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교육 분야에서 50년간의 논문 출판 분석(Med Teach, 2013)
50 years of publication in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KYUNGJOON LEE1, JULIA S. WHELAN1, NANCY H. TANNERY2, STEVEN L. KANTER2 & ANTOINETTE S. PETERS1
1Harvard Medical School, USA, 2University of Pittsburgh, USA
의학교육 분야의 논문 출판은 1950년에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가 Journal of Medical Education으로 바뀌면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의학교육이 학문의 한 분야로 자리잡은 초기에는 매우 느릿느릿했다. 이는 1966년 의학교육을 전문으로 다루는 두 번째 저널 British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이 생길 때까지는 그러했다. 이후 일부 다른 저널들도 그 사이에 생기긴 했으나, 5개의 온라인 그리고 인쇄판 의학교육 저널들이 갑자기 등장하였다( Journal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Education in Care). 이제 의학교육 분야는 주요한 출판분야로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성장을 특징짓는 것은 무엇일까?
Published scholarship in ME began in 1950 when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transformed itself into the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Yet, the early history of ME as a scholarly field was almost languid. It was not until 1966 that a second journal dedicated to ME appeared, the British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Kuper et al. 2010). A few others appeared in the intervening years, but recently 5 new online and print ME journals have suddenly appeared (e.g. Journal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Education in Care). Now, the field of ME is abloom with Primary publications. What characterizes this growth?
방법
Method
검색
The search
의학교육의 출판 패턴을 따라가기 위하여 MeSH를 가지고 MEDLINE의 multi-faceted indexing을 활용였고, 트렌드를 Medvane으로 분석하였다.
To follow publication patterns of ME, we took advantage of the multi-faceted indexing of MEDLINE with the Medical (MeSH) Subject Headings taxonomy, and analyzed trends using Medvane (Lee 2011).
분석
Analyses
우리는 50년간의 출판물, 저널, 주제를 분석하였다.
We tracked publications, journals and topics over 50 years (1960–2010).
결과
Results
1960년과 2010년 사이의 의학교육 관련 출판물
Evolution of ME publications from 1960 to 2010
그림 1(a)는 MEDLINE에 색인된 의학교육 논문을 MeSH 주제어로 1960년부터 2010년까지 본 것이다. 1960년 279개에서 2010년 3760개까지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 50년간 폭발적 증가, 축소, 변화없는 상태가 모두 있었다. 일반적으로 1983년까지는 작은 증가/감소가 있다가 이후로는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Figure 1(a) illustrates the pattern of articles indexed in MEDLINE with ME as a major MeSH heading from 1960 to 2010. The number of ME articles indexed in MEDLINE increased 13-fold from 279 articles in 1960 to 3760 in 2010. However, within this 50 year period, there were several periods of expansion, contraction and steady state. In general, there were small increases and decreases in publications until 1983 after which there was an almost steady rise in the number of annual ME publications.
그림 1(b)는 MEDLINE에 ME로 색인된 모든 논문의 비율이다. 1960년에는 0.3%였으나, 빠르게 증가하였고 (아마도 artifact로 보이며), 이후 1982년까지 감소하다가, 1982년부터 2001년까지는 0.33%에서 0.41%로 증가하였고, 21세기에는 14%포인트 증가하였다. 따라서 ME 출판 뿐 아니라 - 생의학분야의 전반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 의학교육은 MEDLINE 색인 출판에서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Figure 1(b) illustrates the percent of all articles indexed in MEDLINE indexed as ME. In 1960, ME articles accounted for 0.3%of MEDLINE’s citations and the percentage rose markedly in that decade, possibly an artifact of the inception of MEDLINE and retrospective indexing. Thereafter, it declineduntil 1982. From 1982 to 2001, the percent of ME articles rose8% points (from 0.33% to 0.41%) and the last decade (2000s)has seen an increase of 14% points (from 0.41% to 0.55%).Therefore, not only has the number of ME publications grown,but, despite growth in other biomedical fields, ME represents an increasingly larger proportion of all MEDLINE indexed publications.
저널들의 의학교육 분야 출판
Journals’ publication of ME
1960년 이후, ME에 특화된 저널의 수와, ME관련 논문을 가끔이라도 게재하는 저널의 수가 증가하였다. 더 나아가 ME 저널은 색인된 저널 전체에서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전체적으로 4208개의 서로 다른 저널이 최소한 하나 이상의 ME 관련 논문을 출판하였으며, 이는 1960년 104개의 저널에서(5.5%), 2010년 855개(14.2%)로 늘어난 것이다.
Since 1960, the number of journals dedicated to ME and the number of journals occasionally publishing an article about ME have increased. Moreover, ME journals began to account for a larger percent of the overall corpus of indexed journals. general Overall, 4208 different journals (e.g. specialty or medical journals, as well as ME journals) published at least one article in which ME was indexed as a major topic. In 1960, 104(5.5%) journals published ME articles, whereas in 2010, 855(14.2%) did so (Figure 2a and b).
1960년대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 ME를 전문으로 다루는 저널은 1~3개에 불과했다. 1985년부터 1990년대 후반까지 그 수는 두 배가 되었고,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세 배가 되었다. 2010년 MEDLINE에 ME 특화 저널이 11개 있었으며, 비록 13개의 저널이 1960년과 2010년 사이에 존재한 적이 있고, 일부 새로운 저널 중에서 아직 색인되지 않은 것도 있긴 하다. 모든 분야의 저널이 증가했음에도 ME저널은 1960년대에 비해 MEDLINE에 색인된 모든 저널 중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01년까지 ME저널의 퍼센트는 0.04%에서 0.11% 사이였다. 새로운 ME저널의 등장으로 이제는 0.24%까지 증가하였다.
From 1960 until as recently as the mid-1980s, there were only 1–3 journals dedicated to ME (data not tabled). From 1985 through the late 1990s the numbers doubled (ranging from 3–6) and then tripled between 2000 and 2010. As of 2010, MEDLINE lists 11 journals dedicated to ME, although 13 journals existed at some time between 1960 and 2010 (Figure 3 starred journals) and some new journals are not yet indexed (i.e.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When journals changed their names over time – e.g.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now Academic Medicine – we counted them only once (Figure 3)). Despite an increase in journals in all fields, ME journals now account for a larger proportion of all journals indexed in MEDLINE than they did in 1960. Until 2001, the percent of ME journals ranged between 0.04% and 0.11%.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ME journals, the percent of ME journals now represents 0.24% of all journals (data not tabled).
그러나, 중요한 것은 80%의 의학교육 논문들이 ME저널이 아닌 저널에 출판된다는 것이다. 13개의 ME저널은 지난 50년간 출판된 전체 ME논문 중 약 18%만을 차지하고 있다.
However, importantly, more than 80% of all ME articles were not published in ME journals. The 13 ME journals that existed, even briefly, during the 50 year period published only 18% of all ME articles (n¼14 753).
ME가 주 영역으로 자리잡으며 진화한 공동-주제(co-topic)
Evolution of co-topics with ME as a major topic
ME아래 네 가지 주요 주제가 있다고 포함했다. MeSH에서 GME와 인턴/레지던트 에 대한 정의
Subsumed under the term ME are four major sub-topics:
- undergraduate ME;
- graduate ME (GME);
- internship and residency and
- continuing ME (CME, first row of Figure 4).
- (The MeSH definition of GME is
- 의과대학 졸업생이 전공의 교육을 받는 교육 프로그램. 여기에는 임상과 기초의과학의 학술적인 교육훈련 뿐 아니라 공식적인 전공의 수련도 포함되며, advanced medical degree 혹은 보드 자격증을 취득하는 과정이다.
‘‘Educational programs for medical graduates entering a specialty. They include formal specialty training as well as academic work in the clinical and basic medical sciences, and may lead to board certification or an advanced medical degree.’’ - The MeSH definition of internship and residency is
- 의과대학 졸업생이 인증기구가 설립한 요구조건을 달성하기 위하여 병원에서 제공하는 의학과 전공과목 수련을 위한 프로그램
‘‘Programs of training in medicine and medical specialties offered by hospitals for graduates of medicine to meet the requirements established by accredit-ing authorities.)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2)
위에서 언급된 sub-topic에 더하여 우리는 co-topic을 분석하여, 1960년과 2010년 사이에 모든 ME출판물 중 10% 이상을 차지한 co-topic을 분석하였다. (curriculum, teaching, clinical competence, medical students and educational measurement)
In addition to the sub-topics listed above, we analyzed co-topics that occurred most frequently with ME between 1960and 2010 and accounted for more than 10% of all ME publications: curriculum, teaching, clinical competence, medical students and educational measurement
각 토픽의 상대적인 중요성은 해마다 달라졌다.
Within this tim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opics changed, sometimes from year to year.
저널별 co-topic
Co-topics by journal
Table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5개의 저널은 서로 서로 다르다.
As displayed in Table 1, the five journals differed both from one another and from all others.
자주 출판되는 주제
Frequently published topics.
저널별로 독특한 주제
Unique topics by journal.
추가로, 각 저널은 의학교육에서 평균적으로 나타나는 비율보다 그 자신을 더 잘 나타낼 수 있는 주제를 더 출판하여 스스로의 특징을 드러내었다.
Additionally, each journal distin- guished itself by publishing more than the overall proportion of ME articles with less frequently indexed co-topics.
지난 50년간 ME의 연간 출판은 13배가 증가하였고, 총 8만개 이상의 논문이 MEDLINE에 색인되었다. 이 증가세는 꾸준한 것도 아니었고 언제나 증가해온 것 만도 아니었다.
In the past 50 years, annual publications in ME increased 13- fold, with a total of over 80 000 articles indexed in MEDLINE. The rate of increase was neither steady nor constantly positive.
이번 연구에서는 위대한 성장의 시대 동안의 ME출판의 포괄적 역사를 다뤘다. 우리는 ME가 주요 주제로 색인된 모든 저널의 모든 출판물을 분석하였다. 대조적으로 Rotgans는 이중 일부를 분석하였는데, 6개의 ME저널에서 1988년과 2010년 사이에 출판된 연구 논문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도 ME가 학문분야로서 성장했다는 것 외에도 ME가 연구의 한 분야로 성장했음을 확실히 보여준다. Rotgans와 마찬가지로 우리도 시간에 따라 주제가 변하고, IF가 높은 저널 사이에서도 명확한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했다. 4개의 주제(curriculum and teaching issues, professionalism, characteristics of medical students and assessment )에서 우리 연구결과를 보다 입증해준다.
This article provides a comprehensive history of ME publications during an era of great growth. We analyzed all publications in all journals in which ME was indexed as a major topic. In contrast, Rotgans (2011) examined a subset of these, namely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six ME journals between 1988 and 2010. His work not only underscores the growth of a scholarly field, but clarifies that ME has grown as a field of research. Like Rotgans, we also found changes in topics over time and distinct differences among high impact journals in publishing those topics. Similarly, Regehr (2004) conducted a thematic analysis of articles published since 2000 in four ME journals. The four identified themes – curriculum and teaching issues, professionalism, characteristics of medical students and assessment – generally corroborate our findings.
또 다른 bibliometric 연구는 1966년부터 1994년 사이에 ME출판의 성장이 매우 작았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날 이후 많은 것들이 변화하였고, ME학문이 글로벌화되었다. 6개의 ME저널과 2개의 일반 의학 분야의 저널에서 1997년과 2001년 사이에 국제적인 기여 정도를 비교한 연구에서 의학교육 분야의 저널들이 국제적인 독자층, 저자층, 리뷰어층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확인하였다. 비슷한 연구가 1995년과 2000년 사이를 대상으로 이뤄졌고, 두 개의 대표적 저널(Acad Med, Med Educ)에서 ME출판에 대한 국가적 생산성을 연구하여, 영어를 쓰는 저자와 네덜란드 저자가 지배적임을 보여주었다.
Another prior bibliometric study showed very little growth in ME publication from 1966 to 1993 (Wartman 1994). However, much has changed since then, including a global- ization of ME scholarship (Pereira 2001; Brice & Bligh 2004). In comparing international contributions to six ME and two and Brice general medical journals between 1997 2001, one identified an effort, especially by journal, Medical to recruit international readers, authors and Education, reviewers. In a similar study covering 1995–2000, Tutarel (2002) investigated the national productivity in ME publica- tions in two leading journals, Academic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He found that English speaking authors and authors from the Netherlands dominated both journals.
ME분야의 성장이 언제나 지속적이지 않았다는 것을 무시할 수 없다. ME논문의 숫자와 비율 모두가 1980년대에 감소하였다. 한 저자는 이 결과는 대학의학이 분자생물학에 관심을 돌리던 시기라고 지적하는 연구자도 있다. 분자생물학 연구와 대조적으로 - 이 분야는 재정지원이 많았고, 그 가치를 높게 평가받았다 - 1994년 Wartman이 지적한 바와 같이 ME연구에는 재정 지원도 적고 크게 존중받지도 않았다. 그러나 1990년대와 현재까지 사이를 보면 MEDLINE 색인된 저널의 10%이상에서 ME논문을 출판한 바 있으며, 현재의 새로운 ME저널의 발전은 이 분야 학문의 양적, 질적 변화를 보여준다. 그렇다면 왜 거의 재정지원이 없던 이 분야가 갑자기 성장했을까?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
We cannot ignore the fact that the field of ME did not grow steadily. Both the number and the proportion of ME articles relative to all publications fell during the 1980s. One author suggested that this resulted when academic medicine turned its attention to molecular biology (Ludmerer 1999). In contrast to molecular biology research, which was heavily funded and highly valued, as Wartman pointed out in 1994, ME research has been largely unfunded and disrespected. Yet, between 1990 and the present, more than 10% of all journals indexed in MEDLINE published a ME article, and the recent advent of new ME journals suggest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nges in scholarship in this field. Why would a largely unfunded field of research suddenly blossom? That question begs further study.
세 개의 ME저널과 두 개의 일반의학 저널의 주된 초점을 비교하여 우리는 각각의 저널이 다른 저널들과 차별화되는 지점을 발견하였다. 이들 자료는 이 분야의 성장에 대한 다른 자료와 함께 편집자, 저자, 리뷰어, 독자에게 주는 함의가 있다.
In comparing three ME journals’ and two generic medical journals’ topic foci, we discovered areas in which each distinguished itself from all others. These data, along with other information on the growth of publication in the field, have implications for editors, authors, reviewers and readers.
첫째, 편집자와 편집진은 저널의 scope을 정하고 그 한계를 뛰어넘을 책임이 있다. 이 scope은 저널의 미션을 반영해야 할 뿐만 아니라, 지나치게 제한적이어서 그 분야의 경계 확장시킬 수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와 연구를 한 저자의 투고를 억제할 정도여서는 안된다.
First, editors and their editorial boards share a responsibility for defining and delimiting the scope of a journal. The scope should reflect the journal’s mission, but should not be so restrictive as to inhibit the submission of author-initiated manuscripts that extend the boundaries of a field or present novel and divergent ideas.
둘째로, 저자들은 논문 출판을 할 수 있는 선택지가 넓다는 것을 즐겨야 한다. 독자층을 유심히 고려해야 한다.
Second, authors enjoy a wide choice of venues for publication, allowing them to target their audience carefully.
셋째로, 출판물의 범위를 살펴보면, 투고의 숫자가 더 늘어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비록 이들 중 일부는 reject될 것이지만). 개개인의 흥미와 가장 잘 맞는 저널을 살펴볼 기회를 얻음으로써 의학교육자들이 더 배워나갈 수 있다.
Third, the extent of publication suggests an even larger number of submissions (some of which will have been rejected) that provides closely aligned opportunities to review for journals most with one’s interests – an activity that helps medical educators learn.
마지막으로, 한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연구자는 ME저널 외에도 더 많은 저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Last, when initiating a project, investigators should read the literature far beyond the ME journals since a large proportion of authors chose to place their articles in specialty, rather than education, journals.
50 years of publication in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 1Department of Population Medicine,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 02215, USA.
Abstract
BACKGROUND:
AIM:
METHODS:
RESULTS:
CONCLUSIONS:
- PMID:
- 23607497
- [PubMed - indexed for MEDLINE]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의학교육연구(Re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교육연구의 질에 관한 논의 확대(Med Educ, 2009) (0) | 2016.02.01 |
---|---|
좋은 의학교육연구의 가치는 무엇인가? (Med Educ, 2008) (0) | 2016.02.01 |
●간호학 연구에서의 질적내용분석 : 개념, 절차,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 (0) | 2014.11.12 |
●내용분석의 개괄 (0) | 2014.11.12 |
○내용분석과 주제분석 : 질적연구 수행 차원에서의 함의 (0) | 2014.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