of Medicine, Maine Medical Center, Portland, Maine. H. Kemp is medical librarian, Maine Medical Center, Portland, Maine. D. McKelvy is manager of library and knowledge services, Maine Medical Center, Portland, Maine.

Abstract

PURPOSE:

To conduct a scoping review of the literature on feedback for learners in medical education.

METHOD:

In 2015-2016, the authors searched the Ovid MEDLINE, ERIC, CINAHL, ProQuest Dissertations and Theses Global, Web of Science, and Scopus databases and seven medical education journals (via OvidSP) for articles published January 1980-December 2015. Two reviewers screened articles for eligibility with inclusion criteria. All authors extracted key data and analyzed data descriptively.

RESULTS:

The authors included 650 articles in the review. More than half (n = 341) were published during 2010-2015. Many centered on medical students (n = 274) or residents (n = 192); some included learners from other disciplines (n = 57). Most (n = 633) described methods used for giving feedback; some (n = 95) described opinions and recommendations regarding feedback. Few studies assessed approaches to feedback with randomized, educational trials (n = 49) or described changes in learner behavior after feedback (n = 49). Even fewer assessed the impact of feedback on patient outcomes (n = 28).

CONCLUSIONS:

Feedback is considered an important means of improving learner performance, as evidenced by the number of articles outlining recommendations for feedback approaches. The literature on feedback for learners in medical education is broad, fairly recent, and generally describes new or altered curricular approaches that involve feedback for learners. High-quality, evidence-based recommendations for feedback are lacking. In addition to highlighting calls to reassess the concepts and complex nature of feedback interactions, the authors identify several areas that require further investigation.

PMID:
 
28177958
 
DOI:
 
10.1097/ACM.0000000000001578
[Indexed for MEDLINE]


의학교육에서 코칭에 대해 알려진 것은 무엇인가? 문헌고찰 (Med Educ, 2017)

What do we know about coaching in medical education? A literature review

Ben Lovell







도입

INTRODUCTION


코칭은 의학 교사의 도구상자에서 점점 더 인정받는 자원으로 떠오르고 있다.1–5 전문적 코칭은 스포츠와 비즈니스 분야에서 개인들이 최선을 성취하도록 돕기 위해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그것은 지식 전파에 초점을 두지 않는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가르침과 다르다. 그것은 조언과 상담에 초점을 두지 않는다는 점에서 멘토와 다르다.

Coaching is emerging as an increasingly appreciated resource in the medical teacher’s toolbox.1–5 Professional coaching has long been utilised in sport and business to help individuals achieve their personal best. It differs from traditional tutelage in that it does not focus on knowledge transmission. It differs from mentorship in that it does not focus on advice and counselling.




코칭은 관찰된 행동에 대한 동시적이고 개별화된 피드백을 제공하고, 피코치의 완전한 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관찰을 자극하고 도전하는 사용을 요구한다. 코칭 패러다임은 다음과 같다.: 

  1. 피코치는 직무 또는 활동을 수행하거나, 사전 구성된 실제 또는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에 자신의 지식과 훈련을 적용한다. 

  2. 코치는 피코치coachee를 관찰하고, 피코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 도발, 질문, 도전, 격려의 조합을 사용한다. 

  3. 그런 다음 피코치는 활동을 다시 수행하고 주기는 반복된다. 

  4. 목적은 측정가능한 수준으로 향상된 성능을 생성하는 것이다.2,6,7

Coaching requires the provision of contemporaneous and individualised feedback on observed behaviour, and the use of stimulating and challenging observations to maximise the coachee’s full potential. The coaching paradigm is thus: the coachee performs a task or activity, or applies his or her knowledge and training in a pre-constructed real or simulated scenario. 

  • The coach observes the coachee and uses a combination of provocation, questioning, challenging and encouragement to help the coachee achieve an improved performance. 

  • The coachee then performs the activity again, and the cycle is repeated. 

  • The purpose is to generate a measurably improved performance.2,6,7


의학 교육에서 교수자 역할을 유형화하며, Stoddart와 Borge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코치는 학습자에게서 가능한 최고 수준의 성과를 추출해내고자 노력한다. 이것은 코칭을 주고 받는 개인 코치 및 학습자의 다양성만큼 독특한 다양한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1.

In their typology of teaching roles in medical education, Stoddart and Borges assert: 

‘A coach strives to extract the highest level of performance possible from the learner. This can be accomplished by a wide variety of means that are as unique as the individual coaches and learners involved.’1



운동선수, 음악가, 그리고 경영진이 탁월함을 위해 노력하기 위해 코칭을 사용한다면, 의사들과 외과의사들도 그렇게 해야 하지 않을까? 의사들과 음악가들을 비교할 때, 와틀링 외는 임상의들이 종종 "적당함"을 함축하는 '역량'을 말하는 반면, 음악가들은 '더 나은 연기'와 그들의 개인적인 최고를 향한 지속적인 노력을 말한다고 말한다. 비록 '개인적 최선'이 '수월성'과 동의어는 아니지만, 의사들이 미리 정해진 수준의 일반적인 역량을 갖추기 보다는 지속적으로 개선하도록 장려하는 것에는 분명한 이점이 있다.12

If athletes, musicians and executives use coaching to strive for excellence, shouldn’t physicians and surgeons also do so?8–10 In comparing doctors and musicians, Watling et al.11 note that clinicians often speak of ‘competency’, which has connotations of adequacy, whereas musicians speak of the ‘even better performance’ and the constant need push towards their personal best. Although ‘personal best’ is not synonymous with ‘excellence’, there are evident advantages in encouraging doctors to constantly improve, rather than to attain a predetermined level of generic competency.12



[세션 전 계획, 세션 후 보고, 팀 훈련]과 같은 많은 스포츠 코칭의 tenet은 헬스케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13

Many tenets of sports coaching are transferable to health care, such as pre-session planning, post-session debriefing and team training.13


비록 운동선수들과 의사들의 활동은 매우 다르지만, 지구력, 헌신, 희생, 팀워크, 그리고 빠른 사고 - 느린 사고와 같이 두 영역 모두에서 공통적인 심리적, 행동적, 사회 문화적 특성이 있다. 스포츠 코치가 채택한 방법론을 우리의 교육적 체계로 통합하려는 시도는 이러한 속성을 주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우리의 의사들에게 감정적 회복탄력성, 기술적 기량,, 비기술적 기술을 촉진할 수 있다.215

Although the activities of athletes and doctors are vastly different, there are psychological, behavioural and socio-cultural attributes common to both arenas, such as endurance, dedication, sacrifice, teamworking and fast and slow thinking. Attempts to integrate the methodologies employed by sports coaches into our pedagogical framework may help inculcate these attributes, which may promote emotional resilience, technical dexterity and non-technical skills in our doctors.2,15


다른 이들은 의대생을 대상으로 '커리어 코치'를 시도해보았지만, 이러한 코치가 전통적인 교육 감독관들과 어떻게 다른지는 기술하지 않았다.

Others have trialled ‘career coaching’ for medical students,18,19 but do not delineate how these coaches differ from traditional educational supervisors.


종종 '코칭'이라는 용어를 'teaching'과 'mentoring'이라는 용어와 바꾸어 사용한다.

authors often use the term ‘coaching’ interchangeably with those of ‘teaching’ and ‘mentoring’.




코칭의 주요 특성은 강의 및 멘토링과 비교하여 표 1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이 검토의 목적을 위해 코칭은 다음 특성에 따라 정의된다.

The key characteristics of coaching, in comparison with teaching and mentoring, are detailed in Table 1. For the purposes of this review, coaching is defin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attributes.


1 코치는 개인화된 실시간 피드백을 제공한다.

1 The coach provides individualised real-time feedback.


코치는 피코치가 무엇이 효과가 있고 없는지를 발견할 수 있도록 돕고, 학습자가 자신의 최대 잠재력에 도달하도록 격려하기 위하여, 행동을 관찰한 직후 형성 평가와 반복적 피드백을 제공한다.21 학습자가 최상의 성과를 달성할 때까지 관찰-피드백의 사이클이 반복된다.

Coaches give formative assessment and iterative feedback immediately after observing behaviours to help the coachee discover what does and doesn’t work, and to inspire the learner to reach his or her maximum potential.21 The cycle of observation–feedback recurs until the learner attains his or her best possible performance.


2 코치와 피코치는 개인화된 목표를 설정한다. 

2 The coach and coachee set individualised goals. 


코치는 과정보다는 목표와 결과를 강조한다.3 코치는 Micro-managing을 하기보다는, 문제를 해결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창의적으로 생각하기 위해 도전과 서포트를 모두 사용해야 한다.

Coaches emphasise aims and outcomes rather than processes.3 Rather than micro-managing, the coach should use both challenges and support to help the coachee solve problems and think creatively to achieve his or her goals.


3 코치는 새로운 행동, 통찰력 및 업무 접근법의 개발을 촉진한다.

3 The coach facilitates the development of new behaviours, insights and approaches to work.


코칭은 학습자 중심이다. 교육 발견, 문제 해결 및 개인적 성장에 대한 책임은 학습자에게 있다.16 이러한 활동은 코치에 의해 촉진되며, 그 역할은 지속적인 개선을 위해 지속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Coaching is learner-centric: the responsibility for educational discovery, problem solving and personal growth lies with the learner.16 These activities are facilitated by the coach, who offers continuous feedback to develop a cycle of constant improvement.



4 코치는 관련 분야에 대한 전문성과 경험을 가지고 있다.

4 The coach has expertise and experience within the relevant field.


교육에서 코치는 '게임'에 대한 분석적 이해를 바탕으로 수월성을 향해 학습자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1 유사한 수준의 성취와 경험을 가진 동료가 피드백을 관찰하고 코칭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피어 코칭은 다르다.22

The educational coach ‘has an analytical understanding of the “game” and ability to motivate the learner toward excellence’.1 Peer coaching is different in that a colleague at a similar level of accomplishment and experience takes on a coaching role by observing and giving feedback.22



방법

METHODS


이것은 의학 교육의 현행 코칭 방식에 대한 문헌 검토다. 문헌 검토의 목적은 새로운 이해를 창출하기 위해 데이터에 대한 개념적 통찰력을 제공하는 체계적 검토와 달리 기존 데이터를 식별, 요약 및 비평하는 것이다.23

This is a literature review into current coaching practices in medic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e literature review is to identify, summarise and critique the existing data, unlike the systematic review, which provides conceptual insights into data to generate new understanding.23


문헌 고찰은 편견에 취약하다는 비판을 받았지만, 검토된 문헌이 부족할 때 새로운 증거를 생성하는 조사를 시작할 수 있는 적절한 플랫폼으로 받아들여진다.24 연구 질문은 의도적으로 광범위하고 공개적으로 정하였다. 우리가 현재 의사와 학생의 교육에 개입하는 코칭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Literature reviews have been criticised for their vulnerability to bias, yet are accepted as appropriate platforms from which to launch new evidence-generating enquiries when the reviewed literature is scanty.24 The research question was deliberately kept broad and open: What do we currently know about coaching interventions in the education of doctors and students?


RESULTS


표 3은 검토를 위해 포함된 21개 논문의 종합적인 개요를 제공한다.

Table 3 provide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21 papers included for review.


21개의 논문 중 12개는 미국에서, 2개는 호주에서, 2개는 덴마크에서, 그리고 1개는 영국, 독일, 네덜란드, 캐나다, 대만에서 왔다.

Of the 21 papers, 12 were from the USA, two from Australia, two from Denmark, and one each from the UK, Germany, the Netherlands, Canada and Taiwan.


양적 논문의 경우 평균 메르스QI점수가 11.6으로 저조했다. 정성적 논문들 중에서 CASP 점수도 낮았다(평균점수 5.8). 이는 연구의 대부분 서술적 성격을 반영한다.

Among the quantitative papers, the general quality was low, with a mean average MERSQI score of 11.6. Among the qualitative papers, the CASP score was also low (mean score: 5.8), reflecting the largely descriptive nature of the studies.


의사의 웰빙과 회복탄력성을 위한 코칭

Coaching for doctor well-being and resilience


이 범주에는 7개의 연구가 있었다. 두 가지 연구는 전공의와 학생들의 정서적 지능을 증가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

There were seven studies within this category. Two studies focused on increasing emotional intelligence (EI) in residents and students.


세 가지 연구는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코칭을 사용했다.

Three studies used coaching to reduce stress.


두 연구는 자신감, 전문성 발달, 그리고 자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긍정 심리학을 사용했다.

Two studies used positive psychology to improve confidenc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autonomy.


비-기술적 스킬을 위한 코칭

Coaching for improved non-technical skills


6개의 연구는 의사결정, 팀워크, 그리고 성찰과 같은 비기술적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코칭 개입을 평가했다.

Six studies evaluated coaching interventions to improve non-technical skills such as decision making, teamworking and reflective practice.


연구에는 비기술적 기술에 대한 코칭 개입을 위한 약한 증거와 중간 증거의 근거가 포함되어 있었다. Raega et al.,28의 연구는 학부 OSCE에서 1학년생들의 지식과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종합적인 코칭 개입을 채택했다.

The studies included demonstrate a weak to medium evidence base for coaching interventions for non-technical skills. The exception is a study by R ego et al.,28 which employed a comprehensive coaching intervention to improve Year 1 medical student knowledge and performance in undergraduate OSCEs.



기술 코칭

Coaching for technical skills


일곱 개의 논문은 기술 능력, 즉 수술 기술에 대한 코칭을 분석했다. 이 논문들은 훨씬 더 높은 품질의 논문이었고 참가자들의 능력의 중요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강력한 방법론을 사용했다. 두 논문에서 Hu 등은 개선이 필요한 영역을 식별한 운영자와 코치의 절차를 즉시 재관찰할 수 있는 작업을 기록했고, 다른 접근법을 선택하는 코치의 이유를 탐색했으며, 개선을 위한 전략을 수립했다.

Seven papers analysed coaching for technical skills, namely, surgical skills. These papers were of much higher quality and used robust methodologies to detect significant changes in participants’ abilities. In two papers, Hu et al.41,42 recorded operations to allow the immediate re-watching of the procedure by the operator and a coach, who identified areas for improvement, explored the coachee’s reasons for selecting different approaches, and established strategies for improvement.


세 가지 연구는 고품질 RCT의 수술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뮬레이션 수술에서 실시간 코칭을 사용했다.

Three studies used real-time coaching in simulated surgery to improve surgical skills in high-quality RCTs.


요약하자면, 이 검토에 포함된 논문은 코칭이 수술적 기술과 기술적 능력의 향상을 촉진하며, 재정적으로도 실행 가능한 교육 모델이라는 것을 입증하는 강력한 증거 기반을 제공한다.

In summary, the papers included in this review provide a strong evidence base demonstrating that coaching facilitates improvements in surgical skills and technical ability, and is a financially viable model of education.



고찰

DISCUSSION


코칭 프로그램에 대한 엄격한 정량적 연구가 부족하다. 질적 연구는 코치의 개입에 대한 피코치의 인식과 즐거움을 측정하는 것에 주로 한정된다. 그러나 이 문헌 검토에서는 코칭이 수술 오류를 줄이고, 기술 능력 습득을 향상시키며, 시험 성적을 향상시키며, 학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을 식별한다는 것을 입증하는 양질의 데이터를 확인했다.

There is a lack of rigorous quantitative research into medical coaching programmes. Qualitative research is mostly limited to gauging coachees’ perceptions and enjoyment of coaching interventions. However, this literature review has identified good-quality data demonstrating that coaching reduces surgical error, improves technical skill acquisition, improves examination scores, and identifies students who are struggling academically.


현재 검토에서는 코칭 개입으로 인해 환자의 결과가 어떻게 향상되는지를 보여주는 연구를 발견하지 못했다(Kirkpatrick 수준 4). 의료 교육에서 코칭이 새롭게 등장한 것임을 고려할 때, 2008년 이전에 평가된 코칭 개입이 없었기 때문에 환자 결과에 변화를 등록하는 것은 아마도 너무 이른 것 같다. 의료 교육자들은 이제 환자 수준까지, 특히 증거가 가장 취약한 [의사의 웰빙과 비기술적 기술의 영역 내에서의 성과를 추적하는] 양질의 종단적 코칭 프로그램을 확립하는 데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The present review did not identify studies that show how a coaching intervention results in improved outcomes for patients (Kirkpatrick level 4). Considering the newness of coaching within medical education, it is perhaps too early to register the change in patient outcomes; there are no evaluated coaching interventions preceding 2008. Medical educators must now turn their attention towards establishing high-quality longitudinal coaching programmes that follow outcomes up to the patient level, particularly within the realms of physician well-being and non-technical skills, in which the evidence is weakest.


의사의 웰빙와 정서적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코칭하는 것은 특히 시기적절하다. 회복탄력성은 의대생과 의사들의 정신적 고통과 과열을 막는 요소로 언급되어 왔다. 의학 교육 내에서 회복탄력성인 기술을 가르치기 위한 전략이 문학에서 눈에 띄고 있다. 현재, 가장 강력한 증거를 가진 교육학적 접근법은 탄력성 워크숍과 인지 행동 훈련을 사용하는 것을 말하며, 이는 이 검토에서 설명된 대로 웰빙을 향상시키기 위한 코칭 워크샵의 사용에 반향을 일으킨다. 만약 우리가 회복탄력성 훈련을 의학 커리큘럼의 일부로 받아들인다면, 코칭된 프로그램들은 그것의 전달에서 중요할 수 있다.

Enquiries into coaching as a means of improving doctor well-being and emotional resilience are particularly timely. Resilience has been cited as a factor protective against mental distress and burnout in medical students and physicians.48,49 Strategies for teaching resilience skills within medical education are gaining prominence in the literature.50–52 Currently, the pedagogical approach with the strongest evidence refers to the use of resilience workshops and cognitive behavioural training,53 which resonates with the use of coaching workshops to enhance well-being as described in this review. If we embrace resilience training as part of the medical curriculum, coached programmes may be important in its delivery.


비록 이 논문이 의사의 웰빙을 개선하고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는 수단으로서 코칭에 대한 약한 근거만을 발견했을 뿐이지만, 이것은 주로 강력한 개입과 평가가 없기 때문이다. 회복탄력성을 위한 코칭의 힘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엄격한 연구가 필요하다.

Although this paper has only discovered a weak evidence base for coaching as a means of improving doctor well-being and promoting resilience, this is largely attributable to the non- existence of robust interventions and evaluations. Large rigorous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power of coaching for resilience.


코칭은 헌신적이고, 가용하며, 훈련된 교수진을 필요로 하는데, 이는 교수진의 전달에 있어서 물류와 재정적인 장벽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검토에서 많은 논문들은 최소한의 시간과 재정 지출로 코칭 프로그램이 개발된 연구를 언급했다. Hu 등은 1시간 동안의 코칭 세션 후에 수술 능력을 향상시켰고, 콜 등은 10분간의 코칭 세션을 수술 후 기간에 포함시킴으로써 외과의사의 비기술적 기술을 향상시켰다. 따라서 작은 코칭 개입이 환자 안전과 환자 관리를 개선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가능성만으로도 이 영역을 더 연구할 가치가 있다.

Coaching demands a committed, available and trained faculty staff, which may present a logistical and financial barrier to its delivery. However, many of the papers in this review referred to studies in which coaching programmes were developed with minimal time and financial outlay. Hu et al.41 improved surgical ability following a single 1-hour coaching session, and Cole et al.45 improved non- technical skills in surgeons by incorporating 10-minute coaching sessions into the postoperative period. It is therefore likely that small coaching interventions can improve patient safety and patient care; this possibility alone makes the area worthy of further study.


수술실 밖에서 코칭 방법론에 대한 탐구가 부족한 것은 뿌리 깊은 사회적 장애요소를 반영할 수 있다. Mutabdzic et al.54는 코칭 모델에 대한 문화적 장벽으로 개선의 필요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것, 무능해 보이거나 자율성의 상실을 우려하는 것을 꼽았다.

The lack of exploration into coaching methodologies outside the operating room may reflect ingrained social obstacles. Mutabdzic et al.54 identified cultural barriers to the coaching model that included questioning of the need for improvement, worry about appearing incompetent and loss of autonomy.


코치에 대한 피코치의 이해에 대한 추가적인 탐구는 코칭에 대한 '저항'을 드러낼 수 있다. 이것은 회의주의의 결과일 수도 있고, 혹은 무능하다고 인식되거나 교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에 대한 두려움일 수도 있다

Further exploration of coachees’ perceptions of coaching may reveal a ‘resistance’ to coaching, whether as a result of scepticism, or fear of being perceived as incompetent or in need of correction.


[시그니처 교수법]에 관한 연구(전문직의 문화에 맞는 교육 접근법)에서, 슐먼은 서로 다른 직업의 교육 패러다임을 비교함으로써 어떻게 교육 개선 방법을 조명할 수 있는지를 설명한다. 코칭 패러다임과 관련된 다른 분야로부터 교훈을 이끌어내는 것은 의료에서 훈련을 인식하는 방법에 대한 문화적 변화를 수반할 수 있다. 앞서 논의했듯이, 의료 훈련에서 '역량을 갖춤'이라는 언어는 코칭이 다른 영역에서 추구하는 '개인적 최고'와 일치하지 않는다. 음악과 스포츠 훈련에서, 코치는 훈련에 중심적이고 필수적인 것으로 보여지는 반면, 아직 의학 교육 문화 내에서 코치는 핵심 교육자들로 이루어진 팀에 포함되지 않고 있으며, 아직까지는 그들이 해야만 한다는 설득력 있는 증거가 없다.

In his work on signature pedagogies (teaching approaches specific to the culture of the profession in which they are enacted), Shulman describes how comparisons of the teaching paradigms of different professions can illuminate methods of improving education.57 Drawing lessons from other disciplines regarding the coaching paradigm may entail a cultural shift in how we perceive medical training. As discussed previously, the language of ‘competence’ in medical training does not align with the ‘personal best’ that coaching strives to achieve in other domains. In music and sports training, coaches are seen as central and indispensable to training,58 whereas coaches do not yet figure among the core team of educators within the culture of medical education and, as yet, there is no compelling evidence that they should.



장점과 한계

Limitations and strengths


현재의 리뷰는 의학 교육 코칭이 무엇인지, 그것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혹은 어떻게 그것이 가장 잘 구현되거나 전달되는지에 대한 더 이상의 통찰력을 제공하지 않는다.

the current review provides no further insights into what medical educational coaching is, how it works, or how it is best implemented or delivered.



결론

CONCLUSIONS


공공 부문과 기업 부문에서의 코칭 방법에 대한 조사는 우리에게 코칭이 회복력, 자원성, 성찰적 연습 그리고 의사소통 기술과 같은 오늘날의 의사들이 필요로 하는 필수적인 비기술적 기술을 육성하는 측면에서 보람 있는 노력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Examination of coaching methods in the public and corporate sectors tells us that coaching may prove a fruitful endeavour in terms of nurturing the essential non- technical skills required by today’s doctors, such as resilience, resourcefulness, reflective practice and communication skills.



1 Stoddard HA, Borges NJ. A typology of teaching roles and relationships for medical education. Med Teach 2016;38 (3):280–5.



10 Gawande A. Personal best: top athletes and singers have coaches. Should you? The New Yorker 2003. https://www.newyorker.com/magazine/2011/10/03/ personal-best. [Accessed 25 October 2017.]






 2018 Apr;52(4):376-390. doi: 10.1111/medu.13482. Epub 2017 Dec 11.

What do we know about coaching in medical education? A literature review.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Acute Medicine, University College London Hospitals National Health Service (NHS) Foundation Trust, London, UK.

Abstract

CONTEXT:

Coaching has been employed successfully in the competitive sports, professional music, and business and corporate worlds. It is now emerging as a training modality in medical education.

OBJECTIVES:

This paper reviews the current evidence on coaching strategies for doctors and medical students.

METHODS:

An applied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in PubMed, MEDLINE and Web of Science. Predetermined definitions of coachinginterventions and their evaluations were used to narrow 993 papers down to 21, which were included in the final review. The 21 papers were critiqued with reference to validated scoring metrics.

RESULTS:

There are many papers discussing the merits of coaching in the world of medicine, but few evaluations of coaching interventions. Existing coaching methodologies can be broadly summarised into three categories: coaching for doctor/student well-being and resilience; coaching for improved non-technical skills, and coaching for technical skills. Identification of suitable papers for inclusion is complicated by theoretical uncertainty regarding coaching: many papers use the term as a synonym for teaching or mentoring. The strongest evidence for coaching lies in the teaching of technical skills.

CONCLUSIONS:

There is weak- to medium-strength evidence to support coaching as a method of improving doctor well-being and enhancing non-technical skills, although the evidence base is limited as a whole. This review identifies strong evidence to support coachingas a method to improve technical skills. There is great scope for further studies investigating the power of coaching in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PMID:
 
29226349
 
DOI:
 
10.1111/medu.13482

[Indexed for MEDLINE]



의과대학 1학년을 위학 학습지원개입: 문헌 고찰(Med Educ, 2017)

Learning support interventions for Year 1 medical studen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Masego B Kebaetse,1 Maikutlo Kebaetse,2 Gaonyadiwe G Mokone,2 Oathokwa Nkomazana,3 Mpho Mogodi,1

John Wright,2 Rosemary Falama4 & Elizabeth Park5






도입

INTRODUCTION


의대를 통과하는 여행은 길고, 벅차고, 어려울 수 있는 만큼 흥미롭고 보람 있을 수 있다. 이전에 높은 학업 성취와 학습 성공을 거둔 학생도 학습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의대에서는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1 학생들은 능력 있고 준비된 상태로 의대 1학년에 입학하지만, failure로 귀결되는 학문적, 개인적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2 또한, 의대에서 필요한 행동적 속성을 갖추지 않은 채로 입학하는 학생들은 학습 내용 및 학습 기술 둘 다와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3 

The journey through medical school can be as exciting and rewarding as it can be long, daunting and challenging. Even students with prior high academic performance and learning success may experience learning challenges and may struggle during medical school.1 Students may enter the first year of medical school capable and prepared, but may experience academic and personal challenges that lead to failure.2 Additionally, students entering medical school without the necessary behavioural attributes may struggle with both content and learning skills.3 


일반적으로 학부 학위를 취득하고 의대에 들어오는 경우(북미의 경우)와 달리 곧바로 의과대학에 들어오는 학생들은(예: 유럽, 호주, 아시아 및 아프리카에서 일반적으로 대학 교육을 거의 받지 않았거나 받지 않은 학생) 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의 요구와 엄격함이 늦은 사춘기와 이른 성인기의 발달과제와 coupled될 수 있다.4 따라서, 이 의대생들이 직면하는 학습 과제는 훈련의 첫 번째 또는 초기 기간 동안 잠재적으로 더 심각할 수 있다.

For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i.e. students admitted with little or no university education, which is typical in Europe, Australia, Asia and Africa), unlike for graduate medical students, who have normally completed an undergraduate degree (typical in North America), the demands and rigour of the medical education curriculum, coupled with the developmental tasks of late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may pose learning challenges.4 Thus, the learning challenges that confront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may potentially be more acute during the first or early years of training.


의학교육의 어느 단계에서든 학문적 실패의 원인은 학문적 및 비학문적 요인을 모두 포함한다.5 예를 들어, 학업적 실패는 다음에 기인한다

  • 비효율적인 학습 및 학습 기술, 1,6,7 

  • 잘못된 이해 전략,4 

  • 특정 학술 및 내용 분야의 결함, 8,9 

  • 자기 규제 및 인지 능력의 결여,10,11 

  • 자기 주도적 학습으로 전환할 수 없음,12 

  • 탄력성의 결여와 나쁜 스트레스 관리,8 

  • 높은 워크로드를 관리할 수 없음, 8,13 

  • 학생과 학습 환경 사이의 부족한 건강 

  • 개인적인 요소들. 

The causes of academic failure at any stage of first-degree medical training include both academic and non-academic factors.5 For instance, academic failure may arise from 

  • inefficient learning and study skills,1,6,7 

  • poor comprehension strategies,4 

  • deficiencies in specific academic and content areas,8,9 

  • lack of self-regulation and metacognitive skills,10,11 

  • inability to transition to self-directed learning,12 

  • lack of resilience and poor stress management,8 

  • inability to manage a high workload,8,13 

  • poor fit between the student and the learning environment,2 

  • and personal factors.8,14 


또한 학습의 어려움은 다음에 의해 악화될 수 있다. 

  • 자신의 학습 결함을 발견하지 못함

  • 도움을 구하기를 꺼림

Additionally, learning challenges can be precipitated by 

  • students’ inability to identify their own learning deficiencies15,16 and 

  • the reluctance of some medical students to seek help.17 


놀랄 것도 없이, 1학년 의대생들의 10-15%가 학업적으로 고군분투하고 있는데, 이것은 이러한 도전들이 특히 대학 의학 교육에서 첫 해 또는 초창기 동안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Not surprisingly, 10–15% of Year 1 medical students struggle academically,18 which suggests that these challenges may manifest during the first or early years of medical training, particularly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학습 어려움을 경험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학생들은 다시 적절하고 효과적인 학습 지원을 통해 성공할 수 있는 지적 능력을 가지고 있다.19 사실, 많은 의과대학들은 'struggling' 학생들을 위한 교정조치를 포함하여 학습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한다.20,21 Sandars et al.2는 의료 교육에서 학습 지원에 대한 두 가지 주요 접근방식인 부족-대응적 접근법적극적-발달적 접근법을 구별한다.

Despite experiencing learning challenges, most students have the intellect to succeed, again with appropriate and effective learning support.19 In fact, many medical schools offer learning support programmes, including remediation for ‘struggling’ students.20,21 Sandars et al.2 distinguish between two main approaches to learning support in medical education: the deficit-reactive and the proactive-developmental approaches.


부족-대응 접근 방식은 1학년 프로그램의 일부에서 실패한 학생처럼 '위험에 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2 따라서 실패한 학생이 발생할 경우 support가 시작되고, 교정조치에 집중되며, 일반적으로 학습자가 다음 평가를 통과할 수 있도록 테스트, 개입 및 재시험이 포함된다.2 부족-대응 방식의 주요 당면 과제는 다음과 같다. 

  • (i) 낙인이 될 수 있음, 실패로 이어지는 핵심 이슈를 무시할 수 있는 가능성2 

  • (ii) 필요한 발달적 support의 부재, 특히 학부의대생의 경우,2 

  • (iii) 교정 후에도 프로그램 중에 반복되는 실패.20

The deficit-reactive approach targets students who are perceived to be ‘at risk’, such as students who fail part of the Year 1 programme.2 Support is thus triggered by failure, focuses on remediation, and generally includes testing, intervention and retesting to enable learners to pass the next assessment.2 The main challenges of the deficit-reactive approach are: 

  • (i) the labelling of students, which may lead to stigmatisation2,4 and the potential to ignore the core issues that lead to failure2; 

  • (ii) the lack of necessary development support, particularly for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2 and 

  • (iii) repeated failure during the programme even after remediation.20


이와는 대조적으로, 적극적-발달적 접근은 특히 학부 의대 학생들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고, 단지 failure에 대한 재교육 이상을 제공한다2 따라서 학생들은 평생 '학습' 기술을 습득한다.22 Sandars et al.2 는 발달적 학생 지원을 '학력, 개인적 특성 또는 생애 사건과 관계없이 모든 학생의 개인적, 직업적 성장에 중점을 두는 촉진적 접근법'라고 묘사한다. 그러므로, 무엇보다도, 이 접근법은 학습자의 낙인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이 접근방식에서 지원은 정기적으로 제공되고 training의 초반에 시작한다.5

By contrast, the proactive-developmental approach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developmental phase, especially of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and provides more than remediation of failure2; students thus acquire lifelong ‘learning to learn’ skills.22 Sandars et al.2 describe developmental student support as ‘a facilitated approach that has a focus on personal and professional growth for all students, irrespective of academic performance, personal characteristics or life events’. Thus, amongst other things, this approach helps reduce stigmatisation of the learner. Furthermore, in this approach, support is provided regularly and starts early in training.5


(기존에 있었던) 두 리뷰에서, 문헌은 부족-대응 접근법에 초점을 맞췄다. 비록 첫 해나 초반에 개입하는 것이 '고투하는 많은 학생들의 특징인 underperformance의 반복 사이클'를 멈출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제안되었지만, 의학 교육의 학습 지원과 교정조치 노력은 의대 후반부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 대조적으로, 현재 검토는 의과대학 1학년에 집중되고 있다.

In both reviews, the literature focused on the deficit-reactive approach. Although it has been suggested that intervention in the first or early years has the potential to stop the ‘cycle of underperformance that is characteristic of many struggling students’,20 learning support and remediation efforts in medical education tend to place emphasis on the latter years of medical school.20 By contrast, the present review focuses on the first year of medical school.



방법

METHODS


방법론적 프레임워크

Methodological framework


우리는 새로운 주제를 식별하기 위해 체계적인 검토의 강력한 프로세스 중 일부를 풍부하고 귀납적이며 분석적인 질적 연구 성격과 결합하여 비체계적 주제적(또는 비판적 통합 또는 비판적) 검토를 수행했다. 우리의 의도는 선택된 간행물에서 발견되는 경향과 주제를 유도적으로 분류하고 조사하는 것이었다. 우리는 알려진 것, 지식의 차이, 그리고 여전히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문헌을 광범위하게 고려했고, 문학으로부터 '개념적 기여'를 도출하려고 했다.

We conducted a non-systematic, thematic (or critical synthesis or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by combining some of the robust processes of a systematic review with the rich, inductive, analytic nature of qualitative research to identify emerging themes.23–25 Our intent was to inductively categorise and examine trends and themes found in the selected publications.24,25 We considered the literature broadly in a process that included identifying what is known, gaps in knowledge and what still needs to be considered,25 and sought to derive a ‘conceptual contribution’ fromthe literature.23


우리는 검토, 협업, 목적 표본 추출의 목적을 명확히 하고 방법론적 엄격함을 보장하기 위한 대안적 관점을 고려하는 것과 같은 질적 연구의 원칙에 주의를 기울이려고 노력해왔다.24 현재 검토는 '과거 이 분야의 다른 모든 연구자와 학자들이 보여주거나 말한 것을 단순히 비유하는 것이 아니라, 오래된 문제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려고 한다.'25

We have attempted to pay attention to the principles of qualitative research, such as by clarifying the purpose of the review, collaboration, purposeful sampling and considering alternative perspectives to ensure methodological rigour.24 The current review attempts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to an old problem, rather than simply paraphrasing what all other researchers and scholars in the field have shown or said in the past’.25


Data searching and mining


Data analysis and synthesis



결과

RESULTS


26개 문헌

After multiple reviews of titles, abstracts and full texts, 26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73 and 2016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Fig. 1).


연구 특징

Study characteristics


Thirteen articles were published during 1973–1999,3,8,14,17,30–38 

four articles during 2000–2009,39–42 and 

nine articles during 2010–2016.11–13,43–48 


Sixteen articles came from the USA3,8,13,14,17,30,31,33–39,41,43 and the rest from Australia,40 Canada,32 Dominica,11,46 Germany,47 India,45 the Netherlands,48 South Africa42,44 and the UK.12 Of the 16 US articles, 12 were published prior to 20003,8,14,17,30,31,33–38 and 7 of these 12 articles focused primarily on minority and disadvantaged students.13,30,31,33–35,37


개입 접근법

Intervention approaches


학습지원에 대한 접근법은 세 가지 방식으로 개념화 된 것 같다. 

    • 첫째, 사후 대응적 부족 접근에서 학습 지원은 일단 실패했을 때 학생들에게 교정조치 형태로 제공된다. 

    • 둘째, 사전 예방적 결함 접근에서 학습 지원은 실패하기 전에 결손을 본 것으로 인식되는 특정 학생 집단에 제공된다.13,17,30–32,34–37 

    • 마지막으로, 사전 예방적 발달 접근방식에서는 학습 및 개발 지원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모든 학생에게 학습 지원을 제공한다.12,38–45,47

The approach to learning support seems to be conceptualised in three ways. 

    • Firstly, in the reactive-deficit approach, learning support is provided in the form of remediation to students once they have failed.8,11,14,33,48 

    • Secondly, in the proactive-deficit approach, learning support is provided to a specific group of students perceived to have a deficit prior to failure.13,17,30–32,34–37 

    • Finally, in the proactive-developmental approach, learning support is provided to all students as a way of providing learning and development support.12,38–45,47


개입 영역

Area of intervention


내용 지식, 학문적 성공 기술, 개인 및 전문 기술, 프로그램 관련 요소를 포함한 몇 가지 분야에 집중하는 것으로 보인다.

Interventions seem to focus on several areas, including content knowledge, academic success skills, personal and professional skills, and programme-related elements.


Intervention strategies



Intervention duration


Intervention outcomes


고찰

DISCUSSION


중재: 

  • (i) 사전 예방적 결함, 사후 대응적 결함 및 사전 발달적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 

  • (ii) 콘텐츠 지식, 학문적 성공 기술, 개인 및 전문 기술, 프로그램 관련 요소 

  • (iii) 교수-촉진, 동료-촉진, 지원 인력-촉진, 경험적 배치, 자가 학습, 부담-감소 전략

  • (iv) 5주부터 2년까지 지속 기간이 다양하다. 

  • (v) 일반적으로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The interventions: 

  • (i) used proactive-deficit, reactive-deficit and proactive-developmental approaches; 

  • (ii) addressed content knowledge, academic success skills, personal and professional skills, and programme-related elements; 

  • (iii) utilised faculty staff-facilitated, peer-facilitated, support staff-facilitated, experiential placement, self-study and reduced-load strategies; 

  • (iv) varied in duration from 5 weeks to 2 years, and 

  • (v) generally showed positive results.


proactive-deficit 접근은 주로 노예제도, 제도화된 인종차별주의, 그리고 인종차별정책으로 야기된 불평등을 바로잡으려는 의도가 있는 미국과 남아프리카의 개입 프로그램의 특징이다. 이러한 연구는 소수 집단과 사회 경제적 혜택 받지 못한 학생들이 의료 교육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 준비 프로그램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접근법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소수 집단과 역사적으로 불리한 집단들에 대한 개입의 narrow focus는 제한적이다.

The proactive-deficit approach is mostly characteristic of US and South African intervention programmes, in which the intent seemed to be to redress the inequities created by slavery and institutionalised racism (USA) and apartheid (South Africa). These studies tend to focus on preparatory programmes that help minority and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students gain access to medical education. Despite the merits of this approach, it is limited because of the narrow focus of the interventions on minority and historically disadvantaged groups.


reactive-deficit 접근도 한계까 있다. 더욱이,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막는 대신, 문제가 발생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은 spending 증가, 프로그램 완성 지연, 그리고 정서적 고갈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 모든 것은 학생과 기관 모두에게 영향을 미친다.

The reactive-deficit approach too has limitations,2,4,20 as previously stated. Furthermore, waiting for a problem to occur rather than preventing it from occurring may result in increased spending, delayed programme completion and emotional drain, all of which affect both the student and the institution.


대조적으로, proactive-developmental 접근법특정 학습과 개발 기술을 다루는 경향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자기 주도적 학습의 개발과 같은 일부 교육 또는 개발 이론에 기초한다. 우리는 이것이 다른 두 가지 접근법의 단점을 해결한다는 점에서 이것이 선호되는 접근법이라고 가정한다. 비록 모든 개입 접근법에 비용이 고려되어야 하고, 모든 학습자들을 지원하는 것이 더 비용이 많이 드는 것으로 보일지라도, 우리는 의대를 통해 습득한 기술, 태도, 습관이 평생 의사들과 함께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예방이 치료보다 낫다는 것을 제안한다.

By contrast, the proactive-developmental approach tends to address specific learning and developmental skills, and is generally grounded in some educational or developmental theory, such as the develop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We posit that this is a preferred approach in that it addresses the shortcomings of the other two approaches. Although cost is a factor to be considered in all intervention approaches, and it may appear to be more costly to support all learners, we suggest that prevention is better than cure as skills, attitudes and habits acquired through medical schools are likely to stay with doctors throughout their careers.


개입 영역이 광범위하고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의 성공과 관련이 있는 경우, 콘텐츠 지식에 traditionally or prematurely focus된 프로그램은 그 효과성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Given that the areas of intervention were broad and generally associated with some degree of success, programmes that traditionally or prematurely focus on content knowledge may be limited in their effectiveness.


비록 어떤 경우에는 개입이 독립 프로그램으로서 제안되었지만, 우리의 연구 결과는 개입이 관련 subject matter에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더 이로울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Although in some cases the intervention was offered as a stand-alone programme, our findings suggest that it may be more beneficial for the intervention to be embedded in the relevant subject matter.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는 데는 다양한 개입 전략이 사용되었다. 놀랍게도, 우리의 검토에서 오직 한 가지 연구만이 reduced-load 전략을 채택했다. 주로 의과대학 1학년에 높은 workload가 주요 스트레스와 failure의 원임임에도 그러했다.

A variety of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used with some degree of success. Surprisingly, only one study in our review employed the reduced-load strategy,14 despite the fact that high workload is well known to be a major cause of stress and failure in medical school,8 especially during or beginning in the first year.


부담을 줄이는 것은 특히 언어, 문화, 사회 경제적 요인에 의해 불이익을 받을 수 있는 개발도상국의 학생들을 조정할 수 있는 시간을 줄 것을 제안한다. 프로그램 기간을 연장하는 것 외에도, 14,50은 가능한 한 많은 기초 과학을 premedical program으로 옮겨서 의과대학 교육과정을 재편성하는 또 다른 가능한 부하 감소 전략이다.

We suggest that reducing the load may allow these students time to adjust, particularly those from developing countries, who may be disadvantaged by language, cultural and socio-economic factors, among others. In addition to lengthening programme duration,14,50 reorganising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by moving as much of the basic sciences as possible to the pre-medical programme is another possible load-reduction strategy.


현재의 연구결과는 intervention의 dose가 중요하고, 대규모 그룹 기반 및 단기 개입은 marginal performance를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자기 조절 및 사고 방식을 개발하는 데 비효율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46 또한 dose와 관련이 있다. 단계적으로 개입이 적어도 한 학기가 길면 콘텐츠 지식 이득의 지속성이 더 큰 것 같다.11,36,38 상대적으로 긴 지속 기간이 짧은 기간보다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이러한 개입은 하룻밤 사이에 쉽게 변하지 않을 수 있는 이미 장기간에 걸쳐 확립된 습관과 결함을 바꾸려고 하기 때문이다.

The present findings seem to suggest that the dose of the intervention matters, and that large group-based and short-duration interventions are likely to be ineffective in developing self-regulation and the thinking dispositions required to turn around a marginal performance.46 Also related to dose is the persistence of results beyond the intervention phase. It seems that the persistence of content knowledge gains is greater when interventions are at least one semester long.11,36,38 We think that relatively long durations are more likely to be effective than short durations because often the intervention seeks to change long-term, entrenched habits and deficiencies that may not change overnight.


검토 결과는 일반적으로 등록률, 학업성취도, 유지율 및 완성률이 향상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학생들에게서 자기효능의 상실과 심화학습 표면학습 전략으로의 전환을 보여준 한 연구는 의과대학 프로그램의 전형적인 밀집된 교과 과정이 부정적인 결과의 주요 원인이라는 것을 보여준다.40

The findings of the review generally show improved enrolment, academic performance, retention and completion rates. However, one study that showed a loss of self-efficacy in students and a shift from deep- to surface-learning strategies suggests that a dense curriculum, typical of a medical degree programme, is a major reason for the negative outcome.40


부하와 같은 외부 요인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학습 능력과 콘텐츠 지식을 다루는 것은 비효율적인 학습 전략(예: 표면 학습)을 채택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은 부하를 줄이거나 최소한 그것에 주의 깊게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포괄적인 전략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support한다. 비록 1학년 학생들에게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지만, 많은 학교들이 실제로 감소하는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50–53

Addressing learning skills and content knowledge without paying attention to external factors such as load may result in students adopting in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e.g. surface learning). This view lends support to the notion that reducing the load, or, at minimum, paying close attention to it, should be part of a comprehensive strategy. Although not specific to Year 1 students, a number of schools have indeed adopted a reduced-load strategy.50–53


전반적으로, 현재 검토 결과, 2000년 이전에는 출판물이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보고서(n = 13)를 나타내고, 그 이후에는 주로 개입 전 설계와 통제 그룹(n = 9)을 사용한 정량적 연구를 설명하였다.

Overall, the present review shows that prior to 2000, publications generally represented programme reports (n = 13), and, thereafter, described primarily quantitative studies that used pre-and post-intervention designs and control groups (n = 9).


그러므로, 개입은 종종 학생들이 무엇을 왜 고군분투하고 있는지에 대한 경험적 이해를 통해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Thus, it appears that interventions are often not explicitly informed by empirical understanding of what students are struggling with and why.



1학년의 학습 서포트 프레임워크

A potential framework for Year 1 undergraduate learning support


학습 지원과 교정조치가 교직원들에게 부담을 줄 수 있지만, 5,20,54개의 실패와 예방되지 않은 학습자 부족이 학생과 기관에 커다란 재정적, 정서적 비용을 초래할 수 있다. 2,20,21년, 우리는 1년 전 지원을 제공하는 3단계 학습 지원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g 1년 후 및 1년 후(그림 2). 우리는 이 제안이 '학계 및 행동 지원의 연속체'를 위한 틀을 넓힐 것을 제안한다.55

Although learning support and remediation may place a burden on faculty staff,5,20,54 failure and unmitigated learner deficits can come at great financial and emotional costs to students and the institution,2,20 not to mention compromised patient safety.20,21 We propose a three-phase learning support framework that provides support pre-Year 1, during Year 1 and post-Year 1 (Fig. 2). We suggest that this proposal will broaden the framework for the ‘continuumof academic and behavioural support’.55


1학년 전

Pre-Year 1


의과대학은 일반적으로 학업에 매우 성공한 학생들을 인정하지만, 이러한 학생들도 훈련 중에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다. 일부 challenge가 평생 습관과 결손에 기인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학생들이 초등교육과 중등교육 중에 이러한 경향의 일부를 획득한다고 가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Although medical schools generally admit highly academically successful students, even these students can face challenges during training. Given that some of the challenges are attributable to lifelong habits and deficits,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students acquire some of these tendencies during their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이러한 이유로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i) 사전 교육을 통해 학문적 및 비학문적 기술의 획득을 촉진해야 한다. 

(ii) 교사 연수는 교사가 이러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준비해야 한다. 

(iii) 교육 정책 및 커리큘럼(예: 학습자 중심 교육의 촉진) 변경이 필요할 수 있다.

For this reason, we suggest that: 

(i) the acquisition of both academic and non-academic skills should be promoted throughout pre-university education; 

(ii) teacher training should intentionally equip teachers to impart these skills, and 

(iii) educational policy and curricular (e.g. promoting learner-centred teaching) changes may be required.


1학년 기간 중

During Year 1


학부 의대생들은 성인으로 전환하고, 아직 가지고 있지 않을지도 모르는 학습 능력을 요구하는 학습 환경에 진입하고, 전문적 정체성 형성을 협상하는 등 도전적인 삶의 단계에 직면해 있다. 이 시점에서 학생들은 학업 실패와 행동적 어려움을 예방하기 위해 학습 및 개인 발달 지원이 필요하며, 이러한 지원은 성공할 수 있다.255–57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face a challenging life phase that involves transitioning into adulthood, entering a learning environment that requires learning skills they may not already possess, and negotiating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t is at this point of transition that students need learning and personal development support to prevent academic failure and behavioural challenges, such that they are enabled to succeed.2,55–57


1학년 의대생들이 직면한 다양한 과도기적 과제를 고려할 때, 우리는 다음과 같은 학습 지원을 제안한다. 

    • (i) 모든 학생에게 지원을 제공한다(즉, 보편화). 

    • (ii) 1년의 기간을 포함하며, 커리큘럼에 포함되어 있다. 

    • (iii) 학습 지원과 개인 및 전문가 형성(발달적 지원)을 모두 포함한다. 

    • (iv) 위험에 처한 학생들의 조기 감지를 포함하며, 그룹 및 개별 교정 조치를 제공한다. 

    • (v) 출구 전략을 포함해야 한다.


Given the various transitional challenges faced by Year 1 medical students, we propose the provision of learning support that: 

    • (i) provides support to all students (i.e. is universal); 

    • (ii) covers the duration of Year 1 and is embedded in the curriculum; 

    • (iii) includes both learning support and personal and professional formation (development support); 

    • (iv) includes the early detection of at-risk students and provides for group and individual remediation, and 

    • (v) includes an exit strategy.



1학년 이후

Post-Year 1


학습의 어려움은 종종 1년을 넘어 지속되고 새로운 또는 추가의 도전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지원은 첫 해 이후부터 필요하다.

Because learning challenges often persist beyond Year 1 and new or additional challenges may arise, support is required beyond the first year.


2 Sandars J, Patel R, Steele H, McAreavey M, Association for Medical Education in Europe. Developmental student support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MEE Guide No. 92. Med Teach 2014;36 (12):1015–26.








 2018 Mar;52(3):263-273. doi: 10.1111/medu.13465. Epub 2017 Oct 23.

Learning support interventions for Year 1 medical studen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Botswana Faculty of Medicine, Gaborone, Botswana.
2
Department of Biomedical Sciences, University of Botswana Faculty of Medicine, Gaborone, Botswana.
3
Department of Surgery, University of Botswana Faculty of Medicine, Gaborone, Botswana.
4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anye Seventh-Day Adventist Hospital, Kanye, Botswana.
5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New York-Presbyterian Hospital/Weill Cornell Medical Centre, New York, New York, USA.

Abstract

CONTEXT:

The journey through medical school can be challenging, especially for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who must deal with a demanding curriculum, coupled with the demands of transitioning into adulthood. Despite experiencing learning challenges, most studentssucceed with appropriate learning support. Many medical schools offer learning support programmes, particularly in the latter years, but it has been suggested that such support could be more beneficial, especially during the initial years.

OBJECTIVES:

This review explores learning support intervention programmes used to address learning challenges and deficits in the first year of medical school. Additionally, we propose a potential framework for supporting learning during the first year of medical school.

METHODS:

We searched PubMed, Web of Science, MEDLINE, CINAHL (Cumulative Index to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 ERIC (Educational Resources Information Centre), Academic Search Premier and Google Scholar using the search terms 'learning support', 'learning challenge', 'remediation', 'change', 'medical education' and 'first year'. We developed and used a review matrix to record the main elements of each article. We also coded the matrix to identify emerging themes.

RESULTS:

The main themes that emerged from the study were 'intervention approaches', 'area of intervention', 'intervention strategies', 'intervention dose' and 'intervention outcomes'.

INTERVENTIONS:

(i) used proactive-deficit, reactive-deficit and proactive-developmental approaches; (ii) addressed content knowledge, academic success skills, personal and professional skills and programme-related elements; (iii) utilised faculty staff-facilitated, peer-facilitated, support staff-facilitated, experiential placement, self-study and reduced-load strategies; (iv) varied in length from 5 weeks to 2 years, and (v) generally showed positive results.

CONCLUSIONS:

This review has identified the main components of learning support interventions used for Year 1 medical studentsInterventions, however, are generally not grounded on empirical assessment that elucidates the nature of the challenges faced by students. Future research should provide empirical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challenges to be addressed.

Comment in

PMID:
 
29058332
 
DOI:
 
10.1111/medu.13465


의학교육에서 거꾸로교실의 효과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Med Educ, 2017)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flipped classrooms in medical education

Fei Chen,1 Angela M Lui2 & Susan M Martinelli1



도입

INTRODUCTION


최근 전통적인 강의 방식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높은 수준의 사고와 적극적인 참여를 장려하는 다른 교육적 접근법으로 전환하라는 요구가 제기되었다.1 이러한 접근 중 많은 관심을 받은 것은 학생들이 독립적으로 배울 수 있도록 하는 뒤집힌 교실이다. 필수 숙제로써 기본 개념들, 그리고 이것을 얻은 지식을 수업 시간 동안 사용하여 비판적 사고 기회와 지식의 적용에 관여한다. FC라는 용어는 2012년에 만들어졌고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었다.3 FC는 교실 밖에서 독립적인 학습과 기술 사용의 통합을 촉진하고, 학습자 중심의 활동4 및 보다 효율적인 학생-교사 상호 작용을 촉진할 것을 제안한다.5

There has been a recent call for a shift in medical education away from the traditional lecture approach and toward other instructional approaches that encourage higher-order thinking and active participation from students.1 One such approach that has received much attention is the flipped classroom (FC), which allows students to independently learn foundational concepts as required homework, and then use this gained knowledge during class time to engage in critical thinking opportunities and application of knowledge. The term FC was coined in 20122 and has gained popularity worldwide.3 It is suggested that the FC promotes the integration of independent learning and use of technology outside the classroom, and learner-centred activities4 and more efficient student–teacher interactions inside the classroom.5


전통적인 교실에서는, 기초지식이 강사들에 의해 전달되는 강의를 통해 수동적으로 학생들에게 전달된다. 강의가 끝난 후, 학생들은 이 지식을 교실 밖에서 사용하고 적용한다.

In a traditional classroom, foundational knowledge is passively transferred to students during class through the means of a lecture delivered by instructors. Following the lecture, students use and apply this knowledge outside the classroom setting.


FC의 일반적인 정의는 교실 안과 밖에서 완료된 작업이 전통적인 교실에서 발생하는 것과 반대되는 접근방식이다. 

  • 기초지식은 수업 전에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통해 습득된다. 

  • 지식 응용과 문제 해결은 교관 중심의 학습 위주의 활동을 통해 교실 내에서 이루어진다. 

이 일반적인 정의는 광범위하여 강의실 내부 및 외부의 활동 이행의 가변성을 허용한다.8 

The general definition of the FC is an approach in which the tasks completed inside and outside of the classroom are opposite to what occurs in a traditional classroom. 

  • Foundational knowledge is gained by students through self-paced learning prior to class. 

  • Knowledge application and problem solving then occur inside the classroom through instructor-facilitated learner-centered activities.4,6,7 

This general definition is broad, allowing for variability in the implementation of activities inside and outside the classroom.8 


보건과학 교육 분야에서 FC의 사용에 관한 문헌은 지난 몇 년 동안 발전해 왔다. 그러나 이 일의 대부분은 약국과 간호에서 수행되었다.9–20

The body of literature on the use of the FC in the field of health science education has grown over the past several years. However, the majority of this work was carried out in pharmacy and nursing.9–20


보건과학 분야의 대부분의 연구는 FCs.5,6,9,23에 대한 학습자 선호를 입증했지만, 긍정적인 태도만으로는 교사들이 의료 교육에서 FC 접근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충분한 설득력 있는 증거가 될 수 없다. 전통적으로 의대 전반부에 이용되었던 비임상 강의실 및 실험실 기반 교육 환경은 다른 건강 직업과 유사할 수 있지만, 이러한 학습 환경은 의학교육 환경 전반(UME, GME, CPD)으로 보면 단연 minority에 해당한다.

Most studies in the health sciences demonstrated learner preference for FCs.5,6,9,23 However, positive attitudes alone may not be sufficiently compelling evidence for teachers to convert to an FC approach in medical education. Although the non-clinical classroom and laboratory-based educational environment traditionally utilised in the first half of medical school may be similar to other health professions, this learning environment is by far in the minority in the overall (undergraduate, graduate and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setting.


비록 의학 교육에서 FC의 사용을 전반적으로 수용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일부 논평들은 FC의 구현과 그 효과에 대한 강력한 증거 부족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고 있으며, 따라서 그러한 25-28 교육 개혁의 비용 대 편익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우려는 의학 교육에서 FC의 학습 성과에 초점을 맞춘 연구를 필요로 한다.

Although there appears to be overall acceptance of the use of the FC in medical education, some commentaries have raised concerns about its implementation and the lack of strong evidence for its effectiveness, and therefore question the cost versus benefits of such 25–28 educational reform. These concerns call for research focusing on the learning outcomes of FCs in medical education.


우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 질문에 답하고자 했다. 

  • (i) 의료 교육에서 FC에 발표된 연구의 범위는? 

  • (ii) 조사된 연구의 연구 품질은 무엇인가? 

  • (iii) 통제된 연구에서 보고한 FC의 영향은?

We sought to answer three research questions: 

  • (i) What is the scope of the studies that have been published on FCs in medical education? 

  • (ii) What is the research quality of the studies examined? 

  • (iii) What are the effects of the FC, as reported by controlled studies?






METHOD


Literature search


Review procedure


Figure 1 summarises the review process and count of articles after each stage.


The first two authors screened the articles according to the inclusion criteria (see Table 1).







결과

RESULTS


의학교육에서 출판된 FC논문 

The scope of published studies on the FC in medical education


국가

Countries of study


Although over half of the 46 articles (n = 25) were focused on medical education in the USA, the concept of the FC in medical education has travelled internationally. The UK (n = 5), Canada (n = 3), Hong Kong (n = 2) and India (n = 2) produced multiple articles. Other countries and regions represented within this body of articles included France, Germany, Israel, New Zealand, Pakistan and Singapore.


전공

Area of specialties


There were 17 distinct medical specialties studied across the 46 articles.


교육단계

Level of medical education


Our search included all 4 years of medical school (including preclinical and clerkship), residency and fellowship.



출판된 논문의 퀄리티

The quality of published studies on FC in medical education


발표된 논문의 품질은 연구 유형 또는 설계 및 사용된 효과의 측정을 포함하여 사용된 방법론에 따라 평가되었다. Boet et al.29에서 설명한 범주를 사용하여 연구를 코드화했다.


The quality of the published articles was evaluated based on the methodology used, including the study type or design and the measure of effectiveness used. Categories described by Boet et al.29 were used to code the studies.


연구 종류

Type of study


46개의 기사에는 13개의 논평, 9개의 통제된 연구, 8개의 행동 연구, 8개의 과정 후 설계 연구, 2개의 연구 전과 후 및 2개의 문헌 검토가 포함되었다. 네 가지 연구는 과정 후 평가와 함께 연구 전후의 설계를 사용했다.

The 46 articles included 13 commentaries, nine controlled studies, eight action research studies, eight post-course design studies, two before and after studies and two literature reviews. Four studies used a before and after study design in conjunction with a post-course survey.


9개의 통제된 연구를 자세히 조사한 결과 이들 연구 중 4개가 설계 전후에 통제된 것을 사용했다(부록 S1 참조). 즉, 이러한 연구는 개입이 시행되기 전후에 치료(FC)와 통제(전통적인 강의) 그룹 모두를 조사했다.

A closer examination of the nine controlled studies showed that four of these studies used a controlled before and after design (see Appendix S1). That is, these studies examined both the treatment (FC) and control (traditional lecture) group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효과 척도

Measures of effectiveness


본 연구의 효과성 측정은 ....

The studies’ measures of effectiveness were evaluated based on a modified version of Kirkpatrick’s framework29,30 with six levels of classification of intervention outcome: 

(1) perceptions of intervention, 

(2a) changes in attitude, 

(2b) changes in knowledge and skills, 

(3) changes in behaviours, 

(4a) changes in professional practice or 

(4b) changes in patient outcome. 


전반적으로 46개 기사 중 18개는 중재 결과를 보고하지 않았다.

Overall, 18 of the 46 articles did not report the intervention outcomes.


FC의 효과

The effects of FC


학습에 대한 FC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제어된 설계를 채택한 9개의 연구가 추가 분석을 위해 선택되었다. 이러한 각 연구의 요약은 표 3에 제시되어 있다.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FC on learning, the nine studies that employed a controlled design were selected for further analyses. Summaries of each of these studies are provided in Table 3.


FC에 대한 인식

Perceptions of FC


6개의 통제된 연구는 직접 FC 노출 이후 기간 또는 과정의 종료 시 관리되는 자체 보고 설문조사를 사용하여 FC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평가했다.

    •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자기 진행식 학습을 위한 리소스(예: 비디오 및 슬라이드)에 쉽게 액세스할 수 있기 때문에 온라인 모듈의 유용성, 특히 접근 방식에 만족했다.

    • 학생들은 또한 수업에서의 학생 참여를 증가시키는 중요한 동기부여 요소였기 때문에, 수업내 세션을 강화시키는 inclass 퀴즈와 숙제, 문제 해결 연습에 만족했다.23

Six controlled studies assesse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FC using self-reported surveys administered at the conclusion of a term or course following firsthand FC exposure.3,23,33–36 

    • Stu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approach, particularly the usefulness of the online modules,3 because of easy access to resources (e.g. videos and slides) for self-paced learning.33 

    • Students were also satisfied with the inclass quizzes and homework problem-solving practices that reinforced the in-class sessions, as they were critical motivating factors that increased student engagement in class.23


FC이후 태도변화

Attitude changes after using the FC


세 가지 연구는 FC,33,35,36에 노출되어 긍정적인 변화를 보고한 학생들의 태도를 추적했다.

Three studies tracked students’ attitudes following exposure to the FC,33,35,36 all reporting positive changes.


지식, 기술, 태도 변화

Knowledge, skill and behaviour changes with the FC curriculum


지식과 기술의 변화는 결과 변수로써 모든 3,23,33–39개의 통제된 연구에서 평가되었다. FC와 전통적인 강의 교수 접근법으로 학생들의 지식과 기술의 변화를 조사하는 연구는 혼합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일부는 긍정적인 결과를 초래했고 다른 일부는 무시할 만한 차이를 낳았다(표 3).

Changes in knowledge and skill were assessed in all 3,23,33–39 nine controlled studies as outcome variables. Studies examining students’ changes in knowledge and skill with the FC versus the traditional lecture teaching approach revealed mixed results; some resulted in positive findings and others resulted in negligible differences (Table 3).


또한, 이 네 가지 연구 중 Hiitz 외만이 학습자의 compliance 수준을 기록하고, FC 프로토콜에 대한 non-compliance 문제(즉, 31.1% 미준수)를 보고하였다. 그렇게 함으로써 FC의 진짜 효과에 대한 finding을 compromise하였다.

Furthermore, among these four studies, only Heitz et al. documented learners’ level of compliance with the treatment and reported the issue of non-compliance with the FC protocol (i.e. 31.1% non-compliance), thereby compromising findings of the true effects of the FC.


고찰

DISCUSSION


이 문헌 리뷰는 의학 교육에서 FC에 대한 연구의 현재 상태에 대한 네 가지 주요 연구 결과를 강조한다. 

  • 첫째, 최근 이 분야의 출판률이 증가하면서 의학 교육에서 FC를 평가하는 작업이 탄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둘째, FC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은 일관성이 없어서, 일부 이익이 된다고 알려진 것과 전통적인 교수법에 비해 무시할 수 있는 개선만 보고된 것이 혼재한다.

  • 셋째, 학생들은 FC 교수법을 좋아한다. 전반적으로, FC는 특히 학생들의 동기부여, 과업가치 및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라면, 의학 교육에서 유망한 교수법 접근법으로 보인다. 

  • 그러나 대부분의 통제된 연구는 개입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지식 및 기술의 변화에 초점을 맞춘 반면, 커크패트릭의 높은 수준의 분류(즉, 행동 변화, 전문적 관행 및 환자 결과)에 대해 보고된 것은 제한적이다.

This literature review highlights four key findings on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the FC in medical education. 

  • First, work evaluating the FC in medical education appears to be gaining momentum as there have been recent increases in the publication rate in this field. 

  • Second, the effects of the FC on learning are inconsistent, with some purported benefits and some reports of negligible improvement over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 Third, students like the FC teaching method. Overall, the FC seems a promising teaching approach in medical education, particularly when the intent is to increase students’ motivation, task value and engagement. 

  • However, most of the controlled studies focused on learners’ perceptions of the intervention and changes in their knowledge and skills, whereas limited outcomes were reported on the higher level of Kirkpatrick’s classification (i.e. changes in behaviour, professional practice and patient outcome).


우리의 체계적 검토는 지난 2년 동안 의학 교육에서 FC에 대한 연구의 양과 질이 모두 증가했다는 것을 발견했다.

Our systematic review found an increase in both the quantity and the quality of research on the FC in medical education in the past 2 years.


이는 의학 교육에서 FC에 관한 문헌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엄격한 연구 디자인을 사용하여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의료 교육에서 FC를 사용하기 위한 강력한 경험적 기반을 개발하기 위해 이 궤적을 계속해야 한다.

This suggests that the body of literature on the FC in medical education is not only continuing to grow, but is also being conducted using more rigorous research designs. This trajectory must continue in order to develop a strong empirical basis for (or against) the use of the FC in medical education.


전통적인 학습 방법과 비교하여 FC를 이용할 때 많은 연구들이 지식과 기술 집합의 증가를 조사했으며, 그 중 4개만이 효과 크기를 계산할 수 있는 충분한 통계를 제공했다. FC의 효과는 일반적으로 혼합되었고 확실하지 않았다. 이 분야에서 향후 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한 가지 요인은 Heitz et al.,34에서 알 수 있듯이, 연구의 비준수 그룹이 상당히 상당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FC 요건(즉, 수업 중 세션 전에 배정된 준비 작업을 완료했는가)을 준수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FC 요구 사항을 준수하는지 여부가 (전통적인 교실과 비교했을 때) 지식과 기술의 차이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A number of studies examined gain in knowledge and skill sets when utilising the FC compared with traditional learning methods, only four of which provided sufficient statistics for effect sizes to be calculated. The effects of the FC were generally mixed and inconclusive. One factor that might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in future research in this area is students’ compliance with the FC requirements (i.e. did the students complete the assigned preparatory work before the in-class session) because, as indicated by Heitz et al.,34 the non-compliant group in their study was quite substantial (31%). Ultimately, students’ compliance with FC requirements might drastically affect differential gains in knowledge and skill sets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classroom.


여러 연구들이 FC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태도를 평가했는데, 이것은 일반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Multiple studies evaluated students’ perceptions of and attitudes toward the FC, which were generally found to be positive.


학생들이 FC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이 테크닉이 최소한 지식과 기술 집합 습득에 관해서는 전통적인 학습 방법만큼 성공적인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FC는 의료 교육의 구성요소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As students demonstrated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FC and the technique was found to be at least as successful as traditional learning methods with regards to knowledge and skill set acquisition, it follows that the FC could be considered as a component of medical education.


의료 교육에서 FC의 사용을 더욱 확고히 지지(또는 반박)하기 위해서는 Kirkpatrick의 프레임워크의 더 높은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향후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

In order to more firmly support (or refute) the use of the FC in medical education, future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higher levels of Kirkpatrick’s framework.


이 분야의 대부분의 작업은 학부 의대에서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GME까지 일반적일지는 불확실하다. 이것은 특히 이 시기는 교실과 실험실 기반 기초 과학 교육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의과대학 전임상 시기에 수행된 연구에 적용된다.

The majority of work in this area has been carried out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t is unclear if these findings would be generalisable to graduate medical education. This especially holds true for the research carried out in the preclinical years of medical school as this period tends to focus on classroom and laboratory-based foundational science education.


독립적인 변수로서 그리고 학생 지식의 변화의 moderator로서 태도 변화는 검토할 가치가 있을 수 있다. 지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의 많은 부분은 지식 습득을 검토했다. 궁극적으로, 이 지식의 보존과 전달retention and transfer을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Changes in attitudes,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moderator of change in student knowledge, could be worthy of examination. Much of the work on change in knowledge has examined knowledge acquisition. Ultimately, it would be helpful to look at knowledge retention and transfer of this knowledge


연구의 유효성을 강화하기 위해, 향후 조사는 개입의 영향을 잠재적으로 교란시킬 수 있는 상황적 변수에 대한 통제를 고려해야 한다.

In order to strengthen the validity of studies, future investigations should also consider controlling for contextual variables that might be potentially confounding the impact of interventions.


예를 들어, 무료 개방형 액세스 의약품 교육(FOAM)에 대한 노출이 증가하고 있다.2 이러한 공유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자원을 통해, FC와 기존 학습 간의 직접 비교의 타당성이 훼손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FC와 전통적인 강의 접근법 양쪽의 학생들이 모두 FOAM 교육에 참여한다면 FC 접근법의 진정한 효과는 약화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re is a rising exposure to free open access medication education (FOAM).2 With these shared and easily accessible resources, the validity of any direct comparisons between the FC and traditional learning could be compromised. In other words, the true effects of the FC approach might be attenuated if students in both FC and traditional lecture approaches are engaged in FOAM education.


마지막으로, 시간적 요인(예: 수업 시간, 수업 외 시간, 임상 작업 시간, 개인 시간)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FC의 영향에 대한 현재의 경험적 연구는 아직 이것들을 변수로 검토하지 않았다. 이것은 또 다른 가능한 다음 단계다.

Finally, it is important to take the temporal factors (e.g. time spent in class, outside of class and in clinical work, and personal time) into consideration. Current empirical studies on the effects of the FC have yet to examine these as variables. This is another possible next step.


CONCLUSIONS








 2017 Jun;51(6):585-597. doi: 10.1111/medu.13272.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flipped classrooms in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Chapel Hill, North Carolina, USA.
2
University at Albany,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lbany, New York, USA.

Abstract

CONTEXT:

There are inconsistent claims made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flipped classroom (FC) in medical education; however, the quality of the empirical evidence used to back up these claims is not evident. The aims of this review are to examine the scope and quality of studies on the FC teaching approach in medical education and to assess the effects of FCs on medical learning.

METHODS:

A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using the major electronic databases in 2016. Peer-reviewed papers were screened and reviewed according to explicit inclusion criteria. The scope and quality of all resultant studies were evaluated. Studies identified as using controlled designs were further synthesised to assess the effects of FCs on learning.

RESULTS:

A total of 118 articles were obtained. Full texts of 82 articles were reviewed. Nine of the included 46 articles used a controlled design when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FC. There were generally positive perceptions of the FC approach. However, the effects of FCs on changes in knowledge and skills were less conclusive as the effect sizes ranged from d = -0.27 to 1.21, with a median of 0.08. The varying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 effect sizes, together with their 95% confidence interval, which contained zero, suggested the lack of strong evidence for the effectiveness of FCs in promoting knowledge acquisition above and beyond the traditional learning methods.

CONCLUSIONS:

There has been a recent increase of research rigor and variety in measures of effectiveness in studies on the FC in medicaleducation. The FC is a promising teaching approach to increase learners' motivation and engagement. More solid evidence on its effect on changes in knowledge and skills are warranted. Further studies should also examine the long-term effects of FCs with regard to knowledge retention and transfer of knowledge to professional practice and patient care.

PMID:
 
28488303
 
DOI:
 
10.1111/medu.13272


거꾸로교실의 학업 성과: 메타분석(Med Educ, 2018)

Academic outcomes of flipped classroom learning: a meta-analysis

Kuo-Su Chen,1,2,3 Lynn Monrouxe,2,3 Yi-Hsuan Lu,1,2,3 Chang-Chyi Jenq,2,3,4 Yeu-Jhy Chang,2,3,5

Yu-Che Chang2,3,6 & Pony Yee-Chee Chai7




도입

INTRODUCTION


플립된 교실(FC)은 온라인 학습과 직접 대면하는 교실 활동을 결합한 복합적인 접근방식이다. 이 교육 모델에서, 학생들은 수업 전에 콘텐츠 학습에 참여하여, 능동적인 학습을 위한 강의실 내 시간을 극대화한다. FC는 강의 전 학습에 기술(테크놀로지)을 활용하며, 직접 대면 강의실을 대화형 학습 활동으로 활용한다. 이 방법론은 (교사가 아닌) 학생들을 배움의 중심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전통적인 강의 기반 접근 방식을 재구성하고 재정렬한다.2–4 그러한 능동적 학습은 학습자가 강의 전 학습에 대해 연습하고, 참여하고, 적용함에 따라 결과를 개선하게 된다.5 10년 전에 현대적 버전의 FC가 나타났으며, 교육 전반과 의료 교육에서 특히 인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 효능에 대해 확고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The flipped classroom (FC) is a hybrid approach, combining online learning and face-to-face classroom activities. In this pedagogical model, students engage in content learning before class, thereby maximising in-class time for active learning.1 The FC utilises technology for pre-class learning, with face-to-face classrooms becoming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This methodology restructures and reorders traditional lecture-based (LB) approaches by moving students, rather than teachers, to the centre of learning.2–4 Such active learning should improve outcomes as learners practise with, engage with and apply their pre-class learning.5 Although modern versions of the FC appeared over 10 years ago,6 and despite its popularity in education generally and medical education specifically, we lack firm conclusions regarding its efficacy.7,8


FC 접근법은 능동적 학습 이론에 의해 뒷받침된다.9 능동적 학습은 '학습 과정에 학생들을 참여시키는 모든 교육적 방법'으로 정의되었다.10 능동적 학습 접근법은 학생들이 의미 있는 학습 활동을 수행하며, 인지적으로 그러한 활동에 참여하는engaging 것이다. 이전의 연구는 학생들의 이해와 성취도가 능동적 학습을 통해 향상된다는 것을 암시한다.10-13 메타 분석은 능동적 학습이 학생들의 성적을 높이고 대학생들의 실패율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했다.14 따라서, FC는 능동적 학습의 한 형태로서, 4,15는 더 나은 학습 성과, 특히 고차적 사고에서 더 나은 학습 성과와 관련이 있었다.17,18 실제로, 연구에 따르면 FC 접근법이 동기, 만족도, 성과 및 출석률을 증가시킨다고 한다.4,19,20 그러나 연구 결과는 동일한 성과 측정치를 고려한 경우에조차 일반적으로 일관되지 않는다.

The FC approach is underpinned by active learning theory.9 Active learning has been defined as ‘any instructional method that engages students in the learning process’.10 An active learning approach is one in which students undertake meaningful learning activities, cognitively engaging in those activities. Previous research suggests that students’ understanding and performance are improved via active learning.10–13 A meta-analysis confirmed that active learning increased student performance and decreased failure rate in undergraduates.14 Thus, as FC is a form of active learning,4,15 it has been associated with better learning outcomes,16 especially in higher-order thinking.17,18 Indeed, research suggests that an FC approach increases motivation, satisfaction, performance and class attendance rate.4,19,20 However, research results are generally inconsistent,2,19,21–29 even when the same outcome measure is considered.7,8


이 모순 문제를 강조하는 의료전문가의 교육 분야에서 많은 체계적인 검토가 수행되었다.

A number of systematic reviews have been undertaken in the area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education that highlight this issue of inconsistency.


비록 FC 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통제된 9개 연구 모두에서 전형적으로 긍정적이었지만, Chen 등,7명은 지식과 기술skill의 변화 측면에서 엇갈린 결과를 보고했다. 예를 들어, 다중 선택 질문(MCQ)을 사용한 결과와 관련하여, 일부 연구는 LB 접근법 30,31에 대해 FC에 대해 긍정적인 결과를 보고한 반면, 다른 연구들은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다.22,32, Chen et al. 는 연구들 간에 효과 크기와 신뢰구간(CI)의 다양한 방향과 크기를 발견했다.7Hughes와 Lyons8의 검토에서는 MCQ 결과를 고려할 때 11개 연구에서 혼합된 결과를 발견했다.

Although students’ perceptions of the FC process were typically positive across all nine of the controlled studies, Chen et al.,7 reported mixed results in terms of changes in knowledge, and skills. For example, regarding outcomes using multiple-choice questions (MCQs), some studies reported positive findings for the FC over the LB approach,30,31 whereas others found no difference.22,32 Furthermore, Chen et al. found a varying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 effect sizes and confidence intervals (CIs) across studies.7 A more recent systematic review by Hughes and Lyons8 also found mixed results across 11 studies when considering MCQ outcomes:


간호 교육 분야에서도 체계적인 검토가 실시되어 마찬가지로 애매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예를 들어, 베타바스 외 연구진.33은 체계적인 검토에 포함시키기 위한 5개의 연구만 식별하였다. 그들은 FC 조건이 이벤트 후 즉시 더 나은 결과를 도출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최종 시험 수행에 관한 한 어떠한 장점도 잃게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26  게다가, 모든 연구가 FC,2의 이점을 보고한 것은 아니며, 모든 과목 평가가 긍정적인 것은 아니었다.34

Systematic reviews have also been undertaken in the area of nurse education, reporting similar ambiguous results. For example, Betihavas et al.33 identified only five studies for inclusion in their systematic review. They found that although the FC condition tended to produce better outcomes immediately post-event26,34 alongside positive course evaluations,35,36 when it came to performance in the final examination, any advantage was lost.26 Furthermore, not all studies reported an advantage for the FC,2 and not all course evaluations were positive.34


게다가, 간호사 교육에서 FC 방법에 관한 13개 기사에 대한 서술적 리뷰에서, Presti20은 '간호 교육에서 FC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고, 오직 한 연구만이 시험 점수 향상에 대한 가치를 통계적으로 입증한다'고 결론지었다.

Furthermore, in a narrative review of 13 articles reporting on the FC method in nurse education, Presti20 concluded that ‘few studies exist on the flipped classroom in nursing education, and only one study statistically validates its value in improving examination scores’.


이러한 문학 비평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는 LB 학습 대비 FC의 효능에 관한 다소 애매한 그림을 남기고 있다. FC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FC 방법이 작동하는지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작동하는지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메타 분석37–39에 의한 데이터 통합은 충돌하는 연구의 논쟁을 해결할 수 있으며, 상대적 개입의 효과를 추정하기 위한 더 큰 힘과 정밀도를 가능하게 하며, 새로운 가설을 생성할 수 있다.

As we can see from these literature reviews, we are left with a rather muddy picture regarding the efficacy of FC over LB learning. Given the importance of the FC, it seems pertinent that we employ research methods to further understand whether the FC method works and in what circumstances. Data aggregation by meta-analysis37–39 can settle controversies from conflicting studies, allowing greater power and precision to estimate the effectiveness of relative interventions, and can generate new hypotheses.


메타 분석의 경우 부분군 분석과 메타 규제를 통해 연구 간 불일치의 원인을 탐색할 수 있다. 따라서 메타 분석은 개별 연구가 할 수 없는 질문에 대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In a meta-analysis, the cause of inconsistency between studies can be explored through subgroup analyses and meta-regression. Thus, a meta-analysis may help to answer questions that individual studies cannot.


이 개념에 따라, 두 메타분석은 최근 중국의 연구자들에 의해 발표되었고, 간호학에서 FC 방법을 연구하는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41

Following this notion, two meta-analyses have very recently been published by researchers from China, drawing on studies examining the FC method in nursing.40,41


LB 접근법에 대한 FC의 상대적 효능을 검토하는 최근의 검토의 수에도 불구하고, 문헌의 gap은 여전히 남아 있다. 

  • 모든 검토는 단일 분야로 제한되었다(예: 간호교육33,40,41 및 의료교육7,8). 

  • 일반적으로 FC 접근법을 선호하는 소수의 논문만 있다(종종 5~11, 29개 포함 1개만 해당), 

  • 메타분석은 두 개 뿐이고 주로 narrative synthesis이다.40,41 

두 메타분석가는 단일 국가(중국)의 데이터를 고려했고, 중국 간호학 학술지에 실린 RCT만 풀링했다. 이 매우 제한된 데이터 출처에서 나온 그러한 메타분석의 결과는 일반화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Despite the number of recent reviews examining the relative efficacy of the FC over the LB approach, a gap in the literature remains: 

  • all of the reviews were limited to a single discipline (e.g. nursing education33,40,41 and medical education7,8), 

  • with a small number of articles generally favouring the FC approach (often between five and 11, with only one including 29), 

  • mostly being narrative syntheses with only two meta-analyses.40,41 

These two meta-analyses considered data from a single country (China), only pooling RCTs from Chinese nursing education published in Chinese journals. The results of such meta-analyses from this very restricted data source may be difficult to generalise.


FC 교육학적 모델이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채택된 경우, 여러 분야에 걸친 데이터 풀링은 통계적 파워를 높이고 서로 다른 영역의 영향 차이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Given that the FC pedagogical model has been adopted across a wide range of disciplines, data pooling across multiple disciplines may help to increase statistical power and identify differences in the effects across different domains.


  • RQ1 FC 학습 접근법이 고등교육에서 LB 학습 접근법보다 학생들의 강화된 지식과 행동과 더 관련이 있는가?

  • RQ2 이것이 맥락에 따라 다른가(예: 연구 방법, 출판 연도, 출판 포럼, 학생 그룹 및 학습 환경)?

  • RQ1 Is the FC learning approach associated with students’ enhanced knowledge and behaviour more than the LB learning approach in higher education?

  • RQ2 Does this differ by context (e.g. research method, publication year, publication forum, student group and learning environment)?


방법

METHODS


The meta-analysis was undertaken following the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statement (see Box 1 for definitions of terms used in a meta-analysis).42


Box 1 Definition of terms in a meta-analysis

Meta-analysis

A statistical analysis that combines the results of multiple quantitative information from related studies and produces results that summarise a whole body of research.

Begg’s test

An indicator of publication bias. Begg et al. proposed testing the interdependence of variance and effect size using Kendall’s method. This bias indicator makes fewer assumptions than that of Egger et al. but it is insensitive to many types of bias to which Egger’s test is sensitive.

Cochrane Q

A classical measure of heterogeneity in meta-analysis. Q is distributed as a chi-squared statistic with n 1 degrees of freedom. For the Q-statistic test, a ‘Cochrane Q-value > degree of freedom’ or a ‘p-value of < 0.10’ suggests the presence of heterogeneity.

Egger’s test

Another indicator of publication bias. Egger et al. suggested a test to examine asymmetry in funnel plots. This is a test for the Y-intercept = 0 from a linear regression of the normalised effect estimate (i.e., the estimate divided by its standard error) against precision (the reciprocal of the standard error of that estimate).

Funnel plot

A graph that provides a visual check of the existence of publication bias. In the absence of publication bias, it assumes that studies with high precision will be plotted near the average, and studies with low precision will be spread evenly on both sides of the average, creating a roughly funnel-shaped distribution. Asymmetry in funnel plots may indicate the presence of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Heterogeneity

Heterogeneity in meta-analysis refers to the variation or inconsistency in the study outcomes between studies.

I-squared (I2)

Another measure of heterogeneity in meta-analysis. The I² statistic is the percentage of variation across studies attributable to heterogeneity. The formula of I² = 100% 9 (Q–df)/Q. An I2 of < 25% represents low heterogeneity, 25–50% moderate heterogeneity and > 50% high heterogeneity.

Meta-regression

A statistical method that can be used in meta-analysis to examine the impact of moderator variables on study effect size using regression-based techniques.

PRISMA statement

A guideline for the reporting of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comprises 27 items and a four-phase flow diagram.

Publication bias

Occurs when the published results depend not just on the quality of the research but also on the hypothesis tested, and the significance and direction of effects detected. It suggests that results not supporting the hypotheses of researchers often go unpublished, leading to a bias in published research.

Random-effects model

  • The process of meta-analysis is undertaken by either a fixed-effect or a random-effects statistical model. A fixed-effect meta-analysis assumes all studies are estimating the same (fixed) treatment effect, whereas a random-effects meta-analysis permits differences in the treatment effect across studies.

  • In a random-effects model, the observed heterogeneity is attributed to two sources: (i) between-study heterogeneity in true effects, and (ii) within-study sampling error.


Eligibility criteria


Data sources


Search strategy


‘flipped classroom’, ‘flipped education’, ‘flipped learning’, ‘reverse classroom’, ‘backward classroom’, ‘inverted classroom’ and ‘inverse classroom’.


Study selection


Assessment of methodological quality


The Effective Public Health Practice Project (EPHPP) Quality Assessment Tool44 was used to appraise methodological quality as it is suitable for both interventional (RCT, quasi-experimental) and observational (cohort, historical control and case– control) studies.


Data synthesis


Data were independently extracted by two reviewers (Y-HL and K-SC) using a standardised form. The extracted information included publication type and year, design, demographics of participants, intervention and control, and type of outcomes measured. The cognitive levels of learning outcomes measured were categorised according to the Kirkpatrick model43 and Bloom’s taxonomy.45



결과

RESULTS


연구 검색 및 선택

Study search and selection


The process is summarised in a PRISMA42 flow diagram (Fig. 1).


포함된 연구들

Scope of the included studies


Of the 46 included studies, 36 were journal articles, nine were conference abstracts and one was a thesis (Table S1).




Outcomes measured


Multiple effect measures were reported. We classified the effect measures into three categories: 

    • examination scores (n = 41); 

    • course grades (n = 9); and 

    •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s (OSCEs) (n = 2). 


The examination scores were 

    • the results of MCQ tests (n = 20) and 

    • written examinations or essays (n = 3), 

    • a combination of different formats (n = 5) or 

    • were unclear (n = 13).


Of the 41 studies reporting examination scores, seven were before–after studies and provided pre–post score changes. All examination score outcomes evaluated knowledge change according to Kirkpatrick’s level 2 measurement (learning).43


The level of cognitive learning evaluated in these tests comprised only lower cognitive levels in one study, ranging from low to high (levels 1–6 in Bloom’s taxonomy45)in 16 studies and were not described in 24 studies.


연구의 퀄리티

Quality assessment of the included studies


방법론적 품질 평가(36개 저널, 논문 1개)는 36개 연구가 높은 편향 위험을 나타냈으며, 한 연구는 편향의 위험이 낮다는 것을 보여주었다(자세한 내용은 표 S2 참조). 가장 약한 지표는 blinding이었다. 데이터 수집, 교란 요인 및 인출 도메인에서도 위험성이 높았다.

Methodological quality assessment (36 journal articles, one thesis) showed that 36 studies exhibited a high risk of bias and one study had a moderate risk of bias (see Table S2 for details). The weakest indicator was blinding. Risks were also high in the data collection, confounders and withdrawal domains.


낮은 보고 질은 높은 편향 위험을 야기하는 중요한 원인이었다. 많은 품질 지표가 명확하게 설명되지 않았거나 누락되었다. 자주 누락된 정보: 연구 설계, 적격 모집단, 참가자 및 중퇴자 모집단, 기준 그룹 간의 중요한 교란 요인, 결과 평가 도구의 신뢰성/유효성. 이것은 많은 연구를 편견의 높은 위험성으로 평가하게 했다.

Poor reporting quality was an important cause of a high risk of bias. Many quality indicators were not clearly described or were absent. Frequently missing information included: study design; eligible population; participant and dropout populations; important confounders between groups at baseline, and the reliability/validity of outcome assessment tools. This resulted in many studies being rated with a high risk of bias.


메인그룹, 서브그룹 메타분석

Main and subgroup meta-analyses


2개 연구로도 가능함

Following Valentine et al.,57 we note that it is possible to undertake a meta-analysis with as few as n = 2 studies.


성과 척도에 따라

Meta-analyses by outcome measures


Data pooling of all 46 studies was undertaken according to the type of outcome measure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examination scores, pre–post examination score improvements and course grades for the FC approach were identified (Table 2, Fig. 2). However, no significant effect was noted when the outcome measure was an OSCE score.


맥락에 따라 

Subgroup analyses by context


A subgroup analysis was undertaken for the outcome of examination scores.


메타 리그레션

Meta-regression for the examination score outcome measure


Meta-regression by year (Fig. S8)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p = 0.023) between publication year and effect size (by excluding the year 2012, which had only one single study), but no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ample size and outcome (p = 0.856). 


Publication bias








고찰

DISCUSSION


체계적 검토에 대한 서술적 접근법의 주관성을 피하고, 다수의 영역에서 FC 방법의 상대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메타 분석 접근법을 채택했다.59

Our meta-analytical approach was adopted to avoid the subjectivity of the narrative approach to systematic reviews, and to pool the data from a large number of studies to ascertain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the FC method across a number of domains.59


우리는 (우리가 검색한 전자 데이터베이스에 연구가 제공된다면), 모든 분야와 국가에 대한 연구를 포함하였고, 다양한 교육 환경에서 시험 점수와 과목 성적(즉, 이론적 지식과 관련된)에 대한 중국 연구의 결과를 재확인했다. 그러나 OSCE 결과(기술과 관련된)의 경우, 분석 결과 FC 조건에서 이점이 없었다. 메타 분석은 최소 두 개의 연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57 이 후자의 결과는 우리 데이터베이스에 OSCE 결과를 보고하는 연구 결과가 소수라는 점과 그 연구마다 결과가 크게 다르다는 사실에 기인할 수 있다.

We included studies across all disciplines and countries, as long as the studies were available in the electronic databases we searched, verifying the findings from the Chinese studies for examination scores and course grades (i.e. related to theoretical knowledge) across a range of educational settings. However, for the OSCE outcome (related to skills) our analysis found no advantage for the FC condition. Despite the assertion that meta-analysis can be undertaken using as few as two studies,57 this latter finding may be a result of the small number of studies reporting OSCE outcomes in our database and the fact that their results were greatly divergent.


또한 여러 연구 설계 간에 FC 유효성 불일치가 나타났다. 

RCT에서는 장점이 없었지만, 코호트 또는 준 실험 연구는 LB 조건에 비해 FC의 유의한 장점을 보여주었다. 우리 연구에서 발견된 FC 조건의 이러한 유효성 부족은 RCT에서 FC 접근법의 상당한 이점을 보여준 이전의 두 메타 분석 7,8의 결과와 직접적으로 모순된다. 이러한 불일치는 데이터 집합의 소수의 RCT가 다시 한 번 이유일 수 있다.

Our study also revealed inconsistencies in FC efficacy between different study designs: cohort or quasi-experimental studies, but not RCTs, showed a significant advantage of the FC over the LB condition. This lack of efficacy for the FC condition found in our study directly contradicts the findings from the two earlier meta-analyses,7,8 which demonstrated a significant advantage of the FC approach in RCTs. This discrepancy may reflect, once again, the small number of RCTs in our dataset.


연구 중인 특정 학생 그룹에 따르면 우리의 결과에서 더 많은 차이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의료, 약국, 비건강 과학 교육 학생 그룹은 FC 경험으로부터 이익을 얻는 것처럼 보였지만, 간호학과 다른 건강 과학 학생들에게는 그렇지 않았다.

Further differences were found in our results according to the particular student group under study. Thus, medical, pharmacy and non-health science education student groups appeared to benefit from their FC experiences, but this was not the case for nursing and other health science students.


또한, 각 종목별 FC 방법론에서 상대적인 성숙도를 고려할 때, 우리의 누적 분석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FC 조건의 결과가 점진적으로 개선되는 경향을 시사한다는 것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FC 방법에 대한 점진적인 이해, 새로운 기술의 활용, FC 방법과 관련된 교수 기술의 발달 성숙도 및 FC 교육 형식의 누적된 경험이 모두 결과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7

Furthermore, when considering the relative maturity of the FC methodology in each respective discipline, it is worth noting that our cumulative analyses suggest a tendency of progressive improvement in the outcome of the FC condition over time. Thus, progressive understanding of the FC method, the utilisation of newer technology, the developing maturity of teaching skills associated with the FC method and accumulated experience in the FC teaching format may a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outcomes.7


우리의 메타분석 결과에는 몇 가지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연구는 통계적 이질성이 높았다. 통계적 이질성은 많은 수준의 방법론적 다양성의 결과일 가능성이 있다.

The results of our meta-analyses have several limitations. For example, the studies had a high degree of statistical heterogeneity. It is likely that the statistical heterogeneity is a result of the large degree of methodological diversity.


이와 같이, 모든 연구가 FC 스타일의 교육의 실행을 다루었지만, 그들은 교실에서의 flipping은 형식과 내용 둘 다 달랐다. 예를 들어, FC 활동을 설계하고 이끌었던 교사의 경험과 전문지식, 클래스 전 학습 자료의 유형과 특성 등은 다른 경우가 많다. 평가된 지식의 내용 또는 인지적 수준(즉, 결과)도 다양했다.

As such, although all studies addressed the implementation of an FC style of education, they varied in both the format and content of classroom flipping. For example, the experiences and expertise of teachers who designed and led the FC activity, and the types and qualities of pre-class learning material were likely to differ. The content or cognitive level of knowledge evaluated (i.e. outcomes) also varied.


FC 조건은 더 높은 인지 수준을 촉진하기 위해 설계된다(예: 애플리케이션). 따라서, 낮은 수준의 평가(예: 리콜)는 반드시 FC 접근법에 적절한 결과로 간주되지 않을 수 있다. 우리가 포함된 연구들 사이의 학업 성과는 주로 시험 점수, OSCE, 과정 성적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대부분은 Kirkpatrick 수준 2(학습) 결과를 반영한다.43 또한 OSCE는 Kirkpatrick 수준 3(행동) 결과를 반영할 수 있으며, MCQ는 단순히 암기보다 높은 인지 수준의 질문을 포함할 수 있다. (표 S2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과목 점수 평가 공식이 연구마다 다르기 때문에 평가된 인지 수준도 달랐다. 연구 설계, 결과 및 대상 모집단의 다양성은 효과 크기의 이질성에 기여한다. 이질성이 높다는 점을 감안할 때, 우리는 FC 방법의 효능에 대해 포괄적인 결론을 도출하는데 신중해야 한다.

The FC condition is designed to promote higher cognitive levels (e.g. application). As such, lower levels of assessment (e.g. recall) may not necessarily be considered as an appropriate outcome for the FC approach. The academic outcomes amongst our included studies mainly comprised three types: examination scores; OSCEs, and course grades. Most of these reflect a Kirkpatrick level 2 (learning) outcome.43 Additionally, the OSCE may also reflect a Kirkpatrick level 3 (behaviour) outcome and the MCQ may also include questions of a higher cognitive level than mere memorisation. As the formula for assessing course grades differed between studies (as we identified in Table S2), the cognitive levels evaluated also differed. Such diversity in study designs, outcomes and target populations contributes towards the heterogeneity in effect sizes. Given that heterogeneity was high, we must be cautious in drawing sweeping conclusions around the efficacy of the FC method.


출판 편향의 문제도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우리는 중요한 정보와 출판 편향을 누락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 검토에서 컨퍼런스 연구와 논문을 통합했다. 그러나, 이용 가능한 정보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회의 연구의 방법론적인 특성은 평가할 수 없었다.

The issue of publication bias also needs to be addressed. We incorporated conference studies and a thesis in this review to avoid missing important information and publication bias. However, the methodological qualities of conference studies could not be assessed because of the limited information available.


메타 분석의 또 다른 한 가지 제약은 2016년 6월에 문헌 검색을 수행했으며, 그러한 세부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특성 때문에

Another limitation of our meta-analysis is that the literature search was undertaken in June 2016 and because of the lengthy nature of undertaking such a detailed process


하지만, 이러한 제한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연구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전 세계의 다양한 의료 및 비의료 교육 분야의 총 9026명의 참가자와 함께 46개 연구의 데이터를 구성하는 메타 분석을 수행했다. 이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종류의 가장 큰 연구일 뿐만 아니라 메타 분석이기 때문에 현재 FC 문헌을 지배하는 서술적 검토 방법보다 더 높은 수준의 증거 60,61을 제공한다.

However, despite these limitations, our study has strengths. We have undertaken a meta-analysis comprising data from 46 studies with a total of 9026 participants from different health care and non-health care educational disciplines across the world. This is not only the largest study of its kind that we know of, but, because it is a meta-analysis, it provides a higher level of evidence60,61 than do the descriptive review methods presently dominating the FC literature.7,27,33


우리의 연구는 주로 연구 방법, 연구 설계, 보고의 개선에 초점을 맞춘 미래 연구 제안들을 하도록 우리를 이끈다. 따라서, 잘 훈련되고 동기 부여가 된 촉진자를 포함한 FC의 표준형식은 미래 연구 연구를 위한 FC와 LB 방법을 비교하기 위한 기본 요건이 된다. 또한, FC 방법의 목적은 더 높은 인지 학습을 개선하고 행동 변화를 촉진하는 것이기 때문에, 향후 연구 설계가 FC의 효능을 기술할 것으로 예상되는 더 높은 인지 결과를 측정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민감하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더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실제로, 새로운 교육학의 평가는 개념적 지식이 임상적 추리 방법과 같은 새로운 도구를 사용하여 평가되어야 한다는 것을 암시한다.62

Our study leads us to make future research suggestions, focusing mainly on improving study methods, research design and reporting. Thus, a standard format of classroom flipping, with well-trained and motivated facilitators, comprises the basic requirement for a comparison between FC and LB methods for future research studies. Further, given that the purpose of the FC method is to improve higher cognitive learning and promote behavioural change, greater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ensuring that future research study designs are sensitive enough to measure the higher cognitive outcomes expected to delineate the efficacy of the FC. Indeed, the appraisal of a new pedagogy suggests that conceptual knowledge should be evaluated using novel tools, such as clinical reasoning measures.62


또한 미래 연구는 연구 보고를 다룰 필요가 있다. 즉, 교육 연구의 불충분한 보고의 질은 위험편향 평가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안이다. 우리의 메타분석에 포함된 많은 연구에서, 많은 필요한 정보가 누락되었다. 예를 들어 적격 및 등록된 참가자의 수, 이들의 인구학적 특징, 중퇴율, 평가 기구의 유효성과 신뢰성에 대한 세부사항은 종종 누락되었다. 나이와 성별은 임상 연구에서 중요한 교란 요인이며, 교육 연구에서도 그렇다. 그러나, 우리의 검토의 많은 출판물들은 그러한 인구통계를 언급하지 않았다. 우리의 조사 결과와 유사하게, Horsley et al.63은 '... 건강 직업 교육 분야의 무작위 연구에 대한 보고서에는 CONSORT 성명에서 권고한 요소가 자주 누락되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보고서는 편견의 위험이 높거나 불명확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의료 교육 연구에서 연구 보고를 위한 구조화된 형식이 보장된다.

Future research also needs to address the reporting of research: the poor reporting quality of educational studies is an important issue influencing the process of risk bias assessment. In many of the studies included in our meta-analysis, a lot of necessary information was absent. For example, details of the number of eligible and enrolled participants, their demographic features, dropout rate,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ssessment instruments were often missing. Age and gender are important confounders in clinical studies, and this is also the case in education research. However, many publications in our review failed to mention such demographics. Similar to our findings, Horsley et al.63 concluded that: ‘... reports of randomised studi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frequently omit elements recommended by the CONSORT statement. Most reports were assessed as having a high or unclear risk of bias.’ Thus, a structured format for reporting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studies is warranted.





 2018 Jun 25. doi: 10.1111/medu.13616. [Epub ahead of print]

Academic outcomes of flipped classroom learning: a meta-analysis.

Chen KS1,2,3Monrouxe L2,3Lu YH1,2,3Jenq CC2,3,4Chang YJ2,3,5Chang YC2,3,6Chai PY7.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Nephrology, Chang Gung Memorial Hospital, Keelung branch, Keelung, Taiwan.
2
Chang Gung Medical Education Research Center (CG-MERC), Chang Gung Memorial Hospital, Linkou Branch, Taoyuan, Taiwan.
3
College of Medicine, Chang Gung University, Taoyuan, Taiwan.
4
Department of Nephrology, Chang Gung Memorial Hospital, Linkou branch, Taoyuan, Taiwan.
5
Department of Neurology, Chang Gung Memorial Hospital, Linkou branch, Taoyuan, Taiwan.
6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Chang Gung Memorial Hospital, Linkou branch, Taoyuan, Taiwan.
7
Department of Pharmacy, Chang Gung Memorial Hospital, Keelung branch, Keelung, Taiwan.

Abstract

CONTEXT:

The flipped classroom (FC), reversing lecture and homework elements of a course, is popular in medical education. The FC uses technology-enhanced pre-class learning to transmit knowledge, incorporating in-class interaction to enhance higher cognitive learning. However, the FC model is expensive and research on its effectiveness remains inconclus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icacy of the FC model over traditional lecture-based (LB) learning by meta-analysis.

METHODS:

We systematically searched MEDLINE, PubMed, ERIC, CINAHL, EMBASE, reference lists and Association for Medical Education in Europe (AMEE) conference books. Controlled trials comparing academic outcomes between the FC and LB approaches in higher education were considered eligible. The main findings were pooled using a random-effects model when appropriate.

RESULTS:

Forty-six studies (9026 participants) were included, comprising four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RCTs), 19 quasi-experimental studies and 23 cohort studies. Study populations were health science (n = 32) and non health science (n = 14) students. The risk of bias was high (36/37 articles). Meta-analyses revealed that the FC had significantly better outcomes than the LB method in examination scores (post-intervention and pre-post change) and course grades, but not in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scores. Subgroup analyses showed the advantage of the FC was not observed in RCTs, non-USA countries, nursing and other health science disciplines and earlier publication years (2013 and 2014). Cumulative analysis and meta-regression suggested a tendency for progressively better outcomes by year. Outcome assessments rarely focused on behaviour change.

CONCLUSIONS:

The FC method is associated with greater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LB approach for higher-level learning outcomes, which has become more obvious in recent years. However, results should be interpreted with caution because of the high methodological diversity, statistical heterogeneity and risk of bias in the studies used. Future studies should have high methodological rigour, a standardised FC format and utilise assessment tools evaluating higher cognitive learning and behaviour change to further examine differences between FC and LB learning.

PMID:
 
29943399
 
PMCID:
 
PMC6120558
 
DOI:
 
10.1111/medu.13616


거꾸로 교실, 설계(Med Educ, 2018)

Flipped classrooms, by design

Jacqueline E McLaughlin




'설계가 잘못된 것을 분석으로 고칠 수는 없다.'

‘You can’t fix by analysis what you bungled by design.’1



FLCL들은 더 높은 수준의 사고와 학습 성과를 높이고 학생들의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지원된다. 하지만 이 모델의 효과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Flipped classrooms, are espoused to promote higher-order thinking, increase learning outcomes and improve student experiences. However, controversy about the model’s effectiveness persists.



FLCL에 대한 체계적 검토는 모호하고 일관되지 않으며 혼합된 결과를 보고하였다. FLCL에 대한 나 자신의 연구는 긍정적인 결과와 부정적인 결과를 낳았다. 이번 호 메타분석에서 Chen 등은 [전통 강의식] 학습 대비 [플립 강의실]의 효율성에 관한 다소 진흙 투성이인 그림을 다루려고 했으나, 또 하나의 불일치한 발견일 뿐이었다.6

Systematic reviews of flipped classroom research have reported ambiguous, inconsistent and mixed results.2,3 My own studies of flipped classrooms have resulted in positive and negative outcomes.4,5 In this month’s Medical Education meta-analysis, Chen et al. aimed to address ‘a rather muddy picture regarding the efficacy of [flipped classroom] over [traditional lecture] learning’, only to find additional disparities.6


플립 모델은 (문헌의 광범위한 설명에서 보듯), FLCL에서 pre-class, in-class, assessment 활동 설계에 상당한 유연성을 가능하게 한다.

The flipped model enables considerable flexibility in the design of pre-class, in-class and assessment activities, as seen by a wide range of flipped classroom descriptions in the literature.


만약 우리가 플립(flip)을 하나의 모델이라고 보고, 교실을 뒤집는 것을 그 모델의 개별적인 구현이라고 본다면(즉, 플립된 교실), 개별 구현의 결과는 모델 그 자체의 퀄리티가 아니라 '플립된 교실'의 퀄리티에 더 의존적일 수 있다.

If we consider flipping as a model (i.e. the flipped model) and flipped classrooms as the individual implementations of that model (i.e. a flipped classroom), the results of any individual implementation are likely to be more dependent on the quality of flipped classroom design than on the ‘model’ itself.


아마도, 이런 식으로 생각한다면, 우리는 왜 어떤 FLCL들이 다른 FLCL들보다 더 크거나 더 많은 긍정적인 효과를 내는지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Perhaps, through this lens, we can better understand why some flipped classrooms produce larger or more positive effects than others.


어떤 교육과 학습 관행이 가장 효과적인지 안다면, 주어진 FLCL에서의 퀄리티를 알 수 있을까?

If we know which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s are most effective, can we characterise the quality of any given flipped classroom?


학생의 적성과 더불어, 학생과 교사의 행동은 교실에서의 성취에 가장 중요한 결정 요인이다. 효과적인 교육적 실천을 위한 연구 기반 가이드에 따르면, 과목의 효과성은 행동과 매우 강력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반복적으로 보여준다: 학생과 교사가 무엇을 하는가, 그리고 어떻게 그것을 하는가. 현재 대부분의 FLCL연구는 학습자와 교사의 활동이 어떤, 그리고 얼마나 많은 증거-기반 활동에 의해 촉진 또는 생산되는지에 관련하여 충분한 세부 사항을 주지 않는다..

Student and instructor behaviour, coupled with student aptitude, are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s of classroom achievement.7,8 Research-based guidelines for effective teaching practice repeatedly show that course effectiveness is strongly related to behaviour: what students and instructors do and how they do it. Currently, most flipped classroom studies lack sufficient detail concerning what and how much evidence-based behaviour their activities prompt or produce.


예를 들어, 

  • 사회적 상호작용(예: 질문과 토론, 소그룹 학습) 

  • 의미 있는 학습의 장려(예: 사려 깊은 과정 준비 및 조직, 학생들의 삶과 관련된 내용, 독립적인 사고 장려). 

  • 프레젠테이션 품질(예: 명확성과 이해성) 

...등은 학생 성취도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교육적 요소들이다.8 


We know, for example, that 

social interaction (e.g. encouraging questions and discussion, small-group learning), 

stimulating meaningful learning (e.g. thoughtful course preparation and organisation, relating content to students’ lives, 

encouraging independent thought) and presentation quality (e.g. clarity and understandability) 

...are among the instructional elements most strongly related to student achievement.8 


성과는 또한  다음과도 연관되어 있다.

  • 출석

  • 자기 조절(즉, 학업에 대한 도전에 직면했을 때 지속성과 노력) 

  • 학업 목표 설정, 

  • 시간 및 학업 관리 

  • 또래 학습.8

Achievement is also positively related to class 

  • attendance, 

  • self-regulation (i.e. persistence and effort when faced with academic challenge), 

  • academic goal setting, 

  • time and study management and 

  • peer learning.8


학생들과 강사들의 행동이 모두 모여서, 뒤집힌 교실의 효과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Taken together, students’ and instructors’ behaviours play a critical role in the effectiveness of any flipped classroom. 


증거 기반 교육 지침을 준수하는 학습 기회와 활동을 설계하고, 이러한 활동과 그 결과로 나타난 행동을 연구에서 명확하게 설명하는 것은 FLCL 모델을 발전시키기 위한 중요한 다음 단계이다.

Designing learning opportunities and activities that adhere to evidence-based teaching guidelines, and describing those activities and resulting behaviours clearly in our research, are important next steps for advancing the flipped classroom model.


교실 활동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교실 연구는 assessment practice의 설계와 실행을 적절히 설명하지 못한다. 평가와 피드백 방식practice은 학생들의 행동에 대한 주요 결정 요인으로서, 이것이 학생들의 관심, 학업 목표, 시험 준비 등을 guide하기 때문이다. 

As with classroom activities, most flipped classroom studies fail to adequately explicate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ssessment practices. Assessment and feedback practices are well-established determinants of student behaviour because they guide student attention, academic goals and preparation for examinations.3 


학생 성취도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평가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학생-피어 평가 및 학생의 자기 평가, 

  • 시험의 퀄리티과 공정성 

  • 강사들이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피드백의 특성, 품질, 빈도.8

Assessment characteristics most strongly related to student achievement include 

  • student–peer assessments and student self-assessments, 

  • quality and fairness of examinations, and 

  • the nature, quality and frequency of feedback from instructors to students.8


지금까지 FLCL 연구가 잘 안 된 이유는 [유사한 주제나 내용을 다루는 과정에 대한 표준화된 평가]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To date, flipped classroom research has also been hindered by the lack of standardised assessments for courses of similar topics or content.


FLCL연구는 (MMI나 경험적 교육과 같은) 다른 교수법과 학습법의 연구와 유사한 challenge of variability에 당면해있다. 현재 대부분의 연구에서 다뤄진 FLCL은 독자나 연구자가 수업에서 이뤄진 활동 및 평가가 증거 기반 지침에 얼마나 적합지를 충분히 설명해주지 않는다.

Flipped classroom research faces the same challenge of variability seen in studies of othe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uch as multiple mini-interviews and experiential education. Currently, most flipped classroom designs are not described in a way that enables readers or researchers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classroom activities and assessments align with evidence-based guidelines, such as those described above.


현재 플립된 강의실 연구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최선의 증거는 FLCL이 학습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을 암시합니다.

Despite the current limitations of flipped classroom research, the best available evidence suggests that flipped classrooms can improve learning.


FLCL의 성과를 지속적으로 분석하는 것 그 자체로는 '잘못된 설계'를 고치지는 못할 것이다

Continuing to analyse flipped classroom outcomes, by itself, will not fix bungled design.


6 Chen K-S, Monrouxe L, Lu Y-H, Jenq C-C, Chang Y-J, Chang Y-C, Chai PY-C. Academic outcomes of flipped classroom learning: a meta-analysis. Med Educ 2018;52 (9):910–24. XXX


8 Schneider M, Preckel F. Variables associated with achievement in higher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of meta-analyses. Psychol Bull 2017;143 (6):565–600. ==


Commentaries

Flipped classrooms, by design

First published: 21 August 2018
 




효과적인 피드백을 위한 열두가지 팁

Twelve tips for giving feedback effectively in the clinical environment

SUBHA RAMANI1 & SHARON K. KRACKOV2

1Harvard Medical School, USA, 2Albany Medical College, USA




Tip 1 서로 존중하는 학습 환경을 구축하라
Establish a respectful learning environment
Tip 2 피드백의 목적과 목표에 대해서 이야기하라
Communicate goals and objectives for feedback
Tip 3 직접 관찰한 것을 바탕으로 피드백을 제공하라
Base feedback on direct observation
Tip 4 적절한 시점에 피드백을 제공하고, 정기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하라
Make feedback timely and a regular occurrence
Tip 5 피드백을 학습자의 자기평가로 시작하라
Begin the session with the learner's self-assessment
Tip 6 관찰한 행동을 강화하거나 교정해주라
Reinforce and correct observed behaviours
Tip 7 행동에 관한 구체적인, 중립적인 언어를 사용하라
Use specific, neutral language to focus on performance
Tip 8 학습자의 이해수준과 수용할 수 있는 정도를 파악하라
Confirm the learner's understanding and facilitate acceptance
Tip 9 구체적인 행동 계획으로 마무리지어라
Conclude with an action plan
Tip 10 스스로의 피드백에 대해서 성찰하라
Reflect on your feedback skills
Tip 11 교수개발 기회를 만들라
Create staff development opportunities
Tip 12 피드백을 조직의 문화로 만들라
Make feedback part of institutional culture





배경

Introduction


의학에서 교육적 초점은 지식 습득과 훈련 지속 시간에서 개인 및 인구 의료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의사 준비로 옮겨갔다(Krackov & Pohl 2011). 이 결과 또는 교육에 대한 역량 기반 접근방식에서 학습자는 의사가 기대하는 역량을 개발해하는 과정에서 특정 이정표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성능에 대한 상세하고 신속한 피드백과 개선 기회는 이들이 이러한 이정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Krackov 2011; Krackov & Pohl 2011).

In medicine, the educational focus has shifted away from knowledge acquisition and duration of training towards the achievement of learning outcomes and preparation of physicians for meeting individual and population healthcare needs (Krackov & Pohl 2011). In this outcome, or competency-based approach to education, learners are expected to reach specific milestones, as they develop the competencies expected of a physician. Detailed and prompt feedback on performance, coupled with opportunities to improve, helps them achieve these milestones (Krackov 2011; Krackov & Pohl 2011).


피드백의 정의

    • 현재 수행한 것과 동일하거나 관련된 미래 활동에서 성과를 guide하기 위한 정보

    • 훈련생들이 그들의 최대 잠재력에 도달하도록 도울 수 있는 교육 과정의 필수적인 요소

    • information describing students’ or house officers’ performance in a given activity that is intended to guide their future performance in that same or a related activity
    • an essential element of the educational process that can help trainees reach their maximum potential


Ende(1983)는 피드백을 '주어진 활동에 대한 학생 또는 house officer의 수행능력에 대해, 동일하거나 관련된 미래의 활동에서 수행능력을 guide하는 정보'로 정의합니다. Hesketh와 Laidlaw(2002)는 피드백을 훈련생들이 최대의 잠재력에 도달하도록 도울 수 있는 교육 과정의 필수적인 요소라고 설명한다. 학습자의 우수한 수행능력을 강화하고, 필요한 경우 교정의 기초를 제공하여 과정 또는 프로그램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 피드백은 교사의 교육 및 평가 역할을 연결하고 학습자에게 그들의 헌신을 보여줍니다(Krackov 2009).

Ende (1983) defines feedback as, ‘information describing students’ or house officers’ performance in a given activity that is intended to guide their future performance in that same or a related activity’. Hesketh and Laidlaw (2002) describe feedback a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educational process that can help trainees reach their maximum potential. It enables learners to achieve the course or program goals by reinforcing good performance and providing the basis for remediation when needed. Feedback links the teaching and assessment roles of teachers and demonstrates their commitment to the learners (Krackov 2009).


크라코프(Krackov)와 폴(2011년)은 학습자가 시간 경과에 따라 지식, 기술, 태도 및 행동을 개발함에 따라 전문 지식을 쌓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커리큘럼 개발 모델을 제시했습니다. 이 교육과정 모델에서, 학생들은 정기적인 피드백을 받아야 하고 형태 형성적 평가와 종합적 평가와 함께 그들의 능력에 대해 논의할 기회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피드백을 생각한다면, 건설적인 피드백은 학습자들이 기대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노력하는 동안 그들의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것은 그들의 자신의 수행능력을 더 잘 인식하게 해주고, 그들의 미래 행동을 지도한다.

Krackov and Pohl (2011) presented a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in which deliberate practice (Ericsson 2004) plays a critical role in building expertise as the learner develops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behaviours in an iterative process over time. In this curriculum model, students should receive regular feedback and have an opportunity to discuss their abilities with their teachers in conjunction with both formative and summative assessments. When we think about feedback in this way, we see that constructive feedback helps learners increase their skill set while working to achieve the expected outcomes. It raises their awareness about their performance and directs their future actions.


의과대학생과 거주자는 [효과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하면 성과를 측정하고 개선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된다]고 언급했다(Bing-You et al. 1997; Hewson & Little 1998; Brow-Bridge). 그러나, 훈련생들은 피드백이 자주, 효과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제공된다고 보고하는 반면, 교사들은 자신이 자주, 적절히 피드백을 제공한다고 믿는다. (Branch &amp; Little 1998; Branch 2002).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have stated that feedback, when given effectively, is useful in helping them gauge their performance and making action plans for improvement (Bing-You et al. 1997; Hewson & Little 1998; Bing-You & Trowbridge 2009). Yet, trainees report that feedback is given infrequently and/or ineffectively (Hewson & Little 1998; Branch & Paranjape 2002), whereas teachers themselves believe that they provide frequent and adequate feedback (Branch & Paranjape 2002).


피드백의 장벽

Barriers to effective feedback


Hesketh와 Laidlaw(2002)는 효과적인 피드백을 가로막는 몇 가지 장벽이 있다고 말한다. 

  • 피드백의 목적이 교사나 학습자에게 명확하지 않다.

  • 피드백 세션을 위한 적절한 시간이나 장소가 없다.

  • 교사는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공식 교육을 거의 또는 전혀 받지 않았거나, 자신의 관찰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하거나, 관찰 결과를 구체적이고, 비판단적이며, 건설적인 피드백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모를 수 있다(Brukner et al., 1999). 

  • 그 결과 피드백은 매우 일반적인 내용만 담고 있으며, 수행능력 개선을 추구하는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Brukner et al. 1999). 

  • 의학의 위계적 문화는 양방향 대화 대신 교사로부터 학습자에게로의 일방적인 정보 흐름을 촉진한다. 그 결과, 학습자는 피드백을 수행능력이 비판받는 부정적인 경험으로 인식한다.


Hesketh and Laidlaw (2002) state that there are several barriers that prevent effective feedback from taking place. 

    • The purpose of feedback may not be clear to the teacher or learner. 
    • There may be no appropriate time or place for a feedback session. 
    • The teacher may have minimal or no formal training in giving effective feedback, may lack confidence about his/her observations, or may not know how to translate observations into specific, nonjudgemental and constructive feedback (Brukner et al. 1999; Cantillon & Sargeant 2008). 
    • Consequently, feedback may be very general and not helpful to a learner seeking to improve performance (Brukner et al. 1999). 
    • The hierarchical culture of medicine promotes a one-way flow of information from teacher to learner instead of a two-way conversation (Krackov 2011). As a result, the learner may view feedback as a negative experience in which performance will be criticised.

1. 상호존중하는 학습환경 조성
Tip 1 Establish a respectful learning environment
긍정적인 학습 환경은 피드백이 최대한 효과적이기 위해 필수적이다(Hewson & Little 1998). 학습 환경은 교수와 학습자가 [상호 신뢰와 존경의 분위기 속에서 정기적으로 성과를 관찰하고 피드백을 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학습자가 기대되는 결과 달성을 돕기 위해 함께 일하고 있다는 생각]을 촉진해야 한다. 교사와 학습자는 피드백 과정에서 파트너가 되어야 한다. 피드백 세션은 학습자가 자신의 성과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양방향 대화로 보아야 합니다(Krackov 2011). 교사는 훈련생들로부터 받은 피드백을 진심으로 수용해야 한다.
positive learning climate is essential in order for feedback to be maximally effective (Hewson & Little 1998). The learning climate should promote the concept that the teacher and learner are working together to help the learner achieve the expected outcomes, with an expectation that teachers will observe performance and give feedback regularly in an atmosphere of mutual trust and respect. Teachers and learners should be partners in the process of feedback. A feedback session should be viewed as a two-way conversation in which the learn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assessing his/her own performance (Krackov 2011). The teacher should be genuinely receptive to feedback from trainees.

레지던트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을 때, 선생님에 대한 신뢰와 존중이 피드백을 더 수용하게 만드는 요인이라고 말했다(Bing-You et al., 1997; Hesketh & Laidlaw 2002). 효과적이라고 불리는 피드백은 private setting에서 제공되었고 교사 측에서는 사려 깊은 어조와 훌륭한 대인 관계 기술을 특징으로 했습니다(Bing-You 등 1997). 학습자들은 또한 피드백이 공평하고(강점과 실수 모두 포함) 부드럽게, 지지적으로, caringly 주어진다면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Hewson & Little 1998).
When medical residents were surveyed, they stated that trust and respect for the teacher are factors that would make them more receptive to feedback (Bing-You et al. 1997; Hesketh & Laidlaw 2002). Feedback that was termed effective was given in a private setting and featured a considerate tone and good interpersonal skills on the part of the teacher (Bing-You et al. 1997). Learners also found it helpful if feedback was even-handed (addressed both strengths and mistakes) and was given gently, supportively, caringly and with concern for their situation (Hewson & Little 1998).


2. 피드백을 위한 의사소통 목표
Tip 2 Communicate goals and objectives for feedback
우드(2000)는 피드백이 효과적인 학습 모델이 되게 하려면 교사와 학습자가 함께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첫 번째 단계는 학습자를 근무환경, 목적, 목표에 orient시킴으로써 학습자가 경험을 통해서 동안 달성해야 학습경험과 기대치에 orient시키는 것이다.
Wood (2000) stated that the teachers and learners should work together to create a learning model in which feedback will be effective. The first step is to orient the learner to the work environment, the goals and objectives of the learning experience and the expectations for what the learner is expected to achieve during the experience.

교사는 피드백 세션에 대해 미리 정보를 주고, 상호 편리한 시간과 private한 장소에서 회의를 예약하고, 세션 목표, 의제 및 예상 결과에 대한 합의를 받아야 한다(Hewson & Little 1998). 책임과 목표에 대한 이러한 예비 방향과 논의는 단계를 설정하며, 학습자가 보다 편안하고 책임감 있게 되며 학습자가 학습의 원동력이 됩니다(Wood 2000).
The teacher should inform the learner in advance about the feedback session, schedule the meeting at a mutually convenient time and private location and get agreement on the session goals, agenda and expected outcomes (Hewson & Little 1998). This preliminary orientation and discussion of responsibilities and goals sets the stage, makes the learner more comfortable and responsible and engages the learner as a moving force for learning (Wood 2000).


3. 직접 관찰에 기반하여 피드백을 주라
Tip 3 Base feedback on direct observation
교수진의 주요 책임은 훈련생들이 다음 단계로 나아가고 궁극적으로 의사로서 독립적인 의료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Hauer et al. 2011). 의료 분야의 훈련생은 환자 치료와 모의 실험 경험을 통해 이력 기록, 신체 검사, 의사소통 및 환자 상담 기술과 같은 중요한 임상 기술을 배운다. 학습자가 초보자에서 유능한 의사 그리고 그 이상의 전문가로 발전해감에 따라, [더 경험이 많은 의사]가 성과를 관찰하고 성공이나 교정조치의 중요한 부분을 note해야 한다. 이러한 직접적인 관찰은 피드백 세션의 기초를 형성한다.
A major responsibility of faculty is to ensure that trainees are competent to move on to the next level and ultimately to independent practice as a physician (Hauer et al. 2011). Trainees in medicine learn key clinical skills such as history-taking, physical examination, communication and patient counselling skills through patient care and in simulated experiences. As the learner progresses from a novice to a competent practitioner and beyond, more experienced physicians should observe the performance and note important areas of success or remediation. This direct observation forms the basis for the feedback session.

교사가 직접 관찰한 행동에 대한 피드백은 간접 보고서에 기초한 피드백보다 교육자에게 더 적합하고 유익하다(Ende 1983; Van Hell et al. 2009). 빙유 외 연구진(1997)이 의학계 거주자들을 조사했을 때, 훈련생들이 직접 관찰한 결과 진술이 나온 것으로 믿지 않는다면 피드백을 평가절하하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Feedback on behaviours based on direct observation by the teacher has been reported to be more acceptable and instructive to trainees than feedback based on second-hand reporting (Ende 1983; Van Hell et al. 2009). When Bing-You et al. (1997) surveyed medicine residents, they found that trainees tended to discount feedback if they did not believe that the statements arose out of first-hand observation.


4. 적시에, 정기적으로 피드백을 주라
Tip 4 Make feedback timely and a regular occurrence
피드백의 중요한 목적은 과정/로테이션 종료 전에 필요한 변경을 학습자가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행동을 바로잡아야 할 경우, 교사는 가능한 한 빨리 피드백을 제공해서 학습자가 행동할 충분한 시간을 가져야 한다. 경험이 끝날 때까지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으면 학습자는 코스/로테이션 중에 행동을 교정할 기회를 갖지 못합니다.
An important purpose of feedback is formative, to enable the learner to make needed changes before the end of the course/rotation. If a behaviour needs correction, the teacher should provide feedback as soon as possible after the encounter so the learner has sufficient time to act. If feedback is not given until the very end of the experience, the learner will not have an opportunity to remediate the behaviour during the course/rotation.

형성적 피드백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 간략하고 비공식적인 형성적 피드백 세션은 행동 관찰 후 선생님과 학습자 모두가 사건을 정확하게 기억하고 학습자가 최종 평가 전에 성과를 조정할 수 있을 때 가능한 한 빨리 제공할 수도 있다(Perera et al., 2008). 이 세션은 심장 난독화 기법(Branch & Paranjape 2002)과 같은 특정 기술을 수정하는 것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 더 길게 진행되는 형성적 피드백 세션은 코스/로테이션 중간 지점에서 미리 예정되어있어야 한다. 이 미팅에서는 다양한 기술과 행동을 다룰 수 있지만, 여전히 중간지점에서의 개선이라는 목적이 있습니다. 
    • 총괄 피드백은 학습자가 계속 성장할 수 있도록 최종 평가에 동반되어야 합니다.
Formative feedback can take place in several ways. A brief, informal formative feedback session takes place immediately or as soon as possible after the observation of a behaviour, when both teacher and learner recall the events accurately and the learner can make adjustments in performance before the final evaluation (Perera et al. 2008). This session can be related to correcting a specific skill, for example, cardiac auscultation technique (Branch & Paranjape 2002). A longer formative feedback session should be scheduled at the mid-point of the course/rotation. This meeting can address a range of skills and behaviours, but still have the purpose of enabling mid-course improvement. Summative feedback should accompany the final evaluation so the learner can continue to grow.

DP모델(Krackov & Pohl 2011)은 커리큘럼 마일스톤 달성을 위한 학습 성과, 피드백, 멘토링, 성찰에 초점을 맞춘다. 이 모델은 또한 지속적인 학습 및 개선 문화를 촉진하므로, 정기적인 지속적인 피드백은 최고 품질의 의료 및 전문직업적 만족을 촉진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The deliberate practice model (Krackov & Pohl 2011) focuses on learning outcomes, feedback, mentoring and reflection for the achievement of curricular milestones. As the model also promotes a culture of continuous learning and improvement, regular ongoing feedback is essential to promote the highest quality medical care and professional satisfaction.


5. 피드백을 학습자의 자기평가로 시작하라
Tip 5 Begin the session with the learner's self-assessment
임상 훈련의 주요 목표는 성찰적 실천을 촉진하는 것이다. 학습자가 자기평가를 하게 만드는 피드백 세션은 이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개방형 질문을 사용하여 미팅을 대화로 시작하고 학습자가 자신의 실천에 대해 성찰하도록 합니다. 학습자는 교사의 응답이 필요한 문제를 제기할 수 있으며, 이는 대화를 시작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Branch & Paranjape 2002). 학습자는 교사가 다루려고 했던 것과 동일한 논점을 제기하여 유용한 출석을 제공할 수 있다.
A key goal of clinical training is to promote a reflective practitioner. Opening the feedback session by inviting the learner to self-assess can help achieve this goal. Use open-ended questions to start the meeting as a conversation and promote the learner's reflection on his/her practices. The learner may raise issues requiring a response from the teacher, which can help begin the dialogue (Branch & Paranjape 2002). The learner may well bring up the same points that the teacher had planned to address, thus providing a useful entrée.

자기평가는 '가혹도'에 대한 인식을 완화시키고, 민감하고 교정적 피드백을 더 수용가능하게 도와줍니다(Branch & Paranjape 2002). 학습자가 단독으로 또는 교사와 공동으로 시작한 피드백은 교사들에 의해 시작된 피드백보다 더 유익했다.
This self-assessment can soften the perception of harshness and help make sensitive, corrective feedback feel more acceptable (Branch & Paranjape 2002). Feedback initiated solely or jointly by learners was seen as more instructive than that initiated mainly by teachers (Cantillon & Sargeant 2008; Van Hell et al. 2009).

6. 관찰한 행동을 강화 또는 교정하라
Tip 6 Reinforce and correct observed behaviours
모범적인 행동을 인정하고 강화하는 것으로 시작하세요. 이 접근법은 모범 사례를 서포트하고, 학습자가 이를 반복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며, 더 많은 피드백을 구할 수 있도록 합니다(Cantillon & Sarnard 2008; Krackov 2009). 훈련생들은 자신들이 올바르게 하고 있는 것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이 그들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주고 더 나은 학습 환경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Begin by acknowledging and reinforcing exemplary behaviour. This approach can support good practices, motivate the learner to repeat them and prompt him/her to seek more feedback (Cantillon & Sargeant 2008; Krackov 2009). Trainees stated that positive feedback on what they were doing correctly gave them confidence in their skills and created a better learning environment (Bing-You et al. 1997).

그런 다음 필요한 수정 사항을 강조하여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예와 제안을 제공해야 한다. 건설적 피드백이 제공될 때 [성과가 부정확하거나 결함이 있는 이유] 및 [학습자가 통제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행동을 다룸]으로써 특정 성과에 초점을 맞출 때 특히 도움이 된다고 보고했다(Wood 2000).
Next, highlight necessary corrections, providing specific example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Learners have reported that constructive feedback was beneficial especially when it focused on specific performance accompanied by reasons why the performance was incorrect or faulty (Bing-You 1997) and when it dealt with behaviours that the learner was able to control or modify (Wood 2000).

펜들턴 외 연구진(2003)은 피드백 세션을 수행하기 위한 유사한 4단계 프로세스를 설명했다. 
    • 학습자에게 자신이 잘 수행되었다고 느껴진 부분을 물어본다. 
    • 적절하게 합의하고 강화 코멘트를 추가한다. 
    • 그런 다음 학습자에게 개선 영역을 식별하도록 요청합니다. 
    • 적절한 동의를 얻고 수정 피드백을 더 추가합니다.
Pendleton et al. (2003) described a similar four-step process for carrying out a feedback session. 
      • Ask the learner what he/she feels was done well; 
      • agree as appropriate and add reinforcing comments; 
      • then, ask the learner to identify areas of improvement; 
      • agree as appropriate and add more corrective feedback.


7. 행동에 초점을 맞춘 구체적, 중립적 용어를 사용하라
Tip 7 Use specific, neutral language to focus on performance
긍정적인 의사소통 전략은 필수적이다. 바디 랭귀지로 보내는 메시지는 중요하다. 학습자 옆에 sitting down하는 것은 교사의 지위에서 오는 power를 최소화할 것이다. 본 문서의 앞부분에서 권장하는 바와 같이 직접 관찰한 거에 대해 피드백하라. 강화 또는 수정 피드백을 제공할 때는 공손하고 지지적인 어조와 정확하고 서술적이고 중립적인 표현을 사용하십시오. 사람 또는 성격이 아닌 바뀔 수 있는 행동에 초점을 맞추고 명확한 예를 제시합니다(Cantillon & Sarnard 2008; Krackov 2009). 내과 레지던트들이 유용한 피드백에 대한 그들의 인식을 인터뷰했을 때, 그들은 변화에 대한 제안과 함께 시기적절하고 구체적인 피드백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느꼈다(Bing-You 1997).
Posi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are essential. The message sent by body language is important; sitting down beside the learner will minimise a position of power on the part of the teacher. Base feedback on directly observed performance, as recommended earlier in the text. When delivering reinforcing or corrective feedback, use a respectful, supportive tone and precise, descriptive and neutral wording. Focus on behaviours that can be changed, not the person or personality (Wood 2000) and provide clear examples (Cantillon & Sargeant 2008; Krackov 2009). When Internal Medicine residents were interviewed on their perceptions of useful feedback, they felt that timely, specific feedback was most effective when accompanied by suggestions for change (Bing-You 1997).

긍정적인 피드백도 꼭 주세요. 이는 세션을 양방향 대화로 만듭니다. 학습자는 질문을 시작하고 이에 대응하는 피드백 프로세스의 파트너여야 합니다. 학습자의 반응, 성격, 기질을 인식합니다. 세션에 제공된 피드백을 학습자가 흡수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제한합니다(Wood 2000; Krackov 2009). 피드백이 잘 처리되면 교사-리너 관계를 강화하고 학습자의 행동에 유익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Cantillon & Sarnard 2008).
Be sure to give positive feedback too. Make the session a two-way conversation. The learner should be a partner in the feedback process who initiates and responds to questions. Be aware of the learner's response, personality and temperament. Limit the feedback given in the session to what the learner can absorb (Wood 2000; Krackov 2009). When feedback is handled well, it can enhance the teacher–learner relationship and lead to beneficial changes in the learner's behaviour (Cantillon & Sargeant 2008).


8. 학습자의 이해를 확인하고 수용을 촉진하라
Tip 8 Confirm the learner's understanding and facilitate acceptance
특히 교정적 피드백이 주어질 때, 피드백 세션은 선생님과 학습자 모두에게 '감정적'이 될 수 있습니다. 학습자의 관점과 특정 행동을 설명해주는 이유에 대해 배우는 것이 중요합니다(Krackov 2009). 학습자의 배경, 기질, 변화 준비 상태를 고려합니다(Milan et al. 2006). 학습자에게 질문을 하여 확실히 이해했는지 확인합니다.
A feedback session can be loaded with emotion on the part of both teacher and learner, particularly when corrective feedback is given. It is important to learn about the learner's perspectives and possible reasons for a specific behaviour (Krackov 2009). Consider the learner's background, temperament and readiness to change (Milan et al. 2006). Invite the learner to ask questions to assure that he/she has a firm understanding.

ECO 모델(감정, 내용 및 결과)은 상담 문헌에서 개발한 3단계 프로세스로, 다원 피드백의 수용과 사용을 용이하게 합니다(Sardhan et al. 2011). 
  • 1단계는 받은 피드백에 대한 감정적 반응을 인식하고 탐구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 2단계는 훈련자의 퍼포먼스와 관련된 피드백의 특정 내용을 명확히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3단계는 trainee에게 필요한 학습 및 개발사항을 확인하고, 그러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고 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결과 계획 수립을 지도하는 것입니다.
The ECO model (emotions, content and outcome) is a three-step process developed from the counselling literature to facilitate acceptance and use in multisource feedback (Sargeant et al. 2011). 
    • Step 1 focuses on acknowledging and exploring the emotional reaction to the feedback received. 
    • Step 2 aims to clarify the specific content of the feedback as it relates to the trainee's performance. 
    • Step 3 seeks to confirm the trainee's identified learning and development needs and coach the creation of an outcomes plan that will meet the needs and improve performance.

9. 실행 계획으로 종결지으라
Tip 9 Conclude with an action plan
피드백 세션은 개선을 위한 실행 계획으로 종료되어야 한다(Bing-You et al. 1997; Krackov 2009). 학습자에게 아이디어를 생성하게 요청한 후, 필요하다면 그 아이디어를 승인하거나 수정하라. 교사가 학습자에게 완수할 항목의 목록을 주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에게 개선 계획을 세우도록 요청함으로써 [훈련자의 성찰 능력을 계발]하고, [학습자의 강점을 요약하고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계획을 반복함으로써 피드백 미팅을 요약정리]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진행 상황을 검토하고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계속 협력할 수 있는 후속 미팅 시간을 설정합니다.
The feedback session should end with an action plan for improvement (Bing-You et al. 1997; Krackov 2009). Ask the learner to generate ideas and then endorse or modify them as necessary. Inviting the learner to generate a plan for improvement as opposed to the teacher giving him/her a list of items to accomplish will help develop the trainee's skills of reflection, summarise the meeting by repeating the learner's areas of strength and the agreed-upon plan to address deficiencies. Then, set a time for a follow-up meeting where you can review progress and continue to work together to achieve the desired outcomes.


10 스스로의 피드백 기술을 성찰하라
Tip 10 Reflect on your feedback skills
매 피드백 세션마다 교사 자신의 성찰이 뒤따라야 따라야 한다. 세션이 끝나면 교사는 잘 된 일, 다음 번에 무엇을 바꿀 것인지, 앞으로의 수업에 어떤 새로운 전략을 적용할 것인지에 대해 숙고해야 한다. (Krackov 2009) 또한 도전을 논의하고 동료와 상급 교육자들로부터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는 것도 유용하다.
Reflection by the teacher should follow every feedback session After the session ends, the teacher should reflect on what went well, what to change the next time and what new strategies he/she will adapt for future sessions (Krackov 2009). It is also useful to discuss challenges and acquire new tricks from peers and senior educators.

권장 전략을 가장 잘 준비하고 사용하더라도 불구하고 모든 피드백 세션은 완벽하게 진행되지 않습니다. 학습자는 방어적일 수 있으며, 교정적 피드백을 수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Ende 1983; Krackov 2009). 그/그녀는 자신의 퍼포먼스에 대한 책임을 다른 곳에 돌리려고 할 수도 있다. 피드백 세션이 성공적이었더라도 향후 미팅이 잘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 성찰 과정을 갖는 것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모든 피드백 만남의 일부로서 성찰을 포함시키는 것은 피드백을 주는 선생님의 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다.
Despite the best preparation and use of recommended strategies, all feedback sessions do not go perfectly. The learner may be defensive and may not accept corrective feedback (Ende 1983; Krackov 2009). He/she may try to assign blame elsewhere to account for the performance. Even successful feedback sessions will benefit from the process of reflection to help assure that future meetings also turn out well. Making reflection a part of every feedback encounter will improve the teacher's skills at giving feedback.

11 교수개발 기회를 만들리
Tip 11 Create staff development opportunities
교수개발은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핵심입니다. 워크샵은 유용한 메커니즘(Brukner et al. 1999; Krackov 2009; Krackov 2011)이며, 교수진이 편리한 시간에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실습 교육 전략에 성인 학습 이론을 적용하는 것을 강조하고 동료 토론과 스킬 연습을 위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효과적인 피드백 전략에 대한 학습자 의견을 다룬 문헌을 검토함으로써 향후 피드백 세션을 계획할 때 교사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교수들은 자신이 가진 피드백 세션을 관찰하고 그것을 debrief할 수 있도록 동료와의 파트너 관계를 고려할 수 있다.
Staff development is key for training faculty to give effective feedback. Workshops are a useful mechanism (Brukner et al. 1999; Krackov 2009; Krackov 2011) and can be scheduled at a convenient time for faculty. They can emphasise the application of adult learning theories to on-the-job teaching strategies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peer discussions and skills practice. Reviewing the literature that reports learner opinions on effective feedback strategies is a form of staff development that can help teachers as they plan future feedback sessions with their learners. Teachers may consider partnering with a colleague who could observe their feedback sessions and then debrief the encounter.

임상 교사들은 피드백을 다른 기술과 같이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습득하고 연마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해야 한다. 이 기술은 앞서 본문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교사가 자신의 성과를 성찰함으로써 더욱 향상될 수 있다.
Clinical teachers should consider giving feedback as similar to any other skill, which can be acquired and honed through repeated practice (Cantillon & Sargeant 2008). This skill can be further improved through the teacher's reflection on his/her performance as described earlier in the text.


12 피드백을 문화의 한 부분이 되게 만들어라 
Tip 12 Make feedback part of institutional culture
기관 및 부서장은 정기적인 피드백이 학습 과정의 일부라는 기대를 확립해야 한다(Krackov & Pohl 2011). 교수진은 trainee에게 피드백을 제공해야 하며, 반대로 학습자, 동료, 상급자로부터 자신의 성과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것으로 기대해야 한다. 개별 과정/로테이션에서의 피드백 프로세스를 모니터하는 절차를 개발해야 한다. 비디오 촬영 피드백 세션 및/또는 보고를 통한 동료 관찰은 기관 수준에서 구현되어야 하는 매우 유용한 기법일 수 있다. 훈련생은 기관에서 정기적인 피드백을 줄 것으로 기대하도록 orient되어야 하며, 적극적으로 피드백을 요청하는 자세가 권장되어야 한다(Milan et al. 2011).
Institutional and departmental leaders should establish expectations that regular feedback is part of the learning process (Krackov & Pohl 2011). Faculty should be required to provide feedback to trainees and they should also expect to receive feedback from learners, peers and their superiors on their performance as teachers. The institution should develop a process for monitoring the feedback process in individual courses/rotations. Videotaping feedback sessions and/or peer observation with debriefing can be very useful techniques that should be implemented at an institutional level. Trainees should be oriented to the expectations of regular feedback at the institution and strongly encouraged to be proactive in asking for feedback (Milan et al. 2011).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교사들을 위한 다양한 직원 개발 기회를 조직하고 다른 기관 및 교육 컨퍼런스에서 제공되는 세션에 교수진의 참석을 지원함으로써 피드백의 중요성을 높일 수 있다.
The institution can promote the importance of feedback by organising a variety of staff development opportunities for teachers as described earlier and by supporting faculty's attendance at sessions offered at other institutions and educational conferences.






 2012;34(10):787-91. doi: 10.3109/0142159X.2012.684916. Epub 2012 Jun 25.

Twelve tips for giving feedback effectively in the clinical environment.

Abstract

BACKGROUND:

Feedback i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educational process for clinical trainees. Performance-based feedback enables good habits to be reinforced and faulty ones to be corrected. Despite its importance, most trainees feel that they do not receive adequate feedback and if they do, the process is not effective.

AIMS AND METHODS:

The authors reviewed the literature on feedback and present the following 12 tips for clinical teachers to provide effective feedback to undergraduate and graduate medical trainees. In most of the tips, the focus is the individual teacher in clinical settings, although some of the suggestions are best adopted at the institutional level.

RESULTS:

Clinical educators will find the tips practical and easy to implement in their day-to-day interactions with learners. The techniques can be applied in settings whether the time for feedback is 5 minutes or 30 minutes.

CONCLUSIONS:

Clinical teachers can improve their skills for giving feedback to learners by using the straightforward and practical tools described in the subsequent sections. Institutions should emphasise the importance of feedback to their clinical educators, provide staff development and implement a mechanism by which the quantity and quality of feedback is monitored.

PMID:

 

22730899

 

[PubMed - indexed for MEDLINE]


슈퍼바이저에게 피드백주기: 익명성이 정말 중요한가? (Acad Med, 2016)

Feedback to Supervisors: Is Anonymity Really So Important?

Nancy L. Dudek, MD, MEd, Suzan Dojeiji, MD, MEd, Kathleen Day, MA, and Lara Varpio, PhD



의료 훈련생(즉, 학생과 레지던트)이 제출하는 평가는 의사들에게 제공하는 공식 교육과 임상 감독 품질에 대한 피드백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평가에는 특정 유형의 평가 척도와 정성적 코멘트를 위한 전용 공간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평가는 개별 교육 활동의 마지막에, 익명의, 수합된aggregate 형태로 의사들에게 제공된다(예: 강의, 임상 로테이션 감독).

Assessments completed by medical trainees (i.e., students and residents) make up the majority of feedback provided to physicians on the quality of their formal teaching and clinical supervision . Typically, these assessments have some type of rating scale and a dedicated space for qualitative comments. Usually, the assessments are provided to physicians in an anonymous, aggregate form at the end of a discrete educational activity (e.g., teaching a lecture, supervising a clinical rotation).


효과적인 피드백은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이 기능에 대한 자세한 목록은 표 1 참조).6–11

Effective feedback has several features (see Table 1 for a detailed list of these features).6–11


흔히 하는 생각과 달리, 효과적인 피드백의 많은 요소들은 익명성을 요구하지 않거나, "개방적 피드백" 프로세스에 의해 촉진된다.

Counter to conventional wisdom, many of the elements of effective feedback require or are promoted by a non-anonymous or “open feedback” process


그러나, 의료 훈련생이 교수진에게 피드백을 주는 경우처럼 FR이 FP보다 권력상 상위에 있을 때는 일반적으로 개방형 피드백이 채택되지 않는다. 이런 경우 교육자에 대한 피드백은 일반적으로 익명으로 제공됩니다. 익명성은 권한 있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때 존재하는 심리사회적 압력을 완화하는 것으로 간주된다.10,12,13 이러한 심리사회적 압력은 피드백 제공자와 수신자가 위계적 상황에서 함께 일할 때 더 심해지는 것으로 간주된다.13

However, open feedback is typically not employed when the feedback receiver is in a position of power over the feedback giver, as is the case for medical trainees giving feedback to faculty. This trainee- to-faculty feedback is typically provided in an anonymous fashion. Anonymity is thought to relieve the psychosocial pressure that exists when providing negative feedback to those in an authority position.10,12,13 These psychosocial pressures are thought to intensify when the feedback giver and receiver are working together in a hierarchical situation.13


표 1 문헌에서 확인된 효과적인 피드백의 특징

Table 1 Features of Effective Feedback Identified in the Literature


사실, 상위 권력자에게 피드백을 주는 것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학부 또는 학부이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10

In fact, the majority of the reported research on giving feedback to authority figures has involved studying students at the undergraduate (bachelor degree) level or lower. 10


수련생의 교수자 평가를 익명으로 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몇 가지 결과가 있다. 

첫째, 직장 생활에서 열린 자세로 다른 사람을 평가해야 하는 심리적 사회적 압력이 실제로 존재하는 것은 맞으나, 이러한 압력은 의사가 정기적으로 의사가 다루어야 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피어리뷰 또는 동료에 의한 비-전문직업적 행동 보고 등은 점점 더 개방적인 프로세스를 선호하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10,13 훈련생들은 이러한 과정에 준비되어야 하며, 이상적으로는 이러한 과정에 매우 뛰어난 사람이어야 한다.

There are several consequences that must be considered in choosing to keep trainee assessments of faculty anonymous. First, in working life, the psychosocial pressures of assessing others in an open manner are real but must be managed by physicians on a regular basis. For example, participating in peer review and reporting unprofessional performance by a colleague are activities that increasingly favor more open processes.10,13 These are challenges that we must prepare our trainees to meet and, ideally, to excel at.


익명의 피드백의 또 다른 결과는, 비록 의도하지는 않았더라도, 익명성으로 인해 도움이 되지 않는 진술(예: "그녀는 짜증난다")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또한 소규모 프로그램에서 익명 피드백은 적시에 이루어질 수 없다. 왜냐하면 상당한 수의 훈련생(일반적으로 5–10명)의 의견이 집계된 다음에 전달되어야 익명성을 지닐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피드백의 목적이 의료 감독자의 행동에 긍정적인 변화를 촉진하는 것이라면, 이러한 방식은 전혀 이상적이지 않다.

Another consequence of anonymous feedback, albeit unintended, is that anonymity enables the provision of unhelpful statements (e.g., “She is annoying”).10,14,15 Further, in smaller programs, anonymous feedback cannot be timely because a reasonable number of trainees (usually 5–10) must provide feedback before it can be rendered anonymous via aggregate reporting .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rogram, collecting sufficient numbers of comments to protect anonymity can take months to years. This is far from ideal if the purpose of the feedback is to promote positive changes in the clinical supervisor’s performance. 



방법

Method


세팅

Setting


This study was carried out at the University of Ottawa’s physiatry, also known as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PM&R), residency training program.


이 프로그램은 레지던트들이 정기적으로 직원들에게 직접적인 구두 피드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면 피드백은 로테이션의 중간과 끝에 작성된다. 레지던트와 교수진은 임상 감독자로서 교수진의 성과에 대한 서면 평가를 논의하기 위해 회의를 개최한다. 레지던트와 교수진은 전문적인 방식으로 피드백을 주고 받는 방법을 배운다. 이것은 정기적으로 예정된 학회 반나절 수업과 grand round을 통해 달성된다. 또한, 의료진이 제공하는 피드백 워크샵에 직원 내과 의사들도 참여하도록 권장된다. 필요에 따라 프로그램 감독(레지던트 및 간혹 교수진)과 부서장(교직원)의 개인 지도도 사용한다.

The program expects residents to provide staff physicians with direct verbal feedback on a regular basis. Written feedback is completed at the midpoint and end of rotations. Residents and faculty have a meeting to discuss this written assessment of the faculty’s performance as a clinical supervisor. Residents and faculty are taught how to give and receive feedback in a professional manner. This is accomplished through regularly scheduled academic half-day sessions and grand rounds. As well, staff physicians ar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feedback workshops offered by the Faculty of Medicine. Individual coaching by the program director (for the residents and occasionally faculty) and the division chief (for faculty) is also used on an as-needed basis.


레지던트가 개방형 피드백 시스템을 불편하게 느낄 경우, 직원 의사 피드백을 기밀로 제공할 수 있는 옵션이 있습니다(즉, 프로그램 관리자, 지정된 멘토 및/또는 부서장을 통해). 또한, 레지던트들은 매년 두 개의 그룹 검토 세션에 참여하는데, 이 세션에서는 레지던트 교육 프로그램의 모든 측면에 대한 집단 피드백을 구하고 익명으로 기록한다. 이러한 세션은 프로그램 책임자 이외의 레지던트 교육 위원회의 구성원에 의해 촉진된다. 세션 진행자는 교직원 성과를 포함한 프로그램의 모든 요소에 대해 모든 주민들 사이에 열린 토론을 장려합니다. 이 피드백은 익명 집계 형식으로 기록됩니다. 그러나, 퍼실리테이터와 모든 레지던트가 의견을 들어봤다는 점을 고려할 때, 그것은 정말로 익명인 것은 아니다.

If a resident feels uncomfortable with the open feedback system, there are options available to provide staff physicians feedback in a confidential fashion (i.e., via the program director, an assigned mentor, and/or the division chief). As well, residents participate in two group review sessions per year where their collective feedback on all aspects of the residency training program is sought and recorded in an anonymous fashion. These sessions are facilitated by a member of the residency training committee other than the program director. The session facilitator encourages open discussion amongst all of the residents regarding all elements of the program including faculty performance. This feedback is recorded in an anonymous aggregate format. However, given that the facilitator and all of the residents have heard the feedback, it is not truly anonymous.


참여자

Participants


졸업생

Graduates.


현재 전공의

Current residents.


자료 수집

Data collection


We invited graduates of the program to participate in a one-hour semi-structured telephone interview designed to probe perceptions of open feedback systems in general and of their unique experiences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http://links.lww.com/ACADMED/A340).


우리는 참가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공개 피드백 시스템에 대한 그들의 견해를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참가자들과 소그룹 인터뷰를 하기로 결정했다. 우리는 소규모의 면접이 풍부한 토론을 장려하기 위한 지원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고 느꼈다.

We invited current residents to participate in small-group interviews. We elected to do small-group interviews with these participants because we wanted to ensure that the participants felt empowered to candidly express their views on the open feedback system in which they were actively participating. We felt that small-group interviews could provide a supportive environment to encourage rich discussion. The RA guided participants through a series of questions similar to the semi-structured interviews for the graduates. The interviewer also shared some results of the graduate interviews and asked for the current residents’ reactions to and comments on these data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2, http://links.lww.com/ACADMED/A340). These interviews took place in June 2014. Participants gave informed consent prior to the group interview. They did not receive incentives.


자료 분석

Data analysis


We analyzed the qualitative data set for emergent themes using conventional content analysis.20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nvolves the systematic classification process of coding and identifying themes or patterns within a data set.20 In this tradition, language used by participants to describe their experiences is closely examined to develop categories that represent similar meanings.21 Three members of the research team completed the data analysis (principal investigator—N.L.D., who is a member of the studied context, and two coinvestigators—L.V. and K.D., who are not members of that context). We applied the final coding structure to the data set using NVivo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version 10 (QSR International Party Ltd.) to facilitate cross- referencing.22 


    • 코딩 과정에 참여하지 않은 연구 공동작업자는 검증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대학원생 1명과 현재 거주자와의 소규모 그룹 인터뷰의 코드화된 내용을 검토했다. 

    • 또한, 우리는 모든 분석 메모, 회의록, 코딩 구조 개정, 노드 정의에 대한 감사 추적을 유지함으로써 확인가능성을 확보했다.23,24 

    • 삼각 측량25는 세 가지 방법으로 달성되었습니다. 세 가지 분석가를 사용하여, 두 명의 다른 참가자 모집단의 데이터를 사용하고, 두 가지 수집 방법(인터뷰 및 소규모 그룹 인터뷰)을 사용합니다. 

    • 또한, 거주 참가자들은 대학원 참가자들이 수집한 자료를 참여시켜 기억의 측면에서 편향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따라서 연구 결과를 확인 또는 확인하는 데 사용되었다.


    • To ensure confirmability, the study collaborator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coding processes (S.D.) reviewed the coded transcripts of one graduate participant and of one small- group interview with current residents. 

    • Further, we ensured confirmability by maintaining an audit trail of all analytical memos, minutes of meetings, revisions to the coding structures, and node definitions.23,24 

    • Triangulation25 was achieved in three ways: using three analysts; using the data from two different participant populations; and using two methods of collection (interview and small-group interviews). 

    • The resident participants were also used to member check the data collected from the graduate participants to see if a bias existed in terms of recollection and thus, confirm or disconfirm study findings.


결과

Results


장점

Advantages


대학원생과 현재 레지던트는 모두 공개 피드백의 7가지 특정 이점을 설명합니다.

  • 적시에 피드백, 

  • 구체적인 피드백, 

  • 피드백에 대해 반응하는 스텝 의사들 

  • 피드백에 대해 책임감을 느끼고, 

  • 더 나은 피드백을 주는 방법을 배웠다는 느낌 

  •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능력 향상 

  • 스텝 의사가 더 접근하기 쉽다는 인식

Graduates and current residents both described the same seven specific advantages of open feedback: 

  • timely feedback, 

  • specific feedback, 

  • staff physicians acting on the feedback, 

  • feeling accountable for the feedback, 

  • feeling that they learned how to give better feedback, 

  • feeling an improved ability to receive feedback, and 

  • a perception that the staff physicians were more approachable. Table 2


단점

Disadvantages


이러한 단점은 두 가지 다른 방식으로 설명되었습니다. 즉, 개인적으로 경험한 것과 다른 교육자가 경험할 수 있는 단점을 추측한 것입니다. 즉, 참가자들은 단점을 가진 직접적인 경험을 보고했지만, 그들이 보고한 대부분은 다른 훈련생들이 경험할 것이라는 가설(짐작)에 기반한 것이었다. 또한, 졸업생들과 현재 레지던트들 모두 이 세 가지 단점을 모두 설명한 반면, 현재 거주자들은 이러한 단점을 졸업생들보다 더 강하게 식별했다는 것도 주목할 만 하다.

These disadvantages were described in two different ways: personally experienced, or speculations of disadvantages other trainees might experience. In other words, participants did report direct experience with disadvantages, but the majority of the time the disadvantages they reported were hypotheses of what other trainees might experience. It is also notable that, while both the graduates and current residents described all three disadvantages, the current residents identified more strongly with these disadvantages than the graduates.


단점은

  • 스텝 의사와의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우려 

  • 부정적인 피드백을 전달하는데 불편함을 느끼며 

  • 부정적인 피드백이 전달되어야 할 때 코멘트를 배제하거나 완화함으로써 "메시지 수정"을 선택한 레지던트들

Disadvantages were 

  • concern for a negative impact to their relationship with the staff physician, 

  • feeling uncomfortable delivering negative feedback, and 

  • residents choosing to “moderate the message” by excluding or softening comments when negative feedback needed to be delivered. Table 3


촉진 요인과 장애 요인

Enablers and obstructors


표 4와 표 5는 많은 Enabler가 방해자로 작용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라는 것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피드백을 요청하는 스텝 의사는 열린 피드백 프로세스를 가능하게 한다고 기술한 반면, 피드백을 요청하지 않는 스텝 의사는 열린 피드백 프로세스를 방해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참가자들은 레지던트와 교수진이 열린 피드백 시스템에 대해 선천적으로 편안하거나 불편하게 만드는 특정한 "개인적 자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Tables 4 and 5 illustrate that the converse of many enablers act as obstructors, and vice versa. For example, staff physicians inviting feedback was described as enabling the open feedback process, whereas staff physicians not inviting feedback was reported as obstructing the open feedback process. Also, the participants identified that residents and faculty come to the program with certain “personal qualities” that make them either innately comfortable or uncomfortable with the open feedback system. 


이러한 개인적 특성에 대해 할 수 있는 일이 거의 없지만, 참가자들은 촉진요인을 강화시키거나 방해자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레지던트 프로그램의 구조적 요소를 식별했다(표 4와 5 참조). 

  • 첫째, 이 프로그램은 레지던트들에게 유용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명확히 가르친다. 많은 참가자들은 이 훈련이 그들이 그들의 의사들에게 피드백을 주는 것에 더 편안함을 느끼도록 돕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 둘째, 레지던트들은 자주 사용하지 않기로 선택했음에도 불구하고, 익명의 피드백 선택권이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고마움을 표시했다. 참가자들은 익명성이 제공하는 보호가 필요할 경우 익명 옵션이 있음을 알고 열린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더 편안함을 느낀다고 설명했다. 

  • 마지막으로, 교수진 및 레지던트가 열린 피드백을 사용할 수 있다는 기대를 공유하고 명시적으로 하는 것은 개방형 피드백 프로세스에 참여할 수 있는 구조적 서포트로 묘사되었다레지던트들은 이 기대가 문화적으로 로컬 규범과 기대치로 여겨졌기 때문에 피드백을 주는 것이 더 편하다고 말했다.


Although there is little that can be done about these personal qualities, participants identified structural elements of the residency program that acted to either promote the enablers or minimize the impact of the obstructors (see Tables 4 and 5). 

  • First, the program explicitly teaches residents how to give useful feedback. Many participants identified this training as helping them to feel more comfortable in giving feedback to their staff physicians. 

  • Second, the residents expressed appreciation for knowing that an anonymous feedback option was available to them, even if they frequently chose not to use it. Participants described feeling more comfortable giving open feedback knowing they had an anonymous option should they need the protections offered by anonymity. 

  • Finally, the explicit expectation shared with the faculty and residents that open feedback would be used was also described as a structural support enabling their participation in the open feedback processes. Because this was culturally seen as the local norm and expectation, residents described being more at ease giving feedback.




Table 2 Advantages of Open Feedback,


Table 3 Disadvantages of Open Feedback,


고찰

Discussion


질문에 대한 두 가지 예시적인 답변은 " 피드백이 익명이었더라면 다른 무언가를 할 수 있었을까?"였습니다.

Two illustrative responses to the question “Would you have ever done anything differently if feedback had been anonymous?” were


내가 다르게 행동했을거라고 생각이되는 경우는 전혀 없다..(회색 5)

I can’t recall of any instances that I would have done anything differently, no. (Graduate 5)


그러나 나는 모든 경우에 레지던트에게 그들이 생각하는 것을 정확히 말할 자유가 주어진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But I don’t believe that in every instance a resident feels free to say exactly what they think. (Graduate 3)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실명의 레지던트 대 교수 피드백 프로세스는 단점을 상쇄하는 장점이 명백하였다. 또한 참가자들은, 소규모의 훈련 프로그램 맥락에서는 피드백이 익명화된다면 이러한 장점들이 사라질 것이라는 것을 분명히 했다.

However,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an open resident-to-faculty feedback process can have numerous advantages that participants clearly identify as outweighing the disadvantages. Participants were also clear that, in the context of a small training program, these advantages would be lost in an anonymous system.


문헌을 근거로 보았을 때, 기대되지 않았던 것은 레지던트들은 [감독관들에게 실명 피드백을 제공하는 기회]는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피드백을 주고 받는 능력에 이롭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이 발견의 중요성은 간과할 수 없다.

What was not anticipated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was that participants identified the opportunity to provide open feedback to their supervisors as beneficial to their future ability to both give and receive feedback. The importance of this finding cannot be overlooked.


본 연구의 졸업생들과 현재 레지던트 모두 실명 피드백 시스템에 대한 그들의 경험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이러한 시스템 덕분에, 열린 대화를 통해 진정으로 상대방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을 때 건설적인 피드백을 편안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해주었다고 평가했다.

Both the graduates and current residents in this study credited their experiences with the open feedback system as enabling them to be comfortable receiving constructive feedback especially when given the opportunity to really understand it through an open dialogue.


이전에 문헌에 보고된 바와 같이, 업무관계가 경색되는 것과 같이 감독관들에게 실명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에 대한 우려는 분명히 맥락에서 존재했다. 그러나, 참가자들은 개인적으로 이러한 불이익을 경험한 사람은 거의 없다고 밝혔다. 사실, 언급된 대부분의 단점들은 추정에 근거했다. 즉, 참가자들은 개인적으로 특정한 불이익을 경험하지는 않았지만, 다른 사람들이 경험할 수도 있는 상황을 상상하여 보고했다.

The concerns of giving feedback to supervisors in an open setting, such as strained working relationships, previously reported on in the literature certainly existed in this study’s context. However, our participants identified very few personally experienced occurrences of this disadvantage. In fact, the vast majority of the disadvantages described by participants were based on speculation. In other words,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did not personally experience a specific disadvantage, but they could imagine how others might.


예를 들어, 우리는 졸업생들과 현재 레지던트에게 그들의 논평 내용이 실명 피드백 시스템에 의해 영향을 받았는지 의도적으로 물어보았다. 참가자들이 실명 피드백 시스템(표 3 참조)으로 인해 내용을 바꾼 적이 있다고 말했지만, 이러한 경우는 일반적으로 "나는 바꾸지 않았지만, 다른 레지던트는 바꿀수도 있다고 상상할 수 있다"와 같은 식이었다. 대다수의 참여자들은 실명 상황 때문에 자신들의 행동을 수정했다고 보지 않았습니다.

For instance, we intentionally asked graduates and current residents if the content of their comments was impacted by the open feedback systems. While these participants described making content changes because of the open feedback system (see Table 3), we were surprised that these changes were generally described as “I didn’t do this, but I could imagine that other residents might” (paraphrase). The majority of our participants did not perceive their own practices as having been modified because of the open context.


물론, 이러한 관심의 강도는 졸업생들보다 현 레지던트들에게 더 컸다. 시간적 관점에서 볼 때, 레지던트에게는 "지금 당장의" 문제가 될 수 있지만, 훗날 뒤를 돌아보면 덜 중요한 것이다. 잠재적으로 이것은 이러한 우려가 GME 기간 동안 발생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Certainly, the intensity of these concerns was greater for the current residents than the graduates. Possibly, with the advantage of the perspective of time, these disadvantages, which seem problematic “in the moment” to a resident, are less important when reflecting back. Potentially, this speaks to the fact that these concerns did not materialize during the residency of graduate participants.


따라서, 우리는 실명 피드백에 대한 수습생들의 경험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상황에서 [추정]과 [개인적 경험]을 비교하여 연구해야 한다.

Therefore, we must study the speculation versus personally experienced construct in different settings and with different approaches to better understand trainee experiences of open feedback.


실명 피드백의 모든 방해물이 극복가능한 것은 아니다. 잠재적으로, 본 연구에서 발견된 가장 큰 문제는 일부 레지던트가 스텝 의사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때 "메시지를 부드럽게 만드는 것(즉, 교정적 피드백의 기능을 제한)"이었습니. 이는 프로그램이 실명의 레지던트-스텝 피드백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레지던트는 익명 피드백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실명 피드백이 덜 불편하다고 스스로 확인한 참가자들은 익명의 피드백을 제공할 기회를 이용했다고 보고했다.

Not all of the obstructors to open feedback can be overcome. Potentially, the largest concern uncovered in this study was that some residents “moderated the message” (essentially limiting the corrective feedback) when delivering feedback to the staff physicians. This is As such, it is clear that a program cannot only offer the open resident-to-staff feedback. Anonymous methods must also be available to the trainees. Participants who self-identified as less comfortable with open feedback reported that they took advantage of the opportunities to provide anonymous feedback.


예상했던 대로, 스텝 의사에게 실명 열린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덜 편안한 사람도 있었고, 매우 편안하다고 느끼는 사람도 있었다. 그러한 성격 차이는 모든 훈련생 집단에서 분명히 나타날 것이다. 그러나, GME 프로그램은 개인이 실명 피드백 프로세스에 참여할engage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조를 만들 수 있다.

As may be expected, there were participants who felt very comfortable providing open feedback to staff physicians and others who were less comfortable. Such personality differences will certainly be present in all trainee groups. however, a GME program can create a structure that supports individuals to engage in open feedback processes.


이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했는지 연구할 때, 스텝 의사와 레지던트 사이의 성숙한 관계가 있음이 분명하다. 이 관계는 신뢰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전문가 간 의료 환경에서 성공적인 관계는 신뢰가 주요 특징으로 식별됩니다.27,28

In studying how this system functions, it is apparent that a matur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ff physician and resident exists. This relationship is built on trust. successful relationships in the interprofessional health care context identifies trust as a key feature.27,28


예를 들어, Pullon27은 전문직간 신뢰는 간호사와 의사가 각기 역량을 입증하여 credibility를 형성함으로써 발달한다고 언급하였다. 이것은 결국 상호 존중과 전문가간 신뢰의 발달로 이어진다.

For example, Pullon27 presented that interprofessional trust develops from demonstrated competence by both nurses and doctors which creates credibility. This leads to mutual respect and the development of interprofessional trust.


Hsieh와 동료 28은 의료 서비스 제공자-통역자 신뢰를 연구했고, 

  • 통역 능력, 

  • 공유 목표, 

  • 전문적 경계, 

  • 확립된 협업 패턴 

...의 네 가지 신뢰를 강화하거나 손상시킬 수 있는 이론적 구조를 설명했다. 

Hsieh and colleagues28 studied health care provider–interpreter trust and illustrated four theoretical constructs that can strengthen or compromise that trust: 

interpreter competence, 

shared goals, 

professional boundaries, and 

established patterns of collaboration. 


우리의 조사 결과, 유사한 신뢰 관계가 성공적인 실명 피드백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 레지던트는 스탭의 수행능력에 대해 신뢰할 수 있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출처로 여겨진다.

  • 스텝은 적절한 피드백을 받고 적시에 조치를 취해야 했습니다. 

스텝과 레지던트 사이에 상호 존중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이 두 가지 조건이 모두 존재해야 합니다.

Our investigation suggests that a similar trust relationship can occur intraprofessionally in successful open resident-to-faculty feedback. It would appear that the residents were viewed as a credible source of feedback on staff performance. In turn, the staff physicians needed to appropriately receive and act on the feedback in a timely fashion. Both of these conditions must exist to create a mutual respect between staff and residents.


이 연구는 레지던트가 스텝에게 주는 피드백이 익명이어야 한다는 믿음에 도전하고, 실명으로 피드백을 제공하는데 있어 몇 가지 실질적인 이점을 제시한다. 우리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GME 프로그램은 레지던트-교수 신뢰가 발전할 수 있는 구조를 배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실명 피드백의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hallenges the belief that open resident-to- faculty feedback needs to be anonymous and suggests some real benefits to providing feedback in an open manner. Our findings show that a GME program can put structures in place that enable resident–faculty trust to develop, which may make it possible to reap the benefits of open feedback.






 2016 Sep;91(9):1305-12. doi: 10.1097/ACM.0000000000001170.

Feedback to Supervisors: Is Anonymity Really So Important?

Author information

1
N.L. Dudek is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Ottawa, Ottawa, Ontario, Canada. S. Dojeiji is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Ottawa, Ottawa, Ontario, Canada. K. Day is senior project manager, Department of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Ottawa, Ottawa, Ontario, Canada. L. Varpio is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Bethesda, Maryland.

Abstract

PURPOSE:

Research demonstrates that physicians benefit from regular feedback on their clinical supervision from their trainees. Several features of effective feedback are enabled by nonanonymous processes (i.e., open feedback). However, most resident-to-faculty feedbackprocesses are anonymous given concerns of power differentials and possible reprisals. This exploratory study investigated resident experiences of giving faculty open feedback,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METHOD:

Between January and August 2014, nine graduates of a Canadian Physiatry residency program that uses open resident-to-faculty feedback participated in semistructured interviews in which they described their experiences of this system. Three members of the research team analyzed transcripts for emergent themes using conventional content analysis. In June 2014, semistructured group interviews were held with six residents who were actively enrolled in the program as a member-checking activity. Themes were refined on the basis of these data.

RESULTS:

Advantages of the open feedback system included giving timely feedback that was acted upon (thus enhancing residents' educational experiences), and improved ability to receive feedback (thanks to observing modeled behavior). Although some disadvantages were noted, they were often speculative (e.g., "I think others might have felt …") and were described as outweighed by advantages. Participants emphasized the program's "feedback culture" as an open feedback enabler.

CONCLUS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edback giver and recipient has been described as influencing the uptake of feedback. Findings suggest that nonanonymous practices can enable a positive relationship in resident-to-faculty feedback. The benefits of an open system for resident-to-faculty feedback can be reaped if a "feedback culture" exists.

PMID:
 
27028033
 
DOI:
 
10.1097/ACM.0000000000001170


Informed Self-Assessment의 긴장: 피드백에 대한 열망과 피드백을 얻어 사용함의 망설임의 갈등(Acad Med, 2011)

Tensions in Informed Self-Assessment: How the Desire for Feedback and Reticence to Collect and Use It Can Conflict

Karen Mann, PhD, Cees van der Vleuten, PhD, Kevin Eva, PhD, Heather Armson, MD,

Ben Chesluk, PhD, Timothy Dornan, DM, PhD, Eric Holmboe, MD,

Jocelyn Lockyer, PhD, Elaine Loney, MS, and Joan Sargeant, PhD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신의 성과를 정확하게 평가하는 능력은 광범위한 결함이 있다.3–5 문헌에 따르면, 자기평가가 타당하려면 다양한 출처로부터 외부 정보를 받아야 한다.4,6

research findings concerning individuals’ ability to assess their own performance accurately have consistently revealed widespread flaws.3–5 The literature suggests that, to be valid, self-assessment must be informed by external information from a variety of sources.4,6


우리는 정보 제공 자체 평가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개인이 외부 및 내부 데이터를 사용하여 자신의 능력에 대한 평가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We use the term informed self-assessment to describe the set of processes through which individuals use external and internal data to generate an appraisal of their own ability.


외부 정보를 활용하는 활동으로 자기평가를 개념화하는 것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 Boud9는 광범위한 교육 문헌에 자기 평가를 논하며, 자기평가란 자신의 성과에 대한 내부 및 외부 데이터를 모두 바탕으로 자신의 성과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과 비교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이 프로세스는 engaged facilitation을 통해 자료를 적절히 해석 및 활용하도록 guide할 때 더 도움이 됩니다.1,6,7

conceptualizing self-assessment as an activity that must be informed by external information is not novel. Writing in the wider education literature, Boud9 described self-assessment as a process that requires drawing on both internal and external data about one’s performance and comparing these with a standard to make a judgment about one’s performance. The process is aided when engaged facilitation guides learners in interpreting and using data appropriately.1,6,7


본 보고서의 목적은 위에 설명된 자체 평가 모델의 긴장 구성 요소에 대한 심층적인 탐구 결과물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The purpose of our present report is to present findings resulting from in-depth exploration of the tensions component of the informed self-assessment model described above.



방법

Method


This qualitative study employed principles of grounded theory.13,14 We held 17 focus groups (January to May 2008) involving learners at the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levels, as well as practicing physicians, from eight medical education programs in five countries. We used purposive sampling, believing that participants experienced with structured self-assessment activities would be more conversant with the concepts and provide richer data.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s addressed participants’ perceptions of 

  • the ways in which they self-assess their clinical performance generally, 

  • the data they draw on, 

  • the contributions of formal and informal activities and resources for informing their self-assessments, and 

  •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usefulness. 

In the grounded theory tradition, the interview questions were revised as analysis progressed to explore and clarify emerging concepts.


One member of the research team(J.S.) facilitated all group discussions, with assistance from at least one other team member who was familiar with each program’s self-assessment activities and context. The cofacilitator assisted by clarifying questions or comments, participating in the discussion to enable greater exploration of concepts if required, and recording field notes. Discussions were audio-recorded and transcribed.


  • Initial themes were identified by reading and discussing the transcripts, and were expanded, revised, and modified through subsequent and iterative analysis, discussion, and interrogation of the data over a period of about 18 months. 

  • Two team members (J.S., E.L.) independently coded the first transcript and compared their interpretations of themes, which were then reviewed and verified by another team member (J.L.) and then through group discussion. 

  • Each transcript was read and discussed by at least three other team members in a series of teleconferences, continually informing revision of the coding structure. 

  • One team member (E.L.) computer-coded the data. 

  • The team met face-to-face for two days to critically discuss analyses of related data conducted by team subgroups, resulting in a preliminary conceptual diagram of informed self-assessment that integrated the major themes. 

  • Themes were interpreted through constant comparison and their interrelationships explored. 

  • Team subgroups refined the components of the conceptual model, verifying that they were grounded in the data. 

  • Matrices, theoretical memos, and conceptual mapping aided this process. 

  • Discussion and reexamination of transcripts and coded data were used to resolve differences of interpretation.



결과

Results


Table 2.



자기자신 내부의 긴장

Tensions within self


자기평가에 informing하는 과정에는 두 가지 지속적인 내부 긴장이 수반되었다. 

(1) 피드백을 원하지만, disconfirming한 정보를 두려워하는 것

(2) 피드백을 활용할 필요가 있지만, 자기평가와 맞지 않아 그렇게 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

The process of informing one’s self-assessment was accompanied by two ongoing internal tensions: 

(1) wanting feedback yet fearing disconfirming information, and 

(2) recognizing the need to use feedback yet struggling to do so because of incongruence with one’s self-appraisal.


학습자들은 자신이 어떻게 하고 있는지와 어떻게 개선하는지를 깨닫기 위해 피드백이 필수적이라고 인식했다.

Feedback was perceived by learners across all groups as essential to knowing how one was doing and how to improve.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학습자들은 자신의 수행능력에 대해서 부적적이거나 비판적인 정보를 담은 피드백을 두려워하는 긴장 상태에 있었다.

Nonetheless, for learners at all levels, wanting feedback was always in tension with fearing feedback information that would be negative or critical about their performance.


자기 자신 내부의 두 번째 긴장은 자기 평가에 부합하지 않는 피드백에 의해 발생되는 어려움을 극복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이로 인해서 개선을 위해 피드백을 듣고, 받아들이고, 사용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Disconfirming한 피드백을 받을 경우, 그 정보를 자신의 성과에 대한 자신의 관점과 조화시킬 필요가 있었고, disconfirming한 피드백이 불러일으킬 수 있는 감정적 반응을 극복할 것을 요구했다. 의사들은 어떻게 disconfirming 피드백이 충격과 긴장을 유발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그것이 궁극적으로 자기 인식의 변화를 가져오는지 설명했다.

The second tension within self concerned overcoming the difficulty created by feedback that is incongruent with the individual’s self-appraisal, thus making even feedback that is received and valued difficult to hear, accept, and use to improve. Disconfirming feedback required reconciling the information received with one’s own view of one’s performance and often required moving past the emotional reactions that disconfirming feedback can evoke. Physicians relate how disconfirming feedback can elicit shock and tension and, eventually, result in changed self-perception.



사람들 사이의 긴장

Tensions between people


사람들 사이의 긴장감은 informed self-assessment(ISA)의 관계적 성격을 강조했다. 전체적으로 긴장감은 자발적인 것이었지만, 네트워크나 동료들의 일부이기도 했다.

The tensions between people highlighted the relational nature of informed self-assessment. An overarching tension was the need to be autonomous, yet to be part of a network or group of colleagues.


    • (1) 타인에게 질문하고 피드백을 통해 배울 수 있기를 원하지만, 무능해 보이고 싶지 않으며, 약점을 공유하기를 원하지 않는다. 

    • (2) 피드백은 원하나, 피드백을 추구할 수 없거나 수신된 피드백을 신뢰할 수 없음 

    • (3) 피드백을 주고 받기 위해서는 긍정적이고 안전한 관계가 필요하지만, 진정한 피드백은 관계를 해칠 우려가 있다.

    • (1) wanting to be able to question others and learn from feedback, yet not wanting to look incompetent or share areas of deficiency, 

    • (2) wanting feedback, yet not being able to pursue it or not trusting feedback that is received, and 

    • (3) needing a positive and safe relationship to give and receive feedback, yet worrying about damaging the relationship with genuine feedback.


autonomous하면서도, 동시에 네트워크나 동료들의 일부가 되어야 할 필요성은 모든 수준의 학습과 연습에서 표현된 긴장감이었다. 의사들의 경우, 우리가 종종 그들의 진료행위를 평가하기 위한 명확한 기준에 근거한 공식적인 피드백에 접근하지 못하는 것을 발견했는데, 15 특히 동료의 가치에 대한 두드러지는 주제는 어려운 환자를 의논하고, 행동을 검토하며, 함께 배우고 서로로부터 배우며, 스스로의 진료행위를 돌아보게 하는 거울로서의 가치였다.e. 그들은 이러한 상호 작용을 가치 있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았고, 따라서 자기 평가에 informing하고 환자 관리 개선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였다.

The need to be autonomous yet also to be part of a network or group of colleagues was a tension expressed at all levels of learning and practice. For practicing physicians, who we found often lacked access to formal feedback based on explicit standards to assess their practice,15 a particularly strong theme was the value of having colleagues with whom to discuss difficult patients, review actions, learn with and from, and whose practices could serve as a mirror or check for one’s own practice. They viewed these interactions as providing valuable feedback, thus informing self-assessment an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improved patient care.


학부 학습자는 동료의 상호작용의 가치에 대한 유사한 견해를 나타냈다.

An undergraduate learner expressed a similar view of the value of peer interaction:


한 학생은 병동 한쪽에, 다른 학생은 병동의 다른 한 쪽에 있다. 우리는 무슨 경험을 했는지, 어떻게 일을 했는지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그것은 여러분이 자신을 돌아보는 데 정말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내가 일을 잘하니, 평범한 학생이니?" 또는 "내가 정말 바보야?" 이를 통해 경험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5학년)

There is one student at one side of the ward and [another student] at the other side of the ward. We often talk to each other, how you experienced this or how did you do things. And it really helps you to reflect on yourself. Like, “Do I do things well, am I a normal student?” or “Am I very stupid?” It helps you to [share] experience. (Undergraduate I5)


그러나 동시에, 의문을 제기하고 배우기를 원하면서도 무능해 보이기를 원하지 않기 때문에 긴장이 고조되었다. 의사 참여자들은 자신들이 아무것도 모른다는 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인정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에 대해 말했다. 학생들과 레지던트들은 질문하기를 꺼린다고 말했다. 그들은 이러한 상황에서 우월한 지식의 태도를 보여준 동료들에 비해 스스로 부적절하다는 느낌을 기술하였다. 일부 참가자는 이러한 긴장을 성숙하게 해결한 것으로 보이며, 중요한 것은 신뢰할 수 있는 동료 또는 컨설턴트 그룹을 양성하여 환자 진료를 돕고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자체 평가를 제공하는 것이다.

At the same time, however, tension emerged between wanting to question and learn and yet not wanting to look incompetent. Physician participants spoke of how difficult it was to admit to others that they did not know something. Students and residents spoke of reluctance to ask questions. They described feeling inadequate in such situations compared with peers who conveyed an attitude of superior knowledge. Some participants seemed to have resolved this tension with maturity and, importantly, had cultivated a group of trusted colleagues or consultants who could provide help with patient care and inform self-assessment in a safe and trusted manner.


그러나, 유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동료들이 있는 그룹 내에서조차, 자기 평가에 inform하기 위한 자료를 찾는 것은 unspoken으로 남을 수 있다. 개인들은 자신의 지식을 다른 사람과 비교하면서 [자신의 접근방식을 재고하거나] [자신의 지식을 갱신할 필요가 있다]고 마음속으로 느꼈다.

Yet, even within the group, with well-known and trusted colleagues, the seeking of data to inform self-assessment could be left unspoken. Individuals noted inwardly to themselves the need to reconsider an approach or update their knowledge as they compared their knowledge with others’.


모르는 것은 모르는 것이지요. 맞죠? 누군가는 그것을 알고 있음을 깨닫고, "나는 그것을 몰라"라고 말하기 전 까지는 말이에요.

You don’t know what you don’t know, right?…Until somebody knows itand you say, “I don’t know that.” (Physician M1)


사람들 사이의 긴장감은 자기 평가에 잠재적으로 정보를 줄 수 있는 피드백을 찾고자 하는 열망에서도 비롯되었다. 학습자에게 있어, 감독자의 피드백은 특히 얻기 어려웠고, 원하는 만큼 자주 받지 못했다. 감독관에게 피드백을 요청하는 것은 충분히 autonomous하게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될 위험이 있었다.

Tensions between people also resulted from the desire to seek feedback that could potentially inform self-assessment, yet being precluded from doing so. For learners, feedback from supervisors was especially challenging to obtain and was not received as frequently as desired. Asking for feedback from supervisors runs the risk that one will be perceived as not performing autonomously enough, as a resident related:


그러나 피드백을 받았더라도, 때때로 신뢰도가 낮은 것으로 인식되었다. 특히 감독자가 장시간에 걸쳐 평가가 필요한 성과를 실제로 관찰하거나 감독자를 충분히 면밀하게 관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갖지 못한 경우에 그러하였다.

However, when feedback was received, it was sometimes not perceived as credible, especially if the supervisor had not actually had the opportunity to observe the performance on which the assessment was needed or to observe the supervisee closely enough over time.


사람들 사이의 세 번째 긴장은 관계의 성격과, 피드백 제공에 대한 관계의 영향, 그리고 지속적인 관계가 피드백에 대해 갖는 함의에 관한 것이었다. 동료 학습자, 연습 동료, 전문가 등 다른 동료들로부터 받은 피드백은 [상호 신뢰와 존경이 존재하는 관계에서 발생했을 때] 더 도움이 된다고 생각되었습니다. 이러한 특징들은 오랜 기간의 친숙함과 관계 때문에 종종 형성되었다. 그러한 피드백은 유용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The third tension between people concerned the nature of relationships, their influence on the provision of feedback, and the implications of feedback for the ongoing relationship. Feedback from other colleagues, be they peer learners, practice colleagues, or specialists, was definitely thought to be enhanced when it occurred in a relationship where mutual trust and respect were present. These characteristics had often formed because of familiarity and relationships of long duration. Such feedback was perceived as intended to be helpful and credible.


그러나 역설적으로 관계에서 신뢰와 존중은 건설적인 피드백을 받을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Paradoxically, however, trust and respect in the relationship might lessen the likelihood of receiving constructive feedback: Feedback-giving sometimes was tempered by the desire not to harm or disrupt the relationship.


그러나, 피드백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은 (피드백을 주는 행위와 마찬가지로) 관계에 해를 끼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가자들은 동료(예: 간호사)가 다중 소스 피드백을 통해 피드백을 제공하기를 거부하는 상황을 설명했다. 이러한 주저함은 잠재적으로 부정적인 피드백처럼 인식되어, 어떤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했는지에 대한 의문을 갖게 만들었다: 직접적인 피드백이 없을 경우 사람들 사이의 긴장이 감소하기 보다는 증가되었다.

In fact, however, the failure to give feedback could be perceived to be as damaging to the relationship as the act of giving feedback. For example, participants described situations where a coworker (e.g., a nurse) declined to provide feedback through multisource feedback. This reluctance was perceived by participants as indicating potentially negative feedback, raising questions about what standard(s) they had failed to meet: Absence of direct feedback increased, rather than diminished, the tensions between people.



학습 및 진료 환경의 긴장

Tensions in the learning or practice environment


개인은 자신이 속한 환경과 별개로 작동하지 않는다.

(1) 명시된 커리큘럼과 "실제 과정" 사이의 긴장 

(2) 자기평가에 도움이 되는 authentic 활동에 참여하는 것과 "평가 게임을 하는 것" 사이의 긴장

Individuals do not operate separately from the environment they are part of;

(1) tensions between the stated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in-action,” and 

(2) tensions between engaging in authentic activities that inform one’s self-assessment and “playing the evaluation game.”


학습자들은 명시된 커리큘럼을 통해 수신한 명시적 피드백과 시행 중인 커리큘럼을 통해 수신한 암묵적 피드백 사이의 긴장감과 어느 정도 불협화음을 인지했다고 보고했다. 이것은 [학습자들이 요청받은 것]과 [선생님들이 실제로 하는 것] 사이의 단절로 보여졌다. 한 학부생이 OSCE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Learners reported perceiving a tension and some dissonance between the explicit feedback received through the stated curriculum and the implicit feedback received through the curriculum-in-action. This presented as a disconnect between what they as learners were asked to do and what they saw their teachers do. An undergraduate made this comment about an OSCE:


우리는, 마치 우리가 "해야 하는 모든 것"에 대한 체크리스트(gold standard)를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많은 의사들이 너무 바쁘거나 어떤 이유로든 신경쓸 수 없기 때문에 많은 것들을 놓치고 있습니다. (C2)

We’re, like, doing the proper checklist of everything that we should do, the gold standard, whereas in reality a lot of doctors miss out things because they’re too busy or can’t be bothered for whatever reason. (C2)


그 결과 학생들은 espoused 관행과 enacted 관행 사이의 격차를 해소할 수 없었다. 더우기, [일관되지 않은 표준]과 [안정적인 벤치마크 세트를 찾을 수 있는 수단 부족]은 이를 더욱 복잡하게 했다. 또한 위계적 관계와 권력 역학도 이 긴장 해결을 더 복잡하게 했다. 

The result was that individuals could not resolve the gaps between espoused and enacted practices. This was further complicated by standards that were inconsistent and by lack of a means to find a stable set of benchmarks. Hierarchical relationships and power dynamics complicated resolving this tension. 


[자신의 평가에 도움이 되고자 할 때inform 얻는 혜택]과 [자기 평가 프로세스의 authenticity에 대한 우려] 사이에 최종적인 긴장이 발생했는데, 이는 ISA전략이 어떻게 도입되느냐 또는 학습자 engagement가 어떠냐에 따라 유용할수도, 역효과를 낼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성찰활동 및 피드백에 대한 요구사항이 많을 때, 어떤 학생들은 이것이 정말 도움이 되는지, 아니면 이것이 다른 사람을 위해 해야 하는 일종의 "게임"인지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A final tension emerged between the benefits expected of seeking to inform one’s self-assessment and concerns about the authenticity of self-assessment processes, which suggests that the use of informed self-assessment strategies can be helpful or counterproductive depending on their implementation and learner engagement. For example, when there were many requirements for reflective activity and/or feedback, some questioned whether it was helpful or a meaningless “game” that had to be played to satisfy others:


아직 면허가 없는 학습자와 대학원 학습자 모두 포트폴리오를 만들고 공식적인 성찰과 자체 평가에 참여하는데 필요한 유사한 긴장감의 예를 설명했다. 그 반응은 강제적 성찰과 자발적인 성찰 사이의 긴장, 자신의 성찰을 검토함으로써 배우는 것과 "다른 누군가를 위해서" 그것을 한다는 감정 사이의 긴장을 보여주었다.

Both prelicensure learners and postgraduate medical learners described similar examples of tension in being required to create portfolios and engage in formal reflection and self-assessment. The responses revealed tension between forced and spontaneous reflection, and between learning from reviewing one’s reflection and a feeling of “doing it for someone else,”


저는 우리가 성찰해야 하는 것은 강요된 것이었고, 우리가 하고 싶어하는 것은 아니었다. 그것은 일종의 "이렇게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너는 너의 포트폴리오를 망칠 것이다."와 같은 것이었다. "만약 네가 이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면, 그것에 대해 생각해 보아라, 그러면 그것은 너를 도울 것이다."가 아니었다.

[I]t seemed like it was quite forced upon us that we had to reflect, and it didn’t seem like something that we’d want to do. It was sort of like “You must do this, otherwise you’ll fail your portfolio” rather than, “If you feel like this was significant, then reflect on it and it’ll help you.”


그러니까 "아, 그럼 (포트폴리오를 위해서) 뭐라도 만들어야겠네요"같은 것이다 .질보다 양이 중요하다. (H7) 

So it’s just about “Ahh, ok, then, I have to make something up for it”…. The quantity is more [valuable] than the quality. (Undergraduate H7)


그러나 이러한 긴장감에도 불구하고, 일부는 그들이 어쩔 수 없이 포트폴리오를 유지하고 있더라도, 포트폴리오가 학습과 자기 평가에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Yet, despite these tensions, some found that, however reluctantly they had approached keeping a portfolio, they considered it useful for their learning and self-assessment.


고찰

Discussion


Teunissen et al16과 Kennedy et al17,18 모두 피드백을 구하고 도움을 요청하는 훈련생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복잡하고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설명한다. 이 저자들은 직접적으로 긴장이라고 표현하지는 않았지만, 놀라운 것은 이들 역시 우리 연구의 practicing physician들과 마찬가지로 훈련생들 사이에서 다양한 tension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Both Teunissen et al16 and Kennedy et al17,18 describe a complex and dynamic interplay of influences on trainees’ behavior in feedback-seeking and asking for help. Although not labeled directly as tensions by these authors, What is striking is that the tensions these two author groups identified among trainees were also found present to varying extents in practicing physicians in our study.


비록 우리의 연구가 종단적 데이터를 산출하지는 못했지만, 우리는 학습자와 의사 단계에서 긴장감이 지속되는지,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했는지, 아니면 단순히 더 이상 관련이 없는지를 탐구하는 데 관심이 있었다. 우리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긴장은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것처럼 보였다; 게다가, 긴장은 그것을 마주칠 때마다 재협상을 필요로했고, 심지어 경험으로도 그 영향이 줄어들지 않는 것처럼 보였다.

Although our study did not yield longitudinal data, we were interested to explore whether tensions were sustained across learner and physician stages, and whether they changed over time, were resolved, or simply were no longer relevant. Based on our findings, most tensions did not seem to change over time; moreover, they seemed to require renegotiation each time they were encountered and their impact was undiminished, even with experience.


두 가지 이론적 관점

Two theoretical perspectives


사회인지이론
Social cognitive theory.


첫째로, 이 이론은 다른 사람들과, 다른 사람들로부터 배우는 (학습의) 사회적 성격에 중점을 둔다; 그것은 또한 개인과 학습 환경 사이의 지속적인 역동적 상호 작용이다. SCT에서 개인의 주체성을 강조하며, 개개인은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에 대해서 성과와 진행상황을 성찰할 수 있는 선천적인 능력이 있다. 또한 학습자가 자신의 목표를 향해 진행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어 피드백의 근본적인 중요성을 강조한다.

First, this theory places central importance on the social nature of learning with and from others; it also posits a continuous dynamic reciprocal interaction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SCT emphasizes individual agency, viewing individuals as having an innate capability to set goals and to reflect on their performance and progress toward their goals; it also emphasizes the fundamental importance to learning of feedback, particularly its role in helping learners to monitor progress toward their goals.


둘째, SCT는 또한 다른 사람들의 행동과 상호작용을 관찰하고 그 결과들을 관찰함으로써 일어나는 대리vicarious 학습에 중점을 둔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와 의사가 [직업과 직장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것]을 관찰하는 과정에서 [무엇이 역량인가]와 같은 가치가 강화될 수 있습니다. 학습자들은 또한, 특정한 가치들이 겉으로는 강조되지만, 실제로는 실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22 실제로 케네디와 동료의 17,18명이 환경에서 상호작용을 관찰하는 과정에서 작업하듯이, 학습자들은 일부 피드백을 찾는 행동FSB이  위험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Second, SCT also emphasizes the vicarious learning that occurs through observation of others’ actions and interactions, along with their consequences. In our study, values such as appearing competent may be reinforced by what learners and physicians observe and see is valued in the profession and in the workplace. Learners may also see that although certain values are espoused, they are not enacted in practice.22 Indeed, as in Kennedy and colleagues’17,18 work through watching interactions in the environment, learners may determine that some feedback-seeking behaviors are risky.


셋째, 자기효능감(특정 업무나 일련의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에 대한 스스로의 인식)은 SCT필수적이다. 연구결과로부터 비록 두 가지 내적 긴장이 별도로 표현되었지만, 두 가지 모두 낮은 자기효능감이 이유일 수 있다.

Third, the construct of self-efficacy, or the perceptions that persons hold of their ability to execute a specific task or set of tasks, is integral to SCT.19 Although two internal tensions were articulated separately, the concept of self-efficacy may underlie them both.



상황학습과 실천공동체

Situated learning and communities of practice.


두 번째 유용한 이론적인 관점은 상황학습과 실천 공동체입니다. 이 이론적 접근법은 사회문화 이론에서 비롯되며, 그 전제는 학습은 그것이 일어나는 맥락과 분리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학습자는 자기 평가를 위한 기술을 습득할 뿐만 아니라, 커뮤니티에 존재하는 긴장을 습득하게 된다.

A second helpful theoretical perspective is that of situated learning and communities of practice . These theoretical approaches originate in sociocultural theory and are based on the premise that learning is inseparable from the context in which it occurs. In this view, learners may not only acquire the skills to inform their self-assessments but may also acquire the tensions extant in the community.


상황학습의 핵심 원칙은 학습은 커뮤니티 참여를 통해 이루어지고, 커뮤니티에 대해 점점 더 큰 책임을 가지게 됨을 의미합니다. 학습자는 커뮤니티의 활동 및 실습에 참여하며 "구성원이 말하는 것이 무엇인지"와 "어떻게 말해야 하는지"를 모두 학습합니다. 우리의 참가자들은 공동체의 일원이 되기 위해 노력했고, 그렇게 하는 방법 중 하나는 기존 구성원이 평가에 대해 어떻게 말하는지, 어떻게 암묵적 또는 명시적으로 피드백을 찾는지 등을 듣고 배우는 것이었다.

A key tenet of situated learning is that learning occurs through the learner’s participation in, and becoming an increasingly responsible part of, the community. Learners participate in the community’s activities and practices, learning both “from talk” and “to talk.” Our participants strove to become part of the community and did so through listening and learning how to talk about assessment and how to seek feedback both tacitly and explicitly.


마지막으로, Lave와 Wenger의 20년 관점에서는, 새로운 커뮤니티 구성원들 또한 참여를 통해 기여하는 바가 있기 때문에, 기존의 긴장을 재생산하는 데 참여할 수 있다.

Last, in Lave and Wenger’s20 view, newer community members also contribute through their participation, and therefore they may participate in creating and recreating the existing tensions.


실천을 위한 함의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for practice


Informed self-assessment를 위한 효과적인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다음의 조건을 제시한다. 

we propose the following conditions that might support the provision of an effective environment for informed self-assessment.


내적 긴장에 대해,

(1) 피드백 수령의 감정적 측면에 대해 분명히 인식한다. 

(2) 자기 평가를 모순된 피드백과 조화시키는 데 내재된 어려움을 인식한다.

For tensions within the self, 

(1) there is explicit recognition of the emotional aspect of receiving feedback, and 

(2) the inherent difficulty in reconciling self-appraisal with contradictory feedback is recognized.


개인 간 긴장에 대해

(1) 교사-리너와 동료-동료 관계는 존중되고 지지적이도록 한다. 

(2) 제공되는 피드백은 학습자의 필요에 맞게 전달한다 

(3) 학습을 가능하게enable 하는 피드백의 adoption이 지원한다.

For tensions between individuals, 

(1) teacher–learner and peer–peer relationships are respectful and supportive, 

(2) feedback that is provided is informed and specific to the learner’s needs, and 

(3) the adoption of feedback that seeks to enable learning is supported.


학습 환경의 긴장에 대해

(1) 상호 학습 및 집단 학습의 분위기를 지원한다. 

(2) 피드백을 주고 받는 것에 대한 적절한 모델링을 한다

(3) informed 자체 평가의 이점을 교사와 학습자에게 분명히 보여준다

For tension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1) a climate of mutual and collective learning is supported, 

(2) there is appropriate modeling of giving and receiving feedback, and 

(3) benefits of informed self-assessment are made explicit to teachers and learners.


Conclusions


Informed self-assessment 는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성능을 개발, 유지 및 개선하는 데 필수적인 방법으로 보아야 합니다. 우리가 설명한 긴장감은 학습에 지장을 줄 수 있고 따라서 궁극적으로 학습자가 더 큰 능력을 달성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보에 근거한 자기 평가]의 개발을 지연시킬 수 있다.

Informed self-assessment should not be seen as an end in itself but, rather, as an essential route to developing, maintaining, and improving performance. The tensions we have described may slow the development of informed self-assessment, which could impede learning and, therefore, ultimately have an impact on the learner’s achievement of greater competence.



11 Sargeant J, Armson H, Chesluk B, et al. The processes and dimensions of informed self-assessment: A conceptual model. Acad Med. 2010;85:1212–1220. http://journals.lww.com/ academicmedicine/Abstract/2010/07000/The_ Processes_and_Dimensions_of_Informed.28. aspx. Accessed May 16, 2011.





 2011 Sep;86(9):1120-7. doi: 10.1097/ACM.0b013e318226abdd.

Tensions in informed self-assessment: how the desire for feedback and reticence to collect and use it can conflict.

Author information

1
Division of Medical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Dalhousie University, Halifax, Nova Scotia, Canada. Karen.Mann@Dal.Ca

Abstract

PURPOSE:

Informed self-assessment describes the set of processes through which individuals use external and internal data to generate an appraisal of their own 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project was to explore the tensions described by learners and professionals when informing their self-assessments of clinical performance.

METHOD:

This 2008 qualitative study was guided by principles of grounded theory. Eight programs in five countries across undergraduate, postgraduate, and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were purposively sampled. Seventeen focus groups were held (134 participants). Detailed analyses were conducted iteratively to understand themes and relationships.

RESULTS:

Participants experienced multiple tensions in informed self-assessment. Three categories of tensions emerged: within people (e.g., wanting feedback, yet fearing disconfirming feedback), between people (e.g., providing genuine feedback yet wanting to preserve relationships), and in the learning/practice environment (e.g., engaging in authentic self-assessment activities versus "playing the evaluation game"). Tensions were ongoing, contextual, and dynamic; they prevailed across participant groups, infusing all components of informed self-assessment. They also were present in varied contexts and at all levels of learners and practicing physicians.

CONCLUSIONS:

Multiple tensions, requiring ongoing negotiation and renegotiation, are inherent in informed self-assessmentTensions are both intraindividual and interindividual and they are culturally situated, reflecting both professional and institutional influences. Social learning theories (social cognitive theory) and sociocultural theories of learning (situated learning and communities of practice) may inform our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study findings. The findings suggest that educational interventions should be directed at individual, collective, and institutional cultural levels. Implications for practice are presented.

PMID:
 
21785309
 
DOI:
 
10.1097/ACM.0b013e318226abdd








학습의 과학을 의학교육에 적용하기(Med Educ, 2010)

Applying the science of learning to medical education

Richard E Mayer





도입

INTRODUCTION


학습의 과학: 멀티미디어 학습의 인지적 이론

SCIENCE OF LEARNING: THE COGNITIVE THEORY OF MULTIMEDIA LEARNING


학습의 과학에 대한 도입

An introduction to the science of learning


학습은 경험과 관련된 학습자의 지식의 변화이다.3–5 학습자의 지식 변화는 반드시 학습자의 수행능력 변화로부터 추론된다지식은 

    • 사실과 개념(때로는 좁은 의미에서 지식이라고 불림), 

    • 절차와 전략(때로는 기술이라고도 함), 그리고 

    • 신념(때로는 태도라고도 함)을 포함한다.

Learning is a change in the learner’s knowledge attributable to experience.3–5 Changes in the learner’s knowledge must be inferred by examining changes in the learner’s performance. Knowledge includes 

    • facts and concepts (sometimes called knowledge in the narrow sense), 

    • procedures and strategies (sometimes called skills), and 

    • beliefs (sometimes called attitudes).


의학 교육은 종종 멀티미디어 학습을 포함하는데, 여기서는 단어와 그림으로부터 배우는 것으로 정의한다.1.3 요약하면, 의학 교육은 종종 언어 학습과 그림 학습의 조합을 필요로 한다. 

    • 언어 학습은 인쇄된 단어나 구어로 배우는 것을 포함한다. 

    • 그림 학습은 정적 그래픽 또는 동적 그래픽을 사용한 학습을 포함한다.

Medical education often involves multimedia learning, which I define as learning from words and pictures.1,3 In short, medical education often requires a combination of verbal and pictorial learning. 

    • Verbal learning involves learning with printed words or spoken words 

    • Pictorial learning involves learning with static graphics or dynamic graphics


멀티미디어 학습에 대한 연구-기반 이론

A research-based theory of multimedia learning


멀티미디어 학습의 인지 이론.1.3 인지과학의 연구지원 원칙

cognitive theory of multimedia learning.1,3 three research-supported principles in cognitive science:


• 듀얼 채널 원칙: 학습자가 언어 및 그림 자료 처리를 위한 별도의 채널을 갖춤

• 제한된 용량 원칙학습자가 한 번에 각 채널의 몇 개 요소만 처리할 수 있음 7,8

• 능동 처리 원리: 유의미한 학습은 학습자가 학습 중에 적절한 인지 처리에 참여할 때 발생한다는 것. 이 것은 관련 자료에 집중attending하고, 이것을 정신적으로 일관된 인지적 표현으로 조직화하고, 이를 장기 기억에서 활성화한 이전 지식과 통합하는 것 등을 말함

• the dual channels principle, which proposes that learners have separate channels for processing verbal and pictorial material;6

• the limited capacity principle, which proposes that learners can process only a few elements in each channel at any one time,7,8

• the active processing principle, which proposes that meaningful learning occurs when learners engage in appropriate cognitive processing during learning, including attending to relevant material, mentally organising it into a coherent cognitive representation, and integrating it with prior knowledge activated from long-term memory.5,9


간단히 말해서, 인간 정보 처리에는 두 개의 채널이 있고, 이것들의 용량은 제한되며, 들어오는 자료의 인지 처리를 지원한다.

In short,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has two channels, is limited in capacity and supports cognitive processing of incoming material.




감각 메모리는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제시된 것에 대한 정확한 감지 사본을 보관한다(즉, 0.25초).

작업 메모리는 짧은 기간(즉, 30초 미만) 동안 더 처리된 입력 자료의 버전을 보관하며, 한 번에 몇 개의 재료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장기 기억력은 학습자의 전체 지식 창고를 장시간 보관합니다.

• sensory memory holds an exact sensory copy of what was presented for a very brief time (i.e. < 0.25 second);

• working memory holds a more processed version of the input material for a short period (i.e. < 30 seconds) and can process only a few pieces of material at any one time,

• long-term memory holds the learner’s entire storehouse of knowledge for long periods of time.


감각기억과 장기기억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무한한 용량을 가지고 있지만, 작업기억은 정보처리능력이 제한돼 일종의 시스템 병목현상 역할을 한다.

Although sensory memory and long-term memory have unlimited capacity for holding information, working memory has limited capacity for processing information, which makes it act as a sort of bottleneck in the system.


학습자가 제한된 처리 능력 내에서 작업을 하기 위해서, 재료는 응축되어 의미 있는 덩어리로 정리되어야 합니다. 간단히 말해서, 사람들은 자신에게 제공되는 모든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 능력이 없기 때문에 의미 있는meaningful 학습을 추구하는 능동적 학습자가 되어야 한다.

material must be condensed and organised into meaningful chunks in order for the learner to work within the constraints of limited processing capacity. In short, people must be active learners who seek meaningful learning because they do not have the processing capacity to attend to every piece of information that is available to them.


5가지 주요 유형의 인지 프로세스는 그림 1:

Five main types of cognitive process are depicted in Fig. 1:


• 단어 선택은 작업 메모리에서 추가 처리를 위해 중요한 들어오는 구어들에 집중하는 것을 의미한다.

• 이미지 선택이란 작업 메모리에서 추가 처리를 위해 중요한 들어오는 인쇄 단어 및 그림에 집중하는 것을 말합니다.

• 단어 조직화는 작업 기억에서 단어를 일관성 있는 인지 표현(즉, 언어 모델)으로 재배열하는 것을 의미한다.

• 이미지 조직화는 작업 기억에서 이미지를 일관된 인식 표현(즉, 그림 모델)으로 재배열하는 것을 의미한다.

• 통합이란 언어 및 그림 모델을 서로 정신적으로 연결하고 관련 사전 지식을 장기기억으로부터 활성화하는 것을 말한다.

• selecting words refers to attending to important incoming spoken words for further processing in working memory;

• selecting images refers to attending to important incoming printed words and pictures for further processing in working memory;

• organising words refers to mentally rearranging the words into a coherent cognitive representation (i.e. a verbal model) in working memory;

• organising images refers to mentally rearranging the images into a coherent cognitive representation (i.e. a pictorial model) in working memory,

• integrating refers to mentally connecting the verbal and pictorial models with one another and with relevant prior knowledge activated from long-term memory.


귀로 들어온 구어와 청각적 복사본이 청각적 기억에 잠깐 보관된다.

the spoken words impinge on the ears and an auditory copy is briefly held in auditory memory,


학습자가 감각 기억에 들어온 일부 순간적인 청각 표현에 집중하면, 그것이 작동 기억으로 이동한다.

If the learner attends to some of the fleeting auditory representation in sensory memory, it moves to working memory, as indicated by the selecting words arrow.


다음으로, 작업 메모리 상자의 오른쪽에 표시된 것처럼 학습자는 단어를 언어 모델로 정리합니다.

Next, as shown on the right of the working memory box, the learner mentally organises the words into a verbal model,


마지막으로, 관련 지식은 장기 기억에서 활성화되고 작동 기억으로 옮겨진다.

Finally, relevant knowledge is activated from long-term memory and transferred to working memory;


보시다시피, 의미있는 학습은 제한된 용량(작업기억은 처리능력에 한계가 있다)을 가진 두 정보 처리 채널(즉, 청각-언어적 채널과 시각-영상적 처리 채널) 내에서 능동적인 인지 처리(즉, 선택, 조직 및 통합)과정이다.

As you can see, meaningful learning involves active cognitive processing (i.e. selecting, organising and integrating) within two information processing channels (i.e. the auditory-verbal channel and the visual-pictorial channel) with limited capacity (i.e. working memory is limited in processing capacity).


교육의 과학: 멀티미디어 교육의 연구 기반 이론

SCIENCE OF INSTRUCTION: RESEARCH-BASED PRINCIPLES FOR MULTIMEDIA INSTRUCTION


교육의 과학에 대한 안내

An introduction to the science of instruction


교수법의 과학은 사람들이 배우는 것을 어떻게 도울 수 있는지에 대한 과학적 연구이다.4 가르침은 학습자의 경험을 학습 촉진을 위한 방식으로 조작하는 것이다.4 간단히 말해, 교육은 학습자가 자신의 지식에 의도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상황을 구성하는 것이다.

The science of instruction is the scientific study of how to help people learn.4 Instruction is the teacher’s manipulation of the learner’s experiences in a manner intended to foster learning.4 In short, instruction involves constructing situations for learners to experience that lead to an intended change in their knowledge.


효과적인 instruction을 설계하는 첫 번째 단계는 학습자에게 의도된 지식 변화를 명확하게 지정하는 것이다.10 교육 목표는 [어떤 지식이 학습되어야 하는지, 의도된 숙련도 수준은 어느정도인지, 그리고 학습이 어떻게 평가될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진술]이다.

The first step in designing effective instruction is to clearly specify the intended knowledge change in the learner.10 An instructional objective is a clear statement of what knowledge is to be learned, the intended level of mastery, and how the learning will be assessed.


5가지 종류의 지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Five kinds of knowledge are:


• 사실: 사실에 입각한 지식은 올바른 심실이 심장의 일부라는 것을 아는 것과 같이 세계를 이루는 요소element의 특성에 관한 지식을 의미한다.

• 개념: 개념적 지식은 인간의 심장이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원인과 효과의 메커니즘을 아는 것과 같은 모델, 원칙, 범주, 스키마에 대한 지식을 설명한다.

• 절차: 절차적 지식은 긴 나눗셈 연산을 수행하는 방법을 아는 것과 같은 어떤 행동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단계별 프로세스에 대한 지식으로 구성된다.

• 전략: 전략적 지식은 문제를 부분으로 분해하는 것과 같은 문제에 접근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아는 것으로 구성된다.

• 신념: 태도적 지식은 어떻게 자신의 학습이 이루어지는가 또는 학습자로서 자신의 역량에 대한 지식을 말합니다. ('나는 이것을 잘 해'라고 생각하는 것 등)

• facts: factual knowledge refers to knowledge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s in the world, such as knowing that the right ventricle is a part of the heart;

• concepts: conceptual knowledge describes knowledge of models, principles, categories and schemas, such as knowing the cause-and-effect mechanism for how the human heart works;

• procedures: procedural knowledge consists of knowledge of step-by-step processes for how to carry out an action, such as knowing how to carry out long division computations;

• strategies: strategic knowledge consists of knowing general methods for approaching problems, such as by breaking a problem into parts,

• beliefs: attitudinal knowledge refers to knowledge about how one’s learning works or about one’s competence as a learner, such as thinking: ‘I am good at this.’


이러한 모든 종류의 지식은 일반적으로 진단을 내리는 것과 같은 대부분의 인지 과제에 숙달하기 위해 필요하다.

All of these types of knowledge are generally needed to be proficient in most cognitive tasks, such as arriving at a diagnosis.


학습 성과는 보존retention 테스트전이transfer 테스트로 측정할 수 있다. 

  • 보존 시험은 학습자가 제시된 내용을 얼마나 잘 기억할 수 있는지 여부를 측정하며, 제시된 내용을 recall할 수 있는지(예: '보존 시험의 정의는 무엇인가') 또는 제시된 것이 무엇인지 인식할 수 있는가(예: retention test로 예로 제시된 것과 transfer test의 예로 제시된 것은?)를 측정한다

  • 전이 시험은 학습자가 학습한 내용을 새로운 상황에 얼마나 잘 적용할 수 있는지를 측정합니다(예: '이 섹션에 대한 전이 시험 문항을 만드세요').

Learning outcomes can be measured with retention tests and transfer tests. 

  • Retention tests measure how well the learner remembers the presented material, such as whether he or she is able to recall what was presented (e.g. ‘Define retention test’) or recognise what was presented (e.g. ‘Remembering what was presented is an example of: [a] a retention test, [b] a transfer test’). 

  • Transfer tests measure how well the learner can apply what was learned to new situations (e.g. ‘Generate a transfer test item for this section’).


보존 및 전이 시험에서 학습자의 퍼포먼스 패턴은 학습 성과의 퀄리티를 나타냅니다. 

  • 두 테스트 유형 모두에서 성적이 나빴다면 학습이 없었던 것이다. 

  • 보존 시험 성적이 좋고 전이 시험 성적이 나쁘면 rote learning이 일어난 것이다. 

  • 유의미한 학습은 두 가지 모두에서 좋은 성적을 받은 것이다. 

여기서 나의 초점은 의미 있는 배움이다.

The learner’s pattern of performance on retention and transfer tests indicates the quality of his or her learning outcome: no learning is indicated by poor performance on both types of test; rote learning is indicated by good performance on retention and poor performance on transfer, and meaningful learning is indicated by good performance on both types of test. My focus in this review is on meaningful learning.


어떤 학습 상황에서든 학습자의 인지 시스템에 대한 세 가지 유형의 요구가 있다: 외부 처리, 필수 처리, 생성 처리.3.8 

In any learning situation there are three types of demands on the learner’s cognitive system: 

  • extraneous processing; 

  • essential processing, and 

  • generative processing.3,8 


외부 처리는 인지적 처리과정으로 학습 목표를 지원하지 않으며 잘못된 교육적 설계로 인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외부처리는 심장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설명하는 텍스트가 (그것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서로 다른 페이지에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는 단어와 그림 사이를 왔다 갔다 하면서 귀중한 인지 처리 자원을 낭비해야 한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학습 중에 관련 없는 인지 처리를 줄여 인지 자원을 freeing up시키는 것이다.

Extraneous processing is cognitive processing that does not support the learning objective and is caused by poor instructional design. For example, extraneous processing may be caused when text describing how the heart works is on one page of a book and the corresponding illustrations are on another page, so the learner has to waste precious cognitive processing resources by scanning back and forth between the words and the illustrations. An important instructional challenge is to reduce extraneous cognitive processing during learning, thereby freeing up cognitive capacity.


필수 인지 처리란 작업 기억이 수업의 필수 자료를 정신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인지 처리를 말합니다 (주로 선택 및 최소한의 조직화 과정을 통해 이뤄진다). 이는 학습자에게 제공된 필수자료가 본질적으로 복잡하기 때문에 발생하며, 따라서 필수처리를 줄이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대신에, 중요한 교육적 목표는 필수 처리를 관리하여 학습자의 인지 능력에 과부하를 주지 않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Essential cognitive processing describes the cognitive processing required to mentally represent the essential material from a lesson in working memory (mainly through the cognitive processes of selecting and minimal amounts of organising). It is caused by the inherent complexity of the essential material for the learner, so it is not appropriate to try to reduce essential processing. Instead, an important instructional goal is to manage essential processing so that it can be accomplished in ways that do not overload the learner’s cognitive capacity.


생성적 인지 처리제시된 자료를 이해하고자 하는 인지 처리를 말하며(즉, 주로 통합과 조직화의 인지 과정), 학습자의 자료 이해 동기 부여에 의해 발생한다. 학습자가 사용할 수 있는 인지 능력이 있더라도 학습 의욕이 없다면 깊은 학습을 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요한 교육적 목표는 생성적 처리를 촉진하는 것이다.

Generative cognitive processing is cognitive processing aimed at making sense of the presented material (i.e. mainly the cognitive processes of integrating and organising) and is caused by the learner’s motivation to understand the material. Even when learners have cognitive capacity available, they may not engage in deep learning because they are not motivated to do so. Thus, an important instructional goal is to foster generative processing.


instruction을 설계할 때 학습자의 인지 처리가 학습자의 인지 능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instruction이 제대로 설계되지 않아 관련 없는 처리가 너무 많을 경우(즉, 외부 과부하라고 함), 학습자는 정작 필요한 생성 처리에 관여할 수 있는 충분한 capacity가 없을 수 있으며, 따라서 의미 있는 학습 결과를 달성하지 못할 수 있다. 암에 대처하는 방법에 관한 웹사이트를 예로 들어보면, 불필요한 과부하를 유발하는 것의 예로는, 

  • 번쩍이는 컬러 프레임이 있는 전체 화면, 

  • 무관한 배경 사진, 

  • 배경음, 

  • 화면에서 날라다니는 단어들

  • 끊임없는 비디오 

등이 있다.

In designing instruction, it is important to make sure that the learner’s cognitive processing during learning does not exceed the learner’s cognitive capacity. When there is too much extraneous processing because the instruction is poorly designed (which I call extraneous overload), the learner may not have enough remaining capacity to engage in needed generative processing and therefore does not achieve a meaningful learning outcome. An example of something that causes extraneous overload is a website on how to cope with cancer that presents an entire screen full of windows with flashing coloured frames, background photographs that are irrelevant, background sounds, animated words that fly across the screen and ongoing videos.


외부 처리가 줄었떠라도 필수 처리가 너무 많은 경우(필수 과부하라고 부르는), 학습자가 의미 있는 학습을 할 충분한 남은 capacity가 없을 수 있습니다. 필수 과부하를 유발하는 것의 예로는 학습자가 전달된 정보를 소화하도록 잠시 중단하지 않고 20분 동안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유전학의 원칙에 대한 파워포인트 프리젠테이션이 있다.

When extraneous processing is reduced but there is too much essential processing because the material is complex (which I call essential overload), the learner may not have enough remaining capacity to engage in meaningful learning. An example of something causing essential overload is a PowerPoint presentation on principles of genetics that goes at a fast pace for 20 minutes without pausing to allow the learner to digest the information delivered.


외부 처리가 감소되고 필수 처리가 관리되면 학습자는 처리 능력을 가질 수 있지만, 의미 있는 학습에 참여할 동기를 부여가 되어있지 않을 수 있다(즉, 생성적 과소활용). 누군가가 실제로 시스템을 사용할 필요가 없을 때 새로운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컴퓨터 기반 과정을 수강하도록 강요하는 것은 생성적 과소용성의 한 예입니다.

When extraneous processing is reduced and essential processing is managed, the learner may have processing capacity but not be motivated to use it to engage in meaningful learning (which I call generative underutilisation). Asking someone to take a computer-based course on how to use a new computer system when the person will never have to actually use the system and therefore has no interest in learning about it is an example of generative underutilisation.


멀티미디어 교육 설계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instructional design of multimedia lessons


유지 테스트는 학습자에게 제한된 시간 내에 기억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적도록 요구합니다(예: '인간의 호흡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설명하십시오). 그런 다음 중요한 아이디어 유닛의 수를 답에 기록합니다.

The retention tests ask the learners to write down all they can remember in a limited amount of time (e.g. ‘Please explain how the human respiratory system works’). We then tally the number of important idea units in the answer.


트랜스퍼 테스트는 학습자에게 제한된 시간 내에 질문에 대한 답을 쓰도록 요구합니다

  • 문제해결 질문 (예: '숨에 문제가 있는 사람이 있는 경우. 무엇이 잘못되었을 수 있었는가?), 

  • 재설계 질문(예: '인간의 호흡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 개념적 질문(예: '왜 공기가 폐로 유입되는가?'). 

그런 다음 각 학습자의 모든 전송 질문에 대해 수용 가능한 해결 방법 수를 계산합니다.

The transfer tests ask the learner to write answers to troubleshooting questions (e.g. ‘Suppose someone is having trouble breathing. What could have gone wrong?’), re-design questions (e.g. ‘What could be done to improve on the human respiratory system?’) or conceptual questions (e.g. ‘Why does air enter the lungs?’) in a limited amount of time. We then tally the number of acceptable solutions across all the transfer questions for each learner.


표 1은 외부처리를 줄이고, 필수처리를 관리하며, 생성처리를 촉진하는 증거기반 기법을 요약한다.

Table 1 summarises evidence-based techniques for reducing extraneous processing, managing essential processing, and fostering generative processing.



Table 1 Research-based principles for instructional design of multimedia lessons

외부처리를 줄이기 위한 원칙 

일관성 원칙: 외부 물질 제거 

신호 원리: 필수 재료 강조 

근접성 원칙: 인쇄된 단어를 해당 그래픽 근처에 배치합니다. 

Principles for reducing extraneous processing 

Coherence principle: eliminate extraneous material 

Signalling principle: highlight essential material 

Contiguity principle: place printed words near corresponding graphics 


필수 처리 관리 원칙 

사전 교육 원리: 핵심 개념의 이름과 특성에 대한 사전 교육 제공 

분할 원리: 학습자가 제어하는 세그먼트로 교습 

모달리티 원칙: 단어를 구어체로 표시

Principles for managing essential processing 

Pre-training principle: provide pre-training in names and characteristics of key concepts 

Segmenting principle: break lessons into learner-controlled segments 

Modality principle: present words in spoken form


생성공정 촉진 원칙 

멀티미디어 원칙: 단어 혼자가 아닌 단어와 그림을 제시합니다. 

개인화 원칙: 회화 또는 공손한 문체로 표현 

음성 원리: 기계 음성보다 사람의 음성 사용

Principles for fostering generative processing 

Multimedia principle: present words and pictures rather than words alone 

Personalisation principle: present words in conversational or polite style 

Voice principle: use a human voice rather than a machine voice


외부 처리를 줄이기 위한 세 가지 원칙: 일관성, 신호 전달 및 탄력성 원칙.

three principles for reducing extraneous processing: the coherence, signalling, and contiguity principles.


  • 일관성 원칙은 사람들이 관련 없는 자료가 제외된 멀티미디어 수업으로부터 더 잘 배운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컬러 사진보다는 흑백 선 그림, 흥미로우면서도 무관한 스토리가 삭제될 때, 또는 놀랍지만 관련이 없는 비디오가 삭제되었을 때 더 잘 배울 수 있다.

  • The coherence principle is that people learn better from multimedia lessons that exclude rather than include extraneous material. For example, people can learn better from black-and-white line drawings than from colour photographs, when interesting but irrelevant stories are deleted, or when stunning but irrelevant video is deleted.

  • 신호 전달 원리는 사람들이 '첫 번째, 두 번째, ... 세 번째'와 같은 개요, 표제, 포인터 단어를 사용하여 필수적인 자료를 강조하는 멀티미디어 수업으로부터 더 잘 배운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한 과정에서의 각각의 주요 단계와 일치하는 표제를 포함하고 있을 때 심장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교훈을 통해 더 잘 배울 것이다.

  • The signalling principle is that people learn better from multimedia lessons that highlight the essential material by using an outline, headings and pointer words such as ‘first,... second,... third’. For example, people will learn better from a lesson on how the heart works when it contains headings that correspond to each of the main steps in a process.

  • 인접성 원칙은 사람들이 단어를 페이지나 화면의 그래픽에 상응하는 부분으로부터 가까이 배치할 때 더 잘 배운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인간의 심장을 묘사하는 그림에서 각 방을 묘사하는 텍스트는 해당 챔버 옆에 놓아야 한다.

  • The contiguity principle is that people learn better when printed words are placed near rather than far from corresponding portions of the graphic on the page or screen. For example, in a figure depicting the human heart, text describing each chamber should be placed next to the corresponding chamber.


필수 프로세싱 관리에 대한 세 가지 원칙, 즉 사전 교육, 세분화 및 양식 원칙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The second section of Table 1 lists three principles for managing essential processing: the pre-training, segmenting, and modality principles.


  • 사전 훈련의 원칙은 사람들이 핵심 개념의 이름과 특성을 이미 알고 있을 때 멀티미디어 수업으로부터 더 잘 배운다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의 심장의 작동 방식에 대한 설명을 듣기 전에 각 주요 부분의 이름과 특성에 대한 사전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 The pre-training principle is that people learn better from a multimedia lesson when they already know the nam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key concepts. Thus, before receiving an explanation of the steps of how the human heart works, learners should receive pretraining in the nam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major part.


  • 세분화 원리는 연속적인 또는 큰 수업이 학습자를 따라가는 작은 영역으로 분류될 때 사람들이 더 잘 배운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컴퓨터 기반의 내레이션된 애니메이션에서 인간의 심장의 작동 방식에 대한 프레젠테이션은 주요 지점에서 정지된 다음, 습자가 CONTINUE 버튼을 누른 다음에 계속 진행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 The segmenting principle is that people learn better when a continuous or large lesson is broken down into smaller, learner-paced segments. For example, in a computer-based, narrated animation on how the human heart works, the presentation can stop at major points and continue when the learner presses a CONTINUE button.


  • 모달리티 원칙멀티미디어 수업에서 단어들은 인쇄가 아닌 말이어야 한다는 것이며, 따라서 과부하될 수 있는 시각-그림 채널로부터 활용도가 낮은 청각-언어 채널로 정보를 오프로딩해야 한다는 것이다.

  • The modality principle is that the words in a multimedia lesson should be spoken rather than printed, thereby offloading information from the visual-pictorial channel, which may be overloaded, onto the auditory-verbal channel, which is under-used.


생성 처리 촉진을 위한 세 가지 원칙, 즉 멀티미디어, 개인화 및 음성 원칙이 열거되어 있다.

The third section of Table 1 lists three principles for fostering generative processing: the multimedia, personalisation and voice principles.


  • 멀티미디어 원칙은 사람들이 단어만 배우는 것보다 단어와 그림으로부터 더 잘 배운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심장의 작동 방식을 말로만 설명하는 대신 심장의 각 상태를 보여주는 일련의 그림 프레임을 추가합니다.

  • The multimedia principle is that people learn better from words and pictures than from words alone. For example, instead of explaining the steps in how the heart works solely in words, add a series of illustration frames showing each state of the heart.

  • 개인화 원칙은 말이 포멀하거나직접적인 형태보다는 대화나 공손한 형태로 전달될 때 더 잘 배운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일반화된 심장'보다는 '당신의 심장'에 대해 이야기할 때 더 잘 배운다.

  • The personalisation principle is that people learn better when words are delivered in a conversational or polite form rather than in a formal or direct form. For example, people learn better when the narrator talks about ‘your heart’ rather than ‘the heart’.

  • 음성 원리는 내레이터가 기계 음성이 아닌 인간의 음성으로 말할 때 사람들이 컴퓨터 기반의 멀티미디어 수업으로부터 더 잘 배운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사람들이 교수자와 사회적 파트너쉽을 맺고 있다고 느낄 때 내레이터가 무엇을 말하는지 이해하려고 더 노력하기 때문입니다.

  • The voice principle is that people learn better from computer-based multimedia lessons when the narrator speaks in a human voice rather than a machine voice. The rationale behind this is that people try harder to make sense of what a narrator is saying when they feel they are in a social partnership with the narrator.


CONCLUSIONS







 2010 Jun;44(6):543-9. doi: 10.1111/j.1365-2923.2010.03624.x.

Applying the science of learning to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Psych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California, USA. mayer@psych.ucsb.edu

Abstract

OBJECTIVE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o apply the science of learning to medical education. SCIENCE OF LEARNING The science of learning is the scientific study of how people learn. Multimedia learning - learning from words and pictures - is particularly relevant to medical education. The cognitive theory of multimedia learning is an information-processing explanation of how people learn from words and pictures. It is based on the idea that people have separate channels for processing words and pictures, that the capacity to process information in working memory is limited, and that meaningful learning requires appropriate cognitive processing during learning. SCIENCE OF INSTRUCTION The science of instruction is the scientific study of how to help people learn. Three important instructional goals are: to reduce extraneous processing (cognitive processing that does not serve an instructional objective) during learning; to manage essential processing (cognitive processing aimed at representing the essential material in working memory) during learning, and to foster generative processing (cognitive processing aimed at making sense of the material) during learning. Nine evidence-based principles for accomplishing these goals are presented. CONCLUSIONS Applying the science of learning to medical education can be a fruitful venture that improves medical instruction and cognitive theory.

PMID:
 
20604850
 
DOI:
 
10.1111/j.1365-2923.2010.03624.x
[Indexed for MEDLINE]


SaT 프로그램을 위한 교육과정 우선순위: 전국 델파이 연구(Med Teach, 2017)

Defining curricular priorities for student-as-teacher programs: A National Delphi Study

Jasmine Ranaa , Amy Sullivanb , Molly Brettb , Amy R. Weinsteina,b and Katharyn M. Atkinsa,c and the SaT Delphi Working Group

a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 USA; b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 USA; c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 USA




도입

Introduction


레지던트는 의대생의 상당수에 대한 교육을 책임지고 있지만, 상충하는 임상 요구로 인해 레지던트 프로그램 (Bing-You and Sproul 1992)에서는 RaT프로그램에서조차 가르치는 기술을 배울 수 없습니다. Haber et al., 2006; Dandavino et al., 2007; Snell 2011).

Residents are responsible for a significant proportion of medical student and peer teaching, but competing clinical demands make it difficult for teaching skills to be learned Teacher solely (RaT) during residency, even in Resident-as-programs (Bing-You and Sproul 1992; Haber et al. 2006; Dandavino et al. 2007; Snell 2011).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SaT 프로그램은 공식 교육을 동료 학습 (일반적으로 "동료 보조 학습"이라고도 함) 기회와 쌍을 이룰 수 있도록 고안되었지만, 교육 주제와 학습 목표는 프로그램마다 다양합니다 (Ross and Cameron 2007; Yu et al 2011).

Typically, most SaT programs are designed to pair formal instruction in teaching with peer-teaching (also commonly referred to as “peer assisted learning”) opportunities, but teaching topics and learning goals vary widely among programs (Ross and Cameron 2007; Yu et al. 2011).



방법Methods


The delphi method


The Delphi method is to one of three main consensus methodologies used generate empirical expert evidence. agreement in areas with inadequate 

    • Unlike other popular consensus methods (i.e. nominal group process,consensus development panel), the Delphi method does not require face-to-face contact, making it a popular choice for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nsensus studies (Waggoner et al. 2016).

    • Consensus in the Delphi method is achieved by iterative rating of items in successive survey rounds (typically two to four rounds) by an expert panel (Waggoner et al.2016). 

    • Panelists are unaware of the identities of other panelists, which has been proposed to be one strength of the Delphi method over other consensus methods because it may help eliminate bias from dominant group member(s). 

    • Recommended size of the expert panel is at least six members and panels that exceed 12 members have not been shown to confer an increase in reliability(Nair et al. 2011). 

    • Limitations include the absence of interactive collaboration and possible survey increasing participant burnout with increasing rounds (Waggoneret al. 2016). 


Importantly, because the Delphi method has under-gone convergent evolution in multiple fields, there is no clearly prescribed length, format or consensus criteria for Delphi techniques

    • Delphi studies generally conform to the core criteria discussed above, but they are modifi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goals of each expert panel(Diamond et al. 2014; Waggoner et al. 2016). 

    • Although heterogeneity in the Delphi process is inevitable, rigor is ensured by clearly defining consensus criteria and number of survey rounds a priori and reporting a reproducible method for recruiting panelists (Diamond et al. 2014).


전문가 패널
Delphi expert panel


Delphi 전문가 패널 멤버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문제에 대한 지식과 경험,

    • 능력 및 참여 의향,

    • 참여하기에 충분한 시간과

    • 효과적인 의사 소통 기술 (Skulmoskiet al. 2007)


The suggested criteria for selecting members of a Delphi expert panel are: 

    • knowledge and experience with issues, 

    • capacity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 sufficient time to participate and 

    •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Skulmoskiet al. 2007)

설문 개발

Delphi survey development


원형 델파이 설문 조사를 개발하기 위해 연구 진행자는 문헌 검색을 수행하여 SaT, RaT 및 CME 커리큘럼에서 기존 주제를 파악했습니다. PubMed와 Google에서 기본 검색 용어 (예 : "거주자로서 교사"및 "교사로서 학생")를 사용하여 포스터 / 하드 카피 커리큘럼 작성자가 이전에 큐 레이션 한 것을 검토하는 것 외에도 커리큘럼을 SaT, 10 RaT, 4 CME, 보충 부록 1 참조)

To develop the round one Delphi survey, study moderators performed a literature search to identify preexisting topics in SaT, RaT and CME curricula. Using basic search terms(e.g. “resident as teacher” and “student as teacher”) in PubMed and Google, in addition to reviewing posters/hard-copy curricula authors had previously curated, curricula from (9 23 institutions SaT, 10 RaT, 4 CME; see Supplementary Appendix 1) were identified


주제와 하위 주제의 명확한 표현을 보장하기 위해 의학 교육 프로그램의 하버드 의과 대학 석사 과정에 등록 된 두 명의 의사와 교육의 석사 학위를 추구하는 하버드 의대 의과 대학생 4 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이 개인들은 의학 교육 주제의 표현과 명확성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했습니다.

To ensure clear phrasing of topics and subtopic examples, the round one survey was piloted with two physicians who were enrolled in the Harvard Medical School masters in medical education program and one fourth-year Harvard medical student also pursuing a master’s in education. These individuals gave feedback about the phrasing and clarity of medical education topics. 


설문 수행

Delphi survey administration


SaT Delphi surveys were administered anonymously using the online survey software Qualtrics (Qualtrics, Provo, UT).

    • In the round one survey, 28 finalized topics were presented in eight blocks (i.e. pages). 

    • Each block corresponded to a thematic domain. Blocks and the topics within them were presented to panelists in random order to minimize bias due to ordering effects. 

    • Each block had an optional free response textbox for panelists to comment on their rationale for their ratings.


Panelists were asked to rate topics on a 3-point scale (1- “essential,” 2- “important but not essential,” 3- “not important”)


Instructions were given to guide panelists in rating of topics:


Our goal is to identify 5-10 core ‘essential’ topics to prepare ALL medical students for their roles as teachers. Topics that are ‘important, but not essential’ may be considered for further study by students with a particular interest in medical education. Topics that are ‘not important’ do not belong in a SaT curriculum for medical students.


At the top of each page in the survey, the cumulative number of topics each panelist had selected as “essential” was displayed

    • Panelists were encouraged not to select more than five to ten topics as “essential” - a range chosen by moderators based on the number of content areas that could be feasibly covered in a two-to-four-week elective or longitudinally over an academic year, which are commonly cited formats of SaT programs (Soriano et al. 2010). 

    • As described below, new and modified topics were included in subsequent survey rounds

    • Presentation of the topics described above (i.e. organized by domain and in random order) was the same for each round.



델파이 프로세스와 분석

Delphi process and analysis


사회자는 대부분의 델파이 연구 (Wagoner et al., 2016)에서 전형적으로 최소 2 회의 최대 3 회의 조사 라운드가 선행 결정되었다. 2016 년 6 월부터 2016 년 6 월까지 3 차례의 설문 조사가 매월 실시되었다. 많은 델파이 연구들이 합의 합의를위한 비율 합의를 사용하기 때문에 (Diamond et al. 2014), 문턱 이 연구에서 3 점 척도에 대한 70 % 합의가 "합의"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The moderators decided a priori there would be a minimum of two and maximum of three survey rounds, typical of most Delphi studies (Waggoner et al. 2016). Because consensus on all topics had not been reached at the end of round two, three survey rounds were administered monthly, from April 2016 to June 2016. As many Delphi studies use percentage agreement to define consensus (Diamond et al. 2014), a threshold of  70% agreement on the three-point scale was used to define “consensus” in this study.


각 라운드 후에, 자유 텍스트 주석은 저자 JR과 KA에 의해 검토되었다. 구체적인 문언 수정 및 제안은 각 라운드에서 강조되었습니다. 주제가 학습 목표에 부합하고 다른 참가자의 프리 텍스트 설명과 충돌하지 않으면 주제가 작성, 수정 및 / 또는 결합되었습니다. 문언 수정 및 새로운 주제 창출에 관한 결정은 JR과 KA 간의 토론을 통해 불일치 사항을 해결했습니다.

After each round, free-text comments were reviewed by authors JR and KA. Specific wording modif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highlighted in each round. Topics were created, modified, and/or combined if they aligned with study goals and did not conflict with the other participants’ freetext comments. Decisions about wording modifications and creation of new topics were made after a discussion between JR and KA to resolve any areas of disagreement.


새로 제안 된 주제, 수정 된 주제 및 양적 합의에 도달하지 못한 주제가 패널리스트의 재검토를위한 후속 라운드에 포함되었습니다. 질적 인 의견이 수정을위한 구체적인 제안을 제시하지 않는 한, "필수적", "중요하다"또는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70 % 합의에 도달 한 토픽이 나머지 라운드에서 승인되고 제거되었습니다. 수정 제안이 있는 경우 이러한 주제가 수정되어 다음 조사 라운드에 다시 포함되었습니다.

Newly suggested topics, modified topics and those that did not reach quantitative consensus were included in subsequent rounds for panelists’ re-consideration. Topics that reached 70% consensus as “essential,”“important” or “not important” were accepted and removed from remaining rounds unless qualitative comments offered specific suggestions for modification. In the latter case, these topics were modified and re-included in the next survey round.



결과

Results


우리의 전문가 패널리스트는 건강 전문인의 교육 아카데미 및 유사 단체를위한 전국 포럼 인 "Academies Collaborative"(www.acadmiescollaborative.com)의 미국 의과 대학 아카데미 디렉터 (n¼63)에게 스터디 정보를 이메일로 보냈습니다. 28 명의 개인이 패널리스트로서 참여에 관심을 보였다. 원고 검토 및 연구 참여에 대한 대가로 패널 토론자는 공동 저자로 제안되었습니다. 각 라운드에 참여하는 것은 선택 사항이었고 추가적인 인센티브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Our expert panelists were recruited by emailing study information to US medical school Academy director members (n¼63) of “Academies Collaborative” (www.acadmiescollaborative.com), a national forum for health professions’ teaching academies and similar organizations. Twenty-eight individuals expressed interest in participating as panelists. In exchange for reviewing and contributing to the manuscript and study participation, panelists were offered coauthorship. Participation in each round was optional and no additional incentives were offered.



패널 명단

Delphi expert panel are summarized in Table 1.


The 28 panelists (100%) responded to each survey round. Most of the consensus was achieved in rounds two and three. 


Table 2 summarizes all three rounds of the survey. At the end of the three survey rounds, 19 topics reached consensus as “essential,” “important” or “not important,” (Table 3) and 16 topics did not reach consensus including two topics that, though reaching consensus as “important” in round 2, had qualitative comments necessitating revisions and did not reach consensus with these revisions in round 3 (Table 4). 


In decreasing order of consensus, the five topics that reached consensus as “essential” for inclusion in SaT curricula (Table 3) were: 

  • feedback (100% consensus), 

  • bedside teaching and clinical precepting (86% consensus), 

  • small-group teaching (75% consensus), 

  • case-based teaching (71% consensus), and 

  • professionalism as a medical educator (71% consensus). 


Thirteen topics achieved consensus as “important” and only one topic (i.e., history of medical education) reached consensus as “not important” for inclusion in a SaT curriculum (Table 3).








Discussion


"필수적"인 것으로 공감대를 얻은 주제가 (이론이나 주제에 기초한 것보다) "실습"과 기술 기반이라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표 2).

It is notable that topics that achieved consensus as “essential” are arguably more “hands-on” and skill-based than theory-based topics that did not reach consensus as either essential or important (Table 2).


일반적으로 이론보다 기술을 우선시하려는 패널리스트의 경향은 부분적으로 의대생과 그 이상에서의 교수 역할을 위해 의대생을 실질적으로 준비시키는 명시된 연구 목표에 의해 주도되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설문의 자유 텍스트 상자에서 특히, 패널리스트는 SaT 교과 과정에서 이론과 기술에 부여해야하는 상대적 비중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표명했습니다.

In general, panelists’ tendency to prioritize skills over theory may have been driven, in part, by the stated study goal to practically prepare medical students for their teaching roles in residency and beyond. Notably, however, in free-textboxes of the survey, panelists expressed varied opinions about the relative weight that should be given to theory versus skill in a SaT curriculum. 


given the task of helping med students “hit the ground running” as teachers, I think conveying much/many theory information should take a distant second to practical and applied information…the “how-to” (Round 3)


반대로 어떤 패널리스트는 

On the other hand, some panelists argued


나는 모든 학습 과학을 배제하는 것에 대해 걱정합니다. 교사가되는 의대생은 사람들이 어떻게 배우는 지 과학이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하며, 종종 의학 교육에서 이 과학을 무시합니다 (예 : 교훈 강의에 많이 의존 함) (3 차)

I worry about excluding any learning science at all. Medical students who become teachers must understand that there is a SCIENCE of how people learn, and often we ignore this science in medical education (for example, our heavy reliance on didactic lecture) (Round 3) 


불일치의 일부 영역에도 불구하고, 패널리스트는 "필수"주제에 대한 전반적인 합의는 주로 기존 SaT 프로그램의 추세를 반영합니다

Despite some areas of disagreement, the panelists’ over-all consensus on “essential” topics largely reflects trends in existing SaT programs


SaT Delphi 패널이 "본질적"이라고 평가하지 않은 현재 미국에 기반을 둔 SaT 및 RaT 커리큘럼에서 가장 인기있는 콘텐츠 영역은 "성인 학습 이론"(Soriano 외. 2010)이었습니다.

The only popular content area in cur-rent US-based SaT and RaT curricula that was not rated as“essential” by the SaT Delphi panelists was “adult learning theory” (Soriano et al. 2010). 


합의에 이르지 못했던 일부 주제는 이들 범주의 비율 합의가 합쳐지면 "필수"및 "중요"로 강한 합의를 이룬다는 점에 유의해야합니다 (표 3).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some topics that did not reach consensus as essential have a strong consensus as “essential” and “important” if the percentage agreements in these categories are summed together (Table 3).


따라서 5-10 개의 "필수 주제"를 식별하기위한 노력에서 각 주제 사이의 상대적 중요성은 명확하지 않습니다.

Therefore, in our effort to identify 5–10 “essential topics,”the relative importance of other topics is less clear. 


SaT Delphi 패널 토론자들의 자유 텍스트 주석 중 일부는 의대생 그 자신들이 훈련생이라는 점을 강조합니다. 한 패널 토론가는이를 반영하여,

some of the SaT Delphi panelists’ free text comments underscore the point that medical students are themselves trainees. One panelist reflected that, 


자기 주도적 학습 기술은 학습과 효과적인 교사가 되는 경험의 연결 고리를 제공합니다 (2 라운드)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provide the link between theof learning and of being an effective teacher experiences (Round 2) 


이 정서는 다른 패널 토론자들에 의해 반향을 일으켰으며 "자기 주도적 학습 기술"이라는 주제가 합의에 "중요"하다고 결론 지었다 (71 % 동의). 이 시점에서 "가르치는"기술에만 국한되지 않고 효과적인 평생 학습을위한 전략을 포함하는 SaT 프로그램의 역량 및 이정표를 개발하는 것이 유익 할 수 있습니다.

This sentiment was echoed by other panelists and it is notable that the topic of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did reach consensus as “important” (71% agreement). To this point, it may be beneficial to develop competencies and milestones for SaT programs that are not only limited to“teaching” skills, but that also incorporate strategies for effective lifelong learning. 


Conclusions








 2018 Mar;40(3):259-266. doi: 10.1080/0142159X.2017.1401216. Epub 2017 Nov 24.

Defining curricular priorities for student-as-teacher programs: A National Delphi Study.

Author information

1
a Harvard Medical School , Boston , MA , USA.
2
b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Harvard Medical School , Boston , MA , USA.
3
c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Harvard Medical School , Boston , MA , USA.

Abstract

BACKGROUND:

"Student-as-Teacher" (SaT) programs have been growing in number to prepare medical students for their teaching roles in residency and beyond, but it remains unknown what content areas should be covered in SaT curricula.

AIM:

To determine five to ten "essential" content areas for inclusion in SaT curricula using expert opinion.

METHODS:

Using a three-round Delphi process, moderators iteratively surveyed a panel of 28 medical educators (25 academy directors and three individuals identified as having expertise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representing 25 medical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This "SaT Delphi Working Group" was tasked with rating topics for inclusion in SaT curricula on a 3-point scale (i.e. 1. "essential," 2. "important, but not essential" 3. "not important"). Topics achieving ≥70% consensus as "essential," "important" or "not important" were accepted by the moderators and removed from subsequent rounds.

RESULTS:

Hundred per cent response rate (n = 28) was achieved for all survey rounds. Five content areas reached consensus as "essential" for inclusion in a SaT curriculum: feedback, bedside teaching and clinical precepting, small-group teaching, case-based teaching and professionalism as a medical educator.

CONCLUSION:

This consensus from a group of leaders in medical education is a first step toward the implementation of more developmentally-appropriate SaT competencies.

PMID:
 
29171329
 
DOI:
 
10.1080/0142159X.2017.1401216


피어튜터로서 의과대학생: 체계적 문헌고찰(BMC Med Educ, 2014)

Medical students as peer tutors: a systematic review

Annette Burgess*, Deborah McGregor and Craig Mellis




배경

Background


Peer Assisted Leaning (PAL)


PAL은 여러 수준에서 잘 설명되어있는 이점 때문에 관심의 대상입니다. 교육 기관에서 PAL은 (기존에는 전임상 시기로 간주되었던 초기 임상 활동을 수행하는 의대생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잠재적인 자원 절약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교수진 교육 부담을 완화 할 수 있습니다 [7,6]. PAL은 의과대학 졸업생이 교수와 평가 모두에서 역량과 경험을 쌓아야 한다는 외부의 요구에 부응 할 수 있도록 교육 기관을 지원할 수 있으며, 가르침에 대한 문화를 침투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PAL은 또한 커리큘럼 내 특정 격차를 해소 할 수 있으며 학생이 추가적으로 평가에 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도 있다 [9].

PAL is of interest because of the well documented benefits at several levels. For the institution, PAL can alleviate faculty teaching burden [6] offering a potential resource saving measure, to accommodate the increasing number of medical students undertaking early clinical activities, in what was previously considered pre-clinical years [7,6]. PAL can assist the institution to meet external expectations for medical graduates to achieve competency and experience in both teaching and assessment, and may help to instil a life-long culture of teaching [7]. PAL can also address specific gaps within the curriculum [8], providing additional student support in preparation for assessments [9].


의대생이 가르치고 평가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에서 얻을 수 있는 많은 문서화 된 혜택이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을 습득 할 수있는 기회가 제공됩니다 [12].

There are many documented benefits to having medical students learn how to teach and assess; and in being provided with opportunities to practice these skills [12].


PAL에 참여하는 것이 공식 의대교육과정 또는 보건의료 커리큘럼에 포함되지 않을 수있는 핵심 전문 기술을 소개하고 육성하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증거가 제시합니다 [4-6,14].

Evidence suggests that participation in PAL is an effective and efficient way to introduce and foster these core professional skills that may not be included in formal medical or health care professional curricula [4-6,14].


Review objectives


방법

Methods


Definitions


또래 보조 학습 (PAL)은 "비슷한 사회 집단의 사람들로, 전문 교사가 아니기 때문에 서로 가르치면서 배우고 배울 수 있는 것"[1]로 정의되었습니다.

Peer-assisted learning (PAL) has been defined as “People from similar social groupings who are not professional teachers helping each other to learn and learning themselves by teaching” [1].


Inclusion criteria


Exclusion criteria




결과

Results


그 중 18 건의 연구가 8 개국 (1 건의 연구는 해당 기관이나 국가를 밝히지 않았 음)에 흩어져 있었으며 독일은 5 개 대학에서 4 분의 1 (5/19)의 연구 결과를 나타 냈습니다. 호주는 다음으로 가장 많이 대표되는 나라로 3 개의 다른 대학교에서 4 개의 연구가 있습니다. 다른 나라들에는 3 개의 다른 대학교에서 3 개의 연구가있는 영국이 포함되어있다. 스코틀랜드, 같은 대학에서 두 연구와 아일랜드, 캐나다, 미국, 그리고 말레이시아에서 각각 한 연구.

Eighteen of the studies were scattered across eight different countries (one study did not identify the institution or country), with Germany representing more than a quarter (5/19) of the studies, at five different universities. Australia was the next most commonly represented country, with four studies at three different universities. Other countries represented included England with three studies at three different universities; Scotland, with two studies at the same university, and one study each in Ireland, Canada, USA, and Malaysia.


왜 도입하는가?

Why is PAL being implemented by medical schools?


학생은 어떤 PAL활동을 하는가?

What PAL activities are peer tutors involved in?


Teacher training


Peer teaching


Peer assessment


PAL subject and discipline focus


동료 평가 및 피드백 활동 중 하나를 제외하고는 모두 OSCE 내에 있었고, 병력청취 및 의사 소통 기술; 신체 검사 기술; 절차 적 기술 등을 포함한 주제를 다루었습니다. 평가 대상 기술이 기본 생명 유지 (Basic Life Support) [27] 인 피어 평가 논문이 있었습니다. 또래 교습 활동에는 병력청취, 의사 소통 기술, 류마티스 관절 보행 자세 다리 척추 (GALS), 신경 학적 검사 및 목공 천자, 근골격계 초음파 해석, 심전도 해석, 삽음 절개술 등의 신체 검사 기술; 내과 기본 스킬의 절차 적 기술 등이 포함됩니다. 

All but one of the peer assessment and feedback activities were within OSCEs, covering topics including history ta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physical examination skills; and procedural skills. There was one peer assessment article where the skill being assessed was Basic Life Support [27]. Peer Teaching activities included 

    • history ta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 physical examinations skills, including 

      • Rheumatology Gait Arms Legs Spine (GALS), 

      • neurological examination and 

      • lumber puncture, 

      • musculoskeletal ultrasound interpretation, 

      • ECG interpretation, 

      • episiotomy; and 

    • procedural skills in internal medicine basic skills.


PAL participants


    • 대다수 (12/19)의 연구에서 "가까운 동료"교육이 수반되었고, 고등학생은 중학교 학생을 가르치거나 평가하는 책임이 있습니다. 

    • 5 건의 연구는 동료 대 동료와 직접적으로 관련이있었습니다 (같은 학년).

The majority (12/19) of the studies involved “near peer” teaching, with the more senior students responsible for teaching or assessing the junior students; five of the studies involved direct peer to peer (in the same year);


피어튜터 모집 방법은?

What is the recruitment process for peer tutors?


교사 모집 과정이 항상 명확하게보고 된 것은 아니지만, PAL 프로그램의 대다수 (적어도 11/19)의 경우, 교사 참여는 특정 활동 집단 내의 모든 학생들에게 열려있는 추가 활동으로서 자발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Although the tutor recruitment process was not always clearly reported, for the majority (at least 11/19) of PAL programs, tutor participation was voluntary, as an additional activity, open to all students within a particular cohort.


Weyrich et al. [24] 그리고 Nikendei et al. [31] 동료 교사가 참여에 대한 재정적 보상을 받았다고보고했다. 보고 된 내재적 보상에는 

    • 다른 사람들을 돕고, 새로운 통찰력을 얻고, 평가 과정을 이해하는 즐거운 경험

    • 토픽의 더 큰 이해; 

    • 교수 및 평가 능력 개발.

Both Weyrich et al. [24] and Nikendei et al. [31] reported that peer tutors received financial compensation for participation. Reported intrinsic rewards include 

    • an enjoyable experience of helping others, gaining new insights and understanding of assessment processes; 

    •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topic; and 

    • developing skills in teaching and assessment.


피어튜터를 위한 훈련 프로세스는?

What is the training process for peer tutors?


대다수의 논문은 강사 기술 훈련뿐만 아니라 내용 별 훈련도 포함하는 교사 강습을 설명했다 [4,18-22,26,28,30]. 제공되는 실제 교육은 교사가 수행 할 역할에 적합합니다. 

    • 교사의 자질; 

    • 피드백을주는 방법; 

    • 기밀 유지; 

    • 마킹 기준; 

    • 행정 과정; 

    • 특정 주제 지식 및 기술 필요; 

    • PAL 세션에서 어떤 주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토론합니다.

The majority of papers described tutor training that included facilitator skills training as well as content specific training [4,18-22,26,28,30]. The practical training being provided was appropriate to the role the tutor would be performing; 

    • the qualities expected of a teacher; 

    • how to give feedback; 

    • confidentiality; 

    • marking criteria; 

    • administrative process; 

    • specific subject knowledge and skills required; and 

    • discussion around what topics may arise during the PAL session.


튜터 트레이닝에 대한 기대되는 시간은 크게 다양했습니다.

The expected time commitment for tutor training varied greatly, with as much as 18 hrs across multiple (6) sessions [25], and 10 hrs across 5 workshops [29].


흥미롭게도, 한 논문은 교사 연수와 기술 훈련을 포함하는 공식 외부 강사 과정에 동료 평가원이 파견되었다고보고했다. 그러나 일부 연구에서는 실제 PAL 활동에 앞서 최소한의 개인 교사 훈련을보고했습니다.

Interestingly, one article reported peer assessors being sent to a formal external instructor course incorporating teacher training and skills training [27]. Some studies, however, reported minimal tutor training prior to the actual PAL activity.


PAL의 효과는?

What are the effects of PAL participation on the attitude, knowledge and learning outcomes of peer tutor participants?


두 가지 

The student tutor self-perceived benefits fell into two broad categories:


  전문직 자질 개발 Development of professional attributes.

  내용 지식 이해 개발 Development in the understanding of knowledge content.


전문직 자질

Development of professional attributes


많은 학문은 학생 교사가 직업적인 속성 개발에있는 그들의 미래 경력을 위해 유용한 활동을 고려한다는 것을 것을을 발견했습니다. 여기에는 

      • facilitation, teaching, assessment and feedback 기술에 대한 이해와 인식 증가 [4,18,23,25,30,31]; 

      • 리더십 자질 개발 [24]; 

      • 불확실성을 인정하는 능력 [20];

Many of the studies found student tutors considered the activity useful for their future careers in developing professional attributes. These included an increased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facilitation, teaching, assessment and feedback techniques [4,18,23,25,30,31]; development of leadership qualities [24]; ability to admit uncertainty [20];


      • 자신감의 개발; [20,24] 

      • 다른 사람들의 교육에 기여하고자하는 의지를 육성 [18,24]; 

      • 학습에서의 자율성 [18].

development of confidence; [20,24] fostering a willingness to contribute to the education of others [18,24]; and autonomy in learning [18].


Burgess et al. [25] 다음을 통해서 학생들의 인지 된 혜택을 확장하였다.

      • 교육 이론과 실습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 학습 활동 계획 능력을 향상시켰습니다. 

      • 동료들에게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 할 수있는 능력이 증가했다. 

      • 과목을 운영하는 시니어 교수의 가치를 느낄 수 있습니다.

Burgess et al. [25] expanded on the students’ perceived benefits to include an 

      • increased appreciation of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 increased perceived ability to plan learning activities; 

      • increased perceived ability to provide effective feedback to peers; and 

      • feeling valued by senior academic staff who ran the course.


내용지식 이해

Development in the understanding of knowledge content


몇몇 논문은 지식의 개정을 위해 동료 교사에 의해 인식 된 기회를 확인했다; 자신의 지식 격차와 내용에 대한 더 깊은 이해 수준을 반영 할 수있는 기회 [18,20,23].

Several papers identified perceived opportunity by peer tutors for revision of knowledge;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ir own knowledge gaps and a deeper level of understanding of content [18,20,23].


튜터에 대한 이득

Objectively measured benefits for tutors


학생 교사의 지식 습득은 학생 교사의 시험 성과를 사용하여 두 가지 연구에서 측정되었는데, 이는 상반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Knowledge acquisition by student tutors was measured in two studies using student tutors’ examination performance, which produced conflicting results.



어떻게 피어튜터의 역량을 결정하는가?

How has the competency of peer tutors been determined?


Marking ability of student tutors


Quality of feedback


고찰

Discussion


PAL활용의 근거

Rationale by medical schools for the implementation of PAL activities


만약 교수자원 문제로 PAL활동을 하고 있으면서, 그로 인해 얻을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지 않거나 최소한 학생에게 불이익을 없는 것이 아니라면, PAL 활동의 수행 이유를 윤리적으로 방어하기 어렵습니다. 모든 연구는 학생 학습자가 새로운 PAL 이니셔티브에 의해 불이익을 받지 않았음을 보여 주려했습니다. PAL은 기관에서 높은 이해 관계의 총괄 평가에 대비하여 추가 학생 지원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볼 수 있습니다 [18].

In isolation, it is ethically difficult to defend offering PAL activities as a result of staff resource issues without offering demonstrated advantages or at least no disadvantages to students. All studies sought to show that student learners were not disadvantaged by the new PAL initiatives. PAL may be seen by the institution as a means to provide additional student support in preparation for high stakes summative assessments [18].


많은 논문이 PAL 활동을 수행하는 이유로서 학생의 교수 및 평가 기술 개발을 확인한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이것들은 향후 고용에 필요한 전문적 특성으로, 대학 및 의학 협의회가 대학 및 의학위원회에서 공식적으로 대학원 역량으로 등재 된 직업적 속성으로 점차 인정되고 있습니다 [7].

It is unsurprising that many papers identified the development of students’ teaching and assessment skills as a reason for implementing PAL activities. These are professional attributes required in future employment that are increasingly recognised by universities and medical councils as professional attributes formally listed as graduate competencies by universities and medical councils [7].



PAL활동의 형태

The format of PAL activities involving peer tutors


PAL의 가장 보편적 인 형태는 동료 평가 활동보다는 피어 교육 활동 인 것으로 나타납니다. 평가 활동은 일반적으로 OSCE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광범위한 자원과 자원 절감으로 인한 형성적 OSCE의 형태로 이루어졌습니다. 대다수의 논문이 시니어 학생이 주니어 학생들을 가르치거나 평가하면서 "near" 동료 교육을 보고하고 있다는 것이 흥미롭습니다.

The most popular form of PAL appears to be peer teaching activities, rather than peer assessment activities. The assessment activities were generally in the form of formative OSCEs, which may be attributed to the extensive resources required to run an OSCE, and the resource savings . It is interesting thatthe majority of papers reported “near” peer teaching,with the senior students teaching, or assessing, their jun-ior colleagues.



튜터 모집

Recruitment of tutors


자발적인 학생 교사 모집은 가장 보편적 인 모집 형태였습니다. 동료 교사의 채용이 어떻게 이루어져야하는지에 대한 논쟁이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Ten Cate와 Durning [6]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PAL 참여가 "의무적 인 의무 프로그램의 일부"이어야한다고 제안했다. 

    • 그러나 Wadoodi & Crosby [35]는 동료 교사로서의 참여가 자발적이어야하며, 학업 성적을 근거로 잠재적 인 자원 봉사자를 배제해서는 안된다고 제안한다.

Voluntary student tutor recruitment was the most common form of recruitment. There appears to be some debate around how recruitment of peer tutors should take place. Ten Cate and Durning [6] suggest that PAL participation should be “part of the regular mandatory programme” in order to increase efficiency. However, Wadoodi & Crosby [35] suggest that participation as a peer tutor should be voluntary, and should not exclude potential volunteers on the basis of academic performance.


이것은 PAL의 목적이 자원을 절약하고자 학생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와 교사 모두에게 상호 유익한 교육 활동을 실시하기위한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학업 성취도가 높은 학생이 반드시 어려움을 인식하고 도움을 줄 수있는 더 나은 위치에 있지 않을 수도 있다고 주장 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학업능력보다는 촉진 기술이 중요하며 이는 학업능력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더욱이, 또래 교사로서 참여한 경험이 poor performing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배제해서는 안된다는 증거가있다 [36].

This is because the aim is not to “use” students as a resource saving, but to implement a mutually beneficial educational activity for both tutees and tutors. It can also be argued that students of greater academic standing may not necessarily be in a better position to identify and assist tutees with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as skills in facilitation are important and not determined by academic ability [35]. Further, there is evidence to suggest that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as a peer tutor is more likely to benefit poor performing students and therefore they should not be excluded [36].


두 건의 연구에서 학생에게 금전적 인 보상을 제공했습니다. Ross & Cameron [5]은 참여가 자발적 인 경우 내재적 보상과 내재적 보상이 PAL 교사의 채용 및 유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내재적 보상이 외래 보상의 사용을 무효화한다고 제안한다.

Two of the studies offered monetary payment to students. Ross & Cameron [5] suggest that where participation is voluntary, the intrinsic and extrinsic rewards may have considerable bearing on recruitment and retention of PAL tutors, but suggest that the intrinsic rewards negate the use of any extrinsic rewards.



튜터 훈련

Teaching and facilitation training


OSCE 동료 평가 활동 중 하나에서 교육은 제공되지 않았지만, 교사는 공식 교육을 받으면 교사가 더 나은 평가를받을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일반적으로 교수 역할은 

    • 새로운 콘텐츠를 가르치고, 

    • 지식 또는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것을 돕고

    • 피드백과 함께 평가 제공. 

Although no training was offered in one of the OSCE peer assessment activities, the authors suggest that tutors may have received better assessments if they had formal training [32]. Typically a teaching role entails 

    • teaching new content, 

    • helping tutees learning knowledge or new skills; or 

    • providing assessment with feedback. 


PAL 교사는 일반적으로 가르칠 주제에 대해 숙련된 교사이거나 전문가가 아니다. 일반적으로 주제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고 전문 교사보다 교육 기술이 발달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교육자 훈련은 내용 지식뿐만 아니라 가르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해야한다고 주장된다.

PAL tutors are typically not trained teachers or experts in the topic being instructed. Generally, they have less expansive knowledge of the subject matter, and less developed teaching skills than expert tutors [15]. Therefore, it is asserted that tutor training should be aimed at developing both teaching skills, as well as content specific knowledge [35].



학생 성과

Student outcomes


튜터가 인식한 이득

The student tutor self-perceived benefits


교사는 지식에 대한 전문성과 발달 능력을 포함하여 스스로 인식했습니다. 

    • 가르치기 위해 준비하고, 가르치고, 평가하고, 동료들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고, 성찰하는 것은 교사에게 인지적 및 비인지적 이점을 제공한다

    • PAL에 참여함으로써 교사들은 그들이 알고있는 것을 접하고, 분석하고, 말로 표현하고, 자신의 지식 격차를 실현하고 해결하도록 유도됩니다 [1,38]. 

    • 학생을위한 매우 효과적인 질의enquiry 기반 학습 경험은 동료 교육을 통해 제공됩니다. 이 때 다른 학생을 가르치는 행위는 지식과 기술을 사용하여 다른 학생과 교제engage하는 것을 포함하며, 학습에 대한보다 깊이있는 참여를 촉진합니다 [42].

Tutor self-perceived benefits included skills in professionalism and development in the understanding of knowledge. Evidence suggests that preparing to teach, teaching, assessing, providing feedback to peers and reflecting offer both cognitive and non-cognitive benefits to tutors [41]. By participating in PAL, tutors are driven to engage, analyse and verbalise what they know, and to realise and address their own knowledge gaps [1,38]. A highly effective enquiry based learning experience for students is provided through peer teaching, where the act of teaching another student involves using knowledge and skills to engage with another student, promoting a deeper engagement with learning [42].


객관적 이득

Objectively measured benefits for tutors


현재 PAL 문헌에 동료 평가로 교사 참여가 실제로 학생 성적을 향상시키는 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필요한 증거가 부족합니다 [10].

currently there is insufficient evidence in the PAL literatur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participation as a tutor in peer assessment does actually improve student performance [10].



튜터 역량 측정

Measurement of student tutor competencies


튜터의 채점 능력

Marking ability of student tutors


두 연구에서 동료 평가자가 교수 평가자보다 관대 한 평가자라고보고 한 연구가 있었지만 [27], 한 연구에서는 교수평가자는 동료보다 더 관대 한 평가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wo studies reported peer assessors as being more lenient markers than academic assessors [25,32], while one study found academic assessors to be more lenient markers that peers [27].


튜터의 피드백 퀄리티

Quality of feedback


비록 tutees에 의해 평가 된 피드백의 품질은 교수 논문의 피드백보다 우수했지만 [32],이 피드백의 정확성을 결정하는 객관적인 척도는 없었다.

Although the quality of the feedback as assessed by the tutees was superior to faculty feedback in one paper [32], there was no objective measure to determine the accuracy of this feedback.


Limitations



결론

Conclusion


이 리뷰의 결과는 PAL 활동에 참여하는 학생 교사가 인식하는 학습 혜택이 많다는 것을 나타내지 만, 또래 교사로서의 참여가 자신의 시험 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결론 지을만한 실질적인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또한 채용 프로세스 및 교사 학습의 기간 및 내용에 차이가 있으며, 학생 교사의 결과에 대한 관련 효과에 대한 증거는 거의 없으므로 추가 조사가 필요합니다.


Although results from this review suggest that there are many perceived learning benefits for student tutors participating in PAL activities, no substantial evidence was found to conclude that participation as a peer tutor improves one’s own examination performance. It also appears that there is variation in recruitment processes, and duration and content of tutor training, with little evidence of related effects on student tutor outcomes, warranting further investigation.





 2014 Jun 9;14:115. doi: 10.1186/1472-6920-14-115.

Medical students as peer tutors: a systematic review.

Author information

1
Sydney Medical School - Central, The University of Sydney, Building 63, level 4, Royal Prince Alfred Hospital, Missenden Road, Camperdown, New South Wales 2050, Australia. annette.burgess@sydney.edu.au.

Abstract

BACKGROUND:

While Peer Assisted Learning (PAL) has long occurred informally in medical education, in the past ten years,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national interest in formally organised PAL, with many benefits for both the students and institutions. We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to establish why and how PAL has been implemented, focussing on the recruitment and training process for peer tutors, the benefits for peer tutors, and the competency of peer tutors.

METHOD:

A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in three electronic databases. Selection of titles and abstracts were made based on pre-determined eligibility criteria. We utilized the 'AMEE Peer assisted learning: a planning and implementation framework: AMEE Guide no. 30' to assist us in establishing the review aims in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between 2002 and 2012. Six key questions were developed and used in our analysis of particular aspects of PAL programs within medical degree programs.

RESULTS:

We found nineteen articles that satisfied our inclusion criteria. The PAL activities fell into three broad categories of teacher training, peer teaching and peer assessment. Variability was found in the reporting of tutor recruitment and training processes, tutor outcomes, and tutor competencies.

CONCLUSION:

Results from this review suggest that there are many perceived learning benefits for student tutors. However, there were mixed results regarding the accuracy of peer assessment and feedback, and no substantial evidence to conclude that participation as a peertutor improves one's own examination performance. Further research into PAL in medicine is required if we are to better understand the relative impact and benefits for student tutors.

PMID:
 
24912500
 
PMCID:
 
PMC4237985
 
DOI:
 
10.1186/1472-6920-14-1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