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드백 갭 채우기: 피드백 사이클에서 수치심의 인정받지 못한 역할(Med Educ, 2015)

Filling the feedback gap: the unrecognised roles of shame and guilt in the feedback cycle

William E Bynum IV




이 저널의 이 에디션에 게재된 메타 리뷰에서, 반 드 리더 외 연구진.1은 이러한 질문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그들의 분석은 피드백 프로세스, 효과 또는 둘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33개의 변수를 식별했다. 그들은 변수를 피드백 사이클의 네 가지 단계에 매핑하고 미래 단계와 전체적인 피드백 효과에 대한 그들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In their meta-review published in this edition of the journal, van de Ridder et al.1 provide insight into these questions. Their analysis identified 33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feedback process, effect or both. They mapped the variables to the four phases of the feedback cycle and analysed their influence on future phases and the overall feedback effect.


연구진의 분석은 피드백을 수집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세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대한 강력한 결과를 산출하지만(A 및 B 페이지), 피드백의 통신과 수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대한 정보의 상대적 부족을 보여준다(C 및 D 페이지). 저자들은 피드백 효과가 자존심에 위협적인 것으로 인식되면 낮춘다고 결론짓지만, 단계 C와 D에 대한 데이터가 상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이 강력한 발견에 대한 더 깊은 이해가 불가능하다고 결론짓는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의미 있는 피드백을 가장 잘 수집하고 준비하는 방법에 대한 설득력 있는 정보를 제공하지만,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건설적인 방식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중대한 gap이 있음을 보여준다.

While the analysis yields robust findings about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processes used to collect feedback (phases A and B), it reveals a relative paucity of information about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communication and reception of the feedback (phases C and D). The authors conclude that feedback effectiveness is lowered if it is perceived as threatening to self-esteem,1 but the relative lack of data about phases C and D preclud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is powerful finding. Thus, although the study provides compelling information about how to best gather and prepare meaningful feedback, it identifies a critical gap in our understanding about how to effectively communicate it and ensure that it is received in a constructive manner.


이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우리는 피드백 과정에서 수치심죄책감이 작용하는 역할을 조사할 수 있다. 피드백을 받은 사람이 

  • 피드백을 받는 사람이, 검사를 받게 된 동작이나 행동이 아니라, 자신의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를 하게 될 때 수치심을 유발한다. 그 결과, 수치스러운 개인은 작고 열등하며 노출되었다고 느끼고, 스스로를 결함이 있고 가치가 없다고 볼 수도 있다.

  • 반면에 죄책감은 불편한 피드백을 받았을 때 자기자신보다는 행동이나 동작에 집중하는 방식으로 대처하는 경향이다. 죄책감을 느끼는 사람들은 '내가 한 일은 나쁘지만 나는 나쁘지 않다'라고 말할 수 있다. 죄책감과 동반되는 부정적인 정서적 반응이 있지만, 그것은 자신에게 일반화되지 않으므로, 따라서 자기 평가를 해치는 것으로 이어지지 않는다.5 

To begin addressing this gap, we might examine the roles played by shame and guilt in the feedback process. 

  • Feedback leads to shame when the recipient receives it and adopts a negative evaluation of his or her self, as opposed to the behaviour or action under scrutiny.2,3 As a result, shamed individuals feel small, inferior and exposed and may see themselves as defective and unworthy.2 

  • Guilt, on the other hand, is the tendency to respond to difficult feedback by focusing on the action or behaviour rather than the self.4 People who experience guilt are able to say: ‘This thing I did was bad, but I am not bad.’ Although there is still a negative affective reaction with guilt, it does not generalise to the self and thus does not lead to damaging self-assessments.5 


내가 피드백을 주었던 레지던트는 그것을 self-level에서 해석했고, 자신을 1학년 레지던트(죄의식 대응)의 전형적인 도전에 허덕이는 능력 있는 학습자라기보다는 부족하고 부족하다고 보았다.

The resident to whom I provided feedback interpreted it at the self-level, and viewed himself as deficient and not good enough (a shame response), rather than as a capable learner who was struggling with typical challenges for a first-year resident (a guilt response).


수치심과 죄책감을 구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수치심과 죄책감은 학습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 다른 결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 수치심은 뒤로 물러서버리거나 숨기거나, 책임을 부인하며, 당면한 문제를 무시하려는 욕구로 이어진다.

  • 이와는 대조적으로, 죄책감은 교정reparative 행동을 자극하고, 그 상황에서 성장하려고 시도하며 그 행동이 다시 일어나는 것을 막는다.

Distinguishing between shame and guilt is critically important because they lead to different outcomes with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learning. 

  • Shame leads to a desire to withdraw or hide, deny responsibility, and ignore the problem at hand.2,3,6 

  • Guilt, by contrast, stimulates reparative action and attempts to grow from the situation and prevent the behaviour from happening again.3,6 


이것이 학습에 적용되면,

  • 수치심은 비판적 학습 과정으로부터 멀어져버리게 만들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 죄책감은 반대로 참여를 자극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죄책감이 피드백 프로세스의 주요 최종 목표가 되어야 한다.

Applied to learning, 
  • shame has the potential to promote detachment from critical learning processes, whereas 

  • guilt has the potential to stimulate engagement, the latter of which should be a primary end goal of the feedback process.


피드백을 전달할 때(C단계) 아무리 선의의 교사라도 학습자의 행동이 아닌 학습자 자신self에 대한 피드백을 일반화하게 되면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다. 학습자의 self에 초점을 맞춘 피드백은 그 효과성이 떨어지고 회피 행동, 자기 효과성 감소, 그만두려는 욕구 증가 등 해로운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모든 것은 수치스러운 반응과 일치한다. 이러한 결과를 피하고 학습자를 보다 건설적인 대응으로 이끌기 위해, 교사들은 학습자가 변화시킬 수 있는 특정 행동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7

When communicating feedback (phase C)1, even the most wellintentioned teachers can induce shame by generalising the feedback to the learner’s self, rather than his or her actions. Feedback that focuses on the learner’s self has been shown to decrease in its effectiveness and lead to damaging outcomes including avoidance behaviour, decreased self-efficacy, and an increased desire to quit,7–10 all of which are consistent with a shame response. To avoid this outcome and steer a learner towards a more constructive response, teachers should focus on specific actions that the learner can change, rather than core, unchangeable facets of his or her personality.7


굴욕적인 방식으로 전달되는 피드백은 수신자에게 수치심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의학의 교육에서는 humiliation, 즉 다른 사람을 비하하고 비하하는 행위가 불안하게 만연하고 있다. 굴욕적인 피드백에 대응하여 수치심을 경험하는 학습자는 그 치료가 정당하고 정확하며 합당하다고 믿는다. 그 결과 굴욕감이 주는 메시지, 즉 자기는 원래 부족한 사람이라고 믿음으로써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채택할 수도 있다.

Feedback that is communicated in a humiliating manner may also induce shame in the recipient.11 Humiliation, or the act of putting another in a lowered, debased position, is disturbingly prevalent in medical education.12 A learner who experiences shame in response to humiliating feedback believes that the treatment is justified, accurate and deserved.13 As a result, he may adopt a negative view of himself by believing in the message that humiliation sends: that he is inherently deficient.


W박사와의 세션에서 나는 행동 중심의, non-humiliating 방식으로 피드백을 전달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수치심을 경험했다. 이는 피드백 수신자의 수치심 경험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 요인의 존재를 시사한다. 심리학 문헌은 수치심에 대한 감수성과 근본적인 우울, 불안, 과거의 수치스러운 사건 등과 연관이 있음을 보여준다.

In my session with Dr W, I communicated the feedback in an actionfocused and non-humiliating way and yet as he received it (phase D)1, he experienced shame. This suggests the presence of addition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feedback recipient’s tendency to experience shame. The psychology literature makes associations between susceptibility to shame and underlying depression,5 anxiety14 and past shaming events.15,16


임상 훈련은 철저한 조사scrutiny의 시간이며, 이 때 자신의 약점, 나쁜 습관, 지식 부족을 발견하게 되는 시간이다. 이처럼 높은 수준의 노출과 비판을 각오하지 않은 학습자, 특히 classroom에서 높은 학문적 성공을 거둔 학습자와 완벽을 기하기 위해 노력하는 학습자는 이 환경에서 심각한 도전에 당면할 수도 있다. 그 결과, 학생들은 자신의 부족함이 드러나는 자기 평가와 높은 수치심에 취약해지는 경향이 생길 수 있다. 이 뒤를 이어 정상적이고 기대되는 학습이 이어지는데, 여기에는 일상적이고 필요한 건설적 피드백 커뮤니케이션, 약점의 노출, 의료 오류 발생 등이 포함된다.

Clinical training is a time of intense scrutiny and the necessary ‘unearthing’ of weaknesses, bad habits and knowledge deficits. As such, it may present serious challenges for learners who are not prepared for such a high degree of exposure and criticism, especially those who achieved high academic success in the classroom and those who strive for perfection. As a result, they may be predisposed to damaging self-assessments and high levels of shame susceptibility following normal and expected facets of learning,17 including the routine and necessary communication of constructive feedback, exposure of weaknesses, and occurrence of medical error.


피드백으로 인한 수치심을 어떻게 피할 수 있을까? W 박사에게 수치스러운 반응을 인식한 것은 나에게 의학을 배우는 나 자신의 고군분투(오늘도 계속됨), 자신의 불완전함에 대한 커져가는 위안, 그리고 그들 둘 다 나에게 매일 개선을 위해 주는 동기 등에 대해 그에게 마음을 열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그렇게 함으로써, 나는 정상화와 취약성을 모델링하려고 시도했는데, 이 두 가지 방법 모두 학습자가 수치스러운 반응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How can feedback-induced shame be avoided? The recognition of a shame response in Dr W provided me the opportunity to open up to him about my own struggles in learning medicine (which continue today), my growing comfort with my own imperfection, and the motivation they both give me to improve every day. In doing so, I attempted to utilise normalisation and to model vulnerability, both of which may help guide learners away from shame responses.18,19


1 van de Ridder JMM, McGaghie WC, Stokking KM, ten Cate OTJ. Variables that affect the process and outcome of feedback: a meta-review. Med Educ 2015;49:658–73.





Comment

 

, 49 (7), 644-7
 

Filling the Feedback Gap: The Unrecognised Roles of Shame and Guilt in the Feedback Cycle

Affiliations 

Affiliation

  • 1Fort Belvoir, Virginia, USA.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