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적 수행능력의 상호의존성 측정의 접근법(Med Educ, 2021)
A scoping review of approaches for measuring ‘interdependent’ collaborative performances
Stefanie S. Sebok-Syer1 | Jennifer M. Shaw2 | Farah Asghar3 | Michael Panza4 | Mark D. Syer5 | Lorelei Lingard6

1 소개
1 INTRODUCTION

임상 성과Clinical performance 는 근본적으로 협업적입니다. 그러나 임상 성과의 평가는 근본적으로 개인주의적이다. 이것은 의학 교육에 심오한 의미를 갖는 개념적 역설이다. 우리는 시스템, 팀 및 관계의 중요성을 인정하지만 전통적인 평가 모델을 사용하여 이를 설명하지는 못한다. 평가는 종종 [복잡한 수행능력의 인위적인 단순화]로 간주되지만, 우리는 [복잡한 수행능력의 진정성]을 풍부하게 하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우리는 평가 데이터에서 [설명되지 않은 '노이즈']가 더 높은 수준의 패턴을 반영할 수 있다고 의심하지만, 우리는 그것을 이해할 이론이 부족하다. 이 역설을 해결하기 전까지는 효과적인 협업 의료 제공에서 개인의 역할을 의미 있고 진정으로 나타내는 강력한 평가를 제공할 수 없다.
Clinical performance is fundamentally collaborative. However, the assessment of clinical performance is fundamentally individualist. This is a conceptual paradox with profound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We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systems, teams and relationships, but we fail to account for them with our use of traditional assessment models. Assessments are often regarded as artificial simplifications of complex performances, but we struggle to enrich their authenticity. We suspect that the unexplained ‘noise’ in assessment data may reflect higher-level patterns, but we lack theory to make sense of it. Until we address this paradox, we cannot provide individuals with robust assessments that meaningfully and authentically represent their role in effective collaborative healthcare delivery.

직장 기반 임상 환경에서 개인은 협업 팀의 일부로 작업하며, 성과는 한 사람에게만 쉽게 귀속될 수 없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연구자들은 팀의 '집단적 역량', 감독자, 다른 팀 구성원 및 시스템 요소와의 훈련생의 '상호 의존성', 임상 팀 성과에 대한 훈련생의 기여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의 지배적인 배경은 독립적 성과에 대한 강한 집중과 암묵적인 가정을 가진 평가 담론으로 남아 있다. 그 밖의 모든 것은 많은 통계적 모델에서 독립성의 가정에 도전하고 개인의 역량을 문서화하는 주요 목표를 훼손하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통계적으로 성가신 것'로 간주된다. 이 목표는 필요하지만 충분하지 않습니다. [개별 성과]는 서로를 [보완 또는 모순, 수렴 또는 발산, 정교화 또는 약화]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품질의 의료 서비스는 [성과 간의 관계]를 이론화하고 측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In workplace-based clinical settings, individuals work as part of a collaborative team, and performance cannot easily be attributed to one person alone.1-3 Researchers grappling with this challenge have described the ‘collective competence’ of a team,4 the ‘interdependence’5 of trainees with supervisors, other team members and system factors,6 as well as the contribution of trainees to clinical team performance.7 Yet the dominant backdrop to these efforts remains an assessment discourse with a strong focus on—and tacit assumption of—independent performances.8-10 Anything else is conventionally viewed as a ‘statistical nuisance’11 because it challenges the assumption of independence in many statistical models and detracts from the primary goal of documenting the competence of individuals. This goal is necessary but insufficient: high-quality health care requires that we are able to theorise—and measure—relationships among performances because individual performances can complement or contradict, converge or diverge, elaborate or undermine each other.12

[상호 의존성]의 구성을 둘러싼 복잡성은 임상 성과의 개념적 역설과 함께 추가적인 도전을 제시한다.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다양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상호의존'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되면서 일반적인 모호성을 초래했다. 연구자들 사이의 용어와 접근 방식의 가변성은 평가를 더 어렵게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넓게 봐서, [상호의존성]은 [경험과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간의 상호작용 패턴]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과 특히 의료 교육에 적용하기 위해, 우리는 [상호 의존성]을 [협력적으로 작업하여, 개인의 성과를 내게 하거나afford, 제한하고contrain, 잠재적으로 더 광범위한 의료 팀의 실천을 형성할 수 있는 개인 간의 상호 작용 패턴]으로 특징지었다.
The complexity surrounding the construct of interdependence presents an additional challenge alongside the conceptual paradox of clinical performance. Researchers from numerous disciplines have used the term ‘interdependence’ to convey various meanings, leading to general ambiguity.13 The variability in both terminology and approaches among researchers may contribute to assessment challenges. Broadly, interdependence can be characterised as patterns of interactions among individuals that influence experience and outcomes.14 For the purposes of this work and application to medical education specifically, we characterise interdependence as patterns of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working collaboratively, that can afford or constrain one's performance and potentially shape the practice of a broader healthcare team.

우리가 아는 바로는, 현재 의학 교육에서 더 큰 그룹의 일부로 함께 일하는 개인들 사이에 관계가 존재하는 성과를 특성화하고 측정하기 위한 단일 접근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다른 많은 분야는 협업 성과를 평가하는 과제와 씨름하고 있으며, 그들의 노력은 유망한 접근 방식을 조정하고 지속적인 지식 격차를 목표로 하는 측면에서 우리 자신에게 알려야 한다.
To our knowledge, no single approach currently exists in medical education to characterise and measure performances where relationships exist among individuals working together as part of a larger group. However, many other disciplines are grappling with the challenge of assessing collaborative performance, and their efforts ought to inform our own, both in terms of adapting promising approaches and targeting persistent knowledge gaps.

2 방법
2 METHODS

우리는 다음 연구 질문을 해결하기 위해 범위 검토를 수행했다. 협업적이고 상호의존적인 성과를 의미 있게 평가하기 위해 어떤 측정 접근법이 존재하는가? 범위 검토는 연구 영역을 뒷받침하는 핵심 개념과 이용 가능한 증거의 주요 출처 및 유형을 매핑한다. 그것들은 이전에 검토되지 않은 분야의 문헌을 검토할 때 유용하다. 후속 조사 결과 분석의 깊이는 검토의 목적에 따라 달라진다. 정량적 체계적 검토와 같은 다른 유형의 검토와 달리 [범위 검토]는 연구 증거의 품질을 평가하지 않는다. 그러나 개별 연구의 강점과 한계를 고려하고 기존 지식의 체계를 비판한다. 우리는 주제에 대한 문헌을 검토, 요약 및 합성하기 위해 아크시와 오말리의 5단계 범위 검토 방법론을 따랐고 이 접근법에 대해 인정된 엄격성 원칙을 따랐다. 우리의 해석은 Levac 등이 권고한 비공식 이해관계자 협의에 의해 강화되었다. 
We conducted a scoping review to addres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hat measurement approaches exist to meaningfully assess collaborative, interdependent performance? Scoping reviews map the key concepts underpinning a research area and the main sources and types of evidence available. They are useful when reviewing literature in areas that have not been reviewed before. The depth of the subsequent analysis of findings depends on the purpose of the review. Unlike other types of reviews, such as quantitative systematic reviews, a scoping review does not appraise the quality of research evidence. However, it does consider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individual studies and critique the existing body of knowledge. We followed Arksey and O’Malley's five-stage scoping review methodology to review, summarise and synthesise the literature on a topic15 and followed accepted principles of rigour for this approach.16 Our interpretations were enriched by informal stakeholder consultations, as recommended by Levac et al.17

2.1 검색 전략
2.1 Search strategy

우리는 모든 분야에서 상호의존성의 구성을 측정하는 문헌을 식별하기 위한 검색 전략을 개발했다. 주요 용어: 협업 학습, 그룹 프로세스, 협력 행동, 교육 측정, 상호 작용 패턴, 팀워크, 다이애드 성과 모델링 및 그룹 성과 평가. 이러한 용어는 범위 검토 전문가의 권고에 따라 검토가 진행됨에 따라 수정 및 수정되었다.15 연구 사서의 지원을 받아 2018년 10월 ERIC, CINAHL, Academic Search Complete, PsycINFO 및 Medline의 5개 데이터베이스에 걸쳐 검색을 구현했다. Medline에 대한 검색 문자열은 부록 1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다른 모든 검색 문자열은 각 추가 데이터베이스의 구문 및 어휘로 변환되었습니다.
We developed a search strategy to identify literature on measuring the construct of interdependence from any discipline. Key terms included: collaborative learning, group process, cooperative behaviour, educational measurement, interaction patterns, teamwork, modelling dyad performance and assessing group performance. These terms were revised and adapted as the review progressed, as recommended by scoping review experts.15 With the support of a research librarian, we implemented the search in October 2018 across five databases: ERIC, CINAHL, Academic Search Complete, PsycINFO and Medline. The search string for Medline is included as illustration in Appendix 1. All other search strings were translated into the syntax and vocabulary of each additional database.

2.2 포함 및 제외 기준
2.2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우리는 모든 연도의 출판물과 이론 또는 응용 분야를 포함했다. 우리는 상호의존적 협업 성과의 측면을 측정하고 접근 방식이 어떻게 개발되었는지 이해할 수 있는 측정 또는 모델에 대한 충분한 세부 정보(복제할 수 있을 정도로)를 제공하는 작업을 추구했다.
We included any publications from all years and any domain of theory or application. We sought work that measured an aspect of interdependent collaborative performance and supplied sufficient details (ie enough to replicate) about the measure or model that we could understand how the approach was developed.

[개인의 성과만]을 측정하거나 [팀의 성과만]을 측정하는 작업은 제외했습니다. 팀 성과 측정과 상호의존적 성과 측정의 차이는 우리의 선정 과정에서 매우 중요했다. [팀 성과 측정 도구]는 [개별 구성원의 성과 격리 능력]을 제한하는 그룹 수준 결과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의료 훈련생 평가에 적합하지 않다. 초점의 측면에서, 그런 도구의 지향점은 팀 전체이다. 예를 들어, 의사소통의 차원은 일반적으로 개인에게 '환자 치료에 대한 팀원 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있다'와 같은 진술에 동의하는 리커트 척도로 점수를 매길 것을 요청함으로써 평가된다. 이 구조는 개인의 기여를 포착하고 측정하는 방식으로 [둘 이상의 개인의 협력 결과를 조사하는 상호의존성 측정]과는 구별된다.
We excluded work that measured only individual performance or only team performance. The distinction between measuring team performance and measuring interdependent performance was critical to our selection process. Team performance measurement instruments are unsuitable for medical trainee assessment given their focus on a group-level outcome, which limits the ability to isolate the performance of individual members. In terms of focus, their orientation is the team-as-a-whole. For example, the dimension of communication is commonly assessed by asking individuals to score on a Likert scale their agreement with statements such as ‘There is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team members about patient care’.18 This construct is distinct from measures of interdependence, which examine a collaborative outcome from two or more individuals in a way that also captures and measures individual contributions.

특정 분야의 수많은 논문(예: 비즈니스 및 시뮬레이션)은 그룹 성과(예: 팀 성과, 응집력) 또는 개인 성과(예: 학습 인식)에 대한 유일한 초점을 고려할 때 제외되었습니다. 또한 측정 측면이 없는 작업(예: 커리큘럼 설명), 상호 의존성과 관련이 없는 교육적 측정(예: 전문가와 초보자 성과 간의 차이), 측정 애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경험적 데이터가 없는 완전한 개념적 작업, 영어 이외의 언어로 작업, 전체 원고를 얻을 수 없는 연구를 제외했다.
Numerous articles from certain fields (eg business and simulation) were excluded given their sole focus on group outcomes19 (eg team performance, cohesiveness) or individual outcomes20 (eg perceptions of learning). We also excluded work with no measurement aspect (eg curriculum descriptions), educational measurement not related to interdependence (eg differences between expert and novice performance), wholly conceptual work with no empirical data to illustrate a measurement application, work in languages other than English, and studies where the full manuscript was unavailable.

2.3 심사 및 선정
2.3 Screening and selection

세 명의 저자(SSS, FA, JMS)가 포함 및 제외 기준을 적용하여 제목과 요약(n = 10254)을 선별했다. 전체 텍스트 스크리닝(n = 131) 다음에 두 명의 저자(SSS, MDS)가 나옵니다. 두 선별 단계에서 두 명의 훈련된 검토자가 포함 및 제외 기준을 반영하기 위해 개발한 선별 가이드를 사용하여 각 기록을 선별했다. 불일치는 세 번째 검토자에 의해 해결되었다. 총 24개의 인용구가 포함 기준을 충족했다. 2020년 10월, 우리는 동일한 절차에 따라 검색을 업데이트했다. 최종 숫자가 표시된 PRISMA 다이어그램은 그림 1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3명의 저자(SSS, JMS 및 MP)가 제목 및 요약(n = 1598)에서 각 레코드를 선별했으며, 3명의 저자(SSS, MP 및 MDS)는 전체 텍스트 선별 단계(n = 30)에 참여하여 추가로 2개의 인용문을 제공했다. 포함된 26개의 모든 기록의 서지 목록은 관련 참고 자료를 손으로 검색했다: 14개의 제목과 요약본이 상영되었지만, 전문으로 진행된 것은 없었다. 마지막으로, 7개의 기사가 주요 정보원에 의해 추천되었고 1개는 추출에 성공하여 우리의 범위 검토 총 27개의 기사가 되었습니다. 이 범위 검토에 포함된 문헌 목록은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Three authors (SSS, FA and JMS) screened titles and abstracts (n = 10 254), applying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Full-text screening (n = 131) followed by two authors (SSS, MDS). At both screening stages, two trained reviewers screened each record using a screening guide we developed to reflect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Discrepancies were resolved by a third reviewer. A total of twenty-four citations met inclusion criteria. In October 2020, we updated the search following the same procedures. The PRISMA diagram with final numbers can be found in Figure 1. Three authors (SSS, JMS and MP) screened each record at the titles and abstracts (n = 1598), and three authors (SSS, MP and MDS) engaged in full-text screening stages (n = 30), yielding an additional two citations for inclusion. The bibliographies of all twenty-six included records were hand searched for relevant references: fourteen titles and abstracts were screened, but none progressed to full text. Finally, seven articles were recommended by our key informants and one made it through to extraction bringing our scoping review total to twenty-seven articles. A list of the literature included in this scoping review is available in Table 1.

 

2.4 데이터 도표 작성 및 분석
2.4 Data charting and analysis

우리는 선택된 기록의 특징을 도표화하기 위해 내용과 주제 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여 서술적 분석을 수행했다. 반복적인 프로세스에 따라, 우리(SSS, JMS, LL)는 데이터 추출을 조직하고 연구 질문 및 목적과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데이터 차트 양식을 개발, 파일럿 및 업데이트했다. 우리는 기사 유형, 분야, 적용 맥락, 방법, 이론적 개념, 측정 기법, 임상 훈련 맥락에 대한 조치의 적용 가능성, 그리고 그러한 적용과 관련된 촉진 및 제한 요인에 대한 각 기록을 분석했다. 세 명의 검토자(SSS, JMS, LL)가 독립적으로 각 레코드의 데이터를 차트화하여 정기적으로 회의를 열어 프로세스를 논의했다. 특정한 전문성이 필요한 경우, 세 번째 검토자도 기록을 도표화했습니다. 예를 들어, 고급 수학 공식을 포함하는 기록이 있는 경우, MDS는 이러한 전문성을 제공했습니다.
We conducted a descriptive analysis using methods from content and thematic analysis21 to chart the features of the selected records. Following an iterative process,16 we (SSS, JMS, LL) developed, piloted and updated a data charting form to organise data extraction and ensure it was consistent with the research question and purpose.10 We analysed each record for article type, discipline, context of application, method, theoretical concepts, measurement techniques, applicability of the measures to the clinical training context, and facilitating and limiting factors related to such application. Three reviewers (SSS, JMS, LL) independently charted the data for each record, meeting regularly to discuss the process. Where particular expertise was required, a third reviewer also charted the record: for instance, where a record included advanced mathematical formulas, MDS provided this expertise.

2.5 이해관계자 협의
2.5 Stakeholder consultation

우리는 범위 검토 방법론의 여섯 번째 단계인 이해관계자와의 협의를 수행했다. Levac 등의 권고에 따라 이 단계에 대한 명확한 목적을 설정하고 예비 지식 전달 메커니즘으로 처리했다. 우리의 목적은 세 가지였다: 검토에서 명백한 것을 놓친 것이 있는지 확인하고, 이해관계자에게 패턴에 대한 우리의 해석이 타당한지 탐구하고, 그 결과가 임상 훈련 환경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그들을 참여시키는 것이었다. 이해관계자 협의는 인터넷 기반 화상회의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1개의 그룹 발표와 5개의 개별 토론이 포함되었다. 그룹 발표는 50명 이상의 의학 교육 연구 이사회 회원, 검토 후원자 및 협업 임상 상황에서 훈련생 성과를 평가하는 문제에 익숙한 의료 교육 분야의 리더들과 함께 했다. 의학교육평가 전문가 2명, 의학교육 경험이 있는 통계학자 2명, 검토(즉 사회심리학)에서 대표되는 학문인 사회심리학 학자 1명 등 이해관계자의 목적적 표본을 중심으로 5건의 개별 대화가 진행됐다. 개별적인 대화에 앞서, 이해 관계자들은 우리의 주요 연구 결과에 대한 비디오 프레젠테이션을 시청했고 또한 검토를 위해 추출 요약 표를 받았다. 두 명의 연구원(SSS, LL)이 개별 토론을 진행했고, 한 명은 손으로 쓴 메모를 했다. 
We conducted a sixth stage of scoping review methodology: consultation with stakeholders. Following the recommendations of Levac et al,10 we established a clear purpose for this stage and treated it as a preliminary knowledge transfer mechanism. Our purpose was three-fold: to help identify whether we had missed anything obvious in the review, to explore whether our interpretation of patterns made sense to stakeholders and to engage them in reflecting on how the findings might apply to the context of clinical training environments. Stakeholder consultation took place over an Internet-based video conference and included one group presentation and five individual discussions. The group presentation was with 50+ members of the Society of Directors of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funders of the review and leaders in the medical education field who are familiar with the challenges of assessing trainee performance in collaborative clinical contexts. Five individual conversations took place with a purposive sample of stakeholders, including two medical education assessment experts, two statisticians with experience in medical education, and one scholar from social psychology, a discipline represented in the review (ie social psychology). Prior to individual conversations, stakeholders watched a video presentation of our main findings and were also sent the extraction summary table for review. Two researchers (SSS, LL) conducted the individual discussions, with one taking handwritten notes.

이 검토에서 공식적, 오디오 녹음 및 전사된 인터뷰에 대한 재정적 자원이나 윤리적 승인이 없었기 때문에, 우리는 참가자들에게 우리가 오디오 녹음도 안 하며, 말한 내용을 인용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알렸다. 따라서, 우리는 이해관계자 협의 단계의 전통적이고 인용된 '결과'를 제시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 단계를 사용하여 2020년 데이터베이스 검색 업데이트를 알리고 임상 환경에서 상호 의존적인 훈련생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연구 결과의 의미를 논의했다.
Given that we had neither financial resources nor ethical approval for formal, audiorecorded and transcribed interviews in this review, we informed participants that we would be neither audio recording nor using verbatim quotes. Therefore, we do not present conventional, quoted ‘results’ from the stakeholder consultation phase. Rather, we used this phase to inform our 2020 update of the database search and discussion of the findings’ implications for measuring interdependent trainee performance in clinical settings.

3 결과
3 RESULTS

검색은 2018년 10월에 수행되었으며 2020년 10월에 업데이트되었다. 스터디 선택 프로세스의 흐름도는 그림 1에 나와 있습니다. 최초 및 업데이트된 검색 결과 총 12732개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880건의 중복 배제 후 2명의 저자가 제목과 추상적 수준의 기사 11852건을 심사한 데 이어 포함·배제 기준에 반대하는 기사 161건에 대한 전문 심사가 이어졌다. 이해관계자 권고사항에 따라 추가 기사가 작성되었다. 총 27개 기사가 포함되도록 선정되었으며 각 기사의 관련 세부사항은 보충 자료 표 S1에서 확인할 수 있다.
Searches were conducted in October 2018 and updated in October 2020. A flow chart of the study selection process is provided in Figure 1. The initial and updated search resulted in a total of 12 732 articles. After the removal of 880 duplicates, two authors screened 11 852 articles at the title and abstract level, followed by a full-text review of 161 articles against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Stakeholder recommendations yielded an additional article for inclusion; in total, twenty-seven articles were selected for inclusion and relevant details from each article are found in Supplementary Material Table S1.

논문 유형과 관련하여, 18개의 포함된 연구는 경험적이었고 9개는 경험적 삽화가 있는 개념적이었다. 경험적 측정 접근법을 위해 기법은 (a) 서술적/탐색적, (b) 추론적/예측적의 두 가지 범주로 구분되었다.

  • [서술적이고 탐색적인 접근법]은 데이터의 요약과 표현을 의미 있는 방식으로 제시함으로써 데이터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 [추론적이고 예측적인 접근법]은 미래의 성능을 예측하고, 패턴을 설정하고, 데이터 간의 관계를 정량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Regarding article type, eighteen included studies were empirical and nine were conceptual with an empirical illustration. For the empirical measurement approaches, technique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a) descriptive/exploratory and (b) inferential/predictive.

  • Descriptive and exploratory approaches provide a basic understanding of data by presenting summaries and representations of data in meaningful ways.
  • Inferential and predictive approaches provide an opportunity to predict future performance, establish patterns and quantify relationships among data.

18개 연구의 대부분은 정량적 방법론을 사용했다. 예를 들어, 한 연구는 유쾌하고 갈등적인 상호작용 과제 동안 우울증이 있는 어머니-딸의 다이애드 사이의 생물행동 동기화의 장애를 평가하는 통제된 실험을 포함했다. 15개의 연구에서는 각 그룹 구성원에게 크레딧을 할당하고 특정 그룹 구성과의 차이를 속성화하기 위해 1차원 및 다차원 항목 응답 모델을 사용한 연구와 같은 모델 테스트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발리우드 산업 내의 복잡한 사회 구조의 일부로서 개인을 조사하기 위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연구를 포함한 두 가지 연구가 탐색적 연구였다. 나머지 9개 연구는 혼합 방법 접근법을 사용했다. 예를 들어, 한 연구는 사회 중심적 질적 인터뷰와 사회 그래프를 사용하여 노인들 사이의 사회적 통합을 보조 생활에서 측정했다. 
The majority of studies (ie eighteen) used quantitative methodology. For instance, one study involved a controlled experiment assessing disruptions in biobehavioural synchrony between depressed mother/daughter dyads during pleasant and conflict interaction tasks.22 Fifteen studies used model testing methodologies, such as a study using unidimensional and multidimensional item response models to assign credit to each group member and to attribute differences from specific group configurations.23 Two studies were exploratory studies, including one that utilised a network analysis to examine individuals as part of a complex social structure within the Bollywood industry.24 The remaining nine studies used mixed-method approaches. For example, one study used sociocentric qualitative interviews and sociograms to measure social integration among older adults in assisted living.25

논문 중에는 교육 9개, 심리 9개, 컴퓨터 과학 5개, 수학 2개, 생물학 2개 등 다양한 분야가 대표적이었다. 또한 온라인 학습, 스포츠 수행, 상담 및 시뮬레이션을 포함하여 연구에 따라 적용 맥락이 다양했다.

  • 교육기사 중 하나는 [비동기식 토론집단을 연구하는 맥락에서 다단계 모델링을 적용한 실제 사례]를 제시했다.
  • 심리학 분야의 논문은 [가상 그룹 내의 비공식적인 의사소통을 통한 네트워크 자기관련성network autocorrelation이 온라인 게임에서 개인의 작업 성취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했다.
  •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는 [협업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자기 성찰과 감각 만들기를 촉진하기 위해 학생들의 온라인 협업 관행]을 설명하고자 하는 글이 시도되었다.
  • 수학 분야의 한 논문은 상호작용이 표본의 다른 개인과 비교하여 파트너를 더 유사하게 만드는지 여부를 조사했다.
  • 마지막으로, 생물학 분야에서, 한 기사는 [스포츠 팀]을 기능적으로 통합된 '슈퍼 유기체'로 개념화하여 고도로 조정된 협력 선수들이 단일 사회 단위로 어떻게 집단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지에 대한 설명을 제안했다.

Various disciplines were represented among the articles, including nine from education, nine from psychology, five from computer science, two from mathematics, and two from biology. Additionally, the context of application varied across studies, including online learning, sports performance, counselling, and simulation.

  • Among the education articles, one presented a practical example of applying multi-level modelling in the context of studying asynchronous discussion groups.26 A
  • An article from the discipline of psychology explored how network autocorrelation, via informal communication within a virtual group, affected an individual's task achievement in an online game.27 
  • From the computer science discipline, an article attempted to illustrate students’ online collaboration practices, in order to promote self-reflection and sense-making through feedback about collaboration.28 
  • An article from the mathematics discipline examined whether interactions cause partners to become more similar compared to other individuals in the sample.29 
  • Lastly, from the discipline of biology, an article conceptualised sport teams as functionally integrated ‘superorganisms’, proposing an explanation of how highly coordinated collaborating players might collectively operate as a single social unit.30 

이론적 개념과 관련하여 세 가지 주요 범주가 나타났다. 다이애드에 초점을 맞춘 기사(8개 기사), 다이애드보다 큰 그룹(11개 기사), 네트워크(8개 기사).
Regarding theoretical concepts, three main categories emerged: articles focused on dyads (8 articles), groups larger than dyads (11 articles) and networks (8 articles).

세 가지 주요 이론적 범주에서 각각 다양한 핵심 개념이 등장했다.

  • [다이애드]를 다룬 논문의 경우, 핵심 개념은 배우-파트너 상호작용 모델, 생물행동 동기화, 심리생물학적 조정, 협업 상호작용 유형, 긍정적 및 부정적 상호작용 유형, 누적 경험, 동기화, 일관성, 상호조절, 연결 및 교환 가능한 다이애드 멤버였다. 
  • [그룹]에 초점을 맞춘 기사와 관련하여, 핵심 개념은 협업 학습 모델, 입력-과정-결과 모델, 행위자-파트너 상호작용 모델, 영향력 및 시간적 의존성이었다. 
  • 마지막으로, [네트워크로서의 그룹]을 연구하는 논문의 경우, 핵심 개념은 정도 중심성, 초 유기체, 무작위 행렬 이론, 중앙 집중화, 상태 이론, 소셜 네트워크 이론 및 네트워크 자기 상관 모델이었다. 

Various key concepts emerged from each of the three main theoretical categories.

  • For articles addressing dyads, key concepts were the actor-partner interaction model,26, 31 biobehavioural synchrony,20 psychobiological attunement,20 collaborative interaction types,32 positive and negative reciprocity,28 cumulative experience,33 synchrony,34 coherence,31 coregulation,31 linkage31 and distinguishable vs. exchangeable dyad members.26 
  • Regarding articles that focused on groups, the key concepts were collaborative learning models,35 input-process-outcome models,36 actor-partner interaction model,2628 influence37 and temporal dependence.38 
  • Lastly, for articles studying groups as networks, key concepts were degree centrality,223439-41 superorganism,27 random matrix theory,16 centralisation,36 status theory,38 social network theory223436-3842 and network autocorrelation model.24 

행위자-파트너 상호작용 모델중심성 정도degree centrality은 두 개 이상의 논문에서 나타난 유일한 이론적 개념이었다.

  • 행위자-파트너 상호작용 모델은 적절한 통계 기법을 상호의존성의 개념적 관점과 결합하면서 이원적 관계를 나타낸다. 행위자 효과는 개인의 특성에 대한 척도가 그들 자신의 결과를 예측할 때 발생한다. 파트너 효과는 개인의 결과가 파트너의 이전 행동에 의해 예측될 때 발생한다. 이 핵심 개념은 심리학 분야의 두 기사에서 나타났으며, 둘 다 적용의 상담 맥락 안에 있었다.
  • 소셜 네트워크 분석에서의 중심성 정도는 특정 노드가 포함하는 연결 수를 말하며, 네트워크에서의 중심성을 나타냅니다. 학위 중심성을 포함한 6개의 논문 중 4개는 심리학 분야에서 나왔고, 1개는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1개는 교육 분야에서 나왔다.

The actor-partner interaction model and degree centrality were the only theoretical concepts that appeared in more than one article.

  • The actor-partner interaction model represents dyadic relationships while combining appropriate statistical techniques with a conceptual view of interdependence.43 The actor effects occur when a measure of individual's characteristics predicts their own outcome. The partner effects occur when an individual's outcome is predicted by a partner's earlier behaviour. This key concept appeared in two articles from the discipline of psychology, both within the counselling context of application.2844 
  • Degree centrality within social network analysis refers to the number of connections a specific node contains, indicating its centrality in a network. From the six articles that included degree centrality, four were from the discipline of psychology,2236-38 one from the discipline of computer science39 and one from the discipline of education.34

설명적 추출과 함께, 개념과 기법이 임상 맥락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적용과 관련된 제한 또는 촉진 요인과 같은 해석적 추출 질문이 포함되었다. 우리는 다이애드 측정, 소셜 네트워크 매핑, 데이터 마이닝 및 기계 학습의 세 가지 반복 개념을 참조하여 해석적 추출 결과를 설명할 것이다. 이 세 가지 개념은 각각 여러 논문에 등장했으며 의학 교육에 잠재적으로 유익한 적용을 제공한다.
Alongside the descriptive extraction, interpretive extraction questions were included, such as how concepts and techniques might be applied to the clinical context, and the limiting or facilitating factors related to such application. We will illustrate the results of the interpretive extraction with reference to three recurring concepts:

These three concepts each appeared in multiple papers and offer potentially fruitful application to medical education.

[다이애드 측정]과 관련하여, 임상 결과의 얼마나 많은 부분이 전공의에게 기인하는지 분석하는 것과 같이, 감독자/전공의상호 의존성에 대한 작업을 추가하기 위해 측정 모델을 구축하는 데 접근법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기사는 개인 단위와 결합된 공연 단위로서 짝을 이룬 선수들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경쟁적인 치어리더 공연을 포함했다. 한 가지 제한 요인은 고유한 쌍의 반복 성능을 얻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촉진 조건은 정의되고 측정될 수 있는 결과(예: 시간 및 효율성)를 포함한다.
Regarding dyad measurement, approaches could be utilised to build measurement models to further our work on supervisor/resident interdependence, such as parsing out how much of a clinical outcome is attributable to a resident. For example, one article involved competitive cheerleading performances that demonst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aired athletes as individual and combined performing units.42 One limiting factor would be the inability to get repeat performances of unique pairs. A facilitating condition includes an outcome that can be defined and measured (eg time and efficiency).

[소셜 네트워크 매핑]과 관련하여 접근법을 사용하여 특정 임상 활동에 참여하는 개인을 매핑하여 상호의존성의 축이 가장 강한 위치(예: 중심성)를 입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기사의 분석에는 팀의 성과에 가장 중요한 사람이 누구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각 개별 행위자가 있는 시뮬레이션과 없는 시뮬레이션이 포함되었다. 잠재적 한계에는 각 개별 에이전트의 행동이 집단 성과에 동일하게 기여한다는 가정이 포함되며, 이는 임상 훈련 환경에서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촉진 요인에는 대학원 교육 프로그램에서 볼 수 있는 소규모 샘플(즉 ~ 30개) 사이의 효과 가능성이 포함된다.
Regarding social network mapping, approaches could be used to map individuals engaging in a particular clinical activity, demonstrating where the axes of interdependence are strongest (eg centrality). For example, analysis in one article involved simulations with and without each individual actor to determine who was most critical to the team's performance.39 A potential limitation includes the assumption that each individual agent's behaviour contributes equally to collective performance, which may not hold true in clinical training environments. A facilitating factor includes the possibility of effectiveness among smaller samples (ie ~30) such as might be seen in postgraduate training programmes.

[데이터 마이닝 및 기계 학습]과 관련하여, 클릭을 분석하기 위해 전자 건강 기록(EHR)과 같은 기존 데이터베이스와 함께 접근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협업 글쓰기 과제와 관련된 한 기사는 수정 횟수와 수행된 변경의 길이를 정량화하여 학생들의 상호작용과 기여를 조사했다. 한 가지 잠재적인 제한 요소는 컴퓨터화된 데이터 환경의 필요성입니다. 또 다른 문제는 온라인 학습 연구에서 임상 환경으로 데이터를 변환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입니다. 연구자들은 간단하고 셀 수 있지만 관련성이 있고 의미 있는 EHR 작업을 식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촉진 요인에는 더 작은 샘플 크기(즉 ~100)로 다단계 모델링의 가능성이 포함된다.

Regarding data mining and machine learning, approaches could be used with existing databases, such as the Electronic Health Record (EHR), to analyse clicks. For example, one article involving online collaborative writings tasks examined students’ interactions and contributions by quantifying the number of revisions and the length of changes performed.44 One potential limiting factor is the necessity of a computerised data environment. Another is the difficulty in translating data from online learning studies to the clinical setting: researchers would need to identify simple and countable—yet relevant and meaningful—EHR actions. A facilitating factor includes the possibility of multi-level modelling with smaller sample sizes (ie ~100).

상호의존성 측정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들이 이해관계자들과의 대화에서 등장했다. 첫째, 이해관계자들은 이 검토의 필요성을 논의하면서 [현재 연구의 격차]를 언급했다. 그들은 [상호의존성 개념의 참신성novelty]을 접근법의 차이와 불일치의 핵심적인 이유로 보았다. 이해관계자들은 또한 여러 목적이 가능하며, 이 개념이 평가와 팀워크에 관한 광범위한 문헌에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영향을 포함하여 [상호의존성 측정의 목적을 명확하게 정의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했다. 이해관계자들은 측정 분산을 설명하기 위해 이러한 접근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열정적이었으며 교수진/감독관 다이애드, 팀 및 임상 단위와 같은 임상적 맥락에서 다양한 수준에서 상호의존성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사용에 관심이 있었다. 또한 이해관계자는 [다단계 모델링, 구조방정식모델링, 지시 비순환 그래프 및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포함하여, 상호의존성과 관련된 [다양한 통계적 접근방식의 장단점]에 대해 의견을 제시했다. 일부 강점에는 데이터 네스팅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었고, 일부 약점에는 [통계적 배경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교육자가 측정 모델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측정할 수 없지만 의료 팀 내에 존재하는 복잡한 복잡성을 포착하기 위한 [질적 접근 방식을 유지하는 것의 중요성]도 강조되었다.
Various themes relating to the measure of interdependence emerged during conversations with stakeholders. Firstly, stakeholders mentioned the gap in current research, discussing the necessity of this review. They viewed the novelty of the concept of interdependence as a key reason for both the gap and the inconsistency in approaches. Stakeholders also alluded to the need to clearly define the purpose of an interdependence measure, given that multiple purposes are possible, with implications for how the concept could be used both for assessment and for the broader literature on teamwork. Stakeholders were enthusiastic about the potential to use these approaches to account for measurement variance and were interested in their use to examine the impact of interdependence at various levels in a clinical context, such as faculty/supervisor dyad, team and clinical unit. Additionally, stakeholders commented on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various statistical approaches relating to interdependence, including multi-level modelling, structural equational modelling, directed acyclic graph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Some strengths included accounting for nesting in data and some weaknesses included making the measurement models accessible to educators with little or no statistical background. The importance of retaining qualitative approaches to capture the intricate complexities that are immeasurable, yet exist within healthcare teams, was also emphasised.

마지막으로, 많은 이해관계자들은 상호의존성 측정이 프로그램 평가에 어떻게 적합한지, 그리고 그것을 [의학 교육에서 실용적이고 실현 가능하게 만드는 방법]에 대해 논의했다. 그들은 헬스케어는 상호의존성을 측정하기 위한 복잡한 맥락을 나타낸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따라서 몇몇은 임상 환경 내의 다이애드(예: 감독자 및 수습자)가 환자 치료 및 학습 결과와 같은 요인에 기초하여 교직원과 수습자를 쌍으로 구성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호 의존성의 구성을 측정하기 시작하는 데 가장 적절한 출발점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Finally, a number of stakeholders discussed how an interdependence measurement might fit within programmatic assessment and how to make it practical and feasible in medical education. They recognised that health care represents a complex context for measuring interdependence because of the ever-changing group composition. Therefore, several suggested that dyads (eg supervisor and trainee) within clinical settings may be the most appropriate starting point to begin measuring the construct of interdependence because it has the potential to pair faculty members with trainees based on factors such as patient care and learning outcomes.

4 토론
4 DISCUSSION

이 검토는 상호의존성 측정과 관련하여 제한적으로 발표된 지식 기반을 발견했다. 대부분의 연구는 개인과 팀을 모두 고려하는 상호의존적 측정과 달리 개인 또는 팀 차원 측정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선별 과정에서 제외되었다. 우리가 발견한 지식은 5개 학문분야와 6개 하위 분야의 기사와 함께 흩어져 있습니다. 의학 교육에서 지식은 특히 부족하며, 관련 기사는 단 두 개뿐이다. 우리가 검토한 기사들은 매우 다양한 이론적 개념을 사용했다. 그들은 또한 이론적 개념과 측정 기법 모두에 대한 [용어적 일관성이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연결, 관계, 상호작용 및 중심성 정도]과 같은 이론적 개념은 모두 [사람이나 사물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의존적인 연결]을 가리킨다. 측정 기법 내에서 다단계 모델링, 계층적 선형 모델링 및 선형 성장 모델은 데이터가 독립적이지 않은 회귀 기반 모델에 대한 변형 용어이다. 여러 개념의 존재와 유사한 현상을 언급하기 위해 다른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개념이 연구에서 연구로 정제되지 않는 학문적 영역을 시사한다. 오히려, 비록 많은 분야의 학자들이 상호의존성을 측정하는 문제와 씨름하고 있지만, 그들은 아마도 다른 분야의 관련 이론이나 기술을 알지도 못하면서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이러한 [용어적 문제]는 상호의존성(다중 상황에서 관련성이 있는 현상)을 포착하기 위한 새로운 측정 모델의 진화가 간헐적이고 누적되지 않으며 분리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This review found a limited published knowledge base relating to the measurement of interdependence. The majority of studies were excluded during screening because they targeted either individual or team-level measurements, as opposed to interdependent measures which consider both the individual and team. The knowledge we did find is scattered, with articles from five disciplines and six sub-disciplines. Knowledge is particularly scarce in medical education, with only two relevant articles identified. The articles we reviewed employed a wide variety of theoretical concepts. They also demonstrated a lack of terminological consistency for both theoretical concepts and measurement techniques. For example, theoretical concepts such as links, relationships, interactions and degree centrality all refer to interdependent connections that exist between people or things. Within measurement technique, multi-level modelling, hierarchical linear modelling and linear growth models are variant terms for regression-based models where data are not independent. The presence of multiple concepts, and the use of different terms to refer to similar phenomena, suggest a scholarly domain in which concepts are not refined from study to study. Rather, although scholars from many fields are grappling with the problem of measuring interdependence, they are working in parallel tracks, perhaps not even aware of relevant theory or techniques from other disciplines. Together, these terminological issues might explain why the evolution of new measurement models to capture interdependence—a phenomenon of relevance in multiple contexts—has been intermittent, non-cumulative and segregated.

이 검토에 설명된 다양한 상호의존적 측정 기법은 임상 훈련 맥락에 대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상호의존성을 단순한 '통계적 골칫거리' 이상으로 다루기 위한 전략들이 있다. 예를 들어, [다단계 모델링]은 서로 다른 수준의 변수를 통합하여 중첩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여 연구자가 개별 및 그룹 수준 요인을 모두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유망하다. 비록 [측정 접근법]은 임상 훈련 상황에서 보통 가용한 샘플 수보다 더 큰 샘플 크기를 요구하지만, 우리는 중간 규모의 대학원 프로그램과 유사한 샘플을 사용한 몇 가지 연구를 발견했다.
Various interdependent measurement techniques described in this review have potential for the clinical training context. There are strategies to deal with interdependence as more than just a ‘statistical nuisance’. For example, multi-level modelling has promise as it provides a framework for dealing with nested data by incorporating variables at different levels, enabling researchers to measure both individual and group-level factors. And although measurement approaches often demand a larger sample size than is available in clinical training contexts, we did find some studies that used samples comparable to medium-sized postgraduate programmes.

그러나 여러 척도를 결합한 연구가 가장 흥미로울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술적 접근법(예: 네트워크 분석)과 예측 측정 접근법(회귀 기반 기술)을 결합하면 네트워크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특정 상호의존성 패턴의 영향을 입증할 수 있는 조치를 만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However, research that combines multiple measures may be of most interest. For example, combining descriptive approaches (eg network analysis) with predictive measurement approaches (ie regression-based techniques) offers the opportunity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 nature of a network and create measures that can demonstrate the impacts of specific patterns of interdependence that exist within it.

우리가 발견한 [기술적 접근법]과 [예측적 접근법]을 모두 결합한 측정 접근법의 가장 좋은 예는 Gin 등의 논문이다. 이 연구에서 저자들은 남녀 다이애드에 초점을 맞추고 다이애드 아이템 반응 이론(dIRT) 모델을 사용하여 스피드 데이팅 세션 동안 두 개인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 작용을 포착했다. 저자들에 따르면, dIRT 모델은 이진 데이터의 측정을 위해 [문항 반응 이론]과 [사회적 관계]를 모두 활용한다. 그들은 이 접근법이 개별 접근법으로 측정할 수 없는 상호 매력과 같은 상호작용을 포착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종속척도는 10점 등급 척도(이후 5점 척도로 압축됨)를 이용한 일련의 대응이었다. 이 결과 측정은 협력적인 직장 기반 환경에서 훈련생을 평가하는 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위탁 척도 및 기타 등급 척도와 일치합니다. 간단히 말해서, 이 논문은 의료 교육 분야에서 상호 의존성을 측정하기 위한 중요한 고려 사항을 강조한다.

  • (a) 다이애드로 시작한다(예: 감독관-의사-의사-의사 또는 의사-의료 보조자). 
  • (b) 개인 간의 상호 작용을 조사하기 위해 일종의 사회적 관계 또는 소셜 네트워킹 접근법을 사용한다. 
  • (c) 회귀 기반 모형을 사용하여 협업(또는 내포) 성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순서형 또는 비율 결과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The best example we found of a measurement approach that combines both descriptive and predictive approaches is the paper by Gin et al.48 In this study, the authors focused on dyads of male and females and used a dyadic item response theory (dIRT) model to capture the interactions that exist between two individuals during speed dating sessions. According to the authors, the dIRT model utilises both Item Response Theory and Social Relations for the measurement of dyadic data.48 They found that this approach captured interactions, such as mutual attractiveness, that are not measurable by individual approaches. Furthermore, the dependent measure was a series of responses using a 10-point rating scale (which was later collapsed to a 5-point scale). This outcome measure is consistent with entrustment scales and other rating scales most commonly used to assess trainees in collaborative, workplace-based environments. In short, this paper48 highlights important considerations for measuring interdependence in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 (a) start with dyads (eg supervisor-trainee, physician-nurse or physician-medical assistant);
  • (b) use some sort of social relations or social networking approach to examine the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and
  • (c) have an ordinal or ratio outcome so that a regression-based model can be used to measure collaborative (or nested) performance.

4.1 의료 교육자를 위한 실제 권장 사항
4.1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medical educators

이 연구의 다음 단계는 [상호의존적 성과(예: 한 개인/기계가 수술 도구를 작동하고, 다른 개인이 카메라에 초점을 맞추고 비디오 영상을 해석하는 복강경 수술)]를 구성하는 임상 행동과 결정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식별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기본적인 측면을 특성화하고 구조로서의 상호의존성에 대한 풍부한 이해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의 훈련 모델이 훈련생과 교직원 간의 상호 의존성을 촉진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특히 의학 교육 맥락에서 이러한 격차를 탐구하는 것은 가치가 있다. 임상 훈련 내에서 상호의존성을 측정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생각할 때, 우리는 개별 훈련생이 의료 팀의 전반적인 성과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반영하기 위해 교육 및 평가의 목표를 전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단일 점수 또는 결정에 초점을 맞추는 평가 시스템에서 벗어나 의료 팀 내에서 개인 및 상호의존적인 성과 측면을 모두 포착하는 평가를 만들어야 할 수 있습니다. 의료 교육자는 이 접근법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 검토에서 식별된 일부 측정 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의료는 팀에서 수행되며 상호의존적 협업은 해당 팀 내에 존재한다. 따라서, 우리는 관련 영역에서 훈련생의 역량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훈련생이 환자에게 제공하는 협업적인 팀 기반 치료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상호의존성의 유효하고 신뢰할 수 있는 측정이 필요하다.
The next step in this line of research is to precisely identify what clinical actions and decisions constitute interdependent performance (eg laparoscopic surgery where one individual/machine is operating the surgical tool while another individual is focusing the camera and interpreting video imaging). This will allow us to characterise fundamental aspects and develop a rich understanding of interdependence as a construct. Given that our training models are designed in ways that foster interdependence between trainees and faculty, exploring this gap specifically in medical education contexts is worthwhile. In thinking about the potential for measuring interdependence within clinical training, we might consider shifting the goal of education and assessment to reflect how individual trainees contribute to the overall performance of a healthcare team. This may require us to move away from an assessment system that focuses on a single score or decision and create assessments that capture both individual and interdependent aspects of one's performance within a healthcare team. Medical educators could collect a variety of data to support this approach and analyse it using some of the measurement models identified in this review. Finally, medicine is practiced in teams and interdependent collaborations exist within those teams; therefore, we need valid and reliable measures of interdependence to accurately assess trainees’ competence in associated domains and provide them with feedback about the collaborative, team-based care they provide to patients.

4.2 제한사항
4.2 Limitations

이 연구는 선정 과정에서 사용된 5개 데이터베이스의 기사로 제한된다. 우리가 발견한 기사들이 많은 분야와 하위 분야에 흩어져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우리는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추가 출처를 확인했을 가능성이 가능하다. 또한 포함 기준은 상호의존성에 대한 잠재적 대리인을 연구하는 분야를 제외했을 수 있다. 이 문헌에서 확인한 용어 불일치도 검색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검색에서 키워드가 아닌 용어를 사용했기 때문에 관련 연구가 제외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특히 이 분야에서 '상호의존성'의 사용법이 상당히 생소하다는 점에서 의학교육에는 다른 글들이 존재하지만 우리의 검색어 이외의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아닌지 궁금하다. 팀 수준에서만 측정된 기사를 제외하기로 한 우리의 결정은 측정 세부사항이 불충분했던 기사를 제외하기로 한 결정이 관련 측정 접근법을 간과하게 만들었을 수도 있는 것처럼 '상호의존성'과 관련된 이론적 개념에 대한 통찰력을 제한할 수도 있다. 소셜 네트워크 분석이 샘플에서 반복적인 접근 방식이었지만, 이 논문들은 정도 중심성에 크게 초점을 맞춰 소셜 네트워크 분석의 전체적인 분석 접근 방식이 임상 훈련 환경에서 상호 의존성을 측정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배울 것이 더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우리의 검토는 포함된 기사의 품질 평가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러한 접근 방식 중 어떤 것이 효과적이고 실제적으로 얼마나 강력한지 평가하기 위한 추가 노력이 필요하다.

The study is limited to the articles from the five databases that were used in the selection process. Given that the articles we found were scattered across many disciplines and sub-disciplines, it is possible that we would have identified additional sources through other databases. Furthermore, inclusion criteria may have excluded disciplines that researched potential proxies for interdependence. The terminological inconsistency we identified in this literature may also have affected our search: it is possible that relevant studies were excluded because they used terms other than the keywords in our search. In particular, we wonder if other articles exist in medical education but use terminology outside our search terms, given that the usage of ‘interdependence’ is fairly new in this field. Our decision to exclude articles that only measured at the team level may also have limited our insight into theoretical concepts of relevance to ‘interdependence’, just as our decision to exclude those that had insufficient measurement detail may have caused us to overlook relevant measurement approaches. While social network analysis was a recurrent approach in our sample, these papers focused heavily on degree centrality, suggesting that there is more to be learned about how the full extent of analytical approaches in social network analysis might assist with measuring interdependence in clinical training settings. Finally, our review does not include a quality assessment of included articles; further efforts are needed to evaluate which of these approaches work and how robust they are in practice.

5 결론
5 CONCLUSION

팀 내에서 개인 간에 존재하는 상호의존성을 포착하기 위한 측정 접근법은 드물고 여러 분야에 걸쳐 분산되어 있다. 더욱이, 일관성 없는 개념적, 기술적 용어는 이 질문에 대한 지식의 축적을 제한할 수 있다. 이 검토는 연구자들이 상호의존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그리고 상호의존성의 어떤 측면이 측정 관점에서 중요한지를 강조한다. 다른 분야의 접근 방식이 임상 훈련 맥락에 대한 유망성을 가지고 있지만, 의료 교육 분야에서 단 두 가지 연구만 식별된다는 것은 이러한 맥락에서 응용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Measurement approaches for capturing the interdependence that exists between individuals within a team are scarce and scattered across multiple fields. Furthermore, inconsistent conceptual and technical terminology may be limiting the accumulation of knowledge regarding this question. This review highlights how researchers are thinking about interdependence and what aspects of interdependence are important to consider from a measurement perspective. While approaches from other fields have promise for the clinical training context, the identification of only two studies in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suggests a need for application studies in this context.


Med Educ. 2021 Oct;55(10):1123-1130. doi: 10.1111/medu.14531. Epub 2021 May 19.

A scoping review of approaches for measuring 'interdependent' collaborative performance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Emergency Medicine, Stanford University, Stanford, CA, USA.

2Women's Studies, Western University Faculty of Arts and Humanities Ringgold Standard Institution, London, ON, Canada.

3Pharmacy,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 Canada.

4Centre for Education Research and Innovation, Western University Schulich School of Medicine & Dentistry, London, ON, Canada.

5Computing, Queen's University, Kingston, ON, Canada.

6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London, ON, Canada.

PMID: 33825192

DOI: 10.1111/medu.14531

Abstract

Introduction: Individual assessment disregards the team aspect of clinical work. Team assessment collapses the individual into the group. Neither is sufficient for medical education, where measures need to attend to the individual while also accounting for interactions with others. Valid and reliable measures of interdependence are critical within medical education given the collaborative manner in which patient care is provided. Medical education currently lacks a consistent approach to measuring the performance between individuals working together as part of larger healthcare team. This review's objective was to identify existing approaches to measuring this interdependence.

Methods: Following Arksey & O'Malley's methodology, we conducted a scoping review in 2018 and updated it to 2020. A search strategy involving five databases located >12 000 citations. At least two reviewers independently screened titles and abstracts, screened full texts (n = 161) and performed data extraction on twenty-seven included articles.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with key informants to check if any literature was missing and assess that our interpretations made sense.

Results: Eighteen of the twenty-seven articles were empirical; nine conceptual with an empirical illustration. Eighteen were quantitative; nine used mixed methods. The articles spanned five disciplines and various application contexts, from online learning to sports performance. Only two of the included articles were from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The articles conceptualised interdependence of a group, using theoretical constructs such as collaboration synergy; of a network, using constructs such as degree centrality; and of a dyad, using constructs such as synchrony. Both descriptive (eg social network analysis) and inferential (eg multi-level modelling) approaches were described.

Conclusion: Efforts to measure interdependence are scarce and scattered across disciplines. Multiple theoretical concepts and inconsistent terminology may be limiting programmatic work. This review motivates the need for further study of measurement techniques, particularly those combining multiple approaches, to capture interdependence in medical education.

신뢰와 위험: 의학교육을 위한 모델 (Med Educ, 2017)
Trust and risk: a model for medical education
Arvin Damodaran,1 Boaz Shulruf2 & Philip Jones3

 

서론
Introduction

의료, 위험 및 신뢰
Health care, risk and trust

의료는 본질적으로 복잡하고 위험한 사업이며, 임상의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관리해야 한다. 임상 교사들도 마찬가지로 학생이나 후배 의사에게 임상 업무를 위임할 때마다 잠재적인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기존의 역량 평가는 이러한 미묘한 결정을 내리기에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할 수 있지만, 특정 훈련생을 불신하거나 신뢰할 수 있는 결정을 내려야 한다. 신뢰는 임상의에게 생소한 어휘가 아니다. 비공식적으로, 의사들은 그들의 후배들과 또래들을 다음과 같은 간단한 질문으로 평가한다. '당신은 그들이 당신의 어머니를 돌볼 것이라고 믿겠습니까?' 이는 작업 공간 기반 평가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신뢰할 수 있는 전문 활동(EPA)의 직관성과 새로운 인기를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Health care is an inherently complex and dangerous business, in which clinicians are continually required to manage risk. Clinical teachers likewise understand there are potential problems each time they delegate a clinical task to a student or junior doctor. Conventional assessments of competency may not provide enough information to make these nuanced decisions,2 yet the decision to either distrust or trust a particular trainee to undertake a task must be made. Trust is not an unfamiliar vocabulary to clinicians. Unofficially, doctors rate their juniors and peers with the simple question: ‘Would you trust them to look after your mother?’ This may in part explain the intuitiveness and new popularity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s) as representing a way to restructure workplace-based assessments.3

의학 교육에서 '위임'이라는 단어의 바로 그 사용은 신뢰라는 개념에 새로운 초점을 가져왔다. 그러나 일단 이 개념을 도입하면 다음과 같은 많은 질문이 발생합니다.

  • 신뢰의 정의는 무엇입니까?
  • 우리는 어떻게 신뢰하거나 불신하는 결정을 내릴 수 있을까?
  • 신뢰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평가와 역량의 전통적인 의학 교육 어휘보다 더 진실하고 의미 있는 대화인가?
  • 신뢰는 개인과 조직을 어떻게 상호 연결합니까?
  • 신뢰의 개념을 의료 커리큘럼에서 더 폭넓게 사용할 수 있는가, 아니면 그래야 하는가?

In medical education, the very use of the word ‘entrustment’ has brought new focus to the idea of trust. However, once we engage with the concept, many questions arise:

  • What definition of trust should we be using?
  • How do we come to a decision to trust or distrust?
  • Is talking about trust a more authentic and meaningful conversation than the conventional medical education vocabulary of assessment and competency?
  • How does trust interconnect individuals and organisations?
  • Can, or should, we use the concept of trust more widely in medical curricula?45

목적 및 방법
Aims and method

우리의 목표는 임상 교사 및 보건 교육 학자들에게 신뢰에 대한 문헌에 대한 광범위한 개요를 제공하고 신뢰, 위험 및 통제의 언어가 의학 교육의 현재 사고와 어떻게 교차할 수 있는지 탐구하며 잠재적인 질문 방향에 대한 제안을 하는 것이었다. 이는 체계적인 비판적 검토가 아닌 문헌의 서술적 개요로 제시된다.6, 7 다양한 데이터베이스(MEDLINE, ERIC [교육 자원 정보 센터], CINAHL [간호 및 제휴 건강 문헌에 대한 누적 지수], EMBASE, Proquest Central, Business Source Central 및 Google Scholar)를 사용하여 질문했다. 키워드 및 주제 검색에서 '신뢰', '의료', '건강', '교육'의 조합과 관련 참고문헌 및 인용문구가 손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경영, 고등교육, 의학, 의료 교육 분야에서 신뢰trust 문헌에 대한 우수한 리뷰가 출판되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이 연구를 강조하고 의학 교육 및 임상 커뮤니티를 위해 맥락화하는 것이었다. 우리는 환자-의사 또는 훈련생-감독자 관계와 같은 단일 관계로 초점을 제한하지 않고 여러 수준에서 관계를 포괄함으로써 폭을 위한 깊이를 희생했다. 
Our aim was to provide clinician-teachers and health education scholars with a broad overview of the literature on trust, exploring how the language of trust, risk and control might intersect with current thinking in medical education, and to make suggestions for potential directions of enquiry. This is presented as a narrative overview of the literature rather than a systematic critical review.6, 7 A variety of databases (MEDLINE, ERIC [Educational Resources Information Centre], CINAHL [Cumulative Index to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 EMBASE, Proquest Central, Business Source Central and Google Scholar) were interrogated using combinations of ‘trust’, ‘medical’, ‘health’ and ‘education’ in keyword and subject searches, and relevant references and citations were hand-searched. Excellent reviews of the trust literature have been published in the fields of management,8, 9 higher education,10 medicine11 and medical education.3, 1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highlight this research and to contextualise it for the medical education and clinical community.13 We have sacrificed depth for breadth by encompassing relationships at multiple levels, rather than restricting the focus to a single relationship such as the patient–doctor or trainee–supervisor relationship.

우리는 의료 교육 및 의료에 대한 신뢰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외부의 의료로부터 신뢰 테마와 연구를 탐구한 후, 다시 돌아와 의료 교육 관계를 해체하는 데 관리 문헌의 모델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신뢰가 더 광범위한 위험 관리 의제에 어떻게 부합할 수 있는지 살펴본다. 그러나 첫 번째 과제는 신뢰를 정의하는 것이다.
We begin on familiar ground by describing the importance of trust to medical education and health care, and then explore trust themes and research from outside health care, before returning to examine how a model from the management literature may be used to break down medical education relationships. Finally, we look at how trust may fit into the wider risk management agenda. The first task, however, is to define trust.

신뢰의 정의
Defining Trust

신뢰를 정의하는 특징은 [신뢰자가 위험을 인식하고 관계의 취약성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신뢰는 [위험을 감수하기 위한 의식적인 결정]을 내리는 것을 포함하며, 이는 훈련생에게 직접적인 감독 여부가 있거나 없는 상황에서 임상 활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에서 감독관이 해야 하는 일이다. 이 조치를 취함에 있어서, 감독자는 그녀의 환자뿐만 아니라 그녀의 명성도 위험에 처하게 한다. 담당 임상의의 이름은 환자의 침대 머리 위에 있습니다. 수술이 실패하거나 진단이 누락될 경우, 그녀는 개인적이고 잠재적으로 의학적인 법적 결과에 직면할 것이다. 이러한 [위험 평가]와 [취약성에 대한 자발적인 노출]은 [신뢰]와 [공정한 역량 인증]을 구별하는 것으로서, 특히 위험한 작업장에 적합할 수 있습니다. 사실, 기존의 학술 평가는 감독자가 임상 업무를 위임하기로 결정할 때 참조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The defining feature of trust is the trustor's appreciation of risk and acceptance of vulnerability in the relationship.14, 15 Trust involves making a conscious decision to take on risk, as a supervisor must do when letting a trainee carry out a clinical activity with or without direct supervision. In taking this action, the supervisor subjects her patient, as well as her own reputation, to risk. The supervising clinician's name is on the patient's bedhead. Should a procedure fail, or there be a missed diagnosis, she will face personal, potentially medico-legal consequence. This risk assessment and willing exposure to vulnerability differentiates trust from an impartial certification of competence, and may be particularly suited to the risky workplace. In fact, conventional academic assessments tend not to be referenced by supervisors when they decide to delegate clinical tasks.16

신뢰의 정의는 준비 상태로 볼 때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신뢰는 다른 사람의 의도나 행동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를 바탕으로 취약성을 받아들이려는 의도를 포함하는 심리적 상태이다.' 이 정의는 상황별 및 작업별 특성을 생략하지만, 취약성의 정의 특성과 함께 신뢰자와 수탁자 간의 상호 의존성을 강조한다. 그러나 신뢰는, 특히 직장 관계에서, 직무 특이적이고 맥락에 따라 다르다. 특정 작업에서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추가하면, 공식은 'A는 B가 X하는 것을 신뢰한다'가 된다. Trustor(갑)는 Trustee(을)가 업무를 수행할 동기와 역량이 있다고 판단해야 한다.
A definition of trust when viewed as a state of readiness has been expressed as: ‘Trust is a psychological state comprising the intention to accept vulnerability based upon positive expectations of the intentions or behaviour of another.17 Although this definition omits context- and task-specificity, it highlights interdependence between trustor and trustee, along with the defining characteristic of vulnerability. Trust, however, is task-specific and contextual, particularly in workplace relationships. If we add, in a specific task, the ‘to do what?’ question, the formulation becomes ‘A trusts B to do X’.18, 19 The trustor (A) must judge that the trustee (B) has the motivation and competence to get the job (X) done.

위의 모든 것을 고려한다면, 정의는 다음과 같이 확장될 수 있다: 신뢰는 신탁업자가 취약성 및 위험의 수용을 요구하는 판단이며, 수탁자(개인 또는 조직)가 특정 조건에서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역량, 의지, 무결성 및 역량(즉, 신뢰도)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 문서의 나머지 부분에 사용할 정의입니다.
Factoring in all of the above, the definition might be expanded to:

  • trust is a judgement by the trustor,
  • requiring the acceptance of resultant vulnerability and risk,
  • that the trustee (individual or organisation) has the competence, willingness, integrity and capacity (i.e. trustworthiness)
  • to perform a specified task
  • under particular conditions.

This is the definition we will use for the remainder of this article.

의료 교육 및 의료에 대한 신뢰
Trust in medical education and health care

교육생에 대한 감독자의 신뢰
Supervisors’ trust in trainees

신뢰는 교사-학생 관계의 핵심으로 여겨진다. 임상 훈련에서도 다른 공예와 마찬가지로 '점진적 독립'의 도제직이나 전통이 있다. 즉, 교육생들에게 감독관들이 점차 신뢰를 넓혀가면서 실제 업무 수행에 대한 자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숙련된 상사는 위험을 허용 가능한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훈련생의 역량과 자신감을 키워줍니다. 이상적으로, 훈련자의 학습 요구는 Vygotsky가 '근위 발달 영역'이라고 지칭한 도전에 의해 최적으로 충족된다. 각각의 신뢰 결정은 개별화되고 반복적이기 때문에, 정적 커리큘럼은 제한된 가치를 가진다. 이것은 직장에서의 학습 경험을 묘사하는 위치 학습과 숨겨진 커리큘럼과 같은 현대 이론과 일치한다. [교육병원에서의 학습]은 [실제 작업이 진행 중인 환경]에서 [실천 커뮤니티에 위치]하여 [경험적]이다. 학생은 합법적인 주변적 참여에서 시작하여 점차 이해와 참여도를 높이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의사 결정 과정의 중심이 됩니다. 이러한 이론과 완전히 일치하지만, 임상 과제를 위임하기 위한 복잡하고 다요인 결정을 이해하려면 [학습자의 머릿속]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요구는 보조적인 우선순위가 되는) 감독자의 머릿속]으로 들어가야 한다. 결국, 감독관은 신뢰자이다.
Trust is considered central to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20, 21 In clinical training, as in other crafts, there is an apprenticeship or tradition of ‘progressive independence’.22 In other words, supervisors gradually extend trust to their trainees, allowing them increasing autonomy to perform real tasks in the workplace. A skilful supervisor encourages the trainee's developing competence and confidence, while keeping risks to an acceptable level. Ideally, the trainee's learning needs are optimally met by challenge in what Vygotsky referred to as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23, 24 As each trust decision is individualised and iterative, static curricula are of limited value. This is consistent with contemporary theories such as those of situated learning and the hidden curriculum, which describe the trainee experience of learning in the workplace.25 In teaching hospitals learning is experiential, situated in communities of practice in an environment in which real work is ongoing. The student starts off in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26 gradually increasing his understanding and engagement, and over time becomes increasingly central to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Although it is entirely consistent with these theories, attempting to understand the complex and multifactorial decision to delegate clinical tasks takes us out of the learner's head and into the supervisor's, in which the learner's needs may well be a subsidiary priority. After all, the supervisor is the trustor.

[신뢰할 수 있는 전문 활동]은 [충분한 증거를 수집하고 평가]한 후 [훈련생에게 '위탁'할 수 있는 관찰 가능한 전문 작업을 선별하여 기술함]으로써 이러한 개념을 활용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나타낸다. [EPA의 사용]은 임상의의 판단에 타당성을 추가하고 현재 작업장 평가에서 [원자성atomistic 체크박스]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우려를 해결한다.3 이러한 매력에도 불구하고 EPA를 개발하고 구현하는 최적의 방법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represent a novel approach that utilises these concepts by describing selected observable pieces of professional work that can be ‘entrusted’ to the trainee once sufficient evidence has been collected and assessed. The use of EPAs adds validity to the clinician's judgements and addresses concerns about current use of atomistic tick-boxes in workplace assessment.3 Despite these attractions, the optimal means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EPAs remain to be determined.27

EPA에서 '위임'이라는 단어의 의도적 사용은 어느 정도 탐구할 가치가 있다: 위임은 수탁자가 향후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신탁 결정trust decision이 내려졌음을 의미한다.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특정한 일을 Entrusts한다. '위임'은 업무에 특화되어 있고 계약적이며, '신뢰'보다 개인적인 함축가 적다. 따라서 '위탁'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교육생을 다룰 때, 특히 특정 업무와 행동에 대한 건설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때 '신뢰'를 사용하는 것보다 더 나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뉘앙스를 떠나 신뢰와 위탁의 구조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The purposeful use of the word ‘entrustment’ in EPAs deserves some exploration: entrustment implies that a trust decision has been made that will allow the trustee to undertake a future activity.18 One entrusts another to undertake a specific task. ‘Entrustment’ is task-specific and contractual, and has less personal overtones than ‘trust’. Using the word ‘entrustment’ may therefore be preferable to using ‘trust’ when dealing with trainees, particularly when giving constructive feedback around specific tasks and behaviours. Aside from these nuances, the constructs of trust and entrustment are inextricably linked.

우리는 감독 관계와 EPA를 신뢰에 대한 보다 일반적인 논의를 위한 친숙한 디딤돌로 사용해 왔다. 신뢰와 직업을 고려하고 더 광범위한 신뢰 문헌이 어떻게 유익할 수 있는지 살펴본 후에 우리는 훈련생-감독자 관계로 돌아갈 것이다.
We have used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and EPAs as familiar stepping stones into a more general discussion of trust. We will return to the trainee–supervisor relationship after we have considered trust and the profession, and seen how the broader trust literature may be instructive.

환자가 의사를 신뢰하는 것
The patient's trust in the doctor

[환자-의사 신뢰 관계]는 치료 관계에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상당한 관심을 받아 마땅하다. 주치의에 대한 신뢰는 환자의 진료의욕, 민감한 정보공개, 조사나 관리의 취약성 수용에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는 진료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반대로, 일단 관계에 대한 신뢰가 깨지면, 환자들은 용서하거나, 다른 곳으로 가거나, 불평하거나, 의료-법적 절차를 시작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의사들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는 개입에 대한 Cochrane 메타 분석은 주제에 대한 관심이 있지만, 어떤 접근법에서든 일관된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증거가 아직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국, 의사와 학생들이 항상 진실을 말하지 않기 때문에 불신은 정당화될 수 있다. 
The patient–doctor trust relationship, regarded as integral to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has deservedly received significant attention. Trust in one's doctor impacts on the patient's willingness to seek care, disclose sensitive information and accept the vulnerability of investigations or management, and ultimately affects satisfaction with care.28, 29 Conversely, once there has been a breach of trust in the relationship, patients may choose to forgive, to go elsewhere, to complain or to initiate medico-legal proceedings.30, 31 A Cochrane meta-analysis of interventions that may increase trust in doctors demonstrates that although there is interest in the subject, there is as yet insufficient evidence for consistent benefit from any one approach.32 After all, distrust may be warranted as doctors and students do not tell the truth all the time.33, 34

의료계에 대한 환자의 신뢰
The patient's trust in the medical profession

[자신의 의사(일반적으로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됨)에 대한 신뢰]는 [의료 전문직이나 의료 시스템에 대한 신뢰(일반적으로 덜 높은 것으로 평가됨)]와 경험적으로 다르다. 의사나 의료 서비스에 의한 환자 신뢰의 우울할 정도로 정기적인 위반에 의해 공급되고 법적 수단이 요구되는 프로세스에서 직업과 기관에 대한 신뢰는 점점 더 도전받고 있다. 특히 미국의 [관리형 의료의 출현]과 [영국 국립 보건 서비스 의료 시스템]에 대한 신뢰의 침해와 관련하여, 우리의 [의료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 공급하는 교육 기관]에 대한 사회적 신뢰가 하락하고 있다는 일반적 인식이 있다. 정부 정책을 알리기 위해 의료에 대한 국민의 신뢰에 대한 조사 기반 척도가 사용되어 왔다.
Trust in one's own physician (generally rated as very high) differs empirically from trust in the medical profession or health care systems (which is generally less high).29, 35 Trust in the professions and institutions is increasingly challenged in a process that is fed by depressingly regular breaches in patient trust by practitioners or health services and in which legal recourse is required.36 There is a perception of general decline in societal trust in our systems of health care and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feed into them, notably related to the advent of managed health care in the USA and perceived breaches of trust in the UK National Health Service health care systems.37-39 Survey-based measures of public trust in health care have been used to inform government policy.22

제약업계의 영향과 의사-연구자의 이해충돌로 의료업의 근간인 [과학·의학 연구에 대한 불신]도 커지고 있다. 환자가 반드시 의사의 제약 회사 계약이나 환자를 자금 지원 시험에 등록하기 위한 재정적 인센티브를 알 필요는 없다. 학술적 위법행위의 빈번한 사례가 저널 논문 철회를 증가시키고 있다. 하지만 이미 자신을 둘러싼 환경에서 다수의 학문적 경범죄를 인지하는 의대생들에게는 주목을 받지 못한다. 
Distrust is also increasingly expressed towards scientific and medical research, the foundation of the medical profession, because of the influence of pharmaceutical industry and physician-researcher conflicts of interest.40, 41 Patients are not necessarily made aware of doctor's pharmaceutical company engagements or financial incentives to enrol patients into funded trials.42 Frequent high-profile cases of academic misconduct drive an increasing number of journal article retractions.43 This is not lost on medical students, who perceive a multitude of academic misdemeanours in their own environments.44

신뢰 수준
Levels of trust

앞 단락에서 우리는 더 넓은 직업뿐만 아니라 개인으로서 의사들을 신뢰하는 몇 가지 위협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신뢰를 분석하려고 할 때, 사회적 또는 조직적 요인에서 대인관계 요인을 분리해내는 것이 분명히 중요하다. 어떤 하나의 신뢰 결정에서도 [대인관계와 조직적 결정 요인] 사이에 상호작용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를 위해, 문헌은 [대인관계, 조직 및 제도적 수준]을 참조하여 '신뢰 수준'의 개념을 도입한다.10 예를 들어,

  • 대인적 신뢰는 친구나 동료의 신뢰를 의미할 수 있다;
  • 조직적 신뢰는 임상 서비스, 의과대학 또는 대학에서의 신뢰를 의미할 수 있다.
  • 제도적 신뢰는 국가 차원에서 보건 또는 교육 시스템과 같은 시스템의 신뢰를 지칭할 수 있다.

In the preceding paragraphs we described some of the threats to trust in doctors as individuals, as well as in the wider profession. In attempting to analyse trust, it is clearly important to tease out interpersonal factors from social or organisational factors.31 In any one trust decision, there is likely to be an interplay between interpersonal and organisational determinants.45 To this end, the literature brings in the concept of ‘levels of trust’ with reference to interpersonal, organisational and institutional levels.10 For example,

  • interpersonal trust may refer to trust of friends or colleagues;
  • organisational trust may refer to trusts in a clinical service, medical school or college, and
  • institutional trust may refer to trust of systems such as health or education systems at a national level.

신뢰 연구자는 [신뢰 분석 수준]을 수준 간 또는 수준 간(예: 조직을 신뢰하는 개인)으로 구분합니다. [신뢰의 방향]도 변수다. 신뢰는 어느 방향으로든 확장될 수 있으며, 상호주의의 개념을 가져올 수 있다. [직접적인 상호주의]는 대인 신뢰의 기초가 될 수 있다. ['간접적 상호주의']라고 불리는 신뢰와 협력의 사슬은 조직의 신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관계 초기]에는 [간접적 조직적 결정요인]이 지배적이며, 나중에는 개인적 접촉과 피드백이 증가함에 따라 [대인관계적 측면]이 신뢰관계를 지배하기 시작할 수 있다. 
Trust researchers distinguish levels of trust analysis8 as inter-level or cross-level (e.g. an individual trusting an organisation). The direction of trust is another variable. Trust can extend in either direction, bringing in the concept of reciprocity.8 Direct reciprocity may be the basis of interpersonal trust. Chains of trust and cooperation, referred to as ‘indirect reciprocity’, may be helpful in understanding organisational trust.46 It may be that early in relationships, indirect organisational determinates predominate, and that later, with increasing personal contact and feedback, interpersonal aspects begin to dominate trust relationships.

그림 1은 조직 수준으로 정렬된 의료 교육에 관련된 일부 실체를 고려한다. 신뢰는 각 실체, 각 상자 또는 상자 사이의 상호 작용에서 발생하는 역동적인 사회적 구조로 볼 수 있다.
Figure 1 takes into account some of the entities involved in medical education, arranged into organisational levels.8, 47 Trust may be viewed as a dynamic social construct arising from the interactions within each set of entities, within each box or between boxes, with either of the pair in the role of the trustor.

비록 단순하지만, 이 관계 지도는 이러한 팔의 어느 쪽이든, 관심을 덜 받은 팔들을 포함하여, 어느 방향으로든 탐험을 유도한다. 우리가 설명한 바와 같이, 의료 교육에 대한 최근의 관심은 [person box]에 있는데, 특히 [감독관이 교육생에 대한 신뢰를 어떻게 발전시키고 이것이 직장 평가로 어떻게 운영될 수 있는지]에 대해 향하고 있다. 그러나 신뢰는 다른 많은 의학교육 결정에 분명히 내포되어 있다. [평가, 진행, 학업 부정행위, 양호한 감독, 프로그램 평가, 성과 관리 및 승진 메커니즘]은 각각 관계 지도에서 제 역할을 합니다(그림 1). [상자 내부]와 [상자 사이]에서, 어느 방향으로든 화살표를 추가로 조사하면 연구를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임상 서비스 또는 대학 의료 프로그램에 대한 임상 교사의 신뢰, 학생에 대한 환자의 신뢰, 임상 교사 또는 훈련 프로그램 또는 학생 또는 임상 교사에게 의료 시스템이 제공하는 신뢰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Although simplistic, this relationship map does invite an exploration of any of these arms, in either direction, including those that have received less attention. As we have described, recent attention in medical education has been directed within the person box, particularly at how a supervisor develops trust in trainees12, 23 and how this may be operationalised as workplace assessment.48-50 However, trust is clearly implicit in many other medical education decisions. Assessment, progression, academic misconduct, good supervision, programme evaluation, performance management and promotion mechanisms each have their place in the relationship map (Fig. 1). Further examination of these arms in either direction, within and between boxes, may suggest novel avenues for research. For instance, focus could be brought to bear on the clinical teacher's trust in clinical services or university medical programmes, the patient's trust in students, clinical teachers or the training programme, or the trust afforded by health care systems in students or clinical teachers.

우리는 이제 신뢰를 정의하고 의학 교육을 제공하는 데 관련된 다양한 주체가 어떻게 이산적인 신뢰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표현했다. 다음 섹션에서는 의료 교육에서의 적용으로 돌아가기 전에 더 광범위한 신뢰 문헌을 소개한다.
We have now defined trust and expressed how the various entities involved in delivering medical education have discrete trust relationships. In the next section, we introduce some of the wider trust literature, before returning to its application in medical education.

더 넓은 문헌에 대한 신뢰
Trust in the broader literature

신뢰 연구의 짧은 역사
A short history of trust research

의학교육은 신뢰에 대한 관심에서 고립되지 않는다. 잘 확립된 개념적이고 경험적인 작업이 많이 존재하며, 처음에는 사회과학에 의해 주도되고 나중에는 비즈니스와 경영에 의해 주도된다. 
Medical education is not isolated in its interest in trust. A great deal of well-established conceptual and empirical work exists, initially driven by the social sciences and later picked up by business and management.

갈등 해결의 선구자인 Morton Deutsch는 1950년대 [신뢰]와 [취약성을 감당하려는 의지]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언급하면서, [충족되지 않은 신뢰]는 결국 신뢰자trustor를 '불쾌한 결과로 인한 고통'으로 이끈다고 언급했다. 쿠바 미사일 위기의 아슬아슬한 미스를 정점으로 한 냉전은 극심한 불신을 배경으로 갈등 해결에 대한 관심을 자극했다. 당시 연구자들은 신뢰 연구가 신뢰를 얻은 것은 이 시기 이후라고 언급했다. 
Morton Deutsch, a pioneer in conflict resolution, commented on the link between trust and a willingness to take on vulnerability in the 1950s, noting that unfulfilled trust necessarily leads the trustor to ‘suffer an unpleasant consequence’.51 The Cold War, culminating in the near miss of the Cuban missile crisis, set a backdrop of intense distrust and stimulated interest in conflict resolution. Researchers of the time noted that it was after this period that trust research gained credibility.52, 53

도이치는 신뢰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접근을 특징짓는 협동적 행동에 대한 실험적인 게임 모델인 잘 연구된 '죄수의 딜레마'의 초기 조사자였다. 그 죄수의 딜레마에 대한 변화는 여러 세대의 대학생들에게 가해져 왔다. 이 게임의 컴퓨터 시뮬레이션, 반복적인 형태는 이혼, 지정학 및 종의 진화만큼이나 다양한 관계에 대한 함의를 가진 협력 전략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된다.
Deutsch was an early investigator of the well-studied ‘prisoner's dilemma’, an experimental game model for cooperative behaviour that characterises the social psychology approach to trust. Variations on the prisoner's dilemma have been inflicted on generations of college students. Computer-simulated, iterative forms of the game are used to model cooperation strategies54 with implications for relationships as diverse as those in divorce, geopolitics and the evolution of species.

20세기 후반부터 비즈니스, 경영, 마케팅 문헌은 '소비자 신뢰'와 '브랜드 충성도'과 같은 용어를 대중화하면서 그 자체로 연구 분야로서의 신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조직적 실패는 '신뢰 회복'과 같은 새로운 연구 분야를 장려했다. 연구 간행물 원량의 증가는 신뢰가 자체 저널을 획득하는 결과를 낳았다. 
In the late 20th century, the business, management and marketing literature began to place increasing attention on trust as a research field in its own right, popularising terms such as ‘consumer trust’ and ‘brand loyalty’. The organisational failures of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encouraged new areas of study such as that of ‘trust repair’.9, 55 An increase in the raw volume of research publications has resulted in trust acquiring its own journal.56

세계화와 인터넷은 비즈니스 관계를 변화시켰습니다. 성공적인 기업은 기술 기반 신뢰 대리인을 고용하고 있으며, 그 선구적인 예로 [이베이의 구매자 및 판매자 신뢰 등급]을 들 수 있습니다. 상업 등급 웹 사이트의 의사 및 보건 서비스에도 유사한 등급이 점점 더 많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병원의 경우, 소비자 등급이 기존의 환자 경험 및 결과 측정과 잘 상관관계가 있다는 증거가 있다. 
Globalisation and the Internet have altered relationships in business: successful enterprises employ technology-based trust surrogates, a pioneering example of which is eBay's buyer and seller trust ratings.57, 58 Similar ratings are increasingly applied to doctors and health services on commercial ratings websites.59 In the case of hospitals, there is evidence that consumer ratings correlate well with conventional patient experience and outcomes measures.60

신뢰에 적용되는 연구 방법
Research methods applied to trust

신뢰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게임 실험('죄수의 딜레마'로 특징지어짐)과 설문조사의 범주에 속한다. [게임 실험]은 주로 [대인관계 신뢰]를 탐구하기 위해 고안된 반면, [조직에 대한 신뢰]는 [설문 조사]를 통해 가장 일반적으로 연구되었다. 기업, 정부, 학교 등 기관에 대한 신뢰를 조사하기 위해 다양한 조사도구가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 각각은 비판(일반성이 부족하다는 게임 실험과 너무 피상적이라는 조사)에 열려 있지만, 세 번째 옵션은 이해 계층을 추가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신뢰가 [창발적 사회적 구조]로 묘사될 수 있다면, 그것은 질적 방법을 선호하는 [구성주의 연구 프레임워크]에 잘 맞을 수 있다. 우리가 더 논의할 것처럼, 의료 교육에서 질적 방법은 Govaerts와 Van der Vleuten에 의해 제안되었고, 예를 들어 Hauer et al과 Kennedy et al의 연구에서 감독-훈련자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Research on trust has for the most part fallen into the categories of game experiments (characterised by the ‘prisoner's dilemma’) and surveys. Game experiments have largely been designed to explore interpersonal trust, whereas trust in organisations has been most commonly studied using surveys. A variety of survey instruments have been employed to examine trust in institutions such as businesses, government and schools. Although each of these methods is open to criticism (game experiments for their lack of generalisability and surveys for being too superficial19), a third option has the potential to add a layer of understanding. If trust can be described as an emergent social construct, it may be well suited to a constructivist research framework47, 61 favouring qualitative methods.62 As we will discuss further, in medical education qualitative methods have been suggested by Govaerts and van der Vleuten50 and used, for example, in the work of Hauer et al.23 and Kennedy et al.63 to understand the supervisor–trainee relationship.

이제 우리는 경영 문헌에서 나온 신뢰 모델로 눈을 돌리고 감독-연수생 관계에 대한 성찰을 사용하여 그 관련성을 설명한다.
We now turn to a model of trust sourced from the management literature and use reflections on the supervisor–trainee relationship to illustrate its relevance.

임상 감독에 신뢰 모델 적용
Applying a model of trust to clinical supervision

1995년 연구에서 메이어 등은 이전에 나왔던 개념적, 경험적 연구를 바탕으로 [신뢰에 대한 통합 모델]을 제안하였다. 신뢰의 다른 개념화도 있지만, 메이어 외 모델은 특히 강력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원본 기사는 집필 당시 5300개 이상의 스코푸스 인용을 끌어모았다.
In their 1995 work, Mayer et al.15 proposed an integrative model for trust based on the conceptual and empirical research that had come before. Although there are other conceptualisations of trust,64 the Mayer et al.15 model has proved particularly robust. The original article15 has attracted more than 5300 Scopus citations at the time of writing.

이 모델은 그림 2에 재현되어 있습니다.
The model is reproduced in Fig. 2.


이 모델에서, 기본은 'A는 B가 X를 하는 것을 신뢰한다' 구조이다. 피드백 루프가 추가되어 정교하게 제작되었습니다. 이 모델은 구별되지 않은 신뢰의 관점을 세 가지 측면으로 분해한다: 

  • [일반적인 믿음 또는 성향]으로서의 신뢰. 
  • [취약성을 받아들이기 위한 결정]으로서의 신뢰
  • [관계에서 위험을 감수하는 행위]로서의 신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관계가 발전함에 따라, 미래의 신뢰 결정에 대한 피드백이 있습니다.

In this model, the basic ‘A trusts B to do X’18 structure of trust is elaborated, with the addition of a feedback loop. The model breaks down an undifferentiated view of trust into three aspects:

  • trust as a general belief or propensity;
  • trust as a decision to take on vulnerability, and
  • trust as the act of risk taking in a relationship.

As the relationship develops over time, there is feedback into future trust decisions.

모델을 탐구하기 위해, 우리는 [경험을 쌓을수록 더 위험하고 더 높은 위험의 임상 작업을 수행하도록 요청받는 trainee]라는 익숙한 예시로 돌아간다. 이 모델은 trainee에 대한 감독자의 신뢰개발에 대한 질적 연구에서 발견된 요인을 예측한다. 이러한 결정요인은 각각 다음과 관련된 몇 가지 범주로 분류된다. 

  • 수련생 (인식된 신뢰성의 다양한 trustee 요인) 
  • 감독자 (신탁자의 성향 및 신뢰의사), 
  • 상황 및 과제 (결과와 함께 위험을 감수하는 행위) 및 
  • 이전의 신뢰 에피소드에 영향을 받는 역동적 관계 (신탁자에게 과거 사건이 피드백함)

모든 것이 잘 되면 피드백 루프는 더 큰 신뢰로 이어져야 하고, 위험 업무를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더 많은 책임을 수탁자에게 위임해야 한다.
To explore the model, we return to the familiar example of the trainee who is asked to perform riskier, higher-stakes clinical tasks with less supervision as he gains in experience. The model predicts the factors found in qualitative research on supervisors’ development of trust in trainees. These determinants fall into several categories pertaining to, respectively,

  • the trainee (trustee factors of perceived trustworthiness),
  • the supervisor (the trustor's propensity and willingness to trust),
  • the context and task (perceived risk and the action of risk taking with resultant outcomes) and, lastly,
  • their dynamic relationship influenced by previous trust episodes (outcomes feeding back to the trustor).1265 

If everything goes well, the feedback loop should lead to greater trust and to the delegation of more responsibility to the trustee to handle risky tasks independently.

우리는 A, B, X 요인에 대한 논의로 넘어간다.
We move on to a discussion of the A, B and X factors.

신뢰도
Trustworthiness

훈련을 진전시키고 점점 더 복잡한 임상 업무를 위임받기 위해서는 훈련자가 스스로를 '신뢰할만한trustworthy' 사람으로 투영해야 하며, 역량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 명백하다. Trust(신탁자trustor가 위험을 감수하기 위한 판단)Trustworthiness(신뢰를 발생시키는 수탁자trustee의 인식된 특성)는 중복되는 특성에도 불구하고, 경험적으로 구별되는 구조이다. 실제로 일부 학자들은 우리가 'trust'보다는 'trustworthiness'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신탁자의 선입견preconceived notion을 조작]하려 하기보다는, [자신의 신뢰도trustworthiness를 높이는 것]이 더 달성 가능한 목표이다.
To progress in training and to be delegated increasingly complex clinical tasks, we see that trainees must project themselves as ‘trustworthy’ and it is apparent that competence alone is not enough. Trust (a judgement to take on risk by the trustor) and trustworthiness (perceived qualities of the trustee that engender trust) are empirically distinct constructs despite their overlapping qualities.66 In fact, some scholars argue that we should be less concerned with ‘trust’ than with ‘trustworthiness’.19 Rather than manipulating the trustor's preconceived notions, increasing one's own trustworthiness is a more achievable goal.

여러 연구에서 [신뢰성의 결정 요인determinants of trustworthiness]을 조사했습니다. 이것들을 검토하면서, 메이어 등은 그 요소들이 [능력, 자비, 청렴]의 세 가지 원칙 범주로 합쳐질 수 있으며, 세 번째 범주 없이는 이 중 두 가지 범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제안했다. 이것은 건강 관리에 대한 연구와 일치한다. 환자의 의사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정성적 탐구는 [의사 속성]을 [기술적 역량(능력), 대인관계(선행성과 무결성) 및 구조/직원(능력) 요인]으로 설명하는 세 가지 범주로 분류했다. 신뢰도 결정 요인을 분류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의료에서 유용한 공식은 [역량, 의지, 무결성 및 역량]일 수 있다.
Multiple studies have examined the determinants of trustworthiness. In reviewing these, Mayer et al. proposed that the factors could be coalesced into three principle categories of ability, benevolence and integrity,15 and that no two of these is enough without the third. This fits with the research in health care. A qualitative exploration of factors influencing patients’ trust in their physicians grouped physician attributes into three broad categories described as

  • technical competence (ability),
  • interpersonal (benevolence and integrity) and
  • structural/staffing (ability) factors.67 

Although there will be any number of ways to categorise trustworthiness determinants, in health care a useful formulation may be competence, willingness, integrity and capacity.

여기서의 근거는 다음과 같다. 

  • 규제 기관 및 교육자는 직무별 지식과 기술을 통합한 역량 개념에 익숙하다.
  • 의지는 위탁자에 대한 자선benevolence 의 구조와 유사하며 인식된 대인관계 기술을 포착한다(의학에서 자애benevolence 는 특별한 윤리적 의미를 갖는다).
  • 성실성은 전문성과 유사한 중요한 독립적 요소이며, 마지막으로,
  • 카파시티를 분리하는 것은 임상의가 최선의 의도로도 직면하는 시간과 자원의 압박을 더욱 분명하게 만든다.

The rationale here is:

  • regulatory bodies and educators are familiar with the concept of competence which incorporates task-specific knowledge and skills;
  • willingness is similar to the construct of benevolence towards the trustor and captures perceived interpersonal skills (whereas benevolence has a particular ethical meaning in medicine);
  • integrity is an important stand-alone factor with analogies to professionalism, and, lastly,
  • separating out capacity makes more explicit the time and resource pressures clinicians face even with the best of intentions.

임상의가 효과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역량은 조직적인 결정요인을 가지고 있다. 유능한 의사나 병원 서비스는 대기자 명단이 이미 서비스 불가능하기 때문에 새로운 환자를 볼 능력이 없을 수 있다. 임상의는 비슷한 배경을 가진 졸업생들과 혼합된 경험 때문에 자신을 증명할 기회가 있을 때까지 새로운 훈련생에게 일을 맡기는 것을 꺼릴 수 있다. 따라서 위험 계산에서 여러 신뢰 수준(즉, 대인 관계 및 조직 결정 요인)이 고려된다.
A clinician's capacity to act effectively has organisational determinants. A competent and willing surgeon or hospital service may not have capacity to see new patients as the waiting list is already unserviceable. A clinician may be disinclined to delegate a task to a new trainee until he's had a chance to prove himself because of mixed experience with graduates of a similar background. Multiple levels of trust (i.e. interpersonal and organisational determinants) therefore figure in any risk calculation.

조직은 그에 상응하는 신뢰도 결정요인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Caldwell과 Clapham은 조직의

  • '능력'은 역량, 재정적 균형 및 질 보증에 의해 판단될 수 있으며,
  • '자애'는 정보에 대한 상호적 예의와 책임에 의해 판단될 수 있으며,
  • '성실성'은 모두 임상 서비스 관리자에게 친숙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Organisations may be viewed as having corresponding trustworthiness determinants. Caldwell and Clapham14 argue that

  • ‘ability’ in an organisation might be judged by competence, financial balance and quality assurance,
  • ‘benevolence’ by interactional courtesy and responsibility to inform, and
  • ‘integrity’ by legal compliance and procedural fairness, all of which will be familiar to clinical service managers.

신뢰 성향
Propensity to trust

[신뢰성Trustworthiness]은 [수탁자Trustee]의 특성을 나타내지만, 보다 완전한 신뢰 방정식은 [신탁자Trustor]의 성향과 위험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기존의 의료 평가에서는 편향을 최소화하고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표준화 및 보정을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인다. 따라서 대부분의 평가는 신뢰와 위험에 대한 개별 임상 교사의 내재된 지향점을 경시하거나 무시하도록 설계되었다. 대조적으로, 메이어 외 모델은 우리에게 Trustor를 식별하고, 그의 독특한 의사 결정 과정을 이해하려고 시도할 것을 명시적으로 요청한다. 모든 Trustor는 신뢰에 대한 결정과 관련된 위험과 취약성에 자신을 노출시키는 데 있어 편안함이나 불안의 정도가 다르다. 이를 Trustor의 '신뢰 성향' 또는 수탁자의 '중개 렌즈'라고 표현하였다. [낮은 신뢰자]는 위협 메시지를 보고, [높은 신뢰자]는 지정된 시나리오에서 협력 메시지를 봅니다. 신뢰자의 성별, 나이 및 인종은 신뢰도에 대한 결정요인을 평가하는 방법에 차이를 만듭니다. 예를 들어, 젊은 응답자들은 '정직한 의사소통'의 가치를 더 높게 평가한다. 임상 감독자가 되는 것을 고려하고 있는 임상의가 선천적인 신뢰 성향에 따라 스스로 선택한다는 이론이 있을 수 있다.
Trustworthiness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ustee, but the more complete trust equation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trustor's disposition and the risks. In conventional medical assessment, all effort is made to standardise and calibrate in order to minimise bias and increase reliability. Most assessments are therefore designed to downplay or disregard an individual clinical teacher's in-built orientation to trust and risk. By contrast, the Mayer et al. model15 explicitly asks us to identify the trustor and to attempt to understand his unique decision-making process. All trustors differ in their degree of comfort or anxiety in exposing themselves to the risk and vulnerability associated with making a decision to trust. This has been described as the trustor's ‘propensity to trust15 or the trustor's ‘mediating lens’.68 Low trustors see the threat message and high trustors see the cooperative message in any given scenario.69 The gender, age and race of the trustor make a difference in how he or she weights determinants of trustworthiness.68 For example, younger responders rate the value of ‘honest communications’ more highly. One might theorise that clinicians considering becoming clinical supervisors will self-select based on their innate propensity to trust.

작업 및 컨텍스트
Task and context

[위험]은 메이어 외 모델의 핵심이다. 리스크는, 그리고 그에 따라 신뢰 또한 상황에 따라 다르며 작업별로 다릅니다. 우리는 글로벌하게 신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대신 다음과 같이 질문합니다. '어떤 작업을 위해, 어떤 상황에서?' '그들이 실패하면 어떤 결과가 초래됩니까?' 죄수의 딜레마에서 보듯 '블라인드 트러스트'는 악용될 가능성이 높다. Trustworthiness 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위험 및 상황 결정 요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과업 특이성에 대한 명백한 예는 위장병 전문의는 대장 내시경 검사를 수행하지만, 방광 내시경 검사를 수행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임상 작업장은 이보다 훨씬 더 미묘한 결정으로 가득 차 있다. [위험평가]는 [주니어 의사]에게 [임상적 판단능력의 학술적 평가에서 패스를 주는 (다음 교대로 넘어갈 수 있도록) 감독자의 행위]와 [팀의 아픈 환자를 평가하고 관리하기 위해 같은 레지던트를 혼자 두지 않도록 하는 행위 ]사이의 차이에서 볼 수 있다. 첫 번째 시나리오에서는 실제로 전공의를 이동시킴으로써 임상 위험이 감소합니다. 후자의 경우, 오진 및 잘못된 관리로 인해 환자에게 용납할 수 없는 위험이 있으며, 의료-법률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감독자에게 개인 위험이 있다. 특정 임상적 맥락에서 이러한 [위험 평가]를 기반으로 신뢰가 확장되거나 거부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Risk is key to the Mayer et al. model.15 Risk, and therefore trust, are context- and task-specific.14, 15 We do not globally proffer trust; instead, we ask: ‘For what task and under what circumstances?’ and ‘What are the consequences of them failing?’ ‘Blind trust’, as seen in the prisoner's dilemma, is likely to be taken advantage of. Trustworthiness is not enough: risk and situational determinants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n obvious illustration of task-specificity is trusting a gastroenterologist to perform a colonoscopy, but not trusting him to perform a cystoscopy. Clinical workplaces are filled with far more nuanced decisions than this. Risk assessment can be seen in the difference between a supervisor's act of giving a junior doctor a bare pass on an academic assessment of clinical judgement (so that he is moved on to the next rotation) and the act of ensuring that the same resident is not left alone to assess and manage the team's sick patients. In the first scenario, clinical risk is actually reduced by moving the resident along. In the latter circumstance, there is unacceptable risk to the patient of misdiagnosis and mismanagement, and there is personal risk to the supervisor with potential medico-legal consequence. We see that trust is extended or denied based on this risk assessment in a particular clinical context.

신뢰 문헌의 흥미로운 갈림길은 [신뢰]와 [불신]이 [동일한 연속체의 반대극]인지, 즉 본 논문에서 취한 입장인지, 아니면 높은 신뢰와 높은 불신이 공존할 수 있는 복잡한 관계를 허용하기 위해 [불신]과 [신뢰]가 [별도의 구조]로 존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해 왔다. 한 가지 예는 서로 경쟁하는 기업들이 (잠재적인 불신으로 인해) 지적 재산을 신중하게 보호하면서 특정 프로젝트(신뢰가 필요한)에 협력할 수 있는 시나리오이다. [복잡한 관계]는 의학에 아주 많으며, 예를 들어, 우리는 [서로 경쟁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자나 연구자]들 사이에서 비슷하게 conflicted되는 관계를 볼 수 있다. 그러나 관계의 범위 내에서 특정 업무와 맥락에 초점을 맞춘 결정으로 신뢰를 모델링하면 [별도의 축으로 신뢰와 불신을 고려할 필요성]이 해소되는 경향이 있다.
An interesting fork in the trust literature has concerned the question of whether trust and distrust are opposite poles of the same continuum, which is the position taken in this paper, or whether distrust and trust may exist as separate constructs to allow for complex relationships in which high trust and high distrust may coexist.64, 70 One example is the scenario in which competitive corporations may collaborate on specific projects (which requires trust) while continuing to carefully guard their intellectual property (due to a measure of potential distrust). Complex relationships are abundant in medicine and we may see similarly conflicted relationships between competing health service providers or researchers, for example. However, the need to consider trust and distrust on separate axes tends to resolve if we model trust as a decision centred on a specific task and context within the span of the relationship.8

[Trustor를 식별]하면 우리는 그 또는 그녀의 개인적 위험을 이해할 수 있다. Kennedy 등은 훈련생들이 임상 감독관에게 도움을 요청하지 못한 중요한 안전 문제를 조사했습니다. 감독관이 교육생에 대한 신뢰를 어떻게 발전시키는지 이해하고자 했던 Hauer 등의 연구처럼, 이는 교육생-감독자 관계에 초점을 맞춘 훌륭한 기초 연구였다. 다시 말해, 훈련생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훈련생, 감독자 및 임상 상황과 관련된 요소들로 분류될 수 있다. 그러나 우려는 달랐다. 예를 들어, Kennedy 등의 연구에서, 주요 발견은 훈련생들이 너무 많은 질문을 하면 그들의 직업적인 신뢰도에 대해 걱정한다는 것이었다. 차이점은 관점에 있다. 하우어 등은 감독관을 위탁자로 배치하고, 그녀의 훈련생에게 임상 업무를 위임하기로 결정했다. Kennedy 등은 훈련생을 신뢰자로 배치하는데, 이 신뢰자는 자신을 판단하지 않고 감독관이 임상 조언을 해줄 것을 신뢰해야 한다. 훈련자가 인지하는 위험에는 환자에게 미치는 위험뿐만 아니라 자신의 전문적 신뢰의 상실이 포함된다.
Identifying the trustor enables us to understand his or her personal risks. Kennedy et al.63 investigated the important safety issue of trainees’ failure to ask their clinical supervisors for help. Like the work of Hauer et al.,23 which sought to understand how supervisors develop trust in their trainees, this was an excellent grounded study centred on the trainee–supervisor relationship. Agai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rainee's decision could be grouped into those related to, respectively, the trainee, the supervisor and the clinical circumstance. However, the concerns were different. For instance, in Kennedy et al.'s work,63 a principle finding was that trainees worry about their professional credibility if they ask too many questions. The difference is in the perspective. Hauer et al.23 place the supervisor as the trustor, deciding to delegate clinical tasks to her trainee. Kennedy et al.63 position the trainee as the trustor, who must trust the supervisor to give him clinical advice without judging him. The trainee's perceived risks include the loss of his own professional credibility, as well as the risk to the patient.

이 모든 것이 개인이 신뢰 결정이 필요할 때마다 신중한 스프레드시트를 배치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의사 결정의 측면들은 [숙고적인 것]이기보다, [감정적이거나 본능적]일 수 있다. 실제로 수십 년의 심리학 연구는 결정이 [느리고, 노력하고, 분석적인 사고][보다는 빠르고, 감정적이며, 본능적이지만 편향되기 쉬운 우리의 마음]에 의해 최소한의 노력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선호한다고 말한다. 이들은 신뢰를 결정하는 데 있어 '정서적'과 '인지적' 요소로 설명되었다. 신뢰 연구의 또 다른 잠재적 방향은 신뢰자가 환자, 학생 또는 임상의인지에 관계없이 의사 결정의 정서적 요소를 이해하려는 노력을 포함할 수 있다.

All of this is not to say that an individual will lay out a careful spreadsheet each time a trust decision needs to be made. Aspects of the decision making may be more emotive or instinctive than deliberate. Indeed, decades of psychology research tell us that decisions are preferentially made with least effort by our fast, emotional, instinctive but bias-prone mind, rather than by slow, effortful, analytical thinking.71 These have been described as ‘affective’ and ‘cognitive’ components to determining trust.14 Another potential direction for trust research may involve trying to understand the affective component of decision making,8 whether the trustor is the patient, student or clinician.

리스크, 신뢰 및 제어 메커니즘
Risk, trust and control mechanisms

서론에서 지적했듯이, 공공, 임상의, 교육 기관 및 보건 시스템은 모두 위험에 대처해야 하지만 [신뢰]만이 유일한 선택은 아닙니다. 규제, 정책 및 치안 유지policing은 [대인 신뢰가 제한된 상황]에서 통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마침내 위험을 다루기 위한 수단으로서 신뢰와 통제 메커니즘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이르게 한다.
As we indicated in the introduction, the public, clinicians, educational organisations and health systems all need to deal with risk, but trust is not their only option. Regulation, policy and policing may offer control in contexts in which interpersonal trust is limited.72 This brings us finally to the interplay between trust and control mechanisms as means to deal with risk.

[시뮬레이션 이전 시대의 교육의 사례]는 [간호학]과 [의학]이 캐뉴레이션이나 비위관 배치와 같은 간단한 절차를 가르치는 경향이 있었던 방식의 차이를 의미한다.

  • [간호사]들은 공식적인 훈련, 역량 승인 및 재인증을 통해 보다 프로토콜 중심적인 과정을 따르는 반면,
  • [의사]들은 역사적으로 '하나를 보고, 하나 하고, 하나를 가르치는' 접근법이라고 일컬어지는 것에 대해 최소한의 지시만을 받았다.

틀림없이 이것은 [신뢰 대 통제 접근 방식]을 보여주며, 각각의 접근 방식에는 장단점이 있다. 둘 다 조직이나 단체가 위험을 다루기로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이다.
An education example from the pre-simulation era refers to the difference in the ways in which nursing and medicine have tended to teach simple procedures such as cannulation or nasogastric tube placement.

  • Doctors were historically given minimal direction in what has been referred to as a ‘see one, do one, teach one’ approach,73 whereas
  • nurses often follow a more protocol-driven process with formal training, competency sign off and reaccreditation.

Arguably this illustrates trust versus control approaches, and there are pros and cons to each. Both are ways in which an organisation or group may choose to deal with risk.

조직 수준에서 [투명성과 책임성]은 우리의 기관 및 직업에서 점점 더 중요하게 인식되는 비즈니스 및 정부 원칙입니다. 고등교육 분야는 [제도적 규제 및 정부 차원]에서 [신뢰 대 통제 메커니즘]의 훌륭한 예를 제시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외부 관리주의의 문화의 부상]과 [내부 통제의 상실]은 교육과 교육 분야에 종사하는 학자들 사이에서 증가하는 불만의 원천으로 언급되어 왔다. [외부 감사 및 핵심 성과 지표]와 같은 모니터링 시스템은 [신뢰와 자율성 상실]이라는 상응하는 [댓가를 치르면서 그 자체가 목적]이 될 수 있다. 이 현상은 영국과 호주에서 설명되지만, 다른 곳에서는 덜 명백할 수 있다. 다른 극단에서 핀란드의 교사들에 대한 신뢰 수준은 너무 높아서 정기적인 외부 검토가 필요하지 않다고 여겨진다. 
At an organisational level,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are business and government principles that are increasingly perceived as important in our institutions and professions. The higher education sector presents an excellent illustration of trust versus control mechanisms at the level of institutional regulation and government.10 Over time, a rise in the culture of external managerialism and the loss of internal control have been cited as sources of increasing dissatisfaction amongst academics engaged in education and in the education sector.74 Monitoring systems, such as external audit and key performance indicators, can become ends in themselves with a corresponding cost in loss of trust and autonomy. This phenomenon is described in the UK75 and in Australia,76 but may be less apparent elsewhere. Levels of trust in teachers in Finland, at the other extreme, are so high that routine external review is not deemed necessary.10

또한 [통제시스템은 의료 분야에서 점점 더 표준화]되고 있으며, 의료 전문가에 대한 이전 시대의 '존중과 맹목적인 신뢰'를 대체했다. 병원 기반 임상의는 이제 지속적인 전문 개발 및 전문적 재검증, 사고 보고, 근본 원인 분석 및 감사와 같은 [수많은 위험 관리 도구]에 익숙합니다. 의도는 일반적으로 양성으로 간주되고 데이터는 시스템 최적화를 주도하는 것으로 간주되지만, 그 결과는 [직업적 자율성과 신뢰의 침식]일 수 있다. [성숙한 시스템]은 [마땅할 때 신뢰]하고 [필요할 때 통제]하는 메커니즘을 모두 통합할 수 있지만, 동시에 똑같은 넓은 붓을 가지고 모든 사람을 색칠하고자 하며, 이는 분노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의료에 대해서 [신뢰를 갖는 통제 시스템]과 [자율성]의 최적의 상호 작용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신뢰, 통제 및 위험의 어휘는 이를 수행하기 위한 도구 중 일부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Control systems are also increasingly the norm in health care and have replaced a previous era's ‘deference and blind trust’ in health care professionals.77 Hospital-based clinicians are now familiar with a plethora of risk management tools, such as mandatory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professional revalidation, incident reporting, root cause analysis and audit. Although the intent is generally regarded as benign and the data as driving system optimisation, a consequence may be the perception of eroded professional autonomy and trust. A mature system may be able to incorporate both trust when it is deserved and control mechanisms when they are required, but at the moment the same broad brush is used to paint all comers, which has the potential to breed resentment. An examination of the optimal interplay of control systems with trust and autonomy in health care is required. The vocabulary of trust, control and risk may provide some of the tools with which to carry this out.

결론
Conclusions

위험 관리는 의심할 여지 없이 의료 제공과 의료 교육의 관계를 특징짓는다. [외부 감사 및 인증]과 같은 [선의의 통제 메커니즘]은 임상 환경에서 위험을 관리하도록 설계된 침해적인encroaching 존재이지만, 다른 접근 방식은 '신뢰'이다. EPA의 사용은 직장 기반 평가에서 신뢰를 탐구하는 한 가지 방법이다. 신뢰와 위험 또는 취약성 사이의 연관성은 사회과학 및 관리 문헌에서 분명하며, 환자-의사 관계에서 잘 기술되어 있지만 의학 교육 문헌에서는 이러한 연관성이 과소평가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에도 불구하고, 학생이나 훈련생이 수행하는 모든 임상 활동은 환자와 임상의에게 [어느 정도의 위험을 수반]한다. 그러므로 직장 학습과 평가에서 '신뢰'는 '역량'보다 더 진실하고 실용적인 어휘를 제공할 수 있다. 왜냐하면 위험은 명백한 고려사항이기 때문이다.
Management of risk undoubtedly characterises relationships in health care delivery and therefore medical education. Although well-intended control mechanisms, such as external audit and accreditation, are an encroaching presence designed to manage risk in clinical settings, another approach is ‘trust’. The use of EPAs is one way in which trust is being explored within workplace-based assessment. The link between trust and risk or vulnerability is clear in the social sciences and management literature, and although it is well-described in patient–doctor relationships, this association may be underappreciated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Simulation notwithstanding, every clinical activity undertaken by students or trainees carries some risks for patients and clinicians. In workplace learning and assessment, ‘trust’ may therefore offer a more authentic and practical vocabulary than ‘competency’ because risk is an explicit consideration.


경영 문헌에서 나온 마이어 등의 강력한 신뢰 모델은 교육생에 대한 감독자의 신뢰 개발 보고와 일치한다. 예를 들어, 훈련생은 자신의 질문을 비판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감독자에 대한 신뢰, 특정 임상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환자의 신뢰, 적절한 졸업생을 제공할 수 있는 대학 프로그램에 대한 임상의사의 신뢰 등으로 표현되는 많은 다른 신뢰 관계가 있다. 가장 기본적인 수준에서 누가 신탁자인지, 누가 수탁자인지, 어떤 업무를 하는지 명확하게 기술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각각의 관계는 대인관계와 조직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 의료 및 의료 교육에서 [신뢰와 통제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고려하는 것은 신뢰와 임파워먼트를 적극적으로 장려하면서, 위험을 성숙한 방식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의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

Mayer et al.'s robust model of trust15 from the management literature is consistent with the reporting of supervisors’ development of trust in trainees. There are many other trust relationships in health care and medical education manifested by, for example, a trainee's trust in a supervisor to handle his questions non-judgementally, a patient's trust in her doctor to undertake a specific clinical task, or a clinician's trust in a university programme to deliver suitable graduates. At the most basic level, it is helpful to clearly delineate who is the trustor, who is the trustee, and for what task. Each relationship has interpersonal and organisational elements. Understanding and considered utilisation of trust and control mechanisms in health care and medical education may lead to the development of systems that maturely manage risk while actively encouraging trust and empowerment.

 

 


 

 

Med Educ. 2017 Sep;51(9):892-902. doi: 10.1111/medu.13339. Epub 2017 May 10.Trust and risk: a model for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Prince of Wales Clinical School,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Sydney, New South Wales, Australia.

2Office of Medical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Sydney, New South Wales, Australia.

3Office of the Pro-Vice-Chancellor (Education),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Sydney, New South Wales, Australia.

PMID: 28493429

DOI: 10.1111/medu.13339

Abstract

Context: Health care delivery, and therefore medical education, is an inherently risky business. Although control mechanisms, such as external audit and accreditation, are designed to manage risk in clinical settings, another approach is 'trust'. The use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s) represents a deliberate way in which this is operationalised as a workplace-based assessment. Once engaged with the concept, clinical teachers and medical educators may have further questions about trust.

Objectives: This narrative overview of the trust literature explores how risk, trust and control intersect with current thinking in medical education, and makes suggestions for potential directions of enquiry.

Methods: Beyond EPAs, the importance of trust in health care and medical education is reviewed, followed by a brief history of trust research in the wider literature. Interpersonal and organisational levels of trust and a model of trust from the management literature are used to provide the framework with which to decipher trust decisions in health care and medical education, in which risk and vulnerability are inherent.

Conclusions: In workplace learning and assessment, the language of 'trust' may offer a more authentic and practical vocabulary than that of 'competency' because clinical and professional risks are explicitly considered. There are many other trust relationships in health care and medical education. At the most basic level, it is helpful to clearly delineate who is the trustor, the trustee, and for what task. Each relationship has interpersonal and organisational elements. Understanding and considered utilisation of trust and control mechanisms in health care and medical education may lead to systems that maturely manage risk while actively encouraging trust and empowerment.

EPA 프레임워크의 논리와의 고군분투 (Med Educ, 2022)
Struggling with the logic of EPA frameworks
Matt Sibbald1 | Glenn Regehr2

 

 

[신뢰할 수 있는 전문 활동(EPA) 프레임워크의 논리]를 둘러싼 [현실에서 일어나는 투쟁]을 알고 싶다면 역량 위원회에 참여하면 그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 될 것입니다. 역량 위원회(CC)는 EPA 데이터를 EPA 프레임워크의 깔끔한 행과 열로 신중하게 집계하여 진행 상황을 신중하게 정리tabulate, 요약, 판단한다. 그러나 EPA 프레임워크가 연습생 진행 상황을 불완전하게 포착할 때, CC는 종종 프레임워크 자체에 대해 논의한다. 헤누스 등은 42개 연구의 범위 검토를 수행함으로써 CC에게 EPA 프레임워크의 기본 논리에 대한 통찰력을 주었다. 그들은 로직의 세 가지 주요 흐름, 즉 서비스, 절차, 질병 또는 환자 범주를 확인했다. 그들의 작업은 이러한 EPA 프레임워크를 논의하기 위한 분류법을 제공하여 대화를 진전시키고, 그들의 강점과 격차를 식별한다. 실제로 EPA는 8개 중 1 하나 꼴로 세 가지 논리 중 어느 하나에도 맞지 않았고 위탁 등급에 쉽게 의존하지 않는 것으로 느껴졌다. 저자들은 이를 비EPA로 분류하여 모든 역량 기반 시스템을 EPA에 짜넣고 CC가 직면한 도전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과제를 나타낸다. 
If you are looking for practical struggles around the logic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y (EPA) frameworks, sit in on a competency committee, and you are bound to hear about them. Competency committees (CCs) carefully tabulate, summarise and judge progress, often by carefully aggregating EPA data into neat rows and columns of an EPA framework. But when the EPA framework incompletely captures trainee progress, CCs often debate the framework itself. Hennus and others have given CCs insight into the underlying logic behind EPA frameworks by conducting a scoping review of 42 studies.1 They identified 3 dominant lines of logic: service, procedures, and disease or patient categories. Their work moves the conversation forward by providing a taxonomy to discuss these EPA frameworks, identifying their strengths and also their gaps. In fact, one in eight EPAs did not fit into any one of the three logics and was felt not to lend itself easily to entrustment ratings. The authors labelled these as non-EPAs, signalling the challenge of squeezing all of a competency based system into EPAs and providing insight into the challenges CCs face.

예를 들면 이 문제를 더 잘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같은 교육 프로그램에 속해 있지만 EPA 포트폴리오를 완성하는 다른 단계에 있는 두 명의 수련생를 상상해 보십시오. 샤마라는 그녀의 또래들보다 거의 1년 앞서 있다. 그녀는 어텐딩에게 완료해야 하는 EPA를 강조함으로써 각 교대조 또는 입원 단위 주간을 시작하면서 EPA와 관련된 경험을 전략적으로 찾는다. 대조적으로, 루빈은 그의 동료들보다 거의 6개월 뒤쳐지고 있다. 역량 위원회는 루빈이 자신의 훈련 환경에 완전히 참여하고 있으며, 항상 환자 관리 책임을 따르고 항상 다음 필요한 작업을 자발적으로 수행한다고 들었습니다. 그러나 루빈은 샤마라와 같이 사전 예방적 접근법을 하기보다는, 사후에 EPA 관련 경험을 식별하는 데 의존한다. CC는 샤마라의 발전을 칭찬하고 동료들을 따라잡기 위한 전략을 루빈에게 제안합니다. 
Perhaps an example would further illuminate this issue. Imagine two trainees—peers in the same training programme—but at different stages of completing their EPA portfolios. Shamara is nearly 1 year ahead of her peers. She strategically seeks out experiences relevant to EPAs, starting each shift or inpatient unit week by highlighting EPAs that she needs to complete to her attendings. In contrast, Rubin is lagging nearly 6 months behind his peers. The competency committee hears that Rubin is fully engaged in his training environment, always following up on patient care responsibilities and always volunteering to do the next required task. However, he relies on identifying EPA relevant experiences after the fact, lacking Shamara's proactive approach. The competency committee commends Shamara on her progress and suggests strategies to Rubin to catch up to peers.

그러나 토론에서는 긴장감이 감돌고 있습니다. 루빈은 훌륭한 거주자이며, 최고 중 한 명입니다. 그는 신뢰할 수 있고 임상적으로 빈틈이 없으며, 교수진들은 그가 전체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완전히 편안함을 느낀다. 대조적으로, 샤마라는 견고한 거주자이지만, 교수진은 그녀가 환자 관리의 복잡성과 씨름하는 데 완전히 관여한다고 느끼지 않습니다. 그녀는 자신을 통해 추론하거나 임상 의사 결정의 복잡성과 씨름하지 않고 교수진 관리 제안을 빠르게 수용하고 이행합니다.
Yet there is tension in the discussion—Rubin is a great resident—one of the best. He is dependable and clinically astute with faculty feeling completely comfortable letting him run the entire service independently. In contrast, Shamara is a solid resident, but faculty does not feel that she fully engages in wrestling with the complexities of patient care. She is quick to accept and implement faculty management suggestions without reasoning them through herself or grappling with the complexity of clinical decision making.

역량 위원회는 EPA 프레임워크의 논리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 결국, EPA 프레임워크는 커리큘럼과 평가를 알려주는 훈련 프로그램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샤마라와 루빈의 이야기]는 EPA 포트폴리오 진행과 훈련생들의 직업 실습 참여 사이의 차이를 강조한다. 그것은 [의사가 되기 위해 공동체의 실천에 의미 있게 참여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전문직업적 실천 단위에 대한 신뢰도를 달성하는 것]의 차이를 강조한다. 전자는 이러한 경험으로부터 [의미를 구축]하고 [전문직과 정렬된 정체성을 개발]하기 위해 [전문직의 사회적 역학] 내에서 [경험에 참여하는 근본적인 역할]을 인식한다. 실천 공동체 내에서, 이것은 단지 [전문적 실천의 단위]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전문적 정체성의 획득을 가장 많이 지원하는) [전문직의 실천]에 참여하는 것이다.
The competency committee finds itself debating the logic of the EPA framework. After all, an EPA framework is meant to provide structure for a training programme, informing the curriculum and assessment. And yet the story of Shamara and Rubin highlights differences between EPA portfolio progress and the engagement of trainees with the practices of a profession. It highlights the difference between achieving entrustability on units of professional practice in contrast to engaging meaningfully in the practices of the community in order to become a physician. The latter recognises the fundamental role of engagement in experiences within the social dynamic of the profession in order to build meaning from these experiences and develop an identity aligned with the profession.2 Within a community of practice, it is engaging in the practices of a profession rather than just units of professional practice that most supports the acquisition of a professional identity.

실제로, [다양한 EPA 프레임워크의 논리적 차이]를 식별함에 있어 헤누스 등은 서비스, 절차, 질병 및 환자 범주가 모두 [의사의 진료에 대한 공통된 관점]을 공유한다는 동일성을 식별한다. 이는 이러한 EPA 프레임워크가 생성되는 방법을 고려할 때 이해할 수 있다. Lepre 등은 EPA 프레임워크를 생성할 때 이해관계자 협의 프로세스의 동일성sameness을 확인했다. 상담 대상자는 실무자와 학자로, 서비스 사용자, 정책 입안자, 다른 직종의 실무자 및 학생 등 [다른 전문직의 관점을 가진 사람]은 5명 중 1명 미만이었다. 마찬가지로, 프레임워크 개발에 사용되는 주요 방법 및 전략에는 문헌 검토, 그룹 기술 및 이해관계자 숙고가 포함되며, 포커스 그룹을 통한 작업장 과제에 대한 일차 데이터 수집, 인터뷰 및 실무 분석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4 따라서 [EPA의 주요 논리]가 [서비스, 프로시져, 질병 및 환자 범주]가 정확하게 들어맞는 [거래적 일화적 보건의료 만남]의 지배적인 프레임과 함께, [의견을 제공한 이해 관계자의 지배적인 렌즈]를 나타낸다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 또한 이러한 관점이 [팀 기반 돌봄, 지역사회 업무, 옹호 업무 및 제도 업무와 관련된 직장 관행]을 어떻게 강조하는지 쉽게 상상할 수 있습니다. 역량 위원회의 루빈에 대한 호의적인 인상은 이러한 non-EPA-able areas에 대한 참여engagement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In fact, in identifying the logic differences of various EPA frameworks, Hennus et al.1 also identify their sameness—that service, procedures, disease and patient categories all share a common perspective of the practice of physicians. This is understandable when considering how these EPA frameworks are generated. Lepre et al.3 identified a sameness to the stakeholder consultation processes in generating EPA frameworks. Most consulted were practitioners and academics, with less than one in five involving those with other workplace perspectives such as service users, policy makers, practitioners from another profession and students. Similarly, the predominant methods and strategies used to develop frameworks include literature review, group techniques and stakeholder deliberation, with primary data collection about workplace tasks through focus groups, interviews and practice analysis being used rarely if at all.4 It should come as no surprise, therefore, that the predominant logics represent the predominant lens of the stakeholders being consulted, with a predominant frame of transactional episodic healthcare encounters within which service, procedures, disease and patient categories squarely fit. It is also easy to imagine how this perspective would de-emphasise workplace practices involving team based care, community work, advocacy work and institutional work.5 The competency committee's favourable impression of Rubin quite likely stems from engagement in these non-EPA-able areas.

이 때 수반되는 위험은 [EPA 기회 탐색]을 과도하게 우선적으로 추구함으로써, [전문직 공동체의 일상적인 실천에 참여하는 대가로 게임화되는 것]이다. Billet은 직장 학습에서 후자의 접근 방식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덜 구조화된 환경에서 깊이 내재된 페다고지]를 활용하여 [트레이닝을 직무 환경에서의 어포던스로 감싼다]. 이러한 관점에서, [기회]는 [커리큘럼 프레임워크]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 [참여]를 통해 얻어진다. 위의 예에서, 루빈의 접근 방식은 견습생으로서, 직장 환경에서 요구되는 전문 그룹의 연습에 관여한다. 그의 보상은 임상팀에의 수락과 후광적인 신뢰감이다. 샤마라는 전략적이고 EPA 시스템을 훈련 기회로 활용한다. 샤마라와 같은 접근 방식은, 일반적으로 [임상 팀의 신뢰와 수용을 얻는 시스템 작업]에 대한 [다양한 유형의 참여]를 우회함에도 불구하고 empowering한다. 그러나 이는 평가자들이 시스템에 결함이 있는 것처럼 느끼게 하고, 직장 훈련의 핵심 구성 요소를 놓치게 합니다. 즉, [직무 수행에의 참여]와 [직무 수행 단위]를 잘못 동일시하는 것입니다.
What this risks is prioritising EPA opportunity seeking so much that they become gamified at the expense of engaging in the day to day practices of a professional community.6, 7 Billet8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he latter approach in workplace learning, describing the central importance of participatory practice, taking advantage of deeply embedded pedagogies in a less structured setting to fold training into the affordance of the workplace environment. Within this lens, opportunities are earned through engagement rather than prescribed by curricular framework. In the example above, Rubin's approach is that of an apprentice, engaging in practices of the professional group as required by the workplace environment. His reward is acceptance into the clinical team and halo sense of trust. Shamara is strategic and levers the EPA system into training opportunities. This approach is empowering, even if it bypasses the type of engagement in system work that usually earns the trust and acceptance of the clinical team. However, it leaves assessors feeling as if the system is flawed, missing a core component of workplace training—mistakenly equating engagement in practices of a profession with units of practice.

따라서 우리가 다양한 EPA 프레임워크의 논리와 씨름하는 동시에, [프레임워크에 스며있는 논리]와 씨름하는 것도 중요할 것입니다. 커뮤니티 또는 실습 환경 내에서 덜 구조화된 직장 학습에 대한 훈련생 참여와 EPA 논리의 이점을 균형 있게 조정하는 것은 역량 위원회가 루빈과 샤마라 같은 훈련생들의 진행 상황에 대해 심의할 때 직면하는 긴장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So even as we struggle with the logics of various EPA frameworks, it will be important to struggle, too, with the logic that pervades all these frameworks. Balancing the advantages of EPA logic with trainee engagement in less structured workplace learning within a community2 or landscape of practice9 may be required to address the tensions faced by competency committees as they deliberate about the progress of trainees like Rubin and Shamara.

 


Med Educ. 2022 Sep;56(9):868-870. doi: 10.1111/medu.14846. Epub 2022 Jun 6.

Struggling with the logic of EPA framework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tario, Canada.

2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PMID: 35619052

DOI: 10.1111/medu.14846

EPA 프레임워크의 논리: 스코핑 리뷰 (Med Educ, 2022)
The logic behind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y frameworks: A scoping review of the literature
Marije P. Hennus1 | Marjel van Dam2 | Stephen Gauthier3 | David R. Taylor3 | Olle ten Cate4

 

 

1 소개
1 INTRODUCTION

신뢰할 수 있는 전문 활동(EPA)은 역량 적용을 위한 명확한 목적을 제공하는 보건 전문가 교육에서 빠르게 진화하는 개념을 나타낸다.

  • [역량]은 교육자가 임상 실습에 제공하는 능력을 반영하는 반면,
  • EPA는 이러한 역량이 필요한 의료의 과제이다.

EPA는 개별적인 직업별 작업(또는 작업 묶음)으로, 일반적으로 식별 가능한 환자 치료 행위이며, 여기에는 여러 역량(중요한 지식, 적절한 기술 및 태도 포함)의 통합이 필요하다. 학습자는 기본적으로 이러한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EPA를 위해 훈련되고 있으며, 처음에는 엄격한 감독 하에 점차 자율적으로 훈련되고 있다. EPA에서 유능해지기 위한 진행은 소위 [위탁-감독 척도]를 따른 학습자의 여정을 반영한다. 이러한 척도는 학습자가 안전한 환자 치료를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감독 수준을 포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역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독 강도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신중하게 낮춰야 한다. 전체적으로 본다면, 일련의 EPA는 전문 교육을 위한 커리큘럼의 틀을 정의하고 알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전문직의 핵심 활동을 반영한다. 이와 같이 EPA 기반 커리큘럼은 임상 훈련과 평가를 임상의가 일상 업무에서 실제로 수행하는 작업과 연결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점점 더 많은 수의 대학원 의학 훈련 프로그램이 커리큘럼을 재설계하기 위해 그것들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s) represent a rapidly evolving concept in health professionals' education that offers clear purpose for the application of competencies. Whereas

  • competencies reflect the capabilities trainees bring to clinical practice,1 
  • EPAs are the tasks of health care for which these competencies are needed.

An EPA is a discrete profession-specific task (or bundle of tasks), typically an identifiable act of patient care, which requires the integration of multiple competencies (including vital knowledge, appropriate skills and attitudes).2, 3 Learners are essentially being groomed for EPAs by performing these tasks, initially under strict supervision and gradually more autonomously. Progression towards becoming competent in an EPA reflects a learner's journey along so-called entrustment-supervision scales. These scales aim to capture the level of supervision a learner requires to ensure safe patient care; with increasing competence, the intensity of supervision should be carefully lowered over time.4, 5 Taken collectively, a set of EPAs can be used to define and inform the framework of a curriculum for specialty training and, in fact, reflects the profession in its core activities. As such, an EPA-based curriculum has the potential to link clinical training and assessment to the work that clinicians actually do in daily practice.6 Consequently, an increasing number of postgraduate medical training programmes have begun using them to redesign their curricula.7, 8

EPA는 이해관계자 간에 내용 타당성과 수용성을 모두 제공할 수 있는 신중하게 구성된 접근방식을 요구한다. EPA의 개발 과정을 안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지침이 존재하지만, [예비 프레임워크 초안을 작성하기 위해 사용할 논리]를 결정하는 것은 중요하고 종종 어려운 첫 번째 단계를 제시한다. EPA 프레임워크의 논리는 개발자가 직업의 관행을 전문 작업 단위로 분해하기 위해 사용하는 관점으로 정의할 수 있다. 현존하는 문헌에서 발견된 보고된 접근법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역할 ('다른 분야의 컨설턴트 전문가 역할'), 
  • 절차 ('일반적인 폐 및 중환자 치료 절차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수행') 
  • 질병 관리 ('패혈증 환자 관리') 
  • 환자 범주 ('청소년 의료') 및 
  • 기능 ('외래 환자 클리닉 실행') 

EPAs require a carefully constructed approach that can deliver both content validity and acceptance among stakeholders.9 Although guidelines exist to help guid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EPAs,310 deciding what logic to use to draft a preliminary framework poses a crucial and often difficult first step. The logic of an EPA framework can be defined as the perspective used by the developers to break down the practice of a profession into units of professional work.11 Reported approaches found in extant literature include

  • roles (‘Act as the consultant specialist for other disciplines’),
  • procedures (‘Safely and efficiently perform common pulmonary and critical care procedures’),
  • disease management (‘Management of a patient with sepsis’),
  • patient categories (‘Adolescent healthcare’) and
  • functions (‘Running the outpatient clinic’).78 

유사한 분야에서도 서로 다른 접근법이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폐 및 중환자 의료에 대한 [미국] 펠로우십 교육을 위한 '기능' 및 '역할 기반' EPA를 [네덜란드] EPA의 보다 '질병 관리' 지향 EPA 프레임워크와 비교한다. '모든 사람에게 맞는 하나의 크기'라는 격언은 EPA 프레임워크의 개발에 분명히 적용되지 않는다. 설정, 목적, 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맞춤화가 불가피해 보인다.
Even within similar disciplines, different approaches have been used. Compare for instance the predominantly ‘function-’ and ‘role-based’ EPAs for American Fellowship Training in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12 with the more ‘disease management’ orientated EPA-framework of their Dutch counterparts.13 The ‘one size fits all’ adage clearly does not hold true for the development of EPA frameworks; customisation based on setting, purpose and/or training programme seems inevitable.

이 범위 문헌 검토는 대학원 의학 교육 및 펠로우십 프로그램에 걸쳐 EPA 프레임워크 개발에 사용된 지배적인 논리와 추가 연구를 위한 영역을 강조할 뿐만 아니라 EPA 개발을 위한 모범 사례 지침을 잠재적으로 알리기 위한 그들의 합리성을 매핑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This scoping literature review aimed to map the dominant logics used in the development of EPA frameworks across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fellowship programmes and their rationales to potentially inform best practice guidelines for EPA development in addition to highlighting areas for further research.

2 방법
2 METHODS

2.1 설계
2.1 Design

주제에 대한 기존 연구 결과를 수집, 평가 및 제시하는 반복적이고 유연한 방법인 범위 검토가 수행되었다. 우리는 철저한 검토를 추구하지 않고 지배적인 EPA 논리를 식별하고 매핑하기 위해 시작했기 때문에 체계적인 검토 대신 범위를 사용했다. 이는 체계적 검토 및 메타 분석을 위한 선호 보고 항목(PRISMA)의 범위 검토 확장에 따라 보고되었다. 
A scoping review, an iterative and flexible method to collect, evaluate and present findings from existing research on a topic,14 was performed. We used a scoping, instead of a systematic review, as we did not seek to be exhaustive but set out to identify and map dominant EPA logics.15 This was repor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RISMA)'s extension for Scoping Reviews.16

2.2 검색 전략
2.2 Search strategy

문헌 본문의 범위를 평가하기 위해, 우리는 Khalil 등으로부터 채택된 스코핑 리뷰에 대한 증거 기반 다단계 접근법을 사용했다. 2005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의 연구는 타당성과 폭 및 포괄성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3단계 문헌 검색을 사용하여 확인되었다.

  • 1단계는 제목과 초록에 포함된 텍스트 단어(위탁가능 프로페셔널 활동*)를 2명의 저자(MH, MD)가 독립적으로 선별하여 MEDLINE과 Embase에 대한 제한된 검색으로 구성되었다.
  • 두 번째 단계는 이 텍스트 단어들을 포함된 모든 데이터베이스(구글 스콜라, 스코푸스, 웹 오브 사이언스 추가)에서 검색어로 사용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EPA에 대한 문헌을 포괄하고 함께 고려할 때 가능한 포괄적으로 선택되었다. 이 검토에서 사용된 검색 구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지원 정보(부록 1)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세 번째 단계에는 확인된 모든 보고서 및 추가 연구를 위한 논문의 참조 목록 분석이 포함되었다.

To assess the extent of the body of literature, we used an evidence-based multistage approach to scoping reviews adapted from Khalil et al.17 Studies from January 2005 until December 2020 were identified using a three-step literature search in order to balance feasibility with breadth and comprehensiveness.

  • The first stage consisted of a limited search of MEDLINE and Embase by screening of text words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 contained in the title and abstract by two authors (MH, MD) independently.
  • The second stage used these text words as search terms across all included databases (adding Google Scholar, Scopus and Web of Science). These databases were chosen to span literature on EPAs and to be as comprehensive as possible when considered together. The full details of the search syntaxes used in this review can be found in the Supporting Information (Appendix 1).
  • The third stage included analysis of the reference lists of all identified reports and articles for additional studies.

2.3 연구 선정
2.3 Study selection

2.3.1 포함 기준
2.3.1 Inclusion criteria

포함시킬 수 있는 연구들은 다음과 같은 연구였다.

  • (i) 개발된 EPA 프레임워크의 논리를 설명하거나 최소한 EPA 제목을 제공한다. 
  • (ii) 대학원 의학 교육 또는 펠로우십 프로그램 및 
  • (iii) 영어로 쓰여졌다.

포함된 연구는 대조, 요약 및 결과 보고가 가능하도록 표와 서술 형식으로 차트화되었습니다.

Eligible for inclusion were studies that

  • (i) either described the logic of developed EPA frameworks and/or provided at least the titles of EPAs for
  • (ii) a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or a fellowship programme and
  • (iii) were written in English.

Included studies were charted in a tabular and narrative format allowing for collation, summarising and reporting of results.

2.3.2 배제 기준
2.3.2 Exclusion criteria

다음과 같은 문헌은 제외되었다.

  • (i) 주 원고, 보충 데이터 및 온라인 보충 데이터에 EPA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지 않아 기본 논리를 분석할 수 없었다. 
  • (ii) EPA의 규모와 복잡성의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하위) 전문 교육 프로그램의 단일 EPA 또는 일부 EPA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 (iii) 학부생, 대학원 의학 교육(GME)에 입학하는 신규 졸업생의 평가 및 기타 보건 전문직(예: 간호사, 수의사, 약사)을 위한 EPA 프레임워크를 제공했다.

Papers were excluded if they

  • (i) did not provide an EPA framework in either the main manuscript, supplemental data and/or online supplemental data, making it impossible to analyse the underlying logic;
  • (ii) described only a single EPA and/or EPAs for a part of a (sub)specialty training programme as this may have impacted decisions of size and complexity of the EPAs; and/or
  • (iii) offered an EPA framework for undergraduates, for the evaluation of newly graduated students entering graduate medical education (GME) and/or for other health professions (e.g., nurses, veterinarians and pharmacists).

2.4 선별과정
2.4 Screening process

두 명의 저자(MH, MD)는 검색 과정에서 반환된 모든 제목과 초록을 독립적으로 선별하여 포함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논문을 거부하였다. 논문을 포함하거나 제외하는 결정을 제목 및/또는 요약에 기초하여 내릴 수 없는 경우, 그 결정을 알리기 위해 전문에 접근했다. 현시점에서 불확실성이 여전했다면 제3의 저자(SG)가 심판 역할을 해 합의를 이끌어냈다. 
Two authors (MH, MD) independently screened all titles and abstracts returned during the search process, rejecting papers that did not meet the inclusion criteria. If a decision to either include or exclude a paper could not be made based on title and/or abstract, the full text was accessed to inform the decision. If uncertainties still remained at this point, a third author (SG) served as referee to help reach consensus.

2.5 논리의 분류
2.5 Categorisation of logic

심사 과정 동안 데이터의 반복 분석(종종 근거 분석이라고 함)을 이용한 귀납적 코딩 스타일을 두 명의 저자(MH, MD)가 독립적으로 사용하여 코드 초안을 작성했다. 이후 팀 미팅(MH, MD, SG, DT, OtC)을 개최하여 10편의 논문의 파일럿 코딩에 대해 논의하고, 이후 데이터 코딩과 추출을 MH와 MD가 수행하는 코딩 절차를 미세 조정하였으며, 두 저자는 제3저자(SG)와 함께 논문 내 포함된 모든 논문과 코딩된 EPA 로직을 독립적으로 읽고 재독하였으며, 사용된 논리에 대한 합의가 즉시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심판 역할을 맡았습니다. 
During the screening process, an inductive coding style using iterative analysis of the data (often referred to as Grounded Analysis) was be used by two authors (MH, MD) independently resulting in draft codes.18 Hereafter, a team meeting (MH, MD, SG, DT and OtC) was held to discuss a pilot coding of 10 papers and to fine-tune the coding procedure, following which data coding and extraction were performed by MH and MD. Both authors independently read and re-read all of the included papers and coded EPA logics within the papers with the third author (SG) serving as referee for papers when consensus on the logic used was not immediately reached.

3 결과
3 RESULTS

검색전략은 총 2607개의 인용을 확인하였으며, 중복제외 후 681개의 인용을 도출하였다. 이 중 42편의 논문이 이 검토에 포함되도록 선택되었다(PRISMA 다이어그램의 경우 그림 1 참조). 
In total, the search strategy identified 2607 citations, resulting in 681 citations after de-duplication. Of these, 42 papers were selected for inclusion in this review (for a PRISMA diagram see Figure 1).

3.1 EPA 프레임워크의 논리를 설명하는 논문의 일반적인 특성
3.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pers describing the logic of EPA frameworks

Microsoft Excel 버전 16.54(표 1)를 사용하여 관련 연구 데이터(예: 출판 연도, 국가, 전문성 및 교육 수준)를 추출하고 표로 작성했습니다. 포함된 논문의 주요 특성은 표 2에 요약되어 있습니다. 대학원 또는 펠로우십 프로그램에 대한 EPA 프레임워크의 논리를 설명하는 대부분의 연구는 미국(n = 22; 52%), 캐나다(n = 6; 14%), 네덜란드(n = 4; 10%)(표 2)에서 수행되었다. 보고된 전공의 범위 전체에서 가정의학과(n=4;10%), 내과학과(n=4;10%), 소아과(n=3;7%), 정신과(n=3;7%)가 가장 많았다. 또한 프레임워크의 69%는 전공의용(n = 29), 31%는 전임의용(n = 13)으로 개발되었다. 
Relevant study data (e.g., publication year, country, specialty and level of training) were extracted and tabulated using Microsoft Excel Version 16.54 (Table 1). Key characteristics of included papers are summarised in Table 2. Most studies describing the logic of EPA frameworks for postgraduate or fellowship programmes were conducted in the United States (n = 22; 52%), Canada (n = 6; 14%) and the Netherlands (n = 4; 10%) (Table 2). Across the reported range of specialties, family medicine (n = 4; 10%), internal medicine (n = 4; 10%), paediatrics (n = 3; 7%) and psychiatry (n = 3; 7%) were the most common. Furthermore, 69% of the frameworks had been developed for residency (n = 29), 31% for fellowships (n = 13).

 

3.2 다양한 EPA 프레임워크 로직
3.2 Variety of EPA-framework logics

총 862개의 EPA가 EPA 프레임워크(범위 3-79)당 14개의 EPA의 중위수로 42개 조항에 설명되었다(표 1). 데이터의 반복 분석을 사용한 귀납적 코딩 스타일을 기반으로 다음 논리가 확인되었습니다(예시).

  • 1) 임상 서비스를 포함한 서비스 제공: 직접('중상환 신생아의 영양 요구 관리') 및 간접 환자 치료('가족 회의 촉진') 및 
    비임상 의료 서비스('혈액 성분 수혈과 관련된 부작용 평가 및 보고') 
  • 2) 프로시져 ('삽관, 기관지경, 흉부천자, 중심 정맥 카테터 배치 및 초음파를 포함한 일반적인 중환자 치료 절차 수행' 및 
  • 3) 질병 또는 환자 그룹('비감염성 질염성 질염 환자 식별 및 관리') (표 1) 

A total of 862 EPAs were described in the 42 articles with a median of 14 EPAs per EPA framework (range 3–79) (Table 1). Based on an inductive coding style using iterative analysis of the data, the following logics were identified (with examples):

  • 1) service provision including clinical services for direct (‘Managing nutritional needs of critically ill newborns’) and indirect patient care (‘Facilitating family meetings’) as well as non-clinical health care services (‘Evaluating and reporting adverse events involving the transfusion of blood components’);
  • 2) procedures (‘Performing common critical care procedures, including intubation, bronchoscopy, thoracentesis, central venous catheter placement, and ultrasound’; and
  • 3) disease or patient groups (‘Identifying and managing patients with noninfectious GI luminal disease’) (Table 1). 

눈에 띄는 것은, 보고된 모든 EPA의 13%(n = 109)가 의사가 서비스하는 사람들의 의료 요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능력을 기술했다. (예: '평생 학습 참여', '전문적 행동 시연'). 이러한 EPA는 종합적인 위탁 결정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이 그룹은 4) 비 EPA로 분류되었다.
Notably, 13% (n = 109) of all reported EPAs described abilities physicians require to effectively meet the health care needs of the people they serve (e.g. ‘Engaging in life-long learning’, ‘Demonstrating professional behavior’). As these EPAs are not suitable for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s, this group was categorised as 4) non-EPAs.

대부분의 논문(n = 37; 88%)은 EPA 프레임워크 개발에 2개 이상의 논리를 사용했다(표준 = 3, 범위 = 1~4). 질병 또는 환자 그룹과 서비스 제공이 가장 많이 사용된 논리(각각 39%와 37%)였다(표 1).
The majority of papers (n = 37; 88%) used two or more logics in the development of EPA frameworks (median = 3, range = 1–4). Disease or patient groups and service provision were the most common logics used (39% and 37%, respectively) (Table 1).

4 토론
4 DISCUSSION

이 검토에서, 우리는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EPA의 프레임워크를 확립하기 위해 [논리의 조합을 사용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한 프로그램의 개발자들이 의도적으로 이러한 분류를 선택했을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지만, 많은 사람들은 단지 하나의 논리적 분류를 찾지 않고 최선의 접근법이 무엇인지 알아내는 데 시간을 보냈을 것이다. 지금까지 '최선의' 접근법에 대한 권고안이 제시되지 않았으며, 의료 전문 분야와 다른 보건 전문 교육 프로그램 간의 차이는 방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빠르게 확장되는 문헌에 비추어, 우리는 실제로 사용되어 온 지배적인 논리를 탐색하고 EPA 프레임워크를 만들기 위한 새로운 이니셔티브에 유용할 수 있는 권장 사항을 증류하고자 했다. 
In this review, we found that most programmes use a mix of logics to establish a framework of EPAs. Whereas the developers of those programmes may, or may not, have deliberately chosen these categorizations, many will have likely spent time to figure what the best approach would be, without finding just one logical categorisation. So far, no recommendations for a ‘best’ approach20 have been offered, and differences between medical specialties, and among othe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al programmes, seem defensible. In light of the quickly expanding literature, we sought to explore the dominant logics that have been used in practice and to distil recommendations that may be useful for new initiatives to create EPA frameworks.

4.1 EPA의 광범위한 서비스 범위
4.1 The broad service range of EPAs

EPA를 정의할 때 [EPA의 목적]을 염두에 두는 것이 유용하다. 여러 출판물들은 그것의 정의와 EPA가 역량과 어떻게 다른지 상세히 설명하였다. '전문 실무 단위'로서 EPA는 전문 업무를 개념화하기 때문에 반드시 교육 모델이 될 필요는 없다. 그들은 주로 전문 교육을 위한 커리큘럼을 개발하고 직장 평가 절차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그러나 [필수 작업essential tasks]을 정의하는 것이 항상 명확한 것은 아닙니다. 또한, EPA는 고유한 우선 순위, 의무 및 목적을 가진 국가 또는 심지어 [국제 기구]에 의해 점점 더 공식화되고 있다. 이는 지역적으로 EPA를 선택하거나 식별하는 자유를 제한하며 프로그램, 기관 또는 국가를 넘어서는 [총괄적 위임 결정]을 인정하는 역할을 한다. 가까운 장래에 EPA는 예를 들어 관련된 교육생과의 부작용 발생 시 책임에 대한 분쟁이 발생하거나 [의료행위 범위의 정당성]이 위태로울 때 사법기관에 의해 인정될 수 있다. 그것은 자격 증명으로 인정되고, 위탁되고, 인증될 수 있는 전문 실무 단위의 건전한 공식화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In defining EPAs, it is useful to keep their purpose in mind. Multiple publications have elaborated on its definition and how EPAs differ from competencies.3, 10, 21 EPAs, as ‘units of professional practice’, are not necessarily an educational model as they just conceptualise professional tasks.10 They have primarily been used to develop curricula and create workplace assessment procedures for specialty training; however, defining the essential tasks is not always clear-cut. Furthermore, EPAs are increasingly formulated by national or even international bodies with unique priorities, mandates and purposes.22-26 This limits the freedom to choose or identify EPAs locally and serves to acknowledge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s beyond a programme, institution or country. In a foreseeable future, EPAs may be acknowledged by legal bodies, for example, when disputes arise about accountability in case of adverse events with trainees involved27 or when the legitimacy of a scope of practice is at stake. That stresses the need for a sound formulation of the units of professional practice that can be acknowledged, entrusted and certified as a credential.

최근 몇 년 동안 교육 후 EPA의 잠재적 역할이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3개의 네덜란드 UMC의 상주 코디네이터는 최근 EPA에게 재인증의 핵심 지위를 줄 것을 간청했다. 또한, EPA의 사용은 어떤 직원이 어떤 의료 특권을 가지고 어떤 훈련을 어떤 수준에서 수행할지 명시하도록 요청하는 'Joint Commission'가 수행하는 것과 같은 [병원 자격 증명 요건]과 자연스럽게 일치fit한다. 이는 EPA의 추가 목적 역할을 한다.
In recent years, the potential role of EPAs after training has received more attention.28, 29 Residency coordinators of three Dutch UMCs recently pleaded to give EPAs a core status in recertification.30 In addition, the use of EPAs naturally fits with requirements of hospital credentialling, such as done by the ‘Joint Commission’,31 which ask to specify which employees have which health care privileges and which tasks are to be performed by which trainees under which level of supervision. This serves as an additional purpose of EPAs.

4.2 주요 논리의 장단점
4.2 Pros and cons of the main logics

EPA 프레임워크 개발을 위한 논리를 선택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각 접근방식은 아래에 논의된 바와 같이 장점과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The choice of a logic for developing an EPA framework may be difficult, as each approach comes with benefits and drawbacks as discussed below.

4.2.1 서비스 제공
4.2.1 Service provision

[서비스 제공 EPA]는 [일반적으로 임상의의 스케쥴에 포함된 활동]을 반영하므로, 장점은 손쉽게 인식, '지정assigned', 금지prohibited된다. 그것들은 [광범위하고 일반적]이며, 위임 결정은 이러한 서비스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프로시져와 질병에 대한 [적절한 경험]을 전제로 한다. 이로 인해 EPA가 주니어 학습자들에게 덜 적합하게less suitable 된다. EPA '표준 외래 환자 상담'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이는 보다 상급 의료 교육생에게 논리적이고 적합한 활동이다. 이 EPA에는 의대생에게 적합한 독립적 EPA로서 기능할 수 있는 '의학 이력서 작성' 및 '전체 표준 신체검사 수행'과 같은 활동이 포함될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서비스 제공 EPA]는 사례 특이성이 부족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감독 임상의가 적용apply하기 어려울 수 있다. 평가 시 표본 추출에 주의하지 않는 한, 이 접근 방식은 또한 특정 EPA에 대한 평가가 포함된 환자의 프레젠테이션 전반에 걸쳐 일반화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These EPAs reflect activities as they are usually scheduled for clinicians and are therefore easily recognised, ‘assigned’ and/or prohibited. They are broad and general, and entrustment decisions assume adequate experience with procedures and diseases that may be encountered during these services. This makes them less suitable for junior learners.3 Take for example the EPA ‘standard outpatient consultation’, a logical and suitable activity for more advanced medical trainees. This EPA will presumably include activities like ‘taking a medical history’ and ‘performing a full standard physical examination’, activities that in itself may serve as suitable standalone EPAs for medical students. Furthermore, service provision EPAs may lack case specificity and as a result can be challenging for supervising clinicians to apply.6 Unless there is careful attention to sampling in assessment, this approach also presumes assessments for a given EPA can be generalised across included patients' presentation.

4.2.2 프로시져
4.2.2 Procedures

일부 전공 분야의 경우 프로시져(또는 프로시져의 클러스터)가 선호 EPA(예: 내시경 및 수술)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잘 훈련될 수 있는 명확하고 잘 표시된 작업이다. 프로시져를 EPA로 채택하는 위험은 [개별적으로 고려할 때 매우 작거나 좁은 범위의 기술에 초점]을 맞춘다는 것이다. 작고 따라서 많은 절차적 EPA가 본질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학습자에게 이러한 자격을 부여하기 위한 심각한 [총괄적 위임 결정]의 절차는 까다로운 일이 될 수밖에 없다. 또한, 이러한 소규모 EPA는 신뢰에 대한 여러 조건을 포함하기보다는 [정신운동 능력에만 초점을 좁힐 위험]도 수반한다.
For some specialties, procedures (or clusters of procedures) can be preferred EPAs (e.g. endoscopies and surgeries); they are clear and well-demarcated tasks that generally can be trained well. The risk of adopting procedures as EPAs is that they may be very small when considered individually and that the focus is on a narrow range of skills.3, 6 Small and thus many procedural EPAs are not inherently problematic, but serious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s to qualify learners for these are bound to lead to cumbersome procedures.3, 6 Furthermore, these small EPAs incorporate the risk that the focus will narrow to psychomotor skills only, rather than including multiple conditions for trust.

4.2.3 질병 또는 환자군
4.2.3 Disease or patient group

[비시술적 전문분야]의 경우 [질병]이 빨리 떠오른다; [질병 X를 가진 환자를 관리하는 것]은 분명한 임무처럼 들린다. 질병이 논리로 나타나는 단점은 [감별 진단이 첫 번째 과제임을 무시하는 것]이다. 또한 질병은 학습자가 취급할 수 있는 공식적인 자격을 얻기보다는 '만난 것'의 체크박스 항목이 될 위험이 있는 [길고 상세한 목록]을 초래할 수 있다. [프로시져 EPA]와 유사하게, 질병에 대한 의료 전문지식을 중심으로 한 [좁은 범위의 역량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질병을 EPA의 논리로만 사용하는 것은 유용하고 실용적이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단 및 리퍼referral 후 치료가 일반적인 경우]에는 [질병 또는 질병 그룹]이 유용한 논리가 될 수 있다.
For non-procedural specialties, diseases come to mind quickly; managing patients with disease X sounds like a clear task. A draw-back of diseases as a logic is the disregard of differential diagnosis as a first task. Further, diseases may result in long and detailed lists with the risk of becoming checkbox items of what the learner ‘has encountered’ rather than having received a formal qualification to handle.3, 6 Analogously to the procedural EPA, it can focus on a narrow range of competencies centred on medical expertise for a disease. Using diseases only as the logic for EPAs may not be useful and practical. In some cases, diseases or disease groups can be a useful logic, for example, when treatment after diagnosis and referral is common practice.

4.2.4 비EPA
4.2.4 Non-EPAs

우리는 발표된 모든 'EPA'가 종합위탁 결정에 적합한 것은 아니며, 어떤 것은 EPA로서 유용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했다. 우리는 모든 EPA의 13%(표 1)를 비 EPA로 분류했으며, 종종 의사가 서비스하는 사람들의 의료 요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키는 데 필요한 능력을 설명한다. '평생 학습 참여', '전문적 행동 시연', '환자 안전 강화', '환자 개개인에 대한 옹호'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활동을 수행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에서 직간접적인 감독 하에 허가하는 것으로의 전환을 상상하는 것은 어렵다. 우리는 훈련에 대한 이러한 목표의 중요성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지만, 그것들은 독립적 EPA와는 다른 방식으로 훈련에 통합되어야 한다. EPA로 유용하게 개념화되지 않은 훈련 목표를 다루는 몇 가지 방법이 최근 텐 카테와 슈마허에 의해 제공되었다. 
We deemed not all published ‘EPAs’ as suitable for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s and hence are less useful as EPAs. We qualified 13% (Table 1) of all EPAs as non-EPAs, often describing the abilities physicians require to effectively meet the health care needs of the people they serve. Examples include ‘Engaging in life-long learning’, ‘Demonstrating professional behavior’, ‘Enhancing patient safety’ and ‘Advocating for individual patients’. It is difficult envision the transition from a prohibition to perform these activities to permission to do so with direct or indirect supervision. We do not dispute the importance of these objectives for training, but they should be incorporated in training in a different way than stand-alone EPAs. Several ways to deal with objectives of training that are not usefully conceptualised as EPAs were recently provided by ten Cate and Schumacher.32

이 연구의 몇 가지 한계를 고려해야 한다. 첫째, 의학 대학원 및/또는 동료 훈련 프로그램의 발표된 EPA 프레임워크만 포함되었기 때문에 선택과 출판 편향의 문제가 있다. 네덜란드의 모든 전문 교육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EPA 유형의 요약을 포함하는 최근 논문은 유사한 논리를 발견했으며 부분적인 '회색 문학' 확인으로 볼 수 있다. 우리의 검토에서, 주요 이해관계자 그룹과 관련된 초기 EPA 프레임워크에 대한 근거는 일반적으로 설명되지 않았다. 개발자는 처음부터 시작했거나 통치 기관이나 국가 기관이 부과한 지침과 요구사항을 따랐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적격 기사들은 외과 전문분야의 거의(n = 2)를 포함하였고, 이는 잠재적으로 논리로서 '구조'를 과소평가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논리의 중요성은 네덜란드에서 더 높은 발생률로 뒷받침된다. 보고된 일부 EPA는 둘 이상의 논리 범주로 분류될 수 있다. EPA 세트에 따라 EPA는 한 세트에서는 환자 범주이고 다른 세트에서는 서비스 범주일 수 있다. 

Several limitations of this study must be considered. First, there is the issue of selection and publication bias as only published EPA frameworks of medical postgraduate and/or fellow training programmes were included. A recent paper that includes a summary of the types of EPAs used by all specialty training programmes in the Netherlands found similar logics and can be seen as a partial ‘grey literature’ confirmation.26 In our review, the rationales for the initial EPA frameworks as relates to key stakeholder groups were usually not described. Developers may have started from scratch or have followed guidelines and requirements imposed by governing institutions or national bodies. Next, eligible articles included few (n = 2) from surgical specialties, potentially leading to an underestimation of ‘procedures’ as a logic. The importance of this type of logic, however, is supported by its higher occurrence in the Netherlands.26 Some reported EPAs could be categorised in more than one logic category; depending on the set of EPAs, an EPA may be a patient category in the one set and a service in the other.

수용된 권장 사항을 따름으로써 [개선할 수 있는 많은 EPA 제목]을 접했는데, 이는 논리 범주에 대한 의구심을 해소했다. 예를 들어, '검사 결과 전달'은 전문 실무의 독립적 단위로 간주할 가치가 거의 없기 때문에 확실히 더 성숙한 EPA에 내포될 수 있는 조기 교육 EPA일 수 있으며 부정사infinitive로 더 잘 공식화될 수 있다('진단 시험 결과의 소통'). 우리가 했던 [범주화의 한계]는 [full EPA description]에 대한 통찰력을 거의 갖지 못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는 '예방'을 비 EPA로 인정했지만, 규격에는 EPA가 서비스 제공 논리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도록 만들 수 있는 매우 구체적인 하위 활동의 번들 또는 목록이 포함되어 있었을 수 있다. 단지 '예방'을 위해 임상의사를 인증하는 것은 종합적인 위탁 결정에 필요한 명확성이 부족하다. 마지막으로, EPA의 효과나 유효성을 설명하는 제한된 연구가 존재하며, 현재까지 우리는 어떤 논리 범주의 우월성을 지지할 이유가 없다. 향후 연구는 일반적인 EPA 사용에 대한 타당성 증거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설명된 논리의 사용(또는 우월성)을 뒷받침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
We encountered many EPA titles that could be improved, if accepted recommendations10 were followed, which we gave the benefit of the doubt for a logic category. For example, ‘Communicates results of exams’ might be an early training EPA that would definitely be nested in a more mature EPA, as it is hardly worth considering it a stand-alone unit of professional practice, and it might be better formulated with an infinitive (‘Communicating diagnostic exam results’). A limitation of our categorisation is that we rarely had insight into the full EPA description. For example, we qualified ‘Prevention’ as a non-EPA, but the specifications might have included a bundle or list of very concrete sub-activities that could have made us consider the EPA as belonging to the service provision logic. Certifying clinicians just for ‘prevention’ lacks the necessary clarity for a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 Finally, limited studies exist describing the effectiveness or validity of EPAs, and to date, we have no reason to support superiority of any one logic category. Future research should be directed at providing validity evidence for not only the use of EPAs in general but also to support the use (or superiority) of the described logics.

5 결론
5 CONCLUSION

이 연구는 대학원 의학 교육 및 펠로우십 프로그램에 걸쳐 EPA 프레임워크 개발에 사용되는 논리를 매핑하기 시작했다. '서비스 제공', '절차' 및/또는 '질병 또는 환자 그룹'이라는 세 가지 주요 논리가 식별될 수 있다. 각 논리에 대해 명확한 정의는 예, 이점 및 한계와 함께 제공됩니다. EPA에서 직업의 필수 업무를 포착하려고 할 때, 발견된 논리 유형 중 두세 가지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해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EPA 프레임워크 개발자에게 유용한 발판을 제공할 수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map the logics used in development of EPA frameworks across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fellowship programmes. Three dominant logics could be identified, namely, ‘service provision’, ‘procedures’ and/or ‘disease or patient groups’. For each logic, a clear definition is provided together with examples, benefits and limitations. When trying to capture the essential tasks of a profession in EPAs, the use of a combination of two or three of the types of logic found seems most suitable. These findings may provide helpful scaffolding for future EPA-framework developers.

 


Med Educ. 2022 Sep;56(9):881-891.  doi: 10.1111/medu.14806. Epub 2022 Apr 19.

 

The logic behind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y frameworks: A scoping review of the literature

 

Affiliations

1Department of Pediatric Intensive Care,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Utrecht, The Netherlands.

2Intensive Care Center,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Utrecht, The Netherlands.

3Department of Medicine, Quee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Kingston, Ontario, Canada.

4Center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Utrecht, The Netherlands.

PMID: 35388517

PMCID: PMC9542438

DOI: 10.1111/medu.14806

Free PMC article

 

Abstract

Introduction: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s), discrete profession-specific tasks requiring integration of multiple competencies, are increasingly used to help define and inform curricula of specialty training programmes. Although guidelines exist to help guide the developmental process, deciding what logic to use to draft a preliminary EPA framework poses a crucial but often difficult first step. The logic of an EPA framework can be defined as the perspective used by its developers to break down the practice of a profession into units of professional work. This study aimed to map dominant logics and their rationales across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fellowship programmes.

Methods: A scoping review using systematic searches within five electronic databases (Medline, Embase, Google Scholar, Scopus and Web of Science) was performed. Dominant logics of included papers were identified using inductive coding and iterative analysis.

Results: In total, 42 studies were included. Most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United States (n = 22; 52%), Canada (n = 6; 14%) and the Netherlands (n = 4; 10%). Across the reported range of specialties, family medicine (n = 4; 10%), internal medicine (n = 4; 10%), paediatrics (n = 3; 7%) and psychiatry (n = 3; 7%) were the most common. Three dominant logics could be identified, namely, 'service provision', 'procedures' and/or 'disease or patient categories'. The majority of papers (n = 37; 88%) used two or more logics when developing EPA frameworks (median = 3, range = 1-4). Disease or patient groups and service provision were the most common logics used (39% and 37%, respectively).

Conclusions: Most programmes used a combination of logics when trying to capture the essential tasks of a profession in EPAs. For each of the three dominant logics, the authors arrived at a definition and identified benefits, limitations and examples. These findings may potentially inform best practice guidelines for EPA development.

간접 환자돌봄의 교육적 가치 최적화하기 (Med Educ, 2022)
Optimising the educational value of indirect patient care
Danielle O'Toole1 | Marina Sadik1 | Gabrielle Inglis1 | Justin Weresch1 | Meredith Vanstone1,2

 

1 소개
1 INTRODUCTION

환자 치료의 활동은 환자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시간에 국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인 의사는 50% 이상의 시간을 간접 환자 치료 활동(IPCA) 또는 대면상호작용이 필요하지 않은 치료 작업에 소비합니다. IPCA는 비동기 업무, 사무실 외부 방문 및 데스크톱 의료라고도 할 수 있다. 표 1은 전자건강기록(EHR)의 '수신함' 관리 등 IPCA의 여러 가지 범주의 예를 제공한다. 여기에는 영상 및 실험실 결과 검토 및 관리, 상담 노트, 양식 작성 및 처방된 의약품의 보충이 포함된다.
The activities of patient care are not confined to time spent directly interacting with a patient. A typical physician spends more than 50% of their time on indirect patient care activities (IPCA), or care tasks that do not require a face-to-face interaction.1-3 IPCA may also be called asynchronous tasks, activities outside of office visits and desktop medicine.4-7 Table 1 provides examples of several different categories of IPCAs, such as managing the ‘inbox’ of the electronic health record (EHR), which includes reviewing and managing imaging and laboratory results, consult notes, completing forms and refilling prescribed medications.


EHR의 채택과 관련하여 IPCA에 들어가는 시간도 증가했다. EHR은 의료 전, 치료 중 및 치료 후 의료 정보에 대한 신속한 액세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2008년과 2012년 사이에 임상 실습에 널리 채택되었다. EHR의 잠재적 이점에도 불구하고, 기술의 통합은 과제를 가져왔다. 

  • 환자-의사 상호 작용의 변화,
  • 치료의 의미 있는 측면에서의 주의 산만,
  • 의료진에게 사무 업무를 재배포하고 새로운 업무를 창출(예: 의약품 조정, 데이터 입력 및 전자 처방).

일부 활동 유형의 작업량을 줄였습니다. (예: 처방 및 일부 실험실 관련 작업) 
어떤 활동의 작업량은 늘어났다. (예: 예방 관리 작업 및 다른 받은 편지함 항목 검토)

이에 따라, EHR은 의료 행위를 재구성하여 IPCA에 소요되는 시간을 전반적으로 증가시켰다.
The time requirements of IPCAs have increased in relation to the adoption of EHRs.1, 8-11 The EHR was widely adopted into clinical practice between 2008 and 2012,7 because it provides rapid access to medical information before, during and after care with aims of improving quality care and safety.12-14 Despite the potential benefits of the EHR, the integration of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challenges, including

  • altering patient–physician interaction,
  • distracting from meaningful aspects of care,
  • redistributing clerical tasks to the clinician and creating new tasks (e.g. medication reconciliation, data entry and electronic prescribing).41215-18 

It has reduced the workload of some types of activities (e.g. prescribing and some lab-related tasks), while increasing others (e.g. preventative care tasks and reviewing other inbox items).3, 7, 19, 20 Accordingly, this technology has re-shaped medical practice, resulting in an overall increase in the time spent on IPCAs.1, 8-11

IPCA는 많은 전문분야와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심장내과, 내과, 정형외과 전문의들도 마찬가지로 시간의 50%를 간접적인 환자 활동에 사용한다. 정신과, 집중치료, 응급의학에서도 같은 경향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호주, 독일 및 영국을 포함하여 EHR 사용이 일반적인 고소득 국가에서 일관된다. IPCA는 특히 가정의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 가정의학과 의사는 환자의 '메디컬 홈'인 만큼 다른 의사가 지시한 조사와 치료를 검토하고 관리하는 경우가 많아 자주 호출된다. 일반 가정의의의 경우, EHR의 출현은 환자와 함께 보내는 매 시간마다 컴퓨터에서 1~2시간씩, 진료 시간 외(오전 8시~오후 6시)에 소요되는 평균 1.5시간의 추가 EHR 시간을 의미했다.
IPCAs are relevant to many specialties. For example, cardiology, internal medicine and orthopaedic specialists similarly spend 50% of their time on indirect patient activities.3 The same trend has been reported in psychiatry,21 intensive care22 and emergency medicine.23, 24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across high income countries where EHR use is common, including Australia,25 Germany26 and the United Kingdom.23 IPCAs may be especially taxing for family physicians. As the patient's ‘medical home’, family physicians who are often called to review and sometimes manage the investigations and treatments ordered by other physicians. For the average family physician, the advent of EHRs has meant 1–2 hours on the computer for every hour spent with patients, and an average of 1.5 hours of additional EHR time spent outside of clinic hours (8 AM–6 PM).4, 27

IPCA의 증가하는 부담은 의사의 일과 삶의 균형이라는 지속적인 도전을 악화시켜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번아웃을 증가시킨다. 의학 교육자들은 학습자들이 그들의 경력 전반에 걸쳐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IPCA를 처리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하는 해당 과제에 직면해 있다. 학습자가 이러한 작업을 관리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는 증거가 있으며, 한 연구에서 전공의는 임상 문서 요구 사항이 과도하며, 그로 인해 환자 치료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시간을 단축하고 더 가치 있다고 인식되는 교육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줄었다고 보고했다. [직무 만족도와 일과 삶의 균형을 모두 유지하면서, 고품질의 환자 치료의 균형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IPCA를 관리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 분야의 교육자들을 지도하기 위한 교육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훈련에서 이러한 IPCA의 영향과 이 중요한 교육을 가장 잘 제공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은 주민들이 이 중요한 역량을 획득하도록 돕는 중요한 부분이다.
The growing burden of IPCAs exacerbates the perennial challenge of work-life balance for physicians, affecting job satisfaction, and increasing burnout.28-35 Medical educators face the corresponding task of preparing learners to handle IPCAs in a sustainable way throughout their career. There is evidence that learners may not appreciate the importance of learning how to manage these tasks, with residents in one study reporting that clinical documentation requirements are excessive, compromising time to participate in direct patient care and decreasing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educational activities perceived as more valuable.36 Despite the importance of learning how to manage IPCAs in a manner that balances high quality patient care while maintaining both job satisfaction and a work–life balance, little educational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guide educators in this area. Understanding the impact of these IPCAs in training and how best to deliver this vital education is an important part of helping residents obtain this critical competency.

교육 프로그램이 IPCA의 교수와 위임을 어떻게 최적화할 수 있는지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우리는 가정의학과에 위치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여 미래의 실습을 위해 가족 의사를 적절하게 준비시켰다. '가족의학 거주자, 최근 졸업생 및 임상 감독관은 [간접 환자 치료 활동의 교육적 영향과 중요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To better understand how education programmes may optimise the teaching and entrustment of IPCAs, we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located in the discipline of Family Medicine to adequately prepare family physicians for future practice, asking ‘How do family medicine residents, recent graduates and clinical supervisors perceive the educational impact and importance of indirect patient care activities’?

2 방법
2 METHODS

2.1 설계 연구
2.1 Study design

이것은 임상 교육 요구 사항 탐색과 같은 사회적 과정 연구에 적합한 방법론인 [구성주의 근거이론 연구]입니다. 이 방법론의 구성주의적 기반은 [학습자가 자신의 일의 맥락을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강조]하며, 다음과 같은 힘에 의해 형성된다

  • 교육 정책(예: 인증 요건 및 시험),
  • 직업 및 작업 환경의 암묵적이고 명시적인 규범,
  • 가정의가 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며, 가정의가 어떤 유형의 일을 해야하는지에 대한 사회적 기대

근거 이론이 요구하는 데이터 수집과 분석 사이의 반복을 통해 우리는 한 그룹의 예비 통찰력을 바탕으로 다음 라운드에서 데이터 수집을 구축하고 형성하여 우리의 조사에 응답하고 심화시킬 수 있었다.

This is a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study,37 a methodology appropriate for the study of a social process such as navigating a clinical education requirement. The constructivist underpinnings of this methodology highlighted the different ways that learners may understand the context of their work, shaped by forces such as

  • education policy (e.g. accreditation requirements and exams);
  • implicit and explicit norms of the profession and work environment;
  • social expectations about what it means to be a family physician and what kind of work family physicians should do.

The iteration betwee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required by grounded theory allowed us to build on preliminary insights from one group, building and shaping data collection in the next round to respond to and deepen our inquiry.

2.2 연구 상황
2.2 Study context

이 연구는 캐나다 도시에 위치한 단일 가정의학 레지던트 프로그램의 맥락에서 수행되었다. 의료 거주자는 가정의학과 의사가 되기 위해 2년간의 일반 전문의 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하며, 일부에서는 3년차 고급 기술 교육을 선택적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이 대규모 레지던트 프로그램은 의학-박사 대학과 연계되어 있으며, 매년 3개의 훈련장에서 200명의 레지던트들을 수용한다. 2개의 교육장은 학계 가정의학 실습과 연계되어 있으며, 1곳은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여러 가정의학 실습이 있다.

  • Academic practices는 의료 전문가의 교육과 가르침이 교수진의 역할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의과대학과 관련된 것이다. 이러한 practice에서, 교수진 의사는 일반적으로 매일 2~3명의 학습자를 감독한다.
  • 지역 사회 practice는 지역 사회 내의 일반적인 가정의학 관행이며 의사는 일반적으로 한 번에 한 명의 학습자를 감독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context of a single Family Medicine residency programme located in urban Canada. Medical residents complete a 2-year generalist training programme to become Family Physicians, with an optional third year of enhanced skill training available to some. This large residency programme is affiliated with a medical-doctoral university, admitting 200 residents each year across three training sites. Two training sites are affiliated with academic family medicine practices, and one with multiple community-based family medicine practices.

  • Academic practices are those associated with a medical school, where education and teaching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are a large part of the role of faculty physicians. In these practices, faculty physicians typically supervise two to three learners each day.
  • Community practices are general family medicine practices within the community and physicians typically supervise one learner at a time.

2.3 이론 렌즈
2.3 Theoretical lens

본 연구에서는 [Billett의 직장 학습 이론]민감 개념으로 사용하였다. [민감 개념]은 연구 중인 현상에 대한 연구자들의 생각에 INFORM하는 배경 아이디어입니다. 직장 학습 이론은 연구를 시작할 때 선임 연구원(MV)에게 알려졌고, 이는 작업의 개념화와 설계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이 이론은 [작업장이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데, 이 [교육기회는 학습자가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해 확인하고 참여하도록 선택해야 하는 것]이라는 우리의 가정을 형성했다. [학습 기회의 식별]은 교육 및 조직 구조의 지도와 직장에 존재하는 다른 사람들의 입력에 의해 형성된다.

  • 이 이론적 렌즈는 IPCA를 학습자와 그들의 임상 교사들에게 [인식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교육적 어포던스]로 생각하는 우리의 생각에 영향을 미쳤다.
  • [인터뷰 가이드의 구축과 개선 과정]에서, 이 이론은 학습자가 학습 기회에 대해 인식하고 결정하는 방법, 그리고 직장에서 어떤 선호도가 식별을 장려하거나 바람직한 특정 학습 기회를 만드는지에 대해 조사하기로 한 우리의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 우리는 분석 중에 이 이론이 직장 학습에 대해 제공한 배경 문맥을 넘어 이 이론에 명시적으로 관여하지 않았다.

We used Billett's workplace learning theory as a sensitising concept in this work.38 Sensitising concepts are background ideas, which inform the researchers' thinking about the phenomenon under study.39 Workplace learning theory was known to the senior researcher (MV) at the onset of the study, influencing the way the work was conceptualised and designed. This theory shaped our assumptions that workplaces offer educational opportunities that learners must both identify and choose to engage with to learn effectively.38 The identification of learning opportunities is formed by the guidance of educational and organisational structures and the input of others present in the workplace.38 

  • This theoretical lens influenced our thinking of IPCA as an educational affordance that may or may not be recognised by learners and their clinical teachers.
  • During the construction and refinement of the interview guide, this theory influenced our decision to probe about the way that learners recognise and make decisions about learning opportunities, and what affordances in the workplace encourage the identification or make desirable particular learning opportunities.
  • We did not engage explicitly with this theory during analysis, beyond the background context it provided about workplace learning.

2.4 참가자
2.4 Participants

직장 학습의 맥락적 특성으로 인해 본 연구는 단일 가정의학 레지던트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현재 학습자, 현 교육자 및 지난 5년 이내에 졸업한 동문들을 모집합니다. 대상자는 현재 가정의학과 전공의('거주자')와 이 프로그램에서 지도자 역할을 하는 임상의-교육자('교육자') 및 지난 5년 이내에 이 프로그램을 졸업한 가정의사('초기 직업의사')이다.
Due to the contextual nature of workplace learning, we conducted this study around a single family medicine residency programme, recruiting current learners, current educators and alumni who have graduated within the past 5 years. Eligible participants were

  • current family medicine residents (‘residents’),
  • clinician-educators who have a preceptor role within this programme (‘educators’), and
  • family physicians who graduated from this programme within the past 5 years (‘early career physicians’).

2.5 샘플링 및 모집
2.5 Sampling and recruitment

우리는 세 참가자 그룹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샘플링 전략을 사용했다. 프로그램 사무소에서 발송된 이메일, 프로그램 리드 전공의, 임상 공간의 포스터, 공동 저자 팀의 그룹 학습 세션 시작 시 이루어진 연구에 대한 발표를 통해 전공의를 모집했다. 잠재적 거주 참가자는 연구 보조자나 선임 저자(MV)에게 연락하도록 요청하여 그들의 신원이 의사 공동 저자에게 알려지지 않도록 했다. 처음 5년간 의사는 프로그램 동문들을 위한 온라인 페이스북 그룹들과 연구팀의 전문 네트워크를 통해 이메일을 통해 모집되었다. 교육자들은 연구팀이 보낸 이메일을 통해 모집되었다. 
We used different sampling strategies for each of the three participant groups. Residents were recruited through e-mails sent from the programme office and lead residents of the programme, posters in clinical spaces and announcements about the study made at the beginning of group learning sessions by the co-author team. Potential resident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ntact the study research assistant or senior author (MV) so their identities were not known to physician co-authors, who may have held a position of authority over them. Physicians in the first 5 years were recruited through online Facebook groups for programme alumni and by e-mail through the professional networks of the research team. Educators were recruited through e-mails sent by the research team.

우리는 [편의 샘플]로 시작했고, 예비 데이터 수집을 이론적으로 관련된 초기 데이터 분석에서 식별되어감에 따라서 참여자 임상 경험(위치, 임상 실습 및 기간)의 다양성을 보장하기 위해 [목적적이고 이론적으로 정보에 입각한 접근 방식]으로 이동했다. 
We started with a convenience sample and after preliminary data collection moved to a purposeful, theoretically informed approach to ensure diversity in participant clinical experience (location, clinical practice and duration), as these aspects were identified in initial data analysis as theoretically relevant.

이것은 [근거 이론 연구]였기 때문에, 우리는 데이터 충분성에 대한 판단을 안내하기 위해 [이론적 포화] 개념을 사용했다. 우리는 [이론에 기여하는 범주의 완전성]과 [이론적으로 지시된 유형의 샘플링 완료]와 관련해서 [이론적 포화]를 이해한다. 포화 식별은 데이터 분석 전반에 걸쳐 발생하는 프로세스로, 여러 분석가와의 논의를 통해 운영됩니다. 각 범주가 잘 개념화되어 있고, 식별된 이론이 모든 관련 데이터를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후, 분석 그룹은 [전반적으로 보면, 이론에 아무것도 추가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새로운 데이터 수집의 return이 감소한다]는 데 동의했다. 이 시점에서 우리는 코호트 및 수련 장소와 관련해서 [이론적으로 관련된 일부 관점]이 샘플에 강하게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러한 관점을 포함하기 위해 추가 자료를 찾았지만, 참여자의 다양성을 확대하기 위해 완료된 새로운 인터뷰는 새로운 분석 방향을 제시하지 못했다. 
As this was a grounded theory study, we used the concept of theoretical saturation to guide our judgements of data sufficiency.37, 40 We understand theoretical saturation to relate to the completeness of categories that contribute to a theory, and the completion of theoretically-indicated types of sampling. The identification of saturation is a process occurring throughout data analysis, operationalised through discussion with multiple analysts. After identifying that each category was well conceptualised, and the identified theory could account for all relevant data, the analytic group agreed that new data collection had diminishing returns, as it would not necessarily add anything to the overall theory.40 At this point we noted that some theoretically-relevant perspectives, related to cohort and training site, were not strongly present in the sample. We sought additional data to include these perspectives, but new interviews completed to expand the diversity of participants did not suggest new analytic directions.

2.6 데이터 수집
2.6 Data collection

데이터는 포커스 그룹과 개별 인터뷰를 통해 수집되었다. 포커스 그룹은 경력 단계별로 동질적이었다. 인터뷰와 포커스 그룹은 MV, MS, 그리고 연구 조수에 의해 촉진되었다. 이 개인들은 모두 질적 연구에 대해 훈련된 비-의사이며, 참가자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여성들이다. 개별 인터뷰는 스케줄링이 참가자의 포커스 그룹 가입을 허용하지 않거나 참가자가 인터뷰에 대한 선호도를 표시한 경우에 수행되었다. 각 참가자 그룹에 대해 별도의 인터뷰 가이드(보충자료로 포함)를 개발하고 데이터 수집이 진행됨에 따라 다듬었다. 인터뷰 가이드는 문헌, 가정의학과 교사 및 학습자로서의 실제 경험, 연구 중인 문제에 대해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제출한 피드백을 바탕으로 다학제 팀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예비 포커스 그룹의 통찰력을 사용하여 미래 참가자의 모집 및 데이터 수집을 구체화하면서 한 번에 한 참가자 그룹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데이터 수집을 단계화했다. 인터뷰 가이드는 초기 분석 통찰력을 반영하고, 이론적으로 관련된 문제에 대해 프로빙하고, 조사 범위를 세분화하기 위해 수정되었다. 전공의들은 우리의 처음이자 마지막 그룹이었기 때문에 우리는 프로젝트 진행 중에 발전한 새로운 분석 통찰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Data were collected via focus groups and individual interviews. Focus groups were homogeneous by career stage. The interviews and focus groups were facilitated by MV, MS and a research assistant. These individuals are all women trained in qualitative research, non-physicians and unknown to the participants. Interviews were conducted when scheduling did not permit participants to join a focus group, or where the participant indicated a preference for an interview. Separate interview guides (included as supplementary material) were developed for each participant group and refined as data collection progressed. Interview guides were developed by our multi-disciplinary team based on literature, practical experience as family medicine teachers and learners, and feedback submitted to the residency programme about the issue under study. We staged our data collection to focus on one participant group at a time, using insight from preliminary focus groups to shape recruitment and data collection of future participants. Interview guides were amended to reflect initial analytic insights, to probe about theoretically relevant issues, and to refine the scope of inquiry. Residents were our first and our last group, so we could affirm emerging analytic insights that developed over the course of the project.

2.7 데이터 분석
2.7 Data analysis

데이터 분석은 구성주의 근거 이론을 상징하는 단계적 프로세스로 진행되었습니다. 이는 초기 데이터가 수집되는 즉시 시작하여 예비 통찰력을 향후 데이터 수집에 inform하는 것이다. 여러 분석가개방형 귀납적 코딩에 참여하여 팀 전체와 만나 잠재적인 집중 코딩에 대한 아이디어를 논의했습니다. 이 미팅을 통해 식별된 범주는 추가 코딩 라운드에서 운영되었으며, 이를 통해 우리는 집중적인 코딩 스키마를 생성하도록 조정, 확장 및 정교해졌다. 이 코딩 스키마의 적용은 연역적(귀납적 코딩을 통해 개발된 스키마를 적용)귀납적(확장, 정제, 정교화) 사이에서 다양한 코딩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귀납적]에서 [연역 – 귀납적]으로의 이러한 움직임은, 우리의 분석이 데이터에 기반을 두도록 보장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테마를 귀납적으로 파악하였다. 우리는 연구 질문에 직접적으로 반응하는 주제를 개발하여 [교사 및 학습자의 경험을 설명]하는 것과 관련된 주제와 [가정의학의 교수 및 학습 개선을 위한 제안] 사이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 노력했다. 
Data analysis proceeded in a staged process emblematic of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beginning as soon as initial data were collected so preliminary insights informed future data collection. Multiple analysts engaged in open inductive coding, meeting with the whole team to discuss ideas for potential focused coding. The categories identified through this meeting were operationalised in an additional round of coding, through which we refined, expanded and elaborated to produce a focused coding schema. Application of this coding schema was accomplished through multiple rounds of coding that varied between deductive (applying the schema developed through inductive coding) to inductive (expanding, refining and elaborating schema). This movement from inductive to deductive–inductive ensured that our analysis remained grounded in the data. Through this process, themes were inductively identified. We developed themes, which were directly responsive to the research question, striving to achieve a balance between those relevant to describing the experiences of teachers and learners and those relevant to suggestions for improving teaching and learning in family medicine.

2.8 윤리
2.8 Ethics

이 연구는 해밀턴 통합연구윤리위원회(11547)의 승인을 받았으며, 모든 참여자는 각 데이터 수집 세션 시작 시 전자적으로 그리고 구두로 사전 동의를 제공하였다. 우리는 연구팀의 의사 교육자와 거주자 참여자 사이의 권력 불균형을 잠재적 윤리적 문제로 식별했다. 상주 참가자를 보호하기 위해, 우리는 의사 연구 팀원들이 원본 오디오 파일이나 확인된 녹취록을 포함하여 상주 참가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보장했다.
This study was approved by the Hamilton Integrated Research Ethics Board (11547), and all participants provided informed consent electronically and again verbally at the beginning of each data collection session. We identified the power imbalance between the physician educators on the research team and the resident participants as a potential ethical issue. To protect resident participants, we ensured that physician research team members did not have access to any information which would identify resident participants, including original audio files or identified transcripts.

3 결과
3 RESULTS

우리는 19명의 거주자(R), 16명의 의사(P), 7명의 경험 있는 의사 교육자(E)로부터 인터뷰 및 포커스 그룹 데이터를 수집했다. 각 포커스 그룹에 3~6명의 참가자가 참여한 가운데 6개의 개별 인터뷰와 11개의 포커스 그룹을 실시하였다. 가정의학 실천 유형의 광범위한 다양성으로 인해, 우리는 표 2-4에 practice 유형을 학문적, 공동체적, 비전통적인 것으로 요약했다. '비전통적 행위'은 예를 들어 병원 의사, 입원 환자 정신 건강 기관, 사망 의료 지원, 완화 치료 및 교도소 보건/교정 시설과 같은 집중적인(제너럴리스트가 아닌) 행위을 의미한다. 참여자 인구통계 정보는 표 2-4에서 확인할 수 있다.
We collected interview and focus group data from 19 residents (R), 16 physicians in the first 5 years of practice (P) and 7 experienced physician educators (E). We conducted 6 individual interviews and 11 focus groups with three to six participants in each focus group. Due to the broad variability of family medicine practice types, we have summarised practice types in Tables 2–4 as academic, community and non-traditional. ‘Non-traditional practices’ refer to focused (rather than generalist) practices, for, for example, hospitalist, in-patient mental health unit, Medical Assistance in Dying, Palliative care and prison health/correctional facilities. Participant demographic information can be found in Tables 2–4.

우리는 먼저 모든 그룹의 참가자들이 [IPCA가 가정의사로서의 경력 기간 동안 반드시 지녀야 하는 무게로 작용한다]는 분석 결과에 대해 논의한다. 다음으로, 우리는 그들의 경력 초기에 그 무게를 부담으로 보았고, 더 많은 경험 있는 그룹들이 그 무게는 가정의학에서 지속 가능한 경력을 쌓는 데 필요한 힘을 기를 수 있는 기회라고 어떻게 이해했는지 설명한다. IPCA 작업을 부담 또는 강도 훈련으로 느끼게 하는 이유에 대한 이러한 논의에서 참가자들은 몇 가지 악화 및 완화 요인(모호한 기대, 작업량 불평등에 대한 인식, 환자 및 작업에 대한 교수 및 친숙함)을 식별했으며, 이는 차례로 논의된다. 우리는 표준화, 점진적 도입, 작업량에 대한 투명성, 명시적 교육 및 피드백과 경계 설정 등 IPCA의 교육 가치를 최적화하는 방법에 대한 거주 프로그램에 대한 참가자 권고를 설명함으로써 이 섹션을 마무리한다.

We first discuss the analytic finding that participants in all groups identified IPCA work as a weight they must carry for the duration of their career as family physicians. Next, we describe how those earlier in their career viewed that weight as a burden, and more experienced groups understood that weight to be a chance to develop the strength needed for a sustainable career in family medicine. In these discussions of what made IPCA work feel more like a burden or strength training, participants identified several exacerbating and alleviating factors (ambiguous expectations, perceptions of workload inequity, teaching and familiarity with patients and tasks), which are discussed in turn. We conclude this section by describing participant recommendations to residency programmes about how to optimise the educational value of IPCAs: standardisation, gradual introduction, transparency about workload, explicit teaching and feedback and boundary setting.

3.1 IPCA의 무게: 부담 또는 근력 훈련?
3.1 The weight of IPCAs: Burden or strength training?

모든 참가자들은 그들의 실천 단계에 관계없이 IPCA가 가정의학의 필요하지만 불쾌한 부분이라는 인식을 공유했다. 그들은 IPCA가 환자 치료를 위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했지만, 끝이 없어 보이는 서류작업의 '과중한 책임'(P6)도 설명했다. 참가자 그룹이 분화된 곳은 이 무게를 짊어지는 것의 성격과 영향을 [부담]으로 보았는지, 그들의 경력 동안 [이 무게를 짊어지는 데 필요한 힘이나 힘을 기를 수 있는 기회]로 보았는지에 대한 것이다.
All participants, no matter their stage of practice, shared the perception that IPCAs are a necessary but unpleasant part of family medicine. They recognised that IPCAs are required for patient care, but also described the ‘crushing responsibility’ (P6) of the seemingly never-ending stream of paperwork. Where participant groups diverged was how they framed the nature and impact of carrying this weight, as either a burden or an opportunity to develop the strength needed to carry this weight throughout their career.

[전공의들과 초기 직업 의사들]은 IPCA의 중요성을 교육 기회보다는 부담으로 강조했다. '그것은 나에게 어떤 교육적 가치보다 훨씬 더 많은 스트레스를 주었다.' (R12) 그들은 이러한 활동에 소비하는 시간이 학습, 일과 삶의 균형, 웰빙, 그리고 다른 교육 목표를 달성하는 능력을 저해하는 방법을 기술했다. '나는 확실히 그것이 압도적이라고 느낀다. 나는 그것이 지속가능하다고 느끼지 않는다'(P7). 그들이 이 무게를 견디기 위해 개발한 전략에는 늦게까지 머무르거나 휴가 기간을 사용하여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었다. '휴가시간을 이용해 매주 하루씩 전일제 가정의학과를 쉬었습니다'(R9)
Residents and early career physicians emphasised the weight of IPCAs as a burden rather than an educational opportunity: ‘it provided me way more stress than any educational value’ (R12) They described the ways that time spent on these activities impeded their learning, work–life balance and wellness, and ability to achieve other educational goals: ‘I definitely feel like it's overwhelming. I don't feel like it's sustainable’ (P7). The strategies they developed to carry this weight included staying late or using vacation time to accomplish these work tasks: ‘I've used my vacation time to take one day off every week of full-time family medicine’ (R9).

[독립의료를 하는 참가자]들은 IPCA의 무게에 대해 전공의들과 다르게 말했다. 그들은 이러한 업무가 환자 치료와 가족 의사의 업무 일부를 위해 필요하다는 것을 더 잘 인식했다. '당신이 이 양식을 완성할 때 당신은 당신의 환자에게 자금이나 자원 같은 것에 대한 접근권을 주는 것이고, 당신은 당신이 그들과 마주 앉아 있을 때보다 모든 면에서 혹은 그 이상으로 당신의 환자를 돕고 있는 것이다.'(E4)
Participants who were in independent practice spoke differently about the weight of IPCAs than residents. They were more apt to recognise that these tasks are necessary for patient care and part of the work of a family physician: ‘when you complete this form you are giving your patient access to funding or resources or whatever, you're helping your patient every bit as much or maybe more than when you're sitting face-to-face with them’ (E4).

[의사 경력 첫 5년 동안 의사]들은 레지던트 시절 IPCA 작업의 이점을 현재 진료에 반영했습니다. 'ODSP [Ontario Disability Support Program] 양식에는 분명히 재간finesse이 있습니다. 바보같이 들리지만, 그것들을 작성하면서 전공의로서 배우는 art가 있습니다. … 레지던트로서 그런 걸 알아내서 엉덩이를 박살내면서 시간을 보내서 다행이다, 그래, 스태프가 되면서 부담이 줄었다(P5).' 이 학습의 일부는 IPCA의 업무 스타일 변경을 포함하여, IPCA의 부담을 다루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Physicians in the first 5 years of their career recognised the benefits of the IPCA work they did in residency to their current practice: ‘There's obviously a finesse to ODSP [Ontario Disability Support Program] forms, it sounds silly to say but there is an art to filling them out and learning those things as a resident is helpful. … I'm glad that I spent time as a resident figuring that stuff out and busting my butt, then yeah, it reduced the burden when I became staff’ (P5). Part of this learning was developing strategies to deal with the burden of IPCAs, including changing their practice style:

'우리가 실제로 '지혜로운 선택'[불필요한 의학적 조사와 개입을 줄이기 위한 캠페인]과 같은 것들을 따르고, 검사와 조사 횟수를 줄인다면, [우리는 환자들과 더 많은 개인적, 신체적 접촉]을 할 뿐만 아니라, 들어오는 다른 데이터로부터도 부담을 덜 수 있을 것이다'(E7)
If we actually followed things like Choosing Wisely [campaign to reduce unnecessary medical investigation and intervention], and decreased the number of tests and investigations and things like that, we would not only have more personal, physical contact with our patients, but we would also have less burden from other data that is coming in’ (E7)

대부분 이러한 전략과 교훈은 실용적인 방법으로 학습되었으며, 많은 의사들은 [IPCA를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전공의의 중심 학습 목표라고 설명했다. '나는 그들을 설득하려고 노력하며, 지금 일을 잘 하면, 앞으로 보상이 있을 것이다.(P7)' 여기서, 우리는 모든 직업 단계의 교육자들이 [전공의 수련에서 IPCA의 무게]를 [부담으로 인식할 뿐만 아니라, 오랜 경력을 위해 자신을 훈련할 수 있는 기회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우리 모두가 마라톤을 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우리의 건강과 건강을 해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E1)
Mostly, these strategies and lessons were learned in a practical way, and many physicians described that learning how to manage IPCAs in a sustainable way is a central learning objective for residents: ‘I do try to convince them, put the work in now and it will pay dividends moving forward’ (P7). Here, we identified that educators of all career stages perceive the weight of IPCAs in residency not solely as a burden, but also as an opportunity to train oneself for a long career: ‘more important than that is making sure we can all do the marathon and that we don't burn out and compromise our health and wellness in the process’ (E1).

3.2 악화 및 완화 요인 
3.2 Exacerbating and alleviating factors

참가자들은 IPCA가 부담스럽다는 데 일관되게 동의했지만, 그러한 부담을 악화시키거나 완화하는 조건도 설명했다.
While participants consistently agreed that IPCAs are burdensome, they also described conditions that exacerbate or alleviate that burden.

3.2.1 모호한 기대치
3.2.1 Ambiguous expectations

전공의와 최근 졸업한 직원들은 [모호한 기대]를 요인으로 식별하여 IPCA의 부담을 가중시켰다. 실천에서 독립하기 전에, 전공의들은 그들의 지도자들의 목표, 우선순위, 과정을 따라야 한다. 이 영역에 대한 명확하고 일관된 지침이 없으면 IPCA 부담이 증가합니다. '당신은 또한 특정 시간대에 그것을 끝내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끼지만, 만약 그것이 당신의 물건이라면 당신은 "나는 이것을 내일 볼 것이다"와 같을 수 있다.(P5)
Residents and recently graduated staff identified ambiguous expectations as a factor, which exacerbated the burden of their IPCAs. Before becoming independent in their practice, residents must follow the goals, priorities and processes of their preceptors. Without clear and consistent instructions in this area, IPCA burdens are increased: ‘You also feel the pressure to get it done on a certain timeline, whereas if it was your own stuff you could be like “I'll look at this tomorrow”’ (P5).

3.2.2 작업량 형평성에 대한 거주자의 인식
3.2.2 Resident perceptions of workload equity

전공의 집단 특유의 또 다른 악화 요인은 할당된 작업의 양이나 강도에서 [전공의 간의 불평등한 차이]에 대한 인식이었다. 예를 들어, 농촌 실무에서 일하는 거주자들은 그들의 IPCA 부하가 학계 가족 보건 팀 내에서 일하는 거주자들보다 훨씬 적다고 보고했다. 일부 참가자들은 이를 [지도교사preceptor]의 선택 때문이라고 보았다. '운이 좋게도 어떤 지도교사를 얻었는지에 따라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받은 편지함을 관리해야 하는지에는 큰 차이가 있었습니다. 우리는 같은 사이트에 있었고 같은 수의 환자를 보았지만 일부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받은 편지함과 바쁜 업무에 훨씬 더 많은 시간을 보냈다.'(P1)
Another exacerbating factor unique to the resident group was perceptions of inequitable differences between residents in the volume or intensity of assigned work. For example, residents working in rural practices reported that their IPCA load was much less than those working within academic family health teams. Some participants attributed this to preceptor choice: ‘there were huge discrepancies in how much people had to manage the inbox based on what preceptor they got lucky enough to get. We were at the same site and seeing the same population of patients yet some people spent significantly more time on their inbox and busy work than others did’ (P1).

[작업을 관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리소스]에서도 비슷한 불평등이 발견되었습니다. 일부 관행은 전공의가 IPCA 업무를 다른 사람에게 위임할 수 있도록 허용한 반면, 다른 관행에서는 전공의가 직접 이 작업을 하도록 했다. 전공의들은 지도교사가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업무를 위임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아 업무량이 증가하고 만족도가 감소했다고 보고했다. 
'라벨을 인쇄하기 위해 프린터를 찾고 환자의 소변을 적신 다음 그것을 보내고 포장하기 위해 뛰어다니는 것은 거주 시간을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그럴 사람이 있어야 하고, 대부분의 클리닉에는 있지만, 우리에게는 없습니다.'

A similar inequity was seen in the resources available to manage this work. Some practices permitted residents to delegate IPCA tasks to others, while in other practices residents were required to do this work themselves. Residents reported that not being allowed to delegate work in the way their preceptors were able to do increased their workload and decreased their satisfaction: ‘It's not a good use of resident time to be running around trying to find a printer to print off labels, to then dip that patient's urine, to then send it off and package it up. There actually should be someone to do that, and in most clinics, there is, but for us, there's not’ (R9).

3.2.3 교육
3.2.3 Teaching

[모든 경력 단계의 교육자]들은 [전공의를 가르치는 데 필요한 시간, 인내심, 코칭]이 그들 자신의 IPCA 부담을 악화시킨다는 것을 확인했다. 전공의들은 그 일을 맡음으로써 IPCA 직원들의 요구를 완화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했지만, 교육자들은 전공의들에게 위임하는 것은 시간, 인내, 유연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내가 원하는 방식으로 교육하는 것은 매우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내가 해야 할 약간의 투자와 균형을 이루게 된다.' (E2)
Educators of all career stages identified that the time, patience, and coaching required to teach residents exacerbated their own IPCA burden. While residents perceived that they were alleviating the IPCA demands of staff by taking on that work, educators described that delegating to residents required time, patience and flexibility. ‘Teaching, if done in the way that I like to do it, it's very time consuming and so it balances out a bit of the investment that I do to have some tasks taken off my plate.’ (E2).

3.2.4 친숙함(환자, 진료소 및 전문 지식)
3.2.4 Familiarity (patients, clinic and expertise)

[환자와 친숙하지 않은 것]은 [전공의] 뿐만 아니라 [대리의사 직무locum work(다른 사람의 업무를 인계받거나 명단을 구축)로 인해 환자와 친숙하지 않을 수 있는 경력 첫 5년 동안 의사]의 IPCA 업무량을 악화시켰다. 의료진의 의사는 자신이 잘 알고 있는 환자의 경우 스스로 주문한 결과를 검토하는 데 있어 효율성을 설명했습니다. '또한 일단 실습을 하고 나면 환자를 잘 알게 되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그러한 요소들은 환자를 좀 더 낫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됩니다.'(P1)
Not being familiar with a patient exacerbated the workload of IPCAs for residents as well as for physicians in the first 5 years of their career who may not be familiar with patients due to locum work, taking over someone else's practice or building their roster. Staff physicians described the efficiency in reviewing results they ordered themselves, for a patient they were well-familiar with ‘You also have the benefit of knowing your patients well once you're out in practice, so those factors help make it a bit better.’ (P1).

3.3 권장 사항
3.3 Recommendations

참가자들은 IPCA에 대한 전공의 교육 경험을 개선하기 위한 전공의 프로그램에 대한 권고 사항을 제공했습니다. 참가자들은 프로그램이 [IPCA에 대한 전공의 참여를 표준화하고 학습자와 교사 모두에게 지침과 기대를 명확하게 전달할 것]을 권고했다. '교육 목표와 기대는 무엇인가에 대한 유닛의 집단적 메시지가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E5) 이는 교육 현장 전반의 IPCA 워크로드에 대한 인식된 불평등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간주되었습니다. 전공의들은 또한 프로그램이 학습자에게 IPCA를 완료하기 위한 [전용 시간]을 제공할 것을 권고했다. [전용Dedicate 시간]은 전공의가 직무의 다양한 구성 요소를 학습할 때 담당 의사와 동일한 업무량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추가 시간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Participants provided recommendations to residency programmes for improving the resident educational experience with IPCAs. Participants recommended that programmes standardise resident involvement in IPCAs and clearly communicate instructions and expectations to both learners and preceptors: ‘It is important that there is a collective message that comes from the unit about … what are the educational goals, [and] what are the expectations.’ (E5) This was seen as a way to ameliorate the perceived inequity in IPCA workload across training sites. Residents also recommended that programmes provide learners with dedicated time to complete IPCAs. Dedicated time would help account for the additional time residents require to do the same workload of a staff physician as they learn the various components of the task.

또한, 참가자들은 IPCA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점진적인 도입]이 중요하다고 제안했다. 참가자들은 이것이 업무량을 줄이고 IPCA 관련 스트레스를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믿고 있으며, 특히 임상 치료의 다른 측면을 배우면서 레지던트 초기에 더욱 그렇다. '그것은 아무도 모르는 내 동료 레지던트들의 첫 6개월 동안 정말 많은 사람들을 태워버렸다. 그들은 시스템을 몰랐고, 프로그램을 몰랐고, 어떻게 거주자가 되는지도 몰랐으며, 동시에 1,000명의 수신함을 어떻게 하는지도 몰랐다.' (P4) 
Further, participants suggested that a gradual introduction was important to develop capacity to handle IPCAs. Participants believe this may reduce the workload and help relieve IPCA-related stress, especially early in residency as they learn the other aspects of clinical care. ‘It really burnt out a lot of my co-residents in their first six months of residency when they didn't know anybody. They didn't know the system, they didn't know the program, they didn't know how to be a resident, and also how to do an inbox of 1,000 people at the same time.’ (P4). 
또한, 이 접근 방식은 IPCA 자체의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여겨졌다. 개업 의사들은 독립적인 개업에서 IPCA의 [예상 업무량 및 필연적 업무량]에 대한 투명성을 높였고, 이는 가정의학 경력의 일부로서 전공의들이 [IPCA의 현실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추론했다. 가정의학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IPCA의 현실을 논의하는 것은 이러한 [작업량에 대한 전공의들의 인식]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IPCA를 완료하는 지속 가능한 방법을 개발하도록 장려한다. "실제로 당신이 그것을 어떻게 제시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이것은 당신이 내 일을 하는 것에 대한 것이 아니라, 내가 당신에게 다른 종류의 교육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입니다. 결국 당신을 좋은 가정의사로 만들 것입니다." (E5)
In addition, it was felt this approach would allow for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learning of IPCAs themselves. Practicing physicians encouraged more transparency about the expected and inevitable workload of IPCAs in independent practice, reasoning that this would help residents understand and anticipate the reality of IPCAs as part of a career in family medicine. Discussing the reality of IPCAs as a significant component in family medicine may help residents' perception of this workload, encouraging them to develop sustainable ways to complete IPCAs: ‘I think it depends on how you actually present it, like, this is not about you doing my work, but this is about me providing you with a different kind of education, that in the end will make you a good family doctor’ (E5).

마지막으로, 모든 그룹의 참가자들은 IPCA에 대한 보다 명확한 교육, 피드백 및 커뮤니케이션, 특히 청구서, 차트 유지보수, 양식 및 사례 보고/검토를 권고했다. 이러한 교육은 전공의들이 보다 많은 지원을 통해 보다 점진적인 방식으로 지식을 쌓을 수 있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교육적으로 중요한 내용을 강조하고 열린 소통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학습 욕구, 학습 목표, 이러한 학습 기회의 가치, 전공의가 학습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관리하는지, 나아가면서 상황을 조정하고 모두가 함께 작업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E1)
Finally, participants in all groups recommended more explicit teaching, feedback and communication on IPCAs, especially billing, chart maintenance, forms and case debriefing/reviewing. This teaching would not only help residents build on their knowledge in a more gradual way with more support, but it would also provide an opportunity to highlight educationally important content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open communication. ‘I think it's important to have ongoing conversation about learning needs, learning goals, the value of these learning opportunities, how the resident is feeling about it and managing it and be tweaking things as you go and really have everybody working together on it.’ (E1).

마지막으로 IPCA는 끝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개인의 삶, 정신 건강, 건강을 보호하고 탈진을 피하기 위해 [제한을 두는 것]이 중요하다. 참가자들은 환자와의 경계 설정(예: 필요할 때 환자가 추가 예약을 하도록 권장), 자신에 대한 경계 설정(예: 긴급하지 않은 받은 편지함 항목을 다음날로 남겨두는 것) 및 [IPCA 작업을 완료까지의 시간을 제한하는 것]의 중요성을 반복적으로 표현했다. [솔선수범]하는 것은 전공의들이 독립 실무자와 동일한 전략을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했습니다. '나는 매우 효율적인 지도교사가 있었고, 우리는 결코 늦지 않았다. 그리고 그녀는 나에게 받은 편지함의 균형을 맞추는 법을 가르쳐 주었다. 환자를 보고, 가는 동안 차트를 작성하고, 당신과 함께 집에 가는 최소한의 일을 가져갔다. 그리고 오늘날까지 나는 여전히 그렇게 실천하고 있다. 그리고 그것은 임상적 부분과 IPCA 부분의 균형을 맞추는 방법을 배우는 것만으로도 큰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P1)
Finally, IPCAs are never-ending; thus, it is important to set limits to protect one's personal life, mental health, wellness and avoid burnout. Participants repeatedly expressed the importance of

  • setting boundaries with patients (e.g. encouraging patients to schedule an additional appointment when necessary),
  • boundaries for oneself, (e.g. leaving non-urgent inbox items for the next day) and
  • blocking off time to complete IPCA tasks.

Leading by example helped residents implement the same strategies as independent practitioners: ‘I had a very efficient preceptor, we never ran late … and she really taught me how to balance inbox, seeing patients, charting as you go, taking minimal work home with you, and to this day I still practice that way. And I think that was very helpful, just learning how to balance the clinical and the IPCA part.’ (P1).

4 토론
4 DISCUSSION

McMaster Family Medicine Residention 프로그램에서 전공의를 위한 간접 환자 치료 활동의 교육적 영향을 조사했습니다. 모든 참가자는 이 작업량이 필요하지만 종종 충족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했습니다. 그러나 이 작업에 대한 임상의의 관점은 이 작업에 대한 인식과 참여에 영향을 미쳤다. 불평등에 대한 모호한 기대와 인식은 학습자가 이러한 과제에 대한 혐오를 악화시켰다. 참가자들은 이 작업의 교육적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해 명시적인 교육 및 피드백과 함께 IPCA에 대한 표준화된 단계적 도입에 초점을 맞출 것을 권고했다. 
We explored the educational impact of indirect patient care activities for residents in the McMaster Family Medicine Residency programme. All participants recognised this workload as necessary, though often unfulfilling. However, the clinician's perspective on this work as either a burdensome additional weight or an opportunity to strengthen their management skills impacted their perception and engagement in the work. Ambiguous expectations and perceptions of inequity exacerbated learner dislike for these tasks. The participants recommended a focus on a standardised graduated introduction to IPCAs, with explicit teaching and feedback to improve the educational value of this work.

[빌렛의 직장 학습 이론]은 학습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교육 기회를 식별하고 참여하도록 선택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이 연구는 IPCA를 [비교육적 초과근무로 인식하는 것]이 학습자의 이러한 과제에서 학습하는 능력을 저해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것은 임상 작업장에서 배우는 것이 목적인 '학습자'으로서의 직업적 정체성을 가진 전공의들 사이에서 특히 심각할 수 있다. 스스로를 의료 사업에서 실천을 준비하는 '견습생'으로 보는 전공의들은 IPCA 업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략을 배울 기회를 더 많이 볼 수 있다. 우리는 [숨겨진 커리큘럼]이 IPCA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방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예를 들어, IPCA 과제가 임상의 시간 중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지만 지도, 평가 또는 교육적 가중치를 거의 받지 않는 경우, 전공의는 IPCA 과제가 중요하지 않고 가치가 없다고 생각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이 작업을 ['행정적' 작업]이 아닌 '간접적 환자 치료'로 지칭하는 것은 이러한 작업의 가치와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어 환자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공의의 역할에 관심이 쏠린다. 또한 IPCA 작업을 지속 가능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한 공식적인 교육 및 피드백 제공을 통합하면(예: 신뢰할 수 있는 전문 활동 또는 핵심 역량) 학습자가 이러한 작업의 교육적 가치를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뉴질랜드, 호주, 영국의 왕립 일반 실무자 대학과 같은 일부 교육 기관들은 [간접 환자 치료 기술]이 독립 실무에 필요한 역량이라고 명시적으로 밝혔습니다.
Billett's workplace learning theory describes that for learning to be effective, learners must both identify and choose to engage with educational opportunities. This study highlighted that the perception of IPCAs as non-educational extra work impedes learners' ability to learn from these tasks. This may be particularly acute amongst residents whose professional identity is as a ‘student’ whose purpose in the clinical workplace is to learn.41, 42 Residents who see themselves as an ‘apprentice’ preparing to practice in the business of medicine may be more likely to see opportunities for learning strategies to effectively manage IPCA work. We must be attentive to the ways in which the hidden curriculum de-values IPCA work.43 For example, when IPCA tasks take up a significant portion of clinician time but are seldom coached, assessed or given much educational weight, residents may learn to think of them as unimportant and not valuable.42 Referring to this work as Indirect Patient Care rather than ‘administrative’ work may help emphasise the value and importance of these tasks, drawing attention to the resident's role in providing health care to the patient. In addition, incorporating formal ways to teach and provide feedback on systems for sustainably and effectively managing IPCA work (e.g. as an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y or core competency) may also be helpful in helping learners recognise the educational value of these tasks. The groundwork has been laid here by some educational bodies, including the Royal College of General Practitioners in New Zealand,44 Australia45 and the United Kingdom,46 each of which have explicitly stated that indirect patient care skills are a required competence for independent practice.

IPCA 작업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 외에도, 이러한 작업은 추가 교육 가치를 제공합니다. 의료 전문가로서의 기술 외에도, [목적적 IPCA 교육]은 효율성, 우선순위 부여, 적절한 전문적 의사소통 및 협업을 포함한 전문성, 옹호 및 리더십의 이전 가능한 기술을 강조한다. 이러한 기술은 캐나다 면허 대학인 College of Family Physicians of Canada가 제공하는 레지던트 훈련 프로필의 핵심 전문 활동의 최근 출판에서 강조된다. 이 문서에는 [IPCA 관리(EHR 관리, 받은 편지함 관리, 양식 작성 및 처방 관리 포함)]뿐만 아니라 [자가 및 지속 가능한 의료 행위 관리]를 의료의 유능한 관행에 중요한 핵심 전문 활동으로 나열합니다. 적절한 훈련과 적응적 전문지식의 렌즈를 통해 이 프로그램은 학습자가 다양한 리소스로 다양한 임상 맥락에서 IPCA의 가중치를 해결할 수 있도록 준비할 수 있을 것이다.  
Beyond being able to adequately perform IPCA work, these tasks offer additional education value. In addition to skills as a medical expert, purposeful IPCA education highlights transferable skills in professionalism, advocacy and leadership including efficiency, prioritisation, appropriate professional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hese skills are underscored in the recent publication of core professional activities in the residency training profile provided by the College of Family Physicians of Canada, the Canadian licensing college.47 This document lists managing IPCAs (including maintaining the EHR, managing the inbox, completing forms and managing prescriptions) as well as managing self-care and a sustainable practice both as core professional activities critical to the competent practice of medicine. With appropriate training and a lens of adaptive expertise, the programme would be able to prepare learners to tackle the weight of IPCAs in varied clinical contexts with varied resources.48

IPCA는 종종 전공의 수련의 예기치 않은 구성 요소이다. 직원들은 종종 진료 시간 4시간 이내에 IPCA의 상당 부분을 완료하기 때문에 이 업무량은 일반적으로 의대생에게는 보이지 않는다. 이것은 전공의들이 IPCA 관리에 필요한 긴 시간, 특히 더 유연한 시간을 예상하여 가정의학을 선택한 경우에 특히 낙담하는 이유에 대한 잠재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참가자들의 목소리처럼, [IPCA의 예상치 못한, 충족되지 못한, 그리고 때로는 지속 불가능한 업무량]은 가정의학과 졸업생들이 포괄적인 가정의학을 실천하기로 선택하는 감소와 활동 수준과 환자 패널 크기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소 중 하나일 수 있다. 졸업생들은 [이러한 예상치 못한 부담스러운 업무량을 보상]하기 위해 [(환자 패널이 크고 포괄적인) 가정의학 진료에서 벗어남]으로써 [지속 가능한 실천을 유지하기 위한 경계]를 설정하고 있을 수 있다.
IPCAs are often an unexpected component of residency. As staff often complete a significant portion of IPCAs outside of clinic hours4 this workload is typically unseen by medical students. This offers a potential explanation for why residents are particularly disheartened by the longer hours needed to manage IPCAs, especially if they selected family medicine in anticipation of more flexible hours.49 As voiced by our participants, the unexpected, unfulfilling, and sometimes unsustainable workload of IPCAs may be one of the many elements impacting a decline in family medicine graduates choosing to practice comprehensive family medicine and the decline of activity level and patient panel size.50, 51 Graduates may be setting boundaries to maintain a sustainable practice by moving away from comprehensive family medicine practice52 with a large patient panel to compensate for this unexpected and onerous workload.

4.1 교육자에게 미치는 영향
4.1 Implications for educators

이 연구는 가정의학 전공의들이 그들의 의료행위를 관리할 수 있도록 준비하기 위한 [새로운 커리큘럼의 필요성]을 강조했고, [전공의들의 교육적 헌신과 시간]에 대한 상충하는 요구를 염두에 두면서 이 중요한 환자 치료 부분을 통합했다. 53 여기에는 IPCA의 존재에 대한 투명성, 예상 작업량, 그리고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한 기대치와 전략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스텝이 학습자가 볼 수 있는 방식으로 자체 IPCA 작업을 완료한다면, 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이러한 작업 및 역할 모델링 전략을 표준화한다.
This study has highlighted the need for new curricula to prepare Family Medicine residents to manage their practices, integrating this vital piece of patient care while being mindful of competing demands on residents' educational commitments and time.53 This includes transparency around the existence of IPCAs, the anticipated workload, expectations and strategies for sustainable management. For example, when staff complete their own IPCA work in a way that is visible to the learner, they are normalising these tasks and role modelling different strategies to increase efficiency of this work.

연구 참가자들은 IPCA를 단계적이고 점진적인 방식으로 도입할 것을 권고했다. 예를 들어, EHR 수신함에 대한 소개는 관심 있는 문서 또는 특정 문서를 보낸 후 전공의가 수신함의 모든 구성 요소를 관리할 때까지 전공의가 직접 주문한 항목을 보낸 후 특정 범주의 조사(즉, 참조 노트, 처방, 혈액 검사 및 진단 영상)를 수행할 수 있다. 이 접근법은 특정 학습 목표를 허용하기 위해 [양은 줄이면서 더 집중된 교육]을 촉진할 수 있다. Inbox을 언제 어떻게 도입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을 가지고 있으면 전공의들 사이의 투명성과 형평성이 향상될 것이고, 프로그램이 의도된 역량을 명확히 하고 정기적인 피드백을 촉진하도록 장려할 것이다. 이러한 전략은 전공의들에게 명확성과 구조를 만들어 줄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이 적응적이고 자기 조절적인 학습 전략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 학습 환경을 촉진할 것이다. 전공의들이 스스로의 학습을 조절하고 적응할 수 있을 때, 그들은 의학 분야에서 평생의 경력을 지속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하고 있다. 전공의 프로그램은 이러한 적응적이고 자기 통제적인 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그리고 의도적으로 그러한 학습 환경을 계획해야 한다. 
Study participants recommended that IPCAs be introduced in a stepwise, gradual way. For example, introduction to the EHR inbox can begin by sending interesting or specific documents, then items the resident themselves ordered, followed by a particular category of investigations (i.e. consult notes, prescriptions, blood work and diagnostic imaging) until the resident is managing all components of the inbox. This approach may facilitate focused education with reduced quantity to allow for specific learning goals. Having a guideline as to when and how inbox should be introduced will improve the transparency and equity amongst residents, encourage the programme to articulate the intended competency and to promote regular feedback. These strategies will not only create clarity and structure for residents, they also promote a learning environment that helps learners develop adaptiv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54 When residents are able to regulate and adapt their own learning, they are bolstering their ability to sustain a life-long career in medicine. Residency programmes should intentionally and purposefully plan such learning environments to promote these adaptive, self-regulated behaviours.54

4.2 강점과 한계
4.2 Strengths and limitations

수집된 데이터는 단일 레지던트 프로그램에서 수집되었으며 다른 가정의학 프로그램이나 다른 전문 분야로 이전할 수 없습니다. 상당한 모집 노력에도 불구하고, 참여에 자원한 전공의들은 우리 레지던트 프로그램의 대규모 학술 교육 현장에서 불균형적으로 뽑혔다. 지역사회 기반 현장에서 주민을 모집하는 것이 과제였는데, 이는 다양한 현장에서 IPCA의 교육 경험의 불일치를 시사하는 것일 수 있다. 참가자들이 자신의 경력 단계와 관련된 IPCA에 대해 말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었기 때문에 다양한 수준의 전문 경험과 초점을 가진 참가자들의 통합이 강점이다.
The data collected was from a single residency programme and may not be transferable to other family medicine programmes or other specialties. Despite significant recruitment efforts, the residents who volunteered to participate were disproportionately drawn from the large academic teaching sites in our residency programme. It was a challenge to recruit residents from the community-based sites, which may be an indication of a discrepancy in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IPCAs in the various sites. The incorporation of participants with varying levels of professional experience and focus is a strength, a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way that participants spoke about IPCAs, related to their career stage.

5 결론
5 CONCLUSION

결론적으로, IPCA는 우리 의료 시스템의 필수적이고 증가하는 구성요소이다. 우리 가정의학 전공의들이 이러한 업무를 효과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관리하도록 훈련받는 것이 필수적이다. 지속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지 않으면 IPCA는 인구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충분한 수의 일반 가정의사를 모집하고 유지하는 데 장애가 될 위험이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IPCA에 대한 점진적인 도입, 교육 및 피드백, 동료 간의 형평성을 포함할 수 있는 교육 혁신이 필요합니다. 이 교육을 제공하지 못하면, 수련을 마친 전공의가 독립적인 임상 실습으로의 이행하는 것에 대한 위험, 그리고 일부 사람들에게는 포괄적인 진료를 떠나서 더 세부전문과목으로 진입할 위험이 따른다. 그러나 교육 혁신은 충분하지 않다. 상응하는 보수 없이 업무량이 증가했을 때 나타나는 시스템적 영향을 인식하고, family practice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의료 시스템 변화를 옹호해야 한다.
In conclusion, IPCAs are a necessary and increasing component of our health care system. It is essential to ensure our family residents are trained to manage these tasks in an effective and sustainable manner. Without a focus on sustainability, IPCAs risk becoming a barrier to recruiting and retaining sufficient numbers of generalist family physicians to serve population needs. Achieving this will require educational innovation, which may include a gradual introduction to IPCAs, with teaching and feedback, and equity amongst peers. Failing to provide this education carries the risk of more challenging transitions to independent clinical practice for graduating residents, and for some, attrition out of comprehensive practice and into sub-specialisation. However, educational innovation is not sufficient. We need to recognise the systemic implications of an increased workload without corresponding remuneration and advocate for health system change, which increases the sustainability of family practice.

 


Med Educ. 2022 Aug 16. doi: 10.1111/medu.14921. Online ahead of print.

Optimising the educational value of indirect patient care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tario, Canada.

2McMaster FHS program for Education Research, Innovation & Theory (MERIT),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tario, Canada.

PMID: 35972822

DOI: 10.1111/medu.14921

Abstract

Introduction: Indirect patient care activities (IPCA) such as documentation, reviewing investigations and filling out forms require an increasing amount of physician time. While an essential part of patient care, rising rates of IPCA work correspond with increases in physician burnout and job dissatisfaction. It is not known how best to prepare residents in IPCA-heavy specialties (e.g. family medicine) for this aspect of their career. This study investigates how educators and residency programmes can optimise IPCA work during residency to best prepare residents for future practice.

Methods: Using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we conducted focus groups and individual interviews with 42 clinicians (19 family medicine residents, 16 family physicians in the first 5 years of practice and 7 family physician educators). All participants were connected to one family medicine residency programme. We analysed interview data iteratively, using a staged approach to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While residents, early career physicians and educators perceived the educational value of IPCAs differently, they all reported IPCAs as a necessary weight that family physicians carry throughout their career. Some residents described IPCAs as a burden, creating inequities in workload and interfering with other learning and personal opportunities. In contrast, educators conceptualised IPCAs as an opportunity to build and develop the skills required to carry the weight of IPCAs throughout their career. We make specific recommendations for helping residents recognise this educational opportunity, such as clarifying expectations, navigating equity, understanding purpose and maintaining consistency when teaching IPCAs.

Conclusion: IPCAs are a key competency for many medical residents but require explicit pedagogical attention. If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are not made explicit, residents may miss the opportunity to develop strategies for practice management, professional boundaries, and administrative efficiencies.

내과와 외과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정체성의 사회적 구성(Med Educ, 2022)
The social construction of teacher and learner identities in medicine and surgery
Peter Cantillon1,2 | Willem De Grave2 | Tim Dornan3

 

 

1 소개
1 INTRODUCTION

대학원 의학 교육(PGME)에 역량 기반 교육과정이 널리 채택되면서 임상 교사의 기대와 책임감이 크게 높아졌다. 이에 대응하여, 교수진 개발(FD)의 '지수적' 증가가 있었다.2 임상 교육을 전문화하려는 FD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임상 감독 품질과 학습자의 판단에 우려스러운 불일치가 남아 있다. 더욱이 교육생들에게 의미 있는 실습 참여 기회가 충분히 주어지지 않고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교사 자격]을 부여하고, [독립적인 교수 기술 워크샵]을 제공하는 것의 교육 효과는 실제로 잘 전달되지 않았고, 지속 가능한 것으로 입증되지 않았음이 분명하다. 이러한 실망스러운 영향은 교사 발전을 저해하는 임상 작업장의 문화적, 조직적 요인 특성으로 인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사회적, 문화적 맥락이 교수와 학습의 관행을 어떻게 형성하는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의 부족으로 인해 복잡해진다.
The widespread adop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s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PGME) has greatly increased the expectations and responsibilities of clinical teachers.1 In response, there has been an ‘exponential’ increase in faculty development (FD).2 Despite FD efforts to professionalise clinical education, there remain worrying inconsistencies in the quality of clinical supervision and the adjudication of learners. Moreover, there are growing concerns that trainees are not being given sufficient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meaningfully in practice.2-4 It is clear that the educational effects of credentialing teachers and providing standalone teaching skills workshops have neither transferred well into practice, nor proved sustainable.5-9 This disappointing impact has been attributed to cultural and organisational factors features of clinical workplaces that undermine teacher development.6, 7 These problems are compounded by a lack of empirical research into how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shape the practices of teaching and learning.10, 11

[교수, 학습 및 문화적 맥락 사이의 관계]는 FD 학문을 뒷받침하는 인지 모델보다 [사회 문화 이론]과 더 잘 일치한다.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임상교육은 병원, 임상팀 등 [기관의 공유된 활동]에 참여하고, 특정한 문화적 맥락 속에서 정체성이 형성된 사람이 되는 과정이다. [정체성 형성, 임상 감독 및 문화적 맥락]의 영향이 서로 어떻게 관련되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 자기보고 연구는 졸업후 수련생들이 공유 관행, 경험칙, 내재된 이해를 어떻게 숙달하는지 보여주었지만, 그러한 방법론은 문화적 맥락의 암묵적 영향에 크게 둔감해 왔다.
  • 관찰 연구는 졸업후 학습자들이 사회적으로 승인된 토큰 행동을 재현함으로써 임상 팀에서 정당성을 추구하는 방법을 보여주었지만, 사회적 문화적 맥락이 교사와 학습자의 역할을 어떻게 형성하는지 보여주지 않았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learning and cultural context aligns better with sociocultural theory than the cognitive models that underpin much FD scholarship.12 From a sociocultural perspective, clinical education is a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he shared activities of institutions such as hospitals and clinical teams, and ‘becoming’13 a person whose identity is forged in particular cultural contexts.14-18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into how identity formation, clinical supervision and the influence of cultural context relate to one another.19 

  • Self-report studies have shown how postgraduate trainees master shared practices, rules of thumb and embodied understandings,20-24 but such methodologies have been largely insensitive to the implicit effects of cultural context.2526 
  • Observational studies have shown how graduate learners seek legitimacy in clinical teams by reproducing socially sanctioned token behaviours, but not how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shape the roles of teachers and learners.27-35

이에 대응하여, 우리는 [임상 교육, 학습 및 사회적 맥락 사이의 관계에 대한 위치적 이해situated understanding]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우리의 목적은 미래의 상황에 민감한 FD 이니셔티브에 정보를 제공하는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1년(2016~2017년) 동안 두 개의 개별 교육 병원에서 네 개의 병원 팀(내과 2개 및 외과 2개)에 대한 민족지학은 풍부한 데이터 세트를 산출했다. 우리는 [고프만의 연극적 접근 이론]을 사용하여 [선생님과 학습자 정체성, 교육 실습, 그리고 임상 팀에서의 참여를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대화와 행동 방식]을 탐구했습니다. 이를 통해 [임상교사]는 팀의 암묵적 커리큘럼인 규범과 기대치를 [명확히 표현하기articulate]보다는 [체화embodied]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육생들은 능력 있는 팀 참여자로써의 인상을 심어주기 위해 교사들의 구체화된 기준을 재현하는 것으로 응답했다. 그러나 이 방법론은 [교수와 학습에 대한 전공-특이적 문화의 shaping effect에 둔감]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외과와 내과(IM)라는 두 주요 전공의 대조적인 문화]가 [교사와 학습자의 정체성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Figured Worlds라는 이론적 틀을 사용하여 관찰 데이터를 재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았다. 작업, 학습 및 교수와 관련된 실습이 있는 전문 임상 팀의 문화적 세계에서 교사와 학습자의 정체성은 어떻게 상호 작용합니까?
In response, we launched a programme of research to develop a situated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teaching, learning and social context. Our purpose was to develop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would inform future contextually sensitive FD initiatives. An ethnography of four hospital teams (two internal medicine and two surgical) in two separate teaching hospitals over a period of 1 year (2016–2017) yielded a rich dataset.19 We used Goffman's dramaturgical theory,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learner identity, educational practice and ways of talking and acting that typify participation in clinical teams. This showed that clinical teachers embodied rather than articulated their teams' implicit curriculum of norms and expectations. Trainees responded by reproducing teachers' embodied standards to create impressions of themselves as capable team participants.19 This methodology proved insensitive, however, to the shaping effect of specialty-specific culture on teaching and learning.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reanalyse the observational data using a theoretical framework, Figured Worlds, to identify how the contrasting cultures of two major specialties, surgery and internal medicine (IM), influenced teachers' and learners' identity formation. The research question was as follows: How do the identities of teachers and learners interplay with one another in the cultural worlds of specialty clinical teams where the linked practices of working, learning and teaching are situated?

1.1 이론적 틀
1.1 Theoretical framework

[형상화된 세계]는 [정체성 형성과 문화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한, 개념적이고 분석적인 도구를 제공하는 비판적인 이론이다. 형상화된(또는 문화적) 세계는 특정한 경험, 대화 및 행동 방식, 사회적 가능성을 제공하는 사회 역사적 맥락(예: 임상 팀의 구성원)이다. 형상화된 세계 내에서 정체성은 (개인에게) 소유되지 않는다; 그것은 역동적이고 진화하고, 말과 다른 상징적 행위에 의해 구성되며, 개인과 그들이 살고 일하는 문화 세계 사이의 상호 작용에서 형태를 찾는다. Bakhtin의 [대화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유도된 이 이론에서, [형상화된 세계]는 [말speech 및 다른 상징적 행위들]이 개인들에게 [문화적 세계]에서 [자기 저자의 정체성]에 대한 [행위자성agency]을 준다고 가정한다. 형상화된 세계에서

  • ['형상figure']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전공의들이 배우는) 교수자에 의해 실체화되는 [정체성 가능성]을 가리킨다.
  • ['형상화figuring']이라는 용어는 겉으로는 [역할 모델링]을 닮았지만, 역할을 동화시키기보다는,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있어 학습자의 행위자성agency을 더 강조]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 이러한 차원에서 ['모델링']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때, 우리는 [학습자를 위해 기술을 보여주거나 명확한 사고를 하는 상황에서의 교사의 행동]을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 또한 모델링과 코칭도 구별하는데, ['코칭']이란 [교사가 학습자의 성과를 관찰하고 성장과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설명한다.

Figured worlds is a critical theory that provides conceptual and analytical tools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identity formation and culture.36 A figured (or cultural) world is a socio-historical context (e.g. membership of a clinical team) that affords particular experiences, ways of talking and acting and social possibilities.16 Identity, within Figured Worlds, is not possessed; it is dynamic and evolving, constructed by speech and other symbolic acts, finding form in the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and the cultural worlds that they live and work in.37 Drawing on Bakhtin's theory of Dialogism, Figured Worlds assumes that speech and other symbolic acts give individuals agency to self-author identities in cultural worlds.15, 16, 38 In Figured Worlds,

  • the term ‘figure’ refers to the identity possibilities that are embodied by, for example, teachers from whom residents learn.36 
  • The term ‘figuring’ superficially resembles role modelling but differs in how it places greater emphasis on learners' agency in forging their own identities, rather than assimilating roles.36-38 
  • In this account, when we use the term ‘modelling’, we are referring specifically to the actions of teachers in demonstrating skills or articulating thinking for learners.39
  • We also differentiate between modelling and coaching where ‘coaching’ describes when teachers' observe learners' performances and provide feedback to support growth and development.40

 

  • [형상화된 세계]는 높은 수준의 제도적, 사회역사적 담론(Gee가 대문자 D 담론Discourse이라고 부르는)이 문화 세계를 구성하고, 사회적 지위를 창출하며, 다른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이 이러한 입장을 이용할 수 있게 만든다는 것을 인정한다.
  • 중요한 것은, [형상화된 세계]는 또한 학자들이 [일상적 이야기(소문자 D 담론discourse)]의 내용이 사람들에게 [대문자 D (big-D) 담론]의 구조화 효과에 저항할 수 있는 에이전시를 제공한다는 것을 밝힐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은-D) 담론의 일상적인 사용은 (큰-D) 담론을 구성하고 재구성한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피규어 세계 이론의 언어 개념을 사용하여 개인이 문화 세계를 탐색할 수 있는 기관을 제공하는 활동 중인 문화 세계(예: 외과와 내과의 문화에 특화된 교육 의식)와 일상 언어(담화)에 대한 우리의 민족학적 관찰을 이해했다.

  • Figured worlds acknowledges that high-level institutional and sociohistorical discourses (which Gee terms big-D Discourses) structure cultural worlds, create social positions, and make those positions more or less available to people with different identities.41 
  • Importantly, Figured Worlds also allows scholars to reveal how the contents of everyday speech (little-d discourse) give people agency to resist the structuring effect of big-D Discourses.3641 

In this way, the everyday use of (small-d) discourse constructs and reconstructs (big-D) Discourses.41 In this study, we used Figured Worlds theory's linguistic concepts to make sense of our ethnographic observations of cultural worlds in action (e.g. the educational rituals particular to the cultures of surgery and IM) and everyday speech (discourse), which give individuals agency to navigate cultural worlds.

2 방법
2 METHODS

2.1 설정 및 시료
2.1 Setting and sample

이 기사는 아일랜드에 있는 두 개의 개별 교육 병원에서 외과 및 내과 임상 팀의 일상적인 작업 및 학습 환경에서 임상 교육이 어떻게 실현되는지 탐구하기 위해 수행된 민족지학에 대한 2차 분석을 보고한다. 병원은 아일랜드에 인접한 두 도시의 도시 인구를 포괄하는 비슷한 규모의 병원이었다. 우리는 외과와 내과가 사회-역사적 기원이 매우 다른 같은 직업 내에서의 관행을 나타내기 때문에 선택했다. 표본추출전략은 연극적 접근 연구를 위해 선택되었으나, 의학교육에서 정체성 형성에 대한 문화적 요인의 영향을 탐구하는 데도 적합하였다.
This article reports a secondary analysis of an ethnography, carried out to explore how clinical education is actualised in the day-to-day work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of a surgical and an IM clinical team, in each of two separate teaching hospitals in Ireland. The hospitals were of similar size covering largely urban populations in two adjacent Irish cities. We selected surgery and IM because they represent practices within the same profession whose socio-historical origins are very different. Although the sampling strategy was chosen for dramaturgical research, it was well suited also to exploring the influence of cultural factors on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각 병원의 '문지기'가 모든 임상 팀에 연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단지를 배포했다. 그리고 나서 수석 저자(PC)는 대부분의 팀이 참가한 의료 및 외과 그랜드 라운드에서 이 연구에 대해 말했습니다. 그는 참가 제의를 초청했고 그들이 자원한 순서대로 팀들을 포함시켰다. 포함된 이들은 1명 이상의 수석 컨설턴트 전문가, 1~2명의 선임 전문의 등록자(시니어 레지던트) 및 2~4명의 주니어 훈련생(시니어 레지던트)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아일랜드의 전형적인 임상 팀 단위였다.
A ‘gatekeeper’ in each hospital distributed a leaflet giving information about the study amongst all clinical teams. The lead author (PC) then spoke about the study at medical and surgical grand rounds where most teams were represented. He invited offers to participate and included teams in the order they volunteered. Those included were typical of clinical team units in Ireland in that they were composed of one or more lead consultant specialists, one or two senior specialist registrars (senior residents) and two to four junior trainees (junior residents).

2.2 연구윤리 승인 및 참여자 정체성 보호
2.2 Research ethics approval and protection of participant identity

민족지학적 설계 및 관련 데이터 수집 방법은 두 개의 참여 교육 병원의 연구 윤리 위원회에서 승인되었다(참고 자료: C.A. 1150 및 062/16). 모든 참여 팀원들은 결과를 발표하려는 의도를 포함한 연구에 대한 정보 시트를 받았다. 모두 연구에 참여하겠다는 서면 동의를 제공했다. 비디오 또는 이미지 데이터에 우연히 포함된 환자 또는 의료진은 연구자의 연락처 정보가 포함된 정보 시트를 받았고, 데이터 세트에 포함되도록 구두 동의를 하기 전에 이를 읽어보도록 요청받았다. 그러한 동의가 나오지 않으면 관련 데이터 세그먼트를 삭제했습니다.

The ethnographic design and its associated data collection methods were approved by the research ethics committees of the two participating teaching hospitals (references: C.A. 1150 and 062/16). All participating team members received an information sheet about the research including the intention to publish the results. All provided written consent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Any patients or health care staff who were incidentally included in video or image data received an information sheet with researchers' contact details, which they were asked to read before giving verbal consent to be included in the dataset. If such consent was not forthcoming, we deleted the relevant data segments.

2.3 데이터 수집
2.3 Data collection

주요 저자(PC)는 2016-2017년 12주에서 16주 동안 각 팀에 [한계 참가자 관찰자marginal participant observer(즉, 관찰하고 때로는 활동에 참여하기도 함)]로 자신을 포함시켰다. 그는 병동 라운드, 다학제 팀 회의, 수술 극장, 커피 휴식, 그리고 그랜드 라운드와 같은 공식적인 교육 행사를 포함하여 매주 약 2일 동안 각 팀의 활동에 참석했다. 그는 동시 현장 기록, 디지털 이미지, 외래 환자 접견 비디오 녹화, 모든 참가자와의 종료 인터뷰 등 다양한 형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했다. 매일 관찰이 끝날 때, PC는 그의 동시 필드 노트를 그가 관찰한 것에 대한 풍부한 설명으로 발전시켰다. 비디오에 캡처된 출구(반구조 인터뷰)와 교사-학습자 상호 작용은 전문적으로 기록되고 가명이 붙었다. Akvis Sketch 23.5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디지털 이미지와 비디오 스틸에 캡처된 개인들의 모습을 위장하고 식별할 수 없게 만들었다. 

The lead author (PC) embedded himself as a marginal participant observer42 (i.e. he observed, and at times partook in activity) in each team for between 12 and 16 weeks in 2016–2017. He attended each team's activities for approximately 2 days each week including ward rounds, multidisciplinary team meetings, surgical theatre, coffee breaks and formal educational events such as grand rounds. He collected data in multiple formats including contemporaneous field notes, digital images, video-recordings of out-patient encounters and exit interviews with all participants. At the end of each day of observation, PC developed his contemporaneous field notes into rich descriptions of what he had observed. Exit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teacher–learner interactions captured on video were transcribed verbatim and pseudonymised. Likenesses of individuals captured in digital images and video stills were disguised and rendered unidentifiable using Akvis Sketch 23.5 software.43

2.4 데이터 분석
2.4 Data analysis

우리의 지향이 형상화된 세계였기 때문에, [언어 분석]은 [문화적 세계가 어떻게 특정한 말하기와 행동 방식을 특권화하고, 개인이 어떻게 그 세계 내에서 정체성을 형성하는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었다. 형상화된 세계에 관한 [두 가지 중요한 개념]은 분석 도구와 설명 능력을 제공했습니다.36

  • '포지셔닝'은 [타인의 발언]이 정체성 가능성을 부여하거나 보류하는 방법을 말한다.
  • '자기저작'어떤 방식으로 개인이 다른 사람의 말을 [자신의 연설 행위에 통합]하여, 입장을 협상하고, 만들거나, 경쟁하는지를 말한다.

Our orientation toward Figured Worlds empowered us to assume that analysing language would show how cultural worlds privileged particular ways of talking and behaving and would influence how individuals could form identities within those worlds. Two important Figured Worlds concepts provided analytical tools with explanatory power.36 

  • ‘Positioning’ refers to how other people's speech grants or withholds identity possibilities.1618 
  • 'Self-authoring’ refers to how individuals incorporate other people's speech into their own speech acts to negotiate, create or contest positions.36


데이터 세트에는 640시간의 관찰에서 얻은 필드 노트, 참여 팀원에 대한 34건의 출구 인터뷰 기록(외과적 16건, IM 18건), 30시간의 외래 환자 비디오 녹화 및 현장 사진 촬영이 제공하는 디지털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었다. NVivo 12 소프트웨어(QSR International 2018)는 새로운 해석을 포착하기 위해 메모 기술을 사용하여 원본 데이터와 데이터 표현 사이를 반복적으로 이동했던 분석을 촉진했다. PC가 분석을 주도하고 메모를 작성했다. TD와 WdG는 정기적으로 PC와 만나 해석을 검토했다.

The dataset included field notes from 640 hours of observation, transcripts of 34 exit interviews with participating team members (16 surgical and 18 IM), 30 hours of out-patient video-recordings and digital images provided by in-the-field photography. NVivo 12 software (QSR international 2018) facilitated analysis, which moved iteratively between original data and representations of the data, using memoing techniques to capture emerging interpretations. PC led the analysis and wrote the memos. TD and WdG met regularly with PC to review the interpretation.

외과 데이터 세트와 내과 데이터 세트를 구별되는 두 개의 형상화된 세상으로 취급[첫 번째 분석 단계]는 표 1에 열거된 형상화된 세계의 [핵심 구성 요소]를 체계적으로 모색했다. 실제로 이것은 의미 있는 행위, 형상화된 유형(예: 특정 전문 분야의 교사), 문화적으로 중요한 유물 및 기타 장르를 식별하기 위해 현장 노트, 인터뷰 및 비디오 녹취록을 읽고 다시 읽는 것을 의미했다. 우리는 비디오 또는 디지털 이미지에 존재하는 [언어적 증거, 기호 또는 행동]이 [실증적 지원empirical support]을 제공할 때 [해석적 추론이 유효하다]고 간주했다. 우리는 이 증거를 사용하여 참가자들의 [의사소통적 행동]이 어떻게 그들의 [정체성 위치]를 '조정orchestrated'하는지 조사했다.
The first phase of analysis, which treated the surgical and IM datasets as two distinct figured worlds, systematically sought key components of Figured Worlds,36, 41 which we list in Table 1. In practice, this meant reading and rereading field notes, interviews and video transcripts to identify meaningful acts, figured types (e.g. teachers in a particular specialty), culturally significant artefacts and other genres listed in Table 1. We regarded interpretive inferences as valid when linguistic evidence, symbols or behaviours present in video or digital images provided empirical support.41 We used this evidence to examine how participants' communicative actions ‘orchestrated’36 their identity positions.

두 번째 분석 단계에서는 수술과 IM의 다른 세계를 특징짓는 '정체성 작업'(즉, 사회적 맥락에서 신분적 위치의 협상)의 패턴을 확인했다. 우리는 수술과 IM의 문화적 세계에 대한 서술적 요약을 합성하기 위해 필드 노트 관찰, 음성 언어의 발췌 및 비디오 녹취록을 사용했다.
The second phase of analysis identified patterns of ‘identity work’ (i.e. the negotiation of identity positions in social contexts) that characterised the different worlds of surgery and IM. We used field note observations, excerpts of spoken language and video transcripts to synthesise a narrative summary of the cultural worlds of surgery and IM.

 

2.5 엄격함과 반사성
2.5 Rigour and reflexivity

Figured Worlds에 의해 민감해진 우리는 [원시 데이터]에서 [해석]으로 이동하기 위해 [풍부한 설명, 결정화 및 다중 음성성]을 사용했다. 우리는 독립적으로 자료를 읽은 두 사람 사이의 해석에 동의했다. 우리는 둘 이상의 출처로부터 증거를 구함으로써 해석의 신뢰성을 강화했다. 예를 들어, 필드 노트와 인터뷰 데이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복됩니다. 우리는 동일한 분야의 다른 개별 참가자와 다른 팀 간의 유사성과 차이를 추구함으로써, [다중 음성성]의 피규어 월드 개념을 적용했다.36 우리는 다음의 두 가지 방법으로 해석의 타당성에 대한 참가자들의 의견을 구하였다. 첫째, 전문분야별 참가자 그룹과 해석에 동의하고, 둘째, 개별 참가자에게 원본 데이터의 샘플과 그들에 대한 우리의 해석을 보여줌으로써 해석한다. 이러한 타당성 협상은 우리의 해석과 결론을 다듬었다.
Sensitised by Figured Worlds, we used rich description, crystallisation and multi-vocality44, 45 to move from raw data to interpretation. We agreed interpretations between two people who had independently read the data.44 We strengthened the trustworthiness of our interpretation by seeking evidence from more than one source: for example, field note and interview data repeated over time.45 We applied the Figured Worlds concept of multi-vocality by seek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individual participants and different teams in the same discipline.36 We sought participants' opinions about the validity of our interpretation in two ways: first by agreeing interpretations with specialty-specific groups of participants and second by showing individual participants samples of original data and our interpretations of them. These validity negotiations refined our interpretations and conclusions.

최선의 민족지학적 연구 관행에 따라, 우리는 언어와 실천의 다른 당연시되는 측면을 면밀히 조사하기 위해 내부자(PC: 일반의사; TD: 병원 전문가)와 외부자(WdG: 교육심리학자)의 관점을 사용했다. PC는 개인적인 관점, 관찰 및 해석 사이의 관계를 면밀히 조사하기 위해 반사적인 일지를 작성했습니다.
In keeping with best ethnographic research practice,42 we used our insider (PC: general practitioner; TD: hospital specialist) and outsider (WdG: educational psychologist) perspectives to scrutinise otherwise taken-for-granted aspects of language and practice. PC kept a reflexive diary to ensur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perspectives, observations and interpretations was available for scrutiny.

3 결과
3 RESULTS

외과 의사나 의사가 되는 것은 수술과 IM의 문화적 세계에 특유한 지식과 행동의 문화적인 가치 있는 방법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그들의 전문적 관행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었다.
Becoming a surgeon or a physician was shaped by culturally valued ways of knowing and acting peculiar to the cultural worlds of surgery and IM and was inextricably linked to their specialty-specific practices.

3.1 외과에 대한 핵심 아티팩트 및 관행
3.1 Core artefacts and practices in surgery

외과의 [핵심 행위]는 질병의 해부학적 징후를 확인하고 수정하는 것이었다. 교사와 제자 학습자 사이의 근위적 코칭 관계는 지배적인 [문화적 유물]인 [환자의 신체]에 초점을 맞췄다. 내과적 문화보다 [외과적 학습 문화]가 더 대립적confrontational이었다. 외과의사들은 훈련생들을 면밀히 관찰하고, 특히 수술실에서 그들의 의료행위를 면밀히 조사했다. 
The core practice of surgery was identifying and correcting anatomical manifestations of disease. Proximal, coaching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their protégé learners centred on the dominant cultural artefact: the patient's body. The surgical learning culture was more confrontational than the culture of IM. Surgeons observed trainees closely and scrutinised their practice, particularly in theatre.

아, 수술에 들어갈 때 주변 환경을 의식하기 때문에 정밀 조사scrutiniy 수준에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시작할 때, 그것은 여러분이 물건을 들고 있는 방식입니다. 여러분의 외과의사가 여러분을 보고 있는 선배 동료들이 여러분을 보고 있는 방식입니다. 마취과 의사들이 여러분을 보고 있고, 여러분과 간호사들에 대한 의견을 형성하는 방식도 마찬가지입니다. (H1 T2 전공의 인터뷰)

Oh it's shocking the level of scrutiny because when you scrub in you are conscious of your surroundings. When you start off, it's the way you hold stuff, the way your surgeon is looking at you your senior colleagues are looking at you, anaesthetists are looking at you, and forming opinions about you and the nurses are too. (H1 T2 resident interview)

3.2 내과의 핵심 자료 및 관행
3.2 Core artefacts and practices in IM

IM에서 가장 중요한 [문화적 유물]은 환자의 임상 기록과 팀 구성원 간에 소통하고 협상하는 프레젠테이션의 인지적 표현이었다. 여기서, [핵심 행위]은 환자들이 어떻게 표현했는지에 대한 그럴듯한 추상적인 표현을 만들고 조작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표현은 [교사-학습자 관계]를 알려줬는데, 이는 수술에서의 관계보다 더 먼 관계였다. 내과적 행위가 대체로 불투명하고 인지적이라는 특성을 고려할 때, 교사들은 [교육]을 [피교육자가 인식하고 재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사고와 행동을 언어화하는 것]으로 프레임하였다. 예를 들어, 한 컨설턴트는 사례 발표 중에 연습생들이 환자의 사회 및 과거 이력을 탐색했는지 반복적으로 확인하는 그의 습관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내가 전하고 싶은 것은 당신이 질문해야 할 중요한 질문들이다'(H1T1 IM 컨설턴트 1 인터뷰)라고 설명했다. 내과 의사들은 [학습자들이 자기 주도적이고 독립적일 필요가 있다는 것]을 강조했다. 예를 들어, 컨설턴트는 병동에 대한 대학원 임상 교육을 다음과 같이 개념화했다. '그들[연수생]은 책임을 져야 한다. 스스로 배우게 해야 한다… 스스로 배우고 보여줘야 한다'(H1 T1 IM 컨설턴트 2 인터뷰). 내과에서 [사고의 모델링]를 강조하고, 훈련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도록 장려하는 것은, [외과적 교육]을 특징짓는 훈련생들의 [행위에 대한 집중적인 관찰과 코칭]과 강한 대조를 보였다.
In IM, the most important cultural artefacts were patients' clinical records and cognitive representations of their presentations as communicated and negotiated between team members. Here, the core practice was creating and manipulating plausible abstract representations of how patients had presented. These representations informed teacher–learner relationships, which were more distal than relationships in surgery. Given the largely opaque, cognitive nature of IM practice, teachers framed teaching as verbalising their thinking and acting in ways that trainees could recognise and reproduce. When talking about his habit of repeatedly checking during case presentations whether trainees had explored their patients' social and past histories, for example, one consultant explained: ‘What I'm hoping to transmit is that these are the important questions you need to ask’ (H1 T1 IM consultant 1 interview). IM physicians' talk emphasised the need for learners to be self-directed and independent. For example, a consultant conceptualised postgraduate clinical education on the wards as follows: ‘they [the trainees] need to be taking responsibility. You have to let them learn by themselves … They need to learn and show learning themselves’ (H1 T1 IM consultant 2 interview). The emphasis in IM on modelling thinking and encouraging trainees to learn self-directedly contrasted strongly with the intense observation and coaching of trainees' practice, which characterised surgical education.

3.3 외과팀과 IM팀의 문화적 세계 비교
3.3 Comparing the cultural worlds of surgical and IM teams

표 2는 수술과 IM의 문화적 세계에서 특히 중시되었던 알고, 보고, 말하고, 존재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주요 임상의는 표 2에 표시된 배치와 능력을 파악하고 명확하게 설명했으며, 훈련생은 이를 각자의 전문 분야에서 유능한 참여자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사용했다.

Table 2 illustrates ways of knowing, seeing, talking and being that were particularly valued in the cultural worlds of surgery and IM. Lead clinicians figured and articulated the dispositions and capabilities shown in Table 2, which trainees used to position themselves as capable participants in their respective specialties.

3.4 공식 교육 이벤트에서의 정체성 작업
3.4 Identity work in formal educational events

3.4.1 외과 그랜드 라운드
3.4.1 Surgical grand rounds

[외과 그랜드 라운드]는 매주 미리 선정된 수술팀이 지난 달부터 흥미롭고 도전적인 사례를 동료 외과 의사들과 훈련생들의 비판적인 청중에게 들려주는 교육 행사였다. [외과 그랜드 라운드]라는 '게임'에서, 레지던트는 치열한 회의 환경에서 자신 있게 사례를 제시해 자신의 수술팀을 능력 있는 사람으로 파악해야 했다. 발표 팀의 구성원들은 수술 사례 발표 동안 청중들로부터 [날카롭고 때로는 공격적인 질문]을 받았다. 질문은 질문자들을 능력 있는 사람으로 포지셔닝하는 방식으로 표현되었고, 발표 팀은 방어적인 자세를 취했다: '전립선암에 사용하는 스테이징 기준은 우리가 유방암에서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매우 구식이며 왜 당신은 여전히 그러한 "분변 횡단" 생체 검사를 하고 있습니까? 그들은 심각한 감염률을 가지고 있습니까?' (H1 T2 필드 노트)
Surgical grand rounds were educational events in which, each week a pre-selected surgical team narrated interesting or challenging cases from the previous month to a critical audience of fellow surgeons and trainees. The surgical grand rounds ‘game’ required a resident to figure his or her surgical team as capable by confidently presenting cases in an intense conference environment. Members of the presenting team were subjected to pointed and at times aggressive questions from members of the audience during surgical case presentations. Questions were expressed in ways that positioned questioners as capable, while putting the presenting team on the defensive: ‘The staging criteria you use for prostatic cancer are very outdated compared to those we use in breast cancer and why are you still doing those “trans-faecal” biopsies? They have a serious infection rate?’ (H1 T2 Field notes).

외과의사들은 청중들에게 종종 [상당한 평판 훼손의 위험]을 수반하는 빠르고 도전적인 질문 전략을 시행했다: '여기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거지? 자, 여러분, 뻔한 일이에요. 누구 해보실 분 있나요?' (H2T2 필드 노트) 외과의사들은 미래의 외과의들이 그들이 자기스스로 생각할 수 있도록 준비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으로 수술 그랜드 라운드의 특징인 [투쟁적이고 도전적인 행동]을 작성author했다.
Surgeons subjected audience members to rapid and challenging question strategies that often carried considerable risk of reputational damage: ‘Okay what's going on here? Come on everyone it's obvious. Is anyone going to have a go?’ (H2 T2 Field notes). Surgeons authored the combative and challenging behaviours characteristic of surgical grand rounds as an appropriate way of preparing future surgeons to think on their feet.

당신은 좋은 편안한 환경이 좋은 교육에 도움이 된다고 주장할 수 있지만, 우리는 그들을 전문적인 활동을 위해 준비할 책임이 있고 전문적인 활동은 전쟁터이다. 매일매일 그들은 도전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그래서 제가 하려고 하는 것은 그들이 도전을 받는 동안 [외과적으로 생각하게 하는 것]입니다. H2 T2 컨설턴트 인터뷰
You could make an argument that a nice relaxed environment is conducive to good education, but we are responsible for preparing them for professional activity and professional activity is a battle ground. Every moment of every day they are going to be faced with challenges. So, what I try to do is to get them thinking surgically whilst being challenged. H2 T2 Consultant interview

3.4.2 내과 사례 회의
3.4.2 Internal medicine case conference

[내과 케이스 컨퍼런스]는 담당중'on'인 내과 팀이 전공의을 지명해 지난 몇 달 동안 관리했던 ['재미있는 사례']를 발표하는 주간 교육 행사였다. 이 회의들의 풍토는 외과적 대회보다 [더 공식적이고 대화적formulaic and discursive]이었다. 예를 들어, 주니어 레지던트는 항상 [표준화된 구조]를 사용하여 사례를 제시했습니다. 그녀는 아스페르길루스증을 가진 57세 환자를 제시했다. 그녀는 발표 불만 사항, 과거 이력, 의료 및 수술 이력, 시스템 검토 및 의약품 목록'(H2T1 필드 노트)을 개략적으로 설명했습니다. 외과적 그랜드 라운드와 달리, 수석 의사 소집자가 질문이나 의견을 초대할 때까지 프레젠테이션은 청중 중 누구도 방해하지 않았다. 회의 환경은 외과 그랜드 라운드보다 훨씬 덜 압박되었지만, 감독관의 질문은 여전히 전공의의 평판에 위협이 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었다. 전공의들은 유능한 임상의가 아닌 학습자로 자리매김함으로써 질문에 자주 응답했다.
Medical case conferences were a weekly educational event in which the ‘on’ IM team, nominated a resident to present ‘interesting cases’ they had managed in the previous few months. The climate of these conferences was more formulaic and discursive than in surgical grand rounds. For example, junior residents always presented cases using a standardised structure. ‘She presented a 57-year-old patient with aspergillosis. She outlined the presenting complaint, the past history, the medical and surgical histories, the systems review and the medication list’ (H2T1 Fieldnotes). Unlike surgical grand rounds, the presentation was not interrupted by anyone in the audience until the senior physician convenor invited questions or comments. Whereas the conference environment was considerably less pressurised than surgical grand rounds, questions from supervisors could still be perceived as posing a threat to residents' reputations. Residents frequently responded to questions by positioning themselves as learners rather than capable clinicians:

 

소집자는 사례를 요약한 후 청중들에게 감별 진단에 대한 의견을 물었다. 주니어 레지던트는 낮은 음량으로 대답하고, 문장 말미에 질문적인 음높이 상승을 사용하여 convenor의 질문에 대한 대답이 아니라 질문임을 나타냈다. (H2T1 필드 노트)
The convenor summarised the case and then asked residents in the audience for their ideas about a differential diagnosis. Junior residents answered in low-volume voices and employed an interrogative upturn of pitch at the end of their sentences to indicate that their responses were questions rather than statements in response to the convenor's questions. (H2T1 Fieldnotes)


[주치의와 감독관]은 전공의들이 경청하는 동안, 서로 주고받는 의견을 나누며, 내과 케이스 컨퍼런스에서 [대화의 대부분]을 했다.
Consultants and supervisors did most of the talking in IM case conferences sharing perspectives in back-and-forth exchanges while residents listened.

아스페르길루스증 관리를 논의하는 컨설턴트들 사이에 대화가 오갔다. 그들은 증거의 출처로부터 통계와 사실들을 인용했고 그들의 주장을 밝히기 위해 경험적 내러티브를 사용했다. 전문 지식이 증거 핀볼 게임을 하는 컨설턴트에 의해 머리 너머로 공간에 이야기되기 때문에 후배 의사들은 대체로 수동적인 역할을 했다. (H2T1 필드노트)
The conversation jumped to and fro between the consultants who discussed the management of aspergillosis. They cited statistics and facts from sources of evidence and used experiential narratives to make their points. The junior doctors took a largely passive role as expert knowledge was talked into the space over their heads by consultants engaging in a game of evidential pinball. (H2T1 Fieldnotes)


시니어 의사들은 우리가 두 병원에서 관찰한 의료 관행의 지저분함과 복잡성을 경시하는 것처럼 보이는 언어를 사용하며,  [스스로를 유식하고 선견지명이 있는 증거 사용자]라고 포지셔닝했다.
Senior clinicians positioned themselves as knowledgeable and clear sighted users of evidence, employing language that appeared to marginalise the messiness and complexity of the medical practice that we had observed in both hospitals.

3.5 교사-학습자 상호 작용에서의 비공식 정체성 작업
3.5 Informal identity work in teacher–learner interactions

학습자와 감독자는 ['세트피스' 퍼포먼스]를 통해 자신의 행위를 파악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작성했습니다. [외과적 세트 피스]는 [수술장에서의 수술 공예의 공연]이었지만, [내과의 전형적 '세트 피스' 퍼포먼스]는 [케이스 발표]였다.
Learners and supervisors used ‘set piece’ performances to figure their practices and author their identities. Surgical set pieces were performances of surgical craft in theatre whereas in IM, the typical ‘set piece’ performance was a case presentation.

3.5.1 수술장에서의 학습
3.5.1 Learning in theatre

만약 당신이 수술방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기회에 달려들지 않았다면 당신은 외과의사로서 옳은 생각을 하고 있지 않았을 것이다. 병동 회진이나 외래 환자들보다 훨씬 낫습니다. 전공의는 여기(수술방)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싶어할 것이다. (H1 T2 전공의 인터뷰)
You wouldn't really be thinking right as a surgeon if you didn't jump at the opportunity to spend more time in theatre. It's much better than ward rounds and outpatients. Any registrar worth his salt would want to spend more time in here. (H1 T2 resident interview)


자신을 외과의사라고 생각하고 받아들여진다는 것은 수술방에서 외과 기술을 익힌다는 것을 의미했다.

Figuring oneself as a surgeon and becoming accepted meant mastering surgical craft in theatre.

새로운 컨설턴트를 처음 만났을 때 가위가 뭉툭해서 한 바늘도 못 베는 것과 같은 어리석은 일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압박을 받습니다. 말하는 것과 행하는 것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여러분이 이미 무언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새로운 직무를 하게 될 때에는 보통 많은 불안감이 있습니다. (H1T2 거주자 인터뷰)
It's pressurised when you first meet a new consultant, because you could do something stupid, like you may not be able to cut a stitch because the scissors are blunt …. There's a big gulf between talking the talk and walking the walk, so there's usually a lot of anxiety going to a new job to demonstrate that you are already able to do something. (H1 T2 resident interview)

수련자들은 그들의 [기술을 연마]하기 위해, 감독관의 시선에서 외과적으로 능력이 있는 자신을 보여줄 필요가 있었다.
To practise their craft, trainees needed to present themselves as surgically capable under the gaze of the supervisor.

마치 구식 견습생이나 마스터 같은 거죠.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전에 수행할 수 있어야 하는 작업들이 있습니다. 첫 번째 사례에서 그들은 [매듭]을 묶고 [기구를 잡는 것]과 같은 간단한 일을 하는 것을 볼 것이다. 그런 종류의 것들은 당신이 기술적으로 능숙한지 아닌지에 대해 그들에게 귀띔해 줄 것이다. 다음 움직임을 예상하는 보조자로서, [카메라의 초점]을 정확하게 맞추고, 관심 있는 것을 보여주며, 다음 단계가 무엇인지 이해한다면, 작업에 집중합니다. 모두 힌트입니다. (H1 T2 레지던트 인터뷰)
It's exactly like an old fashioned apprentice and master kind of thing. There are set pieces that you are expected to be able to do before you can move on. In the first instance they will watch you do something simple, like tie a knot, hold an instrument. That kind of stuff would tip them off as to whether you are technically proficient. As an assistant anticipating the next move, you know, focusing the camera correctly, showing them you are interested, focused on the operation, if you understand what the next step is. These are all hints. (H1 T2 Resident interview)


외과 선생님들은 일반적으로 그들 자신을 [코치]로서 author하기 위해 [언어적, 물리적 의사소통 수단]을 모두 사용했다. 그들의 이야기에서, 그들은 연습생들이 무엇을 해야 하고, 보고, 조심해야 하는지를 보여주었다.
Surgical teachers typically used both verbal and physical means of communication to author themselves as coaches. Their talk indicated what trainees should do, see, and be careful about.

저기에 있는 그릇들이 보이나요?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저는 그것을 유지하고 싶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우리가 잽싸게 할 수 있습니다. 저는 그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저는 그것이 이 내장의 일부를 유지시킬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그것을 조심해야 합니다. 점막 출혈은 신경 안 쓰고 장간막 출혈은 신경 쓰지
Can you see the vessels there? Now I want to keep that one because it's important, but that one we can zap. I think it's important because I think it looks after this bit of the gut that were going to keep, so we need to be careful of that. I don't care about bleeding from the mucosa, I care about bleeding from the mesentery. (H1 T2 Fieldnote)


언어적이고 신체적인 지도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외과의사들은 계속 발전해나가기 위한 [문화적 필수 사항]을 저술했다. 이것은 외과 수련자들이 상당한 시간적 압박 속에서 그들의 기술을 연습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자, 컷 컷 컷, 시작하자'(H1 T2 필드 노트). 
In addition to providing verbal and physical guidance, surgeons authored a cultural imperative to keep moving on. This meant that surgical trainees had to practise their skills under considerable time pressure. ‘Come on, cut cut cut, let's get on with it’ (H1 T2 Field note). 

내과 의사들과는 달리, 외과의사들은 정기적으로 피드백을 해주었다. 수술 과정 동안, 이 피드백은 종종 직접적이었으며, 모호하지 않았다. '그는 비판에 매우 엄격하지만, 당신이 수술하는 동안, 그 비판은 모두 건설적입니다'(H2T2 레지던트 인터뷰). 외과 선생님들은 또한 예를 들어 레지던트로부터 시술 제어를 넘겨받는 등 [암묵적인 피드백]을 전달하였다.
Unlike internists, surgeons gave regular feedback. During surgical procedures, this feedback was often direct and unambiguous. ‘He is very hard on the criticism, but it is all constructive while you are operating’ (H2 T2 Resident interview). Surgical teachers also communicated implicit feedback by, for example, taking over control of a procedure from a resident.

내가 인수하려고 할 때, 나는 명시적으로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 하지만 외과 수련자가 이해하게 될 것은, 우리가 직접 수술하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는 곳에 왔다는 것입니다. 나는 우리가 하고 있는 일의 기초에 대한 그의 이해가 완전히 만족스럽지는 않다. 따라서 내가 인수할 것이다. 말할 것도 없지만, 외과적 훈련에서는 항상 그랬습니다. (H2T2C 인터뷰)
I don't explicitly say anything when I'm taking over. But what a surgical trainee will understand by that, is that we've come to an area where I'm not happy for him to proceed directly himself. I'm not entirely happy with his understanding of the basis of what we are doing and therefore I'll take over. It's unsaid, but that's always the way it's been in surgical training. (H2T2 C interview)


[수술실에서 외과의사가 되는 것]은 [외과 감독관의 행위를 인식하고 재현하는 것]과 동시에 [자신을 외과의사로 author하고, 예상된 방식으로 지식 있게 말하는 것]을 배우는 것이었다.
Becoming a surgeon in theatre was about recognising and reproducing the practices of surgical supervisors, while authoring oneself as a surgeon and learning to talk knowledgeably in expected ways:

X 선생님의 탯줄 포트 삽입 방법을 봤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특별히 마음에 들지는 않았지만, 실제로 다른 방법은 모릅니다. 나는 다른 사람들이 훨씬 더 단순해 보이는 다른 방법들을 하는 것을 보았다. 하지만 제가 X와 함께 일하는 동안 저는 X의 방식대로 할 것입니다. 모든 사람들이 당신에게 '당신이 나를 위해 일하는 동안 나는 당신이 이런 방식으로 그것을 하기를 원한다'고 말한다. 나중에 제 환자를 보게 되면, 여러 선생님들에게 봤던 것들 중에서 마음에 들었던 부분들만 골라내서 내 방식대로 하면 될거에요. (H1T2 레지던트 인터뷰)

I have to admit I saw Mr X's' way of putting in the umbilical port, I did not particularly like it, but I do not actually know any other way. I've seen other people do different ways that look a lot simpler. But while I work with X I'll do it his way …. Everybody says to you ‘while you are working for me I want you to do it this way’. When you come to your own appointment, you pick up the bits that you liked from everybody, you do it your way. (H1 T2 Resident Interview)

3.5.2 내과에서의 사례 제시
3.5.2 Case presentation in internal medicine

[케이스 프레젠테이션]은 IM 팀에서 유능한 의사로서 자작하는 데 중요한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Case presentation provided a critical opportunity to self-author as a capable physician in IM teams.

당신은 단지 컨설턴트에게 중요한 포인트를 주고 그가 그 계획을 따르는 것을 기쁘게 생각하는지 보고 싶을 뿐입니다. 그는 자초지종을 말할 필요가 없다. 그가 필요로 하는 것은 몇 가지 요점과 우리가 하고 있는 일이다. 우리는 그에게 그 이야기를 파는 것뿐이다. …. 제가 그 이야기를 컨설턴트에게 전한다면, 그가 제 의견에 동의하는지 보고 싶습니다. 그가 더 추가할 것이 있나요? 나는 검증이나 칭찬받기를 원하는 것이 아니다. (H2T1 거주자 인터뷰)
You just want to give the salient points to the consultant and see that he is happy to go along with the plan …. He doesn't need the full story. All he needs is a couple of bullet points and what we are doing. We're just selling him the story. …. If I'm presenting the story to the consultant, I think I'm looking to see does he agree with me. Has he any more to add? I'm not looking for validation or a pat on the back. (H2 T1 Resident Interview)


내과 수련생은 [케이스 프레젠테이션에서 강조하기로 선택한 주요 세부 사항]과 [컨설턴트 감독관이 선택한 세부 사항]을 [비교]함으로써 자신을 의사로 형상화figured했습니다.
IM trainees figured themselves as physicians by comparing salient details that they chose to emphasise in their case presentation to those selected by their consultant supervisors:

누군가를 인정하고 나서 컨설턴트와 함께 그것을 겪는다면, 그리고 그들이 당신이 놓친 것들을 알게 된다면, 그것은 정말 좋은 학습 경험이고, 만약 서로 같은 것을 골랐다면, 당신은 그것을 제대로 했다고 생각하는 것이 정말 만족스럽다. (T1 H1 주니어 레지던트 인터뷰)
If you admit someone and then you go through it with the consultant, and if they pick up on things that you missed, it's a really good learning experience, and if they picked out the same things, it's really satisfying that you think that you've done it properly. (T1 H1 Junior resident interview)


고위 팀원들은 일관성을 유지하고, 하위 의사의 사례 프레젠테이션에 사례를 이해할 수 있는 세부 사항을 포함하기 위해 귀를 기울였습니다.
Senior team members listened for coherence and the inclusion of detail that allowed them to make sense of cases in junior doctors' case presentations:

나는 형편없는 referrals을 들었다. 나는 '요점을 말해 줄래? 여기서 진짜 문제가 뭐야?'라고 생각한다. 당신은 '이 남자, 그는 더블 바이패스, 심장마비, 그리고 그는 푸로세미드'로 시작하고 싶지 않을 것이다. 당신은 '그는 흉통이 있다'고 말하고 싶어하고 나는 '그는 고위험 환자인가 아니면 저위험 환자인가?'라고 생각하고 있다. 당신의 바퀴가 돌아가고 있고, 당신이 그가 바이패스 수술을 받았다는 것을 들었을 때 당신은 '그래, 그의 심전도 상태는 어때?'라고 생각한다. 반면에 만약 여러분이 문제가 무엇인지 잘 모르고 다른 정보를 먼저 듣고 있다면, 여러분은 그것을 따를 수 없습니다. 당신은 그들이 어떻게 인상을 받았는지 볼 필요가 있다. 일단 그들이 어떻게 결론에 도달했는지 알 수 있다면, 보통 괜찮다. (T1 H2 전공의 인터뷰)
I have listened to poor referrals. I think ‘Would you get to the point; what is the real issue here?’ You don't want to start off with ‘This man, he had a double by-pass, he had a heart attack, and he is on Furosemide’. You want to say ‘He's got chest pain’ and then I'm thinking ‘Is he a high risk or a low risk patient?’ Your wheels are turning, and when you hear he has had a by-pass you think ‘Well ok, how is his ecg?’ Whereas if you don't really know what the problem is and you are hearing the other information first, you can't, follow it. You need to see how they arrived at the impression. Once you can see how they arrived at their conclusion, it is usually fine. (T1 H2 resident interview)

따라서, 내과에서의 케이스 프레젠테이션은 [중요한 세부 사항을 식별]하고, 청취자의 마음에서 [질문을 예측]하고, [결론이나 행동의 근거를 명확히] 하는, 환자 프레젠테이션의 [일관성 있는 추상적 표현을 구성]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사람으로서 self-authoring에 관한 것이었다.
Thus, case presentation in IM was about self-authoring as capable of identifying salient detail, anticipating questions in listeners' minds and assembling a coherent abstract representation of the patient's presentation which made clear the rationale for conclusions or actions.

내과 감독관들은 전공의의 사례발표를 [학습자의 사고]보다는, [자신의 사고와 습관]에 맞게 상호작용적으로 맞추려고 하는 경우가 많았다.
Rather than coach learners' thinking, internal medicine supervisors often sought to interactively align residents' case presentation to their own thinking and habits.

  • 전공의: 그녀는 56세 여성입니다.
  • 컨설턴트: (중단). 새로 온 환자야?
  • 전공의: 그녀는 신참이다 그녀는 2010년에 마지막으로 목격되었다.
  • 컨설턴트: 그럼 재소환인가요? 그럼 천식인가요? 그녀는 담배를 피워 본 적이 있나요?
  • 전공의: 그녀는 담배를 피웠다. 그녀는 2000년에 비호지킨의 T세포 림프종과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 컨설턴트: (중단). 어디로, 그녀의 가슴?
  • 전공의: 가슴 그래. 2014년 그녀의 CT는 방사선 치료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는 일부 상엽의 변화를 보여주었지만, 그녀의 가장 최근의 흉부 X-ray에서는 어떠한 첨두 변화도 보이지 않는다. 그녀는 방사선 치료를 받은 후 증상이 시작됐다고 느낀다. H1 T1 비디오 녹취록, OPD에서의 거주 사례 프레젠테이션
  • Resident: She's a 56-year-old lady.
  • Consultant: (Interrupts). Is she a new patient?
  • Resident: She is new-ish. She was last seen in 2010.
  • Consultant: She's a re-referral then? Is it asthma then? Has she ever smoked?
  • Resident: She has smoked. She had non-Hodgkin's T-Cell lymphoma in 2000 treated with CHOP and radiation
  • Consultant: (Interrupts). To where, her chest?
  • Resident: Chest yeah. Her CT in 2014 showed some upper lobe changes that they thought were associated with radiation therapy, but in her most recent chest x-ray they do not appear to be any apical changes. She feels her symptoms started after she got radiation treatment. H1 T1 Video transcript, resident case presentation in OPD

내과 교사들은 학습자와의 비공식적 상호작용에서, 훈련생들을 위해 자신의 생각을 구두로 시연(인지 방송)하는 등 코치 이상의 모델로 자리매김했다. 그들이 [볼 수 있고 생각할 수 있는 것을 명확히 함]으로써, 그들은 내과 의학의 실천을 [모델링]했다.
Teachers in internal medicine positioned themselves as models more than as coaches during informal interactions with learners, for example, by giving verbal demonstrations (cognitive broadcasts) of their thinking for their trainees. By articulating what they could see and were thinking, they modelled the practice of internal medicine:

그저 무언가에 대해 think out loud하고, 저의 추론 방식을 보여줍니다. 그것은 단지 책을 읽고 절차를 따르는 것보다 훨씬 더 흥미롭습니다. 나는 누군가가 어떻게 추론하고 있는지 듣는 것이 매우 흥미롭다고 생각한다. (H1 T1 컨설턴트 인터뷰)
You just think out loud about something; you show your way of reasoning … It's so much more interesting than just reading a book and following procedure. I think that hearing how someone is reasoning is very interesting. (H1 T1 Consultant interview)


[컨설턴트의 독백]은 내과 팀의 [주요 교수 형태]였다.
Consultant monologues were the predominant form of teaching in internal medicine teams:

컨설턴트가 환자의 흉부 엑스레이를 보여달라고 요청한다. 엑스레이가 화면에 나타나면, 그는 자신이 본 것에 대해 말한다. 그는 정상적인 횡격막 그림자가 사라졌지만 왼쪽 심장 테두리가 선명하게 보이기 때문에 흉부 엑스레이에 양쪽 흉막삼출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한다. 그런 다음 팀원들이 수행해야 할 작업을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H1 T1 필드 노트)
The consultant asks to see the patient's chest x-ray. When the x-ray appears on the screen, he talks about what he sees. He says that he thinks that there are bilateral pleural effusions on the chest x-ray because there is loss of the normal diaphragmatic shadow and yet the left heart border is clearly visible. He then checks that his team understands the tasks that need to be carried out. (H1 T1 Field note)

4 토론
4 DISCUSSION

우리의 주된 발견은 [외과와 내과의 전공 특이적 행위]가 [무엇을 가르치고, 어떻게 배우고, 무엇을 배우는지 결정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임상 교사와 학습자의 역할은 각 전문 분야에 특화되어 있고 문화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교사와 학습자는 전문적으로 알고, 말하고, 존재하는 방식으로 특징지어지는 문화 세계 내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협상했다.

Our principal finding was that the specialty-specific practices of surgery and IM determined what was taught, how it was taught and what was learned. The roles of clinical teacher and learner were particular to each specialty and culturally anchored.31 Teachers and learners negotiated their identities within cultural worlds characterised by specialty-specific ways of knowing, talking and being.

이러한 관찰은 [정체성 형성]을 학습자의 [직무현장의 어포던스에 대한 참여]와 [직무현장의 요구] 사이의 협상으로 특징짓는 [직장 학습에 대한 현재의 설명]과 강하게 일치한다. 우리의 연구는 임상 팀이 [전공 자체의 전문성]뿐만 아니라 [팀 자체의 사회역사적 규범과 기대]와 관련하여, [행위자성agency]은 변증법적dialectically으로 협상되는 문화적 세계]로 개념화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전공-특이적 문화적 세계] 속에서 배우는 것은 [학습자의 행위자성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문화적으로 승인되는 행위과 기질의 재생산]을 촉진한다. 그러므로 외과의사나 내과의사가 되는 것은 [직장 환경의 요구], [전공과목의 문화], 그리고 [개별 학습자의 적성과 열망] 사이의 [경쟁적인 공간]에 위치한다. [학습자 중심성]에 대한 [맥락적 위협]과 [문화적으로 대본화된 지배적인 교육 관행 및 정체성의 영속화]는 임상 교육의 결함을 해결하고자 하는 교수 개발자에게 중요한 과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작업 또는 학습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대화와 연습을 활용하기 위해 에이전시를 실행할 수 있는 학습자가 학습 경험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좋은 증거가 있다. 우리의 연구는 임상 교육의 알려진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전공과목-특이적 문화 세계에 적용되는 특정 담론의 잘 알려진 구성에 기초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These observations align strongly with current descriptions of workplace learning where identity formation is characterised as a negotiation between learners' engagement with the affordances of the workplace, and its demands of them.46-48 Our work suggests that clinical teams should be conceptualised as cultural worlds in which agency is negotiated dialectically in relation to the socio-historic norms and expectations of the team as well as the parent specialties.49 Learning in specialty-specific cultural worlds not only limits learners' agency but promotes the reproduction of culturally sanctioned practices and dispositions.13, 50 Becoming a surgeon or an internist is therefore situated in a contested space between the demands of workplace contexts, specialty cultures and the aptitudes and aspirations of individual learners.48 Contextual threats to learner centredness and the perpetuation of dominant culturally scripted teaching practices and identities represent important challenges for faculty developers who wish to address the deficiencies of clinical education. There is good evidence, for example, that learners who can exercise agency to harness the available dialogue and practices in working or learning contexts can greatly enhance their learning experiences.51 Our work suggests that the solutions to the acknowledged problems of clinical education need to be founded on well informed constructions of the particular discourses that apply in specialty-specific cultural worlds.

[전문가가 되는 것]이란, [임상 팀 속에의 참여]와 [특정 분야의 역사적 가치, 관행 및 전통과 자신의 일치]를 통해서 형성되는 [정체성 작업]의 한 형태를 나타낸다. [정체성 작업]은 개인이 사회적 맥락에서 다른 사람들과 관련하여 [사회적 및 역할 정체성을 어떻게 생성, 주장, 폐기 및 협상]하는지를 설명한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공식 및 비공식 임상 학습 맥락]에서, 학습자들이 외과의사 및 내과의사로서의 [정체성 주장]을 담론적으로 하기 위해, [서술적 포지셔닝과 자기 저술의 전략]을 사용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들은 내과 의사와 외과의사의 일상적인 업무 관행에 내재된 [가치 있게 여겨지는 앎의 방식이나 말하는 방식] 등에 관한 [구체적인 학문분야 특이적 문화적 배경]과 관련하여 그렇게 했다
Becoming a specialist represents a form of identity work shaped by participation in clinical teams and the alignment of self with the historical values, practices and traditions of a particular discipline.32, 34 Identity work describes how individuals create, claim, discard and negotiate social and role identities in relation to others in social contexts.52 In this study, we found that learners in formal and informal clinical learning contexts used strategies of narrative positioning and self-authoring to discursively make identity claims as surgeons and IM physicians. They did so in relation to discipline specific cultural backdrops of valued ways of knowing, talking and so forth that were embedded in the everyday working practices of internal medicine physicians and surgeons.

임상 교육의 탐색하면서, 우리는 [작업 중심성]을 PGME에서 임상 교육의 커리큘럼을 정의하는 것으로 강조했다. [작업work]는 '무엇이 학습되고 어떻게 학습되는지'를 정의하기 때문에, Morris와 Swanwick은 임상 감독관이 다음과 같이 해야 한다고 제안합니다.

  • 교육생을 위한 의미 있는 작업 기회의 선택 및 구조화한다.
  • 작업장의 숨겨진 커리큘럼의 주요 특징을 명확히 한다. 
  • 소속을 가능하게 하는 작업 및 학습 환경을 제공한다. 

이 연구와 우리의 이전 연구는 이러한 임상 감독자의 역할이 대부분 우리가 관찰한 서비스 중심 임상 작업장에서 실현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함은 교수 개발을 통해 해결할 수 있지만, 교수 개발자가 다양한 전문 분야에서 임상 교육이 제정되는 방법의 문화적 특수성과 교수, 학습 및 작업이 발생하는 문화 세계의 특수성을 인정할 준비가 되어 있는 경우에만 해결할 수 있다.

Explorations of clinical education have highlighted the centrality of work in defining the curriculum of clinical education in PGME.2, 53 Given that it is work that defines what is learned and how it is learned, Morris and Swanwick2 suggest that clinical supervisors should

  • select and structure meaningful work opportunities for trainees,
  • articulate key features of the workplace hidden curriculum and
  • provide work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that enable belonging.253 

This study and our previous work19 suggest that these clinical supervisor roles were for the most part not actualised in the service driven clinical workplaces we observed. These deficiencies could be addressed through faculty development, but only if faculty developers are prepared to acknowledge the cultural specificity of how clinical education is enacted in different specialties and the particularities of the cultural worlds where teaching, learning and working occur.

4.1 교수개발 대한 권고 사항
4.1 Recommendations for faculty development

직장workplace 교육과정의 [극도로 상황화된 성격situated nature]과 전공과목 분야마다의 [다양한 교수 학습의 특수성]을 고려할 때, 교수개발자는 [정통적 교육]에서 파생된 솔루션을 사용하여 임상 교육을 '개선'하려는 시도를 벗어나, [맥락적 이해에 기반한 변화를 촉진하는 시도]로 초점을 전환함으로써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교수 개발자는 (예를 들어 행동 연구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임상 교사와 협력하여 [변화시키고자 하는 작업장 환경과 교육 관행을 관찰하고 이해]해야 한다. 교수진 개발자는 임상의와 협력하여 [임상의가 일하는 곳의 정치와 현실에 맞는 상황별 커리큘럼을 개발]해야 한다. 비디오 반사 민족학(VRE)은 임상의가 맥락과 실천의 당연한 측면으로 여겨지는 문화를 감상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접근 방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VRE와 같은 기술은 임상의가 작업 환경 및 이에 관련된 교육 문제에 대한 이해를 구축하는 데 직접 협력하는 참여적 행동 연구 설계의 자원에 사용될 수 있다.
Given the profoundly situated nature of the curriculum of the workplace, and the particularitie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different specialties, faculty developers could greatly enhance their effectiveness by shifting emphasis from attempts to ‘improve’ clinical education using solutions derived from educational orthodoxy, toward facilitating change founded on contextual understandings. To achieve this, faculty developers need to work with clinical teachers, (using action research approaches for example), to observe and make sense of the workplace settings and teaching practices that they hope to change. Faculty developers should collaborate with clinicians to develop contextual curriculums that are customised for the politics and realities of the places where clinicians work.54 Video reflexive ethnography, (VRE) has been shown to be a very effective approach in helping clinicians to appreciate cultural, taken for granted aspects of context and practice.55 Technologies such as VRE could be used to resource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designs whereby clinicians collaborate directly in building understanding of workplace contexts and therefore solutions to the educational problems that pertain there.

4.2 제한 사항
4.2 Limitations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직장 교육의 실제 정치에 더 적합한 교수 개발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적용 가능성에는 몇 가지 한계가 있다. 이 연구는 두 개의 분리된 교육병원에서 각각 두 개의 임상팀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강화되었지만, 팀 구조, 계층 구조 및 훈련 커리큘럼과 같은 특징은 한 국가에 특유했다. 연구 결과의 [전이가능성transferability]을 높이기 위해, 우리는 Figured Worlds를 강력한 분석 프레임워크로 사용했고, 연구를 수행한 사이트와 수술 및 IM의 특수성을 임상 작업장 학습의 사례로 다루었다. 또한, 연구팀의 구성에 의해 전이가능성이 보장되었다. 저자는 네덜란드, 아일랜드, 영국 등 세 나라 출신이다. 그들은 모두 국제 의료 교육에 경험이 있다. 그리고 그 팀은 임상 의사, 심리학자, 그리고 일반 실무자를 포함하고 있는데, 그의 전문 교육은 수술이나 임상과는 매우 달랐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상 교육을 형성하는 업무, 작업 공간 및 맥락 커리큘럼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우리는 다른 국가 및 다른 전문 분야에서 추가 연구를 권고한다. 사회인류학의 전통에 따라, 한 명의 관찰자가 이 연구에서 현장 연구를 수행했다. 편견을 최소화하기 위해 반사 일지를 작성하고 각 관찰 기간이 끝날 때 참가자들과의 비공식 인터뷰와 공식 출구 인터뷰를 사용하여 자신의 관찰을 입증했다. 단일 관찰자 효과는 세 연구자의 다른 관점에 의해 풍부해진 긴밀한 협력에 의해 더욱 완화되었다.


Although these findings could help design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that are better suited to the realpolitik of workplace education,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their applicability. Whereas this study was strengthened by gathering data from two clinical teams in each of two separate teaching hospitals, features such as team structure, hierarchy and training curriculums were particular to one country. To increase the transferability of the findings, we used Figured Worlds as a strong analytical framework and treated the sites where we conducted the research and the specialties of surgery and IM as instances of clinical workplace learning. Transferability was assured, further, by the composition of the research team. The authors come from three different countries, the Netherlands, Ireland and the United Kingdom; they are all experienced in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and the team includes an IM physician, a psychologist and a general practitioner, whose specialty training was very different from either surgery or IM. Nonetheless, given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work, workplaces and the contextual curriculums that shape clinical education, we recommend further research in other countries and different specialties. In keeping with the traditions of social anthropology, a single observer undertook the field work in this study. To minimise bias he kept a reflexive diary and corroborated his observations using ‘on the hoof’ informal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and formal exit interviews at the end of each observation period. The single observer effect was further mitigated by close cooperation, enriched by the different perspectives of the three researchers.

5 결론
5 CONCLUSIONS

임상 교육에서 교사와 학습자의 정체성, 교수와 학습의 관련 관행은 모두 임상 학습이 위치한 사회 문화적 맥락에 의해 형성되고 그에 따라 결정된다. 전문분야별 임상팀과 같은 사회구조에 참여하면 학습된 내용뿐만 아니라 학습 방법도 알려준다. 임상 교육은 때때로 묘사되듯이 지식을 습득하는 [선형 과정]이 아니라, [상황적으로 특정한 직장 커리큘럼]에 [상호 참여함]으로써 되는 복잡한 과정이다. 우리의 연구는 교수 개발이 임상 교육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지금과 같은 [전문가 주도의 자격 증명 접근법]에서 벗어나는 대신, [그곳에서 일하는 사람들, 즉 임상의와 직장 커리큘럼에 대한 공유된 이해]를 구축하는 데 기반을 두어, 보다 [촉진적facilitative 접근 방식]을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In clinical education, teacher and learner identity and the associated practices of teaching and learning are all shaped by, and contingent on, the sociocultural contexts in which clinical learning is situated. Participation in social structures such as specialty-specific clinical teams, informs not only what is learned, but how it is learned. Clinical education is not, as it is sometime portrayed, a linear process of acquiring knowledge, but is instead a complex process of becoming, through mutual engagement in situationally specific curriculums of the workplace.53 Our work suggests that faculty development should move away from its current focus on expert led credentialing approaches to ‘fix’ clinical education and consider instead a more facilitative approach, founded on constructing shared understandings of workplace curriculums with the people who work there, the clinicians.

 


Med Educ. 2022 Jun;56(6):614-624. doi: 10.1111/medu.14727. Epub 2022 Jan 26.

The social construction of teacher and learner identities in medicine and surgery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Discipline of General Practice,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Ireland.

2School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3School of Medicine, Dentistry and Biomedical Sciences, Queens University Belfast, Belfast, UK.

PMID: 34993973

PMCID: PMC9305233

DOI: 10.1111/medu.14727

Free PMC article

 

Abstract

Introduction: There are growing concerns about the quality and consistency of postgraduate clinical education. In response, faculty development for clinical teachers has improved formal aspects such as the assessment of performance, but informal work-based teaching and learning have proved intractable. This problem has exposed a lack of research into how clinical teaching and learning are shaped by their cultural contexts. This paper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learner identity, educational practice and the workplace educational cultures of two major specialties: internal medicine and surgery.

Methods: This was a secondary analysis of a large dataset, comprising field notes, participant interviews, images and video-recordings gathered in an ethnographic study. The lead author embedded himself in four clinical teams (two surgical and two medical) in two different hospitals. The authors undertook a critical reanalysis of the observational dataset, using Dialogism and Figured Worlds theory to identify how teachers and postgraduate learners figured and authored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in the specialty-specific cultural worlds of surgery and internal medicine.

Results: Surgery and internal medicine privileged different ways of being, knowing and talking in formal and informal settings, where trainees authored themselves as capable practitioners. The discourse of surgical education constructed proximal coaching relationships in which trainees placed themselves at reputational risk in a closely observed, embodied practice. Internal medicine constructed more distal educational relationships, in which trainees negotiated abstract representations of patients' presentations, which aligned to a greater or lesser degree with supervisors' representations.

Conclusions: Our research suggests that clinical education and the identity positions available to teachers and learners we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cultural worlds of individual specialties. Attempts to change work-based learning should be founded on situated knowledge of specialty-specific clinical workplace cultures and should be done in collaboration with the people who work there, the clinicians.

성격이 중요한가? 일반외과의사로서 내향성과 외향성의 경험과 인식(Teach Learn Med. 2022)
Does Personality Matter?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Introverts and Extraverts as General Surgeons
Victoria Luonga , Chris Shieldsb, Allison Petriec, and Katerina Neumannd

 

 

서론
Introduction

2012년, 수잔 케인은 "내향적인 사람들의 힘"이라는 제목의 TED 강연을 했습니다. 1 그녀의 책과 함께, 그녀의 강연은 서구 사회가 외향적인 사람들을 내향적인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는 것을 이상화하는 방식을 비판했고 우리는 내향적인 사람들이 제공해야 하는 것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 당시에, 이러한 생각들은 혁명적이었다. 그녀의 강연은 ted.com에서 2800만 번 이상 조회되었고, 더 내향적인 생활 방식과 리더십을 장려하는 학술 출판물, 대학원 작업, 책, 블로그 및 팟캐스트의 물결을 일으켰다. 
In 2012, Susan Cain gave a TED talk titled “The Power of Introverts.”1 Along with her book,2 her talk critiqued the way Western society has idealized extraverts to the detriment of introverts and argued that we need to pay attention to what introverts have to offer. At the time, these ideas were revolutionary. Her talk was viewed over 28 million times on ted.com, and sparked a wave of academic publications,3–7 graduate work,8–10 books,11–13 blogs,14 and podcasts15 emboldening more introverted styles of living and leading.

내성적인 사람들의 역량 강화와 그들의 도전 과제를 조명하는 것은 필연적으로 의학 교육으로 가는 길을 찾았다. 2015년 Davidson과 동료들은 의과대학이 대화식 교육 전략(예: 문제 및 사례 기반 학습)으로 전환하는 것이 내성적인 학습자에 비해 외향적인 학습자가 갖는 이점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3 교사로서의 역할에서, 저자들은 내성적인 의대생들이 종종 부적응자로 느껴지고, 오해받고, 저조한 수행자로 판단되며, 의학에서 성공하기 위해 종종 더 외향적인 행동을 할 필요가 있다고 관찰했다. 연구들은 또한 의과대학의 임상 기간 동안 평가자들은 대인관계 행동의 척도에서 외향적인 사람들을 더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에 대응하여, 의학 교육자들은 [내향적인 사람들이 의학에서 가지는 중요한 역할]을 옹호해왔다. 일반적으로 사교성과 같은 외향적인 특성과 연관된 응급의학과 같은 전문분야를 포함한다.
The empowerment of introverts—and spotlighting of their challenges—has inevitably found its way to medical education. In 2015, Davidson and colleagues cautioned that medical schools’ move toward interactive teaching strategies (e.g., problem- and case-based learning) may be deepening the advantages extraverted learners have over their introverted counterparts.3 In their roles as teachers themselves, the authors observed that their introverted medical students often felt like misfits, misunderstood, and judged as underperformers and often needed to act more extraverted in order to succeed in medicine.3 Studies have also shown that, during the clinical years of medical school, evaluators tend to rate extraverts higher on measures of interpersonal behavior.16 In response, medical educators have advocated for the important role introverts have in medicine6—including in specialties like emergency medicine that have typically been associated with extraverted traits like sociability and gregariousness.7

의학에 대한 내향적인 사람들의 관심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분야의 출판물은 논평, 관찰, 그리고 편집자에게 보내는 편지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저자들이 제시한 주장은 대부분 성격과 의학의 성공을 연계한 선행(그리고 종종 시대에 뒤떨어진) 연구들에 의해 뒷받침되어 왔다. 실제로 의학교육에서 성격에 관한 문헌은 설문지를 사용하여 성격 특성을 다른 의료 전문분야에 일치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여전히 다른 성격을 가진 사람들(내향적인 사람들과 외향적인 사람들)이 어떻게 동일한 의학 전공분야를 진정으로 경험하는지에 대해 거의 알지 못한다.
Despite this increased interest in introverts in medicine, publications within the field have tended to be in the form of commentaries, observations, and letters to the editor. The arguments these authors have put forward have mostly been supported by prior (and often outdated) studies linking personality to success in medicine and research outside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17–19 In reality, the literature on personality in medical education has focused on matching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o the different medical specialties using questionnaires.17 But, we still know little about how those with different personalities (such as introverts and extraverts) truly experience the same medical specialties.

외과적 성격
The surgical personality

본 연구는 내향적인 사람들이 의학에서 직면할 수 있는 도전에 대한 중요한 논의를 더하여, 일반외과 수련에서 내향적인 사람들과 외향적인 사람들의 경험과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수술 장소는 다른 성격을 가진 사람들이 어떻게 같은 전문 분야를 경험하고 성공하는지 조사하기 위한 이상적인 맥락을 제공한다. 외과의사들은 오랫동안 대담하고, 공격적이고, 거리낌이 없고, 지배적이고, 솔직하고, 그리고 빠르게 진행되며, 책임감을 갖는 "무딘thick-skinned" 사람으로 고정관념이 되어 왔다. 비록 이러한 고정관념들이 항상 정확한 것은 아니지만, 고정관념은 [외과의사를 인식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인 담론에 연습생들을 노출시킬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그 안에서 번창할 수 있는 잠재력입니다. 
Adding to the important discussion of the challenges introverts may face in medicine,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introverts and extraverts in general surgical training. The surgical workplace provides the ideal context for examining how those with different personalities experience, and succeed within, the same specialty. Surgeons have long been stereotyped as bold, aggressive, uninhibited, domineering, frank, and “thick-skinned” with fast-paced and take-charge mentalities.20–24 Although stereotypes like these are not always accurate, they may expose trainees to common discourses that influence the way they perceive the profession—and, perhaps most importantly, their potential to thrive within it.22–24

또한, 많은 연구자들은 수술의 숨겨진 커리큘럼(즉 신념, 태도, 그리고 사회 문화적 규칙의 암묵적 시스템)을 묘사했고, 이에 따르면 수술장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자신감 있고 가혹하며 단호하게 보임]으로써 언행일치를 이뤄야 한다. Ott와 동료들은 외과 레지던트들을 대상으로 한 이론 연구에서 외과의사들은 [주저하는 것]을 [지식, 자신감 및/또는 역량의 부족]으로 해석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파텔과 동료들은 외과 레지던트들이 종종 빠르고 결정적으로 결정을 내려야 한다는 압박을 느낀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므로 [수술의 문화]는 어떤 희생을 치르더라도 [자신에 대한 나약함이나 불확실함의 느낌이 없어야(혹은 보이지 않아야)]하는 장소인 것 같다. 
In addition, a number of researchers have described the hidden curriculum of surgery (i.e., the implicit systems of beliefs, attitudes, and social and cultural rules that govern the work environment) as a place where, in order to succeed, one must learn to walk the talk by appearing confident, harsh, and assertive.25,26 In their grounded theory studies of surgical residents, Ott and colleagues found that surgeons interpret hesitation as a lack of knowledge, confidence, and/or competence.27 Patel and colleagues found that surgical residents often feel pressure to make decisions quickly and decisively.26,28 The culture of surgery thus seems to be a place where feeling (or appearing) weak or unsure of oneself is to be avoided at all costs.25–28

역사적으로, 외향적인 사람들은 외과 전문 분야를 지배하는 경향이 있었다. 외향적인 사람들은 많은 사람들과의 사회적 활동보다는 고독한 활동(또는 1:1 상호작용)에 의해 내향적이고 활력을 얻는 경향이 있는 내성적인 사람들에 비해 지배적이고 사교적이며 자신감 있고 따뜻하며 대담한 경향이 있다. 내성적인 사람들은 외향적인 상대방에 비해 조용하고, 내성적이며, 덜 적극적이고, 더 신중한 의사 결정자를 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내성적인 사람들의 조용함은 종종 자신감 부족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내향적인 사람들은 외과적 전문성이 특히 어렵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는 외과적 교육 문헌에서 아직 탐구되지 않았다.
Historically, extraverts have tended to dominate surgical specialties.17,29 Extraverts tend to be dominant, gregarious, confident, warm, and bold compared to introverts who tend to be inward-turning and energized by solitary activities (or 1:1 interactions) rather than social activities with numerous individuals. Introverts tend to be quiet, reserved, less assertive, and more careful decision-makers compared to their extraverted counterparts.30–32 As well, introverts’ quietness is often perceived as a lack of confidence.9 Therefore, one may expect that introverts may find surgical specialties particularly challenging, but this has yet to be explored within the surgical education literature.

방법
Method

우리는 구성주의 근거 이론(CGT)의 원리와 방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했습니다. 이 방법을 통해 수술 분야를 [사회적 공간]으로 개념화하고, 수술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복잡한 주관적 경험]에서 오는 의미를 탐색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새로운 설명 이론을 밝히기elucidate]보다는 데이터 분석을 위한 체계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외과 전문의의 인식과 경험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었다.
We collected and analyzed data using principles and methods of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CGT). This method allowed us to conceptualize the field of surgery as a social space and to explore the meaning that comes from the complex subjective experiences of those who inhabit it.33,34 The ultimate goal of our study was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surgical professionals using systematic methods for data analysis rather than to elucidate a novel explanatory theory.

우리는 [리틀의 인간 발달에 대한 사회적 생태학적 모델]을 우리의 분석적 통찰력을 알리는 데 도움이 되는 민감화sensitizing 프레임워크로 사용했다. 리틀은 사람들이 종종 [개인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타고난 성향과 불일치하는 행동을 한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조용하고 보통 고독한 내성적인 대학교수는 그들의 학생들과 열정과 참여를 표현하기 위해 수업을 가르칠 때 더 큰 소리로, 더 활기차게, 그리고 더 제스처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시간이 지나도 안정적인 [성격 특성][성격 상태]를 모두 보여주는데, [성격 상태]는 사람이 (때로는 다른) 성격 특성의 정서적, 행동적, 인지적 측면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행동함에 따라 변동할 수 있다. 게다가, 리틀의 모델은 [성격과 다르게 행동하려는 동기]가 한 개인의 [핵심 가치]와 [개인적 신념]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제안했다. 따라서 개인의 행동이 변화하는 정도(가소성이라고 함)는 각 개인에 따라 다르다. 앞의 예에서, 내성적인 교수는 그렇게 하는 것이 학생들에게 이익이 될 것이라고 진정으로 믿는 경우에만 "외향적으로 행동"할 것이다.
We used Little’s social ecological model of human development as a sensitizing framework to help inform our analytical insights.35,36 Little asserted that people often behave in discordance with their natural dispositions in order to accomplish personal goals. For instance, a quiet, usually solitary introverted university professor may speak more loudly, more energetically, and be more gesturally expressive (i.e., they can act extraverted) when teaching a class in order to portray enthusiasm and engagement with their students. People thus exhibit both personality traits, which are stable over time, and personality states, which may fluctuate as a person acts in a way that mirrors the affective, behavioral, and cognitive aspects of a (sometimes different) personality trait.37 Furthermore, Little’s model proposed that motivation to act out of character is closely linked to one’s core values and personal beliefs; the degree to which a person’s behavior varies (called plasticity38) is therefore specific to each individual. In the earlier example, the introverted professor would only “act extraverted” if they truly believed that doing so would benefit their students.

참가자
Participants

2017년 9월부터 11월까지 도시 3차 요양병원의 모든 교직원 일반외과 의사들과 일반외과 레지던트들을 연구에 참여하도록 초청하였다. 훈련생과 외과의 모두를 모집함으로써 우리는 훈련을 탐색하는 사람들과 훈련을 지도하고 평가해야 하는 사람들 모두의 관점을 얻을 수 있었다. 외과의사보다 레지던트 수와 응답률이 높아 제2차 3차 요양병원 소속 외과의사 2명도 모집했다. 우리는 두 사람의 경험을 탐색하고 비교하기 위해 외향적인 사람과 내향적인 사람을 모집했다. 외과 의사(n = 6), 레지던트(n = 10), 내성적(n = 8), 외향적(n = 6), 양향적(n = 2; 한 범주 또는 다른 범주에 깨끗하게 들어맞지 않는 것으로 정의)의 표본(N = 16)과 남성(n = 9) 및 여성(n = 7)의 개별 인터뷰를 완료했다. 레지던트 1~4세들은 연구에 참여했고, 외과의사들 사이에서는 10~31년의 경험이 있었다.
All faculty member general surgeons and general surgery residents at an urban tertiary care hospital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between September and November 2017. Recruiting both trainees and surgeons allowed us to gain the perspective of both those navigating their training and those who must guide and evaluate that training. Two surgeons from a second tertiary care hospital were also recruited due to the higher number and response rate of residents compared to surgeons. We recruited extraverts and introverts in order to explore and compare the experiences of both. A sample (N = 16) of surgeons (n = 6) and residents (n = 10); introverts (n = 8), extraverts (n = 6), and ambiverts (n = 2; which we defined as those who did not fit cleanly into one category or the other); as well as men (n = 9) and women (n = 7) completed individual interviews. Residents years 1–4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years of experience ranged from 10 to 31 among surgeons.

설문지
Questionnaire

참가자들은 관련 배경 정보(예: 나이, 경험 연수)와 성격 척도(Ten-Item Personality Inventory 또는 TIPI)를 포함하는 간단한 설문지를 작성했다. 본 연구에서 성격 유형 지정은 성격이 외과적 훈련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관점에 대해 다양한 성격(내향적, 외향적)을 [적절하게 샘플링했는지 확인]하는 데만 사용되었다. 우리의 목표는 내성적인 사람과 외향적인 사람 사이의 차이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 아니었다. 따라서, 우리는 빠르게 완성될 수 있지만 연구의 필요성에 충분히 부합하는 성격의 척도를 선택했다. TIPI의 정신측정학적 특성은 다른 곳에서 설명되었다. 

Participants completed a brief questionnaire that included pertinent background information (e.g., age, years of experience) and a measure of personality (the Ten-Item Personality Inventory or TIPI).39 Designation of personality type in our study was used only to ensure we had adequately sampled a range of personalities (introverted, extraverted) on their perspectives of how personality may affect surgical training; our goal was not to draw conclusions about the differences between introverts and extraverts. Thus, we chose a measure of personality that could be completed rapidly but that was sufficiently valid for the needs of the study.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TIPI have been described elsewhere.39–41

연구 참가자들은 또한 인터뷰 동안 내성적, 외향적, 또는 양향적임을 스스로 확인하고 인터뷰 진행자와 이러한 개념에 대한 자신의 정의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이러한 자체 식별은 TIPI의 결과와 비교되었으며 15/16 참가자와 일치했다.
The research participants also self-identified as introverted, extraverted, or ambiverted during their interviews and discussed their own definitions of these concepts with the interviewer. These self-identifications were compared to their results on the TIPI, and matched for 15/16 participants.

인터뷰
Interviews

PI(VL)는 20-60분 동안 반구조적인 인터뷰를 직접 진행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녹음하고 기록했습니다. 그녀는 참가자들에게 [내향성과 외향성을 어떻게 정의하는지 설명]하도록 하는 것으로 각 인터뷰를 시작했고, 참가자들에게 [연구자들의 정의]를 설명하면서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저는 내성적인 사람을 고독한 활동으로 활력을 얻고 과도한 사회적 자극을 피하는 조용하고 차분하며 성찰적이고 수동적인 유형으로 정의합니다. 외향적인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과 함께함으로써 에너지를 얻고 과도한 시간을 혼자 보내는 것을 피하는 수다스럽고, 겉으로는 열정적이고, 충동적이고, 지배적인 유형으로 정의된다. 이 정의는 귀사와 어떻게 비교됩니까?" 

그 후, 참가자들에게는 자신의 성격과 성격과 외과적 훈련에서의 경험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인식을 탐구하는 개방형 질문이 주로 주어졌다(표 1 참조).

The PI (VL) conducted the 20–60 minute semi-structured interviews in person, digitally-recording and transcribing verbatim. She began each interview by asking the participants to describe how they define introversion and extraversion, and then explained the researchers’ definitions to participants, specifically stating:

  • “I define introverts as silent, calm, reflective, passive types who are energized by solitary activities and avoid excessive social stimulation. Extraverts are defined as talkative, outwardly enthusiastic, impulsive, dominant types who are energized by being with other people and avoid spending excessive amounts of time alone. How does this definition compare with yours?”

Following this, participants were asked primarily open-ended questions exploring their own personalitie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their experiences in surgical training (see Table 1).

CGT 연구의 전형적인 사례처럼, 이러한 질문들은 [개발되는 테마developing theme]를 탐구하기 위해 각 인터뷰 후에 다듬어졌다. 예를 들어, 초기 참가자들이 외과의사에게 필수적인 기술로서 팀워크와 리더십을 강조했을 때, 우리는 이러한 주제에 특별히 초점을 맞춘 인터뷰 가이드에 질문을 추가했다. 또한, 리틀의 사회 생태학적 모델에 의해, 참가자들이 자신의 행동을 수술 현장에 어떻게 적응시켰는지를 설명할 때, 우리는 참가자들이 이것을 가능한 한 자세히 설명하도록 장려하는 탐색 질문을 사용했다. 참가자들은 다른 사람들에 대한 관찰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경험을 공유하도록 격려 받았다. 모든 식별 정보는 데이터 분석 전에 제거되었고 각 참가자는 라벨(p1–p16)을 받았다.

As is typical of CGT research, these questions were refined after each interview to explore developing themes.33 For instance, when the initial participants emphasized teamwork and leadership as essential skills for a surgeon, we added questions to the interview guide that focused specifically on these themes. Furthermore, informed by Little’s social ecological model, when participants described how they adapted their behavior to the surgical workplace, we used probing questions that encouraged participants to describe this in as much detail as possible. Participants were encouraged to share their personal experiences as well as their observations of other people. All identifying information was removed prior to data analysis and each participant received a label (p1–p16).

데이터 분석
Data analysis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이 반복적으로 수행되었습니다. 주임조사관(VL)은 먼저 이 분야에서 잘 알려졌으며, 다른 논문에서 잘 설명된 [개방형, 선택적, 이론적 코딩 과정]을 이용하여 인터뷰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33,34 이러한 코딩 방식은 연구 기간 동안 2명의 추가 연구원(AP, CS)에 의해 4차례 검토되고 그룹 내에서 논의되어 개발 중인 테마를 더욱 정교하게 다듬을 수 있었다. 두 번째 연구자(KN)는 두 개의 인터뷰를 독립적으로 코딩했다. 그룹(VL, KN, AP)은 두 코딩 체계를 검토하고 비교하여 새로운 해석을 비교하고 다듬었다. 그 과정은 우리가 각 주제에 대해 충분히 풍부하고 포괄적인 탐구를 개발했을 때 끝났다.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occurred iteratively. The principal investigator (VL) first analyzed the interview data using an open, selective, and theoretical coding process well-recognized in the field and described in more detail elsewhere.33,34 These coding schemes were reviewed four times by two additional researchers (AP, CS) throughout the study period and discussed within the group, leading to further refinement of developing themes. A second researcher (KN) independently coded two interviews; the group (VL, KN, AP) then reviewed and compared both coding schemes to compare and refine emerging interpretations. The process ended when we had developed a sufficiently rich and comprehensive exploration of each theme.

우리의 [구성주의적 접근 방식]은 참여자와 연구자 사이의 [적극적인 지식의 공동 구성]을 인식하도록 강요한다. 연구과정에서, 우리는 연구자들의 배경이 데이터 해석에 어떻게 기여했는지를 인식했다. 최근 건강전문교육 석사과정을 수료한 의대 졸업생이자 내성적이라고 자처하는 PI(VL)는 저널링, 메모 작성, 연구팀과 공개적이고 비판적인 대화를 정기적으로 하는 등 연구에 기여한 점을 지속적으로 반성했다. 의료 문화와 훈련의 사회적 과정에 초점을 맞춘 그녀의 연구 배경은 CGT 접근법과 일치한다. 연구팀은 질적 방법(AP)에 대한 배경을 가진 교육학 연구원과 만성질환(CS)에 대한 운동학적 측면과 환자진료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춘 연구원 등 2명으로 구성됐다. 추가 멤버는 연구 환경에 "내부" 렌즈를 제공했는데, 이는 외과 수련자(KN)를 가르친 경험이 풍부한 일반 외과 의사이다.
Our constructivist approach compels us to recognize the active co-construction of knowledge between participants and researchers.33 Throughout the study, we recognized how the backgrounds of our researchers may have contributed to interpretations of the data: the PI (VL), a medical graduate who recently completed a Master’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who self-identifies as introverted, continuously reflected on her contribution to the research through journaling, writing memos, and regularly engaging in open and critical conversations with the research team. Her research background, focusing on medical culture and the social processes of training, are aligned with the CGT approach. The team was composed of two members who provided “outsider” (non-physician) lenses to the research setting: a researcher in Education with a background in qualitative methods (AP) and a researcher with expertise in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Kinesiology and patient care in chronic disease (CS). An additional member provided an “insider” lens to the research setting: a general surgeon who has extensive experience teaching surgical trainees (KN).

결과.
Results

내향성 및 외향성 정의
Defining introversion and extraversion

참가자들은 내향성과 외향성에 대한 유사한 정의를 보고했으며,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었다. 연구자들이 그렇듯이, 모든 참가자들은 내향성을 단독(또는 1:1) 활동과, 외향성을 더 큰 그룹의 사회 활동과 연관시켰다. 그들은 이것을 에너지, 선호, 그리고/또는 즐거움/번영의 관점에서 설명했습니다. 예를 들어, 그들은 외향적인 사람은 "다른 사람 주변에 있는 것에서 에너지를 얻는다"(p14)고 내향적인 사람은 "사람들과 상호작용하기 위해 더 많은 감정적인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그 후에 그들은 재충전할 필요가 있다"(p7)고 제안했다. 그들은 외향적인 사람은 "그룹에서 일하는 것을 선호한다"(p14), 내향적인 사람은 "더 조용한 상호작용이나 상호작용의 부재"(p8)라고 설명했다. 그리고, 그들은 외향적인 사람은 "관심의 중심에 있는 것은 번창"하지만 내향적인 사람은 "사교하는 것을 즐기지 않는다"(p15)고 언급했다. 참가자들은 외향적인 사람들은 더 사교적이고 외향적이며, 내성적인 사람들은 더 조용하고 내향적인 것으로 특징지었습니다.
Participants reported similar definitions of introversion and extraversion, with a few important differences. As do the researchers, all participants associated introversion with solitary (or 1:1) activities, and extraversion, with social activities in larger groups. They explained this in terms of energy, preferences, and/or enjoyment/thriving. For instance, they proposed that an extravert “gets energy from being around other people” (p14) while introverts need “more emotional energy to interact with people and they need to recharge after they do” (p7). They explained that an extravert prefers to work in groups” (p14) while an introvert “prefers more quiet interactions or absence of interactions” (p8). And, they noted that an extravert thrives being at the center of attention” but that introverts “don’t enjoy socializing” (p15). Participants characterized extraverts as more sociable and outward-seeking, and introverts as quieter and more inward-looking.


그러나, 전부는 아니지만 일부 참가자들은 이러한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다른 용어, 즉 편안함과 능력과 같은 단어를 사용했습니다. 이 용어들은 더 이상 중립적이지 않았다; 사실, 그것들은 종종 본질적으로 [경멸적]이었다. 이러한 참여자들은 [내향성과 사회적 내성], 그리고 [외향성과 지배력과 공격성]을 연관시켰다. 즉, 일부 참가자들은 개인적인 선호로 설명을 제한시킨 반면, 다른 참가자들은 능력의 차이를 암시했다. 후자의 용어는 연구자들이 사용한 용어와는 차이가 있지만 성격 연구 문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However, some participants—but not all—used other terms to explain this difference: words like comfort and abilities. These terms were no longer neutral; in fact, they were often pejorative in nature. Participants like these associated introversion with social reserve and shyness, and extraversion with dominance and aggressiveness. In other words, while some participants limited their explanations to personal preferences, others alluded to differences in abilities. The latter types of terms diverged from those used by the researchers but are not uncommonly seen in the personality research literature.30

두 개의 뚜렷한 서술
Two distinct narratives

[내향성과 외향성을 정의하는 방법(즉, 선호 vs 능력)]에 대해 참가자들이 동의하지 않는 방식과 유사하게, 그들은 또한 내향인이 일반 외과에서 얼마나 잘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해서도 동의하지 않았다. 연구 내내, 우리는 연구 데이터를 특징짓는 두 가지 중요한 내러티브에 충격을 받았다.

  • 연구의 많은 참가자들은 수술 문화가 두 성격을 동등하게 환영하고 내성적이거나 외향적인 사람들은 수술에 성공하기 위해 그들의 행동 스타일을 적응할 필요가 없다고 믿었다.
  • 그러나, 다른 이들은 외향적인 행동이 수술 현장에서 더 전형적이고 내성적인 사람들은 더 외향적인 행동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믿었다.

, 외과에서 [성격이 중요하다는 관점]과 [성격이 중요하지 않다는 관점]이 수술 훈련에서 공존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Similar to the way participants disagreed about how to define introversion and extraversion (i.e. preferences vs abilities), they also disagreed about how well they thought introverts would fare in general surgery. Throughout the study, we were struck by two overarching narratives that characterized the research data.

  • Many of the study’s participants believed that the culture of surgery welcomed both personalities equally and that neither introverts nor extraverts needed to adapt their style of behavior in order to succeed in surgery.
  • However, others believed that extraverted behaviors were more typical of the surgical workplace and that introverts could benefit from acting more extraverted.

In other words, we found that two contrasting perspectives—one where personality doesn’t matter in surgery, and one where personality matters—co-exist within surgical training.

본 논문에서는 일반외과 분야에서 내성적인 사람과 외향적인 사람의 인식과 경험의 차이와 유사성을 설명하기 위해 두 가지 관점(구체적인 예를 심층적으로 탐구)을 모두 설명할 것이다.
In this paper, we will describe both viewpoints—exploring specific examples in-depth—in order to elucidat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introverts and extraverts in the field of general surgery.

"성격은 중요하지 않다"
“Personality doesn’t matter”

패트리샤(내향적, 외과 의사)와 에릭(외향적, 외과 실습생)은 '성격이 중요하지 않다'고 믿었던 참가자들을 대표한다. 즉, 내성적인 성격과 외향적인 성격 모두 외과적 직업 내에 잘 들어맞으며 성격(적어도 이 두 가지 요소 측면에서)은 학습자가 외과적 훈련을 경험하는 방식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주장한 참가자들이다.
Patricia (introvert, surgeon) and Eric (extravert, surgical trainee) represent the participants who believed that “personality doesn’t matter.” That is, the participants who argued that both introverted and extraverted personalities fit well within the surgical profession and that personality (at least in terms of these two factors) has little influence on the way learners experience surgical training.

패트리샤와 에릭은 [이상적인 외과의사]를 지식이 풍부하고, 기술적으로 손재주가 있으며, 증거에 근거한 좋은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사람이라고 묘사했다. 패트리샤는 환자와의 신뢰관계 구축도 중요하지만 외과의사라는 직업은 "수술에 관한 모든 것이 1대 1이기 때문에" 대부분 혼자 하는 활동이라고 설명했다. 그녀는 수술을 "고독한 것"이라고 묘사했다. 당신과 환자, 그리고 조수입니다. 그건 집단적인 일이 아닙니다." 에릭의 관점은 이 특정한 점에 대해 달랐다: 그는 외과 직업이 다른 사람들과 빈번한 상호 작용을 필요로 한다고 보고했다. 그러나 에릭은 여전히 의사의 사회적 기술보다 지식과 의사 결정과 같은 다른 자질을 더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Patricia and Eric described the ideal surgeon as someone who is knowledgeable, technically skilled with their hands, and who is able to make good, evidence-based decisions. Patricia explained that creating trust relationships with one’s patients is important, but that the job of a surgeon is a mostly solitary activity “because everything about surgery is one-on-one.” She portrayed surgery as “a solitary thing. It’s you and your patients and your assistant. It’s not a group thing.” Eric’s perspective differed on this particular point: he reported that the surgical profession requires frequent interaction with others. However, Eric still tended to prioritize other qualities such as knowledge and decision-making well above a physician’s social skills:

결국 당신이 그들의 병소를 고친다면, 당신이 그들의 병을 치료 기준에 따라 지도한다면, 당신이 아는 것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 우리는 침상 접근법에 대해 의학 교육에 많은 중점을 두지만, 결국 누군가가 훌륭한 침상 예절을 가지고 있지만 완전히 무능하다면 그것은 당신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At the end of the day if you fix their pathol–you know if you guide them through their illness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care, it doesn’t really matter you know. We put a lot of emphasis in medical education about bedside approach…but at the end of the day, if someone has great bedside manners but is completely incompetent that’s not gonna help you either.

두 참가자 모두 내향적인 사람과 외향적인 사람을 주로 고독과 사회 활동을 선호하는 성향으로 구분했다. 따라서, Patricia는 수술을 단독 활동으로, Eric은 수술의 "사회적" 역할을 부차적인 것으로 묘사했기 때문에, 두 사람 모두 내성적인 사람과 외향적인 사람이 [외과 수술을 경험하는 방법 사이에 차이가 거의 없다]는 것에 동의할 수 있었다. 그들은 내향적인 사람들의 고독에 대한 선호도를 인정하면서도, 특정 활동에 대한 선호는 특정 활동을 완성하는 능력과 별개의 개념이라고 주장했다.
Both participants distinguished introverts and extraverts primarily by their tendency to prefer solitary and social activities, respectively. Hence, because Patricia described surgery as a solitary activity and Eric described the “social” role of surgery as secondary, both could agree that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way introverts and extraverts experience the practice of surgery. While recognizing introverts’ preference for solitude, they argued that one’s preference for certain activities is a separate concept from one’s ability to complete certain activities:

만약 제가 여러분과 함께 일하고 있고 이 문제를 다루고 있다면, 토론을 해 봅시다. 여러분은 어떻게 할 것인가, 어떻게 할 것인가? 그건 환자 치료이지 내향성/외향성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소통하고 대화하고 교류하고 따라가는 한 장벽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If I’m working with you and I’m dealing with this, let’s have a discussion…what would you do, how would you do it. That’s patient care, not introversion/extraversion I suppose. But I don’t think there are barriers as long as you’re willing to communicate and talk and interact and keep up. (Patricia)

따라서 내향적인 사람들이 혼자 일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해도, [외과적 직업에 진정으로 중요한 특성]에 있어서는 외향적인 사람들과 다르지 않다.
Thus, even if introverts may prefer to work alone, they do not differ from extraverts in characteristics that are truly important to the surgical profession:

내향성/외향성은 학습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훈련에는 별로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기술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그래서 그것들이 당신의 수술실습에 어떤 의미있는 영향을 미칠지 확신할 수 없어요.
Because introversion/extraversion doesn’t affect learning. Doesn’t really affect training. Doesn’t affect your technical skills. So I’m not sure they should influence your surgical practice in any significant way. (Patricia)

따라서 이러한 참여자들은 내향적인 사람들이 그들의 행동을 어떤 특정한 방식으로든 그 직업에 '적응'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는 점을 나타내지 않았다.
These participants thus did not indicate that introverts would need to ‘adapt’ their behavior to the profession in any particular way:

만약 당신이 당신의 성격을 적응하고 싶지 않다면, 괜찮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무엇이든 진실하고 싶다면, 여러분이 강한 외향적인 사람이고 환자들에게 그런 접근을 하고 싶어하고 몇몇 환자들이 그것을 좋아하지 않는다면, 그렇게 될 것입니다. 만약 당신이 내성적인 사람이고 몇몇 환자들이 그것을 좋아하지 않는다면, 그렇게 하세요.
If you don’t want to [adapt your personality], that’s fine. If you wanna be true to whatever…you know, if you’re a strong extravert and you wanna have that approach to patients and some patients don’t like it, then so be it. And then the same way if you’re an introvert and some patients don’t like it, so be it. (Eric)

게다가, 많은 참가자들은 내향적인 사람들이 수술에 중요한 강점을 가지고 있다고 제안했다. 특히 내성적인 사람들의 침착함과 반사성이 어떻게 능숙한 의사 결정으로 이어졌는지, 내성적인 사람들의 행동이 어떻게 팀에 반영되어 보다 관리하기 쉬운 작업 환경을 만드는지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Furthermore, many participants proposed that introverts had important strengths to bring to the practice of surgery. In particular, they explained how introverts’ calm and reflexivity led to adept decision-making, and how the behaviors of introverts reflected on their team to create a more manageable work environment:

나는 누군가가 쉽게 흥분한다면, 그것은 방을 매우 쉽게 흥분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만약 당신이 트라우마나 심각한 병을 앓고 있는 사람을 다루고 있다면, 당신은 흥분된 방을 원하지 않을 것이다. 당신은 조용한 방을 원합니다. 당신은 반사적인 방을 원합니다. 그리고 저는 그러한 특정한 시나리오를 지휘하는 사람, 그들의 성격은 그 방의 분위기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는 이러한 환경에서 차분하고 성찰적인 행동이 환자 치료의 질에 더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p6, 내성적, 전공의)
I think if someone’s easily excitable, that can very easily excite a room. And if you’re dealing with a trauma or someone who’s critically unwell, you don’t want an excited room. You want a calm room. You want a reflective room. And I think the person directing those particular scenarios, their personality has a lot of influence on the tone of that room and I think-I really do think a calm, reflective demeanour in those settings is more conducive to quality of patient care. (p6, introvert, resident)

따라서, 이 참가자들은 내성적인 사람들이 외향적인 사람들과 같은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고, 그들이 외과적 훈련을 더 어려워할 이유를 제시하지 않았다. 그들은 두 성격 모두 실행에 옮길 수 있는 독특한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직업의 요구에 맞추기 위해 그들의 전형적인 행동을 바꿀 필요는 없다고 믿었다.
Hence, these participants maintained that introverts possess the same abilities as extraverts and offered no reason for them to find surgical training more challenging. They believed that both personalities had unique strengths to bring to practice, and that neither should need to change their typical behaviors in order to fit the demands of the profession.

"인격이 중요하다"
“Personality matters”

그러나 두 번째 그룹의 참가자들은 직장에서 성격의 역할에 대해 [현저하게 다른 견해]를 보였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우리는 외향적인 외과의사(매튜)와 내성적인 레지던트(제인)의 예를 제공한다.

A second group of participants, however, demonstrated strikingly different views on the role of personality in the workplace. To illustrate this, we provide examples from an extraverted surgeon (Matthew) and an introverted resident (Jane).

Matthew와 Jane과 같은 참가자들은 수술을 [본질적으로 사회적인 활동]이라고 설명했습니다. Matthew에 따르면, 수술은 "팀 환경 내에서 완전히 발생한다"고 합니다. 이 연구의 모든 참가자들은 적어도 어느 정도는 대인관계 기술이 연습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했지만, 매튜와 제인처럼 "인격이 중요하다"고 믿는 사람들은 훨씬 더 열정적으로 이러한 자질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었다. 예를 들어, 그들은 외향적이고 사교적인 것이 동료들과 더 개방적이고 유쾌한 관계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했고, 그러한 상호작용을 즐기지 않는 사람들을 [공개적으로 비난]했다. 심지어 그들은 내향성을 사회적 유보(social repare)와 연결시켜 "내향적인 사람이라면 일이 힘들 수 있다"(p12)고 경고하기도 했다. 그들은 내성적인 사람들은 종종 시끄럽고, 지배적이며, 단호한 태도를 보이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내향적인 사람들은 바쁜 임상 상황에서 "소음에 빠져들기" 쉬운 것으로 간주하고 그들의 힘을 빼앗긴다고 보고했다. 
Participants like Matthew and Jane described surgery as an inherently social activity—one which, according to Matthew, “completely occurs within a team environment.” While all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recognized that interpersonal skills were, at least to some degree, important for practice, those who believed, like Matthew and Jane, that “personality matters” tended to emphasize these qualities with much more fervor. For instance, they argued that being outgoing and sociable helped them create more open, convivial relationships with their colleagues, and openly denounced those who did not enjoy those interactions. They even linked introversion to social reserve, warning that “if you’re an introvert, things can be hard for you” (p12). They reported that introverts often had difficulty being loud, dominant, and assertive, and considered introverts more susceptible to being “drowned out in the noise” (p6) of busy clinical situations and to having their power taken away from them:

또래들과의 관계에서 OK라고 말할 수 있는 다른 외향적인 사람들이 있다, 이제 내가 너의 자리를 대신할 것이다.(p13, 외향적인 외과의사) 
In the relationships with your peers, there are other extraverted people who will say ok, I’m going to take your place now. (p13, extraverted surgeon)

매튜는 "리더가 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면, 리더가 없는 상황에서 매우 나쁜 일이 일어날 것이기 때문에 외과의사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내성적인 사람들을 더 조용하고, 주저하며, 그 직업이 필요로 할 지도 모르는 지배적이고 단호한 리더가 되는 것에 덜 편안하다고 특징짓고, 내성적인 훈련생들이 겪는 많은 어려움을 관찰했다. 구체적으로, 그는 내성적인 훈련생들이 그들의 성격을 초월하여, 익숙한 방식에 직접적으로 반하는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격려하는 것을 묘사했다.
Matthew described the absence of leadership skills as incongruent with being a surgeon because “if you don’t like being a leader, then you should not be a surgeon because very bad things will happen in the absence of leadership.” He characterized introverts as more quiet, hesitant, and less comfortable with being the dominant and assertive leaders the profession may require and has observed many challenges for his introverted trainees. Specifically, he described encouraging his introverted trainees to transcend their personalities and to act in a way that is directly counter to their habitual ways of being:

만약 여러분이 내성적이고 관심의 중심이 되는 것을 불편하게 느낀다면, 여러분은 외과의사로서 성공할 수 없을 것입니다. 우리가 가르치는 것 중 하나는 좀 더 내성적인 경향이 있는 전공의들에게 여러분이 그것을 만들기 위해 가짜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큰 목소리로, 큰 존재로 들어와, 여러분은 방을 가득 채우고, 여러분은 모든 사람들을 지휘하고 주의를 명령해야 합니다. 모두 외향적인 사람들입니다. 여러분은 그 역할에서 관심의 중심이 되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어야 합니다. 여러분은 스스로를 멈추고 이 대체 인물을 채택해야 합니다. 당신은 당신 자신을 삶보다 더 크게 만들어야 합니다.
If you are an introvert and feel uncomfortable being the center of attention, then you aren’t going to succeed as a surgeon. One of the things we teach residents who may have tendencies to be more introverted is that you gotta fake it to make it…you got to come in with a big voice, a big presence, you have to fill the room, you have to direct everyone and command attention. And that’s all extraverts. You have to be able to be the center of attention and feel comfortable in that role…you have to suspend yourself and adopt this alternate persona. You have to make yourself larger than life.

이 관점을 고수했던 다른 참가자들처럼, 매튜는 외과 전문직이 침묵을 망설임으로 보는 경향에 대해 말했다. 신속하고 결정적으로 결정이 내려질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에서는 "당장 답이 없으면 마치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모르는 것처럼 볼 수 있다"(p3)고 말했다. Matthew는 내향적인 사람들이 그들의 결정을 반성할 필요가 본질적으로 환자 치료에 위험하다고 판단했다.
Like the other participants who adhered to this viewpoint, Matthew spoke to the tendency for the surgical profession to view quietness as hesitation—and, in turn, hesitation as a lack of confidence or competence. In a field where decisions are expected to be made quickly and decisively, “if there isn’t an answer right away, it can be viewed as if they don’t know what they’re doing” (p3). Matthew judged that introverts’ need to reflect on their decisions was inherently dangerous for patient care:

사려 깊고 조용하며 모든 선택지를 고려한다는 것은… 당신은 기회를 놓치게 될 것이고 환자는 죽게 될 것이다.
To be thoughtful and quiet and consider all the options…you’re going to miss the boat and the patient would be dead.

이러한 관점을 가진 다른 내성적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효과적인 지도자들이 때때로 혼란스러운 상황을 통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내성적인 사람들은 종종 "그들이 익숙할 수 있는 상황보다 더 assertive하다"고 불린다. (p7); "그들이 [그들이] 환자에게 최선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얻으려고 노력할 때 더 공격적이다." (p14) 그리고; "[그들이] 그래야 하기 때문에, 수술실에서 더 우세하다." (p6) 제인은 [자신의 조용함]이 종종 자신이 자신감이 낮거나,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으로 인식된다고 지적했다. 그녀와 이러한 관점을 가진 다른 사람들은 외향적인 사람들의 성격이 자신감을 더 잘 표현하고, 존경을 받고, 동료들과 환자들에게 더 안심시킬 수 있게 만들 수 있다고 제안했다.
Jane, as well as the other introverts with this perspective, agreed that because effective leaders needed to take control of sometimes chaotic situations, introverts were often called to be “more assertive in situations than [they] may be used to” (p7); “more aggressive [when] trying to get what [they] think is best for [their] patient” (p14); and “more dominant in the operating room, just because [they] have to” (p6). Jane indicated that her own quietness was often perceived as her being less confident or competent. She, and others with this viewpoint, suggested that extraverts’ personalities may make them better able to project confidence, command respect, and be more reassuring to their colleagues and patients:

종종 가장 눈에 띄는 사람, 알다시피, 자신을 가장 많이 표현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보다 더 나은 것처럼 단기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그] 외향적인 성격이 눈에 띈다. 그것은 그가 나아졌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가끔 그것이 주는 인상일 뿐이다. (p13)
Often the person who stands out the most, you know, who expresses himself the most, can pass on the short term as if he were better than the others. [The] extraverted personality stands out. It doesn’t mean he’s better, it’s just sometimes the impression that it gives. (p13)

제인은 자신의 성격을 직장에 적응시키기 위해 그녀에게는 부자연스러운 방식으로 행동하려고 노력했다.
In order to adapt her personality to the workplace, Jane worked to act in ways that were unnatural to her:

그것은 단지 자신에게 불편한 일을 강요하는 것이다. 여러분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큰 소리로 말하고 때로는 실제 느끼는 것보다 더 자신감 있게 행동합니다. 네. 그건 대부분 불편한 일을 하기 위해 자신을 몰아붙이는 거예요.
It’s just forcing yourself to do things that are uncomfortable. To talk louder than you think you should and just be…sometimes acting more confident than you actually feel. Yeah. That’s mostly just pushing yourself to do the uncomfortable things.


여러 내성적인 사람들은 [외향적인 행동]을 "배출" (p7)과 "너로부터 에너지를 빼앗는 것" (p14)로 묘사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외향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더 편해졌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그들의] 개성에 진정으로 통합되었다"는 것은 아니었다. (p6)
Many introverts described acting extraverted as “draining” (p7) and taking “energy out of you” (p14). Despite becoming more comfortable acting extraverted over time, it was not something that became “truly incorporated into [their] personalit[ies]” (p6):

가끔 이게 진짜 내가 아니라고 느꼈지만, 이 시점에서 나는 그렇게 되어야 한다. (p14, 내성적, 거주자)
Sometimes I’ve felt like this isn’t really me, but I have to be like that at this point in time. (p14, introvert, resident)

Jane을 포함한 이러한 내성적인 참가자들은 이러한 방식으로 행동하는 것(즉, 더 외향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소진을 유발할 수 있다고 예상했습니다.
These introverted participants, Jane included, expected that acting in this way (i.e., acting more extraverted) could lead to burnout in the long-term:

개인적인 목적을 위해서죠, 개인적인 행복의 목적처럼요. 만약 여러분이 좀 더 내성적인 사람이라면, 하루 일과가 끝날 때쯤 업무상 상호작용으로 인해 지칠 것 같다면, 그것은 잠재적으로 더 지칠 수 있고 더 높은 소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더 외향적이라면, 여러분은 하루의 끝에 삶의 다른 관계들에 헌신할 수 있는 더 많은 에너지를 갖게 될 것입니다.
Just on the personal end of it, like the personal well-being end of it. If you’re more introverted, it potentially could be more draining and lead to like higher rates of burnout if you felt like you were drained at the end of the day from your interactions at work. Versus if you’re more extraverted, you potentially have more energy at the end of the day to kind of devote to other relationships in your life.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서 참가자들은 [외과 수련을 특징짓는 특정한 기대]가 있다고 주장했다. 자신감 있고, 단호하고, 단호하게 보일 필요성 등, 이는 내성적인 사람들의 전형적인 특징과 일치하지 않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들은 사색적인 생각 더 조용할 보이는 경향이 그렇게 내성적인 훈련생 가끔은 그들의 더 많은extraverted을 하는 동년배를 따라가“자신의 행위 밖에서” 필요가 있다고 믿었다.
The participants from this perspective thus argued that there are certain expectations that characterize surgical training—such as the need to appear confident, decisive, and assertive—that seem inconsistent with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introverts. They believed that introverted trainees who had a tendency to be quieter and more reflective sometimes need to “act outside of themselves” in order to keep up with their more extraverted peers.

논의
Discussion

우리의 연구는 외과적 훈련에서 내향적인 사람과 외향적인 사람의 경험을 둘러싼 두 가지 대조적인 이야기를 발견했다. 한편으로, 일부 참가자들은 일반 수술은 두 성격 모두에게 열려 있으며, 어느 쪽도 다른 쪽보다 직업에서 성공하는 데 더 큰 어려움을 겪지 않아야 한다고 믿었다. 반면에, 두 번째 그룹의 참가자들은 그 직업이 훈련생들에게 리더십 행동에 참여하도록 요구하며, 이는 외향적인 사람들에게 더 자연스럽게 다가온고 믿었다. 결과적으로, 일부(전부는 아니지만)는 내향적인 사람들이 (—조용하고 더 주저하는 성질 때문에—) 외과 의사로서 성공하기 위해 때때로 "더 외향적인" 행동을 할 필요가 있다고 믿었다.

Our study found two contrasting narratives surrounding the experience of introverts and extraverts in surgical training. On the one hand, some participants believed that general surgery was open to both personalities and that neither should have more difficulty succeeding in the profession than the other. On the other hand, a second group of participants believed that the profession required trainees to engage in leadership behaviors that came more naturally to extraverts. Consequently, some (but not all) believed that introverts—because of their quiet, more hesitant nature—needed to “act more extraverted” at times in order to succeed as surgeons.

두 관점의 참여자들의 경험은 개인들이 그들이 놓여진 특정한 맥락에 따라 그들의 행동을 "적응"할 것을 암시하는 인간 행동의 전통적인 틀 안에서 이치에 맞지만, 그들의 성격이 그들이 하고자 하는 역할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믿을 때에만 이치에 맞는다. 

  • 우리는 일부 내성적인 사람들(즉, "성격이 중요하다"고 믿는 사람들)이 그들에게 요구되는 것과 더 일치하는 성격 상태를 순간적으로 채택하기 위해 그들의 성격 특성 밖에서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를 보여주었다. 
  • 우리는 또한 어떻게 일부 내성적인 사람들(즉, "성격은 중요하지 않다"고 믿는 사람들)이 그렇게 하는 것이 "개인 프로젝트"에서 그들에게 이익이 될 것이라고 믿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의 행동을 적응할 필요성을 애초에 느끼지 않았는지를 보여주었다. 

간단히 말해서, [성격에 맞지 않게 행동하려는 동기]는 한 사람의 [핵심 가치 및 개인적인 신념]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수술 문화가 요구하는 것, 외과의사는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 좋은 지도자가 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믿음은 참가자들 사이에서 상당히 달랐기 때문에, 참가자들이 그들의 성격을 수술에 적응시키는 정도는 그만큼 다양했다.
Th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from both viewpoints make sense within traditional frameworks of human behavior that suggest that individuals will “adapt” their behavior according to the specific context in which they are placed, but only when they believe that their personality is incongruent with the role they are attempting to play.35,36 

  • We demonstrated how some introverts (i.e., those who believed that “personality matters”) will act outside of their personality traits in order to momentarily adopt a personality state that is more in line with what is demanded of them.
  • We also demonstrated, however, how some introverts (i.e., those who believed that “personality doesn’t matter”) did not feel the need to adapt their behavior in the first place because they did not believe that doing so would benefit them in their “personal projects.”35,36 

Put simply, motivation to act out of character is closely linked to one’s core values and personal beliefs; because beliefs about what surgical culture demands, what surgeons should look like, and what it means to be a good leader varied significantly among participants, the degree to which participants adapted their personalities to surgery varied just as much.

그녀의 비판적 논평에서, 맥레오드는 의학 교육자들이 숨겨진 커리큘럼을 언급할 때 [the 가 아니라 a을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왜냐하면 실제로는 항상 하나의 숨겨진 커리큘럼이 아니라 여러 개의 숨겨진 커리큘럼이 작동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우리의 데이터는 우리에게 보편적인 "진실"으로 이해되는 하나의 수술 문화가 없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오히려, 수술 문화는 인식, 신념, 가치의 [복잡한 거미줄]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의 연구에서, 우리는 두 개의 다른 "문화"를 묘사했다.

  • 외과적 훈련의 맥락에서 내성적인 특성과 외향적인 특성을 동등하게 평가하는 사람(평등의 문화) 
  • 외향적인 특성을 더 중요시하는 경향이 있는 또 다른 것(위계의 문화)

서구 사회에서 [내향적인 사람들의 empowerment 증가]와 같은 직장 밖의 이념적 운동은, 직장 내 사람들 사이에서 divide가 증가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이것은 수술 문화에 대한 기존 연구([어떤 가치가 직업을 특징짓는지]에 대해서 [이견이 거의 없는 균일한 실체]인 것처럼 수술 문화를 논의하는 경향이 있음)에 새로운 관점을 가져온다.

In her critical commentary, MacLeod42 argued that medical educators should use the article a, rather than the, when referring to the hidden curriculum because, in reality, there are always multiple hidden curricula at play—not only one. Similarly, our data remind us that there is not one surgical culture that is uniformly understood to be “true.” Rather, surgical culture is composed of an intricate web of perceptions, beliefs, and values. In our study, we described two distinct “cultures”:

  • one that values introverted and extraverted traits equally in the context of surgical training (culture of equality) and
  • another that tends to value extraverted traits more (culture of hierarchy).

Ideological movements outside the workplace, such as the growing empowerment of introverts in Western society,1–7 may contribute to a growing divide among those in the profession. This brings a novel perspective to previous studies on the culture of surgery which tend to discuss surgical culture as if it were a single entity in which disagreements about which values characterize the profession are few and far between.43

주의할 점은, 두 가지 상이한 관점이 근본적인 성격 유형(내향적, 외향적)이나 직업적 지위(주민, 외과 의사)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일반적으로 ["성격은 중요하지 않다"고 믿는 여성]이 더 많고 ["성격이 중요하다"고 믿는 남성]이 더 많다는 것을 발견했다. 직관적으로, 더 많은 여성들이 평등의 문화 안에서 자신을 일치시킬 것이라는 것은 이치에 맞다. 역사적으로, 여성들은 의학, 특히 외과 전문 분야에서 과소 대표되어 왔다. 참가자들 중 한 명이 설명했듯이, 여성들은 오랫동안 남성 동료들 사이에서 "자신을 증명"할 필요성을 느껴왔습니다.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two diverging viewpoints did not appear to be related to underlying personality type (introvert, extravert), nor professional status (resident, surgeon). However, we found that there were generally more women who believed that “personality doesn’t matter” and more men who believed that “personality matters.” Intuitively, it makes sense that more women would align themselves within the culture of equality. Historically, women have been under-represented medicine, and particularly in surgical specialties.44 As one of our participants explained, women have long felt the need to “prove themselves” among their predominantly male colleagues:

…당신은 당신 자신을 옹호하고 있고 당신 뒤에 오는 모든 여성들을 옹호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내가 할 수 없는 것은 절대 없으며 당신만큼 잘 할 수도, 더 잘 할 수도 없습니다. (내향적, 외과의사)
…you’re advocating for yourself and you’re advocating for all the women coming behind you, that there’s absolutely nothing in here that I cannot do and I can’t do as well as or better than you. (introvert, surgeon)

[남성들이 "위계의 문화"에 더 잘 집착adhere할 수 있다는 개념]은 남성들이 더 적극적이고 지배적인 성격 특성을 보이고, 다른 의사소통 방식을 갖는 경향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수술 전문분야에서 성격과 성별 차이 사이의 미묘한 교차성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The notion that men may be more likely to adhere to the “culture of hierarchy” may be related to the tendency for men to exhibit (and perhaps, to value) more assertive and dominant personality traits, and to have different styles of communication.45,46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gain a better grasp of the nuanced intersectionality between personality and gender differences in surgical specialties.

시사점
Implications

외향적 문화
Extravert culture


우리의 발견은 외향적인 것의 이상화가 서구 문화, 나아가 서구 의료 문화에 뿌리내릴 수 있다고 경고한 이전 저자들의 연구를 반영한다. 우리 연구의 많은 참가자들은 외향적인 사람들이 수술 연습에 더 이상적이라고 생각했지만, 어떤 참가자도 내향적인 사람들이 외과 수술에 더 이상적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내향적인 사람들의 이러한 [잠재적 소외]는 특히 [의사들이 성격에 대해 가지고 있는 편견]이 새로운 외과 레지던트들을 [선발하는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우리의 미래 의료진의 다양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우리의 연구는 많은 외향적인 전형적인 행동들이 외과 분야의 많은 사람들에게 여전히 높이 평가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Our findings reflect the work of previous authors who have cautioned that an idealization of the extravert may be ingrained within Western culture1,4,8–11—and, by extension, Western medical culture.3,5–7 While a number of participants in our study thought extraverts were more ideal for surgical practice, no participants believed that introverts were more ideal for surgical practice. This potential marginalization of introverts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diversity of our future medical personnel, especially since biases surgeons hold around personality tend to affect how they select new surgical residents.47 Our study indicates that many extravert-typical behaviors remain highly valued to many in the surgical profession.

그러므로 그들의 전문 분야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내성적인 훈련생들은 그들의 외향적인 상대와 동등하게 보이기 위해 그들의 성격의 외향적인 측면을 활용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에서 이점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외과의사와 의학 교육자들은 다양한 성격의 더 큰 수용이 궁극적이고 장기적인 목표가 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성찰해야 한다. 이 연구의 많은 참가자들이 주장했듯이, 내성적인 사람들은, 특히 그들의 침착함과 반사성 측면에서, 의학에 독특하게 이로운 특성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Introverted trainees who may be struggling in their specialty may thus find benefits in learning how to harness the extraverted sides of their personalities in order to be seen as equal to their extraverted counterparts. However, surgeons and medical educators must reflect on whether a greater acceptance of a diversity of personalities should be the ultimate, long-term goal. As many participants in the study argued, introverts—particularly in terms of their calm and reflexivity—may have qualities that are uniquely beneficial to medicine.

의료연수생 선발
Selection of medical trainees

우리의 연구 결과는 또한 우리가 외과 수련생을 선발하는 방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성격 테스트는 양심, 친화력, 외향성과 같은 특성이 다른 특성들보다 일부 특성 내에서 더 높은 가치를 가질 수 있다는 가정에 기초하여 선발 과정의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의학 교육에서의 성격 연구는 지난 20년 동안 그 매력을 잃었다. 많은 학자들은 성격검사가 기껏해야 경박하고 최악의 경우 위험하다고 비난해 왔다. 에바 말로는 

  • "[인성 검사와 함께] 위험은 이러한 조치들이 기껏해야 현실과 잘 상관관계가 없는 구조를 바탕으로 개인들로 하여금 자신에 대해 무엇인가를 믿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Our findings also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way we select surgical trainees. Personality testing continues to be an important part of selection processe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raits such as conscientiousness, agreeableness, and extraversion may have higher value within some specialties more than others.48–52 However, personality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has lost its appeal over the last two decades. Many scholars have denounced personality testing as, at best, frivolous47 and, at worst, dangerous.53–56 According to Eva,

  • “the danger [with personality testing] is that these measures can lead individuals to believe something about themselves (e.g., what career to pursue or how to perceive one’s academic/romantic successes and failures) based upon constructs that are, at best, poorly correlated with reality.”54(p.276)


우리의 연구는 훈련생의 성격 점수가 외과적 훈련에서의 성과와 나쁜 상관관계가 있다는 한 가지 가능한 이유를 조명한다. 특히, 이산형 성격 테스트에 지나치게 의존하면 [어떤 학생들은 다른 학생들보다 더 의도적으로 자신의 성격과 다르게 행동한다]는 사실을 간과할 수 있다. 우리의 연구에서, 우리는 많은 참가자들이 직업의 인지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종종 하는 반면, 다른 참가자들은 성격에 맞지 않는 행동을 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안정적인 특성traits]으로서의 성격에 대한 전통적인 개념은 [성격 상태states]가 동등하게 중요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잠재적 외과 수련자의 선발 과정에서 성격 평가는 [효과적인 외과의가 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학습자의 가치와 신념]에 대한 광범위한 이해에 비추어 해석되어야 한다. 향후 연구는 또한 다른 성격을 가진 사람들이 특정한 전문 분야에 적응하는 복잡한 방법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개발해야 한다.

Our research shines light on one possible reason that trainees’ personality scores are poorly correlated with their performance in surgical training. Specifically, over-reliance on discrete personality tests potentially overlooks the fact that some students are more willing to act outside of their personalities than others.56 In our study, we found that many participants did not feel the need to act out of character while others often did to fulfill the perceived demands of the profession. Traditional conceptions of personality as stable traits thus tend to overlook the fact that personality states may be of equal importance. In the selection process of potential surgical trainees, personality assessments should thus be interpreted in light of a broader understanding of a learner’s values and beliefs about what it means to be an effective surgeon.57 Future studies should also develop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omplex ways those with different personalities adapt to specific specialties.

강점과 한계
Strengths and limitations


우리의 연구는 그 점에서 독특하다.

  • (1) 그것은 동일한 의료 전문 분야 내에서 다른 성격들이 어떻게 성공하는지 구체적으로 탐구한 첫 번째 중 하나이다. 
  • (2) 그것은 본질적으로 양적이라기보다는 건설적이고 질적이다. 

비록 우리의 연구가 두 개의 학술 센터로 제한되었지만, 우리는 우리의 많은 발견이 다른 맥락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우리의 데이터는 성격과 수술 문화 사이의 복잡한 관계에 대한 풍부한 예비 통찰력을 제공하지만, 그 관계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기 위해서는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 향후 연구는 또한 직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의료 기술자와 같은 다른 전문가의 관점을 고려할 수 있다.

Our study is unique in that (1) it is among the first to specifically explore how different personalities succeed within the same medical specialties and (2) it is constructivist and qualitative, rather than quantitative, in nature. Although our study was limited to two academic centers, we anticipate that many of our findings are applicable to other contexts. Our data provide rich preliminary insight into the complicated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surgical culture, but future studies are required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Future studies could also consider the perspectives of other professionals, such as medical technicians, wh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workplace.

우리는 내향적인 사람과 외향적인 사람의 경험과 관련된 우리의 발견을 논의하는 동시에 두 가지 다른 내러티브를 설명하면 잘못된 이분법을 만들고 연구 중인 현상을 지나치게 단순화할 위험이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 그러나 우리는 두 가지 다른 관점을 탐구하는 것이 우리의 데이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주장한다. 연구 과정을 억제하기보다는 참가자들을 하나의 관점과 다른 관점과 연관시키는 어려움을 탐구하는 것이 우리의 해석에 깊이와 뉘앙스를 더할 수 있는 기회였다. 또한 두가지 내러티브가 근본적인 성격 유형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우리는 내성적인 사람과 외향적인 사람 사이의 그룹 차이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 않았다. 성격 테스트는 우리의 표본 모집단을 묘사하기 위해서만 우리의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We acknowledge that discussing our findings related to introverts’and extraverts’experiences, all the while describing two distinct narratives, risks creating false dichotomies and oversimplifying the phenomena under study. We contend, however, that exploring two diverging perspectives helped us make sense of our data. Rather than inhibiting the research process, exploring difficulties associating participants with one viewpoint or the other were opportunities to add depth and nuance to our interpretations.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the two narratives did not appear to correlate with underlying personality type. We were not aiming to analyze group differences between introverts and extraverts; personality testing was used in our study only to describe our sample population.

마지막으로, 우리는 우리의 연구 참가자 중 한 명이 스스로 내성적이라고 밝혔지만 TIPI에서 약간 외향적인(5.5) 점수를 받았다는 것에 주목했다. 이는 부분적으로 TIPI의 제한된 신뢰성 또는 사람들이 내향/외향을 개념화하는 방법의 차이 때문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식별이 때때로 성격점수와 차이가 나는 이유를 탐구하는 것이 아니었지만, 이는 향후 연구를 위한 중요한 방법이 될 수 있다.
Finally, we noted that one of our research participants self-identified as introverted but scored slightly extraverted (5.5) on the TIPI. This could be due, in part, to the limited reliability of the TIPI or differences in how people conceptualize intro/extra-version. It was not the intention of this study to explore why self-identification sometimes diverges from personality scores; however, this may be an important avenue for future research.

결론
Conclusion

의학 교육자들은 내성적인 사람들이 의학에서 직면할 수 있는 도전에 대해 점점 더 우려하고 있으며, 그들이 그 직업에 가져다주는 강점에 대한 더 큰 인식을 지지한다. 우리의 연구는 이러한 우려를 반영하지만, 성격이 의학 교육에 진정으로 중요한지에 대한 논쟁에 중요한 관점을 추가한다. [외과의사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학습자의 믿음]은 직장에서 실제로 어떻게 행동하는지 크게 영향을 미칩니다.—그리고 이것은 왜 성격 유형이 레지던트 프로그램에서 수행에 대한 좋지 않은 예측 변수인지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것은 우리가 잠재적인 외과 지원자를 선발하고 훈련하는 방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외과의사, 교육자, 교육자 모두 학습자의 성격, 신념과 가치 체계, 그리고 채택하기로 선택한 문화의 본질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더 깊이 이해함으로써 이익을 얻을 수 있다.
Medical educators are increasingly concerned with the challenges introverts may face in medicine and advocate for a greater recognition of the strengths they bring to the profession. Our study reflects these concerns, but also adds important perspectives to the debate about whether or not personality truly matters in medical education. Learners’ beliefs about how a surgeon is “supposed to” behave profoundly influences how they actually behave in the workplace—and this could help explain why personality type is a poor predictor of performance in residency programs. This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way we select and train potential surgical candidates. Surgeons, trainees, and educators alike could benefit from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intricate relationships between learners’ personalities, their systems of beliefs and values, and the nature of the culture they choose to adopt.

 

 


Teach Learn Med. 2022 Jun-Jul;34(3):255-265. doi: 10.1080/10401334.2021.1922284. Epub 2021 May 17.

 

Does Personality Matter?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Introverts and Extraverts as General Surgeon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Department of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Dalhousie University, Halifax, Nova Scotia, Canada.

2School of Kinesiology, Acadia University, Wolfville, Nova Scotia, Canada.

3School of Education, Acadia University, Wolfville, Nova Scotia, Canada.

4Division of General Surgery, Dalhousie University, Halifax, Nova Scotia, Canada.

PMID: 34000927

DOI: 10.1080/10401334.2021.1922284

Abstract

Phenomenon: Medical educators increasingly recognize both the challenges introverts, compared to extraverts, may face in medical training and the unique strengths they bring to practice. However, few researchers have examined in-depth how introverts and extraverts truly experience training and practice, particularly in specialties like surgery that tend to value qualities (e.g., dominance and assertiveness) typically associated with extravert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individuals with both personalities within the field of general surgery.

Approach: Using a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approach, six general surgeons and 10 general surgery residents who identified as introverted, extraverted, or ambiverted were recruited from two Canadian tertiary care hospitals to participate in semi-structured interview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occurred iteratively,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open, selective, and thematic coding. Constant comparison allowed us to make sense of the similar and dissimilar views that emerged from each interview.

Findings: Irrespective of their personalities, participants voiced two general patterns of responses. Some participants believed that "personality doesn't matter": that both introverted and extraverted practice styles were equally viable and neither introverts nor extraverts would find surgical training more challenging than the other (culture of equality). However, others believed that "personality matters," emphasizing that surgeons should be dominant and aggressive leaders. Only those who believed "personality matters" felt that introverts sometimes needed to act more extraverted in order to succeed in surgical training (culture of hierarchy). Similar numbers of introverts and extraverts adhered to each viewpoint.

Insights: Our qualitative approach allowed us to draw meaning from the complex subjective experiences of our research participants. Our findings suggest that two competing cultures (equality and hierarchy) co-exist within the field of surgery and that trainees, depending on which culture they adhere most to, will or will not "adapt" their personalities to the workplace. These findings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nuances of surgical culture and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how we select candidates based on personality.

Keywords: Personality; introversion extraversion; person-environment fit; surgical culture; surgical residency.

 

다른 학생과의 실습 겹침: 의과대학생 학습 경험에 미치는 영향(Teach Learn Med. 2022)
Placement Overlap with Other Students; Effects on Medical Student Learning Experience
Garrett Hessa, Susan Milesb and Lesley K Bowkera,b

 

 

서론
Introduction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영국에서도 [교육을 받는 의사 수가 현재와 미래의 인력 수요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하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그 결과, 최근 영국 정부의 정책은 매년 1500개의 새로운 장소를 시차적으로 창출함으로써 영국의 의대생 수를 약 25% 증가시키는 것이었다. 2018/19학년도부터 기존의 영국 의과대학과 5개의 새로운 기관에 추가 학생이 배정되었다. 이는 인구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의사 총수의 부족, 특정 전문의의 부족, 지역 불평등으로 인해 기존 의과대학의 의대생 수가 증가하고 의과대학이 신설되는 국제적인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As in other countries,1 there are concerns in the United Kingdom (UK) that the number of doctors being educated is insufficient to meet current and future workforce demands.2,3 Consequently, recent UK Government policy has been to increase the number of medical students in England by approximately 25% through the staggered creation of 1500 new places each year.4 From the academic year 2018/19 onwards, additional students have been allocated to the existing UK medical schools as well as five new institutions. This mirrors the situation internationally, where shortages in the total number of doctors needed to meet population demand, insufficient numbers of certain specialists, and regional inequalities has led to increases in the number of medical students at existing medical schools as well as the creation of new medical schools.5,6

[의대생 수 확대]가 시행될 때마다, 어디에서나 [재정적 고려사항, 적절한 교육 자원 확보, 충분한 학술 및 임상 교수진의 가용성, 학생들을 위한 확대 또는 새로운 임상 현장 발굴]과 같은 유사한 장애물을 해결해야 한다. 이 같은 의대생 정원 확대가 의료교육 전반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의대생 수를 늘리기 위해서는 임상 배치의 전반적인 capacity 증가가 필요하다는 것이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노선을 따라 임상 교육 경험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여러 가지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여기에는 배치에 대한 임상 교육자의 작업 부하, 물리적 환경의 학생을 위한 공간 및 자원, 환자 가용성을 포함한 임상 문화 등이 포함된다. 다양한 국가들은 이것이 임상 placements의 coordination 방법을 조정하지 않고서는 달성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했다. 
Whenever and wherever expansion of medical students numbers are implemented similar obstacles must be addressed, such as financial considerations, securing adequate educational resources, availability of sufficient academic and clinical faculty, and finding expanded or new clinical sites for students.7 Some concerns have been raised regarding how such expansion of medical student places may affect the overall quality of medical education.8 It is recognized that increasing medical student numbers will require an increase in the overall capacity of clinical placements.9,10 Along these lines, a number of challenges must be addressed so as not to affect quality of the clinical educational experience, including workload of clinical educators on placements, space and resources for students in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clinical culture including patient availability.11 Various nations have recognized that this cannot be accomplished without adapting how clinical placements are coordinated.12,13

특히 [의대 학생 수의 급속한 확대 후 인식된 학습의 질에 대한 평가]는 일부 부정적인 경험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일부 기관은 혁신적인 시간표 작성과 긍정적인 학생 성과와 함께 배치 요구 사항의 적응을 통해 중복 학생 임상 배치의 급증에 성공적으로 대처하여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의과대학이 높은 수준의 의학교육을 유지하면서 증가하는 학생 수를 최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선제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Evaluation specifically of the perceived quality of learning after a swift expansion of medical student numbers has led to some reported negative experiences.14 Yet, some institutions have successfully dealt with surges in overlapping student clinical placements through innovative timetabling and adaptation of placement requirements with positive student outcomes, suggesting that solutions can be found.15 Such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medical schools to proactively consider how to optimally manage increased student numbers while maintaining high quality medical education.

의대생 확대와 더불어 다른 보건의료계 학생도 증가하고 있다. 임상 능력이 전통적인 의료 역할과 중복되는 고급 간호사 실무자와 의사 보조원을 포함하여 최근 몇 년 동안 국가 보건 서비스(NHS) 인력 및 서비스 요구에 적응하기 위한 몇 가지 새로운 역할이 개발되었다. 2018년, 영국에서 약 600명의 PA가 진료하고 약 1600명의 학생들이 교육을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미국에서도 지난 20년 동안 사전 진료 등록 간호사와 의사 조수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필연적으로, 이 학생들은 병원과 지역사회에서 의대생들과 함께 임상적 애착을 갖는다. 일부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PA들은 대학원 의학 교육에 전반적으로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아마도 그것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o medical student expansion there are an increasing number of other healthcare students. Several new roles have been developed in recent years to adapt to National Health Service (NHS) workforce and service demands, including advanced nurse practitioners and physician associates, whose clinical capabilities overlap with traditional medical roles.16 In 2018, it was estimated that 600 physician associates were practicing in the UK, with approximately 1600 students in training.17 In the USA there have been rapidly growing numbers of advance practice registered nurses and physician assistants over the last two decades as well.1 Inevitably, these students undertake clinical attachments alongside medical students in hospitals and community placements. Despite concerns from some, physician associates have been found to have no overall detrimental effect o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possibly enhance it.18

이스트앵글리아 대학교(UEA)의 노리치 의과대학(NMS)은 2002년 영국에서 의과 학생이 마지막으로 확대된 이후 설립되었다. 학부 의학에서 5년제 의학 학사 및 외과 학사(MBBS) 학위를 제공한다. 문제 기반 학습(PBL)을 중심으로 한 통합 시스템 기반 과정과 모든 5년 동안 임상 배치로 구성됩니다. 의대생들은 영국 노퍽, 서퍽, 에식스 카운티 전역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이 임상 사이트들 중 다수는 다른 의과대학과 기타 제휴 의료 전문직의 학생들을 받는데, 여기에는 2016년에 설립된 연간 30명의 학생이 입학하는 UEA의 2년제 대학원 MSc in Physician Associate 과정을 포함한다.
The Norwich Medical School (NMS) at the University of East Anglia (UEA) was established in 2002 following the last expansion of medical students in the UK. It offers a five-year degree of Bachelor of Medicine and Bachelor of Surgery (MBBS) in undergraduate medicine; comprising an integrated systems-based course, centered around problem-based learning (PBL), with clinical placements during all five years. Medical students may be placed at sites across the counties of Norfolk, Suffolk, and Essex, UK. Many of these sites also receive students from other medical schools and of other allied healthcare professions, including from UEA’s two-year postgraduate MSc in Physician Associate Studies established in 2016 with a capacity of 30 students per year.

NMS는 2018/19학년도와 2019/20학년도에 의대생 모집에 성공하였다. 코호트 크기를 2017/18년 167명에서 2018/19년 183명으로, 2019/20년에는 208명으로 늘렸다. 모든 해에 걸쳐 완전한 확장이 이루어지면, 학생 수는 기준치인 835명에서 1100명으로 증가할 것이다(2015년부터 2023년까지 25% 증가).
NMS successfully bid for more medical student places in both the 2018/19 and 2019/20 academic years; increasing the cohort size from 167 students in 2017/18, to 183 in 2018/19 and then 208 in 2019/20. Once the full expansion has worked through to all years, the student numbers will have increased from a baseline of 835 to 1100 (25% increase from 2015 to 2023).

코호트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노리치 의대 학생들은 더 큰 그룹에서 학습할 것이고 임상 환경에서 점점 더 서로 중복될 것이다. 의대생 훈련이 완전히 고독했던 적은 없지만, 학생들이 집단으로 임상 배치를 하는 것이 잘 확립된 기준과 함께, 다른 학생들이 임상 환경에서 미치는 영향의 범위와 성격은 완전히 탐구되지 않았다. 의대생들이 임상 환경에서 학습하는 동안 형성된 또래 관계로부터 상당한 혜택을 받는다는 증거가 있다. 그러나 이전에 노리치 의대 학생들로부터 다른 학생들과의 배치에서의 만남에 대해 받은 임시 피드백은 다른 학생들과의 경쟁으로 인해 학습 기회를 놓쳤다는 언급을 포함하여 대부분 부정적이었다. 우리는 [다른 학생들과의 만남]이 [학생들의 clinical attachments 중 인식된 학습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그 수가 더 증가하기 전에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정보는 기존의 장점을 최적화하고 미래의 코호트가 확장됨에 따라 잠재적인 문제를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As cohort sizes increase, Norwich medical students will learn in larger groups and increasingly overlap with each other in the clinical environment. while medical student training has never been completely solitary, with the well-established norm being that students undertake clinical placements in groups, the extent and nature of the impact other students have in the clinical setting has not been fully explored. There is some evidence that medical students receive considerable benefit from peer relationships formed during learning in the clinical setting.19 However, ad hoc feedback received previously from Norwich medical students about encounters with others on placement has been predominantly negative, including comments about missing out on learning opportunities due to competition with other students. We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that encounters with other students had on the perceived quality of learning during students’ clinical attachments before the numbers grow further. This information may help optimize existing strengths and manage potential problems as future cohorts expand.

방법
Method

스터디 설정
Study setting

NMS 5년제 MBBS는 완전히 통합된 시스템 기반 과정이다. 연구 당시 MBBS는 15개의 모듈로 구성되었다. 티칭 모듈 12개, 학생 보조 모듈 1개, 선택 모듈 2개. 다른 의과대학 커리큘럼은 종종 뚜렷한 임상 전 단계와 임상 단계를 가지고 있는데, 학생들은 훈련의 첫 해 동안 규율에 초점을 맞춘 강의를 통해 배우고, 그 다음 해에는 임상 배치를 한다. 그러나 의학의 기초적인 생물학적, 사회적, 임상 과학을 다루는 MBBS의 12개의 학습 모듈에 대한 NMS 캠퍼스 기반 학습은 초기 및 지속적인 환자 접촉과 통합되어 MBBS의 모든 5년 동안 임상 배치가 있다. 
The NMS five-year MBBS is a fully integrated, systems-based course. At the time of the investigation, the MBBS comprised 15 modules: 12 taught modules, one student assistantship module, and two elective modules. Other medical school curricula often have distinct pre-clinical and clinical phases, where students learn through discipline-focused lectures during the first years of the training, followed by clinical placement in the later years. However, at NMS campus-based learning for each of the 12 taught modules of the MBBS, covering the underpinning biological, social, and clinical sciences of medicine, is integrated with early and ongoing patient contact; such that there are clinical placements in all five years of the MBBS.

[1학년에서 4학년까지의 학습된 모듈]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습니다.

  • (i) PBL 세션, 강의, 세미나, 상담 기술 세션, 해부학 및 의학 연구를 포함한 캠퍼스 기반 강의 블록 및 1주일에 한 번씩 1차 진료 및 
  • (ii) 4주간의 2차 진료 배치 블록.

5년차 교육 모듈은 [캠퍼스 기반 교육] 및 [임상 배치(1차 및 2차 진료 모두)]로 구성되었으며, 모듈 전체에서 서로 나란히 운영되었습니다. 5년차 학생 조교 모듈은 전적으로 이차 치료 임상 배치에 사용된다(MBBS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부록 상자 1 참조).

The taught modules in years 1 to 4 were composed of

  • (i) blocks of campus-based teaching including PBL sessions, lectures, seminars, consultation skills sessions, anatomy, and medical research, and one day per week in primary care and
  • (ii) a four-week block of secondary care placement.

The taught module in year 5 comprised campus-based teaching and clinical placements (both primary and secondary care) running alongside each other throughout the module. Year 5’s student assistantship module is spent wholly in a secondary care clinical placement (see Appendix Box 1 for further details of the MBBS).

참가자
Participants

참가자들은 2018/19학년도 동안 NMS의 5년제 MBBS의 학생들이었다. 1~5학년 12개 티칭 모듈과 학생조교 모듈 기간 동안 MBBS에 있었던 모든 학생들은 모듈 종료 시 평가 양식(연간 최대 3개 평가 양식)을 작성해야 했다. 여기에 보고된 연구에는 이러한 평가 양식에서 제공한 피드백이 과정 개발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에 동의한 학생만 포함되었습니다.
The participants were students on NMS’s five-year MBBS during the 2018/19 academic year. All students who were present on the MBBS during the 12 taught modules and the student assistantship module of years 1-5 were required to complete an evaluation form at the end of the module (up to three evaluation forms per year). Only those students who consented for the feedback they provided in these evaluation forms to be used for purposes beyond course development were included in the study reported here.

자재
Materials

[12개의 티칭 모듈]과 [학생 보조 모듈] 각각에 대한 평가 양식을 개발했습니다. 이 양식은 미래의 학생들을 위해 MBBS를 개발하기 위해 학생 피드백을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모듈의 캠퍼스 기반 및 2차 진료 블록 동안 학생들의 경험의 모든 측면을 다루었다. 그 해의 처음 두 평가 양식의 2차 진료 임상 배치 섹션에서, 학생들은 배치 중에 다른 학생과의 경험에 대한 질문을 완료하도록 요구받았다. 또한 매년 각 모듈에 대해 5개의 표준 중등치료 배치 질문(부록 상자 2 참조)을 받았다.
Evaluation forms were developed for each of the 12 taught modules and the student assistantship module. The forms covered all aspects of the students’ experience during the campus-based and secondary care blocks of the module, with the aim of using student feedback to develop the MBBS for future students. In the secondary care clinical placement section of the first two evaluation forms of the year,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s regarding their experiences with other students while on placements; in addition to the five standard secondary care placement questions asked for every module each year (see Appendix Box 2).

두 평가 양식에서 학생들은 만족도를 평가하도록 요구받았습니다. (5점 척도로, 1 = 전혀 만족하지 않음 5 = 완전히 만족함). 

  • (i) 배치 조직 및 
  • (ii) 2차 진료 배치에 대한 전반적인 학습 경험.

In both evaluation forms the students were asked to rate their satisfaction (on a five-point scale, from 1 = Not at all satisfied to 5 = Completely satisfied) with

  • (i) placement organization and
  • (ii) learning experience overall for their secondary care placement.

게다가, 그들의 해의 첫 번째 평가 형태에서, 학생들은 다른 학생들과의 만남이 2차 진료 배치의 첫 번째 블록 동안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물었다.

  • (i) 개선(긍정적) 
  • (ii) (부정적) 품질 경험(응답 옵션은 "아니오", "가끔" 및 "자주"였다. 

Additionally, in the first evaluation form of their year, students were asked if they had had any encounters with other students which had led to

  • (i) an improved (positive) and / or
  • (ii) a reduced (negative) quality experience (the response options were: “No,” “Yes occasionally,” and “Yes often”) during their first block of secondary care placement.

배치 중에 어떤 유형의 학생과 교류했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6가지 유형(기타 동일 모듈 UEA 의과 학생, "다른 해 UEA 의과 학생", "다른 해 UEA 의과 학생", "다른 대학의 의과 학생", "의과 부학생" 또는 "간호 학생") 중에서 선택합니다. 
"기타(구체적으로 명시해 주세요)" 공간은 학생들이 목록에 없는 다른 유형의 학생을 언급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습니다. 논평을 위한 개방형 질문도 제공되었습니다.

To indicate what type of student they had interacted with while on placement, students selected from a list of six types (“Other same module UEA medical student,” “Other same year UEA medical student,” “UEA medical student from a different year,” “Medical student from another university,” “Physician Associate student,” or “Nursing student”); an “Other (please specify)” space was also provided for students to mention any other type of student they had encountered not listed. An open-ended question was also provided for comment.

두 번째 평가 포맷에서는, 학생들에게 다른 학생들의 존재로 인해 겪었을 수 있는 [9개의 긍정적인 경험들]과 [10개의 부정적인 경험들]의 목록을 제공하였다. 그들은 2차 진료 배치의 두 번째 블록 동안 각각을 얼마나 자주 경험했는지 표시하도록 요청받았다. ("나는 이런 일을 겪지 않았다", "이런 일이 한 번 있었다", "이런 일이 여러 번 있었다"). 저자들은 이러한 목록이 의대생들에게 적절하고 두드러지도록 하기 위해 1차 평가의 개방형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이전 과정 평가에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제기한 문제와 함께 검토하였다. 각각의 경험 목록 뒤에 개방형 질문이 있었는데, 학생들은 다른 학생들로 인해 다른 유형의 경험이 있다면 세부 사항을 제공할 수 있었다. 이것은 학생들이 단지 두 가지 목록에 제공된 경험에만 국한되지 않도록 보장하면서 이전에 나타나지 않았던 추가적인 상호 작용을 식별할 수 있게 했다.

In the second evaluation form of their year, students were provided with a list of nine positive experiences and ten negative experiences they might have had due to the presence of other students. They were asked to indicate how often they had experienced each, if at all, during their second block of secondary care placement (“I didn’t experience this,” “This happened once,” or “This happened multiple times”). To ensure that these lists were relevant and salient to the medical students, the authors reviewed students’ responses to the first evaluation’s open-ended questions, along with issues that students raised spontaneously in previous course evaluations. There was an open-ended question following each list of experiences, where students could provide details if they had had any other types of experience due to other students. This allowed identification of any further interactions which had not come up previously, ensuring that students were not limited to just the experiences provided in the two lists.

 

절차
Procedure

평가 양식은 MBBS 평가(SM)를 위해 NMS가 이끄는 서베이 몽키에서 작성되었으며, 해당 분야의 학습 활동을 개발하고 제공하는 데 관련된 직원으로부터 MBBS의 각 영역에 대한 질문에 대한 입력을 받았다. 그런 다음 MBBS 평가 책임자가 대학 이메일 주소로 보낸 서베이 몽키에서 호스팅된 평가 양식의 각 학생 자신의 사본에 대한 개별 링크를 통해 온라인으로 데이터를 수집했다. 학생들은 독촉 시간에 양식을 완전히 작성하지 않은 경우 개별 링크가 포함된 독촉 이메일을 최대 3통까지 받았다. 데이터 수집 기간은 모듈에 대한 마지막 수업일 직후에 시작되었으며 일반적으로 2주 이상이었다.
The evaluation forms were created in SurveyMonkey by the NMS’s lead for MBBS evaluation (SM), with input on the questions to be asked about each area of the MBBS from the staff involved in developing and providing the learning activities for that area. Data were then collected online, via an individual link to each student’s own copy of the evaluation form hosted in SurveyMonkey sent to their university email address by the MBBS evaluation lead. Students were subsequently sent up to three reminder emails containing their individual link if they had not fully completed the form at the reminder time. The data collection period commenced immediately following the last day of teaching for the module and was generally over two weeks.

동의
Consent

MBBS 평가의 주된 목적은 학생들의 피드백을 모아 지속적인 과정 개발에 기여하는 것이다. 교수진 연구윤리위원회는 NMS가 의과대학이 익명자료를 홍보나 학술 등 추가 용도로 사용하는 데 동의할지 여부를 학생들에게 물어볼 수 있도록 승인했다. 이 동의는 각 학생이 해당 연도에 제공한 피드백에 대한 해당 학년의 마지막 평가 양식을 종료할 때 획득됩니다.
The primary purpose of MBBS evaluations is to gather students’ feedback to contribute to ongoing course development. The faculty’s research ethics committee provided approval for NMS to ask students if they would consent for the medical school to use the anonymous data for additional purposes such as promotional or academic. This consent is obtained at the end of each student’s last evaluation form of the academic year for the feedback provided that year.

통계분석
Statistical analysis

데이터는 SurveyMonkey에서 Excel 2016로 다운로드되었습니다. 다른 학생들이 접한 유형과 경험 유형의 수와 백분율을 계산했습니다. 첫 번째 양식의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응답은 세 명의 저자가 추가 유형의 학생 및 두 번째 양식에서 사용할 다른 학생과의 경험을 식별하기 위해 검토했다(여기에 보고되지 않은 데이터). 통계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5를 사용하여 다른 학생과의 부정적 및 긍정적 경험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습니다. 

  • (i) 조직; 
  • (ii) 해당 연도의 두 번째 배치에 대한 전반적인 경험(두 개의 종속 변수) 

그룹 간 경험의 네 가지 유형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 (i) 다른 학생과의 경험 없음; 
  • (ii) 다른 학생과의 부정적인 경험만. 
  • (iii) 다른 학생과의 긍정적인 경험만, 또는 
  • (iv) 다른 학생과의 긍정적 및 부정적 경험 둘 다(4개의 그룹이 있는 하나의 독립 변수). 

두 만족 문항이 순서적 척도로 평가되었으므로(1 = 전혀 만족하지 않음, 2 = 약간 만족, 3 = 중간 만족, 4 = 매우 만족, 5 = 완전히 만족) 비모수 Kruskal-Wallis 테스트가 사용되었다. 여러 테스트의 경우 본페로니 보정을 사용하여 유의 수준을 조정한 던의 쌍별 테스트가 뒤따른다.
Data were downloaded from SurveyMonkey into Excel 2016. Number and percentage of type of other students encountered and type of experience were calculated. Responses to the first form’s open-ended questions were reviewed by all three authors to identify any additional types of students and experiences with other students for use in the second form (data not reported her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5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negative and positive experiences with other students on satisfaction with

  • (i) organization; and
  • (ii) overall experience for the second placement of the year (two dependent variables).

Four between-group types of experience were used in the analysis:

  • (i) no experiences with other students;
  • (ii) only negative experiences with other students;
  • (iii) only positive experiences with other students; or
  • (iv) both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with other students (one independent variable with four groups).

As the two satisfaction questions were rated on an ordinal scale (1 = Not at all satisfied, 2 = Slightly satisfied, 3 = Moderately satisfied, 4 = Very satisfied, 5 = Completely satisfied) the non-parametric Kruskal-Wallis test was used; followed by Dunn’s pairwise tests with the significance level adjusted using a Bonferroni correction for multiple tests.

결과
Results

846명의 학생 중 840명이 올해 첫 번째 평가 양식을 완성했다. 844명 중 839명이 올해 2차 평가서를 작성했다(NB는 건강이나 학업상의 이유로 중간고사하는 학생에 따라 출석 인원이 다소 달라질 수 있다). 총 844명의 학생들이 한 가지 또는 두 가지 평가 양식의 임상 배치 섹션을 완료했습니다. 인구통계학적 정보가 일부 평가 양식에서 수집되지 않았기 때문에 인구통계학적 세부 정보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Eight hundred and forty of 846 students completed the first evaluation form of the year. Eight hundred and thirty-nine of 844 students completed the second evaluation form of the year (NB the number of students present at different times during the academic year can vary slightly due to students intercalating for health or academic reasons). In total, 844 students completed the clinical placement section of one or both evaluation forms. Demographic information was not collected in all evaluation forms; so, no demographic details are available.

익명의 피드백이 추가 목적에 사용되는 것에 동의하지 않았던 학생들의 응답은 삭제되어 844명 중 786명(93%)의 표본이 남게 되었다. 연도 그룹별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년차 = 174, 2년차 = 158, 3년차 = 140, 4년차 = 163, 5년차 = 151입니다.

Responses from students who had not consented for their anonymous feedback to be used for additional purposes were removed, leaving a sample of 786 of 844 students (93%). The breakdown by year group is as follows: year 1 = 174, year 2 = 158, year 3 = 140, year 4 = 163, year 5 = 151.

마주친 다른 학생들의 유형 - 부정적인 경험
Type of other students encountered - Negative experiences

36%의 학생들이 그 해의 첫 중등 돌봄을 받는 동안 다른 학생들과의 만남을 통해 학습 기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간혹" 또는 "자주" 느낀 적이 있었다. 1년차(22%)가 가장 낮았고 5년차(59%)가 가장 높았다(그림 1).
Thirty-six percent of students had “occasionally” or “often” perceived a negative impact on their learning opportunities through encounters with other students while on their first secondary care placement of the year. Instances were lowest in year 1 (22%) and highest in year 5 (59%) (Figure 1).

마주친 다른 학생의 유형은 연도 그룹에 따라 달랐다(부록 표 A 참조). 1~4학년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자신과 같은 모듈(따라서 같은 해)에서 학생들과 부정적인 만남을 가졌다. 1학년 학생들은 다른 해의 UEA 의과 학생들과 부정적인 만남을 추가로 경험했다. 이는 놀라운 일이 아니다. 1학년 첫 번째 2차 진료 배치는 병원 업무에 대한 일반적인 소개이고, 학생들은 다른 해의 학생들이 전문 배치를 맡을 수 있는 나중의 모듈에서 공부할 다양한 전문 분야에 할당되기 때문이다. 5학년 학생들은 의사 동료 학생들과 가장 부정적인 만남을 경험했다. 그들은 또한 다른 5학년 학생들과 부정적인 경험을 했다. [자신과 같은 모듈에 있는 학생들]과 [동시에 배치되었던 다른 5학년 모듈을 공부하는 학생들] 둘 다에 대해서 그랬다. 약학, 구급대원, 조산사 학생뿐만 아니라 재단 의사(2년제 대학원 연수 프로그램에 종사하는 자격 있는 의사)를 포함한 "기타, 명시해 주세요" 옵션에 대해 소수의 다른 유형의 학생들이 언급되었다. 
The type of other student encountered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year group (see Appendix Table A). Students in years 1 to 4 generally had their negative encounters with students on the same module (and thus also the same year) as themselves. Year 1 students additionally experienced negative encounters with UEA medical students from a different year. This is unsurprising, as the first secondary care placement of year 1 is a general introduction to hospital working and the students are allocated to a variety of different specialties which they will study in later modules where there may be students from other years undertaking their specialty placement. Year 5 students experienced most negative encounters with physician associate students. They also had negative experiences with other year 5 students; both students on the same module as themselves and students studying the other year 5 module who were on placement at the same time. A small number of other types of students were mentioned in response to the “Other, please specify” option including pharmacy, paramedic, and midwifery students as well as Foundation doctors (qualified doctors working on a two-year postgraduate training program).

접한 다른 학생들의 유형 - 긍정적인 경험
Type of other students encountered - Positive experiences

45%의 학생이 1년 중등보육을 처음 하는 동안 다른 학생과의 만남을 통해 학습 기회에 "간혹" 또는 "자주" 긍정적인 영향을 느낀 적이 있었으며, 1학년(59%)이 가장 높았고 5학년(34%)이 가장 낮았다(그림 1).
Forty-five percent of students had “occasionally” or “often” perceived a positive impact on their learning opportunities through encounters with other students while on their first secondary care placement of the year; with the highest instances in year 1 (59%) and the lowest in year 5 (34%) (Figure 1).

1학년 학생들 중 68명은 다른 해 그룹의 다른 UEA 학생들과 긍정적인 만남을 경험했다. 2년차에는 다른 연도 그룹의 UEA 학생들도 긍정적인 만남을 위해 가장 많이 선택된 학생 유형이었으며, 3년차에는 두 번째로 많이 선택된 학생이었다. [3, 4, 5학년에서 가장 많이 선택된 학생 유형]과 [1, 2학년에서 두 번째로 많이 선택된 학생 유형]은 동일한 모듈을 공부하는 다른 UEA 학생이었다(부록 표 A 참조). 부정적인 만남과 마찬가지로 약국, 구급대원, 조산사 학생, 재단 의사들도 긍정적인 만남에 대해 소수의 학생들에 의해 언급되었다. 게다가, 몇 명의 1학년 학생들은 방사선학과/방사선사 학생들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언급했다.
Sixty-eight of the year 1 students had experienced positive encounters with other UEA students in a different year group. In year 2, UEA students in other year groups were also the most selected type of student for a positive encounter, and it was the second most selected in year 3. The most selected student type in years 3, 4 and 5, and the second most selected in years 1 and 2, was other UEA students studying the same module (see Appendix Table A). As with negative encounters, pharmacy, paramedic and midwifery students, and Foundation doctors were mentioned by a small number of students for positive encounters. Additionally, a few year 1 students mentioned positive experiences with radiology/radiography students.

다른 학생과의 경험 유형
Type of experiences with other students

학생들이 다른 학생들과 함께 경험했을 수 있는 유형의 구체적인 예를 제공받았을 때, 1~5학년 동안 평균 75%의 학생들이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모두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1학년 = 85%, 2학년 = 78%, 3학년 = 71%, 4학년 = 61%, 5학년 = 80%) 두 번째 2차 진료에 종사하는 동안, 단 8% 이하만이 경험하지 못했다(1년 = 5%, 2년 = 3%, 3년 = 4%, 4년 = 8%, 5년 = 2%).
When the students were provided with specific examples of types of experiences they may have had with other students it was found that across years 1 to 5 an average of 75% of students had experienc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impacts (year 1 = 85%, year 2 = 78%, year 3 = 71%, year 4 = 61%, year 5 = 80%) while on their second secondary care placement; with only 8% or less experiencing neither (year 1 = 5%, year 2 = 3%, year 3 = 4%, year 4 = 8%, year 5 = 2%).

자신의 학습 경험이 다른 학생에 의해 개선되었다고 보고한 사례 중 가장 많이 선택된 긍정적인 영향은 다른 학생을 관찰하거나 함께 일하는 것을 통한 학습(79%)이었다(부록 표 B 참조). 70% 이상의 학생들은 또한 다른 학생이 그들에게 이론적인 지식을 가르쳤거나, 그들의 질문에 대답하거나, 모듈에 대한 조언이나 팁을 주거나, 다른 학생을 가르쳤으며, 이것이 유용하다는 것을 알았다고 말했다. 모든 해에 걸쳐 [가장 일반적으로 선택되지 않은 경험(40%)]은 이러한 직업의 학생들과 함께 있는 것을 통해 [다른 건강 관리 직업이 무엇을 하는지 배우는 것]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다른 학생이 환자와 함께 그들을 관찰하고 피드백을 주는 것]이었습니다(48%). 또한 4학년과 5학년에서는 상대적으로 덜 빈번하게 임상 기술을 가르치는 또 다른 학생이었습니다.
Of those who reported instances where their learning experience had been improved by other students, the most frequently selected positive impact was learning through watching or working with other students (79%) (see Appendix Table B). Seventy percent or more students also indicated that another student had taught them theoretical knowledge, answered their questions or explained things, given them advice or tips on the module, or that they had taught another student and found this to be useful. The least commonly selected experience across all years (40%) was learning about what other healthcare professions do through being with students from these professions, followed by another student watching them with a patient and giving feedback (48%). Also, relatively less frequent in years 4 and 5 was another student teaching them clinical skills.

다른 학생들의 존재가 그들의 학습에 해로운 사례에 대한 질문을 받았을 때, 약 절반의 학생들(49-58%)은 [방이 너무 붐벼서 편안함을 느낄 수 없고, 환자 주변에 너무 많은 학생들이 있고, 너무 많은 학생들이 있기 때문에 직원들로부터 환영받지 못한다]고 느꼈다. 1학년(54%)과 2학년(49%)에는 다른 학생들의 존재로 인해 공부할 수 있는 자원 부족도 약 절반의 학생들에게 문제가 되었다. 5학년 때, 40-52%의 학생들은 다른 학생들이 사용 가능한 기회를 잡았기 때문에 과제나 절차를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를 경험했고, 다른 학생들이 사용 가능한 모든 학습 기회를 잡았기 때문에 할 일이 없었고, 너무 많은 학생들로부터 부정적인 영향을 받은 학습 경험을 경험했다. 다소 안심이 되는 것은 5분의 1 이하(9~20%) 학생들만이 다른 수준이나 다른 교육과정을 공부하는 다른 학생들로 인해 무엇을 배우기를 기대하는지 혼란스러워했다는 것이다.
When asked about instances where the presence of other students was detrimental to their learning (see Appendix Table C), around half of the students (49-58%) had found the room to be too crowded for comfort, there to be too many students around patients and been made to feel unwelcome by staff due to too many students being present. In years 1 (54%) and 2 (49%) a lack of resources to study due to the presence of other students was also an issue for about half of the students. In year 5, 40-52% of the students had experienced problems with missing out on performing tasks or procedures because others took the available opportunities, having nothing to do because other students had taken all of the available learning opportunities, and learning experience being negatively affected by too many students on a ward round. Somewhat reassuringly, only a fifth or less of the students (9-20%) had been confused about what they were expected to learn due to other students who were studying at a different level or a different curriculum.

다른 학생과의 경험 및 배치에 대한 만족도
Experiences with other students and satisfaction with placement

다른 학생들과의 경험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추가 분석이 수행되었다.

  • (i) 배치 구성에 대한 만족도 
  • (ii) 전반적인 2차 진료 학습 경험에 대한 만족도.

Further analysis was conducted to look at how experiences with other students might affect

  • (i) satisfaction with organization of the placement; and
  • (ii) satisfaction with secondary care learning experience overall.

분석은 [두 번째 placement의 데이터]에 초점을 맞췄다. 결과에 따르면, 만남의 가능한 긍정적 및 부정적 영향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제공했을 때, 더 많은 학생들이 그러한 경험을 했다고 보고했기 때문이다. 경험 후 며칠 또는 몇 주 후에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요청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번째 배치 블록에 대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필요했던 단서 인식cued recognition은 [첫 번째 배치 블록에 대한 질문]에 대해 요구되는 개방형 리콜open recall보다 더 신뢰할 수 있다.
Analysis focused on data from the second placement because the results indicated that when provided with specific examples of possible positive and negative impacts of encounters, more students reported having such experiences. Given that students were asked for feedback some days or weeks after the experience, the cued recognition required to answer the questions about the second placement block might be more dependable than the open recall required for the first placement block’s questions.

배치 조직에 대한 종속 변수 만족도에 대한 Kruskal-Wallis 검정은 적어도 한 쌍의 그룹의 평균 순위 간의 차이를 나타냈다(χ2(3) = 21.42, p <.001). 후속 Dunn의 쌍별 테스트는 유일한 긍정적인 경험 그룹 사이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 i) 부정적 경험만 한 그룹(p <.001);
  • ii) 긍정적 및 부정적 경험을 모두 경험한 그룹(p <.001) (표 1)

The Kruskal-Wallis test for the dependent variable satisfaction with organization of the placement indicated a difference between the mean ranks of at least one pair of groups (χ2(3) = 21.42, p <.001). Subsequent Dunn’s pairwise tests showed a difference between the only positive experiences group and

  • i) the only negative experiences group (p <.001); and
  • ii) the group who had had both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p <.001) (Table 1).

마찬가지로, 배치에 대한 학습 경험에 대한 종속 변수 만족도에 대한 Kruskal-Wallis 테스트는 적어도 한 쌍의 그룹의 평균 순위 간의 차이를 나타냈다(χ2(3) = 20.80, p <.001). Dunn의 쌍방향 테스트는 긍정적인 경험만을 가진 그룹 사이의 차이를 다시 한번 보여주었다. 

  • i) 부정적인 경험만 한 그룹(p <.001) 
  • ii) 긍정적 및 부정적 경험을 모두 경험한 그룹(p <.001) (표 1)

Similarly, the Kruskal-Wallis test for the dependent variable satisfaction with learning experience on the placement overall indicated a difference between the mean ranks of at least one pair of groups (χ2(3) = 20.80, p <.001). Dunn’s pairwise tests once again showed a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who had only positive experiences and

  • i) the group who had only negative experiences (p <.001); and
  • ii) the group who had had both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p <.001) (Table 1).

따라서 [긍정적인 경험만]을 가진 학생들은 [배치의 조직]과 [배치에 대한 전반적인 학습 경험]에 더 만족했다는 증거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른 학생들의 존재로 인한 [배치에 대한 부정적인 경험]이 [일부 긍정적인 경험]을 했더라도 배치 전체를 바라보는 학생들의 시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us, there is evidence that those students who had only positive experience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organization of their placement and their overall learning experience on placement than students who had any kind of negative experiences - whether that was just negative experiences or both negative and positiv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negative experiences on placement due to the presence of other students have a detrimental effect on students’ view of the whole placement, even if they also had some positive experiences.

논의
Discussion

의대생 경험에 대한 이 소급적이고, 설문 기반 조사는, 그들이 임상 환경에서 다른 학생들을 학습에 영향을 미치도록 인식하지만 부정적인 영향과 긍정적인 영향 모두를 가지고 다양한 방식으로 인식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조사는 영국 의과대학 학생에 대한 그러한 인식을 공식적으로 설명하고 정량화하는 첫 번째 것으로 보이지만, 우리의 관찰은 많은 수의 학습자를 수용하거나 다른 학습자가 배치에서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적응시키는 모든 임상 환경과 관련성이 있어야 한다.
This retrospective, survey-based investigation of medical students’ experiences demonstrates that they do perceive other students in the clinical environment to affect their learning, but in diverse ways with both negative and positive impacts. This investigation appears to be the first to formally describe and quantify such perceptions of students in a UK medical school, but our observations should have relevance to any clinical setting accommodating large or increased numbers of learners or adapting the way in which different learners interact on placements.


우리의 연구 결과는 NMS에서 향후 임상 배치를 계획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여러 가지 핵심 요소를 제시하며, 그 중 많은 요소는 자체 임상 배치 형식을 조정하는 다른 의료 훈련 기관에서 고려할 수 있다. 첫째, 우리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동료들의 존재로 인해 학습이 바뀌었다고 느낀다는 것을 확인했다. 다소 의외이긴 하지만, 안심스럽게도, 다른 학생들과의 긍정적인 만남의 유병률이 부정적인 것보다 더 컸다. 

  • 그러나 부정적인 만남은, 긍정적인 만남과 결합하더라도, 전체 임상적 애착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정도로 강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배치 계획에서 다른 학생(다른 의대생과 다른 의료 직종의 학생 모두)과의 조우 가능성을 고려하고 학습자 경험을 최적화하기 위해 부정적인 경험이 발생할 수 있는 영역을 적극적으로 식별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Our findings suggest a number of key factors that could assist in planning for future clinical placements at NMS, many of which could be considered by other medical training institutions adjusting the format of their own clinical placements. Firstly, we confirmed that the majority of our students did feel their learning was changed due the presence of their colleagues. Reassuringly, although somewhat surprisingly, the prevalence of positive encounters with other students was greater than negative ones.

  • However, negative encounters appeared to be powerful enough to adversely influence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entire clinical attachment, even when coupled with positive encounters. This highlights the need to take account of the likelihood of encounters with other students (both other medical students and students from other healthcare professions) in placement planning and to actively identify areas where negative experiences may occur so as to optimize the learner experience.

둘째, 우리의 연구 결과는 다른 학생들과의 만남에 대한 배치 계획이 의대 학생들의 학습 연도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 이 과정의 [초기 학생들]은 더 많은 상급생들에 비해 다른 학생들과의 만남으로부터 더 많은 이익을 얻는 것으로 보였다.
  • 1학년 학생들은 다른 학생들의 질문에 답하고, 팁을 받고, 임상 기술을 배우고, 다른 학생들로부터 피드백을 받는 것을 보고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 게다가, 2학년 학생들은 MBBS의 고학년 학생들이 그들의 학습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느꼈다.
  • 고무적이게도, 최종 학년 학생들은 다른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의 이점을 보고할 가능성이 가장 높았다. 그래서, 그들 또한 이 관계로부터 이익을 얻는 것으로 보인다.

Secondly, our findings indicate that placement planning around encounters with other students needs to take full account of the medical students’ year of study.

  • Students in earlier years of the course appeared to gain more benefit from encounters with other students, compared to more senior students.
  • Year 1 students were most likely to report having questions answered by other students, getting tips, being taught clinical skills, and getting feedback from other students.
  • Furthermore, junior students felt students in higher years of the MBBS most positively influenced their learning.
  • Encouragingly, final year students were most likely to report a benefit from teaching other students; so, they appear to gain from this relationship too.

학생들이 또래들로부터 배운다는 개념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 공식적인 동료 지원 학습(PAL)은 몇 가지 학생 관련 이점이 있는 효과적인 교육 방법으로 잘 문서화되어 있다. 특히 임상 환경 내에서 PAL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몇 가지 문제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임상 배치에서 동일한 수준의 PAL을 보고한 연구에 대한 리뷰는, PAL이 상호 작용에 대한 구조를 만들기 위해 도구나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우리의 발견과 유사한 유익한 결과(예를 들어, 임상 기술 학습, 성과에 대한 피드백 획득, 지원받고 있다는 느낌, 배치 환경에 대한 이해)를 얻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임상 환경에서 비공식적인 또래 그룹이 사회적 및 학업적 지원을 받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된다는 증거가 있다. 우리 학생들은 그들 자신의 배움의 길을 만들기 위해 그들의 placements에서 공유된 시간을 이용하는 것처럼 보인다. 학생 수가 증가함에 따라 그러한 비공식 PAL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아질 것이고 이러한 상호 작용을 연도 내 및 연도 그룹 전반에 걸쳐 공식화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MBBS의 다른 연도에 있는 친구 사귀기 계획이나 의도적으로 중복된 학생들은 주니어 및 시니어 학생 모두의 이익을 위해 임상적 애착에 대한 PAL의 기회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적 플랫폼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의도적인 상호 작용에 대한 직원과 학생 모두에게 긍정적인 표지판을 게시하고 공유 시간을 구성하기 위한 제안은 학습 경험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The notion that students learn from their peers is not new. Formal peer-assisted learning (PAL) is well documented a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with several student-related benefits.20–22 Some challenges have been identified with establishing PAL within the clinical setting specifically.23 However, a review of studies reporting same-level PAL in clinical placements indicated that PAL can be implemented effectively using a tool or framework to create structure to the interactions, with beneficial outcomes similar to our own findings such as learning clinical skills, getting feedback on performance, and feeling supported and understanding the placement environment.21 Additionally, there is evidence that informal peer groups in a clinical setting benefit students with support both socially and academically.19 Our students appear to be taking advantage of shared time on their placements to create their own avenues of learning. With increased student numbers there will be more opportunities for such informal PAL activities and to formalize these interactions both within and across year groups. For example, buddying-up schemes or intentionally overlapping students in different years of the MBBS may be potential platforms to enhance opportunities for PAL on clinical attachments to the benefit of both junior and senior students. Positive signposting for both staff and students about these intentional interactions, as well as suggestions for structuring shared time is likely to further enhance the learning experience.

그러나 이는 MBBS [마지막 학년 학생들]이 다른 학생들과 [부정적인 만남을 가졌을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다양한 부정적인 경험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보고했다는 중요한 관찰과 균형을 이룰 필요가 있다. 이것은 몇 가지 요인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 MBBS의 모든 5년 동안 1차 및 2차 치료 모두에서 상당한 임상 시간이 있지만, 우리 과정의 마지막 해는 가장 많은 실습이다. 최종 학년 학생들은 승인을 받아야 하는 많은 절차적 기술을 가지고 있으며 응급 부서(사고 및 응급)와 급성 평가 장치와 같은 실제 학습에 적합한 임상 영역을 순환합니다. 때때로 그러한 학습 기회는 유한하거나 자발적일 수 있으며(즉, 감독 하에 수행하는 많은 절차만 해당) 학생들 사이에 접근 경쟁을 유발한다.
  • 또한, 일반 급성 입학 영역에 소속되어 의료 또는 외과 팀 아래에 그림자를 드리우는 최종 학년 학생들은 다른 학년의 학생들과 겹칠 가능성이 높으며, 지정된 전문적 위치를 담당하는 PA 학생들과 겹칠 수 있다. 그런 경우 이러한 고학년 학생들의 학습 영역에 대한 "침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고학년 학생들의 의견에 따르면, 그들이 마지막 해 동안 얻은 학습 기회가 졸업 전, 그리고 Foundation training 시작 전 그들의 "마지막 기회"로 본다. (Foundation: 인턴십 프로그램; 그들이 성공적으로 학부 의학을 마치자마자 시작할 2년 훈련 프로그램). 그래서 결과적으로 그들은 연습할 기회가 저학년 학생들보다 우선되어야 한다고 느낀다.
  • 이와 같이, 의대 상급생들은 임상적 부착에 대해 더 많은 혼자서의 근무 시간lone working time 이 필요할 수 있다. 이것은 저녁과 주말에 보내는 시간의 더 높은 비율로 시간표를 짜서 달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한다면, 정상적인 근무 시간 동안 (그들의 대부분의 시간을 배치에 소비하고 있는) 다른 학생들과 중복될 가능성이 적을 수 있고, 이것은 그들이 후배 의사로서 곧 착수할 근무 패턴을 더 잘 반영한다. 

However, this needs to be balanced with the important observation that students in their final year of the MBBS were most likely to have had negative encounters with other students and reported the highest frequency of the various negative experiences. This could be explained by a few factors.

  • while there is a considerable amount of clinical time in both primary and secondary care throughout all five years of the MBBS, the final year of our course is the most hands-on. The final year students have many procedural skills to get signed off and they rotate through clinical areas geared for practical learning, such as emergency departments (Accident and Emergency) and acute assessment units. Sometimes such learning opportunities may be finite or spontaneous (i.e., only so many procedures to perform with supervision), creating competition between students for access.
  • Also, final year students attached to general acute admission areas and shadowing under a medical or surgical team are likely to overlap with students in other years or physician associate students undertaking their designated specialty-specific placements. Encounters may then occur and be perceived as “intrusions” into the learning area for these senior students.
  • Feedback from senior students indicates that they view the learning opportunities they have during their final year as their “last chance” before graduation and commencing their Foundation training (an internship program; the two-year training program they will be commencing as soon as they successfully complete their undergraduate medical studies), and consequently they feel that their opportunities to practice should take priority over the lower year students.
  • As such, senior medical students may need more lone working time on their clinical attachments. This could be accomplished by timetabling them with a higher proportion of their time spent over evenings and weekends. They may be less likely to overlap with other students, who are spending the bulk of their time undertaking placements during normal working hours, and this more closely mirrors the working patterns they will soon undertake as junior doctors.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5학년 학습자들은 증가하는 학생 수로 인해 가장 많은 것을 잃을 수 있고, 그들의 임상 placements는 저학년 학생들의 placements보다 우선시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From this point of view, these learners might have the most to lose from increasing numbers of students and their clinical placements may need to take priority over those of students at the start of the MBBS.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연구 결과는 학습에서의 협업의 이점을 보여준다. 서로 유익한 학습 목표를 통해 배치되는 동안 서로 관계를 형성하는 것은 이론적으로 연대감을 장려해야 한다. 이를 통해 팀 환경에서 성공적인 임상 실습을 위해 필요한 미래의 협력적 전문 관계와 다양한 관점에 대한 이해로 이어지기를 바랍니다.
Nonetheless, our findings demonstrate the benefits of collaboration in learning. Forming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while on placement, through the mutually beneficial objective of learning, should theoretically encourage a sense of collegiality. This will hopefully translate into future cooperative professional relationships and an appreciation of different perspectives, necessary for successful clinical practice in a team setting.

제한사항 및 향후 연구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이 조사에는 여러 가지 한계가 있다.
There are a number of limitations to this investigation. 

첫째, 표현된 견해는 학생들의 개별적인 성격과 그들이 선호하는 학습방식에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MBBS의 5년 내내 93%(844명 중 786명)의 좋은 응답률과 다양한 전문성과 병원 배치 등 표본 규모가 큰 것은 이런 종류의 응답 편향을 최소화해야 한다. 또한, 우리는 연구원 편향이 제한되도록 설문지를 개발하기 위해 2단계 구조를 사용했다. 여기서 우리는 개방형 질문을 통해 보고된 다른 학생과의 만남 사례를 사용하여 그러한 경험의 부담을 정량화하기 위한 적절한 폐쇄 질문을 공식화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학생들이 [첫 번째 배치] 동안 다른 학생들과 만난 예시를 사용하여, [두 번째 배치] 동안 모든 MBBS 학생들에게 각 유형의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경험의 수를 셀 수 있었다. 이는 특히 다른 의료계 학생들과의 부정적인 만남의 유병률이 이전에 제안했던 학생들의 특별 논평보다 낮았고 이전에 확인되지 않았던 MBBS의 5년 동안 다양한 긍정적인 경험이 빈번하게 발생했음을 밝혔다. 우리는 학생들이 다른 유형의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만남을 설명할 수 있는 개방형 질문을 첨부함으로써 학생들이 그들에게 제공된 경험 목록에 제한되지 않도록 보장했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추가적인 유형의 경험은 없었다; 의견을 제공한 대부분의 학생들은 예를 들어, 언제 경험이 발생했는지에 대한 예를 들어 그들이 선택한 응답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을 뿐이다. 긍정적 및 부정적 경험의 이전 학생 응답에서 생성된 목록을 선택할 수 있는 추가적인 이점은 모듈 종료 시 발생하는 평가 기간과 관련이 있습니다. 2차 진료 배치 구성 요소 이후 몇 주가 걸릴 수 있습니다. 이 목록은 학생들이 배치 중에 다른 학생들과의 경험을 평가할 때 무료 리콜 대신 인식을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렇게 하면 몇 주 후에 질문을 받았을 때 만남에 대한 기억을 더 쉽게 찾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전체 응답 표본에 걸쳐 배치되는 동안 다른 학생들과의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경험의 유형과 정도에 대한 더 완전한 그림을 제공할 수 있다.
Firstly, it is likely that the views expressed have been influenced by the individual personalities of students and their preferred style of learning. However, the good response rate of 93% (786 of 844 students) and large sample size across all five years of the MBBS, including the full range of specialties and placements at different hospitals, should minimize this kind of respondent bias. Furthermore, we used a two-phase structure to develop the questionnaire to ensure that researcher bias was limited; whereby we used instances of encounters with other students reported via open-ended questions to formulate appropriate closed questions to quantify the burden of those experiences. This enabled us to use examples of encounters students had with other students during the first placement to get a count of the number of each type of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 across all the MBBS students during the second placement. This revealed that the prevalence of negative encounters, particularly with students from other healthcare professions, was lower than ad hoc comments from students had suggested previously and that there were a variety of positive experiences occurring frequently across all five years of the MBBS that had not been identified previously. We ensured that the students were not limited to the lists of experiences provided to them by accompanying these with open-ended questions where students could describe other types of positive and negative encounters. However, there were no consistently raised additional types of experience; most of the students who did provide a comment merely elaborated on the responses they had selected, for example, by providing examples of when the experience had occurred. An additional advantage of providing lists generated from previous student responses of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to select from, relates to the evaluation period taking place at the end of the module; which could be several weeks after the secondary care placement component. The lists enabled students to use recognition, rather than free recall, when evaluating their experiences with other students while on placement. This would make retrieval of memories about encounters when asked some weeks later easier, and thus provide a more complete picture of the type and extent of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with other students while on placement across the whole responding sample.

둘째로, 학생들의 피드백은 의학교육의 질을 측정하는 하나의 지표에 불과하다. 학습환경에서의 그들의 경험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학생들의 인식은 자동적으로 제공되는 교수와 훈련의 수준과 동일하지 않다. OSCE(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와 같은 임상 평가에 대한 다른 학생과의 만남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향후 연구에서 유용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NMS 의대생은 마지막 해에 자격을 갖춘 의료 전문가가 있는 상태에서 임상 배치 중에 마주치는 환자에게 일련의 특정 임상 기술을 수행하고 만족스러운 성과를 승인해야 하는 임상 역량 기록을 작성해야 합니다.이 기록은 현재 학생들이 주치의로서 수행해야 할 25개의 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요구사항이 없는 기관에서는 졸업 전 고학년 학생들이 필수역량을 지속적으로 충족하는지 여부에 대한 학생수 증가가 미치는 영향을 향후 연구가 검토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우리 기관에서는 먼저 임상 기술(동료 학생, 모델 및 환자)을 연습한 다음 자격을 갖춘 의료 전문가의 관찰 하에 임상 기술을 수행할 임상 배치에서 의욕적인 환자의 가용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의료 전문가들에게는 고려할 임상 기술을 승인하기 위해 점점 더 많은 수의 학생들을 관찰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Secondly, student feedback is only one metric to measure the quality of medical education; positive or negative student perceptions about their experiences in a learning environment do not automatically equate to the caliber of teaching and training provided. It would be useful in further research to consider the impact of encounters with other students on performance on clinical assessments such as OSCEs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Related to this, in their final year, NMS medical students are required to complete a clinical competency record in which they are required to perform a set of specific clinical skills on patients they encounter during their clinical placements in the presence of a qualified healthcare professional and get their performance signed off as satisfactory. This record currently comprises 25 tasks that students will be expected to perform as a junior doctor. In institutions where there is not such a requirement, future research may need to examine the impact of increasing student numbers on whether senior students continue to meet essential competencies before graduation. In our own institution we need to consider the impact on opportunities and resources to first practice the clinical skills (on fellow students, models, and patients), and then availability of willing patients on clinical placements with which to perform the clinical skills under observation from a qualified health professional. There is also the burden on these health professionals of having to observe an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for signing off clinical skills to consider.

셋째, 이 평가는 의대생들의 경험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다른 의료 전문직의 관점을 고려하는 것은 배치 환경에서 모든 임상 학습자의 경험에 대한 보다 균형 잡힌 관점을 만들 것이며 유사한 미래 연구에 통합되어야 한다. 효과적인 의료 제공에서 협업 실천의 중요성은 잘 확립되어 있으며, 이러한 협업 실천을 개선하는 데 있어 전문 간 교육의 역할도 잘 확립되어 있다. NMS 의대 학생들은 1학년 때 강의실 기반 전문직 간 학습(IPL) 활동을 한다. 이후 임상 IPL 세션(4학년과 5학년 학생들은 구급대원, 간호 및 약학 학생들과 함께 임상적으로 정통한 시뮬레이션 기반 임상 기술 세션을 수행함) 의대생들에게 매우 좋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연구 결과는 의대생들이 이 연구에서 임상 배치 중에 다른 직업의 학생들과 비공식적으로 만난 것이 덜 긍정적이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마지막 해 학생들은 의사 부학생들과의 만남의 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 기관에서는, 의대생과 PA 학생이 모두 같은 의대 내에서 공부하고 있으며, 임상 배치뿐만 아니라 같은 캠퍼스 기반 강의에 다니고 있으므로, PA 학생이 유사한 경험을 하고 있는지 평가하는 것이 타당하고 바람직합니다. 만약 그렇다면, 우리는 학생 그룹 및 과정 주최자와 협력하여 공동성을 촉진하고 학습 및 실습 기회를 위한 경쟁을 해결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해야 합니다. 의대생과 PA학생이 쌍으로 구성된 쌍체 임상 배치의 타당성을 조사한 시범 연구는 감독관에 의해 보고된 추가 부담 없이 학습 경험에 대한 학생들의 양호한 수용성을 발견했다. 따라서 임상 환경에서의 경험을 통해 의대생 동료들 간의 관계를 적극적으로 개발하는 것 외에도, 배치 중에 다른 보건대생들과의 초기적이고 지속적인 의도적인 경험을 통합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모든 학습자가 동일한 배치 위치에서 환자와의 만남, 실습 기회 및 학습 경험을 공유하는 협업 문화를 조성해야 한다.
Thirdly, this evaluation focused on the experiences of the medical students only. Considering the viewpoints of other healthcare profession students would create a more well-rounded perspective of the experiences of all clinical learners in the placement setting and should be incorporated into similar future research.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ve practice in effective healthcare delivery is well established, as is the role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 enhancing such collaborative practice.24 NMS medical students undertake classroom-based interprofessional learning (IPL) activities in year 1; followed by later clinical IPL sessions (students in years 4 and 5 undertake clinically authentic, simulation-based clinical skill sessions with paramedic, nursing, and pharmacy students) which are very well regarded by the medical students.25 However,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informal encounters the medical students had with students from other professions while on clinical placements in this study were less positive.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final year students were experiencing issues of encounters with the physician associate students. At our institution, where both the medical students and physician associate students are studying within the same medical school and attend some of the same campus-based teaching as well as clinical placements, it is both feasible and desirable to evaluate if the physician associate students are having similar experiences. If they are, then we will need to work with both groups of students and course organizers to develop strategies to promote collegiality and address competition for learning and practice opportunities. A pilot study investigating the feasibility of paired clinical placements with pairs of medical and physician assistant students found good acceptability of the learning experience by the students, with no additional burden reported by the supervisor.26 Thus, in addition to actively developing relationships between medical student peers through experiences in the clinical setting, there is a need to incorporate early and ongoing deliberate experiences with other healthcare students while on placement. This should foster a culture of collaboration across all learners sharing patient encounters, practice opportunities, and learning experiences at the same placement location.

또한, 교사 및 기타 임상의가 임상 배치 중에 학생들을 감독하는 관점은 고려되지 않았다. 다른 연구에서는 임상 교육자가 작업량에 미치는 영향, 임상 작업 공간의 물리적 한계, 학생들이 볼 수 있는 환자의 유형과 수를 포함하여 학생 수가 증가함에 따라 그들의 관점에서 과제를 보고한다는 것을 입증했다. 학생 수의 증가는 또한 교사들에 의해 학생들과 상호작용하는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을 식별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이는 직무 만족과 번아웃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대조적으로, 의료 환경에 대한 의대생의 기여로 인해 임상 배치 제공자의 부담이 가중된다는 예비 증거가 있으므로, 학생 수의 증가가 의료 팀, 환자 및 더 넓은 병원에 대한 이점을 훼손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Additionally, the views of the teachers and other clinicians supervising the students while on clinical placements were not considered. Other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clinical educators report challenges from their perspective with increased student numbers,11 including impacts on workload, physical limitations in the clinical working space, and the type and number of patients available for students to see. Increases in student numbers have also been perceived by teachers to negatively affect their ability to interact with students and identify those struggling, with subsequent detrimental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burnout.14 In contrast, there is preliminary evidence that the burdens on clinical placement providers are outweighed by the contributions of medical students to the healthcare environment,27 so it is important to ensure that increasing student numbers does not detract from advantages to the healthcare team, patients, and the wider hospital.

마지막으로, 이 조사는 한 영국 의과대학에서 수행되었고, 결과는 다른 의료기관으로 확장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조사 대상 학생들은 더 큰 대학 교육 병원과 더 작은 지역 종합 병원 및 광범위한 전문 분야를 포함하여 여러 개의 분리된 2차 의료 환경에서 임상 배치를 수행했기 때문에, 그 결과는 영국 및 기타 국가에서 "평균" 의대생 경험을 대표할 가능성이 높다. 
Finally, this investigation was conducted at one UK medical school, and the results might not extend to other medical institutions. However, the students surveyed undertook clinical placements over multiple separate secondary healthcare settings, comprising larger university teaching hospitals and smaller district general hospitals and a /wide range of specialties, so the findings are likely to be representative of the “average” medical student experience in the UK and elsewhere in the world.

변화하는 임상 및 교육 환경은 우리가 임상 교육을 조직하는 방법에 대한 진화를 요구할 것이다. Barnett 등은 임상 용량 확장 전략을 설명할 때 "배치의 조정, 계획 및 관리를 개선할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학생 수의 증가가 향후 의대생들에게 임상 배치에 대한 시간표 작성에 어려움을 줄 수 있음을 나타낸다. 그들은 학생들이 중복되는 부분이 교육적인 이점을 제공하는지 확인하고 학습에 장애가 될 수 있는 특정 위기 지점에서 교차점을 최소화하는 데 능동적이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의료, 간호 및 의사 관련 과정의 행정 팀 간의 신중한 조정이 필요하며, 임상 배치 제공 업체와 협력하고 해당 위치에 학생을 배치하는 다른 대학의 참여가 필요하다.
The changing clinic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 will require an evolution in how we organize clinical teaching. When outlining strategies for expanding clinical capacity, Barnett et al. highlighted the need to “Refine the coordination, planning and administration of placements.”13(p487) Our findings indicate that increasing student numbers may create challenges for those timetabling medical students on clinical placements in the future. They will need to be proactive in identifying where student overlap provides educational benefit and minimizing cross-over at particular crunch points where learning may be impaired. This would require careful coordination between administrative teams from medical, nursing, and physician associate courses, in collaboration with the clinical placement providers and engagement from other universities placing students at that location.

점점 더 많은 수의 학생을 교육하려면 새로운 임상 배치 기회의 소싱sourcing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2002년 우리 기관이 설립된 이후 몇 년 동안 우리는 이미 그 지역으로 더 확장했고, 추가 병원이 의대 학생들에게 자리를 제공하고 지역사회에서 시간을 늘렸다. 의대생을 포함한 다양한 의료 전문직 교육을 위해 캐나다에서 사용되는 배치 유형에 대한 전국적인 연구에서 스미스 외 연구진은 광범위하고 다양한 위치를 식별했습니다. 따라서 혁신적인 학습 및 감독 전략과 결합할 때 임상 경험을 위해 확장 가능한 옵션 배열을 강조했습니다. 더 많은 시골 및 지역사회 위치로 임상 배치를 확장하는 것은 증가하는 학생 수를 수용하고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의 의사 부족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우리의 발견의 관점에서 볼 때, 이전에 활용도가 낮은 임상 환경에서 고학년 학생들은 혼자 일할 수 있는 자율성과 기회를 더 많이 가질 수 있고 졸업하기 전에 필요한 연습을 할 수 있는 경쟁이 덜할 수 있다.
Training an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may require sourcing new clinical placement opportunities too.10 In the years since our institution was established in 2002 we have already expanded further into the region, with additional hospitals providing placements to the medical students and increased time in the community. In a nationwide study of the type of placements being used in Canada for training various healthcare professions including medical students, Smith et al.28 identified a wide, diverse range of locations; thus highlighting the array of options available to expand into for clinical experience when combined with innovative learning and supervision strategies. Expanding clinical placements to more rural and community locations can both accommodate increased student numbers and help to address shortages of doctors in areas of lower population densities.12,13,29 From the perspective of our findings, in previously underutilized clinical settings the senior students may have more autonomy and opportunities for lone working, and less competition to undertake the practice they need before graduating.

NMS에서 우리는 이제 이러한 학생-학생 상호 작용에 대한 기준을 가지고 있으며 임상 학습 형식이 발전하고 더 많은 의대 학생들이 MBBS를 통해 실행됨에 따라 변화를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이러한 관찰은 학생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학생들의 임상 학습 경험을 유지하기 위한 과정 계획을 알리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At NMS we now have a baseline for these student-student interactions and plan to monitor for any change as the format of clinical learning evolves and larger cohorts of medical students run through the MBBS. These observations will help inform course planning to maintain the clinical learning experience for our students as their numbers grow.

결론
Conclusion

NMS 의대생들은 임상 배치에 대한 만족도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동료와의 상호작용, 특히 부정적인 만남을 고려하는 것으로 보인다. 부정적인 경험 없이 긍정적인 경험도 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만남에 대한 완벽한 최적화는 없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학생들에게 이 균형은 현재 긍정적인 방향으로 기울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 조사의 목적은 배치에서 학생들이 충돌하는 것에 대한 우려와 더 많은 학생들이 있을 때 이것이 어떻게 악화될 수 있는지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되었지만, 우리의 현재 스냅샷은 안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학생-학생 상호 작용을 직업 내부와 직업 간의 상호 작용을 인정하고, 배치 중에 학생들이 이미 서로 함께 학습함으로써 얻는 이점을 강화하기 위한 구조화된 활동을 도입하는 것은 미래의 학생들이 계속해서 좋은 학습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점점 더 중요해질 것이다.임상 환경에서 교육하는 의료 및 기타 의료 학생의 수를 줄입니다.
Medical students at NMS appear to regard interactions, particularly negative encounters, with their colleagues as a factor in determining satisfaction with clinical placements. There is unlikely to be a perfect optimization to these encounters, as it is probably not possible to have positive experiences without negative ones too. Nonetheless, for our students this balance seems to presently tip in the positive direction. The aim of our investigation was born out of concerns about students clashing on placements, and apprehension over how this may worsen with more students on the way, but our current snapshot would seem reassuring. Acknowledging these student-student interactions, both within and between professions, and introducing structured activities to enhance the benefits students are already gaining from learning alongside each other while on placement will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o ensure future students continue to have a good learning experience with an increasing number of medical and other healthcare students training in the clinical setting.


Teach Learn Med. 2022 Aug-Sep;34(4):368-378. doi: 10.1080/10401334.2021.1946400. Epub 2021 Jul 27.

Placement Overlap with Other Students; Effects on Medical Student Learning Experience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Norfolk and Norwich University Hospital Foundation Trust, Norwich, UK.

2Norwich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East Anglia, Norwich, UK.

PMID: 34314282

DOI: 10.1080/10401334.2021.1946400

Abstract

Phenomenon: In the United Kingdom (UK) the government has increased the number of places at university to study medicine in England to meet workforce demands. In parallel, there have been growing student numbers in other healthcare professions and new professions whose roles overlap with doctors, such as advanced nurse practitioners and physician associates, have been introduced. These increasing numbers of medical students and other healthcare professions training in the same clinical setting have led to questions about the effect on the student experience. We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tudent-student encounters on the learning experience during clinical placements before student numbers increase further.

Approach: In this investigation medical student perceptions were collected retrospectively at Norwich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East Anglia in the UK, during the 2018/19 academic year following two clinical placements in secondary care settings. Through mandatory online course evaluations, all medical students were asked if their learning had been positively or negatively affected by other students, and how frequently they had certain student-student experiences.

Findings: Responses from 786 (of 844) medical students (93% response rate) demonstrated that most students felt their learning had been affected in some way by the presence of others while on their secondary care placements. Students experienc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impacts of encounters with other students. Final year students tended to report more negative experiences, with first year students reporting more positive. while some students had experienced competition for learning opportunities and lower quality interactions with patients and doctors due to "overcrowding," more students reported benefits from learning from and with other students. However, it also was found that any negative encounters with other students, even if accompanied by positive experiences, detrimentally affected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placement.

Insights: This investigation indicates that student-student interactions influence the clinical learning experience of medical students both positively and negatively. Given the overriding influence of negative encounters, the findings suggest a need to maximize the beneficial effects of encountering other students on clinical placements; while protecting against missed or poor-quality learning opportunities due to competition between students, particularly for more senior students. Medical educators need to consider where their clinical attachments are at risk from multiple students being present at the same time and work to alleviate the negative impacts of such student-student encounters, while actively encouraging peer learning experiences between the medical students and collaborative activities between students of different healthcare professions. This is likely to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as student numbers in medicine and other healthcare professions continue to grow.

 

인공지능과 임상적 의사결정: 의학적 불확실성의 새로운 본성(Acad Med, 2021)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linical Decision Making: The New Nature of Medical Uncertainty
Vinyas Harish, Felipe Morgado, Ariel D. Stern, PhD, and Sunit Das, MD, PhD

 

 

의료 진단의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질병 또는 질병을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해 환자의 질병을 구분하는 일련의 주관적이고 객관적인 발견(증거 및 징후)을 식별한다. 비록 정확한 진단 효과적인 환자 진료를 위한 핵심이기 때문에, 임상 의사 자주 이 과정에서 실패한다. 사실 의료 제공자들과 환자 불만의 진단을 받지 못한다면 중요한 원인. 불확실성 완화 환자들의 임상 필요성과 그들의 조건에 그들의 걱정을 해결하는 데 필수적이다. 따라서 의료적 의사 결정에서 [불확실성의 본성]을 고려하는 것은 진단을 개선하고자 노력에서 가치가 있다.

Medical diagnosis has a singular goal: to identify the set of subjective and objective findings (symptoms and signs) that demarcate a patient’s illness to correctly identify a disease or diseases. Although accurate diagnosis is central to effective patient care, clinicians often fail in this process. In fact, not receiving a diagnosis is a significant cause of patient dissatisfaction with medical providers.1,2 Mitigating uncertainty is integral to addressing both the clinical needs of patients and their anxieties over their condition. Thus, considering the nature of uncertainty in medical decision making can be valuable in attempting to improve diagnoses.

진단은 논리적 추론과 패턴 인식을 수반하는 복잡한 인지 작업이다. Richardson과 Wilson은 진단 과정에 두 가지 필수적인 단계가 포함된다고 설명합니다.

  • 첫째, 임상의는 진단 가능성을 열거하고 상대적 가능성을 추정합니다.
  • 둘째, 임상의는 상대적인 확률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새로운 정보를 통합하고, 특정 가능성을 배제하고, 궁극적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진단을 선택한다. 

따라서 새로운 발견이 있을 때마다 임상의는 한 확률(검사 전 확률)에서 다른 확률(검사 후 확률)로 이동하여 진단에 도달합니다.

Diagnosis is a complex cognitive task that involves logical reasoning and pattern recognition.3,4 Richardson and Wilson describe the process of diagnosis as involving 2 essential steps.5 

  • First, the clinician enumerates the diagnostic possibilities and estimates their relative likelihood.
  • Second, the clinician incorporates new information to update the relative probabilities, rules out certain possibilities, and, ultimately, chooses the most likely diagnosis.

Thus, with each new finding, the clinician moves from one probability (the pretest probability) to another probability (the posttest probability) to arrive at a diagnosis.

불확실성은 또한 [진단 과정의 하류downstream]에 영향을 미친다. 후속 치료 제공은 환자의 현재 상태(예후)를 고려하여 미래에 환자에게 어떤 일이 일어날지, 치료나 예방이 질병의 자연적인 진행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교육을 받은 예측을 포함한다. 풀러(Fuller)와 플로레스(Flores)는 이 과정을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추론을 포함한다고 기술했다. 

  • 연구 모집단에서 관심 대상 환자 모집단으로 위험을 일반화하고, 
  • 특정 개인이 대상 모집단에 속할 확률을 환자별로 추정한다.

Uncertainty also has implications downstream from the process of diagnosis. The subsequent delivery of care involves an educated prediction of what will happen to the patient in the future given his or her present condition (i.e., the prognosis), and how treatment or prevention might alter the natural progression of the disease. Fuller and Flores have described this process as involving 2 distinct inferences:

  • generalizing risk from a study population to the target-patient population of interest,
  • followed by a patient-specific estimation of the probability that a given individual falls within the target population.6

우리가 보기에 임상의사가 임상 의사 결정 프레임워크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인공지능(AI)의 힘을 성공적으로 활용하려면, [불확실성]을 [최소화해야 하는 절대값]이 아닌 [상대적인 척도]로 보는 법을 배워야 한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우리는 인기 있는 AI 방법(딥 러닝)이 IBM의 Watson의 사례 연구를 통해 복잡한 의사 결정 작업을 처리하는 방법과 이러한 방법을 의료 의사 결정으로 변환하는 것이 불확실성에 대한 중요한 고려 사항을 어떻게 노출했는지 조사한다.
In our view, for clinicians to successfully harness the power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as an integral part of the clinical decision-making framework, they should learn to see uncertainty as a relative measure rather than an absolute value that must be minimized. To support this claim, we examine how a popular class of AI methods (deep learning) process complex decision-making tasks through a case study of IBM’s Watson and how the translation of these methods to medical decision making has exposed significant considerations around uncertainty.

인공지능의 약속
The Promise of AI

핵심을 보면, AI는 [패턴 인식을 사용하여 예측을 하는 도구]이다. 따라서, AI는 특정 관리 및 일정 의료 분야에서 활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환자에게 처방전을 다시 채우도록 자동 알림은 약물 준수를 촉진할 수 있다. 딥 러닝과 같은 특정 접근 방식은 점점 복잡해지는 데이터 세트에서 AI의 예측 성능을 향상시켰다. 이 능력은 진단 및 치료와 같이 전통적으로 인간 전문가에 국한된 의료 분야에서 AI의 사용을 가능하게 했다.

At its core, AI is a tool for using pattern recognition to make predictions. Thus, AI has been leveraged in certain administrative and scheduling domains of medicine; for instance, automated reminders for patients to refill their prescriptions can promote medication adherence.7 Certain approaches such as deep learning have improved AI’s predictive performance on increasingly complex datasets. This ability has enabled the use of AI in domains of medicine traditionally limited to human experts, such as diagnosis and treatment.8

AI 지지자들은 인간의 분석 능력이 진단을 방해한다고 믿고 있으며, AI가 분석 과정을 세분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러한 [초기의 낙관주의]는 아마도 이미지가 지배하는 의학 분야에서 가장 크게 실현되었을 것이다.

  • 2017년 네이처지에 실린 기사에서, 스탠퍼드 대학교의 한 다학제 그룹은 암을 양성 지루성 각성제 및 신경증과 구별하기 위해 설계된 인식 작업에서 21명의 이사회 인증 피부과 의사와 비슷한 성능을 발휘하는 컨볼루션 신경망을 개발했다. 이후 악성 흑색종을 식별하고 이러한 암을 양성 병변으로부터 적절히 분리하는 데 있어 58명의 피부과 의사보다 우수한 결과를 낼 수 있는 유사한 알고리즘이 개발되었다.
  • 신경학에서 싯다르타 무케르지(Siddharta Mukherjee)는 컴퓨터 단층 촬영 스캔에서 뇌졸중의 초기 징후를 식별하는 AI의 능력에 대해 썼는데, 이는 초기 개입과 결과적으로 환자 결과를 개선하는 데 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마지막으로, 중국의 최근 연구는 여러 장기 시스템에 걸쳐 광범위한 소아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130만 개의 소아 전자 건강 기록의 다면적인 임상 데이터를 통합한 자연어 처리 시스템(즉, 장기 단기 기억 네트워크, 딥 러닝 접근 방식)을 설명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경험이 많은 의사들의 시스템과 비슷했다.

AI proponents believe that diagnosis is hindered by humans’ analytic capabilities and expect AI to refine the analytic process.9 This early optimism has perhaps been most significantly realized in areas of medicine dominated by imaging. In a 2017 article in the journal Nature, a multidisciplinary group from Stanford University developed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that performed comparably to 21 board-certified dermatologists on a recognition task designed to differentiate cancers from benign seborrheic keratoses and nevi.10 A similar algorithm has since been developed that was able to outperform 58 dermatologists in identifying malignant melanomas and properly segregating these cancers from benign lesions.11 In neurology, Siddhartha Mukherjee has written about the ability of AI to identify early signs of stroke on computed tomography scans, which could have profound implications for early intervention and consequently improving patient outcomes.12 Finally, a recent study from China described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ystem (i.e., a long short-term memory network, a type of deep learning approach) that integrated multifaceted clinical data from 1.3 million pediatric electronic health records to diagnose a wide range of childhood diseases across multiple organ systems; the performance of this system was comparable to that of experienced physicians.13

위의 첫 번째 두 가지 예는 시각적 패턴 인식 및 이미지 분석을 나타낸다. 두 응용 분야에서 AI를 적용하는 목표는 인간의 임상 지식을 기반으로 할 뿐만 아니라, [인간이 볼 수 없는 패턴과 특징을 식별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두 경우 모두 주관적 증거(예: 환자의 질병 경험)가 객관적 데이터(예: 임상 검사 소견, 실험실 시험, 영상)에 대한 임상 의사의 이해, 수집 및 해석을 알려주는 대부분의 다른 임상 상황의 전형적인 진단 프로세스와는 다르다. 세 번째 예는 진단 프로세스의 많은 부분을 캡슐화하기 때문에 주목할 만하다.

The first 2 examples above represent visual pattern recognition and image analysis. In both applications, the goal of applying AI has been to develop an algorithm that not only builds on human clinical knowledge but also identifies patterns and features invisible to humans. Yet both cases diverge from the diagnostic process typical of most other clinical situations in which subjective evidence (e.g., the patient’s experience of illness) informs a clinician’s understanding, gathering, and interpretation of objective data (i.e., clinical exam findings, lab tests, imaging). The third example is notable because it encapsulates much of the diagnostic process.

일상 업무에서 임상의는 종종 결정적이지 않은 증거에도 불구하고(증거 때문에가 아니라) 결정을 내려야 한다. Redelmeier와 Shafir가 제시한 의료 의사결정에 대한 또 다른 도전은 주어진 상황에서 여러 대안을 저울질하는 어려움, 즉 인지 편향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그들은 한 가지 이상의 약을 처방받은 가정의사들이 어떤 약도 처방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발견했다. 예비 진단preliminary diagnosis이 모호한 상태로 남겨진 어려운 임상적 만남도 흔하다. 1989년 한 연구에서 미국에서 외래환자의 거의 90%가 환자의 증상을 설명하는 유기적 진단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보고되었다. 보다 최근의 검토(2017)는 설명되지 않은 증상unexplained symptoms이 전체 일반 진료 상담의 10%에서 15%를 차지하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비율은 설명할 수 없는 증상의 좌절과 혼란을 겪고 있는 많은 수의 절대적인 환자들과 같다. 진단 불확실성의 부담은 입원 환자 환경에서 덜 잘 연구되지만, 한 연구에 따르면 폐렴 환자의 22%가 충분한 진단 불확실성을 제시하여 이러한 사례를 검토하는 외부 임상의가 항생제 치료를 지연시킬 것이라고 말한 후 이러한 사례를 검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daily practice, clinicians often need to make decisions in spite of, rather than because of, inconclusive evidence. Another challenge to medical decision making brought forward by Redelmeier and Shafir is the difficulty of weighing multiple alternatives in a given situation, what they call a cognitive bias.14 They found that family physicians who were presented with more than 1 choice of medication were less likely to prescribe any medication. Clinical encounters in which a preliminary diagnosis remains elusive are common. It was reported in a 1989 study that in nearly 90% of outpatient patient encounters in the United States, physicians were unable to reach an organic diagnosis that accounted for their patient’s symptoms.15 A more recent review (2017) suggests that unexplained symptoms account for 10% to 15% of all general practice consultations.16 These percentages equate to a large absolute number of patients living with the frustration and confusion of unexplained symptoms. The burden of diagnostic uncertainty is less well studied in the inpatient setting; however, one study found that 22% of patients with pneumonia presented with enough diagnostic uncertainty that the external clinicians reviewing these cases after the fact said they would have delayed antibiotic treatment.17

기술 옹호론자들은 임상 진단의 실패는 인간 인지의 한계로 인한 결과이며, 그만큼 AI와 같은 도구의 도입을 통해 의료를 강화할 수 있는 기회라고 주장해왔다. 환자의 전체 의료 기록에서 여러 가능성을 고심하는 의사에게 상세한 정보를 통합하는 임상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도구를 제공하는 것은 현재 존재하는 인식 편향을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 방식의 지지자들은 [AI 진단 전문가]가 [이산적인 대답]이 아닌 [확률적 대답]을 생성한다는 것을 알게 되면 실망할 수 있다.
Technology advocates have argued that failures of clinical diagnostics are the result of the limits of human cognition, and, as such, are an opportunity to enhance medical car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ools such as AI.18,19 Providing tools for clinical decision support that incorporate detailed information from a patient’s entire medical record to a physician grappling with multiple possibilities could go a long way to resolving the cognitive bias Redelmeier and Shafir present. However, proponents of such an approach might be disappointed to learn that an AI diagnostician generates probabilities rather than discrete answers.

인공지능의 사용은 근본적으로 우리가 의료 의사 결정의 불확실성을 용인하는 정도에 의문을 제기한다. 일부에서는 [불확실성]을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최적의 의사결정은 [불확실성의 최소화]에 기반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의학적 의사결정은 매우 복잡하다; 한 연구는 45개의 요인이 진단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임상의가 다양한 진단의 가능성(및 다양한 치료의 유용성)을 서로 비교 평가할 수 있도록 돕는 [AI를 사용하더라도 진단 불확실성을 0으로 줄이는 것은 불가능하다]. 우리는 임상 의사 결정 프레임워크에 AI를 성공적으로 통합하려면 임상의가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절대값]이 아닌 [상대적 척도]로 처리해야 한다고 믿는다. 우리의 주장을 탐구하기 위해, 우리는 IBM의 Watson의 사례 연구를 사용하여 그러한 시스템이 복잡한 의사 결정 작업을 처리하는 방법을 조사한다. 우리는 또한 이러한 작업을 의료 의사 결정으로 변환하는 것이 불확실성에 대한 중요한 고려 사항을 어떻게 노출했는지 살펴본다.
The use of AI fundamentally calls into question the extent to which we tolerate uncertainty in medical decision making. Some view uncertainty as undesirable and argue that optimal decision making is based on the minimization of uncertainty. Yet medical decision making is extraordinarily complex; one study suggested that 45 factors can influence the diagnostic process.20 Even with AI to help clinicians weigh the likelihood of various diagnoses (and the usefulness of various treatments) against one another, it is not possible to reduce diagnostic uncertainty to zero. We believe that successful integration of AI into the clinical decision-making framework requires clinicians to handle uncertainty as a relative measure rather than an absolute value to minimize. To explore our claim, we use a case study of IBM’s Watson to examine how such systems process complex decision-making tasks. We also look at how translating these tasks to medical decision making has exposed significant considerations around uncertainty.

왓슨과 제퍼디
Watson and Jeopardy

2011년 1월, Jeopardy라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3일간의 특별 이벤트에서 IBM의 AI 시스템인 Watson은 2명의 이전 쇼 챔피언과 경쟁했다. 왓슨 팀의 목표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자연어를 처리할 수 있는 정교한 질의 기계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대부분의 인간 질문은 컴퓨터 운영 체제의 이산 논리에 대해 깔끔하게 정의되지 않았기 때문에, 왓슨은 

  • 인간(Jeopardy 호스트)이 표현한 질문을 일련의 검색 목표로 처리하고
  • 질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지식(예: 위키백과 페이지, 신문 기사, 학술 논문, 특허 파일)을 찾고
  • 관련 정보를 확인하고
  • 가장 가능성이 높고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답변을 종합해야 한다.

In January 2011, during a 3-day special event on the television program Jeopardy, IBM’s AI system, Watson, competed against 2 former show champions. The Watson team’s aim was to develop a sophisticated query machine that could process natural language to answer questions.21,22 Because most human questions are not neatly defined for the discrete logic of a computer operating system, Watson had to

  • process the human-phrased question the Jeopardy host asked into a set of search aims,
  • find bodies of knowledge that contained information relevant to the query (e.g., Wikipedia pages, newspaper articles, academic papers, patent files),
  • identify relevant information, and
  • synthesize an answer that most likely satisfied the query and that humans could understand.


왓슨 시스템은 DeepQA라고 불리는 접근법을 따랐다. DeepQA에는 4가지 기본 단계가 있습니다. 컴퓨터 

  • (1) 질문을 분석하여 서로 다른 해석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합니다. 
  • (2) 여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수천 개의 가능한 답변을 생성합니다. 
  • (3) 알고리즘 모음을 사용하여 단어와 구 사이의 학습된 관계를 기반으로 가능한 답을 채점한다. 
  • (4) 가중치를 부여하고 순위를 매기고 신뢰도가 높은 순서대로 답을 제시합니다. 

왓슨의 가장 높은 순위의 대답이 신뢰의 문턱을 넘는다면, 그것은 진행자의 질문에 답하려고 시도할 것이다.

The Watson system followed an approach called DeepQA.21 DeepQA has 4 basic steps: The computer

  • (1) analyzes the question to determine whether different interpretations exist;
  • (2) searches multiple databases and generates thousands of possible answers;
  • (3) scores possible answers on the basis of learned relationships between words and phrases using a collection of algorithms; and
  • (4) weights, ranks, and presents the answers in order of decreasing confidence.

If Watson’s highest-ranking answer surpassed a confidence threshold, it would attempt to answer the host’s question.

특히, 왓슨의 "생각하는" 과정은 인간 제퍼디 참가자가 질문을 처리하는 방식을 반영하지 않았다. 인간과 왓슨 모두 신뢰 기반 접근 방식을 채택하지만, 왓슨만이 신뢰를 정량화할 수 있고 객관적인 지표로 명시적으로 통합했다. 왓슨은 인간과 달리 원시 데이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개념과 각각의 질문을 연관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으로 진행해야 했다. 반면에 인간은 정답을 알고 있는지 아닌지에 대한 즉각적인 본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직관적인 자신감은 참가자들에게는 주관적인 경험이다. 따라서 DeepQA 과 같은 AI 접근법은 인간의 지능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방식으로 기능한다. 대중 문화에서, 인간과 비인간적인 추리 사이의 마찰은 종종 희극적인 안도감을 주기 위해 강조된다. 스타트렉의 데이터, 스타워즈의 C-3PO와 같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캐릭터들은 상황의 감정적 심각성을 회피하기 때문에 결코 잘 착륙하지 않는 논리적 조언을 제공함으로써 인간 상대방을 당황하게 만든다. AI가 공상 과학 소설에서 과학적 사실 및 의료 실천으로 이동함에 따라, 우리는 추론 접근에서 이러한 차이를 조정해야 한다.

Notably, Watson’s “thinking” process did not mirror how a human Jeopardy contestant processes questions. While both humans and Watson take confidence-driven approaches, only Watson explicitly incorporated confidence as a quantifiable and objective metric. Watson had to proceed in this manner because, unlike humans, it associates all potentially related concepts from raw data with each question. Humans, on the other hand, have an immediate instinct for whether they know the correct answer. This intuitive confidence is a subjective experience for a human contestant. AI approaches such as DeepQA therefore function in a way that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human intelligence.23,24 In pop culture, the friction between human and nonhuman reasoning is often highlighted to provide comedic relief. AI-powered characters such as Data in Star Trek and C-3PO in Star Wars baffle their human counterparts by offering logical advice that never lands well because it sidesteps the emotional gravity of a situation. As AI moves from science fiction into scientific fact and medical practice, we must reconcile these differences in reasoning approaches.

그것의 3개의 경기 Jeopardy의 실행의 끝에 왓슨은 상당한 차이로 그것의 인간 경쟁자들을 물리쳤다. 이 결과는 인상적이었지만, 왓슨의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은 마지막 라운드에서 미국 도시에 대한 질문에 "토론토"라고 대답한 것이다. 이 경우, 왓슨의 확률론적 답변 설계는 완전한 확신을 가진 해결책을 배제하는 것을 막았고, 청중이 분명히 잘못 알고 있다는 잘못된 (비록 낮은 신뢰도) 결론을 이끌어냈다.
By the end of its 3-game Jeopardy run, Watson had defeated its human competitors by a considerable margin.25 While this result was impressive, Watson’s most memorable moment for some came during the final round when it responded “Toronto” to a question about American cities. In this instance, Watson’s probabilistic answering design prevented it from excluding any solutions with total certainty, leading to an incorrect (albeit low-confidence) conclusion that the audience knew was obviously incorrect.

이 일화는 대중이 불확실성 하에서 작동하는 AI 시스템에 대해 불편해할 수 있는 이유를 예시한다. 시스템이 의사결정력을 발휘하려면 AI 시스템이 결국 잘못된 추론을 이끌어내고 직관을 사용하는 인간은 이러한 잘못된 추론을 노골적으로 명백하게 볼 것이라는 점을 받아들여야 한다.
This anecdote exemplifies why the public may be uncomfortable with an AI system functioning under uncertainty. For a system to wield decision-making power, one must accept that the AI system will eventually draw incorrect inferences and that humans using intuition will see these incorrect inferences as blatantly obvious.

종양학을 위한 왓슨
Watson for Oncology

제퍼디(Jeopardy)에 대한 왓슨의 잘못된 추론은 의학에서 AI의 사용에 대한 지나치게 열성적인 약속에 [탄광의 카나리아 ]역할을 할 수 있다. DeepQA가 게임 쇼의 맥락에서 예외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였지만, 여전히 불확실성 하에서 중요한 시스템에서 사용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 의문을 제기하는 행동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예감에도 불구하고 IBM은 의학, 특히 종양학을 왓슨의 초기 시장 기회로 파악했습니다.
Watson’s mistaken inference on Jeopardy may serve as a canary in the coal mine for overzealous promises about the use of AI in medicine. While DeepQA performed exceptionally well in the context of a game show, it still demonstrated behavior under uncertainty that called into question its readiness for use in critical systems.26 Despite this foreshadowing, IBM identified medicine, and oncology in particular, as an early market opportunity for Watson.

왓슨 포 온콜로지(Watson for Oncology)는 암 환자의 치료 방법을 제안하기 위해 방대한 양의 의학 문헌과 환자 정보를 소화하는 추천 엔진이다. 이 시스템은 의사들의 시간을 절약하고 그들이 환자들을 위해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개발 기간 동안 왓슨의 성장 능력은 훈련의 다른 단계에 있는 의료 전문가들의 능력에 비유되었다. 
2011년, 메릴랜드 대학교와 컬럼비아 대학교의 연구원들은 왓슨을 메들린, 펍메드, 의학 교과서에 대해 훈련시킨 후, 미국 의학 면허 시험(USMLE)과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의 임상 병리학적 퍼즐러에서 왓슨을 테스트했다. 한 연구원은 그 시점에서 왓슨이 "가장 똑똑한 의대 2학년 학생 못지않다"고 선언했다.  2012년 왓슨은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의 클리블랜드 클리닉 러너 의과대학에서 더 많은 훈련을 받은 후 USMLE를 통과하였다. 왓슨은 2012년 말에 Memorial Sloan Kettering Cancer Center(MSKCC)에서 종양학을 전공하여 폐암, 전립선암, 유방암을 치료하는 모범 사례에 대해 배웠습니다. 마침내 2013년 10월, 왓슨은 MD Anderson Cancer Center의 광범위한 백혈병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교육을 받았습니다
—최고의 학술 암 센터의 임상 연구원과 매우 유사합니다. 
Watson for Oncology is a recommendation engine that digests massive amounts of medical literature and patient information to suggest treatment approaches for cancer patients. The system was envisioned to save doctors time and empower them to achieve better outcomes for their patients. During its development, Watson’s growing abilities were likened to those of medical professionals at different stages of their training. In 2011, researchers at the University of Maryland and Columbia University trained Watson on Medline, PubMed, and medical textbooks, then tested Watson with questions from the United States Medical Licensing Exam (USMLE) and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s clinicopathological puzzlers. One researcher proclaimed that Watson was at that point “as good as the smartest second-year medical student.”27 In 2012, Watson passed the USMLE after more training at the Cleveland Clinic Lerner College of Medicine of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28 Watson then did its “residency” in oncology at Memorial Sloan Kettering Cancer Center (MSKCC) in late 2012, learning about best practices for treating lung, prostate, and breast cancers.29 Finally, in October 2013, Watson was trained on MD Anderson Cancer Center’s extensive leukemia database—subspecializing much like a clinical fellow at a top academic cancer center.30

2017년 6월, IBM의 CEO인 지니 로메티는 왓슨이 "세계 암의 80%를 유발하는 것"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MD Anderson Cancer Center가 Watson과의 파트너십을 불과 몇 달 전에 끝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 대담한 진술은 의학 저널리스트들 사이에서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32 그 후 몇 달 동안, 여러 뉴스 매체들은 Watson for Oncology에 대한 그들의 사후 검시를 발표했다. 기자들이 의사, AI 전문가, 회사 임원들을 인터뷰한 후, 그들은 IBM이 암 치료의 복잡성과 뉘앙스를 인정하지 않고 "마케팅 엔진을 느슨하게 했다"고 비난했다. —또한 회사 제품의 한계도 고려해야 합니다.

In June 2017, IBM’s CEO Ginni Rometty announced that Watson would be able to diagnose and treat “what causes 80% of the cancer in the world.”31 This bold statement led to raised eyebrows among medical journalists given that the MD Anderson Cancer Center had ended its partnership with Watson just a few months earlier.32 In the months that followed, multiple news outlets released their postmortems on Watson for Oncology.33–35 After journalists conducted interviews with physicians, AI experts, and company executives, they blasted IBM for “[turning] the marketing engine loose” without acknowledging the complexity and nuance of cancer treatment—and, by extension, the limitations of the company’s product.

한 가지 분명한 우려는 왓슨의 권고사항의 [외적 타당성] 또는 [일반화 가능성]이었다. IBM은 MSKCC에서의 경험을 세일즈 포인트로 사용했지만, Watson이 뉴욕시의 한 기관과 그곳의 환자들로부터 대부분의 교육을 받도록 하는 이 접근 방식은 법률학자들이 "상황 편향Contextual bias"이라고 부르는 편향의 유형을 도입했습니다. 세계의 다른 지역의 의사들은 [그들이 추천한 치료법]과 [왓슨의 치료법] 사이의 일치도가 진단에 대해 [미국 의사들]과 [왓슨] 사이에서 보고된 일치도보다 낮다고 보고했다. 그들은 왓슨이 MSKCC 종양학자들로부터 배운 권고안이 그들의 환자들에게 적절하거나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MSKCC가 서비스하는 일반적으로 부유한 뉴욕 시민과는 크게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국제 문헌을 조사할 때 [미국 연구에 불균형적으로 더 많은 비중을 두는 권고안]은 다른 나라의 의사들에게는 관련성이 낮을 수 있으며, 일종의 [의학적 민족주의]를 전파할 위험이 있다. 왓슨이 관련 결과를 반환한 것으로 밝혀진 사례에서도 왓슨의 입력은 전 세계 사례의 2%~10%(환자 1,680~8,400명 사이)에서만 진료 과정을 바꾼 것으로 추정됐다. 마지막으로, Watson for Oncology가 "치료"한 환자의 생존을 개선했는지에 대한 발표된 연구는 없습니다. AI 시스템의 권장 사항은 환자 치료에 따르기 전에 현지 요구 사항, 리소스 및 전문 지식을 통해 전달되고 조사되어야 할 것이 분명하다. 
One clear concern was the external validity, or generalizability, of Watson’s recommendations. While IBM used its experience at MSKCC as a selling point, this approach—having Watson get the majority of its training from one institution in New York City and the patients there—introduced a type of bias that legal scholars have termed “contextual bias.”36 Doctors in other parts of the world reported lower concordance between the treatments they recommended and Watson’s than the concordance reported for the diagnoses of U.S. doctors and Watson. They claimed that the recommendations Watson had learned from MSKCC oncologists may not be appropriate or relevant for their patients (who may, for example, be drastically different from the generally affluent New Yorkers served by MSKCC). Further, recommendations that disproportionately place more weight on American studies when surveying international literature may be less relevant for international practitioners and at risk of propagating a sort of medical ethnocentrism. Even in cases where Watson was found to return relevant results, Watson’s input was estimated to have changed the course of care in only 2% to 10% of cases globally (between 1,680 and 8,400 patients).37 Finally, there is no published research on whether Watson for Oncology improved survival for the patients it has “treated.”37 It is clear that recommendations from AI systems will need to be channeled through and vetted by local requirements, resources, and expertise before they are followed in patient care.

확신의 한계
The Limits of Certainty

Watson for Oncology와 같은 딥 러닝 기반 의사 결정 지원 시스템(DL-DSS)을 채택해야 한다는 압력은 진단 및 치료에 더욱 확산될 것입니다. 이러한 진화는 임상의, 규제 기관 및 정책 입안자들이 불확실성이 이러한 시스템에 내재하는 이유를 이해하도록 해야 한다. 미국 FDA는 [21세기 치료법]의 [소프트웨어 조항]에 어떤 유형의 임상 의사 결정 지원 소프트웨어가 더 이상 관할하지 않는지에 대한 명확성을 추가했다. 그러나 2020년 4월 현재 인간이 사용하고 관리하도록 설계된 DL-DSS에서 불확실성이 갖는 역할에 대한 정책 논의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법률 학자들은 이미 개발자가 "알고리즘의 기초가 되는 정보를 공개"해야 하는 보다 적응적인 규제 접근 방식을 주장하기 시작했다. 
Pressure to adopt deep learning–based decision support systems (DL-DSS) like Watson for Oncology will become more pervasive in diagnostics and treatment. This evolution should compel clinicians, regulators, and policymakers to seek to understand why uncertainty is intrinsic to these systems.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has added clarity to the software provision in the 21st Century Cures Act as to which types of clinical decision support software are no longer under its jurisdiction. However, as of April 2020, no policy discussions have taken place around the role uncertainty has in DL-DSS designed to be used and administered by humans.38–41 Further, legal scholars have already begun to argue for more adaptive regulatory approaches that would require developers to “disclose information underlying their algorithms.”42

아마도 더 중요한 것은 AI의 임상 채택이 의학에 얼마나 본질적인 불확실성이 있는지를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 윌리엄 오슬러 경이 언젠가 말했듯이, "의학은 불확실성의 과학이며 확률의 예술이다." "불확실성의 과학"은 IBM의 Watson for Oncology와 같은 DL-DSS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그러한 시스템을 의학에 적용하는 것을 매우 매력적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임상의는 진단이 확실치 않다는 사실을 감안하고 궁극적으로 받아들여야 하며, 이것이 그들이 감별 진단을 합성하는 이유이다. DL-DSS의 계산된 확률은 실제로 권장 사항이 나타나는 방법의 차이를 이해하려면 전문 임상의의 직관과 일치해야 한다. 환자가 골수이형성증후군을 가지고 있다고 [76% 확신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우리는 다년간의 경험을 통해 습득한 전문 임상의의 직관이 그러한 정확한 신뢰 측정을 생성할 수 있다고 가정하지 않는다.
Perhaps more importantly, the clinical adoption of AI may be a reflection of how intrinsic uncertainty is to medicine. As Sir William Osler once said, “Medicine is the science of uncertainty and the art of probability.”43 The “science of uncertainty” is what has driven interest in DL-DSS, such as IBM’s Watson for Oncology, and is what makes the application of such systems to medicine so appealing. Clinicians must reckon with and ultimately accept the fact that no diagnosis is certain, which is why they synthesize differential diagnoses. The calculated probabilities of DL-DSS must, in practice, be reconciled with the intuition of expert clinicians if we are to understand differences in how recommendations emerge. What does it mean to be 76% confident that a patient has myelodysplastic syndrome? We do not assume the intuition of expert clinicians, acquired over many years of experience, could generate such precise measurements of confidence.

설상가상으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데 내재된 복잡성은 진단에 도달하는 것보다 훨씬 더 클 수 있습니다. [진단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은 정확성을 위해 [Gold standard로 검증]할 수 있지만, [치료계획]에는 [Gold standard]가 없을 수 있다. 치료 결정은 진단뿐만 아니라 환자의 다른 생물의학적 동반성, 생체의학적 사회적 요인, 환자 선호도 및 제공할 수 있는 치료법에 대한 시스템 수준 제약에 의해 주도된다. 특히 정답이 둘 이상 있는 것처럼 보일 때에는, 경험적 접근이 지배적이다.  즉, 각각의 전문가들은 [효과는 유사하지만 현저하게 다른 치료 계획]을 생성할 수 있다. 종양학과 같은 특정 의료 분야에서는 전문가 간의 의견 불일치를 활용하여 모범 사례를 육성할 수 있다. 학술 암 센터에서는 다양한 분야(예: 의료 종양학, 외과 종양학, 방사선학, 방사선 종양학 및 병리학)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종양 보드tumor board"가 만나 가장 어려운 사례를 논의한다. 한 연구는 다학제 종양 위원회에 대한 회부가 연구된 유방암 환자의 52%에서 외과적 관리에 대한 권고사항의 변화로 이어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여러 치료 옵션이 유사하게 효과적일 때, DL-DSS는 어떻게 최선의 치료 과정이 무엇인지 평가할 수 있을까? 이러한 시스템은 다학제 전문가 위원회의 비인간적인 구성원으로 간주되어야 하는가? 이 분야와 다른 분야에서, AI는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고 새로운 윤리적, 실질적인 도전을 제기할 것이다.

To make matters more challenging, the complexity inherent in creating a treatment plan can be even greater than that of arriving at a diagnosis. While diagnostic decision support systems can be verified with gold standards for accuracy, there may not be a gold standard for a therapeutic plan.38 Treatment decisions are driven not only by a diagnosis but also by a patient’s other biomedical comorbidities, biopsychosocial factors, patient preferences, and systems-level constraints about what therapies can be offered. Empirical approaches dominate, especially when there appears to be more than one right answer.44 Thus, experts may independently generate similarly effective but markedly different treatment plans. In certain areas of medicine, such as oncology, a disagreement between experts may be leveraged to foster best practices. In academic cancer centers, a “tumor board,” composed of a range of experts in various disciplines (e.g., medical oncology, surgical oncology, radiology, radiation oncology, and pathology), meets to discuss their most challenging cases. One study found that a referral to a multidisciplinary tumor board led to changes in recommendations for surgical management in 52% of breast cancer patients studied.45 But when multiple treatment options are similarly effective, how can a DL-DSS evaluate what the best course of therapy is? Should these systems be considered a nonhuman member of a multidisciplinary board of experts? In this area, and others, AI will create new opportunities and raise new ethical and practical challenges.

임상의가 DL-DSS와 함께 의술을 시행하려면 불확실성에 대한 어려운 인식론적 질문을 던져야 하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계속 그렇게 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기술(장점과 한계를 포함)에 대한 도입은 향후 의료 훈련과 지속적인 의료 교육의 우선적인 초점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주제들의 많은 측면들]이 다루어져야 한다.

  • 훈련생들은 '현명한 선택Choosing Wisely'과 같은 캠페인이 전달하고자 했던 교훈인 [과도한 진단 테스트의 어리석음과 위험]에 대해 배울 수 있었다.
  • 훈련생은 AI 알고리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베이지안 통계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얻는 것으로도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베이지안 접근 방식은 빈도주의 통계(역사적으로 의과대학에서 가르쳐온 방식으로서, 발견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거나 그렇지 않은 것으로 보는 방법)의 사용에서 벗어나 정보가 축적됨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는 확률 분포로 결론을 전환한다.

If clinicians are to practice medicine alongside a DL-DSS, we must ask difficult epistemological questions about uncertainty—and continuously do so as technology evolves. Further, introduction to these technologies—including their benefits and limitations—should be a prioritized focus of future medical training and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A number of aspects of these topics should be tackled.

  • Trainees could be taught about the folly and dangers of excessive diagnostic testing, a lesson which campaigns such as Choosing Wisely have sought to communicate.46 
  • Trainees may also benefit from acquir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Bayesian statistics, which are commonly used in AI algorithms. Bayesian approaches shift conclusions away from the use of frequentist statistics—methods that have historically been taught in medical schools and which view findings as either statistically significant or not—and toward probability distributions, which can be updated as information accrues.

훈련생은 의학 문헌에서 [관찰 및 실험 연구를 비판]하는 것처럼 [AI 시스템에 대한 편견을 비판]할 수 있어야 한다. 알고리즘이 수백만 명의 환자의 치료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비판적 입장은 특히 중요하다. 이러한 편향은 복잡한 요구를 가진 환자를 식별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상업적 알고리듬이 의료 비용을 필요의 대용물로 사용하여 흑인 환자에 대해 편향된 것으로 밝혀진 최근 연구에서 특히 입증되었다. 불확실성과 관련된 임상 추론의 역량도 평가에 통합되어야 한다. Cooke와 Le가 지적할 수 있듯이, 불확실성을 의료 훈련생의 임상 추론 평가에 통합하는 것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 그들은 불확실성을 수용하고 하나 이상의 정답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 함께 진행되며 훈련생 평가에 이러한 역량을 포함할 것을 권고한다고 결론짓는다. 그것이 어떻게 행해지든, 만약 임상의가 진단과 치료 선택에 도움을 주기 위해 AI를 사용한다면, 임상의와 보건 정책 입안자들은 인간과 알고리즘의 불확실성을 의학의 초석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받아들여야 한다.

Trainees must be able to critique AI systems for bias, much like they critique observational and experimental studies in the medical literature.47 This critical stance is especially important because algorithms can affect the care of millions of patients. This bias was notably demonstrated in recent work where a widely used commercial algorithm to identify patients with complex needs was found to use health costs as a proxy for needs, biasing against Black patients.48 Competencies in clinical reasoning relevant to uncertainty must also be incorporated into assessments. As Cooke and Lemay point out, integrating uncertainty into the evaluation of clinical reasoning for medical trainees is still in its infancy.44 They conclude that embracing uncertainty and acknowledging the presence of more than one right answer go hand in hand and recommend including these competencies in trainee assessments. Regardless of how it is done, if clinicians are to use AI to aid in diagnosis and therapeutic selection, clinicians and health policymakers must come to terms with what it means to accept human and algorithmic uncertainty as a cornerstone of medicine.

IBM의 왓슨 포 온콜로지(Watson for Oncology)의 약속과 가치를 믿든 믿지 않든, 이 시스템에 대한 경험은 진단 또는 치료 보조 장치로서의 AI의 역할이 다양한 맥락에서 면밀히 조사되고 평가될 필요가 있음을 가슴 아프게 상기시켜준다. 다른 많은 임상 의사 결정 지원 도구와 마찬가지로, AI는 통계와 확률의 발판 위에 구축된다. 최근의 한 연구는 설문 조사에 참여한 의사들 중 2/3가 검사와 확률에 대한 이해에 자신이 없다고 스스로 보고했다고 밝혔다. 통계에 대한 AI 시스템의 의존도를 복잡하게 만드는 것은 많은 현대 딥 러닝 기술이 블랙박스라는 AI 전문가들의 경고다. 이러한 알고리즘을 만든 사람조차도 자신의 행동을 완전히 설명할 수 없다. 임상 의사, 환자, 지급인 및 규제 기관은 AI 프로세스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 당연히 우려할 수 있다.  만약 AI의 권고가 인간 전문가들이 이해할 수 없다면 진단 및 치료 과정에서 어떤 윤리적 역할을 할 수 있을까?

Whether or not one believes in the promise and value of IBM’s Watson for Oncology, experiences with this system serve as a poignant reminder that AI’s role as a diagnostic or therapeutic aid needs to be scrutinized and evaluated in a multitude of contexts. Like many other clinical decision support tools, AI is built on a scaffolding of statistics and probability. A recent study revealed that two-thirds of doctors surveyed self-reported as not being confident in their understanding of tests and probability.49,50 Complicating the reliance of AI systems on statistics is a caution from AI experts that many modern deep learning techniques are black boxes: Even the creators of these algorithms cannot fully explain their behavior.19 Clinicians, patients, payers, and regulators may be understandably concerned by an inability to fully understand AI processes: What ethical role can AI have in diagnostic and therapeutic processes if its recommendations are inscrutable to human experts?

궁극적으로, Watson for Oncology는 의료 애플리케이션에 AI를 적용하는 데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진단 및 치료 불확실성으로 인해 기대를 완화하도록 돕는 의미 있는 사례 연구 역할을 한다. 인간은 AI 알고리즘의 내부 작동을 완전히 이해할 수 없을 수 있으며, 이러한 알고리즘이 불완전성과 편견에 물들 수 있는 방법은 셀 수 없이 많다. 따라서 책임 있는 임상의는 이러한 편견을 인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규제 기관, 동료 및 환자와 함께 공개적으로 논의해야 한다. 그리고 전문가와 마케팅 기관의 메시지가 그들의 실천에 기초하는 히포크라테스 원칙을 훼손하지 않도록 보장한다.

Ultimately, Watson for Oncology serves as a meaningful case study to help those interested in applying AI to medical applications temper their expectations because of diagnostic and therapeutic uncertainty. Humans may not be able to fully comprehend the inner workings of AI algorithms, and there are countless ways in which these algorithms can be imbued with imperfections and biases. Responsible clinicians must therefore endeavor to acknowledge these biases; openly discuss them with regulators, colleagues, and patients alike; and ensure that the messages of pundits and marketing agencies do not compromise the Hippocratic principles underlying their practice.

 

 


Acad Med. 2021 Jan 1;96(1):31-36. doi: 10.1097/ACM.0000000000003707.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linical Decision Making: The New Nature of Medical Uncertainty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V. Harish is a fourth-year MD-PhD student,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ORCID: https://orcid.org/0000-0001-6364-2439.

2F. Morgado is a fourth-year MD-PhD student,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ORCID: https://orcid.org/0000-0003-3000-9455.

3A.D. Stern is associate professor, Technology and Operations Management Unit, Harvard Business School, Harvard University, Cambridge, Massachusetts; ORCID: https://orcid.org/0000-0002-3586-1041.

4S. Das is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Surgery,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ORCID: https://orcid.org/0000-0002-2146-4168.

PMID: 32852320

DOI: 10.1097/ACM.0000000000003707

Abstract

Estimates in a 1989 study indicated that physicians in the United States were unable to reach a diagnosis that accounted for their patient's symptoms in up to 90% of outpatient patient encounters. Many proponen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see the current process of moving from clinical data gathering to medical diagnosis as being limited by human analytic capability and expect AI to be a valuable tool to refine this process. The use of AI fundamentally calls into question the extent to which uncertainty in medical decision making is tolerated. Uncertainty is perceived by some as fundamentally undesirable and thus, for them, optimal decision making should be based on minimizing uncertainty. However, uncertainty cannot be reduced to zero; thus, relative uncertainty can be used as a metric to weigh the likelihood of various diagnoses being correct and the appropriateness of treatments. Here, the authors make the argument, using as examples the experiences of 2 AI systems, IBM Watson on Jeopardy and Watson for Oncology, that medical decision making based on relative uncertainty provides a better lens for understanding the application of AI to medicine than one that minimizes uncertainty. This approach to uncertaint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how health care leaders consider the benefits and trade-offs of AI-assisted and AI-driven decision tools and ultimately integrate AI into medical practice.

When I say . . . 상황인식(Med Educ, 2017)
When I say . . . situation awareness
Christopher Patterson,1,2 Nicholas Procter2 & Luisa Toffoli2

 

[상황 인식]의 개념은 건강에 대한 논의와 연구의 초점이 되고 있다. 하지만 만약 있다면, 그것이 의료 종사자들의 교육과 무슨 관련이 있을까요? 음, 정말 많이요. 우리가 다양한 비보건 분야에서 보아온 것처럼 상황 인식의 맥락화와 특정 보건 관행에 대한 적용은 해당 분야의 교육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The concept of situation awareness is increasingly a focus of discussion and research in health. Yet what relevance, if any, does it have for the education of health practitioners? Well, a lot really. Just as we have seen in a range of non-health disciplines,1 the contextualisation and application of situation awareness to specific health practices can contribute significantly to education in the sector.

[상황 인식]은 조종사가 자신의 실천 환경과 역동적 의사 결정의 맥락에서 정보를 수집, 분류 및 처리하는 인지 능력을 설명하기 위해 확립된 개념이다. 상황 인식은 '시간과 공간의 볼륨 속에서 환경 내 요소에 대한 인식, 의미 이해 및 가까운 미래의 상태 예측'으로 정의되며, 다음과 같은 단서의 인지 처리의 세 단계를 통해 발생한 시나리오에 대한 실무자의 전체 지식을 나타낸다.

  • (i) 단서의 인식(레벨 1); 
  • (ii) 이러한 단서의 이해(레벨 2) 및 
  • (iii) 이러한 단서가 미래에 무엇을 의미하는지 투영한다(레벨 3)

Situation awareness is a concept established to explain a pilot's cognitive ability to gather, sort and process information from his or her practice environments and in the context of dynamic decision making.2 Defined as a practitioner's ‘perception of the elements in the environment in a volume of time and space, the comprehension of their meaning and the projection of their status in the near future’,2 situation awareness represents a practitioner's total knowledge of a scenario accrued through three stages of the cognitive processing of cues:

  • (i) the perception of cues (level 1);
  • (ii) comprehension of these cues (level 2), and
  • (iii) projection of what these cues mean for the future (level 3).2

실천가에게 상황에 대한 '정신적 그림'을 제공하는 것은 이 세 단계의 총합이다.3 그런 다음 이 정신적 그림은 시술자의 후속 결정을 알려준다. 이걸 리버스 엔지니어링하면 어떨까요? 의사결정에 앞서 발생하는 구성 요소를 분석하면 어떻게 됩니까? 상황 인식은 그들이 결정을 내릴 때 어떤 단서들을 사용하고 왜 사용하는지를 발견하기 위해 전문 의료 종사자들의 상황의 정신적 그림을 이해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로 사용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우리는 이 정보를 교육 환경에서 학생이나 초보 건강 전문가에게 전달할 수 있다. 보건 관행과 관련된 복잡한 환경 및 역동적인 의사 결정 시나리오를 고려할 때 이러한 교육이 필요하다.
It is the total of these three stages that provides the practitioner with the ‘mental picture’ of a situation.3 This mental picture then informs the practitioner's subsequent decision. So what if we reverse-engineer this? What if we analyse the components that occur prior to and lead to decisions? Situation awareness may be used as a framework to make sense of expert health practitioners’ mental pictures of situations in order to discover what cues they use to make decisions and why. Ultimately, we can then pass this information on to students or novice health practitioners in training settings. Such education is necessary, given the complex environments and dynamic decision-making scenarios associated with health practice.

정신 건강 관리의 맥락에서 비자발적 입원처럼 자주 발생하고 잠재적인 인권 결과를 가지고 있지만 아직 완전히 이해되지 않은 [복잡한 건강 관행complex health practice]을 생각해보자.

  • 당신은 급성 정신 건강 커뮤니티 팀에서 일하는 지역 사회 기반 정신 건강 전문가입니다. 오늘 귀하는 비자발적 입원이나 치료 이력이 없는 지역사회 서비스에 알려진 고객을 방문하고 있습니다. 고객은 합의된 건강플랜에 대한 좋은 계약 이력이 있고 당신은 먼저 그녀에게 전화를 걸어 당신이 올 것이라고 알려준다.
    Consider a complex health practice that occurs often, has potential human rights consequences, but is not yet fully understood, such as involuntary in-patient admission in the context of mental health care. You are a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practitioner working in an acute mental health community team. Today, you are visiting a client known to community services who has no history of involuntary in-patient admission or treatment. The client has a good history of engagement with an agreed-upon health plan and you call her first to let her know you're coming.
  • 그 사람은 그녀의 전화를 받지 않는다. 당신은 고객의 거주지에 도착하여 무엇인가가 변했다고 생각하게 하는 다른 단서를 재빨리 파악합니다. 고객이 문을 여는 데 몇 분이 걸립니다. 그녀는 헝클어진 머리를 하고, 오후에 찢어진 잠옷을 입고, 당신을 안으로 들여보내는 것을 불안해한다. 그녀의 감정은 유연하고, 울음소리와 함께 높은 짜증과 강렬한 낮은 기분 사이에서 오락가락한다. 그녀의 연설의 어조와 운율은 변화무쌍하며, 그것을 통해 절망이라는 미묘한 주제가 흐르고 있다. 테이블 위에 수일 동안 사용하지 않은 물집 모양의 약물이 쌓여 있는 것을 볼 수 있지만, 고객에게 질문을 하면 그녀는 처방대로 약을 복용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당신은 고객에게 자살에 대한 생각을 물었고, 그녀는 '모든 것을 끝낼'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The person does not answer her phone. You arrive at the client's residence and quickly identify other cues that lead you to consider something has changed. The client takes a few minutes to answer the door. She presents with dishevelled hair, is wearing torn pyjamas in the afternoon and is uneasy about letting you inside. Her emotions are labile, fluctuating between high irritability and intense low mood with crying. The tone and cadence of her speech are changeable, and through it runs a subtle theme of hopelessness. You then see a blisterpack of medication on the table that has not been used for a number of days, but when you question the client, she tells you she has been taking medication as prescribed. You ask the client about thoughts of suicide and she mentions having thoughts of ‘ending it all’.

여러분이 식별한 모든 단서들을, 그 단서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그것들이 미래 사건에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와 결합해서, 여러분은 결정을 내린다. 자발적인 입원 입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고객에게 알립니다. 고객은 거부합니다. 이제 그녀는 자살 생각을 부인합니다. 그녀와 당신과의 약속이 갑자기 바뀌어서 고객은 당신에게 즉시 떠나라고 요청해요. 고객의 반응과 다른 단서들의 축적을 고려하여, 당신은 또 다른 결정을 내린다. 당신은 추가 평가를 위해 비자발적 입학을 요구할 것이다. 이 결정은 고객이 그녀의 의사에 반하여 병원으로 이송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만, 악행금지non-maleficence의 개념을 고려한다면, 당신은 이것이 이 고객에게 가장 유익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Given all the cues you have identified, combined with your understanding of what the cues mean and of what they mean for future events, you make a decision. You inform the client that you think voluntary in-patient admission is required. The client refuses – she now denies suicidal thoughts. Her engagement with you changes abruptly and the client asks you to leave immediately. In view of the client's response, and the accumulation of other cues, you make another decision. You will seek involuntary admission for further assessment. This decision means the client will be transported to hospital against her will, but with your consideration of the concept of non-maleficence, you deem this to be the most beneficial outcome for this client.

어떻게 이토론 복잡하고 얽혀있는 practice을 가르칠 수 있을까요? 모든 health practice에서 상황 인식을 이해하고 정의하면, 여기에 설명된 것과 같이 이미 발생하는 복잡한 건강 관행에 대한 더 큰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의사 결정을 위한 의료 종사자들의 더 나은 교육을 허용할 것이다. 의료, 간호 및 관련 의료 교육 외에서는 실습 시뮬레이션 및 가상 현실과 같은 방법을 통해 상황 인식을 가르치고 평가합니다. 교육학적 방법으로서의 연습 시뮬레이션은 의료 전문가 교육에 널리 사용되지만, 가상 현실은 성장 영역area of growth이다. 두 방법 모두 학습자에게 학생과 고객 모두에게 안전한 방식으로 복잡하고 중요한 시나리오의 맥락에서 상황 인식을 가르칠 수 있는 안전하고 통제된 진정한 학습 환경을 제공한다.

How do we teach such a complex and intricate practice? Understanding and defining situation awareness in any health practice will provide greater insight into the complex health practices that already occur, such as the one described here. It will allow for the better education of health practitioners for decision making. Outside medical, nursing and allied health care education, situation awareness is taught, and assessed, through methods such as practice simulation and virtual reality. Practice simulation as a pedagogical method is widely used in educating health care professionals, whereas virtual reality is an area of growth.4 Both methods provide learners with safe, controlled and authentic learning environments that allow the teaching of situation awareness in the context of complex and vital scenarios in a way that is safe for both the student and client.

상황 인식은 의사 결정 프로세스를 역설계reverse-engineer하고 의사 결정 정보를 제공하는 것과 그 이유에 대한 구체적인 세부 사항을 강조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각 단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학습한 중요한 특징을 계속 가르치고 환경 단서, 잠재적 의미 및 관련 후속 의사 결정을 식별하는 실무자를 교육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실무자들은 상황에 맞게 교육받을 수 있다.

Situation awareness provides a framework with which to reverse-engineer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to highlight the specific details of what informs decisions and why. This allows us to go on to teach important features we have learned are related to each stage and to educate practitioners in the identification of environmental cues, their potential meaning and related, subsequent decisions. In this way, practitioners can be educated to be situationally aware.


Med Educ. 2017 Jul;51(7):683-684. doi: 10.1111/medu.13226. Epub 2017 Jan 30.

When I say … situation awarenes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University of Wollongong, Australia.

2University of South Australia, Australia.

PMID: 28139020

DOI: 10.1111/medu.13226

의학교육에서 인공지능 (AMEE Guide No. 126) (Med Teach)
Artificial intelligence in medical education
Ken Masters

 

서론
Introduction

사고 기계와 인공지능: 짧은 역사
Thinking machine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 brief history

데카르트의 오토마타(Descartes 1637)부터 찰스 배비지의 분석 엔진까지 수세기 동안 [사고 기계]의 개념은 존재해 왔으며, 러블레이스 여사는 그 중 "우리가 그것을 수행하는 방법을 알고 있는 것은 무엇이든" 수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메나브레아 1843). 1950년 앨런 튜링은 "머신은 생각할 수 있는가?"라고 물었고 그의 모방 게임(현재 튜링 테스트라고 불린다)을 만들었다. 이 테스트에서 인간 피실험자는 기계와 다른 인간과 상호 작용하며, 피실험자가 기계와 인간을 구별할 수 없다면 기계는 "생각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The notion of thinking machines has existed for centuries, from Descartes’ Automata (Descartes 1637) to Charles Babbage’s Analytical Engine, of which Lady Lovelace said could only perform “whatever we know how to order it to perform”(Menabrea 1843). In 1950, Alan Turing (Turing 1950) asked, “Can machines think?” and constructed his Imitation Game (now called the Turing Test). In this test, a human subject interacts with a machine and another human, and, if the subject cannot tell the difference between machine and human, then the machine can be said to be “thinking.”

21세기에, 우리는 인공지능(AI)에 첫발을 내디뎠다. (이 가이드를 위해, 나는 풀 외 연구진(1998)과 러셀 & 노르빅(2009)과 같은 일반적인 텍스트를 느슨하게 기반으로, [인간의 합리적 사고와 행동을 모방하고 확장하도록 설계된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한 행동]으로서 AI에 대한 working definition를 제안한다).
In the twenty-first century, we have the first forays into artificial intelligence (AI). (For this Guide, I propose a working definition of AI as the behaviors by computer software that are designed to mimic and extend human rational thinking and actions, based loosely on general texts, such as Poole et al. (1998) and Russel & Norvig (2009)).

트위터 사용자들로부터 배우고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된 AI 시스템인 마이크로소프트의 Tay와 같은 AI 실패가 있었다. 불행하게도, Tay는 트위터 사용자들로부터 인종차별주의자, 성차별주의자 편협한 사람으로 교육받았고 오프라인으로 옮겨졌다(Vincent 2016).
There have been AI failures, such as Microsoft’s Tay, an AI system designed to learn from, and interact with, Twitter users. Unfortunately, Tay was taught by Twitter users to be a racist, sexist bigot, and was taken offline (Vincent 2016).

이와는 대조적으로, 2016년 구글의 알파고가 바둑 세계 챔피언 이세돌(상훈 2016)에 4대 1로 승리하며 세계를 놀라게 한 것과 같은 AI 성공이 있었다.
Contrastingly, there have been AI successes, such as Google’s AlphaGo, which, in 2016, stunned the world with a 4-1 victory over Go world champion Lee Se-dol (Sang-Hun 2016).

배비지의 분석 엔진과 달리, 테이와 알파고는 [사고 기계]의 영역으로 들어가, 그들이 배운 것 이상으로 지식과 사고를 확장했다.
Unlike Babbage’s Analytical Engine, both Tay and AlphaGo had entered the realm of the thinking machine, extending their knowledge and thinking beyond what they had been taught; unlike Tay, however, AlphaGo had been taught well, and had behaved acceptably.

교육을 위한 교훈
Lessons for education

교육적 교훈은 AI 실패와 성공에서 배울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인간 학습자와 마찬가지로 AI 시스템이 학습한 것의 기본을 취하고, 그들과 씨름하고, 혼란스러워하고, 해결책을 시도하고, 확장하고, 적용한다는 것이다. 좋은 선생님들이 자동적으로 좋은 교육으로 이어진다고 주장하는 것은 너무 단순하지만, 우리는 선생님들이 학생들과 그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고 있다. 테이와 알파고는 [좋은 가르침은 좋은 AI 학습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고, [나쁜 가르침은 AI를 해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래서, 인공지능이 학습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우리는 그것을 가르치는 데 사용하지 않을 수 있을까?

Educational lessons can be learned from AI failures and successes. Most important is that, just like human learners, AI systems take the basics of what they have been taught, grapple with them, get confused, attempt resolutions, extend, and apply. It is too simplistic to argue that good teachers automatically lead to good education, but we do know that teachers influence students and their behavior; Tay and AlphaGo illustrate that good teaching can provide the platform for good AI learning, and bad teaching can harm AI. So, given that AI can learn, could we not use it to teach?

선생님들
Teachers

1980년에 아서 C 클라크는 "누구든 기계로 대체될 수 있는 선생님은 그렇게 되어야 한다!"라고 썼다.(1980년 클록). 교육을 단순한 지식 이전으로 보는 시각에서, 인간 교사를 기계로 대체하는 것은 매력적이다. 실제로, 좋은 가르침은 많은 출처의 정보에 접근하고, 대조하고, 우선순위를 정하고, 적응한 다음, 극히 미묘한 차이가 있는 좁은(심지어 독특한) 환경 내에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창의적 교사는 어떤 형식적인 의미에서도 '교육적'은 아니지만, 사고를 자극하거나 주제를 소개하거나 좁은 교과과정을 넘어 경계를 밀어붙이는 데 유용한 자료를 자주 사용한다. 이 기능은 아직 컴퓨터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In 1980, Arthur C Clarke wrote “Any teacher who can be replaced by a machine should be!”(Clarke 1980). In a view of education as simple knowledge-transfer, replacing human teachers with machines has appeal. In reality, good teaching involves accessing information from many sources, collating, prioritizing, adapting, and then using it within narrow (even unique) circumstances with extremely subtle variations. In addition, creative teachers frequently use materials that are not “educational” in any formal sense, but are useful to stimulate thinking, introduce topics, or push boundaries beyond the narrow curriculum. This ability does not yet exist in computers.

인공지능은 의심할 여지 없이 다음을 포함한 의학 교육 방법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학생들의 지식 격차를 파악하고 대응하는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
  • 구성주의 학습 접근법에서 적응적 가상 촉진자,
  • 데이터 마이닝("검색 엔진"이 아닌)
  • 학생과 교사에 대한 지적 피드백, 그리고
  • 과제 채점 및 출석률 추적과 같은 일상적인 작업 수행

이것들은 모두 교육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AI will undoubtedly impact on medical education methods, including

  • intelligent tutoring systems’ identifying and responding to gaps in students’ knowledge,
  • adaptable virtual facilitators in constructivist learning approaches,
  • data mining (as opposed to using “search engines”),
  • intelligent feedback to students and teachers, and
  • performing mundane tasks like assignment grading and attendance tracking.

These will affect all education.

의료 교육에서 AI의 잠재력을 더 잘 보기 위해, 우리는 그 과정의 끝, 즉 훌륭하고 유능한 의사들을 고려해야 한다. 의학 교육의 어떤 변화도 이 최종 목표에 의해 인도되어야 하듯이, 우리는 교사들을 대체하기보다는 AI가 배울 수 있는 잠재력을 고려할 때, 우리가 오히려 AI 의사를 목표로 해야 하는지 물어볼 필요가 있다.

To better see the potential of AI in medical education, we should consider the end of the process: good and competent doctors. Just as any change in medical education should be guided by this end goal, we need to ask, given the potential that we have already seen for AI to learn, rather than replacing teachers, should we rather be aiming at AI doctors?

닥터스
Doctors

이미 컴퓨터는 인간보다 예측과 진단을 더 잘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사회가 AI 의사를 받아들이기까지는 얼마나 걸릴까요?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서는 몇 가지를 기억해야 합니다.
Already, computers can perform prediction and diagnosis better than humans (Boguševičius et al. 2002; Esteva et al. 2017; Litjens et al. 2017; Mobadersany et al. 2017; Betancur et al. 2018; De Fauw et al. 2018; Haenssle et al. 2018). But how far off is AI before society accepts an AI doctor? To get some idea, we need to remember a few things:

  • 알파고가 세계 챔피언을 향한 질주는 놀라울 정도로 빨랐고(Cho 2016), 우리는 의학을 포함한 모든 분야에서 빠른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 AlphaGo’s race to world champion was stunningly swift (Cho 2016), and we can expect rapid advances in all fields, including medicine.
  • 알파고는 단일 시스템이다. 의료 AI 시스템은 사물 인터넷(IoT)을 통해 수십만 대의 컴퓨터를 활용하는 글로벌 신경망일 것이다.
  • AlphaGo is a single system. A medical AI system would be a global neural network utilizing hundreds of thousands of computers through the internet of things (IoT).
  • 증거 기반 의학(EBM)이 금본위제이지만, 연구 데이터 배포 및 획득에 대한 입증된 효과적인 방법은 없으며, 연구 성장은 이 이상을 매일 우리의 손아귀에서 더 멀리 떨어뜨린다. 초기 실험은 AI가 출판된 연구 및 전자 의료 기록(EMR)의 관련 데이터에 자동으로 액세스하여 시스템과 의사가 최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이상적으로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 Although evidence-based medicine (EBM) is the gold standard, there is no proven effective method of research data dissemination and acquisition, and research growth puts this ideal further from our grasp every day. Early experiments show that AI is ideally suited to automatically accessing relevant data from published research and from 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s), allowing systems and doctors to stay current (Tafti et al. 2017).
  • 유능한 의사가 되기 위해 AI 시스템이 세계 최고의 의사가 될 필요는 없다. AI는 당신의 반에서 최악의 졸업생보다 더 나아야 한다. 또한 표준 분포 곡선을 가정하면 AI가 평균 학생보다 낫다면 전체 의사의 50%보다 낫다. 게다가, 위의 참고 자료에서 볼 수 있듯이, 이미 몇몇 최고 작업보다 몇 가지 작업을 더 잘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기 때문에, AI는 이를 달성하기 위해 궤도에 오르고 있다.
  • To be a competent doctor, an AI system does not have to be the best doctor in the world. AI has to be better than only the worst graduating student in your class. Further, assuming a standard distribution curve, if AI is better than your average student, it is better than 50% of all doctors. Moreover, as seen from the references above, there are already systems that can perform several tasks better than some of the best, so AI is on track to achieve this.
  • 그리고 마지막으로, 당신은 그들의 원칙과 윤리와 같은 모든 졸업생의 다른 측면들에 얼마나 자신이 있는가?
  • And finally, how confident are you in other aspects of all your graduating students, such as their principles and ethics?

사람의 손길
The human touch

우리는 의료와 관련된 모든 사람이 환자에 대해 가지고 있는 [휴먼 터치와 공감]을 고려함으로써 이러한 논쟁에 대응할 수 있다(Cayley 2006). AI가 그런 것도 할 수 있나요? 다시 한 번, 이것을 관점에서 보기 위해, 우리는 두드러진 문제들에 대해 반성해야 한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We may counter these contentions by considering the Human Touch and empathy that all involved in healthcare have for patients (Cayley 2006). Can AI do that? Again, to see this in perspective, we should reflect on salient issues. These include the following:

  • 20세기에 전 세계에서 수행된 끔찍한 의학 실험(Masters 2018a);
    Appalling medical experiments performed around the world in the twentieth century (Masters 2018a);
  • 의과대학 과정을 거치면서 의대생들의 공감능력이 저하됨
    Declining empathy levels among medical students as they progress through their medical degree (Hojat et al. 2009; Neumann et al. 2011; Chen et al. 2012);
  • 금융 이윤 추구에 있어 제약회사의 가격 급등, 치료제는 그들의 이익을 잠식할 것이기 때문에 유전자 혁명을 두려워함
    Pharmaceutical companies’ price gouging in pursuing financial profits (Hemphill 2010; Greene et al. 2016; Wardle and Wood 2017) and fearing the Genomic Revolution because cures will eat into their profits (Kim 2018);
  • 병원들은 의사들이 급히 병실을 통과하도록 강요하고, 환자에게 퉁명스러운 반응을 보이며, 의사들이 상담을 10분 또는 15분으로 줄이도록 강요하는 일정.
    Hospitals’ forcing doctors to rush through wards, giving curt responses to patients, and schedules forcing doctors to reduce consultations to 10 or 15 minutes;
  • 보험 의사들은 내과의사를 우선시하고 환자와 신체 접촉 없이 환자를 위한 "최선의" 치료를 결정한다. 개업 의사를 위한 과제: 환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보험 의사들의 결정을 고려하십시오. 평균적으로, AI 시스템이 더 나쁠까요? 그리고 AI 시스템이 공감(Huang and Rust 2018)을 배우면서 휴먼 터치가 향상될 것이다. 인공 휴먼 터치는 휴먼 터치가 전혀 없는 것보다는 낫다.
    Insurance doctors’ overriding treating physicians and deciding on “best” treatments for patients without any physical contact with those patients. A task for practicing doctors: consider some decisions made by those insurance doctors affecting your patients: on average, would an AI system do any worse? And, as AI systems learn empathy (Huang and Rust 2018), their Human Touch will improve. Artificial Human Touch is better than no Human Touch at all.

그렇다, 인간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특히 나쁜 소식을 전할 때, 상담과 혈압 측정, 봉합 등 작은 절차들을 할 때. 하지만 우리는 이것을 위해 의사가 필요하지 않다. 나쁜 소식을 전하고 상담을 하는 것은 적절하게 훈련된 상담자들이 가장 잘 수행한다. 우리가 "또한 가르쳤다"는 상담에서 교육과정의 주요 초점으로 옮기지 않는 한, 우리는 이 일을 전문가들에게 맡겨야 한다. 혈압 기록이나 봉합 같은 작은 시술은 잘 훈련된 간호사가 가장 잘 수행한다.
Yes, there is a need for direct human interaction, especially when breaking bad news, counselling and small procedures like checking blood pressure, suturing, and so forth. But we do not need doctors for this. Breaking bad news and counselling is best performed by properly trained counsellors. Unless we move counselling from “also taught” to a major focus in the curriculum, we should leave this work to professionals. Small procedures like blood-pressure recording and suturing are best performed by well-trained nursing staff.

의사가 컴퓨터로 대체될 수 있을까? "기계로 대체할 수 있는 의사는 누구라도 그래야 한다!"는 간결한 대답이지만 현실은 더 미묘하다. 아마도, 의사를 대체하기보다는, 우리는 AI를 사용하여 의사들의 일부 역할을 대체하거나 향상시키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새로운 역할들을 이해해야만 그에 따라 의학 교육을 조정할 수 있다.
Can doctors be replaced by computers? While the snappy answer is, “Any doctor who can be replaced by a machine should be!”, reality is more subtle. Perhaps, rather than replacing doctors, we should look at using AI to replace or enhance some of the doctors’ roles. We need to understand these new roles so that we can adjust medical education accordingly.

새로운 의사들의 역할을 대체하고 가르치는 것
Replacing and teaching the new doctors’ roles

AI 역할 식별
Identifying AI roles

위에서 인용한 문헌은 AI가 인간보다 더 능숙하게 일부 감별 진단과 임상 추론을 수행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아이러니하게도, 이 능력은 컴퓨터가 튜링 테스트(Turing 1950)를 "실패"한다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그러나 AI 진단 시스템은 자격 있는 의사를 교체해서는 안 된다는 경고를 담고 있으며, 환자들조차 의사의 진단 확인을 원한다. 이것은 훈련되고 자격을 갖춘 의사가 실수를 했기 때문에 일부 AI 시스템이 정확하게 설계되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그렇다. 본질적으로, 우리는 [순전히 그 시스템이 인간이라는 이유]로 [열등한 임상 추론 기술]을 가지고 있는 것이 입증된 시스템을 여전히 따르고 있다. 하지만, 아마 눈치채지 못했을지 모르지만, 우리는 이미 역할 대체의 초기 단계인 EMR을 가지고 있다.

The literature cited above indicates that AI is able to perform some differential diagnosis and clinical reasoning more competently than humans (ironically, this ability would mean that the computer would “fail” the Turing test (Turing 1950)). Yet AI diagnostic systems carry warnings that they should not replace qualified physicians, and even patients want diagnosis confirmation by physicians (Fink et al. 2018). This is in spite of the fact that some AI systems have been designed precisely because trained and qualified physicians made mistakes (Isabel Healthcare 2018). In essence, we are deferring to a system that is proven to have inferior clinical reasoning skills, purely on the grounds that that system is human. Yet, perhaps unnoticed, we already have the early stages of role replacement: the EMR.

역할 교체: 초기 단계
Role replacement: early stages

EMR은 의료 서비스에 큰 잠재적 이익을 예고하지만, practicing doctors에 의한 EMR에 대한 비판은 너무 많다. 가장 흔한 비판은 [데이터 수집]이 의사와 환자 사이에 직접 눈을 마주쳐야 하는 정상적인 의료 워크플로우 관행 및 절차를 방해한다는 것이다. 해결책은 이러한 EMR 설계 결함을 수정하여 EMR이 일반적인 작업 흐름 관행 및 절차에 적합하도록 하는 것으로 보인다.

EMRs herald great potential benefit to health services, yet there is so much criticism of EMRs by practicing doctors. The most common is that data capture interferes with normal health care workflow practice and procedures that specifically require direct eye contact between doctor and patient (Unger 2015; Gaither 2016; Sinsky et al. 2016; Shanafelt et al. 2016). The solution seems to be to rectify these EMR design flaws, so that EMRs do fit in with normal workflow practice and procedures.

불행하게도, 이 "해결책"은 현대 의료에서 EMR의 역할에 대한 오해를 보여준다. 환자에서 컴퓨터로 의사의 눈을 제거하는 것은 설계상의 결함이 아니라 설계상의 특징이다. EMR 시스템은 일반적인 작업 흐름 관행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지 않았습니다. EMR 시스템은 일반적인 워크플로우 관행을 변경하도록 설계되었다. 비즈니스 측면에서 EMR은 지속적 기술이 아니라 파괴적 기술입니다(Christensen 및 Armstrong 1998). 그리고, EMR 시스템이 점점 더 AI 시스템과 상호 작용하고, EMR 시스템이 점점 더 AI 시스템이 되면서, 그들은 점점 더 정상적인 워크플로우 관행을 방해할 것이다.

Unfortunately, this “solution” shows a misunderstanding of the EMR’s role in modern healthcare.
> Removing doctors’ eyes from patient to computer is not a design flaw; it is a design feature.
> EMR systems are not designed fit in with normal workflow practice; EMR systems are designed to change normal workflow practice.
> In business terms, EMRs are not sustaining technologies, they are disruptive technologies (Christensen and Armstrong 1998).
> And, as EMR systems increasingly interact with AI systems, and as EMR systems increasingly become AI systems, so they will increasingly disrupt normal workflow practice.

의사들이 지금 느끼는 좌절과 분노는 중요한 새로운 역할의 초기 단계에 있기 때문인데, 주로 환자 데이터를 수집하고 EMR 및 AI 시스템에 입력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의사들에게 반갑지 않은 소식일 수 있는데, 이는 의사들 스스로가 데이터 캡처자로 전락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지만, 의사들이 EMR의 역할에 대해 어떤 말을 들었는지에 관계없이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있다. 실제로 의사들이 경험하고 있는 것은 단지 EMR 사용의 초기 단계일 뿐이고 AI는 이를 따라잡고 다음 단계로 나아간다.: 바로 [역할의 변화와 역전role change and reversal]이다

The frustration and anger that doctors feel now is because they are at the initial stages of an important new role, largely characterised by gathering and entering patient data into EMR and AI systems. This may be unwelcome news to doctors, as they may see themselves reduced to data capturers, but it should not be surprising, in spite of what doctors may have been told about the role of EMRs. In real terms, what doctors are experiencing is merely the early stage of EMR usage while AI catches up and moves into the next stage: role change and reversal.

역할 변경, 새로운 역할 및 이들을 위한 교육
Role change, new roles, and teaching for them

실무적인 측면에서 AI는 미래의 의사 역할에 어떤 의미가 있습니까? 모든 영향을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일부는 명백하며, 앞 절에서 언급되었다. 이 섹션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역할을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새로운 역할과 의료 커리큘럼 내용에 대한 변경 사항을 살펴봅니다.
In practical terms, what does AI mean for future doctors’ roles? While it is impossible to foresee all implications, some are obvious, and have been mentioned in preceding sections. This section looks at new possible roles and changes to medical curricula content that will be required to meet these new roles.

  • AI 시스템 설계에 적극적이 되라. 성공적인 파괴적 기술은 종종 단순화를 도입하지만(크리스텐슨과 암스트롱 1998), 현재 많은 EMR 시스템에 대해서는 말할 수 없다. 유지된 의료와 변화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의사는 영향력 있는 그룹으로 조직하고 EMR 및 AI 시스템을 설계하고 시험하는 데 직접 지원해야 한다. 의사는 최소한 기본적인 의료 정보학을 배워야 하며, 설계자와 직접 협력할 수 있도록 EMR 및 AI 설계 원칙에 대한 감각을 갖춰야 하며, 시스템이 의료 윤리, 의료 및 실무 요건을 충족하도록 보장해야 한다.
    Being proactive in AI system design. Successful disruptive technologies frequently introduce simplification (Christensen and Armstrong 1998), but that cannot be said about many current EMR systems. To balance change with maintained healthcare, doctors should organise themselves into influencing groups and assist directly in designing and trialing EMR and AI systems. Doctors should be taught at least basic medical informatics, and have a sense of EMR and AI design principles so that they can work directly with designers, ensuring that systems meet healthcare ethical, medical and practical requirements.
  • AI 진단 시스템으로 작업합니다. 의사들은 환자의 요구에 가장 잘 부응하기 위해 AI 진단과 다른 시스템을 통해 건설적으로 일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 이러한 시스템에 대한 교육을 통해 다른 의료 도구와 마찬가지로 익숙해질 수 있어야 한다. 이제 훈련이 시작되어야 합니다. 훈련을 시작하기 전에 이러한 시스템이 만연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은 학습 곡선과 심리적 영향이 엄청날 것이기 때문에 역효과를 낳을 것이다. 기술 교육 외에도 윤리, 역할, 프로토콜 및 책임에 대한 광범위한 질문이 해결되어야 합니다.
    Working with AI diagnostic systems. Doctors need to know how to work constructively with AI diagnostic and other systems to best serve their patients’ needs. For this, they will require training on these systems to become as familiar with them as they are with any other medical tools. Training should start now. Waiting until these systems are pervasive before beginning training will be counterproductive, as the learning curve and psychological impact will be tremendous. In addition to technical training, wider questions around ethics, roles, protocols, and liability need to be addressed.
  • AI 시스템과 소통합니다. 의사들은 AI 시스템에 관련 정보를 inform하는 방법을 배울 필요가 있으며, 그래야 EMR이 새로운 정보를 EMR 안팎의 정보와 일치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래야 EMR이 의사들이 불분명해 보이는 부분에 대한 추가 정보를 요청하도록 촉구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순환적 과정]이다. 
    Communicating with AI systems. Doctors need to be taught how to inform AI systems of the relevant information, so that EMRs can match new information to information inside and outside the EMR, and prompt doctors to request further information on areas that appear unclear. This is an iterative process.
    • 또한 의사들은 구두 의사소통, 서면 의사소통, 음성 입력, 촉각 정보, 의심과 예감을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는 것, 그리고 임상 환경에서 데이터 마이닝 도구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세심한 교육이 필요하다.
      In addition, doctors require careful training on verbal communication, written communication, voice input, and translating tactile information, suspicions and hunches into digital information, and how to use data-mining tools within clinical environments.
    • 또한 의사는 환자와 "개인적" 관계를 발전시키는 AI 시스템에 참여하는 방법을 가르쳐야 하며, 조기 경고 신호를 감시하고, 동시에 환자가 제공자 간에 쉽게 데이터를 전송하고, 데이터를 수집 및 대조하며, 동향과 이상 징후를 파악하고, 적절한 조직 대응을 촉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Doctors also need to be taught how to engage with AI systems that develop “personal” relationships with patients, watching for early warning signs, and simultaneously allowing patients to easily transfer between providers, gathering and collating data, identifying trends and anomalies, and triggering appropriate organisational responses.
  • 심층 상담 및 관련 활동. 의사 소통 능력과 관련하여, 의사들은 향상된 상담 기술을 배울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술이 없는 의사들은 환자들로부터 떨어져 더 적합하게 고용될 것이고, 상담은 자격을 갖춘 상담사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는 AI가 강화의학(현재 "정상"으로 간주되는 것 이상으로 인간의 심신을 향상시키는 의료 절차)과 같은 새로운 의료 분야를 열면서 중요성이 커질 것이다.
    Deeper counselling and related activities. Related to communication skills, doctors need to be taught improved counselling skills. Doctors without these skills would be more suitably employed away from patients, and counselling can be performed by qualified counsellors. This will grow in importance as AI opens new medical fields, such as enhanced medicine (medical procedures enhancing the human mind and body beyond what is currently considered “normal”).
  • 자신의 역할에 대한 심리적 방향 전환. 어떤 의사들의 역할은 너무 많이 변해서 더 이상 알아볼 수 없을 것이고, 많은 역할들은 우리가 현재 "의사"라는 단어가 의미하는 패턴에 더 이상 맞지 않을 수도 있다. 이것은 특히 지속적인 의료 교육(CME)에서 모든 수준에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Psychological reorientation of one’s roles. Some doctors’ roles will change so much that they will no longer be recognisable, and many roles might no longer fit the pattern of what we currently mean by the word “doctor.” This will have to be addressed at all levels, especially in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CME).
  • 새로운 의학 AI를 가르칩니다. Tay와 AlphaGo로부터 우리는 AI를 제대로 가르칠 수 있는 의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
  • Teaching new medical AI. From Tay and AlphaGo, we know that we need doctors who can teach AI properly.
    • 초기에, 환자 정보는 의사가 수집하여 AI 시스템에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AI는 이 정보 자체를 수집하고, 어떻게 적절하게 작업할 수 있는지 배워야 할 것이다. 의료정보학 윤리(Masters 2018a)에 이미 내재된 복잡한 문제를 지침 원칙으로서 의료 AI에 내장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윤리적 원칙을 AI에 포함시켜야 AI가 [인공지능]에서 [인공지혜]로 넘어갈 수 있다.
    • Initially, patient information will have to be gathered by doctors and given to AI systems. But AI will have to be taught to gather this information itself, and how to work properly with it. Complex issues already inherent in medical informatics’ ethics (Masters 2018a) will need to be built into medical AI as guiding principles. Only by including these ethical principles into AI, can AI move from Artificial Intelligence to Artificial Wisdom.
    • 효과적인 시스템 진화를 위해 원활한 통신이 중요하기 때문에, [개별 EMR AI 시스템]이 [더 크고 글로벌한 AI 시스템]과 통신하도록 학습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술 분야는 한 가지 측면만을 형성한다. 해결이 요구되는 더 큰 영역은 [언어]이다. [의학 전문용어]는 불일치로 가득 차 있으며(Lee와 Whitehead 2017), AI 시스템은 이미 이러한 제한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인간보다 훨씬 더 효율적으로 서로 소통하고 있다. 문제는 인간이 기계가 개발한 AI 언어를 이해할 수 없고, 시스템을 종료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는 점이다(Wong 2016). 우리는 이러한 새로운 언어들을 다룰 수 있는 의료 종사자들이 필요할 것이다.
    • Individual EMR AI systems will need to be taught to communicate with greater, global AI systems, as smooth communication is crucial for effective system evolution. But the technical areas form only one aspect. A larger area requiring addressing is language. Medical jargon is fraught with inconsistencies (Lee and Whitehead 2017), and AI systems can already address these restrictions, and hav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far more efficiently than humans can. The problem is that humans cannot understand machine-developed AI languages, and have responded by shutting down the systems (Wong 2016). We will need medical practitioners who can work with these new languages.
    • 우리는 이미 형편없는 가르침으로 인한 의료 AI 시스템 오류의 예를 가지고 있다. IBM의 Watson은 가상의 사례만을 통해 종양학 기술을 배웠다. 인간이었다면 용납할 수 없는 교육행위로 간주되는 것이다. 그것이 그렇게 많은 실수를 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었다. 좋은 AI는 의료, 교육 및 컴퓨팅 분야의 전문가 팀을 필요로 한다.
    • We already have examples of medical AI system errors because of poor teaching—IBM’s Watson was taught oncology skills through hypothetical cases only (Ross and SwetlitzIke 2018), a practice considered unacceptable when teaching human doctors. It was not surprising that it made so many mistakes. Good AI needs teams of experts from medical, educational and computing fields.
  • 로봇 공학. 비록 초기 단계이고 대부분 인간의 통제 하에 있지만, 외과용 로봇 공학은 이미 수술을 변화시키는 데 잠재력을 보여주었고, 의료에 대한 직접적인 긍정적인 영향은 심오할 것이다. 지능형 로봇은 단순히 AI 소프트웨어를 가진 로봇이며, 이 소프트웨어는 결국 사람 없이 수술을 수행할 것이다. 곧, 이러한 수술 방법이 표준화될 것이고, 로봇 수술을 가르치지 않는 의과대학은 빠르게 뒤처질 것이다.
  • Robotics. Although in its infancy, and mostly under human control, surgical robotics has already shown potential in changing surgery, and the direct positive impact on healthcare will be profound (Nag et al. 2017; Schroerlucke et al. 2017; Porpiglia et al. 2018; Stiegler and Schemmer 2018; Stravodimos et al. 2019). Intelligent robots are simply robots with AI software, and this software will eventually perform surgery without humans. Soon, these surgical methods will be standard, and medical schools that are not teaching robotic surgery will fall behind rapidly.
  • 전자 환자들. 비록 전자 환자(Masters 2017; Masters 2018b)의 개념은 이 가이드의 범위를 벗어났지만, 우리는 AI가 전자 환자에게 극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환자들은 의사가 AI사용하는 것을 보거나, 볼거라 기대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대한 (부정적) 판단을 갖게 될 것이다. 
  • E-patients. Although the concept of e-patients (Masters 2017; Masters 2018b) is beyond this Guide’s scope, we can note that AI will dramatically impact upon the e-patient. Patients will become accustomed to seeing, may expect to see, doctors’ using AI, and be judgemental of those who are not.
    • 특히 어려운 점은 환자가 개인 AI 시스템에 직접 액세스하거나 상당한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액세스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AI 기업들의 바람일 것이다. 이 논의는 병원 소유 및 제어 EMR 시스템을 넘어 환자의 AI 시스템이 필요할 때만 의료진에게 액세스 권한을 부여하고 해당 액세스를 인증 및 추적하며 데이터 사용량을 추적 및 감사하는 암호화, 환자 소유 및 제어 시스템으로 이동하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에 이미 오래되었다. 의사들은 AI 환경의 일부로서 전자 환자와 상호 작용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 A particular difficulty will be AI companies’ wishing to prevent patients’ accessing personal AI systems directly, or without paying a substantial fee. This discussion is already old, as the goal is to move beyond hospital-owned and controlled EMR systems to encrypted, patient-owned and controlled systems, to which patient’s AI systems grant health personnel access only when needed, that access is authenticated and tracked, and data usage is tracked and audited. Doctors have to be taught how to interact with e-patients as part of the AI environment.
    • AI가 개선됨에 따라, 환자들은 종종 의사를 우회할 것이며, 음성, 웨어러블 및 이식형 컴퓨터를 통해 집이나 다른 원격지에서 AI 시스템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선호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을 결합하면 인간이 광대한 사물인터넷의 노드인 호모 노두스(Masters 2015)로 진화하면서 환자의 본질을 변화시킬 것이다.
    • As AI improves, patients will frequently by-pass doctors, preferring to interact with AI systems from their home or other remote locations through voice, wearable and implanted computers. Combining these facets will change the very nature of the patient, as humans evolve into Homo Nodus (Masters 2015), a node on a vast Internet of Things.

산업화가 '디스킬링'(Frey and Osborne 2013)으로 이어진 방식과 유사하게, 많은 보건 전문가들의 업무와 역할이 AI에 의해 대체되고, 새로운 역할이 필요할 것이며, 의학교육은 그러한 새로운 역할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세부 커리큘럼은 기술과 환경이 발전함에 따라 개발되고 업데이트되어야 한다. 많은 재료 개발은 환자를 포함한 개발 팀에 의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inevitable that similar to the way in which industrialisation led to “deskilling”(Frey and Osborne 2013), many health professionals’ tasks and roles will be taken over by AI, new roles will be necessary, and medical education must prepare for those new roles. Detailed curricula need to be developed and updated as the technology and environment evolve. Much material development will need to be performed by development teams that include patients.

결론
Conclusion

본 가이드에서는 데카르트와 튜링부터 알파고를 활용한 인공지능까지 생각하는 기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AI가 의료 실무로 더 깊이 들어가면서, 우리는 "진짜" 작업이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고, 의사들은 할 일이 없고, 아무것도 알지 못할 것이라는 두려움을 가질 수 있다. 만약 우리가 원한다면, 그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보건 전문가들을 위한 새로운 역할이 등장할 가능성이 높지만, 아직 예측되지 않은 많은 역할, 새로운 의학 교육이 필요한 역할들이 등장할 것이다.
This Guide has considered thinking machines from Descartes and Turing to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AlphaGo. As AI moves deeper into medical practice, we may have fears that the “real” work will be done by computers, and doctors will have nothing to do, and will know nothing. That is possible, if we want it to be. Just as likely, however, new roles for health professionals will emerge, many roles not yet foreseen, roles requiring new medical education.

일부 독자들은 이 가이드의 겉보기에 공상과학적인 전망에 회의적일 수 있다. 그러나 AI 연구에 연간 수백억 달러가 쏟아지고(Bughin et al. 2017), 현재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은 전례가 없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AI는 우리 삶의 모든 측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의학 및 의학 교육이 면제될 것이라고 믿을 이유가 없다. 양질의 의료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AI로 미래를 준비하는 것은 우리의 책임이다.
Some readers may be skeptical about the seemingly science-fiction outlook of this Guide. One should remember, however, that tens of billions of dollars are poured into AI research annually (Bughin et al. 2017), and the amount of data currently available to computer systems is unprecedented; AI will impact directly on every aspect of our lives, and there is no reason to believe that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will be spared. It is our responsibility to prepare ourselves, our students and our doctors, for the future with AI, so that quality healthcare can be delivered.

인공지능을 무시하는 사람들은 일시적인 편안함을 갖게 될 것이지만, 마침내 그것이 그들 주변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 그들은 어떻게 그것을 놓쳤는지 궁금해 할 것이다.
Those who ignore AI will have temporary comfort, but, when they finally realise that it is all around them, they will wonder how they missed it.

의사, 학생 또는 의료 교육자를 대체하기는 커녕, AI는 새로운 지평을 열 것이다. 인공지능으로 대체될 수 있는 사람이 아니라, 인공지능으로 대체되기를 원하는 사람이 그렇게 될 것이다. 나머지 사람들에게, 기회는 엄청날 것이다. 미래가 어떻든 간에, "우리는 단지 짧은 거리만을 볼 수 있지만, 우리는 그곳에서 해야 할 많은 것을 볼 수 있다."(1950년 동안).

Far from replacing doctors, students, or medical educators, AI will open new horizons. It is not so much that those who can be replaced by AI will be; it is more that those who wish to be replaced by AI will be. For the rest, the opportunities will be vast. Whatever the future, “We can only see a short distance ahead, but we can see plenty there that needs to be done” (Turing 1950).

 

 


 

 

Med Teach. 2019 Sep;41(9):976-980. doi: 10.1080/0142159X.2019.1595557. Epub 2019 Apr 21.

 

 

Artificial intelligence in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Sultan Qaboos University , Muscat , Sultanate of Oman.

PMID: 31007106

DOI: 10.1080/0142159X.2019.1595557

Abstract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a growing phenomenon, and will soon facilitate wide-scale changes in many professions, including medical education. In order for medical educators to be properly prepared for AI, they will need to have at least a fundamental knowledge of AI in relation to learning and teaching, and the extent to which it will impact on medical education. This Guide begins by introducing the broad concepts of AI by using fairly well-known examples to illustrate AI's implications within the context of education. It then considers the impact of AI on medicine and the implications of this impact for educators trying to educate future doctors. Drawing on these strands, it then identifies AI's direct impact on the methodology and content of medical education, in an attempt to prepare medical educators for the changing demands and opportunities that are about to face them because of AI.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 윌리엄 할스테드의 중독과 그것이 북미 의학교육에 미친 영향(Can J Surg, 2020)
Necessity is the mother of invention: William Stewart Halsted’s addiction and its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residency training in North America

James R. Wright Jr., MD, PhD
Norman S. Schachar, MD

 

외과교육자들이 대학원 외과 레지던시 교육의 구조와 내용에 대한 변화를 고려하고 있는 상황에서 고전적인 외과 레지던시 프로그램 원형을 형성하게 된 요인과 영향을 되돌아보는 것이 흥미롭고 중요하다. 현대 북미 전공의 프로그램의 구조는 19세기 마지막 10년 동안 존스 홉킨스 병원에서 비롯되었다. 이 논문은 윌리엄 스튜어트 할스테드(1852–1922)의 지원 하에 개발된 최초의 현대 외과 레지던트 프로그램을 살펴본다.

At a time when surgical educators are considering changes to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postgraduate surgical residency education,13 it is interesting and important to reflect on the factors and influences that formed the classical surgical residency program prototype. The structure of modern residency programs in North America originated at Johns Hopkins Hospital during the last decade of the 19th century. This article examines the first modern surgical residency program that developed under the aegis and influence of William Stewart Halsted (1852–1922).

Halsted는 20세기에 외과적 실습surgical practice을 크게 형성한 외과적 혁신가였다. 그는 일반적으로 급진적인 유방절제술을 완성하고 전파한 것으로 기억되지만, 그의 직업 내에서는 그의 업적이 무수히 많았다. 아마도 수술 분야에 대한 그의 가장 중요한 공헌은 교육적이었을 것이다. Halsted는 존스 홉킨스 병원에 있는 동안 새로운 레지던트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했고, 약간의 수정으로 북미에서 외과 및 의학 레지던트 훈련의 모델이 되었다. 그러나, Halsted의 전공의 프로그램이 미국에서 처음은 아니었음을 주목해야 한다. 사실, 그것은 심지어 존스 홉킨스 병원에서는 처음도 아니었다. 루드메러는 레지던트 훈련의 역사에 관한 그의 책에서 윌리엄 오슬러(1849-1919)가 최초의 현대적 북아메리카 레지던시를 시작했다고 생각한다. 할스테드의 외과 레지던트는 두 번째였고, 곧 산부인과와 병리학 레지던스가 뒤를 이었다. 존스 홉킨스 병원은 분명히 북미의 현대 레지던트 훈련 개념의 원천이었다.

Halsted was a surgical innovator who greatly shaped surgical practice in the 20th century.47 While he is generally remembered for perfecting and disseminating the radical mastectomy,8 within his profession his accomplishments were legion. Perhaps his most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field of surgery was educational. Halsted developed a novel residency training program while at Johns Hopkins Hospital that, with some modifications, became the model for surgical and medical residency training in North America.9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Halsted’s residency was not the first in America; in fact, it was not even the first at Johns Hopkins Hospital. Ludmerer, in his book on the history of residency training, considers William Osler (1849–1919) to have started the first modern North American residency. Halsted’s surgical residency was second, and this was soon followed by residencies in gynecology and pathology. Johns Hopkins Hospital was clearly the source of the modern residency training concept in North America.10

할스테드의 외과 경력은 보통 뉴욕에서 보낸 초기와 볼티모어에서 보낸 말년으로 나뉜다. 뉴욕에서 젊은 외과의사로서 할스테드는 카리스마와 사교성을 지녔고 의대생들을 가르치는 데 뛰어났던 매우 숙련되고 대담하며, 빠르고 대담한 외과의사였다. 볼티모어에서 그는 느리고 꼼꼼한 외과의사였고 은둔자였고 가능하면 의대생들을 가르치는 것을 피했다. 이 두 시기 사이에, 할스테드와 몇몇 동료들은 우연히 코카인에 중독되었고, 1884년 말에 그들은 코카인이 국소 마취제로 사용될 수 있다는 새로운 보고서를 알고 스스로 실험을 했다. 뉴욕에서 할스테드의 경력은 급격히 악화되었고, 그는 중독 치료 시설을 들락날락했다. 할스테드는 곧 코카인 중독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한 모르핀에 중독되었다.
Halsted’s surgical career is usually divided into his early years in New York and his later years in Baltimore. As a young surgeon in New York, Halsted was a highly skilled, bold, fast and daring surgeon who was charismatic and sociable and excelled at teaching medical students. In Baltimore, he was a slow and meticulous surgeon who was a recluse and who avoided teaching medical students when possible. Between these 2 periods, Halsted and some colleagues accidentally became addicted to cocaine, when in late 1884 they, being aware of a new report that cocaine could be used as local anesthesia, experimented upon themselves. Halsted’s career in New York rapidly deteriorated, and he was in and out of addiction treatment facilities. Halsted soon became addicted to morphine, which he used to treat his cocaine addiction.

Halsted는 볼티모어로 이주하여 홉킨스에 있는 William Welch의 실험실에서 개에 대한 외과적 연구를 시작했다. 장내 문합에 대한 뛰어난 동물 연구의 결과로, 할스테드는 외래 환자 부서의 책임자로 임명되었고, 존스 홉킨스 병원의 외과 의사 대행과 외과 부교수로 임명되었다. 지속적인 성공은 1890년 오슬러와 윌리엄 웰치(1850–1934)가 할스테드를 외과 의사로 추천하고 1892년 홉킨스의 첫 외과 교수가 되는 결과를 낳았다. 비록 모든 사람들이 이러한 유망한 시기에 할스테드의 중독이 치료되었다고 믿었지만, 나중에 그것은 사실이 아니며 그가 괴팍함의 베일과 거주민들의 피라미드 아래서 그의 중독을 숨길 수 있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Halsted moved to Baltimore and began surgical research on dogs in William Welch’s laboratory at Hopkins. In the wake of some brilliant animal research on intestinal anastomoses, Halsted was appointed head of the outpatient department, acting surgeon to Johns Hopkins Hospital, and associate professor of surgery. Continued success resulted in Osler and William Welch (1850–1934) recommending Halsted to be surgeon-in-chief in 1890 and Hopkins’ first professor of surgery in 1892.6,7 Though everyone believed that Halsted’s addiction was cured at the time of these appointments, it later became clear that wasn’t the case and that he was able to hide his addiction under a veil of eccentricity and a pyramid of residents.

이 논문은 존스 홉킨스 병원에서 그의 외과 레지던트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진화에 있어, 그의 중독을 숨기려는 Halsted의 시도의 가능한 역할을 탐구한다. 우리는 또한 그의 훈련생들에 의한 Halsted 학교의 보급과 북미 거주를 위한 표준 모델로 후속 진화를 다룬다. 우리의 에세이는 알려진 사실 및 (Halsted, 그의 이전 훈련생 및 Halsted에 대해 쓴 다른 외과 학자들의) 출판된 인용문 대한 "미묘한 재해석"에 광범위하게 의존하고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possible role of Halsted’s attempts to hide his addiction in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his surgical residency training program at Johns Hopkins Hospital. We also address the dissemination of the Halsted School by his trainees, and its subsequent evolution into the standard model for residency in North America. Our essay relies extensively upon “nuanced reinterpretation” of known facts and published quotes from Halsted, his former trainees, and other surgical scholars who have written about Halsted.

할스테드 학교
The Halsted School

할스테드가 뉴욕에서 볼티모어 시대로 수술 스타일을 극적으로 바꾼 것은 그의 중독과 동물 연구를 통해 얻은 보수적이고 생리적인 수술의 중요성에 대한 그의 증가하는 인식의 결과였을 것이다. 아이러니컬하게도, [대담하고 뛰어난 외과의가 될 수 없는 그의 신체적, 정신적 무능]은 그가 조직과 피를 보존하는 것이 속도보다 더 중요한 더 사색적이고 생리적인 스타일이 더 나은 결과를 얻도록 도왔다. 이러한 경향은 다른 곳에서는 초기 단계에 있었지만, Halsted의 허약함이 Halsted의 새로운 운영 방식으로의 전환을 더욱 강화시킨 Halsted School, 11, 12에서 완전히 발전했다. 다니엘 B. Nunn은 "Halsted Society의 역사가는 "Halsted는 정확하고 안전하며 철저한 수행에 영특함과 실행 속도가 종속된 학교인 '수술 안전 학교의 아버지'로 적절히 인정받고 있다"고 언급했다.

Halsted’s dramatic change in surgical style from his New York to his Baltimore days was likely a consequence of both his addiction and his increasing appreciation of the importance of conservative, physiologic surgery gained through his animal studies. Ironically, his physical and mental inability to continue to be a bold and brilliant surgeon helped him realize that a more contemplative, physiologic style, in which conserving tissue and blood was more important than speed, achieved better results. This trend was in its infancy elsewhere, but fully developed within the Halsted School at Hopkins,11,12 where Halsted’s frailty further reinforced his transition to this new operative style. Daniel B. Nunn, while Historian of The Halsted Society, noted that “Halsted is properly credited as the ‘father of a school of safety in surgery,’ a school in which brilliance and speed of execution were subordinated to accurate, safe, and thorough performance ...”13

그러나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을 알고 있는 그는, 자신의 반사신경, 속도, 정밀도가 악화됨에 따라 정확성, 안전성 및 철저한 수행을 강조하면서 레지던트에게 일을 위임함으로써 이를 커버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 새로운 스타일의 수술을 가르치는 데 앞장서는 것은 아마도 자기 잇속을 차리기 위한 것이었다. 그것은 또한 그가 수술대에서 보내는 시간을 줄이고 사적인 생각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게 해주었다. 할스테드가 방문 외과 의사들 앞에서 수술을 했을 때, 그는 너무 느려서 관객들이 보기에 고통스러웠다. 윌리엄 메이요(1861–1931)는 할스테드가 자신의 특징적인 근치적 유방절제술을 하는 것을 불안하게 지켜보면서 "나는 바닥이 이미 치유된 동안 위에서 수술된 상처를 본 적이 없다"고 농담을 한 적이 있다.

However, knowing what we know now, it was possibly self-serving to be at the forefront of teaching this new style of surgery because, as his own reflexes, speed, and precision deteriorated, he could cover this by delegating work to his resident while stressing accuracy, safety and thorough performance. It also allowed him to spend less time at the operating table and more time in private contemplation. When Halsted operated in front of visiting surgeons, he was so slow that it was painful for the audience to watch. William Mayo (1861–1931), while restlessly watching Halsted perform his signature radical mastectomy, once quipped “I have never seen a wound operated at the top while the bottom was already healed.”7

Halsted School은 또한 대부분의 임상 교수들이 FFS 요금을 유지하는 것을 선호했음에도 불구하고, Hopkins에서 시행되고 있는 지리적 풀타임(GFT) 지불 모델을 수용했습니다. 전 거주자 사무엘 J. 크로우는 보수에 대한 할스테드의 생각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The Halsted School also embraced the geographic full time (GFT) payment model that was being implemented at Hopkins, even though most clinical faculty preferred to remain fee-for-service.8 Former resident Samuel J. Crowe provides Halsted’s thoughts on remuneration:

[금전적 보상]은 의사가 가족을 돌보고, 새로운 생각을 습득하기 위해 여행을 할 수 있고, 그의 일생 동안 생각하고, 읽고, 의학에 지속적인 가치를 더하기 위해 노력할 수 있는 여가와 마음의 평화를 가질 수 있는 범위에서만 필요하거나 바람직했다. 이것은 1905년의 일입니다. 의심할 여지 없이 [Halsted]는 1913년에 풀타임 계획이 나왔을 때 열정적으로 환영했다.
Monetary rewards were necessary or advisable only to the extent of allowing the doctor to care for his family, to travel in order to acquire new ideas, and to have the leisure and peace of mind to think and read and try to add something during his lifetime of lasting value to medicine. This was in 1905. No doubt it was for these reasons that [Halsted] enthusiastically welcomed the Full Time Plan when it came along in 1913.14

 

홉킨스의 GFT 시스템 구현에 대한 완전한 역사적 분석은 다른 곳에서 제공된다. GFT 모델에 의해 촉진된 연구는 할스테드 학파의 또 다른 중요한 요소였다.
A complete historical analysi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GFT system at Hopkins is provided elsewhere.15 Research, which was facilitated by the GFT model, was another important element of the Halsted School.

중단된 레지던스의 구조
Structure of the halsted residency

할스테드의 레지던트 프로그램은 외과 수련자들에게 [형식적이고 구조적인 형태의 교육]을 제공했고, 이전에 존재했던 견습 훈련 모델을 대체했다. 할스테드는 독일에서 관찰한 외과적 훈련의 요소들을 바탕으로 훈련 모델을 만들었다. Halsted 모델의 기본 요소 중 하나는 티어가 있다는 것이었다. 단, 초급 및 중간급 직위는 여러 개가 있지만, 시니어 직위는 1개뿐이라는 것이었다. 후배 연수생들은 교수보다는 선배 레지던트들의 지도 아래 실전 환자 관리와 수술 기술을 배웠다. 전공의들이 경험이 많아지면서 책임감과 독립성이 높아졌다. 또한, 전공의들은 외과적 질병의 [과학적 근거]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연구를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훈련 기간은 무기한이었고, 다음 단계로 진출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한 피라미드 구조가 존재했기 때문에 다음 단계로 진출하는 것은 불확실했다. 인턴십이나 레지던트 보조 역할만 마치고 떠나는 연수생이 많았다. Halsted의 훈련 프로그램인 레지던트 포지션에서 정상에 오른 사람들에게 그것은 특별한 학문적, 임상적 훈련이었다. 레지던트는 임상 서비스를 운영했을 뿐만 아니라 훈련 프로그램 전체를 감독하여 현재의 레지던트 프로그램 감독PD처럼 기능했다.
Halsted’s residency program provided a formal and structured form of education for surgical trainees, replacing the apprenticeship training model that had existed before it. Halsted based his training model on elements of surgical training he had observed in Germany. One fundamental element to Halsted’s model was that there were tiers, including multiple entry- and midlevel positions, but only 1 senior position. Junior trainees learned hands-on patient management and operative skills under the supervision of a more senior resident rather than the professor. As residents became more experienced, they were given increased responsibility and independence. Furthermore, residents were expected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he scientific basis of surgical disease and to perform research. The duration of training was indefinite, and advancement to the next level was uncertain, as there was a pyramidal structure with intense competition for advancement to the next level. Many trainees left after completing only an internship or an assistant resident role. For those making it to the top of Halsted’s training program, the resident position, it was exceptional academic and clinical training. The resident not only ran the clinical services, but also oversaw the entire training program, functioning like a current day residency program director.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할스테드가 요구하는 우수한 수술 결과를 얻기 위해 항상 최선을 다하는 것에 의존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중독을 숨기는 외과의사에게는 자기 잇속만 차린 것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프로그램의 [피라미드적 성격]은 할스테드가 훈련생, 의료 및 외과 동료, 환자들과 매일 상호작용할 필요성을 최소화하여 그의 장애를 숨길 수 있게 하였다. 활기찬 외과 수련생들 집단은 할스테드에게 그를 기쁘게 하고 싶어했고, [그가 임금을 지불할 필요가 없는 동기부여된 노동력을 제공]했다. 그러한 모델은 대부분의 북미 훈련병원에서 작동할 수 없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렇게 많은 house staff을 두는 것은 비용이 너무 많이 들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다른 저자들이 지적한 바와 같이, 이것은 오로지 존스 홉킨스 병원에서만 가능했을 것이다. 존스 홉킨스 병원은 기부금과 무엇보다 GFT 지불 모델 덕분에 주머니가 두둑했기 때문이다.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is structure was self-serving for a surgeon hiding his addiction, as the clinical service did not depend on Halsted always being at his best in order to achieve the excellent surgical results he demanded. The pyramidal nature of the program also minimized Halsted’s need for day-to-day interaction with trainees, medical and surgical colleagues and patients, thus allowing him to hide his impairment. The energetic cadre of surgical trainees provided Halsted a motivated workforce that was anxious to please him and that he did not need to pay. Such a model could not have worked in most North American training hospitals, as it would have been far too costly to have so many house staff. As noted by other authors,16,17 this was likely only possible in one place — the Johns Hopkins Hospital — which, because of its endowments and eventually its GFT payment model, had deep pockets.

다행히 단단한 피라미드 구조는 다른 곳에서는 구현에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입증되었다. 조지 J 호이어(1882년 ~ 1950년)는 신시내티에서 이것을 증명하였다.
Fortunately, a rigid pyramidal structure proved not to be critical for its implementation elsewhere. George J. Heuer (1882–1950) proved this in Cincinnati.

조지 J 휴에와 제자들
George J. Heuer and the disciples

호이어는 할스테드에 의해 훈련받은 13번째 전공의였다. 그는 1911년부터 1914년까지 이 역할을 맡았다. 그 후 그는 존스 홉킨스의 외과 부교수와 외과 부교수로 임명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복무한 후, 호이어는 홉킨스로 돌아와 할스테드가 자신의 뒤를 따라 훈련했던 전공의 월터 댄디 (1886년-1946년)를 신경외과 서비스 책임자로 임명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호이어는 다른 할스테드 레지던트였던 하비 쿠싱(1869–1939)이 1912년 보스턴의 피터 벤트 브리검 병원으로 영입된 이후 이 직책에 관심이 있었다. 호이어는 크리스천 R의 첫 수혜자로서 신시내티로 영입되었다. 홈즈는 1922년 외과 의장을 맡았고, 그곳에서 그는 외과 레지던트를 설립했다. 이때 다른 할스테디안 프로그램은 하비 쿠싱이 보스턴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 유일하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호이어는 몽 리드 (1889년–1943년)와 버 놀랜드 (닉) 카터 (1894년–1980년)를 포함한 몇몇의 저명한 홉킨스 훈련 외과 의사들을 데리고 왔다. 호이어는 "일반 환자의 병실을 호이어 교수를 위한 개인 병실로 전환하는 것은 납세자에게 부도덕한 일"이라며 해당지역 외과의들의 즉각적인 저항을 맞았고, 이를 '수수료 분할' 문제로 바꾸려 했다. 이는 미국외과의사대학의 정책에 위배되는 행동이었다. 이 문제는 홈즈 병원이라는 이름의 새로운 개인 전시관을 지음으로써 결국 해결되었다.

Heuer was the 13th resident trained by Halsted. He served in this role from 1911 to 1914. He was then appointed associate professor of surgery and associate surgeon at Johns Hopkins. After serving in the First World War, Heuer returned to Hopkins only to find that Halsted had appointed Walter Dandy (1886–1946), a resident who had trained after him, to the position of chief of the neurosurgical service. Heuer had been interested in this position since Harvey Cushing (1869–1939), another former Halsted resident, had been recruited to the Peter Bent Brigham Hospital in Boston in 1912. Heuer was recruited to Cincinnati as the first recipient of the Christian R. Holmes Chair in Surgery in 1922, where he established a surgical residency.16,18,19 At this tim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only other Halstedian program was the one in Boston run by Harvey Cushing. Heuer brought several prominent Hopkins-trained surgeons with him, including Mont Reid (1889–1943) and Burr Noland (Nick) Carter (1894–1980). Heuer met immediate resistance from the local surgeons, who stated that “the conversion of a ward of the general patients into private rooms for Professor Heuer was an immorality to the tax payer” and tried to turn it into an issue about “dividing fees,” which was against the policies of the American College of Surgeons.16 This problem was eventually resolved by building a new private pavilion named Holmes Hospital.

데이비드 W. 맥패든에 따르면, 호이어의 "Halstedian 레지던트 훈련 프로그램의 채택은 오늘날 모든 좋은 훈련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기초로 묘사되었다." 전공의보다 피라미드의 아래에 있는 여러 층의 house staff을 위해 지불할 충분한 돈이 없었기 때문에, 다른 곳에서 홉킨스 모델을 복제하는 것은 불가능했기 때문에 이것은 확실히 사실이다. 호이어가 1932년 뉴욕 병원과 코넬로 채용되었을 때, 그는 신시내티에서와 비슷한 어려움에 직면했다. 최근의 논문은 1930년대와 1950년대 사이에 할스테디안 외과 레지던트 모델이 "엘리트 의사들을 위한 흔치 않은 독특한 경험에서 모든 미국 외과 의사들을 위한 표준화된 의무 교육"으로 어떻게 진화했는지 설명한다.
According to David W. MacFadden, Heuer’s “adaption of the Halstedian residency training program has been described as the basis on which all good training programs exist today.”16 This is certainly true, because it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to duplicate the Hopkins model elsewhere as there would have been insufficient money to pay for multiple tiers of house staff at the base of the pyramid below the resident. When Heuer was recruited to New York Hospital and Cornell in 1932, he encountered difficulties similar to those at Cincinnati.19 A recent paper describes how the Halstedian surgical residency model further evolved “from an uncommon, idiosyncratic experience for elite practitioners to a standardized mandatory education for all American surgeons” between the 1930s and the 1950s.20

호이어에 의해 모집되었고 신시내티에서 그의 레지던트를 마친 또다른 홉킨스 출신의 보조 외과의사 닉 카터는 1952년 할스테드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놀라운 조사를 발표했다. 할스테드는 33년 동안 외과 레지던트를 맡았고 17명의 레지던트들과 55명의 보조 레지던트들을 임명했다. 카터는 이 훈련생들 중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최고의 학문적 외과의가 되었고 다음 세대의 학문적 외과의들을 훈련시켰는지를 요약한다.  이들은 할스테드의 광범위한 외과 제자들의 간부가 되었다. 두 번째 연구에서 카터는 또한 신시내티에서 25년 동안 외과 레지던트 프로그램이 운영된 후 높은 수준의 학업 성공을 발견했다. 교육생 중 약 3분의 2가 교수직을 맡아서 더 많은 제자를 배출했다. 할스테드의 많은 제자들의 자손들은 북아메리카의 거의 모든 레지던트 훈련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Another Hopkins-trained assistant surgeon who had been recruited by Heuer and who completed his residency in Cincinnati, Nick Carter, published a remarkable survey in 1952 on the centenary of Halsted’s birth. Halsted had directed his surgical residency for 33 years and appointed 17 residents and 55 assistant residents. Carter summarizes how many of these trainees became top academic surgeons and trained the next generation of academic surgeons. 21 These became Halsted’s extensive cadre of surgical disciples. In a second study, Carter also found a high level of academic success in Cincinnati after its surgery residency program had been in operation there for 25 years.22 Approximately two-thirds of its trainees held faculty positions, thus generating more disciples. Likely, the offspring of Halsted’s many disciples and their disciples have influenced almost all residency training programs in North America.

할스테드 중독의 결과
Consequences of Halsted’s addiction

할스테드의 중독이 그의 경력에 끼친 가장 분명한 영향은 "그는 과학 조사, 외과 레지던트 조직, 개선된 수술 기술의 개발, 그리고 외과적 문제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에 그의 삶을 바친 느리고 고된 외과의사가 되었다. 본질적으로, 그는 많은 수술의 수행보다는 사색과 성찰에 집중했습니다." 

The most obvious effect of Halsted’s addiction on his career was that “he became a slow, painstaking surgeon who devoted his life to scientific investigation, organization of a surgical residency, development of improved operative techniques, and intense study of surgical problems; in essence, he concentrated on contemplation and reflection rather than the performance of many operations.”23

하워드 마켈은 부정적인 결과에 주목한다.
Howard Markel notes negative consequences:

수술실에서 할스테드의 변덕스러운 행동 외에도, 그의 행방이 묘연할 때 자주 병원에 가지 않는 것에서부터, 병실을 걸을 때 가까운 동료들을 피하는 것까지 (아마도 그가 영향을 받고 있었고, 그가 인지할 수 있는 사람들에 의해 정밀하게 조사 받기를 원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그는 매일 오후 4시 30분에 집에 가서 저녁 식사 전에 90분 동안 서재에 틀어박혀, 더러운 린넨을 파리의 전용 세탁소에 보내는 그의 이상한 습관(깨끗한 셔츠보다 더 많은 것을 돌려보냈을지도 모른다)이 있었다. 그리고 가장 골치 아픈 것은 수술실에서 사용된 모르핀과 코카인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엔도르핀과 코카인을 목숨이 다할 때까지 계속 남용한 것 같다.
…in addition to Halsted’s erratic behaviour in the operating room, circumstantial evidence — ranging from his frequent absences from the hospital when his whereabouts were unknown to his avoidance of close colleagues when he was walking the wards (perhaps because he was under the influence and did not wish to be scrutinized by those who might recognize this), his going home daily at 4:30 p.m. and locking himself in his study for 90 minutes before dinner, his curious habit of sending his soiled linen to an exclusive laundry in Paris (which may have sent back more than clean shirts), and, most troubling, his easy access to morphine and to the cocaine that was used in the operating room... — suggests that he continued to abuse morphine and, I suspect, cocaine until the end of his life.24

실제로 할스테드는 1895년 ~ 6월에 5 ~ 6개월의 결석을 포함하여 다수의 설명되지 않은 결석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가 그를 돌아오게 하려는 신탁 위원회의 반복적인 시도를 무시하고 규율을 위하여 의료 위원회에 회부되었다. 1893년 이후 할스테드의 세 번째 전공의인 조지프 콜트 블러드굿(1867-1935)은 하비 쿠싱과 함께 보조 전공의로 지냈다. 이것은 본질적으로 그의 부재를 커버하는 올스타 팀이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블러드굿은 할스테드의 첫 조수로 일하면서 외과 의사로 승진했고, 하비 쿠싱은 레지던트로 승진했다. 폴 프리드먼이 정확하게 지적한 바와 같이: "만약 할스테드가 오늘날 의사를 하고 있었다면, 그는 아마도 그의 자리에서 즉결 해고되고 의사 개업 면허를 잃게 될 것입니다." 사실, 이 행동이 잘 알려졌더라면, 그때도 받아들여질 것 같지는 않다. 의심했을 법한 사람들은 그들의 의심을 추구하지 않았다. 오슬러와 웰치도 일단 알게 되더라도 그를 신고하지 않았다. 의심할 여지 없이, 그들은 이것을 정당화할 수 있었다. 당시에 중독에 대한 이해는 불완전했고, 할스테드는 안전하고 세계적인 수준의 외과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권력 차이를 고려할 때 엽기적인 행동을 관찰한 그의 훈련생들은 그를 자수할 처지가 아니었다. 게다가, 대부분은 그에게 신세를 졌다. Halsted의 중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canjsurg.ca/003319-a1의 부록 1을 참조하십시오.

In fact, Halsted had multiple unexplained absences, including a 5–6 month absence in 1895–6, when he ignored the Board of Trustees’ repeated attempts to get him to return and was referred to the medical board for discipline.23 Conveniently, Joseph Colt Bloodgood (1867–1935), Halsted’s third resident (since 1893),8 simply stayed on with Harvey Cushing as an assistant resident. This was essentially an all-star team covering his absence. Shortly after this, Bloodgood was promoted to associate in surgery, serving as Halsted’s first assistant, and Harvey Cushing was promoted to resident.8 As Paul Friedman correctly notes: “If Halsted were practising today, he would probably be summarily fired from his position and lose his license to practise medicine.”25 In fact, it is unlikely that this behaviour would have been accepted even then, had it been well known. Those who might have suspected did not pursue their suspicions. Even Osler and Welch did not turn him in once they knew; undoubtedly they could justify this, as addiction was poorly understood and Halsted was running a safe, world-class surgical service. Certainly, considering the power differential, his trainees who observed bizarre behaviours were not in a position to turn him in; furthermore, most were beholden to him. For additional details on Halsted’s addiction, see Appendix 1 at canjsurg.ca/003319-a1.

듀크 대학 외과 레지던트였던 전 할스테드 레지던트인 데릴 하트에 따르면, 할스테드 박사의 레지던트 시스템 개발에 그 어떤 사건보다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는 두 사건은 그의 유럽 경험이었는데, 특히 [처음 2년간의 연구 경험]과 [코카인에 대한 우연한 중독]이었다. 하트의 논평은 우리의 전제를 지지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는 이 진술의 후반부에 대해 확장하기로 선택하지 않았다.

According to Deryl Hart, a former Halsted resident who went on to start the Duke University surgical residency, “The two events that seem to have influenced Dr. Halsted more than any others in the development of his residency system were his European experiences, particularly the first two years of study, and his accidental addiction to cocaine.”26 While it appears that Hart’s comment supports our premise, he did not choose to expand on the latter part of this statement.

독일의 체제와 그것이 할스테드에 미치는 영향.
The German system and its influence on Halsted

유럽, 특히 독일은 19세기 후반 추가 의학 및 외과 수련의 메카였고, 유학 수단을 갖춘 새로운 의학 졸업생들이 몰려들었다. 의대를 졸업한 후, 할스테드는 1878년부터 1880년까지 유럽으로 가서 기초 과학, 주로 해부학과 외과학을 공부하였다. 뉴욕의 부유한 사업가의 아들로서, 그는 적어도 19명의 다른 유럽의 의학/외과 학자들과 함께 공부할 수 있는 수단을 가지고 있었다. 러트코우가 지적했듯이, 이것은 그가 "나중의 삶에 매우 중요한 지적, 문화적 절충주의"를 획득할 수 있게 해주었다. 외과 교육과 훈련에 대한 할스테드의 생각은 이 여행에 의해 깊은 영향을 받았다. 루트코프는 "할스테드는 많은 자료로부터 이끌어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1878년부터 1880년까지 유럽을 처음 방문했을 때의 집단적 교육 경험이었다"고 결론짓는다. 

Europe, particularly Germany, was the Mecca for additional medical and surgical training i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and new medical graduates with the means to study abroad flocked there. After graduating from medical school, Halsted went to Europe from 1878 to 1880 to study both basic sciences, primarily anatomy, and surgery. As the son of a well-to-do businessman in New York, he had the means to study with at least 19 different European medical/surgical scholars. As noted by Rutkow, this allowed him to acquire “an intellectual and cultural eclecticism so important to his work of later life.”27 Halsted’s ideas about surgical education and training were profoundly influenced by this trip. Rutkow concludes that “Halsted drew from many sources, but the most important was the collective educational experience of his first visit to Europe in 1878–1880.”27

Halsted가 홉킨스에서 만든 레지던트 훈련 프로그램은 독일 시스템을 명확하게 모델링했습니다. 특히 기초과학과 실기임상훈련의 통합, 전임교원의 존재감, 그리고 최고의 실력자만이 정상에 오를 수 있었던 선진화 경쟁력에 감탄했다. 러트코프에 따르면
Halsted clearly modelled his residency training program at Hopkins on the German system. In particular, he admired its integration of basic sciences and practical clinical training, the presence of full-time faculty, and the competitiveness for advancement, which allowed only the very best to rise to the top. According to Rutkow,

그러나 그의 외과 레지던스 시스템은 독일인의 접근 방식을 정확히 모방한 것이 아니라 근접한 절충안이었다. 그는 보다 명확하게 정의된 조직과 직무 분담을 주장했다. 전공의가 마음대로 결정할 수 있는 수술 재료가 더 많았고, 실제 임상문제와의 친밀한 접촉이 많았으며, 순수 기초과학에 대한 집착이 적었으며, 교수자보다는 전공의에게 책임과 권위가 집중되어 있었다. 
His surgical residency system, though, was not an exact duplicate of the German approach, but instead a close compromise. He insisted on a more clearly defined pattern of organization and division of duties. There was a larger volume of operative material at the disposal of the residents, a more intimate contact with practical clinical problems, less preoccupation with pure basic sciences and a concentration of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in the resident rather than the teacher.27

이 모든 차이는 그의 주위에 높은 수준의 질서를 유지하려고 노력하는 고기능 중독자에게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사람들은 그가 중독된 동안 기능했던 방법 중 하나는 직장에서나 집에서나 고도로 질서 있는 생활방식을 유지하는 것이었다고 언급했다. 고도로 숙련되고 동기부여가 된 전공의들에게 많은 수술과 임상 문제의 해결을 맡기고, 그의 전공의들에게 더 많은 책임을 부여한 것은 분명히 전공의 교육을 촉진시켰지만, 이러한 경향은 또한 Halsted가 낮은 일일 업무량을 유지하여 많은 시간을 사색에 보낼 수 있도록 해주었기 때문에 이기적인 것이었다. 심지어 그의 전체 작전의 성공에 결정적인 주민 선발과 승진은 때때로 할스테드보다 할스테드의 노동력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낸 상급 전공의에게 위임되었고, 따라서 이러한 중요한 결정을 내리기에 더 좋은 위치에 있었다.

All of these differences might be predictable for a high-functioning addict striving to maintain a high degree of order around him. Others have noted that one of the ways he functioned while addicted was by maintaining a highly ordered lifestyle, both at work and at home.6,24 Leaving much of the operative work and resolution of clinical problems to his highly skilled and motivated cadre of residents and giving his residents increased responsibility clearly promoted resident education, but these tendencies were also self-serving as delegation of these responsibilities allowed Halsted to maintain a lower day-to-day profile and spend much of his time in contemplation. Even selection and promotion of residents, which was critical to the success of his whole operation, was sometimes delegated to the senior resident, who spent more time with Halsted’s workforce than Halsted did and, thus, was in a better position to make these important decisions.

Halsted의 레지던트 프로그램 프로그램은 Hopkins의 다른 프로그램들과 어떻게 비교되었습니까?
How did Halsted’s residency progrgam compare with others at Hopkins?


3개의 다른 현대 홉킨스 레지던트 프로그램과 직접 비교함으로써 할스테드의 외과 레지던트 프로그램 설계에 그의 중독을 숨길 필요가 있었다는 설득력 있는 사례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앞서 언급했듯이, 오슬러는 최초의 현대적 전공의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직후에, Halsted, Howard A. 켈리(1958-1943)와 웰치는 각각 외과, 산부인과, 병리학과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10 초기 홉킨스의 모든 전공의 프로그램은 적어도 독일 모델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 생각된다. 사실 홉킨스 의과대학의 전반적인 교육 프로그램도 마찬가지였다. 모든 임상 분야가 인턴십을 했지만, 이 다른 3명의 홉킨스 창립 교수들 중 누구도 엄격한 피라미드 레지던트 모델을 개발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그들이 제공한 교육은 더 개인적이고 실제적이었다. 오슬러는 홉킨스에서 15년 동안 5명의 전공의를 훈련시켰다. 몇몇 보조 전공의들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그들에 대해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 오슬러의 5명의 레지던트들은 병원에서 "house officers"로 생활하면서 오슬러의 생활 욕구를 충족시켜주었고, 오슬러가 여행을 할 수 있게 해주었다. 오슬러의 전공의들은 그의 집에 자주 손님이었고, 그들 중 몇 명은 그가 없을 때 그의 도서관에 있는 책을 접할 수 있도록 그의 집 열쇠를 가지고 있었다.28 이것은 할스테드가 전공의들과의 먼 관계를 유지하고, 비밀스러운 생활 방식을 영유한 것과 극명한 대조를 이루었다. 켈리는 현대 부인과 레지던트 훈련의 아버지로 여겨지지만, 그 구조에 대해서는 거의 기록되어 있지 않다. 컬렌(1868-1953)은 1896년에 레지던트를 시작했고 1897년에 하급 직원으로 고용되었다. 웰치의 병리학 레지던시는 피라미드가 아니었다.31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각 멘토들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부분적으로 설계되었을 가능성이 높았지만, Halsted의 프로그램의 높은 수준의 중복성을 가지고 있거나 매일의 조사로부터 교수를 보호하는 방식으로 설계된 것은 없었다.

A direct comparison with the 3 other contemporary Hopkins residency programs helps build a compelling case that a need to hide his addiction played a role in the design of Halsted’s surgical residency program. As noted earlier, Osler developed the first modern residency training program; shortly after this, Halsted, Howard A. Kelly (1958–1943) and Welch developed programs in surgery, gynecology and pathology, respectively. 10 All early Hopkins’ residencies are thought to be at least loosely based on German models; in fact, the overall educational program at Hopkins Medical School was as well. While all clinical disciplines had internships, none of these other 3 founding Hopkins professors appear to have developed a rigidly pyramidal residency model and, therefore, the training they offered was more personal and hands-on. Osler trained 5 residents during his 15 years at Hopkins; their tenures ranged from 15 months to 7 years. While there were likely some assistant residents, little is known about them. The lengthy tenure of Osler’s 5 residents, who as “house officers” lived in the hospital, met Osler’s lifestyle needs and allowed him to travel. Osler’s residents were frequently guests at his house, and several of them had keys to his house so that they could access books in his library when he was away.28 This was in stark contrast with Halsted’s distant relationship with his residents and his secretive lifestyle. While Kelly is considered to be the father of modern gynecology residency training,29 little has been written about its structure; however, it was clearly not a rigid pyramid, since it is known that Thomas S. Cullen (1868–1953) began his residency in 1896 and was hired into a junior staff position in 1897.30 Welch’s pathology residency was not a pyramid.31 While each of these programs was likely designed in part to meet the needs of each mentor, none had the high level of redundancy of Halsted’s program or were designed in such a way as to protect its professor from day-to-day scrutiny.


특히 임상적 수입을 얻을 수 있는 다른 두 명의 임상의인 오슬러와 켈리는 GFT 보수 제도에 강하게 반대했다. 사실 켈리는 이 문제로 홉킨스를 사임하고 볼티모어 병원으로 진료소를 옮겼으며 개인 진료도 허용했다. 오슬러는 거의 10년 전에 옥스포드로 이사했지만, 그는 GFT 시스템이 발표되었을 때 홉킨스의 구현에 반대했다. 반면에 할스테드는 GFT를 받아들였고, 그는 독립적으로 부유했고, 그것은 그의 residency을 보조했다. 오슬러와 켈리 둘 다 trainee들은 참여시키지 않으며 운영한, 수익성 높는 개인 진료실이 있었다.

Notably, the 2 other clinicians capable of earning clinical incomes, Osler and Kelly, were strongly opposed to the GFT remuneration system. In fact, Kelly resigned from Hopkins over this issue, moving his practice to Baltimore hospitals allowing fee-for-service private practice.29 Although Osler had moved to Oxford almost 10 years earlier, he vocally opposed the implementation of the GFT system at Hopkins when it was announced.32,33 Halsted, on the other hand, embraced it, as he was independently wealthy and it subsidized his residency. Both Osler and Kelly had lucrative private practices that they managed without involving trainees.

결론
Conclusion

외과 레지던트 모델은 19세기에 Halsted와 함께 시작되었다. 그것은 부분적으로 독일 모델을 기반으로 했지만, Halsted의 프로그램의 많은 측면들은 그가 그의 중독을 숨기는 것을 돕고, 동시에 그의 환자들을 위한 치료를 최적화하기 위해 신중하게 설계되었다. 중요한 요소는 Halsted에게 충분한 사색 시간을 제공하는 것이었는데, 이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른 현대 홉킨스 레지던트 프로그램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요소였다.

The surgical residency model originated with Halsted in the 19th century; it was partially based on a German model, but many aspects of Halsted’s program were carefully designed to help him hide his addiction and simultaneously optimize care for his patients. A critical element was providing Halsted with ample time for contemplation, which was possible only because of the extreme delegation of clinical and educational work to his trainees, which as noted above, was a unique element not seen in the other contemporary Hopkins residency programs.

Halsted의 모델은 Hoeer에 의해 홉킨스 환경 밖에서 작동하도록 수정되었으며, 이 모델은 본질적으로 북미 표준이 되었다. 현재의 북미 시스템에서 전공의의 진급은 예측 가능하고 "사각형"인 반면, 일부 [피라미드형] 프로그램은 20세기 전반의 4분의 3 동안 지속되었다. 마지막으로, Halsted의 레지던트 개념의 탁월함은 20세기 전반의 외과적 리더십이 되었을 때 그의 초기 레지던트들에 의해 처음부터 인정받았다는affirmed 점에 주목해야 한다. 게다가, 그의 가장 큰 업적은 그의 레지던트 프로그램이라는 것에 동의함으로써, 그의 초기 전공의들은 각각 12-14년 동안 훈련(대부분 무료로 일함)에 투자했고, 동시에 그의 가장 큰 업적 중 하나라는 지위를 스스로에게 주었다. 이것은 어떤 면에서는 이기적이지만, 여러 면에서는 정말로 그랬다.
Halsted’s model was modified by Heuer to work outside of the Hopkins environment, and this model essentially became the North American standard. While resident advancement in the current North American system is predictable and “square-shaped,” some pyramidal programs persisted for the first three-quarters of the 20th century. Finall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brilliance of Halsted’s residency concept was initially affirmed by his former residents, when they became the surgical leadership of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17 Furthermore, by agreeing that his greatest accomplishment was his residency program, his former residents, who had each invested 12–14 years in training (much of it working for free),34 simultaneously conferred upon themselves the status being one of his greatest accomplishments. While in some ways this is self-serving, in many ways, they really were.5

외과 레지던스가 급진적이고 극적인 변화를 겪고 있는 지금, 우리는 외과 레지던시 프로그램의 역사와 이러한 프로그램을 형성한 영향을 반성해야 한다. 우리의 분석은 Halsted의 중독을 중요한 요소로 식별하고 강조합니다. 우리는 할스테드를 비난하지는 않지만, 할스테드 외과 레지던트의 구조에 대한 동기를 면밀히 분석하고 비판한다면 그의 중독이 주요 영향요인이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At a time when surgical residencies are undergoing radical and dramatic changes, we should reflect on the history of surgical residency programs and the influencing factors that shaped these programs. Our analysis identifies and highlights Halsted’s addiction as an important factor. While we are not condemning Halsted, we are suggesting that if one carefully analyzes and critiques the motivation for the structure of the Halsted surgical residency, his addiction was a major influencing factor.


Can J Surg. 2020 Jan 16;63(1):E13-E19. doi: 10.1503/cjs.003319.

Necessity is the mother of invention: William Stewart Halsted’s addiction and its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residency training in North America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From the Departments of Pathology & Laboratory Medicine, Paediatrics, and Surgery, University of Calgary Cumming School of Medicine, Calgary, Alta. (Wright, Schachar).

PMID: 31944636

PMCID: PMC7828946

DOI: 10.1503/cjs.003319

Free PMC article

Abstract

William Stewart Halsted developed a novel residency training program at Johns Hopkins Hospital that, with some modifications, became the model for surgical and medical residency training in North America. While performing anesthesia research early in his career, Halsted became addicted to cocaine and morphine. This paper dissects how his innovative multi-tier residency program helped him hide his addiction while simultaneously providing outstanding patient care and academic training.

협력적 스킬 학습에 그룹 크기가 중요한가? 무작위대조군 연구(Med Educ, 2021)
Does group size matter during collaborative skills learning? A randomised study
Laerke Marijke Noerholk1 | Anne Mette Morcke2 | Kulamakan Kulasegaram3 | Lone N. Nørgaard4 | Lotte Harmsen4 | Lisbeth Anita Andreasen1,5 | Nina Gros Pedersen6 | Vilma Johnsson4 | Anishan Vamadevan1 | Martin Grønnebæk Tolsgaard1,4,7 

 

 

1 소개
1 INTRODUCTION

세계적으로, 의과대학들은 더 많은 수의 의대생들을 입학시키고 학급 규모를 늘림으로써 더 많은 의사들의 필요성에 대응하고 있다. 불행히도, 이러한 입학생 증가는 임상 훈련에 사용할 수 있는 한정된 자원을 고려할 때 학생들의 학습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교육자들은 특히 임상 기술을 배우기 위해 [기존의 일대일 견습생 모델]보다 교수 자원에 덜 의존하는 더 [비용 효율적인 교육 훈련 방법]을 요구해 왔다. 현재, 일선 연구는 학부 의료 교육에서 기술의 협업 학습 역할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다. 
Globally, medical schools are responding to the need for more doctors by admitting a greater number of medical students and increasing class sizes. Unfortunately, this increased intake may have detrimental effects on students' learning given the finite resources available for clinical training.1-3 As a result, educators have called for more cost-effective methods of training and instructional methods that rely less on faculty resources than the traditional one-to-one apprenticeship model, in particular for learning clinical skills. Currently, frontline research proposes an increased focus on the role of collaborative learning of skill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4-6

[협력적 학습]은 '문제를 해결하거나 과제를 완료하거나 제품을 만들기 위해 협력하는 학습자 그룹'으로 정의됩니다. 최근의 연구는 시뮬레이션된 환경에서 [개별 학습]과 비교하여 [Dyad 학습(즉, 쌍으로 학습)의 형태로 하는 협력적 기술 학습]이 기술 보유를 개선하고 열등하지 않은 기술이 임상 작업 공간으로 전이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Dyad 학습은 유사하거나 더 나은 교육 결과를 생성하는 반면, 교육 자원의 절반만 요구하기 때문에 개별 학습보다 더 비용 효율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협력 학습의 긍정적인 효과는 [동료 관찰, 지식의 인지 공동 구성, 감소된 인지 부하, 사회적 상호 의존성 및 사회적 비교]와 같은 메커니즘을 통해 매개될 수 있다. 함께 일하는 학생들은 자기 효과성, 동기부여를 증가시키고 새로운 정보를 처리할 때 메타인지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이익을 얻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절차적 학습에 대한 우려는 협업 기술 학습과 관련된 [연습 시간 단축]이, 특히 [협력자의 수가 증가]할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습자의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임상 기술 훈련 중 장시간 실습 시간의 중요성은 이동 자동화를 달성하는 데 필수적이며, 이는 이전 테스트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다시 한번 입증되었다. 기술 훈련 중 협력자의 수가 학습자당 사용 가능한 실습 시간의 양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학습 전이도 똑같이 손상될 수 있다.
Collaborative learning is defined as ‘groups of learners working together to solve a problem, complete a task or create a product’.7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collaborative skills learning in the form of dyad learning (i.e. learning in pairs) compared with individual learning in a simulated setting leads to improved skills retention4, 8 and non-inferior skills transfer to the clinical workspace.9 In addition, dyad learning is thought to be more cost-effective than individual learning because it only requires half the instructional resources, while producing similar or better educational outcomes.10, 11 The positive effects of collaborative learning may be mediated through mechanisms such as peer observation,8 cognitive co-construction of knowledge,12 reduced cognitive load,5 social interdependence13 and social comparison.14 Students working together collaboratively are thought to benefit in terms of increased self-efficacy, motivation and by improving their metacognitive skills when processing new information.15, 16 Yet, concerns regarding procedural learning have been raised that the reduced hands-on time associated with collaborative skills learning may affect learners' learning negatively over time, in particular if the number of collaborators increase.15, 17 The importance of extended periods of hands-on time during clinical skills training is essential for achieving movement automaticity, which again has been shown to result in improved transfer test performances.18 As the number of collaborators during skills training will affect the amount of hands-on time available per learner, transfer of learning may be equally impaired.

협업 학습을 이해하기 위해 많은 다양한 이론이 제안되었지만, 이러한 설명 프레임워크에 대한 경험적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의학 교육 문헌에는 관찰 데이터가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 협업 학습 중 학습 활동을 이해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한 가지 이론적 프레임워크는 ICAP 프레임워크이다. 이 프레임워크는 학습자가 학습하는 동안 서로 다른 인지 참여 모드를 반영하기 위한 명백한 행동을 기반으로 한다.12 네 가지 행동 모드는 수동적(P), 능동적(A), 건설적(C), 대화형(I)으로 설명되며, 각 모드는 학습 활동의 다른 예와 연관된다. ICAP 프레임워크는 학습 활동의 계층적 분포를 설명하는데, 여기서 [대화형 활동]이 [구성적 활동]보다 우수하고, 이는 [능동적 활동]보다 우수하며, 마지막으로 [수동적 활동]이 순서로 생각됩니다(I > C > A > P) 이와 같이, 협업 기술 학습에 대한 잠재적으로 반대되는 두 가지 가설이 기존 문헌에서 표현되었다.
Although many different theories have been proposed to understand collaborative learning, little observational data have been reported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to provide empirical support for these explanatory frameworks. One theoretical framework that can be used to understand learning activities during collaborative learning is the ICAP framework.12, 16 This framework is based on learners' overt behaviours to reflect different modes of cognitive engagement while learning.12 The four behavioural modes are described as passive (P), active (A), constructive (C) and interactive (I), and each mode is associated with different examples of learning activities. The ICAP framework describes a hierarchical distribution of learning activities, where interactive activities are thought to be superior to constructive activities, which are superior to active activities, that again are superior to passive activities (I > C > A > P). As such, two potentially opposing hypotheses for collaborative skills learning have been express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 [초기 실습] 중 공동 학습은 학생들의 다양한 수준의 공개 학습 활동으로 이어진다. 인지적 참여의 수준이 높을수록 학습 성과는 더 좋아진다.
  • 실습 중 [연습 시간을 줄이는 것]은 기술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1. Collaborative learning during initial practice leads to different levels of overt learning activities in students. The higher level of cognitive engagement, the better learning outcomes.
  2. Decreasing the amount of hands-on time during practice has a negative effect on skills learning.

그러나 협력자의 수가 공개 학습 활동 또는 기술 학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경험적 증거는 제한적이다. 이 연구는 그룹 크기가 기술 훈련 중 ICAP 활동과 후속 기술 이전에서 그룹 크기가 조정자 및/또는 학습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는지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우리의 연구의 맥락은 시뮬레이션 기반 초음파 훈련으로, 여러 임상 전문 분야에서 점점 더 관련성이 높아지고 있는 복잡한 절차 및 진단 기술을 나타낸다.

Yet, there is limited empirical evidence on how the number of collaborators may affect overt learning activities or skills learning.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mpact of group size on ICAP activities during skills training and on subsequent transfer of skills to investigate whether increasing group size would serve as a mediator and/or a barrier to learning. The context of our study was simulation-based ultrasound training, representing a complex procedural and diagnostic skill that is becoming increasingly relevant in several clinical specialties.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초음파 초보자 그룹에서 훈련 중 학습 활동과 관련하여 시뮬레이션 기반 초음파 훈련의 효과는 다이오드, 트라이아드 또는 테트라드(tetrad)에서 각각 무엇인가? 그룹 크기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통찰력을 얻는 것은 협업 기술 학습을 이해하는 데 사용되는 기존 이론에 대한 경험적 지원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그룹 규모가 스킬 학습 및 전송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것은 향후 저렴한 고부가가치 스킬 교육을 제공하는 방법에 중요하다.

The research question was: In a group of ultrasound novices, what are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ultrasound training individually, in dyads, triads or tetrads with respect to learning activities during training and on subsequent skills transfer? Gaining insight into the impact of group size on learning may help provide empirical support for existing theories that are used to understand collaborative skills learning. Moreover, exploring the impact of increasing group size on skills learning and transfer is important to how we deliver low-cost high-value skills training in the future.

2 방법
2 METHODS

2.1 설정
2.1 Setting

이것은 전-후-전이 테스트 설정을 사용한 무작위 통제 시험이었다. 연구는 2019년 12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덴마크 코펜하겐 의학 교육 시뮬레이션 아카데미(CAMES)에서 수행되었으며 CONSORT 성명에 따라 보고되었다. 덴마크 수도 지역의 지역윤리위원회는 이 연구를 검토에서 면제했다. 의정서 번호: H-19063724. 

This was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using a pre-post-transfer-test set-up. The study was conducted between December 2019 and October 2020 at Copenhagen Academy for Medical Education and Simulation (CAMES), Denmark and was reported according to the CONSORT statement. The Regional Ethics Committee of the Capital Region of Denmark exempted the study from review, Protocol no: H-19063724. The study was registered at clinicaltrials.gov (NCT04167397). 

2.2 참가자
2.2 Participants

참가자들은 코펜하겐 대학의 의대 학생들이었다. 그들은 페이스북의 학생 모집 광고를 통해 모집되었다. 포함 기준은 덴마크어 숙련도와 일반 해부학 시험 합격이었다. 제외 기준은 이전의 초음파 경험과 산부인과/GYN 부서의 임상 경험이었다.
The participants were medical students from the University of Copenhagen. They were recruited via advertising on student fora on Facebook. The inclusion criteria were proficiency in Danish and a passed general anatomy exam. Exclusion criteria were prior ultrasound experience and any clinical experience from an OB/GYN department.

2.3 무작위화
2.3 Randomisation

참가자들은 1:1:1:1의 할당 비율로 개별, 다이아드, 트라이아드 또는 테트라드 훈련에 블록 랜덤화 되었다. 무작위화는 온라인에서 생성된 무작위 순열 블록을 사용하여 우리 기관의 독립 연구자에 의해 수행되었다. 코로나 19 봉쇄로 인해 일부 참가자들의 훈련은 취소되었다. 연구는 5개월 동안 중단되었고, 2020년 8월에 데이터 수집이 다시 시작되었다.

Participants were block randomised to individual, dyad, triad or tetrad training in a 1:1:1:1 allocation ratio. Randomisation was performed by an independent researcher from our institution using random permuted blocks generated online. Due to the COVID-19 lockdown, some participants' training sessions were cancelled. The study was paused for 5 months, and data collection started again in August 2020.

2.4 장비
2.4 Equipment

사전 및 사후 테스트는 복부 횡단 스캔 트레이너(영국 카디프, Medaphor, Ltd, Cardiff)를 사용하여 완료했습니다. 이 시뮬레이터에는 realistic force feedback을 제공하는 촉각 장치가 있습니다. 훈련 기간 동안, 참가자들은 임신 20-27주 동안 태아의 성장을 평가하는 연습을 했다. 교육 프로그램은 이전에 확립된 타당성 증거와 함께 내장된 자동 평가를 포함하는 9개의 모듈로 구성되었다.19 참가자들은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비디오 교육을 통해 시뮬레이터와 과제를 소개받았으며 교육 중에는 더 이상의 지침instruction를 받지 않았다. 시뮬레이터는 각 모듈의 완료 후 이분법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며,(예: '태아 복부를 정확하게 확대했음')  참가자는 이를 읽고 토론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시뮬레이터에 대한 강사의 기술 지원이 제공되었습니다.
Pre- and post-tests were completed using the transabdominal ScanTrainer (Medaphor, Ltd, Cardiff, UK). This simulator has a haptic device that provides realistic force feedback. During the training, participants practised the assessment of fetal growth during gestational ages 20–27 weeks. The training programme consisted of nine modules containing built-in automated assessments with previously established validity evidence.19 The participants were introduced to the simulator and the tasks via video instruction to ensure consistency and received no further instruction during training. The simulator provides dichotomous feedback after the completion of each module (for example, ‘fetal abdomen correctly magnified’), which the participants were allowed to read and discuss. Technical assistance from the instructor regarding the simulator was provided if needed.

[전이 테스트]는 US/S Mentor 시뮬레이터(3D 시스템 의료, 미국 리틀턴)에서 수행되었습니다. 전송 테스트 시뮬레이터는 초음파 영상의 품질, 탐침을 다루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리고 마지막으로 초음파 스캔을 약간 더 어렵게 만들고자 태아를 고정이 아니라 움직이게 재현함으로써 훈련 시뮬레이터와 다르다. 시뮬레이터는 최적의 스캔 평면 또는 도움말 모듈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지 않았습니다.

The transfer test was performed on the U/S Mentor simulator (3D systems health care, Littleton, USA). The transfer test simulator differs from the training simulator in terms of the quality of ultrasound images, the user interface for handling the probe and finally by reproducing a moving rather than a fixed fetus making the ultrasound scan slightly more difficult. The simulator provided no guidance regarding optimal scanning planes or help modules.

2.5 개입
2.5 Interventions

연구 설계는 그림 1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The study design is illustrated in Figure 1.




참가자들은 단일 훈련, 다이드 훈련, 트라이어드 훈련 또는 테트라드 훈련으로 무작위화되었다. 이들은 모두 개별 사전 테스트를 완료한 후 2시간 동안 서로 다른 그룹 크기로 교육을 받은 후, 스캔 트레이너에서 개별 사후 테스트를 수행했습니다. 7-10일 후, 그들은 U/S Mentor 시뮬레이터에서 개별 전송 테스트를 완료했습니다.

  • 사전 테스트: 참가자들은 두 번째 임신 3개월 경복부 초음파 및 태아 생체측정 측정(10분)에 대한 비디오 소개와 시뮬레이터에 대한 비디오 소개(15분)를 받았다. 그 후, 그들은 양두정경(BPD), 후두전두경(OFD), 전후복부경(APAD), 복부경(TAD), 대퇴골길이(FL)의 측정을 포함한 개별 사전 테스트를 완료했다.
  • 교육: 그런 다음 참가자들은 각각 다이오드, 트라이아드 또는 테트라드에서 태아 생체 인식 평가를 연습했다. 그들은 그룹의 크기에 상관없이 2시간의 정해진 시간 안에 훈련했다. 단체로 활동하는 참가자들에게는 단체로 훈련할 때 교대로 과제를 완료하고, 한 번에 한 명만 적극적으로 초음파 탐침을 다루도록 지도했다. 다른 참가자들은 이미지 동결, 측정값 획득, 제안, 질문 및 발견에 대해 논의할 수 있도록 허용되었습니다. 전체 교육 세션은 ICAP 프레임워크에 따라 학습 활동의 후속 코딩을 위해 비디오로 녹화되었다.
  • 테스트 후: 2시간의 교육 세션을 마친 직후, 참가자들은 그들이 훈련한 것과 동일한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사전 테스트와 동일한 개별 사후 테스트를 받았다.
  • 전이 테스트: 다음 7-10일 이내에 참가자들은 다른 시뮬레이터인 U/S Mentor 시뮬레이터(Sylel Ltd, Symbionix Ltd)에서 개별 전달 테스트를 수행하여 산부인과 2기 스캐닝 모듈에서 BPD, OFD, APAD, TAD 및 FL의 측정값을 얻었다. 그들은 두 가지 경우에 대해 측정을 수행했는데, 이 경우 태아는 스캔 중에 움직였고 다른 위치에 위치했다(뇌막 제시/브리치 제시). 참가자들은 각 사례를 완료하는 데 최대 15분이 주어졌습니다. 사후 테스트와 이전 테스트 사이의 시간 간격은 참가자 감소를 최소화하면서 유지뿐만 아니라 이전을 평가하기 위해 선택되었다.

The participants were randomised to either single, dyad, triad or tetrad training. They all completed an individual pre-test, then trained in different group sizes for 2 hours and subsequently performed an individual post-test on the Scantrainer. After 7–10 days, they completed an individual transfer test on the U/S Mentor simulator.

  • Pre-test: The participants received a video introduction to second trimester transabdominal ultrasound and fetal biometry measurements (10 minutes) and then a video introduction to the simulator (15 minutes). Subsequently, they completed an individual pre-test including measurements of biparietal diameter (BPD), occipito-frontal diameter (OFD), anterior–posterior abdominal diameter (APAD), transabdominal diameter (TAD) and femur length (FL).
  • Training: The participants then practised the assessment of fetal biometries individually, in dyads, triads or tetrads, respectively. They trained in a fixed time frame of 2 hours, regardless of group size. The participants working in groups were instructed that they should take turns completing the assignments when training in groups, and only one person should actively handle the ultrasound probe at a time. The other participants were allowed to help with freezing images, obtaining measurements, provide suggestions, ask questions and discuss findings. The entire training session was video recorded for subsequent coding of the learn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ICAP framework.
  • Post-test: Immediately after completing the 2-hour training session, the participants underwent an individual post-test identical to the pre-test using the same simulator as they trained on.
  • Transfer test: Within the next 7–10 days, the participants performed an individual transfer test on a different simulator, the U/S Mentor simulator (Symbionix Ltd, Israel), obtaining measurements of BPD, OFD, APAD, TAD and FL in an obstetric second trimester scanning module. They performed measurements on two cases, in which the fetus was moving during the scan as well as situated in different positions (cephalic presentation/breech presentation). The participants had a maximum of 15 minutes to complete each case. The time interval between post-test and transfer test was chosen to evaluate transfer as well as retention, while at the same time keeping participant attrition at a minimum.

2.6 결과
2.6 Outcomes

1차 결과는 전이 테스트 동안의 성과 점수였다. 2차 결과에는 시험 전/후의 수행평가 점수, ICAP 분포 및 그룹별 실습 시간이 포함되었다.
The primary outcome was performance scores during the transfer test. The secondary outcomes included performance scores on the pre- and post-test, ICAP distribution and hands-on time across groups.

2.7 성과 점수
2.7 Performance scores

모든 테스트 수행은 초음파 영상, 시뮬레이터 및 프로브 움직임이 시각화된 시뮬레이터에 직접 비디오로 녹화되었다. 두 명의 눈가림된 태아 의학 전문가는 각 성과를 초음파 기술의 객관적 구조 평가(OSAUS) 척도 및 전역 평가 척도(GRS)로 평가했습니다(부록 S1 참조). OSAUS 점수의 사용 및 해석에 대한 타당성 증거는 내용 증거, 대응 프로세스, 내부 구조, 다른 변수와의 관계 및 결과를 포함한 여러 이전 연구에서 수집 및 입증되었다. OSAUS 계측기에는 5포인트 리커트 척도로 평가되는 7개의 항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와 마지막 항목은 적절한 경우에만 평가되어야 하며, 우리의 연구는 시뮬레이션된 환경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전 용도와 일치하는 항목 3-5개만 분석에 포함되었다. 또한 전문가들은 전체 GRS 점수를 5점 리커트 척도로 평가했습니다. GRS는 전문가 평가를 기반으로 하며 다양한 기술적 성과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두 이송 사례의 평균은 1차 결과 측정치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All test performances were video recorded directly on the simulators, where the ultrasound image, the simulator and the probe movements were visualised. Two blinded fetal medicine experts rated each performance on the Objective Structured Assessment of Ultrasound Skills (OSAUS) scale20 and a Global Rating Scale (GRS) (see Appendix S1). Validity evidence for the use and interpretation of OSAUS scores have been collected and demonstrated in several previous studies, including content evidence,21 response process, internal structure, relation to other variables and consequences.20, 22, 23 The OSAUS instrument includes seven items, which are evaluated on 5-point Likert scales. The first and last items should only be rated when appropriate,20 and because our study took place in the simulated setting, only items 3–5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consistent with previous uses.24-26 Additionally, the experts also rated an overall GRS score on a 5-point Likert scale. The GRS is based on an expert evaluation and has been used to evaluate various technical performances.27, 28 The mean of both transfer cases was used to create the primary outcome measures.

2.8 평가자 교육
2.8 Rater training


모든 수행평가는 두 명의 눈가림된 평가자에 의해 평가되었다. 전이 시험에서 2명의 평가자와 2명의 사례를 사용하는 것은 태아 생체측정 검사를 평가하기 위해 OSAUS 척도를 사용할 때 높은 평가자 간 신뢰성(등급 내 상관 계수 [ICC] = 0.89)을 입증한 이전 연구에 기초하여 선택되었다.
All performances were rated by two blinded raters. The use of two assessors and two cases on the transfer test was chosen based on a previous study demonstrating high inter-rater reliability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 0.89) when using the OSAUS scale to assess fetal biometry examinations.20

우리는 태아의학 컨설턴트(LNN, LH)이거나 태아의학 박사(NGP 및 LAA)를 받은 총 4명의 평가자를 포함했다. 모든 평가자들은 매일 산부인과 초음파를 다루는 임상의로서 활동적이었다. 평가 전에 모든 평가자들은 시뮬레이터와 학생들이 완료해야 하는 과제를 모두 시도했다. 4명의 평가자들은 처음에 7개의 비디오(분석에 포함되지 않은 파일럿 비디오)를 개별적으로 평가했고, 2명씩 그룹을 지어 만나 평점의 불일치를 논의했고, 비디오의 선택된 부분을 함께 시청했다. 그 후 비디오는 4개의 그룹(A, B, C, D, 각 그룹의 24/25 참가자의 비디오)으로 나뉘었다. 모든 참가자는 평가자 2명이 평가한 영상 4개, 사전 테스트 1개, 사후 테스트 1개, 이전 테스트 2개를 받았다.
We included a total of four raters, who were either fetal medicine consultants (LNN, LH) or had PhDs in fetal medicine (NGP and LAA). All raters were active as clinicians working with obstetric ultrasound on a daily basis. Prior to rating, all raters tried both of the simulators and the assignments the students had to complete. The four raters initially rated seven videos individually (pilot videos, not included in the analysis) and met in groups of two to discuss any inconsistencies in their ratings and watched selected sections of the videos together. The videos were then divided into four groups (A, B, C and D, 24/25 participants' videos in each group). All participants had four videos evaluated by two raters, one pre-test, one post-test and two transfer tests.

2.9 ICAP 등급
2.9 ICAP rating

LMN은 Chi와 Willie의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훈련 중 참가자들의 ICAP 활동]을 평가했다.12 ICAP 코딩 체계가 우리의 로컬 환경에 맞게 조정되었다. 예를 들어, '시뮬레이터 프로브 취급'을 능동적 행동의 예로 포함시킴으로써. 다양한 참여 모드를 숫자 버전으로 변환했습니다. 0 = 학습 활동 없음, 1 = 수동적, 2 = 능동적, 3 = 건설적, 4 = 대화적. 부호화 방식의 내용은 MGT, KK, LMN 간에 논의 및 개정되었으며, 최종 버전은 부록 S2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개별 참가자별로 [체험 시간]을 별도로 등록했습니다. ICAP 등급은 연구 저자 중 두 명(LMN 및 MGT)에 의해 공동 평가되는 파일럿이 수행되었다. 평가자 간 합의는 한 평가자가 모든 평가를 완료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높았다. 모든 훈련 세션은 분 단위로 평가되며(참가자당 총 120회의 기간) 각 기간 동안 표시된 최고 수준의 ICAP 활동에 따라 점수가 매겨졌다.

LMN assessed participants' ICAP activities during training based on Chi and Wylie's framework.12 The ICAP coding scheme was adjusted to our local setting, e.g. by including ‘handling the simulator probe’ as an example of an active behaviour. We translated the different engagement modes into a numeric version with 0 = No learning activity, 1 = passive, 2 = active, 3 = constructive and 4 = interactive. The content of the coding scheme was discussed and revised between MGT, KK and LMN, and the final version can be seen in Appendix S2. Additionally, hands-on time was registered separately for each individual participant. A pilot was conducted, in which ICAP ratings were co-rated by two of the study authors (LMN and MGT). The inter-rater agreement was sufficiently high to allow one rater to complete all assessments. All training sessions then were rated minute by minute (a total of 120 time periods per participant) and scored corresponding to highest level ICAP activity displayed for each time period.

medu14791-sup-0002-appendix b_icap coding scheme_updated.pdf
0.15MB

2.10 통계적 분석
2.10 Statistical analyses

우리는 그룹 간의 Cohen d 1.0에 해당하는 크고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탐지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했다. 90%의 검정력과 0.05의 α 값을 사용하여, 이는 각 연구 그룹의 22명의 참가자에 해당했다. 우리는 감소를 설명하기 위해 각 학습 부문에 25명의 학생을 포함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
We powered our study to detect large and educationally meaningful differences corresponding to a Cohen's d of 1.0 between groups. Using a power of 90% and an α value of 0.05, this corresponded to 22 participants in each study group. We aimed to include 25 students in each study arm to account for attrition.

두 평가자의 점수 평균은 사전 테스트와 사후 테스트의 OSAUS 및 GRS 점수에 대해 계산되었다. 두 사례의 평균 전이 시험 점수가 계산되었다. 모든 점수는 최대 점수의 백분율로 계산되었습니다(최대 GRS 점수 = 5, 최대 OSAUS 점수 = 15).
The means of the two raters' scores were calculated for OSAUS and GRS scores on the pre- and post-tests. A mean transfer test score from the two cases was calculated. All scores were calculated as percentages of the maximum score (maximum GRS score = 5, maximum OSAUS score = 15).

Pearson 상관 계수는 실습 시간, 시험 전 점수 및 시험 후 점수를 포함한 다른 변수들이 전이 결과와 관련이 있는지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우리는 전송 성능의 유의한 예측 변수에 대한 제어 우선 순위를 선택했다.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o determine if any of the other variables including hands-on time, pre-test scores and post-test scores were associated with transfer outcomes. We chose a priori to control for significant predictors of transfer performance.

실험 전 점수를 공변량으로 조정한 경우와 조정하지 않은 경우를 사용하여 실험 대상 간 분산 분석(anova)을 사용하여 네 그룹 간에 일차 결과(평균 OSAUS 및 GRS 점수)를 비교했다. 사전 테스트와 사후 테스트의 평균 OSAUS 및 GRS 점수를 혼합 설계(2 × 2) 반복 측정 분산 분석을 사용하여 네 그룹 간에 비교함으로써 훈련의 주효과를 평가하고 훈련 유형(싱글/다이아드/트라이아드/테트라드)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했다. 효과 크기는 부분 eta 제곱(σp2)으로 계산되었습니다. 우리는 ICC, 일관성, 양방향 혼합 효과 모델(ICC(3,k))을 사용하여 ICAP 등급의 평가자 간 신뢰성을 계산했다. 29 GRS 및 OSAUS 데이터에 대한 별도의 일반화 가능성 분석을 수행했다.30 우리는 차별화 측면으로 참여자가 내포된 일반화 모델(랜덤화된 그룹)을 지정했다. 일반화의 측면은 사례 (2건)와 사례 (사례당 2건의 평가자)와 OSAUS 모델의 항목이었다. 우리는 (OSAUS에 대한) 설계 및 특정 사례 간, 평가자 간 및 항목 간 일반성 계수의 전반적인 신뢰성을 보고한다. 모든 통계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5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The primary outcomes (mean OSAUS and GRS scores from the transfer test) were compared between the four groups using between-subjects analysis of variance (anova), with and without adjustment for pre-test scores as a covariate. The mean OSAUS and GRS scores from the pre- and post-tests were compared between the four groups using a mixed-design (2 × 2) repeated-measures anova to assess the main effects of training and test for interaction with the type of training (single/dyad/triad/tetrad).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as partial eta squared (ηp2). We calculated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ICAP ratings using an ICC, consistency, two-way mixed-effects model (ICC (3,k)).29 We conducted separate generalizability analyses of GRS and OSAUS data.30 We specified the generalizability model with Participant nested in Group (randomised group) as the facet of differentiation. The facets of generalisation were Case (2 cases) and Rater nested in case (2 raters per case) as well as Item for the OSAUS model. We report overall reliability of the design and specific inter-case, inter-rater and inter-item (for the OSAUS) generalisability coefficients.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5.

3 결과
3 RESULTS

이 연구는 총 111명의 참가자들을 네 가지 다른 훈련 조건에 무작위로 포함시켰다. 101명의 참가자들이 사전 테스트, 개입 및 사후 테스트를 완료했다. 트라이애드 그룹의 비디오 녹화 중 하나가 올바르게 저장되지 않았으며, 이 그룹에 대한 ICAP 등급이 완료되지 않았으며, 분석에서 전문가 등급만 평가되었습니다. 코로나 19 봉쇄로 인해 4명의 참가자가 후속 조치를 취하지 못했다. 참가자의 인구 통계는 표 1에 보고된다.
The study included a total of 111 participants randomised to the four different training conditions; 101 participants completed the pre-test, the intervention and the post-test. One video recording from a triad group was not correctly saved, and the ICAP ratings were not completed for this group, and only their expert ratings were evaluated in the analysis. Four participants were lost to follow-up due to the COVID-19 lockdown. The participant demographics are reported in Table 1.

3.1 1차 결과
3.1 Primary outcome

그룹 크기는 전이 테스트에서 OSAUS 점수 (F(3,93) = 1.94, p = 0.13, γp2 = 0.06) 또는 GRS 점수 (F(3,93) = 1.46, p = 0.23, γp2 = 0.05로 측정한 성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사전 테스트, 사후 테스트 또는 실제 시간을 공변량으로 조정할 때 변경되지 않았습니다. 실습 시간은 전이 성과 점수와 상관관계가 없었다.

Group size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performance measured by OSAUS scores (F(3,93) = 1.94, p = 0.13, ηp2 = 0.06) or GRS scores (F(3,93) = 1.46, p = 0.23, ηp2 = 0.05) on the transfer test, Table 2. These results did not change when adjusting for pre-test, post-test or hands-on time as a covariate. Hands-on time was not correlated with transfer performance scores.

3.2 2차 결과
3.2 Secondary outcomes

GRS 점수(OSUS 평균: 37.5% [12.0] 대 56.7% [16.8], F(1,93) = 113.9, p < 0.001, λp2 = 0.55, GRS 평균 [SD]: 36.8% [13.7,189] = F.18.1, P[SD]와 마찬가지로 모든 그룹에 대해 시험 전에서 시험 후까지 OSAUS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그룹 크기와 훈련 사이에 교호작용 효과가 없었습니다(F(3,93) = 1.04, p = 0.38, γp2 = 0.03). 표 2
OSAUS scores improved significantly from pre- to post-test for all groups as did GRS scores (OSAUS mean [SD]: 37.5% [12.0)] versus 56.7% [16.8]; F(1,93) = 113.9, p < 0.001, ηp2 = 0.55; GRS mean [SD]: 36.8% [13.7] versus 54.2% [18.9]; F(1,93) = 75.4, p < 0.001, ηp2 = 0.45).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size and training (F(3,93) = 1.04, p = 0.38, ηp2 = 0.03), Table 2.

각 ICAP 활동에 소요된 시간의 분포는 학습이 없는 활동 범주인 그림 2(수동 [F(3,90) = 13,75, p = 0.001, µp2 = 0.31, 능동 [F(3,90)] = 139.28, p < 0.001, µp2 = 0.82, 구성적], [0.001, µp2 = 0.20], 0.20, 0.20, 0.30, 0.30, 0.30을 제외한 모든 학습 활동에 대해 그룹 간에 유의하게 달랐다. [F(3,90) = 43.17, p = 0.001, µp2 = 0.59] 학습 활동 없음 [F(3,90) = 1.65, p = 0.17, µp2 0 0.05].

The distribution of time spent in each ICAP activ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for all learning activities except for the no learning activity category, Figure 2 (Passive [F(3,90) = 13,75, p < 0.001, ηp2 = 0.31], Active [F(3,90) = 139.28, p < 0.001, ηp2 = 0.82], Constructive [F(3,90) = 10.73, p < 0.001, ηp2 = 0.26], Interactive [F(3,90) = 43.17, p < 0.001, ηp2 = 0.59], No learning activity [F(3,90) = 1.65, p = 0.183, ηp2 = 0.05]).

비학습 및 수동적 학습 활동(평균 0 + 1)에 보내는 시간은 그룹 크기에 따라 증가했다(평균[SD] 단수: 20.7[5.2], 다아드: 16.4[8.3], 트라이어드: 23.7[8.2], 테트라드: 29.5[7.2], F(3,90) = 13.75, p <0.001, µp2 = 0.31.2). 사후검정(Tukey)은 사분면체와 다른 모든 그룹 간에 범주 0 + 1에 소요된 시간의 백분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단일: 8.78 [3.16–14.4], p = 0.001, p <0.04–11.6), p <0.001>, 트라이애드: 5.8 [0.04–11.6], p와 dyads (0.45%) 사이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7.27 [1.61–12.93], p = 0.006). 구성적 학습 활동과 대화형 학습 활동은 그룹 간에 상대적으로 일정했다(1,7% [3.9], 단일 그룹(1,7% [3.9], 다아드: 39.6 [13.3], 삼중항: 40.2 [9.7], 테트라드: 37.6 [8.8], F(3,90) = 78.38, p < 0.001,6202 = 72). 사후검증(Tukey)은 단일 그룹과 다른 모든 그룹 간에 범주 3 + 4(건설적 및 상호작용적)에 소요된 시간의 비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평균 차이 [95% CI] 다아드: 36.0 [28.7–43.3], p < 0.001], p <0.0–44.44.4], p < 0.001; tetrads: 34.1 [26.1.1.1.1.1], <p>.
Time spent in the non-learning and passive learning activities (category 0 + 1) increased with group size (mean per cent [SD] singles: 20.7 [5.2], dyads: 16.4 [8.3], triads: 23.7 [8.2], tetrads: 29.5 [7.2]; F(3,90) = 13.75, p < 0.001, ηp2 = 0.31), Figure 2. Post hoc testing (Tuk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ntage of time spent in category 0 + 1 between tetrads and all other groups (mean per cent difference [95% CI]; singles: 8.78 [3.16–14.4], p = 0.001; dyads: 13.1 [7.6–18.5], p < 0.001; triads: 5.8 [0.04–11.6], p = 0.045) and between triads and dyads (mean per cent difference [95% CI]: 7.27 [1.61–12.93], p = 0.006). Time spent in the constructive and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category 3 + 4) was relatively constant between groups compared with singles (mean per cent [SD] singles: 3.5 [3.9]; dyads: 39.6 [13.3]; triads: 40.2 [9.7]; tetrads: 37.6 [8.8]; F(3,90) = 78.38, p < 0.001, ηp2 = 0.72). Post hoc testing (Tuk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ntage of time spent in category 3 + 4 (constructive and interactive) between singles and all other groups (mean per cent difference [95% CI] dyads: 36.0 [28.7–43.3], p < 0.001; triads: 36.7 [29.0–44.4], p < 0.001; tetrads: 34.1 [26.7–41.1], p < 0.001).


체험 시간의 양(각 참가자가 초음파 탐침을 다루는 훈련 시간의 백분율)은 그룹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단식: 58.4 [8.6], 다아드: 27.7 [5.7], 3사드: 17.0 [5.3], 테트라드: 13.7 [4.0], F(3,90) = 252.54, p <0.1,2p = 89). 특별 시험 후(Tukey)에 따르면 이 차이는 단일 그룹과 다른 모든 그룹(평균 백분율 차이 [95% CI] 다아드: 30.7 [26.1–35.3], p < 0.001], p < 0.001], tetrads: 44.6 [40.0–49.3], p < 0.001], p < 0.001], dyads: 10.7 % (3%), dymeads:0.0–49.3%)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6.0–15.4], p < 0.001; 사분면: 13.9 [9.4–18.5], p < 0.001], 그러나 삼분면과 사분면 사이는 아니다. (95% CI: 3.3 [-1.5–8.1], p = 0.29), 그림 2 및 3. 그룹 크기와 실제 시간은 음의 상관 관계가 있습니다(Pearson의 r = -0.86, p < 0.001).

The amount of hands-on time (percentage of the training time each participant was handling the ultrasound probe) decreased with increasing group size (mean per cent [SD]: singles: 58.4 [8.6], dyads: 27.7 [5.7], triads: 17.0 [5.3]; tetrads: 13.7 [4.0]; F(3,90) = 252.54, p < 0.001, ηp2 = 0.89). Post hoc testing (Tukey) revealed that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singles and all other groups (mean per cent difference [95% CI] dyads: 30.7 [26.1–35.3], p < 0.001; triads: 41.4 [36.5–46.2], p < 0.001; tetrads: 44.6 [40.0–49.3], p < 0.001), between dyads and larger groups (mean per cent difference [95% CI] triads: 10.7 [6.0–15.4], p < 0.001; tetrads: 13.9 [9.4–18.5], p < 0.001) but not between triads and tetrads (mean per cent difference [95% CI]: 3.3 [−1.5 to 8.1], p = 0.29), Figures 2 and 3. Group size and hands-on time were negatively correlated (Pearson's r = −0.86, p < 0.001).

ICAP 등급에 대한 ICC(3,k)는 0.70(95% CI: 0.60–0.77)이었다. 우리 데이터의 일반화 이론 분석은 GRS 점수와 OSAUS 점수에 대한 사례 간 일반화 계수가 각각 0.84와 0.88로 높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사례 내 레이터 간 일반화 계수는 각각 0.72와 0.81이었다. 단일 사례 내 항목 간 일반화 계수는 0.75였으며, OSAUS 점수에 대한 비율은 0.75였다. GRS 점수에 대한 설계의 전체 신뢰도는 0.64이고 OSAUS 점수에 대해서는 0.60입니다.

The ICC (3,k) for the ICAP ratings was 0.70 (95% CI: 0.60–0.77). The generalisability theory analysis of our data showed that inter-case generalisability coefficients for the GRS and OSAUS scores were high at 0.84 and 0.88, respectively. Inter-rater generalizability coefficient within case was 0.72 and 0.81, respectively. Inter-item generalisability coefficient within a single case and rater for the OSAUS scores was 0.75.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design for the GRS scores was 0.64 and 0.60 for the OSAUS scores.

4 토론
4 DISCUSSION

최대 4명의 참가자로 구성된 그룹 규모의 협업 기술 훈련은 실무 시간이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술 전이skills transfer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모든 참가자들은 그룹 규모와 상관없이 훈련을 통해 약 15-20% 포인트를 향상시켰다. 이는 일부 참가자들이 혼자 훈련한 참가자들의 체험 시간의 25%에 불과했기 때문에 어느 정도 놀라운 일이다. 이러한 발견은 [협력적 기술 학습]의 긍정적인 효과가 더 큰 학습자 그룹으로 확장된다는 것을 증명함으로써 쌍으로 협력 학습을 포함하는 이전 연구와 일치하고 확장된다. 현재 의료 교육에서 협업 및 동료 학습 전략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러한 전략이 고부가가치 저비용 교육에 대한 수요를 어떻게 충족시킬 수 있는지도 포함된다. 시뮬레이션 기반 훈련에는 상당한 양의 자원(예: 강사 및 장비 비용)이 필요하며, 우리의 연구 결과는 학습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시뮬레이터: 학습자 비율을 줄임으로써 이러한 요구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Collaborative skills training in group sizes of up to four participants did not negatively impact skills transfer despite less hands-on time. All participants improved about 15–20 percentage points with training irrespective of group size. This is to some extent surprising because some participants had as little as 25% of the hands-on time of those who trained alone. These findings align with and expand on previous studies involving collaborative learning in pairs (dyad learning) by demonstrating that the positive effects of collaborative skills learning also expand to larger groups of learners.4, 8-10, 31 Currently, there is an increased focus on collaborative and peer learning strategies in medical education, including how these strategies may meet the demand for high-value low-cost education.15, 32 Simulation-based training requires a significant amount of resources (e.g. instructor and equipment costs among others), and our findings may help reduce these demands by decreasing the simulator: learner ratio without any negative effects on learning outcomes.


우리는 실습 시간을 줄이는 것과 다른 학습자를 관찰하고 상호 작용하는 시간을 늘리는 것 사이에 trade-off가 있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 우리의 연구에서, 건설적이고 상호작용적인 활동에 소비하는 시간은 다이아드, 트라이아드, 테트라드 간에 다르지 않았고, [다이아드 참가자]들이 [트라이아드 또는 테트라드 참가자들]보다 직접 체험하는 시간이 더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유사한 학습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발견은 참가자들이 협력적인 노력의 결과로 더 높은 수준의 인지 참여를 통해 줄어든 실습 시간을 보상하는 것처럼 보였다는 것을 나타낸다. 특히 초음파와 같은 절차적 기술을 훈련하는 동안 협력 학습이 유익하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에는 [동시에 수행해야 하는 여러 작업(예: 프로브 조작, 기계 설정 조정 및 시각적 진단 작업에 참여하는 동안 환자와 통신)]이 포함되기 때문이다. 학습자 간에 과제를 분배하는 것은 학습자가 [인지 과부하 없이 학습에 계속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유익한 전략이다. 다른 장점은 시각적 검색을 지원하고 숙련된 임상의가 일반적으로 두 번째 검사를 필요로 하는 해부학적 특징이나 병리학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We suggest that there may be a trade-off between decreasing hands-on time and increasing time spent on observation of and interactions with other learners. In our study, the time spent in constructive and interactive activities did not differ between dyads, triads and tetrads, and even though participants in dyads had more hands-on time than participants in triads or tetrads, they still had similar learning outcom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articipants seemed to compensate for the reduced hands-on time through higher levels of cognitive engagement as a consequence of collaborative efforts. Specifically, during training of procedural skills such as ultrasound, collaborative learning can prove beneficial, as there are multiple tasks that should be performed simultaneously (e.g. manipulating the probe, adjusting machine settings and communicating with the patient while engaged in the visual diagnostic task). Distributing tasks between learners is a potentially beneficial strategy as it allows learners to stay engaged in learning without cognitive overload.5 Other advantages may include assisting visual search and discussing anatomical features or pathology that normally require a second look by an experienced clinician.

우리는 이전 연구에서 우리의 개입 시간(2시간)이 효과를 유도하기에는 충분하지만, 학습 곡선이 평평해져 (+4시간) 천장 효과로 이어지는 데 필요한 것보다 적다는 것을 알고 있다. 작업 시간 및 그에 따라 사용 가능한 실습 시간의 양은 일반적으로 학습의 가장 중요한 결정 요소이다. 그러나 우리의 연구에서, 협업 학습 중 [관찰]과 [고등 수준 ICAP 활동]은 줄어든 연습 시간보다 더 큰 효과를 갖는 것outweigh 으로 보였다. 그러나, [연습 시간]과 ICAP 활동은 모두 그룹 크기에 의해 교란되었기 때문에, 우리는 이 두 대립되는 힘이 연구에서 관찰된 학습 결과에 기여한 정도를 직접적으로 추론할 수 없다.

We know from previous studies that the duration of our intervention (2 hours) was sufficient to induce an effect but less than required for the learning curves to flatten (+4 hours) leading to a ceiling effect.19 Time-on-task and thereby the amount of hands-on time available are normally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s of learning; however, in our study, observation and higher-order ICAP activities during collaborative learning seemed to outweigh the reduced hands-on time. Yet, because hands-on time and ICAP activities were both confounded by group size, we cannot infer directly the extent to which these two opposing forces contributed to the learning outcomes observed in our study.

Shebilske 등의 최근 연구는 파일럿 훈련을 위한 비디오 과제를 학습할 때 개인, 다이아드, 트라이아드 및 테트라드 간에 유사한 학습 결과를 보여주었다. 저자들은 주로 그들의 결과의 원인을 [관찰]이 갖는 긍정적인 효과로 돌렸다. 관찰 학습은 (다른 이론들 중에서도) [미러뉴런 가설]에 의해 뒷받침되는데, [미러뉴런 가설]은 전운동 피질의 영역이 스킬의 수행과 관찰 동안 모두 활성화된다고 주장한다. 우리의 결과는 그룹 간 유사한 이전 결과에 대한 핵심 이유로 관찰을 지원하지만, 다른 사회적 및 상호 작용 메커니즘이 협업 복잡한 기술 학습, 특히 실용적인 기술 학습에 관여한다는 것을 제안함으로써 이 발견을 확장한다. [전통적인 ICAP 프레임워크]는 관찰을 수동적 활동으로 두는 반면, [임상 기술 훈련 중]에 이뤄지는 관찰은 [건설적이고 상호작용적인 활동의 기초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고차 학습 활동과 분리할 수 없다. 그러나 관찰은 참여의 인지적 수준에 관계없이 수동적 활동으로 분류되며, 이는 피로, 동기부여 또는 집중력 부족 또는 지루함의 결과로 수동적 활동과 비교될 수 없다. ICAP 프레임워크는 모든 종류의 학습 활동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지만, 실제 기술을 학습하기 위한 관찰의 역할을 과소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관찰의 개념은 임상 기술 학습에서 그것의 역할을 완전히 이해하고 실용적인 기술 학습 동안 활동을 더 잘 개념화하기 위해 다양한 수준의 인지 참여를 포함하도록 확장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A recent study by Shebilske et al. demonstrated similar learning outcomes between individuals, dyads, triads and tetrads when learning a video task for pilot training.33 The authors primarily ascribed their results to the positive effects of observation.34 Observational learning is (among other theories) supported by the mirror neuron hypothesis, which claims that areas in the premotor cortex are activated both during the performance and observation of a skill.5, 31, 33, 35 Our results support observation as a key reason for similar transfer results between groups but expands this finding by suggesting that other social and interactive mechanisms are involved in collaborative complex skills learning, in particular for practical skills learning.15 While the traditional ICAP framework places observation as a passive activity,12 it is inseparable from the higher-order learning activities because it serves as a basis on which constructive and interactive activities unfold during clinical skills training. However, observation is categorised as a passive activity regardless of the cognitive level of engagement, which may not be compared with passiveness as a result of fatigue, lack of motivation or concentration or from boredom. Although the ICAP framework is supposed to cover all kinds of learning activities, it may undervalue the role of observation for learning practical skills. In this sense, the concept of observation may need to be expanded to include various degrees of cognitive engagement to fully understand its role in clinical skills learning and to better conceptualise activities during practical skills learning.

우리는 트라이애드 및 테트라드의 참가자들이 다이애드 및 단일 그룹의 참가자들보다 [비학습 및 수동 학습 범주(0 + 1)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낸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다이애드에 배정된 학습자 간의 헌신과 친밀도가 증가했기 때문일 수 있으며, 이는 그룹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할 수 있다.36 우리는 (잘못) 비학습 및 수동적 활동의 증가가 대규모 그룹의 기술 전이를 낮출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비록 그렇지 않았지만, 우리는 [[실습 시간의 양]과 [협력적 보상 효과] 사이의 균형]이 [더 큰 그룹(4명 이상의 학습자)]에 대해 어느 시점에서 피크가 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참가자가 동기를 유지하고 협업이 의미 있다고 생각하는 조건을 탐구하는 것은 이전 연구에서 학습자가 우려하는 원인이었으므로 [더 큰 크기의 그룹]을 다룰 때에는 고려해야 할 중요한 측면이다. 
We found that participants in triads and tetrads spent more time in the non-learning and passive learning categories (0 + 1) than the participants in dyads and single groups. This could be due to increased commitment and intimacy between learners in the dyad constellations, which may decrease with increasing group size.36 We (incorrectly) anticipated that the increase in non-learning and passive activities would have led to lower levels of skills transfer in the large groups. Although this was not the case, we expect that the balance between the amount of hands-on time provided and collaborative compensatory effects must at some point tip for larger groups (more than four learners). Exploring under which conditions participants remain motivated and consider it meaningful to collaborate is an important aspect to consider when dealing with larger group sizes as this has been a cause of concern voiced by learners in previous studies.37-39

4.1 강점/한계
4.1 Strengths/limitations

이 연구의 강점은 무작위 설계, 포함된 큰 표본 크기, 확립된 유효성 증거를 포함한 평가 점수 사용, 관심의 핵심 결과를 반영하기 위한 이전 테스트 사용 등이다.
Strengths of this study include the randomised design, the large sample size included, the use of assessment scores with established validity evidence and the use of transfer tests to reflect the key outcome of interest.

이 연구는 또한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우리는 초보자 및 복잡한 단일 임상 절차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향후 연구는 우리의 연구 결과가 [더 진보된 학습자]와 [다른 유형의 실제 기술]에서도 translate되는지 여부를 입증할 필요가 있다. (예: 단순 대 복잡한 기술 또는 진단 대 치료 절차).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여성이었지만, 우리는 참가자들이 무작위화되고 이후 그들의 사전 테스트에서 동등하게 수행되었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 성별에 초점을 맞추지 않기로 결정했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맥락에서 성별의 영향에 대해 더 이상 논의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다. 학생들은 시뮬레이터에 의해서만 생성된 피드백으로 훈련했다. 지도받지 않은 연습은 강사의 감독 없이 과제를 오해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는 더 큰 그룹이 오류와 오해를 바로잡는 데 불균일한 이점을 제공했을 수 있다. 우리는 4명의 참가자가 동기를 유지하기 위한 상한선이 될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에 최대 4명의 참가자로 구성된 그룹 규모만 조사했다. 그룹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수동적이고 비학습 활동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했지만, 학습 결과가 악화되는 최적의 그룹 크기나 지점을 식별하지 못했다. 이를 위해, 우리는 여러 개의 큰 그룹을 포함하거나 이전 결과의 작은 차이를 입증하기 위해 표본 크기를 10배 증가시켜야 했는데, 둘 다 실현 불가능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리가 검출하기 위해 연구에 동력을 공급한 크기보다 낮은 전이 테스트 성능에서 차이가 있었을 수 있다. 그러나 문제는 작은 차이가 일반적으로 이득이 큰 시뮬레이션 기반 의료 교육 분야 내에서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이다.

The study also has some limitations. We focused on novices and on a single complex clinical procedure. Future research needs to establish whether our findings translate to more advanced learners and to different types of practical skills (e.g. simple versus complex skills or diagnostic versus therapeutic procedures). Most of the participants were women; however, we have chosen not to focus on gender in this study as the participants were randomised and subsequently performed equally on their pre-test. Therefore, we did not find it relevant to discuss the influence of gender any further in this context. The students trained with feedback only generated by the simulator. Uninstructed practice may lead to misunderstandings of the assignments without supervision by an instructor, which may have provided an uneven advantage for the larger groups to correct errors and misunderstandings. We only explored group sizes of up to four participants as we expected four participants to be the upper limit to remain motivated. While we did observe an increase in passive and non-learning activities with increasing group size, we did not identify an optimum group size or a point, in which learning outcomes worsened. To do this, we would have had to either include several larger groups or increase our sample size 10-fold to demonstrate small differences in transfer outcomes, both of which would have been infeasible. Finally, there may have been differences in transfer-test performances that were below the magnitude we powered our study to detect. The question is, however, if small differences are of relevance within the field of simulation-based medical education, where gains are usually large.

5 결론
5 CONCLUSION

최대 4명의 참가자로 구성된 그룹 규모의 협업 기술 학습은 실무 시간이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술 이전을 손상시키지 않았다. 이 발견은 체험 시간 감소의 부정적인 효과를 능가하는 건설적이고 상호적인 학습 활동에 대한 보상적 전환과 결합된 관찰의 역할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Collaborative skills learning in group sizes of up to four participants did not impair skills transfer despite less hands-on time. This finding may be explained by the role of observation combined with a compensatory shift towards constructive and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that outweigh the negative effects of diminishing hands-on time.

 


Med Educ. 2022 Jun;56(6):680-689. doi: 10.1111/medu.14791. Epub 2022 Mar 16.

Does group size matter during collaborative skills learning? A randomised study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Copenhagen Academy for Medical Education and Simulation (CAMES), Copenhagen University Hospital - Rigshospitalet, Copenhagen, Denmark.

2Centre for Educational Development, Aarhus University, Aarhus, Denmark.

3Department of Family & Community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4Center of Fetal Medicine, Department of Obstetrics, Copenhagen University Hospital - Rigshospitalet, Copenhagen, Denmark.

5Department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Copenhagen University Hospital - Hvidovre, Copenhagen, Denmark.

6Fetal Medicine Unit,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Copenhagen University Hospital - Herlev, Copenhagen, Denmark.

7Department of Clinical Medicine, Faculty of Health and Medical Sciences, University of Copenhagen, Copenhagen, Denmark.

PMID: 35262226

PMCID: PMC9313549

DOI: 10.1111/medu.14791

Free PMC article

Abstract

Background: Collaborative skills learning in the form of dyad learning compared with individual learning has been shown to lead to non-inferior skills retention and transfer. However,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ich learning activities improve collaborative skills training and how the number of collaborators may impact skills transfer. We explored the effects of skills training individually, in dyads, triads or tetrads on learning activities during training and on subsequent skills transfer.

Methods: In a randomised, controlled study, participants completed a pre-post-transfer-test set-up in groups of one to four. Participants completed 2 hours of obstetric ultrasound training. In the dyad, triad and tetrad group participants took turns actively handling the ultrasound probe. All performances were rated by two blinded experts using the Objective Structured Assessment of Ultrasound Skills (OSAUS) scale and a Global Rating Scale (GRS). All training was video recorded, and learning activities were analysed using the Interactive-Constructive-Active-Passive (ICAP) framework.

Results: One hundred one participants completed the simulation-based training, and ninety-seven completed the transfer test. Performance scores improved significantly from pre- to post-test for all groups (p < 0.001, ηp2 = 0.55). However, group size did not affect transfer test performance on OSAUS scores (p = 0.13, ηp2 = 0.06) or GRS scores (p = 0.23, ηp2 = 0.05). ICAP analyses of training activities showed that time spent on non-learning and passive learning activities increased with group size (p < 0.001, ηp2 = 0.31), whereas time spent on constructive and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was constant between groups compared with singles (p < 0.001, ηp2 = 0.72).

Conclusion: Collaborative skills learning in groups of up to four did not impair skills transfer despite less hands-on time. This may be explained by a compensatory shift towards constructive and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that outweigh the effect of shorter hands-on time.

집단적 역량: 개인적 전문성에서 협력적 전문성으로 (Perspect Med Educ, 2020)
Collective competence: Moving from individual to collaborative expertise
Sylvia Langlois

 

다면적인 건강 문제를 가진 개인은 보다 총체적이고 환자 중심적인 대응에 도전하는 접근 방식인 단일 질병 패러다임 내의 전문화에 초점을 맞추어 점점 더 단편화된 의료 시스템 내에서 관리되고 있다[1,2,3]. 뛰어난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문적 전문 지식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집단적, 팀 기반 전문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그러나 교육 내에서는 의료 실무 환경 및 전문 조직 개인의 전문적 성과가 집단적 팀 역량보다 중요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Individuals with multi-faceted health issues are being managed within healthcare systems that have become increasingly fragmented, often with a focus on specialization within single-disease paradigms, an approach that challenges a more holistic, patient-centred response [1,2,3]. Specialized profession-specific proficiency is required to deliver excellent care; however, with growing complexity comes the additional need to consider collective, team-based expertise. Yet, within education, healthcare practice settings,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s individual professional performance is often valued over collective team competence [4].

의료 전문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원하는 성과와 결과를 설명하는 [역량 기반 접근 방식]이 탄력을 받고 있다. 캐나다 왕립 내과 및 외과의사 협회가 개략적으로 설명한 CanMEDs 프레임워크와 캐나다 직업치료사 협회[6]가 사용하는 유사한 프레임워크와 같은 이러한 직업별 역량은 해당 직업에서 교육, 실습 및 지속적인 직업 개발을 안내한다. 인용된 두 프레임워크에 공동작업자Collaborator 역할이 포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영역의 역량은 공동작업 관행을 다루는 시나리오(예: [7])에서 측정된 경우에서 조차 일반적으로 [개인별 성과]를 기반으로 한다. 새로운 팀 기반 평가 도구를 통해 일부 환경에서 의료 서비스 제공이 최적의 접근 방식과 전체론적 관리를 보장하기 위한 [협업 초점]의 고려로 전환되기 시작했습니다[8].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al programs, a competency-based approach outlining desired performance and outcomes, has been gaining momentum. These profession-specific competencies, such as the CanMEDS framework outlined by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5] and a similar framework used by the Canadi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6], guide education, practice, and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ir corresponding professions. Despite the inclusion of the Collaborator role in both frameworks cited, competence in this domain is typically based on individual performance, even when measured in scenarios addressing collaborative practice (e.g. [7]). With emerging team-based assessment tools, healthcare delivery in some settings is beginning to see a shift to consideration of a collaborative focus to ensure optimal approaches and holistic care [8].

본 호에 게재된 Matus 등의 논문에서, 저자는 전문적 역할을 발전시키고 이행하기 위해 어려운 의사 결정 과정에 직면하여 복잡한 능력을 필요로 하는 직업 치료사의 학습을 지원하는 헌신적인 전문가의 가치를 다룬다[9]. 많은 직업별 역량과 마찬가지로, 저자들은 평가와 최적의 환자 관리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별 전문가 수준에서 이러한 역량을 다룬다. 그러나 이러한 전문적 역량을 넘어서는 것은 집단적 역량으로, 환자 시나리오의 전체적인 관리에 필요한 팀 성과를 반영한다. 그들의 논문의 초점은 아니지만, 팀 기반 평가를 지원하는 추가 접근 방식은 의도된 전체론적 대응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In the paper by Matus et al., published in this issue, the authors address the value of dedicated experts supporting the learning of occupational therapists who require complex capabilities in the face of challenging decision-making processes to advance and fulfill their professional roles [9]. As with many profession-specific competencies, the authors address these capabilities on the individual professional level with the intent of enhancing the provision of assessment and optimal patient care. However, extending beyond these profession-specific competencies are collective competencies, reflecting team performance needed for holistic management of patient scenarios. While not the focus of their paper, additional approaches that support team-based assessments may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intended enhanced holistic response.

[개인의 전문적 역량]이 필요하다고 인정되지만, 그것만으로 [집단적 역량]을 보장하기는 역부족이다. 집단적 또는 팀적 역량은 단순히 [전문 조직이 정의한 대로 역량을 입증하는 개별 전문가의 합]을 나타내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집단적 역량은 임상의사, 환자 및 가족 구성원과 조직 환경 간의 [복잡한 상호 작용 네트워크] 내에 위치하며 [현저하게 맥락화]된다. 팀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에서, 링가드는 집단 역량의 흥미로운 특징들을 관찰했는데, 특히 어떤 팀이 무능력할 때 여전히 개인은 유능할 수 있고, 한 팀이 한 시나리오에서는 유능할 수 있지만 다른 시나리오에서는 반드시 유능할 수 없다는 점이 두드러졌다[10]. 또한, Lingard는 공동 작업, 팀 기반 실습의 세계에서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몇 가지 신념을 탐구합니다 [10, 11]. 예를 들어 팀워크를 강화하기 위해 자주 참조되는 접근법은

  • [임상의가 다른 사람의 역할과 책임을 잘 이해한다]면 팀은 유능할 것이고,
  • [모든 팀 구성원이 개별 환자의 요구에 공통적으로 초점을 맞추면] 팀은 잘 기능할 것이라는 믿음이다.

비록 중요하지만, 이 접근법만으로는 집단적 역량을 창출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While individual professional competence is recognized as necessary, it is not sufficient to ensure collective competence. Collective or team competence does not simply represent a collection of individual professionals who demonstrate competency, as defined by their professional organizations. Rather, collective competence is situated within a network of complex interactions among clinicians, the patient and family members, and the organizational setting, and is markedly contextualized. In her extensive study of teams, Lingard has observed interesting characteristics of collective competence, notably that teams can still be competent when a member is incompetent, and that a team may be competent in one scenario but not necessarily in another [10]. Additionally, Lingard explores several commonly held beliefs in the world of collaborative, team-based practice [10, 11]. For example, an oft referenced approach to enhance teamwork is the belief that

  • if clinicians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others then the team would be competent, or
  • if all team members had a common focus on the individual patient needs, then the team would function well.

Although important, this approach alone is not sufficient to create collective competence.

이 개념을 더 탐구할 때, 우리는 보어햄과 [집단적 역량 이론]의 발견물들의 합성을 살펴볼 수 있다.

  • 직장 내 사건에 대한 집단적 이해
  • 집단적 지식기반의 개발 및 활용
  • 상호의존감의 조성 [12, 페이지 5].

In exploring this notion further, we can look to Boreham and his synthesis of findings in the theory of collective competence, where he notes the following three foundational elements:

  • Making collective sense of events in the workplace;
  • Developing and using a collective knowledge base;
  • Developing a sense of interdependency [12, p. 5].

 

의료 분야에서는 자신의 특정 직장 요구사항, 조직 및 정부 지침의 영향, 더 광범위한 사회적 상황 및 건강 결정 요인을 이해하기 위해 집단적으로 일하는 팀 구성원이 직장 환경과 기대치를 집단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집단 지식 기반의 개발은 팀 구성원 간의 협업, 커뮤니케이션 및 이해를 증진시킵니다. 그러한 예 중 하나는 캐나다 병원에 기반을 둔 외래 환자 프로그램인 관절염 프로그램에 있다. 수상 경력이 있는 이 전문가 간 프로그램은 다양한 형태의 관절염 진단을 받은 개인에게 팀 기반 치료를 제공한다[13]. 활동성 관절에 대한 평가는 질병 상태와 환자 경험 모두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기 때문에, 연구팀은 모든 구성원이 이러한 공통 지식과 기술을 공유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그들은 환자를 평가하도록 집단적으로 훈련되어 결과 보고에서 높은 수준의 일치성을 보장한다. 팀 구성원은 여전히 자신의 전문 지식에 대한 책임을 지지만, 공유된 지식과 평가는 협력적인 접근 방식을 촉진합니다. 따라서 팀 역학에 의도적으로 초점을 맞추고 구성원 간의 작업 관계를 공유하여 예외적인 환자 중심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서로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상호의존감이 중요합니다. 팀에서 한 전문가가 한 선택과 권고는 다른 임상의의 의사 결정 과정과 궁극적으로 치료를 받는 환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Within healthcare, team members who work collectively to understand their specific workplace requirements, impact of organizational and government directives, as well as broader societal circumstances and determinants of health are positioned to make collective sense of their workplace environment and its expectations. The development of a collective knowledge base enhances collaboration,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among team members. One such example is situated in a Canadian hospital-based outpatient program, the Arthritis Program. This award-winning interprofessional program offers team-based care to individuals diagnosed with various forms of arthritis [13]. Since assessment of active joints is critical to understanding both the disease state and patient experience, the team has agreed that all members should share this common knowledge and skillset. To achieve this, they are trained collectively to assess the patient, ensuring a high degree of congruence in resulting reports. Team members still assume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professional expertise, but shared knowledge and assessments foster a collaborative approach. Congruently, they have an intentional focus on team dynamics and shared working relationships among members, resulting in offering an exceptional patient-centred program. Finally, a sense of interdependency regarding each other’s roles and responsibilities is critical. Choices and recommendations made by one professional on the team may have an impact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other clinicians, and ultimately on the patient receiving care.

팀 프로세스 고려에 대한 지침은 [전문가 간 역량 프레임워크]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몇 가지 국제적 사례가 있지만, 캐나다 국제전문의료협력이 개발한 사례를 참고하겠다[14]. 역할 명확화, 전문가 간 갈등 해결, 팀 기능, 전문가 간 커뮤니케이션, 환자/고객/가족/지역사회 중심 의료 및 협업 리더십의 차원으로 설명되며, 각 차원은 구성원이 상호 작용하는 방식의 성장을 지원하는 팀의 가이드 역할을 합니다. 
Guidance on considering team processes can be found in interprofessional competency frameworks. Although there are several international examples, I will reference the one developed by the Canadian Interprofessional Health Collaborative [14]. The following dimensions of Interprofessionalism are described as:

  • Role Clarification,
  • Interprofessional Conflict Resolution,
  • Team Functioning,
  •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 Patient/Client/Family/Community-Centred Care, and
  • Collaborative Leadership;

each serves as a guide for teams to support growth in how members interact with each other.

팀 기반의 비판적 사고, 문제 해결 및 성찰은 이러한 차원의 집단적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 이전 시나리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술된 전문직 간 역량에 의해 결정되는 상호 작용 및 팀 역학을 포함한) 프로세스와, (작업 지향적이고 임상적으로 관련성이 있는) 환자 중심 콘텐츠에 주의를 기울인 균형잡힌 팀 학습이 팀 기반 학습과 최적의 성과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점점 더 많은 교육 환경에서, 전문직 간 교육 커리큘럼에 참여하는 보건 전문직 학생들의 협업 역량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개인 및 팀 기반 기술을 모두 다루고 있다. 예를 들어 토론토 대학교 전문직 간 교육 커리큘럼[15]이 있다. [협력적 역량]에 대한 평가는 [개인별 획득]에 고정되어 있지만, 학생들이 오랜 시간 동안 함께 일할 때 집단 역량이 측정되므로 이러한 관행을 향후 작업 환경으로 전환할 수 있다.

Team-based critical thinking, problem-solving, and reflection enable collective development of these dimensions. In practice settings, as described in the earlier scenario, the balance of explicit attention to team learning of task-oriented, clinically relevant, patient-focused content, as well as process, including interactions and team dynamics as determined by the interprofessional competencies described, will enable team-based learning and optimal performance. In a growing number of educational settings, a focus on collaborative competency development of health profession students, participating i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curricula, addresses both individual and team-based skills; an example is the University of Toronto Interprofessional Education curriculum [15]. Although assessment of collaborative competencies is anchored in individual acquisition, collective competence is measured when students work together for an extended time, enabling them to translate the practice to future work settings.

결론적으로, 전문직-특이적 과제 수행을 위한 개인 역량은 효과적인 의료 행위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그러나 집단적 팀 기반 역량의 맥락에서 집행enact되어야 한다. 이러한 [집단적 역량]을 개발하려면, 팀은 [의료행위 영역과 관련된 전문 지식]과 그것들이 집단적으로 작동하는 방식을 다루는 [프로세스 구성요소] 모두를 명시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직장에서의 팀 기반 학습은 총체적이고 환자 중심의 개입과 관리에 필요한 관련 기술과 업무를 육성하여 개인과 집단적 역량을 포용하는 중요한 문화적 변화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In conclusion, individual competency in profession-specific tasks is indeed a critical component of effective healthcare practice; however, it must be enacted within the context of collective team-based competency. To develop these collective competencies, teams must explicitly address both expertise relevant to the area of practice and process components that address how they function collectively. Team-based learning in the workplace will foster pertinent skills and tasks required for holistic, patient-centred interventions and management, enabling the important cultural shift that embraces individual as well as collective competence.


 

Perspect Med Educ. 2020 Apr;9(2):71-73. doi: 10.1007/s40037-020-00575-3.

Collective competence: Moving from individual to collaborative expertise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Centre for Interprofessional Education, University of Toronto and University Health Network, Toronto, Canada. s.langlois@utoronto.ca.

2Department of Occupational Science and Occupational Therapy,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s.langlois@utoronto.ca.

PMID: 32246405

PMCID: PMC7138779

DOI: 10.1007/s40037-020-00575-3

안쓰러운 늘어진 여성: 의과대학생을 위한 골반진찰 학습자료의 상황분석(Med Educ, 2022)
‘Poorly relaxed women’: A situational analysis of pelvic examination learning materials for medical students
Sarah Towle

 

1 소개
1 INTRODUCTION

[환자 중심적이고 문화적으로 역량있는 의료]는 환자 경험을 개선하고 건강 격차를 최소화하는 중복된 방법으로 의학교육에서 옹호된다. 논란의 여지 없이, 이러한 접근법은 골반 검사(PE)와 같은 민감한 절차에서 추가적인 중요성을 가진다. 환자 취약성에 대한 검사의 성향과 관련 건강 차이(상세히 아래에 나와 있음)는 모두 검사가 임상적으로 시행될 때 이러한 접근법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Patient-centred and culturally competent care are championed in medical education as overlapping methods of improving patient experiences and minimising health disparities.1-4 Arguably, these approaches hold added significance in sensitive procedures such as the pelvic examination (PE). Both the examination's proclivity for patient vulnerability and its associated health disparities (detailed below) highlight the necessity of these approaches when the examination is clinically administered.5-10

[환자 중심 진료]는 20세기 중반에 시작되었다. 여성 건강 운동의 영향을 받아, 그것은 부분적으로 '질병 중심의 의학'과 [의학적 가부장주의]에 대한 반발로 나타났다. 임상 의사, 의료 교육자 및 의료 기관의 실천 모델로 채택되었지만 [환자 중심 진료]의 [정의]를 둘러싼 논란은 여전하다.  기본적으로 환자 중심의 치료는 환자를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 외에도, 임상의가 환자를 [한 명의 사람으로 알고 있다]는 생각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이 접근법의 가치와 원칙에는 사회 세계의 맥락에서 환자를 인정하고, 정확하고 시의 적절한 의료 정보를 제공하며, 환자 선호도를 존중하며, 정보에 입각한 의사 결정에 환자를 참여시키는 것이 포함된다. 
Patient-centred care has origins in the mid-20th century. Influenced by the women's health movement, it emerged partly as backlash to both ‘illness-oriented medicine’ and medical paternalism.11 Though it has been adopted as a model of practice by clinicians, medical educators and healthcare institutions, debate remains surrounding the definition of patient-centred care.11 Fundamentally, patient-centred care revolves around the idea of the clinician knowing the patient as a person, in addition to accurately diagnosing disease.12 Values and tenets of this approach include

  • acknowledging the patient in the context of their social worlds,
  • providing accurate and timely medical information,
  • respecting patient preferences and
  • engaging patients in informed decision making.1-4

[환자 중심 진료]와 맞물려, 의학에서 [문화적 역량]은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배경을 가진 환자들을 치료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문화적 역량을 갖춘 진료를 운영하려면, [환자 배경에 대한 인식]과 [그 배경이 임상적 만남에서 권력의 차이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잠재적인 문화적 수용을 제공하는 것]이 모두 필요하다. 비록 의과대학 커리큘럼에 문화적 역량을 통합하려는 상당한 움직임이 있었지만, 그 틀과 학습자의 저항에는 여전히 과제가 남아 있다. 종종 임상 기술이 커리큘럼에서 우선시되고, 학생에게 문화적 역량이란 '소프트 사이언스'보다 학생들이 선호된다고 한다.
Aligned with patient-centred care, cultural competence in medicine refers to the ability to treat patients of divers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13 Administering culturally competent care involves having both an awareness of patient background and how that background affects power differentials in clinical encounters, as well as providing potential cultural accommodations.3, 14 Though there have been considerable moves to incorporate cultural competence into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13 challenges remain in its framing and learner resistance; it is said that clinical skills are often prioritised in the curricula and favoured by students over the ‘soft-science’ of cultural competence.13, 15

PE는 다음과 같은 것들로 구성된다.

  • 외부 생식기 검사. 
  • 질 및 자궁경부 검체검사(샘플 채취가 가능한 경우) 
  • 부속지, 자궁, 난소 및 방광의 양면 검사 
  • 때로는 직장이나 직장-질 검진

PE가 비록 외래 환자 시술이지만 신체적, 심리적 의원성iatrogenic 효과를 일으키는 것으로 유명하다. 여기에는 출혈, 경련, 불편함, 고통, 두려움, 불안, 취약성, 수치심, 당혹감, 타락, 통제력 및 존엄성 상실 등의 느낌도 포함된다. 젊은 환자, 성폭행 생존자, LGBTQ+ 커뮤니티 회원, 흑인 여성 등에서 부정적 반응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집단에서 산부인과학적 건강 격차는 지속되며, 이는 과거에 검사에서 겪은 부정적인 경험과 관련이 있다. 

The PE consists of

  • an inspection of the external genitalia;
  • a speculum examination of the vagina and cervix (where samples may be taken);
  • a bimanual examination of the adnexa, uterus, ovaries and bladder; and
  • sometimes a rectal or rectovaginal examination.1617 

Though an out-patient procedure, it is noted for caus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iatrogenic effects: bleeding,18-20 cramping,20 discomfort or pain,6, 17, 18, 21, 22 as well as feelings of fear,6, 17 anxiety,17 vulnerability,17 shame,23 embarrassment,5, 6 degradation,5 and loss of control and dignity.24, 25 Negative reactions have been shown to be heightened in young patients,6, 22, 26, 27 survivors of sexual assault,28-30 members of the LGBTQ+ community31, 32 and Black women.28 Gynaecological health disparities persist in these populations and have been linked to previous negative experiences with the examination.7, 10, 33


페미니스트 연구 결과에 의해 뒷받침된 학자들과 제공자들은 골반 건강 관리pelvic health care에 있어, [환자 중심주의와 문화적 역량]의 중요성을 오랫동안 지적해 왔다. 일반적으로 환자 경험을 개선하는 것으로 알려진 수정사항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샤페론 허용,
  • 사용 발 받침대 포기,
  • 일상적인 양면 검사 중단(일부에서는 의학적으로 불필요하다고 간주)
  • 검체 자가 삽입 제공

특정 모집단에 대해서는 다른 변형이 유용할 수 있습니다.

  • 신체 부위에 대한 선호 용어 체크(성별 다양성 환자)
  • 환자(생존 환자 및 불안 환자)에게 검사 통제권이 유지되게끔 확인

Feminist scholars and providers—backed by research findings—have long noted the importance of patient-centeredness and cultural competence in pelvic health care.2434-38 Modifications known to generally improve patient experience include

  • allowing for chaperones,39 
  • forgoing the use footrests,38 
  • ceasing the routine bimanual examination (deemed by some to be medically unnecessary)1617 and
  • offering speculum self-insertion.2435 

Other modifications may be of value for specific populations:

  • checking in on preferred terminology for body parts (gender diverse patients),24 as well as
  • ensuring control of the examination remains with the patient (survivors and/or anxious patients).2435 

최근 개발된 인간유두종 바이러스에 대한 [환자 자가 샘플링]은 자궁경부암 검진에 대한 환자 참여를 개선하며, 트랜스 및 원주민 환자 사이에서 선호된다. 그 결과 양성 소견이 발견되었을 때 과소 선별된 모집단에 대한 후속 조치가 증가한다. 임상적 수용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러한 접근법의 일부와 관련하여 의료 훈련에서 보다 효과적인 인식 전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Patient self-sampling for human-papilloma virus—a recent development—improves patient participation in cervical cancer screening, is preferred among trans and Indigenous patients, and results in increased follow-up in under-screened populations when a positive result is found.40-43 It has been suggested that more effective awareness strategies are needed in medical training regarding some of these approaches, given their lack of clinical uptake.44

[산부인과 교육 협력자(GTA) — 교육 목적으로 PE를 받고, 의대생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여성 자원봉사자]의 도입을 포함하여, 이러한 접근 방식의 교리를 바탕으로 [PE 학습 practice]을 추가로 주입하기 위한 의료 커리큘럼의 진전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커리큘럼의 단점은 여전히 존재한다. GTA 프로그램은 주로 백인 자원봉사자 46명으로 구성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어떤 행위는 자원봉사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비판을 받아왔다.1 또 다른 흔하지만 문제가 되는 PE 학습 방법은 의료 교육생들이 [사전 동의 없이 마취 하에 환자를 대상으로 검사를 수행]할 때 발생한다. 이러한 관행이 대중에게 [환자 자율성 위반]으로 특징지어지며, 이를 [금지하려는 입법 움직임]이 있음에도, 학생들과 임상의사들 사이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 모든 것은 학생들이 환자 커뮤니티와 상호 작용하기 전에 환자 중심적이고 문화적으로 적합한 PE 접근법에 대한 개선된 노출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궁극적으로 사전 교육, 즉, 강의실 환경에서 이뤄져야 한다.
Strides have been made in the medical curriculum to further instil PE learning practices with the tenets of these approaches, including the introduction of gynaecological teaching associates (GTAs)—female volunteers who undergo PEs for educational purposes and provide feedback to medical students.45-47 However, curriculum shortcomings still exist. GTA programmes have been criticised for both consisting of predominantly White volunteers46 and, in some cases, maintaining practices that negatively impact volunteers.1 Another common yet problematic PE learning method occurs when medical trainees perform exams on patients under anaesthesia without prior consent.1-4, 47, 56 This practice has garnered acceptance among students and clinicians despite its public characterisation as a violation of patient autonomy and legislative moves to ban the practice.57-59 All this suggests that students may need improved exposure to patient-centred and culturally competent approaches to the PE before they interact with patient communities—ultimately in pre-clinical, classroom settings.

이 연구는 학부 의과대학 커리큘럼에서 PE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텍스트 및 시각 기반 학습 자료를 조사한다. 이러한 자료들은 학생들이 체육을 처음 접하고 나중에 그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기초를 형성한다. 그러한 자료의 분석은 수천 명의 의료 전문가에게 주어진 기술 정보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그 안의 메시지는 학생들의 의학에 대한 장기적인 믿음과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비판적으로 샘플링된 문서의 상황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의료 교육의 지식 격차를 메우고 텍스트 및 시각 기반 PE 학습 자료를 개선하여, 이후의 임상 학습에서 부족할 수 있는, 보다 [환자 중심적이고 문화적으로 적합한 접근 방식]을 포함할 수 있는지 여부 및 그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ext- and visual-based learning materials on how to perform the PE in undergraduate medical school curricula. Materials such as these serve as the first introduction students have to the PE and form the foundation through which they later perform the procedure. Analyses of such materials provide important insight into the technical information given to thousands of medical professionals,60 and messages therein may impact students' long-term beliefs and perceptions in medicine.60, 61 Through a situational analysis of critically sampled documents, this study aims to fill a knowledge gap in medical education and provide information on if and/or how text- and visual-based PE learning materials could be improved upon to include more patient-centred and culturally competent approaches that may be lacking in later clinical learning.

2 방법
2 METHODS

저는 캐나다 대학 의과대학에서 체육에 필요한 필수 텍스트 기반 학습 자료에 대한 상황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상황 분석]은 'theory/methods package'로 묘사되며, 페미니스트 보건 연구에서 강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종종 [근거이론이라는 정성적 방법론의 확장]으로 간주된다. [근거 이론]이 데이터 내에서 발생하는 기본적인 사회적 프로세스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면, [상황 분석]은 [전반적인 관심 상황에 대한 인식]을 통합한다. 연구자들은 사회적 구조, 집단, 제도 및 역사/현재의 현실 내에서 주제를 정하기 위해 [하드 데이터]를 뛰어넘는다. 
I conducted a situational analysis of required text-based learning materials on the PE from undergraduate Canadian medical schools. Described as a ‘theory/methods package’, situational analysis has a strong history in feminist health research and is often considered an extension of the qualitative methodology of grounded theory.62 Where grounded theory aims to uncover basic social processes occurring within the data, a situational analysis incorporates an awareness of the overall situation of concern; researchers go beyond the hard data to situate their topic within social structures, collectives, institutions and histories/present-day realities.63

[상황 분석]은 또한 [지배적인 담론이 개인, 집단, 지식 및 관점을 배제하거나 삭제할 수 있는 권력을 가지고 있다]는 [푸코의 담론적 권력의 후기 구조주의 이론]에 근거한다. 기존의 정성적 분석이 이러한 학습 자료의 내용에 대한 설명을 초래하는 반면, 상황 분석은 환자와 연습생에 대한 PE의 현실에 내 데이터를 배치하고, 이러한 문서의 지배적인 담론이 학생들의 관점과 미래의 임상적 만남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을 밝혀준다. 

Situational analyses also draw on Foucault's post-structuralist theories of discursive power—that dominant discourses have the power to exclude or erase individuals, groups, knowledges and perspectives.62, 64 Whereas conventional qualitative analyses would result in descriptions of the content in these learning materials, a situational analysis situates my data in the realities of the PE for patients and trainees and brings to light how dominant discourses in these documents can shape students' perspectives and future clinical encounters.65, 66

내 데이터는 캐나다에서 가장 큰 5개 학부 의과대학에서 의도적으로 샘플링되었고 학생들에게 PE를 수행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모든 필수 교과서, 임상 기술 가이드 및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으로 구성되었다. 이 학교들은 캐나다에서 가장 많은 수의 의사들을 훈련시키기 때문에 선택되었습니다. 캐나다에 위치한 연구원으로서, 나의 목표는 국가 차원의 의료 교육자들에게 PE에 대한 전반적인 커리큘럼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는 캐나다 의대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북미 의과대학에는 특정한 형태의 학습 표준화가 존재하며, 이 연구의 결과는 캐나다와 미국 전역의 의과대학에 일반화될 수 있다.
My data were purposively sampled67 from the five largest undergraduate medical schools in Canada and composed of all required textbooks, clinical skills guides and PowerPoint presentations that demonstrated to students how to perform the PE. These schools were selected because they train the largest number of doctors in Canada. As a researcher situated in Canada, my goal was to provide overall curricula feedback on the PE for medical educators at a national level. Though this study focuses on Canadian medical schools, certain forms of standardisation in learning exist in North American medical school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generalised to medical schools across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공공 웹사이트 검색은 물론, 의과대학의 관리자, 교수진 및/또는 개인 정보 보호 담당자들에게 연락하고 요청하는 것을 포함했다. 

  • (i) 학부 의대생을 위한 필수 교과서 목록 
  • (ii) 임상 기술 및/또는 PE의 교육에 사용되는 내부 자료 

학생들이 여전히 교과서를 참조하는지 여부에 대한 의문이 있었지만, 필수 구매 및 필수 읽기로 지정된 내용만 포함되었다. 이를 통해 가능한 한 포괄적인 PE 학습 자료를 검사할 수 있었습니다. PE의 묘사를 포함할 수 있는 재료의 총 수는 28개였다. 이 28개에서 PE의 묘사가 포함되지 않은 자료를 제거하고 중복 자료를 제거한 후, 10개의 교육 자료 샘플이 남아 있었다(표 1에 나열). 특정 교과서는 맥길 대학교 도서관을 통해 온라인 또는 실제 사본으로 접근되었다. 내부 자료는 공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익명으로 나열됩니다.

Data collection involved searching public websites as well as reaching out to administrators, faculty and/or privacy officers at the medical schools and requesting

  • (i) a list of any required textbooks for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and
  • (ii) any internal materials used for learning clinical skills and/or the teaching of the PE.

Though questions arise as to whether students still refer to textbooks, only those that were specified as required purchases and/or required reading were included. This allowed for an examination of PE learning materials that was as comprehensive as possible. The total number of materials that could contain depictions of PEs was 28.2 After eliminating materials within this 28 that did not contain depictions of the PE and removing duplicates, a sample of 10 educational materials remained (listed in Table 1). Specific textbooks were accessed via McGill University Library, either online or in physical copy. Internal materials are listed anonymously given that they are not publicly available.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나는 discursive data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황 분석의 분석 도구 중 하나인 [위치 매핑positional mapping]을 사용했다. [위치 맵position map]을 사용하면 데이터가 질적으로 코딩되지만, [취해진 위치와 담론에서의 침묵]에도 주의를 기울인다. 그런 다음 이러한 결과는 [좌표 지도]에 표시되며, [축]은 [논쟁 중인 문제]를 나타내고, [플롯 점]의 위치는 [위치의 prevalence]을 나타냅니다. 이론으로 정점을 찍기 보다는, 지도는 데이터 내의 모순과 부재는 물론 여러 위치를 완전히 표현할 수 있게 해준다. 

To analyse the data, I employed positional mapping, one of the analytic tools of situational analysis commonly used in relation to discursive data.62, 63 With position maps, data are qualitatively coded, but attention is paid to positions taken and silences in the discourses. These results are then plotted on coordinate maps, with the axes representing contested issues and the location of the plot point representing the position's prevalence. Rather than culminating in a theory, the maps allow for multiple positions as well as contradictions and absences within the data to be fully articulated.62, 63

샘플의 초기 판독은 세트에 익숙해지도록 수행되었다. 이후 10개의 샘플을 정성 데이터 소프트웨어 NVivo(NVivo 12, QSR International, USA)로 가져오고, 프로그램의 코딩('노드'라고도 함)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콘텐츠(담화 및 이미지)를 귀납적으로 코딩하는 수동 프로세스가 수행되었다. 분석은 다음 질문에 의해 유도되었다.

  • 환자 중심성 및 문화적 역량과 관련하여 의대생이 사용하는 PE 학습 자료에서 환자를 어떻게 대표하고 있는가?

이 심층적인 프로세스에는 데이터의 반복적 검토, 기본 및 최종 보조 코드/노드 적용, 세부 메모가 포함되었습니다. '데이터에서 취한 위치'는 코드에서 나온 반면, '침묵silences'은 메모 작성 과정에서 구체화되었다. 예를 들어, 메모를 하면서, 나는 더 광범위한 관심 상황(환자 중심적이고 문화적으로 유능한 PE) 중에서 [어떤 개념이 데이터에 제한되거나 누락되어있는지limited or absent] 주목했다.

An initial reading of the samples was undertaken to become familiar with the set. The 10 samples were then imported into the qualitative data software NVivo (NVivo 12, QSR International, USA), and the manual process of inductively coding the content (discourse and images) was carried out using the program's coding (also called ‘nodes’) framework. The analysis was guided by the following question:

  • How are patients represented in PE learning materials used by medical students with respect to patient-centeredness and cultural competencies?

This in-depth process involved multiple passes of the data, applying primary and eventual secondary codes/nodes, and the taking of detailed memos. The ‘positions taken in the data’ emerged from the codes, whereas the ‘silences’ materialised during the memo-making process. For instance, while making memos, I noted which concepts of the broader situation of concern (a patient-centred and culturally competent PE) may be limited or absent in the data.


몇 번의 검토passes 후 코딩 및 메모 작성 프로세스에서 [새로운 위치와 새로운 침묵]이 더 이상 나타나지 않을 때(이 방법을 '분석적 충분성' 62라 칭함), 결과는 스프레드시트로 내보내고 주제와 관련된 그룹으로 정리되었다. 여기서부터 지도 축은 데이터의 일반적인 긴장 영역을 식별하여 개발되었다. 

  • (i) 환자 불편과 피할 수 없는 장애에 대한 PE 과제와 그에 대한 임상적 인식 
  • (ii) 임상 의사의 행동 대 환자의 목소리 

그 다음 이 방법에 의해 제안된 템플릿을 사용하여 마이크로소프트 워드의 지도에 해당하는 위치와 정적을 표시하였다.

After several passes and when new positions and silences were no longer emerging from the coding and memo-making process (what this method refers to as ‘analytic sufficiency62), the results were exported into a spreadsheet and organised into thematically related groups. From here, map axes were developed by identifying common areas of tension in the data:

  • (i) a clinical awareness of PE challenges versus the inescapability of patient discomfort and
  • (ii) the clinician's actions versus the patient's voice.

Corresponding positions and silences were then plotted onto maps in Microsoft Word using templates suggested by this method.

이 연구는 문서 분석에 초점을 맞추고 인간 참여자들에 대한 연구나 실험을 포함하지 않았기 때문에, 맥길 대학 의학부의 맥길 기관 검토 위원회의 규정에 따라 윤리 승인이 필요하지 않았다.
Because this study focused on analysing documents and did not involve research or experimentation with human participants, ethics approval was not required as per the rules of the McGill Institutional Review Board in the Faculty of Medicine at McGill University.

 

3 결과 
3 RESULTS

상황 분석 결과는 두 개의 위치 지도에 표시된다(그림 S1 및 S2). 아래에서는 이 분석의 세 가지 중요한 주제에 대해 논의합니다.
Results of the situational analysis are depicted in two positional maps (Figs S1 and S2). Below, I discuss three overarching themes from this analysis.

3.1 균질하고 규범적인 신체: 시대에 뒤떨어진 언어
3.1 Homogeneous and normative bodies: Outdated language

자료에서 나타난 가장 일반적인 주제는 [신체에 대한 동질적이고 규범적인 개념]이었다. 시각적으로나 담론적으로, 대부분의 문서(80%)에서 환자들은 [백인의, 시스젠더의, 장애가 없는, 가임 연령의, 이전 외상 이력이 없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규범적이거나 '표준화된' 신체는 기초 기술을 배우기 위한 의료 훈련에서 선호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부분적으로 이러한 동질성을 설명할 수 있다.
The most prevalent theme that emerged from the data was a homogeneous and normative notion of the body. Both visually and discursively, patients were constructed as White, cis-gendered, abled-bodied, of child-bearing age and without a previous history of trauma in most (80%) of the documents. Normative or ‘standardised’ bodies are often preferred in medical training for learning foundational skills, which may partially explain this homogeneity.

신체 변화가 언급되더라도, 그것은 [심지어 이 표준 구조 내에서조차, 특정 신체들이 어떻게 임상의에게 PE를 더 도전적으로 만들 수 있는지]에 대한 언급이었다.
When bodily variation was mentioned, it was in reference to how, even within this normative construct, certain bodies can make the PE more challenging for the clinician:

 

많은 처녀질 오리피스는 하나의 검사 손가락을 인정한다…
만약 introitus이 위축되고 타이트해진다면, 나이 든 여성에게도 유사한 기술이 나타날 수 있다.

Many virginal vaginal orifices admit a single examining finger … Similar techniques may be indicated in elderly women if the introitus has become atrophied and tight. (Bickley and Szilagyi, p. 30, emphasis added)

그레이브스 경첩은 옆쪽이 더 넓고, 더 높고, 구부러진 날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경산부 여성에게 가장 적합하다.
그것의 넓고 구부러진 날들은 시각화를 위해 경산부 여성의 느슨한 질벽을 유지한다.
The Graves speculum has blades that are wider, higher, and curved on the sides; it is more appropriate for most parous women. Its wider, curved blades keep the looser vaginal walls of multiparous women separated for visualization. (Beckmann, p. 13, emphasis added)

난소는 비만이나 잘 이완되지 않은 여성에게서 촉진되기 어렵다
Ovaries are difficult to palpate in obese or poorly relaxed women. (Clinical Skills Guide 3, p. 8, emphasis added)


여기서의 언어 선택은 성차별적이고 불필요하게 성차별화된 담론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여성 순결의 사회적 구조는 유지되고, 경산 여성은 질적으로 '느슨한' 것으로 묘사된다. 또한, 프로시져가 참아내기 어려운 것이 아니라, (PEs의 유일한 수용자로 생각되는) 여성이 '잘 이완되지 않은 것'으로 묘사된다. 여기서, 우리는 환자의 동질적(비다양적) 묘사와 여성 신체와 관련된 [시대에 뒤떨어지고, 종종 낙인적인 용어와 개념]의 사용과 관련하여 자료에서 문화적 역량이 부족하다는 것을 주목할 수 있다. 이러한 강연들은 의학 및 사회에서 성별과 성 고정관념을 영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language choices here are indicative of sexist and unnecessarily sexualised discourse. The social construct of female virginity is upheld, multiparous women are described as vaginally ‘loose,’ and women (suggested to be the sole receiver of PEs) are ‘poorly relaxed’ rather than the procedure being challenging to tolerate, for instance. Here, one can note a lack of cultural competency in the materials both with respect to homogeneous (non-diverse) depictions of patients and with the use of outdated and often stigmatising terms and concepts related to the female body. These discourses serve to perpetuate gender and sexuality stereotypes in medicine and in society more broadly.

대부분의 문서가 신체에 대한 규범적 개념을 설명했지만, 두 개의 내부 가이드는 분명히 다양한 환자를 언급하였다. 하나는 퀴어 및 트랜스 환자를 위한 성별을 포함하는 접근 방식을 강조하고 다른 하나는 원주민과 LGBTQ+ 관점을 포함하는 외상 정보 치료의 원칙에 대한 두 페이지를 할애하였다.

Though most of the documents depicted normative notions of the body, two internal guides did overtly refer to diverse patients: one emphasising a gender-inclusive approach for queer and trans patients and the other dedicating two pages to the principles of trauma-informed care inclusive of Indigenous and LGBTQ+ perspectives (Clinical Skills Guide 3, pp. 11–12; PowerPoint Presentation 2, pp. 20–23).

 

3.2 환자의 주체성과 선호도가 제한된다.
3.2 Limited patient agency and preferences

모든 문서에서 강조된 것은 [환자가 PE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없다]는 개념이었다. 임상의가 PE가 표시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PE가 발생하게 됩니다. 두 개의 교과서 및 한 개의 내부 가이드의 다음 예는 이러한 권한을 보여줍니다.

Underscored in all documents was the notion that patients were not in control of deciding whether the PE was to be performed. If the clinician had determined that a PE was indicated, it was to occur. The following examples from two textbooks and one internal guide demonstrate this authority:

 

환자에게 당신의 시험 계획을 설명하시오. (Smith 등, 페이지 328; 강조 추가)
Explain to the patient your plans for the exam. (Smith et al., p. 328; emphasis added)

내진을 할 때 앞으로 일어날 모든 것을 그것이 일어나기 전에 설명해야 합니다. 
Everything that is going to happen during the pelvic examination should be explained before it occurs. (Beckmann, p. 11; emphasis added)

환자로부터 진행 허가를 받습니다. 
[Obtain] permission from the patient to proceed. (Clinical Skills Guide 2, p. 3)


여기서는 환자의 의사input과 관계없이, 이미 검사가 결정되었습니다. 환자 동의(또는 때때로 표현된 '허락')가 언급되지만, [이미 검사가 진행 중이거나 결정된 것]이라는 구성 내에 있다. [임상적 권위]는 문서 내에 너무나도 팽배해서, [환자가 검사를 거부할 경우] 어떻게 해야 할지 아무도 제안하지 않았고, [우려를 하는 환자에 대한 대안적인 행동 방침]이 제시되지 않았다.

Here, the examination has been decided upon before, independent of patient input. Though patient consent—or ‘permission’ as it was sometimes phrased—is mentioned, it is within the construct of the examination already being in motion or decided on. Clinical authority was so prevalent in the documents that none suggested what to do if a patient declined an examination; no alternative courses of actions were suggested for apprehensive patients.

환자의 주체성agency가 문서에 나타나 있을 경우에는(40%), [이미 하고 있는 프로시져]를 환자에게 맞춤화할 수 있는 방법과 관련하여 다음이 언급된다.

  • 거울 사용(임상 기술 가이드 2 및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2) 
  • 시술 중 신발 착용(비클리와 실라지) 또는 
  • 산만함을 위한 기술 장치 사용(임상 기술 가이드 3) 

When patient agency was represented in the documents (40%), it occurred with respect to how the patient could customise an already occurring procedure:

  • use of a mirror (Clinical Skills Guide 2 and PowerPoint Presentation 2),
  • wearing shoes during the procedure (Bickley and Szilagyi) or
  • using technological devices for distraction (Clinical Skills Guide 3).

PE 경험을 개선하는 것으로 알려진 최근 및 거의 틀림없이 더 효과적인 아래와 같은 옵션들은 없었다. 

  • 일상적인 상황에서 bimanual examination을 포기한다. (딱 하나에만 있었음)
  • 발판 사용 금지,
  • 스페큘럼의 자가 삽입 또는 자기 스왑 테크닉

Recent and arguably more effective options known to improve the PE experience were absent:

  • forgoing the bimanual examination in routine circumstances (excluded from all but one),
  • disuse of footrests,
  • self-insertion of speculum and/or self-swabbing techniques.

이러한 측면에서 자료는 환자 중심의 치료 원칙(일부 환자의 선호도 존중)을 지지했지만, [특정 모집단에 대한 검사를 개선하는 것으로 알려진 것을 포함하여], 모든 가능한 옵션에 대해 학생들에게 경고하기에는alerting 불충분했다. 이전 연구의 결론은, [의료 훈련단계에서 학생은 아직 임상행위를 습득하기 전이므로, 새로운 PE 옵션을 도입하기에 이상적인 시기]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렇지 않으면 학생들은 이러한 원천 자료에 노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

In this regard, although the materials upheld a tenet of patient-centred care—respect for (some) patient preferences—they were inadequate in alerting students to all options, including those known to improve the examination for specific populations. Conclusions from previous studies have identified medical training as the ideal introduction to novel PE options given their current lack of uptake in clinical practice.44 Students may otherwise never be exposed to these techniques if not in these source materials.

3.3 환자는 [PE가 이뤄지는 도중]이라는 특정 단계에서 [취약성과 제한된 능력]을 경험한다.
3.3 Patients are vulnerable and experience limited capacity at specific stages during the PE

데이터에서 나타난 분명한 주제는, PE의 임상 부분 동안 (임상의사 및 연습생에 대한) 환자의 상대적 취약성이었다. 데이터의 담화는 PE에는 두 가지 뚜렷한 사회적 요소인 [PE 전후]와 [PE 중]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음 예제는 환자 참여(질문할 능력, 동의할 능력, 결과 수신 능력 등) [전후 구성 요소에서 얼마나 강하게 indicate되는지], 그리고 [옷을 벗은 것]이 환자의 능력capacity에 대한 취약성과 중단을 어떻게 의미하는지 보여줍니다.

A clear theme that emerged from the data was patient vulnerability relatively to the clinician and/or trainee during the clinical portion of the PE. Discourses in the data demonstrated that there were two distinct social components of the PE: the before/after and the during. The following example demonstrates how patient engagement—such as the ability to ask questions, give permission and receive results—is heavily indicated in the before/after component and how being unclothed signifies both a vulnerability and a disruption to the capacity of the patient:

 

[프로시져 중의 취약성]이라는 주제는 임상의에게도 적용된다. 몇몇 문서에서는 임상의사(특히 교육생 및/또는 남성)가 '의료법적 보호'를 위해 환자가 알지 못하는 [샤프롱chaperones]을 병실에 배치해야 하는 방법을 강조하였다(임상기술지침서 1, 페이지 1).

Themes of vulnerability during the procedure also applied to the clinicians; several documents highlighted how clinicians—specifically trainees and/or males—must have chaperones unknown to the patient in the room for ‘medico-legal protection’ (Clinical Skills Guide 1, p. 1).

검사의 두 번째 구성 요소(프로시져 자체)에서, 담론은 [환자의 편안함]에서 벗어나, [PE의 임상적 스텝]으로 이동했습니다. 학습 목적을 위한 절차를 묘사하는 동안 임상적 초점을 어느 정도 맞출 것으로 예상된다. 비록 본문들이 [프로시져가 이뤄지는 동안 환자와의 의사소통의 필요성]을 일찍이 강조했지만, 종종 이 개념은

  • (i) 임상 단계 동안 전혀 언급되지 않거나 
  • (ii) 허가를 구하는 질문이나 이의 제기 기회가 아닌. [진술]로 표현된다.
    • '만지는 느낌이 날거에요',
    • '경경을 삽입하려고 한다는 것을 환자에게 말한다',
    • '불편한 환자에게 긁는 느낌이 들 수 있다고 알려준다'

이러한 재료는 PE의 두 구성 요소 사이에서 접근 방식이 달랐다고 할 수 있다. [환자와 환자 참여]는 프로시져 전후에, [임상 스킬]은 프로시져 동안에 중요하게 다뤄졌다.

In the second component of the examination (the procedure itself), discourses shifted away from patient comfort and towards the clinical steps of the PE. An amount of clinical focus during depictions of any procedure for learning purposes is to be expected. Though texts had earlier highlighted the need for patient communication during the procedure, often, this concept was either

  • (i) not referenced at all during the clinical steps or
  • (ii) expressed as statements rather than permission-seeking questions or opportunities for dissent (i.e. ‘you are going to feel touch’, ‘let the patient know you are about to insert the speculum’ and ‘inform patient she may feel an uncomfortable scraping sensation’).

It could be said that these materials diverged in their approach between the two components of the PE: patients and patient engagement were centred in the before/after, whereas clinical skills were centred during.

4 토론
4 DISCUSSION

내 분석은 캐나다 학부 의과대학에서 샘플링된 PE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텍스트 및 시각 기반 학습 자료가 이 연구의 프레임워크에 명시된 [환자 중심 치료 및 문화적 역량의 원칙]에 대해 환자를 적절하게 나타내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환자의 다양성, (언어를 통한) 존중, 환자의 선호와 주체성agency는 모두 다 프로시져를 묘사할 때 결여되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개념은 부가적인 비중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형태의 학습에서 학생들에게 소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강의실 자료는 의학 교육에서 하나의 요소에 불과할지 모르지만, 그러나, 나는 이러한 묘사가 여전히 여기서 그리고 의학 교육과정에 더 광범위하게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My analysis demonstrates that text- and visual-based learning materials on how to perform the PE sampled from Canadian undergraduate medical schools inadequately represent patients with respect to the tenets of patient-centred care and cultural competence set out in this study's framework. Patient diversity, respect (via language), preferences and agency were all limited in depictions of a procedure where these concepts arguably carry added weight and may not be introduced to students in other forms of learning. Classroom materials such as these may illustrate a single component of medical education; however, I argue that these depictions still matter here and for the medical curriculum more broadly.

[환자 중심성]과 관련하여, [환자 관점에 대한 노출]이 [의대생의 자신감과 정보 보유를 크게 향상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면서, 이 치료 모델은 전체 의료 커리큘럼의 중요한 측면으로 반복적으로 확인되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PE는 환자와 학생 모두에게 예외적인 절차입니다. 프로시져 학습 자료에서 환자 중심의 접근 방식을 강조한다면, PE가 적어도 하나의 우선 순위가 되어야 한다고 추정할 수 있다. 
With respect to patient-centeredness, this model of care has repeatedly been identified as an important aspect of the entire medical curriculum,11, 68 with research demonstrating that exposure to the patient perspective significantly improves medical students' confidence and retention of information.69 As mentioned, the PE is an exceptional procedure for both patients and students.70 If patient-centred approaches were to be emphasised in procedural learning materials, it could be presumed that the PE should be at least one priority.

이 사례들에서 환자중심적 접근방식이 배제되었음을 확인하며 배운 것이, [환자 중심주의가 필수적이라고 여겨지는 다른 분야의 결함]도 말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성 통증, 장애 또는 말기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또는 산부인과 환자가 있다. 학생들은 교육과정 전반에 걸쳐 환자 중심주의를 보다 명시적으로 가르칠 필요가 있다고 보고했고, 학부 커리큘럼은 환자 중심적인 관점보다 '질병 기반 관점'에 더 치우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교실 학습 자료가 환자 중심주의를 개선할 수 있는 의료 교육의 한 측면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What we learn from their exclusion in these cases may speak to deficiencies in other fields where patient-centeredness has been identified as imperative: patients with chronic pain,71 disabilities72 or terminal illness,73 or in obstetrics,74-76 for instance. Students have reported that patient-centeredness needs to be more explicitly taught throughout the curriculum,77 and undergraduate curricula have been shown to be more inclined towards ‘disease-based perspectives’ over patient-centred ones.78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classroom learning materials could be one aspect of medical education where patient-centeredness could be improved upon.

문화적 역량과 관련하여, 본 연구의 분석은 의료 커리큘럼에서 환자 묘사를 다양화하기 위해 추가 작업이 필요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이 주제에 대한 다른 조사 결과와 일치합니다. 피부과와 같은 다른 의학 분야의 학습 자료에서 인종적 동질성은 예를 들어 학생들의 진단 기술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또한 특정 모집단의 부재(심지어 술기 장비technical material 수준의 부재조차)는 의사들이 [인종과 질병 위험 사이의 연관성]이 있게 만듦으로써, 기존 건강 격차를 유지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북미 의대생들은 [성소수자(LGBTQ+) 환자와 관련된 주제]에 대해 학부 커리큘럼에 적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으며, 이 모집단에 적절한 상담을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느낀다고 보고한다. 페미니스트 이론가들에 따르면, 의학교육에서 [환자를 동질적으로 묘사하는 것]은 [신-식민지주의neo-colonialism의 한 형태]로 간주되며, 모든 신체가 아니라 [일부 신체에만 복무하도록 설계된 '우생학의 논리']를 영속시킨다. 강의실 자료를 포함한 포괄적인 리소스는 다양한 환자 그룹과 상호작용하는 데 있어 학생들의 문화적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요한 방법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환자 표현이 개선되어야 하는 커리큘럼의 한 측면(PE 강의실 자료)을 드러내지만, 또한 의료 훈련의 모든 단계에서 문화적 역량 기술이 얼마나 더 강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더 광범위한 예시로도 작용한다.
With respect to cultural competency, the analysis from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further work may be needed to diversify patient depictions in the medical curriculum. This aligns with other findings on this topic. Racial homogeneity in learning materials from other fields of medicine—such as dermatology—has been noted to impede diagnostic skills of students,79 for instance. It has also been noted that the absence of certain populations—even at the level of technical materials—may inform the association doctors make between race and disease risk, thereby maintaining or exacerbating existing health disparities.60, 61 North American medical students report that a small amount of time is dedicated in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to topics related to LGBTQ+ patients80 and that they feel unprepared to provide appropriate counselling to this population.81 According to feminist theorists, homogeneous depictions of patients in medical education are considered a form of neo-colonialism82 and perpetuate a ‘logic of eugenics’ designed to serve some bodies instead of all.83 Comprehensive resources—including classroom materials—have been identified as a critical method for improving cultural competency in students by heightening their awareness of and comfort in interacting with diverse patient groups.84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one aspect of the curriculum where patient representation needs to be improved (PE classroom materials) but also serve as a broader example of how cultural competency skills may need further emphasis across all stages of medical training.


본 연구의 한계 측면에서, 이 프로젝트의 범위는 중요한 사례 표본을 추출할 수 있도록 허용되었으며, 학교 커리큘럼에 따른 차이가 존재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난해한 데이터에 존재하는 특정 결함은 의료 훈련의 다른 곳에서 다루어질 수 있다. 이 주제에 대한 추가 연구는 학습 자료를 더 광범위하게 조사할 수 있다. 

  • 넓은 관점(즉, 강의실 및 표준화된 환자 세션에서 학습에 대한 더 많은 문서 또는 민족지학적 관찰)
  • 샘플 관점(즉, 더 많은 학교)

미래의 연구는 또한 다른 '예외적' 절차 또는 일반적으로 PE를 통한 환자 관점에 대한 지식과 인식과 관련하여 의대생들의 학습 경험에 대해 인터뷰할 수 있다.

In terms of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scope of this project allowed for a critical-case sampling, and it must be noted that jurisdictional variations across school curricula do exist. As previously mentioned, certain deficiencies present in this discursive data may be addressed elsewhere in medical training. Further research into this subject could examine learning materials more extensively, from both

  • a breadth perspective (i.e. more documents and/or ethnographic observations of learning in classroom and standardised patient sessions) and
  • a sample perspective (i.e. more schools).

Future studies could also interview medical students about their learning experiences with respect to their knowledge and awareness of patient perspectives with the PE, with other ‘exceptional’ procedures or in general.

5 결론
5 CONCLUSION

PE의 가르침은 의학 교육의 문제를 제기했으며, 계속해서 그러하고 있다. 텍스트 및 시각 기반 커리큘럼은 의대생들이 배우는 방법의 한 측면을 나타내지만, 이러한 자료에서 담론은 중요하고, 그들의 해석은 다양한 환자 커뮤니티의 경험과 건강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교과서와 기술 기술 지침서의 기본 수준에서도 환자 중심적이고 문화적으로 유능한 접근법이 의료 커리큘럼뿐만 아니라 PE의 사례 연구에서도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PE 훈련은 큰 진전을 이뤘고, 이 연구의 특이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여전히 그것의 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보다 [다양하고 포용적인 의료행위를 향한 진전]은 결코 유한하지 않으며, 바이오메디컬도 예외가 아니다. 커리큘럼은 지속적인 분석과 개선이 필요하며, PE와 다른 '예외' 절차에 대한 묘사는 특정한 주의를 필요로 할 수 있다.

The teaching of the PE has posed and continues to pose challenges in medical education. Text and visual-based curricula represent one facet of how medical students learn, but discourses in these materials matter, and their interpretations can impact the experiences and health outcomes of various patient communities. It is for these reasons that—even at the basic level of textbooks and technical skills guides—patient-centred and culturally competent approaches must be further emphasised both here in this case study of the PE as well as in the medical curriculum more broadly. PE training has come a long way, and efforts are still being made to improve its teaching, as reflected in this study's outlier cases. But progress towards more diverse and inclusive practices is never finite, and biomedicine is no exception. Curricula need constant analysis and improvement, and depictions of the PE and other ‘exceptional’ procedures may require specific attention.

 


Med Educ. 2022 Jan 27. doi: 10.1111/medu.14737. Online ahead of print.

'Poorly relaxed women': A situational analysis of pelvic examination learning materials for medical student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Faculty of Medicine,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PMID: 35086164

DOI: 10.1111/medu.14737

Abstract

Background: Certain clinical pelvic examination (PE) teaching methods have been critiqued for prioritising student learning over patient autonomy and for not accurately representing diverse patient communities. As such, patient-centred and culturally competent approaches to the PE may need further emphasis in the medical curriculum-in particular, in content delivered to students before patient interaction. Classroom materials serve as students' first exposure to the sensitive procedure. This research explores how patients are represented in these materials.

Methods: A situa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on 10 purposively sampled PE learning materials for the 2019/20 academic year from five undergraduate medical schools in Canada. Situational analysis focuses on analysing discourse but is epistemically aligned with post-structuralism (most notably Foucault's theories involving discursive power) and allows for specific consideration of 'silences' in the data.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cartographic approaches according to this methodology, with particular attention paid to the tenets and frameworks of patient-centred and culturally competent care.

Results: Overall, content in these materials misrepresented and under-represented patients. Materials contained both outdated and unnecessarily sexualised language, in addition to a lack of patient diversity. Clinical authority was often centred over patient agency, and several updated PE techniques known to improve patient experience were absent. Patient-centred and culturally competent approaches were therefore inadequately highlighted in most of the materials.

Conclusions: Depictions contained in these materials may be perpetuating stereotypes and biases in medicine and may be working to maintain teaching practices that cause harm to patients (standardised and regular) who students interact with in both clinical and educational settings. Efforts may be needed to improve classroom materials on the PE so that they more adequately centre patients and provide opportunities to discuss culturally competent approaches to the procedure that (i) may not be covered in other parts of the PE curriculum and (ii) can reduce known health disparities.

학습자의 환자중심성 개발을 위한 계획된 의학교육 전략 최전화: 현실주의 고찰(Med Educ, 2022)
Optimising planned medical education strategies to develop learners' person-centredness: A realist review
Aarti Bansal1 | Sarah Greenley2 | Caroline Mitchell3 | Sophie Park4 | Katie Shearn5 | Joanne Reeve1

 

 

1 소개
1 INTRODUCTION

[사람 중심성]은 임상의가 효과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인 속성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의학교육에서 옹호되는 성과이다. 사람 중심의 의사소통 기술 훈련은 많은 의학 교육 커리큘럼의 확립된 부분이다. 3 그러나, 사람 중심의 태도가 의학 교육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지 않으며, 오히려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 최근 몇 년 동안, 종적 통합 임상실습(LIC)과 같은 특정 유형의 의학교육이 어떻게 [사람 중심성]을 지원할 수 있는지에 대한 증거를 여러 연구가 제시해 왔다. 그러나, 우리는 사람 중심성를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계획된 광범위한 의학 교육 프로그램이 어떻게, 왜,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성공하는지 아직 충분한 이해를 하지 못하고 있다. 이 지식은 우리가 사람 중심 의사들의 발전을 위해 의학 교육을 최적화하기 위해 중요하다.

Person-centredness is recognised as an essential attribute for clinicians to deliver effective health care1 and is an espoused outcome for medical education.2 Person-centred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is an established part of many medical education curricula3; however, there has been concern that person-centred attitudes do not increase in learners as they progress through medical education and may decline.4-10 In recent years several studies have offered evidence on how certain types of medical education, such as longitudinal integrated clerkships (LICs),11-13 can support person-centredness. However, we still have insufficient understanding as to how, why and in what circumstances the range of planned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that aim to develop person-centeredness are successful or not. This knowledge is important if we are to optimise medical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erson-centred practitioners.

[사람 중심성]은 [무엇이 건강과 임상적 역할을 구성하는지]에 대한 사람의 관점을 가이드하는 [해석주의적 인식론적 틀]에 기초한다. 이 관점은 [실증주의적 생의학적 관점]과 대조적으로 설명되는 경우가 많다.

  • [실증주의적 생의학적 관점]에서는 [환자의 질병에 대한 보고]는 질병 과정의 존재를 나타내기 위해 취해지며, 임상의의 '전문가' 역할은 환자의 질병을 치료하거나 개선하기 위한 정확한 진단과 관리로 제한된다.
  • [사람 중심적 관점]은 그 사람이 [생물심리사회적 요인과 다른 요인의 복잡한 상호 작용]이며, 그들의 건강 목표가 그들의 고유한 맥락과 그들에게 중요한 점의 관점에 의해 inform되는, 독특한 개인임을 인식한다.
    • 그것은 환자의 주관적인 지식과 전문성을 인정하며, 공유된 의사 결정 과정에서 동등한 파트너로서 환자와 협력하고자 한다.
    • 또한 관계의 질이 건강 결과에 영향을 미치며, [의료 전문가의 자기 인식]이 사람 중심 접근법의 중요한 구성 요소임을 인정한다.

Person-centredness is based on an interpretivist epistemological framework14 which guides one's perspective on what constitutes health and one's clinical role.

  • It is often described in contrast to a positivist biomedical perspective in which patients' reports of illness are taken to indicate the existence of disease processes and the clinician's ‘expert’ role is limited to accurat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disease to cure or improve the patient's illness.15 
  • A person-centred perspective recognises that the person is a unique individual whose health is a complex interplay of biopsychosocial and other factors and whose health goals will be informed by their unique context and in terms of what matters to them.1617 
    • It recognises patients' subjective knowledge and expertise and seeks to work with patients as equal partners in a shared decision making process.16 
    • It also recognises that the quality of relationships influences health outcomes and that health care professionals' self-awareness is a vital component of a person-centred approach.1819 

경험적 문헌에 대한 미드와 바워의 리뷰는 환자 중심성의 다섯 가지 개념 영역을 설명한다. 

  • 생물심리사회적 관점,
  • '사람으로서의 환자',
  • 권력과 책임의 공유,
  • 치료 동맹,
  • '사람으로서의 의사' 

Mead and Bower's review of the empirical literature describe five conceptual domains of patient-centredness:

  • biopsychosocial perspective,
  • ‘patient-as-person’,
  • sharing power and responsibility,
  • therapeutic alliance and
  • ‘doctor-as-person.’20 

사람 중심 이론은 임상 실무에 대한 사람 중심 접근에 대한 개념적이고 증거적인 근거를 포함한다. 

Person-centred theory involves the conceptual and evidential rationale for a person-centred approach to clinical practice.21

'환자 중심'과 '사람 중심'이라는 용어는 종종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며, 이러한 용어를 뒷받침하는 개념 영역에는 상당한 중복이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환자로서의 지위뿐만 아니라 개인의 인격을 인정하는 '사람 중심'이라는 용어로의 움직임이 있었다. 그러므로 우리는 리뷰에서 '사람 중심'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The terms ‘patient-centred’ and ‘person-centred’ are often used interchangeably, and there is considerable overlap in the conceptual domains underpinning these terms.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move towards the term ‘person-centred’ to acknowledge the personhood of an individual and not just their status as a patient.22 We therefore chose to use the term ‘person-centred’ in our review.

의료 교육에서 사람 중심의 교육은 종종 [스킬과 역량]의 관점에서 개념화된다. 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생물의학 임상의의 관점은 사람 중심의 치료를 제공하는 데 장애가 될 수 있으며, 사람 중심의 접근법은 '당신은 뭐가 문제에요?'에 초점을 맞추는 것에서 '당신에게 중요한 것이 무엇인가요?'에 초점을 맞추는 관점의 전환을 필요로 한다고 주장되어 왔다. 다양한 정책 논문은 [사람 중심 진료에 전념하는 노동력]이 사람 중심 진료 제공에 필수적인 기둥이며, [사람 중심 가치와 원칙]이 사람 중심 행동을 안내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권고한다. 의료 교육 전략에 격차가 있는지, 현재 의사소통 능력 훈련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 사람 중심의 이론을 간과할 수 있는지 물었다.
Teaching of person-centredness in medical education is often conceptualised in terms of skills and competencies.23 However, studies have shown that biomedical clinician perspectives may be a barrier to delivering person-centred care24, 25 and it has been argued that a person-centred approach requires a perspective shift from a focus on ‘what is the matter with you?’ to ‘what matters to you?’26 Various policy papers recommend that a workforce committed to person-centred practice is an essential pillar in delivering person-centred care1, 27 and that person-centred values and principles are essential to guiding person-centred behaviours.28 We queried whether there is a gap in medical education strategy and if the current focus on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may overlook person-centred theory.

우리의 검토는 다음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노력했다.

  • 사람 중심성 개발에 계획된 의료 교육 개입의 성공 또는 실패로 이어지는 특정 맥락에서 촉발된 핵심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 이러한 설명들이 교육 정책, 관행, 연구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Our review sought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 What are the key mechanisms, triggered in particular contexts, that lead to the success or failure of planned medical educational interventions in developing person-centredness?
  • How might these explanations influence educational policy, practice, and research?

우리의 검토의 목적은 의료 교육자와 정책 입안자에게 유용한 검증 가능한 이론을 만드는 것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더 넓은 의료 환경에서 발생하고 의료 교육이 제한된 영향력을 가질 수 있는 경험 있는 교육 과정과는 반대로 계획된 교육 커리큘럼에 초점을 맞추기로 선택했습니다. 우리는 사람 중심의 결과를 관점으로 개념화하여 학습자의 수준에 검토를 집중하기로 결정했다.

The objective of our review was to produce testable theory useful to medical educators and policymakers. For this reason, we chose to focus on the planned education curriculum as opposed to the experienced curriculum which occurs in the wider health care context and over which medical education may have limited influence. We conceptualised the outcome of person-centredness as a perspective and so chose to focus our review at the level of the learner.

2 방법
2 METHODS

우리는 이것이 정책과 실무를 알리기 위해 고안된 실용적인 방법론적 접근 방식이기 때문에 [현실주의 검토]를 수행하기로 결정했다. [현실주의 연구]는 의학 교육(29)과 같은 복잡한 개입을 조사하고 질적, 양적 및 혼합 방법 연구를 합성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개입이 작동하는지 여부를 이해하고자 하는 표준 체계적 검토와 달리, 현실주의 검토는 설명적인 초점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상황에서 어떤 것이 누구에게 효과가 있는지 이해하려고 한다. 우리의 연구는 관점의 수준에서 결과를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췄고, 따라서 '메커니즘'의 개념을 사용하는 것은 [인간 추론 수준]이며, 여기서 그것은 그들이 제공하는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을 나타낸다. 본 논문은 현실주의자 및 메타나래티브 증거 합성에 따른 검토를 보고한다. 발전하는 표준(RAMESES) 출판 표준. 심사는 학부 및 대학원 의학 교육(AB, JR, SP, CM) 경험이 풍부한 의사 4명과 현실주의 방법론자(KS), 정보전문가(SR) 등 6명으로 구성된 팀이 진행했다.

We chose to conduct a realist review as this is a practical methodological approach designed to inform policy and practice. Realist research is also particularly suitable for investigating complex interventions, such as those in medical education,29 and for synthesising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methods research. Unlike standard systematic reviews that seek to understand whether an intervention works, realist reviews have an explanatory focus and seek to understand what works for whom and in what circumstances.30 Our research focused on understanding outcomes at the level of perspective and so our use of the concept of ‘mechanism’ is at the level of human reasoning,31 where it represents learners' responses to the educational programme they are offered. This paper reports the review according to the Realist and Metanarrative Evidence Syntheses: Evolving Standards (RAMESES) publication standards.32 The review was conducted by a six-person team which included four doctors with extensive experience in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AB, JR, SP and CM), a realist methodologist (KS) and an information specialist (SR).

2.1 단계(i): 초기 프로그램 이론 개발
2.1 Step (i): Developing an initial programme theory

우리의 첫 번째 단계는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안내하는 초기 프로그램 이론을 설명하는 것이었다. 우리는 Shearn 등이 개략적으로 설명한 세 가지 전략을 채택했다.

  • 우리 연구팀이 보유한 암묵적 이론을 추출하고, 
  • 실질적인 교육 학습 이론의 개념을 사용하며, 
  • 학문적 및 회색 문헌의 탐색적 검색에서 암묵적 이론을 추출한다. 

범위 지정 검색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개방형 과학 프레임워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출처는 그들이 대표하는 학습 유형을 기반으로 3개의 초안 프로그램 이론으로 구성된 초기 프로그램 이론을 구성하도록 구성된 이론 개념을 생성했다. 

  • 인지적(사람 중심 치료의 대상), 
  • 구성주의적(교육적 학습 환경)
  • 경험적(경험적 배치)

우리의 초기 프로그램 이론의 세부사항은 부록 S1에 있다.

Our first step was to describe an initial programme theory to guid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 adopted three of the strategies outlined by Shearn et al.33:

  • extracting tacit theories held by our research team,
  • using concepts from substantive educational learning theory and
  • extracting tacit theories from exploratory searches of the academic and grey literature.

Details of our scoping searches are available at the open science framework (https://osf.io/qnkfh/?view_only=d1d36e578dd449a78ec62b13e2efebc5). These sources produced theory concepts that were configured to form an initial programme theory consisting of three draft programme theories based on the types of learning they represented:

  • cognitive (theory of person-centred care),
  • constructivist (transformative learning environments) and
  • experiential (clinical placements).

The detail of our initial programme theory is in Appendix S1.

우리의 초기 프로그램 이론은 학부 및 대학원 의학 교육을 계획하고, 제공하고, 받는 이해 관계자들과 함께 점검되었다. 그들의 피드백은 [초기 프로그램 이론]이 연구 질문에 답하는 데 유용한 출발점을 제공했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었다. 이해관계자 그룹은 전문 그룹 차원에서 검토 범위를 논의했으며 의사의 진단 및 관리 책임이 모든 보건 전문가와 공유되지 않고 사람 중심의 접근방식 개발에 특정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대생과 의사에게 검토를 집중하기로 합의했다. 학부 및 대학원 학습 전반에 걸쳐 공통적인 메커니즘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의학교육의 연속체에 걸친 논문들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데 의견이 일치했다.

Our initial programme theory was checked with stakeholders planning, delivering and receiving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Their feedback confirmed that the initial programme theory provided a useful starting point for answering the research question. The stakeholder group discussed the scope of the review in terms of professional groupings and agreed to focus the review on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given that the diagnostic and management responsibilities of doctors are not shared with all health professionals and may have a specific impact in the development of a person-centred approach. It was agreed that there were likely to be mechanisms in common across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learning and so papers from across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2.2 단계 (ii) : 증거 찾기
2.2 Step (ii): Searching for evidence

우리의 초기 프로그램 이론은 우리의 체계적인 검색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했다. 이전의 범위 지정 검색을 통해 검색 전략을 구체화할 수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전문성'이라는 용어로 발견된 대부분의 논문은 숨겨진(경험은 있지만 계획되지 않은) 커리큘럼의 영향에 관한 반면, 우리의 리뷰는 [계획된 커리큘럼]에 초점을 맞췄다. 우리는 '의학 교육'과 '사람 중심' 및 관련 동의어에 대한 자유 텍스트 및 데이터베이스별 주제 제목 용어의 부울 조합을 통해 여러 전자 데이터베이스(2019년 7월 15일 OVID 인터페이스를 통한 Medline, Embase 및 HMIC)를 검색했다. 각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전체 검색 전략은 부록 S2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Our initial programme theory provided the framework to develop our systematic search strategy. Earlier scoping searches allowed us to refine our search strategy. For example, most papers found under the term ‘professionalism’ were concerned with the impact of the hidden (experienced but not planned) curriculum, whereas our review focus was on the planned curriculum. We searched multiple electronic databases (Medline, Embase and HMIC via the OVID interface and ERIC via the EBSCO interface on 15 July 2019) through Boolean combinations of free-text and database-specific subject heading terms for ‘medical education’ and ‘person-centred’ and related synonyms. Full search strategies for each database can be found in Appendix S2.


우리는 이러한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사람 중심의 가치, 태도 및 신념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 유용한 논문을 놓치고 싶지 않았기 때문에, 결과outcome에 대한 검색 용어를 포함함으로써 검색을 제한하지 않았다. 또한 범위 지정 단계에서 회색 문헌에 대한 이전 검색에서 확인된 관련 연구가 포함되었다. 우리는 이것이 의료 교육에서 환자 중심성과 사람 중심성의 개념이 확립된 시기라고 추론했기 때문에 이 검색은 영어와 2000년 이후 발표된 결과로 제한되었다. 인용 추적 및 저자와의 접촉을 포함한 CLASTER 방법을 사용하여 매우 관련성이 높은 연구와 관련된 추가 논문이 발견되었다. 합성이 진행되면서 '감정 거리를 유지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전문성'에 대한 이론의 새로운 요소가 등장했고, 현실주의 합성에서도 권장되는 것처럼, 이 이론의 요소를 뒷받침하거나 반박하거나 다듬을 증거를 찾기 위해 구글 스콜라를 이용해 추가 검색을 했다.

We did not limit the search by including search terms on outcomes as we did not want to miss useful papers that may include data on person-centred values, attitudes and beliefs without using these terms. In addition, relevant studies identified from a previous search for grey literature at the scoping stage were included. The search was limited to the English language and to results published since 2000 as we reasoned that this was when the concepts of patient-centredness and person-centredness became established in medical education. Additional papers relating to highly relevant studies were found using the CLUSTER method34 including citation tracking and contact with authors. As the synthesis progressed, a new element of theory emerged on ‘professionalism being understood as maintaining emotional distance’, and as is recommended in realist synthesis,35 we did additional searching, using Google Scholar, to look for evidence to support, refute or refine this element of theory.

2.3 단계 (iii): 문서의 선정 및 평가
2.3 Step (iii): Selection and appraisal of documents

논문의 선택은 주로 [RAMESS 식별된 관련성 원칙]에 기초했으며, 기사가 연구 질문을 조명하고 이론 개발에 기여했는지 여부이다. 포함 대상 연구 유형에 대한 제한은 없었다. 심사는 AB가 주도했으며, JR, CM, SM, KS 또는 SG가 추상 및 전체 텍스트 단계에서 두 배로 평가한 타이틀의 10%를 무작위로 샘플링했다. 우리는 의대생과 의사를 위한 [계획된 교육 개입]이 있는 논문을 [사람 중심성과 관련된 결과]에 대한 데이터와 함께 포함시켰다. 현실주의 종합에서, 이론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학문적 경계를 넘어서는 관련 데이터의 포함이 권장된다. 따라서 우리는 다른 보건 전문가들이 프로그램 이론의 전반적인 개발을 지지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다른 의료 전문가들과 관련된 세 개의 논문을 우리의 검색에 포함시키기로 합의했다. 숨겨진 커리큘럼에 관한 논문, 개입이 없거나 개입에 대한 설명이 너무 짧아 설명을 도출할 수 없는 논문은 제외했다. 공식 의료 교육 프로그램의 일부가 아닌 특정 정책 맥락에 특정한 의료 개입도 제외되었다(예: 미국의 개인 중심 의료 가정 개입). 또한 행동 수준에서 결과만 보고한 논문(예: 의사소통 능력 향상)도 제외했다. 완전한 포함 및 제외 기준은 PROPERO 데이터베이스에 게시된 프로토콜(CRD4202020168197) 내에서 확인할 수 있다.


Selection of articles was based primarily on the RAMESES identified principle of relevance, whether the article illuminated the research question and contributed to theory development.35 There was no restriction on the type of study eligible for inclusion. Screening was led by AB with a random sample of 10% of titles double appraised by JR, CM, SM, KS or SG at both abstract and full-text stages. We included papers with a planned educational intervention for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with data on outcomes related to person-centredness. In realist synthesis, the inclusion of relevant data from across disciplinary boundaries is encouraged to support theory development. We therefore agreed to include three papers that were returned in our search, which related to other health professionals as we felt they supported the overall development of programme theory. We excluded papers that were about the hidden curriculum, where there was no intervention or where the description of the intervention was too brief to derive explanation. Health care interventions that were specific to a particular policy context and not part of a formal medical educational programme, were also excluded (e.g. person-centred medical home interventions in the USA). We also excluded papers that only reported outcomes at behavioural level (e.g.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skills). Full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can be found within the protocol published on the PROSPERO database (CRD42020168197).

2.4 단계 (iv) : 데이터 추출 및 정리
2.4 Step (iv): Extracting and organising data

데이터를 추출하기 전에 먼저 포함된 전체 텍스트 논문을 모두 읽고 데이터에 익숙해지십시오. 각 논문의 연구 특성과 요약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Excel 스프레드시트로 추출했습니다. 또한, 각 논문은 연구 결과가 일관되고 타당하다고 간주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엄격(높거나 낮음)에 대해 평가되었다. 코딩은 둘 다였다.

  • 귀납적, 즉, 코드는 데이터에서 식별되었다. 
  • 연역적, 즉 초기 프로그램 이론에 의해 정보를 제공받았다. 

Before extracting the data, first read all the included full-text papers to familiarise herself with the data. Data on study characteristics and summary findings for each paper was extracted into an Excel spreadsheet. In addition, each paper was assessed for rigour (high or low) based on whether its findings were considered coherent and plausible. Coding was both

  • inductive, i.e., codes were identified from the data, and
  • deductive, i.e., they were informed by the initial programme theory.

각 논문은 NVivo 12(QSR International, Warrington, UK) 정성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에 업로드되어 세분화된 수준의 텍스트 코딩을 용이하게 했다. 이러한 코드화된 데이터는 개념으로 묶인 다음 'if-then' 설명문으로 발전되었다. 그런 다음 각 논문의 조사 결과에 대한 설명이 Excel 스프레드시트로 옮겨져 논문 간 설명을 쉽게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설명은 색상으로 구분되어 있어서 초안 프로그램 이론을 지지, 정제 또는 반박했는지 또는 새로운 이론에 영감을 주었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의 현실주의 합성에 포함된 연구의 세부 사항이 포함된 표는 부록 S3에서 이용할 수 있다.

Each paper was uploaded onto NVivo 12 (QSR International, Warrington, UK)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to facilitate coding of text at a granular level. These coded data were grouped into concepts and then developed into ‘if–then’ explanatory statements. Explanations of each paper's findings were then transferred to the Excel spreadsheet for ease of looking at explanations across papers. These explanations were colour coded so we could easily see if they supported, refined or refuted the draft programme theories or whether they inspired new theory. A table with details of studies included in our realist synthesis is available in Appendix S3.

 

2.5 단계(v): 데이터 합성
2.5 Step (v): Data synthesis

데이터 합성 과정에는 결과에 대한 현실적인 인과적 설명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데이터와 이론 사이를 지속적으로 이동]하는, [몇 가지 반복적인 사이클]이 포함되었다. 새로운 연구 결과는 설명의 일관성과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정기적인 연구팀 회의에서 비판적인 평가를 받았다. 우리의 현실적인 설명 이론을 개발하기 위해, 우리는 특정 교육 전략과 결과 사이에 반복적인 패턴(반규칙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논문을 통해 살펴봤다. 그런 다음 결과 및/또는 저자 제안을 찾고 이러한 결과가 어떻게 발생했는지 설명할 수 있는지 유괴적 추론을 사용했다. 그런 다음 데이터 합성은 우리의 이론에 대한 확인 및 확인 증거와 학습자 관점의 변화 또는 결여를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설명을 위해 데이터를 살펴보는 것을 포함했다.
The data synthesis process involved several iterative cycles where we continually moved between data and theory to help us develop realist causal explanations for outcomes. The emerging findings were subject to critical appraisal at regular research team meetings to ensure the coherence and validity of the explanations. To develop our realist explanatory theories, we looked across papers to see if there were repeated patterns (demi-regularities) between particular educational strategies and outcomes. We then looked for results and/or author suggestion and used abductive reasoning to see if we could explain how these outcomes occurred (mechanisms). Data synthesis then involved looking across the data for confirmatory and disconfirmatory evidence for our theories and, indeed, novel explanations that might explain the change in learner perspective or lack thereof.

[학습 전 학습자의 관점]은 학습에 대한 반응을 나타내는 데이터로부터 추론되었다. 우리는 사람 중심의 관점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 모든 개입 전략이 사람 중심의 관점으로 기울어진 참가자들의 관점을 검증했다는 것을 발견했다. 보다 [생물의학적 관점으로 기울어진 학습자들]은 학습에 대해 다양한 반응을 보였으며, 이는 우리의 질적 및 양적 데이터 모두에 반영되는 지배적인 학습자의 관점이었다. 이 단계에서 우리는 [생물의학적 관점으로 기울어진 학습자]에게 교육 전략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데이터 하위 집합에 검토를 집중하기로 결정했다. RAMESES 지침에 따라, 우리는 [학습자의 사람 중심성]을 지원하기 위해 [계획된 의료 교육 전략]이 [어떻게 최적화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측면에서, 교육자와 정책 입안자로서 이 초점이 그들에게 가장 유용할 것이라는 데 동의한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점검했다.

A learner's perspective prior to learning was inferred from data indicating their response to the learning. We found that all interventional strategies that aimed to support person-centredness validated the perspective of participants who leaned towards a person-centred perspective. Learners who leaned towards a more biomedical perspective had variable responses to learning and this was the predominant learner perspective reflected in both ou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At this stage, we chose to focus our review on the subset of data that provided explanations of the impact of educational strategies on learners who leaned towards a biomedical perspective. In line with RAMESES guidance,35 we checked with our stakeholders who agreed this focus would be most useful to them as educators and policymakers in terms of addressing the question of how planned medical educational strategies can be optimised to support learners' person-centredness.

[이론 구성]을 구체화하는 데 몇 가지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우리는 [학습자 컨텍스트]를 [교육 전략]과 분리하는 것이 관점의 변화로 이어지는 메커니즘을 분리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우리는 현실주의적 인과적 설명에 문맥-개입-메커니즘-결과 구성(CIMOc)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우리는 결과에 따라 CIMOc를 그룹화했고, 역작업은 사람 중심의 관점의 변화로 이어지는 메커니즘(또는 그렇지 않은)을 촉발시킨 교육 전략의 주요 특징을 조사하여 전체 프로그램 이론을 구성할 수 있었다.
Several models are available for articulating theory configurations.36, 37 We found that separating the learner context from the educational strategy helped us to isolate the mechanisms leading to changes in perspective. We therefore chose to use the context–intervention–mechanism–outcome configuration (CIMOc) for our realist causal explanations. We grouped CIMOcs based on their outcome and working backwards were able to investigate the key features of the educational strategies that triggered the mechanisms leading to a change in person-centred perspective (or not) and so to construct an overall programme theory.

 

3 결과
3 RESULTS

초기 검색 결과 4217개의 결과가 나왔다. 그림 1은 최종 현실주의 합성에 61개의 논문 또는 문서가 포함되게 된 필터링 과정을 보여줍니다. 8개의 논문이나 문서가 같은 '개입'을 보고 있었기 때문에 교육개입이 53개였다.

  • 37번의 개입에서 학습자는 학부생이었습니다. 
  • 11학년 때, 그들은 훈련 중인 대학원 박사들이었습니다. 
  • 5명 중, 그들은 숙련된 임상의사 또는 다학제 팀들이었습니다.

교육 개입은 전 세계에 걸쳐 이루어졌지만, 대다수가 북아메리카와 유럽(북미 23명, 유럽 20명, 아시아 5명, 호주 4명, 아프리카 1명)에서 왔다.

The initial search yielded 4217 results. Figure 1 illustrates the filtering process that resulted in 61 papers or documents being included in the final realist synthesis. Eight papers or documents were looking at the same ‘intervention’, so the number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looked at was 53.

  • In 37 interventions, learners were undergraduates;
  • in 11, they were postgraduate doctors-in-training; and
  • in five, they were experienced clinicians or multidisciplinary teams in work.

The educational interventions spanned the globe, although the majority were from North America and Europe (23 in North America, 20 in Europe, five in Asia, four in Australia and one in Africa).

중재적 전략은 크게 세 가지 유형이 있었다: 

  • 사람 중심의 의사소통 기술 훈련,
  • 사람 중심 이론과 개입이 없이 사람 중심 이론의 다양한 조합을 제공하는 환자 경험
  • 환자 내러티브 또는 일정시간에 걸친 실제 환자와의 관계(의미 있는 경험)에 참여하고, 반응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

There were three main types of interventional strategy:

  • person-centred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 patient experiences without person-centred theory and interventions that offered various combinations of person-centred theory,
  • engagement with patient narrative or real patients over time (meaningful experience) and opportunities to make sense of responses to learning.

개입 기간은 짧은 단일 세션에서 4년 동안 소규모 그룹에서의 정규 학습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했다. 질적 데이터를 제공한 논문은 37편, 정량적 데이터가 14편, 질적 데이터와 정량적 데이터가 모두 8편, 데이터가 없는 개입(자매 논문)에 대한 서술이 2편이었다.

The length of interventions varied widely from brief single sessions to regular learning in small groups over 4 years. Thirty-seven papers offered qualitative data, 14 had quantitative data, eight papers had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and two were descriptions of interventions (sister papers) without data.

3.1 정제된 프로그램 이론
3.1 Refined programme theory

우리의 정제된 프로그램 이론은 사람 중심성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교육 개입이 어떻게 성공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는지를 설명하는 9개의 CIMOc로 구성된다(표 1). 우리의 분석에 따르면 이러한 설명은 의학 교육 연속체(학부, 대학원 및 지속적인 전문 개발)에 걸쳐 기울어진 사람들에게 적용되었다. 그림 2는 우리의 정제된 프로그램 이론을 시각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Our refined programme theory consists of nine CIMOcs that explain how educational interventions that aim to develop person-centredness may or may not succeed (Table 1). Our analysis found that these explanations applied to leaners across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undergraduate, postgraduate and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igure 2 is a visual representation of our refined programme theory.

 

 

 

3.2 관점 지속: 교육적 개입이 어떻게 사람 중심성을 발전시키지 못할 수 있는가?
3.2 Perspective endurance: How educational interventions may fail to develop person-centredness

5개의 설명문(CIMOcs 1–5)은 [사람 중심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교육 개입이 어떻게 실패하는지]를 설명한다. 학습자에게서 촉발된 관점지속을 이끌어내는 메커니즘은 모두 [인지적 부조화]와 관련이 있다: 믿음, 가치관 또는 태도가 서로 일치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불편함과 불확실성. 우리의 분석은 역할, 인식론 및 더 넓은 커리큘럼의 인지된 생물의학적 초점과 관련된 세 가지 유형의 부조화를 설명했다.
Five explanatory statements (CIMOcs 1–5) explain how educational interventions that aim to increase person-centredness may fail to do so. The mechanisms triggered in learners that led to perspective endurance all relate to cognitive dissonance: the discomfort and uncertainty that results when beliefs, values or attitudes are not consistent with each other.38 Our analysis described three types of dissonance related to role, epistemology and the perceived biomedical focus of the wider curriculum.

3.2.1 메커니즘 1: 역할에 대한 이해와 불일치
3.2.1 Mechanism 1: Dissonance with understanding of role

학습자들이 [의사로서의 역할에 대한 이해]에는 [역할의 목적]과 [직업적 행동으로 간주되는 것]이 포함되었습니다. 역할과의 불일치에 기여한 대부분의 개입은 사람 중심의 의사소통 기술 훈련을 포함한다. 몇 가지 개입에는 비교적 짧지만 환자 또는 사람 중심 이론과의 의미 있는 연결이나 연속성을 제공하지 않는 환자들에 대한 경험이 포함되었다. 분석에 따르면 역할에 대한 이러한 이해의 불일치가 세 가지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ir role as a doctor included the purpose of the role and what was considered professional behaviour. Most interventions that contributed to dissonance with role involved person-centred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39-49 A few interventions involved experiences with patients that were relatively brief but did not offer meaningful connection or continuity with patients or any person-centred theory.50-52 Analysis revealed that dissonance in this understanding of role led to three outcomes.

CIMOc 1: 학습자는 의미 있는 역할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CIMOc 1: Learners believe they have no meaningful role


학습자들이 의사의 주요 역할이 [생물의학적 질병 진단과 관리를 통해 도움을 주는 것]이라고 믿었고, 학습 개입에서 포함된 환자가 급성 질환을 갖지 않았을 때, 일부는 이 학습이 그들의 미래 역할과 관련이 있음을 이해하기 어려워했다.

Where learners believed that the main role of the doctor is to help through biomedical disease diagnosis and management, and the learning intervention involved patients who were not acutely unwell,49, 50, 53, 54 some struggled to see the relevance of this learning to their future role.

한 사람은 비교적 건강한 환자를 따라다니라는 것은 '멍청한 생각'이라며 '대학 시절 봉사활동은 충분히 했다'고 말했다. 
One commented that the requirement to follow a patient, who was relatively well, was a ‘dumb idea’, adding, ‘I did enough volunteering during undergraduate’.53

반면에, 환자가 고통을 받고 있지만 치료법이 없다면(예: 임종 시), 질병에 기반한 역할에 대한 이해는 그들을 도울 힘이 없게 만들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patient was suffering but there was no cure (such as in end-of-life situations), their disease-based understanding of role could lead them to feel powerless to help.45, 46, 55

상황이 매우 어렵고, 저는 아마도 환자를 돕고 싶지만 그럴 방법이 없어서 부족하다고 느낄 것입니다. 
The situation is extremely difficult, and I would probably feel inadequate, wanting to help the patient but having no means to do that …46


두 경우 모두 [환자의 요구가 질병 진단과 관리 전문성과 맞지 않아, 유의미한 역할이 없다는 느낌]이 기존 관점을 지속하게 만들었다.

In both situations, the feeling that they had no meaningful role with patients whose needs did not fit with an expertise in disease diagnosis or management, resulted in perspective endurance.

CIMOc 2: 학습자는 생체 의학 관점에서 학습을 동화합니다.
CIMOc 2: Learners assimilate learning within their biomedical perspective

개입이 의사소통 기술 훈련을 포함하는 논문의 하위 집합 내에서, 일부 학습자는 [사람 중심의 접근 방식]을 역할에 대한 [기존 생물의학적 이해에 통합함]으로써 경험한 역할 부조화를 다루었다. 이러한 학습자들은 사람 중심 접근법의 목적을 그들의 생물의학적 역할에 효과적인 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이해했다. 예를 들어, [경청의 목적]은 [진단을 위해 더 나은 정보를 얻거나, 환자가 자신의 지시에 순응하도록 필요한 신뢰를 만드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Within the subset of papers where the intervention involved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39-49, 56 some learners dealt with the role dissonance they experienced by incorporating person-centred approaches into their existing biomedical understanding of role.39, 40, 42, 44, 47, 48 These learners understood the purpose of person-centred approaches as increasing their ability to be effective in their biomedical role. For instance, the purpose of listening was understood to get better information for diagnosis or to create the trust required for patients to comply with their advice.

환자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환자는 당신이 말한 대로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I think it's important to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your patients because they are more likely to do what you say …49

 
학습자의 상담을 관찰한 논문은 경청과 같은 전략이 [도구적으로 사용되었다]고 언급했다. [환자가 남기는 단서에 대한 관심을 가지지 않는 상태에서 이뤄지는 경청]은 환자에게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진정한 호기심]을 보여주지 못했다.
Papers that observed learners' consultations noted that strategies such as listening were used instrumentally. Listening did not demonstrate genuine curiosity for the patient and what mattered to them, as cues were left unattended.

커리큘럼이 끝날 무렵, 우리 연구의 학생들은 공개적으로 환자를 초대했고 그들은 듣고 있었습니다... 
학생들은 종종 환자의 인생 경험을 생략했으며, 환자의 감정에 반응하지 않았습니다. 

At the end of the curriculum the students in our study were inviting the patient openly and they were listening … The students often omitted patients' life experiences and did not respond to their emotions.48

 

CIMOc 3: 학습자는 전문적인 규범을 유지하고 정서적 고통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환자와의 정서적 연결을 피합니다.
CIMOc 3: Learners avoid emotional connection with patients to maintain professional norms and protect self from emotional distress


학습자의 질적 논평은, [임상적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환자로부터 감정적인 분리]를 수반하는 전문적인 행동을 이해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고통 받는 사람들과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학습자들의 경험적 학습이 그들의 전문적인 역할에 대한 이해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이어졌다. 학습자들은 [자신이 느끼는 괴로움을 어떻게 관리해야 할지]에 대한 불확실성뿐만 아니라, [한 명의 인간이자 전문가로서 대응해야 하는 갈등]도 경험했다. 학습자들은 전문적인 규범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을 유지하고 또한 정서적 고통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환자들과의 정서적 연결을 피함으로써 그들의 불협화음과 불확실성을 해결했다. 이러한 [정서적 연결의 회피]는 학습자의 행동에서 관찰되었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학습에 대한 반응에서도 논의되었다. 
Learners' qualitative comments revealed that they understood professional behaviour to involve emotional detachment from patients in order to remain clinically objective. Where learners' experienced learning that involved connecting with people who were suffering, this understanding of their professional role led to uncertainty on how to respond. Learners experienced a conflict between responding as a human being or as a professional, as well as uncertainty on how to manage the distress that they felt. Learners resolved their dissonance and uncertainty by avoiding emotional connection with patients to maintain what they understood to be professional norms and also to protect themselves from emotional distress. This avoidance of emotional connection was both observed in learner behaviour45, 48 as well as discussed by learners in response to their learning.43, 46, 52, 57

한 학생은 그들 중 한 명이 죽어가는 부부와의 만남에 대해 썼다. 배우자가 죽음의 화제에 접근하자 울기 시작했다.
그 학생은 그녀를 위로하고 싶었지만 자제했다. 
그 여자의 어깨에 손을 얹었더라면 좋았을 텐데, 왜냐하면 그것은 전문적인 것이 아니었을지라도 인간적인 것이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One student wrote about her meeting with a married couple where one of them was dying. The spouse started to cry when they approached the topic of death. The student wanted to comfort her but refrained: I wish I'd put my hand on the woman's shoulder because that would have been human, even though it would not have been professional.52

내가 너무 관여하게 되면 내 삶은 너무 괴로워진다. 제게 가장 어려운 것은 환자의 감정에 너무 얽매이지 않고 '전문적인 역할'을 유지하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If I become too involved, my own life becomes too distressing. The most difficult thing for me … may be keeping up ‘the professional role’, not getting too involved in the patient's feelings.46

 

3.2.2 메커니즘 2: 인식론과의 불일치
3.2.2 Mechanism 2: Dissonance with epistemology

 

CIIMc 4: 학습자들은 (인간 중심성에 대한) 학습이 미래의 임상 실습에 덜 중요하다고 믿습니다.
CIMOc 4: Learners believe learning is less important to future clinical practice

많은 논문들은 학습자들이 [지식]을 실증주의적으로 보며, '경성적hard' 객관적 사실로 구성될 수 있는 타당한 지식으로 여김을 밝혀냈다. 해석이 필요하거나 개인의 경험에 기초한 지식은 '연성적soft', '터치감 있는' 또는 '부드러운'으로 지칭되는 방식으로 묘사하며, 덜 과학적이고 덜 타당하다고 간주되었다. 
Many papers revealed that learners had a positivist view of knowledge and considered valid knowledge to be composed of ‘hard’ objective facts. Knowledge that required interpretation or was based on individual experience was considered less scientific and less valid as illustrated by how it referred to as ‘soft’, ‘touchy-feely’ or ‘fluffy’.40, 42, 58

선다운 의과대학 학생들이 의학의 '과학적'에 반대하며 윤리 교육을 논하고 정신 질환의 주제에 대해 어렵고 위협적이며 구체적으로는 덜 과학적이라고 말하는 방식은 모두 지식의 이해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였다. 
'하드' 형태와 '소프트' 형태 사이에서 상당히 강하게 양극화 되어 있었습니다.
The ways in which Sundown Medical School students opposed the ‘scientific’ to the ‘human’ side of medicine, discussed their ethics teaching, and related to the subject of mental illness as difficult, threatening and less concretely scientific all appeared to be indicative of understandings of knowledge that were quite strongly polarised between ‘hard’ and ‘soft’ forms …42

학습자들은 [주관적인 환자 경험]과 [광범위한 건강 결정 요소로부터 얻은 지식]을 [질병 기반 임상적 실천]과 통합하는 방법에 대해 혼란을 겪었다. 지식과 학습에 대한 [실증주의적 인식론적 이해] 사이의 이러한 부조화는, 본질적으로 주관적이고 해석적이었으며, 그러한 학습이 그들의 미래 실천에 덜 중요하다고 믿음으로써 해결되었다.
Learners experienced confusion as to how to integrate knowledge from subjective patent experience and wider health determinants with disease-based clinical practice. This dissonance between positivist epistemological understandings of knowledge and learning, which was subjective and interpretive in nature, was resolved by believing such learning was less important to their future practice.

 

이러한 의대생들과 (아마도 일부 또는 심지어) 많은 의대생들에게 사회과학의 담론적인 성격은
종종 그것을 덜 확실하고, 자연과학의 '팩트'보다 조건적이며, 따라서 덜 타당해 보이게 한다. 
For these medical students and (maybe some or even) many medical scientists, the discursive nature of social science often makes it seem less certain, more contingent than natural scientific ‘fact’ and therefore less valid.51

학습자들이 사람 중심의 학습에 참여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주된 이유로, [건강의 생물-심리-사회적 formulation의 근거]와 같은 [사람 중심의 이론에 대한 지식의 부족]이 확인되었다.
A lack of knowledge of person-centred theory, such as the rationale for a bio-psycho-social formulation of health, was identified as a key reason that learners struggled to engage with person-centred learning.

많은 학생들은 또한 환자의 생활 환경, 특히 사회적 관계와 근무 환경을 탐구하는 것에 대해 양심의 가책을 느꼈다고 보고했다. 그 학생들은 건강과 질병에 대한 [심리적 사회적 요인의 관련성에 대한 지식의 부족]을 드러냈다. 따라서, 그들은 전체론적 관점을 부자연스럽게 인식했다. 
Many students also reported scruples about exploring the patient's life circumstances, in particular, social relations and working conditions. The students revealed a lack of knowledge about the relevance of psychosocial factors to health and disease. Thus, they perceived a holistic perspective as unnatural.44


서로 다른 개입을 가진 코호트를 비교한 정량적 데이터를 가진 논문은 사람 중심 이론이 학습에 명확하게 통합되지 않은 코호트에서 사람 중심 태도의 감소를 보였다. 이 CIMOc 를 지원하는 데이터는 학부 및 대학원 환경 및 모든 지리적 영역에서 발견되었다. 

Papers with quantitative data that compared cohorts with different interventions showed a decline in person-centred attitudes in cohorts where person-centred theory was not clearly integrated into learning.59, 60 The data supporting this CIMOc were found across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settings and from all geographical areas.41, 42, 44, 51, 53, 56, 61, 62

3.2.3 메커니즘 3: 광범위한 커리큘럼에 초점을 맞춘 불일치
3.2.3 Mechanism 3: Dissonance with focus of the wider curriculum

CIIMc 5: 학습자는 향후 임상 실습을 위해 학습의 중요성을 최소화합니다.
CIMOc 5: Learners minimise importance of learning for future clinical practice


[핵심 교육과정의 일부인지 여부]와 [교육과정 내 질병 기반 학습에 부여된 상대적 무게]에 따라, 학습의 상대적 중요성에 대해 많은 학습자들이 힌트를 얻었다. 이는 학습자들이 '과학적' 학습만큼 중요하지 않거나, 미래 실천에 중요하지 않다고 믿고, 지식을 [위계적 범주]로 계속 분리하도록 이끌었다. 

Many learners took their cue about the relative importance of learning based on whether it was part of the core curriculum and the relative weight given to disease-based learning in the curriculum. This led learners to continue to separate knowledge into hierarchical categories, believing that person-centeredness was not as important as ‘scientific’ learning or as important to future practice.42, 43, 54, 55, 61, 63

그림 2의 녹색 선이 끊어진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더 넓은 커리큘럼의 초점과의 통합 부족은 모든 유형의 개입에 영향을 미쳤다. 일부 교육 개입은 2년 이상에 걸쳐 커리큘럼을 관통하는 스레드로 통합되었다. 그러나, 어떤 교육적 개입도, 학생들이 무엇을 배웠는지, 그들이 임상 배치 동안 경험했는지 또는 평가된 것의 측면에서, [더 넓은 커리큘럼의 초점과 완전히 통합된 것]으로 인식되지 않았다.
Lack of integration with the focus of the wider curriculum affected all types of interventions, as shown by the broken green line in Figure 2. Some educational interventions were integrated as a thread running through the curriculum across two or more years39, 60, 64, 65; however, none of the educational interventions were perceived as fully integrated with the focus of the wider curriculum in terms of what students were taught, what they experienced during clinical placements or what was assessed.

또 다른 학생은 학문적으로 능숙하고 공감적이기를 원했지만 
의과대학 전체에서 [생물-의학적으로 능숙해지는 것]이 더 높은 우선 순위를 받는다고 느꼈다. 
그의 생각에, 사람들은 의과대학 동안 단지 진단하고, 환자를 참조하고, 시간표와 관련된 것만 배운다. 

Another student wanted to be both academically skilled and empathetic but felt that being bio-medically skillful is given higher priority throughout medical school. In his opinion, one learns only to diagnose, refer patients, and relate to a time schedule during medical school.43

 

3.3 관점 변환: 교육적 개입이 사람 중심성을 개발하는 데 어떻게 성공할 수 있는가?
3.3 Perspective transformation: How educational interventions may succeed in developing person-centredness



데이터 합성(CIMOCs 6–9)의 네 가지 설명문은 교육 개입이 [사람 중심성에 대한 관점 변환으로 이어지는 방법]을 설명한다(표 1). 이 네 가지 진술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통해 사람 중심의 변화를 촉진하는 두 가지 중요한 메커니즘이 확인되었다.

  • 임상실무에서 사람 중심의 관련성에 대한 명확성 제고
  • 감정을 처리하고 가정에 도전할 수 있도록 지원

Four explanatory statements from our data synthesis (CIMOCs 6–9) explain how educational interventions may lead to perspective transformation towards person-centredness (Table 1). Critical analysis of these four statements identified two overarching mechanisms that prompted change towards person-centredness:

  • greater clarity on the relevance of person-centredness to clinical practice and
  • support to process emotions and challenge assumptions.

36편의 논문은 사람 중심성을 향한 관점 변환에 대한 설명에 기여했다.이 논문들 중에서, 31개의 개입은 사람 중심의 이론, 의미 있는 경험, 학습에 대한 응답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 등 두 가지 메커니즘을 촉발할 수 있는 요소의 조합을 제공했다. 이러한 설명에 기여한 다섯 편의 논문만이 이론이나 분별력 없는 경험을 제공했다. 이 다섯 가지 개입에서 제공된 경험은 본질적으로 종단적이거나 환자를 돌보는 데 있어 적극적인 사람 중심 역할을 포함했으며, 이 두 가지 모두 학생들이 임상 실습에 대한 사람 중심성의 관련성에 대해 개인적으로 성찰할 수 있게 해주었을 가능성이 높다.

Thirty-six papers contributed to explanations on perspective transformation towards person-centredness.49, 58, 59, 63-95 Out of these papers, 31 interventions offered a combination of the components that enabled both mechanisms to be triggered: person-centred theory, meaningful experiences and opportunity to make sense of one's responses to learning. Only five papers that contributed to these explanations offered experiences without theory or sense-making opportunities.63, 68, 73, 84, 87 The experiences offered in these five interventions were either longitudinal in nature or involved an active person-centred role in caring for patients, both of which are likely to have enabled students to personally reflect on the relevance of person-centredness to clinical practice.

3.3.1 메커니즘 1: 임상 실무에서 [사람 중심성의 관련성]을 명확히 함
3.3.1 Mechanism 1: Clarity on relevance of person-centredness to clinical practice

CIMOc 6: 건강을 [전체론적으로 이해]하고, [돌봄의 개인화]를 가치 있게 생각합니다.
CIMOc 6: Understand health as holistic and value personalisation of care

 

[사람 중심의 이론을 의미 있는 경험에 적용한 개입]은, 학습자가 환자 치료에 대한 사람 중심의 접근 방식의 관련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러한 개입에 대한 이론의 기여는 사람 중심 접근법에 대한 개념과 이론적 근거에 대한 교훈적 소개에서부터 이론과 응용에 대한 정기적인 대화형 참여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간단한 이론적 틀을 사용한 개입은 나머지 개입이 토론을 통해 또는 경험을 통해 이 이론을 실제에 적용하는 것을 지원하는 경우 관점에 대한 중요한 변화를 지원할 수 있다. 
Interventions that applied person-centred theory to meaningful experiences helped learners understand the relevance of a person-centred approach to patient care. The contribution of theory to these interventions varied from didactic introductions on the concepts and rationale for a person-centred approach60, 71, 72, 74, 82, 94 to regular discursive and interactive engagement with theory and application.58, 65, 70, 77, 85, 89 Interventions with brief theoretical framing could support significant changes to perspective if the rest of the intervention supported the application of this theory to practice through discussion or through experience.60, 75, 82, 94

학부생의 경우, [오랜 시간에 걸쳐 환자와 관계]를 맺거나, [환자 치료에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게 된 경험이 더 설득력 있고 기억에 남습니다.
For undergraduate students, experiences that enabled them to engage with patients over time63, 65, 71, 73, 76, 84 and/or take an active role in patient care,74, 83 were more compelling and memorable.

심장병동에서 우리는 그녀의 최근 가슴 통증, 새로운 경색 또는 심리적인 불평의 원인에 대해 논의했고 그녀가 혈관조영술을 다시 거부하자 다음 환자에게 달려갔다. 나중에 생각해보면, 그녀는 혈관조영술이나 개입을 원하지 않고 모든 심장 약물의 최대 용량을 복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 병인은 관련이 없을 수 있다. 그녀의 집에 손님으로서, 저는 그녀의 옆에 서 있기보다는 옆에 앉습니다. 그리고 저는 서두르지 않을 수 밖에 없습니다. 나는 그녀가 사람이지 침대 번호가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다. 
In the cardiology ward we debated about the cause of her latest complaint of chest pain, new infarct or psychological and then rush on to the next patient when she refused angiogram again. On hindsight, the aetiology may not be relevant as she does not want any angiogram or intervention and she is on maximum doses of every cardiac medication. As a guest in her home, I sit beside her rather than stand over her, and I am forced not to rush. I realise she is a person and not a bed number …84

3.3.2 메커니즘 2: [감정을 처리하고 가정을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도록 지지
3.3.2 Mechanism 2: Support to process emotions and reflect critically on assumptions

[이론을 의미 있는 경험과 통합한 학습 경험]은 또한 강력한 감정적 반응을 유발하고 학습자의 가정에 도전한다.
Learning experiences that integrated theory with meaningful experiences also generated powerful emotional responses and challenged learner assumptions.

학생들은 당뇨병의 병태생리학과 그 합병증에 대한 이해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일상적으로 어떻게 누군가에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들이 어떻게 그것을 그들의 모든 일상 활동에 맞추어야 하는지'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
학생들은 자신들의 토론으로 인해 '바닥에 깔렸다'고 스스로를 표현했다. 

Students remarked that despite their understanding of the pathophysiology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they ‘had no appreciation how it really impacts someone on a daily basis and how they really have to fit it into all their daily activities’. The students described themselves as ‘being floored’ by their discussion.65


사람 중심으로의 관점 변환에 대한 가장 명확한 질적 데이터에 대한 개입은 모두 학습자에게 학습에 대한 응답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피어와 퍼실리테이터의 관계적 연속성이 있는 소규모 그룹 환경]은 이 메커니즘을 촉발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소속감과 신뢰의 확립]을 가능하게 했다. 학습자가 소그룹 학습을 정기적으로 제공받은 논문들을 넘어, 학습자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자신의 생각과 가정에 비판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과 '비판단' 설정의 중요성을 표현했다.

The interventions with the clearest qualitative data on perspective transformation towards person-centredness all offered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make sense of their responses to their learning.49, 53, 58-60, 66, 67, 70, 72, 76, 78, 80, 82, 88-92, 95-98 Facilitated small group environments where there was relational continuity of peers and facilitator enabled the establishment of belonging and trust most likely to trigger this mechanism. Across papers where learners were offered regular small group learning, they expressed the importance of a ‘safe’ and ‘non-judgemental’ setting to enable them to express their feelings and reflect critically on their thoughts and assumptions.49, 53, 58, 70, 77, 80, 92, 96, 98

CIMOc 7: [경청과 공감]을 치료적 가치로 평가
CIMOc 7: Value listening and empathy as therapeutic

학습자는 [자신이 안전하다고 느끼는 비판단적 환경]에서 자신의 감정적 반응을 보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교육적 개입을 통해 듣고 듣는 치료력을 직접 경험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건강의 전체론적 특성]과 [경청과 공감을 통해 환자 건강에 대한 자신의 잠재적 기여도]를 모두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의 변화는 학습자들이 이전에 자신이 아무런 역할이 없다고 느꼈을 상황에서 환자를 도울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Educational interventions that offered leaners the opportunity to debrief on their emotional responses in a non-judgemental environment where they felt safe, enabled learners to experience first-hand the therapeutic power of listening and being listened to.53, 58, 65, 70, 80, 86, 91, 92, 98 This enabled learners to see both the holistic nature of health and their own potential contribution to patient health through listening and empathy. This change in perspective helped learners feel able to help patients in situations where they would have previously felt they had no role.

저는 환자들이 필요하다면 더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낼 것입니다. 하지만 저는 어떤 면에서 그것이 저를 마르게 하는 것이라고 느꼈습니다. 저는 좌절감을 느낄 것입니다. 제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 하지만 [지금] 저는 그저 경청하고 그들과 함께 있는 것만으로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는 그것이 어떤 면에서 그들에게 더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것은 환자들을 위해 여러분이 할 수 있는 훌륭한 일입니다. 
저는 단지 제 스스로 그것을 배울 필요가 있었다고 생각합니다.91

I will spend extra time with my patients if they need it, but I felt in some ways that it was kind of sucking me dry … I would feel frustrated, like what else can I do? … but [now] I feel OK just to listen and be present with them … and I think that in some ways that helps them more … and that is a wonderful thing that you can do for patients … I just needed to learn that myself, I guess.91

또한, [소그룹에서의 감정적 반응의 공유]는 학습자들이 감정적 반응이 일반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도록 도와주었고, 그들의 감정을 검증하고 정상화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중요한 개인으로 취급받았기] 때문에, 그들은 이러한 접근 방식을 그들의 전문적 실무에 도입하는 데 더 전념하고 있다고 느꼈다.
Additionally, the sharing of emotional responses in small groups helped learners see that emotional responses were common and helped validate and normalise their feelings.53, 58, 65, 70, 76, 80, 86, 91, 92, 98 Having been treated as individuals who mattered, they felt more committed to taking this approach into their professional practice.

학생으로서 나의 안녕을 걱정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점에서 그것은 나의 태도를 바꾸어 놓았다.
그리고 내가 받았기 때문에, 나도 돌려주고 싶다. 

It has changed my attitude in the sense of knowing that there are people who care about my wellbeing as a student. And because I have received, I also want to give back.98

CIMOc 8: [건강을 전체론적인 것으로 이해]하고 [진료의 개인화]를 가치 있게 생각합니다.
CIMOc 8: Understand health as holistic and value personalisation of care

환자와의 경험을 돌이켜보기 위해 모인 소그룹들은 [유사한 조건을 가진 환자들이 어떻게 그들의 질병에 대해 완전히 다른 경험을 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것이 반드시 질병의 심각성과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었다. 소그룹 설정은 학습자에게 환자 이야기에 대응하여 자신의 반응, 태도, 가정 및 관점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보여주었다. 이러한 경험의 다양성은 학습자가 그룹 전체의 경험으로부터 이익을 얻는 데 도움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임상 의사 결정에서 개인의 상황, 관점 및 가치가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었다.
Small groups coming together to reflect on their experiences with patients were able to recognise how patients with similar conditions may have completely different experiences of their illness and that this did not necessarily relate to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he small group setting illustrated to learners how their own responses, attitudes, assumptions and perspectives varied in response to patient stories. Not only did this diversity of experience help learners benefit from the entire group's experience, but it also demonstrated how personal circumstances, perspectives and values matter in clinical decision making.53, 58, 65, 70, 86, 88, 92

그녀가 소그룹에서 배운 당뇨병의 경험의 다양성에 영향을 받은 또 다른 학생은 '나는 같은 질병을 가진 사람들이 모두 정말 다르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고 말했고,
다른 학생은 '그들을 알아가고 그들에게 무엇이 중요한지를 알아내는 것이 문제이다'라고 결론을 내렸다. 

Another student, influenced by the diversity of the experiences with diabetes she had learned about in small group stated, ‘I came to the realization that people are all really different that have this same disease’, while another student concluded, ‘it's just kind of a matter of getting to know them and finding out what's important to them’.65

CIMOc 9: [자기 인식의 중요성] 이해
CIMOc 9: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self-awareness

환자와의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는 [자신의 가정이 얼마나 자주 잘못된 것인지 인식]할 수 있었다. 소그룹에서 이러한 가정에 의문을 제기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규범, 가치 및 신념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기회는 학습자가 가정이 임상 의사 결정과 환자 치료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는 좋은 임상 치료를 실천하는 데 있어 자기 인식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촉진시켰다. 자신의 오류성과 인간성에 대한 인식은 학습자들이 겸손, 존경, 호기심이라는 입장에서 환자와 더 많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Meaningful interactions with patients led learners to recognise how often their assumptions were misplaced. The opportunity to question these assumptions in small groups and to reflect critically on the norms, values and beliefs underpinning them, helped learners recognise the impact that assumptions have on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patient care. This in turn fostered a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self-awareness to practicing good clinical care.58, 65, 66, 70, 85, 86, 91, 92, 95, 98, 99 The recognition of one's own fallibility and humanity helped learners feel more open to connecting with patients from a position of humility, respect and curiosity.

매달, 직원들과 함께 일하는 교수진들과 어텐딩들은 그들의 경험에 대해 팀원들에게 보고하기 위해 만난다.
가장 놀랍고 일관된 관찰은 얼마나 자주 인턴들이 환자에 대해 알게 된 사실에 '놀랍다'고 보고하는가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보다 깊은 통찰력으로 인해 더 나은 환자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가 반복적으로 생겨났습니다. 
Each month, faculty and attendings working with the house staff meet to debrief the team about their experiences. The most striking and consistent observation is how often house staff report ‘being surprised’ by what they have learned about their patients. This deeper insight, in turn, has repeatedly led to opportunities to provide better patient care.85

소규모 그룹에 대한 일부 개입은 특히 마음챙김과 같은 [특정한 자기 인식 훈련 기술]을 포함했고, 이것들은 학습자들이 그들의 감정과 생각을 더 잘 인지하고 그것들을 다루기 위한 전략을 제공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Some interventions in small groups specifically included specific self-awareness training skills, such as mindfulness, and these helped learners be more aware of their emotions and thoughts as well as giving them strategies for addressing them.91, 92, 95, 98


이 과정은 저에게 자기 인식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저는 신체적으로나 감정적으로 제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더 잘 인식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또한 삶의 스트레스를 다루기 위한 새로운 도구들을 배웠다. 

This course has been about self-awareness for me. I have learned to better recognize what is going on for me physically and emotionally. I have also learned a new set of tools for dealing with the stresses in life.98

4 토론
4 DISCUSSION

4.1 조사결과 요약
4.1 Summary of findings

우리의 현실주의 검토는 사람 중심성 개발을 목표로 하는 계획된 의료 교육 프로그램이 어떻게, 왜,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성공하는지 답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우리는 이 리뷰를 개별 학습자의 수준에서 위치시키고, 사람 중심성을 관점으로 개념화했으며, 생물의학적 관점으로 기울어진 학습자의 반응에 리뷰를 집중했다. 의료 교육은 의료 종사자들에게 사람 중심성을 개발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널리 관찰되어 왔다. 우리의 검토에 대한 설명은 이 문제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향후 실무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을 제공한다. 우리의 [정제된 프로그램 이론]은 학습자가 사람 중심성을 향하도록 도울 수 있는 두 가지 주요 개입 전략을 발견했다. 

  • 의미 있는 경험에 적용되는 사람 중심 이론과
  • 학습자가 기존의 의미 프레임워크에 도전하는 데 필요한 감정적 작업과 비판적 반성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소규모 그룹 환경


Our realist review set out to answer how, why and in what circumstances planned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that aim to develop person-centredness are successful or not. We located this review at the level of individual learner, conceptualised person-centredness as a perspective and focused our review on the responses of learners who leaned towards a biomedical perspective. It has been widely observed that medical education has found it challenging to develop person-centredness in health care practitioners.4-10 The explanations in our review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is problem and offer new solutions for future practice. Our refined programme theory found two main interventional strategies that can help learners towards person-centredness:

  • person-centred theory applied to meaningful experiences and
  • small group environments that support learners to do the emotional work and critical reflection needed to challenge existing meaning frameworks.

 

4.2 의미 있는 경험에 적용되는 사람 중심 이론
4.2 Person-centred theory applied to meaningful experiences

우리의 합성은 [적용된 사람 중심 이론]의 핵심적 역할, 즉 임상 실습에 대한 사람 중심 접근법에 대한 개념적이고 증거적인 근거를 발견했다. 사람 중심 이론의 역할은 교육 개입이 어떻게 실패했는지와 그들이 사람 중심성을 개발하는 데 어떻게 성공했는지에 대한 설명에서 강조되었다. 이전의 연구들은 [객관적인 사실]을 더 높게 평가하는 [의학교육의 지식 위계]가 학습자의 [사람 중심성 발달을 저해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학습자의 가치와 전문적인 역할 이해는 학습에 대한 참여를 가이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물의학 중심적 관점]을 강하게 가지고 있을수록 사람 중심 학습에 대한 참여도가 떨어지는 것과 관련이 있다. 또한 사람 중심의 기술 훈련이 태도의 변화 없이 특정 행동을 사용하는 임상의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사람 중심 이론의 학습이 부족함]으로 인해 [어떻게 지식 및 역할에 대한 기존 관점과 불일치가 발생하는지]를 설명함으로써, 이러한 연구에서 학습을 확장한다. 우리의 발견은 학습자들이 기존 지식의 토대 위에서 어떻게 새로운 지식을 구성하는지 설명하는 [구성주의 학습 이론]과 일치한다. 
Our synthesis found a key role for applied person-centred theory: the conceptual and evidential rationale for a person-centred approach to clinical practice. The role of person-centred theory was highlighted in explanations for both how educational interventions failed and how they succeeded in developing person-centrednes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a knowledge hierarchy in medical education, where objective facts are more highly valued, undermines the development of person-centredness in learners.100, 101 Learners' values and professional role understanding has been shown to guide their engagement with learning, with more biomedical perspectives associated with poorer engagement with person-centred learning.102, 103 It has also been observed that person-centred skills training can lead to an increase in clinicians using certain behaviours without a change in their attitudes.47, 104 Our findings extend the learning from these studies by explaining how a lack of person-centred theory in learning creates dissonance with existing perspectives on knowledge and role which either results in learners minimising the importance of such learning or incorporating learning into existing meaning perspectives. Our findings are in line with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ies, which explain how learners construct new knowledge on the foundations of existing knowledge.105

우리의 결과는 또한 사람 중심 이론이 [전문직업적 행위에 대한 이해]와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전의 연구들은 의대생들과 의사들이 고통을 피하기 위한 전략으로 [감정적 분리]를 사용하는 것을 묘사했다. 우리의 결과는 [사람 중심 이론의 적용을 제공하지 않는 개입]은 [역할에 대한 생물의학적 이해(질병 관리)와 전문성(감정적 분리)의 불일치]로 이어질 수 있고, 그 결과로 [학습자가 명확한 생물의학적 역할을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을 회피하게 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또한 사람중심 이론의 적용이 어떻게 학습자가 생물의학 전문지식이 제한된 상황에서 환자를 지원하는 역할을 수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지 설명하며, 이는 학습자가 전문적인 역할에 대한 확장된 이해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된다.

Our results also show how person-centred theory is relevant to an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 conduct. Previous studies have described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using emotional detachment as a strategy to avoid distress.106, 107 Our results showed that interventions that do not offer applied person-centred theory may lead to dissonance with a biomedical understanding of role (disease management) and professionalism (emotional detachment) and thus to an avoidance of situations where learners do not perceive a clear biomedical role. Our findings also explain how applied person-centred theory can help learners embrace their role in supporting patients in situations where their biomedical expertise is of limited use, by helping them develop an expanded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 role.

캐나다의 16개 의과대학 커리큘럼에 대한 최근 연구는 [학습자들이 사람 중심의 개념에 대한 교육을 받고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의학 교육에서 [명확한 사람 중심 이론의 부족]은 [왜 학생과 의사 모두가 사람 중심성에 대해 피상적이고 불명확한 이해를 가지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연구들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학습자는 사람 중심의 실천을 [학문적 및 정책 논문에 설명된 패러다임적 실천의 변화]와 대조적으로, '암묵적'이고 '(말하지 않아도) 당연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사람 중심성에 대한 피상적인 이해]는 [스스로는 사람 중심이라는 임상의의 믿음]과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임상적 행위] 사이에서 관찰되는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A recent study of 16 medical schools curricula in Canada questioned if learners are receiving teaching on person-centred concepts.108 A lack of explicit person-centred theory in medical education may help to explain why studies have shown that both students and doctors hold superficial and unclear understandings of person-centredness.109, 110 Learners may regard person-centred practice as ‘implicit’ and ‘obvious’109 in contrast to a paradigmatic shift in practice described in academic and policy papers.15-17, 20, 27, 111, 112 Superficial understandings of person-centredness may explain the gap observed between clinicians' belief that they are person-centred and their clinical practice.110 

또한 학습자의 사람 중심성을 측정하기 위해 검증된 척도를 사용하는 연구는 '공유sharing'에 비해 '돌봄caring'에서 더 높은 점수를 일관되게 보여준다.

  • '돌봄caring'은 자신의 역할을 여전히 '도와주는' 것으로 보는 생물의학적 관점에 더 쉽게 통합될 수 있는 반면,
  • '공유sharing'는 환자와의 편의적이고 협력적인 접근방식을 필요로 하는 '함께 일하는'로 관점을 전환이다.

사람 중심의 실천 이론에 대한 명확한 개념적 틀과 증거적 근거가 없으면 학습자는 사람 중심의 전문 실천에 전념하기 어려울 수 있다.
Furthermore, studies that use validated scales to attempt to measure learners' person-centredness consistently show higher scores in ‘caring’ compared to the ‘sharing’.4, 24 

  • It may be that ‘caring’ is more easily integrated into a biomedical perspective where one still sees one's role as ‘doing for’,
  • whereas ‘sharing’ involves a shift in perspective to ‘working with’ which requires a facilitative, partnership approach with patients.113114 

Without an explicit conceptual framework and evidential rationale for the theory of person-centred practice,21 it may hard for learners to commit to person-centred professional practice.


우리의 결과는 [사람 중심 이론이 의미 있는 경험에 적용]될 때, 이것은 사람 중심 이론이 임상 실습에 대한 관련성에 대한 이해를 촉발시켰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의미 있는 경험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실제 환자 이야기를 접하는 것,
  • 일정 시간에 걸쳐 환자를 사람으로 알아가는 기회,
  • 환자 치료에 있어 적극적인 사람 중심 역할을 할 수 있는 기회 

Our results showed that when person-centred theory was applied to meaningful experiences, this triggered an understanding of the relevance of person-centredness to clinical practice. Meaningful experiences included

  • engaging with real patient stories,
  • opportunities to get to know patients as people over time, as well as
  • opportunities to take an active person-centred role in their care.

우리의 연구 결과는 환자의 [질병 궤적에 전체에 대한 접근]이 환자 중심성에 대한 학습에 중요한 맥락이라는 것을 보여준 최근의 현실주의 검토와 일치한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또한 [환자-교육자]의 증가와, [환자를 돌볼 수 있는 적극적인 기회]를 요구하는 문헌을 지지한다. 우리의 결과는 이러한 임상 배치가 의미 있는 경험을 위한 자원으로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지를 강조함으로써 사람 중심성을 강화하기 위해 입증된 교육 접근법인 LIC에 대한 문헌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도움이 된다.

Our findings fit with a recent realist review that showed that access to patients' whole illness trajectories was an important context for learning about patient-centredness.101 Our findings also support literature that calls for an increase in patient-educators115 and active opportunities to care for patients.116 Our results help to extend an understanding of the literature on LICs, an educational approach that has been demonstrated to enhance person-centredness,11, 12 by highlighting how these clinical placements may act as a resource for meaningful experiences.

4.3 센스 메이킹 지원
4.3 Support for sense making

학습자가 [자신의 감정을 처리]하고, [(부조화를 포함한) 학습에 대한 반응을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통해 [새로운 의미 프레임워크와 자아 인식을 개발]할 수 있었다. 도비는 학습자들이 [자기 인식과 자기 지식]이 [사람 중심의 실천에 중요하다는 사실]을 놓칠 수 있다고 주장해왔다. 그녀는 자기인식을 기르는 데 필요한 정서적 업무와 비판적 성찰을 지원하는 교육이 의료교육 커리큘럼 개혁의 토대가 될 것을 요구해왔다. 보다 최근에, 사람 중심의 관행을 강화하기 위해 의료 교육에 대화형 학습을 통합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대화형 학습은 교사와 학습자가 비위계적 환경에서 만나 환자 경험을 반영할 수 있는 정기적인 기회를 포함한다. 광범위한 건강 관리 맥락에서, 다학제 팀에게 임상 실습에 대한 감정 및 인지 반응을 처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슈워츠 라운드]는 사람 중심의 태도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pportunity for learners to process their emotions and critically reflect on their responses to learning, including dissonance, allowed them to develop new meaning frameworks and self-awareness. Dobie has argued that learners can miss the fact that self-awareness and self-knowledge are crucial to person-centred practice.117 She has called for education that supports the emotional work and critical reflection needed to develop self-awareness to be the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al curricular reform. More recently, incorporation of dialogic learning into medical education has been proposed to enhance person-centred practice.118 Dialogic learning involves regular opportunities for teachers and learners to meet in non-hierarchical settings to reflect on patient experiences. In the wider health care context, Schwartz rounds, which provide multidisciplinary teams the opportunity to process their emotional and cognitive responses to clinical practice, have been shown to support person-centred attitudes.119


[센스 메이킹]을 가장 지원할 가능성이 높은 개입의 특징은, [학습자와 그룹 퍼실리테이터의 관계적 연속성을 가진 정기적인 소규모 그룹]이었다. 이러한 연속성은 참가자들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정직한 평가에 참여하고, 가정에 도전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신뢰 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게 했다. 이러한 조건은 우리의 발견에 설명력을 추가하는 [변혁적 학습]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조건을 반영한다. [변혁적 학습 이론]은 성인 학습자가 기존의 의미 체계를 바꾸려면, [자신의 가치, 의미, 목적을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우리의 리뷰에서, 우리는 비판적 성찰과 감정 처리가 함께 이루어졌다는 것을 발견했고, 이것은 비판적 성찰의 능력이 감정을 처리하는 능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변혁적 학습 육성에 대한 최근의 연구에서 뒷받침된다. 

The characteristics of interventions most likely to support sense making were regular small groups with relational continuity of learners and group facilitator. This continuity allowed relationships of trust to develop which enabled participants to feel safe enough to express their emotions, engage in honest appraisal and challenge their assumptions. These conditions mirror those known to foster transformative learning, which adds explanatory power to our findings.120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states that for adult learners to change their existing meaning framework, they need support to critically reflect on their values, meanings and purposes.121 In our review, we found that critical reflection and emotional processing took place together and this is supported by more recent work on fostering transformative learning which shows that the capacity for critical reflection may depend on the ability to process emotions.122

4.4 전체 커리큘럼에 대한 교육 개입의 관계
4.4 Relationship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whole curriculum

우리의 검토는 [커리큘럼의 더 넓은 초점과 일치]한다고 여겨질 수 있는 [사람 중심의 개입]을 발견하지 못했다. 의미 있는 경험에 이론을 적용하고 센스 메이킹을 지원하는 것을 포함하여, [모든 개입은 커리큘럼의 생의학적 초점과 상충되는 것]이었고, 일부 학습자들이 [향후 임상 실습에 대한 학습의 중요성을 최소화]하도록 이끌었다. [인식론적 부조화]의 중요성을 인식하였기에, 우리는 [사람 중심의 실천]을 지원하기 위한 [전체 커리큘럼 접근방식]의 강화를 요구한다.
Our review did not find any person-centred interventions that were perceived to be in line with the wider focus of the curriculum. All interventions, including those that applied theory to meaningful experiences and support for sense making, were perceived to be at odds with the biomedical focus of the curriculum and led some learners to minimise the importance of the learning for their future clinical practice. Our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epistemological dissonance reinforces calls for a whole curriculum approach to support person-centred practice.123

4.5 장점과 한계
4.5 Strengths and limitations

가치관, 태도 및 신념에 의해 정보에 입각한 참여자 관점의 수준에 위치한 사람 중심성에 우리의 리뷰를 집중함으로써, 우리는 의료 교육이 왜 사람 중심주의의 증가로 이어지지 않았는지, 그리고 이것에 대해 결정적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의 차이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었다. 현실주의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우리는 학습자의 관점과 중재적 구성 요소의 상호 작용으로 촉발되는 메커니즘을 추론할 수 있었다. 우리의 검토는 계획된 커리큘럼에 초점을 맞추기로 결정함으로써 정책 입안자들에게 사람 중심의 의사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개입을 개발하고 테스트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발견을 제공한다.

By focusing our review on person-centredness, which sits at the level of participant perspective, informed by values, attitudes and beliefs, we have been able to help address the gap in understanding around why medical education has not led to an increase in person-centeredness and crucially what can be done about this. By using a realist approach, we have been able to infer the mechanisms that are triggered by the interaction of interventional components with learner perspectives. By choosing to focus our review on the planned curriculum, our review offers policymakers pragmatic findings that can be used to develop and test intervention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person-centred doctors.

우리의 연구 결과에는 몇 가지 한계가 있다. 몇 가지 개입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논문은 참가자의 관점의 단기 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했다. 이 검토는 사람 중심의 관점으로의 장기적 전환과 이를 지원하는 방법에 대한 증거를 뒷받침하는 문헌의 차이를 식별한다. 우리의 연구는 인간 중심성 개발을 목표로 하는 계획된 개입에 초점을 맞추었고, 인간 중심성 개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평가와 같은 광범위한 교육 관행을 포함하지 않았다. 또한, 우리의 연구는 학습자의 관점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고, 사람 중심 접근법의 정규화와 실행에 대한 의료 제공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향후 작업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의료 교육의 상당한 비율은 의료의 더 넓은 맥락에서 발생하며, 계획된 의료 교육은 이러한 상황을 형성하는 데 제한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우리의 연구 결과는 사람 중심의 의사의 발전을 어떻게 지원할 것인가라는 더 큰 질문에 대한 부분적인 대답일 뿐이다.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to our research findings. Apart from a few interventions,40, 53, 58, 91 most papers offered data on short-term changes in participant perspectives. This review identifies a gap in the literature supporting evidence about longer term transformation towards a person-centred perspective and how to support this. Our research focused on planned interventions that aimed to develop person-centredness and did not include wider educational practices, such as assessment, which may impact the development of person-centredness. Also, our research did interrogate how learner perspectives were formed, and future work is need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health care delivery on the normalisation and practice of a person-centred approach. Finally, a significant proportion of medical education takes place in the wider context of health care, and planned medical education has a limited influence in shaping this context. Therefore, our findings are only a partial answer to the larger question of how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person-centred doctors.

4.6 교육실무에 대한 시사점
4.6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

우리의 연구 결과는 [왜 기술 기반 접근법이 의사들의 인간 중심성 개발을 지원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는지]를 설명한다. 구성주의 학습 이론에 따라, 우리의 리뷰는 [교육 개입이 학습자의 기존 의미 관점과 상호 작용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생물의학에서 임상 실습으로 더 사람 중심의 접근으로 전환하기 위해, 의대생과 의사들은 [사람 중심의 실천이 왜 건강에 중요한지]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사람 중심 이론에 대한 명시적 학습]과 [의미 있는 경험을 통해 임상 실습에서 그것의 관련성을 경험할 기회]를 통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Our findings explain why a skills-based approach may be insufficient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person-centredness in doctors. In line with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our review finds that educational interventions interact with learners' existing meaning perspectives. Therefore, in order shift from a biomedical to a more person-centred approach to clinical practice,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need to understand why person-centred practice matters to health. This may be achieved by integrating explicit learning on the theory of person-centeredness with opportunities to experience its relevance in clinical practice through meaningful experiences.

교육적 접근법은 또한 [관점 변환에 필요한 감정적 작업을 인식하고 다룰 필요]가 있다. [감정을 처리하고, 반응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정기적인 기회]는 사람 중심으로의 관점을 바꿀 수 있는 새로운 의미 프레임워크의 생성을 지원한다. 동료와 촉진자의 연속성과 함께 정기적인 소규모 그룹 학습이 커리큘럼 전체에 통합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사람 중심성 개발을 최적화하기 위해 이러한 구성 요소는 교육학 및 전체 커리큘럼 수준에서 통합되어야 한다.

Educational approaches also need to recognise and address the emotional work needed for perspective transformation. Regular opportunities to process emotions and critically reflect on responses support the creation of new meaning frameworks that enable a shift in perspective towards person-centredness. Regular, supportive small group learning, with continuity of peers and facilitators, needs to be integrated throughout the curriculum. Finally, to optimise the development of person-centredness, these components need to be integrated at both pedagogical and whole curricular level.

4.7 연구에 대한 시사점
4.7 Implications for research

우리의 현실주의 검토는 의료 교육 환경에서 효과적일 수 있는 증거 기반 전략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우리의 정제된 프로그램 이론은 의료 교육자와 정책 입안자들이 실제로 구현할 수 있는 검증 가능한 이론을 제공한다. 추가 연구는 실제로 교육 모델을 개발하고 평가하기 위해 경험적인 작업을 통해 우리의 이론을 테스트하고 다듬어야 한다. 특히, 우리는 프로그램 이론의 구현이 [실천에서 지속적인 사람 중심성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평가]를 요구한다.

Our realist review provides insights into evidence-based strategies that may be effective in medical education settings, and our refined programme theory offers a testable theory for medical educators and policymakers to implement in practice. Further research should test and refine our theory through empirical work to develop and evaluate educational models in practice. In particular, we call for evaluation of whether implementation of our programme theory can lead to persistent person-centredness in practice. 

실천에 대한 사람 중심성의 관련성을 이해하는 것은 [자기 결정 이론의 자율적 동기의 개념]과 밀접하게 일치한다. 자율적 동기 부여는 학습자가 활동의 가치를 이해하고 그것이 자신의 감각과 일치할 때 발전하며, 몇 가지 경험적 연구는 [자율적 동기 부여]가 [활동의 지속성]과 매우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적용된 사람 중심 이론이 사람 중심 접근법에 대한 지속적인 변화를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종단적 연구는 향후 연구에 귀중한 영역이 될 것이다. 게다가, 비록 우리의 검토의 초점이 의대생과 의사들에 집중되었지만, 우리의 연구 결과는 다른 건강 직업들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Understanding the relevance of person-centredness to practice is closely aligned with the concept of autonomous motivation in self-determination theory.124 Autonomous motivation develops when learners understand the value of an activity and it aligns with their sense of self, and several empirical studies have shown that autonomous motivation is highly related to persistence of an activity.125, 126 Longitudinal studies to test if applied person-centred theory can support a sustained change towards person-centred approaches would be a valuable area for future research. Furthermore, although the focus of our review was on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our findings may be relevant to other health professions.

5 결론
5 CONCLUSION

우리의 연구 결과는 [커뮤니케이션 기술 기반 교육 전략이 사람 중심성을 개발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는 이유]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사람 중심의 경험을 [사람 중심의 경험이 왜 중요한지에 대한 이론]과 통합하고, [센스 메이킹을 지원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사람 중심의 경험을 위한 관점적 전환]을 지원할 수 있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사람 중심성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의료 교육 전략의 개발에 inform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정책 입안자에게 테스트 가능한 이론을 제공한다.

Our findings offer explanations as to why communication skills-based educational strategies may be insufficient to develop person-centredness. Integrating person-centred experiences with theory on why person-centredness matters, and enabling support for sense making, may support perspective transformation towards person-centredness. Our findings offer programme and policymakers testable theory to inform the development of medical education strategies that aim to support person-centredness.

 


 

 

Med Educ. 2022 May;56(5):489-503. doi: 10.1111/medu.14707. Epub 2021 Dec 22.

 

Optimising planned medical education strategies to develop learners' person-centredness: A realist review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Academy of Primary Care, Hull York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Hull, Hull, UK.

2Institute of Clinical and Applied Health Research, University of Hull, Hull, UK.

3Academic Unit of Medical Education, Sam Fox House, Northern General Hospital, Sheffield, UK.

4Research Department of Primary Care and Population Health, University College London, London, UK.

5Health and Wellbeing Research Institute - Postgraduate Research Centre, Sheffield Hallam University, Sheffield, UK.

PMID: 34842290

DOI: 10.1111/medu.14707

Free article

 

Abstract

Context: Person-centeredness is a stated aim for medical education; however, studies suggest this is not being achieved. There is a gap in our understanding of how, why and in what circumstances medical education interventions that aim to develop person-centredness are successful.

Methods: A realist review was conducted with a search of Medline, Embase, HMIC and ERIC databases and the grey literature using the terms 'medical education' and 'person-centred' and related synonyms. Studies that involved a planned educational intervention in medical education with data on outcomes related to person-centredness were included. The analysis focused on how and why different educational strategies interact with biomedical learner perspectives to trigger mechanisms that may or may not lead to a change in perspective towards person-centredness.

Results: Sixty-one papers representing fifty-three interventions were included in the final synthesis. Nine context-intervention-mechanism-outcome configuration (CIMOc) statements generated from the data synthesis make up our refined programme theory. Where educational interventions focused on communication skills learning or experiences without person-centred theory, learners experienced dissonance with their biomedical perspective which they resolved by minimising the importance of the learning, resulting in perspective endurance. Where educational interventions applied person-centred theory to meaningful experiences and included support for sense making, learners understood the relevance of person-centeredness and felt able to process their responses to learning, resulting in perspective transformation towards person-centredness.

Conclusion: Our findings offer explanations as to why communication skills-based interventions may be insufficient to develop learners' person-centredness. Integrating experiential person-centred learning with theory on why person-centredness matters to clinical practice and enabling learners to make sense of their responses to learning, may support perspective transformation towards person-centredness. Our findings offer programme and policymakers testable theory to inform the development of medical education strategies that aim to support person-centredness.

무대에서 연기하기: 직접관찰에 관한 전공의의 인식(Med Educ, 2017)
Staging a performance: learners’ perceptions about direct observation during residency
Kori A LaDonna,1 Rose Hatala,2 Lorelei Lingard,3 Stephane Voyer2 & Christopher Watling4

 

 

소개
Introduction

레지던시 프로그램은 학습자가 유능하고 안전하며 독립적인 실무자가 되기 위한 필수 기술을 갖추고 졸업하도록 직접 관찰('마스터' 임상의가 관찰하고 견습생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략)을 사용합니다. 직접 관찰은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 첫째, 모든 프로그램이 수행해야 하는 학습자 성과에 대한 평가를 뒷받침할 것으로 기대된다.
  • 둘째, 학습자가 학습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도하기 위해 형성적 피드백과 코칭의 기초가 되어 학습을 지원한다.

Residency programmes use direct observation (a strategy in which the ‘master’ clinician watches and provides feedback to the apprentice) to ensure that learners graduate with the requisite skills to be competent, safe and independent practitioners.1, 2 Direct observation is expected to serve two purposes.

  • First, it is expected to underpin the assessment of learner performance that all programmes must conduct.
  • Second, it is supposed to support learning by serving as a basis for formative feedback and for coaching, in order to guide learners toward meeting their learning objectives.34 

증거는 Miller의 평가 계층 구조 중 가장 높은 수준에서 학습자의 의료 전문성, 기술 또는 절차적 기술, 커뮤니케이션7, 전문성을 포함한 다양한 임상 역량을 평가할 때 직접 관찰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강력하게 뒷받침한다. 그러나 평가에서 확립된 유용성과는 대조적으로, 교육생의 학습, 환자 치료 결과 및 직업적 정체성 형성에 대한 직접 관찰의 영향은 널리 연구되지 않았다. 직접 관찰에서 생성된 피드백이 교육생의 학습과 성과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제한적이다.19 학습에 가치가 있을 만큼 충분한 빈도로 직접 관찰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개별 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직접 관찰을 사용하는 것은 '의사 발전을 형성하는 데 있어 이러한 역할의 근본적인 의미와 상호 연관성'을 놓칠 수 있다. 직접적인 관찰이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더 나은 이해가 시급하다.
Evidence strongly support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direct observation in assessing a range of clinical competencies, including learners’ medical expertise, technical or procedural skills,5, 6 communication7 and professionalism,8 at the highest levels of Miller's assessment hierarchy.9, 10 By contrast with its established usefulness in assessment, however, the influence of direct observation on trainees’ learning, patient care outcomes and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has not been widely studied11-15; there is limited evidence to support that feedback generated from direct observation improves trainees’ learning and performance,12, 16-18 or that it improves patient safety and care.19 Direct observation may not occur with enough frequency to be valuable for learning,20, 21 and using direct observation solely to assess individual competencies may miss ‘the underlying meaning and interconnectedness of these roles in shaping physician development’.13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direct observation influences learning is urgently needed. 

하지만 '직접 관찰'이 정확히 무엇인가요? 그렇게 널리 지지된 접근법의 경우, 의학 교육에서의 사용에 초점을 맞춘 기사에서도 거의 정의되지 않는다. 우리는 [직접 관찰]을 학습자가 자신의 지식과 기술을 임상 실습에 어떻게 적용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학습자가 수행하는 것을 관찰하는 능동적인 과정으로 정의한다. 직접 관찰은 종합적 또는 형성적 목적에 기여할 수 있으며, 객관적 구조 임상 검사(OSCE)와 미니 임상 검사(mini-CEX)와 같은 공식화된 평가 컨텍스트에서 평가가 표현 목표가 아닌 비공식 코칭 지향 컨텍스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관찰 기반 종합 평가 도구는 연구의 많은 관심을 끌었지만, 직접적인 관찰은 학습자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지속적인 발달 피드백을 지원하고, 학습자가 확인된 결함을 해결하기 위한 실행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고 형성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관찰은 한마디로 코칭의 기초를 형성하지만 [효과적인 코칭을 지원하는 관찰 전략]은 여전히 불충분하게 정의되어 있습니다. 
But what exactly is ‘direct observation’? For an approach so widely endorsed, it is rarely defined, even in articles firmly focused on its use in medical education. We define direct observation as the active process of watching learners perform in order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how they apply their knowledge and skills to clinical practice. Direct observation can serve either summative or formative purposes, and it may be used in a variety of settings, ranging from formalised assessment contexts like the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 and the mini-clinical examination (mini-CEX), to informal coaching-oriented contexts in which assessment is not the express goal.22 Observation-based summative assessment tools have garnered the bulk of research attention,23, 24 but direct observation can and should play a formative role 9 in identifying learners’ strengths and weaknesses, to support continuous developmental feedback and to help learners create an action plan to address identified deficiencies. Observation, in short, forms the basis for coaching; however, the observational strategies that support effective coaching remain inadequately defined.25

이러한 이해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직접적인 관찰은 교육학적인 의미를 지니게 하고 교육자들은 교육적인 영향이 크다고 가정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학습자들은 정말 관찰받고 싶어하는지에 대해서는 덜 확신하는 것으로 보인다. 왜 그런지 이해하지 못하면, 우리는 이론에서 실제보다 더 잘 통할 수 있는 교육 전략을 자랑할 위험이 있다. 직접 관찰의 사회문화적 측면에 대한 우리의 최근 탐구는 전공의들의 양면성을 설명할 수 있는 한 가지 단서를 발견했다. 관찰을 요청하는 것은 종종 학습자들에게 있다. 

Despite these gaps in understanding, direct observation makes pedagogic sense and educators tend to assume that its educational impact is high.26 Learners, however, appear to be less convinced that they want to be observed.17 Without understanding why, we risk trumpeting an educational strategy that may work better in theory than it does in practice. Our recent exploration of the sociocultural aspects of direct observation revealed one clue that may explain residents’ ambivalence21: the onus is often on learners to ask for observation.

그러나 의학이 교육되고 실천되는 임상 기관에 내재된 문화적 가치인 효율성과 자율성에 충돌하기 때문에 학습자들은 꺼린다. 만약 학습자가 관찰이 직접적으로 교육이나 직업적 발전을 향상시킨다고 확신하지 못하고 관찰을 요청하는 것이 그들의 직업적 신뢰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까 걱정한다면, 학습자가 관찰받는 것에 대해 이중적이거나 심지어 반대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닐지도 모른다. 

Learners are, however, reluctant because asking to be observed conflicts with efficiency and autonomy, cultural values embedded in the clinical institutions where medicine is taught and practised.21 If learners are not convinced that observation directly enhances their education o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if they worry that asking for observation will negatively impact their professional credibility,21, 27 then it is perhaps not surprising that learners are ambivalent about, or even opposed to, being observed.10

그러나 우리는 모든 학습자가 직접적인 관찰에 대한 양가적이라고 특징지어서는 안 된다. 일부 학습자들에게는 신뢰받는 선배들의 관찰이 자신감을 높이고 임상 능력을 향상시켰다. 이 뉘앙스는 탐구를 필요로 한다. 직접 관찰이 학습을 촉진시키기를 바란다면 관찰자의 존재나 목적이 학습자의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지 등 관찰을 가치 있게 하는 조건을 이해해야 한다. 학습자가 직접 관찰이 학습과 전문성 개발에 미치는 영향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탐색하는 것이 보다 성공적인 구현을 위한 전략 개발의 첫 번째 단계입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직접 관찰이 수행, 행동 및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하여 훈련 중 관찰된 거주자의 경험을 탐구하는 것이었다.

We must not characterise all learners as ambivalent about direct observation, however. For some learners, being observed by trusted senior colleagues buoyed their confidence and improved their clinical skills.28-30 This nuance demands exploration. If we hope that direct observation will promote learning, we need to understand the conditions that make observation valuable for learners, including whether or not an observer's presence or purpose impacts learners’ professional development. Exploring how learners perceive the impact of direct observation on their lear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s the first step to developing strategies for more successful implementation.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residents’ experiences of being observed during their training, including their perceptions of the impact of direct observation on their performance, behaviour and learning.

방법들
Methods

우리는 CGT31, 32를 사용하여 레지던트 교육 동안 학습자의 직접적인 관찰 경험을 탐구했습니다. CGT는 연구자와 참가자의 경험과 관점이 기초적인 사회적 과정에 대한 의미가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인지한다(예: 대학원 의료 훈련 중 관찰). 이 연구는 3명의 임상 교육자(CW, RH, SV)와 수사학(LL) 및 보건과학(KL)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갖춘 2명의 박사 학위 교육 연구자에 의해 수행되었다.

We used a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approach (CGT)31, 32 to explore learners’ experiences with direct observation during their residency training. CGT recognises that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influence how meaning is constructed about a basic social process (e.g. being observed during postgraduate medical training);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three clinician educators (CW, RH and SV) and two PhD-trained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with expertise in rhetoric (LL) and health sciences (KL).

슐리치의학전문대학원(슐리치)의 모든 레지던트들이 일대일 면접에 참여할 수 있도록 초청하는 채용 이메일을 발송했다. 22명의 교육생(n = 12명의 여성), 다양한 전문분야(응급의학 [n = 2], 가정의학[n = 2], 외과[n = 3], 소아과[n = 1], 정신과[n = 4], 신경과[n = 2], 방사선학[n = 1], 내과[n = 1] 및 내과 n = 7 PGY 3–5, 2명의 임상 동료)가 반구조화 인터뷰에 참여하기로 동의했다. 인터뷰 동안 한 인터뷰 진행자(KL)는 참가자들에게 훈련 프로그램에서 직접 관찰의 목적과 역학을 설명하고, 관찰된 경험을 되새기며, 직접 관찰이 학습과 전문적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도록 요청했다. 직접 관찰은 여러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참가자에 대한 직접 관찰을 의도적으로 정의하거나 특정 유형의 관찰로 논의를 제한하지 않았다. 대신 참가자들에게 일반적으로 관찰된 작업의 측면, 누가 자신의 작업을 관찰하고 어떤 형태의 직접 관찰이 필요한지를 설명하도록 요청하였다(예: 직접 관찰, 비디오, 양방향 거울 등). 모든 인터뷰는 분석 전에 음성 녹음, 문자 그대로 옮겨지고 비식별화 되었다.
We sent a recruitment e-mail inviting all residents at the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Schulich) to participate in one-to-one interviews. Twenty-two trainees (n = 12 females) representing a variety of specialties (including emergency medicine [n = 2], family medicine [n = 2], surgery [n = 3], paediatrics [n = 1], psychiatry [n = 4], neurology [n = 2], obstetrics and gynaecology [n = 2], radiation oncology [n = 1] and internal medicine [n = 5]) and training levels (n = 13 PGY 1 or 2; n = 7 PGY 3–5, two clinical fellows) consented to participate in semi-structured interviews. During the interviews, one interviewer (KL) asked participants to describe the purpose and mechanics of direct observation in their training programme, to reflect on their experiences of being observed, and to describe the impact of direct observation on their lear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Because direct observation takes many forms, we purposefully did not define direct observation for participants, or limit discussion to a particular type of observation. Instead participants were asked to describe the aspects of their work that were typically observed, who observed their work and what form direct observation took (e.g. in-person observation, video, two-way mirror, etc.). All interviews were audio-recorded, transcribed verbatim and de-identified prior to analysis.

데이터 수집과 분석은 반복적으로 수행되었다. 우리는 3단계 코딩 과정 동안 지속적인 비교 분석을 수행했다.

  • 첫째, KL과 CW는 자주 발생하는 초기 코드를 식별하기 위해 처음 두 개의 녹취록을 독립적으로 코드화했다. KL과 CW는 관찰 정의, 관찰 접근법, 관찰자의 정체성, 관찰에 대한 기대, 관찰의 시스템 도전 또는 촉진자, 관찰의 의미(감정적 반응과 피드백 신뢰도 포함)를 포함한 예비 테마를 개발하기 위해 초기 코드를 함께 통합했다.
  • 그런 다음 KL은 예비 테마를 사용하여 다음 세 가지 대본의 적합성과 관련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코드를 작성했다. 예비 분석을 정교하게 하기 위해 이론적 샘플링을 사용하여 직접 관찰에 대한 추가 관점을 얻었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슐리치의 두 명의 임상 동료와 시범 관찰 및 피드백 프로그램에 참여한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UBC)의 네 명의 내과 레지던트들을 인터뷰했다. 슐리치 임상 연구진은 체류 후 훈련에서 직접 관찰의 역할을 설명할 수 있었고, UBC 참가자들은 그들의 지식이나 기술을 평가하기보다는 전문적 개발을 코칭하기 위해 고안된 혁신적인 접근법과 일반적인 직접 관찰 관행을 비교하고 대조할 수 있었다.
  • 인터뷰 가이드는 또한 지속적인 비교 분석 동안 개발된 분석 통찰력에 초점을 맞추도록 진화했습니다. 예를 들어, 인터뷰가 진행됨에 따라 참가자들은 관찰에 대한 다양한 접근법(예: 종합 평가 또는 코칭을 위한 관찰)을 구별하고 훈련 중에 어떤 접근법을 경험했는지 논의하도록 유도되었다. 추가 인터뷰를 통해 다른 통찰이 드러났을 수도 있지만, 학습자의 관찰 경험을 이해하기에 충분하다고 판단했을 때 데이터 수집을 중단했습니다.33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iteratively; we engaged in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during the three-stage coding process.

  • First, KL and CW independently coded the first two transcripts to identify frequently occurring initial codes; together KL and CW consolidated initial codes to develop preliminary themes, including defining observation, approaches to observation, the observer's identity, expectations for observation, system challenges or facilitators of observation, and implications of observation (including emotional responses and feedback credibility).
  • KL then used the preliminary themes to code the next three transcripts to test their fit and relevance. To elaborate our preliminary analysis we used theoretical sampling31 to gain additional perspectives about direct observation. Specifically, we interviewed two clinical fellows at Schulich and four internal medicine residents at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UBC) who had participated in a pilot observation and feedback programme.22 The Schulich clinical fellows were able to describe the role of direct observation in post-residency training; the UBC participants were able to compare and contrast usual direct observation practice with an innovative approach designed to coach professional development, rather than to assess their knowledge or skill.
  • The interview guide also evolved to focus on analytical insights developed during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For instance, as the interviews progressed, participants were prompt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various approaches to observation (e.g. observation for summative assessment or observation for coaching) and to discuss which approaches they had experienced during their training. Although additional interviews may have revealed other insights, we ceased data collection when we determined that our findings were sufficient for understanding learners’ experiences of being observed.33

모든 연구자들이 일련의 회의에 참여하여 데이터를 검토하고, 주제를 다듬고, 범주를 개발하고, 직접 관찰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했다. 특히, 연구팀은 참가자들이 관련성이 있지만 구별되는 두 가지 생각을 분명히 밝혔다고 이론화했다. 

  • (i) 기관 및 전공 특이적 사회적, 조직적, 문화적 영향이 대학원 교육에서 직접 관찰의 수행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 (ii) 직접 관찰이 개별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이 다양하였다. 

All researchers participated in a series of meetings to review data, to refine themes, to develop categories and to interpret the impact of direct observation on learning. Specifically, the research team theorised that participants articulated two related, yet distinct ideas:

  • (i) that institutional and specialty-specific social, organisational and cultural influences impacted how direct observation played out in their postgraduate training, and
  • (ii) that direct observation variably impacted individual learners.

따라서 연구팀은 시스템 수준과 개별 학습자 수준에서 직접 관찰을 이해하기 위해 두 가지 분석을 수행했다. 전자의 분석은 다른 곳에서 보고된다. 이 분석에서는 관찰이 자신의 성과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개인의 인식에 초점을 맞춘다. 모든 연구 절차는 웨스턴 대학교 연구 윤리 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Consequently, the team conducted two separate analyses to understand direct observation at the level of the system and at the level of the individual learner. The former analysis is reported elsewhere21; in this analysis, we focus on individuals’ perceptions of the impact of observation on their own performance and behaviour. All research procedures were approved by the Western University Research Ethics Board.

 

결과.
Results

참가자들에게 직접적인 관찰은 양날의 검이었다.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자신감을 강화하고 사각지대를 드러내는 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교육 전략이라고 특징짓지만, 관찰자의 존재가 자신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설명하기도 했다. 관찰자는 정서적 불편함을 조성하고, 학습자의 임상 성과를 변경하며, 학습자-환자 관계를 손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의도하지 않은 결과에 기여하는 것은 학습자가 관찰을 평가로 간주하는 광범위한 경향이 있었으며, 이는 관찰 중 자신의 행동뿐만 아니라 관찰자가 자신의 의학적 전문성과 임상 기술에 대한 진정한 묘사를 보고 있다는 확신에도 영향을 미쳤다.

For participants, direct observation was a double-edged sword. Most participants characterised it as an important educational strategy that helped them to bolster their confidence and to reveal their blind spots, but they also described a range of ways in which the presence of an observer might alter their behaviour. Observers could create emotional discomfort, alter a learner's clinical performance and compromise the learner–patient relationship. Contributing to these unintended consequences was a pervasive tendency for learners to regard observation as assessment, which influenced not only their behaviour during observation, but also their confidence that observers were seeing an authentic portrayal of their medical expertise and clinical skill.

의도하지 않은 결과: 정서적 불편
Unintended consequence: emotional discomfort

참가자들은 보통 자신 있게 잘할 수 있는 과제나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 관찰되는데, '그렇다면 내가 매우 불편한 일이라면, 누군가 나를 지켜보는 것에 대한 스트레스는 일반적으로 내가 평소보다 더 잘하지 못하게 만들 것이다.'(P9) 대다수의 참가자는 관찰을 통해 자의식을 느끼거나, 주요 정보를 '땀 흘리거나'(P15) '허우적거리거나'(P7) 임상 검사의 구성 요소를 잊어버렸다.
Participants were typically at ease being observed doing a task or procedure they could confidently perform well, ‘but, then, if it's things that I'm very uncomfortable with, the stress of having someone there watching me will typically make me perform worse than I normally would’ (P9). For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being observed made them feel self-conscious, made them ‘sweat’ (P15) or ‘fumble’ key information (P7), or made them forget components of the clinical examination:

 

나는 감시당하고 있을 때 훨씬 더 산만하게 느껴진다. 내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정확히 알고 있지만, 누군가가 나를 지켜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 나는 갑자기 훨씬 더 걱정된다 - 내가 무엇을 잊었는가? 다음에 할 일이 뭐죠? 반면 혼자 있을 때는 5초 정도 시간을 갖고 머릿속을 다시 가다듬어야 한다고 거의 느낄 정도입니다. 하지만, 만약 내가 감시당하고 있다면, 내 머릿속에 침착하고 집중하기가 훨씬 더 힘들어.(P18)
I feel a lot more scatterbrained when I'm being watched. I know exactly what I'm supposed to do, but knowing someone is watching me, I'm just all of a sudden a lot more worried - What did I forget? What's next? Whereas when I'm on my own, I almost feel it's okay if I need to take 5-seconds and regroup in my head. But, if I'm being watched, it's just so much harder to keep calm and focused in my head.(P18)

 
참가자들은 누군가(의사, 의대생, 간호사 또는 환자)가 항상 지켜보고 있다는 것을 인정했지만 관찰자의 존재에 따른 영향은 달랐고, 관찰받는 것은 일반적으로 관찰자가 [동일한 진료 범위]를 가지고 있거나 [공식적인 평가를 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고 인식되는 경우에만 불안감을 유발했다. 교수진이 관찰하는 것은 스트레스를 주는 것으로 묘사되었고, 순환 과정 동안 다수의 임상의 관찰자를 두는 것은 특히 불안감을 유발할 수 있다. 한 정신과 레지던트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Participants acknowledged that someone (a physician, a medical student, a nurse or a patient) was always watching, but the impact of the observer's presence differed, and being observed was typically only anxiety-provoking if the observer was perceived to have the same scope of practice or to be in a position to provide a formal assessment. Being observed by faculty members was described as stressful, and having multiple clinician observers over the course of a rotation could be particularly anxiety-provoking because learners had to tailor their style to what they perceived each observer was expecting to see. A psychiatry resident described that:

 

… 모든 사람들은 특정한 방식으로 일을 한다 … 어떤 사람들은 당신이 과거 정신의학 역사에 집중하기를 기대한다. 어떤 사람들은 당신이 그들(환자)이 어떻게 양육되었는지에 초점을 맞추기를 원한다. 그래서 그 사람이 무엇을 찾고 어떻게 접근하는 것을 좋아하는지를 알게 되면, 그것은... 쉬워진다.
… everyone does things a certain way … certain people expect you to focus … on … past psychiatric history. Some people want you to focus on how they (patients) were raised. And so once you know what that person is looking for and how they like to approach things, it becomes … easier. (P18)

이런 지적은 전공의들이 관찰받는 불편함뿐만 아니라, 특정 관찰자를 위한 공연의 필요성에도 고군분투하고 있으며, 두 가지 투쟁 모두 진정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This comment seems to indicate that residents not only struggle with the discomfort of being observed, but also with the need to stage a performance for a particular observer, and both struggles can take time to abate.

 

영향: 수행능력
Impact: performance

참가자들은 대부분 관찰자가 자신의 성과를 관찰할 뿐만 아니라 평가한다고 가정했기 때문에, 관찰자를 기쁘게 하기 위해 자신의 임상 스타일을 쉽게 변경했다. 그들은 그들의 '성적'이 그들의 공식적인 평가, 영구적인 기록, 그리고 심지어 그들의 훈련이나 경력 승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의심했다. 따라서 참가자들은 관찰을 코칭으로 개념화하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대신, 관찰자가 있는 것은 진료실의 게슈탈트를 [실제 환자와의 만남]에서 [OSCE 스테이션과 유사한 것]으로 변형시켰으며, 참가자들은 코치가 아닌 점수를 매기는 것처럼 연기를 묘사했다. 관찰자 앞에서, 참가자들은 '기본적으로 해야 할 일들의 방식인 뛰어난 수완의 규칙'을 따름으로써 '더 신중하고 반성적인… 의대 스타일' (P1)이라고 보고했다. '예를 들어, 호흡기 검사의 일부로 간주되는 특정한 기술들이 있는데, 제가 그것들을 높은 수율을 발견하지 못했기 때문에 자주 그렇게 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만약 내가 관찰되고 있다면, 나는 내가 훨씬 더 철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P20) 따라서 관찰받을 때 목표는 [환자 중심 치료]에서 [성과 중심 치료]로 전환되었고 가상 체크리스트의 완성이 되었다. 관찰된 것이 어떻게 그의 임상적 접근 방식을 바꾸었는지를 묻자, 참가자 3은 '나는 아마도 더 철저한 질문을 할 것이다… 장기적으로 상관없는 질문들… 아마도 상관없는 질문들, 단지 내가 그 확인란에서 모든 것을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 위해서'라고 말했다.

Participants readily altered their clinical style to please the observer because most assumed that the observer was not only watching their performance, but also grading it. They suspected that their ‘grade’ could have implications for their formal assessment, permanent record, and even their training or career advancement: ‘I think we're assessed every day … It's a frame of how good you are at your job and how much you know … but there's always the possibility that it could be punitive’ (P16). Consequently, participants rarely conceptualised observation as coaching. Instead, having an observer present transformed the gestalt of a clinic room from a real-world patient encounter into something resembling an OSCE station, and participants described performing as though they were being graded, not coached. In the presence of an observer, participants reported being ‘more cautious and reflective … sort of medical school style’ (P1) by following ‘examsmanship rules which are basically the ways you are supposed to do things …’ (P10). ‘There are certain techniques that are considered to be part of the respiratory exam, for instance, that I probably don't do that often because I don't find them high yield. But if I am being observed, I think I will err to be much more thorough’ (P20). Thus, when observed, the goal shifted from providing patient-centred care to performance-centred care and the completing of an imaginary checklist. When asked how being observed changed his clinical approach, participant 3 said, ‘I'd probably ask more thorough questions … that have no bearing in the long run … probably irrelevant questions, just to look like I'm doing everything under the sun in that check box’.

의도하지 않은 결과: 환자와의 관계
Unintended consequences: relationship with patients

관찰자의 존재는 또한 신중하게 구성된 레지던트-환자 관계의 역동성을 방해할 수 있다. 레지던트들은 그들이 환자 개개인의 필요에 따라 그들의 품행과 언어를 맞춤으로써 환자들과의 관계를 발전시켰다고 설명했다. 일부 참가자들은 환자와의 일상적인 의사소통 방식을 설명했으며, 종종 유머를 사용하여 신뢰를 발전시키고 환자를 편안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관찰자가 있는 경우 참가자들은 [보다 공식적인 접근법]을 취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쓰던 대화 방식을 포기할 수 있다.
The presence of an observer could also disrupt the dynamic of carefully constructed resident–patient relationships. Residents described that they developed a rapport with patients by tailoring their demeanour and language to each patient's needs. Some participants described using a casual and relatively informal communication style with patients, often invoking humour to develop trust and to make the patient feel comfortable. However, having an observer present could cause participants to forgo their typical conversation style for a more formal approach:

 

그래서 가끔 환자들과 꽤 격의 없이 지내요. 어린 환자들한테는 말을 써요. 18살인데 자살 충동을 느끼는 것처럼요. 그러니까, 오늘 하루 잘 보내고 계시진 않겠죠. 만약 내가 다른 사람에 의해 관찰받는다면, 나는 그들과 그렇게 말하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농담이나, 나쁜 말장난, 또는 그런 종류의 것에 약간 수용적인 몇몇 환자들은, 내가 모르는 사람들에 의해 관찰되었다면, 아마도 나는 그렇게 하는 것을 망설일 것이다.

So sometimes I'm fairly casual with patients. With young patients, I do use language, like if they're 18, and they're feeling suicidal, I'll say things like, so you're having a pretty (expletive) day, eh, it's not going so well. If I was being observed by strangers, I wouldn't talk like that with them … But some patients who are receptive to joking around a little bit, or a bad pun, or that kind of thing, if I was being observed by people I didn't know, then I probably would be hesitant to do that. (P1)


참가자들은 또한 관찰자가 있는 경우 환자가 민감한 정보를 노출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인지했다. '1대1일만 되면 환자들이 조금 더 마음을 열 것 같아요' 방에 사람이 너무 많으면 많은 정보를 누설할 때 조금 불안해진다."(P15)고 했다. 참가자들은 또한 특히 관찰자가 자신의 연구를 수정하거나 비평하기 위해 개입할 경우 환자가 의사 관찰자와 상호 작용하고 신뢰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 어쩌면 그들은 더 이상 나를 믿지 않을지도 모른다… 아마도 이제 그들은 "글쎄, 나는 너와 말하고 싶지 않다. 나는 네 실수를 고쳐주는corrected 사람과 이야기하고 싶다."라고 말할 것이다. (P10)

Participants also perceived that patients were less likely to reveal sensitive information if there was an observer present: ‘I feel patients will open up a little bit more … when it's just one-on-one. If there are too many people in the room, it's making them a little bit nervous when they're divulging a lot of information” (P15). Participants also worried that patients would be more likely to interact with, and trust, the physician observer, particularly if the observer stepped in to correct or critique their work: ‘… maybe they don't trust me anymore … maybe now they're going to say, “well I don't want to talk to you I want to talk to the person that corrected you”’ (P10).

진위성의 결여를 인지하고 있다.
A perceived lack of authenticity

학습자가 불안, 평가 중심의 성과 또는 학습자-환자 관계의 변화와 관련하여 자신의 일상 관행에 대한 변화를 인지하는 것은 관찰된 것이 진정성이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불러일으켰다. 학습자들은 관찰이 그들이 직업의 과제를 실제로 수행하는 방법을 포착하기 위한 것이라는 것을 이해했지만, 많은 사람들은 관찰이 이러한 목적을 달성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Learners’ recognition of alterations to their usual practices, related to anxiety, assessment-oriented performance or changes in the learner–patient relationship, raised questions about whether what was observed was authentic. Although learners understood that observation was intended to capture how they actually carry out the tasks of their profession, many questioned whether observation achieved this aim:

 

나는 그들이 반드시 당신의 일상적인 접근법에 대한 평가를 받는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나 당신의 접근법이 어떻게 보일지에 대한 이해는 얻고 있다고 생각한다. 제 생각엔 그들은 아마 그것에 대해 꽤 잘 알 것 같아요. (P20)
I don't think they're getting, necessarily, the assessment of your day-to-day approach, but of your understanding of what an approach would look like. I think that they probably get pretty good insight into that. (P20)

참여자들은 관찰자 효과의 영향이 관찰자들에게 그들이 [실제로 일하는 방식을 반영하지 않는 인상을 주었다]고 인식하였다.
Participants perceived that the impact of an observer effect created an impression for observers that was not reflective of how they actually worked:

 

… 저는 보통 제가 독립적으로 평가를 할 때, 그 시점에서 저는 그렇게 많은 불안감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렇게 많이 잊어버리지 않는 것처럼 느껴지지만, 제가 누군가의 감시를 받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 때 제 생각을 모으는 것이 더 쉽다고 느낍니다.
… I do feel that normally when I am independent doing my assessment, because I don't have as much of an anxiety level at that point, I don't seem to forget as much … but I feel like it's easier for me to gather my thoughts when I know that I'm not being watched by someone. (P14)

 

불안으로 인한 실수는 특히 좌절감을 주었는데, 그 이유는 '내가 실제로 무언가를 하는 것이 관찰되는 매우 드문 순간에 내가 꽤 잘한다고 느끼는 것을 보여줄 기회를 날려버린 것 같았기 때문이다.' (P8)
Anxiety-induced mistakes were particularly frustrating because ‘… it felt like I had sort of blown off this opportunity to demonstrate that, in a very rare moment where I was actually being observed doing something that I felt that I was reasonably good” (P8).

 

기여요인자
Contributing factors

[직접 관찰이 실제로 무엇이고 무엇을 하려는 의도인지 명확하지 않은 점]은 관찰자의 목적, 관찰자의 역할, 관찰자와 학습자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불러일으켰다. 많은 사람들에게 임상 기술을 관찰하는 것은 드물고 예측할 수 없는 일이었다. 한 참가자가 지적한 바와 같이, 직원이 우연히 그곳에 있을 때, 또는 직원이 마음속으로 그 질문에 답하기 위해 특정한 질문을 가지고 있거나 신체적인 부분을 관찰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말이다. … 그러한 기술들은 거의 많이 관찰되는 경향이 없다.'(P19). 비록 참가자들은 직접 관찰이 평가 목적으로 발생해야 한다는 것을 인식했지만, 그 발생조차도 불확실할 수 있다. '직접 관찰에 대해 작성해야 할 평가 양식을 가지고 있지만, 나는 그것들이 일반적으로 수행되지 않으며, 수행되지 않아도 어떠한 영향도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P10) '무소식이 희소식'이라는 암묵적 가정이 있었고, '관찰받지 않음'은 역량이 있음을 시사했다. 따라서 [관찰자의 예상치 못한 출현]은 관찰이 무작위로 발생하는지, 또는 관찰자의 존재가 문제나 결핍을 나타내는지에 대한 의문을 일으켰다.

 


Lack of clarity about what direct observation actually was and what it was intended to do raised questions about its purpose, the observer's role, and how observers and learners should behave. For many, observation of their clinical skills was uncommon and unpredictable: as one participant noted, unless ‘… you fortuitously happen to be there when a staff is there…or if the staff has a particular question and observes part of your history, or physical, in order to answer that question in their mind … those skills don't tend to be observed nearly as much’ (P19). Although participants recognised that direct observation was supposed to happen for assessment purposes, even there its occurrence could be uncertain: ‘we have these evaluation forms that we are supposed to fill out about direct observation but I find that they're not usually done and there are no repercussions if they're not done’ (P10). There was an implicit assumption that ‘no news is good news’, and that a lack of observation was indicative of competence. The unexpected appearance of an observer, therefore, raised questions about whether observation occurred randomly, or if the presence of an observer signalled a problem or deficiency:

제가 특정 클리닉에 있었는데, 같은 병력과 신체검사를 반복해서 하면서 좋은 반응을 얻지 못하는 동안 계속 관찰을 받고 있었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러면 저는 좌절하게 됩니다. 왜 와서 날 관찰하냐고 물었거든 무슨 문제라도 있어? 문제가 생기면 왜 말을 안 하는 거죠? 만약 매번 교수가 관찰하러 온다면… 아마도 내가 뭔가를 놓치고 있었던건지 궁금할 것 같다(P5)
Let's say I was in a particular clinic, and I was constantly being observed while I did the same history and physical over and over and over and not getting good feedback, then I would get frustrated. Because, I'm like, okay, why are you coming in and observing me, is there an issue? If there's an issue, why aren't you telling me?… If they came in every single time … I would probably say am I missing something? (P5)

[직접 관찰의 예측 불가능성]으로 인해 참가자들은 관찰자의 목적이 감독, 평가 또는 코칭인지 구별하기 어려웠다. 관찰자의 깜짝 등장은 자신의 존재 목적에 대한 명확한 기대의 부족과 맞물려 역할의 모호성과 상당한 정서적 불편함을 유발했다.
The unpredictability of direct observation made it difficult for participants to discern whether the observer's purpose was to supervise, to assess or to coach. The surprise appearance of an observer, coupled with a lack of clear expectations about the purpose of his or her presence, triggered role ambiguity and significant emotional discomfort.

참가자들은 관찰되는 것과 감독받는 것을 구별했지만,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다양했고, 참가자들은 관찰자의 역할을 둘러싼 불확실성을 강조하면서 각 역할을 구별하는 것을 명확히 표현하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일반적으로 참여자들은 감독을 '효율성'(P13)을 보장하거나, 실수를 포착하기 위한 '안전망'(P19)으로 사용하기 위한 '일이 제대로 되게 하기 위한' '적극적'(P10) 과정으로 개념화했다. 참가자들의 경우, 감독관은 환자의 관리와 의료 지식과 기술을 가르치는 것을 직접 책임졌다. 감독의 특징은 필요한 상황이 되면 감독자가 구두 또는 물리적으로 take over할 수 있다는 기대였다.

Participants differentiated between being observed and being supervised, but their definitions of these terms were variable, and participants struggled to articulate what made each role distinct, highlighting the uncertainty surrounding the observer's role. In general, participants conceptualised supervision as a pragmatic ‘active’ (P10) process that was ‘about getting the job done’ (P13), to either ensure ‘efficiency’ or to use as a ‘safety net’ (P19) to catch mistakes. For participants, a supervisor was directly responsible for a patient's care and for teaching medical knowledge and technique. A feature of supervision was an expectation that the supervisor might verbally or physically take over if the situation required it:

… 내가 분만을 할 직원 몇 명이 생각나는데 특히 내가 좀 더 젊었을 때는 너희 개인 공간에 있을 거야 왜냐면 너희들은 이 우글거리는 아기 주위에 몰려있거든 그리고 그들은 "줄을 만지고, 줄을 더듬고, 어깨를 만지고"라고 말하곤 합니다. 아니면 "그걸 만지지 마세요."라고 말할 것입니다. 가끔 손을 쓸어내리곤 했죠
… I can think of some staff, where I'll do a delivery and especially when I was more junior, they would be sort of right in your personal space because you're all crowded around this crowning baby. And they'd be like, “feel for the cord, feel for the cord or get the shoulder” and they're sort of telling you, or “don't touch that”. You'd have, from time to time, your hands swatted away. (P8)

이와는 대조적으로, [관찰]은 일반적으로 학습을 용이하게 하고 전문적인 개발을 코칭하기 위한 '불간섭' 활동으로 간주되었다. 이 경우 직접 관찰은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스킬을 연습하고, 서비스 제공에 대한 피드백을 받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종 특정 임상적 만남에 대한 명확한 기대는 일반적으로 협상되지 않아 학습자들이 그들이 감독받고 있는지 관찰되고 있는지에 대해 불확실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참가자들은 기본적으로 관찰을 평가로 보고 그에 따라 수행했다.
By contrast, observation was generally considered a ‘hands off’ activity intended to facilitate learning and to coach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is case, direct observation was supposed to afford learners the opportunity to take the lead, and to practice skills and to receive feedback about their service provision. Often, however, clear expectations for a particular clinical encounter were not typically negotiated, leaving learners uncertain about whether they were being supervised or observed. Consequently, participants defaulted to viewing observation as assessment, and performed accordingly:

 

나는 환자와 이야기를 시작했지만 우리가 같이 상담을 하는 건지 아니면 내가 컨설팅을 담당하는지 불분명했고 그는 그냥 뒤로 물러날 생각이었다. 그래서 시작은 했는데 그냥 저 혼자만 그런 생각을 하고 그가 거기 있다는 사실에 정신이 팔려 끔찍한 역사를 쓰게 된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너무 아팠어요. 그래서 결국 그는 그 자리를 물려받았다. 그리고 나서 그는 말했다. "오, 그건 정말 이상했어. 구술시험과 같은 OSCE 상황에서 당신을 관찰하는 것 같았어요. 그리고 저는 정말 그렇게 느꼈어요. 하지만 제 생각엔 사전beforehand에 용어가 명확하지 않았기 때문인 것 같아요... (P8)
I started talking with the patient but I was unclear of whether we were doing the consult together, or whether I was responsible for doing the consult and he was just going to step back. So I kind of started but then I sort of second guessed whether it would just be me and just having those thoughts and being distracted by the fact that he was there and I wasn't sure what his role was, led me to do a terrible history. It was so painful. So then he eventually took over… And then afterwards he had said, ‘Oh that was really strange. It was kind of like I was observing you in an OSCE situation, like an oral structured exam’ and I was like yeah, that's really what it felt like but I think it was because the terms were not necessarily clear beforehand … (P8)

완화 요인
Mitigating factors

직접 관찰과 관련된 당면 과제에도 불구하고 학습자가 관찰 경험에서 학습 가치를 이끌어낸 사례도 인지했다. 일부 사람들에게는 관찰받는 동안 느끼는 '높아진 불안감'은 임상 상황의 스트레스를 시뮬레이션하는 데 유용했다.
Despite the challenges we identified related to direct observation, we also recognised instances where learners drew learning value from their experiences of being observed. For some, the heightened anxiety they felt while being observed was useful, as it simulated the stress of clinical situations:

 

… 관찰은 당신이 실제 사람을 돌본다면 가질 수 있는 아드레날린을 완전히 대체한다고 생각한다. 당신이 책에서 읽은 실제 사례를 기억하도록 도와주는 기억의 정서적 요소, 관찰되는 것의 정서적 요소… 나는 그것을 기억한다… (P1)
… observation, I think, totally replaces that adrenaline that you would have if you were looking after a real person … the affective component of memory that helps you remember real cases, that have been stuff you read in the book, that affective emotional component of being observed … I remember that stuff … (P1)

다른 사람들에게는 신뢰할 수 있는 관찰자가 자신의 연구를 지켜보도록 한 경험이 '자신감 쌓기'(P19)와 안전하고 유능한 임상의로 발전하는 데 매우 중요했다. '모르는 것을 모르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P8], 참가자들은 절차 기술을 숙달하고 자신의 '사각지대'(P8)를 식별하기 위해 관찰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사실, 관찰되지 않는 것은 불안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한 참가자는 보다 빈번한 직접 관찰이 그녀의 기술에 대한 의구심을 어느 정도 누그러뜨렸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For others, the experience of having a trusted observer watch their work was critical for ‘building confidence’ (P19) and for ensuring that they were developing into safe, competent clinicians. ‘Not knowing what you don't know is very dangerous’ [P8], and participants described that being observed was necessary for mastering procedural skills and for identifying their ‘blind spots’ (P8). In fact, not being observed could be anxiety-provoking. One participant surmised that more frequent direct observation might have assuaged some of her doubts about her skill set:

저는 다른 면에서는 제 역량에 대해 매우 자신감을 가지고 있지만, 제가 이것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고 말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저는 누군가가 저를 보기 전에 3학년이 되거나 졸업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싶습니다. 지금 하는 게 낫다고 생각해서 제 자신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게 아니라 제가 제대로 하고 있는지 잘 모르겠어요. (P10)
I feel very confident with my competence in other respects but I feel that because I have not been observed there is a part of me that says I don't know if I'm doing this right … I don't want to wait until I'm in third year or graduated before someone watches me and says, ‘she's doing it that way?’ I think it's better to have it done now so I would say there is a part of me that feels unclear, not that I don't think I'm competent but I really don't know if I'm doing it right. (P10)

우리의 분석은 관찰자 효과를 완화하는 요인이 그러한 긍정적인 경험이 어떻게 만들어질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관찰되는 것에 대한 불안 요소가 항상 있었지만, 관찰을 일상적인 일로 보는 참가자들에게 정서적 불편은 그렇게 마비되지 않은 것처럼 보였다. 참가자 1은 "나는 관찰에 매우 익숙하다… 나는 항상 관찰된다"고 진술했다. 따라서 관찰이 임상 실습의 [정상적이고 비교적 빈번하며 기대되는 부분]이라고 인식한 전공의에게는, 관찰과 관련된 수행 불안은 긍정적인 학습 결과를 가져왔다.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정서적인 불편함이 그들의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나는 그것이 참신한 경험이라는 사실에서 많은 것이 나온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당신을 당신의 게임에서 약간 벗어나게 합니다.' (P20). [관찰자의 행동]과 [학습자와의 관계]는 관찰자 효과를 완화시킬 수 있다. 관찰자들은 신중하게 선택되었고 명확한 기대와 긍정적이고 직업적인 관계를 맺는 사람을 찾는 것은 편안한 만남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Our analysis suggests that factors that mitigate the observer effect may be important in understanding how such positive experience can be created. Although there was always an element of anxiety about being observed, emotional discomfort did not seem as paralysing for participants who viewed observation as a routine occurrence. Participant 1 stated, ‘I'm so used to observation … I'm always observed’, so for this participant, and for others who perceived that observation was a normal, relatively frequent and expected part of clinical practice, the performance anxiety associated with being observed had positive learning outcomes. For others, emotional discomfort negatively impacted their performance: ‘I think a lot of that comes from the fact that it is a novel experience. It does throw you off your game a little bit’ (P20). The observer's behaviour and his or her relationship to the learner could also mitigate the observer effect. Observers were carefully chosen and finding one who set clear expectations and a positive, professional relationship set the stage for a comfortable encounter:

 

그때의 차이는 그 특정 교사와 좋은 관계를 맺었고, 그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고, 그런 일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정신적으로 대비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제가 좀... 제가 그 스태프들과 좋은 관계를 맺고 미리 알고 있지 않았다면 아마 불안감을 불러일으켰을 것입니다. (P22)
I think the difference in that case might have been that I'd had a good relationship with that particular preceptor at that point, and I was aware of it, I knew it was happening, so I could be prepared mentally for that. Because I felt it was a little … it probably would have been anxiety-provoking if I hadn't had such a good relationship with that staff, and known about it in advance. (P22)

일부 참여자는 관찰자의 행동이 경험의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고 관찰자가 효과적일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Some participants recognised the impact of an observer's behaviour on the usefulness of the experience and suggested ways that an observer might be effective:

 

저는 입을 다물 수 있는 능력이 좋은 관찰자를 만든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끊임없이 끼어들면 더 이상 관찰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조용히 지켜볼 수 있어야 할 것 같아요. 그리고 나서, 여러분이 보고 있던 것을 어느 정도 분해할 수 있습니다. 그래야 좋은 것뿐만 아니라 나쁜 것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꼭 나쁜 점이 없다면, 어떻게 하면 더 좋은 것을 만들 수 있는지 보세요. 우리는 항상 더 잘 할 수 있으니까요. (P3)
I think the ability to shut up makes a good observer, because if you're constantly interjecting, you're not observing anymore. So, I think you have to be able to be quiet and watch. And then, really be able to sort of break down what you were seeing, so that, not only can you see the good, but you can see the bad as well. And if there's not something that's necessarily bad, see how to make something better, because we can always be doing better. (P3)

 

논의
Discussion

관찰 행위가 사건의 결과를 바꾼다는 것은 과학적 원리이다.
It's a scientific principle that the act of observation is changing the outcome of an event. (P21)

 

직접 관찰은 교육생들이 단계적 또는 실제 임상적 만남에서 어떻게 수행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기회를 제공하고, 학습자들이 자신의 장단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피드백을 만들 수 있도록 도와준다. 특히, 작업 환경에서 학습자를 관찰하는 것은 '학습자가 알고 있는 것을 넘어 실제로 무엇을 하는지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자격을 갖춘 의사를 교육하는 데 필수적이다'. 그러나, 우리의 연구 결과는 관찰자의 존재가 학습자의 임상 행동을 변경하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도 발생시켜 관찰된 성과가 실제로 무엇을 하는지 정확하게 반영하는지 의문을 갖게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자체 성과에 대한 진정성이 의심되므로 관찰자가 신뢰할 수 있더라도 해당 성과에 대해 받는 피드백의 신뢰성은 떨어질 수 있다고 추측한다. 관찰자 효과는 다른 환경에서 잘 연구되지만, 우리의 연구는 의학 교육 담론에서 제한적이지만 영향력 있는 역할에 대해 확장되며, 부분적으로 전공의가 관찰받는 것에 대해 갖는 양면성을 설명할 수 있다.34
Calls to increase the amount of direct observation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make intuitive sense; direct observation offers a valuable opportunity for educators to see how trainees perform during staged or real-world clinical encounters, and to craft feedback to help learners identify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2 Specifically, observation of learners in workplace settings ‘offers the opportunity to see beyond what they know and into what they actually do, which is fundamentally essential to training qualified physicians’.10 However,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presence of an observer also creates unintended consequences that alter learners’ clinical behaviour, leading them to question whether their observed performance accurately reflects what they actually do. With the authenticity of their own performance in doubt, we speculate that the credibility of the feedback they receive on that performance may be diminished, even if the observer is trustworthy. The observer effect is well studied in other settings, but our research expands on its limited, yet impactful, role in the medical education discourse and may explain, in part, the ambivalence residents have about being observed.34

유능하고 환자 중심적인 의사가 되기 위해서 학습자는 

  • 기술적 합리성(닥터링 작업에 필요한 '교과서' 지식 및 절차적 기술)을 익히고 
  • 전문적인 예술성(전문가들이 직장 기반 경험과 의학의 역학을 종합하여 의사 기술을 연습하는 방법)을 연마해야 한다. 

Becoming a competent, patient-centred physician requires learners
▶ to master technical rationality (the ‘textbook’ knowledge and procedural skills required to do the work of doctoring) and
▶ to hone professional artistry (the way experts practice the art of doctoring by synthesising the mechanics of medicine with workplace-based experience).3536 

우리는 관찰되는 것에 대한 학습자의 양면성은 [학습 방법]과 [직업적 정체성을 개발하는 방법]과 관련된 인식론적 긴장과 관련이 있다고 제안한다. 즉, 학습자의 수행 목표는 중요도가 감소하는 세 가지 수준으로 계층적으로 구성된다. 

  • 자신의 자아 개념(또는 존재 방법), 
  • 의사 과업을 숙달 
  • 의사 과업을 학습.

We suggest that learners’ ambivalence about being observed is related to epistemological tensions pertaining to how they learn and to how they develop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That is, learners’ performance goals are hierarchically organised at three levels of decreasing importance:

  • their self-concept (or ways of being),
  • mastering the tasks of doctoring and
  • learning the tasks of doctoring.3738 

참가자들은 자율학습과 서비스 제공의 시행착오를 통해 기술적 합리성과 전문적인 예술성을 크게 연마했다고 인식했으며, 직접 관찰의 목적은 [과제 평가와 과제 학습을 평가하는 것]이라고 가정했다. 그들은 관찰이 자신의 개인적 또는 직업적 발전을 위한 것이라고 생각한 적이 거의 없다. 따라서 관찰을 받는 것은 참가자들의 [자율성]과 [성장하는 자아 개념]과 충돌하기 때문에 상당한 정서적 불편함을 야기했다. 결과적으로, 참가자들은 그들의 관찰자에게 깊은 인상을 주기 위해 공연을 해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꼈다.

Participants perceived that they largely honed their technical rationality and professional artistry35, 36 through the trial and error of autonomous learning and service provision; they assumed that the purpose of direct observation was to assess tasks and their task learning. They rarely, if ever, thought of an observation as being for their personal or professional development. Being observed, therefore, created significant emotional discomfort because it conflicted with participants’ autonomy21 and burgeoning self-concept, because it was perceived as relatively novel and because it was almost always perceived as a high-stakes proposition.39 Consequently, participants felt pressured to stage a performance to impress their observer.

우리의 발견은 문학에 두 가지 새로운 기여를 한다. 

  • 첫째, 참가자들은 관찰과 감독을 구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따라서 관찰자의 역할과 목적에 대해 불확실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찰자의 존재는 그들이 평가받고 있다는 것을 암시했다. 
  • 둘째로, '관찰자 효과'는 접수된 피드백의 신뢰성을 훼손할 수 있는 방식으로 그들의 성능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Our findings make two novel contributions to the literature.

  • First, participants had difficulty distinguishing between observation and supervision, and they were therefore uncertain about the observer's role and purpose. Regardless, the presence of an observer signalled for them that they were being assessed.
  • Second, an ‘observer effect’ was perceived to alter their performance in a way that could undermine the credibility of the feedback received.

 

관찰자들은 '관찰'하고 있는가, 아니면 '감독'하고 있는가?
Are observers ‘observing’ or ‘supervising’?

참석자들은 직접 관찰이 무엇인지, 무엇을 하려는 것인지에 대한 기대는 종종 명확하게 표현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들은 다음을 거의 알지 못했다.

  • 관찰이 언제 일어날지,
  • 관찰이 어떻게 전개될지,
  • 관찰자의 목적이
    • 지식과 기술을 평가하는 것인지,
    •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인지,
    • 전문적 개발을 육성하는 것인지

Participants described that expectations of what direct observation is, and what it is intended to do, were often not clearly articulated. They rarely knew

  • when an observation would occur,
  • how the observation would unfold, and
  • whether the observer's purpose was
    • to assess their knowledge and skill,
    • to ensure patient safety or
    • to nurture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즉, 학습자들은 자신이 관찰되고 있는지 감독되고 있는지 확신하지 못했습니다. 지도와 관찰은 별개의 교육 전략이지만, 그 용어들은 문헌과 실제로 서로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상당히 중복되는 부분이 있지만 감독과 관찰의 차이를 이해하려면 전경에 있는 내용, 관찰자와 학습자 사이의 거리, 교육학적 역할을 누가 수행할 수 있는지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In other words, learners were unsure whether they were being observed or supervised. Supervision and observation are distinct curricular strategies, yet the terms are used interchangeably in the literature and, we suspect, in practice. Although there is considerable overlap, making sense of the differences between supervision and observation requires paying attention to what is foregrounded, to the distance between the observer and the learner, and to who is able to fulfill pedagogical roles.

[감독]이란 '의사가 환자를 관리하는 맥락에서 개인적, 전문적, 교육적 발전에 관한 문제에 대한 모니터링, 지도 및 피드백 제공'을 말한다. 감독은 환자 안전을 우선시한다. 비록 책임감이 있고 점진적인 독립성을 가지고 있지만, 훈련생들이 '가장 책임감 있는 의사'에 의해 감독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다. 감독자는 자신이 하는 일의 한 요소로 직접 관찰을 사용하지만, 감독자는 멀리 떨어져 있거나, 물리적으로는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반면, [직접 관찰]은 관찰자가 학습자가 어떻게 수행하는지 적극적으로 관찰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그러나 모든 관찰자가 반드시 교육생을 감독supervising할 책임이 있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관찰자(예: 환자, 제휴 보건 전문가, 주니어 교육생 등)가 학습자 성과를 관찰하고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비록 환자 안전이 종종 직접 관찰의 중요한 부분이지만, 학습자의 교육과 전문적인 개발이 더 중심일 때도 있다.

Supervision is ‘the provision of monitoring, guidance and feedback on matters of personal, professional and educational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a doctor's care of a patient’.40 Supervision prioritises patient safety40; there is an expectation that trainees will be supervised by the ‘most responsible physician’, albeit with graduated responsibilities and progressive independence.41, 42 Supervisors use direct observation as one component of what they do, but supervision may also occur at arm's length, sometimes without the supervisor being physically present.

By contrast, direct observation implies that an observer is actively watching how learners perform; not all observers, however, are necessarily responsible for supervising trainees. Learner performance may be watched, and perhaps commented on, by a range of observers (e.g. patients, allied health professionals, junior trainees, etc.); although patient safety is often an important piece of direct observation, a learner's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sometimes take centre stage.

그러나 주치의는 일반적으로 감독과 관찰의 이중적인 역할을 하며, 관찰자와 피관찰자 모두에게 그 불분명하다. 중복이 발생하기 때문에 혼란이 지배하고 참가자들의 혼란은 직접적인 관찰을 학습에 가치 있는 것으로 인식하는지 여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처럼 보였다.

However, attending physicians typically have the dual role of supervising and being asked to observe, and the delineations are opaque both for observers and for those being observed. Because overlap occurs, confusion reigns and participants’ confusion seemed to directly impact whether or not they perceived direct observation as valuable to their learning.

감독, 코칭, 종합평가 등 직접 관찰은 훈련의 모든 단계에 자리 잡고 있지만, 관찰은 평가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참가자들의 여전한 인식에 놀랄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그렇게 되면 안 된다. 관찰의 목적에 대한 관찰자의 의도와 기대보다, [학습자가 관찰자의 의도된 목적을 어떻게 인식했는지]가 더 중요하다. 참가자들은 임상 작업을 능숙하고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고 신뢰할 수 있는지 여부를 측정하기 위해 직접 관찰되었음을 인지했다. '코치로서의 관찰자'는 전공의가 관찰받은 경험과는 정반대처럼 보였다. 결과적으로 관찰의 목적과 기대에 대한 명확성의 부족은 그들의 역할의 모호성을 악화시켰다. 즉, 관찰자가 있는 곳에서 참가자들은 학습자로서 행동해야 할지 의사로서 행동해야 할지 몰랐다.

Although direct observation, for supervision, for coaching or for summative assessment, has a place at all stages of training, we were struck by participants’ lingering perceptions that observation was inextricably linked to assessment. But perhaps we shouldn't be. The observer's intentions and expectations for the observation's purpose matter less than what learners’ perceive the observer's intended purpose to be.43 Participants perceived that they were directly observed to gauge whether or not they could be trusted to competently and independently perform clinical work44; ‘the observer as coach’ seemed antithetical to their observation experiences. Consequently, lack of clarity about the purpose of and expectations for the observation exacerbated their role ambiguity; in other words, in the presence of an observer, participants did not know whether to behave as a learner or as a doctor.

전공의들은 직접 관찰이 그들의 직업적 발전과 반비례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가정했다고 추측한다. 즉, 참가자들이 점진적인 독립성을 얻음에 따라, 그들은 직접 관찰이 그들의 일상적 임상 작업에서 물러날 것으로 예상하였다.21 직접 관찰이 오직 그들의 전문적 개발을 지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참가자들에게는 믿기 어려워 보였기 때문에, 임상의-관찰자가 갑자기 등장하는sporadic 모습은 [참가자들이 경계를 늦추지 않도록 알람을 울리는 깜짝 이벤트]로 인식되었다. 그래서 전공의는 자동으로 [평가(피평가자) 모드]가 기본이 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참가자들은 'doing'에 초점을 두거나, 임상적 사실을 이해하고 있거나 임상 기술을 수행하기 위한 '교과서' 접근법을 알고 있다는 것을 입증하고자 했다. 반대로, 자신의 'being' 또는 '예술을 과학적 의학에 통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것은 억제하였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관찰자의 존재가 훈련생의 수행 방식을 변화시킨다는 일화적 증거를 뒷받침하는 경험적 연구를 제공한다.47
We speculate that participants assumed that direct observation was supposed to be inversely related to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other words, as participants earned progressive independence, they expected that direct observation would recede from their everyday clinical work.21 Because it seemed implausible to participants that direct observation might be used solely to coach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sporadic appearance of a clinician-observer was perceived as a surprise that sounded an alarm for participants to be on guard. In response, participants described that they automatically defaulted to performing in assessment mode. Specifically, participants focused on doing or demonstrating that they understood clinical facts or that they knew the ‘textbook’ approach for performing a clinical skill, and suppressed their being, or how they integrated art into the science of medicine.45, 46 Our findings provide empirical research to support anecdotal evidence that the presence of an observer changes how trainees perform.47

'관찰자 효과'
The ‘observer effect’

서로 다른 기대와 접근 방식은 성과에 대한 다른 인식을 초래할 수 있으며, 관찰되는 것은 행동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호손 효과는 20세기 초 시카고의 웨스턴 일렉트릭 전화 공장에서 조명, 휴식, 관찰을 포함한 업무 변수가 직원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측정한 일련의 연구를 통해 처음 설명되었다. 변수를 조작하는 방법과 관계없이, 연구자들은 관찰이 근로자의 생산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그들의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 내렸다.54 노련한 건강관리 전문가도 관찰자 효과에 면역이 되지 않는다. 임상의는 '단순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자신의 진단 및 처방 행동을 변경하고, 손 위생 프로토콜과 임상 관행 권장사항을 더 잘 준수한다. 행동 변화는 임상의가 평소 임상 환경에서 관찰된 경우에도 관찰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하려는 시도와 무관하게 발생한다. 동료 임상의가 관찰하는 것은 관찰자 효과의 영향을 강화할 수 있으며, 불편함은 성과나 행동을 변화시키는 강력한 동기가 될 수 있다.
Different expectations and approaches can lead to different perceptions of performance,48, 49 and being observed is well known to change behaviour.50-56 The Hawthorne, or observer, effect was first described after a series of early 20th century studies at the Western Electric telephone factory in Chicago, which measured how workplace variables, including illumination, rest and observation, impacted employee performance.53 Regardless of how they manipulated variables, researchers concluded that being observed significantly influenced workers’ productivity and altered their performance.54 Even seasoned health care professionals are not immune to the observer effect. Clinicians alter their diagnostic and prescribing behaviours52 and demonstrate better compliance with hand hygiene protocols55 and clinical practice recommendations56 ‘merely as the result of being studied’.52 Changes in behaviour occur even if clinicians are observed in their usual clinical environments, and regardless of the observer's attempts to be unobtrusive or to minimise their discomfort.56 Being observed by a fellow clinician may intensify the impact of the observer effect, and discomfort may be a strong motivator for changing performance or behaviour.56

연구에서 관찰자 효과는 부분적으로 인위적인 연구 조건에 기인하며, 결과에 대한 잠재적인 설명 또는 제한으로서 통제되거나 인정된다. 그러나 문헌에 따르면 직장 기반 관찰의 목적은, 학습자가 자연주의 임상 환경에서 어떻게 수행하는지 보기 위한 [시험 설정의 인위성]을 회피하는 것이다. 대신, 의학 교육 및 연구에서 직접 관찰은 부분적으로 직접적인 관찰과 효과적인 피드백 사이의 추정된 관계 때문에 참조 표준 교육 및 평가 전략으로 널리 가정된다. 피드백은 학습의 기반으로 간주되지만 피드백의 효과는 [신뢰성credibility]에 달려 있습니다. 학습자가 피드백을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하려면 피드백이 중심이 되는 활동을 관찰해야 하며 관찰자가 신뢰할 수 있어야 합니다. 본 논문의 기여는 신뢰성credibility의 또 다른 핵심 요소가 [관찰된 성능의 인식된 진정성perceived authenticity]임을 발견했다는 데 있다.
In research, an observer effect is attributed, in part, to artificial study conditions, and it is either controlled for, or acknowledged, as a potential explanation for, or limitation of, the results.50, 51, 57, 58 The literature suggests that the purpose of workplace-based observation is, however, to circumvent the artificiality of exam settings to see how learners perform in a naturalistic clinical environment; the potential for an observer effect to influence workplace learning and performance is rarely considered. Instead, in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it is widely assumed that direct observation is a reference standard teaching and assessment strategy, in part because of the presumed relationship between direct observation and effective feedback. Feedback is considered a foundation of learning,59 but the effectiveness of feedback relies on its credibility. For learners to perceive feedback as credible, the activities upon which the feedback is centred should be observed,60 and the observer must be trustworthy.18, 60-62 Our paper's contribution is in uncovering another key element of credibility: the perceived authenticity of the observed performance.

시사점Implications

피드백이 학습에 영향을 미치려면 학습자의 자체 평가 및 목표와 일치해야 합니다. DeNisi와 Kluger는 학습자가 과제나 과제 학습을 자신의 자아 개념에 대한 비판으로 다루기 위한 피드백을 해석할 때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이론을 세웠다. 우리는 피드백이 속임수라고 주장한다. 직업적 정체성의 침해는 고통스러우며, 참가자들에게는 [관찰받는 것]이 [자신의 독립성과 기술에 대한 가정]과 충돌할 때 스트레스와 불안감을 자극한다. 따라서 관찰자의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에 부정적인 감정이 나타날 수 있지만, 우리는 관찰자의 존재가 학습자의 자아 개념에 가장 큰 위협이 된다고 추측한다. 즉, 학습자가 의사로서 했을 행동을 반영하지 않는 학습자로써의 성과를 '준비'했다고 인식한다면, 그 거짓된 수행에서 생성된 피드백을 가치 있게 여기지 않을 수 있습니다.
For feedback to impact learning, it must align with a learner's self-assessment and goals60, 63; DeNisi and Kluger theorise that learners’ respond negatively when they interpret feedback intended to address task or task learning as a critique of their self-concept.37 We contend that feedback is a red herring. Violations of professional identity are distressing,46 and for participants, being observed became stressful and anxiety provoking when it clashed with their assumptions about their independence and skill. Therefore, although negative emotions may manifest in learners’ responses to an observer's feedback,37, 38 we speculate that it is the appearance of an observer that poses the greatest threat to a learner's self-concept, and in turn, to learners’ receptivity to feedback. In other words, if learners perceive that they ‘staged’ a performance as a learner that doesn't reflect what they would have done as a doctor, they may be unlikely to value feedback generated from that inauthentic performance.

우리는 [인식된 관찰자 효과]가 [유용한 피드백이 부족하다는 학습자의 인식]을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학습자가 보다 철저하고 세심한 방식으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관찰자가 가하는 암묵적인 압력]이 학습에 가치가 있을 수 있지만, 교육자는 관찰자 효과가 학습자의 수행에 대한 인식을 진실한authentic 것에서 비진실한inauthentic 것으로 옮겨갈 위험이 있고, 결과적으로 피드백의 신뢰성을 저해시킨다. 만약 참가자의 인식이 정확하다면, 임상의사 교육자에게 '실제적 수행authentic performance'를 평가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특히 어려운 일이 된다.

We suggest that a perceived observer effect may partly explain learners’ perceptions that useful feedback is scant.56 Although there may be learning value in the implicit pressure exerted by an observer to make learners perform in a more thorough and meticulous way, educators must recognise that an observer effect risks moving the learner's perception of their performance from authentic to inauthentic, thus minimising the credibility of feedback they receive. If participants’ perceptions are accurate, then assessing an ‘authentic performance’ is difficult, if not impossible, for clinician educators. 

의사 소통자, 건강 옹호자 및 전문적 역할을 관찰하고 평가하는 것은 특히 문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 중심의 의사소통에는 즉흥성이 필요하다. 전공의들이 평소 환자를 볼 때에는, 각각의 환자에게 그들의 의사소통 방식을 맞추었다고 묘사했다. 그러나 관찰자 앞에서 그들은 형식적이고 형식적인 접근법을 채택하는 것을 설명했고, 임상의 교육자들이 직접 관찰을 통해 의사소통과 다른 핵심 역량을 검증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Observing and assessing the communicator, health advocate and professional roles may be particularly problematic. For instance, patient-centred communication requires improvisation64; in their usual practice, participants described tailoring their communication style to each patient. In the presence of an observer, however, they described adopting a formal and formulaic approach, raising questions about whether it is possible for clinician educators to authentically evaluate communication and other key competencies through direct observation.

우리는 직접적인 관찰이 중요하지 않거나 헛된 것이라고 제안하는 것이 아니다. 평가에서 직접 관찰의 역할은 가치 있고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주니어 레지던트들에게 의사로서 체크리스트 작업을 하는 것은 유용하다; 그러나 시니어 레지던트들은 그들이 발전하는 역량을 전문적인 정체성에 통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코칭을 필요로 한다. '학생들이 자신이 누구인지, 자신이 누구인지, 그리고 누가 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지속적이고 종적으로 노력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실제 성과와 평가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관찰자 효과'의 잠재성에도 불구하고, 직접적인 관찰은 임상 교육자가 학습자가 의사 업무를 수행하는 방법을 확인하고 학습자가 안전하고 유능한지 평가하는 최선의 방법으로 남아 있다.10 일부 참가자는 관찰되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 관찰자가 자신의 '실시간' 의사결정과 환자 및 동료와의 상호작용을 보는 것이 학습에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참가자들에게 직접적인 관찰은 그들의 학습과 직업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하고 심지어 중요한 교육 전략이었다.

We are not suggesting that direct observation is unimportant or futile. The role of direct observation in assessment is valuable and well described. For junior residents, being observed doing the checklist work of doctoring is useful; however, senior residents require coaching to help them integrate developing competencies into a professional identity and ‘the emphasis should be on trying continuously and longitudinally to help students to find out who they are, who they are becoming, and who they wish to become’.65 Despite the potential for an ‘observer effect’ to impact perceptions of authentic performance and assessment, direct observation remains arguably the best way for clinician educators to see how learners do the work of doctoring, and to assess whether learners are safe and competent.10 Some participants valued being observed and described that having an observer see their ‘real-time’ decision-making and interactions with patients and colleagues was advantageous for their learning. For these participants, direct observation was an important, even critical, educational strategy tha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lear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21

우리는 직접 관찰이 학습에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려면 임상의사 교육자들이 직접 관찰을 개념화하고 참여하는 방법에 대해 다르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한다. 학습에 대한 직접 관찰의 신뢰성과 가치를 극대화하려면 다음 세 가지 기능이 필요합니다. 

  • (i) 학습자는 관찰자를 신뢰하고 좋은 관계를 가져야 한다. 
  • (ii) 관찰자는 예상을 분명하게 표현해야 한다. 
  • (iii) 관찰이 평가와 연결되어 있을 때와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 명확해야 한다.

We are suggesting that for direct observation to consistently have a positive impact on learning, clinician educators need to think differently about how they conceptualise and engage in direct observation. To maximise the credibility and value of direct observation for learning, three features are required:

  • (i) learners must trust, and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the observer,22 
  • (ii) the observer must clearly articulate expectations, and
  • (iii) it should be clear when observation is connected with assessment and when it is not.

 

나아갈 길
A way forward

역할의 모호성을 피하고, 불확실성과 수행에 대한 불안을 줄이고, 진위성에 대한 인식을 완화하기 위해, 관찰자는 [학습자의 의료 전문지식을 평가하는 것]인지 또는 [학습자의 전문적 개발을 코칭하는 것]인지 명확히 표현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즉, 관찰자는 학습자가 의사로서 업무수행 방식을 평가하는 것이 목표인지, 의사가 되는 방식을 육성하는 것이 목표인지를 학습자를 위해 명확히 해야 한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의 임상의-과학자들은 최근 진정한 임상 환경에서 관찰과 피드백을 정상화하고 평가를 강조하지 않으며 학습자와 교사 모두에게 프로그램의 코칭 의도를 명확하게 설명하는 유망한 코칭 기반 피드백 프로그램을 시범 운영했다. 비록 이 혁신적인 프로그램은 유망하지만, 물류 문제를 해결하고 레지던트 프로그램 전반에 걸쳐 유사한 혁신을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전략을 고안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작업이 필요하다. 특히 임상의사 교육자들은 임상적, 학술적 의무에 대한 과중한 부담을 안고 있어 이러한 유형의 관찰 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시간 동안 바쁜 스케줄에 공간을 내기가 어렵다.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고 교육자에게 실현가능하기 위해서는 관찰자의 존재에 익숙해지기 위해 얼마나 자주, 그리고 얼마나 오랫동안 직접적인 관찰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더 나은 증거가 필요합니다.

To avoid role ambiguity, to reduce uncertainty and performance anxiety and to mitigate perceptions of inauthenticity, it is imperative for observers to clearly articulate if their purpose is to assess learners’ medical expertise or to coach learn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other words, observers must clarify for learners whether their goal is to assess how a learner does the work of a physician or to nurture the ways he or she becomes a physician. Clinician-scientists at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recently piloted a promising coaching-based feedback programme 22 built on normalising observation and feedback in authentic clinical settings, de-emphasising assessment and clearly articulating the coaching intent of the programme to both learners and teachers. Although this innovative programme is promising, more work is required to address logistical issues and to devise strategies to successfully implement similar innovations across residency programmes. Specifically, clinician educators are overburdened with clinical and academic duties, rendering it difficult to make room in their busy schedules for the time this type of observation programme requires. To be helpful for learners and to be feasible for educators, we also require better evidence about how frequently, and for how long, direct observation needs to occur for learners to become accustomed to the presence of an observer.

또한 신뢰할 수 있는 관찰자가 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인식을 넓힐 필요가 있다. 참가자들은 참가자들이 그들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정도가 누가 지켜보는가에 따라 다르다고 보고했다. 참가자들은 의사가 아닌 다른 사람이 보고 있을 때 더 진실하게 수행했다(고 인식했다). 멀티소스 피드백 연구는 직장 기반 평가가 학습자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장 확실한 증거를 제공하기 때문에 환자와 가족을 의료 교육 및 평가에 참여시키는 타당성과 신뢰성을 탐구하는 연구는 시기적절하고 중요하다. 예를 들어 환자와 가족 구성원은 학습자 성과(예: 교과서의 의료 지식 또는 절차 기술)의 특정 측면에 대해 신뢰할 수 있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는 없겠지만, 학습자가 자신의 요구를 충족하는 방식으로 소통하거나 옹호하는지 여부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자격이 있다. 환자와 가족이 의료 교육 및 평가에 보다 의미 있게 참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하려면 추가 증거가 필요하다.

Another way forward is to broaden perceptions about what it means to be a credible observer.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 degree to which participants altered their behaviour depended on who was watching; participants performed, or perceived that they performed, more authentically when someone other than a physician was watching. Because multisource feedback research provides the most robust evidence that workplace-based assessments impact learner performance,66 research exploring the feasibility and credibility of engaging patients and families in medical education and assessment is timely and critical. For instance, although patients and family members may not be able to provide credible feedback about certain aspects of learner performance (e.g. textbook medical knowledge or procedural skills)67 they are qualified to provide feedback about whether or not learners communicate with or advocate for them in ways that meet their needs. Additional evidence is required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more meaningfully engaging patients and families in medical education and assessment.

제한사항Limitations


우리의 연구 결과는 두 개의 캐나다 학술 센터에서 거주자들의 경험을 설명하며, 따라서 다른 환경에 대한 일반화를 의도하지 않는다. 이것은 인식에 대한 연구인데, 이는 학습자가 관찰자를 참석시킴으로써 자신의 수행이 부정적으로 변했다고 인식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그들은 직접 관찰이 그들이 인식하는 것보다 더 많이 지시하더라도 교육적 가치나 영향을 거의 제공하지 않는다고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학습자의 인식은 중요합니다. 인식은 피드백이 반향을 일으킬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며 임상 교육자는 피드백을 관찰하고 작성할 때 잠재적인 관찰자 효과에 대한 인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임상의사 교육자들이 자신의 존재가 학습자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는지 여부를 탐구하는 연구도 필요하다.

Our findings describe the experiences of residents at two Canadian academic centres and are therefore not intended for generalisation to other settings. This is a study of perceptions, which means that learners might perceive that their performance has been altered negatively by having an observer present, but it may not actually be. Similarly, they might perceive that direct observation offers little educational value or impact, even if it directs them more than they recognise. Notwithstanding these possibilities, learners’ perceptions matter; perceptions influence the likelihood that feedback will resonate and clinician educators can use their awareness of a potential observer effect when they observe and when they craft their feedback. Research exploring whether or not clinician educators perceive that their presence impacts learner performance is also warranted.

결론 Conclusion


관찰자 효과 또는 관찰자가 있을 때 발생하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있다. [학습자의 성과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직접 관찰의 진정성과, 그에 따른 피드백의 인식된 신뢰성에 대한 의문]을 갖게 한다. 직접 관찰의 참신함에 대한 인식은 그들의 성과가 평가되고 있다는 인식과 결합되어 참가자들이 그들의 작업에 접근하는 방식을 바꾸는 상당한 스트레스와 불안감을 야기했다. 참가자들이 관찰자 앞에서 자신이 평가받고 있다고 느낀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닐 것이다. 참가자들에게 관찰자의 존재는 [스트레스와 불안감을 유발]하며, 본의 아니게 그들의 [역할 모호성을 악화]시켜, 그들의 [직업적 정체성 형성을 둘러싼 긴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 두 가지 경험 모두 관찰되는 것에 대한 양면성을 영속시키는 전반적인 불편감에 기여한다. 우리는 직접적인 관찰이 중요하지 않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우리는 교육자들이 관찰자 앞에서 어떻게 레지던트가 수행하는지가 독립적인 의사로서 실제로 하는 일을 반영하지 못할 수 있으며, 이는 관찰과 수행자의 피드백이 그들의 학습에 얼마나 가치 있다고 느끼는지에 미치는 파급 효과를 인식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The observer effect, or the unintended consequences that happen when an observer is present, may alter learners’ performance, raising questions about the authenticity of direct observation and the perceived credibility of the feedback that arises from it. The perceived novelty of direct observation, coupled with perceptions that their performance was being graded, created significant stress and anxiety that altered how participants approached their work. It is perhaps not surprising that participants felt that, in the presence of an observer, they were being assessed. For participants, the presence of an observer is stressful and anxiety-provoking and may unintentionally exacerbate their role ambiguity, intensifying tensions around their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Both of these experiences contribute to an overall sense of discomfort that perpetuates ambivalence about being observed. We are not suggesting that direct observation is unimportant. But we are suggesting that educators need to be aware that how residents perform in the presence of an observer may not reflect what they actually do as independent practitioners,68 and that this has a ripple effect on how valuable they feel the observation and attendant feedback is to their learning.

 

 


 

 

Med Educ. 2017 May;51(5):498-510.

 

 doi: 10.1111/medu.13232. Epub 2017 Feb 28.

 

Staging a performance: learners' perceptions about direct observation during residency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Centre for Education Research & Innovation,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London, Ontario, Canada.

2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3Department of Medicine and Centre for Education Research & Innovation,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London, Ontario, Canada.

4Department of Clinical Neurological Sciences and Centre for Education Research & Innovation,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London, Ontario, Canada.

PMID: 28247495

DOI: 10.1111/medu.13232

Abstract

Context: Evidence strongly supports that direct observation is a valid and reliable assessment tool; support for its impact on learning is less compelling, and we know that some learners are ambivalent about being observed. However, learners' perceptions about the impact of direct observation on their lear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remain underexplored. To promote learning, we need to understand what makes direct observation valuable for learners.

Methods: Informed by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we interviewed 22 learners about their observation experience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occurred iteratively; themes were identified using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Direct observation was widely endorsed as an important educational strategy, albeit one that created significant anxiety. Opaque expectations exacerbated participants' discomfort, and participants described that being observed felt like being assessed. Consequently, participants exchanged their 'usual' practice for a 'textbook' approach; alterations to performance generated uncertainty about their role, and raised questions about whether observers saw an authentic portrayal of their knowledge and skill.

Conclusion: An 'observer effect' may partly explain learners' ambivalence about direct observation; being observed seemed to magnify learners' role ambiguity, intensify their tensions arou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aise questions about the credibility of feedback. In turn, an observer effect may impact learners' receptivity to feedback and may explain, in part, learners' perceptions that useful feedback is scant. For direct observation to be valuable, educators must be explicit about expectations, and they must be aware that how learners perform in the presence of an observer may not reflect what they do as independent practitioners. To nurture learners' professional development, educators must create a culture of observation-based coaching that is divorced from assessment and is tailored to developing learners' identities as practitioners of both the art and the science of medicine.

전문직 정체형 형성을 촉진하기: 코칭 대 역량(Acad Med, 2020)

Coaching Versus Competency to Facilitat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dam P. Sawatsky, MD, MS, Brandon M. Huffman, MD, and Frederic W. Hafferty, PhD

 

 

"실패가 선택지에 없다면, 우리는 배움, 창의력, 혁신을 잊을 것이다." -브레네 브라운, 대어링 그레이트: 연약해지기 위한 용기가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 사랑, 부모, 리드1을 변화시키는 방법
“When failure is not an option we can forget about learning, creativity, and innovation.” ―Brené Brown, Daring Greatly: How the Courage to Be Vulnerable Transforms the Way We Live, Love, Parent, and Lead1

 

나는 매치데이에 레지던트 업무실에 들어갔다.* 내년에 주민들이 펠로우십을 어디로 향할지 기대가 컸다. 주민들이 환자 차트를 스캔하고 그날 경과 노트를 끝내자 컴퓨터가 줄지어 있는 병실은 아수라장이었다. 시니어 레지던트 중 한 명의 등을 두드렸어요. 그녀는 돌아서서 쭈뼛쭈뼛한 표정을 지으며 내 혀끝에서 질문을 하지 말라고 눈짓으로 부탁했다. 그날 그녀가 이미 너무도 고통스럽게 대답한 질문이었다. 나는 어쩔 수 없이 돌아서서 걸어갔다. 나는 나중에 그녀가 하위 전문 펠로우쉽에 매칭이 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았다.
I entered the resident work room on Match Day.* I was excited to see where the residents were headed for fellowship next year. The room, lined with computers, was abuzz as residents scanned patient charts and finished progress notes for the day. I tapped one of the senior residents on the back. She turned and looked crestfallen, bidding me with her eyes not to ask the question on the tip of my tongue. It was a question that she had painfully answered too many times already that day. I obliged, turned, and walked away. I found out later that she had not matched into a subspecialty fellowship.

나는 레지던트 생활 동안 그녀와 정기적으로 함께 일했었다. 레지던트 연속성 클리닉에서 환자를 소개할 때, 그녀는 정기적으로 질문을 하고, 성장의 기회를 쉽게 인정하며, 진정으로 배움에 참여했습니다. 그녀는 주치의들에게 자신감과 결단력을 발휘하기 위해 그것을 피하기보다는 불확실성을 인정하고 포용하면서 환자들을 위한 사려 깊은 치료 계획을 제시했다. 어느 순간, 그녀는 제 사무실에 들러 환자 치료를 지연시킨 실수를 한 사건에 대해 논의했고, 개선을 위한 피드백을 구하고, 그 상황에서 비롯된 죄책감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시니어 레지던트가 되면서, 그녀는 1학년 레지던트들과 의대생들의 질문에 기꺼이 "모른다"고 대답하고 그들의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데 참여했습니다. 이러한 자질들이 의심할 여지 없이 그녀가 훌륭한 의사로 성장하도록 도왔지만, 저는 이러한 자질들을 진실로 보여주는 것이 펠로우 매치에서 그녀에게 상처를 입혔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나는 그녀가 직업적 정체성의 발전과 그녀의 미래 경력에 실질적인 결과를 가져온 공식적인 평가 시스템 사이에 끼어있는 것을 보았다.

I had worked with her regularly during residency. When presenting patients in resident continuity clinic, she regularly asked questions, readily admitted opportunities for growth, and genuinely engaged in learning. She presented thoughtful treatment plans for her patients while acknowledging and embracing uncertainty, rather than avoiding it in an attempt to exude confidence and decisiveness to her attending physicians. At one point, she stopped into my office to discuss a case where she had made an error that delayed care for a patient, seeking feedback for improvement and discussing the guilt she experienced that resulted from the situation. As she became a senior resident, she was willing to say “I don’t know” to questions from first-year residents and medical students and engage with them in finding the answers to their questions. While these qualities had undoubtedly facilitated her growth into the excellent doctor that she was, I could not help but think that authentically presenting these same qualities may have hurt her in the fellowship match. I saw her as being caught between the development of her professional identity and a formal assessment system that had real consequences for her future career.

우리가 이렇게 접한 많은 이야기들은 의학 교육에서 직업적 정체성 형성의 복잡성에 대해 성찰해 볼 것을 간청했다. 이 관점에서는 의료 교육에서 직업적 정체성 형성의 이상적인 과정, 현재의 의료 교육 환경 내에서 이러한 이상적인 과정을 구현하기 위한 도전, 그리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잠재적인 단계들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The many stories we have encountered like this implored us to reflect on the complexitie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In this Perspective, we will discuss the ideal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the challenge to implementing this ideal process within the current medical education environment, and potential steps forward.

직업적 가치, 행동, 포부를 개발하는 데 초점을 맞춘 직업적 정체성 형성은 의학 교육의 이상적인 목표이다. 자비스-셀링거와 동료들은 의학 교육에서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대한 논의를 "두 가지 수준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적응적이고 발달적인 과정"이라고 강조함으로써 틀을 잡았다. 

  • (1) 개인의 수준에서, 그것은 그 사람의 심리적인 발달과 관련이 있다. 
  • (2) 집단적 수준에서, 공동체 활동에 참여하는 적절한 역할과 형태로 개인의 사회화를 수반한다.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with its focus o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values, actions, and aspirations, is the ideal goal of medical education.2 Jarvis-Selinger and colleagues framed the discussion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by highlighting that it is “an adaptive, developmental process that happens simultaneously at two levels:

  • (1) at the level of the individual, which involves the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the person and
  • (2) at the collective level, which involves a socialization of the person into appropriate roles and forms of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s work.”3 

크루스(Cruess)와 동료들은 인지 심리학(즉, 개인 정체성 형성의 단계)과 사회학(즉, 위치 학습과 실천 공동체에 대한 벵거의 연구)의 작업을 통합하여, 의사의 직업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을 위한 모델을 제안했으며, 이에 따르면 기존의 개인적 정체성을 가진 비전문가는,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를 의식적으로 그리고 무의식적으로 습득함으로써, 전문직 공동체 내에서의 경험에 참여하고, 그 결과 의사처럼 생각하고, 행동하고, 느끼는 전문직이 된다.

Cruess and colleagues, incorporating work from cognitive psychology (i.e., Kegan’s stages of personal identity formation4) and sociology (i.e., Wenger’s work on situated learning and communities of practice5), have proposed a model for the process of shaping a physician’s professional identity, wherein a layperson with an existing personal identity engages in experiences within the professional community through conscious and unconscious acquisition of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needed to become a professional who “think[s], act[s], and feel[s] like a physician.”6

Cruess와 동료들은 실천 공동체 이론이 의학교육의 기본 프레임워크가 될 수 있는지를 설명했다. 의학교육은 개인이 합법적인 주변 참여에서 전문직의 온전한 성원full membership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는 전문적 정체성 형성 과정임을 주장했다. 이 틀에서, 직업의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초보자가 받아들여지고 공동체의 일부가 되는 동시에 공동체의 공유된 이상을 떠맡게 된다.

Cruess and colleagues have further advocated that the theory of communities of practice could serve as a foundational framework for medical education, including curricular, instructional, and assessment practices, and the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that details how an individual would move from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to full membership in the profession.7 In this framework, by engaging in the activities of the profession, a novice is accepted and becomes part of the community, while taking on the shared ideals of community.

의료 교육에 대한 접근법과 직업적 정체성 형성 과정을 실천 공동체 이론에서 구체화하는 것은 학습자에게 시사하는 바가 있다. 예를 들어, 실천하는 공동체의 일원이 되기 위해 학습자들은 먼저 공동체의 활동에 참여하고,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자신을 상상하고, 공동체의 가치에 맞춰야 하는 식별이라는 과정에 들어가야 한다. 학습자의 정체성은 실천공동체를 거쳐가면서 형성되며, 이는 종종 학습자의 [개인적 정체성], [전문직업적 정체성], [전문직 공동체] 사이의 긴장을 유발합니다.8 위의 이야기에서 이러한 긴장감은 학습자의 개인적·전문적 성장에 대한 욕구와 학습자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전문가 커뮤니티의 평가 활용, 그리고 다음 단계의 훈련으로 진출할 사람을 선택하는 수단에서 나타났다. 이러한 긴장 때문에, 전문적인 정체성 형성 과정에는 종종 실패의 경험과 강렬한 감정이 수반됩니다.8 

Framing the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and the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the theory of communities of practice has implications for learners. For example, to become part of a community of practice, learners must first enter into a process called identification, which requires engaging in the activities of the community, imagining themselves as part of the community, and aligning with the values of the community.8 A learner’s identity is shaped as they move through the community of practice, which often generates tensions between the learner’s personal identity, professional identity, and professional community.8 In the story above, this tension was manifested in the learner’s desire for personal and professional growth and the professional community’s use of assessment for learner growth and development and as a means for choosing who to advance to the next level of training. Because of these tensions, the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will often involve experiences of failure and intense emotions as learners navigate these tensions.8 

그렇다면, 의학 교육에서 전문적인 정체성 형성은 어떻게 함양되어야 하는가? 우리는 [코치]가 의학 교육에서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촉진하는 이상적인 수단을 제공한다고 믿는다. Watling과 LaDonna는 코칭에 대한 질적 연구를 통해 임상 코칭의 핵심 측면을 코치와 학습자가 공유하는 몇 가지 철학으로 개념화했습니다.

  • 인간의 잠재력을 끌어내기unlock 위한 목적을 가지고, 성장과 발전을 향한 상호 지향
  • 성찰을 가치있게 여기고, 성장을 지속하기 위한 지속적 성찰을 육성
  • 실패를 포용하고, 실패를 통한 학습의 가치를 지지

So, how should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be fostered in medical education? Coaching, we believe, provides an ideal means for promoting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Through their qualitative work on coaching, Watling and LaDonna conceptualized the core aspects of clinical coaching as several philosophies that are shared by the coach and the learner:

  1. Mutual orientation toward growth and development, with the purpose of unlocking human potential,
  2. Valuing reflection and nurturing continuous reflection in the learner to maintain growth, and
  3. Embracing failure and endorsing the learning value of failure.10

 

코칭은 학습자가 직업적 정체성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모든 요소인 역할 모델, 멘토, 경험, 성찰과 정기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코칭에는 상호 참여와 파트너십, 개인의 성장에 대한 헌신, 취약성을 수용하고, 학습자에게 "잘 실패"하도록 가르치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이와 같이 코칭은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학습자를 참여시키기에 매우 적합합니다. 학습자는 자신의 개인적 정체성, 직업적 정체성, 직업적 공동체 사이에서 직면하는 긴장을 받아들이고 경험에 참여하고 의사로서 자신에게 필요한 지식, 기술 및 태도를 배우면서 이러한 긴장과 결과적 감정을 임상 코치와 함께 처리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코칭이 의학 교육에서 전문적인 정체성 형성을 촉진하기 위한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한다고 믿지만, 의학 교육에서 코칭을 구현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Coaching provides the opportunity for learners to regularly engage with role models, mentors, experiences, and reflection, all factors that have a large impact on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6,11 Coaching carries a connotation of mutual engagement and partnership, of dedication to the growth of an individual, and of embracing vulnerability and teaching the learner to “fail well.”10 As such, it is well suited for engaging learners in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Learners can embrace the tensions that they face between their personal identity, professional identity, and professional community and process these tensions and the resulting emotions with their clinical coaches as they engage with experiences and learn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hat are required of them as a physician. While, we believe, coaching provides an ideal setting to foster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there are challenges to implementing coaching in medical education.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긍정적으로 촉진하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이 다음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 직업의 이상을 명확히 정의하고 
  • 학습자를 환영하는 공동체를 만들고, 
  • 학습자가 완전한 참여로 가는 여정에 참여시키고, 
  •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명확하게 다루는 것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positively foster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t is crucial that full members of the community

  • clearly define the ideals of the profession,
  • create a welcoming community for learners,
  • engage learners in their journey to full participation, and
  • “explicitly address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7 

의료계는 직업적 정체성 형성의 과정을 뒷받침하는 [직업적 이상professional ideals]을 명확히 정의하려고 노력해왔다. 예를 들어, 의료 교육의 원하는 결과는 특히 대학원 의료 교육 인증 위원회(ACGME)와 CanMEDS의 의사 역량 프레임워크에 의해 명시되었다.

The medical community has sought to clearly define the professional ideals that underpin the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For example, the desired outcomes of medical education have been specified, most notably by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12 and CanMEDS13 physician competency frameworks.

이러한 역량 프레임워크는 의료 교육의 목표를 명시적으로 개괄적으로 설명하고, 전문가가 어떻게 보여야 하는지를 정의하며, 커리큘럼 개발 및 학습자 평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 프레임워크가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역량은 학습자가 교육을 진행하면서 여러 번 정기적으로 평가하는 강력한 평가 프로그램을 위한 구조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ACGME는 거주자와 동료에게 투명한 성과요건을 제공하고, 전공의와 펠로우 평가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며, 인증기관과 인증위원회에 대한 보고를 개선하기 위해 이정표 평가를 도입하였다. 

These competency frameworks explicitly outline the goals of medical education, define what a professional should look like, and provide guidelines for curriculum development and learner assessment.14 The competencies the frameworks outline provide a structure for robust programs of assessment with multiple and regular assessments of learners as they progress through their training. For example, the ACGME instituted milestone assessments to provide transparent performance requirements for residents and fellows, provide a framework for resident and fellow assessments, and improve reporting to accrediting bodies and certification boards.15

직접적인 관찰과 공식적인 평가, 수많은 서면 평가와 함께 역량 기반 의료 교육(CBME)을 추진하는 것이 교육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CBME의 이상은 전문적인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학습자에 대한 정기적인 저부담 평가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공의는 모든 관찰을 평가로 보는 경향이 있으며, 자신의 성과에 대한 일부 및 모든 측면이 "공식 평가, [그들의] 영구 기록, 심지어 훈련이나 경력 증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의심한다. 이와 같이, 영구적인 서면 평가와 결합할 경우 낮은 평가도 종종 거주자들에게 높은 이해 관계로 인식되어 교수진과의 상호작용을 형성한다.

How has this push for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with increased direct observations and formal assessments and numerous written evaluations, affected trainees? The ideal of CBME is regular low-stakes programmatic assessments of learners that support professional growth.16 Nonetheless, residents tend to view all observation as assessment and suspect that any and all aspects of their performance have implications for “formal assessment, [their] permanent record, and even their training or career advancement.”17 As such, even low-stakes assessments, if coupled with permanent written evaluations, are often perceived by residents as high stakes and thus shape their interactions with faculty members.

실천 공동체의 렌즈는 의료계에 사회화 과정의 개요를 제공하지만, 이 난제를 설명하는 것은 불충분하다. 그 대신에, 공식적인 평가가 직업적 정체성 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기 위한 더 확실한 렌즈를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이론들이 있다. Goffman은 그의 작품인 "일상생활에서의 자아 표현"에서 인상관리 이론을 제시한다. 여기에 따르면, [한 사람이 타인의 존재presence로 들어갈 때, 상황과 자신에게 기대되는 것을 이해하려 한 뒤, 그 정보를 그 상황 내의 다른 사람들로부터 특정한 반응을 얻을 수 있는 방식으로 행동하기 위해 사용]한다. 또한 [개인이 염두에 두고 있는 특정 목표나 그 목표를 갖게 된 동기에 상관없이, 다른 사람들의 행동, 특히 그에 대한 그들의 반응적인 대우responseive treatment를 통제하는 것이 더 이익에 부합할 것]이라고 썼다

While the communities of practice lens provides an overview of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into the medical profession, it is inadequate to explain this conundrum. Alternatively, there are other theories that can provide a more telling lens for exploring how formal assessment influence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Goffman, in his work, 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presents his theory of impression management, which holds that when people enter into the presence of others, they seek to understand the situation and what is expected of them and use that information to act in a manner that will get certain responses from the other people within the situation.18 He writes that “regardless of the particular objective which the individual has in mind and of his motive for having this objective, it will be in his interests to control the conduct of the others, especially their responsive treatment of him.”18 

이러한 관점에서 [공식적인 평가]는 두 개의 팀(즉 수행자로서의 학습자 vs 그 수행에 대한 청중으로서의 교수진)으로 구성됩니다. 의학 교육에서 이러한 성과를 보여주는 몇 가지 예가 있다. 많은 과에서 전공의들은 관찰이 등급화되고 그 등급이 그들의 경력 발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관찰할 때 정기적으로 [공연staged a performance]을 했다. 외과 수련에서 레지던트들은 종종 그들의 주치의들을 위해 자신감과 결단력을 보여주기 위해 공연을 한다. 인상을 관리함으로써, 전공의들은 긍정적인 평판을 쌓고, 상사의 평가를 형성하고, 더 많은 배움의 기회를 얻기를 희망할 수 있다. 레지던트들은 또한 인상 관리를 잘 하지 못하면, 자신의 교육과 웰빙이 저해받고, 궁극적으로 환자 치료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19 우리의 경험에 따르면 레지던트들은 종종 그들의 진료에서 더 큰 자율성을 얻기 위한 자신감 있는 척 연기를 한다.

From this perspective, formal assessment sets up 2 teams—the learner as a performer and the faculty member as an audience to the learner’s performance.18 There are several examples of this performance in medical education. Residents across specialties at one institution regularly staged a performance when observed because that observation was graded and they thought that grade would have consequences for their career advancement.17 In surgical training, residents often put on a performance for their attending physicians, attempting to display confidence and decisiveness.19 By managing impressions, residents may hope to build a positive reputation, shape their supervisor’s evaluations, and attain more learning opportunities; residents may also recognize that impression management hinders their education and wellness, and ultimately may impact patient care.19 In our experience, based on our work in internal medicine, residents often stage a performance to portray confidence to gain greater autonomy in their practice.

또한, 고프만은 공연이 이뤄지는 프론트스테이지를 설명한다. 프론트 스테이지에서는 "활동의 일부 측면이 표현적으로 강조되고 육성된 인상을 훼손할 수 있는 다른 측면은 억압됩니다." 따라서 "억압된 사실들이 등장하는" 백스테이지도 있다. 백스테이지(Backstage)는 학습자가 자신의 프론트스테이지 공연을 연습하는 공간으로서, 불확실성이 자주 드러나고, 프론트스테이지 공연에서는 보여지지 않는 공간이다. 프론트 스테이지 공연의 예로는 레지던트가 주치의에게 라운드 방식으로 정식으로 사례발표를 하고, 백스테이지에서는 레지던트가 선배 레지던트와 사례발표를 통해 사건의 세부내용을 해결하는 것이다.

Further, Goffman describes the frontstage where the performance occurs; in the front stage, “some aspects of the activity are expressively accentuated and other aspects, which might discredit the fostered impression, are suppressed.”18 There is also the backstage “where the suppressed facts make an appearance.”18 The backstage is where learners can work out their frontstage performances; it is a place where their uncertainty is often manifested and can remain hidden from the frontstage performance. An example of a frontstage performance is a resident’s formal case presentation to the attending on rounds, while in the backstage, the resident had talked though the case with a senior resident to work out the details of the case.

이러한 이론적 틀을 고려할 때, 의료 교육자는 환자가 사례를 제시하고 상사와 임상 결정을 논의할 때 공식적인 평가가 레지던트의 전면 단계 성과를 어떻게 형성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공식 평가의 보편적 특성, 역량의 명시적 목표, 서면 평가의 인지도가 높은 특성 때문에, 교수 앞에서 레지던트 수행의 목표는 종종 모든 평가 영역에서 역량을 보여주고 평가 점수를 낮출 수 있는 약점을 숨기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의 CBME 중심의 의료 교육 환경에서 [실천공동체의 게이트키퍼]는 무의식적으로 학습자가 인지한 약점을 숨기도록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결국 개인적, 직업적 정체성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시스템에서 역량은 더 이상 훈련의 최종 목표로 여겨지지 않는다.
Given this theoretical framing, medical educators can see how formal assessment may shape the frontstage performance of residents when they present cases and discuss clinical decisions with their supervisors. Because of the ubiquitous nature of formal assessment, the stated goal of competence, and the perceived high-stakes nature of written evaluations, the goal of residents’ performances in front of faculty members is often to portray competence in all assessment domains and hide any weakness that might get them a lower evaluation score. Therefore, within the current CBME-driven medical education environment, community of practice gatekeepers unwittingly set up a system that may incentivize learners to hide their perceived weaknesses, negatively affecting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 system in which competency is no longer seen as the end goal of training but is the perceived goal of every observation encounter.

그렇다면 이것이 의학 교육계를 어떻게 만들까요? 학습 평가와 CBME 내 학습 평가 사이의 상계 긴장 속에서 의료 교육자들은 "전문적 가치, 행동 및 포부의 개발인 전문직 정체성 형성이 의료 교육의 주요 초점이 되어야 한다"고 진정으로 믿고 있는가? 만약 그렇다면, 의학 교육은 현재의 평가 모델을 전문적인 정체성 형성을 지원하는 모델로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
So where does this leave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Within the countervailing tensions between assessment of learning and assessment for learning within CBME, do medical educators truly believe tha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values, actions, and aspirations—should be a major focus of medical education”?2 If so, then how can medical education shift the current assessment model to one that support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코칭 프레임워크]는

  • 학습자가 성장 기회가 있다고 느끼는 영역을 공개하고 해당 영역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 이 모델에서 인상 관리는 기능 장애dysfunctional로 간주된다.
  • 코칭 모델은 취약성과 진정성을 지원하여, 학습자가 자신의 약점을 성장의 기회로 드러내도록 유도합니다. 
  • 코칭 모델 내 평가의 목표는 학습자와 코치가 진행 상황을 추적하고 코치가 성장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The coaching framework

  • makes it acceptable for learners to reveal areas where they feel there is opportunity for growth and receive feedback on those areas.
  • Under this model, impression management is viewed as dysfunctional.
  • The coaching model supports vulnerability and authenticity, encouraging the learner to reveal their weaknesses as opportunities for growth.
  • The goal of assessment within a coaching model is for the learner and coach to track progress and for the coach to provide feedback for growth.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문화가 취약성에 편치 않고 전문적인 성장을 위한 코칭과 성과 평가를 위한 감독 사이의 경계가 정기적으로 모호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코칭 모델을 뒷받침하는 철학은 의료계의 현재 커뮤니티 내에서 특히 실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리하여, 관찰의 목적을 코칭으로 보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전공의들은 일상적으로 '관찰자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 행동한다. 교육자들이 의료 교육에서 코칭을 수용하려면 문화 변화가 필요한데, 그 중에서도 의료 교육이 어떻게 공식적인 역량 평가를 구조화하는지 다룰 필요가 있을 것이다.

Nonetheless, the philosophies that underpin a coaching model may be particularly difficult to realize within medicine’s current community of practice, given that the current culture is not comfortable with vulnerability and that the lines between coaching for professional growth and supervision for assessment of performance are regularly blurred.10 As a consequence, residents routinely act to “please the observer” because they rarely see the purpose of observation as coaching.17 If educators are to embrace coaching in medical education, there needs to be a culture change, which, among other things, will need to address how medical education structures formal assessment of competency.

CBME는 의료 교육에 대한 명확한 결과를 제공했으며, 역량 평가는 훈련 프로그램이 졸업하는 의사가 의료 행위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역량을 가지고 있음을 인증 기관과 사회에 증명할 수 있도록 한다. 공식적인 평가의 이러한 기능은 대체될 수 없지만, 교육자들은 공식적 평가가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교육자들은 또한 훈련 초기에 핵심 역량과 성과에 집중하는 것이 타당할 수 있지만, 훈련을 통해 훈련자가 발전함에 따라 "역량은 점진적으로 '전인적 의사 정체성'을 향하여 통합된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CBME has provided clear outcomes for medical education, and competency assessment allows training programs to prove to accrediting bodies and society at large that the physicians being graduated have the necessary competencies to practice medicine. While this function of formal assessment cannot be replaced, educators need to minimize the negative impact that it has on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Educators also need to realize that focusing on core competencies and performance early in training may make sense, but as a trainee progresses through training, there is “a gradual integration of competencies into a more holistic identity as a physician.”3

위의 내용을 고려할 때, 의학 교육은 현재의 평가 모델을 전문적인 정체성 형성을 촉진하기 위한 모델로서 코칭을 지원하는 평가 모델로 어떻게 전환합니까? 코칭은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매우 적합하기 때문에, 교육자들은 코칭 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공간을 CBME 내에 마련해야 합니다. 교육자가 의료교육에서 코칭을 현실화하려면 코칭을 의료교육에 통합할 때 다음 질문을 고려해야 한다.
Given the above, how does medical education shift the current assessment model to one that supports coaching as a model for facilitating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s coaching is well suited for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educators need to make space within CBME for building coaching relationships. If educators want to make coaching a reality in medical education, they need to consider the following questions when integrating coaching into medical education:

  • 의학 교육은 어떻게 형성적 평가와 피드백을 공식적인 평가 과정으로부터 분리하며, 이로서 전문적인 정체성 형성을 위한 코칭을 위한 공간을 어떻게 제공합니까?
  • 레지던트 훈련 프로그램을 졸업하는 의사들이 역량이 있음을 보증하기 위해 실제로 얼마나 많은 공식적인 평가가 필요한가?
  • 예를 들어, 공식 평가의 목적이 개인의 역량에 대한 평가에서 모든 역량을 의학의 실천에 통합하는 전체론적 정체성의 코칭으로 어떻게 이동할 수 있는가?
  1. How does medical education separate formative assessment and feedback from the formal assessment process, therefore, allowing space for coaching for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2. How much formal assessment is actually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physicians graduating from residency training programs are competent?
  3. How might formal assessment look different across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for example, how might the purpose of formal assessment move from the assessment of individual competencies to the coaching of a holistic identity that integrates all the competencies into the practice of medicine?

 

마지막으로, 이러한 질문들은 제외하고 의료 교육이 실천 공동체로서 다루어야 할 더 큰 문제도 있다. 의학 교육자들은 [약점을 드러내는 것]과 [성장의 기회]가 의사의 사회화 과정 중 어디에 적합한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 교육자들은 취약점이 학습자의 지역사회 수용과 미래의 훈련 및 직업에 대한 권력을 쥐고 있는 교수진으로부터 숨겨져 직업적 정체성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백스테이지로 계속 제한되기를 원합니까?
  • 아니면, 교육자들은 취약점을 프런트 스테이지 성과에 도입하여 전문직업적 이상ideal의 일부로 받아들이고, 교육생들의 전체적인 직업적 정체성의 성장과 발전을 허용하기를 원합니까?

Lastly, apart from these questions is the larger question that medical education needs to address as a community of practice. Medical educators need to decide where the demonstration of weaknesses and opportunities for growth fit into the process of socializing physicians.

  • Do educators want vulnerability to continue to be limited to the backstage, hidden from faculty members who hold power over learners’ acceptance into the community and their future training and jobs, and, therefore, negatively impacting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 Alternatively, do educators want to bring vulnerability into the frontstage performance, accepting it as part of the ideal of the profession, and allow it to shap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a holistic professional identity in trainees?

의료교육에 코칭에 참여하기 위해서 교육자는 두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하나는 '기대'를 전환함으로써 전공의들이 안전하게 프론트 스테이지 공연의 일환으로 약점을 드러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전공의에게 약점을 드러내고 성장에 대한 피드백을 구할 수 있는 적절한 백스테이지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의학 교육자는 지적이고 감정적인 솔직함을 통해 취약성을 모델링할 수 있으며, 취약성에 대한 공간, 공개 토론, 코칭, 궁극적으로는 이상에 가장 가까운 직업적 정체성 형성을 허용하는 학습 환경을 조성합니다. 이런 유형의 학습환경은 역량의 성과를 내세우고 약점을 숨기는 것이 아니라 전공의들이 자신의 진정한 모습을 그려내고 코칭을 통해 형성적 피드백을 받으며 자신의 경험에 터놓고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것이다.

To engage with coaching in medical education, educators either need to shift expectations and allow residents to safely reveal weakness as part of their frontstage performance or provide residents with adequate backstage space to reveal their weaknesses and seek feedback for growth. Medical educators can role model vulnerability through intellectual20 and emotional21 candor, creating a learning environment that allows space for vulnerability, open discussion, coaching, and, ultimately, th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that is closest to the ideal. This type of learning environment would provide space where residents can engage with their experiences openly, portraying their authentic self and receiving formative feedback through coaching, instead of putting on a performance of competence and hiding their weaknesses.

펠로우십 매치의 날에 만난 레지던트로 돌아와 보니 누군가가 공식적인 평가의 현실에 사로잡혀 있었고, 결국 그녀가 원하는 실천 공동체로부터 불이익을 받는 것을 보았다. 그녀는 코치로서 교수진에게 접근했지만 안타깝게도 코치와 어울리지 않는 평가 모델에 묶여 있었다. 저는 그녀가 취약성을 배움과 성장의 기회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잘 해낼 것이라고 믿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역량 위주의 형식평가제도가 어떻게 지금의 학습환경에서 자신의 약점을 포용할 용기가 있는 학습자뿐만 아니라 자신의 약점을 숨기기로 선택한 학습자들에게 계속 불이익을 줄지 걱정이다.

Returning to the resident I ran into that fellowship Match Day, I saw someone caught up in the realities of formal assessment and ultimately disadvantaged by her desired community of practice because she embraced vulnerability. She approached her faculty members as coaches but was unfortunately tied to an assessment model that was incongruous with coaching. I believe that she ultimately will do well because she embraces vulnerability as an opportunity for learning and growth. Nonetheless, I worry about how the current competency-based formal assessment system may continue to disadvantage learners like her who have the courage to embrace their weaknesses in the current learning environment as well as those learners who choose to hide their weaknesses from those that could help them grow.


 

Acad Med. 2020 Oct;95(10):1511-1514.

 doi: 10.1097/ACM.0000000000003144.

Coaching Versus Competency to Facilitat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A.P. Sawatsky is assistant professor of medicine,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Mayo Clinic, Rochester, Minnesota; ORCID: http://orcid.org/0000-0003-4050-7984.

2B.M. Huffman was associate consultant, Division of Hospital Internal Medicine, Mayo Clinic, Rochester, Minnesota, at the time of writing. He is now chief resident, Department of Medicine, Mayo Clinic, Rochester, Minnesota.

3F.W. Hafferty is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Program in Professionalism and Values, Mayo Clinic, Rochester, Minnesota.

PMID: 31895702

DOI: 10.1097/ACM.0000000000003144

Abstrac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with its focus o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values, actions, and aspirations, is the ideal goal of medical education. Medicine is a community of practice, and medical education is a socialization process by which novice trainees become full community members. The authors believe coaching provides an ideal means for promoting this socialization process to develop a learner's identity as they engage in the community. Coaching involves an orientation toward growth and development, valuing reflection and nurturing continuous reflection, and embracing failure as an opportunity for learning. However, there are challenges to implementing coaching in medical education.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has provided clear outcomes (competencies) for medical education and programs of assessment around these competencies. Yet, there is a tension in medical training between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into the profession) and the formal assessment process. The ideal of multiple low-stakes assessments and written evaluations, intended as formative assessments, are perceived by residents as high-stakes evaluations with significant consequences for their future. The authors present a resident story that highlights this tension. They outline Goffman's theory of impression management, postulating that medicine's assessment system encourages residents to stage a performance for evaluators that displays their competence and conceals their perceived weaknesses. This performance hinders coaching and the formation of an appropriate professional identity. Coaching, the authors believe, provides a model that aligns assessment and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Given the challenges to implementing coaching in medical education, the authors propose several questions to contemplate when integrating coaching into medical education to facilitate the goal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피드백과 코칭(Eur J Pediatr, 2022)

Feedback and coaching
Adelle Atkinson1 & Christopher J. Watling2 & Paul L. P. Brand3,4,5

 

 

임상교육 시나리오
Clinical teaching scenario

소아과 레지던트 1년차 제니스(Janice)를 지도하고 있다. 제니스는 11개월 영아에 대한 평가를 방금 마쳤습니다. 잠재적인 총운동 발달 지연에 대한 우려로요. 만남이 끝난 후, 재니스는 잠시 시간을 내어 정리하고 당신에게 사건을 발표합니다. 독자 분이 첫 번째로 알아차린 것은, 그녀의 사례 발표가 총운동 발달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그녀는 부모에게 아기의 다른 중요한 발달 영역의 이정표에 대해 물어보지 않았고, 그것들은 검사의 일부로 포함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당신은 제니스에 대한 이전 경험이 없습니다. 당신은 제니스와 이 환자에 대한 그녀의 평가에 대해 어떻게 피드백 대화를 나눌 건가요?
You are supervising Janice, a 1st year pediatric resident, who has just completed her evaluation of an 11-month old infant referred for concerns about potential gross motor developmental delay. After the encounter, Janice takes a moment to organize herself and then presents the case to you. The first thing you notice is that while her case presentation does focus on gross motor development, she did not ask the parents about milestones in the infant’s other important developmental domains and they were not included as part of her examination. You have no previous experience with Janice. How do you approach the feedback conversation which you are going to have with Janice about her evaluation of this patient?

정의들
Definitions

피드백과 코칭은 임상 학습을 가속화할 수 있다. 이들의 잠재력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우리가 무엇을 왜 하고 있는지에 대해 명확히 해야 합니다(표 1).

  • 전통적으로 피드백은 [학습자가 원하는 기준과 실제 성과를 비교하고, 그 차이를 개선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정보]로 정의되어 왔다[1, 2].
  • 피드백에 대한 보다 최근의 정의는 [피드백의 근본적으로 사회적인 성격을 강조]하고자, "학습자(및 교육자의)의 성장 지원, 행동 또는 존재being에 관한 사고방식에 도전할 목적으로, 안전하고 상호 존중되는 관계의 맥락에서, 역동적이며 공동-구성적인 상호작용"으로 규정한다. [3].

이 미묘한 정의는 피드백을 단순한 거래가 아닌 대화로 생각하도록 장려합니다.
Used thoughtfully and with intent, feedback and coaching can accelerate clinical learning. For their potential to be realized, we need to be clear about what we are doing and why (Table 1).

  • Traditionally, feedback has been defined as information that allows learners to compare their actual performance with that of a standard to which they aspire, and that enables them to take action to remedy the gap between the two [12].
  • More recent definitions of feedback highlight its fundamentally social nature, framing it as a “dynamic and co-constructive interaction in the context of a safe and mutually respectful relationship for the purpose of challenging a learner’s (and educator’s) ways of thinking, acting or being to support growth” [3].

This more nuanced definition encourages us to think of feedback as a conversation and not a simple transaction.


표 1 피드백, 코칭 및 평가에 대한 정의
Table 1 Definitions of feedback, coaching, and assessment

피드백:
- 내용: 학습자가 자신의 실제 성과를 자신이 열망하는 기준과 비교할 수 있는 정보이며, 이를 통해 학습자는 이 차이를 개선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 관계(Relations): 안전하고 상호 존중되는 관계의 맥락에서 이뤄지는, 역동적이고 공동구성적 상호작용으로, 학습자(또는 교수자)의 사고, 행동, 존재 방식에 도전challenge하려는 목적이 있다.

Feedback:
- Content: information allowing learners to compare their actual performance with that of a standard to which they aspire, and that enables them to take action to remedy the gap between the two.
- Relationship: dynamic and co-constructive interaction in the context of a safe andmutually respectful relationship for the purpose of challenging a learner’s (and educator’s) ways of thinking, acting, or being to support growth.

코칭: 학습, 성과향상, 개인적 또는 전문적 성장을 강조하여 학습자가 잠재력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철학입니다.
- 일상적 코칭: 학습자와 감독자 간의 일상적인 코칭 상호작용이 학습자의 성과 향상으로 이어짐 
- 지속적 코칭: 학습자와 멘토 간의 종적 관계, 학습자의 성과에 대한 성찰 및 새로운 학습 목표 수립 촉진
Coaching: An educational philosophy dedicated to helping learners to realize their potential, emphasizing learning, performance improvement, and personal or professional growth.
- Coaching in the moment: daily coaching interactions between learner and supervisor leading to the learner’s performance improvement 
- Coaching over tim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a learner and a mentor, promoting the learner’s reflection on their performance and formulation of new learning objectives

평가: 학습자 성과에 대한 평가
- 학습을 위한 평가: 학습자가 지식과 스킬을 미세 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대화를 유도하기 위한 평가의 형성적 활용
- 학습의 평가: 학습자의 성과를 표준과 비교하여 종합 판단

Assessment: A judgment of the quality of a learner’s performance
- Assessment for learning: formative use of assessment to fuel conversations that help learners to fine-tune knowledge and skills
- Assessment of learning: summative judgment of a learner’s performance compared against a standard

성장 마인드: 암묵적인 마음가짐이 두 극단과 함께 연속체를 따라 위치한다고 제안하는 동기 이론. 연속체의 한쪽 끝에는 지성과 능력이 정적이라고 믿는 고정된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들이 있고, 이들에게 재능은 타고난 것이다. 성장형 마음가짐을 가진 사람들은 이러한 특성들이 유연하고 노력이 성공을 이끌 수 있다고 믿는다. 개인으로서, 우리의 사고방식은 나이와 맥락을 포함한 여러 요소에 따라 연속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33]. 

Growth mindset: A motivation theory proposing that implicit mindsets are situated along a continuum with two extremes. At one end of the continuum are individuals with a fixed mindset who believe intelligence and ability are static, and talent is something you are born with. Individuals with a growth mindset believe these traits are malleable and effort can lead to success. As individuals, our mindset can vary along the continuum depending on a number of factors including age and context [33]. 


코칭과 피드백은 서로 얽혀있기 때문에 서로 어떤 관계가 있는지 고려하는 것이 유용하다.

  • [피드백]이 교육 도구인 반면,
  • [코칭]은 학습자가 잠재력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전념하는 교육 철학입니다(상자 1)[4].

코칭은 학습, 성과 향상, 개인적 또는 전문적 성장을 강조합니다[5]. 코치는 피드백을 이 업trade의 필수적인 도구로 사용하지만, 코치의 '업'이란 직접적 관찰, 목표 설정, 성찰 습관 등 다른 여러 요소들을 포함한다. 의학 교육에서 코치와 학습자 사이의 관계는 본질적으로 위계적이어서 학습자가 의심이나 우려를 드러낼 수 있는 잠재적인 장벽이 된다. 이 위계를 줄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신뢰를 기반으로 한 종적 코칭-학습자 관계는 유의미한 성과 개선에 필요한 취약성이 학습자에게 더 안전하다고 느껴지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4].
Coaching and feedback intertwine, so it is useful to consider how they relate to one another. While feedback is an educational tool, coaching is an educational philosophy dedicated to helping learners to realize their potential (box 1) [4]. Coaching emphasizes learning, performance improvement, and personal or professional growth [5]. Coaches use feedback as an essential tool of the trade, but their work encompasses a number of other elements, including direct observation, targeted goal-setting, and habits of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aches and learners are inherently hierarchical, which is a potential barrier for learners to show doubts or concerns. Reducing this hierarchy is no easy feat. Longitudinal coach-learner relationships built on trust can help to ensure that the vulnerability required for meaningful performance improvements feels safer for learners [4].

피드백? 판단?
Feedback or judgment?

평가는 때때로 코칭의 적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실제로 필수적인 파트너입니다. 평가란 학습자의 수행의 질을 판단하는 것이다(표 1). 학습자의 장점과 단점에 대한 건전한 이해는 건설적인 피드백과 효과적인 코칭 모두에 필요한 기초입니다. 그러나 피드백과 코칭에 참여할 때 평가의 의도를 명확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평가는 교육생이 스킬(피드백 및 코칭)을 미세 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대화를 촉진하기 위해 형성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평가는 또한 교육생을 표준과 비교하는 더 중요한 판단을 하기 위해 총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7]. 사회는 의료 교육계가 이러한 최소한의 기준을 달성하지 못한 교육생이 의료 개업의 면허를 취득하지 못하도록 보장하기를 기대하기 때문에 교육생을 미래의 의사 성과에 대한 최소 허용 수준과 비교하는 것이 중요하다[8, 9]. 학습 기간 종료 시 이 공식적인 고위험 판단("학습의 평가")은 이 시리즈의 별도 논문에서 다루어질 것이다. 이번 기사에서는 교육생들이 주니어 의사로서 지식과 기술, 역량 향상을 위해 임상감독관이 피드백과 코칭을 어떻게 제공할 수 있는지('학습을 위한 평가')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이러한 구별의 중요성은 25년 이상 인식되어 왔지만[10년] 피드백과 합산 판단의 혼합은 여전히 일반적이다[11년]. 이는 피드백의 유용성과 효과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12, 13].

Assessment has sometimes been positioned as the enemy of coaching [6], but in fact is an essential partner. To assess is to judge the quality of a learner’s performance (Table 1). A sound understanding of a learner’s strengths and weaknesses is a necessary foundation for both constructive feedback and effective coaching. But we must remain clear-eyed about the intent of our assessment when engaging in feedback and coaching. While assessment may be used formatively to fuel conversations that help trainees fine-tune skills (feedback and coaching), assessment may also be used summatively, to make more consequential judgments that compare trainees against a standard [7]. Comparing trainees against the minimally acceptable level for future doctor performance is important because society expects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to ensure that trainees who fail to attain these minimal standards are not allowed to obtain a license to practice medicine [8, 9]. This formal high-stakes judgment at the end of a learning period (“assessment of learning”) will be addressed in a separate paper in this series. In the present article, we will focus on how clinical supervisors can provide feedback and coaching to help trainees improve their knowledge, skills, and competence as a junior doctor (“assessment for learning”). Although the importance of making this distinction has been recognized for over 25 years [10], mixing up feedback and summative judgments remains common [11]. This is undesirable because it reduces the usefulness and effectiveness of feedback [12, 13].


https://link.springer.com/journal/431/topicalCollection/AC_e314ed3eec7624b8b754c8cc17194a18


효과적인 피드백 조건
Conditions for effective feedback

피드백이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는 좋은 증거가 있다[14,15,16]. 의료 교육의 모든 단계에서 학습자가 환자와의 만남에서 경험적 학습 기회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자의 피드백을 받는다. 학습자는 건설적인 피드백을 바탕으로 행동을 일관되게 변화시킬 의지와 능력이 있으며, 이를 통해 감독 없이 독립적으로 실습할 수 있습니다[17]. 그러나 피드백은 특정 조건 (표 2)을 충족하는 경우에만 유효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16, 18, 19].
There is good evidence that feedback can be highly effective [14,15,16]. Feedback from their supervisors helps learners at all stages of medical education to make the most of the experiential learning opportunities in encounters with patients. Learners are willing and able to change their behavior consistently based on constructive feedback, and this helps them to work towards practicing independently, without supervision [17]. However, feedback can only be expected to be effective if it meets certain conditions (Table 2) [16, 18, 19].

 

피드백은 코칭의 주요 기술적 요소이며, 구체적인 학습 상황에 대한 목적적인 성찰을 위한 순간적 도구momentary tool입니다.

  • 피드백은 학습자가 수행한 과제를 목표로, 건설적이고 실행 가능한 방식으로 전달된다면 학습자의 행동 변화에 가장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피드백은 소문이나 간접 정보가 아닌 관찰된 행동에 관한 것이어야 한다[20]. 
  • 학습자는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피드백이 오는 경우 피드백을 더 잘 수용합니다[14]. 
  • [감독자로부터 학습자에게 일방적인 정보 전달] 대신 [학습자와 감독자 사이의 대화]로 피드백을 제시하는 것은 인간 관계의 사회적, 정서적 복잡성을 인정하고, 제공된 피드백을 수용하고 이에 따라 행동학 만든다[21]. 
  • 관찰된 작업의 핵심 지점 1~3개로 피드백 양을 제한하는 방법도 중요하다.

Feedback is the main technical component of coaching, a momentary tool for purposeful reflection on a concrete learning situation.

  • Feedback is most likely to help learners change their behavior if it is delivered in a constructive and actionable fashion, aimed at the task that the learner has performed.
  • Feedback should be about observed behaviors, not about rumors or indirect information [20].
  • Learners are more receptive to feedback if it comes from a source that they perceive as credible [14].
  • Presenting feedback in a dialogue between learner and supervisor instead of a one-way transfer of information from supervisor to learner acknowledges the social and emotional intricacies of human relationships, which also supports acceptance of the feedback provided, and acting upon it [21].
  • This is also supported by limiting the amount of feedback to one to three key points of the observed task.

효과적인 피드백과 비효과적인 피드백의 핵심적인 차이는 그 목적에 있다. 

  • 의과대학생과 레지던트는 피드백이 성과에 대한 총괄적 판단으로 제시되거나 인식되는 경우 피드백을 덜 수용한다[13]. 그들은 단지 시험을 통과하고 잘했다고 확신하기를 원하며, 이러한 고부담 평가와 관련된 피드백을 무시하거나 폐기하는 경향이 있다[22, 23]. 직장 기반 평가를 고득점 시험으로 인식하는 전공의들은 긍정적인 피드백만을 추구하는 "게임play the game" 경향이 있다(즉, 자신이 잘했다고 생각하는 과제나 절차에 대한 피드백만 요청). [22, 24] 전공의는 유능해보이는 이미지로 보이려고 이 전략 및 기타 인상 관리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24, 25].
  • 반대로, 의대생과 레지던트들가 피드백을 저부담의 학습 기회로 여길 경우 피드백에 상당히 더 수용적이다. 특히, 임상 기술 향상을 목표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복적인 코칭으로 구성될 경우, 숙련되고 헌신적인 감독자의 건설적인 피드백이 학습자에게 받아들여지고 특히 작업 관계에서 발전한 관계 배경에 반하여 행동할 가능성이 높다[26].

The key distinction between effective and ineffective feedback lies in its aim.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are less receptive to feedback if it is presented or perceived as a summative judgment of their performance [13].

  • They just want to pass the test and be reassured that they did a good job, and tend to ignore or discard the feedback associated with these high-stakes assessments [2223]. Residents who perceive workplace-based assessments as high-stakes exams tend to “play the game” of seeking only positive feedback (i.e., only ask for feedback on a task or procedure they think they did well) [2224]. Residents may employ this and other impression management strategies to portray an image of competence [2425].
  • Conversely,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are considerably more receptive to feedback when it is presented as a low-stakes learning opportunity. Particularly, when it is framed as repeated coaching over time aimed at improving clinical skills, constructive feedback from skilled and dedicated supervisors is likely to be accepted by the learners and acted upon, especially against the background of established rapport that evolves from the working relationship [26].

이는 운전 교습 및 운전면허 시험과 같습니다. 사람들은 운전 교습 중에는 피드백을 수용하지만(학습 모드에 있음) 시험에 합격하고 운전면허(시험 모드)를 따려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습니다[13]. 당신의 의대생과 레지던트들이 당신의 의견을 받아들여 행동하기를 원한다면, 피드백은, 학습자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당신이 그곳에 도움을 주기 위해 있으며, 저부담의 학습 기회로 제시하라. 이를 위해 관리자는 시간과 노력을 들여 코칭 세션의 목적에 동의하고, 학습자를 관찰하며, 학습자의 성찰을 장려하고, 피드백을 논의해야 합니다. 이는 상호 신뢰와 존중을 기반으로 한 발전하는 건설적인 업무 관계로 인해 보다 쉽고 시간이 적게 소요됩니다.
It is like driving lessons and driving tests: people are receptive to feedback during driving lessons (they are in learning mode) but not during the high-stakes driving test when they just want to pass the test and get their driver’s license (exam mode) [13]. If you want your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to accept and act upon your feedback, present it as a low-stakes learning opportunity in which you are there to support and help, not judge, the learner. This requires the supervisor to take the time and the effort to agree on the aim of the coaching session, to observe the learner, encourage reflection by the learner, and discuss the feedback. This becomes easier and less time-consuming with an evolving constructive working relationship built on mutual trust and respect.

직무 기반 코칭에서 피드백 활용
Using feedback in workplace-based coaching

저부담의 환경에서 형성적 피드백과 코칭의 개념(그리고 학습자 성장과 발달에 효과가 있다는 증거)은 역량 기반 의료 교육(CBME)의 개념[27]의 핵심이다. CBME의 맥락에서 직장 기반 평가는 (가급적이면 직접적인) 실제적 임상 환경에서의 관찰, 코칭 및 피드백, 그리고 일부 상호작용의 문서화를 포함한다. 매일 직장 기반 평가를 제공하는 것은 이러한 피드백 대화 각각에 대한 저조한 접근 방식을 지원하고 학습자가 코칭을 실습에 통합할 수 있는 반복적인 기회를 제공합니다.

The notion of formative feedback and coaching in a low-stakes environment, and the evidence of its effectiveness in learner growth and development [8,9,10], is core to the concept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27]. Workplace-based assessment in the context of CBME includes (preferably direct) observations in the authentic clinical environment, coaching and feedback, and documentation of some of the interactions. Providing workplace-based assessments on a daily basis supports the low-stakes approach of each of these feedback conversations and provides repeated opportunities for the learner to incorporate the coaching into their practice.

포트폴리오에 축적된 직장 기반 평가의 데이터와 학습자의 전문적 성과에 대한 기타 정보가 어느 시점에 검토되어 교육생의 프로그램 진행 상황에 대한 결정을 내리고 적절한 학습 계획을 설계한다(이 시리즈의 평가 논문 참조). 학습자에 대해 완료되는 각 직장 기반 평가(데이터 포인트)는 학습자의 발전과 진행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에 기여합니다. CBME에서는 역량 평가의 목표와 학습자에게 지속적인 개발 코칭과 피드백을 제공하는 목표를 의도적으로 병행 개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13]. 이를 위해서는 학습자와 감독 교수진 모두가 코칭 및 평가 프로그램의 가장 중요한 목표에 대한 공통된 정신 모델을 갖추어야 합니다.
Data from workplace-based assessments accumulated in a portfolio, along with other information about the learner’s professional performance, will at some timepoint be reviewed, to make a determination about a trainee’s progress in the program and design an appropriate learning plan (see the paper on assessment in this series). Each workplace-based assessment (data point) completed for a learner will contribute to the overall assessment of their development and progression. In CBME, it is essential that the goal of assessing competence and the goal of providing ongoing developmental coaching and feedback to the learner are intentionally developed in parallel [13]. This requires that both learners and supervising faculty have a shared mental model of the overarching goals of the coaching and assessment program.

교육생과 코치 간의 사회적 관계에 대한 피드백 및 코칭
Feedback and coaching in the social relationship between trainee and coach

피드백이 코칭에 효과적이려면 몇 가지 중요한 개념을 고려해야 합니다.

  • 코칭 관계(연수생과 코치 간),
  • 코칭 상호작용의 질,
  • 코칭 받는 교육생의 마음가짐,
  • 코칭에 대한 조직 문화 등 

In order for feedback to be effective in coaching, one must consider a few important concepts:

  • the coaching relationship (between trainee and coach);
  • the quality of the coaching interaction;
  • the mindset of the trainee who is receiving the coaching; and
  • the organizational culture around coaching.

관계
Relationship

연습생과 코치의 코칭 관계는 중요하고 복잡합니다. 교육생과 코치는 다양한 맥락에서 함께 자신을 발견하는데, 긍정적인 학습 환경 내에서 학습자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의도적인 계획을 설계할 때 각각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다른 맥락에 대해 생각하는 한 가지 방법은 "일상적 코칭"과 "지속적 코칭"으로 표현된다. [28, 29]

  • "일상적 코칭"은 훈련생과 임상 감독관 사이의 일상적인 상호작용을 기술하여 성과를 개선합니다.
  • "지속적 코칭"은 임상 환경 외부에서의 보다 종단적인 교수-교수 관계를 의미한다. 교육적 파트너십이 교육생의 성과에 대한 성찰, 축적된 데이터,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계획의 공동-개발을 촉진한다

The coaching relationship between trainee and coach is important and complex. Trainees and coaches find themselves in a variety of contexts together, each of which must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an intentional plan to support the learner’s growth within a positive learning environment. One way to think about these different contexts has been articulated as “coaching in the moment” and “coaching over time” (see Table 1) [28, 29].

  • Coaching in the moment describes those day-to-day interactions between a trainee and a clinical supervisor that lead to performance improvement.
  • Coaching over time refers to a more longitudinal faculty-trainee relationship outside the clinical environment, in which the educational partnership promotes the trainee’s reflection on his or her performance, the accumulated data, and a co-developed plan for ongoing development.

학습자가 의료인으로서 발달해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새로운 학습 목표를 세울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지속적 코칭"의 골자다. 코치와 교육생 간의 협력 관계는 코칭의 가치를 지원하고 지식, 스킬 및 태도 습득을 위한 발전경로path forward를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13].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공적인 코칭은 학습자가 지속적인 자기 비판적 성찰을 위해 필요한 태도와 기술을 개발하여 평생 학습하고 피드백을 개방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진료의 질, 협업의 효과, 개인적 동기 부여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The main goal of coaching over time is to support learners in their progress as medical professionals, and to help them set new learning objectives. A supportive relationship between coach and trainee supports the value of coaching and helps to design the path forward around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13]. Successful coaching over time may also help learners to develop the attitudes and skills necessary for ongoing, self-critical reflection, and thus for life-long learning and openness to feedback. It is likely that this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care, the effectiveness of collaboration, and personal motivation.

코칭 상호작용의 품질
Quality of the coaching interaction

감독관이 단편화되고 수습-감독자의 연속성이 결여된 대규모 부서에서도 "일상적 코칭"은 강력할 수 있습니다[30]. 그러나 효과는 각각의 코칭 상호작용이 유의미하다는 것을 확인하는 데 있습니다. 코칭이 항상 직관적인 것은 아니며, 임상 교수진이 자신의 역할을 이해하고 이 과제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도구를 제공하기 위해 교수 개발(효과적인 피드백 및 코칭 제공에 대한 교육 관리자)이 필요하다[31].

Coaching in the moment may be powerful, even in large departments with fragmented supervision and lack of trainee-supervisor continuity [30]. But effectiveness rests on ensuring that each coaching interaction is meaningful. Coaching is not always intuitive, and faculty development (training supervisors in providing effective feedback and coaching) is needed to ensure clinical faculty understand their roles and are provided with the tools needed to perform this task effectively [31].

R2C2 니모닉은 코칭에서 피드백 상호작용을 위한 유용한 모델이며(표 3) 이러한 필수적인 교수진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궁극적으로 양질의 쌍방향 피드백과 코칭 대화를 이끌어내는 네 가지 단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관리자-교육자 관계의 핵심 역할에 주의를 기울입니다[32]. 이 모델은 관리자가 교육생과 라뽀를 쌓고 피드백에 대한 자신의 반응을 탐색하여, 상호 작용의 공통된 목표(형성적)를 보장함으로써, 피드백의 구체적인 내용을 다루기 전에, 변화를 위한 코칭(성과 향상)을 하도록 촉구합니다. 이 코칭 상호작용 모델은 일상적 코칭과 지속적 코칭에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The R2C2 mnemonic is a useful model for feedback interactions in coaching (Table 3), and offers a framework for this necessary faculty development. It focuses on four phases that ultimately lead to a high-quality, two-way feedback and coaching conversation, and it attends carefully to the key role of the supervisor-trainee relationship [32]. This model urges the supervisor to build rapport with the trainee and explore his or her reactions to feedback, ensuring a shared (formative) aim of the interaction, before addressing the specific content of the feedback, and coaching for change (performance improvement). This model for coaching interactions can be used both for coaching in the moment and for coaching over time.

 

연습생 마음가짐
Mindset of the trainee

코칭 피드백에 대한 교육생의 수용성은 코칭 상호작용의 성공을 위한 핵심 요소입니다. 이것은 학습자의 마음가짐이 고정된 마음가짐과 성장 마음가짐 사이의 연속선상에서 주어진 순간에 어디에 위치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개념을 제기한다. 주로 고정된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들은 지능, 능력, 재능이 고정되어 있다고 믿는 반면, 성장 마인드를 가진 사람들은 이러한 특성들이 노력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믿는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코칭 피드백이 비옥한 기반 위에 놓일 수 있는 성장형 사고방식으로 개인을 움직이기 위한 전략이 있다는 것입니다[33]. 성장 사고방식이 대부분인 개인은 성과 지향적이 아니라 학습 지향적이며 지속적인 스킬 개발을 중요시합니다[17]. 코칭 피드백에 열려 있으며, 피드백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연습에 반영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 스킬은 평생 학습자로서의 경력 전반에 걸쳐 매우 중요한 스킬입니다. 성장 마인드를 갖추면 교육생들이 (평가 자료 해석의 총괄적 성격보다) 코칭 피드백의 형성적 성격에 집중할 수 있다.
The receptiveness of trainees to coaching feedback is key to the success of any coaching interaction. This raises the notion of where a learner’s mindset might sit at any given moment, on the continuum between a fixed and a growth mindset. Individuals with a predominantly fixed mindset believe that intelligence, ability, and talent are fixed, while those with a growth mindset believe these traits can be influenced with effort. What is clear, however, is that there are strategies to move an individual in the direction of a growth mindset which allows coaching feedback to fall on fertile ground [33]. Individuals with a predominantly growth mindset are learning-oriented instead of performance-focused, and value ongoing skill development [17]. They are open to coaching feedback, making an effort to incorporate it into their practice to continue to develop, a skill that is invaluable throughout their careers as a life-long learner. Having a growth mindset also helps trainees to focus on the formative nature of the coaching feedback, rather than the summative nature of assessment data interpretation.

코칭을 중심으로 한 조직 문화
Organizational culture around coaching

교육생, 감독관, 조직을 대상으로 하는 구체적인 전략으로 성장 마인드 문화를 조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레지던트 오리엔테이션 기간 동안 성장형 마음가짐에 대한 명시적인 세션을 갖는 것이 코칭 피드백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3].
  • 관리자는 학습자가 자신의 도전과 약점에 대해 개방적이고 취약성을 드러내며, 성장을 위한 피드백을 구할 수 있도록 심리적 안전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34].
  • 의료진은 자신의 약점과 불확실성에 대해 논의하고 피드백에 대해 공개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이 행동을 롤모델로 삼을 준비가 되어 있다[35].
  • 조직 차원에서, 모든 수준에서 피드백을 촉진하는 안전하고 정의로운 문화의 촉진은 필수적입니다 [33].
  • 또한, 직접적인 관찰을 장려하고 지원할 수 있는 물리적 공간을 제공하고, 교육생과 감독자 간의 필수적인 신뢰관계를 배양하는 문화를 개발하는 것이 성공적인 코칭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하다.

A growth mindset culture can be nurtured with specific strategies targeted at the trainee, the supervisor, and the organization. For example,

  • having an explicit session on growth mindset during resident orientation has been shown to facilitate the coaching feedback process [33].
  • Supervisors need to provide the psychological safety to ensure that learners can be open and vulnerable about their challenges and weaknesses and seek feedback for growth [34].
  • Clinical faculty are uniquely poised to role model this behavior by discussing their own weaknesses and uncertainties, and by being overtly receptive to feedback themselves [35].
  • At an organizational level, the promotion of a safe and just culture that promotes feedback at all levels is essential [33].
  • In addition, providing the physical space to encourage and support direct observation, and developing a culture that nurtures essential trusting relationships between trainees and supervisors, is paramount to successful coaching.

 

교육 프로그램의 목표와 구조, 그리고 그 안에서 직장 중심의 평가와 코칭이 하는 역할은 교직원과 학습자 모두에게 명확해야 한다. 또한 감독관은 순간 코칭과 시간 경과에 따른 코칭에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스킬을 개발하도록 교육받아야 합니다. 교수진과 교육생 모두가 성장형 마음가짐을 표현하고, 정기적으로 피드백을 주고받는 프로그램은 학습자가 원하는 임상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35].
The goals and structure of the educational program, and the role workplace-based assessments and coaching play in it, should be clear to both faculty and learners. In addition, supervisors should be trained to develop the skills to provide effective feedback in coaching in the moment and coaching over time. A program in which both faculty and trainees express a growth mindset and are open to provide and receive feedback regularly is most likely to support the learners’ development towards the desired level of clinical competence [35].

임상 교육 시나리오—파트 2
Clinical teaching scenario—part 2

원래 시나리오에서 후배 레지던트인 Janice에게 돌아가면서 코칭과 피드백 관점에서 이러한 상호작용에 어떻게 접근할 수 있을까요?

  1. 먼저 코칭 대화를 할 수 있도록 잠시 시간을 내어 지금까지의 외래 환자 진료 경험이 어떠냐고 물어봅니다. 당신은 현재의 코칭 대화는 그녀가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이며, 그녀의 역량에 대한 총괄적 평가가 아니라고 그녀를 안심시킵니다.
  2. 임상적 상호작용에 대한 자신의 성찰을 초대하면 그녀의 내용 지식과 통찰력 수준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당신은 그녀가 무엇이 잘 되었다고 생각하는지 물어봄으로써 이 작품을 시작하고, 당신이 잘 되었다고 느꼈던 것들을 추가하거나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잘 된 것부터 시작하는 것은 학습자의 자신감을 높이는 경향이 있고, 그들이 개선점을 들을 수 있도록 더 수용적이게 만듭니다.
  3. 다음으로, 재니스에게 개선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보라고 한다. 재니스가 다른 발달 영역을 생략했다는 것을 스스로 깨닫고, 자신의 접근 방식이 체계적이지 못했다고 이야기할 수도 있다.
  4. 이렇게 하면 코칭 대화의 다음 파트를 짜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여기서 여러분은 지식이나 조직적 관점에서 개발 마일스톤에 대한 누락 문제를 해결하도록 코칭할 수 있으며, 이 마일스톤이 이 특정 임상 시나리오에서 중요한 이유를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무엇이 개선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뿐만 아니라 이를 어떻게 달성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5. 보호자에게 질문을 어떻게 제시하고 프레이밍 해야 하는지, 그리고 이 나이대의 아이에게 신체 검사를 어떻게 수행할지에 대한 실용적인 팁을 제공한다면, 그녀가 앞으로 나아가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6. 그런 다음 그녀에게 코칭 대화에서 얻은 점을 요약하고, 포트폴리오에 기록하도록 요청하고, 다음 진료소에서 그녀를 함께 관찰하도록 하고, 그 시간에 대화를 계속하기로 약속할 수 있습니다.

As we return to our junior resident Janice in our original scenario, how could we approach this interaction from a coaching and feedback perspective?

  1. You start by taking a moment to build rapport to enable the coaching conversation, for example by asking her how she is enjoying her outpatient clinic experience so far. You reassure her that the present coaching conversation is intended to help her grow and develop, and is not a summative assessment of her competence.
  2. Inviting her own reflections on the clinical interaction will allow you to assess her content knowledge and her level of insight. You can start this piece by asking what she thinks went well, and then add or confirm the things that you felt went well. Beginning with what went well tends to boost learners’ confidence and makes them more receptive to hear points for improvement.
  3. Next, when you ask her to reflect on what can be improved, she may realize herself that she has omitted the other developmental domains, and articulate that she feels disorganized in her approach.
  4. This will help you frame the next part of the coaching conversation, in which you can coach her to address the omission around the developmental milestones, either from a knowledge or an organizational perspective, articulating why they are important in this particular clinical scenario. It is important to address not only the issue of what can be improved, but also how to accomplish this.
  5. Providing some practical tips on how to organize and frame the questions to the caregiver, and how to perform the physical examination maneuvers on a child of this age, would be helpful for her skill development moving forward.
  6. You can then ask her to summarize what she takes away from the coaching conversation, ask her to record this in her portfolio, arrange to observe her in your next clinic together, and commit to continuing the conversation at that time.

결론
Conclusion

효과적인 피드백과 코칭은 학습자의 개발, 발전, 역량 달성에 필수적이다. 증거 기반 원칙에 주의를 기울인다면, 이러한 활동에 투입된 에너지는 학습자를 지원하고 성공을 보장하는 데 필요한 긍정적인 결과를 산출할 수 있습니다.

Effective feedback and coaching are essential to learner development, progression, and achievement of competence. With mindful attention to evidence-based principles, the energy put into these activities will yield the positive results needed to support our learners and ensure their success.

 


Eur J Pediatr. 2022 Feb;181(2):441-446.

 doi: 10.1007/s00431-021-04118-8. Epub 2021 May 21.

 

Feedback and coaching

Affiliations expand

Abstract

If used thoughtfully and with intent, feedback and coaching will promote learning and growth as well as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our learners. Feedback is an educational tool as well as a social interaction between learner and supervisor, in the context of a respectful and trusting relationship. It challenges the learner's thinking and supports the learner's growth. Coaching is an educational philosophy dedicated to supporting learners'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growth and supporting them to reach their potential. In clinical education, feedback is most effective when it is explicitly distinguished from summative assessment. Importantly, feedback should be about firsthand observed behaviors (which can be direct or indirect) and not about information which comes from a third party. Learners are more receptive to feedback if it comes from a source that they perceive as credible, and with whom they have developed rapport. The coaching relationship between learner and supervisor should also be built on mutual trust and respect. Coaching can be provided in the moment (feedback on everyday clinical activities that leads to performance improvement, even with short interaction with a supervisor) and over time (a longer term relationship with a supervisor in which there is reflection on the learner's development and co-creation of new learning goals). Feedback and coaching are most valuable when the learner and teacher exhibit a growth mindset. At the organizational level, it is important that both the structures and training are in place to ensure a culture of effective feedback and coaching in the clinical workplace.Conclusions: Having a thoughtful and intentional approach to feedback and coaching with learners, as well as applying evidence-based principles, will not only contribute in a significant way to their developmental progression, but will also provide them with the tools they need to have the best chance of achieving competence throughout their training. What is Known: • Feedback and coaching are key to advancing the developmental progression of trainees as they work towards achieving competence. • Feedback is not a one-way delivery of specific information from supervisor to trainee, but rather a social interaction between two individuals in which trust and respect play a key role. • Provision of effective feedback may be hampered by confusing formative (supporting trainee learning and development) and summative (the judgment that is made about a trainee's level of competence) purposes. What is New: • Approaches to both the provision of feedback/coaching and the assessment of competence must be developed in parallel to ensure success in clinical training programs. • Faculty development is essential to provide clinical teachers with the skills to provide effective feedback and coaching. • Coaching's effectiveness relies on nurturing strong trainee-supervisor relationships, ensuring high-quality feedback, nourishing a growth mindset, and encouraging an institutional culture that embraces feedback and coaching.

Keywords: Assessment; Coaching; Feedback; Medical education.

자율성과 의사의 성장: 자기결정이론으로 슈퍼비전을 다시 그려보기(Med Educ, 2022)
Autonomy and developing physicians: Reimagining supervision using self-determination theory
Adam P. Sawatsky1 | Bridget C. O’Brien2 | Frederic W. Hafferty3

 

1 소개
1 INTRODUCTION

이 글에서는 [임상학습 환경에서 감독과 자율성의 관계]를 탐구함으로써 '의사발달에 있어 자율성의 역할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다룬다. 감독으로부터의 독립성으로서 자율성을 벗어나 자기결정론에 근거한 자율성 지원에 기반을 둔 감독 개념을 지향하는 이러한 관계의 재개념화를 제안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자율적이고 자율적인 직업으로서 의학의 지위를 개념화하는 것의 사회적, 법적 의미와 환자 자율성과 환자 중심 치료의 문제를 포함한 의학 내 자율성에 대한 다른 논의를 무시한다. 이것들은 중요한 대화이지만, 우리는 특히 의사-훈련자를 위한 임상 훈련의 맥락에서 자율성과 감독에 초점을 맞추기로 결정했다.
In this article, we address the question, ‘What is the role of autonomy in physician development?’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ion and autonomy in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We propose a reconceptualisation of this relationship that moves away from autonomy as independence from supervision and towards a concept of supervision grounded in autonomy support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1 In doing so, we ignore other discussions on autonomy within medicine, including the social and legal implications of conceptualising medicine's status as an autonomous, self-regulating profession2 and issues of patient autonomy and patient-centred care.3, 4 While these are important conversations, we have chosen to focus specifically on autonomy and supervision within the context of clinical training for physician-trainees.

우리는 또한 '의사의 발달physician development'이 의미하는 바를 정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의학교육은 필요한 지식, 기술 및 직업적 정체성을 가진 효과적인 의료인의 형성을 다루는 발달 과정이다.5 PIF(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라고 알려진 이러한 발전은 [개인, 심리적 수준]뿐만 아니라 [집단적, 사회적 수준]에서도 일어나며 경험, 롤모델, 멘토를 통해 얻은 직업의 가치와 규범을 (의식적으로 그리고 무의식적으로) 습득하는 것이 특징이다. 자율성은 학습자의 자율성을 학습자의 자신감 향상, 임상 의사결정 능력 향상, 환자의 책임감과 소유 의식 향상, 독립적 실무 준비성 향상, 직업적 정체성 향상과 연계하여 오랫동안 연구되어 왔다. 임상 학습 환경에서 [자율성]은 [학습자가 환자 치료를 위한 '진정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임상 의사 결정에 대한 신뢰]와 [환자 관리에 대한 책임]의 개발을 촉진한다. 반대로 자율성이 떨어지면 학습자에게 양면성이 형성돼 책임감이 떨어지고 의사 역할을 맡을 기회도 줄어들어 '전문직이 되어간다professional becoming'는 의식이 줄어들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자율성이 의사 발달에 동기 부여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의학교육이 발달과 동기를 통합한 자율성의 정의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We also need to define what we mean by ‘physician development’. Medical education is a developmental process, addressing the formation of effective medical practitioners with the necessary knowledge, skills and professional identity.5 That development, known a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 happens at both an individual, psychological level, as well as a collective, sociological level, and is characterised by the conscious and unconscious acquisition of values and norms of the profession gained through experience, role models and mentors.6, 7 Autonomy has long been studied in conjunction with the development of physicians in training, linking learner autonomy with increased learner confidence, improved clinical decision-making skills, increased sense of patient responsibility and ownership, increased readiness of independent practice and an enhanced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8-12 Within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utonomy provides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make ‘real’ decisions for patient care,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confidence in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responsibility for patient care.8 Alternatively, decreased autonomy can foster feelings of ambivalence in learners leading to decreased feelings of responsibility along with a decreased sense of ‘professional becoming’ due to decreased opportunity to take on the role of physician.8, 13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utonomy may play a motivational role in physician development and that medical education may benefit from a definition of autonomy that incorporates development and motivation.

자율성의 인식된 이점과 부재의 위험을 고려할 때, 훈련생 감독 강화를 요구하는 [환자 안전 운동]이 임상 학습 환경 내에서 학습자의 자율성을 위협한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우려는 감독 강화가 학습자의 자율성을 떨어뜨려 독립적이고 전문적인 의사의 발전을 방해할 수 있다는 두려움에 근거한다. 감독 강화, 독립성 저하, 이에 따른 훈련생 자율성의 감소에 대한 이러한 우려는 우리를 '임상 훈련의 감독성과 자율성 사이에 무슨 관계가 있는가?'라는 질문으로 이끈다.
Given the perceived benefits of autonomy and the risks of its absence, there is growing concern that the patient safety movement, with its calls for increased trainee supervision, threatens learner autonomy within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9, 10, 14 Such concerns are based on fear that increased supervision will reduce learners’ autonomy and thus might interfere with the development of independent, expert physicians.10, 15 These concerns over increased supervision, decreased independence and the subsequent decrease in trainee autonomy lead us to the question: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ion and autonomy in clinical training?’

2 감독과 자율성 사이의 복잡한 관계
2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ION AND AUTONOMY

의학 교육 문헌은 감독과 자율성 사이의 단순한 역관계(감독이 증가함에 따라 자율성은 감소한다)를 가정한다. 역량 프레임워크 내에서 자율성은 독립성과 동의어로 사용되며 따라서 훈련의 최종 목표로 간주된다. 자율성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의료 교육 연구 내에서 임상 지도와 학습자 자율성 사이의 관계에 대한 상반된 증거로 이어졌다. 따라서, 우리는 감독 내에서 자율성 지원이 가능한 감독과 자율성 사이의 보다 복잡한 관계를 제안한다.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posits a simple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ion and autonomy (ie as supervision increases, autonomy decreases). Within competency frameworks, autonomy is used synonymously with independence and therefore viewed as the end goal of training. This understanding of autonomy has also led to conflicting evidenc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supervision and learner autonomy with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Thus, we propose a mor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ion and autonomy that allows for autonomy support within supervision.


현재의 역량 기반 의료 교육(CBME) 프레임워크는 감독과 자율성 사이의 역 관계를 암시하는 언어를 사용하며, 자율성을 나타내기 위해 다양한 다른 문구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대학원의료교육인증협의회(ACGME)는 레지던트 연수를 '의과대학과 자율적인 임상 실습 사이에 존재하는 전문적 발전의 중요한 단계'로 개념화한다. 전공의 수련은 전공의가 직장 학습 환경에서 환자를 돌보는 곳으로써, '교수의 적절한 지도와 조건부 독립성을 갖춰, 전공의가 자율적인 의료행위에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공감을 얻을 수 있도록'하는 목적이 있다. 

Current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frameworks use language that implies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ion and autonomy, often relying on a variety of different phrases to represent autonomy. For example,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 conceptualises residency training as ‘the crucial step of professional development between medical school and autonomous clinical practice’16 where residents care for patients in a workplace learning environment ‘with appropriate faculty supervision and conditional independence, allowing residents to attain the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empathy required for autonomous practice’.16 

ACGME 프레임워크 내에서

  • 역량 기반 목표와 목표는 '자율적 실천을 향한 궤도에서의 발전을 촉진하도록 설계'되며,
  • 전공의의 발달상황에 대한 평가는 [역량과 신뢰의 언어]를 사용하며, '감독되지 않은 실천에 대한 준비'로 간주되는 전공의로 끝맺게 된다.
  • 교직원은 전공의를 평가하고 '점진적 권한과 책임, 조건부 독립성 및 환자 진료에 대한 감독 역할의 특권'을 위임하는 한편,
  • '점진적 자율성의 촉진'은 전공의의 웰빙을 해결하기 위한 전공의 프로그램 책임의 일부분으로 인식된다.
  • 레지던트 교육이 끝나면 '4년자 전공의는 (치프 레지던트 역할 수행, 외래 진료소 운영, 자율성 증대 및 타인 교육 등) 자율적 의료행위로 전환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입증해야 한다'.

Within the ACGME framework,

  • competency-based goals and objectives are ‘designed to promote progress on a trajectory to autonomous practice’, and
  • assessments of resident progress utilise the language of competence and trust, ending with residents deemed ‘ready for unsupervised practice’.1617 
  • Faculty members assess residents and delegate the ‘privilege of progressive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conditional independence and a supervisory role in patient care’,16 
  • while recognising that ‘promoting progressive autonomy’ is part of the responsibility of the residency programme to address resident well-being.16 
  • At the end of residency training, ‘the senior trainee should demonstrate readiness to make the transition to autonomous practice: for example, acting as a chief resident, running an ambulatory clinic, performing procedures with increasing autonomy and teaching others’.18 

[자율성]을 대면하는 개념은 [독립성 증가, 감독 감소 및 환자 관리에 대한 책임 증가]와 같은 문구와 '자율성'이라는 단어를 번갈아 사용하면서 CBME 프레임워크에 스며든다. 이 용어들을 번갈아 사용하는 것은 감독과 자율성의 역관계를 의미하는데, 교육의 목표는 감독을 줄이고 자율성을 높이는 것이다. 이로 인해 대학원 의학교육에서 감독 및 자율성의 역할에 대한 오해가 생길 수 있다.

Concepts that represent autonomy permeate CBME frameworks, using the word ‘autonomy’ interchangeably with phrases like increasing independence, decreasing supervision and increasing responsibility for patient care.14, 16-21 Using these terms interchangeably implies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ion and autonomy, where the goal of education is to decrease supervision and increase autonomy.22 This may lead to misconceptions of the role of supervision and autonomy in graduate medical education.

단순한 역관계의 개념은 의료 교육 문헌으로 확장되며, 여기서 감독 증가에 대한 우려는 지도 수준과 학습자 자율성 인식 사이의 연관성을 탐구하는 연구를 촉발시켰다. 자율성의 교육적 역할에 대한 대규모 검토에서 [자율성]은 '독립적으로 또는 감독 없이 기능하는 자'로 정의되었다. 그러나 감독과 자율성의 관계를 조사하는 연구는 감독성과 자율성의 관계에 대한 상반된 증거를 보여준다.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입원 중인 야간 부유식 순환에 대한 교직원의 감독 강화로 교대의 교육 수준이 향상되었으며 주민 자율성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감독 강화로 교대로 인턴 투입량이 의사결정에 제한되고 인턴과 레지던트들의 자율성이 제한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이러한 상반된 연구는 감독과 자율성의 관계가 단순한 역관계가 아님을 시사한다.
The notion of a simple inverse relationship extends into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where concerns about increasing supervision have prompted studies exploring the association between levels of supervision and perceptions of learner autonomy. Within a large scoping review on the educational role of autonomy, autonomy was defined as ‘one who functions independently or without supervision’.11 However, studie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ion and autonomy demonstrate conflicting evidenc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ion and autonomy.11 One set of studies found that increased faculty supervision of an inpatient night float rotation improved the educational quality of the rotation, with no difference in residents’ autonomy.23, 24 By contrast, other studies indicate that rotations with increased supervision limit the amount of intern input into decision making and limit interns’ and residents’ sense of autonomy.25, 26 These conflicting studies suggest that there is not a simple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ion and autonomy.

이 관계의 복잡성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다. 

첫째, 감독에 관한 문헌을 살펴보면, 모든 감독이 동일한 것은 아니다. 레지던트들은 '마이크로 매니저'에서부터 거주자와 거리를 두고 독점적인 의사 결정권을 허용하는 '자리비운' 주치의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교수 감독 관행을 설명한다. 해당 스펙트럼 내에서 감독 유형은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질 수 있다. 

  • '일상적 감독'(연수생 임상 작업의 사전 계획된 모니터링),
  • '반응적 감독'(임상 우려에 의해 촉발된 관여),
  • '백스테이지 감독'(연수생이 직접 인지하지 못하는 감독) 또는
  • '직접 환자 관리', 슈퍼바이저가 환자를 넘겨받는 것

There may be several reasons for the complexity of this relationship. First, examining the literature on supervision, not all supervision is created equal—there are many models for the type and amount of supervision provided. Residents describe a wide range of faculty supervision practices, from ‘micro-manager’—dictating the plan to residents and allowing few autonomous decisions—to the ‘absentee’ attending physician who distances themself from the residents and allows exclusive decision-making power.27 Within that spectrum, types of supervision can be characterised into

  • ‘routine oversight’ (preplanned monitoring of trainees’ clinical work),
  • ‘responsive oversight’ (engagement triggered by clinical concerns),
  • ‘back-stage oversight’ (oversight of which the trainee is not directly aware) or
  • ‘direct patient care’, where the supervisor takes over the care of the patient.28 

감독은 역동적이어서, 특정 상황에 맞게 '핸즈온' 전략과 '핸즈오프' 전략 사이에서 전환되며, 감독은 감독관과 임상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다양한 감독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29

Supervision is dynamic, shifting between ‘hands-on’ and ‘hands-off’ strategies to suit specific contexts, and supervision can cover a range of oversight modes that can vary across supervisors and clinical settings.29

둘째, 감독 모델 내에서는 자율성의 여지가 있다. 예를 들어, 한 연구에서 전공의들은 자율성을 허용하고 독립적인 학습을 자극하는 것을 품질 감독의 특징으로 확인했다. 감독 구조와 지원 안에서 전공의가 의미 있는 임상 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전공의의 자율성을 뒷받침했다.8 [자율성 지지적 감독autonomy-supportive supervision]의 핵심 구성 요소로는 전공의가 환자진료를 위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환자진료를 책임감을 느끼며, 협력자로서 환자진료에 참여하고, 직접감독에서 간접감독으로 전환하는 내용 등이 포함됐다. 게다가, 전공의가 더 많은 자치권을 원하는 것이 항상 감독으로부터 독립하려는 열망과 일치하지는 않는다. 사실 레지던트들은 임상 훈련 중에 독립적으로 행동하고 '자급자족'해야 한다는 과도한 압박을 느끼곤 하는데, 이는 독립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의사 정체성의 일부라는 암묵적인 메시지에서 비롯된다. 자율성은 단순한 역관계에서 벗어나 감독 모델 내에 존재할 수 있다.

Second, within models of supervision, there is room for autonomy. For example, in one study, residents identified allowing for autonomy and stimulating independent learning as features of quality supervision.30 Allowing residents to make meaningful clinical decisions within the structure and support of supervision supported residents’ feelings of autonomy.8 Key components of autonomy-supportive supervision included allowing residents to make decisions for patient care, feeling responsible for the care of patients, engaging in patient care as a collaborator and moving from direct supervision to indirect supervision.12 In addition, residents desire for more autonomy does not always align with a desire for independence from supervision. In fact, residents often feel an undue pressure during their clinical training to act independently and be ‘self-sufficient’, a pressure that arises from implicit messaging that acting independently is part of the identity of a physician.31 Autonomy can exist within models of supervision, pointing away from a simple inverse relationship.

요약하자면, 감독과 자율성 사이의 관계는 특히 임상 학습 환경에서 훈련생 개발과 관련될 때 복잡하다. [학습자 자율성 함양]은 교육생 역량에 맞춰 감독 양을 조정하는 것만큼 간단하지 않을 수 있다. 역량 프레임워크와 의학 교육 문헌에서 자율성, 독립성 및 감독 감소라는 용어가 번갈아 사용되지만, 이러한 개념적 얽힘은 학습자의 발전에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 summary,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ion and autonomy is complex, particularly when related to trainee development in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Fostering learner autonomy may not be as simple as tailoring the quantity of supervision to the level of trainee competence. While the terms autonomy, independence and decreased supervision are used interchangeably in competency frameworks and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we suggest these conceptual entanglements might have unintended consequences for learners’ development. 

역량 체계와 의학 교육 문헌에서 자율성은 두 가지 다른 방식으로 사용되어 왔다.

  • 첫째, 자율성은 [독립성과 동의어]로 사용되며, [교육생의 성과에 대한 판단]으로 개념화되며, 감독 수준은 지표(또는 지표)로 사용된다.
  • 둘째, 자율성은 [훈련생들이 배우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의사로서의 정체성을 개발할 기회를 주는 것]으로 개념화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자율성은 단순히 감독의 역이 아니다. 이 두 번째 관점은 자율성에 대한 심리적 관점을 제공하며, 우리는 의학 교육에서 그 명성을 높이기를 바라면서 이 글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고려한다.

Within the competency frameworks and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autonomy has been used in two distinct ways.

  • First, autonomy is used synonymously with independence and is conceptualised as a judgement of a trainees’ performance, with level of supervision used as an indicator (or metric).
  • Second, autonomy can be conceptualised as a source of motivation that drives trainees to learn and gives them opportunities to develop their identity as a physician. In this view, autonomy is not simply the inverse of supervision.

This second perspective offers a psychological view of autonomy, which we consider for the remainder of this article in hopes of elevating its prominence in medical education.

3 자율성과 자기 결정 이론
3 AUTONOMY AND SELF-DETERMINATION THEORY

자기결정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은 자율성과 감독 사이의 관계, 그리고 개발 과정에서의 훈련자 참여와의 연관성을 이해하기 위한 틀을 제공할 수 있는 인간 동기 부여 및 개인 개발 이론이다. SDT에 따르면, 인간 동기와 개발의 기반에는 능력, 관계성, 자율성의 세 가지 선천적 심리적 욕구가 있다. 동기부여는 이 세 가지 기본적인 심리적 욕구를 지지하거나 방해하는 만큼 환경적 요인에 의해 지지되거나 방해된다. SDT에서 자율성은 [자신의 내면에 따라 자신의 의지와 뜻대로 행동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행동 조절]의 진정한 동기는 상황적 지원에 의해 생성된 자율성 또는 통제의 느낌이다.32 SDT의 몇 가지 요약을 사용할 수 있으며, 표 1에 SDT의 주요 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is a theory of human motivation and personal development that can provide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and supervision, and their association with trainee engagement in the development process.1, 32, 33 According to SDT, at the foundation of human motivation and development are three innate psychological needs—competence, relatedness and autonomy.32, 33 Motivation is supported and hindered by environmental factors in as much as they support or hinder those basic psychological needs.32 Within SDT, autonomy is defined as the quality of behaving of one's own volition and will, in accord with one's inner self.1, 32 As such, one driver of authentic motivation for behavioural regulation is a feeling of autonomy or control created by contextual support.32 Several summaries of SDT are available32, 33; and we outline the main tenets of SDT in Table 1.

표 1 자기결정론의 주요 교리 
TABLE 1 Main tenets of self-determination theory32,33

  • 인간은 성장 지향적이며, 심리적 요소를 개발하고 내면화하며 통합되고 통일된 자아의 감각을 구축하려는 자연스러운 경향이 있다. 이러한 자연적인 발달 경향은 내외부의 힘에 의해 자극되거나 방해될 수 있다. 
  • 성장과 통합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세 가지 선천적 심리적 욕구가 있다: 역량, 자율성, 타인과의 관련성.
  • [자율성]은 인과관계의 내적 인식의 중심지로 정의된다; 자율성을 위한 선택과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사람들에게 자율성을 더 크게 느끼게 할 수 있다.
  • 인간의 동기는 인간의 행동을 유도하고, 내부 또는 외부 압력으로부터 파생될 수 있으며, 무동기, 외적 동기, 내재적 동기의 스케일로 존재한다.
    • 내재적 동기 부여는 외부의 통제에서 자유로운 것으로서, 관심, 흥분, 자신감 증가와 연결돼 성과와 지속성, 창의성을 높인다.
  • 내재적 동기 부여가 지속되려면 지지적 조건을 필요로 하고, 이것이 [역량과 자율성]이다. 역량의 느낌을 촉진하는 사건들은 본질적인 동기를 강화시킬 수 있다.
  • 우리의 행동이 외적 동기부여에 의해 움직이는 많은 사회적 맥락이 있다; 외적 동기 내에서 [다양한 수준의 상대적 자율성]이 있을 수 있다. 더 높은 수준의 자율성은
    • 식별(다른 사람이 만든 규칙에 대한 이해 확대)과
    • 통합(규칙을 개인의 규범과 가치에 연결)으로 이어지고,
    • 자기 결정으로 이어진다.
  • 통합은 '확인된 규정이 자신과 완전히 동화될 때' 발생하며, 이는 자신의 다른 가치와 요구에 부합하고 평가되었을 때 발생한다.
  • 관계성, 즉 타인과 소속감과 연결성을 느끼는 필요성은 내면화internalisation에 있어 중심적으로 중요하다.
  • Humans are growth-oriented and naturally inclined to develop, internalise and integrate psychological elements to build an integrated and unified sense of the self. This natural developmental tendency can be stimulated or hampered by internal and external forces. 
  • There are three innate psychological needs that are important in facilitating growth and integration—competence, autonomy and relatedness to others.
  • Autonomy is defined as an internal perceived locus of causality; providing choice and opportunities for self-direction can allow people a greater feeling of autonomy.
  • Human motivation drives human behaviour, can be derived internally or from external pressures and is present on a scale from a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 Intrinsic motivation, which is free from external control, is linked to increased interest, excitement and confidence, which enhances performance, persistence and creativity.
  • Intrinsic motivation requires supportive conditions to sustain—namely competence and autonomy; events that promote feelings of competence can enhance intrinsic motivation.
  • There are many social contexts where our behaviour is driven by extrinsic motivation; there can be various levels of relative autonomy within extrinsic motivation, which higher levels of autonomy leading to
    • identification (sincere understanding of a rule made by others) and
    • integration (connecting rules to personal norms and values),
    • leading to self-determination. 
  • Integration occurs ‘when identified regulations are fully assimilated to the self, which means they have been evaluated and brought into congruence with one's other values and needs’.
  • Relatedness, the need to feel belongingness and connectedness with others, is centrally important to internalisation.

자율성과 발전을 고려할 때, SDT는 다음의 문제를 다룬다. 

  • 동기부여(무동기에서, 외적 동기부여, 내재적 동기부여로), 
  • 조절 스타일(외적 조절에서 내부 조절로)  
  • 인지된 인과관계 중심(외부에서 내부로)

SDT는 관련 동기, 규제 스타일 및 인지된 인과 관계 중심과 함께 비자체 결정에서 완전한 자기 결정으로 이어지는 행동 제어의 중요한 연속체를 설명한다(그림 1). 의학 교육 내에서 학습자가 하는 일의 거의 대부분이 엄격하게 내부적으로 동기 부여를 받지 않기 때문에, 이 연속체를 이해하는 것은 (슈퍼비전과 외적 동기 부여 내에서조차) 학습자 선택권의 제공이 어떻게 내부적 통제internal locus of control와 직업의 규칙 및 규범의 통합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When considering autonomy and development, SDT addresses issues of

  • motivation (from amotivation to extrinsic motivation to intrinsic motivation),
  • styles of regulation (from external to internal regulation) and
  • perceived locus of causality (from external to internal).32 

SDT describes an overarching continuum of behavioural control from non-self-determined to completely self-determined, with associated motivation, regulatory styles and perceived locus of causality (Figure 1).32 Since little of what learners do within medical education is strictly internally motivated, understanding this continuum provides insight into how provision of learner choice, even within supervision and extrinsic motivation, can lead to an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integration of the rules and norms of the profession.32 

레지던트 교육에서, 역량 프레임워크는 [역량의 형태]로 학습자에게 직업에 대한 규칙, 가치, 규범을 제공한다. 의학 교육자들은 이러한 규칙, 가치, 규범들이 훈련생의 직업적 정체성에 통합되기를 희망한다. SDT는 [역량, 관계성 및 자율성에 대한 교육생의 요구를 지원하는 것]이 어떻게 [전문직업적 행동의 통합적 조절integrated regulation 발달]을 위한 [규칙, 가치 및 규범의 내면화]를 통해 정체성 형성에 이르게 할 수 있는지를 조명한다. SDT를 의료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핵심은 자율성을 함양하고 전문성 기준을 통합 정체성으로 내실화 및 통합을 촉진하는 맥락적 요소에 대한 생각에서 비롯된다. 감독이라는 맥락 안에서 선택의 제공, 감정의 인정, 그리고 자기 지도에 대한 기회들은 모두 자율성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SDT는 감독 내 자율성의 개념화를 지지한다.

Within residency training, competency frameworks provide the rules, values and norms for the profession to learners in the form of competencies. Medical educators hope that these rules, values and norms become integrated into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the trainee. SDT illuminates how supporting a trainees’ needs for competence, relatedness and autonomy can lead to identity formation through the internalisation of these rules, values and norms to develop an integrated regulation of professional behaviour.32 The key to the application of SDT to medical education takes root in thinking about the contextual factors that foster a sense of autonomy and promote the internalisation and integration of the standards of professionalism into an integrated identity. Within the context of supervision, the provision of choice, acknowledgement of feelings and opportunities for self-direction all serve to enhance feelings of autonomy.32 In this way, SDT supports the conceptualisation of autonomy within supervision.

 

4 의료 교육에 대한 SDT의 적용 및 자율성
4 APPLICATION OF SDT AND AUTONOMY TO MEDICAL EDUCATION

SDT의 렌즈를 통해 자율성을 개념화하면 교육 개입과 감독 및 자율성에 대한 향후 연구의 길이 열린다. 자율성을 인과관계의 내적 인식의 중심지로 정의하면 자율성이 독립성, 감독 감소, 학습자에게 부여된 책임 증가라는 구조적 문제로부터 분리된다. 자율성 지원, 의료교육에서의 자율성 지원과 코칭의 관계, 향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Conceptualising autonomy through the lens of SDT provides an avenue for education interventions and future research on supervision and autonomy. Defining autonomy as an internal perceived locus of causality separates autonomy from the structural issues of independence, decreased supervision and increased responsibility granted to learners as they progress through medical education. We will discuss autonomy support,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support and coaching in medical education,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4.1 감독구조 내 자율지원
4.1 Autonomy support within supervision structures

우리는 SDT를 의료 교육 감독에 적용하기 위해 [자율성 지원]의 개념을 그립니다. [자율성 지원]은 대인관계를 지향하는 교육으로서, 교육자는 학습자에게 [선택권, 선택을 위한 정보, 제안된 행동에 대한 의미 있는 이유, 학습자의 감정에 대한 인정, 선택과 지속의 장려]를 제공한다.1 의학 교육에서 자율적 동기 부여는 통제된 동기(외압이나 보상으로 인한 동기 부여)보다 더 나은 학습 노력과 전략, 더 나은 학업 성과, 그리고 덜 소진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학습자 자율에 대한 교사 지원 등) 보건의료 분야의 자율성 지원은 자율적 동기부여를 유발하고 자율적 조절의 개발을 유도한다. 

We draw on the concept of autonomy support to apply SDT to supervision in medical education. Autonomy support is an interpersonal orientation to education where educators provide learners with choices, information to make those choices, meaningful rationales for suggested actions, acknowledgement of learners’ feelings and encouragement to choose and to persist.1 Within medical education, autonomous motivation has been associated with better learning effort and strategy, better academic performance and less exhaustion than controlled motivation (ie motivation from external pressures or rewards).34 Autonomy support in the health professions, including teacher support of learner autonomy, generates autonomous motivation and encourages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35, 36 

자율성을 [감독으로부터의 독립성] 이상으로 보는 교육자들은, 자율성을 지원하는 임상 지도와 교육을 더 잘 제공할 수 있다. 학습자에게 선택권을 주고 그 선택을 지원하는 것은 교수진과 수습생 개발 과정을 연결시켜줍니다. 이는 전공의의 PIF에게 중요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즉, 감독자가 감독 요청을 준수하면서 임상 학습 환경에서 선택과 합법적인 의사 결정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임상 환경에서 자율적 지원을 제공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예로는 다음이 포함된다.

  • 학습자의 목표와 니즈를 탐색하고,
  • 지속적인 토론에 참여하며,
  • 학습에 대한 더 큰 책임감을 장려하고,
  • 가이드를 제공하고,
  • 최적의 과제를 제시하며,
  •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고,
  • 최적의 지원을 제공하며,
  •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성장과 발전에 대한 관심과 투자를 보여준다.

Viewing autonomy as more than independence from supervision, educators can better provide autonomy-supportive clinical supervision and teaching. Giving learners choices and supporting those choices links faculty to the process of trainee development. This leads to a key question for resident PIF—how can supervisors provide opportunities for choice and legitimate decision making in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while still abiding by supervisory requirments?8, 34 Providing autonomy support in the clinical environment is multi-faceted. Examples include

  • exploring a learner's goals and needs,
  • engaging learners in ongoing discussion,
  • encouraging greater responsibility for learning,
  • providing guidance,
  • presenting optimal challenges,
  • offering effective feedback,
  • providing optimal support and
  • ultimately demonstrating interest and investment in learners growth and development.37 

이러한 자율 지원 사례는 새로운 것이 아니며, 최적의 도전과 지원을 통해 학습자 성장을 장려하는 멘토링 모델로 되돌아간다.38 슈퍼바이저가 과도한 도전을 아무런 지원 없이 제공할 경우 학습자 후퇴 또는 탈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 반면에, 감독자가 도전 없이 높은 지원을 제공할 경우, 학습자는 성장이 없는 확신만 갖게 될 수 있다.38 자율 지원을 제공하는 것은 역량, 관련성 및 자율성의 요구를 촉진하기 위해 도전과 지원을 모두 최적화하는 것을 수반한다.

These examples of autonomy support are not novel, and they hearken back to mentoring models of encouraging learner growth through providing optimal challenge and support.38 When supervisors provide high challenge with no support, this may lead to learner retreat or even burnout. On the other hand, when supervisors provide high support with no challenge, this can lead to confirmation without learner growth.38 Providing autonomy support entails optimising both challenge and support to facilitate the needs of competence, relatedness and autonomy.

슈퍼비전의 자율성 지원을 한발 더 나아가면, 자율지원이 어떻게 다른 유형의 감독에 정보를 줄 수 있는지를 가시화할 수 있다. 감독 유형에 대한 이전의 논의로 돌아가서, 전공의는 '마이크로 매니저'에서 '부재자'까지 감독 범위를 파악했다. 이 두 극단 모두 자율성을 지지하지 않는다.

  • [마이크로 매니저]는 레지던트 선택권을 제공하지 않는 반면,
  • [자리 비운 주치의]는 의학적 의사결정에 대한 선택을 서포트하지는 않으면서 독립성만을 제공한다.

Taking the application of autonomy support to supervision a step further, we can visualise how autonomy support can inform different types of supervision. Going back to our previous discussion of types of supervision, residents identified a spectrum of supervision from ‘micro-manager’ to ‘absentee’ attending.27 Neither of these extremes are autonomy-supportive.

  • The micro-manager does not provide resident choice, while
  • the absentee attending provides independence with no support for choice over medical decision making.

우리는 감독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감독 범위에 대한 [자율적 지원]의 유무 ['핸즈 온'에서 '핸즈 오프']로 오버레이할 수 있다. 이는 적절한 자율성 지원을 받는 'hands-on' 접근 방식이 코칭 관계로 이어지는 반면, 자율 지원에 대한 'hands-off' 접근 방식은 동료와의 상호작용에서 확인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그림 2). 자율성 지지적, 핸즈 온 감독의 좋은 예는

  • 학습자의 요구를 평가하고,
  • 학습자에게 적절히 첼린지하며,
  • 학습자가 의사 결정을 내리고 자신의 추론을 탐구하도록 하고,
  • 개입할 때 허락을 먼저 받고, 임상 진료를 롤 모델하는 것.

이렇게 해야만, 마이크로 매니징에서 자율성-지지적, 핸즈-온 슈퍼비전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We can overlay the presence or absence of autonomy support on this spectrum of supervision from ‘hands on’ to ‘hands off’ to augment our understanding of supervision.29 This demonstrates how a ‘hands-on’ approach with appropriate autonomy support can lead to a coaching relationship, while a ‘hands-off’ approach to autonomy support can be seen in the interaction of colleagues (Figure 2). A great example of autonomy-supportive, hands-on supervision is a faculty member who

  • assesses learners’ needs,
  • challenges learners appropriately,
  • pushes learners to make decisions and probes their reasoning, and
  • asks permission to step in and role model aspects of clinical care.39 

These strategies help to differentiate autonomy-supportive, hands-on supervision from micromanaging in the clinical training environment.

 

 

4.2 의료교육 자율지원 및 지도
4.2 Autonomy support and coaching in medical education

의학 교육 문헌에서 슈퍼비전에 대한 자율성 서포트가 적용되는 모습을 암묵적으로 볼 수 있는 한 곳은 피드백과 코칭에 대한 현재의 논의이다. SDT를 렌즈로 사용하는 것은 [시기적절하고 건설적인 피드백의 제공]이 의학 교육에서 역량의 감정을 뒷받침하는 데 매우 중요하며 자율적 지원과 연계되면 더 높은 형태의 자율 규제를 촉진할 수 있다. 학습을 위한 평가AfL 및 형성적 피드백이 CBME의 목표이지만, 평가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이 효과적인 피드백 제공을 통해 학습자 개발을 방해할 수 있는 평가와 피드백 사이에는 단절이 남아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감독자와 학습자가 피드백을 탐색하고, 목표를 설정하고, 피드백을 받고, 이를 실천에 통합하는 [피드백 협업 모델]을 지원하는 의학 교육 관련 문헌이 증가하고 있다. 

One place we implicitly see the application autonomy support to supervision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is the current discussions on feedback and coaching. Using SDT as a lens, the provision of timely and constructive feedback is crucial to supporting feelings of competence in medical education,35 and when linked to autonomy support can promote higher forms of self-regulation.36 While assessment for learning and formative feedback are goals of CBME,40 there remains a disconnect between assessment and feedback, where learner perceptions of evaluation may hinder learner development through the provision of effective feedback.41 To address these challenges, there is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in medical education supporting a collaborative model of feedback, where the supervisor-as-teacher and learner are engaged in seeking, setting goals for, receiving and integrating feedback into practice.42-47 

그러나 양질의 피드백을 구현하고 교사와 학습자를 피드백 대화에 참여시키는 것에는 중대한 과제가 남아 있다. [학습자와의 관계 형성]에 참여하고 투자하는 교수진과의 관계 발전과 참여에 대한 더 큰 관심은 피드백 대화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피드백 대화]라는 개념은 [교사와 학습자 간 양질의 형성적 피드백 대화를 촉진하기 위한 특정한 형태의 협력 관계]로서 코칭을 도입시켰다. CBME의 공식적인 부분은 아니지만, 코칭은 학습자의 역량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설득력을 얻고 있으며, 캐나다 왕립의과대학은 CanMEDS의 역할을 보완하기 위한 코칭 모델까지 개발했습니다. 
Yet, there remain significant challenges to implementing high-quality feedback and engaging teacher and learner in feedback conversations.48 Greater attention to relationship development and engagement, with faculty members who are involved and invested in building relationships with learners, hold promis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feedback conversations.47, 48 The concept of feedback conversations has led to the introduction of coaching as a specific form of collaborative relationship to promote high-quality, formative feedback conversations between teacher and learner.49-55 While not a formal part of CBME, coaching is gaining traction as a means to support developing competence in learners, and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has even developed a model of coaching to complement the CanMEDS roles.49 


https://www.royalcollege.ca/rcsite/cbd/implementation/wbas/coaching-and-cbd-e

cbd-coaching-model-handout-en.pdf
0.68MB
cbd-coaching-model-slides-en.pptx
6.25MB
work-based-assessment-practical-implications-implementation-guide-e.pdf
0.51MB
work-based-assessment-practical-implications-clinical-teachers-e.pdf
0.16MB


 

코칭에 대한 개념적 프레임워크는 임상 코치와의 작업으로부터 도출되었으며, 코칭 모델은 관계 형성을 지원하고 피드백 대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특별히 개발되었다. 의학 교육 내 코칭의 개념화를 살펴보면 SDT(표 2)에서 도출한 '자율정 지원autonomy support'과 상당 부분 겹친다. '자율성 지원'의 개념은 '교육적 파트너십'으로 의료교육에서 코칭 및 피드백 대화의 개념을 통합한다.1 역량 개발 및 통합 직업적 정체성 형성을 촉진하기 위해 CBME 내에서 코칭 통합의 타당성에 대한 논쟁이 남아있지만, SDT 개념을 코칭에 적용하면 전문적 정체성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임상 학습 환경에서 코칭에 추가적인 신빙성을 제공할 수 있다.

A conceptual framework for coaching has been derived from work with clinical coaches50 and models of coaching have been developed specifically to support relationship-building and facilitate feedback conversations.51-53 When we examine the conceptualisation of coaching within medical education, we see significant overlap with ‘autonomy support’ derived from SDT (Table 2). The conceptualisation of autonomy support as an ‘educational partnership’ unifies the concepts of coaching and feedback conversations in medical education.1 Although there remains debate about the feasibility of integrating coaching within CBME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and the formation of an integrated professional identity,54, 55 applying SDT concepts to coaching can provide additional credence to coaching in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to suppor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의사 개발로 돌아가면, 우리는 의학교육에서 자율성 지원의 역할을 '통합'을 지지하는 것으로 본다. 이 '통합'은 '동일시되었던 규제가 자신의 다른 가치 및 요구와 일치하도록 평가되고 받아들여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통합의 과정은, 자율성 지원과 합해졌을 때, 의학교육에서 말하는 명시적 목표인 PIF에 부합한다 - 즉 미래 의사라는 정체성에 전문직의 가치와 태도를 통합하는 것을 반영한다. 의학교육에서 PIF는 멘토와 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고 성찰에 의해 중재되는 사회화 과정이다.7 전공의에게 진정한 책임을 주고, 환자진료를 위한 실질적인 의사결정을 하게 만듦으로써 환자 진료에서 전공의의 자율성과 참여도를 높이고, [환자 진료를 둘러싼 책임과 오너십의 가치]를 중심으로 정체성이 형성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코칭은 의학 교육에서 전문적인 정체성 형성을 위한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합니다. 코칭 모델을 SDT 원칙과 일치시키면 교수 감독관이 학습자에 대한 자율적 지원을 제공하고 핵심 역량을 전문적 정체성 형성에 대한 전체론적 관점으로 통합하는 임상 감독 내에서 관계 형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Circling back to physician development, we see the role of autonomy support in medical education as supporting ‘integration’, which occurs when ‘identified regulations are fully assimilated to the self, which means they have been evaluated and brought into congruence with one's other values and needs’.32 This process of integration, supported by autonomy, echoes the stated goal of PIF in medical education—the incorporation of the values and attitudes of the professional into the identity of the aspiring physician.56 PIF in medical education is a socialisation process that is influenced by mentors and experiences and moderated by reflection.7 Engaging residents by providing real responsibility and supporting them to make real decisions for patient care increased residents’ autonomy and engagement in patient care, supporting identity formation around the values of responsibility and ownership for patient care.8 Coaching offers an ideal setting to foster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54 Aligning coaching models with SDT principles can inform relationship-building within clinical supervision, where faculty supervisors provide autonomy support for learners and facilitate the integration of core competencies into a holistic view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요약하자면, 독립성과 감독에 대한 전통적인 개념을 넘어, 자율성의 동기 부여와 발달적 개념화를 포함하는 것으로 자율성을 확장한다면 감독자와 훈련생 사이의 미묘한 관계를 검토할 수 있는 렌즈를 제공한다. 감독의 양quantity이 학습자 자율성에 역할을 하는 반면, 감독관은 코칭과 같은 감독 모델을 통해 교육생들에게 자율성 지원을 할 수 있고, 수련기간동안 직업의 규범과 가치를 통합할 수 있는 기회를 제시할 수 있다. 자율성 지원은 감독관이 [(독립성을 높이고 감독을 줄이는) 게이트키퍼 역할]에서 [발달 과정에서 교육생의 가이드 역할]로 바꿔준다.
In summary, expanding autonomy beyond traditional notions of independence and supervision to include a motivational and developmental conceptualisation of autonomy provides a lens to examine the nuanced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and trainee. While the quantity of supervision does play a role in learner autonomy, supervisors can provide autonomy support to trainees through models of supervision like coaching and present opportunities for integration of the norms and values of the profession throughout training. Providing autonomy support moves supervisors from the role of gatekeeper of increasing independence and decreased supervision, to the role of guide for trainees through the developmental process.

 

4.3 의학교육 연구의 자율성 및 감독
4.3 Autonomy and supervision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SDT를 사용하여 자율성을 개념화하는 것은 몇 가지 가능한 연구 질문을 제공한다.

  • 첫째, 감독자의 어떤 행동이 교육생들로 하여금 자율성을 인식하게 하는가? 이것은 단순화된 감독 개념과 자율성 사이의 연관성을 찾는 것에서 벗어나 이러한 개념의 복잡성을 탐구하는 것으로 옮겨진다.
  • 둘째, 훈련 프로그램은 임상 교육과 자율성 지원을 어떻게 통합합니까? 학습자 동기를 포함한 정서적 영역은 의학 교육 내의 커리큘럼 개발에서 종종 간과된다. 연구자들은 훈련 프로그램이 코칭과 같은 자율지원 모델을 임상훈련에 어떻게 통합할 수 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임상훈련의 구조를 계속 검토할 필요가 있다.
  • 마지막으로, 교수가 자율성 지원을 더 잘 하도록 어떻게 훈련시킬 수 있을까요? 임상 학습 환경에서 자율적 감독을 위한 교수진 개발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임상 교육 내 자율 지원의 중요성과 통합에 대한 연구는 의료 교육에서 자율 지원의 역할에 대한 광범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학습자 궤적, 전문 분야 및 기관에 걸쳐 다양한 환경에서 연구되어야 한다.

Conceptualising autonomy using SDT offers several possible research questions.

  • First, what supervisor behaviours lead to trainees’ perceptions of autonomy? This moves research away from seeking associations between simplified notions of supervision and autonomy to exploring the complexity of these concepts.
  • Second, how do training programs integrate autonomy support into clinical teaching? The affective domain, including learner motivation, is often overlooked in curriculum development within medical education.57 Researchers need to continue to examine the structure of clinical training to understand how training programmes can integrate models of autonomy support, like coaching, into clinical training.
  • Lastly, how do we train faculty to be more autonomy-supportive? More research is needed on faculty development for autonomy-supportive supervision in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Research on the importance and integration of autonomy support within clinical teaching should be studied in diverse settings, across learner trajectories and across specialties and institutions, to provide a broad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autonomy support in medical education.1

5 결론
5 CONCLUSIONS

임상 환경에서 교육생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는 자율성이 중요하다. 의사, 교육자, 연구자가 발전하는 과정에서 자율성의 역할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감독과 자율성의 관계]에 대한 생각을 [순수한 역관계]가 아니라, [학습자에게 자율성을 늘이거나 줄이는 '슈퍼비전'을 제공하는 방법을 인식]하는 것으로 확장해야 한다. 그럼으로써 배움과 성장을 위한 동기부여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Autonomy is critical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rainees in the clinical environment. To better understand the role of autonomy in the developing physician, educators and researchers need to expand their thinking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ion and autonomy, from a purely inverse relationship to one that recognises ways of providing ‘supervision’ that can give learners more or less autonomy and thereby affect their motivation to learn and grow.

SDT는 자율성을 보편적인 심리적 욕구로 분류하고 동기를 강화하고 직업의 규범과 가치를 통합된 행동 규제로 내실화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 학습자 자율성을 지원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의료교육 분야가 지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SDT는 교육자와 연구자가 피드백과 코칭 영역에서 자율지원의 역할을 이해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할 수 있어 학습자 중심의 교육 및 전문적 정체성 형성에 대한 CBME의 약속을 이행하고자 함에 따라 교육현장의 발전을 도울 수 있다. 지도자의 적절한 양과 질과 연계하여 자율적 지원을 함으로써 학습자가 전문적 정체성이 잘 발달되어 있고 상호의존적인 의술을 실천할 준비가 되어 있는 의사로 발전하는 것이 촉진될 것이다.

SDT classifies autonomy as a universal psychological need and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upporting learner autonomy to enhance motivation and facilitate the internalisation of the norms and values of the profession into an integrated regulation of behaviour. As the medical education field continues to develop, SDT can provide a framework for educators and researchers to understand the role of autonomy support in the areas of feedback and coaching, helping to move the field forward as it seeks to fulfil the promises of CBME for learner-centred educat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roviding autonomy support in connection with appropriate quantity and quality of supervision will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learners into a physician with a well-developed professional identity and ready for the interdependent practice of medicine.

 


Med Educ. 2022 Jan;56(1):56-63.

 doi: 10.1111/medu.14580. Epub 2021 Jun 20.

Autonomy and developing physicians: Reimagining supervision using self-determination theory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Mayo Clinic, Rochester, MN, USA.

2Department of Medicine and Center for Faculty Educators,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CA, USA.

3Program in Professionalism and Values, Mayo Clinic, Rochester, MN, USA.

PMID: 34091940

DOI: 10.1111/medu.14580

Abstract

In this article, we address the question, 'What is the role of autonomy in physician development?' Medical education is a developmental process, and autonomy plays a motivational role in physician development. Calls for increased supervision of residents have raised concerns that the resulting decreased autonomy might interfere with resident development, leading the author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ion and autonomy.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posits a simple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ion and autonomy. Within competency frameworks, autonomy is operationalised as independence and viewed as the end goal of training. Alternatively, there is emerging empirical literature describing autonomy and supervision as dynamic and developmental constructs and point towards mor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ion and autonomy.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presents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is dynamic relationship and the role of autonomy in physician development. Within SDT, autonomy is a fundamental psychological need, associated with motivation for learning, self-regulation and an internal locus of control. Supporting learner autonomy can afford learners the opportunity to internalise the values and norms of the profession, leading to an integrated regulation of their behaviours and actions. Conceptualising autonomy through the lens of SDT provides an avenue for education interventions and future research on supervision and autonomy. Educators can integrate supervision and autonomy support in the clinical setting, seeking to motivate learner development by balancing optimal challenge and support and integrating autonomy support with 'hands-on' approaches to supervision. SDT also provides a theoretical framework relevant to current discussions regarding feedback conversations and coaching in medical education. Lastly, conceptualising autonomy using SDT opens new avenues for investigation, exploring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ion and autonomy and developing efforts to integrate autonomy support with clinical supervision.

표상, 상호작용, 해석. 임상추론 이해하기 (Med Educ, 2022)
Representation, interaction and interpretation. Making sense of the context in clinical reasoning
Charilaos Koufidis1,2 | Katri Manninen1,3 | Juha Nieminen1 | Martin Wohlin4 | Charlotte Silén1

1 | 소개
1
|
INTRODUCTION


모든 사고는 일종의 맥락에서 일어나고, 그래서 맥락과 임상적 추론 사이의 관계를 중요한 문제로 만든다. 그러나 1-3 맥락은 의학 교육에서 악명높게 모호하고 논쟁적인 의미를 갖는다. 우리는 우리의 맥락에 너무 익숙해서 문자 그대로 우리에게 보이지 않게 된다. 맥락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제시되었다. 컨텍스트는 임상 상황의 상호작용 패턴의 상호작용, 활동의 신생 산물 또는 개인을 둘러싼 요소 등 서로 다른 요소를 '함께 엮는' 직물로 정의되기도 했다. (의료 사례 또는 물리적 환경의 임상 플롯을 구성하고, 헌신과 참여를 동원(또는 그렇지 않음)하는 것의 중요성과 같은) 맥락의 특정 측면을 강조하는 연구자도 있다.

All thinking occurs in some sort of context, rendering the relation between context and clinical reasoning a matter of significant interest. 1-3 Context, however, has a notoriously vague and contested meaning in medical education. We are so accustomed to our contexts that they literally become invisible to us.4 Various interpretations of context have been put forward.

  • Context has been defined as a fabric ‘weaving together’ the different elements of the clinical situation,2 an interplay of dynamically interacting patterns,4 an emergent product of activity or an element surrounding the individual.5
  • Others have emphasised particular aspects of context such as constituting the clinical plot of a medical case or the physical settings and its importance in mobilising (or not) commitment and engagement.6,7

맥락에 기인하는 이 의미에서의 심오한 불일치는 실망스러울 수 있지만, 놀랄 일은 아니다. 실제로, 임상 추론은 인지 심리학, 의학 인류학 또는 의학 사회학과 같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주장하는 연구 대상을 구성한다. 각 분야는 임상적 추론을 이해하기 위한 합법적인 방법인 특정 세계관을 수용하는 다양한 상충하는competing '연구 전통'을 수용하며, 타당한 연구 질문 및 방법론뿐만 아니라 사고, 가치, 이론 및 개념의 뚜렷한 습관에 의해 제한된다. 연구 전통은 (암묵적으로든 명시적으로든) 지식의 본질과 관련된 근본적인 인식론적 가정에 기초한다. 이러한 '지도 가정guiding assumption'은 무엇을 지식으로 간주할 것인지를 결정할 뿐만 아니라, 지식 창조를 위한 합법적인 방법론을 지지한다. 
This profound disaccord in the meaning ascribed to context may be frustrating, but should come as no surprise. Indeed, clinical reasoning constitutes an object of study claimed by diverse academic disciplines, such as cognitive psychology, medical anthropology or medical sociology. Each discipline accommodates various competing ‘research traditions’ each embracing a certain worldview, a legitimate way of understanding clinical reasoning, bounded by distinct habits of thinking, values, theories and concepts as well as valid research questions and methodologies.
8 These research traditions are grounded, tacitly or explicitly, on fundamental epistemological assumptions concerning the nature of knowledge and knowing. Such ‘guiding assumptions’8 not only authorise what counts as knowledge but also endorse legitimate methodologies for knowledge creation.9


[인식론적 주장]은 서로 다른 연구 전통이 어떻게 임상적 추론과 결과적으로 맥락을 개념화하는지 중요하게 결정한다. 맥락에 관한 우리의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임상적 추론의 인식론적 토대를 고려해야 한다. 이런 점에서 맥락은 고정된 실체와는 거리가 멀다. 대신, 맥락의 의미는 다양한 연구 전통의 담론 내에서 능동적으로 생산, 협상 및 정당화된다.10 맥락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은 임상적 추론이 개념화되는 방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Epistemological claims determine importantly how different research traditions conceptualise clinical reasoning and consequently context. Advancing our understanding regarding context requires then taking the epistemological underpinnings of clinical reasoning into consideration. Context, in this respect, is far from being a fixed entity. Instead, its meaning is actively produced, negotiated and legitimised within the discourses of different research traditions.
10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context necessitates understanding of how clinical reasoning is conceptualised.11

1.1 | 왜 맥락이 정말 중요한가?
1.1
|
Why does context really matter?

최근 몇 년 동안, 많은 연구자들은 맥락을 다룰 것을 요구해 왔다.  그러나 우리는 맥락이 임상적 추론에 미치는 영향(또는 그렇지 않은)을 조사하는 경험적 증거는 맥락에 기인하는 의미에 대한 참조 없이 해석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또한 맥락을 이해하는 것은 (한 상황에서 임상적 문제의 성공적인 수행이 다른 상황에서 성공적인 수행을 제대로 예측하지 못하는) 맥락 특이성이라는 널리 관찰되는 현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Eva가 언급했듯이, 맥락 특이성은 중요한 문제를 제기한다. 인지 능력(임상 추론 포함)이 정말로 고정된 성향인지 아니면 오히려 맥락에 묶인 상태인지의 역량에 대한 평가에 대한 공명적인 함의를 지니기 때문이다. 이 이슈는 분명히 많은 관심을 끌었다.  우리는 앞으로 나아가는 길이 맥락의 의미를 관점에 두는 것을 수반한다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의료 교육에서 학습 환경의 다양화가 증가하는 시대에 맥락을 조사하면 이러한 다양한 학습 맥락이 임상 추론 학습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발견할 수 있다.4
In recent years, many researchers have called for addressing context.
3,12,13 We argue, however, that empirical evidence examining the impact (or not) of context on clinical reasoning cannot be interpreted without reference to the meaning ascribed to context. Furthermore, making sense of context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widely observed phenomenon of context specificity where successful performance in a clinical problem in one situation is poorly predictive of successful performance in a different situation.14,15 As Eva remarks, context specificity raises a crucial matter with resonating implications for the assessment of competences of whether cognitive skills (including clinical reasoning) are indeed stable dispositions or rather context-bound states.14 This issue has obviously attracted much attention. 13,14,16 We argue that the path forward involves putting the meaning of context into perspective. Lastly, in an era of growing diversification of learning environments in medical education, examining context could reveal the potential implications these diverse learning contexts have on the learning of clinical reasoning.4

 

2 | 맥락의 인식론적 차원
2
|
EPISTEMOLOGICAL DIMENSIONS OF CONTEXT

임상 추론과 관련된 맥락의 세 가지 주요 인식론적 차원을 제안한다; '표상', '상호작용', '해석'이며, 이 셋은 각각 '앎의 근본적인 패턴'에 해당한다. (그림 1) 각 차원 아래에서, 우리는 임상 추론(특정 연구 전통에 해당하는)의 주요 이론을 식별한다.인식론적 주장에 따라 그림 삼각형 안에 배치한다(그림 2). 표 1과 2는 중요한 점을 요약하고 있다. 이론은 정적인 구조가 아니라 끊임없이 발전하고 수정되고 다른 방식으로 해석된다. 이 점에서, 그림 2에서 삼각형 내부의 다른 이론들의 위치는 정확한 좌표로 이해되지 않고 대략적인 근사치로 이해되어야 한다.

We suggest three main epistemological dimensions of context in relation to clinical reasoning; ‘Representation’, ‘Interaction’ and ‘Interpretation’, each of them corresponding to ‘fundamental patterns of knowing’.18 (Figure 1) Under each dimension, we identify the main theories of clinical reasoning (corresponding to particular research traditions) and position them inside the illustrated triangle, according to their epistemological claims (Figure 2). Tables 1 and 2 summarise important points. Theories are not static constructs but are constantly advanced, modified and interpreted in different ways. In this respect, the positions of different theories inside the triangle in Figure 2 should not be understood as exact coordinates but as rough approximations.

 

 

3 | 표상 차원
3
|
REPRESENTATIONAL DIMENSION


(임상추론에 관한) 지배적인 사고방식은 인지과학의 문제해결 전통에서 비롯되며 임상추론을 범주화categorization 행위로 간주한다. 의사는 질병의 두드러진 특징을 인식하며, 이는 결국 이러한 특징에 가장 잘 맞는 해당 범주의 장기 기억에서 호출을 활성화한다. 패턴 인식은 비분석적 추론의 근간이며, 의사가 '특정한 종류의 자극과 사건에 대하여 [이전 경험에서 얻은 지식]으로부터' 귀납적 추론을 할 수 있게 한다. 이는 (과거의 지식이) '미래의 유사한 자극과 사건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고 기대를 유도'하기 때문이다. 비분석적 추론은 이전에 접한 환자에서 관찰된 특징을 기반으로 새 환자에 대한 예측(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A dominant line of thought originates from the problem-solving tradition in cognitive science and considers clinical reasoning an act of categorisation. The physician recognises salient features of a disease, which, in turn, activates the recall from long-term memory of the corresponding category that best fits these features.19,20 This pattern recognition constitutes the basis of non-analytical reasoning, affording the physician to make inductive inferences from knowledge acquired ‘from previous experience with respect to a given class of stimuli and events’ which ‘gives meaning and guides anticipation with respect to similar stimuli and events in the future’.21 Non-analytical reasoning enables making a prediction (diagnosis) for a new patient based on features observed in previously encountered patients.

인지과학의 많은 연구는 [장기 기억에 과거경험을 구성할 책임이 있는 인지 구조]를 식별하는 데 집중되어 왔다. 이러한 인지 구조 또는 정신적 스키마는 특정한 방식으로 조직된 이전 경험의 정신적 표현을 구성한다. 프로토타입, 예시, 의미론적 한정자 및 질병 스크립트는 정신적 표현이 기억에서 조직되는 방법에 대한 다른 접근 방식을 나타낸다. 

Much work in cognitive science has concentrated on identifying the cognitive structures responsible for the organisation of past experience in long-term memory. Such cognitive structures, or mental schemas, constitute mental representations of previous experiences organised in particular ways. Prototypes, exemplars, semantic qualifiers and illness scripts represent different approaches to how mental representations are organised in memory.
19,20,22,23

모든 추론이 비분석적인 것은 아니다. 멘탈 스키마와는 별개로, 연구자들은 이러한 도식을 회수하고 변형시키고 저장하는 인지 과정의 존재를 가정해 왔다. 예를 들어, [가설연역적사고]에서 진단 문제는 초기 가설을 추론하거나 반박하기 위해 후속 임상 데이터 수집을 결정하는 제한된 수의 잠정 가설의 생성에 의해 초기에 해결된다. 최근 몇 년 동안 분석 경로와 비분석 경로를 모두 수용하는 [이중 프로세스 이론]이 인기를 얻고 있다. 이중 프로세스 이론은 별개의 연구 전통, 즉 범주화로서의 진단이 아닌 불확실성 조건에서의 의견 수정과 관련된 행동적 의사결정 연구로부터 비롯된다. 이 이론들은 두 가지 마음의 공존을 가정한다; 하나는 암묵적이고, 빠르고 직관적이며, 다른 하나는 분석적이고, 노력적이며, 의식적이다. [이중 프로세스]와 [지식 조직 이론] 간의 중복이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두 연구 전통 모두에서 의사가 [진단 문제에 직면할 때 분석적 전략과 비분석적 전략을 번갈아 사용한다]는 공감대가 증가하고 있다. 
Not all reasoning is non-analytical. Apart from mental schemas, researchers have postulated the existence of cognitive processes that retrieve, transform and store these schemas.
24 In Hypothetico-deductive thinking, for example, a diagnostic problem is solved by the generation initially of a limited number of tentative hypotheses that determine subsequent clinical data collection to deduce or refute these initial hypotheses. In recent years, dual-process theories embracing both analytical and non-analytical pathways have gained increasing popularity. Dual-process theories originate from a separate research tradition, namely behavioural decision-making research that is not concerned with diagnosis as categorisation, but as opinion revision under conditions of uncertainty.25,26 These theories postulate the coexistence of two minds; one tacit, rapid and intuitive, and the other analytical, effortful and conscious.27 While the overlap between dual-process and knowledge organisation theories is debated,28 there is growing consensus in both research traditions that physicians employ analytic and non-analytic strategies interchangeably when facing a diagnostic problem.15

이 두 이론 사이에는 이 글의 범위를 벗어난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이론 모두 [정신적 표상으로 재구성된 외부적이고 미리 주어진 세계의 존재]를 암묵적으로 인정하기 때문에 공통의 인식론적 토대를 공유한다. 실용주의 철학자 리처드 로티는 '저 밖에서 일어나는 일'과 '머리에서 일어나는 일' 사이의 정신세계의 이분법을 훌륭하게 표현했다.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theories that are beyond the scope of this article. Nevertheless, they share common epistemological ground as both implicitly acknowledge the existence of an external, pre-given world, reconstructed in mental representaions.
29 The pragmatist philosopher Richard Rorty wonderfully articulated this mind-world dichotomy between ‘stuff happening out there’ and mental operations ‘inside the head’:30

아는 것은 마음 밖에 있는 것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지식의 가능성과 본질을 이해하는 것은 마음이 그러한 내적 표현을 구성할 수 있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이다. 
To know is to represent accurately what is outside the mind; so to understand the possibility and nature of knowledge is to understand the way in which the mind is able to construct such [internal] representations.31



이러한 관점에서, 연구는 의사가 머리(마음) 속에 [어떻게 미리 주어진 세계를 표현하고 그러한 표현에 따라 행동하는지에 대한 본질적인 '원리']를 풀기 위해 노력한다. 이러한 원칙은 엄격하게 통제된 실험 조건에서 개별 변수를 체계적으로 조작함으로써 구현된다. 실험 방법의 근거는 맥락을 환원하고 통제하여 조사 중인 특정 정신 과정에 대한 자극으로만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인지적 연구가 맥락의 영향을 완전히 거부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불공평할 것이다. 그러나 맥락은 연구하는 정신적 과제에 대한 자극(입력)과 관련이 있는 범위 내에서만 중요한 것으로 다뤄진다. 일부에서는 '일부 맥락은 종종 [인지의] 구성요소를 평가하는 데 요구되지만, 그러한 맥락이 얼마나 복잡해야 하는지에 대한 경계는 항상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맥락은 단순해야 하고 연구 중인 인지 과제와 관련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자연주의적 환경에서 추론을 공부하는 것은 기껏해야 문제가 있다. '실제' 복잡성이라는 환원되지 않은 맥락은 '현상이 복잡할수록 통제된 조건에서 연구할 필요성이 커지고 자연적 복잡성은 더 적어진다'는 관점을 병렬적으로 강조하는 너무 광범위하고 비특이적인 자극으로 작용할 것이다.33 더욱이 그러한 (실제의) 복잡성은 작업기억력을 압도하고 학습을 손상시킬 위험이 있다. 이 환원되지 않은 형태의 맥락은 필연적으로 노이즈로 무시된다.
From this perspective, research endeavours to unravel the essential ‘principles’ of how the physician's mind represents the pre-given world and acts upon such representations. These principles are carved out by systematically manipulating individual variables under tightly controlled experimental conditions. The rationale of the experimental method is to reduce and control context so that it acts solely as a stimulus for the particular mental process under investigation. It would be unfair to claim that cognitive studies reject the impact of context entirely. Context, however, assumes significance inasmuch as it is relevant as a stimulus (input) for the mental task under investigation. As some claim ‘while some context will often be required to assess a component [of cognition], there are always bounds on how complex such a context need be’.32 Context should be kept simple and relevant to the cognitive task under study. From this point-of- view, studying reasoning in naturalistic settings is problematic at best. Unreduced context from ‘real-life’ complexity would serve as a too broad, non-specific stimulus eliciting a multitude of mental operations in parallel underlining the view that ‘the more complex a phenomenon, the greater the need to study it under controlled conditions, and the less it ought to be studied in its natural complexity’.33 Furthermore, such complexity risks overwhelming working memory and impair learning. Context in this non-reduced form is inevitably disregarded as noise.34

[인지 과학의 전통을 따르는 임상 추론 연구]는 주로 엄격하게 조작된 실험 조건에서 수행되며, 여기서 맥락은 환원되고 측정 가능한 요소로 객관화된다. 맥락이 인간의 활동 및 인식과 명확하게 경계를 지을 수 있어서, 외부 세계는 '요인화가능factorable'하고 '수량화가능quantifiable'한 특징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측정 가능한 요소들은 다양한 상황과 문화에 걸쳐 분명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간주되며, 그것들은 보편적으로 타당하다. 맥락적 요인이 의사의 진단 정확도(문제 해결을 위한 프록시) 또는 규범적 합리성 모델(의사 결정을 위한 프록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연구가 풍부하다. 정량화 가능한 요인의 예로는 시간 압박, 반복적인 업무 중단, 장애 행동을 가진 환자, 환자의 인구 통계, 의사의 경력 년수, 특정 질병에 대한 미디어 정보에 대한 최근 노출이 포함된다. 
Clinical reasoning research in line with the tradition of cognitive science is predominantly conducted under strictly manipulated experimental conditions, where context is reduced and objectified into measurable factors. Context assumes the quality of a ‘factorable’ and ‘quantifiable’ external world sharply demarcated from human activity and cognition. The measurable factors are regarded as having unambiguous meaning across different situations and cultures; they are universally valid. There is an abundance of studies investigating the impact of contextual factors on physicians’ diagnostic accuracy (proxy for problem-solving) or on prescriptive models of rationality (proxy for decision-making). Examples of quantifiable factors include time pressure,
35,36 repeated work interruptions,37 patients with disruptive behaviours,38,39 patients’ demographics, physician's years of experience,40 or recent exposure to media information about a particular disease.41

 

4 | 상호작용 차원
4
|
INTERACTIONAL DIMENSION

최근 몇 년간 다른 관점을 취하는 연구들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인지주의cognitivism의 정신-세계mind-world 이분법에 대한 강한 회의론을 공유한다. 그들은 대신 인지cognition란 [활동 안에서 자신을 드러내는 것이며, 마음과 세계의 상호작용에 달려있는 것]으로 본다. 그들은 상황성 이론Situativity Theories과 실용주의 철학자 듀이, 제임스, 미드와 심리학자인 바틀렛의 연구에서 이론적 틀을 끌어낸다. [지식]은 [(외부 세계와 뚜렷하게 구분가능한) 정신의 조직화된 인지 구조]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이런 의미에서, 지식은 활동 내에 위치해situated in activity 있기 때문에 세상과 분리될 수 없으며, 오직 마음 세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서만 현실화actualized될 수 있다. 알고 행하는 이분법을 극복하는 것은 주어진 상황의 특수성에서 지식과 인지력이 나오는 것을 수반한다. 

Recent years have seen a surge of studies that take a different perspective.2,42-44 These studies share a strong scepticism towards the mind-world dichotomy of cognitivism. They view instead cognition as manifesting itself in activity and as contingent on mind-world interaction. They draw their theoretical framework from Situativity Theories and on the work of the pragmatist philosophers Dewey, James and Mead and the psychologist Bartlett.24,30,45,46 Knowledge is not something solely residing in organised cognitive structures in a mind sharply demarcated from an external world. In this sense, it cannot be divorced from the world as it is situated in activity and can only be actualised through mind-world interaction. Overcoming the dichotomy of knowing and doing entails that knowledge and cognition emerge from the particularities of the given situation.47

이러한 인식론적 변화는 분석 단위를 [개인의 마음]에서 [마음과 환경의 관계]로 이동시키는 것이 분명한 영향을 미친다. [임상적 추론]은 '[머리 속에 저장된 어떤 것(표현 또는 도식)에서 읽어내는 것]이 아니라 [즉석에서 의미를 창조하는 활동]으로 구현된다.48 이것은 상황성 이론가들이 인지 구조의 존재를 부정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들은 이러한 인주구조를 개인과 맥락 사이의 상호작용에 위치시킨다. 환자에게 간호를 제공하는 활동을 의사의 지식과 분리해낼 수 없다. 

This epistemological shift from moving the unit of analysis from the individual mind to the relation between the mind and its environment has clear repercussions. Clinical reasoning embodies an activity of creating meaning ‘on the fly, rather than reading it back from something (representation or schematic) stored in the head’.48 This does not mean that situativity theorists deny the existence of cognitive structures. Rather they place these structures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context. The physician's knowledge is entangled in the activity of providing care for the patient.49


우리는 위치 인식, 생태 심리학 및 분산 인지뿐만 아니라 위치 학습 및 활동 이론의 개별 연구 전통을 의학 교육의 임상 추론과 관련이 있는 이론으로 식별한다. 그러나 여기서 강조해야 할 것은 그들이 이 글의 범위를 벗어난 정신 세계 상호 작용의 구조에 관한 다양한 주장과 함께 [이론의 집합체agglomeration of theories]를 구성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질성을 더 잘 설명하기 위해, 그림 2에서 여러가지 상황성 이론들을 삼각형의 '상호작용' 변을 따라 분산해두었다. 예를 들어,

  • 활동 이론과 위치 학습과 같은 '해석' 측면에 근접한 이론들은 사회 세계(마음 속의 사회)에 우선권을 부여하며, 다음 절에서 논의될 것이다.
  • 생태심리학뿐만 아니라 분산 및 위치 인식은 사회와 정신 사이의 균형 잡힌 위치를 차지하기 때문에 삼각형의 '상호작용' 측면의 중간에 놓이게 된다. 

We identify Situated Cognition,24 Ecological Psychology50 and Distributed Cognition,51 as well as the separate research tradition of Situated Learning and Activity Theory52 as theories having relevance to clincial reasoning in medical education. It should be emphasised here, however, that they make up an agglomeration of theories with varying claims regarding the structure of mind-world interaction, which is beyond the scope of this article. To better illustrate this heterogeneity, the different Situativity Theories have been dispersed accordingly along the ‘Interaction’ side of the triangle accordingly in Figure 2. Those theories placed in proximity to the ‘Interpretation’ side, such as

  • Activity Theory and Situated Learning give primacy to the social world (society in the mind), and will be discussed in the following sections.
  • Distributed and Situated Cognition as well as Ecological Psychology, discussed in this section, take a balanced position between society and mind and are therefore placed in the middle of the ‘Interaction’ side of the triangle.51

 

  • [상황화된 인지(Situated Cognition)]임상적 추론(인지)이 매 순간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나온다고 주장한다.
  • [생태심리학]에서 환경은 특정 유형의 개인 활동(이펙티비티)을 결정하지는 않지만, 특정한 가능 조건(어포던스)을 제공한다.
  • [분산인식distributed cognition]은 상호작용하는 사람과 인공물의 상호관계에서 임상적 추론이 분산되어, 시스템 자체의 속성이 되는 시스템적systemic 관점을 가정한다. 이 점에서 개개인 수준의 임상 추론은 시스템 수준에서 운영되는 임상 추론의 작은 일부에 불과하다. 
  • Situated Cognition argues that clinical reasoning (cognition) emerges from moment-by- moment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46
  • In Ecological Psychology, the environment provides certain enabling conditions (affordances) that make possible but do not determine certain types of individual activity (effectivities).53
  • Distributed Cognition assumes a systemic perspective where clinical reasoning is distributed in the interrelations of interacting people and artefacts, becoming a property of the system itself. In this respect, clinical reasoning at the individual level constitutes only a small piece of clinical reasoning operated at the system level.54

이 세 가지 이론은 분석의 초점은 다르지만, [임상추론은 특정 상황에 특정한 시스템의 다양한 요인(의사, 환자, 인공물, 물리적 환경)의 상호 의존성에 의해 결정된다는 관점]을 공유한다. 이로 인하여 비선형성이 발생하며, 모든 상황(예측 가능성)에서 임상 추론의 성과를 결정하는 데 분명한 한계를 둔다. 
While these three theories differ in their focus of analysis, what they share in common is the view that clinical reasoning is determined by the interdependency of the various factors of the system (physician, patient, artefacts, physical settings) specific to the particular situation. This affords for non-linearity and places clear limitations on determining the outcome of clinical reasoning in every situation (predictability).
34

명백히, 이와 같은 인식론적 주장은 [맥락의 의미]에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 [환경]은 그것을 수용reception하는 것이 [자동적으로 특정한 인지 작동을 촉발하는 객관적이고 측정 가능한 입력의 고정된 원천]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환경은 '대리인agent의 행동에 상호작용하고 반응한다'는 의미를 지니기에 활동으로부터 맥락이 창발emerge한다. [에이전트]와 [환경] 간의 이러한 상호관계에서 [컨텍스트]는 [행동성을 가능하게 하거나 제한하는 활동의 공동 구성자]로서 [에이전트와 동등한 기반] 위에 둔다. 다시 말해, 맥락은 ''그냥 그 곳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 수행하는 활동의 과정에서 능동적으로 생성, 유지, 집행'되는 것이다.55 이러한 각도에서, 연구자들은 임상 사례의 진단 결과가 의사의 이펙티비티가 문제해결에서 어포던스와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생태 심리학) 또는 환자-의사 상호 작용의 진단 결과를 변화시키는 상황적 요인(상황 인지)은 무엇인지 연구했다.

Invariably, such epistemological claims have significant consequences for the meaning of context. The environment is not regarded as a fixed source of objectified and measurable inputs whose reception triggers cognitive operations. Context emerges from activity in the sense that the environment ‘is instead interactive and responsive to the agent's actions’.46 This reciprocity between agent and environment places context on equal footing with the agent as a co-constructor of the activity whereby context enables or restraints this acticity.2 Context in other words ‘isn't just there, but is actively produced, maintained, and enacted in the course of the activity at hand’.55 From this angle, researchers have investigated how the diagnostic outcome of a clinical case is related to the idiosyncratic attunement of the particular affordances with the effectivities of the physician solving it (Ecological Psychology) or to the contextual factors that alter the diagnostic outcome of patient-doctor interaction (Situated Cognition).12,56,57

4.1 | 표상과 상호작용의 교차로
4.1
|
Crossroads of representation and interaction


자연주의 의사 결정(NDM)은 일상 생활에서의 의사 결정을 조사하는 뚜렷한 연구 전통이다. NDM에서 더 잘 알려진 이론적 프레임워크 중 하나는 Klein의 인식 기반 의사결정 모델(RPD)로, 불확실한 조건에서 복잡한 실제 상황을 관리하는 소방관, 군인, 중환자 간호사와 같은 전문가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기반으로 한다. RPD 모델에 따르면, 의사들은 [이전의 경험으로부터 형성된 광범위한 정신적 도식의 레퍼토리]를 이용한다. 눈앞에 닥친 상황에 맞는 스키마가 직관적으로 활성화된다. 이러한 스키마를 통해 실무자는 스키마에 인코딩된 인과 관계 패턴, 적절한 목표 및 실행 계획을 제안함으로써 상황을 이해할 수 있다. 스키마가 채택되기 전에 실행 계획의 적합성을 평가한다. 추론은 두 단계적biphasic 특성을 가지고 있다: 초기에는 관련성있는 스키마를 직관적으로 '숙련된 인식'을 하고, 그 다음에 의도적인deliberate 평가 행동이 뒤따른다.
Naturalistic decision-making (NDM)
, is a distinct research tradition examining decision-making everyday practice settings.
58,59 One of the better known theoretical frameworks in NDM is Klein's recognition-primed decision model (RPD),60 based on empirical work on experts such as firefighters, military personnel and intensive care nurses managing complex real-life situations under conditions of uncertainty. According to the RPD model, practitioners draw on a wide repertoire of mental schemas formed from previous experience. Schemas fitting the situation at hand are intuitively activated. Such schemas enable practitioners to make sense of the situation, by suggesting patterns of causal relations, appropriate goals and action plans encoded in the schema itself. The suitability of the action plan is assessed before the schema is adopted. Reasoning has a biphasic character: an initial intuitive ‘skilled recognition’ of the appropriate schema followed by a deliberate act of assessment.


NDM은 두 인식론적 차원 사이의 교차로에 있다.

  • [외부세계의 경험이 지식구조(정신체계)에 통합된다는 것]을 주창함으로써 [마음-세계의 이분법을 인정하고, 앎에 대한 표상적 관점represenational view]을 수용한다. 이에 따라, NDM은 일반화될 수 있는 인지적 규칙과 원칙을 만들어내기 위해carve out 노력한다.
  • 반면, 실험심리학과는 구별되는 점은 [행동의 역할role of action을 강조함으로써, 맥락이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인정한다]는 것이다. 인식은 인식이 발생하는 환경과 분리될 수 없다. 60 

NDM lies at the crossroads between two epistemological dimensions.

  • It acknowledges the mind-world divide and embraces a representational view of knowing by advocating that the experience of an external world becomes consolidated in knowledge structures (mental schemas). Likewise, it strives to carve out generalisable cognitive rules and principles.
  • On the other hand, it distinguishes itself from experimental psychology in the sense that it recognises the pervasive impact of context on cognition by emphasising the role of action. Cognition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environment inside which it occurs.60

전문가들은 잘 정의되지 않는 복잡한 문제에 직면하게 되는데, 이 때 시간은 제한되어있고, 정보는 불완전하다. 따라서 목표는 종종 상충하거나 변화하며, 깔끔하게 떨어지는 명확한 해결책은 없다. 61 전문가가 해결해야 하는 문제는 본질적으로 복잡하고, 변덕스럽고, 역동적인 불확실성의 조건에서 작동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임상추론은 [특정 맥락에서 최선의 정당화된 조치를 취하는 것]이 된다.64 실험적으로 통제된 환경에서 그러한 인지 프로세스를 연구하면 이러한 자연적 복잡성이 인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등록할 수 있는 기회가 박탈된다.

Experts face ill-defined complex problems, under time constraints, with only incomplete information, thus burdening them with often competing or shifting goals and no clear-cut solutions.61 They operate, under conditions of uncertainty that are inherently complex, volatile and dynamic.62,63 Clinical reasoning in this respect involves taking the best justified action in a specific context.64 Studying such cognitive processes in experimentally controlled settings deprives the opportunity to register how this natural complexity impinges on cognition.

[인지 과학과 NDM의 차이]는 실험실의 생태학적 타당성에 대한 단순한 방법론적 논쟁을 넘어선다. 그것은 맥락의 중요성과 관련된 두 가지 뚜렷한 연구 전통 사이의 깊은 불화를 강조한다. NDM 연구에서, [더 높은 인지 기능을 실행으로 옮기도록 만들어주는 것]은 [완전한 복잡성을 담은 진정한 세계]이다. 잘못 정의되고 복잡한 실제 상황으로 구현된 맥락은 상황 인식, 계획, 문제 감지, 불확실성 관리와 같은 '거시적 인지적 프로세스'의 출현을 가능하게 한다. [맥락은 인지를 유도한다]라는 말은, 인지가 실험실에서 고립되어 연구될 수 없음을 암시한다. 환원론적 실험 기법에서는 [맥락을 관리 가능한 입력 단위로 분해]하고, 이러한 ['맥락에 따른 인지적 시스템'을 실제의 삶에 가져오는 바로 그 현상을 제거]한다. 이러한 이유로 NDM은 삼각형의 왼쪽 아래 각도에 배치됩니다(그림 2). NDM은 수술 중 의사 결정, 복강경, 응급의학, 중요 치료와 같은 다양한 의료 관련 맥락에서 전문가의 의사 결정 연구에 적용되어 왔다. 
This difference between cognitive science and NDM lies beyond a mere methodological dispute on the ecological validity of laboratory experiments.
63 It highlights a deeper rift between two distinct research traditions that concerns the importance of context. In NDM research, it is the authentic world in its full complexity that puts higher cognitive functions into action. Context, embodied by the ill-defined, complex real-life situations, enables the emergence of ‘macro-cognitive processes’, such as situation awareness, planning, problem detection, and uncertainty management.65,66 Context drives cognition implying that cognition cannot be studied in isolation in the experimental laboratory. Reductionistic experimental techniques break down context in manageable input units, and eliminate the very phenomenon that actually brings these ‘cognitive systems in context’ to life.67 For this reason, NDM is positioned at the lower left angle of the triangle (Figure 2). NDM has been applied in the study of experts’ decision-making in various healthcare-related contexts, such as intra-operative decision-making, 68 laparoscopy,69 emergency medicine,70,71 and critical care.72,73

5 | 해석적 차원
5
|
INTERPRETATIONAL DIMENSION

의학사회학, 의학인류학, 인문학의 렌즈를 통한 임상추론의 학술활동은 다른 길을 걷는다. 임상적 추론은 문화에 내재되어, 언어를 통해 존재하는, 해석적 사회적 행위로 간주된다. [언어]는 정보(내용)를 전달하는 중립적인 언어 매체로 간주될 뿐만 아니라, 의사가 어떻게 추론하는지에 대한 연구의 중심 역할을 담당한다. 언어에 의해 전달되는 의미는 사회적, 문화적으로 위치하며 특정한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 의존한다. 그러나 언어 또한 사회적 행위이다. '허가된sanctioned 대화법을 배우는 것'은 전문직 사회로의 진입을 정당화합니다. 의사처럼 생각하는 법을 배우는 것은 의사처럼 말하는 법을 배우는 것을 수반한다. 언어와 사상은 분리할 수 없다. 이러한 의미에서 언어는 위치하는 동시에 위치하는 언어입니다. 그것은 그것이 봉사하는 문화 공동체를 반영하고 건설한다. 이러한 사고, 언어 및 문화의 근본적인 얽힘은 임상적 추론과 맥락에 가시적인 영향을 미친다. 단순히 [말하는 것(내용)]이 아니라 [어떻게 말하는지]가 중요해진다. 
The scholarship of clinical reasoning through the lens of sociology of medicine, anthropology of medicine and the humanities follows a different path. Clinical reasoning is regarded as an interpretative social practice, embedded in culture and coming into existence through language.74 Language is not merely considered a neutral linguistic medium conveying information (content) but assumes a central role in the study of how physicians reason. Meaning imparted by language is socially and culturally situated and dependent on the particular social and cultural contexts.75 Language, however, is also a social act. ‘Learning sanctioned ways of talking’ legitimise entry into a professional community.76 Learning to think like a physician entails learning to talk like a physician. Language and thought are inextricable.77 Language in this sense is both situated and situating. It both reflects and constructs the cultural community it serves.78 This fundamental entanglement of thought, language and culture has tangible implications for clinical reasoning and context. It is not simply what is said (the content) but how it is said that becomes important.79,80

특히 주의를 기울이는 언어의 두 가지 형태는 [수사학]과 [내러티브]이다. [수사학]은 언어적, 서면적 의사소통의 설득력에 초점을 맞춘다. [상황, 청중, 커뮤니케이션 목적]과 같은 커뮤니케이션의 맥락적 요소가 가장 중요하다. 예를 들어, 연구원들은 어떻게 의대생들이 발표를 할 때 (신뢰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서) 특정한 수사적 전략을 암묵적으로 익히는지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수사적 전략을 숙달하는 것은 의료계에 대한 정당한 접근을 허용하는 직업적 정체성을 개발하는 데 필수적인 측면이 된다. 중요한 것은 수사적 행위는 어떤 추론 전략이 더 신뢰할 수 있는지에 대한 암묵적인 가정을 반영한다는 것이다. 학생들은 의료계에 교화되는indoctrination 동안 이러한 전략을 내면화한다. 실제로, 실무자들이 그들의 강연을 '청중, 맥락, 목적에 부합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그들의 서술은 과학계에서 정당성을 갖는 합리성의 가정을 구체화하는 특정한 추론 방법을 암묵적으로 선호하게 된다. 링가드의 표현을 조금 바꿔본다면, 가설연역적 추론과 같은 추론 전략들은, 허가된 사고와 대화 방식을 의미한다.76

Two forms of language of particular attention are rhetoric and narrative.81 Rhetoric concentrates on the persuasive nature of verbal and written communication. Contextual elements of communication such as the occasion, audience and purpose of the communication assume primary importance.82 Researchers for example have demonstrated how medical students tacitly learn to master specific rhetorical strategies in case presentations as a means of achieving credibility.78 Mastering such rhetoric strategies becomes an integral aspect of developing a professional identity allowing legitimate access to the medical community. Importantly, rhetoric acts reflect tacit assumptions concerning which reasoning strategies are more credible. Students internalise these strategies during their indoctrination into the medical profession.83 Indeed, as practitioners ‘construct’ their talk ‘to match the audience, context and purpose’84 their narratives come to implicitly favour particular ways of reasoning, which embody assumptions of rationality, that have legitimacy in the scientific community.84-87 Reasoning strategies such as hypothetico-deductive reasoning signify, to paraphrase Lingard, sanctioned ways of thinking and talking.76

내러티브 추론은 브루너가 가설연역적 추론과 신중하게 구별하는 것으로서, 내러티브의 구성과 해석을 포함하는 근본적인 사고 방식을 나타낸다. 의료행위는 환자에 대해 이야기하거나(내러티브 구성) 환자와 대화하는(내러티브 해석) 내러티브로 넘쳐난다. 내러티브 지식narrative knowing은 환자의 질병 경험을 의미 있는 플롯meaningful plot으로 통합하는 서술의 회고적 구성을 구현하는데, 이 플롯에서 [사건, 믿음, 동기 및 행동]은 [경험을 그럴듯하고 이해할 수 있게 만드는] [시간적이고 의미 있는 (인과causal) 관계]로 배치된다. [플롯]은 개별 사건을 이해할 수 있게 만들고, 인간 기관이 이해될 수 있는 배경을 제공한다. 많은 저자들이 임상 실무에서 서술적 추론과 특히 실무자의 서술이 특정 추론 전략을 강조하는 방법을 조사했다. 
Narrative reasoning which Bruner carefully distinguishes from hypothetico-deductive reasoning denotes a fundamental way of thinking involving the construction and interpretation of narratives.
75 Medical practice is awash in narratives of talking about patients (narrative construction) or talking with patients (narrative interpretation).87 Narrative knowing embodies a retrospective construction of a narrative integrating the patient's illness experience into a meaningful plot where events, beliefs, motives and actions are placed in a temporal and meaningful (causal) relation that render the experience plausible and comprehensible to the practitioner.85 It is the plot that makes the individual events comprehensible88 and provides the background against which human agency can be understood. A number of authors have investigated narrative reasoning in clinical practice and how, in particular, the practitioners’ narratives emphasise particular reasoning strategies.86,87,89

이러한 인식론적 차원에 기반을 둔 맥락은 경험의 세계를 표현하거나, 샌드버그와 츠카스가 언급한 것처럼, '실천자들이 특정한 방식으로 이미 중요한 사물, 사람, 행동 및 선택지에 몰두하는 의미 있는 전체성'을 표현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임상적 추론]은 (그러한 축적deposition이 존재하는 세계를 고려하지 않은 채로) 인지적 성향에만 초점을 맞추어서는 설명할 수 없다.

Context grounded in this epistemological dimension, expresses the world of experience or, as Sandberg and Tsoukas remark, ‘the meaningful totality into which practitioners are immersed […] in which things, people, actions and options already matter in specific ways’.90 Clinical reasoning in this sense cannot be accounted for solely by focusing on intrapsychic (cognitive) dispositions without taking account of the world in which such depositions exist.75

이 시점에서 두 가지 설명을 해야 한다. 첫째, 다른 연구 전통이 임상적 추론에서 해석의 가치를 무시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불공평할 것이다. 이전 절에서 자세히 설명한 대부분의 이론들은 [상황적 자극에 대해 개인이 의미를 부여하는 방식의 중요성]을 인정한다. 인지과학 담론에서 이러한 우려는 [자신의 주관적 이해에 비춘 정보의 해석]을 강조하는 [해석construal]이라는 개념에 반영되어 있다. 이 개념은 '지능은 스스로 조직하여 세상을 정리한다'는 피아제의 명언에 그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는 정신은 앎의 범주를 제공하는 반면, 경험은 콘텐츠를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지 구조는 미래에 유사한 자극을 경험하고 예상하는 데 의미를 부여한다. 그러나, 이 절에 내포된 해석interpretation의 의미는 분류의 행위로서 임상 추론의 이러한 대표적 기반representational ground를 벗어난 것이며, 그보다는 [임상 추론]을 [환자의 질병 경험을 이해하는 상호 주관적이고 사회적인 관행을 구현하는 현상학적-해석적 인식론]으로 채택한다.

Two clarifications should be made at this point. First, it would be unfair to claim that other research traditions dismiss the value of interpretation in clinical reasoning. The majority of theories elaborated in previous sections do indeed acknowledge some significance to how individuals give meaning to contextual stimuli of the situation.21,32,91 This concern in cognitive science discourse is reflected in the concept of construal, which signifies the interpretation of information in light of one's own subjective understandings.92 It has its roots in Piaget's famous words that ‘intelligence organizes the world by organizing itself’ signifying that the mind provides the categories of knowing while experience provides the content.93 Cognitive structures give meaning to experience and guide anticipation of similar stimuli in the future.21 The meaning of interpretation implied in this section, however, departs from this representational ground of clinical reasoning as an act of categorisation and adopts a phenomenological-hermeneutical epistemology where clinical reasoning embodies the intersubjective, social practice of making sense of the patient's illness experience.


다른 점은 [해석적interpretative 차원]과 [대화형 인식론적interactive epistemological 차원]을 구별하는 결정에 관한 것이다. '사회 세계의 참여'로 보이는 [해석interpretation]은 이 세계와 상호작용하는 요소도 전제하지 않는가? 네, 그렇습니다. 그러나 이전 섹션에서 논의한 [상호작용interaction]의 의미는 연결주의적connectionist 측면을 강조한다. 여기서 임상적 추론은 [인식과 환경의 요소(상황 인지 및 생태 심리학)의 상호작용] 또는 [에이전트와 인공물의 네트워크를 통한 인지 작동의 분포(분산 인지)]에 의해 결정되는 창발적 상태이다. 대조적으로, 이러한 관점의 임상적 추론은 사회 세계에 대한 참여와 참여engagement and participation를 강조한다. 이러한 참여적 함축은 앞서 설명한 연결주의(상호작용) 차원과 구별된다.
The other point concerns the decision to discriminate the interpretative from the interactive epistemological dimension. Does not interpretation, seen as participation in a social world, presuppose an interactive element with this world as well? Indeed, it does. However, the meaning of interaction discussed in the previous section emphasises a connectionist aspect, whereby clinical reasoning is an emergent state determined by the interaction of cognition with elements in the environment (Situated Cognition and Ecological Psychology) or by the distribution of cognitive operations over a network of agents and artefacts (Distributed Cognition). On the contrary, clinical reasoning in this view emphasises engagement and participation in a social world. This participatory connotation distinguishes it from the connectionist (interactive) dimension described previously.

 

5.1 | 상호작용과 해석의 교차로
5.1
|
Crossroads of interaction and interpretation

[해석]과 [상호작용]의 교차점에 두 가지 관련 이론이 있다. 학습 및 활동 이론의 위치. 이러한 이론들은 비고츠키, 루리아, 레온티예프의 업적에서 비롯되고 라베, 콜, 엥게스트룀에 의해 발전된 역사문화심리학에서 그 경로를 가지고 있다. 두 이론 [의미와 상호작용 모두]에 특별히 중점을 둔다. 학습 이론이 되는 위치 학습은 임상 추론 학습과 관련하여 나중에 논의될 것입니다.
Two relevant theories lie at the intersection between interpretation and interaction:
Situated Learning and Activity Theory. These theories have their routes in historical-cultural psychology originating from the works of Vygotsky, Luria and Leontief and further developed by Lave,94 Cole95 and Engeström.52 Both theories place particular emphasis on both meaning and interaction. Situated Learning, being primary a learning theory, will be discussed later in relation to learning of clinical reasoning.

[활동 이론]은 인지라는 것을 [인지가 embedded된 더 넓은 활동 체계를 고려하지 않고는 이해할 수 없는 목표 지향적인 행동]으로 간주한다. 활동 시스템은 개인의 목표(목표)를 달성하는 동시에 문화적, 사회적, 조직적 규범(규칙, 공동체, 노동분담)에 의해 정보를 제공받는 개인(대상)과 도구(예술)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호 연결된 시스템 요소들은 서로 충돌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것이 활동 시스템의 불안정성과 변동성을 강조하게 된다. 목표, 계획, 행동은 대상의 마음속에 고립되어 존재하지 않는다. Engeström이 언급했듯이, '"상황"이라는 개념만으로는 임상 인지의 맥락 분석 단위로서 불충분하다'. 그는 대신 임상적 인식을 '더 넓은 제도적 문화와 발전과 변화의 장기적 역사적 궤적'에 내재된 것으로 본다.
Activity Theory regards cognition as goal-oriented action that cannot be understood without considering the broader activity system in which it is embedded. An activity system includes individuals (subjects) and tools (artefacts) to achieve the individual's goals (objects) while simultaneously being informed by cultural, social and organisational norms (rules, community, division of labour). These interconnected systemic elements have the potential to conflict with each other underlining the instability and volatility of activity systems.96 Goals, plans and actions do not exist in isolation in the subject's mind; they are embedded in a system of relations within a sociocultural context from which they derive their meaning.94 As Engeström remarks, ‘the notion of situation is alone insufficient as a unit of contextual analysis of clinical cognition’.52 He sees clinical cognition instead as being embedded in ‘broader institutional cultures and long-term historical trajectories of development and change’.

[행동을 통해 발현되는 인식]은 그것이 발생하는 시스템에서 의미를 도출하고(해석적 차원), 활동 시스템의 요소에 걸쳐 분포한다(상호작용 차원). 임상적 추론은 광범위한 역사-문화 시스템에서 분산된 활동이 된다. 활동 체계에서 일어나는 것은 맥락이며, 열거할 수 없는 외부 요인들로 환원될 수 없지만, 시스템의 활동 제정enactment을 통해 구성된다. 활동 이론이 제공하는 강력한 이론적 프레임워크에도 불구하고 의학 교육에서 경험적 연구의 놀라운 희소성이 있다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97

Cognition manifested through action derives its meaning from the system in which it occurs (interpretative dimension) and is distributed across the elements of the activity system (interactional dimension). Clinical reasoning becomes a distributed activity in wider historical-cultural systems.97 What takes place in the activity system itself is the context, irreducible to enumerable external factors but yet constituted through the enactment of the activity in the system.42 It is worth noting that despite the robust theoretical framework provided by Activity Theory there is a surprising scarcity of empirical studies in medical education.97

6 | 맥락 특이성에 대한 성찰
6
|
REFLECTIONS ON CONTEXT SPECIFICITY

맥락 특이성의 까다로운 문제는 만족스럽고 널리 받아들여지는 설명 없이 오늘날에도 남아 있다. 그러나 맥락의 특수성이 애초에 문제로 여겨져야만 하는가? 연구자들이 보편적인 문제 해결 전략의 존재에 대해 상정하던 시기에, 이 문제(맥락 특이성)를 인식하게 된 것은 엘스타인의 선구적인 연구였다. 엘스타인의 연구는 의사들이 임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설연역적 추론 방법을 사용했다는 것을 입증했다. 그러나 그 방법은 너무 일반적이고 구체적이지 않았다. 전문성 수준에 상관없이 모두가 똑같은 일을 하고 있었다. 더 중요한 것은, 그것이 더 나은 진단 정확도와 상관관계가 없다는 것이다. 한 경우의 성공이 다음 경우의 성공을 예측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The thorny issue of context specificity remains even today without a satisfying and broadly accepted explanation.
13,98 But should context specificity be regarded as a problem in the first place? At a time when researchers were postulating on the existence of universal problem-solving strategies, it was Elstein's pioneering work that brought the problem into awareness.99 Elstein's work demonstrated that physicians employed the hypothetico-deductive method to solve clinical problems. The method, however, was all too general and non-specific. Everybody was doing the same thing irrespective of level of expertise.20 More importantly, it did not correlate with better diagnostic accuracy.100 Success at one case was a poor predictor for success in the next.


이 발견을 해석하려고 시도하면서, 그는 효과적인 문제 해결은 '사용된 계획 및 문제 해결 휴리스틱의 차이보다' '장기 기억으로 정리된 [의사] 경험의 레퍼토리에서 발견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는 현상을 [내용 특이성]이라 명명하였다. 이 생각은 [마음속에 있는 지식의 조직]에 대한 연구를 자극하기에 충분히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올바른 진단을 찾아내는 것은 [내용 지식], 즉 [기억 속의 정신적 표상으로 조직된 이전 경험의 지식 구성]의 문제가 되었다. 그러나 곧 진단 정확성을 위해 [컨텐츠에 대한 숙달]은 필요했지만, 이러한 case-to-case 수행능력 변화를 설명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예를 들어, 증거는 임상 사례의 제시를 약간 수정하거나 심지어 다른 경우에 정확히 같은 사례를 제시하는 것이 진단 정확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제안했다. 특정 사례에서 [콘텐츠가 '프레임'된 방식]은 의사가 사례에 대응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Attempting to interpret this finding, he labelled the phenomenon content-specificity suggesting that effective problem-solving was ‘to be found in the repertory of their [physicians’] experiences, organized in long-term memory’ rather ‘than in differences in the planning and problem-solving heuristics employed’.99 This idea proved influential enough to stimulate research on the organisation of knowledge in the mind.101-104 Finding the correct diagnosis became an issue of organisation of content knowledge, in essence knowledge from previous experience organised as mental representations in memory.19,26,100,105,106 However, it soon became evident that while mastery of the content was necessary for diagnostic accuracy, it was not sufficient to explain this case-to- case variation in performance.16,98,106 For example, evidence suggested that slightly modifying the presentation of a clinical case or even presenting exactly the same case on a different occasion affects diagnostic accuracy. 16,107 The way content was ‘framed’ in a particular case affected how physicians responded to the case.108

한 가지 설명은, [내용 지식의 평가]의 방법론적 결함을 지적한다. [서로 다른 사례case에 걸친 성과 변동variance의 원인]이 주로 사례 내에서 클러스터링된 내용 지식 때문이 아니라, 각 사례 내에서 평가된 항목이 너무 적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인지과학의 대표적representational 세계관의 렌즈를 통해 볼 때, 그 문제는 충분히 혼란스러우면서도, 정말로 정당해 보인다. 그러나 다른 두 가지는 무시한 채 [맥락의 표현적 차원]을 고려하는 문맥에 대한 이러한 편협한constraining 시각이 잘못된 방향으로 나가는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갖게 한다. Engeström이 언급했듯이, '엘슈타인과 그의 동료들은 문제 특수성을 보다 맥락적이고 포괄적인 틀에서 문제 자체를 이해하기 위한 도전challenge이라기보다는 개별 실무자의 지식의 문제로 해석한다.'

One suggersted explanation implicated methodological flaws in the assessment of content knowledge suggesting that the cause of variance in performance across different cases was not primarily due to content knowledge clustered within cases but instead due to too few items assessed within each case.16 Seen through the lens of the representational worldview of cognitive science, the problem seems puzzling enough and indeed legitimate. It is tempting to wonder, however, if this rather constraining view of context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representational dimension of context while ignoring the other two, might be a step in the wrong direction. As Engeström remarks, ‘Elstein and his colleagues themselves interpret problem specificity as an issue of the individual practitioner's knowledge rather than as a challenge to understand the problems themselves in a more contextual and comprehensive framework’.52


또 다른 설명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몇 가지 잠재적인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어떤 전략을 선택할지를 결정하는 것은 맥락이라는 것이다. 문제에 대한 낮은 상관관계는 이론적으로 문제 해결 전략의 다른 선택(분석 대 비분석)을 반영할 수 있다.  엘스타인 자신은 자신의 초기 연구를 회고적으로 성찰하면서 '실험 설정이 의사들이 특정한 방식으로 반응하도록 편향시켰을 가능성'에 주목했다. 내용 외에도 [상황적 요인의 영향]이 있다는 인식이 점차 높아지는 것을 반영하기 위해, 그 현상은 현재 [상황 특이성]으로 널리 재명명relabelled되고 있다. 이 방향의 연구는 환자-의사의 만남에서 [맥락적 요인]이 임상적 추론을 어떻게 방해하거나 용이하게 하고 진단 결과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조사한다. 그러한 견해는 현상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부인할 수 없을 정도로 진전시킨다. 그들은 [내용]에서 [맥락]으로, 또는 이 논문에서 사용한 인식론적 프레임워크의 언어로 표현하자면, [표현적 차원]에서 [상호작용적 차원]으로 논의를 이동시킨다.

Another explanation put forward is that there may be several potential ways to solve a problem and it is the context that determines the strategy chosen. Low correlation across problems could theoretically reflect a different choice of problem-solving strategy (analytical vs. non-analytical). 15,106,109 Elstein himself reflecting retrospectively on his earlier work, noted the possibility that ‘the experimental setting biased the physicians to respond in a particular way’.100 To reflect this growing recognition of the impact of contextual factors other than content, the phenomenon is now widely relabelled as context specificity.43 Research in this direction investigates how contextual factors in patient-doctor encounters impede or facilitate clinical reasoning,43 and alter the diagnostic outcome.12,56,57 Such views undeniably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on. They shift the discussion from content to context, or in the language of our epistemological framework, from the representational to the interactional dimension.

[맥락 특이성]은 임상 상황의 특이적 요소에 대한 강력한 지표이다.

  • [상호작용적 인식론]의 관점에서, 임상적 추론은 지식 조직이나 문제 해결의 고정된 원칙에 의해 지배되는 안정적인 성향이나 기술을 나타내기보다, 대신 특정한 임상 만남에서 일어나는 특이적 상호작용에 의존하는 상태, 즉 위치된situated 활동을 나타낸다. 지식은 활동과 얽히게 되고, [맥락 특이성]은 이 유대를 강하게 예시한다.
  • [해석적 인식론]의 관점에서, 임상적 추론은 의사와 환자의 상호주관성에 의해 추진되는 해석적 행위이다. 의사가 '지식이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상황에서' 최선의 행동 방침을 결정할 수 있도록, [환자의 질병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는 활동enterprise]이다. 의사가 마주치는 각각의 상황은 실로 특이적specific이고 맥락에 내재되어embedded 있다. 듀이의 말을 인용하면, '우리는 맥락의 역할을 명시적으로 인식하지 못한다. 우리의 모든 발언utterance은 맥락으로 포화되어 있어서, 우리가 무엇을 말하고 들을지의 의미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더 깊이 생각해 보면, 맥락 특이성이 존재한다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 오히려 그렇지 않다면 그것이 역설일 것이다.

Context specificity is a powerful indicator of the idiosyncratic elements of the clinical situation.

● In the light of an interactional epistemology, clinical reasoning does not denote a stable disposition, or skill, governed by fixed principles of knowledge organisation or problem-solving but instead a situated activity, a state contingent to the idiosyncratic interactions taking place in the specific clinical encounter.13,14,34 Knowledge becomes entangled with activity, and context specificity strongly exemplifies this bond.49

● In the light of an interpretative epistemology, clinical reasoning is an interpretative act driven by the intersubjectivity of physician-patient encounter. It is an enterprise assigning meaning to the patient's illness experience that enables physicians to determine the best course of action ‘when knowledge depends on the circumstance’.110 Each situation the physician encounters is specific and embedded in context. Quoting Dewey, ‘we are not explicitly aware of the role of context just because our every utterance is so saturated with it that it forms the significance of what we say and hear’.4 On deeper thought, it should hardly be surprising that context specificity exists. It would actually be a paradox if it did not.


누군가는 왜 엘스타인의 날카로운 관찰이 반세기 전처럼 오늘날에도 여전히 관련이 있는지 궁금해 할 것이다. 그럴듯한 대답은 그들이 제기하는 문제들이 과학의 경계를 초월하여 임상 추론의 인식론의 영역으로 나아간다는 것이다. 우리는 특정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제시된 증거들 중 일부를 간략히 제시했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확신은 아마도 그 현상에 대한 진정한 설명은 없을 것이라는 것이다. 우리는 분명히 어떤 것이 진행된다는 것을 암시하려는 것은 아니다. 아직 멀었지요 단지 옳고 그름의 개념은 기준점에 의해 결정되어야만 할 뿐이다. 실용적인 언어와 브루너를 바꾸어 말하면, 사람들은 '만약 내가 어떤 인식론적 주장을 믿는다면, 나는 임상적 추론을 거기에 맞게 전념하고 있는가?' 75 기억 속의 지식의 구성, 상황적 상호작용으로 인한 비상 활동, 또는 의미에 대한 상호 주관적 해석 등, 임상적 추론에 대한 각 인식론적 주장은 상황 간 좋지 않은 상관관계에 대한 엘스타인의 관찰과 씨름하고 맥락이 어떻게 처리되는지를 결정한다.

One might wonder why Elstein's sharp observations are still today as relevant as they were half a century ago. A plausible answer would be that the issues they raise transcend the borders of science towards the realm of epistemology of clinical reasoning. We have briefly presented some of the evidence put forward in support of particular claims. However, our conviction is that there is probably not one true explanation of the phenomenon. We surely do not mean to imply that anything goes. Far from it. It is just that the notions of right or wrong should be determined by the points of reference. In a pragmatic language and to paraphrase Bruner, one should wonder ‘what epistemological claims of clinical reasoning am I committing myself to if I believed that?’ 75 Be it organisation of knowledge in memory, emergent activity from the situational interaction, or intersubjective interpretation of meaning, each epistemological claim about clinical reasoning determines how context is treated and grapples with Elstein's observation of poor correlation between situations.

7 | 학습에 대한 시사점
7
|
IMPLICATIONS FOR LEARNING

모든 학습 이론은 지식에 대한 가정과 앎의 본질에 대한 가정에 기초한다. 이는 맥락과 관련된 임상 추론의 인식론적 인식은 다른 사람이 다른 사람의 생각에 대해 어떻게 생각했는지에 대한 이론적 연습이 수반될 뿐만 아니라 임상 추론의 학습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All learning theories rest on assumptions of knowledge and the nature of knowing.
94 This implies that the epistemological awareness of clinical reasoning in relation to context entails not only a theoretical exercise of thinking about what others thought about others thinking but also carri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learning of clinical reasoning.

7.1 | 인지 지식 및 기술 구성
7.1
|
Constructing cognitive knowledge and skills

표상적 이론은 무엇을 배워야 하는지(내용)와 어떻게 배워야 하는지(실습)를 명확히 구분한다. 그러한 접근법은 임상 추론 기술을 숙달하기 위해 학습자가 [정신적 표현]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교수 방법을 신중하게 고려한다. 맥락은 훈련하고자 하는 특정한 정신 전략mental strategies을 자극하는 통제된 입력으로 축소된다. 강의실에서 임상 추론을 가르치는 선호하는 방법은 다양한 교육 형식(즉, 종이와 비디오)의 의료 사례에 의존한다. 일부 대학은 이를 위해 임상추론과정을 개설하기도 한다. 
Representational theories mak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what should be learned (content) and how it should be learned (practice). Such approaches take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instructional methods that facilitate the learner in developing mental representations to master the skill of clinical reasoning.24 Context is reduced to controlled inputs that stimulate the particular mental strategies one wishes to train. The preferred way to teach clinical reasoning in the classroom relies on medical cases in various instructional formats (ie paper and video). Some universities even offer clinical reasoning courses for this purpose.111

진단역량을 촉진하는 대표적인 교육방법은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나뉜다.

  • 학습자가 '구조화된 성찰', '표상의 스캐폴드' 또는 '스키마 기반 교육'의 구현과 같은 자신의 [지식 구조를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육 방법
  • 다양한 추론 전략을 고려하도록 명시적으로 가르치거나, '대조적contrastive 학습'과 같은 학습자의 추론 과정을 훈련하는 방법. 

임상환경과 같은 실생활 맥락에서의 교육은 [신중하게 선택한 의료 사례]와 [학생이 공부한 내용을 적용할 수 있는 통제된 상황]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구조화되지 않으면 학생의 작업기억력을 압도할 위험이 있고 학습에 지장을 줄 수 있다.

Representative examples of instructive methods promoting diagnostic competence fall in two main directions;

  • instructional methods facilitating learners to construct their own knowledge structures, such as the implementation of ‘structured reflection’, ‘representation scaffolds’ or ‘schema-based instruction’112-115 and
  • methods training learners’ reasoning processes such as explicit instructions to consider various reasoning strategies or ‘contrastive learning’.116,117

Instructions in real-life contexts such as the clinical environment should focus on carefully chosen medical cases and controlled situations in which the students can apply what they have studied. If unstructured, they risk overwhelming the student's working memory and impair learning.

 

7.2 | 콘텐츠를 넘어서기
7.2
|
Going beyond content


상호작용적 이론과 해석적 이론은 다른 교육학적 방향을 가정한다. 이러한 이론은 학습 내용과 학습 방법(실습)의 분리를 인위적으로 간주한다. 학습 상황은 '활동을 통해 지식을 공유한다고 말할 수 있다'. 연구자들은 훈련되는 정신 작용에 [가장 적절한 교육 방법]을 결정하기보다는, [학습 맥락을 제공하는 사회적 참여]에 대해 질문한다. 이러한 지향은 자연주의적이고 실제적 임상 환경에서 학습하는 것을 우선시하며, 교육 활동을 계획할 때 교육 환경을 신중하게 고려한다. Greeno가 말했듯이, '…모든 활동의 배열arrangement는 [학습이 일어나는 상황과 실천]을 제공하며, 모든 학습은 [어떤 상황]에서 이루어진다. 다른 배열arrangement에서 배우는 것이 만들어내는 차이는 [배움이 situated 되었는지 여부]가 아니라 [어떤 방식으로 배움이 situated 되었느냐]이다.'

Interactional and interpretative theories assume a different pedagogical orientation. Such theories regard the separation of learning content and learning method (practice) as artificial. Learning situations ‘might be said to co-produce knowledge through activity’.118 Rather than determining the most appropriate instructional method for the mental operation being trained, researchers inquire about the social engagements that provide the context for learning.119 This orientation prioritises learning in naturalistic, authentic clinical environments and takes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educational settings when planning educational activities. As Greeno remarks, ‘…all arrangements of activity provide situations and practices in which learning occurs, and all learning occurs in some situation. The difference between learning in different arrangements is not whether learning is situated or not, but how it is situated’.24

이 관점은 가르치는 것을 쓸모없는 것으로 여기지 않지만, 임상적 추론 학습은 교육이나 가르침과 무관하게 이루어지며, 따라서 강조점을 교육적 방법에서 학습 환경(맥락)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관점은 [학습의 결과]가 지도instruction에 의해 미리 결정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한다. 대신, [학습자와 환경 사이의 독특한 상호작용]은 종종 비선형 방식으로 학습을 의도하지 않고 예측할 수 없는 결과로 이끈다. 학생과 환자의 만남에 대한 우리의 연구는 맥락이 임상 추론 학습을 어떻게 촉진하는가에 초점을 맞춘다. 우리는 임상 상황이 자신의 기준 프레임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학습자가 이해가 깨질 때 긴장을 경험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이러한 분류는 의사 결정 진단 및 치료에 대한 기존 가정에 도전하지만 학습자가 이러한 문제가 있는 가정을 수정할 수 있는 상당한 학습 잠재력을 제공합니다.

While this view does not regard teaching as obsolete, it argues that learning clinical reasoning takes place irrespective of teaching or instruction, thus shifting the emphasis from instructional methods to the learning environment (context). This view acknowledges that the outcome of learning cannot be predetermined by instruction. Instead, the idiosyncratic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er and the environment drives learning often in a non-linear fashion to unintended and unpredictable outcomes.34,53 Our own research on student-patient encounters concentrates on how context drives learning of clinical reasoning. We suggest that learners experience tensions when their understanding breaks down because the clinical situation is inconsistent with their own frames of reference.120 These breakdowns challenge their held assumptions about diagnosing and treating decisions but present significant learning potential affording learners to revise these problematic assumptions.

그러나 주의를 요하는 것은 학습 활동의 [즉각적인immediate 맥락]만이 아니다학습활동이 내재된 더 넓은 [사회문화적 환경]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임상적 추론을 배우는 것은 전문직업적 사회화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전화 상담이나 사례 프레젠테이션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초보자들이 특정 의사소통 전략을 개발함으로써 임상 불확실성을 관리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초보novice 의료 전문가들이 특정한 방식으로 말하는 법을 배울 때, 그들은 또한 특정한 방식으로 생각하는 법을 배우고 있다.
It is not only, however, the immediate context of the learning activity that demands attention. The wider sociocultural settings in which learning activities are embedded also need to be adressed.
120 Research shows that learning clinical reasoning takes place through professional socialisation.121 Studies concentrating on telephone consultations or case presentations demonstrate how novices learn to manage clinical uncertainty by developing particular communication strategies.76,122 When novice healthcare professionals learn how to talk in a certain way, they are also learning to think in a certain way.


임상 환경에서 임상 추론 학습에 대한 문헌은 제한적이며, 직장 학습에 대한 이용 가능한 연구는 임상 추론을 특정 학습 결과로 인정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내용을 넘어 환자의 질병 경험을 이해할 수 있게 되면 임상 추론 학습자에게 중요한 학습 이정표가 구현될 수 있다. 향후 연구는 학습자가 임상적 만남의 맥락을 어떻게 탐색하고 이것이 그들의 추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다루어야 한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literature about learning clinical reasoning in clinical environments is limited and available research on workplace learning often fails to acknowledge clinical reasoning as a specific learning outcome. Being able to go beyond content and make sense of the patient's illness experience could embody an important learning milestone for the learner of clinical reasoning. Future research should address how learners navigate the context of the clinical encounter and how this impacts on their reasoning.

8 | 마무리 의견
8
|
CONCLUDING REMARKS


결론적으로, 맥락에 대한 연구는 임상 추론의 인식론에 대한 연구로 볼 수 있다. 일상적인 의료행위의 중심에는 '이 환자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걸까?'라는 질문이 있다. 이것은 단순히 증거 기반 지침과 같은 이론적 지식을 적용하는 것 이상의 것을 포함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프로네시스 감각에서 지혜는 전개되는 상황의 두드러지고 모호한 특징들을 개척하고 상황에 적합한 행동 과정을 숙고하여 만드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 점에서 [맥락의 숙달]은 의료행위의 핵심 활동이 된다. [맥락을 숙달한다는 것]은 맥락의 인식론적 차원 안에서 탐색하고, 불확실성을 용인하고,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을 다양한, 때로는 상충하는 방식으로 잉태할 수 있는 능력을 상정한다. 의료 프락시스(관행)는 결국 프로네시스 행위이다.

At the bottom line, the study of context may be viewed as the study of the epistemology of clinical reasoning. At the heart of everyday medical practice lies the question, ‘what is going on here with this patient?’123 This involves much more than simply applying theoretical knowledge such as evidence-based guidelines.124 Wisdom in the Aristotelian sense of phronesis (practical reasoning) denotes the capability to carve out the salient and ambiguous features of the situation unfolding and to craft through deliberation a course of action appropriate for the circumstances.125 Mastery of the context in this respect becomes a core activity of medical practice. It presupposes the capacity to navigate inside the epistemological dimensions of context, to tolerate uncertainty and to conceive the world we are living in (Umwelt) in multiple and sometimes competing ways. Medical praxis (practice) is, after all, an act of phronesis.  

 


Med Educ. 2022 Jan;56(1):98-109.

 doi: 10.1111/medu.14545. Epub 2021 May 26.

Representation, interaction and interpretation. Making sense of the context in clinical reasoning

 

Affiliations

1Department of Learning, Informatics, Management and Ethics, Karolinska Institutet, Stockholm, Sweden.

2Centre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Uppsala University/Region Gävleborg, Gävle, Sweden.

3Department of Infectious Diseases, Karolinska University Hospital, Huddinge, Sweden.

4Department of Medical Sciences, Uppsala University, Uppsala, Sweden.

PMID: 33932248

DOI: 10.1111/medu.14545

Abstract

Background: All thinking occurs in some sort of context, rendering the relation between context and clinical reasoning a matter of significant interest. Context, however, has a notoriously vague and contested meaning. A profound disagreement exists between different research traditions studying clinical reasoning in how context is understood. However, empirical evidence examining the impact (or not) of context on clinical reasoning cannot be interpreted without reference to the meaning ascribed to context. Such meaning is invariably determined by assumptions concerning the nature of knowledge and knowing. The epistemology of clinical reasoning determines in essence how context is conceptualised.

Aims: Our intention is to provide a sound epistemological framework of clinical reasoning that puts context into perspective and demonstrates how context is understood and researched in relation to clinical reasoning.

Discussion: We identify three main epistemological dimensions of clinical reasoning research, each of them corresponding to fundamental patterns of knowing: the representational dimension views clinical reasoning as an act of categorisation, the interactional dimension as a cognitive state emergent from the interactions in a system, while the interpretative dimension as an act of intersubjectivity and socialisation. We discuss the main theories of clinical reasoning under each dimension and consider how the implicit epistemological assumptions of these theories determine the way context is conceptualised. These different conceptualisations of context carry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phenomenon of context specificity and for learning of clinical reasoning.

Conclusion: The study of context may be viewed as the study of the epistemology of clinical reasoning. Making sense of 'what is going on with this patient' necessitates reading the context in which the encounter is unfolding and deliberating a path of response justified in that specific context. Mastery of the context in this respect becomes a core activity of medical practice.

인지심리학은 어떻게 의학교육의 얼굴을 바꾸었는가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0)
How cognitive psychology changed the face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Henk G. Schmidt1 · Silvia Mamede1

 

도입
Introduction

의학교육에 대한 연구는 1951년 의학저널(현재의 Academic Medicine)이 발간되면서 심각한 관심을 끌기 시작했다. 놀랄 것도 없이, 처음부터 그것은 학습과 가르침의 심리에서 현재의 것에 영향을 받아왔고 항상 지속적인 우려를 반영해 왔다.
Research into medical education began to attract serious attention with the publication of the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now Academic Medicine) in 1951. Not surprisingly, from its very beginning it has been influenced by what was current in the psychology of learning and instruction and always reflected its ongoing concerns.

50년대와 60년대에 의학교육 문헌에서는 [행동주의 언어]가 지배적이었다. 학습은 반복과 보상의 결과로 간주되었으며, 이른바 '학습 기계'(Owen et al. 1965, 1964), 프로그램된 교육(Lysaught et al. 1964; Weiss and Green 1962), 그리고 '행동적' 목표에 중점을 두었다(Varagunam 1971).
In the fifties and sixties the language of behaviorism was dominant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Learning was seen as the result of repetition and reward, with its application to so called ‘learning machines’ (Owen et al. 1965, 1964), to programmed instruction (Lysaught et al. 1964; Weiss and Green 1962), and with its emphasis on ‘behavioral’ objectives (Varagunam 1971). 

'기억', '유지retention', '추론reasoning'과 같은 [인지심리학적 개념]은 70년대 초반부터 나타나기 시작했고(엘슈타인 외 1972; 클라코와 리드 1975; 레빈과 포만 1973), 엘슈타인과 동료들의 의학 문제 해결의 획기적인 연구에서 초기 합성을 찾았다(엘슈타인 외 1978).  

Cognitive-psychology concepts such as ‘memory,’ ‘retention,’ and ‘reasoning’ started to appear only in the early seventies (Elstein et al. 1972; Klachko and Reid 1975; Levine and Forman 1973), and found an early synthesis in the groundbreaking work of Elstein and colleagues on medical problem solving (Elstein et al. 1978). 



지식 습득의 인지 심리에 대한 간략한 소개
A brief introduction to the cognitive psychology of knowledge acquisition


의대 1학년 학생들이 가이튼과 홀의 의학 생리학 교과서의 한 장에서 새로운 정보를 접하게 되면, 

  • 그들은 새로운 정보를 해석하는 것을 돕기 위해 고등학교 또는 대학의 생물학에서 나온 사전 지식활성화activate한다.
  • 그들은 새로운 지식을 구성construct하기 위해 기존의 지식을 사용한다.
  • 이러한 새로운 이해는 충분히 철저하다면 후속 학습이나 응용에 사용할 수 있도록 장기 기억 장치에 저장된다(Anderson et al. 2017).
  • 그러나 배울 수 있는 것은 지식이 의식적으로 처리되는processed 기억의 부분인 작업 기억의 제한에 달려 있다.
  • 마지막으로, 생존을 위해 지식은 생물학적으로 기억 속에 통합consolidated되어야 합니다(Lee 2008; McGaugh 2000). 이 결합은 자연에서 먼저 생화학적이고 그 다음에 시냅스적 결합입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안정화하는 데 몇 시간이 걸립니다.
  • 숙면을 취하면 배운 것에 대한 기억력memory이 훨씬 좋아진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 세 번째이자 마지막 프로세스는 기억을 해마 부위에서 피질까지 이동시켜 파괴할 수 없는 상태로 만드는 시스템 통합systems consolidation입니다(Wincur 및 Moscovitch 2011). 이 과정은 몇 년이 걸립니다.
  • 인출 가능성retrievability은 학생들이 충분한 가변성의 맥락에서 지식을 적용하는 정도와 이러한 맥락이 처음에 학습한 맥락과 유사한 정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Eva et al. 1998; Norman 2009).

When first-year medical students are confronted with information new to them from a chapter of Guyton and Hall’s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 they activate prior knowledge from high-school or college biology to help them interpret the new information;
  • they use existing knowledge to construct new knowledge.
  • This new understanding, if sufficient thorough, is stored in long-term memory to be used for subsequent learning or application (Anderson et al. 2017).
  • What can be learned however is also dependent on limitations of working memory, the part of memory where knowledge is consciously processed (Baddeley and Hitch 1974; Mayer 2010).
  • Finally, knowledge needs to be biologically consolidated in memory in order to survive (Lee 2008; McGaugh 2000). This consolidation is biochemical in nature first, then synaptic. These processes take several hours to stabilize.
  • It is wellknown that memory for things learned is much better after a good night sleep.
  • A third and final process is systems consolidation in which memories are moved from the hippocampal area to the cortex and become indestructible—although not necessarily retrievable (Winocur and Moscovitch 2011). This process takes years.
  • Retrievability is influenced by the extent to which students apply their knowledge in contexts of sufficient variability and the extent to which these contexts resemble the context in which it was learned initially (Eva et al. 1998; Norman 2009). 



학습을 촉진하는 교육적 개입
Instructional interventions that foster learning


위에서 설명한 인지 과정은 [학습에 관여하는 마음이 자연스럽게 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며, 이 과정은 교육적 개입에 의해 촉진될 수 있습니다.
The cognitive processes described above, delineating what the mind, engaged in learning, does naturally, can be boosted by instructional interventions. 

사전 지식과의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개입
Interventions aimed at strengthening the relationship with prior knowledge

자기 설명 권장
Encouraging self‑explanation


[자기 설명]은 배운 것에 대한 정교화의 한 형태이다. 학생들은 이전에 습득한 지식에 새로운 정보를 관련시키거나 [자신의 말로 정보를 반복함]으로써 이 작업을 수행한다(Chi et al. 1989, 1994). 단순 반복(Craik과 Lockhart 1972)보다는 [정교화]가 더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치 외 연구진(1994)은 순환계에 대해서 한 줄 한 줄을 읽고 자기설명을 한 학생들이 본문을 두 번 읽은 학생들보다 사전 시험부터 사후 시험까지 훨씬 더 많은 지식을 습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Self-explanation is a form of elaboration upon what is learned. The students do this by relating new information to knowledge previously acquired or repeat the information verbally in their own words (Chi et al. 1989, 1994). Elaboration is known to be more helpful than simple repetition of new material (Craik and Lockhart 1972). Chi et al. (1994) found that students who were asked to self-explain after reading each line of a passage on the human circulatory system had a significantly greater knowledge gain from preto posttest than students who read the text twice. 

자세한 토론 진행
Facilitating elaborative discussion


학생들이 또래들과 [주제를 토론]할 수 있게 하거나 선생님에 의해 자극을 받는다면, 학습은 상당히 향상된다. 메타 분석에 따르면, [소그룹 학습]은 대부분의 다른 교육 개입의 효과보다 학습에 훨씬 더 큰 효과를 발견했다. Versteeg 외 연구진(2019)은 [정교화-토론 그룹]이 [자기 설명 그룹]보다 우수한 반면, 두 그룹 모두 대조군 그룹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는 것을 발견했다. 흥미롭게도, [처음에 잘못된 개념을 가진 학생]들은 [처음에 잘못된 이해를 한 동료]와 토론할 때도 이득을 보았다. 
If students are allowed to discuss subject matter with peers or are being prompted by a teacher, learning improves considerably. In a meta-analysis of small-group learning (Springer et al. 1999) found effects on learning considerably more sizable than those of most other educational interventions. Versteeg et al. (2019) found that the elaborative-discussion group outperformed the self-explanation group, while both outperformed the control group. Interestingly, students with initially wrong concepts profited even when discussing them with a peer who also had an initial wrong understanding. 

분산 연습 촉진
Promoting distributed practice


학습과 검색 활동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산시켜 같은 콘텐츠로 두어 번 되돌아가면 지식이 더욱 공고해집니다. 분산학습distributed-study 기회는 일반적으로 몰아치기 학습massed-study 기회보다 더 나은 기억력을 생산한다(Delaney et al. 2010). 

If one spreads learning and retrieval activities over time, returning to the same contents a couple of times, knowledge become better consolidated. Distributed-study opportunities usually produce better memory than massed-study opportunities (Delaney et al. 2010). 

새로운 정보 처리를 촉진하기 위한 개입
Interventions aimed at facilitating processing of new information


인지 부하를 줄이는 것을 돕기
Help in decreasing cognitive load


위와 같이 작업 메모리는 제한된 정보만 동시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인지 부하가 높아져서 처리할 수 있는 정보수준을 초과할 경우 학습이 방해됩니다(van Merrienboer and Sweller 2010). 많은 연구들이 어떻게 인지 부하를 지시로 최적화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조사했다. 성공적인 전략 중 하나는 [해결예시사례worked example]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교사는 학생들이 특정 영역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도록 요구하는 대신, 이러한 문제의 해결예시 사례worked-out example를 학습에 제시한다(Chen et al. 2015). 여기서 가정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모든 요소]를 봄으로써 인지 부하를 감소시킨다는 것입니다. 지식이 부족한 학생들은 그러한 접근법으로 이익을 얻는 반면, 충분한 지식을 가진 학생들은 때때로 방해를 받는다(Kalyuga et al. 2001). 
As indicated above, working memory allows for only limited information to be processed at the same time. If the cognitive load of information exceeds what can be processed, learning is hampered (van Merrienboer and Sweller 2010). Much research has gone into the question how cognitive load could be optimized by instruction. One successful strategy is the use of worked examples. Rather than require students to solve problems in a particular domain by themselves, the teacher presents worked-out examples of these problems for study (Chen et al. 2015). The assumption here is that by seeing all elements required to solve a problem, decreases cognitive load. Students with limited knowledge seem to profit from such approach, whereas students with enough knowledge are sometimes hampered (Kalyuga et al. 2001). 

장기 기억력 강화를 위한 개입
Interventions aimed at strengthening long‑term memory


인출 연습 촉진
Fostering retrieval practice


예를 들어 학생들에게 [정기적으로 퀴즈]를 제공하여 기억에서 배운 정보를 검색하도록 요청하면, 이런 방식으로 다시 활성화되는 지식은 기억 속에 더욱 고착화됩니다. 
When you ask students to retrieve information previously learned from memory, for instance by providing them with regular quizzes, knowledge reactivated this way becomes more entrenched in memory. 

인터리빙 실무 육성
Fostering interleaving practice


임상추리연습에서 진단이 다른 사례를 제시하면 학생들이 [겉보기에는 같지만 진단이 다른 사례]와 [겉보기에는 다르지만 진단은 같은 사례]를 구분하는 학습이 활성화된다. 인터리빙(교차연습)은 초기 학습 속도를 늦출 수 있지만, 결국 보존 및 적용 개선으로 이어집니다. 
Offering cases with different diagnoses in a clinical reasoning exercise boosts learning because students learning to distinguish between cases that look the same but have different diagnoses, and cases that look different but have the same diagnosis. Interleaving may slow initial learning but, in the end, leads to better retention and application. 

이러한 개입이 의료 교육의 실천에 어느 정도 적용됩니까?
To what extent are these interventions applied to the practice of medical education?

문제 기반 학습(PBL)은 사실 초기 혁신이었습니다. 그것은 1969년 입학한 20명의 의과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캐나다 맥마스터 대학에서 개발되었다. PBL에는 다음과 같은 6가지 특성이 정의됩니다.

  • (i) 생물의학 또는 임상 문제는 학습의 출발점으로 사용된다.
  • (ii) 학생이 일부 시간 동안 소규모 그룹으로 협업한다.
  • (iii) 튜터의 유연한 지도 아래 진행한다. 문제는 배움의 계기이기 때문이다.
  • (iv) 커리큘럼에 포함한 강의의 수를 제한한다.
  • (v) 학습은 학생 주도이다.
  • (vi) 커리큘럼에는 자율 학습을 위한 충분한 시간이 포함된다.

Problem-based learning. (PBL) was actually an early innovation. It was developed at McMaster University, Canada where in 1969 a first group of 20 students entered medical school. PBL has the following six defining characteristics:

  • (i) Biomedical or clinical problems are used as a starting point for learning;
  • (ii) students collaborate in small groups for part of the time;
  • (iii) under the flexible guidance of a tutor. Because problems are the trigger for learning
  • (iv) the curriculum includes only a limited number of lectures;
  • (v) learning is student-initiated, and
  • (vi) the curriculum includes ample time for self-study.

PBL을 처음 만든 교수들에게 PBL은 단지 학생들 사이에서 동기부여를 증가시키기 위한 좋은 교육 관행의 조합이었다(Servant-Miklos 2019a). 그러나 70년대 말, 네덜란드 마스트리히트 대학에서 이루어진 연구로 인해 PBL은 인지심리학 연구결과(Schmidt 1983; Servant-Miklos 2019b)에 따라 재해석을 거쳤다. 표 1은 PBL의 기초가 되는 인지 과정 및 개입에 대한 저자들의 라벨링을 포함한다(Schmidt et al. 2011).

For the founding staff PBL was merely a combination of good educational practices aimed at increasing motivation among students (Servant-Miklos 2019a). However, by the end of the seventies, and due to work done at Maastricht University, the Netherlands, PBL underwent a reinterpretation in line with cognitive psychology findings (Schmidt 1983; Servant-Miklos 2019b). Table 1 contains the authors’ labelling of cognitive processes and interventions underlying PBL (Schmidt et al. 2011).

팀 기반 학습(TBL)은 1997년 미국 센트럴 미주리 대학의 래리 마이클슨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학급 규모가 커지면서 소크라테스 방식으로 가르칠 수 없게 되었다(마이클슨 외 2002). 이 아이디어는 2005년 의학 교육 문헌에 처음으로 등장했다(Koles et al. 2005). TBL은 세 단계로 구성됩니다.

  • (i) 준비 단계: 학생이 사전 할당된 자료를 개별적으로 학습하며, 비디오를 통해 전달되는 경우가 많다.
  • (ii) 수업 내 준비 상태 확인 단계: 개별 테스트를 하고, 이후 개별 테스트에 대한 답을 팀에서 논의하여 치르는 후속 테스트, 교사의 피드백
  • (iii) 수업 내 응용 단계: 팀 간 원활한 토론을 통해 학생들이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고 초기 학습 자료에서 도출된 새로운 질문에 답하는 단계

Team-based learning (TBL) was developed in 1997 by Larry Michaelsen at the University of Central Missouri, US, when increasing class sizes prevented him from teaching in the Socratic fashion (Michaelsen et al. 2002). The idea emerged for the first time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in 2005 (Koles et al. 2005). TBL consists of three phases:

  • (i) A preparatory phase, in which students study individually preassigned materials often conveyed through video;
  • (ii) an in-class readiness assurance phase, consisting of an individual test, a subsequent retest taken after discussion of the answers to the individual test are discussed in a team, and teacher feedback;
  • (iii) an in-class application phase in which students through facilitated interteam discussion solve new problems and answer new questions derived from the initial learning materials.

작업 예worked example는 물리학, 수학, 화학에 관한 교과서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문제를 해결하면서 인지 부하를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을 본 사람은 아마도 스웰러와 쿠퍼(1985)일 것이다. 이전 섹션에서 우리는 이미 보건 직업 분야에서 인지 부하 이론을 성공적으로 적용한 사례를 제공하였다(Chen et al. 2015). 그러나, 그 문헌에서 보고된 작업 사례에 대한 연구 수는 여전히 제한적이다. 3대 저널을 검색한 결과 15개의 기사가 발견되었는데, 가장 오래된 것은 2002년에 나온 것이다. worked example이 임상 추론을 가르치는 데 사용되는 방법의 도구상자에 유용하게 추가될 수 있지만, 분명히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Worked examples are common in text books on physics, mathematics and chemistry. It was probably Sweller and Cooper (1985) who saw their potential for reducing cognitive load while problem solving. In the previous section we have already provided a successful example of the application of cognitive load theory in the health professions field (Chen et al. 2015). However, the number of studies on worked examples reported in that literature is still limited. A search into the three most-cited journal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cademic Medicine, Medical Education, and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unearthed 15 articles, the oldest being from 2002. The use of worked examples would potentially be a fruitful addition to the arsenal of methods used to teach clinical reasoning, but we definitively need more studies. 


혼합 연습 또는 인터리빙은 특히 중요한 기능 중 하나가 진단 문제 해결의 가르침이기 때문에 의료 교육의 잠재력이 크다(Richland et al. 2005; Rohrer 2012). 겉으로 보기에는 똑같은 경우가 원인이 다를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상당히 다른 종류의 증상을 보이는 사례들이 동일한 근본적인 병리현상을 보일 수 있다. 이러한 사례를 비교하고 대조하도록 학생을 교육하는 것이 이 교육 방식을 사용하는 데 최적일 것입니다. 그러나 현존하는 의료계 문헌에서는 6가지 사례만 찾아볼 수 있었으며, 흥미롭게도 대부분은 제프리 노먼과 맥마스터 대학의 그의 동료들에 의해 제공되었습니다. 

Mixed practice or interleaving has large potential for medical education, in particular because one of its important functions is the teaching of diagnostic problem solving (Richland et al. 2005; Rohrer 2012). Cases that superficially look the same may have different causes. Alternatively, cases demonstrating a quite different array of symptoms, may have the same underlying pathology. Training student to compare and contrast such cases would be optimal using this instructional approach. However, only six illustrative examples could be found in the extant health professions literature, interestingly most of them provided by Geoffrey Norman, and his associates from McMaster University. 

 

의료 전문 지식 연구
The study of medical expertise


의료 전문성은 인지 심리학자들에게 매력적인 연구 영역이다.
Medical expertise is an attractive domain of study for cognitive psychologists.

의사는 매우 광범위하고 복잡한 지식 기반에서 수술하며 임상 문제 해결은 주의력과 인식에서부터 의사결정까지 광범위한 인지 과정을 수반한다. 의학적 전문성이 40년 이상 연구자들의 관심을 끈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Norman 2005) 이 연구는 임상적 추론, 특히 진단 과정에 초점을 맞추었다. 의대 교육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학생들의 임상추론능력을 발전시키고 학생들이 좋은 진단가가 되도록 돕는 것이다.
Physicians operate upon an extremely broad and complex knowledge basis, and clinical problem-solving involves a large spectrum of cognitive processes, ranging from attention and perception to decision-making. Not surprisingly, medical expertise has drawn researchers’ attention over four decades (Norman 2005). This research has focused on clinical reasoning, particularly the diagnostic process. One of major goals of medical education is to develop students’ clinical reasoning and helping students become good diagnosticians is much valued.

임상적 추론의 특성
The nature of clinical reasoning


임상 문제 해결의 일반 모델로서의 '가설연역적' 방법
The ‘hypothetico‑deductive’ method as a general model of clinical problem‑solving


임상 만남 초기에 의사들은 하나 또는 몇 개의 진단 가설을 생성하고 그 후에 이러한 가설을 확인하거나 반박하기 위한 추가 정보를 수집합니다. 
Early in a clinical encounter, physicians generate one or a few diagnostic hypotheses and subsequently gather additional information to either confirm or refute these hypotheses. 

이러한 '가설연역적' 방법은 1970년대에 (의사와 학생이) 표준화된 환자와 상호작용는 동안 think-aloud하는 것을 관찰하는 것과 같은 전통적인 인지 심리학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한 선구적 연구로 밝혀졌다(Elstein et al. 1978, 2009). 이 연구들은 전문가들의 추론을 특징짓는 과정을 밝혀내려고 시도했고, 그 과정을 학생들에게 가르치고자 했다.
This ‘hypothetico-deductive’ method was revealed by pioneering studies conducted in the 1970s using traditional methods of cognitive psychology research, such as observing physicians and students interacting with standardized patients while thinking aloud (Elstein et al. 1978, 2009). These studies attempted to uncover the reasoning process that characterizes experts’ reasoning, which could then be taught to students.

그러나, 비록 가설연역적 방법이 진단 추론의 일반적인 표현을 제공하지만, 후속 연구는 [가설연역적 추론능력이 전문가 성과를 설명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Elstein et al. 1978; Neufeld et al. 1981). 의대생들도 같은 접근법을 채택했으며, 전문가와 초보 진단가를 구별하는 것은 [특별한 추론 과정]이 아니라 [진단 가설의 질]이었다(Barrows et al. 1982) 같은 기간의 또 다른 중요한 발견은 [한 임상 사례의 진단 성과가 다른 사례의 성과를 예측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Elstein에 의해서 '내용 특수성'으로 명명되었으며, 심지어 동일한 전공 내에의 사례에 대해서도 발생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However, although the hypothetico-deductive method provides a general representation of diagnostic reasoning, subsequent studies soon showed that it does not explain expert performance (Elstein et al. 1978; Neufeld et al. 1981). Medical students also employed the same approach, and what differentiated expert and novice diagnosticians was not a particular reasoning process but rather the quality of their diagnostic hypotheses (Barrows et al. 1982). An additional crucial finding of the same period was that diagnostic performance on one clinical case did not predict performance on another case. The phenomenon, labeled by Elstein ‘content specificity’ (Elstein et al. 1978), was proved to happen even when the cases were within the same specialty (Eva et al. 1998; Norman et al. 1985).


의학 지식은 어떻게 기억 속에 구조화되어, 진단 추론에 사용되는가
How medical knowledge is structured in memory and used in diagnostic reasoning

그것은 전문가 성과를 결정하는 [특별한 과정]이 아니라 [추론의 내용], 즉 지식 그 자체이다(Norman 2005). 이러한 결론은, 앞서 언급한 연구결과에 직면한 연구자들이, [의학적 지식의 종류 및 그 지식이 기억 속에서 지식이 어떻게 구조화되고 임상적 문제를 진단하는 데 활용되는지]에 관심을 돌린 새로운 연구 시대에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전문가와 비전문가 진단가의 지식 구조 차이에서 신중하게 검색하기 위해 인지 심리학 연구의 방법에 크게 의존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연구들 중 다수는 서로다른 수련연차의 의대생들 및 경험이 많은 의사들에게 임상 사례를 진단하고 환자의 징후와 증상을 설명하거나 또는 소리내어 생각하며thinking-aloud 사건을 해결할 것을 요청하였다. 진단 추론 중 사용된 지식의 종류와 양을 식별하기 위해 프로토콜이 분석되었다(Patel and Groen 1986; Schmidt et al. 1990). 

It is not a particular process that determines expert performance, but rather the content of reasoning, i.e. knowledge itself (Norman 2005). This conclusion came from a new era of studies conducted when researchers, faced with the aforementioned findings, turned attention to the kinds of medical knowledge, how knowledge is structured in memory and used to diagnose clinical problems. These studies relied heavily on methods from cognitive psychology research to carefully search from differences in knowledge structures of expert and non-expert diagnosticians. For example, many of these studies requested medical students at different years of training and (more or less) experienced physicians to diagnose clinical cases and subsequently explain the patient’s signs and symptoms or, alternatively, to solve the case while thinking-aloud. The resulting protocol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kinds and amount of knowledge used during diagnostic reasoning (Patel and Groen 1986; Schmidt et al. 1990).

예를 들어 질병이 원형(Bordage 및 Zacks 1984), 이전에 본 환자의 인스턴스(Norman et al. 2007), 또는 스키마와 스크립트로 기억 속에 표현될 것이라는 여러 가지 지식 구조가 제안되었다(Schmidt et al. 1990). 

  • 이러한 제안 중 [프로토타입 모델]과 같은 일부는 오랫동안 심리학에 존재하는 [표현 모델representation model]을 의학 지식에 적용하는 것으로 구성되었습니다. 
  • 다른 저자들은 [질환 스크립트illness script]의 개념과 같이 특별히 의학 지식을 표현하기 위한 형식을 개발하였다. 질병 스크립트는 질병이 발생하는 상태, 질병 과정 자체, 그리고 가능한 징후, 증상 및 관리 대안의 측면에서 그 결과에 대한 정신적 시나리오입니다(Feltovich와 Barrows 1984).
  • 어떤 제안에 대해서는 일부 실증적 근거가 있으며, 의사 기억 속에는 필요할 때 동원될 수 있는 다양한 지식 구조가 공존할 가능성이 있다(Custers et al. 1996; Schmidt and Rikers 2007). 

Several knowledge structures have been proposed, suggesting that diseases would be represented in memory, for example, as prototypes (Bordage and Zacks 1984), or as instances of previously seen patients (Norman et al. 2007), or yet as schemas and scripts (Schmidt et al. 1990).

  • Some of these proposals, such as prototype models, consisted of application of representation models long existing in psychology to medical knowledge.
  • Other authors however developed formats specifically for representing medical knowledge, such as the concept of illness scripts. Illness scripts are mental scenarios of the conditions under which a disease emerges, the disease process itself, and its consequences in terms of possible signs, symptoms, and management alternatives (Feltovich and Barrows 1984).
  • Some empirical support exists for several proposals, and it is likely that (some of) these different knowledge structures coexist in physicians’ memory to be mobilized when needed (Custers et al. 1996; Schmidt and Rikers 2007).

이러한 개념화는 진단 추론을 이해하는 데 틀을 잡았습니다. 일부 차이는 있지만, 이 개념들은 [질병은 기억 속에서 일련의 관찰 가능한 임상 징후와 연관되어 있다]는 기본적인 아이디어를 공유합니다. 간략히, [환자가 가진 manifestation의 존재]가 [의사의 기억 속에서 질병의 정신적 표현mental representation을 활성화]시켜 진단 가설을 생성합니다. 질병과 관련된 다른 징후가 실제로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추가 정보를 검색합니다. 이 검색을 통해 초기 진단과 상반되는 결과가 드러나고 오히려 다른 결과를 제시하게 되면 새로운 가설이 활성화되어 환자의 결과에 대해 테스트될 수 있습니다.

These conceptualizations have framed our understanding of diagnostic reasoning. Notice that, despite their differences, they share the basic idea that diseases are associated in memory with a set of observable clinical manifestations. Briefly, the presence of some of these manifestations in a patient activates in the physician’s memory the mental representation of the disease, generating a diagnostic hypothesis. Search for additional information follows to verify whether other manifestations associated with the disease are actually present. When this search reveals findings that contradict the initial diagnosis and rather suggest others, new hypotheses may be activated and tested against the patient findings. 

진단 추론의 이중성
The dual nature of diagnostic reasoning

추리의 이중 프로세스 이론은 두 가지 다른 형태의 추리가 존재한다고 가정합니다. 

  • 하나는 패턴 인식에 기초하고, 하나는 빠르고, 힘들이지 않으며, 대체로 무의식적인 것입니다(일반적으로 시스템 1 또는 유형 1). 
  • 다른 하나는 규칙을 적용하기 위해 느리고, 노력하며, 의식적인 통제 하에 이루어집니다(시스템 2 또는 유형 2).
  • 유형 1 프로세스가 직관적인 판단을 설명한다면,
  • 유형 2 프로세스는 이러한 판단을 검증할 때 이루어져야 합니다.

Dual-process theories of reasoning assume that two different forms of reasoning exist,

  • one that is associative, based on pattern-recognition, fast, effort-less and largely unconscious (usually named System 1 or Type 1) and
  • another that depends on applying rules, is slow, effortful and takes place under conscious control (System 2 orType 2) (Evans 2008, 2006; Kahneman 2003).
  • While Type 1 processes accounts for intuitive judgments,
  • Type 2 processes have to take place when these judgments are verified.

이 모델을 의료 진단에 적용해보면, 유형 1 추론은 유형 2 프로세스에 따라 후속 검증이 달라지는 진단 가설의 생성을 설명할 것이다.  
Appling this model to medical diagnosis, Type 1 reasoning would explain the generation of diagnostic hypotheses whose subsequent verification depends on Type 2 processes.  

의사가 진단에 도달하기 위해 비분석적 추론을 사용한다는 실질적인 증거가 있습니다(Norman 및 Brooks 1997). 예를 들어 방사선 전문의는 200ms에 약 70%의 정확도로 의료 영상의 이상을 감지할 수 있었다(Evans et al. 2013; Kundel and Nodine 1975). 
There is substantial evidence that physicians use non-analytical reasoning to arrive at diagnoses (Norman and Brooks 1997). Radiologists, for example, were able to detect abnormalities in medical images with around 70% accuracy in 200 ms (Evans et al. 2013; Kundel and Nodine 1975). 

또한 의사들이 사례의 [복잡성 수준]이나, 사례가 [얼마나 문제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인식과 같은, 상황에 따라 [직관적 추론 모드]와 [분석적 추론 모드]를 모두 다른 수준으로 채택한다는 실질적인 증거가 있다(Maede et al. 2007, 2008). 
There is also substantial evidence that physicians adopt both intuitive and analytical reasoning modes in different degrees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such as the level of complexity of the case or perception of how problematic a case might be (Mamede et al. 2007, 2008). 

진단 추론의 이중 프로세스 표현이 의학 문헌에서 두드러졌다(Croskery 2009). 연구 전통은 진단 오류 문제와 함께 우려의 증가로 촉발되었다. 의사의 인지 프로세스의 결함은 대부분의 진단 오류(Graber 2005)에서 감지되었으며, 인지 오류의 출처는 의학 문헌(Norman 2009; Norman et al. 2017)에서 많이 논의되었다.

  • 몇몇 저자들은 추론의 결함을 발견에 의해 유발된 인지 편견, 유형 1 프로세스에서 추론이 자주 발생하는 [휴리스틱 및 지름길에 귀인]하였다(Croskery 2009; Redelmeier 2005).
  • 반대로, 다른 저자들은 휴리스틱스가 일반적으로 효율적이며 추론 결함에 대한 설명으로 특정 추론 프로세스보다는 [특정 지식의 결함]을 지적한다(Eva and Norman 2005; McLaughlin et al. 2014; Norman et al. 2017).

이 논란은 의대 교육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론적인 논의로만 봐서는 안 된다. 
Dual-process representations of diagnostic reasoning have become prominent in the medical literature (Croskerry 2009). A research tradition has grown triggered by increasing concerns with the problem of diagnostic error. Flaws in the physician’s cognitive processes have been detected in the majority of diagnostic errors (Graber 2005), and the sources of cognitive errors have been much discussed in the medical literature (Norman 2009; Norman et al. 2017).

  • Several authors have attributed flaws in reasoning, and consequently errors, to cognitive biases induced by heuristics, shortcuts in reasoning frequent in Type 1 processes (Croskerry 2009; Redelmeier 2005).
  • Conversely, other authors argue that heuristics are usually efficient and point to specific knowledge deficits rather than particular reasoning processes as the explanation for reasoning flaws (Eva and Norman 2005; McLaughlin et al. 2014; Norman et al. 2017).

This controversy should not be seen as a theoretical discussion only, because it has direct consequences for medical education. 

의대생 임상추론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clinical reasoning in medical students

전문가가 되기 위한 과정에서 의대생들은 자신의 성과를 뒷받침하는 [질적으로 다른 지식 구조]를 가진 [여러 단계]를 거친다(Schmidt et al. 1990; Schmidt and Rikers 2007). 이 [의료 전문성 개발의 재구조화 이론restructuring theory of medical expertise]은 [학생들이 교육을 통해 발전함에 따라 지식이 어떻게 기억 속에서 구성되고 임상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었는가]를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춘 연구 프로그램에서 나왔다. 
In the course towards becoming an expert, medical students move through different stages characterized by qualitatively different knowledge structures that underlie their performance (Schmidt et al. 1990; Schmidt and Rikers 2007). This restructuring theory of medical expertise development has come out of a research program focused on understanding how knowledge was organized in memory and used to solve clinical problems as students progress through education.

[교육의 첫 해]에 학생들은 병리 생리학적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질병의 기원과 결과를 설명하는 인과 네트워크를 대표하는 정신 구조를 빠르게 개발한다(Schmidt et al. 1990; Schmidt and Rikers 2007). 이 단계에서 학생들에게 임상적 문제 진단을 요청한 연구에 따르면, (이 단계의) 학생들은 여전히 [연결된 증상의 패턴을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인과적 메커니즘을 바탕으로 개별 증상isolated symptom에 대해 설명하려고 한다. 이러한 처리는 기초과학 지식을 많이 사용하여 힘들고 상세합니다. 
 In the first years of their training, students rapidly develop mental structures representing causal networks that explain the origins and consequences of diseases on the basis of their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Schmidt et al. 1990; Schmidt and Rikers 2007). Studies that asked students at this stage to diagnose clinical problems showed that, because students still do not recognize patterns of connected symptoms, they try to explain isolated symptoms based on their causal mechanisms. This processing is effortful and detailed, with much use of basic sciences knowledge. 

지식 구조의 [첫 번째 질적 변화]는 학생들이 임상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습득한 지식을 적용하기 시작할 때] 일어난다. 점차 증상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사건에 대한 상세한 지식은 [보다 일반적인 설명 모델]이나 [상세한 설명을 나타내는 진단 라벨]에 '캡슐화encapsulated'된다(Schmidt et al. 1990; Schmidt and Rikers 2007). 이 과정을 통해 (예를 들어 증후군이나 단순화된 인과 메커니즘과 같은) [소수의 추상적이고 고차적인 개념]이 [더 많은 수의 하위 수준 개념]을 '요약summarize'하게 된다.

  • 예를 들어, 학생들에게 세균성 심내막염과 패혈증이 있는 환자에게서 임상 징후를 설명하도록 요청했을 때, 그들은 그 결과, 즉 증상까지 오염된 주사기의 사용으로 시작되는 일련의 사건들을 단계적으로step-by-step 추론했다.
  • 반대로, 전문가들은 '패혈증' 개념을 진단 추론에 이 지식을 사용할 필요 없이, 사건 사슬의 많은 부분을 '캡슐링'하는 라벨로 사용했다(Schmidt et al. 1988).

A first qualitative shift in knowledge structure occurs when students start to apply the knowledge that they have acquired to solve clinical problems. Gradually, the detailed knowledge of the chain of events that leads to a symptom is ‘encapsulated’ in more generic explanatory models or diagnostic labels that stands for the detailed explanation (Schmidt et al. 1990; Schmidt and Rikers 2007). Through this process, a small number of abstract, higher-order concepts, representing for example a syndrome or a simplified causal mechanism, ‘summarize’ a larger number of lower-levels concepts.

  • For example, when students were requested to explain the clinical manifestations in a patient presenting with bacterial endocarditis and sepsis, they reasoned step-by-step through the chain of events that starts with the use of contaminated syringes until their consequences, i.e. the symptoms.
  • Conversely, experts used the concept of ‘sepsis’ as a label that ‘encapsulates’ much of the chain of events, without the need to use this knowledge in their diagnostic reasoning (Schmidt et al. 1988).

많은 연구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사례를 통해 추론할 때 이러한 유형의 '캡슐화된encapsulated' 개념을 많이 사용한다. 그 결과 think aloud나 recall protocol을 해보면, 학생보다 [기초 과학 개념이나 기본 메커니즘을 덜 참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oshuizen 및 Schmidt 1992; Rikers et al. 2004, 2000). 그러나 기초과학 지식은 여전히 이용가능하며, 간접적인 추론 척도를 가진 연구가 보여주었듯이 진단 중에 실제로 '무의식적으로unconsciously' 사용된다(Schmidt와 Rikers 2007).

Many studies have shown experts to make much use of this type of ‘encapsulated’ concepts when reasoning through a case, leading to think aloud or recall protocols that contain less reference to basic sciences concepts or underlying mechanisms than the students’ ones (Boshuizen and Schmidt 1992; Rikers et al. 2004, 2000). However, basic sciences knowledge remains available and is indeed ‘unconsciously’ used during the diagnosis as studies with indirect measures of reasoning have shown (Schmidt and Rikers 2007).

[지식 구조의 두 번째 변화]는 [환자에 대한 노출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한다. 캡슐화된 지식은 [특정 질병을 가진 환자를 '대표represent'하는 서술적 구조]로 점차 재편된다(Feltovich and Barrows 1984; Schmidt et al. 1990). 이러한 '질병 스크립트'는 (캡슐화로 인하여) [질병의 인과적 메커니즘]에 대한 지식은 거의 담겨있지 않지만, [질병의 활성화 조건과 임상 발현]에 대한 임상 지식이 풍부하다(Custers et al. 1998). [활성화 조건enabling consition]에 대한 지식은 경험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전문가 의사의 추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Hobus et al. 1987). 실제 환자에 대한 노출이 늘어나면서 이전에 본 환자의 흔적도 기억 속에 저장된다. 따라서 질병 스크립트는 질병 프로토타입의 표현부터 이전에 본 환자의 표현(Schmidt 및 Rikers 2007)까지 다양한 수준의 일반성different levels of generality에 존재합니다. 
A second shift in knowledge structures occurs as exposure to patients increases. Encapsulated knowledge is gradually reorganized into narrative structures that ‘represent’ a patient with a particular disease (Feltovich and Barrows 1984; Schmidt et al. 1990). These ‘illness scripts’ contain little knowledge of the causal mechanisms of the disease, because of encapsulation, but are rich in clinical knowledge about the enabling conditions of the disease and its clinical manifestations (Custers et al. 1998). Knowledge of enabling conditions tends to increase with experience and play a crucial role in expert physicians’ reasoning (Hobus et al. 1987). As exposure to actual patients increases, traces of previously seen patients are also stored in memory. Illness scripts exist therefore at different levels of generality, ranging from representations of disease prototypes to representations of previously seen patients (Schmidt and Rikers 2007). 

[성공적인 진단 추론]결정적으로 [질병에 대한 풍부하고 일관성 있는 정신표현이 개발되었는지]에 좌우되는 것으로 보인다(Cheung et al. 2018). 예를 들어, 진단 추론에서 기초의학 지식의 역할을 조사하고자 했던 일련의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질병과 관련된 임상 특성을 학습할 때 설명을 주거나 주지 않은 상태에서 학습하도록 했다(Woods et al. 2007). [인과적 메커니즘]에 의해 임상적 특성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알게 된 학생들은, delay 후에 해당 질병의 환자를 진단할 때 진단 정확도가 높아졌다. 이러한 연구는, 지식의 캡슐화 과정knowledge encapsulation process에 대한 추가적인 증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질병의 기본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이 [임상적 특징을 함께 '접착'하는 데 도움]이 되고, 질병에 대한 보다 [일관성 있고 안정적인 정신표현]으로 이어지며, 향후 [유사한 사례를 진단]할 때 질병을 더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Successful diagnostic reasoning seems to depend critically on developing rich, coherent mental representations of diseases (Cheung et al. 2018). For instance, a series of studies attempting to investigating the role of biomedical knowledge in diagnostic reasoning had students learning the clinical features associated with a disease either together with explanations of how they are produced or without explanation (Woods et al. 2007). Learning how the clinical features are connected by causal mechanisms led to higher diagnostic accuracy when diagnosing cases of the disease after a delay. Besides bringing additional evidence of the knowledge encapsulation process, these studies suggest that understanding their underlying mechanisms help ‘glue’ the clinical features together, leading to more coherent and stable mental representations of the diseases, which make it easier to recognize them when diagnosing similar cases in the future. 

임상 추론 교육
The teaching of clinical reasoning

위에서 설명한 연구는 [전문가 의사는 어떤 특정한any peculiar 추론 방식을 채택하지 않으며], 학생들에게 가르칠 수 있는 [일반적인 추론 기술 같은 것은 없다]는 실질적인 증거를 제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90년대에 학생들에게 '보편적인 추론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는 제안은 여전히 문헌에서 매우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Schmidt와 Mamede 2015). 실제로 최근에는 이중 프로세스 이론이 주목받으면서, 이러한 제안도 [임상 추론] 및 [인지 편향]을 다루는 과목과 같은 개입의 형태로 나타났다(Norman et al. 2017). 
The research described above provides substantial evidence that expert physicians do not employ any peculiar reasoning mode and there is no such thing as general reasoning skills that can be taught to students. Nevertheless, proposals for teaching students how to reason, common in the 1990s, are still very frequent in the literature (Schmidt and Mamede 2015). Indeed, more recently, as dual-process theories have gained attention, these proposals have also gained the form of interventions such as courses on clinical reasoning and cognitive bias (Norman et al. 2017).

놀랄 것도 없이, 훈련생들의 실제 진단 성과를 평가할 때마다, 이러한 [프로세스 지향적 개입의 효과는 무효이거나 미미]했다(Norman et al. 2017; Schmidt and Mamede 2015). 반대로 (임상적 추론의 성격과 그것이 어떻게 전개되는지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 더 부합하는 것 같은) [질병 지식의 획득과 재구조화를 지향하는 개입]이 훨씬 더 유망해 보였다. 예를 들어, [서로 비슷해보이는 질병을 구별짓는 특징에 관한 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은 추론에서 나타날 수 있는 편향에 대하여 의사를 '면역immunize'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Mamede et al. 2020).

Not surprisingly, whenever trainees’ actual diagnostic performance was evaluated, the effect of these process-oriented interventions has been null or minimal (Norman et al. 2017; Schmidt and Mamede 2015). Conversely, interventions directed towards acquisition and restructuring of disease knowledge, which seems more in line with what we know about the nature of clinical reasoning and how it develops, looked much more promising. For example, an intervention directed at increasing knowledge of features that discriminate between similar-looking diseases successfully ‘immunized’ physicians against bias in reasoning (Mamede et al. 2020). 

[가설연역적 모델의 시뮬레이션을 사용한 직렬-단서 접근법]임상 추론 교육을 위해 제안된 가장 보편적인 개입으로 문헌의 최근 리뷰에서 나타났다(Schmidt와 Mamede 2015). 이 접근 방식에서는 사례의 정보가 [단계별로 공개]되며, (학습자는) 각 단계에서 진단 가설을 생성하고, 진단 결정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추가 정보를 파악해야 한다. 이 접근방식은 거의 조사되지 않았다. 
The serial-cue approach with simulation of the hypothetico-deductive model appeared in a recent review of the literature as the most prevalent intervention proposed for the teaching of clinical reasoning (Schmidt and Mamede 2015). In this approach information of the case is disclosed step-by-step, and students required in each step to generate diagnostic hypotheses and identify which additional information is needed to arrive at a diagnostic decision. The approach has rarely been investigated. 

실제 연습과 유사하기 때문에 시리얼 큐 접근법이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것은 설명될 수 있지만, 아직 [정보 검색을 가이드할 질병 스크립트를 개발하지 못한 학생들]에게는 이 방식이 크게 부담스러울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Its similarity to real practice may explain the widespread use of the serial cue approach, but it has been argued that it may be overwhelming for students who do not have yet developed illness scripts to guide the search for information. 

임상 추론 교육을 위한 지침적 접근법으로서의 [자기 설명]은 최근 챔버랜드와 동료들이 수행한 일련의 연구(챔버랜드 외 2013, 2015, 2011)에서 테스트되었다. 
Self-explanation as an instructional approach for the teaching of clinical reasoning has been tested in a series of studies conducted by Chamberland and colleagues (Chamberland et al. 2013, 2015, 2011) in recent years. 

[자기 설명을 사용한 학생들]은 자기 설명 없이 연습한 학생들보다 테스트에서 유사한 경우를 더 잘 진단했다. 학생들은 생체의학 지식을 폭넓게 활용해야 하는 사례에 대한 자기 설명만으로 이득을 얻는데, 이는 진단 추론에서 그러한 지식의 가치를 재확인하는 연구 결과입니다. [신중한 성찰deliberate reflection](아래 참조)과 함께, 자기 설명은 최근 보고된 Sherbrooke 의과대학의 종방향 커리큘럼 프로그램에 채택되었다(체임버랜드 외 2020).
Students who used self-explanation better diagnosed similar cases in the test than their peers who had practiced without self-explanation. Students only benefitted from self-explanation on cases with which they were less familiar and which required them to extensively use biomedical knowledge, a finding that reaffirms the value of such knowledge in diagnostic reasoning. Together with deliberate reflection (see below), self-explanation has been adopted in a longitudinal curricular program at the Sherbrooke Medical school, an experience which has been recently reported (Chamberland et al. 2020). 

(자기 설명과는 달리), 생체의학적 지식보다 [임상적 지식에 초점을 맞춘 교육적 개입]도 제안되었다. 이러한 개입은 임상 문제와 관련하여 실습하는 동안, [이전에 습득한 임상 지식의 인출 및 당면한 정보에 대한 정교화]를 촉진합니다. 이러한 개입은 다양한 형식을 취함에도 불구하고 당면한 문제에 대해 서로 다른 대체 진단 방법을 비교하고 대조할 수 있는 지침을 학생들에게 제공한다는 기본 개념을 공유합니다. 
Instructional interventions that, differently from self-explanation, focus on clinical rather than biomedical knowledge have also been proposed. These interventions foster retrieval of previous acquired clinical knowledge and elaboration on the information at hand during practice with clinical problems. Despite the different formats they may take, these interventions share the basic idea of providing students with guidance to compare and contrast different alternative diagnoses for the problem at hand. 

일반적으로 의료교육에서 '혼합연습mixed practice' 이라고 하는 인터리빙 연습interleaving practice는 위에서 언급한 개입의 요건이다. [생김새는 비슷하지만 실제로는 진단이 다른 임상적 문제]와 [실제로는 다른 질병이지만 생김새가 비슷한]의 특징을 한 연습에서 함께 제시해야 비교하고 대조할 수 있다. [같은 진단의 예를 함께 제시]하는 [블록 연습blocked practice]과 비교했을 때, [혼합 연습]의 이점은 혼합 또는 차단된 연습으로 훈련된 후 심전도 해석 시 학생들의 성과를 비교하는 연구에서 입증되었다(Ark et al. 2007; Hatala et al. 2003). 
Interleaving practice, usually referred to in medical education as ‘mixed practice’, is a requirement for the abovementioned interventions. It is only possible to compare and contrast the features of clinical problems that may look similar but have in fact different diagnoses when problems of different diseases that look alike are presented together in the same exercise. The benefits of mixed practice relative to blocked practice, which presents examples of the same diagnosis together, have been demonstrated in studies comparing students’ performance when interpreting EKG after being trained either with mixed or blocked practice (Ark et al. 2007; Hatala et al. 2003). 

임상 추론을 가르칠 때 worked example를 사용하여 (정보) 처리량을 줄이는 것은 거의 조사되지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개입이 더 많은 관심을 받을 가치가 있다는 징후는 학습 진단 지식에 대한 잘못된 예와 다른 유형의 피드백의 사용의 영향 또는 진단 역량에 대한 반사 추론의 연구(Ibiapina)의 장점을 탐구하는 몇 가지 연구에서 나왔다. 외. 2014). 

Decreasing processing through the use of worked examples in the teaching of clinical reasoning has been more scarcely investigated. Nevertheless, indication that this intervention deserves further attention has come from a few studies exploring the influence of using erroneous examples and different types of feedback on learning diagnostic knowledge (Kopp et al. 2008, 2009) or the benefits of studying worked examples of reflective reasoning for diagnostic competence (Ibiapina et al. 2014). 

이러한 아이디어를 기술한 원고는 얼마나 자주 보건학 교육의 진보에 나타나나요?
How often do manuscripts delineating these ideas appear in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Table 2



의학 교육의 인식의 미래: 인지과학
The future of cognition in medical education: Cognitive science

첫째, 교육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임상 실습의 발전은 새로운 연구 수요를 가져왔다. 그 중 하나가 인공지능의 통합 등 의료의 디지털화(Wartman and Combs 2018). 전문가 지식 또는 기계 학습에서 파생된 컴퓨터 기반 알고리즘은 진단 및 예후 결정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Obermeyer 및 Emanuel 2016). 
First, developments in clinical practice that have strong implications for education have brought new research demands. One of these developments is the digitalization of health care, including the incorpor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Wartman and Combs 2018). Computer-based algorithms, whether derived from expert knowledge or machine learning, are expected to dramatically improve diagnostic and prognosis decisions (Obermeyer and Emanuel 2016). 

그러나 이러한 변화의 "부작용side effect"도 이미 오래전에 확인되었다. 예를 들어, 자동화 시스템에 지나치게 의존함으로써 발생하는 "자동화 편향automation bias"은 임상의가 초기 인상initial impression을 검토하는 빈도를 낮추고, 결국 오류를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다(Bond et al. 2018; Lyell and Coiera 2017). 향후 연구는 임상의들이 이러한 편견을 뒷받침하는 메커니즘을 더 잘 이해하고 훈련생들을 그들에게 덜 민감하게 만드는 방법을 연구하기 위해 이러한 개발을 실무에 통합할 수 있도록 어떻게 더 잘 준비할 수 있는지 탐구해야 한다. 게다가, 의료의 디지털화는 임상적 환경에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는 학생들이 그들의 경험을 통해 배울 수 있는 것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예를 들어, 현재 여러 기관에서 전자 건강 기록(EHR)과 연계된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Keenan et al. 2006). 컴퓨터가 광범위하게 활용되면서 환자 진료 방식이 크게 변화되었다. 임상현장은 '의사-컴퓨터-환자'라는 삼각구도를 이루게 되었고, staff room은 학생 및 레지던트들이 한줄로 컴퓨터 화면을 응시하는 모습이 되었다. 

However, “side effects” have long been identified. For example, “automation bias” resulting from overreliance on automation systems tends to make clinicians less prone to review their initial impressions, eventually causing errors (Bond et al. 2018; Lyell and Coiera 2017).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how clinicians can be better prepared to incorporate these developments in their practice, aiming also at better understanding the mechanisms underlying such biases and how to make trainees less susceptible to them. Moreover, the digitalization of health care has brought changes to the clinical setting that affect what students can learn from their experiences there. Think, for example, of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s, often associated with electronic health records (EHR), now widely adopted (Keenan et al. 2006). Patient care has been substantially altered by the widespread presence of computers, with clinical encounters now involving the ‘provider-computer-patient triangulation’ and staff rooms changed into rows of students and residents staring at computer screens. 

한편, EHR은 강력한 교육 도구가 될 수도 있습니다. 이들 중 다수는 관리 지점에서 온라인 학습 리소스에 대한 즉각적인 액세스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수련생은 clinical encounter 상황에서 환자관리에 대한 임상 가이드라인이나 권고안을 '가져올pull' 수 있습니다. 이것은 새로운 지식이 미래에 사용될 것과 매우 유사한 맥락에서 학습될 수 있도록 할 것이며, 이는 검색가능성을 촉진하는 기본 원칙이다. 또한 EHR은 교육생들에게 사례를 쉽게 검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환자의 임상 경험을 쉽게 추적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다(Keenan et al. 2006; Tierney et al. 2013). 
On the one hand, EHRs can be powerful educational tools. Many of them offer instant access to online learning resources at point of care. Trainees can, for example, ‘pull’ clinical guidelines or recommendations about care management during the clinical encounter. This would allow for new knowledge to be learned in a context very similar to the one in which it would be used in the future, a basic principle to facilitate retrievability. EHRs also gives trainees the ossibility to easily go back to review a case and facilitates keeping track of one’s clinical experiences (Keenan et al. 2006; Tierney et al. 2013). 

반면에 잠재적인 부작용은 논의되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정보의 양이 압도적일 수 있으며, 훈련생들의 관심은 [환자]보다도 [데이터 입력 프로세스]로 옮겨갈 수 있습니다. 좀 더 미묘하게, EHR로 인해, 교육생들은 연구 결과를 해석하고, 해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내러티브를 구성하지 않아도 될 수도 있으며, 오히려 환자의 raw data를 지도의사에게 쉽게 전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긴다. 따라서 학생이나 전공의가 문제를 두고 고민할reflect upon 인센티브가 감소하며, 담당 의사와 논의할 기회도 감소합니다(Peled et al. 2009; Wald et al. 2014). EHR과 CDDS가 교육생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학습 육성을 위해 시스템 자체 또는 시스템 용도의 특정 특성을 최적화할 수 있는지가 인지과학 연구 내에서 주목을 끌 가능성이 높은 영역의 예이다.

On the other hand, potentially adverse effects have been discussed. For example, the volume of online information may be overwhelming, and trainees’ attention may be diverted from the patient to the dataentering process. More subtly, EHRs give trainees the possibility to easily convey the raw patient data to supervisors, without being compelled to interpret findings and build a narrative out of them. Incentive for the student or resident to reflect upon the problem therefore decreases, and so does the opportunity for discussion with attending physicians (Peled et al. 2009; Wald et al. 2014). How EHRs and CDDS affect trainees learning and which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itself or of its use can be optimized to foster learning are examples of areas that are likely to call attention within cognitive science research.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0 Dec;25(5):1025-1043.

 doi: 10.1007/s10459-020-10011-0. Epub 2020 Nov 26.

How cognitive psychology changed the face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Henk G Schmidt 1Silvia Mamede 2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 1Department of Psychology, Erasmus University, P.O. Box 1738, 3000, DR, Rotterdam, the Netherlands. schmidt@fsw.eur.nl.
  • 2Department of Psychology, Erasmus University, P.O. Box 1738, 3000, DR, Rotterdam, the Netherlands.

Free PMC article

Abstract

In this article, the contributions of cognitive psychology to research and development of medical education are assessed. The cognitive psychology of learning consists of activation of prior knowledge while processing new information and elaboration on the resulting new knowledge to facilitate storing in long-term memory. This process is limited by the size of working memory. Six interventions based on cognitive theory that facilitate learning and expertise development are discussed: (1) Fostering self-explanation, (2) elaborative discussion, and (3) distributed practice; (4) help with decreasing cognitive load, (5) promoting retrieval practice, and (6) supporting interleaving practice. These interventions contribute in different measure to various instructional methods in use in medical education: problem-based learning, team-based learning, worked examples, mixed practice, serial-cue presentation, and deliberate reflection. The article concludes that systematic research into the applicability of these ideas to the practice of medical education presently is limited and should be intensified.

Keywords: Cognitive load; Distributed practice; Elaborative discussion; Interleaving practice; Knowledge acquisition; Medical expertise; Retrieval practice; Self-explanation.

감정적 사건의 보초병: 전공의의 수치심 경험의 특징, 트리거, 효과(Acad Med, 2019)
Sentinel Emotional Events: The Nature, Triggers, and Effects of Shame Experiences in Medical Residents
William E. Bynum IV, MD, Anthony R. Artino Jr, PhD, Sebastian Uijtdehaage, PhD, Allison M.B. Webb, MD, and Lara Varpio, PhD 

 

[수치심]은 실수를 하거나 학대를 경험하는 것과 같은 부정적인 사건에 반응하여 발생하는 강력한 감정입니다.1–3 수치심이 의학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는 거의 없습니다. 우울증, 불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중독 등 정신 건강 문제와 관련된 수치심이 일반인에서 흔히 발생하는 점을 감안하면 이러한 부주의가 문제가 된다.4 
Shame is a powerful emotion that occurs in response to negative events such as making mistakes or experiencing mistreatment.1–3 Little research has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hame on the medical learner. This inattention is troubling, given the common occurrence of shame in the general population and its association with mental health problems, including depression, anxiety,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addiction.4 

수치심리학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감정, 특히 트레이시와 로빈스의 작품을 이해하는 귀중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합니다.7-9 [자의식적 감정]으로서, 개인이 부정적인 사건에 대응하여 자기 평가를 할 때 수치심이 생긴다. 7,10 수치스러운 개인은 촉발된 사건을 [자신의 지적 능력]이나 [전체적인 능력] 등 [전반적이고 변하지 않는 무언가]에 귀속시킨다. 또한 자아를 행동으로부터 구분하지 못하게 된다.11 따라서 수치심은 자신에 대한 전체적인 부정적인 평가와 연관되며, 수치심을 느끼게 되면 스스로에 대해 결함, 결핍, 무가치함, 손상받음 등을 느끼는 어려움을 겪는다.2
Research into the psychology of shame provides a valuable theoretical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is emotion, particularly the work of Tracy and Robins.7–9 As a self-conscious emotion, shame arises when an individual engages in self-evaluation in response to a negative event, such as a perceived transgression or failure to reach an expectation.7,10 Shamed individuals attribute a triggering event to something global and unchanging about themselves, such as their intellect or overall capability, and fail to distinguish the self from the behavior.11 Thus, shame is associated with negative evaluations about the entire self,12 and the shamed individual struggles with feeling defective, deficient, unworthy, and/or damaged.2

중요한 것은 수치심은 죄의식guilt과 다르다.13 죄의식을 느끼는 사람은 죄의식을 느끼는 사람은 자신의 행동이나 노력 수준과 같이 자신의 구체적이고 변화 가능한 것에 탓한다.1,10 [죄책감]을 느끼는 사람은 "나는 나쁜 행동을 했어"라고, [수치심]을 경험하는 사람은 "나는 나빠"라고 말할 것이다.
Importantly, shame is different from guilt.13 Although guilt also occurs following a transgression or failure to meet an expectation, individuals experiencing guilt blame the transgression on something specific and changeable about themselves, such as their behavior or level of effort.1,10 Whereas the person experiencing guilt would say, “I did a bad thing,” the person experiencing shame would say, “I am bad.”

임상 환경에서 학습자는 일반적으로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상황을 경험한다: 오류를 범하거나, 지식 부족을 발견하거나, 어려운 피드백을 받거나, 낮은 환자 결과를 접하거나, 높은 수준의 성과를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 5,14–18 수치심의 영향에 대한 의학적 학습자의 민감도는 다음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신체적 특성(예: 완벽주의 및 성격 유형 19), 
  • 환경적 영향(예: 열악한 심리적 안전 및 학습자 학대 20,21), 
  • 제도적 한계(예: 정신 건강 자원에 대한 접근 불량 22). 

In clinical environments, learners commonly experience situations that could trigger shame: making errors, uncovering knowledge deficits, receiving difficult feedback, encountering poor patient outcomes, and failing to meet high standards of performance.5,14–18 Medical learners’ susceptibility to the effects of shame may be influenced by

  • unique personal characteristics (e.g., perfectionism and personality type19),
  • environmental influences (e.g., poor psychological safety and learner mistreatment20,21), and
  • institutional limitations (e.g., poor access to mental health resources22). 

 

방법
Method


해석적 설계
Hermeneutic design

전공의들의 수치심 체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한 풍부한 이해를 쌓고 싶어서 현상학적 연구를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우리의 연구 방법으로 우리는 [살아있는 경험의 의미와 그것을 형성하는 맥락적 힘을 탐구]하는 [해석적 현상학]을 선택했다. 우리는 다음의 이유로 [서술적 접근법]이나 [초월적 접근법]보다 이것을 선택했다. 

  • 참가자의 경험을 완전히 이해하는 데 있어 맥락(예: 임상 학습 환경)의 중요성
  • 이러한 경험의 깊고 잠재적으로 숨겨진 층을 탐구할 필요성
  • 연구자가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에서 개인적인 경험(이 연구에서는 '수치심')을 "괄호칠" 수 없음

Because we wanted to construct a rich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residents’ experiences of shame, we chose to conduct a phenomenological study. As our study method, we selected hermeneutic phenomenology, which explores the meaning of lived experience and the contextual forces that shape it.23,24 We chose this over descriptive or transcendental approaches because it recognizes

  • the importance of context (e.g.,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in fully understanding participants’ experiences;
  • the need to explore the deeper, potentially hidden layers of these experiences23; and
  • the inability for researchers to “bracket off ” their personal experiences—in this case, with shame—from the process of data analysis.23,25,26

 

따라서 참가자들에게 자신의 가정을 조사probe하고 맥락적 힘을 포함하여 수치심 경험의 세부사항을 찾는 질문을 했습니다. 우리의 [개인적인 수치심 경험]이 우리의 해석 노력에서 빠질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하고, 우리는 [서로의 수치심 경험에 대해 토론]했고, 이것은 참가자들의 경험을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높여주는 연습이기도 했다.

Therefore, we asked participants questions that probed their assumptions and sought details of their shame experiences, including contextual forces. Recognizing that our personal shame experiences could not be removed from our interpretation efforts, we discussed our own shame experiences with one another, a practice that enhanced our ability to connect with and understand our participants’ experiences. 

연구참여자
Participants


이번 연구는 미국 대형 교수병원 내과 레지던트들에게 이메일과 정오 보고서 공지, 공통 지역에 게시된 전단지를 통해 '전공의 기간 중 경험한 감정 탐구'로 알려졌다. 

The study was publicized to internal medicine residents in a large U.S. teaching hospital as “an exploration of emotions experienced during residency” through e-mails, noon report announcements, and flyers posted in common areas. 



자료 수집
Data collection


2016-2017년에는 참가자들과 개별적이고 반구조적인 인터뷰를 실시하여 각각 약 2시간 동안 진행되었습니다. 각 인터뷰는 과거의 수치심 경험에 대한 적극적인 반성을 자극하기 위한 서면 성찰 연습으로 시작되었습니다.26 참가자는 "수련 중에 자신의 부족함, 결점, 무가치함 느끼게 하는 특정 상황에 대해 작성"하도록 요청받았습니다. 우리가 '수치심'이라는 단어 대신, 이러한 표현들을 사용한 것은 [스티그마를 트리거링 하지 않기 위함]이면서, [죄책감과 같이 '수치심'과 연관된 구인construct 사이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였다. 참가자는 30분 동안 자신의 성찰을 작성해야 했다. 
During 2016–2017, we conducted individual,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lasting approximately two hours each. Each interview began with a written reflection exercise to stimulate active reflection on past shame experiences.26 The participant was asked to “write about a specific situation during your medical training that caused you to feel deficient, flawed, and/or unworthy.” We used these terms—all characteristics of shame from the psychology literature2,5— instead of the word shame to avoid triggering stigmas and to avoid confusion between shame and related constructs such as guilt.13 The participant had 30 minutes to write his or her reflections. 

그 직후, 참가자는 면접관(W.E.B.)을 만났다. 참가자가 기다리는 동안 인터뷰 진행자는 성찰 내용을 읽고 이어지는 반구조적 인터뷰 동안 심층적인 조사를 위한 영역을 파악했습니다.26 인터뷰 가이드의 샘플 질문은 보충 디지털 부록 1)에 제시되어 있습니다. 
Immediately thereafter, the participant met with the interviewer (W.E.B.). While the participant waited, the interviewer read the reflection and identified areas for deeper probing during the semi- structured interview that followed.26 Sample questions from the interview guide are presented in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at http://links.lww.com/ACADMED/A609. 

인터뷰는 음성녹음, 외부 전사자에 의해 기록되었고 전사에서 개인을 식별되지 않게 하였다. (참고: W.E.B.는 연구를 수행한 부서의 구성원이 아니며, 참여자에 대한 감독이나 평가를 제공한 적이 없습니다.) 

Interviews were audio- recorded, transcribed by an external transcriptionist, and de-identified during transcription. (Note: W.E.B. is not a member of the department in which the study was conducted and never provided supervision for or evaluation of the participants.) 

자료 분석
Data analysis


데이터 분석은 Ajawi와 Higgs에 의해 기술된 6단계의 해석적 분석을 따랐다. 이 접근방식은 "참여자의 해석과 구성의 체계적 식별(1차 구성)을 지원하며, 연구자 자신의 이해, 해석 및 구성(2차)과 계층화된다." 표 2는 이 접근법의 6단계와 각 단계에서의 우리의 구체적인 활동을 설명합니다.

Data analysis was informed by the six stages of hermeneutic analysis described by Ajjawi and Higgs.26,28 This approach supports “systematic identification of participants’ interpretations and constructs (first-order constructs), which [are] then layered with the researchers’ own understandings, interpretations, and constructs (second order).”26 Table 2 describes the six stages of this approach and our specific activities at each stage. 



결과
Results


수치심 경험의 본질
The nature of shame experiences


수치심 경험의 모든 기억에서, 참가자들은 촉발된 사건에 대응하여 그들 자신을 전체적globally 결함이 있고, 부족하며, 가치 없는 존재로 평가한다고 표현했다. 수치스러운 반응 동안, 참가자들은 자신들을 다음과 같이 칭했다.
In all recollections of shame experiences, participants described assessing themselves as globally flawed, deficient, or unworthy in response to a triggering event. During a shame reaction, participants (Ps) labeled themselves as

• 결핍(P7)
• 부적격(P6),
• 충분히 똑똑하지 못하고 여기서 가장 멍청한 사람(P2)
• 최악(P5)
• 불안정하고 열등함(P8)
• 결점이 있고 마치 나에게 문제가 있는 것처럼(P3)

• deficient (P7),
• undeserving and inadequate (P6),
• not smart enough and the dumbest person here (P2),
• the worst (P5),
• unlikeable and inferior (P8), and
• flawed and like there’s something wrong with me (P3).

수치심 반응은 격렬한 육체적, 감정적 경험일 수 있다. 한 참가자는 "완전히 다른 사람이었던 몇 시간 동안 완전히 쇠약해져 있었다"는 수치심 반응을 떠올렸고(P12), 또 다른 참가자는 "내 몸에서 수영하는 것 같았다"는 느낌(P8)을 떠올렸다. 참가자들은 수치심 유발에 따라 "공격과 배신"(P8)을 느끼고 "재판받는 것 같음"(P3)을 하는 등 수치심 반응에서 희생감victimized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참가자들은 또한 단점들이 어떻게 인식될 것인가, 의사로서 얼마나 성공적일 것인가, 수치심을 유발한 후 훈련을 계속하도록 허락될 것인가에 대한 두려움도 표현했다. 
Shame reactions could be intense physical and emotional experiences. One participant recalled a shame reaction that was “absolutely debilitating for several hours where I was a completely different person” (P12), and another felt “like I was swimming in my own body” (P8). Participants often felt victimized during a shame reaction, feeling “attacked and betrayed” (P8) and put “on trial” (P3) following shame triggers. Participants also expressed fears: fears about how shortcomings would be perceived, how successful they would be as physicians, or whether they would be allowed to continue training following a shame trigger. 

수치심 반응은 많은 참가자들에게 신체적 불편함을 포함했다. 그들은 "침몰하는 느낌"(P7)과 "당황함"(P11), "소름끼치는 것"(P8)을 묘사했다. 참가자들은 집중력 저하, 사고력 저하, 경주 및 자극적 사고, 시간 감각 변화 등 수치심 반응 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했다. 그들은 또한 식은땀, 홍조, 떨림, 빈맥, 공황 등 교감 활성과 일치하는 증상들을 보고했다. 이러한 증상은 수치심 반응이 한창일 때 종종 발생하며 급성 스트레스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육체적으로 스트레스가 고조되어, fight-or-flight와 같은 반응입니다." (P9) 
Shame reactions included physical discomfort for many participants. They described “a sinking feeling” (P7), like “the wind [was] taken out of you” (P11), and “like I was crawling in my skin” (P8). Participants reported effects on cognition during shame reactions, including difficulty concentrating, slowed thinking, racing and intrusive thoughts, and an altered sense of time. They also reported symptoms consistent with sympathetic activation, including cold sweats, flushing, tremor, tachycardia, and panic. These symptoms often occurred during the height of a shame reaction and could lead to acute stress responses: “So physically there’s this … heightened sense of stress, so it’s like that fight-or-flight- type response.” (P9) 

어떤 수치심 반응은 몇 달 동안 지속된 반면, 어떤 수치심은 단 몇 분 동안 지속되었고 감정적으로 덜 격렬했습니다. 참가자들은 후자의 수치심 반응에 대해 "근본적으로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당신이 알아차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덜 격렬한 수치심 반응은 일반적으로 최소한의 신체적 표현과 정서적인 감정을 수반합니다.
Some shame reactions lasted months, while others were short-lived (only minutes) and less emotionally intense. Participants described the latter type of shame reaction as “small bursts of shame” (P3) that are “not foundationally troubling but that you notice” (P6). The less intense shame reactions typically involved minimal physical manifestations and affective feelings.

그러나 [덜 강렬한 수치심 사건]도 [자주 발생하거나 다른 사소한 수치심 사건과 함께 발생할 경우] 더 심하고 고통스러운 수치심 반응으로 통합될 수 있었으며, additive한 영향이 있음 시사한다. 예를 들어, 한 참가자는 업무와 가정에서 반복적으로 실패를 인지하여 상당한 수치심을 경험했습니다. 이 조합은 그가 "당신이 어디를 가든, 하루 종일 실패하는 것 같은 느낌을 갖게 했다"고 말했다. 부가적인 수치심을 경험한 참가자들은 더 심한 수치심 반응을 경험한 참가자들처럼 많은 감동적인 감정과 생리적인 징후를 표현했습니다. 
However, less intense shame events could coalesce into more significant, distressing shame reactions if they occurred frequently or in conjunction with other minor shame events, suggesting an additive effect. For example, one participant experienced significant shame due to his perceived repeated failures at work and at home. The combination made him “feel like you’re failing all the time, no matter where you go, all day” (P9).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additive shame expressed many of the same affective feelings and physiological manifestations as did those who experienced more intense shame reactions. 

트리거되는 이벤트 및 수치심 반응에 기여하는 요인
Events that trigger and factors that contribute to shame reactions


수치심 반응은 주로 다음과 같은 특정 사건에 의해 유발되었습니다.

  • 환자 관리와 관련된 사건(예: 환자에게 해를 입히는 의료 오류, 환자의 고통을 덜어줄 수 없는 경우)
  • 학습과 관련된 사건(예: 감독자에 의해 교정조치 절차, "파이프"되는" 29*), 
  • 개인의 목표와 관련된 사건(예: 수석 레지던트에 선정되지 않음, 학술지에 제출된 원고 거부)

가장 격렬한 반응은 종종 의미심장하고 단일한 사건으로 촉발되었지만, 다수의 작은 수치심 유발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차트 1

Shame reactions were most often triggered by specific events, including

  • events related to patient care (e.g., a medical error causing harm to a patient, inability to relieve a patient’s suffering),
  • events related to learning (e.g., remediation proceedings, being “pimped”29* by a supervisor), and
  • events related to personal goals (e.g., failure to be selected for chief resident, rejection of a manuscript submitted to a scholarly journal).

The most intense reactions were often triggered by a significant, singular event but could also result from the accumulation of multiple, smaller shame triggers. Chart 1 

 

다른 사람과의 비교.
Comparisons to others.

자신의 능력이 떨어지거나 자신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인식과 더불어, 다른 사람과 자신을 비교하려는 참가자들의 성향은 수치심을 유발했다. 동료와의 비교는 특히 훈련 초기에 우세했으며, 일부 참가자는 거의 끊임없이 비교하며 평가했다. 한 참가자는 "의사로서 저는 주로 제 자신과 제 동료들을 비교했던 것 같습니다."라고 회상했다. 내 자존심은 또래에 비해 약하다는 인식에 의해 공격당했습니다." (P9) 또 다른 참가자는 "부족함을 느끼는 경우가 빈번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주위를 둘러보면 남들이 더 낫다는 느낌이 들기 쉽다.(P7) 타인과의 비교로 유발된 수치심은 또한 임포스터 증후군을 암시하는 감정과 함께 일어났다.
Participants’ tendency to compare themselves to others, coupled with the perception that they were less capable and/or failed to meet their own expectations, contributed to feelings of shame. Comparisons to peers were particularly prevalent early in training, with some participants engaging in comparative assessments on a near-constant basis. One participant recounted, “I think as a doctor I was comparing myself versus my peers mainly.… My ego strength was assaulted aggressively by my perceived weakness relative to my peers” (P9). Another participant identified “frequent moments where I feel deficient…. Looking around, it is easy to feel like others are just better” (P7). Shame induced by comparisons to others also co-occurred with feelings suggestive of imposter syndrome:

수행능력에 집중
Focus on performance.


특히 객관적인 기준으로 측정했을 때 [높은 수준의 성과를 달성하지 못한 것]이 참가자들에게 수치심을 느끼게 했습니다. 수치심 반응의 기원을 다시 언급하면서, 한 참가자는 "성취로부터 많은 자아의 힘을 얻었다"고 인정했고, 다른 참가자는 인정했다. 

Failure to achieve a high level of performance, particularly as measured by objective standards, contributed to feelings of shame in participants. In recounting the origins of shame reactions, one participant admitted “deriv[ing] a lot of ego strength from accomplishments” (P9), and another acknowledged that 

주관적 기준의 어려움.
Difficulty with subjective standards.

의료 교육 초기에 객관적인 성과 표준을 강조하면서 일부 참가자는 임상 영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주관적인 표준으로 전환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한 참가자는 인턴 초 자신에게 "내가 맞는 수준인가? 내가 다른 사람들과 대등한가요? 왜냐하면 테스트[수행]한 것 외에 다른 방법은 없기 때문입니다."(P2). 객관적인 기준이 부족하면 자신에 대한 의심과 수치심의 문이 열리고 정확한 자기 평가는 어려워지는데, 한 참가자는 이를 "점점 측정막대를 사용하는 빈도를 줄여가면서 지속적으로 측정한다"(P3)고 설명했다.
Emphasis on objective standards of performance early in medical training caused some participants to struggle with the transition to subjective standards commonly used in the clinical realm. One participant recalled asking herself early in the intern year, “Am I at the right level? Am I on par with where everyone else is? Because there’s no other way to gauge it other than … the testing that you have [done]” (P2). Lack of objective standards opened the door for self-doubt and shame and made accurate self-assessment difficult, a phenomenon one participant described as “continually measuring yourself with less and less of a measuring stick” (P3).


완벽주의
Perfectionism.


성취할 수 없는 완벽한 수행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했을 때 부족함이나 결함을 느꼈던 많은 참가자들에게 완벽주의는 수치심의 원인이 되었다. 
Perfectionism contributed to shame for many participants, who felt deficient or flawed when they failed to meet unattainable standards of perfect performance. 

수행능력 부진underperformance으로 수치심에 시달리는 한 참가자에게 수치심을 극복하는 데 어느 정도의 성과가 필요했겠느냐고 물었다. 그의 대답은 완벽주의가 그의 자기 평가를 어느 정도 물들였는지를 강조했습니다. 

We asked one participant, who struggled with shame due to perceived underperformance, what level of performance would have been enough to help him overcome his shame. His answer underscored the extent to which perfectionism colored his self-evaluation: 

판단에 대한 두려움.
Fear of judgment.


판단(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참가자들의 수치심 반응에 큰 영향을 미쳤다. 참가자들은 동료, 감독관, 환자 및 가족의 다양한 판단을 두려워했습니다.

  • 공공장소에서 질문에 부정확하게 답변(특히 정오 보고서),
  • M&M 컨퍼런스에서 실수를 탐문당하는 것
  •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상사에게 접근하는 것
  • 사랑하는 사람들과 실패에 대해 토론하는 것

Fear of judgment was a potent contributor to participants’ shame reactions. Participants feared judgment from peers, supervisors, patients, and families in a variety of forms:

  • answering questions inaccurately in public (particularly at noon report),
  • having errors scrutinized in morbidity and mortality conferences,
  • approaching supervisors for help, and
  • discussing failures with loved ones.

공개적 노출은 참가자들의 판단에 대한 두려움을 고조시켰고 수치심을 증폭시켰다. 평판은 다음과 같은 인식된 판단에 의해 유발되는 불안의 중심이었다.

Public exposure heightened participants’ fear of judgment and amplified feelings of shame. Reputation was central to the anxiety invoked by these perceived judgments: 


편향된 기준 프레임
Skewed frame of reference.

참가자들은 종종 맥락적 현실과 일치하지 않는 레퍼런스 프레임을 통해 자신을 분석했습니다. '왜곡된 기준틀'을 통해 자신을 평가하는 것은 지나치게 혹독한 자기평가와 수치심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왜곡된 기준틀]은 일부 참가자로 하여금 self-blame을 할 필요가 없는 상황적 증거에조차 저항하게 만들었다. 
Participants often analyzed themselves through frames of reference that were inconsistent with contextual realities. Self-evaluating through a “skewed frame of reference” could lead to overly harsh self-assessments and feelings of shame. This skewed frame of reference led some participants to resist situational evidence that challenged their self-blame. 

실수를 저지른 후에 왜곡된 기준틀을 사용하게 되면, [서포트를 주고자 했던 사람에 대한 불신]을 불러올 수 있으며, 이는 고정적인 수치심 반응에 기여할 수 있다. 
A skewed frame of reference following an error could lead to mistrust of the people who attempted to provide support, contributing to a fixed shame reaction. 

어떤 참가자들은 그들이 [충분히 훌륭하다는 증거를 무시하거나 경시함]으로써 왜곡된 참조 틀을 드러냈습니다. 한 참가자는 "긍정적인 평가를 많이 받았지만, 나는 여전히 내 자신에 대해 개똥같은 느낌이 들었다"고 회상했다.
Other participants manifested a skewed frame of reference by ignoring or downplaying evidence that they were good enough. One participant recalled getting “a lot of positive reviews, but I still felt pretty shitty about myself ” (P9).

상사의 중요한 역할.
The critical role of supervisors.

참가자들은 감독관과의 상호작용이 수치심 반응에 반대의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했다. 즉, 감독관에 의한 대우는 그들의 수치심 반응을 증폭시키거나 완화시킬 수 있다. 첫 중환자실 순환에서 고군분투하던 한 참가자는 그의 명백한 고군분투에 대한 반응으로 환자 회진에서 그를 "헐뜯고" "호되게 비판"한 전임의로부터 가혹한 대우를 받았다. 이것은 회진할 때 그가 이미 느끼고 있었던 낮은 퍼포먼스에 대한 수치심을 상당히 고조시켰다. 그는 이어 감독관이 만든 유해하고 "심리적으로 안전하지 않은" 환경의 영향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Participants reported interactions with supervisors that could have opposite effects on their shame reactions: treatment by a supervisor could either amplify or mitigate their shame reactions. A participant struggling on his first ICU rotation encountered harsh treatment from a fellow who “picked on” and “crucified” him on patient rounds in response to his obvious struggles (P5). This significantly heightened the shame he was already feeling from his perceived low performance on rounds. He went on to recount the effects of a toxic, “psychologically unsafe” environment created by the supervisor: 

또 다른 참가자는 실수로 인한 수치심 반응으로 휘청거리다가 한밤중에 한 동료에 의해 호출되어 환자가 coded되었음을 알렸다. 다음날 아침, 그는 감독관에게 도움을 청하지 않아 질책을 받았고, M&M 회의가 열릴 것이라는 통보를 받았다. 이러한 치료는 그의 정서적 안녕을 평가하거나 지지를 제공하려고 시도하기 전에 일어났으며, 그의 기존 수치심(P3)의 효과를 현저하게 증가시키고 연장시켰다. 
Another participant, reeling from an error- induced shame reaction, was called in the middle of the night by a fellow to inform him that his patient had coded. The next morning, he was chided for not seeking help from the supervising fellow and was informed that a morbidity and mortality conference would be held. This treatment, which occurred before attempts to assess his emotional well-being or provide support, significantly heightened and prolonged the effects of his existing shame (P3). 

한편 참가자들은 수치심 반응의 심각성이나 지속시간을 [완화하고 회복에 도움이 되는 감독관과의 상호작용]도 보고했다. 이러한 상호작용에는 오류 후의 디브리핑(P11), 전공의를 개인으로 이해하려는 시도(P2), 전공의가 수행능력 어려움을 겪는 것을 인정해주고 개선해야 할 행동에 초점을 맞추는 것(P5), 전공의 성과에 대한 현실적인 기대를 설정하여 참조 틀을 "바로잡으려는" 노력(P71)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On the other hand, participants also reported interactions with supervisors that mitigated the severity or duration of their shame reactions and aided in recovery. Such interactions included

  • a debriefing session following an error (P11),
  • attempts to understand the resident as a person (P2),
  • acknowledgement of a resident’s performance struggles and a focus on specific behaviors to improve (P5), and
  • efforts to “unskew” a participant’s frame of reference by establishing realistic expectations of performance (P7). 

 

수치심 경험의 부정적 인식 효과
Negative perceived effects of shame experiences


주요 수치심 반응의 즉각적인 여파로 일부 참가자에게는 몇 시간에서 며칠, 다른 참가자에게는 몇 주부터 몇 달까지 지속되는 부정적 영향을 일관되게 표현했다.
In the immediate aftermath of major shame reactions, participants consistently articulated negative effects that persisted for hours to days for some participants and from weeks to months for others.

사회적 고립과 소속감 저하.
Social isolation and impaired sense of belonging.

참가자들은 수치스러운 반응 후에 외로움을 느끼고 사회적으로 교류할 의욕이 없다고 흔히 보고한다.
Participants commonly reported feeling alone and unmotivated to socially interact after a shame reaction.

참가자들은 수치심 반응에 이어 의학계 내 소속감 저하를 자주 표현했다.
Participants frequently expressed feelings of impaired belonging within the profession of medicine following shame reactions.

참석자들은 고립감과 소속감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청하기가 어려워져 정서적 고통이 길어지고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Participants explained that feelings of isolation and impaired belonging made it more difficult to reach out to others for help, prolonging their emotional distress and impacting personal relationships.

배움에서 멀어짐.
Disengagement from learning.

참가자들은 수치심 반응 동안 학습 의욕을 상실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예를 들어, "핌핑" 29와 관련된 수치심은 한 참가자가 라운드를 두려워하게 하고, 만약 그녀가 질문에 잘못 대답하면 반사적으로 "셧다운"하게 만든다.
Participants described a loss of motivation to learn during a shame reaction. For example, shame related to “pimping”29 caused one participant to fear rounds and reflexively “shut down” if she answered a question wrong (P2).

이러한 해제는 결국 그가 학습 환경에 관여하는 여러 영역으로 확대되었습니다.
The disengagement eventually extended into multiple areas of his involvement in the learning environment:

정신적, 육체적 건강의 저하.
Diminished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ness.


피로감과 우울증은 일반적으로 주요 수치심 반응을 동반한다. 부실한 경기력을 매일 느끼는 수치심에 사로잡힌 한 참가자는 "피곤하고 녹초가 됐다. 그리고 전 '내가 좋은 레지던트가 아니라는 느낌이 들 뿐' 이었습니다." (P9)
Feelings of burnout and depression commonly accompanied major shame reactions. A participant whose shame revolved around daily feelings of inadequate performance recalled, “I was tired, burnt out. And I was, like, ‘I just don’t feel like I’m a good resident’” (P9).

수면 장애는 신체 건강에 가장 많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이는 종종 수치심과 유발 사건에 대한 반성으로 인한 것이다. 어떤 참가자들은 운동을 중단했고, 어떤 참가자들은 식습관이 달라졌다. 한 참가자가 "앉아 있는 부랑자 같은 느낌"(P8)을 느끼게 한 이러한 효과는 일부 참가자에게는 몇 시간에서 며칠까지 지속되었고 다른 참가자에게는 몇 주 동안 지속되었다. 
Impaired sleep was the most commonly reported effect on physical wellness, often due to intrusive thoughts of shame and ruminations about the triggering event. Some participants stopped exercising, and some changed their eating habits. These effects, which led one participant to “feel kind of like a sedentary bum” (P8), lasted from hours to days in some participants and weeks in others. 

자기 규제와 비전문적 행동의 감소.
Reduced self-regulation and unprofessional behavior.


참가자들은 수치심이 분노와 방어감, 정서적 자기조절 상실을 통해 전문직업적이지 못한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재조명했다. 한 참가자는 "나는 용기가 전혀 없었다"며 수치심을 호소했다. 나는 스스로 조절하고 내 감정을 억누를 탄력성이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이는 주치의에 대한 부적절한 행동(분노의 표출)을 유발했습니다. 
Participants recounted that shame could lead to unprofessional behaviors via feelings of anger and defensiveness and a loss of emotional self-regulation. A participant experiencing a major shame reaction recounted its effects: “I just had zero fortitude. I had zero resilience to self-regulate and to hold back my true feelings” (P8). This contributed to unprofessional behavior (lashing out in anger) toward an attending: 

수치심 반응과 관련된 다른 비전문적 행동에는 다음이 포함되었습니다. 

  • 실패를 깨달았을 때 다른 사람을 비난하고,
  • 부정적인 피드백에 맞서 방어적인 태도를 취하며,
  • 환자 진료 책임에서 손을 떼는 것

Other unprofessional behaviors associated with shame reactions included

  • blaming others for perceived failures,
  • being defensive in the face of negative feedback, and
  • disengaging from patient care responsibilities. 

공감 장애.
Impaired empathy.


[공감의 손상]은 수치심 경험의 또 다른 부정적인 영향이었다. 인턴 기간 내내 성적 부진으로 인한 만성적인 수치심을 경험했던 한 참가자는 (환자와의) 정서적 연결를 희생하면서 성적에 집착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감정적 실수는 결국 심각한 공감 장애, 환자에 대한 경멸, 고조된 수치심 반응으로 이어졌습니다. 
Impaired empathy was another negative effect of shame experiences. One participant who experienced chronic shame from perceived underperformance throughout his intern year became obsessed with performance at the cost of his emotional connectedness. This emotional blunting eventually led to severely impaired empathy, disdain for his patients, and a heightened shame reaction: 

수치심 경험의 긍정적 인식 효과
Positive perceived effects of shame experiences

참가자들은 수치심 경험의 부정적인 영향을 더 많이 경험했지만 긍정적인 효과도 인정했습니다. 긍정적인 효과로는 회복탄력성 향상, 취약해지려는 의지 증가, 관계 개선, 다른 학습자가 수치심 반응을 처리하도록 돕고자 하는 욕구가 포함되었습니다. 시간, 감독자 지원, 도움 요청, 그리고 수치심 반응의 해결과 긍정적인 결과 개발에 도움이 되는 더 정확한 자기 평가 능력. 
Although participants more commonly experienced negative effects of their shame experiences, they also acknowledged positive effects. Positive effects included

  • enhanced resilience,
  • increased willingness to be vulnerable,
  • improved relationships, and
  • a desire to help other learners process shame reactions.

Time, supervisor support, reaching out for help, and the ability to more accurately self-assess aided in resolution of the shame reaction and development of positive outcomes. 

참가자들은 수치심이 학습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해서도 성찰했다. 참가자들은 높은 수준의 감정으로 인해 기억력이 향상되었기 때문에 수치심 경험으로부터 더 많은 것을 배웠다고 느꼈다. 
Participants also reflected on the positive effects of shame on learning. Participants felt that they learned more from shame experiences because the intensity of the emotion enhanced their memory: 

어떤 이유로든 수치심은 더 많은 것을 기억하게 만든다. 폐렴에 걸려 더 잘 치료하고 떠난 환자를 더 깊이 생각해야 할 것 같아요. 하지만 내가 너무 미안했던 건, 모든 걸 다 기억하고 있어. (P3)
For whatever reason, shame makes you remember things more. I would have to think a lot harder about the patient that came in with pneumonia that we treated and left better. But the one that I feel so bad about, I remember every detail. (P3)

다른 참가자들은 로테이션에 대한 보다 세심한 준비, 도움 요청, 인지 편향 해소 등 구체적인 학습 행동을 개선함으로써 수치심에 반응했다. 특히 참가자들은 주요 수치심 경험의 장기적인 효과는 긍정적일 수 있지만, 이와 관련된 정서적 고통은 학습 행사로서의 전반적인 가치를 감소시켰다고 강조했다. 

Other participants reacted to shame by improving specific learning behaviors, including more attentive preparations for rotations, reaching out for help, and attempting to address cognitive biases. Notably, participants emphasized that although long-term effects of major shame experiences could be positive, the associated emotional distress diminished their overall value as learning events. 

고찰
Discussion


참가자들은 심리학 문헌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치심을 경험했습니다.
Our participants experienced shame in ways similar to those described in the psychology literature:

그러나, 우리의 분석은 또한 전공의들에게 수치심이 어떻게 발생할 수 있는지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는 독특한 맥락적, 개인적 요소들을 밝혀냈다.
However, our analysis also revealed unique contextual and personal factors that provide novel insights into how shame may occur in medical residents.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
Implications for learners

우리는 수치심 반응이 의학 학습자들에게 민감한 감정 사건일 수 있다는 것을 관찰했다. 보건의료에서 보초 사건sentinel event이란 [환자에게 사망이나 심각한 신체적 또는 심리적 부상을 초래하는 사건]이며, 질병의 자연적 과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32 마찬가지로 수치심 반응은 예상치 못한 것일 수 있으며, 의료 학습자의 건강, 학습 환경에서의 참여, 직업 내 소속감 등 신체적 및 심리적으로 중대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We observed that shame reactions may be sentinel emotional events for medical learners. Sentinel events in health care are events that cause death or serious physical or psychological injury to a patient and are unrelated to the natural course of illness.32 Similarly, shame reactions can be unexpected, jarring experiences that can have significant physical and/or psychological consequences for medical learners, including negative impacts on their well-being, engagement in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sense of belonging within the profession.


우리의 자료는 우울한 기분, 피로감, 감정의 손상, 그리고 사회적 고립이 수치심 경험과 맞물려 있을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이와 같이 수치심은 medical learners 사이에서의 높은 탈진 및 우울증 비율, 공감 장애, 자살률 등 지속적인 의학교육의 도전에서 공통적인 실마리가 될 수 있으며, 나아가 심리적 고통을 겪는 학습자의 도움을 구하는 데 장애물이 될 수 있다.38,39
Our data suggest that depressed mood, burnout, impaired empathy, and social isolation may be interwoven with shame experiences. As such, shame may be a common thread in persistent challenges in medical education, including high rates of burnout and depression,33–36 impaired empathy,37 and suicidality in medical learners36; further, it may be a barrier to help-seeking in learners experiencing psychological distress.38,39


우리의 자료는 수치심이 의학 학습자들의 마음 속 깊은 곳에 자리한, 고통스럽고 종종 숨겨진 감정일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교육자들의 수치심을 인식하는 능력과 의욕은 의학 학습자의 주요 수치심 반응 중에 의미 있게 개입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잠재적인 수치심 유발에 따라 학습자에게 단순히 체크인을 하는 것은 학습자가 수치심을 공유하도록 장려할 수 있습니다. 교육자들은,

  • 표면적인 수준의 질문(예: "어떻게 지내세요?")을 넘어서야 한다.
  • 학습자가 자기 평가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 더 깊이 평가해야 한다 (예: "자기에 대해 어떻게 느끼십니까?").
  • 수치심을 정상화하고, 죄책감 반응으로 전환(즉, 바뀔 수 있는 특정 행동에 초점을 맞춘)하는 것도 학습자의 건설적인 정서적 반응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5

Our data suggest that shame may be a deep-seated, painful, and oft-hidden emotion in medical learners; educators’ ability—and willingness—to recognize shame could enable them to meaningfully intervene during a major shame reaction in a medical learner. Simply checking in with a learner following a potential shame trigger may encourage the learner to share feelings of shame; however, we suggest that

  • educators go beyond surface level inquiries (e.g., “How are you doing?”) and
  • more deeply assess how a learner may be self-evaluating (e.g., “How are you feeling about yourself?”).
  • Normalizing the shame and redirecting it to a guilt response (i.e., focused on specific actions that can be changed) might also facilitate a more constructive emotional response in a learner.5 

 

더욱이, 참여자들이 보고한 수치스러운 경험은 대부분(전부는 아님) 이행transition 기간 동안 발생했다. 의대 초, 의대생으로서 임상 학습 환경으로의 전환, 인턴 연도 전체(특히 연초), 그리고 선임 레지던트로서 새로운 책임을 떠맡은 직후였다. 주관적 기준과의 어려움, 자신과 타인을 비교하는 경향, 소속감 저하, 임포스터 증후군 경험 등 이행기에는 수많은 기여요인이 결합했다. 따라서 이행기간 동안 학습자가 보고한 정서적 고통과 부정적인 결과에는 수치심이 깔려 있을 수 있다.40~42 
Furthermore, most—but not all—shame experiences reported by our participants occurred during transition periods: the beginning of medical school, the transition into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s a medical student, all of the intern year (but particularly early in the year), and soon after assuming new responsibilities as a senior resident. Numerous contributing factors also coalesced during transition periods, including difficulty with subjective standards, a tendency to compare one’s self to others, a sense of impaired belonging, and experiencing imposter syndrome. Thus, shame may underlie the emotional distress and negative outcomes reported by learners during transition periods.40–42 

마지막으로 수치심은 정상적인 학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의 연구에서 많은 수치심 유발은 비록 종종 예상하지 못했지만, 실수를 하고, 학문적으로 고군분투하고, 집단 앞에서 틀리는 것과 같은 학습 사건들이 흔했다. 학습의 정상적인 부분이 되어서는 안 되는 학대와 같은 다른 트리거는 참가자들에게 심각하고 불필요한 정서적 고통을 야기했습니다.

Finally, it appears that shame can occur during the normal course of learning: many of the shame triggers in our study were common, albeit often unexpected, learning events such as making mistakes, struggling academically, and being wrong in front of a group. Other triggers, such as being mistreated—which should never be a normal part of learning—caused significant, unnecessary emotional distress in participants.

교육자에게 미치는 함의
Implications for educators

데이터에 따르면 이행기는 학습자가 수치심을 느낄 가능성이 높은, 특히 위험한 시기일 수 있습니다. 이전의 연구들은 이행기에 있는 의대생들에게서 높은 수준의 정서적 스트레스가 나타났으며, 여기에는 부족한 지식 보유, 더 큰 지적 능력을 가진 학생들과의 경쟁, 그리고 덜 교육적인 교수법으로의 전환이 포함된다.41 여러 보고에 따르면, 스트레스의 영향에는 교감신경 활성화, 집중력 상실, 정서적 후퇴, 일에 대한 열의 감소, 비전문적 행동이 포함됩니다.42 이러한 스트레스 요인 및 결과는 참가자들의 수치 반응의 기여자와 영향을 매우 유사합니다.
Our data suggest that being in a transition period may be a particularly high-risk period for learners to experience shame. Previous studies have shown higher levels of emotional stress in medical students at transition periods,40,41 and reported transition- related stressors, include possessing insufficient knowledge, competing with students who have greater intellectual ability, and transitioning to less didactic methods of teaching.41 The reported impacts of these stressors include sympathetic activation, loss of concentration, emotional retreat, reduced enthusiasm for work, and unprofessional behavior.42 These stressors and outcomes closely resemble the contributors to and effects of our participants’ shame reactions.

수치심이 분노, 방어, 해방을 포함한 전문가답지 않은 행동으로 가장masquerade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는 의미심장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비전문적 행동을 외견상 투영하는 학습자들은 내심 큰 수치심 반응에 시달리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림 1은 외부 세계가 보는 행동과 개인의 수치스러운 개인적 경험을 처리하는 자기 평가와 사고 사이의 이분법을 보여준다. 

Our finding that shame may masquerade as unprofessional behavior, including anger, defensiveness, and disengagement,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It is possible that learners who outwardly project these unprofessional behaviors are inwardly suffering from major shame reactions. Figure 1 depicts the dichotomy between the behaviors the outside world sees and the self-evaluations and thought processes the shamed individual privately experiences.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Implications for patients

수치심은 학습자로 하여금 고립되고, 이탈되고, 단절된 느낌을 갖게 하는 경향이 있기에, 결과적으로 역량있고 공감적인 환자 진료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학습자가 학습 환경에서 탈퇴하는 것은 누락, 소통 불량, 공감 부족 등의 오류를 통해 환자 치료에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학습 동기 상실로 인한 [간접적이고 지연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Shame may impede competent and empathic patient care through its tendency to cause learners to feel isolated, disengaged, and disconnected. A learner’s withdrawal from the learning environment may have immediate, direct effects on patient care through errors of omission, poor communication, and lack of empathy; it may have indirect, delayed effects from loss of motivation to learn.

[의도적인 수치심을 주는 학습 환경]이나, [수치심 반응의 정도가 완화되지 않는 환경]은 낮은 수준의 심리적 안전감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결국 학습자가 목소리를 높이거나, 오류를 인정하거나, 필요한 질문을 하려는 의지를 저해함으로써 환자 치료에 대한 다운스트림 효과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 [수치심 반응 중에 숨고 싶은 마음]은 전공의의 거의 3/4이 환자에게 의료 오류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Learning environments with high degrees of intentional shaming or unmitigated shame reactions may engender low levels of psychological safety and hinder learners’ willingness to speak up, admit errors, or ask necessary questions, with downstream effects on patient care.48,49 For example, the desire to hide during a shame reaction may help explain the finding that nearly three-fourths of medical residents fail to admit medical errors to patients.50,51 

수치심"방 안에 있는 코끼리"에 비유되어 왔습니다. 즉, "계속 부딪히고 있음에도, 볼 수조차 없을 정도로 크고 불안하게 만드는 것."이다. 52 참가자는 수치심이 혼란스럽고, 불안하고, 거슬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놀랍게도 그들은 자신의 이야기를 공개적이고 사실적으로 공유했습니다. 

Indeed, shame has been likened to the “elephant in the room: something so big and disturbing that we don’t even see it, [even though] we keep bumping into it.”52 Our participants reported similar experiences—shame could be disorienting, disturbing, and intrusive—and yet, somewhat to our surprise, they shared their stories openly and authentically. 

제한사항 및 향후 방향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Acad Med. 2019 Jan;94(1):85-93.

 doi: 10.1097/ACM.0000000000002479.

Sentinel Emotional Events: The Nature, Triggers, and Effects of Shame Experiences in Medical Residents

William E Bynum 4th 1Anthony R Artino JrSebastian UijtdehaageAllison M B WebbLara Varpio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 1W.E. Bynum IV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Community and Family Medicine, Duk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urham, North Carolina. A.R. Artino Jr is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Bethesda, Maryland. S. Uijtdehaage is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Bethesda, Maryland. A.M.B. Webb is a fourth-year resident, Walter Reed National Military Medical Center Internal Medicine-Psychiatry Residency, Bethesda, Maryland. L. Varpio is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Bethesda, Maryland.
  • PMID: 30277959
  • DOI: 10.1097/ACM.0000000000002479Abstract
  • Purpose: This study explores an under-investigated topic, how medical residents experience shame within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s, by asking residents to reflect on (1) the nature of their shame experiences; (2) the events that triggered, and factors that contributed to, those shame experiences; and (3) the perceived effects of those shame experiences.Results: Participants' shame experiences ranged from debilitating emotional and physical reactions to more insidious, fleeting reactions. Participants reported shame triggers relating to patient care, learning processes, and personal goals; numerous factors contributed to their shame experiences. The effects of shame reactions included social isolation, disengagement from learning, impaired wellness, unprofessional behavior, and impaired empathy. Positive effects of shame reactions included enhanced learning, increased willingness to reach out for help, and improved relationships.
  • Conclusions: Shame reactions can be sentinel emotional events with significant physical and/or psychological effects in medical learners.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learners, educators, and patients, and it may pave the way toward open, honest conversations about the role shame plays in medical education.
  • Method: In this hermeneutic phenomenology study, the authors recruited 12 (self-nominated) residents from an internal medicine residency at a large teaching hospital in the United States. Data collection from each participant in 2016-2017 included (1) a written reflection about an experience during medical training in which the participant felt "flawed, deficient, or unworthy," and (2) a semi-structured interview that explored the participant's shame experience(s) in depth. The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hermeneutic traditions, producing rich descriptions about participants' shame experiences.

위임의 핵심 용어 명확화(Med Teach, 2021)

Clarifying essential terminology in entrustment
Daniel J. Schumachera , Olle ten Cateb , Arvin Damodaranc , Denyse Richardsond,e, Stanley J. Hamstraf,g,h, Shelley Rossi , Jennie Hodgsonj, Claire Touchiek, Laura Molgaardl , Wade Goftonm, Carol Carraccion and On behalf of the ICBME Collaborators 

 

전 세계 보건 전문가를 위한 많은 교육 프로그램에 의해 수용된 운동인 역량 기반 의료 교육(CBME)은 종종 이정표, 역량 및 위탁의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구현된다. 실제로, 위임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널리 사용되는 CBME 접근방식인 위탁 가능한 전문 활동(EPA)은 지난 10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상당한 관심을 끌었다. 위임 프레임워크와 EPA의 신속하고 광범위한 채택의 의도하지 않은 결과는 이 접근방식의 핵심 개념에 대한 해석의 범위이다. 많은 간행물은 개인 또는 프로그램이 EPA를 개발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했지만, 개념과 원칙을 정확히 정의하는 데는 제한적인 주의를 기울였다. 그 결과 EPA가 공식화되고 위임 의사결정의 기반이 되는 핵심 개념과 원칙을 설명하는 언어의 명확성이 부족하다. 이러한 혼동을 해결하기 위한 유용한 시도가 있었지만, 이러한 노력은 종종 특정 영역에 초점을 맞추지 못했다.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a movement embraced by many education programs for health professions worldwide, is often implemented using the frameworks of milestones, competencies, and entrustment (Licari and Chambers 2008; Bok 2015; Molgaard et al. 2018; Powell and Carraccio 2018). Indeed,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s), a prevailing CBME approach using the entrustment framework, have garnered substantial interest worldwide over the past decade (Chen et al. 2015; Carraccio et al. 2017; Duijn et al. 2019; Meyer et al. 2019; Molgaard et al. 2019; O’Dowd et al. 2019; Shorey et al. 2019). An unintended consequence of the rapid, widespread adoption of the entrustment framework and EPAs is the range of interpretations of the central concepts of this approach. Many publications have detailed how individuals or programs are developing EPAs, but limited attention has been paid to precisely defining concepts and principles (O’Dowd et al. 2019; Shorey et al. 2019). The result is a lack of clarity in the language describing the key concepts and principles upon which EPAs are formulated and entrustment decision-making is based (ten Cate 2014; ten Cate et al. 2016; Taylor et al. 2017; Tekian 2017; Melvin et al. 2019). Useful attempts have been made to address this confusion; however, these efforts have often limited their focus to specific areas (Englander et al. 2013; ten Cate 2013, 2020; Sklar 2015; ten Cate et al. 2015; Post et al. 2016; Taylor et al. 2017; Tekian 2017).

본 문서는 (1) 의료 교육 전반에 걸친 위탁 의사결정 개념에 대한 공통 사전 제안 및 (2) 위탁의 맥락과 결과에 대한 공통 정신 모델을 옹호함으로써 위탁 구조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설명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리는 [언어를 명확히] 하고 [용어를 보다 정확하게 정의]하는 것이 교육자, 연구자 및 저자를 위한 참조가 되어서, 혼란을 줄이고 매우 필요한 공유 정신 모델을 발전시킬 수 있다고 믿는다. 우리는 언어가 살아있는 것이라는 것을 인정하며 어떤 작가도 언어의 사용에 대해 완전한 통제권을 가질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한다. 우리가 위임에 관한 명확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이유는, 언어가 교육과 평가 관행을 형성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는 확신 때문이며, 이것이 현재의 글쓰기에 대한 우리의 동기를 부여한 근본적인 목적이다. 본 문서는 개념과 정의가 저자들의 관점을 반영한다는 본질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우리는 모두 국제 CBME 공동작업자 그룹의 일원이며 이 주제에 대해 경험이 있을 뿐 아니라 헌신적이라는 점에 주목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This article aims to offer a more comprehensive clarification of the entrustment construct by (1) proposing a common lexicon for the concepts of entrustment decision-making across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and (2) advocating a common mental model for the context and consequences of entrustment. We believe clarifying language and more precisely defining terminology as a reference for educators, researchers, and authors contributing to this literature can reduce confusion and advance a much-needed shared mental model. We acknowledge that language is a living thing and no authors can ever have full control over its use. The reason we want to contribute to clarification around entrustment talk is our conviction that language has the power to shape education and assessment practices, and it is this underlying purpose that has motivated us for the current writing. Although this paper has the inherent limitation that the concepts and definitions reflect the authors’ views, we believe it is worth noting that we are all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CBME Collaborators group and are both dedicated to this topic as well as experienced in it.

위임체계 및 위임 가능한 전문활동
The entrustment framework and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다양한 수준의 감독활동을 할 수 있는 신뢰의 관점에서 학습과 평가를 고려하는 위임 프레임워크는 여러 가지 장점이 있습니다.

  • 첫째, 위임 프레임워크는 양질의 관리를 제공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감독이 필요하거나 필요하지 않은지를 고려하게 함으로써, [환자를 학습 및 평가 공식의 한 부분으로] 가져온다.
  • 둘째, EPA를 구체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위임 프레임워크는 (학습자가 중요한 역량을 통합할 것으로 요구되는) 전문직의 진정한 활동authentic activity을 관찰하고 지도하도록 임상 감독자를 배치한다.
  • 마지막으로, 그리고 아마도 가장 중요한 것으로, [EPA는 개인이 신뢰받을 수 있는 실제 전문적 실천요강의 단위를] 나타내며, 결국 [인구집단의 요구]에 따라 [감독 없이 practice하고, 다른 사람들을 감독할 수 있는 능력]으로 귀결된다(Vandewaetere et al. 2015).

The entrustment framework, which considers learning and assessment through the lens of being trusted to perform activities with various levels of supervision, has several strengths.

  • First, the entrustment framework brings care of the patient into the learning and assessment equation by considering how much supervision is, or is not, needed to provide quality care.
  • Second, when using EPAs specifically, the entrustment framework positions clinical supervisors to observe and coach authentic activities of the profession that require the learner to integrate critical competencies.
  • Finally, and perhaps most importantly, EPAs represent actual units of professional practice that individuals can be trusted to do with varying levels of supervision, culminating in the ability to practise without supervision and to supervise others, based on the needs of populations served (Vandewaetere et al. 2015).

따라서 교육적 실무의 목적을 위해, 전문적 활동을 위임받는 과정에서 학습자를 지원할 학습 경험을 확인하고 개발하는 직업 EPA에서 역방향 비전 프로세스에 참여한다.
Thus, for educational practice purposes, one engages in a backward visioning process from the profession’s EPAs to identifying and developing learning experiences that will support learners’ in their progress toward becoming entrusted with those professional activities.

 

독립적 진료행위, 감독되지 않은 진료행위, 자율성, 감독 및 감독 구분
Differentiating independent practice, unsupervised practice, autonomy, supervision, and oversight

독립적 진료행위
Independent practice

EPA 및 그와 관련된 위임 감독 척도에 대한 초기 작업은 관리 제공이 궁극의 '독립적 진료행위' 수준으로 개선됨에 따라 감독을 점진적으로 축소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Ten Cate 등. 2010). 그러나 [독립성]을 개념화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Schumacher et al. 2013). 교육 환경에서 독립이라는 단어는 개인이 교사나 감독자에게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직장 동료들로부터의 독립]이라는 개념으로 합해질 수 있다. [독립]을 [의사가 환자의 병을 고치는 기술이나 지혜의 고립된 원천이라는 시대착오적인 개념]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설령 시골에 혼자 있는 의사라도 간호사, 조수, 또는 그들이 협력할 수 있는 다른 건강 관리 동료들을 갖게 될 것이다.
Early work on EPAs and their related entrustment-supervision scales focused on gradually lessening supervision as care delivery improves to an ultimate level of ‘independent practice’ (ten Cate et al. 2010). However, the conceptualization of independence has been challenged (Schumacher et al. 2013). The word independence in an educational setting may be used to signify that an individual is not dependent on a teacher or a supervisor, but it may also be conflated with independence from co-workers. Independence should not be confused with the anachronistic notion that a medical professional is an isolated wellspring of skills or wisdom, fixing whatever ails a patient. Even a solo practitioner in a rural area will have a nurse, assistant, or other health care colleagues with whom they can collaborate. 

그들은 또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접근할 수 있는 자원을 갖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그들은 인터넷에서 의료 문헌과 기타 자원을 검색할 수 있고, 전화나 전자적 수단을 통해 컨설턴트 및 기타 의료 기관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한다면, 의사는 독립적으로 진료하고 있지 않다. '독립'이란 단어는 의사가 전적으로 그들 자신의 지식, 기술, 능력, 그리고 수단에만 의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우리는 이 단어를 사용하지 않을 것이며, 대신 의료 서비스가 실제로 제공되는 방식과 일치하는 [감독되지 않은 진료행위]를 사용할 것이다.

They will also have resources that they can access to seek answers to their questions; for instance, they can search the medical literature and other resources on the Internet, and they can connect with consultants and other health care providers via telephone or electronic means. These individuals are not practising independently, which would imply they are left entirely to their own knowledge, skills, abilities, and means. Thus, our preference is to avoid this word altogether and instead speak of unsupervised practice, which is consistent with how health care is actually delivered.

자율성
Autonomy

종종 감독supervision이 자율성autonomy에 반대되는 것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Schumacher et al. 2013). 이 틀에서 개인은 [감독을 받거나 자율성을 부여받을]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관점을 지지하지 않으며, Schumacher 등이 제안한 [자기 결정 이론에서 정한 자율성의 정의]를 채택할 것이다: 자신의 의지에 따라 행동한다(Ryan and Deci 2000; Schumacher et al. 2013). 감독을 받는 안전한 환경에서 이러한 능력을 부여하면, 학습자는 [현재의 competence 수준(할 수 있는 것)]에서 [capability를 입증하는 것(할 수 있지만 아직 하지 못한 것)]으로 나아갈 수 있다.

Often supervision is thought of as the antithesis of autonomy, as if they are at opposite ends of the same spectrum (Schumacher et al. 2013). In this framing, an individual can either be supervised or be granted autonomy. We do not support this view but rather align with Schumacher and colleagues who suggest adopting the definition of autonomy set forth in self-determination theory: acting of one’s own volition (Ryan and Deci 2000; Schumacher et al. 2013). Granting this ability in the safe setting of being supervised allows individuals to progress from their current level of competence (what they can do) to demonstrating their capability (what they are able to do but have not yet done) (Fraser and Greenhalgh 2001). 

이는 학습을 발전시킬 뿐만 아니라, 감독자가 개인의 성과에 대한 leading edge를 밀고 관찰하여 감독을 줄일 수 있는 준비 상태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한다. 자율성은 accountability and liability을 반영하는 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많은 ealy-career autonomous medical professional들은 그들의 고품질 진료행위을 강화하기 위해 멘토링이나 코칭을 필요로 하거나 원하고 있다(Donahue et al. 2021; Duijn et al. 2020).
This not only advances their learning but also positions supervisors to push toward and observe the leading edges of individuals’ performance to make determinations about their readiness for less supervision. Autonomy has a legal connotation reflecting accountability and liability, but many early-career autonomous medical professionals need or desire mentorship or coaching to strengthen their high-quality practice (Donahue et al. 2021; Duijn et al. 2020).

감독과 감시
Supervision and oversight

감독은 일반적으로 [다른 의사의 치료와 행동을 감독하는 것]으로 임상 환경을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그러나 '감독'의 정의가 달라지면서 복잡성이 발생하였다(Lingard와 Goldszmidt 2020).

  • 임상 감독은 영국 심리학 저널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되었다.
    • '선배/자격 보건의가 사례 중심적이고 동료(감독관)의 작업을 지원, 지시 및 안내하는 강도 높은 관계 기반 교육과 훈련을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것'
    • 품질관리, 감독자의 역량과 역량 유지 및 촉진, 감독자의 효과적인 업무 지원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Millne 2007).
  • Kilminster와 동료들은 의학교육에 대한 감독을 다르게 정의하며,
    • '[안전하고 적절한 환자 진료를 제공하는 수련생 경험]의 맥락에서 [개인, 전문적, 교육적 발달 문제에 대한 지침과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정의한다(Kilminster et al. 2007).

Supervision is generally well understood in the clinical setting as overseeing another practitioner’s care and actions. However, definitions of supervision diverge, creating complexity (Lingard and Goldszmidt 2020).

  • Clinical supervision has been defined in the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as
    • ‘the formal provision, by senior/qualified health practitioners, of an intensive relationship-based education and training that is case-focused and which supports, directs, and guides the work of colleagues (supervisees).
    • Its function includes quality control, maintaining and facilitating the supervisees’ competence and capability, and helping supervisees to work effectively’ (Milne 2007).
  • Kilminster and colleagues define supervision in medical education differently, as
    • ‘the provision of guidance and feedback on matters of personal, professional, and educational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a trainee’s experience of providing safe and appropriate patient care’ (Kilminster et al. 2007).

이 두 가지 정의 모두 일반적으로 국어사전에 반영되어 있는, 감독에 대한 [보다 공식적이거나 위계적인 역할 설명(말 그대로 '위에서-본다')이 부족하다. 임상 감독으로서의 감독은 의료 교육 분야에서 케네디와 동료의 작업에 의해 잘 설명된다(Kennedy et al. 2007). 감독에 대한 guidance and oversight 관점을 결합함으로써, ten Cate는 목적에 더 적합한 것으로 보이는 임상 감독을 위한 새로운 정의를 제안했다. 

  • [관찰 및 지도]에 의한 [의료 관련 학습 및 효과적인 업무]에 대한 [지침 및 지원]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 필요한 경우, [책임자의 위치]에서 [정확하고 안전하게 업무를 수행하도록 보장]하는 업무 또는 활동의 수행

Both of these definitions suffer from a lack of a more formal or hierarchical role description of supervision (literally ‘over-sight’), reflected in common dictionaries. Supervision as clinical oversight is also well elaborated by the work of Kennedy and colleagues in medical education (Kennedy et al. 2007). Combining both the guidance and oversight perspectives of supervision led ten Cate to propose a new definition for clinical supervision that seems a better fit for the purpose:

  • ‘The provision of guidance and support in learning and working effectively in health care by observing and directing,
  • when necessary, the execution of tasks or activities to ensure that they are done correctly and safely, from a position of being in charge’ (ten Cate 2018).

 

신뢰도, 신뢰, 위임, 임시 및 최종 위임 결정, 위임 가능성 및 준비 상태
Trustworthiness, trust, entrustment, ad hoc and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s, entrustability, and readiness

신뢰도
Trustworthiness

신뢰성trustworthiness은 [사람들이 여러분에게 의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항상 선하고 정직하고 성실한 특질(옥스포드 영어 사전)]이라는 의미를 가지며, 다른 사람이 (그 사람을) 신뢰할 수 있게 기여 하는 개개인이 보이는 일군의 특질이나 행동으로 구성된다. 그 다음에 신뢰trust를 다룬다. 신뢰성만으로는 위임 결정을 내리기에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Trustworthiness (‘the quality of always being good, honest, sincere, etc. so that people can rely on you’ – Oxford English Dictionary) consists of traits or behaviours that individuals demonstrate, which contribute to others trusting them. We address trust next, as trustworthiness alone is not sufficient to make entrustment decisions.

케네디와 동료들은 의학 교육의 맥락에서 학습자의 신뢰성의 네 가지 구성 요소를 보고한다. 

  • (1) 지식과 기술, 
  • (2) 양심(즉, 철저성과 의존가능성), 
  • (3) 분별력(즉,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고, 도움을 구하려는 의지), 
  • (4) 진실성(Kennedy et al. 2008) 

Kennedy and colleagues report four components of trustworthiness of learners in the context of medical education:

  • (1) knowledge and skill,
  • (2) conscientiousness (i.e. thoroughness and dependability),
  • (3) discernment (i.e. awareness of limitations and willingness to seek help), and
  • (4) truthfulness (Kennedy et al. 2008).

이 작업 20년 전, 경영 문헌에서 메이어와 동료들은 신뢰성의 핵심 요소로서 [능력, 무결성 및 자비심]을 제안했다(Colquitt et al. 2007). 능력, 즉 지식과 기술은 직무에 분명히 내재되어 있지만, 신뢰성을 결정하는 다른 특성은 그렇지 않다. 이것은 [일반적general 신뢰성]이 [작업-특이적 신뢰성]과 구별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일반적인신뢰성]은 정직, 도움을 구하는 것, 그리고 신뢰성과 같은 특징을 보이는 경향이 있는 개인을 가리키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Two decades before this work, in the management literature, Mayer and colleagues proposed ability, integrity, and benevolence as key components of trustworthiness (Colquitt et al. 2007). Ability, or knowledge and skill, is obviously inherent to a task, but the other characteristics that determine trustworthiness are not (ten Cate and Chen 2020). This raises the question whether general trustworthiness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ask-specific trustworthiness. General trustworthiness can be used to refer to an individual who tends to display features such as honesty, help-seeking, and dependability. 

그러나 이 사람조차도 주어진 작업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갖추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업-특이적 신뢰성]을 입증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 자기자신의 한계를 알고 있는 진실되고 양심적인 소아과 의사를 떠올려보라. 그들은 일반적인 신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또한, 귀 감염이 발생한 어린이를 관리하기 위한 [과제-특이적 신뢰성]이 뛰어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신경외과에 대한 교육을 받지 않은 이상 소아 뇌종양을 절제하는 지식과 기술은 거의 제한적입니다. 그러므로, 그들은 이 수술 절차에 대한 [작업-특이적 신뢰성]이 부족하다.

However, even this person may not possess the requisite knowledge and skill for a given task. Therefore, they may not demonstrate task-specific trustworthiness.

  • Consider a truthful, conscientious pediatrician who is aware of their limitations. They may be seen as possessing general trustworthiness. They may also possess excellent task-specific trustworthiness for managing a child presenting with an ear infection. However, unless also trained in neurosurgery, they almost certainly have very limited, if any, knowledge and skill for resecting a pediatric brain tumor. Therefore, they lack task-specific trustworthiness for this surgical procedure. 

[일반적 신뢰성]과 [작업-특이적 신뢰성]의 이러한 차이는 일반적 신뢰성은 작업 특이적 신뢰성의 필요조건이지만 충분 조건은 아닌 이유를 보여준다.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신뢰도는 특정 작업에 대한 준비 상태와 동일하지 않다.

This distinction between general and task-specific trustworthiness underscores why general trustworthiness alone is necessary but not sufficient for being trusted to perform a specific task. Similarly, general trustworthiness does not equate with readiness for a specific task.

신뢰, 위임, 임시 및 최종 위임 결정
Trust, entrustment, and ad hoc and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s

신뢰trust는 명사이자 동사이다. 명사로서 trust에 대한 정의는 Mayer와 동료의 것이 가장 많이 인용된다.

  • '다른 당사자를 감시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능력에 관계 없이, [신뢰자trustor에게 중요한 특정 행위]를 [다른 당사자가 수행하리라는 기대에 따라] 타 당사자의 행동에 취약해질 수 있는 의지'

Trust is both a noun (a psychological attitude) and verb (the act of relying on someone or something) (Castelfranchi and Falcone 2010). Mayer and colleagues’ definition of the noun is most cited:

  • ‘the willingness of a party to be vulnerable to the actions of another party based on the expectation that the other will perform a particular action important to the trustor, irrespective of the ability to monitor or control that other party’ (Mayer et al. 1995).

동사로서 Trust보다 '위임entrustment'에 더 관련이 있는 것은 Enstruting이다.

  • (누군가에게) 개인, 조직 등에 가치 있거나 중요한 것에 대한 책임을 부여하는 것

More relevant for entrustment than the verb trust is entrusting:

  • ‘to assign the responsibility for something valued or important to a person, organization, etc.’ (Oxford English Dictionary).

위임은 trustor가 다른 개인(trustee)에게 부여하는 것이다. 타인을 위임하는지의 여부에 있어 인지된 신뢰성trustworthiness이 주요 요소이기는 하지만, 타인을 위임하는 과정은 다른 요인의 영향을 받고 미묘한 차이를 보인다. Dijksterhuis, Hauer 등은 작업장의 위임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섯 가지 요소 그룹을 설명하였다. 
Entrustment is granted by a trustor to another individual (a trustee). While perceived trustworthiness is a primary factor in whether or not another individual is entrusted, the process of entrusting another is nuanced and influenced by other factors. Dijksterhuis, Hauer and others have described five groups of factors that affect entrustment decisions in the workplace:

  • the trustee,
  • the trustor,
  • the task,
  • the context, and
  • the trustee–trustor relationship (Dijksterhuis et al. 2009; Hauer et al. 2014).

따라서, 한 preceptor에 의해 간접적인 감독을 받을 준비가 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는 학습자라도, [연습생을 알지 못하는 다른 preceptor]에게는 신뢰를 받지 못할 수 있다. 환자의 질병의 심각성, 제공되어야 할 치료의 어려움과 위험, 낮이든 밤이든 상관의 경험과 신뢰 성향, 그리고 임상 환경의 분주함이 모두 연습생에게 맡기는 임시 결정의 역할을 한다. 위임은 학습자의 준비와 무관하게 수행될 수도 있고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심리상태로서의 [신뢰trust]와 행위로서의 [위임entrustment]의 차이를 강조한다. 신뢰는 필요하지만 위임 결정을 내리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 개인은 신뢰할 수 있고 신뢰자와 긍정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지만, 관련된 상황 및 위험 때문에 trustor들이 업무를 맡기지 않을 수도 있다.
  • 마찬가지로, [높은 수준의 신뢰성를 보이는 개인]일지라도, [신뢰에 대한 신뢰자의 제한된 성향]과 [다른 고려사항] 때문에 특정 업무가 위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이슈로 인해 학자들은 [위임 결정]으로부터 [신뢰]를 분리하게 되었다.

Thus, a learner who may seem ready for indirect supervision (or who is entrusted with indirect supervision) by one preceptor may not be trusted by a different preceptor who is not acquainted with the trainee. The severity of illness of the patient, the difficulty and risk of the care to be provided, the time of day or night, the experience and trust propensity of the supervisor, and the busyness of the clinical environment all play a role in ad hoc decisions to entrust trainees. Entrustment may or may not happen, even independent of the learner’s readiness for it. This underscores the differentiation between trust as a state of mind and entrustment as an act. Trust is necessary but not sufficient to make an entrustment decision.

  • An individual may be trustworthy and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trustor but many not be entrusted with a task because of the context and risk involved.
  • Similarly, an individual who demonstrates a high level of trustworthiness may not be entrusted with a specific task because of a trustor’s limited inclination to trust and other considerations.

These issues have led scholars to separate trust from entrustment decisions (Mayer et al. 1995; Damodaran et al. 2017; Holzhausen et al. 2017; ten Cate et al. 2020).

[신뢰trust]와 [위탁entrustment]의 관계를 복잡하게 만드는 것은, 감독자들마다 상황, 업무, 심지어 위험과 상관없이 신뢰 성향이나 신뢰 의지에 있어서 서로 다르다는 점이다. [신뢰 성향trust propensity]은 인지된 위험과 실제 위험을 고려해야 한다. [실제 위험]은 [맥락과 과제]에 내재되어 있다. 그러나 [인지된 위험]은 감독자마다 다를 수 있으며 따라서 [trustor에게 내재적instrinsic]이다. 쇼크 상태의 환자를 삽관하기 어려운 경우와 같이 위험이 높은 경우 실제 위험과 인지 위험 사이에 일반적인 합의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 교사가 다른 교사가 하지 못하게 하는 일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사의 위험 관용과 경험 수준에 따라 위험에 대한 다른 인식이 있을 수 있습니다. 
Complic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entrustment, supervisors differ in their trust propensity, or their willingness to trust a person regardless of the context, task, and even risk involved (ten Cate 2017). Trust propensity necessitates consideration of perceived and actual risk. Actual risk is intrinsic to the context and task. However, perceived risk may differ across supervisors and is therefore intrinsic to the trustor. There may be general agreement between actual and perceived risk when risk is high, such as with a difficult intubation of a patient in shock. However, there may be different perceptions of risk based on a preceptor’s risk tolerance (determining their trust propensity) and experience level, such that one preceptor may allow learners to do things another preceptor would not let them do.  

마찬가지로 신뢰 성향은 [인식된 편익]과 [실제 편익]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탁자를 병원에 혼자 두고 집으로 돌아가 이 결정으로 인해 야간 혜택을 받는 교사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는 또한 보다 멀리 떨어진 감독을 통해 자신감을 쌓을 기회를 원하는 수탁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준비되지 않은 수탁자가 노출될 수 있다. 즉, 학습자에게 업무를 맡기는 경향은 위탁자가 인지하는 위험과 혜택에 영향을 받습니다(10개 항목 2017).

Similarly, trust propensity may vary on the basis of perceived and actual benefits. For example, a preceptor who leaves the trustee alone in the hospital and goes home for the night benefits from this decision. This may also benefit the trustee who desires the opportunity to build confidence through practising with more distant supervision or it may leave an unprepared trustee exposed. In short, the tendency to entrust learners with tasks is influenced by the trustor’s perceived risks and benefits of entrusting (ten Cate 2017).

신뢰할 수 있고, 신뢰할 수 있으며, 실무에 대한 준비 상태
Entrustable, entrustability, and readiness for practice

직장에서의 신뢰성trustworthiness이라는 단어는 지식 및 능력뿐만 아니라 성격적 특성을 떠오르게 한다. 그 결과 [일반적 신뢰성]과 [업무 특이적 신뢰성] 사이의 미묘한 차이 때문에 [(당신을) 아직 신뢰할 수 없다]는 피드백은 쉽게 오해를 받는다. 이러한 오해를 해소하기 위해, 학습자를 설명할 때 trustworthiness라는 단어를 entrustable 이라는 단어로 대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때때로, 이것은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신뢰성의 수준을 논의함으로써 운영화된다. 그러나, '위임'이라는 단어는 학습자가 [수행하는 활동activity]을 특징지으며, 해당 활동을 [수행하는 사람the person]에게 할당되는 것이 아니다(10년, 2005년, 2020년). 

As the word trustworthiness in the workplace brings to mind character traits as well as knowledge and abilities, feedback that one is not yet trustworthy is easily misunderstood because of the nuances between general and task-specific trustworthiness. To address this misunderstanding, individuals often substitute the word trustworthiness with the word entrustable when describing learners. Sometimes, this is operationalized by discussing the level of entrustability that a learner possesses. However, the word entrustable was meant to characterize activities that a learner performs and not to be assigned to the person who is performing them (ten Cate 2005, 2020).

이러한 오용 때문에 Cate는 학습자를 enstrustable 또는 pre-entrustable로 qualifying하는 것이 부정확할 뿐만 아니라, [ordinal entrustment-supervision scale를 잘못 해석하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적절한 감독 수준에 대한 결정이나 권고]가 아니라, 이 scale을 [숙련도의 연속형 척도]로 볼 오해가 있다는 것이다. 이 척도는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더욱이, [상사가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것]과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것] 사이의 등급은 비논리적이다. 감독관은 유령과 같은 모습으로 존재할 수 없다. 감독관은 있든지 없든지 둘 중 하나다. 이러한 이유로, 당사는 학습자를 위임 또는 사전 위임으로 지칭하는 것뿐만 아니라, 위임의 정도degree of entrustability를 기술하는 척도를 사용하지 않는 것에 동의합니다. 오히려, 우리는 [practice을 위한 준비 상태]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지지한다.

This misuse has led ten Cate to argue that qualifying learners as entrustable or pre-entrustabl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2014; Englander et al. 2016) not only is inaccurate but may also lead to a misinterpretation of ordinal entrustment-supervision scales, moving away from the discrete recommendations or decisions of a level of supervision and instead interpreting the scales as a continuous measure of proficiency (ten Cate 2020). These scales are not intended to be used in this manner. Furthermore, a rating between a supervisor being physically present and being not physically present is illogical. A supervisor cannot be present as a ghostly apparition. Either they are present or they are not present. For this reason, we agree with discouraging the use of scales that describe degrees of entrustability as well as referring to learners as entrustable or pre-entrustable. Rather, we advocate using the term readiness for practice.

다양한 단계의 교육 및 전문 분야에 대한 위임 결정 표현
Expressing entrustment decisions for various stages of training and specialties

위임의 개념은 훈련 단계와 의료 실무 분야 전반에 걸쳐 안정적이다(즉, supervision없이 practice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은 특정 작업에 대한 감독 없이 일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그 사람이 학생이든 전공의든 수의사든 치과의사든 마찬가지다). 그러나 특정 단계의 훈련 및 실무에 대해서는 위임 감독 척도에 사용되는 언어의 추가 관리 및 특수성이 보장될 수 있다(Rekman et al. 2016; 10 Kate et al. 2020). 대부분의 경우 일반적인 5단계 위임 관리 규모가 사용됩니다. 
The concept of entrustment is stable across stages of training and fields of heath care practice (i.e. readiness to practice without supervision means an individual can work without supervision for a given task whether they are a student, a resident, a veterinarian, or a dentist). However, additional levels of supervision and specificity of language used in entrustment-supervision scales may be warranted for particular stages of training and fields of practice (Rekman et al. 2016; ten Cate et al. 2020). Most often, a generic five-level entrustment-supervision scale is used:

  • May be present but may not practise the EPA;
  • May practise the EPA under direct, proactive supervision, with supervisor physically present in the room;
  • May practise the EPA under indirect, reactive supervision, with supervisor not physically present but quickly available;
  • May practise the EPA unsupervised;
  • May act as supervisor for others for the EPA (ten Cate et al. 2010).

이것은 학부 의대 교육을 위해 Chen과 동료들에 의해 더욱 정교하게 설명되었습니다. 그들은 학생들이 무언가를 관찰하는 것조차 허락되지 않을 수도 있는 하위 단위에 추가적인 수준을 추가하였습니다(Chen 등. 2015).

This has been further elaborated by Chen and colleagues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they have added additional levels at the lower end where a student may potentially not even be allowed to observe something (Chen et al. 2015).

주어진 분야 내에서 실무 분야와 전문 분야 간에 위임-감독 척도를 달리해야 할 필요성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 Hatala와 동료들이 지적하듯이, 많은 [내과 과업]들이 [외과]와 같은 시술 전문분야의 과업들보다 less well-circumscribed되어 있다(Hatala et al. 2019). 내과에서 많은 학습자 활동을 면밀히 모니터링하지만 직접 관찰하지는 않는다. (하탈라 외. 2019; 멜빈 외. 2019)
  • 또한, 마취과 의사의 핵심위임질문에 대한 Weller와 동료의 인식은 다음과 같다. '수술방을 떠나도 될까?' (그리고 담당 레지던트를 떠나도 될까?) 
  • 마지막으로, 미국의 소아과 커뮤니티에서 인기 있는 Chen 위임-감독 척도의 언어는 해당 커뮤니티에서 위임 및 감독에 대한 정신적 모델의 요구를 충족하고 그에 맞게 조정되었다(Schumacher et al. 2020).

The need for differing language for entrustment-supervision scales between fields of practice and specialties within a given field is also important to note.

  • As Hatala and colleagues note, many internal medicine tasks are less well-circumscribed than the tasks in procedural specialties such as surgery (Hatala et al. 2019). Much learner activity in internal medicine is closely monitored but not directly observed (Hatala et al. 2019; Melvin et al. 2019).
  • Furthermore, Weller and colleagues’ perception of the core entrustment question in the minds of anesthesiology attendings is: ‘Can I leave the operation theatre?’ (and leave the resident in charge) (Weller et al. 2014).
  • Finally, in the pediatric community in the United States, the language of the popular Chen entrustment-supervision scale has been adapted to meet the needs of, and align with, the mental model of entrustment and supervision in that community (Schumacher et al. 2020).

 

때때로 분야와 전문 분야 간의 감독에 대한 정신적 표현의 차이에서 비롯된 이러한 언어 문제는 일률적인 해결책으로는 해결될 수 없다. 우리는 감독 수준의 일반적인 프레임워크가 남아있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그 프레임워크 내에서 수정adaptation하는 것이 유익하다. 본 문서에서는 상황에 맞는 적절한 위임-감독 척도를 도출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할 수 없지만, 다양한 분야와 전문 분야의 교육자와 학자들은 가장 효과적인 언어 및 필요한 수의 감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할 수 있다.

These language issues, sometimes stemming from differences in mental representations of supervision between field and specialties, cannot be resolved with a one-size-fits-all solution. We believe that the generic framework of levels of supervision should remain, but within that framework adapations are beneficial. Guidelines around how to derive contextually suitable entrustment-supervision scales cannot be offered in this paper, but educators and scholars in various fields and specialties can elaborate for their field or specialty the most effective language and the required number of supervision levels.

소급평가 대 예비위임
Retrospective evaluation versus prospective entrustment

위임-감독 척도는 두 가지 방법으로 사용되었습니다.
Entrustment-supervision scales have been used in two ways:

  • (1) O-SCORE 척도의 경우처럼, 목격한 작업에 얼마나 많은 감독, 지침 및 지원이 필요했는지 보고한다. (내가 직접 해야 했다, 구두로 지시하면 되었다 등)
  • (2) 아직 진행되지 않은 상황을 포함하여, 학습자가 향후 특정 활동을 수행할 때 얼마나 많은 감독을 필요로 하는지를 권고한다.
  • (1) to report how much supervision, guidance, and/or assistance was needed and provided for a witnessed task, as in the case of the O-SCORE scale (with levels specified as: I had to do, I had to talk them through, etc.) (Gofton et al. 2012; Rekman et al. 2016) and
  • (2) to recommend how much supervision a learner requires in the execution of specific activities in the future, including as-yet-undefined situations.

 

  • 전자는 [발생한 관찰(즉, 후향적)을 보고하는 역할]을 하고 숙련도의 판단을 이끄는 척도이다. 
    후자는 전향적 위임 결정을 제공하기 위해 관찰자의 추가적인 추론을 필요로 한다.
  • The first is a scale that serves to report on observations that have occurred (i.e. retrospectively) and that lead to a judgment of proficiency.
    The second requires additional inference by the observer to render a prospective entrustment decision.

후향적 평가는 위험, 유익성 및 결과에 대한 알려진(개인적으로는 가변적 추정치이지만) 사후 판단으로 판단되는 특정 맥락에 위치한다. 본질적으로 위임 결정은 전향적인 결정이기에, 미래의 상황, 위해성, 유익성 및 결과를 미리 알 수는 없다. [위임-감독 척도]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과거에 얼마나 많은 supervision가 제공되었는지를 반영하는 것은 물론, 향후 감독 수준에 대한 권고 사항도 포함하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Retrospective evaluations are situated in a specific context with known (albeit individually variable estimates of) risks, benefits, and outcomes, judged in hindsight. With entrustment decisions, which are inherently prospective, the contexts, risks, benefits, and outcomes are unknown. We suggest using the term entrustment-supervision scale, as we have done in this paper, to stress that this scale not only reflects how much supervision was provided in the past but also includes a recommendation for a future level of supervision, implying entrustment for the future.

[전향적 위임 결정]은 [일반적 신뢰성 및 업무-특이적 신뢰성]을 모두에 기초해야 한다. 이것은 다음의 두 가지를 설명한다.

  • 필요할 때 정직하고 양심적이며 도움을 구하는 학습자의 일반적인 경향과
  • 아마도 이후에 수행해야 할 과제에 대한 학습자의 지식과 기술(과제별 신뢰도)

Prospective entrustment decisions should be based on considering both general and task-specific trustworthiness. This accounts for

  • a learner’s general tendency to be honest, conscientious, and seek help when needed (general trustworthiness) as well as
  • a learner’s knowledge and skill for the tasks they will probably be called upon to perform (task-specific trustworthiness).

이 중 후자를 고려할 때에는 학습자가 지식과 기술을 적용함에 있어, 알려진 것에서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외삽extrapolate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판단]을 고려해야 한다.

This latter consideration should consider judgments about a learner’s abilities to extrapolate from the known to the unknown in applying their knowledge and skills.

잠재적 위임 결정을 내릴 때 일반적인 신뢰도를 고려할 때, ten Cate 와 Chen은 의료 분야에서 위탁을 가능하게 하는 학습자 특성 연구에 기초하여 다섯 가지 요소 그룹을 기술했다. 역량, 무결성, 겸손, 신뢰성 및 대리. 이것들은 우리가 이전에 논의한 신뢰성 구조trustworthiness construct와 잘 맞아떨어진다. 우리가 위임 결정을 내릴 때, 만약 개인이 입증된 능력 이상으로 위임을 받는다면, 그 결정과 미래의 상황에 관련된 위험은 개인의 [일반적 신뢰도]에 크게 의존하는 위탁 결정에 의해 완화된다. 
When considering general trustworthiness in making a prospective entrustment decision, ten cate and Chen have delineated five groups of factors on the basis of studies of learner charcteristics that enable entrustment with tasks in health care: capability, integrity, humility, reliability, and agency (ten Cate and Chen 2020). These align well with the trustworthiness constructs we discussed previously. If we consider these features when making an entrustment decision, if and when an individual is entrusted beyond their demonstrated competence, the risk involved in that decision and the future situation is mitigated by the entrustment decision leaning heavily on the individual’s general trustworthiness.

위험을 추가로 평가하기 위해, ten Cate와 Hoff는 위임-기반 논의를 평가 툴킷의 일부로 포함할 것을 제안했다. 그러한 논의에는 위험과 합병증에 대한 인식에 대한 논의와 감독 감소의 위험을 측정하기 위한 '만약에…한다면 어떻게 했을 것인가'라는 질문을 부과하는 등의 간단한 대화가 포함된다.

To further assess risk, ten Cate and Hoff have proposed including entrustment-based discussions as part of an assessment toolkit (ten Cate and Hoff 2017). Such discussions are multiple brief conversations that include discussing awareness of risks and complications as well as imposing ‘what would you have done if…’ questions to gauge the risks of decreased oversight.

위임어 실용화
Practical use of entrustment language

엄격한 정의를 넘어 정의된 용어를 실천할 수 있는 잠재 능력까지 확대하여 일부 위임 권고는 실제 위임 결정으로 이어질 수 없다는 점을 되새김으로써 마무리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의대생과 전공의는 종종 기준이든 법률이든 또는 두 가지 모두이든, 명시된 어느 정도의 감독을 필요로 한다. 학습자가 완전히 유능하고 감독 없이 일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전문 분야에 대한 면허 또는 인증을 받지 않은 사람은 법률상 금지될 수 있습니다. 이것은 현행법에 따라 훈련 중에 제정될 수 있는 위임 결정의 범위에 제한을 둔다. 어떤 전공의에게 [감독되지 않은 진료행위]을 맡길 준비가 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진료행위이 허용되어야 합니까?

Extending beyond strictly definitions to the potential ability to put defined terms into practice, we will end by reflecting on the fact that some entrustment recommendations cannot lead to an actual entrustment decision. For example,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often require some level of oversight that is specified in standards, laws, or both. Even if a learner is completely competent and ready to work unsupervised, law may prohibit this if the person is not licensed or certified for a specialty. This places a limit on the scope of entrustment decisions that can be enacted during training under current legislation. If individuals are deemed ready to be entrusted with unsupervised practice, should that be permitted? 

최근 보고서는 의료 직무의 '걱정스러운 진급'와 그에 따른 [교육생 책임 감소]에 주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졸업생이 중요한 환자 진료 업무를 수행할 준비를 충분히 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 교육 중인 개인에 대해 [감독되지 않은 의료행위]에 위임할 준비가 되어 있는 것에 대한 결정을 허용하는 것은 [유효한 위임 결정에 대한 충분한 증거가 있을 때]를 정의해야 하는 의료 교육계에 큰 책임을 지게 한다. 어렵겠지만, 우리는 이것이 우리가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라고 믿는다. 
Recent reports have noted the ‘worrisome seniorization’ of tasks in health care and consequent decrease in responsibilities for trainees (Halpern and Detsky 2014; Dacey and Nasca 2019). This may jeopardize the readiness of graduates to perform critical patient care tasks (Mattar et al. 2013; Donahue et al. 2021). However, allowing decisions about readiness to be entrusted with unsupervised practice to be made for individuals who are still in training places enormous responsibility on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to define when there is sufficient evidence for valid entrustment decisions. While lofty, we believe this is a goal that we should seek to achieve. 

이를 달성하려면 연습생은 의료 기관이나 병원 내에서 자격 증명을 받아야 합니다. 그래야 감독 없이 일할 수 있습니다. 졸업 전에 위탁 결정의 제정을 가능하게 하는 조치를 취하지 않고, 이러한 결정에는 궁극적으로 충분한 의미가 있는가? 안전망이 줄어들 때까지 누군가가 practice을 시작할 때까지 기다리는 것보다, 감독자의 감독 이상의beyond 안전망이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한계 내에서 위탁 결정을 내리는 것]이 덜 위험할 수 있다.

Achieving this would also require trainees to be credentialed within a practice or hospital so that they could be permitted to work without supervision. Without taking the step of enabling enactment of entrustment decisions before graduation, is there ultimately sufficient meaning in those decisions? It is probably less risky to make entrustment decisions within the confines of a training program, where there are safety nets beyond supervisor oversight (nursing staff, colleagues, etc.) than to wait until someone goes into practice, where the possibility of a safety net lessens.

결론
Conclusion

위임은 의료 감독관이 작업장에서 학습자를 감독하는 동안 수행하는 작업을 토대로 의료진의 관리 제공에 대한 판단을 내리도록 요구하는 평가 프레임워크이다. 또한 환자와 안전한 양질의 치료 제공을 고려한다. 만약 우리가 공유된 위임 언어에 합의할 수 있다면, 이 구조의 특징은 교육생들을 보다 총체적인 교육으로 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유용한 프레임워크로서의 위임의 모든 편익은 프로그램 내에서, 프로그램 간에, 그리고 훈련과 실습의 연속선 전체에서 합당한 일관성을 가지고 사용될 경우에만 실현될 것이다. 이것은 우리가 본 문서에서 제공하려고 시도한 위임 언어에 대한 공통의 이해가 필요합니다.

Entrustment is an assessment framework that asks clinical supervisors to make judgments about a trainee’s care delivery on the basis of what they do while supervising learners in the workplace. Moreover, it brings the patient and the provision of safe, quality care into consideration. If we can agree on a shared language of entrustment, these characteristics of this construct present the opportunity to embrace a more holistic education of trainees. However, the full benefit of entrustment as a useful framework will only be realized if it is used with reasonable consistency within programs, between programs, and across the continuum of training and practice. This requires a common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 of entrustment, which we have attempted to provide in this paper.

 

 

 

 

 


Med Teach. 2021 May 14;1-8.

 doi: 10.1080/0142159X.2021.1924365. Online ahead of print.

Clarifying essential terminology in entrustment

Daniel J Schumacher 1Olle Ten Cate 2Arvin Damodaran 3Denyse Richardson 4 5Stanley J Hamstra 6 7 8Shelley Ross 9Jennie Hodgson 10Claire Touchie 11Laura Molgaard 12Wade Gofton 13Carol Carraccio 14ICBME Collaborator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 1Cincinnati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Cincinnati College of Medicine, Cincinnati, OH, USA.
  • 2Center for Research Development of Education,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Utrecht, The Netherlands.
  • 3Prince of Wales Clinical School, Faculty of Medicine, UNSW Sydney, Sydney, Australia.
  • 4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 5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ttowa, Canada.
  • 6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Chicago, IL, USA.
  • 7University of Ottawa, Ontario, Canada.
  • 8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Feinberg School of Medicine, Northwestern University, Chicago, IL, USA.
  • 9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University of Alberta, Edmonton, Canada.
  • 10Virginia-Maryland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Blacksburg, VA, USA.
  • 11The Medical Council of Canada, University of Ottawa, Ottawa, Canada.
  • 12University of Minnesota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St. Paul, MN, USA.
  • 13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University of Ottawa, Ottawa, Canada.
  • 14American Board of Pediatrics, Chapel Hill, NC, USA.
  • PMID: 33989100
  • DOI: 10.1080/0142159X.2021.1924365AbstractKeywords: undergraduate education; Clinical assessment; outcomes-based; postgraduate education.
  • With the rapid uptake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ties and entrustment decision-making as an approach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education in medicine and other health professions, there is a risk of confusion in the use of new terminologies. The authors seek to clarify the use of many words related to the concept of entrustment,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with the aim to establish logical consistency in their use. The list of proposed definitions includes independence, autonomy, supervision, unsupervised practice, oversight, general and task-specific trustworthiness, trust, entrust(ment),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y, entrustment decision, entrustability, entrustment-supervision scale, retrospective and prospective entrustment-supervision scales, and entrustment-based discussion. The authors conclude that a shared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 around entrustment is critical to strengthen bridges among stages of training and practice, such as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Shared language and understanding provide the foundation for consistency in interpretation and implementation across the educational continuum.

위험과 이득 관리하기: 위임 결정의 핵심 이슈(Med Educ, 2017)

Managing risks and benefits: key issues in entrustment decisions
Olle ten Cate

 

다모다란 등이 인정하듯이, [신뢰]라는 개념은 [신뢰를 하는 사람이 스스로 취약해지거나 위험을 감수할 의지]로 정의되었다.14
As Damodaran et al. acknowledge, the very concept of trust has been defined as the willingness of the trustor to be vulnerable13 or take a risk.14

경영 문헌은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하지만, 경영 연구의 대부분은 종종 정의와 공정성에 대한 개념과 결합되어 [감독자에 대한 직원들의 신뢰]와 관련이 있습니다. 직장 교육workplace education에서, 위임 결정은 다른 역학을 가진다. (감독자가 아니라) 학습자가 대개 신뢰의 대상이며, 신뢰받을만 하도록 훈련되기 때문이다. 학습자가 한 번 전문적 과제에 대해 신뢰를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 (EPA)
The management literature provides important insights but most of these studies pertain to employees’ trust in supervisors, often combined with notions of justice and fairness. In workplace education, entrustment decisions have a different dynamic, as the learner is usually the object of trust (not the supervisor) and is trained to become trustworthy, as learners must once be trusted with professional tasks – (EPAs)

4가지 변수 집합이 위탁 결정이 내려지는 시점을 결정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it seems that a set of four variables determine when entrustment decisions are made,

이는 인식된 신뢰도, 인식된 위해성과 유익성 및 신뢰 성향이다.
These are 

  • perceived trustworthiness, 
  • perceived risks and 
  • perceived benefits and 
  • trust propensity.


인지된 신뢰도.
Perceived trustworthiness.

이것은 trustee와 관련이 있다. Mayer 등이 널리 사용하는 신뢰도trustworthiness 구성 요소에는 다음이 있다

  • (i) 능력('조직에서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대인 관계 기술 및 일반적인 지혜와 함께 특정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 
  • (ii) 자비('trustee가 trustor에게 선을 베풀고 싶어한다고 여겨지는 정도'), 동의어에는 충성, 개방, 배려 또는 지원이 포함된다. 
  • (iii) 성실성(수탁자가 건전한 도덕적 윤리적 원칙을 준수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정도), 동의어에는 공정성, 정의, 일관성 및 약속 이행이 포함된다. 

This pertains to the trustee. Mayer et al.’s widely used components of trustworthiness include15 

  • (i) ability (‘knowledge and skills needed to do a specific job along with interpersonal skills and general wisdom needed to succeed in an organization’, which should include the capacity to cope with unfamiliar situations), 
  • (ii) benevolence (‘the extent to which a trustee is believed to want to do good for the trustor’; synonyms include loyalty, openness, caring or supportiveness) and 
  • (iii) integrity (‘the extent to which a trustee is believed to adhere to sound moral and ethical principles’; synonyms include fairness, justice, consistency and promise fulfillment). 

추가적으로, 의료 훈련에서 자주 언급되는 구성 요소는 [성실성] 및 [신뢰할 수 있는 행동]이며, [필요할 때 도움을 요청하려는 의지]와 [자신의 한계에 대한 관찰]이다.1 자비심이 성싱설 아래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의료 훈련생의 신뢰성의 네 가지 지배적인 요소는 ability, integrity, reliability, humility의 네 가지이다.

Additional, frequently mentioned components of medical training are conscientiousness and reliable behaviour, and observing one’s own limitations and willingness to ask for help when needed.1 If benevolence is viewed as subsumed under integrity, the four dominant components of trustworthiness of a medical trainee can be signified as ability, integrity, reliability and humility.16


인지된 위험.
Perceived risks.


의료감독관(advisor)은 환자를 수습자의 손에 맡겨 위험을 감수합니다. 위험이 작으면 수습생에게 업무를 맡기는 것이 쉽다. 오류가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경우, 위임 결정을 하려면 깊은 신뢰의 토대가 필요합니다. 위험은 환자와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본질적으로 신뢰를 주는 감독관과 수습생에게도 영향을 미칩니다. 환자, 감독관, 교육생, 병원까지도 피해를 입을 수 있다.
A clinical supervisor as trustor takes a risk by putting his or her patients in the hands of a trainee. When the risk is small it is easy to entrust a trainee with a task; when errors have severe consequences, an entrustment decision should require deep grounding of trust. Risks do not only pertain to patients, but inherently to a supervisor who grants trust and also to the trainee. Patients, supervisors, trainees and even a hospital can experience damage.

인지된 이점.
Perceived benefits.


위험을 완전히 배제함으로써 안전하게 행동하는 것은 교육 프로그램의 옵션이 아니며, 모든 연습생은 EPA를 수행하기 위해서 [정기적인 첫 번째 실제 시도real-life attempts]를 해야 한다. 따라서 위임 결정은 교육생에게 교육적 이익이 있습니다. 매우 다른 혜택은 [상황적인 필요성]이다. [야간 근무 중]이거나 [매우 바쁜 낮]이거나, [환자가 긴급한 도움을 필요]로 하는데, 단 한 명의 trainee만 있다면, 위임 결정의 문턱을 낮춰야 할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교육병원의 의료서비스 제공은 교육생들에게 매우 의존하고 있으며, trainee를 믿는 것은 거의 실존적 필요조건이다. 
Playing safe through excluding risks is not an option for an educational programme and all trainees must have regular first real-life attempts at carrying out EPAs. Entrustment decisions thus have educational benefits for trainees. A very different benefit is contextual necessity. If a trainee is the only one available, for instance on a night shift or during an extremely busy day, and a patient requires urgent help, there can be contextual necessity to lower the threshold for an entrustment decision. Health care service provision in teaching hospitals depends very much on trainees and trusting them is almost an existential necessity. 

신뢰 성향.
Trust propensity.


감독관은, 교육생에 대한 신뢰도, 위탁 결정의 위험 및 편익에 대한 인식과 무관하게, 교육생에게 자율성을 주거나 신뢰하는 성향이 다르다. [신뢰 성향]은 [신뢰할 수 있는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안정적인 개인 특성]으로 정의되어 왔다.15 신뢰 성향은 [위험에 대한 개인의 인식과 관용]에 따라 달라진다. Sterkenburg 등은 6가지 중요한 작업에 대해 감독 마취 훈련생이 몇 년도에 훈련을 받아야 하는지에 대한 추정에서 주치의들 사이의 큰 차이를 발견했으며, 이는 신뢰 성향에 명백한 차이를 반영한다. 이러한 안정적인 개인의 특성은 선천적이지 않을 수 있으며, 과거에 발생한 심각한 부작용('다시는 PGY2를 신뢰하지 않을 것이다')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유익성과 위해성이 개인이 일반적으로 무게를 재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Supervisors differ in their inclination to trust trainees with autonomy, independent of their perceptions of trustworthiness of the trainee, and the risks and benefits of entrustment decisions. Trust propensity has been defined as a stable individual characteristic that affects the likelihood that a person will trust.15 Trust propensity depends on an individual’s perception and tolerance of risk. Sterkenburg et al.2 found vast differences among attending physicians in their estimation of how much supervision anesthesiology trainees require at which year of training for six different critical tasks, reflecting apparent differences in trust propensity. This stable individual characteristic may not be innate, and could be caused by severe adverse events in the past (‘I will never trust a PGY2 again’), and it affects the way benefits and risks are generally weighed by the individual. 

[신뢰 성향]이 [위임 결정이 내려질 가능성]을 반영할 수 있다. 이 때, T는 수습생의 신뢰도이고 P는 감독관의 신뢰 성향이다. 이러한 각 요인에는 여러 하위 요인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한 측면은 방정식에 포함되지 않는다. 그것은 감독관과 연수생의 친분이다. 친분관계는 약하거나(새 전공의) 강할 수 있다(재직 기간이 긴 전공의). 이는 방정식을 근본적으로 바꾸지는 않지만, 신뢰하거나 신뢰하지 않는 결정을 더 또는 덜 정당화할 수 있다 (즉, 정보에 기반하여 판단하였는가의 문제)

in which the Tendency to trust reflects the chances that an entrustment decision is made, the T is the perceived trustworthiness of trainee t and P is the trust propensity of the supervisor. Each of these factors contains multiple sub-factors. One aspect is not included in the equation. That is the acquaintance a supervisor or team has with the trainee. This may be weak (a new resident) or strong (a resident long in office). It does not fundamentally alter the equation, but makes a decision to trust or not trust less or more justified, i.e. grounded in information. 

지금까지, 위임은 개인적이고 감독에 의존하는 결정으로 여겨져 왔다. EPA 용어로는 임시 위임ad hoc 결정이라고 하며 상황에 따라 다르다.7 
So far, entrustment has been considered as an individual, supervisor-dependent decision. In the EPA terminology this would be called an ad hoc entrustment decision, and is situation-specific.7 

그러나 때로는 총괄적인 위임 결정이 내려져야 한다(즉, 면허 및 등록). EPA 및 역량 기반 커리큘럼은 총괄적 위임에 대해 EPA를 별도로 검토하는 것이 좋다. 그러한 결정에는 보다 체계적인 위험 분석이 필요하며, 가급적 임상 역량 위원회가 이를 수행해야 한다.

However, at some moments in time,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s must be made, eventually at the end of training (i.e. for licensing and registration). An EPA- and competency-based curriculum would preferably view EPAs separately for summative entrustment. Those decisions require a more systematic risk analysis, preferably by a clinical competency committee. 




6 Hauer KE, Ten Cate O, Boscardin C, Irby DM, Iobst W, O’Sullivan PS. Understanding trust as an essential element of trainee supervision and learning in the workplace. Adv Health Sci Educ 2014;19 (3):435–56. 

11 Damodaran A, Shulruf B, Jones P. Trust and risk: a model for medical education. Med Educ 2017;51 (9):892–902.

7 ten Cate O, Hart D, Ankel F, Busari J, Englander R, Glasgow N et al. Entrustment decision making in clinical training. Acad Med 2016;91 (2):191–8.


Med Educ. 2017 Sep;51(9):879-881.

 doi: 10.1111/medu.13362.

Managing risks and benefits: key issues in entrustment decisions

Olle Ten Cate 1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 1Utrecht, The Netherlands.

위임 결정: 환자를 평가 공식으로 가져오기 (Acad Med, 2017)
Entrustment Decisions: Bringing the Patient Into the Assessment Equation
Olle ten Cate, PhD

 

 

EPA는 임상 작업장의 교육 및 평가를 위한 구조를 제공하며, 초기에 졸업후 의학 교육(GME)을 위해 고안되었다. 학습자가 이러한 과제를 무감독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음을 증명한 후에는 학습자에게 맡길 수 있는 잘 정의된 과제입니다. GME와 UME의 위탁 원칙은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
EPAs provide a structure for teaching and assessment in the clinical workplace and were initially conceived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GME). They are well-defined tasks that may be entrusted to learners once the learners have demonstrated that they possess the required competencies to perform these tasks unsupervised. the principles of entrustment in GME and UME are not essentially different. 

전통적인 교육 관점에서 평가는 학습자가 시험을 통하여 정해진 기준을 충족했는지를 입증하여 그 여부를 판단합니다. (평가는) 학습자와 학교 또는 교육자의 두 당사자 사이의 대화입니다. [학습자]는 자신의 지식, 기술 및 행동을 [표준을 제시하는 사람]이 만족할 수 있도록 시연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평가가 측정 목표를 측정할 수 있도록 유효해야 합니다.
Assessment, from the traditional perspective of education, determines whether a learner meets set standards, as demonstrated during an examination. It is a dialogue between two parties—the learner and the school or the educator. The learner aims to demonstrate her or his knowledge, skills, and behaviors to the satisfaction of those who set the standards. To ensure such assessments are measuring what they aim to be measuring, they should be valid

교육 과학과 심리학 분야에서 교육 평가의 타당도는 더 이상 시험의 고정된 속성이 아니라 [목적에 따라 달라지는 속성]으로 간주된다.
즉, 타당도란 학습자가 받는 점수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In the world of educational science and psychology, the validity of an educational assessment is no longer viewed as a fixed property of the test but as a property of its purpose—that is, the consequences of the score the learner receives 

EPA를 포함하는 작업장 기반 커리큘럼에는 다른 차원이 추가된다. 문제는 학습자가 [잘 수행했는지 여부]뿐만 아니라, [관리감독의 수준을 낮출 준비가 되어 있는지 여부]입니다. 이 새로운 차원은 [평가 문제]이자 [환자 안전 문제]입니다. 학습자를 환자와 단둘이 둘 준비가 되었습니까? 그러면 환자는 타당성 논의의 일부가 됩니다. 작업장 기반 평가는 관대성 오류 또는 실패라는 선입견으로 비판을 받아왔다.7 환자를 평가 방정식에 포함함으로써, 이제 교육자는 [환자를 교육할 뿐만 아니라 환자를 돌볼 책임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편견에 대응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8 만약 평가가 환자 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위임 결정으로 구성된 경우, 의료전문가는 학습자에게 (의료행위를) 맡기기 전에 두 번 생각하고 잠재적으로 환자에 대한 위험을 고려하게 된다.
  

In workplace-based curricula that incorporate EPAs, another dimension is added. The question is not only whether the learner performed well but also whether the learner is ready for a decrease in the level of supervision. This new dimension is both an assessment issue and a patient safety issue. Is the learner ready to be left alone with the patient? The patient then becomes part of the validity argument. Workplace-based assessments have been criticized for leniency bias, also called generosity error or failure-to-fail.7 Bringing the patient into the assessment equation may serve to counter this bias, because of the now dual responsibility of educators to train learners as well as to care for patients.8 Clinicians may think twice before entrusting a learner and potentially putting their patients at risk if the assessment is framed as an entrustment decision with patient safety implications. 

위탁 결정은 임상 환경에서 매일 발생한다. 대부분은 상황에 따라 특별하고 임시적이다. 이러한 임시적 결정은 결코 학습자가 [졸업 전에 감독 없이 의료행위를 할 수 있도록 허가하는 총괄적 결정의 성격]을 가지지 않는다. 지금까지 학습자가 전문의가 될 때 진정한 의미의 총괄적 위임 결정이 내려졌고, 이 시점에는 모든 실습 구성 요소를 한 번에 수행할 수 있도록 위임되었다. 역량 기반 의학 교육은 학습자가 미리 정해진 시점이 아니라 언제든 준비가 될 때 이 시점에 도달해야 한다고 제안한다.9 그러나 전문의 자격증은 이러한 (시간에 따른) 유연성을 쉽게 허용하지 않습니다.

Entrustment decisions happen every day in clinical settings. Most are situation- specific and ad hoc. These decisions never have the summative nature of the decision to license a learner to practice unsupervised before graduation. Until now, the only true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 is made when learners register for a specialty; at that point, they are entrusted to perform every component of practice at once.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suggests that learners should reach this point whenever they are ready for it, rather than at a preset moment in time.9 But a license to practice a specialty does not easily allow for this suggested flexibility. 

단, EPA는 교육자가 [모든 실천요소]에 대한 위임 결정을 한 번에 내리는 것이 아니라, 합리적으로 관찰 및 평가할 수 있는 [개별 단위 실천individual units of practice]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EPA는 역량 기반 의학교육을 보다 시간 가변적으로 만들 수 있도록 한다. EPA에 관한 위임 결정은 아직 법적 구속력이 없지만, EPA 기반 모델의 본질은 학습자가 자신의 전문성을 실천할 수 있는 완전한 허가를 받기 전에, [실천단위]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요구한다. 또한 이 모델은 [허가받는 순간에 모든 감독을 갑자기 없애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감독되지 않은 연습에 대해 더 점진적이고 안전하게 준비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학습자가 환자 관리의 전체 범위를 책임지기 전에 별도의 EPA를 책임질 수 있도록 하려면 교육자가 가능하면 EPA에 대한 감독을 제공해야 하며, 학습자를 책임 있는 위치에 두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EPAs, however, allow educators to make entrustment decisions not for every component of practice at once but for individual units of practice that can be reasonably observed and evaluated. EPAs thus enable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to be more time-variable. While entrustment decisions regarding EPAs are not yet legally binding, the essence of an EPA-based model requires learners to assume responsibility for units of practice before they are fully licensed to practice their specialty. This model also prepares learners more gradually and safely for unsupervised practice than a sudden abolishment of all supervision at the moment of licensing. Enabling learners to be responsible for separate EPAs before they are responsible for the full breadth of patient care requires educators to provide supervision at a distance for those EPAs whenever possible and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places learners in a responsible position. 

최종적인 위임 결정에는 세심한 타당도 검사가 필요하다. 이는 매우 중요한 결정이기 때문입니다.

  • 관찰이 의도된 대로 EPA와 실제로 관련되는가(내용 타당도)?
  • 평가 양식이 진정으로 학습자가 요구하는 관리자의 타당한 평가를 캡처할 수 있으며, 의료전문가가 이를 이해하고 잘 사용하고 있는가(응답 프로세스 타당도)?
  • (짧은 샘플링된 관찰, 사례 기반 토론, 종단적 관찰 및 기타 출처와 같은) 정보 출처의 수와 다양성이 의사결정에 대한 지지에 부합합니까 (내부 구조 타당도)?
  • 다른 의료팀 구성원도 이 의사결정을 일반적으로 지지할 것인가? (다른 변수와의 관계 타당도)
  • 마지막으로, 학습자에게 더 많은 자율성을 부여하기로 결정했을 때 어떤 결과가 초래될까요(결과 타당도)?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s, require careful validity testing, as they are high-stakes decisions.

  • Do observations truly pertain to the EPA as it was meant (content validity)?
  • Can the rating form truly capture a valid estimation of the supervision a learner requires, and do clinicians understand it and use it well (response process validity)?
  • Do the number and diversity of sources of information—such as short, sampled observations; case-based discussions; longitudinal observations; and other sources—align in their support for the decision (internal structure validity)?
  • Would the decision be generally supported by other health care team members (relationship to other variables validity)?
  • And finally, what will be the consequences of the decision to grant the learner more autonomy (consequences validity)?  


EPA 개념은 GME를 위해 만들어졌다. 이제 문제는 UME로 변환될 수 있는지 여부이다. 이 질문에 답하려면 먼저 몇 가지 하위 질문을 해야 한다.

  • 첫째, 의대생은 어느 정도 EPA와 단둘이 있을 수 있는가? 즉, 얼마나 많은 책임을 부여하고, 얼마나 많은 책임을 정당화하며, UME에서 위임 결정이 의도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가?
  • 둘째, 위임 결정의 유효성을 어떻게 주장할 수 있는가? 즉, 위임 결정을 내리는 데 무엇이 필요하며, 어떻게 이러한 결정이 근거가 될 수 있습니까?
  • 마지막으로, UME에서 시간 가변성이 어떻게 실현될 수 있을까? 

The EPA concept was created for GME. The question now is whether it can be translated to UME. To answer this question, we must first ask several subquestions. 

  • First, to what extent can medical students be left alone with EPAs? That is, how much responsibility can they be given, how much responsibility is justified, and can entrustment decisions in UME really have the intended consequences? 
  • Second, how can the validity of entrustment decisions be argued? That is, what does it take to make entrustment decisions, and how can they be grounded? 
  • And finally, how can time variability, if ever, be realized in UME? 


학습자가 전공의 과정에 들어가기 전에 숙달해야 하는 EPA(EPA)를 정의하는 것은 이번 호에서 로미스와 동료1이 잘 설명한 EPA 개념을 GME에서 UME로 변환하는 한 단계이다. 그러나, [위임 의사 결정의 도입]과 [시간 가변적인 위임 과정의 생성]은 상당히 다른 문제이다.
Defining the units of practice (EPAs) that learners must master before entering residency is one step in translating the EPA concept from GME to UME, which was well described by Lomis and colleagues1 in this issue. However, the implementation of entrustment decision making and the creation of a time- variable entrustment process are quite different issues.

저와 제 동료들은 의대생이 [EPA에 대한 간접 감독 수준]까지 교육을 받을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즉, 물리적으로 감독자가 없는 상태에서 EPA의 집행은 가능하지만 감독관이 신속하게 도와줄 수 있어야 함).— 즉, 감독 등급의 3단계에 도달하는 것은 중요한 성과이다. 10 시스템이 학생들이 예상 및 예상치 못한 사건을 보고, 해석 및 관리하고 필요한 경우 도움을 조직할 수 있도록 신뢰해야 하기 때문이다.

My colleagues and I have suggested that medical students may be trained up to the level of indirect supervision for EPAs (i.e., the execution of an EPA without a supervisor physically present but with one quickly available)—that is, to level 3 of the supervision scale.10 Reaching this level is a significant achievement, as the system must trust students to report, interpret, and manage expected and unexpected happenings and to organize help if needed.


그런 다음, 이 수준의 포괄적인 위탁 결정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와 임상 교수 교육자 모두 위임 경험에 참여하고 신뢰를 추구하기 위해 협력할 것"을 요구한다. 이 상호주의는 중요하다. 교육자가 자신의 한계를 파악하고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경우에만 학습자를 신뢰한다면, 학습자가 주저하거나 굴욕 없이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교육자를 신뢰할 수 있어야 합니다.
Arriving at a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 for this level then requires, that “both learners and clinical faculty educators engage in the entrustment experience, partnering in the pursuit of trust.” This reciprocity is important. If educators only trust learners if they can discern their limitations and ask for help,11 learners must be able to trust educators to provide that help without hesitation or humiliation.


Brown과 동료는 [위임 위원회]를 설립할 것을 제안했다. 이는 GME의 임상 역량 위원회에 상응하는 것이다. 타당한 총괄적 위임 결정은 [개별 교육자]가 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판단을 신뢰하고 그러한 결정에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소스를 감독하고 평가할 수 있는 [복수의 임상의사]가 하는 것이 타당하다. 최종위탁 결정은 일련의 임시위탁 결정으로 통지될 수도 있다.
Brown and colleagues2 in their article in this issue suggested establishing entrustment committees (comparable to the clinical competency committees in GME). Doing so makes sense, as valid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s should not be made by individual educators but by multiple clinicians who trust each other’s judgments and who can oversee and weigh the information sources that inform such decisions.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s also may be informed by a series of ad hoc entrustment decisions.


의대생을 위한 일괄적인 위탁 결정은 중대한 결과를 초래해야 한다. 학생들은 자신이 의료 커뮤니티에 합법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신뢰를 받고 있음을, 즉 환자의 의료 서비스를 책임지고 있음을 깊이 느껴야 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환자가 직접 보이지 않는 관리자가 환자 안전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A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 for a medical student should have serious consequences. Students must deeply feel that they are being trusted to legitimately participate in the health care community—that is, that they are responsible for the health care of patients. In these situations, patient safety can be realized by a supervisor who is present but not directly visible.


마지막으로, UME에서 시간 가변적 위탁 프로세스가 실현될 수 있는가? 나는 이 목표에 도달하는 것이 두 가지 접근방식을 통해 가능하다고 믿는다. 첫 번째 방법은 미리 정해진 졸업 순간을 포기하는 것입니다("당신이 Class of 2022라면, 졸업 예정일은 2022년 5월 13일 금요일 입니다). 두 번째는 [선택적elective EPA]를 만들고 학생들이 졸업하는 포트폴리오의 변화를 허용하는 것이다. 두 가지 접근 방식 모두 실무에서 얻은 예를 가지고 있다. 미국과 달리 네덜란드 같은 다른 나라에서는 의과대학이 정해진 순간에 시작하지만 각 학생의 진도에 따라 다른 순간에 끝난다. 그런 다음 전공의 과정이 시작되는 시점도 가변적이다. 
Finally, can a time-variable entrustment process be realized in UME? I believe that reaching this goal is possible through two approaches. The first is to abandon the preset moment of graduation (“If you are a member of the Class of 2022, your graduation date will be Friday, May 13, 2022”). The second is to create elective EPAs and allow for variation in the portfolios with which students graduate. Both approaches have examples from practice. Unlike in the United States, in other countries such as the Netherlands, medical school starts at a fixed moment but ends at a variable moment depending on each student’s progress. Residencies then also start at variable moments. 


고정된 졸업식에서 벗어나 Continuum Project의 소아과 교육은 EPA 및 역량 기반 UME-GME 연결을 원활하게 제공합니다. 마찬가지로, 최종 학년의 의대생을 위해 핵심 EPA와 더불어 3개의 선택 중환자 EPA 패키지를 제공하는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의 첫 번째 프로그램이 최근에 확립되었다. 
Moving away from a fixed graduation, the Education in Pediatrics Across the Continuum Project (https://www.aamc. org/initiatives/epac) offers a smooth EPA- and competency-based UME–GME connection. Similarly, the first program at the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to offer a package of three elective critical care EPAs for final-year medical students, in addition to the core EPAs, was recently established.  

작업장에서의 평가는 환자진료를 제공하기 위해 위탁과 너무 오래 분리되었다. [환자를 교육 평가 방정식에 포함시키는 것]이야말로 교육적 책임을 의료적 책임과 밀접히 관련시키는 것이다.
Assessment in the workplace has too long been separated from entrustment to provide patient care. Bringing the patient into the educational assessment equation is marrying educational and health care responsibilities.

3 Favreau MA, Tewksbury L, Lupi C, et al. Constructing a shared mental model for faculty development for the Cor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or Entering Residency. Acad Med. 2017;92:759–764.

 

 


Acad Med. 2017 Jun;92(6):736-738.

 doi: 10.1097/ACM.0000000000001623.

Entrustment Decisions: Bringing the Patient Into the Assessment Equation

Olle Ten Cate 1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 1Th.J.(Olle) ten Cate is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and director, Center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Utrecht, The Netherlands.
  • PMID: 28328736
  • DOI: 10.1097/ACM.0000000000001623Abstract
  • With the increased interest in the use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and graduate medical education (GME) come questions about the implications for assessment. Entrustment assessment combines the evaluation of learners' knowledge, skills, and behaviors with the evaluation of their readiness to be entrusted to perform critical patient care responsibilities. Patient safety, then, should be an explicit component of educational assessments. The validity of these assessments in the clinical workplace becomes the validity of the entrustment decisions.Modern definitions of the validity of educational assessments stress the importance of the purpose of the test and the consequences of the learner's score. Thus, if the learner is a trainee in a clinical workplace and entrusting her or him to perform an EPA is the focus of the assessment, the validity argument for that assessment should include a patient safety component.While the decision to allow a learner to practice unsupervised is typically geared toward GME, similar decisions are made in UME regarding learners' readiness to perform EPAs with indirect supervision (i.e., without a supervisor present in the room). Three articles in this issue address implementing EPAs in UME.The author of this Commentary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true entrustment decisions in UME. He argues that bringing the patient into the educational assessment equation is marrying educational and health care responsibilities. Building trust in learners from early on, gradually throughout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may reframe our vision on assessment in the workplace.

ISBAR를 활용한 환자인계 가르치기(BMC Med Educ, 2020)

Teaching clinical handover with ISBAR
Annette Burgess1,2*, Christie van Diggele2,3, Chris Roberts1,2 and Craig Mellis4

 

 

배경 Background

[진료 권한 인계Clinical handover]"환자에 대한 통제권 이전 또는 그에 대한 책임 이전에 수반되는 환자에 대한 정보에 대한 보건 전문가 간의 교환"으로 정의된다[1]. 이는 환자의 여정[2]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이며, 보건 전문가와 하위 임상의에게 가르쳐야 하는 핵심 기술입니다. 잘 수행된다면, 진료 권한 인계는 병원이나 지역사회 환경에서 환자 치료, 오류 및 위해의 연속성의 결여가 감소하도록 보장해야 한다[2]. 진료 권한 인계의 핵심 기능은 수령자가 취하는 조치의 효과를 개선하는 것이다[1]. 

Clinical handover is defined as “The exchange between health professionals of information about a patient accompanying either a transfer of control over, or of responsibility for, the patient” [1]. It is one of the most critical steps in a patient’s journey [2] and is a core skill that needs to be taught to health professional students and junior clinicians. Performed well, clinical handover should ensure that lapses in continuity of patient care, errors and harm are reduced in the hospital or community setting [2]. The key function of clinical handover i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actions taken by the recipient/s [1].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진료 권한 인계는 종종 제대로 수행되지 않으며, 환자에게 잠재적으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1]. 호주의 연구에 따르면 인도 중에는 중요한 세부 사항이 생략되는 경우가 많으며 포함된 정보가 때로는 관련이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3, 4]. 환자 진료의 안전한 실천요강과 우수성 제공에 필수적이지만[2, 5, 6] 임상 권한 인계 교육은 종종 부적절하며 대학 의료 커리큘럼에 항상 포함되는 것은 아니다[3]. ISBAR을 프레임워크로 사용하여, 본 문서의 목적은 효과적인 진료 권한 인계의 핵심 요소를 강조하고, 프레임워크가 실무에 효과적으로 포함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교육 기법을 탐구하는 것이다.

Despite its importance, clinical handover is often poorly performed – with potentially serious consequences for the patient [1]. Australian research suggests that critical detail is often omitted during handover, and included information is sometimes irrelevant [3, 4]. Although essential to safe medical practice and provision of excellence in patient care [2, 5, 6], training in clinical handover is often inadequate and not always included in university healthcare curricula [3]. Using ISBAR as a framework,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ighlight key elements of effective clinical handover, and to explore teaching techniques that aim to ensure the framework is embedded in practice effectively.

 

ISBAR

근거에 따르면 핸드오버를 위해 구조화되고 표준화된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면 정보 전달과 환자 결과를 개선한다[7]. 인도를 개선하기 위해, 많은 구조화된 형식이 개발되었습니다. 한 가지 예는 소아과(질병 중증도, 환자 요약, 조치 목록, 상황 인식 및 우발 상황 계획, 수신자에 의한 합성)에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I-PASS 핸드오버 시스템이다[8]. 그러나, 가장 광범위하고 잘 연구된 프레임워크 중 하나는 'ISBAR'(그림 1)이다. [9,10,11,12] ISBAR은 미 해군이 핵잠수함 사이의 명확하고 정확한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개발한 시스템인 'SBAR'을 기반으로 한다. 세계보건기구가 승인한 ISBAR 프레임워크는 근무 교대, 테스트 또는 예약을 위한 환자 이송, 병원 간 이전 및 악화 환자의 에스컬레이션과 같은 광범위한 임상적 맥락에서 사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제공한다[9, 10]. 병원 환경에서, ISBAR은 전문가 간 인계를 연습할 때 투명성과 정확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0, 12]. ISBAR은 또한 호주 시골 및 외딴 지역에서 성공적인 인계 수단임이 입증되었다[11].

Evidence suggests the use of structured, standardised frameworks for handover improves information transfer and patient outcomes [7]. In order to improve handover, a number of structured formats have been developed. One example is the I-PASS handover system, developed for use in paediatrics (Illness severity, Patient summary, Action list, Situation awareness and contingency planning, Synthesis by the receiver) [8]. However, one of the most widespread and well-studied frameworks is ‘ISBAR’ (Fig. 1) [9,10,11,12]. ISBAR is based on ‘SBAR’ – a system developed by the US Navy to ensure clear, precise communications between nuclear submarines. The ISBAR framework, endorsed by the World Health Organisation provides a standardised approach to communication which can be used in a wide range of clinical contexts, such as shift changeover, patient transfer for a test or an appointment, inter-hospital transfers and escalation of a deteriorating patient [9, 10]. In the hospital setting, ISBAR has been shown to increase transparency and accuracy when practicing interprofessional handovers [10, 12]. ISBAR has also proven to be a successful tool for handover in rural and remote Australian settings [11].

 

진료 권한 인계는 모든 당사자가 동일한 프레임워크[13]를 사용하고 ISBAR이 의료진 간에 관련되고 간결한 정보 전달을 위한 공유 모델을 제공할 때 가장 효과적이다[13]. 명확하고 표준화된 프레임워크를 제공함으로써, 정보 전달을 방해할 수 있는 전력 차이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13]. 정보 전송에는 의사 대 의사, 간호사 대 간호사, 의사 대 간호사, AHP 대 의사, AHP 대 간호사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ISBAR은 교대, 병원 간 이전, 보고 및 브리핑, 의료 응급 상황, 지역사회 서비스로의 환자 퇴원 등과 같은 다양한 상호작용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구두 커뮤니케이션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보고서, 메모, 방사선 요청 양식 및 의뢰 문서와 같은 서면 양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Clinical handover works best when all parties are using the same framework [13] and ISBAR provides a shared model for the transfer of relevant, succinct information between clinicians [13]. By providing a clear and standardised framework, it can assist in reducing the power differences that may hinder the transfer of information [13]. Information transfer may include: doctor to doctor; nurse to nurse; doctor to nurse; allied health to doctor; nurse to allied health. ISBAR can be used in a number of interactions, such as shift change, inter-hospital transfers, reports and briefings, medical emergencies, and patient discharge to community services. This approach doesn’t only apply to verbal communication, but can also be used in written forms, including reports, memos, radiology request forms, and referral documents. 

ISBAR를 준비하는 팁
Tips for preparing for ISBAR

진료 권한 인계 절차에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가 있습니다. 인계에는 [환자 관리에 대한 책임 전달transfer]이 포함되어야 하며 [환자 정보의 기밀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ISBAR를 준비하기 위한 핵심 팁은 그림 2 [12, 13]에 나와 있습니다.
There are important elements to consider in the clinical handover process. Handover must include transfer of accountability for patient care, and the confidentiality of patient information must be maintained. 

ISBAR 사용의 이점과 challenge는 그림 3 [13]에 제시되어 있다. 과제에는 [환자 사례의 복잡성]과 [인계를 받는 사람이 올바르게 이해했는지 확인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과제를 극복하도록 돕기 위해, 가능한 경우 언제든지 대면 인계를 권고하며, 이렇게 하면 정보의 상호작용과 명확한 설명이 가능합니다 [13].

The benefits and challenges of using ISBAR are listed in Fig. 3 [13]. 

환자 정보의 흐름은 환자 안전에 필수적이며, 효율성과 포괄성 사이의 균형이 필요하다[6]. 진료 권한 인계를 계획하고 조직할 때 다음을 고려해야 한다.
Flow of patient information is vital to patient safety, and a balance between efficiency and comprehensiveness is required [6]. In planning and organising clinical handovers, it is essential to consider:

1. 누가 참여해야 합니까?
2. 언제 진행해야 합니까?
3. 어디에서 진행해야 합니까?
4. 어떻게 해야 합니까?
5. 어떤 정보를 전달해야 합니까?

  1. 1.Who should be involved?
  2. 2.When should it take place?
  3. 3.Where should it take place?
  4. 4.How should it occur?
  5. 5.What information should be handed over?

 

진료 권한 인계 중 및 이후 환자 정보 및 관리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되는 핵심 요소는 그림 4에 요약되어 있다.

  • 로지스틱: Shift의 중첩, 인계를 위한 확보된 시간, 명확한 리더십, 테크놀로지 서포트
  • 정보: 시니어 의료진은 불안정한 환자를 명확히 식별, 주니어 의료진은 우려사항이 무엇인지 강조하여 명확히 브리핑, 미완수된 업무를 식별하고, 다음 팀에게 설명
  • 인계 후: 업무의 우선순위 결정, Care 계획 수립, 불안정한 환자의 적시 리뷰

Key elements in helping to ensure continuity of patient information and care during and following clinical handover are summarised in Fig. 4.

전자 시스템을 사용하면 인도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병원 환경 내에서 전자 핸드오버 도구의 일부 기능에는 각 컨설턴트에 대한 담당 의사의 이름 및 연락처 세부 정보 제공, 검토가 필요한 환자의 식별 및 미해결 과제[6]가 포함된다. 전자 시스템 사용의 이점에는 여러 명의 사용자를 보유할 수 있는 능력, 정보 연결, 즉각적인 정보 업데이트, 추가 계획 및 우선순위 지정 지원이 포함된다.

The use of electronic systems may assist with the efficiency of handover. Within the hospital setting, some functions of the electronic handover tools include provision of the name and contact details of covering doctors for each consultant; and identification of patients in need of review, and outstanding tasks [6]. Benefits of using electronic systems include the ability to have multiple users, linkage of information; immediate update of information; and assistance with further planning and prioritisation.

진료 권한 인계에 대한 교육, 교육 및 실습
Education, training and practice in clinical handover

비록 ISBAR가 귀중한 인도 도구라는 것이 입증되고 있지만, ISBAR이 성공적이기 위해서는, 효과적으로 교육을 받아야 하며, 의료전문가들은 ISBAR의 사용에 대해 적절한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교육 개입의 최근 체계적 검토[16]에 따르면, 많은 핸드오버 연구가 전문직 간interprofessional 관행을 언급하지만, 교육적 개입은 전문직uni-profession 종사자의 맥락 내에서 주로 발생한다고 한다. 또한 이 체계적 검토는 교육적 개입과 결과의 부적절한 보고를 강조하여 복제 연구를 방해했다[16]. 교육 접근방식은 대부분 시뮬레이션과 역할극에 기초했으며, 종종 교훈적 교육, 인계 비디오 예, 토론 및 성찰로 순서를 정했다. 체계적 검토 결과, 핸드오버의 다원적 훈련multidisciplinary에 더욱 중점을 두면 교육적 개입에 가치를 더할 수 있을 것이다고 결론 내렸다[16].
Although ISBAR is proving to be a valuable handover tool, for it to be successful, it must be effectively taught, and health professionals must be adequately trained in its use [10]. A recent systematic review of education interventions [16] revealed that although many handover studies mention interprofessional practice, educational interventions occur predominantly within the uni-professional context. This systematic review also highlighted inadequate reporting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and outcomes, thus impeding replication studies [16]. Teaching approaches were mostly based on simulation and role-play, often sequenced with didactic teaching, video examples of handover, discussion and reflection. The systematic review concluded that a greater emphasis on multidisciplinary training of handover would add value to educational interventions [16].

대학과 병원을 포함한 조직은 양질의 인계 관행을 보장하기 위해 [보건의료계 학생과 보건 전문가의 교육과 훈련에 투자]해야 한다. 그러나 대학 커리큘럼과 병원 교육에서 시간 제약으로 인해 진료 권한 인계에 있어 교수와 실습을 우선시하지 않을 수 있다. 대학 의료 커리큘럼 내에 핸드오버의 교육을 포함시킴으로써, 학생들은 미래의 역할을 더 잘 준비하기 위해 필요한 의사소통 기술을 개발하고 연습할 수 있다[17, 18]. 인력진에 대한 추가 교육과 함께, 전담 교육 시간, 잘 이끌어지는 인계 세션 자체는 임상 교육에 유용한 설정을 제공한다[6]. ISBAR의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여러 온라인 도구와 비디오가 있습니다. 예:
Organisations, including universities and hospitals, need to invest in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health professional students and health professionals to ensure good quality handover practice. However, due to time constraints in university curricula, and in hospital training, teaching and practice in clinical handover may not be prioritised. By embedding the teaching of handover within the university healthcare curricula, students are able to develop and practice required communication skills to better prepare for their future roles [17, 18]. Along with further training in the workforce, with dedicated teaching time, a well-led handover session itself, provides a useful setting for clinical education [6]. There are a number of online tools and videos available to assist with the teaching of ISBAR. For example:

교육, 교육, 실습, 평가 및 피드백에 대한 지원은 필수적이다. 대규모 전문가 간 수업(건강, 간호, 의학, 약학, 치의학과)을 통해 진료 권한 인계 튜토리얼을 용이하게 하는 우리의 광범위한 경험을 바탕으로, 우리는 대규모 학급 활동과 소규모 그룹 활동을 결합한 다음의 교육 방법을 권고한다[17, 18]. 

  • 학생들은 수업 전에 온라인으로 적합한 ISBAR 비디오를 시청한 다음, 임상 교사가 진행하는 대면 수업에 참석하여 대화형 토론을 진행합니다. 
  • 그런 다음, 소규모의 전문가 간 그룹에서 학생들은 시뮬레이션/역할극 활동에 참여하기 위해 관련 시나리오를 사용한다(그룹당 학생 약 4명). 이는 진료 권한 인계를 실천하는 능동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Support in education, training, practice, assessment and feedback are essential. Based on our own extensive experience of facilitating clinical handover tutorials, with large interprofessional classes (allied health, nursing, medicine, pharmacy, dentistry), we recommend the following teaching method, which combines large class and small group activities [17, 18].

  • Students watch suitable ISBAR videos online prior to class, and then attend a face-to-face class, facilitated by a clinical teacher, with interactive discussion.
  • Then in small, interprofessional groups, students use relevant scenarios to participate in simulation/roleplay activities (approximately four students per group), providing an active method of practicing clinical handover.

그림 5에 두 가지 시나리오의 예가 나와 있습니다. 학습자가 2인 1조로 진료 권한 인계를 실습할 수 있습니다. 동료와 숙련된 임상의가 기술 개발에 도움을 준 직접 관찰, 평가 및 피드백 [22, 23] ISBAR을 더 큰 그룹으로 연습할 경우, 강의실에서  참가자들이 인계를 '완벽'하게 수행할 때까지 반복할 수 있습니다.

Two examples of scenarios are provided in Fig. 5. Learners can work in pairs to practice giving and receiving a clinical handover. Direct observation, assessment, and feedback, from both peers and an experienced clinician assist in the development of skills [22, 23]. When ISBAR is practiced in larger groups, it is possible for class participants to duplicate the handover, until it is eventually performed to ‘perfection’.

 

피드백 및 평가
Feedback and assessment

역할극 상황에서 ISBAR을 사용하는 예는 그림 6에 나와 있다. [숙련된 임상의사의 피드백]을 통해 임상 관행을 직접 관찰하면 학습자가 현재와 원하는 성과 사이의 격차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21, 22]. 또한, 그룹이 참여한 상태에서의 [정성적 구두 피드백]은 진료 권한 인계를 가르치는 데 유용한 방법을 제공한다[17, 18]. 예를 들어 "정보를 과도하게 제공했습니다.", "정보의 초점이 맞지 않았습니다." 등이 있습니다. 
Examples of using ISBAR in a roleplay situation are found in Fig. 6.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direct observation of clinical practice, with feedback by an experienced clinician helps to close the gap between current and desired performance by the learner [2122]. Additionally, verbal qualitative feedback, with group participation, provides a useful method in teaching clinical handover [1718]. For example; “You gave excess information”; “The information was unfocussed”. 

인계를 넘기는 사람은 '수신자'가 질문을 할 가능성이 높음을 깨닫는 것이 중요하며, ISBAR 중에 입수 가능한 모든 정보를 확보해야 합니다. 특정 평가 도구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임상 핸드오버 평가 도구" (CHAT)는 무어 외 연구진 (2017)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ISBAR 핸드오버 프레임워크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11].

It is important that the person giving the handover realises that the ‘receiver’ is likely to ask questions, and it is essential to have all available information at hand during ISBAR. Specific assessment tools can also be used. The “Clinical Handover Assessment Tool” (CHAT) was developed by Moore et al. (2017), and is based on the ISBAR handover framework [11].

소규모 그룹 세션에서 ISBAR 성과를 평가하는 데 이 모델을 사용했습니다. 이 평가 도구의 항목은 ISBAR과 연계되어 있습니다. 여기에는 

  • "자신과 위치를 식별", 
  • "주요 문제를 식별", 
  • "적절한 이력 제공", 
  • "적절한 검사/관찰 제공", 
  • "논리적인 평가 수행", 
  • "명확한 권고 사항 제시" 

...등이 포함됩니다[11]. 

 We have used this model in the assessment of ISBAR performance during small group sessions. The items in this assessment tool are aligned with ISBAR, including, 

  • “Identifies self and position”,
  • “Identifies main problem”,
  • “Gives appropriate history”,
  • “Give appropriate examination/observation”,
  • “Makes logical assessment”,
  • “Makes a clear recommendation” [11].

"능률적으로 수행되지 않음"부터 "최소한의 지시로 수행 가능"까지 4점 척도를 사용하여 학습자의 성과를 평가합니다. 또한 "환자의 정확한 그림picture을 받았다고 얼마나 확신합니까?"라는 글로벌 등급이 제공됩니다. 중요한 것은, 서면 질적 피드백도 학습자에게 제공된다는 것이다[11].

A four point scale, ranging from “Not performed competently” to “Able to perform under minimal direction” is used to rate the learners’ performance. A global rating is also provided, “How confident am I that I received an accurate picture of the patient?”. Importantly, written qualitative feedback is also provided to the learner [11].

 

전문가 간 실습 및 핸드오버에 대한 피드백
Interprofessional practice and feedback with handover

전문가 간 맥락interprofessional context  내의 동료 피드백은 전문가 간 진료 권한 인계 활동 동안 특히 가치가 있다[17, 18]. 소규모 그룹 내에서 참가자들이 자신의 의료 분야 내에서 경험을 공유하는 전문가 간 활동은 귀중한 학습 및 교육 기회를 제공하여 지식과 기술을 사회적으로 구축하도록 한다[17, 18]. 다른 전문직군으로부터의 피드백은 같은 분야 내의 피드백보다 훨씬 더 유익하고 의미 있을 수 있습니다. 인계에 대한 다원적 피드백을 통해 다른 보건 전문가의 지식, 역할 및 기술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으며, 이것이 자신의 보건 분야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17, 18]. 또한 참가자들이 자신의 기술, 용어 및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성찰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eer feedback within the interprofessional context is particularly valuable during interprofessional clinical handover practice activities [17, 18]. Interprofessional activities, within small groups, where participants share experiences within their own field of healthcare offers valuable learning and teaching opportunities, leading to knowledge and skills being socially constructed [17, 18]. Feedback from outside of one’s own health profession can be even more beneficial and meaningful than feedback from within the same discipline. Multidisciplinary feedback on the handover can help to provide an increased understanding of the knowledge, roles and skills of other health professionals; and provide an increased understanding of how this relates to their own health discipline [17, 18]. It also helps participants to reflect on their own technique, terminology and communication methods.

진료 권한 인계에 있어 지속적인 교육의 중요성
Importance of ongoing training in clinical handover

의료 인력은 최근 몇 년 동안 [근무 시간 단축]과 [유연성에 대한 요구 증가] 등 많은 변화를 겪어 왔다[24,25,26]. 이는 의사 피로가 환자 안전에 미치는 영향, 업무/생활 균형, 노령화된 의료 인력 및 환자 관리의 복잡성 증가에 대한 인식 개선의 결과이다. 결과적으로, 이것은 [각 환자의 치료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수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간결하고 정확한 진료 권한 인계에 대한 필요성이 필수적입니다 [6]. 환자 정보를 팀 간에 높은 품질의 이전은 임상의, 팀워크 및 효과적인 관리와 더불어 우수한 환자 관리의 필수 구성요소이다[27]. 그러나 진료 권한 인계 시 모범 사례는 우연히 발생하지 않는다. 기관 및 조직(예: 병원, 대학, 교육 및 인증 기관)과 그 리더는 양호한 진료 권한 인계에 대한 실천요강이 달성될 수 있도록 보장할 책임이 있다[6, 27].
The healthcare workforce has seen many changes in recent years, including reduced working hours, and increasing demands for flexibility [24,25,26]. This is a consequence of better recognition of the impact of doctor fatigue on patient safety, the importance of work/life balance, an ageing healthcare workforce, and the increasing complexity of patient care. In turn, this increases the number of individuals involved in the care of each patient. Therefore the need for concise, accurate clinical handover is imperative [6]. High quality transfer of patient information from team to team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good patient care, alongside the expertise of clinicians, teamwork and effective management [27]. However, good practices in clinical handover do not happen by chance. Institutions and organisations (for example, hospitals, universities, training and accreditation bodies) and their leaders, have responsibilities to ensure practice in good clinical handover is achievable [6, 27].

결과 Conclusion

효과적인 진료 권한 인계는 오류, 환자 위해의 감소 및 관리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안전한 환자 관리의 필수 구성 요소입니다. 의료 인력 내에서 작업 패턴이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진료 권한 인계의 우수성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의료 분야 전반의 의료 리더와 전문가가 협력하여 우수한 진료 권한 인계 관행을 개발하고 유지해야 한다. 보호되는 교육 시간과 자원은 이러한 노력에서 직원과 학생을 지원하는 데 필수적이다. 핸드오버를 개선하기 위해 많은 도구가 개발되었지만, 우리는 잘 연구된 ISBAR가 효과적인 임상 핸드오버를 위해 사용하기에 이상적인 도구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ISBAR 사용에 대한 효과적인 훈련과 연습은 필수적입니다. 이 교육은 대학 의료 커리큘럼 내에서 시작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Effective clinical handover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safe patient care to ensure reduction in errors, patient harm, and improve continuity of care. With rapidly changing work patterns within the healthcare workforce, excellence in clinical handover is increasingly important. It is essential that healthcare leaders and professionals from across the health disciplines work together to ensure good clinical handover practices are developed and maintained. Protected teaching time and resources are essential to support staff and students in these endeavours. While a number of tools have been developed to improve handover, we have found the well-researched ISBAR to be an ideal tool to employ for effective clinical handover. However, effective training and practice in the use of ISBAR is essential. Ideally, this training will commence within university healthcare curricula.

 

 


BMC Med Educ. 2020 Dec 3;20(Suppl 2):459.

 doi: 10.1186/s12909-020-02285-0.

Teaching clinical handover with ISBAR

Annette Burgess 1 2Christie van Diggele 3 4Chris Roberts 5 3Craig Mellis 6

Affiliations expand

Free PMC article

Abstract

Clinical handover is one of the most critical steps in a patient's journey and is a core skill that needs to be taught to health professional students and junior clinicians. Performed well, clinical handover should ensure that lapses in continuity of patient care, errors and harm are reduced in the hospital or community setting. Handover, however, is often poorly performed, with critical detail being omitted and irrelevant detail included. Evidence suggests that the use of a structured, standardised framework for handover, such as ISBAR, improves patient outcomes. The ISBAR (Introduction, Situation, Background, Assessment, Recommendation) framework, endorsed by the World Health Organisation, provides a standardised approach to communication which can be used in any situation. In the complex clinical environment of healthcare today, ISBAR is suited to a wide range of clinical contexts, and works best when all parties are trained in using the same framework. It is essential that healthcare leaders and professionals from across the health disciplines work together to ensure good clinical handover practices are developed and maintained. Organisations, including universities and hospitals, need to invest in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health professional students and health professionals to ensure good quality handover practice. Using ISBAR as a framework,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ighlight key elements of effective clinical handover, and to explore teaching techniques that aim to ensure the framework is embedded in practice effectively.

Keywords: Assessment; Background; Clinical handover; ISBAR (Introduction; Interprofessional; Patient safety; Recommendation); Situation.

양질의 의료 유도하기: EPA, 역량, 마일스톤의 적용을 통한 수련생 평가와 지도감독의 정렬(Acad Med, 2016)

Driving Care Quality: Aligning Trainee Assessment and Supervision Through Practical Application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Competencies, and Milestones
Carol Carraccio, MD, MA, Robert Englander, MD, MPH, Eric S. Holmboe, MD, and Jennifer R. Kogan, MD

의료 교육의 목적은 [지속적인 감독 없이 양질의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의료진]을 준비시키는 것이다. [양질의 치료]는 안전, 효과, 시기적절, 효율성, 공정성 및 환자 중심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미국은 대학원 의학 교육 인증 위원회와 미국 의학 전문가 위원회의 핵심 역량에 기초한 대학원 의학 교육(GME) 체제로 전환한 지 15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전체 건강 결과에서 11개국 중 꼴찌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The purpose of medical education is to prepare a physician workforce that can provide high-quality care—defined as safe, effective, timely, efficient, equitable, and patient centered—without a need for ongoing supervision.1,2 Fifteen years after the shift to a graduate medical education (GME) system based on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the American Board of Medical Specialties’ core competencies, the United States still ranks last of 11 countries in overall health outcomes.3

서비스 대상 환자 집단의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의사가 요구하는 역량에 기반을 둔 역량 기반 의료 교육(CBME)은 위에서 설명한 품질 격차를 해결하기 위해 GME 전반에 걸쳐 구현되었다.6 그러나 CBME의 구현은 연습생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의미 있는 조치가 만연해 있지 않다는 것을 드러냈고, [평가는 CBME의 발전에 있어 주요 속도 제한 단계]이다.6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whose foundation is built on the competencies required by physicians to address the needs of patient populations being served, has been implemented across GME to address the quality gaps outlined above.6 Implementation of CBME, however, exposed the pervasive lack of meaningful measures to assess trainee performance, and assessment continues to be a major rate-limiting step in the advancement of CBME.6


Kogan 등7은 최근 학습자 평가의 과제를 "교육적 문제이자 동시에 임상진료 문제"로 다시 개념화할 것을 제안했다. 이를 위해 그들은 품질 관리 및 감독을 위한 책임 있는 평가(AAQCS) 등식을 제안했다. [수련생 성과 × 적절한 감독 = 안전하고 효과적인 환자 중심 진료.]
Kogan et al7 have recently suggested that the challenges in learner assessments be reconceptualized as “both an educational and clinical care problem.” In so doing, they proposed the Accountable Assess- ment for Quality Care and Supervision (AAQCS) equation: Trainee performance × Appropriate supervision = Safe, effective patient-centered care.

AAQCS는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환자 중심적인 의료]는 [훈련생의 성과 수준(특정 맥락에서 훈련생의 역량 수준에 대한 평가)]과 [이에 부합하는 적절한 감독(관리 품질을 보장하는 데 필요한 개입 수준)]의 곱(product)에서만 나온다고 강조한다. AAQCS의 주요 기여는 환자 성과가 평가 방정식의 종속 변수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 즉, 수련생 성과가 환자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연습생 성과 평가의 근본적인 목적을 잃는 것과 같다.
  • 반대로, 환자 진료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감독의 기본 목적도 상실된다.

AAQCS emphasizes that safe, effective, patient-centered care only results from the product of appropriate supervision (required level of intervention to ensure care quality) matched to the trainee’s level of performance (assessment of a trainee’s level of competence in a particular context). The major contribution of AAQCS is that it emphasizes that patient outcomes is the dependent variable of the assessment equation.

  • That is, the fundamental purpose of assessing a trainee’s performance is lost when the impact of that performance on patients is not considered.
  • Furthermore, the fundamental purpose of supervision is lost when its impact on patient care quality is not considered.

따라서 AAQCS 등식의 중요한 기여는 [치료 성과]에 대한 [교육생과 감독자의 상호의존성]을 입증한다는 것이다. 
Therefore, an important contribution of the AAQCS equation is that it demonstrates the interdependence of trainees and supervisors on care outcomes. 

그 정의상, EPA는 [(훈련생 능력에 초점을 맞춘) 역량이나 마일스톤]과는 달리 [치료 결과에 초점을 맞춘 작업 단위]이다.8

By definition, EPAs are units of work that focus on outcomes of care, in contrast to competencies and milestones, which focus on trainee abilities.8

 

교육생 성과 평가
Assessment of Trainee Performance

CBME에서 교육생을 평가하기 위한 기본 전략은 workplace assessment이다.9,10 [실제 임상 환경에서 교육생을 관찰하고 평가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작업장 평가는 Miller의 피라미드 "does" 수준을 목표로 한다.
A foundational strategy to assess trainees in CBME is workplace assessment.9,10 Defined as observing and assessing trainees in the authentic clinical environment, workplace assessment targets the “does” level of Miller’s pyramid,

이상적으로는 전문가가 실제 관리 제공 상황에서 학습자의 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직접 관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여러 전문가가 동일한 실습생을 같은 조우했을 때에도 학습자 성과에 대한 판단이 다양하다는 것을 발견했다.9,12
Ideally, experts engage in direct observation of learners to assess their competence in the context of actual care delivery. However, researchers have found that even when several experts observe the same trainee in the same encounter, there is variability in their judgments about learner performance.9,12

이 평가자의 variability에 대한 많은 설명이 있다.

  • 평가자는 연습생과 자신(표준으로서의 자신)을 비교하거나 유사한 수준의 교육(표준 기준)에서 다른 사람에게 기대하는 바를 비교하는 등 연습생을 평가하는 다양한 기준을 사용합니다. 
  • 일반적인 평가 도구는 평가자에게 학습자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치 척도를 사용하도록 요청하며, 오류는 자연스러운 [서술 기반 사고 프로세스]를 [수치 값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다.
  • 평가관 변동성의 다른 원인에는 평가자에 의해 사용되는 인지 과정의 제한, 인지 오류, 문자 그대로의 서술은 덜 사용하고 평가자 전문지식에 기초한 추론은 더 많이 하는 것, 평가자 자신의 임상 기술 및 사회적 맥락을 포함한 판단이 이루어지는 맥락 등이 포함된다.

There are many explanations for this variability. 

  • Assessors use variable standards by which they assess the trainee, such as comparing trainees with themselves (self as standard) or comparing trainees with what they would expect of others at a similar level of training (normative standard).13 
  • Typical assessment tools ask raters to use numerical scales to assess learner performance, and error may result from the conversion of natural, narrative-based thought processes to numerical values.14 
  • Other causes of rater variability include limitations in cognitive processes used by raters,15 cognitive errors,16 use of less literal descriptions and more inferences based on rater expertise,17 raters’ own clinical skills,13 and the context in which the judgment is made including social context.17,18

적절한 감독
Appropriate Supervision

작업장 평가의 목적은 연습생의 역량을 평가하는 것이지만, 또 다른 중요한 기능은 [연습생에게 필요한 감독 수준을 알리는 것]입니다.7 즉, 작업장 평가는 [훈련생이 할 수 있는 것]과 [안전하고 효과적인 환자 중심 치료를 위해 필요한 것 ]사이의 차이를 교수진에게 알려야 한다. 이 개념은 AAQCS 방정식에서 두 번째 독립 변수인 적절한 감독에 의해 강조된다.
Although the purpose of workplace assessment is to assess trainee competence, another critical function is to inform the level of supervision a trainee requires.7 That is, workplace assessment should inform faculty of the gap between what a trainee is capable of doing and what is required for safe, effective patient-centered care. This concept is highlighted in the AAQCS equation by the second independent variable, appropriate supervision.

AAQCS 등식의 [적절한 감독] 변수는 명확히 할 가치가 있는 두 가지 점을 강조한다.

  • "적절한" 감독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 감독의 이중적 목적(환자 돌봄의 퀄리티 확보 + unsupervised practice를 향한 학습자의 발달 궤적 확보)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

The appropriate supervision variable of the AAQCS equation highlights two points that deserve clarification: 

  • how to define “appropriate” supervision, and 
  • how to address the dual purpose of supervision—ensuring quality patient care and learner development on the trajectory toward unsupervised practice. 

Kennedy 등 19명은 "임상 감독""Care의 퀄리티를 보장하기 위해 감독자가 수행하는 환자 관리 활동"으로 정의했다. 이러한 정의에 기초하여, 한 환자가 특정 상황에서 받는 [Care의 퀄리티]은 [수습자와 감독자의 결합된 임상 역량]에 따라 달라진다.
Kennedy et al19 defined “clinical oversight” as “patient care activities performed by supervisors to ensure quality of care.” Based on this definition, the quality of care that the patient receives in a given encounter is dependent on the combined clinical competence of the trainee and the supervisor.


[작업장 평가의 신뢰성]과 관련된 여러 어려움을 고려한다면, 이러한 평가에 기초하여 [감독 수준]과 [수련생 성과 수준]을 일치시키는 데 상당한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이는 단기적으로 care quality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정 상황에서 관리 결과를 초래하고, 장기적으로는 교육생들로 하여금 졸업 시 감독되지 않은 실습에 참여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교육생으로 이어질 수 있다.

Given the challenges with reliability of workplace assessments, there is likely significant variability in matching the level of supervision to level of trainee performance on the basis of these assessments. Ultimately, this can adversely affect care quality in the short run with undersupervision leading to a negative care outcome in the given encounter and in the long run with oversupervision leading to trainees who are not ready to engage in unsupervised practice upon graduation.

[(임상) 감독]을 정의할 때 Kennedy20은 또한 "훈련자 학습을 최대화하기 위한 임상 감독을 설계하는 것이 장기적인 환자 관리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한 방법이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 향후 이 교육생과의 만남에서 환자가 받게 될 care의 퀄리티는,

  • [감독자가 특정 encountrer에서 보여준 care의 modelling]에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 학습자가 competence에서 capability(새로운 맥락에서 competence을 입증할 수 있는 능력)로 나아가는 [전문적 발달을 서포트하는 감독자의 능력]에도 영향을 받을 것이다.

When defining supervision, Kennedy20 has also suggested that “designing clinical supervision to maximize trainee learning will be the most powerful way to impact the quality of patient care in the long-term.” The quality of care that patients receive in future encounters with this trainee will

  • not only be affected by the modeling of care done by the supervisor in a given encounter
  • but the supervisor’s ability to support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he learner beyond competence to capability (the ability to demonstrate competence in new contexts).21 


Vygotsky의 ZPD는 최상의 학습은 연습생들이 자신이 수행하기에 편한 수준 이상으로(즉, 능력의 최상단에서) 일하도록 도전할 때 발생한다고 시사한다. 이는 이상적으로, 연습생의 개발 수준과 일치하는 감독적 접근방식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 초보자를 위한 지시적 접근법,
  • 고급 초보자를 위한 협력적 접근법,
  • 역량 있는 교육생을 위한 비지시적 접근법이 포함될 수 있다.23

Vygotsky’s22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suggests that the best learning occurs when trainees are challenged, with support, to work beyond the level at which they are comfortable performing (i.e., at the upper edge of their competence), which ideally calls for a supervisory approach that is matched to the developmental level of the trainee.23 This might include, for example,

  • a directive approach for novices,
  • a collaborative approach for advanced beginners, and
  • a nondirective approach for trainees who are competent.23

교육생에 대한 [원치 않는 평가의 다양성variability]은 관리 품질과 학습자 개발 모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위험이 있다. 교수진이 [연습생이 할 수 있는 일]과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환자 중심적인 치료] 사이의 차이를 식별할 수 없다면, 진료의 공백을 메우는 특정 감독 행동에 관여하는 동시에 학습자 계발을 촉진할 수 없을 것이다.
Unwanted variability in assessment of trainees risks negatively impacting both care quality and learner development. If faculty are not able to identify the gap between what a trainee can do and safe, effective, patient-centered care, they will not be able to engage in the specific supervision behaviors that fill the gaps in care while also promoting learner development.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환자 중심의 관리를 위해: 평가 및 감독할 교수진 개발
Toward Safe, Effective, Patient- Centered Care: Developing Faculty to Assess and Supervise

문헌의 교훈.
Lessons from the literature

교수개발
Faculty development.


교육생 성과 평가에서 [원치 않는 가변성unwanted variability]을 완화하기 위해 교수개발이 매우 중요합니다. 교수진이 공유된 정신 모델을 개발하고 임상 역량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그룹 방법과 기법은 성과 평가에서 나타나는 일부 가변성을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질적으로, 이러한 기법은 [학습자 역량을 평가할 때 고려해야 할 행동]과 이러한 [행동이 사전 정의된 성과 수준에 어떻게 부합되는지]에 대한 [강력한 스크립트]를 제공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이러한 기법은 교육생 성과와 환자가 필요로 하는 임상 개입 수준에 대한 보다 정확한 평가 및 판단으로 이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에게 형성적 피드백을 위한 자료substrate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Faculty development is critical for mitigating unwanted variability in assessment of trainee performance. Group methods and techniques that help faculty develop shared mental models and understanding of clinical competencies can help to eliminate some of the variability seen in performance assessments.25 In essence, these techniques are designed to provide a robust script of what behaviors to look for in assessing learner competence and how those behaviors align with predefined levels of performance. These techniques can lead to more accurate assessments and thus judgments about trainee performance and level of clinical intervention needed by the patient, as well as provide substrate for formative feedback to learners.

글로벌 평가 사용.
Use of global assessments.


문헌에 따르면 전문가들의 손에서 전반적인 판단에 대한 글로벌 평가가 체크리스트보다 더 신뢰할 수 있다.26 따라서 글로벌 등급 양식을 [체크리스트로 대체하는 것]은 원치 않는 가변성을 줄이기 위한 전략이 아니다. 우리는 체크리스트의 모든 항목을 완료할 수는 있지만 효과적인 관리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필요한 작업을 통합할 수 없는 학습자를 관찰한 경험에 익숙하다. 학습된 중요한 교훈은 객관성과 신뢰성이 동의어가 아니라는 것이다. 전문가의 손과 적절한 표본 추출 조건에서 이루어지는 주관적 평가가 체크리스트보다 더 신뢰할 수 있다.26

Literature suggests that global assessments of overall judgment in the hands of experts are more reliable than checklists.26 Thus, replacing global rating forms with checklists is not a strategy for reducing unwanted variability. We are familiar with the experience of observing a learner who can complete all items on a checklist but cannot integrate the required tasks in a way that enables effective care delivery. An important lesson learned is that objectivity and reliability are not synonymous; subjective assessments in the hands of experts and under conditions of appropriate sampling are more reliable than checklists.26

내러티브 스크립트 사용.
Use of narrative scripts.

평가자 평가의 일부 변동성은 보증되지 않으며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어떤 변동성variability은 [서로 다른 평가자]가 [동일한 학습자]를 보는 [다양한 렌즈를 제공함]으로써 포괄적인 학습자 피드백에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합니다.9
While some variability in rater assessments is unwarranted and due to error that is desirable to minimize, some variability contributes meaningful information to comprehensive learner feedback by providing different lenses through which raters see the same learner.9

의사들이 [나름의 독특하고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질병 스크립트와 패턴 인식에 의존하는 임상적 추론]을 하듯이, 평가자는 새로운 학습자에 대한 인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스크립트를 활용한다.27,28 이러한 스크립트는 풍부한 서술 형태의 행동의 회상으로서 존재합니다. 평가자 개개인의 경험과 스크립트의 고유성은, 오류가 아니라, 다양한 관점에 기반한 가변성을 만들어낸다.
Much as physicians do in clinical reasoning, which relies on unique and continuously updated illness scripts and pattern recognition, raters draw on scripts stored in memory to inform impressions of new learners.27,28 These scripts exist as recollections of behaviors in the form of rich narratives. The uniqueness of an individual assessor’s experiences, and thus her or his scripts, creates variability that is not due to error but, rather, to perspective.

단, 격리된isolated 평가자의 스크립트가 다수의 스크립트와 상당히 다른 이유가 관점 때문일 수도 있지만, 이미 낡은 스크립트이기 때문일 수 있다. 전자의 경우, 관점은 유용한 형태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지만, 최종 결정의 기초가 되어서는 안 된다. 후자의 경우 피드백은 not relevant하다. 어느 쪽이든 평가에 주관적 판단을 사용할 때 신뢰도를 보장하기 위해 적절한 표본 추출이 여전히 필수 요건으로 남아 있다.29
Of note, the script of an isolated assessor may b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majority based either on perspective or an outdated script. If the former, the perspective can provide useful formative feedback but should not be the basis of a summative decision. If the latter, the feedback is not relevant. Either way, adequate sampling remains an essential requirement for ensuring reliability when subjective judgment is used in assessment.29

효과적인 감독 기술.
Effective supervision skills.


분명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훈련생들의 감독은 종종 불충분하다. 문헌에는 관리 품질을 보장하고 교육자가 학습자 계발을 보장하는 의료전문가로서의 이중 역할을 탐색할 수 있도록 교수진 개발이 필요하다는 내용이 나와 있습니다.20 다양한 감독 스타일이 있지만, [필수적이고 효과적인 감독 기술]을 뒷받침하는 기본 원칙이 있습니다. 학습자 평가를 담당합니다.30 효과적인 감독 원칙을 배우고 실천해야 하며, 감독자는 역할의 지속적인 개선을 지원하기 위해 감독관으로서의 성과에 대한 피드백을 요구합니다.

Despite the clear need, supervision of trainees is often inadequate. The literature illustrates the need for faculty development to help supervisors navigate their dual roles as clinicians ensuring care quality and educators ensuring learner development.20 Although there are a variety of supervision styles, there are fundamental principles underpinning essential, effective supervisory skills that need to be packaged for those charged with learner assessment.30 The principles of effective supervision must be learned and practiced, and supervisors require feedback on their performance as supervisors to support continuous improvement in the role.

과거 구축: EPA, 역량 및 이정표를 통해 작업장에 AAQCS 방정식 적용
Building on the past: Applying the AAQCS equation in the workplace through EPAs, competencies, and milestones

EPA, 핵심 역량 및 전공과별 마일스톤을 통합하는 [통합 프레임워크]는 수련생 평가 및 적절한 관리감독의 과제 중 일부를 해결할 것이다.
A unifying framework integrating EPAs, core competencies, and specialty milestones will address some of the challenges of trainee assessment and appropriate supervision.


EPA는 교수진이 임상 감독 맥락에서 관찰할 수 있는 사항에 초점을 맞추는 데 더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의미 있는 평가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할 수 있다.
EPAs may prove more helpful in focusing faculty on what they are able to observe in the context of clinical oversight, thus enhancing their ability to provide meaningful assessments.

각 EPA에 정보를 제공하는 필수 역량에 EPA를 매핑하면 각 성능 수준에서 이정표의 행동 설명을 통합하기 위한 단계가 설정되므로, 예를 들어 초보 또는 고급 초급자가 프로페셔널 활동에 참여할 때 어떤 모습인지에 대한 공유 멘탈 모델을 만들 수 있다. 
Mapping EPAs to the essential competencies that inform each EPA sets the stage for integrating the behavioral descriptions of the milestones at each performance level, thus enabling the creation of a shared mental model of what a novice or advanced beginner, for example, looks like when engaged in the professional activity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http://links.lww.com/ACADMED/A308).

예를 들어, 보충 디지털 부록 1에는 EPA "응급실, 응급실 또는 입원 환경에서 급성, 공통 진단을 받은 환자를 관리"하는 역량(왼쪽 열 왼쪽 열)과 그 진보적 이정표 34(이후 열은 왼쪽 초보 성과에서 가장 전문가 성과까지 읽힌다)가 수록된다. 

For example,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lists the competencies (left-hand column) and their progressive milestones34 (subsequent columns read from most novice performance on the left to most expert performance on the right) for the EPA “manage patients with acute, common diagnoses in ambulatory, emergency, or inpatient setting.” 


라벨이 평가자의 성과 수준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column에는 발달 레벨만 부여된다. 매트릭스를 보면 이정표의 첫 번째 열을 읽으면 핵심 행동을 통합하고 합성할 수 있다("조기 학습자의 행동" 참조). 표의 맨 아래 행 바로 뒤에 나와 있습니다. 학습자가 직장에서 특정 EPA를 수행했을 때 이러한 행동에 참여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초가 된다.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a label on the assessor’s choice of performance level, the columns are just given a level of development. Looking at the matrix, if one reads down the first column of milestones, one can integrate and synthesize the salient behaviors (see “Behaviors of an early learner”) as illustrated just after the bottom row of the table. Immediately following these behaviors is a vignette of what a learner would look like engaged in those behaviors as he or she carried out the given EPA in the workplace. 

각 후속 column에 대해 동일한 연습을 수행하여 [가장 오른쪽 열을 읽어 내려오면 이 EPA를 수행하는 전문가의 행동을 synthesis and integration]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해 [전문 학습자의 임상적 비네트]를 개발할 수 있다.
The same exercise can be done for each subsequent column, so that reading down the right- most column would allow synthesis and integration of the behaviors of an expert performing this EPA, which can then be used to develop a clinical vignette of the expert learner.

따라서 이러한 vignettes은 EPA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필수 역량과 각각의 이정표를 기반으로 구축되며, 각 개발 단계에서 학습자의 공통 정신 모델을 제공한다. 교수 개발을 위한 성과 평가 훈련 방법과 유사하게, 이 공유 정신 모델의 생성은 서로 다른 평가자, 심지어 전문가도 동일한 임상 상황에서 동일한 학습자를 관찰할 때 발생하는 원치 않는 판단의 가변성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12,25 
Thus, these vignettes are built on the essential competencies and their respective milestones that are required to perform the EPA, and provide a common mental model of the learner at each stage of development. Creation of this shared mental model, similar to performance appraisal training methods for faculty development,35–37 may be helpful in addressing the unwanted variability in judgment that occurs when different raters, even experts, observe the same learner in the same clinical encounter.12,25 

학습자 평가에 vignettes를 사용하면 [세 가지 방법으로 평가 신뢰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학습자 성과를 평가할 때 [서술적 설명을 상기하는 자연스러운 경향]에 따라 평가 도구의 형식을 정렬
  • 서술적 설명에서 [수치값으로 변환하는 데 필요한 인지 부하 감소]
  • 설명을 [숫자 값으로 변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오류 제거]

The use of vignettes in learner assessment may actually add to assessment reliability in three ways. It may assist in

  • aligning the format of assessment tools with the natural tendency to recall narrative descriptions when rating learner performance,17
  • reducing the cognitive load that is required to convert from the narrative descriptions to numerical values,38 and
  • eliminating the errors that may result from translating descriptions to numerical values.14

 

Regehr 등의 연구는 교수진이 [개별 역량에 기초하여 학습자를 평가]할 때보다, [역량을 통합한 표준화된 서술적 비네트에 연습생 성과를 일치시킬 때] 수행 수준을 더 잘 구별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역량과 수준별 이정표가 Vignet에 포함된 것처럼, 특정 성능 레벨에 대해 미리 결정된 표준이 시리즈의 각 Vignett에 포함되었습니다.40

Work by Regehr et al39,40 has demonstrated that faculty were better able to distinguish between levels of performance when matching trainee performance to standardized narrative vignettes that integrated competencies than when assessing learners on the basis of individual competencies. Predetermined standards for a given performance level were embedded within each vignette in the series, just as the competencies and their level-specific milestones are embedded in our vignettes.40


EPA를 역량과 연계하여 관리 품질을 개선하는 데는 두 가지 잠재적 이점이 있다. 첫째, [전문적인 활동을 수행하는 훈련생의 능력에 대한 평가]와 [활동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감독 수준] 사이에는 직접적인 관계가 있습니다.32 훈련생에 대한 더 나은 평가 결정은 관리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적절한 감독자에게 더 나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EPA를 [위임 의사결정에 중요한 역량과 이정표]에 현명하게 매핑하면, [EPA를 수행하기 위해 통합되어야 하는 학습자 행동]을 보다 세분화된 시각으로 볼 수 있는 줌 렌즈를 제공한다. [교육생들의 현재 행동]을 [발달 이정표 내에서 표현되는 바람직한 행동]과 대조하는 것은 supervision practice에 보다 구체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There are two potential benefits of linking EPAs to competencies and their milestones to improve care quality. First, there is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assessment of a trainee’s ability to perform a professional activity and the requisite level of supervision needed to ensure that the activity is safely and effectively carried out.32 Better assessment decisions of the trainee can better inform appropriate supervision to ensure care quality. Judiciously mapping EPAs to the competencies and milestones that are critical to entrustment decisions provides a zoom lens that allows a more granular view of learner behaviors that must be integrated to perform the EPA. Contrasting a trainee’s current behaviors with the desired behaviors represented within the developmental milestone narratives can more specifically inform supervision practices. 

EPA를 역량 및 그 이정표에 연계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두 번째 이점은 피드백의 기질 역할을 하는 학습 로드맵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는 향후 치료 상황에서 환자 진료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일부 학습자가 동료보다 [더 세밀하게 감독을 받아야 하거나], 다른 동료는 가능한데 특정 학습자는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아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감독관은 그 이유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The second benefit of linking EPAs to competencies and their milestones is that it provides a learning road map that serves as the substrate for feedback, which can improve patient care quality in future care encounters. It is not enough to know that some learners need to be more closely supervised than their peers or that they cannot be entrusted when their peers can—supervisors must know why.


마일스톤은 [글로벌한 인상]을 [구체적인 건설적인 실행 가능한 피드백]으로 세분화함으로써 어려움에 처한 감독관들에게 어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정표는 학습자와 관리자가 예상 학습자 발달에 대해 공유된 이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는 최근 Crossley41이 "만약 피드백 제공자와 피드백 수령자가 성과와 진행에 대해 논의하는 공통 언어 또는 지도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피드백 전달에 있어] 신뢰성이 붕괴된다"고 강조했듯이 중요하다. 위탁 결정이 2진수(예, 아니요)이긴 하지만 위탁으로 이어지는 관리 수준을 기술하는 것이 교육생들의 작업장 평가를 위한 중요한 프레임워크로 제안되었습니다.32


The milestones can provide a vocabulary for supervisors challenged by breaking down global impressions into specific constructive actionable feedback. Milestones can provide learners and supervisors with a shared understanding of expected learner development. This is important, as Crossley41 recently highlighted that “credibility [in feedback delivery] is disrupted if the provider and recipient have no common language or map for discussing performance and progression.” Although the entrustment decision is a binary one (yes–no), describing levels of supervision leading up to entrustment has been proposed as a valuable framework for workplace assessment of trainees.32 

요약 Summary

이러한 통합 프레임워크는 [교육생 성과 평가] 및 [적절한 감독]의 복잡성 뿐 아니라, 치료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이 둘의 상호 의존성]을 다루기 시작하는 출발점을 제공한다. 위임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감독 수준이 제안되었으며, 다음 과제 중 하나는 필요한 감독 수준에 대한 암묵적이고 상황적인 결정에서 EPA, 역량 및 이정표를 기반으로 한 보다 명확하고 신중한 모델로 이동하는 것이다.

this unifying framework gives us a starting point from which to begin to address the complexities of trainee performance assessment and appropriate supervision as well as their interdependence in impacting care quality. Levels of supervision leading up to entrustment have been proposed, and one of the next challenges will be moving from implicit and circumstantial decisions about needed level of supervision to a more explicit and deliberate model based on EPAs, competencies, and milestones.




 


Acad Med. 2016 Feb;91(2):199-203.

 doi: 10.1097/ACM.0000000000000985.

Driving Care Quality: Aligning Trainee Assessment and Supervision Through Practical Application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Competencies, and Milestones

Carol Carraccio 1Robert EnglanderEric S HolmboeJennifer R Kogan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 1C. Carraccio is vice president, Competency-Based Assessment, American Board of Pediatrics, Chapel Hill, North Carolina. R. Englander was senior director, Competency-Based Learning and Assessment,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Washington, DC, at the time this article was written. E.S. Holmboe is senior vice president, Milestone Development and Evaluation,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Chicago, Illinois. J.R. Kogan is associate professor of medicine, Department of Medicine, Perelman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hiladelphia, Pennsylvania.
  • PMID: 26509601
  • DOI: 10.1097/ACM.0000000000000985Abstract
  • To address the long-standing challenge of meaningful trainee assessment, the authors reviewed and expanded on the Accountable Assessment for Quality Care and Supervision (AAQCS) equation. The equation proposes that care quality is the produ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rainee performance (measured by workplace assessment) and supervision (required level of intervention to ensure care quality) in the context of the environment where the care occurs: Trainee performance × Appropriate supervision = Safe, effective patient-centered care. Assessing trainee performance and matching that performance to "appropriate" supervision, however, is fraught with challenges. The authors suggest a unifying framework that integrates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s), competencies, and milestones to inform trainee assessment and supervision, thereby enabling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AAQCS equation in the workplace. Because the unit of measure for an EPA is the outcome of whether the trainee can safely and effectively perform the professional activity without supervision, the proposed unifying framework directly aligns with the dependent variable in the AAQCS equation: care quality.The value of applying a unifying framework that integrates EPAs, competencies, and milestones to the AAQCS equation in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lies in its ability to provide supervisors with a shared mental model of performance expectations for trainees, reducing unwanted variability and improving assessment accuracy; guidance for aligning performance milestones of trainees with the needed level of supervisor intervention to ensure care quality; and substrate for specific feedback to improve the trainee's professional development as a way to ensure future care quality.

어떻게 임상감독자는 수련생에 대한 신뢰를 형성하는가: 질적 연구(Med Educ, 2015)

How clinical supervisors develop trust in their trainees: a qualitative study
Karen E Hauer,1 Sandra K Oza,2 Jennifer R Kogan,2 Corrie A Stankiewicz,2 Terese Stenfors-Hayes,3
Olle ten Cate,4 Joanne Batt1 & Patricia S O’Sullivan

 

 

 


도입
INTRODUCTION

의학 훈련의 목표는 학습자들이 [unsupservised practice]에 대비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의료 감독관은 교육생들의 성과를 감독하는 동시에, [독립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늘려야 할 책임이 있다. 감독관은 교육생 성과에 대한 일부 측면을 [직접 관찰]하는 한편, [다양한 책임]을 [일정 거리를 두고 감독하면서 교육생에게 맡기는 명시적 또는 암시적 결정을 내린다.1 신뢰는 '미래에 대한 의존'을 수반하며, 개인에게 무언가를 맡기는 것은 '누군가의 보살핌에 책임을 부여하거나 맡기는 것'이다.3
The goal of medical training is to prepare learners for unsupervised practice. Clinical supervisors are therefore charged with overseeing trainees’ performance while also granting them increasing opportunities to perform independently. Whereas supervisors observe some aspects of their trainees’ performance directly, they also explicitly or implicitly make decisions to entrust their trainees with various responsibilities that they supervise at some distance.1 Trust entails ‘dependence on something future’2 and to entrust an individual with something is to ‘assign a responsibility to or put something into someone’s care’.3 


의학교육에 관한 연구에서 [교육생에 대한 감독자의 신뢰에 기여하는 요인]을 식별하였다.

  • 지식과 기술에서 드러났듯이, [훈련생들의 역량]은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고 도움을 구하고자 하는 의지, 자기 효율성 및 양심성 모두 독립적인 연습을 위한 상급자의 신뢰에 영향을 미칩니다.
  • [감독관의 자체적인 임상 및 감독 기술과 경험]은 교육자의 개인적 신뢰 성향과 마찬가지로 훈련생의 역량 수준을 식별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칩니다.
  • [작업 환경의 맥락과 문화]는 작업의 복잡성과 익숙성과 함께 책임의 할당과 완수에 영향을 미칩니다. 작업 부하 및 독립성에 대한 전공의의 요구가 높으면 [상사가 준비가 되었다고 느끼기 전에] 전공의의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다.
  • [감독관과 수습생 사이의 관계]는 서로 능력과 스타일을 분별하는 또 하나의 중요한 위탁 판단에 기여한다. 감독관과 연습생은 서로 공감대를 형성하고 서로의 접근 방식과 기대 사항을 학습하면서 역할과 책임을 반복적으로 협상할 수 있습니다.
  • [감독관과 수습생 사이의 상호 신뢰 수준]은 연습생의 독립적 실무 준비 상태에 대한 감독관의 평가에 영향을 미칩니다.

Studies in medical education have identified factors that contribute to supervisors’ trust in trainees.4 

  • Trainees’ competence, as manifested in their knowledge and skills, recognition of their own limitations, willingness to seek help, self-efficacy and conscientiousness all influence their supervisors’ trust in them for independent practice.5–7
  • The supervisor’s own clinical and supervisory skills and experience influence his or her ability to identify a trainee’s level of competence,8 as does the supervisor’s personal tendency to trust.
  • The context and culture of the work environment, along with task complexity and familiarity, influence the assignment and completion of responsibilities.9 Demanding workloads and residents’ own desire for independence may lead residents to be afforded independence before their supervisors feel they are ready.5,10,11
  •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and trainee constitutes another important contributor to judgements of entrustment as the two discern one another’s abilities and styles. The supervisor and trainee may negotiate roles and responsibilities iteratively as they develop rapport and learn each other’s approaches and expectations.12
  • The degree of mutual trust between supervisor and trainee informs the supervisor’s assessment of the trainee’s readiness for independent practice.6 

신뢰는 [점진적으로 더 큰 독립성을 위한 준비]에 대한 판단을 프레임을 형성하고, 따라서 (마일스톤 기반 교육에서 가치롭게 여겨지는) workplace learning에 대한 발달적 접근방식과 일치한다.13,14 그러나 감독자, 연습생 및 사회적 맥락 간의 관계에 대한 맥락적 및 사회문화적 측면의 관련성을 고려한다. 학습이 일어나고, [사회문화적 관점]은 연습생이 사회적 맥락 안에서 상호작용하면서 학습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설명할 수 있다.15

Trust frames judgements about readiness for progressively greater independence and thus aligns with the developmental approach to learning in the workplace valued in milestone-based education.13,14 However, given the relevance of contextual and socio-cultural aspects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upervisor, trainee and the social context in which learning occurs, a socio-cultural perspective can elucidate how learning emerges as a trainee interacts within a social context.15 

신뢰는 [연습생에 대한 태도]와 [그 신뢰에 따라 다르게 수행되는 행동]을 모두 포함한다. Vygotsky의 ZPD는 [학습자의 역량]과 [관리자의 안내로 달성할 수 있는 역량]의 차이를 설명합니다. 이 격차를 목표로 하는 감독은 기술 습득과 숙달을 촉진합니다.
Trust encompasses both an attitude towards a trainee and an action performed differently based on that trust.16 Vygotsky’s17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describes the gap between learners’ capability and the capability they could achieve with supervisors’ guidance; supervision aimed at this gap promotes skill acquisition and mastery.


연구 및 이론을 통해 교육생에 대한 감독자의 신뢰에 기여하는 요소가 상호 작용하여 신뢰의 발전을 도모하는 방법과 직장 내에서 감독하는 감독자가 신뢰의 의미를 이해하는 방법에 관한 문헌상의 차이를 확인하였습니다.
Informed by research and theory, we identified a gap in the literature relating to how factors that contribute to supervisors’ trust in trainees interact to foster the development of trust and how supervisors understand the meaning of trust as they supervise within the workplace.



방법 METHODS

설계
Design

이것은 다른 개인이 어떤 현상을 어떻게 경험하는지를 조사할 수 있는 현상학적phenomenographic 접근방식을 사용한 정성적 연구이다. 20,21 본 연구에서는 신뢰가 어떻게 발달하고 경험되는지의 차이, 그리고 이러한 차이가 연구의 '결과 공간'을 구성한다.20
This is a qualitative study using a phenomenographic approach, which enables examination of how different individuals experience a phenomenon, which in this study is trust.20,21 The differences in how trust develops and is experienced, and how these may relate to one another, constitute the ‘outcome space’, or findings, of the study.20

현상학은 발견물 간의 상호작용을 높이 평가하며, [신뢰의 발달]은 [사회적 맥락 내에서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henomenography appreciates the interactions among findings, and the development of trust is known to be influenced by multiple factors within a social context. 

참가자 및 설정
Participants and setting

감독관들은 이메일 초대장을 받았고, 무응답자들은 이메일 알림 메시지를 3개까지 받았다. 참가자들은 15달러짜리 커피 카드를 받았다.
Supervisors received an e-mail invitation to participate; non-respondents received up to three e-mail reminders. Participants received a US$15 coffee card.

데이터 수집
Data collection


참가자들은 2013년 7월부터 2014년 1월까지 7개 항목의 인구통계 조사와 30분 동안의 반구조적 인터뷰를 직접 또는 전화로 완료했습니다. 감독자는 [신뢰의 발전]과 [환자 관리 책임을 가진 전공의를 신뢰하는 것]이 의미하는 바를 설명하였다(부록 S1, 온라인 참조).

Participants completed a seven-item demographic survey and a 30-minute semi-structured interview in person or by telephone between July 2013 and January 2014. Supervisors described the development of trust and what it means to trust a resident with patient care responsibilities (see Appendix S1, available online) 

분석
Analysis

연구팀이 새로운 주제(포화도)가 등장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때까지 데이터 분석은 데이터 수집과 동시에 수행되었다.22 현상학적 접근방식과 일관되게, 데이터 분석은

  • 감독자가 전공의에 대한 신뢰의 의미를 어떻게 개념화하고 신뢰를 발전시켰는지,
  • 서로 다른 경험(데이터의 범주 또는 코드에 포착된 대로)이 어떻게 상호 및 정보에 입각한 감독 행동과 관련되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20, 21,23

[신뢰 형성에 기여한다고 기존 연구에서 기술된 요인]들은 새로운 이해의 식별을 제한하지 않고, 질적 데이터 분석의 초기 방향을 알려주는 [sensitising concepts]으로 작용했다.24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concurrently with data collection until the research team determined that no new themes were emerging (saturation).22 Consistent with a phenomenographic approach, data analysis aimed to identify

  • how supervisors conceptualised the meaning of trust in their residents and developed trust, and
  • how aspects of their different experiences (as captured in categories or codes in the data) related to one another and informed supervision behaviours.20,21,23

Previously described factors that contribute to trust formation served as sensitising concepts, which inform the initial direction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without limiting the identification of new understandings.24 

1차 조사자는 예비 코드북(정의와 예가 포함된 코드 목록)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다음 신뢰의 의미에 대한 인터뷰 질문과 관련된 9개의 추가 대본 부분을 읽고 식별된 테마를 반영하도록 코드북을 다듬었다. 세 명의 조사관(SKO, JRK, JB)이 이 그룹 중에서 각각 5개의 추가 녹취록을 읽고 코드북의 주제를 확인하고 확장했다. 조사자들은 이러한 주제에 대해 토론하고 코드북을 완성했다.
The primary investigator outlined a preliminary codebook (list of codes with definitions and examples), and then read the portions of nine additional transcripts that related to the interview question about the meaning of trust and refined the codebook to reflect identified themes. Three investigators (SKO, JRK, JB) read five additional transcripts each from among this group and confirmed and expanded the themes in the codebook. The investigators discussed these themes and finalised the codebook.

코드들 사이의 관계를 찾기 위해 주요 데이터를 검토함으로써, 저자들은 신뢰 형성의 경험을 기술하는 수치를 만들었다(그림 1).
By examining the primary data to find relationships among the codes, the authors generated a figure describing the experience of trust formation (Fig. 1).


우리는 그 [연구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

  • 우리는 학습자에 대한 신뢰를 경험하는 관리자 역할을 하는 임상의와 분석 내내 서로의 가정에 의문을 제기하고 이의를 제기하기 위해 대화에 참여하는 비임상 연구원으로 구성된 팀을 포함함으로써 반사성reflexivity을 고려했다.
  • 연구팀은 또한 조사관 삼각 측량 과정을 이용했다. 코딩에 직접 관여하지 않은 조사자들은 주요 발견물을 검토하고 관찰, 의료 교육 및 연구에 대한 전문 지식을 활용하여 발견물을 명확히 하고 비평했다.
  • 모델 개발을 위해, 1차 조사자는 그림을 설계한 후 반복적으로 공동 조사자들과 공유했으며, 공동 조사자는 초안 모델을 연구 결과와 비교하고 추가하거나 강조할 영역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했다. 이러한 변화에는 신뢰 판단에서의 추론 역할, 감독자의 역할 변화가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났다는 사실, 그리고 두 현장의 서로 다른 버전의 일정 비동기화가 신뢰에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이 포함되었다.
  • 1차 조사자는 두 연구 현장의 교수진 감독관에게 대규모 프레젠테이션으로 연구 결과를 제시했고, 연구 결과에 대한 추가 피드백과 비판을 받았고, 최종 원고와 모델에 통합되었다.

We took steps to enhance the trustworthiness of the findings.

  • We considered reflexivity26 by including a team of clinicians who serve as supervisors who experience trust in learners, and non-clinician researchers, who together engaged in dialogue to question and challenge one another’s assumptions throughout the analysis.
  • The study team also used a process of investigator triangulation.20 The investigators not directly involved in coding reviewed the major findings and used their expertise in supervision,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to help clarify and critique findings.
  • For model development, the primary investigator designed the figure and then iteratively shared it with co-investigators, who compared the draft model with the study results and provided feedback about areas to add or emphasise. These changes included the role of inference in judgements of trust, and the facts that supervisors’ role shift manifested in varying ways, and that different versions of schedule asynchrony at the two sites affected trust.
  • The primary investigator presented study results in grand rounds presentations to faculty supervisors at the two study sites and received further feedback and critique of the findings, which were then incorporated into the final manuscript and model. 

결과 RESULTS

이 분석에는 43개의 인터뷰가 포함되었다. 인터뷰는 평균 약 27분 동안 진행되었다(범위: 18-44분).
The analysis included 43 interviews. Interviews lasted an average of approximately 27 minutes (range: 18–44 minutes).

신뢰의 의미
Meaning of trust

많은 감독관들은 신뢰의 의미를 [전공의의 역량]과 [팀 리더쉽]에서 보여지는 것으로 설명했다. 감독자는 전공의의 역량을 다음을 통해서 인식한다.

  • 팀 내에서 환자 진료를 위한 주요 의사 결정권자로서 전공의가 독립적으로 내리는 임상적 의사 결정
  • 환자 및 의료팀 구성원과의 커뮤니케이션

Many supervisors described the meaning of trust as exemplified by awareness of the resident’s competence and team leadership. Supervisors perceived resident competence as demonstrated

  • by the resident’s independent making of clinical decisions as the primary decision maker for patient care within the team and
  • through his or her communication with patients and health care team members.

팀 리더십은 [전공의의 일상적인 조직과 팀 라운드 및 관리 계획의 실행, 그리고 전문 리더십과 환자 관리의 역할 모델링] 등을 통해 팀 내에서 나타났다. 전공의의 [환자진료 역량]과 [더 많은 주니어 팀 구성원의 감독관 팀 리더십 역량]은 종종 동시에 발생했으며, 회진 행동을 통해 역량을 유추하였다.

Team leadership manifested within the team in the resident’s daily organisation and execution of team rounds and care plans and role modelling of professional leadership and patient care. Resident competence in patient care and team leadership as a supervisor of more junior team members often co-occurred, with competence inferred through rounds behaviours: 

[수준 이하의 리더십 기술]을 가진 임상 역량의 관찰은 상사의 신뢰를 떨어뜨렸다. 신뢰의 의미에 대한 또 다른 특성은 감독의사 자신의 관점에서 도출되며, [감독의사가 제공해야 한다고 느끼는 수준의 감독이나 적절한 환자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인식했을 때] 느끼는 편안함을 가리킨다.
The observation of clinical competence with substandard leadership skills diminished supervisors’ trust. Another characterisation of the meaning of trust derived from the perspective of self, and referred to either the supervision that supervisors felt obligated to provide or the comfort they felt when they perceived that appropriate patient care was occurring.

감독관은 전공의가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고 언제 도움을 청해야 하는지를 알 때 신뢰할 수 있었다.
Supervisors trusted according to residents’ recognition of their own limitations and their knowing when to seek help:

[전공의의 환자 관리에 대한 신뢰]는 인턴과 학생에 대한 전공의의 감독 및 코칭, 팀 회진 관리에 나타난 팀 리더십에서 추론할 수 있습니다.
Trust in a resident’s patient care was inferred from team leadership exhibited in the resident’s supervision and coaching of interns and students, and management of team rounds:

[리더십]은 [조직력, 더 많은 후배 팀원들과의 지식 공유, 긍정적이고 전문적인 기질 발휘]를 포괄했다. 팀 리더십은 위탁해야 할 활동이자 환자의 문제 관리 및 절차 수행과 같은 임상 활동에 대한 전공의의 신뢰성에 대한 'proxy'으로서 정보 제공으로 설명되었다.
Leadership encompassed organisational skills, sharing of knowledge with more junior team members, and the display of a positive, professional disposition. Team leadership was described both as an activity to be entrusted and as informative as a ‘proxy’ about the resident’s trustworthiness for clinical activities such as managing patient problems and performing procedures.

신뢰는 어떻게 발전하는가
How trust develops

감독자들은 시간 경과에 따라 신뢰를 어떻게 발전시켰는지(그림 1; 그림의 항목은 다양한 출발점부터 신뢰 장벽과 가속기에 의해 영향을 받는 감독자 신뢰 형성의 기간, 신뢰 결과의 실현에 이르기까지) 설명했다.
Supervisors described how they experienced trust developing over time (Fig. 1; items from the figure are indicated in italics in the text) from various starting points, through a period of supervisor trust formation influenced by barriers and accelerators to trust, and to the realisation of trust outcomes.



참가자들은 새로운 전공의와 일하기 시작하자마자 신뢰에 대해 생각하는 것에 대해 설명했다. 서로 다른 감독자들은 

  • (i) 적은 감독/높은 신뢰: '신뢰의 도약leap of faith'으로 묘사된다
  • (ii) 높은 감독/낮은 신뢰: '시행착오'로 묘사된다. 높은 감독이 발생하고, 문제가 발생하면 감독이 더 높아짐
  • (iii) 신뢰와 지침 측면에서 어디에서 시작해야 할지에 대한 불확실성 

...등 세 가지 다른 출발 지점을 표시했다.
Participants described thinking about trust as soon as they started working with a new resident. Different supervisors indicated three different starting points: 

  • (i) less supervision/more trust, described as a ‘leap of faith’; 
  • (ii) more supervision/less trust, described as ‘trial and error’ in which high supervision occurred and problems prompted more supervision, and 
  • (iii) uncertainty about where to start in terms of trust and guidance.

승인된 출발점과 상관없이 감독관은 초기 감독에 유사한 전략을 사용했다. '배후'에서 전공의의 업무를 확인하고 즉시 도울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조치입니다. 전공의를 신뢰한다고 말한 많은 사람들조차, 신뢰의 정당성을 확실히 하기 위해 여전히 전공의 업무를 자주 확인했습니다. '높은 신뢰'의 포지션에서 시작한 어느 감독관은 의도적으로 고가용성high availability을 확보했습니다.

Regardless of the starting point endorsed, supervisors used similar strategies for initial supervision, such as checking the resident’s work ‘behind the scenes’ and making themselves readily available. Many who said they trusted the resident still frequently checked resident work to ensure that trust was justified. One supervisor starting from a position of high trust qualified it with intentionally high availability:


[출발점]은 [매우 불확실한 시기]라는 것을 알게 된 또 다른 사람은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Another, who found the starting point a time of great uncertainty, explained:


두 명의 감독관은 전공의의 임상적 추론을 조사하기 위해 [전공의와 임상 시나리오를 검토]함으로써 신뢰의 결정을 신속하게 하기 위한 전략을 채택했다. 이는 팀의 환자 또는 가상의 시나리오와 관련된 시나리오일 수 있다. '낮은 신뢰'로 시작한 일부 사람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신뢰를 더 쌓으면서도, 감독 수준을 줄여나가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Two supervisors employed strategies to expedite the determination of trust by reviewing clinical scenarios with the resident in order to probe the resident’s clinical reasoning; these might be scenarios related to patients on the team or hypothetical scenarios. Some with a starting point of low trust had difficulty decreasing their supervision, even when they did develop more trust over time.


전공의에 대한 사전 지식은 종종 이용 가능했지만, 감독자들은 그 유용성에 대해 상반된 견해를 보였다. 전공의에 대한 사전 지식은 전공의의 평판, 다른 감독관들, 프로그램의 감독자 역할을 통해 이용 가능한 정보 , PGY1 또는 외래 환경에서의 전공의와의 이전 작업 등으로부터 파생derived 되었다. 감독관들은 종종 전임 감독관으로부터 전공의에 대한 'signout'을 받았지만, 이 정보는 비특정적인 것으로 인식했다.

Whereas prior knowledge of the resident was often available, supervisors expressed ambivalence about its usefulness. Prior knowledge of a resident derived from the resident’s reputation, other supervisors, information available through the supervisor’s leadership role in the programme, or previous work with the resident as a PGY1 or in the ambulatory setting. Although supervisors often received ‘signout’ about the resident from the prior supervisor, they perceived this information as non-specific:

보통 "그 전공의는 훌륭하고, 인턴도 훌륭하다"입니다. 그러니까, 자세한 디테일은 전혀 없어요(073)
It’s usually “resident is great; interns are wonderful”. So, you know, not a whole lot of detail. (073)


감독자들은 전공의의 성과에 대한 사전 지식을 어떻게 하면 그들의 감독 및 신뢰도 판단에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는지 물었다. 그들은 그들 자신의 경험에 반하는 전공의에 대한 부정적인 사전 지식과 긍정적인 사전 지식 모두의 예를 설명했다. 따라서 일부 감독관들은 '전공의에 대한 아무런 사전 판단을 하지 않음'으로써 편견을 피하는 것이 최선의 접근법이라고 결론 내렸다.
Supervisors questioned how best to incorporate prior knowledge of resident performance into their supervision and judgements of trustworthiness. They described examples of both negative and positive prior knowledge about the resident that contradicted their own experience. Therefore, some supervisors concluded that the best approach was to avoid bias by ‘giving the resident a clean slate’.

신뢰에 대한 판단은 보통 몇 시간에서 며칠 사이에 빠르게 이루어졌다. 많은 감독관들은 '몇 일', '통화 주기'(4일) 또는 때로는 '1주에서 2주 사이의 마법의 숫자'로 신뢰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기에 충분한 인상을 형성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일부에서는 이러한 과정이 거주자 주도 라운드를 관찰하고 임상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첫날 내에 발생했다고 보고했다.
Judgements about trust usually occurred quickly, within hours to days. Many supervisors described forming impressions that sufficed to draw conclusions about trust within ‘a few days’, ‘a call cycle’ (4 days) or sometimes as long as ‘a magic number somewhere between 1 and 2 weeks’. A few reported that this process occurred within the first day of observing the resident leading rounds, teaching and engaging in clinical decision making.

신뢰 개발을 위한 정보의 출처
Sources of information for trust development

전공의의 환자진료에 대한 신뢰는 표준, 직접 관찰 또는 이해관계자 입력(그림 1)과 비교하여 알 수 있었다.
Trust in a resident’s patient care was informed by comparison with a standard, direct observation or stakeholder input (Fig. 1).

[표준과의 비교]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자신과의 비교]가 흔하게 신뢰의 정보원이 되었다. 감독관들은 '거울'과 '내 눈과 귀의 연장'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여 [자기 자신이 했음직한 행동]을 기준으로 삼아 전공의의 수행능력을 평가하였다. 
Comparison with a standard occurred in several ways. Comparison with self frequently informed trust. Supervisors used terms such as ‘mirror’ and ‘extension of my eyes and ears’ to describe how they appraised residents’ performance based on what they themselves would have done. One explained how trust means that:

일부는 또한 전공의를 과거 전공의 시절 자신의 모습과 비교하였다. 자기자신이 전공의였을 때 무엇을 했을지 추측했다. 이러한 비교는 의사 결정, 환자 평가 및 관리, 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 광범위하고 일반적인 경우가 많았다. 특정 예에는 전공의에 대해서 감독관이 다음을 느낀 것이다.

  • 자신이 했을 것보다 더 많은 검사를 지시했거나(027),
  • 특정 환자 문제에 대해 유사한 우려를 나타냈거나(034),
  • 주치의가 알아차린 것과 동일한 환자 데이터 및 인터벤션을 (074)식별했거나

Some also compared the resident with their past selves, surmising what they would have done when they were residents. These comparisons were often broad and general, across domains of decision making, patient evaluation and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Particular examples included the supervisor feeling that a resident 

  • ordered more tests than he or she would have done (027), 
  • showed a similar amount of concern about particular patient problems (034), or 
  • identified the same patient data for discussion and intervention that the attending noticed (074).

일부 감독관들은 전공의들의 행동이 (자신이 했던 행동과) 다른데도 신뢰가 어떻게 생겼는지 설명했다. 이러한 감독자들은 환자 관리의 정확성과 부정확성을 구분하기 위해 노력했다. 한 전문가는 '성격과 스타일, 역량(027)'을 평가하는 것에서 발전하는 과정을 설명했다. 일부 감독관은 동등하게 좋은 대안 접근방식을 나타내는 차이를 인정했고, 일부 전공의는 자신이 했던 것보다 더 나은 결정을 내리는 것을 관찰했다. 일부에서는 [의사결정을 뒷받침하는 근거에 대한 전공의의 설명]이 신뢰를 회복했다고 설명했다.
Some supervisors described how trust occurred even when residents’ behaviours differed fromtheir own. These supervisors sought to distinguish differences that constituted correct versus incorrect patient management. One explained evolving fromassessing ‘what’s their personality and what’s their style, to what’s their competence’ (027). Some acknowledged differences that represented an equally good alternative approach, whereas a few observed residents making better decisions than they would have. Some explained that residents’ explanations of the reasoning supporting differing decisions restored trust:


감독자들은 또한 [규범적인 접근법]을 사용하여 신뢰를 일반적으로 결정했다. 전공의의 교육 수준, 소속 기관, 교육 시점에 따른 관리자의 개인적 기대치를 기준으로 비교하는 것이다.

Supervisors also commonly determined trust using a normative approach. The comparison standard for a resident’s performance was the supervisor’s personal expectation based on the resident’s training level, institution, or time of year:

임상 치료 및 팀 리더쉽을 [직접 관찰]한 결과 신뢰에 대한 판단도 알 수 있었다. 직접 관찰에 대한 참가자의 예제는 보통 [팀 라운드]의 이벤트를 다룬다. 감독관은 팀 구성원이나 환자에게 올바른 질문을 하고, 의사 결정을 내리고, 적절한 관리 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어 전공의가 신뢰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Direct observation of clinical care and team leadership also informed judgements of trust. Participants’ examples of direct observation usually addressed events on team rounds. Supervisors highlighted a resident’s skills in asking the right questions of team members or patients, making decisions, and generating appropriate management plans as indications that the resident could be trusted:


[이해관계자의 의견stakeholder input]은 (전공의에 대한) 다른 팀원들의 의견을 포함하며, 신뢰성에 대한 흔하게 언급되지 않은 정보의 원천이었다. 몇몇 감독관은 PGY1이나 학생들로부터 전공의의 리더십에 대한 피드백을 듣거나, 양질의 환자 진료를 제공하는 인턴을 관찰함으로써, 전공의에 대한 신뢰를 추정infer했다. 몇몇 감독관들은 환자들이 고품질의 안전한 치료를 받았다는 관찰을 바탕으로 신뢰를 판단했다. 이러한 설명은 특정 기준을 참조하지 않았다. 자신의 관리에 대한 인식에 대한 직접적인 환자 의견에서 도출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환자가 적절한 치료를 받았거나 자신의 관리에 만족한다는 유추를 통해 도출된다.

Stakeholder input, which included input from other team members, was an uncommonly mentioned source of information about trustworthiness. A few supervisors mentioned hearing feedback from the PGY1s or students about the residents’ leadership, or observing the interns providing quality patient care, and inferring the resident’s trustworthiness. A few supervisors defined trust based on the observation that patients had received high quality, safe care. These descriptions did not refer to specific criteria. They rarely derived from direct patient comments about their perceptions of their care, but rather through inferring that patients were treated appropriately or were satisfied with their care.

신뢰 형성을 가로막는 장애물과 가속기
Barriers to and accelerators for trust formation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공의, 감독자, 전공의-감독자 관계, 맥락 및 과제와 관련된 신뢰의 발전에 대한 장벽과 가속기. 신뢰의 장벽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었다.

  • 'red flags'라고 볼 수 있는 전공의의 성향과 전문직업성에 대한 우려
  • 다른 팀 구성원, 과제 및 업무량, 일정이 잘 맞지 않는 것과 같은 상황적 어려움
  • 감독관 자기자신이 덜 신뢰는 스타일이면서, 전공의 업무를 더 많이 확인하는 스타일인 것


Barriers and accelerators to the development of trust related to the resident, the supervisor, the resident– supervisor relationship, the context and the task, as shown in Table 1. Barriers included 

  • concerns about the residents’ disposition and professionalism that could raise ‘red flags’, 
  • contextual challenges related to other team members, tasks and workload, and schedule asynchrony, and 
  • a supervisor’s style in terms of his or her propensity to trust less and check resident work more.


신뢰를 잘못 두었던 경험 후에 신뢰의 장벽이 생기기도 하였다. 이러한 사례는 참가자 사이에서 드물었고, 예제는 전반적으로 우수한 의사결정을 입증한 전공의를 대상으로 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특히 복잡한 환자를 마주했을 때 상황을 적절히 관리하는 방법을 알지 못하는 것으로 입증되었고 신속하게 도움을 구하지 못했다. 신뢰를 잘못 둔misplacement 다른 예는, 전공의가 [직접적인 감독에서 벗어나 교육 수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절차를 수행]하거나 [보증된 역량보다 더 자신 있어 보였을 때] 발생했다.
Barriers to trust also arose after experiences of misplacing trust. These were uncommon among our participants and examples tended to address residents who demonstrated generally good decision making, but, when faced with a particularly complex patient, proved not to know how to manage the situation appropriately and failed to seek help promptly. Other examples of the misplacement of trust arose when residents appeared more confident than their competence warranted or undertook a procedure considered to be above their training level while away from direct supervision.


한 주치의는 후자의 설명을 'ICU[중환자실]의 주치의조차도 카우보이 같은 태도에 충격을 받았다.'(042)고 했다.

  • (열정과 그에 걸맞는 자신감으로 보여지는) 전공의의 참여 
  • 적절한 태스크 복잡성, 
  • 전공의의 역량 수준에서 도전적인 업무량 및 관리 기회 
  • 상사의 신뢰 의지 

...등이 모두 신뢰를 높였습니다

One attending physician explained the latter as: ‘Even the ICU [intensive care unit] attending was shocked at this cowboy kind of attitude’ (042). 

  • Resident engagement as demonstrated by enthusiasm and befitting confidence, 
  • appropriate task complexity, 
  • workload and management opportunities that were challenging for the resident’s competence, and 
  • the supervisor’s willingness to trust 

...all enhanced trust.

[감독자와 전공의의 빈번한 의사소통]과 [역할 및 상호작용에 대한 기대치 공유]는 신뢰를 조성하는 감독자와 전공의 관계를 특징지었다. 감독관이 경험이 더 많고, 신뢰하려는 의지가 높을수록 전공의가 특히 아픈particularly sick 환자를 관리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는 기회와 결합되어 신뢰 또한 형성되었다.

Frequent supervisor–resident communication and shared expectations of roles and interactions characterised supervisor–resident relationships that fostered trust. Greater supervisor experience and willingness to trust, coupled with opportunities for observing the resident manage particularly sick patients, also engendered trust.

신뢰의 결과
Outcomes of trust

[감독관 역할의 변화]는 감독관 자신의 역할과 행동에 변화를 수반한다. 감독관은 전공의 업무를 확인하는 데 소요된 시간을 기준으로 신뢰의 의미를 공통적으로 설명했다.
Supervisor role shift entailed changes in supervisors’ own roles and behaviours. Supervisors commonly characterised the meaning of trust based on how much time they spent checking resident work:

그러한 결과 중 하나는 일차적으로 임상 치료를 제공하는 것에서 PGY1과 학생을 가르치는 것 또는 전공의의 컨설턴트로 근무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개인적인 변화와 관련이 있었다. 또 다른 신뢰의 결과는 감독관 역할에 대한 감독관의 태도 변화로서, 감독관의 불안감 감소, 편안함 및 야간 수면 능력 향상을 반영했다. 한 감독관은 '...제가 밤에 얼마나 쉽게 잤는지'(081)에 대해 언급했다.
One such outcome concerned a personal change fromprimarily providing clinical care to teaching PGY1s and students or serving as a consultant to the resident. Another outcome of trust was a change in supervisors’ attitudes towards their supervisory roles, reflected in their experiencing less anxiety, feeling more relaxed and a greater ability to sleep at night; one supervisor remarked on ‘...just how easy I slept at night’ (081).

감독자들은 [전공의에 대한 신뢰]가 전공의가 환자진료 제공에 보다 독립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한다고 인식했다. 감독관이 전공의 업무의 많은 부분을 확인하는 것에서 벗어나자, 전공의는 향상된 독립성에 감사하는 듯 했다.
Supervisors perceived that their trust in the resident enabled the resident to participate more independently in the provision of patient care. As a supervisor moved away from checking as many aspects of the resident’s work, the resident seemed to appreciate increased independence:

감독관들은 신뢰 형성의 결과로 [팀 기능]과 [팀 역학]의 변화를 강조했습니다. 모든 팀 구성원 간의 공감대 형성 및 관계 형성은 서로 함께 즐거워하고 웃는 것으로 나타나며, 감독관 관계가 성공했음을 보여주었고, 감독관은 코치 또는 멘토 역할을 담당했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성공은 '암묵적' 또는 '명백한'으로 묘사되었다.
Supervisors highlighted changes in teamfunctioning and teamdynamics as an outcome of trust formation. Rapport and relationship building among all team members, as manifested by enjoyment of one another’s company and laughter, showed that a supervisory relationship was successful, with the supervisor serving in a coach or mentor role. This type of success was described as ‘implicit’ or ‘obvious’.




고찰
DISCUSSION

우리의 연구결과는 감독자들이 어떻게 임상실무에 대한 전공의의 신뢰도를 판단하고, 신뢰를 바탕으로 감독을 제정하고, 이러한 신뢰의 후속 결과를 경험하는지를 설명한다. 신뢰는 종종 전공의 개개인에 대한 사전 지식으로 알 수 없는 출발점에서부터 발전한다. 대신, [일반 성과 표준에 대한 상사의 이해]와 [리더십 및 임상 관리에 대한 상사의 관찰]에 의해 신뢰가 형성될 수 있다. 
Our findings describe how supervisors judge a resident’s trustworthiness for clinical practice, enact supervision based on trust, and experience the subsequent outcomes of this trust. Trust develops from a starting point often uninformed by prior knowledge of the individual resident. Instead, trust formation can be informed by supervisors’ understanding of general performance standards and their observations of leadership and clinical care.

현상학을 사용하여 집중적인 작업 관계에서 신뢰의 발달에 대한 참가자들의 다양한 관점을 특성화하고(그림 1), 신뢰에 대한 [초기 접근방식의 범위]와 [여러 기여 인자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었습니다.
The use of phenomenography enabled us to characterise different perspectives among participant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trust during intensive working relationships (Fig. 1), and to appreciate the range of initial approaches to trust and importance of different contributing factors.

신뢰의 핵심은 [감독자-훈련자 관계]이며, 이는 신뢰에 기여하는 덜 자주 기술되는 요소이다. 이는 업무 관계와 지속적인 의사소통에 대한 공유된 기대치에 의해 강화될 수 있다. 인간관계는 [두 개인 간의 유사성으로 육성될 수 있는 대인관계 역학]과 더불어, [그들 사이의 접촉의 양] 포함한다.4 관계는 관리자가 각 학습자의 감독 요구에 맞춰 자신의 감독을 조정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합니다.27 예를 들어, 강한 관계를 통해 교육생은 도움을 구하고 피드백을 받고 변경 사항을 적용하는 데 있어 보다 편안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28
At the core of trust is the supervisor–trainee relationship, a less frequently described factor contributing to trust, that is enhanced by shared expectations of the working relationship and ongoing communication. Relationship encompasses an interpersonal dynamic that can be fostered with similarity between two individuals, as well as the amount of contact between them.4 A relationship enhances the supervisor’s ability to adjust his or her supervision to each learner’s supervision needs.27 For example, with a strong relationship, the trainee can feel more comfortable in seeking help, receiving feedback and incorporating changes.28 

우리의 연구 결과는 신뢰의 발전이 시작점에서 결과까지 진행되는 과정으로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단, 시작점, 영향 요소 및 결과는 감독관마다 다르다. 아마도 놀랍게도, 감독관들은 그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었거나, 전공의에 대해 받은 매우 일반적인 사전 정보의 가치에 대해 상반된 의견을 피력했다. 일부 감독관은 전공의 교육 수준에 따라 신뢰를 쌓았지만, 다른 감독관은 몇 시간에서 며칠 사이에 신속하게 신뢰를 결정했다. [인상 형성impression formation]에 관한 연구는 신뢰는 초기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감독자들은 훈련생들을 넓은 그룹으로 분류하는 것을 목표로 할 것임을 시사한다. 입원 팀에 대한 빈번한 로테이션과 짧은 관계로 인해 감독자와 전공의는 [빠른 적응을 촉진하는 상호작용 스타일]을 가치 있게 생각하고 기대할 수 있다.

Our findings illustrate how the development of trust can be understood as a process that progresses from a starting point through to outcomes, although starting points, influencing factors and outcomes vary among supervisors. Perhaps surprisingly, supervisors expressed ambivalence about the value of the often very general prior information they held or received about residents. Although some supervisors based their trust on the resident’s training level, others made a determination of trust rapidly within a period of hours to days. Work on impression formation suggests that trust may be influenced by early interactions and that in this context supervisors will aimto categorise trainees into broad groups.30 The current context of frequent rotations and brief relationships on in-patient teams may lead supervisor and resident to value and expect interactional styles that encourage rapid acclimation.31

마찬가지로, ['신속한 신뢰']는 팀이 시간적 압박 환경 내에서 공유된 목표와 명확히 정의된 역할에 기초하여 신속하게 신뢰를 개발하는 방법을 정의한다.32 의료팀 내에서 발생하는 것과 같이 고부담 상황에서 신속하게 협력해야 하는 상황은 [신속한 신뢰의 필요성]을 촉발한다. 이러한 맥락은 신뢰의 형성이 [장기적인 관계]와는 어떻게 다를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Levin 등은 신뢰는 시간이 누적되면 [개인적 유사성이나 일반적인 행동 기대]보다는 [공유된 관점에 대한 지식]에 기초하게 된다고 설명한다.
Similarly, ‘swift trust’ defines the ways that teams rapidly develop trust based on shared goals and clearly defined roles within a timepressured environment.32 Situations that require teams to start working together quickly in high-stakes contexts, such as occur within medical teams, prompt the need for swift trust. This context raises the question of how the formation of trust might differ in longer-term relationships. Levin et al. describe how, with time, trust is based less on personal similarity or common behavioural expectations and more on knowledge of shared perspectives.33 


우리의 참가자들은 신뢰를 발전시키는 과정을 복잡하고 때로 모호하다고 묘사했다. 감독자는 주변 지도부 또는 기타 소스에서 수집한 정보를 사용하여 환자 치료 활동에 대한 신뢰를 추정했다. 다른 이들은 유사한 방식으로 [특정 행동을 충분히 직접 관찰하지 않을 때] 대리 정보가 신뢰의 발전에 어떻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설명했다. 7,34 우리의 감독자들은 또한 종종 광범위한 일반 용어를 사용하여 전공의의 성과를 고려했다. 긴즈버그 외 연구진도 마찬가지로 감독관들이 국가 프레임워크에 정의된 여러 역량과 맞지 않는 '메타 역량'을 사용하여 연습생의 성과를 어떻게 설명했는지에 주목한다.35
Our participants described the process of developing trust as complex and sometimes nebulous. Supervisors inferred trust for patient care activities using information gleaned fromrounds leadership or other sources. Others have similarly described how proxy information can inform the development of trust in the absence of sufficient direct observation of specific behaviours.7,34 Our supervisors also often considered resident performance using broad, general terms. Ginsburg et al. similarly note how supervisors described a trainee’s performance using ‘meta-competencies’ that did not align with the multiple competencies defined in a national framework.35


우리의 참가자들은 전공의의 성과를 평가할 때 환자 치료 결과의 일반적인 평가를 사용했지만, 그들이 사용한 메트릭스 또는 그들이 기대한 특정 성과에 대해서는 그다지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은 아마도 방어나 부정직과 같은 red flag 행동을 하지 않는 것 외에, [상사의 신뢰를 얻는 행동]을 개발하거나 입증하기 위해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할지에 대해 전공의들을 불확실하게 만들 수 있다.
Our participants used general assessments of patient care outcomes in assessing resident performance, but did not describe in much detail the metrics they used or the particular outcomes they expected. This situation may leave residents uncertain about what steps to take to develop or demonstrate behaviours that earn supervisors’ trust, other than perhaps avoiding red flag behaviours such as defensiveness or dishonesty.


장벽과 가속요인의 상호작용이 신뢰 형성의 진화에 영향을 미쳤다(표 1). 일반적으로 팀원들이 지속적으로 비동기적으로 로테이션하는 복잡한 시스템으로 구성된 임상 환경과 관련된 당사 참가자들에게 장벽이 있다고 언급됩니다. 이 연구를 위한 이론적 프레임워크로 돌아가면, 이러한 장벽은 학습이 발생하는 사회적 맥락이 어떻게 전공의의 참여를 가능하게 하거나 방해할 수 있는지, 그리고 결과적으로 신뢰를 얻을 수 있는 기회를 보여준다.
The interaction of barriers and accelerators influenced the evolution of trust formation (Table 1). Commonly cited barriers for our participants related to the clinical environment, which comprises a complex system in which team members continually and asynchronously rotate. Returning to the theoretical frameworks for this study, these barriers show how the social context in which learning occurs can enable or impede residents’ participation, and consequently their opportunities to earn trust.

실천 커뮤니티에 대한 Wenger의 연구는 전공의가 지엽적인 참여 위치에서 환자 치료의 보다 중심적인 역할로 이동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즉, 환자 관리의 제공에 있어 관리자의 역할이 중심적인 역할에서 오히려 지원적인 역할로 바뀔 수 있는 상황이다. 반대로, 다른 이들은 전공의들이 [보다 정교한 coverage schedule의 요즘 시대]에 팀장이나 관리자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

Wenger’s work on communities of practice37 suggests that residents should move from a position of peripheral participation to a more central role in patient care, a situation that would shift the supervisor’s role from one that is central to the provision of patient care to one that is, rather, supportive. Conversely, others have reported that residents may increasingly play the role of team leader, or manager, in the current era of more elaborate coverage schedules.38

일단 신뢰가 쌓이면, 우리의 모델은 그 신뢰의 결과를 나타낸다. 신뢰 형성은 환자관리에 대한 전공의의 참여를 전체 팀에게 유리하게 향상시킴에 따라 관리자의 역할을 변화시킨다(그림 1). 전공의에 대한 신뢰의 판단은 감독자가 자기자신의 역할을 보는 관점을 보호자가 아닌, [컨설턴트 및 교사]로서 바꾸게끔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변화의 중요성은 직장에서 학습을 촉진하는 사람으로서 임상 교사의 역할을 강조하는 문헌에 의해 뒷받침된다.39 신뢰를 획득한 전공의들은 돌봄제공자 및 팀 리더로서 감독이 더 적은 상태에서도 기능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Once trust is established, our model indicates the consequences of that trust. Trust formation shifts supervisors’ roles as it elevates residents’ participation in care, to the benefit of the entire team (Fig. 1). A judgement of trust in the resident influences the supervisor’s view of his or her own role as a consultant and teacher, rather than as a care provider. The importance of this shift is supported by literature emphasising the role of a clinical teacher as a facilitator of learning in the workplace.39 Residents in our study who earned trust were described as able to function with less supervision as care providers and team leaders.

우리의 연구 결과는 학습자 평가 및 커리큘럼 설계에 영향을 미칩니다. 신뢰는 팀 업무의 핵심 요소이기 때문에, 상사는 신뢰를 조기에 평가할 수 있을 때 이득을 얻는다.

  • 위임 기반 평가 척도 및 EPA을 사용하여 신뢰의 개발을 표준화할 수 있다.41,42
  • 연습생 성과에 대한 다양한 측면의 관찰, 해석 및 문서화를 구조화하기 위한 메커니즘은 감독자 간에 전공의 성과에 대한 유용한 의사소통 시스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 표준 기준 프레임을 정의하고, 의미 있고 이해할 수 있는 평가 척도를 구성하고, 교육생들의 기술과 환자 치료 결과에 대한 감독관의 동시적concurrent 평가를 가능하게 하는 것 또한 신뢰를 바탕으로 평가를 강화할 것이다.44

Our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learner assessment and curriculumdesign. As trust is a key component of teamfunctioning, supervisors benefit when trust can be assessed early. 

  • The development of trust could be standardised using trust-based ratings scales and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41,42  
  • Mechanisms to structure the observation, interpretation and documentation of varied aspects of trainee performance might enable a systemof useful communication about resident performance fromone supervisor to the next.  
  • Defining a standard frame of reference,43 constructing meaningful and understandable rating scales, and enabling supervisors’ concurrent assessment of trainees’ skills and patient care outcomes would also enhance assessment based on trust.44

 

신뢰의 복잡성과 역동적으로 진화하는 특성을 고려할 때, 평가 척도의 사용은 교육생의 임상 관리에 대한 교수진의 관찰, 계산된 위험 및 미래 지향적 판단으로서의 신뢰의 성격에 대한 평가 훈련 및 기준 훈련과 결합되어야 한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또한 신뢰는 전공의에게 [지식과 능력의 leading edge에서 학습 요구에 맞는 기회]를 제공하는 커리큘럼 구조와 감독 설계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ZPD과 일관되게, [학습자가 혼자 할 수 있는 것]과 [가이드를 받아 할 수 있는 것] 사이의 영역 내 학습 활동을 목표로 하는 프로그램은 학습과 개발을 극대화할 수 있다.
Given the complexity and dynamically evolving nature of trust, the use of rating scales would need to be combined with faculty members’ observations of trainees’ clinical care, rater training about the nature of trust as a calculated risk and forward-looking judgement, and frame of reference training.43 Our findings also show that trust can informthe design of curricular structures and supervision that provide residents with opportunities aligned with their learning needs at the leading edge of their knowledge and abilities. Consistent with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targeting learning activities within the zone between what a resident learner can do alone and what he or she can do with guidance enables a programme to maximise learning and development.17 




4 Hauer KE, ten Cate O, Boscardin C, Irby DM, Iobst W, O’Sullivan PS. Understanding trust as an essential element of trainee supervision and learning in the workplace.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4;19 (3):435–56.

SUPPORTING INFORMATION

Appendix S1. Trust Study Interview Guide.

Appendix S1
Trust Study Interview Guide
Introduction:
Thank you for participating in this interview. We appreciate your time and willingness to share your thoughts and experiences. Our goal is to understand, from your perspective as an attending, how you interact with and supervise a senior resid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supervision, not to gather any information about specific residents. Please do not use any team members or patient names or identifying information. I would like to record this interview and have it transcribed. Your name and any identifying information will be removed from the transcript and will not be used during the analysis. Is it okay with you if I record the interview?
 
TURN ON RECORDER
This is an interview with (interviewer) with Dr. (study ID). Today is (date).
We know that attendings are making decisions about when to trust their resident to act independently and when to supervise more closely. We are interested in learning about attendings’ decisions about when to give residents more or less independence. Please focus your answers on your experience with your current senior resident (not the intern).
1. What does it mean to you to trust a resident with patient care responsibilities?
(Probe as needed)
·         How do you know that?
·         How do you decide when you are comfortable letting the resident work independently?
·         Can you say more about that?

...

Med Educ. 2015 Aug;49(8):783-95.

 doi: 10.1111/medu.12745.

How clinical supervisors develop trust in their trainees: a qualitative study

Karen E Hauer 1Sandra K Oza 2Jennifer R Kogan 2Corrie A Stankiewicz 2Terese Stenfors-Hayes 3Olle Ten Cate 4Joanne Batt 1Patricia S O'Sullivan 1

Affiliations expand

  • PMID: 26152490
  • DOI: 10.1111/medu.12745Abstract
  • Context: Clinical supervisors oversee trainees' performance while granting them increasing opportunities to work independently. Although the factors contributing to supervisors' trust in their trainees to conduct clinical work have been identified, how the development of trust is shaped by these factors remains less clear.Methods: Internal medicine in-patient supervisors at two institutions were interviewed about the meaning and experience of developing trust in resident trainees. Transcribed data were coded and analysed using a phenomenographic approach.Conclusions: From a general starting point, supervisors develop trust in residents informed by observation, inference and information gathered from the team and patients. Judgements of trust yield outcomes defined by supervisors' changing roles, the increasingly independent provision of care by residents, and team functioning.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graded resident autonomy aligned with learning needs can inform the design of training environments to enable readiness for unsupervised practice.
  • Results: Forty-three supervisors participated. Supervisors characterised the meaning of trust from the perspectives of trainee competence and leadership or from their own perspective of needing to provide more or less supervision. Supervisors initially considered trust to be usually independent of prior knowledge of the resident, and then used sources of information about trust to develop their judgements of trust. Sources, which incorporated inference, included supervisors' comparisons with a standard, direct observation of the trainee as a team leader or care provider, and stakeholder input from team members, patients and families. Barriers against and accelerators to trust formation related to the resident, supervisor, resident-supervisor relationship, context and task. Trust formation had implications for supervisors' roles, residents' increasingly independent provision of care, and team functioning.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how supervisors develop and experience trust in resident (postgraduate years 2 and 3) trainees in the clinical workplace.

위임결정내리기: 밀러의 피라미드 확장(Acad Med, 2021)
Entrustment Decision Making: Extending Miller’s Pyramid

 

 

1989년 제28차 의학 교육 연구 컨퍼런스에서 조지 E. Miller(1918–1998)는 학습자 평가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At the 28th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conference in 1989, George E. Miller (1918–1998), discussing the assessment of learners, stated:

(성공적인 의사가 전문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만큼) [복잡한 사항의 판단]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단 하나의 평가 방법]은 없습니다. 그러면 평가가 발생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는 것으로 시작하겠습니다. 1
No single assessment method can provide all the data required for judgment of anything so complex as the delivery of professional services by a successful physician. And so let me begin by suggesting a framework within which that assessment might occur. 1

그리고 나서 그는 그 단순함에 탁월하고 세월의 시험을 견뎌낸 상징적인 모델을 계속해서 선보였습니다. 1
he then proceeded to present the iconic model that, brilliant in its simplicity, has withstood the test of time. 1

밀러의 피라미드는 무엇인가?
What Is Miller’s Pyramid?

피라미드는 보건 직업의 학습자를 평가하기 위한 체계이며, 하위 단계의 평가 대상이 상위 레벨에 통합되는 교육 궤적 전반의 단계를 반영한다(그림 1 참조).
The pyramid is an organizing framework for assessing learners in the health professions, reflecting phases across the educational trajectory, in which targets of assessment in the lower levels are incorporated within higher levels (see Figure 1).

 

이 모델은 종종 표준화된 객관적 시험을 강조하는 기존의 평가 접근방식과 실무 인증의 직업적 필요성을 병합한다. Miller의 피라미드에서 competence 단계는, 성능performance보다 낮은 수준("knows how")에 존재하고, 더 이상 최신의 competence 및 performance 개념화와 맞지 않을 수 있지만, 2,3 핵심 프레임워크는 매우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이 Perspective에서는 역량competence이라는 단어를 피라미드 레벨을 가로지르는 일반적인 의료 능력을 의미하기 위해 사용한다
The model merges traditional assessment approaches, often emphasizing standardized, objective testing, with the vocational need of certification for practice. While Miller’s terminology of competence, positioned at a lower level than performance (“knows how”), may no longer align with more current conceptualizations of competence and performance, 2,3 the core framework has proven to be very useful. In this Perspective, we use the word competence to signify a general medical ability that cuts across the levels of the pyramid. 2 

Miller의 피라미드 레벨에 따라 표현되는 역량 구조의 여러 측면은 [완전히 연관되지 않은 평가]에 각기 다른 가치의 기여를 한다. 4 Miller의 피라미드 수준을 구별하기 위한 또 다른 주장은 학습자가 명시된 평가 기준을 충족하도록 노력과 행동을 조정한다는 것이다. 즉, 평가가 학습을 주도한다(Miller의 주장 중 하나). 이러한 가정을 고려할 때, 평가는 학습의 원하는 결과와 가장 일치하는 행동을 자극하는 환경에서 학습을 안내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지식이나 기술의 숙달mastery]이 평가의 초점일 때, 학습자들은 숙달로 이어지는 [의도적인 연습deliberate practice]에 대해 인정받아야 한다. Miller의 피라미드는 모든 레벨이 중요하며, 각 역량 측면과 관련된 학습 및 평가가 교육 전반에 걸쳐 반복적으로 구축됩니다.

The multiple facets of the competence construct represented by the different levels of Miller’s pyramid make valuable and different contributions to assessment that do not perfectly correlate. 4 Another argument for distinguishing levels of Miller’s pyramid is that learners adapt their efforts and behavior to meet stated assessment criteria; in other words, assessment drives learning (one of Miller’s assertions 1). Given this assumption, assessment should be programmed to guide learning 5 in an environment that stimulates the behavior aligning most with the desired outcomes of learning. For example, when mastery of knowledge or skills is the focus of assessment, learners should be acknowledged for the deliberate practice that leads to mastery itself. All levels of Miller’s pyramid are important, and the learning and assessment associated with each facet of competence build iteratively throughout the training.

1990년 이후 특히 작업장 기반 평가WBA의 품질에서 진전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Miller의 "does" 수준입니다. 시간 경과에 따른 작업장 기반 관찰 및 평가의 여러 지점이 포함된 다중 도구는 최근 소위 프로그램 평가 및 커리큘럼에 포함된 [평가에 대한 시스템 접근방식]과 잘 맞는다. 
Since 1990, progress has particularly been made in the quality of workplace-based assessment, that is, at Miller’s “does” level. 6,7 Multiple tools with multiple points of workplace-based observations and assessment over time fit well with what has more recently been called programmatic assessment 5,8 and a systems approach to assessment embedded in a curriculum. 9 

역량 기반 의학교육(CBME)을 향한 전 세계적인 움직임은 피라미드와 일치하는 다양한 형태의 직장 기반 평가를 주요 초점으로 통합했다. 이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임상 직장에서 학습자를 안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여전히 큰 과제이다.  

The worldwide movement toward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has incorporated workplace-based assessment in various forms, 10,11 which align with the pyramid, 12 as a major focus. Despite these developments, reliably assessing learners in the clinical workplace remains a huge challenge.

  • 평가를 위한 표준화된 조건의 결여 
  • 관용 오차 및 후광 효과와 같은 평가자 바이어스 
  • 연습생 관리trainee care 품질과 의료health care 결과 간의 관련성 근거 부족 

이들은 'does' 수준에서 작업장 기반 평가 표준의 개발을 가로막는 장벽 중 몇 가지입니다. 평가자를 훈련하고, 타당성 증거가 있는 도구를 사용하면 이러한 문제 중 일부를 완화할 수 있지만 제거할 수는 없습니다. 17

  • The lack of standardized conditions for assessment;
  • rater bias, such as generosity error and halo effects; and
  • the paucity of evidence that relates trainee care quality to health care outcomes

are a few of the barriers that have precluded the development of standards of workplace-based assessment at the “does” level. 13–16 Training raters and using instruments with validity evidence can mitigate some of these challenges but not eliminate them. 17

의학에서 디플로마스의 이중 역할
The Dual Role of Diplomas in Medicine

[WBA의 심리측정적 부적절성]을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지만, 보다 근본적인 것도 주목할 만하다. 의학 학위는 (다른 고등 교육 프로그램과는 달리) 단순히 학문적 성취의 증거 그 이상이다. 의학 졸업장은 의학 졸업자들이 종종 졸업식 당일부터 환자를 안전하게 돌볼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을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증명합니다. 즉, 학습자를 평가함에 있어 심사관과 프로그램이 [이중의 책임]을 갖습니다.
While continued efforts to address psychometric inadequacies of workplace-based assessment are needed, something more fundamental also deserves attention. Degrees in medicine, more so than in other programs of higher education, go beyond just a testimony of academic accomplishment. A medical diploma attests (implicitly or explicitly) that medical graduates are prepared to safely care for patients, often from the very day of graduation. This means that examiners and programs have a dual responsibility in assessing learners:

  • (1) 학습자가 요구받은 바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는지 확인(예: 합격, 과정 학습, 과제 및 순환 완료,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실습된 기술, 임상 환경에서 기대 성과를 입증)
  • (2) 환자 관리의 품질을 보장하고 보호한다(즉, 학습자가 졸업 후 직면하는 책임을 맡을 수 있는지 확인하고, 신규 졸업자가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대중에게 보장한다).

  • (1) to verify that learners have successfully done what they were asked to do (i.e., passed examinations; completed coursework, assignments, and rotations; practiced skills in simulated contexts; and demonstrated expected performance in the clinical environment) and
  • (2) to ensure and protect the quality of patient care (i.e., verifying that learners can assume the responsibilities they face after graduation and assuring the public that the new graduate can provide safe and effective care).

의사 면허증은 법적 책임을 부여하며, 전문의 자격증은 완전히 감독되지 않는 의료 행위를 허용한다. 따라서, 의학 학습자를 평가하는 것은 단순히 과정 완료와 진행 결정을 확인하거나 졸업장을 수여하는 것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의료 분야에서 전문적인 활동을 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확신을 표명하는 것이다. 이 [이중 책임]은 학습자에게 환자 관리에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판단에 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A medical license affords a legal responsibility; a specialty certification affords fully unsupervised practice. So, assessing medical learners is not just to verify course completions and progress decisions or award a diploma but also to express confidence that the learner is prepared for professional activities in health care. This dual responsibility should inform the judgments to grant learners the permission to engage in patient care. 18

위탁: 관찰된 성과 또는 조치 평가 이상의 확대
Entrustment: Extending Beyond the Assessment of Observed Performance or Action

Miller가 출판된 지 약 20년이 지나고 CBME가 광범위하게 채택된 지 약 10년이 지난 후, 의료 교육계는 위임 가능한 전문 활동(EPA)의 개념을 채택하기 시작했습니다. 2005년에 만들어진 용어인 EPA는 "연습생이 [감독되지 않고 이 활동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역량을 입증한 후], 연습생에게 완전히 위임할 수 있는 전문적 실무의 단위(작업 또는 작업 그룹)"로 정의할 수 있다. 
About 2 decades after Miller’s publication and 1 decade after the widespread adoption of CBME,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began adopting the concept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s). 19 An EPA, a term coined in 2005, can be defined as “a unit of professional practice (a task or group of tasks) that can be fully entrusted to a trainee, once he or she has demonstrated the necessary competence to execute this activity unsupervised.” 20 

위탁의사결정은 직장 내 의료연수생을 평가하기 위한 또 다른 접근법 또는 규모 그 이상이다. 이 개념은 점진적으로 지도감독을 줄여가면서 학습자가 임상 실무에 단계적이고 안전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CBME를 운영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Entrustment decision making is more than another approach or scale to assess medical trainees in the workplace. 21 The concept was introduced to operationalize CBME through a stepwise and safe engagement of learners in clinical practice with a progressive decrease of supervision. 22 

EPA를 구현하려면 [고립된 임상 역량이나 능력]에 대한 [작업장 기반 평가]에서 [학습자가 EPA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에 기초하여 학습자에게 [의료 제공 과제와 책임을 맡길지 여부에 대한 의사결정]으로 초점을 전환해야 한다. 결정적 판단Critical judgement은 특정 의료 활동을 수행할 준비가 된 학습자의 수준에 대응하여 필요한 관리 수준과 관련하여 이루어집니다. 
Implementing EPAs requires a shift in focus from workplace-based assessment of isolated clinical competencies or abilities to decisions on whether to entrust learners with health care delivery tasks and responsibilities on the basis of the learners’ capability to safely and effectively perform those EPAs. 23 The critical judgment comes into play with respect to the required level of supervision, in response to a learner’s level of readiness to perform a particular health care activity. 24 

그러나 덜 분명한 것은 [종합적 위탁 결정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이 필요한 경우 적절한 지원을 확보하는 것을 포함하여 [미지의 미래 상황을 다루는 훈련생의 능력에 대한 신뢰]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미래를 직시하는) 신뢰는 이전에 관찰, 학습 및 적용된 것에 기초한다.

However, what is less overt is that a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 incorporates trust in the trainee’s ability to handle unknown future situations, including securing adequate support if needed; this (future-facing) trust is based on what was previously observed, learned, and applied.

학습자 또는 졸업자에게 의료 서비스를 맡기는 결정의 성격
The Nature of Decisions to Entrust a Learner or Graduate With Health Care Tasks

예상되는 임상 역량의 다양성과 폭은 교육 중에 관찰될 수 있는 것보다 더 넓다. 앞으로 만나게 될 환자는 이전에 진단하고 치료한 환자와 동일하지 않을 것이며, 의료 훈련생이 관찰한 환자와는 맥락이 다를 것이다. 의료 분야의 모든 활동은 숙련된 임상의라도 어느 정도의 위험을 수반한다. 따라서 위임 결정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수행하려는 학습자의 준비 상태 추정]과 [향후에 학습자를 신뢰하는 데 수반되는 위험을 허용할 수 있다는 결정]을 함축한다. 
The variety and breadth of expected clinical competencies are wider than can possibly be observed during training. Subsequent patients will not be the same as those previously diagnosed and treated, and contexts will differ from the ones in which the medical trainee was observed. Any activity in health care involves some level of risk, even for experienced clinicians. Entrustment decisions, 18,25 therefore, imply an estimation of the learner’s readiness to perform in unknown contexts and the determination that the risks involved in trusting the learner are acceptable going forward. 26,27 

학습자가 x라는 시점부터 y라는 EPA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 위탁 결정은, 유럽 대륙에서 운전면허증을 수여하는 것과 유사하다. 즉, 영국 땅에서 해저터널(프랑스-영국 간 해저 터널)을 벗어나면 도로 왼쪽에서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다고 믿는 것과 유사하다.

Making a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 that—from moment x on—the learner is permitted to perform EPA y is similar to awarding a driver’s license in continental Europe and trusting the driver will drive safely on the left side of the road when emerging from the Chunnel (underwater tunnel between France and the United Kingdom) on British soil. 

관리자가 있는 사전 예방적 감독(위탁 레벨 2)에서 사후 대응적 감독(위탁 레벨 3)으로 이동하더라도 위험을 수용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위탁 학습자가 행동할 수 있는 모든 상황을 통제하기는 불가능하며, 사전 관찰 결과가 EPA가 실행enactment될 수 있는 가능한 모든 맥락을 포함했다고 제안하는 것은 기만적이다.

Even a move from proactive supervision, with a supervisor present (entrustment level 2), to reactive supervision, with a supervisor quickly available (entrustment level 3), may imply accepting risks. In other words, it is impossible to control for all possible situations in which the entrusted learner will act, and it is deceptive to suggest that prior observations have covered every possible context for the enactment of the EPA.

따라서 위임 결정에는 [위험에 대처하고, 도움을 요청하고, 의료 상황의 결과가 예상과 다를 때 적응하는 학습자의 능력]에 대한 평가가 포함되어야 한다. 보다 간결하게, 미래에 초점을 맞춘 위탁 결정에는 [적응형 전문지식]의 추정이 포함되어야 한다. 적응형 전문 지식 또는 적응형 역량을 평가하려면 임상 환경에서 성과를 관찰하는 것 이상이 필요합니다. 

Entrustment decisions should, therefore, include the assessment of a learner’s ability to cope with risks, ask for help, and adapt when the outcomes of health care situations are different than what was expected. More succinctly, entrustment decisions, which focus on the future, should include an estimation of adaptive expertise. Assessing adaptive expertise or adaptive competence requires more than observing performance in the clinical environment.

감독 수준에 초점을 맞춘 척도는 후향적 성격(활동에 대해 얼마나 많은 감독을 제공했는가?) 또는 전향적 성격(학습자가 이 EPA에 대한 감독을 줄일 준비가 되어 있다고 생각하는가?)으로 작성되었다. 이 중 오직 후자만이 진정한 위탁을 나타낸다. 방사선학에서 ALARA(합리적으로 달성 가능한 한 낮은 수준)는 의미 있는 시험을 수행하고 피폭과 그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한 최저 수준의 방사선을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감독되지 않은 실천unsupervised practice에 대한 준비도]에 부합하는 [가장 낮은 수준의 퍼포먼스 리스크]가 최종 위탁 결정을 가이드할 수 있다.

 Scales that focus on supervision levels have been created with either a retrospective nature (how much supervision was provided with an activity?) or a prospective nature (do I feel the learner is ready for less supervision for this EPA?). Only the latter represents true entrustment. In radiology, ALARA (as low as reasonably achievable) seeks to provide the lowest level of radiation possible to perform a meaningful test and minimize exposure and its resultant risks. 28 Likewise, the lowest level of acceptable performance risks corresponding with readiness for unsupervised practice may guide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s and privilege.

 

밀러의 피라미드 확장 
Extending Miller’s Pyramid

Miller의 중요한 연설 이후, 임상 직장에서 평가에 대한 많은 접근법이 개발되었지만, 모두 학습자가 임상 환경에서 무엇을 하는지, 즉 Miller의 레벨 4를 관찰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앞서 설명한 것처럼, 밀러의 "does" 레벨를 넘어서는 무언가가 있습니다. 
Since Miller’s seminal address, many approaches to assessment in the clinical workplace have been developed, 29,30 but all have focused on observing what learners do in the clinical environment, that is, Miller’s level 4 (the “does” level). However, as delineated earlier, there is something beyond the top of Miller’s “does” level. 31,32 

[관찰된 수행능력]이야말로 학교나 프로그램이 사회에 정말로 전달해야deliver 할 것이다: 이것은 [환자, 동료, 그리고 고용주들이 "신뢰할 수 있는" 졸업생]을 의미한다. [의사 교육 프로그램 완료 시 암묵적으로 부여되는 이러한 추정된 신뢰presumptive trust]는 훈련 중의 직접적인 관찰을 넘어 의사들이 스스로 찾아낸 어떤 직장에서도 확대되며, 이는 Miller의 피라미드에 새로운 정점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Observed performance in practice is what schools or programs should really deliver to society: graduates that patients, colleagues, and employers can “trust.” This presumptive trust, 21,33 implicitly conferred at the completion of a physician’s educational program, extends beyond direct observation during training to any workplace physicians find themselves in, suggesting the need for a new pinnacle on Miller’s pyramid.

모든 레벨과 마찬가지로, 이 최상위 레벨에는 하위 레벨에서 충분한 성취도가 포함되고 가정되어야 하므로, 새로운 최상위 레벨은 "Does" 레벨을 대체하는 대신 다른 무언가를 평가합니다. 이것은 새로운 생각이 아닙니다. 2016년 알 에라크와 마레이는 밀러의 피라미드에 대한 신뢰를 통합할 것을 제안했다. 34

Like all levels, this top level should naturally include and assume sufficient achievement at lower levels, so rather than replacing the “does” level, the new top level assesses something different. This is not a new thought: In 2016, Al-Eraky and Marei proposed incorporating trust in Miller’s pyramid. 34

이러한 생각을 염두에 두고, 우리는 "Does" 수준 상위에 단계를 추가하고, 현재 설명 구절을 약간 수정함으로써 Miller의 피라미드를 개조할 것을 제안합니다(그림 2). 5개 레벨은 레벨에 맞는 평가의 초점에 간략하게 설명될 수 있다. 표 1은 부분적으로 Yudkowsky et al.35의 연구에서 영감을 받은 평가의 초점과 가능한 방법을 간략히 설명한다.

With these thoughts in mind, we propose an adaptation of Miller’s pyramid by adding a level above the “does” level and making slight adaptations to the current explanatory phrases (Figure 2). The 5 levels may be briefly explained in the focus of the assessment that fits with the level. Table 1 elaborates briefly on the focus and possible methods of assessment, in part inspired by the work of Yudkowsky et al. 35

 

이 적응에서 피라미드 상단은 학습자에게 교육 이수 증명서를 수여하는 결정에 도달하는 과정을 반영하며, 의료 면허 또는 전문 등록이나 인증으로 이어지며, 이는 허가자가 감독되지 않은 행동을 할 수 있는 허가를 제공하고 고유 위험을 인식하도록 한다. 현재, 의사들은 커리큘럼의 모든 필수 요소들을 성공적으로 마친 후에 그들의 졸업장을 받고, [똑딱거리는 시계]는 임상 훈련의 미리 설정된 끝에 도달한다. 행정 기관은 수습생이 졸업할 권리가 있음을 확인하며, 그렇게 됩니다
In this adaptation, the top of the pyramid reflects the process for reaching the decision to award a learner an attestation of the completion of training, leading to a medical license or specialty registration or certification, which provides permission to act unsupervised and makes the grantors cognizant of the inherent risks. Currently, physicians earn their diploma after successfully completing all the required elements of the curriculum, and the ticking clock gets to the preset end of clinical training experience. An administrative body then confirms that the trainee has the right to graduate, and so it happens.

대학원 의학 교육에서 프로그램 이사는 단일 역량 위원회와 함께 교육 과정 내내 학습자를 감독한다. 그러나 [unsupervised practice]을 향한 단계는 [관찰된 역량과 위탁에 따른 미래 위험]보다는 여전히 [시간]에 의해 결정된다

In graduate medical education, a program director, along with a single competency committee, oversees learners throughout the course of training, but the step toward unsupervised practice is still often determined by time rather than by observed competence and the future risk that comes with entrustment.

하지만 의과대학에서는 학생 수가 많기 때문에 한 명의 개인이나 위원회가 입학에서 졸업까지 학생들의 진보를 면밀히 따르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면허의 책임과 관련된 미래 위험의 엄청난 단계의 실현은 [시간이 아닌 위탁에 대한 준비에 기초]하여 졸업 결정을 추진해야 한다.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however, the large number of students make it impossible for a single individual or committee to closely follow students’ progress from matriculation to graduation. Thus, the realization of the immense step of being granted the responsibility of a license, and the future risk involved, should drive the decision to graduate based on readiness for entrustment, not time.

 

업무 현장에서 [임시적으로ad hoc 이루어지는 위임]에 대한 [작은 단계]들은 학습자를 졸업, 면허 또는 인증하는 [큰 결정]보다 오히려 더 분별력 있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의대 교육을 포함한 고등 교육 학위를 따는 것은 종종 통과된 시험과 평가의 누적으로도 충분하지만, 졸업생 개개인에게 MD 졸업장의 중요성을 실제로 감독하는 위원회나 교육자는 거의 없다. [면허시험]은, 아무리 잘 해봐야at most, 면허가 암시하는 큰 위탁 결정을 서포트하기에는 불완전한 수단에 불과하다. 소규모 대학원 의대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대규모 프로그램보다 더 많은 감시가 있을 수 있지만, [사전에 예정된 훈련 종료 시점]과 [전문의 시험 시기]가 종종 수습생이 프로그램을 이수하도록 허용하는 결정을 지배한다.
The small steps informing entrustment, taken ad hoc in the workplace, seem to be made with more discernment than the big decision to graduate, license, or certify learners. To earn a diploma in higher education, including medical education, the accumulation of passed tests and assessments often suffices, but there are seldom committees or educators who really oversee the significance of the MD diploma for individual graduates. Licensing exams are, at most, an imperfect measure to support the big entrustment decision that the license implies. In small graduate medical education programs, there may be more oversight than in larger programs, but the scheduled end of training and timing of the board exam often dominate the decision to allow a trainee to complete the program.

EPA의 도입으로, 중간 지대가 생겼다. EPA는 경계가 있는 전문적 실무 단위로서 각 EPA를 합리적으로 감독, 평가, 모니터링, 문서화 및 위탁할 수 있다. 교육자 또는 가급적 임상 역량 위원회(CCC)는 충분한 다면적인 정보로 사려 깊은 최종 위탁 결정을 내릴 용기를 가져야 하고 권한을 부여받아야 하며, 그러한 교육자 또는 위원회는 그러한 결정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일부 프로그램은 EPA에 대한 서명된 인증서 양식(책임 인정서 또는 STAR)으로 이러한 결정을 내리며, 이는 해당 책임을 명시적으로 반영한다. 36 더 비공식적으로, 그 책임은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한 대답이 될 수 있다. "이 학습자가 내 가족을 돌볼 수 있을까?" 37 또는 "지원자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면 이 졸업생을 내 학과에 고용할 수 있을까?" 

With the introduction of EPAs, there is a middle ground. EPAs are units of professional practice with boundaries, allowing each EPA to be reasonably overseen, assessed, monitored, documented, and entrusted. Educators or, preferably, a clinical competency committee (CCC), should have the courage—and be empowered—to make thoughtful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s with sufficient, multifaceted information, and those educators or the committee should then be accountable for those decisions. Some programs make these decisions with a signed certificate form for EPAs (with a statement of awarded responsibility or STAR), which reflects that accountability explicitly. 36 More informally, that accountability can be the answer to a question: “Would I have this learner take care of my own family members?” 37 or “Would I hire this graduate for my department if I could choose among applicants?”

[학습자가 감독 없이도 진료를 수행할 수 있다]는 위원회(또는 다른 기관의)의 신뢰의 발달은 의사결정 기관이 환자가 그나 그녀에 대한 추정 신뢰를 정당화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그 분야를 숙달했다고 보장할 수 있는 [충분한 정당성과 확신]을 필요로 한다. [본질적으로 제한된 과거의 관찰]에 기초하여 [종합적인 위탁 결정]을 내리려면 지식, 경험 및 용기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추론은 "Trusted"라는 단계를 (이것이 내포한 위험risks와 함께) Miller의 피라미드에 "Does" 수준을 넘는 새로운 수준으로 이끈다.

The development of a committee’s (or other body’s) trust that a learner can execute an activity unsupervised requires justification and conviction strong enough to enable the deciding body to assure patients the learner has mastered the domain sufficiently to justify a patient’s presumptive trust in him or her. It requires knowledge, experience, and courage to make a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 based on inherently limited previous observations. This reasoning makes “trusted”—with its inherent risks—a new level for Miller’s pyramid, beyond the “does” level.

 

위탁 준비 상태 평가
Assessing Readiness for Entrustment

위탁 결정에는 [학습자가 임상 치료와 관련된 위험성을 이해]하고 있으며,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는 확신]이 필요하다. 38 항상 잘못될 가능성이 있으며, 학습자가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학습자와 의료 감독자 모두 위임 결정이 내려질 때 이러한 위험을 알고, 평가하고, 수용해야 합니다.
An entrustment decision requires a sense that the learner understands the risks involved in clinical care and confidence that the individual can deal with the unexpected. 38 There is always the potential for things to go wrong, and it is critical that the learner knows what to do in unexpected circumstances. Both learners and clinical supervisors must know, weigh, and accept these risks when entrustment decisions are made.

의료전문가가 위임 결정을 내릴 때 무엇을 고려하는지 생각해본다면, 학습자에게 책임을 넘기거나transferring, 필요한 감독량을 결정할titrating 때, [여러 변수]가 나타난다. 흥미롭게도, 이런 능력의 대부분은 신뢰성trustworthiness과 관련된 특성이고, 과제-특이적이지 않다. 주로 EPA-특이적 역량에 추가하여 성실성, 신뢰성, 겸손 및 주체성agency으로 요약된다. 위탁은 [신뢰성]과 [평가 중인 영역에서 이전에 입증된 역량]의 두 가지를 모두 다 필요로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측면이 모여서 [위임 결정에 관련된 위험의 무게]를 재는 데 사용될 수 있다.

In considering what clinicians take into account when making entrustment decisions, when transferring responsibility to a learner, or when titrating the amount of supervision needed, multiple variables emerge. 39–42 Interestingly, most of these facets of competence ar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rustworthiness; are not task specific; and have been summarized as integrity, reliability, humility, and agency, in addition to an EPA-specific capability. 18,21,43 Entrustment seems to require both trustworthiness and previously demonstrated competence in the domain being assessed. Together these facets can be used to weigh the risks involved in an entrustment decision.

아직까지 신뢰, 위험 평가, 적응형 전문성을 통합하는 구체적인 평가 접근법은 제한적이다. 44,45 이러한 접근법은 의료전문인력 교육의 평가 개발에 있어 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Specific assessment approaches that incorporate trust, risk assessment, and adaptive expertise are limited currently. 44,45 Along with better measures of the quality of care learners deliver, 46 these approaches may become more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위임에 대한 준비]는 라이센스와 인증에 함축되어implied 있다. 단, 개정된 피라미드의 최상위 수준은 그러한 중요한 순간big moment뿐만 아니라, [EPA 프레임워크에 기초한 프로그램 평가]에도 적용된다. 학습자가 개별 EPA의 신뢰를 받는 경우, 감독 없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특정 EPA를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단, 전체적으로 EPA가 전문 분야의 전문적인 활동을 정의하기 때문에, 학습자는 프로그램 완료 시점에 직접 환자 관리와 관련된 모든 EPA에 대해 이와 동일한 수준의 성과를 달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수련을 마친 이후, 커리어가 진행되면서, 한 명의 의사에게 맡겨지거나, 그가 수행할 자격이 있는 전문적인 활동에 변화가 있을 것이다. 의사의 [진료 범위에 기반을 둔 개인의 EPA 포트폴리오의 역동적 특성]을 고려한다면, [의사가 위임받고 수행할 자격이 있는 작업]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뀌어질adapting over 필요가 있다.47

Readiness for entrustment is implied in licensing and certification. However, the top level of the revised pyramid applies not only to those big moments but also in programmatic assessment based on an EPA framework. If a learner is trusted with an individual EPA, he or she is considered able to perform the given EPA safely and effectively without supervision. However, because EPAs in aggregate define the professional activities of a specialty, a learner would be expected to achieve this same level of performance for all EPAs associated with direct patient care at the time of program completion. Over a practitioner’s career, there will be changes in the professional activities he or she is entrusted and entitled to perform. The dynamic nature of an individual’s EPA portfolio, which is based in a physician’s scope of practice, suggests the need for adapting over time what practitioners are entrusted with and entitled to do. 47

CCC는 개별 EPA 또는 EPA에 대한 진행 결정을 전체적으로 내릴 때 위탁에 초점을 맞출 수 있고 또 그렇게 해야 하지만 개별 감독자는 가능하면 관찰, 사고, 권고에서 [위임의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요소에는 다음이 포함될 수 있다.

  • 학습자가 도움을 구하는 행동을 보이는 것,
  • 새로운 상황에서 이전 학습을 적용할 수 있는 학습자의 능력,
  • 자기 능력의 한계 지점에서 진료practice에 필요한 수준의 감독을 요청하는 것

While CCCs can and should focus on entrustment when making progression decisions for individual EPAs or EPAs in aggregate, 48 individual supervisors should consider elements of entrustment in their observations, thinking, and recommendations, whenever possible. These elements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 learners exhibiting help-seeking behaviors,
  • learners’ ability to apply previous learning in a new situation, and
  • learners asking for the degree of needed supervision to practice at the edge of their competence.

즉, [비-과제 특이적 특징]을 포함하는 위임 사고방식은 위원회(CCC 또는 기타)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위임 사고entrustment thinking]는 모든 WBA의 일부입니다. [피라미드의 하위 수준]에서는 학습자가 실제로 수행했거나 수행한 작업에 기반한 판단이 적절하다. [높은 수준]에서 준비 상태에 대한 추론이 필요하다. 그러한 추론을 뒷받침하는 실용적인 접근법의 예로는 [위탁 기반 토론]과 [현실적인 실시간 반시뮬레이션]이 있다. 위탁 결정을 알리는 데 있어 resident-sensitive quality measure의 사용 및 가치에 대한 최근 보고서도 유망하다.

In other words, entrustment thinking, including the non–task-specific features, is not confined to committees (CCC or other) but is part of all workplace-based assessments. At lower levels of the pyramid, judgment based on what a learner actually does or has done is appropriate; at the higher levels, an inference of readiness is needed. Examples of practical approaches to support such inferences are entrustment-based discussions 45 and realistic, live semisimulations. 44,49 A recent report of the use and value of resident-sensitive quality measures in informing entrustment decisions also holds promise. 50

결론적 생각
Concluding Thoughts

Miller의 피라미드처럼 상징적인 모델의 확장을 제안하는 것은 신중한 고려를 필요로 한다. 다른 사람들도 피라미드의 변형을 만들어냈다.

  • Miller의 삼각형 또는 프리즘이라고 부르거나,
  • Bloom의 지식, 기술 및 태도의 차이를 하나의 차원으로 추가했거나,
  • 피라미드를 뒤집어서 "실행" 레벨 3의 중요성을 강조했거나,
  • 피라미드 34 주변에 "측정 궤도"를 추가했거나,
  • 직업적 정체성을 피라미드 꼭대기에 더하였다.

Suggesting an extension of a model as iconic as Miller’s pyramid requires careful consideration. Others have created variations of the pyramid,

  • calling it Miller’s triangle or prism;
  • adding Bloom’s distinctions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s a dimension 51;
  • turning the pyramid upside down to stress the importance of the “does” level 3;
  • adding “assessment orbits” around the pyramid 34; and
  • adding professional identity on top of the pyramid. 52 

우리는 그러한 변화를 고려했지만, 학습자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접근방식에 분명한 초점과 실질적인 가치를 가지고 피라미드에 [이미 반영되어 있는 기존 접근방식에 추가된 개념]으로 피라미드의 변형adaptation을 제한하기로 결정했다. 최고 레벨은 의사 정체성의 핵심을 반영하는 "is" 단계라고 부르는 Crues 등의 확장판에는 [앞에서 설명한 개인 특성(능력, 무결성, 신뢰성, 겸손, 주체성agency)]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우리가 Miller의 피라미드에 새롭게 제안한 5단계는 정체성 형성과 관련된 개인적 특성("is")에다가 [익숙한 것에서 낯선 것으로의 적응 능력에서 수반되는 위험의 완화(trusted)]를 결합한 것이다.

We considered such variations but decided to limit the adaptation of the pyramid to a concept that has a clear focus and practical value for the approach used to assess learners and adds to existing approaches already reflected in the pyramid. Cruess et al’s extension, 52 calling the top level “is” to reflect the core of a physician’s identity, embraces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we have described earlier (capability, integrity, reliability, humility, and agency).53 Thus, our proposed new pinnacle for Miller’s pyramid combines personal characteristics linked to identity formation (“is”) with the mitigation of risk that is promised in the capacity to adapt from the familiar to the unfamiliar (“trusted”).

"Trusted"는 두 가지 방법으로 읽을 수 있습니다.

  • 하나는 [평가 및 결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즉, 감독 없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중요한 순간입니다. 그것이 우리의 초점이다.
  • 다른 하나는 [존재의 상태]이다. [신뢰받는 것]은 의사 및 기타 의료전문가의 가장 중요한 특성 중 하나로 간주될 수 있으며, 전문성 개발을 지속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마땅한 신뢰deserved trust]는 [특성]이 아니라, 지속적인 자기 인식, 성찰 및 유지관리가 필요한 [상태]이며, 모든 의료전문가에게 필요한 것이다.

“Trusted” can be read in 2 ways.

  • One is related to assessment and to a decision, that is, as a pivotal moment that leads to permission to act without supervision—it is the focus of our contribution.
  • The other is a state of being. Being trusted may be regarded as one of the most crucial characteristics of physicians and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s and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Deserved trust is not a trait but a state that requires ongoing self-awareness, reflection, and maintenance, by all health care professionals.

 

 


Acad Med. 2021 Feb 1;96(2):199-204.

 doi: 10.1097/ACM.0000000000003800.

Entrustment Decision Making: Extending Miller's Pyramid

Olle Ten Cate 1Carol Carraccio 2Arvin Damodaran 3Wade Gofton 4Stanley J Hamstra 5Danielle E Hart 6Denyse Richardson 7Shelley Ross 8Karen Schultz 9Eric J Warm 10Alison J Whelan 11Daniel J Schumacher 12

Affiliations expand

  • PMID: 33060399
  • DOI: 10.1097/ACM.0000000000003800Abstract
  • The iconic Miller's pyramid, proposed in 1989, characterizes 4 levels of assessment in medical education ("knows," "knows how," "shows how," "does"). The frame work has created a worldwide awareness of the need to have different assessment approaches for different expected outcomes of education and training. At the time, Miller stressed the innovative use of simulation techniques, geared at the third level ("shows how"); however, the "does" level, assessment in the workplace, remained a largely uncharted area. In the 30 years since Miller's conference address and seminal paper, much attention has been devoted to procedures and instrument development for workplace-based assessment. With the rise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the need for approaches to determine the competence of learners in the clinical workplace has intensified. The proposal to us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as a framework of assessment and the related entrustment decision making for clinical responsibilities at designated levels of supervision of learners (e.g., direct, indirect, and no supervision) has become a recent critical innovation of CBME at the "does" level. Analysis of the entrustment concept reveals that trust in a learner to work without assistance or supervision encompasses more than the observation of "doing" in practice (the "does" level). It implies the readiness of educators to accept the inherent risks involved in health care tasks and the judgment that the learner has enough experience to act appropriately when facing unexpected challenges. Earning this qualification requires qualities beyond observed proficiency, which led the authors to propose adding the level "trusted" to the apex of Miller's pyramid.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