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중요성 | ||||||||
(KOREAPR.review 44호<2008년 4/5월 호>에 게재된 최윤희 교수(수원대 언론정보학과)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중요성에 관한 글을 소개합니다. 최 교수는 이글에서 세계화 시대에 한국인들이 갖쳐야 할 능력 중 하나는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이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많은 참조 바랍니다.) “세계화 시대에 한국인들이 갖춰야 하고 필요한 능력 중 하나는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이다.” 문화의 속성 중에서도 누구나 감지할 수 있고, 쉽게 식별할 수 있는 것이 문화의 차이이다. 문화의 차이는 상대적이긴 하지만, 한 문화권 안에서도 문화의 차이를 경험 할 수 있다. 만일 온 세상의 문화가 동일하다면 문화의 차이 때문에 오는 실수도 없을 것이고, 문화의 충격도 걱정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세계의 각 나라들은 아직도 각기 독특한 언어, 제도, 생활관습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의 차이는 국제커뮤니케이션은 물론 개개인들 간 커뮤니케이션에 심원한 영향을 미친다. 우리가 우리와 다른 이들을 관찰할 수 있으며 그들을 있는 그대로 대할 수 있음은 아름다운 일이다. 이러한 능력은 저절로 생기는 것이 아니며 학습을 통해서 얻게 된다.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intercultural communication)이 이러한 학습과 연구의 주제가 된다. 사람은 누구나 타문화권의 관습을 자기 자신의 문화권의 개념과 가치를 적용하여 보는 관행을 보인다. 학자들은 이러한 자세를 자민족 중심주의(ethnocentrism)라고 부른다. 이것은 다른 사람의 생활 방식을 우리 자신의 색안경으로 보는 자세이다. 자민족 중심주의의 위험성은 자존심과 우월한 태도에 있다. 우리들은 자민족 중심주의에 관련된 문제와 씨름해야 한다. 인간은 누구나 자신을 중심으로 나 이외의 모든 것을 판단하기 때문에 자민족 중심적이 되는 것이다. 문화 인류학에서 가치 있는 관점으로 여기는 것 중 하나는 문화적 상대주의(cultural relativism) 이다. 일찍이 인류학자들은 문화적 상대주의의 관점에서 ‘모든 문화는 동등한 것(equally valid)’으로 간주했다. 하지만 이 가치 판단은 과학적인 연구에서 입증되지 않았다. 따라서 문화적 동등성의 가정은 거부되었다. 그러나 문화적 상대주의에는 문화 간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도구로 쓰일 수 있는 또 다른 면이 있다. 즉 한 문화권의 요소나 관점을 그 문화권 맥락에 연관시켜 인식하고 이해하는 접근법이 그것이다. 일부학자들은 이 개념을 문화적 통합(cultural integrity)으로 부른다. 만일 우리가 문화적 상대주의의 두 가지 의미 중 후자의 의미를 알지 못하면 자민족 중심주의적 태도를 보이게 될 것이다. 이에 비하여 문화적 상대주의는 적절히 적용되면 남이 하는 방식을 좀 더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사회 현실은 객관적 문화와 주관적 문화로 구성된다. 각종 사회, 정치, 경제 제도를 비롯해서 미술, 음악 연극 등을 일컫는 객관적 문화에 비하여 주관적 문화(subjective culture)는 사람들의 집단을 규정짓는 심리적 특성을 일컫는다. 다시 말해서 사람들이 만든 제도 보다는 매일 매일의 사고와 행위를 일컫는다. 따라서 주관적 문화란 상호 작용하는 사람들이 공유하는 신념의 양태, 행위와 가치로 규정할 수 있겠다. 주관적 문화를 이해하게 되면- 자신의 것과 다른 사람들의 것-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학자들은 이러한 주관적 문화를 이해하여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을 진작하기위한 여러 가지 접근법을 제시했다. 이중 맥락(contexts)이 타문화를 이해하는데 가장 유용한 요인 중 하나라고 말한다. 맥락은 커뮤니케이션의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는 상황 또는 환경으로 이해할 수 있다. 맥락을 이해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 참여자들은 대인적 상호작용에서 어떻게 행동하고 반응할지를 안내하는 의미와 단서(cues)를 얻을 수 있다. 문화인류학자 에드워드 홀은 두 가지 유형의 맥락을 제시했다. 아시아와 남미와 같은 고맥락 문화권은 상황과 사람들 간 관계의 단서에 의해 영향을 받는 커뮤니케이션이다. 고맥락 상황에서 사람들은 처한 환경을 평가하고 말을 많이 나누지 않고도 상황의 의미를 파악한다. 이러한 고맥락 문화권에서 개인적 관계에는 절충의 여지가 별로 없다. 직위가 높은 사람, 직위가 낮은 사람, 동료, 구성원 등의 역할이 커뮤니케이션의 성격과 내용을 결정짓는다. 사람들이 서로 잘 모를 때 이들은 정중하고 격식 있는 커뮤니케이션을 한다. 미국과 독일과 같은 저맥락 문화권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성격과 내용은 문자 그대로 말로 한 것이나 써놓은 것과 같다. 저맥락 문화권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말, 문서 및 공식적 합의서에 의존하며 상황을 파악하려고 한다. 저맥락 문화권에서 상황에 관한 사람들의 이해를 안내하는 의미는 상황에 있는 것이 아니라 주로 단어에 있다.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의 역동성을 이해하기 위한 두 번째 요인은 문화적 차원이다. 호프스테드(G. Hofstede)는 (1)권력 차이, (2)불확실성 회피, (3)개인주의-집단주의, (4)남성성-여성성, 그리고 (5)유교의 역동성으로 구성된 문화의 다섯 가지 차원을 제시했다. 권력 차이(power distance)는 상향 커뮤니케이션의 개방성을 일컫는다. 두 번째 차원인 불확실성 회피(uncertainty avoidance)는 모호함에 대한 사람들의 관용을 일컫는다. 불확실성 회피는 불확실성을 다루는 인간의 능력을 측정한다. 불확실성 회피가 높은 사회에서는 명문화된 규칙, 법규 및 스트레스가 더 많게 마련이다. 세 번째 차원인 남성성(masculinity)은 한 문화권에서 업무가 어떻게 분산되어 있는가를 설명하고 이런 업무가 남자와 여자 사이에 골고루 분산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알려준다. 그 예로 스웨덴 같은 여성성이 높은 문화권에서는 남녀가 구분 없이 유치원 교사, 비서 및 간호사로 일한다. 남성성이 높은 문화권에서 여성과 남성은 하는 일이 각기 구분되어 있다. 네 번째 개인주의-집단주의는 사람들이 큰 집단이나 지역 사회와 관련하여 자신들을 어떻게 생각 하는가에 관한 차원이다. 개인주의-집단주의는 개인과 집단 사이의 관계를 설명한다. 미국과 호주처럼 개인주의 문화권에서 사람들은 자아실현과 경쟁력 향상을 중히 여긴다. 집단주의 문화권에서 사람들은 개인의 이익과 권리보다 자신이 속한 조직 또는 집단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경향을 보인다. 새로운 차원인 유교적 역동성은 검소, 인내와 남과 질서 있는 관계의 정신을 바탕으로 문화를 설명한다. 언어와 비언어 요소 또한 문화 간 상호작용의 도구이자 장애로 작용한다. 타문화권과의 커뮤니케이션에서 언어의 중요성은 말할 필요도 없거니와 비언어 커뮤니케이션도 언어 못지않게 중요하다. 각종 몸짓, 시간과 장소 이용행위가 다양한 의미를 제공한다. 그 예로 복합시간(polychronic) 문화권은 시간을 융통성 있게 사용하고 한 번에 여러 가지 일을 처리하는 경향을 보인다. 복합시간 문화권에서 어떤 일에 관여하고 마치는 것은 미리 준비된 계획을 따르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 하지만 단일시간(monochronic) 문화권에서는 일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그 계획대로 시간에 맞춰 일을 처리하는 것에 높은 가치를 둔다. 이러한 문화권 사람들은 한 번에 한 가지 일을 처리하는 데 익숙하다. 시간 지향성(time orientation) 즉 현재, 미래 및 과거 지향성은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과 사람들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우리는 자기 자신의 시간지향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타 문화권 사람들의 시간 지향성을 이해하고 수용할 준비가 되어있어야 한다. 우리가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도전적 특징을 관리하는 내적 능력을 갖기 위해서는 위에서 언급한 타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접근법들 외에도 자신의 문화를 아는 일, 감정이입의 개발,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세계화 시대에 한국인들이 갖춰야 할 필요한 능력 중 하나는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능력일 것이다. |
http://www.koreapr.org/resource/opinion_view.php?n=35&no=36&start=20&mode=&field=&s_que=
http://www.ksa.or.kr/framework/customer/eksatrend.do?method=view&pbrd_seq_n=183&brd_seq_n=66099&cPage=2&skin_seq_n=7
'All the oth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AMC: Curriculum Inventory and Reports (CIR) (0) | 2015.12.16 |
---|---|
2015학년도 이후 의과대학 선발방식별 정원 변화 (0) | 2014.06.23 |
[조선일보] 좋은 머리만큼 '따뜻한 심장'도 지녔는가… 달라진 醫大 면접 (다면인적성면접, MMI) (0) | 2014.05.28 |
William Osler (0) | 2014.04.08 |
의과대학이 학생 선발에서 중요시하는것은? (0) | 2014.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