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의학의 문화에서 관계적 특성(Acad Med, 2009)

A Study of the Relational Aspects of the Culture of Academic Medicine

Linda Pololi, MBBS, MRCP, Peter Conrad, PhD, Sharon Knight, PhD, RN, and Phyllis Carr, MD






  • 의사-환자 관계에 관한 풍부한 문헌은 환자 치료와 임상 결과 향상을 위해 신뢰하는 관계가 중요하다는 증거를 제공합니다 .2-5 

  • 의학 교육에서 효과적인 관계 형성과 신뢰는 학습 촉진에 중추적 역할을하고 있으며, 학제 간 임상 파트너십 및 다 분야 협력연구에도 도움이 된다. 

  • 병원에서 긍정적 인 대인 관계는 간호사와 의사의 수행 능력 향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8,9 

  • 최근에는 관계 중심의 건강 관리relationship-centered health care가 간호의 질과 조직 성과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10-12 

  • A rich literature on relationships between physicians and patients provides evidence of the importance of trusting relationships for enhancing patient care and clinical outcomes.2–5 

  • In medical education, effective relationship formation and trust is pivotal in facilitating learning6,7 and is helpful for interdisciplinary clinical partnerships and multidisciplinary research collaboration. 

  • In hospitals,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ve been linked to enhanced nurse and physician performance.8,9 

  • More recently, relationship-centered health care has been linked to quality of car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10–12


AAMC의 Inui는

"AMC 안에서 여러 개인과 직책간의 다양한 관계가 중요하다. 이 관계는 우리 문화를 구현하고 우리가 고안하거나 구현할 전략 계획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 조직에서는 이러한 관계의 많은 부분이 본질적으로 위계적이다. 앞으로 나아갈 체계적인 변화가 있어야한다...[전문적인 가치와 행동 뿐만 아니라 의료조직의 변화를 보여주고 형성하는] 다른 주요 관계로는 동료 (임상, 연구, 교육) 등이 포함된다. "


 In a report to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AMC), Inui13 

“acknowledges the importance of the many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and positions in academic medical centers that embody our culture and affect any strategic plan we might devise or implement. In our organizations many of these relationships are hierarchical in nature and must be in play for any systematic change to go forward.... Other key relationships that may express and shape professional values and behaviors as well as medical organizational change include those among peers (clinical, research, education) and others.”


전체 연구 보고서는 여성의 발전과 학술 의학에 소외된 소수 민족 (URM) 교수진을 지원하기위한 문화 변화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이 보고서는 핵심 주제인 AHC 문화의 관계적 측면에 국한하엿다

Although the focus of our overall research project has been on culture change to support the advancement of women and underrepresented minority (URM) faculty in academic medicine, this report is restricted to a central emergent theme, the relational aspects of the culture of AHCs, as reflected in our interviews with faculty.


성, 문화 및 리더십에 대한 국가적 시도 (비공식적으로 C-change로 알려짐, 문화 - 변화의 약자) .28

National Initiative on Gender, Culture and Leadership in Medicine (informally known as C - Change, which is short for Culture-Change).28


방법

Method


다섯 학교의 여성과 URM교수의 비율은 전국 통계와 거의 비슷하였다.

Aggregate statistics regarding women and URM faculty in these schools were almost identical to national statistics. 

  • At the time of this study (2006–2007), nationally, 32%of medical faculty were women, and, in participating schools, 35%were women. 

  • Nationally, women made up 16%of full professors, and, in participating schools, 17%were women. 

  • Nationally, 7%of faculty were from URMgroups (3%African American/ black and 4%Hispanic), and, in participating schools, 6%were from URMgroups (2%African American/ Black and 4%Hispanic).



참가자 기준

Participant criteria


We used stratified purposeful sampling to capture variations of experience or perspective that may occur among individuals at different career stages.


교수를 네 군으로 구분

We invited 170 faculty members in four career stages to participate: 

    • (1) early career, that is, those who had been faculty members for two to five years, 

    • (2) “plateaued,” that is, those who had not advanced as expected in rank and responsibility and who had been faculty members for 10 or more years, 

    • (3) faculty in leadership roles such as deans, departmental chairs, and center directors (identified as “senior” in the quotations below), and 

    • (4) former faculty who had left academic medicine (“departed”). (Table 1).



자료 수집과 분석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 developed the guide through a pilot series of interviews. List 1 shows some of the questions.


    • We analyzed aggregated data by repeatedly reading masked interview transcripts to develop understanding and interpret meaning. 

    • After identifying and applying codes to the more than 4,000 pages of transcribed narrative data, we stored coded data using Atlas.ti software. 

    • Our analysis involved data reduction or condensation, from which we identified patterns and themes emergent in the coded data. 

    • We used an inductive and data-driven analysis process, in line with grounded theory.30,31 

    • To verify our conclusions, we returned to the transcripts, reevaluating the findings by review among the four coauthors to develop intersubjective consensus.



결과

Results


표본 선택

Sample selection


  • A total of 96 faculty participated, for an acceptance rate of 56%

  • Fifteen percent (16) of interviews were in person, and the remainder (80) were by telephone. 

  • It was more difficult to identify male “plateau” faculty than similar-stage women faculty members.
    Overall, those in leadership were more likely to agree to participate, and
    we found it most difficult to secure interviews with early-career faculty (Table 1).


문화의 관계적 측면

Relational aspects of the culture


문화의 관계 측면이 데이터의 중심 주제로 등장했으며, 상당한 성별 간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관계에 대한 의견은, 학제 간 협력에 대한 기관적 지원에 관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외하고는, 면접관이 이끌어 내기보다는 자발적으로 언급되는 경향이있었습니다. 상대적으로 동료들과 긍적적인 관계 특성을 기술한 여성과 남성은 상대적으로 소수였다. 동료들과의 긍정적 인 관계가 묘사되었을 때, 이러한 관계가 문화의 dysfunctional한 측면에 대한 중요한 보호 또는 완충 효과를 가정한다는 의미가 종종 있습니다. 한 고위 여성이 말했다.

Relational aspects of the culture emerged as a central theme in the data, with no appreciable gender differences noted. Quotes in different categories are from different respondents. Relational comments tended to be spontaneously mentioned rather than elicited by interviewers, except in responses to the question about institutional support of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Relatively few women and men described positive relational attributes with colleagues. Wher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ir colleagues were described, there was often a sense that these relationships assumed important protective or buffering effects against the dysfunctional aspects in the culture. A senior woman said,


다른 교수진은 또한 동료와의 친밀감이 문화의 부정적인 측면에 대해 어떻게 균형을 이루는 지에 대해 논평했다.

Other faculty also commented on how any closeness with a colleague would provide some counterbalance to the negative aspects of the culture.


응답자들은 특히 공동 연구자들을 소중하게 여겼습니다. 학술 의학을 떠난 한 고위 여성 과학자는 "한 팀처럼 느껴지는 내 연구 그룹을 제외하고는 소속감이 거의 느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Respondents particularly valued their research collaborators. A senior female scientist who had left academic medicine said, “I felt very little of a sense of belonging except to my own research group, which felt like a teamwith a wonderful mix of people.”


학습자, 환자와의 긍정적 관계

Positive relationships with learners and patients


많은 교수진이 학생들과 레지던트, 환자와 긍정적이고 가치있는 관계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남성과 여성 교수는 특히 훈련중인 의사와의 상호 작용에 보람을 느꼈습니다.

Numerous faculty spoke of positive and valued relationships with students and residents, and with patients. Male and female faculty found particularly rewarding their interactions with physicians-in-training,


또한 교수들에게 무엇이 힘을 주냐고 물었을 때 환자들과의 관계에 대해서 언급했다.

Faculty also referred to their relationships with patients when we asked about what energized themin their work.


협력

Collaboration


일부 응답자는 몇몇 동료와의 협력에 대해 설명했으며, 이는 환경, 연구, 교육을 향상시키는 매우 긍정적인 활동으로 여겨졌다.

Some respondents described collaboration with a few colleagues where it was seen as a very positive activity that enhances the environment, research, and education:


관계의 딜레마

Dilemmas in relationships


단절. 대조적으로, 많은 교수들은 고립 된 느낌, 지지적인 관계의 부족을 언급했습니다. [동료 간의 관계 형성]보다는 [개인적인 단절과 분리]를 말했다. 응답자들은 규범과 구조가 관계를 존중하거나 지지하지 않으며, 관계의 형성을 촉진하는 환경이 아니라고 인식했습니다. 이 주제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분명했으며 모든 경력 단계에서 교수진에 의해 표현되었습니다.

Disconnection. In contrast, many faculty members described feeling isolated and lacked supportive relationships. Narratives documented personal disconnection and separation rather than relationship formation among colleagues. Respondents perceived that the environmental norms and structures did not value or support relationships and did not facilitate their formation. The troubling relational themes that emerged in the data were evident for both men and women and were expressed by faculty in all career stages.


우리는 초기 또는 중기 단계 교수들에게서 이 주제를 들었지만, 리더 위치의 사람들도 동료들과의 단절에 대해 논평했습니다. 많은 교수들이 리더들이 멀리 떨어져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We heard these themes from many faculty in early or midcareer stages, but those in leadership also commented on their disconnection with colleagues. A number of faculty commented that leaders felt distant from them.


경쟁적인 개인주의. 인터뷰 대상자들은 보상이 일반적으로 개별 기여자에게 부여되는 강렬한 개인주의 및 경쟁적 환경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응답자들은 개인과 기관이 자기자신의 이익을 위하는 경향이 있다고 인식했습니다. 한편, 과학적 진보와 성취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스가 많고 경쟁적인 환경이 필요하다는 것도 인정하였다. 고위 남성 교수는 "

Competitive individualism. Interviewees described an intensely individualistic and competitive environment where rewards are usually accorded to individual contributions. Respondents perceived that individuals and institutions tend to function on behalf of their own self- interests. It was accepted that a stressful, competitive environment is necessary to promote scientific progress and achievement. A senior male faculty said,


여러 교수들이 개인적인 자기 홍보self-promotion을 불쾌하게 여겼다.

A number of faculty found individual self-promotion distasteful.


그녀의 상사는 "Brag는 꼭 해야해요."라고 말했습니다. 그것은 우리 문화의 특성이 아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에게 매우 어렵습니다.

She [her supervisor] said “you have to brag, you really do.” And that’s very difficult for many people because it’s not the nature of some of our cultures,



개인을 과대포장해야 한다는 기대도 종종 표현되었으며, 이는 경쟁 환경의 또 다른 결과 일 수 있습니다. 이 문화는 종종 교수에 다른 악영향을 미치기도합니다. 대학의학에서의 사다리 오르기 경쟁이 더 심화된 것은 (이전에는 분명하지 않았던) 공격적이고, 이기적이고, 비협조적인 행동을 하는 교수들과 관련이있었습니다. 많은 교수들은 이러한 환경이 동료와 자신 모두의 시각과 행동에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대학의학을 떠난 고위 여성이 지적했다.

The expectation of personal overextension was often expressed and may be another result of the competitive environment. The culture described by respondents was often linked to having other adverse effects on faculty. The competitiveness of climbing the ladder in academic medicine was related to faculty members assuming aggressive, self- seeking, and uncollegial behaviors not previously evident. A number of faculty suggested that dealing with this environment brought about changes in outlooks and behaviors, both in colleagues and themselves. A senior woman who left academic medicine noted,


학술 의학에 머물던 또 다른 한 고위 여성은 "toxic"한 환경의 형성을 지적했습니다.

Another senior woman who stayed in academic medicine pointed to the creation of a “toxic” environment:


인간적 자질의 평가절하. 많은 교수들이 직장에서의 전문가 역할을 넘어 '한 명의 사람'으로 인정받지 못했다고 이야기했습니다. 교수 개인이 어떻게 느끼는지에 대한 관심이 부족했고, 그런 개인적 감정을 표현하거나, 직장이나 개인의 삶과 관련된 중요한 개인적 이슈들을 이야기할 기회도 없었다. 그들의 환경은 교수의 직무적 측면만 인인정해주었으며 "비인간화"하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문화는 인간의 필요를 충족시키고, 동정심을 발휘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세심함을 보여줄 수 있는 교수의 자질을 저하시키는 처럼 보였습니다.

Undervaluing humanistic qualities. Numerous faculty spoke of not being recognized as people beyond their professional roles at work. There was a lack of attention to what individual faculty were themselves feeling, with no invitation or expectation to express personal emotions or to talk about important personal issues either related to work or to their personal lives. Faculty described the environment as having a “dehumanizing” effect on them by only recognizing the work aspect of faculty. The culture seemed to reduce the qualities in faculty that make them able to meet human needs, be compassionate, and show sensitivity to others.


문에서 당신의 휴머니티를 확인하십시오, 그것은 그것이 느껴졌을 것입니다. 가혹한 것처럼 들리 겠지만 ... 친절하게 보이는 모든 태도는 약점으로 여겨졌습니다.

Check your humanity at the door, that was how it felt. Any sign of...this is gonna sound harsh, but...anytendency towards kindness was viewed as weakness.


몇몇 인터뷰 참여자들은 이 상황이 직장에서 자기가 온전한 자신으로 존재하지 못하게하는 효과가 있으며, 자신과 자신의 생각의 일부분만 선택적으로 professional lives에 가져 왔다고 느꼈습니다.

Several interviewees felt that this situation had the effect of preventing themfrombeing fully themselves in their work life and that they only selectively brought aspects of themselves and their thinking to their professional lives:


비하와 무시. 인터뷰 대상자들은 감사하는 문화는 거의 없으며, 오히려 무슨 잘못을 하는지만 관심을 둔다고 말했다. 연구원, 교육자 및 임상의는 의과대학의 성공에 기여한 교수로서 존경받지 못하거나 가치를 인정받지 못한다고 느꼈다. 여성 의료 전문의는 finding fault에 대한 공통의 기대에 대해 논평했다.

Deprecation and disrespect. Interviewees gave little indication of medical schools cultivating an appreciative culture, but rather one of finding fault. Researchers, educators, and clinicians spoke of feeling disrespected or of not being valued as faculty who have contributed to the medical school’s successes. A female medical subspecialist commented on the common expectation of finding fault:


disrespect의 또 다른 차원은 disloyalty였으며, 교수진이 그들의 조직이 교수진에게 충실하지 않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Another dimension of disrespect emerged as disloyalty, as faculty also perceived that their larger organizations are not loyal to the faculty.


많은 교수진은 의과대학에서 공헌 한 것을 인정받지 못한 것에 대해 언급했다.

Numerous faculty members commented on not feeling recognized by the medical school for their contributions, as this example froman early-career woman physician illustrates:


중견 남성 임상 교수는 존경은 연구비를 따올 때나 있는 것이고, 교육활동은 disrespect된다고 말했다.

A midlevel male clinical faculty member articulated a common theme where respect was associated with receiving grants and disrespect with teaching activities:



신뢰의 침식. 인터뷰에서 우리는 어떤 교수들은 보복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생각하는 바를 말하지 않음을 발견했다. 마찬가지로 교수진은 자기 과home의 문제를 논의한 것에 대해 벌칙을받을 까봐 두려워했습니다. 여성 고원 교수는 일자리를 잃을 까봐 두려워서 자신을 표현할 수 없다는 자신의 감각을 설명했다.

Erosion of trust. In the interviews, we found instances where faculty were unwilling to say what they believed for fear of retaliation. Likewise, faculty feared being penalized for discussing home problems. A female plateaued faculty member explained her sense of not being able to express herself for fear of losing her job:


중년 여성 교직원은, 그녀가 이 일을하지 않을 경우 그녀의 직업을 잃을 위험이 있다는 두려움 때문에, 어떻게 자신을 과장하는지 설명했습니다.

A midcareer female faculty member described how she overextended herself because of her fear that if she was not seen to be doing this, she would risk losing her job:


응답자들은 조직에서 용인되거나 심지어는 기대되는 academic integrity의 위반을 밝혀 냈습니다.

Respondents revealed breaches of academic integrity that seemed to be tolerated or even expected in the environment.


나는 기본적으로 정직함을 매우 가치있게 생각한다. 알다시피, 나는 이것을 숨기고 있는데, 왜냐하면 정직은 항상 대학의학에서 보상 받거나 보답되지 않기 때문이다.

I basically value being completely honest. You know, I’masking for this, and this is why I’masking for it, and this is what I’d like to do with it. Honesty is not always either rewarded or reciprocated in academic medicine.



부정직이라는 주제는 교육에서도 나타났습니다.

The theme of dishonesty emerged in the educational enterprise, too.


우리는 학생들에게 훌륭한 교육을받을 것이라고 말했지만, 의사가 보아야하는 환자 수가 계속 늘어나면서, 어떤 사람도 관심을 주지 않는 학생교육을 지켜 봤습니다. "우리는 평가를하는 사람들에게 거짓말을하고, 우리는하지 않는 종이에 물건을 싣고 있으며, 학생들에게는 공평하지 않다"고 말했다. "우리는 돈을 벌어서 학생들이 그것을 빨아들이도록해야합니다."그리고 여러분도 알다시피, 결국 가장 좋은 선생님이었던 사람들이 반복해서 조직을 떠나고 있다.

We would tell students they were going to get excellent teaching, but they kept increasing the number of patients that the doctors had to see, and I watched the education of the students falling off everyone’s radar. I said, “You know, we’re lying to the people who are doing our evaluations, we’re putting things on paper that we don’t do, and we’re not being fair to the students.” It was like, “We have to make money so the students are going to have to suck it up.” And you know, what happened was that the people who were the best teachers ended up leaving over and over again.



고찰

Discussion


일부 교수는 또한 가까운 동료들과의 협력 적 협력 관계에 대해서도 말했습니다. 그러나 여러 개방형 질문이 Appreciative Inquiry의 전통에 따라 긍정적인 경험을 탐색하려는 의도적인 목적이 있었고, 부정적인 관계 문제에 대한 설명을 요구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관계 경험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모든 인터뷰의 대부분에서 명확하게 나타났습니다.

Some faculty also spoke of supportive collaborative relationships with close colleagues. However, negative perceptions of relational experiences were articulated in the majority of all interviews, despite the fact that the questions posed were open-ended and purposefully sought accounts of positive experiences in the tradition of Appreciative Inquiry32 and did not request accounts of negative relational issues.


우리의 데이터는 심각한 문화적 문제가 관계 문화에 존재하며, 이는 교수의 활력, 전문성 및 생산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유지retention와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합니다. 문화의 이러한 측면은 의료기관의 목표를 훼손 할 수 있으며 뛰어난 환자 치료, 생물 의학 연구 및 우수한 교육을 육성하는 것과 상반antithetical됩니다. 적어도, 그러한 문화는 의과대학이 professional work에 있어서 매우 덜 supportive하고 덜 positive하게 만든다.

Our data suggest that serious problems exist in the relational culture and that these can affect faculty vitality, professionalism, and productivity and are linked to retention. These aspects of the culture may undermine the goals of medical institutions and are antithetical to fostering superior patient care, biomedical research, and educational excellence. At the very least, they make medical schools much less supportive and positive workplaces for professional work.


다른 연구 결과와의 연계

Alignment with the findings of other researchers


우리의 발견은 다른 사람들의 발견과 일치합니다. 최근 4 개의 미국 의과 대학에 대한 설문 조사에서 우울증과 직업 불평등이 특히 젊은 교수들에서 나타났다. 문화의 기능 장애를 지적하는 추가적인 증거로는 의사의 불만족과 교수들의 번아웃이 있는데, 학장들 사이에서는 드물지만, 교수진의 37 %에서 47 %가 번아웃에 빠져있었다

Our findings align with those of others; a recent survey study of four U.S. medical schools found elevated rates of depression and job dissatisfaction, especially among younger faculty.33 Additional evidence pointing to dysfunction in the culture are high levels of physician dissatisfaction34 and faculty burnout in 37%to 47%of academic faculty,35 although burnout was found to be uncommon in deans.36


여성 의사들은 남자 동료들에 비해 번아웃 위험이 1.6 배 높고 여성 의사들의 자살률은 다른 직장 여성의 2 배이다.

Women physicians have 1.6 times the risk of burnout compared with male colleagues,37 and the suicide rate in women physicians is twice that of other working women.38



헬스케어에서의 관계

Relationships in health care


긍정적 인 관계 특성의 부족은 또한 nonmedical 직장에서 발견 될 수 있지만, 이러한 문제는 medical setting에서 특히 더 중요성을 갖는데, 의사가 질병의 생물학적, 심리적, 신체적, 사회적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환자와의 신뢰 관계를 형성하는 데 숙련되어 있어야하기 때문이다.

A lack of positive relational attributes may also be found in nonmedical workplaces, but we and others believe that such a lack has particular significance for medical settings because physicians must be skilled in forming trusting relationships with their patients to effectively address the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impact of illness.39 


Beach et al은 관계의 질을 건강 관리와 핵심 핵심 원칙으로 보았다

    • 헬스케어에서의 관계는 참가자의 인격personhood을 포함해야하며,

    • 정서와 감정은 관계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 모든 헬스케어 관계는 상호 영향의 맥락에서 발생합니다.

Beach et al10 recognized the quality of relationships as central to health care and articulated core principles: 

    • relationships in health care ought to include the personhood of the participants, 

    • affect and emotion are important components of relationships, and 

    • all health care relationships occur in the context of reciprocal influence. 


Safran 등은 이러한 개념을 확장하고 관계 중심 조직의 모델을 제안한다. 만성적인 단절은 에너지와 창조성을 감소시키고, 성장을 촉진시키는 관계를 억제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42-44

Safran et al11 extend these concepts and propose a model of relationship-centered organizations. It has been shown that chronic disconnection results in diminished energy and creativity and precludes growth-fostering relationships.42–44



프로페셔널리즘과의 연계성

Linkage to professionalism


Cohen과 동료들은 의료 전문성에 대한 새로운 지침을 반영하여 최근의 "현대 의료행위의 기관적 및 조직적 환경은 의사에게 요구되는 몇몇 책임을 성취하는 데 중대한 장애물이된다"고 지적했다. 이와 같은 프로페셔널리즘의 구조적 장애요인은 의사의 통제 바깥에 있다.

Cohen and colleagues,23 reflecting on a new guide to medical professionalism,47 noted recently that “institutional and organizational settings of contemporary medical practice pose significant impediments to achieving several of the responsibilities to be assumed by physicians.” They suggest that these structural barriers to professionalism may be beyond the control of physicians.


비록 우리가 그들의 사회적 구조 분석에 동의하지만, 우리는 또한 학술 의학 내에서 문화와 관계를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것에 추가적인 장벽이 있는지 물어 본다.

Although we agree with their social structural analysis, we also ask whether there are additional barriers to professionalismin the culture and relationships within academic medicine.



잠재 문화

Latent culture


의대 학생들은 의대 학교 생활 동안 자신의 인본주의적이고 이타적인 태도를 잃어 버리는 경향이있다 .52-60 현재의 관행은 trainee가 연민과 능력을 개발하는 데 장애가 될 수 있으며, unprofessional한 행동을 유발할 수있다. 많은 연구들이 "잠재 교육과정"을 말한다. 잠재 교육과정에 의해서 학생들은 조직의 접근방식에 내제된 행동과 태도를 경험하며, 이는 학교의 사명과 대조됩니다. 사실상 학생들은 암묵적으로 사회적 조건화social conditioning가 되며, 인본주의 적이며 윤리적 인 품행에 맞지 않는 어떤 비공식적 규범과 가치를 배운다. 의과 대학에서 여러가지 문화적 속성이 학습, 팀빌딩, 공감적 보살핌에 장벽으로 여겨져왔다.

Medical students tend to lose their humanistic and altruistic attitudes during their medical school years.52–60 Current practices may, in fact, be barriers to physicians-in-training developing compassion and competence, and they may contribute to unprofessional behaviors.61,62 A substantial literature describes the informal or “hidden curriculum” for medical students where students experience behaviors and attitudes, embodied in the organizational approach, that contrast with the school’s espoused mission.63 In effect, students undergo tacit social conditioning58,64,65 and learn certain informal norms and values that may be at odds with humanistic and ethical comportment. Many attributes of the culture in medical schools66 have been thought to be barriers to learning, teambuilding, and compassionate care.


"숨겨진 커리큘럼"이 학생의 부당한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전문적 및 윤리적 행동의 결실에도 연결되어있는 것처럼, 잠재 문화를 경험 한 교수들도 비슷한 감정과 행동을 나타낼 것이라고 추측합니다. 또한 의과대학 교수들은 의대생이 관찰하고 모방하는 교사이기에, 이 잠재 문화 속에서, 교수들은 학생에게 스스로 경험하는 규범과 문화를 전달하게 된다. 의과 대학은 의대생이 인본주의적이고 사회적으로 책임 있고 동정심을 갖도록 가르칠 책임이 있다. 교수진에 의한 효과적인 relational practice를 모델링하지 못할 경우 환자 돌봄은 물론, 학습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Just as the “hidden curriculum” has been linked to unwarranted stress for students, as well as to lapses in their professional and ethical behaviors,59,67–69 we postulate that faculty who experience the latent culture described in our findings may exhibit similar feelings and behaviors. Furthermore, medical faculty are teachers to be observed and emulated by medical students, and, in this latent culture, they may pass on the norms and culture they experience for themselves. Part of the responsibility of medical schools is to teach medical students to be humanistic, socially responsible, and compassionate70 . Lack of modeling of effective relational practices by faculty would logically impact studentlearning as well as patient care.71


NIH는 최근 과학적 발견과 새로운 지식을 임상 결과로 translation하기 위하여, 과학자 들간의 학제 간 협력을 우선적으로 권고했다.

The NIH have recently recommended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between scientists as a priority for scientific discovery and translation of new knowledge to clinical outcomes.72



왜 교수들이 대학의학에 남는가?

Why faculty stay in academic medicine


    • 학생들과 환자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자질과 보상,

    • 의학의 지적 도전의 흥분,

    • 이타적인 사회적 계약,

    • 가까운 동료들과의 관계

... 등이 진료, 교육, 연구에 기여한 교수진을 완충, 보호 및 지원하고, 이 중요한 그룹 구성원이 대학의학을 떠날 가능성을 줄입니다.

    • The qualities and rewards felt from their relationships with students and patients, 

    • the excitement of the intellectual challenge of medicine, 

    • an altruistic social contract, and 

    • the few close relationships that they do have with colleagues 

...buffer, protect, and support faculty in their contributions to health care, education, and research, and decrease the likelihood of members of this critical group leaving academic medicine. 


우리의 데이터는 관계 형성을 촉진하는 행동이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고, 번아웃을 예방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의과대학 교수들과 함께 일한 우리의 경험에 따르면, 대부분의 교수들이 신뢰할 수있는 동료를 갖기를 원하며, 많은 수가 connection과 관계 형성을 원한다고 강력하게 제안합니다 .64,65,75-78

Our data suggest that behaviors promoting relationship formation can mitigate stress and may help prevent burnout. Our experience of working with medical faculty strongly suggests that most faculty wish to have trusted colleagues and that most desire connection and relationship formation.64,65,75–78


협력은 관계 형성, 타인의 시각에 대한 이해 증진, 효과적인 대인 관계 패턴 학습을 포함합니다. 장기간에 걸쳐 성공하려면 다른 팀원과 함께 즐거움을 얻는 것이 도움이됩니다.


Collaboration involves forming relationships, developing understanding of the perspectives of others, and learning effective pattern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o be successful in the long term, arriving at some enjoyment of working with other teammembers is helpful.



권고

Recommendations


신뢰하는 관계와 건강 전문가의 인간적 조건을 지원하면, 의과대학 문화의 핵심 변화를 촉진하고 여성과 URM 그룹 구성원을 포함한 모든 교수진의 잠재력 실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Supporting connection in trusting relationships and the human condition of health professionals would facilitate a core change in the medical school culture and contribute to realizing the potential of all faculty, including women and members of URMgroups.


마찬가지로 최근의 AAMC 대선 연설에서 Kirch는 기관의 불균형은 교수 개개인의 저하에 기여한다고 지적하면서 "우리는 올바른 문화를 명시적으로 평가하고 구축하는 데 시간을 할애해야한다"고 권고했다.

Similarly, in his recent AAMC presidential address, Kirch suggested that low faculty personal morale is caused by an imbalance within our institutions and recommended that “we spend time explicitly assessing and building the right kind of culture.”79








 2009 Jan;84(1):106-14. doi: 10.1097/ACM.0b013e3181900efc.

study of the relational aspects of the culture of academic medicine.

Author information

1
National Initiative of Gender, Culture and Leadership in Medicine: C-Change, Brandeis University, Waltham, Massachusetts 02454-9110, USA. lpololi@brandeis.edu

Abstract

PURPOSE:

The impact of medical school culture on medical students has been well studied, but little documentation exists regarding how medical faculty experience the culture in which they work. In an ongoing project, the National Initiative on Gender, Culture and Leadership in Medicine, the authors are investigating how the existing culture of academic medical institutions supports all faculty members' ability to function at their highest potential.

METHOD:

The authors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of faculty in five disparate U.S. medical schools. Faculty in different career stages and diverse specialties were interviewed regarding their perceptions and experiences in academic medicine. Analysis was inductive and data driven.

RESULTS:

Relational aspects of the culture emerged as a central theme for both genders across all career categories. Positive relationships were most evident with patients and learners. Negative relational attributes among faculty and leadership included disconnection, competitive individualism, undervaluing of humanistic qualities, deprecation, disrespect, and the erosion of trust.

CONCLUSIONS:

The data suggest that serious problems exist in the relational culture and that such problems may affect medical faculty vitality, professionalism, and general productivity and are linked to retention. Efforts to create and support trusting relationships in medical schools might enhance all faculty members' efforts to optimally contribute to the clinical, education, and research missions of academicmedicine. Future work will document the outcomes of a five-school collaboration to facilitate change in the culture to support the productivity of all medical faculty.

PMID:
 
19116486
 
DOI:
 
10.1097/ACM.0b013e3181900efc


존중의 문화, 파트 2: 존중의 문화 만들기(Acad Med, 2012)

Perspective: A Culture of Respect, Part 2: Creating a Culture of Respect

Lucian L. Leape, MD, Miles F. Shore, MD, Jules L. Dienstag, MD, Robert J. Mayer, MD, Susan Edgman-Levitan, PA, Gregg S. Meyer, MD, MSc, and Gerald B. Healy, MD



문화 변혁

Cultural Transformation


헬스케어에서 존경의 문화를 창조하는 것은 안전 문화 창출의 일부입니다. 안전한 조직에 대한 연구는 다음의 핵심 가치를 공유하는 공통된 문화적 특징을 드러냅니다

  • 투명성, 

  • 책임성 

  • 상호 존중

Creating a culture of respect in health care is part of the larger challenge of creating a culture of safety. Studies of safe organizations reveal certain common cultural characteristics2-4: shared core values of 

  • transparency, 

  • accountability, and 

  • mutual respect. 

이러한 조직에서 안전은 모든 사람이 공유하는 조직의 우선 순위입니다. 안전 조직은 공유 비전을 수립하고, 시스템 사고를 사용하며, 부적절한 사건을 거부 및 은폐하기보다 개선의 기회로 응답하는 "학습 조직"입니다. 이들은 상호 신뢰, 협력 및 책임 성 (개인 및 기관 모두)을 높은 수준으로 달성합니다.

In these organizations, safety is an organizational priority shared by all. Safe organizations are “learning organizations”5 that build shared visions, use systems thinking, and respond to untoward events as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rather than with denial and cover-up. They achieve high levels of mutual trust, collaboration, and accountability, both personal and institutional.


존중은 이러한 모든 행동의 핵심입니다. 존경의 문화는 헬스케어를 안전하게하는 데 필요한 변화에 대한 "전제 조건"입니다. 상호 존경과 공통된 목적 의식이 없으면 사람들은 효과적으로 함께 일할 수없고 그렇지 못합니다.

Respect is core to all of these behaviors. A culture of respect is a “precondition” for the changes needed to make health care safe. Without mutual respect and a sense of common purpose, people cannot and will not work effectively together.


이러한 특성 중 많은 부분이 건강 관리 모델로 제안 된 소위 "고 신뢰성 조직 (HRO)"에 구현되어 있습니다. 최근에 Chassin과 Loeb8은 건강 관리 단체가 이 모델을 채택 할 것을 요구하고 HRO의 세 가지 특징, 즉 안전 주의적 프로세스를 제거하는 강력한 도구와 안전 문화의 존재라는 세 가지 특징을 확인했습니다. 

  • 집단적 Mindfulness

  • 안전하지 않은 프로세스를 제거하는 강력한 도구

  • 안전 문화의 존재

Many of these characteristics are embodied in so-called “high-reliability organizations” (HROs), which have been proposed as a model for health care.4,6,7 Recently, Chassin and Loeb8 reinforced earlier calls for health care organizations to adopt this model and identified three distinctive features of an HRO: 

  • “collective mindfulness,” 

  • powerful tools to eliminate unsafe processes, and 

  • presence of a safety culture. 


Weick 등은 집단적 Mindfulness란 [든 사람이 작은 실패라도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며, 위험을 일찍 식별하고, 피해가 발생하기 전에 이를 교정하는 개인 및 그룹의 책임을 모두 인정한다는 것을 이해하는 조건]이라고 기술하였다.

Collective mindfulness is described by Weick et al7 as the condition in which everyone understands that even small failures can lead to catastrophic outcomes and accepts both individual and group responsibility for identifying hazards early and correcting them before harm occurs.


HRO의 선도적인 학생 중 한 명인 Karlene Roberts는 조직 문화의 관계적 측면이 HRO의 성공을 설명한다고 강조합니다. 

  • 대인 간 책임

  • 사람 중심

  • 직장 동료에 대해 지지적 태도

  • 다정다감함

  • 개인 관계의 개방성

  • 창의력

  • 신뢰성

  • 대인 간 신뢰

  • 회복탄력성

존중은 이러한 관계의 핵심입니다.

One of the leading students of HROs, Karlene Roberts, emphasizes that relational asp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s account for HROs’ successes: 

  • interpersonal responsibility, 

  • person-centeredness, 

  • being supportive of coworkers, 

  • friendliness, 

  • openness in personal relations, 

  • creativity, 

  • credibility, 

  • interpersonal trust, and 

  • resiliency.4,9 

Respect is at the heart of these relationships.


우리는 존경의 문화를 창조하는 것이 안전하고 높은 신뢰성을 지닌 조직으로의 첫 걸음이며 여러면에서 변화를 요구할 것이라고 제안합니다. 그것은 의대에서 시작해야합니다.

We propose that creating a culture of respect is the essential first step in the journey to becoming a safe, high-reliability organization and will require transformation on several fronts. It should begin in medical school.


학장은 학부 및 대학원 의학 교육의 연속체를 책임지고 있기 때문에 의대 학장은 임상 의학 교육이 이루어지는 병원 및 클리닉의 학습 환경에 중요한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임상 환경에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주요 책임은 병원 최고 경영자 (CEO)에게 있습니다.

Because they are responsible for the continuum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medical education, medical school deans have a vital interest in the learning environment in the hospitals and clinics where clinical medical education takes place. However, the major responsibility for addressing these problems in the clinical environment belongs to the hospital chief executive officer (CEO).



리더의 과제

A Leadership Challenge


다섯 가지 주요 과제

five major tasks: 

  • (1) 동기와 영감 부여

  • (2) 존중의 문화에 대한 전제 조건을 수립

  • (3) 불손한 행동에 관한 정책 수립

  • (4) 일선 근로자 참여를 촉진

  • (5) 레지던트와 학생을 위한 학습 환경을 조성


(1) to motivate and inspire, 

(2) to establish preconditions for a culture of respect, 

(3) to lead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regarding disrespectful behavior, 

(4) to facilitate frontline worker engagement, and 

(5) to create a learning environment for residents and students.



동기와 영감 부여

Motivate and inspire


문화를 변화시키는 첫 단계는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행동을 취하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긴박감 유발을 위하여 문제를 인식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행동 이론가들이 지적한 것처럼, 행동을 바꾸기위한 전제 조건은 변화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입니다.

The initial task in changing culture is to create awareness of the problem to motivate others to take action, and to create a sense of urgency around doing so.11 As behavioral theorists point out, a prerequisite for changing behavior is perceiving the need to change.12


다음으로 CEO는 상호 존중이 교육 기관의 핵심 가치가되어야한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이를 달성하기위한 노력을 분명히 밝혀야합니다. 모든 지도자는이 비전에 전념해야합니다. 지도자의 헌신과 열정은 전염성이 있으며, 기관의 분위기를 조성하고, 강력한 동기 부여 역할을합니다. 변화 유도과정의 최종 목표는 기관의 비전과 사명 선언문을 재구성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Next, the CEO must communicate the vision that mutual respect must become a core value for the institution and articulate his or her commitment to achieving it. All leaders, will need to commit to this vision. A leader’s commitment and enthusiasm are infectious, set the tone for the institution, and serve as powerful motivators. An end point of the process of motivating change might be reformulation of the institution’s vision and mission statements.



존중의 문화에 대한 전제 조건을 수립

Establish preconditions for a culture of respect


직원들은 존경심을 가지고 대우를 받을 때, 자신도 존경심을 가지고 다른 사람들을 대우 할 가능성이 더 큽니다. 지도자는 교수진과 교직원의 안전과 복지에 대한 관심을 보여야합니다. 초기에 CEO는 거주자, 의사, 간호사 및 모든 근로자의 근무 시간 및 작업량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 및 관행을 평가하고 개정하는 프로세스를 시작해야합니다.

Staff are more likely to treat others with respect if they are treated with respect. Leaders must demonstrate concern for the safety and well-being of faculty and staff. Early on, the CEO should initiate a process of assessing and revising the policies and practices affecting work hours and workloads for residents, physicians, nurses, and all workers.


전 알코아 CEO 폴 오닐 (Paul O'Neill)의 존경의 문화에 대한 전제 조건 : 모든 근로자가 자신을 존중받고 있으며, 자신의 직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지원을 받았으며, 인정받고 있다고 느끼게 하라. 이러한 문제를 의제에 넣는 것만으로 적절한 톤을 설정하고 명시된 비전에 대한 헌신을 보여줍니다.

former Alcoa CEO Paul O’Neill’s preconditions for a culture of respect: enabling every worker to feel he or she is treated with respect, has the support he or she needs to do his or her job, and is appreciated.13 Just putting these issues on the agenda sets the proper tone and demonstrates commitment to the stated vision.



불손한 행동에 관한 정책 수립

Lead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regarding disrespectful behavior


존중을 기관 사명의 핵심 가치로서 분명히 표현하는 것 외에도, 행동에 대한 기대치를 설정하는 것은 변화를 일으키는 데 중요합니다. 이것은 대개 행동 규범의 형태를 취하는데, 이는 단지 전문가뿐만 아니라 모든 구성원에게 적용되어야합니다.

In addition to articulating respect as a core value that supports the institutional mission, setting expectations for behavior is important in effecting change. This usually takes the form of a code of conduct, which should apply to all members of the community, not just professionals.


순위, 스테이션, 지위와 상관없이 상호 존중은 모두에게 요구되어야 한다. 행동 강령은 기대되는 행동을 문서화 한다는 중요성이 있으며, 우리는 아래에 좀 더 자세하게 그러한 문서를 개발하고 구현하기위한 권고안을 제시합니다.

Mutual respect, regardless of rank, station, or status, must be the explicit expectation.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a code of conduct in documenting expected behaviors, we provide recommendations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such a document in some detail below.


일선 근로자 참여를 촉진

Facilitate engagement of frontline workers


조직 지도자들은 불손한 행동을 유발하고 조장하는 조직적 문제를 해결해야합니다. 그들은 원인을 제거함으로써 불손한 행동을 방지해야합니다. CEO는 이러한 활동을 지원하고 목표를 달성하기위한 장벽을 제거하며 명시된 임무에 대한 sense of urgency와 progress를 유지할 책임이 있다.

Organizational leaders needto address the systemic issues that cause and promote disrespectful behavior . They need to prevent disrespectful behavior by eliminatingits causes. The CEO’s responsibility is to support these activities, remove barriers to achieving them, and maintain a sense of urgency and progress toward the stated mission.


학습 환경 조성

Create a learning environment


의대 학생들은 종종 교수진과 레지던트에게 야만적인 경험을 겪습니다. 학생과 레지던트는 교사를 모방하며 학습하기 때문에 교수진의 무례한 행동은 적대적인 환경을 조성 할뿐만 아니라 그러한 행동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킵니다. 이것은 바뀌어야합니다.

Medical students too often suffer demeaning experiences at the hands of supervising faculty and residents. Because students and residents learn by emulating their teachers, disrespectful behavior of the faculty not only creates but also perpetuates a hostile environment. This must change.


환자 안전을 강조하고, 전문성을 모델화하고, 협동 행동을 강화하고, 투명성을 장려하고, 개별 학습자를 소중하게하는 학습 문화를 창출하십시오. 다른 사람들을 위협하는 위계적 권위주의의 구배를 없애기 위해 노력해야하며, 프로페셔널리즘이란 상호 존중과 학대 또는 품위없는 행동에 대한 비관용임을 강조합니다. (그들은) 심각한 무례함 또는 모욕적인 행동에 대한 관용은 절대로 존재하지 않음을 선언해야 한다..... 모든 교사는 우리가 학생들에게 되기를 바라는 그러한 의사여야합니다.

create learning cultures that emphasize patient safety, model professionalism, enhance collaborative behavior, encourage transparency, and value the individual learner. They should work to eliminate hierarchical authority gradients that intimidate others, emphasize that professionalism means, among other things, demonstrating mutual respect and non-tolerance for abusive or demeaning behaviors … (they) should declare and enforce a zero tolerance policy for confirmed egregious disrespectful or abusive behaviors…. Every teacher must be the kind of physician we want our students to become.10


Disrespectful behavior에 대한 대응: 행동규범

Responding to Disrespectful Behavior: Codes of Conduct


1847 년 미국 의학 협회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MA)는 1847 년에 "모든면에서 온화하기"라는 윤리 강령을 내놓았습니다. 그 결과, disruptive conduct에 대응하기 위하여 의료계 부칙에 행동규범이 포함되어있는 것이 좋겠다는 권고를 했다. AMA는 파괴적인 행위를 "구두 또는 육체에 관계없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잠재적으로 환자의 치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있는 행위"로 정의합니다. 행동 강령 권고안에는 파괴적인 행동을 관리하기위한 적절한 절차에 대한 세부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공동위원회는 병원에 파괴적인 행동을 관리하는 절차가 필요합니다.

At its founding, in 1847,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MA) established a code of ethics, exhorting physicians, among other things “to be temperate in all things.”14 Subsequently, it has specifically recommended that medical staff by-laws include a code of conduct to address disruptive conduct.15 The AMA defines disruptive conduct as “Personal conduct, whether verbal or physical, that negatively affects or that potentially may negatively affect patient care.”16 The code-of-conduct recommendation includes details of an appropriate process for managing disruptive behavior.15 In addition, the Joint Commission requires hospitals to have a process for managing disruptive behavior.17


적절한 행동규범은 조직의 비전과 가치를 반영하므로 "우리가 누구인가"에 대한 강력한 진술입니다. 개발 프로세스에는 전체 커뮤니티가 참여해야합니다. 즉 행동규범의 영향을 받을 사람과 그것의 도입을 책임지는 사람이 모두 참여해야 한다. 성공적인 행동규범은 대개 반복적이고 투명한 프로세스의 산물이며 조직 전체의 리더들에 의해 옹호받습니다.

A proper code reflects the organization’s vision and values and is, therefore, a powerful statement of “who we are.” The whole community must b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both those who will be affected by the code and those who will be responsible for its implementation. Successful codes are usually the product of an iterative and transparent process, championed by leaders throughout the organization.


행동규범은 파괴적인 행위를 막는 것에 그치지 않습니다. 행동규범의 목적은 개인 간 상호작용의 모든 영역에 대하여 기관과 그 공동체의 기대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행동규범은 행동이 판단되는 표준입니다. 따라서 언어는 명확하고 모호하지 않아야합니다. 기관의 핵심 가치는 모든 사람이 예의, 정직, 존중 및 존엄으로 대우받을 권리가 있다는 것입니다.

Codes are not just about preventing disruptive conduct. The purpose of a code is to establish the expectations of the institution and its community in the whole realm of personal interactions. It is the standard against which behavior will be judged; therefore, the language must be clear and unambiguous. The core institutional value is that everyone is entitled to be treated with courtesy, honesty, respect, and dignity.


적절한 행동규범은 기대되는 행동(신조)과 용납될 수 없는 행동(경계)의 측면에서 명확하게 정의되어야합니다. 기관의 핵심 가치를 위반하는 활동을 정의함으로써 명확성을 제공하고 모호함을 피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명확한 가이드 라인이 널리 공표 될 경우, 위반자는 무지ignorance(아무도 알려주지 않았어요)의 뒤에 숨을 수 없습니다. 그러한 지침의 예가 목록 1에 나와 있습니다.

Appropriate conduct should be defined explicitly—both in terms of expected behaviors (a credo) and unacceptable behaviors (boundaries). Defining activities that violate the institution’s core values provides clarification and avoids ambiguity. When such clear guidelines are publicized widely, violators cannot hide under the cover of ignorance (e.g., “nobody told me”). An example of such guidelines is shown in List 1.19


List 1 Examples of Disruptive Behavior


Inappropriate words

• Profane, disrespectful, insulting, demeaning, or abusive language

• Shaming others for negative outcomes

• Demeaning comments or intimidation

• Inappropriate arguments with patients, family members, staff, or other care providers

• Rudeness

• Boundary violations with patients, family members, staff, or other care providers

• Gratuitous negative comments about another physician’s care

• Passing severe judgment or censuring colleagues or staff in front of patients, visitors, or other staff

• Outbursts of anger

• Behavior that others would describe as bullying

• Insensitive comments about the patient’s medical condition, appearance, situation

• Jokes or non-clinical comments about race, ethnicity, religion, sexual orientation, age, physical appearance, or socioeconomic or educational status


Inappropriate actions/inaction

• Throwing or breaking things

• Refusal to comply with known and generally accepted practice standards such that the refusal inhibits staff or other care providers from delivering quality care

• Use or threat of unwarranted physical force with patients, family members, staff, or other care providers

• Repeated failure to respond to calls or requests for information or persistent lateness in responding to calls for assistance when on-call or expected to be available

• Repeated and unjustified complaints about a colleague

• Not working collaboratively or cooperatively with others

• Creating rigid or inflexible barriers to requests for assistance/cooperation

Source: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Ontario, Ontario Hospital Association. Guidebook for Managing Disruptive Physician Behavior. Toronto, Ontario, Canada: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Ontario; 2008. Reprinted with permission.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일반적인 행동 규범 이외에 병원은 종종 의사, 간호사 및 학생과 같은 특정 인구 집단을위한 특정 규범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In addition to a general code of conduct that applies to everyone, hospitals often find it advantageous to have specific codes for particular populations, such as physicians, nurses, and students.


일단 개발되면 행동규범은 보편적인 이해와 규범의 세부 사항에 대한 지원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널리 보급되어야합니다. 요점은 모든 개인은 respectful하게 행동할 책임이 있으며, 코드를 위반하는 다른 사람이 있다면 대면하거나 보고할 책임이 있다는 것입니다. 서면으로 기술된 행동규범에 동의하는 것은 모든 전문가 및 직원을 고용하거나, 자격을 부여하거나, 재부여하는 프로세스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

Once developed, the code should be disseminated widely through required educational programs to ensure universal understanding and support of the code’s details. A key point is that every individual is responsible for his or her own respectful conduct and for confronting or reporting others who violate the code. Acceptance of the code—by written attestation—should be part of the hiring, credentialing, and recredentialing process for all professionals and employees.


도입

Implementation


행동규범은 교육 기관의 최고위 리더highest level에게 지원받는 경우에만 효과적이며, 리더는 코드를 공개적으로 보증하고, 시행 할뿐만 아니라, 권고된 행동을 모델링해야합니다. 일부 구성원이 면제를 받거나, 리더가 스스로 행하기를 꺼리는 행동규범은 공유 책임감shared responsibility을 약화시킵니다. 가장 많은 연구비를 따오는 교수진, 가장 많은 양의 수술을 하는 외과 의사, 시니어 교수가 친척인 레지던트 등이 행동에 대한 책임을 면제받으면, 어떤 행동규범도 공동체에서 대한 신뢰를 얻거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다.

A code is only effective if it is supported at the highest levels of the institution,20 which requires that leaders not only publicly endorse and enforce the code but also model recommended behaviors. A code of conduct from which some are exempt, or which leadership is unwilling to enforce, undermines the sense of shared responsibility. As long as the faculty member who brings in the most grant dollars, the surgeon with the largest volume, or the resident who is the relative of a senior faculty member is excused from responsibility for his or her actions, no statement of values or code of conduct will have credibility for the community at large or have much effect on conduct.


이러한 문제를 피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불만을 처리하고 위반이 발생할 때 일관되게 대응할 수있는 명확하고 명확하며 잘 이해 된 메커니즘을 갖추는 것입니다. 공정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피고인도 행동의 기초가 되는 팩트 및 다양한 요소를 탐색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공식적이고 투명한 응답 절차를 제공받아야 한다. 그러한 과정이 없다면, 모든 조직에 존재하는 소문 공장에 의해 무죄가 유죄로 판결 될 수있는 가능성이 생긴다.

The best way to avoid these issues is to have a clear, explicit, well-understood mechanism for processing complaints and to respond consistently when violations occur. Fairness requires an official, transparent response that offers the accused the opportunity to explore the facts and the various elements that underlie the behavior. Such a process also opens up the possibility of exoneration, without which the innocent may be convicted by the rumor mill that exists in every organization.


혐의Alleged violation에 대한 즉각적이고 예측 가능하며 적절한 대응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온타리오 가이드 북에는 "전문가답지 못한 행동에 대한 불관용이 반드시 처벌을 해야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그것은 어떤 "행동"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The importance of a prompt, predictable, and appropriate response to an alleged violation cannot be overemphasized. The Ontario Guidebook includes the caution, “Intolerance of unprofessional behavior does not mean that punitive action is required. It does mean that some action is required.”19


Box 1은이 가이드 라인에서 확인한 효과적인 정책의 공통된 특성을 보여줍니다.

Box 1 shows common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policies that we have identified in these guidelines.



Box 1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Policies for Managing Disruptive Behavior


공정성 : 행동 규범의 위반에 대응하기위한 절차는 모든 당사자가 공정하다고 판단해야합니다. 공정성을 달성하려면 먼저 행동규범 개발 프로세스에 영향을 받을 모든 당사자가 대표되어야 합니다. 다음으로, 위반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는 명확하고 명료하게 철자되어야하며 모두에게 전파되어야합니다. 정책은 필요하다면 검토 및 징계 정책의 진행에 대한 분명한 계획과 준수하지 않을 경우의 결과를 포함해야합니다. 이 문서에는 연공 서열이나 직책에 관계없이 정책이 모든 사람에게 적용된다는 명확한 진술이 포함되어야합니다. 코드가 적용될 모든 사람에게 채택되었음을 통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Fairness: The process for responding to breaches of the code of conduct must be perceived by all parties to be fair. Achieving fairness requires first that in the code development process all parties who will be affected are represented. Next, the process for responding to violations should be spelled out clearly and explicitly and disseminated to all. The policy should include a clear plan for progression of the review and disciplinary policy, if needed, as well as the consequences for failure to adhere. The document should include a clear statement that the policy applies to all, regardless of seniority or position. Notifying all to whom the code will apply that it has been adopted is important.


일관성 : 집행 프로그램은 크거나 작은 모든 불만 사항에 응답해야합니다. 심각한 불만 사항은 반드시 조사되어야 하며, 대상자에게는 불만 사항이 있음을 통보해야합니다. 리더의 헌신은 높은 지위의 개인 또는 필요한 경우 출발하여 기관의 명성이나 소득에 해를 끼치는 사람에 대해보고하거나 행동을 취하지 않도록 자연스러운 경향을 극복하는 데 필요합니다.

Consistency: The program of enforcement must be responsive to all complaints, large or small. Serious complaints must be investigated, and the subject must be informed of the complaint. Leadership commitment is required to overcome natural tendencies not to report or take action against a high-status individual or one whose departure, if necessary, would be damaging to the institution’s reputation or income.


계별 대응 : 불만 사항에 대한 대응은 사건의 특징에 비례해야합니다. 상대적으로 사소한 단일 위반의 경우 신뢰할 수있는 동료가 시작한 비공식 대화로 충분할 수 있습니다. 더 심각한 사건이나 공격 패턴은보다 공식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정책은 프로세스를 명확하게 정의해야합니다. 각 레벨의 직원에 대한 비상 사태의 책임자는 누구입니까? 어떤 상황에서 조사가 언제 표시됩니까? 더 높은 수준으로 응답을 발전시키기위한 기준은 무엇입니까?

Graded response: The response to a complaint must be proportional to the nature of the incident. For a single, relatively minor infraction, an informal conversation initiated by a trusted peer may suffice. More egregious episodes or patterns of offensive conduct require a more formal approach. The policy must clearly define the process: Who is responsible for a contingency of actions for each level of staff? Under which circumstances and when is an investigation indicated? What are the criteria for advancing the response to a higher level?


회복 과정 : 이 과정의 목표는 문제 행동을 변화시키고 건강 관리 공동체의 일원으로 계속하도록하는 것입니다. 재교육 계획은 명확해야 하며, 이 때 명확한 마커, 마감일, 모니터링 방법이 있어야 한다. 징계 조치는 개선에 불응하거나 환자 또는 근로자의 안전에 위협이 될 정도로 행동이 과격한 사람들을 위해 마련되어야합니다. 반복되는 파괴적인 행동을 보이는 개인을 치료하는 국가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이 중 일부는 residential이며 전국의 보건 기관에서 사용합니다.

Restorative process: The goal of the process should be to enable the individual to change his or her behavior and continue as a member of the health care community. Plans for remediation must be explicit, with clear markers, deadlines, and methods of monitoring. Disciplinary action should be reserved for those who are refractory to improvement or whose behavior is so outrageous as to constitute a threat to patient or worker safety. There are national programs to treat individuals who exhibit repeated disruptive behavior. Some of these are residential and are used by health institutions across the country.


감시 메커니즘 : 문제가있는 개인을 식별하는 효과적인 메커니즘이 없다면 정책은 의미가 없습니다. 부적절한 행동을 안전하게보고하는 것 외에도 "360도"평가를 사용하여 문제를 조기에 파악하는 것과 같은 사전 대책이 있어야합니다.

Surveillance mechanisms: Without effective mechanisms for identifying individuals with problems, policies are meaningless. In addition to safe reporting of inappropriate behavior, surveillance should be proactive, such as the use of “360-degree” evaluations, to identify problems early.




보고

Reporting


다른 모든 안전보고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행동규범이 성공하려면 행동 불만 신고 절차가 안전하고 간단하며 생산적이어야합니다. 희생자는 쉽게 보고할 수 있어야 하며, 개인적 또는 전문적 보복으로부터 보호되어야합니다. 보고의 주요 장벽은 보복에 대한 두려움입니다. 그러므로 프로세스와 안전 장치는 널리 알려지고 존중되어야합니다. 비밀 유지가 필수적입니다. 과정에 옴부즈맨을 포함시키는 것이 유용 할 수 있습니다.

As with all other safety reporting systems, to be successful, the process for reporting behavioral complaints must be safe, simple, and productive.21 Reporting has to be easy for victims, who must be protected from personal or professional repercussions. The major barrier to reporting is the fear of retaliation. Therefore, the process and the safeguards must be widely known and respected; confidentiality is essential. Including an ombudsperson in the process may be useful.


보고 절차는 신고해야 할 항목과 신고 대상을 포함하여 상세히 명시되어야합니다. 보고서에는 보고자의 이름, 문제가 있는 사람의 이름, 사건의 날짜와 시간, 사건에 대한 설명, 증인의 이름이 포함되어야합니다. 사건이 취해지고 해결되어야하고 징계 조치가 고려되는 경우, 보고자의 익명성을 보장하는 것은 불가능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보고를 당한 사람은 어떤 처분이 내려지는지 세부 사항을 알 권리가 있고, 조사를 하는 사람은 양측과 상담 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The process for reporting should be specified in detail, including the items to be reported and to whom the report should be made. Reports should include the name of the reporter, the name of the person whose conduct is in question, the date and time of the incident, a description of the incident, and the names of any witnesses. If incidents are to be pursued and addressed and if disciplinary action is contemplated, providing anonymity to the reporter may not be possible, because the person being reported is entitled to know the details of any charge, and the person doing the investigation needs to be able to consult both sides.


기관이 불만에 어떻게 대응하는지는 매우 중요합니다. 보고 시스템은 직원이 불만 사항을 심각하게 인식 한 경우에만 작동합니다. 고소인은 후속 조치에 관한 보고서를 받아야합니다. 더 중요한 것은 병원이 기관 공동체에 응답을 공개해야한다는 것입니다 (이름을 언급하지 않고 요약본을 참조하여 개인 정보를 보호해야 함). 이러한 행동을 알려줌으로써 기관은 그 책임과 책임을 입증하고 용납 될 수없는 행동과 용인되지 않는 행동 사이에 명확한 경계를 제시합니다.

How the institution responds to complaints is exceedingly important. Reporting systems work only if personnel perceive that complaints are taken seriously. The complainant should receive a report about follow-up action. More important, the hospital must publicize the response to the institutional community (while protecting privacy by referring to the case in the abstract without mentioning names). By making these actions known, the institution demonstrates its commitment and accountability and draws a clear line between acceptable behavior and behavior that is not tolerated.



Disrespect의 예방

Prevention of disrespect


파괴적인 행동을 다루기위한 효과적인 정책과 절차를 갖는 것은 필수적이지만, 목표는 그러한 행동을 막는 것입니다. 행동 지침에서 Joint Commission은 병원이 행동 강령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위협적 행동을 줄이기 위해 다른 조치를 취해야한다고 제안합니다. 여기에는 의사와 비 의사가 적절한 전문적 행동을하도록 교육하고 바람직한 행동을 모델링 할 책임이있는 모든 사람을 포함시키는 것이 포함됩니다. HRO에서 모든 개인은 자신과 동료의 행동에 대해 개인적 책임감을 느끼며, 오류를 예측하고 방지하기 위해 협력하며, 불손한 행동을 용납하지 않습니다.

Although having effective policies and procedures to deal with disruptive behavior is essential, the goal is to prevent such conduct. In its behavioral guidelines, the Joint Commission suggests that hospitals not just develop and implement codes of conduct but also take other actions to reduce intimidating behavior.17 These include educating physicians and nonphysicians on appropriate professional behavior and holding everyone accountable for modeling desirable behaviors. In an HRO, every individual feels personally accountable for his or her own and colleagues’ behavior, collaborates to anticipate and prevent errors, and commits to not tolerate disrespectful conduct.


수행능력 평가. 의료 전문성의 원칙은 의사들이 동료들에 대한 책임을진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의사가 자발적으로 그렇게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동료 또는 불만에 의존하여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식별하기보다는, 매년 정식 프로세스(예 : "360도"평가)의 일환으로 전문적인 행동에 대한 루틴 평가를 시행하여 모순 된 행동을 보이는 개인을 효과적으로 식별 할 수 있습니다. ("나쁜 사과"로 의심되는 사람 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을 평가하면 공정성을 담보할 수 있으며, 평가를 규제가 아닌 품질 향상을 위한 도구로 평가를 인식하게 할 수 있다. 적절하게 수행 된 이러한 "조기 경보"시스템은 상호 작용 및 의사 소통 문제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으므로 징계 조치가 필요한 파격적 또는 불쾌한 행위로 이관하기 전에 해결할 수 있습니다.

Performance evaluations. A principle of medical professionalism is that physicians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peers.22 However, in practice, physicians rarely do so spontaneously. Instead of relying on peers or complaints to identify those in need of help, routine evaluation for professional behavior as part of an annual, formal process (e.g., “360-degree” evaluations) can effectively identify individuals who exhibit disrespectful behavior. Evaluating everyone—not just suspected “bad apples”—ensures fairness and frames the evaluation as a tool for quality improvement rather than discipline. Appropriately performed, these “early warning” systems can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about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problems, enabling leaders to address them before they escalate to disruptive or disagreeable conduct that requires disciplinary action.


예제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회의에 시간을 맞추지 못하고 의무를 다하지 못하고,

    • 부적절한 복장이나 행동,

    • 동료 나 환자를 존중하지 않는 경우,

    • 다른 사람들을 일이나 개인적인 문제로 비난 함.

    • 직장이나 개인 생활에서 일어나는 최근의 사건에 대한 개인적인 불만에 대한 감정적 인 언급.

Examples include failing to be on time for meetings and attend to duties, inappropriate dress or conduct, failure to show respect for coworkers or patients, blaming others for work or personal problems, and emotional reference to personal upset over recent events in the workplace or personal life.




문화 변화. 예방을 위해서는 문제의 조기발견 이상의 것이 필요하다. 그것은 기관의 문화를 변화시켜야하는데, 이는 일선 근로자가 일상적으로 행하는 것들에서 수많은 개별적인 변화를 필요로합니다. 이 노동자들은 지지와 격려가 필요합니다. 이 일은 쉽지 않다. 

    • 투명성 향상

    • 책임감을 유지하면서 권위주의를 무너뜨리기

    • 팀에서 일하는 것을 배우기

    • 변화가 안전한 환경 조성

    • 실수로 처벌받기보다는, 안전 관행을 준수 할 책임을 부여하는 "정당한 문화just culture" 육성

    • 모든 사람의 정체성의 핵심( "우리가 누구인가")을 존중하기


Culture change. The work of prevention requires much more than early detection of problems—It requires a change in the institution’s culture, which requires numerous individual changes made in daily routines by frontline workers. These workers need support and encouragement. The challenges are formidable: creating transparency, breaking down authoritarianism while maintaining accountability, learning to work in teams,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change is safe, cultivating a “just culture” in which individuals are not punished for making errors but are held accountable for following safe practices,23 and making respect the core of everyone’s identity (“who we are”).



복잡한 헬스케어 시스템에서 이러한 규모의 변화는 광범위한 접근법에 대한 수용성을 필요로합니다. 가장 강력한 것은 내재적 인 힘을 바탕으로 한 개입이며, 긍정탐구(AI)는 그 하나이다. AI는 "[조직은 사회적으로 건설되며] [조직은 사람들이 행동하고 상호작용하여 학습과 혁신을 통해 새로운 현실을 창조하는 맥락을 생성한다]는 이해"에 기반합니다. 임상의들 사이의 상호 작용은 새로운 정책과 그것이 채택되는 방법에 대응하는 데있어 결정적으로 중요합니다. 잘못된 것을 고치고 수정하는 대신(이러한 방식은 공포, 수치심, 방어력 및 잘못된 기대를 자극한다), AI는 옳은 것, 작동하는 것 및 더 많은 것을 얻는 방법에 중점을 둡니다. 따라서 기대와 행동은 잘못이 아닌 능력과 희망에 대한 핵심 인식을 중심으로 구성됩니다. AI은 또한 의대생에게 전문성을 가르치는 데에도 성공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Changes of this magnitude in our complex health care systems require receptivity to a wide range of approaches. Most powerful are interventions that build on inherent strengths, such as appreciative inquiry (AI), which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organizations are socially constructed and generate the contexts in which people act and interact to create new realities through learning and innovation.”24 Interaction among clinicians is critical to how they respond to new policies and to how they are adopted. Instead of fixating on what is wrong and how to fix it—which stimulates fear, shame, defensiveness, and false expectations—AI focuses on what is right, what is working, and how to have more of it. Thus, expectations and behavior organize around a core perception of capability and hopefulness rather than deficit.25 AI has also been used successfully for teaching professionalism to medical students.25,26



긍적적인 접근과 부정적인 접근의 쌍이 중요합니다. 파괴적인 행동에 대한 공식적인 대응은 조직의 존중, 투명성 및 공정성에 대한 약속을 확증합니다. 파괴적인 행동에 대한 공식적이고 투명한 대응을 제공하지 않는 조직은 빠르게 도덕적 권위를 상실하며, 문화 변화를 가져올 수있는 강점과 긍정적 인 특징을 강조 할 수있는 기회를 잃게 된다.

The pairing of positive and negative approaches is crucial. An official response to disruptive behavior affirms the commitment of the organization to respect, transparency, and fairness. An organization that offers no official and transparent response to disruptive behavior quickly loses its moral authority, degrading any opportunity for emphasizing strengths and positive features to bring about culture change.






Cultivating a Culture of Respect


무례한 행동은 건강 관리 시스템에서 널리 퍼진 dysfunctional 문화의 핵심입니다. 이는 환자 안전을 개선하고 안전한 관행을 구현하기위한 팀 기반 접근법을 개발할 때 직면하게 되는 어려움의 "근본 원인"입니다. 가장 극단적 인 형태의 무례한 행동(disruptive and humiliating behaviors)은 오류를 유발합니다. Disrespect는 긴장과 불만의 기초가되고, 의료 종사자가 업무에서 얻는 기쁨과 성취감을 감소시킵니다. 무례하게 치료받는 것은 환자에게 치명적입니다. 건강 관리 단체가이 과도한 문제에 관해 뭔가를하고 존중의 문화를 길러야 할 때가 왔습니다.

Disrespectful behavior is at the core of the dysfunctional culture prevalent in health care systems. It is a “root cause” of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in developing team-based approaches to improving patient safety and implementing safe practices. The most extreme forms of disrespect—disruptive and humiliating behaviors—induce errors. Disrespect underlies the tensions and dissatisfactions that diminish joy and fulfillment in work for many types of health care workers. Being treated disrespectfully is devastating for patients. The time has come for health care organizations to do something about this invidious problem and cultivate a culture of respect.






15 American Medcial Association. Model Medical Staff Code of Conduct. http://www. ama-assn.org/resources/doc/omss/ama-medical-staff-code-of-conduct.pdf. Accessed March 29, 2012.





 2012 Jul;87(7):853-8. doi: 10.1097/ACM.0b013e3182583536.

Perspective: a culture of respectpart 2: creating a culture of respect.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Boston, MA 02115, USA. leape@hsph.harvard.edu

Abstract

Creating a culture of respect is the essential first step in a health care organization's journey to becoming a safe, high-reliability organization that provides a supportive and nurturing environment and a workplace that enables staff to engage wholeheartedly in their work. A culture of respect requires that the institution develop effective methods for responding to episodes of disrespectful behavior while also initiating the cultural changes needed to prevent such episodes from occurring. Both responding to and preventing disrespect are major challenges for the organization's leader, who must create the preconditions for change, lead in establishing and enforcing policies, enable frontline worker engagement, and facilitate the creation of a safe learning environment.When disrespectful behavior occurs, it must be addressed consistently and transparently. Central to an effective response is a code of conduct that establishes unequivocally the expectation that everyone is entitled to be treated with courtesy, honesty, respect, and dignity. The code must be enforced fairly through a clear and explicit process and applied consistently regardless of rank or station.Creating a culture of respect requires action on many fronts: modeling respectful conduct; educating students, physicians, and nonphysicians on appropriate behavior; conducting performance evaluations to identify those in need of help; providing counseling and training when needed; and supporting frontline changes that increase the sense of fairness, transparency, collaboration, and individual responsibility.

PMID:
 
22622219
 
DOI:
 
10.1097/ACM.0b013e3182583536


존중의 문화, 파트 1: 의사의 무례한 행동의 특성과 원인(Acad Med, 2012)

Perspective: A Culture of Respect, Part 1: The Nature and Causes of Disrespectful Behavior by Physicians

Lucian L. Leape, MD, Miles F. Shore, MD, Jules L. Dienstag, MD, Robert J. Mayer, MD,

Susan Edgman-Levitan, PA, Gregg S. Meyer, MD, MSc, and Gerald B. Healy, MD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의학 연구소 (IOM)의 "Err Is Human"이 12 년전 경각심을 불러 일으키며 전국적인 안전 개선 노력에 대한 요구를 발표 한 이후에도 예방 가능한 환자 유해 비율이 거의 개선되지 않았습니다.

recent studies show little improvement in the rate of preventable patient harm since the Institute of Medicine’s (IOM’s) “To Err Is Human”1 sounded the alarm and issued its call for a nationwide safety improvement effort 12 years ago.1–4


이 안타까운 기록에 대한 한 가지 설명은 문제가 너무 커서 원인이 다양하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질병 통제 센터에서는 매일 5 천명이 우리 병원의 감염증을 앓고 있으며 IOM은 매년 150 만명의 환자가 약물 중독으로 인해 부상당하는 것으로 추정합니다.

One explanation for this poor record is that the problem is so large and its causes are so varied. For example,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estimates that 5,000 people acquire an infection in our hospitals every day,5 and the IOM estimates that 1.5 million patients are injured by medication errors every year.6


그러나 느린 진보의 근본 원인이 노하우나 자원의 부족이 아니라 변화에 저항하는 역기능 한 문화라고 생각한다. 이 문화의 중심에는 (불손한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개인의 특권과 자율 가치를 선호하는 의사의 에토스가 있다. 우리는 불경스러운 행동이 헬스케어에 침투하여 안전의 진보를 가로막는 Dysfunctional culture의 "근본 원인"이자, 그러한 문화의 결과라고 생각한다.

We believe, however, that the fundamental cause of our slow progress is not lack of know-how or resources but a dysfunctional culture that resists change. Central to this culture is a physician ethos that favors individual privilege and autonomy—values that can lead to disrespectful behavior. We propose that disrespectful behavior is the “root cause” of the dysfunctional culture that permeates health care and stymies progress in safety and that it is also a product of that culture.


무례한 행동은 여러 방면에서 조직 문화와 환자 안전을 위협합니다. 특권과 지위에 대한 감각으로 인해 의사는 간호사를 무례하게 대우하여, 이는 안전한 의사 소통을 위해 필수적인 열린 의사 소통과 피드백에 장애물을 만든다.

Disrespectful behavior threatens organizational culture and patient safety in multiple ways. A sense of privilege and status can lead physicians to treat nurses with disrespect, creating a barrier to the open communication and feedback that are essential for safe care.



무례한 행동은 환자의 안전에 미치는 toxic한 영향 외에도 여러 가지 헬스케어 측면에 영향을 미칩니다. Caregiver가 팀으로 일하지 않으면 퀄리티는 떨어진다. Disrespect는 일상 업무의 의미와 만족을 망가뜨리며, 간호사가 소진되거나 병원에서 퇴사하거나 간호를 완전히 중단하는 이유 중 하나이다. 존경의 부족은 동료와 협력의 우물에 독을 푸는 것이며, 사기를 약화 시키며, 투명성과 피드백을 방해합니다. 의료 중심 단체가 환자 중심의 진료의 협동적이고 통합 된 지원 센터가되는 것은 주요 장벽입니다.

In addition to its toxic impact on patient safety, disrespectful behavior affects many other aspects of health care. Quality suffers when caregivers do not work in teams. Disrespect saps meaning and satisfaction from daily work and is one reason nurses experience burnout, resign from hospitals, or leave nursing altogether.8 Lack of respect poisons the well of collegiality and cooperation, undermines morale, and inhibits transparency and feedback. It is a major barrier to health care organizations becoming collaborative, integrated, supportive centers of patient-centered care.


학생과 레지던트는 disrecpectful treatment로 고통받습니다. "굴욕에 의한 교육"은 오랫동안 의학 교육의 전통이었으며 여전히 지속됩니다. 환자는 의사가 듣지 않거나 질문에 대해 경멸을 나타내거나 의사 결정 과정에서 대안 접근법을 설명하지 않고 완전히 참여하지 못할 때 고통받습니다. 일이 잘못 될 때 완전하고 정직한 disclosure를 제공하지 못하는 것은 불손의 전형이며, 환자가 과실 처벌을 제기하는 주된 이유입니다.

Students and residents suffer from disrespectful treatment. “Education by humiliation” has long been a tradition in medical education and still persists. Patients suffer when physicians do not listen, show disdain for their questions, or fail to explain alternative approaches and fully involve them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9,10 Failure to provide full and honest disclosure when things go wrong is the epitome of disrespect and is a major reason patients file malpractice suits.11


존경하는 행동은 그 자체로 존경받는 도덕적 가치입니다. 존경은 또한 대부분의 의사의 자기 이미지의 핵심을 형성하는 전문성의 기본 요소입니다. 전문성은 수많은 다른 행동과 태도를 포함하지만, 타인에 대한 존경심은 전문성의 모든면에서 핵심입니다.

Respectful behavior is a moral value esteemed in its own right. Respect is also a foundational element of professionalism that forms the core of the self-image of most physicians. Although professionalism embraces a number of other behaviors and attitudes, showing respect for others is central to all aspects of professionalism.


대다수의 의사들은 대부분 다른 사람들을 정중하게 대우합니다. 그러나 일부는 그렇지 않습니다. 최근 전국 조사에서 3 명의 의사 중 2 명은 다른 의사가 환자 치료 또는 동료 관계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것을 적어도 한 달에 한 번 목격했다고 보고했습니다. 의사 9명 중 한 명은 매일 disruptive 행동을 목격한다.

The vast majority of physicians treat others respectfully most of the time; however, some do not. In a recent national survey, two out of three physicians reported witnessing other physicians disrupting patient care or collegial relationships at least once a month. One in nine physicians reported seeing disruptive behavior every day.13


무례한 문화는 여러 가지 이유로 해로울 수 있지만, 환자의 안전과 복지에 영향을 미치므로 시급한 문제이다.

A culture of disrespect is harmful for many reasons, but it is its effect on the safety and well-being of our patients that makes it a matter of urgency.






문제의 범위

The Scope of the Problem


파괴적 행위

Disruptive behavior


무시 무시한 스펙트럼의 한쪽 끝에는 온타리오 의사의 의사 및 외과 의사에 의해 정의 된 장애가있는 의사의 행동이 있습니다.

    • "부적절한 행위는 말 또는 행동을 불문하고 양질의 의료 전달을 방해하거나 잠재적 인 간섭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Hickson과 Pichert15는 파괴적인 행동을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 "의도 된 결과를 얻을 수있는 의료 팀의 능력을 손상시키는 행위."

At one end of the spectrum of disrespect are physicians whose behavior has been characterized as disruptive, defined by the Ontario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as “inappropriate conduct, whether in words or action, that interferes with, or has the potential to interfere with, quality health care delivery.”14 Hickson and Pichert15 define disruptive behavior as “any behavior that impairs the medical team’s ability to achieve intended outcomes.” Disruptive physicians are found in almost all hospitals.


파괴적인 의사는 거의 모든 병원에서 발견됩니다. 대부분의 관찰자는 의사의 5 % 또는 6 %만이이 범주에 속한다고 동의하지만,이 소수 집단의 해로운 영향력은 그 숫자보다 훨씬 큽니다.

 Although most observers agree that only 5% or 6% of physicians fall into this category,16 the detrimental influence of this small minority far outweighs their numbers.


    • 파괴적인 행동에는 화가 난 폭발, 구두 위협, 고함, 맹세, 합법적으로 구타로 간주되는 부당한 물리적 힘의 위협 또는 실제 피해가 포함됩니다.

    • 성sexual적인 신체적 접촉, 화를 내고, 물건을 던지고, 물건을 부수는 것은 파괴적인 행동의 다른 형태입니다.

    • 파괴적인 행동은 간호사, 동료, 거주자, 의대생, 와드 직원, 병원 관리자, 심지어 환자와 그 가족에게까지도 가해질 수 있습니다.

Disruptive actions include angry outbursts, verbal threats, shouting, swearing, and the threat or actual infliction of unwarranted physical force that legally would be considered battery. Having a temper tantrum, throwing objects, and breaking things are other forms of disruptive behavior, as is any unwanted physical contact of a sexual nature. Disruptive conduct may be directed at anyone—nurses, colleagues, residents, medical students, ward staff, hospital administrators, and even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파괴적인 행동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모욕적이거나 모욕적이거나 모욕적이거나 모욕적 인 언어;

    • 시끄 럽거나 부적절한 주장;

    • 비난하는 코멘트 또는 협박;

    • 부정적인 결과에 대해 다른 사람들을 shaming; 

    • 단순 무례.

신체적 경계와 성희롱에 대한 위반도 이 범주에 속하며, 다른 의사의 진료에 대한 무언가 부정적 코멘트를 하거나, 환자, 방문객 또는 다른 직원 앞에서 동료나 직원을 비난하는 것도 여기에 속합니다.


다음의 것들도 있습니다.

    • 따돌림;

    • 환자의 건강 상태, 외모 또는 상황에 대해 민감하지 않은 의견;

    • 인종, 민족, 종교, 성적 취향, 나이, 신체적 출현, 또는 사회 경제적 또는 교육적 상태에 관한 농담 또는 비 임상 논평


Disruptive behavior includes profane, disrespectful, insulting, or abusive language; loud or inappropriate arguments; demeaning comments or intimidation; shaming others for negative outcomes; and simple rudeness. Violations of physical boundaries and sexual harassment are in this category, as are gratuitous negative comments about other physicians’ care and passing severe judgment or censuring colleagues or staff in front of patients, visitors, or other staff. Also included are bullying; insensitive comments about a patient’s medical condition, appearance, or situation; and jokes or nonclinical comments about race, ethnicity, religion, sexual orientation, age, physical appearance, or socioeconomic or educational status.



굴욕주기, 망신주기
Humiliating, demeaning treatment of nurses, residents, and students


지독한 형태의 파괴적인 행동보다 훨씬 더 흔한 것은 하위 직군, 특히 간호사, 레지던트  및 의대생의 품위를 떨어 뜨리거나 굴욕감을주는 패턴입니다.

Much more common than egregious forms of disruptive behavior are patterns of demeaning or humiliating treatment of subordinates, particularly nurses, residents, and medical students.


의사가 간호사를 학대하는 것은 오랜 역사가 있습니다. 20 년 전 콕스는 간호사의 언어 폭력과 그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보도했다. 최근 문헌 조사에 따르면 2000 년부터 간호사의 학대에 대한 처우에 관한 미국의 연구가 10 건이있다. 간호사의 많은 비율이 학대 또는 파괴적인 행동을 당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4 건의 연구에서 간호사의 90 % 이상이 그러한 학대를 경험했다. 한 대규모 연구에서 간호사의 31 %는 의사의 disruptive 행동으로 인하여 병원을 떠난 간호사를 알고 있다고보고했습니다.

Abuse of nurses by physicians has a long history. Twenty years ago, Cox17,18 reported on the high rate of verbal abuse of nurses and its negative effects. A recent review of the literature yielded 10 U.S. studies since 2000 of abusive treatment of nurses.19 A large percentage of nurses reported being subjected to abuse or disruptive behavior, and in four of the studies, more than 90% of nurses reported that they had experienced such abuse. In one large study, 31% of nurses reported knowing a nurse who had left the hospital because of disruptive physician behavior.19


환자 치료 팀 계층의 맨 아래에있는 의대 학생들은 교수진, house staff, 간호사 등으로부터 언어 적 또는 신체적 학대, 타락, 굴욕, 괴롭힘, 협박 및 착취, 간단히 무시와 같은 것을 당할 수 있는 취약한 위치이다. 미국 의과 대학의 연례 조사에 따르면 14 %에서 17 %의 졸업생이 어떤 형태의 학대를 받거나 목격했다고보고합니다. 그러나 학생들과의 다른 연구 및 비공식 토론은 학생의 학대의 유병률이 훨씬 더 높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Medical students, at the bottom of the patient care team hierarchy, are very vulnerable to disrespect from faculty, house staff, nurses, and others through verbal or physical abuse, belittlement, humiliation, harassment, intimidation and exploitation, or simply by being ignored. Annual surveys by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show that 14% to 17% of graduating students report having been subjected to or witnessing some form of mistreatment.20 However, other studies and informal discussions with students suggest that the prevalence of student mistreatment is much higher.20,21


우리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학생들은 불손한 행위를 거의보고하지 않는다고 언급하는데, 왜냐하면 학생들은 트러블메이커로 여겨질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으며, 레지던트 지원시에 낮은 점수나 비판적 평가, 부정적인 추천서 등과 같은 평가를 받거나 보복을 당할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Disrespect는 전임상 교실이나 실험실에서도 발생할 수 있지만 병원구나 진료소와 같은 임상 환경에서는 더욱 일반적입니다. 여성 학생은 남성보다 취약합니다. 일화적으로, 학생은 수술실 및 응급실과 같이 스트레스가 많은 지역에서 성, 인종 또는 성적 성향과 관련된 험담을 더 많이 듣는다고 보고합니다.

In our experience, students indicate that they seldom report disrespectful acts because they are concerned about being seen as troublemakers and fear reprisal or vindictive retaliation, such as a lower grade, a critical evaluation, or a poor recommendation for residency applications. Disrespect can also occur in the preclinical classroom or laboratory, but it is more common in clinical settings like hospital wards or clinics. Women students are more vulnerable than men.21,24 Anecdotally, students report that barbs related to gender, race, or sexual orientation are heard more commonly in high-stress areas, such as the operating room and the emergency department.


수동-공격적 행동

Passive-aggressive behavior


수동적 - 공격적 행동은 부정적인 태도의 패턴과 적절한 수행에 대한 요구에 대한 수동적 저항으로 정의된다. 건강한 방법으로 분노를 표현할 수 없다면, 수동적 인 적극적인 개인은 정상적인 것처럼 보이는 행동을 통해 다른 사람들을 해친다. 그들은 불합리하게 권위에 대해 비판적이고 자신의 실패에 대해 다른 사람들을 비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사람들은 자신들이 부당하게 오해받고 대접받는다고 호소합니다.

Passive-aggressive behavior is defined as a pattern of negativistic attitudes and passive resistance to demands for adequate performance.25 Unable to express anger in a healthy way, passiveaggressive individuals harm others through actions that seem normal on the surface. They tend to be unreasonably critical of authority and blame others for their failures. They frequently complain of being misunderstood and treated unfairly.


수동적 - 공격적 행동에는 다른 사람을 괴롭히는 방식으로 작업을 수행하거나 거부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수동적 인 공격적 사람들은 자신의 무죄를 주장하면서 다른 사람을 좋지 않게 보이게 만들고, 합의를 따르지 않고 의도적으로 전화에 응답하는 것을 지연하고, 딜레이 된 것에 대해 핑계를 댄다. 그들은 종종 기관, 병원, 그룹 또는 동료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제시합니다. 수동적 공격성의 특징은 감정적 분노, 부정적인 행동, 심리적 위해를 가하려는 의도 등이다.

Passive-aggressive behavior includes refusing to do tasks or doing them in a way intended to annoy others. Passive-aggressive individuals go out of their way to make others look bad while pretending innocence, fail to follow through on agreements, and deliberately delay responding to calls, covering the delays with excuses. They often make negative comments about their institution, hospital, group, or colleagues.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passive aggression are concealed anger, negativism, and intent to cause psychological harm.


수동적 무례

Passive disrespect


대조적으로 수동적 불평은 더 흔하다. 그것은 억압된 분노 또는 악의에 의한 것은 아니며, 일련의 비협조적인 행동들로 구성됩니다. 수동적으로 무례한 사람들은 (무관심, 소진, 상황 적 좌절감 또는 다른 이유로 인해) 회의에 만성적으로 늦게 참석하고, 전화에 느리게 응답하고, 차트 또는 메모를 적시에 지시하지 않으며, 다른 사람들과 협조하지 않습니다. 이유를 충분히 설명해주어도 손 소독, 체크리스트 및 "타임 아웃"과 같은 safe practice에 저항합니다. 그들은 품질 개선 노력에 참여하는 것을 거부 할 수도 있고, 참여를 하더라도 무관심하거나 불량한 팀 플레이어일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모든 행동은 다른 사람, 기관 및 전문가 의견에 대해 무례한 징후입니다.

By contrast, passive disrespect is common; it consists of a range of uncooperative behaviors that are not malevolent or rooted in suppressed anger. Whether because of apathy, burnout, situational frustration, or other reasons, passively disrespectful individuals are chronically late to meetings, respond sluggishly to calls, fail to dictate charts or operating notes in a timely fashion, and do not work collaboratively or cooperatively with others. They resist following safe practices, such as hand disinfection, checklists, and “time-outs,” even when the rationale has been sufficiently described. They may decline to participate in quality improvement efforts, or, if they do, they are indifferent or poor team players. All of these behaviors are manifestations of disrespect—for others, for the institution, and for expert opinions.


환자에 대한 멸시적 행동

Dismissive treatment of patients


여기에 대해서도 발생률 데이터는 부족하지만, 의사들이 행하는 demeaning, 무례하며, 불쾌한 처우에 관한 환자 이야기의 형태로 일화적인 증거가 풍부합니다. 환자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러한 행동을 묘사 할 수 있습니다. "그는 나를 바보처럼 취급합니다." "시간 낭비라고 느끼게합니다." "내 전화를받지 않을 것입니다." "그들은 나를 무시합니다. . 그들은 나에 관한 것이지 내게는 말하지 않는다. "또는"질문을하는 사람들이 싫은 것이 분명했습니다. "

Again, incidence data are lacking, but anecdotal evidence abounds in the form of patient stories regarding demeaning, disrespectful, and dismissive treatment by physicians. Patients may describe this treatment in a number of ways: “He treats me like an idiot,” “He makes me feel like I’m wasting his time,” “She won’t return my calls,” “They ignore me on rounds. They talk about me but not to me,” or, “It was clear he doesn’t like people who ask questions.”


이러한 행동은 의사가 치료와 치유를 제공하는 기본적인 의무를 위반할뿐만 아니라, 이미 불안한 환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환자들은 dismissive 행동에 대해 공식적인 불만을 제기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더 많은 병원들이 메디 케어 및 메디 케이드 서비스 병원 비교 보고서 센터의 일환으로 건강 계획 소비자 조사 (Consumer Assessment of Health Plans Survey)를 시행함에 따라 이러한 정서는 이제 체계적인 방식으로 확인되어지고 있다.

Not only does such behavior violate the fundamental obligation of the physician to provide support and healing, it can be devastating for the already apprehensive patient. Patients seldom file formal complaints to the hospital about dismissive behavior, but as more hospitals implement the Consumer Assessment of Health Plans Survey as part of Center for Medicare and Medicaid Services Hospital Compare reporting,26 these sentiments are now beginning to be captured in a systematic fashion.


부당한 처우와 퇴보는 환자에게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환자는 well being을 의사에게 많이 의존하기 때문에 환자는 특히 dismissive treatment를 받기 쉽습니다.

Dismissive treatment and put-downs are not limited to patients. However, because they are so dependent on the doctor for their wellbeing, patients are especially vulnerable to dismissive treatment.



시스템적 문제

Systemic disrespect


우리의 헬스케어 시스템의 많은 기능들은 이미 단단하게 확립되어 있기 때문에, 당연하다고 여겨지지 무례하다고 받아들여지지 않습니다. 고전적인 예가 있습니다. 환자, 의사, 간호사, 사무원, 관리자 등 모든 사람이 환자가 서비스를 기다려야한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것처럼 보입니다. 리셉션 구역을 "대기실"로 분류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그러나 사람을 기다리게하는 것은 의사의 시간을 환자의 시간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는 명백한 메시지를 보냅니다.

Many features of our health care system are so firmly entrenched that they are taken as givens and not recognized for the disrespect they represent. A classic example is waiting. Everyone— patients, doctors, nurses, clerks, and administrators—seems to accept the fact that patients should wait for services. There is a reason we label our reception areas as “waiting rooms”! Making a person wait, however, sends the unambiguous message that the physician considers his or her time more valuable than the patient’s.


마찬가지로 의사도 자신의 시간을 존중하지 않는 스케줄링 시스템에 희생됩니다. 현재의 외래 약재의 특징 인 짧은 약속 시간의 생산성 요구는 한 명의 환자에게 필요한 추가 시간을 갖기 위해서는 의사가 다음 (그리고 모든 후속) 환자를 기다리게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유형의 스케줄링은 의사가 의료행위를 전문적으로 수행 할 수있는 충분한 시간을 가질 필요성이 있음을 무시하는 것으로, 의사와 환자 모두에 대한 institutional disrespect이다.

Physicians are also victimized by a scheduling system that doesn’t respect their time. The productivity demands of the short appointment times characteristic of present-day ambulatory medicine mean that to have necessary additional time with one patient requires the physician to make the next (and all subsequent) patients wait. This type of scheduling is institutional disrespect of both the physician and the patient, ignoring the physician’s need to have enough time to do a professional job.


systemic disrespect의 더 심각한 예는 우리가 "정상적인"것으로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보편적 인 뿌리깊은 노동 조건입니다. 과도하게 긴 시간, 수면 부족 및 과도한 작업량은 잘 알려진 오류 및 환자 해악의 원인입니다. 레지던트 또는 간호사가 이러한 조건에서 일하도록 요구하는 것은 복지에 대해 무례하고 잠재적으로 해를 끼칠뿐만 아니라 (24 시간 이상 계속 근무한 거주자는 집에서 운전할 때 치명적인 자동차 사고를 당할 가능성이 높지만), 환자에게 해를 끼칠 가능성을 높이지 않는 조건에서 일할 권리를 침해합니다. 물론, 고의로 환자를 부상 위험에 처하게하는 것은 무례한 일입니다.

A more serious example of systemic disrespect is the hostile working conditions that are so universally ingrained that we take them for granted as “normal.” Unduly long hours, sleep deprivation, and excessive workloads are well-known causes of errors and patient harm.30–36 Requiring residents or nurses to work under these conditions not only is disrespectful of their well-being and potentially harmful for them (residents who have been on continuous duty for 24 hours or more are more likely to have a fatal automobile accident when driving home)35 but also violates their right to work under conditions that do not increase the likelihood that they will harm their patients. And, of course, it is disrespectful to patients to knowingly put them at increased risk of injury.


또한 병원이 needlesticks injury나 요통과 같은 상해를 방지하기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신체적 안전을 보장하지 않는다면, 이는 간호사 및 다른 근로자에 ​​대한 존경심이 없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들이 종종 직장내에서 당연히 있을 수 있는 위험으로 받아 들여진다는 사실은 병원에서 무례가 institutionalize 된 정도를 나타냅니다.

Hospitals also demonstrate lack of respect for nurses and other workers when they fail to ensure their physical safety by taking appropriate measures to prevent injury, such as needlesticks and back strain. The fact that these are often accepted as risks of the job illustrates the extent to which disrespect is institutionalized in hospitals.


환자 수준에서는 환자들에게 그들의 치료에 대해 완전히 참여하고 알리지 못하는 것이 하나의 예이다검사의 이유, 검사 결과의 의미, 진단 및 치료 선택의 옵션,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는 각 옵션의 위험 및 이점에 대한 철저한 설명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은 환자의 정보에 대한 권리를 존중하지 않는 것일 뿐만 아니라, 환자가 그 내용을 이해하고 결정할 능력이 있다는 것을 무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shared decision making은 단순히 좋은 생각이 아니라, 아니라 환자에 대한 존경심을 나타내는 것이다.

At the patient level, a serious form of covert systemic disrespect is the failure to engage and inform patients fully about their care. Failure to provide the reasons for tests, the meaning of test results, the option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choices, and, most important, thorough explanations of the risks and benefits of each option, are failures of respect of the patient’s right to information and of his or her ability to understand and make decisions. Shared decision making is not just a good idea, it is showing respect.


환자에 대한 체계적 무례의 minor한 형태는 매우 다양하다. 의사들이 동일한 기관에 있고 이 정보가 이미 공통에 EMR에 접근가능함에도, 환자들은 의사를 만날때마다 인구 통계 및 의료 기록 정보에 관한 클립 보드 설문지에 응답해야 한다.

Minor forms of systemic disrespect of patients abound. One is the ubiquitous clipboard questionnaire about demographic and medical history information that patients fill out for every doctor, even when the physicians are in the same institution and have access to a common electronic medical record that already contains this information.


아마도 가장 심각한 형태의 무례한 행동은 잘못되었을 때 일어난 일을 완전히 인정하고 설명하지 못하는 것, 시스템이 실패했을 때 사과하는 것일 것입니다. 환자의 복지와 관련된 모든 것을 알아야 할 환자의 권리와 필요를 존중하는 것은 의사가되기위한 기본적 사항이며 "doctored"에 대한 존중을 반영합니다.

Perhaps the most serious form of systemic patient disrespect is the failure to admit and explain fully what happened when things go wrong and to apologize when we or our system has failed. Honoring the patient’s right and need to know everything that is relevant to his or her well-being is fundamental to doctoring and reflects respect for the “doctored.”



Disrespectful한 행동의 영향: 왜 문제가 되는가?

The Effects of Disrespectful Behavior: Why Is It a Concern?



모욕적이고 굴욕적인 행동은받는 사람에게 즉각적이고 장기적인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안전을 위협합니다. 모욕의 에피소드 직후에,받는 사람은 두려움, 분노, 수치, 혼란, 불확실성, 격리, 자기 의심, 좌절, 우울과 같은 격렬한 감정을 경험합니다. 이러한 감정은 의사 결정 능력이나 성과에 대한 오류를 유발하여 사람이 명확하게 사고 할 수있는 능력에 크게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위협intimidation은 사람에게 안전하지 않은 행동을하도록 자극 할 수 있습니다.

Humiliating, degrading, or shaming behavior is a threat to patient safety because it can have both immediate and long-term negative effects on the recipient. In the immediate aftermath of an episode of humiliation, the recipient experiences a mixture of intense feelings: fear, anger, shame, confusion, uncertainty, isolation, self-doubt, frustration, and depression. These feelings affect significantly a person’s ability to think clearly, making an error in decision making or performance more likely. In addition, intimidation may stimulate a person to commit an unsafe act.37


굴욕적이고 위협적인 행동의 장기적 결과는 그 행동을 당한 사람의 매우 합리적인 대응에서 유래합니다: 해로운 행동을 하는 사람을 피하십시오. 간호사 나 레지던트의 경우 명령을 명확히하거나 명확하지 않은 임상 문제에 대한 질문이있는 담당 의사에게 전화하는 것을 꺼리는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간병인은 환자의주의를 자기 보호로 돌릴 수 있습니다. 보건 진료 팀의 의사 소통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의료 서비스의 경우, 결국 피해자는 딜레이나 잘못된 진단이나 치료로 고통받을 수있는 환자입니다.

Long-term consequences of humiliating and intimidating behavior stem from the recipient’s very rational response: Avoid the person inflicting the hurtful behavior. For a nurse or resident, this may be expressed by reluctance to call a disrespectful attending physician with questions for clarification of an order, or for clinical concerns that are not clear-cut. In such cases, caregivers may divert their attention from the patient to self-protection. When communication on the health care team is limited to that which is absolutely necessary, the loser is the patient, who may suffer from delayed or erroneous diagnoses or treatment.


위협적 분위기에서는 모두가 고통받는다. 적대적인 작업 환경은 사기를 감소시키고, 의심을 유발하며, 소진의 원인입니다.

Everyone suffers in an atmosphere of intimidation. A hostile work environment lowers morale, creates self-doubt, and is a cause of burnout.38–40


환자를 협박하거나 모욕하는 의사들이 의료 과실 소송은 더 자주 받는다.

Malpractice suits are more common against physicians who intimidate or insult patients.42


모든 구성원 간의 상호 신뢰와 존중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팀워크는 또 다른 희생양이다. 팀원의 이름을 배우지 않는 것, 회의를 습관적으로 지체시키는 것, 그리고 특별한 대우를 기대하는 것 같은 덜 심각한 형태의 경멸은 팀워크에 해를 끼칩니다. 팀웍은 복합적이거나 복잡한 질병 환자 관리에 필수적입니다. 그것은 또한 안전한 의료의 초석이기도합니다.

Teamwork is another casualty of disrespect because it requires mutual trust and respect among all its members. Even less severe forms of disrespect, such as not learning individuals’ names, habitual tardiness for meetings, and expecting deferential treatment, are detrimental to teamwork.43 Teamwork is essential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multiple or complicated diseases. It is also the cornerstone of safe practice.


무례한 행동은 또한 안전 향상의 장벽이기도 하다. 주요 안전 노력은 새로운 안전 실천safe practice을 구현하는 데 초점을 맞 춥니 다. 표준 관행을 구현하고 새로운 관행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관리 팀의 모든 구성원 간의 협력이 필요합니다. 의사가 그러한 노력에 건설적으로 참여하지 못하면 진전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Disrespectful behavior is also a barrier to improving safety. The major safety efforts have focused on implementing new safe practices. Both implementing standard practices and developing new practices require collaboration among all members of the care team. If the physician fails to participate constructively in such efforts, progress is virtually impossible.


학생들은 특히 선생님에 의한 비하적, 굴욕적 처분에 취약합니다. 존경받는 시니어 의사의 가혹한 부정적 판단은 큰 무게을 지니고, 때때로 의사가 의사가 될 수있는 자신의 적합성에 의문을 갖게합니다. 학생들은 교수로부터 평가를 받기 때문에 취약합니다. 부정적인 평가는 학생의 레지던트 포지션에 대한 경쟁력을 떨어 뜨릴 수 있습니다.

Students are especially vulnerable to degrading or humiliating treatment by their teachers. A harshly negative judgment from a respected senior physician carries great weight and sometimes leads a student to question his or her fitness to be a physician. Students are also vulnerable because they are subject to faculty evaluation. A negative assessment can make a student less competitive for residency positions.


그러나 학생들에게 가장 심각한 영향은 의료직 내부에서 비롯됩니다. 무례함은 배운 행동이며, 학생들은 역할 모델 인 교수로부터 배웁니다. 역할 모델의 힘은 특히 임상실습기간 동안 강력합니다. 일부 학생들은 불손한 행동을 겪으면서도 그러면 안된다는 교훈을 얻지만, 많은 학생들은 자기가 보는 행동을 모방하여, 끝나지 않는 무례의 순환고리를 만들어낸다.

But the most serious effect on students comes from within. Disrespect is learned behavior, and students learn it from their role models, the faculty. The power of role models is strong, particularly in the clinical years. Although some students will encounter disrespectful behavior and draw the opposite lesson, many students will emulate the behavior they see, ensuring a never-ending cycle of disrespect.


무례한 행동은 또한 환자에게 매우 해로울 수 있습니다. 의사의 모욕적 인 말투는 환자가 정보 제공을 꺼리고 의사가 환자의 증상이나 합병증에 대해 제공 할 수있는 중요한 정보에서 벗어나 의료 시스템의 실패를 관찰하는 것을 꺼려합니다. 병이 가벼운 경우에도 사실상 모든 환자는 헬스케어 시스템과 상호 작용할 때 약간의 두려움과 불안감이 있습니다. 의사와 간호사는 동정심과 이해심으로 환자의 고통을 크게 줄일 수있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대로 그들은 환자의 우려를 무시하거나 경멸이나 무관심으로 치료함으로써 고통을 증가시킬 수 있는 힘도 있습니다. 그러한 두려움은 (그것이 오류로 생긴 것이든 아니든) 의학적 합병증에 따른 후유증의 형태로 몇배 확대됩니다.

Disrespectful behavior can also be very harmful to patients. Insulting and stifling comments from physicians render patients reluctant to be forthcoming and volunteer information, cutting the physician off from important information that only the patient can provide about symptoms or complications of therapy and observed failures of the care system. Even when they have minor ailments, virtually all patients have some fear and anxiety when interacting with the health care system. Doctors and nurses have the power to reduce this distress substantially by being sympathetic and understanding. Conversely, they have the power to increase distress substantially by ignoring patients’ concerns or treating them with scorn or indifference. Such fears are magnified many-fold in the aftermath of a medical complication, whether or not it is caused by an error.




Disrespectful 행동의 원인들

The Causes of Disrespectful Behavior


내재적 요인

Endogenous factors


여러 요인이 자존감에 대한 위협과 관련이 있습니다. 자기 존중감은 의사에게 특히 중요합니다. 그것은 자신의 능력과 평판에 대한 그들의 인식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능력과 전문적인 성공을 달성하기 위해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기 때문에 의사는 자존심에 대한 위협에 민감하다. 그들의 자존심이 위협받을 때, 의사들은 전문적인 우위를 재 확립하기 위해 파괴적인 대인 관계 행동으로 대응 할 수 있습니다.

Many are associated with threats to self-esteem. Self-esteem is especially important to physicians. It is closely linked to their perception of their own competence and reputation. Because they invest a substantial amount of time and energy to achieve competence and professional success, doctors may be sensitive to any threats to self-esteem. When their self-esteem is threatened, physicians may react with destructive interpersonal behavior as a way of reestablishing professional dominance.


불안과 불안. 일부 의사들은 특히 의료행위를 할 때의 어려움에 대한 우려로 불안과 불안을 느끼기 쉽습니다. 특히 과로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자신의 기술에 대해 확신이없는 의사는 일이 잘못되거나 비하 또는 과격한 의견을 말함으로써 다른 사람을 비난함으로써 스트레스에 반응 할 수 있습니다.

Insecurity and anxiety. Some physicians are particularly prone to insecurity and anxiety stemming from concern about whether they are up to the challenges of practicing medicine. Especially when they are overworked or stressed, doctors who are not confident about their skills may react to stress by blaming others when things go wrong or by making demeaning or hypercritical comments.


우울증.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의사는 일반 대중보다 우울증 수준이 높고 자살률이 높습니다. 이러한 개인은 자신의 전문 역량에 대한 위협에 시달리고 실제든 가상이든 부적합한 자신을 비난합니다. 자신에게 과도하게 비판적인 것 외에도, 우울한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에게도 지나치게 비판적으로 대처할 수도 있습니다.

Depression. Surveys show that physicians have higher levels of depression—and higher suicide rates—than the public at large.47 These individuals become depressed by threats to their professional competence, blaming themselves for real or fancied inadequacy. In addition to being hypercritical of themselves, depressed individuals may cope by being hypercritical of others.


나르시시즘. 전문적으로 의학에서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과 에너지의 투자는 자기 개입의 정도가 높아야하며, 일부 개인에서는 자기애 적 성향을 강조 할 수 있습니다. 고도의 나르시시스트들은 자신과 그들의 생각이 특별하다고 믿습니다. 그들은 평범한 것처럼 보이는 사람들을 용인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자신은 다른 사람들에게 호의적인 대우를받을 자격이 있다고 생각하고, 다른 사람들의 감정과 필요에 덜 민감합니다. Banja는 높은 자기 존중감과 우월감, 권위, 완벽주의, 자기 흡수와 같은 자기애의 일부 측면이 종종 의사들에게서 발견된다는 관찰을 반영하여 "의료 자기애medical narcissism"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일부의 경우, 이러한 특성은 매우 복잡한 demands를 달성하고 스트레스가 많은 환경에서 자기 보존을 달성하는 데 필수적 일 수 있습니다.

Narcissism. The investment of time and energy necessary to succeed professionally in medicine requires a high degree of self-involvement, which in some individuals may accentuate narcissistic character traits. Highly narcissistic individuals believe that they and their ideas are special. They have difficulty tolerating people they view as ordinary, have a sense of entitlement to favorable treatment by others, and are insensitive to the feelings and needs of other people. Banja48 has coined the term “medical narcissism” to reflect the observation that some aspects of narcissism, such as high self-esteem and feelings of superiority, authority, perfectionism, and self-absorption, are often found in physicians. For some, these characteristics may be essential to mastering the highly complex demands of practice and achieving self-preservation in a stressful environment.


공격성. 매우 공격적인 사람들은 전투와 대결을 즐기고, 욱하는 성질이 있으며, 무력감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다른 사람을 괴롭힐 괴롭히며 확신을 얻는다. 전문적인 좌절은 무력감으로 경험 될 수 있으며 공격적인 반응을 유발합니다. 매우 공격적인 사람들은 자신의 행동이 다른 사람들보다 헬스케어 환경에서 더 잘 용인된다는 것을 발견하기도 하며, 심지어 일부 병원에서는 그러한 행동에 보상을 받는다.

Aggressiveness. Highly aggressive people enjoy combat and confrontation, have hair-trigger tempers, and find reassurance in being able to bully others as a defense against helplessness. Professional setbacks may be experienced as helplessness, triggering an aggressive response. Highly aggressive people may find that their behavior is better tolerated in the health care environment than in others and that, in some hospitals, it is even rewarded.49


과거의 희생. 정체성 형성 기간 동안 괴롭힘과 같은 나쁜 경험을 겪은 의사는 너무 상처를 입어 무의식속에서 그러한 행동을 모방하도록 되어버렸습니다. 그들은 자신의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으로 옛날의 경험을 되살린다.

Prior victimization. Doctors who have suffered bad experiences, such as bullying, during their formative years may be so traumatized that imitative behavior becomes engrained in their unconscious. Their reaction to stress is to bully, reflecting their earlier experiences.


외재적 요인

Exogenous factors


불손한 행동을 조장하는 근무지의 특징이 외인성 요인이다. 기관의 문화 - "우리가 여기서하는 일"- 가 허용되는 행동과 용납 할 수없는 행동을 정의합니다. 그 문화는 차례로 사회 전반의 관습과 풍습에 크게 영향을받습니다. 미국에서는 적극적으로 조잡한 문화가 지난 10 년에서 20 년 동안 유지되어 왔으며 원래는 "모두 놀아 보자"고 assertive-training era로 불렀습니다. 이러한 경향은 미디어, 문학 및 대화에서 분명합니다. 일정 수준의 무례함은 허용될 수 있는 정상적인 의사 소통 방식으로 칭송받았으며, 거의 지적을 받지 않다. "소셜 미디어"의 등장으로 이전에는 거의 들어보지 못했던 모욕적이고 경멸적인 발언이 범위를 크게 확대되었다. 예상치 못했던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사회 전반에 걸친 무례한 관용의 일부가 보건 의료에까지 넘어들어왔다. 

Exogenous factors are characteristics of the workplace that facilitate disrespectful behavior. The culture of an institution— “the way we do things here”—defines acceptable and unacceptable behavior. That culture, in turn, is influenced heavily by the customs and mores of society at large. In the United States, a culture of aggressive crudity has taken hold in the past 10 to 20 years, sparked originally by the “let it all hang out” and assertiveness-training era.50–52 This trend is obvious in the media, in literature, and in conversation; a certain degree of demeaning disrespect has been elevated to a normal style of communication that is tolerated and that elicits little comment.53–55 The rise of “social media” has greatly expanded the reach of insulting and derogatory speech that, in earlier times, would have fallen on few ears. Not unexpectedly, some of this society-wide tolerance for disrespect spills over into health care.


이러한 disrespect에 대한 사회적 수용 외에도, 현대 의료 문화는 불손한 행동을 조장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 중 하나는 위계적 특성입니다. 무례함은 지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대개 아래쪽으로 흐르고 위로는 흐르지 않습니다. 의대생이 노골적으로 교수에게 무례하게 구는 경우는 거의 없다. 반면에 학생들과 레지던트들은 교수들이 없는 자리에서 무례하고 경멸하는 말을 자주합니다.


In addition to this societal acceptance of disrespect, contemporary health care culture is characterized by features that foster disrespectful behavior. One such feature is its hierarchical nature. Disrespect, which is closely tied to status, usually flows down, not up. Medical students rarely are outwardly disrespectful toward their professors. On the other hand, students and residents often make disrespectful and derogatory comments about their superiors when out of earshot.



무례한 행동은 무례하게 행동하는 사람이 보상을 받는 방식으로 그 지위를 공고히 한다. 그러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계층 구조에 매우 민감하며, 윗사람에게 무례하게 했을 때의 결과를 예리하게 인식합니다. 계층적 환경에서 다른 사람을 무례하게 경멸하는 것은 지위의 한 척도입니다. 과장이나 세계적 수준의 심장외과의사는 종종 위계서열의 하단부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용납되지 않을 행동을 하고도 "빠져나갈 수 있다".

Disrespectful behavior may actually affirm status by rewarding the person behaving disrespectfully, who is typically highly sensitive to the hierarchy and keenly aware of the consequences of disrespect directed up the status gradient. In a hierarchical environment, the ability to disrespect others with impunity is a measure of status. The department chair or world-class cardiac surgeon can often “get away with” conduct that is not tolerated among those lower down the ladder.


그러나 무례한 행동을 일으키는 가장 주된 외인성 요인은 스트레스가 과도한 현대 병원 환경으로, 대규모 AHC가 그러한데, 여기서는 많은 사람들이 과도하게 오랜 시간 일하고, 부당하게 과중한 업무량을 부담하며, 시간과 정신에 대해 여러 상충되는 요구를 경험하기 때문이다. 번아웃은 직원 의사와 간호사 사이 에서뿐만 아니라 의대생과 레지던트 사이에서도 흔합니다. 직장 스트레스는 불안과 우울증을 유발하고 개인이 내면에 집중하여 자기 흡수를 강조하고 공감을 줄이고 협조 의지를 갖게합니다.

But the major exogenous factor leading to disrespectful behavior is the stressful environment of modern hospitals, in particular large academic teaching centers, where many people work unduly long hours, have unreasonably heavy work loads, and experience multiple conflicting demands on their time and psyche. Burnout is common not only among staff doctors and nurses but even among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22,56 Workplace stress creates anxiety and depression and leads individuals to focus inwardly, accentuating self-absorption and decreasing empathy and the willingness to cooperate.


헬스케어 조직의 스트레스가 많은 환경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지만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생산 압력입니다. 미국의 건강 관리 비즈니스 모델은 보건 의료 단체 및 의사에게 생산량을 늘리는 데 엄청난 압력을 가하고 있습니다. 그룹 및 개인 모두의 수입은 치료받는 환자의 수에 따라 다릅니다.

The stressful environment of health care organizations has multiple causes, but primary among them is production pressure. The U.S. business model of health care places enormous pressure on health care organizations and physicians to increase output; income for both the group and the individual depends on the number of patients treated.


생산 압력뿐만 아니라 의사는 복잡한 documentation requirements에 직면하고 있으며, 시간과 보상은 그대로인채로 품질과 안전성을 향상시켜야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고, 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엉망인 시스템을 작동시키려고 노력하다가 좌절감을 겪는다.

In addition to production pressure, physicians face complex documentation requirements and increasing demands to improve quality and safety—with no increase in time or compensation—as well as the frustrations that come from trying to make a clumsy system work to meet patients’ needs.


그러나 많은 다른 산업은 생산 압력과 복잡한 규제 및 문서화 요구에도 불구하고지지적이고 만족스러운 작업 환경을 조성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전 알코아의 CEO 폴 오닐, 그들의 기여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보여주는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는의, 존경과 권위를 직원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첫 번째 원칙은 노동자의 신체적 안전과 심리적 안전을 보장하는 것입니다. 노동력에 대한 그러한 관심과 관심은 많은 의료 기관의 모든 수준에서 눈에 띄지 않게 나타납니다.

Many other industries, however, have succeeded in creating supportive and satisfying work environments in spite of production pressures and complex regulatory and documentation requirements. Former Alcoa CEO Paul O’Neill57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reating employees with respect and dignity, of providing them with the resources necessary to carry out their work, and of showing appreciation for their contributions. A first principle is to guarantee the workers’ physical safety and psychological safety. Such focus on and concern for the workforce are conspicuously absent at all levels in many, perhaps most, health care organizations.


1,052 곳의 병원에서 실시 된 문화 조사에 대한 보건 의료 연구 및 품질청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의 절반 이상 (56 %)이 실수를 신고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느끼지 않았습니다. 대형 병원 (대부분의 교육 병원 포함)에서 그 비율은 60 % 더 높았습니다.

A recent report by the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on culture surveys conducted in 1,052 hospitals showed that more than half (56%) of responders did not feel safe to report an error.58 In large hospitals (which include most teaching hospitals), the rate was even higher: 60%.58




Summary


성격 특성은 일부 개인이 불손한 행동을 하게하는 경향이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disrespectful behavior는 병원에서 발견되는 권위주의적이고 지위에 기반한 문화에 의해 지지되고 강화된다.

Although personality characteristics predispose some individuals to disrespectful behavior, for the most part, disrespect is learned behavior that is supported and reinforced by the authoritarian, status-based culture found in most hospitals.


Box 1 Examples of Disrespectful or Abusive Behavior Experienced by Medical Students


1. Two second-year medical students spent an afternoon observing surgery in the operating room (OR) as part of a medical school course. The chief surgical resident assigned the students to a corner of the room with instructions to be quiet and not touch anything. After the students washed their hands and moved to their assigned place, the attending surgeon noticed the students and yelled, “Who are you? What are you doing in this OR? When you come into an OR you introduce yourself to the surgeon. And why are you standing there? Go stand in that [pointing to a different] corner.”*


2. One third-year medical student was scrubbed-in for a case, observing and occasionally assisting the surgeon. At one point, she noticed the surgeon pulling a retractor in a way that seemed to indicate that the surgeon wanted her to take over retracting. As she reached to grab the retractor, the surgeon, who apparently did not want her assistance, slapped her hand out of the field instead of verbally instructing her to remove her hand.*


3. S.N., a third-year student, was distressed with the behavior of the young attending physician and the senior resident on the last month of her medical clerkship. Constant references to “the yellow fat whale in Room 506” or that “dumb drunk” by the attending shocked S.N., and when she spoke to both the attending and resident about their constant disparagement of patients, she was told, “When you grow up you’ll do the same thing.” S.N. was heartbroken to hear these comments from physicians she had respected.


4. A third-year medical student on an OB/GYN rotation related the following: I was instructed to observe a hysterectomy, but when I arrived to the OR, the doctor looked at me with disdain and told me to stand in the far corner and not mess anything up. So, I perched myself atop a small stepstool in the back corner of the room, and I spent the next three hours squinting from across the room, completely unable to see anything except for blue-gowned backs. Suddenly, the doctor called out, “You, over there!” I looked over in surprise—me? Apparently, there was no one available to pull out the catheter, and they beckoned for me to approach the table. I cautiously approached, and before I could even begin, the doctor sharply barked, “DON’T mess this up for me!” Shaking, I followed her instructions, and managed to remove the catheter without contaminating the sterile field. “Now, GET OUT of the way!” she yelled. I couldn’t see behind me, and in a small tremulous voice, I asked, “Is it ok to move backwards, I can’t see anything behind me...?” Raising her voice up a notch, she yelled, “Just GET OUT!” I took several hasty steps backwards, and my arm grazed lightly against the side of a table holding sterile instruments—mind you, nowhere NEAR the table-top, where the instruments lay, but just on the side curtain—and a nurse shrieked, “She contaminated the whole sterile field!” With fury, the doctor looked up and spat, “F___ you!” I blinked and stared right back at her—really, did she just actually say that? Although I didn’t feel sad at all—only mad as hell—tears rushed to my eyes in a visceral response to all of the shouting. The instant that the curse left her lips, I could tell that she regretted it, but you can’t take back something like that, so the words hung awkwardly in the air, hovering over all of our heads for the rest of the procedure. She tried to make up for it, sending arbitrary, irrelevant compliments in my direction, and the nurse patted me on the shoulder several times and tried to appear motherly and compassionate. But, what I remember most strongly from the experience—what I STILL cannot believe—is the fact, despite their palpable remorse, no one ever said, “I’m sorry.”*




 2012 Jul;87(7):845-52. doi: 10.1097/ACM.0b013e318258338d.

Perspective: a culture of respectpart 1: the nature and causes of disrespectful behavior by physicians.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Boston, MA 02115, USA. leape@hsph.harvard.edu

Abstract

A substantial barrier to progress in patient safety is a dysfunctional culture rooted in widespread disrespect. The authors identify a broad range of disrespectful conduct, suggesting six categories for classifying disrespectful behavior in the health care setting: disruptive behavior; humiliating, demeaning treatment of nurses, residents, and students; passive-aggressive behavior; passive disrespect; dismissive treatment of patients; and systemic disrespect.At one end of the spectrum, a single disruptive physician can poison the atmosphere of an entire unit. More common are everyday humiliations of nurses and physicians in training, as well as passive resistance to collaboration and change. Even more common are lesser degrees of disrespectful conduct toward patients that are taken for granted and not recognized by health workers as disrespectful.Disrespect is a threat to patient safety because it inhibits collegiality and cooperation essential to teamwork, cuts off communication, undermines morale, and inhibits compliance with and implementation of new practices. Nurses and students are particularly at risk, but disrespectful treatment is also devastating for patients. Disrespect underlies the tensions and dissatisfactions that diminish joy and fulfillment in work for all health care workers and contributes to turnover of highly qualified staff. Disrespectful behavior is rooted, in part, in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such as insecurity or aggressiveness, but it is also learned, tolerated, and reinforced in the hierarchical hospital culture. A major contributor to disrespectful behavior is the stressful health care environment, particularly the presence of "production pressure," such as the requirement to see a high volume of patients.

Comment in

PMID:
 
22622217
 
DOI:
 
10.1097/ACM.0b013e318258338d


시스템 사고 평가: 의학교육연속체상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총체적 평가 프레임워크(Acad Med, 2017)

Assessment for Systems Learning: A Holistic Assessment Framework to Support Decision Making Across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Constance M. Bowe, MD, and Elizabeth Armstrong, PhD





시스템 이론의 가치는 엔지니어링, 경제 및 비즈니스에서부터 교육, 사회 복지 및 건강 관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됨에 따라 잘 알려져 있습니다. 보건 정책 입안자와 교육자는 시스템 관점이 21 세기의 실천에 필수적이라고 결론 지었고 1-3, 미래의 의료 서비스 제공자를 준비하기 위해 커리큘럼에 포함시키는 것을지지했다 .4-8 의학 교육은 점진적으로 그 목표를 사회의 건강 관리 요구와보다 잘 부합시키기 위해 교육 연속체의 개별 구성 요소 사이에 이전 경계선을 연결했습니다. 

The value of systems theory is well recognized as it is applied in a variety of fields ranging from engineering, economics, and business to education, social services, and health care. Health policy makers and educators have concluded that a systems perspective is essential for practice in the 21st century1–3 and have advocated for its inclusion in curricula to prepare future health care providers.4–8 Medical education has gradually introduced a succession of changes that have bridged previous boundaries between the individual components of the training continuum to better align its goals with society’s health care needs. 


학습자가 훈련 연속체를 통해 진보를 위해 입증해야하는 역량의 평행 영역은 실제적으로 궁극적으로 필요한 필수 기능을 반영하여 통합되고 확장되었습니다. 인증 기관은 학부 및 대학원 프로그램의 승인을 위해보다 포괄적 인 결과 문서화를 점진적으로 요구하고 있습니다. 총체적으로, 이러한 변화는 의료 전달 시스템 및 사회의 건강 관리 필요성과보다 밀접하게 연계 된 시스템으로서의 의학 교육에 대한 전체 론적 견해를 강화시켰다.

Parallel domains of the competencies that learners are required to demonstrate for advancement through the training continuum have been unified and expanded to reflect the essential capabilities ultimately needed in practice.8,9 Accreditation bodies have progressively required more comprehensive documentation of outcomes for approval of both undergraduate and graduate programs. Collectively, these changes have strengthened a holistic view of medical education as a system more closely interfacing with the health care delivery system and society’s health care needs.


의학 교육에 대한 시스템 관점에 대한 이러한 진보에도 불구하고 결과 기반 의학 교육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수용에 대한 저항에 직면 해있다 .10 인증 기관은 점차적으로 주기적 간격으로 외부 평가를 하함으로써 프로그램 성과의 결핍에 대해 내부적으로 더 관심을 갖고 반응할 것을 권장하고있다. 11

Despite these advances toward a systems perspective on medical education, advocates of outcomes-based medical education remain concerned by the encountered resistance to its acceptance.10 Accreditation bodies have increasingly encouraged greater internal attention and response to program outcome deficiencies at periodic intervals between external evaluations.11 


또한, 가치의 증거가없는 경우, 평가에 소요되는 노력의 비용 : 혜택 비율은 그들이 인식하는 유형적인 개선에 종종 좌절하는 학습자 및 교수진에 의해 의문을 제기받습니다. 그러한 우려는 의학 교육에만 국한되지 않고 진화 된 "인정의 문화"13을 기술한 고등교육의 일반적인 리더들과 공유되어 "평가 피로"로 이어진다.

Moreover, in the absence of evidence of its value,12 the cost:benefit ratio of the increasing effort expended on assessment is questioned by learners and faculty who are often underwhelmed by the tangible improvements they perceive. Such concerns are not limited to medical education but are shared by thought leaders in higher education in general who have described a “culture of accreditation”13 that has evolved, leading to “assessment fatigue.”11


인증을위한 개별 프로그램 결과를 모니터링한다고해서 반드시 시스템으로서의 프로그램에 관한 이해가 향상되는 것은 아닙니다. 시스템 관점에서 볼 때 고립 된 데이터는 수집 된 컨텍스트 내에서 고려 될 때까지 실제 정보가 아닙니다. 개별 시스템 구성 요소의 결과는 시스템에 대한 의미를 추론하기 위해 통합되고 분석 될 때까지 실행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전체적으로. 이러한 방식으로만 증거 기반 의사 결정을 위해 시스템 성능에 대한 인텔리전스를 제공 할 수 있습니다. 증가하는 평가 데이터를 의미 있고 실용적인 인텔리전스로 변환하는 것은 정보 시스템 관리 문제를 야기하며, 이는 다양한 시스템 구성원을 프로그램 데이터의 해석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킴으로써 해결할 수 있습니다 .16,17

Monitoring of individual program outcomes for accreditation does not necessarily advance a program’s understanding of itself as a system. From a systems perspective, isolated data are not real information until they are considered within the context in which they are gathered.14,15 Nor do outcomes for individual system components provide actionable information until they are integrated and analyzed to infer their meaning for the system as a whole. Only in this way can intelligence on system performance be provided for evidence-based decision making. Translating growing amounts of assessment data into meaningful and actionable intelligence poses an information management challenge that can only be addressed by actively engaging diverse system member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ir program’s data.16,17


시스템 관점에서 볼 때 의학 교육 연속체에서 개별 구성 요소 결과에 의존하는 것 만으로는 프로그램 성과에 대한 전체적인 그림을 제공하기에 불충분하. 다음을 위해 평가 데이터의 조합에 대한보다 심층적 인 분석이 필요합니다.

  • 구성 요소 상호 관계를 평가하며,

  • 불만족스러운 결과에 기여하는 요소를 확인하고

  • 품질 개선 노력과 장거리 프로그램 기획을 안내하는 증거를 제공한다.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viewed from a systems perspective, suggests that reliance on individual component outcomes is insufficient to provide a holistic picture of program performance. More in-depth analyses of combinations of assessment data are needed to 

  • appreciate component interrelationships, 

  • identify factors contributing to unsatisfactory outcomes, and 

  • provide evidence to guide quality improvement efforts and long-range program planning. 


일반적으로 의학 교육이나 평가에 관한 시스템 원칙은 의학 교육 연속체를 위한 프레임 워크를 개발하기 위해 검토되고 적용됩니다.

Systems principles, relevant to medical education, in general, and to assessment, specifically, are reviewed and applied to develop a framework for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이 기사에서 제안하는 프레임 워크는 시스템 평가의 세 가지 주요 목표를 다룹니다.

  • 시의 적절한 교정을 돕기 위해 계획된 교육 활동 (예 : 과정, 커리큘럼 모듈 또는 임상 순환)이 진행되는 동안 개별 교과 과정 구성 요소 성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합니다.

  • 현재의 시스템 성능을 간헐적으로 분석하여 지속적인 품질 개선 (CQI) 및 혁신 노력을 알린다. 과

  • 장기 시스템 성능에 대한 주기적 평가를 통해 학습자가 건강 관리 시스템의 변화하는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준비하는 데 필요한 체계적인 변화에 대한 준비 여부를 결정합니다.

The framework we propose in this article addresses three major goals of assessment in systems: 

  • continuous monitoring of individual curriculum component performance while a planned educational activity (EA) is in progress (such as a course, curriculum module, or clinical rotation) to facilitate timely corrections; 

  • intermittent analyses of current system performance to inform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CQI) and innovation efforts; and 

  • periodic evaluation of longitudinal system performance to determine its readiness for systemic changes needed to better prepare learners to meet the evolving needs of the health care system.


의학 교육과 관련된 시스템 원리와 실천

Systems Principles and Practices Relevant to Medical Education



본질적으로 시스템은 "함께 일하면서 만물만으로는 달성 할 수없는 결과를 만들어내는 서로 다른 것들의 모음"입니다. 18 "다른 것들"또는 이해 관계자를 포함한 기능적 구성 요소는 시스템이 원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개인 또는 그룹의 분리 된 단위입니다. 더 나은 결과의 달성은 시스템 설계에서 명확히 밝혀진 시스템 구성 요소의 계획된 조정에 달려 있습니다. 시스템의 기능에 중요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통신 경로 및 피드백 루프가 명확하게 지정됩니다. 따라서 1 차 시스템 원리는 시스템의 결과가 개별 부품의 결과의 단순한 합 이상의 것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In essence, a system is “a collection of different things which, working together, produce a result not achievable by the things alone.”18 The “different things” or functional components, including stakeholders, are discrete units of individuals or groups that perform specific tasks that result in the system’s desired product or service. The better result achieved relies on the planned coordination of system components clarified in the system design. Effective and efficient communication pathways and feedback loops, critical to the system’s function, are clearly specified. Therefore, a primary systems principle states that the outcome of a system represents more than the simple sum of the outcomes of its individual parts.


 

복잡한 적응 시스템

Complex adaptive systems


시스템 과학 전문 분야는 자연에서 발생하는 시스템과 인간의 행동에 크게 의존하는 조직 또는 복잡한 적응 형 시스템 (CAS)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19,20 이러한 시스템은 제조 과정에서 설명 된 기계화 된 시스템보다 예측하기가 훨씬 어렵다. 이들은 동적 인 상호 작용과 시스템 전반에 걸쳐 잔향reverberae하는 구성 요소 간의 가변적 상호 관계를 특징으로합니다 .20 결과적으로 인간 의존적 CAS에서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결과 및 시스템 성능 모두에서 상당한 가변성이 관찰됩니다. 어느 한 구성 요소의 변경은 광범위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A specialized branch of systems science focuses on systems occurring in nature and organizations that are highly dependent on human behaviors, or complex adaptive systems (CASs).19,20 These systems are much less predictable than the mechanized systems described in manufacturing. They are characterized by dynamic interactions and variable interrelationships between and among their components that reverberate throughout the system.20 Consequently, considerable variability is observed in human-dependent CASs over time in both outcomes and system performance. Alterations in any one component can have far-reaching consequences.


 

CAS 설계 및 관리

CAS design and management


환경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조정할 수 있는 CAS의 가치있는 적응성은 잘 작동하는 시스템에서 보고 된 효율성과 효율성의 밑바탕이됩니다. 그러나 CAS는 특히 엄격한 중앙 집중식 제어에 내성이 있습니. 위임 된 하향식 교과 과정 개혁에 참여한 의학교육자 및 관리자는 능동적이거나 수동적으로 발생하는 저항이 무엇인지 잘 안다. CAS 설계의 과제는 전체 시스템 성능 향상에 대한 구성 요소의 유연성, 이니셔티브 및 헌신을 제한하지 않고 모든 이해 관계자가 작업을 수행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조직 구조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The valuable adaptability of a CAS to rapidly respond and adjust to alterations in its environment underlies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reported in well-functioning systems. However, it also renders CASs particularly resistant to tight centralized control. Medical educators and managers involved in mandated, top-down curricula reforms can well appreciate the resistance, active and passive, that can emerge. The challenge in CAS design is to provide sufficient organizational structure to keep all stakeholders on task without limiting component flexibility, initiative, and commitment to overall system performance improvement.


중앙 집중식 조정과 유리한 자율성 사이의 이러한 섬세한 균형을 달성하기 위해 시스템 설계는 다음의 것들을 명시 적으로 정의합니다.

    • 시스템 목표와 제공 될 원하는 최종 결과 또는 서비스의 사양, 즉 "최종 제품";

    •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따라야 할 작업 흐름;

    • 이해 관계자 역할, 책임 및 책무; 과,

    • 가장 중요한 것, 최종 제품에 가치를 더하기 위해 작업을 조직하고, 조정하고, 통합하고, 지원하는 "구조화 된 상황"입니다.

To achieve this delicate balance between centralized coordination and advantageous autonomy, system designs explicitly define 

    • system goals and the specifications of the desired final outcome or service to be provided, generically referred to as the “final product”; 

    • work flow to be followed to achieve the desired outcome; 

    • stakeholder roles, responsibilities, and accountability; and, 

    • most important, the “structured context” in which work is to be organized, coordinated, integrated, and supported to add value to the final product.21 


"구조화된 상황"에는 개별 구성 요소의 활동을 연결하고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함께 작업 할 수 있도록 시스템에 설계된 계획된 프로세스, 절차, 의사 소통 경로 및 지원이 포함됩니다. 학부 또는 대학원 의학 교육 프로그램의 기본 구성 요소는 시스템 설계의 관점에서 볼 때 표 1에 나와 있습니다.

The latter includes planned processes, procedures, communication pathways, and supports designed into the system to link the activities of individual components and ensure that they work together effectively and efficiently. The basic components of an undergraduate 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program,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a system design, are presented in Table 1.


시스템 과학자들은 CAS가 제기하는 관리상의 어려움을 인정합니다. 분명히 의료 교육의 관리는 여러 가지 임무 (환자 진료, 연구 및 교육)를 동시에 제공하는 기관 내에서 프로그램의 위치에 따라 더욱 복잡해집니다. 우리는이 상황에서 발생하는 긴장을 과소 평가하지는 않지만, 본 논의는 교육 목표를 향상시키기위한 시스템 원칙의 잠재적 이익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Systems scientists acknowledge the management challenges posed by CASs. Admittedly, administration in medical education is further complicated by the positioning of our programs within institutions simultaneously serving multiple missions—patient care, research, and education. We do not underestimate the tensions arising from this situation, but our present discussion is focused on the potential benefits of systems principles for the advancement of our educational goals.




 

시스템 사고

Systems thinking


시스템 이론의 중심 구성은 시스템 사고로서, 이것은 구성 요소 복잡성, 동적 상호 관계 및 상황 컨텍스트가 시스템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 할 수있는 능력입니다조직의 모든 수준에서 시스템 성능은 이 기술에 의존합니다 .23,24 Valerdi and Rouse25는 시스템 사고 기술이 조직의 여러 이해 관계자들간에 상당히 다르다는 것을 보고하지만, 시스템 사고는 배울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시스템 과학은 의학 심리학, 사회 과학, 조직 행동 및 성인 학습 이론 분야의 연구에서 파생 된 여러 전략을 채택했으며 이는 의학 교육자에게 친숙합니다. 개념 맵, 흐름 다이어그램 및 조직 네트워크의 변형을 비롯한 시각적 그래픽은 기능적 상호 관계, 중요한 통신 경로 및 피드백 루프 및 시스템 고장이 가장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구성 요소 간의 기본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문제 해결 토론에 사용됩니다. -30

A central construct of systems theory is systems thinking, the ability to recognize the influence of component complexity, dynamic interrelationships, and situational context on system outcomes.22 System performance is dependent on this skill at all levels of the organization.23,24 Valerdi and Rouse25 report that systems thinking skills vary significantly among different stakeholders in an organization, but they can be learned. Toward that end, systems science has adopted a number of strategies, derived from research in the fields of cognitive psychology, social science, organizational behavior, and adult learning theory, which are familiar to medical educators. Visual graphics, including variants of concept maps, flow diagrams, and organizational networks, are used in problem-solving discussions to illustrate functional interrelationships, critical communication pathways and feedback loops, and fundamental interfaces between and among components where system breakdowns most commonly occur.26–30


시스템이 효율성을 중시하기 때문에, 시스템이 모든 이해 관계자 수준에서 시스템 사고를 진전시키는 데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투자한다는 사실을 알게되면 놀랄 것입니다. 그러나 시스템이 성능 문제가 발생할 때 이해 관계자의 신속하고 적절한 수정 능력에 의존하는 것은, 문제에 대한 이해 관계자의 인식과 필요한 조정을하려는 시스템의 사용에 달려 있습니다.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개선 될 수 있는지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관계자들의 토론과 대화는 구성원들 사이에 시스템 이해의 불일치를 드러내고 있으며, 시스템 문제와 기능 장애에 기여하는 중요한 요소를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20,26,29

Given the value that systems place on efficiency, it may be surprising to learn that systems invest considerable time and effort to advance systems thinking at all stakeholder levels. However, systems’ reliance on their stakeholders’ abilities to make rapid and appropriate corrections when performance problems arise rests on their stakeholders’ recognition of a problem and the use of systems thinking in making necessary adjustments. Inclusive stakeholder discussions and dialogue around how their system works, or could be improved, are revealing about discrepancies in members’ understanding of the system31 and are useful in identifying the critical factors contributing to system problems and dysfunction.20,26,29 


가장 중요한 것은, 이러한 deliberation에 소비 된 시간은 시스템 구성원들에게 교육 목적을 제공하고 조직 학습을 발전시킨다. 우리는 조직 학습이 집단 사고를 개발하려는 시도가 아니라고 강조하며, 오히려 그 반대에 가깝다. 다양한 시각과 경험을 교환하고 토론함으로써 의사 결정과 시스템 개선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있는 지식이 풍부한 인력이 창출됩니다. 20,23,26,31,32

Most important, time spent in these deliberations serves an educational purpose for system members and advances organizational learning.26,32 We stress that organizational learning is not an attempt to develop group think—quite the contrary. Rather, through the exchange and discussion of diverse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a knowledgeable workforce is created that can actively participate in decision making and system improvement.20,23,26,31,32


유사한 이해 관계자 포함 토론은 커리큘럼 개혁 계획 및 인정을위한 자체 학습 프로세스에서 종종 발생하며 향상된 학습 및 커리큘럼 효능과 관련됩니다. 커리큘럼 개혁 이후에 관찰 된 초기 이익 중 일부는,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해 관계자 교류에서 유래한다고 가정 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목표, 문제 영역 및 효과적인 해결책에 대한 서로 다른 의견이 명확하게 제시됩니다. 

    • 이해 관계자 그룹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강화되고 

    • 프로그램 구성 요소 간의 인터페이스가 강화되며 

    • 시스템 내 상호 관계에 대한 이해 관계자의 인식이 향상됩니다. 

그러나 그러한 교류가 계속 유지되지 않으면 교육 이익이 점차적으로 침식 될 수 있습니다.

    • Similar stakeholder-inclusive discussions often occur in curriculum reform planning and the self-study process for accreditation and are associated with improved learning and curriculum efficacy. One could postulate that some of the initial benefits observed after a curriculum reform stem, in part, from the stakeholder exchanges that take place. Disparate opinions on program goals, problematic areas, and effective solutions are made explicit. Communication between and among stakeholder groups is strengthened, 

    • the interfaces between program components are reinforced, and 

    • stakeholders’ awareness of interrelationships within their system is advanced. 

However, in the absence of continued maintenance of such exchanges, the educational gains can gradually erode.




책무성, 감독, 의사결정

Accountability, oversight, and decision making


시스템 이론에서 결과에 대한 책임과 최종 제품의 품질은 시스템의 critical support 제공 뿐만 아니라 계획된 절차 및 프로세스 준수에 부분적으로 좌우됩니다. 따라서 바람직한 결과 또는 실망스러운 결과는 개별 구성 요소 단독으로 인한 것이 아닙니다. (많은 학술 기관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것보다) 시스템은 의도적으로 결과에 대한 더 큰 공유 책임shared responsibility을 장려합니다 .16 이해 관계자는 계획 프로세스 및 절차가 발생했을 때 이를 준수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해야합니다. 그러나 관리자와 함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어떤 시스템 개선이 필요한지 결정하기 위해 추가 분석이 수행됩니다 .16,21,30 마찬가지로 필요한 CQI 노력이나 혁신 도입에 대한 논의는 시스템의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한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이해 관계자 의견을 요구합니다.

In systems theory, responsibility for outcomes and the quality of the final product is shared and partially dependent on compliance with planned procedures and processes as well as the system’s provision of critical supports. Hence, desired or disappointing outcomes are not attributed to any individual component alone. Systems intentionally encourage greater shared responsibility for outcomes than is typical at many academic institutions.16 Stakeholders are expected to address problems arising from noncompliance with planned processes and procedures as they arise. But then, together with managers, further analyses are performed to determine what system improvements are needed to prevent a recurrence.16,21,30 Similarly, discussions about needed CQI efforts or the introduction of innovations solicit diverse stakeholder opinions to minimize unintended consequences on other components of the system.


새로운 환경의 주요 변화 (새로운 규제 표준 또는 최종 사용자 요구)에 대응할 수있는 시스템의 능력은, 주요 시스템 변화의 이점과 비용을 결정하기 위해 시스템의 현재 강점과 한계에 대한 구성원의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합니다. 이러한 deliberation에는 처음에는 이질적인 이해 관계자의 견해가 포함되며, 반드시 합의를 달성하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 구성원이 함께 살 수있는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 system’s ability to respond to major changes in its external environment—new regulatory standards or end-user needs—is posited on its members’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system’s current strengths and limitations in order to determine the true benefits and costs of any major system changes. Such deliberations initially include disparate stakeholders’ viewpoints26 and move forward, not to necessarily achieve a consensus, but to at least identify changes that the “system members can live with.”29


 

시스템 내부의 평가

Assessment in systems


증거 기반의 의사 결정 및 관련 지식을 가진 이해 관계자에게 높은 가치를 부여하는 시스템을 고려할 때, 시스템 평가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시스템 성능에 대한 정확한 "큰 그림"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실용 가능한 정보는 의사 결정을위한 세 가지 고유 한 조직 수준, 즉 

      • 개별 구성 요소 성능 내에서의 내부 정정, 

      • 시스템 성능의 품질 향상 

      • 시스템의 외부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위한 시스템 준비 상태

...에서 시스템 운영을 최적화하려는 것입니다.


Given the high value systems place on evidence-based decision making and knowledgeable stakeholders participating in it, the overarching purpose of assessment in systems is to provide an accurate “big picture” of system performance. Actionable information is sought to optimize systems’ operations at three distinctive organizational levels for decision making: internal correction within individual component performance, quality improvement in system performance, and system readiness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system’s external environment.


 


의학교육에서의 평가를 시스템 관점에서 바라보기

A View of Assessment in Medical Education From a Systems Perspective


개별 구성요소의 능력 평가

Assess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performance


지난 수십 년 동안 커리큘럼 감독을 중앙 집중화하고 의학 교육에서 평가 기준을 표준화함으로써 상당한 혜택을 얻었습니다. 총체적으로, 이러한 변화는 평가 및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시스템 기반 접근 방식에 대한 의학 교육의 연속체를 준비했습니다. 시스템 사상가들이 주장하는 것과 대조되는 의료 교육의 현재 사례에 대한 간략한 검토는 의학 교육 그 자체를 비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평가 설계에 시스템 원리를 추가적으로 적용할 때의 잠재적 이점을 고려하는 것입니다.

Appreciable benefits have resulted from centralizing curriculum oversight and standardizing assessment criteria in medical education over the past few decades. Collectively, these changes have prepared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for a more systems-based approach to assessment and program evaluation. The brief review of current practices in medical education contrasted with those advocated by systems thinkers3,16,20,23,33 is not intended as a criticism of medical education per se but rather to consider the potential benefits of further applications of systems principles in its assessment design.


의학 교육자는 성과 향상을 위해 학습자에게 빈번하고 건설적인 피드백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사치가 개별 커리큘럼이 진행되는 동안에 구성 요소의 교사와 디렉터에게까지 확장되는 경우는 드물다 .34 의학 교육자는 학습 및 학습자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양하다는 것을 인식합니다 .19,35-38 그러나 EA 완료시 수집 된 평가 데이터 일반적으로 결과 또는 결과 결과에 기여하는 추가 정보가 없이 검토 및 해석이 최종적으로 수행되는 행정 또는 교과 과정 커리큘럼 위원회에게 전달됩니다. 우려 사항을 해결할 수있는 가장 좋은 위치에있는 개인(즉 학습자, 교수, 교육과정 디렉터)에게 결과를 전달하는 데 지연이 발생하면 개개인의 이익을 위해 학습, 교육 및 EA 관리에 대한 접근 방식에서 인식 할 수있는 조정 능력을 제한합니다.

Medical educator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frequent and constructive feedback to learner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This luxury is rarely extended to teachers and directors of individual curriculum components while they are in progress.34 Medical educators recognize that a multitude of factors affect learning and learner outcomes.19,35–38 Yet, assessment data collected at the completion of an EA are typically routed to an administrative or faculty curriculum committee level where review and interpretations are eventually conducted in the absence of additional information contributing to the outcome results. Delays in the delivery of outcome results to the individuals in the best position to address concerns—learners, faculty, and curriculum directors—limit these individuals’ ability to make perceptible adjustments in their approach to learning, teaching, and EA management for the benefit of all involved.34,37


대조적으로, 시스템은 제품 개발 또는 서비스 제공의 각 단계에서 단기 및 중간 결과를 모니터링하고 계획된 상황 구조를 준수하는지 자주 모니터링합니다 .29 업무에 관련된 모든 이해 관계자가 개인화 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신속하게 수정합니다 . 개발의 각 단계가 완료되면 결과는 다음 단계 개발 단계로 나아갈 수있는 품질과 준비를 보장하기 위해 정의 된 기준에 따라 검토됩니다. 기대치 또는 절차 또는 프로세스 불이행으로 인한 성과의 과도한 변동성은 광범위한 시스템 문제를 시사합니다. 이러한 관행은 시스템상의 문제를 확실히 해결하게 해주며, 관련된 모든 이해 관계자에 대해서 평가의 가치와 관련성을 강화합니다.

In contrast, systems frequently monitor short-term and intermediate outcomes,33 as well as compliance with planned contextual structures, throughout each phase of product development or service provision.29 Personalized data are made available to all stakeholders involved in a task to make rapid corrections. At the completion of each stage of development, outcomes are reviewed against defined standards to ensure quality and readiness for advancement to the next stage of development. Excessive variability in outcomes from expectations or noncompliance with procedures or processes signals a broader system problem. These practices ensure that systemic issues are addressed and reinforce the value and relevance of assessment for all stakeholders involved.



 

시스템 능력의 평가

Assessment of system performance


의학 교육의 QA는 각 EA나 교육단계가 종료되었을 때 수집되는 개인별 교육성과나 후향적 학습 평가에 크게 의존합니다. 교수자의 turnover에 따른 영향, 신규 및 원격 교육장, 커리큘럼 혁신은 중대한 성과 저하가 ​​발생하거나 전반적인 시스템 성능이 저하 될 때까지 인식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Quality assurance in medical education is heavily dependent on individual curriculum component outcomes and retrospective learner ratings and commentary solicited at the completion of individual EAs or stages of training. The impact of turnover in teaching faculty, inclusion of new and remote teaching sites, or curriculum innovations can go unrecognized until significant outcomes deterioration has occurred or overall system performance has been compromised. 


EA 결과에만 고립된 상태로 과도하게 의존하는 것은 학습과 교수법에 기여하는 다른 중요한 요소 인 체계적 요인에 대한 고려를 제한한다 .38,39 인증 기관은 특히 accreditation review에서 불충분한 영역에서 결과 데이터를보다 자주 검사하는 프로그램을 내부적으로 시작할 것을 점차 권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을 결과 추세 및 기여자에 대한 전향적 트레킹과 결합하면 인증 기관에 의한 심각한 행동 결정의 발생률을 줄일 수 있습니다.

The excessive reliance on segregated EA outcomes limits consideration of other, equally important, systemic factors contributing to learning and teaching.38,39 Accreditation bodies are increasingly encouraging programs to internally initiate more frequent examinations of outcomes data, especially in areas found to be deficient on accreditation review.11,40 That approach, combined with prospective tracking of outcomes trends and contributors, could reduce the incidence of severe action decisions by accrediting bodies.


개별 구성 요소 결과를 모니터링하는 것 외에도 시스템은 데이터 조합에 대한 추가 분석을 수행하여 결과에 기여하는 요소들의 상호 관계, 시너지 효과적이고 경쟁적인 상호 작용을 나타내는 패턴, 성능 추세 및 확인 된 문제의 근본 원인을 확인합니다 .26,33 프로세스 및 절차를 포함한 시스템 설계 기능의 비례 기여도와 그에 따른 평가 매개 변수의 예측 가치에도 주의를 기울입니다. 결과 증거의 의미는 이해 관계자에 의해서 deliberate되어, CQI에 알리고, 가장 효과적 일 가능성이 높은 혁신을 확인하고, 운영을 합리화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deliberation의 결론은 조직 학습을 확대하기 위해 모든 이해 관계자 그룹과 공유됩니다 .16,26,27

In addition to monitoring individual component outcomes, systems perform additional analyses on combinations of data to identify interrelationships contributing to outcomes, patterns suggesting synergistic and competitive interactions, trends in performance, and the root causes of identified problems.26,33 Attention is also paid to the proportional contributions of system design features, including processes and procedures,39 and the predictive value of assessment parameters followed. The meaning of the resulting evidence is deliberated by stakeholders to inform CQI, identify innovations likely to be most effective, and streamline operations.41 The conclusions of these deliberations are shared with all stakeholder groups to extend organizational learning.16,26,27


문헌에보고 된 성공적인 교육 혁신의 채택은 때로 원래 환경에서 다른 교육 기관으로 이식 된 경우 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교육 시스템은 크게 다를 수 있습니다. Plsek20은 여러 시스템에서 조직 구조, 프로세스 및 혁신 패턴을 연구했으며 여러 요소가 혁신적인 아이디어의 생성과 성공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결론 내립니다. 강압적인 전략은 "조직 문화에서 수용적인 맥락"을 찾는데 별로 도움이 안 된다.

The adoption of successful educational innovations reported in the literature can sometimes prove to be less effective when transplanted from the original setting to other institutions. Education systems can differ significantly. Plsek20 has studied organizational structures, processes, and patterns of innovation in a number of systems and concludes that multiple factors are closely related to the generation and success of innovative ideas. Coercive strategies have limited value to find a “receptive context in the organizational culture.”20 


"사람들이 만나고, 반성하고 토론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입니다. 이해 관계자들은 제안한 변경 사항의 잠재적 이익과 손실을 exchange함으로써 성공에 필요한 중요한 지원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됩니다. 이해 관계자들의 손실에 대한 두려움은 관심 분야의 성과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기위한 평가 기준을 포함시킴으로써 해결할 수 있습니다.

Providing opportunities for “people to meet, reflect and discuss”20 are much more effective. Stakeholder exchanges on the potential benefits and losses of proposed changes help to identify critical supports required for their success. Stakeholders’ fears about losses can also be addressed by the inclusion of assessment criteria to closely monitor performance in the areas of concern.



 

시스템 차원의 장기 계획을 위한 평가

Assessment to inform system-wide, long-range planning


잘 작동하는 시스템은 외부 환경의 변화에 ​​능숙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의료 프로그램의 목표를 사회의 진화하고 예측 된 건강 관리 요구와보다 밀접하게 맞추기 위해 반복적으로 도전받는 의학교육과 특히 관련이 있습니다 .41-47 이러한 요구에 응답하기 위해서는 커리큘럼 디자인, 거버넌스 및 프로그램 우선 순위에 큰 변화가 필요했으며, 이는 개별 이해 관계자 그룹의 우려를 불러 일으켰습니다.

Well-functioning systems are purported to be adept in coping with changes in their external environment. This is especially relevant for medical education, which is repeatedly challenged to align its programs’ goals more closely with society’s evolving and projected health care needs.41–47 Response to such demands often necessitates major alterations in curriculum design, governance, and program priorities, raising concerns by individual stakeholder groups.


변화에 대한 저항은 잘 작동하는 시스템에서는 비록 완전히 제거되지는 않더라도, 시스템 사고에 숙달되고 조직 학습에 의해 정보를 얻은 중요한 이해 관계자를 육성하려는 시스템의 의식적인 노력으로 인해 감소합니다. 시스템에서 장거리 계획을 준비하는 것은 토론에 필요한 시스템 성능의 증거를 모으는 것입니다.

    • 몇 년에 걸친 종단 시스템 성능,

    • 시스템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최종 사용자 만족도에 대한 여러 소스의 피드백,

    • 진화하는 소비자 기대,

    • 규제 요구 사항의 변화 가능성을 예상하는 연구


Resistance to change is not entirely eliminated in well-functioning systems, but it is reduced by systems’ conscious efforts to cultivate a critical mass of stakeholders skilled in systems thinking and informed by organizational learning. Preparation for long-range planning in systems includes assembling evidence of system performance critical to the discussion: 

    • longitudinal system performance over several years, 

    • feedback from multiple sources on end users’ satisfaction with the system’s product or service, 

    • evolving consumer expectations, and 

    • research to anticipate likely changes in regulatory requirements. 


이러한 정보로 무장한 이해 관계자는 장래에 제품 또는 서비스에 바람직한 개선 사항과 새로운 기능을 논의할 수 있다. 제안은 시스템을 제공 할 준비가되었는지, 그리고이를 성공적으로 구현하는 데 필요한 중요한 자원과 지원과 관련하여 고려됩니다.

Armed with this information, stakeholders discuss desirable improvements and new capabilities in their product or services in the future. Proposals ar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the system’s readiness to deliver them and the critical resources and supports needed to successfully implement them.


 


의학교육의 시스템-기반 평가 프레임워크

A Systems-Based Assessment Framework for Medical Education



의학교육 평가를 위한 제안 된 시스템 기반 프레임워크의 잠재적 인 가치는 프로그램, 결과의 의미를 해석함에 있어 모든 이해 관계자 그룹(학생, 교수진 및 교과 과정 책임자)의 적극적인 참여시스템 사고 기술을 향상시켜주며, 궁극적으로 프로그램 의사 결정에보다 관련성 있고 실행 가능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는 전제하에 부분적으로 제기된다. 개별 구성 요소 결과는 계속 수집되어 인증 목적으로 사용 가능하지만 전반적인 시스템 성능에 대한보다 포괄적이고 전체적인 분석으로 보완됩니다.

The potential value of the proposed systems-based framework for assessment in medical education is partially posited on the premise that more active engagement of all stakeholder groups—students, faculty, and curriculum directors—in 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ir programs’ outcomes will advance their systems thinking skills and ultimately result in more relevant and actionable information for program decision making. Individual component outcomes will continue to be collected and available for accreditation purposes but will be complemented by more comprehensive and holistic analyses of overall system performance.



이 프레임 워크는 

  • 즉각적인 시정 조치를위한 개별 구성 요소 성능, 

  • 품질 향상을위한 전반적인 시스템 성능 

  • 장기적 프로그램 계획을 위한 종단 시스템 성능

...의 3 가지 수준에서 시스템 성능을 평가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각 레벨에서 수행 된 평가의 요약은 표 2에 나와 있습니다.

The framework is designed to evaluate system performance at three distinctive levels: individual component performance for immediate corrective actions, overall system performance for quality improvements, and longitudinal system performance for long-range program planning. Summaries of the assessments performed at each level are provided in Table 2.



 

1단계: 개별 요소의 성능 평가

Level 1: Assessment of individual component performance


진행중인 개별 EA에서 시정 조치의 필요성을 나타 내기 위해 학습, 교육 및 커리큘럼 구성 요소 성과에 대한 내부 평가가 1 단계에서 수행됩니다. 이러한 평가 결과는 EA (학습자, 교수 및 EA 이사)와 관련된 이해 관계자에게 개인이 조정할 수 있도록 핵심 작업 (학습, 교수 및 평가)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수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형성 피드백으로 신속하게 전달됩니다. 계획된 프로세스 및 절차의 준수 여부가 모니터링되고 결과가 해석 될 수있는 상황을 제공 할 수 있습니다. 이 수준에서 평가의 후반 측면은 교육 및 학습 경험이 크게 다를 수 있는 여러 사이트에서 실시되는 EA에 특히 중요합니다. 이러한 토론에 대한 학습자의 참여는 학습자의 개별 집단별로 서로 다른 결과를 초래할 수있는 compliance disparities를 인식하는 데 중요합니다.

Frequent internal assessments of learning, teaching, and curricula component performance are performed at Level 1 to indicate the need for corrective actions in individual EAs in progress. The results of these assessments are rapidly communicated to stakeholders involved in the EA (learners, faculty, and EA directors) as formative feedback on how effectively core tasks (learning, teaching, and assessment) are currently being performed to allow individuals to make adjustments. Compliance with planned processes and procedures is monitored and available to provide a context in which outcomes can be interpreted. The latter aspect of assessment at this level is especially important for EAs conducted at multiple sites where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can vary significantly. Learner participation in these discussions is critical to the recognition of compliance disparities that can result in different outcomes for individual cohorts of learners.


 Ongoing task에 종사하는 개인에게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고 평가의 이점을 명백하게 보여 주며 평가의 가치를 부여하는 문화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커리큘럼 단위가 진행되는 동안의 평가와 유사한 접근법이 실행되어 성공한 ​​것으로보고되었다 .34,37

 The rapid provision of information to individuals engaged in the ongoing tasks allows them to address problems, tangibly demonstrating the benefits of assessment and reinforcing a culture that values it. Similar approaches to assessment during curricula units in progress have been implemented and reported to be successful.34,37


EA가 끝나면 학습 목표가 충족되었고 학습자가 발전 준비가되었거나 치료가 필요한지 판단하기 위해 최종 결과를 검토합니다. 참여한 모든 교수진, 학생 및 EA 이사의 EA 결과에 대한 추가 논의는 향후 개선이 보장 될 수있는 점과 Level 2 분석에서보다 철저하게 다루어 져야 할 질문을 고려합니다.

At the conclusion of an EA, final outcomes are reviewed to determine whether learning objectives have been met and learners are ready for advancement or require remediation. Additional discussions of EA outcomes by all involved faculty, students, and EA directors consider what future improvements may be warranted and what questions remain to be addressed more thoroughly by Level 2 analyses.


Box 1에 제공된 레벨 1에서 수행 된 평가의 예는 학습자에게 피드백을 위해 따라야 할 의도 된 프로세스와의 비준수를 신속하게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레벨 2에서 좀 더 포괄적 인 탐사를 위해,  이해 관계자 토론으로부터 관련 상황에 잠재적 인 시스템 기여자를 확인한 것입니다.

The example of an assessment performed at Level 1 provided in Box 1 illustrates how this approach facilitated rapidly addressing noncompliance with the intended process to be followed for feedback to learners. Most important, stakeholder discussions identified potential systemic contributors to the concerning situation for more comprehensive exploration at Level 2.


 

Box 1

Level 1 Example of Medical Education Decisions Informed by Systems-Based Assessment: Rapid Correction of Individual Stakeholder and Curriculum Component Performance


Early competency performance assessments of a cohort of trainees on an ambulatory clinical rotation fell below standards expected at this point in the rotation. Compliance monitoring indicated that constructive performance feedback was not reliably provided to learners by all supervising faculty and residents as planned during the scheduled observation sessions during the first two weeks of the rotation.


The EA director initiated formal faculty and resident development sessions on giving feedback. She also required supervisors and learners to document the feedback delivered and received, respectively, during the remainder of the clerkship. At the conclusion of the rotation, learner competence performance outcomes were improved for the majority of learners.


In EA discussions of assessment data, students, residents, and faculty raised different concerns about some of the clinical contexts in which the clinical performance assessments occurred and questioned the appropriateness of some settings for performance assessment and feedback. A formal request was made for Level 2 analyses to explore the association between final learner performance outcomes, quality of documented feedback received, and the clinical setting in which observations were performed (number of patients scheduled and medical staffing for the clinic) for various clinic sites in the rotation. Level 2 analyses subsequently identified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learner competency outcomes and the teaching faculty:patient ratio, as well as teaching faculty:student ratios. These findings led to the development of new guidelines for teaching clinic staffing and patient volume.


Abbreviation: EA indicates educational activity.


 

2단계: 시스템 성능의 향상을 위한 평가

Level 2: Assessment for improvement in system performance


수준 2는 성능 결과에 기여하는 시스템 요소를 보다 철저하게 평가할 수 있는 협력적, 통합적 허브 역할을합니다. 평가 데이터의 조합에 대한 포괄적 인 분석은 구성 요소 상호 관계의 패턴, 학습 궤도의 추세, 예상치 않은 결과의 근본 원인 및 다양한 평가 방법 및 기준의 예측 가치를 파악하기 위해 계획되고 해석됩니다. 분석의 초점은 표준화되지 표준화되지 않으나, 시스템 이해 관계자가 제기 한 질문이나 EA 결과의 변화에 ​​따라 달라진다. 레벨 2 평가는 또한 다른 커리큘럼 구성 요소 및 시스템 성능에 대한 개별 EA 혁신의 원격 효과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검사합니다.

Level 2 functions as a collaborative, integrative hub to more thoroughly evaluate system factors contributing to performance outcomes. Comprehensive analyses on combinations of assessment data are planned and interpreted to identify patterns of component interrelationships, trends in learning trajectories, root causes of unexpected outcomes, and the predictive value of various assessment approaches and criteria. The focus of analyses is not standardized but varies depending on questions raised by system stakeholders or concerning variations in EA outcomes. Level 2 evaluations also examine outcomes data for remote effects of individual EA innovations on other curriculum components and system performance.


수준 2에는 분석 계획 및 해석이 학생들의 관점을 포함하여 다양한 관점을 반영하도록 모든 이해 관계자 그룹이 참여한다. 수행 된 분석은 해결을위한 혁신적인 접근법을 요구하는 CQI 노력 및 체계적 문제를 보증하는 체계적인 문제의 증거를 제공 할 수 있습니다. 수준 2 결과는 의사 결정 책임에 맞게 특정 이해 관계자에게 전달됩니다. 전체 시스템 구성원들이 일반적으로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요약 결론은 조직 학습을 발전시키기 위해 더욱 넓은 범위로 배포됩니다.

Participation in Level 2 is inclusive of all stakeholder groups to ensure that analysis planning and interpretations reflect a diversity of perspectives, including those of students. The analyses performed can provide evidence of systemic problems that warrant CQI efforts and systemic issues that require innovative approaches for resolution. Level 2 findings are communicated to specific stakeholders, tailored to their decision-making responsibilities. Summary conclusions, of general interest to all system members, are more widely circulated to advance organizational learning.


Box 2에 제공된 예제에서 예시 된 바와 같이, 레벨 2 토론과 분석은 문제가 초기 관심사의 구성 요소에 내재되어 있다고 가정하기보다는, 불완전한 결과에 기여하는 구성 요소 상호 작용을 식별하려고 시도합니다. 이 경우 여러 시간을 소비하는 온라인 과제에 의해 학생에게 누적 된 과도한 부담이 재발되지 않도록 시스템 차원의 프로세스 및 절차 변경이 필요했습니다. 레벨 2 토론에서 이해 관계자를 폭넓게 representation하면 문제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높였을뿐만 아니라 flipped 교실 접근법의 확장이 장려됨에 따라 교실 밖 배정에 대한 가이드 라인과 조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As exemplified in the example supplied in Box 2, Level 2 discussions and analyses seek to identify component interactions contributing to unsatisfactory outcomes rather than reflexively assuming the problem is inherent in the component of initial concern. In this case, system-wide process and procedure changes were needed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cumulative excessive burdens placed on students by multiple time-consuming online assignments. Broad stakeholder representation in Level 2 discussions not only raised general awareness of the problem but also highlighted the need to establish guidelines for and coordination of out-of class assignments, as expansion of the flipped classroom approach was encouraged.




 

Box 2

Level 2 Example of Medical Education Decisions Informed by Systems-Based Assessment: Identification of Component Interactions Contributing to Program Performance


Two previously highly regarded courses received lower course evaluation ratings than had been reported for the past several years. The decline was associated with an overall decrease in mean student grades, primarily reflecting an inferior quality of final projects submitted. No changes had occurred in either course’s content or the teaching approaches employed. A new IPE course, introduced into the same curriculum block, received “good” evaluations, but students’ commentary on the IPE course’s evaluation noted its use of time-consuming, Web-based modules and collaborative “outside-of-class” team activities. The latter observations were subsequently substantiated in student focus group discussions.


Based on its analyses, Level 2 deliberations concluded that a process was needed to better coordinate “outside-of-class” time demands on students during individual curriculum segments. Given the institution’s current interest in the use of innovative “flipped classrooms,” Level 2 also initiated monitoring of the time expenditures required for students to complete online activities and group projects. This ultimately resulted in the development of an institutional policy on the use of online and “outside-of-class” assignments that was put into place and periodically reassessed.


Abbreviation: IPE, interprofessional education.


Stratton et al., 16 Goldman et al., 17 및 Stoddard et al., 48에 의해 의학 교육 평가 자료의 포괄적 이해 관계자 해석의 타당성과 가치가보고되었다

The feasibility and value of inclusive stakeholder interpretation of medical education assessment data have been reported by Stratton et al,16 Goldman et al,17 and Stoddard et al.48


 

3단계: 미래 변화에 대비하는 시스템 준비를 위한 평가

Level 3: Assessment to prepare system for future changes



이상적으로, 레벨 3 평가는 정기적 인 간격으로 이루어 지므로 종단 시스템 성능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의학 교육 훈련 연속체 및 의료 시스템의 진화하는 변화를 학습자가 준비 할 수 있도록 시스템 준비 상태를 결정합니다. 장기 계획을 준비하려면 전 훈련생, 규제 기관 및 "최종 사용자"(환자, 고급 교육 프로그램 책임자 및 향후 고용주)의 피드백과 함께 시스템 성능에 대한 수년 간의 정보를 수집해야합니다. 종합적으로,이 데이터는 프로그램이 현재 졸업생의 능력을 미래 졸업생에게 기대되는 능력과 비교할 수있게 해줍니다.

Ideally, Level 3 evaluations occur at periodic intervals to comprehensively review longitudinal system performance and determine system readiness to prepare learners for evolving changes in the medical education training continuum and health care system. Preparation for long-range planning requires the compilation of several years of information on system performance combined with feedback from former trainees, regulatory bodies, and “end users”—patients, advanced training program directors, and future employers. Collectively, these data allow a program to compare the capabilities of its current graduates with those anticipated for future graduates.


모든 프로그램 이해 관계자를 포함한 3 단계 심의에서는 시간, 노력 및 재정적 지원 비용을 포함하여 실천적으로 필요한 지원을 현실적으로 평가하는 맥락에서 예상되는 기대치를 충족시키기 위해 졸업생을 준비하는 데 필요한 프로그램 변경에 중점을 둡니다. 우리의 프레임 워크에서 제안 된 포괄적 인 3 단계 평가는 프로그램 책무성의 요구가 계속되고 프로그램 졸업생의 성과에 대한 추가 정보 소스가 추구 될 때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49-52

 Level 3 deliberations, including all program stakeholders, focus on program changes needed to prepare graduates to meet projected expectations,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a realistic appraisal of the supports necessary to implement them, including costs in time, effort, and financial support. The comprehensive Level 3 evaluations proposed in our framework are likely to become more important as calls for program accountability44–47 continue and additional sources of information on program graduates’ performance are pursued.49–52


박스 3에 묘사 된 레벨 3의 예는 레벨 2에서 알 수있는 레벨 3에서의 평가 프로세스가 학습자의 능력에 대한 프로그램의 평가에서 중대한 결함을 어떻게 확인했는지 보여줍니다. 레벨 3 평가 결과에 따라 학습자 성과 평가 기준이 개정되어 건강 관리 시스템의 기대치와 더욱 밀접하게 일치하게되었습니다. 이러한 평가를 통해 시스템은 모든 프로그램 이해 관계자에 대한 원가 절감 성과를 모니터링 할 수있었습니다.

The Level 3 example depicted in Box 3 illustrates how the assessment process at Level 3, informed by Level 2, identified a critical deficiency in a program’s assessment of learners’ competencies. Level 3 evaluations resulted in revisions in the criteria for learner performance assessments to align them more closely with the health care system expectations. These evaluations also prompted the system to initiate monitoring of cost containment performance for all program stakeholders.


Box 3

Level 3 Example of Medical Education Decisions Informed by Systems-Based Assessment: Program Changes Needed to Meet Future External Health Care Needs and Expectations


A primary care postgraduate program at a tertiary academic medical center noted a decreased recruitment of its graduates by local primary care practices over the past several years. Informal feedback from current employers of recent program graduates suggested that they tended to be overly dependent on diagnostic tests and procedures, as well as multiple specialty consultations, to make clinical decisions. Prior interval reaccreditation of the program concluded that it was meeting all required expectations. Previous Level 2 analyses found no changes in residents’ overall clinical performanc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acuity and complexity of patients cared for at the medical center. However, performance criteria currently in use did not specifically track cost of care for faculty or residents.


In view of growing societal and political concerns about rising health care costs, the omission of performance parameters indicative of cost:benefit patient care management was determined to be a critical deficiency in the residency program’s assessment criteria. Inclusive stakeholder discussions concluded that intermediate and final competency assessment criteria should be revised to include cost of care indicators for both residents and faculty and monitored at Level 2. Curriculum changes were introduced in conjunction with the inclusion of a process to provide feedback to residents and faculty on comparative costs and benefits of care.



 

고찰

Discussion


시스템 사고의 중요성에 대한 의학 교육의 강조는 학습자가 훈련하고 교수가 일하는 프로그램 내에서 시스템 사고와 관행의 인식 가능한 활용에 의해 크게 강화 될 것이다. 평가에 대한 시스템 접근법의 명백한 사용은 학습자와 교수진에게 시스템 사고에 대한 직접 경험을 제공하고 관련 시스템 문제를 골라 내고 해결책을 식별하는 데있어 그 유용성을 제공합니다.

Medical education’s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systems thinking would be significantly reinforced by the perceptible utilization of systems thinking and practices within the programs in which learners train and faculty work. The explicit use of a systems approach to assessment provides learners and faculty with firsthand experience in systems thinking and its utility in framing relevant system problems and identifying solutions.


연수생을 대상으로 한 시스템 기반의 진전에 대한 의학 교육의 열정을 감안할 때, "왜 전체론적 접근이 학계 기관에서 분명하지 않은 것일까?"라는 질문을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밝혀진 바에 따면, 과도한 양의 정보나 복잡한 자료에 직면했을 때, 개인은 환원 주의적 전략을 채택하는 자연스러운 경향이 있으며, 의사 결정을위한 가장 접근하기 쉬운 기능에 중점을 둡니다 .25 시스템 사고는 직장에서의 실제 적용한 경험이 있거나 linear thinking과 대비해서 문제 해결에서의 이점을 가진 경험이 있을 때 더 능숙해진다.

Given medical education’s enthusiasm for advancing systems-based practice in its trainees, one could ask, “Why is this holistic approach not more evident in academic institutions?” Research indicates that individuals have a natural propensity to adopt a reductionist strategy when confronted by excessive amounts of information or complex data and to focus on the most accessible features for decision making.25 Proficiency in systems thinking is promoted by its practical application in one’s work and by primary experience with its benefits in problem solving compared with more linear thinking.20,24,26,53


조직 인프라는 기관에 대한 시스템 관점을 발전시키는 또 하나의 장벽입니다. 엄격한 위계적 기관에서, 그리고 다른 이해 관계자에 대한 노출과 역할이 제한적일 경우, 조직의 시야가 좁아집니다. 데이터 해석 및 의사 결정을위한보다 협업적인 프로세스 학부 및 대학원 프로그램 모두에서 시도되어왔다 .54 시스템 사고를 촉진하고 의사 결정을위한보다 실용적인 정보를 성공적으로 발표 한 성과는 우리가 제안한 평가 체계의 타당성과 지속 가능성에 대한 지원을 제공한다.

Organizational infrastructure is another barrier to advancing a systems perspective on one’s institution.25 Narrower views of an organization are observed in rigidly hierarchical institutions and when exposure to other stakeholders and their roles is limited.25,53 More collaborative processes for data interpretation and decision making have been attempted in both undergraduate11,16,17,34,48 and graduate programs.54 Their reported success in promoting systems thinking and more actionable information for decision making provides support for the feasibility and sustainability of the assessment framework we propose.


제안 된 프레임워크를 구현함으로써 잠재적인 기관의 편익이 도출되었지만, 여전히 구현을 위해서는 이해 관계자 노력이 더 필요하다는 것에 대한 우려는 이해가능하다. 그러나 최근 고등 교육 사상가 및 의학 교육 인정 기관의 호소로 인해보다 포괄적 인 프로그램 평가가 지원되었습니다. 인증기관들은 개선 될 수있는 체계적인 요인에 대한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 결과 데이터에 대해 더 자주 내부적으로 검토할 것을 권장합니다.

Despite the potential institutional benefits to be derived from implementing the proposed framework, understandable concerns about the increased stakeholder effort required for its implementation are legitimate. However, recent appeals from thought leaders in higher education13 and medical education accrediting bodies10,11,40 indicate their support for more comprehensive program evaluation. Both groups encourage more frequent, internally initiated review of outcomes data with specific attention to systemic factors that can be improved. 


시스템 과학자들은 평가 및 평가에 대한보다 전체 론적 인 접근 방식이 더 큰 효능 및 효율성, 사용 된 평가 기준의 예측 가치 향상, 프로그램 의사 결정을 안내하는보다 실용적인 정보를 제공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모든 이점은 의료 교육 연속체의 궁극적 인 목표 인 진료 제공자가 환자의 요구에 부응 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데 중요합니다.

Systems scientists maintain that a more holistic approach to assessment and evaluation results in greater efficacy and efficiency, improvement in the predictive value of assessment criteria employed, and more actionable information to guide program decision making. If so, all of these benefits would be valuable in advancing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s ultimate goal of preparing providers to serve the needs of patients.










 2017 May;92(5):585-592. doi: 10.1097/ACM.0000000000001321.

Assessment for Systems Learning: A Holistic Assessment Framework to Support Decision Making Across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Author information

1
C.M. Bowe is codirector, Systems Approach to Assessment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arvard Macy Institute, senior consultant, Partners Health Care International, and professor emeritus, Clinical Neur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School of Medicine, Sacramento, California. E. Armstrong is director, Harvard Macy Institute, and clinical professor, Pediatrics,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Abstract

Viewing health care from a systems perspective-that is, "a collection of different things which, working together, produce a result not achievable by the things alone"-raises awareness of the complex interrelationships involved in meeting society's goals for accessible, cost-effective, high-quality health care. This perspective also emphasizes the far-reaching consequences of changes in one sector of a system on other components' performance. Medical education promotes this holistic view of health care in its curricula and competency requirements for graduation at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training levels. But how completely does medical education apply a systems lens to itself?The continuum of medical training has undergone a series of changes that have moved it more closely to a systems organizational model. Competency assessment criteria have been expanded and more explicitly defined for learners at all levels of training. Outcomes data, in multiple domains, are monitored by external reviewers for program accreditation. However, translating increasing amounts of individual outcomes into actionable intelligence for decision making poses a formidable information management challenge.Assessment in systems is designed to impart a "big picture" of overall system performance through the synthesis,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outcomes data to provide actionable information for continuous systems improvement, innovation, and long-term planning. A systems-based framework is presented for use across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to facilitate timely improvements in individual curriculum components, continuous improvement in overall program performance, and program decision making on changes required to better address society's health care needs.

PMID:

 

27465232

 

DOI:

 

10.1097/ACM.0000000000001321


새로운 도구상자를 이용해서 교육자 평가하기(Acad Med, 2014)

Evaluating Educators Using a Novel Toolbox: Applying Rigorous Criteria Flexibly Across Institutions

Maryellen E. Gusic, MD, Constance D. Baldwin, PhD, Latha Chandran, MD, MPH, Suzanne Rose, MD, MSEd, Deborah Simpson, PhD, Henry W. Strobel, PhD, Craig Timm, MD, and Ruth Marie E. Fincher, MD






Boyer (1)는 교육 기관이 scholarship of teaching을 포함하도록 scholarship 제도를 재정립해야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연구를 토대로 교육자의 인정과 승진은 방향으로 나아갔습니다 .2-4 그러나 많은 기관은 교육자의 작업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기위한 기준이 부족합니다 .5-7 의학 교육의 사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AHC에서 유연하게 사용할 수있는 교육자의 성과를 평가할 수있는 특정 기준을 가진 객관적인 프로세스를 구현해야합니다.

There has been progress toward recognition and promotion of educators based on the work of Boyer,1 who argued that academic institutions should redefine scholarship to include the scholarship of teaching.2–4 However, many institutions lack defined criteria for systematically evaluating the work of educators.5–7 To further advance the medical education mission, we must implement an objective process with specific criteria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educators that can be used flexibly by academic health centers.



교육자 평가에 관한 AAMC 특별 전담 팀

AAMC Task Force on Educator Evaluation


The AAMC Task Force on Educator Evaluation은 교육에 중점을 둔 교수진을 지원하기 위해 교육 기관에서 사용할 수있는 교육자 평가를위한 객관적인 프로세스를 만들기 위해 2010 년에 소집되었습니다.

The AAMC Task Force on Educator Evaluation, in which all the authors have participated, was convened in 2010 to create an objective process for evaluating educators that can be used by institutions to support faculty whose careers focus on education.


태스크 포스의 주요 산출물은 교수진의 교육적 기여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위하여, 명확한 기준을 포함하는 교육자 평가 도구 상자(the Toolbox for Evaluating Educators)입니다. 이 도구 상자는 MedEdPORTAL에 게시된 professional development materials 집합의 핵심이며, 승격 및 테뉴어 위원회 위원에게 성과 지표를 적용하고 특정 설정에서 사용에 대해 토론 할 수있는 실습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워크숍 형식으로 제공됩니다 .9

The task force’s principal product is the Toolbox for Evaluating Educators, which contains explicit criteria for objective evaluation of the educational contributions of faculty. The toolbox is the centerpiece of a se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materials published on MedEdPORTAL, presented in workshop format to provide promotion and tenure committee members with hands-on opportunities to apply the performance indicators and discuss use in their specific setting.9


명확한 목표

Clear Goals


연구 분야에서는 academic advancement 분야에서 널리 인정되고 표준화된 자격이 있다. 여기에는 동료 검토 논문, 국가 연구 발표, 기금 지원이 주로 포함된다.11,12 우리의 목표는 이와 유사하게 잘 이해 된 기준에 근거하여 교육자의 성과의 질에 관하여 홍보위원회 및 기타 의사 결정권자가 객관적인 증거에 도달하게 하는 것이다. 

In the research arena, well-accepted, standardized qualifications for academic advancement focus on peer-reviewed publications, national presentations of scientific work, and funded grants.11,12 Our goal is to enable promotion committees and other decision makers to reach objective, evidence-based decisions about the quality of educators’ performance, based on equally well-understood criteria.


목표 1 : 교육 기관이 가치있는 교육 기부를 결정하는 것

Objective 1: To Determine What Educational Contributions Are Valued by Our Institutions



적절한 준비

Adequate preparation


전국의 의과 대학에서 교육자의 성과와 발전에 관한 의사 결정의 현재 상태를 조사하기 위해 전국 설문 조사를 통해 정보를 수집했습니다. 또한 설문지 작성 과정에서 AAMC 구성 그룹의 대표자 인 태스크 포스의 각자에게 2010 년 11 월에 개최된 annual AAMC meeting에 초대 할 그룹의 주요 구성원 이름을 제출하도록 요청 받았다.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decision making regarding educator performance and advancement at medical schools nationwide, we obtained information using a national survey. In addition,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questionnaire, each person on the task force, as a representative of an AAMC constituent group, was asked to submit names of key members of their group to be invited to a stakeholder meeting held in November 2010, at the annual AAMC meeting;


적절한 방법

Appropriate methods


AAMC의 Vovici Survey Platform을 사용하여 최종 조사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http://links.lww.com/ ACADMED / A200 참조)를 AAMC GFA의 117 명의 대표에게 미국 및 캐나다 의과 대학에서 전자 배포했습니다.

The final survey (see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http://links.lww.com/ ACADMED/A200) was electronically distributed using the AAMC’s Vovici Survey Platform to 117 primary representatives of the AAMC GFA at U.S. and Canadian medical schools.



중요한 결과와 효과적인 발표

Significant results and effective presentation


설문 조사 응답자는 117 명의 기본 GFA 담당자 중 77 명이 연락하여 66 %의 응답률을 보였습니다.

Survey respondents included 77 of the 117 primary GFA representatives contacted, a 66% response rate.


승진 및 진급 결정 (예 : 보조금, 교육 시간, 멘토링 영향)에서 특정 종류의 증거의 중요성에 대한 질문에 대해 거의 모든 유형의 증거가 현재 환경 (26 개 중 26 개)보다 이상적으로 중요하다고 평가되었습니다. 28 항목). 28 개 항목 중 11 개 항목 (39 %)은 현재 중요성 때문에 3.5 개 항목보다 높게 평가되었습니다. 가장 높은 평가는 교육 장학금 (평균 4.3), 교육의 질 (4.0), 교육 리더로서의 역할 (3.8), 새롭고 향상된 교과 과정 개발 (3.8), 지역 / 전국 교육 기관에서의 리더십 3.7). 응답자들은 이상적으로 "교육자의 작품의 질 결정"에 대한 가장 중요한 증거는 동료 심사를 거친 장학금, 국가 인정, 다른 곳에서의 교육자 직업의 채택 및 교육 보조금이어야한다고 믿습니다.

In response to questions about the importance of specific kinds of evidence in promotion and advancement determinations (e.g., grants, teaching hours, mentoring impact), nearly all types of evidence were rated as more important in the ideal than in the current environment (26 of 28 items). 


Eleven out of 28 items (39%) were rated over 3.5 for their current importance. The most highly rated were evidence of educational scholarship (mean = 4.3), quality of teaching (4.0), role as an educational leader (3.8), development of new/ improved curricula (3.8), and leadership in regional/national educational organizations (3.7). Respondents believed that ideally, the most important evidence for “determining the quality of an educator’s work” should be peer-reviewed scholarship, national recognition, adoption of the educator’s work elsewhere, and educational grants.


목표 2 : 엄격한 근거 중심의 틀을 사용하여 교육적 기여의 구조적 평가를위한 지침을 작성한다.

Objective 2: To Create Guidelines for the Structured Evaluation of Educational Contributions, Using a Rigorous, Evidence-Based Framework


적절한 준비

Adequate preparation


Toolbox for Evaluating Educators를 개발하면서 모든 의사 결정자 (교육자가 아닌 교사 및 교육자)가 사용할 수있는 증거 기반의 도구를 만들고 가능하면 간결하지만 다양한 교육자의 성과를 검토하는 데 유용 할 정도로 포괄적 인 도구를 만들려고했습니다 (다른 학문적 계급, 임상 또는 기초 과학).

In developing the Toolbox for Evaluating Educators, we sought to create tools that were evidence based, practical for use by all decision makers (noneducators and educators), and as succinct as possible, but sufficiently comprehensive to be useful in reviewing the performance of diverse educators (different academic ranks; clinical or basic science).


적절한 방법

Appropriate methods


GEA 2006 컨센서스 컨퍼런스, Boyer, Glassick, 10 및 다른 사람들, 13-16의 연구 결과와 우리 국가 조사에서 얻은 결과를 토대로, 5 개 영역의 각 과목별로 개발 된 태스크 포스가 평가할 구체적인 기준의 포괄적 인 세트

  • 품질의 증거 (예 : 확립 된 모델의 사용, 강력한 평가, 학습 결과)

  • 학술 접근법 (관련 교육 문헌 및 모범 사례에 대한 지식 적용)

  • 학술활동 (다른 사람들의 적용/적응을 위해 공개적으로 보급 된 동료 심사를 거친 product를 제작하는 것).


Building on the recommendations from the GEA 2006 consensus conference,4,8 the work of Boyer,1 Glassick,10 and others,13–16 and the findings from our national survey, the task force developed for each of the five domains ofeducational activity a comprehensive set of specific criteria to assess 

  • evidence of quality (e.g., use of established models, strong evaluations, learning outcomes), 

  • scholarly approach (applying knowledge of the relevant education literature and best practices), and 

  • scholarship (producing peer-reviewed, publicly disseminated products that are available for adoption/adaptation by others). 



중요한 결과와 효과적인 발표

Significant results and effective presentation


최종 양식의 도구 상자는 동료 검토를 거쳐 MedEdPORTAL, 9에 사용자 가이드 및 광범위한 리소스 목록과 함께 게시됩니다.

The toolbox in its final form has been peer reviewed and is published on MedEdPORTAL,9 along with a user’s guide and extensive resource list.



도구 상자에 대한 사용자 안내서는 고려해야 할 두 가지 원칙을 제공합니다. 어떤 교육자도 다섯 가지의 모든 교육자 활동 영역 모두에서 광범위한 활동을 할 것으로 예상되어서는 안됩니다. 또한 각 영역 내에서 교육자에게 모든 기준을 충족시키는 증거를 제공할 것을 요구해서도 안된다. 도구 상자의 기준 목록은 의도적으로 포괄적입니다. 다양한 보건 전문가 교육자의 작업에 적용 할 수 있으며 교육자의 진보 결정에 사용되는 기관 벤치 마크와의 통합을 용이하게 만들기 위해서 유연하게 만들었다. 개별 교육 기관은 교육자가 진보를위한 기관 차원의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얼마나 많은 기준을 충족시켜야하는지 내부적으로 결정해야합니다.

The user’s guide for the toolbox provides two principles for consideration: No one educator should be expected to have extensive activity in all five educator activity domains; and within each domain, no educator should be expected to provide evidence to satisfy every criterion. The toolbox’s criteria lists are intentionally comprehensive: they can be applied to the work of a variety of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and they are sufficiently flexible to facilitate incorporation with institutional benchmarks used in educator advancement decisions. Institutions must decide internally how many and which criteria should be met in order for an educator to meet institutional standards for advancement.



목표 1과 2 : 사려 깊은 비판

Objectives 1 and 2: Reflective Critique


도구 상자에는 교육 기관이 자체적 인 가치 판단을 적용 할 수있는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해 평가 기준에 부합하는 지표 또는 가중치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우리는 교육자의 포트폴리오에 얼마나 많은 도메인을 반영해야하는지 또는 특정 순위로 승격하기 위해 충족되어야하는 기준의 수에 대한 제안을 하지 않을 것이다.

the toolbox does not contain metrics or weights to accompany the criteria for evaluation, to allow flexibility for academic institutions to apply their own value judgments. We provide no suggestions for how many domains should be reflected in an educator’s portfolio or the number of criteria that must be met for promotion to a specific rank.



평가 기준을 개발할 때 발생할 수있는 잠재적 위험 중 하나는 의사 결정권자가 의도하지 않은 목적으로 의사 결정자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기준 목록을 체크리스트로 사용하고 "달성 된 항목의 퍼센트"를 측정하는 것은 그 목적을 오해 할 수 있습니다.

One of the potential risks of developing evaluation criteria is that decision makers may use them for unintended purposes. For example, use of the criterion lists as checklists and measuring “percent of items accomplished” would be a misinterpretation of their purpose.



이 툴박스는 주로 프로모션 프로세스 평가를위한 것이지만, 교육자의 학술 커리어에 걸쳐 종단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임명시 그리고 새로운 교수진 오리엔테이션 중에,

멘토링 대화 중,

새로운 직무에 대한 기대가 정의되면

연간 실적 리뷰에서.

The toolbox is intended primarily for assessment in the promotion process, but it can be used longitudinally throughout the educator’s academic career: 

at appointment and during new faculty orientation, 

during mentoring conversations, 

when expectations for new job roles are defined, and 

in annual performance reviews.



Future Directions




8 Simpson D, Fincher RM, Hafler JP, et al. Advancing educators and education: Defining the components and evidence of educational scholarship. http://tinyurl. com/7evolwy. Accessed January 4, 2014.






 2014 Jul;89(7):1006-11. doi: 10.1097/ACM.0000000000000233.

Evaluating educators using a novel toolboxapplying rigorous criteria flexibly acrossinstitutions.

Author information

1
Dr. Gusic is executive associate dean for educational affairs, Dolores and John Read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and professor of pediatrics, Indian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ndianapolis, Indiana. Dr. Baldwin is professor of pediatrics, University of Rochester Medical Center, Rochester, New York, and director, Academic Pediatric Association Educational Scholars Program. Dr. Chandran is professor of pediatrics and vice dean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Stony Broo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tony Brook, New York. Dr. Rose is professor of medicine and senior associate dean for education, University of Connecticut School of Medicine, Farmington, Connecticut. Dr. Simpson is medical education program director, Aurora Health Care, and adjunct professor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Medical College of Wisconsin, Milwaukee, Wisconsin. Dr. Strobel is associate dean for faculty affairs and alumni relations and distinguished teaching professor, Department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University of Texas Medical School at Houston, Houston, Texas. Dr. Timm is senior associate dean for education and professor of internal medicine and cardiology, University of New Mexico School of Medicine, Albuquerque, New Mexico. Dr. Fincher is professor of medicine and vice dean for academic affairs emerita, Medical College of Georgia, Georgia Regents University, Augusta, Georgia.

Abstract

Valuing faculty as educators is essential for medical schools to fulfill their unique mission of educating physicians. The 2006 Consensus Conference on Educational Scholarship, sponsored by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AMC) Group on Educational Affairs, provided educators seeking academic promotion with a portfolio-based format for documenting activities in five domains, using evidence of quantity, quality, a scholarly approach, and educational scholarship. Yet, the lack of a rigorous, widely accepted system to assess educator portfolio submissions during the promotion and tenure process continues to impede the ability to fully value educators and educational scholars.The AAMC Task Force on Educator Evaluation was formed in 2010 to establish consensus guidelines for use by those responsible for the rigorous evaluation of the educational contributions of faculty. The task force delineated the educational contributions currently valued by institutions and then fulfilled its charge by creating the Toolbox for Evaluating Educators, a resource which contains explicit evidence-based criteria to evaluate faculty in each of the five domains of educator activity. Adoption of such criteria is now the rate-limiting step in using a fair process to recognize educators through academic promotion. To inform institutional review and implementation of these criteria, this article describes the iterative, evidence- and stakeholder-based process to establish the criteria. The authors advocate institutional adoption of these criteria so that faculty seeking academic promotion as educators, like their researcher colleagues, can be judged and valued using established standards for the assessment of their work.

PMID:
 
24662201
 
DOI:
 
10.1097/ACM.0000000000000233


왜 1/4의 교수가 대학의학을 떠나려고 하는가?: 기관 문화와 이직 의도에 대한 연구(Acad Med, 2012)

Why Are a Quarter of Faculty Considering Leaving Academic Medicine? A Study of Their Perceptions of Institutional Culture and Intentions to Leave at 26 Representative U.S. Medical Schools

Linda H. Pololi, MD, Edward Krupat, PhD, Janet T. Civian, EdD, Arlene S. Ash, PhD, and Robert T. Brennan, EdD





의과대학 교수에 대한 여러 연구에서 불만족, 탈락, 탈진률, 연구에서의 비 윤리적 행위, 교수진의 노화 등이 보고되었습니다 .6 그렇더라도 교수진이 어떤 이유로 의과대학을 떠나거나 불만족하게 되는지에 대한 연구 결과는 거의 없습니다. 

  • 두 개의 단일 기관 연구에서 7,8 Cropsey7은 여성 및 Minority 교원의 감소가 전문성 발달 문제, 낮은 봉급 및 리더십에 대한 불만 (51 % 응답률)에 기인한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 Lowenstein은 교육이나 진료 우수성에 대한 reognition이 부족한 것, 가족과 직무 간 균형의 어려움 등이 떠날 의향 (38 % 응답률)과 관련이 있다고 했다. 

  • Schindler 등 1)은 교사의 복지에 관한 4개 학교 연구에서 1985 년 조사의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젊은 교수의 우울증과 불안증이 작업 만족도가 감소와 임상적으로 유의한 우울 증상과 관련되어있다고 하였다..

Several studies of faculty in academic medicine report high levels of dissatisfaction,1 attrition,2,3 burnout rates,4 unethical behavior in research,5 and an aging faculty.6 Even so, there is little published research on what predisposes faculty to leave academic medicine or the reasons for their dissatisfaction. 

  • In two single-institution studies,7,8 Cropsey7 found that attrition of women and minority faculty was due to professional advancement issues, low salary, and chairman/ leadership discontent (51% response rate), and 

  • Lowenstein8 found that lack of recognition for teaching and clinical excellence, and difficulty in balancing family–career responsibilities, were linked to the intent to leave (38% response rate). 

  • Schindler et al,1 in an important four-school study of faculty well-being, documented high levels of depression andanxiety, especially in younger faculty, and, in comparison with findings of a 1985 study,9 found decreased work satisfaction and higher levels of clinically significant depressive symptoms in faculty.



최근 미국 의과 대학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은 의과 대학 교수진이 보유율을 보고하고 만족도를 간략히 평가했습니다 (47.5 %의 응답률). Intent to leave는 진료활동과 질, 그리고 Workplace가 동료애를 키웠는 지와 상관 관계가 있었다.

A recent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AMC) analysis2 of clinical- only physician faculty in 23 self-selected medical schools reported retention ratesand briefly assessed satisfaction of this group of faculty (47.5% response rate). Correlates of intent to leave focused on the activity and quality of patient care and whether the workplace cultivated collegiality. 



또한 1 명의 임상 교수를 대체하는 비용은 전공에 따라 155,000 달러에서 559,000 달러 사이이며, 그 외에도 아카데믹 건강 센터 (AHC)에 미치는 덜 tangible한 영향이 많다. 교수진 교체 비용은 한 AHC에서 연간 예산의 5 %를 차지합니다 .11

Additionally, the cost of replacing one clinical faculty member has been calculated as between $155,000 and $559,000, depending on discipline,10 plus the many less tangible effects on the academic health center (AHC). Faculty turnover costs account for 5% of the annual budget in one AHC.11


교수들은 직장 문화가 협동적이기보다는 경쟁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직업에서 의미를 느끼고 지적으로 자극을 받았다. 교수들은 종종 동료들과 격리되고 연결이 끊어지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14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가치관과 그들의 학교가 표방하는 가치에 alignment가 부족함을 느꼈다. 유색인종과 여성 교수에 대한 무의식적이고 의식적인 편향을 묘사했다.

We learned that faculty continued to find their work meaningful and intellectually stimulating, even though their workplace culture was competitive rather than collaborative and faculty often felt isolated and disconnected from their colleagues.14 Many perceived a lack of alignment between their own values and those exhibited by their schools.16,18 Both women and faculty of color described unconscious and conscious bias.19–21


Method


설문 도구 개발

Instrument development


The domains and items of our survey questions were derived in large part from themes identified in the C-Change qualitative studies14–18,20,21 in conjunction with an extensive search of the literature and reviews of relevant instruments.1,23–27 We created 74 items related to 

  • advancement, 

  • engagement, 

  • relationships, 

  • feelings about workplace, 

  • diversity and equity, 

  • leadership, 

  • institutional values and practices, and 

  • work–life integration.


표집 

Sampling procedures


Selecting schools.


Schools were selected in a multistage process. 

    • First, we included the 5 schools that were part of the consortium associated with the project from which this study derived. The 5 C-Change schools had been selected to vary among themselves in important ways and encompass a range of key attributes of medical schools (public/ private, region of the United State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 research intensive, or community care focused). The mean aggregate faculty demographics of these 5 schools matched those of all the 126 AAMC member schools at the time. Our survey was administered in these 5 schools as a pretest survey and very early in the school leaders’ participation in the C-Change Learning Action Network. 

    • Then, with the assistance of the AAMC and using the AAMC roster of all its 126 member medical schools at that time, we constructed a stratified random sample of an additional 21 medical schools to ensure that the resulting 26 schools 

      • (1) spanned all school types (including 1 small and 1 historically black school) and 

      • (2) achieved a distribution similar to the overall proportion of AAMC member schools across eight strata defined by four geographic regions crossed with public/private status. Each dean was asked permission to approach faculty and to provide e-mail addresses. If consent was not granted, a school from the same stratum was randomly selected as a replacement. The same stratified random selection of faculty was used in all 26 schools. 


Because the first 5 schools had not been selected at random, the data from these schools were systematically compared with those of the other 21.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pondents’ perceptions on 11 of 12 scales created to measure dimensions of the culture (see Table 1). The exception was the relatedness/ inclusion scale, on which the 5-school faculty sample scored modestly higher; al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faculty were alike. We cannot name the participating schools because they were assured anonymity; however, the systematic random sampling of 21 of the 26 schools and the measured similarity of the 5 nonrandomly and 21 randomly selected schools gave us confidence that the sample 26 schools is reasonably representative of all U.S. medical schools. 


Table 2 compares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chools with all AAMC member schools.




의과대학 내 교수 샘플링

Sampling faculty within schools.


The AAMC provided lists of full-time faculty at each school, including facult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r sampling, each faculty member was categorized by sex and chronological age: under 39 years old; 39 to 47 years; and 48 years and older. Faculty selection began with equal allocation stratified sampling to ensure adequate numbers of women in the respondent pool for analysis with a feasible total sample size. At each school, 25 faculty were randomly selected from each of 6 sex-by-age categories for a base sample of 150 per school. To ensure adequate numbers of faculty in 2 other groups of interest, we added faculty at each school to the 150 members sampled by sex and age. 


Faculty who identified as underrepresented minorities in medicine (URMM) were one such group. We followed NIH definitions in coding the following as URMM: 

    • American Indian or Alaska Native, 
    • black or African American, 
    • Hispanic/Latino, 
    • Native Hawaiian, or 
    • other Pacific Islander. 

At each school, we added URMM faculty to each age group, up to a maximum of 20 URMM faculty per group. When fewer than 20 URMM faculty were available in a category, faculty from the next-younger category were selected until the target was reached or the pool of URMM faculty was exhausted.



Female surgeons were another group of interest because of the particularly low representation of women in this specialty. To ensure their representation, additional female surgeons were selected until the pool was exhausted. By oversampling URMM faculty and female surgeons, we were able to maximize statistical power for testing comparative questions for these groups and to increase the precision for estimates in what might otherwise be sparse categories when examining characteristics within these groups such as faculty rank. Weights were employed to adjust for oversampling in survey analyses.


설문 시행

Survey administration


The stratified selection process and inclusion of additional URMM faculty and female surgeons resulted in a list of 4,578 sampled faculty.



참여
Engagement: being energized by work‡ 

Find work personally satisfying, proud to work at institution, feel energized by work, look forward to coming to work, feel burned out (RC§)


자기효능감

Self-Efficacy: confidence in ability to advance in career‡ 

Satisfied with career advancement, feel advancement as open to me as anyone else, feel confident in my ability to progress in career, feel confident I can overcome any professional barriers


기관의 서포트

Institutional Support: institutional commitment to faculty advancement‡ 

Institution actively encourages faculty retention, I feel part of a supportive community, institution seems committed to my success, institution facilitates professional development, I get help to advance career, I get constructive feedback, receive credit for work I do


관계성

Relatedness/Inclusion: faculty feelings of trust, inclusion, and connection‡ 

Faculty trusting and open, colleagues value my contributions, feel ignored/invisible (RC), hide what I think and feel (RC), feel isolated (RC), reluctant to express opinion/fear negative consequences (RC)


가치관의 부합

Values Alignment: alignment of faculty member’s personal values and observed institutional values‡ 

High faculty morale, administration only interested in me for revenue (RC), institution committed to serving the public, institution makes effort to involve me in decision making, institution’s actions well aligned with stated values and mission, institution puts own needs ahead of educational/clinical missions (RC), my values well aligned with school’s, institution rewards excellence in clinical care, institution does not value teaching (RC)


윤리/도덕적 스트레스

Ethical/Moral Distress: feeling ethical or moral distress and being adversely changed by the culture‡ 

Must be self-promoter to get ahead, working here is dehumanizing, culture discourages altruism, felt pressure to behave unethically, people need to be deceitful in order to succeed, have to be more aggressive than I like, others have taken credit for my work, have to compromise values to work here


리더십에 대한 열망

Leadership Aspirations: aspiring to be a leader in academic medicine‡ 

Being a leader in academic medicine important to me, want to be influential in making change happen at my institution


성 평등

Gender Equity: perceptions of equity for women

Harder for female faculty to get ahead than males (RC), institution actively supports women in achieving leadership, aware of instances of unfair treatment because of gender (RC), institution treats women and men equitably for promotion


소수인종 평등

URMM Equity: perceptions of equity for URMM faculty¶ 

Harder for minority faculty to get ahead than others (RC), institution actively supports minorities in achieving leadership, aware of instances of unfair treatment because of race or ethnicity (RC), institution treats minorities and nonminorities equitably for promotion, institution’s actions demonstrate that it values diversity


직장-삶 통합

Work–Life Integration: institutional support for managing work–life 

Workplace is family friendly, able to take time for personal/family issues when needed, difficult to succeed without sacrificing personal/family commitments (RC), job allows me to maintain a reasonable balance in my life


다양성을 위한 기관의 노력

Institutional Change Efforts for Diversity: good-faith effort by institution to advance women and URMM faculty¶ 

(In past year) institution has made effort to recruit minority faculty, have women in positions of leadership, have minority faculty in positions of leadership


교수 서포트를 위한 기관의 변화노력

Institutional Change Efforts for Faculty Support: good-faith effort by institution to improve support for faculty 

(In past year) institution has strengthened mentoring, attempted to humanize policies and practices, is responding to input from people like me, instituted family-friendly policies, invested in success of the faculty, open to change




Using the five-point scale described earlier (i.e., strongly disagree, somewhat disagree, neither agree nor disagree, somewhat agree, strongly agree), respondents were asked the extent to which they endorsed the following statement: “In the past 12 months, I have seriously considered leaving my current institution.” A second, analogously phrased item asked about “seriously considering leaving academic medicine.” Those responding with one of the “agree” categories were asked their reason for considering leaving. Responses to these items generated five discrete groups: 

    • (1) stayers—those who had not seriously considered leaving, 

    • (2) those considering leaving their school but not academic medicine because of dissatisfaction, 

    • (3) those considering leaving academic medicine because of dissatisfaction, and 

    • those considering leaving their school and/or academic medicine either 

      • (4) to retire or 

      • (5) for personal/family reasons.


독립변수

Independent variables



개인 수준

Several personal and professional demographic items were used as predictors: 

  • sex; 

  • URMM status; 

  • age; 

  • having a medical versus another terminal degree; 

  • percent time devoted to research; 

  • rank; 

  • primary role of clinician, researcher, administrator, or educator; and 

  • holding a leadership position. 


설문 조사에서 확인한 특성

These characteristics were gathered from survey response data. Additional professional attributes included 

  • receipt of mentoring (or not) and 

  • whether their medical school (as opposed to their hospital) predominantly affected their job satisfaction. 


학교 수준

School-level variables included 

  • NIH award ranking and 

  • (from the AAMC) sector (public versus private), 

  • region, 

  • school size, and 

  • percentage of faculty who are women.



통계 분석

Analytic overview


We constructed weights based on sex, age, and URMM status of all faculty at the 126 AAMC member schools in 2008 to be able to generalize our findings to the national population of academic faculty. To address missing values in demographic data and scales representing dimensions of the culture, 10 multiply imputed data sets were estimated using IVEware 2002 (Survey Research Center,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University of Michigan).28 Under certain assumptions, multiple imputation yields unbiased point estimates and confidence intervals.29 IVEware uses chained equations in combination with a Markov chain Monte Carlo method.



To determine the conceptual structure underlying faculty responses, we subjected 46 items related to institutional culture to a factor analysis using SAS/STAT Version 8.2 for Windows, 2004 (SAS Institute, Cary, North Carolina). 

  • First, we examined unrotated principal component loadings showing the linear consistency among all items, retaining items with unrotated factor loadings ≥ 0.40.30 

  • Then, we used an equamax rotation to identify distinct factors, or subdimensions, of institutional culture.

  • We used these in conjunction with semantic review of the items to guide final scale development; an additional five scales were content derived. 

Negatively stated individual questions were reverse coded, responses summed, and scores divided by the number of items in each scale. Cronbach α reliability coefficients were estimated to assess the internal consistency of each scale (see Table 1 for a complete list of scales and abbreviated items).



We used a two-level (individual and school) multinomial logit model31 to estimate predictors of membership in each leaver group using HLM 7 for Windows, 2011 (Scientific Software International, Inc., Lincolnwood, Illinois). Because these models are complex, in particular with regard to parallel equations for each of the four types of leaving intentions, and because some of the leaver groups were sparsely populated, the models were constructed by testing progressive blocks of variables as indicated in Table 3, starting with personal demographics, and by conducting joint significance tests to retain or drop each group of variables using the multiple general linear hypothesis testing available in HLM 7. Only significant variable blocks were retained. However, female and URMM were retained to test two-way interaction effects in a later model. Finally, a reduced model was created consisting only of variables tha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at least one of the four outcome categories. The reduction alleviates multicollinearity concerns and improves the efficiency of the estimation.



In the model presented, 

  • odds ratios for the scale variables were interpreted for a one-unit change on the original Likert scale (e.g., from “3 = neither agree nor disagree” to “4 = somewhat agree”), and the 
  • odds ratio for age was interpreted for a one-decade change in age. 


All continuous variables were centered on their grand means. All binary variables were coded 0/1, with the variable name representing the 1 value; for instance, the odds ratio associated with female represents the odds associated with being female versus being male.




결과

Results



응답자 특성

Among respondents with complete data, 1,142 (57%) were stayers. The remaining 852 (43%)—all “leavers”— were divided among 

  • those considering leaving their school (but not academic medicine) because of dissatisfaction (273 [14%]), 

  • those considering leaving academic medicine altogether because of dissatisfaction (421 [21%]), 

  • those considering leaving their school and/or academic medicine for personal/family reasons (109 [5%]), and 

  • potential retirees (49 [2%]).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and descriptive statistics for faculty-level predictors are presented in Table 3.



학교 특성

Schools 

  • were almost evenly split between public (14 [54%]) and private (12 [46%]) and 

  • were similarly distributed by region in the universe of AAMC member schools: Northeast, 8 (31%); South, 8 (31%); Central, 6 (23%); and West, 4 (15%). 

  • School faculty size ranged from about 200 to 1,600, with an average of 935; 

  • NIH award ranks spanned nearly the entire range, with an average rank of 60.4. 

  • Faculty at the 26 schools were 33% women (versus 32% across all schools nationally).


의과대학을 떠나려는 교수들과 관련된 요인

Scales associated with faculty staying versus considering leaving


The rotated solutions identified 8 factors, which were used to create 7 scales as identified in Table 1. The 5 additional content-derived scales and associated statistics for all 12 scales are also displayed in Table 1.



Intention to leave와 관련 없었던 요인들

For none of the leaver groups was there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intention to leave and 

  • URMM status, 

  • faculty rank, 

  • percentage of time devoted to research, 

  • holding a school leadership position, 

  • whether their medical school (versus theirhospital) predominantly affected their job satisfaction, 

  • school size, 

  • sector (public versus private), 

  • geographic region, 

  • NIH award ranking, or 

  • the percentage of faculty who are women. 


Leaving을 예측하지 않은 스케일

Two scales failed to predict leaving: 

  • 성 평등 perceptions of gender equity and 

  • 다양성을 위한 기관변화 institutional change efforts for diversity. 



Faculty considering leaving because of dissatisfaction 


Faculty considering leaving because ofretirement or personal/family reasons




고찰

Discussion and Conclusions



우리의 연구는 교수진이 왜 자신들의 소속 기관이나 직업 자체를 떠날 정도로 불만족을 느끼는지를 조사했다..

Our study delves into why faculty feel so dissatisfied that they intend to leave either their own institutions or their careers in academic medicine. 


불만족 요인

The central and concerning finding is that faculty dissatisfaction was saliently associated with 

  • 부정적 인식 faculty members’ negative perceptions and 

  • 비-관계적, 윤리적 문화에 의한 스트레스 distress about the non-relational and ethical culture of the workplace. 

Intention to leave요인 

Significant predictors of intention to leave included 

  • 취약함, 단절된 느낌 feeling vulnerable and unconnected to colleagues, 

  • 도덕적 스트레스 moral distress, 

  • 비윤리적인 문화 perceptions of the culture being at times unethical, and 

  • Adversely changed하는 느낌 feelings of being adversely changed by the culture. 

그 외

also predicted intention to leave. 

  • 낮은 자기효능감 Low self-efficacy and 

  • 낮은 참여 (low) sense of engagement and 

  • 자신의 가치와 기관의 가치 간 괴리 a lack of alignment of faculty members’ personal values with perceived institutional values 



현저한 대조적으로, 

  • 학교 규모, 

  • 지역 또는 부문 (공공 대 민간)

...과 같은 객관적인 특성은 불만족이나 이직과 무관했다. 


다음 사항들도 관련이 없었음. 

  • 교수자 구성원의 성별, 

  • URMM 상태 또는 

  • 직업-삶 통합과 관련된 인식 

유사하게, Lowenstein 등 8)은 학문적 의학을 떠나려는 의도에서 성별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다.


In marked contrast, objective characteristics such as school size, region, or sector (public versus private) were not associated with dissatisfaction and considering leaving. None of the following either independently predicted, or moderated, dissatisfaction and considering leaving: the faculty member’s sex, URMM status, or perceptions associated with work–life integration (see List 1). Similarly, Lowenstein et al8 found no sex differencein intention to leave academic medicine. 




관계성

Relationships and inclusion


비 관련성 - 고립되어 보이지 않는 느낌 - 은 떠나려는 의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 발견은 연결성 부족낮은 자기 효능감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적 환경이 내재적 동기 부여를 방해하고 개인의 타고난 심리적 요구를 저해한다는 심리적 이론의 교리에 부합한다 .33) medical training과 organizational healthcare outcome관계가 점점 중요하다고 인정되고 있지만, 동료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35) 36) Lowenstein 등 8)은 응급 의학 교수진에서 "academic community로서의 인식 부족"과 관련이 있다고 밝혔다.

Unrelatedness—expressed as faculty feeling isolated and invisible—correlates with intent to leave. This finding accordswith the tenet of psychological theory that social environments characterized by a lack of connectedness and low self- efficacy hinder intrinsic motivation and thwart individual innate psychological needs.32 Although relationships are increasingly recognized as critical in shaping medical training33,34 and organizational health care outcomes,35 few studies exist on relationships among colleagues.35,36 In emergency medicine faculty, Lowenstein et al8 also showed that intention to leave was related to “departmental lack of a sense of academic community.”




쉰들러 (Schindler) 연구팀은 4 개의 의과 대학에서 남성과 여성 교수의 약 20 %가 우울증으로 임상 적으로 유의 한 증상을 나타내 었음은 물론 높은 불안의 등급을 얻었으며 젊은 교수진이 가장 많은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문제는 응답자의 취약성, 동료와의 연결성 부족, 자기 효능감 및 참여감 저하에 기인할 수 있습니다.

Schindler and colleagues1 found clinically significant symptoms of depression among approximately 20% of both men and women faculty in four medical schools, as well as high anxiety ratings, with younger faculty being most affected. Such problems could be contributing to our respondents’ 

    • feelings of vulnerability, 

    • being unconnected to colleagues, and 

    • lower self-efficacy and 

    • (low) sense of engagement.


윤리/도덕 스트레스

Faculty ethical/moral distress



우리의 연구 결과는 25 년 동안의 조직 정의 연구의 메타 분석과 일치합니다. 이 연구는 조직의 정의와 윤리적인 분위기에 대한 직원의 인식이 직무 만족도 증가, 리더십에 대한 신뢰, 성과 향상, 고용주에 대한 헌신 및 매출 감소와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합니다 .12,13

Our findings are congruent with meta- analyses of 25 years of organizational justice research outside medicine. These studies suggest that employee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an ethical climate are related to 

    • increased job satisfaction, 

    • trust in leadership, 

    • enhanced performance, 

    • commitment to one’s employer, and 

    • reduced turnover.12,13



윤리적 / 도덕적 어려움의 척도 (표 1 참조)는 지배적인 규범에 대한 반응 및 전문직업성의 부식 가능성과 조직의 이기주의 증가를 반영합니다. 조직은 직원의 윤리적 또는 비 윤리적 인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책임이 있다는 믿음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37,38

The scale of ethical/moral distress (see Table 1) reflects 

    • reactions to the prevailing norms and 

    • possible erosion of professionalism and 

    • increased organizational self-interest

There is a growing belief that organizations influence and are responsible for the ethical or unethical behaviors of their employees.37,38



조직의 정의에 대한 교수들의 인식은 의학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의 문제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설문 조사에서 윤리적 / 도덕적 고통의 척도로는 "우리 기관 문화는 이타성을 낙담시킨다" "나는 여기에서 일하는 것이 비인간적 인 것으로 생각한다"(이 척도의 다른 항목은 표 1 참조) 도덕적 괴로움은 소속 기관 뿐만 아니라 대학의학을 완전히 떠나려는 의도와 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교수들 사이의 이러한 부정적인 감정은 특히 그들에게 낙담하고 주요 직업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Faculty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justice are pivotal to the critical issue of professionalism in medicine. The ethical/moral distress scale in the survey reported here included items such as “the culture of my institution discourages altruism” and “I find working here to be dehumanizing.” (See Table 1 for other items in this scale.) In that ethical/moral distress was more strongly related to intent to leave academic medicine entirely than intent to leave one’s own institution, these negative feelings among faculty must be particularly disheartening to them and may color major career decisions.


Intention to leave에 대한 효과 외에도, 교수진에 대한 detrimental한 문화는 의과대학생을 덜 이타주의적으로, 냉소적으로 만드는 잠재커리큘럼으로 작용한다..40,41 우리는 Inui42에 동의합니다. 공식교육과정에서 강조되는 도덕적, 인간적, 전문적 가치관을 교수 스스로 경험하지 못하면, 교육도 훼손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effects on intention to leave, the detrimental culture for faculty members constitutes part of the hidden curriculum for medical students, who often become less altruistic and more cynical through the four years of medical school.40,41 We concur with Inui42 that 


if faculty project that the moral, ethical, professional, and humane values articulated in the formal curriculum are not reinforced in their own experience as faculty (through the medium of the hidden or informal curriculum), the goals of educating and graduating competent, professional, and humanistic physicians may be undermined.



연령

Age of faculty members


AAMC 분석과 마찬가지로, 우리는 젊은 교수진이 불만족으로 인한 이직 의사를 더 많이 느낌을 발견했다. 교수개발은 개별 학교와 국가의 건강 관리를 위한 장기적인 투자이기 때문에 젊은 교수진의 손실은 특히 문제가됩니다. 이러한 turnover의 몇 가지 이점 중 하나는 신선한 아이디어와 에너지를 모집 할 수 있는 기회라는 점이다.

Similar to AAMC analyses,2 we found that younger faculty were more likely to consider leaving academic medicine for dissatisfaction than their older colleagues. Differential loss of young faculty is especially problematic because faculty development is a long-term investment for individual schools and for the nation’s health care. One of the few benefits of turnover is the opportunity to recruit fresh ideas and energy.


일과 삶의 균형

Work–life integration


남성과 여성 모두 일과 삶의 균형과는 상관 없었다.

Of note, our findings for both women and men did not associate work–personal life problems with dissatisfaction and leaving academic medicine.




강점과 약점

Study limitations and strengths


This study provides substantial detail to our previous understanding of faculty dissatisfaction and attrition.1,3,7,9,45,46 Because survey items were based on a hypothesis-generating qualitative analysis of prior faculty interviews, our survey included numerous non-customary questions and domains relating to relationships, values, ethical and moral climate, being changed by the culture, diversity, equity, and support/ advancement.



We hope that medical schools can use these findings to develop organizational structures that not only support intellectual endeavors but also support relationship formation among faculty, including those in leadership.47,48 The Relationship Centered Care Initiative has focused on this goal; for instance, Cottingham and colleagues42 gathered stories of positive relational patterns among faculty and used these to foster mindfulness and to enhance relational practices. Incorporating activities for faculty and leaders that encourage reflection on the meaningfulness of their work and core convictions could help address moral and ethical issues and help prevent faculty from feeling that they have been adversely changed in the culture.48 This core change in medical school culture could encourage trustworthy relationships and support the humanistic needs of health professionals. A supportive culture could also positively affect students and physicians in training and facilitate the inclusiveness and collaboration essential for creative research productivity and optimal patient care. 


Although the beliefs and attitudes of faculty are fortunately aligned with the purported missions of academic medicine, our survey findings suggest that the culture of medical schools is a barrier to fulfilling these professed goals. We have some optimism that increased awareness of the issues discussed in this report will support ongoing efforts to positively change the culture for academic health professionals. It bodes well that the faculty we studied retained an awareness of a moral imperative and their own deeply held values, such that the negative aspects of their work environment did not obliterate their desire to act authentically and professionally in meeting the demands of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14 Pololi L, Conrad P, Knight S, Carr P. A study of the relational aspects of the culture of academic medicine. Acad Med. 2009;84: 106–114.


1 Schindler BA, Novack DH, Cohen DG, et al. The impact of the changing health care environment on the health and well-being of faculty at four medical schools. Acad Med. 2006;81:27–33.










 2012 Jul;87(7):859-69. doi: 10.1097/ACM.0b013e3182582b18.

Why are a quarter of faculty considering leaving academic medicine? A study of their perceptions of institutional culture and intentions to leave at 26 representative U.Smedical schools.

Author information

1
National Initiative on Gender, Culture and Leadership in Medicine: C-Change, Brandeis University, 415 South St., Mailstop 079, Waltham, MA 02454-9110, USA. lpololi@brandeis.edu

Abstract

PURPOSE:

Vital, productive faculty are critical to academic medicine, yet studies indicate high dissatisfaction and attrition. The authors sought to identify key personal and cultural factors associated with intentions to leave one's institution and/or academic medicine.

METHOD:

From 2007 through early 2009, the authors surveyed a stratified random sample of 4,578 full-time faculty from 26 representativeU.Smedical schools. The survey asked about advancement, engagement, relationships, diversity and equity, leadership, institutional values and practices, and work-life integration. A two-level, multinomial logit model was used to predict leaving intentions.

RESULTS:

A total of 2,381 faculty responded (52%); 1,994 provided complete data for analysis. Of these, 1,062 (53%) were female and 475 (24%) were underrepresented minorities in medicineFaculty valued their work, but 273 (14%) had seriously considered leaving their own institution during the prior year and 421 (21%) had considered leaving academic medicine altogether because of dissatisfaction; an additional 109 (5%) cited personal/family issues and 49 (2%) retirement as reasons to leave. Negative perceptions of the culture-unrelatedness, feeling moral distress at work, and lack of engagement-were associated with leaving for dissatisfaction. Other significant predictors were perceptions of values incongruence, low institutional support, and low self-efficacy.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variables (e.g., gender) were not predictive.

CONCLUSIONS:

Findings suggest that academic medicine does not support relatedness and a moral culture for many faculty. If these issues are not addressed, academic health centers may find themselves with dissatisfied faculty looking to go elsewhere.

PMID:
 
22622213
 
DOI:
 
10.1097/ACM.0b013e3182582b18


대학의학에서의 'Faculty'정의하기: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Acad Med, 2015)

Defining “Faculty” in Academic Medicine: Responding to the Challenges of a Changing Environment

Steven M. Block, MB BCh, Roberta E. Sonnino, MD, and Lisa Bellini, MD





Academic medicine 은 교차로에 있습니다. 새로운 현실에 적응하기 위해 미국의 의과 대학의 리더는 "교수진faculty"이라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의해야합니다.이 정의는 개별적인 교수진 1을 유치, 유지 및 보상해야하는 필요성과 academic medicine의 미래를 지켜야 하는 필요성의 사이에서 조직의 경제적 우선순위의 복잡한 interplay를 반영해야합니다 1. .

Academic medicine is at a crossroads. In adapting to new realities, U.S. medical school leaders must define what it means to be “faculty.” This definition must reflect the interplay of institutional economic priorities with

  • the need to attract, retain, and reward individual faculty members1 and

  • the need to secure the future of academic medicine.



Academic Medicine in Evolution


학술 의학의 임무는 의료 개혁, 연방 연구 자금 지원 축소, 연구 중심의 변화, 성인 학습에 대한 세련된 이해, 의학, 과학 및 교육 분야의 파괴적인 혁신의 출현으로 인해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임상 교수진은 자신의 salary를 support하고 조직의 margin을 유지하기 위해 생산성 수준을 높여야 하는 책임을 지고 있습니다. 이 economic focus은 교직원들의 역할과 우선 순위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의학 교육 및 연구와 같은 academic pursuit를 소외시킬 수도 있습니다 .2-4

The missions of academic medicine are undergoing changes driven by health care reform, decreased federal research funding, shifts in research focus, a refined understanding of adult learning, and the emergence of disruptive innovations in medicine, science, and education. Clinical faculty members are being held accountable for increasing levels of productivity to support their salaries and to maintain institutional margins. This economic focus is changing faculty members’ perceptions of their roles and priorities, and it has the potential to marginalize academic pursuits such as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2–4



변화하는 임상 환경이 변화의 주요 동인입니다. 연구 수익과 교육 임무를 보조하기 위해 오랫동안 임상 수익에 의존해온 의과 대학은 이제 기증, 자선, 학생 학비 지원에 의존하고있다 .5 재정적인 성공을 보장하면서도, 학술적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의과대학과 AMC가 채택하고 있는 전략에는 종종 합병, 제휴 또는 시스템의 인수를 통한 대규모의 통합 의료 전달 시스템 수립이 있습니다.6,7 의과대학은 이러한 확장된 네트워크에 소속된 의사가 faculty로서 appointment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해야합니다.

The evolving clinical landscape is the primary driver of the changes. Medical schools, which have long depended on clinical revenue to subsidize their research and education missions, are now increasingly reliant on funding from endowments, philanthropy, and student tuition.5 The strategies that medical schools and academic medical centers are adopting to meet their academic obligations while ensuring financial success frequently involve creating large, integrated health care delivery systems, with mergers, affiliations, or acquisitions of systems and physician practices.6,7 Medical schools must decide whether the physicians in these expanded networks should have faculty appointments.


문제를 더 복잡하게 하는 것은, 미국 인구 고령화와 의사의 인력 부족 문제로 더 많은 의료 졸업생이 필요하게되었고, 이로 인해 의대 학교의 학급 규모가 늘어나고, 의대가 개장하고, 새로운 지역 캠퍼스가 생겨났다는 것입니다.

To complicate matters, the aging U.S. population and the projected physician workforce shortage have created the need for more medical graduates,8 which has resulted in increased medical school class sizes, new medical schools, and new regional campuses.


높은 수준의 교육 경험을 보장하기 위해 LCME (Liais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 9는 실제 임상 경험 및 임상실습을 포함한 모든 학습에 관하여, 의과대학생은 의과 대학 교원에 의하여 supervise되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ED-25 표준 및 ER-9, 개정 된 프로세스에 대한 표준 1.4 및 9.2).

To ensure uniform high quality of educational experiences, the Liais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 (LCME)9 requires that medical students engaged in any aspect of learning, including practical clinical experiences and clerkships, be supervised by the medical school’s faculty (standards ED-25 and ER-9 for the current review process, and standards 1.4 and 9.2 for the revised process).


현재 커뮤니티나 지역 캠퍼스에서 임상 경험을 제공하는 많은 의사는 그들의 교육에 대한 보상을 받지 못함에도, 모든 의과대학은 임상 교육 장소와 무관하게 모든 곳에서 동일한 경험을 제공해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9 교수진이 volunteer일 때 높은 수준의 전문성과 학습자 학대mistreatment를 없애는 것이 더 어렵습니다.

Currently, many physicians who provide clinical experiences in community practices or on regional campuses are not compensated for their teaching, and yet they must be accountable for providing experiences that are equivalent to those provided across all of the medical school’s clinical education sites.9 Ensuring a high level of professionalism and eliminating learner mistreatment is more difficult when faculty members are volunteers.


의과 대학은 faculty라는 타이틀을 부여하는 조건을 결정해야하며 승진academic promotion을 위하여 필요한 진로/연구/교육 활동이 무엇인지 expectation을 명확히를 정의해야 합니다. 그들은 또한 다양한 타이틀, 등급 및 역할을 가진 교수 구성원들 사이에 존재하는 보상 계획 및 인식 시스템의 다양성을 고려해야합니다.
Medical schools must decide under what conditions to confer faculty titles, and they must define expectations for patient care, research, and teaching that provide clear pathways to academic promotions. They must also take into account the variety of compensation plans and recognition systems that exist among faculty members with different titles, ranks, and roles.


역사적으로, 의사, 과학자 및 교육자는 비 학술non-academic 분야에서는 할 수 없는 활동과 협회 때문에 의과 대학에서 일하는 데 매료되었습니다. 미래의 academic medicine에 기여할 수 있는 개인을 몰아내는 학문적 분위기를 댓가로 임상 생산성을 높이는 것보다는, faculty의 미래를 다루는 것이 교수와 기관 모두에게 중요합니다. 그러나 교수의 지위가 academic한 차원에서 충분히 보람있는 것으로 인식되면 의과대학은 계속 뛰어난 인재를 끌어들이고 유지할 것입니다.
Historically, physicians, scientists, and educators have been attracted to working at medical schools because of activities and associations not found in the nonacademic sector. It is incumbent on both faculty members and institutions to deal with the future of the faculty head on, rather than allowing the priority placed on clinical productivity at the expense of the academic atmosphere to drive away individuals who could contribute to the future success of academic medicine. If, however, faculty status is perceived as sufficiently rewarding in its academic dimensions, then medical schools will continue to attract and retain outstanding people.


A Framework for the Definition and Reward of Clinical Faculty


의과대학의 경우, 누구를 "faculty"라고 부를 것인가에 대한 대답이 임명 과정, 진급 및 재직 정책,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에 이르는 방대한 영역에 영향을 미칩니다.

For medical schools, the answer to the question of whom to call “faculty” has implications in areas ranging from appointment processes to promotion and tenure policies to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2014 년 2 월, AAMC (American Medical Colleges)의 Faculty Affairs 그룹은 교수직과 타이틀에 대한 접근 방식을 확인하기 위해 목록 센터를 통해 비공식 설문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그 결과, 여러 가지 접근법이 밝혀 졌는데, AHC에 새로 affiliate된 의사가 학술적 직위를 약속academic appointments 받아야 하는지 아니면, 어떤 학술적 직위를 부여하는 것이 적합한지에 대한 합의는 없었다. 대부분의 응답자는 faculty를 의대의 연구 또는 교육 임무에 참여로 조정alignment했다고 보고했습니다. 새로 의사를 appoint한 기관에 속한 한 응답자는 conventional title에다가 "임상"또는 "부속adjunct"이라는 수식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예 : 소아과 임상 조교수). 이러한 교수진을 위한 승진경로는 기관마다 달랐는데, 일부 응답자는 승진 기회가 없다고 보고하였고, 일부는 임상가 - 교육자 트랙 또는 이와 동등한 승진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일부 응답자들은 자신의 교육 기관이 이러한 교수진에 대한 professional development와 advancement를 돕기 위한 프로세스를 갖추고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In February 2014,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AMC) Group on Faculty Affairs conducted an informal survey via its listserv to identify approaches to faculty appointments and titles. The responses revealed diverse approaches, with no consensus on whether physicians newly affiliated with academic health centers should receive academic appointments or what titles those who do receive appointments should hold. Most respondents reported alignment of faculty titles with participation in the research and/or education missions of the medical school. Respondents whose institutions have appointed newly affiliated physicians to the faculty described the use of conventional titles, sometimes with the modifier “clinical” or “adjunct” (e.g., clinical assistant professor of pediatrics). Promotion pathways for these faculty varied, with some respondents reporting no opportunity for promotion and others describing promotion on a clinician–educator track or its equivalent. Few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ir institutions had processes to help these faculty members with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advancement.




교직원이라는 용어의 기원을 고려하는 것은 흥미 롭습니다. 교수진은 대학에 속합니다. "university"라는 단어는 라틴어 universitas magistrorum et scholarium에서 파생 된 것으로, "교사teacher와 학자scholar의 커뮤니티"를 의미합니다. Scholarship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은 대학마다 다르지만 능동적인 scholarship은 모든 교수진의 성공에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됩니다. 교육teaching은 교수의 가장 즉각적인 관심을 요구하는 책임responsibility이며, 가장 많은 교수진 시간과 에너지를 소비해야 할 책임responsibility이다. 따라서 "faculty"이라는 용어는 전문적인 역할과 책임에 대한 기본적인 학문적 구성 요소를 의미합니다.
It is interesting to consider the origin of the term “faculty.” Faculty belong to universities. The word “university” is derived from the Latin universitas magistrorum et scholarium, which roughly means “community of teachers and scholars.” Although specific criteria for scholarship vary across colleges and universities, active scholarship is considered essential to the success of all faculty members. Teaching is the responsibility that demands the most immediate faculty attention and consumes the most faculty time and energy.10 Thus, the term “faculty” implies a fundamental academic component to one’s profession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우리는 의대가 "faculty"을 정의하고 임상 교수진의 역할과 책임을 중요시하고 모든 사람들에게 투명성과 투명성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되는 근본적 요소와 다양성 요소를 구분한 프레임 워크를 제안합니다.

  • 교수가 된다는 근본적인 본질은 교육 및 학술 활동의 성격과 관련이 있습니다.

  • Local 환경을 고려할 때 참여할 수 있는 다른 모든 활동을 반영하는 교수 구성원이라는 추가적인 측면이 있습니다.

We propose a framework with fundamental and variable components that we believe will help medical schools define “faculty” and value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ir clinical faculty members, ensuring clarity and transparency for all.

  • The fundamental essence of being a faculty member relates to the nature of one’s educational and scholarly activities.

  • There are additional, variable aspects of being a faculty member that reflect all the other activities in which one might participate, given the local environment.


따라서 우리의 프레임워크는 로컬한 차이점을 존중하면서도, academic medicine의 근본 특징을 유지해야합니다.
Thus, a framework such as ours must respect and value local differences while preserving the essence of the fundamental features of academic medicine.




따라서 기본적인 기능은 교육 및 / 또는 학술 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정의됩니다. 참여의 한계는 지역적locally으로 정의되어야한다. 행정 활동, 특히 행정활동참여administrative activities도 기본적인 기능으로 간주 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학업 및 교육 성과에 대한 경력이 긴 기록을 바탕으로 고위 관리 직책에 도달합니다.

The fundamental features are therefore defined as participation in education and/or scholarly activities. The threshold of participation should be defined locally. Participation in administrative activities, particularly at a senior level, can also be regarded as a fundamental feature—in general, one reaches senior administrative positions based on a career-long track record of scholarly and educational accomplishments.



가변적인 특징은 개인에 따라 academic focus이 표현된 것이며 각 기관별로 정의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면...

기관이나 지역 사회에 대한 서비스; 멘토링; 임상 분야의 혁신 또는 기여. 품질 및 안전 계획에의 참여; 임상, 학술 또는 행정 지도력; 독특한 임상 실체의 개발과 참여.

The variable features are the expressions of academic focus that vary by individual, and these should be defined by each institution. Examples include

  • service to the institution or community;

  • mentoring;

  • innovation in, or contribution to, a clinical discipline;

  • participation in quality and safety initiatives;

  • clinical, academic, or administrative leadership; and

  • the development of and participation in unique clinical entities.


임상 교수진의 역할과 책임을 정의하는이 fundamental and variable 접근법은 "faculty"이라는 용어가 암시하는 학문적 성격을 보존 할뿐만 아니라 local 참여와 혁신을 장려하는 변형variation을 가능하게합니다.

This fundamental-and-variable approach to defining clinical faculty roles and responsibilities not only preserves the academic nature implied by the term “faculty” but also enables variation that encourages local engagement and innovation.



In Scholarship Reconsidered: Priorities of the Professoriate, Boyer11 redefines...

"Scholarship"을 네 가지 범주로 다시 정의하여 그 때까지 "연구"와 동의어로 사용 된 용어의 정의를 확장했습니다. Boyer의 Scholarship 범주는...

  • Discovery (지식을 발전시키는 original research)

  • Integration (학문 분야, 학문 분야 내 주제 또는 시간에 걸친 통합)

  • Application or engagement (전문 지식을 동료들과 공유하고 평가할 수있는 결과로 엄격하게 적용);

  • Teaching and learning (교수 및 학습 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scholarship” as spanning four broad categories, expanding the definition of a term that until then had been synonymous with “research.” Boyer’s categories are the scholarship of discovery (original research that advances knowledge); of integration (synthesis of information across disciplines, topics within a discipline, or time); of application or engagement (rigorous application of disciplinary expertise with results that can be shared with and evaluated by peers); and of teaching and learning (systematic study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In Scholarship Assessed: Evaluation of the Professoriate, Glassick et al12 outline...

학문적 진보를 목적으로 한 교수 활동 평가 기준의 개요. Boyer가 정의한 4 가지 모든 scholarship유형에 적용될 수있는이 표준에는

  • 명확한 목표,

  • 적절한 준비,

  • 적절한 방법,

  • 중요한 결과,

  • 효과적인 발표 및

  • 성적 비평

...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표준을 실용적으로 만들기 위해 Gusic 등은 교육자를 평가하기위한 "도구 상자"의 적용을 제안하였다.

standards for evaluating faculty activities for the purpose of academic advancement. These standards, which may be applied to all four forms of scholarship defined by Boyer, include clear goals, adequate preparation, appropriate methods, significant results, effective presentation, and reflective critique. To make these standards practical, Gusic et al14 propose the application of a “toolbox” for evaluating educators,



툴박스는 또한 교수진 역할의 다른 fundamental feature에 적용될 수 있으며, 교수 경력 계획에 대한 명확성, 임명 및 승진을 위한 교수진 평가의 엄격함을 확보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The toolbox may also be applied to other fundamental features of the faculty role, thus bringing clarity to faculty career planning and a level of rigor to the evaluation of faculty for appointment and promotion.


우리는 아마도 "faculty"를 정의하는 특성을 확인하고 교수의 역할과 학술 의학 전반에서 쉽게 이해할 수있는 이러한 특성을 설명하는 제목의 분류법taxonomy을 개발하기위한 컨센서스 컨퍼런스의 형태로 전국적인 대화를 제안합니다. 그래야만 faculty라는 것이 진정으로 의미하는 바에 대한 점차 공통적 인 질문에 답할 수있을 것입니다.
We propose a national dialogue, perhaps in the form of a consensus conferenc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that define “faculty” and to develop a taxonomy for faculty roles and titles that is descriptive of these attributes and easily understood across academic medicine. Only then will we be able to answer the increasingly common question of what it truly means to be a faculty member.





14 Gusic ME, Baldwin CD, Chandran L, et al. Evaluating educators using a novel toolbox: Applying rigorous criteria flexibly across institutions. Acad Med. 2014;89:1006–1011.




 2015 Mar;90(3):279-82. doi: 10.1097/ACM.0000000000000575.

Defining "faculty" in academic medicineresponding to the challenges of a changing environment.

Author information

  • 1Dr. Block is professor of pediatrics and senior associate dean for faculty affairs, Wake Forest School of Medicine, Winston-Salem, North Carolina. He is also past chair,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Group on Faculty Affairs Steering Committee. Dr. Sonnino is professor of surgery (pediatric) and vice dean for faculty affair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School of Medicine, and associate provost for medical affairs, Wayne State University, Detroit, Michigan. She is also chair,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Group on Faculty Affairs. Dr. Bellini is professor of medicine and vice dean for faculty affairs, Perelman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hiladelphia, Pennsylvania.

Abstract

Academic medicine in the United States is at a crossroads. There are many drivers behind this, including health care reform, decreased federal research funding, a refined understanding of adult learning, and the emergence of disruptive innovations in medicine, science, and education. As faculty members are at the core of all academic activities, the definition of "faculty" in academicmedicine must align with the expectations of institutions engaged in patient care, research, and education. Faculty members' activities have changed and continue to evolve. Academic health centers must therefore define new rules of engagement that reflect the interplay of institutional priorities with the need to attract, retain, and reward faculty members. In this Commentary, the authors describe and explore the potential effects of the changing landscape for institutions and their clinical faculty members. The authors make a case for institutions to adapt faculty appointment, evaluation, and promotion processes, and they propose a framework for a standardized definition of "faculty" that allows for individual variability. This framework also provides a means to evaluate and reward faculty members' contributions in education, research, and clinical care. The authors propose a deliberate national conversation to ensure that careers in academic medicine remain attractive and sustainable and that the future of academic medicine is secure.

PMID:
 
25406611
 
DOI:
 
10.1097/ACM.0000000000000575
[PubMed - indexed for MEDLINE]


공공의료전문직의 혁신과 동기부여 (Health Policy, 2007)

Innovation and motivation in public health professionals

Manuel Garc´ıa-Go˜ni a,∗, Andr´es Maroto b, Luis Rubalcaba c

a Manuel Garc´ıa-Go˜ni, 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 Departamento de Econom´ıa Aplicada II,

Campus de Somosaguas, 28223 Pozuelo de Alarc´on, Madrid, Spain

b Universidad de Alcal´a and SERVILAB, Spain

c Universidad de Alcal´a, SERVILAB and RESER, Spain







1. 도입

1. Introduction


공공보건에서 혁신 프로세스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많이 됨.

The effect of innovation processes has been greatly explored in the public health literature under different perspectives, as its diffusion [1],


연구자들과 공공보건 정책개발자들 사이에서 헬스서비스 제공에 대한 혁신프로세스의 도입이 population의 health status를 높여준다는 합의가 있다.

In fact, there is a general consensus among researchers and public health policy makers in the statement that the adoption of innovative processes (either technological or organ- isational) in the provision of health services promotes an increase in the health status of the population or in their quality of life [4–6].



일부 연구는 구체적인 의료기구나 치료 혁신의 효과를 보기도 한다. 이들은 대부분의 신약 (심장마비, 백내장, 우울증 등) 치료에서 productivity의 향상을 보여준다.

Some of the studies in the literature [7,8] examine the productiv- ity of specific health innovations in medical equipment or treatments. Those studies find an increase in pro- ductivity for most new treatments, such as for heart attacks, cataracts, and depression.


그러나 일반적인 연구에서도 productivity가 높아진다. 신약 개발에서도 그렇다.

However, general studies [9] find that innovations lead to increased productivity in health care. Also, related to innovations in the drug industry [10], the same conclusion is obtained with a signifi- cant positive effect of new drug launches on average lifespan.


두 가지 효과가 있다: 치료대체효과와 치료확장효과(the treatment substitution effect and the treatment expansion effect). 치료대체효과는 과거의 기술을 새로운 기술로 대체하는 것이다.

There are two different effects derived from innovation that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the treatment substitution effect and the treatment expansion effect [8]. Treatment sub- stitution consists of the substitution of the “old” by the “new” technology or way of organising resources.



그러나 한계비용이 감소하더라도, 총 비용이 증가하기도 한다. 이는 치료확장효과 때문인데, availability가 생기면서, 새로운 테크놀로지가 효과를 보기 시작하면 demand가 늘어나는 것이다. 따라서 technical innovation은 보건지출의 중요한 driver가 된다.

However, even when marginal cost decreases, after the process of adoption of health innovations total cost often increase. The reason is pro- vided by the treatment expansion effect, explained by the fact that given its availability, the new technology is applied to other treatments and health services and once they become more effective, the demand of health services increases [11]. Hence, technical innovations in health are thought by some to be an important driver behind increasing in health expenditures [12–14].



따라서 헬스서비스 공급 측면에서 혁신의 긍정적 효과가 있더라도 연구자들과 정책개발자들은 기술적/조직적 혁신 프로세스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고, 그것이 health productivity의 관점에서 어떤 결과를 낳는지를 알아야 하고, socially beneficial medical intervention을 제공해야 한다.

Therefore, being positive the effect of innovation in the provisionof healthservices, it is a major concernfor researchers and public policy makers to understand the drivers of both technological and organisational inno- vative processes in the provision of health services, its consequences in terms of health productivity [9], and providing incentives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ly beneficial medical interventions [16].


근무환경에서의 동기부여는 'the individ- ual’s degree of willingness to exert and maintain an effort towards organisational goals'와 같이 정의되곤 한다. 헬스서비스 제공은 의료전문직의 motivation에 매우 의존적인데, 이 motivation은 financial incentive만큼이나 non-financial incentive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Motivation in the work context has been defined [19] as the individ- ual’s degree of willingness to exert and maintain an effort towards organisational goals. The performance in the provision of health services is highly depen- dent on the motivation of health professionals [20,21], and this motivation might be affected by non-financial incentives (

  • the feeling of having the work under con- trol,

  • the perception of how much salary depends on effort, or

  • the communication system used

) as much as by financial incentives [22–24].


full time과 part time의 비율에 따라서도 motivation이 달라진다.

Different moti- vation is also evidenced in the literature through the different proportion of full-time or part-time contracts by types of health professionals [27,28].


 

두 가지 유형의 분석이 가능하다.

There are two different types of analysis that can be developed with respect to the different behaviour and motivation of professionals in the health care provi- sion.

  • 수평적 관점에서, 서로 다른 기관에 종사하는 동일한 의료전문직 사이의 행동 비교분석
    The first one, froma horizontal perspective, would analyse the differences in the behaviour of the same type of health professionals at distinct types of insti- tutions (public versus private), while

  • 수직적 관점에서, 동일한 기관에 종사하는 서로 다른 의료전문직 사이의 행동 비교분석
    the second, from a vertical perspective, would analyse the differences in the behaviour of different types of health profes- sionals (managers versus front-line employees) at the same type of institutions.

 

수평적 분석에서 보건경제학은 (어느 일정정도까지는) private sector가 public sector보다 high technology medical equipment 를 더 빠르게 수용함을 보여주었다. 한 가지 이유는 private sector에 비해서 인센티브나 동기부여가 적기 때문일 수 있다. public institution은 지역 수준의 문제만 해결하면 되고, 외부의 문제는 인식조차 못하기도 한다.

With respect to the horizon- tal analysis, the health economics literature has shown how, at least at some extent, private sector health insti- tutions are quicker to adopt high technology medical equipment than public sector institutions [29]. One possible reason is the lack of incentives or motiva- tion for increasing efficiency While for-profit private sector institutions must be efficient in order to survive, and need to generate profits that satisfy their stakeholders [30] public insti- tutions invariably deal with local/regional problems, sometimes unaware of outside problems.


또한 보건시장의 구조, 즉 private과 public 의 상대적 비율이 혁신의 전파에 영향을 준다. 혁신의 전파는 미국과 같이 병원이 높은 수준의 autonomy를 유지하고 있고 private sector가 significant한 곳에서보다, 캐나다와 스웨덴과 같이 보건시스템이 publicly owned한 국가에서 더 느리다. 이러한 차이는 incom-plete contracts and the definition of property rights 에 대한 연구에 의해 이론적 기반을 설명할 수 있다.

 Also, it is sug-gested that the structure of the health market, i.e. the relative proportion of private and public sector institu-tions that make up the sector, affects the diffusion of health innovations. Thus, the diffusion of innovations is slower in countries such as Canada or Sweden, in which the health system is publicly owned and organ-ised centrally, than in countries such as the US, where hospitals have a high degree of autonomy and there isa significant private sector component [31]. Theoreti-cal basis in one of the main differenc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 can be adapted by the study of incom-plete contracts and the definition of property rights [32] 


 

property rights 에 따른 인센티브의 차이가 혁신 프로세스에 영향을 준다. 공공기관의 (manager와 front-line employee의) property rights 이 없는 곳에서, public sector (의 혁신이) 더 disadvantage를 받는다.

Also, the literature [33] has shown how dif- ferences in incentives due to the property rights lead to different frequencies and magnitudes of the innovation processes. Therefore, the absence of property rights (in managers and front-line employees) in public institu- tions supposes a disadvantage existing in the public sector relative to the private sector.


보건의료전문직의 motivation이 혁신행동을 이끄는 주된 driver의 차이로 지적되어 왔지만, 같은 기관 내에서 서로 다른 보건의료전문직 사이의 차이는 더 연구될 필요가 있다(수직적 관점). Property right은 매니저든 현장직원이든 차이가 없지만, 매니저의 책무성(혹은 목소리)는 더 크기 때문이다.

Although motivation in health professionals has usually been pointed out as the main driver of the differences in innovating behaviour in public versus private institutions [30,34–36], it remains unexplored the differences in the behaviour of different health professionals at the same type of institution. Under this vertical perspective, there are no differences in the incentives to innovate due to the property rights because neither managers nor front-line employees par- ticipate of the benefits or are stakeholders, although the accountability (and voice) of managers is considered an important dimension of organisational reforms in health institutions like hospitals [37].




In this paper we explore and test the existence of differences in the attitude towards innovation between managers and front-line employees at public health institutions. Those differences might be supported by the different role in the adoption of innovations. While

  • managers act as “innovation entrepreneurs” with a higher responsibility and involvement in the process and have a better knowledge of the benefits of the innovation,

  • front-line employees usually present more resistancetochanges, includinghostileor sceptical atti- tudes and difficulty maintaining the enthusiasm [38].




2. 자료, 방법

2. Materials and methods



설문지

The original questionnaire in English is provided in Appendix A.


93개 문항

It consisted on 93 questions covering dif- ferent topics related to the

  • communication system in the health institution and the channels of generating and disseminating information;

  •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institution in its daily activity and specifically in adopting innovations;

  • the health professionals attitude towards the institution and towards innovative processes, evaluating creativity or innovativeness from both the individual and institution perspective;

  • the level of connectedness and centralisation in the decision taking process at the health institution; the learning processes, or their level of satisfaction at work; besides

  • other socio-demographic questions as gender, age, or level of studies.

 

The original components of innovativeness in the survey are summarised into different major blocks:

  • market orientation – information generation and dissemination, and

  • responsiveness – openness, risk taking, future orientation, creativity and pro-activeness, team spirit and connectedness, and expected outcomes of organisational innovativeness

    • (at the individual level: commitment and work satisfaction; and

    • at the organisational level: innovation performance, organisational performance and organisational learning). 


Health professionals are divided in the survey into managers and front-line employees attending to their role at the health institutions instead of to their capa- bilities. Thus, while health professionals as

  • nurses, auxiliary workers or administrative staff are consid- ered front-line employees because they work directly with patients without any management task;

  • doctors or physicians managing a team of front-line employees and the head of the institutions are considered man- agers.


3. Results


Principal components (PC)는 아래와 같음

Table 1 provides the resul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al components and the different topics covered in the question- naire.

  • 조직 퍼포먼스 The first PC, explaining most of the data, is clearly related to organisational performance, includ- ing some components of the innovativeness such as

    • creativity and pro-activeness,

    • team spirit and con- nectedness, and

    • the individual behavioural variables such as commitment and work satisfaction.

  • 변화 지향적 태도 The sec- ond PC links the pro-change aptitude and learning of the organisation –

    • organisational openness,

    • risk taking and future orientation – and

    • the participa- tion of front-line employees, managers and external agents—promotion of innovation and internal learning processes.

  • 환경과 시장 지향성 The third PC is related to environment and market orientation—

    • generation and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and

    • responsiveness to agents’ needs and environmental changes.

  • 조직의 혁신 퍼포먼스 Finally, the fourth PC is related to innovation performance of the organisation, relative to

    • planned, and to

    • the political, and

    • perceived users’ and advocacy groups’ expectations.

 

 


 

 

managers 의 인식은 FLE의 인식보다 더 복잡했다.

The perception of managers with respect to organisational innovation is more complex than the perception of front-line employees.


4개의 component가 61.3%의 variance를 설명함. 가장 중요한 PC는 overall performance이고 나머지 component들이 그 뒤를 이음

We found four components which explained61.3% of the variance of data. The first and most important PC (explaining 41.6%) is related to organ-isational overall performance, while the remaining components are related to pro-change aptitude and learning, environment and market orientation, and innovation performance, following the trend observed in the total sample.

 

 

 


 

Table 2 Differences between managers and employees about innovation (ANOVA results)


PC1과 PC3이 가장 consistent한 관계를 보여줌(manager와 FLE 모두에 해당됨)

PC4는 FLE에서는 유의하나 Manager에서는 그렇지 않음.

With respect to the separate analysis for managers and front-line employees, we obtain that principal components related to innovative profile of the organisation (PC1) and overall organi- sational performance (PC3) present the strongest and most consistent relationship with the motivation in health professionals, across both managers and front- line employees, and the total database. While the second principal component, related to environment and information spread (PC2), presented also a con- sistent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ub-samples, the fourth principal component, related to pro-change apti- tude (PC4) is significant in the analysis corresponding to front-line employees, but not for managers.

 

 

 


 

 

Table 3 General non-linear model results (multinomial ordered probit)


4. Discussion



공공의료기관에서 혁신에 대한 태도가 manager와 FLE사이에 다르며, manager가 더 동기부여가 되어있다. 동기부여의 차이가 어느정도는 혁신의 도입에 관련이 될 것이며, 그러한 차이를 줄이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고, low-involved 한 사람을 위한 동기부여 등이 필요하다.

As a conclusion, this paper provides evidence that different types of health professionals at public health institutions present different attitude towards innova- tions and are differently motivated, being managers better motivated than front-line employees. Because motivation is important in the health performance and the adoption of innovations, the gap in the motiv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health professionals is, at least at some extent, responsible for the delay in the adoption of innovations in public health institutions, and policy measures should be undertaken in order to reduce such a gap, increasing the motivation for low involved health professionals and the interaction and co-production of innovative activities between man- agers and front-line employees.



Appendix A. Questionnaire distributed to managers and front-line employees at public health institutions

 

 



 2007 Dec;84(2-3):344-58. Epub 2007 Jul 6.

Innovation and motivation in public health professionals.

Author information

  • 1Manuel García-Goñi, 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 Departamento de Economía Aplicada II, Campus de Somosaguas, 28223 Pozuelo de Alarcón, Madrid, Spain. mggoni@ccee.ucm.es

Abstract

OBJECTIVES:

Innovations in public health services promote increases in the health status of the population. Therefore, it is a major concern for health policy makers to understand the drivers of innovation processes. This paper focuses on the differences in behaviour of managers and front-line employees in the pro-innovative provision of public health services.

METHODS:

We utilize a survey conducted on front-line employees and managers in public health institutions across six European countries. The survey covers topics related to satisfaction, or attitude towards innovation or their institution. We undertake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and estimate a multinomial ordered probit model to analyse the existence of different behaviour in managers and front-line employees with respect to innovation.

RESULTS:

Perception of innovation is different for managers and front-line employees in public health institutions. While front-line employees' attitude depends mostly on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institution, managers feel more involved and motivated, and their behaviour depends more on individual and organisational innovative profiles.

CONCLUSION:

It becomes crucial to make both managers and front-line employees at public health institutions feel participative and motivated in order to maximise the benefits of technical or organisational innovative process in the health services provision.

PMID:
 
17618010
 
DOI:
 
10.1016/j.healthpol.2007.05.006
[PubMed - indexed for MEDLINE]


서비스기관에서 혁신의 전파(Systematir Review) (Milbank Q. 2004)

Diffusion of Innovations in Service Organizations: Systematic Review and Recommendations

TRISHA GREENHALGH, GLENN ROBERT, FRASER MACFARLANE∗, PAUL BATE, and OLIVIA KYRIAKIDOU∗

University College London; ∗University of Surrey




전체 보고서는 Greenhalgh et al. 2005a

Because of the size and scope of our re- view, we cannot describe all our findings or discuss all our sources in this article. Instead, we encourage interested readers to read the complete project report (Greenhalgh et al. 2005a).


서비스 기관에서의 '혁신'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We defined innova- tion in service delivery and organization as

a novel set of behaviors, routines, and ways of working

that are directed at improving health outcomes, administrative efficiency, cost effectiveness, or users’ experience and

that are implemented by planned and coordinated actions.

 

 

우리는

  • Diffusion(피동적 전파),
  • Dissemination(도입을 위한 능동적, 계획적 설득),
  • Implementation(주류에 대한 능동적, 계획적 노력),
  • Sustainability (진부해질때까지 혁신을 루틴으로 만드는 것)을 구분하고자 했다.

 

그러나 우리는 Sustainability의 모호함을 언급해놓고자 한다(혁신이 더 오래 지속될수록, 한 조직이 추가적인 혁신에 개방적일 가능성이 낮다.

We distinguished among

  • diffusion (passive spread),
  • dissemination (active and planned efforts to persuade target groups to adopt an innovation),
  • implementation (active and planned efforts to mainstream an innovation within an organiza- tion), and
  • sustainability (making an innovation routine until it reaches obsolescence).

But we did note an ambiguity in the notion of sustain- ability (i.e., the longer an innovation is sustained, the less likely the organization will be open to additional innovations).

 

 

헬스케어 관련 서비스 영역에 집중

Our search strategy was designed to concen- trate on the service sector, particularly health care.


 

 

 

 

meta-narrative review라는 새로운 방식을 도입

To help explore this large and heterogeneous literature, we developed a new technique, which we called meta-narrative review. It is summarized in Box 1 and explained in detail in a separate paper (Greenhalgh et al. 2005b).

 

 

 


 


 

여섯가지 카테고리로 구분

We then divided the pri- mary studies’ findings into six broad categories:

  • (1) 혁신 그 자체 the innovation itself;
  • (2) 프로세스의 도입과 축적 the adoption/assimilation process;
  • (3) 의사소통과 영향주기 communication and influence (diffusion and dissemination, including social networks, opinion leader- ship, champions, and change agents);
  • (4) 내부 맥락 the inner (organizational) con- text, including both antecedents for innovation in general and readiness for particular innovations;
  • (5) 외부 맥락 the outer (interorganizational) context, including the impact of environmental variables, policy incentives and mandates, and interorganizational norms and networking; and
  • (6) 도입과 시행 the implementation process.


연구자마다 Diffusion, Dissemination, Implementation을 다르게 개념화하고 다르게 사용함...등등 차이.

Because different researchers in different traditions generally...

  • concep- tualized their topic differently;
  • used different language and metaphors for diffusion, dissemination, and implementation;
  • asked different ques- tions;
  • privileged different methods; and
  • used different criteria to judge “quality” and “success,”

그래서 narrative한 방식 사용.

we used narrative, rather than statistical, syn- thesis techniques (Dixon-Woods et al. 2004).


모델(Fig3)을 개발

Based on the evidence from the primary studies, we developed a unifying conceptual model (Figure 3)


근거를 다음과 같이 grade함.

We graded the overall evidence supporting each of our conclusions using a modified vers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Health Evidence Network (WHO-HEN) criteria (Øvretveit 2003):


  • 강력한 직접적 근거 Strong direct evidence: consistent findings in two or more empirical studies of appropriate design and high scientific quality undertaken in health service organizations
  • 강력한 간접적 근거 Strong indirect evidence: consistent findings in two or more empirical studies of appropriate design and high scientific quality, but not from a health service organization
  • 중등도의 직접적 근거 Moderate direct evidence: consistent findings in two or more empirical studies of less appropriate design and/or of acceptable scientific quality undertaken in health service organizations. 
  • 중등도의 간접적 근거 Moderate indirect evidence: consistent findings in two or more empir- ical studies of less appropriate design and/or of acceptable scientific quality, but not from health service organizations. 
  • 제한된 근거 Limited evidence: only one study of appropriate design and acceptable quality available, or inconsistent findings in several studies. 
  • 근거 없음 No evidence: no relevant study of acceptable scientific quality available.


13개의 연구영역 - 대체로 상호독립적임 - 이 관련 근거토대를 마련해줌

We identified 13 research areas that had, largely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provided evidence relevant to the diffusion of innovations in health service organizations (Table 1).


 

 

이 중 네 개의 연구전통은 '초기 확산 연구'라고 볼 수 있음

Four of these traditions can be classified as “early diffusion research”:


1. 농촌 사회학 Rural sociology,

for which Everett Rogers (1995) first developed the concept of diffusion of innovations: In this concept, innovations were defined as ideas or practices perceived as new by practi- tioners (in this case, farmers). Diffusion was seen as the spread of ideas among individuals, largely by imitation. Interventions aimed at spreading innovation harnessed the interpersonal influ- ence of opinion leaders and change agents, and research mapped the social networks and adoption decisions of targeted individuals.


2. 의료 사회학 Medical sociology,

in which similar concepts and theoretical expla- nations were applied to doctors’ clinical behavior (most notably, the 1966 study by Coleman, Katz, and Menzel on the spread of prescribing of newly introduced antibiotics): Early studies in med- ical sociology set the foundations for network analysis—the sys- tematic study of “who knows whom” and “who copies whom”— and led to the finding that well-networked individuals are gen- erally better educated, have a higher social status, and are earlier adopters of innovations (Burt 1973).


3. 의사소통 연구 Communication studies,

in which innovations were conceptualized as new information (often “news”), and spread was seen as the trans- mission of this information by either mass media or interpersonal communication: Research measured the speed and direction of the message’s transmission and studied the impact of altering key variables such as the style of message, the communication chan- nel (spoken, written, etc.), and the nature of exposure (Rogers and Kincaid 1981).


4. 마케팅 Marketing,

in which innovations were conceptualized as products or services, and the adoption decision was seen as a rational (quasi- economic) analysis of costs and benefits: Research measured the success of efforts to increase the perceived benefits or reduce the perceived costs of an innovation in the eyes of potential adopters. An important stream of research in this area centered on devel- oping mathematical models to predict adoption behavior (Bass 1969).


 

그러나 이 연구들은 이론적 한계가 있었는데 다음과 같은 잘못된 가정을 하고 있었다.

But the work had a num- ber of theoretical limitations, notably the erroneous assumptions that


  • (1) 분석단위가 개인 the only relevant unit of analysis is the individual innovation and/or the individual adopter;
  • (2) 혁신은 반드시 좋은 것이라는 생각 an innovation is necessarily better than what has gone before and adoption is more worthy of study than is non-adoption or rejection;
  • (3) 도입adoption의 패턴이 고정된 성격특성을 반영한다는 것 patterns of adoption reflect fixed personality traits; and
  • (4) 연구결과가 변함없이 새로운 세팅/맥락으로 전이가능할 것이라는 생각 the findings of diffusion research are invariably transferable to new contexts and settings.


 

그 이후에 더 발전하여 등장한 연구영역은...

Research areas that emerged as developments— and sometimes as breakaways—from such conceptual models include


• 개발 연구 Development studies,

in which research on the spread of innovations was explicitly broadened to include an exploration of the polit- ical, technological, and ideological context of the innovation and any dissemination program, and of particular innovations’ different meaning and social value in different societies: Diffusion of innova- tions was reframed as centrally pertaining to the appropriateness of particular technologies and ideas for particular situations at partic- ular stages in development.

 

Two important contributions from this tradition have been

  • (1) that the meaning of an innovation for the agency that introduces it may be very different from that held by the intended adopters and
  • (2) that “innovation-system fit” (related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novation and its potential context) is generally a more valid and useful construct than “innovation at- tributes” (often assumed to be fixed properties of the innovation in any context) (Bourdenave 1976).


• 건강 증진 Health promotion,

in which innovations were defined as good ideas for healthy behaviors and lifestyles, and the spread of such innovations was expressed as the reach and uptake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defined target groups: Health promotion research has tradition- ally used social marketing, developed from marketing theory, as its theoretical basis. More recently, a more radical “developmental” agenda has emerged in health promotion, with parallels to devel- opment studies, in which a one-way transmission of advice from the change agency to the target group has been replaced with var- ious models of partnership and community development (Potvin, • Haddad, and Frohlich 2001).


• 근거 기반 의학 Evidence-based medicine,

in which innovations were defined as health technologies and practices supported by sound research evidence: Until recently, the spread of innovation in this tradition was seen as a linear and technical process at the level of the individual and hence was described as changes in clinicians’ behavior in line with evidence-based guidelines (Granados et al. 1997). Many evidence- based medicine researchers subsequently (and perhaps somewhat be- latedly) recogniz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most clinical guide- lines requires changing the system and, hence, organizational as well as individual change (Grimshaw et al. 2004). A more recent conceptual development is the notion that the evidence base for par- ticular technologies and practices is often ambiguous and contested and must be continually interpreted and reframed in accordance with the local context and priorities, a process that often involves power struggles among various professional groups (Ferlie et al. 2001).


 

조직, 경영 분야에서는 다음이 관련된다.

In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literature, we found the follow- ing areas that were relevant to our review:


• 조직 개혁의 구조적 결정요인 연구 Studies of the structural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in which innovation was seen as a product or process likely to make an organization more profitable: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was regarded as primarily influenced by structural determinants, es- pecially

  • size,
  • functional differentiation (an internal division of la- bor),
  • slack resources, and
  • specialization (the organization has a clear “niche” in which it offers expertise and specialist resources).

In this area, research focuses on collecting quantitative data about the for- mal structures of organizations, usually by sending questionnaires to the chief executive. Such studies were among the few in our re- viewthat were amenable to meta-analysis (Damanpour 1991, 1992, • 1996).


• 조직의 프로세스/맥락/문화에 관한 연구로서, 혁신의 adoption/assimilation/routinization에 관심을 두는 연구 Studies of organizational process, context, and culture, whose research focus was the adoption, assimilation, and routinization of an in- novation:

Here, the exploration of an organization’s innovativeness concentrated on the “softer,” nonstructural aspects of its makeup, especially the prevailing culture and climate, notably in relation to

  • leadership style,
  • power balances,
  • social relations, and
  • attitudes toward risk taking.

This area used mainly qualitative (often ethno- graphic) methods and centered on people and their relationships and behavior. This research often overlapped with the mainstream change management literature, in addition to a distinct innovation subarea (Kanter 1988; Van de Ven et al. 1999).


• 조직간연구 Interorganizational studies,

which examine an organization’s innova- tiveness in relation to the influence of other organizations, partic- ularly

  • interorganizational communication,
  • collaboration,
  • competi- tion, and
  • normsetting:

 

This area applied social network theory (the notion that people are “networked” to friends and colleagues and that these networks formchannels of communication and influence [Granovetter and Soong 1983]) to the level of the organization (e.g., the concept of the opinion-leading organization was introduced and explored). Interorganizational norms (“fads and fashions”) were seen as a key mechanism for spreading ideas among organizations • (Abrahamson 1991; Abrahamson and Fairchild 1999).


• 조직의 혁신에 대한 지식-기반 접근법 Knowledge-based approaches to innovation in organizations,

in which both innovation and diffusion were radically redefined as the construc- tion and distribution of knowledge (Nonaka and Takeuchi 1995): A critical new concept was the organization’s absorptive capacity for new knowledge. Absorptive capacity is a complex construct incor- porating

  • the organization’s existing knowledge base,
  • “learning or- ganization” values and goals (i.e., those that are explicitly directed to capturing, sharing, and creating new knowledge),
  • technolog- ical infrastructure,
  • leadership and knowledge sharing, and
  • effec- tive boundary-spanning roles with other organizations (Zahra and • George 2002).


• 내러티브 조직 연구 Narrative organizational studies,

in which one important dimen- sion of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the generation of ideas—was viewed as the creative imagination of individuals in the organiza- tion: In this field, an innovative organization is one in which new stories can be told and that has the capacity to capture and circu- late these stories (Czarniawska 1998; Gabriel 2000). This research area emphasizes the rule-bound, inherently conservative nature of large professional bureaucracies and celebrates stories for their in- herent subversiveness.

  • Because the principal constructions in stories are surprise, tension, dissent, and “twists in the plot,” and
  • because characters can be assigned positive virtues such as honesty, courage, or determination,

stories can offer “permission to break the rules” (Buckler and Zein 1996). In the narrative tradition, the diffusion of innovations within organizations gives a shared story a new end- ing. Hence, interventions to support innovation are directed toward supporting “communities of practice” with a positive story to tell (Bate 2004).


• 복잡도 연구 Complexity studies

are derived from general systems theory and re- gard innovation as the emergent continuity and transformation of patterns of interaction, understood as complex responses of humans relating to one another in local situations: The diffusion of innova- tions is seen as a highly organic and adaptive process in which the organization adapts to the innovation and the innovation is adapted to the organization (Fonseca 2001).


 

 

서비스기관에서의 확산모델

A Model of Diffusion in Service Organizations


Figure 3 shows the unifying conceptual model that we derived from our synthesis of theoretical and empirical findings. As noted later, the model is intended mainly as a memory aide for considering the different aspects of a complex situation and their many interactions. It should not be viewed as a prescriptive formula.

 

 


 

혁신 그 자체

The Innovation


사람들은 서로 다른 혁신을 받아들이고, 서로 다른 속도로 전파시킨다. 어떤 혁신은 아무에게도 받아들여지지 않으며, 어떤 혁신은 버려진다. 사회학의 여러 근거가 다음과 같은 혁신의 특성이 영향을 줌을 보여준다.

Individual people adopt different innovations and then spread them at different rates to other individuals. Some innovations are never adopted at all; others are subsequently abandoned. A very extensive evidence base from sociology (including medical sociology) supports the notion of key attributes of innovations (as perceived by prospective adopters), which explain much of the variance in innovations’ adoption rates.


상대적 장점 Relative Advantage.


 

효과성, 비용-효과성에 대한 명확한 장점이 있는 경우. 상대적 장점은 필수불가결한 것이다.

Innovations that have a clear, unambiguous ad- vantage in either effectiveness or cost-effectiveness are more easily adopted and implemented (for strong indirect and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Dirksen, Ament, and Go 1996; Marshall 1990; Meyer, Johnson, and Ethington 1997; and Rogers 1995). If potential users see no relative advantage in the innovation, they generally will not consider it further; in other words, relative advantage is a sine qua non for adop- tion (for strong direct and moderate indirect evidence, see Rogers 1995).


그러나 상대적 장점만으로 충분하지 않다. 근거-기반 혁신조차 오랜 기간동안 adopter들과 협상을 거쳐야 하고, 이는 토론/검증/리프레임의 과정이다. 그러한 담화가 혁신의 상대적 장점이 어떻게 (좋게 또는 나쁘게) 인식되느냐를 바꾼다.

Nevertheless, relative advantage alone does not guarantee widespread adoption (for strong direct evidence, see Denis et al. 2002; Fitzgerald et al. 2002; and Grimshaw et al. 2004). Even so-called evidence-based innovations undergo a lengthy period of negotiation among potential adopters, in which their meaning is discussed, contested, and reframed. Such discourse can increase or decrease the innovation’s perceived relative advantage (for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Ferlie et al. 2001).


호환성 Compatibility.


의도한 adopter들의 가치/규범/유구에 잘 맞을 때. 기관 혹은 전문직의 규범/가치/근무방식에 자 맞을 때

Innovations that are compatible with the intended adopters’ values, norms, and perceived needs are more readilyadopted(for strong direct evidence, see Aubert and Hamel 2001; Denis et al. 2002; Ferlie et al. 2001; Foy et al. 2002; and Rogers 1995). Compatibility with organizational or professional norms, values, and ways of working is an additional determinant of successful assimilation (for strong direct evidence, see Denis et al. 2002; Fennell and Warnecke 1988; and Ferlie et al. 2001).


복잡성 Complexity.


사용하기 쉬운 것. 실제 경험이나 시험을 통해서 'perceived complexity'를 줄일 수 있음. 혁신을 manageable part로 나눠서 점진적으로 도입하면 더 쉽게 도입될 수도 있음. 조직 세팅에서 reponse barrier가 적으면 쉽게 축적됨.

Innovations that are perceived by key players as simple to use are more easily adopted (for strong direct evidence, see Denis et al. 2002; Grilli and Lomas 1994; Marshall 1990; Meyer and Goes 1988; Meyer, Johnson, and Ethington 1997; and Rogers 1995). Per- ceived complexity can be reduced by practical experience and demon- stration (for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Plsek 2003). If the innovation can be broken down into more manageable parts and adopted incremen- tally, it will be more easily adopted (for strong indirect and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Plsek 2003; and Rogers 1995). If an innovation in an organizational setting has few response barriers that must be over- come, it will be assimilated more easily (for strong indirect and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Rogers 1995).


시도가능성 Trialability.


limited basis로 실험해볼 수 있는 혁신이 더 쉽게 도입됨. “trialability space” 가 필요

Innovations with which the intended users can exper- iment on a limited basis are adopted and assimilated more easily (for strong direct evidence, see Grilli and Lomas 1994; Plsek 2003; Rogers 1995; and Yetton, Sharma, and Southon 1999). Such experimentation can be encouraged by providing “trialability space” (for strong indirect and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Øvretveit et al. 2002; Plsek 2003; and Rogers 1995).


관측가능성 Observability.


혁신의 benefit이 쉽게 눈에 보일 때

If the benefits of an innovation are visible to intended adopters, it will be adopted more easily (for strong direct evidence, see Denis et al. 2002; Grilli and Lomas 1994; Meyer and Goes 1988; and Øvretveit et al. 2002).


재발명Reinvention.


잠쟂거 adopter들이 혁신을 refine, modify해서 스스로의 요구에 맞게 변형시킬 수 있을 때

If potential adopters can adapt, refine, or otherwise mod- ify the innovation to suit their own needs, it will be adopted more easily (for strong direct evidence, see Meyer, Johnson, and Ethington 1997; and Rogers 1995).

 

재발명은 “good ideas in practice” 의 방식으로 자발적으로 떠오르는 혁신에서 특히 중요하며, 비공식적/비중앙화된/수평적 네트워크로 전파된다.

Reinvention is especially important to those innovations that arise spontaneously as “good ideas in practice” and spread through informal, decentralized, horizontal social networks (for moderate indirect evidence, see Rogers 1995; see also “fuzzy boundaries”in this article). 


불분명한 경계 Fuzzy Boundaries.


Complex innovation은 "굳건한 핵심"과 "부드러운 가장자리"로 구성된다. "부드러운 가장자리"의 adaptiveness가  혁신이 도입되기 위한 핵심이다.

Complex innovations in service organizations can be conceptualized as having a “hard core” (the irreducible elements of the innovation itself ) and a “soft periphery” (the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systems required for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innovation); the adaptiveness of the “soft periphery” is a key attribute of the innovation (for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Denis et al. 2002).


위험 Risk.


불확실성이 높고, 개개인이 risky하다고 느끼면 잘 도입이 안된다. 그러나 혁신의 '위협'은 한 조직내에서 균등하게 분배되는 것이 아니므로, risk and benefit의 밸런스를 맞추는 것이 조직 내의 power base를 반영하고, 그래야 더 혁신이 축적된다.

If the innovation carries a high degree of uncertainty of out- come that the individual perceives as personally risky, it is less likely to be adopted (for strong direct evidence, see Meyer and Goes 1988; and Meyer, Johnson, and Ethington 1997). Because an innovation’s risks and benefits are not evenly distributed in an organization, the more the bal- ance between risks and benefits reflects the organization’s power base, the more likely the innovation is to be assimilated (for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Denis et al. 2002; and Ferlie et al. 2001).


업무 관련성 Task Issues.


사용자의 업무와 관련된 경우, 업무능력을 향상시켜줄 경우. feasible, workable, easy to use해야 함.

If the innovation is relevant to the performance of the intended user’s work and if it improves task performance, it will be adopted more easily (for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Yetton, Sharma, and Southon 1999). If the innovation is feasible, workable, and easy to use, it will be adopted more easily (for strong direct evidence, see Dobbins, Cockerill, and Barnsley 2001; Foy et al. 2002; Meyer and Goes 1988; and Yetton, Sharma, and Southon 1999).


사용에 필요한 지식 Knowledge Required to Use It.


 

사용에 필요한 지식이 성문화되어 transfer될 수 있을 때

If the knowledge required for the inno- vation’s use can be codified and transferred from one context to another, it will be adopted more easily (for strong indirect and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Adler, Kwon, and Singer 2003; Aubert and Hamel 2001; and O’Neill, Pouder, and Buchholtz 2002).


지지 Augmentation/Support.


지지(augmented product)가 공급될 때.

If a technology is supplied as an “augmented product” (e.g., with customization, training, and a help desk), it will be assimilated more easily (for strong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Aubert and Hamel 2001).


 

그러나 이 특성들은 stable한 것도 아니며, 혁신 도입의 sure determinants도 아니다.

Our full report gives a number of examples of studies that failed to support the importance of even the most well-established attributes in certain settings (Greenhalgh et al. 2005a). This finding illustrates the important principle that the attributes are neither stable features of the innovation nor sure determinants of their adoption or assimila- tion. Rather, it is the interaction among the innovation, the intended adopter(s), and a particular context that determines the adoption rate.


 

 

개인에 의한 도입 Adoption by Individuals


 

사람들은 혁신의 수동적 수용자가 아니다. 오히려 혁신을 탐색하고, 실험해보고, 평가하고, 의미를 찾고, 감정을 develop하고, 도전하고, 걱정하고, 불평하고, 주변에서 서성거리고, 경험을 쌓고, 특정 업무에 맞게 변형시키고, 재-디자인 하곤 한다. 이러한 다양한 행동과 감정은 혁신의 도입과정에서 발생하는 복합성을 보여주며, explanatory variable로서 잘못 적용되며 널리 인용되어온 "adopter category" (초기수용자, Laggard...)와 배치되는 것이다. 이 adopter category에서 나타나는 stereotypical, value-laden 한 용어의 실제적 근거는 거의 없으며, 이 카테고리는 adopter를 복잡한 혁신과 능동적, 창의적으로 상호작용하는 actor로서의 adopter를 놓친 것이다.

People are not passive recipients of innovations. Rather (and to a greater or lesser extent in different persons), they seek innovations, experiment with them, evaluate them, find (or fail to find) meaning in them, de- velop feelings (positive or negative) about them, challenge them, worry about them, complain about them, “work around” them, gain experience with them, modify themto fit particular tasks, and try to improve or re- design them—often through dialogue with other users. This diverse list of actions andfeelings highlights the complex nature of adoptionas a pro- cess and contrasts markedly with the widely cited “adopter categories” (“early adopter,” “laggard”) that have been extensively misapplied as explanatory variables. There is little empirical support for these stereo- typical and value-laden terms, which fail to acknowledge the adopter as an actor who interacts purposefully and creatively with a complex innovation.


일반적인 심리학적 선조들 General Psychological Antecedents.


We identifieda large literature from cognitive and social psychology on individual traits associated with the propensity to try out and use innovations (e.g., tolerance of ambiguity, intellectual ability, motivation, values, and learning style).


 

맥락-특이적 심리학적 선조들 Context-Specific Psychological Antecedents.


동기부여가 되어있고 더 able한(가치/목적/스킬 등등) 사람이 더 잘 adopt한다. intended adopter의 identified need를 충족시켜준다면 더 잘 adopt할 것이다.

An intended adopter who is motivated and able (in terms of values, goals, specific skills, and so on) to use a particular innovation is more likely to adopt it (for strong direct evidence, see Ferlie et al. 2001; Gladwin, Dixon, and Wilson 2002; and Yetton, Sharma, and Southon 1999). If the innovation meets an identified need by the intended adopter, he or she is more likely to adopt it (for strong indirect evidence, see Hall and Hord 1987; and Wejnert 2002).


의미 Meaning.


혁신의 '의미'가 도입 결정에 큰 영향을 준다. 개인에게 부여된느 의미가, 상위 관리자/서비스 사용자/다른 이해관계자의 의미와 잘 맞을 때 더 잘 도입된다.

The meaning of the innovation for the intended adopter has a powerful influence on the adoption decision (for strong indirect and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Dearing and And 1994; and Timmons 2001). If the meaning attached to the innovation by individual adopters matches the meaning attached by top management, service users, and other stakeholders, the innovation is more likely to be assimilated (for moderate indirect evidence, see Eveland 1986).


 

도입 결정 The Adoption Decision.


개별 조직 내에서의 특정 혁신도입에 대한 결정은 다른 결정에 무관하지 않다. contingent, collective, authoritative할 수 있다.

The decision by an individual within an orga- nization to adopt a particular innovation is rarely independent of other decisions. It may be

  • 대표 contingent (dependent on a decision made by some- one else in the organization),
  • 집단 collective (the individual has a “vote” but ultimately must acquiesce to the decision of a group), or
  • 권력 authoritative (the individual is told whether or not to adopt it) (Rogers 1995).

권력(자)의 결정은 초기 도입의 가능성을 높여주나, 성공적으로 implementation되고 routinize될 가능성을 낮춘다.

Au- thoritative decisions (e.g., making adoption by individuals compulsory) may increase the chance of initial adoption by individuals but may also reduce the chance that the innovation is successfully implemented and routinized (for moderate indirect evidence, see Rogers 1995).


 

 

 

'Adoption'이란 결과event라기보다는 프로세스이며, 각 단계마다 서로 다른 우려사항이 발생한다. 개인 차원에서 도입 프로세스는 다섯 단계를 거친다.

Adoption is a process rather than an event, with different concerns being dominant at different stages. The adoption process in individ- uals is traditionally presented as having five stages:

  • awareness,
  • per- suasion,
  • decision,
  • implementation, and
  • confirmation (Rogers 1995).

 

그러나 우리는 조금 덜 잘 알려진 Concerns Based Adoption Model 을 사용하여 설명할 것이다.

However, we found that a lesser-known model, the Concerns Based Adoption Model developed for innovation in schools, better explained the findings of empirical studies of complex service innovations in an organizational context.


 

전-도입 단계의 우려 Concerns in Preadoption Stage.


중요한 전제조건은 adopter들이..

Important prerequisites for adoption are that the intended adopters

  • 혁신에 대한 '인지aware' are aware of the innovation;
  • 그것이 무엇이며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에 대한 충분한 정보 have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what it does and how to use it; and
  • 그 혁신이 어떻게 자기에게 영향을 미칠지가 확실해야 are clear about how the innovation would affect them personally, for example, in terms of costs (for strong indirect evidence, see Hall and Hord 1987).


초기 사용 단계의 우려 Concerns during Early Use.


intended adopters 가 지속적으로 혁신에 대한 정보에 접근가능할 때, 지속적으로 충분한 훈련과 지지가 있을 때

Successful adoption is more likely if the intended adopters have continuing access to information about what the innovation does and to sufficient training and support on task issues (i.e., about fitting the innovation to daily work) (for strong indirect evidence, see Hall and Hord 1987).


이미 확립된 사용자의 우려 Concerns in Established Users.


혁신의 결과에 대해서 적절한 피드백에 제공될 때. 도입한 사람들이 혁신을 adapt and refine할 수 있는 기회/자율성/서포트가 충분히 제공될 때

Successful adoption is more likely if adequate feedback is provided to the intended adopters about the con- sequences of adoption (for strong indirect evidence, see Hall and Hord 1987) and if the intended adopters have sufficient opportunity, auton- omy, and support to adapt and refine the innovation to improve its fitness for purpose (for strong indirect evidence, see Rogers 1995).


 

 

시스템에 의한 도입/축적

Assimilation by the System


혁신의 전파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단순한, 산출물 기반의 혁신에 초점을 두고 있다.

Most of the research on the diffusion of innovations focused on simple, product-based innovations, for which the unit of adoption is the indi- vidual, and diffusion occurs by means of simple imitation (Rogers 1995).


즉, 조직과 경영 분야의 연구는 성공적인 '개인의' adoption을 유일한 요소로 보고있다는 것이다.

In other words, empirical work in the field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clearly shows that successful individual adoption is only one component of the assimilation of complex innovations in organizations.


축적 The Assimilation.


대규모, high-quality 연구에서 조직도 개인처럼 단계를 거친다고 했다.

Although one large, high-quality study (Meyer and Goes 1988) demonstrated an organizational parallel to the “stages” of individual adoption, comprising

  • 지식-인식 “knowledge-awareness,”
  • 평가-선택 “evaluation- choice,” and
  • 도입-시행 “adoption-implementation,”

그러나 이후 연구결과는 이보다 더 messy한 모델과 더 잘 부합하는데, initiation/development/implementation 사이를 왔다갔다하며, 충격/훼방/놀람이 막 끼어든다.

the remaining empirical evi- dence was more consistent with an organic and often rather messy model of assimilation in which the organization moved back and forth between initiatio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variously punctuated by shocks, setbacks, and surprises (for strong direct evidence, see Van de Venetal. 1999).


 

 

전파

Diffusion and Dissemination


 

혁신의 확산은 pure diffusion과 active dissemination 사이에 있다.

The various influences that help spread the innovation can be thought of as lying on a continuum between

  • pure diffusion (in which the spread of innovations is unplanned, informal, decentralized, and largely horizon- tal or mediated by peers) and
  • active dissemination (in which the spread of innovation is planned, formal, often centralized, and likely to occur more through vertical hierarchies; see Figure 2).

 

메스미디어와 다른 impersonal 채널들이 혁신에 대한 awareness를 만들어낸다면, 대인관계적 영향이 사회적 네트워크를 따라서 diffusion의 주된 메커니즘이 된다.

Whereas mass media and other impersonal channels may create awareness of an innovation, interpersonal influence through social networks (defined as “the pattern of friendship, advice, communication and support which exists among members of a social system” [Valente 1996, 70]) is the dominant mecha- nism for diffusion.

 

 

 


 

네트워크 구조 Network Structure.


개인이 혁신을 도입하는 것은 사회적 네트워크의 구조와 퀄리티에 따라 달라진다. 직군마다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이 다르다. 예를 들어 의사는 비공식적/수평적 네트워크로 작동하며, 간호사는 보다 공식적/수직적 네트워크를 갖는다.

The adoption of innovations by individuals is powerfully influenced by the structure and quality of their social net- works (for strong indirect and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Fennell and Warnecke 1988; Valente 1996; and West et al. 1999). Different groups have different types of social networks.

  • Doctors, for example, tend to operate in informal, horizontal networks, and
  • nurses more often have formal, vertical networks (for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West et al. 1999).

 

세회적 네트워크마다 사용되는 양상이 다르다.

Different social networks also have different uses for different types of influence; for example,

  • 수평적 네트워크는 동료에게 영향을 미치거나 의미를 리-프레이밍하는 것을 서포트해줌
    horizontal networks are more effective for spreading peer influence and supporting the construction and re- framing of meaning;
  • 수직적 네트워크는 성문화된 정보가 아래로 전달되고, 권력자의 결정을 전달하는데 효과적
    vertical networks are more effective for cascading codified information and passing on authoritative decisions (for moderate indirect evidence and limited direct evidence, see Rogers 1995; andWest et al. 1999).


동질성 Homophily.


집단이 동질적(socioeconomic, educational, professional, and cultural)이면 더 잘 전파됨.

The adoption of innovations by individuals is more likely if they are homophilous—that is, have similar socioeconomic, educational, professional, and cultural backgrounds—with current users of the in- novation (for strong direct evidence, see Fennell and Warnecke 1988; Fitzgerald et al. 2002; and West et al. 1999).


 

오피니언 리더 Opinion Leaders.


어떤 사람은 동료들의 신념/행동에 대해서 특정한 영향력을 갖는다.

Some persons have a particular influence on the be- liefs and actions of their colleagues (for strong direct evidence, see Becker 1970; and Coleman, Katz, and Menzel 1966).

  • 전문가 오피니언리더 Expert opinion leaders ex- ert influence through their authority and status, and
  • 동료 오피니언리더 peer opinion leaders exert influence through their representativeness and credibility (for mod- erate direct evidence, see Fitzgerald et al. 2002; and Locock et al. 2001).

 

오피니언 리더는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모두 미칠 수 있다.

Opinion leaders can have either a positive or negative influence.


 

오피니언 리더의 영향력을 활용 Harnessing the Opinion Leader’s Influence.


자연적 상황에서의 사회적 영향력이 강력할지라도, 그러한 개개인들을 planned change effort에 포함시키려는 시도의 결과는 실망스러웠다. 오피니언리더를 훈련시켜서 동료들에게 영향을 미치게 하고 싶을 때, 그 impact가 일반적으로 긍정적이기는 하나, 그 magnitude가 크진 않다. 진정한 오피니언리더를 찾는데 실패한다면 (즉 monomorphic과 polymorphic의 구분에 실패한다면) 개입 전략이 성공하지 못할 수도 있다.

Even though the powerful impact of social influence (such as that of opinion leaders) in natural- istic settings is well established, attempts to engage such individuals in planned change efforts have often had disappointing results. In cases in which opinion leaders have been trained to influence the behavior of their peers (e.g., to persuade fellow clinicians to follow a new guideline), the impact is generally positive in direction but small in magnitude (for strong direct evidence, see Thomson O’Brien et al. 2003). The failure to identify the true opinion leaders and, in particular, the failure to distin- guish between

  • monomorphic opinion leaders (influential for a particular innovation only) and
  • polymorphic opinion leaders (influential across a wide range of innovations)

may limit the success of such intervention strategies (for strong indirect and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Locock et al. 2001; and Rogers 1995).


 

key individual이 자신의 사회적 네트워크에 있을 때 개개인은 혁신을 더 잘 도입한다.

The adoption of an innovation by individuals in an or- ganization is more likely if key individuals in their social networks


 

지지자 Champions.


지지자는 혁신을 서포트할 의지가 있는 사람이다. 다양한 역할을 맡을 수 있다.

are willing to support the innovation (for strong indirect and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Backer and Rogers 1998; Markham1998; Meyer and Goes 1988; and Schon 1963). The different champion roles for organiza- tional innovations include

  • (1) 개척자 the organizational maverick, who gives the innovators autonomy from the organization’s rules, procedures, and sys- tems so they can establish creative solutions to existing problems;
  • (2) 변혁의 리더 the transformational leader, who harnesses support from other members of the organization;
  • (3) 조직의 버퍼 the organizational buffer, who creates a loose mon- itoring system to ensure that innovators properly use the organization’s resources while still allowing themto act creatively; and
  • (4) 네트워크 촉진자 the network facilitator, who develops cross-functional coalitions within the organiza- tion (for moderate indirect evidence, see Shane 1995).


 

경계 확장가 Boundary Spanners.


조직은 조직의 내부와 외부에 social ties가 유의미한 사람이 있고, 이들이 조직을 외부세계와 연결시켜줄 의지가 있을 때 혁신을 더 잘 도입한다. 이러한 개개인이 pivotal role을 하게 된다. development and execution of boundary-spanning roles 을 잘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조직이 더 빨리 혁신을 인지하고 시행한다.

An organization is more likely to adopt an in- novation if those people who have significant social tie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organization are able and willing to link the organiza- tion to the outside world in relation to this particular innovation. Such individuals play a pivotal role in capturing the ideas that will become or- ganizational innovations (for strong indirect evidence, see Rogers 1995; for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Kimberly and Evanisko 1981). Or- ganizations that promote and support the development and execution of boundary-spanning roles are more likely to become aware of and as- similate innovations quickly (for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Barnsley, Lemieux-Charles, and McKinney 1998; Ferlie et al. 2001; and Tushman 1977).


 

식적 확산 프로그램 Formal Dissemination Programs.


다음의 경우에 더 잘 이뤄진다.

When a planned dissemination pro- gramis used for the innovation (e.g., led by an external change agency), it will be more effective if the program’s organizers

  • (1) 잠재적 adopte를 충분히 고려할 때(요구, 관점, 관심, 비용-효과 밸런스) take full account of potential adopters’ needs and perspectives,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balance of costs and benefits for them;
  • (2) subgroup의 특징에 따라 전략을 tailoring할 때 tailor different strategies to the different demographic, structural, and cultural features of different subgroups;
  • (3) 적절한 스타일의 메시지 활용 use a message with appropriate style, imagery, metaphors, and so on;
  • (4) 적절한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발굴과 활용 identify and use appropriate communication channels; and
  • (5) 철저한 평가와 모니터링 incorporate rigorous evaluation and monitoring of defined goals and milestones (for strong indirect evidence, see Rogers 1995).

 

 


 

대부분의 확산 연구는 proactively developed innovations 을 위주로 이뤄져왔으며, 이 때 전파의 주된 메커니즘은 중앙에서 유도하여 통제된(dissemination이라 정의한) 방식이다. 그러나 많은 수의 혁신은 로컬 서비스에서 "괜찮은 아이디어"로 판명난 것이 비공식적으로, uncontrolled way로 퍼져나가는 것이다(diffusion)

Most dif- fusion research has addressed proactively developed innovations (e.g., technologies or products developed in formal research programs) whose main mechanism of spread is centrally driven and controlled (what we have defined as dissemination). But many innovations in service delivery and organization occur as “good ideas” in local services, which spread informally and in a largely uncontrolled way (diffusion).


 

 

 

시스템 차원에서의 혁신의 선행조건

System Antecedents for Innovation


서로 다른 조직마다 혁신의 맥락이 다르며, 구조적/문화적 특징이 혁신의 성공적 assimilation의 가능성에 영향을 준다.

Different organizations provide widely differing contexts for innova- tions, and some features of organizations (both structural and “cultural”) have been shown to influence the likelihood that an innovation will be successfully assimilated (i.e., adopted by all relevant individuals and incorporated into “business as usual”).


혁신의 구조적 결정요인 Structural Determinants of Innovativeness.


4개의 메타분석과 15개의 empirical studies.

We identified four previ- ous meta-analyses that included both manufacturing and service orga- nizations and 15 additional empirical studies


다음의 경우에..

They suggest that an organization will assimilate innovations more readily

  • 규모가 크고, 성숙mature하고, 기능적으로 분화되고, 특성화될수록(with foci of profes- sional knowledge)  if it is large, mature, functionally differentiated (i.e., divided into semi- autonomous departments and units), and specialized, with foci of profes- sional knowledge;
  • 느슨한(여분의) 자원이 새로운 프로젝트로 유입될 때 if it has slack resources to channel into new projects; and
  • 탈-중앙화된 의사결정 구조일 때 if it has decentralized decision-making structures (strong direct evi- dence).

규모Size는 다른 determinant의 proxy이다.

Size is almost certainly a proxy for other determinants, including slack resources and functional differentiation.


비록 이러한 구조적 결정요인이 유의하고/긍정적이고/일관되지만, 다 합해봐야 variation의 15% 이하만을 설명해줄 뿐이다. 더 나아가서 구조적 결정요인과 혁신과의 관계는 다른 요인들에 의해서 moderate된다.

Although these structural determinants are significantly, positively, and consistently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together they account for less than 15 percent of the variation among compa- rable organizations.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determinants and innovativeness is moderated by and/or contingent on additional factors (e.g., the radicalness of the innovation, whether it is administrative or technical, and the stage of adoption).


구조적 결정요인을 다룬 문헌들의 약점은, 그 요인들을 variable로 다룸으로써 각자의 영향이 고립되어 독립적으로 정량화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One important weakness of the literature on structural determinants of innovativeness is the assumption that they can be treated as variables whose impact can be isolated and independently quantified.

  • 예컨대, 조직의 사이즈를 "size effect"로 일반화하려고 한다.
    For exam- ple, the empirical studies of organizational size implicitly assume that there is a “size effect” that is worth measuring and that is to some extent generalizable.

다수의 질적연구로 제안된 대안적인 이론적 접근법은 조직의 혁신성은 복잡하고/예측불가능하고/일반화불가능하다는 것이다.

An alternative theoretical approach(House, Rousseau, and Thomas-Hunt 1995), supported by a number of recent detailed quali- tative studies (Champagne et al. 1991; Ferlie et al. 2001), is that the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interact in a complex, un- predictable, and nongeneralizable way with one another.


새로운 지식의 흡수역량 Absorptive Capacity for New Knowledge.


 

다음의 조직이 혁신을 더 잘한다.

An organization that is system- atically able

  • 새로운 지식을 도출하고/잡아내고/해석하고/공유하고/리프레임하고/recodify하는
    to identify, capture, interpret, share, reframe, and recodify new knowledge;
  • 그것을 기존의 지식기반과 연결짓는
    to link it with its own existing knowledge base; and
  • 그것을 적절히 사용하는
    to put it to appropriate use

will be better able to assimilate innovations, especially those that include technologies (for strong direct evidence, see Barnsley, Lemieux-Charles, and McKinney 1998; and Ferlie et al. 2001).

 

흡수역량의 전제조건은

Prerequisites for absorptive capacity include

  • 조직의 기존 지식기반, 기술기반과 기존의 관련 테크놀로지
    the organization’s existing knowledge and skills base (especially its store of tacit, uncodi- fiable knowledge) and preexisting related technologies,
  • "학습하는 조직"으로서의 문화
    a “learning or- ganization” culture, and
  • 지식 공유를 향한 적극적 리더십
    proactive leadership directed toward sharing knowledge (for strong direct evidence, see Barnsley, Lemieux-Charles, and McKinney 1998; Ferlie et al. 2001; and Zahra and George 2002).


강력한/다양한/유기적인/유연한/Adaptable한/자생적 조직 내 네트워크

Strong, diverse, and organic (i.e., flexible, adaptable, and lo- cally grown) intraorganizational networks (especially opportunities for interprofessional teamwork, and the involvement of clinicians in man- agement networks and vice versa)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shared meanings and values in relation to the innova- tion (for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Barnsley, Lemieux-Charles, and McKinney 1998; and Ferlie et al. 2001).


어떻게 연구근거가 확인되고/회람되고/평가되고/사용되는가에 대한 연구를 보면, 연구근거가 조직 차원의 변화 이니셔티브에 기여하기에 앞서서, 지식은 먼저 enact되고, social하게 되어서, 구조화된 지식의 stock에 들어가서 다른 사람과 공유되어야 한다.

A major overview of high-quality qualitative studies of how research evidence is identified, circulated, evaluated, and used in health care organizations (Dopson et al. 2002) confirms other findings from the mainstream knowledge-utilization literature, which suggest that before it can contribute to organizational change initiatives, knowledge must be enacted and made social, entering into the stock of knowledge constructed and shared by other individuals.


변화에 수용적인 맥락 Receptive Context for Change.


receptive context 에는 다양한 것이 있다.

The receptive context for change incor- porates a number of organizational features that have been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its ability to embrace new ideas and face the prospect of change (Pettigrewand McKee 1992).


In addition to an absorptive capacity for new knowledge, the components of receptive context include

  • strong leadership,
  • clear strategic vision,
  • good manage- rial relations,
  • visionary staff in pivotal positions,
  • a climate conducive to experimentation and risk taking, and
  • effective data capture systems (for strong indirect and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Anderson and West 1998; Barnsley, Lemieux-Charles, and McKinney 1998; Dopson et al. 2002; Gosling, Westbrook, and Braithwaite 2003; Newton et al. 2003; Nystrom, Ramamurthy, and Wilson 2002; Pettigrewand McKee 1992; and Van de Ven et al. 1999).

 

리더십은 조직구성원들이 수렴적 사고와 규범화된 루틴을 깨고 나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Leadership may be especially helpful in encouraging organizational members to break out of the convergent thinking and routines that are the norm in large, well-established orga- nizations (for strong direct evidence, see Van de Ven et al. 1999).


System Readiness for Innovation


변화를 향한 긴장 Tension for Change.


If staff perceive that the current situation is intol- erable, a potential innovation is more likely to be assimilated successfully (for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Gustafson et al. 2003).


혁신-시스템 적합도 Innovation-System Fit.


An innovation that fits with the organization’s existing values, norms, strategies, goals, skill mix, supporting technolo- gies, and ways of working is more likely to be assimilated (for strong indirect and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Gustafson et al. 2003; Rogers 1995; and the related concept of “fuzzy boundaries” in this article).


 

(혁신의) 함의에 대한 평가 Assessment of Implications.


If the implications of the innovation (in-cluding its subsequent effects) are fully assessed and anticipated, theinnovation is more likely to be assimilated (for strong indirect and mod- erate direct evidence, see Gustafson et al. 2003; and Rogers 1995).


지지와 지원 Support and Advocacy.


If the supporters of the innovation outnumber and are more strategically placed than its opponents are, it is more likely to be assimilated (for strong indirect and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Champagne et al. 1991; Gustafson et al. 2003; Rogers 1995; and also “champions,” in this article).


시간과 자원의 투자 Dedicated Time and Resources.


If the innovation starts out with a bud- get and if the allocation of resources is both adequate and continuing, it is more likely to be assimilated (for strong indirect and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Gustafson et al. 2003; and Rogers 1995).


혁신에 대한 평가능력 Capacity to Evaluate the Innovation.


If the organization has tight sys- tems and appropriate skills in place to monitor and evaluate the impact of the innovation (both anticipated and unanticipated), the innovation is more likely to be assimilated and sustained (for strong indirect and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Gustafson et al. 2003; Plsek 2003; and Rogers 1995).


 

 

 

외부 맥락: 조직간 네트워크와 협력
The Outer Context: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and Collaboration


 

비공식적 조직간 네트워크 Informal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한 조직이 혁신을 도입할지 말지 결정할 때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 중 하나는, 비슷한 다른 조직(homophilous)들이 일정 비율 이상 그 혁신을 이미 도입하였거나 앞으로 그럴 가능성이 있느냐이다

An important influence on an organization’s decision to adopt is whether a threshold proportion of comparable (homophilous) organizations have done so or plan to do so (for strong direct evidence, see Burns and Wholey 1993; Fennell and Warnecke 1988; Robertson and Wind 1983; and Westphal, Gulati, and Shortell 1997).

 

“cosmopolitan” 조직은 이러한 영향에 더 취약하며(외부 네트워크를 잘 형성한 조직), 조직간 네트워크는 그 혁신이 "규범"으로서 인식된 이후에 혁신의 도입을 촉진한다. 그때까지는 혁신이 뚜렷한 장점이 없다고 인식할 경우, 오히려 혁신을 도입하는데 네트워크는 오히려 장애가 될 수 있다.

A “cosmopolitan” organization (one that is externally well networked with others) is more susceptible to this influence (for strong direct evidence, see Burns and Wholey 1993; Fennell and War- necke 1988; Robertson and Wind 1983; and Westphal, Gulati, and Shortell 1997).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promote the adoption of an innovation only after this is generally perceived as “the norm.” Until that time, networks can also serve to dissuade organizations fromadopt- ing innovations that have no perceived advantages (for strong indirect and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Abrahamson 1991; Fitzgerald et al. 2002; and Westphal, Gulati, and Shortell 1997).


의도적인 확산전략 Intentional Spread Strategies.


아이디어와 지식의 공유를 위해서 만들어진 공식적 네트워킹 이니셔티브 (quality improvement collaboratives, 종종 "Beacon"이라 불림)는 종종 (그러나 항상은 아님) 효과적이다. 이런 이니셔티브는 비용이 많이 드는 겨웅가 있고, 그 gain을 측정하기 어렵다.

Formal networking initiatives such as quality improvement collaboratives (Øvretveit et al. 2002) or “Beacon” schemes (RashmanandHartley 2002), aimed at sharing ideas and knowl- edge construction, are sometimes but not always effective (for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Flamm, Berwick, and Kabcenell 1998; Horbar et al. 2001; Leape et al. 2000; O’Connor et al. 1996; Øvretveit et al. 2002; Rashman and Hartley 2002; and Rogowski et al. 2001). Such initiatives are often expensive, and the gains from them are difficult to measure;


더 넓은 환경 Wider Environment.


환경적 변인이 조직의 혁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근거는 적은 편이다. 환경적 불확실성은 혁신에 작은 긍정적 영향이 있거나 거의 영향이 없다.

The evidence for the impact of environmental variables on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in the service sector is sparse and heterogeneous, with each group of researchers exploring somewhat different aspects of the “environment” or “changes in the environment.” Environmental uncertainty has either a small positive impact or no im- pact on innovativeness (for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Kimberly and Evanisko 1981; and Meyer and Goes 1988),


정치적 지시 Political Directives.


정치적으로 도입의 초기 단계에 "push"하는 것은 성공의 가능성을 높이며, 무엇보다 dedicated funding stream을 만들어내기 때문일 것이다. 외부적 강요(정치적 must-do's)는 조직의 지향(동기부여)을 높여주나, capacity를 높여주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강요(혹은 그로부터 느끼는 공포)는 조직을 혁신에서 멀어지게 만들 수도 있는데, 지역적으로 생성된 아이디어와 우선순위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그 다음에 무엇을 해야하는가'에 대한 second-guess에 초점을 두게 되기 때문이다.

A policy “push” occurring at the early stage of implementation of an innovation initiative can increase its chances of success, perhaps most crucially by making available a ded- icated funding stream(for strong direct evidence, see Exworthy, Berney, and Powell 2003; Fitzgerald et al. 2002; Granados et al. 1997; and Hughes et al. 2002). External mandates (political “must-dos”) increase an organization’s predisposition (i.e., motivation), but not its capacity, to adopt an innovation (for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Taylor et al. 1998). Such mandates (or the fear of them) may divert activity away from innovations as organizations second-guess what they will be required to do next rather than focus on locally generated ideas and priorities (for strong indirect evidence, see Meyers, Sivakumar, and Nakata 1999; for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Exworthy, Berney, and Powell 2003).


도입과 루틴화

Implementation and Routinization


Meyers, Sivakumar, and Nakata define implementation as “the early us- age activities that often follow the adoption decision” (1999, 295).


조직 수준에서 '혁신을 고려'하는 단계에서 '혁신을 루틴화'하는 단계로 나가아는 것은 비선형적 과정으로 무수한 충격과 실패와 예상하지 못한 사건을 겪는 과정이다.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he move from considering an innovation to successfully routinizing it is generally a nonlinear process characterized by multiple shocks, setbacks, and unanticipated events (Van de Ven et al. 1999).


조직구조 Organizational Structure.


수용적이고 유연한 조직구조, 의사결정을 양도devolve하는 구조와 프로세스가 도입과 루틴화의 성공 및 가능성을 높여준다.

An adaptive and flexibl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structures and processes that support devolved decision making in the organization (e.g., strategic decision making devolved to departments, operational decision making devolved to teams on the ground) enhance the success of implementation and the chances of rou- tinization(for strongindirect anddirect evidence, see Meyers, Sivakumar, and Nakata 1999; and Van de Ven et al. 1999).


리더십과 관리 Leadership and Management.


최고위자의 지지와 도입절차의 지원, 지속적 헌신이 루틴화의 성공을 이룩하는데 도움을 준다. 혁신이 top과 middle manager의 목표와 일치할 때, 리더가 적극적으로 involve해서 자주 조언을 얻을 때.

Top management support, advocacy of the implementation process, and continued commitment to it enhance the success of implementation and routinization (for strong indirect and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Green1998; Gustafsonet al. 2003; Meyers, Sivakumar, and Nakata 1999). If the innovation aligns with the earlier goals of both top management and middle management and if the leaders are actively involved and frequently consulted, the innovation is more likely to be routinized (for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Gustafson et al. 2003).


인적자원 이슈 Human Resource Issues.


성공적인 루틴화는 개별 수행자practitioner의 동기부여/능력/역량에 달려있다. (공식적인 촉진 이니셔티브를 통해서) 초기부터 폭넓게 모든 레벨의 staff들이 involvement함으로써 도입과 루틴화를 성공시킬 수 있다.

Successful routinization of an innovation in an organization depends on the motivation, capacity, and competence of individual practitioners (for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Gustafson et al. 2003). The early and widespread involvement of staff at all lev- els, perhaps through formal facilitation initiatives, enhances the success of implementation and routinization (for strong indirect evidence, see Meyers, Sivakumar, and Nakata 1999; for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Kitson, Harney, and McCormack 1998).

 

직무의 변화가 적거나 명확할 때, 양질의 훈련자료가 있을 때, 적시에 OTJ 트레이닝이 있을 때. 복잡한 테크놀로지를 도입할 때는 팀 기반의 훈련이 개별 훈련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

When job changes are few and clear, high-quality training materials are available, and timely on-the- job training is provided, successful and sustained implementation is more likely (for strong indirect and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Green 1998; Gustafson et al. 2003; Meyers, Sivakumar, and Nakata 1999; and McCormick, Steckler, and Mcleroy 1995). Team-based training may be more effective than individual training when the learning involves implementing a complex technology (for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Edmondson, Bohmer, and Pisano 2001).


 

펀딩 Funding.


헌신적, 지속적 펀딩이 있을 때

If there is dedicated and ongoing funding for its implemen- tation, the innovation is more likely to be implemented and routinized (for strong direct evidence, see Elliott et al. 1998; Fitzgerald et al. 2002; Green 1998; Gustafson et al. 2003; and Hughes et al. 2002).


 

조직내 소통 Intraorganizational Communication.


조직 내에서 구조 간 경계를 넘나드는 효과적 의사소통. 네러티브 접근법(i.e., the purposeful construction of a shared and emergent organizational story of “what we are doing with this innovation”) 이 파워풀할 수 있다.

Effective communication across structural (e.g., departmental) boundaries within the organization en- hances the success of implementation and the chances of routiniza- tion (for strong indirect evidence, see Meyers, Sivakumar, and Nakata 1999). A narrative approach (i.e., the purposeful construction of a shared and emergent organizational story of “what we are doing with this innovation”) can serve as a powerful cue to action (for moderate indirect evidence, see Gabriel 2000; for limited direct evidence, see Bate 2004).


조직간 네트워크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implementation이 복잡할수록 조직간 네트워크가 중요하다.

The more complex the implementation that is needed for a particular innovation, the greater the significance of the interorganizational network will be to the implementation’s suc- cess (for moderate indirect evidence, see Meyers, Sivakumar, and Nakata 1999; and Valente 1995).


피드백 Feedback.


정확한, 적시의 정보.

Accurate and timely information about the impact of the implementation process (through efficient data collection and review systems) increases the chance of successful routinization (for strong in- direct and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Green 1998; and Grimshaw et al. 2004).


적응과 재발명 Adaptation/Reinvention.


국지적 맥락에 적용될 때

If an innovation is adapted to the local con- text, it is more likely to be successfully implemented and routinized (for strong indirect and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Gustafson et al. 2003; Øvretveit et al. 2002; and Rogers 1995).


 

모델의 요소들을 연결하기

Linkage among Components of the Model


개발 단계에서의 연결 Linkage at the Development Stage.


중앙에서 개발된(리서치 센터) 혁신이, 개발 단계에서부터 사용자의 관점을 잡아내서 반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자들에 의해서 잠재적 사용자들에게 link with 된다면 더 성공적으로 도입될 것이다.

An innovation that is centrally de- veloped (e.g., in a research center) is more likely to be widely and success- fully adopted if the developers or their agents are linked with potential users at the development stage in order to capture and incorporate the users’ perspective (for strong indirect evidence, see Rogers 1995).

 

이러한 linkage는 단순히 "스펙"을 위한 것이 아니며, 혁신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공유된, 유기적 이해를 위한 것이다.

Such linkage should aim not merely for “specification” but also for a shared and organic (developing, adaptive)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innovation in use and should also work toward a shared language for describing the innovation and its impact.


 

 

변화 관리자의 역할 Role of the Change Agency.


 

만약 변화관리자가 dissemination program의 한 부분을 맡고 있다면, 의도된 adopter organization과의 어떠한 linkage도 성공적 도입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If a change agency is part of a dissemination program, the nature and quality of any linkage with intended adopter organizations will influence the likelihood of adoption and the suc- cess of implementation (strong indirect and moderate direct evidence). In particular,

  • 인간의 관계는 긍정적이고 지지적이어야 한다.
    human relations should be positive and supportive;
  • 두 시스템이 공동의 언어와 의미와 가치관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the two systems should have a common language, meanings, and value sys- tems;
  • 자원을 공유해야 한다.
    they should share resources;
  • 변화 agency가 네트워킹과 협력을 촉진해야 한다.
    the change agency should enable and facilitate networking and collaboration among organizations; and
  • 변화의 결과가 협력적으로 펴가되어야 한다.
    the consequences of innovations should be jointly evaluated.

 

 

변화관리자는 이러한 능력이 있어야 한다.

The change agency should have the capacity, commitment, technical capability, com-munication skills, and project management skills to assist with opera-tional issues.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relation to technology-based innovations, which should be disseminated as augmented products with tools, resources, technical help, and so on (for moderate direct evi-dence, see Lomas 2000; and Rogers 1995). 


외부 변화 관리자 External Change Agents.


 

외부 변화 관리자가 더 유용한 경우는 외부변화관리자가....

Change agents employed by external agen- cies will be more effective if they are

  • (1) selected for their homophily and credibility with the potential users of the innovation;
  • (2) trained and sup- ported to develop stro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potential users and to explore and empathize with the user’s perspective;
  • (3) encouraged to communicate the users’ needs and perspective to the developers of the innovation; and
  • (4) able to empower the users to make independent evaluative decisions about the innovation (for strong indirect and limited direct evidence, see Rogers 1995).


고찰과 향후 연구 권고

Discussion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다양한 요소들을 unpack하기 위한 것.

This is, arguably, an inherent char- acteristic of any systematic review that addresses complex interventions and seeks to unpack the nuances of their implementation in different social, organizational, or environmental contexts. In this respect, a meta- narrative review can be thought of as a particular application of a realist review, in which the reviewer’s interpretive judgments are integral to the synthesis process and can never be fully rationalized or standardized (Greenhalgh et al. 2005b; Pawson et al. 2005). The findings presented here, and especially the model in Figure 3, should therefore be seen as “illuminating the problem and raising areas to consider” rather than “providing the definitive answers.”


 

문헌에서 드러난 여러 주제를 확인시켜주었다.

Our review affirmed many well-described themes in the literature,


 

또한 문헌의 '악마'를 드러내주었는데, 예를 들자면..

We also exposed some demons in this literature, such as

  • 흔히 인용되는 "adopter trait"의 불충분한 근거
    the lack of em- pirical evidence for the widely cited “adopter traits”;
  • 중앙에서 출발하여 공식적 채널로 전파되는 혁신에 초점을 두는 것
    the focus on innova- tions that arise centrally and are disseminated through official channels at the expense of those that arise peripherally and spread informally;
  • (프로세스 혁신이 아니라) 산출물-기반의 혁신의 한정된 일반화가능성
    the limited generalizability of the empirical work on product-based inno- vation in companies to process innovation in service organizations; and
  • 복잡한 서비스혁신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문헌 부족
    the near absence of studies focusing primarily on the sustainability of complex service innovations.


internal politics에 관한 이슈도 잘 다뤄지지 않음.

Conspicuously absent from most empirical work in the service sector, for example, is the important issue of internal politics (e.g., doctor-manager power balances), which was identified in a single qualitative study as one of sev- eral critical influences (Champagne et al. 1991).

 

 

운영그룹steering과 프로젝트시행자worker 사이의 power relations도 중요해 보이나 systematically explore하기 어려움

In an evaluation of five projects to implement complex service innovations in primary health care, our own team found that power relations (especially between a project steering group and the main project worker) were critical to suc- cessful implementation but that they were extremely difficult to explore systematically and raised ethical issues for the research team (Hughes et al. 2002).


 

연구들은 여러 요소들의 interaction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음

Most studies concentrated on a few of the components depicted in our model and failed to take account of their different in- teractions and contextual and contingent features.


shifting baseline과 confounding variable의 문제

The shifting baseline of context and the multiplicity of confounding variables must be stripped away (“controlled for”) to make the research objective (Pawson et al. 2005).


그러나 여기 역설이 있다. Context와 Confounder는 diffusion과 dissemination, implementation의 중심에 있다. 이것들은 연구에 있어서 extraneous한 것이 아니며, 연구의 integral part이다. 특정 맥락과 세팅에서 벌어지는 다양한(그리고 예측불가능한) 상호작용은 혁신의 성패를 결정하는 바로 그것이다.

But herein lies a paradox. Context and “confounders” lie at the very heart of the diffusion, dissemination, and implementation of complex innovations. They are not extraneous to the object of study; they are an integral part of it. The multiple (and often unpredictable) interactions that arise in particular contexts and settings are precisely what deter- mine the success or failure of a dissemination initiative.


방법론적 권고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review, on some of the methodological recommendations made by others (Green 2001; Pawson et al. 2005; Rootman et al. 2001), and on feedback from policymakers who read drafts of this review, we suggest that the next generation of research on diffusion of health service innovations should be


• 이론-기반 Theory-driven:

Empirical studies should explore an explicit hypoth- ecated link between an intervention or programand a defined out- come. Specifically, researchers should refine thei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by which the determinants produce (or fail to produce) the outcome of interest in a particular context.


• 프로세스 지향 Process rather than “package” oriented:

Researchers should avoid ques- tions framed in terms of causal inferences, such as “Does programX work?” or “Does strategy Yhave this effect?” Rather, research ques- tions should be framed so as to illuminate a process; for example, “What features account for the success of programXin this contextand the failure of a comparable programin a different context?”


• 생태학적 Ecological:

Research should recognize the reciprocal interaction be- tween the program that is the explicit focus of research and the wider setting in which it takes place. The latter provides a dynamic, shift- ing baseline against which any program-related activity will occur; each influences the other. Program-setting interactions form an important element of data and are a particularly rich source of new hypotheses about mechanisms of success or failure.


• 공통의 정의/척도/도구 Addressed using common definitions, measures, and tools:

Empirical work should adopt standardized approaches to measuring key variables and confounders (e.g., quality of life, implementation success) to enable valid comparisons across studies.


• 협력적, 조직화된 Collaborative and coordinated:

Research teams should prioritize and study research questions across multiple programs in a variety of contexts, rather than small isolated teams “doing their own thing.” In this way, the impact of place, setting, and context can be systematically studied.


• 다학제간, 다방법론적 Multidisciplinary and multimethod:

Research should recognize the in- herent limitations of experimental approaches to researching open systems and embrace a broad range of research methods emphasizing interpretive approaches.


• 세심한 디테일 Meticulously detailed:

Studies should document the unique aspects of different programs and their respective contexts and settings to allow for meaningful comparisons across programs. Such detailed descriptions, perhaps stored centrally as electronic appendices to published papers and reports, could be usedby future research teams to interpret idiosyncratic findings and test rival hypotheses about mechanisms.


• 참여적 Participatory:

Because of the reciprocal interactions between context and program success, researchers should engage “on-the-ground” service practitioners as partners in the research process. Locally owned and driven programs produce more useful research questions and data that are more valid for practitioners and policymakers.


Innovations


  • How do innovations in health service organizations arise, and in what circumstances? What mix of what factors tends to produce “adoptable” innovations (e.g., ones that have clear advantages beyond their source or- ganization and low implementation complexity and are readily adaptable to new contexts)?
  • How can innovations in health service organizations be adapted to be perceived as more advantageous, more compatible with prevailing norms and values, less complex, more trialable, with more observable results, and with greater scope for local reinvention? Is there a role for a central agency, resource center, or officially sanctioned demonstration programs in this?
  • How are innovations arising as “goodideas” inlocal healthcare systems reinvented as they are transmitted through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networks, and how can this process be supported or enhanced?
  • How can we identify “bad ideas” likely to spread so that we can intervene to prevent this?


Adopters and Adoption


  • Why and how do people (and organizations) reject an innovation after adopting it? (In the more than 200 empirical research studies covered in our review, only one explicitly and prospectively studied discontinuance; see Riemer-Reiss 1999).
  • What are the transferable lessons fromcognitive and social psychology about the ability and tendency of individuals to adopt particular innova- tions in particular circumstances? For example, what can we glean from the mainstream literature about how individuals process information, make decisions, apply heuristics, and so on? A particularly fruitful area is likely to be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on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computers as it applies to the adoption and assimil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innovations in the service sector.


Dissemination and Social Influence


  • What is the nature of interpersonal influence and opinion leadership in the range of different professional and managerial groups in the health service, especially inrelationto organizational innovations? Inparticular, how are key players identified and influenced?
  • What is the nature and extent of the social networks of different players in the health service (both clinical and nonclinical)? How do these networks serve as channels for social influence and the reinvention and embedding of complex service innovations?
  • Who are the individuals who act as champions for organizational innovations in health services? What is the nature of their role, and how might it be enabled and enhanced?
  • Who are the individuals who act as boundary spanners among health service organizations, especially in relation to complex service innova- tions? What is the nature of their role, and howmight it be enabled and enhanced?


The Organizational Context


  • To what extent do “restructuring” initiatives (popular in health ser- vice organizations) improve their ability to adopt, implement, and sus- tain innovations? In particular, will a planned move from a traditional hierarchical structure to one based on semiautonomous teams with in- dependent decision-making power improve innovativeness?
  • How can we improve the absorptive capacity of service organizations for new knowledge? In particular, what is the detailed process by which ideas are captured from outside, circulated internally, adapted, reframed, implemented, and routinized in a service organization, and how might this process be systematically enhanced?
  • How can leaders of service organizations set about achieving a recep- tive context for change; that is, the kind of culture and climate that supports and enables change in general? A systematic review centering on the mainstream change management literature (which we explicitly excluded from this review) is probably the most appropriate first step for this question.
  • What is the process leadingto long-term routinization(withappropri- ate adaptation and development) of innovations in health service delivery and organization?


System Readiness for Innovation


  • What steps must be taken by service organizations when moving toward a state of “readiness” (i.e., with all players on board and with pro- tected time and funding), and how can this overall process be supported and enhanced? In particular,
    • (1) How can tension for change be engen- dered?
    • (2) How can innovation-systemfit best be assessed?
    • (3) How can the implications of the innovation be assessed and fed into the decision- making process?
    • (4) What measures enhance the success of efforts to secure funding for the innovation in the resource allocation cycle? and
    • (5) How can the organization’s capacity to evaluate the impact of the innovation be enhanced?
  •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s that successfully avoid taking up “bad ideas”? Are they just lucky, or do they have better mech- anisms for evaluating the ideas and anticipating the subsequent effects?


The Outer Context


  • What is the nature of informal interorganizational networking in different areas of activity, and howcan this be enhanced through explicit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such as the appointment and support of knowledge workers and boundary spanners)?
  • What is (or could be) the role of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infor- mal interprofessional networks in spreading innovation among health care organizations?
  • What is the cost-effectiveness of structured health care quality collab- oratives and comparable models of quality improvement, and how can this be enhanced? To what sort of projects in what sort of contexts should resources for such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ves be allocated?
  • What are the harmful effects of an external “push” (such as a policy directive or incentive) for a particular innovation when the systemis not ready?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more successful external pushes promotingthe assimilation and implementation of innovations by health service organizations?


Implementation


  • By what processes are particular innovations in health service delivery and organization implemented and sustained (or not) in particular con- texts and settings, and can these processes be enhanced? This question, which was probably the most serious gap in the literature we uncovered for this review, would benefit fromin-depth mixed-methodology studies aimed at building up a rich picture of process and impact.
  • Are there any additional lessons from the mainstream change man- agement literature (to add to the diffusion of innovations literature re- viewed here) for implementing and sustaining innovations in health care organizations?


Greenhalgh, T., G. Robert, P. Bate, O. Kyriakidou, F. Macfarlane, and R. Peacock. 2005a (forthcoming). Diffusion of Innovations in Health Service Organisation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xford: Black- well.

 

 






 2004;82(4):581-629.

Diffusion of innovations in service organizationssystematic review and recommendations.

Author information

  • 1University College London, Room 403, Holborn Union Building, Highgate Hill, London N19 5LW, UK. p.greenhalgh@pcps.ucl.ac.uk

Abstract

This article summarizes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ddressing the question, How can we spread and sustain innovations in health service delivery and organization? It considers both content (defining and measuring the diffusion of innovation in organizations) and process (reviewing the literature in a systematic and reproducible way). This article discusses (1) a parsimonious and evidence-based model for considering the diffusion of innovations in health service organizations, (2) clear knowledge gaps where further research should be focused, and (3) a robust and transferable methodology for systematically reviewing health service policy and management. Both the model and the method should be tested more widely in a range of contexts.

PMID:
 
15595944
 
PMCID:
 
PMC2690184
 
DOI:
 
10.1111/j.0887-378X.2004.00325.x
[PubMed - indexed for MEDLINE] 
Free PMC Article


의료현장에서 교육혁신의 전파: 훈련 vs 사회적네트워크 (Soc Sci Med. 2010)

Disseminating educational innovations in health care practice: Training versus social networks

Erik Jippes a,*, Marjolein C. Achterkamp b, Paul L.P. Brand a,c, Derk Jan Kiewiet d, Jan Pols e, Jo M.L. van Engelen f


a Postgraduate School of Medicine, Wenckebach Institute, University Medical Centre Groningen, University of Groningen, the Netherlands

b Marketing, Faculty of Economics and Business, University of Groningen, the Netherlands

c Princess Amalia Children’s Clinic, Isala Klinieken Zwolle, the Netherlands

d Loyalis Business Development, the Netherlands

e Wenckebach Institute, University Medical Centre Groningen, University of Groningen, the Netherlands

f Product Development and Strategy, Faculty of Economics and Business, University of Groningen, the Netherlands





도입

Introduction


보건의료서비스 기관에서 혁신은 핵심적 이슈이다. 이것이 그렇게 된 이유는 '가능한 과학지식 활용의 실패' , '변화하인 인구집단으로 인한 비용 증가', '의료 테크놀로지', '의료 과오', '헬스케어 시스템에서 조직 그 자체' 등등 다양하다. 많은 혁신 프로젝트가 성과 달성에 실패한다. 혁신을 유도하거나 죽이는 여섯 가지 힘이 있다.

Innovation in health service delivery and organization has become a central issue. The reasons for it becoming so range from failure to use the available scientific knowledge (Richardson, 2001), to rapidly rising costs due to changing demographics and medical technology (Hartman, Martin, McDonnell, & Catlin, 2009), medical errors (Berwick, 2003), and the very organization of the health care systems themselves (Kuttner, 2008). Many innovation projects often fail to meet expectations. There are six forces which seemto drive or kill innovations:

  • players (friends and foes),

  • funding,

  • policy,

  • technology,

  • customers, and

  • accountability (Herzlinger, 2006).


헬스케어 조직에서 많은 혁신은 training course와 같은 교육을 통해서 도입된다. T&E에 들어가는 비용은 상당하다. 미국에서 평균적으로 헬스케어조직은 매년 training에 15만달러 이상을 투입한다. 헬스케어에서 annual direct training expenditure per FTE 는 $862로, 전체 profit의 12%이다

Many of the innovations in health care organizations are implemented by following a training course or other kind of education. The expenditure incurred for training and education is considerable. In the USA an average health care organization’s (500–999 FTE) annual training expenditure exceeds $150,000 (Controller’s Report, 2006). The average annual direct training expenditure per FTE in health care in the USA is $862, which constitutes on average 12% of profit (Corporate Training & Development Advisor, 2008).



이론과 가설

Theory and hypotheses development


Training and Education (T&E) : Teach-the-teacher training의 효과

Training and education: the effect of Teach-the-Teacher training


medium to large effect 가 있다고 요약된 바 있다. 또 다른 리뷰에서는 T&E가 개인/팀/조직/사회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고 나타났다.

This has been summarized in a meta-analysis showing a medium to large effect for training and education when using a composite measure of Kirkpatrick’s eval- uation criteria (i.e., reaction, learning, behavior, and results) (Arthur, Bennett, Edens, & Bell, 2003; Kirkpatrick & Kirkpatrick, 2006). Another review showed, that training and education lead to important benefits for individuals and teams, organizations and society (Aguinis & Kraiger, 2009).


Meyers and Sivakumar 는 T&E를 조직의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으로 보았다. Training은 친숙도를 높이고 기술적 능력을 향상시켜서 긍정적인 분위기와 태도를 형성한다. Training은 specialization을 가능하게 하며, 지식기반을 확대시키고, 지식의 교환을 촉진하고, 혁신을 유도한다. Training은 professionalism, boundary-spanning활동, 새로운 방식에 대한 개방성을 높여준다.

Meyers and Sivakumar (1999) identified training and education as key factors influencing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imple- mentation. Training can create a positive climate and attitude by increasing familiarity and technical competence. Training leads to more specialization which, in turn, can lead to a broader knowledge base, stimulate the exchange of ideas and foster innovation. Training can also lead to more professionalism, more boundary- spanning activities and increased openness to new methods and ways (Meyers & Sivakumar, 1999).


Steinert 등은 교수개발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보았음. 참가자들에게 가치를 인정받았지만, 학생이나 레지던트의 평가결과가 언제나 참가자의 인식과 같은 것은 아니었고, 조직의 변화나 학생의 학습 변화는 흔히 연구되는 것이 아니었다.

Steinert et al. (2006) conducted a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faculty development initiatives in medical education. Faculty development activities appeared to be highly valued by the participants, who also reported changes in learning and behavior. However, student/ resident evaluations did not always reflect the behavioral changes that the participants perceived, and changes in organizational practice and student learning have not been investigated very frequently since (Steinert et al., 2006).


최근의 장기 연구를 보면, 의사들의 didactic skill이나 teaching ability를 높이기 위한 코스들이 지식을 향상시키고 행동을 바꾸어 임상학습분위기를 향상시켰다.

Recently a long-term controlled study showed that Teach-the- Teacher courses, aimed at improving the didactic skills or teaching abilities of doctors, significantly increased doctors’ didactic knowl- edge and teaching behavior, and led to improvements in the clinical learning climate (Rubak, Mortensen, Ringsted, & Malling, 2008).



사회적 네트워크와 강한 매듭, 약한 매듭

Social networks and the effect of strong and weak ties


사회적 네트워크가 혁신의 전파에 중요하다. 다음의 방식으로 작동함

Social networks are assum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iffusion and dissemination of innovations. Social networks influence diffusion by
  • (1) 혁신에 대한 사회적 construction과 협상을 위한 의사소통의 채널 functioning as channels for communica-tion, social construction and negotiation of the innovation,
  • (2) 혁신의 관측가능성을 높임 by increasing the observability of the innovation and, therefore,
  • (3) 새로움이나 불확실성을 제거하여 위험에 대한 인식을 낮춰줌 by reducing the perceived risk by eliminating novelty or uncertainty for potential adopters of the outcome of the innovation(Greenhalgh, Robert, Macfarlane, Bate, & Kyriakidou, 2004; Larsen& Ballal, 2005; Rogers, 2003).

 

사회적 관계와 사회적 네트워크는 헥스케어 혁신의 지속가능성에 결정적이다.

Social relationships and socialnetworks are critical for the sustainability of health care innovation(Sibthorpe, Glasgow, & Wells, 2005).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한 혁신의 전파는 여러분야에서 연구됨

Diffusion of innovations through social networks has been studied from a number of perspectives in a variety of fields and disciplines (Greenhalghet al., 2004; Wejnert, 2002), for example, in the diffusion of family planning (Boulay, Storey, & Sood, 2002) and health campaigns (Valente & Fosados, 2006).


Greenhalgh 등은 사회적 네트워크의 개념적 프레임워크가 특정 health technologies에 적용되었지만, 보건의료전문직의 사회적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잘 안되었다고 함.

Greenhalgh et al. (2004) concluded that, although the conceptual framework of social networks had been extensively applied to the adoption of particular health technologies, the empirical literature on the social networks of health professionals as related to the diffusion of innovations in service delivery and organization (as opposed to health technologies) was extremely sparse.


사회적 네트워크는 다음과 같이 정의됨

A social network can be defined as a finite set of actors and the relationships defined between them(Wasserman & Faust, 1994).

 

SNA를 적용함에 있어서, actor는 개인/그룹/사업체/전체 조직/국가가 될 수 있다.

In the application of Social Network Analysis (SNA), generally speaking actors can be interpreted as discrete individuals, or groups of individuals, business units, entire organizations or even as countries.


SNA를 혁신의 전파에 사용할 때, 이 actor의 관계적 매듭은 정보의 교환, 의사소통, 친선과 신뢰를 구성한다.

In the application of SNA to the diffusion of innovation, the actors are individuals, groups and business units (intra-organizational) or organizations (inter-organizational), and the relational ties consist of the exchange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friendship or trust.

 

actor와 relational ties를 규명하는 것에 대한 두 관점: 강한 관계매듭의 강도, 약한 관계매듭의 강도

The configuration of the actors and the relational ties they have with each other – or the structure of the social network itself – can influence the diffusion of innovation in several ways. Two perspectives emerge in the literature: the ‘‘strength of strong relational ties’’ and the ‘‘strength of weak relational ties’’ (Tenkasi &Chesmore, 2003). 


첫 번째 관점은 주로 '동질성homophily'에 대한 인식에 기반한다. 다음과 같이 정의함.

The first perspective is mainly based on the notion of homo- phily. Homophily is defined by Rogers (2003) as

 

‘‘the extent to which two or more individuals

who interact are similar in certain attributes, education, social status and the like.’’

 

서로 동질성을 가지는 사람들끼리는 '감염효과contagion effects'가 발생한다. 한 개인이 다른 사람에게 행동/태도/신념을 전파시키고, 혁신의 전파가 빨라진다. 동질성과 커뮤니케이션은 서로가 서로를 강화시킨다. 커뮤니케이션이 많을수록, 또는 '강한매듭'이 강할수록 더 동질성을 가질 가능성이 높다. 강한 관계매듭은 instruction과 feedback의 기회이기도 하며, 결국 successful adoption을 가져온다. 사람 간 contact와 커뮤니케이션이 혁신의 observability를 높여주고, 결국 novelty 또는 uncertainty를 제거하여 perceived risk를 줄여준다. 커뮤니케이션이 자주 일어날수록 potential risk가 감소하고, diffusion and adoption이 늘어난다. 다수의 강력한 매듭으로 이뤄진 사회적 네트워크는 복잡한 조직 안에서 혁신에 필요한 복잡한 정보를 주고받는데 최적의 조건이고, high quality idea의 origin이다.

Between people who are more homophilous, contagion effects occur: An individual adapts his behavior, attitude and beliefs to those of others, which then enhances the diffusion of innovations. Homophily and communication reinforce each other: The more communication there is between members – or the stronger the tie between the actors – the more likely they are to become homophilous (Rogers, 2003). Strong relational ties also provide more opportunities for instruction and feedback, which can in turn enhance successful adoption (Tenkasi & Chesmore, 2003). Interpersonal contacts and communication increase the observability of the innovation and therefore reduce the perceived risk by eliminating novelty or uncertainty for the potential adopters of the outcome of the innovation (Greenhalgh et al., 2004; Rogers, 2003). More frequent communication decreases potential risk and results in higher diffusion and adoption. Social networks with a larger number of strong ties – or dense networks – create optimal conditions for the exchange of the complex information necessary for innovation in complex organizations (Hansen, 2002) and for the origin of high quality ideas (Bjo¨ rk & Magnusson, 2009).


약한 관계매듭도 장점이 있다. 외부와의 약한 매듭(또는 structural hole)은 새로운 혁신을 발견하여 네트워크의 외부로부터 그것을 capture할 수 있게 해준다. structural hole에 걸쳐있는 네트워크를 보유한 사람들은 다양한 정보에 일찍부터 접근하여, 좋은 아이디어를 발견할 경쟁상의 잇점을 획득하고, 혁신에 대해 빨리 접근할 수 있다. 정보를 퍼트리는데 약한 매듭이 종종 더 중요하곤 한데, 왜냐하면 그것이 아니었다면 서로 단절되어있어을 그룹 사이에 다리를 놓아주고, 다른 contact와 resource에 대한 access를 높여주기 때문이다.

Weak relational ties also have their advantages. External (weak) ties (or structural holes) allow new innovations to be identified and captured from outside the network. Individuals whose networks span structural holes have early access to diverse information, which provides them with a competitive advantage by seeing good ideas and having early access to innovations. Weak ties are often more important in spreading information or resources because they tend to serve as bridges between otherwise disconnected groups and to facilitate access to different contacts and resources (Burt, 2004; Granovetter, 2005).


West and Barron 는 사회적 네트워크를 비교함(의사,간호사)

West and Barron (2005) studied the social networks of clinical directors in medicine and directors in nursing. The

  • 의사가 더...former have significantly denser, more cohesive and more horizontal social networks than the latter and

  • 두 그룹 모두 중요한 문제를 논의할 때 전문성/성별/연령/Seniority가 비슷한 사람과 논의하였는데, 의사가 이런 성향이 더 강하였다.
    both groups tend to discuss important professional matters with others who are similar in terms of profession, gender, age, and seniority, with clinical directors being more extreme in this regard (West & Barron, 2005).

 

약 처방의 전파에 대해 연구함. link and contact가 많을수록 신약을 빨리 사용함.

Coleman, Katz, and Menzel (1966) studied the diffusion of a prescription drug Gammanym among 125 physicians in four American Midwestern communities. They found the more links and contacts a physician was involved in, or the stronger the ties a physician had, the more likely he or she was to be an early user of Gammanym. Physicians who were more isolated in the network adopted the drug consid- erably later.

The impact upon the integrated physicians was quick and strong, while the impact upon isolated physicians was slower and weaker, thoughnot absent (Colemanet al., 1966).

 

퍼포먼스와 매듭의 강도와는 상관 없다는 연구

A recent study onprescribing behavior of General Practitioners (GPs) in Italy foun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ngth of GPs’ ties (as measured by degree centrality) and their performance (meeting adrugexpendituretarget) (Fattore, Frosini, Salvatore, &Tozzi, 2009).


 

강한 매듭과 약한 매듭이 둘 다 중요함.

For the successful diffusion of innovations, both strong and weak relational ties seem to be necessary. Weak ties are necessary to acquire new ideas and strong ties are necessary for subsequent implementation (Burt, 2004; Reagans & McEvily, 2003).



방법

Methods


네덜란드에서 PGME의 혁신

Background: innovations in postgraduate medical training in the Netherlands


We used data from the innovations in the postgraduate medical specialist training programs in the Netherlands to test our hypotheses. The Netherlands has 33 postgraduate training programs (for example, Surgery and Pediatrics) following medical school and they take place in eight university and about 60 non- university teaching hospitals. Postgraduate training has consisted mainly of ‘‘learning on the job.’’ Residents (medical specialists intraining) work under the supervision of a team of qualified medical specialists and learn by reflection on experiences. In this program, neither the method nor the frequency of feedback is structured. Evaluation of the progress of residents is, therefore, rather informal.


In 2004, the Royal Dutch Medical Association (KNMG-CCMS) introduced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postgraduate training throughout the Netherlands (Scheele et al., 2008).

  • Traditionally resi- dents had been trained according to a pre-defined input (for example, number of operations, number of months in clinical consultation and practice). Assessment was limited to checking whether these numbers were met.

  • In competency-based education, medical specialists are now trained according to certain competencies: medical expert, collaborator, communicator, professional, health advocate, manage- ment and scholar (Frank & Danoff, 2007). The periodic assessment which takes place now focuses (using a variety of methods) on knowledge and skills possession relevant to clinical practice.



Key innovations introduced by the Royal Dutch Medical Asso- ciation were the use of the Mini Clinical Evaluation Exercise (Mini- CEX) and the use of structured competency-based feedback (Royal Dutch Medical Association (Centraal College Medisch Specialisten), 2004).

  • The Mini-CEX is a method of assessing competencies in real- life clinical practice. It consists of a short observation of a resident demonstrating clinical skills, and is carried out by a qualified medical specialist using a pre-defined scoring format, followed by a structured feedback conversation (Norcini, Blank, Duffy, & Fortna, 2003).

  • The method and frequency of the structured feedback are outlined. As a result, medical specialists are expected to adopt a novel structured feedback format.

The Mini-CEX and structured feedback were to be adopted and implemented by all teams of medical specialists that train residents. Our study focuses on the dissemination process of structured feedback within teams of medical specialists. The innovation could originate either from outside or from within the group. Ethical approval was deemed unnecessary for this study.



표본

Sample


The medical specialties of Obstetrics & Gynecology (O&G) and Pediatrics were the first in the Netherlands to implement the innovations in their curriculum(In-VIVO Project, 2006). Data were gathered in 2007 from four O&G departments and five Pediatrics departments in the Netherlands.


자료 수집

Data gathering


The medical specialists and residents received both a structured and validated questionnaire (see below).




종속변수

Dependent variable



적응적 행동: 구조화 피드백

Adoptive behavior: structured feedback


We used the ‘‘structured feedback’’ given by medical specialists to residents as the dependent variable. Structured feedback is based on ‘‘Pendleton’s rules’’ (Pendleton, Schofield, Tate, & Havelock, 2003) and consists of the following components:


  • (1) the feedback is structured 

  • (2) the medical specialist gives the resident the opportunity to give his/her opinion 

  • (3) the medical specialist provides positive points 

  • (4) the medical specialist provides specific points for improvement 

  • (5) the medical specialist provides the feedback in a ‘‘safe’’ way.


독립변수

Independent variables



교육자교육 트레이닝

Teach-the-Teacher training


Many medical specialists in our sample had followed a Teach- the-Teacher course which was aimed at improving the didactic skills or teaching abilities of the participants. The training consisted of three sequential two-day courses. Registration for the second and third courses was dependent upon successful completion of the first course.

  • The introductory course comprised training in structured feedback, training in the Mini-CEX, and the basics of adult learning.

  • The second course comprised training in daily educational practice, which includes organizing day-to-day training for residents and adapting the training to the learning styles of the residents.

  • The third course included training in peri- odic interviews for the formative and summative assessment of residents.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

Social network analysis: preparation of data for the social network independent variables


각자 자신의 과에서 의사소통 intensity를 평가함. 의사소통은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고, 평가는 다음의 척도로 함.

We used SNA techniques to measure the social network inde- pendent variables. Medical specialists rated their communication intensity with their fellow medical specialists in their own departments. The communication was specified

  • ‘‘as communica- tion in the past half year about the introduction of innovations, new methods or procedures, or new developments related to the work situation.’’

The rating was on a six-point scale, ranging from

  • ‘‘never,’’ to ‘‘less than once a month,’’ ‘‘once in three weeks,’’ ‘‘weekly,’’ ‘‘daily,’’ or ‘‘more than once daily’’ (also used by Kratzer, 2001).

 

The resulting data was analyzed using UCINET VI (Borgatti, Everett, & Freeman, 2002). The answers given by the respondents resulted in a directed valued graph and a matrix. ‘‘Directed’’ means that the relational tie (in this case, communication) of one person to another is either present or not. ‘‘Valued’’ means that the relational tie can range between ‘‘never’’ and ‘‘more than once daily.’’ Graphs and matrices are useful techniques in SNA to represent social networks.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the data needed to be transformed into an undirected dichotomous matrix (or maximum a symmetric matrix). We used the symmetrizing method to convert the directed matrix into an undirected one and to correct for missing network data. This meant that the highest rating of communication intensity between two persons was used or, in the case of missing network data, the rating from one person.

 

To dichotomize the valued matrix (ranging from1 to 6), we recoded the scores as follows. The values one and two were recoded into zero, which means there is no communication. The values three, four, five and six were recoded into one, which means there is a communication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specialists.



강한 매듭의 강도: degree centrality

Strength of strong ties: degree centrality



강력한 매듭이 있는 사람은 네트워크 상에서 더 중심에 위치한다. 세 가지 중심도centrality가 있다. (degree, betweenness and closeness.).

Persons that have stronger ties to others are more central in the social network (Wasserman & Faust, 1994). Three centrality measurements can be distinguished: degree, betweenness and closeness.

 

Degree centrality 란 네트워크상에서 가장 눈에 띄는visible 사람이다. 많은 여러 사람들과 direct contact가 많은 사람이며, 강한 매듭을 가진 사람이다.

Degree centrality refers to persons who are the most visible in the network; these are persons who have a large degree of direct contact or are adjacent to many other persons and have strong ties with other people. Since this index captures direct or strong ties, we calculated it for every medical specialist and used it to test Hypothesis 2 (see Appendix 1 for the calculation of this index).



약한 매듭의 강도: betweenness centrality

Strength of weak ties: betweenness centrality


관계중심도(Betweenness centrality)는 두 actor 사이의 communication path에 있는 사람이다. 이 사람이 중요한 이유는 서로 접촉이 없는 두 사람 사이의 정보교환을 통제하기 때문이다. 반드시 strongly tied 되어 있어야 할 필요는 없다. 대신, 다수의 사람들과 다수의 weak ties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서로 단절된 그룹 사이에서 정보전달의 bridge 역할을 해야 한다. 

Betweenness centrality refers to individuals who are literally on the communication paths between two other actors. These actors are central because they potentially control information between two non-adjacent persons (Wasserman & Faust, 1994). These persons are not necessarily strongly tied to other people. On the contrary, they have a lot of weak ties with a lot of people and serve as bridges for spreading information and resources between otherwise disconnected groups.

 

아래와 같은 정보를 말하는 것인데, 다른 말로 하면 두 사람 사이의 가장 짧은 경로에 위치하는 비율이다. 따라서 이 index는 indirect or weak ties를 대표한다.

This index represents the ratio of the number of times an actor is on the geodesics of other actors to the maximum amount possible. In other words, it represents the relative proportion that an actor is on the shortest path between two persons; therefore this index represents an actor’s indirect or weak ties. We used the standardized index to test Hypothesis 3 and calculated this centrality measurement for every medical specialist (see Appendix 1 for the calculation of this index).


 

강한 매듭과 약한 매듭: closeness centrality

Strength of strong and weak ties: closeness centrality


친밀성 중심도(Closeness centrality)는 빠르게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사람이고, 정보의 의사소통에 있어 매우 생산적이다. 이 closeness centrality 가 높은 사람은 네트워크에서 great "reach"를 가지고 있다. closeness centrality 는 strong ties와 weak ties를 모두 가진 사람이며, 이 index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distance가 감소할수록 이 centrality가 증가한다.

Closeness centrality refers to persons who can quickly interact with all others; these actors can be very productive in communi- cating information to the other persons in the network (Wasserman & Faust, 1994). Persons with high closeness centrality have a great ‘‘reach’’ across the network. Closeness centrality can be viewed as persons who have both strong ties (high direct contacts) and weak ties (a lot of indirect ties). The index is the inverse of the sum of the distances from actor i to all other actors. As distances decrease the centrality index increases. This index captures both direct or strong ties and indirect or weak ties, since distances can be short (direct or strong ties) or long (indirect or weak ties). We standardized this index and used it to test Hypothesis 4 (see Appendix 1 for the calculation of this index).



인터뷰: 사회적 네트워크 독립변수의 validation

Interviews: validation of the social network independent variables


사회적 네트워크와 개개인의 centralities를 확인하고자 인터뷰 시행.

모든 프로그렘 디렉터가 확인된 사회적 네트워크에 강력하게 동의하였다.

All program directors of the different departments inour sample were interviewed to validate the social network and the individual centralities of the medical specialists found. Overall, the program directors strongly agreed with the social networks found.


통제변인

Control variables


성별 Gender


남성과 여성의 사회적 네트워크는 여러 측면에서 다른데, 특히 life stage와의 관계에서 특히 다르다.

It has been widely recognized that social networks among men and women differ in complex ways, particularly in relation to life stage (Antonucci, 2001). Other studies have confirmed there is gender difference in social networks (Kunst & Kratzer, 2007).


연령 Age


연령은 사회적 네트워크에 영향을 준다. 더 나이가 많을수록 더 크고 오래된 네트워크를 가지며, 덜 geographically proximal하다.

Age can influence social networks. Older people tend to have larger and older networks which are less geographically proximal (Ajrouch, Blandon, & Antonucci, 2005). Age difference in network structure may reflect differing roles and possibilities according to life stage.



태도 Attitude


혁신의 도입과 전파에 태도와 동기부여가 중요하다.

Attitude and motivation seemto be just as important in innovation adoption and implementation in health care as well (Garcia-Goni, Maroto, & Rubalcaba, 2007).


근무시간(고용형태) Hours of employment (part-time versus full-time employment)


파트타임으로 고용된 보건의료전문직의 숫자가 많다. 이것의 영향은 불분명한데, inventor들 사이에서 part-time과 full-time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밝힌 것도 있다. 연령, 성별, 교육수준, 추구하는 형신의 종류도 비슷했다. flexible working 은 혁신을 drive하는 것이 아니라 혁신의 결과였다.

An increasing number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have part- time appointments. The influence of part-time employment on innovation is unclear. Weick and Martin (2006)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art-time and full-time ‘‘inventors.’’ They seemed to be similar in terms of age, gender, educational level, and the types of inventions they pursued (Weick & Martin, 2006). Storey, Quintas, Taylor, and Fowle (2002) looked into the effect of flexible employment contracts on product and process innovations. It turned out that flexible working was found to be a consequence rather than a driver of innovation (Storey et al., 2002).



근무기간 Length of employment in the organization


연구된 바는 적다. 더 오래 한 조직에서 일할수록...다음에 대한 점수가 낮다.

Relatively few studies have addressed length of employment in relation to innovation. Decker, Wheeler, Johnson, and Parsons (2001) found the longer a person worked in an organization, the more negative the scoring on

  • job satisfaction,

  • the effect of budget adjustments on individual job-related stress,

  • the quality of indi- vidual performance, and

  • department morale (Decker et al., 2001).

 

반대로, 조직은 자원과 능력을 build on and maintain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resource-based theorist would argue that organizations must build on and maintain the resources and capabilities needed to compete (Grant, 2001). Based on this it can be argued that length of employment actuall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innovation.

 

 

 



Results



Independent t-test


From the t-test results it follows that only closeness centrality causes significant differences (p <.01) in the average adoptive behavior (Table 2 and Figs. 1–5).

 

 


 

Regression analysis




 

 




Discussion


Teach-the-Teacher training course로는 영향이 없엇다. 이 전 연구결과와도 부합하는 것(학생/레지더느의 평가는 참가자(교수)가 인식하는 행동변화와 일치하지 않는다)이다. 비록 Teach-the-Teacher training course 가 지식과 스킬의 향상은 시켜줄 수 잇으나, 그 자체로 혁신을 성공적으로 도입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한 것이다. 반대로 사회적 네트워크(closeness centrality)의 강력한 영향을 확인하였다.

No effect was found from a two to six day Teach-the-Teacher training course. This is in agreement with previous findings from a systematic review that found that student/resident evaluations did not always reflected the behav- ioral changes in teaching abilities participants perceived after following a faculty development program (Steinert et al., 2006). Although Teach-the-Teacher training can improve didactic knowl- edge and skills (Rubak et al., 2008), this by itself is apparently not enough to adopt the innovation successfully. On the other hand, we found a strong effect for social networks, with a strong association of closeness centrality to adoptive behavior and a moderate effect of degree centrality for adoptive behavior


나이도 중요했다.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서 adoptive behavior가 감소하였다. 레지던트가 더 젋은 medical specialist들로부터 더 그러한 행동을 발견한 것이다. 젊은 사람이 더 structured feedback에 친숙할 수 있다.

Age was also important. With increasing age, medical specialists seem to be less likely to show adoptive behavior. It could be plausible that residents identify more with younger medical specialists. It is also possible that younger medical specialists are more familiar with structured feedback because their own medical training was already more oriented towards this innovation.



네트워크 분석

Network analysis


강한 매듭과 약한 매듭을 모두 가진 사람이 새로운 structured feedback을 더 적절히 활용하는 경향이 있었고 Burt의 연구와도 부합함.

In this study, the medical specialists with both strong and weak ties were more likely to properly use the new structured feedback technique. This is in agreement with Burt (2004) who stated that both strong and weak ties were necessary.

  • 약한 매듭은 초기에 외부에서 혁신을 발견하는데 도움
    Weak ties are necessary for capturing innovations from outside the network and providing early access to diverse knowledge and resources,

  • 강한 매듭은 혁신을 적용하는데 도움 strong ties for implementing the innovations.

 

Herzlinger 는 아군 혹은 적군이 driver or killer라고 하였는데, 아군과 적군은 혁신을 전파하는 사회적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It is also in agreement with Herzlinger (2006) who identified players (friends and foes) as a key driver or killer for innovations in health care. Friends and foes form the social networks which distribute innovations.


CC가 모델에 들어가기 전까지는 DC가 유의하게 기여함. 이는 DC가 별 영향이 없다는 Fattore의 연구와도 부합한다. 종합하면 강한 매듭이 약한 매듭보다 더 중요함.

We found a significant contribution for degree centrality (strong ties) to the regression model until closeness centrality (strong and weak ties) was added. This is in line with Fattore et al. who foun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 GPs degree centrality and performance (Fattore et al., 2009).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degree centrality and closeness centrality was not found in the bivariate t-test which legitimates the use of the more compre- hensive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as an additional test. The interaction effect makes sense, since closeness centrality captures both strong and weak ties. One might expect the same interaction effect for betweenness centrality (weak ties). However, since this effect was not found, it can be concluded that strong ties are more important here than weak ties.


첫째, 약한 매듭만 많은 경우 정보과부하에 걸릴 수도 있고, 정보를 전달하는것은 시간이 드는 일이다. 자신에게 혁신을 도입할 시간이 부족했을 수도 있다. 둘째, 의사들은 기본적으로 동질적인 집단이다. 동질성과 의사소통은 서로를 강화시킨다. 의사소통이 많을수록, 즉 강한 매듭이 많을수록 더 동질화된다. 따라서 강한 매듭이 더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이다. 셋째, 이번 연구의 대상인 구조화된 피드백 기술은 복잡한 정보를 전달해야 한다. 약한 매듭은 단순한 정보의 전달에 적절하고, 강한 매듭은 복잡한 정보의 전달에 적절하다. 넷째, 이미 T-the-T course 가 있었기 때문에 새로운 구조화된 피드백 테크닉에 대해서 들어봤을 것이고 ,이러한 경우 약한 매듭이 별로 필요하지 않았을 수 있다.

There are a couple of explanations for these findings.

  • Actors with more weak ties could experience information overload. Passing information along to others could be time-consuming. These actors are more oriented towards passing information along and have less time to adopt the innovation themselves properly (Kratzer, 2001). Since we measured proper adoption of the innovation and not first contact, this explanation could be plausible.

  • Second, medical specialists are a relatively homophilous group; they are similar in educational background, job and social status (West & Barron, 2005). Homophily and communication reinforce each other: The more communication there is between members – or the stronger the tie between actors – the more likely they are to become homophilous (Rogers, 2003). So we could expect strong ties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adoption of innovations within the social networks of medical specialists.

  • The third explanation could lie in the fact that the innovation studied – feedback technique – contains relatively complex information. Weak ties are more suitable for conducing relatively simple information and strong ties for diffusing complex information (Hansen, 2002).

  • An important final explanation could be the connection with the Teach-the-Teacher training. Since medical specialists who followed the Teach-the-Teacher training course heard, saw and learned the new structured feedback tech- nique, this innovation had already been introduced into the departments. In other words, there were no weak ties needed anymore to penetrate the departments.


사회적 네트워크에서 강한 매듭과 약한 매듭이 T&E보다 중요하다. 경영자의 관점에서 혁신을 전파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으로 사회적 네트워크에 engage시키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이미 opinion leaders, gatekeepers, and lead users의 중요성을 알고 있다. SNA를 사용하여 key individual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이 누군지 알게 되면 혁신의 전파에 활용할 수 있다.

We can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diffusion of the new structured feedback technique among medical specialists are the strong and weak ties they have within their social networks. These seem to be more important than training and education. From a managerial point of view, it could be worthwhile to actively engage and compose social networks to disseminate innovations among health care profes- sionals. We already know the importance of opinion leaders, gatekeepers, and lead users in innovation processes. In our paper we showed that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se key individual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After identification of these indi- viduals, they can be harnessed for the dissemination of innovations. They can be incorporated in change initiatives, help to overcome resistance among their colleagues, and follow training and educa- tion on new health technologies and innovations. With regard to the innovation studied in this paper, it could make sense to incor- porate medical specialists who have both strong and weak ties in Teach-the-Teacher courses. This may lead to effective and efficient dissemination to other medical specialists.



한계와 제언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This study had a number of limitations.

  • First, we focused on the dissemination of innovations within teams of medical specialists regardless of whether the innovation originated inside or outside a specific team. The dissemination process within the teams could be influenced by social networks that medical specialists might have with other individuals outside their own team. These individuals range from medical doctors, to nursing staff, manage- ment, educationalists, and management consultants, as well as other support personnel. It would be interesting to examine how these networks are composed and what the effects are on the dissemination of health care innovations.

  • Second, the study was carried out at the level of the individual, and not at the depart- mental level. For example, while we looked at individual degree centralities in departments, all individual degree centralities can also be aggregated into a group degree centralization index. This network level perspective could reveal important insights into the impact that the network structure has on effective diffusion and adoption of innovations in health care. Hospitals are characterized by high specialization, which leads to many informal social network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how these networks interact and howtheir compositioncan facilitate effective innovation.

  • Third, this study had a relatively small sample size (n ¼81) composed of two medical specialties. It would be inter- esting to examine whether the same conclusions could be drawn from a larger sample size that included more medical specialties. The inclusion of more departments would also make it possible to conduct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This might improve the model by accounting for the nested structure of the data and by adding departmental level independent variables.

  • Fourth, the negative findings for Teach-the-Teacher training need to be inter- preted with some caution. We did not work with an experimental design and we did not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the- Teacher training with multiple criteria (e.g., Kirkpatrick’s criteria of reaction, learning, behavior and results (Kirkpatrick & Kirkpatrick, 2006)). The primary endpoint here was the degree of adoptive behavior by medical specialists as assessed by their residents. Furthermore,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the-Teacher training on the teaching behavior of the study participants was not studied.

  • Fifth, we measured the social network relationships for new developments in the departments. To generate more richness in the nature of the social networks, further research might include different kinds of relationships (for example, collaboration, trust, and advice relationships) along with variables which can explain the social relationships found (for example, physical proximities and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 mixture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techniques would be preferable in order to measure these variables.

  • Finally, the study was limited to innovation in medical training. Although training and health care delivery are interwoven and the new structured feedback tech- nique can have a direct impact on health care delivery, clinical errors and patient safety, we need to be cautious in generalizing the findings fromthis study to innovation in health care as a whole.


혁신의 분류: 복잡-단순, 과정-결과, 점진적-급진적.

이번 구조화피드백은 복잡한-과정-점진적 혁신이었다.

The structured feedback technique can be defined as a complex incre- mental process innovation;

  • complex, because adopters are asked to learn new non-medical knowledge and skills and integrate these into daily practice.

  • Process innovations are new elements intro- duced into an organization’s production or service operations in order to produce a product or render a service (Baregheh, Rowley, & Sambrook, 2009). The structured feedback technique improves the learning process of the resident and, therefore, improves the process of health care delivery.

  • The focus of incremental innova- tions is on the renewal and improvement of existing products or services and technologies (Baregheh et al., 2009). The new struc- tured feedback technique is a renewal of and an improvement on the existing medical specialty training programs.

 

혁신의 유형에 따라 다른 영향을 보는 것도 흥미로울수도 있음.

It would be interesting to examine the effects that network tie strength and social network structures have on different types of innovations (simple vs. complex, product vs. process, and imitative vs. radical) in medical education and primary health care processes.

 

 


 

Greenhalgh, T., Robert, G., Macfarlane, F., Bate, P., & Kyriakidou, O. (2004). Diffusion of innovations in service organizations: systematic review and recommenda- tions. The Milbank Quarterly, 82(4), 581–629.


Herzlinger, R. (2006). Why innovation in health care is so hard. Harvard Business Review, 84(5), 58–66.


Aguinis, H., & Kraiger, K. (2009). Benefits of training and development for indi- viduals and teams, organizations, and society. Annual Review of Psychology, 60(1), 451–474.


Rubak, S., Mortensen, L., Ringsted, C., & Malling, B. (2008). A controlled study of the short- and long-term effects of a Train the Trainers course. Medical Education, 42(7), 693–702.


Sibthorpe, B., Glasgow, N., & Wells, R. (2005). Emergent themes in the sustainability of primary health care innovation. The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183(10 Suppl.), S77–S80.


Wejnert, B. (2002). Integrating models of diffusion of innovations: a conceptual framework. Annual Review of Sociology, 28(1), 297–326.

 



 2010 May;70(10):1509-17. doi: 10.1016/j.socscimed.2009.12.035. Epub 2010 Feb 12.

Disseminating educational innovations in health care practicetraining versus social networks.

Author information

  • 1Postgraduate School of Medicine, Wenckebach Institute, University Medical Centre Groningen, University of Groningen, the Netherlands. e.jippes@wenckebach.umcg.nl

Abstract

Improvements and innovation in health service organization and delivery have become more and more important due to the gap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rising costs, medical errors, and the organization of health care systems. Since training and education is widely used to convey and distribute innovative initiatives, we examined the effect that following an intensive Teach-the-Teacher training had on the dissemination of a new structured competency-based feedback technique of assessing clinical competencies among medical specialists in the Netherlands. We compared this with the effect of the structure of the social network of medical specialists, specifically the network tie strength (strong ties versus weak ties). We measured dissemination of the feedback technique by using a questionnaire filled in by Obstetrics & Gynecology and Pediatrics residents (n=63). Data on network tie strength was gathered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given to medical specialists (n=81). Social network analysis was used to compose the required network coefficients. We found a strong effect for network tie strength and no effect for the Teach-the-Teacher trainingcourse on the dissemination of the new structured feedback technique. This paper shows the potential that social networks have for disseminating innovations in health service delivery and organizat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into the role and structure of socialnetworks on the diffusion of innovations between departments and the various types of innovations involved.

PMID:
 
20199840
 
DOI:
 
10.1016/j.socscimed.2009.12.035
[PubMed - indexed for MEDLINE]


과거를 되돌아보고 미래로: 새로운 세대의 의학교육자에게 보내는 메시지(Med Educ, 2011)

Looking back to the future: a message for a new generation of medical educators

Ronald M Harden






INTRODUCTION


내 삶을 세 가지 시기로 나눠서 볼 것이다.

I will look at my journey in three phases.

  • The first 12 years, from 1960 to 1972, I spent in Glasgow, where I developed an interest in medical education that evolved alongside my training as an endocrinologist and my work in research in iodine metabolism and thyroid disease.

  • The second phase represents the 30 years from 1972 to 2002, spent in Dundee, where, while continuing to practise as a clinician and a clinical teacher, my interest and commitment increasingly turned to medical educa- tion.

  • The final phase of the journey covers the period from 2002 to the present, following my retirement from my post at the University of Dundee, when new opportunities arose.


This was a point made by Christopher Lawrence,2 medical historian to the Wellcome Museum, in a review of the book Retro- spectroscope: Insights into Medical Discovery by Julius H Comroe. Lawrence wrote: ‘His retrospectroscope (a barbarous neologism history) is not the finely honed tool he thinks, but a blunt instrument for bludgeoning the doubtful.’2


제1기: 글래스고에서 의학교육에 대한 관심을 품다

PHASE 1: 1960–1972. DEVELOPING AN INTEREST IN MEDICAL EDUCATION IN GLASGOW



제2기: 던디에서 의학교육을 전공으로 삼다

PHASE 2: 1972–2002. MEDICAL EDUCATION AS A SPECIALTY IN DUNDEE


효과적 학습을 위한 CRISIS 준거(Convenience, Relevance, Individualisation, Self-assessment, Independent learning, Systematic approach) 는 CME분야의 대규모 연구의 결과로부터 유도되었다. 비록 CME영역에서는 편의성, 관련성, 개별성, 자기평가, 관심과 동기, 시스템적 접근(convenience, relevance, individualisation, self-assessment, interest and motiva- tion and a systematic approach)이 확립되어 있었지만, 이러한 아이디어가 학부교육에도 동등하게 적용가능하다.

The CRISIS (Convenience, Relevance, Individualisation, Self-assessment, Independent learning, Systematic approach) criteria for effective learning were derived fromthe findings of large-scale implementation stud- ies inthe fieldof continuing medical education(CME) involving in excess of 50 000 general practitioners.20 Although the concepts of convenience, relevance, individualisation, self-assessment, interest and motiva- tion and a systematic approach were established in the context of CME, these ideas were found to be equally applicableinundergraduate education.


 

제3기: 지평을 넓히다.

PHASE 3: 2002 TO THE PRESENT. EXPANDING HORIZONS



 

교훈

LESSONS LEARNED




Ian Stronach는 "승리의 서사"라고 부르는 것에서 성공의 중요성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그럼으로써 불가능한 선례만을 남겨놓고 후계자들에게 잘못된 선로를 놓는 것을 지적했다. 찬양성 글은 교육학적으로 막다른 길이다.

Ian Stronach23 attacked what he called ‘victory narratives’ for their over- emphasis of the importance of success, their laying of false trails and for the impossible exemplars they leave to those who follow. Departure eulogies, he argued, offer a pedagogic dead end for those who remain. I hope this account is not read as such a narrative of victory and I would be dismayed if it was.



교훈1: 사람이 중요하다

Lesson 1: people are important



놀라운 결론은 아니지만 언급할 가치는 있다. 모든 사람이 당신이 하려는 것에 공감하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한다. 

This is not a surprising conclusion, but it merits stating. Much of what I have been able to achieve I attribute to the many powerful role models and outstanding colleagues with whom I have had the good fortune to work. I wonder how many professors of medicine today are similar role models, emphas- ising clinical practice at its best, and how many of them are enthusiastic teachers familiar with the names of all their students and personally committed to going out of their way to support their junior staff. Continuous exposure to working with individuals who encourage curiosity, new ways of thinking and, collectively, the sharing of knowledge is of the greatest importance. One has to accept that not everyone will be sympathetic to what one is trying to do, as is highlighted in the following extract from a personal letter I received from a professor in Dundee following the curriculum revision: ‘One wonders whether this will be the fate of medical education. Certainly I believe that Dundee’s current strategy will lead to disaster.’

 

만약 당신이 아무도 화나게 하지 않는다면, 아마도 당신은 어떤 중요한 것도 하고 있지 않은 것일지도 모른다.  사람들, 그리고 그들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가 중요하다.

If you upset nobody, however, perhaps you’re not doing anything of significance. People, and what they think, are important.


교훈2: 의학교육의 혁신은 복잡하다.

Lesson 2: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is complex


좋은 학문-중심 교육과정이 제대로 통합되지 못한 교육과정보다  나으며, 잘 통합된 교육과정은 poor 한 학문-중심 교육과정보다 낫다.

At a conference organised by the Graves Audio- visual Library (an initiative well ahead of its time), I listened to the presentations of two papers onwhat, at the time, was a topical subject. The results, how- ever, simply reflected the expertise of the producer rather than the choice of media. More important than the educational or assessment technique adopted is the expertise with which it is employed. A good discipline-based curriculum is better than a poor integrated one, and a good integrated curriculum is better than a poor discipline-based one.




교훈3: 넛지가 중요하다.

Lesson 3: nudges are important


넛지란 특정 행동을 강요하기보다는 장려하는 방식의 정책 개입을 말한다. 비근한 예로 남자 소변기에 파리를 그려놓은 것과 같은 것이다. 의학교육은 본질적으로 과학적 토대를 둔 social discipline이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된다.

Nudges are defined as policy interventions that encourage rather than mandate certain types of behaviour. The authors cite, as a classic example, the painting of a fly on urinals at Amsterdam airport.24 The use of the pilot OSCE in Dundee to gain its acceptance for use as a formal part of the Dundee final examination is another example of a nudge. Medical education is essentially a social discipline with scientific underpinnings and we should not forget this. Nudges can be important.


교훈4: 학생도 중요한 플레이어이다.

Lesson 4: students are important players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의 잠대력을 과소평가해서는 안된다. 이들은 중요한 이해관계자이며 교육과정을 계획하는데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고, 변화의 동력이 될 수 있다.

It is important not to underestimate students’ poten- tial input to the curriculum. They are important stakeholders; they can make important contributions to curriculum planning and they can be drivers for change.



학생-중심 학습, 독립적 학습에 대해서 논할 때, self-directed learning보다는 directed self-learning을 목적으로 삼는 것이 중요하다. Jon Dron은 교사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는 학생의 발달 단계에 맞춰 학생에게 스스로의 학습에 대해 얼마나 많은 통제권을 부여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일이라고 하였다.

When thinking about student-centred and indepen- dent learning, it is important to have as the aim directed self-learning rather than self-directed learning. In his book Control and Constraint in E-Learning, Jon Dron25 made the important point that one of the main challenges for the teacher is to decide at the different stages in students’ development how much control students should be given over their own learning.


학생에 대해 논할 때, 오늘날의 학생은 과거의 학생과 매우 다르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우리가 digital immigrants라면 지금의 학생은 digital native이다. 또 다른 점은 학생은 균일한 집단이 아니며 각자가 다른 니즈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미래의 핵심 트렌드는 개별 학생의 니즈에 맞는 adaptive learning을 개발하는 것이 될 것이다. 학교의 수월성의 척도 중 하나는 극단에 있는 학생을 어떻게 다루느냐가 될 것이며, 여기에는 고성취 학생과 struggler를 모두 포함한다.

When thinking of students, we need to recognise that students today are very different from the students with whom we studied medicine. We may be ‘digital immigrants’, but contemporary students, as described by Prensky,26 are ‘digital natives’. Another point worth remembering is that students are not homogeneous, They each have different needs. A key trend in the future will be the development of more adaptive learning that is customised to meet the needs of individual students. One measure of excellence of a school should reflect how well it deals with the extremes among its students, including both the high achievers and those who are struggling or in difficulty.


교훈5: 현실적인 해결책을 제공하라.

Lesson 5: offer practical solutions to problems


의과대학의 학장, 교사, 행정가들은 현실적 문제에 대한 답을 원한다.

The dean, teachers and administrators in the medical school expect answers to practical problems.



교훈6: 자기가 하고 있는 것 바깥에서 배울 점이 늘 있다.

Lesson 6: there is always something to learn outside one’s practice


교육자로서 우리는 같은 분야의 저널을 읽고, 학회에 참석하고, 사람들을 만난다. 미국의 교육학자 Royal van Horn은 일 년에 한 번은 관심 분야 외의 교육 컨퍼런스에 참여할 것을 권했다.

As educators, we have a tendency to read journals, attend conferences and communicate with people working in our own area. Royal van Horn, an eminent American educationalist, argued that, once per year, teachers should attend an education conference out- side their own immediate area of interest. I have tried to do just that.



만약 우리가 의학교육에서 진정한 진보를 이루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내용전문가, 교육과정 개발자, 교육학자, 교육공학자, 교육설계가, 심리학자 등의 더 많은 협력이 필요하다. '메디치 이펙트'에서 강조한 것처럼 여러 학문의 교차점에서 진보가 이뤄질 것이다.

I argued that if we are to make real progress in medical education and develop new paradigms, we need to ensure greater collaboration between content experts, curriculum planners, educationists, learning technol- ogists, instructional designers and psychologists. As Frans Johansson27 highlighted in his book The Medici Effect, it is at the intersections between different disciplines that progress will be made.


 

교훈7: 출판하라.

Lesson 7: publish


내가 다시 산다 해도 내가 한 일을 기록하고 출판하는데 더 큰 우선순위를 둘 것이다. 오늘날에는 더욱 중ㅇ해졌다.

Although I have published well in excess of 400 papers in-peer reviewed journals, if I had to live my life again I would place greater priority on documenting what I did and publishing it. Publishing is even more important today, when professionalismand scholarship in medical education are crucial. As editor of Medical Teacher, however, I see how badly many authors approach the publishing challenge.


교훈8: 역사에서 배우라

Lesson 8: learn from history


Paul Saffo는 '우리의 역사적 거울을 미래를 예측하는 강력한 도구로 사용할 것이며, 과거 사건의 결texture이 현재의 지표가, 그리고 미래의 궤적의 신뢰성 있는 지도가 될 것이다. 다만, 충분이 과거를 돌아봤을 때 말이다'라고 했다.

Paul Saffo, writing in the Harvard Business Review, suggested that, when making a decision, we should look back twice as far as we look forward.28 He argued: ‘…used properly, our historical review mirror is an extraordinary powerful forecasting tool and the texture of past events can be used to connect the dots of present indicators and thus reliably map the future’s trajectory – providing one looks back far enough.’28


교훈9: 독립적인 펀딩을 확보하라

Lesson 9: obtain independent funding



Convincing commercial organisations, professional bodies, philanthropists, patient organisations and governmental funding agencies that they should fund research and development work in medical education was and remains challenging. Arguing the case for funding to the respective body was itself a challenge, but proved to be a useful exercise as it helped to ensure clarity of thinking. It should be recognised, however, that, at a time of financial constraint, the funding of work in medical education is not easy.




교훈10: 즐겨라!

Lesson 10: have fun!




결론

CONCLUSIONS


비록 나에게 훌륭한 동료들이 있지만, 의학교육 혁신에 대한 나의 접근이 언제나 인정받았던 것은 아니며, 모든 사람이 편안해하는 것도 아니라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했다. 내 철학은 Ian Stronach의 스펙트럼과 정반대에 있었던 듯 하다. 그는 "이끌지 않음으로써 이끌고, 통제하기보다는 동기를 부여하고, 주도권을 쥐기보다는 주도권을 만들어내고, 공간을 채우기보다는 공간을 만들고, 지시하기보다는 멘토링을 하고, 협력적이고 상대적으로 민주적인 기풍을 만든다'고 했다. 나는 사실 동제하려는 성향이 강하고 진행과정을 막는 사람에 대해서는 참아내지 않았다. 그러나 나를 이끌어준 것은 의학교육의 역할을 통해서 세계world를 도우려는 것이었다. 만약 내가 epitaph를 고른다면, 다음이 딱 적당할 것 같다.

Although I have had many wonderful colleagues, my hands-on approach to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has not always been appreciated and I have had to accept that not everyone is comfortable with it. I suppose that my own philosophy could be defined as locat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spectrum to that of Ian Stronach, who describes his view as one of ‘leading by not-leading, motivating rather than controlling, making rather than taking initiatives, creating spaces rather than filling them, mentoring rather than directing and developing a collaborative and relatively democratic ethos’.23 I have to confess to a more controlling tendency and an impatience with anyone who seems to obstruct progress. What has driven me, however, is more a desire to help to shape the world in so far as this is possible through a role in medical education, rather than to document what has been done in the field. If I had to choose an epitaph, I could think of nothing better than the following West Point Military Academy cadet maxim:


안전보다는 위험을 감수하라. 현명함보다 케어care에 신경쓰라. 현실적인 것을 넘어서 꿈을 꾸라. 가능한 것 이상을 상상하라

‘Risk more than others think is safe. Care more than others think is wise. Dream more than others think is practical. Expect more than others think is possible.’


Appendix S1 Looking Back to the Future: A message for a new generation of medial educators.




 2011 Aug;45(8):777-84. doi: 10.1111/j.1365-2923.2011.03934.x.

Looking back to the future: a message for a new generation of medical educators.

Author information

  • 1Association for Medical Education in Europe (AMEE), 484 Perth Road, Dundee, UK. r.m.harden@dundee.ac.uk

Abstract

OBJECTIVE:

Many changes in medical education have occurred during the author's 50-year career in the field.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10 lessons worth recording for others engaged in the training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THREE CAREER PHASES:

The first phase in the author's career occurred during 1960-1972 in Glasgow, where an interest in medical education developed alongside an engagement in clinical medicine and research into iodine metabolism. The second phase took place during 1972-2002 in Dundee, where, after working for a period as a clinician, the author made a full-time commitment to medical education. The third phase, from 2002 to the present, has provided the opportunity to explore new horizons in medical education.

CONCLUSIONS:

The following lessons have been learned. (i) People are important as role models and collaborators. (ii) Innovation in medicaleducation is a complex process and research findings can easily be misinterpreted. (iii) Nudges, interventions that encourage rather than mandate change, are valuable. (iv) Students are important players in planning, delivering and evaluating a curriculum. Each student has different needs and aspirations. They are the 'digital natives'. (v) Offer stakeholders practical solutions to problems that can be implemented. (vi) There is always something to learn outside one's own practice. Go to a conference or read a journal in a related field. (vii) Time spent recording one's work and publishing reports based on it is rewarding. (viii) Learn from history. We don't need to keep reinventing the wheel. (ix) Obtain independent funding. (x) Finally, and most importantly, have fun. Working in medical education can be exciting, fulfilling and hugely enjoyable.

© Blackwell Publishing Ltd 2011.

PMID:
 
21752074
 
[PubMed - indexed for MEDLINE]


보건의료 "제3의 커브"에 있어서 대학의학의 중요한 역할 (Acad Med, 2016)

Academic Medicine’s Critical Role in the “Third Curve” of Health Care

Harold L. Paz, MD, MS




 

 

With more than two decades of experience leading academic health systems and practices, I have watched the world of academic medicine steadily evolve against the backdrop of an enormous and unprecedented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U.S. health care.



From the public health movement in the early part of the 19th century,

  • to the definition of health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2

  • the rise of community-based medical schools,

  •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biopsychosocial model of health, and

  • measurement of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ll in the latter part of the 20th century,

the core elements of this transformation in our health system have been in place for years. The convergence of this work with new payment models distinct from fee-for- service medicine has brought us to a post-Flexner era of population health.



Plotting the Curve of the U.S. Health System


보건의료전달체계 모델은 하나의 모델이 널리 받아들여지면서 성장했다가, 다른 모델이 그 자리를 대체하면서 감소taper하는 양상을 띈다. 커브I (fee-for-service)로부터 커브II (population health)로 옮겨왔으며, 우리는 이제 커브III (소비자-주도 보건의료consumer-directed health care)에 이르렀다. 첫 두 개의 커브가 건강을 제공자와 사업의 관점에서 보는 것이라면, 세 번째 커브는 개개인을 curated health ecosystem의 중심으로 본다.

Health care delivery models can be seen as graphed curves that rise as they are widely adopted and then taper off as another model begins to take their place.3 As quickly as we have moved from Curve I (fee-for-service) to Curve II (population health), we are now crossing over to a new form of consumer-directed health care, or what I call the third curve of health care (Curve III). While the first two curves look at health from a provider and business perspective, the third curve places the individual in the center of a curated health ecosystem.

 

의사가 아니라 환자가 그들 스스로의 건강을 소유own하고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새로운 자원과 도구가 각 개개인의 소유권을 더 강화시키게끔 해 주었고, care plan에 더욱 adhere하게, 그리고 자신의 웰-빙에 더 책임을 갖는다고 느끼게끔 해주었다. 우리는 이 새로운 도구와 자원을 포용해야 한다(모바일 어플, 원격의료, 가정의료, urgicare 센터, 기타 등등) 의사와 보건의료시스템은 양보다는 질에 더 관심을 두어야 하며reward, 신체의 건강이 행동적 건강과 사회적 건강과 상호의존적임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Recognizing that patients, not physicians, own their health, new resources and tools will enable each individual to take more ownership, become more likely to adhere to care plans, and feel more empowered to take charge of his or her well-being. We must embrace these new tools and resources, such as mobile apps, telemedicine, home health, “urgicare” centers, and other technologies to improve the health of our patients. Physicians and health systems must be rewarded for quality over volume and must be able to address the interdependencies of behavioral and social health on physical well- being.


 

커브III는 인터넷이나 소셜미디어 등을 통한 경험에 의해서 형성되는 소비자의 기대의 모든 변화에 면역immune이 될 수 없다는 인식으로부터 만들어졌다. 의심할 여지 없이 모든 세 개의 커브가 한동안은 공존할 것이지만, 대규모 데이터와 유전체 분석과 건강정보 분석이 환자-중심의 의료로 갈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우리는 이제 고작 막 상상을 할 뿐이다.

Curve III is shaped by the recognition that health care is not immune to overall changes in consumer expectations driven by experiences with the Internet, social media, and information transparency in other sectors of the economy. Undoubtedly, all three curves will, for a time, coexist, but the convergence of large data sets and analytics with genomics and health information will certainly make good on the promise of patient- centered care in ways we can only begin to imagine.


적응하여 살아남을 수 있는 의사 기르기

Training Physicians Who Can Adapt and Thrive



미래의 의사는?

What will the physicians of the future look like, and how will they operate?


컴퓨터는 공감능력이 없고, 이는 academic medical institutions들이 기술에 의해 남겨진 영역인 인성과 스킬 세트를 개발시키는 것에 중점look for을 둬야 한다는 압박을 주고 있다.

Computers do not offer compassion, and this will increase the pressure on academic medical institutions to look for and develop the personality and skill sets necessary to fill the void left by technology.



의사를 양성함에 있어서 이들이 전문직으로 이뤄진 팀의 리더 역할을 할 수 있게 준비되어야 하며, 보건의료 데이터 분석과 기술을 접목하여 개개인의 건강과 웰니스 경험을 만들어줄 수 있어야 한다. 리더십의 특성(공감, 신뢰, 의사소통, 의지determination, 용기, 진실성, 비전)은 다른 분야와 다르지 않다.

there must be an emphasis on preparing physicians to serve as leaders of teams of professionals that create a health and wellness experience for individuals that combines health care with data analytics and technology. The attributes of leadership, including empathy, trust,  communication, determination, courage, integrity, and vision, are no different in medicine than in any other field.


협력은 우리를 미래로 이끄는 핵심이다. 환자-의사 관계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의사는 반드시 가능한 최대한 리더로서 역할을 할 수 있게 훈련되어야 한다.

Collaboration will be the key to leading us into the future. If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is to be preserved, physicians must be trained to serve as leaders to the greatest extent possible.






 2016 May;91(5):613-4. doi: 10.1097/ACM.0000000000001165.

Academic Medicine's Critical Role in the "Third Curve" of Health Care.

Author information

  • 1H.L. Paz is executive vice president and chief medical officer, Aetna, Hartford, Connecticut, and professor adjunct of internal medicine, Yal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New Haven, Connecticut.

Abstract

Over the last several years, the health care landscape has changed at an unprecedented rate due to new economic and regulatory forces ushered in by the Affordable Care Act and the introduction of innovative technologies, such as personalized medicine, that are poised to open the door to consumer-driven health care. Tremendous pressure exists on academic health centers to rapidly evolve clinically while not abandoning their uniqueacademic mission. The convergence of personalized medicine, new digital technologies, and changes in health professionals' scope of practice alongside new payment structures will accelerate the move to a patient-centered health system. In this Commentary, the author argues that these new tools and resources must be embraced to improve the health of patients. With the traditional, fee-for-service model of care as "Curve I" and the post-Flexner era of population-based medicine as "Curve II," the author identifies the emergence of "Curve III," which is characterized by patient-centered, consumer-directed models of care. As the old models of health care undergo transition and the impact of technology and analytics grow, future practitioners must be trained to embrace this change and function effectively in the "third curve" of consumer-driven health care.

PMID:
 
27008361
 
[PubMed - in process]


The Education Review Board: 의학교육에서의 COI를 방지하는 메커니즘(Acad Med, 2015)

The Education Review Board: A Mechanism for Managing Potential Conflicts of Interest in Medical Education


Jonathan F. Borus, MD, Erik K. Alexander, MD, Barbara E. Bierer, MD, F. Richard Bringhurst, MD, Christopher Clark, JD, Kaley E. Klanica, JD, MPH, Erin C. Stewart, and Lawrence S. Friedman, MD




NIH와 CMMS에서 의학 연구와 교육 지원이 줄어들면서 일부 AMC는 산업/기업으로 하여금 academic mission을 위한 지원을 찾고 있다. 산업/기업에서의 지원은 전문직 단체와 입법 기관으로부터 면밀한 감사를 받고 있으며, Macy Foundation, Institute of Medicine, and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등이 이러한 관계에 대해서 비판하는 보고서를 발간한 바 있다.

This heightened concern developed during a period of shrinking federal support for medical research and education from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and from the Centers for Medicare and Medicaid Services, which prompted some academic medical centers (AMCs) to look to industry to help fund their academic missions. Industry support has been closely scrutinized by professional organizations as well as by legislative bodies, and the Macy Foundation, Institute of Medicine, and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ll have issued reports criticizing some of these relationships.4–6


2007년 Partners HealthCare System (이하 Partners)는 기업체와 Partners 제공자와 피훈련자의 잠재적 conflict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한 '산업/기업과의 관계에 대한 위원회'를 설립하였다. 2009년 보고서에서 위원회는 산업체와의 관계가 Partners가 academic mission을 수행하는데 중요하긴 하나, 반드시 투명해야 하고 산업체가 환자 진료, 연구, 교육프로그램에 부적절한 영향을 주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기업체와의 잠재적 conflict에 대한 reporting, reviewing, and managing 을 위한 구체적 권고를 만들었으며, 이 권고를 도입할 세 개의 새로운 기구를 설립하였다.

In 2007, Partners HealthCare System (Partners), the Boston-based health care system that includes two major AMCs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and Brigham and Women’s Hospital); several rehabilitation, psychiatric, and community hospitals; and a large number of affiliated primary care and subspecialty practitioners, established a Commission on Interactions with Industry to explore solutions to potential conflict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industry and Partners providers and trainees. In its 2009 report, the commission concluded that interactions with industry were important to Partners’ ability to carry out its charitable academic mission but must be transparent and managed to ensure that industry does not inappropriately influence patient care, research, or educational programs.9 It made specific recommendations for reporting, reviewing, and managing potential conflicts with industry, and established three new bodies to implement its recommendations: 

  • (1) an Office for Interactions with Industry (OII) that reports to the Partners general counsel and provides leg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relating to Partners interactions with industry; and two peer professional committees: 
  • (2) an Education Review Board (ERB) to oversee industry support of all Partners-sponsored educational activities and 
  • (3) a Committee on Conflicts of Interest to oversee research and other interactions between industry and Partners-affiliated individuals or groups, including those Partners faculty who speak at non-Partners educational activities.9


ERB의 책임과 개발

Charge and Development of the ERB


ERB의 미션과 목표

Mission and goals of the ERB


연구의 integrity를 위한 IRB와 유사하게, ERB는 Partners의 기업체-지원 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integrity를 확실히 하기 위하여 만들어졌다.

Analogous to an institutional review board whose mission is to ensure research integrity, the ERB was created to ensure the educational integrity of Partners industry-supported educational programs.


ERB는 다음의 의무가 있다.

The ERB was charged with 

    • 모든 기업체-지원 교육 프로그램의 검토/승인/감독 
      reviewing, approving, and monitoring all industry-supported educational programs; 
    • 교수의 기업체 스폰서 관련성에 의해서 특수한 관심의 대상이 되는 발표나 프로그램에 대한 추가 검토 
      conducting an additional review of presentations or programs deemed to be of particular concern because of faculty members’ connections to the program’s industry sponsors; 
    • 교육 관련 프리젠테이션과 프로그램에 대한 기업체 자금지원의 양과 출처 검토
      reviewing the amount and source of industry funding for educational presentations and programs; and 
    • 인증기구 기준에 대한 적합성 확인 
      ensuring the adherence of such programs to accrediting body standards. 


또한 다음의 의무가 있다.

The ERB also was charged with 

    • 위원회의 구체적 교욱 권고안을 도입하는 것
      implementing the commission’s specific educational recommendations, foremost among which were that all industry-supported educational activities (presentations, conferences, training programs, etc.) have multiple funders and that all conferences, lectures, or other presentations meet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ACCME) Standards for Commercial Support,10 whether or not the program is offered for CME credit.


ERB의 구조

Structure of the ERB


2009년 설립. 공동위원장

The ERB was established in September 2009; its co-chairs (JFB and LSF) were chosen for their seniority and professorial status, expertise in and commitment to education, and ability to withstand pressure if the ERB made unpopular decisions that required changes in relationships with, and potential support of, industry.


월간 정기 미팅

The ERB has met monthly since January 2010 

    • to develop guidelines for system-wide implementation of the commission’s recommendations, 
    • to review and monitor individual educational programs seeking support from industry, and 
    • to use its experience with such “cases” to improve ways of avoiding both actual and perceived conflicts of interest.


기업체 지원에 대한 ERB 가이드라인 개발

Development of the ERB Guidelines for Industry Support





첫 4년간, multi-funder framework에 따라서 여러 영역에 대한 가이드라인 개발

During the first four years, within this multifunder framework, the ERB developed guidelines in a number of areas, including 

  • 컨퍼런스/펠로우십/외부 교육 컨퍼런스/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기업체 지원 
    industry support 
    of educational conferences, clinical fellowships, and trainees’ expenses for attending external educational conferences and training programs; 
  • 교재 및 다른 교육 자료 선물
    gifts of textbooks and other educational 
    materials; 
  • Partners 교육 활동과 관련된 홍보 기회
    promotional opportunities 
    associated with Partners educational activities;
  • 기업체와 계약에 따른 Partners 교육활동 
    Partners educational activities 
    under contract with an industry entity; and 
  • Partners 자원을 활용하는 기업체-운영 교육 프로그램
    industry-run educational programs 
    using Partners resources. 


위의 각 영역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Appendix 1에 있음

The ERB deliberated on the details of each of these guidelines to find the right balance between receptivity to funding from industry and the actuality, or appearance, of inappropriate industry influence on educational programs. The ERB was especially sensitive to the vulnerability of trainees to such influence. See Appendix 1 for a summary of these guidelines.



ERB 가이드라인에 대한 반응

Responses to the ERB Guidelines


일반적으로 내부적으로 잘 받아들여지고 있다. HMS 등에서 비슷한 가이드라인을 적용함.

The ERB guidelines generally have been well received internally and independently; Harvard Medical School (HMS), the academic affiliate of most Partners practitioners, as well as several non-Partners HMS-affiliated hospitals not subject to the ERB’s jurisdiction, adopted similar guidelines for educational programs in 2011.


그러나 기업체 지원에 익술해진 채로 성장해온 일부 Partners 커뮤니티는 발발하고 있다. "늘 이렇게 해왔다"라고 말하며, "우리 교육 프로그램에 필수적이다", "피훈련자 지원이 불가능하다" 등의 불만을 말한다.

However, some in the Partners community who had grown accustomed to receiving ready support from industry for their educational programs have “pushed back” against the ERB policies. They have argued that “we’ve always done it this way”; “industry support is essential for our educational programs, which are among the best in the country, and the ERB guidelines make it more difficult to obtain that funding”; and “without such support we would not be able to fund trainees, which would decrease unique learning opportunities for young physicians (particularly subspecialty fellows) to receive cutting-edge training.”


또한 일부는 ERB의 정책이 지나치게 행정중심적이며 기업체 스폰서를 discourage할 것을 우려한다.

In addition, some have complained that the ERB’s policies are overly bureaucratic and likely to discourage industry sponsors from funding Partners educational programs when other AMCs have more permissive policies.


ERB는 가이드라인을 더 refine할 수 있다.

The ERB has been open both to refining its guidelines based on case experience or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o making exceptions to guidelines based on extenuating circumstances.


기업체에서도 일반적으로 ERB 가이드라인을 받아들이고 있다.

Industry funders of Partners educational activities generally seem to have accepted the ERB guidelines.


ERB 이전에는 자료 수집이 없었으나, ERB와 OII는 그러한 자료를 최초로 수집하고자 한다. Partners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기업체-Grants의 숫자는 거의 일정한 반면, 총 기업체 자금 지원은 22% 감소.

Before the inception of the ERB, comprehensive system-wide data on Partners educational activities, including the annual number of industry gifts and total amount of industry funding, were not collected, so the ERB and OII were tasked with systematically collecting such data for the first time. Many changes in industry funding at the national level occurred around the same time as the creation of the ERB. Reviewing the data for the first three full calendar years (2011–2013) of ERB activity, we were surprised to find—despite our increased oversight, declining sole-funded industry support, and increasing external constraints on industry support—that the number of industry gifts for Partners educational programs remained relatively stable, while the total amount of industry funding declined approximately 22% (see Figures 1 and 2).








ERB 도입의 성과

Outcomes of Implementing the ERB Guidelines


ERB 도입 이전의 기업체-지원 펠로우십은 지속되고 있으며, 지금은 다수의 자금제공처를 가지고 있다. 기업체-운영 컨퍼런스에 대한 펠로우들의 참가는 제한되며, 펠로우들은 이들 프로그램이 기업체 지원에 따라 이뤄질 때 그 사실을 알게 되며, ERB와 OII에 자금제공자의 영향력에 대한 우려를 알릴 수 있다.

Many of the pre-ERB industry-supported fellowships have continued, but they now have multiple funders, fellows’ participation in industry-run conferences is now limited, and fellows are aware when their program has industry support and are encouraged to notify the ERB and OII if they have concerns about a funder’s influence on their training.


다수-자금제공자 규칙은 컨퍼런스와 훈련 프로그램 모두에서 기업체-자금지원을 더 당야하게 만들었으며, 일부 경우에는 교육활동에 대한 총 기업체-지원이 줄기보다는 늘어났다.

The multi-funder rule has stimulated more widespread requests for industry funding for both conferences and training programs, in some cases resulting in more rather than less total industry support of an educational activity.


프리젠테이션은 더 이상 "X기업체 발표" 자리가 아니며, 펠로우도 역시 "Y기업체 펠로우"로 인식되지 않는다. 교재는 직접 피훈련자에게 제공되지 않으며, 특정 기업에서 제공하는 것도 아니다.

Presentations no longer are seen as the “Company X talk,” and fellows no longer are seen as the “Company Y fellow.” Textbooks may not be given directly to trainees or identified as coming from a particular company.


모든 컨퍼런스는 (CME credit이 있든 없든) ACCME 표준에 따라 열리며, 발표 내용에 대한 책임은 기업-자금제공자가 아니라 교수 자신에게 있다는 것이 명황해졌다.

All conferences, whether for CME credit or not, are held to the ACCME standards, and it is clearer to faculty that they, rather than the industry funders, are responsible for all presentation content.


ERB는 그러한 컨퍼런스에서 '교수'로 간주되는 사람들을 정의했으며, "가짜-교수"참가자를 방지하였다. 

The ERB has defined who are considered faculty at such events, preventing “pseudo- faculty” participants from having their expenses paid.


기업체-제공 교육활동이 소셜 이벤트로 열리는 것이 규제되며, 그러한 교육활동은 Partners 병원이나 근처 호텔에서 열리며, 멀리 떨어진 리조트 타입의 장소에서 열리지 않는다.

Social events as part of industry-supported educational activities have been curbed, and such educational activities are now held in Partners hospitals or nearby hotels rather than more distant, resort-type venues.


교육활동에 대한 예산은 교육 경비만 포함되도록 더 면밀히 감시받게 되며, 모든 추가적 수익은 교육 목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Educational activities’ budgets have been tightened and are more closely monitored so that only educational expenses are covered; any surplus revenues (resulting from the sum of clinical revenues, registration fees, and industry support) must be used for educational purposes.












 2015 Dec;90(12):1611-7. doi: 10.1097/ACM.0000000000000788.

The Education Review Board: A Mechanism for Managing Potential Conflicts of Interest in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 1J.F. Borus is Stanley Cobb Distinguished Professor, Department of Psychiatry, Brigham and Women's Hospital and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E.K. Alexander is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and Harvard MedicalSchool, Boston, Massachusetts. B.E. Bierer is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and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F.R. Bringhurst is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and Harvard MedicalSchool, Boston, Massachusetts. C. Clark is director, Office for Interactions with Industry, and senior counsel, Office of the General Counsel, Partners HealthCare, Boston, Massachusetts. K.E. Klanica was manager, Office for Interactions with Industry, Partners HealthCare, Boston, Massachusetts, at the time this article was written. She is currently senior associate general counsel, Allina Health, Minneapolis, Minnesota. E.C. Stewart is senior project specialist, Office for Interactions with Industry, Partners HealthCare, Boston, Massachusetts. L.S. Friedman is Anton R. Fried Chair, Department of Medicine, Newton-Wellesley Hospital, Newton, Massachusetts, and professor of medicine, Harvard Medical School and Tuft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oston, Massachusetts.

Abstract

Concerns about the influence of industry support on medical education, research, and patient care have increased in both medical and political circles. Some academic medical centers, questioning whether industry support of medical education could be appropriate and not a conflict ofinterest, banned such support. In 2009, a Partners HealthCare System commission concluded that interactions with industry remained important to Partners' charitable academic mission and made recommendations to transparently manage such relationships. An Education Review Board (ERB) was created to oversee and manage all industry support of Partners educational activities.Using a case review method, the ERB developed guidelines to implement the commission's recommendations. A multi-funder rule was established that prohibits industry support from only one company for any Partners educational activity. Within that framework, the ERB established guidelines on industry support of educational conferences, clinical fellowships, and trainees' expenses for attending external educational programs; gifts of textbooks and other educational materials; promotional opportunities associated with Partners educational activities; Partners educational activities under contract with an industry entity; and industry-run programs using Partners resources.Although many changes have resulted from the implementation of the ERB guidelines, the number of industry grants for Partners educational activities has remained relatively stable, and funding for these activities declined only moderately during the first three full calendar years (2011-2013) of ERB oversight. The ERB continually educates both the Partners community and industry about the rationale for its guidelines and its openness to their refinement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PMID:
 
26083402
 
[PubMed - in process]


대학의학에서 다양성(Diversity)과 포용(Inclusion) 측정: The Diversity Engagement Survey (Acad Med, 2015)

Measuring Diversity and Inclusion in Academic Medicine: The Diversity Engagement Survey

Sharina D. Person, PhD, C. Greer Jordan, PhD, MBA, Jeroan J. Allison, MD, MS,

Lisa M. Fink Ogawa, PhD, RN, CNE, Laura Castillo-Page, PhD, Sarah Conrad, MS,

Marc A. Nivet, EdD, MBA, MS, and Deborah L. Plummer, PhD, MEd






지속적인 건강 불평등, 인구구조의 변화, ACA이후 보험 환자의 증가 등으로 인해 이제 졸업할 의사들이 보다 다양해지고 첨단의 진료에 준비되게끔 하고, 문화적인 역량을 갖추게끔 하는 것이 미국 academic medical center의 과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여러 기관이 다양성과 포용에 대한 자신의 역량을 평가하고 이를 통해 얻은 insight에 적절히 반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Persistent health disparities,1 changing population demographics,2 and growing numbers of insured patients following the enactment of the Affordable Care Act3 make graduating a diverse physician and scientific workforce prepared to advance high-quality, culturally competent health care and research increasingly challenging for U.S. academic medical centers. Therefore, it is imperative for institutions to assess their organizational capacity for diversity and inclusion and respond effectively to insights gained.4


DES(Diversity Engagement Survey)를 만들어서 AMC가 지역사회의 다양성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측정하였다.

We created the Diversity Engagement Survey (DES) to measure how well academic medical centers are responding to the diversity of their community members (i.e., their faculty, staff, and students).



방법

Method


배경

Background


DES를 뒷받침하는 요인들은 수년간의 다양성/포용/관여에 관한 문헌 고찰과 이를 다양성관리에 적용해본 경험에서 나온 것이다. 앞서 12개 조직에서 이 도구를 반복적으로 사용해 본 결과, 그 기관의 구성원이 다양성에 대해서 가진 관점을 평가하는데 유용했다. 그러나 진단을 하거나 미래에 어떤 식으로 intervention을 해야하는지에 있어서는 효과적이지 않았다. 도구의 효과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어떻게 각 기관의 문화적 조건이 관여와 포용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았다.

The factors that undergird the DES emerged from years of study of the diversity, inclusion, and engagement literature and applied diversity management experience. Previous iterations of the instrument were used with 12 organizations (6 corporations, 4 hospital systems, 1 government agency, and 1 social service organization). These previous iterations were useful in evaluating perspectives about diversity among individuals at the participating institutions. However, they were not as effective in providing diagnostic data and strategic direction for future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instrument, we recognized the need to focus on how the cultural conditions of an institution are influenced by the interplay of engagement and inclusion.



DES의 개념 근간

Conceptual underpinnings of the DES


문화, 분위기, General purpose engagement survey와 달리, DES는 관여와 포용에 관하여 기관의 문화와 사회적 역동적 측면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고, 문화와 사회적 역동(institutional culture and social dynamics)은 생산성과 고용 안정에 강하게 관련되어 있디고 알려진 관여와 포용(engagement and inclusion)에 관계가 있다고 알려진 바 있다.

Unlike culture, climate, or general purpose engagement surveys the DES is designed to reveal the aspects of institutional culture and social dynamics related to engagement and inclusion that have been shown to be the most strongly related to productivity and employee retention.5,6 


DES 프레임워크에서 다양성은 인간의 다름에 관함 모든 측면을 포괄하며, 포용, 상호존중, 다양한 관점에 대한 인식 등을 포함하는 핵심 가치이다. 포용(Inclusion)은 개개인이 정보에 접근하고, 소속감, 직업안정성, 사회적 지지를 느끼는 것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프로세스의 집합이다. 다양한 관점/경험/지식을 포용하는 조직 문화가 없이는 다양성의 잠재력은 온전하게 실현될 수 없다.

Within the DES framework (described below), diversity is conceptualized as encompassing all aspects of human differences and is viewed as a core value that embodies inclusiveness, mutual respect, and awareness of multiple perspectives.7 Inclusion is conceptualized as a set of social processes that influence an individual’s access to information and sense of belonging, job security, and social support received from others.8,9 Without an institutional culture that supports the inclusion of the differences in perspectives, life experiences, and knowledge that individuals bring to the institution, the full potential of diversity cannot be realized.4


조직의 모든 구성원이 참여하게끔 하는 것은 진정으로 포용성있는 AMC를 만드는 토대이다. 성공적인 참여는 기본적 지능적/정서적 요구를 충족시켜줌으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Engagement of every member of the institution is the foundation on which a truly inclusive academic medical center is built. Successful employee engagement is derived from meeting the basic intellectual and emotional needs of workers.10–14


참여는 비전과 조직의 목적을 공유하는 것, 동지애(camaraderie), 구성원의 기여에 대한 인정 등으로부터 싹튼다.

Engagement results from cultural conditions that foster a shared sense of the vision and purpose of the organization as well as camaraderie and appreciation of employees’ contributions to the institution.

  • 비전과 목적의 공유: 조직의 미션에 기여해야 하는 정당한 근거를 제시 A sense of vision and purpose provides employees with a compelling reason to contribute to the organization’s mission.
  • 동지애: 소속감을 제공함과 더불어 주변에 손을 내밀 수 있게 만들어줌 Camaraderie gives employees a sense of belonging and provides them with opportunities to reach out and personally connect with those around them.
  • 인정: 조직에 대한 개개인의 기여와 가치를 인정해줌 Appreciation recognizes individuals’ contributions and values what each person brings to the organization.

DES 프레임워크

The DES framework


  • 1. 공동의 목표 
    1. Common purpose: Individuals experience a connection to the mission, vision, and values of the organization.
  • 2. 신뢰
    2. Trust: Individuals have confidence that the policies, practices, and procedures of the organization will allow them to bring their best and full self to work. 
  • 3. 개인의 기여에 대한 인정
    3. Appreciation of individual attributes: Individuals perceive that they are valued and can successfully navigate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in their expressed group identity. 
  • 4. 소속감 
    4. Sense of belonging: Individuals experience their social group identity as being connected with and accepted in the organization. 
  • 5. 열려있는 기회 
    5. Access to opportunity: Individuals perceive that they are able to find and utilize support for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advancement.
  • 6. 동등한 보상과 인정
     6. Equitable reward and recognition: Individuals perceive the organization as having equitable compensation practices and nonfinancial incentives. 
  • 7. 문화적 역량
    7. Cultural competence: Individuals believe the institution has the capacity to make creative use of its diverse workforce in a way that meets business goals and enhances performance. 
  • 8. 존중
    8. Respect: Individuals experience a culture of civility and positive regard for diverse perspectives and ways of knowing.


DES 도구

The DES instrument

문헌조사와 현장경험으로부터 문항을 개발함. 22개 문항, 8개의 참여와 포용 요인들. 각 문항은 기관과 구성원의 관계의 핵심을 잡아내기 위하여 만들었으며, 개개인이 기관의 현실을 어떻게 느끼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려는 것이 아니었음. 모든 문항은 1인칭, 긍정형으로 서술되어 있음. 마지막으로 주관식 문항 포함.

We proposed survey items derived from a review of literature and our own experience in the field relative to the framework’s factors. The final DES consisted of 22 items chosen to reflect the eight engagement and inclusion factors (see Table 1). Each item was created to capture the esse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titution and its members, not individuals’ perceptions about how they, and those who share a group identity with them, perceive or experience institutional practices. All items were written in the first person and phrased positively. We also included a final open-ended question (“If you wish, please provide additional comments on the diversity and inclusion efforts”) to provide the respondents the opportunity to express any concerns, insights, or experiences related to their institutional context.


5점척도

All responses on the 22-item instrument were scored on a 5-point Likert scale





파일럿 테스트

Pilot testing and survey implementation


안면 타당도와 내용 타당도는 저자 중 1명이 소속한 기관의 대표 응답자들로 구성된 리뷰 패널이 평가하였음. 동일한 설문을 한 개의 AMC에서 2011년 3월 파일럿 설문 시행함. 이후 전 AAMC와 the Group on Diversity and Inclusion 를 통해서 전 AAMC 소속 기관에 설문 응답을 요청. 이후 추가적으로 13개의 AMC에서 시행

Face and content validity of the survey were assessed and improved through a review panel consisting of representative respondents at the home medical institution of one of the authors. The same survey was piloted at an academic medical center in March 2011. After the pilot, an invitation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benchmarking process was sent through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AMC) and the Group on Diversity and Inclusion to all AAMC member institutions. The survey was subsequently administered to 13 additional U.S. academic medical centers from March 2011 through April 2012.


통계 분석

Statistical analysis


내적 일관성

Internal consistency.


We measured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eight engagement and inclusion factors by calculating Cronbach alphas.


구인 타당도 

Construct validity.


CFA를 시행. 

Based on the expected mapping of survey items to engagement and inclusion factors, we perform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vi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investigate construct validity and to examine the dimensionality of the DES. We examined item correlations and selected two representative fit indices—comparative fit index (CFI)18 and the standardized root mean square residual (SRMR)19—to assess model fit. 

      • CFI is an index that ranges from 0 to 1; values greater than 0.90 are considered an indicator of a good fitting model.18 
      • The SRMR is an absolute measure of fit and is defined as the standardized difference between the observed and predicted correlation; models with an SRMR value less than or equal to 0.08 are considered good.19


인구통계학적으로 서로 다른 집단 사이간 비교함.

We also sought to demonstrate the instrument’s usefulness in understanding specific disparities within a given institution by distinguishing between the experiences of different demographic groups.



준거 타당도

Criterion validity.


기존 문헌에서 제시된 핵심 응답자 특성을 바탕으로 DES factor mean score 차이를 확인함.

As a final step in assessing the utility of the DES, we examined criterion validity, which is a measure of how well a construct predicts an outcome based on information from other variables.17 Here, we examined differences in DES factor mean scores based on key respondent characteristics suggested by the literature, such as race/ethnicity, gender, and sexual orientation. Respondents had the opportunity to self-identify as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queer, questioning, asexual, or other. For purposes of analysis and reporting we collapsed these responses into one category labeled LGBTQ.



결과

Results


전미에 걸쳐 13694명 응답. 14개 참여기관의 평균 응답률은 26.7%

Broad representation across each region of the United States was obtained through the 13,694 respondents to the DES. The average response rate across the 14 participating institutions was 26.7% (SD = 9.5), and institutional response rates ranged from 11% to 46%.



내적 일관성 Internal consistency


The Cronbach alphas for the eight engagement and inclusion factors of the DES ranged from 0.68 to 0.85 (Table 1), with an overall Cronbach alpha of 0.96.




구인 타당도 Construct validity


명확하게 세 그룹으로 나눠짐

The graphical displays of institutions’ mean engagement and inclusion factor scores clearly delineated institutions with higher, middle, and lower degrees of engagement and inclusion by their respondents (Figure 2).


흑인-백인간 차이가 기관의 DES level과 유의한 상관관계

We also found that greater disparity between black and white respondents at the institutional level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lower black respondent scores. Spearman correlations for institutional rankings based on disparities and institutional rankings based on black respondent mean item scores ranged from 0.70 to 0.95 an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all items except 4 and 14 (see Supplemental Digital Table 1 at http://links.lww.com/ACADMED/A303).





준거 타당도 Criterion validity


흑인, 히스패닉/라틴 응답자가 배깅ㄴ보다 점수가 낮음. 여성 응답자가 남성보다 낮음

Analysis of the responses by demographic group revealed that black respondents and Hispanic/Latino respondents had lower mean factor scores than white respondents. Female respondents had lower mean factor scores than male respondents (Table 2).





Discussion


예컨대, 만약 한 기관의 DES 총점과 특정 요인에 대한 세부 그룹의 점수가 모두 낮았다면, 조직 전반에 대한 정책 변화가 필요함. 반대로, 전체적 DES는 높은데, 특정 그룹만 낮다면 그 그룹에 대한 intervention이 필요함.

For example, if both an institution’s overall and subgroup scores for a given factor or item are equally low, changes in organization-wide policy may be needed. On the other hand, if the overall score is high but a subgroup score is low, a policy targeting the subgroup may be appropriate.


전반적으로 Cronbach alpha는 reliable. Common purpose 요인에 대한 낮은 Cronbach alpha의 원인은 'violation of the essential tau equivalence assumption'일 수 있음. 이는 여기에 속한 두 문항의 observed variance가 크게 달랐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가정을 위배할 경우 보통 alpha coefficient가 저평가 되기 때문에, 여기서 보고한 값은 실제 값의 하한 정도가 될 것이다. DES가 기존의 문헌을 바탕으로 face validity를 갖추고 있고 리뷰 패널의 검토를 거쳤기에 common purpose를 유지하기로 결정.

Overall, the Cronbach alpha results indicate that the DES is a reliable instrument. One possible explanation for the marginally low Cronbach alpha of the common purpose factor may be violation of the essential tau equivalence assumption,21 which is suggested because the observed variances of the two items comprising this facto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ata not shown). However, violation of this assumption usually leads to underestimation of the alpha coefficient, so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reported coefficient represents a lower bound for the true value. Because the entire DES has face validity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and vetting with the review panel, we have chosen to retain the common purpose factor in the survey.


다양성에 대한 조직의 역량을 기르기 위해서는 조직 내 다양한 그룹이 어떻게 느끼고 있는가를 먼저 알아야 할 것이다.

To build institutional capacity for diversity, institutions must start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extent to which their various groups feel included and engaged.25









 2015 Dec;90(12):1675-83. doi: 10.1097/ACM.0000000000000921.

Measuring Diversity and Inclusion in Academic Medicine: The Diversity Engagement Survey.

Author information

  • 1S.D. Person is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Quantitative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Massachusetts Medical School, Worcester, Massachusetts. C.G. Jordan is associate vice chancellor, Diversity and Inclusion, and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s of Nursing, Psychiatry, and Quantitative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Massachusetts Medical School, Worcester, Massachusetts. J.J. Allison is associate vice provost, Health Disparities Research, and vice chair and professor, Department of Quantitative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Massachusetts Medical School, Worcester, Massachusetts. L.M. Fink Ogawa is clinical assistant professor and director, Quality and Safety Scholarship, University of Kansas Medical Center School of Nursing, Kansas City, Kansas. L. Castillo-Page is senior director, Diversity Policy and Programs and Organizational Capacity Building Portfolio,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Washington, DC. S. Conrad is senior research analyst,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Washington, DC. M.A. Nivet is chief diversity officer,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Washington, DC. D.L. Plummer is vice chancellor, Diversity and Inclusion, and professor, Departments of Psychiatry, Quantitative Health Sciences, and Nursing, University of Massachusetts Medical School, Worcester, Massachusetts.

Abstract

PURPOSE:

To produce a physician and scientific workforce that advances high-quality research and culturally competent care, academic medical centers (AMCs) must assess their capacity for diversity and inclusion and leverage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The Diversity EngagementSurvey (DES) is presented as a diagnostic and benchmarking tool.

METHOD:

The 22-item DES consists of eight factors that connect engagement theory to inclusion and diversity constructs. It was piloted at 1 AMC and then administered at 13 additional U.S. AMCs in 2011-2012. Face and content validity were assessed through a review panel. Cronbach alpha was used to assess internal consistenc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as used to establish construct validity.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to establish ability of the DES to distinguish between institutions' degrees of engagement and inclusion. Criterion validity was established using observed differences in scores for demographic groups as suggested by the literature.

RESULTS:

The sample included 13,694 respondents across 14 AMCs. Cronbach alphas for the engagement and inclusion factors (range: 0.68-0.85), CFA fit indices, and item correlations with latent constructs indicated an acceptable model fit and that items measured the intended concepts. Cluster analysis of DES scores distinguished institutions with higher, middle, and lower degrees of engagement and inclusion by their respondents. Consistent with the literature, black, Hispanic/Latino, female, and LGBTQ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queer) respondents reported lower degrees of engagement than their counterparts.

CONCLUSIONS:

The DES is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for assessment, evaluation, and external benchmarking of institutional engagement andinclusion.

PMID:
 
26466376
 
[PubMed - in process]


21세기 의료인력: 상호의존적인 세계에서 건강시스템 강화를 위한 교육 변화(Lancet, 2010)

Health professionals for a new century: transforming education to strengthen health systems in an interdependent world

Julio Frenk*, Lincoln Chen*, Zulfi qar A Bhutta, Jordan Cohen, Nigel Crisp, Timothy Evans, Harvey Fineberg, Patricia Garcia, Yang Ke, Patrick Kelley, Barry Kistnasamy, Afaf Meleis, David Naylor, Ariel Pablos-Mendez, Srinath Reddy, Susan Scrimshaw, Jaime Sepulveda, David Serwadda, Huda Zurayk






종합요약

Executive summary


Problem statement


100년 전 Flexner report.

100 years ago, a series of studies about the education of health professionals, led by the 1910 Flexner report, sparked groundbreaking reforms.


이로 인해서 20세기동안 수명이 두 배로 증가하는데 기여한 지식으로 무장할 수 있게 되었음.

the reforms equipped health professionals with the knowledge that contributed to the doubling of life span during the 20th century.


그러나 21세기 시작에 모든 것은 그다지 좋지 못하다.

By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however, all is not well.


두드러진 건강의 격차와 불평등은 국가간, 국가내에 모두 존재하고, 이는 드라마틱한 의료의 발전을 동등하게 공유하지 못한 것의 총체적 실패를 보여준다. 동시에 새로운 도전이 어렴풋하게 드러난다.

Glaring gaps and inequities in health persist both within and between countries, underscoring our collective failure to share the dramatic health advances equitably. At the same time, fresh health challenges loom.


전문직 교육은 이 도전에 따라가지 못했고, 주된 이유는 분절되고, 낙후되고, 정체된 교육과정이 제대로 준비되지 못한 졸업생을 양산했기 때문이다. 문제는 모든 곳에 있다.

Professional education has not kept pace with these challenges, largely because of fragmented, outdated, and static curricula that produce ill-equipped graduates. The problems are systemic: 

  • mismatch of competencies to patient and population needs; 
  • poor teamwork
  • persistent gender stratification of professional status; 
  • narrow technical focus without broader contextual understand- ing; 
  • episodic encounters rather than continuous care; 
  • predominant hospital orientation at the expense of primary care; 
  •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mbalances in the professional labour market; and 
  • weak leadership to improve health-system performance.


Major findings


전 세계적으로 2420개의 의과대학, 공중보건 관련 대학 또는 학과가 467개, 그리고 그 수도 정확히 파악되지 않을 정도의 간호교육기관이 매년 백만명의 의사, 간호사, 공중보건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여러 기관에서 드러나는 극도의 인력 부족은 국가 간, 국가 내 편중된 인력분포에 의해서 더 심해진다.

Worldwide, 2420 medical schools, 467 schools or departments of public health, and an indeterminate number of postsecondary nursing educational institutions train about 1 million new doctors, nurses, midwives, and public health professionals every year. Severe institutional shortages are exacerbated by maldistribution, both between and within countries.


4개 국가(중국, 인도, 브라질, 미국)는 각각 150개 이상의 의과대학이 있지만, 36개 국가에서는 의과대학이 전혀 없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26개국은 의과대학이 1개 혹은 없다. 이러한 불균등을 보고 있자면 의과대학의 숫자가 인구 규모나 국가의 질병부담과 전혀 관련이 없이 존재한다는 것도 놀랍지 않다.

Four countries (China, India, Brazil, and USA) each have more than 150 medical schools, whereas 36 countries have no medical schools at all. 26 countries in sub- Saharan Africa have one or no medical schools. In view of these imbalances, that medical school numbers do not align well with either country population size or national burden of disease is not surprising.


의료전문직 교육에 들어가는 총 비용은 매년 약 $100 Billion 정도이나, 이 역시 국가간 차이가 어마어마하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의료에 들어가는 비용의 2%도 안 되는 수준이며, 의료전문직 교육이 노동집약적이고, 고도의 능력이 필요한 산업임을 고려하면 하찮기 그지없는 수준이다. 한 명의 졸업생을 배출하는데는 의과대학에서 $113000, 간호대학에서 $46000이 필요하며, 단위 비용은 미국에서 가장 높고 중국에서 가장 낮다.

The total global expenditure for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is about US$100 billion per year, again with great disparities between countries. This amount is less than 2% of health expenditures worldwide, which is pitifully modest for a labour-intensive and talent-driven industry. The average cost per graduate is $113 000 for medical students and $46 000 for nurses, with unit costs highest in North America and lowest in China.




Reforms for a second century


지난 세기의 교육 개혁은 세 개의 세대로 특징지을 수 있다. 
  • 첫 번째 세대는 20세기 초반에 시작되어 과학-기반 교육과정을 가르친 세대이다. 
  • 20세기 중반에는 두 번째 세대가 나타나서 Problem-based 교육 혁신을 도입했다. 
  • 이제 요구되는 세 번째 세대구체적 컨텍스트에서의 핵심 전문직 역량을 도입함으로서 의료시스템의 퍼포먼스를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시스템이어야 한다.

Three generations of educational reforms characterise progress during the past century. The fi rst generation, launched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aught a science-based curriculum. Around the mid-century, the second generation introduced problem-based instructional innovations. A third generation is now needed that should be systems bas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health systems by adapting core professional competencies to specifi c contexts, while drawing on global knowledge.


Commission은 세 번째 세대의 발전을 위한 비전을 제시하고자 한다. 모든 국가의 모든 의료전문직은, 그 지역에 책임이 있는 사람으로서, 그리고 국제적으로 상호연결된 팀의 구성원으로서, 지식을 동원(mobilize)하고 비판적 추론을 할 수 있어야 하며, 윤리적인 행실을 통해서 환자와 인구를 중심에 둔 건강시스템에 동참해야 한다. 궁극적인 목적은 양질의 포괄적인 의료서비스를 모든 사람에게 제공하는 것이며, 이것만이 국가 간, 국가 내 건강평등에 도달할 수 있게 한다.

To advance third-generation reforms, the Commission puts forward a vision: all health professionals in all countries should be educated to mobilise knowledge and to engage in critical reasoning and ethical conduct so that they are competent to participate in patient and population-centred health systems as members of locally responsive and globally connected teams. The ultimate purpose is to assure universal coverage of the high- quality comprehensive services that are essential to advance opportunity for health equity within and between countries.


이 비전을 실현시키려면 교육과 기관의 개혁이 있어야 하며, 크게 두 개의 성과가 필요하다. 하나는 전환학습(transformative learning, 이하 TfL)이며, 다른 하나는 교육의 상호의존성이다. 우리는 TfL을 세 개의 연속적 수준의 가장 높은 수준으로 보고 있으며 informative -> formative -> transformative로 옮겨가야 한다고 본다. 효과적인 교육은 이전 단계의 교육을 바탕으로 다음 단계가 이뤄질 때 가능하다.

Realisation of this vision will require a series of instructional and institutional reforms, which should be guided by two proposed outcomes: transformative learning and interdependence in education. We regard transformative learning as the highest of three successive levels, moving from informative to formative to transformative learning. 

  • IfL은 지식과 기술의 습득에 관한 것이며, Expert를 양성하기 위한 것이다.
    Informative learning is about acquiring knowledge and skills; its purpose is to produce experts. 
  • FL은 학생들에게 '가치'를 사회화하는 것이며, Professionals를 양성하기 위한 것이다.
    Formative learning is about socialising students around values; its purpose is to produce professionals. 
  • TfL은 리더십을 개발하는 것이며, 깨어있는 change agent를 양성하기 위한 것이다. 
    Transformative learning is about developing leadership attributes; its purpose is to produce enlightened change agents. 

Eff ective education builds each level on the previous one.



TfL은 세 개의 근원적 변화를 포함해야 한다. 

Transformative learning involves three fundamental shifts: 

  • 지식의 암기에서 정보의 검색, 분석, 종합을 통한 의사결정으로,
    from fact memorisation to searching, analysis, and synthesis of information for decision making; 
  • 전문직 자격증을 얻는 것에서 건강시스템 내에서의 효과적인 팀워크를 위한 핵심 역량 성취로,
    from seeking professional credentials to achieving core competencies for eff ective teamwork in health systems; and 
  • 교육모델의 무비판적 수용에서 지역의 우선순위 달성을 위한 국제적 자원의 창의적 도입으로.
    from non-critical adoption of educational models to creative adaptation of global resources to address local priorities.

상호의존성은, 다양한 구성요소간 상호작용을 강조하기에, 시스템 접근법의 핵심 요소라 할 수 있다. 이 성과에 도달하기 위해서 교육의 상호의존성 역시 세 가지의 근원적 변화를 필요로 한다.

Interdependence is a key element in a systems approach because it underscores the ways in which various components interact with each other. As a desirable outcome, interdependence in education also involves three fundamental shifts: 

  • 고립된 교육에서 건강시스템과 조화를 이루는 교육으로
    from isolated to harmonised education and health systems; 
  • 독립적 기관에서 네트워크, 연맹, 컨소시엄을 이루는 기관으로
    from stand- alone institutions to networks, alliances, and consortia; and 
  • 조직의 내부에 관한 집착에서 교육 내용/자원/혁신의 국제적 흐름의 활용으로
    from inward-looking institutional preoccupations to harnessing global fl ows of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resources, and innovations.

TfL을 교육 개혁의 성과라고 한다면 교육의 상호의존성은 기관 개혁의 성과가 될 것이다

Transformative learning is the proposed outcome of instructional reforms; interdependence in education should result from institutional reforms.


교육의 개혁은 다음의 것을 포함 한다.

Instructional reforms should: 

  • adopt competency-driven approaches to instructional design; 
  • adapt these competencies to rapidly changing local conditions drawing on global resources; 
  • promote interprofessional and transprofessional education that breaks down professional silos while enhancing collaborative and non-hierarchical relationships in eff ective teams; 
  • exploit the power of information technology for learning; 
  • strengthen educational resources, with special emphasis on faculty development; and 
  • promote a new professionalism that uses competencies as objective criteria for classifi cation of health professionals and that develops a common set of values around social accountability.

기관의 개혁은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Institutional reforms should: 

  • establish in every country joint education and health planning mechanisms that take into account crucial dimensions, such as social origin, age distribution, and gender composition, of the health workforce; 
  • expand academic centres to academic systems encompassing networks of hospitals and primary care units
  • link together through global networks, alliances, and consortia; and 
  • nurture a culture of critical inquiry.

이들 개혁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일련의 행동이 필요할 것이다.

Pursuit of these reforms will require a series of enabling actions. 


  • 첫째, 모든 수준(지역, 국가, 세계)의 지도자들이 참여해야 한다.
    First, the broad engagement of leaders at all levels—local, national, and global—will be crucial to achieve the proposed reforms and outcomes. Leadership has to come from within the academic and professional communities, but it must be backed by political leaders in government and society. 
  • 모든 영역에서의 투자를 확대하여 현존하는 자금부족이 반드시 극복되어야 한다.
    Second, present funding defi ciencies must be overcome with a substantial expansion of investments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from all sources: public, private, development aid, and foundations. 
  •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인증과 같은 관리 기전이 강화되어야 한다.
    Third, stewardship mechanisms, including socially accountable accreditation, should be strengthened to assure best possible results for any given level of funding. 
  • 메트릭스, 평가, 연구에 대한 지원을 통해 혁신의 지식기반 마련을 위한 공동의 학습이 강화되어야 한다.
    Lastly, shared learning by supporting metrics, evaluation, and research should be strengthened to build up the knowledge base about which innovations work under which circumstances.

의료전문직은 지난 세기 동안 건강과 발전에 엄청난 기여를 했으나, 현 상태에 만족하여 20세기의 교육전략을 그것이 잘 맞지 않는 21세기에 적용하는 것은 비효과적일 뿐이다. 우리는 새로운 세기의 transformative professional education을 위하여 위 비전과 권고안을 달성하기 위한 행동으로서 전 세계적, 모든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요구하는 바이다.

Health professionals have made enormous contributions to health and development over the past century, but complacency will only perpetuate the ineff ective application of 20th century educational strategies that are unfi t to tackle 21st century challenges. Therefore, we call for a global social movement of all stakeholders—educators, students and young health workers, professional bodies, universities, non-governmental organisations, inter- national agencies, donors, and foundations—that can propel action on this vision and these recommendations to promote a new century of transformative professional education.



 

 

 

 

 

 

 

 

 



Section 1: problem statement

Background and rationale

Complex challenges


20세기동안에는 기대수명이 놀라울 정도로 증가하여 두 배가 되었고, 이는 삶의 기준이 높아지고 지식이 향상된 것에 기반한다. 무수한 근거들이 좋은 건강의 적어도 일부는 지식-기반, 그리고 사회-주도 특성이 있음을 지지한다.

The startling doubling of life expectancy during the 20th century was attributable to improvements in living standards and to advances in knowledge.1 Abundant evidence suggests that good health is at least partly knowledge based and socially driven.2,3

 

많은 근거들이 의료의 보장성과 의료전문인력의 숫자가 건강 성과에 직접적 영향을 준다고 되어있다.

Much evidence suggests that coverage and numbers of health professionals have a direct eff ect on health outcomes.4

 

거의 틀림없이, 의료전문인력의 교육은 건강의 향상을 가져오는데 도움이 되었다. 유럽에서 germ theory가 발견된 이후, 20세기 초반에 전문직 교육의 광범위한 개혁이 있었다. 미국에서 20세기 초반에는 Flexner report, Welch-Rose report, Goldmark report와 같은 것들이 의사, 공공보건인력, 간호사의 중등과정 후 교육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노력은 과학적 성과의 토대를 만들어 의료 전문인력의 교육을 또 다른 분야로까지 확장시켰다.

Arguably, dramatic reforms in the education of health professionals helped to catalyse health gains in the past century. After the discovery of the germ theory in Europe,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witnessed widespread reforms in professional education around the world. In the USA early in the 20th century, such reports as by Flexner,13 Welch-Rose,14 and Goldmark15 transformed postsecondary education of physicians, public health workers, and nurses, respectively (fi gure 1). These eff orts to imbed a scientifi c foundation into the education of health professionals extended into other health fi elds.16

 

그러나 21세기에 우리는 엄청난 건강 격차와 불평등이 국가 간, 국가 내에 존재함을 목격하고 있다.

However, in the fi rst decade of the 21st century, glaring gaps and striking inequities in health persist both between and within countries.1720

 

어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HIV/AIDS로 인해서 건강의 이득이 아니라 오히려 평균적인 기대여명이 감소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개발도상국의 빈곤층은 지속적으로 감염, 영양실조, 모성관련건강위협 등에 노출되어 있으나, 이런 문제가 부유한 계층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충분히 통제되어 온 위협들이다. 이렇게 뒤에 남겨진 사람들에게는 세계적 건강의 눈부신 발전이 건강의 진보는 동등하게 공유하지 못한 총체적 실패의 흔적일 뿐이다.

Health gains have been reversed by the collapse of average life expectancy in some countries, which in sub-Saharan Africa is attributable to theHIV/AIDS pandemic.21,22 Poor people in developing countries continue to have common infections, malnutrition, and maternity-related health risks, which have long been controlled in more affl uent populations.23 For those left behind, the spectacular advances in health worldwide are an indictment of our collective failure to ensure the equitable sharing of health progress.24

 

동시에, 건강 보안 역시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인구학적 역학적 전환에 더해진 새로운 감염, 환경, 행동 위협으로부터 도전받고 있다.

At the same time, health security is being challenged by new infectious, environmental, and behavioural threats superimposed upon rapid demographic and epidemiological transitions.2527

 

많은 국가에서 전문직은 더 다양한 만성적 조건의 환자를 만나게 되고, 이들은 자신의 건강을 추구하는데 보다 적극적인 사람들이다. 환자 관리는 시간과 공간을 넘어서는 조직화된 케어를 필요로 하며, 전례없는 수준의 팀워크를 요구한다. 전문직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지식과 기술을 통합해야 할 뿐 아니라, 동시에 기능을 확장시켜야 한다. 초전문화, 예방, 여러 장소에서의 복합적 관리, 가정-기반, 지역사회-기반 관리를 아우르는 서로 다른 타입의 시설을 모두 포함한다.

In many countries, professionals are encountering more socially diverse patients with chronic conditions, who are more proactive in their health-seeking behaviour.2831 Patient management requires coordinated care across time and space, demanding unprecedented teamwork.511 Professionals have to integrate the explosive growth of knowledge and technologies while grappling with expanding functionssuper-specialisation, prevention, and complex care management in many sites, including diff erent types of facilities alongside home-based and community-based care (fi gure 2).712

 

분절화되고 정체되고 낡은 교육과정은 재정이 취약한 기관에서 제대로 준비되지 않은 졸업생을 양성하는 결과를 가져왔고, 그 결과로 전문직의 역량과 환자와 인구가 요구하는 우선순위 사이에 불일치가 발생하여 서서히 타오르는 재앙으로 다가오고 있다. 거의 모든 국가에서 의료전문직 교육은 기능이 마비되고, 불평등한 건강시스템을 극복하는데 실패해왔다. 이는 교육 과정의 융통성이 부족하고, 전문직은 각자의 영역에 고립되어 있고, 교육법이 정체되어 있으며, 지역적 맥락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전문직이 상업화 된 것 등이 원인이다. 이러한 실패는 일차의료에서 특히 두드러지는데, 가난한 국가는 물론 부유한 국가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실패는 총체적이다. 전문직은 변화를 따라자기 못하고 있고, 단순한 기술의 관리인 역할에 머물고 있으며, 주변화된 농촌 커뮤니티를 담당하기를 꺼려하는 등과 같이 오래 된 어려움을 더 악화시키고 있다. 전문직은 효과적인 팀워크에 필요한 적절한 역량을 갖추지 못하고 있으며, 건강시스템을 변화시키기 위한 리더십도 잘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Consequently, a slow-burning crisis is emerging in the mismatch of professional competencies to patient and population priorities because of fragmentary, outdated, and static curricula producing ill-equipped graduates from underfi nanced institutions.512,1820 In almost all countries, the education of health pro- fessionals has failed to overcome dysfunctional and inequitable health systems because of curricula rigidities, professional silos, static pedagogy (ie, the science of teaching), insuffi cient adaptation to local contexts, and commercialism in the professions. Breakdown is especially noteworthy within primary care, in both poor and rich countries. The failings are systemicprofessionals are unable to keep pace, becoming mere technology managers, and exacerbating protracted diffi culties such as a reluctance to serve marginalised rural communities.32,33 Professionals are falling short on appropriate competencies for eff ective teamwork, and they are not exercising eff ective leadership to transform health systems.

 

부자 국가와 빈곤 국가 모두 의료인력의 부족을 겪고 있으며, skill-mix가 불균형하고, 의료인력의 분포가 부적정하다.

Poor and rich countries both have workforce shortages, skill-mix imbalances, and maldistribution of profess- ionals.7,3235

 

교육 개혁을 설계하는 것이 어렵고 도입하는 것은 느리지만, 부유한 국가에서는 변화하는 건강 요구에 반응할 수 있는 전문직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 고립된 전문직을 IPE로 극복하고, IT기술을 활용하여 교육을 강화하고, 비판적 탐구를 위한 인지기술을 향상시키고, 리더십을 위한 전문직의 정체성과 가치를 강화하고자 한다. 개혁은 가난한 국가에서 특히 어려운데, 자원 부족이 주로 문제가 된다. 많은 국가에서 필수적인 서비스를 기초보건인력을 배치하여 해결하고 있는데, 전통의학과 현대의학을 막론하고 수백만명의 사람들이 자격증도 없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존하고 있다.

Diffi cult to design and slow to implement, educational reforms in rich countries are attempting to develop professional competencies that are responsive to changing health needs, overcome professional silos through inter- professional education, harness information technology (IT)-empowered learning, enhance cognitive skills for critical inquiry, and strengthen professional identity and values for health leadership.3640 Reforms are especially challenging in poor countries, which are constrained byseverely scarce resources.38,40,41 Many countries are attempting to extend essential services through the deployment of basic health workers, even as millions of people resort to providers without credentials, both traditional and modern.42

 

새로운 전문직의 르네상스 환자-중심, -기반 가 많은 논의가 있었지만, 리더십, 인센티브, 실행력이 부족했다.

A renaissance to a new professionalismpatient- centred and team-basedhas been much discussed,37,4347 but it has lacked the leadership, incentives, and power to deliver on its promise.

 



Fresh opportunities


역설적으로, 이처럼 명백한 격차에도 불구하고, 건강에 있어서 상호의존성은 점차 높아지고, 상호학습의 기회가 많아지고, 진보는 점점 더 공유되었다. 인간/병원균/기술/자본/정보/지식의 국제적 움직임은 건강 위험과 기회의 국제적 이동의 기저를 이루며, 국가간 경계를 넘나드는 이러한 흐름은 더 가속화되고 있다. 우리는 점차 핵심 건강자원, 특히 숙련된 의료인력에 대해서 더욱 더 상호의존적이 되고 있다.

Paradoxically, despite glaring disparities, interdependence in health is growing and the opportunities for mutual learning and shared progress have greatly expanded.1,24 Global movements of people, pathogens, technologies, fi nanc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underlie the international transfer of health risks and opportunities, and fl ows across national borders are accelerating.48 We are increasingly interdependent in terms of key health resources, especially skilled workers.24

 

폭발적인 증가는 전체 정보의 총량 뿐 아니라, 그것에 대한 접근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 대학과 기타 교육기관의 역할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 봐야 할 때이다.

The explosive increase not only in total volume of information, but also in ease of access to it, means that the role of universities and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needs to be rethought.49

 

차세대 학습자들은 무수한 양의 정보를 분별하고 필요한 지식을 추출하여 통합하는 능력이 필요하며, 이는 임상 의사결정, 인구-기반 의사결정에 필수적이다. 이러한 발전은 교육의 방법/수단/의미에 있어서 새로운 기회를 제시한다.

The next generation of learners needs the capacity to discriminate vast amounts of information and extract and synthesise knowledge that is necessary for clinical and population-based decision making. These developments point toward new opportunities for the methods, means, and meaning of education.512,1820

 

이 전과는 전혀 다르게 건강과 국제보건에 있어서 공공의 중요성이 환경 변화를 촉진하였다. 우리는 이제 좋은 건강이란 단순히 결과가 아니라, 발전/안보/권리의 전제조건임을 알고 있다.

Like never before, the public prominence of health in general and global health in particular has generated an environment that is propitious for change. We now understand that good health is not only a result of but also a condition for development, security, and rights.

 

21세기의 개혁은 시의적절한데, 왜냐하면 전문직의 역량을 변화하는 맥락과 증가하는 대중의 참여, 그리고 국제적 상호의존성에 맞추어서 다시 조정해야 할 때이기 때문이다.

Reform for the 21st century is timely because of the imperative to align professional competencies to changing contexts, growing public engagement in health, and global interdependence, including the shared aspiration of equity in health.




Commission work

Integrative framework


현재와 같이 노동을 각 의료전문직 간에 구분짓는 것은 과학의 발전/기술 발전/경제 관계/정치적 이해/문화적 가치와 신념을 둘러싼 복잡한 역사적 과정이 야기한 사회적 구성이다.

The present division of labour between the various health professions is a social construction resulting from complex historical processes around scientifi c progress, technological development, economic relations, political interests, and cultural schemes of values and beliefs.

 

어떤 특정 시기와 사회에서 노동을 구분하는 것은 이러한 사회적 힘에 따른 것이지, 건강-관련 업무의 본질적 특성에 의한 것은 아니다.

The division of labour at any specifi c time and in any specifi c society is much more the result of these social forces than of any inherent attribute of health-related work.

 

이 보고서에서 건강 전문직을 전통적인 방식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우리는 보건인력으로 중등과정 후 교육을 받은, 즉 일반적으로 대학 혹은 다른 고등기관에서 교육받은 인력을 말하는 것이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교육적 성취를 공식적 학위를 통해 증명한 인력을 말하고자 한다.

In most of this report we continue to refer to the health professions in a conventional manner. We focus on health workers who have completed postsecondary educationtypically in universities or other institutions of higher learning that are legally allowed to certify educational attainment by issuing a formal degree.

 

위원회는 두 개의 시스템 사이의 복잡한 관계 이해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the Commission developed a framework aimed at understanding of the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two systems: education and health (fi gure 3).

 

인구를 건강/교육 시스템의 외부적 요인으로 보는 다른 프레임워크와 다르게, 우리는 인구를 이 두 시스템의 기반이자 동인(driver)로 보았다.

By contrast with other frameworks, in which the population is exogenous to health or education systems, ours conceives of the population as the base and the driver of these systems.

 

이러한 시스템적 접근에서는 건강과 교육의 상호의존성이 극도로 중요해진다.

In this system approach, the interdependence of the health and education sectors is paramount.

 

이 프레임워크에는 두 가지 중요한 교차점이 잇다.

  • 하나는 노동시장으로서 의료인력 공급과 수요의 합/부합을 관장하는 것이다.
  • 두 번째는 여러 인구집단의 약한 능력, 특히 빈곤층에게 있어서 그들의 건강과 교육 요구를 그에 대한 수요로 효과적으로 전환시키지 못하는 지점이다. 이상적인 상황에서는 인구집단의 요구와 건강시스템이 의료인력에게 요구하는 것과 교육시스템에 의한 공급이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There are two crucial junctures inthe framework. The fi rst is the labour market, which governs the fi t or misfi t between the supply and demand of health professionals, and the second is the weak capacity of many populations, especially poor people, to translate their health and educational needs into eff ective demand for the respective services. In optimum circumstances, there is a balance between population needs, health-system demand for professionals, and supply thereof by the educational system

 

그러나 현실에서 의료전문직의 노동시장은 무수한 불균형으로 특징지어진다. 가장 중요한 것은 undersupply, unemployment, and underemployment이다. 이것은 양적, 질적 모두에 해당한다. 이 불균형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교육시스템이 건강시스템에서 요구하는 것에 반응해야 한다.

However, in reality the labour market for health professionals is often characterised by multiple imbal- ances,50 the most important of which are undersupply, unemployment, and underemployment, which can be quantitative (less than full-time work) or qualitative (suboptimum use of skills). To avoid these imbalances, the educational system must respond to the requirements of the health system.

 

노동시장과의 연관성에 덧붙여서, 교육과 건강 시스템은 공유하는 하위시스템(joint subsystem)이라 할 수 있는 것을 공유한다. , 보건전문직 교육 하위시스템이다. 어떤 국가에서 보건전문직 교육기관은 MOH 하위에, 어떤 국가에서는 MOE 하위에 있다.

In addition to labour market linkages, the education and health systems share what could be thought of as a joint subsystemnamely, the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subsystem. Whereas in a few countries schools for health professionals are ascribed to the health ministry, in others they are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education ministry.

 

교육과 건강시스템의 연결은 전달체계를 통해서 보건인력의 skill mix와 업무 이동의 관점을 결정짓는다.

The linkage between the education and the health systems should also address the delivery models that determine the skill mix of health workers and the scope for task shifting.

 

건강과 교육의 관련성을 명확히 한 이후, 이 프레임워크에서는 세 가지 교육의 핵심 영역을 언급하였다.

After specifi cation of the linkages between the health and educational spheres, our framework identifi es three key dimensions of education:

    • 기관 설계institutional design (which specifi es 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the education system),
    • 교육 설계 instructional design (which focuses on processes), and
    • 교육 성과 educational outcomes (which deal with the desired results; fi gure 4).

 

교육과 기관의 설계에 대한 측면은 이미 20세기의 여러 보고서에서 언급된 바 있다.

Aspects of both institutional and instructional design were already present in the original reports of the 20th century,1315

 

원래는 건강시스템의 퍼포먼스를 이해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교육시스템에 적용가능한 네 가지 기능을 생각해 볼 수 있다.

By adaptation of a framework that was originally formulated to understand health-system performance,51 we can think of four crucial functions that also apply to educational systems:

    • (1) 관리와 거버넌스 stewardship and governance, which encompass instruments such as norms and policies, evidence for decision making, and assessment of performance to provide strategic guidance for the various components of the educational system;
    • (2) 재정 fi nancing, which entails the aggregate allocation of resources to educational institutions from both public and private sources, and the specifi c modalities for determining resource fl ows to each educational organisation, with the ensuing set of incentives;
    • (3) 자원 생산 resource generation, most importantly faculty development; and
    • (4) 서비스 제공 service provision, which refers to the actual delivery of the educational service and as such refl ects instructional design.

 

네 가지 기능의 구조는 시스템적 수준을 정의한다. 시스템 내에 속한 개별 조직은 ownership, affiliation, internal structure 등에 따라 다양하다. 이 모든 것은 기관 설계에 중요하다.

The way that the four functions are structured defi nes the systemic level shown in fi gure 4. Within a system, individual organisations will vary according to ownership (eg, public, private non-profi t, or private for profi t), affi liation (eg, freestanding, part of a health sciencescomplex, or part of a comprehensive university), andinternal structure (eg, departmental or otherwise). Theseare all important aspects of institutional design.

 

마찬가지로 중요한 것은 국제적 수준이다. 관리기능은 국가적인 수준 뿐 아니라 국제적 수준의 상대방에게도 마찬가지로 행해져야 한다. 공동의 핵심 역량을 규범적으로 정의하여 모든 국가의 모든 보건전문직이 이를 갖추도록 해야 한다. ICT를 바탕으로 네트워크나 파트너십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조직을 형성하야 한다.

Equallyimportant is the global level. The stewardship functionthat should be done nationally has a global counterpart,especially with respect to normative defi nitions about common core competencies that all health professions should have in every country. An emerging development globally refers to new forms of organisation, such as networks and partnerships, which take advanta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건강시스템과 궁극적으로는 건강 성과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기 위해서는 교육기관은 이상적인 교육 절차를 만들어내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교육 설계는 4C로 대변되는 것을 포함한다.

To have a positive eff ect on the functioning of health systems and ultimately on health outcomes of patients and populations, educational institutions have to be designed to generate an optimum instructional process. Instructional design involves what can be presented as four Cs:

    • (1) 입학 기준 criteria for admission, which include both achievement variables, such as previous academic performance, and adscription variables, such as social origin, race or ethnic origin, sex, and nationality;
    • (2) 역량 competencies, as they are defi ned in the process of designing the curriculum;
    • (3) 교육 체널 channels of instruction, by which we mean the set of didactic methods, teaching technologies, and communication media; and
    • (4) 진로 career pathways, which are the options that graduates have on completion of their professional studies, as a result of the knowledge and skills that they have attained, the process of professional socialisation to which they have been exposed as students, and their perceptions of opportunities in local or global labour markets (fi gure 4).

 

위원회는 보건전문직교육시스템이 달성해야 할 것으로 두 가지를 제안한다. transformative learning and interdependence in education이다. TfL은 교육 설계의 향상에 따른 결과이며, 상호의존성은 기관 개혁의 결과일 것이다.

In the case of our Commission, two outcomes were proposed for the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systemtransformative learning and interdependence in education. Transformative learning is the proposed outcome of improvements in instructional design; interdependence in education should result from institutional reforms (fi gure 4).




Data and methods


학부 의학교육기관은 두 개의 주요 데이터베이스(FAIMERAvicenna)를 활용함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compiled by combining two major databases: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FAIMER) and Avicenna,

 

비록 정밀하지는 않지만, 미시적 접근법과 거시적 접근법을 모두 활용하여 추정하였다.

Although not precise, the convergence of microapproaches and macroapproaches provides some assurance that the broad order of magnitude of our estimations is robust. 


 


 

Section 2: major findings

Century of reforms


지난 세기의 역사적 발전을 보고자 개혁의 세 세대를 정의했다.

To capture historical developments in the past century, we defi ned three generations of reforms (fi gure 5).

 

세대라는 단어는 이러한 발전이 명확히 구분되는 선형적 연속성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각 세대의 요소들이 이후의 세대에도 지속되어 복잡하고 역동적인 변화 패턴을 형성함을 말한다.

The word generation conveys the notion that this development is not a linear succession of clear-cut reforms. Instead, elements of each generation persist in the subsequent ones, in a complex and dynamic pattern of change.


 

 

 

Panel 1: The Flexner, Rose-Welch, and Goldmark reports




Panel 1. 

The Flexner, Rose-Welch, and Goldmark reports

Three seminal US reports (Flexner, Welch-Rose, and Goldmark) had powerful effects in professional health education in North America, and arguably by extension around the world. All the reports recommended major instructional reforms to integrate modern medical sciences into the core curriculum, and institutional reforms to link education to research and the basing of professional education in comprehensive universities.

Flexner report 191013

The report introduced the modern sciences as foundational for the medical curriculum into two successive phases: 2 years of basic biomedical sciences, based in universities, followed by 2 years of clinical training, based in academic medical hospitals and centres. Research was to be viewed not as an end in itself but as a link to improved patient care and clinical training. Flexner also changed the doctor's education from an apprenticeship model to an academic model, and his report created the conditions for the birth of academic medical centres, ushering in a hitherto unknown era of discovery. In 1912, Flexner extended his study of medical education to a group of key European countries.63 Although the Flexner model of professional education was widely adopted outside the USA and Canada, it has often not been sufficiently adapted to address health in vastly different societal contexts.

Welch-Rose report 191514

This report offered two competing visions of public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Rose's plan was for a national system of public health training with central national schools acting as the focus for a network of state schools, both emphasising public health practice. By contrast, Welch's plan called for institutes of hygiene, following the German model, with increased emphasis on scientific research and connections to a medical school in comprehensive universities. Welch's plan was financed by the Rockefeller Foundation to create the Johns Hopkins School of Public Health and Hygiene in 1916, and the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in 1922. Most schools of public health in the USA followed the Welch model as independent faculties in universities. Outside the USA and Canada, both institutional models described by Rose and Welch were implemented and co-exist to this day.

Goldmark report 192316

This report advocated for university-based schools of nursing, citing the inadequacies of existing educational facilities for training skilled nurses. The report put nursing on the same academic trajectory as medicine and public health in the USA, albeit a little later in time. Although major health burdens prevailing at the time—such as infant mortality and tuberculosis—had greatly decreased, the importance of an improved trained nursing workforce remains, including high standards of nursing educational attainment.


===

의학교육의 초기 시스템...

Early systems of medical education were reported

  • 인도 in India around 6th century BC in a classical text called Susruta Samhita,56 and

  • 중국 in China with lectureships in Chinese medicine at the Imperial Academy in 624 AD.57

  • 아랍과 북미 Arab and north African civilisations had fl ourishing medical learning systems, as did the Greeks and the Mesoamerican civilisations.58,59

  • 영국 In the UK,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started in the 17th century.60

 

20세기의 교육개혁은 사회운동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으며, 19세기의 의과학 발전과도 연관되어 있다.

Educational reforms in the 20th century share roots going back to social movements and the development of the medical sciences in the 19th century.

  •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In the mid-1800s, Florence Nightingale61 campaigned that good nursing care saved lives, and good nursing care depended on educated nurses.

  • 1859년 런던, 최초의 간호 교육 프로그램 The fi rst nursing education programme began in London in 1859, as 2-year hospital-based training that soon spread quickly in the UK, the USA, Germany, and Scandinavian countries.62

  • 근대의학과 공중보건 The roots of modern medicine and public health go back similarly to the mid-1800s, propelled by discoveries that proved the germ theory.

  • 20세기 초반 의학과 공중보건은 과학적 진보를 따라가지 못했고 교육에 대한 확고한 기준이 없었다. By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fi elds of medicine and public health had been left behind by scientifi c advances, with no rigorous standards of education and practice based on modern foundations.

서구 유럽에서 처음 발전한 이후, 20세기 초반의 1세대는 Flexner (1910), Welch-Rose (1915), Goldmark (1923),15 and Gies (1926) 보고서에 의해서 촉발되었다. 이들은 근대 보건과학을 교실로 가져왔으며, 실험실을 의학, 공중보건, 간호학, 치의학에 가져왔다.

After developments in western Europe, the fi rst generation of 20th century reforms in North America were sparked by such reports as Flexner (1910),13 Welch-Rose (1915),14 Goldmark (1923),15 and Gies (1926),16 which launched modern health sciences into classrooms and laboratories in medicine, public health, nursing, and dentistry, respectively (panel 1).

 

이들 개혁은 주로 연속적 의과학 교육에 뒤따르는 임상/공중보건 실습이라는 특징을 가졌고, 다른 지역에서도 비슷한 노력을 하게끔 했다. 교육과정 개혁은 기관의 변혁과 연결되었는데, 대학을 기반으로 한 대학병원이 생기고, 질이 낮은 학교가 문을 닫았으며, 연구와 교육이 시작되었다. 이러한 발전의 목표는 프로페셔널리즘이 과학적 기반, 고도의 기술과 윤리 기준을 갖추게 하는 것이었다.

These reforms, which were usually sequencing education in the biomedical sciences followed by training in clinical and public health practice, were joined by similar eff orts in other regions. Curricular reform was linked to institutional transformationuniversity bases, academic hospitals linked to universities, closure of low-quality proprietary schools, and the bringing together of research and education. The goals were to advance scientifi cally based professionalism with high technical and ethical standards.

 

the Rockefeller Foundation, the Carnegie Foundation 과 같은 미국의 독지가들은 의학과 공중보건을 의한 수 많은 학교 설립에 자금을 지원하며 이러한 교육 개혁을 촉진시켰다. Flexner 보고서가 나오고 2년이 지난 다음 플렉스너는 그 연구를 German Empire, Austria, France, England, and Scotland로 확장시켰다. 그러나 이 결과는 서유럽을 넘어서까지 전파되었다. 소위 플렉스너 모델은 새로운 의과대학 설립을 통해 실현되었으며, 가장 초기의, 동시에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Peking Union Medical College founded in China by the Rockefeller Foundation and implemented by its China Medical Board in 1917이다.

American philanthropy, led by the Rockefeller Foundation, the Carnegi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 and other similar organisations, promoted these educational reforms by fi nancing the establishment of dozens of new schools of medicine and public health in the USA and elsewhere.64 2 years after the publication of his original report, which focused on the USA and Canada, Flexner63 extended his study of medical education to the German Empire, Austria, France, England, and Scotland. But the infl uence went beyond nations in western Europe. The so-called Flexner model was translated into ac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new medical schools, the earliest and most prominent being the Peking Union Medical College founded in China by the Rockefeller Foundation and implemented by its China Medical Board in 1917.63,65

 

공공의료분야

In public health, the earlier experiences at the London School of Tropical Medicine, Tulane University,66 and the Harvard-MIT School for Health Offi cers were aff ected by the Welch-Rose report,14 which paved the way for a major growth in new schools starting with the Johns Hopkins School of Hygiene and Public Health (1916), the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1922), the School of Public Health of Mexico (1922), a renewed London School of Hygiene and Tropical Medicine (1924), and the University of Toronto School of Public Health (1927). The Welch- Rose model was also exported through Rockefeller’s funding of 35 new schools of public health overseas, as exemplifi ed by the School of Public Health of Mexico, which was established in 1922 as part of the Federal Department of Health.


이 대규모의 수출과 도입의 결과는 혼재되어있는데, 일부 국가에서는 매우 유용했지만, 다른 국가에서는 잘 맞지 않았다. 멕시코 사례와 아랍 국가, 남아시아의 사례.

This mass-scale export and adoption had mixed outcomes, with useful results in some countries but also severe misfi ts in others. In 1987, the pioneering Mexican school underwent major reform when it merged with the Centre for Public Health Research and the Centre for Infectious Disease Research to form the National Institute of Public Health—one of the leading institutions of its type in the developing world.67 Many other innovative examples, including several in the Arabian countries and south Asia, show the capacity of public health academic institutions to respond to diverse and rapidly changing local requirements (panel 2).


국가 정부가 점차 관여하기 시작한 것과 동시에 제2세대 개혁이 2차 세계대전과 함께 시작되었다. 의과대학이 3차병원과 academic health centres을 확장하기 시작하면서 교육-연구-진료의 세 가지 영역의 활동이 통합되었다. 1950년대에 병원-기반 academic center에서의 레지던트라는 GME의 개념이 생겼으며, 이는 도제교육과 비슷했다.

In parallel with the increasing engagement of national governments in health aff airs, a second generation of reforms began after World War 2 both in industrialised and in developing nations, many of which had just gained independence from colonialism.71 School and university development was accompanied by expansion of tertiary hospitals and academic health centres that trained health professionals, did research, and provided care, thereby integrating these three areas of activity. Pioneered in the 1950s was the idea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as postgraduate training, which was similar to an apprenticeship, through residency programmes in hospital-based academic centres.72

 

2 세대의 주요한 교육의 돌파구는 PBL과 통합교육이었다. 1960년 캐나다 McMaster 의과대학, 그리고 미국 Case Western Reserve 의과대학 등이 선두주자. 다른 교육과정 개혁으로는 표준화환자(SP)가 있었다. 토론을 통해 환자-의사 관계를 강화하고, 더 이른 시기에 학생들을 환자에 노출시켜 교실과 임상수련의 연속체를 확장시켰다.

The major instructional breakthroughs from the second generation of reforms were problem-based learning and disciplinarily integrated curricula. In the 1960s, McMaster University in Canada pioneered student-centred learning based on small groups as an alternative to didactic lecture- style teaching.73 Simultaneously, an integrated rather than discipline-bound curriculum was experimentally de- veloped in Newcastle in the UK and Case Western Reserve in the USA.74,75 Other curricular innovations included standardised patientsie, individuals who are trained to act as a real patient to simulate a set of symptoms or problemsto assess students on practice,76 strengthening doctorpatient relationships through facilitated group discussions,77 and broadening the continuum from classroom to clinical training through earlier student exposure to patients and an expansion of training sites from hospitals to communities.7881

 

글로벌 인력 교육MDG에 의해서 설정된 국가적/세계적 목표 달성이 원동력이 되어 정책이 변화하면서 일어났다.세 가지 보고서를 눈여겨 볼 만 하다. Task Force on Scaling-Up and Saving Lives,20 World Health Report,19 and the Joint Learning Initiative. 이 보고서들은 모두 제대로 작동하는 건강시스템과 국제적 건강 목표 달성을 위해서 의료인력이 핵심임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세계적으로 의료인력 부족이 발생하여 240만명의 의사 및 간호사가 57개국에서 부족할 것임을 추정하였다. 이러한 재앙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가장 심각하다.

Global workforce education has witnessed a major resurgence of policy attention, partly driven by imperatives to achieve national and global health objectives as set out by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 Three major reports are noteworthy in terms of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 workforce: Task Force on Scaling-Up and Saving Lives,20 World Health Report,19 and the Joint Learning Initiative.18 These reports all underscore the centrality of the workforce to well performing health systems to achieve national and global health goals. All the reports draw attention to the global crisis of workforce shortages estimated worldwide at 2·4 million doctors and nurses in 57 crisis countries. The crisis is most severe in the world’s poorest nations that are struggling to achieve the MDGs, particularly in sub-Saharan Africa.

 

이 보고서들은 교육과 수련에 투자를 상당폭 늘려야 함을 권고했다. 이 보고서들은 기초보건인력에 초점을 맞췄는데, 왜냐하면 이들이 일차의료에 중요하면서, 중등교육 후 교육에 들어가는 비용은 높기 때문이다.

These reports recommend vastly increasing investment in education and training. They concentrate on basic workers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primary health care and the long time lag and high costs of postsecondary education.

 

간호교육 관련 2010년 세 개의 주요 보고서. Radical transformation, by the Carnegie Foundation; Frontline care,9 a UK Prime Minister commission;12 and the Robert Wood Johnson Foundation Initiative on the future of nursing, at the US Institute of Medicine.82

Nursing education is the focus of three major reports in 2010: Radical transformation, by the Carnegie Foundation; Frontline care,9 a UK Prime Minister commission;12 and the Robert Wood Johnson Foundation Initiative on the future of nursing, at the US Institute of Medicine.82

 

간호교육의 선구적 연구는 중국이나 이슬람 국가에도 영향을 주었다.

Pioneering work in nursing education is also being pursued in other regionseg, in China and Islamic countries (panel 3).

 

공중보건 교육에 관한 IOM의 두 가지 주요 보고서. 이 보고서에서는 transdisciplinary and multischool 접근법을 도입할 것을 권고하고, 평생학습의 문화를 배양할 필요를 강조하고 있다.

Public health education is the subject of two major reports by the US Institute of Medicine in 2002 and 2003, both focusing on the future of public health in the 21st century.5,6 The reports recommend that the core curriculum adopt transdisciplinary and multischool approaches, and instil a culture of lifelong learning.

 

의학교육은 엄청난 관심을 끌었다. 보고서들.

Medical education has received great attention, as shown by a series of four selected recent reports:

  • Future of medical education, by the Associations of Faculties of Medicine of Canada;11

  • Tomorrow’s doctors, by the General Medical Council of the UK;8

  • Reform in educating physicians, by the Carnegie Foundation;10 and

  • Revisiting medical education at a time of expansion, by the Macy Foundation.7

  • An additional report was issued by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 snapshot of medical student education in the USA and Canada.85

 

모든 보고서들은 미국, 영국, 캐나다의 의료인력이 UME, PGME, CME에서 제대로 준비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All reports concur that health professionals in the USA, the UK, and Canada are not being adequately prepared in undergraduate, postgraduate, or continuing education to address challenges introduced by ageing, changing patient populations, cultural diversity, chronic diseases, care-seeking behaviour, and heightened public expectations.

 

이들 보고서의 초점은 지식과 사실을 넘어서는 핵심 역량에 있다. 다음의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The focus of these reports is on core competencies beyond the command of knowledge and facts. Rather, the competencies to be developed include

  • patient-centred care,

  • interdisciplinary teams,

  • evidence-based practice,

  •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 use of new informatics, and

  • integration of public health.

  • Research skills are valued, as are

  • competencies in policy, law, management, and

  • leadership.

 

학부 교육과정에는 다음의 것이 고려되어야 하고, 사회적 책무를 지닌 프로페셔널리즘을 갖추게 해야 한다.

Undergraduate education should

  • prepare graduates for lifelong learning.

  • Curriculum reforms include outcome-based programmes

  • tracked by assessment,

  • capacity to integrate knowledge and experiences,

  • flexible individualisation of the learning process to include student-selected components, and

  • development of a culture of critical inquiryall for equipping physicians with a renewed sense of socially responsible professionalism.

 

이들 주요 이니셔티브는 부유한 국가와 가난한 국가 간에, 그리고 직종간에 매우 다르다.

The perspectives of these major initiatives between rich and poor countries, and between the professions, are very diff erent.





Panel 2: Adaptation of public health education and research to local priorities

Panel 2. 

Adaptation of public health education and research to local priorities

Several public health institutes have developed over recent decades in response to very diverse local contexts. We present innovations in three regions: Arabian countries, Mexico, and south Asia.

Institute of Community and Public Health, Birzeit University, occupied Palestinian territory, is one of three independent schools of public health linked to leading universities in the Arab region; the High Institute of Public Health (HIPH) at the University of Alexandria in Egypt is a large institution founded in 1956; and the Faculty of Health Sciences, American University of Beirut (AUB), Lebanon, was established as separate from AUB's medical school in 1954 and achieved accreditation of its graduate public health programme from the US Council on Education for Public Health in 2006. All were uniquely shaped by national contexts, ranging from a strong state in Egypt to civil conflict in Lebanon, to absent state structures in the occupied Palestinian territory. All have adopted different approaches to public health: application of evidence-based interventions to improve health-care delivery and environmental health in Egypt; expansion of multisectoral developmental public health practice in Lebanon; and focus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necessitating actions inside and outside the health sector in the occupied Palestinian territory.68

National Institute of Public Health of Mexico (NIPH),69 founded in 1987, responded to rapid national economic and social change, striving to balance excellence in its research and educational mission with relevance to decision making through proactive translation of knowledge into evidence for policy and practice. The Institute widely disseminated a conceptual base around the essential attributes of public health; developed educational programmes across diverse areas of concentration; implemented a wide range of innovative educational approaches, from short courses to doctoral programmes; and developed sound evidence that supported the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the ongoing health reform initiative for universal coverage. The success of the NIPH underscores the crucial importance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networking to withstand local difficulties by sharing of experiences to build a strong health-research system that is able to tackle a vast array of local and global health challenges.

The Public Health Foundation of India is a unique private–public partnership to energise public health by bringing together pooled resources from the Indian Government and private philanthropy to address India's priority health challenges. The Foundation is crafting partnerships with four state governments to create eight training institutes of public health in the country.70 The BRAC University's School of Public Health, named after UNICEF's visionary leader James P Grant, was launched by the world's largest non-governmental organisation and offers an innovative 12-month curriculum for masters in public health that begins with 6 months on its Savar rural campus acquiring basic public health skills in the context of rural health action, followed by the remaining 6 months of thematic and research training. These two public health initiatives in south Asia were based on the legacy of British colonialism, which focused exclusively on medical rather than public health schools. Importantly, both these schools are developing new curricula shaped to national and global priorities, and neither is adopting wholesale the Welch-Rose model of public health education.




 



Panel 3. 

Women and nursing in Islamic societies

Women and nursing in Islamic societies has a long and rich history.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higher education in nursing started in 1955 when the first Higher Institute of Nursing in the region was established in the Faculty of Medicine of the Egyptian University of Alexandria. Endorsed by WHO, the Institute offered a bachelor of nursing degree. The Institute became an autonomous faculty affiliated to the University in 1994, offering both masters and doctoral degrees in nursing sciences. During the past 50 years, the faculty of nursing has produced more than 6000 graduates, many assuming leadership in the region.

Another pioneer is the Aga Khan University School of Nursing, which was established in Pakistan in 1980, and which began offering a bachelor of science in nursing in 1997 and the masters of science in 2001.83 The school has devised a unique curriculum adapted to local contexts but based on the curriculum recommended by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s Essentials of Master's Education in Advanced Nursing (1996).84 Aga Khan University has also expanded the bachelors and masters nursing programmes to its campus in east Africa.83 In addition to training nurses, these advanced degree programmes attract high-quality candidates in Islamic society, showing societal prestige and value for women entering the nursing profession.


Institutional design


교육기관은 매우 다양할 수 있다.

Such educational institutions might be extraordinarily diverse.

They might be independent or linked to government, part

  • of a university or freestanding,

  • fully accredited, or

  • even informally established.

  • Their facilities might range from rudimentary field training sites to highly sophisticated campuses.

 

한 가지 중요한 구분은 공립과 사립이다물론 단순한 이분법이 아니라 이 사이에도 엄청난 종류가 있다.

One major distinction is between public versus private ownership, with a wide range of patterns in between.

 

사립기관은 비영리이거나 영리기관일 수 있다역사적으로 종교나 미션스쿨은 비영리 병원을 설립하였고일부 의학간호학비영리 기관은 독지가에 의해서 설립되거나 자선기관 혹은 사회적 노력의 한 부분이기도 하다많은 국가에서 영리추구기관이 증가하고 있으며특히 국제적 노동시장에서 기회를 찾을 수 있는 의사와 간호사 양성을 추구할 때 그러하다대부분의 기관은 공립과 사립이 혼합된 패턴을 갖는다.

Private institutions might be non-profi t or for-profi t. Historically, religious and missionary movements have established many non-profi t hospitals and some medical and nursing schools. Non-profi t institutions have also been created by philanthropy, charitable organisations, and corporations as part of their social endeavours. In many countries, proprietary for-profi t schools are increasing, especially to produce doctors and nurses to exploit opportunities in the global labour market.35,86,87 Most institutions possess mixed patterns of public and private governance.

 

학위도 다양해서교육은 매우 차이가 큰데 학위는 같을 수 있다글로벌하게 혹은 한 국가 내에서 학위소지자의 질이나 역량에는 차이가 크다예컨대 중국의 경우전문직 진료 학위를 수여하는 프로그램은 3, 5, 7, 8년으로 다양하다이 졸업생은 모두 자격증을 가지고 있으며직업훈련만 받은 백만명에 달하는 마을 의사와 대비된다.

There is a multiplicity of degrees, and the same degree could be acquired with highly variable curricular content, duration of study, quality of education, and competency achieved. Globally, and even nationally, there is little uniformity with respect to qualifi cation and competency of degree holders. Medical doctors in China, for example, might obtain professional practice degrees with 3, 5, 7, or 8 years of postsecondary education.88 These graduates are the credentialled practitioners, compared with the nearly 1 million additional village doctors who mostly have only vocational training.89

 



Global perspective

의학교육기관은 매우 다양하다. 국가마다 그 양이 매우 많기도 하고 적기도 하다. 부족한 경우 그것은 국가 수입이 낮은 것과 연관되어 있다. 특히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그러하다. 그러나 풍족한 것은 꼭 부유한 것과는 관게가 없다. 실제로 많은 중소득 국가가 기관의 숫자를 의도적으로 늘림으로써 의료인력을 수출하고 있는데, 왜냐하면 많은 부유한 국가는 만성적으로 국가에서 필요한 수의 의료인력을 양성하지 못하는 문제에 시달리고 있기 때문이다. 의학교육기관의 숫자와 패턴이 국가의 인구규모나 GNP, 질병부담과 관련이 없는 것도 놀랍지 않다.

Not surprisingly, we recorded large global diversity in medical institutions, with abundance and scarcity across countries. Scarcity is associated with low national income, especially aff ecting sub-Saharan Africa; however, abundance is not concentrated only in wealthy countries. Indeed, several middle-income countries have increased the number of institutions to deliberately export professionals, because many wealthy countries have chronic defi cits since they underproduce below national requirements. Not surprisingly, the number and pattern of medical institutions do not match well with national population size, gross national product, or burden of disease. 

 

2420개의 의과대학이 389000명의 졸업생을 매년 양성하고 있다.

We estimate about 2420 medical schools producing around 389 000 medical graduates every year for a world population of 7 billion people (table 1).

 

공중보건 관련 467개 기관

We also estimate 467 schools or departments of public health,

 

간호대학 졸업생은 541000.

We estimate that about 541 000 nurses graduate every year,

 

Figure 6 shows the density of medical schools by major regions.

 

의학교육기관의 분포는 매우 편중되어 있다. 인도, 중국, 브라질, 미국은 각각 150개 이상의 기관을 가지고 있어 전 세계 기관의 35%를 차지한다. 31개 국가에는 전혀 없으며, 그 중 9개는 SSA에 있다. 44개 국가는 1개가 있으며, 17개는 SSA에 있다. 약 절반의 국가가 1개 혹은 그 이하의 의과대학만 가지고 있는 것이다.

Distribution of medical institutions is highly skewed between nations. India, China, Brazil, and the USAeach having more than 150 schoolsmake up 35% of world’s total. 31 countries have no medical school whatsoever, nine of which are in sub-Saharan Africa. 44 countries have only one medical school, 17 of which are in sub-Saharan Africa. Nearly half of countries worldwide have either one or no medical school.

 

의과대학의 전 세계 분포와 전 세계 인구분포, 그리고 질병부담 분포는 잘 맞지 않는다.

The global distribution of medical schools and the world distribution of population and burden of disease is not well matched (fi gure 7).

 

의과대학의 숫자 역시 졸업생의 숫자와 잘 맞지 않는데, 한 가지 설명은 학급 규모이다. 인도와 중국을 비교하면 인도는 300개 의과대학에서 30000명을 양성하여 학급당 110명 규모인데, 중국은 188개 의과대학에서 175000명을 양성하여 학급당 1000명에 이른다.

not match well with the number of medical graduates. One possible explanation is diff erent class sizes, which is shown by a comparison of India and China (table 2). India’s 300 medical schools are estimated to graduate about 30 000 doctors every year, suggesting an average grade size of 100 students. By contrast, China’s 188 medical schools are estimated to graduate 175 000 doctors every year, suggesting an average grade size of 1000 students.

 

놀랍게도, 의과대학졸업생의 수와 의사의 수 사이에 강한 상관관계가 있지 않다. 간호대 졸업생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대한 한 가지 설명은 노동시장이 불균형을 이루고 있는 상황에서 고용되지 못한 의사가 있기 때문이다. 도 다른 설명은 학위가 없는 사람들이 의사나 간호사 직무를 하고 있을 수 있다. rate of attrition도 한 이유가 된다. 인도 의사는 미국 내 이주 혼 의사 중 가장 많은 숫자이며, 필리핀과 캐리비안 국가의 사립학교에서 양성된 간호사들은 더 부유한 국가로 이주한다. 쿠바도 비슷. 반대로 만성적으로 의사가 부족한 미국이나 서유럽 국가, 중동 국가는 졸업생에 비해서 의료인력이 많다.

Surprisingly, there is not a strongly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medical graduates and the stock of doctors, nor is there such a 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nursing graduates and the stock of nurses. A possible explanation is unemployment in graduates when labour markets are imbalanced. Another explanation is that non-degree holders might be doing some medical and nursing jobs. Diff erent rates ofattrition could provide additional insights, the most prominent of which is international migration. Indian doctors are the most numerous of all nationalities of foreign doctors emigrating to the USA.90 Many nurses in the Philippines and the Caribbean are trained in private schools especially for transfer to wealthier countries.86,91,92 Cuba has an explicit policy of medical education for sharing with other countries.93 Conversely, chronically defi cient countries, such as the USA and nations in western Europe and the Middle East, would be expected to have higher workforce stock for the size of their graduating cohorts because of the number of health professionals moving to these countries.



 

 

 

 



Financing


미시적 접근법을 통해서 한 학생당 비용을 숫자로 곱해서 산출하거나, 거시적 접근법을 통해서 3차병원 총 매출을 통해서 추정하였다. 두 방법 모두 결과는 비슷했다.

A microapproach calculates fi nancing by multiplication of the number of medical and nursing graduates by the unit costs of education. A macroapproach examines the total turnover of tertiary education and assigns a proportion to professional health education. The fact that the microapproaches and macroapproaches generated similar orders of magnitude provides assurances about the robustness of the data.

 

전체 의료인력 교육에 들어가는 비용은 매년 US$100 Billion 정도이다. 의과대학생 1명에 드는 비용은 $122000 정도이다.

Total yearly expenditures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is estimated at about US$100 billion formedicine, nursing, public health, and allied healthprofessions. Education of medical graduates is estimatedat $47·6 billion and nursing graduates at $27·2 billion.The fi gures for these individual professions are roughlyinfl ated, in the absence of detailed information, to$100 billion by inclusion of public health and otherrelated professions. In total, we estimated a unit cost of$122 000 per medical graduate, and a unit cost of$50 000 per nursing graduate

 

전문직 교육에 대한 투자는 전체 건강시스템의 퍼포먼스에 대한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지극히 작은 수준이다.

Investments in professional education seem to be exceedingly modest in view of its importance to health- system performance.

 

글로벌하게 보면 이것은 더 심한데, 교육에 들어가는 비용은 전체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이 올리는 매출 대비 2%도 안되는 수준이다.

This alarming picture is even more apparent globally, where investments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represent less than 2% of a global health-care industry turning over an estimated $5·5 trillion yearly.

 

의학교육의 비용이 상승하는 것은 모든 국가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 학생과 가족뿐 아니라 빈곤층의 접근 자체를 배제시킨다. 대출에 기반하여 자금을 마련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가 되는데, 미국에서 졸업생의 평균적 대출은 $200000정도이며, 이것이 이들로 하여금 사회적으로 중요하지만 수익성은 조금 낮은 진로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The rising cost of medical education is a growing challenge in all countries.7,99 Increased costs not only impose hardship on student families but can also exclude access by poor people. Loan-based fi nancing of medical education causes additional drawbacks. In the USA, the average debt of graduating students is now about $200 000,100 which severely burdens them with obligations that can hinder them from pursuing socially important but less lucrative careers.101

 

전문직 교육에 사적 영역의 투자는 증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투자가 반가운 것은 사실이나, 거기에 따라오는 질의 문제나 사회적 목적에 대한 우려가 있다. 인도 언론은 최근 MCI로부터 인증을 기다리고 있는 새 사립대학들의 불법 지불을 보도했다. 이 보고서는 인도 정부가 인증 시스템을 개혁하게끔 만들었는데, 지난 30년간 생긴 191개의 새 의과대학 중 147개는 사립이다. 더 문제인 것은 이들은 메트로폴리탄 지역이나 부유한 지역에 위치하여 지역적 불균형을 악화시키고 있다.

Private investments in professional education might be increasing. Although this funding is welcomed, it generates concerns about quality and social purpose.35 The Indian press has reported illegal payments by new private schools seeking accreditation from the Medical Council of India, an independent body that originated during the colonial era.102,103 This report has triggered a takeover by the Indian Government to reform the accreditation system.103 Of 191 new Indian schools in the past three decades, 147 are private. These schools, moreover, are heavily concentrated in metropolitan centres and in wealthier states, exacerbating geographic imbalance.

 

인도의 사례는 이익의 상태가 사회적 목적보다 덜 중요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대부분의 인도 사립의과대학은 비영리이지만, 사실상 상당한 수입원을 만들어내고 있다.

The India case also shows that profi t status might be less important than social purpose, since most new Indian private schools are listed as non-profi t but actually generate large income streams.103,104

 

국제적 의료인력 부족과 시장의 요구로부터 유발된 대규모의 미계획적인, 통제되지 않는 의과대학은 플렉스너가 방문하고, 비판하여 결국 문을 닫게 된, 그 시절의 저질의 proprietary school과 같은 그러한 학교를 만들어 낼 뿐이다. 플렉스너 보고서 100주년에 de-Flexnerisation process가 진행중이다.

Driven by global workforce shortages and growing market demand for health services, a large increase in unplanned and unregulated medical schools could generate the very same type of low-quality proprietary schools that Flexner visited, criticised, and successfully closed. A so-called de-Flexnerisation process is underway in which low-quality professional schools might be proliferating once again on the centennial of the Flexner report.


 

 

 



Accreditation


의과대학 인증은 그 기관의 교육활동을 사회적 목적과 연결시켜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국제적으로 기존에 시행되고 있는 인증평가들에 대한 포괄적인 평가는 없지만 글로벌한 다양성이 존재함은 추측할 수 있다.

Accreditation is therefore central to the professional education institutions linking their instructional activities to their societal purpose. Although there is no systematic assessment of accreditation practices worldwide, we can assume that great global diversity exists.

 

WHO는 인증의 기전을 동지중해에서 75%에서 존재하고, 동남아시아의 50% 가량에서 진행중이며, 아프리카에1/3 정도에서 진행중이다. 더 나아가 사립 의과대학은 공립보다 인증평가절차를 거칠 가능성이 더 낮다.

WHO has reported that accreditation mechanisms “exist in three quarters of Eastern Mediterranean countries, just under half of the countries in Southeast Asia, and only about a third of African countries. Furthermore, private medical schools are less likely than publicly funded ones to undergo accreditation procedures”.106

 

설문에서 확인된 바로는 많은 추가적인 아프리카 의과대학과 대부분이 인증시스템 바깥에 있다. 유럽의 부유한 국가에서도 인증평가에 대해서 지역적 차이가 큰 것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 ‘EU국가 중 25개 국가는 EU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지만, 동유럽에는 그러한 지역 기준이 없다

Survey work has identifi ed many additional African medical schools, and most are outside accreditation systems.108 Even in rich regions such as Europe, concerns have been expressed about the geographical variation in accreditation. “Although medical schools in the 25 countries of the European Union (EU) have to comply with EU standards, no such regional standards apply in Eastern Europe.”107

 

인증 강화는 국가마다 다양하다. 중국은 백만명의 마을 의사가 있으며, 인도는 백만명의 농촌의료인이 있고 이들은 인증된 학교의 졸업생이 아니다. 같은 수준은 아니지만 거의 모든 국가에 이러한 gap이 존재한다.

Enforcement of accreditation can be variable across countries. China has about 1 million village doctors, and India has about 1 million rural medical practitioners who are not graduates of accredited schools. Although not of the same scale, similar gaps in accreditation and credentials exist in almost all countries.

 

여기에 두 가지 주요한 과제가 있다.

  • 첫 번째는 인증절차의 동인이 되는 궁극적인 목적과 인센티브이다.

  • 두 번째는 글로벌 원칙과 지역적 특이성의 조화이다.

Herein arise two major challenges. The fi rst refers to the ultimate purposes and incentives driving accreditation processes; the second has to do with harmonisation of global principles versus local specifi city.

 

WHO는 인증에 대한 사회적 책무성을 지역사외, 지역, 국가와 같이 의과대학이 담당해야 하는 곳의 주요 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교육, 연구, 진료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했다. 인증평가에 더 큰 사회적 책무를 가지게 하는 것은 사회적 건강 목표 평등, , 효율성 와 잘 맞는 인력 양성에 중요하다.

WHO has defi ned social accountability of accreditation as “directing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activities towards addressing the priority health concerns of the community, region, and/or nation they have the mandate to service”.109 The imposition of greater social accountability into accreditation could be instrumental in production of a professional workforce that is well aligned with societal health goals, including equity, quality, and effi ciency (panel 4).

 

그러나 모든 기관이 사회적 책무성을 위해서 세워진 것은 아니다. 비록 영리를 추구하는 의과대학은 시장에 어필하기 위해서라도 양질의 졸업생을 양성하고자 할 것이며, 이를 통해서 재정적 이득을 추구한다.

But not all institutions have been established for social accountability. Although for-profi t schools might seek to produce quality graduates since they would enhance its market appeal, they necessarily have to seek fi nancial returns.

 

또 다른 과제는 세계적 기준과 다양한 지역적 맥락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조화시키는 것이다. 글로벌 원칙은 인증평가에 일관성/투명성/개방적 책무성을 부여하며, 지식과 실천의 지역사회가 등장하기 더 쉽게 해준다. 여러 국가 사이에 균질성을 추구하는 것은 의도치 않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데, 의료인력이 국가간 경계를 넘어시 이주하는 것이 그것이다.

Another challenge is harmonisation of global standards with local adaptability to diverse contexts. Global principles would bring consistency, transparency, and open accountability to the accreditation process, while easing the emergence of communities of knowledge and practice. Uniformity across countries could have, however, the unintended consequences of helping with professional migration across national boundaries. Local adaptation would be necessary

 

글로벌-로컬 균형을 달성하는 것이 우선순위가 되어야 하며, 기관간 상호의존성이 높아질수록 필요한 것이 된다. 많은 국제기구가 기준을 정립하고 있다.

    •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 has steadily advanced its mutual recognition processes to harmonise standardisation of professional degrees in nursing and medicine.

    • The International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IIME) launched a global minimum essential requirement (GMER) initiative for adaptation by some medical schools in China to assess institutional performance on the basis of student achievements in several core domains of medical competencies.119

    • The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WFME) has collaborated with WHO to propose a global consensus development process between national stakeholders.107

    • Nationally, the US Institute of Medicine has recom- mended summits every 2 years for leaders to take stock, note trends, identify gaps, and develop future plans aiming to harmonise diff erent oversight bodies and to show greater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120

Achievement of some globallocal balance is a priority, indeed a necessity, as institutional interdependence grows. Many international bodies are setting standards for professional education either to deal with transnational threats such as pandemics or to harmonise international labour markets.115118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 has steadily advanced its mutual recognition processes to harmonise standardisation of professional degrees in nursing and medicine. The International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IIME) launched a global minimum essential requirement (GMER) initiative for adaptation by some medical schools in China to assess institutional performance on the basis of student achievements in several core domains of medical competencies.119 The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WFME) has collaborated with WHO to propose a global consensus development process between national stakeholders.107 Nationally, the US Institute of Medicine has recom- mended summits every 2 years for leaders to take stock, note trends, identify gaps, and develop future plans aiming to harmonise diff erent oversight bodies and to show greater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120




Panel 4: Networking for equity

Panel 4. 

Networking for equity

“Until the great mass of the people shall be filled with the sense of responsibility for each other's welfare, social justice can never be attained.”110 That is why networking between like-minded socially-committed individuals and groups have been key drivers for social equity through reform of professional education. Three socially driven initiatives are described here.

Social accountability and accreditation

How well do accreditation bodies—national, regional, and global—align, measure, and incentivise profess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to meet the social needs of society? This is the ambitious yet crucial agenda proposed by Boelen and Woollard,111 who have launched a set of interactive processes to achieve a global consensus on the role of accreditation in ensuring the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 This consensus is the basis of an action plan to engage the major national and international bodies in bringing it to life. They propose a model of interdependence between health education and health systems such that the conceptualisation, production, and usability of medical school graduates reflects the priority health needs of society. They argue that accreditation systems for medical schools should measure the competency of the graduates and research production in meeting those needs. Initiatives of organisations such as International Francophone Society of Medical Education and International Organisation of Deans of Francophone Medical Schools, along with some other examples, were recognised as encouraging efforts to reform the accreditation system to bring about an era of health professionals with social sensitivity and global connectivity to meet the health-care needs of the real world.111 and 112 They propose a global consensus process to advance the integration of social accountability into all systems to create a future for medical education based on an adaptive commitment to explore and address the evolving health needs brought about through educational, research, and service innovations worldwide.

THEnet

Launched in 2008, THEnet is a network of collaborating medical schools experimenting with instructional and institutional innovations to attract, retain, and enhance the productivity of health professionals serving disadvantaged populations often in remote rural areas. The schools' training settings vary from remote aboriginal communities in Canada (Northern Ontario School of Medicine) to rural areas of Africa (Walter Sisulu University); and from the densely populated urban slums of Venezuela (Comprehensive Community Physician Training Programme) to the politically volatile areas of Mindanao in Philippines (Ateneo de Zamboanga University). The shared experiences are generating a systematic approach to successful staffing of previously deprived regions, and, contrary to popular perception of poor academic standards of rural or community-based institutions, students from THEnet schools have consistently scored higher than average in national examinations.113

The network:Towards Unity for Health (TUFH)

This network is an association of health professionals and academic organisations that are dedicated to creation of a global platform of equitable health care through community-based education, dynamic research, and dedicated rural service. TUFH has undertaken policy-based projects and case studies on issues of great importance, such as rural internship programmes (Brazil), promotion of healthy behaviours (Czech Republic), integrative participatory research (Kenya), family practice research in resource-poor settings (Greece), and international graduate programmes on pharmacy (Canada). In 2007, TUFH launched eEducation for health—an open-access electronic journal aimed at enhancing transnational exchang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114


Academic systems


임상수련이 점차 확대되면서 공식적 인턴과 레지던트를 포함하게 되었고, 이것이 1세대 기관 개혁의 특징이다. 지난 50년간 2세대 개혁은 academic center의 빠른 성장을 동반했으며 이는 임상진료와 연구로부터 온 수익 덕분이었다. 발견-진료-교육의 연속체를 통합시키는 센터의 파워와 영향력도 같이 커졌다. AHC의 국제 연합은 최고의 진료를 공유하고, 국제 관계를 촉진하고 교육/진료/연구의 사명을 강화하기 위해서 설립되었다.

Gradual expansion of clinical training to include formal internships and residencies in hospitals marked the fi rst generation of institutional reforms. During the past 50 years, the second generation of reforms witnessed rapid growth of academic centres due to income from clinical services and research. The power and infl uence of these centres integrating the continuum of discovery-care-education correspondingly increased. An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cademic health centres has been established to promote sharing of best practices, foster international relations, and enhance the missions of education, patient care, and research.121

 

지역사회 병원에서의 수련을 통해서 3차병원을 넘어서는 교육 옵션을 확대시키기 위해서 많은 노력이 있었으며, 가끔은 의료취약 지역사회에서의 교육까지도 포함되기도 했다. 이러한 수련지는 그 자체가 이슈였을 뿐 아니라, 연구와 진료 수입에서 오는 강력한 흐름에 비교할 때 교육에 대한 우선순위에 대한 균형과 심지어 진료 혹은 연구를 하는 교수로부터 오는 비뚤어진 롤모델링도 이슈였다.

Many eff orts have been made to expand the educational options beyond tertiary hospitals through practical training at community health centres, sometimes situated in disadvantaged communities. Not only is the training worksite an issue but the balance of education compared with the powerful streams of clinical and research income could dampen educational priorities oreven distort role-modelling of clinical and research faculty. 

 

한 가지 위협은 3차병원이 권력과 자금에서 강해진 것 뿐 아니라, 1차나 2차 병원에 관심이 낮아진 것이다.

One danger is that tertiary academic centres would simply grow in power and funding without corresponding attention to balanced secondary and primary education.

 

1차의료 수련은 academic system을 포함하여 전체 건강시스템에 아주 매끄럽게 통합되어야 한다. Academic system이 맞은 도전은 로컬 커뮤니티와의 관계를 통해서 더 균형잡힌 전문직 교육 환경을 만드는 것이고, 인구-기반 예방에 적극적이어야 하며, 미래의 건강 위협에 대비하고, 건강시스템의 전체적 설꼐와 관리를 이끌어나가는 것이다.

Primary health-care training should be seamlessly integrated into the overall health system, including the academic system. The challenges for academic systems is to provide a more balanced environment for the education of professionals through engagement with local communities, to proactively address population-based prevention, anticipate future health threats, and to lead in the overall design and management of the health system.

 

협력은, acadmic system이 가진 강력한 도구로서, 교육의 질과 성과를 정보 공유, 학문 교류, 공동 작업, 기관간 시너지를 통해서 향상시키는 것이다.

Collaboration, a potentially powerful instrument of academic systems, describes the opportunities to enhance educational quality and productivity through sharing of information, academic exchange, pursuit of joint work, and synergies between institutions.124

 

많은 조직들(networks, consortia, alliances, and partnerships)이 이러한 시너지를 높고자 한다. 특히 중요한 것은 두 개의 기관이 모두 강해질 수 있는 co-equal twinning arrangement이다.

Many organisational arrangements have been used to facilitate these synergies: networks, consortia, alliances, and partnerships. Especially noteworthy is capacity building through co-equal twinning arrangements to strengthen both institutions (panel 5).

 

두 종류의 협력이 중요하다. 하나는 전문직 교육기관간 협력이며, 다른 하나는 교육기관가 다른 목적의 기관이 협력하는 것이다.

Two types of institutional collaborations are worthy of consideration: between professional schools and between educational and other types of institutions.

 

세 번째 형태의 협력은, 진정한 협력은 아닐지라도, off-shore 의과대학이다. 고소득 국가의 의과대학이 그 브랜드네임을 빌려주고, 경제적으로 성장중인 국가로부터 비용을 받는 것이다.

A third type of collaboration, although not really collaborative, is off - shore schools set up either alone or in partnership by brand-name schools in high-income countries in emerging economies, often with the aim of increasing revenues while lending out brand names.

 

교수들은 모든 교육기관의 궁극적인 resource이다. 그들은 교사이면서, 관리자이면서, 지식전달자이면서, 가장 중요하게는 훈련을 통해 다음 세대의 전문직을 양성하는 학생의 롤모델이다. 그러나 종종 지식의 공유나 지식의 적용보다 지식의 생성은 가장 중요한 것처럼 여겨지곤 한다.

Faculty members are the ultimate resource of all educational institutions. They are the teachers, stewards, agents of knowledge transmission, and most importantly role models for studentsreproducing the profession by training the next generation of professionals. Knowledge generation is often seen as more imprtant than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translation.

 

빈곤 국가에서 가장 큰 제약은 양질의 교사가 없는 것으로, 이들은 기초보건인력을 포함하여 다음 세대의 전문직을 양성하는데 필수적이다. 한 가지 가능한 옵션은 부유한 국가의 졸업생을 인력이 심각하게 부족한 다른 국가에 파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은 빈곤국가를 강화하기 위한 더 넓은 차원의 전략의 일부로서 도입되어야 한다.

In poor countries, a major constraint is the scarcity of qualifi ed teachers who are essential for training the next generation of professionals, including the training of basic health workers.19 Of the options that deserve exploration is the short-term placement of graduates from rich countries seeking opportunities to contribute in other countries that are severely defi cient in faculty.130 Such activities, however, should be part of a broader strategy for capacity strengthening in poor countries.

 

전문직 교육은 정보가 불충분하고 모니터링과 평가에 대한 문화가 미약하다.

Professional education as a fi eld has insuffi cient information and a weak culture of monitoring and evaluation.

 

예컨대, 여러 보건전문직 교육기관이 보유한 데이터는 적고 대부분 매우 소수의 국가에 집중되어 있다. 또는 협소한 국가적 목적에만 사용하고 있다.

For example, data for the number of professional health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rare and mostly focused on a few countries, or are serving narrow national purposes such as licensing or certifi cation of doctors and nurses.




Panel 5. 

Twinning for capacity development in Africa

Medical schools in all countries have benefited from twinning programmes that foster exchange, share resources, and undertake collaborative work for mutual advance. Several of sub-Saharan Africa's premier medical institutions have benefited from such twinning arrangements. Founded in 1948, Ibadan—possibly Nigeria's premier medical school—was started in collaboration with the University of London, UK. In Uganda, the prestigious Makarere health sciences schools have had many twinning programmes, including with Johns Hopkins, USA, in public health.

In Kenya, Moi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has pioneered a twinning arrangement with a consortium of north American universities led by Indiana. Building on customary focus of collaboration in education and research, the Moi twinning pioneer leads with care by engaging both partners directly in the delivery of services. The focus on practical application allows for the building in of appropriate education and research. Moi has also expanded the educational twinning to a triadic relation with three partners, including as partner the Kenyan Ministry of Health. Similarly, for two decades the state university of Indiana has undertaken a global health elective for its students in nearby Eldoret Kenya, who are mentored by local and visiting faculty.15The elective enables students to participate in health-care teams including clinical work, a journal, written narrative reflections, cultural acclimation, and ethical challenges.

Such models have helped to spark a new Medical Education Partnership Initiativebetween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and the US President's Emergency Plan for AIDS Relief (PEPFAR), launched in October, 2010. It will invest US$130 million over 5 years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140 000 health workers in Africa and transform African medical education through funding support to nearly a dozen African institutions that will, among other instruments, use twinning for capacity building.



Panel 6. 

Lusophone networking and Brazilian coordination

The Community of Portugese-Speaking Countries (CPLP) has formulated a strategic plan to improve health systems in all affiliated countries for universal access to high-quality health services that includes the training of personnel and a network of projects to strengthen institutional capacity. Thus the CPLP has created a lusophone network of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technical health schools, schools of health governance, and centres for specialised medical training. The Brazilian Oswaldo Cruz Foundation (FIOCRUZ) is playing a key part in this network—eg, supporting the development in Mozambique of a public unit for the production of generic and essential drugs. Financing for the network's training and projects come from rich lusophone countries Portugal and Brazil, and from international agencies and private foundations.

In parallel with the network are innovations in some lusophone countries, such as the Pró-Saúde and PET-Saúde—Brazilian Programme of Reorientation of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A long-standing problem in Brazil has been the mismatch between professional education and the human resource requirements of the National Unified Health Syste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Health has therefore launched a new partnership for reform. All academic institutions are reorienting curriculum to shift training from hospitals to clinics and communities, to focus on prevention and social determinants, and to strengthen proactive, problem-based learning. More than 500 courses, 9000 fellowships, and the training in 14 health professions based in more than 80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have received funding in this partnership between two key ministries.


Instructional design


11054개의 논문을 바탕으로 했음. 73%가 의학교육에 관한 것이었고, 53%가 북미 의료전문직 교육에 대한 것이었다.

Our review of publications about education identifi ed 11 054 articles in medical, nursing, and public health education. The reports about education in medicine (73%) are more abundant than are those about nursing (25%) or public health (2%). More than half of articles (53%) focus on professional education in North America, a quarter (26%) on Europe, and the remainder (21%) on other regions.

 

입학 기준 Criteria for admission


대부분의 국가에서 졸업생의 사회적 역량은 환자와 인구의 사회적/언어적/인종적 다양성과 일치하지 않는다. 보건의료계 학생은 사회 고위층과 다수 인종 그룹에서 주로 입학하여 불균형을 이룬다.

In most countries, the social competencies of graduates might not be aligned with the social, linguistic, and ethnic diversity of patients and populations. Health professional students are disproportionately admitted from the higher social classes and dominant ethnic groups.7,11,19

 

그러나 점차 환자와 인구 건강과 사회문화적, 언어적 호환성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격오지의 의료가 잘 이뤄지지 않는 이유가 도시에 유리한 입학 정책 때문이라는 지적도 있다.

Yet, there is growing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sociocultural and linguistic compatibility in patient care and population health, and a growing appreciation that problems such as skewed coverage of remote areas is often due to urban-biased admissions policies.33

 

입학에서 남녀 성별의 구성도 건강-시스템 퍼포먼스에 영향을 미친다. 성별에 따른 고정관념은 보건의료계에허 흔하다. 예컨대 간호사는 여자다, 같은 것이다. 많은 나라에서 의료인력의 여성화가 지속적으로 진행중이다. 젠더 평등이 중요한 것은 한 사회가 보유한 인간 역량을 최대로 실현하기 위해서 뿐 아니라, 환자-중심적 진료에 있어서 젠더가 중요한 측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여성 환자는 여성 의사를 보다 선호하기도 한다. 또한 건강-시스템에 있어서 여성화가 갖는 함의가 있는데, 여성이 집안일 부담으로 인해서 근무할 시간이 더 적기 때문이다. 노동력의 분포가 성별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은 노동시장 역학에 중요한 함의가 있는데, 왜냐하면 여성이 남성보다 보다 유연한 커리어 경로를 따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며, 이 말은 노동시장에 진입하거나 빠져나갈 수 있는 지점이 더 많다는 뜻이다. 여성 의사와 간호사는 가족이나 치안 문제 때문에 격오지에서 근무하는 것에 더 어려움을 느낄 수도 있다.

The gender composition in admissions has a major impact on health-system performance.133 Gender stereo- types are strong between health professionalseg, women and nursing. In many countries, there is a continuing so-called feminisation of the medical workforce. Not only would gender equity enhance a society’s realisation of its full human potential, but gender might constitute an important aspect of patient- centrednesseg, female patients preferring female professionals in some societies. There are also health- system implications of feminisation, since women might have less time for work in view of the burden of home obligations. The distribution of the workforce by sex also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labour market dynamics, because women are more likely than men to follow fl exible career paths, with multiple points of entry into and exit from the workforce. Female physicians and nurses can fi nd it more diffi cult to be situated in remote regions because of family commitments and sometimes because of security considerations.

 

많은 해결책이 제시된 바 있지만 성공적인 것은 몇 없다.

Many solutions have been proposed to achieve balanced admissions, but few have been successful.


의과대학은 입학 기준을 그 국가의 사회적
/언어적/인종적 프로파일과 매칭시킬 수도 있으며, 핵심 가치와 인성(의사소통, 대인관계, 협력, 전문직으로서의 흥미) 등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Affirmative action 프로그램은 의료취약계층에서의 잠재적 지원자를 확보하기 위해 2차교육에 대한 보조와 지원을 하는 것 까지 발전될 수도 있다. 한 가지 제안은 농촌 커뮤니티에 정부 지원을 통해서 스스로 지원자를 추천하게끔 하고, 그들의 교육에 비용을 부담하게 하고, 졸업 후에 고용하는 것이다. 재정지원이 중요한데 왜냐하면 등록금이 빈곤계층의 진입장벽을 높이기 때문이며, 그 비용이 너무 커서 큰 빚을 남기기 때문이다. 또 다른 제안으로는 교육기관 자체를 취약지 지역사회에 인접하게 위치하게 하여서 학생의 모집이나 그 지역에서 전문직이 근무하는 것을 돕게끔 할 수 있다. 물론 이들 기관의 교육자원의 임계질량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에도 관심을 두어야 한다. 만약 의과대학 입학생이 모두 대도시 출신이라면, 그들이 농촌에서 근무할 가능성은 매우 낮아진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졸업생들은 일정 기간을 사회 봉사를 위해서 농촌 지역사회에 근무하게끔 배치될 수도 있다 (멕시코에서 1936년 시도한 것이며 여러 나라에서도 도입한 바있다). 선행 경험에 따르면 궁극적으로 어떤 지역에서 진료를 하게 되는가는 다양한 요인 학교의 위치, 입학 기준, 교육과정기간의 노출, 적절한 인센티브 이 있으며,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는 졸업생의 가치, 헌신, 사회적 목표가 있다.

Schools can set the criteria for admission to match the national profi le of social, linguistic, and ethnic diversity and assess key value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communication, interpersonal and collaborative skills, and professional interests.10 Affi rmative action programmes can be developed that could extend remedial support to secondary education to enlarge the eligible pool of under-represented students. One proposal would be to have rural communities, potentially with government support, select their own candidates to recommend for admission, pay for their education, and hire them after graduation. Financing is important, because tuition costs can present barriers to entry for poor people or costs can be so high as to force students to incur large debts.7,35 Another proposal is to locate educational institutions close to underserved communities to help with the recruitment of students and the retention of professionals from those areas,33 although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challenge of assuring a critical mass of educational resources in these institutions. If entering students have only urban backgrounds, the likelihood of an eventual rural work placement is very low. Even so, graduating students can be required to spend a period of social service in a rural communitya requirement that was pioneered at the medical school of the National University of Mexico in 1936, and has been adopted by many countries. Schools that have built strong social criteria into the admissions and placement processes include Escuela Latino- Americana de Medicina (ELAM) in Cuba; University of Philippines School of Health Sciences in Leyte; and Northern Ontario School of Medicine in Canada.113,134 Experience shows that the ultimate service placement of graduates is shaped by multiple factors, including school location, criteria for admissions, curricular exposure, appropriate incentives, and, most crucially, the values, commitment, and social goals of the graduating student.33,135,136

 

궁극적으로 입학 기준은 기관의 목적과 연관되며 그것을 보여주는 지표이기도 하다. 순수하게 경쟁에 따라 능력위주로만 선발하는 정책은 가장 똑똑한 학생을 선발할 수도 있다. 농촌/인종/사회문화적 구성의 균형을 맞추고자 하는 접근은 건강 평등을 이루고자 하는 그 기관의 목적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 두 가지의 입학 목표가 서로 공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실제로 많은 기관에서 이러한 여러 목적을 조화시키고 있다. 리더십은 많은 형태와 다양한 목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사회적 혜택을 받지 못한 배경을 가진 학생들이라도 우선 기회가 주어지면 경쟁에서 더 우월함을 보일 수도 있다.

Ultimately, the criteria for admission are linked to and are indicative of institutional purpose. A purely competitive merit-based admissions policy might seek to recruit the best and brightest for professional and academic leadership. Proactive recruitment to obtain balanced rural, ethnic, and sociocultural composition might express and indicate the institutional purpose of advancing health equity.33 These admission goals are not mutually incompatible. Indeed, many institutions attempt to harmonise allied purposes into a coherent admissions policy.7 Leadership can come in many forms and for diff erent purposes. Students from disadvantaged backgrounds can often excel in competitive assessments after they have been given the opportunity.113


역량 Competencies


교육과정은 그 전문직 집단의 전통/우선순위/가치를 보여주는 역사적 유물이기도 하다. 오랜 시간에 걸쳐서 교육과정은 거의 재검토되지 않아왔으며, 아주 천천히 새로운 정보에 따라서 변화되어왔을 뿐이다. 의과대학에서 교수가 가르치고 싶어하는 것에 따라서 목표를 바꾸고 그래서 목표에 따라 교육과정이 달라지는 것이 아니라 교육과정이 목표를 좌지우지하는 일은 그다지 드문 것도 아니다.

Curricula often become closely linked to historical legacy that codifies the traditions, priorities, and values of the faculty in that profession. Over time, the curriculum is rarely re-examined but is only slowly modifi ed to accommodate new information. Not uncommonly, schools change the objectives to meet what the faculty want to teach so that the curriculum drives the objectives, rather than the wished for learning objectives driving the curriculum (fi gure 9).

 

역량바탕접근법은 다음과 같은 접근.

  • specify the health problems to be addressed,

  • identify the requisite competencies required of graduates for health- system performance,

  • tailor the curriculum to achieve competencies, and

  • assess achievements and shortfalls.

A competency-based approach is a disciplined approach to specify the health problems to be addressed, identify the requisite competencies required of graduates for health- system performance, tailor the curriculum to achieve competencies, and assess achievements and shortfalls.

 

Epstein and Hundert역량은 그 전문직이 담당하고 있는 개인이나 공동체를 위하여 의사소통/지식/기술/임상추론/감정/가치/성찰을 일상적 실천에서 습관적으로, 신중하게 사용하는 것이다.”라고 했다.

Epstein and Hundert137 have stated that: “Competency is the habitual and judicious use of communication, knowledge, technical skills, clinical reasoning, emotions, values, and refl ection in daily practice for the benefi t of the individual and the community being served”.

 

역량바탕 교육과정은 전통적, 획일적 교육과정이 아니라 고도로 개별화된 학습과정을 추구한다. 이상적으로는 학생들은 여러 시기별로 역량을 성취할 수 있도록 다양한 학습활동이나 학습방법 중에서 선택을 할 기회가 있어야 한다.

Competency-based education allows for a highly individualised learning process rather than the traditional, one-size-fi ts-all curriculum.138 Ideally, students would have an opportunity to explore a range of choices in learning activities and methods that could allow them to achieve competency in variable periods.10

 

어떤 시간이나 과목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 역량을 달성하는 것이 교육과 평가의 특징을 정의하는 것이어야 한다. 일단 교육자들이 전문직 역량에 집중하기 시작하면, 더 많은 상상을 펼쳐서 건강시스템을 디자인할 수 있다. 역할과 보상이 더 잘 일치될 수 있다. 전통적인 전문직간 경계가 허물어질 수 있다. 자격증만 있으면 특정 지위를 얻을 수 있었던 전통적인 방식이 위협받을 것이다.

Attainment of specifi c competencies, not time or academic turf protection, must be the defi ning feature of the education and evaluation of future health professionals. Once educators focus on professional competencies, new opportunities emerge for a more imaginative design of health systems. Roles and compensation can be better aligned. Traditional boundaries between professions can be reduced. The pervasive trend towards credential creep between professionsie, the trend whereby the credentials required for a specifi c position are increasingcan be challenged.

 

IPE에 있어서, 건강은 팀워크를 필요로 하고, 건강시스템의 변혁에 따라서 그 중요도가 커지고 있다.

For interprofessional education, health needs team- work, and this necessity has grown in importance because of the transformation of health systems.

 

TBL은 학생들로 하여금 그룹 활동을 통해 효과적이고 협력적 학습을 준비하게끔 해주는 것이다. IPE는 둘 혹은 그 이상의 전문직 교육에 있는 학생들이 모여서 서로의 역할에 대해서 함께 배우는 것으로, 공통의 교육 의제에 대해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배우는 것이다. TBL20년 이상 비-의학 세팅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왔지만, 보건의료전문직 교육에는 비교적 최근에 도입되었다. 비록 그 개념은 단순하지만 IPE는 도입하기 쉽지 않다. 많은 수의 학생과 낮은 학생--교사 비율, 비좁은 학습시설 등은 많은 교수자들로 하여금 강의-기반 교수법을 사용하게 만든다.

Team-based learning is an instructional approach aimed at preparing students for eff ective, collaborative work within a cohesive group.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volves students of two or more professions learning together, especially about each other’s roles, by interacting with each other on a common educational agenda. Although team- based learning has been practised successfully for more than 20 years in non-medical settings, it has only been proposed recently as an instructional tool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140 Although simple in concept, inter- professional education is diffi cult to implement. Large number of students, low teacher-to-student ratios, and cramped facilities drive many instructors to the lecture- based didactic method.40

 

그러나 현실에서 팀워크는 언제나 필요했고 언제나 그 자리에 있어왔다. 그리고 과연 팀워크가 인정받아왔으며, 장려되왔으며, 우선순위였는지에 대한 의문이 있다. 중요한 것은 팀 학습과 IPE는 교실에서만 이뤄질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연구 결과를 보면 보조적 장치 공동 세미나, 공동 교과목, 공동 봉사활동, 전문직간 생활-학습 숙소 등이 있을 때 그 효과가 더 크다. 나아가서 학부에서의 IPE는 사회와 과정에 통합되어야 하며, 졸업 전과 후에 모두 학습해야 하며, 학습연속체의 한 부분으로서 학습해야 한다.

In reality, however, teamwork has always been necessary and practised, and the question has been whether it is recognised, promoted, and prioritised. Importantly, team learning and interprofessional education cannot be confi ned only to the classroom. Reports suggest greater impact with ancillary modalities including shared seminars in which cross-profession dialogue, joint course work, joint professional volunteering, and interprofessional living-learning accommodations are promoted.7,8,10,11 Furthermore, interprofessional undergraduate education should be integrated into socialisation and learning before and after graduation, as part of a continuum of learning.

 

마지막으로, 비전문-보건의료인을 포함하는 Transprofessional teamwork, 이 건강-시스템에 더욱 중요하다. 특히 기초보건인력과 보조보건인력, 행정가, 관리자, 정책입안자, 지역사회 리더와 팀워크가 중요하다.

Finally, it should be recognised that transprofessional teamwork that includes non-professional health workers might be of even greater importance for health-system performance, especially the teamwork of professionals with basic and ancillary health workers, administrators and managers, policy makers, and leaders of the local community.

 

 

 

 

 

 


 

채널 Channels

 

좋은 전문직 양성 프로그램은 모든 학습채널을 동원하여 최대의 가능성에 도달하고자 해야 한다.

Good 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mes mobilise all learning channels to their full potential:

    • didactic faculty lectures,
    • small student learning groups,
    • team-based education,
    • early patient or population exposure,
    • diff erent worksite training bases,
    • longitudinal relationship with patients and communities, and
    • the use of IT.

 

인터넷의 폭발적 성장은 힘/속도/유용성을 가져다주었다. 이제는 많은 옵션이 가능해졌다.

Explosive growth of the internet has brought power, speed, and versatility to both approaches.49 The range of options available nowadays encompass

    • internet-supplemented courses that might include online lectures, use of email, and linkages to online resources;
    • internet-dependent courses that require students to use the resources of the web;
    • and full online courses with little classroom or direct human interaction.

 


불균등한 디지털 자원의 분포를 극복하기 위한 국제적 정책은 빈곤한 사회를 도와서 이미 개발된 국가들이 겪었던 이행기를 더 빠르게 가속하거나 건너뛰도록 하는 것이다.

A global policy to overcome such unequal distribution of digital resources would go a long way towards closing gaps by empowering the poorest communities to accelerate or skip stages that developed nations transitioned through more slowly in the past.

 

핸드폰은 핵심 학습도구로서 포터블 장치의 활용의 변혁을 예고한다.

Mobile phones promise to transform the use of portable devices as a central learning tool.

 

 

IT 역시 지리적 장애물을 줄여줌으로써 전통적 교육의 접근성을 확장시킨다.

IT is also expanding access to formaleducation by reducing geographical barriers.

 

모든 기술과 마찬가지로, 건설적 변화를 유도하는 것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그 자체 아니며, '휴먼웨어'라고 불리는 기술이 가져올 기관 변화이다.

As with all technologies, the drivers of constructive change are not the hardware or software by themselves, but rather the institutional transformation that the technologies enable, including what has been called humanware (ie, human beings who operate hardware and software).

 

실제로 IT의 활용은 TfL의 동인으로서 가장 중요한 것이다. ICT의 혁신은 OCW와 같은 open education resources movement 이다.

Indeed, the use of IT might be the most important driver in transformative learning—one of the guiding notions for this report. A particularly promising aspect of the revolution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s in the open education resources movement (panel 7), with its potential to expand global access to didactic materials.147

 

IT가 학습자와 교사의 관계를 바꾼 것처럼, 보건의료전문직과 그들이 담당해야 할 대상(개인이든 사회든)들간의 관계도 바꾸고 있다. 전문직이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기여는 지식의 원료가 아니라 세밀하게 조정된 판단과 의사결정이다. 따라서 발전된 ICT는 건강전문직의 효율적 교육에만 중요한 것이 아니며, 어떤 역량이 기대되는가에 대한 변화도 가져온다. 단순하게 말하자면, 21세기 의료전문직의 교육은 사실정보를 암기하고 전달하는 것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추론기술과 의사소통 능력을 강화하는데 초점을 둬야 하며, 이를 통해서 효과적인 파트너, 촉진자, 조언자, 지원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Just as IT has changed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rners and teachers, so too is it rapidly transform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professionals and the people they serve—be it individual patients or entire communities. The professionals’ most important contribution is often fi nely-tuned judgment and decision- making skills rather than knowledge gradients. Thus,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is important not only for more effi cient education of health professionals; its existence also demands a change in expected competencies. Put simply, the education of health professionals in the 21st century must focus less on memorising and transmitting facts and more on promotion of the reasoning and communication skills that will enable the professional to be an eff ective partner, facilitator, adviser, and advocate.

 

 

 



커리어 Career pathways

 

그러나 모든 전문직은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이 있다.

But all professions, medical or otherwise, have positive and negative attributes.


Freidson은 그의 고전 저술에서 '전문직'이란 단어의 두 가지 의미에 대해서 서술했다. "직업의 특정 종류" 그리고 "공언과 약속"이다. 그 약속을 지키기 위해서 프로페셔널리즘은 "신뢰의 기반을 이루는 일련의 가치, 행동, 관계"이다. 전문직 교육은 따라서 책임감 있는 프로페셔널리즘을 함양하도록 되어야 하며, 이는 지식과 기술만으로 길러지지 않고, 정체성을 함양하고 전문직의 가치/헌신/지향을 받아들임으로써 이뤄진다. 전문직 행동/정체성/가치의 기본적 특성을 발달시키는 것은 적절한 롤모델, 팀 상호작용, 코칭, 지도, 평가, 피드백을 통해서 보다 쉽게 달성할 수 있다. 이에 맞추어 '잠재 교육과정'을 정렬시키는 것도 포함되어야 하는데, 그래야 학습환경이 전문직의 레토릭과 기술된 가치와 일관될 수 있는 것이다.

In his classical work, Freidson149 explained the two meanings of the word profession as: “a special kind of occupation” and as “an avowal or promise”. To fulfi l such a promise, professionalism “signifi es a set of values, behaviors, and relationships that underpin the trust” of the public.43 Professional education, therefore, must inculcate responsible professionalism, not only through explicit knowledge and skills, but also by promotion of an identity, and adoption of the values, commitments, and disposition of the profession.10 Development of the fundamental attributes of professional behaviour, identity, and values is eased by appropriate role models, team interactions, coaching, instruction, assessment, and feedback. Included in this process is aligning the so-called hidden curriculum, so that the learning environment is made consistent with professional rhetoric and stated values.

 

 

"전문직은 상반되는 두 가지 충동을 지닌다. 한 편으로는 민주적 사회와 자유시장경제를 향한 움직임으로서, 프로페셔널리즘은 능력이 있는 자에게 자리(career)를 약속한다. 그 반대로 전문직은 독점적이다." 건강근로자들은 이러한 프로페셔널리즘의 양면을 모두 이해해야 한다. 진입에 대한 인공적 장벽을 세우고, 특권을 보호하고, 자격증을 통해서 독점적 지위를 확보하는 배제적 힘이 아니라, 21세기의 전문직은 질을 향상시키고, 팀워크를 포용하고, 윤리를 강하게 지지하고, 환잦와 인구의 이익을 중심으로 움직여야 한다.

“Professionalism was born of contradictory impulses. On the one hand, it belongs to the movement toward a democratic society and a free market economy. Professionalism promises to open careers to talent… On the other hand, professions are monopolistic…”.150 Health workers should understand the positive and negative sides of professionalism. Far from being an exclusionary force that raises artifi cial barriers to entry, protects privileges, and promotes practice monopolies through credential creep,151 a new professionalism for the 21st century should promote quality, embrace teamwork, uphold a strong service ethic, and be centred around the interests of patients and populations.


Agency란 개개인이 특정한 사회적 맥락 속에서 의도적인 행동을 수행할 능력을 말한다. 포괄적인 교육 디자인은 전문직이 되어가는 중에 있는 학생들이 지위/권위/능력을 갖춘 변화의 에이전트로서 사회 변화를 촉진할 수 있어야 한다. 졸업생들이 어떻게 이 능력을 발휘할 것인가는 개개인에게 달린 것이다. 모든 졸업생이 사회 개혁가가 되어야 할 필요는 없지만, 전문직의 사회적 agency로서의 기능을 인위적으로 막아서도 안 될 것이다.
Agency refers to the capacity of individuals to undertake purposeful action in a specifi c social context. A comprehensive instructional design should include eff orts to endow professional students as change agents with the status, authority, and ability to promote enlightened transformation in society. How the graduate exercises this capacity is an individual prerogative. Not every professional graduate needs to be a social reformer, but artifi cial barriers should not be constructed to block the social agency of professionals.

 

 

보건전문직의 또 다른 도전과제는 도시쏠림 현상으로, 많은 사람들이 격오지나 취약집단을 대상으로 근무하고자 하지 않는 것이다. 많은 혁신적 수련 프로그램은 이 불균형을 해소하고자 설계되었다. 1943년 인도의 Bhore report는 모든 의과대학이 community or social health 관련 과를 갖추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등등.

One of the main challenges of the health professions is their urban bias and thus the reluctance of many of their members to work in remote rural areas among underprivileged populations.32,153 Many innovative training programmes have been designed to address this imbalance.

    • The 1943 Bhore report in India154 mandated that every medical school should have a department of community or social health, including compulsory coverage of three adjacent rural districts.
    • The Chinese barefoot doctors movement attempted to ensure access of remote rural populations to a skilled health worker.155 This exercise of social agency represents the best of socially responsible professionalism, and signifi es good citizenship, nationally and globally.

 

또 다른 사례는 건강과 인권이다. 건강권에 대한 UN의 첫 번째 특별 보고서는 교육과 관련한 중요성을 언급한다. "많은 건강전문직의 참여 없이 건강권을 작동시킬 가능성은 없다. 그러나 이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대부분의 건강전문직은 '건강권'이란 것에 대해서 들어 본 적도 없다. 만약 그들이 이에 대해 들어본 적이라도 있다 하더라도 무엇을 의미하는지 개념적이든 현실적이든 생각해 본 적이 없다. 건강권을 작동시키기 위해서 많은 진보가 필요하며 많은 건강전문직은 그들의 하는 일의 인권적 측면을 알아야 한다"

Another case is health and human rights. The fi rst UN Special Rapporteur on the right to health under- scored the present problem with medical education: “[T] here is no chance of operationalizing the right to health without the active engagement of many health professionals. Here, however, is a very major problem. To be blunt, most health professionals whom the Special Rapporteur meets have not even heard of the right to health. If they have heard of it, they usually have no idea what it means, either conceptually or operationally…. [I]f further progress is to be made towards the operationalization of the right to health, many more health professionals must begin to appreciate the human rights dimensions of their work.”156




Panel 7. 

Information technology and open education

Advanced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IT) has assumed an increasingly central role in postsecondary education by revolutionising access, compilation, and flow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Many innovations have been pioneered—downloading information, simulation learning, interactive teaching, distance learning, and measurement and testing.

OpenCourseWare (OCW) was first proposed by th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in 2001 and was defined as “free and open digital publication of high quality educational materials, organized as courses”.143 OCW has enabled many universities to share online their syllabi, lectures, assignments, and examinations free for others to download, modify, and use. By 2009, OCW had more than 200 member universities, with more than 6200 courses freely online attracting more than 2 million visits per month. Members include leading universities in the USA, China, Japan, Spain, Latin America, Korea, Turkey, and Vietnam, and regional networks adapted to local languages have been built in Latin America, China, and Japan.144 Johns Hopkins University Bloomberg School of Public Health started its OCW project in 2005, and is now offering 60 graduate courses online with an average of 40 000 visits per month.145 Tufts University now offers more than half its medical courses online.146

OCW is part of a broader movement for open-education resources that advocates “digitized materials offered freely and openly for educators, students and self-learners to use and reuse for teaching, learning and research”.135 OCW has the potential to transform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through provision of free and open access to all interested learners worldwide, including developing countries that are severely limited by educational resources. OCW can also promote content quality through sharing of materials for feedback and continuous improvement. In addition to organised movements, there are many grassroots efforts—eg, Connexions as open source textbooks and SuperCourse as an open-source library of lectures on global public health. Not surprisingly these non-for-profit movements face similar challenges—how to integrate the human face of learning with technology, adaptation to diverse context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reluctance over sharing, and financial sustainability.



글로벌 건강과 지역 건강

Global and local health


 

1910년의 플렉스너 보고서가 그 지역 내의 문제에 집중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는 그의 연구가 세계적 차원에서 갖는 함의를 이해하고 있었다. "이 연구가 미국과 캐나다에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수행된 것은 사실이나, 전 세계적 의과학의 발전이라는 관점에서 서술되었다" 라고 했다. 플렉스너는 핵심 유럽국가의 의학교육에 관한 1912년 보고서를 통해서 글로벌 비전을 추구하고자 했는데, 이는 기초과학과 임상과학을 연결시키는 소위 '의과대학의 플렉스너모델'이라는 형태로 전세계적으로 의과대학들이 따라하기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

Although in his 1910 report Flexner concentrated on one region, he recognised the worldwide basis and implications of his study, noting “While the work was undertaken in the desire to improve the conditions that now exist in the United States and in Canada, it has been written from the standpoint of the advancement of medical science throughout the world”.63 Flexner proceeded to pursue this global vision through his 1912 report on medical education in key countries of Europe, sparking a cascade in many medical schools worldwide that followed a so-called Flexner model of university-based professional education linking basic and clinical sciences.63


그러나 현재의 맥락은 100년전과 크게 다르다. 다양성 수준은 전혀 다르며, 전 세계적 상호의존성의 속도, 크기, 강도는 수많은 새로운 위험을 가져오고 있으며, 많은 기회를 만들어내고 있기도 하다. 국제적 불평등의 정도를 생각해보자. 국가 수입에 있어서 가장 부유한 국가와 가장 가난한 국가는 100배의 차이가 있는데, 한 사람당 건강 관련 지출을 비교하면 1000배가 차이난다.

But context nowadays diff ers substantially from that of a century ago. The richness of diversity is not entirely new, but the pace, scale, and intensity of global interdependence have brought about many new risks and opened many new opportunities. Consider the extent of global inequality. In national income, the world’s richest and poorest countries show a 100-times diff erence, but in per head health-care expenditures the gap between the richest and poorest nations is 1000-times.


 

건강과 교육시스템의 엄청난 다양성이 있을 때, 이뤄야 할 것은 다른 맥락에서 만들어진 관련성이 떨어지는 모델을 도입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적 효과성을 달성하기 위한 역량바탕 목표를 도입하는 것이다.

In view of the huge diversity of health and educational systems, the challenge is to adapt competency-based goals for local eff ectiveness rather than to adopt models from other contexts that might not be relevant.


 

높은 수준의 국제적 기준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나, 모든 기준을 도입하면 결국 부적절한 역량, 비효율적 투자, 국제 이주로 인한 졸업생 손실의 결과만 불러올 뿐이다.

Although seeking prestige and achievement of high global standards are important, the consequences of wholesale adoption are inappropriate competencies, ineffi cient investments in professional education, and the loss of graduates from the country because of international migration.

 

역량바탕 접근법에서, 전문직이 갖추어야 할 것은 그가 위치한 환경을 아는 것이다. 수행할 역할과 달성해야 할 역량은 해결해야 하는 문제, 가능한 자원, 사용가능한 진단/치료 기구를 반영해야 한다.

In a competence-based approach, the obligatory attributes of a professional have to indicate the context in which she or he operates. The roles to be undertaken and competencies to be attained have to refl ect the challenges to be addressed, the available resources, and the diagnostic and therapeutic instruments at the professional’s disposal.157


역설적으로, 글로벌헬스에 대한 필요를 강조하는 것에 일부는 지역적 적응의 필요 때문이다.

Paradoxically, the imperatives for global health are driven partly by the necessity for local adaptation.


많은 지역의 문제는 국제적 사건의 결과로 따라오는 것이다. 따라서 국제적 관점은 지역 문제의 원인과 해결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국제적 다양성을 이해하는 것은 상호학습을 통해서 지역에서의 적응력을 길러준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젊은 사람들이 스스로를 글로벌 시티즌으로서, 글로벌 건강전문직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Many apparently local problems are generated or have consequences globally. Thus, a global perspective improves understanding of the causes and solutions to local problems. Understanding of global diversity improves local adaptive capacity because of mutual learning. Most importantly, young people see themselves as global health professionals and indeed as global citizens;

 

전문직은 지식과 관련된 글로벌 공공재를 지역의 현실에 맞게 필요한 것으로 전환시키는 human-link 를 제공한다. 이 핵심적 역할은 모든 국가가 이 근본적인 질문에 답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한 국가는 어떤 종류의 건강전문직을 양성하는, 얼만큼의 수의 기관을 보유해야 하는가? 노동시장에 유입되는 전문직 학교의 졸업생이 궁극적으로 한 나라의 skill mix를 구성한다. skill mix는 한 건강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건강근로자의 패턴을 보여주며, 예컨대 간호사-의사 비율과 같은 것이다. 개발도상국에서는 skill mix는 다수의 기초/보조 보건인력을 필요로 하는데, 이것이 전문직 교육에 가지는 함의가 중요하다.

Professionals off er the human link for translation of knowledge-related global public goods to the require-ments of local realities. This crucial role makes it imperative for all countries to answer a fundamental question: how many institutions producing which type of health professionals should a country aspire to have? Professional schools produce graduates who enter a labour market ultimately contributing to a particular skill mix in a country. Skill mix describes the pattern of health workers in the health system, such as the ratio of doctorsto nurses. In developing countries, the skill mix by necessity depends on many basic and ancillary health workers; this reality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professional education

 

가장 희소한 자원을 양성하는 많은 개발도상국의 전략은 기초/보조 보건인력의 확장을 가져왔다. 여러 근거로부터 이러한 인력들이 그 인구집단의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에 큰 도움이 되며, 특히 동기부여가 된, 유능한 건강전문직이 크게 부족한 상황에서 그러하다.

Making the most of scarce resources has led many developing countries to undertake expansion of their workforce through the training of basic and ancillary health workers. Ample evidence shows that such workers can add substantially to the eff orts of improving the health of the population, especially in settings with the highest shortage of motivated and capable health professionals.42,158

 

MDG의 성취를 가속하기 위해서 많은 Donor들은 기초보건인력의 대량양성에 투자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서 많은 개발도상국은 상당한 창의성과 상상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국제적으로도 교훈을 준다.

To accelerate achievement of the MDGs, many donors have invested in the massive training of basic health workers.20 In these endeavours, many developing countries have displayed great creativity and imagination, with global lessons for all (panel 8).

 

이러한 문제의 압박 속에서 전문직 교육은 많은 국가에서 간과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전문직 교육이 비용, 시간이 많이 들고 그 지역의 질병부담에 잘 조율되지 않을 수있기 때문에 이해되지 않는 바는 아니다. 프로페셔널리즘의 부정적 측면이 전문직 교육으로부터 관심을 멀어지게 하는 이유기도 하다.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국제 이주를 통해서 빈곤국가의 역량을 떨어뜨리는 의사와 간호사들이다. 이러한 유형의 손실은 가나의 사례로부터 보여진 바 있다.

Under the pressure of these priorities, professional education has been overlooked in many countries. The neglect is to some extent understandable in view of the fact that professional education is expensive, time- consuming, and often not entirely attuned to the local disease burden. The negative aspects of professionalism have also diverted attention away from professional education. Especially troubling has been comparable credentials of doctors and nurses that has accelerated international migration with the loss of talent from poor countries. The scale of this type of loss is shown by the case of Ghana, where 61% of the 489 physicians graduating between 1985 and 1994, had migrated from the country by 1997.167

 

그러나 기초보건인력의 장기적 지속가능성은 전문직집단과의 적절한 균형, 그리고 강력한 협력적 고리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여러 근거로부터 보여진 바 있다. 많은 지역사회 의료인력이 실패한 이유는 전문직을 workforce mix에 성공적으로 포함시키지 못했기 때문이다. 전문직은 변함없이 리더, 플래너, 정책개발자의 역할을 한다. 도한 지역사회인력의 수련에 있어서 중요한 자원이기도 하다. "근거를 보면, 이들 지역사회근로자 프로그램은 더 큰 건강시스템 내에 통합되었을 때 가장 효과적이며, 더 잘 수련된 건강근로자에게 refer할 수 있으며, 단기재교육과 같이 이후 수련과 감독 기회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Yet abundant evidence shows that the eff ectiveness and long-term sustainability of basic health workers depend critically on an appropriate balance and strong collaborative linkages with professional cadres.168 Many community health worker programmes have failed because they did not successfully incorporate professionals into the workforce mix.24,42,158 Professionals invariably are the leaders, planners, and policy makers of health systems. They are also an invaluable resource for the training of community workers. “(Evidence) shows that these community worker programmes are most eff ective where they are integrated into the wider health system, they can refer on to more trained health workers, and they have the opportunity for refresher or further training and supervision.”169

 

그러나 전문직이 지역사회 의료인력과 건설적으로 협력하기 위해서는 어떤 역량을 갖추어야 하는가? 기초근로자들을 통해서 커버리지를 확장시키는 동안, 우리는 중등교육 후 교육을 통해서만이 복잡한 추론, 불확실성에 대한 대응, 다가올 변화에 대한 준비와 대응 등 건강시스템의 퍼포먼스와 지속가능성에 필수적인 여러 기능이 가능하다고 본다. 비록 리더십은 모든 수준에서 등장할 수 있지만, 건강분야에서 가장 성공적인 리더는 중등교육 후 교육을 받은 전문직이다.

But what types of competencies should professionals acquire for constructive collaboration with community health workers? In expansion of coverage through basic workers, we should recognise that only postsecondary education can endow professionals to perform complex reasoning, deal with uncertainty, anticipate and plan impending changes, and undertake many other functions that are essential for health-system performance and sustainability. Although leadership can emerge from all levels, almost all the most successful leaders of the health sector are professionals with postsecondary education. 

 

이러한 역량이 필요함.

Complementary requisite skills for these professionals should include key health-system functions such as planning, policy, and management. Especially useful is national leadership to manage the increasingly complex relationship with international agencies and donors. Equally important is the competency to train and supervise basic workers through collaborative and respectful relationships.

 

 


Panel 8. 

Professionals in community health-worker systems

Sparked by bare foot doctors in China and the more formal Behvarz primary care health workers in Iran, there have been many efforts to develop community health workers (CHW) to strengthen the formal health sector in service delivery and health promotion. Much evidence shows the benefit of CHW-based programmes for delivery of a range of services in low-income and middle-income countries. 42 and 159 Medical and nursing professionals have played a key part in rolling out and supporting such strategies, although such partnerships are poorly documented. In a systematic review of the experience of CHW programmes addressing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326 reports were identified of which only 21 (6%) had documented supervision and monitoring by trained physicians and nurses; of the reports that documented monitoring and evaluation, 21 (30%) had medical professionals in this role. 42

Some of these programmes have been implemented at large scale, such as the Lady Health Workers programme in Pakistan, reaching more than three-quarters of its rural population. Such CHW programmes have spanned a range of services and training programmes and have focused mainly on low-cost, equitable, and easily accessible health care. Generally, such programmes have served to overcome gaps and crucial shortages in human resources for health and have served as an important bridge between communities and health services.

CHW programmes in some countries with weak formal health systems—eg, Pakistan's Lady's Health Worker programme, Ethiopia's health extension programme, Mozambique's agentes polivalentes elementares programme, and Haiti's health agents/accompagnateurs—are challenged by their roles in gap filling, which require strengthening linkages and support.42 In other countries with strong formal systems—eg, Thailand's village health volunteers programme, Brazil's family health programme, Bangladesh's BRAC shastho shebika programme, and Uganda's village health teams—the linkages of supervision, referral, and support are fairly well developed. 42

The shortage of surgeons and anaesthetists in fragile health systems can be overcome by training appropriate paraprofessionals.160 There are many case of such success, but the ambitions are to greatly expand cost-effective interventions to save lives. In all contexts for primary care and surgical services, medical, surgical, and nursing-midwifery professionals have and will continue to play a crucial part in programme success.42 and 147

 

Transprofessional education 는 IPE만큼 중요하다. SSA국가의 skill mix의 예시는 비-전문직 건강팀과 함께 일할 수 있는 것을 배우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한다. 따라서, 핵심 역량은 다수의 기초/보조 보건인력으로 구성된 팀과 일하는 능력이다.

Transprofessional education might be as important as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n examination of the skill mix in selected countries of sub-Saharan African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s learning to work with non-professionals in health teams. Thus, a key professional competency is the ability to work with teams consisting largely of basic and ancillary health workers and supportive staff .

 

 

빈곤 국가의 기초 수련과 더불어 부유한 국가의 의학교육의 확장이 최근에 있다. 수십년간의 정체기를 거쳐, 다수의 미국 의과대학은 점차 늘어나는 요구에 대응하고자 한다. 글로벌 관점을 통합하기 위한 한 가지 혁신은 교육과정의 개편이다. 문화간 민감성을 가진 전문직의 양성은 점차 다양해지는 환자군을 대하는데 중요하다.

Parallel to the expansion of basic training in poor countries is the recent movement towards expansion of medical education in rich countries. After decades of stability, the number of medical schools in the USA, for example, will grow to meet increasing demand.7 One of these innovations is the integration of global perspectives in the revitalised curriculum. Education of professionals with intercultural sensitivities is important for increasingly diverse patient populations.


글로벌헬스 과목은 다른 새로운 과목과 마찬가지로 여러 도전을 맞는다. 즉, 이미 꽉 찬 교육과정에 가용 공간과 시간을 찾아내야 한다. 글로벌 헬스에 관한 독립적 과목과 수련 세션을 갖는 것도 중요하지만, 모든 과목과 실습에 글로벌 관점을 통함시키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Courses in global health face the same challenge as do all other new fi elds—ie, fi nding the space and time to be added to an over-packed curriculum. Although having distinctive courses and training sessions in global health is important, the integration of a global perspective into all courses and exercises is even more important.


새로운 분야이기에 정의, 내용, 전략이 충분히 안정되지 않았다. 어떤 사람들은 respective prefession에 한 차원을 더한 것으로 보며, 다른 사람은 국제적 관점에서 수행되는 공공보건과 동등하다고 본다. 핵심 원리에 대한 컨센서스가 점차 발전하고 있는데, universalism, global perspectives in discovery and translation, inclusion of broad determinants of health,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and comprehensive framework 등이다.

As a young fi eld, the defi nition, content, and strategies of global health have by no means been fully settled. Some see global health as an added dimension to their respective professions. Others see it as equivalent to public health studied and practised from a worldwide perspective.170 Consensus is growing about its key tenets—universalism, global perspectives in discovery and translation, inclusion of broad determinants of health,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and comprehensive framework.

 

 

전문직교육에서의 국제화에 있어 다섯 가지 특징이 있다.

Five features stand out in the globalisation of professional education. 

 

첫째는, 점차 우리가 글로벌하게 하나의 건강전문직 역량을 가지게 되어가고 있다는 인식이다.

First is the realisation that we increasingly have one global pool of health professional talent.

 

WHA는 최근 전문직의 국제 이주와 관련한 윤리강령을 승인하였다. 많은 부유한 국가들은 해외에서 간호사와 의사를 수입하여 만성적 인력 부족을 해결하려고 하며, 이 수는 더욱 늘어나고 있다. 약 미국, 캐나다, 서유럽의 대부분 국가에서 약 1/4의 의사는 해외 출신이다.

The World Health Assembly recently approved a code of conduct for the international migration of professionals.118 In many wealthy countries, the import of foreign doctors and nurses to meet chronic shortages is likely to persist and could even increase.171–174 About a quarter of physicians in the USA, Canada, and most countries of western Europe are trained overseas.171,173


두 번째는, 컨텍스트가 서로 매우 다름에도 일차의료에 대한 열망과 도전이 세계적으로 있다는 것이다. 

Second is the universal aspiration and challenges of primary health care in very diff erent contexts.

 

각 국가는 자신의 개발 상태에 따라 일차의료를 다른 관점에서 보곤 했다. 부유한 국가에서는 주로 의료취약 지역사회에 전문의사, 간호인력에 대한 접근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빈곤 국가에서 일차의료는 기초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전문직 인력을 포함한다. 빈곤 국가든 부규 국가든 일차의료는 전문직교육이 엄청나게 다른 상황들에 적응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주는 연속체와 같다. 일차의료 이슈는 수요와 공급 모두가 문제이다. 일차의료전문직을 양성하는 것은 그렇게 수련받은 전문직이 직업을 가질 수 있게 건강시스템이 만들어줘야만이 효과적이다. 공급만 염두에 둔 접근으로는 유용할 수는 있어도, 강력한 일차의료 시스템을 만들지 못한다. 예를 들어 일차의료 의사들은 일본에 매우 풍부한데, 왜냐하면 보상 시스템이 병원 전문직보다 일차의료에 보다 많은 보상을 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일본의 의사들의 진로 방향을 보면 초기에 병원 전문의로부터 시작해서 보다 수익성이 좋은 일차의료 진료로 나아간다.

Primary health care has often been seen from diff erent perspectives according to the state of development of each country. In rich countries, primary care focuses on ensuring accessibility of professional doctors, nurse practitioners, and others to all people, especially those in disadvantaged communities. In poor countries, primary care often includes non-professional workers providing basic services. In both rich and poor countries, primary care constitutes a continuum, requiring adaptation of professional educational to substantially diff erent contexts. Issues of primary care include both demand and supply challenges. Training primary care professionals can only be eff ective if the health system generates an eff ective demand that attracts such trained professionals to rewarding jobs. A supply approach alone, although useful, cannot generate a strong primary care system. For example, primary care physicians are abundant in Japan because the reimbursement system rewards primary practice more than it does hospital-based specialisation. Indeed, a typical Japanese career pro-gression is initial hospital specialisation followed by more lucrative private primary care practice.176 

 

세 번째는, 모든 건강관련 문제의 상호의존성이 커지면서 전문직 교육에 대한 함의도 높아져 가고 있는 것이다.

A third implication for professional education is underscored by our growing interdependence in all health matters.

 

오랫동안 오래동안 저소득, 중소득 국가의 부유한 사람들은 양질의 의료를 찾아 비용이 들더라도 부유한 국가를 찾아왔다. 최근 많은 환자들은 해외로 낮은 비용의 양질의 진료를 찾아서 나가며, 이는 의료관광이라 불린다. 치과 진료, 미용 외과, 첨단 외과 기술 등이 낮은 비용의 양질 진료가 되곤 한다. 어떤 국가의 병원들은 외국에서 오는 환자를 두고 경쟁을 한다. 환자를 보내는 국가에서는 전문직은 본국에서 어떻게 이러한 의료관광객의 지속적 관리를 제공할지를 고민해야 한다. 전문직간 서비스의 교환 경쟁은 매우 치열해질 것이며, 이는 서로 다른 국가에서 비슷한 의료기술을 제공할 때 그 비용이 매우 다른 경우에 더 극심할 것이다.

Long accepted in the most advanced medical centres in rich countries is the arrival of wealthy patients from low-income and middle- income countries seeking high quality, albeit expensive, medical care. Nowadays, many patients are travelling overseas for low-cost quality care in what has been called medical tourism. Low-cost services of particular attraction are dentistry, cosmetic surgery, and increasingly advanced medical and surgical procedures.177,178 Facilities in some servicing countries are seeking to compete for foreign patients who have long waits for treatment or high costs.177,179 In the sending countries, professionals will have to understand how to provide continuous manage- ment of such medical tourists at their home base. This trade in services will intensify competition between professionals of diff erent countries that have similar skills but operate with very diff erent cost structures.

 

네 번째는, 흐름은 선진국의 교육기관이 해외로 진출하여 개발도상국에 캠퍼스를 건립하기 시작한 것이다.

The fourth aspect in the globalisation of professional education is the movement abroad of schools in developed countries to establish affiliated campuses in emerging economies.

 

브랜드네임을 수출하는 여러 변형이 있다. 고소득국가의 일부 의과대학은 해외에 독립 branch를 두고 있다.

Many variants of this export ofbrand-name professional schools are underway Some medical schools from high-income countries now have independent branches overseas, and others have stationed faculties in diff erent countries worldwide.

 

 

마지막으로, 글로벌헬스는 전문직 교육에서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Finally, global health as a fi eld is expanding rapidly in professional education.

 

글로벌 헬스와 관련된 센터, 기관, 유닛, 프로그램 등이 전세계적으로 많이 생기고 있다.

Centres, institutes, units, and programmes in global health are being established worldwide;

  • the University of Cape Town in South Africa,
  • the Peking University Health Sciences Center in China,
  •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Public Health in Mexico are some notable examples in developing countries.
  • In the USA, a global health educational consortium was established in 1991, with more than 90 schools as members in the USA, Canada,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 In 2008, several major US schools established a Consortium of Universities for Global Health that now includes more than 60 universities.180

 

빈곤 국가나 부유한 국가의 전문직 교육 전략은 지역적 문제에 최적화하면서 지식과 자원의 transnational flow를 최대한 이용하는 것이다. 빈곤 국가는 비록 경제적으로는 제약이 있지만,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저비용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으며, 전문직에 대한 자격증에 대해서 덜 제약을 받는다. 그들의 혁신은 모든 국가에게 교훈이 되곤 한다. 부유한 국가는 국제적 관점을 졸업생의 핵심 역량으로 통합시키고 있다. 외국에서 수련받은 의사의 지속적인, 진료-중 교육은 국가 내 교육의 중요한 부분이 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부유한, 빈곤한 국가의 많은 젊은 전문직이 해외에서의 진료를 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단기의 방문객은 짐이 되겠지만, Global Health Corps를 통해서 적절히 조직된다면 많은 젊은 전문직이 빈곤국가가 필요로 하는 가장 중요한 자산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적극적인 학생 교환이 공감과 상호의존적이면서도 극도로 불평등한 세계가 지극히 원하는 유대감을 강화시킬 수도 있다.

The strategy for professional education in poor and rich countries is to optimise local problem solving while harnessing the benefi ts of transnational fl ows of knowledge and resources. Poor countries, although economically constrained, are compelled to search for low-cost solutions to achieve aims, and are less constrained by professional credentialling. Their innovations provide learning opportunities to all countries. Rich countries are integrating global perspectives into the core competencies of their graduates. The continuing and in-service education of foreign-trained professionals should be regarded as important as domestic education. Finally, we should recognise that many young professionals in both poor and rich countries are keen to off er their services overseas. Short-term visitors can be a burden, but, if action is properly organised in a Global Health Corps (a programme for sending young professionals for service abroad), many young professionals can join in development eff orts or provide one of the most precious assets that poor communities require—ie, professional teachers to assist in the education of both professionals and basic health workers.130 Active student exchange can strengthen the bonds of empathy and solidarity that an interdependent but highly inequitable world so greatly needs.


두 번째 100년을 위한 개혁

Section 3: reforms for a second century

 

건강은 사람에 대한 것이다. 전문직 교육을 이끌어나가는 핵심 목적은 건강시스템의 퍼포먼스를 강화하여 더 평등하고 효율적 방식으로 환자와 인구집단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Commission은 기관과 교육의 문제가 이러한 부족/불균형/불균등분포를 악화시키고 있다고 결론내렸다. 기관은 질병부담이나 건강시스템의 요구에 따라 맞춰져 있지 않다. 양적 부족은 영리를 추구하는 의과대학을 만들어내고 있으며, 이 때문에 인증과 자격증명 절차가 전 세계적으로 불균등하게 시행되고 있다. 전문직 교육에 대한 재정 지원은 고도의 능력과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특성을 고려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더 문제는, 교육 혁신을 위한 연구와 개발이 불충분하여 교육의 지식기반을 만들기에 불충분하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기관은 충분히 바깥을 내다보지 못하고 네트워킹과 연결성이 상호-강화적 힘이 있다는 것을 간과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일차의료에서 특히 두드러지는데, 빈곤국과 부유국을 가리지 않는다. 그러나 기회는 나타나고 있다. 교육 디자인은 제3세대 개혁에 임박해있고, 새로운 교육 도구를 통해 팀워크 역량을 강화하여 건강시스템의 퍼포먼스를 강화시킬 수 있다. 교육 개혁과 기관 개혁의 핵심에는 변화하는 지역 맥락에 적응하면서 정보/지식/자원의 transnational flow의 힘을 활용하는 것에 있다.

Health is about people; thus, the core driving purpose of professional education must be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health systems for meeting the needs of patients and populations in an equitable and effi cient manner. Our Commission concluded that institutional and instructional shortcomings are leading to shortages, imbalances, and maldistribution of health professionals, both within and across countries. Institutions are not well aligned with burdens of disease or the requirements of health systems. Quantitative defi ciencies are driving the growth of for-profi t proprietary schools, thereby challenging accreditation and certifi cation processes that are unevenly practised worldwide. Financing for professional education is very feeble in a talent-driven and labour-intensive industry. To make matters worse, investment in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educational innovations is insuffi cient to build a sound knowledge base for education. Most institutions are not suffi ciently outward looking to exploit the power of networking and connectivity for mutual strengthening. The breakdown is especially noteworthy for primary care, in both poor and rich countries. But opportunities are emerging. Instructional design might be at the threshold of a third generation of reforms that could enhance the performance of health systems through specifying competencies for teamwork empowered by new pedagogic instruments. Central to both institutional and instructional reform is adaptability to address changing local contexts while harnessing the power of transnational fl ows of information, knowledge, and resources.

 

빈곤한 국가에서 가장 큰 과제는 미해결된 과제를 해결하여, 건강 성취의 수용 불가능한 격차를 극복하는 것이다. 여기에 필수적인 요소는 모든 사람들에게 도달 할 수 있는 인력팀을 만들기 위한 지역과 국가의 리더십 전문직 교육에 수용하는 것이다. 부유한 국가에서의 과제는 건강전문직이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앞으로 등장할 문제를 대비하는 것이다. 그러나 해결되지 못한 과제를 넘어서, 가난한 국가는 먼저 새롭게 등장하는 위협과 싸워야 하며, 그리고 이에 더해서 부유한 국가는 건강에 대한 내부적 불평등과 싸워야 한다. 빈곤 국가와 부유한 국가가 마주한 과제는 글로벌 연속체의 일부분이며, 이 연속체의 특징은 사회적 화합을 위협하는 불평등과 공동-학습의 기회를 창조하는 다양성에 있다.

For poor countries, the most pressing challenge is to tackle an unfi nished agenda, so that the unacceptable gaps in health achievement can be overcome. A crucial factor in this endeavour will be the successful adaptation of professional education for local and national leadership in workforce teams that are capable of extending reach to all people. For rich countries, the challenge is to equip health professionals with competencies to tackle current problems while anticipating emerging problems. But beyond the unfi nished agenda, poor countries must also grapple with newly emerging threats, and in addition to emerging problems, rich countries must also struggle with persisting internal inequalities in health. Challenges facing poor and rich countries are parts of a global continuum marked both by inequality that threatens social cohesion and by diversity that creates opportunity for shared learning.

 

 


 

비전

Vision

 

극도로 상호의존적인 건강시스템에서 모든 사람과 국가는 하나로 묶여 있으며, 전문직교육의 과제는 이 상호의존성을 반영하는 것이다. 모든 국가는 자신의 전문직 인력 양성을 통해 지역의 문제를 해결해야 하면서 , 동시에 많은 건강인력은 공동의 글로벌 역량-풀을 형성한다.

All peoples and countries are tied together in an increasingly interdependent global health space, and the challenges in professional education refl ect this interdependence. Although all countries have to address local problems through building their own professionalworkforce for their health system, many health workers participate in a common global pool of talent

 

당연히, 공동의 전문직-글로벌-풀은 정치적 경계와 국가 내에서의 전문직 자격증으로 의해 분리되어 있다. 그러나 그 경계를 넘는 것은 이미 상당히 일어나고 있으며, 점차 늘어나서 모든 국가에서 교육 내용, 체널, 역량에 영향을 줄 것이다. 개별 전문직은 전부 나름의 특징이 있고, 그 전문직집단의 핵심 역량이라고 할 수 있는 기술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전문성을 팀으로 모아서 효과적인 환자-중심, 인구-기반 건강 업무를 할 수 있게 만들어야 한다. 더 나아가서 서로 다른 전문직간 '직무 역량의 벽'은 매우 구멍이 많아서 직무-이동과 직무-공유를 통해서 실질적인 건강성과를 가져올 수 있게 하며, 이는 고립된 역량으로는 불가능한 것이다.

Of course, the common global pool of professionals and other health workers is divided by political borders and professional certifi cation within nation states. Yet cross-border fl ow of professional workers, patients, and health services is already substantial and will grow to aff ect educational content, channels, and competencies in all countries. Individual professions might have distinctive and complementary skills that could be considered the core of their special niche. But there is an imperative for bringing such expertise together into teams for eff ective patient-centred and population-based health work. Moreover, the walls between task competencies of diff erent professions are porous, allowing for task shifting and task sharing to produce practical health outputs that would not be possible with sealed competencies.


이 글로벌-풀 에서 중등교육 후 교육을 받은 전문직은 특히 특권층이며, 왜냐하면 그들의 수련이 시간/노력/투자를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전문직은 따라서 단순히 기술적 업무를 수행할 기능을 넘어서는 역량을 습득할 특별한 책무가 있다.

In this global pool, professionals with postsecondary education are especially privileged because their training commanded much time, eff ort, and investment Professionals, therefore, have special obligations and responsibilities to acquire competencies and to undertake functions beyond purely technical tasks

 

새로운 세대를 향한 우리의 비전은 TfL과 교육의 상호의존성을 실현시킬 것을 요구한다. 20세기 초의 개혁이 germ theory와 근대 의과학의 성립으로부터 진보를 이룬 것처럼, 우리 Commission역시 지식과 정보의 국제적 흐름의 힘으로부터 일어나는 구체적 컨텍스트의 역량에 대한 적응이 미래를 만들어갈 것이라 생각한다.

Our vision calls for a new era of professional education that advances transformative learning and harnesses the power of interdependence in education. Just as reforms in the early 20th century were advanced by the germ theor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modern medical sciences, so too our Commission believes that the future will be shaped by adaptation of competencies to specifi c contexts drawing on the power of global fl ows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우리의 목표는 국가나 전공에 무관하게 건강전문직에게 미래에 대한 공동의 글로벌 비전을 가질 것을 권한다. 이 비전에서 모든 국가의 모든 건강전문직은 지역적으로 책임감 있는, 그리고 글로벌하게 서로 연결된 팀으로서 지식을 동원하고, 비판적 추론을 하며, 윤리적으로 행동함으로써 환자-중심, 인구-중심 보건시스템에 참여할 수 있게 유능해야 한다. 궁극적인 목적은 양질의 포괄적 진료에 대한 유니버설-커버리지를 확보하는 것으로, 국가 내, 그리고 국가 간 건강 평등을 한걸음 더 나아가게 하는 것이다.

Our goal is to encourage all health professionals, irrespective of nationality and specialty, to share a common global vision for the future. In this vision, all health professionals in all countries are educated to mobilise knowledge, and to engage in critical reasoning and ethical conduct, so that they are competent to participate in patient-centred and population-centred health systems as members of locally responsive and globally connected teams. The ultimate purpose is to assure universal coverage of high-quality comprehensive services that are essential to advancing opportunity for health equity within and between countries.

 

이 비전을 실행하려면 일련의 교육적, 기관적 개혁이 필요하다. 우리는 이를 위한 두 개의 성과를  제안했다. 하나는 TfL이며, 다른 하나는 교육의 상호의존성이다. TfL은 다양한 교육 이론으로부터 도출된 바 있다. 비록 서로 다른 의미로 쓰이긴 했으나, 우리는 이것을 세 가지 연속적 수준의 가장 상위 개념으로 본다.

Undertaking of this vision requires a series of instructional and institutional reforms, which in our proposal are guided by the two outcomes suggested in section 1—ie, transformative learning and inter- dependence in education (fi gure 11). The notion of transformative learning derives from the work of several educational theorists, notably Freire181 and Mezirow.182 Although it has been used with diff erent meanings,183 we see it as the highest of three successive levels, moving from informative to formative to transformative learning (table 3).

 

  • Informative learning is about acquiring knowledge and skills; its purpose is to produce experts.
  • Formative learning is about socialising students around values; its purpose is to produce professionals.
  • Transformative learning is about developing leadership attributes; its purpose is to produce enlightened change agents.

 

Eff ective education builds each level on the previous one.

 

TfL은 하나의 중요한 성과로서, 세 가지 근본적 변화를 동반해야 한다.

As a valued outcome, transformative learning involves three fundamental shifts:

  • from fact memorisation to critical reasoning that can guide the capacity to search, analyse, assess, and synthesise information for decision making;
  • from seeking professional credentials to achieving core competencies for eff ective teamwork in health systems; and
  • from non- critical adoption of educational models to creative adaptation of global resources to address local priorities.

 

상호의존성은 시스템적 접근법의 핵심 요소이며, 왜냐하면 다양한 요소들이 - 그들이 서로 동등하다고 미리 가정하지 않고 - 서로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성과로서, 교육의 상호의존성은 세 가지 변화를 필요로 한다.

Interdependence is a key element in a systemic approach because it underscores the ways in which various components interact with each other, without presupposing that they are equal. As a desirable outcome, interdependence in education also involves three shifts:

  • from isolated to harmonised education and health systems;
  • from stand-alone institutions to worldwide networks, alliances, and consortia; and
  • from self-generated and self-controlled institutional assets to harnessing global fl ows of educational content, pedagogical resources, and innovations.



Panel 9. 

Proposed reforms

Instructional reforms should encompass the entire range from admission to graduation, to generate a diverse student body with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at, through the creativ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prepares students for the realities of teamwork, to develop flexible career paths that are based on the spirit and duty of a new professionalism.

1

Adop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a that are responsive to rapidly changing needs rather than being dominated by static coursework. Competencies should be adapted to local contexts and be determined by national stakeholders, while harnessing global knowledge and experiences. Simultaneously, the present gaps should be filled in the range of competencies that are required to deal with 21st century challenges common to all countries—eg, the response to global health security threats or the management of increasingly complex health systems.

2

Promotion of interprofessional and transprofessional education that breaks down professional silos while enhancing collaborative and non-hierarchical relationships in effective teams. Alongside specific technical skills, interprofessional education should focus on cross-cutting generic competencies, such as analytical abilities (for effective use of both evidence and ethical deliberation in decision making), leadership and management capabilities (for efficient handling of scarce resources in conditions of uncertainty), and communication skills (for mobilisation of all stakeholders, including patients and populations).

3

Exploitation of the power of IT for learning through development of evidence, capacity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imulation and testing, distance learning, collaborative connectivity, and management of the increase in knowledge. Universities and similar institutions have to make the necessary adjustments to harness the new forms of transformative learning made possible by the IT revolution, moving beyond the traditional task of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more challenging role of developing the competencies to access, discriminate, analyse, and use knowledge. More than ever, these institutions have the duty of teaching students how to think creatively to master large flows of information in the search for solutions.

4

Adaptation locally but harnessing of resources globally in a way that confers capacity to flexibly address local challenges while using global knowledge, experience, and shared resources, including faculty, curriculum, didactic materials, and students linked internationally through exchange programmes.

5

Strengthening of educational resources, since faculty, syllabuses, didactic materials, and infrastructure are necessary instruments to achieve competencies. Many countries have severe deficits that require mobilising resources, both financial and didactic, including open access to journals and teaching materials. Faculty development needs special attention through increased investments in education of educators, stable and rewarding career paths, and constructive assessment linked to incentives for good performance.

6

Promote a new professionalism that uses competencies as the objective criterion for the classification of health professionals, transforming present conventional silos. A set of common attitudes, values, and behaviours should be developed as the foundation for preparation of a new generation of professionals to complement their learning of specialties of expertise with their roles as accountable change agents, competent managers of resources, and promoters of evidence-based policies.

Institutional reforms should align national efforts through joint planning especially in the education and health sectors, engage all stakeholders in the reform process, extend academic learning sites into communities, develop global collaborative networks for mutual strengthening, and lead in promotion of the culture of critical inquiry and public reasoning.

7

Establishment of joint planning mechanisms in every country to engage key stakeholders, especially ministries of education and health, professional associations, and the academic community, to overcome fragmentation by assessment of national conditions, setting priorities, shaping policies, tracking change, and harmonising the supply of and demand for health professionals to meet the health needs of the population. In this planning process,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sex and geography. As the proportion of women in the health workforce increases, equal opportunities need to be in place—eg, through more flexible working arrangements, career paths that accommodate temporary breaks, support to other social roles of women such as child care, and an active stance against any form of sex discrimination or subordination. With respect to geographical distribution,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recruitment of students from marginalised areas, offering financial and career incentives to providers serving these areas, and deploying the power of IT to ease professional isolation.

8

Expansion from academic centres to academic systems, extending the traditional discovery-care-education continuum in schools and hospitals into primary care settings and communities, strengthened through external collaboration as part of more responsive and dynamic professional education systems.

9

Linking together through networks, alliances, and consortia between educational institutions worldwide and across to allied actors, such as governments, civil society organisations, business, and media. In view of faculty shortages and other resource constraints, every developing country is unlikely to be able to train on its own the full complement of health professionals that is required. Therefore, regional and global consortia need to be established as a part of institutional design in the 21st century, taking advanta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 aim is to overcome the constraints of individual institutions and expand resources in knowledge, information, and solidarity for shared missions. These relations should be based on principles of non-exploitative and non-paternalistic equitable sharing of resources to generate mutual benefit and accountability.

10

Nurturing of a culture of critical inquiry as a central function of universities and other institutions of higher learning, which is crucial to mobilise scientific knowledge, ethical deliberation, and public reasoning and debate to generate enlightened social transformation.


목표 달성을 위한 행동원칙

Enabling actions


앞의 열 가지 주요 교육개혁과 기관개혁 중 6개는 교육개혁, 4개는 기관개혁

The ten major educational reforms in instruction and institution are prioritised and presented in panel 9. Six are in instruction and four are in institutional reforms.

 

 

 


리더십을 확보하라

Mobilise leadership

 

전문직교육에서 리더십은 학계와 전문직 집단에서 오는 것이 확실하긴 하나, 자원의 분배에 대한 의사결정이 필요할 때는 정부나 사회의의 다른 부분에 속한 정치지도자의 지원이 필요하다.  모든 수준의 지도자들의 포괄적 참여는 필수적이다 .

Leadership in professional education should certainly come from within the academic and professional communities, but it should also be backed by political leadership in other parts of government and society when decisions aff ecting resource allocation to health are made. This broad engagement of leaders at all levels— local, national, and global—will be crucial to energise instructional and institutional reforms.


Philanthropic leadership clearly sparked the breakthrough reforms of the 20th century and has the opportunity to do so again. The 20th century revolution in professional education and its eff ect on health were among the most lasting contributions of foundations such as Rockefeller, Carnegie, and others. Foundations have the capacity, agility, and venture catalytic fi nancing that could spark a new wave of reforms in the second century. 


Ministerial summits hosted by the two key UN agencies responsible for leadership in this area— WHO and UNESCO—could bring together ministers of health and education to share perspectives, develop modalities for stronger intersectoral coordination, and launch country-based stakeholder consultations as a key component of joint planning mechanisms. 


National forums for professional education should be tested in interested countries as a way to bring together educational leaders from academia, professional associations, and governments to share perspectives on instructional and institutional reform. 


Academic summits could be considered to engage the support of the wider university leadership as a crucial factor for success of reform eff orts in schools and departments that are directly responsible for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투자를 확충하라

Enhancement of investments

 

이 지식-유도 시스템에는 전체 매출의 2%도 안되는 비용만 투자해서 가장 유능한 인력으로 키워내기에는 부족할 뿐만 아니라 현명하지 못하다. 이러한 현실이 나머지 98%의 지출을 위협에 빠뜨리고 있다. 엄청난 재정 부족은 건강시스템 퍼포먼스에 해악을 끼치는 많은 교육적 부족부분을 설명해준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면, 모든 국가와 기관은 전문직 교육에 들어가는 비용을 향후 5년간 두 배 가량 증가시켜야 하는데, 이것은 효과적이고 지속가능한 건강시스템의 없어서는 안 될 기여분이다. 그러나 재정을 확보하는 것 외에도 동시에 쓸데없는 낭비와 비효율을 찾아서 제거해야 하며, 질과 평등의 향상을 위해서 인센티브가 도입되어야 한다.

For a knowledge-driven system, investing less than 2% of total turnover in the development of its most skilled members is not only insuffi cient but unwise, putting the remaining 98% of expenditures at risk. Gross underfi nancing explains much of the glaring educational defi ciencies that do so much harm to health- system performance. In view of these realities, every country and agency should consider doubling its investments in professional education over the next 5 years as an indispensable contributor for eff ective and sustainable health systems. However, it is not only a matter of requesting more funding for professional education. At the same time, wastage and ineffi ciencies should be identifi ed for best possible use of current allocations, and incentives should be introduced to advance quality and equity.


Public fi nancing is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sustainable funding in all countries, poor or rich. Such investments should be allocated to develop a skill mix that is appropriate to national contexts. Because of its importance, every eff ort should be made to increase not only the level but also the effi ciency of public fi nancing. In addition to aggregate fi nancial estimates, the set of incentives generated need to be understood by the way in which investment fl ows and subsidies are allocated to each educational institution. All too often public subsidies are insen- sitive to performance. Performance-based fi nancing through scholarships, vouchers or awards, and improved systems for quality monitoring and assurance, should be introduced and evaluated. 


Donor funding for professional educ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should increase to become a signifi cant share of development assistance. After decades of almost exclusive focus on primary education by the development community, new demographic, social, and economic realities make attention to secondary and postsecondary education in low-income countries imperative. The neglect by donors has been short-sighted, since it has not taken into account the human capacity that is needed for eff ective and sustainable health systems. Such neglect is remarkable since most decision makers in bilateral and multilateral agencies (and in recipient countries) have professional degrees themselves, because otherwise they would not be credible leaders of their respective organisations. We need to end this inconsistency and translate into suffi cient investments the unavoidable fact that, especially in the most resource-constrained systems, high-quality pro- fessional leadership is crucial for progress. 


Private fi nancing should be welcomed under a clear set of ground rules to optimise health returns. Private funding is necessary because public sources cannot meet all gaps and because professional education is at least partly a private investment on the part of students and their families. Private funding in the professional education marketplace, in view of global shortages, seems to be increasing, as shown by the explosive growth of proprietary nursing and medical schools for labour export. There are genuine hazards of a de-Flexnerisation process of unregulated, unaccredited, and low-quality schools, which calls for greater transparency and oversight—both nationally and globally.




인증을 정렬하라

Alignment of accreditation

 

모든 국가는 인증, 면허, 건강목표가 정렬되어 나아가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목표, 준거, 평가, 인증절차를 만든느데 관련된 이해관계자를 참여시켜야 한다. 정부/전문직 집단/학계가 반드시 참여해야 한다. 교육과 기관 준거를 모두 포함해야 한다.

All countries should progressively move to align accreditation, licensing, and certifi cation with health goals through engaging relevant stakeholders in setting objectives, criteria, assessment, and tracking of accreditation processes. The engagement of government, professional bodies, and the academic community is essential. Accreditation should be based on both instructional and institutional criteria.


National accreditation systems should develop criteria for assessment, defi ne metrics of output, and shape the competencies of graduates to meet societal health needs. 


Global cooperation should be promoted by relevant bodies, including WHO, UNESCO,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World Federation of Public Health Associations, and others, to help in setting standards that can function as global public goods, assist countries in developing the capacity for local adaptation and implementation, facilitate information exchange, and promote shared responsibilities for accreditation as required by the imperative of protecting patients and populations in the face of a globally mobile health workforce.



글로벌 학습을 강화하라

Strengthening of global learning

 

전문직 교육의 학습시스템은 아직 약하고 재정이 부족하다. 연구와 개발을 위한 경비는 미미하며, 대부분은 분절된 형태로, 반복적인 기관의 지출 중 일부를 전환하는 형태이다. 그러나 연구와 개발 없이 혁신은 있을 수 없으며, 아직은 극도로 낮은 수준일지라도 건강전문직교육에서 나오는 매출은 지금보다 연구와 개발에 더 많은 투자를 생성해야 한다.

Learning systems on professional education are weak and underfi nanced. Outlays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is fi eld are very meagre, mostly fi nanced in a fragmented manner by diverting resources from recurrent institutional expenditures. Yet innovation cannot fl ourish in the absen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Even at its relatively low levels, the turnover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should generate much larger investments in research and development than is the case at present.


Metrics on professional education must be defi ned, gathered, assembled, analysed, and made widely available. 


Evaluation is central to shared learning about what has worked, what has not worked, and why—the knowledge foundation of all enterprises. Every reform eff ort, from the design phase to implementation, should be evaluated so that an evidence base on best practice can be disseminated and poor nations can be enabled to substantially advance in the adaptation of innovations. 


Research in professional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so that the fi eld steadily builds the knowledge required for continuous improvement.



The way forward

 

궁극적으로, 개혁은 당면한 과제를 인정하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찾는다는 마음가짐에서 시작해야 한다. 100년 전과의 차이는 없으며, 교육 개혁은 리더십, 관점, 업무 형태의 변화를 필요로 하며 모든 이해관계자간 좋은 관계가 전제되어야 한다.

Ultimately, reform must begin with a change in the mindset that acknowledges challenges and seeks to solve them. No diff erent than a century ago, educational reform is a long and diffi cult process that demands leadership and requires changing perspectives, work styles, and good relationships between all stakeholders.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의 권고를 도입하는 것은 모든 이해관계자를 건강시스템 강화를 위한 조화된 노력의 한 부분으로 참여시키려는 글로벌 사회 움직을 통해서 시작될 수 있다.

Most importantly, implementation of our recommen- dations can be propelled by a global social movement engaging all stakeholders as part of a concerted eff ort to strengthen health systems.

 

또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이러한 진전이 지식이 원료가 되어, Louis Menand가 적절히 필요한 바로 이 가치를 인식하는 것을 프로페셔널리즘의 핵심 역할이 되어야 한다. "지식의 추구, 생산, 전파, 보존은 문명화된 사회의 핵심 활동이다. 지식은 사회적 기억이며, 과거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사회의 희망이면서 미래를 위한 투자이다. 인간의 적응력이란 지식을 생성하고 이것을 활용하는 능력이다. 이것이 우리가 사회적 존재로서 우리 스스로를 재생성하는 길이며, 우리가 변화하는 길이다. 바로 발은 땅에 딛고 머리는 구름 속에 두는 것이다"

Of necessity, such progress will be fuelled by knowledge, giving professionals an essential role in the realisation of the value so aptly expressed by Louis Menand: “The pursuit, production, dissemination, and pres erva- tion of knowledge are the central activities of a civilization. Knowledge is social memory, a connection to the past; and it is social hope, an investment in the future. The ability to create knowledge and put it to use is the adaptive characteristic of humans. It is how we reproduce ourselves as social beings and how we change—how we keep our feet on the ground and our heads in the clouds.”151

 

 

 

 







 2010 Dec 4;376(9756):1923-58. doi: 10.1016/S0140-6736(10)61854-5. Epub 2010 Nov 26.

Health professionals for a new centurytransforming education to strengthen health systems in aninterdependent world.

Author information

  • 1Harvard Schoolof Public Health, Office of the Dean, Kresge Building, Room 1005, 677 Huntington Avenue, Boston, MA 02115, USA. jfrenk@hsph.harvard.edu
PMID:
 
21112623
 
[PubMed - indexed for MEDLINE]






학습하는 문화 만들기: 개인, 팀, 조직을 위한 12가지 팁(Med Teach, 2009)

Developing a learning culture: twelve tips for individuals, teams and organizations

Lynn Stinson, David Pearson & Beverley Lucas




"조직문화는 학습과정의 모든 단계에서 핵심적이다" NHS Policy in England의 목적은 "성공과 혁신을 칭찬하고 격려하는 문화, 과거의 실수를 인정하고 그러부터 배우는 문화를 만드는 것이다."

‘‘Organizational culture is central to every stage of the learning process’’ (Department of Health, 2000). The aim ofthe National Health Service (NHS) Policy in England is ‘‘to create a culture in the NHS which celebrates and encourages success and innovation . . . a culture which recognises . . . [the] scope for acknowledging and learning from past mistakes’’ (Department of Health, 1998). This is


다른 영국의 의료사고에 대한 보고서와 조사결과를 보면 비슷한 결론을 내리고 있는데, 즉 팀워크의 부족과 조직의 학습문화 결여가 최악의 경우 생명을 위태롭게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Reports and inquiries on other recent UK medical tragedies/incidents have led to a similar conclusion that lack of teamwork arising from a lack of learning culture in organizations can, at worst, cost lives (Shipman 2000; Victoria Climbie´ Inquiry, 2003). Inquiry,


학습조직은 그 구성원이 지속적으로 그들이 진정으로 바라는 결과를 만들기 위한 역량을 확충하고, 새롭고 광범위한 패턴의 사고를 배양하며, 집단의 열망을 자유롭게 하여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어떻게 함께 배워나갈 수 있는지'를 배우는 조직이다.

Learning organizations are a place where people continually expand their capacity to create the results they truly desire, where new and extensive patterns of thinking are nurtured, where collective aspiration is set free and where people are ‘continually learning how to learn together’. (Senge, 1990). 





평생학습의 필요와 가치를 인식하라

Tip 1 Value and recognize the need for lifelong learning


모든 의료전문직이 CPD 활동에 참여하나, 이것이 단기적 고립된 활동이 되어서는 안된다.

Whilst all regulated healthcare professionals are involved in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CPD) activities,these should not be viewed as isolated one-off activities.


자기자신과 자기자신의 개발욕구를 가치롭게 여기라. 

Value yourself and your development needs. Consider whether your (potential) organization gives pro- tected time for learning, pays for courses or conferences, or has a system of appraisal and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Plans (PDPs).


학생 간 능동적 학습 에너지를 장려하라

Tip 2 Energize active learning amongst students


TD는 교육과정이 반드시 학생들이 자기주도학습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하고 도와야 한다고 언급한다. 교육기관이나 임상환경에서 학습문화를 만드는 것은 성찰적 교수-학습 전략을 필요로 하며, 여기에는 동료그룹 토론과 저널의 활용 등이 있다. 교육과 진료 환경에서 학습문화를 전문직 훈련과 직업적 사회화를 촉진하는 핵심 요소로 보아야 한다.
Tomorrow’s Doctors (GMC, 2002) recommends that the curriculummust motivate students and help them to acquire the skills required for self-directed learning. The development of a learning culture within both educational establishments and related clinical environments will require refl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such as peer-group discussion and the use of journals. It is therefore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the learning culture within academic and practice environments as a key factor in facilitating professional training and occupational socialization.

자기인식을 개발하라

Tip 3 Develop self-awareness


스스로를 인식하고 피드백과 다른 사람의 생각에 개방적인 자세를 가지는 것은 성공에 필수적이다. 지속적으로 무엇이 우리에게 중요한지를 대응적 자세가 아니라 창의적 자세로 밝혀나가야 한다. 학생, 교육자, 의사들이 스스로에 대해서 더 알수 있게 지원하기 위한 도구들은 관리자나 멘토, 360도 피드백, 개인/전문직 개발 계획 등이 있다.

The need to be self-aware, and open to feedback and to others’ ideas is critical for success, with the ability continuously to clarify what is important to us from a creative rather than reactive viewpoint. Tools to support students, educationists and practitioners to learn more about themselves include having and using a supervisor or mentor, 360 and utilizing appraisal feedback, and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plans.


새로운 생각에 열려있으라

Tip 4 Be open to new ideas


Senge는 무엇을 할 것인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Mental model을 언급했다. 왜냐하면 그것이 우리가 보는 것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서로 다른 Mental model을 가진 두 사람은 같은 사건을 보면서도 다르게 묘사한다.

Senge (1990) describes mental models (see Box 1) as being powerful in affecting what we do, because they affect what we see. Two people with different mental models can observe the same event and describe it differently because they have looked at different details.


Mental Model을 가지고 작업하는 것은 거울을 자신의 내면으로 돌려놓는 것과 같다. 내 안의 세상이 어떠한지를 발견하고, 그것을 표면으로 가져와서 이것을 가지고 면밀하게 조사하는 것이다.

The discipline of working with mental models starts with turning the mirror inwards: learning to unearth our internal pictures of the world, to bring them to the surface and hold them up rigorously to scrutiny.


조직 내에서 좋은 실천을 공유하는 것은 더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촉진하며, 좋은 사례가 고립된 사건으로 존재하는 것을 방지한다. 흔히 보는 사례로 새로운 이니셔티브를 개발하기 위해서 시간과 노력을 쏟았음에도 그것이 이미 조직의 다른 부서에 일어나는 일인 경우가 있다.

Within the organization, sharing of good practice examples facilitates more effective communication and learning that should go some way to preventing isolated examples of good practice that are unknown to the rest of the organization. The often-familiar case of individuals devoting time and energy to developing a new initiative, only to find that it is already happening within another part of the organization, should be a thing of the past.



학습을 위한 시간을 만들라

Tip 5 Make time for learning


어떤 개인적 가치를 추구할 것인지, 어느 정도를 자신의 개인적 학습에 사용할 것인지 등을 계산하며 학생과 의사 모두 학습의 가치를 알 필요가 있다. 그리고는 그러한 시간을 우선순위에 두는 것에 대해 확신이 있어야 한다.

Students and practitioners need to value learning, by working out their personal values and what time they need to allocate to their personal learning, and then be assertive about prioritizing that time.


팀, 부서, 조직이 학습을 위해 보장된 시간을 제공해야 한다.
Tip 6 Teams, departments and organizations should provide protected time for learning 


만약 조직이 구성원으로 하여금 개인적으로, 집단적으로 학습하게끔 만들고 싶다면 학습 시간이 보장되어야 한다. Senge는 "조직은 학습하는 개인을 통해서만 학습한다. 개인의 학습은 조직의 학습을 보장해주지는 않지만, 그것이 없이는 조직의 학습이 일어날 리 만무하다."
If an organization wants to encourage its peopleto learn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learning time mustbe ‘protected’. Senge (1990, p. 39) states that ‘‘organizationslearn only through individuals who learn. Individual learningdoes not guarantee organizational learning. But without it, noorganizational learning occurs.’’ 

조직이든 개별 부서든 피어-리뷰, PDP, 360도 평가 등을 도입해서 팀워크를 촉진하며 상호간 존중과 공동의 비전을 달성해야 한다.

Organizations, or individual depart- ments, could introduce peer review, PDPs and/or 360 appraisal, which would, in turn, help foster team work, mutual interprofessional respect and shared vision.



팀, 조직, 부서의 공동의 비전을 개발하라

Tip 7 Develop a shared team, departmental or organizational vision


조직 내 비전을 공유함으로써 조직의 다양해 보이는 활동들이 한 가지 방향을 향할 수 있게 된다.

By having a shared vision throughout an organization, what might seem like diverse activities organization, actually working in the same direction


공동의 비전은 학습조직에 필수적인데, 왜냐하면 학습 에너지와 학습 초점을 제공해주기 때문이다. 적응학습(adaptive learning)이 비전이 없이는 불가능 한 것처럼, 생산학습(generative learning)은 사람들이 그들에게 대단히 중요한 것을 성취하고자 노력할 때 가능하다.

Shared vision is vital for the learning organization because it provides the focus and energy for learning (seeBox 1). Whilst adaptive learning is possible without vision, generative learning occurs only when people are striving to accomplish something that matters deeply to them (Senge,1990). 



팀-빌딩 시간을 가지라

Tip 8 Take time out to build the team


"팀 학습은 중요한데, 왜냐하면 근대의 조직에서는 개인이 아니라 팀이 학습의 근간이기 때문이다. 팀이 학습할 수 없다면 조직도 학습할 수 없다" 조직 내에서 팀-학습의 세 가지 차원이 있다.

‘‘Team learning is vital because teams, not individuals,are the fundamental learning unit in modern organiza-tions ...unless teams can learn, the organization cannotlearn’’ (Senge, 1990, p. 10). Within organizations there arethree dimensions of team learning: 

  • (a) the need to think insightfully about complex issues; 
  • (b) the need for innovative, coordinated actions where each team member is aware of other team members and complements the others’actions; 
  • (c) the role of team members related to other teams,such as the actions of senior teams carried out through other teams – a learning team continually fosters other learning teams (Senge, 1990). 


팀-학습의 실천에는 대화와 토론이 필요하다. Doty는 "가장 효율적인 학습방법은 공동의 목적을 가진 일군의 사람들과 함께하는 것이다"라고 했다. 따라서 조직은 학습-커뮤니티를 인정하고 배양해야 한다.

The practice of team learning involves dialogue and discussion. Doty (2002, p. 196) states that‘‘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to learn is in a community of people with a shared purpose’’, therefore organizations should look to recognize and cultivate learning communities.



리더십 스킬을 개발하라

Tip 9 Develop leadership skills


학습조직의 특징은 '앞에서 이끄는 리더십'이다. 예컨대 "나를 따라와라, 그러면 내가 보여줄 것이다"와 같은 문구로 대변될 수 있다. 학습조직의 리더는 위험관리자로서 미래에 문제가 될 잠재적 이슈를 찾아 해결책을 제시해야 하며, 학습문화가 결여된 것을 21세기 공공 서비스의 심대한 위협으로 봐야 한다.

A feature of a learning organizationis ‘leadership from the front’, where effectiveness is demon-strated through personal examples of ‘Follow me, I’ll showyou’ (Dowd, 1999). A leader in a learning organizationshould also be a manager of risk, actively seeking solutionsto issues that have the potential to become problems of thefuture, and the lack of a learning culture can be viewed asa considerable risk in a twenty-first-century public service. 


학습조직의 역할은 모든 사람이 함께 학습하고 근무하도록 하는 것이며, 모범사례가 이를 리드해야 한다. Dowd는 이러한 리더십의 두 가지 요건을 찾았다. 첫째는 "리더가 먼저 소매를 걷어올리고 학습과 발전에 참여하라", 두 번째는 "리더는 영감을 주는데 매우 중요하다"

The role in a learning organization mustdemonstrate that everyone is learning and working togetherand that they can lead by example. Dowd (1999) identifiedtwo requirements of such leadership; the first being to ‘roll upyour sleeves and join the learning and improving’ and thesecond, ‘you are critically important for inspiration


실수로부터 배우라

Tip 10 Learn from mistakes


개방적 문화와 신뢰의 문화는 개인과 팀이 자신감을 가질 수 있게 한다.

A culture of openness and trust is essential for individuals and teams to feel confident in this. 


학습은 여러 다른 수준에서 발생하는데, single loop, double loop, meta learning 등이 있다.

Learning takes place at different levels (Argyris & Schon,1996), with 

  • 실천을 위한 점진적 발전 ‘single loop learning’ being about incremental improvements to practice, 
  • 기본 목적과 규범, 패러다임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면서 발생하는 것 ‘double-loop learning’ occurring when organizations rethink basic goals, norms and para-digms, and 
  • 조직이 학습하는 능력에 대해 학습하고 발전하는 것 ‘meta-learning’ reflecting an organization’s attempts to learn about, and improve, its ability to learn.


Bristol Royal Infirmary Inquiry는 "에러, 불의의 사건, 실수 등을 비난의 이유가 아니라 학습의 기회로 바라봐야 한다"라고 했다.

The Bristol Royal Infirmary Inquiry highlights that ‘‘errors, other adverse events, and near misses . . . must be seen as opportunities to learn, not just as reasons to blame’’ (2001, p. 435).(2001, p. 435). 



더 넓게 주변 환경을 생각하라

Tip 11 Think about the wider environment


이상적으로 조직은 앞에서 제안한 모든 팁을 포용해야 한다. 이는 명확한 비전과, 평생학습에 대해 잘 기술된 가치, 학습에 대한 투자와, systems learning, 개인과 팀의 학습시간을 제공함으로써 가능하다. 조직의 근무 환경은 문화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역량있는 의사를 만드는데 중요하다.

Ideally the organization should having embrace all of the tips we have suggested, by a clear vision and stated values concerning lifelong learning, investing in learning and embedding systems learning and by processes protecting to facilitate individual and team some learning time.The organizational work context can shape the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culture, is of the utmost importance in creating competence physicians (Hoff et al., 2004) and is important to all healthcare professionals. 



여유를 가지라

Tip 12 ‘Take time to smell the roses’


비생산적인 시간에 가치를 두는 것도 중요하다. 점심을 먹는 시간, 근무 후에 어울리는 시간, 30분정도 걸으며 대화하는 시간 등

It is as important to value unproductive time: ‘doing lunch’, socializing after work,half an hour to walk and talk. 









 2006 Jun;28(4):309-12.

Developing a learning culturetwelve tips for individualsteams and organizations.

Author information

  • 1Bradford City Teaching Primary Care Trust, Douglas Mills, UK. lynn.stinson@bradford.nhs.uk

Abstract

culture of learning in providing health services and education for health professionals is a constant challenge for individuals, team andorganizations. The importance of such a culture was highlighted by the findings of the Bristol Royal Infirmary Inquiry (2001). This was discussed in the context of the literature on the Learning Organization (Senge, 1990) at the 2004 Association of Medical Education in Europe (AMEE) conference, and reviewed a year later at the 2005 AMEE conference. This paper outlines twelve tips for educational and health service organizations in facilitating a culture of learning for their members and also offers specific advice to individual students and professionals.

PMID:
 
16807167
 
[PubMed - indexed for MEDLINE]




학장의 리더십 (KJME, 2008)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왕 규 창

Dean's Leadership

Kyu-Chang Wang

Department of Neuro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지도자(리더)는 조직의 역량을 파악하여 이를 집 약하고, 내외 상황을 분석하고 대처하며, 조직의 목 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함에 있어 주도적인 역할 을 하는 사람을 말하며 이러한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소양 또는 지도 능력을 리더십이라 한다. 리더의 역할에는 내부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외부의 기회 요소와 위협 요소를 이해하며 이들을 종합하 여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달성을 위한 경로(시간안 배, 인력동원, 능력배양, 경비조달 방법 등을 포함) 를 구상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어 전략기획(stra- tegic planning)이 리더십의 중요한 부분임을 알 수 있다. 여기에 내부와 외부에 친화적이며 무리가 없 는 추진력이 있어야 한다. 이 추진력을 위하여 적지 않은 기술과 인내가 필요하다. 지도자가 리더십을 발휘하려면 그 조직 구성원이 형성하는 문화 역시 중요하다. 동일한 지도자가 서로 다른 조직에서 나 타내는 성과가 같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의과대학은 그 존재이유로서 첫째는 당연히 학생 들이다. 자신의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뿐 아니라 의학 지식과 기술에 대한 이해와 전달을 필요로 하 는 현재, 과거, 미래의 의학 지식과 기술의 수요자를 모두를 포함한다. 둘째는 국가와 사회이다. 설립 주 체가 국가인 국립대학교의 의과대학은 물론이거니 와 사립대학교 의과대학 역시 국가와 사회에 대한 기여와 헌신의 의무가 있다. 모든 분야의 대학이 그 렇듯이 사회와 격리된 상아탑은 오늘의 대학의 모 습이 아니다. 상업주의에 물들지 않으면서 학문의 자유를 신봉하며 정의, 공익을 위한 행보, 특히 국 민, 나아가서는 인류의 건강을 위한 치료, 예방, 재 활, 그리고 보건정책, 관련 산업육성 등 폭넓은 역할 을 하여야 한다. 셋째 존재이유는 동반자이다. 의과 대학과 함께 하는 기관들, 기업들, 개인들을 지원하 고 이들과 협력하여야 한다. 이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넷째 존재이유, 구성원들의 행복감 증진이다. 구성원의 행복감은 1) 결핍으로부터의 해방뿐 아니 라, 2) 과거보다 오늘, 오늘보다 내일, 자기의 능력 과 지위가 향상됨을 뜻하는 ‘자기발전’과, 3) 자기의 꿈(대개는 이타적인 사랑과 봉사, 기여)을 이루며 보람을 느끼는 ‘자아실현’의 장을 제공함으로써 얻 어질 수 있다. 의과대학 학장은 의과대학의 존재 이 유를 바탕으로 미션을 설정하고 조직의 비전과 핵 심가치(core value)를 제시해야 한다.


의과대학 학장(이하 의학전문대학원 원장을 포함 함)은 다른 조직, 기업이나 관공서의 기관장과는 다 른 토양에서 리더십을 발휘하게 된다. 의과대학의 구성원은 우리 사회 최고의 지성인들이다. 다룰 수 있는 자원이 많지 않으나 이윤 추구의 압박은 없다. 학생들의 요구는 과하지 않으며 학생들과 교수들 모두 어느 정도 봉사와 희생의 덕목을 가지고 있다. 대신 우리 사회 최고의 인재에 대한 기대감과, 교육 과 의료가 갖는 전문성과 도덕성에 관련되어 사회 모범 집단으로서의 요구가 압력으로 작용한다.


의과대학 학장은 최고 지성의 전문 그룹 지도자 로서 그 스스로의 분야에서 상당한 전문성을 가지 고 있어야 하고, 많은 전문인들이 따를 수 있는 인 성을 겸비하고 있어야 하며, ‘무리 없는’, 그러나 훌 륭한 추진력을 가져야 한다. 프로페셔널리즘의 대표 집단을 이끄는 책임자로서, 자신과 구성원들이 자신 을 고용한 대학재단이나 의료원보다 ‘공익’을 우선 가치로 행동하도록 해야 하는 의무가 있다. 특히 규 모가 커지다 보니 의과대학 교수 사회에서 교육과 의료에 관련되어, 또는 이와 무관하게, 드물지 않게 나타나는 바람직하지 않은 사안들에 대하여, 스스로 문제화하고 이를 수정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의과대학 학장은 사회로부터 받는 기대감과 그들이 요구하는 높은 전문성과 도 덕성으로 약간의 어려움이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다 른 기관에 비하여 훨씬 좋은 여건에서 지도력을 발 휘할 수 있다. ‘사심을 버리고 조직과 사회에 헌신 하며 공익을 우선으로 생각하고 잘 정리된 전략기 획 하에 이를 성실하게 실행한다면’, 중견 교수 누 구든지, 환자와 가족, 의료진 또는 연구진을 이끌고 있는 전문 의료인, 전문 연구자, 그리고 전문 교육자 로서 닦아 온 소양으로 얼마든지 훌륭한 지도자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전제로 한 ‘사심을 버리고 조직 과 사회에 헌신하며 공익을 우선으로 생각하고 잘 정리된 전략기획 하에 이를 성실하게 실행한다’는 것은 올바른 지도자로서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필 수 조건이다. 우리 주변에서는 이러한 전제에서 어 긋나 올바른 지도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예를 많이 본다.


의과대학 학장의 태생은 리더십에 영향을 준다. 임명제, 간접선거제, 직접선거제는 모두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문제는 선임의 방법과 무관하게 학장 이 편을 가르지 않고 구성원을 포용하며 소통하고 매사 투명하며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낙하산, 파벌, 선동 등, 학장의 태생적 결함 때문에 구성원의 역량을 결집하지 못하고 상호 소통에 장애를 일으 키며 심지어는 리더가 조직 내 분열을 조장하고 업 무, 특히 인사와 재무를 투명하게 수행하지 못하며 매 사안에 따라 서로 다른 잣대를 적용하는 예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무난하게 임명된 학장의 경우에도, 학장의 개인적 성격, 업무 스타일 그리고 함께 일하는 집행진과 행정팀의 특성 때문에 이러 한 문제들이 야기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의과대학 이라는 조직이 리더의 지도력을 발휘하기 좋은 비 옥한 토양을 갖추었음에도 불구하고 빚어지는 안타 까운 일이다. 사심을 버리고 독선을 경계하며 구성 원과의 소통과 홍보에 신경 쓰고 공정하게 매사를 집행하며 일관성을 갖도록 노력하고 각 사안 처리 에 있어 조바심을 버리고 미리미리 차분히 준비하 면 일이 저절로 잘 풀리는 곳이 의과대학이라고 생 각한다. 리더의 자신감과 깨끗함, 그리고 창조성은 다른 기관의 지도자에 비하여 덜 강조되어도 된다 는 생각이다. 이미 구성원들 모두 당연히 그런 덕목 을 가지고 있고 학장 또한 그런 소양을 이미 득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흔히 의과대학 학장들이 갖추지 못하는 덕목은 조직을 위한 저자세와 기관장으로서의 업무 몰입 부족인 듯싶다. 먼저 조직을 위한 저자세 부족을 지 적하고 싶다. 의사로서, 교수로서, 게다가 학장으로 서, 대학의 어른 역할에 익숙하다 보니, 다른 사람에 게 아쉬운 소리를 하고 이들을 설득하여 대학의 부 족한 점을 보완하는 일에 미숙한 경우가 많다. 품위 를 잃지 않으며 다른 사람에게 사정을 하여 무엇을 얻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그러나 사회가 인정하 는 의과대학의 전문성과 도덕성, 그리고 사회로부터 의 기대가 있기에 오히려 용이한 점도 있다. 다음은, 기관장으로서 낮은 업무 몰입도를 지적할 수 있다. 학장은 의과대학에 한 명 밖에 없다. 교수 보직자는 교수 역할도 해야 하고 보직자 역할도 해야 한다. 그러나 적어도 학장은 보직자로서의 역할이 단연 우선이다. 교수로서, 의사로서, 우수 연구자로서의 역할을 접거나 크게 줄여야 할 경우가 대부분이나 많은 학장들이 학장 임기 이후 교수로서의 업무 연 속성 때문에 학장 업무에 몰입을 못하는 예가 많다. 전화를 걸면 학장실이 아니라 개인 연구실에서 전화를 받는 분들이 많다. 물론 교수 역할을 하면 안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대학에 한 사람 밖에 없 는 직책에 소홀해서는 안 된다. 시간이 남으면 그 시간을 학장실에서, 학장의 업무 현장에서, 대학과 사회를 생각하고 고민하며 보내야 할 것이다.


끝으로 많은 대학의 공통적 문제인 2년 학장 임 기를 지적하고 싶다. 2년은 학장 업무 적응과 학습 기간을 제외하면 너무 짧다. 조직 지도력의 낭비이 다. 2년 후 중간 평가 제도를 운영하는 것은 적절하 다. 그러나 뚜렷한 문제가 없는 한 학장이 적어도 4 년 이상을 열심히 일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해야 한 다. 여러 사람들이 순서대로 2년씩 학장직을 맡기 에는 의과대학이라는 조직이 너무도 중요하기 때문 이다.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008;20(3): 173-175. doi: http://dx.doi.org/10.3946/kjme.2008.20.3.173

학장의 리더십
왕규창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Dean's Leadership
Kyu-Chang Wang
Department of Neuro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Kyu-Chang Wang ,Email: kcwang@snu.ac.kr
Received: 25 August 2008;  Accepted: 27 August 2008.


미래 의학교육을 위한 의과대학 신축의 건축디자인 방향성 (KMER, 2015)

Architectural Design Approach of New Medical Education Building

Fit for Pedagogy Changes

김남주 

에이드앤 어소시에트






서 론


‘동료 교수법(peer instruction)’이라는 강의기법 등을 고안한 하 버드대학의 물리 및 응용물리학 교수인 에릭 마주르(Eric Mazur)는 하버드 매거진(Harvard Magazine)에 게재된 글에서 “99%의 강의 공간이 4천 년 전 고대 시리아 궁전이나 그리스의 원형극장 이미지와 유사한 원형식 배치로 한사람 공연자나 선생님에 모든 관심을 집중 시키는 모습”이라고 신랄하게 비판하며 “교육은 한사람으로부터 많은 사람에게 지식의 전달이 아니라 학생들 스스로의 학습에 관한 것”이라 하였다(Rosenberg, 2011).


이제 교실은 지식과 정보를 응용하고 소화하는 프로그램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교수는 완전히 새로운 학습공간에서 새로운 교육기법을 구사하는 무대 위의 현자이 며 진화된 교육방식으로 학생들을 리드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전문 가’이기를 주문하고 있다.


대규모 일방소통적 수업방식에서 벗어나 학생 자신이 능동적으로 수업과 교수를 선택할 수 있고 나아가 인포멀학습(informal learn- ing)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음에 주목하고자 한다.


정규교육의 강의 공간(classroom, lecture hall)인포멀 학습 (informal learning spaces)을 포용하는 새로운 교육방식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혁신적인 교육환경의 필요성에 관해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이처럼 새롭게 대두되는 다양한 학습법을 위한 진화된 학습공간들의 모델들이 계속 등장하고 있다. 변화하는 학습법에 따 른 필요 환경을 수용하기 위해 일부 미국과 홍콩 등의 나라에서는 신선하고 급진적인 건물 디자인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학습법에 최적화된 기술(information technology)의 구현과 유연한 (flexible) 가구 배치를 도입함으로써 공간을 변형하는 것이 일반적 이다(Brown, 2005).


사용자에 대한 이해 없이 건축설계자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새로 운 공간에 사용자가 그 공간에 맞추어 살아갈 수는 없다. 교육공간이 새로운 교육과정 또는 학습법을 이끌 수는 없는 것이다. 진화된 교육공간을 디자인하는 것은 최적의 학습법을 지원하기 위함이다. 문헌조사를 통해 21세기 사회에서 필요한 유능한 의사(competent physician) 양성과 국내 의학교육 여건에 부합하는 미래지향적인 의과대학의 신축은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하는지를 고찰하고 현재의 변화와 함께 미래에 대응할 수 있는 최적화된 신공간개념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교육환경과 학습효과의 상관성


“학생들의 학업을 촉진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방법 중 물리적 환경을 이용하는 것은 거의 이해를 못하거나 무시되는 방법이다.” 독일에서 발간된 ‘Encyclopaedia of the Sciences of Learning’에서 뱅닝과 카나드(Banning & Canard, 1986)의 글처럼 과거에도 학생 들의 발전된 학습방법을 연구하는 데 있어 교육환경의 중요성은 거의 인지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영국의 경우는 1997년 노동당 집권 이후 초중고등학교(school and AS/A level)에 많은 투자를 하여 교사에 대한 투자와 더불어 많은 학교를 신축하였고 과거의 학교에서는 거의 볼 수가 없었던 배치와 공간구성을 통하여 새로운 학습법과 더불어 학생들의 성적이 향상된 사례가 연구조사결과를 통해 입증되었고 고등교육(higher education)에서는 대학교육의 일 반화와 중국 등의 외국학생 유입 등 학생 수의 증가와 새로운 연구공 간을 위하여 옥스포드, 캠브리지, 런던정경대 등 거의 대부분의 대학 들이 신축 또는 증축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의과대학을 비롯하여 대학교육에 있어 교육환경에 따른 학습효과의 향상을 증명하는 연구 는 매우 제한적이며 그 자료를 바탕으로 하는 문헌조사나 사례를 논의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하지만 인간이 환경에 얼마나 민감하 다는 전제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문헌조사와 사례 등을 통하여 의과대학의 학습공간(learning spaces)을 아래의 6가지 공간 유형(spatial type)으로 분류하였고 그 공간들이 어떤 유형의 학습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형태 및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6가지 공간유형은 

  • (1) 그룹 학습공간(group teaching/learning: classroom & lecture hall), 
  • (2) 도서관, 
  • (3) 휴게공간, 
  • (4) 비형식 학습공간(informal learning space; peer to peer and social learning), 
  • (5) immersive environment(의료 공학, 의료용 3-dimensional printing), 
  • (6) 기초학, 실험실 및 시뮬 레이션 공간.




1. 그룹학습공간


강의실과 교실은 의과대학에서 가장 큰 공간유형으로 미래에도 지배적인 교육공간으로 남을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전통적인 강의식 교육공간에서 팀기반학습(team based learning, TBL) 등을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그룹학습(group learing)이 가능한 학습공간으로 바뀌고 있고 교실의 형태 또한 벽으로 막힌 개별실에 서 2–4개 이상의 교실 파티션벽(partition wall)을 이동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강의실로 변경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진 디자인으로 변하 고 있다(Figure 1).


교실은 화이트보드가 전면에 설치되고 학생들이 모두가 교수가 있는 강단을 향해 앉는 일방적인 형태에서 3–4면의 벽을 전부 사용하 면서 다양한 형태의 좌석 배치로 변형 가능한 공간구성으로 진화하 고 있고 일반적인 직사각형에서 정사각형 모양의 교실들도 나타나고 있다. 이런 학습방식 변화에 따라 이동 및 배치가 용이하도록 미국의 가구회사인 스틸케이스(Steelcase)사는 360도 회전이 가능하면서 의자와 책상이 일체화된 제품을 대학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Gislason, 2009).


또한 강의실과 교실만이 학습공간이 아니라 대학의 구석구석이 학습공간화되고 있다. 종합적이고 성공적인 교육공간 디자인은 교 실과 강의실 등의 정규 학습공간과 더불어 수업시간 중간에 쉬는 공간들도 포함하여야 한다. 많은 연구조사에서 비형식 학습 (informal learning)의 중요성과 긍정적 효과가 입증되었고 수업시 간 외에도 비형식 학습을 위하여 학생들이 필요에 따라 이용할 수 있도록 연구공간/세미나룸 또한 열려있어야 한다. 또한 복도, 로비, 중정, 기숙사, 학생 라운지 등도 인포멀 학습이 가능한 공간디자인으 로 인식해야 한다.


전통적으로 학교설계는 학생당 또는 교수당 단위 면적으로 공간 계획을 하고 있지만 계속 진화하는 21세기 교육방식에 있어 단위면 적이 공간설계의 지표로 삼는 것은 무의미할 수도 있다. 강의실과 교실 등 정규 수업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으로 공실률을 줄임으로써 최적화된 공간계획을 하고 인포멀 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더 확대하거나 질적 수준을 향상시켜야 한다.


인간상호 관계에서도 학생과 교수가 단순히 교실, 강의실과 연구 실에서만 만나는 것이 아니라 정규학습공간과 인포멀 학습(informal learning) 공간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곳에서 사회적 촉매(socially catalytic) 교류가 용이한 유연하고 포괄적인 설계가 요구된다. 우리 의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쉽지는 않겠지만 공용공간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그룹스터디나 토론에 교수들이 캐주얼하게 참여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공간(seamless transition)으로 디자인된다면 학생과 교 수의 관계는 더 친밀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일례로 최근에 증축한 에모리대학의 의과대학(Emory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교 수와 학생들이 작은 규모의 그룹스터디가 가능한 라운지를 두어 학생과 교수들이 쉽게 만나도록 설계를 하였고 듀크대 의과대학 (Duk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에모리 보건대학(Emory University School of Public Health), 하버드 법학대학의 Wassertei n Hall, Caspersen Student Centre, Clinical Wing은 넓은 로비 공간, 테이블과 의자가 배치된 폭이 넓은 홀웨이(hallway)를 두어 학생과 교수들이 자유롭게 교류하도록 설계되었다. 학생과 교수를 넘어서 서로 교류할 수 있는 공간을 두는 것은 인간중심 디자인(human- centred design)의 중요한 방향이다.




1) 정규학습공간 

작고 유연한(flexible) 교실을 늘리고 양질의 공간 구성을 한다. 

    • (1) 학생중심의 공간(learner-centred spaces) 
    • (2) 자연채광과 밖을 볼 수 있는 창이 있는 교실
    • (3) 2면 이상의 벽을 프레젠테이션으로 가능한 교실(화이트보드, 핀업(pin-up), 프로젝터 또는 모니터 
    • (4) IT기기와 학생들의 노트북 등을 위한 교실 전체에 균등하게 분배된 전기콘센트 
    • (5) 그룹스터디, 프레젠테이션 등이 가능하도록 다양하게 조절 가능한 조명장치 
    • (6) 다양한 레이아웃과 이동이 용이한 테이블과 의자



2) 비형식 학습공간 

강의실과 교실은 다이내믹한 복도(dynamic corridors)와 로비 또는 중정과 연결하고 여러 개의 강의실 단위로 2–8인 정도의 학생들 이 인포멀한(informal gathering) 그룹토의가 가능한 공간 구성을 한다. 

    • (1) 자연스럽게 학생이나 교수들이 모여 대화 가능 
    • (2) 편한 의자와 테이블이 통행에 불편하지 않는 배치 
    • (3) 간단한 토의가 가능한 화이트보드, 핀업공간 
    • (4) 복도 공간 등은 의과대학의 역사 또는 교수들의 작업 등 끊임 없이 변화하는 내용을 알리는 공간으로 활용 
    • (5) 50인 이상을 수용하는 대강당(lecture hall)은 인근에 소규모 그룹통의가 가능한 여러 개의 세미나룸 배치



2. 도서관



교실을 운영하는 대부분의 교수들에게 재학시절 교실과 강의실 이 교육공간의 중심(heart)이었고 도서관은 학생의 영혼(soul)이었 을 것이다. 예전에는 전공책을 보기 위해 도서관을 찾았었지만 태블 릿을 이용하는 지금의 학생들에게는 고서로 가득한 박물관이 되어버 렸다. 일례로 미국의 UC Irvine의과대학에서는 의학전공도서를 아 이패드에 담아 신입생들에게 나누어 주고 있다. 이 대학의 학생들은 더는 전공도서를 보기 위해 도서관을 찾지는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앞으로의 도서관은 어떻게 존재해야 하는 것일까? 이런 질문은 이미 지난 10년간 미국과 영국의 많은 대학들이 고민하여 새로운 세대(millennia, generation Y) 학생을 위한 다목적 공간으로 탈바꿈되고 있고 미국 도서관협회(American Library Association) 간행물인 미국도서관(American Libraries) 2011년에 게재된 글 중 그랜드 밸리 대학(Grand Valley State University in Allendale, Mi chi gan) 도서관장인 이 반 오르스델(Lee Van Orsdel)은 “도서관 은 전통적인 분위기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우리는 학생들과 공간, 가구 그리고 정보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며 도서관이 있어야 할 자리 에 대한 재정의가 필요하다”고 하였고 미국의 고등교육환경 리서치 의 선두주자인 스틸케이스(Steelcase)의 리서치 팀이 6개월에 걸쳐 13개 대학도서관을 조사한 21세기의 도서관 방향성을 요약하여 소 개하고자 한다.



1) 도서관의 자원과 인식 향상


조사에 따르면 도서관은 특히 의과대학의 경우 저학년의 사용빈도가 높으므로 그들에게 더 많은 서비스와 공간을 제공하여 도서관 자원(resources)에 대한 충분한 필요성을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 도서관은 책이나 학술지의 창고에서 벗어나 학습효과가뛰어난 인터랙티브한 학습지원(interactive study aid)을 시스템화하고, 필요한 자료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가시성이 높은 사인이지(signage)를 디자인하여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며, 최신 자료를 끊임없이 소개하는 등의 진화를 거듭해야 한다. 

2) 비형식 학습공간으로 활용 극대화 vs. 개인학습자의 고려


앞으로의 학습법 개발에 맞추어 학생들의 그룹스터디와 협업을 지원해야 하는 것이 도서관의 역할이 되고 있다. 과거의 고정된 책상이 아니라 그룹스터디를 위한 이동과 재배치가 가능한 책상, 화이트보드 등이 구비되어 팀워크가 용이하도록 공간이 구성된다.


반면에 그룹스터디가 가능한 공간들이 정숙 과 집중이 요구되는 개인학습공간에 인접하여 계획되는 것은 배재되 어야 한다. 그룹스터디와 개인공간으로 각각 전용공간으로 인지할 수 있는 공간의 적절한 배치와 가구 및 장비 배치는 필수적이다.


3) 도서관은 사회적 학습(social learning)을 촉진시키는 공간


도서관은 교실, 강의실, 기숙사 또는 커피숍 등에서 일어나기 쉽지 않은 대학캠퍼스의 사회적 또는 교육적 활동공간으로서 학생, 교수와 학교 관계자들 모두가 자연스러운 인터액션(interactions)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계획되어야 한다.


개인사용자들은 복도나 사람의 이동이 많은 곳에 앉아 컴퓨터의 스크린이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노출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도 심의 커피숍에서 공부를 하는 학생들도 있지만 도서관에서는 또 다른 기대치가 있다. 도서관에 올 때는 정말 집중을 원하는 것이고 또한 편안함과 보안을 기대하므로 적정 높이의 책장들을 배치하고 밖을 바라볼 수 있는 창가 주변에 배치하는 것이 이상적일 수 있다. 어떤 대학에서는 별도의 독서실 같은 공간을 마련하고 있지만 21세 기의 대학시설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3. 휴게공간


의과대학 학생들의 학업량은 다른 어느 대학보다도 방대하여 새 벽부터 늦은 밤까지 장시간 학교에서 지내게 되고 지나친 학업 스트 레스로 인한 탈진(burn out)은 학교관계자와 학생들이 가장 우려하 는 부분일 것이다. 미국의 스탠포드 의과대학의 Li Kas Shing Centre for Learning and Knowledge (LKSC) 4층에 있는 student commons 는 학장도 사전약속을 해야 방문이 가능하도록 할 만큼 의대생들만 의 전용공간으로 대학에서 가장 좋은 뷰가 자리한 곳에 테라스와 함께 학생라운지, 피트니스센터, 책 없는 소규모 도서관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의과대학 공간디자인의 주요 개념과 디자인 방향


1. 인간중심의 디자인


인간중심의 디자인은 현대산업사회가 물질문명기반으로 발전하면서 표방하는 대표적이고 보편적인 디자인 개념인 동시에 디자인분야에서 필수적인 기저개념으로 인식하는 용어이다. 인간중심의 디자인을 주개념으로 사용하는 미국계 다국적 디자인 회사인 IDEO(마우스 디자인에서부터 스탠포드대학의 d. school 교육공간설계까지 다양한 분야의 디자인 컨설팅 회사)은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IDEO, 2015). 


인간중심의 디자인(human-centred design)은 문제 해결에 대한 창조적 접근방식이며 IDEO작업의 근간이다. 의뢰자가 이미 상상하고 디자인한 것으로 가지고 진행하는 것이며 요구하는 것에 대하여 재단사가 재단한 것처럼 의뢰자에게 꼭 맞는 새로운 솔루션으로 마무리하는 것이다. 인간중심의 디자인은 사람들이 디 자인하고자 하는 것에 대한 깊은 인간적 공감으로 구축하는 것으로 무수한 아이디어와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의뢰자와 함께 만든 내용을 공유하는 것이며 결국 현실 가능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의뢰자와 함께 만들어 가는 것이다.


IDEO는 세 가지 단계로 인간중심의 디자인을 구성한다. 

  • 영감단 계(inspiration phase), 
  • 관념단계(ideation phase), 
  • 구현단계(imple- mentation phase)

를 통해 인간이 원하고 인간이 꿈꾸는, 인간을 위한 솔루션을 만드는 인간중심의 디자인이다.



1) 새로운 공유공간(commons)


학습공유공간(learning commons)은 인간중심으로 학습에 대한 개념에 큰 변화를 주고 있으며 단순한 정보를 찾는 공간에서 심화 및 강화 학습뿐 아니라 지식을 발전시키는 생산적인 방식의 변화에 도 긍정적으로 이용되는 공간이다. 정보의 공유공간(information commons)에서 학습 공유공간(learning commons)으로 발전하면서 그 내용이 구체화되고 있다. 특히 공유공간(commons)은 교육공 간 디자인에 있어 인간중심 디자인과 인포멀 런닝(informal learn- ing)에 필수공간이다. 공유공간의 개념으로 이용자 확대와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의 범위 확대를 강조하며 진화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학습 공유공간(learning commons)은 개인 및 그룹학습을 위한 학생공간이지만 교수실 또는 행정오피스를 배치하는 사례도 있는데 학생들과 직접적인 그룹워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호교류작용에 가변성을 더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계속 찾아들 수 있도록 식음 등이 가능한 공간으로 변형하여 과거 전형적인 대학 공간에서 의자 와 테이블만 있는 라운지 같은 공간이 아니라 인간중심의 공간으로 서 디자인에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한국처럼 인터넷 인프라가 잘 구성되어 있고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의 스마트기기들이 일반화된 학생들에게 공용의 데스크톱 컴퓨터 설치보다는 BYOD (bring your own device, 개인 소유의 노트북, 태블릿 및 스마트폰 등의 정보통신기기 활용으로 2009년 인텔이 처음 도입)가 가능한 무선인터넷과 가구배치는 고려할 요소가 아닌 필수요건으로 유연성 및 적응(flexible and adaptable)이 용이한 공 간으로 계획되어야 한다.


인간중심의 공간이란 것이 이처럼 학습공유공간에서와 같은 의과대학의 교육방식의 변화에 따른 것도 있지만 교수들을 위한 공간도 배려되어야 한다. 의과대학의 특성상 학생보다 교수의 수가 더 많은데, 교수들을 1인 1실로 계획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고 정교수가 아닌 경우 다인1실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의과대학 신축을 준비하는 대학의 한 교수는 2가지의 바람을 이야기 하였는데 첫 번째는 “여러 명의 교수가 한방에서 사용해도 좋다. 하지만 전화통화를 다른 교수가 있는데 하는 것은 불편하니 조용히 통화를 할 수 있는 공간이 있으면 좋겠다”이고, 두 번째는 “의과대학 부지가 없으니 현 건물을 철거하고 공사기간에 임시로 컨테이너에서 생활하더라도 좋은 의과대학은 만들었으면 좋겠다”였다.


한국의 많은 대학들이 30–40년이 넘은 오래된 건물들로 사용이 불편한 것이 많고, 그 당시의 필요에 의해 디자인된 공간들로서 현재의 교육시스템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며 또한 이노베이션에도 어려운 건축구조적인 장애가 있다. 하지만 대 부분의 의과대학들이 교수나 학생시설보다는 대학병원에 더 많은 투자를 하다 보니 투자 우선순위에서 밀려 교수들이 열악한 환경 속에서 연구활동을 하고 있다. 8명의 노벨상을 배출한 미국의 소크연 구소를 방문한 프랑스 생리학자 로지에 기르망 박사가 교수실과 연구실에 매료되어 휴스턴에 있는 연구팀 전원을 데리고 소크연구소 로 이사한 이야기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좋은 환경이 좋은 결과물을 가져온다는 것은 당연한 것이지만 ‘좋은 환경’은 목적에 맞는, 결국 은 ‘사람을 위한 공간’이란 뜻이고 그 점을 염두하고 디자인해야 한다.



2) Technology


학생중심 교육으로 바뀐 요즘의 학습법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ubiquitous computing)으로 인해 캠퍼스 안과 밖, 정규학습과 인포 멀 학습 어떤 상황에서도 가능하게 되었다. 무크(MOOC, coursera, udacity, edX)를 통한 e-learning과 최근에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m-learning으로 발전하고 있다.




3) Flexibility


학습법의 혁신은 학생과 교수 모두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요구하고 있다. 학생과 교수의 다양한 공간 요구를 충족시키 기 위해 학습공간은 다양한 구성 및 좌석배치에 적합하도록 효율적 인 공간디자인이 필요하다. 대형, 중형 강의실, TBL이 가능한 가변형 강의실과 교실,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등을 위한 세미나룸 타입 등 다양한 형태이다.


특히 최근 신축대학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형태로는 다양한 사이즈 의 방으로 분리 또는 통합해서 사용할 수 있는 중형크기의 강의실 (medium size flat floored flexible rooms)이 참여 학생의 인원뿐만 아니라 학습법의 변화에도 대응을 가능케 한 가변적 형태의 대표적 사례이다. 이런 유형의 교실은 일반적인 강의식 수업을 한 후 전체 그룹 토의와 작은 그룹토의 및 팀웍으로 변형이 가능하다(Joint Information Systems Committee, 2005).


교육학의 변화에 따른 교육공간의 가변성 (flexibility)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4가지 공간디자인 특성의 의미를 인지하여야 한다.


  • (1) 유연성(fluidity): 개인들의 이동, 시야, 소리와 공기의 흐름에 대한 공간 디자인 
  • (2) 범용성(versatility): 여러 용도로 사용 가능한 공간 디자인 
  • (3) 전향성(convertibility): 새로운 교육공간으로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공간 디자인 
  • (4) 크기변형성(scalability): 확장과 수축이 가능한 공간 디자인

교육공간 디자인 방향제시와 함께 대학에서 시도하고 있는 새로 운 학습법과 그에 맞는 최적공간들을 조사한 문헌조사와 사례들에서 성공적인 의과대학 신축프로젝트에 필요한 10가지 키워드를 정리하 여 보았다.



  • (1) 명확한 교육개념 방향 제시 
  • (2) 전략적 개발 방향과 단계별 개발을 합한 통합적 마스터플랜 
  • (3) 교수, 행정, 학생, 의료원 운영자 등 모든 이해관계자(stake- holders)들의 적극적인 참여 
  • (4) 마지막까지 참여할 수 있는 건축위원회 구성과 의과대학을 이해하는 디자인팀 선정 
  • (5) 철저한 사전 공간 조사(space requirement study)로 최적의 공간 구성 
  • (6) 이해관계자 공동 벤치마킹 답사 및 사례조사와 리뷰로 방향성 공유 
  • (7) 새로운 아이디어와 실험정신 
  • (8) 사전조사부터 완공 후에도 계속하여 변하는 다른 학습법에 대한 유연성 필요 
  • (9) 진화하는 IT에 대한 유연성과 비용에 대한 이해 
  • (10) 완공 후 이용자들의 피드백 및 post occupancy 조사





결 론


하버드대학의 전 회장인 드렉 복(Derek Bok)은 하버드 매거진의 글에서 미국의 상위대학들이 대학교육(undergraduate education) 개혁에 소극적인 것은 우수한 인재들의 지원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Rosenberg, 2011).




Rosenberg, J. S. (2011, October 18). Pedagogy, practice, and teaching innovation at Harvard. Retrieved from http://harvardmagazine.com/2011/10/ analysis-pedagogy-practice-and-teaching-innovation-at-harvard














This literature review explores relevant research and evaluation on pedagogy and physical learning spaces. This study also is intended to encourage discussion among stakeholders on the best medical school developments, in light of emerging learning trends relevant to their institutions. The study has revealed that new environments for learning are being designed or reshaped in response to changing pedagogical approaches, to incorporate new information technology, and to accommodate the changing abilities of new generations of learners. Formal teaching spaces for large groups with a ‘sage on a stage’ are becoming less common than smaller lecture rooms, although classrooms form a large component of universities and will continue to dominate in the future. However, the traditional layout of these spaces is being transformed to incorporate multiple learning modes. Classrooms should be profound places of revelation and discovery. A well-designed space has the ability to elevate discourse, encourage creativity, and promote collaboration. Within the classroom walls, a learning space should be as flexible as possible, not only because different teachers and classes require different configurations, but because in order to fully engage in learning, students need to transition between lectures, group study, presentations, discussions, and individual work time.


Keywords: Teaching, Learning space, Architecture as topic


Corresponding author

Namju Kim

AID & Associates, 12th Floor, Samho

Centre Building, 83 Nonhyun-Ro, Seoul

06775, Korea

Tel: +82-2-589-1875

Fax: +82-2-589-1875

E-mail: namjukim@outlook.com

http://orcid.org/0000-0002-2228-1291

Received: September 16, 2015

1st revised: October 12, 2015

Accepted: October 12, 2015



의과대학 신설: 새로운 지역으로의 교육 확장

Developing a medical school: Expansion of medical student capacity in new locations: AMEE Guide No. 55

DAVID SNADDEN1, JOANNA BATES1, PHILIP BURNS2, OSCAR CASIRO1, RICHARD HAYS3, DAN HUNT4 & ANGELA TOWLE1

1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Canada, 2University of Manchester, UK, 3Bond University, Australia, 4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Washington DC, USA






새로운 지역으로의 의과대학 확장

Expansion of medical student capacity in new locations


여기서 '기능적으로 분리된 캠퍼스'란 지역적으로 구분되는 장소에서 진행되는 의학교육프로그램으로서, 이러한 지리적 거리때문에 학생들을 위해서 시니어리더십, 교수, 행정, 학생지원 등을 제공해야하는 캠퍼스를 의미한다. 캠퍼스는 기존의 의과대학이나 의과대학, 의과대학을 보유하지 않은 지역 대학, 지역의 병원 또는 보건기관과 협력관계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캠퍼스는 전임상실습, 임상실습, 혹은 둘 다를 위한 것일 수 있으며, 모(母)의과대학과 서로 다른 설립이념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By a functionally separate campus, we mean a geographically distinct medical education program where, by reason of the amount of time spent there by students or because of geographical distance, the campus must provide support services for students including its own senior leadership, faculty, administration and student services. The campus may be affiliated with an established university and medical school, with a local university that does not operate a medical school, or a local hospital or health facility. Such a campus maybe pre-clinical, clinical or both and may be philosophically distinct from its parent medical school, for example it may emphasize rural training.



Practice points


새로운 의학교육 시설을 만들고자 할 때는 그 교육기관의 '비전'이 그 지역 내에서 충분히 공유되어야 하며, 잠재적 이익이 무엇인지 이해시킬 수 있어야 한다.

. When considering the planning and development of new medical education facilities make sure ‘‘the vision’’ is shared locally and the potential benefits understood.


캠퍼스와 지역사회 간 관계가 지속적으로 강조(renew)되어야 하는데, 이는 성공의 필요조건일 뿐만 아니라,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 Build and continually renew relationships across campuses and with communities. This is not only a factor for success, but important for future sustainability.


만약 가능하다면 미리 시험해보라. "점검주간"을 통해서 기존 캠퍼스의 학생과 교수가 새로운 지역에서 한 주를 보내보도록 하는 것은 새로 올 교수가 안정적으로 닥칠 일을 경험해보는 기회가 될 수 있다

. Test things out if you can. A ‘‘prototypical week’’ where students and faculty from an existing campus spend a week in a new setting is a great opportunity for new faculty to safely experience what will be expected of them and to test out potential technology.


임상교육은 실제로 진료를 하고 있는 의사들에 의해서 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들은 그들이 교육하는 환경과 다른 환경에서, 다른 방법으로 교육받았음을 기억해야 한다. 효과적인 교수개발이 성공에 필수적이다.

. Clinical education is mostly delivered by practicing physicians; remember that they may have learned medicine in a different system, or by different methods. Effective faculty development, (teaching the teachers) is therefore critical to success.


새로운 지역에서 학생 지원의 중요성을 과소평가하지 말라. 개인적, 학업적 지원 뿐만 아니라 지낼 곳을 찾고 새로운 환경에서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가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 Do not underestimate the need for student support at the new site, not just in terms of personal and academic support, but also in terms of finding accommodation and developing a student culture in the new environment.



Background

21세기 초반 많은 국가에서 의사 부족을 예견하고 의과대학 확장이 빠르게 이루어졌다. 확장을 하게 된 것은 더 많은 의사가 필요했기 때문만이 아니라 의사인력의 분포가 지역적으로 불균형하다는 것에도 있었다.

In the first few years of the twenty-first century, there has been recognition that many nations will face doctor shortages. This has led to the rapid expansion of medical school enrollment in several countries. Expansion plans have been driven not only by the need for more doctors, but also by the uneven distribution of the current medical workforce both geographically and by discipline.


의과대학의 지역 캠퍼스는 새로운 현상이 아니다.

Regional campuses are not a new phenomenon.

  • In the USA, the first wave of regional campuses was established in the 1970s in response to the expansion of medical school enrollment.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AMC) reported in 2006 that 20% of the medical colleges in the USA had regional campuses (Mallon et al. 2006). These regional campuses deliver pre-clinical and clinical education or one of these elements alone. For example, the distributed education program at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that started in 1971 (Ramsey et al. 2001) known as the WWAMI program for the five states that it serves, has seven pre-clinical campuses where students in their home states of Washington, Wyoming, Alaska, Montana, and Idaho receive the first year of pre-clinical education. Other regional campuses offer the clinical component of the education program, such as the 30 US regional campuses described by the American Colleges of Medicine (Mallon et al. 2006). 
  • In Australia, regional campuses were developed in collaboration with existing medical schools to address the shortage of rural health care providers (Prideaux et al. 2001). Some of these went on to develop as independent medical schools (e.g. James Cook University). 
  • In the UK, as in many countries, medical school provision is government controlled and dependent on predictions of future workforce needs. Expansions were made in medical student numbers in the late 1990s and early 2000s based on predicted UK workforce needs (Howe et al. 2004) in a time of economic growth and prosperity. Planning for workforce development and government controlled increase in student numbers has been the main driving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several new medical schools and regional campuses (Medical Workforce Standing Advisory Committee 1997). 
  • In Canada, the first fully distributed campuses – ones where the majority of the education occurs on the distributed site – were developed by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UBC) in partnership with the Universities of Victoria and Northern British Columbia in 2004 (Snadden & Bates 2005). This was paralleled by the expansion of distributed campuses in the USA (Rackleff et al. 2007) and followed by the creation of similar distributed sites elsewhere in Canada. At least, one new medical school was created as a fully distributed and community engaged school (Strasser & Strasser 2007), thus highlighting that as medical schools expand or are created there is no one model to suit all contexts, to encourage diversity or to support the varied social responsibility missions of different schools. 


왜 지방캠퍼스인가? Why regional campuses?

약간의 학생 수 증가로도 상당히 많은 복잡한 문제들이 생겨난다. 그러나 여러 문제들에도 불구하고 지방 캠퍼스의 장점들이 있다.

Expansion brings a number of challenges that can stress a medical school, though the degree of complexity is related to the number of students involved. Meticulous planning is important for any increase in student numbers, but the complexities of increasing by a small number of students rise exponentially if a school grows by 50–100 students, or doubles their class size and engages new partners at new regional sites (Bunton et al. 2008). Despite the increased complexity, there are advantages to developing a regional campus (Mallon et al. 2006).



Regional campuses

  • Give medical schools access to a larger patient base and expanded numbers of clinical teachers.
  • Allow a focus on disciplines such as primary care that may be more difficult to develop on the main campus.
  • May attract a different cohort of applicants to the medical school.
  • Can offer a different type of education such as a more clinically focused or more integrated program.
  • Benefit regional hospitals by enhancing their standing as academic centers, improving recruitment and having a positive impact on quality of care (Hanlon et al. 2010).
  • Benefit the local community by increasing physician recruitment, increasing civic pride and providing some economic benefit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social capital (Lovato et al. 2009).



단계1 : 기획 

The first steps – planning


새로운 지역 물색하기

Identification of a new campus site


새로운 캠퍼스의 기능에 달려 있다.

Identification of a new site will depend on the nature of the need for a functionally separate campus.


학생 숫자가 절대적으로 얼마나 증가하느냐와 더불의 의사의 분포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사회적 책무 미션)

Workforce planning considerations may not only require an absolute increase in student numbers but also attention to physician distribution. These considerations lead to more specific considerations for the location of regional campuses, as the criteria go beyond the suitability of the site to deliver education, but the appropriateness for delivery of this additional social responsibility mission. 


In Canada, the Northern Medical Program (NMP) and Island Medical Program (IMP) in British Columbia, and the Northern Ontario School of Medicine were a result of both insufficient supply of graduating physicians and an uneven distribution of practicing physicians between urban and rural regions.


작은 규모의 지역사회가 핵심 임상경험을 하기에 더 적합할 수도 있다.(평가인증 기준에도 더 잘 맞을 수 있다)

It may be a challenge in smaller communities to provide students with an appropriate set of core clinical experiences (which may be influenced by accreditation standards). Two examples from Canada illustrate creative solutions to this issue. 





파트너십 강화 Developing partnerships


Once the regional campus site has been determined, the development of a working collaboration between the parent university and partner institutions, whether they be university or health service or both, is critical. Features of partnership development include:


  • 공통의 이해관계 찾기 Finding common ground
  • 윈-윈 관계 형성 Creating a win–win relationship
  • 공동의 비전, 미션, 목표 수립 Building common vision, mission and goals
  • 주인의식 고취 Promoting ownership
  • 공동의 추진원칙 수립 Acting on a set of agreed guiding principles.



Written commitment to a common mission, a set of common goals, and a clear set of operating principles at this point will prove invaluable when discussions become difficult. 


의료취약지에서는 진료의 패턴 차이가 커서 갈등의 요인이 될 수도 있다. 예컨대 취약지에서는 generalist가 해야 하는 업무의 폭이 더 넓다. 

Indeed, if the area is underserved, there may be variations of patterns of clinical practice that can create conflict. For example, the scope of practice of generalists may be much broader in an underserved regional setting that in a university-based tertiary care setting. These differences are best articulated clearly and addressed before planning gets underway.


외부적 전략도 필요하다.

External strategies to support a common purpose may include public meetings, social events, regular media contact and regular meetings with the partners, ideally with independent facilitators to get through issues where there is incomplete agreement. Internally, an intense change management strategy of engaging faculty and staff across sites becomes essential.




지원체계 구축 Building support


지역사회의 의사들과 구성원들과의 협조를 구축해나가야 한다.

As relationships are built between academic institutions, engagement with the health services sector and the community must begin. Buy-in of the local physicians is essential but may not have occurred if the partnerships have resulted from inter-institutional agreements that have not involved the physician community. The regional academic partner may be unprepared for the degree to which physicians expect to be engaged: the parameters for normal community consultation by a university may be woefully inadequate for the health care delivery community. Remuneration levels for physician executives may be shocking to the regional university and disruptive to their culture. The process of engagement is delicate: identifying and engaging the local leaders is key. Finding the supporters and early adopters will provide an initial base to build on.



취약지에서 의사들은 환자도 보고 교육도 해야 하는 것에 부담을 느낄 수 있다. 일부는 심지어 '학계'를 떠나기 위해서 왔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조차도 동료들이 학생들과 즐겁게 지내는 것을 본다면 무슨 일이 벌어지나 관심을 갖게 될 것이다. 

In underserved communities, physicians may feel overburdened by both looking after patients and teaching, and some may also have moved to that community specifically to escape “academia.” Most physicians, even the busy ones and those who abhor the trappings of academia, will come around when they see their colleagues’ pleasure in working with learners, so it is important to acknowledge these two statements of resistance but not be discouraged in moving forward.


어떤 사람들의 새로운 의과대학의 교육 미션과는 거의 관계도 없는 오랜 고충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학, 보건당국, 병원, 정부와 협상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방 캠퍼스를 생각할 수도 있다.

Furthermore, some groups may see the prospect of a regional campus as an opportunity to bargain with the university, health authority, hospital, or government to address long standing grievances that have little or nothing to do with the medical school's teaching mission. 




더 넓은 지역사회의 지원 Support in the broader community



Support in the broader community is critical to success. It is important to engage local community leaders and politicians and to find ways to ensure the local population are informed and have a chance to become engaged in the new development. A mixture of meetings with local leaders from outside of medicine, local politicians, media releases, and public events are ways of engaging.


지역사회의 비현실적인 바람을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경제적인 기대 등) 졸업생이 실제 진료를 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고, 오히려 실망하게 될 수도 있다.

Finally, volunteers from the community can be very helpful in terms of developing simulated and standardized patient banks and many feel they are contributing to a broader social mission. It is also important to manage unrealistic expectations from the community. There will be some economic gains with the addition of a regional campus. However, recruitment of graduates into practice will take many years, and overly enthusiastic press releases can end up with later disappointments.



초기 리더십 Early leadership


현장에서 뛰는 사람이 필요하다. 의학교육에 대해서 별로 아는 것이 없고 경험이 없을 수도 있지만, 여러 사람들을 만나고 다닐 필요가 있다.

It is likely that in the initial stages the regional campus leadership will consist of individuals who are doing this ‘off the side of their desk’. They may know little or nothing about medical education in general, have been educated in a different paradigm or country, and have little or no experience of the parent program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early on to identify temporary or interim leadership who can fully engage with counterparts at the main campus until a full search process can take place.


그 지역의 사람들을 참여시켜야 한다.

Involvement of local people in the selection process is key. You are looking for people who are collaborative and good communicators; credibility with the local community trumps experience in medical education.




기획 단계 Planning process


리더십이 구축되고 동의가 구해지면 구조와 절차를 기획해야 한다.

Once leadership is in place and initial agreements are set, a planning structure and process is required. This should be collaborative and formal, ensuring that progress is made toward formal recommendations and approvals of processes.


기획 단계에서 이런 것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입학에 대해서는 개교 2년 전에는 확정되어야 한다.

Planning must include necessary infrastructure including new buildings, technology requirements, and ongoing funding. Policy-intense issues such as the approval processes for budget allocations, student support and fees, allocation of bursaries across sites, and processes for faculty appointments should be sorted out at this time. Although we focus on admissions in a later section, admission processes must be finalized 2 years before the entry of the first students, and often serve as a focus for the partners in creating and agreeing on concrete processes, based on common missions and goals.


교육과정 모델이 만들어지면 기초의학자, 튜터, 임상실습강사 등을 다양한 분야에서 모집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결정해야 한다.

Once the curriculum model is established, a curriculum mapping exercise can provide the detailed requirements for basic scientists, tutors and clinical preceptors from different disciplines. These needs can be matched against existing resources and future hiring plans



거버넌스와 재정 Governance and finances


The more successful models have a clear, shared vision and mission, clear lines of communication and accountability, greater reliance on local decision-making to solve local implementation challenges, and clear guidance for resolving differences between partners.


인증기준에도 관심을 두어야 한다.

In designing these, it is essential to keep a close eye on accreditation requirements. 


재정 구조를 확실히 하기 위해서 어떻게 자금이 유입되고 재정적 자율권은 어느 정도 되는가를 명확히 해야 한다. 나중에 변화할 부분을 위해서 유연성이 있어야 한다. 초창기에는 명확히 기술되어 서로 동의하여 서명한 동의서가 불필요해 보일지 모르겠지만, 시간이 지나고 인력이 바뀌고 기억이 흐릿해지고 우선순위가 뒤섞이는 경우를 대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

In addition be clear about the financial structures, how money will flow and the degree of financial autonomy on the regional campuses. In the early days of building a new campus, the financial formulae used will be best guesses, so it will be important for the campus to have flexibility in how it uses its resources in order to solve unexpected problems. Clear budgeting processes, committee membership, and conflict resolution mechanisms must be agreed and written down in signed inter-institutional agreements. While these may seem unnecessary during the initial enthusiasm that goes with new developments they will prove essential in time as personnel change, memories fade and different priorities appear on the political and institutional landscapes. It is easier to write and negotiate them at the beginning than several years into operations.


평가인증 Accreditation


국가 기관에 대한 평가인증은 지방 캠퍼스가 성공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 매인 캠퍼스에 집중될 것이지만, 분명 평가단은 지방 캠퍼스도 방문하고 싶어할 것이다. 

Accreditation by national agencies is essential to the success of the regional campus and requires careful thought from the initiation of the project. While the main focus of accreditation may be a variation of the program provided by the main campus, accreditation agencies will almost certainly want to visit the regional campus to ensure that there are adequate resources, a positive student experience and appropriate graduate outcomes.



기획이 종료되면 - 착수 

Once the planning is over – getting going



시설 개발 Facility development

딜레이를 대비하고, Plan B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One of the truisms of developing new ventures is that the buildings and other infrastructure are often not completed according to the original timeframes. Developing a regional campus is a complex task, as the campus, although smaller than the main base, must have everything necessary to deliver a complex medical program. There are therefore two essential elements to the planning: allow for delays in completion; and have a ‘Plan B’.


딜레이를 인정하는 것은 일정 부분 회의적인 자세가 필요하지만, 상당히 어렵다. 

Allowing for delays in completion perhaps requires a degree of educated pessimism, but is quite difficult.


사용하지 않고 있는 지역의 시설을 이용하는 대안(plan b)를 준비해야 한다.

All of these commonly disrupt plans. Hence having a Plan B is essential – offices for faculty and other staff, teaching space, and basic IT infrastructure can be created by taking over local facilities that may be idle. 



지역 파트너들과의 관계 Relationships with local partners


Most regional campuses involve collaborative partnerships between the central university and local organizations, because that is usually the most effective and efficient way of proceeding.


시작 시점의 파트너십은 점점 지연되면서 시험대에 오를 것이다.

The initial planning (second section), outlines initial engagement of local partners to get the plan to a supported, implementable stage. However, this is really only the beginning of the partnerships, which may be tested by delays in construction, changes in policy or changes in the objectives of the partners. As at the beginning, this requires excellent communication strategies both externally and internally.




메인 캠퍼스와의 관계 Relationships with the main campus

지역 캠퍼스는 그 지역의 건강요구에 부합하는 그 자체의 미션과 에토스를 만들어야 한다.

An important variant of maintaining relationships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gional and main campuses. The regional campus inevitably develops an ethos and mission of its own, often based on local workforce development and meeting local health care needs.


메인 캠퍼스와 긴장이 있을 것이다. 그럴 때는 큰 그림을 봐야 한다. 

It is almost certain that there will be tensions between the main and regional campuses. At times, all partners have to look upwards toward the lofty vision and goals initially developed – the bigger picture – rather than looking too closely at the smaller steps along the way. 



교수와 직원 모집 Recruitment of faculty and other staff

특정 사람들에게는 매력적일 수 있다(self-reliant, higher risk taking tendencies). 

Recruitment of faculty to new initiatives in distant locations can be a real challenge. It may be that these positions are attractive to particular types of individuals – perhaps those with more self-reliant, higher risk taking tendencies. Traditional academic research careers are difficult to nurture in regional campuses, although there may be opportunities to build research and development around local industry strengths, local population and health care needs, and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evaluating innovative educational approaches.


어떤 지역 리더십을 선택하느냐는 중요한 결정이다.

The choice of local leadership is a crucial decision. The leader must share the vision, be strategically flexible, be innovative, be prepared to work with all partners to push the agenda along the planned path, and be willing to adapt development in response to inevitable challenges.



교수 개발 Faculty development


Most new ventures commence with a small core ‘pioneer staff’ comprising some external people but in general a majority of local recruits. This means that faculty development is a major early priority.


가장 연구로 성공할만한 영역이 어딘가를 찾아서 집중하는 것이 좋은 초기전략일 수 있다.

An important early strategy is to determine where the best chances of research success lie. There may be local health issues (e.g. rural or indigenous population health) that will attract funding because of the location and therefore be more successful than similar research development at the main campus.



학생 선발과 모집 Student admissions and recruitment


두 가지 방법이 있다.

Because admissions processes are formalized 2 years prior to the start of classes, issues related to student admissions need to be addressed earl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tners. The easiest path for large, established medical schools is to simply select more students from their competitive pool and allocate them to the regional campus. On the other hand, local partners may prefer a local community development option that increases access for local youth to medical careers. This approach may be part of a broader local community development agenda that aims to increase participation of local people in tertiary education. 


그러나 이 둘 중 어떤 것도, 혹은 두 개의 조합도 실패할 것이다.

Neither of these paths, nor indeed a combination of them, is necessarily wrong, but it is essential to resolve any differences early. It is likely that the local community development argument will have to be acknowledged if strong local support is to be maintained – the ‘grow our own doctors’ mission is not just a powerful goodwill strategy, but it also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Hays 2001; Veitch et al. 2006). 


학생이 의과대학의 교육을 감당할 수 있어야 한다. 잠재적 학생과의 명확한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On the other hand, sustainability of the regional campus will depend partly on the ability of the students to achieve in a demanding medical education program. In most jurisdictions, admissions are the responsibility of the faculty members, and admissions processes must be approved and defensible by the parent university senate. Development of policies and procedures that ensure potential regional campus students with high academic potential can be admitted can prove to be complex and a focus for conflict and misunderstanding. Clear communication with potential students is paramount.




교육과정 Curriculum issues


Developing regional campuses poses significant educational challenges above and beyond the challenges of establishing infrastructure and recruiting faculty. A major question to address is: to what extent is the curriculum able to be delivered at the new campus? This question has several dimensions, including 

  • the mission of the new campus
  • the content of the planned curriculum, 
  • the match of clinical opportunities to the planned curriculum, and 
  • the assessment of learning progress at all sites.


교육과정의 많은 부분은 면허시험기관(의 학습목표)에 의해서 결정된다.

In most jurisdictions the curriculum is largely determined by national licensing organizations, following a set of learning outcomes that define the capability of graduates from the relevant curriculum.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program being delivered at the satellite campus, the challenges are different. 


실험 기자재 필요

For example, in early years the requirements are for the delivery of similar basic, behavioral and social science. This may include anatomy and physiology laboratory facilities. Lectures can be delivered across several sites by video or web-conferencing. 


균등한 수준의 임상경험을 쌓을 수 있어야 한다.

For more senior years, the challenge is to provide the appropriate clinical learning opportunities, which requires an appropriate range of patients, clinical problems and clinical investigation technology. While opportunities for clinical learning always vary, even within a single site, there needs to be equivalence of opportunities at all sites in order to prevent the perception that satellite campuses are less effective as learning environments. 


모든 캠퍼스의 학생들은 같은 기준과 방법에 의해서 평가받아야 한다.

Similarly, it is essential that students at all campuses be assessed in the same ways to the same standards.



두 캠퍼스에 대해 같은 평가를 하는 것이 손쉬운 방법이다.

In the US and Canada, assessment of students must be equivalent across the sites in order to meet accreditation requirements. The simplest way to start is to employ the same assessment methods and materials at the main and regional campuses. When all students take the same sets of exams, the results provide a rapid measure of comparability of academic performance across sites. Talent at the distributed site can be channeled toward contributions to the overall assessment pool (e.g. multiple choice questions) rather than to the development of a parallel assessment system. Effective, valid, and reliable assessment of student performance in small group activities (clinical skills, problem-based learning) by new tutors at the distributed site requires faculty development, peer support and mentorship. 


새로운 캠퍼스에서 활용하기 위한 교육, 평가 기술을 개발해야 함.

There are several approaches to developing the teaching and assessment skills of faculty at the new site. These can be used in combination, for example:

  • send a small number of faculty to the main campus for short periods of training;
  • send faculty from the main campus to the site for faculty development workshops, peer observation, support and mentorship;
  • create opportunities for tutor development meetings and workshops by videoconference. 


한 번에 끝나는 과정이 아니다.

It is important to see this as a “train the trainer” ongoing process, not a one-time only endeavor. In a supportive, mutually respectful environment, experienced faculty at either site can observe and provide feedback to less-experienced tutors, enhancing the ability of new faculty to teach and assess students until a satisfactory level of proficiency has been reached. The initial learning curve is steep; lasting at least 2 years, fortunately this is when the body of new faculty is commonly enthusiastic, stable, and turnover is low.


지역 캠퍼스가 메인 캠퍼스보다 덜 만족스럽다는 인식은 대체로 틀린 것으로 드러났다.

In practice, the perception that regional campuses are less satisfactory than the main campuses is generally almost always proven to be incorrect. Curriculum relevance of clinical experience has been shown in the UK to be equivalent in distant community general hospitals to that in larger academic hospitals (Colquhoun et al. 2009). Student performance in centrally managed assessment has also been shown not to disadvantage learners at distant campuses (Worley et al. 2004; Bianchi et al. 2008). Indeed, many students and faculty believe that regional campuses often provide richer learning opportunities, with more general clinical case mix, lower student:patient ratios, and better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participate in patient care. There are a few students who may do better with the anonymity of the larger campus, but many of these students end up singing the praise of the regional sites.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메인 캠퍼스의 교수들은 지방 캠퍼스의 학생들이 뒤떨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공식적, 비공식적 의사소통 과정을 통해서 잘 설득해야 한다.

However, in spite of the evidence and the student acceptance, the faculty at the parent site may be anxious that the student outcomes at the regional campus will lower the outcomes overall of the medical school: it is important to articulate and address this issue through both formal and informal communications processes and local evidence.


인증기준에 어긋난 것이 아니라면 그 지역사회에 가장 잘 맞는 교육과정을 만드는 것이 좋다.

If the intention is to set up a campus that will in time be independent, thought needs given as to whether to import a curriculum from elsewhere or develop one locally. If accreditation processes allow, there is merit in developing a curriculum that truly matches the needs and challenges of the local community, rather than to use one that was developed in a separate context that may have less relevance. A modern curriculum that employs strategies to reduce the burden of factual information would include a combination of didactic, small group and clinical experiences. This will determine the types of faculty required to teach and opportunities to choose from a variety of modes of delivery.




기술의 활용 Use of technology

임상실습이 아닌 거의 모든 교육과정이 온라인으로 제공될 수 있다.

Communications technology has developed rapidly to the point where virtually all of the non-practical curriculum could be delivered from the main base. 


그러나 모든 사람이 이러한 방식을 즐기는 것이 아니므로, 혼합할 필요가 있다.

However, in reality not everybody enjoys participation purely through communications technology. Hence there will almost certainly have to be a combination of distant and local delivery. This raises an important philosophical issue: the aim in using communications technology must be to facilitate or enable optimal curriculum delivery. This is a more learner-focused than technology-focused approach, but there are several challenges. 

  • One is how to closely align the curriculum with the technology, as there are no clear guidelines and perhaps as many variations as there are curricula. 
  • Another is the issue of compatibility of the technology backbones of the partners, as this is unlikely to be complete. 
  • Finally, the continuing rapid development of communications technology may mean that regular improvement may be constrained by funding availability.




파일럿 프로그램 Local piloting of the program


As with any new initiative, it is unwise to commence full operation without some piloting and probably a staged introduction. Technology should be trialed well before it can be relied upon. Local curriculum implementation should be piloted, perhaps with a small group of volunteer students in the previous academic year.



프로그램 평가 Program evaluation



시기별 목표가 다를 수 있음

Program evaluation is essential to the success of the program and requires a solid funding envelope. Although the 

  • early focus is on evaluation to improve quality, to document student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comparability, and matching rates into postgraduate training, a 
  • longer term focus is on measurement of the degree to which the program is meeting its stated mission and goals, as well as identification of unintended outcomes. 


관계자들에게 보고서 제출해야 함

It is imperative to provide regular reports to stakeholders, including future students, on program indicators. 


메인캠퍼스와 지역캠퍼스는 관점이 다를 수 있다.

Main and regional campuses have different points of view about program evaluation. 

  • Central university may be focused on their usual parameters of success such as academic achievement of entering students. 
  • However, the regional campus may be more interested in the impact on workforce recruitment, and on the community overall.


Planning program evaluation during the hectic start-up days can be challenging. The recruitment of an individual whose position has this as a priority has led to success at many regional sites. Impact on recruitment and workforce appears to take place well before graduation of a cohort – the regional campus itself can act as a magnet for clinicians. Capturing these changes in the first years of the program is important, as the baseline precedes any announcement of the regional campus.


장기적 ROI측정을 위한 전략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early to measure the long-term return on investment with respect to the entry of graduates into primary care and generalist specialties, the recruitment of clinicians to the region, who were students educated at the regional campus, and changes in research funding. At the same time, attention must be paid to managing expectations, especially those of community and government


장기적 DB구축과 이를 위한 관련 결정사항들

A longitudinal database affords the opportunity to set up a linked data collection system. However, policies to gather data in one place, decisions about what data to collect, and codebooks defining the data must all be developed requiring institutional commitment, discussion, and significant funding to implement and maintain. Establishing the need for this at the central university may be difficult when there are other funding priorities.


브랜드를 구축하고 명성을 쌓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Program evaluation is an essential component to branding and developing a reputation. Program leaders can learn from the students and collect supporting data on what is seen as positive in the regional campus, and can communicate these to potential applicants. Other key messages will come through in terms of national exam performance and matching of graduates to competitive specialties, strengthening the appeal of the regional campus. A communication strategy, formal or informal will coordinate communication across key stakeholders,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and the central university. Being praised by others can help the process of acceptance and cultural change at the central university.



학생 지원 Student support


From the student perspective, easy access to local support is critical. This may include the provision of advice on accommodation and finances, academic support for students in difficulty, career guidance and services for students with health and personal issues.



Pitfalls to avoid in the early years



의사와 지역사회의 참여 Physician and community engagement

변화에 대한 저항은 피할 수 없으므로, 미리 예상하고 해결해야 한다.

Resistance to change is unavoidable and should be anticipated and addressed by the program leaders through a change facilitation process that involves the education team, the health care team and the community at large.


지속적인 참여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Once the campus is established, it is critical not to lose sight of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engagement.


변화관리 프로세스의 중요성을 언급하고자 한다.

We mentioned the importance of change management processes in the previous stages, they become even more important at this stage to ensure the overall mission stays on track.



의사소통 Communication

Institutions, organizations, and groups with different “cultures” may have a history of poor communication and mutual mistrust.



면대면 vs 원거리 Face to face versus distance issues

These pertain to faculty, administrators, and students alike. Use of technology for faculty and administrative meetings facilitates curriculum planning and faculty development. Effective use of face-to-face meetings can facilitate team building across the sites. For example, it is important to ensure that people who do not know each other meet in person at an early stage and at appropriate intervals thereafter. Developing the inter-site team and nurturing positive inter-site relationships are essential to build a team of faculty and staff who can work together to sustain the new site. A shared sense of purpose and commitment should be accompanied by efforts to ensure open, timely communication in an atmosphere of mutual respect. Avoidance of “finger-pointing” and a focus on systems issues rather than blaming individuals when mistakes occur are helpful strategies. Further suggestions to nurture the team include:


  • 정기적으로 자주 의사소통 Establish regular and frequent communication with course directors and staff at other sites
  • 교원모집, 교수개발, 신기술 도입에 관심가지기 Pay careful attention to faculty recruitment, faculty development and introduction to new technologies
  • 확장성, 유연성을 가진 팀빌딩 촉진 Promote team building with a focus on flexibility and adaptability at all levels
  • 면대면 미팅의 활용 Use face-to-face meeting time to develop rapport with colleagues at other sites
  • 지역별 팀간 긍정적 관계 Expect and encourage positive local and inter site team relationships
  • 팀 사기를 증진시키기 위한 이벤트 Hold events that promote a team spirit
  • Recognize contributions through formal and informal means such as letters of thanks, certificates of attendance at events and workshops, awards of promoted status




역량강화와 핵심 인력 모집 Capacity building and recruitment of core faculty


Regional campuses tend to get going on a wave of enthusiasm and the energy of “early adopters”(Rogers 1983). There remains a need continue to build educational capacity in the early years and one can anticipate the need to appoint some new course leadership and expand teaching faculty within the first 5 years.




핵심 인력 모집 Recruitment of core faculty


장기간에 걸쳐서 모집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There may be some sense in staging the recruitment of full time academic faculty over a period of time. They may come from the local environment or be recruited from elsewhere.


서로 다른 경력수준에 있는 팀을 만드는 것이 합맂거이다.

There is sense in developing a team that is composed of individuals at different stages of their academic career particularly if recruitment is difficult and the team will primarily be junior in experience, consider gradually phasing them in over a period of years. 



팀빌딩 Team building

The site leader must build a core team of faculty and administrative support staff to sustain implementation and coordination efforts.




Maturing and sustaining beyond the first years of program delivery

초반이 지나면 long-term sustainability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For the first years of development for a regional campus, the focus is o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program. Once the first cohort has graduated successfully, some of the pressure is lifted, and attention must turn to the implementation of a plan for long-term sustainability. 


새로운 프로그램/교과목 담당자들은 지역 캠퍼스를 자원을 잡아먹는 곳으로 보며,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놔둘 것이다.

New course directors or program staff at the regional campus may be seen as a drain on resources and left to work out things for themselves.


이러한 이슈를 바라보는 한 관점은 사회적 자본의 측면에서 보는 것이다.

One broad way to consider this issue is in terms of social capital (Lovato et al. 2009; Hanlon et al. 2010). As the program is built, new partnerships and collaborations are formed, increasing the social capital in the medical program faculty and staff. Over time, delivery of the program draws on this social capital, and depletes the store. The strategies identified earlier for managing change and engaging the community remain just as important once the campus is established. It is also helpful to find new opportunities to engage faculty and staff such as program innovation,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search. Formal recognition such as teaching awards acknowledges the hard work done. In medically underserved settings, specific clinician recruitment will be required to sustain a program over time, allowing for illness, withdrawal after an intense period of start-up and other sudden changes. Without built-in redundancy in teaching faculty developed over time, the program will become increasingly tenuous.


새 캠퍼스가 열리면 5년 내에 리더십 전략을 검토해야 한다.

As well as developing capacity in teaching faculty, the regional campus will need to examine its leadership strategies within 5 years of start-up. The academic leader will be increasingly pulled into development of research and postgraduate training, but the undergraduate program will still require a steady hand. One strategy is to recruit associate academic leads.



교육과정 변화 Curricular change

Most schools that are building regional campuses do not make major changes to the curriculum at the same time. New regional faculty may be getting used to new ways of teaching medical students that they themselves have never experienced, such as PBL and simulation.


메인 캠퍼스의 압력이 있을 수 있음.

There may be pressures on the main campus to prove that the program can be delivered at the regional campus without change to either the underlying pedagogies or the curriculum itself. The departmental structure, the power structures, and the underlying history at the main campus may make some innovations and change especially difficult.


몇 해 교육을 진행한 이후에는 그 지역 캠퍼스에도 교육 전문가가 등장할 것이다.

After several cohorts of students, however, the expertise in medical education at the regional campus will evolve. Faculty members may have deliberately increased their expertise in medical education through higher degrees, conference attendanc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이 지점에서 지방 캠퍼스와 메인 캠퍼스 사이의 혁신과 변화에 대한 긴장이 나타난다.

Tensions for innovation and change may emerge between the regional campus and the main campus at this point. Processes of curricular change, including university senate review and approvals may be completely incomprehensible to regional faculty, and may be interpreted as “stalling” on the part of the main campus. 




변화 관리 Managing change and transitions

In the early years of the regional campus implementation, university, community, health services, physician, government, and faculty of medicine leadership are all aligned to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regional campus.


리더십이 바뀌는 시기는 지방 캠퍼스에게는 위기가 될 수 있지만, 이 때야말로 기초 문건을 다시 볼 때다.

Leadership transitions are times of risk for regional campuses. This is a time to revisit the foundational documents of the program.


정부가 바뀌는 것에 대해서도 잘 대처해야 한다.

Government transitions in particular need to be carefully handled. “Stories” that resonate with the new government's agenda may allow the government to accept and personalize the regional campus as contributing to “our” mission.



파이프라인 구축 Developing a pipeline: postgraduate training programs

Some undergraduate regional campuses are built on the existing success of postgraduate programs in the region.


Accreditation processes for postgraduate training, particularly in the specialties, may pose a significant barrier to development of a full training program. 




연구 문화 만들기 Developing a culture of scholarly enquiry

In the early years of a regional campus, the focus is on developing and delivering the program. Over time, there is a need to shift both the physician culture and the early program culture to developing a culture of scholarship, including research (Kaufman et al. 1996).


교육에 대한 투자를 감안했을 때, 연구 아젠다로 삼아야 할 첫 번째 분야는 의학교육이다.

Given the investment in education, one of the first areas for the development of a research agenda may be medical education.


일부 지방 캠퍼스는 기초의학과 임상연구도 할 것이다.

As well as the potential for reporting of innovations and educational research, some regional campuses will be building basic science and clinical research. This development is delicate with multiple tensions


메인 캠퍼스에서는 지방 캠퍼스에서 어떻게 연구를 할 것인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할 수 있다.

In general, because the main campus is usually a much larger faculty with research centers and large multidisciplinary research teams, there is little understanding of how to facilitate research at a regional campus.


If the development of the research programs is so difficult, what are the rewards? First, it is a general expectation (and sometimes an accreditation requirement) that medical students will have opportunities to engage in research. 


Successful scholarly programs for students attract a different applicant pool, and alter the perception of a rural regional campus as a “training site for barefoot doctors.”



인력 모집과 유지 Recruitment and retention


For most regional campuses, recruitment of their graduates in the region is an important outcome and recruitment of future colleagues is an important reason for engagement of clinicians. As many graduates move for postgraduate training, staying in touch and connected is an important strategy for future recruitment. Engaging the health authority in recruitment strategies and ensuring that the health care system is supportive and ready for their integration as clinicians will ensure that at least some graduates return after postgraduate training.





 2011;33(7):518-29. doi: 10.3109/0142159X.2011.564681.

Developing a medical school: expansion of medical student capacity in new locations: AMEE Guide No. 55.

Author information

  • 1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Canada. snadden@unbc.ca

Abstract

BACKGROUND:

A concern about an impending shortage of physicians and a worry about the continued maldistribution of physicians to medically underserved areas have encouraged the expansion of medical school training places in many countries, either by the creation of new medical schools or by the creation of regional campuses.

AIMS:

In this Guide, the authors, who have helped create new regional campuses and medical schools in Australia, Canada, UK, USA, and Thailand share their experiences, triumphs, and tribulations, both from the views of the regional campus and from the views of the main Medical School campus. While this Guide is written from the perspective of building new regional campuses of existing medical schools, many of the lessons are applicable to new medical schools in any country of the world. Many countries in all regions of the world are facing rapid expansion of medical training facilities and we hope this Guide provides ideas to all who are contemplating or engaged in expanding medical school training places, no matter where they are.

DESCRIPTION:

This Guide comprises four sections: planning; getting going; pitfalls to avoid; and maturing and sustaining beyond the first years. While the context of expanding medical schools may vary in terms of infrastructure, resources, and access to technology, many themes, such as developing local support, recruiting local and academic faculty, building relationships, and managing change and conflict in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are universal themes facing every medical academic development no matter where it is geographically situated.

FURTHER INFORMATION:

The full AMEE Guide, printed separately, in addition contains case examples from the authors' experiences of successes and challenges they have faced.

PMID:
 
21696277
 
[PubMed - indexed for MEDLINE]


의대 신설 논리와 인증평가 제도 -지방의대 신설의 문제-

이 무 상

(재)한국의학교육평가원장

msluro@yuhs.ac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






국내 항공여행을 하면 나라가 너무 작고, 절차와목적지까지의 시간을 감안하면 다른 이동수단에비해 더 불편하다는 것을 실감하는 경우가 많다.그런데도 도서 국가를 제외하고 면적대비 중형 항공기 수용이 가능한 지방공항이 많은 나라가 한국이며, 대부분이 초기에는 국제공항을 표방하였으나 지역주민의 40분 국내 여행용이 현실이라고 한다. 그 지방공항들이 경영위기이거나 또는 폐쇄된다는 보도가 잦다. 대표적인 비효율과 낭비, 지역이기주의, 무책임한 정치적 산물의 예로 자주인용된다. 이런 보도는 현재의 우리나라 의과대학상황을 떠올리게 한다. 어느 나라에서나 공항과 의과대학은 기본적으로 이질적이라서 비교가 어울리지 않는다. 그런데 한국에서는 비교할 만하다고 한다.


중형 공항 수는 면적대비로만 많지만, 의대 수(의대 41개, 한의대 12개를 포함하여 총 53개)는 면적대비는 물론이고 인구대비에서 조차도 세계최고라고 한다. 양자가 모두 막대한 자본 투입이필요한 것에서는 같지만, 전자는 후손에게 물려줄좁은 국토의 자연환경조차 마구 훼손하였다고 한다. 또한, 지방에 위치한 공항과 의대의 대형병원양자가 경영과 운영의 위기를 맞고 있다는 점에서는 같지만, 전자의 위기는 자주 보도되나 후자의위기는 보도가 안 된다는 점이 다르다고 한다. 이같이 같은 점과 다른 점이 있지만, 가장 같은 점은위기의 원인이라고 한다. 첫째가 지방공항의 위기가 고속도로의 증설, 자동차 소유의 보편화, 고속철도의 건설이듯이 지방의대 대형병원들의 위기도 같은 원인이고, 둘째가 이러한 위기를 맞게 된양자의 무리한 신설은 항상 정치적 산물이었다는점이 같다고 한다.


여기서 최근에 떠돌고 있는 의대신설 주장에 관하여 살펴보고, 이와 연계하여 새롭게 논의되고있는 인증평가제도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역대 정권과 의대 신설


정치는 인간 생활과 관련된 모든 것을 포용할 수있으므로 공항이나 의대 신설도 당연하게 정치의범주에 속할 수 있겠다. 그래서인지 우리나라에서는 정치적 격변이라 할 수 있는 대통령 선거 후에는 공항과 의대 신설 주장이 항상 있어 왔다. 그런데 최근에는 전자는 잦은 언론보도로 정치 공약이나 선전으로서의 매력이 없어졌고, 후자는 아직도유용한 모양이다. 여기서 역대 정권과 의대 신설을 광복시점부터 정리하면 <표 1>과 같다.





그러나 의사양성의 기본이 되는 의과대학 입학정원 변화에 관하여는 광복 이전의 자료가 없고,더구나 광복 이전에 개교한 국립 3개교 동창회의현재 명부에도 철수한 일본인 졸업생 명단은 없어서 입학정원 추정이 어렵다. 당시의 공립에는일본인 학생이 절대 다수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립 2개교의 한국인 졸업생 수와 공립 3개교의 광복 후 졸업생 수를 감안하여 추정하면, 광복시보다는 의대와 한의대를 포함하여 입학정원이최소 약 10~15배 이상 증가하였고, 한국인만을기준으로 한다면 약 30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제로부터 광복된 후 반세기 동안에 의과대학수는 5개교에서 41개교로 8배 증가하였다. 그런데수의 증가도 문제지만 설립주체도 문제이다. 세계적으로 대부분 의과대학은 국공립이라는 세계적특성이다. 그래서 거의 모든 나라에서 국공립 비율이 절대다수이다. 현재의 유럽제국과 과거 냉전시대의 사회주의 국가들은 100%가 국립이고, 자유민주주의와 자본주의의 본향인 미국은 물론이고 일본조차도 국공립이 절대 다수이다. 국민의료관리의 필요와 막대한 재정투입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광복 시점의 5개교 중에서 3개교가국립이었으나, 현재는 41개교 중에 10개교가 국립으로 25% 미만이다. 광복 후에 국립은 7개교가 설립되었으나, 사립은 28개가 설립되어 4배나 더 많았기 때문이다. 이런 분포를 갖고 있는 나라는 일부 신생후진국과 한국뿐이다. 정부수립 초기의 취약한 국가재정과 전쟁 때문에 국립의대 설립이 여의치 않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경제력이중진국 수준에 도달한 후에도 사립은 여전히 많이설립된다. 좋게 보면 자유민주주의와 자본주의 이념의 존중이지만, 그보다는 의료에 대한 국가 책임의 방기 또는 정권의 특성을 더 추정케 하는 면이 <표 1>에 보인다.


중남미와 아시아의 후진 신생국에서 흔히 보듯이, 식민지에서 해방이 된 어느 신생국에서나 의과대학 신설 또는 입학정원 증원은 한풀이 차원에서 일시적으로 성황을 이룬다. 더구나 인구 증가와 경제발전에 따른 의과대학과 입학정원의 증가는 필연이다. 그래서 우리나라도 그럴 수 있다고본다. 그런데 증가 속도를 정권별로 보면 의문을갖게 된다. 군사독재 정권이지만 고도의 경제발전으로 칭송받는 박정희 정권에서는 16년간 11개교가 설립되나, 같은 군사독재 정권이지만 다른 칭송이 없는 전두환 정권에서는 8년에 11개교가 설립되어서, 증가 속도가 꼭 2배이다. 또한 1987년민주화 이후의 최초 정권이라는 노태우 정권 5년에는 2개교만이 설립되더니, 민주주의 정착의 시발이라는 문민정부의 같은 5년에는 무려 9개교가설립되어서, 증가 속도가 4배를 넘는다. 즉, <표1>의 신설의대 설립인가는 군사독재나 민주주의와는 상관이 없고, 경제발전과도 상관이 없다는 것을나타낸다. 그래서 의대 설립은 정치의 어두운 산물이라는 것을 추정하게 한다. 여기에 모두가 광복후에 설립된 한의과대학 12개를 포함하면, 남한인구 16,565천명(1944년)에서 47,279천명(2005년)으로 2.85배 증가하는 60년 동안에 광복 전의 5개교에서 총 53개교로 10.6배의 증가를 보인다. 결과적으로 지구상에서 면적과 인구대비로 세계 최고로 많은 의과대학을 갖는 국가가 된다.


그런데 김영삼 정권 이후에는 일부 보건경제학자들의 계속되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김대중과 노무현 정부의 지난 10년간에는 의대의 신설과 입학정원의 증원이 없었다(한의학전문대학원 신설은있었으나, 입학정원 증원은 없었다). 도리어 마지못해 공언한 전국 의대입학정원 10% 감축은 기술적으로 처리 되어서 조금은 줄었다. 이는 2000년에 의약분업으로 촉발된 의사들의 저항인 의료대란과 당시부터 적극 시작된‘의과대학 인증평가’가 일조하였다고 볼 수도 있으나, 그보다는 김영삼 정부에서 남긴 무분별한 의대신설이란 무리한유산에 대한 뒤처리와 정리가 10여년이 지난 현재까지 아직도 마무리 되지 않은 상황이 정치권과보건경제학자들에게 압력으로 작용한 것이 아닐까 추정된다.



의대의 규모와 특성


우리나라 의과대학은 그 수가 많기도 하지만,1985년 이후 신설 의대들은 학교가 국립이건 사립이건 학교의 규모, 특히 학생규모가 한결같이 소규모라는 문제를 갖는다. 이는 국가전체로 보면비용대비 효율적이지 못하고, 의학교육의 질도 담보하기가 어렵다는 문제를 낫는다. 이러한 소규모입학정원의 의대설립은 1970년대 말부터 시작되었다. 당시에 설립된 의대들은 80년대 초의 전두환 정권에서 크게 증원되었으나, 1985년 이후부터는 국립이건 사립이건 간에「미니 의과대학의 다수설립」이란 정책으로 13년간에 18개교가 설립되어서,“ 모든 신설의대는 미니의대가 원칙이다”로 아예 자리를 잡는다. 아마도 국민의료 관리의 일환이라는 정책적 유인으로서의‘소규모 의대 신설’이라는 정책과 교육학 원리보다는 정권차원에서조금씩 고르게 나누어 주겠다는‘시혜적 정치적사고’의 합작으로 나온 결과로 해석된다. 그래서90년대 초에는 입학정원 20명의 대학이 인가된적도 있었는데, 이러한 초미니 의과대학은 지구상에서 한국이 유일하였다.


물론, 어떤 대학이건 학생규모가 적은 학과가시대 변천에 따라 자연스럽게 생기게 마련이다.그런 영세학과는 대학운영에 많은 문제를 야기하므로 대학은 학과의 통폐합을 유도한다. 그래서일반 교육학에서는 학문의 특성에 따라서 가장비용-효율적 운영이 되면서도 교수학습 측면에서 가장 교육효과적인 학생규모를 항상 연구한다. 의학교육학에서도 마찬가지인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학교당 최하 80명에서 최고120명의 입학정원이 적정 규모라는 것이 정설이다. 다른 학문분야보다 입학정원이 많은 것은 어느 학문보다도 분과 학문이 많은 의학의 특성과의료전문직 양성교육에 필수인 적정 규모의 부속병원 존재 때문이다. 즉, 임상의학교육에 필수인부속병원 경영에도 이러한 적정 규모 개념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세계적으로 대부분의 유명의과대학 입학정원은 편차가 적은 평균 100명 전후인 것이다. 일본(90명), 미국(110명)이 전형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표 2>에서 보듯이현재 최하 40명, 최고 135명으로 편차가 크고 평균 75명 수준이다. 더구나 우리나라에는 의학교육에서 가장 비효율적인 소규모 정원의 전형인50명 미만인 경우가 18개교(40명 정원이 10개교, 49명 정원이 8개교)로 전체의 44%에 해당할만큼 많다. 이러한 분포를 갖는 나라는 찾기 힘들다. 그래서 적정한 학생규모의 중요성에 대하여살펴보기로 한다.





적정 학생규모는 일반대학에서도 교수-학생비율로 따질 만큼 항상 중요시 한다. 그런데 이러한 산술적 비율을 떠나서, 어떠한 학문분야 교육이건 제대로 된 교육을 위하여서는 항상 최소한의 교수 수가 일정하게 필요하다. 한편, 의학은종합학문이여서 분과학문과 세부전공이 어느 학문보다 그 수가 특히 많다. 또한 고위 전문직 양성교육이라서 실험실습이 많아서 교육기관 단위로 제대로 된 교육을 위하여서는 분야별로 최소한의 교수가 일정하게 필요하고, 결과적으로 다수의 전임이 필요하다. 그래서 모든 학문분야에서 교수-학생 비율이 가장 낮은 분야가 항상 의학교육이고, 세계적으로 유명한 모든 의과대학에서는 입학정원은 물론이고 전체 재학생보다도 교수가 항상 더 많다.


그런데“신설의대는 미니의대가 원칙이다”라는원칙하에 다수의 의대가 단기간에 탄생하니 전국적으로 교수 부족 사태가 당연히 초래되었고, 결과적으로 부실 의학교육의 가장 큰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그런데 더구나, 신설의대 입장에서는 당연하게 초래된 비용대비 비효율과 학사운영에서의 교수부족으로 인한 부실교육 때문에, 그 대학의 의학교육을 학교교육이라기보다는 학원교육형태로 몰고 가게 되었다. 이유는 전문직에 필요한 국가면허의 우선적 취득이 학생들 자신은 물론이고 학교 입장에서도 학교의 명성에 절대 필요하므로, 심하게는 고시학원 형태로까지 끌고 가게된 것이다.


또한 학교운영 면에서 보면 학생 수에 대비하여교수의 과다한 채용은 학교 운영의 부실을 초래하였다. 제어 수단으로 임상실습을 위한 교육기관으로서의 부속병원을 교육병원보다는 오직 수익 창출의 병원형태로 변환시키게 되었다. 이상의 기전으로 결과적으로 학생들이 받는 의학교육의 질을더욱 낮추게 되는 악순환이 초래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악성 결과는 의료소비자인 국민에게최종적으로 되돌아가게 되었다. 그런데 이런 과정은 우리만의 이야기가 아니고, 이미 1세기 전에 자유민주주의와 자본주의의 본향이라는 미국의 경험이기도 하였다. 그래서 미국에서는 1세기 전에자연스럽게「플랙스너 보고서」가 나왔고, 벌써 반세기 전에「의과대학 인증평가제도」가 적극 적용된 것이다.


이렇게 중요한 적정 학생규모는 항상 입학정원으로 살피게 된다. 그래서 입학정원 분포를 설립주체별과 교육과정별로 비교하면 <표 3>이 된다.국립대학은 학교당 평균이 92.9명의 입학정원으로 효율적 구조이지만, 전체 10개교 중에서 3개교(충북, 강원, 제주)는 50명 미만으로 비효율적이다. 사립대학의 전체 31개의 평균은 국립보다 못한 평균 68.7명의 입학정원을 갖으나, 31개교의거의 반인 15개교 (48.4%)는 50명 미만이다. 그래서 사립은 국립보다 평균도 적고, 소규모 미니 의대 수도 많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기본적으로 민간의존의 의료공급과 의학교육을 시행하므로, 사립의대가 많아서 산술적으로는 당연하다고도 볼 수 있다. 그러나 인가권을 갖고 있는 정부는 국립에는 그나마 효율을 감안하였지만 사립에는 효율을 감안하지 않고 설립인가를남발하였다고도 볼 수 있다.





또한 학부체제를 유지하는 의예과 전국 정원은전국 원-정원의 46%이나, 의전원 체제의 정원은전국 원-정원의 54%이다. 그런데 설립주체별로보면 국립에서는 이것이 17 : 83으로 크게 차이가나지만, 사립에서는 59 : 41로 역전되어 나타나고격차가 적어진다. 물론, 이러한 분포는 앞으로도계속 변화할 것이다. <표 1>과 <표 3>을 종합하면,각각의 국립의대와 사립의대가 갖는 국내에서의위상, 특성 및 고민이 보인다. 이제 학제변화의 찬반을 떠나서 학교운용의 효율과 교육효과 위주로의 적정 학생규모 체재로의 개선을 모색하여야 한다. 즉 정부는 더 이상의‘소규모 미니 의대의 신설’이 아니라, 의사과잉 시대에 전국 입학정원의감소와 함께‘적정 규모의 의대’의 창출 방안을 고민하여야 할 것이다.




지역별 의대의 분포와 입학 정원


우리나라는 광역자치단체 행정구역 16개(1개 특별시, 6개 광역시, 9개 도)로 구성되지만, 교통망의 확장과 증설로 전국이 이제는 반일 생활권이라해도 과언이 아니다. 당연히 이로 인한 문제도 발생한다. 그래서 최근에는 조정이 필요하다는 논의도 있다. 교통이 불편하였던 조선시대에도 한반도남부는 6개 지역으로 나눴고, 지금도 관행으로 사용한다. 그래서 6개 지역별로 의과대학의 분포를인구 대비로 살펴보면 <표 4>와 같다.





어느 국가이건 의사인력 논란은 면적대비 보다는 인구대비 의대와 입학정원을 다룬다. 그래서세계의학교육연맹(WFME)은 효율적인 의대 운영을 위하여 인구 200~250만명에 1개의 의대를 추천하며, 특별한 경우에 최하한 선으로 인구 150만명을 추천한다. 싱가폴은 인구 500만명에 1개 국립의대만을 운영한다. 미국에서는 면적은 넓고 인구가 적은 Alaska, Montana, Idaho 주(2006년기준 인구; 각각 67만명, 94만명, 150만명)에는 3차 진료기관은 있으나 의과대학이 없다. 그래서인접 주인인구 640만명에 오직 1개 의과대학만 운영하는 Washington 주에 WAMI Program이란이름으로 자신들의 학생을 위탁하여 의학교육을받게 한다. 그만큼 의대 운영에 효율을 중요시한다.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 인구밀도(490명/km²; 통계청, 2005)로 국토가 워낙 작은 국가이어서 면적대비 의대 수는 논할 수도 없다. 그래서 인구만으로 본 <표 4>에 의하면 전국적으로는 115만명에 1개 의대로 국제기준을 상회한다. 한의대를 포함하면 89만명에 1개교가 된다. 본토와 떨어진 제주도는 53만명에 1개 의대이지만, 수도권과 인접하여반일 생활권에 속하는 강원도는 37만명에 1개 의대 (한의대를 포함하면 29만명에 1개교)인 4개 의대가 있어서 인구대비로는 세계 최저이다. 지역이넓고 영동과 영서 지역 간에 정서가 다르고 교통이 불편한 상황 때문이라는 당시의 정치권 설명이속이 보이고 너무 구차하다. 비효율의 극치이지만, 좋게 보면 우리 정부는 지역사회에 대한 배려를 지방 의과대학 설립 인가를 통하여 이루고 있다는 의미가 되지만, 지방의 사립 의과대학들이운영하는 병원의 분포를 보면 그렇지도 않다는 것이 보인다.


국립의대가 해당 지역을 벗어나서 병원을 운영하는 경우는 없다. 그러나 사립의 경우는 전혀 다르다. 각 신설 사립의대가 설립당시에 주장한 지역사회 의료와 의학 발전이라는 명분과 당위의 실천여부를 대학소속 병원들의 분포로 보면 설립 당시의 주장과는 전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도권의 12개 사립대학을 제외한, 19개 지방 사립대학 중에서 거의 60%인 11개 대학이 수도권에 교육이라는 명분이건 어떠한 형태로든 간에 병원을운영하고, 이러한 추세는 의전원 제도의 도입 이후에 더욱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를비난하기는 어려운데, 수도권이 전체인구의48.2%와 경제력의 66%를 차지하고 있는 현실 상황의 반영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수도권 대학은 국립을 포함하여 총 24개 의과대학으로 전체의 거의 60%이며, 수도권을 제외한 순수한 지방 사립의대는 전체의 40%인 8개 대학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정치권이나 지방자치단체가, 혹은 지방의 대학이나 병원이 지역에의대 신설을 추진하면서‘지역사회 의료와 의학의발전’이란 명분을 내세우는 것은 너무나 속이 보여서 진부하며, 지역이기주의적 논리로 설득력이없다고 하겠다. 따라서 진정으로‘지역사회 의료와 의학의 발전’을 원한다면 지방의대 신설 추진보다는 다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빠르고 또한성공 가능성이 크다고 하겠다.


일본의 예를 보자. 도서국가인 일본은 의사 없는 무의도서가 많을 수밖에 없다. 일본은 이런 의료취약 도서에 근무할 일반의사(GP)의 양성을 위하여 우리나라 같으면 의대를 신설하였을 것이나, 일본은 1972년에 동경 북부에 의사협회가 운영 자문하고 50개 지방자치단체가 함께 투자한 지치(自治)의과대학을 개교하였다. 각 지방자치단체는 졸업 후 자기 고향에서 일정한 수련과 일정기간 근무를 하는 것을 전제로 6년간의 학비와 일체의 생활비용을 포함한 전액 장학금을 주는 학생을 매년2명씩 선발하여 이 대학으로 보내어 양성하였다.이로써 무의촌 문제는 해결되었다. 그리고 전국입학정원을 줄일 때에도 이 대학에는 적용하지 않았다. 또 다른 예로 1980년대부터 전국의 의대 입학정원을 2차에 걸쳐서 꾸준히 감축하여 오던 일본은 의료취약지구의 특정 전문과목(특히, 산부인과와 소아과) 전문의 부족의 해소를 위하여, 금년부터 특정 조건과 함께 장학금을 전제로 전국 입학정원을 700명 정도(정확하게는 693명을 전국80개 대학 중에서 77개 대학에 배분 하였다; 국립42개 대학에 363명, 공립 8개 대학에 59명, 사립27개 대학에 271명)를 증원하고 있다. 즉, 일본은 특정 목적을 위하여 의대 신설을 하지 않고, 인증평가에 의한 각 학교의 능력에 따라서 10명 내외의 입학정원을 일정 조건을 걸고 증원시키는 것이다. 우리도 진정으로‘지역사회 의료와 의학의 발전’을 필요로 하다면 타산지석으로 삼을만 하다할 것이다.



의대 신설 주장의 진정성


최근에 국·공립 의대와 사립의대 신설이 추진된다는 보도가 잦다. 앞에서 의대 신설에 관한 정권, 인구, 설립주체, 지역 특성으로 살피며. 의대신설의 대부분은 불합리하고 정치적 산물일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은밀한 연례행사인 의대신설 요구가 대통령 선거 직후인 작년 초부터는 추진 측의 목소리가 예상대로 당당하다. 그런데 그 주장이 너무 비논리적이며, 허구적이고, 모순이다. 그래서인지 추진 측도 논리보다는 감성적 홍보와 선동에 의존하는 것 같다. 그래서 그 주장에 다른 목적이 잠재되어 있는 것 같고, 그 주장의 진정성마저 의심하게 한다.


첫째가 의대가 없어서 대학 또는 병원의 발전이저해 된다는 주장 때문이다. 하기는, 어떤 대학은의과대학 때문에 유명해진 대학도 있다. 그러나그것은 다수의 의료소비자를 항상 접하는 진료의속성 때문이지 그 대학의 진정한 발전이 아니었다. 즉, 의대가 있어야 좋은 대학은 아니다. 전형적인 예가 KAIST와 포스텍이다. 의대를 갖는 대학의 경우에 도리어 밖으로 노출되지 않는 다른학문분야의 지지부진과 함께 대학의 진정한 발전이 저해된 사례는 이미 많다. 현재는 의대 때문에 대학전체가 매물로 나와 있다는 소문도 있다. 이를 추진 측이 모를 리가 없기에 그 진정성을 의심하는 것이다. 미국의 사립 대학교에는 의대와 공대가 같이 있는 경우가 거의 없다. 있는 경우라도 별도의 이사회 체제이다. 대표적으로, 세계적인 부자 대학인 하바드에는 공대가 없고, MIT에는 의대가 없다. 하나의 진정한 발전을 위하여 다른것을 포기한 것이다. 대신에 두 학교는 긴밀한 협력을 한다. 이런 경우는 국내에도 있었다. 국내는물론이고 세계 어느 대학 못지않게 재정이 풍부한 포스텍이 한때 의대 설립을 고려하다가 공대 발전에 장애가 된다며 포기를 하였고, 과기부가 운영하던 KAIST에서도 같은 일이 있었다. 이같이 의대가 없어서 대학발전이 저해된다는 주장은 허구이다.


‘병원은 의대가 있어야 발전 한다’는 주장도 동일하다. 아마도 병원발전이란 병원 외형과‘Clinical Medicine’의 발전을 말할 것이다. 그러나 의과대학이란 ‘Academic Medicine’을 목표로하는 교육연구기관이다. 전자는 서비스 위주의 진료의학이며, 후자는 진료의학을 뒷받침하는 순수과학에 가까운 의과학(Medical Science)을 의미한다.물론 자본주의 국가에서의 의과대학은 국공립이건사립이건 정도차이는 있으나 ‘Commercial Medical School’의 속성을 갖는다. 그런데 우리나라가 좀 심한 것은 전문직 양성이란 직업교육기관으로서의 일반적인 속성일 수도 있으나, 정부수립 초기에 국가가 너무 가난하여서 수십년간 여러 가지 제도상으로 유인한 측면도 컸었다고 하겠다. 그런데 우리나라도 이제는 병원과 의대 간에관계 재설정이 필요할 때가 되었다고 보고, 정부는 실제로 방안을 모색하고 있기도 하고 소송도 진행 중이다. 즉, 정부는 이제는 의과대학의‘Clinical Medicine’과 ‘Academic Medicine’을구분하기 시작하였다는 의미이다. 미국의 많은 의대는 부속병원이 없으며 독립된 좋은 병원과 협력관계를 맺고 있다. 뉴욕의 NYP 병원은 2개 대학(콜럼비아 의대, 코넬 의대)이 실습교육으로 공동이용하지만 독립적인 운영의 병원이다.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교수이어야만 꼭 좋은 의사가 아니며 대학병원이어야만 꼭 좋은 병원은 아니라는 인식과 함께, 더 이상의‘Commercial Medical School’은 필요 없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둘째로 일부 사립의대 추진 측은 자기들도 정부가 인가만 해주면 1990년대 중반에 김영삼 정부가“선 인가-후 시설”로 인가한 오늘날의 사립의대만큼 발전할 수 있다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가능할수도 있다. 그런데 추진 측에서 간과할 리가 없는점이 있다.


OECD 가입 직전에 김영삼 정부는 5년간에 9개의과대학 (국립 2개교, 사립 7개교)의 설립을 인가한다. 그런데 정치적 명분 때문인지, 아니면OECD 가입 전 이지만 OECD 기준이란 국제압력을 의식하였기 때문인지, 아니면 너무 많다는 생각 때문이었는지, 아니면 의료계와 의학교육계의강력한 지적 때문이었는지, 아니면“선 인가-후시설”로 인가한 것이 마음에 걸렸었는지, 아니면의대 신설이 해당 대학에 큰 이권이 된다고 보았는지 간에 사립 7개교에 설립인가를 하며 부대조건을 설정한 각서를 받았다. 의료취약지구에 500침상 이상의 3차 의료기관 정도의 병원을 학교법인으로 지어야 한다는 조건이었다. 물론, 정부가직접 투자하는 국립의대에는 없었다. 그런데 당시의 부대조건이 2000년부터 시작하여 만 9년 동안주기적으로 개최되는 교육과학기술부의「신설의대 부대조건 심의위원회」에서 몇 개교가 아직도 미결이라서 제재를 받고 있다. 인구가 적은 지방에 의료취약지구라는 명분으로 대형병원을 요구한 조건 자체가 처음부터 잘못된 것이니 당연한것이다. 그렇다고 조건의 변경도 어렵다. 특혜 시비가 두려운 것이다. 그래서 인가를 내준 교과부는 10년간 끈질기게 요구한다. 이제는 이런 상황이 정부 입장에서는 여러 가지로 압박하여 오고 반복되는 의대 신설 요구를 막기 위한 방패도 되기 때문이다. 복지부도 난처하기는 마찬가지이다. 전국적인 의사 과잉, 침상 과잉, 종합병원의 파산속에서 대형병원 억제가 주요 정책이기 때문이다.그러니 부처 상호간에 속사정을 잘 알면서 세월가기만을 기다린다. 정치적으로 유발된 무리한 정책의 뒤처리가 이렇게 어렵다. 그래서 현 시점에서 교과부와 복지부는 더 이상의 의대를 절대 안된다고 판단하고 있다. 부대조건에 걸린 대학들도이런 상황을 잘 알고 있다. 그래서 어려운 현실을이유로 선처를 요구하나, 교과부는 약속 불이행이라며 학교에 제재를 가한다. 서로 알면서 제재를가하고, 당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해당대학 전체의 발전에 신설의대가 장애가 되고 있다. 즉, 의대 신설이 이제는 대학에 더 이상 이익이 아닌 것이 증명되고 있는 것이다.


셋째로 의사 과잉이라는 현실을 추진 측에서도 인정하기 때문이다. 모든 추진측은 전국의 총 입학정원은 고정하고, 입학정원이 많은 대학이 십시일반(十匙一飯)으로 적선하듯이 정원을 나누어 달라는 기발한 제안을 하고 있다. 교육자가 하기에는 너무 감성적 선동이고 홍보이다. 정원을 나누어 줄 대학이 있다고 진정 믿고 주장을 하는 것 일까? ‘지역사회의 의료와 의학의 발전’을 위한 읍소작전 같기도 하고, 농담 같기도 하다. ‘소규모미니 의대’로 인한 각종 교육적 폐해와 대학과 병원이 받는 고충에 관하여는 앞에서 이미 검토하였다. 여기서 더 나아가서 정부는 물론이고 교육계와 의료계에서도 이제는 의대가 있어서 생기는 대학의 잇점, 병원의 잇점을 대학평가와 병원평가에서 제외하기 위하여 각종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이미「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이 진행하는‘대학 종합평가’에서는 의대 임상교수 수와 업적은 각종 종합평가 항목에서 제외하고 있다. 그러니‘지역사회의 의료와 의학의 발전’을 위하여 의대를 설립하여야 하겠으니 입학정원을 나누어 달라는 십시일반 적선논리도 명분이 없고 홍보효과도 없다고 하겠다.


넷째로 특정지역에 의대가 없어서 지역 발전이 안 되고, 지역의료가 쇠퇴한다는 주장 때문이다.너무 허구적이고 모순이다. 지역경제가 발전하면의료는 시장을 찾아 간다. 자본주의 시장경제에서3차 의료기관보다도 더한 4, 5차 의료기관도 찾아가게 되어 있으며, 이는 국립대학의 경우에도 같다. 추진 측은 현재의 지방 사립의대의 60%가 수도권에 병원을 운영하는 이유를 모를 리가 없다.더구나 최근에는 지방의대 신입생 절반이 수도권학생이라는 것을 모를 리가 없다. 또한 지방의대부속병원 환자는 중한 질환의 진단을 받으면 그병원에서 해결을 할 수 있음에도 굳이 수도권 대형병원으로 가기 때문에 환자가 줄고 있다는 것도모를 리가 없다. 이런 현상들은 전국이 반일 생활권으로 변하였고 국가 경제력의 수도권 집중에 의한 부작용이지, 지방에 의대가 없어서 지방경제의발전이 저해되고 지방의료가 몰락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모를 리가 없다.


마지막으로“의과대학 인증평가”때문이다. 인증평가는 교육자들의 하릴없는 놀이가 아니라는것을 추진 측도 알 것이기에 의문을 갖는다. 국립에는 전술한 부대조건이 없었지만, 1990년대 말부터 시작된 민간자율에 의한“의과대학 인증평가”가 시행되면서 국립도 평가를 받고 있다. 의학교육은 고등교육이면서 고위 의료전문직 양성교육이기 때문에, 의학교육 인증평가 기준에는 고등교육에 관한 OECD와 UNESCO가 공동 제안한 기준과 의학교육에 관한 WHO와 WFME가 공동 추천한 기준 모두를 최소한으로 반영할 수밖에 없다. 여기에 최근에는 미국과 일본의 의과대학 평가 기준을 참고하여 한국의 의과대학 인증평가기준을 마련하고 집행한다. 우리 졸업생들이 미국과일본에 제일 많이 진출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학들은 고충을 참으며 재정투입과 개선노력을 한다.국립의대도 마찬가지이다. 의대가 너무 많은 상황일지라도 새로운 국·공립 의대를 굳이 설립하려면 현재의 국립의대를 우선 국제기준에 맞게 최소한으로라도 갖추어 준 다음에야 고려할 수 있는상황이다. 수출에 절대 의존하는 경제를 운용하는 한국은 모든 국제규범을 최대한 솔선수범하여야 국익이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정부는 국제적인인증평가 기준인 Washington Accord에 의한「한국공학교육인증원」, Canberra Accord에 의한「한국건축공학교육인증원」, 국제적 인정을 받는MBA와 무역인 양성을 위한「한국경영교육인증원」과「한국무역교육인증원」의 활동을 적극 지원한다. 모두가 수출과 국익을 위해서이다. 의학교육도 마찬가지이다. OECD·UNESCO의 고등교육지침과 WFME·WHO의 의학교육지침에 의한「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 인증평가 활동도 국내 의료인의 국제 진출과 한국의료의 국제화를 위한 것이다. 정부도 어쩌지 못하는 국제상황이며, 국제사회의 신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지방의대 신설 주장이 전국적인 입학생 절대부족 시대에 대학의 명맥을 유지하거나 대학의 다른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거나,또는 지방의대 신설 주장이 의사 절대과잉 시대에병원의 명성 제고와 명맥 유지를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이에 대한 이해를제고하기 위하여 연구되고 논의되고 있는 인증평가 제도를 소개한다.


인증평가 제도


어느 교육이건 그 교육 전체를 평가함에 있어서학생을 상대하는 각종 시험 또는 기관에 대한 조사 및 감사에만 의존하는 것으로는 한계가 있다.그래서 탄생한 것이 인증평가(accreditation)이다.이는 조사나 감사(investigation, inspection)와는전혀 다른 개념이다. 우리나라도 이 개념을 도입하여 국회는 고등교육법 11조 2항 (평가)을2007.10.17에 신설하고, 이를 2008.2.29에 재개정하였다. 정부는 시행령을 마련하고, 2009.1.1.부터 시행 중이다. 또한 국회는「교육관련기관의정보공개에 관한 특례법」을 2007.5.25에 제정하였고, 정부는 2008.5.26부터 시행중이다. 이들 법률에 의하여 모든 교육기관들은 자체평가와 인증평가가 의무화가 되었고, 또한 자신들에 관한 정보를 의무공개하게 되었다. 또한 3가지 대학평가(대학종합평가, 학문분야별 평가, 재정지원평가)중에서 종합평가는 현재와 마찬가지로 대교협이계속 한다. 그러나 1998년부터 의학교육계와 공학교육계가 중심이 되어서 민간자율로 시작하고 진행하여 왔던 ‘학문분야별 교육에 관한 인증평가’(전문평가)에 대한 신뢰가 쌓이면서 학문평가만큼은 법에 의하여 민간자율 기구에 위임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다. 물론, 민간자율 인증기구들은 법이정한 일정 기준과 엄격한 심사로 5년마다 정부의인정(recognition)을 받게 된다. 여기서 5년 인정이란 민간기구의 자율을 최대한 존중하여 각 기구가 운용하고 있는 인증평가와 관련된 각종 기준,규정, 지침 등등을 정부가 인정하지만, 하자가 있거나 신뢰가 줄 때에는 그들의 보고를 더 이상 이용하지 않겠다는 의미이다. 이렇게 법으로 민간자율 기구를 신뢰하는 이유는‘민간자율에 의한 평가와 인증’이라는 과정에 내재되어 있는 국제적인 신뢰가 곧 국익이기 때문이다. 한 예를 들어 본다.


전술한바와 같이 전문직 양성 교육인증은 수출의존 경제인 한국에게는 대단히 중요하다. 그래서「건축학교육인증원」은 건설수출을 위하여 건축사법 개정을 국회에 청하고 있다. 즉, 지금까지 법에 건축사시험 응시자격 요건이‘건축에 관한 소정의과정’으로 되어 있어서, 전문교육을 받지 않은 자도 상업적인 학원에서 단기간 기계적인 학습을 통해 자격취득이 가능하였다. 대신에 예비시험이란제도를 이용하여 왔다. 이를 국제기준인 Canberra Accord에 맞추어 건축학교육인증 및실무수련제도를 마련하여 국제기준에 맞추고 있는 것이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우리나라 건축사는 국제 입찰에 응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학계와 정부는 이를 계기로 모든 고위전문직에 대한 국가면허 및 자격시험의 응시자격에 평가인증을 받은교육기관의 졸업생만이 자격을 갖는 것을 모색하고 있다.


또한 학교 설립인가 전에 인증평가를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원래, 인증평가에는 기존 학교교육에 대한 정규 평가인증(regular accreditation) 외에도, 신설학교의 경우에는 졸업생이 나오기 전까지 매년 시행되는 임시인증(provisional accreditation)이란 것이 있다. 이런 임시인증은 의과대학 인증평가 경우에도 1990년대 중반에 신설된 9개 대학을 대상으로 1999년에 이미 실시한 바 있었다. 그런데 그 외에도 가인증 혹은 예비인증(probational or preliminary accreditation)이라고 부르는 인증평가가 있다. 이는 선진국에서 이미 관행으로 사용하는 제도로“선인가-후시설, 후능력”으로 학교설립을 인가하여 발생하는 제반 문제를 사전 예방하기 위함이다. 인가권은 최종적으로 정부에 있지만, 설립인가 전에 민간자율 전문기구의 인증평가로 신설하고자 하는 학교에 대한 신설 목적과 당위 및 학교의 위치와 규모, 시설, 나아가서 교육의 이념, 교육 능력에 대한 권고와 자문을 하는 제도이다. 이런 예비인증 보고서로 정부는 설립인가 여부를 결정한다. 이는 정부가 어떤 건설 사업을 하고자 할때에 민간자율 기구인 환경단체의 평가보고서를 참고하여 결정하는 것과 똑같은 맥락이다.


예로서, 현재 미국에서는 3개 의과대학(UC Riverside, Scripps, Touro)이 예비인증과정에 있어서 민간자율 의학교육 인증평가 전문기구인LCME(Liais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가 평가 중이다. 이 과정에는 5단계가 있으며 

    • 3단계를 통과하면 학교 광고를 할 수 있고,
    • 4단계를 지나면 학생모집을 할 수가 있으며, 
    • 개교가 되면 졸업생이 나올 때까지 매년 임시인증평가를 또한 받게 된다. 그리고 
    • 졸업생이 나오면 드디어 정규인증을 받게 되는 것이다.


이와 유사한 규정을「한국의학교육평가원」은 임의기구이던 시절인「한국의과대학인정평가위원회」때부터 갖고 있었고 또한 실시되기를 원하고있었다. 정부가 법률에 의하여「한국의학교육평가원」을 평가인증 기구로 인정한다는 것은 민간자율기구가 갖고 있는 기준, 규정, 지침 등을 인정한다는 의미가 되므로, 우리나라에서도 법령에 의하여곧 실시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일제로부터의 광복한 시점에 5개 의과대학만이 있었고, 한의과대학은 없었다. 인구가 2.85배 증가하는 60년 동안에 의과대학은 41개교, 한의과대학은 12개교로 총 53개교가 되어서 거의 11배의 증가를 보였고, 입학정원은30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결과적으로 면적과 인구대비, 세계 최고로많은 의과대학을 갖는 국가가 되었다. 이러한 의대 신설을 역대 정권별로 분석해보면 정치권의 어두운 산물이라는 것을 추정할 수 있게 하고, 그간의 의대 신설은 지역배치와 규모 면에서 너무나 무분별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한편, 다시 나타난 의대신설 주장 논리는 너무 비논리적이고, 허구적이며, 모순이다. 또한 그 주장의 진정성에 의문이 간다. 그래서 학계와 교육계 및 정부는앞으로는 의대신설을 인가하더라도 건설 사업에서 사용되는 사전 환경평가 제도처럼, 현재 법률에 의하여 민간자율 기구가 시행하고 있는 학문분야별 평가인증제도를 더욱 활성화시켜서 예비인증평가 제도를 의대 신설에 적용할 것을 모색하고 있다.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 비전

Vision of the 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이무상

Moo Sang Lee

한국의학교육평가원장

President, 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재단법인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이하 의평원)의 비전은 ‘교육과 평가’이다. 국가면허가 필수인 보건의료 전문직 교육은 기본의학교육부터 졸업 후 교육, 평생교육까지를 포함한다. 그래서 우리나라 보건의료인 양성 기초교육 기관에 대한 평가인증 기구들은 각 단계별 교육과정 모두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평가원’이라 부르지만, 타 분야 기구들은 ‘인증원’이라고 하여 학교교육 범위로 한정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평원은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의 Basic Medical Education(BME) 과정에 대한 평가인증 기구로만 인식되고 있. 한국의과대학인정평가위원회(Accreditation Board of Medical Education in Korea, ABMEK)의 후신 성격이 강해서 일 것이다. 그러나 의평원의 영어 명칭은 물론이고 정관(2004.2.27 제정) 사업도 교육평가가 아닌 ‘교육과 평가’이다.


설립준비를 위임받은 당시의 working group의 제안과 의학교육계의 동의로 지금의 명칭과 정관이 결정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 기구의 비전은 정관에 목적과 사업으로 명시되는데, 의평원의 비전은 매우 포괄적이다. 국내 최초의 의학교육법인이 출발하면서 의학교육계의 오래되고 많은 희망 모두를 의욕적으로 포함시켜야만 하는 설립 당시의 상황과 여건 때문이었다.


우리 의학계·의학교육계·의료계는 물론이고 한때는 병원계조차도 의료법의 법정단체인 대한의학협회(1995.5.에 대한의사협회로 개칭, 이하 의협)가 중심이었다. 즉, 의학, 의료, 의학교육구분이 명확하지 않았기에, ‘의(醫)’자와 관련된 모든 활동의 중심이 의협이었다. 그래서 의학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임의기구들은 독립적 조직이면서도 각각의 모든 업무(현재의 대한의학회의 전신인 분과학회 협의회, 한국의과대학학장협의회, 한국의학교육학회, 한국의학교육협의회 업무 등)는 상호 유기적이라서 의협 학술국에서 대행하고 있었다. 편 의협은 재단법인으로 한국의사국가시험원과 한국의학원을 설립하고 있었다. 그런데 문민정부 집권 5년간에 9개 의대의 설립 인가가 나는 것이 계기가 되어 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와 한국의학교육학회가 공동 개최한 제5차 의학교육합동학술대회(충남 유성, 1997.11.27)에서 의과대학 신임제도를 도입하기로 하고 한국의학교육협의회를 산파로 한국의과대학인정평가위원회가 조직되어(1998.7.2), 의과대학 인정평가가 시작되었다(1999)


인정평가 사업이 시작된 이후 관련된 많은 교육학적 업무는 연세의대 의학교육학과가 5년 동안 지원하였지만, 일반 행정과 재정운영은 역시 의협 학술국의 몫이었다. 여기서 자연스럽게 오해가 생겼다. 당시의 인정평가는 의협의 예산사업이었으므로 정부와 비의료계는 이 사업을 의약분업 투쟁을 한창 벌이던 전문직 단체의 권익투쟁 수단으로 보았고, 또한 거의 같은 시기에 같은 목적으로 출발한 사단법인 공학인증원과 권위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그래서 의학교육 관련 모든 업무는 명칭부터 권익단체인 의협으로부터 완전 분리하기 위한 법인화가 추진되었다. 그런데 당시는 정부가 의학교육 학제 개편과 의약분업을 추진하는 시기였고, 의사국시원이 현 국시원으로 확대되면서 의사면허시험 발전이 타 직종의 견제로 저해된다며 원상회복 논의가 분분하였으며, 국제적으로는 의학교육 국제지침(WHO·WFME, OECD·UNESCO)이 추진되는 숨 가쁜 시기이었다. 그래서 전술한 working group은 이 기회에 이런 모든 상황과 논의만 무성하고 방기되어 왔던 의학교육의 모든 기획과 의협 학술국이 대행하여 온 각 임의기구들의 업무를 지원하는 단일 법인기구를 미래지향적으로 만들기로 하였다. 이런 기획은 의학교육계에 보고되어 동의를 얻었다. 한편, 당시의 의협 입장에서는 인정평가는 단일 항목으로는 가장 큰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이었다. 겉으로는 의협과 관련이 없었지만 실제는 의협의 예산사업이었던 의과대학 인정평가를 계속하기가 어려웠다. 의협이 나서서 각 대학에게 인정평가 비용을 부담하라고 하기도 어려웠다. 그래서 의협은 의평원이 언제인가는 자체 수익으로 재정 운영하기를 원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의평원의 사업 범위가 포괄적일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의학교육 3단계(BME, GME, CPD in Medicine; Full Scope of Physician Education) 모두를 포괄하는 비전을 담은 정관이 당시 의협 집행진의 묵시적 지원 하에서 정해졌다. 명칭으로 의학원, 의학교육원, 의학교육평가원이 고려되었으나, 의학원은 이미 있고, 의학교육원은 직접 교육을 하는 기관 이미지가 있어서 의학교육평가원이 선택되었다. 래의 포괄적 사업 목적은 영어로 표현하여 현재의 명칭(education & evaluation)과 정관이 의협 총회를 통과하였다. 차례 복지부를 방문하여 법인 설립 승인을 얻고, 의협의 재정부담으로 재단법인 의평원이 탄생하였다(2004.2.27). 조직은 의학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목적의 독립적인 사업단(의학교육평가인증단, 기본의학교육평가단)과 업무별 위원회로 구성되었다. 사무국은 각 사업을 행·재정적 지원을 하여, 마치 의협학술국이 대행하던 업무지원과 같아졌다. 그래서 의평원은 현재도 의학교육협의회와 KOMSIS의 업무도 지원한다. 그만큼 의평원의 업무, 즉 비전은 포괄적이다.


그런데 최근 몇 년간에 의학교육과 관련하여 다양한 법인이 탄생하여 정규 인정평가가 시작된 2000년 직후의 사정과는 많이 다르다. 사단법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와 사단법인 의치학교육입문검사협회가 그 예이다. 그래서 이제는 의학교육과 관련한 법인 및 임의기구를 모두 합하면 약 20개 정도가 된다. 법으로 모든 법인 기구는 법적으로 독립된 사무국과 직원이 있어야 한다. 각 법인이 업무에 대한 해석을 각기 나름대로 해석하게 되면 사업의 중복과 다툼이 생기는 것을 우려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미국의 60년대 초의 상황과 매우 흡사하다. 당시의 미국은 미래지향적 차원에서 의학교육 관련 기구들의 기능과 역할에 관하여 정리하고 Coggeshall Report (1965)를 기초로 하여 오늘 날의 Association of American College of Medicine (AAMC)의 구조와 기능을 갖게 되었다. 즉, 독립적이되 상호 유기적인 관계가 있는 많은 의학교육 관련기구들의 연합체가 오늘날의 AAMC이다. 우리나라 의학교육계도 타산지석으로 삼을 만하며, 이제는 그러한 시점에 와 있는 것 같다. 그래서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 비전인 정관에 충실한 다양한 사업이 기획되어 있으나 당분간 미루고 기회의 성숙을 기다리고 있다고 하겠다.





Korean J Med Educ > Volume 21(4); 2009 > Article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009;21(4): 333-334. doi: http://dx.doi.org/10.3946/kjme.2009.21.4.333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 비전
이무상
한국의학교육평가원장
Vision of the 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Moo Sang Lee
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Korea.
Corresponding Author: Moo Sang Lee ,Tel: 02-795-1591, Fax: 02-795-1592, Email: klmee@klmee.or.kr
Received: 5 November 2009;  Accepted: 16 November 2009.


졸업 후 의학교육제도의 역사성 고찰

Taking into Account the History of Korean Graduate Medical Education

이무상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과

Moo Sang Lee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Incheon, Korea



서 론

세계의학교육연맹(World Federation of Medical Education)은 의사양성을 위한 학교교육에 구대륙의 전통용어인 ‘의사교육(physician education)’보다는 기본(basic)과 의학(medical)이라는 단어를 포함한 ‘기본의학교육(basic medical education)’이라는 용어를사용하고 있다. 기본의학교육은 의사교육과는 다르고, 의사양성에는 바람직한 이상(理想)이 있으며, 여러 단계가 있다는 의미일 것이다. 의사는 학문에 근거해야 하고 끊임없이 자질향상을 해야 한다는 요구를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고대로부터 의료의 바탕은 미신과 경험적 측면이 강해서 후계양성은 도제훈련(apprenticeship)일 수밖에 없었다. 의료의 바탕은 의학이라는 과학적 학문이 된 것은 근세의 일이다. 이러한 학문으로서의 의학은 학교교육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자신의 직업적 능력과 자질을 향상, 전문화, 숙련하는 곳은 직장으로서의 병원이다. 자의로 시작한 직장 내에서의 학문에 근거한 단련(training)이 체계화되고 확산되면서 관행이 된다. 한자문화권은 이러한 관행을 수련(한국, 修鍊), 진수(중국, 進修), 연수(일본, 硏修)로 표현하여 자율의 뜻을 강조한다. 의료는 이미 의학이라는 학문이 바탕이므로 수련관행은 학문으로서의 교육과 학문으로서의 연구와 필연으로 연계된다. 그래서 수련관행이 교육의 이상을 실현하는 수련교육이 된다. 수련교육이 제도가 되고, 제도의 완성을 위해 전문의제도가 된다. 많은 경우가 그러하듯 구대륙이 만든 관행을 신대륙이 제도화한다. 관행이 전통이 되고 특성이 된다.


모든 용어에는 오랜 시간을 거치면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성질을의미하는 역사성이 있다. 초, 중등교육과 달리 대학교육은 졸업 전(undergraduate)과 졸업 후(graduate) 교육으로 나누어진다. 1620년대에 만들어진 ‘undergraduate’라는 용어는 학문의 원칙과 기본을 배우는 과정이란 뜻으로 영국이 1920년대부터 재사용하게 된다. 여기의 ‘graduate’은 라틴어 ‘graduātus’에서 왔고 영어 ‘grade’에해당하는 뜻이 변하여 ‘학위를 갖고 혼자서 갈 수 있다’는 뜻이 되었다고 한다. 대학교육의 이상을 표현한 것이다. 우리 말로는 졸업전 교육은 학문의 원리와 기본을 교육하는 학부교육이 되고(undergraduateeducation), 졸업 후 교육은 학위를 갖고 혼자 갈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대학원교육(graduate education)이 된다. 학부의학교육(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도 마찬가지이다. 미국이 Flexner (1910) 이후로 의사양성기관들이 정비되면서1920년대까지 모두가 대학의 일원이 된다. 마침 이 시기에 19세기말부터 체계화되어 가던 수련(residency)이 일반화된다. 그리고 의과대학교육은 의료의 원칙과 기본을 배우는 첫 과정으로서 대학의학부과정과 그 의미가 같다는 의미에서 1930년대부터 ‘학부의학교육(UME)’이라는 말을 사용한다. 그 후에 상대적인 ‘졸업 후 의학교육(graduate medical education, GME)’이란 용어가 생긴다. 그러면서 병원에서의 수련교육은 자연스럽게 대학교육의 이상을 추구한다. 의사는 의사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졸업 후 의학교육이 가장 중요한 핵심과정이라는 것을 누구나 알게 된다. 그래서 원론적으로는 졸업 후 의학교육은 대학원교육과는 다르지만, 역사성에 따라졸업 후 의학교육을 대학원교육과 똑같이 보는 나라도 있는 것이다(Hunt, 1991).


의사교육에서 의학교육으로


서구역사에서는 도제훈련에 의한 의사양성이 중세에 학교교육으로 전환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교육(education: ‘bring out, leadforth’ 뜻의 라틴어 어원 educere에서 유래)이라는 이상이 적용된의사양성은 근세부터이다. 의료의 바탕이 의학이라는 과학이 되었기 때문이다. 

    • 근세 초에는 중등교육을 마친 성인이 2년 직업교육으로 의사가 되었다. 
    • 우리도 조선왕조 말기 한때는 2년 교육으로 의사를 양성하였다. 
    • 미국도 학교마다 달랐지만 1860년대 전에는 2년 직업교육으로 의사를 양성하였다. 

의사양성이 의학이란 학문교육이되고 기간이 4년이 된 시기는 1870년대 이후의 일이다.



직업교육으로서의 의사교육이 제3기 교육으로 고등교육의 학문교육개념으로 발전된 시기는 나라마다 다르다. 이런 변화는 1860년대 이후로 독일과 불란서가 항상 선두주자이었다. 미국은 1910년Flexner 보고서가 발간된 이후에 학문교육개념으로 발전하였다. 미국은 이를 계기로 450여 개의 의사양성기관을 60여 개로 정비하였다. 이같이 의사인력양성제도의 변천은 나라마다 다르다. 현재도 의사교육과 기본의학교육은 결과적으로는 동일하게 의사인력이양성되기 때문에 혼용되지만, 엄격하게는 다른 의미이다. 그래서나라마다 다른 역사와 사회문화적 배경 때문에 기본의학교육의 정체성에 대한 이해도 나라마다 차이가 있다. 그래서 의사양성과정에 입문하는 경우도 나라마다 다르게 나타나는데

    • 첫째가 중등교육 직후에 의사교육에 입문하는 경우, 
    • 둘째가 학문의 일반적 원리와 기본을 교육받는 대학의 학부교육 도중에 기본의학교육에 입문하는 경우(undergraduate-entry, 졸업 전 입문, 학사 전 의학교육),
    • 셋째가 학문의 일반적 원리와 기본을 교육받는 대학의 학부교육을졸업하고 기본의학교육에 입문하는 경우(graduate-entry, 졸업 후입문, 학사 후 의학교육 등 세 가지이다(Kim, 2010).


일제 강점기의 의학전문학교는 ‘중등교육 후 직접 4년 의사교육’을 받은 경우이고, 제국대학교 의학부는 두 번째인 ‘일정 학부교육으로 기본의학교육’을 받은 경우이며, 현재의 전문대학원체제는 세번째 경우이다. 모두 결과적으로 의사가 되지만, 첫 번째는 직업교육에 방점을 둔 의사교육이고, 나머지 두 개의 제도는 학문에 방점을 둔 기본의학교육이다. 20세기 중반에 첫 번째가 소멸되었듯이 과학발전과 평균학력의 증가로 입문제도도 계속 변하고 있다. 한편,기본의학교육 졸업생들은 학위(degree)와 졸업장(graduation certification)을 받는다. 그런데 학위 정체성이 국가와 학교에 따라 아직도 다르다. 즉, 의사인력양성의 역사성에 따라서 학위의 성격(학술학위이냐, 전문학위이냐), 학위의 명칭(M.D., D.O., BMed., MBBS.,MBChB., Dr.med., etc.), 학위의 등급(학사, 석사, 박사)은 물론이고, 시기(졸업과 동시에 혹은 졸업 후에 일정 수련을 마치고 난 후에)도 다른 경우가 많다.


기본의학교육 졸업생도 의료에서의 독점적 지위와 권한을 인정하는 면허(certificate · licensure) 취득이 되어야 비로소 의사가 된다. 기본의학교육 졸업장과 학위가 곧 면허이기도 하고, 일정 경쟁시험 또는 합격-불합격(pass-fail)시험을 거쳐야 하는 경우, 일정 훈련기간의 경과 혹은 일정 절차를 거쳐야 면허취득이 되는 등 다양하다. 의사교육이 의학교육이 되었으나 역사성은 여전히 작용하기때문이다.



수련에서 졸업 후 의학교육으로


19세기 중반까지는 의사는 모든 의료 영역의 진료를 할 수 있었다. 19세기 후반 의학지식의 폭발적 증가와 전문적 진료에 대한 사회의 요구에 따라 의사양성기관들은 전통적인 직업교육으로서의의사교육을 학문교육의 기본의학교육으로 전환시킨다. 기본의학교육 4년을 포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대학교육제도도 창안한다. 그래도 사회가 요구하는 의사자질의 향상과 전문성 제고가 학교교육만으로는 어렵게 된다. 더 이상의 학교교육의 연장은 이미 성인이된 학생에게는 기회비용의 손실이었고, 국가와 사회에도 큰 부담이되었다. 의사 자신들도 학교교육만으로는 전문자질이 부족하다고자인하게 된다. 그래서 의학적 지식이 폭증하는 19세기 후반부터선진국인 구대륙에서는 신출내기 의사들은 병원에서 상주하며 진료지식과 경험을 쌓는 자율적 관행이 생긴다. 이를 신대륙 신생국들이 제도화한다. 바로 1889년 미국 Johns Hopkins병원은 ‘레지던트 제도(residency, residentship)’라는 수련제도를 공식 도입하였다.졸업 후 의학교육의 공식적인 첫 예이다. 초기 기본의학교육 졸업생들은 병원에 살며 선배 의사의 지도로 훈련을 받았다. 이 병원주민이 ‘레지던트’(초기에는 hospital resident. 그래서 중국어로 ‘住院醫生’임)이다. 물론 현재의 ‘인턴십(internship)’을 포함한다. 그런데레지던트 1년차의 근무 모양새가 로마시대 인턴과 유사하여 ‘intern’으로 불렸다. 신대륙의 제도가 구대륙으로 역류되어 나라에따라, 근무형태에 따라 ‘intern,’ ‘extern,’ ‘house pupil,’ ‘houseman,’‘house officer,’ ‘house physician,’ ‘resident,’ ‘resident physician’ 등다양하게 불리게 된다(Ludmerer, 1999).


제도를 만든 미국도 초기에는 교육보다는 병원 내 자율적 관행훈련으로 보고 ‘졸업 후 훈련(graduate training)’이라 불렀다. 그런데 레지던트가 각 영역에서 수년간의 ‘졸업 후 훈련’을 받으면 그 레지던트의 전문능력과 자질을 공식화하여 인정하여 주자는 의견이1908년부터 여러 전문 영역의 의사사회에서 제기되었다. 1917년 안과 의사들이 제일 먼저 전문의협회(specialty board)를 구성하고‘전문의시험’을 집행하여 ‘전문의 자격(specialty certification)’을 부여하고 ‘수련지침’도 발표하였다. 민간자율 전문의제도의 시작이다.1933년 전문의교육과 전문의시험을 통제하는 전문과목협회(AmericanBoard of Medical Specialties)가 결성된다. Table 1은 24개 주요전문과목과 145개 전체 전문과목과 세부 전문과목 현황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최초 용어 ‘residency’는 1차 대전 후에 전문의제도가되면서 ‘졸업 후 훈련’이라 불리게 된다. 미국에서 ‘학부의학교육(UME)’이란 용어가 일반화되자 상대적으로 ‘residency’는 ‘졸업 후의학교육(GME)’이라는 시각이 보편화되는 것이다. 결정적인 계기는 1965년에 도입된 ‘Medicare’라는 연방정부가 제공하는 의료보험제도가 도입되면서부터이다. 민간자율의 수련교육(residency)에연방정부가 재정지원을 하면서 공공의 사회제도로 인정되었고 공식적으로 ‘residency’는 졸업 후 의학교육이 된 것이다(Ludmerer,1999).





역사성의 차이


국가마다 의사가 되는 과정의 입문제도(entry system)가 달라도국제화 시대에 의사인력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은 항상 학부의학교육이고, 내용은 기본의학교육이다. 기본의학교육에는 국제공용지침으로 각 나라의 의학교육 역사성이 다르더라도 큰 차이가 없다.그러나 졸업 후 의학교육은 차이가 심하다. 세계의학교육연맹도 각나라의 의학교육 역사성 차이를 크게 인정하여 졸업 후 의학교육은 

  • 1) 전 수련(pre-registration training: 영국을 중심으로 한 영연방제도로 기본의학교육 직후에 1년간의 수련과정을 반드시 마쳐야의사등록이 가능하다. 등록이 곧 면허이다),
  •  2) 각종의 전문직업적수련(vocational/professional training), 
  • 3) 전문과목 또는 세부 전문과목 수련(specialist &subspecialist training), 
  • 4) 기타 특정 전문가가 되기 위한 정형화된 수련과정 등 모두를 포함한다고 정의한다. 

국가마다 의료 관련 역사와 문화 및 국가재정과 의료체계가 다르기 때문이다. 수련교육의 목적과 결과는 유사하지만 그 출발과경과는 나라마다 다르다. 이런 역사성의 차이는 ‘기본의학교육’과‘졸업 후 의학교육’에 사용되는 용어의 약어에서도 나타난다. 세계의학교육연맹은 각 단계별 의학교육의 ‘국제표준(global standards)’을 발표하며 기본의학교육과 졸업 후의학교육(postgraduate medicaleducation, PME)이라 하였다. 이런 세계의학교육연맹의 기본의학교육(BME)과 졸업 후 의학교육(PME)이 미국에서는 학부의학교육(UME)과 졸업 후 의학교육(GME)이 되고, 영국에서는 기본의학교육(BME)과 PGME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training)로 표기가 된다.


의사면허의 효력도 나라마다 다르다. 우리나라 기본의학교육 졸업생은 졸업예정자로 면허시험을 보고 졸업 후에 면허취득을 하면전공의 수련은 받지 않아도 환자진료를 할 수 있다. 거의 모두가 수련을 받으므로 문제는 없지만 제도로는 미숙하다. 미국은..

  • 기본의학교육 재학 중에 2회의 면허시험(United States medical licensingexam [USMLE] step I·II)을 거쳐야 졸업한다. 
  • 기본의학교육 졸업 후에 어떤 임상과목을 전공하건 주마다 차이 있는 일정 기간의 졸업후 의학교육을 받아야 ‘USMLE step III’ 응시자격을 얻게 되고, 
  • 합격해야 자신이 수련 받은 주의 면허를 취득하게 된다. 

미국에서는정통의학(allopathic medicine) 졸업 후 의학교육에서는 인턴십이1975년에 졸업 후교육 신임위원회(Accreditation Council of GraduateMedical Education, ACGME)에 의하여 없어졌다. 그러나 아직도 소수이지만 남아 있는 정골의학(osteopathic medicine)의 졸업후 의학교육에서는 아직도 인턴제도가 유지되고 있다. 연방체제 다민족 국가라는 역사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Stevens, 1978).


역사성이 작용하게 되어 있는 졸업 후 의학교육의 정체성도 나라마다 다르다. 

    • 프랑스는 
      • 졸업 후 의학교육을 기본의학교육과 마찬가지로 학교교육의 연장으로 본다. 프랑스도 다른 모든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학교교육인 기본의학교육에서 학생들은 임상실습(clerkship)을 하므로 이때의 학생은 ‘extern’이라고 부른다. 출퇴근하며병원에서 실습하기 때문이다. 졸업 후에 일정 자격을 취득하여 병원 내에서 수련(修鍊, residency training)을 할 때부터는 줄곧 ‘intern’(불어로는 ‘internat’; 미국의 resident에 해당)이다. 그 후에 다시 특정 의료 영역의 수련과정을 3-5년 받게 되며, 그 기간 동안에도 ‘doctor’라고 부르지 못한다. 수련을 마치고 국가 경쟁시험을 통과하고, 다시 논문을 제출하여 통과가 되어야 비로소 ‘doctor’가 된다. 즉, 프랑스에서는 수련교육과정 졸업 후 의학교육을 학문연구과정으로서 고등교육의 최종 단계로 본다고 할 수 있다.
    • 영국 
      • 기본의학교육 졸업생들의 졸업 후 훈련은 관습이고 관행이었다. 관습과 관행은 Medical Act 1956으로 공식으로 졸업 후 의학교육제도가 되고, Medical Act 1983으로 정착하게 된다. 기본의학교육 졸업생은 미국의 인턴에 해당하는 pre-registration house officer(PRHO)를 마치고 senior house officer (SHO) 생활을 최소 2년 이상 하면 ‘registrar’가 될 수 있다. Registrar는 전공에 따라 2가지로 나뉜다. SHO를 마치고 ‘지역보건의(general practitioner, GP:직역한 우리말의 일반의와는 다른 뜻이다)’를 택하면 1년의 추가 수련을 하여 지역보건의가 된다. 그래서 지역보건의가 되려면 기본의학교육 후 최소 4년(PRHO 1년+SHO 2년+registrar 1년) 수련을 요한다. 다른 전문과목 전공을 택하면 기본수련 2년 이상의 SHO 후에 본인이 선택한 과목에서 registrar와 senior registrar (우리의 전공의 3, 4년 차에 해당)를 하게 된다. 1995/1996부터는 registrar와senior registrar를 합쳐서 specialist registrar (SpR)로 합쳐서 운영하고 있다. 이로써 해당 전문과목에 따라 4-6년의 수련을 더 거친다. 따라서 최고 전문의인 ‘자문의(consultant)’가 되려면 기본의학교육 후에 최소 7-9년의 졸업 후 의학교육을 받아야 한다.
      • 그러나 이 제도는 2005년 발표된 ‘modernizing medical career’로 일부 변화가 있었다. 2007년부터는 기본의학교육 후에 누구나foundation year 2년(FY1, FY2)의 기본수련을 거쳐야 한다. FY1은과거의 junior house officer에, FY2는 SHO에 해당한다. 그래서 명칭도 PRHO 대신에 ‘foundation doctor’ 또는 ‘foundation houseoffice’로 불린다. 현재의 일본제도와 유사하다. 기본수련 2년을 마치면 최소 6년 specialty training (ST)이 시작된다. ST1/ST2 동안에는 본인이 희망하는 전공에 따라서 ‘내과/외과 공통 핵심(core)’을수련 받는 specialty registrar (StR)이지만, 그 후에는 전공과목에따라서 StR로서 병원 내 수련을 계속한다. 이 과정 도중에 각 전문과목별 시험으로 Royal College of Physicians/Surgeons (RCP/RCS)회원이 될 수 있다. 우리의 전문의 자격에 해당한다. RCP/RCS 회원이 되면 병원 내에서 특정 ‘세부 전문과목 StR’ 생활을 더 할 수 있다. 따라서 StR로 최소 6년 수련을 거쳐야 최고의 세부 전문의인‘자문의(consultant)’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기본의학교육 후에 최소8년(FY 2년+StR 6년)이 걸린다. 따라서 미국의 내·외과 fellow는 영국 SpR의 ST3-ST9에 해당한다. 미국에서 전공의 수련 후에 fellowship을2-3년 할 때는 영국의 수련의 4-7년에 해당한다. 한편 지역보건의가 되려면 FY1과 FY2를 거치고 다시 3년의 general practicespecialist training (GPST)를 거치므로 기본의학교육 후에 최소 5년의 수련을 거쳐야 ‘지역보건의’ 자격을 얻는다. StR들이 임상진료를 하면서 의학연구를 위한 2-3년의 fellowship (research fellow)을하거나 또는 다른 전문과목과 연계된 특별 자격을 얻으려 할 경우에는 당연히 기간은 연장된다. 이와 같이 영국과 프랑스의 졸업 후의학교육은 병원 내에서의 ‘지도하 수련교육’과 ‘임상의학 학술연구’라는 두 가지 교육이상을 함께 추구한다(Ludmerer, 2012).


한국의 졸업 후 의학교육 역사성


우리나라에 서양의학의 도입(1885년)과 더불어 1886년부터 의사교육이 시작된다. 

  • 그러나 본격적인 의사교육은 1890년대 후반이다. 
  • 제대로 된 임상실습(clerkship)도 당시에 가장 현대적인 세브란스 병원이 준공된 1904년부터이다. 
  • 그래서 최초로 면허를 가진 의사들은 조선왕조 멸망 직전 1908년에 나온다. 
  • 이들은 학교교육과residency 구분 없이 평균 7년의 교육을 받았다. 
  • 따라서 우리나라residency는 당연히 1908년 이후이다. 
  • 1914년에 세브란스병원이 조선 최초의 인턴제도를 공식적으로 도입한다. 1910년 조선을 강점한일본 총독부가 의사인력양성을 4년으로 정하였기에 당시의 세브란스연합의학교가 교육 절대량이 부족하다며 도입한 것이다. 그래서당시의 인턴제도는 임상실습의 연장으로 보아야 한다.


일본은 원래 그들 문화 특유의 도제훈련(apprenticeship) 관행이모든 분야에 있었다. 그래서 서구의학을 도입한 일본은 병원에서도부수(副手)와 조수(助手)로 호칭하는 도제훈련 관행을 만든다. 그러나 역시 졸업 후 의학교육은 진정한 의미의 졸업 후 의학교육은아니고, 일본 문화 특유의 전통적인 도제훈련이었다. 당연히 전문의제도는 없었다. 당시의 일본제국에는 의사면허 취득에는 대학교의학부에서 기본의학교육, 또는 의학전문학교에서의 의사교육을받는 방법이 주축이지만, 간혹 검정고시 경로도 있었다. 두 가지 학교제도에 따라서 면허취득 방법에도 차이가 있었지만, 결국은 모두가 의사가 된다. 그런데 1926년 조선총독부는 일본인을 위한 대학교육의 이상을 추구하는 유일한 고등교육기관으로 기본의학교육대학을 개교한다. 식민지 조선의 의사교육은 5개 전문학교(대구, 평양, 경성 등 3개 관립과 세브란스, 경성여의전 등 2개 사립: 광주와함흥은 광복 때까지 졸업생이 없었다)가 맡는다. 결국은 두 학교제도 출신 모두가 의사가 된다. 그리고 일본문화 특유의 도제훈련을받기도 한다. 그 과정에서 대학교육을 받은 일본 의사와 전문학교의 직업교육을 받은 조선 의사 간에는 차별적 인식이 생긴다. 한편총독부는 조선의 전통 의료직은 ‘의료유사업자(醫療類似業者)’로, 조선인 의사는 ‘의료업자’로 분류하며 은연중에 조선인 의사는의료업자라는 인식을 주입한다. 고도의 심리적 식민지정책이었다.여기서 한국의 졸업 후 의학교육의 역사성이 출발한다.



1. 의료업자의 표방허가


1945년 8월 15일 광복 후 미군정은 그간의 4년 의사교육을 대학교육의 이상을 추구하는 6년 대학교육(속칭 2+4)으로 전환(1945년 11월)하여 ‘기본의학교육’체제를 도입한다. 그러나 기본의학교육제도 정착 전 1950년 6월 25일에 한국동란이 발발한다. 부산 피난 정부는 1951년 9월 25일에 ‘국민의료법’ 개정으로 10개 전문과목을 가진 ‘의료업자-전문과목표방허가제’를 도입한다. 제도의 목적은 의사자질 향상이 아니고, 국민의료관리 차원이다. 제3대 보건부 장관 최재유(안과학 교수 출신)는 1951년 12월 25일에 보건부령으로 제도를 시행한다. 전쟁 중이라 법령대로 시험에 의한 허가는못하고, 1952년 2월 5일에 ‘의료업자-전문과목표방허가 심사위원회’를 구성하고 서류전형방법을 택한다. 5년 이상의 수련규정이 있었으나, 전쟁 중이라 보건부 예규(2458호, 1952.7.3.)로 2년 이상의수련과 6년 이상 전문과목을 표방하며 의업을 계속한 사람에게 표방허가를 하는 특혜를 1956년 6월말까지 적용하기로 한다. 그러나제7차 회의에서 최초의 6년제 의과대학 졸업생들이 5년 수련을 마치는 해인 1959년까지 연장하기로 한다. 그래서 1952-1959년에2,505건을 심사하여 1,428명에게 전문과목 표방이 허가된다. 1959년 등록 의사가 7,322명이므로 19.5%이다. 1960년에는 7,765명 등록의사 중 1,640명이 표방허가를 얻어서 전체 의사의 21.1%가 된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60). 이같이 빠른 증가 속도로새내기 의사들에게 수련은 필수라는 인식을 주게 되고, 사회에서도 전문과목에 대한 인식이 확산된다(Table 2). 4개로 시작한 전문과목은 3년 후에는 법령대로 10개가 되고, 7회에 걸친 증설로 오늘날의 26개 전문과목이 된다(Table 3). 그리고 전문과목은 신설될때마다 초기에는 서류전형이 관행이 된다. 당시의 허가증은 지금과같은 전문의 자격증의 전문과목별 일련번호가 아니고, 표방허가전체 일련번호와 허가된 표방과목 명칭이 기재되어 있었다(예: 표방허가증 제1호. 정기섭. 표방과목 이비인후과). 이것은 당시의 제도가 표방허가라는 행정관리 자체에 더 의미를 두었다는 뜻이다.






2. 의료업자가 의사로


보건부 예규 2458호(1952.7.3.)로 정규 ‘residency 수련’은 1955년부터 시작된다. 1957년 9월에는 ‘수련병원 지정제도’가 도입되어 60개 병원이 처음 지정된다. 여기에는 정부가 의사 수련의 필요성을인정한다는 뜻이고, 수련이 교육으로 되어가고 있다는 의미가 있다. 이어서 보건사회부는 훈령 12호(1958.12.31.)로 그간의 ‘의료업자 전문과목 표방심사위’를 ‘의사-전문과목 표방허가 심의위원회’로 바꾼다. 아직도 표방허가이긴 하지만 그간의 ‘의료업자’가 처음으로 ‘의사’가 된다. 물론 그 후에도 ‘의료업자’라는 말은 가끔 사용된다. 일제가 식민통치를 위한 고도의 심리적 교육정책으로 조선인의사를 대학의 학문교육이 아닌 전문학교 직업교육으로 양성하고,조선인 의사는 전문직보다는 의료업자라는 인식을 의사 자신은 물론이고 조선사회에 알게 모르게 반세기 동안 심어온 영향이었다.


휴전 후에 정규 6년제 의과대학에 입학하여 기본의학교육을 받고 졸업생이 나오는 첫 해인 1960년 5월 24-25일에 ‘제1회 의사-전문과목 표방허가시험’이 실시된다. 첫 응시생은 1955년부터 5년 수련(인턴 1년+레지던트 4년)을 마친 의사들로 필기와 실기의 합계 평균이 70점 이상이 합격이었다. 1967년부터는 1차 필기시험 합격자에 한하여 2차 실기시험 응시자격을 주게 된다. 1969년부터는 ‘전문과목 표방허가시험’이 공식적으로 ‘전문의 자격시험’이 되었고, 응시자격에 논문이 요구된다. 비로소 그간의 단순 수련(training)이고등교육 이상을 추구하는 수련교육(residency education)이 된다.다시 말하여 졸업 후 의학교육이 되어가고 있었다(Kim et al., 1992).




3. 수련의 파견수련


휴전 후 1955년부터 우수 군의관이 대량 전역한다. 그런데 의료업자-표방허가심사위원회 규정에는 ‘파견수련’이란 순수한 교육목적의 규정이 있었다. 국방부는 1957년에 우수 자원 확보를 위하여 이규정을 원용하여 군의관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 수련의로 ‘파견수련’하게 된다. 최초의 파견수련이다. 1958년에는 입영연기제도로‘군 위탁-수련제도’(속칭 Kim’s plan: 1930년대 미국이 도입한 군요원의 residency 수료를 위한 군-복무 연기제도인 Berry plan과 유사)를 도입한다. 이때 국방부는 오늘날까지도 논란이 되는 ‘수련 중 대학원교육’도 허락한다. 그리고 1959년에는 ‘군 위탁-수련제도’를 해외로까지 확대한다. 수련의의 대학원등록 허용은 의과대학의 연구능력을 신장시키는 원동력이 되었고 또한 수련이 졸업 후 의학교육의미를 갖는 데 기여한다. 파견수련을 해외로 확대한 제도는 한국의학발전에 기여하였고 또한 한국 의사의 해외진출을 촉진하였다.


한편 ‘파견수련’이 오용 또는 악용되기도 한다. 1972년 4월부터수련의는 레지던트 4년 중 6개월은 무의촌에서 파견수련을 해야‘전문의자격시험 응시자격’을 주는 ‘수련의 무의촌 파견수련제도’가 실시된다. 남녀를 불문하고 모든 수련의는 의무적으로 6개월간무의촌에 근무하게 된다. 말이 파견수련이지 지도의도 시설도 아무것도 없는 무의촌 보건지소에서 허송세월 6개월을 보내게 된다. 파견수련을 정부가 정치적 목적으로 무의촌 해소의 정책수단으로 이용한 것이다. 수련의사는 의사가 아닌 것으로 이해하는 주민의 불신이 높아진다. 그래서 1976년 4월에는 ‘수련의’ 명칭을 ‘전공의’로전환한다. 결국 정책은 실패하고 1979년 3월에 끝난다. 고등교육의이상 추구와 자율이 기본인 졸업 후 의학교육의 정신이 훼손된 가장 전형적인 정책이었다. 이 정책의 후유증으로 내과계열 및 일부외과계열 전문과목의 수련기간이 1980년부터 3년이 되었다가 1986년과 1989년에 4년으로 복귀한다. 무의촌 파견수련의 대안으로 병역의무 3년을 대체하는 ‘공중보건의사제도’가 1978년 창안되고1979년에 처음으로 병역의무 대체로 300명의 의사가 무의촌에 배치되어 지금까지 유지된다.



4. 운영체계의 역사성


어느 나라에서나 기본의학교육은 학교교육이라서 현장교육인졸업 후 의학교육보다는 교육으로서의 이상을 적용하는 것이 용이하다. 태생적으로 민간자율인 수련교육 즉, 졸업 후 의학교육에는이해당사자가 기본의학교육보다 몇 배 많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수련교육 즉, 졸업 후 의학교육은 고등교육과 학교교육의 이상을 계속 추구한다. 졸업 후 의학교육은 모름지기 항상 학문에 바탕을 두어야 하는 전문직의 수련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편 졸업 후 의학교육은 현장과 현실에 직결되어야 하므로 각 나라의 역사성 존중이 필연적일 수밖에 없다. 이런 졸업 후 의학교육의 이상과 현실간의 괴리로 인하여 수많은 과제가 제기되지만, 많은 이해당사자로 인하여 현명한 해결은 항상 용이하지 않다. 처음부터 민간자율이 아닌 정부 주도로 제도가 탄생한 우리나라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한 가지 사례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보건사회부가 1957년부터 시작한 수련병원지정은 교육병원에 대한 신임업무 졸업 후 의학교육에 매우 중요하다. 이 업무는 현재 우리나라 기본의학교육 발전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고 있는 ‘의학교육 인정평가’와 같은 성격이다. 그런데 전자는 정부주도로 출발하여 지금까지 진행되고 있고,후자는 민간자율로 출발하여 진행되고 있는 것이 크게 다른 점이다. 다시 말하여 전자는 ‘residency’는 졸업 후 의학교육이라는 교육이상을 추구하는 현장을 평가하고 인정하는 업무이다. 보건사회부가 관리하던 이 업무를 1963년 4월에 당시의 대한의학협회에 위임한다. 그런데 보건사회부는 불과 4년만인 1967년 1월에 수련의는병원운영에 중요한 인력이고 인력관리는 병원의 업무라는 명분으로 병원 경영자 모임인 대한병원협회에 이관시킨다. 이 조치로 당시정부는 병원경영과 병원신임업무인 의료기관평가인증 업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였고, 또한 ‘병원에서의 수련교육은 곧 졸업 후 의학교육이다’라는 의미도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다는 것을 짐작하게한다. 결국 정부는 2010년에 의료기관평가인증 업무를 독립시킨다.


1952년에 시작한 ‘의료업자-전문과목 표방허가 서류전형’은 1960년에 ‘전문과목 표방허가시험’이 되어 1969년에야 비로소 ‘전문의자격시험’이 된다. 1967년 정책은 1969년 전까지는 우리사회에는일제가 심어놓았고 1951년 대한민국 신생정부가 수긍한 ‘의사는 의료업자’라는 인식이 살아있었다는 의미이다. 또한 당시 정부는 수련은 근로이고 레지던트가 교육(education)을 받는 것이 아니라 전문과목 표방허가를 위한 병원에서의 훈련(training)으로 보고 있었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정부는 병원경영에서 중요한 ‘수련의’ 인력관리를 대한병원협회가 주관하게 한 것이다. 당연히 수련(residency)은 졸업 후 의학교육이라는 교육적 명분과 괴리가 발생하게 된다. 그 후에도 이러한 괴리현상은 나타난다. 그것이 바로 1970년대에 있었던 ‘수련의 무의촌 파견수련’이었다(Lee et al., 1995).


국내 수련교육 현실에 문제 제기를 하는 의학자들이 많이 나타나게 된다. Kim’s plan 또는 해외연수로 미국에서 residency 수련교육을 경험하고 전문의가 되어서 귀국한 교수들이 바로 그들이다.이들이 1970-1980년대에 수련교육으로서 졸업 후 의학교육의 의미와 중요성을 강조하고, 또한 국내 제도에 대한 평가와 이의를 지속적으로 제기하게 된다. 졸업 후 의학교육 역사성의 한 예이다.



결 론


어느 나라이건 한 사회가 만들어낸 관행은 전통이 되고, 전통은그 국가와 사회의 특성이 되기 마련이다. 여기서 역사성이 탄생한다. 관행이 역사성이 되기까지는 시행착오의 세월이 필요하다. 신생국가와 그 사회는 시간적인 여유와 경험이 항상 부족하다. 그래서식민지를 경험한 신생국은 흔히 선행 국가의 경험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일단은 일을 저질러 놓고 보게 된다. 우리나라의많은 제도가 그렇게 탄생하였듯이 졸업 후 의학교육제도도 같은 역사성을 갖고 있다.


현대의학이라는 서구의학이 도입됨과 동시에 곧 망국을 맞게 된우리나라는 차별화된 의사양성과정으로 우리사회에 전문직 의사라는 인식보다는 의료업자라는 인식이 먼저 자리를 잡게 된다. 이러한 인식의 전환을 위하여 광복 직후에 급하게 기본의학교육체제가 도입된다. 또한 신생 대한민국은 국민의료관리를 위한 제도를서둘러 도입한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매우 나쁜 환경과 미숙한 고려 속에서 출발한다. 바로 우리나라 수련교육, 졸업 후 의학교육, 전문의제도의 출발이 그러하였다. 식민지에서 탈출한 지 6년, 신생국정부수립 3년인 1951년 9월 25일에 국민의료법 개정으로 졸업 후의학교육의 출발인 ‘의료업자-전문과목 표방허가제도’가 탄생한다. 유엔기 101대와 미그기 155대가 한국전 최대의 공중전을 벌인날이다. 오랜 식민지에서 갓 벗어난 모든 신생국가는 항상 의사인력이 부족하다. 전쟁은 의사부족 상황을 악화시킨다. 그런데 영토 끝으로 피신한 정부가 미국이 점령하고 있던 일본에도 없던 미국 제도를 모방하여 의학교육에서 가장 핵심인 수련교육제도를 ‘의료업자-전문과목 표방허가제도’란 이름으로 출발시킨 것이다. 그래서제도 도입의 경위가 항상 의문이다.


우리나라에서의 졸업 후 의학교육 역사성은 신생 정부가 주도하여 의료관리라는 행정개념에서 만들었고 60여 년간 아직도 주도하고 있다. 졸업 후 의학교육 운영관리는 아직도 행정관리개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정부주도가 긍정적인 역할도 하였다. 제도 10년 만에 기본의학교육 졸업생의 90% 이상이 수련은 받아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게 하였고 관행을 거쳐서 우리사회의 전통이 되었다. 우리사회와 정부의 시각도초창기에는 기본의학교육 후 훈련에서 수련을 지나 다시 수련교육으로 발전되었고, 아직은 부족하지만 이제 졸업 후 의학교육이 되어가고 있다. 전술한 수난과 우여곡절을 지나며, 졸업 후 의학교육은 경제발전과 함께 국민의료에 기여하였고 오늘날 세계적으로 부끄럽지 않은 한국의료를 만들어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오늘날과같은 고비용 저효율의 의사인력구조를 만들어 냈고, 고급 전문인력의 사장은 당연시되었다. 또한 이로 인한 의료의 왜곡은 심화되어갔다. 그리고 그간에 수많은 해결책이 제시되었으나 대부분이 실패하였다. 서두르고 잘못된 출발로 초창기부터 제기되어 왔던 운영관리 측면의 여러 문제는 여전히 이해당사자 간의 갈등이 되고 있다.이제 남북통일을 대비해서라도 바로 잡아야 한다.


전체 의사양성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고 핵심이 되는 과정은 졸업후 의학교육이다. 기본의학교육과 졸업 후 의학교육은 두 개의 과정이 아니고 이제는 하나로 보아야 한다. 이것이 세계적인 추세이다. 오늘날의 부실 의과대학으로 시끄러운 사회문제도 원론적으로는 기본의학교육과 졸업 후 의학교육을 따로따로 보아 왔기 때문에온 것이다. 현재 논의되는 인턴제 폐지도 기본의학교육과 졸업 후의학교육은 하나라는 발상에서 나온 것이다. 물론 졸업 후 의학교육은 현장과 현실을 중시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나름대로의 역사성을 만들어온 정부의 공로는 존중되어야 한다. 러나 이제는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졸업 후 의학교육은 기본적으로 제3기 고등교육의 하나이며, 또한 태생적으로 민간자율이었다는 점이 더 존중되어서 관리 운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제는 기본의학교육 대학들도모른척하던 졸업 후 의학교육을 교육 차원에서 학교에서 다루어야하며, 정부 또한 부처 간에 협조가 절실하다.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Korean Peninsula, Chosun (ethnic Korean) physicians were trained in

vocational clinical schools, but Japanese physicians in medical school. Therefore, the Japanese government

treated the Japanese physicians as medical doctors but Chosun physicians as dealers or traders in clinical services.

This colonial discriminatory policy became a habitual concept to Korean physicians. Because of these traditional

concepts regarding physicians, after the colonial period, the newly established Korean government also

had the same concept of physicians. Therefore, in 1952, the Korean graduate medical education system was

launched under a government clearance system with the claim of supporting medical specialties as clinical

dealers or clinical businesspeople. During the last 60 years, this inappropriate customary concept and the unsuitable

system have evolved into medical residency training education, and then into graduate medical education.

Today graduate medical education has become inextricably linked to postdoctoral work in Korean hospitals.

Keywords: Medical school, Graduate medical education, Residency

1990년대 이후 의학교육제도 개선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in Korea Since 1999

이무상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과

Moo Sang Lee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Incheon, Korea




서 론


어느 나라이건 학제는 사회변화에 따라 변한다. 우리나라 학제개편은 광복 후 지금까지 20여 차례 있었다. 1945년 당시 미국은8-4-4학제가 주류이었으나 미군정청은 ‘조선교육심의회’를 설치하여 일제의 ‘복선형 학제’를 ‘단선형 6-6-4학제’로 바꾸었다. 당시에는 식민지 학제의 잔재가 여전히 남아 있어 고등교육에는 2년제 대학 예과와 3년제 전문부를 병설로 두고, 4년제 중학교 졸업생이나전문학교 재학생들이 예과나 전문부를 거쳐서 대학으로 진학하게하였다. 

    • 1945년 해방 당시 우리나라는 고등교육기관 19개, 교원1,409명, 고등교육기관에 재적한 학생이 7,819명이었다. 
    • 미군정의 개방적 자유방임제도의 도입으로 1948년 8월 15일 정부수립 시에는남한에만 고등교육기관 42개, 교원 1,265명, 재적학생 24,000명이되었다. 

신생정부는 교육법(1948.12.31 공포) 제8조에서 ‘모든 국민은 6년의 초등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다’며 의무교육을 도입하고, 중등교육은 4년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2년의 고등보통교육과 2년의 전문교육으로 하며, 고등교육은 4년 대학교육으로 하였다. 그리고 다시 6.25 동란 중 제2차 교육법 개정(1951.3.20)으로 중학교까지 의무교육을 염두에 두고 현재의 6-3-3-4제를 우선 만들고, 6.25 동란후에 환도하여 ‘의무교육 완성 6개년 계획(1954-1959)’으로 1960년에 취학 목표의 90%를 달성하였다. 그래서 현 6-3-3-4학제는 1960년대 초에야 학제로 완전 정착되었다.


무상의무교육은 초등학교는 1959년부터, 중학교는 1985년부터지역별로 연차적으로 개시하여 2001년에 전면 실시되었다. 중학교에 무상의무교육이 실시되면서 후기 중등교육인 고등학교 진학률도 빠르게 상승하여 1975년 74.7%, 1990년 95.7%, 1995년 98.5%,2000년 99.5%의 고등학교 취학률을 보이게 된다. 그간의 경제발전과 6-3-3-4 단선형 학제 탓도 있지만 중등교육의 양적 팽창이 나타나면서 자연스럽게 고등교육 수요는 늘게 되고 대학은 번성하였다.

    • 제3공화국은 대학정비안(1961), 사립학교법 제정(1963), 대학학생정원령(1965), 학사자격고시령(1962.10), 학위등록제·대학입학예비고사령(1968), 교수자격 심사제(1969.12)로 고등교육 개혁을 꾸준히 시도하였다. 국무총리가 위원장인 장기종합교육계획심의회(1968.11)도 2년간 가동되고, 문교부에 교육정책심의회(1971.9)를설치하여 실험대학제도(1973)와 고교평준화(1974)를 시도하였다.
    • 고교평준화로 대학진학 희망자를 불필요하게 증가시킨다는 비판이 일자, 중등교육에 다양한 고등학교제도 도입, 대학특성화, 중등교육 이후의 인력양성을 위하여 다양한 직업기술 교육제도(1979,전문대학; 1982, 개방대학-산업대학) 등이 도입되었다. 한때는 전문학교를 전문대학원으로 승격 개편하는 구상도 하였다. 대표적 전문학교인 사범학교는 2년제 교육대학(1962)을 거쳐서 4년제(1982)가 되었으며, 
    • 이 모두는 고등교육 정책이지만 고등교육의 학제개편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Table 1에서 보듯이 제5공화국의 ‘졸업정원제’(1983.8)는 90년대 초에 고등교육 대중화를 가져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당시의 고등교육의 양적 팽창은 지식기반사회의 기초가 되기도하였지만, 질적인 내실화를 기하지 못한 외형적 성장이라는 비판도있었다. 여기서부터 고등교육 학제논의가 다시 일어나기 시작했다.특히 인구대비 대학생 비율이 2%를 넘고, 적령기 대학 취학률 20%,고졸 후 대학 진학률 30%에 근접하게 되는 80년대 초에 고등교육학제에 대한 전반적인 논의가 본격 시작되었다. 이에 제5공화국의교육부는 1982년 ‘학제발전연구위원회’를 설치하여 1984년에 3개시안을 발표하였다. 이때에 처음으로 ‘전문직 양성교육 학제’가 공식으로 언급된다. 이들 시안은 비판받기도 했지만 인기학과를 단일학제로 운영하고, 특히 가장 인기 있는 전문직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의 인기학과를 ‘보장형-폐쇄적-단선형 학제’로 운영하는 것은 사교육과 재수생 증가 등의 교육낭비와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절대 필요한 융·복합학문의 발전이 저해된다는 지적에 따라 일부 국민적 지지를 얻게 되었다. 그러나 당시의 정치적 혼란으로 이 제도가 실행으로 옮겨지지는 못하였다. 1990년대에도 고등교육 팽창은계속되고, 2000년대 대학교육은 이제는 ‘보통교육’이랄 수 있을 정도가 되어서 한국은 고등교육 보편화 단계가 된다(Table 2). 이런 고등교육의 팽창과정 속에서 의학교육계에서도 학제논의가 자연스럽게 나타난다.





현재의 6년제 의학교육 학제(속칭 2+4제)는 광복된 그해인 1945년 11월에 보장-폐쇄-단선형 과정(decided status track/closed singletrack)으로 정해진다. 식민지 시절의 의학강습소와 전문학교에서의 의사양성은 끝나고, 의사양성교육은 명실상부한 고등교육의6년 대학교육으로만 허용된 것이다. 물론 식민지 중등교육 잔재가남았기 때문에 2년제 예과와 3년제 전문부를 과도기적으로 적용하였다. 연 20-30달러 정도의 소득, 의무교육 취학률 약 65%, 성인 문맹률 약 70%, 19개 고등교육기관에 학생이 불과 7,819명(조선반도인구 2,500만 명 대비 0.031%. 일본인 포함; 1945.4. 총독부 보고서)뿐인 사회에서 의학교육 기간이 2년 연장된 것이다. 당시 의사 대부분은 식민지하 전문학교 출신이었음에도 새로운 의학교육 학제에적극 찬성하였다. 당시의 의사들은 자타가 인정하는 당당한 지식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대학의 고등교육과정이 아닌 식민지 전문학교에서 경험한 한과 진정한 지식인으로의 갈망으로 그들의 후배는자신들과 같은 ‘기술인 의사’를 넘어서서 독립국가의 당당한 ‘지식인 의사·의학인’이기를 원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의사전문직 조직이 최초로 결성된 1908년 이래로 항상 ‘의사(협)회’이었던 것이1947년 5월에 ‘조선의학협회’(정부수립 직후부터는 대한의학협회)라며 ‘의학’이라는 명칭을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기술인 의사보다는 지식인 의학인을 원한다는 의지의 표현이었다. 그리고 1995년 5월에 다시 대한의사협회로 개명되었다. 동일한 한 개의 전문직 조직이 사회변화에 따라 의사-의학-의사로 명칭이 변하고 있다. 마치 의료·의학의 정체성 논쟁을 보는 듯하다. 한편, 의료계는 전쟁 중인1952년에 ‘전문과목표방허가제’를 도입하였으며, 1958년에는 ‘전문의제도’로 발전시키고, 70년대에 ‘졸업 후 의학교육제도’로 더 발전시켜서 수련교육과정을 의사양성교육 중 가장 핵심과정으로 정착시켰다. 의사전문직 양성교육이 ‘학교교육’을 넘어서서 ‘직장교육’으로 까지 제도적 확대가 된 것이다. 의학교육제도에 대한 이러한역사적 발전과정에 전문직업인 양성을 위한 전문대학원제도의 도입 특히, 의학전문대학원제도의 도입은 하나의 획기적인 전환점이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 전문대학원제도는 전문직 양성학제로1998년에 도입되어 현재는 수십 종류가 순항 중이지만 의학의 경우는 제대로 운용도 못해보고 출발과 거의 동시에 원상 복귀 예정이다. 그래서 의학교육 정책오류의 전형으로 인식된다. 정책오류 주장의 일부는 현실적인 것도 있지만, 대부분의 주장은 비교분석에 의한 학술적 논거가 없다. 제도의 실시가 일부 대학에서만 운용되었고 단기간이라서 축적된 자료도 없다. 그나마 있는 자료는 지난 8년간에 있었던 의학교육 희망자에 관한 자료가 전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이상의 정책낭비를 막기 위해서라도 부족한 자료나마의학전문대학원제도의 발전과정과 주요 쟁점에 대해 일견하는 것은 의미가 있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원고는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 의학교육제도 개선 논의와 주요 쟁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전문직 학제 신설에 대한 지속적 논의


1990년대 이전의 우리나라 교육제도에 대한 논의는 제5공화국‘교육개혁심의위원회’와 제6공화국 ‘교육정책자문회의’로 이어지고 시안도 발표되지만, 정치적인 이유로 정책화되지는 못하였다. 32년간의 군사정부 시대가 끝나고 정치적으로 문민정부의 대통령 자문기구인 ‘교육개혁위원회(1994.2.5-1998.2.24)’로 학제논의가 다시이어졌다. 교육개혁위원회는 정부수립 후 50년간 있었던 각종 교육관련 위원회 중에서 가장 강력한 정책결정기구로서, ‘교육과정특별위원회(1995.8.1-1996.2.4)’를 전문위원회로 운영하고, 교육개혁안을 4회에 걸쳐 대통령에게 보고하였다(1차 1995.5.31; 2차 1996.2.9;3차 1996.8.20; 4차 1997.6.2). 교육개혁위원회는 2차 개혁안에서 ‘신학, 의학, 법학에 전문대학원제도의 도입’을 제안하고, 4차 개혁안에서 구체적인 방향(의학교육 학제개편모형)을 제시하였다. 대표적인 전통 전문직을 전문대학원에서 양성한다는 정책은 국민의 평균학력상승에 따른 제안이라는 점에서 언론 매체들도 동조하며 사회전반적으로 수용의 분위기가 높았다. 이때에 제기된 ‘초·중등교육의 교사는 전문직이며 전문대학원에서 양성되어야 한다’는 주장은현재도 계속 검토되고 있다. 그 사이에 의료·의학계는 한국의학교육협의회를 중심으로 대토론회(1996.9.28)와 대정부 건의(1996.10.9)를 하였으며, 교육부는 ‘의학전문대학원제도 연구(1996.8-1997.2:연구책임자 한달선)’를 추진하였다.


문민정부의 고등교육 개혁방안은 어느 정부보다 양적으로 광범위하고 질적으로 독특하였는데 1) 대학설립준칙주의, 2) 복수전공및 편입학 기회의 확대, 3) 대학평가와 재정지원 연계 강화, 4) 세계수준의 연구중심 대학 및 지방대학 육성 추진 등이 대표적인 정책으로 선정되었다. 21세기 지식기반사회를 대비한다는 명분으로 시작된 이런 정책의 추진을 위하여 50년간 사용한 교육법(1949.12.31제정)은 폐기되었으며, 교육기본법, 초중등교육법, 고등교육법이 새롭게 제정되기도 하였다(1997.12.13). 새롭게 제정된 고등교육법 29조 2항은 우리나라 고등교육제도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일반대학원은 학문의 기초이론과 고도의 학술연구를 주된 교육목적으로 하는 대학원으로, 전문대학원은 전문직업 분야의 인력양성에 필요한 실천적 이론의 적용과 연구개발을 주된 교육목적으로 하는 대학원이라고 규정하였다. 그동안 법률로 규정되지 않았던 대학원과 전문대학원이 법제화된 것이었다. 특히 전문대학원은‘통합적인 전문지식과 실무능력양성’이라는 명분으로 교육부는 대표적인 전문직인 의사의 양성을 위하여 ‘의학교육 학제개선 공청회(1997.2.18)’를 개최하여 의견을 수렴하였다. 그리고 1년 만에 고등교육법 시행령을 문민정부의 임기 마지막 날(1998.2.24)에 공포하였다. 우리나라는 1996년 12월 선진국-경제개발협력기구(Organization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에 가입함에 따라 정부는 모든 것을 선진국 국제수준에 맞추라고 각계에 요구하고 있었다. 식민지 의학교육 이래로 한결같이 진행되던 의학교육도 같은 형편이 되어서 의학교육제도 개선에 대한 관심도 한층 고조된 시기였다. 그러나 곧바로 이어진 1997년 11월의 외환위기는 국가적 위기감이 있었으나, 이때에 우리나라 최초로 진보정치권이 정권을 잡아 국민의 정부가 출범하여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게되었다. 새 정부는 보수정권인 직전 정부가 추진하던 각종 교육정책을 거의 그대로 계승하였다. 당시는 국가적 위기감도 있었지만 50년 만에 새롭게 마련된 교육 관련 법과 시행령을 진보정치권 정부가 최초로 집행하여야 하는 모양새가 되었기 때문이었다.


다음의 Table 3은 우리나라 교육정책 수립과 관련된 정부위원회조직을 나타낸 것이다. 우리나라는 미군정기 조선교육심의회를 필두로 하여 참여정부의 대통령 자문교육혁신위원회에 이르기까지여러 형태의 이름으로 고등교육 학제를 논의하려는 노력이 계속되어 왔다. Table 3에서 보듯이 항상 있어왔던 교육 관련 대통령 자문기구로는 역대정부와는 다르게, 교육학 전공자 외에 학부모, 교원,시민단체, 경제계, 지역사회 등 각계각층 36인과 장관 4명으로 구성하여 ‘새교육공동체위원회(1998.6)’가 설치되었다. 새교육공동체위원회는 2000년 9월에 ‘교육인적자원정책위원회’로 개편되어 2003년 2월까지 활동하였으며, 대통령에게 지식기반사회에서 효과적인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방안 및 개혁과제를 3차례 보고하였다. 새교육공동체위원회는 교육개혁위원회가 마련한 정책과제의 실천을위한 각종 전문위원회를 만들고 소위원회로 의학교육 및 법학교육학제연구소위원회도 만들어 대표적인 전문직 양성교육인 의학교육과 법학교육에 전문대학원제도 도입방안을 창출하도록 하였다.





전문직 의학교육 학제 개발에 대한 상반된 견해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는 노동집약산업으로 경제발전을 이루고, 대학교육이 대중화 단계로 접어들면서 우리 사회는 지식기반사회로 진입하고 있었다. 또한 고등교육 분야에서는 전문대학원제도도입 필요성이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으며, 어느 정도 사회적 합의가되어 가고 있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전문대학원제도를 법제화한 고등교육법이 무난히 제정되었고, 국민의 정부에서 구성된 새교육공동체위원회는 전문대학원제도 도입을 중심으로 하는 학제논의를본격화 하였다. 특히 의학 분야의 전문대학원제도 도입이 핵심이되었는데, 국립·사립·지역을 고려한 의과대학 교수 5명으로 ‘의학교육학제연구소위원회(1998.10-1999.6)’가 구성되어 활동한다. 새교육공동체위원회는 소위원회에 새로운 의학교육 학제의 목적과 목표에 관한 의견을 수차례 전달하고 교육부 의견도 전달한다. 물론,의료계·의학교육계의 의견도 수시로 전달된다. 그러나 Table 4를 보면, 정부 주도로 추진되어온 의학교육 학제개편 배경과 의료계 및 의학교육계의 이해는 서로 상반된 견해를 갖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새교육공동체위원회와 정부의 의견은 국가와 사회 차원 그리고의료소비자 차원의 의견 개진이다. 그 의견의 

    • ①번은 새 법령이 출발한 지 6개월이므로 법령 준수와 법령의 효율 검증이 필요하였기에 나온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는 이미 고등교육 대중화 단계이므로 새교육공동체위원회는 국내 처음으로 마련된 일반대학원과 전문대학원 정의에 충실한 고등교육 정책의 이행을 대통령에게 건의하고 있었다. 그래서 법에 맞는 의학교육 학제설계를 요구한 것이다. 그러나 ①번의 배경에는 ④번 ‘우리사회의 부조리 감축에 일조하는학제‘와 ⑤번 ’고등교육 질서 정립에 기여하는 학제‘라는 요구와도연관성이 있다. 
    • 번 배경 중 하나로 예시된 것이 문민정부의 교육개혁위원회에서 논의되었던 ‘박사학위 남발문제’였다. 마침 1990년대 중반에 학위제도에 관한 연구가 많았는데, 비판 대상이 주로 박사 중에서 가장 많은 ‘의학박사‘였다. 이런 오랜 지적에 의학계는 나름대로 해명을 해왔고 당시의 연구소위도 동조하였으나, 
    • ③번 요구처럼 한국이 OECD 회원국인 이상은 국제수준에 맞지 않다는 것이 새교육공동체위원회의 지적이었다. 
    • ②번 의견의 보건의료에 기여하는 학제는 의료소비자 의견이었다. 당시 새교육공동체위원회에는 시민단체가 있어서 의료계의 진료 관행을 학제로 개선해 달라는 요구였다. 이 문제의 근원은 의료보험제도와 식민지 관행에있다는 연구소위의 의견은 통하지 않았다. 이러한 지적과 요구는정부의 최종 정책발표인「의·치의학 전문대학원 도입 기본계획」에서 ‘기술의(技術醫),’ ‘인술의(仁術醫)’라는 표현으로 나타났다
    • 이과정에서 정부는 학제개편 근거에 대한 논리적 비약을 하였다. 즉,학제연구 배경과 필요성 설명에서 ④번의 ‘사회 부조리 감축’을 ‘재수생 감소’와 연결한 것이다. 그러나 학제개선으로 재수생 감소를기대할 수도 있겠지만 사회부조리 감축까지는 비약이다. 사회부조리 원인이 재수생 증가이고, 이로 인해 사교육이 생기며 결국 부모의 부담이 되고, 부모부담의 가중이 사회부조리 원인의 하나라는설명이었다. 또한 예로서 사교육은 유명대학과 인기학과로의 학생집중 때문이고, 좋은 예가 재수생이 많은 의과대학이라는 것이다.그러나 이런 설명은 추후에 학제개선 저항에 자주 인용되는 꼬투리가 되었다. 
    • ⑤번은 식민지 의학교육 시절부터 있던 논문박사제도관행과 부조리, 병원 전공의의 일반대학원 재학 병행으로 인한 부조리, 의대 편입학과정에서의 부조리 소문을 학제개선으로 막으라는 요구였다. 
    • ⑥번은 국제사회 분위기를 반영한 것으로 의료계도 원하는 의견이었다. 90년대 독일 통일과정에서 상이한 교육과 보건의료제도의 통일이 어렵다는 관찰로 제시된 의견이다. 통일 후에도남한의 보건의료제도가 학제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라는 것이었다.


한편, 의료계·의학교육계의 의견은 전문직으로서의 의견 개진이었다. 한마디로 프로페셔널리즘적 의견이다(Table 4). 

    • ⓐ번 의견은문민정부가 의료보험 확대 실시로 인한 의료소비자의 불만을 해소한다며, ‘대학설립 준칙주의’ 적용으로 임기 5년에 9개 의과대학 설립을 인가하였기 때문에 나온 것이었다. 
    • 또한 문민정부는 정책적으로 복수전공과 학사편입을 활성화하면서 의과대학 학생이 평균 15%증원되었다. ‘의과대학 입학정원은 교육부와 보건복지부 장관이 협의한다’는 당시 적용규정인 국무총리 지시각서 제34호(1981.8.6)및 제1994-14호가 무시된 것이었다. 이 규정은 현재 고등교육법 시행령 28조 4항과 33조 3항으로 규정되어 있다. 이를 반영한 것이 ⓑ번 의견이다. 광복 직후 기성 의사들은 사회의 최고 엘리트 지식인으로서 대학에서의 단일화된 6년제 의학교육을 적극 환영하였다.
    • 그러나 50년 후의 의사들은 과거와 달리 지적·사회적·경제적· 문화적 부족감을 느끼며 나온 의견이 ⓒ번이다. 전문직은 국가 또는민간이 발행한 면허나 자격을 갖는다. 그런데 현대사회는 사회 안전망으로 자격이 매년 더 필요하게 되고 정부는 면허·자격으로 공급한다. 이에 따라 Table 5에서 보듯이 넘쳐나는 면허와 자격들 때문에 전통 전문직 위상은 하락한다. 
    • 의사와 다른 보건의료 관련 면허 취득자들과의 관계가 수평적인 평등관계로 변하면서 의사의 지도력과 관련한 ⓓ번 의견이 제시되었다. 우리나라는 의예과 입학만으로 6년 후에는 의사면허가 보장되는 ‘보장-폐쇄-단선형 6년 학제’이다. 따라서 최종 졸업률은 항상 97% 이상으로써 다른 과의 평균60-70%에 비해 거의 완전 졸업이고, 졸업생의 의사면허 취득률도최종적으로 거의 100%이다.
    • 졸업 후에는 필수과정인 수련과 병역으로 곧장 연결되어야 하므로 다른 분야 진출이 어려우므로 나온의견이 ⓔ번이다. 
    • 마지막으로 식민지 시절부터 가장 많은 졸업생을배출한 경의전과 경성제대 의학부는 학교 위상이 달랐지만 광복후에 통합되며 갈등이 있었다. 당시의 갈등 앙금은 국내 의료계 단합에 오랫동안 영향을 주는데, 그 경험의 반영이 ⓕ번 의견이었다.





의학교육 학제와 학위에 대한 인식 차이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고등교육을 이끄는 주축은 고등교육 학계이다. 그런데 당시에 전문직 양성교육에 대한 교육개혁위원회와 새교육공동체위원회의 주축인 고등교육 학계와 의료·의학계 간에는 의학교육 학제와 학위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의료·의학계는 고등교육 학계가 고도의 전문성을 갖는 의료·의학을 제대로 이해 못 한다며 학제와 학위문제를 해당 전문직 세계에맡겨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법조계도 같았다. 그런데도 사회적으로힘이 강한 법조계는 사회가 원하면 최고의 전문직계라도 변해야한다며 결국은 법학전문대학원제도를 점차 수용하게 된다. 의료·의학계만 의학전문대학원제도에 대한 저항을 계속하였다. 의료·의학계의 학위에 대한 이해는 고등교육 학계와 분명히 달랐다

    • 고등교육 학계는 대학의 학부교육은 이미 보편화 단계라서 모든 국민은곧 고학력자가 되므로 지금까지는 없던 학위개념이 필요하다며 전문직 학위(professional degree) 개념이 도입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의료·의학계는 고등교육의 보편화 단계와 의학교육과는 상관없다는 입장을 지속적으로 견지하였다. 

당시에 우리나라 대학에는 전문직 학위인 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 (MBA), JurisDoctor (JD) 학위과정이 체계화되어 있지 않았었다. 의료·의학계는 전문직 학위를 매우 생소해 하였으며 필요 없다는 입장이었다.이 같은 입장은 세계 공통으로 사용하는 의사라는 뜻의 MedicalDoctor (MD)와 전문직 학위로서의 MD에 대한 이해가 각 대학마다 각 교수마다 다른 데서도 나타난다. 대표적인 예가 ‘미국에서는MD가 Philosophiae Doctor (PhD)와 동격 또는 그 이상이다’라는것으로 의사는 전문직 기술인이고 동시에 항상 공부하는 학자로서PhD보다 낫다는 것이었다. 의료·의학계 일부는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대학의 학부교육은 보통교육이라는 점을 인정하지 않고, 지식기반사회에 필요한 전문직으로서의 의사학위를 학술학위(academic degree)로만 이해하였다. 전문학위와 학술학위를 완전 동일시하였고, 고등교육 학위체계(학위등급과 명칭)에 대한 이해도 달랐다. 그래서 교육개혁위원회가 의학교육 학제개편모형에서 동일한 의학교육기본과정을 ‘고졸 후-의학교육’으로 이수하면 의학사(Bachelor of Medicine, BM)이고 ‘학사 후-의학교육’을 이수하면 의료학 석사(MD)이며, 병원의 수련전공의가 전문대학원에서 석·박사과정을 병행 이수하면 의료학 석·박사(Master of Medical Science,MMSc· Doctor of Medical Science, DMSc)라고 발표할 때(1996.2.9)에 ‘의학’이 아닌 ‘의료학’이란 용어에 강력한 비난을 하였던 것이다. Me dicine은 의학도 되고 의료도 되지만 의학을 더 선호한 것이다. 현재는 의료·의학·의과학·의료서비스를 구분 사용하지만, 당시만 해도 의학은 모든 것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하였기에 의료학이란 용어가 매우 생소하였다.


‘의료학’ 이란 용어는 식민지 의학교육에서부터 온 의학·의료에대한 관행적 인식과는 괴리되어 있다. 의료·의학계는 교육개혁위원회가 의과대학(medical school)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도 인정하는 전문대학원(professional school)이라는표현에도 은연중에 거부를 보이고, 순수한 학술대학(academic school)으로 보려는 경향을 보였다. 여기서 ‘국민학교’처럼 ‘의과대학(醫科大學)’이란 용어를 생각하게 된다. 원래 동양의 의학용어는일본에서 온 것이다. 만약에 서양의학이 우리나라에 먼저 들어와서 의과대학(medical school or medical college)을 우리 조상이 먼저 번역하였다면 ‘의학대학(醫學大學)’이었을 것이다. 물론 법과대학은 법학대학, 공과대학은 공학대학이었을 지도 모른다. ‘Medical school은 professional school’이라는 개념에 의료·의학계가 무언의거부를 표하는 배경은 현학적 의식의 자존적 표현이거나, professional school에 대한 이해부족일 수 있다. 결국 교육개혁위원회의주축인 고등교육 학계는 전문직(professional)은 학문교육(academic education)과 직업훈련교육(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VET)의 합(professional= academic education+VET)으로 탄생하므로 국민의 평균 학력 상승과 고등교육의 팽창으로 이제는 법률로 전문직 학위제도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견지하였다. 반면, 의학·의료계는 대학 학부교육에 의한 의학사학위만으로도 가장 대표적인 전문직인 의사전문직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학사 후 의학교육 학제의 구상과 정책들


의학교육 학제와 관련하여 한국의학교육학회(1996.6)는 현 교육체제와 동일한 모형을 제시하였으며, 한국의학교육협의회(1996.10.9)는 현 체제와 관행유지를 골자로 하는 대정부 건의문을 보내고, 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1997.6.23)는 학제개선모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의료계의 이러한 의견들은 우리나라 고등교육을 이끄는고등교육 학계의 일반적인 인식과는 매우 달랐다. 새교육공동체위원회의 의학교육학제개발 소위원회는 교육개혁위원회와 새교육공동체위원회에서 거듭 제시한 고위 전문직업인 양성정책의 실현, 새로운 교육 관련 법령의 준수, 의료계의 의견 반영 등 3가지 조건을조율한 학제를 논의하였다. 그리고 새롭게 출발한 고등교육법에 맞는 의학교육으로 ‘학사 후 의학교육’이라는 명칭을 만들었다. 이것은 새롭게 출발한 고등교육법에 맞는 명칭일 뿐이다. ‘학사 후’라는용어를 많은 다른 학문 계열의 전문대학원에서는 당연한 것으로받아들이고 아예 논하거나 사용하지도 않는 용어이다. 그런데 의료·의학계는 ‘학사 후’라는 용어에 매우 비판적이었다. 서양의학이우리나라에 소개된 후 첫 반세기 동안은 식민지 교육의 차별로 교육체제상 명실상부한 고등교육이라기보다는 후기 중등교육체제로주로 의사양성을 하여 왔고, 광복 후의 다음 반세기 동안은 고등교육의 학부체제로 승격되어서 보장-폐쇄-단일과정으로 진행되어 왔던 관행과 인식이 있었기 때문에 매우 이상하게 느껴졌을 것으로생각된다. 법에 맞는 작명일 뿐이지만 ‘학사 후’라는 용어와 ‘전문대학원’이라는 법체계가 갖는 절대적인 구속력을 완화하고자 ‘학사 후의학교육’에는 매우 많고 다양한 정책방안의 구상이 필요하였다.


광복 후에 의학교육 학제가 무난히 승격된 것은 식민지 교육의차별로 이원화된 의학교육에 대한 한과 진정한 지식인으로서의 목마름이 유인이었다고 하지만, 그간의 학문적 발전과 식민지 백성의평균 학력의 미세한 상승도 한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어느 나라에서나 의사 같은 전문직 인력은 국가의 사정이 급박하면 기본학력에상관없이 전문직을 양산한다. 또한 국가·사회가 안정되어 있고 국민의 평균 학력이 오르면 전문직의 학력은 동반 상승한다. 그게 전문직이고, 식민지 시절은 물론이고 6.25 동란 시에도 경험하였다.우리는 최근 반세기에 많은 발전이 있었고, 국민의 평균 학력은 세계에서 유래가 없을 정도로 대폭 상승하였다. 그래서 고등교육 학제에 대한 논의가 있었고 그 중심에 의학교육 학제가 있었기에 교육개혁위원회와 새교육공동체위원회에서 꾸준히 제시된 정책과 고등교육법의 전문대학원 정의를 준수한다는 두 가지 큰 조건을 지키는 의미로 ‘학사 후 의학교육’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연구위원회는 의사의 직무는 기본적으로 전문직이므로 두 가지 대원칙을 수용하여야만 한다고 보았지만, 법적 구속력을 최대한 완화하고 또한 의료계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서 당시의 법령과 규정의 허용 범위 내에서 많은 부수적인 필수정책을 관련 부처와 협의를 거처 Table 6과 같이 발표하였다. 연구위원회는 1999년 5월 4일 공청회를 개최하여 ‘학사 후 의학교육제도 도입안’을 발표하고, 1999년6월에 보고서를 제출함으로써 활동을 종료하였다.


새교육공동체위원회의 임무는 새로 구성된 교육부총리 산하‘인적자원정책위원회’로 이월되고, 의학전문대학원제도에 관한 사항은 교육부 산하에 ‘의학전문대학원 추진위원회 (위원장 허갑범,2001.3.-2001.8)’에서 관할하게 되었다. 이때 갑자기 치과대학이 참여를 자원하였다. 이 위원회의 연구보고서는 직전의 선행연구와 크게 다른 점은 없었으며, 수련교육과 일반대학원 교육의 병행 금지를 허용하는 수준이었다. 그리고 국민의 정부 시절의 교육인적자원부는 2002년 1월 16일「의·치의학 전문대학원 도입 기본계획」에서2005학년도부터 제도를 시행한다고 발표하였다. 1984년에 처음으로 전문직 양성학제를 정부가 공식 언급한지 거의 20년 만에 가장대표적인 전문직 양성교육으로 인정되는 법조인과 의사양성교육중에서 의사양성교육이 먼저 선택된 것이었다. 1980년대 초부터 논의된 전문직 양성교육 학제는 고등교육법으로 법적 근거를 만들고1998년 1월부터 일반적인 전문직 양성교육으로 적용하게 되면서2000년 3월에는 전문대학원의 종류가 42종에 이르게 된다. 그러나가장 대표적인 전문직 양성교육은 그대로였다. 그리고 드디어 의학교육 학제를 4번의 정권 교체 끝에 국민의 정부 임기 1년을 앞두고전문직 양성교육학제를 적용하였다. 이 계획은 의과대학·치과대학들은 대학자율로 학부체제 계속 유지, 학부체제와 의학전문대학원 체제 병행(2009년까지만 한시적으로 인정), 의학전문대학원 체제로의 완전 전환 등 3가지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전문대학원으로 전환하는 대학에 예산지원을 하기 시작하였으며, 참여정부의 교육혁신위원회(2003.6)로 이어졌다.


한편, 2002년부터는 의치의학교육입문검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의치의학교육입문검사의 기능 점검과 난이도 설정을 위한 예비시험(2004.2.22)과 제1회 의치의학교육입문검사(2004.8.29)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주관으로 시행되었으며, 2005년부터는 의치의학교육입문검사협의회가 구성되어 관련 업무를맡지만 출제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계속 맡아왔다. 참여정부는2005년에는 ‘대학혁신추진단’을 만들어서 대학개혁의 일환으로 각종 정책과 예산지원을 유인책(Brain Korea 21, BK21)으로 학부체제 의과대학이 의학전문대학원 체제로 전환하도록 강제하였다. 최종적으로 27개 대학이 의학전문대학원(완전 전환 13개교, 한시적병행 14개교)으로 교육체제를 변경하였다. 이에 따라 전체 41개 대학의 66%, 입학정원은 1,641명(2006.1 현재 기준)이 되어 전체 의학교육기본과정의 입학정원 3,056명의 54%가 되었다(2012학년도 모집정원은 1,690명). 결과적으로 Table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9학년도부터 학사 후 의학교육 체제의 입학정원이 고졸 후 의학교육의입학정원과 비슷해지게 되었다.


학사 후 의학교육 학제 도입 이후의 양상들


학사 후 의학교육제도가 도입되었지만, 제도에 대한 논란이 종결되지는 않았다. 문제는 한시적인 병행체제를 택한 대학을 중심으로 의학전문대학원제도에 대한 반대가 계속되었다. 반대에는 전술한바와 같이 전체 고등교육의 흐름과 전문대학원제도에 대한 이해부족도 있었지만, 대학과 정부에 나름대로의 배경과 이유가 있었다. 세계에서 전체 의과대학의 75%가 사립인 나라는 우리나라뿐이다. 사립의대는 학교와 연계된 교육병원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을 수밖에 없고, 모든 사립대학은 대학운영에 있어서 학부의 인기학과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많은 사립대학들은 학부의과대학이 의학전문대학원 체제로 전환을 할 경우 전체 학부의운영에 어려움을 예상하였다. 이것이 각 대학들의 반대 배경 중의하나였다. 그래도 정부에도 가장 큰 오류 세 가지가 있었다.


    • 첫째로 의학전문대학원 정착을 위한 정책실행기간을 너무 짧게잡았다는 점이다. 즉, 너무 서둘렀다. 물론 의과대학 교수들은 언론을 통하여 의학전문대학원제도에 대한 몇 년간의 논란은 간간이접하고는 있었다. 그래도 교수들이 고등교육의 전체적인 흐름과 전문대학원에 대하여 충분히 이해하고 숙고하며 토론할 수 있도록 적어도 수년 간의 기간을 주었어야 했다. 정부는 불과 1개월 남짓의기간만 주었다. 정부는 정권 말기에 가시적인 성과에 연연하여 서두르다 보니 학부체제, 병행체제, 의학전문대학원 체제 중에서 대학자율로 선택하도록 하였다. 몇 번의 선행연구에서 병행체제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병행체제는 학비가 무료인 일부 국가에서 운영하는 방식이다. Table 8에서 보는 대부분의 반대 논리와 주장은 이미 수차례의 선행연구에서 조사되고 검토된 바 있어서 크게 문제될 것이 없었다. 그러나 ⓒ의 학위문제와 ⓓ의 등록금문제에 있어서 우리나라는 사정이 다르기 때문에 선행연구들은 전혀 예상하지않은 방법이었다. 모든 선행연구들은 Table 4의 의료·의학계 의견수렴에서 보듯이 의료계의 단합을 위해서라도 41개 대학 모두가참여하는 전문대학원제도를 제안하였으나, 정책당국은 대학자율이라는 명분으로 3가지 중에서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유발된 문제인 것이다. 실제로 ⓒ의 학위문제와 ⓓ의 등록금문제는 병행체제를 선택한 대학에게는 큰 고민이었다. 정부가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 중에 의학전문대학원제도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취한 몇몇대형 대학이 병행체제로 의학전문대학원을 1-2년 동안 하다가 곧완전전환의 의학전문대학원 체제로 변경한 것이 대학이 갖는 고민의 크기를 말해 준다. 현재는 이러한 대학들도 모두 학부로 되돌아갈 준비를 하고 있다. 정책추진과 실행과정에서의 작은 오류가 제도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서 수년간의 노력은 거품이 된 것이다.
    • 둘째로 의학전문대학원제도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Table6에서 제시한 부수적 정책이 반드시 있어야 했다. 즉, 모법인 고등교육법의 법적 구속력을 완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부수적인 정책이추진되었어야 했다. 그리고 이에는 국방부, 복지부 등의 관련 부처협력이 반드시 필요한 것이었다. 그러함에도 정책추진과 실행의 기본책임을 맡고 있는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의 교육인적자원부는오직 예산을 이용한 재정 지원(BK21)과 법적 제도만으로 대학에강요하고 부처 간의 협력은 적극적으로 추진하지 않았다. 더 나아가서 교육부 자체만으로 추진이 가능한 갖가지 부수적인 정책조차도 미온적인 태도로 일관했었다. 즉, 제도 자체에 필수 불가결한 부수적인 필수정책을 추진하지 않았다는 점이 두 번째의 오류이다.
    • 셋째로 각 의과대학이 의학전문대학원으로 전환하려면 시설·설비 외에도 교수들에게 필요한 학사 및 교육 업무에 관한 능력개발을 준비할 시간적 여유를 주지 않았다는 점이다. 예로서 학부체제하에서 의과대학 교수들에게는 입시 관련 업무 기회를 가질 필요가 없었으나 의학전문대학원 체제에서는 입시 업무를 직접 수행해야 하므로 전문성을 높일 필요가 있었다. 어느 나라이건 의과대학은 학생보다 교수가 많아서, 자연히 입시부정에 관한 의심이 높아지게 되어 있다. 또한 교수들에게는 학부체제로 경험한 학생들과는다른 점이 많은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형식의 수업방식과학생지도가 필요하였다. 따라서 특별한 교수개발이 필요하였다. 이는 정부의 재정지원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므로 얼마간의 기간이 필요하였다. 법학전문대학원 추진과 비교된다.



결국 이명박 정부가 출범(2008.2.25)하면서 직전의 참여정부에서 의학전문대학원 전환을 갖가지로 적극 유도한지 2년 만에 교육과학기술부는 2010년 10월에 의학전문대학원 전환 대학이 희망하면 학부체제로 되돌아가도록 하였다. 이는 고등교육법의 전문대학원 정의에서 언급된 전문직과 오랫동안 논의된 ‘전문직은 전문대학원에서 양성한다’는 전문직 양성 기본정책에서 의사는 제외한다는 의미이다. 전통적이고 대표적인 몇 개의 전문직 중에서 의사는대학교육의 교육과정과 고등교육법 시각으로는 전문직이 이제는아니라는 의미이다. 의사는 오직 보건의료 실무당국의 법으로만 전문직이라는 의미가 된다.


학사 후 의학교육 이수 희망자


학사 후 의학교육 희망자는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즉, 두가지 유형 모두 대학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한 후에 의학교육기본과정(basic medical education)을 이수하지만, 자신이 재학하고 있는기관이 학부체제인지 전문대학원체제인지에 따라서 의학사와 의무석사로 구분된다. 여기서는 두 가지 유형 중 의학전문대학원에서의 의학교육 이수 희망자에 대해서 다룬다. 의학전문대학원에서의의학교육 이수 희망자의 규모는 의학교육입문검사(Medical EducationEligibility Test)를 통해 잘 알 수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금년 8월에 제9회 의학교육입문검사가 예정되어 있으나, 앞으로 이 검사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알기 어렵다. 현재 22개 의학전문대학원 모두는 2017년부터는 ‘고졸 후 의학교육’의 학부체제로의 복귀 예정이고, 5개교(정원 199명; 전체 대학의 12%, 전체 의학교육기본과정 입학정원의 6.5%)만 남아서 소수 그룹의 위치가 예정되어있기 때문이다. 즉, 의학전문대학원제도의 전망은 밝지 않다. 학생수에서 대학원 교육 개념의 ‘학사 후 의학교육’은 학부 교육 개념의‘고졸 후 의학교육’에 비해 소수가 되기 때문이다. 다만 학부교육으로 학사편입학이 입학정원 내에서 부활될 예정이다. 이런 큰 변화시점에서 지난 8년간의「학사 후 의학교육 희망자」들의 동향(경쟁률, 성비, 연령, 학부졸업, 전공 등)을 파악하여 의학전문대학원제도의 도입 취지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비교하는 것은 정책수립에시사점을 줄 수 있다. 하나의 교육제도 검증에는 최소 20년은 필요하다지만 지금은 큰 변화 시점이기 때문이다.


지난 반세기 동안 의료계 내에서 학사 출신 의사의 수는 많지 않았다. 1960년 전후에 의학교육기본과정에 학사편입학이 한때 허용되다가 그 후 30여 년간 중단되었기 때문이다. 문민정부 시절의 교육개혁위원회는 고등교육 개혁정책으로 학사편입과 복수전공을대통령에게 건의한다. 그래서 1996학년도부터 의학교육기본과정에도 학사편입학이 다시 허용되고, 복수전공제도가 도입된다. 그계기는 1994년에 모 의대가 의예과 입학정원을 일부 줄이고 2년 후에 줄인 수만큼을 학사편입으로 의학교육기본과정을 운영하려는과정에서 발생한 행정오류가 계기가 되었다. 정부는 행정오류 해법으로 거의 30년간 없었던 학사편입학 및 복수전공제도를 의학교육에도 적용하게 된 것이다. 이때부터 일부 대학은 학사편입학을 ‘보류된 의학교육기본과정 정원 내’에서 운영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대학들은 학사편입학과 복수전공을 당시 법규 허용 기준 안에서‘정원외’로 의학교육기본과정에 진입시켰다. 학사편입학과 복수전공이 허용되면서 수년 후에는 의사면허 취득자가 의과대학의 입학정원보다 최소 15%에서 최대 24%까지 증가하게 되었다. 2000년 이후 학사 출신 의학사 의사는 최소한 전체 의사면허 취득자의 15%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의학전문대학원제도가 도입되면서2005학년도부터는 의과대학에서의 ‘정원외 입학’은 원칙적으로 금지되었다.


학사편입학과 복수전공에 의한 ‘학사 출신 의학사 의사’의 후속세대로 ‘의학전문대학원 출신의 의무석사 의사’가 2009학년도부터배출되어서 현재 4년째 배출되고 있다. 2005학년도부터 시작된 의학전문대학원은 지원자격을 학사학위 취득자 및 학사학위 취득예정자, 의학교육입문검사 성적을 기본요건으로 설정하였다. 2004년8월 29일에 시작된 의학교육입문검사는 2012학년도 현재까지 8회가 진행되었다. 159명으로 시작한 제1회 의학전문대학원 입학생부터 2012학년도까지 8년간 학사 후 의학교육으로 의학교육기본과정에 입학한 학생은 총 8,978명이며 전체 의학교육기본과정 입학정원(3,056명/년×8)의 37%이다. 즉, 2009년부터 2016년까지 8년 사이에 이미 배출되었거나 배출 예정에 있는 의학전문대학원 출신의 의무석사가 37%라는 뜻이다. 의학전문대학원제도 도입 후에 의과대학 학사편입학은 원칙적으로 금지되었으나, 통제가 늦었고 각 대학의 의학전문대학원 전환 시기도 각각 달라서 최근 8년간에 학부체제 의과대학에 학사편입으로 의학교육기본과정에 입문한 학생도상당수다. 따라서 최근 8년간 학사출신으로 의학교육기본과정에입문한 학생은 단순 계산으로도 전체 입학정원의 약 40% 이상으로 추정된다.


일반대학의 학사학위를 취득하고 2000년 이후 의학교육 기관에서 수학한 후 학생들은 그들이 ‘의학사’ 또는 ‘의무석사’학위를 취득하였건 아직은 병역과 수련과정에 있다. 이들은 아직은 의료계의새내기이지만 수년 내에 곧 독립적인 활동에 들어갈 것이다. 따라서 향후 얼마 동안은 일반대학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한 의사들이전체 의료계에서 숫자적으로 차지하는 규모는 상당할 것이다. 현재의학전문대학원제도는 정책오류로 인정되어 학부교육 체제로 되돌아갈 예정이다. 이런 시점에서 정책오류의 원인 점검과 미래의 의학교육 정책의 참고를 위하여 최대한 자료 축적이 필요하다. 일반학부 학사경력 출신의 의학교육 희망자분석에는 ‘학사 출신 의학사의사’와 ‘의학전문대학원 출신의 의무석사 의사’의 자료 등 두 가지가 필요하다. 그러나 각 대학의 자료가 없어서 ‘일반학부 경력의 의학사 의사’에 관한 검토는 뒤로 미룬다. ‘의학전문대학원 출신의 의무석사 의사’의 자료도 각 대학의 자료가 없어서 지난 8년간 자료를계속 공개하고 있는 의치의학교육입문검사협의회의 자료만을 기준으로 ‘학사 출신 의학교육 희망자’를 분석할 수밖에 없다. 물론이 자료에 포함된 의학교육 희망자는 2009년 2월부터 현재까지의졸업자와 현재부터 2016년 2월까지의 졸업예정자를 포함한다. 의치의학교육입문검사협의회가 매년 발표하는 공개 자료는 약간씩형식을 달리 하지만, 이를 몇 가지로 정리하면 Tables 9-12와 같다.


1. 의학교육입문검사 경쟁률


의학교육입문검사는 응시 경력이 입학심사에 필수요건이고 성적의 반영 여부와 반영률은 대학자율로 맡겨져 있다. 따라서 경쟁률 자체는 입학 희망자에게 중요하지 않으나, 매년 4:1 전후의 양상을 보인다. 매년 초기 접수자 중에서 5-7%는 접수를 철회한다. 응시자 기준의 최종 경쟁률은 모집정원이 1천명이 넘는 최근 4년간의평균은 4.09:1이었다.


2. 성별 비율


의학교육 희망자는 여성이 많아서 한때는 전체 응시자의 58%에근접하였으2008년부터 최근 5년간은 매년 꾸준히 줄어서 2012학년도에는 50% 미만이었다. 특히 모집정원이 1천명이 넘으면서 여성이 꾸준히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치의학교육 희망자는 반대의 경향을 보인다는 점이다. 치의학교육 희망자는 지난 8년간 항상 남성이 과반 이상이었으면서도 매년 꾸준히 계속 늘어서 2012학년도에는 60%에 달하였다. 의학교육에 여성의 증가는 세계적인 현상이다. 그런데도 우리나라만 의학전문대학원 때문에 여성이 늘었고 따라서 군의관과 공중보건의의 부족을 우려해야 하는지 검증이 필요하다.


3. 응시자의 연령


의치의학교육입문검사협의회의 연령분포 표기방법은 접수 군과응시 군별로 매년 일정하지 않다. 그러나 몇 가지 일정한 경향을 보인다. 

      • 첫째, 매년 접수 및 응시자의 평균 연령이 빠르게 낮아지고 있다. 특히 30세 이상 응시자는 빠르게 줄어들고 있으며, 35세 이상은무시할 정도의 소수가 되었다. 
      • 둘째, 의학교육 희망자 연령은 제도도입 당시부터 22세 이하의 지원자들이 관심의 대상이었다. 2010년에 처음 공개된 의학교육입문검사 응시자 연령분포 자료는 2012학년도 의학교육입문검사 응시자 중 22세 이하는 14.44% 정도이다.왜냐하면 Table 9에서 2004-2011년간에 의치의학교육입문검사 전체 응시자 중 22세 이하가 2.0%에서 11.94%까지 일관되게 증가하고, Table 10에서도 2004-2012학년도 사이의 의학교육입문검사 접수자도 계속 증가하는 같은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Table 9와 10이같은 양상을 보일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자료에 기초해 보면, 의학교육입문검사 접수자 중 20-24세 미만 지원자는 2011학년도는 38.92%이고 2012학년도는 42.71%이므로 22세 이하 지원자는2011학년도 13.16%는 2012학년도에는 14.44%로 산출된다. 동일한비례 방법으로 2011학년도 22세 이하는 13.16% (20-24세 미만 지원자는 38.92%)이고 의치의학교육입문검사 전체로 22세 이하 지원자는 11.94%이므로 치의학교육입문검사의 22세 이하 지원자는5.72%로 산출된다. 즉, 22세 이하의 연령 군은 의학교육입문검사응시자가 치의학교육입문검사 응시자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추정된다. 이는 Tables 9와 10에서도 알 수 있듯이 지난 8년간 치의학교육입문검사는 의학교육입문검사 지원자보다 연령이 항상 높았다. 
      • 셋째, Table 10의 의학교육입문검사 접수자 현황에서 나타나듯이 적정 연령 군으로 인정되는 20-24세 사이의 지원자는 22% 선에서 매년 꾸준히 늘어서 43%에 달하고 있으며, 병역의무 이행과타 학문 분야의 대학원 경력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25-29세는58% 선에서 꾸준히 줄어서 45% 선에 이르고 있다. 특히 2011학년도는 전년도보다 15% 이상 줄었다. 
      • 넷째, 20대 연령의 응시자는 모집정원이 840명으로 늘어난 제4회 때는 77.19%이었으나 제8회인2012학년도에는 87.6%로 매년 일관되게 늘고 있었다. 특히 2011학년 단 1회만 발표된 의학교육입문검사 통계에 의하면 25세 이하 응시자가 전체 응시자의 53.54%로 과반을 넘고 있었다. 따라서 응시자의 평균 연령이 빠르게 낮아지고, 의학교육 희망자의 연령은 치의학교육 희망자보다 일관되게 낮아서, 상대적으로 어린 학생이 의학교육을 원하며, 각종 지표의 매년 변화 모양이 일정하고 안정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4. 학부졸업


의치의학교육입문검사 전체 응시자로 보면 졸업예정자는 32%선에서 매년 꾸준히 늘어서 42% 정도가 되었다. 희망전공별로 보면의학교육 희망자 졸업예정자가 35%에서 45%로 꾸준히 늘고 졸업자는 10% 정도 줄고 있다. 그러나 치의학교육희망 졸업예정자는30% 초반에 졸업자는 70% 전후에 거의 고정되어 나타난다. 연령분석에서 나타난 모양과 거의 같다. 이는 여러 가지 의미로 해석이 가능한데, 의학교육 희망자는 학부교육 중에 의학에 대한 흥미가 유발되어서 의학교육을 일찍 희망하게 되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졸업후 4-5년의 수련전공의과정에 대한 부담 때문이라고도 추정할 수있다. 그러나 학부교육 때의 전공학문과 함께 비교하면 전자의 관점이 더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의학교육 희망자의 연령과 학부졸업에서 나타난 결과는 1999년 2월 새교육공동체위원회의 연구위원 5명이 자신이 소속된 대학의 최근 4년간 졸업생을조사한 결과와 동일하다. 당시에 조사에서도 49.8%의 학생이 적령학번을 초과하여 졸업을 하고 있었다. 의과대학에는 재수생과 유급이 많아서 그렇다고 추정되었다. 그러나 이번 조사에서 나타난결과는 당시의 결과에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당시의 조사가 타당성을 가졌다고 보인다.


5. 학부전공학문


Table 12에서 보듯이 의학교육 희망자는 지난 8년 동안 

      • 생물학계열 전공자가 1위로 전체 응시자의 30% 후반에서 40% 전반으로꾸준한 증가 추세이고, 
      • 공과대학과 자연과학대학은 2위이지만 20%후반에서 초반으로 꾸준한 감소 추세를 보인다. 
      • 인문사회 계열 전공은 3위로 10% 전후에서 계속 감소 추세이고, 
      • 화학전공은 4위로8% 선, 
      • 물리수학통계 계열은 3% 전후로 5위이다. 

이상과 같이 지원자의 학부전공이 일정한 틀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 특이할 만하다.그러나 치의학교육 희망자는 다른 형태를 보인다. 

      • 1위는 항상 공과대학 및 자연과학대학 출신으로 전체 응시자의 40% 선에서 꾸준히 줄고 있고, 
      • 2위인 생물학전공자는 26-28% 선에 있다. 전공별 희망자 군 내에서 단순히 비율로만 본다면 치의학 희망자 군에서 화학과 물리· 수학· 통계 등의 전공자가 의학교육 희망자보다 많고, 인문사회 계열 전공자도 비율로는 의학교육 희망자보다 많았다. 

결국의학교육 희망자와 치의학교육 희망자의 학부전공은 서로 다른 양상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 여기서 과연 지난 8년간의 의치의학전문대학원제도가 우리나라 자연과학의 황폐화를 불러 왔는지 의문이든다. 지난 8년간의 학사 후 의학교육 희망자를 의학교육입문검사접수 및 응시자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의학전문대학원제도에 대한 우려와 반대 주장의 근거로 제시된 항목들의 상당수는 현재까지는 맞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시간이 지날수록맞지 않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결 론


전문직은 교육과정·법률·행정의 지원을 받고 태어나서 그들이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사회의 신뢰를 확보하여 전문직 지위를유지한다. 전문직·기술직을 국가·사회가 인정하는 과정에서 일차적인 기본 잣대는 교육과정이다. 교육과정이 전문직에게 사회적 신뢰를 일차적으로 주며, 법률과 행정이 이차적으로 지원한다. 이 사회적 신뢰의 안정과 강화를 위하여 삼차적으로 전문직은 프로페셔널리즘의 실천을 스스로들 강조한다. 법률과 행정만으로 보장된 전문직의 면허와 자격에 대한 신뢰는 허약하다는 것을 잘 알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제도적으로는 교육과정이 법률과 행정보다 앞선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교육과정과 법률·행정으로 보았을 때에 법조인을 비롯한 수십 종의 전문직은 분명하고도 완전한 전문직이다.곧 초·중등 교사도 전문직으로서 전문대학원에서 양성된다고 한다. 그런데 대표적인 전통 전문직인 의사를 양성하는 교육은 전문대학원에서 학부교육체제로 되돌아간다. 그리되면 현재의 고등교육법과 교육과정 체계로 보면 의사는 전문직이 아닌 것이 된다. 직 면허·자격으로만 보장받는 전문직은 사회문화적 위상이 허약해질 수밖에 없다. 여기서 고려 때는 과거(科擧)이었다가 조선에서는의과취재로 의원을 선발하고 양성하면서 도입된 당시 의사의 신분계급, 한품(限品)으로만 지정된 당시 의사의 관직, 식민지 우민화교육정책으로 차별 탄생된 식민지 시절의 의사, 옛 공산국가의 의사의 사회적 지위를 돌이켜 보게 된다.


고등교육 학계는 의학교육 학제개선 이유를 

    • 첫째로 사회발전과국제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변화라고 말한다. 
    • 둘째로 전문직 서비스 자체와 관련 학문의 발전을 위하여 필요하다. 
    • 셋째로 의학교육자체의 발전을 들고 있다. 

고등교육 학계의 건의로 제도가 추진되는 과정에서 정부는 분명한 정책오류를 하였다. 그러나 의료·의학교육계에도 잘못은 있다. 전문직은 그들의 분야에서 항상 사회보다앞서야 하고 사회를 설득해야 하는 책임이 있기 때문이다. 지금은상식인 의학교육 인증평가도 지속적인 사회 설득으로 제도화된 것이다. 의료·의학교육계는 의학전문대학원에 대한 전문직으로서의의견을 개진할 기회가 최소 두 번은 있었다. 교육개혁위원회와 교육부가 ‘의사 ·성직자 ·법조인 같은 전문직 양성교육은 다양한 전공을 이수한 4년제 대학 학부 졸업생을 대상으로 전문대학원 체제로전환한다’라는 정책을 발표한 때와 ‘전문대학원은 전문직업 분야의 인력양성에 필요한 실천적 이론의 적용과 연구개발을 주된 교육목적으로 하는 대학원’ 이라는 고등교육법 입법예고 때이었다. 물론 당시에 의료·의학계는 의견개진을 하였으나 교육개혁위원회와정부와 사회를 설득하지 못하였다. 의사전문직 의견이 전문가적 시각이라고 하더라도 국가의 정책이 되려면 고등교육학적 이론, 국가·사회가 지향하는 방향, 교육·보건·과학기술·국방 당국과의 조율에 부족함이 없어야 했었다.


우리는 고등교육이 보통교육이 된 지식기반사회에 살고 있고, 의학은 대표적인 융· 복합학문이다. 그래서 교육과정은 더욱 융· 복합적이 되어야 한다. 고등교육 학계는 고등교육 보편화 시대에 국가의큰 자산인 어린 연령의 우수두뇌를 식민지 시절부터 유래된 ‘보장-폐쇄-단선과정(decided status track · closed single track)’으로는융· 복합적 지식과 기술로 무장된 의사전문직으로 양성하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1998년부터 고등교육법을 근거로 수십 개의 전문직인력양성을 위한 전문대학원이 생겼는데도 가장 대표적인 의학·법학전문대학원제도는 맨 나중에 시도된다. 그런데 교육당국이 의학은 고등교육법에만 근거하여 2002년에 결정하고 2005년에 제도가출발하게 하지만, 법학은 대학·법무부·대법원·국회와 고등교육법외에 별도의 법을 만들어 2007년 7월에 결정하고 2009년에 제도가출발하게 한다. 여기서 의료·의학계의 융· 복합적 시각과 조율 능력이 아쉽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능력을 지난 8년간에 의학교육기본과정을 희망한 학사들에게 기대해 본다. 그래서 의학교육 희망자에 대한 취득 가능한 최소한의 자료로 전문대학원제도에 대한그간의 배경을 알아보고, 반대 논리를 가능한 객관적 자료로 검증하고자 먼 길을 돌아왔다. 의학교육 희망자에 대한 자료는 아직 누적기간이 짧아서 확실하지는 않지만 의학전문대학원제도는 처음부터 추구한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비록 많은 대학들이 의학전문대학원체제를 의과대학 체제로 변경할 예정이지만, 의학전문대학원제도는 일부 대학에서나마 여전히 우리나라 의사인력양성시스템으로 기여할 것이다. 그러므로 정부, 의료 및 의학교육계가 의학전문대학원제도의 운영과 중장기 발전에 대한 책임은 여전히 현재형으로 존재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rovement and discourse of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in Korea since 1990.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ing on the graduate medical education system initiated in

2002, has explored the discussions that led to the system’s establishment and what the context of those discussions.

To meet this objective,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report related to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authored

by members of the government and medical community, suggestions to the government, discussion

materials, and data with regard to the Medical (Dental) Education Eligibility Test. The improvement of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in Korea has been an important issue in education reform by the expansion of the number

of years of higher education, the requirements for increased levels of professional knowledge by improving

public educational standards, and the basic formation policy of higher education consisting of graduate school,

special graduate school, and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Nevertheless, the views of the government and the

medical community on improving medical education system have made an obvious difference. This was due to

different aims about how to improve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and different perception of the degree and

medical education system. The medical community at least tended to prefer the status of academic positions

over professional positions. The policy of medical education for people with a bachelor’s degree which was introduced

in 2002 spread to many colleges of medicine based on the government’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policy. Even so, the absence of accompanying policy by the relevant government agencies and department

of education, which could have ensured the success of the system, has led to continued debate. In conclusion,

without a consistent and persistent government policy, the graduate medical education system has led to

confusion in many medical institutions. Above all, an evidence-based policy decision and policy approach based

on a long-term perspective are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Keywords: Medical school, Policy, Staff development

의학교육 전문부서 교원의 탈진현상

Burnout among Medical Education Specialists in Korean Medical Colleges

박귀화1ㆍ이영미2

1가천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교육실, 2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인문학교실

Kwihwa Park1ㆍYoung-Mee Lee2

1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Incheon; 2Department of Medical Humanities and Education,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서 론


과거와 달리 의학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기대가 높아지고교수 중심에서 학생 중심으로, 결과보다 과정과 절차 중심으로, 목표보다는 성과 중심으로 교육의 개념이 변화함에 따라 의과대학의사회적 책무가 강화되고 있다. 즉 의과대학은 이러한 변화에 민감해야 하고 구성원이 변화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교육여건과 환경을 제공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는 교육자들이 의학교육의질적 향상을 위해 필요한 최소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어떠한노력을 해야 하고 좋은 의사를 양성하기 위해 무엇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교육과정을 어떻게 바꾸어야 할지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졌다(Towle, 1998). 대학교수에게 교육은 가장 우선이 되는 임무이기는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환자 진료와 연구에 대부분의 시간을 할애해야만 하는 의과대학 교수에게 자발적으로 변화에 부응하도록 요구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Khalid, 2013). 이러한 고민을 효과적으로해결하기 위해 교육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가지고 의과대학 구성원의 교육적 요구를 파악하고 조언하고 조율하는 조직이 필요하게되었다. 이에 국내외를 막론하고 많은 의과대학에서 의학교육연구,교육과정 개발 및 평가, 교수개발과 같은 의학교육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조언과 지원을 제공하는 의학교육 전문부서가 출현하게되었다(Davis et al., 2005).


국내에서도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발맞추어 대부분의 의과대학에서 의학교육실 또는 의학교육학교실 등의 의학교육 전문부서가설치되었으며 최근 10년 동안 빠른 증가를 보였다. 2003년 조사에서41개 의과대학 중 78% (32개)의 대학이 의학교육 전문부서를 개설하고 있었고 전임교원은 8명이였으나(Kang et al., 2006), 2013년에는 33개 대학에 43명의 의학교육 전문가 혹은 전담인원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Medical Education Research, Consulting andImplementation, 2013). 의학교육 전문부서는 교수와 학생, 대학보직자, 학과와 학과 간의 관계에서 가교역할을 하며, 의과대학에서중요한 부서로 인식되고 있다(Khalid, 2013). 그러나 의학교육 전문부서의 구성원들은 전반적인 의학교육과정 개발 및 평가와 더불어교수, 전임의, 전공의, 학생에 이르는 다양한 대상에 대한 교육과상담의 역할, 의학교육 자체의 연구 및 학문적 전문성을 확립하는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과도한 업무에 시달리기도한다(Kang et al, 2006). 또한 교육이라는 것이 실행단계에서 반드시수반되는 행/재정적 지원이 수반되는 속성으로 인하여 대학의 행정지원 부서와 혼동되기도 하여 불필요한 디스트레스 상황에 놓이는경우도 많다.


일반적으로 과중한 직무는 디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이러한 과정이 지속되면 탈진현상(burnout)을 경험하게 된다. 탈진은 지속적으로 과도한 직무스트레스가 개인에게 심리적 중압감으로 발전하여한계상황에 이르렀지만 적절한 대처를 하지 못한 경우 자기 자신을보호하기 위해 업무대상이나 상황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냉소적인반응을 보이거나 포기하는 등의 현상이다(Cherniss, 1980). 탈진은개인의 건강과 정신적 안녕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직업 및 삶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초래한다(Gabbe et al., 2002).특히 의료나 교육과 같이 불특정 다수를 직접적으로 대하는 전문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탈진을 많이 경험한다(Gundersen, 2001,Lackritz, 2004; Shanafelt et al., 2009; Thorndyke et al., 2006).


의과대학은 탈진에 특히 취학한 환경으로 이에 대한 다수의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다른 어떤 전공분야보다 강도 높은 학업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의과대학생들은 약 50%가 탈진을 경험한다고한다(Dyrbye et al., 2010). 진료뿐 아니라 다양한 관련 업무와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의과대학 소속의사 또는 교수, 전공의 역시 근무중 자주 탈진을 경험하게 된다(Shanafelt et al., 2002; Thomas,2004). 또한 최근에는 의과대학 학장 또는 과의 주임교수 등과 같이리더의 탈진에 대해서도 연구가 이뤄졌다(Cruz et al., 2007; Gabbeet al., 2008; Saleh et al., 2007). 탈진에 취약한 잠재적 위험을가지고 있으며 실제로 높은 정신적 탈진현상을 보이는 현실에 비하여 의과대학 구성원들 스스로 혹은 구조적으로 이를 해결하려는노력은 미비한 것으로 보인다. Gross et al. (2000)에 의하면, 의과대학 교수의 1/3은 자신의 정신 건강유지를 위하여 외부의 도움을찾지 않았다.


교육과 의료의 두 가지 전문분야에 걸쳐 있는 의학교육 전문부서구성원은 업무스트레스와 탈진에 더 취약한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그러나 의학교육 전문가들이 전문성을 발휘하고 대학의 발전을 위해헌신하기 위해서는 이들이 정신적, 신체적으로 건강하고 긍정적인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의학교육 전문가들은 교수와 학생등 다른 구성원들의 정신 건강을 지원하기 위해 의학교육환경을개선하는 데에는 관심을 가지고 있으나, 스스로의 정신과 정서적안녕을 유지하는 데 있어서는 취약한 존재일 수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들이 경험하는 탈진의 정도와 원인에 대한 현황 파악조차되어 있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의학교육 전문부서 교원을대상으로 의학교육 업무상황에서 이들이 느끼는 탈진의 정도를 파악하고 향후 이들의 정신건강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조사도구 개발에 필요한 문항 추출을 위한 예비조사로 개별 심층인터뷰를 시행하였다. 대상자는 전임 및 비전임교수, 의학교육 전담및 겸무교수, 의학 및 교육학 전공자, 남녀의 인구통계학적 요소들을고려하여 편의 추출하였으며 총 4명(남자 2명, 여자 2명)이었다.설문조사의 대상자는 전국 41개 의과대학의 의학교육 전문부서에서 종사하는 의학교육 전문부서의 교원(의학교육 전임교수, 연구강사 포함)이었고 겸무교원은 제외하였다. 43명 중 25명이 회신(회수율 약 60%)하였고, 응답자 분포는 의학 전공자가 17명(68%),교육학 전공자가 8명(32%), 성별로는 남자가 12명(48%), 여자가13명(52%)이었다. 연령대는 30대가 4명(17%), 40대가 13명(54%),50대가 7명(29%)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46.13세(표준편차 6.73)였다. 의학교육 전공 경력은 평균 7년 4개월이었다.


2. 연구도구


예비 개별 심층인터뷰에서 의학교육 전문부서 교원 4명을 대상으로 1) 의학교육 전공을 선택한 동기, 2) 업무의 보람과 힘든 점,3) 탈진경험 등을 포함한 반구조화 질문지를 이용하여 전화인터뷰를실시하였다. 인터뷰결과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개발하였다. 최종 설문도구는 6개 영역의 총 28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각 영역은 1) 의학교육 전공의 선택동기(1문항), 2) 의학교육전공의 즐거움(2문항)과 보람의 정도(2문항), 3) 의학교육 전공이나근무를 포기와 관련한 문항(3항), 4) 의학교육 상황별 탈진 정도(12문항), 5) 탈진 개선방안(8문항)을 포함하고 있다. 연구대상의 소속지역, 성별, 전공, 경력 등에 관한 인구통계학적인 요인이 추가로포함되었다. 문항 중 척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5점 리커트 척도(5점: 매우 그렇다-1점: 전혀 그렇지 않다)를 사용하였다.


3. 자료수집 및 분석


2013년 8월과 9월에 전화인터뷰와 이메일을 이용한 설문조사를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전화인터뷰 대상자들에게 연구목적에 대해설명하고 인터뷰 녹취에 대한 동의를 구한 후 의학교육 전공을 하면서 경험하는 탈진에 대해 자유롭게 응답하도록 하였다. 인터뷰 결과를 두 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분석하여 개별 문항을 개발하고상호 비교를 통하여 이견을 조율하고 영역별로 범주화하여 ‘의학교육전문가의 탈진에 대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이를 한국의학교육학회 산하 의학교육지원단인 메르씨(Medical Education Research,Consulting and Implementation, MERCI)의 협조를 구하여 이메일을 통해 설문지를 발송한 후 회수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각 질문에 대해 응답 분포를 살펴보기 위해 빈도,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소속지역, 대학유형, 성별, 연령, 전공, 경력에 따른각 문항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analysis of variance)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IBM SPSSver. 21.0 (IBM Co., Armonk, NY, USA)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분석결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유의수준 5% 미만으로 정하였다.


결 과


1. 의학교육을 전공(또는 업무를) 하게 된 계기


의학교육 전문부서 교원이 의학교육을 전공 또는 업무를 시작하게 된 계기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응답자 24명 중주위의 권유로 시작한 경우가 50% (12명)였으며, 자신의 흥미와관심에 의한 자발적인 선택인 경우가 37.5% (9명)였으며, 커리어의공백을 메우기 위해 우연히 시작한 경우가 8.3% (2명)였으며, 교수가 되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4.2% (1명)였다. 주변 사람들의 소개와권유로 인해 시작한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의학교육 전공에 대한 즐거움과 보람


의학교육 전문부서 교원이 의학교육을 전공 또는 업무를 하는것에 어느 정도 즐거움과 보람 및 가치를 느끼는지를 살펴본 결과는다음과 같았다. 의학교육을 전공하는 것에 대체적으로 즐거움을 느끼며(mean±standard deviation [SD], 4.12±0.44), 즐거움보다 평균 점수가 낮긴 하지만 대체적으로 보람과 가치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mean±SD, 3.96±0.68).


의학교육 업무의 어떤 부분에 대해 즐거움과 보람 및 가치를 느끼는지를 살펴보았다(Table 1). 의학교육 업무에서 가장 즐거움을 느끼는 부분은 의학교육의 질적 변화를 가져오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측면(33.3%)과 학생들과 접촉하거나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측면(25.6%)이 전체의 58.9%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보람을 느끼는 부분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는데, 의학교육의질적 개선을 위한 노력이 긍정적인 효과로 나타날 때(43.3%) 가장보람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과 접촉하거나 지원한만큼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날 때(26.7%)와 일반 교수들이 의학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긍정적인 태도로 변화될 때(23.3%)에보람을 느낀다는 비율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즉 자신들의 업무와노력이 의과대학이나 구성원에게 현실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기여할 때 때 가장 보람과 가치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의학교육 전문부서 교원의 탈진


1) 탈진의 경험 정도와 횟수


응답자 23명 중 의학교육 전문부서 교원의 대부분인 약 87%(20명)는 탈진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끔 경험한다’가65.3% (15명)였고 ‘자주 경험한다’가 21.7% (5명)였다. 하지만 ‘전혀 탈진을 경험하지 않는다’는 비율도 13.0% (3명)였다. 이들이탈진을 경험하는 횟수는 1년에 1-2회가 50.0% (10명)로 가장 높은비율을 나타냈으며, 1년에 3-4회가 15.0% (3명)이고, 4-5년 전부터 지속적으로 탈진을 경험하고 있는 교원이 10.0% (2명)였다(Table 2).



2) 탈진을 경험하는 상황


의학교육 전문부서 교원이 가장 탈진을 느끼는 상황은 의학교육을 위해 헌신하고 노력한 결과들에 대해 악의적이고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을 때가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다. 의학교육 전문가로서인정받지 못하거나 그런 처우를 받을 때, 의학교육학교실의 정체성이 없다고 느끼거나 회의감이 들 때, 보직자의 이해와 지원, 관심이없을 때가 다음 순위를 차지하였다(Figure 1).



3) 개인특성에 따른 탈진경험의 차이


소속지역, 대학유형, 경력에 따른 탈진을 경험하는 상황에 유의한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그러나 성별, 연령, 직위, 전공에따른 탈진 정도의 차이는 일부 문항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성별의 경우 보직자의 이해와 지원, 관심이 없을 때(t=-4.33,p<0.01), 비생산적인 업무절차가 반복될 때(t=-2.26, p<0.05), 의학교육 관련 모든 업무는 의학교육학과에서 맡아서 해야 한다는압박을 받을 때(t=-2.25, p<0.05)의 상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남성보다 여성이 더 많은 탈진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령의 경우 비생산적인 업무절차가 반복될 때(F=5.56, p<0.05)의상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40대가 가장 높은 비율로 탈진을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위의 경우 비생산적인 업무절차가 반복될 때(t=2.06, p<0.05), 의학교육에 전념하면서 나의 건강상의문제가 생겼을 때(t=2.55, p<0.05), 의학교육학교실의 정체성이 없다고 느끼거나 회의감이 들 때(t=2.06, p<0.05)의 상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비 전임교원이 전임교수에 비하여 더 많은탈진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생산적인 업무절차가 반복될때(t=-2.46, p<0.05)의 상황에서 의학전공자보다는 교육학 등 비의학전공자가 유의하게 탈진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의학교육 전공이나 근무 포기


의학교육 전문부서 교원이 의학교육을 그만두고 다른 전공(업무)을 하고 싶다고 생각한 정도는 ‘가끔 있었다’가 45.8% (11명)로절반에 가까웠으며, 병행하고 싶다고 응답한 경우는 37.5% (9명)였으나 자주 있다는 응답은 없었다. 그만두고 싶다는 생각이 든 적이전혀 없었다고 응답한 경우도 16.7% (4명)였다. 그만두고 싶다고가장 심각하게 고민한 시기는 의학교육 일을 시작하고 평균 5년전후였으며, 대부분 3-5년 사이가 많았다.


또한 의학교육을 그만두고 싶다고 생각하게 하는 상황으로는 응답자 23명 중 의학교육 전문가(전공자)에 대한 안정적이고 적절한신분 보장에 어려움을 느껴질 때가 26.1% (6명)로 가장 높았으며,자신이 의학교육에 기여할 수 있는 일이나 능력(전문성)이 없다고느껴질 때와 내가 의학교육에 기여할 수 있는 일이나 능력(전문성)이없다고 느껴질 때가 각각 21.7% (각 5명)로 다음 순위를 차지하였다.‘주변동료교수나 보직자, 학생들의 비협조와 몰이해로 인해 벽을느낄 때,’ ‘교육 관련 모든 업무를 의학교육자에게 떠 넘기면서 좋지않은 결과가 발생할 경우 의학교육자의 탓으로 돌릴 때,’ ‘나를 지지하거나 보호해주는 사람이 없다고 느낄 때,’ ‘의학교육의 질적 향상이 어렵겠다는 좌절이 올 때’ 등이 자유기술에서 기타 의견으로정리되었다.


5) 탈진 극복방안


의학교육 전문부서 교원이 탈진의 감정을 덜 느끼기 위해 시급히해결되어야 할 과제의 우선 순위를 살펴 본 결과, 학교 내의 의학교육운영체계와 조직력, 제도의 확립이 필요하다는 내용이 가장 높은순위를 차지하였다. 이어 스스로 소진되지 않도록 자기관리가 필요하다는 내용과 의학교육에 대한 일반교수의 인식변화가 필요하다는내용 순으로 나타났다(Figure 2).



고 찰


저자들은 국내 의학교육 전문부서 교원을 대상으로 의학교육을전공하게 된 동기, 의학교육에서 느끼는 즐거움과 보람, 탈진을 경험하는 의학교육 업무상황과 탈진의 빈도, 탈진 극복방안에 대해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의학교육 전문부서 교원이 의학교육 전공을 선택하는 동기는 의학교육에 대한 흥미와 관심에 의한 자발적인 선택이라는 내재적동기보다는 주위의 권위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우연한 기회 또는교수가 되기 위한 목적 등 외재적 동기가 더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외재적 동기에 의해 의학교육 업무를 시작하였지만 의학교육 업무를통해 느끼는 즐거움과 보람은 큰 것으로 나타나 의학교육을 전공하는 것에 대해서는 만족하는 것으로 보인다.


Hewlett & Luce (2006)는 극한의 직업(extreme jobs)이 가진특징으로 주당 60시간 이상 근무, 예측할 수 없는 업무 흐름, 빨리진행되는 일정과 빠듯한 마감일,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의 과도한책임 범위, 정규 근무시간 이외의 일과 관련된 잦은 행사들, 24시간또는 일주일을 고객을 위해 시간을 내어줌(대기함), 이익과 손해에대한 책임, 멘토링과 인재채용에 대한 책임, 잦은 횟수의 출장, 직접보고하는 횟수가 많음, 직장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하루에 적어도10시간 이상이라는 11가지를 제시하면서, 높은 책임감으로 인한스트레스에도 불구하고, 극한의 직업에 종사하는 대다수의 전문직은 자신의 직업을 사랑하고 만족한다고 하였다. 같은 맥락에서 의학교육 전문부서의 업무도 극한의 직업적 특성을 많이 가지고 있지만,구성원들은 전문직으로서의 즐거움과 보람을 느끼는 것으로 해석할수 있다. 또한 의학교육의 위한 노력들이 교육의 질 개선, 의학교육에대한 의과대학 교수의 태도 변화, 학생의 태도나 성취도 변화 등실질적인 효과로 나타날 때 직업적 보람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학교육 업무에 대한 즐거움과 보람에도 불구하고, 학교육전문부서 교원의 약 87%는 탈진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그 빈도는1년에 1-2회가 가장 많았다. 이는 의과대학 교수의 30%에서 60%가디스트레스와 탈진을 경험한다는 결과(Cole et al., 2009)에 비해훨씬 더 높은 비율이다. 의학교육 전문부서 교원은 교육의 계획에서부터 실행과 평가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에서 조율하고 협력과 이해를구해야 할 대상이 많고, 대학 내의 다양한 이해관계 속에서 중립을유지하면서 효율적인 방향으로 교육의 개선과 발전을 위해 업무를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복잡한 역할과 책임으로 의학교육 전문부서교원은 의과대학의 다른 구성원보다 탈진의 경험에 더 많이 노출이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의학교육 전문부서 교원이 탈진을 경험하는 상황은의학교육 전문부서의 정체성에 대한 회의감, 전문가로서의 역량의한계, 개인 건강상의 문제 등 개인 내적 요인과 다른 구성원의 부정적피드백, 처우의 불합리성과 신분의 불안정성, 구성원의 관심과 대학의 지원 부족, 부당한 업무요구와 책임 전가, 비효율적인 업무절차등 외부 환경적 요인으로 나눠졌다. 또한 이러한 탈진의 상황에대해 개인적 특성에 따라 인식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여성인경우, 40대인 경우, 비전임 교원 신분인 경우, 교육학 등 비의학전공자인 경우 탈진에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더 많은후속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결론이 없는 회의가 반복되거나 필요 이상의 과도한 회의 개최 등 업무의 비효율성에서 공통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효율적인 회의 진행이 필요하며, 불필요한 회의를 줄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통한 생산적인 업무진행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여성의 경우 보직자의 이해와 관심이부족하고, 모든 업무를 책임져야 한다는 압박을 받을 때 탈진을더 많이 경험하였는데, 이는 의과대학에서 여자 교수의 경우 탈진을더 경험한다는 다른 연구결과와 일치한다(Shanafelt et al., 2009).또한 전통적으로 남성 지배적인 의과대학 환경에서 여성이 느끼는탈진의 빈도나 정도는 상대적으로 더 높을 수 있다.


탈진은 직무만족도를 떨어뜨리고 심한 경우 직장을 그만두기도한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의과대학 근무 중 탈진된 교수들은 3년이내에 의과대학을 그만두기를 바라거나(Shanafelt et al., 2009),5년 이내에 의과대학을 그만두겠다고 심각하게 고민한 경우가 42%에 이르렀다(Lowenstein et al., 2007). 이 연구에서도 응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비율에서 의학교육 전공(업무)에 대해 그만두고 싶다는생각을 ‘가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학교육을 시작하고 3-5년사이에 그만두기를 심각하게 고민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 시기에이들에 대한 세심한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이처럼 의학교육 전문부서 구성원도 의과대학의 다른 구성원처럼 탈진에 취약하기 때문에이들의 탈진을 감소시키고 의학교육 발전에 매진할 수 있도록 몇가지를 제안해 보면 다음과 같다.


    • 첫째, 의학교육 전문부서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해 인식은 하고있으나(Davis et al., 2005; Khalid, 2013), 의학교육 전문부서의존재와 전문성에 대한 인정과 구성원에 대한 신분보장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의과대학 내과 교수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의하면‘자신이 의미 있다’고 여기는 활동에 자기 시간의 최소 20% 이상을할애할 수 있어야 탈진을 경험할 확률이 낮다고 한다(Shanafelt etal., 2009). 의학교육 전문부서 교원이 의학교육의 행정업무에 치중하거나 불필요하거나 관련 없는 업무에 시간을 할애하도록 요구하기보다는 의학교육연구, 교육과정 개발 및 평가, 교수개발 등 의학교육본연의 업무에 치중할 수 있도록 다른 구성원의 인식변화와 제도적장치의 확립이 필요하다.
    • 둘째, 의학교육 전문가로서의 전문성을 갖추고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의학교육 전문가들도 평생교육(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의학교육 전문부서 간 교류를 활성화할 필요가있다. 의학교육 전문부서의 네트워킹은 전문가 간 정보와 자원들을교환하고 교류하는 데 도움이 된다(Tekian, 1992). 의학교육학회산하의 MERCI와 같은 의학교육 전문가 그룹에 이러한 역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의학교육은 점차적으로 세계화되고 있기 때문에,국내 전문가 그룹을 넘어 국외 학회나 유관기관과의 네트워킹 형성을 위한 개인적 또는 집단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셋째, 의학교육 전문부서 교원의 전문가 활동에 필요한 기술(의사소통기술, 의학연구방법, 자기관리, 스트레스관리 등)을 제공하는구조화된 자기계발 프로그램이 있거나 경험 있는 멘토와 멘토링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면 탈진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넷째, 과도한 업무로 인한 개인 시간이나 휴가의 부족은 탈진의중요한 예언인자 중 하나이다(Shirom et al., 2006). 운동, 취미,여가활동 등 과도한 의학교육 업무에서 벗어나 개인적인 자기관리를함으로써 탈진을 감소시키기 위한 스스로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의과대학에서 학생과 교수 사이의 가교역할을 하며,의학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의학교육 전문가들의 탈진에대해 처음으로 다루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몇 가지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국내 의학교육 전문부서 구성원이 소수인데,연구대상 또한 전수조사를 한 것이 아니어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어렵다는 점이다. 이 연구는 의학교육 전문가의 탈진의 현황을 조사하는 것에 초점을 둔 소규모 예비조사로 설문도구 자체에 대한 심리측정학적 검증은 시행하지 않았다. 또한 의학교육의 특성상 의학교육 전문부서에서 일하는 겸무교수, 의과대학 보직교수, 의학교육관련 위원회 위원 등 다양한 형태로 의학교육 업무에 관여하면서탈진을 경험하는 경우도 많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 연구에서는의학교육 전문부서 교원에 한정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 향후 이들에 대한 추가조사를 통해 비교 분석해 본다면 좀 더 교육적 함의가풍부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Medical education departments or offices are established in response to public expectations relating to

health care, societal trends towards increased accountability, educational developments, increased interest

in what to teach and how to educate doctors. However, heavy workloads and mixed feelings towards

medical education departments or offices by the other members of a medical school can threaten job

satisfaction and increase burnout.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burnout among medical education

specialists and related issues.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medical education specialists were

conducted to develop a questionnaire. After content analysis of the interview, the authors generated a

survey form with 28 items including 6 categories: motivation to choose medical education as a career,

job satisfaction, intention to leave their current position in medical education, the frequency and causes

of burnout, and demographics. In September 2013, an email survey was administered to 43 faculty including

non-tenure staff who were working in the department/office of medical education in 41 medical colleges

in Korea. Of 43 medical education specialists, 25 (60%) returned surveys. Forty three-point-three percent

of them felt encouraged when their endeavors generated a visible educational improvement in the medical

school. A majority (87%) reported feeling burned out. Fifty percent of them experienced the feeling once

or twice a year. The extent of burnout tended to be greater in women, those in their forties, those with

non-medical doctor degrees, and in non-tenured staff. To reduce and prevent burnout among medical

education specialists, the participants suggested that leadership of medical schools and a systematic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A majority of the medical education specialists reported experiencing

burnout, although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jobs. To reduce their burnout and allow them to focus

on their own work in medical education, the following factors are needed: perceptual changes of other

members of the college about medical education; more systematic institutional strategies; networking among

medical education specialists; and personal effort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Keywords: Professional burnout, Medical education

의과대학 교수들의 탈진: 부산ㆍ경남지역 3개 의과대학 교수 탈진 빈도와 양상

Burnout among Medical School Faculty Members: Incidenc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t Three Medical Schools in the Busan and Gyeongnam Area of Korea

서지현1,2ㆍ김부경3ㆍ배화옥4ㆍ임선주5ㆍ김경한6

경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1의학교육학교실, 2소아청소년과학교실, 3고신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4경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5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교육학교실, 6고신대학교 의과대학 마취통증의학교실

Ji-Hyun Seo1,2ㆍBukyung Kim3ㆍHwa-Ok Bae4ㆍSun Ju Im5ㆍKyung Han Kim6

Departments of 1Medical Education and 2Pediatric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Jinju; 3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si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san; 4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Social Sciences, Jinju; 5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6Department of Anesthesiology, Kosi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san, Korea



서 론


탈진을 ‘사람과 관련된 일(people-work)을 하는 개인(전문직업인)에게 나타나는 정서적 소진(emotional exhaustion)과 냉소주의(depersonalization), 성취감 저하(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의 증후군’이라고 정의하였다(Maslach & Jackson, 1981).


탈진은 전문직업적 디스트레스(professional distress)로 

    • 첫째, 정서적 소진은 일 때문에 정서적으로 고갈된 느낌을 갖는 것으로 모든것이 끝났다는 생각이 들며 
    • 둘째, 냉소주의는 탈인격화로 상대 사람을 마치 인격이 없는 대상인 것처럼 냉소적인 태도로 대하게 되는상황이다. 
    • 셋째, 성취감 저하는 일을 해도 보람이 없다고 느끼고왜 하는지 모르겠다고 생각하며 우울증과도 연결되어 자기 자신을부정적으로 평가한다. 

탈진을 측정하는데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Maslach Burnout Inventory (MBI)는 Maslach & Jackson (1981)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사람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야의 직업군을대상으로 탈진을 측정하였다. Maslach Burnout Inventory-HumanServices Survey (MBI-HSS)는 정서적 소진과 냉소주의, 성취감저하 개념에 기초를 두어 3개의 세부척도로 탈진을 측정한다(Maslach et al., 1996). BI-HSS를 이용한 설문조사에서 미국의사들은 전문과목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30–60%에서 탈진을 보였다(Shanafelt et al., 2012). 탈진현상은 신체와 정신건강에 영향을주며, 업무수행과 환자 돌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의료사고나공감부족 등을 초래한다. 또한 의사 자신에게 술로 인한 문제나자살 위험성도 증가시킬 수 있다(Dyrbye et al., 2008; Jennings,2009).


의과대학이나 의학전문대학원에 재직하는 교수들은 진료뿐만 아니라 교육과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 최근 국내 대학교수들은 연구에대한 부담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이 세 가지 일을 병행한다는것은 스트레스로 작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의과대학생과 전공의를 대상으로 우울증과 직무만족도에 대한 조사는 있으나(Chung et al., 2013; Roh et al., 2009), 의과대학 교수를 대상으로MBI-HSS로 탈진을 조사한 보고는 아직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신대학교 의과대학과 경상대학교, 부산대학교의학전문대학원 교수를 대상으로 탈진 정도와 관련 요인을 문헌고찰과 함께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진료, 교육, 연구의 3가지 가운데가장 시간을 많이 투입하는 일과 가장 힘들게 느끼는 일이 무엇인지그리고 탈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장 시간을많이 투입하는 일과 가장 힘들게 하는 일이 교수들의 탈진 정도를높이는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대상과 방법


1. 대상


2013년 9월 현재 부산․경남지역의 고신대학교 의과대학과 경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에 재직하고 있는 교수를 대상으로 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문서와 e-mail로배부하였다. 설문지는 본인이 직접 기입하도록 한 후 e-mail과 문서로 회수하였고, 전체 회수된 것은 186명이었고 회수율은 49%였다.


2. 방법


본 연구에서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설문지는 일반적인 특성 5문항과 직무특성 4문항, 건강과 보건특성 5문항, 탈진(MBI-HSS) 21문항, 대처전략(cognitive coping strategyinventory) 15문항, 의과대학 교수가 교육, 연구, 진료업무 중 가장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과 가장 힘들다고 생각하는 것을 조사하는문항, 자살과 사직에 대한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문지문항 중 탈진문항은 1981년 Maslach와 Jackson이 개발한MBI-HSS 22문항을 기본으로 하여 의과대학 교수 3명과 1명의사회복지학과 교수가 번역한 후 3번의 검토회의를 거쳐서 21문항으로 작성한 것이다. 탈진 평가는 세부항목으로 정서적 소진, 냉소주의,성취감 결여로 구성되어 각 세부항목은 7문항씩으로 각 문항은 0–4의 5점 리커트(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또한 탈진이 발생하였을때 대처전략과 사직에 관한 문항도 0–4의 5점 척도로 조사하였다.대처전략은 cognitive coping strategy inventory 70문항(Butler,1989) 가운데 수동적 회피 15개 항목만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정서적 소진은 21점 이상, 20–15점, 14점 이하로, 냉소주의는 14점이상, 13–8점, 7점 이하, 성취감은 14점 이하, 15–20점, 21점 이상(역산)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탈진 정도가 심한 것으로 각각 높은, 중등도, 낮은 탈진으로 분류하였으며, 높은 탈진(high burnout)만을 탈진으로 간주하였다.


3. 자료분석


Cronbach’s α를 이용하여 척도의 내적 신뢰도를 측정한 결과정서적 소진은 0.89, 냉소주의 0.77, 성취감 0.87, 대처전략 0.81이었다. 일반적인 특성과 직업특성, 건강과 보건특성, 가장 많은 시간을보내는 일과 가장 힘들게 하는 일을 기술통계로 처리하였다. 정서적소진, 냉소주의, 성취감 결여에 따른 탈진 정도와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과 보건특성은 chi-square 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시행하였고, p<0.05로 의미 있는 경우에 사후 검정(Scheffe’s method)을시행하였다. 탈진 정도와 대처전략과의 관계는 상관관계분석(Pearson correlation)을 시행하였다. 탈진과 자살, 사직 의도 관계도기술통계로 처리하였다.


결 과


1.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대상자는 총 186명으로 여자가 28.0% (52명), 남자가 71.9%(134명)였으며, 나이는 40–49세가 44.6%로 가장 많았고, 39세 이하28.5%, 50–59세 22.0%, 60세 이상 4.8%였다. 결혼한 상태가93.0%, 미혼이 5.9%, 기타 1.1%였다. 기초의학교수가 16.7% (31명), 임상의학교수 81.2% (151명)이었다. 직위로는 교수가 37.1%로가장 많았고, 조교수 35.5%, 부교수 24.7%, 임상강사 2.7% 순이었다. 근무연수는 4–9년이 32.3%로 가장 많았고, 16년 이상이 29.6%,10–15년 21.0%였으며, 3년 이내가 16.7%로 가장 적었다. 주당 근무시간은 48–60시간이 57.5%로 가장 많았고, 61시간 이상 일하는교수도 20.4%였다. 종교와 취미는 ‘있다’(각각 69.3%, 67.7%)가‘없다’보다 많았고 교수 10명 중 3명은 종교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건강과 보건특성


자신의 건강상태를 주관적으로 평가한 결과에서 59.7%가 양호하다고 하였고, 보통이다가 34.4%, 나쁘다 5.4%, 매우 나쁘다 0.5%순이었다. 지난 1년간 받은 스트레스성 사건에 대해 과중한 업무가61.8%로 가장 많았고, 두 가지 이상의 스트레스를 받은 경우가17.2%, 질병이나 사고가 7.0%, 동료와 갈등이 5.9%, 가족의 죽음이1.6% 순이었다.음주횟수는 주당 1–2일 이하가 52.2%로 가장 많았고, 3일 이상이8.6%, 음주를 안 한다도 39.2%였다. 흡연은 전혀 안 한다가 85.5%이고, 흡연한다가 7.5%로 우리나라 일반인 흡연율(22.4%, 2012년)에 비해 낮았다. 의사 4명 중 3명은 일주일에 1일 이상 운동(주당1–2일 45.1%, 3일 이상 29.6%)을 하고 있었고, 전혀 안 한다도25.3%였다.


3. 탈진 빈도


정서적 소진 탈진(high burnout)을 보인 경우는 11.8% (22명)이었고, 냉소주의 탈진(high burnout)을 보인 경우는 25.3% (47명),성취감 결여 탈진(high burnout)을 보인 경우는 14.5% (27명)이었다(Figure 1). 전체적으로 37.1% (69명)에서 하나 이상의 탈진현상을보이고 있었다. 하나 영역에서 탈진을 보인 경우는 24.2% (45명),두 영역에서 탈진을 보인 경우는 11.3% (21명), 세 영역 모두에서탈진을 보인 경우도 1.6% (3명)이었다. 전체적으로 정서적 소진은낮은 탈진을 보였고 냉소주의와 성취감 결여는 중등도 탈진을 보였다.





4. 탈진과 관련 인자


정서적 소진 탈진(high burnout)은 주당 근무시간, 자신의 건강상태와 관련이 있었다. 정서적 소진 탈진은 주당 근무시간(61시간이상)이 많을수록(p=0.012), 자신의 건강상태가 나쁘다(p=0.005)고 판단할수록 탈진현상이 많았다(Table 1). 냉소주의 탈진은 근무연한이 4–9년(p=0.043)일 때 가장 많았다(Table 2). 성취감 결여탈진은 50–59세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60세 이상에서는100%가 중등도 정도의 탈진을 보였으나 연령별 탈진의 차이는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으며(Table 3), 사후 검증에서는 50세 미만과 50세이상으로 차이는 있으나 p값은 0.05 이상이었다. 성별이나 직위,결혼상태, 전공분야(기초, 임상), 음주나 흡연, 운동습관, 취미, 종교여부 등은 탈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은 보이지 않았다.다른 대학교수들과 달리 환자 진료를 해야 하는 업무를 갖고 있는의과대학 교수들에게 가장 힘든 일은 ‘연구’(62.2%)였으며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일은 ‘진료’(73.1%)였다. 그러나 정서적 소진 점수는 환자 ‘진료’가 힘든 일이라는 교수에서 가장 높았다(p=0.006).냉소주의 점수는 가장 힘든 일이 ‘교육’(13.07±7.69)이라고 한 교수들에서 높았으나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


5. 탈진 정도와 대처전략과 관계


자기대처문항 15개를 완성한 경우는 186명 중 158명이었다. 대처전략 합계 점수는 정서적 소진 탈진이 심할수록(R=0.332,p<0.0001), 냉소주의 탈진이 심할수록(R=0.383, p<0.0001) 높았다. 성취감 결여 탈진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R=0.218,p=0.281).


대처문항 중 “일어나 달아나고 싶다,” “여기와는 완전 다른 장소에 있는 것을 상상한다,” “고통과 관련된 가능한 모든 나쁜 일을생각한다”의 세 문항은 정서적 소진, 냉소주의, 성취감 결여 탈진이심할수록 더 점수가 높았다(0.164<R<0.390, 0.001<p<0.04). 위세 문항 외에도 정서적 소진과 냉소주의 탈진 정도가 심할수록 “과거에 보았던 사진이나 그림을 생각한다,” “고통이 더욱 강렬하게 상처가 됨을 상상한다,” “과학자처럼 고통을 분석하려 한다”의 문항 점수도 높았다(0.171<R<0.409, 0.001<p<0.03). 냉소주의가 심할수록 “상황과 장소를 바꾸는 상상을 동원한다,” “몸에서 이탈하여 멀리서 무감한 태도로 바라보는 상상을 한다,” “정신을 분산시키려 타일이나 천정의 무늬를 센다,” “고통으로부터 떠나는 것을 상상하지만여전히 고통스러움을 깨닫는다,” “스스로에게 이 고통이 진짜가 아니며 다른 감각이라고 말한다”의 다섯 가지 문항에서도 높은 점수를보였다(0.185<R<0.399, 0.0001<p<0.02).


6. 탈진과 자살, 사직 의도 관계


나는 일이 너무 힘들어서 “자살을 생각해본 적이 있다”에 “그렇다” 이상으로 답한 경우가 4.4% (7명/160명)이었고, “사직을 생각해본 적이 있다”에 “그렇다” 이상으로 답한 경우는 41.9% (67명/160명)로 훨씬 많았다. 자살을 생각해본 적이 있는 경우에는 85.7%(6/7명)가 정서적 소진 탈진을 보였고(p=0.007), 100% (7/7명)가냉소주의 탈진상태이었다(p=0.011). 사직을 생각해본 적이 있는경우의 73.1% (49/67명)는 정서적 소진 탈진이었고, 87% (58/67명)가 냉소주의 탈진상태이었다. 사직할 의사를 나타낸 교수는 여자(57.8%)가 남자(35.7%)보다 많았고(p=0.013), 조교수 또는 부교수가 교수나 전임강사보다 많았으며(p=0.012), 임상교수가 기초교수보다 많았다(p=0.02).







고 찰


본 연구는 고신대학교, 경상대학교, 부산대학교 3개 대학 교수들의 탈진 정도와 관련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 연구이다. 탈진의하위요인 3가지인 정서적 소진, 냉소주의, 성취감 결여 각각 탈진은11.8%, 25.3%, 14.5%로 낮은 편이었으나 1가지 이상에서 탈진현상을 보인 경우는 37.0%로 약 1/3의 교수가 탈진을 경험하는 것으로나타났다. 이는 465명의 미국 내과 교수들의 34.0%에서 정서적소진이나 냉소주의 탈진을 보인 결과(Shanafelt et al., 2009b)와비슷하였으나 미국 교수들의 정서적 소진 30.2%, 냉소주의 13.3%(Shanafelt et al., 2009b)와 비교했을 때 서구 의사들은 정서적 소진이 냉소주의보다 높은 반면 본 연구에서는 냉소주의 탈진이 정서적소진보다 더 높았다. 이는 서구와 동양의 문화적 차이와 연관이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012년 미국 의사 7,288명에게 답을 얻은 조사(Shanafelt et al.,2012)에서 의사의 45.8%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탈진증상을 가지고있고, 특히 직접 환자들을 보는 응급의학과와 일반 내과, 가정의학과전문의의 50% 이상에서 탈진현상을 보여, 최일선에서 환자를 보는의사의 두 명 중 한 명 이상이 탈진을 경험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경보(alarming)수준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의과대학과의학전문대학원에 근무하는 교수이지만 연구와 교육을 주로 담당하는 일반 대학교수와는 달리 환자진료가 주 임무인 의사를 겸하는교수가 2/3 이상을 차지하므로 의사들의 탈진과 유사할 것으로 고려하였으며, 미국 의사들의 2명 중 한 명에서 탈진현상에 비해서 1/3에서 탈진을 보여서 빈도가 낮았다.


2009년 미국의 내과 교수 중에서도 전문분야를 가진 내과 의사보다 일반 내과 의사(20.7% vs. 42.3%)에서 탈진현상이 높게 나타났다(Shanafelt et al., 2009a). 2008년 유럽에서 12개 나라의 가정의학과의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정서적 소진 탈진이 43%, 냉소주의탈진이 35%, 성취감 결여 탈진이 32%로 미국 내과 교수들의 정서적소진 탈진(30.2%)과 냉소주의 탈진(13.3%)에 비해서 훨씬 높았다(Shanafelt et al., 2009b). 본 연구에서 정서적 소진 탈진은 11.8%,냉소주의 탈진은 25.3%로 미국 의사들의 정서적 소진 탈진(37.9%)과 냉소주의 탈진(29.4%)에 비해서는 낮았다(Shanafelt et al.,2012). 본 연구에서는 한 지역의 3개 의과대학 교수들을 대상으로하였으므로 우리나라 전체 의과대학 교수의 탈진비율이 낮다고 할수 없으며 대상 교수들의 전문분야에 대한 조사는 시행하지 않아서직접 비교하기는 어려운 제한점이 있다.


2009년 미국에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외과 의사들에서 탈진을조사한 바에 의하면 40%가 탈진, 30%에서 우울증상을 보였다. 평균근무연한 18년, 주당 60시간, 평균 2번 당직을 하고 있었고, 이들에서 탈진 관련 인자로는 젊은 나이와 자녀가 있는 경우, 주당 근무시간이 길고 잦은 야간 당직, 전문분야 등이 조사되었다. 만족도조사에서가족과 충분한 시간을 보낸다고 답한 경우는 36%뿐이었고, 의사는반 정도만이 자녀에게 의사 직업을 권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탈진현상이야말로 외과 의사의 만족도를 예측할 수 있는 단일지표라고 하였다(Shanafelt et al., 2009a). 캐나다에서도 단일 지역응급센터의 외과 의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의하면 61%에서 탈진을보였고, 일과 가족과의 균형, 개인적 성장기회, 경력 등이 탈진과관련이 있었다고 하였다(Helewa et al., 2012). 우리나라에서도 한국형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KOSS)로 63명의 대학 외과 의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다른 직업을 가진 일반인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았고, 특히 전공의나 전임의는교수에 비해 업무조절력 부족(p<0.01)으로 더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평균 근무시간과 야간당직이 많을수록 KOSS 점수가 유의하게증가하여 관련성이 있었다(Kang et al., 2013). 미국의 내과 교수뿐만 아니라 전체 미국 의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근무시간, 일과삶의 불균형 역시 탈진현상의 중요한 인자로 밝혀졌다(Shanafeltet al., 2009b; Shanafelt et al., 2012). 미국 내과 교수에서 탈진은55세 이하에서(37.3% vs. 19.4%; p<0.001), 근무시간이 평균 근무시간보다 주당 5시간 이상(72.1% vs. 67.5%) 더 일할 때 높았다(Shanafelt et al., 2009b). 전체 미국 의사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탈진현상은 젊거나 미혼의 경우와 주당 근무시간이 많은 경우 탈진현상이 일어날 위험성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높았다(Shanafeltet al., 2012). 2013년 호주의 응급의학과 의사조사에서도 탈진현상이 60% 이상이었고 관련 인자로는 주당 근무시간과 근무연한, 전문직업성 개발활동(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그 외 나이,성별, 생활패턴과 관련성이 있었다(Arora et al., 2013). 본 연구에서도 주당 근무시간(>61시간)이 많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탈진이 많았으며 미혼에서도 탈진이 많았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않았다.


미국의 종양학 전문의사(33.8%가 교수)에서 탈진현상을 조사한결과 44.7%에서 정서적 소진 또는 냉소주의 탈진을 보이고 있었는데 주당 평균 근무시간이 57.6시간이고 주당 평균 52명의 환자를보고 있었다(대학병원 근무 58.6시간, 개업의 62.9시간). 이들의 탈진현상의 주요 예측인자는 주당 직접 환자를 보는 시간이었다(Shanafelt et al., 2014). 특히 종양학 교수들은 환자의 고통과 죽음에 자주 직면함으로써 탈진현상이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 주어진업무를 헌신적으로 수행하였으나 기대하였던 성과나 보상이 나타나지 않아 인간적인 회의나 좌절을 겪는 경우가 특히 종양 전문의에게많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국의 종양 전문의 393명을 대상으로 한설문조사에서 정서적 소진 탈진과 성취감 결여는 미국 의사들과비슷했으나 냉소주의 탈진은 낮았고 정신과 문제를 안고 있는 의사가 28%였다. 업무량 증가나 과도한 스트레스, 치료 시 실수, 환자와의 소통과 대화의 어려움 등이 탈진과 관련이 있어 소통이나 조절법등에 대한 교육을 통해 탈진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제시했다(Ramirez et al., 1995). 정서적 소진은 주당 근무시간과 직접 관련성이 있으나 주당 근무시간이 70시간이고 평균 연령이 60세인 89개의미국 의과대학 학장을 대상으로 탈진을 조사한 경우에는 탈진의하부 세 영역에서 모두 탈진을 보인 경우는 단지 2%에 지나지 않았다(5% 이하가 이상적). 근무시간이 길지만 학장들에서 탈진현상이낮은 이유로 나이가 많은 점, 긴 근무연한, 높은 자기 효능감(self-efficacy)과 조절능력, 가족의 정서적 지지가 제시되었다(Gabbe et al., 2008).


미국 이비인후과 교수에서 탈진(high burnout)은 여성과 부교수에서 더 많았고, 삶과 일의 불균형에 대한 불만, 낮은 자기 효능감,연구시간 부족, 불충분한 행정업무 처리시간 등과 관련이 있었다(Golub et al., 2008). 2013년 프랑스 마취과 의사 1,091명(교수는47.3%)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탈진은 수면부족(fragmentedsleep)과 대인관계 갈등, 정신과 경력, 자살의도, 우울, 음주, 약물남용, 당직 후 사고와 관련이 있었다(Mion et al., 2013). 이처럼 의사들은 환자들의 의사에 대한 과도한 기대, 완벽을 추구하고 끊임없이일하는 것을 당연한 일상으로 인식하고 있으므로, 장시간 업무를하면서 자기 자신은 돌보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대학병원이나 정부기관에 근무하는 의사들에 비해 개인병원과 같은 다른 형태의 병원에 근무하는 경우 탈진현상이 증가하는데 이들 역시 개인적인 시간이나 휴식 부족을 가장 큰 원인으로 들었다(Whippen & Canellos,1991). 본 연구에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의사인 교수들에 대한탈진조사만 이루어져서 일반 의사와의 비교를 위해서는 일반 의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탈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탈진현상이 일어날 위험성은 남자 의사보다 여자 의사에서 높았다(Centor et al., 2013; Shanafelt et al., 2009b). Pretty et al. (1992)에 의하면 탈진과 관련 요소 중 여성이 더 정서적 소진하기 쉽고,여성 행정직 여성보다는 여성 근로자가 더 탈진하기 쉽다고 하였다.남녀가 같은 취약한 환경에 노출되어도 다르게 탈진을 경험하며특히 업무수준과 관련된 취약성에 따라 다르게 경험하기 때문으로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과 남성 교수들에서 탈진의 정도는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직무에서 성별이 정서적 소진의 중요한 예측인자가 되는지 안 되는지에 대해서는 더 많은 수의 교수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탈진현상은 나이가 젊거나 많은 경우에는 낮고, 중년기(46–55years)에 최고치(32%)에 달한다고 하였다. 나이 많은 의사는 좀더 일하는 환경이 좋아졌거나 자기 직업에 잘 적응하는 법을 터득했을 수도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Soler et al., 2008). 본 연구에서도성취감 결여 탈진은 50–59세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탈진현상이 있는 외과 의사들이 과음하거나 술에 대한 의존성이증가하며, 과음이나 술에 대한 의존성은 중대한 의료과실을 일으킬가능성을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있었다(Oreskovich et al., 2012).본 연구에서 일 주일에 3일 이상 음주를 하는 경우에 그 이하보다정서적 소진 탈진이 높았으나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 미국 의사들의음주습관은 중등도 음주형태로 탈진의사와 아닌 의사 사이에 음주횟수의 차이는 없었다. 미국 의사의 30% 정도는 전혀 술을 마시지않고, 52%는 일주일에 1일 이하로(Centers for Disease Controland Prevention, 2011a), 39.2%는 전혀 술을 마시지 않았고, 52.2%가 주당 1–2일 이하로 마신다는 본 연구결과와 비슷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부분의 교수(85.5%)는 비흡연자이었고, 흡연자와 비교 시탈진현상의 차이는 없었다. 미국에서도 2% 의사만이 흡연자로 비흡연자간에 탈진현상과 큰 문제가 없었다(Centers for Disease Controland Prevention, 2011a). 본 연구에서 교수 10명 중 3명은 종교가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종교가 없다’는 교수는 ‘있다’는 교수에 비해정서적 소진 탈진이 높았으나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 미국 의사는일반인에 비해 종교적 신념을 적게 갖고 있었고, 탈진 의사와 아닌의사 간(74% vs. 76%)에 종교적 신념을 가진 비율의 차이는 없었다(Pew Forum on Religion, 2008).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활동으로운동이나 취미, 여가시간 중 활동을 조사한 결과 미국 의사의 반수 이상이 일주일에 두 번 이상 운동을 하고 있었으나 탈진 의사에서는 그렇지 않은 의사(55% vs. 65%)에 비해 운동을 적게 하였다(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b). 우리나라외과 의사에서는 음주나 담배, 취미 여부는 관계가 없었던 반면운동(>1–2일/주)을 한 경우는 KOSS 점수가 낮았다(Kang et al.,2013). 본 연구에서도 4명 중 3명(74.8%)이 일주일에 3일 이상운동을 하고 있었고, 운동을 거의 안 한다는 교수에서 탈진현상이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 미국 의사의 86%는 가족과시간을 보내는 일이 가장 우선이고, 그 다음이 운동, 여행, 독서였으며 탈진을 보인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간에 차이는 없었다(Centoret al., 2013).다음 연구에서는 독립변수로 취미 여부보다는 가족과보내는 시간이나 여행이나 독서 등과 탈진현상과 관련성을 조사해보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자신이 가장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하는 일에 시간을 적게 보낼수록(20% 이하) 그렇지 않은 의사(53.8 vs. 29.9%)에 비해 탈진현상이 일어날 위험성이 높았다(Shanafelt et al., 2012). 본 연구에서는대부분의 교수(73.1%)가 환자 진료에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었고, ‘환자 진료’가 가장 힘든 일이라고 한 경우에 정서적 소진 점수가가장 높았다. 역시 직접 환자를 보는 일이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어정서적 소진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교수자신이 의미를 두는 업무에 많은 시간을 쓰도록 하는 것이 교수의만족도를 높이고 탈진증상을 감소시키는 방안으로 활용해야 한다고본다.


탈진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심리학자인 Freudenberger(Freudenberger, 1974)는 개인의 심리를 탈진을 설명하는 일차적인경로로 파악한 반면 Maslach와 그 후의 연구자들은 환경과 개인적요인들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춘 사회심리학적 시각에서 탈진을설명하였다. 인간과 환경의 부적합에서 나타나는 반응으로 심리적탈진을 설명하고자 하였다(Harrison, 1978).


본 연구에서 대학 교수의 자기대처는 탈진과 유의한 부적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적 지지나 상담개입을 통하여대학 교수들의 자기대처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검토하여야 할것이다. 더불어 정서적 소진과 직업스트레스를 경험한 의사들이 상담개입을 받은 후 자기대처 특히 정서적 대처능력이 향상되었으며,이는 곧 직업스트레스와 정서적 소진이 낮아졌다고 보고하였다(Isaksson Ro et al., 2010).


본 연구에서 자살 의사에 대한 조사에서 7명의 교수가 ‘그렇다’이상으로 답을 하였는데 이는 우울증과 같은 정신적 스트레스와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Dyrbye et al., 2008). 미국에서 외과의사 대상 설문조사에서 16명의 외과 의사 중 한 명(6.3%)에서 자살의도가 있었고, 특히 45세 이상에서는 다른 의사에 비해 1.5–2배높았다. 자살 의도는 탈진현상과 우울증상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Shanafelt et al., 2011) 본 연구에서는 자살 의도에 대한 질문문항이 하나로 정확한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기 어려우므로 추후의과대학 교수를 대상으로 탈진과 정신적 스트레스, 자살 충동과의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의사이면서 교수가 겪는 스트레스 요인은 과도한 업무시간과 자율성 상실, 과중한 행정적인 업무, 일과 개인생활 간의 불균형으로인한 갈등이 가장 크다. 이런 점에서는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방안으로 개인적인 중재보다는 의료시스템이나 병원 행정적인 점에서 배려하는 것이 의사들의 탈진현상을 예방하는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첫째, MBI-HSS (22)의 저작권은 ‘마인드가든’이 소유하고 있고 22문항을 직접 번역하여 그대로 사용하지못한 것이 제한점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각 문항은 7점 척도로되어 있는 반면 본 연구에서는 21문항으로, 5점 척도로 측정하여탈진(high burnout)을 규정으로 하는 점수가 MBI-HSS (22)를 사용한 경우와 달라 직접 점수 비교는 의미가 없다는 점이다. MBI-HSS문항 수를 축소해서(Gabbe et al., 2008; West et al., 2012) 사용하거나 5점 척도를 사용한 경우도 있어 앞으로는 신뢰도 측정을 통하여문항 수를 줄이면 조사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둘째, 부산․경남 3개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교수만을 대상으로하여 대상 인원수가 적었고, 각 대학의 교수 수가 균일하지 않았던점이 제한점이었다. 특히 기초의학교실에 근무하는 교수가 적어 탈진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이와 같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에 근무하는 교수들을 대상으로 탈진 정도와 관련 인자를 국내에서는 처음 보고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요약하면 국내 부산․ 경남 의과대학 교수들의 탈진현상은 세 명중 한 명은 탈진을 경험하였고, 주당 근무시간과 근무 연한, 나이,건강상태와 관련성을 보이고 있었다. 외국 문헌고찰을 요약하면 외국 의사들의 탈진현상은 일반인보다 높았고, 일선에서 환자를 보는과(응급의학과, 일반내과, 가정의학과)에서 높게 나타났다. 나라별로 전문과목별로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근무시간이나 당직일수가 많은 경우와 일과 개인생활의 불균형으로 오는 불만, 낮은 자기효능감, 우울증, 동료 또는 환자와 갈등 등이 독립변수로 탈진현상과관련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ew studies have examined burnout among the faculty of medical school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level of burnout and its associated factors among the faculty members

of three medical schools in the Busan-Gyeongnam area, and to summarise the available literature on burnout.

We conducted the survey using a validated questionnaire that incorporated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Human Services Survey (MBI-HSS) as well as questions abou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orking

experience, health, lifestyle, most time spent and most difficult work, and suicidal ideation and job quitting

ideation of the survey participants. MBI-HSS scores were analysed in the three dimensions of emotional

exhaustion (EE), depersonalization (De), and personal accomplishment (PA). Through the survey, the 186

professors, 49% among the total, provided data which were included in the present analysis. More than

thirty per cent (37.1%) of the professors reported at least 1 symptom of burnout. For burnout dimensions,

11.8% of the respondents scored high for EE burnout, 25.3% for De, and 14.5% for PA, with 1.6% scoring

high on all three dimensions of burnout. High burnout was found to be strongly associated with several

of the variables under study, especially hours worked per week, self-rated health, career (range, 4 to 9

years), and age (range, 50 to 59 years). The EE score was highest for the professors who chose ‘patient

care’ as the most difficult type of work. This study showed that just over one-third of professors have

at least 1 symptom of burnout and working more hours per week, short length of work (years), and especially

suicidal ideation seem to be associated with the burnout of medical school faculty members in the

Busan-Gyeongnam area. In summary, a greater risk of burnout of physicians (including medical professors)

seems to be associated with specialties at the front line of care, working more hours per week, work-life

imbalance, low self-efficacy, depression, and conflicts with colleagues and patients.

Keywords: Medical faculty, Professional burnout, Korea, Suicidal ideation

의과대학의 미션: 사회에 대한 봉사를 통한 건강의 추구

The missions of medical schools: the pursuit of health in the service of society

Ray M Lewkonia



Mission statements and role documents of medical schools in the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Canada and Australia have been examined on their Internet Web sites and categorised in purpose, content and presentation. The format and content are highly variable, but there is a common vision of three integral roles, namely, education, advancement of knowledge and service to society. Other frequent themes include tradition and historical perspective, service for designated communities, and benchmarking to accreditation standards. Differences in content reflect variable interpretation of the notion of "mission", and local or n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institutional affiliations, the types, levels and organisation of medical education, relationships with health systems, and extent of multi-professional education. Outcomes data and measures of medical school performance referenced to the institution's stated missions are rarely encountered.


'미션'은 인터넷을 통해 공공에게 보여진다. 이 웹사이트와 문서, 링크된 정보들이 의학교육과 대학의학 전반에 대한 아이디어와 접근법을 교류하는 가치있는 새 자원이 된다.

Mission documents placed on the Internet are in the public domain. These Web sites and documents and linked information constitute a valuable new resource for international exchange of approaches and ideas in medical education and generally in academic medicine. Routine inclusion of outcome or performance data could help to demonstrate the community roles and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 This paper proposes that partial standardisation of these Web documents could enhance their value both internally and for external readers. A generic descriptive statement template is offered.




[[[[[


Introduction


RSM의 다섯 가지 권고사항 중 첫 번째는 "공공적 책무성과 전문직의 서비스를 위하여 각 대학은 조직의 statement of mission, goals and objectives를 개발하고 공포해야 하며, 여기에는 인구집단 차원과 개개인 차원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관의 목표에 얼마나 도달했는가에 대한 평가전략을 포함해야 한다"이다.

The University of Aberdeen, Scotland records on its Web site [1] that the first academic chair of medicine in the English-speaking world was established in 1497 at King's College, Aberdeen with an original mission of the pursuit of health in the service of society. Five centuries later, in 1991 a group of distinguished medical academics from the United States, Canada, the United Kingdom, and Australia met under the sponsorship of the Royal Society of Medicine (RSM) Foundation and produced a report on the missions of medical schools [2]. This was promulgated in the context of "a long-term implicit social contract that has existed between the medical establishment and the society that it serves". The first of five recommendations in the RSM report was that, in the interests of public accountability and professional service, each school should develop and publicize an institutional statement of mission, goals and objectives, to include strategies for evaluating progress towards the institution's objectives using population-based and individual outcomes. This and the other recommendations regarding faculty development, education and sensitivity to population health needs were intended to promote increased responsiveness to the expectations of stakeholders, that is social accountability. One decade later Internet technology has enabled medical schools to readily publicise their missions and institutional priorities in the public domain.


The mission documents from medical schools in the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Canada, and Australia have been examined with regard to the aims of the schools in general and the content proposed in the RSM report with regard to social accountability.



Methods

The Internet Web sites of medical schools in the four countries were located from listings on the Web sites of accrediting bodies – the American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AAMC) [3] and the Liaison Council for Medical Education (LCME) [4], the Association of Canadian Medical Colleges (ACMC) [5], the General Medical Council (GMC) [6] and the Quality Assurance Authority (QAA) [7] of the United Kingdom, and the Australian Medical Council (AMC) [8]. The medical school Web sites were inspected for mission statements, and if these were not found, statements of philosophy or purpose or other similar documents were sought. Sometimes the mission was described in a dean's message or a strategic plan, in admissions policies or general curriculum outlines. The Web sites and the mission statements often have links to internal departmental sites, each with their own mission documents.


Mission statement에 등장하는 주제들 Themes in mission statements

All medical schools in the four countries have described their missions and related descriptive information on their Web sites, and it is notable that all of the Web-based presentations are different. Five general themes were noted in the presentation of mission documents, with more than one of these being included on many sites – 

tripartite responsibility, 

tradition and historical perspective, 

service for specified communities, 

benchmarking to templates of accrediting organisations, and 

(least often) performance and outcome data. 

Narrative examples are given in order of diminishing frequency:


세 가지 의무(교육,연구,진료) Tripartite responsibility

Typical descriptive statements list the three realms of education, research and clinical service, usually in that sequence, sometimes with elaboration of the concepts:


전통과 역사적 관점 Tradition and historical perspective

Long established schools are less likely to state an explicit mission, perhaps because it has been achieved, instead describing their history of service, their scientific reputation and distinction of their staff and graduates as leaders implying the expectation of future success for their students:


특정 집단에 대한 봉사 Service for specified communities

Delineation of populations supported by the medical school appears most often in the statements of young medical schools and those established in areas of relatively low population density. These service-orientated statements are more likely to mention other health professions and multi-professional service models:


인증기관의 템플릿 벤치마킹 Benchmarking to templates of accrediting organisations

This is seen particularly in the descriptive statements of British medical schools. Curricular design has been influenced throughout the U.K. by Tomorrow's Doctors, a 1993 publication of the GMC [9]. The most consistent organization of information was found in QAA documents in its first category entitled "aims and objectives" of the school. QAA reports relate to curricular structure and implementation, and do not deal with outcomes for graduates or populations. The effects of the QAA framework has been evident in school mission documents, for example:


퍼포먼스 자료와 순위 Performance data and ratings

Aggregate data on career paths is available in the Canadian Post-MD Education Registry [10]. Outcome information other than research success is not commonly given on individual medical school Web sites, and is selective:



기관 구조 Institutional structure

The nature of the medical school is not always evident from the name of the institution, and they include: 

(a) graduate schools in research-orientated academic medical centres – most common in the U.S., 

(b) schools that train more than one type of health professional, administratively integrated with a university, 

(c) hospital-based or community-based medical school affiliated with a university. 

Extracts from two Web sites illustrate examples of striking differences in conceptions of a "school" environment:



Mission statement의 목적과 의미 The purpose and semantics of mission documents

Mission statements have been defined for the (not-for-profit) health care sector in the United States as formal documents that attempt to capture an organization's unique and enduring purpose and practices [11]. Important functions include...

목적의식 제시 giving a sense of purpose, 

구성원에게 동기부여 motivating employees to identify with the organisation, 

외부 stakeholder의 관심사에 대한 인식 giving recognition to the interests of external stakeholders, and 

자원 배분 절차의 향상 to improve the resource allocation process. 

Each of these could be translated to the medical school context. However, expression of the concept of "mission" for medical schools was found to be extremely variable in all four countries. Some Web sites have a succinct vision with brief elaboration and in others the mission is expressed in a large multi-part strategy document.


형태는 다양하더라도 대체로 비슷한 표현을 사용함

Although the formats vary, the mission documents generally use similar expressions in all four countries

Words are selected to convey great expectations of academic accomplishment for students and staff. 

Verbs are chosen that predict achievement, the nouns offer the promise of success, and the phrases look to the future. 

The wording speaks to institutional reputation, and the goals of attracting academically effective staff and good students to the school [12]. Examples of words used to characterize the capabilities of schools and the expectations of qualities to be imbued into students are listed below:


Institutional performance: Advance, aim, aspire, build, develop, enable, encourage, ensure, expand, facilitate, foster, implement, lead, prepare, produce, provide, strive.

Desirable attributes: Commitment, compassion, excellence, highest standards, humanitarian or humanistic, innovation, leadership, life-long learning, outstanding, quality, self-reliant, strong.



Discussion

Universal goals of all medical schools are contained in the succinct Scottish version of the 15th century: The pursuit of health in the service of society[1]. The actual wording with which this is expressed in later renditions is of less importance than the manner is which the goals are to be achieved. Beyond the style of prose and presentation, the Web sites portray the operation of individual medical schools, and provide some insight into structural differences. Details of curricula and educational governance in the majority of medical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have been published [13]. Neither these outlines nor the public domain reports of the accrediting agencies conform with the mission document concept proposed in the RSM report that was used as a reference point for this study (Figure 1). Although the RSM report was not issued by an official organisation, its recommendations were authoritative and important. The documents that are available generally do not address the manner in which medical school outcomes are evaluated nor whether the schools' stated objectives have been attained, using individual and population-based outcomes. For example, if a medical school was established primarily to serve a particular population, it would be helpful for the public and similar schools to know how many graduates were actually in practice in that community several years after completion of training.







The accreditation processes in the four countries are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goals of medical schools. However,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accreditation of medical education from assessment of medical schools in relation to their overall mission. Their achievements need to be framed in the expectations of the community or society that supports and funds the institution. To use an educational analogy, medical schools may demonstrate ability and competence in the test circumstances of accreditation, but the appropriate measures of outcome as fulfilment of objectives are evaluation of performance and quality. The intellectual significance of seeking outcomes information follows the proposition that medical academics should apply to their educational endeavors the sort of critical scientific thinking that is expected in their clinical and research work [14,15].


사업이나 보건분야의 mission statement는 '만질 수 있는 결과물'또는 서비스 대한 것이다. 그러나 의과대학의 '결과물(product)' 또는 '시장(market)'은 대단히 복잡하다. 그렇지만 여전히 유용한 성과지표들이 존재한다.

Mission statements developed for businesses and health care [11,16] are directed towards tangible products and services. For medical schools the "product" and the market are extremely complex. Here measurement of outcomes has to address intricate behaviors with many variables. It is very difficult to attribute specific physician competencies or health benefits for patients to particular segments of medical education, because of the multiple stages of medical school courses, postgraduate training and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Attribution of individual or group performance to their medical school's mission or objectives is even more tenuous. Nevertheless, there are useful outcome data that can be collected [4,9]. Frameworks have been proposed to evaluate the outcomes of revised and innovative curricula [17], and there are examples of data from graduate recollections and subjective opinions [18], and of educational outcome benefits [19].


It has been said that a socially responsible medical school perceives the needs of society and reacts accordingly, and a socially accountable school also consults society about priorities and provides evidence of impact of its deeds [20]. Fulfilment of the mission of serving the health needs of populations is a fundamental issue in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 [21]. Three categories of assessment have been suggested in this regard – planning or input, doing or activity, and impacting or output [20,22]. The most recently established medical schools with mandates to support health care for under-serviced areas appear to have timely opportunities for prospective study of social accountability and population impact, in conjunction with their local health systems [23].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차원에 있어서, 보건의료시스템에 대한 공적인 의무와 연결되는 몇 가지 개념들이 있다. 의과대학의 mission은 다양하기 때문에, 이러한 정보에 대한 잘못된 해석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대중에게 공개되는 의과대학의 문서들은 목표(objectives), 구성원(community), 전통(tradition), 자원(institutional resources)의 맥락을 매우 정확히 할 필요가 있다. 

In considering the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 there are several concepts that run in parallel with public accountability of health care systems. 

The advantages of standardization in public disclosure of health system outcomes include comparisons of the quality of care, comparisons of performance over time, amongst providers, and against defined standards of practice [24].

There are also potential disadvantages such as inappropriate focus on what is measured, and negative implications if results from different types of institution are compared in a competitive construct. 

This concern of potential misinterpretation of information is also applicable for medical schools because of the variability of their missions. Public presentation of medical school documentation should be done in a manner that makes clear the context of their objectives, community, traditions, and their institutional resources.


인터넷상에는 의과대학의 다양한 활동에 대한 정보가 가득하다. 이는 전 세계 의학공동체의 새로운 자원이며, 기관의 가치와 아이디어를 전파하기 위한 수단이기도 하다. 의과대학의 mission statement에 대한 일반적인 템플릿을 만드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미션과 비전의 개념에 대한 해석도 다양하기 때문에 'descriptive statements or profile'이라고 부르는 것이 더 적절할 수도 있다. 사용한 단어가 더 일반적이거나 평이할수록 측정가능한 성과를 구체화하기 어렵다. 따라서 내용을 균일하게 하는 것이 reference를 위해서도 바람직하고, 배경이나 자료원을 이해하기에도 좋다. 

A rich store of information about the activities of medical schools is available on the Internet. This is a new resource base for the international medical community and a means to disseminate institutional values and ideas. The World Directory of Medical Schools includes 1647 schools in 157 countries [25]. Although all are listed as medical schools or medical colleges (and some have more elaborate titles in keeping with their many roles in addition to scholastic work) these are very heterogeneous organizations. It would be of value to have a general template for medical school mission statements placed on Web sites in the public domain. Because of differing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mission" and "vision", these might be more appropriately called descriptive statements or profiles. The more general and prosaic the wording of the document, the more difficult is it to specify the measurable outcomes. Uniformity of content would therefore be helpful for reference, and in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or source of published work in international academic medicine, especially in medical education and population health. Figure 2 is a proposed generic template for the main headings and subheadings for medical school descriptive Web sites. The branched hierarchy hypertext capabilities of the Web permit links not only to appropriate sites in the same institution, but also to health system resources affiliated with the school, to the Web sites of medical school accrediting bodies, and to sites that provide general educational objectives [26]. Special or innovative programs that may be of interest to other schools can also be showcased, one example being the Web site of Dalhousie University Medical School, Canada [27].



It is acknowledged that several of the Internet documents abstracted for this article were not written to provide a comprehensive description of a medical school for external information. What was found in seeking statements consistent with the suggestions of the RSM report [2] was quite haphazard. Construction of a single Web portal to medical school descriptive statements, initially derived from the sources used in this study [3-8], could encourage consistency and enhance exchange of concepts and ideas in medical education and generally in international academic medicine.













 2001;1:4. Epub 2001 Oct 18.

The missions of medical schools: the pursuit of health in the service of society.

Abstract

Mission statements and role documents of medical schools in the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Canada and Australia have been examined on their Internet Web sites and categorised in purpose, content and presentation. The format and content are highly variable, but there is a common vision of three integral roles, namely, education, advancement of knowledge and service to society. Other frequent themes include tradition and historical perspective, service for designated communities, and benchmarking to accreditation standards. Differences in content reflect variable interpretation of the notion of "mission", and local or n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institutional affiliations, the types, levels and organisation of medical education, relationships with health systems, and extent of multi-professional education. Outcomes data and measures of medical school performance referenced to the institution's stated missions are rarely encountered. Mission documents placed on the Internet are in the public domain. These Web sites and documents and linked information constitute a valuable new resource for international exchange of approaches and ideas in medical education and generally in academic medicine. Routine inclusion of outcome or performance data could help to demonstrate the community roles and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 This paper proposes that partial standardisation of these Web documents could enhance their value both internally and for external readers. A generic descriptive statement template is offered.

PMID:
 
11696255
 
[PubMed - indexed for MEDLINE] 
PMCID:
 
PMC59665
 

Free PMC Article

대학의학에 주어진 단 하나의 미션

A Single Mission for Academic Medicine

Improving Health

Paul G. Ramsey, MD

Edward D. Miller, MD




[[[[[


Mission statements는 한 조직의 심장(heart and soul)과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Mission은 기능을 중심으로 정의될 수도 있어서 근본적으로 추구하는 것이나 전략적 방향에 대한 선언이 될 수도 있다. Mission statement는 조직의 비전과 가치를 정의해주기도 하며, 어떤 활동이나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내적인 소명의식을 설명할 수도 있다. 어떤 경우든지 Mission statement가 답해야 하는 질문은 바로 이것이다. "한 기관 또는 조직이 성취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

Mission statements capture and express the heart and soul of an organization. Mission may be defined around function—a statement or declaration of fundamental purpose or strategic direction. A mission statement may offer the organization's definition of vision and values, or it may articulate an inner calling or vocation to pursue an activity or perform a service. In all cases, mission statements ultimately attempt to answer one question: What does an institution or organization seek to achieve?


1497년 King's College in Aberdeen, Scotland에 최초의 영어권 국가의 의학의 수장이 설립되었다. 이 기관의 목표는 "사회에 대한 봉사를 통해 건강을 추구하는 것"이었는데, 그로부터 500년이 지난 지금, 대학의학은 이 mission을 잃어버렸다. 대학의학이 태초의 의의와 미션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In 1497, the first known academic chair of medicine in the English-speaking world was established at King's College in Aberdeen, Scotland. Its mission was the “pursuit of health in the service of society.”1 Five centuries later, academic medicine has lost sight of this mission. It is critical that academic medicine now return to the original meaning and mission.


어떤 사람들은 대학의학의 미션은 지식의 진보를 통한 인류건강의 증진이라고 말한다. 더 흔하게, 대학의학의 리더들은 이 미션이 교육, 연구, 진료의 세 가지로 이루어져있다고 설명한다. 비록 개개 교수들이 이 세 구성요소에 할애할 수 있는 시간이 정확히 1/3씩은 아니겠지만, 현재 academic health center의 미션은 교육, 연구, 진료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바다. 예컨대, AAMC회장인 Kirch는 2008년의 연설에서 이 세 미션의 균형이 중요함을 강조하였으며, 많은 의과대학과 academic health center는 상호연관된 이 세 가지를 그들의 미션 목록에 나열하고 있다.

Some argue that the mission of academic medicine is to improve human health via the advancement of knowledge.2 More frequently, leaders of academic medicine describe a tripartite mission consisting of education, research, and clinical service.3,4 Although the time allocated to each of these mission components by individual faculty members may be uneven, it is now generally assumed that the contemporary mission (or missions) of an academic health center consist of teaching,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3- 5 For example, in his 2008 address as president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Kirch reiterated the importance of balance among these 3 missions.6 Similarly, the mission statements of many medical schools and academic health centers list the 3 interrelated missions.1


King's College의 최초의 '근대적(modern)'미션에서 의과대학의 학장(chair)이 지정한 유일한 것은 '모든 사람의 건강'이다. 이것이 모든 의료전문직의 궁극적 존재이유로서 남아있지만, 대학의학의 일부분으로서 이 미션은 교육, 연구, 진료라는 세 가지 미션 모델에 의해서 수행되고 있다. 시대가 변함에 따라서 이 세가지는 흥망성쇠를 겪어왔는데 Flexerian era이전에는 진료가 우선되었으나, 2차대전 이후에는 연구에 초점이 맞춰졌고, academic health center에 대한 공공지원이 감소한 최근에는 다시 진료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교육은, 비록 가끔은 보잘것없게 취급되기도 했지만, academic health center에서 근근히 유지되어오고 있다.

In the first “modern” mission statement at King's College, the chair of medicine was assigned a single mandate: the pursuit of health for all.1 Although this remains the ultimate raison d’être of all health care professions, adherence to this mission on the part of academic medicine continues to be carried out using the tripartite-mission model: teaching the next generation of physicians, performing research to advance the understanding of human biology and the practice of medicine, and providing direct health care for individual patients and populations. These activities have waxed and waned in relationship to one another in academic settings, with clinical care predominating prior to the Flexnerian era, giving way to a research focus after World War II, and again shifting to clinical care in recent years as public support for academic health centers has declined.3,7 Education has maintained a constant, if sometimes tenuous, role in the academic health center.


이 세 가지 활동은 근본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의존적이다.

These 3 activities are connected and interdependent in fundamental ways that are, at their core, independent of finances. 

Medical students learn the foundations of basic science from researchers;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learn their clinical skills under the tutelage of clinicians; 

research depends on the clinical setting for testing hypotheses and conducting safe experimentation to advance knowledge; 

clinical care, in turn, evolves and progresses through the knowledge that results from research. 

Over time, these 3 activities have developed interdependent financial relationships as well.


이 세 가지 역할이 각각 개별적인 것 또는 단순히 연결된 것으로 취급될 때, 이들은 공통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활동이 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끝나버린다. 이 삼발이모델(tripartite model)에 근거하여 교수들에게 어떤 요구사항이 생겼음에도, 교수들이 이 모든 세 가지에 대해 다 잘 할 것을 기대하게 된다. 이러한 기대로부터 'triple-threat faculty member'라는 개념이 등장했다.

When these activities are treated as a single 3-part mission or 3 connected missions, they are in danger of becoming ends in themselves rather than activities that support a common purpose. Furthermore, although the demands on faculty imposed by this tripartite model are significant, the expectation has developed that faculty members will excel in all 3 missions. From this expectation, the concept of the triple-threat faculty member has evolved into an accepted standard for academic medicine.


Whether it was ever possible for more than a small number of productive and highly efficient individuals to achieve excellence in all 3 activities, the triple threat has in recent years been seen increasingly as endangered and counter-productive. Petersdorf and Turner8 observed nearly 15 years ago, “It cannot be done.” For too long, faculty have been expected to achieve substantial productivity in all 3 realms to advance in their careers. This understanding has led some to conclude that the triple-threat model is inefficient and that an alternative, more efficient model of specialization is required in which each faculty member specializes in 1 or 2 areas.9


(...)


공공의 건강 향상이라는 오래된 미션에 다시 초점을 맞추고 대학의학의 역사적 근원을 돌아봐야 할 때이다.

It is time for academic medicine to return to its historic roots by focusing on the long-established mission of improving the health of the public. Academic medicine can do this by uniting and integrating its unique strengths—excellence in education, research, and clinical care—within an administrative structure that encourages and facilitates the use of all resources to support the mission of improving health. The administrative structure that best accomplishes this goal is an integrated health system in which the school of medicine, hospital(s), and research enterprise are within a single integrated structure with strategic planning occurring in all 3 activities and with the ultimate goal of improving the health of the public.


교육, 연구, 진료의 균형이 중요하다. 

In this model, some faculty members may assume all 3 roles as clinicians, teachers, and investigators and can serve as triple threats. Others can and should specialize in 1 or 2 of the 3 roles, and they should be valued and supported for their contributions to the mission. One approach should not be seen as superior to the other. Ultimately, a balance of teaching, research, and professional service is important. That balance should be achieved across the faculty, staff, students, and trainees of the entire academic medical center. Budgetary decisions should be based on the extent to which individual activities contribute to the core mission of improving health.


대학의학의 가장 근본적인 미션, 가장 중요한 사회적책무는 모든 사람의 건강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academic medical center의 미션이 그 미션을 지지하고 있는 '행위(activity)'와 혼동될 때에, 대학의학은 영원히 비효율적인 시스템과 혼동된 목표로 인하 위험에 빠질 것이다.

Academic medicine is the acknowledged leader in today's medicine. It also retains its obligation to facilitate and support a mission of social responsibility. The most fundamental and socially responsible mission for academic medicine is working to improve health for all. If the mission of academic medical centers remains confused with the activities in support of the mission, academic medicine is in danger of perpetuating an inefficient system and ultimately a confusing set of goals. Research cannot and should not be a mission in itself, nor should education or clinical care.


(...)



 2009 Apr 8;301(14):1475-6. doi: 10.1001/jama.2009.472.

single mission for academic medicine: improving health.

Author information

  • 1UW Medicine, University of Washington, Box 356350, Seattle, WA 98195-6350, USA. pramsey@u.washington.edu


미래 의학교육을 위한 다섯 가지 제언

1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과, 2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양은배1, 맹광호2





우리나라 의학교육의 변화 특징들


우리나라가 현대의학을 체계적으로 교육하기 시작한 것은 1886년 3월 29일 제중원 의학교가 개설되면서부터이다. 이로부터 2014년 현재까지 128년 동안 우리나라 의학교육은 많은 발전을 하였다. 의학교육이 현재의 모습으로 자리 잡기까지는 많은 제도적 변화와 교육적 실험들이 있었으며, 의학교육의 내실화와 수월성을 추구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전개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나타난 우리나라 의학교육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전문학교 교육으로서의 의학교육

20세기 초 우리나라 의학교육은 일제 식민지 교육정책과 밀접하게 연결된 ‘전문학교 교육’이었다. 조선총독부의 조선교육령은 한국에서의 교육을 보통교육, 실업교육 및 전문교육으로 한정했으며, 차별적인 학제를 도입하여 조선인과 일본인을 별도로 교육하였다. 학교의 명칭, 수업연한과 내용을 차별화 하였다. 전문학교는 실업학교 이상의 고급 기술을 교육하기 위해 근대 일본과 일제 강점기 당시 조선, 대만과 만주국에 있었던 학교 형태였다. 전문학교에서는 대학 수준의 고등교육을 제공하였으나 학술적 내용이 아닌 전문적 기예나 지식을 교육하는 것에 국한되었다. 당시 의학교육을 실시한 전문학교는 조선총독부 전문학교 인가 연도 기준으로 조선총독부의원부설강습소(1913, 이 강습소는 1916년 경성의학전문학교로 변경),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1917), 대구의학전문학교(1933), 평양의학전문학교(1933),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1938), 광주의학전문학교(1944) 등이다. 이러한 전문학교의 수업연한은 3년으로 제한되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4년제로 승격되었다. 1932년에 예과 2년, 본과 4년의 6년제 학제를 갖춘 경성제국대학 의학부가 설립되었는데, 이 대학은 일본인 중심의 의학교육 기관이었다.


2. 고등교육으로서의 의학교육

1945년 해방 이후 3년 동안은 미군정이 실시된 기간이다. 이 시기에는 교육 관련 자문 및 심의 역할을 담당한 미 군정청 학무국의 ‘조선교육심의회’가 우리나라 교육 전반에 대한 문제를 다루었다. 조선교육심의회는 6-3-3-4 (의과대학 6년)의 단선형 학제를 채택하였다. 이에 따라 의학교육은 의학 기능인 양성에서 학술적 연구를 포함한 고등교육의 일환으로 승격되었다. 경성대학교 의학부와 경성의학전문학교가 폐지되고, 국립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이 설립되었고, 세브란스의학교(지금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지금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대구의학전문학교(지금의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광주의학전문학교(지금의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등이 6년제 의과대학으로 개편되었으며, 이화여자대학교에 의과대학이 신설되면서 1950년대 초까지 6개의 의과대학이 있었다.


3. 의학교육 기관의 양적인 성장

1950년대 이후 의과대학이 급격하게 신설되기 시작하였다. 

      • 의과대학은 1950년대 초반에 가톨릭의대와 부산의대가 설립되어 8개교로 늘어났고 
      • 1960년대에 경희의대, 전북의대, 조선의대, 충남의대 및 한양의대의 5개교가 신설되어 의과대학의 수는 13개가 되었다. 
      • 1970년대에도 1971년의 중앙의대를 시작으로 계명의대, 순천향의대, 연세원주의대, 영남의대 및 인제의대 등의 6개교가 신설되었다. 
      • 1980년대에는 모두 12개의 의과대학(건국의대, 경상의대, 고신의대, 단국의대, 동국의대, 동아의대, 원광의대, 아주의대, 울산의대, 인하의대, 충북의대, 한림의대)이 신설되어 총 31개의 의과대학이 되었다. 
      • 1990년대에 들어서도 의과대학의 신설은 계속되었는데 1995년까지 대구가톨릭의대, 강원의대, 건양의대, 관동의대, 서남의대 등 5개교가 신설되었고 
      • 1990년대 후반에도 제주의대, 을지의대, 성균관의대, 포천중문의대, 가천의대 등 5개교가 신설되어 의과대학의 수는 모두 41개교가 되었다. 이들 대학의 연간 입학정원은 3,300명에 달하게 되었다. 
      • 2000년 이후에도 의사인력 공급확대에 대한 요구와 지역사회의 의학교육기관 설립 의지가 결합되면서 지속적으로 의학교육 기관 신설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4. 의학교육 학제의 이원화

2000년대 의학교육의 중요한 변화 중의 하나는 학사 후 의학교육제도라고 불리는 ‘의학전문대학원제도’의 도입이다. 1990년대 이후 정부는 우리나라 대학원 교육과 관련한 고등교육의 기본 방향을 일반대학원, 특수대학원 및 전문대학원으로 구분하고, 의학, 법학, 경영학 등의 분야를 미국과 같은 개념의 전문대학원 체제로 개편하는 정책을 추진하였다[1]. 의학전문대학원 제도는 2004년 5개 의과대학이 의학전문대학원 전환을 결정하면서 도입이 확정되었다. 2006년 1월에는 교육인적자원부가 의학전문대학원 전환추진 기본원칙을 발표함에 따라 27개교가 전면 혹은 부분적으로 의학전문대학원 전환을 결정함으로써 이 제도는 우리나라 의사 양성의 중요한 기구가 되었다. 의학교육 학제 변화와 관련하여 당시 한국의학교육학회, 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 및 한국의학교육협의회 등에서는 의학교육 학제 이원화에 대해서 우려를 표명하였으며, 우리나라 현실에서 의학전문대학원제도가 적절하지 않음을 지속적으로 지적하기도 하였다. 의학전문대학원제도에 대한 의학교육계의 비판에 따라 정부는 2010년 7월 의학교육 학제를 대학 자율로 선택하도록 하는 ‘의학교육제도 개선 계획’을 발표하였다. 의사 양성 학제의 선택이 대학의 자율로 주어지게 되자 의과대학 체제를 선호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2015학년도부터는 단계적으로 의학전문대학원제도가 폐지되어 5개 의학전문대학원만 남게 될 전망이다.


5. 의과대학 교육과정 선진화

세계 각국의 많은 의과대학은 의료 및 사회 환경의 변화에 따라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교육과정은 무엇을 가르치고, 그것을 왜 가르치며, 그것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 가르친 것들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에 대한 교육의 청사진이다. 교육과정 개발자들과 의학교육자들은 끊임없이 사회의 요구를 재해석하고, 교수학습 이론에 근거하여 교육과정의 새로운 청사진을 만들고 있다. 우리나라도 1970년대 이후 의학 교육과정을 세계적인 교육 패러다임에 부응하는 방향으로 선진화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왔다. 우리나라 의학교육과정 개발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첫째, 전통적인 교과목중심 교육과정(discipline-based curriculum)을 탈피하고 통합교육과정(integrated curriculum) 편성이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통합교육과정은 교과목을 학문단위보다는 계통이나 장기중심으로 편성하거나 문제바탕학습(problem-based learning)의 형태로 나타났다. 이러한 교육과정 조직은 기초의학과 임상의학이라는 전통적인 학문단위 구분을 지양하고, 기초의학과 임상의학의 통합적 이해, 실제 환자 진료를 위해 요구되는 지식의 적용에 대한 교육을 강조하였다. 전국 41개 의과대학의 대부분 교육과정이 어떤 형태로든 통합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 둘째, 교육과정 운영 관점에서 교수중심의 지식전달에서 학생중심의 자기주도학습(self-directed learning)과 경험적 실천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교육과정이 개편되었다. 지식의 일방적인 주입보다는 강의시간을 축소하고, 학생들의 적성과 선호에 따른 선택과목들을 개설하기 시작하였다. 이것은 학생들이 더 이상 지식의 단순한 수용자가 아니라 스스로 지식을 구성해가는 주체로 인식되고 있다는 의미이다. 
      • 셋째, 2000년 이후 의학교육과정 개발의 새로운 방향은 성과 또는 역량중심 교육과정(outcome- 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개발이다. 성과중심 교육과정 편성과 졸업생들이 갖추어야 하는 역량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은 2012년 (재)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 ‘Post 2주기 의과대학 인증평가 기준’이 발표되면서부터이다. 의학교육에서 역량기반교육은 성공적인 졸업생의 수행요목과 수준을 먼저 결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요소들을 학습경험으로 선정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계통중심이나 과목중심의 교육적 접근과는 다르다. 역량기반교육은 지식을 습득하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학습자가 습득한 지식을 활용하여 어떤 수행을 할 수 있는가에 관심을 갖는다. 즉,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의사로서 필요한 지식뿐 아니라, 의사로서의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문적 능력 자체를 교육할 것을 강조한다. 이제 성과 또는 역량중심 교육이 의학교육의 내실화와 수월성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올바르게 정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6. 인문사회의학 교육 강화

2000년 이후 의학교육의 주요한 변화중의 하나는 의과대학교육과정에 인문사회의학 관련 교육이 증가한 것이다. 이 같은 현상은 일차적으로 의과대학들이 자연과학적 의학지식과 기술교육만을 강조해 온 것을 반성하고 인성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인식의 전환을 의미한다. 의과대학 교육에 인문사회의학 교육을 강조하는 다양한 노력들이 전개되어 왔다. 예를 들어, 한국의학교육학회와 의과대학학장협의회가 번갈아 가며 주관해 온 의학교육학술대회에서 관련 교육의 중요성을 주제로 발표와 토론을 해온 일이라든지, 1997년에 발족해서 2000년부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 의과대학 인증평가 사업이나 1999년에 한국의과대학학장협의회가 발간한 ‘21세기 한국의학교육계획’ 등에서 의료윤리를 포함한 인문사회의학 교육의 필요성이 크게 강조된 것이다. 지금은 41개 의과대학 모두가 어떤 형태로든지 의료인문학 관련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상태다. 인문사회의학적 소양은 21세기 의사들에게 있어서 필수적인 덕목인 것이다. 그러나 인문사회의학 교육의 강화가 의사들이 인문학이나 사회학에 대학 지식을 갖고 있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그것은 의사들이 자신을 스스로 성찰하고, 스스로 규칙을 세우고 지키며, 사회의 변화와 요구에 민감하게 하며, 사회의 모든 구성원과 함께 호흡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일부 대학에서는 인문사회의학 또는 의료인문학을 전담하는 부서의 신설이나 교원의 채용과 같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7. 교수방법의 효과성과 평가방법의 타당성 제고

지난 반세기 이상 동안 지속적으로 의학교육의 관심을 받아온 분야는 교수방법의 효과성과 평가방법의 타당성 확보였다. 어떻게 하면 학습효과가 높은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여 적용할 수 있을지, 학생들의 수행능력을 평가하는 타당한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는 많은 의학교육자들의 관심이었다. 

      • 첫 번째 변화는 1990년대 후반 캐나다 McMaster대학에서 시작한 문제바탕학습이 의학교육의 교수방법으로 우리나라에 도입되기 시작하였다는 점이다. 2000년대 의과대학 인증평가 기준에 다양한 교수방법의 하나로 문제바탕학습이 소개되면서 이 교수방법은 41개 대학에 급속도로 전파되었다. 일부 대학의 경우에는 교육과정 전체를 문제바탕학습 형태로 운영하였다. 
      • 둘째는 Oklahoma대학의 Michaelsen교수가 개발한 팀바탕학습(team-based learning)이 일부 의과대학에 소개되기 시작하였다. 팀바탕학습은 문제바탕학습과 달리 대형 집단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실용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팀티칭의 형태로 통합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교육과정에서는 팀바탕학습을 설계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는 비판이 있다. 이에 따라 몇 몇 대학에서 팀바탕학습을 시범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 세 번째 변화는 객관구조화진료시험(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과 진료수행평가(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의 도입이다. 많은 대학들이 병원의 임상실습환경과는 별도로 임상술기교육센터와 같은 교육장을 별도로 설치하여 다양한 모형, 표준화 환자 등을 통한 교육과 평가를 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2009년 의사면허국가실기시험이 도입되면서 더욱 주목 받기 시작하였는데, 현재는 대표적인 교육 및 평가방법으로 정착하고 있다. 
      • 마지막으로 의학교육에서 e-learning의 확산을 지적할 수 있다. 의학교육에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사례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지만, 강의를 촬영한 동영상을 제공하거나, 임상술기 동영상을 제공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일부 대학들을 중심으로 Edx, Coursera, Udacity 등 새로운 형태의 온라인 플랫폼 개발과 콘텐츠 공유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8. 의사국가시험을 통한 개인의 자격 검증 타당화

의사국가시험의 기능은 의과대학 교육을 마친 졸업생을 대상으로 기본 진료의사로서 적절한 능력을 가졌는지 여부를 평가하여 이 기준을 통과한 사람에게 의사 자격을 주고 의료업에 종사할 수 있는 면허를 부여하는 데 있다. 우리나라에 의사국가시험 제도가 처음 도입된 것은 1952년이다. 그 뒤 62년이 지난 지금에 이르기까지 의사국가시험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그 중에서도 몇 가지 큰 변화를 지적하자면[2], 

      • 시험을 주관하는 기관이 정부 부서에서 공익 중심의 민간 전문 평가기관으로 옮겨진 것을 시작으로 
      • 시험목표 설정, 
      • 시험과목수의 감소, 
      • 과목별 시험문항 수의 증가,
      •  문항의 질 및 형태 개선, 
      • 시험장소의 분산, 
      • 시험기관의 조직 보강 및 업무 확장, 
      • 험업무의 전산화, 
      • 국제기구와의 협력체계 구축, 
      • 2009년부터 도입된 실기시험의 도입 등이다. 

이제 의사국가시험은 의학지식뿐만 아니라 의과대학 졸업생들의 수행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게 됨으로써 개인의 자격 검증에 있어서 상당한 타당화를 이룩하였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의사국가시험에 윤리 관련 문항의 포함, 실제 임상표현 중심의 국가고시 출제, 컴퓨터기반 국가시험 개발 등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의사국가시험의 변화는 대학의 의학교육 내용, 방법과 학생들의 시험 준비 태도에도 상당 부분 영향을 주고 있다.


9. 의과대학 인증평가를 통한 대학의 책무성 강화

의과대학 인증평가제도는 외부기관이 실시하는 평가를 통해 의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추구하고, 의과대학의 교육 책무성을 향상시키는 수단이다. 우리나라는 의사 양성에 대한 국민적 염원과 고등교육의 대중화 정책에 따라 1980년대 이후 많은 의과대학이 설립되었다. 그러나 의학교육기관의 급격한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질적인 성장이 동반되지 못함에 따라 의학교육의 질 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강하게 제기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1998년 설립된 한국의과대학인정평가위원회(이후 2003년 재단법인 한국의학교육평가원으로 변경)는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전국 41개 의과대학을 대상으로 제1주기 의과대학 인증평가를 실시하였으며, 2007년부터는 제2주기 인증평가를, 2012년부터는 Post 2주기 평가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의과대학 인증평가제도는 대학 스스로 자체평가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의과대학 스스로 강점과 미비점을 분석하도록 한다는 점, 의과대학의 교육여건과 교육과정의 수준에 대해 사회적 인정을 부여한다는 점, 의학교육과 관계된 이해관계자들에게 교육의 질적인 수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갖고 있다. 지난 10여 년 동안의 의과대학 인증평가 사업은 우리나라 의학교육의 질적인 수준을 한 단계 높였으며, 의과대학들의 사회적 책무성 수행을 강화한 것으로 평가된다[3].

의과대학 인증평가 시스템은 세계적인 추세이다. 

      • 세계의학교육연맹(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은 의학교육의 국제 표준을 발표하고, 각국의 의과대학 인증평가(accreditation) 기구를 인정(recognition)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미국은 2023년부터 인증을 받지 않는 대학 졸업자들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연수와 취업을 제한할 예정이다. 
      • 우리나라도 의과대학 인증평가를 받지 않은 의과대학 졸업생들은 의사면허국가시험 응시 자격을 부여하지 않기로 하는 법률이 2017년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10. 의학교육 전문 기구의 설립

환자진료 또는 의학연구보다는 학생과 전공의 교육을 전담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1990년대 중반만 하더라도 대표적인 의학교육 전문가 그룹인 ‘한국의학교육학회’가 개최되면 약 50여 명의 교수들이 모여서 의학교육의 방향에 대해 논의를 했다. 2013년 현재 의학교육학술대회는 500명 이상의 교수들이 모여 지혜를 나눈다. 이러한 변화는 의학교육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의학교육 전문가 그룹이 성장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의학교육 관련 기관들도 체제를 정비하거나 활발한 교육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2003년 설립된 (재)한국의학교육평가원은 의학교육 기관의 평가와 인증을 담당하는 기구로 현재 Post 2주기 의과대학 평가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재)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은 의사면허시험을 주관한다. 한국의학교육학회는 의학교육 전문가들의 학술단체이다.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는 전국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의 협의체로 의학교육정책을 개발하고, 관련 자료를 생산, 공유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의학교육 관련 전문 기구의 설립에서 큰 특징은 개별 대학들이 의학교육 관련 전담 부서를 설치하고 있다는 점이다. 1996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이 의학교육학과를 처음 설치한 이후 2013년 12월 현재 전국 41개 대학 중 37개 대학이 명칭을 달리하지만 의학교육 전담 부서를 갖고 있으며, 전임교원과 연구원을 포함하여 약 90여 명이 재직하고 있다.



의학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의료 환경의 변화


대학의 교육과정은 사회의 다양한 요소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사회는 교육이 지향해야 하는 방향에 대해서 어떤 형태로든 영향을 미치는 세력으로 작용하고, 대학은 사회에 부합하는 인적 자원을 개발하기 위해서 끊임없이 사회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교육과정을 변화시켜 나간다. 즉, 사회에서 요구하는 지식, 기술 및 태도와 같은 역량을 분석하여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작업을 반복한다. 이런 맥락에서 의과대학이 사회 또는 의료 환경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수행해야 할 책무이다. 의학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국내외 의료 환경의 변화는 무엇인가, 의과대학은 어떤 역량을 갖춘 졸업생을 배출해야 하는가, 이러한 역량을 갖춘 졸업생을 배출하기 위해서 어떤 교육시스템을 갖추어야 하는가는 모든 의학교육 관계자들이 고민해야 하는 중요한 주제이다.


1. 의학기술의 발달

의학기술의 발달은 미래 의료분야 인적자원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1984년 이후 2029년까지의 과학기술 세계를 묘사한 과학자 Robert Prehoda의 ‘Your next fifty years’, 미국의 해부병리학자 Jeffrey Fisher가 ‘RX 2000: breakthroughs in health, medicine, and longevity by the year 2000 and beyond’에서 서기 2000년대 의료기술 전반에 걸친 발전 양상을 소개한 내용들은 놀라울 정도이다. 최근 발표된 Eric Topol의 ‘The creative destruction of medicine’은 빅 데이터와 의료분야의 연관성을 설명하고 있는데, 인간의 디지털화가 의사와 병원, 생명과학기업, 규제기관들 그리고 개인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점을 예견하고, 곧 닥칠 미래에는 의학이 개인에게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말한다. 또한 Clayton Christensen의 ‘The innovator’s prescription: a disruptive solution for health care’는 병원 사업모델, 의사의 진료모델, 만성질환 관리모델 등 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역설한다. (...) 이런 여러 가지 의학 기술의 발달은 결국 의료서비스체계에서 의사의 역할을 크게 바꾸어 놓을 것이 확실하다. 진단과 치료의 많은 부분을 기계에 의존하게 될 가능성 많아지고, 의사는 그만큼 환자들로부터 물리적으로 멀어지게 될지도 모른다. 우리는 의학기술의 발달이 가져올 의료 환경의 변화와 의사의 역할에 대한 새로운 담론이 필요한 시점에 왔다.


2. 인구 및 질병 구조의 변화

한 국가의 의료서비스는 인구학적 특성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최근 통계청이 작성한 생명표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의 평균수명은 2012년 출생 기준으로 81.44세(남자 77.95세, 여자 84.64세)로 2001년에 비하여 4.91세(남자 5.13세, 여자 4.60세)가 늘어났다. 평균수명 연장에 따른 인구의 노령화와 그에 수반되는 만성질병 중심의 질병 발생 양상 변화는 우리나라 보건의료 환경의 중요한 변화가 되고 있다. 또한 경제 수준 향상에 따른 식생활의 변화와 환경오염, 그리고 운동부족은 각종 만성 비전염성 질환의 발생률을 높이게 됨으로써 이들 질병에 대한 치료기술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유병상태가 큰 보건문제로 등장하게 될 것이다. 질병 구조의 변화는 의료의 소비 수요 증가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과거 인류 역사에서 질병의 전형적인 형태였던 전염병이나 위생과 관련된 급성질환들은 점차 감소하고 있고, 인구의 노령화와 생활행태의 변화에 따른 만성퇴행성 질환이 주류를 이루어 가는 추세가 뚜렷하다. 건강개념의 변화에 따라 질병 발생 이후의 치료서비스 추구와 같은 소극적인 개념에서 탈피하여 조기 진단 조기 치료, 그리고 질병의 예방, 건강 증진 등과 같은 보다 적극적인 개념의 건강관리가 보편화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과거에 병원이 맡아 왔던 각종 의료서비스 이외의 보건의료서비스가 개발되어 제공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변화들은 환자의 진료를 주 기능으로 하는 병원의 기능과 역할의 급속한 변화를 요구한다.


3. 정보통신 발달과 소비자 중심 사회

의료 환경의 변화와 관련된 최근의 사회적 변화 중의 하나는 정보통신 매체의 발달과 의학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다. 이러한 변화는 일반 대중들이 질병의 증상, 진단, 치료에 대한 정보를 손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의사들이 중심이 되어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의학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제 환자들은 전문적인 의학지식을 더 이상 의사들에게만 의존하지 않는다. 그들은 의료의 합리적 소비를 위해서 자신의 질병과 질환에 대해 스스로 학습하는 주체로 바뀌어 가고 있다. 의학지식은 의사들의 전유물이 아닌 시대가 되어 가고 있다. 일반 대중은 의사-환자 관계에서 파트너로서 성장하고 있다. 치료의 대상이자 치료의 주체이고 동반자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21세기 우리 사회의 또 다른 특징은 소비자 중심의 사회가 구현되고 있다는 점이다. 의료인은 자본주의 시장에서 의료라는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환자는 의료인으로부터 진료서비스를 제공받는 대가로 진료비를 지불하는 풍토가 조성된 것이다. 민주주의 정착에 따른 시민의식의 제고와 시장경제 체제하에서의 소비자 우대 현상은 의사-환자 관계에 있어서도 더 이상 의사의 가부장적 위치를 인정하지 않게 될 것이 분명하다. 의사 입장에서 보면 21세기는 더 이상 의사직이 권위적인 직업이 아니며 환자와 협력하여 건강문제를 풀어가야 하는 동업자적인 위치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변화와 함께 일반대중에게 다가온 새로운 개념은 건강권의 개념 확립이다. 건강권에 대한 개념의 변화는 현대 산업사회에서 의료가 과거와는 매우 다른 양상을 띠기 때문에 초래된 현상이다. 과거에는 질병의 형태가 전염성 질환 중심으로 발생하였으나, 물질적으로 풍요해진 현대사회에서는 만성질환, 유전성 질환, 정신질환 등으로 주요 질환의 형태가 바뀌었다. 뿐만 아니라 일반대중의 건강상태도 향상됨에 따라 의료서비스에 대한 추구행태도 변모할 수밖에 없고 의료에 대한 인식은 물론 의료인에 대한 인식도 달라졌다. 건강권의 확립추세는 의료기술의 혁신적인 발전과 맞물려서 의료의 내용이나 형태는 물론 의료의 주체가 의사로부터 진료를 받는 환자 쪽으로 전환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의료보험제도 실시 이후 의료수요가 증가하면서 이러한 추세는 더욱 가속화되었다.


4. 이해관계자의 의료에 대한 개입 증가

의료는 전문영역이어서 전통적으로 의료인의 자율성이 존중되는 부문이었다. 특히 민간중심의 시장경제 원리를 중요시하는 국가들은 보건의료 영역에 대한 국가의 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의료인들이 직업전문성(professionalism)을 발달시켜 자유전문직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 그러나 20세기 중반 이후 의료 전문직의 사회적 책무성(social accountability)이 강조되고, 보건의료를 단지 개인이나 가족의 책임으로 두었던 데에서 국가의 책임을 강조하는 추세로 바뀌면서 의료전문직과 사회 간에 이루어졌던 묵시적 사회적 계약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전통적으로 의료인의 전문영역으로 간주되었던 의료서비스 전반에 규제와 간섭의 모습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는 전 국민 의료보험제도를 도입하면서 사회보장형 보건의료체계에 가까운 형태로 의료서비스 체제를 전환하였다. 이제 보건의료는 주택, 환경, 교통, 교육 등과 마찬가지로 사회 구성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수적인 공공재화로 인식되고 있어서 국가와 사회가 책임지고 관여하는 서비스 영역으로 되었다. 이에 따라 국가 또는 시민단체가 의료 영역에 대하여 개입하기 시작하였고, 점차 그 정도가 심화되는 추세에 있다. 의료계 내에서는 보험제도의 실시 이후 의료인의 직업지위에 대한 우려가 커지게 되었고, 의료보험제도의 도입 이후에 의원들의 경영상태가 대체적으로 악화되었고, 의사들이 전문직으로서 최대한의 자율성을 가지고 진료를 할 수 없게 되었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의료보장제도 확립 과정에서 의사들의 진료에도 외부적 영향력이 개입됨으로써 의료인상이 상당히 변모되었음을 시사한다. 대부분 자본주의 체제하에서의 자유방임적 의료제도는 소비자의 의료 및 의사 선택권이나 의료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온 것이 사실이지만 지역 간, 계층 간 의료 서비스의 불균형과 의료비의 상승같은 부정적 현상을 심화시켜 온 것 또한 사실이다. 이런 제도를 채택해 온 미국 등 많은 나라가 점차 의료의 규격화 내지 사회화 방향으로 의료제도를 수정해 가고 있는 것도 바로 자유방임적 의료가 갖는 부정적인 면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이미 저수가 의료보험정책 등을 통해 의료비 상승을 억제해오고 있지만, 앞으로 포괄수가제 등을 도입하는 등 더욱더 의료의 규격화가 가속화되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료소비자 단체, 보험회사 등 제3자의 개입이 확대될 전망이다.



미래 의학교육을 위한 다섯 가지 제언


선진 외국은 1980년대 초부터 21세기 의료 환경 변화를 예측한 의학교육계획을 수립하고, 대학들이 경쟁적으로 의학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개선해 왔다. 미국의 경우 1981년 미국의사협회와 미국의과대학협회는 특별 연구 패널을 만들고, 3년여에 걸친 대대적인 연구를 거쳐 ‘21세기 의사상’으로 알려진 GPEP리포트(Report of the Panel on the General Professional Education of the Physician and College Preparation for Medicine)라는 책자를 펴낸 바 있고, 영국의학협회는 1993년에 ‘미래의사(Tomorrow's doctors)’라는 지침서를 발간하였으며, 2003년, 2009년에는 개정판을 만들어 모든 의과대학들이 그 내용을 준수하도록 한 바 있다. 일본도 1985년 이후 여러 차례 의학교육 전문가회의를 거쳐 1998년에 ‘생명과 건강을 지키는 21세기 의료인의 육성을 지향하며’라는 새로운 의료인 양성 교육계획 보고서를 발표한 일이 있다. 이들 나라의 21세기 의학교육계획이 모두 똑같은 것은 아니지만 이들이 진단하는 21세기 사회의 모습이나 이런 사회에서 필요한 의료인의 모습, 그리고 이런 의료인 양성을 위한 의과대학에서의 교육과정 내용이나 방법이 어떠해야 하는지는 거의 대동소이한 것을 알 수가 있다.


1. 의사들이 갖추어야 하는 역량에 기초한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의과대학 학생들은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증가된 의학지식, 술기 및 의사로서의 태도를 습득한다. 그럼에도 의료현장에서는 의과대학을 졸업하는 학생들이 활용 가능한 실제적인 능력을 갖추고 있지 못하다는 비판이 있다. 의과대학 기간 동안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는 중요한 문제 중에 하나이다. 의료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의료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있다. 의료분야에서 역량에 대한 최초의 논의는 미국소아과학회에서 ‘소아과 의사의 역량평가를 위한 토대(Foundations for evaluating the competency of pediatricians)’라는 논문이 발표되면서부터이다. 이후 미국의과대학협회는 1988년 의사들이 갖추어야 하는 네 가지 역량(knowledgable, skillful, dutiful, altruism)을 정의한 바 있으며, 미국졸업후의학교육인증평가위원회는 1999년에 전공의들이 획득해야 할 여섯 가지 역량(medical knowledge, patient care, interpersonal & communication skills, system-based practice, practicebased learning, professionalism)을 발표하였다. 캐나다에서는 왕립의학회가 주축이 되어 의사가 수행해야 하는 여섯개 역할(medical expert, communicator, manager, collaborator, health advocate, scholar, professional)을 중심으로 CanMEDS 2005를 도출했다. 영국의학협회도 1993년 발간된 ‘미래의 의사상’을 개정한 보고서를 2009년에 발간하면서 의사들이 가져야 하는 역량을 구체화하였다. 유럽에서도 2002년 스코틀랜드의 5개 의과대학이 열 두 개의 성과를 도출해 Scottish Doctor 모델을 개발하였다. EU 차원에서도 2008년에 Tuning Project를 통해 의학교육의 성과를 규정한 바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의료 환경 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의사의 역량을 국가적 차원이나 의학교육 관련 협회 차원에서 규정되어 있지는 않다. 다만 국내의 의학교육 관련 문헌들에서는 바람직한 의사상을 규명하려는 노력과 의료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갖추어야 하는 역량을 제시한 다양한 연구들이 있다[4,5,6,7,8].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의료 환경 변화에 따라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의사의 역량을 규명하기 위한 시도들을 하였는데, 맹광호[4]는 ‘21세기 한국 사회에서 바람직한의사상’이라는 논문에서 선행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여 미래사회 의사들에게는 예방적 일차 진료능력, 질병에 대한 자세한 설명능력, 높은 윤리의식, 의료제도에 대한 이해와 협력, 지역사회 보건의료팀 지도자로서의 자질, 보건의료정보의 생산 및 처리, 국제화 및 세계화 관련 의료 활동 능력, 평생교육의 생활화 등에 관한 역량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또한 안덕선 등[9]은 한국의 의사상 연구를 통해 다섯 가지 역량(patient care, communication & collaboration, social accountability, professionalism, education & research)을 개념화한 바 있다. 대한의사협회는 2013년 창립 105주년을 기념하여 의학교육 전문가들을 초청해서 ‘위기의 의사, 직업전문성 확보를 위한 제언’이라는 제목으로 특집 좌담회를 가진 바 있다. 이 자리에서 의학교육 전문가들은 인구 구조와 질병 양상, 그리고 건강에 대한 사회적 욕구의 변화 등으로 전세계는 이제 새로운 가치와 의무를 수반한 의사 양성교육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다는 점에 동의하면서 이런 세계적 추세에 부응하는 ‘새로운 의사의 역할(global role of doctor)’ 정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이들은 이런 상황에 대한 인식조차 제대로 되어있지 않은 우리의 현실을 ‘위기’로 진단한 바 있다. 새로운 시대, 새로운 의사 양성의 필요성과 그 구체적 실천을 위한 의료계 특히 의학교육계의 좀 더 구체적인 행동이 필요한 때이다.


2. 의과대학교육, 졸업 후 수련교육의 연계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의사 양성교육은 의과대학교육과 졸업 후 수련교육으로 구분된다. 의과대학을 졸업하는 시점에서 의사국가시험을 치르고 의사 자격을 취득하기는 하지만, 졸업생의 95% 이상이 인턴과 전공의 과정을 거치면서 실제 환자진료능력을 갖춘 의사로 성장한다. 이것은 의사 양성교육이 의과대학 교육, 졸업 후 수련교육이라는 연속선상에서 통합적으로 계획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계별 의사 양성과정이 잘 연계되어 있지 못하다는 지적이 많다. 의과대학교육은 교육부에서 관장하는 학위과정으로 규정되어 있고, 졸업 후 수련교육은 보건복지부가 관장하는 수련과정으로 분류되는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다. 의과대학교육을 담당하는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졸업 후 수련 교육과 관계되는 대한의학회 및 대한병원협회가 의사 양성이라는 큰 틀에서 유기적 협의를 충분히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은 우리나라 의학교육 계획의 부재라고도 설명된다. 의사 양성 단계별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다른 단계에서는 반영되지 않는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면 의과대학에서 새로운 교육 과정을 도입하고 새로운 평가 결과를 만든다 할지라도, 그것이 의사국가시험, 병원의 인턴, 전공의 선발에 반영되지 않는다면, 새로운 의학교육의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 인턴제 폐지 논의도 마찬가지이다. 의사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이 의과대학교육에서는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전공의 수련교육에서는 별로 중시되고 있지 않다면 그 문제는 매우 심각해진다. 이 두 단계의 교육이 얼마나 유기적으로 잘 연결되어 의사 양성을 하는가에 우리나라 의료의 미래가 달려 있다.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의사 양성 전 과정의 교육을 효율적으로 관리, 운영하는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대한의학회 및 대한병원협회가 함께 참여하는 ‘의학교육위원회’부터 시작해도 좋은 방법이다.


3. 의학교육의 질 개선 활동이 강화되어야 한다.

대학의 양적인 성장과는 달리 의과대학의 기능을 제대로 평가하고 그 질적인 수준에 대한 논의가 종합적으로 검토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후반의 일이다. 의학교육의 질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의 필요성은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수행에 대한 요구와 의과대학의 교육적 기능에 대한 비판적 의식이 고조되면서 활발히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의학교육의 질 관리는 교육의 질에 대해 관심을 갖는 주체에 따라 크게 국가, 대학 및 개인단위에서의 질 관리로 구분할 수 있다[10]

      • 첫째, 국가적 단위에서 의학교육의 질을 관리한다는 것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의사들에게 요구되는 최소한의 능력과 윤리적 태도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것은 보건의료정책의 개발, 인적 자원의 배분, 제한된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 등과 관계된 국가적 수준에서 결정되는 질 관리를 의미한다. 국가적 수준에서의 질 관리는 행정 및 재정과 관련된 감사, 국가면허시험, 평가인증제도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 둘째, 대학단위에서의 질 관리는 대학의 많은 사명 가운에 교육의 책무성 수행에 대한 요구라고 할 수 있다. 대학단위에서의 질 관리는 흔히 내적인 질 관리라고 할 수 있는데, 대학의 교육과정 중에 일어나는 각종 평가시험, 대학의 모니터링 시스템, 지속적 질 관리 활동이나 자체평가과정이 여기에 해당된다. 
      • 마지막으로 개인수준에서의 질 관리는 학생 또는 졸업생 개개인의 능력과 관계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개별 대학에 따라서는 교육과정과 교육여건의 차이가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이 주관하는 의사면허 필기시험 및 실기시험의 도입과 의과대학인증평가제도의 도입으로 국가수준에서의 질 관리는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았다. 이제 대학단위의 자율적인 질 관리와 학생 개인 수준에서의 학습의 질관리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한편, 그 동안의 질 관리가 의과대학교육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고 한다면, 이제 졸업 후 수련교육과정에서의 질 관리로 관심을 집중해야 할 때이다. 그 동안 졸업 후 수련교육과 관련된 많은 기구들이 질 관리 노력을 하고 있으나, 아직은 근본적인 문제들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국가적 차원에서 필요로 되는 전공의 숫자 조정과 엄격한 수련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새로운 기구가 필요할지 모른다. 또한 의사 연수교육 단계에서의 질 관리도 필요하다. 의사들이 스스로를 향하여 이런 엄격성을 보이지 못한다면, 의사가 국가나 국민에게 설득할 힘은 없을 것이다.


4. 의사양성 시스템을 재정비해야 한다.

의학교육기관들이 우수한 의사를 양성해 왔다는 사실을 부정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연구를 통하여 의학의 발전을 이끌었으며, 탁월한 의료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질병 치료와 국민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우리에게 성찰적 역량이 조금만 있다면 의사 양성의 핵심인 의과대학 교육이 얼마나 체계적이지 못한지 금방 알 수 있다. 2004년 의학전문대학원 제도가 도입되면서 우리나라 의학교육은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 시스템이 양립하게 되었다. 정부의 정책에 따라 많은 의과대학들이 의학전문대학원으로 전환하거나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을 병행하였고, 이제 다시 2015학년도부터는 5개 의학전문대학원을 제외하고는 의과대학 체제로 복귀한다. 이러한 변화과정에서 학생 선발, 의과대학교육, 수여 학위, 학술 학위 대학원 교육 등 많은 혼란을 겪었다. 아직도 고등학교 학생을 선발하는 의과대학, 학사학위 취득자를 선발하는 의학전문대학원, 그리고 의과대학 학사편입학 제도가 공존하는 상황에서 의사양성 시스템은 여전히 혼돈스럽다. 우수한 의사를 양성하는 데 있어서 의과대학 또는 의학전문대학원 시스템이 더 좋은가에 대한 논쟁은 시기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의학전문대학원 제도를 통해 배출되는 의사인력에 대한 중장기적 평가 결과가 도출되기도 전에 의학교육은 대학자율로 결정하도록 되었고, 많은 대학이 의과대학체제로 돌아가기로 했기 때문이다. 이제 혼돈의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를 지혜롭게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 첫째, 의과대학이든 의학전문대학원 체제이든 각 대학이 선택한 제도 하에서 양질의 의사들이 양성될 수 있도록 제도적 정비를 해야 한다. 어떤 의사인력 양성 체제가 더 좋은 제도인가에 대한 논쟁보다는 의학교육의 질적인 수준 향상과 교육여건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더 중요하다. 정부는 법률적 정비와 재정적 지원을 강구하고, 각 대학은 자신이 선택한 체제의 장점을 최대화하는 교육 정책을 실천하는 것이 필요하다. 
      • 둘째, 고등학교 학생을 선발하여 교육하는 의과대학 체제 하에서도 다양한 학문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을 선발하여 교육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다양성은 유지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BS-MD,MD-PhD 등 프로그램의 목적에 따라 국가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인재를 선발하여 교육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제도가 의학전문대학원은 가능하고 의과대학은 불가능하다는 논리는 적절하지 않다. 학사편입학제도를 포함해서 더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운영될 수 있어야 한다. 
      • 셋째, 다양한 학문분야에 대한 이해와 인성 개발을 위한 최소한의 교육기간과 교육내용이 담보되어야 한다. 의과대학 교육이 의학지식 및 술기를 함양하는 직업교육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고등학교 졸업생들이 의과대학에 진학해서 인문, 사회 등 다양한 분야의 교양과 인문학적 소양을 함양하도록 하고, 학생들의 잠재력과 창의력을 신장하는 교육 시스템이 되어야 한다. 
      • 넷째, 동일한 교육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동일한 학위가 수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교육은 세계의학교육이 구분한 의학교육 기본과정(basic medical education)에 해당한다. 따라서 현재와 같이 의과대학은 학사학위, 의학전문대학원은 전문학위로서의 석사학위수여는 타당하지 않다. 학술학위이든 전문학위이든 의학교육시스템에 부합하는 새로운 학위개념이 정비되어야 한다.


5. ‘대학의학’의 개념이 정립되어야 한다.

미국 의료계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학의학(academic medicine)’이란 말이 있다. 이 용어는 의사 양성 단계별 교육, 의학 발전을 위한 연구 및 보건의료가 대학의학에 의해 결정된다는 인식과 자부심에 근거하여 만들어진 말이다. 미국의과대학협회 연차 총회 개막연설에서 Kirch [11]는 대학의학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그는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한 나라의 의학교육이나 의학연구, 그리고 의료제도와 국민들의 의료행태 변화에는 의료인들의 책임이 작지 않다. 따라서 의료인을 양성하는 의과대학과 수련병원들이 이런 변화를 확실히 인식하고 있어야 할 뿐 아니라 그 변화를 올바른 방향으로 유도해가야 할 책임이 있다.”라고 주장하였다. 그의 연설은 대학의학의 뚜렷한 목표와 발전 전략 없이는 결코 한 나라의 보건의료문제나 국민들의 건강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었다. 우리나라의 대학의학은 한마디로 뚜렷한 리더십이 없는 상황에서 관련 단체들 사이에 힘의 분산과 불필요한 경쟁만을 계속해 온 면이 없지 않다. 의과대학은 의과대학대로, 병원은 병원대로, 그리고 전문 학회는 그들 학회대로 제각기 자신들만의 활동을 해온 것이 우리의 현실이고, 이 일은 결국 의료계 전체의 발전은 물론 각 관련 단체들 간에도 이해관계만을 증폭시켜 불필요한 경쟁 상태로 서로의 힘을 약화시켜온 점이 없지 않다. 이제 우리나라도 어떤 형태로든지 강력한 ‘대학의학’을 창출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그러기 위해 대학의학 관련 여러 단체가 의료 인력의 교육과 훈련, 그리고 연구 등에 관해 힘을 모아야 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국민건강 증진을 위한 의료시스템 구축과 운영에도 주체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의학교육도, 보건의료 시스템도 모두 현실적으로 정부의 계획에 따라 수시로 변화해야 하고 그로 인한 경제적, 사회적, 인적 비효율성의 피해가 고스란히 국민들에게 돌아가는 일이 계속될 수밖에 없다.







Korean J Med Educ > Volume 26(3); 2014 > Article

Received May 17, 2014       Revised June 16, 2014       Accepted July 3, 2014

의학교육 변화의 리더십

Leadership Challenges in the Advancement of Medical Education


신좌섭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Jwa-Seop Shin, M.D., Ph.D.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1. 의학교육의 변화에 대한 요구

의학교육의 변화에 대한 요구로는 의과대학 외부로부터의 압력과 내부로부터의 동력이 존재한다. 외부로부터의 압력으로는 ‘교육-연구-진료의 삼중고’로 상징되는 서로 상충하는 미션에 대한 사회적 요구, 의과대학 인증 및 의사국가시험의 압력, 재정적 유인 혹은 압박 등을 들 수 있다. 내부로부터의 동력은 의사집단, 졸업생, 교육환경의 현 상태와 이상적 상태의 격차로부터 변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비전을 설정한 리더 혹은 리더 집단으로부터 나온다[5].


1) 외부로부터의 압력

(1) 상충하는 미션에 대한 사회적 요구

의과대학 및 제휴 교육병원(affiliated training hospital)에 주어진 사명은 교육, 연구, 진료(봉사)이다. 이 3가지 사명은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의학과 의학교육의 발전에 기여해야 한다. 그러나 시대와 지역의 상황에 따라 3가지 사명은 서로 충돌하기도 한다[5]. 오늘날 우리나라의 교육병원들은 진료를 최우선으로 강조하고 의과대학들은 연구를 최우선으로 강조하고 있다. 이는 대학과 병원에 대한 사회적, 재정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구와 진료는 각각 대학과 병원의 가장 중요한 생존 조건이 되고 있다.

이 같이 교육과 상충할 수 있는 미션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의학교육을 변화시키는 외부적 압력으로 작용한다. 진료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면서도 학생이나 전공의 교육을 병행하는 방법론들이 의학교육의 화두가 되고 있는 것은 교육과 상충하는 미션의 압력에 부응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하겠다.


(2) 인증 및 자격시험의 압력

의과대학 인증평가도 의학교육 변화에 대한 외부적 압력의 하나로 작용한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인증유예나 인증불가 판정을 받는다고 해서 특별한 불이익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대학의 평판에는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인증유예나 인증불가를 받지 않기 위한 혹은 우수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한 의학교육의 변화는 인증평가 매 주기마다 크든 작든 각 의과대학에서 반복되고 있다.


의사국가시험도 의학교육 변화에 대한 압력으로 작용한다. 최근 의사국시 실기시험 도입은 임상수기센터 설립, 반복적인 모의 실기시험의 시행, 임상실습과정의 강화 등 각 의과대학의 교육에 적지 않은 변화를 가져왔다. 인증 및 자격시험의 압력에 의한 의학교육의 변화는 근본적으로 의학교육의 발전을 지향하지만 ‘평가 주도적 변화’라는 측면에서 규정이 요구하는 형식 요건이나 성과 지표를 충족하는데 주안점이 두어져 지속가능성에 한계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3) 재정적 유인 혹은 압박

의과대학과 교육병원에 대한 재정적 유인이나 압박도 의학교육 변화의 동력으로 작용한다. 의학전문대학원 전환을 조건으로 한 재정 지원과 이에 따른 교육변화가 최근 우리나라 의과대학들이 겪은 대표적 사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재정적 유인에 의한 변화는 비교적 추진하기가 용이하지만, 지원의 지속성에 따라 성공 여부가 크게 좌우된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정부의 의료수가 정책도 압박으로 작용한다. 의료수가 관리정책은 진료 행태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의료진이 학생, 전공의 교육에 할애하는 절대적 시간에 영향을 미치고, 재원 일수의 감축은 학생들이 환자의 질병 경과를 추적할 기회를 박탈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재원일수 감축은 최근 미국에서 본격적으로 시도되고 있는 과목간 통합임상실습(longitudinal integrated curriculum) 도입의 배경이 되었다[6].


2) 내부로부터의 동력

(1) 의사집단, 졸업생 역량에 대한 인식

내부로부터의 동력은 의사집단, 졸업생의 역량과 관련하여 교육과정의 현 상태와 이상적 상태의 격차로부터 변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변화의 목표를 세운 리더 혹은 리더 집단으로부터 나온다. 2000년 의약분업 사태 이후 각 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 프로페셔널리즘과 커뮤니케이션 스킬 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것은 졸업생이나 이미 배출되어 활동하고 있는 의사집단의 특정 역량 부족에 대한 인식이 교육 변화에 영향을 미친 대표적인 사례가 될 것이다. 수련기간 연장이나 인턴제도의 폐지 등도 의사집단의 필요 역량에 대한 인식변화에 따른 교육 변화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2) 교육환경(의학지식의 팽창과 세분화, 환자의 권리의식 향상 등)의 변화

1950년대 미국 케이스웨스턴 리저브 대학이 통합교육을 도입한 것은 전문분야의 과도 세분화와 의학지식의 고도팽창에 대응하기 위해, 전통적인 플렉스너 스타일의 기초 2년, 임상 2년 교육의 한계를 통합교육이라는 교각(bridging science)으로 연결한 창의적 변화의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7].

최근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고 있는 성과바탕의학교육(outcome-based medical education)이나 임상표현교육과정(clinical presentation curriculum)도 의학지식의 팽창과 세분화 속에서 필수 역량을 제대로 갖춘 졸업생을 배출하려는 의도를 갖고 있다. 한편 의료소비자로서 환자의 권리의식 향상은 환자안전교육, 시뮬레이션 교육이 급속히 보급되는 배경이 되고 있다.


(3) 새로운 교육이론이나 기법의 등장

1970년대 캐나다 맥마스터 대학이 문제바탕학습을 도입한 것은 임상적 맥락으로부터 동떨어진 무미건조한 이론학습에 대한 문제 인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어차피 의사가 될 학생들이 보다 즐겁게 흥미를 가지고 공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이었다[8]. 이렇게 도입된 문제바탕학습이 구성주의(constructivism) 교육철학의 이론적 성원을 받아 전세계로 보급된 것은 교육이론이 교육변화를 촉발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새로운 기법이나 이론을 벤치마킹하는 교육변화는 목표가 명확하고 가시적이어서 변화를 추구하기가 비교적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으나, 새로운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 새로운 행동방식을 채택해야 하는 교수와 학생의 특성, 교육환경의 특성 때문에 곤란을 겪는 경우가 많다. 1970년대 우리나라에 도입된 통합교육이 미국과는 달리 기초-임상 교실간 갈등으로 파행을 겪은 것이나[7], 북미에서 성공적이었던 문제바탕학습이 아시아권에서 정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그 좋은 예이다.



2. 의학교육변화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변화 추진 주체에 대하여


변화는 후원자(sponsor)와 변화촉진자(change agent), 동참자(target)의 역동적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다. 으레 학장단 등 정책결정자로 간주할 수 있는 후원자의 역할은 변화의 범위와 깊이를 결정하고 변화의 비전을 조직구성원에게 설파하며 변화에 필요한 자원을 조달하고 스스로 변화된 행동을 솔선수범하는 것이다. 변화를 기획하고 이론적으로 지원하는 변화촉진자의 역할은 변화의 각 단계를 이끌어나갈 전략을 수립하고 변화에 대한 저항에 대처하며, 변화의 성과를 측정하고 이를 조직에 전파시키며, 변화활동이 각 현장에 잘 접목되도록 하는 것이다. 변화를 실제로 현장에서 실천해나가는 조직구성원이라고 할 수 있는 동참자의 역할은 변화활동의 기획에 함께 참여하고 현장의 목소리로 의견을 내며 변화에 필요한 새로운 스킬을 배우는 것이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의과대학 상황에 비추어 본다면 여기후원자는 학장단, 변화촉진자는 의학교육실이나 의학교육학 교실, 교육위원회 등이 될 것이고 동참자는 일반 교수와 학생들이 될 것이다. 즉, 학장단이 의학교육담당기구의 전문성을 활용하여 교수와 학생들을 설득하고 변화를 추진해나가는 것이 우리나라 의학교육에서 변화 추진의 가장 일반적인 구조이다.


그러나 의학교육 변화에 많은 시간이 걸리는 데 비해 후원자 역할을 해야 할 의과대학 리더십의 수명은 대부분의 대학에서 2년이고, 변화촉진자 역할을 해야 할 의학교육실의 전문성을 일반 중견 교수들은 잘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의학교육에 대한 이해가 깊으면서 대학구성원으로부터 신뢰를 받는 중견, 원로 교수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9]. 중견, 원로 교수 집단이 의학교육실의 부족한 전문성을 보완하고 학장단 교체 후에도 리더십의 연속성을 담보하는 구조를 창출해야 하는 것이다.



4. 변화의 단계


변화의 실패는 무엇보다도 교육을 개혁하겠다는 사람들이 갖고 있는 잘못된 신화들이 원인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많은 교육개혁자들은 구성원들이 자기들의 생각에 동참하기만 하면 개혁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순진한 생각을 갖고 있다. 이들은 개혁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그들이 따라오지 않기 때문’이라거나 ‘그들의 완고한 사고방식 때문’이라고 탓한다. 따라서 변화를 성공시키려면 먼저 개혁자가 되고자 하는 사람들을 먼저 개혁해야 할 필요성이 생긴다[11].


변화를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과학에 기반한 방법론, 즉 변화관리(change management) 이론에 근거하여 변화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변화관리란 변화를 이끌어가는 변화촉진자가 변화를 실제로 수행해야 하는 조직구성원과 대화를 어떻게 해나갈 것인가,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 조직상황을 어떻게 창출할 것인가, 성공적인 변화를 위해 조직적 유대감을 어떻게 창출할 것인가에 관한 방법론이다. 변화관리 이론은 기업 조직에서 만들어진 것이지만 대학에서 변화를 추진하는 데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교육을 바꾸고자 하는 변화촉진자(change agent)들도 변화관리 이론을 현장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변화이론의 대가로 널리 인정받고 있는 Kotter에 의하면 성공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변화의 8단계를 따라야 한다[12]. Kotter가 말하는 변화의 8단계는 

조직 내 위기감 조성(increase urgency), 

변화추진팀 구축(build the guiding team), 

비전 개발(get the vision right), 

비전의 전파(communicate for buy-in), 

변화의 실천 독려(empower action),

단기적 성공사례 창출(create short-term wins), 

화의 지속적 추진(don’t let up), 

변화의 고착(make change stick)이다.

8단계 각각은 변화촉진자가 수행해야 할 임무이며, 여덟 단계 각각의 가장 중요한 과제는 후원자(sponsor)와 동참자(target) 등 조직 구성원들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8단계 이론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 의과대학에서 변화실패의 잦은 원인으로는

변화이론에 무지하거나 인간행동의 변화를 지나치게 단순하게 바라보는 ‘변화촉진자 측의 미숙’, 

총론에는 찬성을 얻지만 각론에서 반대에 부딪치는 ‘비전 구체화의 실패’, 

설득과 동참에 걸리는 긴 시간을 버티지 못하고 변화를 중도에 포기하는 ‘변화 동력의 조기 무력화’, 

2년 주기로 학장단이 교체되고 새로운 학장단은 전임자들이 한 일을 무력화시키는 ‘후원자의 잦은 교체’ 등을 들 수 있겠다.



5. 의과대학의 조직 특성: 느슨하게 결합된 조직


기업에서의 변화보다도 의과대학이나 교육병원에서의 변화가 더 어려운 것은 의과대학과 교육병원의 독특한 조직특성 때문이다. 의과대학이나 교육병원은 조직이론가들이 말하는 ‘느슨하게 결합된 조직(loosely coupled organization)’의 전형적인 예이다[13]느슨하게 결합된 조직은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조직 단위들이 상대적으로 강한 자율성을 갖고 있어서 시스템 내 한 단위가 다른 단위에 별로 혹은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하거나, 때로는 정반대로 예상 밖의 강력한 반응을 촉발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느슨하게 결합된 조직에서는 전문화, 세분화를 지향하는 힘에 비해 조직 통합의 힘(전체로서의 정체성, 전체로서의 미래에 대한 고민)이 훨씬 더 약하다.

때문에 권위가 상부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은 구성원으로부터 나오는 것이 아니라 조직구성원으로부터 나온다. 따라서 느슨하게 결합된 조직을 이끄는 데에는 치밀하게 결합된 조직(closely coupled organization)을 이끄는 것과는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


이런 조직 특성 때문에 의과대학에서의 변화는 상명하달의 위계적 조직의 변화와는 달리 일종의 캠페인적 성격을 가질 수 밖에 없다. Gilmore에 따르면 성공적인 캠페인은 아래 4가지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14].


1) 조직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Listen to the Institution).

미래가(아직 완전한 형태로 드러나지는 않지만) 이미 조직 내에 존재한다는 것을 믿고 조직 내에서 파일럿 사례를 찾아야 한다. 이미 잘 작동하고 있는 혁신의 사례를 발견하고 조직 내 혁신의 리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또한 갈등과 긴장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2) 널리 공명할 수 있는 테마를 찾아야 한다(Develop a theme that resonates and mobilizes).

사람들을 스스로 동요하게 하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테마를 찾아야 한다. 조직에 귀를 기울임으로써 테마를 발견할 수 있다. 좋은 테마는 창발적이고 개방형(open-ended)이며 사람들을 자발적으로 끌어들인다.


3) 사람들을 끌어들여야 한다(Sweep people in).

이미 변화를 실행하고 있는 사람들을 찾아야 한다. 만남을 새로 만들려 하지 말고 기존의 만남과 포럼을 활용한다. 사람들의 에너지를 포착하고 이것을 극대화하여 구성원들과 연합해야 한다.


4)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Build the infrastructure).

전략회의실을 만들고 신속하게 대응해야 한다. 종자돈과 같은 재정적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명료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기존의 조직구조를 효과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Leadership Challenges in the Advancement of Medical Education
의학교육 변화의 리더십

신좌섭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Jwa-Seop Shin, M.D., Ph.D.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Abstract
Constant change is inevitable in medical education. Medical education is continually influenced as medical schools adapt to new environments, as the society redefines the role of doctors, by ongoing advancements in medical practice, and as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continues to improve. In addition, the external stakeholders such as consumers, government, and accreditation bodies and internal stakeholders such as professors and students are seeking for changes in medical education. Developing an adequate response to the ongoing change in medical education is not easy. Making changes in a complex system like medical education has been compared to ‘moving a graveyard’. In order to facilitate successful adaptation to the evolving social and educational parameters involved in medical education, leadership would benefit greatly by the study and application of change management theory that has proven successful in corporate manage ment. A number of authors have suggested Leadership Challenges in the Advancement of Medical Education that ‘in loosely coupled organizations like medical schools, a campaign approach is more effective than a general change management approach’. To make the campaign approach successful, change leaders in medical education need to be facilitative leaders who can stimulate and guide constructive dialogue between faculty members and students, and who can promote a sense of ownership of the ongoing changes developing in the consultations between the internal stakeholders comprising the professors and students. 


의학교육학회의 발자취

가천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백상호





1. 학회 설립 이전의 의학교육 상황

1970년대는 우리나라에 두 가지 개념, 즉 전통적으로 지켜오던 의학교육과 새 개념의 의학교육이 처음으로 마주치던 시기였다. 그 결과 의학교육을 담당하던 사람들 사이에 자연스럽게 그 흐름에 공감하는 그룹이 생겼는가 하면 그런 변화에 대하여 거부감을 가지는 보수적 그룹도 생겨나게 되었다. 생각의 차이는 학자들의 속성인 고집과 주장으로 명확히 나타나게 되었으며 새 트렌드가 현실화되어 교육 현장에 자리를 잡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그 때나 지금이나 의학교육을 실행으로 옮기는 것은 교수 개인이고 그것을 총괄하여 방향을 설정하는 총책임자는 각 대학의 학장이다. 새 개념 도입의 결정 여부, 방향 전환의 칼자루는 학장이 쥐고 있었다. 대체로 학장 그룹은 보수적인 전통 지지자였다. 그러나 몇몇 학장은 그 때부터도 매우 앞서가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새로운 의학교육 흐름 속에는 커리큘럼 개선, 새 교수법의 연수, 의학교육 연구, 타당성 있는 학습 평가와 능력 검증, 교육 환경에 대한 기관 자체의 객관적인 평가 등 할 일이 산 같이 쌓여 있었다. 학회 설립 이전에는 학장모임이 유일한 의학교육 관련 기구였다. 따라서 교육개선을 위한 연구, 실행을 위한 정보교류, 발표도 학장 모임 외에는 달리 주관할 주체가 없었다. 그러나 그 때는 그런 분위기가 성숙되기에는 조금 이른 시기였기 때문에 주제로 다루어지지도 않았고 모르기도 하였지만 관심도 매우 낮았다. 힘의 차이, 생각의 차이, 설득력의 부족 등으로 새 개념의 도입 과정에는 시련과 정신적 갈등이 불가피하였다. 그런 가운데서도 한 때는 학장모임이 강한 리더십으로 새로운 교육 패턴으로의 변화를 유도하기도 하였던 시절이 있었고 리더십 중단으로 과거로 회귀하는 경우도 생겼다. 그런 과거를 가장 잘 보여주는 흔적이 학장 모임의 변화와 이에 따르는 학회의 역사 속에 남아있다.


2. 학장모임의 변천과 학회

우리나라 의과대학 학장모임(Deans meeting: 너무 이름이 다양하여 연대를 초월하여 이렇게 부르고자 한다)의 목표는 연대별로 달라졌고 따라서 모임의 이름도 달라졌다. 50년 사이에 모임의 이름이 여러 번 바뀐 것과 1800년대에 수립된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AMC)가 아직도 그 설립 당시의 이름으로 활동을 하고 있는 것과는 대비가 된다. 

학장 모임은...

      • 1960년대에는 정보교류, 친교였고, 
      • 1970년대에는 강한 리더십으로 한 때 새 개념 도입에 선봉으로 나섰다. 그러나 
      • 1980년대에 들어와 초기 이념을 잃고 표류하다가 과거로 회귀하였다. 
      • 1990년대에는 리더십 상실로 이견, 대치, 긴장의 경과를 보였고 
      • 2000년대에 들어서서는 복잡한 환경 속에 학장모임이 교육 개선의 중심 축 역할을 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새로운 견인차 역할의 시동을 걸었다. 

지나간 50년의 학장모임의 역사적 이벤트를 요약하여 한 마디로 표현한다면 awakening, rising, fluctuating, pioneering으로 나타낼 수 있다.


3. 의학교육 관련 기관의 설립과 학장모임

새로운 의학교육 관련 기구 탄생은 불가피한 시대적 소명이었고 학장 모임은 새 기관과는 긴장 상태를 가지면서도 탄생에 많은 힘을 실어주었다. 새로 생긴 기관은 10년 단위로 네 기관이 된다.

      1. 1975년: 의학교육연수원(National Teacher Training Center, NTTC), 교수 연수
      2. 1983년: 한국의학교육학회(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Education, KSME), 연구, 개발
      3. 1992년: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National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Board, NHPLEB), 의사면허시험
      4. 2003년: 한국의학교육평가원(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KIMEE), 평가, 인증

첫 기구 설립은 의학교육연수원이었다. 

      • 1970년대에 학장모임이 강한 리더십을 발휘할 때 전체 결의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새로운 개념의 교육 실행을 위해서는 지속적이고도 전문적인 연수 업무가 시급히 필요했으며 학장모임이 이것을 수행하기에는 벅찼고 이에 따라 일을 분업화함으로써 더욱 발전시키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탄생시킨 것이다. 
      • 그 후 1983년에는 의학교육학회가 자생적 설립을 하였고, 
      • 1992년에는 졸업생의 자격검증 수준을 바로 잡기 위해 의사국시원이 생겼으며, 
      • 2003년에는 의학교육평가원이 설립되었다. 


이 모든 기관은 의학교육에 관심을 가졌던 교수들의 규합에서 시작된 것이다. 자생적인 설립이었지만 기관 운영을 하는 이사회에는 반드시 학장모임의 대표를 참여하도록 하는 것을 잊지 않고 시행에 옮겼다. 네 의학교육 관련 기관은 학장 기구와는 어떤 의미에서는 매우 긴장되게 하는 성격을 띠었지만 의과대학의 교육을 발전시키는 데 간접적인 자극제 역할을 하여 의학교육을 오늘의 수준까지 끌어올리고 발전시킨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비록 각 기관의 목표는 달랐지만 (...) 궁극적으로는 한결같이 ‘좋은 의사 교육’을 하도록 돕는 것을 공통된 목표로 하고 있으며 입학에서 졸업까지의 여러 과정에서 의학교육(커리큘럼, 교수, 학생, 시설, 재정 등)의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는 점에서 그 업적이나 활동을 인정받고 있다. 다만 의학교육 관련 기관마다 시기를 달리하고 별도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다섯 기관 사이에는 목적은 달리 명시했으나 기능의 중복도 나타났고, 소통의 소홀로 인한 긴장 상태, 경쟁심도 생겨났다. 모든 기관은 올바른 교육 실행을 도우려는 초기 목표를 잊어서는 안 되고 그런 점에서는 학장모임과 긴밀한 접촉이 꾸준히 있어야 했다. 다만 학장모임이 지속성 면에서 취약하고 업무의 단절이 자주 생기는 현실은 학장모임이 다른 기관의 빠른 발전에 밀리는 현상을 빚게 했다. 이제는 다른 의학교육 관련 기구를 ruling 한다는 권위적 자세를 접고 다른 어느 업무보다 우선하여 학장모임이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스스로 개선할 과제이다. 어제의 학장이 내일은 기관에서 일을 하는 회원으로 될 수도 있고 그 회원이 다시 학장모임의 일원으로 참여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모두가 단일 공동체라는 의식의 변화가 앞서야 한다. 때로는 속도의 조절도 절실히 필요하고 언젠가는 궤도 수정을 하고 조율해야 할 중요 과제로 보이며 이를 위해서는 끊임없는 의사소통이 있어야 한다.


4. 의학교육학회 설립의 배경과 경과

학회가 태어나기 이전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배경과 경과를 기술하자면 대략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1) 의학교육의 새 패러다임을 감지(1960년대)
      • 2) 비슷한 경험을 한 동료들의 공통 화제에서 시작(1970년대)
      • 3) 학장협의회 전문위원으로 활동하며 공감 유도(1970년대)
      • 4) 18회에 걸친 의학교육 세미나, 보고서 발간 유지(1970 년대)
      • 5) 의학교육 활동 기능을 분업화하도록 의견 규합(1980년대)
      • 6) 학장회의와의 공감 형성에 부진 상태 생겨 타개책 강구(1980년대)
      • 7) 학장회의 목표가 과거로 회귀(친목, 교류)(1983)
      • 8) 학장협의회 주관 전국적 세미나, 발간 중단(1984)
      • 9) 학회 탄생, 회장단과 임원진 구성(1983)
      • 10) 설립 초기부터 활동 정지, 휴면 상태로(1983~1989)
      • 11) 창설 6년 뒤 학회 재건, 활동시작(1989)
      • 12) 많은 교수의 동조 공감으로 빠른 발전(1989~현재)

이처럼 학회는 복잡한 환경, 답답한 감정 대립 속에서 탄생 성장하였다. (...) 일단 학회가 정상 궤도를 달리게 되었을 때 학회 중요 활동인 학술대회는 역사의 변화에 따라 이 역시 변동을 보였다. 

      • 처음에는 봄·가을 두 번에 걸쳐 학회 주최(1989~1994)로 시작하였으나 
      • 냉담하던 학장모임이 마음을 바꾸어 봄·가을 학장협의회와의 합동으로 하자고 제안하여 공동주최(1994~2006)로 바뀌었고 
      • 그 뒤 의학회가 합류하여 지금은 연 1회 봄에 합동학술대회가 열리게 되었다. 


주최를 어느 기관에서 하느냐의 문제는 예산, 관리 능력, 기획력, 지속성 등 여러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이것 역시 복잡한 경과를 밟게 된 것이다. (...) 회원들의 강한 의지, 섭섭함, 욕심, 열정이 뒤섞인 복잡한 감정 속에 무모하기까지 한 자세로 학장그룹과 대립하였던 점은 다시는 되풀이되지 말아야 할 잘못된 일로 여겨진다. 아무리 새 개념의 전파 보급이 빠르게 이루어졌다고 해도 대학에서의 실행 단계에 턱이 높아지면 헛일이 된다는 점에서 학장모임과의 관계 중요성을 1차적으로 고려했어야 했다는 아쉬움이 생긴다. 상대적인 입장의 학장모임도 역사를 돌이켜보며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하지 않으면 더 어려운 처지가 닥치게 될지도 모른다. 많은 의학교육자들은 학장이 자율적으로 앞장서서 더 많이 공부하면서 교수들을 이끌어 가는 견인차 역할을 해 주었으면 하는 것이 간절히 바라는 바였다. 실제로 모든 관련 기관은 학장 모임과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고 모든 활동은 의대 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므로 소통과 교류 그리고 협조가 절대적임을 뒤늦게나마 뉘우치게 되었다. 이제는 그것이 원활하게 돌아갈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할 때가 왔다.


5. 설립 이후의 활동 중단 사연

그토록 갈망하던 학회가 1983년 설립된 이후 제대로 활동 한번 못하면서 6년을 보냈다. 그 사연은 과연 무엇이었을까? 천신만고 끝에 발족한 학회에는 초대 회장과 부회장을 포함한 임원 7명, 평의원 25명이 있었다. 그러나 이들 초기 임원 중 많은 수의 멤버에게 같은 해 신상 변동이 있었다.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회장이 지방 대학 학장으로 부임하게 됨에 따라 서울에서 중심을 잡고 활동하던 때와는 달리 신설 대학의 ‘올인’해야 할 학장 업무에다 학회 활동의 시동이라는 두 가지 작업을 감당하기 어려웠던 것이 결정적이었을 것으로 본다. 불행하게도 초대 회장은 2년 만에 급서를 하게 되었고 리더를 잃은 나머지 멤버도 의욕을 잃게 되었으며 그런 가운데 초기 멤버 여러 사람이 비슷한 때에 학장, 병원장, 부원장, 의료원장 등으로 부임함으로써 차질은 점점 커지고 말았다. (...) 이 6년의 공백에서 얻은 교훈은 리더십의 중요성, 사람 사이의 감정 조정이 절실히 필요했으며 의욕은 맨 주먹으로도 가능했으나 현실은 최소한의 재정이 필요했다는 사실이다.


6. 맺는 말

학회의 발자취 성찰을 통해 얻은 교훈을 정리하자면 다음의 여섯 가지로 정리된다. 

1) 의학교육 관련 기관은 시간을 나타내는 시계의 톱니바퀴 관계이다, 

2) 각 기관 업무에는 전체적인 구심점이 필요하다, 

3) 힘겨루기는 톱니바퀴의 기능에 장애를 가져올 뿐이다, 

4) 어떤 기관이든 일은 권위, 힘보다는 능력과 포용력으로 추진해야 한다, 

5) 중복되는 업무는 경쟁심을 가져오지 않도록 정리가 시급하다, 

6) 학회 일을 배가시키기 위해서는 인력 인프라의 확대가 시급하다 등이다. 


다만 수준 낮추기의 하향평준화는 절대 있어서는 안 되며 속도 조절로 나란히 가도록 해야 한다.








Korean J Med Educ > Volume 24(1); 2012 > Articl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