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학의 운동선수: 운동 유경험자의 수행능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Med Educ, 2023)
Athletes in medicine: A systematic review of performance of athletes in medicine
Kathryn G. Anderson1 | Jacie Lemos2 | Samantha Pickell3 | Christopher Stave1 | Michael Sgroi1

 

1 소개
1 INTRODUCTION

의료계에 대한 관심은 최근 몇 년 동안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2002년부터 2020년까지의 입학 주기 동안 의대 지원자 수는 50% 이상 증가했습니다.1 의료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입학 위원회와 관계자들은 점점 더 경쟁이 치열해지는 지원자 풀을 검토하여 의대, 레지던트 프로그램 및 의학교육 이후의 경력에 가장 적합한 지원자를 식별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의과대학 및 레지던트 지원서에는 학부 평점, 의과대학 입학시험(MCAT) 또는 미국 의사면허시험(USMLE)과 같은 표준화된 객관적 지표뿐만 아니라 경험, 과외 활동 및 개인적 특성에 대한 보다 총체적 검토가 포함됩니다. 입학 관련 문헌의 방대한 연구에 따르면 정량적 학업 지표와 의과대학에서의 미래 성공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5 입학 위원회는 전통적으로 이러한 정량적 학업 지표에 더 중점을 두었지만, 총체적 검토는 입학생의 다양성 증가와 같은 이점을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6, 7 따라서 최근 몇 년 동안 미국의과대학협회는 의과대학이 "지원자의 경험, 특성 및 학업 지표뿐만 아니라 지원자가 학습, 실습 및 교육에 기여할 수 있는 가치를 고려하는 선발 과정"으로 정의하는 총체적 검토를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AAMC에 따르면, 현재 미국의 거의 모든 의과대학에서 일부 요소에 대해 총체적 평가를 활용하고 있다고 합니다.8 총체적 검토의 채택이 증가한 것 외에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대학 성적 옵션, MCAT 연기 및 취소, 연구 및 임상 기회 제한 등 여러 가지 변화가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혼란으로 인해 입학 위원회는 의학 분야의 성공을 예측할 수 있는 다른 지표에 더 많이 의존하게 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처럼 지원자의 경험을 고려하는 총체적 평가로의 전환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운동 경력을 포함한 학업 외 경험과 의대에서의 성과 사이의 질적 연관성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Interest in the medical profession has been steadily growing in recent years. From the 2002 to 2020 admissions cycles, the number of applicants to medical school increased by over 50%.1 As interest in the medical profession grows, admissions committees and stakeholders are tasked with reviewing an increasingly competitive pool of candidates to identify those best suited for medical school, residency programmes and a career beyond medical education. Medical school and residency applications include standardised objective measures, such as undergraduate GPA, the Medical College Admission Test (MCAT) or the United Stated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USMLE), as well as a more holistic review of experiences, extracurriculars and personal attributes. A vast amount of research in the admissions literature has shown a correlation between quantitative academic measures and future success in medical school.2-5 While admissions committees traditionally have placed greater emphasis on these quantitative academic measures, a holistic review has been shown to confer benefits such as increased diversity of matriculants.6, 7 As such, in recent years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 has encouraged medical schools to use a holistic review, which they define as a “selection process which takes into consideration applicants' experiences, attributes, and academic metrics as well as the value an applicant would contribute to learning, practice, and teaching.” According to the AAMC, nearly all medical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now report using some elements of holistic review.8 In addition to an increased adoption of holistic reviews, the COVID-19 pandemic led to several changes in university grading options, MCAT postponements and cancellations, and limited research and clinical opportunities. These disruptions have likely forced admissions committees to rely even more heavily on alternative predictors of success in medicine. Despite this increasing shift to holistic review that considers applicant experiences, many qualitative associations between non-academic experiences, including prior participation in athletics, and performance in medical school have yet to be fully established.


총체적 검토 프레임워크는 의대 입학을 넘어 현재 많은 레지던트 프로그램과 의대 교수직에서 지원자 선발에 적용되고 있습니다.9 또한, 2022년 1월에 USMLE 1단계 시험이 수치 점수에서 합격-불합격 채점 방식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전통적으로 이 시험은 레지던트 입학 과정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해 왔습니다. 이러한 변화가 레지던트 프로그램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지만, 레지던트 성공에 대한 새로운 예측 변수를 확립해야 할 것입니다. 중요한 기술과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레지던트 입학 과정에서 레지던트 지원자의 경험을 더 중요하게 고려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전에 운동에 참여한 경험과 레지던트 또는 주치의로서의 성과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The holistic review framework is expanding beyond medical school admissions and is now being applied for applicant selection at many residency programmes and medical school faculty positions.9 Furthermore, the USMLE Step 1 exam changed from a numerical score to pass-fail scoring in January 2022. Traditionally, this exam has carried significant weight in the residency admissions process. While we have yet to see how this change will affect residency programmes, new predictors of success in residency will need to be established. To assess important skills and traits, residency applicant experiences will likely be considered more heavily in the admissions process. As such,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participation in athletics and performance as a resident or attending physician may be beneficial.

문헌은 제한적이지만, 연구에 따르면 높은 수준의 운동 경기에서 경쟁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의사가 되는 길에서 성공하는 데 필요한 기술 사이에 유사점이 발견되었습니다. 이러한 연관성은 운동선수와 의사 경력 모두에서 성공을 결정하는 유사한 자질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입니다. 가장 우수한 성과를 내는 의대생, 레지던트, 주치의는 쉽게 적응하고, 팀 환경에서 잘 일하며, 비판에 잘 대응하고, 자제력이 뛰어나고, 시간 관리를 잘합니다. 우수한 운동선수로 활동하는 것도 이러한 자질을 많이 요구하므로 의과대학과 레지던트 과정의 혹독한 훈련에 대비하는 데 유리할 수 있습니다.10, 11 이전 문헌에 따르면 운동선수 출신은 의대 재학 중 소진을 덜 경험하고 여가를 위한 시간을 더 많이 가지며, 운동선수가 아닌 동료들에 비해 의학교육을 더 협력적이고 자율성을 지지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12, 13 이러한 유사점으로 인해 일부 의과대학에서는 이미 의대 지원서 검토 시 운동 참여 여부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의과대학의 2차 지원서에는 대학 재학 중 운동에 참여했는지, 참여했다면 대표팀 또는 클럽 수준인지 여부를 묻는 항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Although the literature is limited, studies have drawn parallels between the skills necessary to compete in high-level athletics and those necessary to succeed in the path to becoming a physician. These associations may come from the similar qualities that determine success in both athletics and a career in medicine. The highest performing medical students, residents and attending physicians adapt easily, work well in team settings, respond well to criticism, are self-disciplined and manage their time well. Performing as a high-level athlete also requires many of these qualities and may therefore provide advantageous preparation for the rigour of medical school and residency.10, 11 Previous literature has also found that former athletes experience less burnout, make more time for leisure during medical school and may view their medical education as more collaborative and supportive of their autonomy compared to their non-athlete peers.12, 13 Due to these parallels, some medical schools already consider participation in athletics when reviewing medical school applications. For example, the written secondary application for some medical schools includes a portion that asks students whether they have participated in athletics during college and, if so, to specify whether it was at the varsity or club level.

의학 이외의 분야에서도 운동 기술이 업무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많이 있습니다. 이러한 분야의 고용주는 지원자가 팀워크, 회복탄력성, 규율 등과 같은 기술을 배웠다면 스포츠를 했던 지원자를 선호할 수 있습니다. 특히 매우 중요한 기술인 리더십과 관련하여, 한 연구에 따르면 운동선수는 리더십 능력과 같은 척도에서 비운동선수를 능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14 또 다른 연구에서는 대표팀 수준의 스포츠에 참여한 남성은 궁극적으로 직장 내에서 더 높은 수준의 리더십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5 마찬가지로, ESPNW의 2015년 연구에 따르면 포춘 500대 기업 여성 임원 중 80%가 인생의 어느 시점에서 경쟁 스포츠를 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6 의학에서 리더십과 앞서 언급한 다른 특성의 중요성을 감안하면 운동 선수 경험과 의학에서의 성공 사이에 상관관계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Considerable research details the transferability of athletic skills to the workforce in fields aside from medicine. Employers in these fields may favour applicants who played sports if candidates learned skills such as teamwork, resilience, discipline and more. Particularly regarding leadership, a highly important skill, one study demonstrated that athletes outscored non-athlete peers on measures such as leadership ability,14 while another demonstrated that men who had participated in varsity-level sports ultimately showed higher levels of leadership within the workplace.15 Likewise, a study in 2015 by ESPNW discovered that 80% of female Fortune 500 executives played competitive sports at some point in their lives.16 Given the importance of leadership and other aforementioned traits in medicine, a correlation between prior athletic experience and success in medicine may exist.

의대 입학 위원회가 의학계에서의 성공 예측 인자를 파악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운동 참여와 의대, 레지던트, 의사로서의 성공 사이의 관계에 대한 현재 문헌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는 아직 수행되지 않았습니다. 본 체계적 문헌고찰은 운동 참여가 의학교육과 그 이후의 성공에 대한 좋은 예측 인자인지에 대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기존 문헌에서 이러한 관계를 더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통해 의학교육 기관, 입학 위원회, 지원자 및 기타 이해관계자들에게 의학 분야에서 지원자의 성공 가능성을 검토할 때 운동 참여가 어느 정도 고려될 수 있는지를 더 잘 알려주고자 합니다. 
Despite the growing need for medical school admissions committees to identify predictors of success in medicine, a systematic review of the current litera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athletics and success in medical school, residency and as a physician has yet to be performed. By further exploring this relationship in the current literature, the present systematic review aims to answer the question of whether participation in athletics is a good predictor of success in medical education and beyond. In doing so, this study seeks to better inform medical education institutions, admissions committees, applicants and other stakeholders of the extent to which participation in athletics could be considered while reviewing a candidate's potential for success in medicine.

2 방법
2 METHODS

데이터 검색 프로토콜은 PRISMA(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위한 선호 보고 항목) 가이드라인에 따라 개발되었습니다.17 2021년 2월 9일에 검색 엔진 PubMed, EMBASE, Web of Science, ERIC 및 Google Scholar를 사용하여 온라인 데이터베이스를 종합적으로 검색했습니다. 검색에는 다음 쿼리가 사용되었습니다: 
A data search protocol was developed per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guidelines.17 We performed a comprehensive search of online databases on 9 February 2021 using the search engines PubMed, EMBASE, Web of Science, ERIC and Google Scholar. The following query was used for the search:

(성공* 또는 수행* 또는 예측* 또는 "임상 역량") 및 (레지던트* 또는 레지던트* 또는 "의학 대학원 교육" 또는 인턴* 또는 인턴십* 또는 "의대생*" 또는 "임상 펠로우*") 및 (스포츠 또는 스포츠 또는 운동선수* 또는 올림픽*) NOT "스포츠 의학" 
(success* OR perform* OR predict* OR “clinical competence”) AND (residency* OR resident* 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OR interns OR internship OR “medical student*” OR “clinical fellow*”) AND (sports OR sport OR athlete* OR olympic*) NOT “sports medicine”

데이터베이스의 구문에 따라 검색어의 형식이 결정되었습니다. 날짜 범위에는 제한을 두지 않았습니다. 그 후, 각 적격 논문에 대해 참고 문헌 검토를 수행하여 1차 검색에 포함되지 않은 관련 문헌을 찾아냈습니다. 
The syntax of the database determined the format of the search terms. No limitations on date range were implemented. Subsequently, reference review was performed on each qualifying article to uncover relevant literature that did not populate in the primary search.

2.1 자격 기준
2.1 Eligibility criteria

이 리뷰에 포함되려면 연구가 다음 기준을 충족해야 했습니다: (1) 의대생, 레지던트 또는 주치의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2) 운동 참여 경력을 예측 변수 또는 설명 변수로 사용하며, (3) 영어로 된 동료 심사를 거친 전문이고, (4) 미국 또는 캐나다의 인구를 대상으로 평가한 연구여야 합니다. 연구를 미국과 캐나다로 제한한 이유는 미국과 캐나다 의과대학 모두 의과대학 입학 요건(MSAR)을 따르고 있으며, 두 나라 모두 일반적으로 학생들이 의사 면허를 취득하기 전에 유사한 과정을 이수하도록 요구하기 때문입니다 (학사 학위 취득, 의과대학 입학 및 수료, 의과대학 레지던트 수료). 미국과 캐나다 의과대학의 평균 합격률은 모두 낮습니다(2020년 각각 7% 및 5.5%).18 우리는 미공개 데이터만 포함된 참고 문헌과 운동 참여가 아닌 활동 수준을 예측 변수로 사용한 참고 문헌은 제외했습니다. 모든 참고 문헌은 최소 두 명의 검토자(JL, KA 또는 SP)가 심사했습니다.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다른 검토자(MS)에게 자문을 구했으며, 모든 검토자의 합의와 합의를 통해 해결했습니다. 
To be included in this review, a study had to meet the following criteria: (1) Quantitatively assessed medical students, residents or attending physicians, (2) used prior participation in athletics as a predictor or explanatory variable, (3) peer-reviewed full-text available in English and (4) assessed a population in the United States or Canada. Studies were limited to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because both U.S. and Canadian medical schools follow the Medical School Admissions Requirements (MSAR), both countries typically require students to complete a similar path prior to obtaining medical licensure (i.e. earn a bachelor's degree, attend and complete medical school and then complete a medical residency), and both U.S. and Canadian medical schools have low average acceptance rates (7% and 5.5% in 2020, respectively).18 We excluded references that contained only unpublished data and references that used activity level as a predictor rather than participation in athletics. All references were screened by at least two reviewers (JL, KA or SP). Another reviewer (MS) was consulted in cases of disagreement, which were resolved through consensus and agreement among all reviewers.

2.2 품질 분석
2.2 Quality analysis

두 명의 독립적인 검토자(JL, SP)가 사례대조군 및 코호트 연구에 대해 뉴캐슬-오타와 척도(NOS)를 사용하여 각 연구의 질을 평가했습니다.19 NOS는 참가자 선정, 그룹의 비교 가능성, 결과의 질에 따라 세 가지 영역으로 구성됩니다. 품질 점수는 횡단면 연구의 경우 0~10점(이전에 활용된 NOS 척도를 적용20), 코호트 연구의 경우 0~9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질이 높음을 나타냅니다. 7점 이상이면 연구의 질이 높은 것으로, 7점 미만이면 질이 낮은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2명의 독립적인 검토자 간의 카파값은 0.6으로 계산되어 평가자 간 일치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 3의 평가자(KA)에게 자문을 구했으며, 모든 평가자의 합의와 합의를 통해 해결했습니다. 
Two independent reviewers (JL, SP) used the Newcastle-Ottawa Scale (NOS) for case–control and cohort studies to assess the quality of each study.19 The NOS has three domains based on the selection of participants, comparability of the groups, and quality of the outcomes. Quality scores range from 0 to 10 points for cross-sectional studies (adapted NOS scale as previously utilized20) and 0 to 9 points for cohort studies, with higher scores indicating higher-quality. Studies were graded as high quality if they achieved a score of ≥7 and low quality if they achieved a score of <7. A kappa value of 0.6 between the 2 independent reviews was calculated, indicating acceptable inter-rater agreement. A third reviewer (KA) was consulted in cases of disagreement, which were resolved through consensus and agreement among all reviewers.

2.3 데이터 추출 및 분석
2.3 Data extraction and analysis

포함된 연구에서 저자, 연구 연도, 연구 설계, 표본 크기, 대상 집단(예: 의대생, 레지던트 등), 운동 참여 수준(예: 대학생, 프로 등), 참여 수준 확인 방법(예: 자가 보고, 레지던트 지원서 등), 성과 평가에 사용된 결과, 운동 참여와 성과 간에 발견된 연관성(p값 포함) 등의 데이터를 공유 스프레드시트로 추출했습니다. 포함된 연구는 노출 정의와 결과 정의에 따라 범주별로 분류되었습니다. 노출 범주에는 다음이 포함되었습니다.

  • (1) 참가자의 운동 참여 기술 수준에 따라 평가된 참가자 결과
  • (2) 개인 대 팀 스포츠 참여에 따라 평가된 참가자 결과

결과 범주에는 다음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 (1) 의과대학에서의 학업 성취도,
  • (2) 레지던트 과정에서의 성과,
  • (3) 수술 술기 성과,
  • (4) 동기 부여/소진 

이 범주들은 상호 배타적이지 않았습니다. 보고된 연관성의 유의성을 평가하기 위해 p값을 기록했습니다. 두 명의 검토자가 추출된 모든 데이터의 정확성을 교차 확인했습니다.
The following data were extracted from included studies into a shared spreadsheet: author, study year, study-design, sample size, target population (i.e. medical students, residents, etc.), the athletic participation level (i.e. collegiate, professional, etc.), method of ascertaining participation level (i.e. self-report, residency application file, etc.), outcomes used to assess performance and the associations detected between athletic participation and performance (with p-values). Included studies were categorically grouped based on their exposure definition and their outcome definition. Exposure categories included

  • (1) assessed participant outcomes based on participants' skill level of athletic participation and
  • (2) assessed participant outcomes based on individual versus team sport involvement.

Outcome categories included

  • (1) academic performance in medical school,
  • (2) performance in residency,
  • (3) surgical skills performance and
  • (4) motivation/burnout.

The categories were not mutually exclusive. p values were recorded to assess the significance of reported associations. Two reviewers cross-checked all extracted data for accuracy.

3 결과
3 RESULTS

그림 1에서 볼 수 있듯이 제목, 초록 및 전문을 검토한 결과 1044개의 중복되지 않는 참고 문헌을 확인했습니다. 이 중 89개의 연구를 제외한 모든 연구가 포함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거나 이 체계적 문헌고찰의 제외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판단했습니다. 다음으로, 89개 참고 문헌의 전문을 검토했습니다. 이 중 18개의 문헌이 체계적 문헌고찰의 포함 기준을 충족했습니다.10-13, 21-33 포함된 18개의 연구 중 14개(78%)는 의대생, 5개(28%)는 레지던트 또는 레지던트 지원자, 1개(6%)는 주치의에 대한 평가였습니다. 5건(28%)의 연구는 개인이 아닌 팀 스포츠에 참여한 경력을 평가했고, 12건(67%)의 연구는 참가자의 최고 수준의 운동 참여도(예: 대학 운동 대표팀 및 프로 운동)를 기준으로 평가했습니다. 3개의 연구(17%)는 캐나다의 의대생을 평가한 반면, 나머지 15개의 연구는 미국 내 인구를 분석했습니다. 
As shown in Figure 1, we identified 1044 non-duplicate references for which we reviewed titles, abstracts and/or full texts. Of these, we determined all but 89 studies failed to meet inclusion criteria or met exclusion criteria for this systematic review. Next, we reviewed the full text of these 89 references. Eighteen of these references met inclusion criteria for the systematic review.10-1321-33 Of the 18 included studies, 14 (78%) evaluated medical students, five (28%) evaluated residents or residency applicants, and one (6%) evaluated attending physicians. Five (28%) studies specifically assessed prior participation in team sports (versus individual), and 12 (67%) studies specifically assessed participants based on their highest level of athletic participation (i.e. varsity collegiate athletics and professional athletics). Three studies (17%) evaluated medical students in Canada, whereas the remaining 15 studies analysed a population in the United States.

3.1 품질 평가
3.1 Quality assessment

단면 연구의 NOS 점수는 6~10점 범위였습니다. 코호트 연구 1건이 포함되었으며, 두 평가자 모두 7점으로 평가했습니다. 15건(83%)의 연구가 7점 이상(즉, 질이 높음)을 획득하여 전반적으로 질이 높았습니다. 횡단면 연구의 평균 NOS 점수(및 표준편차[SD])는 7.6 ± 1.2점이었습니다. 표 1에 연구별 NOS 등급이 나와 있습니다. 

NOS scores for cross-sectional studies ranged from 6 to 10 points. There was one cohort study included, and both raters scored it as 7. Studies were generally high quality with 15 (83%) achieving a score of ≥7 (i.e. high quality). The average NOS score for cross-sectional studies (and standard deviation [SD]) was 7.6 ± 1.2. NOS grades are listed by study in Table 1.

 

3.2 포함된 연구 요약
3.2 Summary of included studies

포함된 18개 연구 중 16개(89%) 연구에서 운동선수(즉, 운동 경험이 있는 참가자)가 비운동선수보다 유의하게 더 나은 수행 능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p <0.05). 1건(6%)의 연구에서는 운동선수가 비운동선수보다 성적이 현저히 낮았으며, 1건(6%)의 연구에서는 결론을 내릴 수 없는 결과가 나왔습니다(표 1). 포함된 연구의 결과는 아래에 범주별로 요약되어 있습니다.
Out of the 18 studies included, 16 (89%) found that athletes (i.e. participants with prior athletic experience)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ir counterparts (p < 0.05). One (6%) study found that athletes performed significantly worse than their counterparts, and one study (6%) had inconclusive results (Table 1). The results of included studies are summarised categorically below.

3.3 이전 운동 참여 수준 및 수행 능력
3.3 Level of prior athletic participation and performance

12개(67%) 연구는 운동 참여의 기술 수준에 따라 참가자를 구체적으로 평가했습니다. 8건(44%)은 등급별 척도(예: 무참가부터 올림픽 수준의 대회까지 선택지에 따라 스스로 보고한 최고 수준의 대회)를 사용했으며, 4건(22%)은 대학 대표팀 선수 출신과 비대표팀 대학 선수 출신을 비교했습니다. 등급을 매겨 참가자를 계층화한 8건의 연구 중 7건은 운동 참여도가 높을수록 의과대학 및 레지던트 과정에서의 성과 지표 개선, 소진 감소, 치프 레지던트로 선발될 가능성 및 수술 성과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2, 13, 24, 26, 29, 32, 34 이 중 한 건(Lodewyk 등)은 이러한 등급별 반응이 개인이 아닌 팀 스포츠 선수에게만 나타난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한 연구는 운동 참여 수준이 구조화된 임상 시험 점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결론을 내리지 못했습니다.23 
Twelve (67%) studies specifically assessed participants based on skill level of athletic participation. Eight (44%) used a graded scale (i.e. self-reported highest level of competition with options from no participation to Olympic level competition) and 4 (22%) compared former varsity collegiate athletes to non-varsity collegiate athletes. Seven of the eight studies that stratified participants based on a graded scale found that higher levels of athletic involvement correlated to improved performance metrics in medical school and residency, including decreased burnout, increased likelihood of being selected as a chief resident and surgical performance.12, 13, 24, 26, 29, 32, 34 One of these (Lodewyk et al.) found that this graded response only occurred in team sport athletes (versus individual). One study was inconclusive on the impact of level of athletic participation on structured clinical exam scores.23

대표팀 선수 출신과 비대표팀 선수 출신을 구체적으로 비교한 4건의 연구에서는 모두 대표팀 선수 출신이 의과대학과 레지던트 과정의 성과 지표에서 유의하게 높은 결과(p <0.05)와 관련이 있으며, 여기에는 더 높은 수준의 그릿과 외과 레지던트 과정에서의 unsatisfactory 결과 감소가 포함되었습니다. 
All four studies that specifically compared former varsity athletes to non-varsity athletes found that participation in prior varsity athletics was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higher outcomes (p < 0.05) in performance metrics in both medical school and residency, including higher levels of grit and fewer unsatisfactory outcomes in surgical residency.

전반적으로 이러한 연구는 운동 능력 수준이 높을수록 의학 분야의 성과가 증가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수준 의존적 반응은 높은 수준의 운동 참여가 의학에서의 성공에 대한 강력한 예측 인자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Overall, these studies indicate that performance in medicine increases with higher levels of athletic performance. This level-dependent response suggests participation in high-level athletics may be a strong predictor of success in medicine.

3.4 이전 운동 참여 및 성과 유형
3.4 Type of prior athletic participation and performance

5편(28%)의 연구는 팀 스포츠 참여 경력과 팀 스포츠 참여 경력이 없는 경우를 구체적으로 평가했습니다.

  • 이 중 3편의 논문은 팀 스포츠에 참여한 경험이 있을 때 유리한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이 연구들에 따르면 팀 스포츠에 참여한 이력이 있는 학생들은 의과대학에서 다른 학생들과 더 유대감을 느끼고, 이비인후과 레지던트 프로그램에서 교수 평가가 더 높았으며, 외과 레지던트 프로그램에서 불만족스러운 결과가 더 적었습니다.13, 24, 30
  • 한 연구에서는 개인 스포츠 경력이 있는 사람들이 의과대학에서 모호함과 불확실성에 대한 내성이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으며(스포츠 경력이 없는 경우와 팀 스포츠 경력이 있는 경우 모두),34
  • 한 연구에서는 팀 스포츠 경력이 없는 의대생들이 표준화된 산부인과 레지던트 면접에서 더 낮은 점수를 받았다고 보고했습니다.21 

Five (28%) studies specifically assessed a history of participation in team sports versus no history of participation in team sports.

  • Of these, three articles had outcomes favouring prior participation in team sports. These studies found that students with a history of participating in team sports felt more connected to others during medical school, had higher faculty ratings in an otolaryngology residency programme and had fewer unsatisfactory outcomes in a surgical residency programme.132430 
  • One study found that those with a history of individual sports had higher levels of tolerance to ambiguity and uncertainty in medical school (over both no history of sports and a history of team sports),34 and
  • one study had outcomes favouring no history of team sports, reporting that medical students with a history of team sports scored lower on standardised obstetrics and gynaecology residency interviews.21

3.5 의과대학에서의 학업 성취도
3.5 Academic performance in medical school

포함된 연구 중 3건(17%)은 의과대학에서의 학업 성취도를 평가했습니다.

  • 441명의 의대생을 대상으로 한 후향적 검토에 따르면, 대학 시절 운동선수 출신과 그렇지 않은 학생의 MCAT 점수는 차이가 없었지만(p = 0.62), 운동선수 출신은 USMLE 1단계 시험, NBME 3학년 선반 시험, USMLE 2단계 시험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p <0.05)를 받았습니다. 3년차 임상 실습에서 선수들은 임상 점수, 평균 우등상 수, 3년차 평균 점수, 알파 오메가 알파(AOA) 상태에서 유의미하게 더 나은 성적을 거두었습니다(p <0.05). 선수와 비선수 골드 휴머니즘 어워드 수상자 간에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p = 0.52). 저자들은 대학 대표팀 운동선수로 활동한 경험이 있는 의대생이 의대 재학 중 표준화된 시험과 임상 실습에서 모두 동료 학생들보다 우수한 성적을 거둔다고 결론지었습니다.11
  • 반면, 산부인과 레지던트 프로그램에 지원하는 104명의 의대생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에서는 팀 스포츠 경험이 있는 지원자가 팀 스포츠 경험이 없는 지원자보다 표준화된 행동 면접에서 낮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p = 0.02).21
  • 2015년 265명의 의대생을 대상으로 한 또 다른 연구에서는 스포츠 참여 경험과 객관적 구조화 임상시험(OSCE) 결과 사이에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3
  • 이 논문들은 모두 의과대학에서의 운동 경험과 학업 성적 사이의 관계에 대해 결정적인 결과를 제시하지 못했습니다. 

Three (17%) of the included studies evaluated academic performance in medical school.

  • A retrospective review of 441 medical students found that, while MCAT scores did not differ between former collegiate athletes and their counterparts (p = 0.62), athlete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p < 0.05) on the USMLE step 1 exam, the NBME year 3 shelf exam and the USMLE step 2 exam. In year 3 clinical clerkships, athletes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p < 0.05) on clinical scores, average number of honours, average year 3 score and Alpha Omega Alpha (AOA) status.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athlete and non-athlete Gold Humanism Award status (p = 0.52). The authors concluded that medical students with experience as a varsity collegiate athlete outperform their peers in both standardised tests during medical school and clinical clerkships.11 
  • In contrast, a prospective study of 104 medical students applying to an obstetrics-gynaecology residency programme found that applicants with prior experience playing team sports scored lower on the standardised behavioural interviews than those with no experience with team sports (p = 0.02).21 
  • Another study in 2015, which assessed 265 medical students, foun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rior participation in sport and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 results.23 
  • Together, these articles demonstrate inconclusive resul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athletic experience and academic performance in medical school.

3.6 레지던트 생활에서의 성과
3.6 Performance in residency

5건(28%)의 연구에서 이전 운동 경험과 레지던트 과정에서의 성과 사이의 관계를 평가했습니다.

  • 한 이비인후과 레지던트 프로그램 졸업생 46명을 대상으로 한 후향적 연구에서 팀 스포츠 참여와 교수 평가 점수 간에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R2 = 0.32, p <0.001). USMLE 점수, AOA 자격, 임상 로테이션에서 우등 비율, 추천서, 연기 인턴 경험은 임상 교수 평가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면접 점수와 의과대학 순위는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습니다(R2 = 0.1, p = 0.04 및 R2 = 0.18, p = 0.03)24
  • 마찬가지로 정형외과 레지던트 119명을 대상으로 한 후향적 검토에서는 올림픽 또는 대표 선수로 참여한 경험이 주관적인 레지던트 성과 점수가 높은 것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p = 0.018). 10
  • 또 다른 연구에서는 의대 출신이 응급의학과 레지던트 졸업생의 성공에 대한 가장 강력하고 일관된 예측인자 중 하나이지만, 챔피언십급 선수로 출전한 경험이 있는 '독특한 요인'이 전반적인 레지던트 성과에 대한 유의미한 예측인자임을 발견했습니다(p <0.05). 28
  • 영상의학과 레지던트 프로그램 지원자 157명을 대상으로 한 후향적 검토에서 스포츠 참여 경험이 있는 레지던트가 치프 레지던트가 될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p = 0.04).29
  • 마지막으로 외과 레지던트 111명을 대상으로 한 후향적 검토에서는 대학에서 팀 스포츠를 한 레지던트가 그렇지 않은 레지던트에 비해 레지던트 프로그램에서 이탈하거나 미국 외과 전문의 시험에 합격하지 못하는 등의 불만족스러운 결과가 유의하게 적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p = 0.02).30

Five (28%) studies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athletic experience and performance in residency.

  • A retrospective review of 46 graduates from an otolaryngology residency programme fou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ticipation in a team sport and faculty rating score (R2 = 0.32, p < 0.001). USMLE score, AOA status, percentage of honours in clinical rotations, letters of recommendation and experience as an acting intern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linical faculty ratings, while interview score and medical school rank showed a weak positive correlation (R2 = 0.1, p = 0.04 and R2 = 0.18, p = 0.03)24 
  • Similarly, a retrospective review of 119 orthopaedic residents found that prior participation as an Olympic or varsity athlete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subjective residency performance score (p = 0.018).10 
  • Another study found that while medical school attended was one of the strongest and most consistent predictors of success in emergency medicine residency graduates, having “distinctive factors,” which included competing as a championship-level athlete,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overall performance in residency (p < 0.05).28 
  • In a retrospective review of 157 applications for a radiology residency programme, it was found that residents with sports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be chief residents (p = 0.04).29 
  • Finally, a retrospective review of 111 surgical residents found that residents who played team sports in college had significantly fewer unsatisfactory outcomes such as attrition from residency programme or failure to pass the American Board of Surgery examinations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p = 0.02).30

사전 운동 경험과 레지던트 과정에서의 성과 사이의 관계를 평가한 5개의 연구 모두 사전 운동 참여가 레지던트 과정 중 다양한 지표에서 성공의 유의미한 예측 인자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All five studies evalu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athletic experience and performance in residency concluded that prior participation in athletics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success on various metrics during medical residency.

3.7 수술 술기 성과
3.7 Surgical skills performance

6건(33%)의 연구에서 이전의 운동 경험과 수술 술기 수행 능력 간의 관계를 평가했습니다.
Six (33%) studies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athletic experience and surgical skills performance.

  • 43명의 의대생을 대상으로 한 2019년 연구에 따르면 일반적인 스포츠 참여는 초기 관절경 수술 수행 능력과 상관관계가 없었지만, 손과 눈의 협응이 필요한 스포츠에 정기적으로 참여했다고 보고한 참가자는 그렇지 않은 참가자에 비해 수행 시간이 크게 향상(182초 대 78초, p = 0.025)되었습니다.25
  • 또한 의대생 12명, 레지던트 9명, 이비인후과 전문의 5명을 대상으로 한 평가에서 연구자들은 스포츠 참여 수준 증가와 내시경 부비동 수술 글로벌 평가 척도 점수 사이에 유의미한 연관성을 발견했습니다(p = 0.033).26
  • Zeng 등은 4학년 의대생 65명을 평가한 결과 운동 경험과 봉합 작업 수행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p = 0). 048) 및 한 손으로 매듭 묶기(p = 0.042)에서 유의미한 관계를 발견했습니다.33
  • 의대생 242명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4년 이상 스포츠를 한 참가자가 그렇지 않은 참가자에 비해 기계적 오류(p = 0.04)가 훨씬 적고 봉합을 덜 끊으며(p = 0.01) 총 오류가 더 적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p = 0.01).27
  • 2016년의 또 다른 연구에서는 의대생 30명을 대상으로 로봇 수술 시뮬레이터에서 수행 능력을 평가한 결과, 이전의 운동 능력 수준과 과제 1(p = 0.0002) 및 과제 2(p = 0.009)의 수행 능력 간에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연관성은 과제를 세 번 반복한 후에도 지속되지 않았습니다. 악기 또는 비디오 게임 기술 수준은 수행 능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습니다.32
  • 마지막으로, 2020년에 49명의 의대생을 평가한 연구에서는 운동 경험이 많은 참가자가 관절경 수술 시뮬레이터에서 숙련도를 달성할 가능성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p = 0.006), 관절경 수술 시뮬레이터의 수행 능력도 향상되었습니다(p = 0.008).31
  • A 2019 study evaluating 43 medical students found that while general sports participation was not correlated with initial arthroscopic performance, participants who reported they had regularly participated in sports requiring hand-eye coordination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performance time (182 versus 78 seconds, p = 0.025) compared with those who were not involved in sports.25 
  • Additionally, in an assessment of 12 medical students, nine residents and five attending otolaryngologists, researchers found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increasing levels of sports participation and endoscopic sinus surgery global rating scale score (p = 0.033).26 
  • Zeng et al. evaluated 65 fourth-year medical students and fou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thletic experience and performance on suturing tasks (p = 0.048) and one-handed knot tying (p = 0.042).33 
  • In a prospective study of 242 medical students, researchers found that participants who played sports for at least 4 years made significantly fewer mechanical errors (p = 0.04), broke fewer sutures (p = 0.01) and committed fewer total errors (p = 0.01) compared with others.27 
  • Another 2016 study assessed 30 medical students on their performance on a robotic surgery simulator, and fou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evious athletic skill level and performance on task 1 (p = 0.0002) and task 2 (p = 0.009). This association did not persist after the third repetition of the task. Musical instrument or video game skill level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erformance.32 
  • Finally, a study in 2020 assessed 49 medical students and found participants with high levels of athletic experience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achieve competence on an arthroscopic surgical simulator (p = 0.006), as well as have an improved performance on the arthroscopic surgical simulator (p = 0.008).31

운동 경력과 수술 술기 수행 능력 간의 관계를 평가한 6개의 연구 모두에서 운동 경력이 있는 사람이 운동 경력이 없는 사람보다 수술 술기 수행 능력의 일부 측면에서 유의하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손과 눈의 협응력은 수술 술기뿐만 아니라 많은 스포츠에서 손과 눈의 협응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논문에서 이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 잠재적 요인으로 제시되었습니다. 
All six studies evalu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athletic experience and surgical skills performance found that individuals with prior experience in athletics significantly outperform those with no athletic experience in some aspect of surgical skills performance. Hand-eye coordination was suggested in many of the articles as a potential moderator of this relationship, as hand-eye coordination is needed for many sports as well as surgical skills.

3.8 번아웃과 동기 부여
3.8 Burnout and motivation

4건의 연구(22%)에서 이전의 운동 경험과 번아웃/동기부여 지표 간의 관계를 평가했습니다.

  • 의대생 267명을 대상으로 한 횡단면 연구에 따르면 과거 스포츠 참여 경험이 많은 학생일수록 번아웃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r = -0.15, p = 0.014). 이 연구자들은 또한 스포츠 참여 수준과 타인의 인식에 초점을 맞춘 심리적 접근 방식(예: "나는 내가 얼마나 잘하고 있는지 다른 사람들이 알아줄 때 즐겁다", r = -0.20, p <0.001) 간에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p ≤ 0.001)가 있음을 발견했습니다.12
  • 마찬가지로 캐나다의 한 대학 의대생 2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팀 스포츠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의대 재학 중 타인과의 관계 또는 관련성 수준에 대해 훨씬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p <0.05). 또한 스포츠 참여 수준과 의과대학에서의 자율성 만족도(p = 0.041), 의과대학 중 여가 시간 운동량(p <0.001) 사이에는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습니다.13
  • 의과대학 3학년 학생 61명을 대상으로 한 횡단면 조사에서는 개인 스포츠 경력이 있는 학생이 없는 학생에 비해 의과대학에서의 모호성과 불확실성에 대한 내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p <0.05).
  • 마지막으로, 2019년 정형외과 레지던트 지원자 455명을 대상으로 한 횡단면 연구에 따르면 대학 운동선수 출신은 비대학 운동선수 출신에 비해 그릿(p <0.001), 관심의 일관성(p = 0.007), 인내(p = 0.006), 자제력(p = 0.019)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2

Four studies (22%)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athletic experience and burnout/motivation metrics.

  • A cross-sectional study of 267 medical students found that 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past sport involvement were found to have lower levels of burnout (r = −0.15, p = 0.014). These researchers also fou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p ≤ 0.001) between level of involvement in sport and psychological approaches that focus on others' perception of them (e.g. “I enjoy when others in my program are aware of how well I am doing”; r = −0.20, p < 0.001).12 
  • Similarly, a survey of 200 medical students at a Canadian university found that students with prior background in team sports were significantly more satisfied with the level of relatedness, or connection to others, during medical school (p < 0.05).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vel of sport involvement and satisfaction with autonomy in medical school (p = 0.041) and amount of leisure-time exercise during medical school (p < 0.001).13 
  • A cross-sectional survey of 61 third-year medical students found that students with a history of individual sports had a higher tolerance for ambiguity and uncertainty in medical school compared to those without a history of sports (p < 0.05).
  • Finally, a 2019 cross-sectional study on 455 orthopaedic surgery residency applicants revealed that former collegiate athletes demonstrated more grit (p < 0.001), consistency of interest (p = 0.007), perseverance (p = 0.006) and self-control (p = 0.019) than their non-collegiate athlete peers.22

소진/동기를 평가한 네 가지 연구 모두 운동에 미리 참여하면 내재적 동기 증가 및 소진 감소와 같은 학업 외적인 성공 지표를 크게 향상시킨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All four studies that assessed burnout/motivation suggest prior participation in athletics significantly improves non-academic indicators of success in medicine such as increased intrinsic motivation and decreased burnout.

4 논의
4 DISCUSSION

이 체계적 문헌고찰에서 저희는 사전 운동 참여와 의료 성과(예: 의대, 레지던트 또는 매듭 묶기와 같은 특정 의료 업무에서의 성과) 사이의 관계를 평가한 18건의 동료 검토 연구를 확인했습니다. 검토한 18개의 연구 중 대다수(89%)에서 운동 경험이 있는 참가자가 그렇지 않은 참가자보다 훨씬 더 나은 성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p <0.05). 이러한 관계는 USMLE 1단계 점수 및 수술 술기 숙련도 점수와 같은 객관적인 채점 방법에서 관찰되었으며, 교수 평가 및 번아웃과 같은 객관적인 주관적 척도에서는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특히 의대생과 레지던트의 운동 선수 경력과 소진/동기 부여 사이의 연관성을 평가한 4건의 연구 모두 운동 선수 출신이 내재적 동기 부여 수준이 높고 소진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운동 선수 경력과 수술 술기 수행 능력 간의 관계를 평가한 6개의 연구 모두에서 운동 선수 경력이 있는 사람이 운동 경력이 없는 사람보다 수술 술기 수행 능력의 일부 측면에서 유의미하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의료계에 대한 관심이 계속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입학 위원회와 예비 지원자 모두 의사 결정을 내릴 때 운동 참여 여부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In this systematic review, we identified 18 peer-reviewed studies that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participation in athletics and medical performance (i.e. performance in medical school, residency or on specific medical tasks such as knot-tying). Out of the 18 studies reviewed, the majority (89%) found that participants with prior athletic experience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ir counterparts (p < 0.05). This relationship was observed on objective scoring methods, such as USMLE Step 1 score and surgical skill proficiency scores, as well as less on objective subjective measures, such as faculty ratings and burnout. Notably, all four studies that assessed the association between prior athletic experience and burnout/motivation in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found that former athletes experienced higher levels of intrinsic motivation and decreased burnout. Additionally, all six studies evalu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athletic experience and surgical skills performance found that individuals with prior experience in athletics significantly outperform those with no athletic experience in some aspect of surgical skills performance. As interest continues to grow in the medical profession, these findings suggest it may be important for both admissions committees and prospective applicants take athletic participation into account while making decisions.

전국적으로 의사들의 소진이 계속 증가함에 따라 소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동 경력이 이러한 증가를 상쇄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이전 연구 결과와 일치하며,12,13 운동 경력이 있는 수련 중인 의사는 번아웃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추가적인 대처 전략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현재 25%에서 60%의 의사가 소진을 경험했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소진을 유발하는 스트레스 요인은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35-38 어떤 특성과 경험이 학생들이 어려운 의학교육 과정에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지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교육 기관은 예비 의대 지원자들이 효과적인 대처 전략과 출구를 개발하여 소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운동과 같은 학교 밖에서 경험과 흥미를 추구하도록 지속적으로 장려해야 합니다. 
As physician burnout continues to rise across the country, finding ways to reduce burnout is critical. A history of athletics may be one way to offset this increase. This is consistent with previous findings,12, 13 and suggests that physicians-in-training with prior athletic experience may have additional coping strategies that have a protective effect against burnout. Currently between 25% and 60% of physicians report experiencing burnout, and the stressors leading to burnout are only growing.35-38 It is important to assess what traits and experiences may help students cope with the challenging medical education process.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continue to encourage prospective medical school applicants to pursue experiences and interests outside of school, such as athletics, so that they can develop effective coping strategies and outlets and therefore minimise burnout.

표준화된 시험 점수와 기타 정량화할 수 있는 학업 성공의 척도는 의사 지망생을 평가하는 주요 기준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6 그러나 사람들과 잘 소통하는 능력, 팀워크 능력, 시간 관리 및 회복탄력성과 같은 덜 객관적인 기술은 의학계에서 성공의 중요한 지표로 알려져 있습니다. 많은 연구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이러한 특성을 많이 갖춘 것으로 추정되는 운동선수들은 표준화된 시험과 수술 기술부터 의과대학 및 레지던트 과정의 전반적인 성공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수준의 의료 과정에서 성공했습니다.10, 11, 22, 24-26 표준화된 시험이 합격/불합격으로 계속 변화함에 따라, 입학위원회는 의학교육 과정에서 지원자를 평가할 때 운동선수들이 보유한 이러한 "특별한 기술"을 유사하게 유익한 활동에 참여하는 다른 학생들과 함께 잠재적으로 더 고려해야 합니다. 
Standardised test scores and other quantifiable measures of academic success have served as staple criteria for assessing aspiring physicians.6 However, less objective skills such as the ability to interact well with people, ability to work on a team, time management and resilience are known critical indicators of success in medicine. As demonstrated by many studies, athletes who presumably encompass many of these traits have gone on to succeed in various levels of the medical process from standardised tests and surgical skills to overall success in medical school and residency.10, 11, 22, 24-26 As standardised tests continue to change to pass/fail, admissions committees should further consider these “special skills” that athletes possess, potentially along with other students engaged in similarly beneficial activities, when assessing candidates during the medical education process.

객관적인 학업 지표 외에 지원자의 특성과 경험에 초점을 맞춘 총체적인 입학 기준은 학업 지표에 주로 초점을 맞춘 기준보다 면접 풀과 입학생 풀을 더 다양하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39, 40 의학계의 다양성을 높일 수 있는 요소를 고려하는 것은 여전히 중요합니다. 의과대학 내 다양성을 개선하기 위한 수십 년간의 노력으로 흑인 여성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요소에서는 진전이 있었지만, 흑인 남성과 같은 다른 그룹은 1978년 이후 상대적으로 변화가 없었습니다.41 의학과 달리 흑인 남성은 대학 운동에서 상대적으로 잘 대표되고 있습니다. 흑인 남성은 상위 5개 대학 운동회의 65개 대학 학부생의 2.4%를 차지하지만 축구와 농구 팀의 절반 이상을 차지합니다.42 따라서 의학에 관심이 있는 운동선수들을 지원하면 의과대학의 다양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역사적으로 많은 흑인 대학에는 의과대학뿐만 아니라 매우 강력한 디비전 II 스포츠 팀이 있습니다.43 이러한 스포츠 팀에 참여하는 관심 있는 운동선수들을 의과대학의 자원과 연결하려는 노력은 의학에 관심 있는 학생 운동선수들을 격려하는 한 가지 방법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Holistic admissions criteria which focuses on the attributes and experiences of applicants in addition to objective academic metrics has been shown to result in a more diverse interview pool and matriculant pool than criteria that focus primarily on academic metrics.39, 40 Considering factors that can increase diversity in medicine remains critical. Decades of effort to improve diversity within medical school has made progress with demographics such as Black women, but other groups such as Black men have remained relatively unchanged since 1978.41 In contrast to medicine, Black men are relatively well represented in college athletics. Black men represent 2.4% of undergraduate students at 65 universities in the top five athletic conferences, yet comprise more than half of the football and basketball teams.42 Thus, supporting athletes interested in medicine could potentially lead to increased diversity in medical school. For example, many historically Black universities have very strong Division II sports teams as well as schools of medicine.43 Efforts to connect interested athletes participating on these sports teams with the resources at their schools of medicine could provide one avenue for encouraging student-athletes interested in medicine.

또한 입학 위원회는 많은 스포츠가 대학 입학 전부터 엘리트 수준에서 막대한 자금과 재원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는 다양한 소득 수준의 학생들의 접근성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득 수준과 기타 인구통계학적 요인을 함께 고려하지 않고 고성능 운동 종목을 지나치게 강조하면 재정적으로 더 유리한 배경을 가진 지원자에게 불공정하게 유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대학 운동선수의 약 86%가 빈곤선 이하에 살고 있습니다.44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 운동선수의 많은 비율을 고려할 때, 운동이 일부 고소득층에게 어떤 이점을 줄 수 있는지 검토하는 동시에 이러한 학생 운동선수를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입학 위원회는 다른 질적 입학 전 데이터와 함께 운동 참여의 이점을 평가할 때 이러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Admissions committees also should consider that many sports require tremendous funding and financial resources at the elite level, even before entrance to college. This can decrease accessibility of students at various income levels. Placing excessive emphasis on high performance athletics without looking at income levels and other demographic factors in tandem could therefore unfairly advantage applicants with more financially privileged backgrounds. Simultaneously, however, approximately 86% of college athletes live below the poverty line.44 Given the large proportion of student athletes experiencing financial hardship,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explore ways to support these student athletes while also weighing how athletics may advantage some high-income individuals. Admissions committees should consider these factors holistically when weighing the benefits of athletic participation alongside other qualitative pre-matriculation data.

이 문헌고찰에 포함된 대부분의 연구는 운동 참여 경력이 의학 수행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2개(11%)의 연구는 운동 참여 경력이 의학 수행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고하지 않았습니다.

  • 브레이트코프(Breitkopf) 등은 팀 스포츠 경력이 있는 의대생이 표준화된 산부인과 레지던트 면접에서 낮은 점수를 받는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이 논문은 또한 이전 직장 경험이 면접 점수의 성공 예측 인자임을 발견했습니다.21
  • Chan 등은 의대생의 첫 번째 객관적 구조화 임상시험(OSCE)에서 운동 경력이 성적에 미치는 이점을 발견하지 못했지만 하위 그룹의 표본 크기가 작아 결과가 결정적이지 않다고 간주했습니다.23 이 논문은 또한 언어적 공개 수행 이력(예: 학생회 및 토론에서 대중 연설)에 대해 평가했으며 언어적 공개 수행 이력이 있는 사람들의 OSCE 점수가 향상되었다고 보고했습니다.

두 연구 모두 전문적이고 표준화된 환경에서 참가자의 수행 능력을 평가했습니다. 대학생 운동선수들은 종종 인턴십이나 과외 직업 기회에 참여하지 못하거나 제한을 받기 때문에 표준화된 면접과 같은 과제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는 데 필요한 전문 기술을 키우는 것이 더 어려울 수 있습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의학에 관심이 있는 학생 운동선수를 위한 경력 개발 프로그램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운동선수들이 놓치고 있을 수 있는 잠재적인 전문 역량을 평가해야 합니다. 
While the majority of the studies included in this review favoured a history of participation in athletics on performance in medicine, 2 (11%) included studies did not report outcomes favouring prior participation in athletics.

  • Breitkopf et al. found that medical students with a history of team sports scored lower on standardised obstetrics and gynaecology residency interviews. This paper also found that prior work experience was a predictor of success for interview scores.21 
  • Chan et al. found no benefit to prior athletic participation on performance in medical students' first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 but given the low sample size of the subgroup, considered the results inconclusive.23 This paper also assessed for a history of verbal public performance (i.e. public speaking in student council and debate) and reported improved OSCE scores in those with a history of verbal public performance.

Both studies assessed participants' ability to perform in professional, standardised settings. As college athletes are often discouraged or limited in their ability to participate in internships or extra-curricular professional opportunities, it may be more difficult for them to grow the professional skillset needed to exceed in tasks such as standardised interviews. Future research should assess for potential professional competencies that athletes may be missing, with the goal of informing career development programmes for student-athletes interested in medicine.

이 리뷰는 의학에 관심이 있는 운동선수들을 지원하고 격려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의사가 되고자 하는 엘리트 선수들은 종종 두 가지 목표를 모두 이룰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43 그러나 운동선수들은 의대에 진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리뷰는 운동선수들이 의학에 뛰어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의대 지원자를 평가할 때 많은 입학 위원회는 이미 팀워크, 의사소통, 시간 관리 등 운동선수가 보유할 수 있는 역량을 중요하게 평가합니다. 따라서 교육 기관이 입학 과정에서 운동 선수의 참여를 계속 고려하는 동시에 운동 선수가 의학 분야에서 경력을 쌓도록 장려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학생 운동선수들에게 영감을 주고 스포츠를 통해 습득한 기술이 의학 분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학문적 능력에 대한 객관적인 측정과 함께 성공적인 의사가 되기 위한 자질의 중요성을 폭넓게 강조하는 것은 의학의 미래를 위한 좋은 징조입니다. 
This review emphasises the need to support and inspire athletes with an interest in pursuing medicine. Elite-level athletes with aspirations to become physicians often believe they cannot achieve both goals.43 However, athletes are not only able to enter medicine, but this review suggests they excel in medicine. When evaluating medical school candidates, many admissions committees already weigh competencies that athletes may possess such as teamwork, communication and time management. As such, it may be advantageous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to continue considering participation in athletics in the admissions process while also encouraging athletes to pursue a career in medicine. More work should be done to inspire student-athletes and show them that the skills they are acquiring through sport are transferable to a career in medicine. Broadly emphasising the importance of qualities that make successful physicians along with objective measures of academic prowess bodes well for the future of medicine.

4.1 한계점
4.1 Limitations

이 연구에는 몇 가지 주목할 만한 한계가 있습니다. 보고된 연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포함되지 않은 경향은 출판 편향으로 인한 것일 수 있습니다. 검토된 대부분의 연구에는 후향적 연구 설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포함된 연구들에서 스포츠 참여 여부를 확인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자가 보고 설문지 또는 설문조사였습니다. 이는 사회적 선호도 편향 또는 회상 편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수준별(예: 대표팀 선수 대 올림픽 선수) 또는 종목별(예: 개인 종목 대 팀 종목)로 운동 참여를 평가했지만, 어떤 유형의 운동 참여가 향후 의학 분야에서 성공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부여하는지 이해하려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연구의 대부분은 의대생의 성과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레지던트 및/또는 주치의가 포함된 평가 대상 연구는 주로 외과 분야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표본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습니다. 
This study has some notable limitations. The tendency of the reported studies to includ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dings is likely due to publication bias. A majority of the studies reviewed included a retrospective study design. Additionally, the most common method of ascertaining prior sports participation within the included studies was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or surveys. This may introduce social-desirability bias or recall bias. While some included studies evaluated participation in athletics by level (i.e. varsity athlete versus Olympian) or type of sport played (i.e. individual sport versus team sport), more research may be necessary to understand what type of athletic participation confers skills needed for future success in medicine. Additionally, most of these studies focused on the performance of medical students. The studies evaluated which include residents and/or attending physicians focus primarily on surgical disciplines and include a relatively small sample size.

향후 연구에서는 운동과 의학에서의 성공 사이의 잠재적 상관관계에 기여하는 특정 요소를 정의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이러한 기본 기술을 더 확립하면 입학 위원회는 운동선수든 비운동선수든 의학 분야에서 나중에 성공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기술과 경험을 가진 지원자를 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주제에 대한 연구는 인종, 성별, 사회경제적 지위, 장학금 여부와 같은 인구통계학적 정보도 수집하고 통제해야 합니다. 데이터의 가용성이 제한적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과거 운동선수 참여와 의학 분야에서의 성공 사이의 관계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향후 조사가 필요합니다. 
Future research should also work to define the specific elements that contribute to the potential correlation between athletics and success in medicine. Further establishing these underlying skills would allow admissions committees to select candidates, whether athletes or non-athletes, that possess the skillsets and experiences most predictive of later success in medicine. Additionally, research on this topic should likewise collect and control for demographic information such as race, gender, socioeconomic status and scholarship status. Given the limited availability of data, future investigation is needed to better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er participation in athletics and success in medicine.

4.2 결론
4.2 Conclusions

이 연구는 의대, 레지던트, 전공의 시절 운동선수의 성과에 관한 현재 문헌을 종합했습니다. 의학에서의 성과에 관한 방대한 양의 문헌과 의학교육, 의학의 다양성 및 의대 입학 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제안된 개입에도 불구하고, 이전 운동 경험과 의학에서의 성과 사이의 관계를 평가하는 문헌은 제한적입니다.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현재의 문헌에 따르면 운동선수 경력이 의과대학 및 레지던트 과정에서의 성공을 예측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여러 연구에 따르면 운동선수 출신이 의대생과 레지던트가 되었을 때 수술 기술 숙련도가 증가하고 번아웃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관계는 팀워크, 의사소통, 회복탄력성, 시간 관리 등 많은 운동선수들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기술 때문일 수 있습니다. 교육 기관과 입학 위원회는 의학에 관심이 있는 운동선수들을 지원하고 지원자를 평가할 때 이러한 기술의 시연을 고려해야 합니다. 
This study synthesises the current literature on the performance of athletes in medical school, residency and as attending physicians. Despite the vast amount of literature on performance in medicine and proposed interventions to improve medical education, diversity in medicine and medical admissions processes, there is limited literature evalu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evious experience in athletics and performance in medicine. Though limited, the current literature suggests former participation in athletics may be a predictor of success in medical school and residency. Specifically, multiple studies indicate that former athletes demonstrated increased surgical skill proficiency and decreased burnout as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The observed relationship may be due to a number of skills many athletes possess—such as teamwork, communication, resilience and time management.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admissions committees should support athletes interested in medicine and consider the demonstration of these skills when evaluating candidates.

 


 

 

Med Educ. 2023 Sep;57(9):807-819. doi: 10.1111/medu.15033. Epub 2023 Mar 3.

 

 

Athletes in medicine: A systematic review of performance of athletes in medicine

Affiliations collapse

1Stanford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tanford, California, USA.

2University of Michigan Medical School, Ann Arbor, Michigan, USA.

3Department of Human Biology, Stanford University, Stanford, California, USA.

PMID: 36807607

DOI: 10.1111/medu.15033

Abstract

Introduction: As interest in medicine grows, admissions committees must review an increasingly competitive pool of medical school and residency candidates. Nearly all admissions committees have moved towards a holistic review, which considers an applicant's experiences and attributes in addition to academic metrics. As such, identifying nonacademic predictors of success in medicine is necessary. Parallels between skills necessary to succeed in athletics and in medicine have been drawn, including teamwork, discipline and resiliency. This systematic review synthesises the current literature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athletics and performance in medicine.

Methods: The authors searched five databases to conduct a systematic review following PRISMA guidelines. Included studies assessed medical students, residents or attending physicians in the United States or Canada and used prior athletic participation as a predictor or explanatory variable. The review examined associations between prior athletic participation and outcomes in medical school, residency and/or as an attending physician.

Results: Eighteen studies evaluating medical students (78%), residents (28%) or attending physicians (6%) met inclusion criteria for this systematic review. Twelve (67%) studies specifically assessed participants based on skill level, and five (28%) studies specifically assessed participants based on type of athletic participation (team versus individual). Sixteen studies (89%) found that former athletes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ir counterparts (p < 0.05). These studies found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prior athletic participation and better outcomes in multiple performance indicators, including exam scores, faculty ratings, surgical errors and burnout.

Conclusions: Current literature, although limited, suggests that prior participation in athletics may be a predictor of success in medical school and residency. This was demonstrated through objective scoring methods, such as USMLE, and subjective outcomes, such as faculty ratings and burnout. Specifically, multiple studies indicate that former athletes demonstrated increased surgical skill proficiency and decreased burnout as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