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수련생과 더닝-크루거 효과: 모른다는 것을 모르는 때(J Grad Med Educ. 2020)
Medical Trainees and the Dunning–Kruger Effect: When They Don’t Know What They Don’t Know
Mariam Rahmani, MD
1999년 심리학자인 데이비드 더닝 박사와 저스틴 크루거 박사는 '미숙련과 그것을 알지 못하는 것: 자신의 무능력을 인식하는 것의 어려움이 부풀려진 자기 평가를 초래하는 방법'이라는 제목의 세미나 기사를 썼다. 그들은 대학생들에게 유머, 문법, 논리와 관련된 시험에서 그들의 성과를 추정하도록 요구했던 4가지 실험을 설명했습니다. 그들은 성적이 좋지 않은 학생들이 종종 그들의 성적을 지나치게 과대평가한다는 사실에 놀랐다. 그들은 또한 객관적으로 좋은 성적을 낸 학생들이 종종 주관적으로 그들의 성과를 과소평가한다는 것을 알아챘다. 이 현상은 일반적으로 더닝-크루거 곡선 또는 더닝-크루거 효과로 알려져 있다.
In 1999, psychologists David Dunning, PhD, and Justin Kruger, PhD, wrote a seminal article titled ‘‘Unskilled and Unaware of It: How Difficulties in Recognizing One’s Own Incompetence Lead to Inflated Self-Assessments.’’1 They described 4 experiments in which they asked college students to estimate their performance on tests involving humor, grammar, and logic. They were struck by the finding that students who performed poorly often grossly overestimated their performance. They also noticed that students who objectively performed well often subjectively underestimated their performance. This phenomenon is commonly known as the Dunning– Kruger Curve or the Dunning–Kruger Effect.
사람들은 많은 사회적 및 지적 영역에서 자신의 능력에 대해 지나치게 호의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과대평가는 부분적으로 이러한 영역에서 미숙련한 사람들이 이중의 부담을 겪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 사람들은 잘못된 결론에 도달하고 불행한 선택을 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무능함은 그것을 실현하는 메타인지 능력을 빼앗는다.
People hold overly favorable views of their abilities in many social and intellectual domains . . . this overestimation occurs, in part, because people who are unskilled in these domains suffer a dual burden: Not only do these people reach erroneous conclusions and make unfortunate choices, but their incompetence robs them of the metacognitive ability to realize it.1
그림에는 더닝-크루저 효과의 그래픽 설명이 나와 있습니다. A 지점에서 경험이 부족한 사람들은 종종 자신의 성과에 대해 그릇된 자신감을 갖게 됩니다. 시간과 경험을 통해, 그들은 그들이 그 일의 몇 가지 복잡한 측면을 알지 못했다는 것을 깨닫는다. 이 깨달음은 그들의 신뢰감을 떨어뜨린다. 그들이 그 일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낼수록, 그들은 더 많은 경험과 지혜를 얻게 되고, 결국 그들의 얻은 신뢰(점 C)를 얻게 된다. 하지만 처음처럼 자신감이 높지는 않다.
A graphic depiction of the Dunning–Kruger Effect is shown in the FIGURE. At point A, inexperienced people often have a falsely elevated sense of confidence about their performance. With time and experience, they realize that they had been unaware of some intricate aspects of the job. This realization plunges their confidence (point B). As they continue to spend more time on the job, they acquire more experience and wisdom, ultimately gaining their earned confidence (point C). However, the confidence is never as high as it was at in the beginning.
역설적으로, 성과가 낮은 개인이 자기 평가에서 정확성을 달성할 때까지, 그들의 성과는 향상되었다. 간단히 말해서, 무능력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서는 역량이 필요하다.
Paradoxically, by the time low-performing individuals achieve accuracy in their self-assessments, their performance has improved. In a nutshell, competence is required to identify areas of incompetency.
레지던트 교육 적용 가능성
Applicability to Residency Training
일반외과, 가정의학과, 정신과 등에서 의대생, 인턴, 레지던트 등의 자기평가는 성과에 대한 객관적이고 타당한 척도가 되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5–9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self-assessments by medical students, interns, and residents in general surgery, family medicine, and psychiatry are invalid measures of their objective performance.5–9
여러 의학 연구가 더닝-크루저 곡선의 다른 부분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1개의 연구에 따르면, 능력이 떨어지는 후대의 의사들은 자신의 효능을 증명된 것보다 더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점 A).10
Several medical studies support different portions of the Dunning–Kruger Curve. For example, 1 study found that junior physicians who were less competent tended to self-rate their efficacy higher than it was demonstrated (point A).10
한 연구에 따르면 성능이 가장 낮은 의사는 성과에 대한 객관적인 피드백을 가장 적게 받아들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2 다른 연구에서 의사는 부정적인 피드백을 정확하거나 유용한 것으로 인식하지 않았으며, 의료 행위를 변경하기 위해 사용할 계획도 없었다.13
A study showed that the lowest-performing physicians are the least likely to accept objective feedback on their performance.12 In another study, physicians did not perceive negative feedback as accurate or helpful and did not plan to use it to change their practice.13
연구자들은 또한 더 유능한 주니어 내과의사들이 자신의 효능을 덜 유능한 의사들보다 낮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점 B). 이것은 특히 여성들에게 해당되었다. 기술을 배우고 연습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많을수록 객관적인 개선과 관계없이 해당 스킬(점 C)에 대한 자신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Researchers have also found that more competent junior physicians tended to self-rate their efficacy lower than less competent ones (point B).10 This was especially true of women.14 It has also been shown that the more the time spent in learning and practicing a skill, the higher one’s self-confidence about those skills (point C), regardless of objective improvement.
실용적 제안
Practical Suggestions
1. 프로그램 디렉터는 자신의 성과에 대한 훈련생이 예측한 자신감과 인식은 그들의 성과를 과소평가하거나 과대평가하는 훈련생들에게서 모두 실제 성과를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19–21
1. Program directors should be aware that trainees’ projected self-confidence and perception of their own performance may not reflect their actual performance, both in trainees who underand overvalue their performance.19–21
2. 프로그램 책임자는, 자기평가보다, 다양한 교수, 동료, 환자 및 직원이 수행한 평가에 더 많은 신뢰를 부여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평가는 자기 평가보다 더 정확할 수 있다.
2. Rather than self-assessments, program directors should consider giving more credence to assessments completed by a variety of faculty, peers, patients, and staff. These assessments taken together may be more accurate than resident self-assessments alone.
3. 지나치게 자신만만해 보이는 미숙한 주민을 위한 멘토링 시 여러 출처에서 사실과 피드백을 전달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성과 개선을 이끌어내기에는 미흡한 경우가 많다. 그러한 표준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 역량과 잠재적 결과에 대한 명확한 기대치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3. When mentoring underperforming residents who appear overconfident, delivering facts and feedback from multiple sources is necessary, but often not sufficient to lead to improvement in performance. Setting clear expectations for measures of competence and potential consequences if those standards are not met may be required.
4. 자신의 역량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는 전공의를 적절히 멘토링할 때 프로그램 책임자는 자기 의심을 허용하는 것이 성과 향상에 따라 결정되는 단계에서 중요한 단계임을 명심해야 한다. 피상적인 reassurance은 전공의의 개선을 유도하지 않습니다. 전공의는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고 긍정적인 자아상을 재구축하기 위해 의심과 낮은 자신감을 견뎌야 합니다. 프로그램 디렉터는 레지던트 교육 프로그램의 궁극적인 목표가 되어야 하는 학습 과정을 전공의에게 상기시키고 시간과 끈기로 개선에 대한 희망을 장려할 수 있다.
4. When mentoring adequately performing residents who remain insecure about their competence, program directors should remember that allowing for self-doubt is a critical step in the phase marked by improved performance. Superficial reassurance will not drive a resident to improve—a resident must tolerate periods of doubt and low self-confidence in order to improve performance and rebuild a positive self-image. Program directors can remind residents of the learning process and encourage hope for improvement with time and perseverance, which should be the ultimate goal of any residency training program.
J Grad Med Educ. 2020 Oct;12(5):532-534.
doi: 10.4300/JGME-D-20-00134.1.
Medical Trainees and the Dunning-Kruger Effect: When They Don't Know What They Don't Know
-
PMID: 33149817
-
PMCID: PMC7594774 (available on 2021-10-01)
No abstract available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임상교육(Clerkship & Residenc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과 기계: 임상추론학습의 공생적 접근을 위하여(Med Teach, 2019) (0) | 2021.03.13 |
---|---|
임상 상황에서 일반역량의 발전정도 탐지의 어려움(Med Educ, 2018) (0) | 2021.03.07 |
임상적 퀄리티의 이해 넓히기: 귀인 오류에서 상황적 인식으로 (Clin Pharmacol Ther, 2012) (0) | 2021.02.26 |
임상술기 교육의 간단한 5단계 모델(Fam Med, 2001) (0) | 2021.02.26 |
그룹 결정에서의 신뢰: 스코핑 리뷰(BMC Med Educ, 2019) (0) | 2021.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