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응적 전문성(When I say...) (Med Educ, 2017)
When I say . . . adaptive expertise
Maria Mylopoulos & Nicole N Woods
전문 임상의사들은 질병의 징후와 증상에 대한 지식, 환자의 필요와 가치에 대한 이해, 사회적 맥락과 가용 자원을 이용하여 상황을 의미 있게 만들고 해결책에 도달한다.
- 때로는 알려진 해결책을 적용하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일상적인 박테리아 감염을 보이는 건강한 환자에게 항생제를 처방해야 합니다.
- 다른 때에, 일상적인 환자가 아닌 환자를 위한 해결책은 임상의가 혁신을 필요로 할 것이다: 동일한 박테리아 감염을 가진 노숙자, 우울증 환자는 항생제에 대한 처방 이상의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다.
Expert clinicians use their knowledge of the signs and symptoms of illness, understanding of patients' needs and values, and the social context and available resources, to make meaning of situations and arrive at solutions. Sometimes applying a known solution is sufficient: an otherwise healthy patient who presents with a routine bacterial infection should be prescribed antibiotics. At other times, the solution for a non-routine patient will require the clinician to innovate: a homeless, depressed patient with the same bacterial infection may require more than just a prescription for antibiotics.
두 경우 모두 최종 솔루션은 임상 의사의 경험과 임상 영역에 대한 진화하는 이해의 일부가 된다. 우리가 '적응적 전문지식'이라고 말할 때, 우리는 임상 추론의 이러한 상황적인, 반복적인, 때로는 생성적인 총체적 활동을 포함한다.
In both cases, the eventual solution becomes part of the clinician's experience and evolving understanding of her or his clinical domain. When we say ‘adaptive expertise’, we encompass this entire situated, iterative and sometimes generative activity of clinical reasoning.
전문가가 [때로는 효율적인 솔루션을 적용]하고 [때로는 환자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혁신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적응형 전문성] 구성의 핵심이다. 전문가들은 작업의 이러한 '효율성'과 '혁신' 치수의 균형을 적절히 맞출 수 있을 때 최적으로 적응한다.1 모든 임상 추론 모델에서처럼, 지식은 적응 전문지식의 이 두 가지 차원에서 모두 수행능력에 중요하다.
Understanding that an expert sometimes applies an efficient solution and at other times must innovate to meet a patient's needs is central to the construct of adaptive expertise. Experts are optimally adaptive when they are able to appropriately balance these ‘efficiency’ and ‘innovation’ dimensions of their work.1 As in all models of clinical reasoning, knowledge is critical for the performance of both dimensions of adaptive expertise.
지식을 획득, 저장 및 적용하는 방법의 중요성과 함께, 적응형 전문지식의 프레임워크는 지식이 활동 중에 사용되는 두 가지 뚜렷한 방법, 즉 적용할 솔루션의 레퍼토리로서(효율성) 또는 새로운 솔루션(혁신)을 만드는 출발점으로 강조된다. 일반적인 오해는 연습의 효율성이나 '일상적인' 차원이 '혁신적인 것'과 충돌하거나,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적응형 전문지식을 위해서는 효율성과 혁신이 모두 필요합니다. 그들은 보완적이고, 똑같이 필요한 전문가 활동의 형태이다.
Alongside the importance of how knowledge is acquired, stored and applied2, 3 the framework of adaptive expertise emphasises two distinct ways that knowledge is used during activity, either as a repertoire of solutions to be applied (efficiency) or as the starting point for the creation of new solutions (innovation). A common misconception is that the efficiency or ‘routine’ dimension of practice is in conflict with, or inferior to, ‘being innovative’. Adaptive expertise requires both efficiency and innovation. They are complementary, equally necessary forms of expert activity.
임상의사가 알려진 해결책으로 충분할 상황에서 혁신을 추구한다면, 그들은 열악한 환자 치료를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 박테리아 감염의 일상적인 환자는 새로운 해결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항생제의 적절한 처방이 최적이다. 마찬가지로 임상의가 항상 모든 상황에 대해 알려진 해결책을 맞추려고 한다면, 그들은 또한 열악한 환자 치료를 제공하고 있다. 세균감염 환자가 아닌 경우 처방을 받아 집으로 돌려보낼 경우 치료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거나 악화될 수 있으며 보다 공격적이거나 비용이 많이 드는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우리가 '적응적 전문성'이라고 말할 때, 우리는 효율성보다 혁신이 더 좋은 것이라는 위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임상 작업의 맥락 안에 위치한situated within 임상의의 지식은 [언제 효율성이 필요하고 언제 혁신이 필요한지]를 결정한다.
If a clinician seeks to innovate in a situation where a known solution will suffice, they are likely to be providing poor patient care. The routine patient with a bacterial infection does not require a new solution, timely prescription of an antibiotic is optimal. Similarly, if clinicians always seek to fit their known solutions to every situation they encounter, they are also providing poor patient care. If the non-routine patient with the bacterial infection is sent home with a prescription, the patient might remain untreated or may deteriorate and need more aggressive or costly care. When we say ‘adaptive expertise’ we are not proposing a hierarchy of innovation over efficiency. Rather, a clinician's knowledge situated within the context of his or her clinical work determines whether efficiency or innovation is required at any point in time.
전문지식이 이런 식으로 이해된다면 보건직 교육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하다. 의학 교육은 지식 습득, 보존 및 응용에 대한 집단 강조를 대표하는 임상 추론의 지시와 평가를 위한 커리큘럼 전략, 도구 및 기법을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적응형 전문지식의 일부로 간주되는 이 유형의 훈련은, 전문가 문제 해결 중 [효율성의 개발]을 효과적으로 촉진한다. 전문지식의 [효율성과 혁신] 모두가 중요하다는 것을 받아들인다면, [혁신을 위한 훈련]을 지원하기 위하여 교육적 원리에 기반한 추가적인 보완적이고 동시적인 집중이 필요하다.
If expertise is understood in this way, the implications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re significant. Medical education has a long history of creating curricular strategies, tools and techniques for the instruction and assessment of clinical reasoning that are representative of a collective emphasis on knowledge acquisition, retention and application.4 Viewed as part of adaptive expertise, this type of training effectively promotes the development of efficiency during expert problem solving. Accepting the importance of both the efficiency and innovation dimensions of expertise requires an additional complementary and synchronous focus on educational principles that support training for innovation.
이러한 원칙을 식별하고 이를 적응형 전문지식을 반영하는 결과와 연결시키는 문헌 조직이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임상 징후와 증상을 기본 메커니즘과 명시적으로 연결하는 기초 및 임상 과학의 통합 교육은 [non-routine case의 문제 해결]은 물론 [새로운 학습]을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 또한, 학습자가 여러 경우에 걸쳐 체계적인 특징 변화variation of feature에 의도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강조함으로써, 적극적인 학습 활동이 문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 이러한 활동에 이어 직접적인 지시로 학생들은 답을 듣기 전에 풀려고 하는 문제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개발할 수 있다.6
There is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identifying these principles and linking them to outcomes reflective of adaptive expertise. For example, integrated instruction of basic and clinical sciences that explicitly links clinical signs and symptoms with underlying mechanisms has been shown to support problem solving in non-routine cases5 as well as support new learning.2 As well, active learning activities with an emphasis on deliberately exposing learners to systematic variation of features across cases have been shown to support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roblems.6 These activities, followed by direct instruction, allow students to develop deep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they are trying to solve before being told an answer.6
일상적인 교육은 다양한 커리큘럼 모델에 이러한 원칙을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BL 또는 PBL 세션과 interactive lecture는 학습자에게 기초 및 임상 과학에 대한 통합 교육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세심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direct instruction에 이어 active learning이 극대화되도록 촉진될 수 있다. 평가는 학생들이 학습하고 기존 지식 테스트와 함께 평가 환경에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역동적으로 만들 수 있다. 임상교육동안, 이러한 원칙을 강화하는 것이 임상 교사의 임무가 된다. 이는 임상 징후와 증상의 기본 메커니즘을 명확히 하기 위한 '왜' 질문을 하고, 환자 사례의 임상 징후와 증상을 의도적으로 변화시키고 학습자에게 그 함의를 설명하도록 요청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비판적으로, 이것은 [학습자의 지식을 평가하는 질문]을 넘어 [학생들에게 임상 활동과 관련된 새로운 지식을 생각하고 적용하도록 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Everyday teaching can be designed to incorporate these principles within a variety of curricular models. For example, case-based or problem-based learning sessions and interactive lectures can be carefully designed to provide learners with integrated instruction on basic and clinical science, and be facilitated in such a way as to maximise active learning followed by direct instruction. Assessments can be made dynamic by providing students with new knowledge to learn and apply in an assessment setting alongside testing their existing knowledge.2 During bedside teaching, it becomes the job of the clinical teacher to reinforce these principles. This can be done by asking ‘why’ questions to make explicit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clinical signs and symptoms as well as by deliberately varying the clinical signs and symptoms of a patient case and asking learners to explain the implications. Critically, this means moving beyond questions that assess learners' knowledge in the moment and asking them to think about and apply new knowledge related to their clinical activity.
Med Educ. 2017 Jul;51(7):685-686.
doi: 10.1111/medu.13247. Epub 2017 Feb 22.
When I say … adaptive expertise
Maria Mylopoulos 1, Nicole N Woods 1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 1Toronto, Ontario, Canada.
- PMID: 28224707
- DOI: 10.1111/medu.13247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임상교육(Clerkship & Residenc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임결정내리기: 밀러의 피라미드 확장(Acad Med, 2021) (0) | 2021.07.13 |
---|---|
교육과 보건을 변혁할 의과대학생을 위한 밸류-추가 임상시스템 학습 역할: 의과대학과 보건시스템 사이의 파트너십 빌딩을 위한 가이드(Acad Med, 2017) (0) | 2021.05.31 |
인간과 기계: 임상추론학습의 공생적 접근을 위하여(Med Teach, 2019) (0) | 2021.03.13 |
임상 상황에서 일반역량의 발전정도 탐지의 어려움(Med Educ, 2018) (0) | 2021.03.07 |
의학 수련생과 더닝-크루거 효과: 모른다는 것을 모르는 때(J Grad Med Educ. 2020) (0) | 2021.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