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대편-질환에-존재함: 의학교육과 임상진료의 현상학적 존재론(Teach Learn Med, 2023)
Being-Opposite-Illness: Phenomenological Ontology in Medical Education and Clinical Practice
John Humm

소개
Introduction

질병은 환자에게만 일어나는 일입니다. 이것은 의대생으로서 일찍부터 배우는 중요한 교훈입니다.
Illness is something that happens only to patients. This is an important lesson you learn early on as a medical student.

헨리 마쉬1(p215)
Henry Marsh1(p215)

해를 끼치지 마라
Do No Harm

현상학은 의학에 유용한 도구입니다. 질병에 대한 생생한 경험에 대한 서술적이고 상세한 설명은 정량적인 과학적 탐구만으로는 놓칠 수 있는 특징을 밝혀냅니다.2 현상학은 인간 존재론의 근본적인 측면을 밝혀낼 수 있습니다.3 이 작업에서 '존재론'과 '존재론적'은 하이데거의 존재에 대한 연구를 의미합니다.4 우리의 존재론 또는 존재 방식의 다른 측면이나 변화는 우리가 세계를 경험하는 방식을 변화시킵니다. 이러한 개념을 처음 접하는 독자들을 위해 간단한 예를 들자면, 드 보부아르의 여성됨 연구는 여성으로서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을 기반으로 합니다.5 드 보부아르는 자신과 다른 여성들의 일상적 경험에 대한 고찰을 통해 "여성으로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여성이 되는" 존재론적 변화로서 여성이 되는 것을 제시합니다.5(295쪽) 이 연구는 이러한 접근법을 의과대학생들의 경험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의대생으로서 환자와 상호작용하는 경험과 이것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대한 현상학적 설명을 제공하는 것이 저의 의도입니다. 이를 통해 의사의 존재론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고자 합니다.  
Phenomenology is a useful tool for medicine. Descriptive, detailed accounts of lived experiences of illness bring to light features that can be missed by quantitative scientific inquiry alone.2 Phenomenology can reveal underlying aspects of human ontology.3 Ontology’ and ‘ontological’ in this work refer to Heidegger’s study of being developed.4 Different aspects of, or changes to, our ontology, or way-of-being, change the way we experience the world. To use a simplified example for readers new to these concepts: de Beauvoir’s study of being female is based on a phenomenological examination of her experience of being a woman.5 De Beauvoir presents becoming a woman as an ontological transformation over time, “one is not born, but rather becomes, a woman,” in part through her examination of her and other women’s everyday experiences.5(p295) This work applies this approach to the experience of medical students. My intention is to provide a phenomenological description of my experience as a medical student interacting with patients, and how this has changed over time. By doing so, I intend to open a discussion on the ontology of the doctor.

질병은 근본적으로 세상을 경험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칩니다.2 하이데거의 용어를 빌리자면, 질병은 환자의 세계 내 존재에 영향을 미칩니다. 저는 질병을 목격하고 치료하는 것 또한 존재론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4 저는 이것이 의사에게 독특한 존재 방식을 초래한다고 주장하며, 이를 위해 질병-반대편의-존재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간단히 말해, 질병-반대편의-존재환자를 객관화함으로써 발생하는 존재론적 결과를 말하는데, 이는 질병을 보는 것에 대한 신체적 반응을 줄이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보입니다. 
Illness fundamentally affects one’s way of experiencing the world.2 To use Heidegger’s term: it affects a patient’s being-in-the-world. I suggest witnessing and treating illness can also have ontological effects.4 I argue this results in a unique way of being for the doctor, for which I use the term being-opposite-illness. In brief, being-opposite-illness refers to the ontological result of objectifying patients, which appears to be required to reduce one’s bodily response to seeing illness.

현상학은 의학교육에도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습니다.6,7 특히, 현상학은 일상적인 경험을 주의 깊게 살펴봄으로써 겉으로 보기에 별것 아닌 사건이 그 경험의 근본 구조를 어떻게 숨길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러한 영향력을 인정하고 그에 따라 행동하면 의학교육자가 교육 실습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만들어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작품은 철학을 배우고 읽으면서 의대생인 제가 환자를 보는 방식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보여줍니다. 
Phenomenology has also been shown to be a useful tool for Medical Education.6,7 Specifically, phenomenology’s careful examination of everyday experiences demonstrates how seemingly unremarkable occurrences can hide underlying structures of those experiences. Acknowledging and acting on these influences can help medical educators produce renewed approaches to educational practice. Furthermore, this work shows how learning and reading philosophy changed the way I, a medical student, see patients.

이 작업은 세 부분으로 나뉩니다.

  • 첫 번째 섹션에서는 철학적 방법으로서의 현상학을 소개하고 신체에 대한 생물 의학적 관점과 현상학적 관점의 차이점을 강조합니다.
  • 섹션 2에서는 현상학적 설명의 층위를 구축하기 위한 세 가지 유형의 경험, 즉 타자와의 기본적인 만남(우리가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방식), 질병과의 만남(우리가 아프거나 다친 사람을 경험하는 방식), 임상적 만남(의사가 환자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합니다. 임상적 만남과 일반인이 질병을 접하는 방법의 핵심적인 차이점은 질병을 대면하는 것입니다.
  • 섹션 3에서는 두 의사의 1인칭 이야기를 살펴봅니다: 헨리 마쉬1와 폴 칼라니티입니다.8 이 두 의사의 이야기는 '반대되는 질병'과 그것이 의사와 의사-환자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강력한 예시를 제시합니다.

This work is split into three sections.

  • In section one, I introduce phenomenology as a philosophical method and stress the differences between biomedical and phenomenological views of the body.
  • In section two, I describe three types of experience to build up layers of phenomenological description: the basic encounter with the Other (how we interact with any other person), the encounter with illness (how we experience someone who is ill or injured), and the clinical encounter (how doctors interact with patients). Being-opposite-illness is a key difference between the clinical encounter and how the public may encounter illness.
  • In section three, I explore first-person accounts from two doctors: Henry Marsh1 and Paul Kalanithi.8 I suggest both accounts provide powerful illustrations of being-opposite-illness and its effect on doctors and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용어를 정의하고 설명의 한계를 설정하기 위해.

  • '타자'는 우리가 만나는 또 다른 사람입니다.9
  • '의사'는 서양의 현대 전통 의료에서 훈련된 임상의를 의미합니다.
  • '환자'는 질병을 가진 개인을 의미합니다.
    • 질병disease은 "신체의 생리적 기능 장애"를 의미합니다.2(p1) 이 '병리학적 해부학'은 의학적 시선의 초점입니다.10(p152)
    • 대신, 질환illness은 "심각하고 만성적이며 삶을 변화시키는 불건강"이라는 주관적인 삶의 경험을 의미합니다.2(p2) 우리는 이것이 환자와 의사가 질병과 상호작용하는 방식 사이에 중요한 구분임을 알게 될 것입니다.
  • 임상적 만남이란 의사와 환자 간의 대면 만남을 의미합니다. 여기에는 상담과 신체 검사는 물론 수술과 같이 의사가 직접 대면하여 수행하는 치료가 포함됩니다.
  • 또한 일반 대중이 질병과 만나는 과정도 탐구합니다. 여기서 '일반인'이란 의학적 교육을 받지 않은 일반인을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저나 특정 의사에 대한 단일 임상 사례와 그 존재론적 영향에 대한 조사가 아닙니다. 그보다는 임상적 경험, 의사, 환자에 대한 일반화를 시도하여 필수적인 특징을 파악하고 마지막 섹션에서 텍스트 분석을 통해 이를 뒷받침합니다. 
To define the terms and set out the limits of my description.

  • The ‘Other’ is another person which we encounter.9 
  • ‘Doctor’ refers to the trained clinician of western contemporary conventional healthcare.
  • ‘Patient’ refers to an individual with illness.
    • Disease refers to “physiological dysfunction of the body.”2(p1) This ‘pathological anatomy’ is the focus of the medical gaze.10(p152) 
    • Instead, illness denotes the subjective lived experience of “serious, chronic, and life-changing ill health.”2(p2) We will see this be an important separation between the way patients and doctors interact with illness.
  • By clinical encounter, I refer to the face-to-face meeting between doctor and patient. This includes the consultation and physical examination, as well as treatments conducted by doctors face-to-face, such as surgery.
  • I also explore the general public’s encounter with illness. By ‘public’ I refer to non-medically trained members of the general population.

Lastly, this is not an examination of a single clinical encounter and its ontological effects upon me or a specific doctor. Rather, I attempt generalization of the clinical encounter, doctor, and patient to identify essential features and support this with textual analysis in the final section.

다른 일인칭 현상학과 마찬가지로, 제 경험은 백인, 유능한 신체, 시스젠더 남성으로서의 제 구체화embodiment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러한 범주에 속하지 않는 사람들의 생생한 경험은 저와 다를 것입니다. 따라서 여기서 제가 설명하는 것은 단지 출발점에 불과합니다. 또한, 저의 현상학적 분석은 학부 시절 의과대학을 다니며 겪은 생생한 경험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그 경험으로부터 확장됩니다. 의학교육은 국제적, 기관적, 개인적 수준에서 매우 다양합니다. 따라서 저는 현대 서양의 생물 의학에서 훈련받은 모든 사람들에게 공통적인 의학교육과 임상 실습의 측면을 끌어내려고 노력했습니다. 
As with any first-person phenomenology, my experience is dictated by my embodiment as a white, able-bodied, cis-gender male. The lived experience of those who do not identify with these categories will be different from my own. Thus, my description here intends to be only a starting point. Furthermore, my phenomenological analysis is rooted in, and spreads outwards from, my lived experience through medical school as a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varies significantly at the international, institutional, and individual levels. Hence, I have attempted to draw on aspects of medical education and clinical practice common to all those who have trained in modern Western biomedicine.

섹션 1: 배경
Section 1: background

데카르트, 생물의학, 객관화
Descartes, biomedicine, and objectification

데카르트가 신체를 확장된 존재로 규정한 것은 의학에 대한 서양의 과학적 접근 방식이 발전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데카르트는 영혼은 신체가 아닌 비물질적인 정신에 붙어 있다고 주장하여 신체를 비종교적인 대상으로 만들었습니다. 이를 통해 이전에는 금지되었던 시체 해부를 통해 신체를 과학적으로 연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11 푸코10는 해부학의 발달에 따른 의료 행위의 변화를 이야기합니다. 그는 '병리학적 해부학'에 대한 과학적 연구가 질병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가능하게 했고, 이는 환자 개개인의 추상화를 촉진했다고 주장한다.10(152쪽) 해부를 통해 처음으로 "서구인은 자신의 눈에 자신을 과학의 대상으로 구성할 수 있었다."10(243쪽) 따라서 푸코의 대상화하는 의료 시선의 발전은 데카르트적 존재론에 의존했다. 
Descartes’ designation of the body as res extensa was vital for the development of the western scientific approach to medicine. Descartes argued the soul was attached to the immaterial mind, not the body, making the body a non-religious object. This allowed the body to be studied by science through the dissection of cadavers, which was previously prohibited.11 Foucault10 recounts the resulting changes in medical practice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dissection. He argues the scientific study of ‘pathological anatomy’ enabled a new understanding of disease which encouraged abstraction of the individual patient.10(p152) Through dissection, for the first time, “western man could constitute himself in his own eyes as an object of science.”10(p243)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Foucault’s objectifying medical gaze depended on cartesian ontology.

현대의 생물심리사회적 임상 실습은 동일한 존재론적 가정을 유지하며 신체-객체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11,12 따라서 객관화는 2.3절에서 살펴본 임상적 만남의 필수적인 부분이 됩니다. 다른 철학 작품들에서도 임상 검사가 객관화되는 촉감, 시선, 청진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10,13-15 또한 푸코10 는 병력기록의 언어가 증상(환자의 생생한 경험)에서 벗어나 신체-객체의 기저질병의 식별자로 이동하면서, 주로 개별 주체로서의 환자를 건너뛰는 변화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Modern biopsychosocial clinical practice keeps the same ontological assumptions and focuses on the body-object.11,12 Thus, objectification becomes an essential part of the clinical encounter explored in Sec. 2.3. Other works of philosophy have shown the clinical examination to have an objectifying touch, gaze, and auscultation.10,13–15 Furthermore, Foucault10 recounts changes in the language of the history-taking: moving away from symptoms (lived patient experiences) and toward identifiers of underlying disease of the body-object, largely bypassing the patient as an individual subject.

신체와 질병의 현상학
Phenomenology of the body and illness

현상학은 우리에게 나타나는 대로 경험을 주의 깊게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이러한 강조점은 데카르트와 비교하여 신체에 대한 태도를 상당히 다르게 만듭니다.2,16 우리가 일상에서 사물 또는 현상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신중하게 고려할 때, 우리의 마음과 신체는 분리할 수 없습니다. 그것들은 내가 나라고 이해하는 하나의 존재의 일부입니다. 매일 나에게 있는 그대로의 내 몸, 즉 살아있는 몸은 우리가 세상을 경험할 수 있게 해줍니다. 나는 내 몸을 마치 사물처럼 만지고 경험할 수 있지만, 내가 먼저 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만질 수 있습니다.16,17 
Phenomenology is the careful study of experience as it appears to us. This emphasis results in significantly different attitudes to the body compared to Descartes.2,16 When we carefully consider how we interact with objects, or phenomena, in the everyday, our mind and body are inseparable. They are part of one being which I understand to be myself. My body as it is for me each day, or the lived body, enables our experience of the world. I can touch and experience my own body as if it were an object, but I can only touch because I am first embodied.16,17

하이데거4는 현상학을 사용하여 인간 존재를 가능하게 하는 근본적인 구조 또는 '존재'의 방식을 탐구합니다. 그는 독일어로 완전히 통일된 존재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긴 신조어를 만들어 냈습니다. 이 단어들은 원래의 의미를 유지하기 위해 영어로 번역할 때 하이픈으로 연결됩니다. 세계-안-존재는 인간이 세계 자체와 분리될 수 없으며, 우리가 항상 세계 안에서 이미 자신을 발견하는 방식을 설명합니다. 이것은 존재의 본질적이고 피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4 하이데거의 연구를 바탕으로 사르트르9는 일상적인 세계 경험에서 침묵-속-지나쳐버리는 신체에 대해 설명합니다.

  • 내 몸은 내 관심의 초점이 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그 대신에 내가 하고 있는 일을 완수할 수 있게 해주는 배경이 됩니다.
  • 이와는 대조적으로, 질병에 걸리면 우리의 프로젝트는 중단되고 몸은 더 이상 침묵 속에서 지나치지 않고 세계 안에서 하나의 대상으로서 자신을 드러내고 우리의 주의를 끌게 됩니다.2,18,19 질병은 또한 우리가 세계와 상호 작용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므로 세계-속-존재에 영향을 미칩니다.2,18

다음 섹션에서는 타자에서 질병을 목격하는 것을 제안하며, 몸은 질병에서와 마찬가지로 더 희미하고 미묘하지만 대상으로서 자신을 다시 드러냅니다.
Heidegger4 uses phenomenology to examine the underlying structures or ways of ‘being’ which make human existence possible. In German, he forms long new words intended to describe complete unified ways of being. These are hyphenated when translated to English to maintain this original meaning. Being-in-the-world describes human inseparability from the world itself and how we always already find ourselves within the world. This is an essential, unavoidable part of being.4 Building on the work of Heidegger, Sartre9 describes the body as normally passed-by-in-silence in my everyday experience in the world.

  • My body is rarely the focus of my attention, instead, in the background, it enables me to complete whatever task I happen to be doing.
  • In contrast, in illness, our projects are interrupted, and the body is no longer passed-by-in-silence, it reveals itself as an object within the world and draws our attention.2,18,19 Illness also affects how we interact with the world and thus effects our being-in-the-world.2,18 

In the next section, I suggest witnessing illness in the Other, the body again reveals itself as an object, as it does in illness, however more faintly and subtly.

툼스18는 임상 현장에서 의사와 환자가 질병을 대하는 서로 다른 방식에 대해 관찰합니다. 툼스에게 있어 의사는 질환의 특정 측면에 집중하고, 이를 질병 진단으로 '주제화'합니다. 우리가 어떤 경험을 어떻게 주제화하는지는 궁극적으로 우리의 전기적 상황에 의해 좌우되는 마음의 습관에 달려 있습니다.18 따라서 의사가 질병신체-대상에 집중하는 방식은 의사-존재, 즉 의학교육에 따라 달라지며 그 결과입니다. 결정적으로, 투움스는 의사의 구체화된 경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저는 의사의 구체화가 임상적 만남 자체에 영향을 미치고, 임상적 만남이 의사의 구체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드리려고 합니다.
Toombs18 makes observations about the different ways doctors and patients attend to illness within the clinical encounter. For Toombs, doctors focus upon certain aspects of illness and ‘thematise’ it into a diagnosis of disease. How we thematise any experience is ultimately dependent upon habits of mind, which are dictated by our biographical situation.18 Therefore, the way in which doctors focus on disease and the body-object is dependent on, and results from, their being-a-doctor, and thus their medical education. Crucially, Toombs does not provid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ed experience of the doctor. Therefore, I attempt to show the embodiment of the doctor influences the clinical encounter itself, and the clinical encounter influences the doctor’s embodiment.

섹션 2: 임상적 만남
Section 2: the clinical encounter

기본적인 만남
The basic encounter

다른 사람에 대한 나의 경험은 사물에 대한 나의 경험과 다릅니다. 나는 체화된 의식으로서 타자의 행동을 통해 다른 개인(또는 타자)이 나처럼 자신의 목표와 프로젝트를 향해 나아가는 것을 봅니다.17 역동적이고 복잡하며 체화된 행동에서 타자를 나와 같은 존재로 봄으로써 나는 나 자신이 그들과 같은 존재임을 깨닫습니다. 타자의 생동감 있는 행동을 통해 나는 타자가 다른 어떤 대상처럼 행동하지 않으며, 나 역시 마찬가지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분명히 말하지만, 이것은 우리 자신의 행동과 타자의 행동을 신중하게 고려한 후 내리는 지적인 판단이 아니라, 우리가 타자를 경험하는 기본적인 방식입니다.16
My experience of another person is different to my experience of objects. Through their behavior, as embodied consciousnesses, I see other individuals (or the Other) orientate themselves toward their goals and projects as I would.17 By seeing the Other as being like me in their dynamic, complex, embodied behavior, I realize myself as being like them. Through their animated behavior, I see the Other does not behave like any other object, and neither do I. To be clear, this is not an intellectual judgment we make after carefully considering our own behavior and the behavior of the Other, rather it is the basic way in which we experience the Other.16

[저는 타자의 질병에 대한 우리의 반응]이 타자와 유사한 구체화에 달려 있다고 제안합니다. 나와 테이블과의 만남은 타자와의 만남과 동일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테이블 다리가 부러지는 것에 대한 나의 경험과 반응은 누군가의 다리가 부러지는 것을 보는 것과는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타자의 질병, 고통, 경험에 대한 나의 즉각적인 반응은 그들과 유사한 나의 구체화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I suggest, our response to the illness of the other depends on this similar embodiment to the Other. My encounter with the table is not the same as my encounter with the Other. Therefore, my experience and reaction to breaking a table leg are fundamentally different to seeing someone break their leg. My immediate reaction to the Others illness, pain, and experience is rooted in my similar embodiment to them.

질환과의 만남
The encounter with illness

병에 걸린 사람은 저마다 독특한 경험을 하게 됩니다. 병에 걸리기까지의 개인의 경험, 현재 상황, 특정 병리에 따라 각 질병의 사례는 독특합니다. 그러나 철학자들은 이러한 경험의 근본적인 특징이 모두에게 공통적이라고 제안합니다.2,18 이 섹션에서는 아프거나 아프게 된 타자를 만나는 경험에서 유사한 근본적인 구조를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Each individual who becomes ill will have a unique experience. A person’s experience up to the point of becoming ill, their current situation and the specific pathology make each instance of illness unique. However, philosophers suggest there are underlying features of this experience that are common to all.2,18 This section aims to explore the similar underlying structures in the experience of encountering the Other who is, or becomes, ill.

노인이 길에 쓰러지는 것을 보면 지나가던 사람들은 움찔하고 몸을 움츠리게 됩니다. 누군가 다치는 것을 보면 마치 자신의 몸을 보호하듯 팔을 가슴으로 가져갑니다. 아이가 이빨을 부러뜨리는 것을 보면 내 이빨에 불편한 감각이 느껴집니다. 정형외과 의사가 환자에게 부상이 어떻게 발생했는지 설명하는 동안 저는 대퇴골이 부러진 엑스레이를 보며 다리를 잡습니다. 의과대학에 입학하기 전, 열일곱 살 때 처음 수술을 본 저는 메스꺼움에 압도되어 집중할 수 없었고 기절했습니다. 쓰러진 사람이든 인공호흡기를 달고 있는 사람이든 병에 걸린 사람을 보면 즉각적인 무의식적 신체 반응이 일어납니다. 이러한 반응은 나에게도 같은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는 의식적인 고려를 통해 일어나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내가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의식적으로 고려하기 전에 신체가 먼저 반응합니다. 이전 연구에서도 생체역학 시뮬레이션을 통해 학생들에게 이러한 정서적 반응이 존재함을 보여주고 그 교육적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20 묄러와 동료들은 학습자가 "자신의 신체와 관련된 [부상의] 시각적 표현을 맥락화하는 것이 교육적 가치가 있다고 결론지었습니다."20(p144). 
In seeing the old man fall on the street, passersby will wince and recoil. In seeing someone injure themselves, our arms are brought to our chests as if protecting our own bodies. I see a child knock their teeth out and there is an uncomfortable sensation within my own teeth. I grasp my leg looking at an x-ray of a broken femur as the Orthopedic surgeon explains how the injury occurred to the patient. Before medical school the first time I saw surgery, aged seventeen, I was overwhelmed with nausea, unable to concentrate, and fainted. There is an immediate unconscious, bodily response to seeing someone with an illness, whether this is someone falling or someone on a ventilator. This response does not occur through conscious consideration of how the same illness could occur to me. Rather, the body reacts before I have a chance to consciously consider what has occurred. Previous research has also shown the presence of and stressed the educational importance of this emotional response in students through biomechanics simulation.20 Möller and their colleagues concluded there is educational value for learners to “contextualize the visual representations [of injury] relative to one’s own body.”20(p144)

스타인의 공감 현상학은 최근 인지 과학계에서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신체적 반응에 대한 설명을 제공합니다. 스타인은 공감의 기본 유형을 "다른 생명체의 경험을 느끼는 것"이라고 설명합니다.21(p746) 스타인은 다른 사람의 경험에 대한 신체적 반응이 공감의 한 유형이라고 제안합니다. 아프거나 다친 다른 사람을 볼 때 우리가 경험하는 신체적 반응이 바로 이러한 유형이라고 제안합니다. 이것은 우리에게도 같은 일이 일어날 수 있다고 상상하기 전에 일어나는 것이지, 우리가 상상해서 일어나는 것이 아닙니다. 사전 반사적 반응입니다. 타자의 질병에 대한 이러한 신체적 반응을 통해 우리의 관심의 초점은 질병 자체에서와 마찬가지로 아픈 사람에게서 우리 자신의 몸으로 바뀔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저는 속이 메스꺼워 기절하지 않으려고 노력하면서 환자의 수술에 집중하는 것이 (당연히) 어렵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Stein’s phenomenology of empathy has received recent attention in the cognitive sciences and provides an explanation for this bodily response. Stein describes a basic type of empathy as “felt experiences of other living bodies.”21(p746) Stein suggests bodily responses to the experiences of another is a type of empathy. I suggest, when we see another person who is ill, or who injures themselves, it is this type of bodily response we experience. This occurs before we might imagine the same happening to us, not because we do. It is pre-reflective. Through this bodily response to illness in the Other, the focus of our attention may turn away from the person who is ill and onto our own bodies, as it does in illness itself. For instance, I found it (unsurprisingly) difficult to concentrate on the patient’s surgical procedure while trying not to faint from the nausea in my stomach.

중요한 것은 스타인의 공감이 의사가 환자의 경험에 공감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상상적 공감도 배제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21 따라서 환자의 신체적 대상에 대한 신체적 반응이 없더라도 의사와 환자 사이에는 다른 형태의 공감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나는 직접 만난 적이 없고 전쟁을 느끼는 난민과 같이 공통된 경험을 거의 공유하지 않는 사람들과도 공감할 수 있습니다. 나는 그들의 경험을 의식적으로 상상하고 머릿속에서 재생함으로써 이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스타인의 공감 현상학은 이러한 형태의 공감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 반응을 통해 우리가 어떻게 전-의식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합니다. 
Importantly, Stein’s empathy does not exclude other types of imaginative empathy, through which doctors may also relate to patient experiences.21 Therefore, even in the absence of bodily reactions to the body-object of the patient, other forms of empathy are possible between doctor and patient. I can empathize with people whom I have never met face to face and share little common experience, such as refugees feeling war. I may achieve this by consciously imagining their experiences and replaying them in my head. Stein’s phenomenology of empathy does not exclude this form of empathizing but rather provides an explanation for how we can empathize pre-consciously through a bodily reaction

자너는 『자아의 맥락』에서 신체-대상이 우리 자신이 아플 때만 자신을 드러낸다고 가정하는 것은 "완전한 순진함"이며, 대신 "건강한 신체에는 희미하게나마 존재한다."19(56쪽) 아이가 이빨이 빠지는 것을 볼 때, 우리는 자신의 이빨도 마찬가지로 빠질 수 있는 대상으로 인식하게 된다고 말한다. 반면에 평소에는 내 치아와 그 취약성을 인식하지 못합니다. 질병을 목격함으로써 신체는 더 이상 무심코 지나치지 않고, 내 몸이라는 대상을 세상 속에서 연약하고 취약한 존재로 인식하는 것으로 잠시나마 대체됩니다.
Zaner in The Context of Self states “it would be an utter naivety” to assume the body-object only announces itself in times of our own illness, instead it is “present, however faintly, in the healthy body.”19(p56) I suggest when we see the child knock their teeth out, we become aware of our own teeth as objects that could similarly be knocked out. Whereas, normally I am unaware of my teeth and their apparent fragility. Through seeing illness, the body is no longer passed-by-in-silence and is replaced, perhaps only briefly, by an awareness of my body-object as a fragile, vulnerable thing within the world.

또 다른 예로, 어머니가 채소를 썰다가 칼에 베는 모습을 보면 움찔하고 배가 뒤집어집니다. 심지어 무의식적으로 제 손가락을 잡을 수도 있습니다. 제가 어머니로부터 칼질을 이어받으면 어머니가 칼질하는 모습을 보지 않았을 때보다 더 조심스럽게 칼질을 합니다. 신체 반응을 통해 나는 손가락이 세상 안에서 연약한 물체라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자너는 타인의 질병을 마주하는 독특하고 불편한 본질을 암시합니다: 
Another example: if I see my mother cut herself while chopping the vegetables, I wince, and my stomach turns. I may even unconsciously grab my own finger. When I take over the cutting from her, I cut with more care than I would have if I had not seen her cut herself. Through my bodily reaction, I have become aware of my fingers as fragile objects within the world. Zaner alludes to the unique, uncomfortable nature of encountering illness in another:

실제로, [질병]이 그토록 특이한 극적인 힘, 즉 '정상인'이 병든 사람이나 불구자를 만났을 때 발생하는 침묵, 불안, 경외감을 주는 것은 바로 질병과 장애가 우리의 고유한 인간성에서 우리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점입니다.19(159쪽)
Indeed, what gives [illness] such peculiarly dramatic force—the hush, anxiety and awe engendered when the “normal” person encounters the ailing or the maimed—is precisely that illness and impairment affect us directly in what seems our unique humanity.19(p159)

[타자 안에 있는 우리 자신에 대한 인식과 우리 몸에 대한 인식]은 질병과의 만남에 그 심각성과 낯섦을 부여합니다. 질병과 정면으로 마주했을 때, 몸은 더 이상 침묵 속에서 지나치지 않습니다. 저는 자신의 몸에 대한 이러한 인식이 의료 행위와 교육에 도전을 준다고 주장합니다. 누군가 자신의 몸을 베는 것을 보고도 움찔한다면 어떻게 메스로 똑바로 베는 법을 배울 수 있을까요? 스물다섯 살의 제가 어떻게 기절하지 않고 수술을 보조할 수 있을까요? 의사에게는 어느 정도의 냉철한 객관적 사고가 필요하며, 의사들은 질병을 보는 것에 대한 신체적 반응이 줄어든 것으로 보입니다. 의학교육의 결과, 이름도 없고, 주소도 없고, 가르침도 없는 존재론적 변화가 이미 내 안에 일어난 것 같습니다. 이 변화의 결과는 정반대의 질병입니다. 이 점을 염두에 두고 이제 임상적 만남 자체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Our recognition of ourselves in the Other and our awareness of our own body gives the encounter with illness its salience and strangeness. When confronted with illness face-to-face, the body is no longer passed-by-in-silence. I argue, this awareness made of one’s own body presents a challenge to medical practice and education. If we flinch when we see someone cut themselves, how can we learn to cut straight with a scalpel? How am I now able to assist in surgery, aged twenty-five, and not faint? A certain level of detached objective thinking appears to be required from doctors, and doctors appear to have a reduced bodily response to seeing illness. As a result of medical education, an unnamed, unaddressed, and untaught ontological transformation appears to have already occurred within me. The result of this transformation is being-opposite-illness. With this in mind, we now come to the clinical encounter itself.

임상적 만남
The clinical encounter

일반인과 달리 의사는 의학교육을 통해 해부학, 병리학, 치료 옵션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툼스가 논의했듯이, 의학교육을 통해 질병을 질병으로 주제화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이는 환자를 진단하는 데 사용됩니다.18 의대생은 객관적이고 의학적인 시선으로 보는 법을 배웁니다.10 의사의 존재, 그들의 교육, 목표, 전문성이 임상적 만남을 일반 대중의 질병과의 만남과 구분 짓는 요소입니다. 다음으로 사르트르의 '시선' 현상학에 주목하여 환자의 대상화와 의사의 질병에 대한 신체적 반응의 감소를 연결해 보겠습니다.9(276-326쪽) 나는 대상화하는 자로서의 의사와 대상화되는 형태로서 환자들이 질병-반대편의-존재 존재론적 대립의 축을 형성한다고 제안합니다. 
Unlike the public, through medical education, doctors possess extensive knowledge on anatomy and pathology and treatment options. As Toombs discussed, through medical education, the thematization of illness into disease becomes possible and is used to diagnose patients.18 Medical students learn to look with an objectifying, medical gaze.10 It is the presence of the doctor, their education, goals, and expertise which distinguishes the clinical encounter from the general public’s encounter with illness. Next, I will focus on Sartre’s phenomenology of ‘the look’ to link patient objectification to the doctor’s reduced bodily response to illness.9(p276–326) I suggest the doctor as the objectifier and the patient as objectified forms the ontological axis of opposition for being-opposite-illness.

사르트르9는 열쇠구멍을 들여다보면서 사물로서의 자신의 몸을 인식하게 되었다는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이전에는 문 너머에서 일어나는 일에 집중했다면, 누군가 오는 소리가 들리자 자신의 몸과 그 모습이 상대방에게 어떻게 보이는지 인식하게 됩니다. 타자의 시선이 불러일으키는 수치심을 통해 사르트르는 자신의 몸을 세상의 사물로 인식하게 됩니다. 수치심에 대한 사르트르의 설명은 신체-대상이 대상화되는 임상적 만남에서 환자가 느끼는 수치심에 대한 설명과 직접적으로 유사합니다.9,22
Sartre9 provides an account of becoming aware of his body-as-object while looking through the keyhole. While previously he was focused on what was occurring on the other side of the door, when he hears someone coming, he becomes aware of his own body and how it appears to them. Through the shame brought about by the look of the Other, Sartre becomes aware of his body as an object in the world. Sartre’s account of shame parallels directly with accounts of shame felt by patients within the clinical encounter, where one is objectified as their body-object is focused upon.9,22

우리가 타자를 대상으로 구성할 때 이러한 두려움에서 벗어나 "[자신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열쇠구멍을 들여다보던 중 고개를 돌려 우리를 바라보는 타자라고 생각했던 것이 나무 그림자라는 것을 깨닫는다면, 우리는 더 이상 우리를 바라보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고 몸은 다시 침묵 속으로 사라집니다."9(p313) 
One can escape this fear and “recover [oneself]” if we constitute the Other as an object. While looking through the keyhole, if we turn and realize what we thought was the Other looking at us is instead, say, the shadow of a tree, we realize we are no longer looked at and the body fades back into silence, since one cannot be an “object for an object.”9(p313)

대중질병을 마주할 때, 자신의 몸을 병을 가진 타자와 유사하게 형상화함으로써 자신의 몸을 세상에서 취약한 대상으로 인식하게 된다. 의사에 의한 환자 대상화는 환자를 하나의 객체로 구성한다. 의사는 대상화될 수 없기 때문에 의사는 주체로서의 존재를 유지하고, 신체적 반응을 제한하며, 따라서 의사의 초점은 자신을 넘어 환자에게로 향하게 됩니다. 질환-반대편에-존재함은 구체적으로 이러한 존재론적 극성을 의미합니다. 의사가 자신을 주체로 유지하면서 자신의 목표에 집중하고, 환자의 신체는 침묵 속에 지나가는 동안 환자는 객체로 축소됩니다. 임상에서 환자는 자신의 몸으로만 간주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의사의 몸은 잊혀집니다. 
For the public’s encounter with illness, one recognizes their body as a vulnerable object in the world, through their similar embodiment to the Other-with-illness. Patient objectification by the doctor constitutes the patient as an object. Since the doctor cannot be objectified by an object, this maintains the doctor’s being-as-subject, limits their bodily response, and thus their focus remains beyond themselves and toward the patient. Being-opposite-illness specifically refers to this ontological polarity. The patient is reduced to an object as the doctor maintains themselves as a subject, tending to their goals, with their body passed-by-in-silence. In the clinical encounter, the patient tends to be considered as only their body, whereas the doctor’s body is forgotten.

극단적인 예를 들자면, 해부학 수업을 통해 환자의 다리를 테이블 다리와 다를 바 없는 것으로 경험할 수 있다면 대퇴골 고정을 위한 수술실에서 느끼는 메스꺼움이 현저히 줄어들 것입니다. 수술이 학문적 장인 정신의 절차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칼라니티는 해부 시 얼굴을 가리는 것을 고려합니다. 이는 환자를 객관화시키고 수술에 대한 신체적 반응을 제한합니다.8
To use a prior example, in the extreme, if anatomy class allows me to experience a patient’s leg as no different from a table leg, my nausea in the operating theater for a femur fixation would be significantly reduced. I could see the operation as nothing more than a procedure of academic craftsmanship. Furthermore, Kalanithi considers covering faces during dissection. This is objectifying for the patient and limits his bodily response to the procedure.8

전신 마취 상태에서 무의식 상태로 수술을 받는 환자는 클리닉에서 진찰을 받는 환자보다 더 객관화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저는 환자의 다리를 해부학적 모델과 다를 바 없는 완전한 객관화는 불가능하다고 주장합니다. 죽음에 이르러서도 시체에 대한 우리의 반응은 다른 물체와 동일하지 않습니다.4 의과대학에서 신체에 대해 배우면서 환자와 시체에 대한 신체적 반응은 감소합니다. 그러나 의사가 완전한 객관화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환자의 경험에 완전히 영향을 받지 않을 수는 없습니다. 이는 소진과 대리 외상이라는 잘 알려진 현상에서 잘 드러납니다.23,24 사실 의사가 객관화를 통해 거리를 두는 것은 환자에게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것일 수 있습니다. 제 경험에 따르면 수술 중에도 신체적 대상인 환자는 인간성을 유지하며 완전히 물건으로 환원되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객관화는 윤리적 우려와 논쟁을 불러일으킵니다. 환자와 시체는 테이블과 같은 물건이 아니며, 결코 그렇게 취급해서는 안 됩니다. 
The patient undergoing surgery, inert under general anesthesia, is no doubt objectified more than the patient examined in the clinic. However, I maintain that complete objectification—constituting the patient’s leg as no different from the anatomical model—is not possible. Even in death, our reaction to a cadaver is not the same as another object.4 As one learns about the body at medical school, one’s bodily response to patients and cadavers does reduce. However, doctors cannot remain completely unaffected by the experiences of patients showing complete objectification is not possible. This is shown in the well-documented phenomena of burnout and vicarious traumatization.23,24 In fact, doctors distancing themselves through objectification may only be necessary because they can be affected by their patients. In my experience, even in surgery, the patient as body-object maintains their humanity and are not reduced entirely to an object. Despite this, objectification raises ethical concerns and debates. Patients and cadavers are not objects like a table, and should never be treated as such.

의사가 환자를 객관화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마지막 예를 살펴보겠습니다. 일반의협의회 지침에 따르면 의사는 자기 가족 이외의 일반의에게 등록해야 합니다.25 부분적으로는 의사가 가족을 객관화하기 어렵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정확하게 치료하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외과의사가 자신의 가족을 수술해야 한다면 집중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상상해 보십시오. 객관화가 부족하면 의사는 객관적으로 생각하지 못하고 질병에 대해 더 감정적이고 신체적으로 반응하게 됩니다. 우리는 가까운 사람을 주체로서 모든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대상화하기 어렵습니다. 우리는 그들이 좋아하는 것, 싫어하는 것, 희망, 꿈을 알고 있습니다. 제가 주장했듯이 객관화가 부족하면 신체를 침묵-속에-지나가는-것으로 유지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의사는 눈앞의 환자를 객관화하고 신체 반응을 제한 할 수있을 때 더 분리 된 방식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이는 가족에게는 더 어렵습니다.
Let us explore a final example where the doctor may struggle to objectify the patient. General Medical Council guidance states doctors should be registered to a General Practitioner outside their family.25 I suggest, in part, it is difficult for doctors to treat their family objectively precisely because it is difficult to objectify them. One imagines if a surgeon was to operate on a member of their family, they would struggle to focus. The lack of objectification stops the doctor from thinking objectively and results in a more emotional, bodily response to illness. It is difficult to constitute a person close to us as an object because we are aware of everything they are as a subject. We are aware of their likes, dislikes, hopes, and dreams. As I have argued, a lack of objectification results in an inability to maintain the body passed-by-in-silence. Thus, doctors are more able to think in a detached manner when they can objectify the patient in front of them and limit their bodily response, and this is harder to do with a family member.

이 섹션에서 저는 타자의 질병을 볼 때 우리의 유사한 구현이 '신체적 취약성'의 경험, 즉 [우리 몸이 세계 내에서 취약한 대상으로 인식되는 불편한 경험]을 제시한다는 것을 보여 주려고 시도했습니다. 저는 환자를 대상화함으로써 임상에서 의사의 신체적 취약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설명합니다. 이는 의사의 신체를 침묵-속에서-지나가는-존재로 유지하고 환자의 신체에 집중하도록 유도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의학교육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객관화된 의학적 시선으로 바라보고 질병을 질병으로 주제화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의학교육은 질병에 대한 학생의 반응이 대중과 일치하는 것에서 의사의 존재-대립-질병으로 바뀌는 존재론적 변화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의학교육의 결과인 질병-반대편에-존재함의사의 고유한 존재론으로, 환자를 대상화하는 데 뿌리를 둔 질병에 대한 신체적 반응이 감소하는 것으로 입증됩니다. 
In this section, I have attempted to show when seeing illness in the Other, our similar embodiment presents the experience of ‘bodily fragility’: an uncomfortable experience through which our body is realized as a vulnerable object within the world. I account for the reduction of bodily fragility in doctors within the clinical encounter through patient objectification. This maintains their body as passed-by-in-silence and directs their focus toward the body of the patient. This transformation occurs through medical education, as this enables students to look with an objectifying medical gaze and thematise illness into disease. Thus, medical education can be considered an ontological transformation, where a student’s response to illness changes from one aligned with the publics to the doctor’s in being-opposite-illness. Being-opposite-illness, as a result of medical education, is the unique ontology of the doctor, demonstrated by the diminished bodily response to seeing illness, rooted in objectification of the patient.

 

섹션 3: 질병-반대편의-존재
Section 3: being-opposite-illness

이 섹션에서는 폴 칼라니티8와 헨리 마쉬의 유명한 일인칭 서술 두 편을 살펴봅니다.1 저는 이들의 분석을 통해 환자의 신체를 대상화하고 이것이 환자의 존재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자 합니다. 또한, 저자들이 직접 병에 걸렸을 때 병에 걸린다는 사실이 삶의 경험에 미치는 영향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이 섹션에서는 이러한 유형의 문헌에 대한 포괄적인 검토를 제공하려는 의도는 없습니다. 대신 텍스트 분석에 중점을 두어 위에 제시된 주장에 대한 예시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This section will look at two popular first-person accounts from Paul Kalanithi8 and Henry Marsh.1 My analysis focuses on their objectification of patients’ bodies, and how this impacts their way of being. Furthermore, the impact of being-opposite-illness upon lived experience can be seen when the authors fall ill themselves. This section does not intend to provide a comprehensive review of this type of literature. Instead, I focus on textual analysis to provide illustrations of the arguments put forward above.

칼라니티의 '숨결이 바람 될 때'8는 저자가 암과 싸워온 과정을 가슴 아프게 솔직하게 묘사한 책입니다. 의과대학 시절, 칼라니티는 "죽은 자를 객관화하여 말 그대로 장기, 조직, 신경, 근육으로 환원"하는 법을 배우는 것에 대해 이야기합니다.8(p49) 그러나 의대생이 된 첫날, 칼라니티에게 "시체의 인간성을 부정할 수는 없다."8(p49) 칼라니티가 시체를 점점 더 객관화하면서 그의 경험은 "혐오감, 상쾌감, 메스꺼움"이라는 신체적 느낌이 지배하는 것에서 단순히 "학문적 연습"의 경험으로 바뀌게 됩니다. "8(44쪽) 칼라니티는 시체를 '가짜'로 '가장'하고 얼굴을 가리는 것이 "일을 더 쉽게 해준다."8(45쪽) 여기서 우리는 해부학을 배워야 하고 신체 반응의 산만함으로 인해 제약을 받는 의대생에게 '질환-반대편에-존재함'이 미치는 영향과 유용성을 모두 볼 수 있습니다. 시체와 상호작용하는 것의 중요성과 특이성은 최근의 연구에서 탐구되었으며 칼라니티의 경험을 반영하고 있습니다.3 
Kalanithi’s8 When Breath Becomes Air is a heart-breaking candid account of the author’s fight with cancer. During medical school, Kalanithi discusses learning to “objectify the dead, literally reducing them to organs, tissues, nerves and muscles.”8(p49) However, for Kalanithi, on a medical student’s first day, “you simply [cannot] deny the humanity of the corpse.”8(p49) As Kalanithi increasingly objectifies the cadavers, his experience changes from one dominated by bodily feelings of “revulsion, exhilaration, [and] nausea” to an experience of merely “academic exercise.”8(p44) Kalanithi adds “pretending” cadavers are “fake” and covering their faces “makes work easier.”8(p45) Here we see both the impact and usefulness of being-opposite-illness to the medical student who needs to learn the anatomy and is limited by the distraction of bodily reactions. The salience and peculiarity of interacting with cadavers has been explored in more recent research and echoes Kalanithi’s experiences.3

칼라니티8는 외과의사로서의 경력에 대한 객관화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그는 환자가 아니라 "거대 동맥류, 뇌내 동맥 우회술, 동정맥 기형"과 같은 "케이스"를 가지고 수술실에 있다고 묘사합니다.8(p10-11) 저자와 가까운 사람에게 질병과 죽음이 닥쳤을 때 비로소 그는 [환자로부터의 분리]와 (자신을 이반 일리치의 의사와 비교하면서) ["다양한 진단"으로 "깔끔하게 포장하는" 방법]을 깨닫게 됩니다.8 (p85),26 나는 저자가 친구에 대한 친숙함과 그로 인한 객관화 불능이 그녀를 수술한다는 생각에 대한 불편한 신체적 반응을 불러 일으킨다고 제안합니다.
Kalanithi8 continues his objectification into his career as a surgeon. He describes being in theater, not with patients but, with “cases” such as “giant aneurysms, intracerebral arterial bypasses, arteriovenous malformations.”8(p10–11) It is only when illness, and death, strikes someone close to the author, he realizes his detachment from patients and how he “neatly packages” them into “various diagnoses,” comparing himself to Ivan Ilych’s doctor.8(p85),26 I suggest, the author’s familiarity with his friend and resulting inability to objectify them, drives the uncomfortable bodily reaction he has to the thought of conducting surgery on her.

환자를 대상화한 것이 칼라니티가 병에 걸렸을 때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알 수 있습니다. 그의 표현을 빌리자면, 그는 "의사에서 환자로, 행위자에서 피행위자로, 주체에서 직접적인 대상으로" 변모하고 그 영향은 그에게 미친다.8(180쪽) 마쉬의 서문을 인용하며 칼라니티는 자신의 병을 마치 환자에게 일어나는 일처럼 묘사하기로 한다: 
We can see the impact of his objectification of patients on Kalanithi’s embodiment when he becomes ill. In his own words, he transforms “from doctor to patient, from actor to acted upon, from subject to direct object” and its effect on him.8(p180) Echoing the epigraph quote from Marsh, Kalanithi chooses to describe his illness as if it were happening to a patient:

설명할 수 없는 체중 감소와 새로 시작된 허리 통증이 있는 35세의 환자에게 정답은 (C) 암입니다.8(p5)
thirty-five-year-old with unexplained weight loss and new-onset back pain—the obvious answer would be (C) Cancer.8(p5)

칼라니티는 자신의 질병으로부터 자신을 추상화하기로 결정합니다. 그는 자신의 질환을 가상의 환자의 질병으로 주제화합니다. 이를 통해 칼라니티는 매우 쉽게 진단을 내릴 수 있지만 자신의 병을 받아들이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나중에 칼라니티는 신체를 대상으로 진단하는 것이 쉬워졌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암에 걸렸는지 의심하게 됩니다:
Kalanithi chooses to abstract himself from his own illness. He thematises his illness into the disease of an imaginary patient. Through this, Kalanithi can very easily provide a diagnosis but struggles to come to terms with the illness being his own. Later, Kalanithi doubts whether he has cancer, despite his ease when diagnosing the body-as-object:

(허리 통증의 해부학, 생리학, 환자들이 다양한 종류의 통증을 설명할 때 사용하는 여러 단어 등) 허리 통증에 대해 많이 알고 있었지만 어떤 느낌인지 몰랐다. 어쩌면 그게 전부였을지도 모른다.8(p12)
I knew a lot about back pain—its anatomy, its physiology, the different words patients used to describe different kinds of pain—but I didn’t know what it felt like. Maybe that’s all this was.8(p12)

이 구절들을 보면 칼라니티가 자신의 질환을 질병으로 주제화함으로써 자신의 병을 다루기가 더 쉬워졌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칼라니티에게 질병은 대상화된 몸에서 일어나는 사건이며, 따라서 대개 침묵 속에서 무심코 지나치기 때문에 자신의 것이 아니다. 칼라니티는 질병을 데카르트적 신체-객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쉽게 이해하지만, 살아있는 현상학적 신체는 이해하지 못합니다.
It is clear from these passages Kalanithi finds it easier to deal with his illness by thematising it into disease. For Kalanithi, disease is an event in the objectified body and thus not his own as it is usually passed-by-in-silence and unfelt. Kalanithi readily understands illness as it occurs to the cartesian body-object, but not the lived phenomenological body.

수련을 중단한 후 칼라니티는 급격한 신체적 쇠퇴를 경험하고, 일주일 전만 해도 "거의 36시간"에 가까운 수술 시간을 보냈었는지 놀라움을 금치 못합니다. 칼라니티는 "병자를 돌봐야 할 의무가 [자신을] 밀어붙이지 않으면 [자신은] 무능한 사람이 되고 말았다."8(125쪽) 수술실에서는 Being-opposite-illness가 되면서, 칼라니티의 몸은 환자들의 몸에만 집중하며 passed-by-in-silence가 되었다. 임상에서 물러난 후 칼라니티의 몸은 음소거가 해제되었고, 그는 자신의 증상을 훨씬 더 잘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After ceasing to practice, Kalanithi describes a fast-physical decline and is stunned how he spent “nearly thirty-six hours” operating less than week before. Kalanithi concludes “without [the] duty to care for the ill pushing [him] forward, [he] became an invalid.”8(p125) Being-opposite-illness in the operating theater, Kalanithi’s body remained passed-by-in-silence by focusing on that of the patients. Once removed from clinical practice, Kalanithi’s body becomes unmuted, he becomes far more aware of his symptoms.

칼라니티의 종양 전문의인 에밀리는 그를 또 다른 의사로서 존중하며, 두 명의 임상의가 세 번째 환자에 대해 결정하듯이 종종 그의 치료에 대한 결정을 함께 내립니다.7 그러나 에밀리는 칼라니티에게 자신의 책임을 내려놓고 "의사가 되게 해달라"며 칼라니티에게 "그냥 환자가 되라"고 함의합니다.8(p182) 그러나 "통제권을 내려놓는다는 생각은 칼라니티가 "불가능"하다고 여깁니다. 대신, 칼라니티는 "의사-자신은 환자-자신에 대해 [여전히] 책임이 있다."8(p183) 이 구절은 의료 직업이 개인의 존재론에 미치는 강력한 영향력을 강조합니다. 칼라니티에게 의사 자아의 영향력은 수술실을 넘어 병에 걸린 후에도 지속됩니다. 이는 병에 걸린다는 것이 직업적 페르소나로서 켜고 끌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Kalanithi’s oncologist, Emily, respects him as another doctor and they often make decisions about his care together, as two clinicians would about a third patient.7 However, Emily suggests he could abdicate his responsibility and allow her to “just be the doctor” implying Kalanithi just be a patient.8(p182) However, the thought of “abdicating control” is one Kalanithi finds “impossible.” Instead, Kalanithi’s “doctor-self [remained] responsible for [his] patient-self.”8(p183) This passage highlights the powerful influence the medical profession has on an individual’s ontology. For Kalanithi, the influence of his doctor-self extends far beyond the operating room and persists once he becomes ill. This shows being-opposite-illness is not something which is switched on and off as a professional persona.

의대, 수술, 질병에 대한 마쉬의1 경험은 모두 칼라니티와 저의 경험과 유사합니다. 서문에서 Marsh1(p.xi)는 다음과 같이 조언합니다: "눈에 보이는 것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되, 그 과정에서 인간성을 잃지 않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마쉬는 처음부터 의사에게 요구되는 냉철함과 타인의 고통에 대한 감정적 반응이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춥니다. 
Marsh’s1 experiences of medical school, surgery, and illness all bear similarities to Kalanithi’s and mine. From the preface, Marsh1(p.xi) instructs: “You must learn to be objective about what you see, and yet not lose your humanity in the process.” From the outset, Marsh focuses on the detachment required from doctors, which must be balanced with the emotional response to the suffering of others.

이 책의 뒷부분에 저의 조사를 촉발시킨 대목이 있습니다. Marsh1(p215)는 의대생들이 "자기 보존"의 문제로 요구되는 "필요한 분리"에 대해 배우면서 소위 "의대생 증후군"인 건강염려증이 거의 지속되지 않는다고 지적합니다. 마쉬는 의과대학이 자신의 신체와의 관계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에 주목합니다. 이러한 관계의 변화를 통해 학생들은 "질병은 환자에게만 일어나는 일이라는 것을 배웁니다. 그것은 의과대학에서 일찍부터 배우는 것입니다."1(p215) 그러므로 질병-반대편의-존재는 환자 대상화를 통해 자신의 몸으로부터 존재론적 분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Later in the book lies the line which sparked my investigation. Marsh1(p215) notes the so-called hypochondria of “medical student syndrome” rarely persists as medical students learn about the “necessary detachment” required as a matter of “self-preservation.” Marsh draws attention to how medical school changes one’s relationship with their body. Through this changed relationship, students learn “illness is something that only happens to patients. That is something you learn early on a medical school.”1(p215) Being-opposite-illness, then, allows an ontological separation from one’s own body through patient objectification.

마시1(p216)는 의사들이 "단순한 환자"가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초기 증상을 무시"하고 "자신의 질병을 진단하는 데 느리게" 행동한다고 지적합니다. 이 모든 것은 Marsh가 스스로에게서 발견한 행동이며 칼라니티의 기록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Marsh는 다리가 부러진 후 석고를 갈기 위해 기다리는 동안 동료 컨설턴트와의 짧고 놀라운 만남에 대해 설명합니다. 
Marsh1(p216) remarks that doctors often “dismiss their initial symptoms” and are “slow to diagnose their own illnesses” all to escape becoming a “mere patient.” All of which are behaviors Marsh finds in himself and are found in Kalanithi’s account. Marsh describes breaking his leg and while waiting for his plaster to be changed, he describes a brief, remarkable encounter with a fellow consultant.

그는 내 다리가 부러지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내가 단순한 환자가 된 저속한 방식에 불만을 품은 듯 매우 원초적인 목소리로 '오, 이런'이라고 말했습니다.1(229쪽) 
‘Oh dear’, he said in a very prim voice, as though he disapproved of the vulgar way in which, by allowing my leg to be broken, I had become a mere patient.1(p229)


허용이라는 단어 선택은 의사로서 마쉬가 다리를 부러뜨리는 것이 자신의 통제 범위 안에 있다는 태도를 유추하게 한다. 물론 마쉬가 그랬던 것처럼 계단에서 넘어지는 것은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터무니없는 일이다. 의사의 뼈는 환자의 뼈와 다르지 않습니다. passed-by-in-silence in being-opposite-illness로 유지하는 것은 의사에게 병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잘못된 태도를 조장합니다. 
The word choice of allowing infers an attitude that, as a doctor, Marsh breaking his leg was within his control. Of course, this is absurd, falling down the stairs, as Marsh did, could happen to anyone. A doctor’s bones are no different to that of a patient. The bodies maintenance as passed-by-in-silence in being-opposite-illness promotes a false attitude of illness not occurring to doctors.

마쉬와 칼라니티의 설명은 의사의 독특한 존재론과 의학교육 전반에 걸쳐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환자 대상화는 의사의 존재론을 변화시키고, 의사를 자신의 몸으로부터 멀어지게 합니다. 그 결과 의사가 질병과 직접 대면하는 신체적 반응이 부족해집니다. 그러나 타자를 대상화함으로써 자신의 몸으로부터 초점을 돌릴 수 있다.9 이런 식으로 몸을 침묵 속에 묻어두면 질병은 "환자에게만 일어나는 일"이 된다."1(215쪽) 환자의 질병-존재함의사의 질환-반대편에-존재함 사이에는 존재론적 분리가 존재한다. 환자가 대상화되면서 의사의 시선은 단지 [바라보는 방식]이 아니라 [존재의 방식]이 된다. 의사는 바라보지만 바라봐지지 않는 존재가 된다. 대상화하는 시선은 의사와 환자 사이의 유사한 구체화를 부정합니다. 존재-대립-질병은 의사와 환자 사이의 이러한 존재론적 극성을 나타냅니다. 
Marsh and Kalanithi’s accounts demonstrate a unique ontology of the doctor and the transformation undergone throughout medical education. Patient objectification changes a doctor’s ontology, distancing them from their own body. I suggest, this results in the lack of the doctor’s bodily reaction being face-to-face with illness. However, by objectifying the Other I can direct my focus away from my own body.9 By muting the body in this way, keeping it passed-by-in-silence, illness becomes “something that happens only to patients.”1(p215) There is an ontological separation between the patient’s being-ill and the doctor’s being-opposite-illness. As the patient is objectified, the medical gaze is not only a way of looking but becomes a way of being: the doctor looks without being looked at. The objectifying gaze denies the similar embodiment between doctor and patient. Being-opposite-illness denotes this ontological polarity between doctor and patient.

 

한계와 결론
Limitations and conclusions

메를로-퐁티, 하이데거, 사르트르가 모두 백인, 시스젠더, 유능한 남성의 경험만을 설명했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2,5,27,28 이것은 중요한 비판이며, 앞으로의 연구가 제 연구에 추가하고 수정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저는 모든 의사에게 공통된 의사 경험의 측면에 집중하여 제 경험에 적용될 수 있는 특징을 파악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이 조사는 의대생 시절뿐만 아니라 일반인으로서 환자가 되어 다른 사람의 질병을 본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 저는 의사로서 첫 직업을 시작한 지 몇 달이 지났고, 의대 재학 기간 동안 환자의 객관화를 이해하기에 충분한 경험을 쌓았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이 글은 서양의 전통적인 현대 의학만을 다루고 있으며, 대면 임상 경험만을 설명하려고 시도했습니다. 간호사나 다른 의료 전문가에게는 적용될 수도 있고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설명의 한계는 정신과 임상 사례에 국한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정신과 질환의 양상과 정신과 질환에 대한 현재의 학문적 이해로 인해, 저는 제 설명을 정신과 임상 사례까지 확장하지 않았으며 정신과 임상 사례는 그 자체로 완전한 현상학적 분석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I am aware that I may be criticized as Merleau-Ponty, Heidegger, and Sartre all have been for providing accounts explaining only the experiences of white, cis-gendered, able-bodied, males.2,5,27,28 This is an important critique and I hope further works can add to and correct mine. I have tried to focus on aspects of doctor’s experiences common to all to identify features that apply beyond my own experiences. This investigation is built on my experiences of being a patient and seeing illness in other people both as an untrained member of the public as well as during my time as a medical student. At the time of writing, I am months from starting my first job as a doctor and I believe my years at medical school have given me enough experience to understand patient objectification. Additionally, this account concerns only western conventional contemporary medicine and attempts to describe only the face-to-face clinical encounter. It may or may not apply to nurses or other healthcare professionals. Finally, a limitation of this account is the psychiatric clinical encounter. Due to how psychiatric illness presents and the current academic understanding of psychiatric disease, I do not extend my account to the psychiatric clinical encounter and maintain the psychiatric clinical encounter warrants its own complete phenomenological analysis.


여기서 의사의 존재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하여 제외시킨 다른 현상들에는 의사와 환자에 대한 사회의 시각도 포함된다. 드 보부아르5 가 제안하고 영28 이 이를 바탕으로 구축한 것처럼, 사회가 개인을 바라보는 방식은 개인이 세상에 존재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나는 임상적 만남의 시간적 요소를 탐구하지 않았다. 병동 회진이나 진료실에서 환자들은 연속적으로 마주칩니다. 따라서 의사는 다음 환자에게 집중하기 위해 각 환자로부터 자신을 분리할 수 있습니다. 
Further phenomena that I have excluded here I believe may affect the ontology of the doctor includes society’s view of doctor and patient. As de Beauvoir5 suggests and Young28 builds upon, the way a society views an individual affects their being-in-the-world. Secondly, I have not explored the temporal element of the clinical encounter. On the ward round and in clinic, patients are encountered in series. Therefore, it may be that doctors detach themselves from each patient to focus on the next.

결론적으로, 이 분석은 의사들의 구체화된 삶의 경험을 설명함으로써 의사들의 경험을 탐구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설명은 의대생 시절의 경험과 저의 의료 인문학과의 접목을 인정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했을 것입니다. 앞서 주장했듯이, 이 연구는 의대생에게 철학을 가르치는 것의 가치를 보여줍니다.7 임상적 만남을 체화된 두 개인 간의 만남으로 논의하는 것은 의사-환자 관계와 임상 술기 교육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의대생의 존재론적 전환을 설명함으로써 말입니다. 저는 의학교육자로서 공감과 연민과 같은 현상을 새롭게 바라보고, 이것이 어떻게 발달하지만 또한 어떻게 상실되는지 탐구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는 의대생의 존재론적 전환이 의료 윤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질병에 대한 신체적 반응을 윤리적 요구로서 선을 행하는 것으로 탐구할 수도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저는 의과대학과 임상 실습을 통해 존재론적 전환을 겪는다는 것을 보여드리려고 노력했습니다. 이는 궁극적으로 의사의 독특한 존재 방식, 즉 '질병-반대편의-존재'로 귀결됩니다. 
In conclusion, this analysis attempts to present a new way of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doctors by accounting for their embodied lived experience. This account would not be possible without acknowledging the medical student experience and my medical humanities intercalation. As argued previously, this work illustrates the value of teaching philosophy to medical students.7 The discussion of the clinical encounter as being between two embodied individuals may promote renewed approaches to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and clinical skills education. Specifically, by accounting for the ontological transition of medical students. I hope as medical educators we can take a fresh look at phenomena like empathy and compassion, exploring how these are developed but also lost. Furthermore, future work may look at the impact of the ontological transition of medical students on medical ethics, perhaps exploring the bodily response to illness as an ethical demand to do good. In sum, I have attempted to show that one undergoes an ontological transformation at medical school and through clinical practice. This ultimately results in a unique way of being for doctors: being-opposite-illness.

 


 

 

Teach Learn Med. 2023 Jan-Mar;35(1):108-116. doi: 10.1080/10401334.2022.2108814. Epub 2022 Aug 18.

 

Being-Opposite-Illness: Phenomenological Ontology in Medical Education and Clinical Practice

Affiliations collapse

1Hull-York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York, York, UK.

PMID: 35979806

DOI: 10.1080/10401334.2022.2108814

Abstract

Issue: Phenomenology has proven to be a very useful tool for medicine. Descriptive, first-person accounts of patient experiences can reveal new and unique insights. These insights can inform renewed approaches to medical education and practice. However, comparatively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other side of the clinical encounter. This leaves the lived experiences of doctors diagnosing and treating illness unaddressed and the ontological transformation of medical students through medical education unexplored. Evidence: This paper provides a phenomenological description of the clinical encounter and ontological transformation of the medical student into the doctor. I argue doctors have a unique ontology, rooted in the objectification of the patient, for which I use the term being-opposite-illness This is achieved, through phenomenological examination of my experiences as a medical student and through descriptions of three distinct types of face-to-face encounters: the basic encounter with the Other, the encounter with illness, and the clinical encounter, which I argue are all metaphysically distinct. Finally, textual analysis of popular first-person accounts from two doctors, Henry Marsh and Paul Kalanithi, provide an illustration of being-opposite-illness in clinical practice and how this ontological transformation occurs through medical education. Implications: Together, the phenomenology of the clinical encounter and textual analysis of Marsh and Kalanithi reveal clinical practice and medical education be an ontological transformative process. This paper attempts a new understanding of this experience of doctors by accounting for their unique ontology. In sum, I suggest being-opposite-illness can represent a new lens for analyzing the experience of doctors. Through this, I hope to promote new medical education and practice approaches.

Keywords: Phenomenology; medical education; medical humanities; student perspectiv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