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 프리셉터로부터 받은 유도 질문에 대한 학생의 이해(Teach Learn Med, 2016)

Medical Students’ Understanding of Directed Questioning by Their Clinical Preceptors

Lawrence Loa and Glenn Regehrb

a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and Division of Geriatric Medicine,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Canada; b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and Department of Surgery,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Canada




도입

Introduction


교사와 의대생 간의 언어적 상호작용은 임상 훈련 중에 발생하는 주요 교육 활동 중 하나를 구성한다. 그러한 언어적 상호작용의 많은 형태들 중, 하나의 일반적인 형태는 교수들이 학생들에게 질문을 하는 것을 포함한다. 흔히 "소크라테스 방식"이라고 불리는 이 방법은 20세기 초 의과대학에서 일어난 활동에 대한 Flexner의 설명에서 증명되었듯이 적어도 1세기 동안 널리 퍼져있고, 의심할 여지 없는 의학의 초석이었다. 그러나 이 과정은 1989년 브랑카티1의 풍자 작품에서 유행하여 "핌핑"이라 불렸으며, 의대생에게 잇달아 제기되는 어려운 질문들을 재빨리 연속해서 가리키는 것을 뜻한다.

Verbal interaction between preceptors and medical students constitutes one of the primary educational activities that occur during clinical training. Of the many forms of such verbal interaction, one prevalent form involves preceptors asking students questions. Often labeled the “Socratic method,” it has been a widespread, unchallenged cornerstone of medical education for at least a century, as evidenced by Flexner’s descriptions of the activity occurring in medical schools in the early 20th century.1 However, the process has also been called “pimping,” a term popularized in a satirical piece by Brancati1 in 1989 to refer to a series of difficult questions posed to a medical student in quick succession.


비록 소크라테스 방법과 핌핑이라는 용어가 모두 지시된 질문directed questions을 포함하는 활동을 의미하지만, 그들의 함축은 다르다. 코스트와 첸은 소크라테스식의 정신과는 대조적으로 핌핑이 학습자들에게 부정적인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방식을 강조했다.2

Although both the terms Socratic method and pimping refer to activities involving directed questions, their connotations differ. Kost and Chen emphasized the ways in which pimping evokes negative emotions in learners, in contrast to the spirit of the Socratic method.2


웨어와 동료들은 한 기관의 4학년 의대생들의 핌핑에 대한 관점을 탐구하고, 학생들이 감독의사의 동기에 대한 그들의 인식에 따라 어떻게 핌핑을 "좋은" 혹은 "나쁜" 것으로 분류했는지에 대해 설명했다.4

Wear and colleagues did explore the perspectives of 4th-year medical students at one institution regarding pimping and described how students categorized pimping as being either “good” or “bad” depending on their perception of the motive of the supervising physician.4


지식을 시험하거나, 알고 있는 것의 언어화 연습을 유도하거나, 학생에게 사람들 앞에서 수행을 가르치기 위한 의도라고 인식질문은 "좋은" 핌핑으로 생각되었다.

Questions from a preceptor that were perceived to be intended to test knowledge, to induce practicing the verbalization of what they know, or to teach students to perform in front of people were thought of as “good” pimping.


이와는 대조적으로, 학생들이 생각하는 것만큼 똑똑하지 않다는 것을 상기시키기 위한 것 같은 질문이나, 학생들이 답을 알지 못한다고 인정한 후에도 지속되는 질문들은 "나쁜" 것으로 보였다.4 이 과정의 "나쁜" 측면은 종종 핌핑이라는 용어를 둘러싼 부정적인 의미를 반영할 수 있다.

In contrast, questions that seemed intended to remind students that they were not as smart as they thought, or questioning that persisted even after students had conceded not knowing the answers, was seen as “bad.”4 This “bad” aspect of the process may reflect the negative connotations often surrounding the term pimping.


좋은 핌핑과 나쁜 핌핑에 대한 설명을 발견했음에도 불구하고, 웨어 등은 전반적으로 학생들이 핌핑을 교육 도구로서 중시했고, 미래에 훈련생들을 포섭하기 위한 의도였다고 보고했다. 학생들은 핌핑이 창피함과 굴욕을 피하기 위해 책을 더 많이 읽도록 동기를 부여했다고 믿었다. 이는 핌핑부정성 편견을 강화하는 교수법이라고 기술한 문헌과 일치한다. 즉 인간은 긍정적인 면보다 환경의 부정적인 면에 더 관심을 가지고 영향을 받는다는 생각이다.5 그것은 협박intimidation에 의한 가르침으로 설명되는데, 이를 통해 적절한 답변을 하지 못했던 학생들이 부끄러움을 느끼고 더 열심히 공부한다는 것이다.5 웨어 외 연구결과와 마찬가지로 의대생들이 교수법으로 didactic teaching보다 질문을 선호한다고 보고되었다.

Despite finding descriptions of both good pimping and bad pimping, Wear et al. reported that, overall, students valued pimping as an educational tool and intended to pimp trainees themselves in the future.4 Students believed pimping motivated them to read more in order to avoid embarrassment and humiliation.4 This is consistent with literature that has described pimping as a teaching method that reinforces the negativity bias—the idea that humans are more attentive to and influenced by negative aspects of their environment than positive ones.5 It is described as teaching by intimidation, wherein trainees who cannot produce an acceptable answer are shamed into reading more afterward.5 Consistent with Wear et al.’s findings,4 in a survey study following a radiology conference at which different teaching methods were demonstrated, medical students reported preferring questioning to didactic teaching.6


학생들은 신용credibility을 관리하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며, 불확실성이 있는 상황에서 그렇게 하기 위해 특정한 전략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증례 프레젠테이션의 맥락에서 의대생들은 자신의 불확실성이 눈에 띄게 만드는 것은 평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에 자기 자신에게 해를 끼친다는 믿음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학생들은 자신이 모르는 것이 들키지 않게 유도하고, 불안함을 위장하고, 지식을 가지고 있음을 보이고 싶어한다.

students expend considerable effort to manage credibility and that they use specific strategies to do so in circumstances where they have uncertainty. For example, in the context of case presentations, medical students have expressed a belief that drawing attention to one’s own uncertainty is self-detrimental, as it will negatively impact one’s assessment.7 Thus, students try to deflect attention away from their deficits, disguise their insecurities, and assert the knowledge they do possess.


의대생들은 환자 사례를 제시할 때 그들의 전략을 미리 계획하고 연습할 기회를 갖는 반면에, 감독의사로부터 직접적이고 즉흥적인 질문에 답해야 하는 것은 다른 상황이다. 이 경우 학생들은 질문을 받느냐의 선택의 여지가 없고, 준비하거나 예행연습할 기회가 없을 가능성이 높다.

Whereas medical students have the opportunity to premeditate and rehearse their strategies when presenting a patient case, having to answer a direct, unprompted question from a preceptor is a different situation. In this case, the students have no choice in whether they are asked questions, and likely do not have the chance to prepare or rehearse.


방법

Methods


일대일 면접은 학생들과 유사한 질문을 탐구하는 다른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어 왔다.4 그리고 이 연구를 위한 비공식 시험에서는 학생들이 질문 맥락에서 사용하는 명시적 전략을 기꺼이 그리고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의 4학년 의대생들과 약 50 6060분 동안 지속되는 반구조적 인터뷰를 포함했다.

One-on-one interviewing has been used by others exploring similar questions with students,4 and informal piloting for this study suggested that, in oneon-one interviews, students were willing and able to articulate explicit strategies that they use in the questioning context. Thus, this study involved semistructured interviews lasting approximately 50–60 minutes with 4th-year medical students in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undergraduate medical program.


참여자

Participants


우리는 여러 가지 이유로 4학년 의대생을 대상인구로 선정했다. 첫째로, 이 학생들은 그들의 "핵심" 임상실습 로테이션 전체 세트를 이수했다. 따라서 인터뷰한 모든 학생들은 의학, 수술, 소아과, 정신의학, 산부인과, 가정 의학을 포함한 다양한 임상적 특수 환경에서 학습한 개인적인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우리는 이 훈련 단계에서 그들이 질의응답 교환을 위한 기술과 전략을 개발했을 것이고, 여러 임상적 전문지식을 통한 학습 경험을 끌어냄으로써 이러한 전략을 반영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가정했다.

We selected 4th-year medical students as the target population for several reasons. First, these students had completed their full set of “core” clinical clerkship rotations (which are conducted in the 3rd year of training in our medical school). Thus all the students interviewed had personal experiences of learning in a wide variety of clinical specialty environments including medicine, surgery, pediatrics, psychiatry, obstetrics/gynecology, and family medicine. We assumed, therefore, that at this stage of training they would have developed skills and strategies for the question–answer exchange and would be able to reflect on these strategies by drawing on learning experiences from across clinical specialties. 


그러나, 4학년 의대생으로서 이 그룹은 아직 뚜렷하게 전공이 분리되지는 않았는데, 그 문화적 차이는 연구에 더 많은 복잡성을 더해 주었을 수도 있고, 또는 단 하나의 전공만을 선택함으로써 우리의 연구 결과를 제한하게 했을 수도 있다. 4학년 의대생들을 활용함으로써, 우리는 다양한 맥락에서 의대생으로서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반성할 수 있는 비교적 동질적인 참가자들을 인터뷰하고 있었다. .

However, as 4thyear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this group had not yet separated into distinct specialty residencies, whose cultural differences might have added a further layer of complexity to the study or might have caused us to limit our findings through the selection of only one specialty. By using 4th-year medical students, we were interviewing a relatively homogenous group of participants who were able to reflect specifically on their experiences as medical students in a variety of contexts. 


최종적으로, 우리는 이 학생들이 레지던트 교육을 위한 선발 과정을 마친 후에 연구를 수행했다. 따라서 우리는 면접관(연구가 실시되는 기관에서 노인 의학 담당 의사로 임명되려던 사람)의 눈에는 그들이 "잘 보이려고" 하는 압박감을 덜 느낄 것이라고 믿을 만한 이유가 있어서 우리가 학생들로부터 진정한 성찰을 얻을 가능성을 증가시켰다.

Finally we conducted the study after these students had completed the selection process for residency training. Thus we had reason to believe that they would feel less pressure to “look good” in the eyes of the interviewer (an individual who was about to be appointed as a staff physician in geriatric medicine at the institution where the study was conducted), increasing the likelihood that we would get authentic reflections from the students.


절차

Procedure


각 인터뷰는 연구의 목표에 대한 설명과 임상 의학 교육에 대한 질문 답변 활동의 존재를 강조하는 도입 문구로 시작되었다. 참가자들은 답을 모를 때, 교관들로부터 질문에 대한 답변 접근법, 채용에 대해 인지한 전략, 그리고 질문의 상황에 대한 이해에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고안된 일련의 질문을 받았다. 반구조화 면접의 기법과 일치하여, 각각의 면접은 개별 학생의 개인적 성찰과 통찰력에 기초하여 조정되었다.

Each interview began with a description of the goals of the research and an introductory statement highlighting the existence of the question–answer activity in clinical medical education. Participants were asked a series of questions designed to probe their approaches to answering questions from their preceptors when they did not know the answer, the strategies they were aware of employing, and how these were affected by their understanding of the circumstances of the questioning. Consistent with the techniques of semistructured interviewing, each interview was adapted based on the individual student’s personal reflections and insights.


분석

Analysis


결과

Results


9명의 참가자들과의 인터뷰가 있었다. 그 결과 270페이지의 면접 성적표에 대한 분석은 몇 가지 주제를 만들었다.

There were nine participant interviews. Analysis of the resulting 270 pages of interview transcripts produced several themes


학습을 최적화하기

Optimizing learning


모든 참여 학생들은 그들의 임상 교수에 의해 질문을 받는 것이 대부분 그들이 배울 수 있는 기회라는 태도를 직간접적으로 표현했다. 한 학생이 말했듯이, "일반적으로 나는 이런 생각을 했다. 이것들은... 의도된 질문들이다. 날 바보처럼 보이게 하려고 거기 있는 게 아니야 그들은 내가 배우게 하고, 나의 지식을 시험하기 위해 거기에 있다. 학생들은 교사를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들이 질문에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예를 제공했다. 이런 점에서, 학생이 답을 모를 때 질문을 "빙빙 돌려" 말하게 된 한 가지 동기는 추가 가르침의 지침으로 알려진 것을 교관에게 분명히 말하는 것이었다. 학생들은 "모른다"고 간단히 말하면, 교수가 너무 낮은 수준에서 가르칠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preceptor에게 말하는 것은 preceptor가 올바른 장소에서 출발할 수 있게 해준다.

All participating students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expressed the attitude that being asked directed questions by their clinical preceptor was predominantly an opportunity for them to learn. As one student described, “Generally I had the idea … these are … well-intentioned questions. They’re not there to make me look stupid. They’re there for me to learn and kind of test my knowledge” (Interview I2). Students provided examples of how they responded to questions in order to help the preceptor target his or her teaching effectively. In this regard, one motivation for “talking around” a question when a student did not know the answer was to articulate for the preceptor what was known as a guide to further teaching. Students indicated awareness that if one simply says, “I don’t know,” the preceptor might teach at too low a level. So telling the preceptor what one does know allows the preceptor to start in the right place.


이미지 관리

Managing image


학습이 모든 참가자들에 의해 지시된 질문의 중요한 측면으로 인용되었지만, 참가자들은 또한 질문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이미지를 관리하는 것의 중요성을 설명하였다.

Although learning was cited by all participants as being an important aspect of directed questioning, participants also described the importance of managing their image in the way they responded to questions.


참가자들이 이러한 이미지 관리 우선순위와 학습 우선순위를 명시적으로 대조하지는 않았지만, 학습 잠재력을 극대화하기 보다는 긍정적인 인상을 주기 위한 접근법을 설명하였다.

Although participants did not explicitly contrast this image management priority with the learning priority, they did describe approaches intended specifically to make a favorable impression rather than maximize learning potential,


이 발췌문은 또한 좋은 이미지를 관리한다는 것이, 단순히 모든 해답을 알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아니라는 학생들의 공통된 이해를 보여준다. 오히려 그들이 훌륭한 학습자라는 이미지를 투영해야 한다는 인식도 있었다. 훌륭한 학습자는 학생들에 의해 질문에 대한 답을 알지 않고도 참여, 관심, 그리고 약간의 콘텐츠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This excerpt also exemplifies a common understanding among the students that looking good was not merely a case of knowing all the answers. Rather, there was also a perceived need to project an image that they are good learners. A good learner was described by students as engaged, interested, and having some content knowledge without necessarily knowing the answer to the question.


훌륭한 학습자가 되기 위한 중요한 요소는 자신의 사고 과정을 전달하는 능력이었다.

A key component of being a good learner was the ability to communicate one’s thought process:


따라서 학생들의 부분적인 지식을 공유하는 전략은 토론을 지식의 한계점까지 몰고 갈 뿐만 아니라, 동시에 그들이 열성적인 학습자이고 쉽게 가르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수단이었다.

Thus, the students’ strategy of sharing partial knowledge was not only a means of bringing the discussion to the limits of their knowledge but also, simultaneously, to demonstrate they were enthusiastic learners and easily teachable.


이미지를 관리하는 또 다른 중요한 측면은 자신감의 투영이었다. 참가자들은 교사의 질문에 답할 때 얼마나 자신감 있게 보여야 하는지에 대한 판단이 다양했으며, 어떤 교수들은 일반적으로 불확실성의 정도를 표현하는 것을 더 좋아하고, 어떤 교수들은 일반적으로 매우 확실한 것처럼 들리는 것을 더 선호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가자들은 일반적으로 자신감의 투영 관리가 유리한 이미지를 촉진하는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인정했다. 참가자들 사이에는 불확실성을 표현하는 것을 선호하거나 특정하게 들리는 것을 선호하는 공통의 원칙이 있었다. 학생이 얼마나 자신감 있게 말해야 하는가는 그 당시 그들이 실제로 얼마나 자신감 있게 느꼈는지 보다는 그들의 preceptor가 어떤 것을 선호하는지에 달려 있었다.

Another important aspect of managing image involved the projection of confidence. Participants varied in their judgments about how confident they ought to appear when answering their preceptors’ questions, with some generally preferring to express a degree of uncertainty and others generally preferring to sound very certain. Nonetheless, participants universally acknowledged that the management of the projection of confidence was an important component of promoting a favorable image. There was a common principle among participants, whether preferring to express uncertainty or preferring to sound certain: How confident they should sound depended on their preceptors’ preferences rather than how confident they actually felt at the time.


프리셉터 의도를 추론하는 것의 중요성

The importance of inferring preceptor intent


비록 참가자들이 preceptor의 눈에 잘 보이기 위한 다양한 접근법을 설명했지만, 이러한 접근법들 중에서 강력한 주제는 '질문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유추하는 것'이었다. 한 학생이 묘사했듯이, "글쎄, 나는 그것을 프레이밍했다.나는 왜 그가 질문을 하는지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어야만 했지, 그렇지?" (I2) 다른 학생은 질문자의 의도가 무엇인지 인식하여 구체적인 전략과 연관시켰다.

Although participants described various approaches toward looking good in the eyes of their preceptors, a strong unifying theme among these approaches was accurately inferring the intentions of the questioner. As one student described, “Well, I kind of framed it—I had to get an idea of why he was asking the question, right?” (I2) Another student was more explicit in relating the questioner’s perceived intent to specific strategies,


우리 학생 참가자들은 교사의 의도를 가르치는 것, 평가하는 것, 또는 위계를 설정하거나 유지하는 것 등 세 가지 범주로 나뉘는 것을 인식했다. 학생들이 교사의 의도를 어떤 것으로 인식하느냐에 따라 '잘 해 보이는 것'의 수단은 다양할 것이고, 따라서 학생 I4가 방금 설명한 예에서와 같이 연습생들의 질문에 대한 답변 접근방식이 달라지게 될 것이다.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 교사가 [가르치기 위해] 질문을 한다고 인식했을 때, 학생들은 보편적으로 제시하기에 가장 유리한 이미지는 "좋은 학습자"라고 생각했다. 

    • 교사의 질문 뒤에 숨은 의도가 [학생의 지식 수준을 엄격히 평가]하기 위한 것임을 인식했을 때, 사고 과정을 전달하는 것은 덜 중요했고, 학생들은 간결하고 정확한 답을 목표로 했다.

Our student participants perceived that the intention of preceptors fall into three broad categories: to teach, to assess the trainee, or to establish or maintain hierarchy. Depending on what students perceived the intention of preceptor to be, the means of “looking good” would vary, and thus trainees’ approaches to answering questions would change, as in the examples just described by student I4. In general, when they perceived preceptors to be asking questions in order to teach, students universally believed that the most favorable image to present was being a “good learner.” When students perceived that the intention behind a preceptor’s question was strictly to assess the knowledge level of the student, communicating a thought process was less important and the students aimed to be succinct and accurate.


    • 교사의 의도를 위계적 우월성 보여주는 것이라고 인식했을 때, 학생들은 그들의 능력의 최선에 직설적으로 대답한 다음, 인내심을 가지고 나머지 만남의 시간을 참아냄으로써 이러한 질문들에 접근했다. 물론, 적어도 일부 학생들은 질문의 역학관계는 그 자체로 모든 preceptor가 학생에게는 위계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함을 이해했다.

When the perceived intention of the preceptors was to assert their hierarchical superiority, students approached these questions by straightforwardly answering to the best of their ability, then patiently enduring the rest of the encounter. Of course, at least some participants understood that the power dynamics of questions meant that all preceptor to student questioning situations had a hierarchical quality to them.


...의대생으로서 나는 "당신, 이 질문에 대답하시오."라고 말할 힘이 없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은 모두 나를 보고 "이 질문에 대답하시오."라고 말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As a medical student I don’t have the power …to say “you, answer this question.” …But everybody else has the power to look at me and say, “[Name], answer this question.”


상환 관리 전략

Strategies to manage the situation


학생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특정 질문에 대한 답을 하는 전략을 넘어 질문 상황 자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전술을 구사했다. 이러한 접근방식 중 두드러진 패턴은 

    • 대화의 과정을 학생이 잘 아는 주제로 유도하고, 

    • 더 어려운 질문보다 더 쉬운 질문을 받기 위해 그룹 내에서 참여할 때 시간을 맞추는 것, 

    • 질문을 받지 않기 위해 그룹 내에서 회피하는 것을 포함한다.

Beyond their strategies for answering specific questions asked of them, students expressed a range of tactics to effectively manage the questioning situation itself. Predominant patterns among these approaches included 

    • directing the course of the conversation to a topic about which the student is knowledgeable, 

    • timing their participation when in a group in order to receive easier questions rather than more difficult ones, and 

    • shying away when in a group to avoid being asked questions.


Preceptor와의 대화를 지휘하는directing 전술은 학생들이 개선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주제에 초점을 맞춰 학습을 극대화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 쉽게 사용되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참가자들은 보다 일반적으로 실제 학습기회를 조금 잃더라도, [대화를 자신이 강점 영역으로 이동]시켜 [어려운 질문을 피하거나] 심지어 [(자신이) 지식이 있거나 교육 가능한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기법]이라고 기술하였다. 이것은 이미지 관리에 관한 섹션의 I5 학생으로부터 인용한 바와 같이, 그 주제에 대해서 자신의 preceptor에게 질문을 하기 직전에, 주제에 대해 몰래 읽는 것과 같은 이 전술이 어떻게 수행되는지에 대한 설명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The tactic of directing conversation with a preceptor might easily have been used by students as a mechanism for maximizing their learning by focusing on topics where they felt they needed to improve. However, the participants more commonly described the strategy as a technique to move the conversation into areas of particular strength so as to avoid difficult questions, or even to look knowledgeable or teachable, at the potential cost of real learning opportunities. This was supported by descriptions of how this tactic is carried out, such as reading secretly about a topic immediately before soliciting questions from one’s preceptor on that topic, as quoted from student I5 in the section on managing image.


타이밍을 잘 잡는 것은, 학생들이 질문 맥락을 관리하는 또 다른 전략으로, 세션 후반에 질문하는 질문들이 더 대답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여, 자기 조에게 질문이 던져질 때 초반에 일찍 답변을 자원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일찍 답변을 자원함으로써 학생들은 그들이 "할당량을 채울 것"이라고 믿었고, preceptor에 의해 적절히 참여했다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고 믿었다. 따라서 그들은 나중에 답을 알지 못할지도 모르는 질문에 대답해야 하는 것에 대해 안도하게 될 것이다.

Timing one’s participation, another strategy by which students managed the questioning context involved volunteering early to answer to questions that are asked to a group, in anticipation that questions asked later in the session will be more difficult to answer. By volunteering to answer early questions, students believed they would “meet their quota” and would be seen by the preceptor to have adequately participated. They would thus be relieved of having to answer later questions to which they might not know the answers.


학생들이 답을 모를 수 있는 질문을 받는 것을 피하기 위한 훨씬 더 간단한 전략은, 조원이 모여있을 때 교사와 눈을 마주치지 않고 그룹에서 분리disengage하는 것을 포함했다. "바닥만 보고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어. 그러면 거의 눈에 띄지 않을 것이다" (I9) 참가자들은 비록 이 기법이 역효과를 불러 일으켜 교관들이 의도적으로 회피하려는 것으로 인식되는 학생의 질문을 질문하게 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학생들은 종종 질문에 직면하지 않으려는 욕구를 전달하는 학생들의 비언어적 신호를 존중한다는 믿음을 표현했다고 설명했다.

An even more straightforward strategy for avoiding being asked questions to which students may not know the answer involved avoiding eye contact with the preceptor when in a group setting and disengaging from the group. “Just looking at the floor, not moving, staying still. So you’re almost invisible” (I9). Participants explained that although it was possible for this technique to backfire, causing preceptors to deliberately ask questions of a student perceived as trying to shy away, the students expressed a belief that, more often than not, preceptors respected students’ nonverbal cues communicating a desire not to face questions.


맥락적 문제

Contextual complications


많은 미묘한 문맥적 요소들이 질문에 대한 답을 결정할 때 그들의 고려사항에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문맥적 복잡성은 다음의 세 가지 범주로 분류되었다.

    • (a) 질문을 받상황에 다른 누가 있는지 

    • (b) 질문이 어떤 과 로테이션 중에 발생했는지

    • (c) 학습자의 훈련 단계 

a number of subtle contextual factors influenced their considerations when deciding how to answer a question. These contextual complicators fell into three broad categories: 

    • (a) who else is present in the directed questioning situation, 

    • (b) during which specialty rotation the directed questioning occurs, and 

    • (c) the stage of training of the learner.

환자, 기타 연습생 및 기타 의료 전문가와 같은 다른 사람의 존재는 지시된 질문 동안 이미지 관리에 영향을 미쳤다. 학생들은 환자들이 같이 있는 것이 지시된 질문을 하는 동안 어떻게 상호작용을 변화시켰는지에 대한 설명에서 다양했다. 어떤 이들은 환자의 존재가 학생들의 우선순위를 잘 보이는 것에서 정직하게 보이는 것으로 바꾼다고 했지만, 다른 이들은 환자가 앞에 있으면 유능하고 자신감 있게 보이려는 욕구가 증가했다고 묘사했다.

The presence of other parties, such as patients, other trainees, and members of other healthcare professions, influenced image management during directed questioning. Participants varied in their descriptions of how patients altered the interaction during directed questioning. Whereas some described patients’ presence as shifting the students’ priorities from looking good to being honest, others described an increased desire to appear competent and confident in front of the patient. 


흥미롭게도, 몇몇 학생들은, 종종 환자가 있을 때 preceptor가 학생들이 박식한 것처럼 보이도록 하기 위한 노력에 공모complicit하여, 상호작용의 형태를 더욱 shaping한다고 언급했다. 다른 trainee이나 다른 의료전문직이 있는 경우 질문과 관련된 불안감을 증가시켰고 학생들의 '잘 보이기'에 대한 욕구를 고조시켰다. 그러나, 참가자들은 또한 직접적인 질문에 대답하는 예절을 설명했는데, 좋은 이미지를 유지하려면 다음의 것들도 알아야 했다. 

    • 언제 너무 '나대지' 말아야 할지

    • 언제 다른 사람들에게 질문에 대답할 기회를 줄지

    • 언제 성공에 대한 답을 "나의 명석함"보다 우연의 일치나 우연의 탓으로 돌려야 할지

    • 언제 스승의 눈에 동료가 잘 보이도록 도와야 할지

Of interest, several students noted that the preceptor would often be complicit in the effort to make the student look knowledgeable when in the presence of a patient, thereby further shaping the form of the interaction. The presence of other trainees or other healthcare professionals increased the anxiety associated with directed questioning and heightened students’ desire to look good. However, participants also described an etiquette in responding to directed questioning, wherein maintaining a good image also called for knowing 

    • when not to be too outspoken, 

    • when to give others a chance to answer questions, 

    • when to modestly attribute successful answering to coincidence or chance rather than “intrinsic brilliance” (I4), and 

    • when to help make colleagues look good in the eyes of the preceptor.


참가자들은 학생들이 미래에 희망하는 전공과 로테이션에서 질문이 발생했을 때, 교관의 눈에는 잘 보여야 한다는 압박감이 더 컸다고 표현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많은 참가자들은 학생들이 직업으로 추구하는 것에 관심이 적은 전공분야의 회전 동안, 질문을 받은 경우에 학습learning을 더 높은 우선순위로 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했다. 그러한 상황에서 그들은 불확실성을 인정하고 지식의 한계를 표시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보고하였다. 그 결과, 일부 참가자들은 자신이 관심이 덜한 로테이션 동안 직접 질문을 통해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고 느꼈다고 보고했다.

Unanimously, participants expressed that when directed questioning occurred in rotations of the specialties that students were pursuing for future careers, there was more pressure to look good in the eyes of the preceptor. In contrast, many participants acknowledged that, during rotations in specialties for which students were less interested in pursuing as careers, they were more able to prioritize their learning during directed questioning. In such circumstances, they reported being more likely to admit uncertainty and display the limits of their knowledge. As a result, some participants reported feeling that they were able to learn more from directed questioning during the rotations in which they were less interested as a career.


많은 참가자들은 또한 학습자였고 모든 것을 알 것으로 예상되지 않았기 때문에 답을 모른다는 것을 인정하는데 편안함을 느꼈지만, 임상 훈련을 통해 레지던트로 진척되면서 답을 얻지 못하는 것이 덜 받아들여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표현했다.

Many participants also expressed that, although they felt comfortable admitting they did not know an answer because they were learners and were not expected to know everything, they anticipated that as they progressed through their clinical training into residency, not having the answers would become less acceptable.


고찰

Discussion


첫째로, 참가자들은 질문의 목적이나 의도는 가르침과 학습에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다른 문헌처럼 학생들이 질문이 이 목적을 달성하는 데 효과가 있다고 높이 평가한다는 확인하였다.4

First, participants acknowledged that one purpose or intention of directed questioning was for teaching and learning, affirming other literature which has suggested that students appreciate its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4


질문이 [학생의 기존 지식의 한계]에 관련된 내용을 타겟으로 할 때 이것은 심지어 교육 및 학습 활동으로서 지시된 질문이 부정성 편견negativity bias을 이용한다는 이전의 제안과 일치한다.5 이 아이디어는 우리의 연구 참가자들이 어떻게 유도된 질문들이 그들이 지식 격차gap를 스스로 확인하는 데 효과적인지에 대한 그들의 설명에서 공유했다.

when questions target content at the limits of the students’ previous knowledge. This is consistent with previous suggestions that even as a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directed questioning capitalizes on the negativity bias.5 This idea was shared by our study participants in their descriptions of how directed questions were effective in helping them self-identify knowledge gaps


하지만 학생들은 이미지 최적화에도 큰 관심을 보였다. 또한 직접적인 질문의 맥락에서 바람직한 이미지는 자신감 있고 신뢰할 수 있는 임상의가 아니라 "좋은 학습자"와 "교육 가능한 학생" 중 하나라는 것이 우리의 학생 참여자들의 코호트에서도 흥미로웠다. 이 "좋은 학습자" 이미지 때문인지, 우리 참가자들은 문제에 관심을 표명하고, 이후의 가르침에 효과적으로 초점을 맞추도록 하기 위해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명확히 하는 한, 질문에 대한 답을 알지 못하더라도 성공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고 느꼈다. 이 점에서, 학생들이 교사의 의도가 "teaching opportunity의 시작"이라고 인식했을 때 [학습]과 [이미지 관리]가 양립할 수 있었다.

However, they were also highly attentive to optimizing their image. It was also intriguing in our cohort of student participants that, in the context of directed questioning, the desirable image was not merely the confident, credible clinician but one of the “good learner” and teachable student. Perhaps because of this “good learner” image, our participants felt that they could have a successful interaction even if they did not know the answer to a question as long as they expressed interest in the question and clarified what they did know in order help the preceptor effectively focus subsequent teaching. In this regard, the priorities of learning and image management could be compatible when students perceived that the intention of the preceptor was to initiate a teaching opportunity.


둘째로, 우리의 참가자들은 그들의 대답을 framing할 때 다양한 상황적 요인을 알고 수용해야 한다는 것을 놀랄 만큼 정교하게 이해하고 있었다. 이러한 요소들은 질문자의 의도를 어떻게 인식하느냐를 포함했다(이것이 교육적 probe인지, 신속한 평가 기법인지, 아니면 엄격한 위계의 강조인지). 그러나, 그들은 또한 다른 사람들의 존재, 특히 그들의 이미지가 또한 중요한 다른 연습생들을 포함했다.

Second, our participants showed remarkable sophistication in their understanding that they must be aware of and accommodate a variety of contextual factors when framing their answers. These factors included the perceived intent of the questioner (whether this was a teaching probe, a rapid assessment technique, or strictly an assertion of hierarchy). However, they also included the presence of others, and in particular other trainees whose image was also important to attend to.


지식을 나누지 말아야 할 때를 의식하는 것 또는 (다른 사람(질문자 또는 다른 학습자)보다 더 앞서간 사람(one-upping)으로 인식될 수 있는 경우) 답을 알고 있다는 사실을 대단치 않다고 생각하는 것 등이 중요한 고려사항이었다. 이것은 긴스버그와 동료들의 발견을 연상시킨다. 이들은 학생들의 전문적인 추론에서 "당신의 위치를 아는 것"(아마도 훌륭한 학습자 이미지의 한 측면일 것이다)이라는 원칙을 확인했다. 그것은 또한 긴스버그 외 연구진에게 "선배를 나쁘게 보이게 만들지 말라"는 원칙을 말해준다. 이는 팀 플레이어로서의, 직접적인 질문 상호작용(참가자에 의해 명시적으로 표현되지는 않았지만) 동안 학생들의 마음속에 있을 수 있는 또 다른 이미지의 가능성을 제기한다. 그러나, 우리는 이것이 매우 추측성이라는 것을 인정해야 하며, 그것을 확인하고 좀더 충분히 탐구하기 위해서는 이 가능성을 목표로 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Being aware of when not to share one’s knowledge, or downplaying the fact that one knows the answer when it might be perceived as “one-upping” another person (the questioner or another learner), became an important consideration. This is reminiscent of the findings of Ginsburg and colleagues, who identified in students’ professional reasoning the principle of “knowing your place” (perhaps an aspect of the good learner image).13 It also speaks to Ginsburg et al.’s principle of “allegiance” to the team (“Don’t make your senior look bad”),13 which raises the possibility of another image that may be in students’ minds during directed questioning interactions (albeit less explicitly articulated by our participants) of being a team player.14 However, we must acknowledge that this is highly speculative, and additional studies targeted at this possibility would be required in order to confirm it and explore it more fully.


세 번째 중요한 발견으로서, 우리는 원래 우리의 연구를 [학생들이 상호작용의 조건에 대해 거의 통제하지 못하는 상황]에 대한 탐구라고 프레임했었다질문 상호작용에 내재된 힘의 역동성을 인식하고,15 우리는 학생들이 사례 보고서나 도움 요청을 시작하는 것과 같은 맥락에서보다 상황에 대한 통제력이 더 낮을 것이라고 가정했다. 하지만, 우리 연구에 참가한 학생들이 실제로 상황에 대한 통제력을 발휘하기 위해 몇몇 기법을 설명했다. 일부는 대화를 "안전한" 영역으로 선제적으로 유도하는 것을 포함했다(한 학생은 심지어 더 동등한 힘의 역동성을 유지하는 한 형태로 비임상적 토론으로의 리디렉션하는 전략을 보였다). 다른 사람들은 그들이 그 활동에 관여하고 싶지 않다는 신호를 교장에게 보내는 것을 포함했는데,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교사들로부터 존경을 받는다고 느꼈다.

As a third important finding, we note that we originally framed our research as an exploration of a situation in which students had little control over the conditions of the interaction. Recognizing the power dynamic embedded in the questioning interaction,15 we assumed that students would have less control over the situation than in contexts such as the case report or initiating a request for help. However, we found that the students in our study did, in fact, describe several techniques to exert a level of control over the situation. Some of these involved preemptively directing the conversation into “safe” territory (with one student even identifying redirection to nonclinical discussions as a form of maintaining a more equal power dynamic). Others involved sending signals to the preceptor that they did not wish to engage in the activity, which the students generally felt were respected by preceptors.


이러한 가능성은 흥미로우며, directed question에서 비대칭적인 권력 역동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이 "단지 사회적 경험에 관해서 불운한 인질만은 아니다."라는 것을 보여준다

the possibility is intriguing and suggests that even in the apparently asymmetric power dynamic of directed questioning, students “are not mere and hapless hostages to the social experience.”16(p53)


한계

Limitations


두 번째 잠재적 한계로서, 우리는 9명의 참가자의 소소한 표본 크기를 가지고 있었다. 관련 질문을 다루는 유사한 참가자 집단을 포함하는 유사한 연구에서, 약 10명의 학생 면접이 이론적 충분함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17 우리는 우리가 자발적으로 참여한 사람들을 위해 우리의 연구 질문에 관련된 주제를 효과적으로 포화시키고 있다고 믿는다.

As a second potential limitation, we had a modest sample size of nine participants. In similar studies involving similar participant populations addressing related questions,4,7 around ten student interviews have been found to provide theoretical sufficiency,17 and we do believe that we were achieving effective saturation of the themes relevant to our research question for those who volunteered to participate.


Conclusions







, 29 (1), 5-12
 

Medical Students' Understanding of Directed Questioning by Their Clinical Preceptors

Affiliations 

Affiliations

  • 1a 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and Division of Geriatric Medicine,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 Canada.
  • 2b 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and Department of Surgery,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 Canada.

Abstract

Phenomenon: Throughout clerkship, preceptors ask medical students questions for both assessment and teaching purposes. However, the cognitive and strategic aspects of students' approaches to managing this situation have not been explored. Without an understanding of how students approach the question and answer activity, medical educators are unable to appreciate how effectively this activity fulfills their purposes of assessment or determine the activity's associated educational effects.

Approach: A convenience sample of nine 4th-year medical students participated in semistructured one-on-one interviews exploring their approaches to managing situations in which they have been challenged with questions from preceptors to which they do not know the answer. Through an iterative and recursive analytic reading of the interview transcripts, data were coded and organized to identify themes relevant to the students' considerations in answering such questions.

Findings: Students articulated deliberate strategies for managing the directed questioning activity, which at times focused on the optimization of their learning but always included considerations of image management. Managing image involved projecting not only being knowledgeable but also being teachable. The students indicated that their considerations in selecting an appropriate strategy in a given situation involved their perceptions of their preceptors' intentions and preferences as well as several contextual factors. Insights: The medical students we interviewed were quite sophisticated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social nuances of the directed questioning process and described a variety of contextually invoked strategies to manage the situation and maintain a positive image.

Keywords: Clinical teaching; Socratic method; pimping; student questioning.


경계 긋기: 임상추론 정의의 어려움(Acad Med, 2018)

Drawing Boundaries: The Difficulty in Defining Clinical Reasoning

Meredith Young, PhD, Aliki Thomas, PhD, OT, Stuart Lubarsky, MD, MHPE, Tiffany Ballard, MD, David Gordon, MD, Larry D. Gruppen, PhD, Eric Holmboe, MD, Temple Ratcliffe, MD, Joseph Rencic, MD, Lambert Schuwirth, MD, PhD, and Steven J. Durning, MD, PhD




모든 보건 전문가는 정보를 수집하고 합성하고, 가설을 생성하고, 임상적 인상, 예후, 진단, 치료, 관리 및/또는 관리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임상 추론에 참여한다. 직업 전반에 걸친 임상 추론의 근본적 특성은 필수적인 임상 추론의 연구(예: 노먼 외 연구진), 교수(예: Eva3당) 및 평가(예: Durning et al4에서와 같이) 모두와 관련된다. 또한, 역량 기반 의료 교육 및 대학원 의료 교육 역량 인증 위원회, CanMEDS, Good Medical Practice와 같은 프레임워크의 채택이 증가하고 있으며, rehabilitation practice의 프레임워크는 졸업과 의료 전문가들을 위한 보다 분명하고 구체적으로 역량을 설명할 것을 요구한다.

Every health professional engages in clinical reasoning—by gathering and synthesizing information; generating hypotheses; and formulating a clinical impression, prognosis, diagnosis, treatment, care, and/or management plan. The foundational nature of clinical reasoning across professions makes research (e.g., as described by Norman et al2), teaching (e.g., per Eva3), and assessment (e.g., as in Durning et al4) of clinical reasoning essential. Furthermore, the growing adoption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and frameworks such as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s competencies,5 CanMEDS,6 Good Medical Practice,7 and frameworks of rehabilitation practice8 demand more explicit and specific competency descriptions for graduating and practicing health professionals.9–11


임상적 추론이 임상적 실천(예: 힉스 외 연구진)에 필수적인 것으로 생각되며 보건 직업 교육(HPE)과 연구에서 어디에나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점을 감안할 때, 사람들은 임상적 추론이 "무엇인가"에 대한 공통적이거나 합의된 이해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임상적 추론을 둘러싼 연구는 역사적으로 단편적으로만 언급되어 왔다"이것은 많은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컨퍼런스에 논쟁하고 참여하는, 제도화된 평행 놀이로 특징지어졌던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도메인에 대한 그들 자신의 이론을 발전시키기 때문에, 대체로 서로의 데이터를 무시하거나 배척한다."13

Given that clinical reasoning is thought to be essential to clinical practice (e.g., as described by Higgs et al12) and appears to be ubiquitou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and research, one might expect a common or agreed-on understanding of what clinical reasoning “is.” However, research surrounding clinical reasoning has historically been referred to as a fragmented literature, as it “seems to have been marked by this quality of institutionalized parallel play, with many of the community’s members arguing and engaging at conferences, but largely ignoring or dismissing each other’s data as they develop their own theories about the domain.”13


각 페어링 내에서 검토자들은 독립적으로 간행물의 하위 세트를 검토하여 검토에 포함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요청받았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연구에 포함되어야 할 출판물을 검토한 짝을 이룬 구성원들 간의 합의가 현저히 미흡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Within each pairing, the reviewers were asked to independently review a subset of publications to determine whether they would be included in our review. During this process, however, we discovered remarkably poor agreement between members of each pair of reviewers regarding which publications should be included in the study


이 초기의 예기치 못한 발견은 우리가 검토 과정을 멈추고 가능한 설명에 대해 되돌아보게 했다. 그러므로 이 기사는 우리 팀이 이 낮은 합의에 대응하여 행한 독특한 보조 연습에서 나온 예상치 못한 관찰에 초점을 맞춘다.

This early unexpected finding led us to pause the review process and reflect on possible explanations. This article, therefore, focuses on the unexpected observations that emerged from a unique ancillary exercise our team engaged in response to this low agreement


일시 중지, 성찰

A Pause-and-Reflect Exercise


열악한 평가자간 합의의 잠재적 원인을 탐구하기 위해, 우리는 각 팀원에게 임상 추론의 구성요소로 간주되어야 하고 고려되어서는 안 되는 활동과 과정을 포함하여 임상 추론에 대한 자신의 개인적 정의를 제공하도록 요구하는 성찰적 실천을 고안했다.

To explore potential causes of poor interrater agreement, we devised a reflective exercise in which each team member was asked to provide his or her own personal definitions of clinical reasoning, including processes and activities that should and should not be considered components of clinical reasoning.


임상 추론의 "작업 정의working definition"와 임상 추론의 "구성요소 프로세스component process"로 간주해야 하는 것에 대한 그들의 생각, 그리고 어떤 구성요소가 임상 추론이 "아닌 것outside"으로 간주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그들의 생각.

“working definitions” of clinical reasoning, their thoughts on what should be considered “component processes” of clinical reasoning, and their thoughts on which components should be considered “outside” of clinical reasoning.


우리는 주제 분석에서 원칙을 차용하는 질적 설명의 렌즈를 통해 세 가지 목표 질문에 대한 응답에 접근했다. 질적 서술에서는 "연구자가 자료에서 멀리 떨어지거나, 또는 그들의 데이터로 이동하도록 요구"19(p335)하지 않는다.

We approached the responses to the three target questions through the lens of qualitative description,19,20 which borrows principles from thematic analysis. Qualitative description does not “require researchers to move as far from or into their data”19(p335) compared with other approaches to qualitative analysis.


Scoping methodology에서 표준은 아니지만, 우리는 이 "일시중지 및 성찰" 단계가 우리의 공정의 엄격함과 합성에서 생성된 발견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느꼈다. 이 단계의 목표는 평가자 간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임상 추론의 단일 정의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검토 팀 내의 다양한 정의를 분류하고 문서화하는 것이었다.

Though not standard in scoping methodology,14–18 we felt that this “pause-and-reflect” stage was crucial for ensuring the rigor of our process and the credibility of the findings generated from our synthesis. The goal of this stage was not to generate a single definition of clinical reasoning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interrater reliability but, rather, to catalog and document the variety of definitions within our review team.


임상추론의 정의

Definition of Clinical Reasoning


"임상 추론에 대한 당신의 '작업적 정의'는 무엇인가?"

“What is your ‘working definition’ of clinical reasoning?”


팀원들은 임상적 추론을 다음을 목적으로 운영되는 과정으로 여겼다. 

  • 진단, 치료 및/또는 관리 계획에 도달

  • 개선된 환자 결과와 웰빙을 위한 노력

Team members considered clinical reasoning to be a process that operates toward the purpose of 

arriving at a diagnosis, treatment, and/or management plan, as well as 

striving for improved patient outcomes and well-being.


한편, 임상 추론을 "최종 목표" 또는 그 자체가 행동 지향적인 산출물로 보는 것을 넘어, 우리 팀은 임상 추론에 관여하는 요소들이 "무엇"인지 확인했다.

Beyond viewing clinical reasoning as a means to an “end goal” or itself an action-oriented output, our team identified components of “what” is involved in clinical reasoning.


팀원들에 따르면, 이러한 구성 요소는 임상의의 인지 프로세스에 크게 의존한다. 

  • 지식(과학적이고 형식적인 지식, 경험적으로 도출된 지식) 

  • 실천 이론들 

  • 이전의 경험이나 전문 지식 

또한 개별 정의에는 임상 추론 과정이 어떻게 전개되는지에 대한 진술이 포함되었다. 

  • 의식적이거나 무의식적인 과정, 

  • 분석적 또는 비분석적 프로세스, 

  • 인과관계 추론, 

  • 인지적 표현의 창조, 

  • 확률론적 추리 

According to team members, these components rest heavily on a clinician’s cognitive processes: 

  • knowledge (scientific and formal knowledge, experientially derived knowledge), 

  • theories of practice, and 

  • previous experience or expertise. 

Individual definitions also included statements regarding how the process of clinical reasoning unfolds: 

  • conscious or unconscious processes, 

  • analytic or nonanalytic processes, 

  • causal reasoning, 

  • the creation of a cognitive representation, and 

  • probabilistic reasoning. 

일부 팀원은 추론 과정 내에서 상황 및/또는 환경 요인의 중요성을 언급했고, 다른 팀원은 인지적으로 기반한 프로세스만 언급했다.

Some team members mentioned the importance of contextual and/or environmental factors within the reasoning process, and others mentioned only cognitively based processes.


임상추론은 무엇인가?

What Is Clinical Reasoning


팀 구성원은 임상적 만남의 목적을 다양하에 언급했다.

  • 임상 지식, 

  • 관찰 

  • 데이터 수집, 

  • 관련성 있는 임상 결과와 관련되지 않은 임상 결과의 구별 

  • 데이터 해석, 

  • 문제 표현, 

  • 가설 생성, 

  • 가설 평가, 

  • 진단 검증, 

  • 위험 또는 편익에 대한 고려 

  • 증거 기반 의약품의 적용, 

  • 판단, 

  • 행동의 이행, 그리고 

  • 개입 결과의 평가

Team members variably included determining the objectives of the clinical encounter, clinical knowledge, observation, data collection, differentiation of relevant from irrelevant clinical findings, data interpretation, problem representation, hypothesis generation, hypothesis evaluation, diagnostic verification, consideration of risks or benefits, application of evidence-based medicine, judgment, implementation of action, and evaluation of the results of intervention.


임상추론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What Is Not Clinical Reasoning


그들은 열거했다. 

  • 의사소통 기술, 

  • 의료 종사자들 간의 신뢰 

  • 증거 기반 관행, 

  • 의학적인 맥락 밖의 추론, 

  • 환자와의 관계 또는 관계 

  • 임상 기술 및 데이터 수집(이력 검사, 신체 검사, 특정 절차 기술) 

  • 비판적 사고, 

  • 치료 비용에 대한 고려, 

  • 기준 확률에 대한 명시적 의존도 

  • 알고리즘 사용, 

  • 시각 기반 진단(예: 심전도, 방사선학) 

  • 인지적 스타일

They listed 

  • communication skills, 

  • trust between health care workers, 

  • evidence-based practice, 

  • reasoning outside of the medical context, 

  • relationship or rapport with patient, 

  • clinical skills and data collection (history taking, physical exam, specific procedural skills), 

  • critical thinking, 

  • consideration for cost of treatment, 

  • explicit reliance on baseline probabilities, 

  • use of algorithms, 

  • visual-based diagnosis (e.g., ECG, radiology), and 

  • cognitive styles.


해석

Interpretation


팀원들의 정의는 매우 다양했다.

Team members varied greatly in their definitions—


이 성찰 연습에서 생성된 정의와 용어는 임상 추론에 대한 다양한 개념화를 보여준다. 이러한 다양한 개념화들은 임상적 추론이 다면적인 구조임을 시사하고 있으며, 문헌과 우리 팀원들 사이에 여러 가지 이해가 공존하고 있다.

The definitions and terminologies generated from this reflective exercise likely represent different conceptualizations of clinical reasoning. These varied conceptualizations suggest that clinical reasoning is a multifaceted construct, with multiple coexisting understandings—both in the literature and amongst members of our team.


이 연습을 통해 두 가지 주요 통찰력이 나타났다. 즉, 우리는 임상 추론이 "무엇인지"에 대한 서로 다른 정의와 개념화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상이한 개념화는 부분적으로 임상 추론의 관련 기여자로서 어떤 "계수counts"에 기초하여 다른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Two main insights emerged through this exercise: that we hold different definitions and conceptualizations of what clinical reasoning “is,” and that these different conceptualizations appear to differ based, in part, on what “counts” as a pertinent contributor to clinical reasoning.


임상적 추론이 일어나고 있는 상황에 존재가능한 참가자는 다음과 같다.

Consider some of the possible players in a clinical encounter in which clinical reasoning is taking place:


1. 의료 전문가: 추론이 "두뇌"되고 있는 초점 개인.

2. 환자: 이력, 신체검사 결과, 실험실 결과 및 진단 단서 출처

3. 기타 의료 전문가: 컨설턴트, 팀원, 전문가 의견을 제공하는 사람 또는 실험실 결과의 해석을 제공하는 사람

4. 가족 또는 병력의 기타 제공자: 불만사항 또는 환자 선호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개인

5. 의료 환경 또는 시스템: 환자 차트(전자식 또는 기타), 환자를 볼 수 있는 시간 제한 또는 이 환자의 이전 기록.


  • 1. The health care professional: The focal individual in whose “head” the reasoning is occurring;

  • 2. The patient: The source of history, physical examination findings, lab results, and diagnostic cues;

  • 3.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s: Whether a consultant, a team member, someone providing expert opinion, or someone providing an interpretation of lab findings;

  • 4. A family member or other provider of collateral history: An individual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context of the complaint or patient preferences; and

  • 5. The health care environment or system: Patient charts (electronic or otherwise), restrictions on the time available to see a patient, or previous history with this patient.


일부는 임상 추론을 [의료 전문가의 개별 인지 프로세스(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로 제한하였고, 어떤 연구진은 [임상 추론의 관련 요소(예: 전자 건강 기록과의 상호작용)로서 인간 기술 또는 인간 체계의 상호작용]을 포함하였다. 팀원들은 임상 추론의 특정한 영역을 강조하여, 무엇이 임상 추론의 연구, 교육 또는 평가를 위한 정당한 대상인지에 대해 다른 고려사항을 제시했다. 

Some restricted clinical reasoning to the health care professional’s individual cognitive processes (whether conscious or unconscious), and others included human–technology or human– system interactions as being relevant components of clinical reasoning (e.g., interactions with electronic health records). Team members highlighted specific areas of focus of clinical reasoning , suggesting different considerations for what may be legitimate targets for research, teaching, or assessment of clinical reasoning.


예를 들어, 팀원들이 가지고 있는 임상 추론 개념의 범위는 다음과 같이 다양하였다.

For example, team members’ conceptualizations of clinical reasoning were variably limited to:


1. 의료 제공자 개인의 인지 프로세스

2. 환자와 의료 제공자 간의 상호 작용

3. 환자와 의료 제공자 간의 상호작용과, 여기에 그 외 데이터 출처를 허용(예: 실험실 보고서, 전문가의 의견)

4. 거의 범위제한이 없음. 즉, "추론의 최종 결과에 기여"하는 어떤 것이든 임상 추론의 구성요소로 포함되고 허용

  • 1. The individual cognitive processes of the health care provider;

  • 2. The interaction between patient and health care provider;

  • 3. The interaction between patient and heath care provider, with allowance for other data sources (such as lab reports, expert opinion); or

  • 4. Very few limits, where anything that “contributed to the final outcome of reasoning” was included and permissible as a component of clinical reasoning.


경계 긋기

Drawing Boundaries


우리의 관찰을 해석하는 것을 돕기 위해, 우리는 수학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연습인 경계 조건의 서술에 비유하는 것이 유용하다는 것을 알았다.

To help us interpret our observations, we found it useful to draw an analogy to a practice common in mathematics: the delineation of boundary conditions.


경계조건은 수학에서 미분 방정식 분야의 핵심 개념이다.21 그것은 "미분방정식에 대한 가능한 해결책을 제한하는 명시적 제한"이다. 어떤 작업에서, 사용 중인 경계 조건을 명시하는 목적은 구성된 방정식이 작동할 것으로 예상되는 조건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다.

  • 경계조건 내부에서, 방정식은 설명력을 가져야 하며 주어진 매개변수 내의 해결책이 가능해야 한다. 

  • 경계조건 외부에서, 공식이 기능할 것이라는 기대는 없다. 

따라서 특정 경계 조건을 설정할 때 수학자들은 이론이나 모델이 보유할 것으로 예상되는 문제 공간을 명확하게 기술한다.

A boundary condition is a notion core to the field of differential equations in mathematics.21 It is “a stated restriction, usually in the form of an equation, that limits the possible solutions to a differential equation.”22 The purpose of stating the boundary conditions at play in your work is to clearly delineate the conditions under which you expect the constructed equation to operate—within the boundaries, the equation should have explanatory power and a solution within given parameters should be possible; outside of the boundary conditions, there is no expectation for the formula to function. In setting specific boundary conditions, mathematicians therefore clearly delineate the problem space in which their theory or model is expected to hold.


이 수학적 원리를 임상추론의 맥락에 확장하면

If we extend this mathematical principle to the current context,


  • 예를 들어, 예시 이론과 같은 인지 이론은 다층 의료팀을 조사하기 위해 설계된 연구에 사용된다면 예측력의 일부를 잃을 수 있다. 

  • 또는, 성찰적 실천과 같이 메타인지에 뿌리를 둔 이론은 신속한 영상검사 해석을 검토할 때 설명력이나 서술력이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예들은 연구 설계 또는 집중 영역과 서로 다른 개념화 또는 임상 추론 이론의 기초가 되는 경계 조건 사이의 불일치를 강조한다.

  • For example, a cognitive theory such as exemplar theory23 may lose some of its predictive power if used in a study designed to examine multileader health care teams.

  • Or, a theory rooted in metacognition, such as reflective practice,24 may have less explanatory or descriptive power when examining rapid radiographic interpretation. 

These examples highlight a mismatch between study design or area of focus and the boundary conditions that underlie different conceptualizations or theories of clinical reasoning.


우리는 경계 조건과 연습 결과의 유추를 이용하여 두 가지 추측성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Using the analogy of boundary conditions and the findings from our exercise, we are able to draw two speculative conclusions.


첫 번째 추정은 임상 추론 문헌에서 우리가 관찰한 단편화를 생각하면, 저자들은 서로 다른 경계 조건 내에서 작동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서로 다른 작업 체계는 그들이 지지하는 임상 추론의 [서로 다른 개념화]가 [서로 다른 경계 조건]에 의해 틀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거의 합치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임상적 충돌 동안에 임상의사가 관여하는 인지적 과정으로 임상적 추론의 정의를 제한하는 경계는 추론에 대한 환경적 또는 기술적 영향의 영향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경계 조건과 잘 일치할 것 같지 않다. 특정 연구의 경계 조건 외부에 위치한 연구자들은 자신의 경계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연구를 정당하다고 여기기가 어렵거나, 그 문헌에서 나온 연구 결과를 그 현상에 대한 그들 자신의 이해에 매핑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The first speculation is that the fragmentation we have observed in the clinical reasoning literature13 may represent authors’ tendencies to operate within different boundary conditions. Different bodies of work would rarely coalesce because the different conceptualizations of clinical reasoning they espouse are framed by different boundary conditions—for example, boundaries that limit the definition of clinical reasoning to the cognitive processes engaged by clinicians during clinical encounters are unlikely to align well with the wider set of boundary conditions encompassing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or technological influences on reasoning. Researchers exploring literature situated outside of their boundary condition are likely to struggle to engage with it as legitimate research, or struggle to map the findings from that literature onto their own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on.


두 번째 추정은 유사한 경계 조건 내에서 작업하는 연구자, 교육자 및 실무자들과 관련이 있다. 임상적 추론에서 출판 패턴에 대한 피상적인 검토는 서로 활발히 engage하는 저자들은 유사한 경계 조건 내에서 활동할 가능성을 보여준다예를 들어, 우리는 인간 인식이라는 경계 조건 내에서 일하는 저자들이 (서로서로는) 풍부하고 열정적으로 관여하지만, 다른 경계 조건 내에서 활동하는 저자들의 작품을 거의 인용하지 않는 것을 관찰했다.

The second speculation relates to the researchers, educators, and practitioners who operate within similar boundary conditions. A cursory review of publication patterns in clinical reasoning suggests that the authors who engage actively with each other (and typically disagree) operate within similar boundary conditions—for example, we have observed that the authors who work within boundary conditions limited to human cognition (representing several different conceptual frameworks and theoretical lenses) engage profusely and enthusiastically, but seem to rarely cite work from those operating within a different set of boundary conditions.


[경계 조건]이라는 은유는 검토 과정 동안 우리 자신의 연구팀 내에서 발생하는 의견 불일치를 조명하는 데 우리에게 꽤 유용했다.

The analogy of boundary conditions has been quite useful for us in shedding light on the disagreements occurring within our own research team during the review process.


성찰

Reflections


임상적 추론에 대한 개개인의 이해를 명시적으로 하는 과정은 우리 팀 내의 서로 다른 관점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가져왔다.

The process of rendering our individual understandings of clinical reasoning explicit resulted in valuable insights into the differing viewpoints within our team,


팀원 간의 차이는 주로 임상 추론이 "끝나는" 위치(=목적)가 어디이며, 추론 프로세스가 작동하는 경계 조건이 무엇인지에 대한 것이다.

Disparities amongst team members primarily pertained to individual demarcations regarding where clinical reasoning “ends” and the boundary conditions under which the reasoning processes operates.


문헌에서 임상 추론 연구는 다양하고 역사적으로 단편화되어있다. 그러므로 이 문헌이 구성요소 프로세스와 기여 요인 주위에 배치될 수 있는 복수의 정의와 복수의 가능한 한도의 공존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 다양한 정의 또는 개념화가 병렬적으로 존재하는 이러한 모습은 "전문직업성", 26 "타당도", 27 및 "역량"28 등 HPE25의 다른 영역에서도 자주 언급되며, 임상추론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Clinical reasoning research represents a diverse and historically fragmented literature10; it is not surprising, then, that this literature may represent multiple notions of what clinical reasoning “is”— specifically the coexistence of multiple definitions and multiple possible limits to be placed around component processes and contributing factors. This coexistence of multiple parallel definitions or conceptualizations has been documented in other domains in HPE25 such as “professionalism,”26 “validity,”27 and “competence”28—and so is not limited to the construct of clinical reasoning.


(연구자는) 스스로 자신의 경계 조건들을 "라벨링"함으로써, 다루고자 하는 문제와 우리가 연구하려고 하는 현상의 세부사항들을 기술할 의무가 있으며, 우리의 이론들이 사실일 것으로 기대되는 조건에 대해 명시할 수 밖에 없다. 그것은 또한 다른 사람들이 우리의 연구를 적절히 비평할 수 있게 할 것이고 경계 조건이나 이론적 틀에 걸친 협력 증대를 위한 문을 열 수 있게 할 것이다.

“Labeling” our boundary conditions would oblige us to delineate the problem we are trying to address and the specifics of the phenomenon we are attempting to study, and compel us to be explicit about the conditions under which we expect our theories to hold true. It would also allow others to appropriately critique our research work and may open doors for increased collaborations across boundary conditions or theoretical frames.


시사점 및 한계점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경계 조건의 수학적 개념은 유용한 비유로 작용했다.

The mathematical concept of boundary conditions has served as a useful analogy


그러나 경계 조건의 개념은 불변의 장벽, 지식의 비전송성, 정해진 조건, 그리고 이론 프레임의 비교 불가능한 차이를 시사한다.

However, the notion of boundary conditions suggests impermeable barriers, nontransferability of knowledge, set conditions, and incommensurable differences in theoretical frames.


우리는 대신에 임상추론을 개념화하는 경계가 투과성을 가진다고 제안하고 싶다이 분야의 연구자들이 이론이나 경계 조건에 걸쳐 겹치는 영역, 즉 상호보완성을 찾기 위해 노력한다면, 임상 추론의 교육 및 평가를 종합적으로 지원하고, 그 개념에 대한 우리의 기본적 이해를 더욱 발전시킬 것이다.

We would like to suggest, instead, that the boundaries within which clinical reasoning is conceived have the potential to become permeable, as researchers in the field work to find areas of overlap, or complementarity, across theories or boundary conditions to comprehensively support the teaching and assessment of clinical reasoning and to further develop our foundational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임상 추론에 대한 통일된 정의는 달성할 수 있지 않으며, 심지어 바람직하다고도 할 수 없다. 오히려, 경계에 대한 개방적인 인정은 임상 추론과 그 구성요소 프로세스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이해를 구축하기 위해 임상 추론에 종사하는 사람들 간에 더 나은 의사소통을 촉진할 수 있다.

It is unlikely that a unified definition of clinical reasoning is achievable, or even desirable; rather, the open acknowledgment of the boundaries could facilitate better communication amongst those working in clinical reasoning to build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linical reasoning and its component processes.


이번 성찰적 연습에 따르면, 임상 교사들이 모두 임상 추론의 동일한 개념화를 공유하고 있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 또한 임상 추론의 개념을 논의할 때 학생과 교사가 동일한 이해를 공유할 가능성도 낮다. 이는 교육 팀이 커리큘럼을 설계하거나 역량의 합의된 정의를 위해 작업하거나 교육 결과를 설명할 때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임상 추론에 "관련된" 기여자인 것에 대한 다른 개념으로 인해 학습자에게 "좋은" 임상 추론의 "올바른" 버전을 가르치는 데 유용하거나 필요한 것으로 보이는 다른 작업이 발생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HPE 커뮤니티가 이러한 다양한 개념화 및 경계 조건이 임상적 추론을 가르치고 평가하는 방법 및 암묵적 경계 조건의 예상하지 못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어떻게 "어떻게" 반성할 것을 촉구한다.

On the basis of this reflective exercise, it is unlikely that clinical teachers all share the same conceptualization of clinical reasoning, and also unlikely that students and teachers share the same understanding when discussing the concept of clinical reasoning. This may lead to difficulty when educational teams design curricula, work toward consensus definitions of competencies, or describe educational outcomes. It is also possible that different notions of what is a “relevant” contributor to clinical reasoning would result in different tasks seen as useful or necessary for teaching learners the “right” version of “good” clinical reasoning. 


중요한 것은, HPE 커뮤니티가 이러한 다양한 개념화 및 경계 조건이 [우리가 임상적 추론을 가르치고 평가하는 방법과 암묵적 경계 조건의 가능한 의도하지 않은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미친다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성찰할 것을 촉구한다.

Importantly, we urge the HPE community to reflect on “if and how” these varied conceptualizations and boundary conditions affect the ways in which we teach and assess clinical reasoning and the possible unintended consequences of implicit boundary conditions.




14 Thomas A, Lubarsky S, Durning SJ, Young ME. Knowledge syntheses in medical education: Demystifying scoping reviews. Acad Med. 2017;92:161–166.


17 Gordon M. Are we talking the same paradigm? Considering methodological choices in health education systematic review. Med Teach. 2016;38:746–750.


4 Durning SJ, Artino AR Jr, Schuwirth L, van der Vleuten C. Clarifying assumptions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and assessment of clinical reasoning. Acad Med. 2013;88:442–448.


27 St-Onge C, Young M, Eva KW, Hodges B. Validity: One word with a plurality of meanings.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7;22:853–867.







, 93 (7), 990-995
 

Drawing Boundaries: The Difficulty in Defining Clinical Reasoning

Affiliations 

Affiliation

  • 1M. Young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and research scientist,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A. Thomas is assistant professor, School of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and research scientist,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McGill University; and researcher, Centre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Rehabilitation of Greater Montreal, Montreal, Quebec, Canada. S. Lubarsky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eurology, and core member,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T. Ballard is a plastic surgery resident,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Michigan. D. Gordon is associate professor, Division of Emergency Medicine, Department of Surgery, Duk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urham, North Carolina. L.D. Gruppen is professor, Department of Learning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Michigan Medical School, Ann Arbor, Michigan, United States. E. Holmboe is senior vice president for milestone evaluation and development,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Chicago, Illinois, and adjunct professor of medicine, Yale University, New Haven, Connecticut, and Feinberg School of Medicine, Northwestern University, Chicago, Illinois. T. Ratcliffe is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Texas Health Science Center, San Antonio, Texas. J. Rencic is associate professor of medicine, Tuft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member,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Tufts Medical Center, Boston, Massachusetts. L. Schuwirth is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Flinders University, and director, Flinders University Prideaux Centre for Research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delaide, South Australia, Australia; and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Chang Gung University, Taoyuan City, Taiwan; and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Bethesda, Maryland. S.J. Durning is professor of medicine and director of graduate program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Bethesda, Maryland.

Abstract

Clinical reasoning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a health professional's practice. Yet clinical reasoning research has produced a notably fragmented body of literature. In this article, the authors describe the pause-and-reflect exercise they undertook during the execution of a synthesis of the literature on clinical reasoning in the health professions. Confronted with the challenge of establishing a shared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 relevant components of clinical reasoning, members of the review team paused to independently generate their own personal definitions and conceptualizations of the construct. Here, the authors describe the variability of definitions and conceptualizations of clinical reasoning present within their own team. Drawing on an analogy from mathematics, they hypothesize that the presence of differing "boundary conditions" could help explain individuals' differing conceptualizations of clinical reasoning and the fragmentation at play in the wider sphere of research on clinical reasoning. Specifically, boundary conditions refer to the practice of describing the conditions under which a given theory is expected to hold, or expected to have explanatory power. Given multiple theoretical frameworks, research methodologies, and assessment approaches contained within the clinical reasoning literature, different boundary conditions are likely at play. Open acknowledgment of different boundary conditions and explicit description of the conceptualization of clinical reasoning being adopted within a given study would improve research communication, support comprehensive approaches to teaching and assessing clinical reasoning, and perhaps encourage new collaborative partnerships among researchers who adopt different boundary conditions.


전문가적 진단에 대한 저명한 의사의 인식(Acad Med, 2012)

Renowned Physicians’ Perceptions of Expert Diagnostic Practice

Maria Mylopoulos, PhD, Lynne Lohfeld, PhD, Geoffrey R. Norman, PhD, Gurpreet Dhaliwal, MD, and Kevin W. Eva, PhD




보건 전문가 커뮤니티의 교육자들은 전문가 퍼포먼스를 이해하고 보다 효과적인 전문가를 개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역량 프레임워크를 만들기 위해 광범위한 노력을 해왔다. 의학 분야에서 이러한 전문지식의 탐구들은 전통적으로 의사의 진단적 통찰력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임상적 추론을 뒷받침하는 지식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연구자들이 의사의 조직과 지식의 사용에 있어 중요한 전문가의 차이를 확인한 반면에, 연구자들은 모든 의사가 동일한 수준의 전문가 성과를 달성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 의사들은 그냥 '그저그런 정도에 머무는' 것을 점점 더 인식하고 있다.2

Educators in the health professions community have made extensive efforts both to understand expert performance and to create appropriate competency frameworks that can be translated into developing more effective experts. In the field of medicine, these explorations of expertise have traditionally focused on physicians’ diagnostic acumen, with an emphasis on understanding the knowledge that underpins effective and efficient clinical reasoning. Whereas researchers have identified important expert–novice differences in physicians’ organization and use of knowledge,1 researchers also increasingly recognize that not all physicians achieve the same level of expert performance, with some merely “swelling the ranks of the mediocre.”2


의사의 진단적 통찰력을 뛰어넘는 전문가 수행의 측면을 탐구하는 연구는 이러한 현실을 강화시켰다. 본 연구는 "적응적 전문가adaptive expert"는 지식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그 실천과정에서 새로움을 접하면 새로운 지식을 구축할 수 있는 방법을 강조하여, 지속적인 실천 개선 과정에 참여하는 것을 강조한다.3 또한, 걸출한exceptional 의료 실천에 대해 의사가 어떤 개념을 가지고있는지가 더 한 사람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넘어서는 다양한 기술과 전문적인 적합성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4

Studies exploring facets of expert performance that range beyond physicians’ diagnostic acumen have reinforced this reality. This research has emphasized the ways in which “adaptive experts” not only use knowledge effectively but also are able to construct new knowledge in response to novelty in their practice, thereby engaging in a process of sustained practice improvement.3 Moreover, our own research has shown that physicians’ conceptions of exceptional medical practice increasingly reflect a diverse set of skills and professional aptitudes that extend beyond the knowledge that one possesses.4


방법

Method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우리는 전문가 진단 실습의 실질적인 이론의 개발에 기여하기 위하여, 구성주의적 근거이론의 인터뷰 기반 연구를 수행했다.

From 2008 to 2010, we conducted a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5 interview-based study,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substantive theory of expert diagnostic practice.


참가자

Participants


우리의 목표 샘플링 접근방식은 기준과 이론적 샘플링 전략을 결합했다.6

Our purposive sampling approach combined both criterion and theoretical sampling strategies.6


우리의 샘플을 내과 교수진들로 제한하는 것은 그들이 특별한 동료들을 지명하는 이유의 변동성을 단순히 전문분야에 걸친 다양성에 기인할 수 없다는 것을 보장했다.

Restricting our sample to internal medicine faculty ensured that any variability in their reasons for nominating an exceptional colleague could not be attributed simply to the variability across specialties.


우리는 이메일을 통해 모든 내과 교수들에게 그들이 "뛰어난 의사"로 간주하는 동료들을 지명하는 웹 기반의 조사를 완료하도록 요청했다. 응답자들이 특정한 실천적 측면에 편견을 갖지 않도록 하기 위해, 우리는 "뛰어난 실무자"라는 문구를 정의하지는 않았다. 그 후 응답자에게 "걸출한 진단가"와 "걸출한  전문가"를 추천하도록 요청하였다.4 전자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후자를 "윤리적인 의사결정, 의사소통 능력 또는 환자와의 관계에 근거한 것"이라고 정의했다.

We asked all internal medicine faculty via e-mail to complete a Web-based survey nominating peers whom they considered to be “outstanding practitioners.” To avoid biasing respondents to particular aspects of practice, we did not define the phrase “outstanding practitioner” any further. We then asked respondents to nominate “exceptional diagnosticians” and “exceptional professionals.”4 We did not elaborate further on the former term but did define the latter as being “based on ethical decision-making, communication skills, or relationships with patients.”


포화 샘플7에는 34명의 참가자가 포함되었다. 20명은 예외적인 진단 전문가로, 14명은 예외적인 전문가로 지명되었다.

Our saturation sample7 included 34 participants: 20 nominated as exceptional diagnosticians, 14 nominated as exceptional professionals.


자료 수집

Data collection


본 연구의 2단계인 현재 연구를 위해, 우리는 각 참가자들과 1시간 반의 구조적인 인터뷰를 실시했다. 우리는 우리 연구팀의 구성원들과 4명의 연구 과학자 그리고/또는 일반 전문 문헌에 대한 강한 지식을 가진 의료 교육자들이 포함된 하루 동안의 회의 동안에 협의 과정에서 인터뷰 프로토콜을 개발했다. 우리는 먼저 각 참가자의 뛰어난 임상 실습, 진단적 통찰력, 전문가 문제 해결, 개인 생활 및 경력 궤적에 대한 개념화를 탐구했다. 그런 다음 참가자들에게 "쉬운", "힘든" 또는 "스텀퍼"로 판명된 진단 경험(즉, 결코 해결할 수 없는 경우)을 설명해 달라고 요청했다.

For our current study, phase two of the project, we conducted a one-hour, semistructured interview with each participant. We developed the interview protocol in a consultative process during a daylong meeting that included members of our research team and four research scientists and/or medical educators with strong knowledge of the general expertise literature. We first explored each participant’s conceptualizations of outstanding clinical practice, diagnostic acumen, expert problem solving, and personal life and career trajectory. We then asked the participants to describe diagnostic experiences that they found to be “easy,” “hard,” or “stumpers” (i.e., cases they were never able to solve).


자료 분석

Data analysis


우리는 면접 성적표에 대한 구성주의적 근거 이론 분석을 실시했다. 각 연구팀원(연구현장 3명, 연구보조원 1명)은 일정한 비교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자료수집 과정에서 나타난 예비코드를 개별적으로 파악했다.7 우리의 구성주의 기반 이론 접근방식과 일관되게, 팀의 각 구성원은 데이터를 탐색하기 위해 자신의 이론 렌즈를 사용했고, 그 결과 데이터에서 나올 때 유도적인 주제와 연역적 연구자들이 그들의 이전 데이터 및 이론적 관점을 의도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사용한 분석 프로세스를 만들었다.그는 주제 구조를 드러내고 있다.

We conducted a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analysis of the interview transcripts. Each member of the research team (five investigators from three of the research sites and a research assistant) individually identified the preliminary codes as they emerged during data collection to facilitate the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7 Consistent with our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approach, each member of the team used his or her own theoretical lens to explore the data, resulting in an analytic process that was both inductive—themes developed as they emerged from the data—and deductive—researchers purposefully used their prior data and theoretical perspectives to develop the emerging thematic structure.


결과

Results


의사들이 전문가 진단 관행을 개념화하는 방법에 대한 이해를 나타내는 4개의 상호 연결된 테마가 인터뷰 기록에 대한 분석에서 나타났다. 

(1) 의료 실무에 대한 목적적이고 지속적인 참여를 통해 구축된 광범위한 지식 보유 

(2) 환자 "스토리"를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기술의 보유

(3) 해당 지식과 진단 중 환자 이야기를 반영하여 통합

(4) 임상실습을 통한 지속적인 학습

Four interconnected themes informing our understanding of how physicians conceptualize expert diagnostic practice emerged from our analysis of the interview transcripts: 

  • (1) possession of extensive knowledge built through purposeful, continuous engagement in clinical practice, 

  • (2) possession of the skills to effectively gather patient “stories,” 

  • (3) reflective integration of that knowledge and those patient stories during diagnosis, and 

  • (4) continuous learning through clinical practice.


주제 1: 임상 실습에서 목적적이고 지속적인 참여를 통해 구축된 광범위한 지식 보유

Theme 1: Possession of extensive knowledge built through purposeful, continuous engagement in clinical practice


참석자들은 폭넓은 지식 기반을 확보하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들은 지식의 개발과 유지보수를 의료실무에 지속적으로 관여하는 적극적인 과정으로 보았다.

Participan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cquiring and maintaining an extensive knowledge base. Notably, they saw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knowledge as an active process of continued engagement in clinical practice:


참가자들은 [임상적 실천을 통해 이루어지는 일상적인 학습]이 우수성을 뒷받침하는 광범위한 지식기반의 유지에 필수적이라고 강조한 반면, 그들은 또한 [자신의 전문분야에 대한 깊은 지식]을 유지하고 [여러 의료영역에 걸쳐 광범위하게 넓히는 데] 있어서 독서reading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Whereas participants emphasized that the daily learning that takes place through clinical practice is integral to the maintenance of the extensive knowledge base underpinning excellence, they also commented on the importance of reading both for maintaining a deep knowledge in their specialty and for gaining breadth across the broader medical domain:


비록 그 점이나 그 논문이 내가 현재 하고 있는 어떤 일에도 사실 전혀 무관한 것처럼 보이지만, 지금부터 6개월 내지 8개월 후에 그것이 관련될지도 모른다. 그리고 사실대로 말하자면 나는 아주 자세하게 기억하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나에게 어떤 임상적인 점에 대한 나의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추가적인 약간의 지식을 가질 수 있는 계층화, 배경화 그리고 능력을 주는 것 같다.

Even though that point or that article is seemingly actually quite irrelevant to anything I’m doing currently, six or eight months from now that might become relevant. And to tell you the truth I won’t remember a lot in great detail. But, it seems to give me that layering and background and ability to then have that additional little bit of knowledge that maybe influences my decision about some clinical point.


주제 2: 환자 이야기를 효과적으로 수집하는 기술 보유

Theme 2: Possession of the skills to effectively gather patient stories


참가자들은 진단 과정에서 환자 이야기라고 기술한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들은 신체 검진와 관련된 효과적인 의사소통 및 기술력을 포함하여 이러한 이야기를 습득할 수 있는 기술을 강조하였다.

Participants noted the importance of acquiring knowledge that they described as patient stories during the diagnostic process. They highlighted the skills that enabled them to acquire these stories, including effective communication and technical skills related to physical examination:


사실, 나는 듣는 것을 배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해. 이 기술은 [환자가 당신에게 말하고자 하는 것]을 실제로 듣고, [환자가 당신이 듣고자 하는 것만 말하도록 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다. 그것들은 매우 다른 것이다. 나는 숙련되지 않은 임상의가, 경험이 적은 임상의가 계속 질문을 할수록 환자가 실제로 가만히 앉아서 무슨 말을 해야 하는지를 듣는 것이 아니라 환자에게 지시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진단은 당신의 눈이 아니라 귀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Actually, I think most important is learning to listen. It’s the skill of actually hearing what the patient wants to tell you and not trying to get the patient to tell you what you want to hear. Those are two very different things. I think the less skilled clinician, less experienced clinician interrupts, keeps asking questions, directs the patient rather than actually sitting back and actually hearing what the patient has to say because the vast majority of diagnosis happens with your ears, not with your eyes.


참가자들은 또한 [사용 가능한 모든 지식을 환자 이야기와 관련지어 관찰 및 분석하는 것]을 통하여, 환자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Participants also commented on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patient interactions through observing and collating all available knowledge into a patient story:


엘리트 임상의는 지식과 기술력뿐만 아니라, 듣고 보고 두드리고 나서 모든 것을 종합해 볼 수 있는 능력이 있는데, 이것은 그들이 가지고 있는 또 다른 재능이다.

Elite clinicians not only knowledge and technical skills, but they have the ability to pick up the physical things by hearing, looking at it, percussing it, and then have to put it all together, which is another talent they have.


주제 3: 진단 중 해당 지식과 환자 이야기를 반영하여 통합

Theme 3: Reflective integration of that knowledge and those patient stories during diagnosis


참가자들은 [과거의 지식]과 [경험을 현재]의 [환자 이야기]와 통합하여 발생하는 진단 과정을 이해하였다.

Participants understood the process of diagnosis to occur through the integration of past knowledge and experience with a current patient story:


또한 참가자들은 진단 과정 중에 지식을 효율적으로 통합하고 사용하기 위한 패턴 인식의 우선성을 인식했다.

In addition, participants recognized the primacy of pattern recognition for integrating and using knowledge efficiently during the diagnostic process:


경험적 데이터베이스를 가져가야 할 것 같다. 휴리스틱스나 패턴 인식을 위해 지름길을 만들 수 있도록 말이다. 그것은 오직 경험으로만 올 수 있다. 여러분은 심장마비라는 주제에 대한 20가지의 다른 변형을 봐야만 한다. 심장마비라는 미묘한 비정형적 표현뿐만 아니라 공통점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So I think you have to take your experiential database … to allow you to kind of make short cuts to have those heuristics, that pattern recognition. That only can come with experience. You have to have seen 20 different variations of the theme of heart attacks to be able to recognize the common as well as the subtle atypical presentations.


그러나 참여자들은 패턴 인식이 오진을 초래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인식하였고, 진화하는evolving 진단을 위해 성찰적 자세가 필요하고, 보완적임을 명시하였다.

However, participants also articulated a necessary and complementary reflective stance toward the evolving diagnosis, thereby recognizing the possibility that pattern recognition can lead to misdiagnosis:


내가 가끔 빠져드는 함정이나 함정 중 하나는 이것이 패턴에 해당한다고 가정하고 어떤 상태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네모난 펙트를 잘못된 구멍에 집어넣으려고 하는 것과는 반대로 "좋아, 또 무슨 일이 일어날 수 있지?" "왜 이게 맞지 않는 거지?"라고 말하는 사고의 융통성을 유지하기는 어렵다.

One of my traps or pitfalls that I fall into sometimes is that you kind of assume this is going to fall into the pattern and you kind of get anchored to a certain condition. And it’s hard to keep the flexibility of thought to say, “Okay, what else could be going on?” and “Why is this not fitting?” as opposed to trying to jam a square peg into the wrong hole.


또한 참가자들은 자신의 경험을 활용하여, 기존 지식이 필요한 진단을 위해 불충분할 때를 인식하는 것현재 환자 평가를 자신의 임상 영역에 대한 깊은 이해를 증진시키는 기회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Moreover, participants noted the importance both of using their experience to recognize when their existing knowledge was insufficient for the necessary diagnosis and of using their current patient assessment as an opportunity to cultivate a deep understanding of their clinical domain:


주제 4: 임상 실습을 통한 지속적인 학습

Theme 4: Continuous learning through clinical practice


진단 활동에 대한 성찰적 접근방식은 medical practice에 대한 광범위한 접근방식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이러한 태도는 그들을 평생학습자로 만들었다. 왜냐하면 [실천에 기초한 학습에 종사하는 임상의사로서 겸손]의 필요성뿐만 아니라 [그들 자신의 지식에 대한 회의적인 입장]을 갖게 했기 때문이다.

For participants, the reflective approach to the activity of diagnosis was mirrored by their broader approach to medical practice that shaped them as lifelong learners through the adoption of a skeptical stance toward their own knowledge as well as the need for humility as clinicians engaged in practice- based learning;


겸손한 것 같아. 겸손은 당신의 실수로부터 배우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당신이 근본적인 것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다음 번에는 그것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것도 전문가로서의 한 부분이다.

I think being humble. I think humility means learning from your mistakes also because you remember when you didn’t do something fundamental so you don’t do it the next time. That’s part of being an expert too.


고찰

Discussion


우리의 결과는 네 가지의 상호 연결된 진단 관행을 강조하는 탁월함의 모델을 보여준다.

Our results reveal a model of excellence that emphasizes four interconnected dimensions of diagnostic practice.


의학 교육에 있어서의 현재 담론의 맥락 안에서 우리의 결과를 탐구하는 것은 이러한 우수한 진단능력을 구성하는 두 가지 주요 특징을 전면에 내세운다. 

(1) 진단 프로세스를 뒷받침하는 의료 역량의 통합적 특성 

(2) 진단 프로세스의 "최적 적응" 특성.

Exploring our results within the context of current discourses in medical education brings to the forefront two key features of this construct of diagnostic excellence: 

(1) the integrated nature of the medical competencies that underpin the diagnostic process, and 

(2) the “optimally adaptive”3 nature of the diagnostic process.


대학원 의학 교육 위원회(ACGME)의 핵심 역량9 및 CanMEDS 의사 역할10은 강력한 지식 기반을 넘어 광범위한 기술을 유지하는 의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우리의 연구에서 나온 우수성의 모델은 [진단 전문가로서의 능력을 유지하고 향상시키기 위하여] [진단 프로세스 및 광범위한 접근 방식에서 의사가 다양한 역량을 어떻게 통합하는지]를 강조한다.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 core competencies9 and the CanMEDS physician roles10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hysicians maintaining a broad skill set beyond a strong knowledge base. The model of excellence that emerged from our study highlights the ways in which physicians integrate different competencies both during the diagnostic process and in their broader approach to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ir skills as diagnosticians.


예를 들어, 우리의 연구결과는 뛰어난 의사가 진단적 실천을 생각하는 방식이 다음의 밀접한 관계를 반영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CanMEDS 역할에서 의료 전문가, 의사 전달자 및 학자

  • ACGME 역량에서 의료 지식, 대인 관계 및 커뮤니케이션 기술, 연습 기반 학습 및 개선 

For example,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way in which reputed physicians conceive of diagnostic practice reflects a close entwining of 

  • the medical expert, communicator, and scholar CanMEDS roles, or 

  • the medical knowledge, 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practice-based learning and improvement ACGME competencies.


우리가 여기서 보고한 결과는 한 가지 능력이나 역할을 훌륭히 해내는 것만으로 뛰어난 의사가 되기에는 부족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게다가, 그들은 의사들이 통합적 구조로서 그들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의료 행위를 이해한다는 것을 증명한다.

the results that we report here suggest that excelling in any one competency or role alone is insufficient to be an exceptional physician. Moreover, they demonstrate that physicians understand their own and others’ medical practice as an integrated construct,


기본적으로, 학생과 전공의가 진단 전문 지식과 뛰어난 의료 지식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돕는데 있어서, 우리는 그들의 실천기반 학습과 의사소통 기술을 동시에 길러야 한다이러한 기술들을 그들의 진단적 우수성의 발전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며, 단순히 양호한 임상 수행의 독립적인 요소가 아니다이와 관련하여, 특정 역량에 의도적으로 초점을 맞추는 평가 관행은 역효과를 낳을 수 있기에, 역량이 독립적으로 평가되어야 한다는 wisdom에 더욱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Essentially, in helping students and residents strive for diagnostic expertise and outstanding medical knowledge, we must simultaneously cultivate their practice-based learning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treat these skills as a crucial means toward their development of diagnostic excellence, rather than simply as independent components of good clinical performance. In this regard, assessment practices that deliberately focus on a particular competency may be counterproductive, bringing further into question the wisdom of assessing competencies independently.11


참가자들은 진단 정의에서 이러한 기술의 통합은 사전 지식과 환자 이야기를 결합하는 과정으로 설명하면서 환자가 마주치는 동안 진화하는 진단에 대한 성찰적 자세를 채택했다. 예를 들어, 참가자는 지식을 [패턴 인식 과정을 통해 환자를 효율적으로 진단하는 수단]으로서뿐만 아니라 [까다로운 진단 사례에서 새로운 지식을 구성하기 위한 자료]로서 설명하였다. 적응성 전문 이론가들이 말한 바와 같이, 이러한 행위는 의사가 "최적 적응성 경로"을 따르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Participants described this integration of skills in their definition of diagnosis as a process of combining prior knowledge with patient stories while adopting a reflective12,13 stance toward a diagnosis as it evolves during a patient encounter. For example, participants described using knowledge not only as a means to efficiently diagnose a patient through a process of pattern recognition but also as a resource to construct new knowledge in challenging diagnostic cases. We understand this process to be at work when a physician is working within the “optimal adaptability corridor,”3 as described by adaptive expertise theorists.


optimal adaptability corridor OAC 란 적응적 전문가가 실천의 효율(과거 지식의 사용)혁신(새로운 지식의 구축 및 학습) 치수 사이에서 효과적인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실제로 이러한 전문가들은 그 한계로 인해 제약이나 misled 없이 과거의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동시에 필요할 때 효과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지식을 구축할 수 있다. OAC를 따르게 되면, 본 연구에서 "임상실천을 통한 지속적인 학습"으로 개념화한 프로세스인, 문제 해결과정을 통한 지속적 학습이 가능하다

The optimal adaptability corridor refers to the ability of adaptive experts to maintain an effective balance between complementary efficient (use of past knowledge) and innovative (construction and learning of new knowledge) dimensions of their practice. In effect, these experts are able to use their past knowledge without being constrained or misled by its limitations, while also constructing new knowledge for effective problem solving when necessary. Working within the optimal adaptability corridor allows experts to continuously learn as they problem solve, a process that participants conceptualized as “continuous learning through clinical practice.”






, 87 (10), 1413-7
 

Renowned Physicians' Perceptions of Expert Diagnostic Practice

Affiliations 

Affiliation

  • 1University of Toronto Faculty of Medicine, Learning Institute, Hospital for Sick Children, Toronto, Ontario, Canada. maria.mylopoulos@utoronto.ca

Abstract

Purpose: To further the development of a substantive theory of expert diagnostic practice, the authors explored the ways in which exceptional physicians, nominated by their peers, conceptualized their own diagnostic expertise specifically and diagnostic excellence generally.

Method: In this grounded theory, interview-based study, physicians at six North American research sites were nominated by their peers as exceptional diagnosticians and exceptional professionals and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 saturation sample included 34 participants, 20 exceptional diagnosticians, and 14 exceptional professionals. Using a constant comparative approach, the authors conducted one-on-one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transcribed the audiotapes of those interviews, and analyzed them for emergent themes. They developed a stable thematic structure and applied it to the entire data set.

Results: Four interconnected themes emerged that inform the community's understanding of how physicians conceptualize expert diagnostic practice: (1) possession of extensive knowledge built through purposeful, continuous engagement in clinical practice, (2) possession of the skills to effectively gather patient stories, (3) reflective integration of that knowledge and those patient stories during diagnosis, and (4) continuous learning through clinical practice.

Conclusions: Exploring these results within the context of current discourses in medical education brings to the forefront two key features of physicians' construction of diagnostic excellence: (1) the integrated nature of the medical competencies that underpin the diagnostic process and (2) the optimally adaptive nature of the diagnostic process. These findings can inform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and effective pedagogical strategies to guide trainees, clinicians, and medical educators who strive for excellence.


임상추론에서 오류의 원인: 인지적 편향, 지식 부족, 이중처리 사고(Acad Med, 2017)

The Causes of Errors in Clinical Reasoning: Cognitive Biases, Knowledge Deficits, and Dual Process Thinking

Geoffrey R. Norman, PhD, Sandra D. Monteiro, PhD, Jonathan Sherbino, MD, Jonathan S. Ilgen, MD, Henk G. Schmidt, PhD, and Silvia Mamede, MD, PhD



의료오류는 2000년 획기적인 의학연구소(IOM) 보고서인 "The Err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이 발표된 이후 상당한 주목을 받아왔다. 그 보고서는 의료 오류에 대한 사회적 비용이 크다는 점에 대해 구체적인 주의를 환기시켰다. IOM의 2015년 후속 보고서도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Medical errors have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since the publication of the landmark Institute of Medicine (IOM) report “To Er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in 2000.1 The report called specific attention to the large societal cost of medical errors. A 2015 follow-up report also from the IOM added that


의료전달시스템은 수십 년 동안 사각지대를 가지고 유지되어 왔다. 바로 진단 오류이다. 이는 정확하지 않거나 지연된 진단을 말하며, 모든 진료 환경 전반에 분포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납을할 수 없을 만큼 많은 수의 환자를 계속 해친다.2

[t]he delivery of health care has proceeded for decades with a blind spot: Diagnostic errors—inaccurate or delayed diagnoses—persist throughout all settings of care and continue to harm an unacceptable number of patients.2


이 후속 보고서에서 IOM은 의사, 가족, 시스템을 포함한 여러 가지 진단 오류의 원인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진단을 목적으로 하는 추론 과정에 대한 설명은 전적으로 임상의의 인지 과정에 국한되었다. 이러한 초점이 맞춰지는 한 가지 이유는 결국 "임상추론은 의사의 마음 속에서 일어난다"는 것일 수 있다.2

In this follow-up report, the IOM highlighted the multiple causes of diagnostic error, including the clinician, the family, and the system.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process of reasoning directed at making a diagnosis was entirely restricted to the cognitive processes of the clinician. One reason for this focus may be that, at the end of the day, “clinical reasoning occurs within clinicians’ minds.”2


확실히, 1970년대와 1980년대의 첫 번째 연구로 거슬러 올라가는 초창기 임상추론 연구는 심리학적 관점에 의해 지배되어 왔으며, 개인 임상의사의 사고 과정을 탐구했다.

Certainly, research in clinical reasoning, dating back to the first studies in the 1970s and 1980s,3,4 has been dominated by a psychological perspective, exploring the thinking processes of the individual clinician.


그루펜과 동료5는 1차 진료의사들이 78%의 사례에서 CC만을 근거로 정확한 진단을 내렸다는 것을 발견했다. 보다 최근에 펠라키아와 동료6은 응급의사들운 환자를 만나기 전에 이미 25%의 가설을, 임상적 만남의 첫 5분 동안 75%의 가설을 생성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Gruppen and colleagues5 found that primary care physicians had the correct diagnosis based on just the chief complaint in 78% of cases. More recently, Pelaccia and colleagues6 showed that emergency physicians generated 25% of hypotheses before meeting the patient and 75% of hypotheses in the first five minutes of the clinical encounter.


이러한 발견은 사고의 "이중 프로세스 모델"을 기술하는 심리학에서 다수의 문헌에서 나온 결과와 일치한다.7–13 특정한 이론은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인 특징은 사고에는 두 가지 시스템이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다. 

  • 더 빠른 시스템인 타입 1은 자동적이고, 무의식적이며, 겉보기에는 힘이 없어 보이는 반면, 

  • 느린 시스템인 타입 2는 통제되고, 의식적이며, 노력한다. 


에반스와 스타노비치13이 설명했듯이 

  • 시스템1은 "직관적이고, 휴리스틱하며, 

  • 시스템2는 "반사적이고, 분석적"이다.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from a large body of literature in psychology that describes “dual process models” of thinking.7–13 Although particular theories may differ, a common feature is that thinking involves two systems. The faster system, Type 1, is automatic, unconscious, and seemingly effortless, whereas the slower system, Type 2, is controlled, conscious, and effortful. As Evans and Stanovich13 described it, Type 1 is “intuitive, heuristic,” and Type 2 is “reflective, analytic.”


많은 저자들은 제1형 사고와 관련된 휴리스틱스와 그로 인한 인지적 편견이 진단 오류를 초래할 수 있는 가능성에 관심을 가져왔다.18–20 2015년 IOM 보고서는 휴리스틱스와 진단 오류의 관계에 대해 상당히 자세히 설명하였다.

Many authors have drawn attention to the heuristics associated with Type 1 thinking and to the possibility that the resulting cognitive biases may lead to diagnostic errors.18–20 The 2015 IOM report went into considerable detail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euristics and diagnostic errors:


휴리스틱스(Heuristics)는 인식 전략 또는 무의식적으로 채택되는 정신적 지름길로서, 의사결정에 특히 중요하다. 휴리스틱스는 의사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지만 오류를 일으킬 수도 있다. 휴리스틱이 실패할 때, 그것은 인지적 편견이라고 불린다.2

Heuristics—cognitive strategies or mental shortcuts that are automatically and unconsciously employed—are particularly important for decision making. Heuristics can facilitate decision making but can also lead to errors. When a heuristic fails, it is referred to as a cognitive bias.2


비록 이 진술이 절대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인간 추론에서 편향의 증거는 상당부분 상식 수준에서, 전문지식이 없이 질문에 대답하는 학부 심리학과 학생들의 연구에서 도출되었다.21 IOM 보고서는 이러한 연구를 광범위하게 인용하였으나 임상 추론에서 편견의 역할에 대한 증거를 검토하지 않았다.2

Although this statement appears definitive, much of the evidence of bias in human reasoning has been derived from studies of undergraduate psychology students answering commonsense and expertise-free questions.21 The IOM report extensively cited these studies but did not examine evidence of the role of biases in clinical reasoning.2


기억과 이중 처리의 구조

The Architecture of Memory and Dual Processing


인간의 추론은 왜 빠른 직관적 처리와 휴리스틱스에 의존하는가? 답은 사고와 기억의 특징 때문이다. 정신은 모든 계산이 발생하는 [제한된 용량의 작업 메모리]와 새로운 정보와의 연관성의 강도에 기초하여 메모리를 검색하는, [본질적으로 용량이 제한되지 않은 장기적 연관 기억]을 모두 포함한다.22

Why does human reasoning rely on rapid intuitive processing and heuristics? The answer lies in the nature of thinking and memory. The mind contains both a working memory of limited capacity in which all computations occur and a long-term, associative memory of essentially limitless capacity, whereby memories are retrieved based on the strength of their association with the new information.22


유형 1 사고는 새로운 정보와 기억 속의 유사한 예제 사이에 직접적인 연관성을 만드는 것으로 볼 수 있다.23 그러한 메모리 검색은 매일 매 시간마다 수천 번 발생한다.

Type 1 processing can be viewed as making a direct association between new information and a similar example in one’s memory.23 Such memory searches occur thousands of times every hour of every day;


이러한 연관성 만드는 작업은 노력없이 이뤄지며, 작업 메모리에 과부하를 주지 않는다.13 유사한 예를 검색할 가능성은 오류를 야기할 수 있는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연관성의 강도와 관련이 있다.24

These associations are effortless and do not overload our working memory.13 The likelihood of retrieving a similar example is related to the strength of the association, which can be influenced by a number of factors, that may lead to errors.24


  • 과거에 연고가 관찰된 횟수, 

  • 기억 속에 저장된 예시 횟수 또는 

  • 공통적인 특징의 개수, 

  • 최근성이나 생동감 같은 외부 특성의 개수,

  • the number of times the association has been observed in the past, 

  • the number of examples stored in one’s memory, or 

  • the number of common features, 

  • the number of extraneous characteristics, such as recency or vividness,


반대로, 타입 2 프로세싱은 자신의 작업 메모리에 있는 연산에 기초한다. 예를 들어, 사례에 존재하는 진단 범주에서 피쳐를 식별하고 특정 질병의 가능성을 추정한다.23 타입 2 프로세싱은 그 성격상 추상적이고 규범적이거나 논리적인 규칙과 일치하기 때문에 작업기억에 무거운 부담을 지운다. 따라서 제한된 작업 메모리에 대한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계산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발생한다.13

Conversely, Type 2 processing is based on computations in one’s working memory—for example, identifying the features from a diagnostic category that are present in a case and estimating the likelihood of a particular disease.23 Type 2 processing is, by its nature, abstract and normative—or consistent with logical rules—so it places a heavy burden on one’s working memory. Thus, the possibility arises that computational errors may occur as a result of the increased load on one’s limited working memory.13


그렇다면 이 두 과정과 추론 오류 사이의 관계는 무엇인가? 한 가지 관점은 [모든 오류는 유형 1 추론에서 발생하며, 유형 2 추론에 의해서는 수정되지 않는다]는 관점이다.

What is the relationship, then, between these two processes and reasoning errors? One view is that all errors originate from the heuristics that are employed in Type 1 reasoning and not corrected by Type 2 reasoning:


직관적 판단의 오류는 두 시스템의 고장을 모두 포함한다. 오류를 발생시킨 시스템 1과 오류를 감지하고 수정하지 못한 시스템 2.25

Errors of intuitive judgment involve failures of both systems: System 1, which generated the error, and System 2, which failed to detect and correct it.25


대안적 관점은 [두 프로세스 모두에서 오류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An alternative view is that errors arise from both processes:


아마도 이중 과정 이론에 대한 인식에서 가장 끈질긴 오류는 제1종 프로세스(직관적, 휴리스틱)가 모든 나쁜 사고를 책임지고 제2종 프로세스(반사적, 분석적)가 반드시 올바른 반응을 이끌어 낸다는 생각일 것이다.... 그래서 이 좋은 생각의 본질은 나쁜 생각이고 어떤 이중 과정 이론들은 그것을 그들의 핵심 용어로 만들었다.13

Perhaps the most persistent fallacy in the perception of dual-process theories is the idea that Type 1 processes (intuitive, heuristic) are responsible for all bad thinking and that Type 2 processes (reflective, analytic) necessarily lead to correct responses.… So ingrained is this good–bad thinking idea that some dual- process theories have built it into their core terminology.13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오류를 줄일 수 있을까? 위의 첫 번째 공식에서 오류는 유형 1 처리에 있어서 유선 연결된 인지적 편견의 결과이기 때문에, 해결책은 편견이 발생할 수 있는 시기를 감지하는 것을 학습한 다음 분석 유형 2 추론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수정하는 것이다.

How can we reduce errors, then? In the first formulation above, because errors are a consequence of hardwired, cognitive biases in Type 1 processing, the solution is to learn to detect when a bias may arise and then use analytical Type 2 reasoning to correct it:


시스템 1에서 비롯되는 오류를 차단하는 방법은 원칙적으로 간단하다: 인지 지뢰밭에 있다는 징후를 인식하고 속도를 늦추고 시스템 2에 보강을 요청한다.

The way to block errors that originate in System 1 is simple in principle: recognize the signs that you are in a cognitive minefield, slow down, and ask for reinforcement from System 2.26


이 관점은 오류가 지식의 결핍에서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분석적이든 경험적이든) 도메인에서 지식을 증가시키는 것이 오류의 감소로 이어질 것임을 시사하지 않는다. 그 대신, 이 관점은 오류로 이어질 수 있는 사고 과정의 결함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This view does not acknowledge that errors may arise from knowledge deficits or suggest that increasing knowledge in a domain (either analytical or experiential) will lead to fewer errors. Instead, the focus is on flaws in the thinking processes that may lead to errors.


다른 이론가들은 이 두 과정이 다른 종류의 지식을 반영한다고 본다. 

  • 제1종 프로세싱은 무의식적인 연관성의 과정을 통해 개별 경험의 검색을 수반하는 반면, 

  • 제2종 프로세싱은 "상징적으로 표현된 ...지식"을 사용한다9 

프로세스에 집중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이 관점은 각 유형의 생각에서 요구되는 지식의 종류와 그 지식이 어떻게 학습되는지를 명시적으로 검토한다.

Other theorists believe that the two processes reflect different kinds of knowledge. Type 1 processing involves the retrieval of individual experiences through a process of unconscious association, while Type 2 uses “symbolically represented … knowledge.”9 In contrast to a focus on processes, this perspective explicitly examines the kinds of knowledge required by each type of thinking and how that knowledge is learned.


만약 오류가 인지적 편견의 결과라면,

If errors are a consequence of cognitive biases, then:


1. 지식과 경험의 증가와 오류의 관계는 없을 것이다.

1. There will be no relationship between increasing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errors.


2. (속도감 있는 작업이나 주의 산만과 같은) 제약조건은 제2형식 분석 처리에 영향을 미치고 더 많은 오류를 초래할 것이다.12

2. Constraints such as speeded tasks or distractions will affect Type 2 analytical processing and lead to more errors.12


3. 오류는 인지편향을 명시적으로 인식하고 오차를 시정하기 위한 분석전략을 발동하는 학습을 통해 교정될 것이다.19

3. Errors will be corrected by learning to explicitly recognize a cognitive bias and invoke analytical strategies to correct the error.19


반대로 오류가 지식 결손의 결과라면,

Conversely, if errors are a consequence of knowledge deficits, then:


1. 경험이 많아지면 분석적 지식이나 경험적 지식 모두 커져서 오류가 줄어든다.

1. More experience will lead to greater knowledge, both analytical and experiential, and result in fewer errors.


2. 제1형 처리가 전문지식을 밑거름으로 하는 한, 신속한 작업이나 산만함이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다.

2. To the extent that Type 1 processing underlies expertise, speeded tasks or distractions will have minimal effect on accuracy.


3.오류는 구체적인 지식을 적용한다면 시정될 것이다.

3. Errors will be corrected by applying specific knowledge.


오류의 원인에 대한 두 가지 넓은 관점을 검토하기 위해, 인지 편향이나 지식 부족을 우리는 문헌에 대한 검토를 either/or 이분법적으로 프레이밍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두 가지 결손 모두 오류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높다.

To examine the two broad perspectives on the causes of errors—cognitive bias or knowledge deficiency—we have framed our review of the literature as an either/or dichotomy. In fact, it is likely that both deficits contribute to errors.



의학 임상 추론 연구의 증거

Evidence From Clinical Reasoning Studies in Medicine


임상적 추론의 오류는 인지적 편견에 의해 야기되는가?

Are errors in clinical reasoning caused by cognitive biases?


Evans12가 지적한 바와 같이, 오류는 유형 1 처리의 휴리스틱에서 발생하여 유형 2 처리의 개입에 의해 수정되는 한 가지 증거는 오류와 진단 속도 사이의 관계다. 진단을 철저히 하기 위해 더 긴 시간을 사용하거나 속도를 늦추라는 지침은 제2형식 처리를 더 많이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따라서 더 높은 정확도를 산출해야 한다.

As Evans12 indicated, one kind of evidence that errors arise from the heuristics of Type 1 processing and are corrected by the interventions of Type 2 processing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rrors and the speed of diagnosis. A longer time to a diagnosis, or instructions to slow down, to be thorough, etc., should permit more use of Type 2 processing and hence produce greater accuracy.


이러한 모든 연구는 시간을 증가시키고, 따라서 타입 2 처리에 더 많이 의존하는 것은 오류를 개선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최근의 한 연구는 시간을 심하게 제약하는 것이 초보자의 오류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32

All of these studies suggest that increasing time, and thus relying more heavily on Type 2 processing, does not ameliorate errors. However, one recent study showed that severely constraining time does increase novices’ errors.32


문헌에서 나온 증거에 따르면, 더 많은 처리 시간은 일반적으로 더 적은 수의 오류가 아니라 더 많은 오류와 연관되어 있다. 만일 오류가 유형 1 처리의 인지적 편견에 의해 야기되고 유형 2 처리에 의해 해결된다면, 그 반대가 사실일 것이다. 이 발견에 대한 한 가지 설명은 두 시스템 모두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조기 종결(진단 오류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으로 확인됨3)와 확증편향 모두 데이터 수집 및 합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상이기 때문에 유형 2 프로세싱과 연관될 가능성이 더 높다.34 더욱이 오류 해결은 단순히 추가적인 분석 노력을 기울이는 경우가 아니며, 충분한 지식이 없으면 추가 처리가 오류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다. 우리는 적절한 시기에 이 과정에서 지식의 역할에 대해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According to this evidence from the literature, more processing time is generally associated with more, not fewer, errors. If errors are caused by cognitive biases in Type 1 processing and resolved by Type 2 processing, the reverse would be true. One explanation for this finding is that errors can arise in both systems; for example, both premature closure (which has been identified as the most common contributor to diagnostic error33) and confirmation bias are phenomena that arise during the process of data gathering and synthesis, so they are more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Type 2 processing.34 Moreover, the resolution of errors is not simply a case of exerting additional analytical effort; without sufficient knowledge, additional processing is not likely to be helpful in resolving errors. We will elaborate on the role of knowledge in this process in due course.


임상 추론의 오류가 제1형 처리와 관련되어 있는가?

Are errors in clinical reasoning associated with Type 1 processing?


지금까지 일반 문헌에는 100개 이상의 인지편견이, 의학 문헌에는 적어도 38개 이상의 인지편향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19 인지편향과 진단오차를 연관짓는 글의 두드러진 점을 감안할 때, 진단추론에서 인지편향에 대한 경험적 실증적 실증이 비교적 적다는 것은 다소 놀라운 일이다최근 체계적인 검토에서 보건의료에서 인지편향에 대한 213개의 연구가 확인되었지만, 많은 사람들이 진단추론이 아닌 치료선택(추론)과의 관련성을 검토했다.39 이 기사를 검토한 후, 우리는 15개의 연구만이 진단오류에서 인지편향의 역할을 검사했고, 7개의 편견만 검사했다고 결론지었다.

To date, over 100 cognitive biases have been described in the general literature and at least 38 in the medical literature.19 Given the prominence of writings associating cognitive bias with diagnostic error,14–20,35–38 it is somewhat surprising that there are relatively few empirical demonstrations of cognitive bias in diagnostic reasoning. A recent systematic review identified 213 studies of cognitive bias in health care; however, many examined the therapeutic choices , not diagnostic reasoning.39 After reviewing this article, we concluded that only 15 of the studies examined the role of cognitive bias in diagnostic error, and only 7 biases were examined.


실제로 존재하는 진단 추론에서 인지편향의 역할에 대한 증거는 다음 두 종류의 연구에서 도출된다. 

    • (1) 편견을 설명하기 위해 자극이 특별히 조작되는 실험 연구 (예: 연구 초기에 참가자에게 사례를 보여 준 다음, [가용성 편향] 시퀀스 후반에 유사한 사례를 진단하도록 요청함)

    • (2)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대해,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가능한 오류의 원인을 판단한다.

The evidence of the role of cognitive bias in diagnostic reasoning that does exist is derived from two kinds of studies: 

    • (1) experimental studies in which the stimuli are specifically manipulated to illustrate a bias (e.g., by showing participants a case early in the study, then asking them to diagnose a similar case later in the sequence [availability bias]); and 

    • (2) retrospective reviews of cases where an error has occurred, to determine the possible cause of the error.


많은 실험 연구들이 다양한 인지적 편견을 보여주었다.

A number of experimental studies have demonstrated various cognitive biases.


다른 여러 연구에서는 유사한 사례에 대한 참가자의 최근 경험과 다른 진단으로 인해 오류가 발생한 "가용성" 편향을 입증했다.

Several other studies have demonstrated “availability” bias, where participants’ recent experience with a similar case but a different diagnosis led to errors.


그러나 피부과에서의 두 가지 연구에서 동일한 카테고리의 사례를 직전에 본 경우, 정확한 진단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44,4,45

However, availability bias seems to work both ways—two studies in dermatology showed that a prior example from the same category can facilitate accurate diagnosis.44,45


모든 연구가 인지적 편견을 유도할 수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크리스텐슨과 동료 46명은 연구에 사용된 8가지 사례 중 두 가지 사례에만, 최소한의 편견만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Not all studies were able to induce a cognitive bias. Christensen and colleagues46 found that minimal bias was present in only two of the eight cases used in the study.


따라서, 편견을 유도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자료를 사용한 많은 연구가 임상의사가 인지적 편견, 특히 가용성 편견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지만, 그들은 이러한 편견이 실제로 발생할 수 있는 정도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지 못했다. 또한 어떤 연구에서는 가용성 편향이 정확성을 감소시킬수도, 개선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44,45

Thus, although a number of studies that used materials specifically designed to induce bias showed that clinicians can exhibit cognitive biases, particularly availability bias, they provided no insight into the extent to which these biases may arise in practice. Moreover, some studies showed that availability bias may both reduce and improve accuracy.44,45


진단 추론에서 인지편향의 역할을 조사하는 두 번째 연구 부류는 실제 오류에 대한 후향적 검토다. Graber와 동료들은 응급실에서 발생한 100건의 진단 오류 사례를 연구했다. 그들은 사례의 약 68%가 인지적 편견, 주로 조기 폐쇄(즉, 중요한 정보를 얻지 못한 채 접견을 종료)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또 다른 연구는 인지적 편견의 인과관계에 대한 증거를 찾지 못했다.48

The second class of studies that examine the role of cognitive bias in diagnostic reasoning are retrospective reviews of actual errors. Graber and colleagues33 studied 100 cases of diagnostic errors committed in the emergency department. They found that about 68% of cases were associated with a cognitive bias, primarily premature closure (i.e., terminating the encounter without getting the critical information). However, another study found no evidence of a causal role of cognitive biases.48


최근 한 연구는 특정 편향을 예시하지는 않았지만 두 가지 동일한 가능성이 있는 진단을 받았기 때문에 선택된 경우, 진단 오류 전문가들에게 인지적 편견을 식별하도록 요청했다..49 전문가들 사이에서 특정 편차의 유무에 대한 동의는 0에 가까웠다. 더욱이, 이 연구는 후향적 검토 자체가 사후 판단 편향에 취약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는데, 동일한 사례 연구에서도 진단이 잘못되었던 경우 진단이 옳았던 경우보다 두 배나 많은 편견을 식별하게 되었다.

A recent study asked experts in diagnostic errors to identify cognitive biases in case workups that were chosen because they did not exemplify a particular bias but had two equally probable diagnoses.49 Agreement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pecific biases among the experts was close to zero. Furthermore, the study showed that retrospective review is itself vulnerable to hindsight bias, where an incorrect diagnosis resulted in the identification of twice as many biases as a correct diagnosis in an otherwise identical case workup.


이것은 임상의사의 사후판단편성의 분명한 예다. 전문가들이 특정 편견에 동의할 수 없고 사후 판단 편향에 취약하다면, 어떻게 편견의 정의를 가르치는 것이 오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는가?

This is a clear example of hindsight bias in the clinicians. If experts cannot agree on specific biases and are vulnerable to hindsight bias, how can teaching definitions of biases lead to error reduction?


임상적 추론의 오류는 지식의 결핍에 의한 것인가?

Are errors in clinical reasoning caused by knowledge deficits?


놀랄 것도 없이, 추가 교육과 지식이 오류 감소와 관련이 있다는 실질적인 증거가 있다. 이러한 증거의 대부분은 임상의사 시니어 레지던트가 주니어 레지던트보다 오류율이 낮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에서 도출되었다. 비록 이것이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실제 경험이 실천을 향상시킨다는 것은 문헌에서 덜 명확하다; 대부분의 연구는 작은 부정적인 면을 보여준다. 즉, 진단 정확도와 나이 사이의 negative 관계가 있다.

Not surprisingly, there is substantial evidence that additional education and knowledge are associated with reduced error rates. Much of this evidence is derived from studies of postgraduate trainees that show that practicing clinicians and/or senior residents have lower error rates than junior residents,41,50,51 although this is not always the case.52 It is less clear from the literature that experience in practice leads to improved practice; most studies show a small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diagnostic accuracy and age.53,54


실제 임상 진단 수행에 대한 한 연구에서 Zwaan과 동료들48은 "최적화되지 못한 임상 행위"의 원인이 불충분한 지식이라는 증거를 발견했다.

In one study of actual clinical diagnostic performance, Zwaan and colleagues48 found evidence of insufficient knowledge as a basis for “suboptimal clinical acts.”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어떤 종류의 전문지식이 오류와 관련되어있는지를 식별하지 못한다. 

    • 경험적experiential 지식의 정확성과 측정 사이의 긍정적인 연관성은 전문지식이 제1형 처리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 

    • 식적formal 지식의 측정과의 연관성은 전문지식이 부분적으로 더 광범위한 분석적 지식기반에 존재함을 의미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2형 처리에 기여할 것이다.

However, these studies do not identify the kind of knowledge that is related to errors and expertise. 

    •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accuracy and measures of experiential knowledge would suggest that expertise is related to Type 1 processing; 

    • an association with measures of formal knowledge would imply that expertise resides in part in a more extensive analytical knowledge base, and thus would contribute to Type 2 processing.


우리는 문헌에서 두 가지 관계에 대한 증거를 발견했다.

We found evidence for both relationships in the literature.



임상 추론 오류 감소 전략

Strategies for reducing errors in clinical reasoning


문헌에는 일반 전략, 휴리스틱 기반 전략, 지식 기반 전략 등 최소 세 가지 종류의 개입이 설명되어 있다.55

At least three classes of interventions have been described in the literature: general strategies, heuristic- based strategies, and knowledge-based strategies.55


일반 오류 감소 전략.

General error reduction strategies.


아마도 오류를 줄이기 위한 가장 간단한 전략은 "속도를 줄이고 시스템 2에서 보완을 요청하라"는 Kaneman의 지시에 따라, 임상의사에게 신중하고 체계적으로 그리고 모든 대안을 모색하라고 훈계하는 것일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개입을 검토하기 위한 전형적인 연구전략은, 타입 2 처리에 이용 가능한 시간을 수정하기 위해, 한 집단은 "조심하고, 체계적이며, 철저하다"라고 하고, 다른 집단은 "가능한 한 빨리 가라"라고 하는 두 집단 설계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 전략을 사용한 세 가지 연구는 진단 정확도에 차이가 없음을 보여주었다.29,30,56 반면에 Mamede와 동료들은 비슷한 전략을 사용하였고 어느 정도 성공하였다.

Perhaps the simplest strategy to reduce errors is to admonish clinicians to be careful and systematic and to explore all alternatives, following Kahneman’s26 directive to “slow down and ask for reinforcement from System 2.” A typical research strategy to examine this type of intervention is to use a two-group design in which one group is told to be “careful, systematic, thorough” and the other group is told to “go as quickly as possible,” with a view to modifying the time available for Type 2 processing. Three studies using this strategy showed no difference in diagnostic accuracy.29,30,56 On the other hand, Mamede and colleagues57 used similar strategies with some success.


경험적 기반 오류 감소 전략.

Heuristic-based error reduction strategies.


인지적 편견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전략은 이러한 인식이 진단 오류를 감소시킬 것이라는 가정 하에 참가자들에게 발생가능한 편견을 교육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몇몇 연구들은 단순히 편견을 확인하는 데 초점을 맞춰왔다.

Strategies directed at reducing the effect of cognitive biases are designed to educate participants about possible biases, with the assumption that this awareness will reduce diagnostic errors. Several studies have focused on simply identifying biases.


본드와 동료는 응급의학 전공의에게 인지적 편견에 대한 강의를 했다. 전공의들이 편견에 대해 배웠다고 인식했지만, 다시 한번 진단 오류에 대한 개입의 효과는 테스트되지 않았다. Ogdie와 동료들61은 전공의들이 인지편향과 진단오류 경험에 대한 성찰적 글쓰기 및 토론 과제를 완료하는 과정을 구현했다. 비록 전공의들이 인지적 편견을 보인 사건을 상기할 수 있었지만, 그 편향을 독립적으로 확인하지 못했고, 그 편향이 그들의 진단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의 측정도 없었다.

Bond and colleagues60 taught a course on cognitive biases to emergency medicine residents. Although residents perceived that they had learned about biases, again,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on diagnostic errors was not tested. Ogdie and colleagues61 implemented a course where residents completed reflective writing and discussion assignments about their experience with cognitive bias and diagnostic error. Although the residents were able to recall an episode where they exhibited a cognitive bias, there was no independent confirmation of that bias and no measurement of its effect on their diagnostic accuracy.


오직 세 가지 연구만이 참가자들에게 진단 추론에서 특정한 인지적 편견을 인식하도록 가르치기 위해 고안된 교육적 개입의 효과를 조사했다.62–64 이러한 연구들 중 두 가지는 응급의학 교대로 사무직 학생에 대한 교육적 개입을 테스트했고, 이어서 서면 사례 기반 사후 테스트가 있었다.62,63 개입에 따른 오류의 감소는 없었다.

Only three studies examined the effect of an educational intervention designed to teach participants to recognize specific cognitive biases in diagnostic reasoning.62–64 Two of these studies tested an educational intervention on clerkship students in an emergency medicine rotation, followed by a written case-based posttest.62,63 There was no reduction in errors from the intervention.


다른 연구에서는 [debiasing 체크리스트의 효과("내가 경험적 사고의 내재적 결함을 고려했는가?"와 같은 질문 포함)] 대 [25개의 가능한 차등 진단에 대한 사례별 체크리스트의 효과]65를 비교했다. 저자들은 debiasing 체크리스트의 유의한 이점은 찾지 못했다. 그러나 사례별 체크리스트는 진단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켰다.

One other study directly compared the effect of a debiasing checklist (with questions like “Did I consider the inherent flaws of heuristic thinking?”) versus the effect of a case-specific checklist of 25 possible differential diagnoses.65 The authors found no significant benefit to the debiasing probe; however, the case- specific checklist resulted in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diagnostic accuracy.


따라서 다수의 연구가 레지던트가 인지적 편견을 정의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고, 특정한 편견을 설명하기 위해 설계된 서면 및 비디오 사례 작업에서 편견을 인식할 수 있다는 약한 증거가 있지만, 놀랍게도 [인지적 편견을 식별하는 능력]과 [편견과 진단 오류의 감소] 사이의 연관성을 연구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 관계를 연구한 사람들은 그러한 개입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았다.

Thus, although a number of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residents can learn to define cognitive biases, and there is weak evidence that they may be able to recognize biases in written and video case workups that are designed to illustrate specific biases, surprisingly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link between their ability to identify cognitive biases and a decrease in diagnostic errors. Those that did study this relationship showed no benefit to such interventions.


지식 기반 오류 감소 전략.

Knowledge-based error reduction strategies.


아마도 가장 광범위하게 연구된 개입은 Mamede, Schmidt 및 동료들이 개발한 기술인 의도적 성찰일 것이다.42,43,666670 그들의 전략은 [작업 진단working diagnosis이 정확하지 않다는 것을 인식하는 열쇠가 그 진단과 모순되는 증거를 식별하는 것]이라는 가정에 기초한다. 이 기법은 사례로 돌아가서 그 특징을 모두 기록한 다음 작업 진단과 일치하지 않는 특징을 식별해야 한다.

Perhaps the most widely studied intervention is deliberate reflection, a technique developed by Mamede, Schmidt, and colleagues.42,43,66–70 Their strateg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key to recognizing that a working diagnosis is not correct is identifying evidence that is inconsistent with that diagnosis. This technique requires going back to the case, writing down all of its features, and then identifying any features that are discordant with the working diagnosis.


이 전략은 분석적(타입 2) 사고에 근거한 시정조치를 권장하지만, 그것은 분명히 (잘못에 대한 인지적 휴리스틱을 식별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지식을 식별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진단적 관련 정보의 검색 및 재구성에 대한 구조적 접근방식으로 가장 잘 설명될 수 있다.

Although this strategy encourages a corrective action based on analytical (Type 2) thinking, it is clearly focused on identifying the appropriate knowledge, not on identifying the cognitive heuristic at fault, and may best be described as a structured approach to the retrieval and reorganization of diagnostically relevant information.


한 연구는 단순 사례와 복잡한 사례 진단에 대한 성찰 효과와 지시되지 않은 추론의 효과를 대조하였다.69 복잡한 사례 진단에서 성찰의 긍정적인 효과가 주로 주목되었다.

One study contrasted the effects of reflection and those of undirected reasoning on diagnosing simple versus complex cases.69 The positive effect of reflection was primarily noted in diagnosing complex cases.


세 번째 연구 52. 간단한 사례를 해결하는 레지던트의 경우, 저자들은 진단 정확도에 차이가 없음을 발견했고, 복잡한 사례를 해결하는 사람들에게는 '의식적인 사고' 조건에서 결과가 우월했다. 반대로, 이 개입은 의대생들이 간단한 사건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었지만, 복잡한 사건을 해결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 이 연구결과는 이 개입이 분석지식을 동원했다는 것을 시사하는데, 초보자들에게는 [단순한 사례의 해결]이 개선되고, 반면 더 advanced 의사에게는 [복잡한 사례의 해결]에 효과적이었다.

A third study 52. For residents solving simple cases, the authors found no difference in their diagnostic accuracy; for those solving complex cases, the results of the conscious thought condition were superior. Conversely, the intervention benefited medical students solving simple cases but not those solving complex cases.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intervention mobilized analytical knowledge, which for novices resulted in improvement in solving simple cases and for more advanced clinicians was effective for solving complex cases.


salient distracting feature가 있는(즉, 임상의의 정확한 진단을 방해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포함된 특징) 연구에서, 성찰적 추론을 사용하도록 권장된 레지던트들은 예시-기반 추론을 사용하라는 말을 들었을 때보다 더 정확했다.68 그러나 저자들은 의대생들에게 아무런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다. 다시 말하지만, 이 발견은 레지던트의 보다 광범위한 분석적 지식을 보여주는 것일지도 모른다.

In a study of salient distracting features (i.e., features deliberately included to distract the clinician from the correct diagnosis), residents encouraged to use reflective reasoning were more accurate than when they were told to use exemplar-based reasoning.68 However, the authors found no difference for medical students. Again, this finding may reflect residents’ more extensive analytical knowledge.


두 가지 연구에 따르면, 성찰을 위한 추가 시간이 레지던트와 경험 있는 의사들 사이에서 진단 정확도의 큰 증가를 이루었다.71,72 그러나 반사 단계에는 참여자의 정확도 향상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는 추가 임상 데이터의 제시도 포함되었다.

Two studies showed that additional time for reflection resulted in a large increase in diagnostic accuracy, among both residents and experienced physicians.71,72 However the reflection phase also involved the presentation of additional clinical data, which may be a major contributor to participants’ increased accuracy.


이러한 연구를 통해 우리는 학습자의 수준과 사례의 난이도가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성찰이 상당히 일관되게 유익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문제해결에 필요한 적절한 지식의 가용성]의 차이로 인 결과인 듯 하다. 성찰이 효과적인 경우에는, 참가자들이 자신의 지식을 식별하고 재구성하도록 장려했기 때문에 그러한 결과를 달성한 것이다

From these studies, we conclude that reflection is fairly consistently beneficial, although the level of the learners and the difficulty of the cases do affect its impact. This mitigation appears to be a consequence of the availability of appropriate knowledge to resolve the problem; to the extent that reflection is effective, it achieves these results by encouraging participants to identify and reconfigure their knowledge. 


이 전략은 복잡한 사례를 해결하는 주니어 임상의에게는 효과적이지 않다. 왜냐하면 그들은 처음부터 사건을 해결할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반대로, 전문가들은 그러한 문제들을 처음부터 쉽게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단순한 경우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성찰의 혜택을 받지 못한다.

This strategy is ineffective for junior clinicians solving complex cases because they simply do not have sufficient knowledge to resolve the case from the start. Conversely, experts do not benefit from reflection in solving simple cases, because they can solve such problems easily from the start.


이러한 개입에 대해 한 가지 더 고려할 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모든 경우에 대한 성찰은 두 번째 패스로 요구되며, 원래의 서면 케이스가 이용 가능하다. 실제로 유용하기 위해서는, Kahneman이 말하는 것처럼, 임상의는 "자신이 지뢰밭에서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하며, 자신이 실수를 저질렀다고 믿고, 더 이상 return할 case description이 없을 때 추가 검토를 시작해야 한다. 그렇다면 문제는 [의사는 과연 주어진 상황이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스스로 오류를 고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There is one further consideration regarding these interventions. the reflection is usually required for all cases as a second pass, with the original written case available. To be useful in practice, the clinician must, as Kahneman26 says, “recognize [she is] in a minefield” and initiate additional review when she believes she has committed an error and does not have a case description to which to return. The question then is: Can clinicians recognize that a situation is problematic and correct the error on their own?


답은 "약간만 그렇다"인 것 같다. 인턴, 레지던트, 의대생들을 대상으로 프리드먼과 동료 73명이 실시한 대규모 연구에서 참가자들의 자기평가 신뢰도가 잘못 진단한 경우보다 올바르게 진단된 경우에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지식이 높아짐에 따라 정확성과 신뢰성이 향상되었지만, 저자들은 과신 및 저신뢰의 많은 예를 확인하였다.

The answer appears to be “a bit.” A large study by Friedman and colleagues73 involving practicing internists, residents, and medical students showed that participants’ self-assessed confidence was higher for cases they diagnosed correctly than for those they diagnosed incorrectly. Increasing expertise led to greater accuracy and confidence, although the authors identified many instances of both over- and underconfidence.


결론적으로, 여러 근거에 따르면, 휴리스틱스 및 편견의 식별을 통한 오류 감소에 대한 개입이 진단 오류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임상의가 자신의 지식을 동원하고 재구성하거나 사례의 내용을 성찰하도록 장려하는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는 여러 연구에서는 어느 정도 이점이 나타났다. 즉, 이는 참가자가 문제와 관련된 추가 지식을 identify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

In conclusion, the evidence suggests that interventions directed at error reduction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heuristics and biases have no effect on diagnostic errors. By contrast, a number of studies using various strategies that encourage clinicians to mobilize and reorganize their knowledge or to reflect on the content of the case showed some benefit, which is presumably a consequence of directing participants to identify additional knowledge that is relevant to the problem.


결론

Conclusions


(1) 임상 추론의 오류가 주로 많은 저자가 제시한 하나의 처리 전략(타입 1)에서 발생하는지 

(2) 이러한 오류가 인지적 편견 또는 지식 결손의 결과인지 여부.

(1) whether errors in clinical reasoning arise primarily from one processing strategy (Type 1) as suggested by many authors, and 

(2) whether these errors are a consequence of cognitive biases or knowledge deficits.


우리가 문헌에서 발견한 증거는 일관성이 있는 것 같다. 임상 추론의 오류가 주로 제1형식 처리에서 발생하며 제2형식 처리에 의해 수정된다는 이론적 입장은 너무 단순하다. 오류는 두 종류의 처리에서 모두 발생할 수 있다. 무엇이 오류를 일으키고 그것들을 줄이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현재까지 문헌은 Graber와 동료들의 결론에 부합한다. "이러한 개입의 폭과 열의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지만... 실제 개입의 빈약함[그리고 진단 정확도나 오류를 다루는 매우 제한된 증거]이 있다." 

The evidence we found in the literature appears consistent. The theoretical position that errors in clinical reasoning arise primarily from Type 1 processing and are corrected by Type 2 processing is simplistic. Errors can arise from both kinds of processing. As to what causes errors and what can be done to reduce them, the literature to date aligns with Graber and colleagues’55 conclusion that there is “a major discrepancy between the breadth and enthusiasm for these interventions … but a paucity of actual interventions [and] very limited evidence addressing diagnostic accuracy or errors.”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검토한 연구에서 몇 가지 결론은 가능하다. 첫째, 지금까지의 근거는 [대부분의 오류는 인지적 편견의 결과이며, 의사들이 편견을 인식하도록 훈련시킴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는 가정을 지지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속도를 늦추거나, 성찰하거나, 주의하고, 체계적으로 행동하라"는 일반적인 경고는 진단 과정을 늦추는 것 이상의 효과는 그다지 없어 보인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지식이 부족한 것이 진단 오류의 중요한 원인이 되며, 지식의 일부 재조직화를 유도하는 전략은 작지만 일관된 이점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Nevertheless, some conclusions are possible from the studies we reviewed. First, the assumption that most errors are a consequence of cognitive biases and could be reduced by training physicians to recognize biases is not borne out by the evidence. Similarly, general admonitions to slow down, reflect, or be careful and systematic likely have minimal effect beyond slowing the diagnostic process. By contrast, knowledge deficits are a significant contributor to diagnostic error, and strategies to induce some reorganization of knowledge appear to have small but consistent benefits.


개별 수준에서 오류 감소를 지향하는 다양한 교육 전략을 검토했지만, 다른 수준의 다른 접근 방식도 제안되었다. 집단 의사결정은 시뮬레이션 트라우마 사례를 사용하여 연구된 그러한 가능성 중 하나이다.74 컴퓨터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시스템이 의사에게 주는 이점은 크지 않다.75 그리고 앞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의사들은 종종 자신의 오류를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의사결정에서 서포트를 얻고자 하지 않는다.

While we have examined various educational strategies directed at error reduction at an individual level, other approaches at different levels also have been suggested. Group decision making is one such possibility that has been studied using simulated trauma cases.74 Computer decision support systems have a long history; however, the benefit of such systems to physicians is not large,75 and, as we discussed earlier, physicians often are not aware of their errors, so they do not seek out decision support.73


하지만 한 가지는 분명하다. [진단 오류는 인지적 편견에서 비롯되며], [비교적 단순하고 빠른 전략이 편견을 식별하고 제거하는 것이 오류를 줄일 수 있다]는 가정이 얼마나 매력적이든간에, 근거는 이러한 전략이 효과성이 없거나 제한적이라는 것을 일관되게 입증한다. 지식이 중요하다. 인지적 편견에서 오류의 일부 비율이 발생하더라도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임상적 지식의 적용이 필요한데, 이러한 지식이 부족한 것이 초반의 실수의 원인이었을 수 있다.77 오류 감소에 관한 과학이 있다면 그것은 유아기에 있으며, 우리는 아직 갈 길이 멀다.

One thing is clear though. However attractive the assumption is that diagnostic errors originate in cognitive biases, and the implication that relatively simple and quick strategies directed at identifying and eliminating biases can reduce errors, the evidence is consistent in demonstrating that such strategies have no or limited effectiveness.76 Knowledge matters. Even if some proportion of errors arise from cognitive biases, the resolution of errors also involves the application of clinical knowledge, which may underlie the initial mistake.77 If there is a science of error reduction, it is in its infancy, and we have far to go.


마지막으로, 진단 오류의 실제 비율에는, 약간의 불확실성이 있지만, 이러한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범위에는 훨씬 더 큰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임상에서 모호함은 상수다. 절대적 진단을 내릴 정보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어떤 오류는 발생할 수밖에 없다. 모든 오류를 없애기 위해 마법의 총알이 등장할 것이라는 가정은 희망사항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Finally, we must caution that, while there is some uncertainty in the actual rate of diagnostic errors, there is far greater uncertainty in the extent to which these errors are preventable. Ambiguity is a constant in clinical practice; it is inevitable that some errors will arise simply because there is insufficient information to make a definitive diagnosis. The assumption that a magic bullet will emerge to eliminate all errors is likely nothing more than wishful thinking.



2 Balogh EP, Miller BT, Ball JR, eds. Improving Diagnosis in Health Care.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015.






Comment

 

, 92 (1), 23-30
 

The Causes of Errors in Clinical Reasoning: Cognitive Biases, Knowledge Deficits, and Dual Process Thinking

Affiliations 

Affiliation

  • 1G.R. Norman is emeritus professor, Department of Clinical Epidemiology and Biostatistics,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tario, Canada. S.D. Monteiro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Clinical Epidemiology and Biostatistics,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tario, Canada. J. Sherbino is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tario, Canada. J.S. Ilgen is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Washington School of Medicine, Seattle, Washington. H.G. Schmidt is professor, Department of Psychology, Erasmus University, Rotterdam, the Netherlands. S. Mamede is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Psychology, Erasmus University, Rotterdam, the Netherlands.

Abstract

Contemporary theories of clinical reasoning espouse a dual processing model, which consists of a rapid, intuitive component (Type 1) and a slower, logical and analytical component (Type 2). Although the general consensus is that this dual processing model is a valid representation of clinical reasoning, the causes of diagnostic errors remain unclear. Cognitive theories about human memory propose that such errors may arise from both Type 1 and Type 2 reasoning. Errors in Type 1 reasoning may be a consequence of the associative nature of memory, which can lead to cognitive biases. However, the literature indicates that, with increasing expertise (and knowledge), the likelihood of errors decreases. Errors in Type 2 reasoning may result from the limited capacity of working memory, which constrains computational processes. In this article, the authors review the medical literature to answer two substantial questions that arise from this work: (1) To what extent do diagnostic errors originate in Type 1 (intuitive) processes versus in Type 2 (analytical) processes? (2) To what extent are errors a consequence of cognitive biases versus a consequence of knowledge deficits?The literature suggests that both Type 1 and Type 2 processes contribute to errors. Although it is possible to experimentally induce cognitive biases, particularly availability bias, the extent to which these biases actually contribute to diagnostic errors is not well established. Educational strategies directed at the recognition of biases are ineffective in reducing errors; conversely, strategies focused on the reorganization of knowledge to reduce errors have small but consistent benefits.


의료전문직 교육에서 임상추론이라는 용어: 함의와 고려할 점(Med Teach, 2019)

The terminology of clinical reasonin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mplications and considerations

Meredith Younga,b , Aliki Thomasa,c,d , David Gordone, Larry Gruppenf , Stuart Lubarskyb,g, Joseph Rencich,i , Tiffany Ballardf, Eric Holmboej,k,l , Ana Da Silvam , Temple Ratcliffen , Lambert Schuwirtho,p,q,r and Steven J. Durningr




임상 추론은 보건 전문가(Higs et al. 2008)의 핵심 요소로 간주되며, 보건 직업 교육(Eva 2005; Young et al. 2018a의 요약)에서 교육 및 평가에 중요한 초점이 되어 왔다.

Clinical reasoning is considered a core component of being a health professional (Higgs et al. 2008) and has been an important focus for teaching and assessment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ummaries in Eva 2005; Young et al. 2018a).


그러나 임상 추론은 동질적 구인이 아니다임상 추론에 관한 문헌은 광범위하고 다양하여 다양한 직업과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나타낸다(Eva 2005; Norman 2005; Ilgen et al. 2012; Cutrer et al. 2013; Holmboe & Durning 2014; Norman et al. 2014; Bluumal-Barby and Kriger 2015). 임상추론에 관한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이론적 틀 외에도, 임상 추론을 가리키는 용어도 많다. 보건 전문직 전반에 걸친 임상 추론과 관련하여 100개 이상의 용어가 확인되었다. 

However, clinical reasoning is not a homogeneous construct—the literature on clinical reasoning is broad and diverse, representing many different professions and theoretical frameworks (Eva 2005; Norman 2005; Ilgen et al. 2012; Cutrer et al. 2013; Holmboe & Durning 2014; Norman et al. 2014; Blumenthal-Barby and Krieger 2015). In addition to several different theoretical frameworks within the literature, there are a large number of terms used to refer to clinical reasoning. A recent review identified over one hundred terms used in reference to clinical reasoning across the health professions (Young et al. under review). 


용어의 다양성(예: 진단 추론, 직관적 프로세스, 상황별 추론, 비판적 사고, 공유 의사 결정)은 다음으로 이어진다. 

  • 교육적 개입에서 다양한 타겟, 

  • 평가에서 다양한 초점 

  • 임상적 추론이 무엇인지에 대한 서로 다양한 이해

이러한 용어는 명시적으로 정의되는 경우는 거의 없고, 주로 독자에게 해석이 맡겨져 있다.

The diversity of terms (e.g. diagnostic reasoning, intuitive processes, contextualized reasoning, critical thinking, shared decision making) leads to different targets for specific teaching interventions, different areas of focus for assessment, and likely different understandings of what clinical reasoning is. These terms are seldom explicitly defined (Young et al. under review), leaving interpretation up to the reader.


방법론

Methodology


이 범위 연구는 검토에 포함된 625개 논문에서 임상 추론을 언급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를 식별하고 분류하였다.

This scoping study identified and categorized terms used to refer to clinical reasoning across 625 papers included in the review.


데이터 추출

Data extraction


분석

Analysis


용어의 분류가 특정 전문적 배경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분석 과정의 엄격성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분류 과정(그림 1에서 요약)에 다양한 전문 분야(연구자 또는 임상 교육자)를 가진 5명의 팀원(MY, AT, SL, DG, LG)이 포함되었다. 

    • 연구자 또는 의사교육자

    • 의사 또는 직업 치료사 

    • 연구 및/또는 교육 책임의 핵심 중점 분야로서의 임상 추론을 다루는 사람

Recognizing that the categorization of terminology is likely influenced by particular professional backgrounds, the categorization process (summarized in Figure 1) involved five team members (MY, AT, SL, DG, LG) with various areas of expertise (researcher or clinical educator; physician or occupational therapist; clinical reasoning as a core focus area of research and/or educational responsibility), in order to increase the rigor and trustworthiness of the analytical process.


1단계: 카테고리 구조 개발

Phase 1: developing category structure


2단계: 테스트 카테고리 구조

Phase 2: testing category structure


3단계: 불일치 조정

Phase 3: reconciling disagreement



결과

Results


13개의 코더들이 임상적 추론을 언급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625개의 논문에서 110개의 용어를 확인했다(영 외). 검토 중인 110개 항은 625개 논문에서 모두 693차례 확인됐다.

Thirteen coders identified 110 terms, across 625 papers, as being used to refer to clinical reasoning (Young et al. under review). The 110 terms were identified a total of 693 times across the 625 papers.


용어 및 코드 설명 범주

Categories of terms and code descriptions


아래의 6개 범주에 대해 설명하고 각 범주와 관련된 합의 용어를 표 1에 제시한다. 코딩 프로세스를 통해 개발되고 개선된 용어의 범주는 다음과 같았다.

The six categories of terms are described below and consensus terms associated with each category are presented in Table 1. The categories of terms, developed and refined through our coding process, were:


1. 추론의 목적: 임상추론을 하는 목적, 과제 또는 목표(예: 환자 관리)와 관련된 용어

1. Purpose/goal of reasoning terms referred to the purpose, task, or goal for engaging in reasoning (e.g. patient management).


2. 추론의 결과: 용어는 과정이나 추론에 대한 접근(예: 진단)보다는, 임상 추론의 성과나 산출물, 또는 정의된 추론의 종결점end-point에 초점을 맞춘다.

2. Outcome of reasoning: terms reflect a focus on the product or output of clinical reasoning or on a defined end-point of reasoning, with little emphasis on process or approach to reasoning (e.g. diagnosis).


3. 추론 수행능력: 추론의 성과나 과정의 숙달(예: 임상 역량, 전문가적 추론) 또는 추론 결과의 퀄리티(예: 판단 오류)에 관한 용어

3. Reasoning performance: terms reflect the mastery of performance or process(es) of reasoning (e.g. clinical competence, expert reasoning), or the quality of outcome of reasoning (e.g. judgment error).


4. 추론 프로세스: 문제 해결에 사용되는 프로세스, 전략, 구성 요소, 단계 또는 근거를 포함하는 임상 추론의 프로세스 구성요소에 초점을 맞춘 용어. 추론 과정을 반영하는 용어는 다양한 인지적 또는 심리학적 기반 프레임워크(예: 패턴 인식)와 밀접하게 연계되는 경향이 있었다.

4. Reasoning process: terms focus on the process components of clinical reasoning, encompassing processes, strategies, components, steps, or rationale used to solve a problem. Terms reflecting reasoning process tended to be tightly linked to a variety of cognitive or psychology-based frameworks (e.g. pattern recognition).


5. 추론 기술: 이 용어에서 임상추론(또는 구성요소 프로세스)이라는 용어는 안정적이고 일반화 가능하다. 확장extension을 통해서 교육가능, 학습가능, 훈련가능작업이나 기술들의 광범위한 집합이다(예: 비판적 사고).

5. Reasoning Skills: terms imply clinical reasoning (or component processes) is stable and generalizable; a set of broad tasks or skills that are teachable, trainable, and/ or by extension learnable (e.g. critical thinking).


6. 추론의 맥락: 이 범주는 환경, 사회, 환자 또는 제공자 특성이 임상 추론에 미치는 영향(예: 상황 인식)을 반영한다.

6. Context of reasoning: This category reflects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social, patient, or provider characteristics on clinical reasoning (e.g. situational awareness).




임상적 추론을 가리키는 용어의 분류

Categorization of terms used to refer to clinical reasoning


1. 가장 적절한 분류(n1⁄474)에 대해 완전한 합의가 가능했던 용어. 표 1을 참조한다.

1. Terms for which complete consensus was possible regarding the most appropriate categorization (n¼74); see Table 1.


2. 다수결 합의(코더 3개 중 2개로 정의)는 가능했지만 합의가 불가능했던 용어(n1⁄416); 표 2를 참조한다.

2. Terms for which majority agreement (defined as two of three coders) was possible, but no consensus was possible (n¼16); see Table 2.


3. 동의나 합의가 불가능했던 용어(n1⁄420); 표 3을 참조한다.

3. Terminology for which no agreement or consensus was possible (n¼20); see Table 3.


4. 표 4의 임상적 추론을 언급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5가지 용어와 그 분류(해당되는 경우)에 관한 합의.

4. Agreement regarding the five most commonly used terms to refer to clinical reasoning, and their categorization (where applicable), in Table 4.






고찰

Discussion


심층적이고 반복적이며 다단계 코딩 프로세스를 통해 다음과 같은 6가지 주요 용어 범주를 파악했다. 

  • 기술로서의 추론, 

  • 하나의 과정으로서 추론, 

  • 목표 지향적인 추론, 

  • 결과의 수단으로서의 추론, 

  • 문맥적으로 자극된 추론, 또는 

  • 추리 수행 

Through an in-depth, iterative, and multi-stage coding process, we identified six main categories of terms: 

  • reasoning as a skill, 

  • reasoning as a process, 

  • reasoning as goal-oriented, 

  • reasoning as a means to an outcome, 

  • reasoning as contextually-influenced, or 

  • reasoning performance. 


대다수의 용어(110개 중 74개)에 대해서는 합의가 이루어졌지만 임상 추론을 지칭하는 용어의 거의 3분의 1에 대해서는 분류의 차이를 해소할 수 없었다.

Though consensus was reached for the majority of terms (74 out of 110), we were unable to resolve differences in categorization for nearly one third of terms used to refer to clinical reasoning.


우리는 이 조건들에 대한 협상된 공통의 이해를 통해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 우리의 의견 불일치를 문서화하는 것만큼 유익하지 않다고 판단했다. 추측이지만, 이 가장 일반적인 용어들 중 일부는 똑같이 광범위한 임상 추론 구조를 위한 넓은 대체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초점, 훈련, 입장, 교육이나 평가 대상, 또는 무엇이 임상추론을 구성하는지에 대한 개념화]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는 경향이 있다. 

We decided that creating consensus through a negotiated common understanding of these terms was not as beneficial as documenting our disagreement. While speculative, it may be that some of these most common terms are used as broad substitutes for the equally broad construct of clinical reasoning, and, as such, tend to be interpre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focus, training, stance, teaching or assessment target, or even conceptualization of what constitutes clinical reasoning (Young et al. 2018b). 


"임상추론"이라는 용어가 서로 다르게 사용되며 서로 다르게 이해되는 매우 광범위한 개념일 뿐만 아니라, 이러한 [일반적 대체 용어]는 용어에 대한 로르샤흐 시험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사람마다 임상 추론을 이해할 때 자신의 특별한 렌즈를 통해 용어를 해석하는 것이다.

It may be that in addition to the term “clinical reasoning” being a very broad concept that is differentially used (Young 2018) and differentially understood (Young et al. 2018b), these common substitute terms may function as terminological Rorschach test—with individuals interpreting these terms through the lens of their particular understanding of clinical reasoning.


우리 팀 전체의 합의가 부족하다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임상추론을 가리키는 용어의 [유추된 의미]에 모호함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lack of consensus across our team has important implications. It suggests that there is ambiguity in the inferred meaning of terms used to refer to clinical reasoning.


교육 및 평가 실무의 맥락에서, 이것은 임상 추론을 언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일관되지 않은 이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람마다 교육 및 평가의 함의에 대해서 동일한 의미를 서로 다른 의미로 사용할 수 있다. —임상 교육자, 프로그램 감독자 또는 학습자 중 어느 쪽이든 —

In the context of teaching and assessment practices, this could mean that there may be inconsistent understanding of the terms being used to refer to clinical reasoning. Individuals—whether clinical educators, program directors, or learners—may use the same terms with different intended meanings with potentially concerning pedagogical and assessment implications.


예를 들어, 교육 세션의 주제가 "진단 판단"에 있는 경우

—이 개념은 다르게 이해될 수 있다. 

  • 추론 목적(임상적 추론 뒤에 있는 "이유")으로, 

  • 추리 기술(좋은 임상 추론의 "행복"), 또는 

  • 추리 수행(숙달되어야 할 것)으로서. 

For example, if the topic of a teaching session is on “diagnostic judgment”—that concept could be understood differently; 

  • either as a reasoning purpose (the “why” behind clinical reasoning), 

  • a reasoning skill (the “habits” of good clinical reasoning), or as 

  • a reasoning performance (something to be mastered). 


또한 진단 판단에 대한 이러한 상이한 이해는 매우 다른 평가 관행을 초래할 수 있다.

  • 어떤 사람은 formal rationale로 의사결정을 정당화할 수 있는 능력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 다른 사람은 판단을 위한 정보출처로 복수의 증거 자료를 얼마나 일관되게 사용하는지를 조사할 수 있다. 

  • 또 다른 사람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단의 정확도가 향상되었다는 문서화된 증거가 있는지 검사할 수 있다.

Further, these different understandings of diagnostic judgement would likely result in very different assessment practices—

  • one might focus on the ability to justify a decision with a formal rationale (assessing the “why”), 

  • the other might examine how consistently one uses multiple sources of evidence to inform judgment (assessing the “habits”), and 

  • another might examine whether there is documented evidence of improved accuracy of diagnosis across time (assessing mastery).


용어는 또한 교사와 학습자 사이에서도 서로 다르게 이해될 수 있다. 학습자가 competent reasoner가 되기 위해 어떤 행동을 보여 주어야 하는지에 관한 혼동을 초래할 수 있다(2015년).

Terms may also be differentially understood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potentially leading to confusion regarding what behaviors learners should be demonstrating to appear as competent reasoners (similar to procedural variation work done by Arpamian et al. (2015)).


용어를 사람마다 서로 다르게 이해하는 문제는 임상추론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의 서로 다른 이해와 관련된 유사한 문제는 전문직업성에서 확인되었다(Wynia et al.2014). 임상 추론의 경우, 우리가 모두가 공통의 이해 또는 의도된 해석을 한다고 가정하지만, 임상추론이라는 용어의 의도된 의미에 대한 혼동이 존재하면 역량 프레임워크 내에서 특히 문제가 될 수 있다.

The potential of multiple different understandings of a key term are not limited to clinical reasoning; for example,similar issues around different understandings of a construct have been identified in professionalism (Wynia et al.2014). In the case of clinical reasoning, confusion regarding the intended meanings of terms could be particularly problematic within competency frameworks if we assume a common understanding, or intended interpretation


우리는 우리가 의도적으로 완전히 합의된 방법에 관여하려고 하지 않았다는 것을 반복하고 싶다. 델파이 방법론을 사용하거나 델파이 방법론을 채택하거나 "주요 규칙" 분류 또는 코드화 규칙을 부과하는 것이 가능했을지라도, 합의를 지지하기 위한 과정에 참여하는 것은 우리의 분석 과정에 의해 밝혀지는 중요한 불일치를 얼버무렸을 것이다. 의견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기보다는, 임상추론에 대한 여러 용어에 대한 이해의 차이에 관한 논의를 촉진하는 편이 낫다고 판단했다.

We want to reiterate that we intentionally did not seek to fully engage in consensus methods. Though it may have been possible to use a Delphi, or adapted Delphi methodology, or to impose a “majority rules” categorization or coding rule, engaging in a process intended to support consensus would have glossed over important disagreements brought to light by our analysis process. Rather than trying to resolve disagreement, we decided to report it to facilitate a discussion regarding differences in our understandings of the many terms for clinical reasoning.



Conclusion


이 연구는 또한 임상추론은 다양한 용어로 표현되는 다차원적 개념이며,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하나의 통일된 구조라기 보다는 암묵적 의미와 유추된 의미 모두를 가진 다차원 개념임을 시사한다.

This work also suggests that clinical reasoning is a multidimensional concept, with a wealth of associated language, and a multiplicity of both implied and inferred meanings, rather than a singular, unified, commonly understood construct. 




Young ME, Dory V, Lubarsky S, Thomas AT. 2018a. How different theories of clinical reasoning influence teaching and assessment. Acad Med. 93:1415. (AM Last Page)


Young ME, Thomas A, Lubarsky S, Ballard T, Gordon D, Gruppen L, Holmboe E, Ratcliffe T, Rencic J, Schuwirth L, Durning S. 2018b. Drawing boundaries: the difficulty of defining clinical reasoning. Acad Med. 93:990–995.


Wynia MK, Papadakis M, Sullivan WM, Hafferty FW. 2014. More than a list of values and desired behaviors: a foundational understanding of medical professionalism. Acad Med. 89:712–714.





, 41 (11), 1277-1284
 

The Terminology of Clinical Reasonin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mplications and Considerations

Affiliations 

Affiliations

  • 1Department of Medicine, McGill University , Montreal , Canada.
  • 2Institute for Health Sciences Education, McGill University , Montreal , Canada.
  • 3School of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McGill University , Montreal , Canada.
  • 4Centre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Rehabilitation of Greater Montreal , Montreal , Canada.
  • 5Division of Emergency Medicine, Department of Surgery, Duk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Durham , NC , USA.
  • 6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Michigan , Ann Arbor , MI , USA.
  • 7Department of Neurology, McGill University , Montreal , Canada.
  • 8School of Medicine, Tufts University , Boston , MA , USA.
  • 9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Tufts Medical Center , Boston , MA , USA.
  • 10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 Chicago , IL , USA.
  • 11Department of Medicine, Yale School of Medicine, Yale University , New Haven , CT , USA.
  • 12Feinberg School of Medicine, Northwestern University , Chicago , Illinois , USA.
  • 13Swansea University Medical School, Swansea University , Swansea , UK.
  • 14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Texas Health Science Center , San Antonio , TX , USA.
  • 15Flinders University Prideaux Centre for Research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 Adelaide , Australia.
  • 16Department of Educational Development and Research, Maastricht University , Maastricht , the Netherlands.
  • 17Medical Education Research Centre, Chang Gung University , Taoyuan City , Taiwan, China.
  • 18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 Bethesda , MD , USA.

Abstract

Introduction: Clinical reasoning is considered to be at the core of health practice. Here, we report on the diversity and inferred meanings of the terms used to refer to clinical reasoning and consider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assessment. Methods: In the context of a Best Evidence Medical Education (BEME) review of 625 papers drawn from 18 health professions, we identified 110 terms for clinical reasoning. We focus on iterative categorization of these terms across three phases of coding and considerations for how terminology influences educational practices. Results: Following iterative coding with 5 team members, consensus was possible for 74, majority coding was possible for 16, and full team disagreement existed for 20 terms. Categories of terms included: purpose/goal of reasoning, outcome of reasoning, reasoning performance, reasoning processes, reasoning skills, and context of reasoning. Discussion: Findings suggest that terms used in reference to clinical reasoning are non-synonymous, not uniformly understood, and the level of agreement differed across terms. If the language we use to describe, to teach, or to assess clinical reasoning is not similarly understood across clinical teachers, program directors, and learners, this could lead to confusion regarding what the educational or assessment targets are for "clinical reasoning."


평가에 의해서 가려진 것: 내과 WBA에서 증례발표에 대한 학습자와 교수자의 관점(Acad Med, 2019)

Overshadowed by Assessment: Understanding Trainee and Supervisor Perspectives on the Oral Case Presentation in Internal Medicine Workplace-Based Assessment

Lindsay Melvin, MD, MHPE, James Rassos, MD, Daniel Panisko, MD, MPH, Erik Driessen, PhD, Kulamakan M. Kulasegaram, PhD, and Ayelet Kuper, MD, DPhil




구두증례발표(OCP)는 의사들 간의 의사소통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1 33 의대생들은 환자의 사례를 제시하는 기술을 일찍 배워 여러 해에 걸쳐 익힌다.4 OCP는 임상 지식의 향상, 환자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수집, 해석 및 구두 프레젠테이션을 포함한 많은 기술을 통합하도록 훈련자에게 요구한다.4,5 나아가 OCPs는 연수생과 감독관 간 밀접한 전문적 접촉의 순간을 허용한다.

The oral case presentation (OCP) plays an essential role in communication between physicians.1–3 Medical students learn the skill of presenting a patient’s case early and hone it over many years.4 OCPs require trainees to integrate many skill sets, including the refinement of clinical knowledge, patient communication, data gathering, interpretation, and verbal presentation.4,5 Further, OCPs allow moments of close professional contact between trainees and supervisors.


그러나, 훈련 프로그램에서 OCP는 공식적인 평가로서 표준화되어있지 않다. OCP의 의료 교육 및 특히 IM 훈련에서 잘 확립된 역할에도 불구하고, 감독관이 전체론적 연습생 평가에 OCP를 어떻게 통합하는지, 연습생이 의학교육에서 OCP를 어떻게 인지하는지에 대한 이해는 여전히 부족하다.

However, OCPs are not standardized as formal assessment in training programs. Despite the OCP’s well-entrenched role in medical education and specifically in IM training, there remains a paucity of understanding around how supervisors integrate OCPs in holistic trainee assessment or how trainees perceive the OCP in their medical education.


우리가 아는 바로는, 지금까지 이 분야의 연구는 OCP의 내용, 형태 또는 스타일의 정량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전 연구에서 OCP가 연습생 평가에 기여한다는 것이 광범위하게 드러났지만, 8개의 OCP 평가에 대한 최근 연구는 주로 개별 OCP의 내용 및 프레젠테이션 스타일의 체크리스트 평가 형식을 가정했으며, 임상적 추론은 거의 다루지 않았다.5,9–13

To our knowledge, research in this domain to date has focused on quantification of content, form, or style of an OCP.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shown broadly that an OCP contributes to a trainee’s evaluation,8 recent work on evaluation of OCPs has predominantly assumed the form of checklist assessments of content and presentation style of individual OCPs, with few addressing clinical reasoning.5,9–13


의대생들은 OCP를 데이터 수집 및 공유에 있어 structured exercise으로 보는 반면, 임상의사들은 OCP를 flexible narrative로 본다.4 링가드와 하버14는 또한 감독 임상의가 OCP의 "관련성relevance" 개념에 중요시한다는 점을 상세히 설명했다. "관련성"은 (임상적으로나 수사적으로나) 맥락에 따라 달라지며, 연수생이 OCP에서 유연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Medical students have been described as viewing OCPs as a structured exercise in data gathering and sharing, whereas attending clinicians view OCPs as a flexible narrative.4 Lingard and Haber14 have also elaborated on the importance that supervising clinicians place on the concept of “relevance” in the OCP. “Relevance” is clinically and rhetorically context dependent, highlighting the need for trainees to be flexible in their OCPs.


역량 기반 의료 교육(CBME) 프레임워크에서는 WBA가 핵심적이다. CBME는 authentic formative 평가를 위해 Workplace-based 활동을 이해하고 최적화하는 교육자의 관심을 새롭게 했다.

In a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framework, workplace-based assessment is pivotal. CBME has renewed educators’ interest in understanding and optimizing workplace-based activities for authentic formative assessment.


OCP는 즉각적으로 관찰가능한 활동이며, 내재된 교육적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16 OCP에 대한 훈련자 및 감독자의 OCP 경험은, 특히 평가와 관해서는 동일한 퍼즐의 두 조각을 나타낸다. CBME 교육 모델의 구성요소로 OCP를 공식화하려면 연습생 교육 및 평가에 OCP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

The OCP is an immediately observable activity, ripe with inherent educational potential.16 Trainee and supervisor experiences with OCPs, particularly in assessment, represent two pieces of the same puzzle. Formalization of the OCP as a component of CBME training models6,17 necessitates that we clearly understand how OCPs are used in trainee education and assessment.


방법

Method


내과의 임상 감독자에 의한 전공의 교육 및 평가에서 OCP의 역할을 탐구하기 위해 구성주의자 기반 이론 접근법을 사용했다. 구성주의 기반 이론에서, 지식은 특정 환경과 맥락 안에서 참여자의 경험에 대한 연구자의 탐구를 통해 형성된다. 참가자와 연구자의 경험과 견해는 모두 사회 활동을 둘러싼 의미 구축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 연구팀은 이 연구에 다양한 임상 및 교육적 전문지식을 가져왔다.

We used a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approach to explore the role of the oral OCP in trainee education and assessment by clinical supervisors within IM. In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knowledge is constructed through the researcher’s exploration of participants’ experiences within specific settings and contexts.18,19 Both participants’ and researchers’ experiences and views affect the construction of meaning around a social activity.18 Our research team brought varying expertise in clinical and educational work to this study.


세팅

Setting


토론토 대학의 일반 IM 임상 강의실에서, OCP는 하룻밤 사이에 입원한 환자들의 아침 식사 중에 발생한다. OCP의 수는 매일 평균 1-4건이다. 케이스는 보통 후배 연수생(의대생 또는 1학년 레지던트)이 감독관에게 직접 발표한다. 본 연구에서 "훈련자"는 3학년 또는 4학년 의대생과 IM 레지던트를 가리킨다. 본 수련 프로그램에서, 개별 OCP는 공식적으로 평가되지 않는다. 레지던트와 학생을 위한 최종 ITER은 전체 로테이션에 대해서 평가하며, OCP의 요소들은 "의료 전문가" 및 "커뮤니케이터" 카테고리에 포함되어있고, 이를 바탕으로 CanMEDS 영역에서 1에서 5점까지의 등급으로 평가한다.

At the University of Toronto on a general IM clinical teaching unit, OCPs occur during the morning intake of patients admitted overnight on call. The number of OCPs averages between one and four cases daily. Cases are usually presented by junior trainees (medical students or first-year residents) directly to supervisors. In this study, “trainees” refers to clinically based third-or fourth-year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in IM. In our training programs, individual OCPs are not formally evaluated. Final in-training evaluation reports for residents and students reflect the entire rotation and employ a 1–5 rating scale across the CanMEDS domains of practice, with elements of OCPs encompassed under the “medical expert” and “communicator” categories.


샘플

Sample


참가자의 샘플링에 대한 이론적 전략을 따랐으며, 이에 따라 데이터 수집과 분석은 후속 데이터 수집에 정보를 제공하였다.19,20

We followed a theoretical strategy for participant sampling, whereby data collection and analyses informed subsequent data collection.19,20


우리는 연령, 성별 및 연도에 따라 다양한 참가자를 선별하기 위해 목표 샘플링을 사용했으며, 이는 우리의 연구 질문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상세히 설명할 수 있다.

We used purposive sampling to select participants varied in age, gender, and years of experience who would be able to enrich and elaborate on our developing understanding of our research questions.19,20


모집

Recruitment


자료수집

Data collection


자료 수집과 분석은 반복적이었으며, 근거 이론에 부합한다.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as iterative, consistent with grounded theory.20


면접자는 스터디 팀이 작성하고 다듬은 반구조화된 인터뷰 가이드(http://links.lww.com/ACADMED/A599 참조)를 사용했으며 연습생 학습, 평가 및 평가에서 OCP 사용에 관한 개방형 질문 및 잘 했거나 잘 못했던 OCP의 구체적 특징을 묻는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우리는 발생하는 주제와 개념을 탐구하기 위해 인터뷰 가이드를 반복적으로 수정했다. 분석하기 전에 모든 데이터가 deidentified되었다.

Interviewers used a semistructured interview guide created and refined by the study team (see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es 1 and 2, available at http://links.lww.com/ACADMED/A599) and consisting of open-ended questions regarding the use of the OCP in trainee learning, evaluation, and assessment as well as questions about specific features of strong and weak OCPs. We iteratively revised the interview guides to explore arising themes and concepts.19 Interviews were audio-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All data were deidentified prior to analysis.


자료분석

Data analysis


우리는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비교 방식으로 구성주의적 근거 이론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모든 기록을 분석하였다.19,21,22 이론적 샘플링은 데이터 분석과 함께 반복적으로 지속되어 새롭게 부상하는 프레임워크의 차이를 해결하고 코드의 전체 범위의 의미에 대한 이해를 공고히 하였다.19,21–23 분석이 이루어지는 동안, 우리는 데이터 세트를 결합하고 비교하기 전에, 각 참가자를 별도로 그룹화하였다.

We analyzed all transcripts using a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approach, in an iterative, constant comparative fashion.19,21,22 Theoretical sampling continued iteratively alongside data analysis to address gaps in the emerging framework and solidify understanding of the full range of meaning of the codes.19,21–23 During analysis, we considered each participant group separately before combining and comparing the data sets for further analysis.


두 명의 면접관(L.M.과 J.R)은 초기 코드를 개발하기 위해 라인 바이 라인 코딩을 실시했다. 그리고 나서 우리는 각 세트의 첫 세 번의 인터뷰 후에 새롭게 등장하는 코드와 개념에 대해 토론하기 위해 만났다. 우리는 새로운 코드가 나타나지 않을 때까지 계속하여 코드의 예를 확인하고 확인하지 않기 위해 반복 코딩에 대한 지속적인 비교 접근방식을 사용했다. 우리는 코딩 구조를 다듬고, 테마 간의 관계를 탐구하고, 전체 데이터 세트에 근거한 분석의 측면에 도전하고, 이론적 모델을 다듬기 위해 여러 번 만났다.22 연구팀의 각 구성원은 분석에 다양한 연구와 교육적 전문지식을 가져왔다. 그 후, 몇몇 작가(K.M.K., D.P., A.K)는 각각 코드화되지 않은 대본을 읽어 부호화 구조와 이론적 모델을 검증하였다. 이론적 포화 상태가 달성될 때까지 데이터 수집이 계속되었으며, 새로운 테마가 발생하지 않았고 데이터가 교육 실무에서 OCP의 사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고 그룹 합의에 의해 결정되었다.23,24

The two interviewers (L.M. and J.R.) conducted line-by-line coding to develop initial codes. We then met to discuss emerging codes and concepts after the first three interviews of each set. We used a constant comparative approach to iterative coding in which transcripts were read multiple times to ascertain confirming and disconfirming examples of codes, continuing until no new codes emerged. We met several times to refine the coding structure, explore relationships among themes, challenge aspects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full data set, and refine a theoretical model.22 Each member of the research team brought varied research and educational expertise to the analysis. Subsequently, several authors (K.M.K., D.P., and A.K.) each read uncoded transcripts to verify the coding structure and theoretical model. Data collection continued until theoretical saturation was achieved, determined by group consensus that no new themes were arising and the data were sufficient to understand the use of OCPs in educational practice.23,24


우리는 연구 주제와 해석에 대한 잠재적 영향과 관련하여 우리 개개인의 입장을 반영할 수 있도록 주의를 기울였다. 이러한 입장은 연구팀 회의에서 논의되었다.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임상의와 교육 전문가와의 구성원 확인은 우리의 연구 결과를 확인하는 데 사용되었다.

We took care to be reflexive about our individual positions in relation to the research subject and potential effects on interpretation. These stances were discussed at research team meetings. Member checking with clinicians and educational experts who had not participated in the study was used to confirm the resonance of our findings.


결과

Results


모든 인터뷰 대상자는 IM에서 OCP의 필수 요소에 대한 공유된 정신 모델shared mental model을 보여주었다. OCP 내용 및 프레임워크의 세부사항을 둘러싸고 감독자와 연습생들 사이에 긴장감은 없었다.

All interviewees demonstrated a shared mental model of the required elements of OCPs in IM. There was no tension between supervisors and trainees around the details of OCP content and framework.



역량 평가를 위한 OCP

The OCP in assessment of competence


가장 중요한 발견은 [환자 진료를 위한 정보 공유]라는 OCP의 명백한 목적이 [임상 역량을 평가하고자 OCP를 암묵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가려진다overshadowed는 것이다. OCP는 trainee가 자신의 역량을 시연하는 활동이자, 감독자가 trainee의 역량을 평가하는 활동이다. OCP는 [적절한 환자 진료를 보장하기 위한 것]과 [의료 교육 내의 성과 평가]라는 두 가지 차원에서 동시에 이뤄진다. 데이터 분석은 WBA에서 감독자와 연습생 모두 OCP를 어떻게 인지했는지를 설명하는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개발했다(그림 1 참조).

The overarching finding was that the explicit purpose of an oral OCP in information sharing for patient care appeared to be overshadowed by the implicit use of OCPs in assessment of clinical competence and educational standing. The OCP is an activity centered around trainee demonstration, and supervisor assessment, of competence. OCPs are assessed concurrently on two levels: for ensuring appropriate patient care and as a performance assessment within medical education. Data analysis resulted in the development of a theoretical framework addressing how OCPs were perceived by both supervisors and trainees in workplace-based assessment (see Figure 1).



환자에 대한 공통 이해 개발

Developing a shared understanding of the patient


겉보기에 OCP의 주된 목적은 환자 치료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훈련생과 감독관 모두 이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OCP의 중요성을 언급하면서, OCP의 성공이 환자와 환자의 문제를 명확히 이해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Ostensibly, the primary purpose of an OCP is communicating necessary information required for patient care. Trainees and supervisors alike spoke of the importance of OCPs generically in this regard, explaining that a successful OCP results in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atient and the patient’s problems:


감독자는 이해하고 싶어한다

Supervisors seek understanding


감독관들은 환자를 이해하기 위한 수단으로 OCP에 접근했고, 이를 통해 훈련생을 평가했다.

Supervisors approached the OCP as a means to understand the patient and, through their ability to do so, subsequently assess the trainee.


서사

Narrative


환자 프레젠테이션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는 과정에서, 감독자들은 환자에 대한 understanding의 발전과정에 대해서 유연성을 허용했다. [서사로서 증례 프레젠테이션]의 개념이이 이러한 shared understanding을 구성하는 본질이었다. 서사의 명확성이 부족하면 trainee의 OCP가 부적절함을 의미할 수 있다.

In building understanding of a patient presentation, supervisors allowed for flexibility around how comprehension is developed. Inherent to constructing this shared understanding was the concept of the case presentation as a narrative. Lack of clarity in a narrative could signify an inadequate OCP by the trainee:


정보 통합 및 관련성 이해

Information synthesis and understanding relevance


성공적인 OCP의 가장 중요한 것은 적절한 정보 통합과 필터링 능력이었다. 효과적인 OCP는 "관련성"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달려있다.

Crucial to a successful OCP was the ability of a trainee to show adequate information synthesis and filtering. An effective OCP hinges on the understanding of “relevance,”


감독자들은 OCP에서의 임상 추론의 정교함이란, 관련성을 종합하고 이해함으로써 입증할 수 있으며, 훈련생들의 능력을 설명했다고 말했다. (감독자와 연습생 모두) trainee가 이것을 잘 하지 못한다는 것은 뭔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신호라고 말했다.

Supervisors described that the sophistication of clinical reasoning in an OCP, demonstrated through synthesis and understanding relevance, delineated trainees’ abilities. Both supervisors and trainees described that failings in these features, may signal a learner in difficulty.


불확실성 관리

Managing uncertainty


감독자들은 임상적 불확실성이 종종 발생한다는 것을 인지했다. 감독관들은 자신의 한계에 대한 이해를 표현하는 훈련생들을 칭찬하였으며, trainee들이 어떻게 임상적 불확실성을 식별하고 관리하는지를 보여주었다.

Supervisors recognized that clinical uncertainty often arises. Supervisors lauded trainees who express an understanding of their limitations, demonstrating how they identify and manage clinical uncertainty.


전공의는 통제하고 싶어한다

Trainees seeking control


훈련생들은 감독관이 [환자 관리]와 [수련생 평가] 모두에서 OCP를 사용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따라서, 훈련생에게 OCP는 자신이 develop한 환자에 대한 공통이해를 통제하기 위한 과정으로 보았다. 조심스러운 performance은 감독자의 암묵적 선호에 따라 조정되었고, 밤을 새워 선배 전공의를 거치며 다듬어졌다예를 들어, 연습생들은 information synthesis를 [감독관에게 자신의 능력을 증명하기 위한 방법]으로 프레이밍했다.

Trainees were cognizant of the fact that supervisors use OCPs in both patient care and assessment. Thus, trainees viewed the OCP as an exercise in controlling the shared understanding of a patient that is developed. The careful performance was adapted to oft-implicit supervisor preferences and polished by senior residents overnight. For example, trainees often framed information synthesis as a way to demonstrate their ability to the supervisor:


평가에 참여하여 연습생들은 [감독관이 그들의 환자관리 결정에 동의할 수 있도록], OCP에서 의도적으로 이야기를 구성하고자 하는 욕구를 나타냈다. 훈련생들은 종종 OCP를 "논쟁" 또는 "이야기 판매"라고 묘사한다.

Attuned to assessment, trainees expressed a desire to purposefully construct the OCP’s narrative such that the supervisor would agree with their management decisions, or “buy into (the) plan” (R2-11). Trainees often described OCPs as an “argument” (R3-12), or of “selling a story” (R2-11)


불확실성 회피

Avoiding uncertainty


통제에 대한 열망에 걸맞게, trainee는 불확실성의 표현을 가치있게 여기지 않았다. 감독관들의 인식과는 달리, 연습생들은 불확실성을 (강점보다는) 약점으로 비유했다. 훈련자는 표시된 불확실성 수준을 최소화하기 위해 OCP를 제어하는 것에 대해 말했다.

Fitting with the desire for control, the expression of uncertainty was not valued by trainees. In contrast to the perceptions of supervisors, trainees equated uncertainty to weakness rather than strength. Trainees spoke of controlling the OCP to minimize the level of uncertainty displayed:


The OCP as a performance


연습생 면담에서는 [(학습보다) 평가에서 OCP의 활용]에 대한 토론이 주를 이뤘다. OCP의 평가 역할에 대한 훈련자의 의식은 다음과 같은 만남에서 강한 성과 추론을 초래했다.

trainee interviews were dominated by discussions of OCPs’ use in assessment, rather than learning. Trainees’ consciousness of the OCP’s role in assessment resulted in a strong overtone of performance in the encounter:


버퍼로서 선배 전공의 

Senior resident as buffer


선배 전공의는 [경험과 감독자 선호에 대한 사전 지식]을 통해 후배들이 이 performance을 무사히 navigate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고 묘사되었다. 하룻밤 사이에 선배 레지던트와 함께 한 첫 OCP는 일종의 리허설이었고, 선배들은 감독관과의 아침 프레젠테이션 전에 후배들의 OCP를 다듬어주었을 것이다.

Senior residents were described as being pivotal in helping juniors navigate this performance through experience and prior knowledge of supervisor preferences. The first OCP with the senior resident overnight was often used as a practice run, and seniors may have polished the juniors’ OCP prior to the morning presentation with the supervisor:


연습생과 감독자 모두, OCP를 심사숙고해서 구성하기 때문에, 평가에서 과대평가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아마도 진짜 능력을 잘못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했다.

Both trainees and supervisors displayed awareness of the fact that carefully constructed OCPs were perhaps a misleading representation of true abilities if the OCP is overvalued in assessment:


슈퍼바이저의 선호에 적응

Adapting to supervisor preferences


OCP가 명백히 평가에 가중치를 갖기 때문에, 연습생들은 어떤 감독관이 종종 암묵적이거나 특이한 성향을 보일 때 좌절감을 언급했다.

Because of the OCP’s apparent weight in assessment, trainees also described frustrations with often-implicit and idiosyncratic supervisor preferences for OCPs:


고찰

Discussion


연수생과 감독관 모두에게, 환자관리 및 의학교육이라는 OCP의 명백한 목적은 synchronous informal assessment activity라는 특성에 의해 가려졌다.

both trainees and supervisors, the explicit purpose of the OCP in IM patient care and medical education was overshadowed by the synchronous informal assessment activity.


임상 감독관들은 OCP를 사용하여 서술적 사용, 정보 합성, 불확실성 탐색과 같은 연습생 데모 기술을 통해 환자에 대한 이해를 형성했다. 결과적으로, 훈련생들은 선배 전공의에 의해 다듬어진, [각 감독관의 개별 선호도에 맞춘 퍼포먼스]로서 OCP를 통제하려고 했다. (훈련생과 슈퍼바이저는) OCP의 핵심 요소들의 정신 모델을 공유함에도 불구하고, OCP에 대한 기대가 대체로 암묵적이었기에 긴장이 고조되었다.

Clinical supervisors used OCPs to form an understanding of the patient through trainee-demonstrated skills such as using narratives, information synthesis, and the navigation of uncertainty. Consequently, trainees sought to control the OCP, viewing it as a performance tailored to each supervisor’s individual preferences, refined by senior residents. Tensions arose due to the largely implicit expectations of the activity, despite the shared mental model of the core elements of an OCP.


효과적인 OCP는 여러 영역에서 역량을 입증하는 것을 나타내며 교육 발전의 창을 제공한다. OCP에서 지식 통합과 합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사실은 [OCP에서 내용만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입증하는 다른 연구와도 부합한다.8,11,13,25 "관련성"의 이해를 통해 임상적 추론을 입증하는 것은 성공적인 OCP에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관련성'은 환자, 컨텍스트 및 감독자 선호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다

An effective OCP represents the demonstration of competence in multiple domains and offers a window into educational development. The finding that knowledge integration and synthesis is paramount in the OCP is supported by other studies which demonstrate that content alone is not the only evaluated aspect of an OCP.8,11,13,25 Demonstrating clinical reasoning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relevance” is critical to a successful OCP. However, relevance is a shifting target for trainees, depending on the patient, context, and supervisor preferences.14


물밑으로 흐르는 평가의 분위기는 연습생과 감독자 사이의 동태를 변화시킨다. 평가가 있었기에, trainee들은 OCP를 역량을 입증하는 performance로 보았다. 훈련생들은 심사원의 approval을 얻으려고 쇼맨십 멘탈리티를 취했다. 이것은 LaDonna와 동료들의 연구 결과를 보완하는데, 26 더 나아가 OCP는 학습자의 행동에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는 임상적 관행을 관찰하는 형태임을 시사한다. Lo and Regehr의 연구 결과와 비슷하게, 본 연구에서도 연습생들은 OCP에서 이미지 관리에 몰두했다. 그러나, 그들의 연구와는 달리, 훈련의 모든 단계에 걸친 우리의 참여자들은 OCP를 가르치는 것과 배우는 것에 쉽게 연관시키지 않았다. Trainee가 [평가와 성과에 대한 관심]을 주로 갖고 있었기에, OCP의 초점은 풍부한 WBL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The undercurrent of assessment throughout the encounter alters the dynamic between trainee and supervisor. Driven by assessment, the trainees we interviewed viewed the OCP as a performance in demonstrating competence. Trainees assume a showmanship mentality, seeking approval from the assessor. This complements findings from LaDonna and colleagues,26 further suggesting that the OCP is a form of observation of clinical practice with unintended consequences on learner behavior. Similar to the findings of Lo and Regehr,27 trainees from our study were preoccupied with image management during the OCP. However, unlike their study, our participants across all stages of training did not readily associate OCPs with teaching and learning. Trainee concern with assessment and performance diverts the focus of the OCP away from rich workplace-based learning.


이러한 발견은 앞선 연구를 보완하며, 의학교육 내에서 OCP 동안 발생하는 WBA와 WBL 사이의 긴장을 보여준다.4,15,28

These findings elaborate on earlier work, demonstrating further tensions during OCPs between workplace-based assessment and learning within medical education.4,15,28


[불확실성 탐색]에 대한 이질적인 관점도 긴장 상태를 보여준다. 이전의 연구 결과와 일관되게, 훈련생들은 불확실성을 피해야 할 약점이라고 말했다.28 감독관들이 불확실성의 논의를 강점으로 보는 사실은 대부분 훈련생들에게 알려지지 않았다.

The disparate views of navigating uncertainty also exemplify the tension: Trainees spoke of uncertainty as a weakness to be avoided, consistent with previous findings.28 The fact that supervisors view discussions of uncertainty as a strength is largely unbeknownst to trainees.


그러나, 평가를 우선시한 나머지 trainee는 무능해 보일 것을 우려하여 불확실성에 대처하는 능력을 강조했다. 또 다시 이런 방식으로 WBA는 WBL보다 우선한다.

However, overarching assessment deemphasizes to trainees the ability to cope with uncertainty, for fear of seeming incompetent. In this way, assessment supersedes formative workplace learning.


우리의 연구는 OCP가 CBM의 WBA에서 OCP의 잠재적 사용을 정당화하면서 역량을 평가하고 입증하는 수단으로 받아들여진다는 것을 증명한다.

our study demonstrates that OCPs are accepted as a means of assessing and demonstrating competence, legitimizing the potential use of OCPs in CBME workplace-based assessment.


또한 이번 연구에서는 선배 레지던트들이 의학교육 apprenticeship을 통하여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밝혀냈다. 선임 레지던트들은 OCP의 학습을 형성하고, 감독관들에게 최종 OCP를 위한 후배들을 지도하고 준비하는데 필수적이다. 이전의 문헌은 실무에서의 코칭과 평가의 분리를 요구해 왔다.32,33 이 연구를 통해 우리는 선배 레지던트들이 중요한 sideline 코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의 요소들은 이미 실제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34

Our findings also shed light on the influential role of senior residents as near-peers in medical education apprenticeship. Senior residents are essential in shaping learning of and from OCPs, guiding and preparing juniors for the final OCP to supervisors. Previous literature has called for the separation of coaching and assessment in practice.32,33 Through this study, we see that senior residents are crucial sideline coaches. it appears that elements of this are already in practice.34


OCP에서 슈퍼바이저의 성향에 대해 훈련생들과 감독관들은 서로 다른 이야기를 했다. 그러한 선호preference는 대개 함축적이며 상황에 매우 의존적이다.4,14 훈련생들은 [외관상 무작위로 보이는 스타일적 차이]가 평가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여, 이를 두려워하는 것으로 보인다.

Trainees and supervisors spoke of differing supervisor preferences for OCPs. Such preferences are usually implicit and often highly dependent on context.4,14 Trainees appear to dread these seemingly random stylistic discrepancies, as they are perceived to affect assessment.


Apramian과 동료들은 감독관들이 performance가 아니라 사실은 preference를 얼마나 잘 흉내내는지를 평가하고 있는 것이 아닌지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OCP를 평가 활동으로 검토할 때 이와 유사한 질문이 발생한다.35 OCP는 진실한 임상적으로 내재된 활동이지만, 선배 레지던트와 감독자가 선호하는 것을 모방하고 모델링하는 데 집중하게 되면 평가의 타당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Apramian and colleagues raised questions of whether supervisors are assessing the mimicry of preference, rather than performance. A similar question arises when examining the OCP as an assessment activity.35 Though the OCP is an authentic, clinically embedded activity, mimicry and modeling of senior residents and supervisor preferences may detract from its assessment validity.


OCP의 결점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잘 알려진 비공식 평가 방법과 훈련생들의 in vivo 역량을 평가하고 감독자들이 능력을 평가하는 수단으로 남아있다.

Despite the OCP’s flaws, it remains a well-recognized method of informal assessment and a means for trainees to demonstrate and for supervisors to assess competence “in vivo.”


CBME에서는 임상적으로나 교육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직접 관찰을 사용하는 새로운 형태의 평가를 추가할 위험이 있다. 우리는 authentic한 임상적 맥락 안에 존재하는 WBA를 최적화해야 한다. OCP는 병력청취검사 또는 신체검사 기술에 대한 대리지표가 아니며, 그보다는 임상 추론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 기회이다: 임상추론은 의학 교육에서 중요한 기술이지만, 여전히 평가 측면에서는 모호한 점이 있다.

In CBME, there is a risk of adding new forms of assessment employing direct observation that are not clinically or educationally meaningful. We must optimize workplace-based assessments that exist within authentic clinical contexts. The OCP is not a surrogate for direct observation of history-taking or physical examination skills, but an opportunity for the direct observation of clinical reasoning: a crucial skill in medical education, yet elusive in evaluation.40–42


OCP는 [환자 관리의 핵심 요소]이자, [연습생 교육 및 평가]를 위한 authentic, clinically embedded encounter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평가에 집중하면 연습생들이 성과 지향적인 행동에 관심을 갖게 된다.

The OCP serves both as a core element in patient care and an authentic, clinically embedded encounter for trainee education and assessment. However, focus on assessment leads trainee attention toward performance-oriented behaviors.


중요한 것은, 감독자는 OCP의 서사, 통합, 불확실성 관리와 같은 핵심 측면을 연습생에게 다시 강조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감독자가 평가의 미묘한 요소를 명시적으로 명확히 한다면, 과제의 formative nature를 활용가능할 것이며, 연습생이 performance와 control에 초점을 두어 행동하는 것을 막아줄 것이다.

Importantly, supervisors can reemphasize for trainees key aspects of the OCP, such as the narrative, synthesis, and managing uncertainty. Faculty development for supervisors to explicitly clarify subtle elements of the assessment would harness the formative nature of the task and redirect trainee behavior away from performance and control.43,44


결론적으로, 우리가 인터뷰한 감독관과 훈련생들 모두 OCP를 평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임상 활동으로 보았다.

In conclusion, both the supervisors and trainees we interviewed viewed the OCP as a clinical activity with an important role in assessment.


Limitations


Conclusion


36 ten Cate O, Hart D, Ankel F, et al; International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ollaborators. Entrustment decision making in clinical training. Acad Med. 2016;91:191–198.


38 Sklar DP. Competencies, milestones, and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What they are, what they could be. Acad Med. 2015;90:395–397.


27 Lo L, Regehr G. Medical students’ understanding of directed questioning by their clinical preceptors. Teach Learn Med. 2017;29:5–12.


33 Watling C. The uneasy alliance of assessment and feedback. Perspect Med Educ. 2016;5:262–264.









, 94 (2), 244-250
 

Overshadowed by Assessment: Understanding Trainee and Supervisor Perspectives on the Oral Case Presentation in Internal Medicine Workplace-Based Assessment

Affiliations 

Affiliation

  • 1L. Melvin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and staff physician,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Health Network, Toronto, Ontario, Canada. J. Rassos is a fifth-year resident, general internal medicine subspecialty training program,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D. Panisko is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and staff physician,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Health Network, Toronto, Ontario, Canada. E. Driessen is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and chair, Department of Educational Development and Research, Faculty of Health, Medicine and Life Sciences,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K.M. Kulasegaram is scientist and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Wilson Centre, University Health Network and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A. Kuper is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scientist and associate director, Wilson Centre for Research in Education, University Health Network, University of Toronto, and staff physician,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Sunnybrook Health Sciences Centre, Toronto, Ontario, Canada.

Abstract

Purpose: The oral case presentation (OCP) is an essential part of daily clinical practice in internal medicine (IM) and a key competency in medical education. It is not known how supervisors and trainees perceive OCPs in workplace-based learning and assessment.

Method: Using a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approach, 26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held with trainees and supervisors (18 clinical clerks and first- through third-year postgraduate trainees, and 8 supervisors) on the IM clinical teaching unit at the University of Toronto, 2015-2016. Interviews focused on how the OCP was viewed by both trainees and supervisors in clinical practice as a tool for patient care, learning, and assessment. Iterative, constant comparative techniques were used to analyze the interviews and develop a framework to understand trainee and supervisor perspectives.

Results: Supervisors and trainees viewed the OCP as an important part of informal trainee assessment in IM. Supervisors used OCPs to understand the patient through trainee-demonstrated skills including the use of narratives, information synthesis, and management of uncertainty. However, because of awareness of assessment, trainees sought to control the OCP, viewing it as a performance demonstrating their competence, mediated by senior residents and tailored to supervisor preferences.

Conclusions: Preoccupied with assessment around OCPs, trainees often lost sight of the valuable learning taking place. Use of OCPs in assessment necessitates optimization of the educational activity for trainees. Providing explicit direction to both trainees and supervisors, defining expectations, and clarifying the assessment activity of the OCP can optimize the encounter for best educational practice


핵심 임상실습 성적: 객관성의 환상(Acad Med, 2019)

Core Clerkship Grading: The Illusion of Objectivity

Karen E. Hauer, MD, PhD, and Catherine R. Lucey, MD




성적은 유치원부터 대학까지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겉으로 보기에 객관적으로 보이는 성취의 척도다. 고학년 평균은 대학, 졸업생 또는 전문학교에 입학할 수 있는 학생의 능력에 종종 도움이 된다. 그러므로 의과 교육적인 측면에서 레지던트 프로그램이 그들이 그들의 프로그램에 들어가고 싶어하는 졸업 의대생을 선발하기 위해 핵심 임상실습 성적에 의존하도록 발달해온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

Grades are a universally accepted and seemingly objective measure of accomplishment from kindergarten through college. High grade point averages are frequently instrumental to a student’s ability to earn entrance into college, graduate, or professional school. It is therefore not surprising that, in the medical education context, residency programs have developed a reliance on core clerkship grades to select the graduating medical students they would most like to enter their programs.


핵심 임상실습 성적을 사용하는 근거는 (미적분학 과정의 시험 점수의 평균과 마찬가지로) 성적이란 [어떤 학생이 과거에 성취한 것은 미래에 유사한 상황에서 유사한 성적을 낼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척도]라는 것이다. 더욱이 한 학생을 다른 학생과 비교하여 순위를 매기기 위해 성적을 사용하는 것이 공정하고 공평하며 필요한 것이라는 가정이 있다.

The rationale behind the use of core clerkship grades is that they, like the average of test scores in a calculus course, are a measure of a student’s achievement and the likelihood of future similar performance by that student in similar circumstances. Moreover, there is an assumption that it is fair, equitable, and necessary to use grades to rank one student in comparison with another.


의대 2학년 때 핵심 임상실습을 시작하려는 전국적인 경향에도 불구하고, 핵심 임상실습 성적에 대한 이러한 의존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이 말은, 특정 전공분야에서 어떤 학생이 미래 성공할지 여부가 의대 교육이 절반도 지나지 않은 시점에 평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reliance on core clerkship grades remains true today, despite the national trend to begin core clerkships in year two of medical school, meaning that a student’s aptitude for future success in a given specialty may be judged before the halfway point in his or her medical school education.


핵심 임상실습에서 점수의 과녁을 놓치는 이유

How Core Clerkship Grades Miss the Mark


복잡성

Complexity


성적은 많은 교육적 맥락에서 유용하지만, 핵심 임상실습은 미적분학 수업이 아니다. 학생이 숙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역량의 복잡성]과 학생이 귀속되어 학습하게 될 [맥락의 가변성]은 쉽게 성적에 반영되지 않는다. 

Although grades are useful in many educational contexts, core clerkships are not calculus classes. The complexity of competencies a student is expected to master and the variability of contexts in which they are expected to learn do not translate readily to grades.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과 교수들은 모두 성적으로 환산된 정량적 점수가 복잡한 임상 환경에서 학생들의 수행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한다는 객관성의 환상에 굴복한다. 전국의 의과대학은 학생들의 웰빙를 장려하고 학습을 강화하기 위해 교육과정 초기에 합격/불합격 등급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같은 학교에서는 학생을 차별화하기 위해 "명예" "고등 합격" "통과" 등과 같이 총괄적 성적을 부여한다.1

And yet, students and faculty alike succumb to the illusion of objectivity—that quantitative ratings converted to grades convey accurate measures of students’ performance in complex clinical environments. Although medical schools across the country commonly use pass/fail grading early in the curriculum to encourage student well-being and enhance learning, the same schools assign summative clerkship grades of “honors,” “high pass,” and “pass” to differentiate students.1


자료의 오류

Flawed data


게다가, 그 성적을 산출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들이 자주 결함이 있다는 충분한 증거가 있다. 학생을 감독하는 교직원과 레지던트는 학생들이 환자에게 임상 기술을 수행하는 상황을 거의 관찰하지 않는다고 보고하면서도, 동시에 병력청취, 신체 검사, 환자 의사소통을 포함한 학생들의 능력을 일상적으로 평가한다.4 아마도 감독자들은 회진 중 구두 발표 기술 등 대리 정보로 이러한 기술을 평가하거나, 학생을 관찰한 다른 사람의 의견을 구할 것이다.

In addition , there is ample evidence that the data collected to support that grade are frequently flawed. Supervising faculty and residents routinely rate students’ skills including history taking, physical examination, and patient communication, although students report rarely being observed performing these clinical skills with patients.4 Presumably, supervisors rate these skills by inferring from proxy information, such as oral presentation skills during rounds, or seek input from others who have observed the student.


문제는 의학교육의 로테이션 모델로 인해서 더 심각해진다. 교수들이 자주 교대함에 따라서 이들에게 감독받는 학생들은 관찰 기반 피드백을 받을 기회가 적어지고, 받은 피드백에 응답respond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기 때문이다.3,6 교수들은 심지어 학생들을 관찰하고 있는 상황에서조차, 교수마다 관찰 결과를 등급으로 변환하는 방법이나, 성과 기대치를 이해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평가자의 인식에 관한 문헌에 따르면, 교수들이 등급을 매기는rating 복잡한 과정을 지나치게 단순화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평가자들마다 개별적인 관점과 편견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고, 학생들에게 주어진 학생-환자 조우의 특정한 측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The rotational model of medical training exacerbates the problem of assessment as students supervised by faculty who rotate frequently are increasingly challenged to find opportunities to receive observation-based feedback and to demonstrate their ability to respond to feedback.3,6 Even when faculty do observe students, the ways that they translate those observations to ratings and understand performance expectations are widely variable. Literature on rater cognition urges caution in oversimplifying the complex processes by which faculty make ratings, which are inherently informed by their individual perspectives and biases as well as the specific aspects of particular student–patient encounters.7


학생들의 성적에 대한 서술형 평가도 한계가 있다. 학습과 개선에 있어 성과에 대한 서술적 피드백은 필수적이지만, 학생들은 임상실습 동안 유용한 서술적 피드백을 거의 받지 못한다고 보고한다. 일반적으로 서술적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총괄 평가에서 [개선을 위한 영역]이 언급되어있으면, 마치 performance가 나빴던 것으로 간주된다. 서술형 코멘트는 슈버파이저들이 직무과정에서 학습한, 하지만 학생들은 모호하고 애매하다고 느끼는 "암호화된" 언어로 가득 차 있다.8

Narrative evaluations of student performance suffer shortcomings as well. Although narrative feedback on performance is essential for learning and improvement, students report rarely receiving useful narrative feedback during clerkships. In summative evaluations, which do typically contain narrative information, mention of areas for improvement are considered to signal bad performance. Narratives can be replete with “code” language that supervisors learn on the job but that students find obscure and ambiguous.8


불균등한 기회

Unequal opportunities


모든 학생들이 핵심 임상실습에 대한 중압감은 똑같이 느끼지 않는다. 시간에 쫓기고 상대평가로 등급이 매겨지는 환경에서, 초반부터 빠르게 적응하고 잘 수행하는 학생들은, 비록 모든 학생이 최종적으로 동일한 기대성과를 달성하더라도, 다른 학생들보다 더 좋은 점수를 받을 것이다. 이러한 현실은 본질적으로 의대 이전에 얻은 이점을 가져다 주는 학생들에게 유리하다. 의사 가족을 둔 학생들 또는 의료 또는 다른 전문적 경험을 가진 학생들은 이미 임상 환경의 언어와 규범 중 일부를 이해하고 있다. 현실에서 그들은 "빠른 학습자"가 아니라, 이미 적응할fit in 줄 아는 학습자들이다.

Grading pressures in core clerkships are not felt equally by all students. In a time-challenged, normatively graded environment, students who adapt quickly and perform well from the start may be rated more favorably than other students, even if they all eventually achieve expected competency. This reality inherently favors students who bring advantages acquired before medical school. Students who come from families of physicians or other health providers, and those who have medical or other professional experience, already understand some of the language and norms of the clinical environment. In reality, they are not “quick learners” but, rather, learners who already know how to fit in.


원래 자신이 가지고 있던 경험이나 문화적 배경이 임상 실습의 전문적인 환경과 다른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적응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비록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이러한 학생들은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빠른 속도로 배울 수 있지만, 어떤 평가자들은 이 학생들을 다른 학생들보다 더 낮게 평가한다. 하지만 학생들마다 배우는 속도는 다르더라도, 같은 성과에 도달할 수 있다.

Students whose experience or cultural background differs from the professional environment of clinical practice may naturally need more time to acclimate. Although these students who have more to learn may apply great effort and learn at a rapid rate, their assessors frequently rate them as lower-performing than some of their peers. Students can learn at different rates and get to the same point


외향과 자신감을 더 강한 수행의 지표로 추천할 수 있는 환경에서, 선천적으로 조용하거나 사고 과정에 더 내향적인 학생들은 다른 기술과 상관없이 덜 능력 있는less competent 학생으로 간주될 수 있다.

In an environment where extroversion and confidence may be commended as indicators of a stronger performance, students who are naturally quiet or who are more introverted in their thought processes may be viewed as less competent, regardless of their other skills.


특히, 현재 핵심 임상실습은 평가와 채점 관행은 URM 학생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는 방식이다. 표준화된 시험성적에서 모집단간 차이는 소수민족과 다수민족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된 구조적 인종차별에 기인한다. 임상 성과보다 표준화된 시험에 상당한 비중을 두는 등급 패러다임은 이러한 구조적 문제의 영향을 증폭시킬 수 있다.

Particularly concerning are the ways that current assessment and grading practices in core clerkships may disadvantage students who are underrepresented in medicine. Population group differences in standardized exam performance are known to exist between minority and majority populations and are attributed to long-standing structural racism. Grading paradigms that give substantial weight to standardized exams over clinical performance may amplify the impact of these structural issues.


초점의 이동

Shifting the Focus


의과대학의 일차적 책임은 학생을 서열화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졸업생이 다음 교육 단계로 이행하는 데 필요한 필수 역량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다.

The primary responsibility of medical school is not to rank students but to ensure that every graduate is prepared with the requisite competencies needed to transition into the next phase of education


학생들이 진로 선택권을 유지하기 위해 honor 등급을 받아야 한다고 느낄 때, 

  • 그들은 배움과 향상보다는 보여주기performing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그들은 마음을 여는 질문을 환영하기 보다는 두려워한다. 

  • 그들은 교정 피드백을 찾기 보다는 두려워한다. 

  • 그들은 또래와 협력하기 보다는 경쟁한다. 

  • 그들은 환자들로부터 배울 수 있는 기회에 활력을 느끼기보다는 스트레스를 받는다.

When students feel compelled to earn an honors grade to maintain their career options, 

  • they focus on performing rather than on learning and improving, 

  • they dread rather than welcome questions that stretch their minds, 

  • they fear rather than seek out corrective feedback, 

  • they compete rather than collaborate with peers, and 

  • they feel stressed rather than energized by the opportunity to learn from their patients


  • 임상실습이 표준화된(쉘프) 시험에 의존하여 성적 과제의 객관성을 높이려고 할 때, 학생들은 그들의 직접적인 환자 관리와 전문가 간 팀 능력을 최적화하는 것보다 [시험을 위한 공부]를 우선시한다. 

  • 시간에 쫓기는 교수들이 자신의 평가 역할을 우등생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볼 때, 학생들은 미래의 성공을 위한 코칭보다는 [즉각적인 성과를 판단]하는 데 더 초점을 맞춘다.

  • When clerkships attempt to increase the objectivity of grade assignments by relying on standardized (shelf) exams, students prioritize studying for the test over optimizing their direct patient care and interprofessional team skills. 

  • When time-challenged faculty view their assessment role as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student is an honors candidate, they focus more on judging immediate performance rather than coaching for future success.


평가에 대한 새로운 접근

A new approach to assessment


의과대학은 측정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학생 역량 개발을 지속적으로 진전시키는 평가 프로그램의 설계와 구현에 노력을 다시 집중해야 할 시점이다(표 1).

It is time for medical schools to refocus their efforts on designing and implementing programs of assessment that prioritize measuring and continuously advancing student competency development (Table 1).



학습을 위한 평가AfL는 학생의 발전, 성찰, 평생학습 능력을 촉진하는 관찰과 피드백을 수반한다. 학생들은 누군가가 보고 있을 때 좋은 성적을 내는 것 만이 아니라 [학습과 향상을 보여준 것에 대해 보상]을 받아야 한다.12

Assessment for learning entails frequent observation and feedback that promote students’ development, reflection, and lifelong learning skills. Students should be rewarded for demonstrating learning and improvement, rather than only for performing well when someone is watching.12


교육자는 핵심 임상실습의 시작부터 학생 및 학생의 다른 교육자와 협력하여 각 학생의 출발점에 대한 이해를 학습 및 평가 과정에 포함시켜야 한다. (한 임상실습 학생에 대한 수행 정보가 다음 임상실습으로 제공되는) 학생들이 "Feed Forward"를 교수들을 편향시키는 정보라고 두려워하기 보다는, 종단적 학습의 전략으로 포용하게 되어야 한다.

Educators must work with students and students’ other educators from the beginning of a core clerkship to incorporate understanding of each student’s starting point into the learning and assessment process. “Feed forward,” in which performance information about a student from one clerkship is provided to the next clerkship, should be embraced as a strategy for longitudinal learning rather than feared by students as information that biases their teachers.


학생들이 성장과 발전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demonstrate growth and development


지속적인 학습을 위한 평가의 마인드 습관 기르기

Fostering the habit of mind of assessment for continuous learning


학생들의 성적평가는 핵심 임상실습 성적 할당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학습 진척도에 대한 전문가의 판단을 반영해야 한다. 예를 들어, 임상교육위원회는 정량적 점수 및 서술적 코멘트를 포함한 학생들의 평가 데이터를 한 과의 임상실습과 전체 임상슬습에 걸쳐 검토할 수 있다. 학생들은 자신의 performance 데이터를 검토하여 상대적 강도의 영역과 추가적인 성장을 위한 영역을 자체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학생들이 핵심 임상실습에서 [보여주기]보다는 [학습]에 집중할 수 있게 할 것이다. 그 결과 서브인턴을 포함한 4학년 임상실습에서 최고의 성과를 보여줄 준비가 될 것이다. 

Rather than focusing on assigning grades in the core clerkships, student performance review should incorporate expert judgment of learning progress. For example, a committee of clerkship educators can review assessment data for students, including both quantitative scores and narrative comments, within and across clerkships. Students could simultaneously review their own performance data to self-assess areas of relative strength and areas for further growth. This approach would enable students to focus on learning rather than performance during the core clerkships, so that they are ready to demonstrate their best performance during final-year clinical rotations, including subinternships. 


최종 학년에서 grading으로 돌아가는 것은 각 학생의 레지던트 수행 능력에 대한 가장 최근의 평가를 반영하기 때문에 논쟁이 있다.

There is an argument to be made for returning to grading during final-year rotations because those rotations reflect the most current assessment of each student’s ability to perform well in residency.


전공의 선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residency selection


의대와 레지던트 프로그램 이사는 지식과 기술을 향상시키면서 뛰어난 환자 진료를 제공할 레지던트 프로그램에 학생을 매칭하는 것을 같은 목표로 삼고 있다. 전공의 선발을 위한 최선의 정보는 학생들의 가장 최근의 역량 업적을 기술하는 하위 인터네셔널의 성적, 내러티브 및 추천서의 조합에서 찾을 수 있다.

Medical schools and residency program directors share the same goal: to match students to the residency programs in which they will provide outstanding patient care while advancing their knowledge and skills. The best information to achieve this goal is found in the combination of grades, narratives, and letters of recommendation from subinternships that describe students’ most recent competency achievements.


학생들이 어떻게 그들의 학습에 접근하고, 팀원들과 함께 일하며, 그들의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피드백을 통합하는 정직하고, 솔직한 묘사를 묘사하는 핵심 사무직 내러티브들은 레지던트 이사와 관련된 여러 기술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Core clerkship narratives that portray honest, forthright descriptions of how students 

    • approached their learning, 

    • worked with team members, and 

    • incorporated feedback to improve their skills woul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about multiple skills relevant to residency directors,


교육자들은 프로그램이 예비 후보들에 대한 전체적인 검토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도록 레지던트 프로그램 자라에 대한 지원자의 수를 제한하는 국가 전략을 옹호해야 한다.

Educators should advocate for national strategies to decrease the high volume of applicants per residency program position so that programs can spend more time on a holistic review of potential candidates.


결론

Conclusion


임상실습 성적 부여는 학습자에게 그들의 궁극적인 독립적 관행에 대한 함축과 함께 의도하지 않은 여러 결과를 초래한다. 점수는 조기 학습자에게 스트레스와 혼란을 야기하며, 이는 학습에 대한 바람직한 접근법을 방해하고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방식으로 학생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학습을 위한 평가에 초점을 맞춘 성적을 없애는 것은 필수 환자 관리 및 팀워크 기술을 개발하는 과정에 학습자를 참여시키고 평생 학습 습관의 개발을 촉진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Clerkship grading causes multiple unintended consequences for learners with implications for their eventual independent practice. Grading generates stress and confusion for early learners, and that can interfere with desired approaches to learning and disadvantage students in ways that exacerbate inequities. Eliminating grades focused on assessment for learning holds promise to engage learner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essential patient care and teamwork skills and to foster their development of lifelong learning habits.



10 Krupat E, Borges NJ, Brower RD, et al. The Educational Climate Inventory: Measuring students’ perceptions of the preclerkship and clerkship settings. Acad Med. 2017;92:1757– 1764.


12 Boud D. Feedback: Ensuring that it leads to enhanced learning. Clin Teach. 2015;12:3–7.








, 94 (4), 469-472
 

Core Clerkship Grading: The Illusion of Objectivity

Affiliations 

Affiliation

  • 1K.E. Hauer is associate dean for assessment and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an Francisco, California; ORCID: https://orcid.org/0000-0002-8812-4045. C.R. Lucey is vice dean for education and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an Francisco, California.

Abstract

Core clerkship grading creates multiple challenges that produce high stress for medical students, interfere with learning, and create inequitable learning environments. Students and faculty alike succumb to the illusion of objectivity-that quantitative ratings converted to grades convey accurate measures of the complexity of clinical performance.Clerkship grading is the first high-stakes assessment within medical school and occurs just as students are newly immersed full-time in an environment in which patient care supersedes their needs as learners. Students earning high marks situate themselves to earn entry into competitive residency programs and selective specialties. However, there is no commonly accepted standard for how to assign clerkship grades, and the process is vulnerable to imprecision and bias. Rewarding learners for the speed with which they adapt inherently favors students who bring advantages acquired before medical school and discounts the goal of all learners achieving competence.The authors propose that, rather than focusing on assigning core clerkship grades, assessment of student performance should incorporate expert judgment of learning progress.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is predicated on the articulation of stepwise expectations for learners, with the support and time allocated for each learner to meet those expectations. Concurrently, students should ideally review their own performance data with coaches to self-assess areas of relative strength and areas for further growth. Eliminating grades in favor of competency-based assessment for learning holds promise to engage learners in developing essential patient care and teamwork skills and to foster their development of lifelong learning habits.


임상교육 지도 상황에서 입다물기(MUM): 개인적 생각과 공공의 판단(Med Educ, 2019)

Keeping mum in clinical supervision: private thoughts and public judgements

Catherine E Scarff,1 Margaret Bearman,2 Neville Chiavaroli1 & Steve Trumble1





도입

INTRODUCTION


이 시나리오를 상상해보라. 바쁜 클리닉이나 긴 병동 회진의 끝이며, 당신은 직장 평가에서 훈련생을 관찰할 예정이다. 그렇게 할 때, 당신은 연습생이 그 일에 고군분투하고 있는 것을 보게 되고 당신은 줄 '부정적 피드백'을 갖게 된다.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 거야? 그리고 나서, 너는 어떻게 생각하니?

Imagine this scenario. It is the end of a busy clinic or long ward round and you are scheduled to observe a trainee in a workplace assessment. As you do so, you see that the trainee is struggling with the task and you have ‘negative feedback’ to give. What goes through your mind? And then, what do you say?


많은 임상 감독자들은 학습자의 성과에 대한 바람직하지 않은 관점을 갖게 될 때, 감독자는 자신의 생각을 말하기를 꺼린다.12 이것은 학습자가 자신의 성과에 대해, 특히 뭔가 문제가 있을 때, 충분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는 '피드백 소실'로 이어질 수 있다. 3 극단적으로, 이것은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학습자의 'failure to fail'를 초래한다.1,2,4 그러한 바람직하지 않은 평가 뉴스를 전달하기를 꺼리는 것은, 본질적으로 종합적이든 형태적이든, 때때로 'MUM 효과'라고 알려진 심리 현상에 직접적으로 연관될 수 있다.

Many clinical supervisors are reluctant to speak their mind when they have formed an unfavourable view of a learner’s performance.1,2 This can lead to ‘vanishing feedback’,3 where a learner is not given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their performance, in particular that their work is unsatisfactory. At an extreme, this results in the ‘failure to fail’ those learners who do not meet standards.1,2,4 Such reluctance to communicate unfavourable assessment news, whether summative or formative in nature, can at times, be directly linked to a psychological phenomenon known as ‘the MUM effect’.


1970년대 이후, 다양한 심리학과 경영학 연구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불쾌감을 주는 메시지에 대해 Mum(MUM)한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었다.5 이러한 경험적 연구의 focused body는 의학 교육 문헌에서 상대적으로 탐구되지 않은 영역이지만, 어떤 상황에서는 직접적으로 표현을 하지 못하는 "예의바름"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 구성주의적 관념을 사용해 왔다. 의학 교육은 MUM 효과 문헌에서 참고할 것이많은데, 특히 우리의 최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failure to fail'이 임상 감독에서 지속될 경우 더욱 그러하다.

Since the 1970s, a range of psychological and management studies have confirmed that, in general, people are likely to keep Mum about Unpleasant Messages (MUM).5 This focused body of empirical research remains relatively unexplored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although constructionist notions of politeness have been used to explain a lack of direct expression in some circumstances.6 The MUM effect literature has much to offer medical education, particularly when ‘failure to fail’ persists in clinical supervision, despite our best efforts.4


1970년 조지아대 심리학과에서 로젠과 테서는 '사람들은 긍정적인 정보보다 부정적인 정보 전달을 더 꺼릴 것'이라는 상식적 개념을 시험해 보려고 했다. 5 이 기념비적인 MUM 효과 실험은 메시지의 성격과 전달 방법 사이의 관계를 조사했다.5 급한 메시지를 전달할 기회가 주어졌을 때, MUM에 대해 연구되고 있다는 것을 알지 못했던 피험자들은, (좋은 소식에 비해서) 나쁜 소식을 완전히 전달하지 못했다.5 저자들은 그 후 '무소식은 희소식'이라는 진언론을 '무소식은 비소식'으로 다시 표현했다.

In 1970, in the Department of Psychology at the University of Georgia, Rosen and Tesser sought to test the ‘common sense notion that people will be more reluctant to communicate information which is negative rather than positive for the recipient’.5 This seminal MUM effect experiment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e of the message and how people deliver it.5 Subjects, who were unaware that they were being studied about MUM, when given an opportunity to deliver an urgent message, did not deliver it as completely when the news was bad compared with good.5 The authors subsequently rephrased the aphorism ‘no news is good news’ to ‘no news is bad news’.7


MUM은 의료 교육 문헌에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단, 평가자의 rating이 학습자 성과를 어떻게 적절하게 반영하는지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17 비록 '불쾌한 리퍼커션'18에 대한 우려가 rating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것은 '맥락적' 요인17 또는 등급 '변동성variability'의 출처source로 간주된다.18 MUM 효과에서는 초점이 다르다. 여기서는 적절한 rating 판단을 하더라도 평가자가 이러한 판단(등급, 서면 의견 또는 구두 피드백 정보)을 학습자에게 전달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MUM appears rarely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except fleetingly as a possible explanation for rater bias.16 However, rater cognition literature is predominantly focused on understanding how assessors’ ratings appropriately reflect learner performance.17 Although concern about ‘unpleasant repercussions’18 is noted as influencing ratings, it is considered as a ‘contextual’ factor17 or a source of rating ‘variability’.18 The MUM literature has a different focus. It suggests that, even if the appropriate assessment judgements are made, the assessor may not communicate these judgements (as ratings, written comments or verbal feedback information) to the learner.


임상 감독관들이 [개인적 생각]을 [공적 판단]으로 변환시킬 수 없는 것은 임상 평가와 의료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 첫째, 이는 평가자 인식 문헌에 기술된 바와 같이 학생평가에서 오류의 원인이 된다. 이것은 복수의 평가자를 사용함으로써 다소 개선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최근 의료 교육 평가에 대한 '프로그램적' 접근방식은 복수의 평가자로부터 빈번한 형성적 '저부담' 평가에 의존한다. 

  • 둘째로, 의학교육 피드백 문헌에 따르면 평가자들은 학습자의 수행능력에 대한 정보를 주지 않으며(관대함 편향), 이는 학습자의 적절한 학습 기회를 막는다. 30여 년 전, 엔데는 같은 문제에 주목했는데, 그는 이를 '사라지는 피드백'이라고 불렀다. '... 교사는 선의 때문에 학생의 문제를 둘러서 이야기하거나, 완전히 난해하게 할 정도로 간접적인 표현을 사용한다. 부정적인 평가를 두려워하는 학생은, 선생님의 이같은 회피 행위를 지지하고 강화한다. 그 결과 최고의 의도에도 불구하고, 어떤 실질적인 가치도 전달되지도, 수신되지도 않는다.'

  • 마지막으로, 아무리 극단적으로라도, 임상 감독관은 학습자가 필요한 기준을 아직 충족하지 못했을 때 합격하게 놔두게 한다. 'Failure to fail'는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연습생에 대한 교정조치나 추가 지원이 없는 것을 뜻하며, 이는 (환자에게 해를 입히는 등) 심각한 결과가 발생하기 전에 개입하여 성과를 개선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만든다. 결정적으로, failure to fail을 해결하기 위한 개입은(교수개발 포함)아주 제한된 개선만을 가져왔다. 즉, FtF는 의료 교육 및 실천에서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결과이다.

Clinical supervisors’ inability to turn private thoughts into public judgements has serious implications for clinical assessment and health care more broadly. 

  • Firstly, it is a source of error in rating learners, as is described in the rater cognition literature.18 This may be somewhat ameliorated by the use of multiple raters and to this end, recent ‘programmatic’ approaches to medical education assessment rely on frequent formative ‘low stakes’ assessments from multiple raters.19–21 

  • Secondly, the medical education feedback literature suggests assessors withhold information about performance (‘leniency bias’), which prevents trainees from learning appropriately.22 Over 30 years ago, Ende noted the same issue, which he called ‘vanishing feedback’: ‘... the well-intentioned teacher talks around the problem or uses such indirect statements as to obfuscate the message entirely. The student, fearing a negative evaluation, supports and reinforces the teacher’s avoidance. The result is that despite the best of intentions, nothing of any real value gets transmitted or received’.3 

  • Finally, at the most extreme, clinical supervisors let learners pass when they have not yet met the required standard.4 ‘Failure to fail’ denies remediation or extra support to poorly performing trainees and results in a missed opportunity to intervene and improve performance before a serious consequence occurs, such as harm to patients. Critically, interventions aimed at addressing failure to fail, including faculty development, have resulted in only limited improvements.4 In other words, this is a persistent problem with wide-ranging consequences for health care education and practice.


아래 우리가 약술한 바와 같이, MUM 문헌은 '입을 닫는 것'을 유지하는 상태가 팽배하다고 말한다.23 2626 더 유용하게, MUM 효과 연구는 또한 개개인마다 서로 다른 방식으로 침묵을 지킨다는 것을 지적한다. 또한 'Mum 행동을 engage하는 정도도 다양하다.'30

As we outline below, the MUM literature suggests that keeping mum is pervasive.23–26 More usefully, the MUM effect research also notes that individuals keep mum in different ways27–29 and ‘vary in the extent they engage in these behaviors’.30


기사에서 나온 연구결과는 세 가지 테마로 함께 묶였다. 즉, MUM 행동이 어떻게 생겼는지를 설명하는 주제, MUM 효과의 잠재적 이유를 탐구하는 주제, 그리고 MUM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를 고려하는 테마.

The findings from the articles were clustered together into three themes: 

  • those that describe what MUM behaviours look like, 

  • those that explore potential reasons for the MUM effect and 

  • those that consider factors that can influence MUM behaviours.



MUM효과의 행동적 표현

BEHAVIOURAL MANIFESTATIONS OF THE MUM EFFECT


미루기

Delaying behaviours


가장 초기의 연구는 MUM 효과가 나쁜 소식을 전달하는데 있어서 '미루기' 형태로 나타난다는 것을 지적한다.5,27,38 예를 들어, 테서,로젠,테서는 현장 연구에서 나쁜 소식 전달이 좋은 소식과 비교하여 지연되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7 비슷하게 베네딕트와 레빈도 성과 평가에 관한 실험에서 [시뮬레이션된 감독자들이 하위 성과자들에게 수행 등급을 부여하는 것을 지연시켰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29

The earliest research notes the MUM effect manifests as a ‘delay’ in delivering bad news.5,27,38 For example, Tesser, Rosen and Tesser showed in a field study that bad news delivery (rejection of a disability financial aid application) was delayed compared with good.27 Similarly, Benedict and Levine showed in an experiment about performance appraisal that simulated supervisors delayed giving performance ratings to lower performers.29


어떤 상황에서는 지연이 의사소통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어떤 메시지를 받게 될지에 대한 valence를 알리고, teller를 돕는 '사회적 기능'을 할 수 있다.

it is noted that delay may even be beneficial to communication in some situations, serving a ‘social function’ 26 of announcing the valence of the message to come and so helping tellers in their task.9,26


왜곡하기

Distorting behaviours


불쾌한 메시지를 왜곡하는 모습은 실험실 설정에서도 관찰되었으며 28,29,36 메시지의 왜곡은 비즈니스 환경에서 '설탕발림'으로 보고되었다.34,39

Distorting an unpleasant message has also been observed in laboratory settings28,29,36 and distortion of the message has been reported in business settings as ‘sugarcoating’.34,39


조직적 학습에서 '설탕발림'의 효과를 모델링하는 것은, 메시지에 대한 약간의 왜곡이 사실 의사소통을 촉진할 수 있지만, 특정 지점을 넘어서면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34 이것은 긴스부르크 등이 언급한 언어 분석과 일치한다. 임상 작업 기반 평가에서 서면 코멘트를 수행했으며, 이는 좋은 수행자와 나쁜 수행자 모두에 대해서 광범위한 '헷징'이 발생함을 보여준다.6

Modelling the effects of ‘sugarcoating’ in organisational learning suggests some small amount of distortion of the message may in fact promote communication but when present beyond a certain point, effective communication deteriorates.34 This aligns with the linguistic analysis that Ginsburg et al. have conducted on written comments in clinical work- based assessments, which shows extensive ‘hedging’ for both good and bad performers.6


회피하기

Avoidant behaviours


중요한 것은, 나쁜 소식을 전달하는 사람들은 부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5,11,33,39 예를 들어, 2006년 자연주의 연구에서 인터뷰한 교장들 중 절반 이상이 처음에 성적이 나쁜 교사들의 문제를 무시하거나 회피한 것을 인정했다. 교장이 학생들의 실패를 관리하지 않기 위해 학생들에게 행동을 해 달라고 애원하는 극단적인 예를 포함한다.

Significantly, communicators of bad news may avoid delivering some or all of a negative message.5,11,33,39 For example, over half of the principals interviewed in a 2006 naturalistic study admitted to initially ignoring or avoiding the problem of underperforming teachers, including an extreme example of a principal begging students to behave to avoid managing their teacher’s failings.11


MUM효과는 왜 발생하는가?

WHY DOES THE MUM EFFECT OCCUR?


의사소통자의 성격이나 조직 분위기가 부정적인 메시지 전달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39,41,42

It is worth noting that there are also factors in play; the communicator’s personality or the climate of an organisation ma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delivery of negative messages.39,41,42


자신에 대한 걱정

Self-concern


Rosen과 Tesser는 '불쾌한 메시지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상황에 놓이는 것은, 그가 실제로 메시지를 전송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개인 내면의 긴장을 조성한다'.5 초기 실험 연구에서는 의사소통자들이 나쁜 소식을 공유할 때 죄책감을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MUM behaviours may result from a communicator’s desire to avoid bad feelings in themselves, although Rosen and Tesser highlight that ‘being put into a situation that makes transmission of unpleasant messages possible creates a tension system within the individual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he actually transmits the message’.5 Early experimental studies5,43 showed that communicators may experience feelings of guilt when sharing bad news


메시지 전달자는 수신자가 소식을 어떻게 볼지를 명시적으로 고려할 수 있으며, 의도적으로 메시지를 지연시키는 것은 메시지를 전달하는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23 MUM 행동에 대한 추가적인 이유는 나쁜 소식을 전달할 때 (또는 실제로 요구되는) 의사소통자의 기분 변화를 피하기 위함이다.35 이는 임상평가 문헌에 반영된다: 많은 연구에서 평가자도 trainee를 fail시킬 때, 정서적으로 댓가를 치름을 보고한다.4

Communicators may explicitly consider how their delivery of news will be viewed by receivers24 and the deliberate use of delay may be intended to minimise a negative evaluation of the communicator.23 A further reason given for MUM behaviours is to avoid the negative change in the communicator’s mood that occurs (or in fact is required) when delivering bad news.35 This resonates with the clinical assessment literature: many studies report the emotional toll on clinical assessors when failing a trainee.4


타인에 대한 걱정

Concern for others


메시지 전달자는 불쾌한 메시지를 받는 사람에 대한 우려를 하기 때문에 MUM 행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다른 사람이 좋은 소식을 받고 싶어할 것이고, 반대로 나쁜 소식을 받고 싶어하지 않을 것]이라고 가정하기에, 이것이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35

The communicator’s concern for the recipient of an undesirable message can also lead to MUM behaviours. The common assumption is that people will want to receive good news and, conversely, not want to receive bad news and this may influence the communicator’s behaviour.35


Conlee와 Tesser에 따르면, 나쁜 소식조차도 듣고 싶어하는 수신인의 욕구를 분명하게 밝힌 상황에서, 메시지 전달자가 이것을 알고 있더라도, 정보 전달을 증가시켰지만, 완전히 MUM 효과를 없앤 것은 아니라는 것을 발견했다.44

Conlee and Tesser tested the effect of clearly stating a recipient’s desire to be told news, even if bad. They found that although knowledge of the recipient’s desire to hear news did increase its transmission, it did not entirely eliminate the MUM effect.44


받는 사람이 부정적인 메시지에 어떻게 반응할 것인지에 대한 의사소통자의 믿음도 MUM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발신자는 수신자를 부정적인 감정 상태로 만들지 않는 것을 선호한다'35 그리고 '특정 메시지가 관련 받는 사람에게 미칠 정서적 영향에 민감하게 보인다'.35 이것들은 대부분 고통을 주고 싶어하지 않기 때문에 매우 자연스러운 공감 반응으로 보인다. 부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유혹은 다른 사람에게 불행을 야기시키지 않기를 바라는 메시지 전달자의 소망, (진정할 시킬 수 없을지도 모르는) 나쁜 소식에 화가 난 사람과 함께 있는 것에 대한 두려움, 또는 수신자가 발신자를 가혹하게 판단할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일 것이다.35

A communicator’s belief of how a recipient may respond to a negative message can influence his or her decision to tell or not. ‘Communicators prefer not to put the recipient in a negative affective state’35 and appear sensitive to the ‘emotional impact a particular message would have on the relevant recipient’.35 These seem like very natural empathetic responses, as most do not wish to cause distress. Reluctance to deliver a negative message may be because of 

    • the communicator’s wish to avoid causing unhappiness in another, 

    • their fear of being with a person who is upset by bad news, whom they may be unable to calm down, or 

    • their fear that an emotional recipient will judge them harshly.35


규범에 대한 우려

The communicator’s concern with norms


사회 규칙이나 규범을 준수하려는 전달자의 욕구는 MUM행동에 관한 세 번째 가능한 설명을 나타낸다.35 이것은 임상평가에서 탐구된 '예의바름 이론'의 개념과 일치한다.6 여기서 좋은 소식을 주는 것은 '체면을 살리는 것'으로 보여지고 따라서 규범적인 것이다. 다시, 이것은 '의학 내에서 [훈련생]과의 비판적인 논의를 자주 피하는 문화가 있다'는 임상평가 설정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된다.46

Communicators’ desires to conform to societal rules or norms represent a third possible explanation for MUM behaviours.35 This aligns with notions of ‘politeness theory’ explored in clinical assessment,6 where giving good news is seen as ‘face saving’ and therefore normative. Again, this is reported to occur in the clinical assessment setting: ‘there is sometimes a culture within medicine where the critical discussions with [trainees] are often avoided’.46


MUM행동은 무엇에 영향을 받는가?

WHAT CAN INFLUENCE MUM BEHAVIOURS?


의사소통 책임

Responsibility to communicate


의사소통자에게 부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책임을 명확하게 할당하는 것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learly assigning responsibility to communicate a negative message to a communicator has been shown to affect behaviour.


참가자들에게 뉴스를 전달할 책임이 주어지는 실험에서, 그들은 그렇게 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느꼈고, 그들이 결정하지 않도록 요청받거나 어디에서 결정하도록 허용된 사람들과 비교했다.

in an experiment where participants were given the responsibility to communicate a piece of news, they felt more obliged to do so, compared with those who were asked not to or where they were allowed to decide;


메시지의 결과

Consequence of the message


결과에 대한 인식이 MUM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성과 평가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성과 관리 환경에서 메시지 전달자의 불편함 수준도 증가했다.49

Perception of consequences may affect MUM behaviours. In a performance management setting, as the importance of a performance appraisal increased, so too did communicators’ levels of discomfort.49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은 메시지의 전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Weenig의 실험적인 연구는 [뒤따르는 결과가 불확실한 나쁜 뉴스]가 [뒤따르는 결과가 확실한 가진 나쁜 뉴스]보다 더 쉽게 전달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 결과 전자는 '더 급하고 더 도움이 된다'.51

Uncertainty about the consequence may also affect the delivery of the message. Weenig’s experimental work suggests that bad news with indefinite consequences is delivered more readily than bad news with definite consequences, as a result of the former being regarded as ‘more urgent and more helpful’.51


익명성

Anonymity


MUM 효과는 여전히 익명의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다.52 그러나 익명성이 MUM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혼합되어 있다.23,53

The MUM effect may still occur in anonymous situations;52 however, studies are mixed as to the influence of anonymity on MUM behaviours.23,53


직무만족

Job satisfaction


의사소통자의 작업 상황에 대한 만족도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A communicator’s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situation may influence


콕스 등은 메시지 전달자의 직무만족도나, 전달자 자신의 감독관에 대해 갖는 신뢰의 수준이 스스로 보고된 MUM 행동과 부정적인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15 비젤은 고용 안정과 같은 요인들이 나쁜 소식을 전달하려는 의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한다.33

Cox et al. suggest levels of job satisfaction and trust in a supervisor are negatively related to self-reported MUM behaviours;15 Bisel notes that factors such as job security may affect willingness to deliver bad news.33


기존 관계

Pre-existing relationship


일반적으로, MUM 행동은 통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기존에 존재하는 관계에 의해 바뀔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감독자에 대한 신뢰는 MUM 행동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Weenig 등은 둘 사이의 관계가 가까울수록 정보 교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지만, 다른 연구의 결과는 덜 확정적이다.8

In general, MUM behaviours may be modified by the presence of a pre-exis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tor and the recipient. As noted above, trust in a supervisor may decrease the likelihood of MUM behaviours. Weenig et al. suggest that the clos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e more likely that information exchange will occur,51,55 although results of other studies are less conclusive.8


(위계) 차이도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Ploeger, Kelly, Bisel은 부하들이 자신들보다 더 높은 직원에 대해 MUM을 유지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보여주었다.40 이러한 관계 발견은 의학 교육과 매우 관련이 있다.

differences are also relevant. For example, Ploeger, Kelly and Bisel showed that subordinates were more likely to keep MUM to an employee senior to them.40 These relationship findings are highly relevant to medical education,


매체

Medium


어떤 매체로 전달되느냐도 중요할 수도 있지만, 이것은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

The medium of the message may be significant, but this is still a matter for debate.


메타 분석 결과 응답자들이 전화 인터뷰의 질문에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일 가능성이 더 높았으며, 다른 덜 직접적인 방법과 비교하였다.59 대조적으로, Dibble은 전달 방식이 의사소통을 꺼리는 자기 보고 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대면 vs 전자 메일).26

a meta-analysis showed that respondents were more likely to give extremely positive responses to questions in telephone interviews, compared with other less direct methods.59 By contrast, Dibble found that mode of delivery did not affect the self- reported level of reluctance to communicate (e-mail in comparison with face to face),26


문화적 차이

Cultural differences


MUM 효과는 '광범위한' 경향으로 설명되어 왔으며, 60개의 MUM 행동에 대한 보고가 많은 환경에서 나왔다.

The MUM effect has been described as a ‘widespread’ tendency,60 and reports of MUM behaviours have come from many settings


의학교육의 실질적 함의

PRACTICAL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이 문헌 검토는 MUM 효과가 만연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왜곡하는 것을 완전히 피할 수 있으며, 문화와 작업장에 걸쳐 지속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literature review suggests that the MUM effect is pervasive, can lead to a complete avoidance of delivering or distortion of an undesirable message, and persists across cultures and workplaces.


임상 성과 평가 설정에 대한 이 작업의 즉각적이고 실질적인 함축은 5가지다.

There are five immediat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work for clinical performance assessment settings.


1 MUM 효과는 불가피하게 발생할 것이다. 

1 The MUM effect will inevitably occur. 


MUM 효과가 만연하하다면, 이는 프로그램적 평가의 가치를 뒷받침한다. 사람마다 그들의 MUM 행동의 범위에서 다양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낮은 이해관계를 가지는 많은 다른 평가자들로부터 많은 평가 지점을 갖는 것은 MUM 효과의 발생을 제거하지는 않지만, MUM 효과의 영향을 줄여줄 것이다

If the MUM effect is pervasive, then this supports the value of the programmatic assessment movement.19–21 It appears that people vary in the extent of their MUM behaviours; therefore, having many points of assessment from many different assessors, each with low stakes, should reduce the impact of the MUM effect, although not eliminate its occurrence.


2 학습자를 위한 메시지의 이점에 초점을 맞추면 평가자와 관련 MUM 행동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2 Focusing on the benefit of the message for the learner may reduce the discomfort for assessors and associated MUM behaviours. 

교육은 성과 평가와 같지 않다. 교육에서, 나쁜 퍼포먼스 메시지는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 혹은 심지어 '좋은 소식'으로 생각될 수 있다. 이것은 교육 동맹의 개념과 일치한다. 학습자는 자신들에게 가장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 감독자를 신뢰하게 될 것이다.56 이는 기존 관계가 MUM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열쇠가 될 수 있다. [누군가에게 최고의 이익이 되고자 하는 것]은 분명히 [어떤 불편함으로부터 그들을 보호하는 것]과 같지 않다.

Education is not the same as performance appraisal. In education, poor performance messages can be thought of as good opportunities to learn, or even ‘good news’. This aligns with the notion of the educational alliance, where the trainee will trust a supervisor who they believe has their best interests at heart.56 This may be the key to understanding how a pre-existing relationship can affect MUM behaviours; working towards someone’s best interests is clearly not the same as protecting them from any discomfort.


3 [불편한 메시지 전달]이 job의 일부로 간주될 때 MUM은 감소한다. 

3 MUM manifestations reduce when delivery of an undesirable message is seen as a part of the job. 


임상의가 환자에게 나쁜 소식을 전달하는 것을 피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는 의료 감독자들이 스스로를 교육자로 보도록 장려하고 지원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불편한 메시지를 피드백 프로세스의 일부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는 일부 감독자들이 부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꺼린다고 보고하고, 일부는 교육과 평가 사이의 역할 충돌을 보고하기 때문에 중요하다.63

In the same way that clinicians don’t avoid delivering bad news to patients, we can encourage and support clinical supervisors to see themselves as educators, and with this comes the need to provide undesirable messages as part of feedback processes. This is important as some supervisors report reluctance to provide negative feedback62 and some report a role conflict between teaching and assessing.63


4 모든 MUM 행동이 해롭지는 않을 수 있다. – 정도는 관련이 있다. 

4 Not all MUM behaviours may be harmful – the extent is relevant. 


강조된 바와 같이, 메시지 전달이 다소 지연될 경우 이점이 있을 수 있다.9,26 일부 '설탕발림'이 메시지를 더 '맛있게' 만들 수도 있다. 설탕 코팅64의 효능을 의심하는 이유는 있지만, 진정성은 매우 중요하다.65 달달하게 만드는 것은 퍼포먼스에 대한 정보라기보다는, 동기부여적 격려로 볼 수 있다. 이것은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한 영역이다.

As highlighted, there may be benefits to some delay in delivering messages.9,26 It may also be that some ‘sugarcoating’34 may make the message more ‘palatable’, although there is reason to doubt the efficacy of sugarcoating64 and sincerity is very important.65 It may be that sweetening can be seen as motivational encouragement rather than part of the information on performance; this is an area for further investigation, not just within the MUM literature.


5 우리는 우리의 평가자에게 더 관대해야 한다.

5 We should be more forgiving of our assessors. 


여러 연구에 따르면 MUM은 인간의 자연스러운 경향이며 따라서 세계의 모든 교수개발을 동원해도 불편한 메시지를 숨기는 침묵을 해소하지 못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MUM 효과에 대한 정보를 임상 감독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반드시 문제를 '수정'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그러나 평가자는 왜, 언제, 어떻게 그들이 훈련생들로부터 정보를 보류하는지 이해해야 하고,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한지 이해해야 한다. 또한 만약 그들이 MUM 효과가 너무 강력하다고 판단되면 피드백이나 평가 의무를 스스로 내려놓아야 한다. (어떤 시스템에서든) 평가자는 수행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연습생이 진행되지 않도록 보장하는 책임을 질 수 있음을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

This body of work suggests that MUM is a natural human tendency and therefore all the faculty development in the world may not resolve the reticence to deliver undesirable messages. Providing clinical supervisors with information about the MUM effect will not necessarily ‘fix’ the problem, but it may permit assessors to understand why, when and how they withhold information from trainees and therefore take steps towards regulating their behaviour or allow them to excuse themselves from feedback or assessment duties if they find the effect to be overpowering. It is important that assessors realise that, regardless of the system, they can take responsibility for ensuring that trainees who do not meet performance standards are not allowed to progress.


비록 MUM 효과가 만연할 수 있지만, 보편적인 것은 아니며 다른 평가 맥락은 특정한 행동을 구속하거나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 가지 심오한 차이점은 평가의 목적이 주로 피드백(형성적)인지 아니면, 주로 progress 판단을 기록하기 위한 것인지(총괄적)이다.

Although the MUM effect may be pervasive, it is not universal and different assessment contexts may constrain or enable certain behaviours. One profound difference is whether the assessment’s purpose is primarily as feedback (formative) or if it is primarily for recording a judgement of progress (summative).


임상 감독관들은 피드백이 그들의 소관의 핵심 부분이라는 것을 매우 잘 알고 있다; 보건 전문직 전반에서 임상 감독관들은 피드백을 교수 개발을 위한 가장 시급한 영역 중 하나로 식별한다.66 Bing-You 등은 적절한 감독관 몇 명이 피드백 역할을 전문화 해야한다고 제안한다. 이것은 MUM 효과를 감소시키는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다.

Clinical supervisors are acutely aware that feedback is a core part of their remit; across the health professions clinical supervisors identify feedback as one of the most urgent areas for faculty development.66 Bing-You et al. suggest22 that a few suitable supervisors should specialise in the feedback role and we should target our efforts to building these clinicians’ sense of identity as educators. This may be one way to reduce the MUM effect;


또한, 피드백이 단순한 메시지 이상의 것에 맞춘다면, [성과에 관한 정보]는 단지 더 큰 일련의 피드백 교환이나 관계의 한 부분이다; Bing-You의 비유로 보자면, 탱고 댄스의 한 스텝에 불과한 것이다.

Additionally, in line with feedback being more than just the message,67 this places provision of information on performance as just one part of a larger series of feedback exchanges or relationships; to use Bing-You’s analogy, just one step in the dance.22


때때로 평가 메시지는 발달적developmental이지 않다. 이러한 경우, 평가의 주된 목적이 progress에 대한 고부담 결정을 결정하는 경우, MUM 효과를 '제어'하는 다른 접근법이 있을 수 있다. 다시 한 번, 임상 감독관이 메시지 전달이 자신의 핵심 업무의 일부라는 것을 알게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것을 넘어, 복수의 메시지 전달자를 활용하면 MUM 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다. 이것은 두 가지 방법으로 가능하다.

Sometimes, assessment messages are not developmental. In these instances, when the primary purpose of assessment is making high- stakes decisions on progress, then there may be other approaches to ‘control’ the MUM effect. Once again, ensuring that clinical supervisors see that delivery of the message is part of their core job is very important. Beyond this, it may be that multiple message givers may ameliorate the MUMeffect. This is possible in two ways.


첫째, 프로그램적 평가에서와 같이 복수의 메시지를 수집할 수 있다. 그러나 MUM 문헌의 주요 통찰력 중 하나는 '나쁜 소식'이 충분히 표현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기 때문에, 단 한번의 좋지 않은 평가 결과가 다른 평가들을 더 세밀하게 조사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할 가치가 있을 것이다. 물론 이는 단일한 평가 결과가 다소 정확하다는 것을 암시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평가자는 불편한 메시지를 전달하기보다 묵혀둘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에, (한두 건의) 부정적인 평가라고 해서 간과해서는 안 된다.

Firstly, multiple messages may be collated, as in programmatic assessment. However, as one of the key insights from the MUM literature is that ‘bad news’ will be under-represented, it may be worth considering that singular poor assessment results should result in other assessments being given stronger scrutiny. Of course, this does not suggest that a singular poor assessment result is more or less accurate; however, because, across the population, assessors are more likely to withhold undesirable messages than deliver them, a negative assessment should not be overlooked.


둘째로, 메시지 전달 자체가 패널이나 그룹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나쁜 뉴스의 전달자가 되기 위해 개인에게 의존하기보다는, 합의를 통해 MUM 경향에 신경쓸 수 있다.

Secondly, delivery of the message itself can be through a panel or a group, so that the natural MUM tendencies can be attended to through consensus rather than relying on an individual to be the bearer of bad news.



LIMITATIONS OF THIS REVIEW


CONCLUSIONS


17 Kogan JR, Conforti L, Bernabeo E, Iobst W, Holmboe E. Opening the black box of clinical skills assessment via observation: a conceptual model. Med Educ 2011;45 (10):1048–60.


18 Gingerich A, Kogan JR, Yeates P, Govaerts MJB, Holmboe ES. Seeing the ‘Black Box’ differently: assesssor cognition from three research perspectives. Med Educ 2014;48:1055–68.


6 Ginsburg S, van der Vleuten C, Eva KW, Lingard L. Hedging to save face: a linguistic analysis of written comments on in-training evaluation reports. Adv Health Sci Educ 2016;21 (1):175–88.


66 Bearman M, Tai J, Kent F, Edouard V, Nestel D, Molloy E. What should we teach the teachers? Identifying the learning priorities of clinical supervisors Adv Health Sci Educ 2018;23 (1):29–41.





Review
 
, 53 (2), 133-142
 

Keeping Mum in Clinical Supervision: Private Thoughts and Public Judgements

Affiliations 

Affiliations

  • 1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Melbourne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Melbourne, Melbourne, Victoria, Australia.
  • 2Centre for Research in Assessment and Digital Learning, Deakin University, Geelong, Victoria, Australia.

Abstract

Context: The seemingly obvious claim that people prefer to keep mum about undesirable messages - termed 'the MUM effect' - was initially reported in the psychology literature in the 1970s. More recently, it has been discussed in contexts including performance appraisals and the reporting of unsuccessful projects in workplace settings, but only sparsely in educational ones. We wished to review the published literature on the MUM effect in order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for clinical assessment.

Methods: We performed a narrative literature review on the MUM effect and clustered findings together into three themes: those that describe what MUM behaviours look like, those that explore potential reasons for the MUM effect and those that consider factors that can influence MUM behaviours.

Results: This paper summarises the extensive literature on the MUM effect, including its manifestations and modifiers and discusses how the effect may be used to consider issues faced by many clinical supervisors faced with delivering 'negative' assessment messages to trainees.

Discussion: We suggest, that as a pervasive phenomenon, the MUM effect can both help to explain the difficulties that some assessors face when delivering undesirable messages (including feedback or ratings) and offer new insights in how to deal with such issues.

대부분의 의료 과오는 커뮤니케이션에 의한 것이라는 미신(Med Educ, 2018)

Debunking the myth that the majority of medical errors are attributed to communication

Timothy C Clapper1 | Kevin Ching1,2




1 | 도입

1 | INTRODUCTION


많은 기사, 책, 발표는 의료적 오류의 대다수가 의사소통에서 기인한다는 선언으로 시작한다. 비록 잘못된 의사소통이 일부 오류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우리는 보고된 오류의 대다수가 통신의 직접적인 결과가 아닐 수 있으며, 이것은 추가적인 조사가 요구된다.

Many articles, book chapters and presentations begin with a declaration that the majority of medical errors are attributed to communication. Although miscommunication may be a contributing factor in some errors, we propose that the majority of reported errors may not be the direct result of communication and this requires additional investigation.


교육자와 연구자로서 의학적인 오류의 대다수가 의사소통 오류에 기인한다는 것을 암시하는 많은 문헌과 발표를 발견하는 것은 항상 놀라운 일이었다. 혼란을 가중시키는 것은 우리가 발견한 것의 많은 부분이 실제 연구로부터 보고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As educators and researchers, it has always been surprising to find much of the literature and presentations suggesting that the majority of medical errors are attributed to miscommunication. Adding to the confusion is that much of what we have come across is not being reported from actual research.



1.1 | 문제의 틀 짜기: 왜 신화를 실추시키는 것이 중요하고 도전적인가.

1.1 | Framing the problem: why debunking the myth is important and challenging


1.1.1 | 잘못된 인용문 및 기타 오역

1.1.1 | Incorrect citations and other misinterpretations


인터넷1에서 이용할 수 있는 공동위원회 프레젠테이션은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의료 오류의 근본 원인 분석을 보고했다. 발표자는 의료적 오류의 70%를 스탭의 의사소통 탓으로 돌렸으나 스탭의 실수를 초래한 사건에 대한 통찰력은 제공하지 않았다. 이 오류의 45%는 의사와의 의사소통으로 분류되었다. 우리는 저자에게 연락했는데, 그는 우리를 위해 다음과 같이 그녀의 진술을 분명히 했다. "소통에 의한 오류의 경우 70%가 직원 의사소통 관련" (개인소통, 2018년 1월 25일) "근본적인 원인은 두 가지 이상의 의사소통 오류를 수반할 수 있다"는 그녀의 발언은 많은 설명을 덧붙이고 우리가 그 문제를 소급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 설명을 바탕으로 한 보다 정확한 진술은 의사소통과 관련된 모든 오류의 70%가 스탭 커뮤니케이션을 수반한다는 것이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이 발표에서, 공동위원회는 대다수의 오류가 의사소통에 기인한다는 것을 암시하지 않았다.

A Joint Commission presentation available on the Internet1 reported the root cause analysis of medical errors from 2006 to 2008. The presenter attributed nearly 70% of the medical errors to staff communication, but did not provide insight into the events that led to the errors made by staff members. Fortyfive percent of these errors were classified as communication with the physician. We contacted the author, who clarified her statement for us as follows: “… of errors due to communication, 70% involved staff communication” (personal communication, 25 January 2018). Her statement to us that “a root cause may involve more than one type of communication error” adds a great deal of clarification and assists us with understanding the issue retrospectively. A more accurate statement based on this clarification would be that 70% of all errors related to communication involve staff communication.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in this presentation, the Joint Commission did not imply that the majority of errors were attributed to communication,


2차 출처를 인용하거나 정보를 잘못 해석할 경우, 저자들은 실수로 의사소통 오류의 신화에 기여하고 이를 퍼뜨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표된 정책 개요의 저자는 다음과 같은 주장을 한다: "연구 결과 모든 의료 오류의 70%가 의료팀 상호작용의 장애에 기인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직책에 대한 인용과 지원은 "의료상의 오류: 우리가 뭘 알아? 어떻게 하지? 3 이 특정한 출처의 저자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 책에 따르면, 의료상의 오류의 80% 이상은 비통신이나 잘못된 의사소통의 탓으로 돌릴 수 있다." 한 소스는 잘못된 의사소통이 문제라는 것을 암시하는 반면, 다른 소스는 같은 것이 아닐 수도 있는 팀 상호 작용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또한, 보고 시 문제의 규모(70% 대 80%)도 달라졌다.

When citing secondary sources, or misinterpreting information, authors may inadvertently contribute to and spread a communi-2 cation myth. For example, the author of a published policy brief makes the following assertion: “Research has found that 70% of all medical errors can be attributed to breakdowns in healthcare team interactions.” The citation and support for this position statement come from a book review titled, Medical error: What do we know? What do we do?3 The author of this particular source states: “More than 80% of medical error, though, according to this book, can be blamed on noncommunication or miscommunication.” One source implies that miscommunication is the problem, whereas the other implies that it is team interactions, which may not be the same thing. In addition, the magnitude of the problem is changed when it is reported (70% vs 80%).



1.1.2 | 오분류 및 오분류

1.1.2 | Misclassification and miscategorisation


투약 오류는 2017년 공동위원회 요약자료에서 상당한 수의 이벤트를 나타낸다.5 이 보고서에서는 투약 오류와 소통 오류를 그룹화한다. 단, 공동위원회 고유의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 소통 오류가 아닐 수도 있으며, 적어도 그 범주에 국한되지 않을 수 있다.

Medication errors represent a substantial number of events in the 2017 Joint Commission summary data.5 In this report, medication errors are grouped with communication errors. However, if using the Joint Commission's own language, they may not be communication errors or at least limited to that category.


우리는 많은 투약 오류가 시행commission의 오류이거나, 누락ommission의 오류일 수 있다고 제안한다. 

    • 누락의 오류조치를 취하지 않았을 때 생긴 오류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 시행의 오류의사 결정과 행동이 오류를 야기할 때 발생하는 오류다. 의약품에 대한 체중 기반 투여량 계산은 절차적 또는 인지적 기술을 포함하기 때문에 시행의 오류가 될 수 있다.

we propose that many medication errors may be errors of omission or errors of commission. Errors of omission are errors made when we did not take action when we should have. Errors of commission, by contrast, are errors that occur when decisions and actions led to the error. A weightbased dosing calculation for medication is likely to be an error of commission because it involves a procedural or cognitive skill.


보고에 있어서 표준화의 결여도 문제이다. 공동위원회에 정보를 보고하는 기관들은 이를 볼륨 있게 하고 충분한 세부사항을 포함하지 않아 분류 과정이 복잡해지고 더욱 왜곡되어 곤란해지며 아마도 신뢰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정보를 보고하는 것이 전문적 위해를 초래할 것이라는 의료 사업자의 두려움과 이러한 보고 시스템의 정확성에 대한 신뢰 부족은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든다.7, 8 

There is also the lack of standardisation in reporting. The hos-pitals reporting the information to the Joint Commission do so vol-untarily and do not include enough detail, which complicates and further distorts the classification process and makes it difficult and perhaps  unreliable.  In  addition,  fear  among  health  care  providers that reporting information will cause them professional harm, and a lack of confidence in the accuracies of these reporting systems, fur-ther complicate the problem.7, 8 


2 | 방법

2 | METHODS


2.1 | 자료출처 및 검색전략

2.1 | Data source and search strategy


체계적인 검토 및 메타분석 보고(PRISMA)10에 따라 의학 오류, 연구 및 커뮤니케이션이라는 학술적 의학 저널과 용어 조합을 사용하여 체계화된 검토를 실시했다.

A systematised review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ferred Reporting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PRISMA)10 using scholarly medical journals and term combinations related to the issue: medical errors, research and communication.



2.2 | 포함 및 제외 기준

2.2 |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그림 1과 같이 의료 오류와 보고된 원인에 대한 보고된 일반화된 1차 연구에 기초하였다.

As shown in Figure 1, inclusion was based on reported generalised primary research of medical errors and the reported causes.


2.3 | 연구 선택

2.3 | Study selection


이 검토 결과 2881개의 검색 결과가 나왔다.

This review resulted in 2881 search results.


2.4 | 데이터 추상화

2.4 | Data abstraction


42개 연구기사 각각에 대해 논문 인용, 연구의 종류와 목적, 주요 결과와 연구자의 논평 등을 포함시켜 오류의 유형을 분류하고 문제를 틀리게 만들었다.

For each of the 42 research articles, we included the citation for the article, the type of research and the aim of the research, key results and researcher comments to categorise the type of error and frame the problem.


3 | 결과

3 | RESULTS


부록 S1은 연구 유형, 표본 정보, 연구 결과 및 결과로부터의 의견과 분석을 포함한 기사의 개요를 제공한다. 중복되는 부분도 있었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커미션 오류(20건, 47.6%), 누락 오류(6건, 14.2%), 통신 오차를 통한 오류(4건, 9.5%, 그림 2) 등 세 가지 범주의 오류가 우세했다.

Appendix S1 provides an overview of the articles, including the types of research, sample information, results of the research and comments and analysis from the results. Although there was some overlap, three categories of errors were dominant in this research: errors of commission (20 articles; 47.6%), errors of omission (six articles; 14.2%) and errors through miscommunication (four articles; 9.5%; Figure 2).




4 | 고찰

4 | DISCUSSION


무엇이 의료 오류를 구성하는지에 대한 정의는 상황적 의도, 표준화되지 않은 분류 체계 및 대체 조치의 사용에 따라 달라진다.13 의료 오류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에서 우리는 문헌에서 오류 보고에 대한 이질적이고 일관되지 않은 설명을 발견했다.

Definitions of what constitutes a medical error vary depending on situational intent, nonstandardised classification schemes and the use of surrogate measures.13 In our systematic review of medical errors, we found heterogeneous and inconsistent descriptions of error reporting in the literature.


오류 보고의 여러 유형에도 불구하고, 연구 문헌에 보고된 누락 오류와 시행 오류의 비율이 의사소통의 오류로 인한 오류보다 더 크다는 증거를 발견했다.

Notwithstanding the multiple types of error reporting, we found evidence that errors of omission and errors of commission account for a greater proportion of medical errors reported in the research literature than those attributed to miscommunication.


의료 오류의 대부분은 지식 기반 오류진료 지연, 임상 평가, 임상 추론 및 의사 결정에서 인간 실패human failure 등으로 구성되었다. 평가와 진단에서 실패는 일반적으로 판단의 오류를 포함한다. 절차 기술 수행의 기술적 오류도 흔하다.

The majority of medical errors were comprised of knowledge-based mistakes and delays in care,14 as well as human failures in clinical assessment, clinical reasoning and medical decision making.8,14–25 Failings in assessment and diagnosis typically included errors of judgement.16, 24–28 Technical errors in the performance of procedural skills are also common.25,30,31


투약 오류도 흔하다. 많은 약물 오류는 의사결정의 인지적 오류 또는 기술 기반 오류 또는 성과 및 지식 부족의 결과일 수 있다.32-34 가장 일반적으로 보고된 의약품 오류는 잘못 계산되었거나 실수한 용량 또는 절차 오류에 초점을 맞추었다.18,27,32,33,35,40 Kuo 등이 발견한 의약품 오류의 53%는 처방 오류로 구성되었다.

Medication errors are also common. Many medication errors may be the result of cognitive errors in medical decision making, or skillsbased errors, or performance and knowledge deficits.32–34 The most commonly reported medication errors centred on miscalculated and mistaken doses, or missteps.18,27,32,33,35–40 Fiftythree percent of the drug errors found by Kuo et al36 consisted of prescribing errors.


일부 투약 오류는 의사소통 자체의 오류보다 비효율적인 인계에 의해 야기되었다. 벤자민 외 연구진 41은 부정확하거나 불완전한 정보, 비효율적인 핸드오버 방법, 핸드오버에 대한 표준화된 절차의 결여 및 환자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미식별 레퍼러에 대한 명확한 설명을 제공했다. 이러한 인계 오류는 잘못된 소통보다는 잘못된 판단, 결함 있는 메모리, 표준화된 핸드오버 툴의 사용을 소홀히 하여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이 바로 가완데가 그의 획기적인 책에서 체크리스트의 필요성을 강조한 이유였다.

Some medication errors were caused by ineffective handovers rather than errors in communication itself. Benjamin et al41 provided an explicit description of defective handovers caused by inaccurate or incomplete information, ineffective handover methods, lack of standardised procedures for handovers, and uninformed referrers lacking knowledge about their patients. Rather than miscommunication, it appears that these handover errors were generated by faulty judgement, flawed memory and neglecting to use standardised handover tools. These were the very reasons why Gawande42 highlighted the need for checklists in his groundbreaking book.


보고된 소통 오류는, 기존에 언급되던 것보다 human factor를 포함하는 오류 중에서 적은 비율만을 차지하였다. 대부분은 종합해서aggregated 보고되었고 42개(9.5%)의 연구논문 중 4개만이 소통을 통한 오류 비율이 더 높다고 보고했다.39,43,44,46 설명이 없는 경우에는, 어떤 종류의 소통이 오류인지 불분명할 때가 많았다.

Communication errors, when reported, made up a smaller proportion of failures involving human factors than previously described. Most were reported in aggregate and only four research articles of 42 (9.5%) reported larger proportions of errors through communication.39,43,44,46 If they were described at all, it was frequently unclear what kind of communication was in error.


소통 오류 자체는 명시적으로 공개되지 않았지만, 사건 후 조치계획은 표준화된 인계 프로토콜과 문서화 절차를 사용할 것을 권고하였다. 이러한 시정조치를 본다면, (대인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실패가 아니라) 시스템 기반 소통 실패가 근본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Although the communication errors themselves were not explicitly disclosed, the postevent action plans recommended the use of standardised handover protocols and documentation procedures. Corrective actions suggest systemsbased communication failures as a root cause rather than failings i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20,39,46,47


소통오류 비율이 가장 높은 경우는 Woolf 등.24에 의한 익명 오류 보고서의 계단식 사건 분석의 일부로 설명되었다. 다양한 단계의 실수를 식별하고 오류의 사슬을 함께 연결하기 위한 노력에서, 그들은 가정의학과의사들이 보고한 오류의 67%가 잘못된 의사소통에 기인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통신 오류 중 90%는 "메시지, 지시, 의료 데이터 처리 오류"에 의한 "정보 소통"의 실패와 연계되었다. 이러한 오류들은 전자 진료 기록과 환자와의 전자 통신 전략의 사용으로 막을 수 있었던 오류들이었다.

The highest reported rate of communication errors was described as part of a cascade event analysis of anonymous error reports by Woolf et al.24 In an effort to identify various stages of mistakes and link chains of errors together, they found that 67% of errors reported by a group of family physicians could be attributed to miscommunication. Among these communication errors, 90% were linked to failures in “informational communication” caused by “errors in processing messages, instructions, and medical data.” These were errors that could have been prevented by the use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and electronic communication strategies with patients.


4.1 | 몇 가지 가능한 설명

4.1 | Some possible explanations


의사와 다른 의료 사업자는 많은 기술과 지식 세트를 유지해야 한다. 기억해야 할 것이 너무 많고 연습할 시간이 너무 적어서 모든 분야에 능숙하게 남아 있으면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Physicians and other health care providers must maintain a number of skill and knowledge sets. With so much to remember and so little time to practise and remain proficient in every area, errors can occur.


단, 공동위원회가 열거한 이벤트는 누락 오류나 실행 오류로 명확히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각 사건에는 시술자 측의 치료나 기술, 진단 또는 인지결손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 낙상은 보건의료 제공자가 안전 절차가 제자리에 있어야 하지만 제공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고 있다면 누락 오류로 분류될 수 있다. 

    • 낙상 발생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안전 메커니즘을 적용할 때 기술, 진단 또는 인지적 결핍의 결과인 경우 실행 오류로 분류할 수 있다.

However, the events listed by the Joint Commission48 can clearly be classified as errors of omission or errors of commission. Each of these events is likely to include delays in treatment or skill, diagnosis or cognitive deficits on the part of a practitioner. Falls, for example, may be categorised as errors of omission if a health care provider knew that a safety procedure needed to be in place but was not provided. It could be classified as an error of commission if the fall was the result of a skill, diagnosis or cognitive deficit when applying a safety mechanism to reduce the likelihood of a fall occurring.


잘못된 환자, 잘못된 사이트 또는 잘못된 절차로 보고된 사건 중 하나는 부적절한 의사소통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일 수 있지만, 그것은 그저 실패 원인의 한 부분일 수 있다. 공동 위원회가 지적한 바와 같이, 타임아웃 절차를 생략하고, 수술 부위는 부적절하게 표시되며, 제공자는 환자 검증 단계를 건너뛰고, 환자 인계은 효과적이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 이 모든 것은 실행 오류를 포함하는데, 즉, 임상 제공자는 무엇인가 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단계를 건너뛰거나, 절차를 생략하거나, 작업을 올바르게 수행하지 못했다.

One of the reported events, wrong patient, wrong site or wrong procedure, would appear to be related to inadequate communication; however, that may only be a part of the reason for the failure. As noted by the Joint Commission,48 timeout procedures are skipped, surgical sites are inadequately marked, providers skip patient verification steps and patient handovers are ineffective. These all involve errors of commission, whereby a clinical provider knew something had to be done, but skipped steps, bypassed procedure or did not accomplish the task correctly.


특히 의약품 관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한 의사에서 다른 의사로 transfer를 위한 인계도구의 중요성에 주목했다. 이 검토에서 지원되는 것처럼 의사소통의 오해는 환자 인계 과정에서 오류를 초래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부적절한 인계는 읽기 어려운 필기 또는 구두 메시지로 인해 발생할 수 있지만, 표준화된 인계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못한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의사는 기존에 제공해오던 care에 대한 보고와 함께, 사례의 진단이나 해석을 보고하기 때문에, 부적절한 핸드오버에는 실행 오류도 포함될 수 있다.

We noted the importance of the handover tool for transferring care from one provider to another, especially as it includes information about medication administration. As supported by this review, miscommunication may be a contributing factor in patient care handover failures that lead to error. Although inadequate handovers may be caused by illegible handwriting or verbal messaging, they may also be caused by failures to use standardised handover protocols. Because the provider reports on the care that was provided, along with the diagnosis or interpretation of the case, inadequate handovers may also include errors of commission.


Atul Gawande42는 의사들이 정보가 중요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의사에게 인계할 때 엄청난 양의 정보를 생략한다고 보았다. 자신의 주변 환경에서 너무 많은 일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제공자들은 심지어 모든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기억하지 못하여 누락의 오류를 야기할 수 있다. 대부분의 조직은 일종의 인계 체크리스트나 절차를 사용하지만, 효과적으로 사용하거나 전혀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우리 조직에서는 부서별로 다른 몇 가지 핸드오버 툴(즉, SBAR, IPASS, EDPASS, SBARIP 등)이 사용되고 있다. 우리는 핸드오버 도구 형식의 불일치가 임상 오류를 초래할 수 있는 시스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우리의 주장을 설명하기 위해 그들이 대표하는 것을 설명할 필요도 없다. 부서 간에 정보를 한 형식에서 다른 형식으로 전송할 때 정보가 손실될 수 있다.

Atul Gawande42 observed that providers leave out a great amount of information from one handover to another because at the time they did not think the information would be important. With so much going on in their environment, providers may not even remember to include all of the pertinent information, leading to an error of omission. Most organisations utilise some sort of handover checklist or procedure, but may not be using them effectively or using them at all. In addition, in our organisation, there are several handover tools in use (ie SBAR, IPASS, EDPASS, SBARIP, and more), varying by department. We do not even have to spell out what they represent to make our point that inconsistencies in the handover tool format can create systems issues that can lead to clinical error. Information can be lost when transferring information from one format to another between departments.


절차적 스킬은 실ㄺ이 저하되기 쉬우며, 숙련도를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초기 지침과 지속적인 실행이 필요하다. 우리는 시술자들이 기도를 주입할 때 환자의 이빨을 부러뜨리거나 목 뒤쪽에 손상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들은 이 희귀한 절차를 충분히 자주 시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크리코시트로트 수술 중에 기관내관이 아닌 외소판 관을 삽입할 수 있다. 실력이 저하되기 쉬운 기술을 연습할 수 있는 교육과 기회는 이러한 오류의 많은 부분을 방지할 수 있다. 문제는 각 직업이나 전문 분야에서 요구되는 방대한 수의 기술과 절차의 숙련도와 역량을 습득하고 유지하는 것이다.

Procedural skills are perishable and require adequate initial instruction and ongoing practise to maintain proficiency. We know that practitioners can break a patient's teeth when intubating an airway or cause damage to the back of the throat. They can insert an endotracheal tube into the oesophagus rather than the trachea during a cricothyrotomy because they have not practised this rare procedure often enough. Education and opportunities to practise the perishable skills may prevent many of these errors from occurring. The problem is acquiring and retaining proficiency and competency in the vast number of skills and procedures that are required in each profession or specialty.


4.2 | 소송을 통한 설명

4.2 | Explanation through litigation


우리의 체계적인 검토는 연구 논문에서 보고된 오류에 초점을 맞추었다. CoverMD.com은 유명한 의료 과실 보험 웹사이트다. 이 웹사이트에 실린 그의 글에서, Bialak53은 미국에서 가장 흔한 10가지 의학적 오류를 기술했다. 표 1은 Bialak이 발생한 오류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실제 사건의 예와 함께 요약본을 제공한다.

Our systematic review focused on reported errors in research articles. CoverMD.com is a wellknown medical malpractice insurance website. In his article on this website, Bialak53 described the ten most common medical errors in the USA. Table 1 provides a summary along with an example of an actual event that Bialak used to describe the errors that occurred.


명시된 지연, 부적절한 결정, 그리고 잘못 수행된 기술 등을 비롯하여, 비알락 보고서의 모든 의료적 오류는 누락 또는 커미션의 오류로 분류될 수 있다. 어떤 사례도 의사소통의 오류는 아닌 것 같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수단보다 통신에 의한 오류 비율이 작을 수 있다는 우리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With the noted delays, improper decisions and skills that were performed incorrectly, all of the medical errors in Bialak's53 report may be classified as errors of omission or commission. None of the cases appear to be errors in communication. These results align with our findings that a smaller percentage of errors may be attributed to communication than other means.



4.3 | 한계

4.3 | Limitations


5 | 결론

5 | CONCLUSIONS


자기보고에 의존하여 발생하는 데이터와 이슈의 오분류는 의료오차의 정확한 비율을 높은 신뢰도로 진술할 수 없는 조건을 만들어낸다. 그러나, 우리가 이 체계적인 검토를 통해 수집한 증거로부터, 우리는 의료상의 오류의 대다수가 의사소통에서 기인한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믿을 만한 자료를 찾지 못했다. 크리코 스트래티지스, 54세 친구의 생일파티에서 혈당이 치솟았다. 하버드대 병원 보험회사 소속 연구분석그룹 중 2009~2013년 23건의 의료과실사 사례를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 실패가 의료오차로 이어지는 7000건(29.5%)이 넘는 사례를 확인했다. 우리의 검토에서, 의료상의 오류가 어떤 형태의 부적절한 의사소통에서 기인할 수 있다는 압도적인 통계를 42개(9.5%)의 연구 논문 중 4개만이 보고했다. 이는 오류의 실제 원인을 일부 저자와 발표자가 정확하게 보고하고 인용하지 않을 수 있음을 암시한다.

The misclassification of data and issues that come with a reliance on selfreporting create the conditions where we may not be able to state with a high level of confidence the exact rates of medical error. However, from the evidence we have gathered through this systematic review, we have not found any reliable data to support the assertion that the majority of medical errors are attributed to communication. CRICO Strategies,54 a at her friend's birthday party and her blood sugar spiked. Among research and analysis group affiliated with the insurers of the Harvard hospitals, analysed 23 658 malpractice cases from 2009 to 2013 and identified over 7000 cases (29.5%) where failures in communication led to medical error. In our review, only four research articles of 42 (9.5%) reported overwhelming statistics that suggest medical errors could be attributed to some form of inadequate communication. This implies that the real cause of errors may not be reported and cited correctly by some authors and presenters.






, 54 (1), 74-81
 

Debunking the Myth That the Majority of Medical Errors Are Attributed to Communication

Affiliations 

Affiliations

  • 1Weill Cornell Medicine New York-Presbyterian Simulation Program and Center, Department of Pediatrics, Weill Cornell Medical College, New York, New York.
  • 2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Weill Cornell Medical College, New York, New York.

Abstract

Context: Many articles, book chapters and presentations begin with a declaration that the majority of medical errors are attributed to communication. However, this statement may not be supported by the research reported in the literature.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ystematic review is to identify where errors are reported in the research literature.

Methods: A systematised review was conducted of research articles over the last 20 years (1998-2018) indexed in PubMed/MEDLINE and the Cumulative Index to Nursing and Allied Health (CINAHL) using term combinations: medical errors, research and communication. Inclusion was based on reported generalised primary research of medical error and the reported causes.

Results: This systematised review resulted in 2881 research articles, which produced 42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Although there was some overlap, three categories of errors were dominant in this research: errors of commission (20 articles; 47.6%), errors of omission (six articles; 14.2%) and errors through communication (four articles; 9.5%). There were 12 (28.5%) articles in which all three categories together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error. Of these 12 articles, errors of commission or omission were dominant in nine articles (21.4%) and errors of communication were prevalent in only three articles (7%).

Conclusions: The assertion that the majority of medical errors can be attributed to miscommunication is not supported by this systematic review. Overwhelmingly, most reported errors are attributed to errors of omission or commission. Intentionally or unintentionally providing misinformation may mislead patient safety initiatives, and research and funding agency priorities.

비판적 사고, 편향, 이중처리: 일반화가능한 스킬이라는 죽지않는 신화(Med Educ, 2019)

Critical thinking, biases and dual processing: The enduring myth of generalisable skills

Sandra Monteiro1,2 | Jonathan Sherbino2,3 | Matthew Sibbald2,3 | Geoff Norman1,2





1 | 소개

1 | INTRODUCTION


사실상 모든 사람들이 (이루어지기는 했지만 충분히 충족되지 않은) 가장 중요한 학교교육의 목표는 학생들이 비판적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는 데 동의할 것이다. (Willingham, 20071)

Virtually everyone would agree that a primary, yet insufficiently met, goal of schooling is to enable students to think critically. (Willingham, 20071)


모두가 그렇지는 않다. 우리는 동의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위의 주장(교육의 중심 초점은 비판적 사고, 문제 해결, 임상적 추론과 반성과 같은 일반적인 기술을 주입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것)이 사실 신화라는 입장을 옹호한다.

Not everyone. We do not agree. In this paper, we defend the position that the above assertion (ie that the central focus of education should be to inculcate general skills like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clinical reasoning and reflection) is indeed a myth.


우리의 중심적 주장은 의학 교육과 인지심리학에서 상당부분의 증거가 이 주장을 뒷받침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대신에, 증거에 따르면, 전문성의 본질은 어떤 종류의 일반적인 사고 기술이 아니라, 대규모의, 조직화된, 회상가능한retrievable 공식적이고 경험적인 지식이라는 을 계속해서 증명한다.

Our central claim is that the preponderance of evidence, in medical education and cognitive psychology, does not support this assertion. Instead, the evidence demonstrates again and again that the essence of expertise is the possession of a large, organised and retrievable body of both formal and experiential knowledge, not any kind of general thinking skills.


당연히 가르침과 배움은 지식이 아닌 사고에 관한 것이어야 한다는 고귀한 생각은 의학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그것이 두드러지게 특징지었던 한 분야는 지난 세기가 시작될 무렵의 미국 교육이었는데, 그 때 고전 유럽 교육에서와 마찬가지로 라틴어, 그리스어, 논리학의 학습으로 대변되는 "정신적 능력"의 발달에 중점을 두었다. 그 반대의 증거는 1906년에 Thorndike에 의해 제시되었는데, 그는 상이한 업무에 대한 일반적인 전이transfer 효과가 매우 낮다는 것을 보여주었다(Leman et al2에서 설명됨): 일반적 기술("정신적 능력")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라틴어의 과목은 그 존재의 근거가 사라진 지 한참 후까지도 공립학교 교과과정에 남아 있었다.

Not surprisingly, the noble idea that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be about thinking, not knowledge, is not unique to medicine. One area in which it featured prominently was American education around the turn of the last century, when, as in classical European education, the emphasis was on the development of “mental faculties” exemplified by the study of Latin, Greek and logic. Evidence to the contrary was presented by Thorndike in 1906, who showed that typical transfer effects across dissimilar tasks were very low (described in Lehman et al2): general skills (“mental faculties”) did not exist. However, the course in Latin remained in the public school curriculum long after the rationale for its existence had disappeared.


심리학에서 "정신적 능력"은 특히 미국에서 과학심리를 지배하는 행동주의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20세기 후반에 이러한 기계론적, 환원주의적 이론적 관점은 결국 인지적 심리로 대체되었다. 동시에, 건강 전문가 교육의 초점은 행동 목표에서 근본적인 사고 과정의 개발을 향해 나아갔다.

In psychology, “mental faculties” were replaced by behaviourism, which dominated scientific psychology, particularly in the USA, to midcentury. However, in the latter decades of the 20th century, this mechanistic and reductionist theoretical perspective was eventually superseded by cognitive psychology. Concurrently, the focus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oved away from behavioural objectives towards the development of underlying thinking processes.


2 | 르네상스: 1960-1980

2 | THE RENAISSANCE: 1960-1980


2.1 | 정보처리 모델의 출현

2.1 | The emergence of information-processing models


2.1.1 | 인지심리학

2.1.1 | Cognitive psychology


인지혁명의 원동력은 인간의 "정보처리"에 대한 은유로서 컴퓨터의 발전이었다. 마음의 은유로서 '기계'가 침입하면서, 초기에는 뉴웰과 사이먼의 "일반적인 문제 해결사(이름이 모든 것을 보여준다)"와 같은 인공지능에 대한 연구로 이어졌다. 이것은 인간(과 기계)의 문제 해결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정한 지식 기반을 동원할 수 있는 일반적인 전략을 채택하는 문제라는 전제에 기초한다. 여러 문헌에 브레인스토밍, 측면서고, 연관성 등과 같이, "내용과 무관하게" 문제 해결과 창의성 향상으로 이어지는 수많은 전략이 스며들었지만, 결과는 그렇지 못했다. 우리는 이제 그 은유가 너무 지나치게 문자 그대로 받아들여졌다는 것을 안다. 인간의 마음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디자인된 컴퓨터와 같은 방식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A driving force behind the cognitive revolution was the development of computers as a metaphor for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Early forays into the machine as a metaphor of the mind led to research in artificial intelligence such as Newell and Simon's “general problem solver” (the name says it all), based on the premise that human (and machine) problem solving was a matter of adopting general strategies that could then be mobilised with specific knowledge bases to solve problems.3,4 The lay literature was permeated by numerous contentfree strategies—brainstorming, lateral thinking, synectics—that purported to lead to large increases in problem solving and creativity, but did not. We now know that the metaphor was taken too literally; human minds do not work in the same way as the computers that were designed in the 1970s and 1980s.5


2.1.2 | 의학 교육

2.1.2 | Medical education


전문가 진단 추론 연구의 기원은 1970년대에 실시된 대표적 연구이다.

The origins of research on expert diagnostic reasoning are credited to seminal work conducted in the 1970s


처음에는, 일반적인 과정이 나타났다. 처음 몇 초 또는 몇 분 이내에 발생하는 초기 "가정 생성" 단계와 추가적인 확인 데이터를 위한 길고 순차적이며 체계적인 검색의 두 단계로 구성되었다.

A general process did emerge from these studies. It consisted of two stages: an initial “hypothesis generation” stage occurring in the first few seconds or minutes of the encounter, followed by a long, sequential and systematic search for additional confirmatory data.


그러나 세 가지 추가 연구 결과가 발생하여 근본적인 가정에 심각한 도전을 제기하였다. 

    • 첫째로, 그 과정은 너무 일반적이었다. 의대 1학년 학생부터 전문 임상의사에 이르기까지 모든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가설의 생성과 테스트 과정을 사용하고 있었다. 전문가들이 그것을 더 잘 하고 있다는 것은 간단히 언급되었다. 

    • 둘째로, 진단 정확도라는 그 프로세스의 성과를 조사했을 때, 주로 "가설의 내용"이라는 하나의 변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참가자들이 일찍부터 이 진단에 대해 생각했다면, 그들은 정확한 결과를 얻었고, 그렇지 않았다면, 글쎄, 그들은 그렇지 않았다. 

    • 지막으로, 그리고 결정적으로, 한 문제에 대한 성공은 다른 문제에 대한 성공을 보장하지 않았다. 문제에 대한 전형적인 상관관계는 0.1~0.3이었다. 따라서 일반적인 문제 해결 전략의 개념은 경험적 테스트에 실패했다.

However, three additional findings arose which presented a serious challenge to the underlying assumption. 

    • Firstly, the process was too general. Everyone, from firstyear medical student to expert clinician, was essentially using the same process of generating and testing hypotheses; it was simply noted that experts were doing it better. 

    • Secondly, when the outcome of the process—diagnostic accuracy—was examined, it was found to relate primarily to only one variable: the content of the hypothesis. If participants thought of the diagnosis early on, they got the correct outcome; if they didn't, well, they didn't. 

    • Finally, and critically, success on one problem was no guarantee of success on another. The typical correlation across problems was 0.10.3. Thus, the notion of general problem-solving strategies failed an empirical test.


Elstein 등은 후기 논문에서 이러한 발견을 우아하게 요약했다: 

"맥락과 내용을 배제한 임상 추론의 purely formal syntax는 생성된 가설에 대한 품질의 차이도, 사례에 따른 임상의사의 변동성도 설명할 수 없다. 오히려 구체적 사례에서 더 나은 가설을 만들어내는 능력 뒤에는 도메인 고유의 지식의 차이가 있는 것처럼 보였다."

Elstein et al, in a later paper, summarised these findings elegantly: “A purely formal syntax of clinical reasoning stripped of context and content could account neither for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hypotheses generated nor for clinicians’ variability across cases. It seemed, rather, that differences in domain-specific knowledge must lie behind the ability to generate better hypotheses in specific cases.”


3 | 계몽기: 1980-2000

3 | THE ENLIGHTENMENT: 1980-2000


3.1 | 지식의 역할과 기술의 특수성

3.1 | The role of knowledge and specificity of skills


3.1.1 | 인지심리학

3.1.1 | Cognitive psychology


곧 인간의 문제 해결은 정교한 기술을 습득하는 문제가 아니라 광범위하고 풍부한 지식 네트워크에서 운영되는 상당히 단순한 전략에 해당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4

It soon emerged that human problem solving was not a matter of acquiring elaborate skills; rather, it amounted to fairly simple strategies operating on extensive and rich knowledge networks.4


추론에서 이러한 핵심적 지식의 역할은 다른 영역의 전문지식을 이해하는 것에 기초한 새로운 연구 분야로 이어졌다. 이러한 발견에서 바로 "의도적 연습"과 같은 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견해에 따르면 전문지식은 일반적인 전략과도, 무수한(진짜로 수천개에 달하는) 문제를 가지고 실천에서 얻은 경험적 지식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This central role of knowledge in reasoning then led to a new field of research based on understanding expertise in different domains. Phenomena such as “deliberate practice” emerged directly from these findings.10 In this view, expertise has nothing to do with general strategies and everything to do with experiential knowledge acquired from practice with many, indeed, thousands of problems.


인지 기술의 제한된 일반화가능성은 또 다른 연구 영역인 전이 연구에서 나타났다. 전이에 대한 무수한 연구 프로그램은 far transfer는 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는 것을 일관되게 보여주었다.11 전이란 한 맥락에서 습득한 지식을 다른 맥락에서 동일한 개념 구조를 가진 문제를 해결하는 데 활용하는 것이다.

The limited generalisability of cognitive skills emerged in another research domain: studies of transfer. An extensive research programme examining transfer—using knowledge acquired in one context to solve problems with the same conceptual structure in a different context—revealed consistently that far transfer was exquisitely difficult.11


마지막으로, 인간의 문제 해결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컴퓨터를 계속 사용하는 것은 "수단-목적 분석"과 같은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프로그램들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단순한 문제에 유용한 반면, 지식이 풍부한 영역에서는 효과적이지 않았고, "취약한 방법"이라고 불렸다. "전문가 시스템"이라고 불리는 전문가 지식을 바탕으로 한 대안들은 구체적 영역specific domain에서 훨씬 뛰어났다.12

Finally, the continued use of computers to simulate human problem solving revealed that programs using general methods like “means–end analysis,” while useful for simple problems, were ineffective in knowledge-rich domains and were referred to as “weak methods.”4 Alternatives based on expert knowledge, called “expert systems,” were far superior in specific domains.12


3.1.2 | 의학 교육

3.1.2 | Medical education


[지식의 중심성]을 지적하는 초기의 발견은 임상추론 연구에 있어서 강조의 변화를 가져왔다. 연구자들은 어떤 일반적인 추론 기술을 더 추구하기 보다는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지식 구조의 종류를 탐구하기 시작했다.

The early findings pointing to the centrality of knowledge led to a change of emphasis in the study of clinical reasoning. Instead of further pursuing some generalisable reasoning skill, researchers began to explore the kinds of knowledge structures that experts use.


실제로, 지식에 대해서 단일한 중심적인 형태는 없을 가능성이 높다; 오히려, 전문 지식의 한 가지 특징은 분석적인 것에서 경험적인 것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식영역이다.

Indeed, it is likely that there is no one central form of knowledge; rather, one hallmark of expertise is the mastery of vast domains of knowledge ranging from analytical—base rates and physiological mechanisms—to experiential.


4 | 반계몽주의: 2000년부터 현재까지

4 | THE COUNTERENLIGHTENMENT: 2000 TO THE PRESENT


4.1 | 사고력의 부활

4.1 | The reemergence of thinking skills


새 천년은 일반 교육과 심리학, 그리고 의학 교육에서 일반적인 사고 전략에 대한 관심이 되살아나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이름은 바뀌었다. 비판적 사고, 메타인지, 성찰과 같은 용어가 등장했다. 게다가, 의사결정의 "이중 프로세스" 이론은 문제 해결과 진단에 관한 담론을 지배하게 되었다.

The new millennium found a resurgence of interest in general thinking strategies, both in general education and psychology, and in medical education. However, the names changed. Terms like “critical thinking,” “metacognition” and “reflection” entered the lexicon. Moreover, “dual process” theories of decision making came to dominate discourse on problem solving and diagnosis.


4.2 | 인지심리학

4.2 | Cognitive psychology


4.2.1 | 비판적 사고

4.2.1 | Critical thinking


비판적 사고는 흔히 학생들이 지식 습득과 병행하여 개발할 수 있는(그러나 반드시 연결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기술로 묘사된다.18

Critical thinking is often described as a skill that students can develop in parallel with (but not necessarily connected to) knowledge acquisition.18


대다수의 문헌은 비판적 사고는 일반적이고 맥락에 구애받지 않는 기술이라고 가정하고 있다. "판단, 분석, 평가, 추론"과 태도 "양심적이고, 잘 알고, 열린 마음" 유연성... 신중성..." 등.19. 일반적인 비판적 사고 교육의 효과는 일반적인 비판적 사고 프로세스를 테스트하기 위해 설계된 왓슨-글레이저 비판적 사고 평가(WGCTA)와 같은 척도로 평가된다.20

By far the majority of the literature assumes that critical thinking is a general, context-independent set of skills: “judgement, analysis, evaluation, inference” and attitudes “inquisitive, well-informed… open-minded,

flexible… prudent…” and so on.19 The effect of general critical thinking instruction is commonly assessed by measures such as the Watson–Glaser Critical Thinking Appraisal (WGCTA), designed to test general critical thinking processes.20


4.2.2 | 메타인지

4.2.2 | Metacognition


메타인지(metacognition)는 자신의 생각을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메타인지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메타인지는 지식과는 구별되며, [학습을 할 수 있는 일반적인 자기조절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이 능력은 "학생들이 학습과 문제 해결을 위한 전략을 감시하고, 반성하고, 개선하도록 돕는다." 

Metacognition refers to awareness of one's thinking. Most research on metacognition assumes that it consists of general selfregulatory activities that can be learned distinct from knowledge and that “help[ing] students monitor, reflect upon, and improve their strategies for learning and problem solving.”21 


그러나 브랜스포드와 슈워츠는 다음과 같이 지적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메타인지적 활동에는 지식이 강력하게 요구된다. 메타인지는 "한 번에, 모든 것을 배울 수 있는" 일반적인 기술이 아니다예를 들어 특정 과제의 수행요건에 대해 잘 구분된 지식이 없으면, 사람들은 자신이이 그 과업을 수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없다."

However, Bransford and Schwartz point out: “Research also suggests that metacognitive activities have strong knowledge requirements; they are not general skills that people learn “once and for all.” For example, without welldifferentiated knowledge of the performance requirements of a particular task, people cannot accurately assess whether they are prepared to perform that task.”11


4.2.3 | 이중 프로세스 이론과 인지적 편견

4.2.3 | Dual process theories and cognitive biases


이중 프로세스 이론은 신속하고 무의식적이며 맥락적으로 한정된 프로세스(시스템 1 또는 유형 1)와 느리고 의식적이며, 노력하며, 탈맥락화된 프로세스(시스템 2 또는 유형 2)의 두 가지 기본적 사고 프로세스를 제시한다이러한 이론들은 예측이 아니라 서술적이다; 그들은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를 규정하거나 어떻게 해결될지를 예측하기 보다는 어떻게 애매한 문제가 해결되는지를 묘사한다.

Dual process theories posit two underlying thinking processes: a fast, unconscious, contextually bound process (System 1 or Type 1) and a slow, conscious, effortful, decontextualised process (System 2 or Type 2).22 These theories are descriptive, not predictive; they describe how ambiguous problems are solved rather than prescribing how they should be solved or predicting how they will be solved.


"기본 중재자default-interventionist"라고 불리는 지배적인 이중 프로세스 이론은 시스템 1을 기본 전략으로, 시스템 1의 불가피한 오류를 수정하기 위해 적절히 개입할 백업으로 시스템 2를 제시한다. 시스템 1 추론은 인지적 지름길이나 "휴리스틱"을 주로 이용하며, 이것은 인간 정보 처리가 제한된 결과이다. 그 결과, 시스템 1에서는 오류가 발생하기 쉽고 편견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23 대부분의 오류는 시스템 1의 편견의 결과로 시스템 1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시스템 2를 통해서만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진단에 대한 이중 프로세스 모델은 국지적 내용 및 상황별 지식(시스템 1)에 의존하는 전략에 대한 일반 분석 방법(시스템 2)의 효과에 대한 직접 테스트에 해당한다.

The dominant dual process theory, called “default-interventionist,” posits System 1 as the default strategy and System 2 as a backup with which to intervene as appropriate to correct the inevitable errors of System 1. System 1 reasoning makes heavy use of cognitive shortcuts or “heuristics” as a consequence of the limitations of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These in turn are expected to be error-prone and to lead to bias.23 Most errors are presumed to arise in System 1 as a consequence of biases in System 1 and can only be resolved using System 2. Dual process models of diagnosis amount to a direct test of the effectiveness of general, analytical methods (System 2) against strategies that depend on local content and contextual knowledge (System 1).


그러나, 오류는 시스템 1에서 비롯되고 시스템 2에 의해 수정된다는 가정은 앞 섹션에서 설명한 결과와 직접적으로 배치된다. , [정교한 특정 지식을 바탕으로 한 간단한 전략]이 [보다 일반적이고 지식-무관련 전략]을 일관되게 능가한다.

The assumption that errors originate in System 1 and are corrected by System 2 runs directly counter to the findings discussed earlier in the Enlightenment section, in which simple strategies based on elaborate specific knowledge consistently outperform more general, knowledge-lean strategies.


오류는 시스템 1에서 고유하게 발생한다는 주장은 일부 "이중 처리" 이론가들에 의해 제기되었다. 에반스와 스타노비치 주지사는 분명히 "아마도 가장 끈질긴 오류는 1타입 프로세스(직관적이고, 휴리스틱한)가 모든 나쁜 사고에 책임이 있고 2타입 프로세스(반사적이고, 분석적)가 반드시 올바른 반응을 이끌어 낸다는 생각이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이중 프로세스 이론은 추론과 판단 연구의 인지적 편견을 1형 프로세싱 탓으로 돌렸다... 그에 상응하는 논리적 추론, 합리적인 의사결정 및 비철학적 판단은 2형 프로세싱에 귀속되었다."22

The claim that errors arise uniquely in System 1 has been challenged by some “dual processing” theorists. Evans and Stanovich state unequivocally: “Perhaps the most persistent fallacy… is the idea that Type 1 processes (intuitive, heuristic) are responsible for all bad thinking and that Type 2 processes (reflective, analytic) necessarily lead to correct responses. Thus, various forms of dual process theory have blamed Type 1 processing for cognitive biases in reasoning and judgement research… Correspondingly, logical reasoning, rational decision making, and nonstereotypical judgements have been attributed to Type 2 processing.”22


비록 오류는 시스템 1에서 비롯되고 시스템 2에서 개선된다는 개념이 만연하지만, 최근의 이론과 증거가 시사하는 바와는 전혀 다르다.

Although the notion that errors originate in System 1 and are ameliorated in System 2 is pervasive, recent theory and evidence suggest otherwise.



4.3 | 의학 교육

4.3 | Medical education


4.3.1 | 비판적 사고

4.3.1 | Critical thinking


심리학 문헌과 유사하게, 일부 연구는 (비판적 사고가 성격과 유사하다고 암묵적으로 가정하여) 비판적 사고 시험의 점수와 임상적 의사결정 또는 사무적 성과와 같은 결과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다. 대신에, 연구는 수년간의 교육으로 비판적 사고방식의 향상을 찾고 있는데, 그것은 그것이 기술과 같다고 가정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연관성은 미약하고, 리뷰 기사의 주요 저자들은 "동시적 타당성은 제한적"이라고 결론내리며, "증거는... 아직 근거가 없다", "결과...혼합되고 모순된다."28라고 말한다.

Similar to the psychology literature, some studies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cores on a critical thinking test and outcomes such as clinical decision making or clerkship performance,24-26 implicitly assuming that critical thinking is trait-like. Alternatively, studies look for improvement in critical thinking with years of education,27 which presumes it is skill-like, gradually increasing over time. In general, associations are modest, leading authors of review articles to conclude “limited concurrent validity,”28 “evidence… is still unsubstantiated,”24 and “results… are mixed and contradictory.”28


4.3.2 | 메타인지

4.3.2 | Metacognition


의학 내에서는 자기 자신의 사고에 대한 인식이 성찰 행위로 번역되어 왔다. 많은 교육 프로그램들은 전문성과 관련된 기술 개발을 돕기 위해 공식적이고 비공식적인 성찰 활동을 통합한다. 형식적으로, 성찰적 실천가가 되거나 성찰적인 전문적 실천을 하는 것은 도날드 숄의 고전적인 작업과 관련이 있는데, 이들은 자신의 행동과 생각을 가까운 최근의 "행동에서의 반성"이나 먼 과거의 "행동에서의 반성"으로부터 검토할 수 있는 활동을 강조한다.29. 일반적으로 이 활동은 복잡성, 모호성 또는 불확실성에 대응하여 유기적으로 발생한다. 일부 저자들은, 이는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메타 인식과 성찰의 일반적인 전략이 성과를 향상시킬 것으로 해석한다.

Within medicine, awareness of one's own thinking has been translated into the act of reflection. Many education programmes incorporate formal and informal reflective activities to help develop skills related to professionalism. Formally, being a reflective practitioner or having a reflective professional practice is associated with the classic work of Donald Schön, who emphasises activity that allows examination of one's actions and thoughts from the near “reflection in action” or distant “reflection on action” past.29 Typically, this activity occurs organically, in response to complexity, ambiguity or uncertainty.30 This has been interpreted by some authors to suggest that a general strategy of metaawareness and reflection used routinely will improve performance.31,32


그러나 우리는 성찰을 실행하고 그 효과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실시하려는 시도를 거의 알지 못한다.

We are aware of very few attempts to operationalise reflection and conduct systematic study of its effectiveness.


구조화된 전략33-37은 비교적 일관된 결과를 보여준다. 즉, 학생의 경우 단순한 사례, 레지던트의 경우 복잡한 사례에 대해 도움이 된다. 덜 구조화된 접근법을 평가하는 다른 연구들(즉, 단순히 다른 모양을 취하거나 실제적인 실천 제약조건과 일관되도록 체계적으로 하기 위한 지침)은 단순하거나 복잡한 사례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다.38,39

The structured strategy33-37 shows relatively consistent results—a benefit for simple cases with students and complex cases with residents. Other studies evaluating a less structured approach (ie instructions to simply take another look or to be systematic, consistent with realistic constraints of practice) have shown no effect for simple or complex cases.38,39


게다가 의사와 학생들은 실수를 했을 때 인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38 예를 들어, 몬테이로 외 연구진이 실시한 연구에서 의사들은 어떤 경우에 더 많은 반성을 필요로 하는지 결정할 수 없었다. 마찬가지로, Friedman 등은 학생, 레지던트, 의사가 지속적으로 그들의 진단에 대해 지나치게 자신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17, 17, 40

Moreover, physicians and students have difficulty recognising when they have made an error.38 For example, in a study by Monteiro et al,38 physicians were unable to determine which cases required further reflection. Similarly, Friedman et al found that students, residents and physicians were consistently overconfident in their diagnoses.17, 40


추론을 개선하기 위한 메타인지 전략은 문헌에서 어느 정도 주목을 받았으며, 자주 자가 모니터링 훈련을 하면 결과가 개선될 것이라고 제안한다.41,42 그러나 자세히 살펴본 결과 이러한 성과 개선이 진단 정확도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Metacognitive strategies to improve reasoning have received some attention in the literature, often with suggestions of improved outcomes resulting from training in selfmonitoring.41,42 However, upon closer inspection these improved outcomes do not transfer to diagnostic accuracy.


4.3.3 | 이중 프로세스 이론과 인지적 편견

4.3.3 | Dual process theories and cognitive biases


지적한 바와 같이 이중 처리 모델은 임상추론에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이 이론의 중심은 성공적인 추론이 효과적인 사고 과정을 반영한다는 개념이며, 반대로, 오류는 인지적 휴리스틱스에서 비롯되는 결함 있는 추론의 결과라는 개념이다. 여기에는 임상 추론의 성격에 대한 두 가지 강력한 가정이 수반되며, 두 가정 모두 경험적 시험의 대상이 된다.

As indicated, a dual process model of thinking has become the accepted theory of clinical reasoning. Central to the theory is the notion that successful reasoning reflects effective thinking processes and, conversely, that errors are a consequence of flawed reasoning, originating in cognitive heuristics. This involves two strong assumptions about the nature of clinical reasoning, both of which are subject to empirical testing.


[가정 1] 거의 모든 진단 오류는 시스템 1 사고에서 비롯되는 인지적 편견의 결과물이다.43

Assumption 1 Almost all errors of diagnosis are a consequence of cognitive biases originating in System 1 thinking.43


시스템 1 사고와 인지적 편견이 진단 오류의 주요 원인이라는 개념은 많은 저자와 의학연구소 보고서에 의해 설명되었다. 그러나 뒷받침되는 증거는 약하다. 문헌에 기술된 편견의 수는 30개에서 130개까지 다양하지만, 의학에서 인지적 편견에 대한 세 가지 체계적인 검토는 증거가 있는 총 24개의 편견을 식별한다.48-50 그러나 이는 진단 오류뿐만 아니라 관리 및 예후의 오류와 환자 관련 편견을 포함한다. 단 7개만이 진단 오류와 관련이 있다. 더욱이, 세 가지 체계적인 검토에서 오직 세 가지 편견, 즉 가용성, 확인, 사후 판단만이 공통적으로 인용된다.48-50

The notion that System 1 thinking and cognitive biases are primary causes of diagnostic error has been described by many authors43-46 and features in the Institute of Medicine report.47 However, the supporting evidence is weak. Although the numbers of biases described in the literature range from 30 to 130, three systematic reviews of cognitive biases in medicine identify a total of 24 biases for which there is evidence.48-50 However, these encompass not just diagnostic errors, but also errors of management and prognosis, as well as patientrelated biases; only seven are related to diagnostic error. Moreover, only three biases—availability, confirmation and hindsight—are cited in all three systematic reviews.48-50


여기서, 우리는 세 가지 공통된 편향에 대한 확립된 정의를 검토한다.

Here, we examine the established definitions of three common biases.


가용성 편향: 사물이 쉽게 떠오를 경우, 더 가능성이 높거나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성질. 따라서, 최근 질병에 대한 경험은 질병이 진단될 가능성을 부풀릴 수 있다.43

Availability bias: the disposition to judge things as being more likely, or frequently occurring, if they readily come to mind. Thus, recent experience with a disease may inflate the likelihood of its being diagnosed.43


가용성(Availability)은 관리자의 에피소드에서 발생하는 진단 오류에 대한 검토자에 의해 식별된 가장 일반적인 인지적 편견 중 하나이다.51, 52 그러나 이는 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관찰자, 즉 서면 사례를 검토하는 감사자는 임상의사에게 "신기하게 떠오른 것"이 무엇인지 알 길이 없다. 따라서, 시스템 1의 사고는 무의식적이고 직관적인 과정으로 특징지어지므로, (관찰자 뿐만 아니라) 환자를 관리했던 임상의도 알 길이 없다.

Availability is one of the commonest cognitive biases identified by reviewers of diagnostic errors occurring in episodes of care.51, 52 However, this is logically impossible. An observer, or an auditor reviewing a written case, has no way of knowing what “readily came to mind” to the clinician. For that matter, as System 1 thinking is characterised as an unconscious, intuitive process, neither does the clinician who managed the patient.


확인 편향: 반박할 증거를 부정하기보다 진단을 뒷받침할 증거를 확인하는 경향이 있다. 비록 후자가 종종 더 설득력 있고 확정적이긴 하지만.43

Confirmation bias: the tendency to look for confirming evidence to support a diagnosis rather than look for disconfirming evidence to refute it, despite the latter often being more persuasive and definitive.43


확증 편향은 분석 규칙에 의해 생성된 숫자 시퀀스 세트를 사용하여 Wason53에 의해 처음 연구되었다. 임상적 맥락에서, 정의가 시사하는 바와 같이, 이는 가설을 우선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근거의 체계적인 수집과 가중치 부여에서 발생한다. 이것은 시스템 1 추론의 결과가 아니다.

Confirmation bias was first studied by Wason53 using sets of number sequences generated by an analytical rule. In a clinical context, as the definition suggests, this arises in the systematic gathering and weighting of evidence to preferentially support hypotheses. This is not a consequence of System 1 reasoning.


사후확신 편향: 결과를 아는 것은 과거의 사건에 대한 인식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실제로 일어난 일에 대한 현실적인 평가를 방해할 수 있다.43

Hindsight bias: knowing the outcome may profoundly influence the perception of past events and prevent a realistic appraisal of what actually occurred.43


결과가 알려질 때 힌트가 생긴다. 따라서 오류의 근본원인의 결정은 임상사례를 검토하는 사람들에게 중심적인 문제지만 진단을 추구하는 임상의에게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사후확신 편향은 시스템 1 사고와 관련이 없다.

Hindsight arises when the outcome is known. Thus, the determination of underlying causes of error is a central issue for those reviewing clinical cases, but is not a problem for a clinician seeking a diagnosis. Hindsight bias is not related to System 1 thinking.


[가정 2] 오류는 인지적 편견의 결과이기 때문에, 오류 감소 전략은 임상의사가 인지적 편견을 식별하고 시스템 1 사고에 내재된 오류를 수정하기 위해 시스템 2 추론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접근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예: 인지적 강제 전략).

Assumption 2 Because errors are a consequence of cognitive biases, error reduction strategies should focus on approaches that help clinicians identify cognitive biases and effectively use System 2 reasoning to correct the errors inherent in System 1 thinking (eg cognitive forcing strategies).43, 51, 60


인지강화전략은 "지금 이 순간"에 대한 인식과 추론을 개선하기 위한 일반적인 전략이다.61 인지강화전략의 기본 개념은 자신의 생각의 자기인식을 높이고 일반적인 인지편견을 피함으로써 잠재적 오류를 식별하는 것이다.43,60,61

Cognitive forcing strategies are general strategies for improving metacognition and reasoning “in the moment.”61 The basic concept is to increase selfawareness of one's own thinking and identify potential errors by avoiding common cognitive biases.43,60,61


아마도 가장 간단한 "인지적 강제력 전략"은 임상의사에게 체계적으로 주의를 주거나, 속도를 늦추거나, 대안을 고려하라는 일종의 지시일 것이다. 많은 연구에서 신속한 진단이 느린 체계적 성찰와 비교되었다.38,39,62-64 균일한 발견은 "체계적이고 철저하게 하라는 지침이 결과 처리 시간을 늘리지만, 진단 오류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Perhaps the simplest “cognitive forcing strategy” is some form of instruction to caution the clinician to be systematic, to slow down or to consider alternatives. In a number of studies, rapid diagnosis has been compared with slower systematic reflection.38,39,62-64 A uniform finding is that instructions to be systematic and thorough result in longer processing time, but have no impact on diagnostic errors.


몇몇 리뷰는 학생들에게 편견을 인식하도록 가르치기 위해 고안된 전략의 효과를 조사하였다.32, 49, 50, 65 편견에 대한 훈련은 인지적 편견에 대한 인식을 증가시킨다.66-68 그러나, 진단 오류에 대한 차감 효과에 대한 연구는 마이너스였다.69-71

Several reviews have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strategies designed to teach students to recognise biases.32, 49, 50, 65 Training increases awareness of cognitive biases.66-68 However, studies of the effect of debiasing on diagnostic errors have been negative.69-71


4.4 | 요약

4.4 | Summary


여러 증거는 (탈편견, 성찰 등 무엇이든간에) 오류를 줄이기 위한 "일반화된 내용-무관 전략"은 효과가 없거나 미미한 효과 뿐임을 보여준다. 이는 오류가 [불충분한 사고 능력]이 아니라 [불충분한 지식]에서 비롯된다는 단순한 이유 때문이다. 성찰 전략은 효과가 균일하지 않지만 작은 편익을 가질 수 있다..65 탈편향 전략은 균일하게 아무 효과가 없었다.65 따라서, 임상의로 하여금 과정이나 추론을 성찰하거나, 일반적인 분석적 접근법을 적용하도록 권장하는 시도는, 의사들로 하여금 지식이 아니라, 분석적 기술이나 약한 방법에 초점을 맞추게 하기 때문에 단순한 이유 때문에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

The evidence shows that generalised, content-independent strategies—debiasing, reflection or whatever—to reduce errors have no or minimal effectiveness for the simple reason that errors derive not from inadequate thinking skills but from inadequate knowledge. Reflection strategies may have a small benefit, although effects are uneven.65 Debiasing strategies have shown uniformly null effects.65 Thus, attempts to encourage clinicians to reflect on the process or reasoning, or to apply general analytical approaches, may not be effective for the simple reason that they focus on analytical skills, or on weak methods, not knowledge.


달리왈이 말했듯이, "중증근무력증에 대해 듣지 못했다면, 인지적으로 그 진단에 방해가 되는 편향을 없앨 수 없다. [...] 전문가 수행의 영역에서는 지식이 왕이다."72

As Dhaliwal said: “If you have not heard about myasthenia gravis, you cannot cognitively debias your way into that diagnosis. […] In the realm of expert performance, knowledge is king.”72


5 | 고찰

5 | DISCUSSION


축적된 증거에 비추어, 우리는 일반 기술의 신화가 왜 의학 교육에 반세기 동안 지속되어 왔는지 설명해야 한다. 한 가지 이유는 그것이 의학의 실천에 필요한 많은 지식의 영역을 숙달하는 지름길을 제공하기 때문일 것이다. 2002년에 크로스케리는 다음과 같이 썼다. "...우리는 [과연 축적된 경험의 혜택과 함께 제공되는 판단의 개선을 기다리지 않고서] 임상의사를 더 나은 의사결정자로 만드는 것이 가능한 일인지 알아야 한다."60

In light of the accumulated evidence, we must address why the myth of general skills has persisted in medical education for half a century. One reason may be that it offers a shortcut to mastery of the many areas of knowledge required in the practice of medicine. In 2002, Croskerry wrote: “…we need to know whether we can make clinicians better decision makers without simply waiting for the improved judgement that comes with the benefit of accumulated experience.”60


의학교육 커리큘럼은 제한된 시간과 자원에 시달린다아마도 의료 교육자와 커리큘럼 설계자들은 필연적으로 전이가 될 것이라는 환상을 가지서는, 일반화 가능한 기술들에 끌리게 되고, 따라서 무수한 다른 지식 영역에서 학습과 실천의 필요성을 피하게 될 것이다. 모두가 너무 바쁘기 때문에 그 신화는 계속된다.

Medical education curricula suffer from restricted time and resources. Perhaps medical educators and curriculum designers are inevitably drawn towards generalisable skills that have the illusion of transfer, thereby avoiding the necessity of learning and practice in myriad different knowledge domains. The myth persists because everyone is too busy.


역량 기반 교육을 향한 움직임은 신화의 만연함을 보여준다. 비록 어떤 역량은 요추 구멍이나 삽관 같은 특정한 지식에 바탕을 두고 있지만, "완전하고 체계적인 역사 수행"이나 "전문간 협업 기술 시연"과 같이, 프레임워크는 맥락과 무관하게 습득해야 하는 역량에 따라 짜여져 있다. "좋은 병력청취"라는 말의 밑바탕은 일반화가능성을 암시하는 가정이다. 만약 그렇다면, 접근방식이 특정 임상 내용과 어떻게 또는 심지어 결합되더라도 문제가 되지 않아야 한다. 접근방식은 쉽게 전이되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가 제시한 증거는 심리학과 의학 교육 양쪽으로부터 인지기술이 무엇이든 그것의 일반화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The movement towards competency-based education illustrates the pervasiveness of the myth. Although some competencies are based on specific knowledge, such as a lumbar puncture or intubation, many are framed around content and the context-free competencies to be acquired, such as “performing a complete and systematic history” or “demonstrating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skills.” Underlying the “good history” is an implicit assumption of generalisability. It should not matter how or even if the approach is paired with specific clinical content; the approach should transfer easily. However, the evidence we have presented, from both psychology and medical education, casts doubt on the generalisability of any cognitive skill.


마지막으로, 탈편향 전략이 가정하는 것은 오류의 근본 원인이 인지적 편견이라는 점이다. 이것은 약간의 호소력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임상의사를 비난으로부터 해방시킨다; 인지적 편견은 단순히 인간 상태의 일부일 뿐이다. 그러나 만약 인지편향이 진단오차의 핵심이라면, 비판적 사고나 인지적 차이에 대한 훈련을 받으면 추론능력이 향상되고 오류가 감소되어야 한다. 그러한 효과에 대한 증거는 명확히 없다.

Finally, the assumption of debiasing strategies is that the root cause of error is cognitive bias. This has some appeal: it absolves the clinician from blame; cognitive bias is simply part of the human condition. However, if cognitive bias is so central to diagnostic error, then training in critical thinking or cognitive debiasing should result in improved reasoning skill and reduced error. Evidence for such an effect is conspicuously absent.


신화가 지속된다면 결국 효과적이지 않은 개입을 숙달하는 데 귀중한 교육 시간과 학습 시간이 바쳐질 것이다. 진단 오류의 유행을 주목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지만, 인지적 편견의 긴 리타니는 아무런 부가 가치도 없다. 편견을 식별하는 것은 오류를 줄이는 것과 같지 않다는 것을 충분한 증거가 반복적으로 입증했다.

The consequence of the persistence of the myth is that valuable instructional and learning time may be devoted to mastering interventions that, in the end, are not effective. Although it may be useful to draw attention to the prevalence of diagnostic error, the long litany of cognitive biases has no added value. Ample evidence has demonstrated repeatedly that identifying biases is not equivalent to reducing error.


오류율을 낮추는 것은 칭찬할 만한 목표다. 그러나 직관적 추론의 인식된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 [일반적인 문제해결 프로세스]를 조정함으로써 이것이 달성될 수 있다는 광범위한 가정에 기초한 전략은 비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영역의 진전은 시스템 1 추론의 힘을 받아들이고 시스템 1에서 사용하는 경험적 지식의 폭과 깊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인터리브 연습과 같은 전략을 고안함으로써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

Reducing error rates is a laudable goal. However, strategies based on the broad assumption that this can be achieved by tuning up a general problemsolving proces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perceived defects of intuitive reasoning have been shown to be ineffective. Progress in this area is more likely to arise from accepting the power of System 1 reasoning and devising strategies such as interleaved practice to improve the breadth and depth of the experiential knowledge used by System 1.


6 | 결론

6 | CONCLUSIONS


우리는 의학 교육에서 대중화된 현재의 추론과 사고방식의 모델들이 심리학에서 1세기 이상, 의학에서 반세기 이상 축적된 증거에 비교하자면 [모순되는 이론적 입장]을 자행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전문가들에 의해 사용되는 지식의 효율적 전략이 [일반적인 분석적 접근법, "합리적" 접근법]보다 열등하다고 볼 수 있는 입장에 대한 명분이 없다.

We have shown that the current models of reasoning and thinking popularised in medical education perpetrate a theoretical position that is inconsistent with the evidence accrued for over a century in psychology and half a century in medicine. There is no justification for the position that knowledge-rich, efficient strategies, as used by experts, can be viewed as inferior to general analytical and “rational” approaches.


우리는 이성적인 일반화 규칙이 사례 경험에서 도출된 휴리스틱스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주장에 이의를 제기하는 것은 처음이 아니다.73,74 인공지능의 구루로 인정받은 드레퓌스는 이렇게 썼다: 플라톤에서 ...피아제트 ... 촘스키...까지 이어지는 [초심자가 구체적인 사례에서 시작하여 점점 더 능숙해짐에 따라, 점점 더 정교한 규칙들을 추상화하고 내실화할 것] 관점을 버릴 준비가 되어있어야 한다. 그러나 기술 습득은 아마 반대 방향으로 진행된다고 밝혀질 것이다. 추상적인 규칙에서 특정 사례로 움직일 것이다"

We are not the first to challenge the assertion that rational generalisable rules are more effective than heuristics derived from case experience.73,74 Dreyfus, acknowledged as the guru of artificial intelligence, wrote: “We must be prepared to abandon the traditional view that runs from Plato to… Piaget … Chomsky… that a beginner starts with specific cases and… as he or she becomes more proficient, abstracts and interiorises more and more sophisticated rules. It might turn out that skill acquisition moves in just the opposite direction: from abstract rules to particular cases.”75


[합리적이며, 탈맥락화된 전략]의 신격화는 상황별 휴리스틱 접근법으로부터 진화적 적응을 나타낸다는 일부 주장과 일관된다. 인간의 인식이 순수하게 정신적 노력을 통해 진화할 수 있다면 실로 경이로운 일일 것이다. 전문화된 전문지식의 현 시대에, 교육의 중심 초점은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 임상적 추론, 반성과 같은 일반적인 기술을 주입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이 논문의 시작 부분에서 우리가 소개한 주장에 이의를 제기해야 할 모든 이유가 있다. 아마도 호모 사피엔스-"현명한 사람"-은 "호모 사이언스"(알고 있는 사람)이라는 진화의 정점으로 대체되어야 할 것이다.

The deification of rational, decontextualised strategies is consistent with some claims that they represent an evolutionary adaptation from contextualised heuristic approaches. It would be a marvel indeed if human cognition were able to evolve purely through mental effort. In the current era of specialised expertise, there is every reason to challenge the assertion we introduced at the beginning of this paper: that the central focus of education should be to inculcate general skills like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clinical reasoning and reflection. Perhaps Homo sapiens—“wise man”—should be replaced by “Homo sciens”—“knowing man”—at the apex of evolution.





48. Blumenthal-Barby JS, Krieger H. Cognitive biases and heuristics in medical decision making: a critical review using a systematic search strategy. Med Decis Making. 2015;35(4):539-557.


49. Saposnik G, Redelmeier D, Ruff CC, Tobler PN. Cognitive biases associated with medical decisions: a systematic review. BMC Med Inform Decis. 2016;16(1):138.


50. Lambe KA, O'Reilly G, Kelly BD, Curristan S. Dualprocess cognitive interventions to enhance diagnostic reasoning: a systematic review. BMJ Qual Saf. 2016;25:808-820.







, 54 (1), 66-73
 

Critical Thinking, Biases and Dual Processing: The Enduring Myth of Generalisable Skills

Affiliations 

Affiliations

  • 1Health Research Methods, Evidence and Impact,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tario, Canada.
  • 2McMaster Education Research, Innovation and Theory Programme,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tario, Canada.
  • 3Department of Medicine,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tario, Canada.

Abstract

Context: The myth of generalisable thinking skills in medical education is gaining popularity once again. The implications are significant as medical educators decide on how best to use limited resources to prepare trainees for safe medical practice. This myth-busting critical review cautions against the proliferation of curricular interventions based on the acquisition of generalisable skills.

Structure: This paper begins by examining the recent history of general thinking skills, as defined by research in cognitive psychology and medical education. We describe three distinct epochs: (a) the Renaissance, which marked the beginning of cognitive psychology as a discipline in the 1960s and 1970s and was paralleled by educational reforms in medical education focused on problem solving and problem-based learning; (b) the Enlightenment, when an accumulation of evidence in psychology and in medical education cast doubt on the assumption of general reasoning or problem-solving skill and shifted the focus to consideration of the role of knowledge in expert clinical performance; and (c) the Counter-Enlightenment, in the current time, when the notion of general thinking skills has reappeared under different guises, but the fundamental problems related to lack of generality of skills and centrality of knowledge remain.

Conclusions: The myth of general thinking skills persists, despite the lack of evidence. Progress in medical education is more likely to arise from devising strategies to improve the breadth and depth of experiential knowledge.

위험한 사업: 심리적 안전과 의학 학습의 위험(J Grad Med Educ, 2016)

Risky Business: Psychological Safety and the Risks of Learning Medicine

William E. Bynum, MD

Taha M. Haque, DO






일요일 밤이고, A의사는 1년차 레지던트로서 두려움에 떨며 다가오는 한 주를 병동에서 보내고 있다. 그는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수집해야 할 것이다. 그는 동료들과 감독관들, 그리고 다른 부서와 현재의 직원들 앞에 서서 그가 모은 것을 고도로 방법론적 방식으로 할 것이다. 그는 그의 지식을 조사하고 지식 격차를 확인하기 위해 질문을 받을 것이다. 그는 실수를 할 수도 있고, 중요한 정보를 놓칠 수도 있고, 질문에 잘못 대답할 수도 있다. 그는 자신의 성과에 대한 피드백을 받게 될 것이며, 이런 가운데서도 자신의 자기 가치와 직업적 정체성에 대해 반성하게 될 것이다. Edmondson1이 학습 행동이라고 칭한 이러한 모든 사건들은 개인적이고 전문적인 성장, 지식의 획득, 회복력의 발달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It is Sunday night, and Dr A is a first-year resident contemplating, with a twinge of dread, his upcoming week on the wards. He will be required to accurately gather information about his patients. He will stand up in front of his peers, supervisors, and staff from other departments and present, in a highly methodological fashion, what he has gathered. He will be asked questions to probe his knowledge and identify knowledge gaps. He may make mistakes, miss vital information, and incorrectly answer questions. He will receive feedback about his performance, and, in the midst of all these things, he will reflect on his self-worth and professional identity. All of these occurrences, which Edmondson1 has termed learning behaviors, will provide opportunities for personal and professional growth,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development of resilience.


그러나, 의사A는 또한 그가 끊임없는 평가의 '현미경 아래' 있는 것처럼 느끼고, 그가 비틀거리거나 실패할 경우 판단, 보복, 굴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두려움을 느낀다. 임상 학습 환경에 존재하는 모호성과 불확실성은 그의 학습 경험과 관련된 위험을 증가시킨다. 지속적인 평가에 동반하여, 본질적으로 학습 가치가 있지는 않지만, 매우 강력한 일련의 내면적 위험에 취약하다. 여기에는 무능하거나, 가치가 없거나, 부족하다고 느끼는 위험, 팀 내의 소외감과 손상된 소속감을 경험하는 것, 신뢰할 수 있는 조언자들로부터 수치심을 받는 것, 학문적 투쟁에 직면했을 때 remediate해야 하는 것, 의료 오류에 따른 비난이나 법적 책임이 포함된다. 

However, Dr A also feels like he is ‘‘under a microscope’’ of constant evaluation and fears that engaging in these normal learning behaviors might lead to judgment, reprisal, and humiliation should he stumble or fail. The ambiguity and uncertainty that exist in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increase the risk associated with his learning experience. Coupled with the presence of constant evaluation, he is susceptible to a set of intrapersonal risks that do not possess inherent learning value but are exceptionally powerful. These include the risks of feeling incompetent, unworthy, or deficient; experiencing marginalization and impaired belonging within a team; being humiliated by trusted advisors; having to remediate in the face of academic struggle; and being blamed or held legally responsible following a medical error. 


의사A의 인턴이 진행되며, 이러한 '마이크로' 위험이 누적됨에 따라, '메타' 위험이 나타날 수 있다. 여기에는 탈진, 우울, 사회적 철수, 공감 부족, 그리고 의학을 완전히 끊을 준비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포함된다.

As Dr A’s intern year progresses and these ‘‘micro’’ risks accumulate, ‘‘meta’’ risks may emerge, including the potential to feel burned out, depressed, socially withdrawn, less empathetic, and ready to quit medicine altogether.


심리적 안전의 구인은 학습자가 작업 환경에 대해서 ["내재된 내적 위험"을 동반하는 행동을 얼마나 할 만 한가]에 대해 인식하는 정도이다.2 의학교육 분야에서, 심리적인 안전은 학습 환경이 어떻게 학습자들이 [의학을 배우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수반하는 위험]을 완화시키거나 악화시키는지를 설명한다. 

The construct of psychological safety deals with the degree to which learners such as Dr A perceive their work environment as conducive to engaging in behaviors that have inherent intrapersonal risk.2 Within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psychological safety describes how a learning environment mitigates or exacerbates the risks learners must take to learn medicine. 


만약 그의 환경이 심리적으로 안전하다면, A박사는 목소리를 높여 도움을 요청하고, 그의 성격을 드러내고, 다소 불편하더라도, 필요한 학습 행동에 완전히 관여하는 것을 안정감을 느낄 것이다. 그의 환경이 심리적으로 안전하지 않다면 그 반대일 것이다.

If his learning environment is psychologically safe, Dr A will feel secure speaking up, asking for help, revealing his personality, and fully engaging with uncomfortable but necessary learning behaviors. The converse will be true if his environment is psychologically unsafe.


학습 환경 자체가 학습자가 경험하는 심리적 안전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내면적 위험intrapersonal risk은 심리적 안전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1 그리고 위험의 수준과 심리적 안전에 따르는 결과의 성질은 학습 환경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 환경의 핵심 요소는 교수진과 동료들이 질문에 대한 답을 모르거나 실수를 하는 것과 같은 [정상적인 학습 행동]에 어떻게 반응하는가 하는 것이다. 

An important next step will be to determine how the learning environment itself affects the psychological safety that medical learners experience. Intrapersonal risk is closely linked with psychological safety,1 and the level of the risk and nature of its outcomes may be heavily influenced by the learning environment. A key component of this environment is how faculty and colleagues respond to normal learning behaviors, such as making a mistake or not knowing the answer to a question. 


타인의 반응의 특성은 학습의 내재적 위험을 완화시키거나 악화시킬 수 있지만, 배움하고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위험을 야기할 수도 있는데, 여기에는 학습자에 대한 학대, 굴욕, 가혹한 처벌, 부당한 교정의 가능성도 포함된다. 낮은 수준의 심리적 안전은 의학을 학습하는데 수반되는 baseline risk가 이러한 외부적, 불필요한 risk에 의해서 악화될 때 나타난다. 실제로 학습자가 학대를 당하거나, 오류에 대한 징벌적 대응, 팀 내 조롱, 계층적 억압이 의료 학습 환경에서 일어날 때, 이는 이미 'risky endeavor'인 의학의 배움을 심리적으로 안전하지 못한 상황으로 변화시킨다.

The nature of their responses may mitigate or exacerbate the inherent risks of learning, but may also give rise to risks that are not inherent to learning, which include the possibility that learners will be mistreated, humiliated, harshly punished, unfairly remediated, or unjustly marginalized. Low levels of psychological safety are likely to be found in learning environments in which the baseline risk of learning medicine is exacerbated by such extrinsic, unnecessary risks. Indeed, when learner mistreatment, punitive responses to error, derision within teams, and hierarchical oppression occur in a medical learning environment, this transforms what is already a risky endeavor (ie, learning medicine) into a psychologically unsafe situation.


Edmondson에 따르면, 어떤 환경에서든 학습자는 자연적으로 자신의 이미지에 대한 위해의 위험을 최소화하고자 하며, 종종 자기 이미지에 대한 영향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회피 행동을 선택한다. 이러한 경향은 특히 끊임없는 평가, 큰 힘의 차이, 그리고 만연한 계층구조로 특징지어지는 환경에서 주로 만연한다고 주장한다.1 이 모든 것이 임상 학습 환경에 널려 있다. 

According to Edmondson,1 learners in any environment naturally seek to minimize the risk of harm to their self-image, and often adopt avoidance behaviors in situations where effects on self-image are uncertain. This tendency, she argues, is especially prevalent in environments marked by constant evaluation, large power differentials, and pervasive hierarchies,1 all of which abound in many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s. 


예를 들어, 전형적인 회피 행위인, 불리한adverse 사건들을 보고하지 않는 것을 예로 들어보자. 아펠바움 외 연구진은 최근 인지된 권력거리와 지도자의 inclusiveness가 심리적 안전을 예측하며, 심리적 안전성이 레지던트가 부작용을 보고하는 경향을 예측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의 결과에 따르면 레지던트들은 지도자의 포용성이 떨어지고 권력 거리가 큰, 심리적으로 안전하지 못한 학습 환경에서 불리한 사건들을 보고하는 것을 꺼리고 있다. 그러한 회피 행위는 과대처방, 굴욕, 실수에 대한 징벌적 대응으로 힘의 차이와 위계가 악화되는 학습 환경에 훨씬 더 널리 퍼질 수 있다.

Take, for instance, failure to report adverse events, a classic avoidance behavior. Appelbaum et al4 recently showed that perceived power distance and leader inclusiveness predicted psychological safety, and that psychological safety predicted the tendency for report residents to adverse events. Their results suggest that residents are discouraged from reporting adverse events in psychologically unsafe learning environments with poor leader inclusiveness and large power differentials. Such avoidance behaviors may be even more pervasive in learning environments in which power differentials and hierarchies are exacerbated by mistreatment, humiliation, and punitive responses to mistakes.


예를 들어, "pimping"의 사용도 있다. 굴욕감과 편견을 느낄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이 있고, 이것은 레지던트의 심리적 안전과 학습에 관여하려는 의지에 해로운 영향을 미침으로써 인지된 위험을 크게 증가시킨다.5

For example, the use of ‘‘pimping,’’ The potential of feeling humiliated and debased enhances the perceived risk significantly, with a detrimental effect on resident psychological safety and willingness to engage in learning.5


자신의 이미지를 보호하기 위해 위험한 상황에서 회피하려는 학습자들의 성향은 내부의 수치심을 피하거나 최소화하려는 욕구에 의해 추진될 수 있다. 수치심은 자기에 대한 부정적 평가에서 비롯되는 자의식적인 감정이며, 스스로를 내면적으로 결함이 있거나, 부족하거나, 무가치하게 느끼는 감정이라는 특징이 있다.6,7 자기 이미지와 수치심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수치심이 은닉hiding과 회피avoidance를 촉진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8 그것은 학습 환경의 약화되지 않는unmitigated 위험(즉, 낮은 심리적 안전)과 학습자의 회피 행동 사이의 중재적 감정 역할을 할 수 있다. 

Learners’ propensity to shy away from risky situations in order to protect their self-image may be driven by a desire to avoid or minimize internal shame. Shame is a self-conscious emotion that results from a negative evaluation of the self and is characterized by feelings of being internally flawed, deficient, or unworthy.6,7 Self-image and shame are intimately linked. Given that shame has been shown to promote hiding and avoidance,8 it may serve as the mediating emotion between unmitigated risk in the learning environment (ie, low psychological safety) and avoidance behaviors in learners. 


의학 학습자가 느끼는 수치심의 결과는 대부분 알려져 있지 않지만, 정서 장애, 우울증, 어려우나 필요한 학습 과정에서의 탈퇴 등이 포함될 수 있다.9 개인이 다른 사람들에게 수치심을 숨기는 경향은 정상적인 학습 행동의 위험을 악화시키고, 사회적 고립소외감을 야기하며, 학습자들이 말을 꺼내거나speaking up 보이는 것being seen을 단념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가능한 연관성에 비추어 볼 때, 정상적인 학습 상황에 수치심으로 반응하는 학습자들은 낮은 수준의 심리적 안전성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것은 학습과 웰빙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다. 게다가, [학습자들에 대한 굴욕적이고 징벌적인 대우가 특징인] 비이상적 학습 환경에서는, 수치심에 대한 취약성은 더 높고 심리적 안전성은 더 낮을 가능성이 있다. 즉, '심리적으로 안전하지 않다'는 특징이 있는 학습 환경은 많은 학습자들에게 수치심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The outcomes of shame in medical learners are largely unknown, but may include impaired empathy, depression, and withdrawal from difficult but necessary learning processes.9 The tendency for individuals to hide their shame from others may exacerbate the risk of normal learning behaviors, cause social isolation and perceived marginalization, and discourage learners from speaking up or being seen. In light of these possible associations, learners who respond to normal learning situations with shame are likely to experience low levels of psychological safety, with subsequent negative effects on learning and well-being. Furthermore, shame susceptibility is likely higher and psychological safety lower in suboptimal learning environments marked by humiliating and punitive treatment toward learners. In other words, a learning environment characterized as ‘‘psychologically unsafe’’ is likely to produce feelings of shame in many learners.


우리가 의학 교육에서 최적인 학습 환경을 다루기 위해 노력함에 따라, 심리적인 안전과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소들이 우리의 개혁 노력의 토대가 되어야 한다.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의학 교육에서 심리적인 안전의 구축에 대해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

As we strive to address suboptimal learning environments in medical education, psychological safety—and the many factors that influence it—must become the foundation of our reform efforts. Despite its importance, relatively little is currently known about the construct of psychological safety in medical education,


우리의 학습 환경에서 의학 학습의 위험을 완화하고, 회피 행동을 줄이고, 심리적 안전을 만들기 위한 노력은 즉시 시작될 수 있고 반드시 시작되어야 한다. 

  • 교수진 개발과 교사로서의 레지던트 훈련은 관리자들이 어려운 피드백을 제공하고, 오류에 대응하며, 비해킹 방식으로 결함을 시정하며, 그것이 발생했을 때 내적 고통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 프로그램은 학습 환경에서의 성원들 간의 대인 의사소통을 최적화하고 의사소통에 대한 지위 기반의 장애를 해소해야 한다.10 

  • 프로그램 리더는 학습자가 교직원 유무에 관계없이 서로 연결을 구축하고 위험을 논의, 표준화 및 공유할 수 있는 지원 네트워크를 생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12 

  • 마지막으로, 기관은 대학원 의학 교육의 문화를 개혁하고, 학습자가 기꺼이 위험을 감수하고, 포괄적이고, 양육적이며, 심리적으로 안전한 학습 환경의 테두리 안에서 도전을 견디는 과정으로 그 경험을 재정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efforts to mitigate the risks of learning medicine, decrease avoidance behaviors, and create psychological safety in our learning environments can and must begin immediately. 

  • Faculty development and resident-as-teacher training can enable supervisors to provide difficult feedback, respond to errors, correct deficiencies in a nonshaming manner, and recognize intrapersonal distress when it occurs. 

  • Programs should optimiz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mong member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address status-based barriers to communication.10 

  • Program leaders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build connections with one another and generate support networks within which risk can be discussed, normalized, and shared, with or without the presence of faculty.12 

  • Finally, institutions must actively work to reform the culture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remodel the experience from a hierarchical, stressful rite of passage to a process in which learners willingly take risks and endure challenges within the confines of an inclusive, nurturing, and psychologically safe learning environment.


이러한 이니셔티브와 함께 학대, 굴욕, 거친 비하, 미개한 행동, 수치심, 과장된 권력 차등, 세대간 혐오 등과 같은, 의학을 배우는데 수반되는 기본 위험을 고의적이고 불필요하게 악화시키는 행동의 완전한 제거가 되어야 한다.

Coupled with these initiatives should be the complete elimination of behaviors that intentionally and unnecessarily exacerbate the baseline risks of learning medicine, which include mistreatment, humiliation, harsh pimping, uncivil behavior, shaming, exaggerated power differentials, and intergenerational derogation.





 2016 Dec;8(5):780-782. doi: 10.4300/JGME-D-16-00549.1.

Risky BusinessPsychological Safety and the Risks of Learning Medicine.

PMID:
 
28018550
 
PMCID:
 
PMC5180540
 
DOI:
 
10.4300/JGME-D-16-00549.1


배고픈 학습자에게 메뉴판만 주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학습은 학습의 시뮬레이션이 된다면? (Med Teach, 2006)

Distributing menus to hungry learners: can learning by simulation become simulation of learning?

JOHN BLIGH & ALAN BLEAKLEY



도입

Introduction


좋은 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정직해야 하며, 상황이 어떤지 가르쳐 줄 의과대학이 필요하다. 우리는 의대생들에게 가장 강력하고 위험한 생명력, 즉 '현실'을 제공해야 한다. (Guthrie, 2002)

To make a good doctor we need medical schools to be honest with students and teach them about how things really are. We need to provide medical students with that most powerful and dangerous of life forces—reality. (Guthrie, 2002)


용어의 명확화

Clarification of terms


사전 정의(Sorter OED) 시뮬레이션과 디시뮬레이션을 정렬한다. '디시뮬레이션: '척하는 것...감추거나 위장하는 것, 흉내를 내라. ' 그러나 일반적인 용법에서 

    • 시뮬레이션은 자신이 가지지 못한 것을 가진 척 하는 것이고, 

    • 디시뮬레이션은 자신이 가진 것을 가지지 않은 것처럼 가장하는 것이다(Bogard, 1996). 

    • 시뮬라크럼은 사본(Durham, 1999) 또는 원본이 '상실된' 또는 '존재하지 않은' 사본이다(Baudrillard, 1994).

The dictionary definitions (Shorter OED) align simulation and dissimulation: ‘‘Dissimulate: ‘to pretend...to conceal or disguise’; simulate: ‘to pretend or feign’ ’’. In common usage, however, 

    • simulation is feigning what one does not have, where 

    • dissimulation is pretending not to have what one has (Bogard, 1996). 

    • A simulacrum is a copy of a copy (Durham, 1999), or a copy where the original has been ‘lost’ or ‘never existed’ (Baudrillard, 1994).


시뮬레이션 이론: 고전과 포스트모던

Theory of simulation: classical to postmodern


시뮬레이션을 통한 학습은 배고픈 학습자에게 음식을 주기보다는, 메뉴를 배포하는 것과 같은 위험을 수반한다.

Learning by simulation carries the danger of being like distributing menus to hungry learners, rather than preparing food with them.


플라톤(2003년), 공화국(북7년)에서는 동굴 속에 묶여 있는 사람들을 묘사한다. 이들은 벽을 정면으로 바라볼 수만 있다. 그들의 뒤로 불이 타오르고, 동굴 밖에는 동굴 벽에 그림자를 드리운 물체를 운반하는 사람들의 행렬이 있어서, '이 상황에서는 artefact의 그림자가 사람들이 인식할 수 있는 유일한 현실을 구성하게 될 것이다.' 동굴을 떠날 때, 사람들은 처음에는 태양의 빛에 현혹되고, 지금 그들이 보는 현실을 믿지 않지만, 그들은 실제 세계에 적응하면서 동굴을 시뮬레이션으로 인식한다.

Plato (2003), in Republic (Book VII), describes people bound in a cave so that they can only gaze directly ahead at the wall. A fire burns behind them, and outside the cave is a procession of people carrying objects whose shadows are cast on to the wall of the cave, so that ‘‘the shadows of artefacts would constitute the only reality people in this situation would recognise’’. In leaving the cave, the people are at first dazzled by the light of the sun and do not trust the reality they now see but as they adapt to the real world they recognize the cave as a simulation.


이상주의자로서 플라톤은 지상에 존재하는 '현실' 세계를 관념의 초월적 영역에 무지하게, 우리가 갇혀 있을 수 있는 동굴의 황혼의 세계와 동일시한다. 그는 이렇게 질문한다. 왜 굳이 일단 이 초월적인 영역을 맛본 후에, 우리는 (플라톤이 mortal world와 동일시한) 동굴의 환상과 그림자로 돌아가려 할 이유가 무엇이 있는가?

As an idealist, Plato equates the ‘real’ world of earthly existence with that of the twilight world of the cave, where we can remain imprisoned, ignorant of the transcendental realm of Ideas. He asks why, once we have tasted this transcendental realm, we would ever want to return to the illusions and shadows of the cave, which he equates with the mortal world.


플라톤의 동굴과 시뮬레이션의 세계는 '인공물의 그림자'가 '실재'를 구성하는 곳에서 동일시 될 수 있다. 장 프랑크 ̧리스  Ly리스 료타드(1984)가 '포스트 모던 상태'라고 부르는 것은 플라톤의 동굴로 돌아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엄마가 어린 아이를 유모차에 태우고 있다. 그녀는 아기를 본 적이 없는 지인을 만난다. 그 여자는 유모차를 보고서는 말한다. "정말 아름다운 아이구나!." 어머니는 이렇게 말한다. "그래, 하지만 사진을 볼 때까지 기다려!"  이제 그 복사본이 실제보다 우선시된다. 시뮬레이션은 시뮬라크룸이 되었다(Baudrillard, 1983, 1990, 1994, 2005).

The world of simulation with Plato’s cave, can be equated where ‘the shadows of artefacts’ constitute ‘reality’. What Jean-Franc¸ois Lyotard (1984) terms ‘the postmodern condition’ can be seen as a return to Plato’s cave. A mother is pushing her young child in the pram. She meets an acquaintance who has not seen the baby before. The woman peers into the pram. ‘What a beautiful child!’, she exclaims. ‘Yes, but wait till you see the photos!’ exclaims the mother. The copy now takes precedence over the real—the simulation has become a simulacrum (Baudrillard, 1983, 1990, 1994, 2005).


만약 어떤 사람이 그 경험을 은유, 또는 가상성 이상의 것을 얻을 수 없다면, 학습은 시뮬라크럼의 수준에 머물러 있고 이 상태는 쉽게 임상현실로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If one cannot get the experience as anything other than metaphor, or as virtuality, then learning remains at the level of the simulacrum and this condition may not readily bridge back to clinical reality.



시뮬레이션에 의한 학습의 장단점

Strengths and weaknesses of learning by simulation


'소설적인' 공간은 의학 교육을 위한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인가?

Are ‘fictional’ spaces valid and reliable sites for medical education?


임상기술 유닛이 제공하는 시뮬레이션 설정과는 별도로, 가상 학습 환경이나 온라인 커뮤니티와 같은 가상 공간은 이제 의학 학습에 익숙한 영역이 되었다. 의학을 배우기 위한 가상 자원은 '바이블 휴먼 프로젝트'(Waldby, 2000년)의 유명한 '디지털 카데바'(van Dijck, 2005년)를 포함한다.

Apart from the simulation settings provided by clinical skills units, virtual spaces, such as virtual learning environments and online communities, are now familiar territory for learning medicine. Virtual resources for learning medicine include the (in)famous ‘digital cadavers’ (van Dijck, 2005) of the ‘Visible Human Project’ (Waldby, 2000),


가상이 중복되어 실물을 대체하게 되는 이 translation에서, 주체subject는 완전히 휴대가능한 학습 객체object로 번역된다.

In this translation, where the virtual comes to overlap and replace the real, the subject is entirely translated into a portable learning object.


이러한 새로운 교육 및 학습 환경은 매혹적이고 복잡한 교육적 질문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그러한 공간에서 배우는 것이 어떻게 실제로 옮겨지는가, 그리고 그러한 환경에서 학습자의 정체성은 어떻게 구성, 관리 및 저항되는가?

These emerging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are fascinating and present complex educational questions, such as: how does learning in such a space transfer to the real; and how are identities of learners constructed, managed and resisted in such settings?


시뮬레이션에 관한 일부 문헌은 이론적 접근법을 요구하고 있다(Bradley & Postlethwaite, 2003; Kneebone, 2005). 예를 들어, 로저 니본(2005)은 유혹과 기술적 매력에 대해 경고하는데, 여기서 '시뮬레이션된 환경이 널리 보급되고 있지만, 경고음도 함께 들릴 수 있다'와 '기술적 정교함을 지나치게 강조하면서, 이론-기반 설계는 그 댓가로 희생되고 있으며, 시뮬레이션이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여기서 '이론'은 학습이론을 말하며, 시뮬레이션의 문화적 이론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문화적 이론을 정체성 구성에 영향을 주는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학습'과 '학습의 시뮬레이션' 간 차이를 이해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라고 한다면, 문화적 이론은 시뮬레이션 커뮤니티에서 무시되고 있다.

Some literature on simulation has called for a theorybased approach (Bradley & Postlethwaite, 2003; Kneebone, 2005). For example, Roger Kneebone (2005) warns against both seduction and technological fascination, where ‘‘Simulated environments are becoming widespread, and siren voices can be heard when approaching them’’; and ‘‘simulations are often accepted uncritically, with undue emphasis being placed on technological sophistication at the expense of theory-based design’’. However, by ‘theory’ these authors mean learning theory, not cultural theory of simulation. Consideration of the latter, for example as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between learning by simulation and simulation of learning as this affects identity construction, is neglected by the simulation community.


학습 이론가들은 최근에 학습을 '문화적 실천'으로 묘사하고 있다(Crook, 2002). 그리고 배움 그 자체가 문화적 틀을 통해 이론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문화적 공백에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행위] 학습을 바라보는 전통적인 '퇴적sedimentation' 모델은, [더 넓은 역사적, 문화적 환경에 내재된 실천의 공동체에 대한 정당한 사회적 참여]를 강조하는 최근의 모델들에 의해 도전받고 있다. 이러한 강조의 변화는 학습을 공간에서의 수동적 수용이 아니라, 시간에 걸쳐 이뤄지는 활동으로서 또는 메타학습(학습과 반사성)을 수반하는 역동적 과정으로서 학습을 구성한다. 후자의 접근방식은 인지적 도제의 중심으로서 정체성 구성과 관리를 강조한다. 즉, 일을 '생각'하는 방법뿐 아니라 '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

Learning theorists have recently come to describe learning as a ‘cultural practice’ (Crook, 2002), and recognize that learning itself can be theorized through cultural frameworks (Paechter et al., 2001a, 2001b; Lea & Nicoll, 2002). The traditional ‘sedimentation’ model of learning, as an act of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skills in a cultural vacuum (the mind-in-a-vat), is challenged by recent models of learning as legitimate social participation in communities of practice embedded in a wider historical and cultural setting (Lave & Wenger, 1991; Wenger, 1998; Bleakley, 2006). This shift in emphasis frames learning not as passive reception of content in space but as an activity through time, or a dynamic process that involves metalearning (learning to learn, and reflexivity). The latter approach places emphasis on identity construction and management as central to cognitive apprenticeship—learning how to ‘think’ the job, as well as how to ‘do’ it.


시뮬레이션 커뮤니티가 새로운 기술에 현혹되면서 관심의 초점은 기술로 전환되고 [실제 환자]나 [학습자의 정체성]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SimMan은 (완전히 이해할 수 있는 이유로) 환자가 상호 작용에서 반응의 측면에서 가져올 수 있는 것을 제거하여 실제 환자인 대상을 대체하는 대상이 된다. Actor patient를 사용하는 것은, 그렇게 함으로써 복잡성과 불확실성을 제거하기 때문에 나름의 자체의 어려움을 가져온다.

As the simulation community is seduced by new technologies, the focus of interest switches to those technologies and away from real patients and identities of learners. SimMan becomes, for entirely understandable reasons, an object substitute for the subject that is the real patient, stripped of what that patient may bring in terms of response in interaction. The use of actor patients brings its own difficulties, as the context for response is stripped of its complexity and uncertainty.


이러한 환경에서, 의대생과 같은 학습자의 전문적인 정체성 구축은 중요한 이슈가 된다.

In such settings, professional identity construction of learners, such as medical students, becomes an important issue,


최고 증거 의학 교육(BEME)은 고 충실도 의료 시뮬레이션의 특징과 용도에 대한 체계적인 리뷰를 통해 '출판된 연구 결과의 약 80%는 기껏해야 모호하며, 우리가 검토한 연구 간행물의 20%만이 명확하고 아마도 사실일 것이다'라고 결론짓는다.

A Best Evidence Medical Education (BEME) systematic review of the features and uses of high-fidelity medical simulations, concludes that ‘‘approximately 80% of the published research findings are equivocal at best and only 20% of the research publications we reviewed report outcomes that are clear and probably true’’.


또한 검토는 그러한 시뮬레이션 접근법이 '적절한 조건 하에서' 학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고 조심스럽게 결론지었다. 그러나, 핵심적 형성적 조건은, 예상한 바와 같이, [정신 운동 기술 또는 숙달 학습의 반복적 실천 기회(이러한 이점 목록의 시뮬레이션에서 두 번째로 중요한 이점으로 언급됨)] 또는 [학습자가 부정적인 결과 없이 실수를 할 수 있는 통제된 환경 또는 안전에 민감한 실천요강(제7의 최선의 이익으로 언급됨)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시뮬레이션에 의한 학습의 주된 이점은 '교육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기회였다그러나, 이 자체가 시뮬레이션 접근법을 정당화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것은 피드백을 주는 것이 아니라 피드백을 주는 환경이 학습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피드백은 교실이나 클리닉에서도 쉽게 주어질 수 있다. 이 검토는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은 실제 환자가 실제 환경에 참여하는 교육을 보완하지만 복제duplicate하지는 못한다'고 조심스럽게 결론짓는다.

The review also cautiously concluded that such simulation approaches can facilitate learning ‘under the right conditions’. However, the key, formative condition noted was not, as one might expect, the opportunity for repetitive practice of psychomotor skills, or mastery learning (which is cited as the second most important benefit of simulation on a list of 10 such benefits), or for offering a controlled environment where learners can make mistakes without adverse consequences, or safety-sensitive practices (cited as the seventh best benefit). Rather, the main benefit of learning by simulation was the opportunity for providing ‘educational feedback’. However, this does not in itself justify a simulation approach, for it is giving the feedback, and not the that environment in which feedback is given, promotes learning. Feedback can also readily be given in classroom or clinic. The review cautiously concludes that ‘‘simulationbased education complements, but does not duplicate, education involving real patients in genuine settings’’.


보가드(1996)가 시사하는 바와 같이, 테크놀로지는 통제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유혹적이다: '오늘날 시뮬레이션 기술을 판매하는 것은 어떤 이미지도 관찰할 수 있고, 어떤 사건도 프로그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어떤 의미에서 예측 가능한 것이라는 유혹적인 주장이다.' 시뮬레이션 커뮤니티에서 자기 비판의 부재는 문화적, 역사적 현상으로서의 시뮬레이션의 이론에 대한 무관심에서 비롯될 수 있다. 그 결과 시뮬레이션 프로젝트의 핵심에서 몇 가지 실제적인 모순을 해결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이론과 거리를 두는 것은 시뮬레이션 학습 자체의 고유한 측면일 수 있는데, 이론적으로 공백인 상태에서 기술 습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내가 하는 일]은 [내가 아는 것]과 현저하게 분리된다.

As Bogard (1996) suggests, technologies are seductive where they offer control: ‘‘What sells simulation technology today is the seductive claim that any image is observable, that any event is programmable, and thus, in a sense, foreseeable.’’ The absence of self-critique in the simulation community may arise from an absence of concern with theory of simulation as a cultural and historical phenomenon, leading in turn to an inability to address several practical contradictions at the heart of the simulation project. This distancing from theory may be an inherent aspect of simulation learning itself, where skills acquisition may occur in a theoretical vacuum, so that what I do is significantly divorced from what I know.


시뮬레이션의 역사적 형태

Historical forms of simulation


장 보드리야드(1983, 1990, 1994)는 역사적으로 나타난 네 가지 수준의 시뮬레이션을 설명한다. 

    • 첫째는 원작과 쉽게 구별할 수 있는 사본이다(중세/르네상스 시대의 아이콘)

    • 두 번째는 원본과 구별이 안 되고 심지어 소비의 세계(현대주의와 산업주의)에서 '디자이너' 물체의 다중 복제와 같이 원본을 왜곡시킬 수도 있는 사본이다.

Jean Baudrillard (1983, 1990, 1994) describes four levels of simulation that have emerged historically. First is the copy that is readily distinguishable from the original (the icon of the medieval/Renaissance period). Second is the copy that is indistinguishable from the original and may even come to pervert the original, such as multiple reproductions of a‘designer’ object in a world of consumption (modernism and industrialism).


세 번째는 이 사본의 복사본인데, 이제는 현실과 거의 유사점이 없게 되어, 초현실, 가상 현실 또는 시뮬라크럼을 제공한다. 이 경우 사본은 앞에서 설명한 대로 '리얼리티'( 포스트모던 조건의 중심적 측면)을 선행하고 결정한다. 

Third is the copy of the copy, which now bears little resemblance to the real world, offering a hyper-reality, virtual reality or a simulacrum. In this case, the copy comes to precede and determine ‘reality’ (a central aspect of the postmodern condition) as described earlier. 


시뮬레이션이 실물을 대체하면서 우리는 실물이 어땠는지, 혹은 그것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잊어버리고 새로운 대응 방법을 배워야 한다. 이것은 디즈니 월드나 테마 파크를 선택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레이크 존에서 걷는 것보다 더 친숙할 것이다. 패키지 휴일은 자발적인 모험을 대체하기 위해 오고, 컴퓨터 게임은 놀이를 대신하고, 인터넷 포르노는 친밀감을 대신한다. 

As simulation replaces the real, we forget what the real was like, or how to interact with it, and have to learn new ways of responding. This will be familiar to anyone who chooses a Disney world, or a theme park, holiday over walking in the Lake District. Package holidays come to replace spontaneous adventure, computer games replace play and Internet pornography replaces intimacy. 


보드리야드의 네 번째 시나리오는 미래의 환상이다. 만약 시뮬레이션이 시뮬라크럼처럼 현실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자유롭게 떠다닌다면? 이것은 더 이상 '실제'의 세계로 연결되지 않는 자기 참조 조건을 만들어낸다. 여기서 보드리야드의 주장은 두 단계를 따른다. 첫째, 디즈니월드, 테마파크, 컴퓨터 게임, 기타 가상현실 등 자유롭게 떠다닌 분리되고 절연된 세계는 '실제' 세계의 대안으로 간주될 수 있다. 보드리야드의 (2005) 2단계 논쟁은 훨씬 급진적이다. 예를 들어 디즈니월드가 시뮬레이션이 아닌 시뮬라크럼으로 간주되는 곳에서, 디즈니월드는 더 이상 '실제' 세계의 기괴한 버전이 아니라 일상 생활이 디즈니랜드처럼 보이고 느끼기 시작하는 '실제' 세계를 선행하고 형성하게 된다. 디즈니월드를 '환상적인' 것으로 취급하는 것을 계속하는 것은, 현재 초현실화 되어 있는 일상 세계의 만연한 '디즈니피케이션'에서 눈을 떼게 한다. 텔레비전은 이러한 과정을 반영한다: 한때 현실을 반영했던 곳에서, 그것은 이제 세심한 편집과 시각 효과, 그리고 '현실' 게임 쇼를 통해 초현실적인 '자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우리는 의학의 모델로 'ER'로 돌아왔다.


Baudrillard’s fourth scenario is a future fantasy—what if simulation, as the simulacrum, becomes entirely detached from reality and floats free? This creates a self-referential condition that no longer bridges to a ‘real’ world. Baudrillard’s argument here follows two stages. First, the detached and insulated world that has floated free, such as Disneyworld, a theme park, computer games and other virtual realities, can be considered as alternatives to a ‘real’ world. Baudrillard’s (2005) second stage of argument is far more radical. Where Disneyworld, for example, is considered as a simulacrum rather than a simulation, then Disneyworld is no longer a bizarre version of the ‘real’ world but comes to precede and form the ‘real’ world, where everyday life begins to look and feel like Disneyland. Continuing to treat Disneyworld as a ‘fantasy’ takes our eye off the pervading ‘Disneyfication’ of the everyday world that is now a hyper-reality. Television reflects this process: where it once reflected reality, it now offers hyper-real ‘nature’ programmes through careful editing and visual effects, and ‘reality’ game shows. We are back to ‘ER’ as the model for medicine.


시뮬레이션 프로젝트: 시뮬레이션과 작업 기반 학습 사이에 대화가 이루어질 것인가? 

The simulation project: will a dialogue emerge between simulation and work-based learning? 


시뮬레이션 프로젝트

The project of simulation


의학교육에서 시뮬레이션 커뮤니티의 목표는 강의실과 직장 경험을 연결하는 것이다(그림 1-3의 시나리오 1-3으로 아래 제시). 

The goal for the simulation community in medical education has been to bridge the classroom and the workplace experiences  (illustrated below as scenarios 1–3, in Figures 1–3). 






초기 시뮬레이션 모델(시나리오 3)을 시작으로, 초기 시뮬레이션 학습은 보드리야드 모델의 1단계와 일치한다. 사본은 원본과 쉽게 구별할 수 있다. 그러나 시뮬레이션 커뮤니티의 핵심 목표는 항상 시뮬레이션과 현실을 거의 구별할 수 없는 바우드리야드 모델의 2단계를 달성하는 것이었다('전체 몰입'으로 대체되는 '인터랙티브' 시뮬레이션). 높은 충실도의 접근방식에 초점을 맞추면서, 시뮬레이션된 환경은 실제와 일치하게 된다. 

Starting with the initial simulation model (scenario 3),early simulation learning conforms to stage 1 of Baudrillard’s model—the copy is easily distinguishable from the original.However, a key aim of the simulation community was always to achieve stage 2 of Baudrillard’s model, where simulation and reality are almost indistinguishable (‘interactive’ simulation replaced by ‘total immersion’). Through focus upon high-fidelity approaches, the simulated environment comes to match the real. 


이론적으로 이것은 칭찬받을 만한 목표로 보이며, 현실과 밀접하게 일치하는 안전하고 뒷받침되는 학습 환경을 제공한다. 그러나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시뮬레이션의 역사적 3단계와 4단계를 통해 지도화할mapped through 수 있는 시뮬레이션의 '현실' 프로젝트에는 숨겨진 문제가 있다. 보드리야드의 3단계에서 시뮬레이션은 이제 진짜를 대체할 정도로 효과적이 된다. 시뮬라크룸이 등장함에 따라, 우리는 더 이상 사본이 파생된 원본을 인식할 수 없다. 즉 원본이 없는 사본이다. 시뮬레이션은 현재 자체적인 내부 규칙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In theory this appears to be a laudable goal, offering a safe and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that closely matches reality. However, as described earlier, there are hidden problems in the project of the ‘reality’ of simulation that can be mapped through Baudrillard’s stages 3 and 4 of the history of simulation. In Baudrillard’s stage 3, simulation now becomes so effective that it comes to replace the real. We can no longer recognize the original from which the copy derived, as the simulacrum emerges—a copy without an original. Simulation is now governed by its own internal rules. 


시뮬레이션 커뮤니티는 기술 주도 학습 환경(단순한 마네킹에서 심맨에 이르기까지)의 가능성에 매료되어, 이러한 시뮬레이션 설정이 복사된 실제 환경과의 접촉을 잃게 된다. 이러한 움직임의 증상은 대인관계 기술과 같은 실제 사건의 귀속appropriation으로, 시뮬레이션 커뮤니티에서는 임상 팀워크와 같은 심리적 요소가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가장 잘 학습된다고 주장한다. 역설적으로 그러한 환경에서 정신운동 기술을 배우는 것이 좌절스러운 이유는,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리얼타임 세팅으로 학습이 전이되는 것을 보장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이며, 수작업 능력의 학습은 일반적으로 학습 사회적 기술이나 의사결정 학습에 비해 그러한 설정에서 덜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Blum 등, 2004).

The simulation community becomes fascinated by the possibilities of technology-driven learning environments (from simpler manikins to SimMan), losing touch with the real environments these simulated settings once copied. A symptom of this movement is the appropriation of real-life events such as interpersonal skills, where the simulation community claims that psychological elements such as clinical teamwork are best learned in simulated settings. Paradoxically, learning of psychomotor skills in such settings is frustrated by difficulties in guaranteeing transfer of learning from the simulated environment to a real-time setting, and in the fact that the learning of manual dexterity skills learning is commonly rated as less effective in such settings in comparison with learning social skills and decision making (Blum et al., 2004).


앞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시뮬라크럼이 출현하는 이 단계에서 학생들은 이제 '좋은' 의사소통 같은 효과를 시뮬레이션하는 것을 배울 수도 있다. 또한 학생들은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의 실제 어려움을 디시뮬레이션하는 것도 배운다 (실험된 환경을 연막으로 사용하여 그러한 어려움이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가장한다.). 의사소통 기술을 배우는 것은 자기 패러디가 될 수 있는데, 학생들은 현재 '실용'되고 부자연스러운 눈맞춤과 전방 지향적인 신체 자세를 명시적으로 이용한다. 더 중요한 것은, 이것이 일반적으로 적절한 사회적 반응을 형성하는 복잡한 단서들과 사회적 맥락의 현실로부터 분리되는 감정적 진공 속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이러한 학습의 잠재적 복잡성은 피드백을 통한 학습 지원보다는 [감시 도구와 유사한 시뮬레이션 환경의 평가]에 의해 복합될 수 있다.

As discussed earlier, at this stage of the emergence of the simulacrum students may now also learn to simulate effects such as ‘good’ communication, and to dissimulate actual difficulties in real-time communication (using the simulated environment as a smokescreen to pretend that such difficulties do not exist). Learning communication skills can become self-parodying, with students expressly over-using eye contact and forward-leaning body posture that is now ‘practised’ and unnatural. More importantly, this may be carried out in an affective vacuum, where it is detached from the realities of a social context and complex cues that normally come to shape an appropriate social response. Such potential complications in learning may be compounded by assessments in simulated environments, which may come to resemble surveillance instruments rather than support of learning through feedback. 


미셸 푸코(1979)는 제레미 벤담의 '판옵티콘'이나 '만능 시선'을 감옥과 같은 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는 궁극적인 부재 감시 도구로서 잘 묘사하고 있다. 만약 감방들이 중앙 감시탑으로 통하는 복도에 놓여진다면, 죄수들은 그들이 감시탑으로부터 지속적인 감시를 받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일정 시간 후에 결국 경비원은 제거될 수 있고, 그러나 경비가 없어진 후에도 죄수들은 지금도 계속 감시를 받고 있는 것처럼 똑같은 방식으로 행동할 것이다.

Michel Foucault (1979) famously describes Jeremy Bentham’s idea of the ‘panopticon’ or ‘all-seeing eye’ as the ultimate absent surveillance instrument for use in an institution such as a prison. If the cells are sited in corridors leading off a central watchtower, then prisoners will learn that they are under constant surveillance from that watchtower.Eventually, the guard can be removed and prisoners will still behave in the same way, now as if under constant surveillance.


앞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그렇게 '시뮬레이션 감시'(Bogard, 1996년)가 내면화됨에 따라, 학생들은 engineered context에서 원하는 방식으로 반응을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은 실제 임상 상황에 대해 그들이 개발해야 하는 종류의 자연주의적이고 상황에 민감한 반응을 왜곡한다. 다시 말하지만, 학생들은 그들 자신의 행동에서 시뮬레이션하고 디시뮬레이션하며, 시뮬레이션에 통해 학습하기 보다는, 학습을 시뮬레이션하게 될 수 있다. 

Under such internalized ‘simulation of surveillance’ (Bogard, 1996), as suggested earlier, students may shape their responses in ways that they think are desired by the engineered context. This distorts naturalistic and context-sensitive response of the kind they need to develop for real clinical situations. Again, students may be led to simulate and dissimulate in their own behaviours, or to simulate learning rather than learning by simulation. 


시나리오 4와 5는 보드리야드의 단계 2와 3 사이의 전환을 나타낸다. 현실(효과적인 시뮬레이션)에 가까운 사본이 이제 그 현실(시뮬라크럼의 단계)에 선행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컨텍스트 주도 커뮤니케이션, 팀워크, 의사결정 등 주로 실시간 환경에서 학습되는 심리 및 대인관계 능력은 시뮬레이션에 흡수되어 시뮬레이션 커뮤니티에 의해 자본으로 주장된다. 

Scenarios 4 and 5 represent the transition between Baudrillard’s stages 2 and 3. The copy that is close to the reality (effective simulation) now comes to precede and form that reality (the stage of the simulacrum). Here, psychological and interpersonal capabilities usually learned in real-time settings, such as context-driven communication, teamwork and decision-making, are absorbed into simulations and claimed by the simulation community as capital. 


교실을 넘어서는 가장 안전한 형태의 학습에서, 학생들은 직장에서의 지저분한 현실로부터 격리된다. 이것은 학부 교실 수준에서 가장 흔히 나타나며, 학습의 많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학부 환경에서, 업무 기반 경험은 모의 임상 기술 학습과 종종 분리된다. 교육자들은 이 두 가지가 학생들의 마음에 통합되기를 바란다. 

In this, the safest form of learning beyond the classroom,students are insulated from the messy realities of the workplace. This is the commonest arrangement at under-graduate classroom level and has many of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In the undergraduate context, work-based experiences are often divorced from simulated clinical skills learning. Educators hope the two will be integrated in the student’s mind. 





대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학습 시뮬레이션

Simulation of learning for interpersonal communication


안전상의 이유로, 특정 임상 절차는 시뮬레이션을 통해서만 배울 수 있다. 그러나 의료 오류의 약 70-80%는 '손재주' 문제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 의사소통 문제 및 의사 결정 문제에서 인지 및 대인관계 때문이다(Helmreich & Merritt, 1998). 의사소통, 팀워크, 의사결정을 배우는 것은 이제 더 이상 심리운동 기술 습득에 부가적인 요소가 아니라, 시뮬레이션에 의한 학습의 이점의 중심적인 부분으로 간주된다. 

For safety reasons, certain clinical procedures can only be learned through simulation. However, an estimated 70–80%of medical errors do not occur because of problems with manual dexterity but are grounded in the cognitive and interpersonal—in systemic communication issues and decision-making issues (Helmreich & Merritt, 1998). Learning communication, teamwork and decision-making are now no longer considered to be a value-added factor to psychomotor skills acquisition but a central part of the benefit of learning by simulation. 


플라나간 외 (2004)은 '시뮬레이션을 위한 사용의 전체 스펙트럼이 가치가 있지만, 시뮬레이션 교육의 가장 큰 영향은 팀워크, 커뮤니케이션, 스트레스 관리, 의사 결정 및 업무 우선 순위 설정의 일부 측면을 포함하여 다른 어떤 방법으로도 가르칠 수 없는 것들을 가르치기 위해 시뮬레이터를 사용하는 데서 올 것이다'라고 주장한다. 시뮬레이션된 맥락이 반드시 의학의 심리적, 대인관계적 차원을 배우는데 가장 좋은 것인가?

Flanagan et al. (2004) claim that ‘‘Although the entire spectrum of uses for simulation is valuable, the greatest impact will come from using simulators to teach things that cannot be taught in any other way, including some aspects of teamwork, communication, stress management, decision-making and task prioritization’’ (emphasis added). is a simulated context necessarily the best for learning the psychological and interpersonal dimensions of medicine?


블럼 외 (2004) 시뮬레이션 맥락의 '현실주의'는 사실상 과목 퀄리티의 가장 약한 측면이며, '소통'은...시뮬레이션 훈련의 가장 중요한 측면이라고 말한다. 다시, (시뮬레이션에서) 테크니컬 스킬의 학습이 충분히 성공적으로 실현되지는 않지만, 팀워크 등 비-테크니컬 스킬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부가적인 가치를 갖는다.

Blum et al. (2004) conclude that ‘realism’ of the simulation contexts was actually the weakest aspect of the course’s quality and that ‘communication wa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the simulation training.’ Again, success in learning technical skills is not fully realized but the value-added component of learning non-technical skills such as teamwork is realized and then promoted as a major benefit of simulation


그러나 다시, 이러한 경험이 [합법적인 참여, 피드백 및 반성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면] 팀워크는 직장에서 더 잘 배울 수 있지 않을까? 그러한 기능은 통제된 시뮬레이션 컨텍스트에서 복잡한 작업 환경으로 쉽게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Again, however,could teamwork have been better learned in the workplace, as long as these experiences are structured to include legitimate participation, feedback and reflection? Such capabilities may not readily transfer from a controlled simulation context to the complex work environment.


그러나, 보드리야드의 시뮬라크럼 출현 3단계가 발생하는 경우, 부모 맥락에서의 그러한 근거는 버려질 수 있다. 시뮬레이션 커뮤니티는 성장하여 자체 문화를 형성하지만, 지금은 높은 충실도와 기술에 대한 매력으로 단열된 시뮬레이션 컨텍스트 학습 경험을 대체하기 위해 교실 및 직장 학습과의 관계를 끊을 위험이 있다. 역설적으로, 문화는 더 이상 교실이나 진료소를 복사하지 않고 더 정교한 형태로 재현되기 시작하기 때문에, '충실성fidelity'은 진공상태에서 증가(완전한 immersion 시나리오)된다. '현실real'이 아니라, 시뮬라크럼이 그 자신의 미래 사본copies을 지시하게 된다.

However, where Baudrillard’s stage 3 of the emergence of the simulacrum occurs, such grounding in parent contexts may be abandoned. The simulation community grows up and shapes its own culture, but now this is in danger of cutting ties with both classroom and workplace learning to substitute an insulated simulated context learning experience with a focus on high fidelity and a fascination with technology. Paradoxically, ‘fidelity’ is increased (total ‘immersion’ scenarios) in a vacuum because the culture no longer copies either classroom or clinic but begins to reproduce itself in more elaborate forms. The simulacrum, not the real, comes to dictate its own future copies.


이제 보드리야드의 4단계 시뮬레이션 직전까지 왔는데, 이 시뮬레이션에서 이제 시뮬라크룸은 완전히 자기 참조가 되어 insulate된다. (통신 기술 훈련과 같은) 그 효능에 대해 실제 증거, 상황 요구 또는 기술 이전 어려움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시뮬레이션 커뮤니티의 매개변수 내에서만 클레임을 제기한다. 우리는 무심코 플라톤의 동굴로 돌아왔다.

It is now a short step to Baudrillard’s fourth stage of simulation, in which the simulacrum now becomes entirely self-referential and insulated. Claims are made for its efficacy (such as in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only within the parameters of the simulation community and not with reference to real-life evidence, the demands of context or the difficulties in transfer of skills. We have inadvertently returned to Plato’s cave.


이 최종 시나리오에서 시뮬레이션의 가치는 인정되지만, 그 주장은 도전을 받는다. 동적 실시간 컨텍스트에서 작업 기반 학습의 가치는 더 큰 프로파일을 제공하고 강의실 학습은 자원으로 작용한다. 시뮬레이션 영역은 점차적으로 실시간 학생-운영 병동과 같은 맥락에서 교실 및 작업 설정과의 완전한 통합으로 흡수되고, 스웨덴의 Linkoping 의학 학교에서 완전히 개발되며(Wahlstrom et al., 1997), 변형된 버전으로 영국에서 트라이밍된다(Freeth et al., 2001; Reeves & Freeth, 2002).

In this final scenario, the value of simulation is recognized but its claims are challenged. The value of work-based learning in dynamic, real-time contexts is given greater profile and classroom learning acts as a resource. The simulation arena is gradually absorbed back into full integration with classroom and work settings in contexts such as the real-time student-run ward, developed fully at Linkoping medical school in Sweden (Wahlstrom et al., 1997), and trialled in the UK in a modified version (Freeth et al., 2001; Reeves & Freeth, 2002).




결론

Conclusions


플라톤의 동굴을 벗어나 현실 세계로 돌아가려면 현재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정기적으로 배치되는 일부 임상적 능력(의사소통 기술)은 workplace으로 돌아와야 할 수 있다. 교육자가 성찰, 피드백, 기존 경험의 활용 등과 같은 학습에 효과적인 컨텍스트를 고안할 수 있도록 노력할 책임이 있다.

To get out of Plato’s cave and back to the real world, some clinical capabilities now regularly sited in simulation settings, such as communication skills, may be returned to the workplace, with the onus on medical educators to devise effective contexts for learning such as reflection, feedback and utilization of previous experience.


이는 다음을 방지해줄 것이다. 

  • 학습이 전이되지 않는 어려움 

  • 시뮬라크라와 초현실주의로의 잠재적 이동 

  • 시뮬레이션과 분리에 대한 유혹으로 인해 발생하는 정체성 구축의 어려움 

  • 학생들이 적절한 자율성과 협업을 개발하고 실행하도록 허용되기보다는, 끊임없이 부모처럼 행동하는 '감시 시뮬레이션' 효과에 굴복하는 것

This would guard against 

  • the difficulties of non-transfer of learning; 

  • the potential drift into simulacra and hyper-realism; 

  • the difficulties in identity construction compounded by the temptation for simulation and dissimulation; and 

  • students succumbing to the ‘simulation of surveillance’ effect in which they act as if constantly parented rather than allowed to develop and exercise appropriate autonomy and collaboration. 


시뮬레이션은 나름의 가치가 있고, 의학교육에서 매우 가치가 있지만, 그것이 있어야 할 자리를 식별하고, 교육적으로 중복된 공간을 새로 만들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은 중요하다. 시뮬레이션은 구조화된 교실 학습과 복잡한 임상 학습 환경의 긴급한 문제 사이의 중요한 교량 역할을 할 수 있다. 너무 많은 좋은 것good thing은 위험할 수 있으며, 의학의 핵심은 환자와 그 의사의 관계라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무리 연습해도 현실을 대신할 수는 없다. 침대 머리맡, 진료소, 가정에서 가르치고 배우는 것은 의료 교육의 핵심으로 남아야 한다.

Simulation has its place and is very valuable in medical education but identifying that place and taking care not to create new educationally redundant spaces is important. Simulation can act as a crucial bridge between structured classroom learning and the emergent issues of the complex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Too much of a good thing can be dangerous and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the core of medicine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 patient and his or her doctor. No amount of practice can replace the real thing. Teaching and learning at the bedside, in the clinic and in the home must remain the very heart of medical education.




 2006 Nov;28(7):606-13.

Distributing menus to hungry learners: can learning by simulation become simulation of learning?

Author information

1
Peninsula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Exeter, UK. john.bligh@pms.ac.uk

Abstract

Simulation offers an important context for clinical education, providing a structured, safe and supportive environment bridging the classroom and the clinic. Two trends in the simulation community appear to be developing uncritically and without adequate evaluation. First, there is a fascination with seductive high-fidelity simulation realized through sophisticated technology. Second, simulation has increasingly appropriated learning in the psychological domain, such as communication skills, under the rationale of 'integration'. Developments in simulation activities have largely been made in a theoretical vacuum and where theory is invoked it is learning theory rather than theory of simulation. This paper introduces theories of simulation from cultural studies as a critical balance to the claims of the simulation community. Work-based and simulation-based learning could engage in a new dialogue for an effective clinical education.

PMID:
 
17594551
 
DOI:
 
10.1080/01421590601042335


네스티드 영역: 임상학습환경의 최적화를 위한 글로벌 개념 모델(Am J Med, 2019)

Nested Domains: A Global Conceptual Model for Optimizing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Rebecca C. Jaffe, MDa Christina R. Bergin, MDb Lawrence K. Loo, MDc Simran Singh, MDd Brian Uthlaut, MDe

Susan A. Glod, MDf Emily Fondhan, MDg Alyssa McManamon, MDh Sara L. Wallach, MDi Karen Hamad, MDj

Katherine Walsh, MDk Bethany Gentilesco, MDl



[교육목표가 직접 환자 진료와 교차하는] 학습 및 작업환경(LWE)은 다양한 전문, 교육 및 임상조직의 소견purview에 속한다.1–4

The Learning and Working Environment (LWE), where educational objectives intersect with direct patient care, falls under the purview of a range of professional, educational, and clinical organizations.1–4


비용 절감, 품질 향상, 환자 경험 향상, 공급자 웰니스 보장이라는 '사중 목표'는 의료 교육자가 다룰 것으로 예상되는 콘텐츠의 범위를 동시에 확대했다.5–8

The ‘quadruple aim’ of 

  • decreasing cost, 

  • increasing quality, 

  • improving patient experience, and 

  • ensuring provider wellness 

...has simultaneously expanded the scope of content that medical educators are expected to address.5–8


이러한 도전에도 불구하고, LWE가 임상 교육의 핵심으로 남아 있는 것이 필수적이다. 임상 및 교육 목표를 모두 충족하기 위해 LWE를 평가하고 최적화하기 위한 신뢰할 수 있거나 일반적인 전략은 말할 것도 없고, LWE에 대해 승인된accepted 개념 모델은 없다.9 

Despite these challenges, it is imperative that the LWE remain the heart of clinical education. There is no single accepted conceptual model for the LWE, let alone reliable or generalizable strategies for assessing and optimizing the LWE to meet both clinical and educational objectives.9 


LWE는 종종 개별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되어 왔다. LWE에 대한 이러한 모듈식 이해에서 따르는 최적화 시도는 각 요소를 전체에서 분리된 부분으로 개선하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개선 노력은 범위와 실효성이 제한되며, 다양한 규제나 이해관계자 사이에 의도하지 않은 긴장감을 조성할 수 있다. 시스템 접근법으로 LWE를 최적화하려면 LWE의 다양한 요소들이 어떻게 관련되는지 더 깊이 이해할 필요가 있다.

The LWE has often been described by identifying its parts. Optimization attempts that follow from this modular understanding of the LWE tend to improve each element as an isolated piece of the whole. As a result, improvement efforts are limited in scope and efficacy and may create unintended tension between various regulations or stakeholders. Optimizing the LWE with a systems approach requires a deeper understanding of how the LWE’s various elements relate.


모델 개발 프로세스

MODEL DEVELOPMENT PROCESS


협력적 개발

Collaborative Formation



개념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Conceptual Model


개념 모델은 [정의와 대조적으로] 4가지 기본 목표를 달성한다. 

  • 그것은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고, 

  • 이해관계자들 사이에서 시스템 세부사항에 대한 의사소통을 용이하게 하며, 

  • 시스템을 만들거나 개선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참조점을 제공하고, 

  • 향후 참조reference를 위해 시스템을 문서화한다.11 

A conceptual model, in contrast to a definition, accomplishes 4 fundamental goals—it 

  • improves understanding of a system, 

  • facilitates communication of system details between stakeholders, 

  • provides a point of reference for those seeking to create or improve the system, and 

  • documents the system for future reference.11 


임상 LWE의 성공적인 개념 모델은... 

  • 국지적 환경에 대한 미묘한 이해를 허용한다. 

  • 잠재적 개선 전략을 개별 프로그램의 요구와 연계한다. 

  • 더 일반적인 교육 환경과는 달리 특히 임상 환경에 적용된다

  • 양한 프로그램 및 학습자 유형에 걸쳐 안정성을 입증한다.

A successful conceptual model of the clinical LWE would 

  • allow for a nuanced understanding of local environments, 

  • link potential improvement strategies to the needs of individual programs, 

  • apply specifically to clinical settings as opposed to educational settings more generally, and 

  • demonstrate stability across a diverse range of program and learner types.


(Table 1).


학습 환경의 개념적 모델은 1970년대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12 가장 영향력 있는 프레임워크는 인간이 살고 일하고 배우는 모든 환경에 대해 3개의 기본 도메인을 제안했던 13세의 Rudolph H. Moos에 의해 개발되었다.

Conceptual models of learning environments can be traced back to the 1970s.12 The most influential framework was developed by Rudolph H. Moos,13 who proposed 3 underlying domains for any setting where humans live, work, and learn.


  •   프로그램 학습 목표와 개인 목표 설정으로 나타날 수 있는 개인적 발달 또는 목표 지향 차원.

  •   학생 간 또는 학생과 교사 간의 지원 등 관계 차원.

  •   교육 시스템과 물리적 작업 환경 자체의 측면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 유지 보수 및 시스템 변경 차원.


  •   Personal development or goal direction dimensions, which might manifest as both program learning objectives and personal goal setting.

  •   Relationship dimensions, such as support among students or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   System maintenance and system change dimensions, which may include aspects of both the educational system and the physical working environment itself.


결과

RESULTS


개념모델

The AAIM Collaborative LWE Conceptual Model


The AAIM collaborative conceptual model of the LWE is presented in Figure 1 and Table 2.



고찰

DISCUSSION


협력자는 이 개념적 모델이 LWE의 이전 정의나 모델에 통합되지 않은 주요 요소들을 성공적으로 해결한다고 믿는다.

즉, 

  • 도메인의 상호 연결성, 

  • 환자의 역할, 

  • 다층적 학습자의 존재, 

  • 사회문화적 맥락의 영향.


The collaborative believes that this conceptual model successfully addresses key factors not incorporated in prior definitions or models of the LWE—namely, the interconnectedness of domains, the role of the patient, the existence of multiple learners, and the influence of the sociocultural context.


상호연결성 

Interconnectedness


AAIM 모델은 UME와 GME 학습자 모두에게 학습 환경과 작업 환경은 서로 얽혀 있고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강조한다. 내포된 도메인의 개념은 본질적으로 시너지 효과가 있다. 개인 영역은 LWE의 중심에 있으며, 관계 영역, 커리큘럼 및 구조 영역은 이 코어에서 방사된다. 각 영역은 모두 서로 연결되어 있고, 서로 다른 영역들에 영향을 미친다19 따라서 학습 환경을 구축하거나 개선할 때 단일 영역에 대한 집중은 불충분하다.

The AAIM model emphasizes that, for both UME and GME learners,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working environment are intertwined and inseparable. The concept of nested domains is intrinsically synergistic. The personal domain is at the center of the LWE, and the relational, curricular, and structural domains radiate out from this core. They are all interconnected, and each domain influences the others19; therefore, a focus on a single domain is insufficient when building or improving the learning environment.


모델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교육자와 이해관계자는 도메인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에서 시작해야 한다. (문제에 접근하거나 LWE 내에서 새로운 요소를 설계할 때), 주어진 도메인에 요소를 올바르게 할당하는 것보다, 모든 도메인과 이들의 상호작용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예를 들어, 평가는 커리큘럼 설계의 핵심 요소이기 때문에 학습자 평가 과정은 교육과정적 차원으로 간주될 수 있다.20 학습자 평가는 LWE 내에서 2명 이상의 개인 간에 이루어지는 과정이기 때문에 관계적 차원이 있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 이처럼 평가를 어떤 차원에 배치하냐를 보면 어느 것도 늘 정확하지 않다. 당면한 상황에 따라 평가의 관계적 측면이 교육과정적 측면보다 중요할 수도 있고 그 반대일 수도 있다.

To understand and effectively use the model, educators and stakeholders should start with a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domains. The correct assignment of a factor to a given domain is less important than remembering to consider all domains and their interactions when approaching a problem or designing a new element within the LWE. For example, the process of learner assessment could be considered curricular, because assessment is a key element of curriculum design.20 Learner assessment could also be argued to be relational, as it is a process that occurs between 2 or more individuals within the LWE. Neither of these domain assignments is universally correct. Depending on the situation at hand, the relational aspects of assessment may be more important than the curricular aspects or vice versa.


다층적 학습자

Multiple Learners


2018년 건강 직업 학습 환경 개선에 관한 총회에서 요시야 메이시 주니어(Josiah Macy Jr.)는 다음과 같이 권고했다. Foundation14는 "학습자"를 광범위하게 정의하면서 "지속적인 학습과 개선된 건강 시스템에서, 모든 참가자는 학습자일 뿐 아니라 교사일 수 있다"고 말했다. LWE 영역은 전문적 정체성 형성의 변화적 여정의 모든 단계에서 학습자들에 의해 통과traversed된다. "학습자"는 전문직 내의 전통적인 위계에서 모든 수준의 학습자를 포함하며, 그리고 임상에서 마주치는 수많은 직업의 사람들을 포함한다.

In its 2018 Conference Recommendations on Improving Environments for Learning in the Health Professions, the Josiah Macy Jr. Foundation14 defined “learners” broadly, stating that “in a continuously learning and improving health system, every participant is both a learner and a teacher.” The LWE domains are traversed by learners from all stages of the transformative journey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21 including learners from all levels of the traditional hierarchies within professions, and those from the myriad of professions encountered during clinical care.


학습자가 LWE를 통해 능동적으로 이동하려면 영역 간 균형에 유동성이 필요하다. 어떤 학습자 또는 학습자 그룹은 특정 도메인에서 더 많은 지원을 필요로 하거나 더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어떻게 균형이 맞춰어져야 하는지는 학습자의 훈련 수준, 개인 학습 선호도, 문화적 또는 세대적 배경, 과거 훈련 경험, 미래 목표, 누적 생존 경험 등 다양한 기여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균형의 변화는 의료 교육의 지속에 걸쳐 모델에 유연성을 부여하고 의사 교육을 넘어 다른 보건 전문가로까지 확대한다. 또한 "학습자가 학습 환경을 횡단한다"는 개념은 개별 학습자가 LWE의 "비영구적impermanent" 구성원임을 인정하며, 그렇기에 개개의 학습자는 LWE를 samplng하고 influencing하며, 동시에 LWE에 의해서 molded된다.

Active movement by learners through the LWE requires a fluidity in the balance of the domains. Different learners or groups of learners may require more support from or may be more heavily influenced by a given domain. The necessary balance is determined by a range of contributing factors, including the level of training of the learner, personal learning preferences, cultural or generational background, past training experiences, future goals, and cumulative lived experiences. This variation in the balance of domains lends flexibility to the model across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and extends beyond physician education to other health professionals. The concept of traversing the learning environment also acknowledges that individual learners are impermanent members of the LWE, each sampling and influencing it, as well as molded by it, for a discrete period.


환자의 역할

The Role of the Patient


환자 진료가 없다면 의학 교육의 역할이 없기 때문에 환자는 LWE의 축이다. 학습은 환자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학습자를 그들이 돌보게 될 사람과 본질적으로 연결시킨다. 이 juxtaposition은 교육(학습자에게만 초점을 맞춘다)과 서비스(환자에게만 초점을 맞춘다)라는 이분법적 사고가 틀렸음을 강조한다.22,23 AAIM 모델은 이러한 긴장상태를 해결하고자 한다. 환자를 위하여 work하는 것은 teaching and learning의 수단이다.

The patient is the axis of the LWE, as there would be no role for medical education in the absence of patient care. Learning centered on meeting the needs of patients intrinsically links learners to those for whom they care. This juxtaposition underscores the false dichotomy of education (implying a focus only on the learner) vs service (implying a focus only on the patient).22,23 The AAIMmodel seeks to resolve this tension. Work on behalf of patients is a means for teaching and learning.


사회문화적 맥락

Sociocultural Context


LWE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고려할 때, 외부 경계를 정의하는 것이 중요하다.26 LWE에 대한 경계는 기능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 환자/인구 관리 또는 학습자 교육과 관련된 일차적인 목적을 가진 요인은 LWE에 속한다. 

    • 어떤 요소가 주로 다른 목적(예: 의료 금융 또는 국가 재해 대응 정책)과 관련되는 경우, 그것은 주변 맥락의 일부분이다.

When considering the LWE as a system, it is important to define an outer boundary.26 The boundary to the LWE can be defined by function. Factors with a primary purpose pertaining to the care of patients/populations or the education of learners fall within the LWE. If a factor pertains predominantly to another purpose (eg, health care finance or national disaster response policy), then it is part of the surrounding context.


상황적 요인은 상호연결된 상태로 형태와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만 LWE 시스템의 내부적 측면은 아니다. 도메인 간의 분할과 마찬가지로, LWE와 주변 사회문화적 맥락 사이의 구분은 부정확하다. 가장 중요한 개념은 LWE가 무한하지 않다는 것이다. 의료 금융, 이민 또는 학자금 대출 상환과 관련된 국가 정책의 영향을 고려한다. 유사한 상황적 요인은 환자와 건강, 문화적 규범 및 신념 또는 자연적 또는 사회적 재해에 대한 사회적 결정요인을 포함하여 LWE에 영향을 미친다. 비록 교육자들이 사회문화적 맥락을 바꾸기 위해 옹호advocacy나 행동activism에 참여할 수 있지만, LWE 내에서 일할 때, 의료 교육자들은 대개 4개 영역 중 하나 이상을 적응adapt시킴으로써 맥락적 요인에 대응한다.

Contextual factors are not internal aspects of the LWE system, although they remain interconnected and exert influence on form and function. Much like the divisions between domains, the division between the LWE and the surrounding sociocultural context is inexact. The most important concept is that the LWE is not boundless. Consider the influence of national policy relating to health care finance, immigration, or student loan repayment. Similar contextual factors influence patients and what they bring into the LWE, including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cultural norms and beliefs, or natural or social disasters. Although educators may engage in advocacy or activism to change the sociocultural context, when working within the LWE, medical educators usually respond to contextual factors by adapting 1 or more of the 4 domains.


예를 들어, 교육 프로그램이 (미시간 주 플린트의 스크리닝과 노출 완화 관련 내용을 통합하는 것과 같은) 특정 지역 공공 보건 위협을 반영하기 위해 커리큘럼 영역에서 적응adapt해야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로그램은 의료 및 의료 서비스 센터 문서 요건을 반영하도록 의료 학생 역할을 설계하는 것과 같은 국가 정책 변화에 대응하여 LWE 구조를 수정할 수 있다. 문화적 규범이 관계영역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For example, a program might have to adapt in the curricular domain to reflect specific local public health threats, such as incorporating content relating to lead screening and exposure mitigation in Flint, Michigan. Similarly, programs might modify the LWE structure in response to changes in national policy, such as designing the medical student role to reflect Centers for Medicare and Medicaid Services documentation requirements. Cultural norms might influence the relational domain.


특정 학습자가 자신의 문화적 기대를 LWE에 가져올 때, 그 또는 그녀는 [개인적 영역]의 일부로서 그렇게 한다. 사회문화적 맥락을 개념적 모델에 통합하는 것은, LWE를 유지하고 형성하는 atmosphere가 있음을 인정하면서, 동시에교육자들의 즉각적인 통제 범위를 넘어서는 요소를 고려할 수 있도록 한다.

When a unique learner brings his or her own cultural expectations into the LWE, he or she does so as part of the personal domain. The incorporation of the sociocultural context into the conceptual model acknowledges the atmosphere that sustains and shapes the LWE while allowing educators to consider some factors beyond their immediate locus of control.


개념모델의 적용

Application of the Conceptual Model


우리는 그 모델을 다음의 세 가지 방법으로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We propose that the model can be applied in 3 ways:


  • 반응적: 특히 LWE 챌린지 또는 부작용과 관련하여 현재 상태에 기여하는 요인을 이해하십시오.

  • 전체적: 공유된 정신 모델을 생성하여 이해관계자 간의 정렬alignment을 달성하십시오.

  • 예방적: 새로운 성공적 프로그램 또는 개선 전략을 설계하십시오.

  •   Reactive: Understand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current state, especially as related to an LWE challenge or adverse event.

  •   Holistic: Achieve alignment between stakeholders through creation of a shared mental model.

  •   Proactive: Design newsuccessful programs or improvement strategies at any scale.


이러한 사례들은 모형이 과거 사건을 분석하기 위해 적용되는지 또는 미래의 변화를 계획하기 위해 적용되는지에 대해 주로 다르다. 전체적holistic 적용은 현재 상태에 대한 평가와 원하는 미래 상태에 대한 고려를 수반한다는 점에서 사전 예방적 적용과 유사하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의도한 결과에 따라 다르다. Proactive한 적용의 결과는 미래 변화를 위한 계획인 반면, Holistic 적용의 결과는 이해관계자들 사이의 이해와 공감을 더 크게 한다.

These cases differ predominantly with respect to whether the model is applied to analyze past events or to plan for future change. The holistic application is similar to the proactive application in that it involves an assessment of the current state and consideration of a desired future state. These applications differ in their intended outcomes. The outcome of proactive application is a plan for future change, whereas the outcome of the holistic application is greater understanding and empathy between stakeholders.


개인적

Personal


학습자가 LWE를 경험하는 렌즈, 학습자가 LWE에 첨가하는 고유한 특성. 학습자 본인 확인 및 학습자가 보유한 태도, 편견, 기술, 경험 및 취약점 포함.

The lens through which a learner experiences the LWE and the set of intrinsic qualities the learner adds to the LWE. Includes the learners self-identification and the attitudes, biases, skills, experiences and vulnerabilities they possess.


관계적

Relational


개인 또는 그룹이 상호작용하는 방법, 이러한 상호작용이 학습자와 시스템으로서의 LWE에 미치는 영향. 동료, 직원, 환자, 감독자, 멘토, 교육자 및 개인적 관계(예: 친구, 가족)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해야 한다. 이 영역은 독특한 관계뿐만 아니라 LWE 문화와 행동 규범을 포함한다.

The ways in which individuals or groups interact and the impact of these interactions upon learners and the LWE as a system. Interactions between peers, staff, patients, supervisors, mentors, educators, and personal relationships (e.g., friends, family) are to be considered. This domain encompasses unique relationships as well as LWE culture and behavioral norms.



교육과정적

Curricular


명시적으로 명시하지 않더라도, 적어도 하나의 학습 목표와 학습자 평가 및 피드백 프로세스로 구성된 공식 및 비공식 교육 경험과 관련된 요소. 숨겨진 커리큘럼도 이 도메인의 일부분이지만 다른 세 도메인과 크게 겹친다.

Factors relating to formal and informal educational experiences consisting of at least one learning objective and a process of learner assessment and feedback, even if not overtly stated. The hidden curriculum is also part of this domain, though overlaps significantly with the other three domains.


구조적

Structural


임상 학습이 발생하는 조직, 프로그램 및 물리적 컨텍스트. 구성요소는 작업 공간, 전자 의료 기록, 직원 수준, 팀 구조 및 기관 정책과 같은 국지적 LWE에 특정될 수도 있으며, 근무시간, admitting caps, 또는 면허 요건과 같은 외부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The organizational, programmatic and physical context within which clinical learning occurs. Components 

    • may be specific to the local LWE such as workspace,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taffing levels, team structures, and institutional policies or 

    • may be externally defined such as work hours, admitting caps, or licensure requirements.




CONCLUSIONS




14. Josiah Macy Jr. Foundation. Improving Environments for Learning in the Health Professions: Recommendations from the Macy Foundation Conference. Atlanta, GA: Josiah Macy Jr. Foundation. 2018: 1-16.


25. Lehmann LS, Sulmasy LS, Desai S. Hidden curricula, ethics, and professionalism: optimizing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s in becoming and being a physician: a position paper of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Ann Intern Med 2018;168(7):506-8.







 2019 Jul;132(7):886-891. doi: 10.1016/j.amjmed.2019.03.019. Epub 2019 Apr 3.

Nested Domains: A Global Conceptual Model for Optimizing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Medicine, Thomas Jefferson University, Philadelphia, Pa. Electronic address: Rebecca.Jaffe@jefferson.edu.
2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Arizona College of Medicine, Phoenix.
3
Department of Medicine, Loma Lind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Loma Linda, Calif.
4
Department of Medicine,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Cleveland, Ohio.
5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Virginia, Charlottesville.
6
Penn State College of Medicine/Penn State Health, Hershey, Pa.
7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Division of Medical Education, Washingt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t Louis, Mo.
8
Department of Medicine,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Wright-Patterson Medical Center (Cancer Care), Wright-Patterson Air Force Base, Ohio.
9
Department of Medicine, Hackensack Meridian School of Medicine, St Francis Medical Center, Seton Hall University, Trenton, NJ.
10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Florida Stat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arasota Memorial Hospital, Sarasota.
11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Division of Hematology, Ohio Stat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olumbus.
12
Department of Medicine, Warren Alpert Medical School of Brown University, Division of Hospitalist Medicine, The Miriam Hospital, Providence, RI.

KEYWORDS:

Graduate medical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 Medical educatio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PMID:
 
30953633
 
DOI:
 
10.1016/j.amjmed.2019.03.019


어떻게 교육혁신과 역량에 대한 관심이 전공의교육에서 진료수행준비도에 영향을 주는가: 학습환경의 역할(Perspect Med Educ, 2015)

How educational innovations and attention to competencies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relate to preparedness for practice: the key role of the learning environment

Ids S. Dijkstra · Jan Pols · Pine Remmelts · Eric F. Rietzschel · Janke Cohen-Schotanus · Paul L.P. Brand




도입

Introduction


많은 서구 국가에서, 점점 더 복잡해지는 의료전문직에 대해 연습생들을 더 잘 준비하기 위해 대학원 의학 교육(PGME)에 역량 기반 교육(CBE)이 도입되었다[1, 2]. 그러나 일부 저자들은 CBE의 이면에 있는 이론적 근거에 이의를 제기했으며 CBE를 통합하는 데 필요한 노력, 시간 및 비용의 투자가 약속을 달성할 수 있을지에 의문을 제기하였다[3–5]. 따라서, 우리는 CBE와 의사들의 독립적 실습을 위한 더 나은 준비를 위한 그것의 목적 사이의 관계를 검토하기 시작했다.

In many Western countries competency-based education (CBE) has been introduced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PGME) to prepare trainees better for the growing complexities of the medical profession [1, 2]. However, some authors have challenged the rationale behind CBE and questioned whether the investment of effort, time and money required to incorporate CBE will achieve its promise [3–5]. Therefore, we set ou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BE and its objective of better preparing physicians for independent practice.


개념 연구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conceptual research model


CBE와 함께 포트폴리오, 비판적 주제 평가, 미니 임상 평가 연습mini CEX과 같은 다양한 교육 혁신이 PGME에 도입되었다. 이러한 혁신은 감독자와 연습생 모두 역량의 모든 영역에서 개선을 고려하고 논의하도록 격려하기 때문에, 우리는 교육 혁신이 피드백과 코칭 중에 역량에 대한 관심과 긍정적으로 관련되기를 기대한다.

Along with CBE, various educational innovations have been introduced into PGME, such as portfolios, critically appraised topics and mini-clinical evaluation exercises. Because these innovations encourage both supervisors and trainees to consider and discuss improvements in all areas of competence, we expect educational innovations to be positively related to attention to competencies during feedback and coaching.


예를 들어 의사소통자, 협력자 및 관리자의 역할을 포괄하기 위하여, 교육 범위를 의료 전문가 역할 이상으로 넓히기 위해 역량 프레임워크가 개발되었다[1]. 이러한 역량의 specification를 통해 수련자는 의료 훈련과 의료 실무의 요구를 이해할 수 있다[12]. 피드백이 학습의 중심이고 임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13, 14] 피드백과 코칭 중 다양한 역량 역할에 더욱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는 프로그램의 연습생들은 [contemporary medical practice에 대하여 더 잘 준비]되었다고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피드백과 코칭 중 역량의 영역에 대한 관심]이 [연습 준비]와 긍정적으로 관련되기를 기대한다. 우리는 [교육 혁신]과 [역량에 대한 관심] 사이에 긍정적인 관계를 기대하며, [역량에 대한 관심]과 [진료 준비] 사이에 기대되는 긍정적인 관계를 고려할 때, 우리는 또한 교육 혁신과 실천에 대한 준비 사이에 긍정적인 관계를 기대하지만, 이러한 관계 역량에 대해 갖는 관심에 의해서 매개될 것으로 예상한다.

Competency frameworks were developed to broaden the scope of education beyond the medical expert role, for instance to encompass the roles of communicator, collaborator and manager [1]. The specification of these competencies allows trainees to comprehend the demands of medical training and medical practice [12]. As feedback is central to learning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clinical performance [13, 14], trainees from programmes that pay closer attention to the various competency roles during feedback and coaching can be expected to feel better prepared for the challenges of contemporary medical practice. Accordingly, we expect attention to the domains of competence during feedback and coaching to be positively related to preparedness for practice. Because we expect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innovations and attention to competencies, and given the expecte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 to competencies and preparedness for practice, we also expect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innovations and preparedness for practice, but we expect this relationship to be mediated by attention to competencies. 


[교육적 혁신]과 [역량에 대한 관심]은 PGME 동안 연습생들을 연습에 대비시키는 모든 요인의 일부분일 뿐이다. 건전한 추론을 위해서는 다른 동등하게 중요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는데, 이는 PGME 현대화의 이러한 측면과 연습에 대한 준비성 사이의 관계를 혼란시킬 수 있다. PGME는 주로 업무 기반 학습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감독, 교육, 시설 및 분위기를 포함한 여러 가지 중요한 측면을 포괄하는 강력하고 뒷받침되는 학습 환경[15]은 경험적 학습 기회를 더 많이 제공하고, 이러한 경험을 반영하고 배울 수 있는 더 많은 지원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학습환경은 다양한 역량의 역할을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재발견한다

Educational innovations and attention to competencies only represent a part of all the factors that prepare trainees for practice during PGME. To make sound inferences, other equally important factors have to be taken into account, which could conf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aspects of PGME modernization and preparedness for practice. Because PGME predominantly consists of workbased learning, a strong and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encompassing many important aspects—including quality of supervision, teaching, facilities and atmosphere [15]—is likely to provide 

  • more opportunities for experiential learning, 

  • more support to reflect on and learn from these experiences, and 

  • more opportunities to apply the various competency roles. 

따라서 학습 환경의 강점이 진료 준비와 긍정적인 관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역량에 대한 주의와 연습 준비 사이의 관계를 조정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Accordingly, we expect that the strength of the learning environment is not only positively related to preparedness for practice but we also expect it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 to competencies and preparedness for practice.


마지막으로, 누군가가 연습에 대해 준비가 되었다고 느끼는지 여부는 또한 개인의 고유한 특성과 마인드 세트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사회적 인지 이론에 따르면, 자기효능감 인식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배적인 요인이다[16]. 전반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개인은 일관되게 자신을 다양한 환경[17]에서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것이 바로 우리가 실습을 위한 준비성과 긍정적으로 관련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이유다. 앞에서 언급한 기대 관계는 함께 그림 1에 묘사된 우리의 개념 연구 모델을 형성한다. 

Finally, whether someone feels prepared for practice will also depend on the inherent qualities and mind-set of the individual. According to social cognitive theory, perceived self-efficacy is a predominant factor that influences behaviour [16]. Individuals high in general self-efficacy consistently view themselves as capable of meeting demands in multiple environments [17], which is why we expect self-efficacy to be positively related to preparedness for practice. Taken together, the aforementioned expected relationships form our conceptual research model, which is depicted in Fig. 1.



방법

Methods


맥락과 참여자

Context and participants


측정

Measures


91개의 의료전문가 업무의 일반 목록을 사용하여 실천요강을 측정하였다[20]. 응답자들은 자신의 훈련 프로그램이 이러한 과제를 얼마나 잘 준비했는지를 평가하도록 요청 받았다. 더 구체적으로, 응답자들은 '내 전공의 교육 프로그램이 나를 잘 준비시켰다'는 말에 대해 1에서 5까지 리커트에 이르는 5점짜리 리커트 척도로 응답하거나, 그들이 그들의 실무에서 그러한 과제에 요구받은 적이 없었음을 나타내도록 요청 받았다.

Preparedness for practice was measured using a generic inventory of 91 medical specialist tasks [20]. Respondents were asked to rate how well their training programmes had prepared them for these tasks. More specifically, respondents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statement ‘my postgraduate training programme prepared me well for… [Task]’ on a 5-point Likert scale ranging from 1 (strongly disagree) to 5 (strongly agree), or to indicate that they had not encountered such a task in their practice.


실무에 대한 인식된 대비는 직무 수행 능력과 능력에 대한 일반적인 신뢰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슈바르처와 예루살렘의 일반 자기효능 척도는 주제 간 효과의 균형을 위한 제어 변수로 포함되었다[21]. 설문지는 4점 리커트 척도로 점수가 매겨진 10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1(강력하게 동의하지 않음)부터 4(강력하게 동의함). (예를 들어, 문제에 직면했을 때, 나는 보통 몇 가지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

Since perceived preparedness for practice may be influenced by general confidence in the ability and capacity to accomplish a task, the Schwarzer and Jerusalem general self-efficacy scale was included as a control variable to balance its effect across subjects [21].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10 items scored on a 4-point Likert scale ranging from 1 (strongly disagree) to 4 (strongly agree). (e.g. When I am confronted with a problem, I can usually find several solutions).


CanMEDS 프레임워크는 네덜란드의 PGME[1]에 사용된다. 7개 CanMEDS 역량에 대한 관심은 참가자들에게 모든 역량의 1개 보고서에 대한 그들의 동의에 대한 평가를 요청함으로써 평가되었다. (7개 항목: '내 대학원 교육 프로그램 동안, 역량에 대한 관심이 일관되게 집중되었다.... [예. 코칭과 피드백 과정에서'라는 프로페셔널리즘' 답변은 리커트 5점 만점으로 평가될 수 있다. 리커트 1(강력하게 동의하지 않음)부터 5(강력하게 동의함).

The CanMEDS framework is used for PGME in the Netherlands [1]. The attention to the 7 CanMEDS competencies was assessed by asking participants to rate their agreement to 1 statement for every competency role (7 items): ‘During my postgraduate training programme, attention was consistently paid to the competency… [e.g. Professionalism] in the course of coaching and feedback.’ Answers could be rated on a 5-point Likert scale ranging from 1 (strongly disagree) to 5 (strongly agree).


2004년에 최초의 네덜란드 PGME 프로그램이 역량에 기반하게 되었다. 2011년부터 CBE는 모든 PGME 프로그램에 대해 의무화되었으며, 이 요구사항은 네덜란드 PGME 프로그램에 대한 2011년 국가 지침에 기록되었다[22]. 이 지침을 사용하여, 저자들은 레지던트, 프로그램 리더 및 교육 컨설턴트와 다음을 논의했다. "이 요구사항 중 네덜란드 PGME에서 발생한 일반적인 변화사항은 무엇"이며, "어떤 것이 이전 지침의 요구사항과 근본적으로 다른가?". 이 결과 6개의 교육 혁신 목록이 나왔다(표 1). 설문지는 응답자들에게 위에서 설명한 대로 리커트 척도로 이 6가지 혁신의 사용을 평가하도록 요청하였다(예: 대학원 교육 프로그램 중... 미니 임상평가 연습을 바탕으로 피드백을 받았다.)

In 2004, the first Dutch PGME programmes became competency-based. From 2011 onwards, CBE became mandatory for all PGME programmes, of which the requirements were recorded in the 2011 national guidelines for Dutch PGME programmes [22]. Using these guidelines, the authors discussed with residents, programme leaders and educational consultants which of these requirements were typical for the changes that had occurred in Dutch PGME, and differed fundamentally from the requirements in earlier guidelines. This resulted in a list of 6 educational innovations (Table 1). The questionnaire asked respondents to rate the use of these 6 innovations on a Likert scale as described above (e.g. During my postgraduate training programme… I received feedback based on mini clinical evaluation exercises).


학습 기후의 개념을 포착하기 위해 여러 설문지가 개발되어왔다[23, 24]. 이 설문지들은 일반적으로 많은 항목을 포함하고 있으며, 우리의 설문지가 이미 포함하고 있는 질문의 양을 고려하여, 우리는 이러한 설문조사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대신 전공의의 작업 관련 학습의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개발한 Teunissen 외[25]에 의존했다. 그들의 모델에 따르면, 업무 관련 학습은 본질적으로 활동에 참여하고, 그것들을 성찰하고, 그 후에 이러한 성찰에 기초하여 새로운 행동을 조정하면서 향상된다. 이들의 모델은 학습 주기의 원동력으로서 사회적 상호작용성문화된codified 지식의 중요성을 더욱 통합하고 조직 환경을 인정한다. 우리는 설문지 개발에 이러한 개념을 사용했으며, 교육 프로그램에서 이러한 개념의 더 나은 통합이 더 나은 학습 성과와 관련이 있다고 판단했다. 본 조치의 항목은 Shönrock 등이 개발한 학습 환경의 이론적 프레임워크에 대하여 유지되었고[26], 효과적인 학습 환경의 영역(목표 지향, 관계, 조직)을 깔끔하게 다루었다. 응답자들은 리커트 척도에 대한 12개 항목에 대한 그들의 합의를 평가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예: 대학원 교육 프로그램 중... 나는 내 직업의 모든 관련 측면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표 1).

Several questionnaires have been developed to capture the concept of learning climates [23, 24]. These questionnaires generally contain many items and considering the amount of questions that our questionnaire already contained, we chose not to use these surveys. Alternatively we relied on Teunissen et al. [25] who developed a theoretical framework of resident work-related learning. According to their model, work-related learning essentially thrives on participating in activities, reflecting on them and subsequently adjusting new behaviour based on this reflection. Their model further incorporates the significance of social interaction and codified knowledge as driving forces of the learning cycle and acknowledges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We used these concepts for the development of our questionnaire and reasoned that a better integration of these concepts in training programmes is related to better learning outcomes. The items of our measure were held against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learning environments as developed by Shönrock et al. [26] and neatly covered the domains of effective learning environments (goal orientation, relationships and organization). Respondents were asked to rate their agreement to 12 items on Likert scales (e.g. During my postgraduate training programme… I was able to perform all relevant aspects of my profession independently) (Table 1).



자료 분석

Data analysis


분석 전에 모든 연속 변수에 대한 평균을 계산하고 표준화하였다[27]. 예측 변수 교육 혁신, 역량 및 학습 환경에 대한 주의의 내부 구조를 결정하기 위해 변량 회전을 사용한 주요 구성요소 분석을 사용했다. Shönrock-Adema 등의 권장 사항을 따르자면[28], 내부 구조는 심리측정적 기준의 조합과 가능한 요인 해결책의 해석 가능성에 대한 조사에 근거하여 결정해야 한다.

Prior to analysis, means for all continuous variables were calculated and standardized [27].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ith varimax rotation was used to determin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redictor variables educational innovation, attention to competencies and learning environment. Following recommendations of Shönrock-Adema et al. [28] the internal structure has to be determined based on a combination of psychometric criteria and an investigation of the interpretability of possible factor solutions.


크론바흐의 알파값이 내부 일관성을 평가하는 일반적인 방법이지만, 측정치는 항목 수에 매우 민감하며 척도 길이와 함께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29]. 실천요강의 내부 일관성(91항)을 검토하기 위해, 평균 항목 간 상관관계의 추정치로서 척도 길이와 무관한 Cronbach의 ρ도 계산했다[30]. rho의 값은 매우 다양하며 권장 값은 연구 대상 구조의 특수성에 따라 달라진다. 넓은 구조에 대해 0.15와 0.20 사이의 최소값이 권장된다[31]. 다중공선성은 분산 팽창 인자 및 허용오차 통계의 검사에 의해 평가되었다[32]. 평균을 비교하기 위한 기본적인 서술적 통계, 상관 분석 및 t-검정 외에도 독립 변수의 예측값을 검토하기 위해 단계적 계층 회귀 분석을 수행했다. 학습 환경과 역량에 대한 주의 사이의 제안된 상호작용의 방향을 검토하기 위해, 간단한 경사 분석을 실시했다[27].

Although Cronbach’s alpha is a common method to assess internal consistency, the measure is very sensitive to the number of items and tends to increase with scale length [29]. To examine the internal consistency of preparedness for practice (91 items), we also calculated Cronbach’s ρ which is an estimate of the mean inter-item correlation and is independent of scale length [30]. Values of rho vary widely and recommended values depend on the specificity of the construct under study. Minimal values between 0.15 and 0.20 are recommended for broad constructs [31]. Multicollinearity was assessed by inspection of the variance inflation factors and tolerance statistics [32]. In addition to basic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t-tests to compare means, stepwis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predictive value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the proposed interaction between learning environment and attention to competencies, simple slope analysis was conducted [27].


조정 또는 간접 효과는 독립 변수가 개입 변수를 통해 종속 변수에 영향을 미칠 때 발견된다[33]. 교육 혁신과 실무 준비 사이의 관계에서 [역량에 대한 주의]의 중재 효과를 분석했다(그림 1). Preacher와 Hayes[34]가 설명한 '간접' 절차는 간접 효과의 95% 신뢰 구간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조정을 지원하고 학습 환경과 역량에 대한 주의 사이의 예상 상호작용을 고려할 때, Mediation의 강도 또한 학습 환경 가치에 따라 좌우되는 것이 합리적이다. 따라서, 우리는 'Modmed' 절차[35]를 사용하여 다른 학습 환경 가치에서 조정의 중요성을 시험했다.

A mediation or indirect effect is found when an independent variable influences a dependent variable through an intervening variable [33]. We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attention to competenc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innovations and preparedness for practice (Fig. 1). The ‘indirect’ procedure as described by Preacher and Hayes [34] was used to calculate the 95 % confidence interval of the indirect effect. Assuming this mediation is supported and given the expected interaction between learning environment and attention to competencies, it is reasonable that the strength of the mediation also depends on the learning environment value. Accordingly, we used the ‘Modmed’ procedure [35],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at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 values.



결과

Results


크론바흐의 ρ0.21로 척도 길이와 독립적인 연습 대비 평균 항목 간 상관관계가 적절했다. 남성(M = 3.86)은 여성(M = 3.69)보다 실천준비에 있어 훨씬 높은 점수를 받았다(p = 0.03) 따라서 성별을 추가 분석에 통제변수로 포함시켰다. 연습 준비의 결과 변수는 모든 독립적인 변수, 가장 강하게 학습 환경 및 역량에 대한 주의와 관련이 있다(표 2). 다중공선성의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The scale length independent mean inter-item correlation of preparedness for practice was adequate with a Cronbach’s ρ of 0.21. Men (M = 3.86) scored significantly higher on preparedness for practice than women (M = 3.69) (p = 0.03); therefore, gender was included in further analyses as a control variable. The outcome variable of preparedness for practice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all independent variables, most strongly with learning environment and attention to competencies (Table 2). No evidence of multicollinearity was found.





계층적 단계적 복수 회귀 분석은 실무준비에 대한 독립 변수의 상대적 기여도를 보여주었다(표 3). 

  • 첫째, 제어 변수(성별 및 일반 자기효능)만 입력되었다. 이 모델은 preparedness for practice의 분산 14%를 설명하였다. 일반적인 자기효과는 실천에 대한 준비와 유의하게 관련되어 있었지만 성별은 그렇지 않았다. 

  • 교육 혁신의 추가(두 번째 모델)는 preparedness for practice에서 설명된 차이를 25%로 크게 증가시켰다. 

  • 모델에 역량에 대한 관심이 추가되었을 때, 이 변수는 preparedness for practice와 유의하게 관련되어 있었지만, 교육 혁신은 그렇게 되는 것을 중단했다(표 3). 이 세 번째 모델은 실천요강에서 설명된 분산을 43%로 크게 증가시켰다. 

  • 학습 환경과 역량에 대한 주의 사이의 상호작용이 예상되었기 때문에, 학습 환경과 상호작용 용어가 최종 모델에 추가되어 설명된 분산이 52%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 최종 모델에서 일반적인 자기효능, 역량에 대한 주의, 학습환경 및 상호작용 용어는 학습환경을 가장 강력한 예측변수로 하여 preparedness for practice와 유의미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Hierarchical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n preparedness for practice (Table 3). 

  • First, only the control variables (gender and general self-efficacy) were entered: this model explained 14 % of the variance in preparedness for practice. General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preparedness for practice but gender was not. 

  • The addition of educational innovations (second model)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plained variance in preparedness for practice to 25 %. 

  • When attention to competencies was added to the model, this variabl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preparedness for practice, but educational innovations stopped being so (Table 3). This third model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plained variance in preparedness for practice to 43 %. 

  • Because we expected an interaction between learning environment and attention to competencies,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interaction term were added in the final model, which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plained variance to 52 %. In this final model, general self-efficacy, attention to competencies,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interaction term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reparedness for practice, with learning environment as the strongest predictor.



유의한 상호작용은 역량에 대한 주의와 실천 준비 사이의 관계가 학습 환경 값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나타낸다. 평균보다 1 SD 높은 경우에서 학습 환경을 위한 단순한 기울기는 유의하게 양의(B = 0.17, p < 0.001)이었지만 평균보다 1 SD 낮은 학습 환경에 대한 경계선 유의성(B = 0.09, p = 0.05)에 불과했다. 이는 역량에 대한 관심이 높은 학습 환경 가치에 대한 실천에 대한 준비와 더 강하게 관련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significant interaction indicat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 to competencies and preparedness for practice varies by learning environment values. The simple slope for learning environment at 1 SD above the mean was significantly positive (B = 0.17, p < 0.001), but was only of borderline significance for a learning environment 1 SD below the mean (B = 0.09, p = 0.05). This means that attention to competencies was more strongly related to preparedness for practice for high learning environment values.


고찰

Discussion


이 연구는 새로운 역량 기반 PGME 프로그램이 독립적 실습을 위해 새로운 컨설턴트를 준비하는 정도를 결정하는 데 있어 학습 환경의 질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역량 기반 PGME 프로그램의 교육 혁신은 실천에 대한 준비와 긍정적으로 연관되었지만, 이 관계는 피드백과 코칭 중 역량에 대한 주의에 의해 조정되었고, 역량에 대한 주의를 조정한 후 더 이상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이러한 관계는 높은 등급의 학습 환경에서 가장 강력한 학습 환경 가치에 따라 다양했다.

This study shows that the quality of the learning environment is of key importance in determining the degree to which novel competency-based PGME programmes prepare new consultants for independent practice. Although the educational innovations of competency-based PGME programm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reparedness for practice, this relationship was mediated by attention to competencies during feedback and coaching, and was no longer significant after adjusting for attention to competencies. In addition, this relationship varied by learning environment value, being strongest in a highly rated learning environment.



포트폴리오나 미니-CEX와 같은 교육 혁신의 적용은 피드백과 코칭 중 역량에 대한 관심 증가와 관련이 있었으며, 이는 PGME[2]의 현재 방향을 뒷받침한다. 교육 혁신의 중요한 부분은 [평가 도구]인데, 이러한 도구들의 사용은 실무 준비성에 대한 더 높은 점수와 관련되었다. 그러므로 교육 혁신과 역량에 대한 주의를 통한 실천 준비 사이의 간접적 연결은 평가가 학습을 추진한다는 주장과 잘 들어맞는다[36].

The application of educational innovations, such as portfolios or mini-CEX, was related to increased attention to competencies during feedback and coaching, which supports current directions in PGME [2]. A significant part of the educational innovations are assessment tools, and the use of these instruments was related to higher scores on preparedness for practice. Therefore, the indirect link between educational innovations and preparedness for practice through attention to competencies fits well with the claim that assessment drives learning [36].


그러나 후속 분석에서는 [교육 혁신과 실무 준비 사이의 관계가 간접적]이며 [역량에 대한 주의에 의해 매개]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PGME에서 더 많은 시간이 피드백과 신중한 교육보다 환자 치료에 독립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이 결과는 놀랍지 않으며, 커리큘럼 변경의 효과를 직접 측정하기 어려운 이유에 대한 이전의 설명을 뒷받침한다[6, 8]. 이와 같은 간접적인 관계는 더 나아가, 교육 혁신들이 역량에 대한 주의를 강화하는 수단으로서 가치가 있지만, 그것들 자체가 목표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또한 최종 회귀 모형의 교육 혁신의 회귀 계수가 0에 가까웠다는 사실은 [강력한 프로그램이 혁신적 훈련 방법을 채택했을 가능성]이 더 높았음을 시사할 수 있다. 따라서 교육 혁신과 실무 준비 사이의 간접적인 연관성은 순수한 인과관계가 아닐 수 있으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However, subsequent analyse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innovations and preparedness for practice was indirect, and mediated by attention to competencies. Because more time in PGME is spent on working independently in patient care than on feedback and deliberate education, this finding is not surprising, and supports earlier explanations of why the effects of curricular changes are difficult to measure directly [6, 8]. The indirect relationship suggests, furthermore, that although the educational innovations are valuable as a means to enhance attention to competencies, they should not become goals in themselves. Additionally, the fact that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educational innovations in the final regression model was close to zero may suggest that strong programmes were more likely to have embraced innovative training methods. The indirect link between educational innovations and preparedness for practice may therefore not be a pure causal association and more research is needed to address this issue.


교육 혁신과 역량에 대한 관심이 실천에 대한 준비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처럼 보이지만, 학습 환경은 가장 강력한 예측 변수임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 환경이 의료 교육에서 성취, 만족 및 성공을 예측하는 데 고유한 기여를 한다는 주장과 일치한다[37, 38]. Genn[39]에 따르면, 학습 환경은 교육 변화의 중심을 이룬다. 마찬가지로, 우리의 연구에서 [역량에 대한 관심]은 [학습 환경이 낮은 점수를 받았을 때] 연습에 대한 준비와 관련이 없었다. 이는 역량 프레임워크로 변경하기 위한 현재의 투자는, 학습 환경이 충분히 잘 구성되었을 때에만 실천에 대한 준비성 측면에서 성과를 거둘 것임을 시사한다.

Educational innovations and attention to competencies seem to influence preparedness for practice, but the learning environment was found to be the strongest predictor. This finding is in line with claims that the learning environment has a unique contribution to the prediction of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success in medical education [37, 38]. According to Genn [39], the learning environment forms the centre of educational change. Likewise, in our study, attention to competencies was not related to preparedness for practice when the learning environment scored low. This suggests that the current investments to change to competency frameworks will only pay off in terms of preparedness for practice when the learning environment is sufficiently well organized.


우리는 우리의 연구에 다음과 같은 한계를 인정한다. 첫째, 응답률은 보통 수준이었지만, 의사 설문조사에서는 일반적이었다[42]. 이는 무응답 편향을 유도할 수 있지만, 표본이 우리의 연구에서 그러했던 [43]을 대표한다면, 이것은 의미 있게 결과를 왜곡할 가능성은 없다. 또한, 연구된 표본은 유효한 통계 분석이 가능할 만큼 충분히 컸다. 둘째로, 우리의 모든 데이터는 자체 보고 조치에서 얻었으며, 공통적인 방법 분산은 결과적으로 연구 모델 구성들 사이의 관계에 부분적으로 책임이 있을 수 있다[44].

We acknowledge the following limitations to our study. First, the response rate was moderate, but common for physician surveys [42]. Although this may induce non-response bias, this is unlikely to distort the results meaningfully if the sample is representative [43], which was the case in our study. Moreover, the sample studied was large enough to allow valid statistical analyses. Second, all our data were obtained from self-report measures and common method variance could consequently be partly accountable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research model constructs [44].


실무준비에 있어서 절반 이상의 차이가 포함된 변수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상당 부분은 설명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었다. 왜 몇몇 새로운 컨설턴트들이 다른 컨설턴트들보다 연습에 대해 더 잘 준비되었다고 느끼는지와 훈련 프로그램이 어떻게 이 연결을 개선할 수 있는지를 발견하기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Although more than half of the variance in preparedness for practice was explained by the variables included, a considerable part remained unexplained. More research is required to discover why some new consultants feel better prepared for practice than others and how training programmes can improve this connection.



핵심

Essentials


학습환경에 투자하여 연습생들을 독립 연습에 최적으로 대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 It is important to invest in the learning climate to prepare trainees optimally for independent practice.


● PGME의 교육적 측면의 효과는 긍정적인 학습환경에서 이익을 얻는 것으로 보인다.

● The effectiveness of didactic aspects of PGME seems to benefit from a positive learning environment.


● 코칭 중 역량에 대한 주의와 피드백, 역량 기반 교육을 지원하는 연습 준비 사이에는 긍정적인 관계가 있다.

● There is a positive relation between attention to competencies during coaching and feedback and preparedness for practice, which supports competency-based education.



5. Malone K, Supri S. A critical time for medical education: the perils of competence-based reform of the curriculum.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2;17:241–6. 










 2015 Dec;4(6):300-307.

How educational innovations and attention to competencies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relate to preparedness for practice: the key role of the learning environment.

Author information

1
Wenckebach Institute, University Medical Center Groningen, University of Groningen, FC 10, Hanzeplein 1, 9700 RB, Groningen, The Netherlands. i.s.dijkstra@umcg.nl.
2
Wenckebach Institute, University Medical Center Groningen, University of Groningen, FC 10, Hanzeplein 1, 9700 RB, Groningen, The Netherlands.
3
Faculty of Behavioural and Social Sciences, University of Groningen, Groningen, The Netherlands.
4
Center for Research and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Groningen, University MedicalCenter Groningen, Groningen, The Netherlands.
5
Wenckebach Institute, University of Groningen, University Medical Center Groningen, and Princess Amalia Children's Centre, Isala Hospital, Zwolle, The Netherlands.

Abstract

INTRODUCTION:

Many training programmes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PGME) have introduced competency frameworks, but the effects of this change on preparedness for practice are unknown. Therefore, we explored how elements of competency-based programmes in PGME (educationalinnovationsattention to competencies and learning environment) were related to perceived preparedness for practice among new consultants.

METHOD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mong 330 new consultants. Respondents rated how well their PGME training programme prepared them for practice, the extent to which educational innovations(portfolio, Mini-CEX) were implemented, and how much attention was paid to CanMEDS competenciesduring feedback and coaching, and they answered questions on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general self-efficacy. Multiple regression and mediation analyses were used to analyze data.

RESULTS:

The response rate was 43 % (143/330). Controlling for self-efficacy and gender, the learningenvironment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preparedness for practice (B = 0.42, p < 0.001), followed by attention to competencies (B = 0.29, p < 0.01). Educational innovations were not directly related to preparedness for practice. The overall model explained 52 % of the variance in preparedness for practiceAttention to competencie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innovations and preparednessfor practice. This mediation became stronger at higher learning environment values.

CONCLUSIONS:

The learning environment plays a key role in determining the degree to which competency-based PGME prepares trainees for independent practice.

KEYWORDS:

CanMEDS; Competency-based education; Evaluation; Learning environment

PMID:
 
26498596
 
PMCID:
 
PMC4673059
 
DOI:
 
10.1007/s40037-015-0219-3


의과대학 1학년 학생에서 임상추론능력 보정시 생기는 편향과 보정 정확도(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9)

First‑year medical students’ calibration bias and accuracy across clinical reasoning activities

Timothy J. Cleary1,5 · Abigail Konopasky2 · Jeffrey S. La Rochelle3 · Brian E. Neubauer4 · Steven J. Durning2 · Anthony R. Artino Jr





도입

Introduction


이러한 형태의 자기 주도 학습에 성공적으로 참여하려면, 개인은 강력한 메타인지 능력(Cleary et al. 2013), 특히 자신의 학습이나 성과를 평가하는 능력(즉, 자기 평가 또는 교정)이 필요하다. 그러한 기술은 개인이 속도를 늦추거나, 도움을 요청하거나, 더 많은 것을 배우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는 때를 알 수 있게 해준다(Eva and Regehr 2011; Moulton et al. 2007).

to successfully engage in this form of self-directed learning, individuals need strong metacognitive skills (Cleary et al. 2013), particularly the ability to assess their learning or performance (i.e., self-assessment or calibration). Such skills enable individuals to know when they need to slow down, ask for help, or strive to learn more (Eva and Regehr 2011; Moulton et al. 2007).


의료 전문가의 미흡한 보정능력은, 특히 자신의 역량과 기술을 과대평가할 가능성이 높은 숙련되지 않은 의사들로 인한 환자 안전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Blanch-Hartigan 2011; Davis et al. 2006; Ehrlinger et al. 2008; Kruger and Dunning 1999). 그러나 최근의 연구는, 이러한 부족한 보정능력은 부분적으로는 [측정의 크기granularity]와 [특정 임상 활동의 복잡성]의 함수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Blanch-Hartigan 2011; Bol and Hacker 2012; Davis et al. 2006; Eva and Regehr 2007, 2011).

Poor calibration among medical professionals has led to concerns regarding patient safety, especially when considering less-skilled practitioners who are more likely to overestimate their competencies and skill sets (Blanch-Hartigan 2011; Davis et al. 2006; Ehrlinger et al. 2008; Kruger and Dunning 1999). Recent work, however, suggests that poor calibration may be, in part, a function of the granularity of measurement and the complexity of a given clinical activity (Blanch-Hartigan 2011; Bol and Hacker 2012; Davis et al. 2006; Eva and Regehr 2007, 2011).


Granularity of calibration: the importance of sub‑tasks


특히 의료전문직 교육에서 자기평가 또는 교정 문헌의 대부분은 해당 과제의 특정 요소보다는 (시험 점수, 목표 구조 임상 시험(OSCE) 성과 또는 등급 등급과 같은) 직무 또는 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성과에 초점을 맞춘 방법론에 기초한다(Blanch-Hartigan 2011; Bol). Hacker 2012; Davis et al. 2006).

Much of the self-assessment or calibration literature, particularly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s grounded in a methodology that focuses on overall performance on a task or activity—such as test score, Objective Structure Clinical Exam (OSCE) performance, or class grade—rather than on specific elements of that task (Blanch-Hartigan 2011; Bol and Hacker 2012; Davis et al. 2006).


이러한 세분화 부족에 대응하여, Eva와 Regehr(2005, 2007, 2011)는 자기 평가나 교정의 구성 요소와 그것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이해하기 위한 일련의 조사를 실시했다. 그들은 자기 평가란, 

  • 사전 추정Prediction(즉, 성과 이전에)에서

  • 평가와 조정(즉, 퍼포먼스 중)에서

  • 후 추정Post-diction (즉, 성과 후 판단)에 이르는 과정으로 설명한다. 

In response to this lack of granularity, Eva and Regehr (2005, 2007, 2011) undertook a line of inquiry to understand the components of self-assessment or calibration and ways to improve it. They describe self-assessment in terms of a process, ranging 

from prediction (i.e., before performance) 

to assessment and adjustment (i.e., during performance) 

to post-diction (i.e., judgments after performance). 


이러한 과정의 조사를 통해, 그들은 인지적 판단의 정확성은 부분적으로 그 세분성에 달려 있다고 판단했다.

Through these investigations of process, they determined that the accuracy of metacognitive judgment depends in part on its granularity.


또한 자가 평가는 (더 제한적 범위를 확인하는 지필평가(Eva 및 Regehr 2005, 2007, 2011)보다) 개방형 임상적 encounter (이 때는 하위 작업이 명백하게 기술되지 않음)에서 정확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활동이 광범위하고 모호할수록 개인이 자신의 성과를 덜 정확하게 판단할 가능성이 커진다.

Self-assessment also tends to be less accurate in open-ended clinical encounters (with fewer clearly delineated subtasks) relative to more narrow, written assessments (Eva and Regehr 2005, 2007, 2011). Thus, the broader and more ambiguous an activity, the greater the likelihood that individuals will make less accurate judgments of their performance.


다른 교육적 맥락의 유사한 경향에 대응하여, 교육 심리학자들은 보다 세밀한 방법으로 보정판단을 평가하기 시작했다. 즉, 보정을 특정 학습 활동에 대해 개별 하위 작업에서 평가하였다.

In response to similar trends in other educational contexts, educational psychologists have begun to assess calibration judgments in a more fine-grained manner. That is, calibration has been assessed across distinct subtasks for a given learning activity


예를 들어, Pressley와 Ghatala는 광범위한 과제 내에서 서로 다른 유형의 질문에 걸쳐 학생들의 성과 추정치의 정확도를 조사했고 교정 정확도에서 차이를 발견했다(즉, 질문 유형이 더 복잡하거나 모호한 것일수록 정확도가 낮음; Pressley와 Ghatala 1988). 의학교육 연구자들은 또한 많은 일반적인 임상 활동이 다면적이고 복잡하기 때문에 임상적 만남의 다른 부분(예: 신체 검사 또는 면담의 여러 지점에서)에서 교정을 검사하는 것의 관련성을 인식하기 시작하고 있다.

For example, Pressley and Ghatala examined the accuracy of students’ performance estimates across different types of questions within a broader task and found differences in calibration accuracy (i.e., less accuracy for more complex or ambiguous question types; Pressley and Ghatala 1988).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are also beginning to recognize the relevance of examining calibration at different parts of a clinical encounter (e.g., at different points during a physical exam or interview; Eva and Regehr 2007, 2011), in part, because many common clinical activities are multi-faceted and complex.



임상 추론 보정 및 진단 오류 방지

Calibration of clinical reasoning and avoiding diagnostic error


의학교육에서 측정의 세분성을 높이는 것은 임상 추론 연구의 증가와 진단 오류의 결과를 고려할 때 특히 중요하다(국립과학의학협회 2016; Singh and Graver 2015). 진단 오류는 현재 심장병과 암에 이어 세 번째 사망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Makary와 Daniel 2016). 

Enhancing the granularity of measurement in medical education is particularly important given the growing body of research in clinical reasoning and the consequences of diagnostic error (National Academies of Sciences and Medicine 2016; Singh and Graber 2015). Diagnostic errors are now cited as the third leading cause of death behind heart disease and cancer (Makary and Daniel 2016). 


사실, 최근의 한 연구는, 오보정miscalibration이 이러한 오류의 주요 원인이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연구 참가자(즉, 일반 내과의사)가 그들의 성과를 과대평가했을 때, 불행하게도 더 높은 오류율로 이어질 수 있는 추가 진단 테스트를 확인할 가능성이 적었다(Meyer et al. 2013). 임상적 추론은 상호 연관되어 있지만 일련의 뚜렷한 활동을 포함한다. 여기에는 일부는 의식적이고 분석적이며, 일부는 직관적이고 비분석적(예: 패턴 인식, Norman 등 2017)이다. 이들을 종합하여 의사는 정확한 진단과 환자별 관리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Cook et al. 2018; Young et al. 2018).

In fact, a recent study suggests that miscalibration is a key contributing factor to these errors; when study participants (i.e., general internists) overestimated their performance, they were less likely to seek additional diagnostic tests which, unfortunately, may have led to higher error rates (Meyer et al. 2013). Clinical reasoning involves a series of distinct, albeit interconnected, activities—some conscious and analytical, some more intuitive and non-analytical (e.g. pattern recognition, Norman et al. 2017)—needed to arrive at a correct diagnosis and a case-specific management plan (Cook et al. 2018; Young et al. 2018). 


임상적 조우 중에 의료 전문가는 일반적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진단을 식별하기 위해 정보를 합성하고 통합하는 동시에 환자 기록(Hx)을 취하고, 신체진찰(PE)를 수행하고, 일련의 진단 테스트를 실행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의사는 외부 기준(즉, 사례별 진단 및 치료)에 따라 접근법을 적극적으로 조정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복잡성을 고려할 때 임상적 추론은 정의, 평가 및 연구가 어려울 수 있다.

During a clinical encounter, a medical professional will typically take a patient history (Hx), perform a physical exam (PE), and possibly run a series of diagnostic tests, all while concurrently synthesizing and integrating information to identify the most likely diagnosis. Most importantly, clinicians must actively adjust their approach in line with an external criterion (i.e., a case-specific diagnosis and treatment). Given this complexity, clinical reasoning can be difficult to define, assess, and study.


이러한 순간순간의 조정을 최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인터벤션을 제시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충분히 세분화된 수준에서 인지적 판단과 전략의 사용을 검토examine해야 한다(Pieschl 2009). 그러기 위해서는 평가를 [데이터 수집, 자기 인식, 해석, 비판적 성찰 및 전문적 분위기(환경 및 관계 긴장 포함)를 포함한 "많은 구분된discrete 활동으로 구성된 다면적 구조]"로 개념화해야 한다(Sargeant et al. 2010, 페이지 1212). 

In order to optimally understand these moment-by-moment adjustments and offer interventions to improve them, researchers must examine metacognitive judgments and use of strategies at a sufficient level of granularity (Pieschl 2009). This entails conceptualizing assessment “as a multifaceted construct comprising numerous discrete activities” (Sargeant et al. 2010, p. 1212), including data collection, self-awareness, interpretation, critical reflection, and professional climate (and including environmental and relationship tensions). 


그러한 접근법은 임상 추론의 전체적이고 통합된 과정을 특정 하위 작업으로 분리하고 이러한 하위 작업 전체에 걸쳐 개인의 사고 프로세스 및/또는 조치의 성격과 패턴을 조사하는 데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렇게 하면 교정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아마도 자가 평가를 가치 있는(예측적인) 임상 기술로 보충redeem할 수 있다.

Such an approach suggests that there is value in de-aggregating the holistic, integrated process of clinical reasoning into specific subtasks and examining the nature and pattern of individuals’ thought processes and/or actions across these subtasks. In this way, calibration accuracy might improve, perhaps redeeming self-assessment as a valuable (and predictive) clinical skill.


현재 연구의 목적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이 연구에서 우리는 하위작업으로서 병력청취(Hx)와 신체검사(PE)에 초점을 맞춘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의학 교육에서 일반적으로 구별되는 요소로 가르쳐지기 때문이다. 또한 

  • Hx는 진단 생성(예: 종종 모호한 주요 불만 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질문)에 더 중점을 두기 때문에 더 복잡하고 모호할 수 있으며, 

  • PE 일반적으로 진단 확인(예: 역사에서 제기된 것을 확인하기 위한 물리적 피동 또는 육안 검사)에 더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

In this study, we focus on the clinical subtasks of history (Hx) and physical exam (PE) because they are commonly taught as distinct elements in medical education . Further, 

  • the Hx component may be more complex and ambiguous as it often focuses more on diagnostic generation (e.g., questioning to address an oftentimes vague chief complaint) while 

  • the PE typically tends to be more about diagnostic confirmation (e.g., physical palpation or visual inspection to confirm something raised in the history).


따라서, 임상의사들은 종종 PE가 Hx 다음에 이뤄지기 때문에 PE에 도달할 때쯤에는 더 정교한 가설을 갖게 될 것이다. 또한, (Hx에서와 같이) 잠재적으로 관련성이 있는 범주에 대한 선별screening은 (PE에서와 같이)식별된 범주들 사이의 구별discremination보다 교정이 더 어렵다고 주장한다.

Thus, clinicians will often have more refined hypotheses by the time they reach the PE since it follows the history. Further, Fischer and Budescu (2005) argue that screening for potentially relevant categories (as in the Hx) is more difficult to calibrate than discrimination among identified categories (as in the PE; Fischer and Budescu 2005).


교정을 검사하기 위한 두 가지 일반적인 지표는 편향과 정확성이다. 

  • 교정 편향은 학습자가 만드는 성능 판단 오류(즉, 과대 평가 또는 과소 평가)의 밸런스(또는 방향)를 나타내며 

  • 정 정확도는 이러한 오류의 크기를 반영한다(Bol and Hacker 2012; Pajares and Graham 1999; Pieschl 2009). 

본 연구에서는 가상 환자 시뮬레이션에 포함된 임상 추리 활동의 Hx 및 PE 하위 작업 전반에 걸쳐 의대생의 인지적 판단(즉, 교정 정확도 및 교정 편견)의 변화를 조사했다.

Two common metrics for examining calibration are bias and accuracy. 

  • Calibration bias represents the valence (or direction) of performance judgment errors that learners make (i.e., overestimation or underestimation), while 

  • calibration accuracy reflects the magnitude of those errors (Bol and Hacker 2012; Pajares and Graham 1999; Pieschl 2009). 

In the current study, we examined variations in the metacognitive judgments (i.e., calibration accuracy and calibration bias) of medical students across Hx and PE subtasks of a clinical reasoning activity embedded in a virtual-patient simulation.


방법

Method


(1) 장기-시스템 기반 접근방식에서 기초 과학 지식과 임상 기술을 통합하는 5개의 개별 모듈을 포함하는 18개월 전임상 단계 

(1) an 18-month pre-clerkship phase that included five distinct modules integrating basic science knowledge and clinical skills in an organ-system based approach; 


(2) 12개월의 필수 임상실습 단계 

(2) a 12-month core clerkship phase; and 


(3) 6주간의 advanced didactics 기간과 12개월의 advanced 임상 로테이션 기간을 포함하는 18개월 임상실습 단계(즉, 임상 선택, 군사 분야 연습 및 학술적인 캡스톤 프로젝트를 완료할 기회).

(3) an 18-month post-clerkship phase that included a six-week period of advanced didactics and a 12-month period of advanced clinical rotations (i.e., clinical electives, a military field exercise, and an opportunity to complete a scholarly capstone project).


참여자 및 교육 컨텍스트

Participants and educational context


의대 1학년 학생들의 견본이 이 연구에 참여하도록 초청되었다. 학생들은 ICR(Inference of Clinical Reasoning) 과정으로부터 모집되었다. 자원 봉사자들은 참여하기 위해 추가 점수를 제공받았고, 비 참여자들은 대체 수단을 통해 동일한 추가 점수를 얻을 수 있었다(즉, 짧은 성찰적 글쓰기). 

A sample of first-year medical students was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an Introduction to Clinical Reasoning (ICR) course. Volunteers were offered extra credit points for participating, while non-participants could earn the same extra credit points through an alternate means (i.e., a short, reflective writing assignment). 


ICR 과정 이전에, 학생들은 임상 추론에서 어떠한 공식적인 교육이나 임상 경험도 받지 못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해, 참가자들은 초보 학습자novice로 간주되었다. 과정 자체는 크고 작은 일련의 활동들로 구성되었다. 각 과정 구성 요소는 학생들을 다양한 증상, PE 결과, 실험실 테스트 이상 및 신드롬에 노출시키도록 설계되었다.

Prior to the ICR course, the students had not received any formal didactic or clinical experience in clinical reasoning. Therefor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considered novice learners. The course itself was comprised of a series of large- and small- group activities. Each course component was designed to expose students to various symptoms, PE findings, laboratory test abnormalities, and syndromes.


절차

Procedures


학생들의 관찰된 성과와 성과에 대한 메타인지적 판단은 환자 조우 Hx와 PE 하위 작업 모두에 걸쳐 평가되었다.

Students’ observed performance and metacognitive judgments of performance were assessed across both the Hx and PE subtasks of the patient encounter.


측정

Measures


Hx에 대한 학생 성과는 효과와 효율이라는 두 가지 방식으로 평가되었다. 

    • Hx 효과성은 이 사례에 대한 전문가-기준 질문의 총 수와 비교하여 학습자가 질문하는 필수(예: 전문가 지원) 질문의 백분율로 정의되었다. 예를 들어, 60%의 효과성 점수는 Hx에서 질문해야 하는 모든 전문가 지원 질문의 효과성을 나타낸다. 학습자는 이러한 질문의 60%를 질문했다. 

    • 반대로, Hx 효율성은 학습자가 질문하는 총 질문 수(필수 및 비필수)에 상대적인 필수 질문의 백분율로 정의되었다. 따라서 효율 점수는 25%로 학습자가 질문한 모든 질문의 4분의 1이 전문가에 의한 질문을 반영했음을 나타낸다.

Student performance on Hx was assessed in two ways: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 Hx effectiveness was defined as the percentage of essential (i.e., expert-endorsed) questions asked by the learner (selected via a drop-down menu) relative to the total number of expert-endorsed questions for this case. For instance, an effectiveness score of 60% indicates that of all the expert-endorsed questions that should be asked during the Hx, the learner asked 60% of those questions. 

    • Conversely, Hx efficiency was defined as the percentage of essential questions asked relative to the total number of questions (essential and non-essential) asked by the learner. Thus, an efficiency score of 25% indicates that one quarter of all questions asked by the learner reflected expert-endorsed questions.


병력 청취

Patient history


학생들이 Hx 과목을 마친 후에, 그들은 다음과 같은 사후예측post-diction 질문을 받았다. "전문의라면 이 경우에 학생이 했던 질문 중 몇 퍼센트를 필수 질문이었다고 판단할 것 같습니까? (0 ~ 100% 사이의 백분율을 표시한다.)" 측정판단의 2차원(교정 편향과 교정 정확도 점수)이 계산되었다. 이전의 연구(Cleary and Chen 2009; Pajares and Graham 1999)와 일관되게 교정 편향을 실제 성능(즉, 효율성 점수 사용)과 성능 판단(즉, 사후 관할권)의 차이로 계산하였다. 보정 편향 점수는 성능 과대 평가를 나타내는 양의 값과 성능 저하를 나타내는 음의 값을 가진 - 100 - + 100이었다. 

After students completed the Hx section, they were asked the following post-diction question, “Approximately what percentage of the questions that you asked would an expert clinician say were essential questions for this case? (Indicate a percentage between 0 and 100%.)” Two dimensions of metacognitive judgments were calculated: calibration bias and calibration accuracy scores.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Cleary and Chen 2009; Pajares and Graham 1999), calibration bias was calculated as the difference between actual performance (i.e., using efficiency score) and a judgment of performance (i.e. post-diction). Calibration bias scores ranged from − 100 to + 100 with positive values indicating overestimation of performance and negative values indicating underestimation of performance.


예를 들어, 학습자가 자신이 했던 병력청취 질문한 질문의 95%가 사례에 필수적이라고 생각했지만(사후예측) 실제로 40%만 전문가에 의해 승인되었다면, +55(예: 95 - 40)의 양성 교정 편향 점수를 보일 것이다. 그러한 점수는 과대평가(0은 완벽한 교정이 됨)의 지표일 것이다.

As an example, if a learner estimated that 95% of the questions that she asked during Hx were essential to the case (post-diction) but only 40% were actually endorsed by the experts, then she would exhibit a positive calibration bias score of + 55 (i.e. 95 − 40). Such a score would be an indicator of overestimation (with 0 being perfect calibration).


교정 정확도는 판정 오차의 크기를 나타내며, 성능 척도의 최대값에서 Hx 바이어스 점수의 절대값을 빼서 계산했다(즉 100점 만점; 파자레스 및 그레이엄 1999). 예를 들어, 학습자가 (이전 예와 같이) + 55의 편향 점수를 받은 경우, 그녀의 정확도는 45(예: 100 - 55)가 될 것이다. 다른 참가자가 Hx 수행 능력을 과소평가하는 수준을 나타내는 -20의 편향 점수를 가지고 있다면, 그녀의 정확도는 80(100 - 20)이 될 것이다. 정확도 점수 100은 완벽한 정확성(판단 오류 없음)을 나타내는 반면, 0은 완전한 오판을 나타낸다.

Calibration accuracy represented the magnitude of the judgment error and wa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absolute value of the Hx bias score from the maximum value on the performance scale (i.e. 100; Pajares and Graham 1999). For example, if the learner received a bias score of + 55 (as in the previous example), her accuracy score would be 45 (i.e., 100 − 55). If a different participant had a bias score of − 20, which represents a level of underestimation of her ability to conduct a Hx, her accuracy score would be 80 (100 − 20). An accuracy score of 100 denotes perfect accuracy (no error in judgment) whereas a score of 0 represents complete misjudgment.


신체 진찰

Physical exam


신체검사 구성요소에 대해서도 효과와 효율성 점수가 계산되었다. 

    • PE 효과성는 전문가에 의해 이 경우에 필수적인 것으로 확인된 총 검사 수와 비교하여 학습자가 수행한 필수검사의 백분율로 정의되었다. 

    • 반대로, PE 효율성은 학습자가 수행한 잠재적 검사의 총 수(필수 및 비필수)와 비교하여 전문가가 인정한 검사의 백분율로 정의되었다.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scores were also calculated for the physical exam component. 

    • PE effectiveness was defined as the percentage of essential exams administered by the learner (selected via a drop-down menu) relative to the total number of exams identified by experts as essential for this case. 

    • Conversely, PE efficiency was defined as the percentage of expert-endorsed exams administered by the learner relative to the total number of potential exams (essential and non-essential) administered by the learner. 


학생들은 PE를 마친 후, 성과 질문에 대한 다음과 같은 판단에 응답하도록 요청 받았다. "이제 신체검사를 마쳤으니, 전문의가 보기에 당신이 실시한 시험의 대략 몇 퍼센트가 이 경우에 필수적이라고 판단할 것 같은가? (0%에서 100% 사이의 비율을 표시한다.)" PE에 대한 교정 편향 및 교정 정확도 점수는 Hx에 대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After students completed the PE, they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following judgment of performance question, “Now that you have completed the physical examination, approximately what percentage of the exams that you conducted would an expert clinician say were essential in this case? (Indicate a percentage between 0 and 100%).” Calibration bias and calibration accuracy scores for PE were calculated using procedures identical to those for Hx.


분석

Analysis


결과

Results


Hx와 PE의 그룹 내 차이 

Within‑group differences across Hx and PE


표 1은 1차 변수에 대한 기술 통계를 나타낸다. 쌍으로 구성된 t 시험 분석에 기초해, 참가자들은 낮은 효과와 효율성 점수로 입증된 것처럼 PE보다 임상적 만남의 Hx 부분에서 낮은 성과를 보였다. 효과 면에서, 학생들은 평균적으로 PE 동안의 필수 시험 조치(M = 71.63%)보다 훨씬 낮은 Hx 질문(M = 43.07%)을 사용했다. t(156) = 19.85, p < 05. 이 관측된 차이는 매우 큰 것으로 간주된다(코헨의 d = 1.57). 

Table 1 presents the descriptive statistics for the primary variables. Based on paired t test analyses, the participants showed weaker performance on the Hx portion of the clinical encounter than PE, as evidenced by lower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scores. In terms of effectiveness, the students used, on average, a significantly lower percentage of essential (i.e., expert-endorsed) Hx questions (M = 43.07%) than essential exam actions during PE (M = 71.63%): t (156) = 19.85, p < .05. This observed difference is considered very large (Cohen’s d = 1.57). 


효율성에 대해서도 유사한 패턴이 나타났다(즉, 필수 질문이나 시험/총 문제 또는 시험). 그 결과 학습자가 질문한 모든 Hx 질문의 17%만이 필수 Hx 질문으로 간주되는 반면, 학습자가 실시하는 모든 PE 조치의 34%는 필수로 식별되었다. 따라서, 학생들은 PE 활동보다 Hx 질문의 사용에서 덜 효율적이었다.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했고 t(156) = 19.05, p < 05, d = 2.21로 간주되었다.

A similar pattern emerged for efficiency (i.e., essential questions or exams/total questions or exams). The results revealed that only 17% of all Hx questions asked by the learners were considered essential Hx questions, whereas 34% of all exam actions conducted by learners were identified as essential. Thus, the students were less efficient in their use of Hx questions than in the PE actions.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considered extremely large: t (156) = 19.05, p < .05, d = 2.21.


인지적 판단의 Hx-PE 차이도 조사되었다. 거의 모든 참가자가 Hx(n = 154, 98%)와 PE(n = 149, 95%)에서 어느 정도 성과를 과대평가했지만, Hx(M = 63.23%)보다 PE(M = 69.83%)가 훨씬 높았다. 즉, 그들은 Hx 하위 작업보다 PE 하위 작업에서 더 잘 수행했다고 인식했다. 이 차이는 소형에서 중형(Cohen의 d = 0.33)으로 간주된다.

Hx-PE differences in metacognitive judgments were also examined. Almost all participants overestimated their performance to some degree on both Hx (n = 154; 98%) and PE (n = 149; 95%), but participants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estimates for PE (M = 69.83%) than Hx (M = 63.23%), t (156) = 4.19, p < .05. That is, they perceived that they performed better on the PE subtask than the Hx subtask. This difference is considered small to medium (Cohen’s d = .33).


마지막으로 참가자의 성과 판단에 대한 보다 미묘한 이해를 도출하기 위해 두 가지 유형의 교정 점수(즉, 편향과 정확도)를 계산했다. 편향의 경우, 학습자가 Hx(M = + 45.99%)와 PE(M = + 35.64%) 모두에서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했지만, Hx에 대해 더 높은 수준의 과대평가를 보였다고 관찰했다. 이 차이의 크기는 중간정도(코헨의 d = .48)로 간주된다.

Finally, we calculated two types of calibration scores (i.e., bias and accuracy) to generate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the participants’ performance judgments. For bias, we observed that although the learners overestimated (i.e. positive calibration bias) their skills on both Hx (M = + 45.99%) and PE (M = + 35.64%), they showed a greater level of overestimation for Hx, t (156) = 5.89, p < .05. The magnitude of this difference is considered medium (Cohen’s d = .48).


교정 정확도 측면에서 100점 만점은 완벽한 정확도를 나타내며 0점 만점은 완전한 부정확성을 나타낸다. 참가자가 Hx(M = 53.95%)와 PE(M = 62.72%) 모두에서 부정확함을 보였지만, Hx, t(156) = 5.30, p < .05에 대한 정확도는 상당히 낮았다. 이 관측된 차이는 중간정도(코헨의 d = .40)로 간주된다.

In terms of calibration accuracy, scores of 100 indicate perfect accuracy whereas scores of 0 represent complete inaccuracy. We found that although participants showed inaccuracy across both Hx (M = 53.95%) and PE (M = 62.72%), they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curacy scores for Hx, t (156) = 5.30, p < .05. This observed difference is considered medium (Cohen’s d = .40).



보정 점수 간의 관계

Relations among calibration scores


Pearson과 Point-biserial 상관관계는 교정 점수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계산되었다(표 2 참조). 우리는 특히 Hx와 PE 편향 점수 사이의 상관관계와 Hx와 PE 정확도 점수 사이의 상관관계에 관심이 있었다. 실질적으로 범위가 제한되었던 편향 점수(과대 추정 또는 과소 추정)의 정확한 해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우리는 이분법 변수(즉, 과소 평가 = 0, 과대 평가 = 1)를 생성하기로 결정했다. 그 결과 Hx와 PE 바이어스 점수(r = .18, p < .05)와 정확도 점수 사이의 양성 관계(r = .41, p < .05) 사이에 작은 양의 연관성이 나타났다. 따라서 

    • Hx에서 자신의 성과를 과대평가한 참가자는 PE에서 과대평가할 가능성이 높았다. 마찬가지로, 

    • Hx에서 높은 수준의 부정확성을 보인 학생들은 PE에서 높은 수준의 부정확성을 보고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Pearson and point-biserial correlations were calculated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calibration scores (see Table 2). We were specifically interested i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Hx and PE bias scores and between the Hx and PE accuracy scores. To facilitate accurate interpretation of the bias scores (over-estimation or under-estimation), which were substantially range restricted, we elected to create a dichotomous variable (i.e., underestimation = 0, overestimation = 1). The results revealed a small,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Hx and PE bias scores (r = .18, p < .05) and medium, positive relation between accuracy scores (r = .41, p < .05). Thus, participants who overestimated their performance on Hx were more likely to overestimate on PE. Similarly, students who exhibited high levels of inaccuracy on Hx were more likely to report high levels of inaccuracy on PE.



Discussion


Hx와 PE 사이의 차이점

Differences between Hx and PE


가설과 마찬가지로,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학생들의 성과와 인지 프로세스가 가상 환자의 Hx 및 PE 하위 작업에 따라 상당한 변화를 보인다는 것이었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러한 차이는 모든 성과(즉, 효과, 효율성)와 인지적 측정(즉, 사후 관할권에서의 편견과 정확도)에서 관찰되었다. 따라서, 우리의 연구에 고용된 특정 사례(즉, 철분결핍성 빈혈)에 대해서는, Hx 하위 작업이 PE보다 더 어렵고 복잡한 활동인 것으로 밝혀졌다. 성과 측면에서, 참가자들은 "이상적" 또는 전문가가 제시한 Hx 질문을 적게 사용했으며, PE 하위 작업 중 시험 조치의 사용과 효율성에 비해 Hx 동안 질문의 사용 효율성이 현저히 낮았다. 또한 참가자는 PE보다 Hx에 대한 성과 판단에 있어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의 과대평가와 전반적인 부정확성을 보였다.

As hypothesized, the primary finding in this study was that students’ performance and metacognitive processes showed significant variation across the Hx and PE subtasks of a virtual-patient encounter. As reflected in Table 1, these differences were observed across all performance (i.e.,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metacognitive measures (i.e., bias and accuracy in post-diction). Thus, for the particular case employed in our study (i.e., iron deficiency anemia), the Hx subtask was found to be a more challenging and complex activity than PE. In terms of performance, the participants used fewer of the “ideal” or expert-endorsed Hx questions and were significantly less efficient in their use of questions during Hx, relative to their use and efficiency in exam actions during the PE subtask. In addition,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overestimation and overall inaccuracy in their judgments of performance on Hx than on PE.


비록 이러한 인지적 판단 차이의 원인을 탐구하지는 않았지만, 우리의 결과는 (PE에 비해서) Hx가 실제로 더 복잡한 작업이고/또는 더 많은 수의 관련 부분parts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처럼 보인다 (Lin and Zabrucky 1998; Pieschl 20)09). Hx 하위 작업은 임상적 조우 초기에 발생하여 학생들이 다수의 조건을 해결하거나 증상을 제시하기 위해 많은 잠재적인 질문 중에서 선택할 필요가 있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PE는 환자 encounter의 후반부에서 이뤄지며, 자유도나 PE finding이 서로 어떻게 관련되는지 측면에서 더 제한적인 경향이 있다. 즉, PE 과제는 보다 작은 대상 집합(Fischer와 Budescu 2005)을 구별하는 데 있으며, 이는 Hx에서 경험했던 모호성과 전반적인 부담demands를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다.

Although we did not explore the causes of these metacognitive judgment differences, our results appear to convey that Hx is indeed a more complex task and/or may involve a greater number of associated parts; features which may make it more challenging to accurately assess performance on this subtask relative to PE (Lin and Zabrucky 1998; Pieschl 2009). The Hx subtask occurred at the beginning of the clinical encounter and thus necessitated students to select from a large number of potential questions to address a multitude of conditions or presenting symptoms. In contrast, PE activities occur towards the end of the encounter and tend to be more fixed in terms of degrees of freedom and how physical findings relate to one another. In other words, the PE task is more about discriminating among a smaller set of targets (Fischer and Budescu 2005), which likely cuts down on the ambiguity and overall demands experienced during Hx (Lin and Zabrucky 1998).


참가자의 오보정 특성에서 기술분석 결과, 거의 모든 개인이 Hx(n = 154; 98%)와 PE(n = 149; 95%) 모두에서 자신의 성과를 과대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평균적인 참가자들은 그가 실제로 했던 것보다 더 잘했다고 믿었다. 과대평가는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는 초심자에게 흔히 있는 함정이지만, 예측(즉, 하위 작업 이전에 내린 메타인지적 판단)보다는 사후적 판단(즉, 하위 작업 이후에 내린 메타인지적 판단)을 통해 측정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일반적으로, (참가자들이 인지적 판단을 요구 받기 전에 주어진 활동의 성격과 요구에 대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사후적 판단post-diction은 사전적 판단pre-diction보다 더 정확해야 한다(Pieschl 2009). 우리의 결과는 주목할 만한데, 이렇게 많은 수의 사람들이 비록 활동을 막 마쳤지만 두 하위 작업 모두에서 자신들의 성과를 과대평가했기 때문이다. 과대평가(Overestimation)는 개인이 실제로 활동에서 어려움을 겪거나 성과가 저조할 때 적응하거나 개선할 필요가 없다고 믿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문제가 많다(Blanch-Hartigan 2011; Chen and Bembenutty 2018).

In terms of the nature of the participants’ miscalibration, descriptive analysis revealed that almost all individuals overestimated their performance on both Hx (n = 154; 98%) and PE (n = 149; 95%). Thus, the average participant believed that he performed better than he had actually performed. While overestimation is a common pitfall for novices performing complex tasks, it is noteworthy that we measured metacognitive judgments via post-dictions (i.e., metacognitive judgments made following a subtask) rather than predictions (i.e., metacognitive judgments made prior to a subtask). Typically, post-dictions should be more accurate than predictions because participants get access to information about the nature and demands of a given activity before they are asked to make a metacognitive judgment (Pieschl 2009). Our results are noteworthy because such a large percentage of individuals overestimated their performance on both subtasks even though they had just completed the activities. Overestimation is highly problematic because it can lead individuals to believe that they do not need to adapt or improve when they are in fact struggling or underperforming on an activity (Blanch-Hartigan 2011; Chen and Bembenutty 2018).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임상추론은 내용(내용 특이성)과 상황의 특정성(맥락 특이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전체론적 과정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지만, 그러나 의료 교육자들은 또한 우선순위 평가, 진단 및 치료 계획 결정 및 정제 등과 같은 [임상 추론의 하위 작업을 분류하는 것의 가치]를 인정한다.(Juma and Goldszmidt 2017). 이 연구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임상적 추론을 하위 작업으로 바꾸는 것은, 특히 경험이 없거나 초보 임상의사가 자신의 gap을 거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의학교육자가 연습생 기술의 지식 격차gap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Blanch-Hartigan 2011; Davis et al. 2006; Kruger and Dunning 1999). 

As mentioned previously, clinical reasoning is often recognized to be a holistic process that is impacted both by content (content specificity) and the specifics of the situation (context specificity, Durning et al. 2012); yet, medical educators also recognize the value of categorizing the subtasks of clinical reasoning, such as assessing priorities and determining and refining diagnosis and treatment plans (Juma and Goldszmidt 2017). As illustrated in this study, breaking clinical reasoning into subtasks may help medical educators become better equipped to identify knowledge gaps in the skills of trainees, particularly given that inexperienced or novice clinicians are often largely unaware of these gaps (Blanch-Hartigan 2011; Davis et al. 2006; Kruger and Dunning 1999). 


또한, 하위 작업이나 임상 활동의 구성요소를 검사하면 복수의 추론작업을 저글링할 수 있고, 따라서 높은 인지 부하 또는 높은 정신적 노력을 경험할 수 있는 의대생이나 임상의사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Juma and Goldszmidt 2017). 이러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개인을 확인할 수 있는 능력은 현재 이 나라의 의사들이 보여주고 있는 의료 오류의 위기로 볼 때 시기적절하고 긴급한 것이다(Makary and Daniel 2016).

Moreover, examination of subtasks or components of a clinical activity may help to identify medical students or clinicians who may be juggling multiple reasoning tasks and, hence, experiencing high cognitive load or high mental effort (Juma and Goldszmidt 2017). The ability to identify such struggling individuals is both timely and emergent given the current crisis of medical errors exhibited by physicians in this country (Makary and Daniel 2016).


교정 척도와 퍼포먼스의 관계

Relations among calibration measures and performance


Hx와 PE 편향 점수(r = .18)와 Hx와 PE 정확도 점수(r = .41) 사이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관찰했지만, 정확도 점수의 경우 효과 크기가 더 컸다. 따라서 Hx에서 높은 정확도를 보인 학생들은 PE에서 높은 정확도를 보일 가능성이 비교적 높았다.

Although we observ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Hx and PE bias scores (r = .18) and between Hx and PE accuracy scores (r = .41), the effect size was larger for accuracy scores. Thus, students who displayed high levels of inaccuracy on Hx were moderately more likely to show high levels of inaccuracy on PE.


편향 점수, 이러한 결과는 부분적으로 두 편향 범주(즉, 과대평가 및 과소추정)에 걸친 범위의 제한에 기인했을 수 있다. 실제로 우리는 Hx 바이어스의 경우 3개(즉, 2%)와 PE 바이어스의 경우 8개(5%)만 과소평가를 관찰했다. 따라서 대다수의 참가자가 자신의 성과를 과대평가했다는 결과가 이전 연구(Blanch-Hartigan 2011; Davis et al. 2006)와 일치하지만, 범위의 제약이 관측된 관계의 크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bias scores, these results may have been due, in part, to a restriction of range across the two bias categories (i.e., over- and under-estimation). In fact, we only observed 3 under-estimators (i.e., 2%) for Hx bias and 8 under-estimators (5%) for PE bias. Thus, although the finding that the large majority of participants overestimated their performance was consistent with prior research (Blanch-Hartigan 2011; Davis et al. 2006), the restriction of range may have adversely affected the size of the observed relation.


초보 학습자가 임상 하위 작업 전반에 걸쳐 유사한 부정확성 패턴을 보이는 경향이 있지만, 그 부정확성의 수준은 하위 작업에 따라 다양할 것이다. 따라서 학습자의 메타인지적 판단의 정확도는 어떤 subtask에 대해서든 대체로 비슷할 수 있지만, 얼마나 성공적으로 수행했느냐는 subtask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it appears that there is a tendency for novice learners to exhibit similar patterns of inaccuracy across clinical subtasks, but that the level of that inaccuracy will vary as a function of the subtask. Thus, although the accuracy of the learners’ metacognitive judgments may be somewhat stable across subtasks, students may experience varying levels of success across those subtasks.


한계

Limitations


또한 본 연구에서 목표로 한 메타인식과 자기조절의 전체 범위가 상당히 좁았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다른 조절적(예: 전략 사용, 계획, 자가 평가) 및 동기부여적(예: 자기 효율성) 프로세스와 함께 동시적으로 메타 인식 판단을 검토하는 것은 임상 활동의 하위 작업 전반에서 차이를 더 완전히 이해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It is also noteworthy that the overall scope of metacognition and self-regulation targeted in this study was fairly narrow. Concurrently examining metacognitive judgments along with other regulatory (e.g., strategy use, planning, self-evaluation) and motivational (e.g., self-efficacy) processes can be useful for more fully understanding differences across subtasks of clinical activities.


함의, 미래 방향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우리의 결과는 임상적 추론을 전체론적 과정으로 개념화할 수 있지만, 일련의 하위 작업으로 보는 가치도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최근의 의학 교육 연구를 뒷받침한다(Juma and Goldszmidt 2017). 

Our results support recent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indicating that while clinical reasoning can be conceptualized as a holistic process, there is value in also viewing it as a series of subtasks (Juma and Goldszmidt 2017). 


또한, 의료 교육자와 연구자가 다음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임상 활동을 성공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필요하다(증상 식별, 상황 요인 고려, 데이터 통합, 환자와 마주치는 동안 진단 비교 및 대조 등)  

    • 초보 학습자는 그러한 활동의 다른 부분 또는 상황마다 기술, 신념 및 행동에 대한 뚜렷한 차이를 보일 수도 있다(Sargeant et al. 2010).

Further, it is important for medical educators and researchers to recognize that a range of skills is typically needed to succeed on most clinical activities, such as identifying symptoms, considering contextual factors, integrating data, and comparing and contrasting diagnoses during a patient encounter, and that novice learners may exhibit a distinct profile of skills, beliefs, and behaviors across different parts or situations of such activities (Sargeant et al. 2010). 


따라서 의학교육 연구자들은 임상 추론에서 하위 작업마다 임상의사의 성과가 어떻게 다른지 이해하고자 할 뿐만 아니라, 그 성과에 대해 생각하고 평가하는 품질도 모색해야 한다.

Thus,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should not only seek to understand how clinicians’ performance differs across subtasks in clinical reasoning, but also the quality with which they think about and evaluate that performance.


의료 교육 연구에 사용된 평가 방법론의 발전이 있었다(Andrews et al. 2016; Artino et al. 2014; Clearary et al. 2015). 예를 들어 클리어리, 동, 아티노는 마이크로 분석 평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가상-환자 만남 동안 의대생의 동기적 믿음과 규제 프로세스의 변화를 검토했다(Cleary et al. 2015). 이 방법론은 저자들이 임상적 만남 동안 그들의 차등 진단의 정확성에 관한 부정적인 피드백에 대응하여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 프로세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식별할 수 있게 했다. 우리는 마이크로 분석 프로토콜, think alouds, 또는 기타 세밀한 평가 유형(즉, 교정 평가)을 사용하면 일반적인 자기조절 프로세스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믿는다.

there have been advances in assessment methodologies used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Andrews et al. 2016; Artino et al. 2014; Cleary et al. 2015). For example, Cleary, Dong, and Artino used a microanalytic assessment protocol to examine shifts in the motivational beliefs and regulatory processes of medical students during a virtual-patient encounter (Cleary et al. 2015). This methodology enabled the authors to identify statistically significant shifts in the students’ self-efficacy and regulatory processes in response to negative feedback regarding the accuracy of their differential diagnosis during a clinical encounter. We believe that using microanalytic protocols, think alouds, or other types of fine-grained assessments (i.e., calibration assessment) can yield valuable information about regulatory processes in general.


연구자는 (이번 연구에서 그랬던 것처럼) 학생이 과제를 완수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뭉쳐진aggregated 판단을 내리는 것보다, 과제가 진행되는 중간중간에 여러 차례 이러한 도구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 더 유용할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러한 접근방식은 복잡한 임상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 동안 학습자에게 보다 미묘한 맥락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Andrews et al. 2016).

it would be useful for researchers to administer such tools at multiple points during a given subtask rather than wait until after a task is completed to gather a more aggregate judgment (as was the case in the current study). In doing so, such an approach can also help educators provide more nuanced and contextualized feedback to learners as they work through any complex clinical activity, including clinical cases that are incorporated into high-stakes assessments (Andrews et al. 2016).


이러한 초점은 의료 교육에서 측정의 미묘한nuanced 특성과 세분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진단 의료 오류의 위기를 고려할 때 특히 중요하다(Makary 및 Daniel 2016). 사실, 최근의 한 연구는 오보정이 이러한 오류에 중요한 기여 요인임을 시사한다. 연구 참가자(일반 내과의사)가 그들의 성과를 과대평가했을 때, 그들은 추가 진단 테스트를 추구할 가능성이 적었고, 이것은 결국 불행하게도 더 높은 오류율을 야기하게 만들었다(Meyer et al. 2013).

This focus on enhancing the nuanced nature and granularity of measurement in medical education is particularly important considering the crisis of diagnostic medical errors (Makary and Daniel 2016). In fact, a recent study suggests that mis-calibration is a key contributing factor to these errors; when study participants (general internists) overestimated their performance, they were less likely to seek additional diagnostic tests which, unfortunately, may have led to a higher error rate (Meyer et al. 2013).


잘못된 교정을 해결하기 위해 의료 교육자와 연구자는 두 가지 중요한 이니셔티브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 (a) 의대생이나 임상의사가 수행하는 핵심 임상 추리 활동의 기본 하위 과제를 명확히 구분하는 것과 

    • (b) 행동, 인지, 메타인지 프로세스를 대상으로 하는 평가 접근방식을 사용하는 것이다. 

In order to address mis-calibration, medical educators and researchers should focus on two critical initiatives: 

    • (a) clearly demarcating the underlying subtasks of core clinical reasoning activities performed by medical students or clinicians, and 

    • (b) using assessment approaches that target the behavioral, cognitive, and/or metacognitive processes during the activities. 


활동 중에 의료 교육자가 학생이나 임상의가 수행할 것으로 기대하는 업무나 활동의 성격에 전략적으로 초점을 맞추지 않는다면, 그들은 학습 최적화를 위한 데이터 정보 교정 또는 개입 지원을 식별하고 제공하는 것이 상당히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If medical educators do not strategically focus on the nature of the tasks or activities that they expect students or clinicians to perform, they will find it quite challenging to identify and provide data-informed remedial or intervention supports to optimize learning.


학습자 중 많은 수가 기술 부족을 보이고 일반적으로 스스로 수정하고 개선할 수 있는 적절한 자기 인식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는 연습생에게 특히 중요하다(Kruger and Dunning 1999). 따라서 향후 연구는 성과와 규제 과정을 의미 있게 평가할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임상 과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특정 임상 활동의 전문가들과 협력하여 가장 목적적합하고 중요한 하위구성요소를 파악한 후 이들 구성요소를 평가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구성해야 한다.

This is an especially important initiative for trainees, given that many of these learners exhibit skill deficits and typically lack adequate self-awareness to self-correct and improve on their own (Kruger and Dunning 1999). Thus, future research needs to carefully consider how to strategically “break up” clinical tasks so that performance and regulatory processes can be meaningfully assessed. To this end, researchers should collaborate with experts in a specific clinical activity to identify the most relevant and important subparts and then to structure the assessment protocols around these component parts.


Andrews, M. A., Kelly, W. F., & DeZee, K. J. (2016). Why does this learner perform poorly on tests? Using self-regulated learning theory to diagnose the problem and implement solutions. Academic Medicine, 94(4), 612–615.









 2019 May 16. doi: 10.1007/s10459-019-09897-2. [Epub ahead of print]

First-year medical students' calibration bias and accuracy across clinical reasoning activities.

Author information

1
Graduate School of Applied and Professional Psychology,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New Brunswick, NJ, USA. timothy.cleary@gsapp.rutgers.edu.
2
Graduate School of Applied and Professional Psychology,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152 Frelinghuysen Road, Piscataway, NJ, 08854-8085, USA. timothy.cleary@gsapp.rutgers.edu.
3
Division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Department of Medicine, F. Edward Hébert School of Medicine,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Bethesda, MD, USA.
4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Orlando, FL, USA.
5
General Internal Medicine, Walter Reed National Military Medical Center, Bethesda, MD, USA.

Abstract

To be safe and effective practitioners and learners, medical professionals must be able to accurately assess their own performance to know when they need additional help. This study explored the metacognitive judgments of 157 first-year medical students; in particular, the study examined students' self-assessments or calibration as they engaged in a virtual-patient simulation targeting clinical reasoning practices. Examining two key subtasks of a patient encounter, history (Hx) and physical exam (PE), the authors assessed the level of variation in students' behavioral performance (i.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and judgments of performance (i.e., calibration bias and accuracyacross the two subtasks. Paired t tests revealed that the Hx subtask was deemed to be more challenging than the PE subtask when viewed in terms of both actual and perceived performance. In addition to students performing worse on the Hx subtask than PE, they also perceived that they performed less well for Hx. Interestingly, across both subtasks,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overestimated their performance (98% of participants for Hx and 95% for PE). Correlat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overall level of accuracy in metacognitive judgments was moderately stable across the Hx and PE subtasks. Taken together,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assessing medical students' metacognitive judgments at different points during a clinical encounter.

KEYWORDS:

CalibrationClinical reasoning; Metacognition; Microanalytic assessment; Self-assessment; Self-regulated learning

PMID:
 
31098845
 
DOI:
 
10.1007/s10459-019-09897-2


심리와 학습: 임상학습환경의 역할(Med Teach, 2019)

Psychology and learning: The role of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Kelly J. Caverzagiea, Mitchell G. Goldenbergb and Jena M. Hallc

a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Nebraska College of Medicine, Omaha, Nebraska, United States; bDivision of Urology, Department of Surgery,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c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Queen’s University, Kingston, Ontario, Canada




도입

Introduction


보건의료 전문가들은 교사, 학습자 및 임상의사로서 

  • 환자와 인구집단을 위한 최상의 건강 성과를 달성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 획기적인 과학기술과 공감, 배려, 연민을 결합하고, 

  • 다양한 의료전문직의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협력한다.

Healthcare professionals, as teachers, learners, and clinicians, work together 

  • to combine groundbreaking science and technology with empathy, caring and compassion 

  • with the goal of achieving the best possible health outcomes for patients and populations, 

  • and to facilitate learning for a range of health professions.


개별 학습자 특성 및 학습 활동과 함께 학습이 발생하는 환경은 대학원 의사들의 학습과 전문적 발전에 중요하다. 사회적 인지 이론(반두라 1991)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학습은 "우리는 다른 사람로부터 배우고,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에서 배우고, 우리의 환경 내에서 안에서 배운다"와 같이 본질적으로 사회적인 것이다(Kauffman and Mann 2014, p. 9). 거의 모든 학습 맥락에서 학습자는 물리적 공간, 감독자, 동료 및 기타 의료 팀의 구성원을 포함하는 물리적 및 사회적 환경과 상호 작용한다.

Along with individual learner characteristics and those of the learning activity, the environment in which learning occurs is critical to the lear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ostgraduate physicians. As illustrated by social cognitive theory (Bandura 1991) learning is social in nature, such that “we learn from and in interaction with others and within our environment” (Kauffman and Mann 2014, p. 9). In almost any learning context, learners interact with a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 that includes the physical space, supervisors, colleagues, and other members of the health care team.


학습과 관련된 심리적 요인 

Psychological factors relevant to learning


지식과 기술의 습득은 본질적으로 인지적인 기능이다. 학습하기 위해서, 개인은 나중에 접근하여 나중에 회상할 때 활용되는 인지 신경경로를 확립하기 위해 새로운 정보를 처리해야 한다. 이러한 경로의 발전은 내부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skills is an inherently cognitive function. To learn, an individual must process new information to establish cognitive neuropathways that are subsequently accessed and utilized for later recall. The development of these pathways is influenced by internal characteristics


또한 학습 활동의 측면은 인지 부하 이론(van Merriuroenboer 및 Sweller 2010)에 의해 입증된 바와 같이 중요하다. 그 이론은 세 가지 요소를 강조한다.

In addition, aspects of the learning activity also are important as demonstrated by cognitive load theory (van Merri€enboer and Sweller 2010). The theory highlights three components

  • 내재적 부하는 특히 주어진 학습 활동의 용이성 또는 복잡성과 관련이 있다.

  • 외재적 부하는 집중을 방해하는 존재나 익숙하지 않은 용어의 사용과 같이 개인의 학습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활동 외부의 요인과 관련이 있다.

  • 본유적 부하는 학습 활동의 일부로 제시된 새로운 정보의 처리에 개인이 바치는 감정적, 정신적 에너지로서, 그 정보를 작업 기억과 연결시키고, 배운 것을 장기 기억으로 각인시키는 것이다.

  • Intrinsic load, as the name suggests, is specifically related to the ease or the complexity of the learning activity at hand.

  • Extrinsic load relates to factors external to the learning activity that influence an individual’s ability to learn, such as the presence of distractions or the use of unfamiliar jargon.

  • Germane load is the emotional and mental energy devoted by the individual to the processing of new information presented as part of the learning activity, connecting that information to the working memory, and imprinting what has been learned into long-term memory.

가장 좋은 학습 활동은 학습자가 [학습을 작업 메모리에 각인시키기 위해] [본유적 부하를 사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최적의 내인성 부하(즉, 학습자에게 적합한 도전적인 활동)를 제공]하고 [외인성 부하를 최소화]하는 활동이다.

The best learning activities are those that provide an optimal intrinsic load (i.e. challenging activity that is appropriate for that learner) and minimize extrinsic load with the goal of facilitating the learner’s use of germane load to imprint learning on the working memory.


두번째로 중요한 구조는 학습자의 자기효능감이다. 자기효능감은 "새롭거나, 예측할 수 없거나, 잠재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는 특징을 포함할 수 있는 활동 영역의 성과 능력에 대한 판단"이다 (Bandura 1977). 임상 감독자의 reassurance와 성찰 촉진은 학습자의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하다(Sagasser 등, 2017).

A second important construct is the individual learner’s self-efficacy, defined as individual “judgments of performance capabilities in a domain of activity that may contain features” novel, unpredictable, and potentially stressful (Bandura 1977). Clinical supervisors are critical to promoting learner self-efficacy through reassurance and promoting reflection (Sagasser et al. 2017),



심리적 안전

Psychological safety


심리적 안전[업무 환경에서, 자신의 신분에 대한 영향이나 업무 팀이나 그룹의 지위에 대한 위험 없이 말할 수 있다는 개인의 인식]으로 정의되어 왔다(Edmondson 및 Lei 2014). 또한 다른 정의로는 "학습자가 자신의 작업 환경이, [자기자신에 대한 본질적인 위험이 수반되는 행동]을 하기에 괜찮다conducive고 느끼는 정도" 가 있다(Bynum and Haque)

Psychological safety has been defined as individuals’ perceptions that they can speak out in a work environment without consequences for their professional standing, or risks to their status in work teams or groups (Edmondson and Lei 2014), as well as “the degree to … which learners perceive their work environment conducive to engaging in behaviours that have inherent intrapersonal risk” (Bynum and Haque 2016).


모든 학습 활동의 목표는 학습한 내용을 나중에 사용할 수 있도록 작업 메모리에 각인시키는 것이며(즉, 본유적 부하) 학습자는 심리적으로 안전한 환경에서 empowered된다(터너 및 하드어 2018). 심리적 안전이 결여된 상태에서 학습자는 판단, 보복, 굴욕, 무능감, 무가치함 등을 두려워하며, 때때로 학습과정을 피하고 철회하기 시작한다. 장기간에 걸쳐, 이러한 쇠퇴withdrawal은 소진 및 우울증에 기여할 수 있다(Bynum and Haque 2016).

the goal of any learning activity is to imprint what has been learned into working memory for later use (i.e. germane load) and learners become empowered in a psychologically safe environment (Turner and Harder 2018). In the absence of psychological safety, learners fear judgment, reprisal, humiliation, feelings of incompetence, and being unworthy, and may begin to avoid and withdraw from the learning process (Bynum and Haque 2016), at times exhibiting complete social withdrawal. Over prolonged periods, this withdrawal also can contribute to burnout and depression (Bynum and Haque 2016).


심리적 안전이라는 렌즈를 통해 우리는 [학습자가 정신적, 정서적(즉 심리적)의 안녕을 지각할 때 비로소 최적의 학습이 일어난다]는 것을 안다. 심리적으로 안전하다는 것은 학습자가 환경이 개개인의 학습 요구에 대해 지지적이라고 믿으며, 감독자와 학습자 사이의 관계가 신뢰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믿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 the lens of psychological safety, we know that optimal learning occurs only when the learner perceives mental and emotional (i.e.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means that the learner believes that the environment is supportive of their individual learning need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ervisor and learner is rooted in trust.


신뢰가 없으면 학습자는 disengage되고 건설적인 학습(즉, 새로운 정보를 작업 기억에 각인시키는 것)은 제한된다. 학습자-교사 관계 내에의 신뢰와 자신감이 쌓이면 학습 활동에 정서적 관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학습을 강화한다.

Without trust, learners will disengage and constructive learning (i.e. the imprinting of new information into the working memory) is limited. Having trust (Turner and Harder 2018) and confidence (Levett-Jones et al. 2009) built within the learner-teacher relationship allows for emotional engagement in the learning activity, thus enhancing learning.


심리적 안전은 또한 다른 팀원들과의 학습자의 관계와도 관련이 있다. 실제로 높은 심리적 안전 점수(즉, 심리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인식되는 환경)를 보여주는 환경은 개선된 팀 효율성과 도전을 성공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능력과 관련이 있다(Barling et al. 2018).

Psychological safety is also related to a learner’s relationships with other members of the team. In fact, environments which demonstrate high psychological safety scores (i.e. environments perceived as psychologically safe) correlate with improved team efficacy and the ability to successfully overcome challenges (Barling et al. 2018).


"학습 환경은 어떻게 학습의 심리적 본질을 최적화할 수 있는가?"

“How can the Learning Environment optimize the psychological nature of learning?”


일곱 가지 전략

Seven strategies


참가자들은 학습을 최적화하기 위해 임상 환경 내에서 채택될 수 있는 7가지 중요한 전략을 확인했다.

participants identified seven overarching strategies that could be employed within the clinical environment to optimize learning.



Box 1,

상자 1. 임상 학습 환경의 심리적 측면을 개선하기 위한 제안:

Box 1. Suggestions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단기

Short-term

  • 연수생과 교사들의 서포트 및 회복탄력성 향상 프로그램 구축

  • 안전한 장소에서 학습자와 교직원을 참여시킬 수 있는 공식적인 구조와 루틴 개발(예: 중요 사건 보고)

  • 다른 사람의 노고를 인정

  • 비공식 커리큘럼을 학습에 중요한 것으로 명시적으로 인정

  • 임상 시스템과 교육 시스템 간의 공통 목표 식별

  • 교사와 학습자 사이의 '블랙박스' 개방, 의사 및 다른 전문가들 간의 '블랙박스' 개방

  • 공통의 임무를 수행하고 공통의 목표를 이해 

  • Establish programs for support and to enhance resilience in trainees and their teachers

  • Develop formal structures and routines to engage learners and faculty in a safe place (e.g. critical incident debriefing)

  • Acknowledge the hard work of others

  • Explicitly call out informal curriculum as being critical to learning

  • Identify common goals between clinical and educational systems

  • Open up the “black box” between teachers and trainees, and between physicians and other professionals

  • Embrace a common mission and understand common goals 


장기

Long-term

    • 의료 시스템과 교육 시스템 간의 긴밀한 연계 촉진(예: 재정, 운영)

    • 의료 시스템 내에서 교육 프로그램 통합(예: 품질 및 환자 안전)

    • 실천 공동체 구축

    • 학습자와 그 교사(예: 피드백, 코칭, 역할 모델링, 권한 부여, "Just Culture")를 위한 기술 개발 촉진

    • "브릿징 리더" 구축

    • 의료 환경에서 교육을 장려하기 위한 규제 변경 촉진

    • "정의로운 문화"를 촉진하고 편협함과 수치심을 제거한다.

    • 심리적으로 안전한 인력 운영(예: 품질 개선/환자 안전 및 환자 보고 결과를 건강한 인력진 결과와 연계)


    • Promote tighter alignment between clinical systems and educational systems (e.g. financial, operational)

    • Integrate educational programs within clinical systems (e.g. quality and patient safety)

    • Establish communities of practice

    • Facilitate skills development for learners and their teachers (e.g. feedback, coaching, role modeling, empowerment, “Just Culture”)

    • Establish “bridging leaders”

    • Foster regulatory changes to incentivize education in the clinical environment

    • Promote a “Just Culture” and remove intolerance and a culture of shame

    • Operationalize a psychologically safe workforce (e.g. link quality improvement/patient safety and patient-reported outcomes to that of a healthy workforce)



전략 #1: 학습을 핵심 가치로 수용

Strategy #1: Embrace learning as a core value


배움은 시간, 탐구, 실수에 대한 적응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현대의 임상 환경에서는 이러한 핵심 요소들이 심각하게 축소될 수 있다. 학습자와 교수진에 대한 임상 실적 압박(예: 생산성, 처리량, 전자 건강 기록에 대한 데이터 입력 요구)등은 의도하지 않은 학습 장벽을 만들 수 있다.

Learning requires time, exploration, and adapting to mistakes. In the modern clinical environment, however, these key ingredients may be severely curtailed. Reasons include clinical pressures on learners and faculty (e.g. productivity, throughput, data entry demands for electronic health records), which may create unintended barriers to learning.


학습 과정은 [뛰어난 환자 치료]와 [뛰어난 학습]이라는 두 가지의 공통 사명을 추구하는 리더십을 지향하는 것이 필요하다. 

  • 첫 번째는 안전하고 지지적인 환경에서 학습자가 실시간으로 임상에 기여하도록 최적화하는 것이며, 

  • 두 번째는 잘 훈련되고 전문적으로 사회화되며 참여적인 미래의 노동력이 미래에 개별 교육 기관과 사회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이해다.

learning process requires orienting leadership around a common mission of excellent patient care and excellent learning, based on two concepts. The first is optimizing the real-time clinical contributions of learners in a safe and supportive environment; and the second is an understanding that a well-trained, professionally socialized and engaged future workforce will benefit the individual teaching institution and society well into the future.



전략 #2: 의료 시스템을 교육이 풍부한 환경으로 활용

Strategy #2: Utilize the clinical care system as an education-rich environment


(의료시스템을 교육적으로 풍요로훈 환경으로 활용한다면) [교육의 성과가 환자 치료 시스템의 성과와 align될 것]이며, [교육 환경이 유익한 환자 결과 달성을 지원하도록 적절하게 배치될 것]이다. 학습자를 환자 안전 및 품질 개선 활동에 참여시키는 것은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기관의 임상 요구를 통합하는 예다(Chacko et al. 2018).

This would ensure that the outcomes of education are aligned with those of the patient care system and tha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s appropriately positioned to support achieving beneficial patient outcomes. Involving learners into patient safety and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is an example of integrating the needs of the educational program with the clinical needs of the institution (Chacko et al. 2018).


이러한 통합을 촉진하기 위해 보건 시스템은 교육 및 시스템 수준 목표를 조정하기 위한 리더의 기능을 수행하는 "브릿징 리더"의 확립을 고려해야 한다(Myers et al. 2017).

To facilitate this integration, health systems should consider establishing “bridging leaders” who function in that leadership capacity to align educational and systems-level goals (Myers et al. 2017).


전략 #3: 학습 프로세스를 최적화할 수 있는 개인 레벨의 기술 개발

Strategy #3: Develop individual-level skills to optimize the learning process


훈련자의 평가, 피드백, 롤모델 기술이 향상된다면 학습자의 신뢰를 확립하고 심리적 안전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Improved trainers’ skills in learner assessment, feedback, and role-modeling will contribute to establish learners’ trust and contribute to enhanced perceptions of psychological safety.


학습자는 긍정적인 학습 환경을 구축하고 유지하는 방법을 교육받아야 한다. 전공의의 경우, 다음을 포함한다.

  • 능동적인 학습, 

  • 자신의 학습(즉, 학습 자기 효율)을 관리하기 위해 일하는 동안 위험을 탐색하고 감수하는 것 

  • 회복탄력성 향상 (미국 심리 협회 2014)

learners should be trained in how to establish and maintain a positive learning environment. For postgraduate trainees, this includes 

  • actively learning, 

  • exploring and taking risks while working to manage their own learning (i.e. their learning self-efficacy) and 

  • enhance their resilienc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4)


전략 #4: 의식과 보상

Strategy #4: Rituals and rewards


졸업후 의학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 환경은 임상 절차와 의식ritual을 개발해야 함

Postgraduate physician education programs and teaching settings need to develop clinical routines and rituals


이를 위해서는 성찰적 학습 기회를 더 주어야 한다. (Wald et al. 2015). 그러기 위해서는

  • 학습 세션이나 임상 세션을 배워야 할 목표에 대해서 명확히함으로써 시작해야 하고,

  • 종료 시에는 개인 학습 또는 그룹 학습에 대한 성찰이 있어야 한다.

This may entail increasing about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learning (Wald et al. 2015), 

  • by beginning learning or clinical sessions with an explicit acknowledgment about lessons to be learned from the activity, and 

  • reflection at the end of the activity about individual or group learning.


또한 임상 시스템은 학습자(및 기타)가 크리티컬 사건 후 보고를 하고, 공동체와 지지의 감각을 발달시킬 수 있는 조직 내의 "안전 공간"을 개발해야 한다(West et al. 2018).

Clinical systems also should develop an organizational “safe space” where learners (and others) can debrief after a critical incident and develop a sense of community and support (West et al. 2018).


전략 5위: '정의로운 문화' 구축

Strategy #5: Establish a “Just Culture”


심리적으로 안전한 학습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일환으로, 학습자들은 안전함을 느끼고 굴욕, 보복 또는 수치심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 이 안전한 환경은 "정의의 문화"의 핵심 구성요소로서, 이 문화에서 모든 팀 구성원들은 안전 문제가 징벌받지 않는 방식으로 제기되고 해결되는 환경을 지지할 것으로 기대된다(Dekker 2008).

As part of establishing a psychologically safe learning environment, learners must feel safe and be without fear of humiliation, retribution or shame. This safe environment is a key component of “Just Culture,” in which all team members are expected to advocate for an environment where safety concerns are raised and addressed in a non-punitive manner (Dekker 2008).


전략 #6: 경쟁 요인 제거

Strategy #6: Remove competing factors


심리적으로 안전한 학습 환경을 구축하려면 의도하지 않은 학습 장벽을 제거해야 한다. 대학원 연수생에게 공통적인 예로는 자주 마주치는 것은 호출로 인한 중단이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비응급적이거나 비임상적인 문제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호출은 양호한 의사소통 및 환자 관리를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지만, 이것은 새로운 정보가 작업기억에 각인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Establishing a psychologically safe learning environment entails removing unintentional barriers to learning. For postgraduate trainees, a common example is the frequently encountered pager (bleeper) interruptions, which commonly are for non-emergent or non-clinical issues. While intended to promote good communication and patient care, these pages can be a distraction and interrupt the imprinting of new information in working memory (van Merri€enboer and Sweller 2010).


또 다른 관련 것은 역량을 개발할 기회가 점점 부족해진다는 것이다. 기술이 발전하고 질병의 치료법이 발전함에 따라 학습자들은 임상적 능력이나 필요한 절차적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충분한 학습 경험을 접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Another relevant example is the growing lack of opportunity with which to develop competence. As technology advances and our treatment of disease evolves, learners are finding it increasingly difficult to encounter enough learning experiences to develop clinical competence or requisite procedural skills.


마지막으로, 임상 및 교육 규제 기관과 지불 시스템은 모든 보건전문직 학습자를 위한 교육 및 학습 프로세스를 장려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현재 대부분의 임상 치료는 시간, 양, 길이 또는 환자 성과의 지표를 사용하여 보상된다. 그것들은 또한 임상 환경에서 최적의 학습에 중요한 경쟁 요소로서 작용한다. 전공의 교육에 필요한 시간, 노력 및 전문 지식도 중시해야 할 시점이다(Gold et al. 2015).

Finally, clinical and educational regulatory bodies and systems of payment should consider incentivizing education and the process of learning for all health professions learners. At present, most clinical care is compensated using metrics of time, volume, length, or patient outcome. they also serve as a significant competing factor to optimal learning in the clinical environment. It is time to also value the time, effort and expertise required for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Gold et al. 2015).


전략 #7: 실천 공동체 구축

Strategy #7: Build communities of practice


개인 간의 연계는 보복의 두려움 없이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고 행동하는 팀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연결은 서로 다른 역할과 책임을 가진 개인들 사이의 대인 관계 발전에 의존한다.

Connectedness among individuals improves the team’s ability to communicate effectively and act without fear of reprisal. These connections rely upon the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st individuals who have different roles and responsibilities.


임상 학습에서는, 학습자에게 적절한 학습 활동를 제공하고, 정확하고 부정확한 결정에서도 뭔가를 배우도록 위험을 감수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 접근방식은 고기능 팀의 맥락에서 적절한 감독과 팀 기반의 협력적 관리를 요구한다.

In clinical learning, it is critical that the learner is presented with appropriate learning activities, be allowed to take risks and learn from correct and incorrect decisions. This approach, however, also requires appropriate supervision and team-based collaborative care in the context of a high functioning team.


결국 목표는 학습자를 공동체의 주변부 구성원에서 핵심 구성원으로 역할로 옮기는 것이다.

At the end of the day, the goal is to move the learner from the periphery of the community into the role of integral member.



고찰

Discussion


심리적으로 안전한 학습 환경은 개인의 탐구 및 대인 위험 감수(Bynum and Haque 2016; Torralba and Puder 2017)를 통해 학습을 촉진한다. 또한 혁신을 촉진하고(터너 및 하드어 2018) 학습자 자기효율을 확립할 수 있다(비넘 및 하크 2016; 토랄바, 푸더 2017). 

Psychologically safe learning environments promote learning through personal exploration and interpersonal risk-taking (Bynum and Haque 2016; Torralba and Puder 2017). They can also promote innovation (Turner and Harder 2018) and establish learner self-efficacy (Bynum and Haque 2016; Torralba and Puder 2017).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높은 수준의 심리적 안전성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은 [환자에게 제공되는 치료의 질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환자 안전 문제를 보고]하려는 학습자의 의도와 관련이 있다(Appelbaum et al. 2016).

Potentially most important, learners’ perceptions of a high degree of psychological safety is correlated with greater learner intention to report adverse patient safety events (Appelbaum et al. 2016), which is important to improving the quality of care provided to patients.



Sagasser MH, Kramer AWM, Fluit CRMG, van Weel C, van der Vleuten CPM. 2017. Self-entrustment: how trainees’ self-regulated learning supports participation in the workplace.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2:931–949. XXX


Bynum WE, Haque TM. 2016. Risky business: psychological safety and the risks of learning medicine. J Grad Med Educ. 8:780–782.






 2019 Apr;41(4):375-379. doi: 10.1080/0142159X.2019.1567910. Epub 2019 Feb 14.

Psychology and learning: The role of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uthor information

1
a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 University of Nebraska College of Medicine , Omaha , Nebraska , United States.
2
b Division of Urology, Department of Surgery , University of Toronto , Toronto , Ontario , Canada.
3
c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 Queen's University , Kingston , Ontario , Canada.

Abstract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for the postgraduate education of physicians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learning process and the outcomes of learning. Two critical aspect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when viewed through a psychology lens are (1) constructs from psychologyrelevant to learning, such as cognitive load theory and learner self-efficacy; and (2) psychological attributes of the context in which learningoccurs such as psychological safety and "Just Culture". In this paper, we address selected psychological aspects of the clinical learningenvironment,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establishment and sustainment of psychological safety in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for physicians. Psychological safety is defined as individuals' perceptions that they can speak out in the learning or working context without consequences for their professional standing or risks to their status on work teams or groups. We close with seven critical strategies for use by educators, learners, health systems leaders, and other stakeholders to contribute to a clinical environment that optimizes learning. These dimensions can also provide avenues for future research to enhance the community's understanding of psychological constructs operating in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PMID:
 
30761927
 
DOI:
 
10.1080/0142159X.2019.1567910


여섯 개 핵심 영역의 도전과 기회: CLER 전국 보고서(J Grad Med Educ, 2016)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the Six Focus Areas: CLER National Report of Findings 2016

Kevin B. Weiss, MD and James P. Bagian, MD, PE on behalf of the CLER Evaluation Committee




도입

Introduction


ACGME는 인증 요건에 환자 안전, 품질 개선 및 전문성 요소를 포함시켰다. 이러한 요소는 CLER(임상 학습 환경 검토) 프로그램의 6개 중점 영역을 선택하는 데 자극제가 되었다.

The ACGME has incorporated elements of patient safety, quality improvement, and professionalism in accreditation requirements; these elements served as the impetus for selecting the six focus areas of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Review (CLER) Program


후원 기관, 병원 및 의료 센터는 예를 들어 CLER 1차 방문의 결과에 반영되는 환자 안전, 의료 품질 및 전문성에 대한 전공의 및 전임의 교육에 점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Sponsoring Institutions, hospitals, and medical centers are paying increasing attention to educating residents and fellows about patient safety, health care quality, and professionalism as is reflected in the results from the first round of CLER visits  For example, among the residents and fellows interviewed


• 약 3/4가 환자 안전 분야에서 임상 현장의 우선순위를 알고 있다고 보고함

• Approximately three-quarters reported they knew the clinical site’s priorities in the area of patient safety


• 거의 95%가 부작용, 부재/폐쇄 통화 또는 안전하지 않은 상태를 보고하기 위한 임상 현장의 프로세스를 알고 있다고 보고함

• Nearly 95% reported knowing the clinical site’s process for reporting an adverse event, near miss/close call, or unsafe conditions


• 63%가 품질 개선을 위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해 조직화된 시스템에 즉시 액세스할 수 있다고 보고함

• Sixty-three percent reported they had ready access to organized systems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for the purpose of quality improvement


• 거의 모든 사람이 전문성 및 윤리성에 대한 기관 교육에 참석했다고 보고함

• Nearly all reported they have attended institutional training on topics of professionalism and ethics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임상 학습 환경(CLE)이 교육을 통해 환자의 안전과 품질을 둘러싼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s (CLEs) are engaged in efforts to increase awareness of the issues surrounding patient safety and quality through education


환자 안전

Patient Safety


Findings

• 많은 CLE가 환자 안전에 대한 교육을 제공했지만, CLE가 전공의, 전임의 및 교수진에게 경험적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드문 일이었다.

• While many CLEs provided didactic training in patient safety, it was uncommon for CLEs to provide residents, fellows, and faculty members with opportunities for experiential learning.


• 일반적으로 전공의와 전임의는 [환자 안전 사건을 정의하는 조건의 범위]와 치료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서 [CLE가 어떻게 부작용과 near misses and close calls를 사용하는지]에 대한 명확성과 인식이 부족했다. 

• In general, residents and fellows lacked clarity and awareness of the range of conditions that define patient safety events and were unaware of how CLEs use the reporting of adverse events and near misses/ close calls to improve systems of care, both broadly and at the individual departmental level.


• 대부분의 전공의와 전임의는 환자 안전 사건을 보고하는 CLE의 프로세스를 알고 있었지만, 그 중 일부만이 직접 사건을 보고하는 데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연습생들이 보고서를 제출하거나 다른 사람들이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했을 때, 많은 사람들은 CLE로부터 거의 또는 전혀 피드백을 받지 못했다.

• Though most residents and fellows were aware of their CLE’s process for reporting patient safety events, fewer of them appeared to have used it themselves to report events. When trainees did file a report, or have others file it for them, many received little or no feedback from the CLE.


• CLE 전체에서 적은 수의 전공의와 전임의 및 교직원만이 환자 안전 사건 검토 및 분석과 같은 전문가 간, 학제간, 시스템 기반 개선 노력에 참여했다.

• Across CLEs, a limited number of residents, fellows, and faculty members participated in interprofessional, interdisciplinary, systems-based improvement efforts such as patient safety event reviews and analyses.


보건의료 퀄리티

Health Care Quality


Findings

• CLE 전체에서 대부분의 전공의와 전임의 및 교직원은 조직의 의료 품질 개선(QI) 우선순위를 잘 알고 있다고 표시했으며, 때로는 이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었다.

• Across CLEs, most residents, fellows, and faculty members indicated they were aware of the organization’s priorities for health care quality improvement (QI); occasionally they could accurately identify them.


• 대부분의 전공의와 전임의가 QI 프로젝트에 참여한다고 밝힌 반면, 인터뷰에 응한 많은 사람들은 QI 개념과 CLE가 도입하고 있는 QI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 및 접근법에 대한 제한된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 While most residents and fellows indicated they participate in QI projects, many interviewed appeared to have a limited knowledge of QI concepts and the specific methods and approaches to QI employed by the CLE.


• 많은 전공의와 전임의들은 QI 참여를 CLE 또는 부서에서 규정한 솔루션을 구현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 같았다.

• Many residents and fellows seemed to view QI engagement as implementing solutions prescribed by the CLE or their department.


• 대부분의 CLE에서 전공의와 전임의전문직간 QI 팀에 제한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In most CLEs, residents and fellows appeared to have limited participation in interprofessional QI teams.


헬스케어 분열

Health Care Disparities


Findings

• CLE에 의료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한 공식적인 전략은 거의 없으며, 또한 이미 알려진 취약한 환자 모집단의 임상 결과에 제공되는 치료의 variability를 식별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방식도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 Few CLEs appeared to have a formal strategy for addressing health care disparities or a systematic approach to identifying variability in the care provided to or clinical outcomes of their known vulnerable patient populations.


• 의료 격차를 해소할 때, 많은 CLE는 저소득 환자에 대한 진료 접근성 개선 또는 통역 서비스 또는 지역사회 요구 평가와 같은 규제 요건을 충족하는 것과 같은 특정 문제에 초점을 맞추었다. CLEs가 전공의와 전임의를 의료 불균형 문제에 참여시켰 때, 대부분의 경우에는 환자를 선택하기 위한 직접 서비스(예: 저소득 지역사회 기반 클리닉의 환자)를 제공하거나 단기 지역사회 홍보 프로젝트(예: 건강 박람회)의 맥락에서 관리를 제공하는 수준에 그쳤다.

• In addressing health care disparities, many CLEs were focused on specific issues such as improving access to care for low-income patients, or meeting regulatory requirements such as interpreter services or community needs assessments. When the CLEs involved residents and fellows in health care disparities, it was most often at the level of providing direct service to select patients (such as those at low-income community-based clinics) or providing care in the context of short-term community outreach projects (e.g., health fairs).


• 대부분의 CLE에서 의료 불균형 및 문화적 역량에 대한 교육과 훈련은 대체로 일반적이며, 기관에서 serve하는 특정 인구를 다루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일반적으로 CLEs 전체에서 전공의와 전임의들은 의료의 불균형과 문화적 역량에 대해 배우는 것이 ad hoc으로만 이뤄진다고 보고했다.

• Across most CLEs, education and training on health care disparities and cultural competency was largely generic, and often did not address the specific populations served by the institution. Generally across CLEs, residents and fellows reported that learning about health care disparities and cultural competency was happening in an ad-hoc manner.


의료 전환

Care Transitions


Findings


• 일반적으로 CLE는 급성 병원 환경에서 급성 치료 후 치료(예: 외래, 중간 또는 장기 치료)로 환자를 전환하는 프로세스를 표준화하고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전공의와 전임의들은 때때로 이러한 전략을 설계하기 위한 CLE의 노력에 참여하였다.

• In general, CLEs were working to standardize and improve their processes for transitioning patients from the acute hospital setting to post-acute care (e.g., ambulatory, intermediate, or long-term care). Residents and fellows were occasionally engaged in the CLE’s efforts to design these strategies.


• 때때로 CLE는 전공의와 전임의 팀에 할당된 환자의 부서 간inter-departmental 이전transfer을 관리하기 위해, [표준화된 조직 차원의 접근 방식]을 모색하고 있음을 나타냈다(예: ED to initient, OR OR, ICU to Floor, Medical to the Medical to 수술에 대한 의약품).

• Occasionally CLEs indicated they were working towards a standardized organization-wide approach to managing inter-departmental transfer of patients assigned to resident and fellow teams (e.g., ED to inpatient, OR to ICU, ICU to floor, or medicine to surgery).


• 대부분의 CLE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치료 전환의 필수적인 요소를 포함하는 의무 변경 시 전공의와 전임의 인계hand-offs을 용이하게 하는 표준화된 접근방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Most CLEs did not appear to have a standardized approach to facilitating resident and fellow hand-offs at change of duty that included the essential elements of safe, reliable transitions of care.


• CLEs 전체에서 일부 프로그램만이 전공의와 전임의change-of-duty hand-offs 기술을 평가하기 위해 공식적인 기준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이 교직원을 전공의와 전임의의 유인물을 관찰하는 데 지속적으로 참여시키는 것은 드문 일이었다.

• Across CLEs, a limited number of programs appeared to use formal criteria to assess residents and fellows’ skills in change-of-duty hand-offs. It was uncommon for programs to consistently engage faculty members in observing resident and fellow hand-offs.


감독

Supervision


Findings

• 대부분의 CLE에서, 전공의와 전임의, 교직원은 GME 커뮤니티 내에서 전반적인 면밀한 감독 문화를 보고했다. CLEs는 또한 과소감독과 과잉감독의 과제에 직면했다. 많은 교직원과 프로그램 감독들은 외부 요인들이 (훈련 후 전공의와 전임의의 clinical practice에 대한 준비를 가로막는) 과대감독의 문화에 기여하고 있다고 인식했다.

• Across most CLEs, residents, fellows, and faculty members reported an overall culture of close supervision within the GME community. CLEs also faced challenges of underand over-supervision. Many faculty members and program directors perceived that external factors were contributing to a culture of over-supervision that impeded resident and fellow readiness for clinical practice after training.


• 대부분의 CLE에 걸쳐, 부적절한 감독이 이뤄진다고 생각되는 임상적 상황에 처한 동료들을 직접 경험했거나 목격했다고 보고한 전공의와 전임의들이 있었다.

• Across most CLEs, there were residents and fellows who reported that they have personally experienced—or have witnessed peers in—clinical situations in which they felt there was inadequate supervision.


간호사와 기타 의료진에게 개별 전공의가 환자에게 시술을 수행하는 것을 감독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자원을 제공하는 CLE는 거의 없었다.

• Few CLEs provided nursing and other clinical staff members with systematic resources that allowed them to check an individual resident’s required level of supervision for performing a patient procedure.


• 일부 프로그램 책임자는 지난 1년 동안 전공의 감독와 관련된 관리 문제를 보고했으며, 그 중 일부는 환자 안전 이벤트와 관련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CLEs의 환자 안전 및 품질 리더는 환자 안전 사건이 발생한 후 후향적으로 검토한 경우를 제외하고, 전공의와 전임의에 대한 감독을 적극적으로 모니터링하지 않았음을 표시했다.

• Some program directors reported having managed issues related to resident supervision within the past year, some of which were related to patient safety events. In general, the CLEs’ patient safety and quality leaders indicated that they did not actively monitor the supervision of residents and fellows except retrospectively, after a patient safety event had occurred.


피로 관리, 경감, 근무시간

Fatigue Management, Mitigation, and Duty Hours


Findings

• 일반적으로 CLE는 전공의와 전임의를 위한 일종의 피로 관리를 개발하여 시행하였다. 인증기준에 따라 요구되는 전략(예: 근무시간 제한 준수, 콜룸 이용가능성, 피로관리 교육 등), 기타 전략(주민이 너무 피곤해서 집까지 운전할 수 없을 때 택시승차 제공 등)이 포함되었다.

• In general, CLEs had developed and implemented some form of fatigue management for residents and fellows. Strategies included those required by accreditation standards (e.g., adherence to duty hour restrictions, availability of call rooms, and education on fatigue management), as well as other strategies (such as offering taxi rides when the resident was too tired to drive home).


• 많은 CLE에서 전공의와 전임의, 교직원 및 간호사는 작업 시간 이외의 요인(예: 환자 체적 또는 고농축 환자 치료 기간)과 관련된 전공의의 피로를 관찰했다고 보고하였다.

• In many CLEs, residents, fellows, faculty members, and nurses reported observing resident fatigue that was related to factors other than the number of hours worked (e.g., periods of high patient volume or high-acuity patient care).


• 많은 CLE에서 교직원들은 그들 자신의 피로가 상당히 증가했다고 보고했다.

• In many CLEs, faculty members repor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ir own fatigue.


• 많은 GME 프로그램은 의무 시간 제한을 엄격하게 적용했다. 이것은, 추가적인 문제가 일어날 것을 우려해서, 사실상 ACGME의 공통 프로그램 요건에 의해 허용된 예외조차 사용하지 않을 정도로 엄격했다. 

• Many GME programs enforced duty hour limits so strictly that they, in effect, discouraged using the exceptions permitted by the ACGME Common Program Requirements due to concerns this would trigger added scrutiny and/or citations.


• 많은 교직원들과 프로그램 책임자들은 근무시간 요건을 준수하기 위한 기관의 노력은 잦은 hand-offs를 야기하고, 이로 인해 환자에 대한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고 인식했다.

• Many faculty members and program directors perceived that there could be increased risk to patients due to frequent hand-offs prompted by institutional efforts to comply with duty hour requirements.


전문직업성

Professionalism


Findings


• 거의 모든 CLE에 걸쳐 전공의와 전임의 및 교직원은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교육을 받았다고 보고했다. 전공의와 전임의들에게 이 교육은 오리엔테이션과 그 이후의 연례 온라인 모듈에서 가장 자주 일어났다.

• Across nearly all CLEs, residents, fellows, and faculty members reported that they had received education about professionalism. For residents and fellows, this education most frequently occurred at orientation, and through subsequent annual online modules.


• 일부 CLE, 전공의와 전임의 및 스텝들은 주치의, 전공의, 간호사 또는 기타 의료진이 disruptive하거나 무례한 행동을 하는 것을 목격하거나 경험했다고 기술했다. 이는 고립된 사건에 대한 설명에서부터 조직 전체에 만연하고 지속적이며 만연했던 파괴적인 행동에 대한 주장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 Across some CLEs, residents, fellows, and clinical staff described witnessing or experiencing incidents of disruptive or disrespectful behavior on the part of attending physicians, residents, nurses, or other clinical staff. These ranged from descriptions of isolated incidents to allegations of disruptive behavior that was chronic, persistent, and pervasive throughout the organization.


• 일부 전공의와 전임의들은 윗사람을 만족시키기 위해 자신의 청렴성을 훼손해야 했다고 보고하였다. 많은 CLEs에서, 리더쉽은 이러한 인식을 인식하지 못했다.

• Some residents and fellows reported they have had to compromise their integrity to satisfy an authority figure. In many CLEs, leadership was unaware of this perception.


• 대부분의 CLE에서 전공의와 전임의, 교수진 및 프로그램 책임자는 [GME에 의해 제공하는 메커니즘 외의 assistance를 요청할 경우 전공의와 전임의가 인지된 학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따라야 할 프로세스]에 대한 공유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보였다.

• In most CLEs, residents, fellows, faculty members, and program directors appeared to lack a shared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residents and fellows would follow to resolve perceived mistreatment if seeking assistance outside of the mechanisms offered by GME.





 2016 May;8(2 Suppl 1):25-34. doi: 10.4300/1949-8349.8.2s1.25.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the Six Focus AreasCLER National Report of Findings 2016.

PMID:
 
27252801
 
PMCID:
 
PMC4888450
 
DOI:
 
10.4300/1949-8349.8.2s1.25


어떻게를 아는 것과 왜를 아는 것: 절차적 술기 전이에 대한 인지적 통합의 영향(Adv in Health Sci Educ, 2017)

Knowing How and Knowing Why: testing the effect of instruction designed for cognitive integration on procedural skills transfer

Jeffrey J. H. Cheung1,2 • Kulamakan M. Kulasegaram1,3 • Nicole N. Woods1,3 • Carol-anne Moulton1,4 • Charlotte V. Ringsted5 • Ryan Brydges1,6,7





도입

Introduction


시뮬레이션 기반 훈련이 가질 것으로 생각되는 이점은 연습생들이 학습한 내용을 후속 학습 경험 및 궁극적으로는 임상 실습으로 전이transfer하는 것이다(Hamstra et al. 2014).

An assumed benefit of simulation-based training is that trainees will transfer what they learn effectively into subsequent learning experiences, and ultimately, into their clinical practice (Hamstra et al. 2014).


  • 사후 시험 및 보존 시험은 정보를 회수하거나 성능을 재현하는 연습자의 능력을 평가하는 반면, 

  • 전이transfer 시험은 기존 지식과 기술을 새로운 맥락에 적용하는 연습자의 능력을 평가한다(Chi and VanLehn 2012; Needham and Begg 1991). 

Post-tests and retention tests assess a trainee’s ability to recall information or reproduce performance, whereas transfer tests assess a trainee’s ability to apply previous knowledge and skills to new contexts (Chi and VanLehn 2012; Needham and Begg 1991). 


따라서 시뮬레이션 기반 훈련에 관한 문헌의 대부분의 경험적 연구와 리뷰는 [교육자가 어떻게 전이를 개선하기 위한 훈련을 설계해야 하는지]를 다루지 않았다.

Hence, most empirical studies and reviews of the literature on simulation-based training have not addressed whether and how educators can design training to improve transfer.


개선된 이전 결과와 연계된 한 가지 교육적 manipulation에는 학습자에게 [관련 지식 유형 사이에 의미 있는 관계를 만들도록 지시하는 것(인지적 통합cognitive integration이라 불리는 프로세스)]을 포함한다(Kulasegaram et al. 2013, 2015). 예를 들어 학습자에게 임상 진단을 하도록 가르칠 때의 인지적 통합은 진단에 필요한 임상 징후와 증상(예: 임상과학)과 함께 질병의 기본 메커니즘(예: 기초과학 지식)에 대한 개념적 설명을 제시하는 교육 자료에 의해 가장 잘 support되는 것으로 보인다(Baghda).dy et al. 2014a; Kulasegaram et al. 2013, 2015). 

One instructional design manipulation linked to improved transfer outcomes involves directing learners to create meaningful relationships between relevant types of knowledge—a process called cognitive integration (Kulasegaram et al. 2013, 2015). When teaching learners to make clinical diagnoses, for example, cognitive integration appears to be best supported by instructional materials presenting conceptual explanations about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disease (e.g., basic science knowledge) alongside the clinical signs and symptoms required for diagnosis (e.g., clinical science) (Baghdady et al. 2014a; Kulasegaram et al. 2013, 2015). 


이러한 통합적 교육은 초보 학습자의 임상 추론 퍼포먼스의 retention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인다(Baghdady 등). 2009년, 2013년, 2014a, b; Woods 등, 2005년, 2006년, 2007a) 또한 더 어려운 임상 사례에서 정확하게 진단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이라 할 수 있는 새로운 문제에 대한 전이transfer 능력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인다(Woods 등, 2007b).

Such integrated instruction appears to enhance novice learners’ retention of clinical reasoning performance (Baghdady et al. 2009, 2013, 2014a, b; Woods et al. 2005, 2006, 2007a), as well as their ability to transfer learning to novel problems, as measured by the ability to diagnose more difficult clinical cases accurately (Woods et al. 2007b).


임상 추론에서처럼, 인지적 통합은 학습자가 [정신운동 기술의 학습과 전이을 위한 underlying 기억 구조]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는 과정일 수 있다(Schmidt 1975). Psychomotor 기술은 고도로 인지적인 활동으로서, 과제의 계획, 조율, 조절, 해석과 같은 수많은 의사결정 과정을 필요로 한다(Starkes and Allard 1993).

Like in clinical reasoning, cognitive integration may be a process that helps learners develop the underlying memory structures for psychomotor skills learning and transfer (Schmidt 1975). Psychomotor skills are highly cognitive, requiring numerous decision making processes such as planning, coordinating, regulating, and interpreting movement tasks (Starkes and Allard 1993).


통합적인 교육은 학습자에게 정신운동 기술에 대한 학습을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상세하게 하기 위한 개념적 기질을 제공할 수 있다.

Integrated instruction, then, may provide learners with the conceptual substrate to mor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elaborate their learning of psychomotor skills.


기존에 임상추론 기술에 대해 이루어진 [인지적 통합]에 관한 연구를 시뮬레이션 기반 기술 훈련으로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반드시 통합해야 하는 지식의 유형]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임상 추론에서는 임상과학과 기초과학을 통합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왔다. 이 두 종류의 지식은 각각 절차적 지식개념적 지식으로 더 광범위하게 분류될 수 있다(de Jong과 Ferguson-Hessler 1996).

To translate the work on cognitive integration from clinical reasoning skills to simulation-based procedural skills training, we need to identify the types of knowledge that learners must integrate. In clinical reasoning, the focus has been on integrating clinical science and basic science. These two types of knowledge can be more broadly categorized as procedural and conceptual knowledge, respectively (de Jong and Ferguson-Hessler 1996).


  • 절차적 지식은 'knowing how'로 특징지을 수 있으며, 여기에 해당하는 지식은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구체적인 단계에 대한 지식으로 정의될 수 있고, 이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능력도 포함한다(Baroody et al. 2007). 

  • 개념적 지식은 'knowing why'로 특징지을 수 있으며, [특정 문제나 절차에 반드시 얽매이지 않는] 일반화와 원칙에 대한 지식으로 정의된다(Baroody et al. 2007). 이 지식은 해부학과 생리학을 포함한 기초과학으로 생각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 Procedural knowledge can be characterized as ‘knowing how’, and is defined by knowledge of the specific steps to achieve a particular goal, including the ability to execute these steps (Baroody et al. 2007). 

  • Conceptual knowledge can be characterized as ‘knowing why’, and is defined as knowledge of generalizations and principles that are not necessarily tied to particular problems or procedures (Baroody et al. 2007). This knowledge can include what is thought of as basic sciences, including anatomy and physiology.



Methods


참여자

Participants


절차적 숙련도의 retention과 transfer에 대한 통합적 교육의 효과 크기에 대한 기존 연구가 없었기 때문에, 우리는 관련 영역의 이전 연구를 기반으로 표본 크기를 선택하는 원칙을 사용했다(Norman 등, 2012). 시뮬레이션에서 지침 설계 특징을 비교할 때 유의한 큰 효과를 발견한 연구의 중간 표본 크기를 나타내는 30명의 참가자를 모집하기로 했다(Cook et al. 2013). 특히, 30명의 참가자는 simple mediation analysis을 사용하는 사회 심리학 연구에서 lower end에 있다(Rucker 등, 2011).

Without previous studies on the effect size of integrated instruction on procedural skills retention and transfer, we used the principle of selecting sample size based on previous studies in a related domain (Norman et al. 2012). We chose to recruit 30 participants, which represents the median sample size of studies that have detected significant large effects when comparing instructional design features in simulation (Cook et al. 2013). Notably, 30 participants is within the range (on the lower end) of studies in social psychology that employ simple mediation analyses (Rucker et al. 2011).


학습 자료

Learning materials


기존 비디오(Haji 등 2016)를 수정하여 How 및 How에 대한 지침 비디오를 개발했다. How 그룹과 How and Why 그룹. 두 비디오 모두 lateral decubitus position에서 시뮬레이션된 환자에게 LP 단계의 구두 지시와 전문가 데모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동일한 절차를 포함했다. How and Why 그룹의 비디오를 위해, 우리는 How 그룹의 비디오에 [왜에 대한 구두 및 시각적 지침(즉, 핵심 절차 단계의 기초가 되는 인과적 설명)]을 통합했다.

We modified pre-existing videos (Haji et al. 2016) to develop the instructional videos for the How and How ? Why groups. Both videos included the same procedural how verbal instructions and expert demonstrations of the steps of LP on a simulated patient in the lateral decubitus position. For the How ? Why group’s video, we integrated conceptual why verbal and visual instructions (i.e., causal explanations underlying key procedural steps) into the How group’s video.


두 동영상을 비교한 예는 그림 1에 제시되어 있다.

An example comparing the two videos is provided in Fig. 1.



절차

Procedure


참가자들은 개별적으로 이 연구를 완료했다. 우리는 참가자를 자가 조절 시뮬레이션 기반 LP 교육 세션에서 서로 다른 교육 자료에 대한 접근 권한을 받은 두 그룹으로 무작위화했다. 한 그룹은 지시 비디오(어떻게 그룹)와 다른 그룹은 개념적 이유와 함께 동일한 절차적 지침이 있는 비디오를 어떻게 받았는가(어떻게? 왜 그룹인가.)

Participants completed this study individually. We randomized participants into two groups that received access to different instructional materials during a self-regulated simulation-based LP training session. One group received the procedural how instructional video (How group) and the other received a video with the same procedural instructions, along with conceptual why explanations (How-Why group).


우리는 연수생들에게 제공되는 지식의 종류와 양에 대한 잠재적 차이를 통제하기 위해 외부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외부 피드백의 부족이 학습에 문제가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우리의 연구 설계는 참가자들이 각 LP 시도 전후에 교육용 비디오에 대한 자기조절적접근을 보장했다. 실제로, 자기조절적 observational practice는 강사가 통제하는 연습에 비해 운동 기술 학습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여러 번 확인되었다(Chung et al. 2016; Domuracki et al. 2015; Wulf 2007).

We chose not to provide external feedback to control for potential differences in the type and quantity of knowledge provided to trainees. While the lack of external feedback may seem problematic for learning, our study design ensured participants had self-regulated access to the instructional video before, during, or after each LP attempt. Indeed, self-regulated observational practice has been repeatedly shown to enhance learning of motor skills compared to instructor-controlled practice (Cheung et al. 2016; Domuracki et al. 2015; Wulf 2007).



절차지식과 개념지식 평가

Procedural and conceptual knowledge testing


참가자들이 교육용 비디오에 제공된 절차 및 개념 지식을 얼마나 잘 이해하고 있는지를 테스트하기 위해, 우리는 두 가지 필기 시험을 개발했다. 절차적 지식 테스트는 참가자들에게 13단계의 LP를 적절한 순서로 정렬할 것을 요구하였다.

To test how well participants understood the procedural and conceptual knowledge provided in the instructional videos, we developed two written tests. The procedural knowledge test required participants to sort 13 steps of LP into the appropriate order.


(i) 왜 바늘을 15도 각도로 맞추는가?(1점)

(ii) 왜 바늘이 환자의 옆구리를 향하게 하는가? (3점)

(iii) L3–L4 또는 L4–L5 영역에 입력하는 이유(1점)

(iv) 왜 우리는 삽입 장소의 중앙에서 바깥쪽으로 청소하는가? (2점)

(v) 스타일릿이 있는 상태에서 바늘을 삽입하고 제거하는 이유는? (3점)

(i) Why do you angle your needle at 15 degrees? (1 points)

(ii) Why do you have the bevel of the needle facing the patient’s side? (3 points)

(iii) Why do we you enter at the L3–L4 or L4–L5 area? (1 points)

(iv) Why do we you clean in an outward fashion from the centre of the insertion site? (2 points)

(v) Why do we you insert and remove the needle with the stylet in place? (3 points)


요추천자 평가 시나리오

Lumbar puncture performance testing scenarios


참가자들은 다발성 경화증을 배제하기 위해 일상적인 LP가 필요한 건강한 환자로 구성된 훈련, 시험 후 및 보존 시나리오를 경험했다(Haji 등 2016). 훈련, 시험 후, 그리고 보존 테스트의 경우 시뮬레이터를 측면 디커비투스 위치에 놓고, 정상적인 연조직과 정상적인 척추 해부학을 나타내는 척추 삽입물을 사용했다. 

Participants experienced training, post-test, and retention scenarios consisting of a healthy patient requiring a routine LP to rule out multiple sclerosis (Haji et al. 2016). For training, post-test, and retention test, we positioned the simulator in the lateral decubitus position, and used a spine insert representing normal soft tissue and normal spinal anatomy. 


전이 테스트 시나리오의 경우 시뮬레이터를 똑바로 앉은 자세로 배치하고, 정상 척추 해부학으로 비만 환자를 나타내는 척추 삽입물을 사용했다. 임상적 줄기는 환자가 열이 나고, 수막염을 배제하기 위해 LP가 필요하며, 옆으로 누워 있는 것을 참을 수 없다는 점에 주목했다. 특히 '비만' 인서트에는 연조직 층이 두껍게 되어 있어 LP 시술에 대한 랜드마킹의 어려움을 가중시킨다.

For the transfer test scenario, we positioned the simulator in the upright sitting position, and used a spine insert representing an obese patient with normal spinal anatomy. The clinical stem noted that the patient was feverish, required LP to rule out meningitis, and could not tolerate lying on his side. Notably, the ‘obese’ insert has a thicker layer of soft tissue that increases the difficulty of landmarking for the LP procedure.


학습 성과

Study outcomes


동일한 두 명의 blinded rater가 LP용으로 개발된 45개 항목별 작업별 점검표(CL)와 5점 리커트 척도로 6차원을 기록한 글로벌 등급 척도(GRS)를 사용하여 각 성과를 독립적으로 채점했다(Martin et al. 1997). 이전 연구에서는 이러한 평가 도구 두 개가 모두 연구 연구에 사용하기에 유리한 유효성 증거를 가지고 있음을 입증하였다(Brydges et al. 2012). 시뮬레이션 기반 연구(Brydges et al. 2012; Igen et al. 2015)에서 CL에 비해서 GRS가 타당성 근거가 더 나은 것을 토대로, retention 및 transfer 테스트에 대해서는 GRS 점수를 주요 결과로 간주하였다.

The same two blinded raters independently scored each performance using a 45-item task-specific checklist (CL) developed for LP (Lammers et al. 2005) and a global rating scale (GRS) with 6 dimensions scored on a 5-point Likert scale (Martin et al. 1997). Previ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both of these assessment tools have favourable validity evidence for use in a research study (Brydges et al. 2012). Based on consistent findings of better validity evidence for GRS versus CL data in simulation-based studies (Brydges et al. 2012; Ilgen et al. 2015), we consider GRS scores on retention and transfer test as the primary outcomes.


통계 분석

Statistical analyses


그룹 간 및 사전 훈련 및 보존 테스트에서 개념적 및 절차적 지식 테스트 점수를 비교하기 위해 2 9 2(그룹 9 테스트) 반복 측정 분산 분석(ANOVA)을 사용했다.

To compare concep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test scores between groups and across pre-training and retention tests we used a 2 9 2 (group 9 test) repeated measures mixed analysis of variance (ANOVA).


간단한 조정 회귀 분석(즉, 경로 분석의 한 형태)을 수행하기 위해(Hayes 2013; Leppink 2015; Rucker et al. 2011), SPSS 버전 22(Hayes 2013에서 제공) PROCESS 매크로를 사용하여 참가자의 할당된 그룹, 개념 지식 점수, 보유 및 전송 테스트 점수를 평가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모델에서 개념 지식 점수를 중재자로 포함시킬 때 그룹 처리의 직간접적 영향(그림 3A)과 LP 성능에 대한 그룹 처리의 총 효과를 평가할 수 있었다(그림 3B).

To conduct our simple mediation regression analyses (i.e., a form of path analysis) (Hayes 2013; Leppink 2015; Rucker et al. 2011), we used the PROCESS macro for SPSS Version 22 (provided in Hayes 2013) to assess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nts’ assigned group, their conceptual knowledge scores, and their retention and transfer test scores. These analyses allowed us to assess the total effect of our group treatment on LP performance (Fig. 3A), as well as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our group treatment when including conceptual knowledge scores as a mediator in the model (Fig. 3B).



결과

Results


절차지식과 개념지식 평가

Procedural and conceptual knowledge test performance


우리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retention(r = .47, p = .01)과 transfer(r = .43, p = .02) 모두에서 GRS 점수와 긍정적이고 유의하게 개념적 지식 시험 점수가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Our correlation analyses revealed conceptual knowledge test scores related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with GRS scores at both retention (r = .47, p = .01) and transfer (r = .43, p = .02). 


반대로 절차적 지식 시험 점수는 보존(r =-03, p = .89) 또는 전송(r = .19, p = .32)에서 GRS 점수와 유의하게 상관관계가 없었다.

Conversely, the procedural knowledge test scores did not correlate significantly with GRS scores at either retention (r =-.03, p = .89) or transfer (r = .19, p = .32).


Retention과 Transfer GRS 점수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r = 28, p = .14).

retention and transfer GRS scores did not correlate significantly (r = .28, p = .14),


시험 후 GRS 점수는 어떤 결과 측정값과도 유의하게 상관관계가 없었다.

post-test GRS scores did not correlate significantly with any outcome measure.



요추천자 

LP performance tests


그림 4A의 경로 c는 그룹이 보존(c =-.13) 또는 전송(c =-.26)에 미치는 유의한 총 영향이 없음을 보여준다. 그림 4B는 모델의 개념적 지식 점수를 중재자 변수로 회계처리할 때 GRS 유지 및 이전 점수의 단순한 조정 분석을 나타낸다.

Path c in Fig. 4A shows there was no significant total effect of group on retention (c =-.13) or transfer (c =-.26). Figure 4B depicts the simple mediation analysis of GRS retention and transfer scores when accounting for conceptual knowledge scores in the model as a mediator variable.



고찰

Discussion


우리는 시뮬레이션 기반 LP 기술을 가지고, 초보 학습자에게 "왜"에 대한 개념적 설명을 "어떻게"에 절차적 교육에 통합하였을 때 retention and transfer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했다. 우리의 결과는 cognitive integration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설계된 교육이 retention과 transfer를 높였음을 보여주었으며, 이러한 효과는 학습자의 conceptual knowledge 향상에 의해서 중재되었다. 그러나 통합적 교육과 retention/transfer의 유의한 total effect는 없었다.

We examined the effects of integrating conceptual why explanations with procedural how instructions on novice learners’ skill retention and transfer of simulation-based LP skills. Our results demonstrated an indirect effect of instruction designed to enhance cognitive integration on the retention and transfer of LP skills, an effect that was mediated by participants’ improved conceptual knowledge. There was however, no significant total effect of integrated instruction on either retention, or transfer.


우리의 결과를 교육 효과의 관점에서 해석하면, 데이터는 동일한 개념적 지식 시험 점수를 가진 두 참가자의 경우, 어떻게+왜 그룹이 retention GRS에서 평균 0.93점, transfer GRS에서 평균 0.59점을 더 얻는다. 이것은 5점 만점에 19%와 12%의 차이이다.

Interpreting our results in terms of educational effect, the data show that for two participants with the same conceptual knowledge test score, a participant in the How ? Why group would score an average of .93 more points on the GRS at retention and an average of .59 more at transfer. Scored out of 5, this translates to a difference of 19 and 12%, respectively.


우리의 가설과 관련하여, 통합적 교육은 개념적 지식 점수의 개선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었고, R & T 결과 개선과 간접적으로 연관되었다.

Related to our hypotheses, the integrated instruction was associated directly with improved conceptual knowledge scores, and it was associated indirectly with improved transfer and retention outcomes.


가설과 마찬가지로, 즉각적 post-test 점수는 다른 변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발견하지 못했다.

As hypothesized, we fou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mmediate post-test scores and any other variable.


우리의 결과는 임상 추론 기술에 대한 인지적 통합을 강화하도록 설계된 지침의 이점을 시뮬레이션 기반 절차 기술 훈련(즉, 정신 운동 기술의 숙련된 성능)으로 입증하는 이전의 연구 결과를 확장한다. 임상 추론을 가르칠 때 임상 및 기초 과학 지식을 인지적으로 통합하면cognitive integration 학습자가 결과적으로 개념적 일관성conceptual coherence을 발달시킴으로써 진단 능력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된다(Kulasegaram et al. 2013). 진단적 추론에서 개념적 일관성은 학습자가 [기초과학 개념에 의해 구조화된 coherent mental representation]에다가 [임상 지식을 조직화organize]할 수 있을 때 생겨난다(Woods 2007; Woods et al. 2007a).

Our results extend previous findings showing benefits of instruction designed to enhance cognitive integration for clinical reasoning skills to the training of simulation-based procedural skills (i.e., skilled performance of a psychomotor skill). When teaching clinical reasoning, cognitive integration of clinical and basic science knowledge is thought to benefit diagnostic ability through the resulting conceptual coherence developed by learners (Kulasegaram et al. 2013). Conceptual coherence, in diagnostic reasoning, is present when learners can organize their clinical knowledge into coherent mental representations, structured by basic science concepts (Woods 2007; Woods et al. 2007a).


절차 기술을 가르칠 때, 통합적 교육은 학습자가 신체적 행동을 조직화하는데 필요한 개념적 일관성conceptual coherence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즉, R & T 결과에 대한 통합적 교육의 간접적, 긍정적인 효과는 향상된 개념적 지식이 참여자들이 LP의 절차 단계를 구성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더 잘 지원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When teaching procedural skills, integrated instruction may also help learners to create conceptual coherence that organizes their physical actions. That is, the indirect positive effect of integrated instruction on transfer and retention outcomes implies that improved conceptual knowledge may have better enabled participants to organize and perform the procedural steps of LP.


교육설계와 전이를 위한 통합적교육의 함의

Implications of integrated instruction for instructional design and transfer


우리의 연구결과는 절차적 지식과 개념적 지식의 인지적 통합을 지원하는 교육설계에 의해 시뮬레이션 기반의 procedural skill의 transfer가 개선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현재는,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에 대한 교육설계적 특징에 통합적 지침이 생략되어 있다(Cook et al. 2012; Issenberg et al. 2005; McGagie et al. 2010). 통합이 언급되더라도, 인지 통합이 가장 잘 지원되는 세션session 레벨이 아니라 커리큘럼 레벨(예: 한 프로그램에서 4개의 시뮬레이션 반나절 포함)에서 논의된다(예: 각 4시간 반일 동안 시뮬레이션을 어떻게 사용할지 정확히 계획).

Our findings suggest that transfer of simulation-based procedural skills can be improved by instructional designs that support cognitive integration of procedural and conceptual knowledge. Current lists of instructional design features recommended for simulation-based training omit integrated instruction (Cook et al. 2012; Issenberg et al. 2005; McGaghie et al. 2010). When integration is described, it is discussed at the curriculum level (e.g., including four simulation half-days in a program), rather than at the session level where cognitive integration is best supported (e.g., scheduling exactly how simulation will be used during each 4-h half-day) (Kulasegaram et al. 2013).


교육 및 임상 추론(Mylopoulos et al. 2016; Mylopoulos and Woods 2014)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Retention에 도움이 되는 인지 메커니즘과 그에 따른 교육설계는 Transfer에 도움이 되는 메커니즘 및 설계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Findings from education and in clinical reasoning (Mylopoulos et al. 2016; Mylopoulos and Woods 2014) suggest the cognitive mechanisms, and thus the instructional designs, supporting retention may not be the same as those supporting transfer.


한계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Conclusions


우리의 연구는 지금껏 간과되어온 교육 설계의 특징을 잡아낸다. 즉, procedure를 교육할 때에는 [절차적 지식]과 [그 이유에 대한 개념적 지식] 사이에 관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통합적 교육을 해야한다.

our study adds an instructional design feature that has largely been over-looked in this domain: integrated instruction that helps learners form relationships between their procedural knowledge of how and their conceptual knowledge of why when learning a procedure.



Domuracki, K., Wong, A., Olivieri, L., & Grierson, L. E. M. (2015). The impacts of observing flawed and flawless demonstrations on clinical skill learning. Medical Education, 49(2), 186–192. doi:10.1111/ medu.12631.


Hamstra, S. J., Brydges, R., Hatala, R., Zendejas, B., & Cook, D. A. (2014). Reconsidering fidelity in simulation-based training: Academic medicine, 89(3), 387–392. doi:10.1097/ACM. 0000000000000130.


Ilgen, J. S., Ma, I. W. Y., Hatala, R., & Cook, D. A. (2015). A systematic review of validity evidence for checklists versus global rating scales in simulation-based assessment. Medical Education, 49(2), 161–173. doi:10.1111/medu.12621.


Kulasegaram, K. M., Manzone, J. C., Ku, C., Skye, A., Wadey, V., & Woods, N. N. (2015). Cause and effect: Testing a mechanism and method for the cognitive integration of basic science. Academic Medicine, 90, S63–S69. doi:10.1097/ACM.0000000000000896.


Kulasegaram, K. M., Martimianakis, M. A., Mylopoulos, M., Whitehead, C. R., & Woods, N. N. (2013). Cognition before curriculum: Rethinking the integration of basic science and clinical learning. Academic Medicine, 88(10), 1578–1585. doi:10.1097/ACM.0b013e3182a45def.


Mylopoulos, M., Brydges, R., Woods, N. N., Manzone, J., & Schwartz, D. L. (2016). Preparation for future learning: A missing competency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edical Education, 50(1), 115–123. doi:10.1111/medu.12893.


Mylopoulos, M., & Woods, N. (2014). Preparing medical students for future learning using basic science instruction. Medical Education, 48(7), 667–673. doi:10.1111/medu.12426.










 2018 Mar;23(1):61-74. doi: 10.1007/s10459-017-9774-1. Epub 2017 Apr 22.

Knowing How and Knowing Whytesting the effect of instruction designed for cognitiveintegration on procedural skills transfer.

Author information

1
The Wilson Centre, University Health Network,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jeffreyjcheung@gmail.com.
2
SickKids Learning Institute, Hospital for Sick Children, Toronto, Canada. jeffreyjcheung@gmail.com.
3
The Wilson Centre, University Health Network,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4
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5
Department of Surgery,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6
Centre for Health Science Education, Faculty of Health, Aarhus University, Århus, Denmark.
7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8
Allan Waters Family Simulation Centre, St. Michael's Hospital, Toronto, Canada.

Abstract

Transfer is a desired outcome of simulation-based training, yet evidence for how instructional design features promote transfer is lacking. In clinical reasoning, transfer is improved when trainees experience instruction integrating basic science explanations with clinical signs and symptoms. To test whether integrated instruction has similar effects in procedural skills (i.e., psychomotor skills) training, we studied the impact of instruction that integrates conceptual (why) and procedural (how) knowledge on the retention and transfer of simulation-based lumbar puncture (LP) skill. Medical students (N = 30) were randomized into two groups that accessed different instructional videos during a 60-min self-regulated training session. An unintegrated video provided procedural How instruction via step-by-step demonstrations of LP, and an integrated video provided the same How instruction with integrated conceptual Why explanations (e.g., anatomy) for key steps. Two blinded raters scored post-test, retention, and transfer performances using a global rating scale. Participants also completed written procedural and conceptual knowledge tests. We used simple mediation regression analyses to assess the total and indirect effects (mediated by conceptual knowledge) of integrated instruction on retention and transfer. Integrated instruction was associated with improved conceptual (p < .001) but not procedural knowledge test scores (p = .11). We found no total effect of group (p > .05). We did find a positive indirect group effect on skill retention (B ab  = .93, p < .05) and transfer (B ab  = .59, p < .05), mediated through participants improved conceptual knowledge. Integrated instruction may improve trainees' skill retention and transfer through gains in conceptual knowledge. Such integrated instruction may be an instructional design feature for simulation-based training aimed at improving transfer outcomes.

KEYWORDS:

Basic science; Cognition; Instructional design; Integration; Path analysis; Procedural skills; Simulation; Transfer

PMID:
 
28434131
 
DOI:
 
10.1007/s10459-017-9774-1


소크라테스가 소크라테스방법을 임상교육에 썼을까? (J Gen Intern Med. 2016)

Would Socrates Have Actually Used the "Socratic Method" for Clinical Teaching?

Hugh A. Stoddard, M.Ed., Ph.D.1 and David V. O’Dell, M.D.2

1Department of Medicine, Emory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tlanta, GA, USA; 2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Nebraska College of Medicine, Omaha, NE, USA.




연습생들에게 유난히 어려운 질문을 던지는 관행이 구어적으로 pimping이라 알려져 있는데, 1989년 JAMA 기사에서 처음 만들어졌던 tongue-in-cheek을 말하는 용어다.1

The practice of posing exceptionally difficult questions to trainees is colloquially known as pimping, a tongue-in-cheek term that was first coined in a JAMA article in 1989.1


pimping, "좋은 임상 교수", "소크라테스의 철학" 사이의 경계와 교차점은 모호하게 남아 있다.

the boundaries and intersections between "pimping", "good clinical teaching", and the "philosophy of Socrates" remain blurred.


배경

BACKGROUND


소크라테스와 그의 방법

Socrates and His Method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은 진정한 지식은 인간 본성의 특징이라고 제안했다. 진정한 지식은 선천적이지만, 물질 세계에 대한 감각적 인식으로 인해 발생한 가짜 지식을 거부하고, 이상적인 세계에 존재하는 완벽에 대한 지식에 초점을 맞추어야만 실현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소크라테스에게 가르치는 행위는 교사로부터 "학생"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불완전한 물질 세계에 대한 지각적 지식에 대한 의존을 중단]하도록 돕고, [논리와 추론을 통해 introspectively 진정한 지식을 발견하도록 자극]하는 운동이었다.5,6

Socrates and Plato proposed that true knowledge was a characteristic of human nature. Although true knowledge was innate, it could be actualized only by rejecting bogus knowledge—which occurred due to sensory perceptions of the material world—and focusing on knowledge of perfection which existed in an ideal world. Thus, to Socrates, the act of teaching did not consist in transmitting information from teacher" to "student," but was an exercise in helping students to cease their reliance on perceptual knowledge of the imperfect material world, and stimulating them to introspectively discover true knowledge through logic and reasoning.5,6


소크라테스에게 있어서, 교사는 정보를 전달하는 사람이 아니었다. 대신에, 가르침은 cross-examination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오류을 인정하는 과정을 겪고, 그리고나면 provocative한 질문 던짐으로써 내면을 들여다보고introspection 진정한 지식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소크라테스 자신의 교육학은 사실을 진술하는 것을 꺼렸다. 대신에, 그는 학생들에게 일련의 질문들을 제기함으로써, 그들이 스스로 지식을 추론하도록 직면하고 도전하도록 만들고자 했다.

For Socrates, a teacher should not deliver information. Instead, teaching consisted in prompting students, through cross-examination, into acknowledging their own fallacies and then asking them provocative questions to steer them towards realizing true knowledge via introspection. Socrates’ own pedagogy eschewed making statements of fact. Instead, he would pose a series of questions that confronted students and challenged themto deduce knowledge on their own.


그의 철학적 신념을 고려할 때 소크라테스식 질문은 지식을 향해 가는 길 중, 지식 자체의 본질과 조화를 이루는 유일한 방법이었다.5,7,8 요컨대 진정한 소크라테스식 방법은 뾰족한pointed 질문을 함으로서 가르치는 것을 의미하며, 소크라테스가 교육적 도구로서 질문들을 사용했던 것은 의학 교육자들과 관련이 있다.

Given his philosophical beliefs, Socratic questioning was the only path to knowledge that was harmonious with the nature of knowledge itself.5,7,8 In short, the genuine Socratic method means teaching by posing pointed questions, and Socrates’ deployment of questions as a pedagogical tool remains relevant to medical educators.


현대적 맥락에서 소크라테스적 방법

Socratic Teaching in a Contemporary Context


소크라테스식 교수법은 현대 교수법의 4가지 일반적인 범주 중 하나이다. 우리는 이러한 범주를 "가르침의 왕국"이라고 부를 것이다.9 이 네 개의 왕국은 질문을 하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제공하는 측면에서 교사와 학생들이 수행하는 역할에 따라 묘사된다. 네 왕국은 강의식, 소크라테스식, 탐구식, 발견이다. 
The Socratic style of teaching is one of four general categories of contemporary teaching methods. We will refer to these categories as the "Kingdoms of Teaching."9 These four kingdoms are delineated according to the roles played by teachers and students in terms of posing questions and providing answers to those questions. The four kingdoms are: didactic, Socratic, inquiry, and discovery. 
    • 강의식 교육학생 참여는 최소화하고, 교사가 학생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 소크라테스식 교육에서, 선생님에 의해 일련의 질문들이 제기되며, 학생들은 질문들에 대한 응답을 하게 된다. 
    • 탐구적 교육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의 지식 부족을 확인하게 되며, 그 결함을 해결하기 위한 guidance를 받기 위하여 선생님에게 질문을 한다. "Just-in-time Learning"은 이 왕국에 잘 들어맞는다. 12 
    • 발견적 교육은 탐구적 교육을 한층 더 확장하는데, 여기서는 학생들이 지식결손을 확인하고 스스로 문제를 고안해 낼 뿐만 아니라, 문제 기반 학습과 같이 독자적으로 답을 찾는 것을 강조한다.
    • Didactic instruction entails a teacher delivering the desired information to students with a minimum of student participation. 
    • In Socratic instruction, a series of questions is posed by the teacher, and responses to those questions are provided by students.10,11 
    • Inquiry instruction centers on the students identifying their own knowledge deficit and then asking questions of the teacher for guidance to resolve that deficit. "Just-in-time learning" fits into this kingdom. 12 
    • The discovery kingdom extends the inquiry kingdom by emphasizing that students not only identify knowledge deficits and devise their own questions, but that they find the answers independently, such as in problem-based learning.13

핌핑

Pimping


소크라테스식 강의 왕국과는 달리, 핌핑은 교사이 학습자에게 던지는 순차적인 질문을 이용한다.1

Not unlike the kingdom of Socratic instruction, pimping uses sequential questioning of learners by teachers.1


핌핑은 지식의 확장은 이루어지지 않은 체, 힘의 차이를 강화시하며, 위계를 고착화한다.14 핌핑 질문은 새로운 지식을 자극하기 보다는 무지를 드러내기 위한 것이다.

pimping reinforces power differentials and maintains hierarchies without expanding knowledge.14 Pimping questions are intended to expose ignorance rather than to stimulate new knowledge.


핌핑 vs 소크라테스 방법

Pimping vs. the Socratic Method


학생에게 질문을 던질 때, 학생이 질문에 어떻게 반응하는가가 소크라테스식 가르침과 핌핑을 구분하는 출발점이다.16,17

When a question is posed to trainees, how a particular individual reacts to those questions constitutes the departure point between Socratic teaching and pimping.16,17


소크라테스식 교육과 핌핑의 차이는 질문자의 의도에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선생님의 질문이 학습자들에게 새로운 지식의 합성을 촉진할 수 있는 기존의 지식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려고 의도된 것이라면, 대화는 소크라테스식 방법을 나타낸다.

The differentiation between Socratic teaching and pimping lies in the intent of the questioner. For example, if a teacher’s questions are intended to offer learners an opportunity to express their existing knowledge, which will in turn promote the synthesis of new knowledge, the dialogue represents the Socratic method.

소크라테스식 질문을 효과적으로 사용한다면, 학습자의 현재 지식을 확인하고, 이를 근거로 학습자가 이해할 수 있는 수준에서 교육의 foundation을 제공해줄 것이다.19 학생의 현재 수준을 확인하는 단계는 교사가 학습자의 지식의 한계를 발견할 때까지 점점 더 어려운 질문들을 해나갈 수 있다.8,18,20 그러나 질문을 제대로 제시하지 않으면, 학습자들은 그러한 질문을 소크라테스식이라기 보다는 pimping으로 인식할 수 있다.

An effective use of Socratic questioning is to ascertain learners’ current knowledge18 and provide a foundation for teaching at a level that they can comprehend.19 This probing can be done by posing a series of increasingly difficult questions until the teacher finds the limits of the learners’ knowledge.8,18,20 If not presented properly, however, those questions can easily be perceived by learners as pimping rather than Socratic.


우리는, 의대 교수들 사이에 악의는 존재하지 않으며, 그들은 항상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그들의 질문을 하려고 하기 때문에, pimping이 의도적으로 일어나는 것은 아니라고 가정할 것이다.

We will assume, that malevolence does not exist amongst medical school faculty and that they always intend for their questions to promote learning, so pimping would only occur unintentionally.


학습에서 심리적 안전

PSYCHOLOGICAL SAFETY IN LEARNING


학습에 대한 공포의 영향 

Impact of Fear on Learning


학습은 뇌의 신경 연결을 형성하는 것에 기초한다. 간단히 말해서, [기존의 정신적 개념]에 [감각적 입력이나 자기 생성적 성찰에서 제시되는 새로운 정보]를 관련시키면서 connection이 생성되고 활성화된다.21,22

Learning is founded on building neuronal connections in the brain. In brief, connections are created and activated to associate existing mental concepts with new information that is presented through sensory input or self-generated reflection.21,22


사람의 정서 상태는 학습의 생리적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23,24 더 깊게 그리고 더 영구적인 학습은 뇌의 모든 영역을 사용할 때 발생한다.22 학생들은 뇌의 긍정적인 중심이 활성화될 때 더 많이 배울 수 있다.24 Pimping이 학습자들 사이에서 두려움을 이끌어 낸다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두려움이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인정되지만, 그 효과의 방향이 유익한지 해로운지 아니면 다른 요인에 대한 조건부인지는 완전히 명확하지 않다.25,26

A person’s emotional state affects the physiological processes of learning.23,24 Deeper and more permanent learning happens when all areas of the brain are used, including the emotional center.22 Students are more likely to learn when the positive centers of the brain are activated.24 It is axiomatic that pimping elicits fear amongst learners,1,3 and it is accepted that fear impacts learning, but whether its effect is beneficial, detrimental, or conditional on other factors is not completely clear.25,26



심리적 안전

Psychological Safety


비즈니스 세계에서 그룹 프로세스와 학습 행동을 포함하는 연구에서, Amy Edmondson은 그룹 학습 과정에서 감정의 역할로서의 심리적 안전성에 대해 토론했다.27 그녀는 집단 구성원들이 대인관계의 신뢰를 감지하고, 상호 존경을 즐기고, 가치를 인정받는다고 느끼고, 자기자신으로서 존재하는 것이 편안하다면 심리적으로 안전하다고 느낀다고 주장했다.27,28 더 중요한 것은 심리적 안전이, 특히 위계적 멤버십이 있는 집단에서, 학습의 증가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In her work involving group processes and learning behaviors in the business world, Amy Edmondson discussed psychological safety as the role of emotion in the group learning process.27 She maintained that group members feel psychologically safe if they sense interpersonal trust, enjoy mutual respect, feel valued, and are comfortable being themselves because the threats of humiliation and hostility are minimized.27,28 More importantly, psychological safety leads to increased learning, especially in groups with hierarchical membership.


예를 들어, Edmondson29는 수술팀에서 도전적인 새로운 기술의 구현은 [팀원들 간의 위계 차이와 상관 없이 팀원들이 의견을 내는 것을 편안하게 느낄 때] 더 성공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For example, Edmondson29 found that implementing challenging new technology in surgery teams was more successful when members felt comfortable speaking up, regardless of hierarchal differences between team members.


심리적 안전과 학습자 수행능력

Psychological Safety and Learner Performance


심리적으로 안전한 환경이 학습자로부터 수준이하의 성과를 수용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책임성은 심리적 안전을 위한 트레이드오프가 아니며, 부적절한 성과는 어떤 맥락, 교육적이든 그 밖의 맥락에서든 비난되어야 한다. 심리적인 안전의 환경에서 교사가 부적절한 수행을 간과하거나 무시하지 않는다. 그러나, 굴욕이나 원망을 일으키지 않고 결함을 명확하게 식별하는 compassionate한 방식으로 교정correction과 질책reprimand를 준다.

A psychologically safe environment does not mean accepting substandard performance from learners. Accountability is not a tradeoff for psychological safety, and inadequate performance should be denounced in any context, educational or otherwise30. In an environment of psychological safety, the teacher does not overlook or ignore inadequate performance; however, corrections or reprimands are applied in a compassionate manner that clearly identifies the failings without causing humiliation or resentment.


소크라테스적 방법의 임상적용

THE SOCRATIC METHOD APPLIED TO CLINICAL TEACHING


심리적 안전은 소크라테스적 교육과 핌핑의 차이이다

Psychological Safety is the Difference Between Socratic Teaching and Pimping


소크라테스 자신은 소크라테스식 방법을 구현할 때,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공포나 협박 전술에 의존하지 않았다. 심리적 안전이 제공되는 환경에서 교사들에 의한 공개적이고 탐색적인 질문의 사용은 학습자들이 그들 자신의 지식 결핍을 확인하도록 하고 그들이 그들 자신의 지식을 확장하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The Socratic method as embodied by Socrates himself does not rely on fear or intimidation tactics to accomplish its goals. The use of open-ended, probing questions by teachers in an environment of psychological safety leads learners to identify their own knowledge deficits and motivates them to expand their own knowledge.


의도적이든 아니든 간에, Pimping은 학습자와 교사 사이의 지위 차이를 enforce하는 것이며, 이것은 독립적이고, 분석적이며, 자기 주도적인 전문가를 양성하는 교육과는 전혀 맞지 않는다.

Pimping, whether intentional or not, enforces status differences between learners and teachers which are antithetical to educating professionals to become independent, analytical, self-directed practitioners.


Pimping이나 소크라테스식 방법 남용이 남용되어 학습자에게 수치를 주게 되면, 호기심을 억누를 것이며, 따라서 평생학습과 자기주도적학습의 필수적인 전문적 속성을 키울 수 수 없게 될 것이다.

Humiliation of learners through pimping or abuse of the Socratic method will stifle learners’ inquisitiveness during training, and thus cannot spawn the necessary professional attributes of lifelong, self-directed learning.


소크라테스적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심리적 안전 형성하기

Building Psychological Safety to Enable Socratic Teaching


교사들은 학습자들에게 규정된 학습 목표를 달성한 것에 대해 책임을 지되, 침묵을 강요하는 굴욕, 적대감 또는 협박에 의존하지 않아야 한다. 소크라테스식 교육은 학습자들에게 [계속 자신을 발전시키도록] 도전하게 만드는 한편, 동시에 [아직은 몰라도 괜찮다]는 것을 인식시킨다.

Teachers should hold learners accountable for achieving the stated learning objectives, but without resorting to humiliation, hostility, or intimidation to compel acquiescence. Socratic teaching constantly challenges learners to advance themselves while still recognizing that, for students, it’s okay to not know yet.


교사는 노력 부족을 해소하거나 오류를 간과하지 않고 학습자가 도전하고 지원하는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통해 심리적 안전의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교사들은 도전적이지만 그들의 현재 발달 단계를 초과하지 않는 질문이나 문제를 제기하기 위해 학습자들의 기존 지식과 기술을 발견해야 한다. 질문을 던지는 것은 소크라테스식 방법의 기초가 되지만, 그러한 질문들은 학습자들에게 적절한 수준에서 질문되어야 한다.

Teachers should build an environment of psychological safety through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in which learners are challenged and supported, without excusing a lack of effort or overlooking errors. Teachers must uncover learners’ existing knowledge and skills in order to pose questions or problems to them that are challenging but do not surpass their current developmental stage. Posing questions is the foundation of the Socratic method, but those questions must be asked at an appropriate level for the learners.



표 1은 그러한 질문의 실제 예를 제시한다.

Table 1 presents practical examples of such questions


개념을 명확히 하기 위한 질문 Questions to clarify concepts 

1. Remember 

What is the nature of this?

What exactly does this mean?


2. Understand 

Can you give me an example?

What do we already know about this?

How does this relate to what we have been talking about?


근거, 이유 또는 증거를 조사하기 위한 질문 Questions to probe for rationale, reasons, or evidence

3. Apply 

Can you give me an example of that?

How do you know this?


4. Analyze 

Why is that happening?

What do you think causes that?

What evidence is there to support what you are saying?

How does _____ affect _____ ?

Then what would happen?


시사점 및 결과 탐색에 대한 질문 Questions to explore implications and consequences

5. Evaluate 

Why is that important?

How does that fit with what we learned before?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hat?


6. Create 

Based on the history and physical, can you put this together for me?

What do we need to know to take care of "Mrs. Smith" today?


가장 효과적인 탐색 질문은 때때로 학습자의 지식의 한계를 초과할 것이며, 따라서 심리적인 안전이 확립되지 않은 경우 Pimping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지식 경계를 찾고 사용하는 것은 zone of proximal development를 형성한다.19,31,32

The most effective probing questions will occasionally exceed the bounds of learners’ knowledge, and may thus be perceived as pimping if psychological safety has not been established. Finding and using these knowledge boundaries forms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19,31,32


소크라테스식 교육은 심리적 안정을 촉진하는 지정된 시간과 장소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질문을 한 후 침묵이나 그득한 pause를 전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 이 시간동안 학습자들은 질문을 생각해보고, 그들의 지식을 성찰하거나, think aloud할 기회를 갖는다. 또한 이 상황은 선생님이 통제하는 장소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그 목적은 산만함과 외부의 영향이 없어지고 심리적 안전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Socratic teaching should take place at a designated time and place which fosters psychological safety. Sufficient time is needed to allow for the strategic use of silence or pregnant pauses after posing questions, during which learners have the opportunity to consider the question, reflect on their knowledge, or think aloud. This transaction should happen in a location where the teacher controls the environment, to ensure that distractions and outside influences are eliminated and psychological safety is maintained.


CONCLUSIONS


소크라테스식 방법을 올바르게 적용한다면, 교사들과 학습자들에게 매우 매력적이고 매우 보람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사용할 때 신중해야 하며, 정확히 실행되어야 한다. 소크라테스식 교육의 적절한 실행은 심리적 안전이 보장된 환경에서만 일어날 수 있다.

When correctly applied, the Socratic method is very engaging and highly rewarding for teachers and learners; however, it is timeand effort-intensive, so its use should be judicious, and it must be executed correctly. Proper execution of Socratic teaching can occur only in an environment of psychological safety.


질문이 진정한 소크라테스적 방법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질문을 던지기 전에 환경이 먼저 조성되어야 한다.

Socratic teachers by simply asking questions; the environment must be cultivated before their questioning can be defined as consistent with the authentic Socratic method.





 2016 Sep;31(9):1092-6. doi: 10.1007/s11606-016-3722-2. Epub 2016 Apr 29.

Would Socrates Have Actually Used the "Socratic Method" for Clinical Teaching?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Medicine, Emory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MS-1020-003-1AE 100 Woodruff Circle, P-378, Atlanta, GA, 30322, USA. hugh.stoddard@emory.edu.
2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Nebraska College of Medicine, Omaha, NE, USA.

Abstract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are familiar with clinical teaching methods in which a faculty member poses a series of questions to them. This technique is often called the "Socratic method," but it is frequently perceived by learners as an attempt to demean them, a practice that is colloquially known as "pimping." The distinction between Socratic teaching and pimping lies in the perception of "psychological safety." Psychological safety allows learners to answer questions or ask for help without threats to their dignity or worthiness. In a psychologically safe clinical teaching context, learners recognize that questions posed by attending physicians probe their current understanding and guide them to expand their knowledge. In pimping, questions are posed to embarrass the learner and to reinforce the teacher's position of power over them. Absent a threat of disparagement or condemnation, learners are able to focus on building schema for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ather than worrying about shielding their self-worth. This article presents the proper Socratic method, as intended by Socrates, and contrasts it with pimping. This perspective defines psychological safety as the pivotal factor distinguishing Socratic teaching from pimping, and establishes the foundation for empirical studies of these common practices in medical education.

KEYWORDS:

Socratic methodclinical teaching; faculty development; psychological safety

PMID:
 
27130623
 
PMCID:
 
PMC4978680
 
DOI:
 
10.1007/s11606-016-3722-2
[Indexed for MEDLINE] 

Free PMC Article

배우고, 보고, 해보고, 증명하고, 하고, 유지하기: 근거기반 스킬훈련 프레임워크(Acad Med, 2015)

Learn, See, Practice, Prove, Do, Maintain: An Evidence-Based Pedagogical Framework for Procedural Skill Training in Medicine

Taylor Sawyer, DO, MEd, Marjorie White, MD, MPPM, MEd, Pavan Zaveri, MD, MEd, Todd Chang, MD, Anne Ades, MD, Heather French, MD, JoDee Anderson, MD, MEd, Marc Auerbach, MD, MSCI, Lindsay Johnston, MD, and David Kessler, MD, MSCI




잘 알려진 할스테디안 만트라(Halstedian mantra)인 "하나를 보고, 하나를 하고, 하나를 가르친다" 의학에서 절차적 기술을 가르치는 전통적인 패러다임이다. 이 패러다임에서 절차적 숙련도 훈련은 직접 환자 진료를 통해 수행되며, 연습생은 의료 견습 모델의 일부로 환자에게 프로시져procedures를 연습한다.

The well-known Halstedian mantra “see one, do one, teach one” is the traditional paradigm for teaching procedural skills in medicine. In this paradigm, procedural skill training is accomplished through direct patient care, with trainees practicing procedures on patients as part of a medical apprenticeship model.


시뮬레이션 기반 의학교육을 통해 "하나를 보고, 하나를 하고, 하나를 가르친다" 시대의 종말이 제안되었다.2

an end to the “see one, do one, teach one” era, through the use of simulation-based medical education, has been proposed.2


시뮬레이션 기반 의료교육은 훈련자가 환자에게 해를 끼치지 않고 안전하게 절차적 기술력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기법이다. 그것의 사용은 더 나은 환자 치료와 환자 안전 개선과 관련이 있다.3–9

Simulation-based medical education is an instructional technique that enables trainees to safely gain competency in procedural skills without harm to patients. Its use has been associated with better patient care and improved patient safety.3–9


문헌 고찰과 통합

Literature Review and Synthesis


비체계적 중요 합성 접근방식에 따라, 두 단계에서 검토된 논문은 서술적/내러티브 보고서, 실험 및 준 실험 방법을 모두 사용한 정성적 및 정량적 연구, 문학 검토, 체계적 검토 및 메타 분석을 포함한 광범위한 자료를 구성했다.

In keeping with a nonsystematic critical synthesis approach, articles reviewed in both phases comprised a broad range of materials, including descriptive/narrative report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using both experimental and quasi- experimental methods; literature reviews;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의학에서 절차적 기술을 가르치기 위한 가장 좋은  프레임워크는?

What is the best framework for teaching procedural skills in medicine?


절차적 스킬 발달

Procedural Skill Development


Procedural skill는 "Manual task 수행에 필요한 정신적, 운동적 활동"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14 뇌수막 기술은 종기 배수 등 간단한 작업부터 기관내 삽관 같은 복잡한 작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하지만, 우리는 단순한 절차든 복잡한 절차든 배우는 것이 동일한 근본적인 과정을 따른다고 믿는다.

We define procedural skills to include “the mental and motor activities required to execute a manual task.”14 Procedural skills can range from simple tasks, such as drainage of an abscess, to complex tasks, such as endotracheal intubation. However, we believe that learning any procedure follows the same fundamental process,


"드레이퍼스 모델"은 초보자, 고급 초보자, 유능자, 숙련자, 전문가 등 5단계로 이어지는 의료 제공자의 시야 범위와 능력 범위를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15

The “Dreyfus model” details the development of a medical provider’s scope of vision and range of capabilities along a continuum of five stages: novice, advanced beginner, competent, proficient, and expert.15


심슨의 16과 Harrow's 17 정신운동영역의 분류법은 5단계의 연속을 통한 절차적 기술 발달의 진행을 설명한다.

Simpson’s16 and Harrow’s17 taxonomy of the psychomotor domain describes a progression of procedural skill development through a continuum of five stages:


1. Guided response은 기술을 배우는 데 있어 가장 이른 단계를 나타내며, 주로 모방과 시행착오를 포함한다.

1. Guided response indicates the earliest stage in learning a skill, and primarily includes imitation and trial and error.


2. 메커니즘은 기술 학습의 중간 단계로서 학습된 반응이 습관화되어 어느 정도 능숙하고 자신 있게 기술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를 기술한다.

2. Mechanism is an intermediate stage in skill learning and describes a state wherein learned responses have become habitual and the movements associated with the skill can be performed with some proficiency and confidence.


3. Complex overt response신속하고 정확하며 고도로 조정된 퍼포먼스로 절차를 능숙하게 수행할 수 있는 단계다. 이 단계에서 학습자는 절차와 함께 "유능한"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3. Complex overt response is a stage at which a procedure can be performed competently with quick, accurate, and highly coordinated performance. At this stage the learner would be considered “competent” with the procedure.


4. 적응은 기술이 매우 잘 발달되어 있어서 어려운 상황에 맞게 움직임 패턴을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4. Adaptation indicates that skills are so well developed that the individual can modify movement patterns to fit difficult situations.


5. 창출Originating은 기술 개발의 마지막 단계로, 특정 상황이나 고유한 문제에 맞게 새로운 움직임 패턴을 만들 수 있을 정도로 기술이 숙달된 단계를 정의한다.

5. Originating, the final step in skill development, defines a phase in which the skill has been mastered to such an extent that new movement patterns can be created to fit a particular situation or unique problem.


Figure 1



근거기반 교육 프레임워크

An Evidence-Based Pedagogical Framework


우리는 Kovacs18에 의해 제공된 패러다임이 최고의 접근법 중 하나이며, 정신운동 학습 이론의 기초에 기초한 높은 타당도를 가진다고 보았다. 코박스에 따르면, 절차적 기술 훈련은 다음 네 단계를 포함해야 한다.

we felt the paradigm provided by Kovacs18 provided one of the best approaches and possessed a high degree of validity based in its foundation in psychomotor learning theory. According to Kovacs, procedural skill training should encompass four steps:



1. 배우기: 수련자는 절차에 대해 배우고 필요한 인지 지식을 습득해야 한다.

1. Learn: A trainee should learn about the procedure and acquire the requisite cognitive knowledge.

2. 보기: 학습자는 강사 또는 교관이 수행하는 절차를 확인해야 한다.

2. See: The trainee should then see the procedure performed by an instructor or preceptor.


3. 연습: 시술법을 익히고 수행되는 것을 관찰한 후에 수련자는 시술법을 연습해야 한다.

3. Practice: After learning the procedure and observing it being performed, the trainee should practice the procedure.


4. 하기: 마지막으로 수련자는 환자에게 시술하여 계속 연습해야 한다.

4. Do: Finally, the trainee should continue to practice the procedure by performing it on patients.


제안된 프레임워크는 학습, 보기, 실행, 입증, 실행, 유지 관리 입니다.

Our proposed framework is Learn, See, Practice, Prove, Do, Maintain.


교육학적 프레임워크의 개요는 그림 2에 제시되어 있다.

An overview of the pedagogical framework is presented in Figure 2



배우기

Learn


procedural skill을 가르치고 배우는 것은 인지 단계와 정신운동 단계라는 두 단계로 나눌 수 있다.18 인지 단계는 절차에 대해 학습하고 indication, contraindication을 이해하고, 필요한 motor action을 배우는 기간이다. 일부 복잡한 절차에는 상당한 인지 요소가 필요할 수 있지만, 단순한 절차 기술에는 최소한의 인식이 필요할 수 있다.

Teaching and learning procedural skills can be divided into two phases: the cognitive phase and the psychomotor phase.18 The cognitive phase is the period devoted to learning about the procedure and developing an understanding of the indications, contraindications, and motor actions involved. Some complex procedures may require a significant cognitive component, whereas simple procedural skills may require minimal cognition.


인지 단계는 개념화와 시각화라는 두 가지 하위 단계로 구성되었다.18

The cognitive phase comprised two subphases: conceptualization and visualization.18


절차적 기술 훈련의 첫 번째 단계에는 절차적 기술에 대한 필요한 인지적 지식을 얻는 것이 포함된다. 이 학습 단계는 개념화에 초점을 맞춘다.

the first phase of procedural skill training involves acquiring the required cognitive knowledge about the procedural skill. This Learn step focuses on conceptualization.


이 단계는 asynchronous or synchronous 모달리티를 통해 개별적 또는 그룹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인지지식의 검증은 표준화된 시험으로 할 수 있다.

This step can be conducted individually, or in a group, through either asynchronous or synchronous modalities. Verification of cognitive knowledge can be done with a standardized test,


보기

See


인지 단계가 완료된 후, 다음 단계인 procedural skill 교육은 강사가 학습자를 위한 절차를 시연하고 있다. '보기' 단계는 시각화에 초점을 맞춘다.18

After the cognitive phase has been completed, the next phase of procedural skill training involves an instructor demonstrating and modeling the procedure for the learner. The See step focuses on visualization.18


Skill의 시연에는 비언어적 지침과 언어적 지침이 모두 포함됨.26,30 

    • 비언어적 지침은 설명 없이 처음부터 끝까지 절차에 대한 데모를 포함한다. 

    • 언어적 지침은 Peyton에 의해 "해체"라고 불린 것으로, 절차의 각 단계에 대한 설명과 함께 시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시연은 직접 교육 또는 비디오 시연에서 제공할 수 있다.28,29 

    • 세 번째 단계는 학습자가 각 단계를 설명하면 교사가 그것에 따라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가 될 수 있다.

The demonstration of a skill is optimized by including both nonverbal and verbal instruction.26,30 The nonverbal instruction includes a demonstration of the procedure from start to finish without commentary. The verbal instruction, referred to as “deconstruction” by Peyton,30 includes a demonstration of each step in the procedure with accompanying verbal description. These demonstrations can be presented either through in-person training or in a video demonstration.28,29 A third step may involve the learner explaining each step of the procedure with the teacher following the instructions.30


적절한 시연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이상적인 수행 방법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고, 절차의 주요 단계를 식별하는 것이다. 이는 Delphi 방법을 통해 검증된 절차 체크리스트의 개발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34–40

A requirement for the proper demonstration of a procedure is to come to a consensus on the way the procedure is best performed and to identify the key steps of the procedure. This can be accomplish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validated procedural checklist via a Delphi method.34–40


연습하기

Practice


연습 단계는 신중한 연습DP을 통해 최적화된다. 에릭슨 외 연구진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41–43의 DP는 전문가로서의 퍼포먼스를 습득하는 과정을 최적화하기 위해서 설계한 "effortful activity"의 regimen이다. DP의 주요 특징은 

    • 기 부여된 학습자, 

    • 잘 정의된 학습 목표, 

    • 집중적이고 반복적인 연습, 

    • 확한 성과 측정 및 

    • 형성적 피드백이다.

The Practice step is optimized by using deliberate practice. As defined by Ericsson et al,41–43 deliberate practice describes a regimen of effortful activity designed to optimize improvements in the acquisition of expert performance. The key features of deliberate practice are 

    • motivated learners, 

    • well-defined learning objectives, 

    • focused and repetitive practice, 

    • precise measurements of performance, and 

    • formative feedback.


연습 중 형성적 피드백의 목표는 성과를 개선하는 것이다. 형성적 피드백 중요성은 아담스의 44,45 폐쇄 루프 이론(그림 3 참조)에서도 나타나며, 여기서 피드백은 학습자의 결과 지식knowledge of results을 향상시키고 오류의 탐지 및 수정을 용이하게 한다.

The goal of formative feedback during practice is to improve performance. The importance of formative feedback is supported by Adams’s44,45 closed-loop theory (see Figure 3), wherein the feedback improves a learner’s knowledge of results and facilitates the detection and correction of errors.


이 단계에서의 평가는 본질적으로 형성적이며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개선 및 수정을 위한 영역을 정의하는 것을 지시한다.

Evaluation at this phase is formative in nature and directed at defining areas for improvement and modification to maximize performance.


절차적 성능 향상에 대한 의도적인 실천요강의 이점을 설명하는 수많은 보고서가 의학 문헌에 존재한다.46–49 기타 지침 설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다양한 범위의 난이도

    • 분산 연습, 

    • 더 긴 연습 시간, 

    • 여러 가지 학습 전략 사용

    • 임상적으로 다양한 상황

    • 개인화된 학습 

    • 숙달 학습

Numerous reports exist in the medical literature describing the benefits of deliberate practice at improving procedural performance.46–49 Other instructional design features include 

    • a range of difficulty, 

    • distributed practice, 

    • longer practice time, 

    • using multiple learning strategies, 

    • introducing clinical variation, 

    • individualized learning, and 

    • mastery learning.27


증명하기

Prove


입증 단계에서 학습자는 환자에게 절차를 수행하기 전에 절차적 역량이 달성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객관적 기술 평가를 수행한다. 

In the Prove step of our proposed framework, the learner undergoes objective skills assessment on a simulator, to ensure that procedural competency has been achieved, prior to performing the procedure on a patient. 


Prove 단계는 시뮬레이션 기반 마스터링 학습(SBML)을 사용한다. SBML의 7가지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The Prove step uses simulation-based mastery learning (SBML). The seven key characteristics of SBML include 


(1) 명확한 학습 목표 

(2) Baseline 기술 평가 

(3) 사전에 결정된 최소 합격 표준(예: "수도원 수준")을 가진 타당한 평가 도구 

(4) 숙련수준의 성과에 도달하는 데 초점을 맞춘 연습 

(5) 숙련수준의 성과 달성을 평가하기 위한 숙련도 시험, 

(6) 필요에 따라 마스터 레벨의 성과를 달성할 때까지 계속 연습

(7) 숙달된 표준이 달성된 후에 한하여 다음 단계의 훈련으로 진행.4

(1) clear learning objectives; 

(2) baseline skill assessment; 

(3) a valid assessment tool with a predetermined minimal passing standard (e.g., “mastery- level”); 

(4) practice that is focused on reaching mastery-level performance; 

(5) skill testing to assess achievement of mastery-level performance; 

(6) continued practice, as needed, until the mastery-level performance is achieved; and 

(7) progression to the next level of training only after achievement of the mastery standard.4


숙달된 학습은 숙달성을 정의하는 명확하게 기술된 수행 수준과 학습자가 숙달된 성과를 달성할 때까지 지속적인 연습에 대한 요구 사항을 추가함으로써 DP를 강화한다.51 이 사전 정의된 숙달 수준 성과는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피드백에 대하여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knowledge of result를 명확히하는 것을 도와준다.

Mastery learning augments deliberate practice through the addition of a clearly delineated level of performance that defines mastery, and the requirement for continuous practice until the learner achieves mastery-level performance.51 This predefined mastery- level performance greatly informs the feedback provided to the learner and may assist with clarifying the knowledge of results, as defined by Adams.44,45


의료 시뮬레이션을 사용한 역량 기반 평가는 (환자 안전을 위한 modality로서) 시뮬레이션의 가장 중요한 역할 중 하나이다.152 이러한 유형의 "환자 전 교육"은 현재 많은 의료 훈련 프로그램에서 사용되고 있다.

Competency-based assessment using medical simulation, prior to the performance of the procedure on a pati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oles of simulation as a patient safety modality.1,52 This type of “pre-patient training” is currently used in many medical training programs.11,24,52



숙련된 수준의 성능을 평가하려면 높은 수준의 타당도 및 신뢰성을 갖춘 평가 도구가 필요하다. 절차적 기술에 대한 평가 도구는 일반적으로 체크리스트 또는 global rating scale의 형태를 취한다.20 체크리스트와 전 세계 등급 척도 모두 장점과 단점이 있다. 

The ability to evaluate mastery-level performance requires an assessment tool with a high level of validity and reliability. Assessment tools for procedural skills commonly take the form of either checklists or global rating scales.20 Both checklists and global rating scales have benefits and drawbacks. 


체크리스트의 이점은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성격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각 단계 옆에 간단한 "완료" 또는 "완료되지 않음" 확인란이 있는 절차의 순차적인 일련의 단계를 포함한다.65 체크리스트의 단점은 체크리스트만으로는 더 중요한 단계와 덜 중요한 단계의 차이를 전달하지 못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어떤 절차를 성공적으로 완료하기 위해 체크리스트의 모든 단계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20

Benefits of checklists include their specific and objective nature, typically involving a sequential series of steps in the procedure with a simple “done” or “not done” check box next to each step.65 Drawbacks of checklists include the fact that sequential checklists may not convey a differentiation in status of critical versus less important steps, and that sometimes not all steps of a checklist are required to successfully complete a procedure.20


GRS는 절차적 역량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평가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리커트형 척도를 포함하는 글로벌 등급 척도는 절차적 기술의 글로벌 등급(예: 1 = 초보, 3 = 유능, 5 = 전문가)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특정 행동 앵커를 사용하여 각 기술 수준을 나타내는 행동의 명확한 예를 제공하여 BARS로 알려진 GRS를 산출할 수 있다. GRS의 장점은 숙련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전에 정의된 단계에 의존하기보다는, 역량의 포괄적 인상으로 평가한다는 점이다.20 한계에는 세분성 상실과 잘못된 단계에 기초한 특정 피드백을 제공할 수 없는 능력이 포함된다.20

Global rating scales provide a more broad-based assessment of procedural competency. Global rating scales, typically involving a Likert-type scale, are used to provide a global rating of procedural skill (e.g., 1 = novice, 3 = competent, 5 = expert). Specific behavioral anchors can be used to provide explicit examples of the behaviors that are indicative of each skill level, yielding a type of global rating scale known as a behaviorally anchored rating scale. A benefit of a global rating scale is the comprehensive impression of competency it provides, without reliance on predefined steps to determine proficiency.20 Limitations include the loss of granularity and inability to provide specific feedback based on incorrect steps.20


체크리스트와 글로벌 평가 척도를 모두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평가 도구를 권장한다.

we recommend a hybrid assessment tool that includes both a checklist and a global rating scale


그러한 하이브리드 절차 기술 점검표의 예시 템플릿은 부록 1에 제시되어 있다.

An example template of such a hybrid procedural skills checklist is provided in Appendix 1.



하기

Do


절차적 기술 교육을 결국 시뮬레이션 영역으로부터 임상 영역으로 이동해야 한다.

The teaching of procedural skills must eventually move from the simulation realm to the clinical realm.


연습생이 시뮬레이터에서 유능하다고 간주된 후에야 현장에서 실제 환자에게 시술 기술 개발 과정을 이어갈 수 있다.

only after a trainee is deemed competent on a simulator can he or she continue the process of procedural skill development on real patients in the workplace.


시뮬레이션과 실제 임상 사례 간의 내재적 차이 때문에, 시뮬레이션에서 보여준 능력이 authentic한 임상 역량의 증거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Rethans 등 67은 역량 기반 평가를 테스트 상황(예: 시뮬레이션)에서 의사가 수행하는 작업의 척도로 정의했다. 그리고 이와 별개로 performance-based assessment를 언급하여, "의사가 실제로 수행하는 작업의 척도라고 하였다. PBA는 직접적인 감독 없이 독립적으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학습자를 신뢰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Because of the inherent differences between simulation and real-life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during simulation should never be considered adequate evidence of true clinical competency. Rethans et al67 defined competency- based assessment as measures of what doctors do in testing situations (e.g., simulation), and “performance-based assessment as measures of what doctors do in practice.”67 Performance-based assessment is required to ensure that the learner can be trusted to perform the procedure independently and without direct supervision.


제안된 프레임워크에서, 더 이상 감독받지 않아도 된다는 "졸업"이 Do 단계 동안 발생하며, 결국 위임을 거쳐 Maintenance 단계에서 지속적인 기술 유지보수로 이어진다.

In our proposed framework, graduated supervision occurs during the Do step, leading eventually to entrustment, and then to ongoing skill maintenance in the Maintain step.


Do 단계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려면 초기에는 학습자가 환자에게 시술하는 동안 직접 감독해야 하며, 기술에 대한 실시간 평가와 피드백을 받아야 한다이러한 유형의 직접적인 관찰은 "작업장 기반 평가", "실적 평가", 또는 "감독된 학습 이벤트"라고 언급되어 왔다. 이러한 평가는 성격상 형성적이며, 훈련자가 [환자에게 harm하지 않으면서 절차적 기술과 환자 결과를 최적화하도록] 훈련자에게 직접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For the Do step to be successful—and safe—the learner must initially be directly supervised during the performance of a procedure on a patient and receive real-time assessment and feedback on technique. This type of direct observation has been referred to as “workplace-based assessment,” “assessment of performance,” or a “supervised learning event.”70,71 These assessments are formative in nature and provide an opportunity for a preceptor to give direct feedback to a trainee to  optimize procedural skills and patient outcomes while avoiding harm.


절차적 기술에 대한 임상 역량을 결정하는 것은 어렵지만, 여러 가지 방법이 개별화된 선별 과정을 포함하여 임상 역량의 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The determination of clinical competency with a procedural skill is challenging, but several methods may help determine clinical competency, including an 

    • individualized screening process, 

    • tracking the number of procedures performed by a trainee, and 

    • statistical analysis of procedural success and failure rates.


Rethans 등이 기술한 바와 같이, 임상 치료 중 절차적 역량에 대한 평가에는 모든 연습생이 참여하는 스크리닝 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스크리닝 통과자에 대해서는 CQI 사이클이 필요하고, 스크리닝에서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사람에 대한 진단 조사 및 후속 조치가 포함되어야 한다. 스크리닝 과정을 촉진하고 절차적 역량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제공하기 위해, Do 단계에서 사용된 동일한 체크리스트 또는 평가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번에는 시뮬레이터가 아닌 환자에 대한 절차적 기술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As described by Rethans et al,67 assessment of procedural competency during clinical care should include a general screening component in which all trainees participate, followed by either a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cycle for those who pass the screen, or a diagnostic investigation and follow-up for those who perform poorly on the screen. To facilitate the screening process and provide an accurate assessment of procedural competency, the same checklist or assessment tool used in the Prove step can be used in the Do step—this time to evaluate procedural skill on a patient, rather than a simulator.


미국에서는 여러 ACGME 전공의 검토 위원회가 전문 분야에 대한 구체적인 "key index procedure"를 개괄적으로 설명했으며, 졸업 전에 레지던트가 수행해야 하는 이러한 절차의 최소 숫자에 대한 지침을 발표하였다.77–80

In the United States, several ACGME resident review committees have outlined specific “key index procedures” for their specialty and have published guidelines on the minimum numbers of these procedures that a resident must perform prior to graduation.77–80


이 방법의 장점은 사례 로그라고도 하는 절차 로그를 사용하여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상대적 용이성을 포함한다. 분명한 단점은 정해진 수의 절차의 수행이 역량의 달성에 대한 결정적인 증거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Benefits of this method include the relative ease with which the assessment can be done using procedure logs, also referred to as case logs. A clear drawback is that performance of a set number of procedures does not provide definitive evidence of achievement of competency


통계 관리도의 일종인 누적 종합(CUSUM) 분석은 특정 학습자 그룹 간의 역량 달성에 필요한 개별 능력과 평균 절차 수에 대한 객관적 정보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 탐구되었다.

Cumulative summative (CUSUM) analysis, a type of statistical control chart, has been explored as a method of obtaining objective information on both individual competency and the average number of procedures that are required to achieve competence amongst a given learner group.


유지하기

Maintain


일단 Do 단계까지 달성하였더라도, 절차를 정기적으로 수행하지 않으면 역량이 시간에 따라 저하될 것이다. "디 스킬링"이라는 용어는 빈번하지 않은 실습을 통한 점진적인 기술 저하를 의미하는 단어이다.84 초보 의사의 경우 이러한 디 스킬링이 더 빠른 속도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숙련된 제공자에서는, deskilling은 더 느리게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학습자 그룹과 경험에 기초한 절차적 능력의 저하 곡선은 아직 정의되지 않았다.

Once achieved, competency with a procedural skill will degrade with time if the procedure is not practiced regularly. The term “de-skilling” has been applied to the gradual loss of skills through infrequent practice.84 In novice providers, this de-skilling will likely occur rapidly. In experienced providers, de-skilling may occur more slowly. However, degradation curves for procedural skills, based on learner groups and experience, have yet to be defined.


그림 4와 같이, 기술 유지보수는 임상 실습과 시뮬레이션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시뮬레이션은 자주 수행되지 않는 절차에 대한 보충 교육으로 작용하거나 임상 실습이 중단된 후 새로 고침 교육으로 작용할 수 있다.85 절차 추적(예: 절차 로그 포함) 또는 CUSUM 분석을 개별의 일부로 포함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기반 리프레셔 교육의 잠재적 필요성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지속적인 품질 개선 시뮬레이션 기반 유지관리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몇 가지 방법이 사용됨: "드레스 리허설", "롤링 리프레셔", "Just-in-Time" 교육 및 "booster" 교육.

As shown in Figure 4, skill maintenance could include both clinical practice and simulation, with simulation acting as supplemental training for infrequently performed procedures or as refresher training after breaks in clinical practice.85 Tracking of procedures (e.g., with procedure logs) or CUSUM analysis could be included as part of individual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to provide objective information on the potential need for simulation-based refresher training. Several methods have been used to provide simulation-based maintenance training: “dress rehearsals,” “rolling  refreshers,” “just-in-time” training, and “booster” training.9,86–89 



Summary


62 Cook D, Beckman T. Current concepts in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psychomotor instruments: Theory and application. Am J Med. 2006;119:e7–e16.


63 Jelovsek JE, Kow N, Diwadkar GB. Tools for the direct observation and assessment of psychomotor skills in medical trainees: A systematic review. Med Educ. 2013;47:650–673. XXX











 2015 Aug;90(8):1025-33. doi: 10.1097/ACM.0000000000000734.

Learnseepracticeprove, do, maintain: an evidence-based pedagogical framework for procedural skill training in medicine.

Author information

1
T. Sawyer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Pediatrics, University of Washington School of Medicine, Seattle, Washington. M. White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Pediatrics, University of Alabama at Birmingham, Birmingham, Alabama. P. Zaveri is assistant professor, Division of Emergency Medicine, Children's National Health System, Washington, DC. T. Chang is assistant professor, Division of Emergency Medicine and Transport, Children's Hospital Los Angeles, Los Angeles, California. A. Ades is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Pediatrics, Children's Hospital of Philadelphia, Philadelphia, Pennsylvania. H. French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Pediatrics, Children's Hospital of Philadelphia, Philadelphia, Pennsylvania. J. Anderson is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Pediatrics, Oregon Health Sciences University, Portland, Oregon. M. Auerbach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Pediatrics, Yale School of Medicine, New Haven, Connecticut. L. Johnston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Pediatrics, Yale School of Medicine, New Haven, Connecticut. D. Kessler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Pediatrics, Columbia University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New York, New York.

Abstract

Acquisition of competency in procedural skills is a fundamental goal of medical training. In this Perspective, the authors propose an evidence-based pedagogical framework for procedural skill training. The framework was developed based 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using a critical synthesis approach and builds on earlier models of procedural skill training in medicine. The authors begin by describing the fundamentals of procedural skill development. Then, a six-step pedagogical framework for procedural skills training is presented: LearnSeePracticeProve, Do, and Maintain. In this frameworkprocedural skill training begins with the learner acquiring requisite cognitive knowledge through didactic education (Learn) and observation of the procedure (See). The learner then progresses to the stage of psychomotor skill acquisition and is allowed to deliberately practice the procedure on a simulator (Practice). Simulation-based mastery learning is employed to allow the trainee to prove competency prior to performing the procedure on a patient (Prove). Once competency is demonstrated on a simulator, the trainee is allowed to perform the procedure on patients with direct supervision, until he or she can be entrusted to perform the procedure independently (Do). Maintenance of the skill is ensured through continued clinical practice, supplemented by simulation-based training as needed (Maintain). Evidence in support of each component of the framework is presented. Implementation of the proposed framework presents a paradigm shift in procedural skill training. However, the authors believe that adoption of the framework will improve procedural skill trainingand patient safety.

PMID:
 
25881645
 
DOI:
 
10.1097/ACM.0000000000000734


임상에서 복잡한 의사결정: 실천적 지혜를 키우는 데 핵심적 내적 외적 영향(Med Educ, 2019)

Complex decision making in medical training: key internal and external influences in developing practical wisdom

Paul Paes,1,2 David Leat3 & Jane Stewart1



도입

INTRODUCTION


복잡한 임상 의사결정에는 지식과 지성이 있어야 적절한 결정이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옳은 일'과 '이 특정한 경우에 가장 좋은 일' 사이의 결정을 위해서는 실천적 지혜가 필요하다. 실천적 지혜(처음 아리스토텔레스가 '프론시스'로 간주하고 카1에 의해 상세히 기술됨)는 서로 다른 상황에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심의, 반성, 판단을 통합한 윤리적 추론의 형태에 주어지는 용어다.

Complex clinical decision making requires knowledge and intellect to understand what an appropriate decision would be. Practical wisdom adds to decide between ‘the right thing to do generally’ and ‘the best thing to do in this specific case’. Practical wisdom (first considered by Aristotle as ‘phronesis’ and elaborated on by Carr1) is the term given to a form of ethical reasoning that incorporates deliberation, reflection and judgement of what to do in different situations.


의사로서의 가치와 도덕적 나침반에 의해 mediate되는 의사는, 문제를 프레임화하고, 상황을 평가하고, 맥락적으로 민감한 타당한 결정을 할 수 있어야 한다.3

Mediated by the doctor’s values and moral compass, the clinician must be able to frame problems, assess situations and make sound decisions that are contextually sensitive.3


EBM을 향한 drive는 [암묵적 지식, 임상 경험 및 전문적인 판단의 역할을 강조하는 의사 결정에 대한 보다 직관적인 접근]과 상충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4

The drive towards evidence-based medicine may appear to be at odds with a more intuitive approach to decision making, stressing the role of tacit knowledge, clinical experience and professional judgement.4


이러한 disjunct는 공식적인 훈련과 일상적인 시스템에 대한 상당한 투자와 개발에도 불구하고 환자 안전이 명확하게 개선되지 않은 이유를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5

This disjunct may partly explain why, despite considerable investment in and development of formal training and routine systems, there has been no clear improvement in patient safety5


여러 연구에서 개인의 의사 결정의 많은 측면에서 약점을 밝혀냈다. 더 적지만 더 강도 높은 시간, 로테이션 단축,  역량에 기반한 학습, 훈련 내 독립성 감소는 의사결정 기술 개발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investigations have identified weaknesses in many aspects of an individual’s decision making. Fewer but more intense hours,5 shorter rotations,7 competency- based learning8 and less independence within training9 may further impact upon the development of decision-making skills.


의사들은 복잡한 임상 상황을 관리하기 위해 어떻게 실용적인 지혜를 개발하는가?

how doctors approach and develop practical wisdom, to manage complex clinical situations.



방법

METHODS


이 연구의 인식론적 틀은 해석주의적 패러다임 내의 사회적 구성주의였다. 조사적인 의사결정은 그 과정의 암묵적이고 다면적인 성격 때문에 어렵다. 이는 대규모의 실천요강 탐색을 시도하기 전에 작은 실천요강을 분석한 후 보다 넓은 실천요강에 대한 핵심 이슈를 이해하기 위해 분석을 개시함으로써 더 잘 고려된다.11 이 원칙은 탐구 전 특정 상황에서 개별 의사의 실천요강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의 설계에 적용되었다.더 큰 결과를 가져오게 될 겁니다 이 방법론은 이 분야에서 독창적이며, 주제에 관여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에 사람들의 마음을 집중시키기 위해 고안되었다.

The epistemological frame for this study was social constructivism within an interpretivist paradigm. Investigating decision making is challenging because of the tacit and multifaceted nature of the process. This is better considered by analysing a small piece of practice than attempting a large-scale exploration of practice, before then opening up the analysis to understand core issues about wider practice.11 This principle was applied in the design of the study by focusing on the practice of an individual doctor in specific circumstances before exploring the wider consequences. This methodology was original in this area and was designed to focus people’s minds on a specific piece of practice to engage with the topic.


인터뷰는 디지털로 기록되고 기록되었다. 분석은 Charmaz의 접근에 기초한 데이터 수집과 얽힌 반복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주의 기반 이론 접근법과 일관되었다.12 공개 코딩은 라인별로 수행되었고, 카테고리가 무엇을 나타내고 무엇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메모하여 카테고리 개발에 집중하였다. 저자의 회의(PP, DL, JS)는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성적표와 새로운 아이디어를 보고, '맹점'을 확인함으로써 품질 보증을 제공했다. 또한 주 수사관(PP)이 의학적 교육에 매우 관여하였기 때문에, 데이터에 대한 관여를 통해 이론화가 개발되었는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했다. 이론적 충분성에 도달할 때까지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은 계속되었다.13 12명의 의사가 인터뷰했다.

  • Interviews were digitally recorded and transcribed. 

  • Analysis was consistent with a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approach, taking place in an iterative way, intertwined with data collection based on the approach of Charmaz.12 

  • Open coding was carried out line by line and focused on developing categories, with memos of what the categories represented and contained. 

  • Meetings of the authors (PP, DL and JS) provided quality assurance by sharing ideas, looking at transcripts and emerging ideas, and checking for any ‘blind spots’. 

  • It was also important to make sure theorising was developed through engagement with the data, because the main investigator (PP) was very involved in medical education. 

  •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continued until theoretical sufficiency was reached.13 

  • Twelve doctors were interviewed:


결과

RESULTS


'실용적 지혜'의 개발을 형성하는 요소들을 하나의 모델로 개념화하였다(그림 1): 수련자의 특징('내적 영향')은 수련자가 일하는 문화와 학습환경('외적 영향')에 영향을 받았으며, 궁극적으로는 '경험 쌓기'를 통해 발전하였다.

The factors shaping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wisdom’ were conceptualised diagrammatically into a model (Fig. 1): features of the trainees (‘internal influences’) were impacted upon by the culture and learning environment in which the trainees worked (‘external influences’) and developed through ‘gaining experience’.



내적 영향

Internal influences


(i) 책임지기

(ii) 회복탄력성과 자존감

(iii) 의사 결정 

(iv) 레토릭 

(v) 공간 만들기 

(vi) 고차원적 사고, 

(vii) 메타 인식 

(viii) 포스트스크립트(그림 1).


(i) taking responsibility; 

(ii) resilience and self-esteem; 

(iii) making decisions; 

(iv) rhetoric; 

(v) creating space; 

(vi) higher thinking; 

(vii) meta- awareness; and 

(viii) post-script (Fig. 1).


    • 수련자는 학습기회를 만들거나 활용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책임을 지는 데 관여할 필요가 있었다. 이것은 연습생들에게 자신의 개인적인 훈련 의제agenda가 자신의 직책에 어떻게 들어맞을 것인지에 대해 단호하고 명확해야 했다. 

    • 경험에 대한 긍정적인 접근법을 채택한다는 것은 불확실성을 용인하고 인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했고,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경험으로부터 배울 때 자존감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했다(회복과 자존감) 

    • 그들은 또한 현실적이든 투사적이든 결정을 내릴 상황에 처할 필요가 있었다. 

    • 그들이 그들의 사고 과정을 설명하고, 합리화하며, 정당화시킬 수 있는 올바른 언어(레토릭)를 발견했을 때, 그들은 감독자들로부터 더 나은 반응을 받았다.

The trainee needed to be involved in taking responsibility for their learning by creating or taking advantage of learning opportunities. This required trainees to be assertive and have clarity in terms of their personal training agenda and how it would fit within their post. To adopt a positive approach to an experience meant they needed to tolerate uncertainty and persevere, necessitating an ability to maintain self-esteem when learning from both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resilience and self- esteem). They also needed to put themselves in situations where they would be making decisions, either real or projected. When they found the right language (rhetoric) to explain, rationalise and justify their thought processes they received a better response from supervisors.


    • 종종 단지 몇 분이라도, 시간이 필요했고, 더 명확한 생각이나 숙고를 위한 공간을 만들고 압력을 줄이는 것을 포함했다. 

    • 이것은 그들이 더 정교하거나 더 높은 수준의 인식을 사용하고 더 복잡한 결정을 할 수 있게 해주었다(고차원적 사고)

    • 자신의 가치와 의사결정이 다른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인식함으로써 환자 중심의 의사결정을 위한 더 큰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메타인지)

    • 동료, 노인, 환자, 가족과 어려운 사례를 통해 이야기를 나누는 것은 폐쇄에 도달하고 계속 나아가는 데 도움이 되었다(post-script).

Time, often just minutes, involved creating space for clearer thinking or deliberation and reduced pressure. This allowed them to use more sophisticated or higher levels of cognition (higher thinking) and make more complex decisions. Being aware of their own values and the impact their decision making had on others, allowed for greater opportunity for patient-centred decision making (meta-awareness). Talking through difficult cases with peers, seniors, patients and families helped reach closure and move on (post-script).


내부적인 영향은 각각의 학습 만남에서 자신에 대한 신념을 형성했고, 또한 그러한 사건을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간에 어떻게 프레임할지도 형성했다. 놀랄 것도 없이, 경험은 의사마다 서로 다른 영향을 끼쳤다.

The internal influences shaped the trainees’ beliefs about themselves within each learning encounter and how they framed those events either positively or negatively. Unsurprisingly, experiences had different impacts for individual doctors.


외부 영향

External influences


(i) 감독 

(ii) 학습 환경, 

(iii) 통제된 자유 

(iv) 임상 대화 

(v) 피드백 

(vi) 역할 모델(그림 1).


(i) supervision; 

(ii) learning environment; 

(iii) controlled freedom; 

(iv) clinical conversations; 

(v) feedback; and 

(vi) role models (Fig.1).


    • 감독관시기적절하고 격려할 때 trainee를 성장시켰고, 조우encounter에 가치를 더했다. 

    • 팀 리더는 팀이 목적을 잃지 않고 학습 환경 내에서 토론, 질문 및 토론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자신감을 갖춰야 했고, 훈련에 헌신할 필요가 있었다. 

    • 팀원들은 의사 결정 과정에 참여하기 위해 안전함을 느낄 필요가 있었다. 감독관들의 참여 부족은 훈련생들에게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어떤 위협도 막아줬지만, 또한 발전의 기회도 막버렸다. 

    • 연습생에 대한 자유 조절은 trainer가 환자 요구와 그들 자신의 압력으로 개별 연습생들의 필요를 균형 있게 조정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처음에, trainer는 'hands on'해야 했지만, 계속 그렇게 하면 trainee 발달을 막을 수도 있었다

Supervision, when timely and encouraging, stretched the trainee and added value to the encounter. Team leaders needed to have enough self- confidence and commitment to training to allow debate, questioning and discussion within the learning environment without the teams losing purpose. Team members needed to feel safe to take part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 lack of engagement by supervisors stopped any threat to trainees of a negative response, but also stopped the opportunities for development. Controlled freedom for the trainee meant the trainer balanced the needs of the individual trainee with patient needs and their own pressures. Initially, the trainer needed to be ‘hands on’, but to remain so stifled trainee development.


    • 사례 토론과 같은 임상적 대화는 의사결정의 뒤에 있는 생각을 명확히 하고 토론하는 장을 제공했다. 

    • 종합평가는 형성평가와 대조적으로 발달적 이득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형성적 피드백은 [피드백이 구체적이고 긍정적이며 stretching하지 않은 경우] 학습에 지나치게 informal할 수 있다. 

    • 피드백 외에도, 역할 모델은 연습생들이 자신과 연관될 수 있고 닮기를 열망하는 트레이너를 식별함에 따라 강력한 영향을 미쳤다.

Clinical conversations such as case discussion provided a forum to articulate and discuss thinking behind decisions. Summative assessment presented little developmental benefit, by contrast with formative assessment processes. The formative feedback, however, could be too informal to learn from unless the feedback was specific, affirmative and stretching. In addition to feedback, role models had a powerful influence as trainees identified trainers they could relate to and aspire to be like.


외부적인 영향은 연습생들이 마주치는 learning encounter를 shape했다. learning encounter가 긍정적일지 부정적일지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여기에는 주로 trainee가 상호작용하는 능력, 임상환경으로부터 배워내는 능력에 달려 있었으며, 외부적 임상 학습 환경의 교육적 풍토와도 관련되어 있었다. 따라서 연습생들이 얼마나 성공적으로 progress하는가를 결정하는 것은 마주친 외부 환경과 내부 영향의 조합이었다.

The external influences shaped the learning encounters that the trainees faced. There was significant variation in whether these were positive or negative experiences, depending on the ability of the doctor to interact with and get the most out of the clinical setting they found themselves in, combined with the educational climate of the external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It was therefore the combination of the external environment encountered and the internal influences that determined how successful trainees were at progressing.


'경험 쌓기'

‘Gaining experience’


(i) 일상적인 의사 결정 

(ii) 사례를 장기간 추적하는 것. 

(iii) 복잡한 의사 결정 

(iv) 의사결정에 대한 교육 

(v) 결정적(또는 대표적) 사례 

(vi) 이전 경험의 재활성화 

(vii) 프로토콜로부터의 이탈(그림 1).


(i) routine decision making; 

(ii) following cases through; 

(iii) complex decision making; 

(iv) teaching about decision making; 

(v) critical (or seminal) cases; 

(vi) reactivating prior experiences; and 

(vii) deviating from protocols (Fig. 1).


이 과정은 대부분 시간 연속체를 따랐다. 

    • 다양한 사례를 많이 경험함으로서 일상적인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 이 때 명확한straightforward한 결정을 내려볼 기회가 있으며, 패턴을 인식하고, 즉각적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 의사결정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장기간에 걸쳐 더 복잡한 환자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사례 추적

    • 복잡한 의사 결정의 일부가 되는 것. 진짜 결정을 내리든, 결정을 내리도록 기대anticipated받든, 안전하게 서포트되는 방식으로 더 어려운 의사 결정을 수행하는 것

    • 의사결정에 대해 연습생들에게 가르치는 것자신의 의사결정을 인식하고 설명해야 한다.

This process largely followed a time continuum: 

    • routine decision making by seeing a large volume of varied cases, with the opportunity to make straightforward decisions, recognise patterns and get immediate feedback; 

    • following cases through, which ensured continuity in managing more complicated patients over a longer period to see the impact of decisions; 

    • being part of complex decision making and taking on more challenging decision making (real or anticipated) in a safe supported way; and 

    • teaching about decision making, where one needs to recognise and explain one’s decision- making rationales to trainees.


실용적인 지혜를 위한 다른 foundation은 훈련 연속체의 일부가 아니었다. 

    • 결정적(대표적) 사례들은 그들의 기억에 새겨졌고 그들의 미래 반응과 결정을 형성했다. 중요한 것은, 많은 사례들을 접함으로써 얻은 사례 간의 유사성 또는 차이를 인식함으로써 이전의 경험을 재기동reactivate하는 것이었다. 

    • 프로토콜에서 벗어난 경우, trainee들은 기존에 사용하던 자명했던 관리 계획을 그대로 실행할 수 없었으며, 특정한 환자 상황을 고려해야 했다. 이 때 의사결정을 안전하게 하기 위해서는, 정보를 공유하여 의사결정을 하고, 위험을 저울질하고, 결정에 편안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Other foundations for practical wisdom were not part of a training continuum: critical (or seminal) cases were etched on their memories and shaped their future responses and decisions. A crucial element was reactivating prior experiences by recognising similarity or differences across cases, gained through encountering many cases. By deviating from protocols, trainees were challenged and prevented from implementing obvious management plans, having to take into account specific patient circumstances. For them to do so safely, meant sharing information to inform decision making, weighing up risks and being comfortable with the decision.


핵심 인에이블러

Key enablers


개인이 경험을 쌓을 때 내부 및 외부 영향을 완화한 두 가지 요소:

Two elements moderated the internal and external influences as individuals gained experience:


1 자기효능감: 특정 상황에서 성공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개인의 신념.

1 Self-efficacy: an individual’s belief in their ability to succeed in a particular situation.


2 관계적 주체성: 타인과의 관계를 구축하여 타인으로부터 도움을 줄 뿐 아니라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능력(그림 1).

2 Relational agency: the ability to build relationships with others to gain from them as well as helping them (Fig. 1).


더 큰 자기효능감을 가진 훈련생 의사들은 외부 임상 학습 환경(구조)을 이용하여 다른 의사들과의 관계적 주체성을 통해 그들의 성장을 가속화할 수 있었다. 

    • 일부 의사들은 주요 관계를 형성하고, 관계로부터 기회를 인식하고, 그것을 이용할 수 있었다. 

    • 또 어떤 이들은 이러한 상황을 '위협적'으로 인식하고 회피했다. 

그러므로 자기 효율성과 관계적 주체성은 개인이 이용 가능한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는 데 크게 책임이 있었다.

Trainee doctors who possessed greater self-efficacy were able to accelerate their progress by taking advantage of the external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structure), through their relational agency with others. Some doctors were able to form key relationships, recognise the opportunities they presented and take advantage of them. Others avoided these situations because they were perceived as ‘threatening’. Self-efficacy and relational agency were therefore largely responsible for individuals getting the most from the opportunities available.


자기효능감이 높고 관계적 주체성이 높은 수련생 의사가 긍정적인 임상학습 환경을 접하게 되자 학습이 가속되는 듯 했다. '위협'을 인식하는 사람들에게 임상감독관은 tone을 설정하고, 토론을 장려하며, 수습 의사의 결정 뒤에 숨겨진 사고 과정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중요했다. 의사들은 새로운 사람들이 참여하도록 장려되고, 실수를 저지를 수 있고, 다른 사람들에게 질문할 수 있을 때 학습적 구조를 깨닫게 되었다. 반대로 감독관들이 [논쟁을 방해하고, 자신의 생각을 설명하지 않고, 모든 결정을 내려서] 토론과 개발을 억누르는 환경도 있었다.

When a trainee doctor with high self-efficacy and relational agency encountered a positiv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learning appeared to accelerate. For those who perceived ‘threat’, clinical supervisors were important in setting the tone, encouraging discussion and seeking an understanding of the thought processes behind a trainee doctor’s decisions. The doctors found learning structures where newcomers were encouraged to participate, could risk mistakes and question others. There were also environments that stifled discussion and development because supervisors discouraged debate, did not explain their thinking or made all the decisions.


더 큰 자기효능감과 관계적 주체성을 가진 의사들은 '경험의 획득'을 가속화하여 자기자신과 학습 환경 모두에서 더 많은 것을 추출했다. 내부 또는 외부적 영향력이 강하거나 이상적으로 둘 다 있으면 진보를 가속화한다. 반대로, 부정적인 영향은 발달을 늦추거나 반대로 할 수 있다.

Those doctors with greater self-efficacy and relational agency accelerated their ‘gaining of experience’, extracting more from both themselves and their learning environment. Having strong internal or external influences, or ideally both, accelerates progress. Conversely, negative influences could slow down development or reverse it.


고찰

DISCUSSION


본 연구의 독창성은 다음을 기반으로 한다.

The originality of the study is based on:


1 이 방법론은 주제를 탐구하고 실천 내에서 종종 암묵적이거나 암묵적인 것을 드러내는데 사용된다. 여기서는 수습 의사들의 평가와 사례의 논의를 이용한 의사결정 과정에 모델을 사용했고, 스텦의 발달에서 모델을 이용하여, 그들 자신의 사고를 자극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1 The methodology used to explore the subject and making overt what is often tacit or implicit within practice. This may be useful in the assessment of trainee doctors and their decision-making processes using discussion of cases, and in the development of staff members, using the model to stimulate their own thinking.


이 네러티브적 접근법은 경험으로부터 현실을 구성하는 수단으로서의 패러다임적 인식paradigmatic cognition과 대조된다;16 두 가지 학습 방식이 중요하며 전문가들은 둘을 연결할 수 있어야 한다.

This narrative approach contrasts with paradigmatic cognition as a means of constructing reality from experience;16 both modes of learning are important and professionals need to be able to connect the two.


자기효능감과 관계적 주체성은 개인이 자신에게 주어진 자원을 사용하고 환경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dynamic enabler이다

  • 낮은 자기효능감은, in practice에서 이뤄지는 학습의 성격을 고려할 때, 상황의 회피로 이어질 수 있고 따라서 개발 기회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17 자기효능감이 낮은 사람들은 어려움에 직면하면 쉽게 노력이 무의미하다고 생각한다. 

  •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들은 장애를 극복할 수 있고, 역경에 탄력적으로 남아 있으며, 대개는 자기 조절적학습자로서, 목표를 향해 자신의 행동을 감시, 지시, 조절함하는 방식으로 학습과 행동을 통제한다.20 

Self-efficacy and relational agency are considered to be dynamic enablers through which individuals use their own resources and are supported to get the most out of their environment. 

  • Given the nature of learning in practice, low self-efficacy is problematic as it can lead to avoidance of situations and therefore impact upon development opportunities.17 People with self-efficacy are easily convinced of the futility of effort in the face of difficulties. 

  • Those with a sense of high self-efficacy view impediments as surmountable, remaining resilient to adversity,18 and are usually self-regulated learners19 taking control of their own learning and behaviours through monitoring, directing and regulating action towards their goals.20 


그 영향을 고려할 때, 자기효능감이 성과와 강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21 그러나 그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또는 개입으로 개선될 수 있다.17

Given its impact, it is unsurprising that self-efficacy is strongly related to performance.21 However, it is not fixed and can be improved over time or with interventions.17


자기효능감이 높아지면 자신의 의지에 따라 더 많이 행동하고 더 많은 것을 성취할 수 있다면, 관계적 주체성은 자신의 환경 내에서 행동할 수 있는 능력에 관한 것이다. 이처럼 훈련생과 훈련 환경 사이의 locus of power는 중요하다.

Although a higher sense of self-efficacy enables someone to act more on their own will and achieve more, relational agency is about the capacity of a person to act within his or her environment. As such, the locus of power between the trainee and training environment is an important one. 


관계적 주체성은 '실무상의 문제를 해석하고, 그러한 해석에 대응하기 위해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다른 사람의 생각과 행동을 일치시킬 수 있는 능력'이다.22 관계적 주체성이란, 다른 사람과의 engagement를 통한 역동적 상호작용으로서, 새로운 관점을 발견하고, 그러한 관점을 자신의 실천에 통합하는 것이다.

Relational agency is ‘the capacity to align one’s thought and actions with those of others in order to interpret problems of practice and to respond to those interpretations’.22 It is a dynamic interaction between engagement with others to discover new perspectives and integrating those perspectives into one’s practice.23


훈련생들은 새로운 환경을 자주 경험한다. 새로운 장소의 일상적인 요소에 익숙해지게 되면 다른 기술의 발전을 늦출 수 있다(그 물건은 어디에 보관하는가?). New placement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함을 활용하여, 임상훈련에서 이러한 '비판적으로 강렬한 학습 기간'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24

Trainees experience new environments frequently. Getting used to the more mundane elements of new placements (where do they keep ...?) might slow down the development of other skills. Recognising the significance of starting new placements can help training settings manage these ‘critically intense learning periods’.24


수습 의사는 복수의 실천공동체 또는 'landscapes of practice'에 속하기 때문에, 임상팀은 신입자를 환영하고 지원하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멘토링이나 induction는 팀의 새로운 구성원의 학습 곡선을 줄일 수 있다.26 특정 문제 및 개별 환자에 대한 동기, 가치 및 범주(전문 언어)를 드러낼 수 있는 충분한 깊이의 전문가 간의 토론 기회가 필요하다. 이러한 기회를 통해서 의사들이 관련 정보를 교정하고 특정한 시나리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의 균형을 맞출 수 있게 한다.

As trainee doctors are part of multiple communities of practice or ‘landscapes of practice’,25 clinical teams must create an environment that welcomes and supports newcomers. Mentoring or induction can lessen the learning curve of new members of a team.26 Opportunities for discussions between professionals of sufficient depth to reveal motives, values and categories (professional language) regarding particular issues and individual patients27 enable doctors to calibrate relevant information and balance what matters most in particular scenarios.


보다 일상적인 의사결정은 물론 어려운 케이스에 대해서도 논의를 가능하게 하는 정기적인 임상 대화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수습 의사들의 경우 이러한 대화는 판단을 받는다는 두려움, 신뢰도를 떨어뜨릴 것이라는 두려움, 자신이 능력없어 보일 것이라는 두려움이 없는 조건에서 이뤄져야 한다.30 그렇지 않으면, 수습 의사는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이러한 상황을 피한다.

The importance of regular clinical conversations to enable case discussion has been emphasised, both for more routine decision making and when it is difficult. For trainee doctors, these conversations need to happen without fear of judgement,29 undermining of credibility28 or lowered perceptions of their competence.30 Otherwise, trainee doctors avoid these situations in order to protect themselves.


결과적으로, 구조나 임상 학습 환경이 중요하다. 의사결정에 있어 '경험을 쌓기' 위해서는, 초기 몇 년 동안에는 [즉각적인 피드백]을 통해 많은 경험을 쌓는 것이 도움이 되는 반면, 시간이 지나면later, 환자 관리와 감독 둘 다에 대해서 연속성continuity을 갖는 것이 더 복잡한 의사결정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된다. '통제된 자유'31과 '점진적 독립'은 환자 안전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정할 필요가 있다. 선배의 존재는 숨이 막히지 않는 한 학습에 도움이 된다.

Consequently, the structure or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is important. To ‘gain experience’ in decision making, in the early years of training a volume of experience with instant feedback is helpful, whereas later having continuity of both patient care and supervision helps to develop more complex decision making. ‘Controlled freedom’31 and ‘progressive independence’32 need to be prioritised alongside patient safety. A senior presence is helpful in learning, as long as it does not become stifling.


연습생들의 독립성을 높일 수 있는 피드백과 기회는 일상 작업의 일부가 될 수 있으며, 이 연구의 결과는 그들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에라우트는 적절한 자극과 피드백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사람들이 지나치게 overstretched되는 것을 피하는 학습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성장을 위한 도전에는 자극과 스트레칭이 필요하지만, 닿을 수 없는 정도여서는 안 되며, 학습자가 혼자서는 할 수는 없지만 guidance가 있으면 할 수 있는 활동을 포함하는 'ZPD'라는 아이디어와 일치한다.33 비공식적 기회, 시간 및 공간은 동료 지원 및 사례 개발에서 중요하다.

Feedback and opportunities for greater trainee independence can be part of everyday working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y are imperative. Eraut14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a learning environment that provides appropriate stimulus and feedback but avoids people being overstretched. The level of challenge needs to be stimulating and stretching, but not unachievable, consistent with the idea of learning within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which includes activities that learners cannot do on their own but can with guidance.33 Regarding informal opportunities, time and spaces are important for peer support and case development.



Supervisor에 대한 관심도 중요하다. 교육을 우선시하고, 교육에 필요한 적절한 기술을 갖추어야 한다. Supervision의 특징이 중요하다. 다음이 핵심 특징이다.

  • 다가기기 쉽고 접근하기 쉬운 것

  •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

  • 안전과 개방의 환경을 조성하는 것

  • 융통성이 있는 것

Greater attention needs to be given to training supervisors, prioritising the teaching elements of the senior doctor role, to ensure they have the appropriate skills. The nature of supervision is important: 

  • being approachable and accessible, 

  • having the ability to articulate thinking, 

  • being able to create a climate of safety and openness and 

  • being flexible seem to be key traits.


Trainee가 성장함에 따라, Supervision의 역할은 Coaching의 역할로 전환하고, Trainee가 스스로를 개발하도록 서포트하는 것이 필요하다. 

Developing the role of supervision into more of a coaching role, supporting trainee doctors to develop themselves, is likely to be crucial as training evolves. 


리드는 'co-configuration'의 중요성을 고려하는데, 여기서 트레이너는 co-configuration의 agent로 활동하며, 

  • 커리큘럼을 해석하는 데 있어 전문성을 개발하고, 

  • 학습자가 전문가 지식과 지원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관계를 파악하고, 

  • 학습자의 필요에 따라 학습을 조정한다.34

Reid considers the importance of ‘co-configuration’, where trainers act as agents of co-configuration, 

  • developing expertise in interpreting the curriculum, 

  • brokering the relationships learners need to access specialist knowledge and support, and 

  • tailoring learning to the needs of the learner.34


개별 의사의 목표와 임상 학습 환경의 목표를 동일하게 일치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는 예를 들어, 평가 프로세스를 바람직한 교육과정과 일치하도록 만드는 것이며, 이 때 임상 환경을 반영하고, 이것이 궁극적으로 개별 의사의 열망과 일치해야 한다.

Aligning the individual doctor and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with the same goals is of crucial importance. This means, for example, having assessment processes consistent with the desired curriculum, reflected in the clinical setting, which in turn fits with the aspirations of the individual doctor.



결론

CONCLUSIONS


이 모델에서는 lived experience를 해체함으로써, 트레이너와 연습생들은 통찰력을 얻고 그들의 영향권 내에서 인식된 약점을 다루기 위한 행동 계획을 세울 수 있다.

From deconstructing the lived experiences against the model, trainers and trainees may gain insights and form action plans to address the perceived weaknesses within their sphere of influence.


둘 사이의 인터페이스와 둘 모두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훈련생 의사들이 그들 자신의 자기효능감과 관계적 주체성 때문에 그것을 이용할 수 없다면 세계에서 가장 좋은 학습 환경조차 비효율적일 것이다.

Paying attention to both and the interface between the two is crucially important. The best learning environment in the world will be ineffective if trainee doctors cannot take advantage of it because of their own self-efficacy and relational agency.





 2019 Feb;53(2):165-174. doi: 10.1111/medu.13767. Epub 2018 Nov 25.

Complex decision making in medical trainingkey internal and external influences in developingpractical wisdom.

Author information

1
School of Medical Education, Newcastle University, Newcastle upon Tyne, UK.
2
Palliative Care, Northumbria Healthcare NHS Foundation Trust, North Shields, UK.
3
School of Education, Communication and Language Sciences, Newcastle University, Newcastle upon Tyne, UK.

Abstract

CONTEXT:

Good judgement and the ability to make complex decisions are key attributes of a skilled professional. There has been limited study of doctors and their decision making, particularly in relation to making complex decisions. The study aims were to understand how trainee doctors develop practical wisdom through investigating their approach to difficult decision making, understanding the influences on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wisdom, and identifying potential interventions that may help develop this further.

METHODS:

Constructing an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developing practical wisdom was analysed within a social constructivist frame. The study investigated trainee doctors at different stages of their careers. Qualitative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used to explore the approaches doctors take to difficult decision making, as well as the key training influences in learning these skills.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in a grounded theory approach.

RESULTS:

Key elements emerged from the data regarding the doctors themselves and the environments they worked in that assisted in developing decision making. This led to the construction of a conceptual model setting out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wisdom among trainee doctors. The model describes a process of gaining experience in decision making, moderated by key external and internal influences. The important roles of self-efficacy and agency (relational) are highlighted as key enablers of the process.

DISCUSSION:

The implications of this model are considered in relation to postgraduate training of doctors. The importance of training doctors to be self-regulated learners in learning environments that support their development is highlighted. Aspects of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structure) such as rotation structures, the culture, supervision and feedback can all be enhanced. Self-efficacy and relational agency, alongside other internal influences, are key factors in accelerating development of practical wisdom. Other studies have shown that these factors can be improved with targeted interventions.

PMID:
 
30474254
 
DOI:
 
10.1111/medu.13767


지역사회기반의학교육: 성공이 유의미한 개인적 학습경험 때문인가? (Educ Health (Abingdon), 2014 )

Community-based Medical Education: Is Success a Result of Meaningful Personal Learning Experiences?

Len Kelly1, Lucie Walters2, David Rosenthal3

1Professor, Division of Clinical Sciences, Northern Ontario School of Medicine, Sioux Lookout, ON, Canada, 2Associate Professor, Academic Director,

3Senior Lecturer and Assessment Coordinator, Flinders University Rural Clinical School, Adelaide, South Australia




배경

Background


커뮤니티 기반 의학교육

Community-based medical education


지역사회 기반 의료 교육(CBME)은 학습자의 임상 훈련을 지역사회 환경에 배치하는 의료 교육을 말한다. 그것은 학생들을 가족, 사회, 지역사회에서 질병을 관리하고 있는 환자들에게 노출시킨다.[1-4]

Communit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refers to medical education, which situates the learner’s clinical training in a community setting. It exposes students to patients who are managing their illnesses within their own family, social and community contexts.[1-4]


본질적으로, 배움은 지역사회에서 일어난다.[3] 이러한 프로그램에는 일반적으로 학생이 환자를 따라 사무실에서 병원으로, 그리고 지역사회 기반 홈케어를 위해 집으로 돌아오는 과정을 따라간다.[5]

Essentially, learning occurs in the community.[3] Such programs typically include having the student follow the patient from office setting into hospital care and back home to community-based homecare.[5]


LIC 임상실습

Longitudinal integrated clinical clerkships


CBME의 최근 예 중 하나는 LIC이다. 1년간 진행되는 이러한 임상실습은 1990년대 후반에 호주에서 개척되었다.[3,5,6] 학생들은 강력한 의사소통 기술과 뛰어난 임상 추론 및 관리 기술을 습득하고 이후 1차 진료 및 시골지역 훈련 프로그램에 더 많이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7]

One of the recent examples of CBME are longitudinal integrated clerkships (LICs). These year-long clinical placements were pioneered in Australia in the late 1990s.[3,5,6] Students gain strong communication skills and excellent clinical reasoning and management skills and are more likely to subsequently apply to primary care and rural training programs.[7]


핵심 요소: 학습을 위한 진정한 프로페셔널 맥락 및 사회 공동체 맥락. 

key elements : An authentic professional and social community context for learning. 


기존 학습이론

Existing learning theories


학습자가 의학 교육에 참여함에 따라 그들은 변한다. 배움은 감정적이기도 하고 사회적으로 내재되기도 한다.[8] 단순한 지식 습득 과정이 아니라 사회화 과정이다.[9] 임상 로테이션에 들어가 환자를 보는 임상 선생님들과 함께 정기적으로 일하면, 학생들이 의학의 하위문화subculture와 지역사회의 문화에 심취하게 됨으로써 학습이 촉진된다.

As learners participate in medical education they change. Learning is both emotional and socially embedded.[8] It is not merely a knowledge acquisition process, but also a socialization process.[9] Upon entering clinical rotations and working regularly alongside clinical teachers seeing patients, learning is facilitated by the students becoming embedded in the subculture of medical practice and the culture of the local community.


현존하는 두 가지 학습 이론은 우리의 토론과 관련이 있다. Kolb의 경험적 학습이론과 Lave and Wenger의 상황학습이론

Two existing learning theories are relevant to our discussion. Kolb’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and Lave and Wenger’s Situated Learning Theory


상황학습이론은 학습이란 [현실 세계에 'situated' 문제 해결에 관여함으로써 얻어지는 부산물]이고, 이 과정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협력으로 강화된다고 말한다.[9] 이 견습 학습 모델은 학생들이 의학을 '하는do' 것이 아니며, 의사가 '되는be' 과정에서 preceptor와 멘토의 가치와 태도를 어떻게 습득하는지를 설명할 수 있다.

Situated Learning Theory suggests that learning is a by-product of engaging in problem solving ’situated’ in a real world environment, enhanced by social interaction and collaboration.[9] This apprenticeship learning model may explain how students adopt values and attitudes of their clinician preceptors and mentors as they seek to ‘be’ doctors rather than to ‘do’ medicine.


지역사회, 의사와의 관계, 점진적 책임

Community, relationships with clinicians and graded responsibility


학습자와 임상 감독자 사이의 긴밀한 업무 관계가 시간에 따라 견습생 관계apprenticeship relationship의 성숙을 가능하게 한다.

The close working relationships between learners and their clinical supervisors over time allows for the maturation of an apprenticeship relationship.[10]


임상 로테이션이 단기간동안 이루어질 경우, preceptor에 의해서 학생들은 shared enthusiasm과 social inclusion을 낳게 된다. 이에 비해 확장된 CBME 프로그램에서 학생들은 "sense of companionship"을 개발한다.[11] 3차 병원 환경보다 긴밀하게 협력하는 의료인력이 더 적기 때문에, 학생과 preceptor 사이의 개인적인 관계는 더 빨리 성숙할 수 있으며, 또한 working relationship도 대부분의 삼차병원보다 더 일관성이 있다.

While short term placements result in shared enthusiasm and social inclusion of students by preceptors, students in extended CBME programs describe developing a “sense of companionship”.[11] a 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and preceptor, can mature more rapidly where there are fewer health professionals working closely together and working relationships are more consistent than in most tertiary hospital settings.


이와는 대조적으로, 3차 교육병원 에서 학생들은 팀이 아닌 'negotiated knotworks'으로 알려진 건강 전문가들의 모임들이 빠르게 바뀌는 것을 경험할 위험이 있다.[12] 역동적이고 비인간화된 이 맥락은 학생들이 스스로 비인간화를 경험하는 위험에 놓이게 한다.[13]

By contrast, in tertiary care medical education center, students risk experiencing rapidly changing collections of health professionals known as ‘negotiated knotworks’ rather than teams.[12] This dynamic, depersonalized context risks students experiencing depersonalization themselves.[13]


전문적·사회적 경계가 덜 배타적인 농촌에서는 학생의 소속감이 높아진다.[11] 이러한 관계는 더 긴 배치에서 강화되며,[15] 커뮤니티에서 LIC가 3차 진료 환경에서 성공하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7] 로테이션의 길이, 임상 및 교수팀의 연속성, 호의적 전문적 환경이 이 학습 환경의 핵심 요소들이다.

The student’s sense of belonging is enhanced in rural areas where professional and social boundaries are less exclusive.[11] These relationships are enhanced on longer placements,[15] which may explain the success of LICs in community versus tertiary care settings.[7] Length of rotation, continuity of the clinical and teaching team and a welcoming professional environment are key components in this learning environment.


지역사회, 환자와의 관계, 전문적 발달

Community, relationships with patient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학생들은 미래의 잠재적 의료 구성원으로 인정받으며, 그 도시에 온 것을 환영받는다.[11] 환자들은 대부분 학생을 자신의 care에 참여시키는 것을 기꺼이 받아들이고 있다.[17,18] 1차 진료의 맥락 안에서 학생들은 일반의사가 상담에 참여하기 전에 스스로 환자를 볼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Students are recognized as potential future workforce members and are welcomed into the town.[11] Patients are mostly very accepting of having a student involved in their care.[17,18] Within the primary care context, students can be given the opportunity to see patients on their own before the general practitioner joins the consultation.


CBME 학생들은 그들의 삶의 맥락 안에서 사람들에게 치료의 제공에 대한 통찰력을 얻는 반면, 3차 병원의 학생들은 맥락이 소거된 기술로서 의학을 이해하게 될 위험이 있다.

CBME students gain insight into the provision of care to people within the context of their lives, while students in the tertiary hospital setting risk understanding medicine as a context-void skill.


CBME 배치에서는 의료 서비스를 개인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전체적인 그림의 일부로 보고,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소가 환자 결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인식하게 된다[그림 1].

CBME placements see medical care as a part of the holistic picture of a person’s health status and come to recognize how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impact on patient outcomes [Figure 1].




Conclusion








 2014 Jan-Apr;27(1):47-50. doi: 10.4103/1357-6283.134311.

Community-based medical education: is success a result of meaningful personal learningexperiences?

Author information

1
Professor, Division of Clinical Sciences, Northern Ontario School of Medicine, Sioux Lookout, ON, Canada.

Abstract

BACKGROUND:

Communit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is the delivery of medical education in a specific social context. Learners become a part of social and medical communities where their learning occurs. Longitudinal integrated clerkships (LICs) are year-long community-based placements where the curriculum and clinical experience is typically delivered by primary care physicians. These programs have proven to be robust learning environments, where learners develop strong communication skills and excellent clinical reasoning. To date, no learning model has been offered to describe CBME.

METHODS:

The characteristics of CBME are explored by the authors who suggest that the social and professional context provided in small communities enhances medical education. The authors postulate that meaningfulness is engendered by the authentic context, which develops over time. These relationships with preceptors, patients and the community provide meaningfulness, which in turn enhances learning.

RESULTS AND DISCUSSION:

The authors develop a novel learning model. They propose that the context-rich environment of CBME allows for meaningful relationships and experiences for students and that such meaningfulness enhances learning.

PMID:
 
24934943
 
DOI:
 
10.4103/1357-6283.134311


맥락과 임상추론: 전문가의 관점에서 이해(Med Educ, 2011)

Context and clinical reasoning: understanding the perspective of the expert’s voice

Steven Durning1, Anthony R Artino Jr.1, Louis Pangaro1, Cees PM van der Vleuten2 & Lambert Schuwirth2





도입

INTRODUCTION


임상적 추론은 진단을 확립하는 것(진단적 추론)과 환자의 상황과 선호에 특정한 행동 계획을 결정하는 것(치료적 추론) 모두를 포함한다.

Clinical reasoning involves both establishing the diagnosis (diagnostic reasoning) and deciding on a plan for action that is specific to the patient’s circumstances and preferences (therapeutic reasoning).


임상 추론은 의사들이 특정한 상황이나 맥락에서 가장 잘 판단되는 행동을 선택함으로써 '현명한' 행동을 취할 수 있게 한다.3,4

Clinical reasoning enables doctors to take ‘wise’ action by selecting the best-judged action in a specific situation or context.3,4


임상 추론의 복잡한 성질은 앞에서 설명한 바 있다.2 추론에는 판단, 통찰, 경험이 필요하며, 이 모든 것은 부분적으로 암묵적인 지식에 의존한다. 암묵적 지식은 눈에 보이지도 않고 유형도 없으며, 평가하기도 어렵다.5 게다가, 연구에 따르면 지식, 경험, 추론을 분리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6-8 더 나아가 의사는 상황(또는 사례)마다 서로 다른  퍼포먼스를 보여준다. 이것은 종종 맥락 특이성의 문제라고 언급된다.17 실제로 많은 학자들은 임상 추론은 행동을 통해서만 드러난다고 주장해왔다. 9,10 그리고 그러한 행동은 반드시 개별 임상상황에 고유한 맥락에 잠재적으로 영향 받게 된다.

The complex nature of clinical reasoning has been previously described.2 Reasoning involves judgement, insight and experience, all of which depend, in part, on tacit knowledge. Tacit knowledge is neither visible nor tangible, and is difficult to evaluate.5 Additionally, studies have found it challenging to disentangle knowledge, experience and reasoning.6–8 Further, doctor performance across situations (or cases) has been shown to vary; this is often referred to as a problem of context specificity.1,7 Indeed, many scholars have argued that clinical reasoning is revealed only in action9,10 and that such action necessarily incorporates the potential influence of the unique context of the clinical encounter.


맥락특이성은 우선 임상 추론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도전을 제기한다. 실제 세계에서의 추론은 매우 복잡하고 특정 환자의 문제와 환자를 진료하는 세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의료 이외의 분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그러한 authentic한 상황에서 추론은 상당부분 환경에 의존한다는 것을 발견했다.11,12

Context specificity poses challenges to our understanding of clinical reasoning Firstly, reasoning in the real world (versus a controlled experimental setting) can be highly complex and dependent upon the specific patient’s problems and the setting in which the patient is evaluated. Work outside medicine has found that reasoning in such authentic situations places significant reliance on the environment.11,12


더욱이, 최근의 연구는 의사마다 동일한 임상 사건에 대해 유사하지만 약간씩은 다른 해석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3 이 발견은 또한 맥락이 임상 추론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What is more, recent work has shown that different participant groups can have similar, yet slightly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same clinical event.13 This finding also suggests that context is critically important to clinical reasoning.


상황의존적 인지situated cognition과 생태 심리학이라는 두 개의 현대 심리 이론은 교육과 임상적 모두에서 맥락을 고려하는데 유용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12,15–17 이 이론들은 지식, 추론, 학습이 모두 경험에 situated or located 되어있다고 주장한다. '경험'은 참가자들뿐만 아니라, 물리적 환경이나 환경도 가리킨다.

Two contemporary psychological theories, situated cognition and ecological psychology, propose frameworks for considering context in both education and the clinical encounter.12,15–17 These theories argue that knowledge, reasoning and learning are situated, or located, in experience. Experience refers to not only the participants, but also to the physical environment or setting.


Situated cognition은 개별 의사와 환자 성과(이 경우 환자 치료) 사이에 복잡한 상호작용이 있다고 주장한다. 임상상황의 구성요소를 의사, 환자, 상황 요인으로 나누는 것은 이들 요인 사이의 잠재적 복잡한 상호작용을 조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Situated cognition argues that there are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ipants and the outcome (in this case, patient care) in the medical encounter. Dividing components of the clinical encounter into doctor, patient and setting factors, as supported by situated cognition, can help to illuminate the potential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these factors.


생태심리학에서는 어포던스(Aff, 환경이 제공하는 것)이펙티비티(Eff, 참여자가 해당 환경에서 잠재적으로 할 수 있는 것) 측면에서 주체(의사)-환경 상호작용의 개념을 제안한다. Aff와 Eff는 (상호 의존적이기 때문에) 완전히 분리될 수 없으며,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성인은 차에 대한 Eff가 있기 때문에 운전이 가능하지만, 어린 아이는 Eff가 부족하므로 운전을 할 수 없다.

ecological psychology proposes agent (participant)– environment interaction in terms of affordances (what the environment provides) and effectivities (what the participant can potentially do in that environment). Affordances and effectivities cannot be completely separated (as they are interdependent) and are predicated on the specific situation. For example, a car is drivable by an adult because the adult has the necessary effectivities, but a car is not drivable by a young child who lacks these effectivities.


마지막으로, 이 두 이론은 "환경"이란 최소화하고 일반적으로 무시해야 하는 '소음'의 일부라기보다는 측정할 신호signal, 즉 의미 있는 분산의 하나라고 제안한다. 즉, 추론이 당면한 경험의 세부사항(참여자, 세팅, 이 둘의 상호 작용)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그 발생 상황이나 맥락을 고려하지 않고서 임상추론을 충분히 평가할 수 없다.

Finally, these two theories propose that the environment is a part of the signal, or meaningful variance, to be measured, rather than part of the ‘noise’, which is to be minimised and generally ignored. In other words, we cannot fully appreciate clinical reasoning without considering the context or situation in which it occurs because reasoning is located in the details of the experience at hand (participants, setting and their interactions).


(그림 1).

(Fig. 1).


본 연구에서는 선택된 상황 요인이 임상 추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와 관련하여 이사회 인증을 받은 내과전문의(전문가)의 구두적 관점을 탐구하였다.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verbalised views of board-certified internists (experts) in relation to how selected contextual factors influenced their clinical reasoning.



METHODS


참여자

Participants


설계

Design


임상 추론에 대한 맥락의 영향을 풀기 위해 정성적 분석적 접근법을 사용했다.

To untangle the influence of context on clinical reasoning, we used a qualitative analytic approach.


우리는 선택된 환자와 접점 요인(표 1)을 수정하여 전문가의 진단 및 치료 추론에 대한 컨텍스트의 영향을 탐구하였다. 우리는 특별히 두 가지 환자 요인을 변화시켰다. 

    • (i) 정서적 변동성(의사 자격 증명에 도전하는 것으로 입증됨) 및 

    • (ii) 영어 능력의 수준 또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접점 요인을 명시적으로 탐구했다. 

    • (i) 잘못된 진단 또는 치료(잘못된 제안)를 제안하는 환자 

    • (ii) 일반적인 조건 대 비정상적인 상태 표시.

We modified selected patient and encounter factors (Table 1) to explore the influence of context on experts’ diagnostic and therapeutic reasoning. We specifically varied two patient factors: 

(i) emotional volatility (manifested as challenging the doctor’s credentials), and 

(ii) level of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We also explicitly explored two encounter factors: 

(i) the patient suggesting an incorrect diagnosis or therapy (incorrect suggestion), and 

(ii) a typical versus atypical presentation of the condition.


따라서 환자 요인 비디오테이프의 경우, 비디오 1은 의사의 자격 증명에 도전하는 환자를, 비디오 2는 환자의 낮은 영어 실력을, 비디오 3은 의사의 자격 증명에 도전하는 것과 낮은 영어 실력을 모두 묘사했다(표 1).

Thus, for patient factor videotapes, video 1 depicted a patient challenging the doctor’s credentials, video 2 depicted low English proficiency of the patient, and video 3 depicted both challenging the doctor’s credentials and low English proficiency (Table 1).





참가자들은 비디오테이프를 시청한 후, 진단 및 관리 계획을 적어 종전에 검증된 PEF를 완성했다.13,18 PEF를 작성한 직후, 참가자들은 연구 보조원이 지원하는 사고-알람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동일한 비디오 테이프 조회를 검토했다. 비디오 테이프 모두에 대한 PEF와 think-aloud (T-A) 프로토콜을 마친 후,  참가자들은 선택된 환자의 영향과 비디오 테이프에서 수정된 요인에 대해서 성찰하도록 하는 설문 조사(개방형 질문)를 완료했다. 그러나, 참가자들은 이러한 요소들이 연구에서 수정되었다는 것을 듣지 못했다.

Participants watched a videotape and then completed a previously validated post-encounter form by writing down their diagnosis and management plan.13,18 Immediately after completing the post-encounter form, participants reviewed the same videotape encounter using a think-aloud protocol facilitated by a research assistant.6 After completing the post-encounter forms and think-aloud protocols for all three videotapes, participants completed a survey (open-ended questions) in which they were asked to reflect on the influence of the selected patient and encounter factors modified in the videotapes. However, the participants were not told that these factors were modified in the study.


    • 요인 x(예: 영어 실력이 낮은 환자)가 진단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왜 또는 왜 아닌가? 

    • 요인 x(예: 잘못된 진단을 제안하는 환자)가 치료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무엇인가? 왜 그런가요? 혹은 왜 그렇지 않은가요?

    • What are your thoughts about whether factor x (e.g. a patient with low English proficiency) influences your diagnostic decisions? Why or why not? 

    • What are your thoughts about whether factor x (e.g. a patient who suggests an incorrect diagnosis) influences your therapeutic decisions? Why or why not?


자료 분석

Data analysis



결과

RESULTS



맥락요인의 영향에 영향을 주는 요인

Components influencing the impact of contextual factors


"추가 자원 필요"라는 주제에 따르면, 네 가지 상황적 요인의 존재(표 1)에 따라 참가자가 진단을 확립하거나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추가 시간, 추가 면담, 추가 테스트의 필요성을 구두로 설명하는 방법에 포함되었다. 특히, 참여자들은 추가 자원의 사용을 초래한 germane 또는 더 많은 peripheral 문제(표 2)를 구두로 표현했다.

The requirement for additional resources theme pertained to how the presence of the four contextual factors under study (Table 1) often led the participant to verbalise the need for additional time, additional consultation or additional testing to establish the diagnosis or provide therapy. Notably, participants verbalised either germane or more peripheral issues (Table 2) that led to their use of additional resources;


Germane 이슈란 문제는 진단 또는 치료의 확립과 직접 관련된 문제를 말한다

Germane issues were those that were directly related to establishing the diagnosis or treatment:


'이 환자는 쉽지 않았다. 나는 내 최종 진단은 추가 workup에 따라 크게 달라질 것이다.' (생각할 만한 해설; 비정형적인 프레젠테이션)

‘This one is tough, and I am not sure so my final diagnosis would rest heavily on additional workup.’ (Think-aloud comment; atypical presentation)


주변 문제는 진단이나 치료의 달성에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여전히 추가적인 자원 사용으로 이어지는 이슈이다. Volatility와 잘못된 제안은 종종 주변적인 문제가 발생시켜 리소스 사용을 증가시켰다.

Peripheral issues referred to issues that were deemed not to be essential to achieving a diagnosis or therapy, but that still led to additional resource use. Volatility and incorrect suggestion often resulted in a peripheral issue that led to increased resource use:


특히, 연구된 네 가지 상황적 요인은 모두 자원 사용 증가로 이어지는 germane 또는 peripheral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Notably, all four of the contextual factors studied could result in either germane or peripheral issues leading to increased resource use.



"맥락 요인을 무시하거나 사용하는 것"은 맥락적 요인을 다루는 방법과 관련된 하위 주제 중 하나였다(표 2). 여기의 subtheme에는 

    • 상황적 요인의 출처에 대한 신뢰도, 

    • 맥락적 요인에 의해 유발된 감정, 

    • 환자면담의 목표였다.

Dismissing or using the contextual factor was a theme in which experts also voiced several sub-themes related to how they deal with the contextual factor (Table 2). These sub-themes were: 

    • credibility of the source of the contextual factor; 

    • emotions invoked by the contextual factor, and 

    • goals for the appointment.


예를 들어, 환자가 잘못된 진단을 제안하는 경우 출처의 신뢰성을 판단하였다.

For example, participants did not fully agree on the credibility of the source of the incorrect diagnostic suggestion:


'환자 진단 또는 치료사상이 WebMD와 같은 유효한 외부 기관이나 의사 가족 구성원 또는 친구로부터 온 경우, 제공된 정보를 고려할 가능성이 높다.')

‘When the patient’s diagnostic or therapeutic ideas are from a valid external authority such as WebMD or physician family member or friend, I am more likely to consider the information provided.’ (Free-text comment)


맥락적 요인은 진료에 도움이 되거나 문제가 될 수 있다.

Using one of the four contextual factors could be either beneficial to the encounter or potentially problematic:


'포기하고 싶었다' (자유 텍스트 코멘트, volatility, 문제적 사용)

‘I want to give up…’ (Free-text comment; volatility, problematic use)


맥락적 요인을 무시하는 경우도 관찰되었다.

Dismissing or disregarding the contextual factor was also observed in both analyses:


참가자들은 면담 상황의 다양한 목표를 언급했다. 두 가지 범주였는데, 하나는 실용적 목표가 있었고, 다른 하나는 학습 지향적 목표가 있었다.

Participants verbalised different goals for the appointment in both think-aloud and free-text material (Table 2). Verbalised goals fell into two categories according to whether they were pragmatic or oriented toward learning:


환자를 어떤 상황에서 만나느냐도 영향을 주었다. 환자를 만난 상황이 volatility에 대한 인식을 약화시키거나 확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influence of the encounter setting (Table 2) was evident only in think-aloud material. it appeared that encounter setting could dampen or magnify the participant’s perception of volatility:


'환자가 응급실에 있기 때문에 더욱 주의를 기울인다. 환자에게 더 신경을 써야 한다.' (생각하는 듯한 논평, 변동성)

‘It gets more of my attention because the patient is in the emergency room – it must be more concerning to the patient…’ (Think-aloud comment; volatility)




맥락적 요인을 해결하는 기전

Mechanisms for addressing contextual factors


참가자들은 이러한 네 가지 상황적 요인을 다루기 위한 메커니즘으로 두 가지 주제를 제시했다(표). 하나는 명시적 접근법(환자와 의사의 목적의 균형)에 관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때때로 암묵적(요인의 상호작용)인 것처럼 보였다.

Participants voiced two themes that pertain to general mechanisms for addressing these four contextual factors (Table 2). One concerned an explicit approach (balancing the goals of the patient and doctor) and the other appeared to be at times implicit (interaction of factors).


예를 들어, 가능성이 낮은 진단에 대해서도 workup을 고려하는 것은 아마도 환자와의 치료적 동맹(목표)을 확립하는 수단일 것이다. 의사와 환자의 목표의 균형을 맞추는 이 주제는 일부 참가자들에 의해 분명히 언급되었다.

For example, giving consideration to a workup for an unlikely diagnosis is perhaps a means of establishing a therapeutic alliance (a goal) with the patient. This theme of balancing doctor and patient goals was explicitly mentioned by some participants:


'이러한 [환경적 요인]이 내 사고과정에 미치는 영향은... 나는 나의 목표와 그들의 목표 사이에서 균형을 맞춰야 하며, 결국 종종 어딘가에서 중간지점에서 만나는 것을 발견한다.' 라고 말했다.

‘With these [contextual factors], their influence on my thinking depends… I need to balance my goals and their goals and I often find myself meeting somewhere in the middle.’ (Think-aloud comment)


'나는 진료를 보러 온 환자들의 목표를 알기 전에는 환자의 생각이나 요청에 어떻게 반응할지 알 수 없다. 그러나 알게 되면 그에 따라 조정하면 된다. 환자들의 목표들은 예측할 수 없고, 진료가 진행되면서 종종 바뀌는 것 같다.' (생각하는 듯한 논평)

‘I don’t know how I will respond to a patient’s ideas or requests until I know what their goals for the appointment are and I will adjust my goals accordingly…these goals are unpredictable and often seem to change as the appointment goes on.’ (Think-aloud comment)


"요인 간의 상호작용"이라는 주제는 상황적 요인을 다루는 두 번째 일반적인 메커니즘이었다. 상황 요인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우리의 네 가지 상황 요인을 다루기 위한 일반적인 메커니즘이 되는지를 보여주었다.

The theme of interaction among factors was a second general mechanism for addressing contextual factors. Multiple examples from both the free-text responses as well as the think-aloud data demonstrated how contextual factors’ interactions represent a general mechanism for addressing our four contextual factors.


'그래서 환자는 전형적이지 않았으며, 의사에 대한 의구심을 표하며 10,000가지 일을 짧은 시간에 처리하기를 원했다... 여러가지 요구들이 서로 경쟁상태에 있을 때, 모든 것에 집중하는 것은 어렵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오히려 중요한 것이 혼란스러워질 수 있다. (자유 텍스트 코멘트)

‘So the patient presents in non-classic fashion and wants 10 000 things done in a short appointment time while challenging your credentials…it’s hard to get everything done and focus when people have all these competing demands – important things can, and do, get confused when this happens.’ (Free-text comment)


환자 진료에 대한 맥락적 요인의 영향

Consequences of contextual factors for patient care


데이터에서 두 가지 주제, 즉 핵심 발견의 누락과 보정(표 2)이 나왔다. 주요 발견을 간과하는 것은 참가자들이 사상적 자료에서 4가지 상황적 요인 중 2개 이상의 존재를 인정할 때 특히 발생할 가능성이 높았다. 중요한 것은, 사소한 finding만 누락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대신에, 핵심 진단 정보나 치료 정보도 꾸준히 누락되었다.

Two themes emerged from the data: the missing of key findings, and calibration (Table 2). The overlooking of key findings was particularly likely to occur when participants acknowledged the presence of two or more of the four contextual factors in thinkaloud material. Importantly, the missed data did not pertain to trivial findings; instead, the data consistently represented key diagnostic or therapeutic information, which the participant acknowledged when watching the video (the second time) in the think-aloud activity.


'처음에 타키프노아, 저산소증을 놓쳤다...'

‘I missed the tachycardia, tachypnoea, and hypoxia the first time…’


이러한 데이터는 여러 상황적 요인을 인식하는 것이 내과전문의의 집중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예측에 부합하지 않는 방식으로 요인이 나타날 경우, 맥락 요인은 더 어려운 것이 되어서, 처리하는 데 더 많은 노력을 들여야 했다.

These data suggest that recognising multiple contextual factors can influence the attention of the expert internist. This was supported by the finding that participants found the contextual factor more difficult when the factor presented in a way that did not meet their expectations, a circumstance that may invoke more effortful processing:



'이런 [요인]은 환자가 일반적인 패턴이나 나의 기대에 맞지 않을 때 특히 다루기 어렵다. 예를 들어, 영어 실력이 낮은 고학력 환자와 같은 경우.... (자유 텍스트 코멘트)

‘I find these [contextual factors] particularly difficult to deal with when the patient doesn’t fit the usual pattern for the factor or my expectation… for example, a very educated patient with low English proficiency…’ (Free-text comment)



Calibration이라는 주제(표 2)는 환자 치료에 대한 맥락적 요인의 영향에 대한 practitioner의 의견을 말한다. 이에 따른 영향은 치료에 유익하거나 환자 치료에 대한 장벽이 되었다. 특히, 두 개 이상의 맥락적 요인이 존재할 때, 둘 다 유익하지 않았다. 이는 단독으로 존재하는 요인일 경우에 잠재적으로 유익했던 경우에도 발생한다. 따라서, 복수의 요인의 존재는 지속적으로 전문 내과 의사들에 의해 효과적인 환자 치료의 제공에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The theme of calibration (Table 2) referred to the practitioner’s opinion of the impact of the contextual factor on patient care. The perceived impact was described as either beneficial to care or as a barrier against or problematic for patient care. Notably, when more than one contextual factor was described, none of them were viewed as beneficial. This occurred even when a specific participant mentioned one of those factors as being potentially beneficial when it was the only contextual factor present. Thus, the presence of multiple factors was consistently viewed by expert internists as problematic to the provision of effective patient care.



의사들은 환자의 부정확한 진단 제안보다 부정확한 치료 제안서을 더 무시하였다. 이는 불필요한 workup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위험이 부적절한 치료에 의한 위험보다 적다는 가정에 근거할 수 있다. 또한, 참가자들은 환자가 잘못된 진단을 제안하더라도 그것을 pursue할 가능성이 매우 낮으며, 환자가 잘못된 진단을 제안했을 때 1차 진단 고려사항을 변경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Participants were less likely to incorporate the patient’s incorrect treatment suggestions than diagnostic suggestions. This may b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risk to the patient of an unneeded workup is often less than that of inappropriate treatment. In addition, participants stated that they were ‘less likely to very unlikely’ to pursue a suggested incorrect diagnosis and did not change their primary diagnostic consideration when the patient suggested an incorrect diagnosis:


'그 진단 아이디어는 내 차이에 비해 낮지만 좀 더 탐구하고 싶다...' (생각-알람된 논평)

‘I’d like to explore that diagnostic idea further though it’s low on my differential…’ (Think-aloud comment)


인지 부하 이론에 따르면 작동 메모리에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우리의 능력이 제한되어 있다

the cognitive load theory notion that our capacity to process information in working memory is limited


두 개 이상의 요인이 있을 때, calibration은 (도움이 되는 것이 아니라) 환자 진료에 대한 장벽으로 간주되었다. 예를 들어, 네 가지 요소 중 두 개 이상의 존재가 특히 문제였으며, 종종 추가 workup을 촉발할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when more than one factor was present, the themes were viewed as a barrier to patient care (as opposed to being helpful). For example, several comments suggested that the presence of more than one of these four factors was particularly problematic and would often trigger additional workup:


또한, 환자가 진단을 제안하게 되면, goal-free problem이 goal-specific problem으로 바뀐다. 인지 부하 이론에 따르면, GSP가 되면 인지 부하가 상당히 증가한다.20,21

Further, the suggestion of a diagnosis changes a goalfree problem into a goal-specific problem. The principles of cognitive load theory predict that changing to a goal-specific problem results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cognitive load.20,21


앞에서 설명한 모델의 일반화를 지지한다고 믿는 몇 가지 결과가 나왔다. 첫째, 우리의 구체적인 맥락 요인은 지속적으로 구두로 표현되었고, 내과의사 실무에서 일반적이거나 널리 퍼져있다.

Several findings emerged that we believe support the generalisability of the model described above. Firstly, our specific contextual factors were consistently verbalised as being common or prevalent in internal medicine practice:


두 번째 발견은, 때때로 이러한 상황별 이슈를 다루기 어렵다는 것을 반영했다.

A second finding reflected the difficulty, at times, of dealing with these contextual issues:


세 번째 결과는, 네 가지 상황 요인이 임상 추론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일반적인 영향에 대한 것이다.

A third finding referred to the negative general influence the four contextual factors can have on clinical reasoning.


'...진단의 딜레마로 이어질 수 있다...' (자유 텍스트 코멘트, 잘못된 제안)

‘…can lead to diagnostic dilemmas…’ (Free-text comment; incorrect suggestion)


DISCUSSION


우리의 분석에서 4가지 중요한 발견이 나왔다. 

Four major findings emerged from our analysis.


첫째, 맥락적 요인들은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호작용이 맥락적 요인이 임상 추론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결정하는 중요한 메커니즘이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주요 데이터를 누락시키거나 calibration하도록 하며, 또는 극성을 유발한다(인자를 유익한 것 또는 진료의 장애물로 인식하게 함). 또한, 우리의 데이터는 calibration은 둘 이상의 요인이 존재한다면 변화할 수 있으며, 실제로 변화함을 시사한다. 맥락적 요인 간의 상호작용 개념은 situated cognition및 생태 심리학 이론의 핵심 개념과 일치한다(그림 1). 예를 들어, 의사들이 T-A 활동에서 둘 이상의 요인을 식별했을 때, 이러한 요소들은 언제나 문제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으며, 결코 환자 치료에 이로운 것이 아니라고 간주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의사가 T-A 활동에서 복수의 요인을 인식했다고 말한 경우에만 사실이었다. 즉, 둘 이상의 요인을 묘사하는 비디오 테이프에서, 의사가 하나의 요인만을 인식했을 경우, 이 요인은 환자 치료에 유익하다고 여겨지기도 하였다.

 Firstly, contextual factors can interact and this interaction is an important mechanism determining how contextual factors influence clinical reasoning. This interaction can result in either the missing of key data or in calibration or polarity (the perception of the factor as beneficial or a barrier to care). Further, our data suggest that calibration can and does change based on the presence of more than one factor. This notion of interaction among contextual factors is consistent with core tenets of situated cognition and ecological psychology theories (Fig. 1). For example, when participants identified more than one factor in the think-aloud activity, these factors were consistently seen as problematic and never as beneficial to patient care. However, this was true only when the participant voiced the presence of multiple factors in the think-aloud activity; on videotapes portraying more than one factor (but for which the participant acknowledged only a single factor), the verbalised factor could be seen as beneficial to patient care.


복수의 요인이 함께 존재할 경우, 요인들은 긍정적으로 인식되지 않았는데, 왜냐하면 요인들에 의해 유발되는 인지 부하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복수의 요인이 존재하는 상황은 우선 부정적인 인식(참가자가 인지 부하를 인지할 수 있는 경우)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 요인이 해결되지 않으면, 나중에 (인식 자원이 과부하될 때) 주요 데이터를 놓치게 만들 수 있다.

factors are not viewed as positive when multiple factors are known to coexist because of the increased cognitive load induced by these factors. This situation may first lead to a negative perception (when the participant may be aware of cognitive load), which, if not addressed, may subsequently lead to the missing of key data in the encounter (when cognitive resources are overloaded).


중요한 함의; 장기 기억에 스키마가 덜 발달된 novice들은 이러한 현상에 훨씬 더 취약할 것이다.

important implications ; non-experts may be even more susceptible to this phenomenon because the schemas they hold in long-term memory are less developed. 


의사들이 임상 상황에서 작업기억 자원이 한계에 도달했음을 인지하도록 돕는 것은 이러한 상황 요인 효과의 부정적인 결과를 줄이거나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근무시간 규정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진료를 보장하고, 인지보조장치(즉, 임상 검색 엔진에 접근할 수 있는 컴퓨터)를 설정하는 것과 같은] 실질적인 조치는 인지 부하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속도를 늦춰야 할 때 속도를 늦추는' 결정을 내리면 얻을 수 있는 잠재적 이득이 있다.22

Helping doctors to recognise when working memory resources are being stressed in the clinical situation might help to reduce or prevent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this contextual factor effect. Practical measures such as ensuring appointments are of adequate length, following duty hour regulations and setting aides (i.e. computers with access to clinical search engines) may help to reduce cognitive load. In addition, the potential benefits of ‘slowing down’ decision making ‘when you should’ have been discussed elsewhere.22


둘째로, 우리의 결과는 상황 요인이 임상 추론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하며, 전문가들은 역시 이러한 영향을 알고 있는 것 같다. 한 가지 관점에서 보면, 의사들이 이러한 요소들 중 많은 것들이 그들의 임상적 추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도를 알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을 알게 되면 안심이 된다. 그러나 반대로, 의사에게 복수의 상황적 요인이 존재하면 주요 정보를 놓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는 것은 걱정스러운 점이다

Secondly, our results suggest that contextual factors influence clinical reasoning performance – and experts seem to be aware of this influence . From one perspective, it is reassuring to find that doctors appear to be aware of the extent to which many of these factors may influence their clinical reasoning. By contrast, it is concerning that participants did not recognise that the presence of one or more factors might lead to themissing of key presenting information. 


이러한 결과는 자기평가 분야의 결과와 유사하며, 이는 능력 없는 의사들도 자신의 어려움을 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23,24 다시 말해서, 우리의 데이터에 따르면, 높은 인지부하가 발생하면, 의사들은 스스로의 어려움과 관련하여 이용가능한 퍼포먼스 데이터를 '놓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발견은 비전문가들(즉, 레지던트나 의대생) 사이에 데이터가 누락되는 행위가 훨씬 더 만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finding is similar to outcomes in the field of self-assessment, which have shown that doctors who are not competent also tend to be less aware of their difficulties.23,24 In other words, our data would suggest that doctors may ‘miss’ available performance data regarding their own difficulties (a potential reason for being less aware of their own difficulties) as a result of high cognitive load.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 act of missing data may be even more prevalent among non-experts (i.e. residents or medical students).


또한, 우리는 전문가들이, 후향적으로, 자기가 데이터를 놓친 것을 깨달을 수 있으며, 상황을 혼란스럽게 만드는 맥락적 요인을 명확히 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우리는 trainee가 임상사례를 발표할 때 이러한 요소를 이상을 명확히 인지하는 연습을 통해 전문지식을 개발할 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한다. 추가 탐색을 통한 질문을 통해, 수습자의 임상 감독자는 연습자가 핵심 정보를 놓치지 않을 가능성을 개선할 수 있다.

Further, we have found that experts can articulate, in retrospect, their awareness of having overlooked data and of confounding contextual factors. Therefore, we would hypothesise that a trainee’s explicit awareness of one or more of these factors during their presentations may be a manifestation of developing expertise. Through the use of additional probing questions, a trainee’s clinical supervisor could improve the chances that the trainee will not miss key information.


셋째로, 조작한 네 가지 요소 각각이 유사한 주제로 이어졌음에, 우리의 데이터는 또한 요인별로 테마의 '패턴'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자료의 신뢰성"이라는 요인은 잘못된 제안과 volatility에서만 나타난 주제였다.

Thirdly, although each of the four manipulated factors resulted in the generation of similar themes, our data also suggest that the ‘pattern’ of the themes can differ by factor. For example, credibility of the source of the factor was a theme unique to incorrect suggestion and volatility.


넷째, 주어진 맥락적 요소에 대한 전문가들의 견해는 복잡해 보인다. 잠재적으로 시사하는 바는 이러한 다양한 관점이 교수개발을 통해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 상황별 요인의 잠재적 영향에 대한 인식 증대 (예: 연습생 회의를 통해) 

  • 이러한 요인을 처리하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 제공 및 교육 (예: 연습생을 가르칠 때 스크립트로 작성된 케이스를 사용하여), 

  • 의료행위 전반에 걸쳐 자기조절의 중요성 강화 (예: 감독자 모델링)

Fourthly, experts’ views of a given contextual factor appear complex. A potential implication is that these views of the contextual factor may be modifiable by faculty development efforts. Practical implications could include 

  • improving awareness of the potential impact of contextual factors (e.g. through trainee conferences), 

  • providing and teaching effective strategies for dealing with these factors (e.g. by using scripted cases while precepting trainees), and 

  • reinforcing the importance of self-regulation throughout a doctor’s practice (e.g. by supervisor modelling)


예를 들어, [인식의 향상]에 관해서, 모든 전문가가 맥락적 요인의 존재를 인식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특정 상황에 대한 인식recognition 뿐만 아니라 그에 대한 반응reaction은 그 상황에 특이적인 다른 요인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이는 맥락이 오늘날의 환자 치료에 복잡하고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개념을 확증한다.

For example, with regard to improving awareness, not all experts recognise when a contextual factor is present. Indeed, an expert’s recognition of as well as reaction to a particular contextual factor appear to be highly dependent upon other factors unique to the particular situation, corroborating the notion that context plays a complex and significant role in day-today patient care:


우리의 데이터는 또한 수면 부족과 피로와 같이 인식을 방해할 수 있는 의사 요인을 다루는 이니셔티브가 상황 요인에 대한 처리능력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상황 요인에 대한 인식능력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Our data would also suggest that initiatives addressing doctor factors that may hinder awareness, such as sleep deprivation and burnout, might not only improve doctor processing of contextual factors, but might also improve doctor recognition of contextual factors.


또한, 임상상황이 벌어지는 setting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우리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동일한 진단에 대해서도, 의사들은 클리닉에서는 심각성을 과소평가하고, 응급실에서의 심각성을 과대평가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주제는 의료에서 원치 않는 variance의 근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적 현상이 임상 추론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에 대해 의사들에게 교육시키면 그 효과가 완화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voiced influence of the encounter setting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example, our findings would suggest that, for a given diagnosis, doctors may underestimate the seriousness of a presentation in the clinic and overestimate its seriousnes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this theme may represent a source of unwanted variance in medical care. Educating doctors on the potential influence of this contextual phenomenon on clinical reasoning may mitigate its effect.


임상추론과 맥락의 이론을 향하여

Toward a theory of context and clinical reasoning


전반적으로, 이러한 발견들은 전문가의 이러한 요소들에 대한 견해가 상황에 매우 구체적이며, 만남의 참가자들, 그들의 목표와 설정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암시한다.

In a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n expert’s view of these factors is very specific to the situation and is influenced by the participants in the encounter, their goals and the setting.


이번 연구 결과가 임상 추론 맥락특이성을 뒷받침하는 잠재적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고 믿는다. 생태 심리학은 의사가 상황 요인의 영향을 인지하고 있을 때의 행동을 설명할 근거를 제공한다. 또한 [사람들이 여러 가지, 종종 경쟁적인 목표를 어떻게 균형을 맞추는지], [주어진 맥락에서 임상의사가 인식하는 Aff and Eff에 기반하여, 이러한 목표가 어떻게 변할 수 있는지]를 설명해준다. 또한 이러한 Aff와 Eff는 [개별 의사의 특성]과 [상황에 대한 추가 세부사항]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그림 1).

We believe our findings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potential mechanisms underpinning clinical reasoning context specificity. Ecological psychology provides a rationale to describe behaviour when a doctor is aware of the influence of contextual factors and elucidates how people balance multiple, often competing goals and how these goals can change based on affordances and effectivities perceived by the clinician in the context of the current environment, which includes the clinician’s interactions with other participants in the environment. Further, these affordances and effectivities would be anticipated to diff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doctor and additional specifics of the situation (Fig. 1).


인지 부하 이론은 의사가 상황 요인의 영향을 알지 못할 때(핵심 정보의 누락과 상호작용의 메커니즘이 존재할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에 대한 근거를 제공한다. 인지적 부하 이론은 또한 상황적 요인을 germane 또는 peripheral 문제로 해석할 수 있다는 개념과 일치하며, 이는 [추가 자원의 필요성]이라는 theme으로 이어진다. 인지 부하 이론은 세 가지 형태의 부하를 제안한다. 이 중 두 가지(germane 및 extraneous)는 각각 germane 및 peripheral 문제에 관한 우리의 조사 결과와 일치한다.20,21

Cognitive load theory provides a rationale for what happens when the doctor is unaware of the influence of contextual factors (through the missing of key information and at times when the mechanism of interaction is present). Cognitive load theory is also consistent with the notion that contextual factors may be interpreted as germane or peripheral issues, which leads to the theme concerning the requirement for resources. Cognitive load theory proposes three forms of load; two of these (germane and extraneous) are consistent with our findings regarding germane and peripheral issues, respectively.20,21


전문가 수준의 체스 마스터가 체스판을 빨리 평가하고, 중요한 패턴을 확인하며, 따라서 비전문가보다 더 나은 움직임을 할 수 있는 것처럼, clinical encounter의 전문가인 의사는 특정 의사, 환자, 조우자의 nesting을 더 잘 인식하고 적절하게 주의를 기울일 수 있다고 본다. 요인과 그 상호작용은 합리적인 진단과 치료 계획에 더 잘 도달할 수 있다.

We would suggest that just as a chess master who demonstrates expert performance is able to quickly assess the chess board, identify important patterns and thus make better moves than a non-expert,6 an expert doctor in a clinical encounter is better able to recognise and appropriately attend to the nesting of specific doctor, patient and encounter factors and their interactions and thus is better able to arrive at reasonable diagnostic and therapeutic plans.


우리의 연구결과는 

  • 전문의들이 임상적 추론을 특정한 상황에 situated된 것으로 봄을 시사한다. 

  • 우리의 결과는 또한 특정한 환자와 임상 요인들이 의사의 임상 추론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실제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 또한, 우리의 자료에 따르면 특정 요인이 의사에게 미치는 영향은 균일하지 않으며, 복수의 요인의 존재는 임상 추론에 영향을 미치는 복잡한 상호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 또한, 임상적 조우에 적용되는 situated cognition, ecological psychology, CLT의 개념을 뒷받침할 수 있는 증거를 찾아냈고, 맥락이 임상 추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모델을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우리의 데이터는 다음을 보여준다.

  • 의사가 종종 이러한 영향을 인지하고 있으며, 가끔은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 목표가 상충하게 되면 이러한 요소들이 임상적 추론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 our findings suggest that expert doctors see clinical reasoning as situated in a specific situation. 

  • Our results also suggest that specific patient and encounter factors can and do influence the doctor’s clinical reasoning process. 

  • Further, our data suggest that the influence of factors on any given doctor is not uniform, andthe presence of multiple factors may lead to complex interactions which impact on clinical reasoning. 

  • Additionally, we found evidence to support tenets of situated cognition, ecological psychology and cognitive load theories as applied to the clinical encounter, and we have proposed a model based on how context may influence clinical reasoning. 

  • Finally, our data suggest 

  • that sometimes the doctor is aware of this influence (themes seen in both the think-aloud and free-text analyses) and sometimes he or she is not (as evident in the themes of overlooked key data and calibration), and 

  • that competing goal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how these factors impact on the clinical reasoning of experts.






 2011 Sep;45(9):927-38. doi: 10.1111/j.1365-2923.2011.04053.x.

Context and clinical reasoningunderstanding the perspective of the expert's voice.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Medicine,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USUHS), 4301 JonesBridge Road, Bethesda, MD 20814, USA. sdurning@usuhs.mil

Abstract

OBJECTIVES:

Prior work has found that a doctor's clinical reasoning performance varies on a case-by-case (situation) basis; this is often referred to as 'context specificity'. To explore the influence of context on diagnostic and therapeutic clinical reasoning, we constructed a series of videotapes to which doctors were asked to respond, modifying different contextual factors (patient, doctor, setting). We explored how these contextual factors, as displayed by videotape encounters, may have influenced the clinical reasoning of board-certified internists (experts). Our purpose was to clarify the influence of context on reasoning, to build upon education theory and to generate implications for education practice.

METHODS:

Qualitative data about experts were gathered from two sources: think-aloud protocols reflecting concurrent thought processes that occurred while board-certified internists viewed videotape encounters, and free-text responses to queries that explicitly asked these experts to comment on the influence of selected contextual factors on their clinical reasoning processes. These data sources provided both actual performance data (think-aloud responses) and opinions on reflection (free-text answers) regarding the influence of context on reasoning. Results for each data source were analysed for emergent themes and then combined into a unified theoretical model.

RESULTS:

Several themes emerged from our data and were broadly classified as components influencing the impact of contextual factors, mechanisms for addressing contextual factors, and consequences of contextual factors for patient care. Themes from both data sources had good overlap, indicating that experts are somewhat cognisant of the potential influences of context on their reasoning processes; notable exceptions concerned the themes of missed key findings, balancing of goals and the influence of encounter setting, which emerged in the think-aloud but not the free-text analysis.

CONCLUSIONS:

Our unified model is consistent with the tenets of cognitive load, situated cognition and ecological psychology theories. A number of potentially modifiable influences on clinical reasoning were identified. Implications for doctor training and practice are discussed.

Comment in


임상현장에서 피훈련자 감독과 학습의 필수요소로서 신뢰(Adv in Health Sci Educ, 2013)

Understanding trust as an essential element of trainee supervision and learning in the workplace

Karen E. Hauer • Olle ten Cate • Christy Boscardin • David M. Irby • William Iobst • Patricia S. O’Sullivan




임상 교사들은 매일 환자 치료를 위해 연습생들에게 얼마나 많은 자율성을 부여해야 하는지를 놓고 씨름한다.

Clinical teachers wrestle daily with how much autonomy to grant trainees for patient care.


[환자 관리]와 [학습]을 일치시키는 데 있어 중요한 변수 중 하나는 지도 의사와 trainee 사이의 신뢰다. 우리는 신뢰가 학습자의 참여와 책임을 점진적으로 높이는 것에 대한 문지기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One key variable in aligning the goals of patient care and learning is trust between the supervising physician and trainee. We argue that trust acts as a gatekeeper to the learner’s increasing level of participation and responsibility in the workplace.


  • 신뢰는 누군가를 믿거나 신뢰하는 것을 수반한다(Oxford Dictories n.d., a). 

  • 개인에게 어떤 것을 위임하는 것은 '누군가에게 어떤 것을 보살피게 하거나 책임을 할당하거나 것'이다.(Oxford Dictories n.d, b) 

  • 뢰는 감독자와 피훈련자 사이에서 발생하며, 일종의 "emergent state"이다. 여기에는 상호 작용, 맥락, 상황이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정보처리방식, 사고, 동기도 영향을 준다.

  • Trust entails believing or having confidence in someone or something (Oxford Dictionaries n.d., a). 

  • To entrust an individual with something is to ‘‘assign a responsibility to or put something into someone’s care.’’ (Oxford Dictionaries n.d., b) 

  • Trust develops between supervisor and trainee as ‘‘an emergent state’’ influenced by the interactions, context, and situation (Burke et al. 2007), as well as individuals’ information processing, thoughts, and motivations.


비록 의학은 역사적으로 환자 진료에 대한 개인의 자율성을 중시했지만(Cruess and Cruess 1997; Pont 2000), 임상 훈련 환경에서 감독자 의사는 훈련생들과 환자 돌봄 활동에 대해서 공유할 뿐만 아니라, 심지어 책임의 일부는 포기해야 한다. Trainee에게 위임하기 위해서는 연습생들의 역량을 인정해야 할 뿐만 아니라, 미래의 임상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할지를 예측하게 해주는 내면의 습관habit of mind과 전문직업성도 인정해야 한다(Dijksterhuis 등). 2009).

Although medicine as a profession historically has valued individual autonomy in service to one’s patients (Cruess and Cruess 1997; Pont 2000), clinical training environments necessitate that supervising physicians share and even relinquish some autonomous responsibility to trainees for patient care activities. Entrustment recognizes not only trainees’ competence, but also their habits of mind and professional traits that predict how they will behave in future clinical situations (Dijksterhuis et al. 2009).


훈련생마다 경험하는 감독관의 유형도 다르고, 감독관이 unsupervised activities에 대해서 신뢰하는 정도도 다르다(Kennedy 등, 2007; Wimmers 등, 2006). 

  • 신뢰받지 못한다면, 연습생들은 영구히 보조적 또는 관찰적 역할로 소외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unsupervised practice에 대비할 수 없다. 

  • 과잉신뢰는, 어떤 사람을 적정 수준 이상으로 더 신뢰하는 경우를 말하는데, 이것은 trainee의 능력에 대한 부정확한 평가가 지속되게 하며, 안전하지 않은 환자 관리로 이어질 수 있다(Goel et al. 2005).

Trainees experience variation in how they are supervised and the amount of trust their supervisors have in them for unsupervised activities (Kennedy et al. 2007; Wimmers et al. 2006). 

  • Without trust, trainees can be perpetually marginalized to an assisting or observational role and left unprepared for eventual unsupervised practice. 

  • Over-trust, which occurs when someone trusts an individual more than is appropriate for the situation, can perpetuate inaccurate assessment of trainee ability and risk unsafe patient care (Goel et al. 2005).


감독자-훈련자 사이의 역동과 그들 사이의 신뢰는 사회문화 이론이라는 이론적 렌즈와 실천 공동체에서의 [합법적인 주변적 참여]를 통해 보다 잘 살펴볼 수 있다(Lave and Wenger 1991). 

  • 근무지 학습은 [학습자가 다른 의료 팀 구성원과 함께 환자관리를 advance하는 authentic한 역할]을 맡을 때 발생한다(Dornan et al. 2007). 

  • 근무지에서 참여도가 높아질수록 학습자는 지식을 쌓게 되고, 환경 및 여러 관계자와 친숙해지며, 다양한 범위의 과제와 문제에 노출될 수 있다(Billett 2000). 

  • 학습자가 근무지에서 필요한 지식을 습득함에 따라, 감독자들은 그들에게 더 독립적인 책임을 맡길 수 있다.

The supervisor–trainee dynamic and the trust between them can be productively examined through the theoretical lens of sociocultural theory and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in communities of practice (Lave and Wenger 1991). Workplace learning occurs as learners assume authentic roles that advance patients’ care together with other health care team members (Dornan et al. 2007). Participating in the workplace builds knowledge, familiarizes learners with the setting and people involved, and provides exposure to the range of tasks and problems (Billett 2000). As learners acquire workplace knowledge, supervisors can afford them more independent responsibility.


두 개의 연구에서 독립적으로 의료 훈련생에 대한 감독자의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네 가지 광범위한 요인을 식별했다. 즉, 

  • 독자, 

  • 피훈련자, 

  • 상황 

  • (Stterksterhuis et al. 2010; Dijksterhuis et al. 2009). 

Two studies have independently identified four broad factors that influence supervisors’ trust in medical trainees: supervisor, trainee, context, and task (Sterkenburg et al. 2010; Dijksterhuis et al. 2009). 


임상수련의 경우, 감독자와의 상호작용과 관계는 학습에 중요한 요소로서, 이러한 직장 관계의 맥락 안에서 신뢰가 형성된다.

For clinical trainees,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with supervisors are critical ingredients for learning, and trust is formed within the context of these workplace relationships.


우리는 신뢰가 감독자, 수습자, 감독자-훈련자 관계, 상황 및 과제 등 다섯 가지 요소를 통해 임상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모델을 제안한다(그림 1).

We propose a model that explains how trust enables clinical participation through these five factors—supervisor, trainee, supervisor–trainee relationship, context and task (Fig. 1).



(Table 1)


의학 교육, 간호, 심리학, 비즈니스 환경에서의 신뢰에 관한 연구에 초점을 맞춘 영문학을 비체계적인 문헌 검색을 실시했다.

We conducted a non-systematic literature search of the English-language literature focused on studies of trust in medical education, nursing, psychology, and business settings.








감독자의 기여

Supervisor contributions to trust


임상 감독자는 학습 기회를 찾아내서, Trainee가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점진적으로 책임 수준을 높여주는 empowering을 한다. 그러나, [훈련생에게 얼마나 더 많은 자율적 의료행위에 대한 책임]을 지우도록 신뢰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감독의사마다 threshold에 차이가 있다(Stterkenburg et al. 2010).

The clinical supervisor identifies learning opportunities and empowers the trainee to take on increasing levels of responsibility to enable learning. However, supervising clinicians vary in their threshold for trusting trainees with responsibility for more autonomous practice (Sterkenburg et al. 2010).



전문성

Expertise


감독자 자신의 임상적 역량과 경험이 피훈련자의 임상적 기술에 대한 평가(Kogan et al. 2010)에 영향을 미치며, 이것은 결과적으로 피훈련자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미친다. 

    • 초보 감독자는 행동을 (해석하기 보다는) 보고reporting하는 것에 초점을 두는데 비하여, 

    • 경험이 많은 감독자들은 추론을 하고, 맥락적 요인을 통합하여서 위임 결정에 필요한 인상과 판단을 내린다(Govaerts et al. 2011).

Supervisors’ own clinical competence and experience influence their rating of trainees’ clinical skills (Kogan et al. 2010), and in turn their trust in those trainees. 

    • Compared with novice supervisors, who focus on reporting rather than interpreting discrete behaviors, 

    • experienced supervisors make inferences and incorporate contextual factors into impressions and judgments that can inform entrustment decisions (Govaerts et al. 2011).


감독자가 학습자의 역량 수준을 얼마나 잘 진단할 수 있는지가 학습자의 발달을 이해하고 다음 단계를 계획하는 데 필수적이다(Irrby 1994). 훈련자의 행동을 해석하는 이 능력은 (임상 추론과정과 마찬가지로) 감독자의 이전 경험에서 도출된다(Govaerts et al. 2011).

Supervisors’ skill in diagnosing a learner’s level of competence is essential for understanding performance and planning next steps in the learner’s development (Irby 1994). This ability to interpret the trainee’s actions is derived from the supervisor’s prior experience, similar to the process of clinical reasoning (Govaerts et al. 2011).


감독자가 연습생을 관찰할 때, 보통 자신의 예상 또는 미리 결정된 기대치와 비교하여 성과를 분석한다(Irby 1992). 그들은 

    • 분석적이고 체크리스트적인 접근법[예: miniCEX(Holmboe et al. 2003)]을 사용하기도 하고, 

    • 임상 진단에서 패턴 인식과 유사한 인상을 기반으로 하는 전체적인 접근법, 그리고 전문 평가자의 총체적 인상을 활용한다(Norman et al. 2007).

Supervisors observing trainees analyze performance against their own or predetermined and validated expectations (Irby 1992). They use either 

    • an analytical, checklist approach [e.g. miniCEX (Holmboe et al. 2003)] or, as described in a review of several studies, 

    • a holistic approach based on impressions analogous to pattern recognition in clinical diagnosis and the global impression of expert raters (Norman et al. 2007).


경험

Experience


교육 및 헬스케어 시스템에서 감독자의 역할도 감독자의 행동과 학습자의 기대에 영향을 미친다(Biddle 1996).

Supervisors’ roles in the educational and heath care system also affect their supervisory behaviors and expectations of learners (Biddle 1996).


감독자들은 [연습생들의 퍼포먼스에 대한 직접적인 지식]과 [graded levels of supervision에 대한 자신의 지식]을 결합하여, 학습자의 발달적 요구 맞도록 학습 기회를 조절한다(Ashton 2004; Irby 1994). 이상적으로는, 감독자들은 일work을 통한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적절하게 도전적인 작업]이 무엇인지 식별해야 한다. 그러나 때로는 환자 진료에는 도움이 되지만, 학습자의 발달 요구에는 그다지 적합하지 않은 업무를 우선해야 한다는 부담을 느낄 수 있다(Deketelaere et al. 2006; Billett 1996).

Supervisors combine direct knowledge of trainees’ performance with their knowledge about graded levels of supervision to adapt learning opportunities to learners’ developmental needs (Ashton 2004; Irby 1994). Supervisors ideally identify appropriately challenging tasks to promote learning through work. At times, though, they may feel pressure to prioritize work tasks that help advance patient care but are less optimally suited to learners’ developmental needs (Deketelaere et al. 2006; Billett 1996).


감독자가 어떤 맥락을 처음 접하게 되면 학습자를 효과적으로 감독하는 기술을 습득하는 데 지원이 필요하다. 초보 교사들은 [학습자에게 얼마나 많은 통제력을 발휘해야 하는지에 대한 자신의 가르침과 결정]을 자신있게 내리는데 고군분투하고 있다. 임상 환경에서는 경험이 적은 감독자일수록 이미 자격을 갖춘 훈련생에게조차 책임을 위임하는 것을 주저할 수 있다. 'resintern'(인턴 일을 하는 레지던트) 또는 'resattending(레지던트 일을 하는 주치의)'이라는 용어는 상급 의사로서 하급 의사에게 맡겨져야 할 일을 하게되는지를 묘사하는 용어이다.

Supervisors new to a context need support to gain skill in supervising learners effectively. Novice teachers struggle with self-confidence in their teaching and decisions about how much control to try to exert over their learners (Onafowora 2004). In clinical settings, more junior supervisors may hesitate to relinquish responsibilities to even qualified trainees. The terms ‘resintern’ (resident doing intern work) or ‘resattending’ (attending doing resident work) pejoratively describe how more senior physicians can do the work that should be entrusted to more junior team members.


새로운 감독자들은 파트너쉽을 통해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니어 교사와 시니어 교사는 협업을 통해 더 나은 학습 성과를 달성할 수 있다. (Johnson 등, 2001년) 또한 임상 감독자는 [학습자에 대한 지역적 기대, 의료인 사이의 상호작용 패턴, 감독자에게 필요한 규범]이 익숙한 환경일수록 훈련자의 신뢰도에 대해서 더 잘 평가할 수 있다.

New supervisors may benefit from being partnered; for example, collaboration between junior and senior schoolteachers achieves better learner outcomes (Johnson et al. 2001). Clinical supervisors might also be expected to assess more capably trainees’ trustworthiness in a work environment where they are familiar with local expectations of learners, patterns of interaction among care providers, and norms around supervision.


태도/습관

Attitude/Habits


감독자가 trainee를 신뢰하고자 하는 성향은 의지의 문제이며, 대체로 어느 정도는 타고나는 특성이(Costa et al. 2001). 이러한 성격은 경험과 문화의 영향을 받아 신뢰에 대한 경향성을 형성한다. 교육 및 진료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와 열정을 보여주는 감독자일수록 trainee가 교육자와 안전한 관계를 형성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학습 환경을 조성한다(Irby 1978; Skeff 등 1992).Sutkinetal.2008).

Propensity to trust is the willingness to trust, which is largely a dispositional characteristic (Costa et al. 2001). Personality, along with influences of experience and culture, shapes propensity to trust. Supervisors who impart positive attitudes and enthusiasm toward teaching and clinical care create positive learning environments that allow trainees to thrive and develop secure relationships with them (Irby 1978; Skeff et al. 1992;Sutkinetal.2008).


자신의 행동의 영향에 대한 인식을 나타내는 성찰을 보여주고, 의문을 공유함으로써 개방성을 보여주는 것은 훈련자들로 하여금 비슷한 태도와 습관을 기르게 도와주며, 이로써 감독자의 신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monstrating reflection, awareness of the impact of one’s actions, and openness to sharing one’s questions can enable trainees to develop similar attitudes and habits that will earn supervisors’ trust.


책무성

Accountability


임상 감독자는 [환자 안전]과 [점진적 학습자 자율성 증대]라는 두 가지 목표를 균형 있게 조정해가며 위임 결정을 내려야 한다(Ulmer 등 2008). 궁극적으로, 관리자들은 양질의, 안전한 진료를 희생하지 않는(보다 바람직하게는 이것을 증진시키는) 학습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Clinical supervisors modulate their entrustment decisions by balancing goals for patientsafety with progressively greater learner autonomy (Ulmer et al. 2008). Ultimately,supervisors aim to create a learning environment that does not sacrifice, and ideally enhances, high quality, safe patient care. 


[연습생과 환자에 대한 위임의 의미]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할 경우, 연습생의 약점을 정직하게 판단하고자 하는 감독자의 동기가 감소하게 된다(Dudek et al. 2005; Cleland et al. 2008). 예를 들어, 감독자는 trainee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수행능력 중 문제가 되는 부분을 지적하는 것보다, 그냥 'pass'를 줘버리는 것이 더 손쉬운 길임을 알게 될 것이다. 물론 trainee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미래의 환자 진료를 위해서 필요함은 말할 것도 없다.

Insufficient appreciation of the implications of entrustment for trainees and patients can diminish a supervisor’s motivation to render honest judgments about a trainee’s weaknesses (Dudek et al. 2005; Cleland et al. 2008). For instance, a supervisor may find it simpler to ‘pass’ a trainee than to call out a major performance concern against trainee protests, even though addressing the concern would clearly prepare the trainee to provide better patient care in the future.


연습생이 어떤 직무를 잘 수행하는지/수행할 능력이 되는지/적정 수준의 감독이 필요한지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부족하면 학습을 저해시킬 수 있다(Babbott 2010). 반대로 책임질 수 없는 사람에 대한 과도한 신뢰는 오류에 취약한 불안정한 상황을 만든다(Burke et al. 2007).

Supervisors who lack clarity about the tasks the trainee is performing or is capable of performing, and the appropriate level of supervision needed, can hinder learning (Babbott 2010). Conversely, high trust in others with low accountability creates a precarious situation vulnerable to errors (Burke et al. 2007).


교수개발은 교수들로 하여금 unsupervised activity에 대한 신뢰를 유의미하게 평가할 수 있는 표준을 명시해준다(표 2).

Faculty development that articulates expected performance standards can guide faculty members in implementing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 trustworthiness for unsupervised activity (Table 2),


피훈련자의 기여

Trainee contributions to trust


근무지 학습과 합법적인 주변적 참여의 관점으로 연습생들의 참여를 바라본다면, trainee의 engagement란 참여를 위한 그들의 노력을 나타내며, trainee의 기술과 태도는 그들에게 참여의 추가적인 기회를 준다(Billett 2001; Lave and Wenger 1991).

Through the lens of workplace learning and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trainees’ engagement represents their efforts to participate, and their skills and attitudes earn them additional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Billett 2001; Lave and Wenger 1991).


역량

Competence


Trainee의 역량, 즉 적성, 사전 경험, 임상 추론 등이 모두 위임 결정에 도움이 된다(Kennedy 등, 2008; 10 Cate 등, 2010). 비지니스 및 심리분야에서의여러 연구에 따르면, Trainee의 역량은 감독자로부터의 신뢰를 키워나가는 데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Brower 등). 2000, 2009; McAllister 1995; Mayer et al. 1995). 자율적으로, 그리고 성공적으로 행동할 수 있음을 trainee가 입증할 때 더 높은 신뢰가 생긴다(Brower et al. 2009년, Seppa ̈la ̈la et al. 2011).

Trainees’ competence, which encompasses their aptitude, prior experience, and clinical reasoning, informs entrustment (Kennedy et al. 2008; ten Cate et al. 2010). Trustees’ competence has been identified as critical to development of trust from a supervisor across the fields of business and psychology (Brower et al. 2000, 2009; McAllister 1995; Mayer et al. 1995). Trainees’ demonstrated ability to act autonomously and successfully engenders trust (Brower et al. 2009, Seppa¨la¨ et al. 2011).


태도/습관

Attitudes/habits


훈련자의 마음가짐과 습관은 감독자가 trainee를 얼마나 신뢰할지에 영향을 미치는 professional formation의 필수 요소이다(Cooke et al. 2010). 위임을 위해 중요한 다른 professional qualities에는 자기 인식과 평생학습의 습관이 있다. 예측적 성찰, 행동 중 성찰, 행동 후 성찰 등은 훈련과정을 통해서, 그리고 훈련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발달시켜야 하는 자기 모니터링 습관이다(Sargeant et al. 2010).

Trainees’ attitudes and habits of mind are essential elements of professional formation (Cooke et al. 2010) that influence supervisors’ willingness to trust them with clinical work. Other professional qualities important for entrustment include self-awareness and habits of lifelong learning. Anticipatory reflection, reflection-in-action and reflection-on-action are habits of self-monitoring that should develop during training and continue into clinical practice (Sargeant et al. 2010).


태도와 습관이 올바른 trainee라면, 표준화된 실제 환자(Blatt et al. 2007; Mamede et al. 2008)를 사용한 교육에서 함께 더 나은 성과를 낼 것이다.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구하는 훈련자는 [피드백이 학습에 유익]하며 [performance goal보다 learning goal에 더 중점]을 둔다(Tunissen et al. 2009). 반대로 피드백과 자기반성을 회피하며, 경험으로부터 배우지 못하는 학습자는 면허를 잃을 확률이 높아진다(Papadakis et al. 2005). 감독자들은 자기자신의 강점과 한계에 대한 통찰력을 보이는 trainee일수록 도전적인 상황에서 도움을 구하기를 주저하지 않으며, 피드백을 더 잘 수용할 것이라고 추측한다(Ginsburg et al. 2010).

Trainees exhibiting these behaviors perform better with standardized and actual patients (Blatt et al. 2007; Mamede et al. 2008) Trainees who seek feedback perceive that it benefits their learning and are more oriented toward learning than performance goals (Teunissen et al. 2009). Conversely, trainees who avoid feedback and self-reflection and fail to learn from experience are subsequently more likely to lose their license (Papadakis et al. 2005). Supervisors infer that trainees who show insight into personal strengths and limitations will more readily seek help in challenging situations and incorporate feedback (Ginsburg et al. 2010).


연습생들은 스스로에 대한 신뢰도를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으므로, [적절한 supervisory support를 요청하도록 trainee를 engage시키는 학습환경]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킬 것이다(Kennedy 등). 2009). 신뢰를 얻을 수 있는 기회 자체가 (자율적이고 수행에 대한 자신감과 전문직으로의 성숙을 비롯한) 바람직한 성과 달성을 위한 동기부여로 작동한다(Dornan et al. 2007; 10 Cate et al. 2011).

Given trainees’ desire to maintain their own credibility, educational climates that engage trainees in appropriate requests for supervisory support may enhance their trustworthiness (Kennedy et al. 2009). The opportunity to earn trust itself motivates desired outcomes of training, including confidence in performing autonomously and professional maturation (Dornan et al. 2007; ten Cate et al. 2011).


자신감

Self-confidence


훈련생들의 자신감과 자기조절학습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도전을 수용하게 만들고, 익숙하지 않거나 불리한 상황에서도 자신 있게 접근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며, 이 모든 것들이 감독자의 신뢰를 얻는데 도움이 된다(Be'nabou and Tirole 2003; Bandura 2001; Grant and Dweck 2003). 연습생들의 두려움이나 과신은 감독관의 신뢰를 얻는 데 장애가 될 수 있다.

Trainees’ self-confidence and self-regulation of their learning motivate them to embrace new challenges and approach unfamiliar or adverse situations with confidence, all of which can earn them supervisors’ trust (Be´nabou and Tirole 2003; Bandura 2001; Grant and Dweck 2003). Barriers to earning supervisors’ trust can stem from trainees’ fear and/or overconfidence.


[평가의 결과에 대한 두려움]이나 [평가자의 의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trainee에게 의심, 타인의 시선의식, 소극적 자세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 모든 것이 trainee에 대한 신뢰를 낮추는 요인이 된다(Kramer 1998). Trainee는 [건설적인 피드백]이 발전을 촉진하기 보다는 미래의 기회를 방해할 것이라고 우려할 수 있다(Bing-You and Trowbridge 2009; Mann et al. 2011). 문헌을 검토한 결과, 지나치게 자신만만한 연습생들은 

    • 특정 정보를 무시하거나 

    • 도움을 구하지 못하거나 

    • 충분한 정보의 수집 및 통합에 실패하거나 anchoring으로 인하여 임상 진단에서 인지적 편견을 겪을 수 있으며, 이 모든 것은 신뢰 형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크로스커리 2003).

Fear of the consequences of assessment or a perception of negative intent of evaluators can prompt trainee suspicion, self-consciousness, and withdrawal, all of which would lead a supervisor to deem the trainee untrustworthy (Kramer 1998). Trainees may worry that constructive feedback will inhibit future opportunities rather than facilitate development (Bing-You and Trowbridge 2009; Mann et al. 2011). A reviewof the literature shows that over-confident trainees may 

    • ignore certain information, 

    • fail to seek help, or 

    • suffer cognitive biases in clinical diagnosis such as failing to gather or incorporate sufficient information and anchoring, 

all of which can also diminish trust formation (Croskerry 2003).


감독자와 피훈련자의 관계의 기여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and trainee contributions to trust


효과적인 감독에는 반드시 감독자와 연습생 사이의 신뢰 관계의 개발이 포함되며, 이는 상대방의 말이나 행동에 대한 믿음과 행동에 기초한 행동 의지로 정의된다(Severinsson과 Borgenhammar 1997; Hosmer 1995; Chambers and Long 1995).

Effective supervision necessarily involves development of a trusting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and trainee, defined as belief in the other’s word and willingness to act based on that individual’s words or actions (Severinsson and Borgenhammar 1997; Hosmer 1995; Chambers and Long 1995).


대인관계 역학

Interpersonal dynamic


감독자-훈련자 관계는 위임을 용이하게 하거나 방해할 수 있다. 관계형 신호 이론은 [연습생이 보내고 감독자가 받는 신호(통신과 행동)]가 어떻게 [공동의 목표를 향한 정렬]을 통해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려는 욕구]를 전달하는지 설명한다(Six and Skinner 2010). 환자를 돌보는 공동의 목표는 감독자와 수습자 둘 다 환자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도록 이끈다.

The supervisor–trainee relationship can either facilitate or impede entrustment. Relational signaling theory explains how signals (communications and actions) from trainee to supervisor convey a desire to form and sustain a relationship through alignment toward shared goals (Six and Skinner 2010). The shared goal of caring for patients leads supervisor and trainee both to act in the best interest of the patient.



관계 신호는 감독자와 수습자의 서로에 대한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상적으로는 

    • 서로의 관점에 감사하고, 

    • 진실성을 보여주며, 

    • 필요할 때 유연성을 보여주는 

...등의 신뢰구축행위로 작용한다. 

Relational signaling also influences the supervisor’s and trainee’s response to each other, ideally with trust-building behaviors such as 

    • appreciating each other’s perspectives, 

    • showing integrity, and 

    • demonstrating flexibility when indicated. 

감독자들은 아마도 자신과 유사한 방식으로 임상 의학에 접근하는 연습생들을 칭찬하고, 신뢰하게 될 것이다(Ginsburg et al. 2010). 신뢰는 [개인적 감정이 강력한 상황]이나 [transference가 강력한 상황에서처럼] 인지적 요소를 완전히 압도할 수 있는 감정적 요소와도 관련되어 있다(Lewicki et al. 2006).

Supervisors are more likely to praise, and perhaps trust, trainees who approach clinical medicine in similar fashion to their own (Ginsburg et al. 2010). Trust entails an affective component that can potentially overwhelm the cognitive component of entrustment, as in the situation of intense personal feelings or transference (Lewicki et al. 2006).


강한 관계는 또한 진솔한 의사소통을 방해하거나 편견을 불러일으킴으로써 강력한 판단을 방해할 수 있다(Govaerts et al. 2011; Cavalcanti and Detsky 2011). [역량 개발을 촉진하는 advocate나 coach로서의 역할]과 [수행능력을 판단하는 평가자로서의 역할] 사이에 모호함이 존재할 경우, 미래 성과를 예측하려는 의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Cavalcanti 및 Detsky 2011; Regehr et al. 2007). 학습자는 감독자가 가지는 이러한 역할 충돌에 대해 (Deketelaere et al. 2006). 감독자는 학습자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고 싶으며, 감독자로서의 역할갈등을 회피하고 싶기 때문에 struggling learner를 찾는 것을 벗어나려고 한다. (Dudek et al. 2005)

A strong relationship can also hinder a robust judgment by impeding honest communication or introducing bias (Govaerts et al. 2011; Cavalcanti and Detsky 2011). Ambiguity regarding the supervisor’s role as advocate or coach who promotes development of competence versus evaluator who judges performance can influence willingness to predict future performance (Cavalcanti and Detsky 2011; Regehr et al. 2007). Learners are particularly sensitive to this role conflict in their supervisors (Deketelaere et al. 2006). Supervisors may wish to be viewed favorably by learners and avoid the consequences, both interpersonal and legal, from identification of struggling learners. (Dudek et al. 2005).


상호 부합도

Concordance


[수행 과제의 필요성]과 [수행 과제의 환자 치료와의 관련성]에 대한 학습자와 감독자 사이의 기대치가 공유되어있는 경우 신뢰의 기반을 확립할 수 있다(Kramer 1998; Landy et al. 1978; Webb 1997). 문헌검토에서 보듯이, 이러한 기대치에 근거하여 [학습자를 피드백과 재평가의 반복적인 과정에 참여시키는 감독자]는 학습자가 [경험을 통해 배우는, 신뢰할 수 있는 전문가]로 발전하게끔 유도한다(Smith and Irby 1997).

Shared understanding of expectations between learners and supervisors regarding requirements of the activity being performed and its relevance to patient care establishes a foundation for trust (Kramer 1998; Landy et al. 1978; Webb 1997). As shown in a literature review, supervisors who engage learners in an iterative process of feedback and reassessment based on those expectations promote learners’ development into trustworthy professionals who learn through their experiences (Smith and Irby 1997).


부적절하게 표현된 피드백의 한 가지 원인은 감독자가 개별 학습자의 성과 수준 또는 훈련 단계에 대한 expectation에 익숙하지 못하기 때문일 수 있다(Stterkenburg et al. 2010).

One cause for inadequately articulated feedback can be supervisors’ lack of familiarity with individual learners’ performance level or expectations for their stage of training (Sterkenburg et al. 2010).


접촉량

Amount of contact


연습생과 감독자 사이의 접촉량은 의료 교육에서 정확하고 성공적인 평가를 위한 종종 권장되는 요인이다(Hauer 등). 2009). 감독자가 특정 연습생에 대해 얼마나 친숙한지는 [거의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약간의 인상을 기반으로 한 평가], 그리고 [광범위한extensive 지식]에 이르는 연속체에 놓여있다. 연습생과 상호작용한 지 몇 분 안에, 감독관은 인상을 형성하기 시작하며, 이러한 인상은 trainee의 특성과 함께 맡은 work의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 

The amount of contact between trainee and supervisor is an oft-cited ingredient for accurate, successful assessment in medical education (Hauer et al. 2009). Supervisor familiarity with a trainee falls on a continuum from almost no knowledge, with assessment based on brief impressions, to extensive knowledge. Within minutes of interacting with a trainee, a supervisor begins to form impressions influenced by trainee characteristics and the nature of their work together. 


초기 인상이 중요한 판단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음 3분 내에 나타난 역사 인식 행동은 15분 간의 조우에서 임상 추론의 global 등급과 관련이 있다(Hasnain et al. 2001). 심리학 분야에서 훈련받은 또는 훈련받지 않은 관찰자들은 3분간의 의사소통 관찰에서 나타난 영향을 바탕으로 6년 동안 결혼의 결과를 예측했다(Carrerere와 Gottman 1999).

Initial impressions may constitute important judgments; for example, history-taking behaviors manifested within the first 3 min correlate with global ratings of clinical reasoning over a 15-min encounter (Hasnain et al. 2001). In the psychology field, trained and untrained observers predicted outcomes of marriages over a 6-year period based on affect manifested in 3-min observations of communication (Carre`re and Gottman 1999).


반대로, [연습생에 대한 지속적인 지식]을 가진 감독자는 종적 관계가 신뢰를 쌓는데 필요한 정보 변화시키기 때문에 판단을 다르게 해야 한다(Hafferty 1998). 관계 초기에 신뢰 형성은 종종 두 개인 간의 인구학적 유사성을 인식하는 것에 기초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신뢰 형성은 공유된 경험과 지식에 영향을 받는다(Levin et al. 2006). 

Conversely, supervisors with ongoing knowledge of their trainees render judgments differently, as longitudinal relationships change the information that informs trust (Hafferty 1998). Early in a relationship, trust formation is often based on recognition of demographic similarities between two individuals; over time, shared experiences and knowledge inform trust formation (Levin et al. 2006). 


지속적인 관계는 [과거의 성과]와 [개선이 필요한 분야를 대상으로 한 상세한 형성적 피드백]를 중심으로 trainee의 성과를 해석하게 도와준다. LIC모델과 같이 충분한 형성적 피드백이 제공되는 종단적 접촉은 [친숙성 결여]로 인한 평가의 우려를 완화시켜준다(Mazotti et al. 2011).

An ongoing relationship allows interpretation of trainee performance in relation to past performance and detailed formative feedback targeted to areas needing improvement. Longitudinal integrated clerkships model such a system where longitudinal contact (and hence relationship) with ample formative feedback mitigate evaluation concerns stemming from lack of familiarity (Mazotti et al. 2011).


맥락의 기여

Context contributions to trust


근무지 어포던스

Workplace affordances


[작업장이 진정한 업무 활동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하는 정도]는 학습(Billett 2001), 성과 및 감독자의 성과 평가에 강력하게 영향을 미친다. 감독자들이 trustworthiness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연습생들의 직장 내 합법적인 참여와 자율성을 판단할 수 있는 기회가 필요하다(Billett 2001; Govaerts et al. 2011; Lave and Wenger 1991; Grant and Dweck 2003).

The degree to which the workplace affords or offers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in authentic work activities powerfully affects learning (Billett 2001), performance, and supervisors’ assessment of that performance. Opportunities for trainees’ legitimate participation and autonomy in the workplace are necessary for supervisors to judge trustworthiness (Billett 2001; Govaerts et al. 2011; Lave and Wenger 1991; Grant and Dweck 2003).


근무 환경

Work environment


작업 환경도 신뢰 형성을 가능케 하거나 저지할 수 있다. 인프라나 인력이 부족한 저자원 임상 환경은 [연습자가 임상 업무를 완수하지 못하게] 하거나, 또는 [연습자가 더 높은 수준의 책임을 갖고 수행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Gourevitch et al. 2008).

The work environment can enable or deter trust formation. An under-resourced clinical environment with insufficient infrastructure or personnel could impede trainees’ completion of clinical tasks, or alternatively require the trainee to perform at higher levels of responsibility (Gourevitch et al. 2008).


예를 들어, 밤에 혼자 병원에 있는 동안 연습생은 현장 감독관 없이 독립적으로 불안정한 환자를 돌보게 될 수도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 감독자가 연습생이 그러한 신뢰를 얻었다고 의식적으로 결정한 적이 없을지라도 신뢰는 제공된다. 어느 정도 이러한 상황에서 스트레스를 받으면 성능이 향상될 수 있지만, independence가 excessive하게 되면 너무 overwhelming하여 퍼포먼스 퀄리티를 떨어뜨릴 수 있다(Wilkerson and Doyle 2011).

For example, while alone in a hospital at night, a trainee might manage an unstable patient independently without an on-site supervisor. In this scenario, trust is afforded even though a supervisor may never have consciously decided that the trainee earned that trust. To a point, the stress in these situations may enhance performance, but excessive independence can become overwhelming and reduce performance quality (Wilkerson and Doyle 2011).


더 잘 정비된 의료 시스템에서, 일부 작업은 다른 사람에 의해 완료되기도 하며, 이렇게 되면 학습자가 잠재적으로 그것을 수행할 기회를 박탈하는 것일 수 있지만, 반대로 연습자가 더 어려운 작업에 시간을 할애할 수 있도록 해주기도 한다. 예를 들어, ancillary staff가 항상 도와줄 수 있는 상황이라면, 연습생들은 venipuncture를 배우지 못할 수도 있다.

In more well-resourced health care systems, some tasks are completed by others, potentially depriving the learner of those opportunities or alternatively enabling the trainee to spend time on more challenging tasks. For instance, trainees may not learn to do venipuncture if ancillary staff are always available to do so.


감독자는 작업 수행에 대한 연습생의 신뢰도를 판단하기 때문에 다른 설정으로 위탁이 일반화하는 정도를 결정해야 한다(Tjosvold 및 Tao 1989). 따라서 위임은 맥락적이지만, 연습생들은 궁극적으로 다양한 환경에서 이론적 지식과 실제적 지식을 모두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As supervisors judge trainees’ trustworthiness to perform tasks, they must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the entrustment generalizes to other settings (Tjosvold and Tsao 1989). Entrustment is thus contextual, but trainees must ultimately be able to apply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across a range of settings.


시스템 문제

Systems issues


맥락에 익숙해지면 의료 시스템과 마이크로 시스템에 대한 연습생의 미묘한 이해가 형성되고, 강력한 팀워크와 학제간 의사소통이 촉진된다(Hauer 등). 2009; Hirsh 등 2007). 그러나 연습생은 오늘날의 임상 환경에서 빈번한 전환에 신속하게 적응해야 한다(Bernabeo et al. 2011).

Familiarity with a context builds trainees’ nuanced understanding of the healthcare system and microsystems, and promotes robust teamwork and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Hauer et al. 2009; Hirsh et al. 2007). Yet, trainees must adapt quickly to frequent transitions in today’s clinical environment (Bernabeo et al. 2011).


미국에서 major transition은 매년 7월 미국의 의료 훈련생들이 동시에 더 상위 수련단계로 진출할 때 발생한다. 한 최근 리뷰는 이 시기에 환자 성과와 치료 효율이 얼마나 떨어지는지를 보여준다(Young et al. 2011). 감독관들은 연수생들이 아직 위임을 위해 평가와 평가를 받지 않았기 때문에 더 많은 감독이 필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A major transition occurs each July when United States medical trainees simultaneously advance to higher levels of responsibility, and a recent review shows how patient outcomes and care efficiency can suffer (Young et al. 2011). Supervisors expect that more supervision will be required because trainees have not yet been assessed and evaluated for entrustment.


업무량

Workload


trainee의 근무시간과 작업부하로 인해 과도한 근무 시간 및 복수의 야간 교대 근무는 피로와 피로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Dyrby et al. 2010). 진료 스케줄은 위임 여부를 결정하는 데 필요한 훈련생에 대한 감독자의 관찰을 용이하게 할 수도, 방해할 수도 있다. 자주 관찰하고 적시에 평가하면 역량에 대해 더 잘 결정내릴 수 있다. 잦은 handoffs와 staggered shift(엇갈린 교대)는 팀 구성원들이 서로의 작업을 거의 보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Trainees’ work hours and workload have prompted studies showing that working excessive hours and/or multiple night shifts is associated with fatigue and burnout that can compromise performance (Dyrbye et al. 2010). Clinical schedules may facilitate or impede supervisors’ observations of trainees that are necessary to determine entrustment. Frequent observations and timely ratings enable determination of competence; frequent handoffs and staggered shifts can mean that team members rarely see each other’s work.


직장 문화

Workplace culture


특정 직장 문화 내에서 신뢰가 생긴다. 숨겨진 커리큘럼은 감독관들과 연습생들의 전문적인 행동과 받아들일 수 있는 의사소통 방법에 대한 이해를 알려준다.

Entrustment occurs within a particular workplace culture. The hidden curriculum informs supervisors’ and trainees’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 behavior and acceptable methods of communication.


감독자들은 연습생들이 집단규범, 가치관, 행동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모델링하고 관찰하며(Stern and Papadakis 2006), 집단기준 위반은 위탁을 감소시킬 것이다.

Supervisors both model and observe whether trainees adhere to group norms, values, and behaviors (Stern and Papadakis 2006), and violations of group standards will diminish entrustment.


과제의 기여

Task contributions to trust


순서, 복잡성 및 위험에 기초한 직무 선택은 훈련자의 참여와 위탁 판단을 용이하게 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Task selection based on sequencing, complexity and risk can be designed to facilitate trainees’ participation and a judgment of entrustment.


순서

Sequencing


성공적인 근무지 학습이 되려면 supported and guided 참여가 필요하다. 즉, 연습생은 자신에게 주어진 작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어야 하며, 감독자는 trainee를 점진적으로 더 높은 수준의 직무를 수행하도록 도전하게 해주어야 한다(Dornan et al. 2007). Trainee가 수행할 과제는 임상 사례의 의미 있는 부분이어야 하며, 자주 일어나는 것이든 가끔 일어나는 것이든 환자 치료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어야 한다.

Successful workplace learning requires supported and guided participation, such that trainees can actively engage in the tasks afforded to them, and their supervisors can challenge them to perform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Dornan et al. 2007). Tasks to be performed and judged should be meaningful parts of clinical practice that arise frequently or, for infrequently occurring activities, have high impact on patient care outcomes.


학습이란 학습자가 점진적으로 참여 기회를 높여가는 발달적 과정일 때 이상적이다. 과제는 ZPD 범위에 들어가야 해서,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과제]와 [도움을 받아야만 수행할 수 있는 과제] 사이에 속해야 한다. 이 영역 내에서의 직무 수행은 점진적 skill building에 기여할 수 있다(Vygotzsky 1978).

Learning is optimized as a developmental process in which learners have graded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A task can fall within a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between tasks that they can perform independently and tasks they are only able to perform with assistance. Within this zone, task performance can contribute to progressive skill building (Vygotzsky 1978).


정의된 역량과 이정표는 개발적으로 순서화된 학습 활동 및 평가를 안내할 수 있다(Carraccio 등, 2002; Green 등). 2009) (표 2)

Defined competencies and milestones can guide developmentally sequenced learning activities and assessments (Carraccio et al. 2002; Green et al. 2009) (Table 2).


과제 복잡성

Task complexity


Trainee에게 할당된 작업의 [인지적 및 심리운동적 복잡성]은 Trainee가 과제를 수행할 준비가 얼마나 되어있는지에 맞아야 하며, 이를 통해 더 많은 신뢰를 얻어야 한다. 직선적 상황에서 간단한 작업을 성공적으로 실행할 경우, 감독자는 trainee가 해당 작업을 앞으로도 반복해서 해도 된다는 평가 판단을 쉽게 내릴 수 있다. 그러나 더 복잡한 과제의 수행에 대한 판단은 더 많은 관찰과 정보를 필요로 할 것이다(Moloy and Parasuraman 1996; Lee and See 2004).

The cognitive and psychomotor complexity of the task assigned to the trainee should align with the trainee’s readiness to perform the task and earn further trust. Successful execution of a simple task in a straightforward situation could readily prompt an evaluator to render a judgment to trust the trainee to repeat that task. However, a judgment about performance with a more complex task would likely require more observation and information (Molloy and Parasuraman 1996; Lee and See 2004).


리스크

Risk


임상의 task는 언제나 환자에게 일정 수준의 위험을 수반하며, 감독자는 연습생이 고위험 절차와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수준의 높은 신뢰를 원할 것이다(Stterkenburg et al. 2010). 복잡한 정신사회적 또는 의학적 임상표현을 보이는 환자들은 trainee가 가진 대인관계 기술(잭슨과 크런케 1999)의 경계를 시험해볼 기회로서, 위임 결정을 복잡하게 만든다.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을 앓고 있는 high-acuity 환자는 더 발전된 학습자를 위한 별도의 위탁 결정 범주로 구성될 수 있다(Quirke et al. 2011).

A task carries a certain degree of risk for the patient, and supervisors will want higher degrees of trust to allow trainees to perform high-risk procedures and activities (Sterkenburg et al. 2010). Patients with complex psychosocial or medical presentations may test the boundaries of a trainee’s interpersonal skills (Jackson and Kroenke 1999) and complicate entrustment decisions. High-acuity patients with life-threatening illness may comprise a separate category of entrustment decision for more advanced learners (Quirke et al. 2011).


위임 결정을 서포트하기 위한 설계 원칙

Design principles to support entrustment decisions


신뢰는 덜 감독되고 자율적인 작업장 활동에 대한 훈련생들의 준비 상태에 관한 판단에 필수적이다.

Trust is essential for informing judgments regarding trainees’ readiness for less supervised, autonomous workplace activity.


위임은 학습자에게 바람직한 행동과 태도에 대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환자 치료에 참여하는 경험을 통해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훈련생들은 업무 성취에 기여한 보상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신뢰를 얻을 수 있는 기회]는 전략적으로 [더 많은 신뢰를 얻을 수 있는 방식]으로 수행하게 학습자를 동기부여하며, 의료행위라는 역동적이고 상황적인 맥락에서 교육자는 위임을 획득한 연습생들이 unsupervised practice에 필요한 새로운 기회를 경험하게 해주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For learners, entrustment can motivate desirable behaviors and attitudes. Trainees who are challenged to learn through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patient care will experience the rewards of contributing to work accomplishment. The opportunity to earn trust can strategically motivate learners to perform in ways that earn them further trust, and in the dynamic and highly situational context of medical practice, educators should aim to ensure that trainees who earn entrustment can experience new opportunities for unsupervised practice afterward.


그러므로 위임에 초점을 맞추면 현재와 미래의 학습과 환자 치료에 대한 공동의 목표에 초점을 맞춘 협력적인 감독 관계를 촉진한다.

A focus on entrustment therefore promotes collaborative supervisory relationships focused on shared goals for learning and patient care in the present and future.


임상적 전문성과 감독자로서의 전문성을 가진 의사는 미래 의료를 위한 [책무성의 맥락] 속에서 위임 결정 프레임에 대한 책임이 있다. 훈련생들은 점진적으로 자신의 장점을 인식하고 반성하고 필요에 따라 감독을 하도록 유도하는 환경에서 마음의 습관을 기르면서 개인의 기술 수준에 맞춘 더 큰 독립적 책임을 떠맡는다. 훈련생들은 (환자와 동료의 신뢰를 얻어야 하는 의사라는 전문직이 필요로 하는) 전문직업성을 주입하는 커리큘럼을 통해 "신뢰할 수 있는" 임상의로 발전하는 것의 가치를 배운다(Cruess et al. 2010).

Faculty with clinical and supervisory expertise prepared to assume responsibility for entrustment decisions frame this decision-making in the context of accountability for future patient care. Trainees progressively assume greater independent responsibility aligned with their individual skill levels while developing habits of mind, in a climate that prompts them to recognize and reflect on their own strengths and invite supervision as needed. Trainees learn the value of developing into ‘‘trustworthy’’ clinicians through a curriculum that inculcates the professionalism necessary for a career that entails earning the trust of patients and colleagues (Cruess et al. 2010).


Wijnen-Meijer, M., van der Schaaf, M., Nillessen, K., Harendza, S., & ten Cate, O. (in press). Essential facets of competence that enable trust in medical graduates: A ranking study among physician educators in two countries. Perspectives on Medical Education. XXX










 2014 Aug;19(3):435-56. doi: 10.1007/s10459-013-9474-4. Epub 2013 Jul 27.

Understanding trust as an essential element of trainee supervision and learning in the workplace.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Medicine,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San Francisco, 505 Parnassus Ave, M1078, Box 0120, San Francisco, CA, 94143-0120, USA, karen.hauer@ucsf.edu.

Abstract

Clinical supervision requires that supervisors make decisions about how much independence to allow their trainees for patient care tasks. The simultaneous goals of ensuring quality patient care and affording trainees appropriate and progressively greater responsibility require that the supervising physician trusts the traineeTrust allows the trainee to experience increasing levels of participation and responsibility in the workplace in a way that builds competence for future practice. The factors influencing a supervisor's trust in a trainee are related to the supervisor, trainee, the supervisor-trainee relationship, task, and context. This literature-based overview of these five factors informs design principles for clinical education that support the granting of entrustment.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offer promise as an example of a novel supervision and assessment strategy based on trust. Informed by the design principles offered here, entrustment can support supervisors' accountability for the outcomes of training by maintaining focus on future patient care outcomes.

PMID:
 
23892689
 
DOI:
 
10.1007/s10459-013-9474-4


맥락적 요인이 전문가의 임상추론에 미치는 영향은? (Adv in Health Sci Educ, 2012)

The impact of selected contextual factors on experts’ clinical reasoning performance (does context impact clinical reasoning performance in experts?)

Steven J. Durning • Anthony R. Artino • John R. Boulet • Kevin Dorrance • Cees van der Vleuten • Lambert Schuwirth




도입

Introduction


임상적 추론은 진단을 확립하는 것(진단적 추론)과 환자의 상황과 선호에 특정한 행동 계획을 결정하는 것(치료적 추론) 모두를 포함한다. 임상 환경에서 추론을 평가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어, 여러 연구에서 상황(사례)에 따라 퍼포먼스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흔히 맥락특이성의 문제라고 한다(Norman et al. 1995; Eva et al. 1998). 즉, 맥락특이성은 특정 의사나 의대생이, 서로 다른 임상 문제에 대한 퍼포먼스 사이의 낮은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입된 현상이다.

Clinical reasoning involves both establishing the diagnosis (diagnostic reasoning) and deciding on a plan of action that is specific to the patient’s circumstances and preferences (therapeutic reasoning). There are many challenges to evaluating reasoning in the clinical setting. For example, multiple studies have found that performance across situations (cases) can vary greatly—this is often referred to as the problem of context specificity (Norman et al. 1995; Eva et al. 1998). In other words, context specificity is the phenomenon invoked to explain the low correlations in performance across different clinical problems for a given physician or medical student.


예를 들어, 노먼 외 연구진(1995)은 이전에 레지던트와 의대생에게 일련의 모의 환자 문제를 제시했던 경우, 진단이 동일하고 주소가 다른 경우 문제 전반에 걸쳐 낮은 상관관계가 발견되었음을 입증했다. 실제로, "맥락특이성"이라는 이름은 '내용'만으로는 이 문제를 설명하기에 불충분하다는 것을 상기시키기 위해 부여되었다(Eva 등, 1998; Elstein 등, 1990). 게다가, 일부 연구자들은 맥락특이성이 "의학 교육 연구의 유일한 진실"이라고 말했다.

For example, Norman et al. (1995) previously demonstrated that for residents and medical students presented with a series of simulated patient problems, low correlations were found across problems with the exact same diagnosis and a different chief complaint. Indeed, the name ‘‘context specificity’’ was given to this phenomenon to serve as a reminder that content is an insufficient explanation for this problem (Eva et al. 1998; Elstein et al. 1990). Further, some researchers have remarked that context specificity is the ‘‘one truth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Eva 2011).



맥락과 이론 프레임워크

Context defined and theoretic frameworks


컨텍스트는 임상에서 participants와 setting사이에 "짜여진 직물weaving together"로 정의할 수 있다(Durning et al. 2010a). 이 짜임새, 즉 상호 작용으로 인한 의미는 조우encounter하는 동안 계속 진화한다. 따라서 맥락은 임상적 만남의 개별 참가자의 수, 또는 만남이 발생하는 setting의 수보다 늘 더 많을 수 밖에 없다. 즉, 의사, 환자, setting 및 세 가지 모두의 상호작용을 수반한다(Durning et al. 2010a).

Context can be defined as ‘‘the weaving together’’ of the participants and the setting in the clinical encounter (Durning et al. 2010a). This weaving together, or interaction, creates meaning that evolves during the encounter. Thus, context is more than the individual participants in the clinical encounter or the setting where the encounter occurs—it entails the physician, the patient, the setting, and the interactions of all three (Durning et al. 2010a).


상황화된 인지는 현대의 교육 이론이다; 맥락은 참여자와 상황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난다고 주장한다. 이 이론적 프레임워크(그림 1)에서 맥락은 [상호작용을 통해 진화하는 의미를 만들기 위하여, 주어진 상황 내에서 참가자(환자, 의사 및 훈련생 및/또는 가족)사이의 weaving together]라고 정의된다(Durning et al. 2010a). 더욱이, 이 프레임워크에서, 조우encounter의 결과는 복수의 상호작용 입력(참여자와 설정)에 기초한다. 그러므로, 상황화된 인지는 맥락특이성의 문제를 볼 수 있는 독특한 렌즈를 제공한다.

Situated cognition is a contemporary educational theory; it argues that context emerges fromparticipant and setting interactions. In this theoretical framework (Fig. 1), context can be defined as the weaving together of participants (patient, physician and trainees, and/or family, as applicable), within a setting, to create meaning which evolves through interactions (Durning et al. 2010a). Furthermore, in this framework, the outcome of the encounter is based on multiple interacting inputs (participants and setting). Thus, situated cognition provides a unique lens through which to view the problem of context specificity.


인지 부하 이론(Cognitive Load 이론, CLT)은 작업기억용량의 한계와 교육적 개입과의 관계를 다루는 현대의 정보 처리 이론이다. CLT는 인지 과정에 대한 조사를 위한 선도적인 이론 중 하나이다(van Merrienboer and Sweller 2010; Paas 등, 2003; Plass 등, 2010). CLT의 중요한 원칙은 요소간 상호작용element interactivity이다. 여러 차원에 따라 의사가 처리해야 하는 정보가 다양하지만, [관련된 정보 요소가 서로 상호 작용하는 정도]가 결정적 특징임이 밝혀졌다. 특정 정보는 요소간 상호작용의 연속체에서 낮은 상호작용부터 높은 상호작용까지의 범위를 갖는다. 

    • [낮은 요소간 상호작용 정보]는 다른 정보 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처리하고 이해할 수 있다. 

    • [높은 요소간 상호작용 정보]는 그것을 처리하고 이해할 때 다른 요소들을 고려해야 한다(van Merrienboer and Sweller 2010; Paas et al. 2003; Plass et al. 2010). 따라서 [높은 요소간 상호작용 정보]는 인지 부하를 증가시킨다. 즉, 인지 처리에 대한 수요가 더 크다(Paas et al. 2003).

Cognitive load theory (CLT) is a contemporary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that addresses the limits of working memory capacity and its relationship to instructional interventions. CLT is one of the leading theories for investigations into cognitive processes (van Merrienboer and Sweller 2010; Paas et al. 2003; Plass et al. 2010). An important tenet of CLT is element interactivity. Although the information that physicians must process varies on many dimensions, the extent to which relevant informational elements interact has been found to be a critical feature. Information varies on a continuum from low to high in element interactivity. 

    • Each piece of low-element interactivity information can be processed and understood individually without consideration of any other information elements. 

    • Each piece of high-element interactivity information requires consideration of other elements to be processed and understood (van Merrienboer and Sweller 2010; Paas et al. 2003; Plass et al. 2010). As such, high-element interactivity information results in greater cognitive load; that is, it places greater demands on cognitive processing (Paas et al. 2003).



CLT는 상황화된 인지와 관련이 있다. Situated cognition 프레임워크의 관점(그림 1; Durning et al. 2010a, b)에서는 임상적 조우에 내재된 다수의 맥락적 요인이 [높은 요소간 상호작용성]을 가질 것으로 예측되므로 높은 인지 부하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즉, 그림 1의 세 가지 요인(환자, 의사, 설정) 각각에 대해 나열된 요소는 의사에게 추가적인 인지 부하를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CLT relates to situated cognition. From the situated cognition framework’s perspective (Fig. 1; Durning et al. 2010a, b), the multiple contextual factors inherent to a clinical encounter, would be predicted to have high element interactivity and thus would be expected to lead to high cognitive load. In other words, elements listed for each of the three factors (patient, physician, setting) in Fig. 1 would be expected to engender additional cognitive load in the physician.


열거할 수 있는 요인 요소의 수를 고려할 때(예는 그림 1에 표시),

    • [높은 요인요소간 상호작용] 또는 [하나 이상의 요소에 의해 유발되는 높은 인지부하]로 인해 의사에게 높은 인지 부하를 일으킬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 또한 의사-환자-상황 간의 상호작용(그림 1)은 새로운 목표를 이끌어내며, 이렇게 만들어진 새로운 목표는 또다시 인지부하를 증가시킬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goal-free to goal-specific principle) (van Merrienboer and Sweller 2010; Paas et al. 2003; Plass et al. 2010). 

따라서 CLT는 situated cognition을 보완해준다. 즉, CLT는 situated cognition의 일반적인 프레임워크(그림 1)가 임상 추론의 특정 과제에 대해 어떻게 나타날 수 있는지를 예측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Given the number of factor elements that could be listed (examples are shown in Fig. 1), high cognitive load for the physician would be expected in many situations due to high factor element interactivity or high load induced by one or more elements. Further, these interactions between participants (Fig. 1) lead to emerging goals, and CLT would predict that emerging goals (goal-free to goal-specific principle) would increase cognitive load for the participants in the encounter (van Merrienboer and Sweller 2010; Paas et al. 2003; Plass et al. 2010). Thus, CLT complements situated cognition by providing a means to predict how the more general framework of situated cognition (Fig. 1) could be manifest for the specific task of clinical reasoning.


의미적 한정자는 추상적이고, 종종 이항적으로서, 환자의 임상표현을 특징짓거나 분류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들이다(Bordage and Lemieux 1991). 의미 한정자의 예로는 급성, 양측, 만성 등이 있다. 그러한 한정자들은 의사들이 기억 속에 지식을 연결하거나 구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여겨진다. 의미적 한정자는 CLT와 관련되는데, 인지 부하 감소를 위한 잠재적 메커니즘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CLT에 따르면, 의미적 한정자를 사용하게 되면, [정보 요소 상호작용성]을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Semantic qualifiers are abstract, often binary, terms used to characterize or classify a patient’s presentation (Bordage and Lemieux 1991). Examples of semantic qualifiers include acute, bilateral, and chronic. It is believed that such qualifiers may help physicians associate or organize knowledge in memory. Semantic qualifiers relate to CLT, representing a potential mechanism for decreasing cognitive load. For example, one expected manifestation of the use of semantic qualifiers, according to CLT, would be decreased information element interactivity.


또한 [임상에서 익숙한 문제를 진단하고 치료해야 하는 과제가 주어진] 전문가가 의미적 한정자를 부적절하게(또는 부정확하게) 사용한다는 것은, 높은 인지 부하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의미적 한정자의 부정확한 사용에 해당하는 표현 오류, 삭제, 대체와 같은 disfluencies는 높은 인지 부하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Lindstom et al. 2008; Villing 2009).

Also, the improper (or incorrect) use of semantic qualifiers in experts who are given the task to diagnose and treat problems familiar to their practice therefore could be considered as a manifestation of high cognitive load. Disfluencies, such as articulation errors, deletions, and substitutions which are akin to incorrect use of semantic qualifiers, as well as increased pauses, have been associated with high cognitive load in other fields (Lindstom et al. 2008; Villing 2009).


우리는 비디오테이프를 임상 추론에 대한 상황 요인의 잠재적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최적의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비디오테이프는 모든 참가자들에게 연구 중인 상황 요인과 동일한 사례 내용에 대한 동일한 "노출"을 제공할 수 있게 했다. 또한, 이 연구 설계는 조사 중 참가자의 정신적 과정을 측정하는 공식적인 think-aloud 절차의 사용을 용이하게 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think-aloud 프로토콜은 우리가 선택한 상황적 요인과 인지 부하 표시가 임상적 추론 성과와 관련이 있는지를 탐구할 수 있게 해주었다. 더욱이, 비디오테이프는 종이 케이스보다 더 authentic한 방식으로 사례를 보여줄 수단을 제공했다(La Rockhelle et al. 2011).

We consider videotapes to be an optimal metho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influence of contextual factors on clinical reasoning. Videotapes allowed us to provide all participants with the same ‘‘exposure’’ to the contextual factors under study and identical case content. Further, this study design facilitated the use of a formal think-aloud procedure, which provided a measure of participants’ mental processes during the investigation. More specifically, the think-aloud protocol allowed us to explore if the selected contextual factors and our markers of cognitive load were associated clinical reasoning performance. Moreover, the videotapes provided a means to represent cases in a more authentic way than paper cases (La Rochelle et al. 2011).


맥락적 요인의 잠재적 영향을 탐구하기 위해서, 상황화된 인식situated cognition에 따르면 실제 임상 현장에 존재하는 의사-환자-상황의 상호작용성(따라서 정보간 상호작용성)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authenticity가 필요하다. 따라서, 참가자들에게 각 비디오 테이프의 authenticity 수준을 평가하도록 하는 한편, 비디오 테이프에 묘사된 상황 요인을 체계적으로 변화시켰다(표 1).

To explore the potential influence of contextual factors, situated cognition (Durning et al. 2010a, b) would support the notion of the need for authenticity to provide a means for participant and setting interactivity (and thus information interactivity) that is present in actual clinical practice. Thus, we also asked participants to rate the authenticity of each videotape, while we systematically varied the contextual factors portrayed in the videotapes (Table 1).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리는 우선 PEF(Postcounter Form)로 측정된 임상 추론 성과를 비교함으로써 맥락특이성의 문제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이 PEF는 참가자에게 추가적인 이력 및 신체검사 문제를 나열하고, 문제목록, 차등진단, 선행진단, 지원자료 및 치료계획서를 제공하도록 하는 자유 텍스트 양식이다(Durning et al. 2010b, 2011a).

To achieve the aims of this study, we first sought to demonstrate the problem of context specificity by comparing clinical reasoning performance as measured by our postencounter form (PEF). This PEF is a free-text form that asks participants to 

    • list additional history and 

    • physical examination questions, 

    • provide a problem list, 

    • differential diagnosis, 

    • leading diagnosis, 

    • supporting data, and 

    • treatment plan (Durning et al. 2010b, 2011a).


우리는 하나 이상의 요인이 존재하면 인지 부하 증가로 인한 임상 추론 수행을 방해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we hypothesized that the presence of one or more factors would impede clinical reasoning performance due to increased cognitive load.


방법

Methods


임상 추론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내과 전문의(보드 인증 내과)가 실제로 보는 세 가지 일반적인 조건에 대한 비디오테이프를 사용했다. 이러한 각각의 묘사 내에서, 우리는 선택된 상황적 요인(표 1)을 수정했다. 그림 2는 우리의 연구 설계에 대한 개요를 보여준다. 임상 추론 성과는 자유 텍스트 PEF를 통해 포착되었으며, 이 연구에서 우리의 종속의존 변수 역할을 했다. 임상 추론 평가에 PEF의 사용을 뒷받침하는 신뢰성 및 유효성 증거는 이미 확립되었다(Durning et al. 2010b, 2011a). 이 PEF는 참가자들에게 진료상황을 보여주는 환자와 의사의 비디오 테이프에서 관찰된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을 나열할 것을 요구한다. PEF 질문에는 추가적인 이력 및 신체 검사 데이터 제공, 문제 목록 구성, 차등 진단 및 선행 진단 생성, 주요 진단 및 치료 계획에 대한 증거 제공 등이 포함된다.

To measure clinical reasoning performance, we used videotape portrayals of three common conditions that internal medicine experts (board-certified internists) see in practice. Within each of these portrayals, we modified selected contextual factors (Table 1). Figure 2 outlines our study design. Clinical reasoning performance was captured through a free-text PEF, which served as our main 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Reliability and validity evidence to support the use of the PEF for assessing clinical reasoning has been previously established (Durning et al. 2010b, 2011a). This PEF asks participants to list their thoughts based on what was observed in the videotape encounter of a patient and a physician. The PEF questions entail 

  • providing additional history and physical exam data; 

  • constructing a problem list, 

  • creating a differential diagnosis and leading diagnosis; and 

  • providing supporting evidence for their leading diagnosis and treatment plan.



비디오테이프 개발

Videotape development


본 연구에서 조사된 맥락적 요인으로는 다음이 있다.

For the contextual factors investigated in this study, 

    • 제2외국어로서의 영어는 환자에게 번역기를 요청하게 하고, 의사에게 질문을 반복하게 하고, 그들의 기본 언어와 일치하는 억양으로 말하게 함으로써 그려졌다. 

    • Volatility 상황 요인에 대해 환자는 다음과 같은 문구로 의사의 자격 증명에 도전했다. '의사 생활한 지 얼마나 됐나' '의사 주치의인가, 수련생인가?' 

    • 부정확한 진단이나 치료의 제안은 환자 상태의 부적절한 진단이나 그들이 의사였던 가족 구성원으로부터 받은 치료로 묘사되었다. 

    • 비전형적인 표현는 고전적인 주요 특징들을 제거하거나 조건에 대해 덜 일반적인 표시 특징들을 삽입함으로써 묘사되었다.

    •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was portrayed by having the patient ask for a translator, asking the physician to repeat questions, and speak with an accent consistent with their primary language. 

    • For the volatility contextual factor, the patient challenged the physician’s credentials with phrases such as ‘‘how long have you been a doctor’’ and ‘‘are you an attending physician or a trainee’’. '

    • Suggestion of an incorrect diagnosis or therapy was portrayed by having the patient state inappropriate diagnoses or treatments that they received from a source such as a family member who was a physician. 

    • Atypical presentation was depicted by either eliminating classic key features or inserting less common presenting features for a condition.



진료후작성서식

Post-encounter form


각 비디오테이프를 본 후(각 참가자는 세션당 3개 또는 6개의 비디오테이프를 보았다; 그림 2), 보드 인증을 받은 내부자(전문가)에게 PEF를 작성하도록 요청하였다(부록 1). 비디오테이프 세션(3개 또는 6개 비디오테이프 보기)을 마치자 참가자들에게 나머지 비디오테이프(9개 비디오테이프 모두 보기 위해 돌아가라는 요청을 받았다. 일부 참가자는 9개 비디오테이프를 모두 완성하지 못했다.

After viewing each videotape (each participant viewed 3 or 6 videotapes per session; Fig. 2), board-certified internists (experts) were asked to complete a free-text Postencounter form (PEF) (appendix 1). Upon completing a videotape session (viewed 3 or 6 videotapes),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turn to view the remainder of the videotapes (all nine videotapes); some participants did not complete all nine videotapes.


PEF(부록 1)는 참가자들에게 추가 병력 및 신체검사 데이터를 나열하고, 우선순위화된 문제 목록을 작성하고, 차등 진단을 나열하고, 선행 진단을 위한 지원 데이터를 제공하며, 간단한 비디오 테이프에 제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추진할 치료 계획을 나열할 것을 요청하였다.Nario. 

The PEF (appendix 1) asked participants to 

    • list additional history and physical examination data, 

    • construct a prioritized problem list, 

    • list a differential diagnosis, 

    • list a leading diagnosis, 

    • provide supporting data for the leading diagnosis, and 

    • list a treatment plan that they would pursue given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brief videotape scenario. 


PEF 섹션 점수는 한 조사자(SJD)에 의해 계산되었다. 각각의 서술형 답변은 별도의 전문가 패널(보드 인증 인턴)에 근거한 정답(1점), 부정확(0점), 부분적으로 정답(0.5점)으로 점수를 매겼다. 이 채점 키에 존재하지 않는 응답을 열거한 참가자들은 두 명의 조사관(SJD, KD)이 조사를 받았다. 참가자는 병력 5개, 신체검사 5개, 차등진단 7개 항목을 나열할 수 있다. 참가자들은 무작위로 PEF를 완료할 수 있는 시간에 제한을 두거나(최대 5분) 또는 제한이 없게 했다(최대 20분). PEF를 완료하는 데 필요한 시간(초)이 기록되었다. 이 PEF는 전문가의 임상 추론 성과에 대한 1차 결과 측정의 역할을 했다.

PEF section scores were calculated by one investigator (SJD). Each free-text answer (each additional history item, each additional physical exam item, problem list, each differential diagnosis item, leading diagnosis, and treatment plan) was scored as correct (1 point), incorrect (0 points), or partially correct (.5 points) response based on a separate panel of experts (board-certified internists) responses. Participants listing responses that were not present on this scoring key were vetted by two investigators (SJD and KD). Participants could list up to 5 history, 5 physical exam, and 7 differential diagnosis items. Participants were also given either limited (up to 5 min) or unlimited (up to 20 min) time to complete the PEF in a random fashion. The time, in seconds, needed to complete the PEF was recorded. This PEF served as a primary outcome measurement of expert’s clinical reasoning performance.


Think-Aloud 프로토콜

Think-aloud protocol


각 PEF를 완료한 후 참가자들은 공식적인 think-aloud 절차를 완료했다think-aloud 절차는 think-aloud 발언이 상황별 요인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연구 설계에 통합되었으며(즉, 이러한 요인 중 하나 이상의 존재를 말로서 표현하는지), 아래에서 설명한 우리의 인지 부하 측정은 PEF가 측정한 임상 추론 성과와 관련이 있다. 이와 같이, 우리의 think-aloud 척도는 PEF 성과와 상관관계가 있는 독립변수로 작용했다.

After completing each PEF, participants completed a formal think-aloud procedure. The think-aloud procedure was incorporated into our study design so that we could determine if think-aloud utterances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factors (i.e. verbalizing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f these factors) and our cognitive load measures, described below, were associated with clinical reasoning performance as measured by our PEF. As such, our think-aloud measures serv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at were correlated with PEF performance.


좀 더 구체적으로, 참가자들은 비디오 테이프를 다시 보면서, 묘사된 환자에 대한 진단 및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과제를 수행하면서 "think-aloud"하였다. 우리는 think-aloud 프로토콜에 표준 절차를 사용했다(Ericsson et al. 2006). 참가자들은 프로토콜을 완료하기 전에 이 방법론(Ericsson et al. 2006)에서 초기 교육을 받았다. 모든 사고 방식 프로토콜은 비디오와 오디오 테이프로 녹화되었다. think-aloud 절차에서 참가자는 작업 중 자신이 생각하는 모든 생각을 구두로 표현하고 자신의 사고 과정을 분석하지 않도록 명시적으로 지시 받는다think-aloud procedure는 여러 연구로부터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의 이뤄지는 정신 과정을 신뢰성 있게 보여준다는 점이 밝혀졌다(Ericsson et al. 2006).

More specifically, participants re-watched each videotape while ‘‘thinking aloud’’ with the task of establishing a diagnosis and treatment plan for the patient portrayed in the videotape. We used a standard procedure for the think-aloud protocol (Ericsson et al. 2006). Participants received initial training in this methodology (Ericsson et al. 2006) prior to completing the protocol. All think-aloud protocols were video and audio taped. In the think-aloud procedure, participants verbalize whatever thoughts they have during a task and are explicitly instructed to not analyze their thought processes. Importantly, the thinkaloud procedure has been shown in several studies to reliably reflect concurrent mental processes while performing a task (Ericsson et al. 2006).


PEF와 조사 대책과의 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참가자의 인지 부하를 반영하기 위해 3명의 선동자(SJD, CVderV, LS)가 고안한 연역 코딩 시스템에 따라 think-aloud 프로토콜을 분석하였다. 기존의 평가 항목을 활용하여 인지 부하를 측정하려면, 이것을 위해 think-aloud 프로세스를 일시 중단해야 했고, 이는 think-aloud 절차를 훼손할 것으로 예상되었기 때문에, 우리는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실시간으로 인지 부하를 확인하기 위한 코딩 시스템을 만들었다.

To facilitate comparison with PEF and survey measures, think-aloud protocols were analyzed according to a deductive coding system devised by three instigators (SJD, CVderV, LS) to reflect participant’s cognitive load. Because pausing the think-aloud process to measure cognitive load with traditional assessment items (van Merrienboer and Sweller 2010; Paas et al. 2003; Plass et al. 2010) would be expected to compromise the think-aloud procedure (Ericsson et al. 2006), we created a coding system to ascertain realtime cognitive load while performing the task (thinking-aloud).


인지부하 측정

Measuring cognitive load


전문성은 데이터의 chunking 과 관련되어있다. 이 chunking은 작업기억자원을 free-up하는 것, 그리고 장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Ericsson et al. 2006). 이 두 가지 전략은 모두 인지 부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는 think-aloud 절차에서 적절한 의미론적 한정자, 깊은 문제 표현 및 조기 진단 확립을 사용하는 것이 인지 부하를 낮추는 것과 동일할 것으로 기대했다.

Expertise is believed to be associated with both the ‘‘chunking’’ of data, which is thought to free up working memory resources and by using information stored in long-term memory (Ericsson et al. 2006). Both of these strategies are believed to reduce cognitive load. We expected that 

    • use of proper semantic qualifiers, 

    • deep problem representation, and 

    • early establishment of diagnosis in the think-aloud procedure would equate with lower cognitive load.


반면에, 

    • 의미적 한정자의 부정확한 사용, 

    • 피상적인 문제 표현, 

    • 일시 중지, 

    • think-aloud 중 진단 확립을 위한 시간 지연 

...은 더 높은 인지 부하를 으미하는 것으로 보았다. 위와 같은 행동을 보이는 것은 장기 작업기억리소스를 invoke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기억에 더 많은 정보처리를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Ericsson 등, 2006년).

On the other hand, incorrect use of semantic qualifiers, superficial problem representation, pauses, and late time to establishing the diagnosis during the think-aloud would be predicted to equate with higher cognitive load; by not invoking long-term working memory resources, these measures would be expected to involve greater information processing demands on working memory (Ericsson et al. 2006).


마찬가지로, think-aloud에서 말로서 맥락적 요인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식함을 보여주는 것이 더 높은 인지 부하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말로 표현했다는 것은 그 맥락적 요인이 작업기억 공간을 차지했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선 연구에서는 우리는 [think-aloud 절차 중 상황 요인을 말로 표현했다는 것]이 [핵심적 사항을 발견하지 못하고 누락하는 것]과 관련이 있음을 발견했는데, 이는 높은 인지 부하가 전문가의 임상 추론 성과와 부정적으로 연관될 수 있다는 우리의 입장을 더욱 뒷받침한다(Durning et al. 2011b).

Likewise, verbally recognizing the presence of a contextual factor would be associated with higher cognitive load, as verbalization could be associated with the contextual factor taking up working memory space. In a previous study, we found that verbalizing one or more contextual factors during a think-aloud procedure was associated with missing key findings, which further supports our stance that high cognitive load may be negatively associated with expert’s clinical reasoning performance (Durning et al. 2011b).


따라서 인지 부하를 추론하기 위해 우리의 think-aloud 코딩 체계에 다음과 같은 문구가 포함되었다:

Therefore, the presence of the following utterances were included in our think-aloud coding scheme to infer cognitive load: 

    • 의미 한정자(연속 데이터로 처리됨, 양 또는 올바른 사용, 음 또는 잘못된 사용) 

    • 심층적 대 피상적 문제 표현(이진 점수) 

    • 하나 이상의 상황별 요인의 존재를 구두로 표시 (각 요소에 대해 예 또는 아니오)

    • 한 번 이상 think-aloud를 잠시 멈춘다. (그렇든 아니든) 

    • 진단을 내리는 데 까지의 시간(think-aloud에서 초기 또는 think-aloud 후기)

semantic qualifiers (treated as continuous data; positive or correct use, negative or incorrect use), 

deep versus superficial problem representation (binary score), 

verbalizing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f the contextual factors (yes or no for each factor), 

the presence of one or more participant pauses during the think aloud (yes or no), and 

time to establishing the diagnosis (coded as early on in the think-aloud or late during the think-aloud). 


우리는 인지부하점수가 높은 것이 낮은 PEF 섹션 점수와 유의하게 연관될 것으로 예상했다.

We anticipated that coding scheme of high cognitive load would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er PEF section scores and vice versa.


자료분석

Data analysis


결과

Results


PEF의 각 섹션(추가 이력, 추가 신체검사, 문제목록, 차등진단, 선행진단, 선행진단 정당성, 치료계획)에 대한 성과는 0%에서 100%까지 크게 다양했다. 또한 섹션 점수는 각 섹션의 개별 참가자 수준에 따라 달랐다(범위 0~100%) 표 2에 표시된 모든 참가자의 평균 점수

Performance on each section of the PEF (additional history, additional physical exam, problem list, differential diagnosis, leading diagnosis, justification for leading diagnosis, treatment plan) varied widely, ranging from 0% to 100%. Also, section scores varied on the individual participant level for each section (range 0–100%). Mean scores for all participants are shown in Table 2



맥락특이성의 확인

Demonstrating context specificity


각 PEF 섹션의 퍼포먼스를 모든 비디오 테이프(9개 총)에 걸쳐 비교하고, 공변량(Covariate)으로 시간을 사용하여 섹션 점수가 사례마다 다른지 여부를 결정했다.

We compared performance of each PEF section across all videotapes (9 total), using timeas a covariate, to determine if section scores differed across cases.


PEF 양식을 완료하는 시간은 신체검사(.35), 차등진단(.34), 보조증거(.40), 치료계획(.20)과 낮은 상관관계를 가진 대부분의 PEF 섹션 점수와 유의미하게 관련되었다. (오래 걸릴수록 섹션별 점수가 높음)

time to complete the PEF form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most PEF section scores with low to moderate correlations (r values): 

    • physical exam (.35), 

    • differential diagnosis (.34), 

    • supporting evidence (.40), 

    • treatment plans (.20).


그런 다음 각 케이스를 진단에 따라 묶고, PEF 섹션 점수와 관련성을 보았다.

We then grouped cases by diagnosis (3 videotapes for each diagnosis) and correlated PEF section scores within each diagnosis.


병력과 총점을 제외하면, 모든 PEF 섹션 점수에서 상당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표 3).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every PEF section score were seen with the exception of history and total score (Table 3).



맥락적 요인과 맥락 특이성

Contextual factors and context specificity


인지 부하에 대한 PEF 섹션 점수와 think-aloud 측정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물론, 이러한 상관들 중 많은 것들이 부정적이었다. 즉, 인지부하(think aloud)가 높으면 PEF점수가 낮았다. 상관관계는 그들의 방향(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에서 우리의 예상과 일치했다.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EF section scores and think-aloud measures of cognitive load were seen. Of note, many of these correlations were negative. Correlations were consistent with our theoretic expectations in their direction (positive or negative).


    • 제2외국어로 영어의 존재를 인정한 참가자는 PEF 이력(r =-.38)과 신체검사(r =-.28)에서 상당히 낮은 점수를 받았다. 

    • 진단 제안을 인정하는 참가자들은 차등 진단(r =-.30)과 선행 진단(r =-.34)에 대한 PEF 점수가 현저히 낮았다. 

    • 진단 확립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 역시 PEF 차등 진단(r =-.20), 선행 진단(r =-.23) 및 뒷받침 증거(r =-.20)에 대한 점수가 현저히 낮았다. 

    • 깊이 있는 문제 표현은 진단 점수를 lead하는 것과 상당히 긍정적 방향으로 관련이 있다(r = .34). 

    • 의료 용어의 부정확한 사용(부정 의미 능력)은 낮은 PEF 선행 진단(r =-.50) 및 총 점수(r =-.61)와 유의하게 연관되었다고 생각한다. 

    • 특히 인지 부하 think-aloud 점수와 PEF 치료 계획 사이의 유의한 상관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다.

    • participants who acknowledged the presence of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n PEF history (r =-.38) and physical examination (r =-.28). 

    • Participants acknowledging diagnostic suggestion had significantly lower PEF scores on differential diagnosis (r =-.30) and leading diagnosis (r =-.34). 

    • Late time in establishing the diagnosis during the think-aloud protocol was also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lower scores on PEF differential diagnosis (r =-.20), leading diagnosis (r =-.23), and supporting evidence (r =-.20). 

    • Think aloud deep problem representa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eading diagnosis score in a positive fashion (r = .34). 

    • Finally think aloud incorrect use of medical terminology (negative semantic competenc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er PEF leading diagnosis (r =-.50) and total score (r =-.61). 

    • Notably,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ognitive load think-aloud scores and PEF treatment plan were found.


think-aloud 에 대한 연구된 상황 요인 중 하나와 think-aloud 에 대한 기타 인지 부하 측정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었다. 즉, 비디오에 포함시킨 상황요인은 인지부하(think aloud)를 높였다. 상관관계는 방향(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에 대한 우리의 예상과 일치했다.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also found between mentioning one of the studied contextual factors on think-aloud and other cognitive load measures on think-aloud. Again, correlations were consistent with our theoretic expectations in direction (positive or negative).


    • 진단 제안은 진단 지연 시간(r = .35) 및 피상적인 문제 표현(r = .26)과 연관되었다. 

    • 제2언어로서의 영어는 변동성(r = .38)과 부정적인 의미역량(r = .58)과 연관되어 있었다. 

    • Volatility은 또한 부정적인 의미 역량과 연관되었고(r = .43) 전체 의미 역량과 부정적으로 연관되었다(r =-.26). 

    • 깊은 문제 표현은 진단 지연 시간(r =-.40) 및 일시 중단 존재(-.35)와 부정적으로 연관되었다. 

    • 의사가 스스로 보고한 exposure 추정치(지난 주 및 지난 달에 본 진단과 관련된 사례 수)로 PEF 섹션 또는 사고-알람 인식 부하 측정과 유의미하게 관련되지 않았다.

    • Diagnostic suggestion was associated with late time to diagnosis (r = .35) and superficial problem representation (r = .26). 

    •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was associated with volatility (r = .38), and negative semantic competence (r = .58). 

    • Volatility was also associated with negative semantic competence (r = .43) and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otal semantic competence (r =-.26).

    • Finally, deep problem represent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late time to diagnosis (r =-.40) and the presence of pauses (-.35). 

    • Physician self-reported estimate of exposure, by number of cases with the diagnosis seen in the last week and last month, did not significantly correlate with any PEF section or any think-aloud cognitive load measure.


고찰

Discussion


우리는 PEF 성능에 대한 맥락특이성을 입증했다. PEF 섹션 점수는 비디오 테이프에서 동일한 진단을 묘사하였는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우리의 연구결과는 상황별 특이성에 관한 초기 작업에 추가되었다(Norman et al.1995). 특히, 전문가 집단의 경우, 동일한 진단 내에서도 대부분의 PEF 섹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We demonstrated context specificity on PEF performance. PEF section scores did not highly correlate for videotapes portraying the same diagnosis. Our findings adds to earlier work on context specificity (Norman et al.1995). In particular, for a group of experts,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most sections of the PEF within a given diagnosis.


더욱이, 우리는 맥락특이성의 문제에 부분적으로 책임이 있을 수 있는 특정 상황 요인의 잠재적 영향을 연구했다. 문가들이 이러한 상황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처럼 보이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며, 이렇기 때문에 중간단계 학습자(레지던트 또는 펠로우)와 초보자(학생) 역시 이러한 상황적 요인의 영향력에 훨씬 더 민감할 것으로 예상한다. 비디오테이프의 일부 측면은 맥락특이성을 유도했다.

Moreover, we studied the potential impact of specific contextual factors that could be partly responsible for the problem of context specificity . The fact that experts appear to be influenced by these contextual factors is noteworthy, and we hypothesize that intermediates (residents or registrars) and novices(students) may be even more susceptible to the influence of these and other contextual factors. Some aspect of the videotapes resulted in the phenomenon of context specificity;


본 연구에서 사용된 상황 요인은 소규모에서 중간 정도의 효과로 전문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위치 인식 및 인지 부하 이론의 원칙에 부합한다. 이러한 영향은 PEF 수행점수가 think-aloud 절차에서 상황 요인이 언급되었을 때 더 낮아진 것에서 명백하게 드러난다.

The contextual factors used in our study did appear to impact expert performance, with small to moderate effects, in accordance with the tenets of situated cognition and cognitive load theories. This impact was evident in the univariate negative correlations when contextual factors were mentioned during the think-aloud procedure with PEF performance.


당연히, 시간제한(의사 요인) 대부분의 섹션에서 PEF 성능에 영향을 미쳤다. 전자 진료 기록을 사용하는 바쁜 의사들이 환자 한 명당 3-5분 안에 노트를 완성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 효과에 대한 우리의 발견은 관련이 있다.

Not surprisingly, the physician factor of limited time impacted PEF performance on most sections. As busy physicians u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can be expected to complete their notes in 3–5 min per patient, our finding of the effect of time has relevance.


CLT에서 예상되는 바와 같이, 상황 요인은 PEF는 think-aloud 척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상황 요인이 PEF에 미치는 영향은 섹션마다 다양했다. 예를 들어, 제2외국어로서의 영어는 다른 맥락적 요인보다 역사와 신체검사 성과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The selected contextual factors studied correlated, as predicted by CLT, with our PEF and think-aloud measures. The correlations between selected contextual factors and PEF section performance varied. For example,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had a greater effect on history and physical exam performance than the other contextual factors.


또한, 영어와 음의 의미론적 한정자 사용의 상관관계는 CLT와 일치할 수 있다. 전문가의 음성 의미 한정자 사용은 높은 인지 부하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제2언어로서의 영어가 [진단 및/또는 치료적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이는 전문가가 이러한 일반적인 조건에 친숙하기 때문이거나, 또는 진단 및 치료결정을 내리는 과제는 작업기억의 다른 영역을 invoke하기 때문일 수 있다. 다른 영역을 invoke하면 추가적 작업기억자원을 확보하여 인지 부하 증가로 인한 영향을 경감시킬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rrelation of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with negative semantic qualifiers use may also be consistent with CLT, as an expert’s use of negative semantic qualifiers is an expected manifestation of high cognitive load. It is notable that the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factor did not have more of an impact on diagnostic and/or therapeutic decisions. This may be due to the experts’ familiarity with these common conditions in practice and/or that the task of establishing the diagnosis and treatment invoke different areas of working memory, and thus additional working memory resources could be recruited to mitigate increased cognitive load.


[잘못된 진단 또는 치료 제안]은 다른 PEF 섹션보다 [감별진단 및 최우선진단leading diagnosis 점수]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다. CLT의 관점에서, 잘못된 진단을 제안하는 것은, 만약 제안된 진단을 고려해야 할 합당한 이유가 있다면, 진단의 확립 과제와 관련된 추가적인 정보처리 부담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Incorrect diagnostic or treatment suggestion impacted differential diagnosis and leading diagnosis scores more than other PEF sections. From a CLT standpoint, suggesting an incorrect diagnosis would be expected to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burden related to the task of establishing the diagnosis if the diagnosis was believed to be reasonable to consider.


우리는 이 발견들이 몇 가지 잠재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 

  • 첫째, 정확한 병력청취와 신체검사를 받는 것은 정확한 진단과 치료에 도달하는 데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2외국어로서의 영어는 진단과 치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병력과 신체진찰의 본질적 특성을 감안할 때 실제로는 영향을 줄 수도 있다. 

  • 둘째로, 진단 및 치료 제안의 영향은 [환자가 잠재적 진단 및 치료 방법을 검색하여 의사와 논의할 수 있는 인터넷 및 TV 자원이 증가]했기 때문에 중요하다. 

  • 셋째, 연구되지 않은 다른 상황 요인(환자, 의사 및 설정)도 마찬가지로 인지 부하 증가 또는 기타 수단을 통해 의사의 추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We believe these findings have several potential implications. 

  • First, obtaining an accurate history and physical examination is essential to arriving at the correct diagnosis and therapy. Though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did not impact diagnosis and therapy in this study, it could be expected do so in practice given the essential nature of history and physical. 

  • Second, the impact of diagnostic and/or treatment suggestion is relevant given the increasing Internet and television resources for patients to search for potential diagnoses and treatments to then discuss with their physician. 

  • Third, other contextual factors (patient, physician, and setting) that were not studied (Fig. 1) may likewise have effects on physician reasoning, either through increased cognitive load or other means.


또한 음성 의미 한정자 점수가 PEF 수행의 여러 섹션과 크고 유의한 부정적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 우리의 결과에 따르면, 전문가들에 의한 [부적절한 의미적 한정자 사용]은 [의미적 한정자의 적절한 사용]보다 임상적 추론 성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미적 한정자는 참가자가 다른 정보에 주의를 기울일 수 있도록 인지 자원을 free up해주는 방식으로 지식을 조직화하거나 "청킹"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듯 하다.

It is also notable that negative semantic qualifier score had large,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s with several sections of PEF performance. Our results revealed that inappropriate use of semantic qualifiers (negative semantic competence) by experts appears to have a greater impact on clinical reasoning performance than proper use of semantic qualifiers. Semantic qualifiers are believed to represent a way to organize or ‘‘chunk’’ knowledge, enabling the participant to free up cognitive resources to attend to other information.


이 연구에서 탐구된 맥락적 요인들이 [치료적 추론]보다 [진단적 추론]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흥미롭다. 비록 이것이 본 연구의 초점은 아니었지만, 이 영향은 몇 가지 원인의 결과일 수 있다. 

It is interesting that the contextual factors explored in this study appeared to impact diagnostic more than therapeutic reasoning. Though this was not a focus of the present study, this effect may be the result of several causes. 

  • 첫째, 많은 사람들은 [진단추론과 치료추론이] 종종 같은 '기술'의 다른 발현이라고 믿지만, 진단추론과 치료추론은 실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병력청취 및 신체검사에 대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오랫동안 이 두가지가 하나의 "기술"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정되어왔지만, 사실 두 가지 요소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제시한다(Clauser et al.). 2009).

First, though often believed by many to be different manifestations of the same ‘‘skill’’, diagnostic and therapeutic reasoning may actually be different. For example, recent studies of the history and physical exam, two components of the clinical encounter that were long assumed to represent one ‘‘skill’’—history taking and physical examination—suggest that the two are different (Clauser et al. 2009).


진단적 추론과 치료적 추론은 분리되어 있으나 관련되는 실체라는 이 개념은 해석(진단적 추론)을 관리(치료 추론; 판가로 1999)와는 다른 발달 단계로 보는 RIME(Reporter Interpreter Manager Educator) 평가 프레임워크와 일치한다. RIME 프레임워크에서 이력 및 신체 검사는 진단과 치료적 추론 모두에 중요하다. 그러나 우선 리포터(정확히 역사와 신체검사 데이터를 입수하는 것)가 되지 않으면 인터프리터나 매니저가 될 수 없다.

This notion of diagnostic and therapeutic reasoning as being separate but related entities is consistent with the Reporter Interpreter Manager Educator (RIME) evaluation framework, which considers interpreting (diagnostic reasoning) as a different developmental step than managing (treatment reasoning; Pangaro 1999). In the RIME framework, history and physical examination are important to both diagnostic and therapeutic reasoning. Indeed, one cannot be an Interpreter or Manager without first being a Reporter (accurately obtain history and physical examination data).


참가자가 지난 주와 지난달에 진단에 대해 스스로 보고한 경험은 성과와 상관관계가 없었다. 이는 최근 초보자 작업과 대조된다(Durning et al. 2011c). 경험의 영향은 확립된 전문가보다 전문성 획득(의사 학생 초보자) 동안 더 중요할 수 있다. 후자는 연구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진단에 대한 강력한 스크립트를 가지고 있다.

Participant’s self-reported experience with the diagnosis in the last week and last month was not correlated with performance. This contrasts with recent work of novices (Durning et al. 2011c). This effect of experience may be more important during expertise acquisition (medical student novices) than in established experts; the latter having robust scripts for the common diagnoses used in the study.


이론적 함의

Theoretic implications


몇 가지 발견은 인지 부하가 상황 요인이 전문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일 수 있다는 생각을 뒷받침한다. Situated cognition은 encounter에서 발생하는 다른 요소(표 1)들도 인지 부하를 유도할 수 있음을 예측하게 해준다.

    • 첫째, 비디오테이프에서 제시된 상황 요인의 부정적인 영향은 참가자가 think-aloud 절차 중에 요소를 구두로 인정했을 때 더 유의적일 수 있었다. 

    • 둘째, 인지 부하에 대한 우리의 다른 몇 가지 사고-알람된 척도는 상당히 낮은 PEF 섹션 성능, 특히 부정적인 의미적 한정자의 사용과 관련이 있어 큰 효과를 보였다. 

    • 셋째, 인지 부하 측정의 몇 가지는 상황 인자의 구두적 인정verbal acknowledgment과 유의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인지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조치(van Merrienboer and Sweller 2010; Paas 등, 2003; Plass 등, 2010)가 진단 및 치료 추론에 대한 상황 요인의 잠재적인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Several findings support the idea that cognitive load may be a reason why contextual factors impacted expert performance. Situated cognition would predict that other factors in the encounter (Table 1) could induce cognitive load. 

    • First, the negative impact of contextual factors modified in the videotapes was more likely to be significant when the participant verbally acknowledged the factor during think-aloud procedure. 

    • Second, several of our other think-aloud measures for cognitive load were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lower PEF section performance, most notably the use of negative semantic qualifiers, which showed a large effect. 

    • Third, several of our cognitive load measur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verbal acknowledgment of a contextual factor. These findings would suggest that measures taken that may reduce cognitive load (van Merrienboer and Sweller 2010; Paas et al. 2003; Plass et al. 2010) could dampen the potential negative impact of contextual factors on diagnostic and therapeutic reasoning.


Durning, S. J., Artino, A. R., Pangaro, L. N., van der Vleuten, C., & Schuwirth, L. (2010a). Redefining context in the clinical encounter: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training in medical education. Academic Medicine, 85, 894–901.


Durning, S. J., Artino, A. R., van der Vleuten, C. P. M., Pangaro, L., & Schuwirth, L. (2011b). Context and clinical reasoning: understanding the situ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xpert’s voice. Medical Education (accepted).


van Merrienboer, J. J. G., & Sweller, J. (2010). Cognitive load theory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Design principles and strategies. Medical Education, 44, 85–93.













 2012 Mar;17(1):65-79. doi: 10.1007/s10459-011-9294-3. Epub 2011 Apr 20.

The impact of selected contextual factors on expertsclinical reasoning performance (does context impact clinical reasoning performance in experts?).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Medicine (NEP),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USU), 4301 Jones Bridge Road, Bethesda, MD 20814, USA. sdurning@usuhs.mil

Abstract

Context specificity, or the variation in a participant's performance from one case, or situation, to the next, is a recognized problem in medical education. However, studies have not explored the potential reasons for context specificity in experts using the lens of situated cognition and cognitive load theories (CLT). Using these theories, we explored the influence of selected contextual factors on clinical reasoningperformance in internal medicine experts. We constructed and validated a series of videotapes portraying different chief complaints for three common diagnoses seen in internal medicine. Using the situated cognition framework, we modified selected contextual factors--patient, encounter, and/or physician--in each videotape. Following each videotape, participants completed a post-encounter form (PEF) and a think-aloud protocol. A survey estimating recent exposure from their practice to the correct videotape diagnoses was also completed. The time given to complete the PEF was randomly varied with each videotape. Qualitative utterances from the think-aloud procedure were converted to numeric measures of cognitive load. Survey and cognitive load measures were correlated with PEF performance. Pearson correlations were used to assess relations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cognitive load, survey of experience, contextual factors modified) and PEF performance. To further explore context specificity,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as used to assess differences in PEF scores, by diagnosis, after controlling for time. Low correlations between PEF sections, both across diagnoses and within each diagnosis, were observed (r values ranged from -.63 to .60). Limiting the time to complete the PEF impacted PEF performance (r = .2 to .4). Contextspecificity was further substantiated by demonstrating significant differences on most PEF section scores with a diagnosis (ANCOVA). Cognitive load measur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EF scores. The presence of selected contextual factors appeared to influence diagnostic more than therapeutic reasoning (r = -.2 to -.38). Contextual factors appear to impact expert physician performance. The impactobserved is consistent with situated cognition and CLT's predictions. These findings have potential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theory and clinical practice.

PMID:
 
21505841
 
DOI:
 
10.1007/s10459-011-9294-3


임상술기 습득에 있어서 숙고 연습(DP)의 역할(BMC Med Educ, 2011)

The role of deliberate practice in the acquisition of clinical skills

Robbert J Duvivier1*, Jan van Dalen1, Arno M Muijtjens2, Véronique RMP Moulaert3, Cees PM van der Vleuten2 and Albert JJA Scherpbier4





배경

Background


예를 들어 체이스와 사이먼은 특정 분야의 전문가 수준에 도달하려면 10년의 집중적인 연습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4].

Chase and Simon, for example, argued that it takes ten years of intensive practice to reach expert level in a particular field [4].


에릭슨은 일, 놀이, 훈련을 구별했다[5]. 

  • 일은 주로 즉각적인 금전 및/또는 사회적 보상으로 이어지는 활동을 수반한다. 

  • 놀이는 명백한 목표가 없고 본질적으로 즐거운 활동을 포함한다. 

  • 훈련은 특정 영역의 성능 개선을 명시적으로 지시하는 고도로 구조화된 활동으로 특징지으며 "숙고 연습"의 개념을 도입했다[6].

Ericsson made a distinction between work, play and training [5]. Work entails activities that primarily lead to immediate monetary and/or social rewards. Play involves activities that have no explicit goal and are inherently enjoyable. For training Ericsson introduced the concept of “deliberate practice”, characterising training as a highly structured activity explicitly directed at improvement of performance in a particular domain [6].


구체적인 과제는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되며, 퍼포먼스는 더 많은 개선을 달성하기 위한 단서들을 제공하기 위해 세심하게 모니터된다. DP는 단순히 어떤 과제의 무념무상의 반복이 아니라, 잘 정의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훈련의 집중적인focused 접근이다. DP의 실제 구현은 몇 가지 설계 원리에 기초한다[7].

Specific tasks are invented to overcome weaknesses and performance is carefully monitored to provide cues for ways to achieve further improvement. Deliberate practice is not mere mindless repetition of a certain task, but a focused approach to training aimed at reaching a welldefined goal.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he theoretical construct is based on several design principles [7]:


(a) 의도된 인지 또는 정신운동 기술의 반복적 성능

(b) 엄격한 기술 평가

(c) 특정 정보 피드백

(d) 더 나은 기술 수행

(a) repetitive performance of intended cognitive or psychomotor skills

(b) rigorous skills assessment

(c) specific informative feedback

(d) better skills performance


Moulaert 외 연구진은 Ericsson의 이론적 원리가 학부 의대생들의 연구 습관에서 확인될 수 있는지를 탐구했다[16]. DP의 측면들은 지식과 기술 테스트의 결과와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Moulaert et al. explored whether the theoretical principles of Ericsson could be identified in the study habits of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16]. Aspects of deliberate practi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sults on knowledge and skills tests.


다른 분야의 연구에 따르면 에릭슨 이론의 원리가 테니스와 골프와 같은 정신운동 기술 훈련[17]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DP가 임상 기술 학습 분야에서도 유익할 수 있는지 조사하는 것이 가치가 있는 것 같다.

Since research in other domains has shown that the principles of Ericsson’s theory are applicable to training in psychomotor skills such as tennis and golf[17],it seems worthwhile to investigate whether deliberate practice can be of benefit in the area of clinical skills learning too.


우리는 DP에 기반을 둔 훈련 활동이 학부 임상 기술 훈련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we hypothesised that training activities grounded in deliberate practice can be effective in undergraduate clinical skill training.



방법

Methods


세팅

Setting


학생들은 1, 2, 3, 5학년 말에 스킬 시험을 본다. 이것은 학생들이 서로 다른 임상 시나리오(OSCE)를 제시하는 여러 스테이션으로 구성된 수행능력기반 시험이다. 각 학생은 동일한 일련의 과제를 수행하며, 성능은 스테이션별 표준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숙련된 의사들에 의해 등급이 매겨진다. 각 체크리스트에는 학생이 만족스러운 점수를 얻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주요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 전체 OSCE 결과는 정확하게 수행된 주요 체크리스트 항목의 총 수에 기초한다.

Students take a skills test at the end of years 1, 2, 3 and 5. This is a performance-based test consisting of multiple stations where students are presented with different clinical scenarios (OSCE). Each student undertakes the same series of tasks, and performance is graded by trained physicians using station-specific standardised checklists. Each checklist contains key items that the student must perform to gain a satisfactory rating. The overall OSCE result is based on the total number of correctly performed key checklist items.


설문

Questionnaire


물라에르트가 개발한 설문은 전문지식 개발에 관한 문헌을 바탕으로 8명의 의대생과 8명의 인지심리학 및 교육과학 전문가들에 의해 검토되었다. 우리는 이 설문지를 기술 교육에 적합하도록 조정하고, 이 도메인에 대한 전송 가능성을 보증하기 위해 콘텐츠 유효성을 정당화했다. 그것은 네 명의 의대생들 사이에서 조종되었고, 네 명의 의과 교육 전문가들에 의해 검토되었고, 그들의 논평에 따라 수정되었다. 최종 설문지는 완료하는 데 약 10분이 걸렸고 리커트 5점 척도(1 = never, 5 = always)(추가 파일 1)에 대한 응답이 필요한 34개 항목으로 구성. 학생들은 설문지의 목적에 대한 구두 및 서면 정보를 받았다. 모든 학생들이 사전 동의를 했다.

Moulaert’s questionnaire was based on the literature on expertise development and reviewed by eight medical students and eight experts in cognitive psychology and educational science. We adapted this questionnaire to fit skills training, and justified the content validity to guarantee transferability to this domain. It was piloted among four medical students, reviewed by four medical education experts and modified in response to their comments. The final questionnaire took approximately ten minutes to complete and consisted of 34 items requiring a response on a five-point Likert scale (1 = never, 5 = always) (additional file 1). Students received oral and written information about the purpose of the questionnaire. All students gave informed consent.


자료 분석

Data analysis


연구질문 1

Research Question 1


우리는 적응된 설문지를 검증하기 위해 탐색 요인 분석과 신뢰성 분석을 수행했다. 추출된 요인은 의도적인 실무 측면의 결합으로 구성되었다.

We perform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o validate the adapted questionnaire. Extracted factors constituted subscales of aspects of deliberate practice.


연구질문 2

Research Question 2


두 번째 연구 질문의 해답을 얻기 위해, 의도적인 실천의 측면에서 연도간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분산 분석(ANOVA)을 실시했다. 각 요인에 대한 평균 항목 점수를 계산한 후, 우리는 유형 I 오류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Bonferroni 보정을 사용했다. 

In order to answe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we conducted analysis of variance (ANOVA) to investigate between-year differences in aspects of deliberate practice. After calculating mean item scores for each factor we used Bonferroni correction to safeguard against type I errors. 


우리는 코헨의 d로 표현된 모든 비교에 대한 효과 크기(ES)를 계산했다. Hojat과 Xi는 효과 크기의 실질적인 중요성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ES ≈ .20: 무시할 수 있는 실질적인 중요도의 작은 효과 크기. 

ES ≈ .50: 중간 효과 크기(중간 효과 크기) 

ES ≈ .80: 중요한 실제 중요도의 큰 효과 크기 [19].

We calculated effect sizes (ES) for all comparisons expressed as Cohen’s d. Hojat and Xi define the practical importance of effects sizes as ES ≈ .20: small effect size of negligible practical importance; ES ≈ .50: medium effect size of moderate practical importance; and ES ≈ .80: large effect size of crucial practical importance [19].


연구질문 3

Research Question 3


세 번째 연구 질문에 답하기 위해, 우리는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OSCE 결과와 어떤 측면의 의도적인 실행이 연관되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In order to answer the third research question we used regression analysis to investigate which aspects of deliberate practice were associated with OSCE results.


우리는 3년마다 OSCE 결과의 평균 z-점수를 계산했다.

We calculated mean z-scores for the OSCE results in each of the three years.



결과

Results


기술통계

Descriptive statistics


연구질문 1: DP의 측면들

Research Question 1: Aspects of deliberate practice


표 1은 내림차 고유값의 순서로 항목을 표시한다. 요인 분석에서 네 가지 요인을 도출했다.

Table 1 shows the items in order of descending eigenvalues. The factor analysis yielded four factors:


1. 계획(높은 점수는 구조화된 방식으로 작업을 조직하는 경향이 더 강함을 나타낸다.)

2. 집중/헌신(높은 점수는 주의력 기간이 짧음을 나타냄);

3. 반복/개선(점수가 높을수록 실천 경향이 강함을 나타냄);

4. 공부 스타일/자기성찰(점수가 높을수록 자기조절 학습 경향이 강함을 나타냄)


1. planning (higher scores indicate a stronger tendency to organise work in a structured way);

2. concentration/dedication (higher scores indicate a shorter attention span);

3. repetition/revision (higher scores indicate a stronger tendency to practise);

4. study style/self reflection (higher scores indicate a stronger tendency to self-regulate learning).




연구질문 2: 서로 다른 학년간 비교

Research Question 2: Comparison between students in different years


데이터 분석 결과 계획과 반복/개정(표 2)의 두 항목별 연도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data analysi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years for two subscales: planning and repetition/revision (table 2).




연구질문 3: DP와 시험결과 사이의 관계

Research Question 3: Relationships between aspects of deliberate practice and test results


요인 점수와 시험 결과의 유의한 양성 상관관계는 1학년과 3학년에 small to medium 효과 크기(표 3)를 적용한 계획에서 발견되었다.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of factor scores with test results were found for planning in Years 1 and 3 with small to medium effect sizes (table 3). 


집중력/헌신 점수는 몇 년 동안 감소하여 주의력 지속시간이 증가했음을 표시하였다. 그들은 3학년 시험 결과와 작은 효과와 중간 효과의 상당한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반복/개선에 대한 점수는 1학년 시험 결과와 상당히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며 중간 효과를 보였다.

Concentration/ dedication scores decreased over the years indicating increased attention span. They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est results in Year 3 with a small to medium effect. Scores on repetition/revision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st results in Year 1, with a medium effect.



고찰

Discussion


학부 의과대학 교육 첫 3년 동안 임상 기술과 관련하여 몇 가지 측면에서 DP의 사용이 증가된 것을 보여주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학생들은 점진적으로 더 많은 계획적 행동을 보여주었으며, 업무를 구조화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The use of deliberate practice in relation to clinical skills in the first three years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showed an increase in several aspects. More specifically, students showed progressively more planning behaviour and an increased tendency to structure their work.


학생들은 점차적으로 그들의 시간, 에너지, 자원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으로 보인다. 요컨대, 그들은 배우는 법을 배우는 것 같다.

it appears that students gradually learn how to make more efficient use of their time, energy and resources. In short, they seem to learn how to learn.


주로 에릭슨과 동료들에 의한 다른 영역의 연구에 따르면, 전문 수행자들의 성공의 주요 결정요인은 [연습에 소요되는 시간]이 아니라 [개선이 필요한 수행의 측면을 특별히 겨냥한 활동에 할애하는 시간]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20]. 기본적인 기술을 처음 숙달한 후에, 어떤 유형의 연습, 예를 들어 일상적인 작업의 능숙한 실행은 더 이상의 개선으로 이어질 것 같지 않다. 다시 말해 반복 그 자체로는 충분하지 않다. 성과의 특정 측면을 의도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있어야만 발전progress이 있다. 이 원리는 우리가 반복repetition과 시험 결과 사이에서 발견한 양성 연관성이 1년 후에도 지속되지 않은 이유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Research in other domains, mostly by Ericsson and colleagues, has shown that the main determinant of success in expert performers is not the amount of time spent practising, but the amount of time devoted to activities specifically targeted at aspects of performance that need improvement [20]. After initial mastery of basic skills, some types of practice, the proficient execution of routine tasks for example, are unlikely to lead to further improvement. In other words, repetition in itself is not enough. Progress depends on sustained efforts to purposefully enhance particular aspects of performance. This principle might explain why the positive association we found between repetition and test results was not sustained after Year 1.


1학년 학생들은 이제 막 기술을 배우기 시작한 학생들은 구조와 조직에 상관없이 어떤 연습 노력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가능성이 높은 반면, 1학년 이후에는 확인된 약점에 초점을 맞추지 못하면 학습에 방해가 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3학년이 되면, 노력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focused and well planned 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First year students who are just beginning to learn skills are likely to benefit from any practice effort, regardless of structure and organisation, whereas it seems plausible that a lack of focus on identified weaknesses would hamper learning after Year 1. This would suggest that efforts in Year 3 have to be focused and well planned in order to be effective.


우리가 지금까지 설명한 대부분의 학습 습관은 본질적으로 자기 주도적이며 전적으로 학생들의 학습 능력에 의존한다. 피드백은 DP의 모든 측면에 있어서 전제조건이며, 학생들의 연습practice 습관의 발달에 있어 촉진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학생들이 항상 추가 연습이 필요한 영역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21,22]에 숙달될 다음 단계를 식별하는 데 지침이 필요할 수 있다. 에릭슨은 코치, 트레이너, 교사(스포츠, 음악, 학계에서든)가 항상 연습 활동의 선택, 순서, 형태를 지도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주장해 왔다.

Most of the study habits we have described so far are intrinsically self-directed and depend entirely on students’ ability to shape their own learning. Feedback is a prerequisite for all identified aspects of deliberate practice and plays a facilitative role i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practice habits. It has been pointed out, however, that students are not always capable of recognising areas where further practising is needed [21,22], and may require guidance in identifying the next steps to be mastered. Ericsson has argued that coaches, trainers and teachers (whether in sport, music or academia) will always play an essential role in guiding the selection, sequencing and form of practice activities.


이것은 우리에게 이 연구의 실질적인 의미를 가져다 준다. 교육자들이 학생들에게 의도적인 연습을 할 수 있는 기술을 갖춰줌equipping함으로써 임상 기술 개발을 촉진할 수 있다는 잠정적인 결론은 정당해 보인다. 따라서 임상 기술의 가르침에는 이를 실천하기 위한 효율적인 전략의 사용이 포함되어야 한다[23,24].

This brings us to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The tentative conclusion seems justified that educators can facilitate clinical skill development by equipping students with skills to use (aspects of) deliberate practice. Thus the teaching of clinical skills should incorporate the use of efficient strategies to practise them [23,24].


이런 종류의 학습은 학생들의 완전한 협력이 있어야만 가능하다. 즉, 학생들의 적극적인 학습 참여가 요구된다. 학생들은 그들의 [기술 연습 습관skill practice habit]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습 계획과 현재 기술 및 바람직한 기술 수행능력에 평가에 도움이 되는 태도와 전략을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이는 코스 설계자가 이러한 특성을 통합한 학습 환경을 목표로 하여 이 과정을 수용해야 함을 의미한다.

This type of learning is only possible with students’ full cooperation. In other words, it requires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in their learning. Students need to adopt attitudes and strategies that are conducive to the planning of their learning and evaluation of their current and desired skill performance so as to enhance their habits of skill practice. This implies that course designers should accommodate this process by aiming for a learning environment that incorporates these characteristics.


여기서 유의해야 할 것은 DP(그리고 덜 자기 주도적인 학습)의 개념은 [학습자가 자신의 성과와 지식의 약점을 확인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가정]에 의존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기술들을 습득하기 위해서는, 관찰과 피드백이 있어야 하는데, 이것은 점차적으로 자기평가로 대체될 수 있다. 초기에, 자신의 약점은 빈번하고 적절한 (외부)평가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학생들이 평생 학습자가 되기 위해서는, 그들은 차차 자기 평가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자체 평가에 관한 문헌은 의대생, 거주자 및 의사가 자신의 성과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제한되어 있다고 지적했다[26-28].

It must be noted here that the concept of deliberate practice (and to a lesser extent self-directed learning) relies on the assumption that learners are able to identify weaknesses in their own performance and knowledge and take measures to address these. These skills need to be acquired through observation and feedback, which can gradually be replaced by self-assessment. Initially, this can be seen to by frequent and adequate assessment. However, for students to become lifelong learners, they need to develop self-assessment skills along the way during their training. The literature on self-assessment has pointed out that medical students, residents and physicians have limited ability to accurately judge their own performance [26-28].


최근 연구는 유능한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자기 평가의 중요성을 확인했다. Mavis 등은 현실적 자기 평가를 할 수 있고 자기 효능감이 높은 2학년 학생들은 낮은 자기 평가 학생들에 비해 OSCE에서 평균 이상의 성과를 낼 가능성이 더 높았다[29].

A recent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selfassessment for achieving competent performance. Mavis et al. showed that second-year students who were capable of realistic self-appraisal and had high self-efficacy were more likely to perform above average on OSCEs compared to low self-rated students [29].


결론들

Conclusions


이 연구는 의대생들의 초보자에서 임상 전 기술 훈련을 위한 전문가로 발전하는 데 있어 고의적인 실천의 역할을 조사했다. 1~3년차 875명(전체 학생 인구의 90%)이 작성한 이전의 연구에 근거한 설문지를 사용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deliberate practice in medical students’ development from novice to expert for preclinical skill training. We used a questionnaire based on previous research, which was completed by 875 students in years 1-3 (90% of total student population).









 2011 Dec 6;11:101. doi: 10.1186/1472-6920-11-101.

The role of deliberate practice in the acquisition of clinical skills.

Author information

1
Skillslab, Faculty of Health Medicine and Life Sciences,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r.duvivier@maastrichtuniversity.nl

Abstract

BACKGROUND:

The role of deliberate practice in medical students' development from novice to expert was examined for preclinical skill training.

METHODS:

Students in years 1-3 completed 34 Likert type items, adapted from a questionnaire about the use of deliberate practice in cognitive learn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used to validate the questionnaire. Analysis of variance examined differences between year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deliberate practice and skill test results.

RESULTS:

875 students participated (90%). Factor analysis yielded four factors: planning, concentration/dedication, repetition/revision, study style/self reflection. Student scores on 'Planning' increased over time, score on sub-scale 'repetition/revision' decreased. Student results on the clinical skill test correlated positively with scores on subscales 'planning' and 'concentration/dedication' in years 1 and 3, and with scores on subscale 'repetition/revision' in year 1.

CONCLUSIONS:

The positive effects on test results suggest that the role of deliberate practice in medical education merits further study. The cross-sectional design is a limitation, the large representative sample a strength of the study. The vanishing effect of repetition/revision may be attributable to inadequate feedback. Deliberate practice advocates sustained practice to address weaknesses, identified by (self-)assessment and stimulated by feedback. Further studies should use a longitudinal prospective design and extend the scope to expertise development during residency and beyond.

PMID:
 
22141427
 
PMCID:
 
PMC3293754
 
DOI:
 
10.1186/1472-6920-11-101


의학적 의사결정에서 무의식적 편견: 줄이기 위해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Med Educ, 2011)

Non-conscious bias in medical decision making: what can be done to reduce it?

Jeff Stone1 & Gordon B Moskowitz2




INTRODUCTION


질병의 진단, 치료, 생존 및 예방에 있어서의 인종적, 민족적 불균형이 광범위하게 기록되어 있다.1-6 그러한 불균형의 원인은 

(1) 유전적 또는 생물학적 선행요소, 

(2) 사회 경제적 예측자, 

(3) 집단간 편견을 일으키는 심리적 과정 

..등 세 가지 광범위한 요인과 관련이 있다.

Racial and ethnic disparities in the diagnosis, treatment, survival and prevention of disease are widely documented.1–6 The causes of such disparities are linked to three broad factors: genetic or biological antecedents; socio-economic predictors, and psychological processes that contribute to intergroup bias.


수백 개의 실험에서 고정관념과 편견은 심지어 평등주의적인 일반인들의 판단과 행동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냈다7 그리고 몇몇 연구는 이제 의료 전문가들이 소수 집단 환자들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방법에 편견과 고정관념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8,9

Hundreds of experiments have revealed that stereotypes and prejudices influence the judgement and behaviour of even egalitarian lay people without their knowledge7 and several studies now reveal that prejudice and stereotyping impacts on how medical professionals diagnose and treat minority group patients.8,9


문화적 역량을 갖춘 의료인을 양성하는 것은 [소수 집단 환자의 건강 서비스 이용을 저해하는 불감증 행위]를 줄이고 [소수 집단 환자들이 필요하고 정당한 치료를 받지 못하게 하는 의도하지 않은 차별 행위]를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Training health care providers in cultural competence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the acts of insensitivity that discourage minority group patients from using health services and in decreasing the unintentional acts of discrimination that prevent minority group patients from obtaining the care they need and deserve.10–12



무의식적 고정관념과 인종적 편견의 심리학

THE PSYCHOLOGY OF NON-CONSCIOUS STEREOTYPING AND RACIAL BIAS


고정관념이란 '인간집단에 대한 한 사람perceiver의 지식, 신념, 기대를 담고 있는 인지구조'라는 정신적 표현이다.18 사람들은 고정관념을 획득함으로써, 이용가능한 정신적 에너지와 시간 면에서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정보를 처리하고 저장고자 하는 목표]를 충족시키는 데 이득을 얻게 된다.

A stereotype is a mental representation, ‘a cognitive structure that contains the perceiver’s knowledge, beliefs, and expectations about a human group’.18 People acquire stereotypes to help them satisfy the goal of processing and storing information in a manner that is efficient and economical in terms of the mental energy and time they have available.


고정관념에 대한 거의 한 세기 동안의 경험적 연구를 통해, [고정관념의 반복적인 사용]은 [고정관념을 더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고정관념 그 자체가 무의식으로 가라앉아서 (그것에 의존하는 사람들은 보지 못하는) 암묵적 심리체계를 만들어 낸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연구에 따르면, 개인이 집단에 대해 의식적인 부정적인 감정을 갖지 않고, 문화적 다양성에 대해 교육을 받고, 의식적으로 고정관념의 사용을 억압하려고 할 때조차 이렇게 된다는 것이 사실이라고 한다.19

Almost a century’s worth of empirical investigation on stereotypes has led to the consensus that the repeated use of stereotypes creates a psychological system in which both the goals that promote stereotyping and the act of stereotyping itself recede from consciousness so that stereotyping becomes implicit (invisible to those who rely on it). Research shows that this is true even when an individual has no conscious negative feelings toward the group, is educated in cultural diversity, and consciously attempts to suppress his or her use of stereotypes.19


고정관념의 과정은 뚜렷하게 구분되는 두 단계의 인지 과정을 통해 발생한다: 

  • 1단계는 고정관념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인지 과정으로 구성되며, 

  • 2단계는 다른 사람에 대한 평가, 판단, 행동에 고정관념의 사용여부를 결정하는 인지 과정으로 구성된다.13,20

The process of stereotyping occurs through two phases with dissociable and distinct sets of cognitive processes: 

  • phase 1 comprises cognitive processes that determine stereotype activation, and 

  • phase 2 comprises cognitive processes that determine whether stereotypes are used in evaluation, judgement and action toward others.13,20


첫 번째 단계에서, 고정관념의 활성화는 사람들이 한 개인을 사회 집단의 구성원으로 분류할 때 일어난다. 일단 어떤 개인이 분류되면, 사람들은 해당 집단의 구성원들이 어떤 사람인지에 대한 신념을 떠올리게 되고, 이것이 곧 고정관념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와 같은 분류는 노력, 인식, 의도 없이 자동적으로 고정관념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In the first phase, activation of a stereotype occurs when people categorise an individual as a member of a social group. Once that individual has been categorised, people bring to mind their beliefs about what members of that group are like: their stereotypes. Over time, categorisation can activate stereotypes without effort, awareness or intent.


두 번째 단계에서, 사람들은 어떤 개인에 대한 인상을 형성하고 상호작용할 때 활성화된 믿음을 사용한다. 활성화와 마찬가지로, 우리가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가이드로서 고정관념을 사용하는 것은 의식적인 노력이나 주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만약 사람들이 적절하게 동기부여되고 그들의 반응을 조절할 능력이 있다면, 이 두 단계 모두 통제될 수 있다.

In the second phase of the process, people use activated beliefs as they form an impression of and interact with the target individual. As with activation, using a stereotype as a guide in how we collect information and process it does not require conscious effort or attention. However, both of these phases can be controlled if people are properly motivated and have the ability to regulate their responses.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의료인은 위에서 설명한 프로세스의 1단계에서 소수 집단 구성원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자동으로 활성화한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계 미국인 환자에 대한 노출은 자동적으로 백인 의사들에 의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활성화시킨다(G. B. Boskowitz, A. Childs 및 J. Stone, 미발표 데이터).

Research indicates that health care providers automatically activate negative stereotypes about minority group members during phase 1 of the proces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exposure to African-American patients automatically activates negative stereotypes held by White doctors (G. BMoskowitz, A. Childs and J. Stone, unpublished data).


이것은 가난과 범죄와 연관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이, 의사들로 하여금 이러한 단어들을 의학적 용어로 인식하게끔 파고들었음leak을 시사한다. 

This suggests that negative stereotypes about African-Americans that are linked to poverty and crime leaked into the doctor’s ability to recognise these words as medical terms. 


스테레오타입 활성화는 또한 소수 집단 환자의 임상 진단과 치료 동안 고정관념 과정의 2단계에서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에 대한 의식 없는 부정적 감정 – 암묵적인 편견 –은 의료 제공자들이 아프리카계 미국인 환자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방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Stereotype activation has also been shown to manifest itself in phase 2 of the stereotyping process during the clinical diagnosis and treatment of minority group patients. Non-conscious negative feelings – implicit prejudice – against African-Americans can negatively impact the way health care providers diagnose and treat an African-American patient.


이러한 발견의 중요성은, 고정관념이 활성화되었을 때, 암묵적인 부정적 태도와 고정관념은 의사가 소수 집단 환자들을 평가하고 행동하는 방식을 편향시킬 수 있으며, 이것은 의사의 진료행위에서 환자들을 불편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e importance of these findings for medical professionals is that, when activated, implicit negative attitudes and stereotypes can bias the way they evaluate and behave toward minority group patients, which can make such patients uncomfortable when they seek care.


[명시적 태도와 신념]에 의해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만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니다. [상대방에 대한 신념, 그 자신의 행동에 대한 신념, 상호작용의 방식에 대한 대한 신념] 등도 대상 집단에 대한 명시적이거나 의식적인 태도explicit or conscious attiudes와 신념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21

It is not only explicit behaviours that are likely to be guided by explicit attitudes and beliefs; a perceiver’s beliefs about the target person, beliefs about his or her own behaviour and beliefs about how the interaction is going are also likely to be guided by his or her explicit or conscious attitudes toward and beliefs about the target group.21


문제는 사람들이 특정 개인에게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영향을 주는 [암묵적인 태도와 믿음]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자신의 노골적인 편견을 통제하는 데 집중하지만, 이미 그들의 암묵적인 태도와 신념은 소수 집단 환자에 대한 비호감이나 불편함을 내포하는 눈 접촉, 언어 오류 및 기타 미묘한 회피 행동과 같은 비언어적 행동을 통해 새어나갈 수 있다.21,22 그러므로, 암묵적인 형태의 차별은 암묵적인 태도와 신념에 의해 이끌리기 쉽다. 결국 이러한 방식으로 [의도하지 않은 형태의 편견이 의료 전문가들이 소수 집단 환자와 소통하고 치료하는 방식으로 스며드는 것]이다.

The problem is that people also have implicit attitudes and beliefs that contribute to how they respond to target individuals. While their attention is focused on controlling their explicit biases, their implicit attitudes and beliefs can leak out through non-verbal behaviours, such as eye contact, speech errors and other subtle avoidance behaviours that convey dislike or unease in the presence of minority group patients.21,22 Thus, implicit forms of discrimination are more likely to be guided by implicit attitudes and beliefs, thus indicating the path by which unintentional forms of bias seep into the way medical professionals communicate with and treat a minority group patient.


통신 양식이 서로 일치하지 않을 때(예: 암묵적 언어가 명시적 행동 반응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또는 명시적 언어가 암묵적 행동 반응과 일치하지 않을 때, 이러한 불일치는 소수 집단 개인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이것은 그들로 하여금 의사나 간호사가 자신들에 대해 편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When communication modalities are inconsistent with one another, such as when the implicit verbal is inconsistent with the explicit behavioural response, and when the explicit verbal is inconsistent with the implicit behavioural response, this inconsistency can be detected by minority group individuals and this leads them to perceive that the doctor or nurse is biased against them.


도비디오 외 연구진 21은 이 과정의 극적인 예를 보고했다.

Dovidio et al.21 reported a dramatic example of this process.


편견의 명시적 척도는 명시적인 언어 행동을 예측하였지만, 암시적 척도는 다른 것을 예측하였다. 오히려 편견의 암시적 척도는 암묵적인 비언어적 행동을 예측하였으며, 편견의 명시적 척도는 이것을 예측하지 못하였다. 즉, 암시적 태도는 매너리즘, 눈맞춤, 말실수와 같은 비언어적 형태의 편견에 영향을 미친 반면, 명시적 태도는 대화의 내용과 같은 명시적 형태의 편견에 영향을 미쳤다.

The explicit measures of prejudice predicted explicit verbal behaviours, whereas implicit measures did not. Implicit measures of prejudice predicted implicit, non-verbal behaviours, whereas explicit measures of prejudice did not. Thus, implicit attitudes influenced non-verbal forms of bias, like mannerisms, eye contact and speech errors, whereas explicit attitudes influenced explicit forms of bias, such as the content of the conversation.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에 대한 결과도 있다. 이것은 암묵적인 인종적 편견이 의료 전문가의 소수 집단 환자에 대한 행동뿐만 아니라 소수 집단 환자가 제공자와의 상호 작용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제공자는 환자가 왜 다시 의사를 찾지 않았는지, 왜 의료 조언을 주었는데 받아들이지 않았는지를 결코 깨닫지 못할 수도 있다.

There were also consequences for the African-Americans. This suggests that implicit racial biases can impact on not only a medical professional’s behaviour toward a minority group patient, but also on how the minority group patient feels about the interaction with the provider; however, the provider may never come to realise why the patient failed to return or to take the medical advice he or she was given.


그러나 현재의 문화적 역량 훈련이 의료전문가들에 의한 편견의 자동적 활성화와 사용에 얼마나 잘 대처하는지에 대해서는 결정적 한계가 있을 수 있다.

However, there may be important limitations to how well current training in cultural competence addresses the automatic activation and use of bias by medical professionals.


문화적 역량 훈련의 함정

THE PITFALLS OF TRAINING IN CULTURAL COMPETENCE


가장 광범위한 수준에서 [문화적 역량]이란 [다양한 가치, 신념 및 행동을 가진 환자에게 의료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능력]을 말하며, 여기에는 환자의 사회적, 문화적, 언어적 필요에 맞춰서 의료행위를 적절히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23 개인차원에서 이는 다음과 같은 능력을 말한다.

  • 모든 사람들 사이의 다양성과 유사성을 중시한다. 

  • 개인 및 조직 차원의 문화적 자기 평가에 참여한다. 

  •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한다. 

  • 특정 소수 집단의 문화 스크립트를 수용하도록 서비스 전달 및 지원 활성화 조정.10,12,25

At the broadest level, cultural competence describes the ability of systems to provide care to patients with diverse values, beliefs and behaviours, including their tailoring of delivery to meet patients’ social, cultural and linguistic needs.23 At the individual level, it refers to the ability of health care providers to 

  • value diversity and similarities among all peoples, 

  • engage in cultural self-assessment at the individual and organisational levels, 

  • understand and effectively respond to cultural differences, and 

  • adjust the delivery of services and enabling supports to accommodate the cultural scripts of specific minority groups.10,12,25


의료 사업자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도록 돕기 위해, 미국 소인 보건국(Office of Minority Health, Office of Minority Health, Office of Minority Health, DHHHS-OMH)은 의료 서비스에서 문화 및 언어학적으로 적절한 서비스(CLAS)에 대한 국가 표준을 만들었다.24,25

To help health care providers achieve these goals, th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Office of Minority Health (DHHS-OMH) created the National Standards for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Appropriate Services (CLAS) in Health Care.24,25


히스패닉 문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세 가지 건강 관련 전통으로는 

  • 패밀리스모(의료 의사 결정에 가족 참여, 환자의 치료와 진로에 대한 환자의 통제를 감소시키는), 

  • 마키스모(남성에게 가족 내 여성을 위한 의학적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는 힘을 주는 성 역할), 그리고 

  • 파탈리스모(건강과 질병은 운명으로 정해진 것이며, 통제할 수 없다.)

Three health-related traditions common in Hispanic culture include 

  • familismo (family involvement in medical decision making, which reduces the patient’s control over the treatment and course of illness), 

  • machismo (gender roles that give males the power to make medical decisions for females in the family) and 

  • fatalismo (the belief that health and illness are preordained and, therefore, beyond control).


CLAS 표준은 문화 역량에서의 훈련의 중요성, 그리고 전문가들이 보건의료에서 인종과 민족성의 역할에 대해 알아야 할 것에 대한 포괄적이고 포괄적인 지침을 제공하지만, 여기서는 이 표준들이 어떻게 가르쳐져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명시하지 않으며 자료의 내용 역시 구체적이지 않다.

Although the CLAS standards provide a sweeping and comprehensive set of guidelines about the importance of training in cultural competence, and about what professionals should know about the roles of race and ethnicity in health care, they do not specify how these standards should be taught and are not specific about the content of the materials.


의학전문가가 문화적 지식의 활성화와 고정관념의 사용 사이의 간극thin line을 걷는 것을 돕기 위해, 소수 집단 환자와 상호작용할 때 문화적 차이를 지나치게 일반화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는 것은 직관적으로 이치에 맞을 수 있다. 그러나, 고정관념에 대한 연구는 [사람들에게 명시적인 편견을 피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상호작용의 특정 지점에서는 효과가 있을지 몰라도, [아이러니하게도, 고정관념을 활성화하고, 자신도 모르게 초기의 인상 형성 및 상호작용 과정에 이것을 사용될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To help the medical professional walk the thin line between the activation of cultural knowledge and the use of stereotypes, it might make intuitive sense to caution against overgeneralising cultural differences when he or she interacts with minority group patients. However, research on stereotyping finds that although teaching people how to avoid explicit bias may control it at certain points in an interaction, it may also, ironically, increase the likelihood that stereotypes are activated and unknowingly used early in the impression formation and interaction process. 


이는 고정관념을 억누르려는 의식적인 시도가 더 큰 암묵적 활성화로 이어지는 반등 효과의 결과일 수도 있고, 또는 상호작용 중 상대에 대한 기본적인 가정을 갖고 있을 때 민족적, 인종적 차이에 대한 정보를 사용해야 하는 필요성 때문에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문화적 역량에 대한 정보주기식well-informed 훈련이 '하향적' 형태의 편견을 축소할 수는 있지만, 상호 작용의 초기 단계에서 고정관념이 외부인식이 활성화되는 것을 막지 못할 수 있다.

This can occur either as a result of rebound effects, whereby conscious attempts to suppress stereotypes lead to their greater implicit activation,27,28 or as a result of the necessity of using information about ethnic and racial differences in making basic assumptions during an interaction. Thus, although well-informed training in cultural competence may curtail ‘downstream’ forms of bias, it may fail to prevent stereotypes from becoming activated outside awareness at the outset of an interaction.


역설적이게도, 이는 문화적 역량 훈련이 고정관념 활성화를 촉진하고 의료 전문가들이 소수 집단 환자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자신도 모르게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열어준다구체적으로, 의사나 간호사가 새로운 환자와 초기 인터뷰를 할 때 소수 민족과 인종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이 암묵적으로 활성화된다면, 고정관념은 질문의 종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는 결국 취득하여 기록한 정보에 영향을 미치며, 눈의 접촉, 얼굴 표정, 신체적 접촉과 같은 비언어적 행동들은 환자의 편안함과 반응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This opens the door to the possibility that cultural competency training will promote stereotype activation and unknowingly influence how medical professionals interact with minority group patients. Specifically, if negative stereotypes about ethnic and racial minorities are implicitly activated when a doctor or nurse meets and conducts an initial intake interview with a new patient, the stereotypes may influence the types of questions that are asked, the information that is acquired and recorded, and nonverbal behaviours like eye contact, facial expressions and physical contact, which may impact on the comfort and responses of the patient.


문화적 역량 향상을 위한 암묵적 편견 대응 훈련

TRAINING IN IMPLICIT BIAS CAN ENHANCE CULTURAL COMPETENCE



워크숍의 주요 초점은 [의료인이 고정관념과 태도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전략을 사용하도록 교육]하여 인종과 인종의 관련 특성이 진단 결정에 도움이 필요한 지점에서 제공자-환자 상호작용에서만 제한적으로 도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A major focus of the workshop is to train health care professionals in strategies known to inhibit stereotypes and attitudes so that attributes linked to ethnicity and race will only be introduced during the provider–patient interaction at points at which they are required to aid in diagnostic decisions, rather than being introduced unknowingly at times when the provider would desire greater accuracy and individuating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


암묵적 편견에 대해 배우기

Learning about implicit bias


워크숍은 학생들에게 집단간 편견의 성격을 조심스럽게 소개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것은 많은 사람들에게 민감한 주제인데, 연구 결과는 누구든 정면으로 confronting하는 것은 화를 유발하고 정보에 대한 저항력을 자극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이다.30–32 따라서 워크숍은 편견의 심리적 구성 요소와 그것이 판단과 상호작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광범위한 논의로 시작한다. 강사 또는 조력자는 편견, 고정관념 및 차별의 개념을 정의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이것들이 서로 개념적으로는 구분되지만, 서로 상호작용하여 인식/감정/행동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이야기해야 한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는 좋은 방법은 뉴스, 인터넷 또는 다른 매체에 나타나는 예를 보여줌으로써 각 구성의 토론을 통해 수업을 이끄는 것이다. 이 토론은 또한 강사들이 전체적인 관심 수준을 측정하고 주제와 관련하여 특히 불편한 개인들을 주의 깊게 관찰할 수 있다.

The workshop starts by carefully introducing students to the nature of intergroup bias. This is a delicate topic for many and research shows that confronting people right off the bat tends to cause anger and motivate resistance to the information.30–32 Thus, the workshop begins with a broad discussion of the psychological building blocks of bias and how it impacts judgement and interaction. The instructor or facilitator should begin by defining the concepts of prejudice, stereotyping and discrimination, and by talking about how they are conceptually distinct but interact with one another to influence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ur. A good way to facilitate comprehension is to lead the class through a discussion of each construct by showing them examples that appear in the news, Internet or other media. The discussion also allows instructors to gauge the overall level of concern and to attend to individuals who may be especially uncomfortable talking about the topic.


워크숍의 다음 섹션에서는 학생들에게 암묵적 인식과 암묵적 형태의 편견의 개념을 소개한다. 수업 내용으로는 

    • 암묵적 고정관념과 명시적 고정관념과 편견의 차이, 

    • 암묵적 편견이 어떻게 발달하게 되며, 그것의 기능은 무엇인지에 대한 이론적 관점, 

    • 마지막으로 그것들이 어떻게 측정되는가에 초점을 맞춘다.

The next section of the workshop introduces students to the concept of implicit cognition and implicit forms of bias. The materials focus 

    • on the difference between implicit and explicit stereotypes and prejudice, 

    • on theoretical perspectives on how implicit biases are developed and the functions they serve, and, finally, 

    • on how they are measured.


암묵적 편견 경험하기

Experiencing implicit bias


다음으로, 참가자들은 고정관념의 활성화로 지각에 오류가 생기는 방법을 보여주는 일화를 포함하여 고정관념과 편견의 암묵적인 성격을 보여주는 몇 가지 교실 사례를 통해 이끌어진다. 그런 다음 학습자들은 잘 문서화된 IAT(Implicit Association Test)의 학급 내 시연에 참여한다.33,34 컴퓨터 자원이 이용 가능하다면 학생들은 점수를 받기 위해 인종적 또는 인종적 편견의 많은 IAT 척도 중 하나를 완성한다. 그리고 나서 이것들은 공유되고 논의된다. 

Next, participants are led through several classroom examples that demonstrate the implicit nature of stereotypes and prejudice, including illustrations of how the activation of stereotypes creates errors in perception. Learners then participate in an in-class demonstration of the well-documented Implicit Associations Test (IAT).33,34 If computer resources are available, students complete one of the many IAT measures of racial or ethnic bias to receive a score. These are then shared and discussed. 


편견을 보여주는 또 다른 강력한 방법은 학생들이 짝짓기에 반응하여 다리에 박수를 치는 IAT의 동급 버전 연습을 하는 것이다. 이 demonstration은 고정관념에 부합하는 짝(예: 남성-과학)와 비교하여 고정관념에 맞지 않는 짝(예: 여성-과학)에 대응하는 상대적인 어려움을 '느끼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관성에 대하여 청중들의 높고 낮은 반응을 '잘 들리게 하는' 의미도 있다. 우리의 경험에 따르면, 이러한 수업 내 연습은 덜 위협적이며 작업장 참가자들 사이에서 상당한 논의를 야기한다.

Another powerful way to demonstrate the bias is to performan in-class version of the IAT in which students clap on their legs in response to pairings. This demonstration allows the audience to not only ‘feel’ the relative difficulty of responding to stereotype-inconsistent pairings (e.g. female–science) compared with stereotype-consistent pairings (e.g. male–science), but also to ‘hear’ the relative low versus high variability of responses in the audience to the consistent versus inconsistent pairings. In our experience, the in-class demonstration is less intimidating and generates considerable discussion among workshop participants.


연습의 요점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암묵적 편견과 고정관념에 대한 실험의 데이터를 제시하는 것으로 데모를 끝내는 것이 중요하다. 즉, 의료전문가를 포함한 모든 사람들은 소수의 집단 환자와 상호작용할 때 자신의 판단과 행동에 '파고드는' 암묵적 편견을 가지고 있다.9 학생들에게 그들의 암묵적인 편견을 염두에 두게mindful 함으로써, 평등주의 목표와 이러한 목표 달성에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고자 하는 욕구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런 다음 그들은 다음 절에서 제공하는 편견을 줄이기 위한 전략을 처리, 유지 및 사용하도록 특별히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

It is important to end the demonstration with a presentation of data from experiments on implicit prejudice and stereotyping in order to reinforce the main point of the exercises: all people harbour implicit biases that ‘leak’ into their judgements and behaviours, including health care professionals when they interact with minority group patients.9 Making students mindful of their implicit biases is designed to activate their egalitarian goals and their desire for information relevant to achieving these goals. They should then be especially motivated to process, retain and use the strategies for reducing bias that are provided in the next section.


암묵적 편견을 예방하기 위한 전략

Strategies for preventing implicit bias


워크숍의 마지막 섹션은 참가자들에게 소수 집단 환자에 대한 판단과 상호작용에서 [암묵적 편견의 활성화와 사용]을 줄이는 방법을 가르친다. 최근의 연구는 암묵적 인지 시스템과 명시적 인지 시스템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사람들이 그들의 암묵적 반응을 변화시키고 통제하기 위해 명시적인 과정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16,17,35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학생들은 어떻게 암묵적 편견을 줄일 수 있는 강한 잠재력을 보여주는 네 가지 전략을 사용하는지에 대해 배울 수 있다: 평등주의적 목표 추구; 이상공통 아이덴티티, 역강화 및 관점 확보.36,37

The final section of the workshop teaches participants how to reduce the activation and use of implicit bias in their judgement of and interaction with minority group patients. Emerging research shows that the implicit and explicit cognition systems are connected and that people can use explicit processes to change and control their implicit responses.16,17,35 To accomplish this goal, students can learn about how to use four strategies that show strong potential for reducing implicit bias: 

    • pursuing egalitarian goals; 

    • identifying common identities; 

    • counter-stereotyping, and 

    • perspective taking.36,37


암묵적 고정관념을 통제하기 위한 한 가지 전략은 소수 집단을 공정성과 평등을 촉진하는 목표와 연관시키는 것을 배우는 것이다.38 평등주의적인 목표가 활성화되면 고정관념 활성화의 암묵적인 성격을 훼손하고 상쇄함으로써 고정관념을 억제하여 고정관념을 생각하기에 앞서 단절시킨다. 참가자들에게 평등주의 목표를 추구하도록 가르치는 것은 대다수의 의료 전문가들에게 이미 존재하는 항구적chronic 가치와 믿음을 활용한다. 이 전략의 목표는 환자의 민족성이 고정관념을 유발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평등주의 목표를 (환자를 만나고 인터뷰하는 것과 같은) 일상 업무와 어떻게 연관시켜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통해 임무를 수행할 때 자동적으로 목표를 추구함에 있어 정확하고 공정하며 편견 없이 능숙하게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One strategy for controlling implicit stereotypes is to learn to associate minority groups with goals that promote fairness and equality.38 When activated, egalitarian goals inhibit stereotypes by undermining and counteracting the implicit nature of stereotype activation, thereby cutting stereotypes off before they are brought to mind. Teaching participants to pursue egalitarian goals capitalises on the chronic values and beliefs already present in the majority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The objective is to show them how to associate their egalitarian goals with everyday tasks, such as meeting and interviewing a patient, so that performing such a task automatically triggers pursuit of the goal to be accurate, fair, unbiased and skilled in its performance, rather than letting the ethnicity of the patient trigger a stereotype.


의료전문가가 이 기술을 개발하도록 도와주는 핵심은 평등주의 목표를 더 잘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articulate, 환자를 [다른 사람들을 돕는다는 목표를 추구할 수 있는 기회]로서 인식하도록 훈련시키는 것이다.39 의료전문가가 소수 집단 환자들을 만날 때마다, 그 환자는 평등주의의 목표와 전략을 추구할 수 있도록 trigger하는 단서가 될 수 있다. 이렇게 한다면 [환자로부터 보다 정확한 응답을 얻을 뿐만 아니라], [의료인이 자기자신의 본질적 인센티브가 무엇인지 상기할 수 있는] 두 가지 이득을 얻을 수 있다.

The key to supporting health care professionals in developing this skill is to help them better articulate their egalitarian goals and train them to identify patients as representing opportunities to pursue their goals of helping others.39 Each time the health care professional encounters a minority group patient, that patient can serve as a cue to trigger the pursuit of goals and strategies that have the double benefit of obtaining more accurate responses and reminding the provider of his or her primary incentive.


이 전략에서, 첫 번째 단계는 학생들에게 평등주의가 무엇을 의미하고 그것이 직장에서의 건강 관리 활동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정의하게 하는 것이다. 강사는 참가자가 도출한 응답을 사용하여, 목표와 그것을 구현하는 방식에 제약이 되는 부정확성을 확인하고 해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순히 의식적으로만 평등주의 목표를 형성하는 것이 암묵적 편견을 줄이기에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참여자에게 소수 집단 환자와 상호작용하면서 그 목표에 따라 행동하지 못한 최근의 예를 한 가지 떠올려볼 것을 요구할 수 있다. 학생들이 평등주의 목표를 사용하여 암묵적 편견의 가능성을 줄이도록 돕기 위해서, 강사는 사람들이 어떻게 그들의 단점을 그들의 평등주의 목표를 추구하기 위한 단서로 사용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이론과 연구를 제시할 수 있다.

The first step is to have students define what egalitarianism means and how it relates to their health care activities at work. The instructor can use the responses participants generate to identify and address inaccuracies in how they construe the goal and its implementation. Next, it is important to show themthat simply forming conscious egalitarian goals may be insufficient to reduce implicit bias. To illustrate this, participants are asked to reflect on one example from the recent past in which they failed to act according to those goals while interacting with a minority group patient. To help students use their egalitarian goals to reduce the potential for implicit bias, the instructor can then present theory and research showing how people can use their shortcomings as cues to trigger their pursuit of their egalitarian goals.


암묵적 형태의 편견을 줄이는 또 다른 메커니즘은 환자들을 분류하는 방법을 변화시키는 것인데, 이것은 공유되고 공통된 정체성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41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이 다양한 사회 집단에 속해 있기 때문에, 한 사람의 인상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한 집단의 정체성을 촉발하는 행위가 다른 정체성의 활성화를 억제하고, 마찬가지로 다른 정체성과 관련된 고정관념을 억제한다. 이 재범주화를 위한 한 가지 전략은 의료인과 환자가 공유하고 있는 그룹 또는 다른 사회적 신분, 관심 및 활동에 대해 질문하는 것이다. 환자의 인종이나 민족성에서 다른 범주(성인, 직업, 취미 등)로 주의를 옮기는 것은 암묵적 부정적 고정관념의 활성화를 억제할 수 있다. 물론 문화적 역량은 환자의 인종적, 민족적 집단 구성원 자격을 고려해야 하지만, 적절한 의학적 결정을 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할 때까지 의료 전문가들은 그러한 분류를 유보하도록 가르칠 수 있다.

Another mechanism for reducing implicit forms of bias is to change the way patients are categorised, which can be accomplished by focusing on a shared, common identity.41 Research finds that, because people belong to a variety of social groups, in the process of forming an impression of a person, the act of triggering one group identity inhibits the activation of other identities and also inhibits the stereotypes associated with the other identities. One strategy for this re-categorisation requires the professional to ask questions about group or other social identities, interests and activities that he or she may share with the patient. Shifting attention from the patient’s race or ethnicity to some other category (gender, occupation, hobby, etc.) can inhibit the activation of implicit negative stereotypes. Of course, cultural competency requires that the racial and ethnic group membership of the patient should be considered, but medical professionals could be taught to reserve such categorisation until it is absolutely necessary for making appropriate medical decisions.


반-고정관념적 특성과 행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 역시 암묵적 고정관념의 활성화를 완화시킬 수 있다. 반-고정관념화란 문화적 고정관념과 반대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연구에 따르면, 어떤 사람이 정형화된 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더라도, 인식자가 그 집단에 대한 새로운 연관성을 발달시키면 고정관념이 억제될 수 있다.36 따라서 제공자가 자신이 소수의 집단에 대해 가지고 있는 특정한 부정적인 신념에 반하는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면, 결국 그러한 counter-stereotypical한 연관성이 그 그룹과 연결되게 되고, 해당 그룹의 환자를 만날 때 자동으로 활성화될 것이다. 참가자들이 새로운 소수 집단 환자에 대한 반직관적, 반고정관념적 정보를 얻는 것을 돕기 위해, 참가자들은 그들이 환자의 개별화된 속성과 행동을 드러낼 가능성이 있는 질문을 개발하고, 그 질문을 사용하는 것을 돕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연습을 수행할 수 있다.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counter-stereotypical attributes and behaviours can also mitigate the activation of implicit stereotypes. Counter-stereotyping involves providing information that is opposite to the cultural stereotypes about a group. Research shows that even when a person is categorised as belonging to a stereotyped group, the stereotype can be inhibited if the perceiver develops new associations to that group.36 Thus, if a provider can learn how to acquire information that is counter to the specific negative beliefs he or she holds about a minority group, eventually the counter-stereotypical associations become linked to the group and automatically activated when the provider meets a patient from the group. To help them acquire counterstereotypical information about a new minority group patient, participants can perform exercises designed to help them develop and ask questions that are likely to reveal the patient’s individualised attributes and behaviours.


마지막으로, 암묵적 고정관념의 활성화를 줄이기 위한 네 번째 전략은 소수 집단 환자의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은 오명을 쓴 개인이나 집단이 직면하는 어려운 상황을 상상하고 감상하도록 장려될 때, 

    • 그룹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활성화할 가능성이 적으며, 

    • 자기와 타인의 공통점을 더 잘 느낄 수 있고 

    • 곤궁에 처한 집단이 마주한 불의에 공감하고, 

    • 결과적으로 더 좋은 인상을 갖게 된다.

Finally, a fourth strategy for reducing the activation of implicit stereotypes involves taking the perspective of the minority group patient. Research shows that when perceivers are encouraged to imagine and appreciate the difficult situation faced by a stigmatised individual or group, they are 

less likely to activate negative stereotypes about the group and 

better able to feel more self–other overlap, 

empathise with the injustice in the group’s plight, and 

adopt a more favourable impression as a result.42–44 


워크숍 참가자들이 소수 집단 환자의 관점을 취하는 것을 배우도록 돕기 위해, Trainee에게 소수 집단 남성 또는 여성 환자의 사진을 보고 그 환자의 일생에서 하루의 간략한 이야기를 쓰는 연습을 해보도록 요구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그들은 그 사람의 건강 관리에 대한 그룹의 관점을 보다 완전하게 그려내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학급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To help workshop participants learn to take the perspective of their minority group patients, they are asked to complete an exercise in which they view a picture of a minority group male or female patient and write a brief story about a day in the life of that patient. They can then share their stories with the class to help paint a more complete picture of the group’s perspective on that person’s health care.


결론

CONCLUSIONS


암묵적 편견은 의료인이 소수 집단 환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진단하고 치료하는 방식에 스며든다. 그러나 의료 사업자를 훈련시켜 암묵적 편견을 통제하게 하면 암묵적 편견의 영향을 완화할 수 있다.

Thus, implicit biases may leak into the way health professionals acquire information on and diagnose and treat minority group patients. However, training health care providers to control their implicit biases can mitigate the impact of implicit bias.





 2011 Aug;45(8):768-76. doi: 10.1111/j.1365-2923.2011.04026.x.

Non-conscious bias in medical decision making: what can be done to reduce it?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Psychology, School of Mind, Brain & Behavior, College of Science, University of Arizona, Tucson, AZ 85721, USA. jeffs@email.arizona.edu

Abstract

CONTEXT:

Non-conscious stereotyping and prejudice contribute to racial and ethnic disparities in health care. Contemporary training in cultural competence is insufficient to reduce these problems because even educated, culturally sensitive, egalitarian individuals can activate and use their biases without being aware they are doing so. However, these problems can be reduced by workshops and learning modules that focus on the psychology of non-conscious bias. THE PSYCHOLOGY OF NON-CONSCIOUS BIAS: Research in social psychology shows that over time stereotypes and prejudices become invisible to those who rely on them. Automatic categorisation of an individual as a member of a social group can unconsciously trigger the thoughts (stereotypes) and feelings (prejudices) associated with that group, even if these reactions are explicitly denied and rejected. This implies that, when activated, implicit negative attitudes and stereotypes shape how medical professionals evaluate and interact with minority group patients. This creates differential diagnosis and treatment, makes minority group patients uncomfortable and discourages them from seeking or complying with treatment.

PITFALLS IN CULTURAL COMPETENCE TRAINING:

Cultural competence training involves teaching students to use race and ethnicity to diagnose and treat minority group patients, but to avoid stereotyping them by over-generalising cultural knowledge to individuals. However, the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Appropriate Services (CLAS) standards do not specify how these goals should be accomplished and psychological research shows that common approaches like stereotype suppression are ineffective for reducing non-conscious bias. To effectively address bias in health care, training in cultural competence should incorporate research on the psychology of non-consciousstereotyping and prejudice.

TRAINING IN IMPLICIT BIAS ENHANCES CULTURAL COMPETENCE:

Workshops or other learning modules that help medical professionals learn about non-conscious processes can provide them with skills that reduce bias when they interact with minority group patients. Examples of such skills in action include automatically activating egalitarian goals, looking for common identities and counter-stereotypical information, and taking the perspective of the minority group patient.

PMID:
 
21752073
 
DOI:
 
10.1111/j.1365-2923.2011.04026.x


임상추론에 대한 이해와 평가를 개선하기 위한 가정 명확화(Acad Med, 2013)

Clarifying Assumptions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and Assessment of Clinical Reasoning

Steven J. Durning, MD, PhD, Anthony R. Artino, Jr, PhD, Lambert Schuwirth, MD, PhD,

and Cees van der Vleuten, PhD





진단을 결정하고 치료 전략을 세우는 것은 의료의 기본이다. 느슨하게 "임상추론"라고 하는 이러한 과정에서의 역량 개발이 의사에게 필수적이라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Deciding on a diagnosis and instituting a treatment strategy are foundational to the practice of medicine. There is no question that developing competence in these processes, which are referred to loosely as “clinical reasoning,” is essential for physician success.


많은 연구에서 다음을 다루었다.

  • 의사들이 가설-연역적 추론을 통해 가설을 만들고 검증하는 방법

  • 케이스 특이성, 상황의 고유한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나중에 상황의 고유한 특성 및 진단용 팩트 그 이상을 위하여 "맥락 특이성"으로 이름이 바뀜. 

  • 이중 프로세스 이론: 분석 및 비분석적 추론(또는 패턴 인식)과 관련된 6 

  • 스크립트 이론.7,8


research include insights into 

  • how physicians generate and test hypotheses through hypothetical-deductive reasoning1; 

  • case specificity, which has been subsequently renamed “context-specificity” to account for the unique nature of the situation or encounter beyond the facts in the diagnosis portrayed2–4; 

  • dual process theory, which pertains to analytic and nonanalytic reasoning (or pattern recognition),5 including its use in novices6; and 

  • script theory.7,8


임상 추론에 관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임상 추론이 포함하는 내용이 무엇인지 여전히 명확한 합의가 존재하지 않으며, 임상 추론이 어떻게 가장 잘 가르치고 평가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말할 것도 없다.9

Notwithstanding the many publications on clinical reasoning, there still exists no clear consensus regarding what clinical reasoning entails, let alone how it might best be taught and assessed, as well as the research and practice implications therein.9


인식론

Epistemology


인식론은 한 사람(또는 한 집단의) 지식의 성격, 범위, 구성 및 한계에 대한 연구를 포함한다. 그것은 "지식이란 무엇인가?"와 같은 질문에 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리는 우리가 아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Epistemology involves the study of the nature, scope, construction, and limitations of a person’s (or a group’s) knowledge. It aims to answer questions such as, What is knowledge? How is it acquired? How do we know what we know?


두 가지 주요 인식론적 관점:

two main epistemological perspectives:


객관주의적(또는 논리적/실증주의적)의 관점에서 볼 때, 어느 영역에 대해서든(이 경우, 임상적 추론에 대해서), 밝혀지거나 발견될 수 있는 유일한 진리가 있다.11 따라서 가르침이란 이 유일한 진리를 전달하는 과정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배움이란 이 유일한 진리를 발견해나가는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으로 생각할 수 있다. (발견해야 할 진실이 유일하기 때문에) 경험은 덜 중요하게 여겨지고, 이와 같이, 전문가들에 의해 진실에 대한 생각을 전달하는 강의는 가장 넌리 사용되는 교육방법이자 효과적인 학습 수단으로 간주된다.

From the objectivist (or logical/positivist) perspective, for whichever domain is being considered (in this case, clinical reasoning), there is one truth that is revealed or can be discovered.11 Thus, from this viewpoint, teaching can be thought of as the process of conveying this one truth, and learning can be thought of as the process of acquiring knowledge so that one can discover this one truth. Experience is seen as less important (because there is one truth to be discovered), and, as such, lectures, whereby experts convey their ideas on the truth, are seen as a pervading instructional method and an effective means of learning.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지식은 인간이 만든 구성"이며12—"지식이란 객관적 진리의 중립적 발견이 아니다."13 이 인식론적 관점에서 학습자에게 정적인 사실을 제공하는 것만으로는 학습에 불충분하다. 학습자가 의미를 형성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From the constructivist viewpoint, “knowledge is a compilation of human- made constructions”12—“not the neutral discovery of an objective truth.”13 From this epistemological viewpoint, merely providing learners with static facts is insufficient for learning. Providing experiences whereby learners can construct meaning is key.


문제는, 임상적 추론이 하나의 진리로 이루어진 구인construct인가, 아니면 상황의 구체적, 특히 "구성constructing"을 하는 사람의 바탕에 따라 달라지는 구인인가 하는 것이다. 즉 임상적 추론은 특성인가, 상태인가(상황에 따라 달라짐) 아니면 둘의 결합인가?

The question becomes, is clinical reasoning a construct with one truth, or is it a construct that varies on the basis of the specifics of the situation and, notably, on the basis of the person doing the “constructing”? In other words, is clinical reasoning a trait or a state (varies with the situation), or a combination of the two?


구성주의에서는 지식을 사회적 상호 작용과 사회적 협상을 통해 개인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본다. 이 독특한 관계에 대한 각 개인의 건설은 다를 것이다. 그것은 유일한 "진리"의 구성construction이 아니다.

Constructivism views knowledge as accruing between individuals by means of social interactions and social negotiation. Each individual’s construction of this idiosyncratic relationship would be different—It is not the construction of one “truth.”


어떤 관점을 삼느냐에 따라 오류 분산 또는 노이즈의 개념이 다를 것이다.

These two viewpoints would have different notions of error variance, or noise.


예를 들어 임상 추론이 trait(하나의 진실)인 경우, 장소마다의 임상 추론이 달라지는 것은 예상치 못한 오류로 간주되는 반면, 임상 추론을 하나의 state상태로 생각할 경우, 위치마다의 변동성variability가 없을 경우 임상 추론의 평가의 정확성에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Take, for example, the physical location for the clinical reasoning event. If clinical reasoning is a trait (one truth), then variation in clinical reasoning from location to location would be unexpected and considered error, whereas if clinical reasoning is thought of as a state, then lack of variation from location to location could raise questions about the accuracy of the assessment of clinical reasoning.


학습과 평가에 대한 이론적 관점들

Theoretical Viewpoints of Learning and Assessment


학습을 이해하는 네 가지 주요 이론들

Below are four common theories used by medical educators to understand learning (and, by extension, teaching and assessment).


행동주의

Behaviorism


가장 순수한 형태의 행동주의는, 오직 행동(관찰 가능한 행동)만을 의미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이러한 이론적 관점을 가진 사람은 임상적 추론을 임상적 조우에서 "직접 볼 수 있는 것"으로만 국한하여 생각할 것이다.

Behaviorism,14 in its purest form, considers only behaviors (observable actions) as meaningful. A person with this theoretical perspective would thus consider clinical reasoning as incorporating only what can be directly seen in the clinical encounter.


엄격한 행동주의적 관점에서(참고: 행동주의 관점에 대한 스펙트럼이 있다), 임상의사의 사고 과정과 감정 상태는 추론 과정의 중요한 부분으로 간주되지 않을 것이다. 행동주의는 임상적 추론은 행동 수정을 통해 배운다고 주장한다. 즉, 우리가 받는 조건부 보상과 처벌에 근거하여 추론을 배운다. 그러나 행동주의에 대한 보다 확장된 시각에서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이 보상받거나 처벌을 받는 것을 보면서, [대리적]으로 추론을 배울 수 있다.

From the strict behaviorist viewpoint (Note: There is a continuum of behaviorist perspectives), the clinician’s thought processes and emotional state would not be considered important parts of the reasoning process. Behaviorism argues that clinical reasoning is learned through behavioral modification; that is, we learn to reason on the basis of the contingent rewards and punishments we receive. Or, in an expanded view of behaviorism, we can also learn reasoning vicariously by watching others be rewarded and/ or punished for their behaviors in clinical practice.


신-행동주의자들은 이전의 경험에서 비롯된 생각과 감정 상태를 자극과 관련된 개인의 행동의 중요한 측면으로 볼 것이다.15 특히, 이러한 신-행동주의자들은 생각과 감정이 이전의 자극에 의해 형성되고 반응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만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들이 강조하는 것은 자극에 대한 반응이지, 인간의 생각과 감정을 이해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 자극에 대응하는) 사람의 행동은, 행동의 결과로 사상과 감정의 내실화(內 internal化)로 이어지고, 이는 자극에 대한 후속 반응에 영향을 미친다; 생각과 감정은 행동의 원인이 아니라, 행동에 대한 반응이다.

Neobehaviorists, on the other hand, would view thoughts and emotional states, which result from prior experiences, as important aspects of an individual’s behavior in relation to a stimulus.15 Notably, however, these proponents would hold that thoughts and emotions are shaped by prior stimuli and are important only in that they can shape responses to future stimuli. The emphasis is on responses to stimuli, not on understanding human thoughts and emotions. Thus, from this perspective, one’s behavior (in response to a stimulus) leads to internalization of thoughts and feelings as a result of behavior, which influences subsequent responses to stimuli; thoughts and feelings are not the origin of behavior but the response to behavior.


행동주의자의 관점에서, 학습, 가르침, 평가는 (자극에 대한 개인의 반응에 가장 관심이 있기 때문에) 관찰가능한 행동을 수반해야 한다.

From the behaviorist perspective, learning, teaching, and assessment should entail observable actions because we are most interested in an individual’s response to stimuli.


예를 들어, 저명한 행동주의자(스키너)는 순전히 보상과 처벌의 과정으로서 언어 발달에 접근했다.14 이를 반박하며, 촘스키(신행동주의자)는 그러한 견해는 우리가 들어보지 못한 문장을 만들어내는 우리의 능력을 설명할 수 없다고 언급했다. 종합하자면, 임상적 추론을 이해하는 것은 행동주의 관점의 초점이 아니다. 행동주의 이론적 관점의 구성 요소는 의학교육의 성과(행동)와 역량바탕의학교육에 초점을 둔다는 것이 자명evident하다.

For example, a prominent behaviorist (Skinner) approached language development purely as a process of reward and punishment.14 In rebuttal, Chomsky15 (a neobehaviorist) noted that such a view could not account for our ability to produce sentences that we have never heard. In sum, understanding clinical reasoning is not a focus of the behaviorist perspective. components of the behaviorist theoretical perspective are evident in the focus on medical education outcomes (the behavior) and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이러한 프레임워크에서 원하는 것은 "행동"(능력)을 보여주는 것이며, 어떻게 그러한 능력을 얻게 되었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그다지 관심의 대상이 아니다. 행동주의는 대부분 객관적 인식론에서 나타났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What is desired in these frameworks is displaying the “behavior” (competency), whereas understanding how one obtains the competency is not so much the focus.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behaviorism emerged, in large part, from an objectivist epistemology


정보처리이론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정보처리 이론은 오늘날 의학 교육에 만연해 있는 관점이다. 정보처리이론에 속하는 것에는 예를 들어 스크립트 이론 7,8 및 이중 프로세스 이론.5가 포함된다. 스크립트와 이 이중 프로세스(분석적 프로세스와 비분석적 프로세스)가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는 완전히 이해되지 않는다. 패턴인식의 과정(빠른 과정)도 잘 이해되는 현상은 아니다.6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is a pervading perspective in medical education today. Theories that fall under information processing include, for example, script theory7,8 and dual process theory.5 How scripts and these two processes (analytic and nonanalytic) interact is not fully understood. Even the process of pattern recognition (the fast process) is not a well-understood phenomenon.6


인지 부하 이론(Cognitive Load 이론)16은 임상 추론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에서 사용했던 정보 처리 이론이다.17 CLT는 우리의 인지 아키텍처의 한계를 언급하고 주어진 시간에 제한된 수의 정보 "청크" 또는 단위를 보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청크는 9개 이하인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CLT는 다른 유형의 인지 부하를 지정한다.16 

Cognitive load theory (CLT)16 is another important, and more contemporary,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that some have used to help explain clinical reasoning.17 CLT refers to limitations in our cognitive architecture and suggests that we can hold (or process) only a finite number of informational “chunks,” or units, at a given time; the number of chunks is assumed to be no more than nine. CLT also specifies different types of cognitive load.16 


행동주의 접근법과 달리 정보처리 이론은 의사의 (관찰할 수 없는)정신적 과정에 더 큰 가치를 둔다; 관찰할 수 있는 행동(행동주의자 접근법)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보다는, 구인(여기서는 임상적 추론)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 두 이론적 관점이 어떻게 충돌할 수 있는지 알 수 있다. 행동주의가 관찰과 예측이라면, 정보처리이론은 이해에 중점을 둔다.

Unlike the behaviorist approach,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places greater value on a physician’s mental processes (that are not observable); the emphasis is on understanding the construct (here, clinical reasoning) rather than coming up with a model to predict the observable behavior (behaviorist approach). One can see how these two theoretical viewpoints can conflict—understanding as opposed to observation and prediction.


정보처리 관점에서, 임상추론은 의사가 임상 상황에 접근할 때 사용하는 내적 정신 과정(관찰 가능한 행동과 대조됨)으로 정의할 수 있다.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viewpoint, clinical reasoning can be defined as the internal mental processes (versus observable behaviors) that a physician uses when approaching clinical situations.


더욱이, 정보처리 이론가들은 정신 과정mental process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임상 추론을 가르치는 방법으로, [체계적이고 점진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임상추론 퍼포먼스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개별적 정보의 조각을 변화시킴]으로써 가르칠 수 있다고 믿는다. 그러나 내적 정신 과정으로서 임상 추론을 강조하게 될 경우, 임상 추론을 배우는 것은 꽤나 어려운 일이 된다. 즉, 경험(정비를 통한 지식)도 이러한 관점에서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잘 짜여진 지식의 획득이 더 중요하다.

Furthermore, as the emphasis is on mental processes, information processing theorists believe that clinical reasoning can be taught by giving trainees organized, incremental pieces of information and/or varying the individual pieces of information that lead to subsequent improved clinical reasoning performance. However, the emphasis on clinical reasoning as an internal mental process makes learning clinical reasoning challenging. That is, the emphasis is on acquisition of well-organized knowledge, although experience (through refining knowledge)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is viewpoint.


그러나 정보처리 이론가의 관점에서는 임상환경 및 환자와 의사 사이의 상호작용과 같은 상황 특이적 요인은 가치가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18 이러한 상황 특이적 요인은 대체로 이론과 무관한 것으로 보며, variation을 일으키는 원치 않는unwanted 소스로 간주된다.(즉, 상황 요인은 관심 대상이 아니라 측정의 오류artifact이다) 즉, 정보처리이론은 임상적 맥락을 명시적으로 다루지 않는다.

However,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theorist’s perspective, specific situational factors— the environment of the clinical encounter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patients and physicians—are believed to be of less value.18 These specific situational factors are largely seen as theory-unrelated and, therefore, are considered to be unwanted sources of variation (i.e., situational factors are artifacts of the measurement method and not the focus of study). In other words,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does not explicitly address the clinical context


교육의 관점에서, 교육은 굳이 임상환경에서 이뤄질 필요가 없으며, 실제로 CLT는 적어도 초기 단계에서 임상추론교육은 낮은 충실도 또는 낮은 authenticity 방법(즉, 진단이나 치료의 기본 구성요소에 대한 종이 사례)을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From an instructional perspective, the format of instruction does not need to be in a clinical setting, and indeed CLT would argue that, at least at first, this teaching should involve low-fidelity or low-authenticity methods (i.e., paper cases of basic components of the diagnosis or therapy).


더욱이,

    • 외적 부하: (교육 방법 자체에 의해 부과되는 하중)은 가능한 한 최소화되어야 한다. 

    • 내적 부하: (콘텐츠의 복잡성과 관련된 부하)에 초점을 맞추어 

    • 본유적 부하: 더 많은 학습 노력을 유도할 수 있다. 

CLT의 관점에서 학습은 먼저 nonauthentic 환경에서 잘 정의된 문제부터 시작하여, 문제의 복잡성(즉, 학습 환경의 진위)이 점진적으로 증가해야 한다고 주장되어 왔다.

Furthermore, 

    • extraneous load (that which is imposed by the teaching method itself) should be minimized as much as possible, 

    • with a focus on the intrinsic load (that which is related to the complexity of the content) 

    • that can lead to more learning effort (germane load). 

It has been argued from the CLT perspective that learning should start with well- defined problems, first in nonauthentic settings, and followed by gradual increases in the complexity of the problems (i.e., the authenticity of the learning environment).


이 이론에서는 지식의 습득에 우선순위를 두며, 교사들은 학습자가 자신의 질병 스크립트 만들 수 있도록 지식 구조와 조직을 제공하는 콘텐츠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This theory places a priority on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notion that teachers should be content experts who primarily provide knowledge structure and organization to trainees so that they can build their illness scripts.


정보처리 관점에서 독자를 돕기 위한 지나치게 단순화된(그러나 우리는 유용하다고 믿는) 비유는 전문가의 마음에서 수련자의 정신으로 정보를 "전송하거나 운반하는" 아이디어다.18 이 관점에서 강의는 학습에 매우 유용한 접근방식이 될 수 있다.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perspective, an oversimplified (but, we believe, useful) analogy to help the reader is the idea of “transferring or transporting” information from the mind of the expert into the mind of the trainee.18 From this viewpoint, lectures could be a very useful approach to learning.


의학교육 사례에는 구두 프레젠테이션과 관련된 객관적 구조 임상 시험(OSCE) 스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 정보처리 이론의 관점에서는, 학습자의 지식 구조를 이해하는 것에 중점을 둘 것이고, 따라서 평가와 피드백은 지식 구축과 조직으로 향할 것이다. 

    • 행동주의자의 관점에서는, 행동을 보여주고 미래의 시험에서의 수행능력을 예측하는 것에 중점을 둘 것이며, 따라서 평가와 피드백을 강조하는 것은 관찰할 수 있는 행동에 중점을 둘 것이며, 정신 과정을 이해하는 데 훨씬 덜 중점을 둘 것이다.

A medical education example might involve an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 (OSCE) station pertaining to the oral presentation. 

    • From an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perspective, the emphasis would be on understanding the trainee’s knowledge structures, and thus assessment and feedback would be directed toward knowledge construction and organization. 

    • From a behaviorist perspective, the emphasis would be on the behavior displayed and predicting performance in future iterations of the oral presentation, and therefore the emphasis for evaluation and feedback would be on the observable actions, with far less emphasis on understanding mental processes.


일반적으로 말하면 행동주의와 정보처리론(또는 인지주의)은 모두 객관주의적, 즉 실증주의적 인식론의 산하에 속한다. 두 접근방식의 주된 목표는 학습자에게 가장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지식을 전달하거나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관점에서 효율성과 효과성의 중요한 열쇠 중 하나는 복잡한 프로세스와 아이디어를 관련된 모든 사람들이 합의하는 기본적인 요소들로 분해하거나 단순화할 수 있다는 개념이다.

Generally speaking, both behaviorism and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or cognitivism) fall under the umbrella of objectivist, or positivist, epistemology. The primary goal with both approaches is being able to communicate or transfer knowledge to learners in the most efficient and effective manner. One important key to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is the notion that complex processes and ideas can be broken down, or simplified, into basic components that are agreed on by all involved.


심리측정이론

Psychometric theories


심리측정이론은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는 영역으로서의 임상 추론의 개념을 다루고 있다.

These theories address the concept of clinical reasoning as a domain that can be measured in a reliable and valid way


심리측정이론은 임상적 추론과 관련하여 어떤 특정한 주장을 하지는 않으며(그들은 이론 자체를 배우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모든 구조에 대해서 다 적용된다.

Psychometric theories do not make any specific claims with respect to clinical reasoning (they are not learning theories, per se), and so what we discuss applies to any construct viewed through these theories.


심리측정관점에서, 우리는 임상 추리 능력처럼 잠재(관측할 수 없는) 구조latent construct를 측정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가 포착하고자 하는 객관적 진리가 있다(즉, 이것은 객관주의적, 즉 실증주의적, 인식론). 그러한 많은 이론들은 임상적 추론과 같은 잠재된 구인를 trait(state가 아니라)로 본다.

From the psychometric perspective, we are attempting to measure a latent (unobservable) construct like clinical reasoning ability. From this perspective, there is an objective truth we are trying to capture (i.e., this is an objectivist, or positivist, epistemology). Many such theories view latent constructs like clinical reasoning as traits (versus states)


만약 추론을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 방법으로 포착할 수 없다면, 추론의 구조는 믿을 수 없으며, 적어도 보다 정교하게 다듬을 필요가 있다. 이건 행동주의자의 시각과 매우 비슷한 관점이다. 만약 무엇인가를 그것을 보거나 측정할 수 없다면, 그것은 아마도 relevant하지 않을 것이다.

If reasoning cannot be captured in a reliable and valid manner, then the construct of reasoning is questionable or, at least, is in need of refinement. This is a view much like the behaviorist perspective—If you can’t see or measure it, it probably is not relevant.


더 나아가서 행동주의처럼, 심리측정적 관점은 관찰할 수 있는 것에 중점을 두지만, 더 나아가서 정량화할 수 있는 것에 더욱 더 중점을 두고, 반복 가능한 방법으로 미래의 성과를 예측하는 데 이용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construct와 outcome 행동을 신뢰성 있고 유효한 방식으로 명확하게 정의할 수 없는 한, 임상추론이 측정할 수 있는 것인지는 알 수 없는 것이 된다(이것을 확장하자면, can be measured 뿐만 아니라 can be learned인지도 불확실하다)

Further, like behaviorism, the psychometric viewpoint puts emphasis on what is observable, but it goes even further, placing even more emphasis on what can be quantified, in a repeatable way, and used to predict future performance. From this perspective, it is not known whether reasoning can be measured (and, as an extension, learned, which is a topic of debate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today) unless the construct and outcome behavior can be clearly defined, both in a reliable and valid fashion.


따라서 평가는 구인이 명확하게 정의되어야만 가능한 것이다. 심리측정학자는 [임상 추론을 가르치고 평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잘 개발된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 점수를 구성하는 데 연구가 집중된다. 위에서 언급한 구두 프레젠테이션 OSCE 스테이션 예제로 돌아가자면, 퍼포먼스를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 방식으로 수량화할 수 없는 경우, 이는 평가 중인 구인에 의문이 제기되는 것이다.

Assessments can be created once the construct is clearly defined, per the guidelines above. For psychometricians, research is focused on constructing reliable and valid scores using well-developed measurement tools, which may be used to teach and assess clinical reasoning. Returning to our oral presentation OSCE station example mentioned above, if the performance cannot be quantified in a reliable and valid fashion, this calls into question the construct being assessed.


상황성 이론

Situativity theory


상황성 이론18은 임상추론이 (행동주의처럼) 구체적인 상황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주장한다. 두 가지 선도적인 이론은 상황성 인식생태 심리학이다.18 

    • 상황성 인식은 사고(인식 또는 추론)가 경험 속에 nested되어있다고 주장하며, 추론을 한다는 것은 것은 상황과 경험의 세부사항을 이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 생태심리학에서는 추론이 정보가 풍부한 환경에서 상호작용하는 목표지향적인 사람의 결과라고 제안한다. 

이 두 이론 모두, 환경 또는 의료환경과 의사, 환자 및 의료 팀 간의 상호 작용이 중요하다.

Situativity theory18 argues that clinical reasoning is rooted in the specific situation (as does behaviorism). Two leading theories are situated cognition and ecological psychology.18 

    • Situated cognition argues that thinking (cognition or reasoning) is nested in experience, and to understand reasoning means to understand the particulars of the situation and experience. 

    • Ecological psychology proposes that reasoning is the result of a goal-driven person interacting in an information-rich environment. 

In both of these theories, the environment, or practice setting,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physician, the patient, and the health care team are critical.


상황성situated의 관점에서, 환경과 상호작용은 소음이나 측정 오차가 아닌 측정 현상 또는 실제 분산의 일부로 간주된다. 의사는 최종 진단과 치료를 담당하지만 이러한 다른 요인(환경과 참여자)에 의해 의미 있는 영향을 받는다. 이 관점에서 임상추론은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특별히 관련된 임상적 조우에서 [발생하는 모든 것]을 나타낸다.

from a situated perspective, the environment and the interaction are seen as part of the measurement phenomenon, or true variance, as opposed to noise or measurement error. The physician is responsible for the final diagnosis and therapy, but she or he is influenced meaningfully by these other factors (environment and participants). From this viewpoint, clinical reasoning represents all that occurs in the clinical encounter that specifically pertains to the diagnosis and therapy of the patient.


더욱이 상황성 이론은 임상추론이 비선형적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할 것이고, 따라서 임상 추론을 측정하고 비교하기 위한 우리의 통계적 방법은 이 구성의 분산을 완전히 포착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본다. 다른 이론들도 비선형성을 하나의 가능성으로 인정할 수 있지만, 상황성 이론은 비선형성이 가장 가능성이 높은 모델이라고 본다는 점이 다르다.18 상황성의 관점에서 선형성은 직설적인 표현, 전형적인 질병 및/또는 증명되지 않은 실험실(연구) 설정에서만 발생할 수 있다.18

Furthermore, situativity theory would argue that clinical reasoning is likely nonlinear, and thus our statistical methods to measure and compare clinical reasoning may not fully capture the variance in this construct. And whereas other theories may acknowledge nonlinearity as a possibility, situativity theory proposes that nonlinearity is the most likely model.18 From a situated perspective, linearity is likely to occur only in straightforward presentations, typical diseases, and/or inauthentic laboratory (study) settings.18


교육 측면에서, 상황 이론들은 근무지 평가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교육은 또한 authentic 교육 형식을 강조해야 한다. 평가에는 encounter 또는 setting에 관계된 모든 사람의 관점을 포함해야 한다. 이러한 이론은 행동과 정보 처리(예: 스크립트, 이중 프로세스 및 인지 부하)가 모두 임상 추론의 일부지만, 별도로 가장 간단한 경우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 대해 불완전한 설명을 나타낸다는 데 동의한다.

In terms of instruction, situativity theories stress the need for workplace assessment. Teaching should also emphasize authentic instructional formats. Assessments should include the views of all participants in the encounter and the setting. These theories would agree that behaviors and information processing (i.e., scripts, dual process, and cognitive load) are all part of clinical reasoning but that, separately, they represent an incomplete description for all but the most straightforward cases.


실제적 함의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그래서 우리는 자신의 접근방식에 융통성이 있다고 믿는다. 그러므로 알프레드 코르지브스키가 유명한 것처럼 "지도는 영토가 아니다."21(p190) 즉, 어떤 지도도 그것이 묘사하는 물리적 지형을 완전하고 정확하게 나타낼 수 없듯이, 어떤 학습(혹은 추론)에 관한 이론도 복잡한 인지 지형의 기본 메커니즘을 완전하고 정확하게 나타낼 수 없다. 이론이란 추상화된 것이며, 본질적으로 좀 더 복잡한 (그리고 완전히 이해되지 않는) 현상의 단순화된 버전이다.

so we believe that flexibility in one’s approach is warranted. Thus,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as Alfred Korzybski famously stated, that “the map is not the territory.”21(p190) That is, just as no single map can completely and accurately represent the physical terrain it depicts, no single theory of learning (or reasoning) can fully and accurately represent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complex cognitive processes. As abstractions, theories, by their very nature, are simplified versions of some more complicated (and not fully understood) phenomenon.


지도를 영토와 혼동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즉, 현실의 이론적 모델과 현실 그 자체를 혼동하지 않는 것이다. 대신에, 우리는 각각의 이론이 현실을 보는 다른 방법을 제공한다는 것을 인정해야 하고, 따라서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일의 다른 측면에 대해 우리에게 깨우쳐 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론들이 본질적으로 구성주의적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it is important that we do not confuse maps with territories—that is, that we do not confuse our theoretical models of reality with reality itself. Instead, we should acknowledge that each theory provides a different way of viewing reality and, as such, enlightens us about different aspects of what is actually happening. We therefore would argue that theories are inherently constructivist in nature.


다양한 관점: 통합된 임상추론 이론을 향하여

Multiple Perspectives: Toward a More Unified Clinical Reasoning Theory


우리는 임상적 추론이 진단과 치료적 결정의 측면에서 보여지는 행동뿐만 아니라 정신적 과정mental process 모두를 포괄한다고 믿는다.

We believe that clinical reasoning encompasses both the mental processes as well as the behavior exhibited in terms of diagnostic and therapeutic decisions


분명히, 이러한 이론들 중 어느 것도 혼자서는 충분하지 않으며, 따라서 우리는 하나의 모델을 제안한다(그림 1 참조).

Clearly, none of these theories is sufficient alone, and thus we propose a model (illustrated in Figure 1)



  • 행동주의("경험"이라는 굵은 단어로 표시됨), 

  • 위치 인식(원 및 화살표로 표시됨) 

  • 정보처리 이론(이탤릭체로 표시됨)

  • behaviorism (indicated by the bolded word “experience”), 

  • situated cognition (indicated by the circles and arrows), 

  • information processing theories (indicated by the italicized words),


또한, 우리는 위에서 검토한 이론들이 초기 임상 학습자를 다룰 때 특히 불완전하다고 믿는다. 예를 들어 행동주의가 주로 사고 과정과 감정 상태를 무시한 채 임상적 만남에서 직접 볼 수 있는 것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은 임상 추론의 중요한 특징들을 배제한다.

Further, we believe that the theories reviewed above are particularly incomplete when addressing the early clinical learner. For example, behaviorism’s focus on only what can be directly seen in the clinical encounter, largely ignoring thought processes and emotional states, excludes important features of clinical reasoning.


정보처리 이론은 대부분 전문가들의 연구와 이해로부터 개발되었다. 우리는 정보처리 이론이 더 어린 학습자들에게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설명하는데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한 명의 의사의 머리 속의 지식과 구조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며, 또한 맥락을 효율적으로 고려하지 않는다. 정보처리이론은 그림 1의 "의사적 요인" 서클에서 지식 및 인지 부하로 확인된다.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was developed largely from the study and understanding of experts; we believe that it falls short in explaining what may be going on in the more junior learner. With its focus on knowledge and its organization in the physician, it also does not efficiently take context into account.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is identified as knowledge and cognitive load in the “physician factors” circle of Figure 1.


심리측정이론은 임상 추론의 구조를 측정할 때 정밀도의 필요성에 초점을 맞춘다. 실제로, 우리는 의학교육자들이 우리의 모델(의사, 환자 및 환경)의 기초가 되는 요소나 요소의 측정 정밀도(신뢰성 및 유효성)를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믿는다. 그러나, 여러 요소들 중 하나에만 초점을 맞추면, 실제 임상적 만남 동안 실제로 일어나는 일에서 많은 것을 잃게 된다.

Psychometric theory focuses on the need for precision in measuring the construct of clinical reasoning. Indeed, we believe that medical educators should strive to improve the measurement precisi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mponents or factors underlying our model (physician, patient, and environment); however, by solely focusing on one of these factors, much is lost in what is actually going on during a real clinical encounter


각 구성 부품에 대한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 측정에 대한 관심은 그림 1에 연결된 세 개의 원으로 표시된다.

Attention to reliable and valid measures of each of the component parts is represented in Figure 1 by the three connected circles.


우리는 상황성 이론이 임상 추론에 대한 유용한 중요한 관점을 제공한다고 믿는다. 이러한 이론은 의사, 환자 및 설정(및 이들의 상호작용)에 특정한 임상 추론 및 개요 요인에 사회적 관점을 가져오고, 이는 우리에게 임상 추론(즉, "병리적"을 보는 중요한 추가 방법)의 측면에서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보다 포괄적으로 볼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이러한 이론들은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이 세 가지 요소 각각에 대한 "구성요소 부분components parts"을 명시하지 않는다(그림의 양방향 화살표). 다른 이론들은 구체적인 요소들을 결정하거나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We believe that situativity theories provide a useful overarching view of clinical reasoning. These theories bring a social perspective to clinical reasoning and outline factors specific to the physician, patient, and setting (and their interactions), which gives us a more inclusive view of what is occurring in terms of clinical reasoning (i.e., an important additional way of viewing the “territory”). But these theories do not specify the “component parts” of each of these three factors, let alone what drives the interactions (bidirectional arrows in the figure). The other theories can help determine or shape the specific factors.


그림에 표현된 중요한 함축은 비선형성의 개념이다.

An important implication expressed in the figure is the notion of nonlinearity.


앞의 모든 이론들은 상황성을 제외하고 비선형성의 가능성에 대해 논쟁할 것이다. 이것은 [모든 임상적 조우]들이 비선형적으로 진행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임상추론이라는 현상이 비선형적 속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All of the preceding theories, with the exception of situativity, would argue against the possibility of nonlinearity. This does not mean that every clinical encounter will proceed nonlinearly but only that the phenomenon of clinical reasoning possesses nonlinear attributes



선형성과 비선형성: 운전에 대한 비유

Linearity and nonlinearity: A metaphor of driving a car


교통 체증은 비선형적인 사건을 나타낸다. 

    • 교통 체증에서 개별 차량의 이동(또는 그 결여)은 교통 흐름(사고를 포함)에 단순합산이상의(그리고 실제로 심오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교통 체증에 빠진 운전자는 잼을 성공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다른 구성 부품(즉, 다른 자동차)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이것은 아무 교통체증 없이 고속도로를 따라 차를 운전하는 것과 달리, 이것은 선형적인 사건이나 세심하게 구조화된 실험실 실험을 비유하는 것이다. 

    • 그 다음에는 물론, 선형적이거나 잠재적으로 비선형적일 수 있는 "간격" 상황(교통량 변동)이 있다. 

    • 확실히, 선형 사건에서의 운전 기술 또한 비선형 상황에서 중요하다. 

    • 그러나 전 상황(선형 주행 이벤트)에서의 기술(비선형 주행 이벤트)이 후자에 필요한 모든 것을 반드시 설명하지는 않는다. 

    • 졸음운전, 라디오 소리, 교통 체증이 없을 때 시끄러운 대화로 운전을 성공적으로 할 수 있다. 

    • 교통체증 속에서 이러한 상황에서 성공적으로 항해하는 것은 훨씬 더 어렵다.


A traffic jam represents a nonlinear event; that is, 

    • the movements (or lack thereof) of individual cars in a traffic jam can have nonadditive (and indeed profound) effects on the flow of traffic (to include accidents). 

    • A driver in a traffic jam must pay close attention to component parts (i.e., the other cars) to successfully navigate the jam. 

    • This is unlike driving one’s car down a highway without any traffic, which is a metaphor for a linear event or a carefully structured laboratory experiment. 

    • Then, of course, there are the “in-between” situations (varying degrees of traffic), which can be linear or potentially nonlinear. 

    • Certainly, one’s driving skills in linear events are also important in nonlinear situations; 

    • however, the skills in the former situation (linear driving event) do not necessarily account for all that is needed in the latter (nonlinear driving event). 

    • One can successfully drive with drowsiness, a blaring radio, and/or a loud conversation when there is no traffic; 

    • it is far more difficult to successfully navigate under these circumstances in a traffic jam.



함의

Implications


우리는 교육과 평가가 조우( encounter)를 통한 단일 최적 경로에만 초점을 두기보다는, 조우( encounter)의 "경계" 및 수용 가능한 수행 범위를 비롯하여, 맥락에 더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We would argue that education and assessment should focus less on the single best route through an encounter and focus more on the context as well as the “boundaries” or range of acceptable performance in an encounter.


심리측정, 정보처리, 행동주의 관점과 달리, 정답에 대한 유일한 "진실"이나 정확한 경로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하게 수용가능한 경로가 다수 있는 경우도 있다. 전문지식expertise을 정의하는 것은 일련의 경계 조건 내의 성과다.

In contrast to psychometric, information processing, and behaviorist perspectives, there is not one “true” or correct path to the answer; there are often multiple, equally acceptable paths. What defines expertise is performance within a set of boundary conditions.


이것이 학습에 대해 가지는 함의는 맥락과 구성 요소에 대한 것이다. 이것의 예로는 자기 조절 학습 이론이 있다. SRL에는 task에 종사하기 전에 수행된 활동, task를 수행하는 동안의 활동, 그리고 task 진행 중 또는 종료 후의 성찰을 포괄하는 3중 루프가 있다. 이 세 가지 영역의 특정 활동은 환경 및 참여자를 포함하는 활동의 맥락에 따라 달라진다.

Implications for learning entail focusing on the context and component parts. An example of this is self-regulated learning theory, a triadic, reciprocal loop that encompasses activities undertaken before engaging in a task, activities while engaging in a task, and reflection during or after engaging in a task. The specific activities in these three domains are dependent on the context of the activity, which includes the environment and the participants.


또 다른 교육적 함의는 참가자와 환경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의 모델은 팀워크, 학제간 교육, 그리고 환자의 관점을 훨씬 더 강조할 것이다. 그러한 접근방식은 또한 진단 내용 또는 "스크립트" 이외의 정보가 선악의 의사결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강조한다.

Further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is model include focusing more on the participants and the environment. Our model would place a much greater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eamwork, interdisciplinary education, and the patient’s perspective. Such an approach also stresses how information other than the content or “script” of the diagnosis can affect decision making for good or ill.


또한 비선형성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다행히도, 그러한 모델들이 존재하고, 25 그리고 의학의 모델과 유사한 상황에서, 이 비선형적 모델들은 선형적인 방법보다 관심 결과의 분산을 더 많이 설명한다.2.2 질적 방법과 혼합된 방법mixed method은 특히 비선형성의 존재를 조명할 수 있으며, 우리가 제시하는 프레임워크에 대한 정보를 주고, 그것을 더 revise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실제로 혼합 방법론mixed method은 아마도 우리의 이론적 프레임워크가 actual practice을 반영한다는 것을 시험하거나 증명하는 최선의 방법을 나타낸다.

Challenges to the model include the potential for nonlinearity. Fortunately, such models exist,25 and in situations similar to those of medicine, these models explain more of the variance in the outcome of interest than do linear methods.25 Qualitative methods and mixed methods can be particularly illuminating of the existence of nonlinearity and could be used to inform/revise the framework we present. Indeed, mixed methodology probably represents the best way to test or demonstrate that our theoretical framework reflects actual practice.


마지막 비유로, 스트라이크를 일관되게 던질 수 있지만( 스트라이크 존이 경계를 나타냄) 모든 공을 정확히 같은 위치에 던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또는 가능하지도 않다). 우리는 그러한 관점이 많은 변수가 상호작용을 할 수 있고, 종종 상호작용을 하는 자연주의적 환경(예: 임상적 만남)에 특히 도움이 된다고 믿는다. 그러한 설정에서 임상에 있어서 static behavior만을 예측하거나 관찰하는 것(행동주의 및 심리측정적 관점), 또는 환경이나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않고 의사의 마음에서 일어나는 일을 이해한다는 것(정보 처리 이론)은 그다지 성과가 없을 가능성이 높다.

As a final metaphor, take a major league baseball player who can consistently throw strikes (the strike zone represents the boundaries) but for whom throwing the ball in exactly the same location from one pitch to the next is not desirable (or possible). We believe such a perspective is particularly helpful in naturalistic settings (such as the clinical encounter), where so many variables can, and often do, interact. In such settings, predicting or observing for a static behavior (behaviorist and psychometric theoretical perspectives) or for understanding what is going on in a physician’s mind without taking into account the environment or interactions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is likely to be not very fruitful.


24 Durning SJ, Artino AR, Boulet JR, Dorrance K, van der Vleuten C, Schuwirth L. The impact of selected contextual factors on experts’ clinical reasoning performance (does context impact clinical reasoning performance in experts?).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2;17:65–79.







 2013 Apr;88(4):442-8. doi: 10.1097/ACM.0b013e3182851b5b.

Clarifying assumptions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and assessment of clinical reasoning.

Author information

1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Bethesda, Maryland 20814, USA. steven.durning@usuhs.edu

Abstract

Deciding on a diagnosis and treatment is essential to the practice of medicine. Developing competence in these clinical reasoning processes, commonly referred to as diagnostic and therapeutic reasoning, respectively, is required for physician success. Clinical reasoning has been a topic of research for several decades, and much has been learned. However, there still exists no clear consensus regarding what clinicalreasoning entails, let alone how it might best be taught, how it should be assessed, and the research and practice implications therein.In this article, the authors first discuss two contrasting epistemological views of clinical reasoning and related conceptual frameworks. They then outline four different theoretical frameworks held by medical educators that the authors believe guide educators' views on the topic, knowingly or not. Within each theoretical framework, the authors begin with a definition of clinical reasoning (from that viewpoint) and then discuss learning, assessment, and research implications. The authors believe these epistemologies and four theoretical frameworks also apply to other concepts (or "competencies") in medical education.The authors also maintain that clinical reasoning encompasses the mental processes and behaviors that are shared (or evolve) between the patient, physician, and the environment (i.e., practice setting). Clinicalreasoning thus incorporates components of all three factors (patient, physician, environment). The authors conclude by outlining practical implications and potential future areas for research.

PMID:
 
23425980
 
DOI:
 
10.1097/ACM.0b013e3182851b5b


학부 임상맥락에서 전-시험 학습효과의 모델의 작동(BMC Med Educ, 2012)

A model of the pre-assessment learning effects of assessment is operational in an undergraduate clinical context

Francois J Cilliers1*, Lambert WT Schuwirth2 and Cees PM van der Vleuten3




배경

Background


평가와 학습에 관한 문헌은 많지만, "배움을 위한 평가" 노력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는 만족스러운 이론이나 모델은 현재 없다.

While there is much literature relating assessment and learning, there is currently no satisfactory theory or model offering support to the “assessment for learning” endeavour.


평가 전(예: 연구 행동), 평가 중(예: 포트폴리오, 시험 효과) 및 평가 후(예: 피드백) 각각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 전, 순수 및 사후 학습 효과 사이에 차이가 있다.

A distinction is drawn between pre-, pure and post-assessment learning effects that respectively impact learning before (e.g., study behaviour), during (e.g., portfolios, testing effect) and after (e.g., feedback) assessment.


평가가 학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설명하는 검증된 모델(설명보다는)을 통해 학습을 위한 평가의 설계 및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A validated model explaining (rather than describing) how assessment influences learning could benefit the design of, and research into, assessment for learning.


종합평가는 학습에 큰 영향을 미친다. 우리는 최근 종합 평가의 사전 평가 학습 효과를 설명하는 모델을 제안했다[11]. (그림 1)

summative assessment strongly influences learning. We recently proposed a model explaining the preassessment learning effects of summative assessment [11]. (Figure 1)


효과는 영향 평가, 대응 평가, 인지 기관 및 대인 관계 요인을 포함하는 메커니즘에 의해 매개된다. 따라서, 학생들은 다가오는 평가 이벤트를 고려할 때, 평가가 자신들에게 영향을 미칠 가능성(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과 그 영향의 크기가 얼마나 될 가능성이 있는지를 고려할 수 있다. 그들은 원하는 결과를 가져올 때 주어진 학습 응답의 효과, 그 학습 응답의 비용 및 원하는 결과 또는 가능한 결과가 그들의 가치와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고려할 수 있다. 특정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능력에 대한 그들의 인식은 또한 그들의 학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이는 강사나 동료 학생들과 같은 재학생들의 의견에 대한 그들의 인식과 그러한 인식에 따르려는 동기 부여가 그러할 것이다.

effects are mediated by a mechanism that involves impact appraisal, response appraisal, perceived agency and interpersonal factors. Thus, when contemplating an upcoming assessment event, students may consider the likelihood that assessment will impact them (positively or negatively) and what the magnitude of that impact is likely to be. They may consider the efficacy of any given learning response in bringing about a desired outcome, the costs of that learning response and how the desired or likely outcome relates to their values. Their perceptions of their ability to bring about a particular outcome may also influence their learning, as may their perceptions of the opinions of referents like lecturers and fellow students and their motivation to comply with those perceptions.


Additional File 1: Additional material_Illustrative quotes. pdf for more extensive information on the model.


양적 접근보다는 질적 접근도 적절해 보였다. 전통적인 양적 수단을 사용하여 검증을 시도하기에는 너무 많은 변수와 관계가 있다. 맥스웰[15,16]은 질적 연구가 인과 과정과 이해에서 맥락과 정신 과정의 필수적인 역할을 고려하는 데 적합하다고 주장한다. 그는 또한 인과관계를 이해하는 서비스에서 실험을 사용하기 위한 전제조건에는 결과에 대한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잘 발달된 이론과 "임시적이고 상황적인 변동성"이 없는 조작 가능하고 상당히 간단한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고 주장한다[16]. 모델의 아직 잠정적 특성, 모델의 복잡성, 그리고 모델에서 관계의 시간적 및 상황적 가변성을 고려하여, 우리는 모델 개발에서 이 단계에서 정성적 접근법을 선택했다.

A qualitative rather than a quantitative approach also seemed appropriate. There are too many variables and relationships to attempt validation using traditional quantitative means. Maxwell [15,16] argues that qualitative research is well suited to taking account of the integral role of context and mental processes in causal processes and understanding. He further argues that prerequisites for the use of experiments in service of understanding causality include well-developed theory that allows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and a manipulable, fairly simple process free from “temporal and contextual variability” [16]. Given the as yet tentative nature of the model, its complexity and the temporal and contextual variability of the relationships in the model, we opted for a qualitative approach at this stage in the development of the model.



방법

Methods


맥락

Context


Respondents were South African medical students. Most students at this medical school enrolled directly after secondary school.


자료수집 및 분석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Data was collected by conducting in-depth, unstructured, face-to-face interviews with individual medical students. Respondents determined the venue for and language (Afrikaans or English) in which interviews were conducted. Each interview lasted about 90 min, was audiorecorded and transcribed in full. Each respondent was interviewed once. All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the same author, an educational adviser fluent in English and Afrikaans, with medical and educational qualifications and training in qualitative interviewing. He worked in the faculty but had little day-to-day interaction with students.


Interviews first explored how respondents learned and how they had been assessed across the course of their studies and then how they adapted their learning in response to assessment. The influence of assessment on learning in a theory teaching context was explored first, then that in a clinical teaching context. Interviews were not structured beyond addressing these three issues in these two contexts. Furthermore, in keeping with the grounded theory design of the study, later interviews were informed and influenced by preliminary data analysis of earlier interviews.


Respondents were asked throughout to provide concrete examples to illustrate how assessment influenced their learning. The influence of assessment on learning was thus explored in various and different contexts and across time, although data was collected at one time point. The dataset comprised over 700 pages of transcriptions.


Previously, an inductive analysis of the dataset was undertaken, utilizing the principles of grounded theory(for details, see [11,17]). This initial analysis drew only on those portions of the interviews relating to assessment in theoretical modules and yielded the model described earlier (Figure 1).


Thirty-two students volunteered for interviews.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first 18 students who volunteered (Table 1). The remaining volunteers were thanked but not interviewed. This decision was taken when no new data emerged after interview 14,





결과

Results


결과 개요

An overview of findings


평가 요소와 학습 효과

Assessment factors and learning effects


The relationships between assessment factors and learning effects are summarized in Table 2



기전

Mechanism




모델에 새롭게 등장한 하위요소

A new subcomponent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the model


The type of model component will be indicated as follows: 

  • 평가요인 AF = assessment factor; 

  • 기전요인 MF = mechanism factor; 

  • 학습효과 LE = learning effect.


규칙적 책무성

Regular accountability


응답자들은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환자에 대한 질문에 답해야 하는 결과(MF: 영향 가능성)가 지속적으로 임박했기 때문에(AF: Imminence) 임상 실습 모듈의 시작부터 매일의 노력을 학습(LE: 노력의 분배)에 할당하였다.

Respondents allocated daily effort to learning (LE: allocation of effort) from the start(LE:distribution of effort) of a clinical practice module because consequences (MF: impact likelihood) were constantly imminent (AF: imminence), as they presented information on and had to answer questions about patients.


응답자들의 학습은 더 멀리 떨어진 학업적 결과(예: 마크나 진행에 미치는 영향 또는 우수한 임상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궁극적인 능력)보다 병동 라운드에 정기적으로 노출되는 동안 발생하는 즉각적이고 구체적인 결과(AF: 임미넌스, MF: 영향 가능성)에 더 많은 영향을 받았다. 이는 주기적인 "빈지-러닝"을 유도하는 이론 모듈보다, 정기적이고 균일하게 분포된 "스낵-러닝"(LE: 노력 분포, LE: 노력의 양)을 유도했다.

Respondents’ learning was influenced more by the immediate and concrete consequences (AF: imminence; MF: impact likelihood) that accrued during regular exposure on ward rounds (AF: pattern of scheduling) than by more distant academic consequences e.g., impact on marks or progression, or ultimate ability to deliver good clinical care. This elicited more regular and evenly distributed “snack-learning” (LE: distribution of effort; LE: quantity of effort) by respondents than did the more periodic assessments on theoretical modules that induced periodic “binge-learning”.



자기에게 미치는 영향

Personal consequences


병동 회진에서 질문을 받았을 때 만족스러운 답을 제공하지 못할 경우 심각한 부정적인 개인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충격 크기(MF)의 평가도 응답자의 학습에 영향을 미쳤다(요약 7 참조).

Appraisal of impact magnitude (MF) also influenced respondents’ learning, given that not being able to provide satisfactory inputs when asked on ward rounds could result in profoundly negative personal consequences (see also Quote 7).


임상적 맥락에서 응답 효과성의 평가(MF)는 종종 평가-관련 성과 목표(즉 접근 목표)보다는,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결과(즉, 회피 목표)를 회피함으로써 자기 목표를 해결하는 것과 더 관련이 있다. 이것은 "내가 이렇게 하면, 내일 나를 '안전하게' 해줄까"의 경우보다 "내가 이렇게 하면, 내가 합격하는 데 도움이 될까"의 경우였다. 부담은 평가와 관련되어있기보다는 개인적인 것이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부담이었다.

Appraisal of response efficacy (MF) in the clinical context often related more to addressing self goals e.g., preserving esteem, through avoidance of negative intrapersonal consequences (i.e., avoidance goals) than to addressing assessment-related performance goals (i.e., approach goals). It was more a case of “If I do this, will it keep me ‘safe’ on the ward round tomorrow” than of “If I do this, will it help me pass (well)”. The stakes are personal rather than assessment related, but nonetheless high.


개인적인 결과personal consequence가 두드러지게 나타난 것은 다른 영향력의 원천이 부족해서가 아니었다. 학생들은 모듈 및 학년을 통과하기 위해 연속적이고 졸업 평가를 위해 만족스러운 점수를 얻어야 했다.

The prominence of personal consequences was not due to the lack of other sources of influence. Students had to achieve satisfactory marks for continuous and for exit assessment to pass the module and the year.


감정

Emotional valence


학습 환경의 정서적 밸런스(valence)는 개인적 결과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으나, 조금은 구별되어 있었고, preceptor들에 의해 발생되었다. 두 가지 극단은 학생들이 여기서 "폭군"와 "테디베어"라고 preceptor를 특징짓는 것에서 구별될 수 있었다.

The emotional valence of the learning environment was closely linked to, but distinct from, personal consequences and was generated by preceptors. Two extremes were discernable from characterizations by respondents of preceptors, called here “tyrants” and “teddy bears”.


폭군으로 특징지어지는 preceptor를 만나면, 배움은 자기 방어적 메커니즘이었으며, 성과 회피 목표 지향에 의해 추진되었다. 충격 가능성(MF)과 충격 크기(MF)의 평가 결과, 병동 라운드에 대한 질책을 피하기 위한 노력(LE: 노력의 할당)이 할당되었다(참고문 4 참조). 응답효과의 평가(MF)는 응답자가 "모든 것"(즉, 해당 병동 라운드의 "안전"에 필요한 모든 것)을 알고 병동 라운드로 와야 한다는 결론을 내리도록 유도하여, 학습에 여분의 노력(LE: 노력의 양)을 할당하였다. 

For preceptors characterized as tyrants, learning was a self-defence mechanism, driven by a performance avoid goal orientation. Appraisal of impact likelihood (MF) and impact magnitude (MF) resulted in effort being allocated (LE: allocation of effort) with a view to avoiding censure on ward rounds (see also Quote 4). Appraisal of response efficacy (MF) led respondents to conclude that they had to come to a ward round knowing “everything” (i.e., everything necessary to “stay safe” on that ward round), so they allocated extra effort (LE: quantity of effort) to learning. 


학생들은 인계student grapevine에 따라서(AF) preceptor가 듣고자 하는 내용을 기준으로 학습할 내용(LE: 콘텐츠 선택)을 선택했다. 컨설턴트의 분노를 피하는 것(MF: 영향 크기)은 좋은 임상의사가 되는 장기 목표와 무관하다고 인식되는 자료조차 학습하는 데 단기 효용(MF: 대응 가치)을 부여했다. 학습자료는 정신 모델(LE: 인지 처리 활동의 성질)에 편입되지 않고 단기 기억력에 전념한 다음, 병동 라운드가 끝나면 민첩하게 잊혀졌다. 

They selected content to learn (LE: choice of content) based on what the student grapevine (AF) indicated was what the preceptor wanted to hear. Avoiding the wrath of the consultant (MF: impact magnitude) gave short-term utility (MF: response value) to learning even material that was perceived as irrelevant to respondents’ longer-term goals of becoming good generalist clinicians. Material was committed to short-term memory, rather than being incorporated into mental models (LE: nature of cognitive processing activities), and then forgotten with alacrity once the ward round was over.


게다가 일단 병동 라운드가 끝나면 학습 의욕도 소멸되고, 더 이상의 보강(LE: 노력의 분배; 감시 & 조정)도 일어나지 않았다. 응답자들은 그들이 이미 알아야 할 것을 알지 못한다는 이유로 조롱당하거나 공격당할까봐 질문을 하지 않을 것이다.

 Furthermore, once the ward round was over, the motivation to learn dissipated, and no further reinforcement (LE: distribution of effort; monitoring & adjustment) took place. Respondents would not ask questions for fear of being ridiculed or attacked (MF: impact magnitude) for not knowing something they should already know.



테디베어로 특징지어지는 프리셉터의 경우, 응답가치의 평가(MF)가 더욱 두드러지게 특징지어졌다. 노력은 "당신의 일을 하는 것doing your bit"으로 보이도록 할당되었다.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관련되었다고 볼 수 있는 것, 그리고 관심있는 자료를 학습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LE: 콘텐츠 선택).

For preceptors characterized as teddy bears, appraisal of response value (MF) featured more prominently. Effort was allocated (LE) so as to be seen to be “doing your bit”. Respondents were more likely to learn material of general relevance and of interest to themselves (LE: choice of content).


학습은 mastery approach 지향에 의해 추진되었으며, 자기조절적 강화는 병동 라운드 이후에 이루어진다(LE: 노력의 분배; 조정). 게다가, 감시와 응답자들은 테디베어를 자원으로 인식했다.

Learning was driven by a mastery approach goal orientation, with self-regulated reinforcement of learning taking place after the ward round (LE: distribution of effort; adjustment). Furthermore, monitoring & respondents perceived teddy bears to be resources.


그들은 아무것도 모른다면 병동 라운드의 테디베어에게 물어보고 배울 수 있을 것이라고 느꼈다. 그렇다고 해서 테디베어가 큰 기대를 하지 않았다는 뜻은 아니다. 그들은 그렇게 했다 (제6항 참조). 그러나 그들이 만든 학습 환경은 매우 달랐다.

They felt that if they did not know something, they could ask teddy bears on ward rounds (LE: choice of resources) and learn from them. This is not to say that teddy bears did not have high expectations. They did (see Quote 6). The learning environment they created was very different, however.



고찰

Discussion


우리는 또한 이러한 결과가 실험 조작이 없는 응답자들의 생생한 경험에서 도출된 생태학적 타당성[19]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

We also believe that these results have ecological validity [19], being derived from the lived experiences of respondents with no experimental manipulation.


우리의 결과는 모델이 엄격한 총괄평가 맥락의 바깥에서 작동한다는 것을 추가로 증명한다. 총괄 평가는 여기서 학습을 추진하는 핵심 구성 요소는 아니지만, 이 모델은 현재 일어나고 있는 상황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평가에 대한 성과에 따르는 결과consequence가 일차적인 고려사항은 아니었지만, 이곳의 조건은 분명히 "결과적consequential"이었다[6]. 따라서 이 모델은 결과적 평가consequential assessment의 사전 평가 학습 효과 중 하나로 더 잘 개념화된다.

Our results further demonstrate that the model is operational outside of a strictly summative assessment context. Summative assessment is not the key construct driving learning here, yet the model offers an explanation of what is happening. Conditions here were clearly “consequential” [6] even though consequences for performance on assessment were not the primary consideration. This model is thus perhaps better conceptualized as one of the preassessment learning effects of consequential assessment.


Preceptor의 역할은 뜻밖의 발견이었다. 슬프게도, 우리의 응답자들이 "폭군" 지도자를 특징짓는 것은 다른 유사한 발견들을 뒷받침한다. 지도자와의 불쾌한 상호 작용은 [20] 스타일이나 교육자 전문성[21]의 문제로 다양하게 특징지어졌으며 무례한 상호 작용, 경시, 굴욕, 괴롭힘, 학대를 수반한다[22-27].

The role of preceptors was an unexpected finding. Sadly, our respondents’ characterization of “tyrant” preceptors supports other similar findings. Adverse interactions with preceptors have variously been characterized as an issue of style [20] or educator professionalism[21] and as involving disrespectful interactions, belittlement, humiliation, bullying, harassment and abuse [22-27].


우리의 결과는 "배움을 위한 평가"의 설계에 대한 실무자들을 위한 지침을 제공한다. [높은 기대]와 [제한된 개인적 결과]로 특징지어지는 [지원적이고 낮은 위험의 학습 환경]은 더 깊은 인지 처리 활동을 낳았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높은 기대]와 [부정적인 개인적 결과]로 특징지어지는 [부정적, 고위험 환경]은 피상적 인지 처리 전략과 저관여(예: 질문 없음)를 초래했다. 학습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평가가 결과적이어야 하며 추상적이고 사소한 것이 아니라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결과를 낳아야 한다. 평가를 총괄평가화 하는 것은 평가를 결과적인consequential 것으로 만드는 한 방법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개인적 부담(존중 또는 주체성)에 영향을 주는 것 또는 감정에 영향을 주는 것은 또한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학습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다. 즉각적인 결과도 역시 중요한데, 즉각적인 결과consequence가 지연된 결과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Our results yield some guidance for practitioners about the design of “assessment for learning”. A supportive, lowrisk learning environment characterized by high expectations and limited personal consequences resulted in deeper cognitive processing activities. In contrast, a negative, high-risk environment characterized by high expectations and negative personal consequences resulted in surface cognitive processing strategies and low engagement e.g., no question asking. To influence learning, assessment should be consequential and yield consequences that are concrete and substantial rather than abstract and trivial. Making assessment summative is one way of making assessment consequential. However, influencing personal stakes e.g., for esteem or agency and influencing emotion can also elicit (positive and negative) learning responses. Imminence of consequences is also important, with immediate consequences having a stronger influence than more deferred consequences.


이 연구가 제기하는 한 가지 의문점은 어떻게 하면 학생들을 끊임없는 요구로 소진시키지 않고, 평가를 통해 학습 노력의 균등한 분배를 유도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응답자들이 이론 모듈[11]의 평가에 어떻게 반응했는지를 고려할 때, 임상 실습 모듈의 [정기적인 책임감]이 학생들의 전반적인 학습 패턴을 결정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했고, 후속 이론 모듈에서의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이 분명하다. 이론 모듈에서, 응답자들은 모듈의 초반에는 놀다가, 후반부에 목숨을 걸고 "따라잡는다"고 설명했다. 임상 실습 모듈에서는 학습이 그렇게 열외로 취급될 길이 없었다.

One question this work raises is how to induce even distribution of learning effort with assessment without burning students out with unrelenting demands. Considered together with how respondents reacted to assessment in theoretical modules [11], it seems evident that regular accountability in clinical practice modules played a central role in determining students’ overall learning pattern and had a negative knock-on effect on learning in subsequent theoretical modules. In theoretical modules, respondents described taking time off at the start of a module to “catch up” with the rest of their lives. In clinical practice modules, there was no indication that learning could be side-lined like that.


인터뷰에서는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임상 세팅에서의 요구가 그렇게 광범위하게 분산되어있고, 연속적이있었기 때문에, 응답자가 비학업적 측면에 시간을 할애할 기회가 거의 없었을거라 추측할 수 있다. 그 결과 학생들은 임상 세팅이 끝나고 이론 모듈을 시작했을 때 지쳤을 것이며, 잠시 쉬어도 괜찮은 타이밍이 되자, 학생들은 공부를 쉬게 되었다. 물론 그렇게 하는 데 드는 '비용'은 임상 실습 모듈보다 이론적으로 덜 즉각적이었으며, likelihood of impact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응답자들은 이론 모듈에서 시험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결국 더 높은 학습량의 형태의 '시간차 영향'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그러나 이러한 "시간차deferred" 비용조차 학생들에게는, 그 시간 동안 그들이 삶의 다른 측면에 시간과 관심을 쏟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기 때문에 감당할 만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Although not vocalized in interviews, it is tempting to speculate that the demands of the clinical setting were so pervasive and continuous that respondents had little opportunity to take time off to spend on non-academic aspects of their lives; that they were exhausted when they started the next theoretical module, and, being able to do so, took time off from their studies. The costs of doing so were less immediate in theoretical than in clinical practice modules, as was the likelihood of impact. Respondents did realize, though, that there was a deferred impact in the form of a higher workload in the run-up to assessment in theoretical modules. This “deferred” cost was deemed worthwhile, however, for the opportunity to devote time and attention to other aspects of their lives.



Conclusion








 2012 Mar 16;12:9. doi: 10.1186/1472-6920-12-9.

model of the pre-assessment learning effects of assessment is operational in an undergraduateclinical context.

Author information

1
Centre for Teaching and Learning, Stellenbosch University, Matieland 7602, South Africa. fjc@sun.ac.za

Abstract

BACKGROUND:

No validated model exists to explain the learning effects of assessment, a problem when designing and researching assessment for learning. We recently developed a model explaining the pre-assessment learning effects of summative assessment in a theory teaching context. The challenge now is to validate this mode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the model was operational in a clinical context as a first step in this process.

METHODS:

Given the complexity of the model, we adopted a qualitative approach.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een medical students were subject to content analysis. We utilised a code book developed previously using grounded theory. During analysis, we remained alert to data that might not conform to the coding framework and open to the possibility of deploying inductive coding. Ethical clearance and informed consent were obtained.

RESULTS:

The three components of the model i.e., assessment factors, mechanism factors and learning effects were all evident in the clinical context. Associations between these components could all be explained by the model. Interaction with preceptors was identified as a new subcomponent of assessment factors. The model could explain the interrelationships of the three facets of this subcomponent i.e., regular accountability, personal consequences and emotional valence of the learning environment, with previously described components of the model.

CONCLUSIONS:

The model could be utilized to analyse and explain observations in an assessment context different to that from which it was derived. In the clinical setting, the (negative) influence of preceptors on student learning was particularly prominent. In this setting, learningeffects resulted not only from the high-stakes nature of summative assessment but also from personal stakes, e.g. for esteem and agency. The results suggest that to influence student learning, consequences should accrue from assessment that are immediate, concrete and substantial. The model could have utility as a planning or diagnostic tool in practice and research settings.

PMID:
 
22420839
 
PMCID:
 
PMC3375194
 
DOI:
 
10.1186/1472-6920-12-9
[Indexed for MEDLINE] 
Free PMC Article


역량, 웰니스, 참여의 교차점에서의 충돌(Med Educ, 2019)

Collisions at the intersections of competence, wellness and engagement

Abigail Ford Winkel1 & Helen K Morgan2




헬리콥터 부모들은 의미 있고, 사랑스럽고, 성취 지향적인 부모로 대중 문학에 묘사되어 왔는데, 이 부모들의 '지나친 관여 수준, 통제력, 문제 해결'은 결국 아이의 성장, 자율성, 지배력을 억제한다.1 그런데 우리 medical educator도 미래의 의사를 황폐한 training 환경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하려는 본능이 있어서, 이것이 연습생들을 적절하게 준비시지 못하는 유사성을 가질 수 있다. 그 보호적 충동은 이해할 수 있다: 의사의 증가하는 기진맥진 및 정신 건강 문제에 관한 믿을 수 없는 통계는 이러한 조건들이 환자뿐만 아니라 그들의 간병인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경고와 함께 온다.2,3

Helicopter parents have been described in popular literature as well-meaning, loving, achievement-oriented parents, whose ‘excessive levels of involvement, control, and problem solving’ ultimately backfire, inhibiting the child’s own growth, autonomy and mastery.1We can draw a parallel with medical educators, whose instincts to protect future doctors from the effects of a caustic training environment may undermine efforts to adequately prepare trainees. The protective impulse is understandable: staggering statistics about rising burnout and mental health problems in physicians come with warnings that these conditions have negative impacts on patients, as well as their caregivers.2,3


그러나, 의료를 실천실천한다는 것은 불가피하게 도전적일 수 밖에 없다. 의사의 일이 쉽게 보여서 이 분야에 발을 들여놓은 사람은 아무도 없다.

By contrast, the work of practising medicine is unavoidably challenging. No one enters the field of medicine because it looks easy.


Trainee에게 있어서 회복탄력성의 성장은 전문직 정체성과 연관되며, 장애물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역량이 발달한다는 근거들이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헬리콥터 교육자'가 되고 있지는 않은가?

Resilience grows in some trainees as they connect to their professional identity and see evidence of their own developing competence through their navigation of obstacles.5 Are we becoming ‘helicopter educators’?


'밤의 죽음에서 일하는 것: 퇴근 후 업무로의 전환 탐구'에 따르면...

‘Working in the Dead of Night: Exploring the Transition to After-Hours Duty’,6 Walzak et al.


  • 학생들은 잠을 자고 자신을 돌보도록 격려받으면서도 진정한 engagement를 갈망하고 있으며, 레지던트는 날이 밝아 supervision이 가능해질 때까지 감독이 없는 상태에서 복잡한 임상 상황을 가까스로 헤쳐나가며 일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 이러한 당직은 레지던트들이 낮까지 그저 자신과 환자들을 살려두려고만 하는, [학습이 없는 영역]이 되어 환자들을 돌보는 데 필요한 일을 중심으로 배울 기회를 잃게 된다.

  • Students long for authentic engagement even as they are encouraged to sleep and care for themselves, and residents describe working through complex clinical situations without the supervision that would be available by the light of day. 

  • The work becomes a territory devoid of learning in which residents just try to keep themselves and their patients alive until daytime, losing the opportunities to learn around the work required to care for patients.


멘델존 외.7은 적합치 및 정량적 조사 도구를 사용하여 근무 시간, 수면 및 웰빙 사이의 상관 관계를 탐구했다. 이 연구는 더 나은 휴식과 더 활동적인 의사들이 더 나은 성과를 내고 더 나은 느낌을 줄 것이라고 생각했던 작가들을 놀라게 하는 결과를 낳았다. 그러나 잠을 적게 잔 레지던트가 exhaustion 척도에서는 더 높은 점수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overall burnout 상태와 관련이 없다.

Mendelsohn et al.7 explored the correlation between work hours, sleep and well-being, using a Fitbit and quantitative survey instruments . The study yielded results that surprised its authors, who had thought that better rested and more active doctors would perform better andfeel better. However, although residents who slept fewer hours did score higher on measures of exhaustion, this did not correlate to overall burnout.


적절한 휴식이 반드시 필요하긴 하지만, 번아웃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작업을 더 적은 시간으로 압축하는 것이 아니라, quality of work experience를 살펴봐야 할 것이다. 이 중요한 논문은 복잡한 의사 웰빙 매트릭스에 빛을 비춘다: [역량 개발과 상호관계를 맺으려는 요구]는 [휴식을 취하고 직장을 벗어난 삶을 살려는 요구]와 균형을 이뤄야 한다.

Although adequate rest is certainly essential, addressing burnout will require looking at the quality of the work experience, not merely compressing the work into fewer hours. This important paper7 casts light on the complex matrix of physician wellness: the need to develop competence and make connections must be balanced with the need to rest and to engage with life outside work.


카네기 재단이 '의사 교육: 의과대학과 레지던트 개혁을 위한 요구' 보고서를 발표한 지 8년이 지났다.8 의학계는 의과대학과 레지던트 수준 모두에서 학습 성과의 정의에서 진전을 이루었지만, 여전히 학습자의 발달 요구에 초점을 맞춘 개별화/맞춤화된 접근방식은 요원하다.

It has been 8 years since the Carnegie Foundation released its report: ‘Educating Physicians: A Call for Reform of Medical School and Residency’.8 The medical community has made strides in the definition of learning outcomes at both the medical school and residency levels, but we are far from having an individualised approach that focuses on the developmental needs of learners.


학부교육과 졸업후교육의 연속체는 학생에서 의사로의 transition을 원활하게 만들어야 한다 –  극심한 긴장 상태와 아무런 긴장이 없는 상태 사이에는 중간지대가 있어야 한다.

The continuum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medical education must try to smooth the transition fromstudent to doctor – there must be a middle ground between extreme strain and no strain.


역량을 키우기 위해서는 진정한 참여가 필요하고, 회복탄력성을 키우려면 진정한 도전과제가 필요하다. 부모가 아이로 하여금 요리를 배우게 하려면 불 가까이 다가가도록 해야 한다. 비록 우리가 그들이 다치는 것을 결코 원하지는 않을지라도, 우리는 약간의 화상을 입는 것은 어떤 요리사에게도 통과 의례의 일부라는 것을 안다.

Growing competence requires real engagement, and developing resilience requires authentic challenges. As parents, we must let our children approach the fire if they are going to learn to cook. Although we would never want themhurt, we know that a few burned fingers are part of the rite of passage of any cook.


불필요한 긴장을 제거하는 것 - 예컨대, 번거로운 의무기록, 굳이 훈련이 없어도 되는 일들 - 은 우리 환자 치료에 더 긴요한 도전과 함께 건강한 참여를 지원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Eliminating sources of needless strain – a cumbersome medical record, work that does not require a physician’s training to perform– will go a long way towards supporting healthy engagement with the challenges germane to the care of our patients.



 2019 Mar;53(3):214-216. doi: 10.1111/medu.13797. Epub 2019 Jan 25.

Collisions at the intersections of competencewellness and engagement.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New York University Langone Health, New York, New York, USA.
2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Michigan, USA.
PMID:
 
30680788
 
DOI:
 
10.1111/medu.1379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