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ed strategies to increase attraction and retention of health workers in remote and rural areas

Carmen Dolea,a Laura Stormonta & Jean-Marc Braicheta





o 배경

¡ 훈련받고 동기부여가 의료인력을 의료취약지에 배치함으로서 필수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MDG 달성에 기여할 있음.

¡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모두에서 의료인력 분포에 있어 지역적 불균형이 심각한데, 세계 인구의 거의 절반이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반면, 전체 간호인력의 38%이하, 전체 의사인력의 25% 이하만 지역에 배치되어 있음.


¡ 최근 년간 연구자들과 정책 입안자들의 관심은 농촌 외딴 지역의 의료인력 문제 해결책을 찾고 효과성을 평가하는 것에 집중되고 있음. 이에 발맞추어 WHO역시 최근 관련 영역의 지식 기반을 확장하고 근거 중심의 세계적 권고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시작하였음.

¡ 문헌은 프로그램의 부분으로서 여러 전략의 효과성에 대한 근거를 평가하고자 하였음.

 

o Conceptual framework

¡  문헌은 농촌 외딴 지역 의료인력은 다음의 가지가 상호연관되어 있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 (1) 의료인력이 특정 지역에 머물 것인가에 대한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

- (2) 보건시스템 정책이 (1) 요인에 대응하는 정도

 

¡ 여러 가지 연구가 있으나 특정 retention 전략에 대해 포괄적으로 평가한 연구는 많지 않음.

 

o Results

¡ 프레임워크를 설정하였으며, 정책이 영향을 있는 영역으로 가지를 정함.

- attractiveness of rural/remote areas for students and/or health works,

- recruitment/deployment,

- retention, and

- health workforce or health system performance.

- 앞의 프레임워크는 순서대로 수요 따라 모집 유지 생기고, 궁극적으로 보건의료의 질이 향상된다는 논리를 따르고 있음.

 

o 1) Attractiveness

¡  개의 문헌에서 attractiveness 대한 것을 다루고 있었으며, 대부분은 education intervention이었음.

¡ 선진국의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

- 농촌 지역 출신의 보건의료인력이 농촌지역에서 근무할 가능성이 높음

- 농촌 세팅에서의 임상 로테이션을 도는 것이 긍정적 영향을

- 농촌 의료서비스에 대한 적절한 준비(교육과정 포함) 시키는 것이 흥미를 높임.

 

¡ 농촌 지역으로 자리를 옮기거나, 농촌 지역에 머물거나, 아니면 농촌 지역을 떠나는 것은 다른 것들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음.

-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재정적 인센티브가 긍정적 영향(특히 간호사 그룹에서) 주었음

- CPD프로그램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호주의 예를 보면 농촌에서 오래 장기 근무하는 의사에게 재정 인센티브를 주는 것도 효과가 있음.

- 호주에서 농촌지역 GP 대한 개인 차원의 지원 프로그램도 효과가 있었음.

- 미국에서 의과대학생들에게 농촌 진료 경험을 하게 하는 또는 장학금 정책을 시행한 것도 효과가 있었음.

 

o 2) Recruitment

¡ 미국에서 시행된 개의 다면적 교육 프로그램에서 농촌지역 진료를 선택하는 졸업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음.

¡ 호주의 bonding scheme에서도 농촌 진료를 하는 의료인력 증가를 유도했음.

¡ 그러나 외의 다른 연구에서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작았는데, 예컨대 남아공의 의무근무 정책, 니제르의 재정 인센티브 정책, 말리의 농촌 의료인력 지원 정책 등이 있음.

 

o 3) Retention

¡ Retention 측정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 있음 : 근무기간, 농촌 지역에 머무는 의사의 비율, 생존률, 이직률, 정착률 등등

¡  개의 연구에서 근무 기간(length of service) 보고했는데, 하나는 평균 15개월이라고 보고하였으며, 다른 하나(말리)에서는 평균 4년이라 보고하였음.

¡ 농촌지역에 머무는 의료인력의 비율을 보고한 연구에서의 결과는 편차가 큰데, 미국의 bonding scheme에서는 20% retention rate 보인 반면, 호주의 재정 인센티브 프로그램에서는 86%까지도 보이고 있음.

¡ Matsumoto 등이 보고한 사례를 보면, 일본의 자치의과대학은 농촌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동시에 의무복무 제도를 활용하고 있는데, 의무복무가 종료된 이후에도 70%이상의 졸업생이 6 이상 고향 지역에 남는 것으로 보고하였음.

¡ 의료인력의 생존률 평가하는 역시 가지 방법인데, Rabinowitz 등은 미국의 Physician Shortage Area Programme 졸업생의 2/3 이상이 11~16 이후에도 같은 지역에서 가정의학 진료를 하고 있음을 보고하였음.

 

o Impact

¡  개의 문헌에서 유지(retention) 전략 도입 이후 의료인력의 일부 역량이 향상되었음을 보고하였고, 다섯 문헌에서는 직무만족도가 향상되었음을 보고하였음.

¡  개의 문헌에서 의료서비스 전달의 향상에 대해 보고하였는데, 예컨대 의료의 , 전원(Referrals) 감소, 대기시간 감소 등이었음.

 

¡ 대부분의 개입방법이 attraction부터 performance까지 다면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음. 정책 입안자들은 정책을 도입하는 시점부터 도입하고자 하는 정책으로 기대하는 효과가 무엇인지를 명확히 해야 .

 





 2010 May;88(5):379-85. doi: 10.2471/BLT.09.070607.

Evaluated strategies to increase attraction and retention of health workers in remote and rural areas.

Abstract

The lack of health workers in remote and rural areas is a worldwide concern. Many countries have proposed and implemented interventions to address this issue, but very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iveness of such interventions and their sustainability in the long run. This paper provides a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to attract and retain health workers in remote and rural areas from an impact evaluation perspective. It reports on a literature review of studies that have conducted evaluations of such interventions. It presents a synthesis of the indicators and methods used to measure the effects of rural retention interventions against several policy dimensions such as: attractiveness of rural or remote areas, deployment/recruitment, retention, and health workforce and health systems performance. It also discusses the quality of the current evidence on evaluation studies and emphasizes the need for more thorough evaluations to support policy-makers in develop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effective interventions to increase availability of health workers in underserved areas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reaching the United Nations'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PMID:
 
20461133
 
[PubMed - indexed for MEDLINE] 
PMCID:
 
PMC2865654
 

Free PMC Articl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