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거이론의 퀄리티를 추구하며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2021)
The pursuit of quality in grounded theory
Kathy Charmaza and Robert Thornberg

 

 

소개
Introduction

미국의 사회학자 바니 글레이저와 안셀름 스트라우스(1967)의 '근거 이론의 발견': 질적 연구를 위한 전략'은 새로운 분석 방법을 제안했을 뿐만 아니라 질적 연구의 질을 지키는 데 앞장섰습니다. 근거 이론은 데이터 수집을 구체화하고 이를 분석하기 위한 명시적인 전략을 제공하는 체계적인 연구 수행 방법입니다. 이 방법의 명확한 목적은 연구 대상의 하나 이상의 핵심 관심사에 대한 추상적인 이해를 제공하는 이론을 구성하는 것입니다. 
American sociologists Barney Glaser and Anselm Strauss’s (1967)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not only proposed a new method of analysis, but also led the charge of defending the quality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is a systematic method of conducting research that shapes collecting data and provides explicit strategies for analyzing them. The defining purpose of this method is to construct a theory that offers an abstract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core concerns in the studied world.

근거 이론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분석 초점이 경험적 탐구가 시작되기 전에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연구 과정 중에 나타납니다. 점점 더 많은 근거 이론가들은 이 방법을 연구 과정 전반에 걸쳐 데이터에 대해 사고하고, 구성하고, 상호 작용하는 방식이라고 가정합니다(Morse 외, 곧 발표 예정). 이제 근거 이론을 사용한다는 것은 참가자의 삶에 대해 개방적으로 학습한다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또한 연구가 철저하고 체계적으로 수행된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연구자가 배운 것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In grounded theory studies, the researcher’s analytic focus emerges during the research process, rather than being determined before empirical inquiry begins. Increasingly, grounded theorists assume that the method is a way of thinking about, constructing, and interacting with data throughout the research process (Morse et al., forthcoming). Using grounded theory now means more than openness to learning about the participants’ lives. It also means making what the researchers learn transparent by showing how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horoughly and systematically.

근거 이론 방법은 연구자의 이론적 분석을 발전시키는 데 유용한 전략을 제공합니다. 이 방법은 연구자가 자신의 학문 분야와 더 큰 연구 문헌에서 새로운 개념을 생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개념은 심리학을 비롯한 여러 분야의 전문 정책과 실무에 직접 적용될 수 있습니다.
The grounded theory method offers useful strategies to develop researchers’ theoretical analyses. This method helps them to generate new concepts in their discipline and the larger research literature. These concepts may have direct application for professional policies and practices in psychology and beyond.

먼저 이 방법의 논리를 간략하게 설명한 다음, 근거 이론의 발전의 역사적 맥락을 스케치해 보겠습니다. 근거 이론은 그 시작부터 현재까지 질적 연구의 질에 대한 질문을 다루어 왔습니다. Glaser와 Strauss(1967)는 질적 연구를 새로운 이론적 공헌과 연결시켰습니다. 논의 전반에 걸쳐, 우리는 근거 이론 연구에서 품질에 대한 우려가 연구 프로세스에 어떻게 퍼져 있는지 자세히 설명합니다. 또한 근거 이론가들의 품질에 대한 개념을 더 큰 문헌과 비교한 다음 개념의 발전과 이론적 프레임워크와의 관계를 자세히 설명합니다. 마지막으로 요점을 종합하고 구성주의 근거 이론 연구에서 품질을 수행하기 위한 체크리스트와 제안을 제공하는 것으로 마무리하지만, 대부분의 제안은 다른 버전의 근거 이론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We begin by briefly explaining the logic of the method and then sketch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grounded theory. From its beginning to the present, grounded theory has addressed questions about quality in qualitative research. Glaser and Strauss (1967) tied quality to making new theoretical contributions. Throughout our discussion, we detail how concerns about quality pervade the research process in grounded theory studies. We also compare notions of quality among grounded theorists with the larger literature and then detail development of a concept and its relation to a theoretical framework. We end by synthesizing our key points and offering a checklist and suggestions for conducting quality in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research, although most of the suggestions are applicable to other versions of grounded theory as well.

근거 이론 연구의 품질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많은 연구자, 그중에서도 심리학자들이 이론 구성 대신 또는 이론 구성과 함께 다양한 가치 있는 목적으로 이 방법을 사용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습니다. 이러한 목적에는 다음 등이 있습니다.

  • 새로운 연구 영역 탐색(Bronk 2012),
  • 주요 과정 설명 및 이해(Qin and Lykes 2006),
  • 대중의 목소리를 거부당한 사람들의 상황 조명(Ayón 외. 2017; Gibson 2016; Scull, Mbonyingabo, Kotb 2016; Tuason 2013),
  • 정책 개발(Faija 외. 2017),
  • 전문적 실천에 대한 시사점(Song and de Jong 2013; Yakushko 2010) 

수많은 연구자들이 주제별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몇 가지 근거 이론 전략을 사용합니다(브라운과 클라크 2006 참조). 이 글에서는 다른 목적에도 부합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이론 구축을 목표로 하는 근거 이론 연구의 품질을 강조합니다. 
Before outlining quality in grounded theory research, we wish to point out that many researchers, psychologists among them, use this method for a variety of worthy purposes instead of or in conjunction with theory construction. Such purposes include

  • exploring a new area of study (Bronk 2012)
  • explicating and understanding a major process (Qin and Lykes 2006),
  • illuminating the situations of people denied a public voice (Ayón et al. 2017; Gibson 2016; Scull, Mbonyingabo, and Kotb 2016; Tuason 2013),
  • developing policy (Faija et al. 2017), and
  • implications for professional practice (Song and de Jong 2013; Yakushko 2010). 

Numerous researchers use several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conducting thematic analyses (cf. Braun and Clarke 2006). In this article, we emphasize quality in grounded theory studies that aim for theory construction, despite whether they also serve other goals.

근거 이론의 논리
The logic of grounded theory

글레이저와 스트라우스(1967)는 병원에서의 죽음과 임종에 대한 주목할 만한 질적 연구를 구성하는 데 사용한 방법을 설명함으로써 근거 이론을 발전시켰습니다(Glaser & Strauss, 1965, 1968). 이 방법론적 논문에서 그들은 동시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이라는 혁신적이고 체계적인 전략을 도입했습니다. 이는 근거 이론의 특징이 되었으며 질적 조사 전반에 걸쳐 널리 채택되었습니다. 글레이저와 스트라우스는 데이터 수집과 분석의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연구자가 연구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에 순차적으로 집중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동시에 수행하면 연구자는 데이터에 대한 개념을 개발하는 데 꾸준히 집중하고 초기 개념을 구체화하는 추가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글레이저와 스트라우스는 당시 민족지학 연구의 특징이었던 데이터 수집과 분석의 분리에 반대했습니다. 1960년대의 민족지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상당한 양의 데이터가 깊이와 풍부함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그러나 이 반갑지 않은 발견을 했을 때는 이미 연구 현장을 떠난 후여서 돌아오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러나 연구자들이 데이터를 수집할 때 체계적으로 질문하면 초기 아이디어가 후속 데이터 수집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Glaser and Strauss (1967) developed grounded theory by explaining the methods they used to construct their remarkable qualitative studies of death and dying in hospitals (Glaser & Strauss, 1965, 1968). In this methodological treatise, they introduced the innovative and systematic strategy of simultaneou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It became a hallmark of grounded theory and has become widely adopted throughout qualitative inquiry. Glaser and Strauss argued that by engaging in an iterative process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researchers would sequentially focus on the most significant issues in the field of study. Simultaneou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help researchers to steadily focus on developing concepts about the data and to gather further data that flesh out their nascent concepts. Glaser and Strauss opposed the separation of data gathering and analysis that characterized ethnographic research of their time. Ethnographers of the 1960s commonly discovered their considerable quantities of data lacked depth and richness. But by the time they made this unwelcome discovery, they had left the research site and often could not return. If, however, researchers systematically interrogate their data as they gather it, their early ideas can then inform subsequent data collection.

데이터 분석을 시작하기 위해 Glaser와 Strauss는 데이터를 비교하고 코딩할 것을 주장했습니다. 이들에게 초기 코딩이란 데이터의 스니펫에 레이블을 지정하여 데이터를 분리하는 동시에 데이터가 제시하는 의미와 조치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연구자가 데이터를 새롭게 바라보고, 데이터의 조각을 비교하고, 분석적인 질문을 던질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우리는 첫 번째 단계로 라인별 코딩을 권장합니다. 근거 이론 방법은 연구자가 데이터를 종합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설명하는 새로운 개념을 구성하여 설명을 넘어서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To begin analyzing data, Glaser and Strauss advocated comparing and coding the data. For them, initial coding meant labeling snippets of data to take them apart while being attentive to the meanings and actions suggested by these data. We advocate line-by-line coding as a first step, because it forces the researcher to take a fresh look at the data, compare fragments of these data, and ask analytic questions about them. The grounded theory method not only helps researchers to synthesize data but, moreover, to move beyond description through constructing new concepts that explicate what is happening.

라인별 코딩은 근거 이론가가 연구 참여자의 경험과 관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이해를 얻으면 연구자가 데이터에 적합하다고 믿었던 소중한 학문적 개념을 다시 생각하거나 포기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심리학자들은 회복탄력성에 관한 중요한 연구를 많이 수행해 왔습니다. 그러나 이 개념의 유용성은 지속적인 위기를 경험하는 절망적인 사람들의 입장에는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카프리스키 세이데(Charmaz 2020, 166)는 콜레라가 유행하던 아이티의 상황을 직접 조사했습니다. 그녀는 노숙자, 극심한 빈곤, 굶주림, 고립, 절망, 죽음과 마주했습니다. 세이데는 '젊은 여성에게 회복탄력성이라는 단어는 patronizing하였고, 더 많은 아이티인들이 일상 생활에서 시험과 도전을 받아 '이성을 잃지 않는다'는 사실이 놀랍기 때문에 구조적 폭력을 정상화하는 것처럼 보였다'고 보고했습니다.

Line-by-line coding helps grounded theorists to understand their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Gaining this understanding can lead to rethinking or relinquishing cherished disciplinary concepts that researchers might have believed would fit their data.

  • For example, psychologists have conducted many important studies about resilience. However, the usefulness of this concept may not fit the stance of desperate people who experience constant crises. Kapriskie Seide (in Charmaz 2020, 166) conducted firsthand research on the situation in Haiti during the cholera epidemic. She found herself face-to-face with homelessness, immense poverty, starvation, isolation, hopelessness, and death. Seide reported that ‘For a young woman, the word resilient was patronizing and seemed to normalize structural violence as it is surprising to some that more Haitians are not ‘losing their shit’ from being tested and challenged by their everyday lives’.

글레이저와 스트라우스(1965, 1968)의 연구는 여러 현장에서의 광범위한 현장 연구를 기반으로 했습니다. 오늘날 대부분의 근거 이론 연구는 인터뷰를 기반으로 합니다. 근거 이론가들은 초기 인터뷰의 코드에 대한 후속 연구를 통해 보다 핵심적인 질문을 개발하고 중요할 것이라고 예상하지 못했던 영역에 대해 질문합니다. 데이터와 분석 사이를 오가며 초기 아이디어의 타당성을 확인하고, 타당성이 있는 아이디어의 분석 수준을 높이며, 이를 더욱 완벽하게 뒷받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근거 이론가들은 코딩을 하는 동안 코드와 코드에 대해 궁금한 점에 대해 메모를 작성합니다.
Glaser and Strauss’s (1965, 1968) studies were based on extensive field research in multiple sites. Today, most grounded theory studies are based on interviews. By following up on codes in the early interviews, the grounded theorists develop more pointed questions and ask about areas that they had not anticipated would be important. Tacking back and forth between data and analysis helps to check the pertinence of their nascent ideas, raise the analytic level of those that hold up, and support them more fully. While grounded theorists are coding, they write memos about their codes and the questions they have about them.

메모 작성코딩과 (잠정 분석을 포함한) 논문 초안 작성 사이의 중간 단계입니다. 초기 메모에는 근거 이론가의 코드, 분석 및 방법론적 질문, 데이터 조각 간의 비교에 대한 논의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다른 메모는 근거 이론가들이 코드를 분해하기 때문에 더 분석적입니다.

  • 먼저 코드의 속성이나 특징에 따라 코드를 정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속성은 코드를 구성하고 다른 코드와 차별화하는 요소입니다.
  • 명시되지 않은 가정을 찾아보고 자신과 연구 참여자의 가정을 검토하세요.
  • 코드가 어디로 연결되는지, 다른 코드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기록하세요.
  • 모든 코드가 동일한 것은 아닙니다. 어떤 코드는 구체적이고 설명적입니다. 다른 코드는 보다 분석적이고 광범위한 데이터를 설명합니다.
  • 연구를 진행하면서 메모는 더욱 명확해지고 분석적이 됩니다. 이런 식으로 연구에 퀄리티를 쌓아가는 것입니다.

Memo writing is the intermediate step between coding and writing the first draft of the paper, including the provisional analysis. Early memos may include discussions of grounded theorists’ codes, analytic and methodological questions as well as comparisons between fragments of data. Other memos are more analytic because grounded theorists take codes apart.

  • We suggest that you first define a code by its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These properties are what constitute the code and differentiate it from other codes.
  • Look for unstated assumptions and examine your own as well as those of your research participants.
  • Record where the code takes you and how it is linked to other codes.
  • Not all codes are equal. Some codes are concrete and descriptive. Others are more analytic and account for a wider range of data.
  • As you proceed with your research, your memos become more definitive and analytic. In this way, you are building quality into your study.

얼마나 많은 줄 단위 코딩을 해야 할까요? 코드가 어떻게 합쳐지는지 확인하고 어떤 코드가 가장 중요한지 파악한 후에는 줄 단위 코딩을 중단할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코드를 집중 코드로 정의하세요. 이러한 코드는 다른 코드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설명하고, 관련 코드를 하위에 포함하며, 작업의 분석 수준을 높입니다. 그런 다음 집중 코드를 사용하여 대량의 데이터 배치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살펴보세요. 집중 코딩은 데이터에 대한 강력한 기반을 유지하면서 분석 프로세스를 신속하게 진행합니다. 집중 코드는 잠정적인 분석 범주를 생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 범주가 유효할까요? 이 범주가 데이터를 설명할 수 있을까요, 아니면 다른 문제가 있을까요?
How much line-by-line coding should you do? After seeing how your codes coalesce and identifying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you can stop line-by-line coding. Define the most important codes as focused codes. These codes account for more data than other codes, subsume related codes, and raise the analytic level of your work. Then use the focused codes to examine how they work with large batches of data. Focused coding expedites the analytic process while retaining your strong foundation in the data. Focused codes help to generate tentative analytic categories, which you then pursue. Do these categories hold up? Can they account for these data, or is something else going on?

근거 이론은 집중 코딩과 같이 연구 프로세스에 품질에 기여하는 점검을 구축합니다. 동시에 집중 코딩을 사용하면 분석 속도를 높이고 후속 데이터 수집을 간소화하여 새로운 분석에서 질문에 답할 수 있는 타깃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근거 이론은 연구자에게 더 적은 데이터로 더 많은 분석력을 제공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점이 매우 작은 샘플을 사용하는 것을 변명할 수는 없습니다(참조, Thomson 2011). 
Grounded theory builds checks into the research process that contribute to its quality, such as engaging in focused coding. Simultaneously, using focused coding helps you to expedite your analysis and streamline your subsequent data collection to gather targeted data that answer questions in your emerging analysis. Hence, grounded theory gives the researcher more analytic power with fewer data. Nonetheless, this point does not excuse having very small samples (cf., Thomson 2011).

질적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데이터에서 명시적 및 암시적 프로세스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근거 이론은 프로세스를 연구하는 유용한 방법을 제공합니다. 프로세스를 명시하기 위해 근거 이론가들은 행동과 의미를 연구하고 이들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보여줍니다. 

  • 예를 들어, 심리학자 Qin과 Lykes(2006)는 의미와 행동의 융합에 대한 훌륭한 분석을 제공합니다. 이들은 미국에 있는 중국 여성 대학원생들의 상황을 연구하여 파편화된 자아를 재구성함으로써 자기 이해를 얻는 기본적인 심리적 과정을 발견했습니다. 이 학생들은 미국에 도착하기 전에 분열된 자아를 경험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중국에서는 성차별, 정치적 부패, 사회적 관계망에 대한 관리 능력 부족 등으로 인해 자기 이해가 파편화되었습니다. 고등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열망은 여성에 대한 문화적 규범과 모순되었습니다. 미국에서는 '차별, 무례, 외로움, 자기 의심'(192쪽)을 경험하면서 자아가 더욱 분열되었습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자기 이해에 다문화적 통찰을 접목하면서 더 복잡한 자아를 갖게 되었습니다.

Qualitative research allows researchers to discern explicit and implicit processes in their data. Grounded theory offers a useful way of studying processes. To make processes explicit, grounded theorists study actions as well as meanings and show how they are connected.

  • For example, psychologists Qin and Lykes (2006) provide an excellent analysis of the convergence of meanings and actions. They studied the situations of Chinese women graduate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and discovered the basic psychological process of gaining self-understanding through reweaving a fragmented self. These students often experienced a fragmented self before their arrival in the US. In China, their self-understanding became fragmented due to gender discrimination, political corruption, and inability to manage the web of social relationships in which they were embedded. The students’ quest for higher education contradicted cultural norms for women. In the US their selves became further fragmented, as they experienced ‘discrimination, disrespect, loneliness, and self-doubt’ (p. 192). Yet many gained more complex selves as they rewove cross-cultural insights into their self-understandings.

연구 과정의 모든 단계에서 근거 이론가들은 데이터로 시작하여 범주 간의 비교로 끝나는 비교를 합니다.각주1 그 후, 그들은 최종 범주 또는 범주를 기존 문헌과 비교합니다. 근거 이론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미리 알 수 없기 때문에 연구를 완료할 때 문헌을 체계적으로 검색해야 합니다.
At every stage of the research process grounded theorists make comparisons beginning with data and ending with comparisons between their categories.Footnote1 Subsequently, they compare their final category or categories with the existing literature. Because they do not know in advance where grounded theory may take them, they need to do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as they complete their study.

글레이저와 스트라우스는 연구자의 개념 범주의 분석력을 높이는 반복적인 과정이 근거 이론에 많은 힘을 준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그들은 새로운 데이터로 이러한 범주를 채우기 위해 새로운 유형의 샘플링인 '이론적 샘플링'을 제안했습니다. 이 유형의 샘플링에서 연구자는 범주를 설명할 수 있는 데이터를 찾습니다. 이 용어는 정량적 연구에서 대표 표본 추출로 오인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혼동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론적 샘플링은 대표 샘플링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글레이저와 스트라우스는 새로운 개념 범주의 이론적 포화라고 부르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근거 이론가들은 이론적 샘플링을 하면서 더 많은 데이터를 찾지만 범주의 새로운 속성이나 특성을 발견하지 못할 때 이론적 포화 상태에 도달합니다. 이론적 샘플링이론적 포화는 반복적인 프로세스를 추구하고 구축된 범주를 데이터와 비교하여 철저하게 확인하는 데 달려 있습니다. 그러나 연구자가 각 참가자에게 동일한 질문만 던진다면 주제에 대해 비슷한 이야기를 이끌어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데이터 포화 상태이며,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인터뷰에서도 발생하지만 연구의 분석력에는 거의 기여하지 않습니다. 
Glaser and Strauss realized that the iterative process of increasing the analytic power of the researcher’s conceptual categories gave grounded theory much of its strength. They proposed a new type of sampling, ‘theoretical sampling’, to fill out these categories with new data. In this type of sampling, researchers look for data that will inform their categories. The term is confusing because it is often mistaken for representative population sampling in quantitative research. However, theoretical sampling has nothing to do with representative sampling. Glaser and Strauss are aiming for what they call theoretical saturation of the emerging conceptual categories. Grounded theorists achieve theoretical saturation, when they seek more data while theoretical sampling, but find no new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of their categories. Theoretical sampling and theoretical saturation depend upon pursuing the iterative process and thoroughly checking the constructed categories against data. If, however, researchers only ask the same questions of each participant, they are likely to elicit similar stories about the topic. That is data saturation, and it occurs with relatively few interviews but seldom contributes to the analytic power of the study.

이론적 샘플링과 이론적 포화는 연구자의 분석을 강화하고 명확한 주장을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연구의 품질에 기여합니다. 요컨대, 근거 이론가들은 상담 심리학자 Morrow(2005)와 Williams와 Morrow(2009)가 연구 실무에서 반드시 달성해야 한다고 주장한 연구의 'trustworthiness'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Theoretical sampling and theoretical saturation contribute to the quality of the study by strengthening researchers’ analysis and giving them material for making explicit claims about it. In short, grounded theorists are building the kind of ‘trustworthiness,’ of their research that counseling psychologists Morrow (2005) and Williams and Morrow (2009) rightly argue is imperative to achieve in research practice.

근거 이론 개발의 질에 대한 우려
Concerns about quality in the development of grounded theory

글레이저와 스트라우스(1967)가 최첨단 이론을 발표할 당시만 해도 그들은 사회학자들에게 많은 이야기를 하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자신들의 방법이 심리학, 간호학, 의학, 교육, 컴퓨터 과학, 도시 계획 등 여러 학문 분야와 전문 분야의 경계를 넘나들 것이라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사회학에서 질적 연구의 질에 대한 글레이저와 스트라우스의 옹호는 양적 사회학자에 대한 용감한 반박이었습니다. 1960년대에 이르러 질적 연구는 객관성, 타당성, 신뢰성, 재현성이 결여된 것으로 간주하는 미국의 양적 사회학자들의 공격을 받게 되었습니다(Bryant & Charmaz 2007; Charmaz, 1995, Charmaz 2006). 정량적 연구는 이미 체계적으로 체계화되어 있었고, 그 방법을 배울 수 있는 교과서도 점점 더 많이 보급되고 있었습니다. 반면, 질적 연구는 주로 구전으로 내려오는 멘토링 전통과 탐구 분야에 대한 몰입을 통해 배워왔습니다. 그 결과는 소규모의 설명적 연구였습니다. Glaser와 Strauss(1967)의 진술이 나오기 전까지는 고품질의 질적 이론 분석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체계적으로 성문화된 글은 거의 없었으며, 그보다 훨씬 적은 양이었습니다. 
At the time of Glaser and Strauss’s (1967) cutting edge statement, they were very much speaking to sociologists. They never dreamt that their method would cross many disciplinary and professional borders such as in psychology, nursing, medicine, education, computer science, and urban planning. Glaser and Strauss’s defense of the quality of qualitative research in sociology stood as a valiant rebuttal to quantitative sociologists. By the 1960s, qualitative research had come under attack by US quantitative sociologists who viewed qualitative inquiry as lacking objectivity, validity, reliability, and replicability (Bryant & Charmaz 2007; Charmaz, 1995, Charmaz 2006). Quantitative research had already been systematically codified and textbooks were increasingly available for learning how to do it. In contrast, qualitative research had largely been taught through an oral tradition of mentoring and immersion in the field of inquiry. The results were small descriptive studies. Until Glaser and Strauss’s (1967) statement, little had been written, much less codified into a systematic statement, about how to construct a qualitative theoretical analysis of high quality.

질적 연구에 대한 양적 사회과학자들의 날카로운 비판에 대해 글레이저와 스트라우스는 양적 전통의 교리에 따라 질적 연구를 평가하는 일반적인 관행을 거부했습니다. 글레이저와 스트라우스는 질적 연구에 대한 양적 연구자들의 비판을 체계적이지 않고 편향적이며 직관적이라는 이유로 거부했습니다. 대신, 그들은 질적 연구는 지배적인 양적 전통에 의해 강요된 기준이 아니라 그 자체의 표준에 따라 평가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When answering quantitative social scientists’ sharp criticisms of its quality, Glaser and Strauss rejected the common practice of evaluating qualitative research according to the tenets of the quantitative tradition. Glaser and Strauss rejected quantitative researchers’ criticisms of qualitative inquiry as being unsystematic idiosyncratic, biased, and intuitive. Instead, they argued that qualitative research must be evaluated on its own canons, not on those imposed by the dominant quantitative tradition.

글레이저와 스트라우스는 연역적 정량적 연구는 연구자가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올바른' 질문을 알고 있다고 가정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질문은 일반적으로 경험적 세계와는 거리가 먼 사변적 이론에서 파생된 것이었습니다. 글레이저와 스트라우스는 다음과 같이 제안했습니다.

  • (1) 연구 질문은 경험적 상황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생겨나야 하고, 
  • (2) 연역적 가설 테스트는 새로운 이론적 접근법 개발을 저해하며, 
  • (3) 따라서 연구 결과의 품질, 관련성 및 유용성을 떨어뜨린다고 

Glaser and Strauss avowed that deductive quantitative research assumed that researchers knew the ‘right’ questions to ask before beginning their studies. Such questions were typically derived from speculative theorizing far removed from the empirical world. Glaser and Strauss proposed that

  • (1) research questions had to arise from studying empirical situations,
  • (2) deductive hypothesis testing undermined developing new theoretical approaches, and
  • (3) thus, reduced the quality, relevance and usefulness of the research products.

요컨대, 글레이저와 스트라우스는 풍부한 직접 데이터를 활용한 귀납적 질적 연구가 이론 구축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객관성, 타당성, 신뢰성, 재현성의 규범을 고수하는 것은 이론화를 저해할 수 있다고 선언했습니다. 따라서 연구를 수행하기 전에 연구와 이론적 문헌에 몰입하면 연구자가 흔들리고 결과적으로 연구에 대한 선입견을 갖게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글레이저와 스트라우스에게 이론화, 즉 수준 높은 연구를 위해서는 연구 대상 현상에 대한 직접적인 지식이 전제되어야 했습니다. 또한 직접 경험에 대한 연구는 엄격하게 수행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In short, Glaser and Strauss declared that inductive qualitative research with rich first-hand data could lead to theory construction and that adhering to canons of objectivity, validity, reliability and replicability would inhibit theorizing. Hence, they argued that immersion in the research and theoretical literatures before conducting research would sway researchers and subsequently, preconceive their studies. For Glaser and Strauss, theorizing–and creating high quality research–needed to be predicated on direct knowledge of the studied phenomenon. Moreover, they contended that studies of direct experience could be conducted with rigor.

글레이저와 스트라우스의 입장을 맥락에 맞게 이해하려면 1960년대 미국 사회학과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었는지 자세히 알아두면 도움이 됩니다. 사회학과 인류학은 20세기에 접어들면서 학문이 시작될 때부터 질적 연구를 직접 수행해 온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1960년대에 이르러 양적 연구자들이 사회학의 주요 부서, 학술지, 연구 기관, 연구비 지원 기관을 장악하면서 질적 연구를 공격하고 소외시켰습니다. 그들은 소수의 재능 있는 스타만이 학계의 주목을 받을 만한 질적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글레이저와 스트라우스는 이러한 견해를 거부하고 질적 연구를 민주화했습니다. 그들은 근거 이론이 일반 연구자들에게 각자의 분야에서 견고한 이론을 구축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할 것이라고 약속했습니다. 
To place Glaser and Strauss’s position in context, it helps to know more about what was happening in US sociology departments of the 1960s. Sociology and anthropology have had long histories of first-hand qualitative research from the beginning of their disciplines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But by the 1960s, quantitative researchers had attacked and marginalized qualitative inquiry in sociology by gaining control over leading departments, journals, research institutes, and funding agencies. They believed only a few talented stars could produce qualitative studies worthy of academic attention. Glaser and Strauss rejected this view and democratized qualitative inquiry. They promised that grounded theory would give ordinary researchers the tools to construct solid theories in their respective areas.

글레이저와 스트라우스의 책(1967)은 여러 세대의 대학원생들에게 영감을 주었습니다. 이 책은 귀납적 질적 연구를 정당화했고 코딩과 메모 작성을 질적 탐구의 필수 전략으로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이론적 샘플링과 포화에 관심을 갖고 이론을 구성한 연구자는 거의 없었습니다. Strauss와 Corbin(1990, 1998)의 등장으로 연구자들에게 근거 이론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고 주장하며 큰 인기를 끌었던 매뉴얼이 등장했습니다. 그러나 이들의 책은 Strauss(1959)의 초기 연구에서 보여준 개방적이고 유동적인 접근 방식과 뚜렷한 대조를 이루며 경직되고 규범적인 것으로 비춰졌습니다.각주2 Strauss와 Corbin의 매뉴얼은 Glaser(1978)의 정교한 방법론과도 차이가 있었으며, Glaser(1992)의 격렬한 반응과 유일한 '고전적' 근거 이론 방법을 가지고 있다고 공언한 것과도 차이가 있습니다. 
Glaser and Strauss’s (1967) book inspired generations of graduate students. The book legitimized inductive qualitative research and made coding and memo-writing integral strategies of qualitative inquiry. However, few researchers engaged in theoretical sampling and saturation and constructed theory. The appearance of Strauss and Corbin (1990, 1998) immensely popular manuals claimed to give researchers instructions about how to do grounded theory. However, their books came across as rigid and prescriptive in sharp contrast to the open-ended, fluid approach of Strauss’s (1959) earlier work, and evident in the Discovery book.Footnote2 Strauss and Corbin’s manuals also diverged from Glaser’s (1978) elaboration of the method, to Glaser’s (1992) furious response and avowals to have the only ‘classic’ grounded theory method.

아이러니하게도 초기의 근거 이론 연구자와 지지자들(예: Glaser 1978; Strauss와 Corbin 1990, 1998)은 이 방법을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절차의 기계적인 적용으로 취급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실증주의 인식론의 잔재는 글레이저와 스트라우스와 코빈의 텍스트에서도 분명하게 드러나는데, 그 이유는 아래와 같은 중립적인 관찰자를 전제로 하기 때문입니다. 

  • (1) 세심한 관찰을 통해 발견할 수 있는 외부 세계를 가정하고,
  • (2) 연구 과정으로부터 자신을 분리하고,
  • (3) 데이터에 대한 객관적인 시각을 형성하고,
  • (4) 연구 참여자와 연구 과정에 대한 그들의 대표성을 문제가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Perhaps ironically, early grounded theory researchers and proponents (e.g., Glaser 1978; Strauss and Corbin 1990, 1998) often treated the method as a mechanistic application of procedures to gather and analyze data. The residues of an epistemology of positivism are also evident in both Glaser’s and Strauss and Corbin’s texts because they presuppose neutral observers who

  • (1) assume an external world, which can be discovered by meticulous observation,
  • (2) separate themselves from the research process,
  • (3) form an objective view of the data, and
  • (4) treat their representa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research process as unproblematic.

또한 글레이저는 소규모 표본을 옹호하고, 근거 이론을 모든 인식론(지식의 본질과 그에 대한 합리적 정당화에 대한 철학적 이론)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고 가정하며, 시간, 장소, 개인, 상황을 초월하는 검약한 이론적 일반화를 추구합니다. 그러나 인식론적 입장은 연구자가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과 이러한 데이터와 후속 분석에 대한 영향력을 인정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In addition, Glaser defends small samples, presumes that grounded theory can be used with any epistemology (a philosophical theory of the nature of knowledge and reasoned justifications for it) and pursues parsimonious theoretical generalizations that transcend time, place, individuals, and circumstances. Epistemological stances are, however, significant because they shape how researchers gather their data and whether they acknowledge their influence on these data and the subsequent analysis.

심리학자 헨우드와 피전(2003)은 17년 전에 근거 이론에 대해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중요한 지적을 제기했습니다. 그들은 근거 이론을 하나의 단일 방법으로 보기보다는 질적 탐구에서 중요한 문제에 대해 토론할 수 있는 유용한 결절점으로 볼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근거 이론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초기의 매뉴얼과 달리, Bryant(2017, 2019), Charmaz(2006, 2014), Corbin과 Strauss(2008, 2015), Thornberg와 Charmaz(2014)를 포함한 현대 버전의 방법론은 근거 이론에 유연하게 접근하고 보다 최근의 인식론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론자들은 다양한 현실을 인정하고, 다양한 관점을 추구하며, 연구 과정 전반에 걸쳐 비판적 분석에 참여하는 것을 지지합니다. 이 접근법은 아래와 같은 연구자에게 호소력을 발휘합니다.

  •  (1) 연구 과정 전반에 걸쳐 반성적으로 참여하고,
  • (2) 자신의 입장, 출발점, 연구 활동을 가능한 한 투명하게 하고자 하며,
  • (3) 연구에 참여하기 전에 해당 주제에 대한 이론적, 실체적 문헌을 읽되 이러한 문헌을 반드시 진실이나 최종 진술로 받아들이지 않고,
  • (4) 근거 이론을 포함한 모든 방법론적 접근은 인식론을 가정한다고 본다.

Psychologists Henwood and Pidgeon (2003) raised a crucial point 17 years ago about grounded theory that still holds today. They contended that rather than seeing grounded theory as a unitary method, we can view it as a useful nodal point around which we can debate significant issues in qualitative inquiry. Unlike earlier manuals describing how to do grounded theory, contemporary versions of the method including Bryant (2017, 2019), Charmaz (2006, 2014), Corbin and Strauss (2008, 2015), and Thornberg and Charmaz (2014) take a flexible approach to grounded theory and adopt more recent epistemologies. These methodologists subscribe to acknowledging multiple realities, seeking diverse perspectives, and engaging in critical analysis throughout the research process. This approach appeals to researchers who

  • (1) engage in reflexivity throughout the research process,
  • (2) aim to make their standpoints, starting points, and research actions as transparent as possible,
  • (3) read theoretical and substantive literatures on their topics before engaging in research, but do not necessarily take these literatures as true or final statements, and
  • (4) assume every methodological approach, including grounded theory, assumes an epistemology.

근거 이론에 대한 글레이저와 스트라우스의 주장은 1960년대에 혁명적이었습니다. 2007년에 케네스 게르겐(Kenneth Gergen)은 '사실에 대한 모든 지식은 경험에서 비롯되거나 그 검증을 위해 경험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인식론적 접근 방식인 경험주의에 의존하기 때문에 Glaser와 Strauss(1967)의 근거 이론을 시대에 뒤떨어진 것passé 으로 일축했습니다(APA 심리학 사전). 게르겐은 모든 경험적 견해는 해석적이라고 지적했는데, 이는 21세기 대부분의 근거 이론가들이 공유하는 인식론적 관점입니다. 언어와 경험은 연구자가 세상을 보는 방식을 형성합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Glaser(2013)는 여전히 데이터가 문제가 없다고 가정하고, 연구자가 이전의 개념, 관점 및 연구를 불러와 데이터를 분석할 때 선입견을 가져서는 안 된다고 주장합니다. 
Glaser and Strauss’s statement of grounded theory was revolutionary in the 1960s. By 2007, Kenneth Gergen (in Cisneros-Puebla 2007) dismissed Glaser and Strauss’s (1967) grounded theory as passé because of its reliance on empiricism, an epistemological approach ‘holding that all knowledge of matters of fact either arises from experience or requires experience for its validation’ (APA Dictionary of Psychology). Gergen pointed out that all empirical views are interpretive, an epistemological view most 21st century grounded theorists share. Language and experience shape how researchers see the world. In contrast, Glaser (2013) still assumes that data are unproblematic and insists researchers must not preconceive analyzing them by invoking earlier concepts, perspectives, and studies.

질적 연구와 심리학
Qualitative research and psychology

질적 연구의 품질에 대한 기준은 아직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았습니다. 질적 연구에서 품질은 매우 중요하지만, 코빈의 말처럼 '질적 연구에 적합한 평가 기준이 무엇인지에 대한 합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코빈과 스트라우스 2015, 341). 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다양한 존재론적, 인식론적 신념과 연구 이상에 뿌리를 둔 질적 연구 전통(예: 담화 분석, 민족지학, 현상학적 연구, 대화 분석)과 그 안의 다양성(예: 비판적 담화 분석, 해석적 현상학적 분석, 비판적 민족지학, 구성주의 근거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심리학자들은 이러한 다양한 질적 방법을 구독하고 그 발전에 기여해 왔습니다.  
Criteria about the quality in qualitative research remain unsettled. Although quality is crucial in qualitative research, there is, as Corbin states, ‘little consensus about what constitutes an appropriate set of evaluation criteria for qualitative research’ (Corbin and Strauss 2015, 341). This can, at least in part, be explained by the multiplicity of qualitative research traditions (e.g., discourse analysis, ethnography, phenomenological research, conversation analysis) and diversities within them (e.g.,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critical ethnography,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rooted in various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beliefs and research ideals. Psychologists have subscribed to this wide range of qualitative methods and contributed to their development.

질적 연구의 객관성, 타당성, 신뢰성 및 재현성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학문적 심리학에 만연해 있습니다. 최근의 한 예로, Anczyk 외(2019)는 질적 연구에서의 복제성을 주장합니다. Rubin, Bell, McCleland(2018)는 대학원 심리학 프로그램에 대한 혼합 방법 연구에서의 우려를 문서화했습니다. 이들은 오랫동안 심리학 분야에서 질적 연구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존재해 왔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응답 프로그램 중 13%만이 질적 연구 과정을 요구한다고 보고했습니다. 1960년대 질적 연구에 대한 사회학적 비판을 반영하듯, 루빈 등의 응답자들은 "질적 연구는 '부정확하고', '주관적이며', '엄밀성이 결여된' 것으로 상상되거나 믿어졌다"(41페이지)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응답자들은 질적 연구가 '페미니즘, 커뮤니티 기반, 사회 정의 연구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라고 설명했습니다(43페이지). 이 점에 대해서는 비평가들이 옳습니다. 심리학자들은 이 분야에서 엄청난 공헌을 해왔으며, 이들 중 다수는 근거 이론을 사용합니다(예: Ayón 외. 2017; Faija 외. 2017; Gibson, 2016; Lee 2018; Scull, Mbonyingabo, Kotb 2016; Tsai, L. 2017; Tuason 2013 참조). 
Concerns about objectivity, validity, reliability and replicability in qualitative research still pervade academic psychology. In a recent example, Anczyk et al. (2019) plea for replication in qualitative research. Rubin, Bell, and McCleland (2018) document the above concerns in their mixed methods study of graduate psychology programs. They found negative judgments about qualitative inquiry that had long been evident in the discipline. They reported that only 13% of the responding programs required a course in qualitative research. Echoing sociological criticisms of qualitative studies in the 1960s, Rubin et al.’s respondents stated that “qualitative research was either imagined to be or believed to be ‘inaccurate,’ ‘subjective,’ and ‘lacking rigor’ (p. 41). However, the respondents described qualitative research as providing the ‘best methods for feminist, community-based, and social justice research’ (p. 43). The critics are correct on this point. Psychologists have made enormous contributions in these areas, and many of them use grounded theory (see, for example, Ayón et al. 2017; Faija et al. 2017; Gibson, 2016; Lee 2018; Scull, Mbonyingabo, and Kotb 2016; Tsai, L. 2017; Tuason 2013).

그러나 비평가들은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심리학자들의 기여에 대한 다른 중요한 고려 사항을 무시하는 것 같습니다.

  • 질적 심리학자들은 다양한 문제를 연구하며 의학 및 정신의학, 교육, 종교, 민족 및 젠더 연구, 비즈니스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 질적 심리학자들의 위치와 다양한 출판 매체는 연구의 질과 기여의 범위를 가릴 수 있습니다(예: Bronk 2012; Mazzone 외. 2018; Tsai, Seballos-Llena, Castellano-Datta 2017; Wójcik 2018).
  • 또한 질적 심리학자들은 종종 다학제적 팀의 전문 분야에서 일하기도 합니다(예: Khankeh 외. 2015).각주3
  • 또한 심리학자가 심리학 프로그램에 고용되지는 않더라도 여러 분야의 전문 지식을 보유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닙니다.각주4 

Yet critics appear to ignore other important considerations about the contributions of psychologists who conduct qualitative research.

  • Qualitative psychologists study an amazing array of problems and are affiliated with a wide range of programs, including those in medicine and psychiatry, education, religion, ethnic and gender studies, and business, to name a few.
  • Their locations and diverse publication outlets may mask both the quality of their research and the scope of their contributions (e.g. Bronk 2012; Mazzone et al. 2018; Tsai, Seballos-Llena, and Castellano-Datta 2017; Wójcik 2018).
  • Also, qualitative psychologists often work in specialized areas on multidisciplinary teams (e.g. Khankeh et al. 2015).Footnote3 
  • Furthermore, it is not unusual for psychologists to hold multi-disciplinary expertise, although they may not be employed in psychology programs.Footnote4

1960년대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질적 연구도, 특히 근거 이론도 양적 연구에 기반한 질적 판단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가치 있는 주제, 풍부한 엄격성, 성실성, 신뢰성, 공명, 유의미한 기여, 윤리성, 의미 있는 일관성(837쪽)이라는 Tracy(2010)의 질적 연구의 '빅 텐트' 지표에 동의합니다. 그러나 연구 실무에서 이러한 용어가 의미하는 바는 연구자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거 이론가들은 연구자들이 철저한 연구를 수행할 때 이러한 질적 지표를 충족할 수 있습니다. 점점 더 많은 연구자들이 질적 연구의 품질 기준으로 투명성과 반성성을 요구하고 있습니다(예: Treharne and Riggs 2014). 
As in the 1960s, neither qualitative research, in general, nor grounded theory, in particular, fit judgments of quality based on quantitative research. We agree with Tracy’s (2010) ‘big tent’ markers of quality in qualitative research: a worthy topic, rich rigor, sincerity, credibility, resonance, significant contribution, ethics, and meaningful coherence (p. 837). However, what these terms mean in research practice may differ among researchers. Nonetheless, grounded theorists can meet these markers of quality when researchers conduct thorough studies. Increasingly, researchers ask for transparency and reflexivity as criteria of quality in qualitative research (e.g. Treharne and Riggs 2014).

다양한 버전의 근거 이론의 품질 기준
Quality criteria in various versions of grounded theory

근거 이론은 그 고유한 특성으로 인해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자체 기준이 필요하지만(참조: Berthelsen, Grimshaw-Aagaard, Hansen 2018; Chiovitti와 Piran 2003; Elliott와 Lazenbatt 2005; Hutchison, Johnston, Breckon 2011), 근거 이론가는 인터뷰, 현장조사 등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 방법 사용에 관한 보다 일반적인 지침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특히 데이터와 근거에 중점을 둔다는 점에서 '쓰레기 투입, 쓰레기 배출'의 원칙은 근거 이론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근거 이론의 품질을 평가하는 기준은 어떤 버전의 근거 이론이 문제가 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가장 초창기이지만 덜 발전된 이론인 Glaser와 Strauss(1967)는 신뢰성적용 가능성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 이들은 신뢰성을 실제 현장을 면밀히 연구하고 분석하여 데이터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을 습득한 연구자 자신의 지식에 대한 확신과 연결시켰습니다. 글레이저와 스트라우스는 신뢰성을 판단하는 몇 가지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 (1) 독자가 현장에 있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데이터에 대한 상세하고 생생한 설명,
    • (2) 연구자가 어떻게 결론에 도달했는지에 대한 독자의 평가(데이터는 무엇이며 어떻게 수집하고 분석했는가),
    • (3) 이론의 범위와 일반성을 높이고 새로운 이론을 다양한 상황에 맞게 수정하고 조정하기 위한 여러 비교 그룹.
  • 적용 가능성은 일반화 가능성과 연결될 수 있으며(참조, Larsson 2009), Glaser와 Strauss(1967)는 상호 관련된 네 가지 기준을 제안했습니다:
    • (1) 적합성: '이론은 그것이 적용될 실질적인 영역에 적합해야 한다'(238쪽)는 것으로, 이들은 이론이 연구 대상인 데이터에 적합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2) 이해: 이론은 해당 실체적 영역에서 일하거나 생활하는 비연구자들도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 (3) 일반성: 이론은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충분히 일반적이어야 합니다. '범주는 민감성을 잃을 정도로 추상적이어서는 안 되지만, ... 이론이 다조건적이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일상 상황에 대한 일반적인 지침이 될 수 있을 정도로 추상적이어야 합니다'(242페이지).
    • (4) 통제: 이론은 사용자가 사회적 현실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도움을 주며, 상황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어떻게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지에 대한 충분한 설명력을 포함해야 합니다.

Grounded theory needs its own set of criteria for evaluating quality due to its unique features (cf., Berthelsen, Grimshaw-Aagaard, and Hansen 2018; Chiovitti and Piran 2003; Elliott and Lazenbatt 2005; Hutchison, Johnston, and Breckon 2011), although grounded theorists cannot escape more general guidelines concerning their use of data gathering methods to ensure quality in doing interviews, fieldwork etc. The principle of ‘garbage in, garbage out’ is very much applicable to grounded theory, particularly considering its emphasis on data and groundedness. Criteria for evaluating quality in grounded theory can vary due to which version of grounded theory is of concern. In the original but less developed one, Glaser and Strauss (1967) focused on credibility and applicability.

  • They connected credibility to researchers’ confidence in their own knowledgeability based on carefully studying and analyzing the actual field, and gaining systematic knowledge of the data. Glaser and Strauss suggested a few criteria for judging credibility:
    • (1) a detailed and vivid description of data so the readers feel that they have been in the field as well, and literally can hear and see the participants;
    • (2) readers’ assessments of how the researchers came to their conclusions (what are the data and how have they been gathered and analyzed?); and
    • (3) multiple comparison groups to increase the scope and generality of the theory, and to correct and adjust the emerging theory to diverse conditions. 
  • Applicability, in turn, can be connected to generalizability (cf., Larsson 2009), and Glaser and Strauss (1967) proposed four interrelated criteria:
    • (1) Fitness: The ‘theory must fit the substantive area to which it will be applied’ (p. 238), and they emphasized that the theory needs to fit the data under study.
    • (2) Understanding: The theory should make sense and be understandable to non-researchers working or living in the substantive area.
    • (3) Generality: The theory needs to be sufficiently general to increase its applicability – ‘categories should not be so abstract as to lose their sensitizing aspect, but yet must be abstract enough to make … theory a general guide to multi-conditional, ever-changing daily situations’ (p. 242).
    • (4) Control: The theory should help the user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ir social reality, to include enough explanatory power on what is going on in situations and how to bring about change in them.

근거이론을 더욱 발전시킨 Glaser(1978, 1998)는 품질을 판단하는 네 가지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 (1) 실행가능성: 이론이 연구의 실질적인 영역에서 관련 행동을 설명하는 데 효과가 있는가?
  • (2) 관련성: 실제 분야의 사람들과 관련성이 있는가?
  • (3) 적합성: 이론이 실체적 영역에 적합한가? 이론과 그 범주가 데이터에 맞아야 합니다.
  • (4) 수정가능성: 새로운 데이터가 등장할 때 이론을 쉽게 수정할 수 있는가?

근거 이론을 개발할 때 Strauss와 Corbin(1990; Corbin과 Strauss 1990; Strauss와 Corbin 1998)은 네 가지 일반적인 기준을 강조했습니다:

  • (1) 데이터의 질, 즉 근거이론가는 데이터의 신뢰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데이터 수집에 사용된 방법과 관련된 질적 기준을 신중하게 다루고 채택해야 하며,
  • (2) 이론 자체의 타당성과 가치,
  • (3) 연구 과정의 적절성(표본 추출 절차, 이론적 표본 추출, 코딩, 범주화, 가설 또는 범주 간 개념 관계 개발, 이론을 개발하는 핵심 범주 선정),
  • (4) 이론의 경험적 근거에 대한 문제 등이 있습니다.

이 두 가지 기준의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와 지침에 대한 포괄적인 설명은 Strauss와 Corbin(1990; Corbin과 Strauss 1990; Strauss와 Corbin 1998)에서 제공합니다.

In his further development of grounded Glaser (1978, 1998) suggested four criteria in judging quality:

  • (1) Workability: Does the theory work to explain relevant behavior in the substantive area of the study?
  • (2) Relevance: Does it have relevance to the people in the substantive field?
  • (3) Fit: Does the theory fit the substantive area? The theory and its categories must fit the data.
  • (4) Modifiability: Is the theory readily modifiable as new data emerge?

In their development of grounded theory, Strauss and Corbin (1990; Corbin and Strauss 1990; Strauss and Corbin 1998) emphasized four general criteria:

  • (1) quality of the data, in other words, grounded theorists need to carefully address and adopt quality criteria related to methods used for data gathering to secure credibility and trustworthiness of data;
  • (2) the plausibility and value of the theory itself;
  • (3) adequacy of the research process (sampling procedures, theoretical sampling, coding, categorization, development of hypotheses or conceptual relations between categories, and selection of core category through which the theory is developed); and
  • (4) the issue of the empirical grounding of the theory. A comprehensive description of checklists and guidelines for evaluation of the two later criteria is offered by Strauss and Corbin (1990; Corbin and Strauss 1990; Strauss and Corbin 1998).

스트라우스와 코빈에 따르면, 연구의 경험적 근거와 관련하여 질문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개념이 생성되었는가?
  • (2) 개념이 체계적으로 관련되어 있는가?
  • (3) 개념적 연결이 많으며 범주가 잘 발달되어 있는가? 범주에 개념 밀도가 있는가?
  • (4) 이론에 변이가 내재되어 있는가? 개념이 광범위한 조건에서 검토되었으며 여러 차원을 제공하는가?
  • (5) 변이를 발견할 수 있는 조건이 연구에 내장되어 있고 설명되어 있는가?
  • (6) 프로세스를 고려하고 식별했는가?
  • (7) 이론적 발견이 중요해 보이는가, 그 정도는 어느 정도인가?
  • (8) 이론이 시간의 시험을 견뎌내고 관련 사회 및 전문가 그룹 간에 교환되는 토론과 아이디어의 일부가 되는가? (자세한 내용은 스트라우스와 코빈 1998, 270-272쪽 참조).

According to Strauss and Corbin, questions to ask regarding empirical grounding of the study are:

  • (1) Are concepts generated?
  • (2) Are the concepts systematically related?
  • (3) Are there many conceptual linkages, and are the categories well developed? Do categories have conceptual density?
  • (4) Is variation built into the theory? Have the concepts been examined under a broad range of conditions and do they offer several dimensions?
  • (5) Are the conditions under which variation can be found built into the study and explained?
  • (6) Has process been considered and identified?
  • (7) Do the theoretical findings seem significant, and to what extent?
  • (8) Does the theory stand the test of time and become part of the discussions and ideas exchanged among relevant social and professional groups? (For further reading, see Strauss and Corbin 1998, pp. 270–272.)

이후 판(Corbin과 Strauss 2008, 2015)에서 Corbin은 질적 연구의 질에 대한 보다 일반적인 기준을 추가하기도 했습니다.

  • 방법론적 일관성, 
  • 목적의 명확성, 
  • 자기 인식, 
  • 질적 연구 수행 방법에 대한 훈련, 
  • 참여자와 데이터에 대한 민감성, 
  • 열심히 일하려는 의지, 
  • 창의적 자아와 연결되는 능력, 
  • 방법론적 인식, 
  • 연구에 대한 강한 열망

In later editions (Corbin and Strauss 2008, 2015), Corbin also added more general criteria of quality in qualitative research:

  • methodological consistency,
  • clarity of the purpose,
  • self-awareness,
  • training in how to conduct qualitative research,
  • sensitivity to participants and data,
  • willingness to work hard,
  • ability to connect with the creative self,
  • methodological awareness, and
  • strong desire to do research.

원래의 근거 이론(Glaser와 스트라우스 1967), 글레이저 근거 이론(Glaser 1978, 1998), 스트라우시안 근거 이론(스트라우스와 코빈 1990, 1998)에서는 설명력(즉, 설명하고 예측하는 힘)이 구성된 이론의 중요한 품질 기준이라는 점에 유의하세요. 이러한 근거 이론의 접근 방식은 Charmaz(2006, 2014)가 말하는 이론의 실증주의적 정의(즉 원인을 찾고 설명력, 예측력, 일반성 및 보편성을 강조하는 것)을 공유합니다.
Note that in the original grounded theory (Glaser and Strauss 1967), Glaserian grounded theory (Glaser 1978, 1998) and Straussian grounded theory (Strauss and Corbin 1990, 1998), explanatory power (i.e., the power to explain and predict) is a significant quality criterion of the constructed theory. These approaches of grounded theory share what Charmaz (2006, 2014) terms as positivist definitions of theory: theories that seek causes, and stress explanation, prediction, generality, and universality.

근거 이론에 대한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Charmaz(2006, 2014)는 이러한 이론 정의를 '해석을 강조하고 설명보다 추상적 이해를 더 우선시하는'(Charmaz 2014, 230) 이론의 해석적 정의와 대조합니다. 이러한 이론은 의미와 행위, 그리고 사람들이 그것을 구성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행위자의 주관성을 끌어들이고, 연구자의 주관성을 인정할 수 있다'(231쪽). 이들은 사회적, 역사적, 지역적, 상호 작용적 맥락에 위치situated합니다. 
From a constructivist view of grounded theory, Charmaz (2006, 2014) contrasts such definitions of theory with interpretive definitions of theory, in which theory ‘emphasizes interpretation and gives abstract understanding greater priority than explanation’ (Charmaz 2014, 230). Such theories aim to understand meanings and actions and how people construct them, and they ‘bring in the subjectivity of the actor and may recognize the subjectivity of the researcher’ (p. 231). They are situated in their social, historical, local, and interactional contexts.

따라서 [근거 이론의 서로 다른 버전] 간에 [서로 다른 인식론, 이상, 목표 등]이 [근거 이론의 품질을 평가하고 근거 이론의 품질 기준을 논의]할 때 고려되어야 합니다(글라제리안, 스트라우시안, 구성주의 근거 이론 접근법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한 개요는 Berthelsen, Grimshaw-Aagaard, Hansen 2018 참조); 인식론과 품질 기준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자세한 논의는 Healy 와 Perry 2000, Lincoln, Lynham, Guba 2018, Lützhöft, Nyce, Petersen 2010, Santiago-Deleofosse et al. 2015).
Thus, different epistemologies, ideals, aims etc. between different versions of grounded theory have to be considered when evaluating quality and discussing quality criteria for grounded theory (for overviews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Glaserian, Straussian and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approaches, see Berthelsen, Grimshaw-Aagaard, and Hansen 2018; Thornberg 2017; for further discussions about the link between epistemology and quality criteria, see for example; Healy and Perry 2000; Lincoln, Lynham, and Guba 2018; Lützhöft, Nyce, and Petersen 2010; Santiago-Deleofosse et al. 2015).

구성주의적 근거 이론 내에서 Charmaz(2006, 2014)는 근거 이론 연구에 대한 네 가지 주요 기준, 즉 신뢰성, 독창성, 공명, 유용성을 제안합니다.

  • 신뢰성은 데이터에 대한 예리한 질문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관련 데이터를 확보하고, 연구 과정 전반에 걸쳐 체계적으로 비교하고, 철저한 분석을 개발하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논란의 여지가 많은 주제 및/또는 분석일수록 연구자는 회의적인 청중을 설득하기 위해 더 많은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Within a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Charmaz (2006, 2014) proposes four main criteria for grounded theory studies: credibility, originality, resonance, and usefulness. 

  • Credibility begins with having sufficient relevant data for asking incisive questions about the data, making systematic comparisons throughout the research process, and developing a thorough analysis. The more controversial the topic and/or analysis is, the more data the researcher needs to persuade skeptical audiences.

신뢰성에는 연구자의 견해와 행동도 포함됩니다. 구성주의적 근거 이론은 연구 과정 전반에 걸쳐 강력한 반성성을 요구합니다. 즉, 연구자는 당연하게 받아들여지는 가정을 설명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숨겨진 신념이 연구 과정에 어떻게 개입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법론적 자의식'(Charmaz 2017)을 가져야 합니다. 브라질에서 현장 조사를 하던 중 엘리자베스 호지-프리먼(Elizabeth Hordge-Freeman)은 우연히 백인 가정에서 입양된 흑인 딸인 필하스 데 크리아시온의 곤경을 발견했습니다(Charmaz 2020, 168-169쪽). 호지-프리먼은 이렇게 썼습니다:
Credibility also involves the researcher’s views and actions.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requires strong reflexivity throughout the research process. This means researchers must explicate their taken-for-granted assumptions, which requires gaining ‘methodological self-consciousness’ (Charmaz 2017) of how hidden beliefs can enter the research process. During her fieldwork in Brazil, Elizabeth Hordge-Freeman (in Charmaz 2020, pp. 168–169) accidentally discovered the plight of black adopted daughters, filhas de criação, in white families. Hordge-Freeman writes:

한 여성이 입양 가정에서 바닥에서 잠을 자고 있고 다른 여러 여성이 40년 넘게 입양 가정에서 무급으로 일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을 때, 저는 이러한 불의에 대한 분노에 휩싸였습니다. 비판적 연구자로서 초기 충동은 이러한 '괴물 같은' 가족을 폭로하여 정의를 실현하고 싶다는 것이었지만, 데이터에 대한 해석을 면밀히 검토하고 지속적인 성찰을 강조하는 구성주의적 근거 이론의 감성은 아주 일찍부터 데이터를 더 미묘한 방식으로 분석하고 감정적 반응까지 조사하도록 저를 설득했습니다. 그렇게 하면서 저는 이 불의를 '바로잡고' 인터뷰 대상자들을 자유롭게 하려는 저의 탐구가 제가 백인 초국적 연구자들을 비판했던 구세주 콤플렉스와 매우 유사하게 들린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결국 저는 구성주의적 근거 이론을 사용하여 구조적, 정서적 제약이 신생아의 삶을 어떻게 형성하는지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질문의 방향을 바꾸고, 인터뷰 대상자의 해석이 진지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도록 반성적 태도를 사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When I discovered that one woman was sleeping on the floor in their family’s home and several others had been working for no pay in adoptive families for over 40 years, I was overwhelmed with a sense of anger over this injustice. As a critical researcher, my initial impulse was a desire to mete out justice by exposing these ‘monstrous’ families; however, very early on the sensibilities of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with its emphasis on scrutinizing our interpretations of data and engaging in sustained reflexivity persuaded me to analyze the data in more nuanced ways and to even interrogate my affective responses. By doing so, I realized that my quest to ‘right’ this injustice and free the interviewees sounded eeringly similar to the savior complex for which I had critiqued white transnational researchers. Ultimately, using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I re-directed my questions to be able to collect data that provided me a greater understanding of how structural and affective constraints shape
 filhas de criação lives and used reflexivity to ensure that my interviewees’ interpretations were taken seriously.

호지-프리먼의 진술은 구성주의 근거 이론에서 가장 옹호하는 강력한 반사성의 유형을 나타냅니다. 방법론적 자의식의 근간을 이루는 강한 반성성(Charmaz 2017)은 연구자의 방법론적 결정을 검토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연구자가 누구인지 면밀히 검토하는 개방성을 의미합니다. 
Hordge-Freeman’s statement represents the type of strong reflexivity most advocated in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The strong reflexivity undergirding methodological self-consciousness (Charmaz 2017) means more than examining the researcher's methodological decisions. It means openness to scrutinizing who the researcher is.

독창성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새로운 통찰력 제공,
  • 인식된 문제에 대한 새로운 개념화,
  • 분석의 중요성 확립 등 

공명은 연구자가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대표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게도 통찰력을 제공하는 개념을 구성했음을 보여줍니다. 공감을 얻으려면 연구자는 데이터 수집 전략을 참가자의 경험을 조명하는 데 맞춰야 합니다.

  • 제니퍼 로이스(2010)는 홈스쿨링 엄마들에 대한 자신의 질문이 질이 아닌 시간의 양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새로운 관점에서 엄마들의 이야기를 듣고 질문을 수정함으로써 공감을 얻었습니다. 이후 '순서대로: 향수를 불러일으키고 후회를 예상하기'(434쪽)와 '음미하기: 현재에 머무르며 양질의 시간을 만들기'(437쪽)라는 코드를 통해 엄마들의 행동을 이해할 뿐만 아니라 시간적 감정의 개념을 구성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녀는 후회나 희망과 같은 현재의 특정 감정이 현재에서 과거 또는 미래로 시간대를 넘나들어야만 느낄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로이즈는 사람들이 시간적 감정을 다루는 방식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아의 상대적 연속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을 세웁니다.

Originality can take varied forms such as

  • offering new insights,
  • providing a fresh conceptualization of a recognized problem, and
  • establishing the significance of the analysis. 

Resonance demonstrates that the researchers have constructed concepts that not only represent their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 but also provide insight to others. To gain resonance, researchers must fit their data-gathering strategies to illuminate their participants’ experience.

  • Once Jennifer Lois (2010) realized her questions of homeschooling mothers focused on quantity of time instead of quality, she gained resonance by hearing their stories from a new standpoint and revising her questions. Her subsequent codes: ‘Sequencing: eliciting nostalgia and anticipating regret,’ (p. 434) and ‘Savoring: staying present and creating quality time’ (p. 437) not only led her to understand these mothers’ actions but also to construct the concept of temporal emotions. She reveals how certain present feelings like regret or hope can only be felt by crossing timeframes from the present to the past or future. Lois theorizes that how people handle temporal emotions influences their relative continuity of self over time.

유용성은 아래와 같은 것 등입니다.

  • 연구 참여자의 일상 생활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고,
  • 정책 및 실무 적용을 위한 기반을 형성하며,
  • 새로운 연구 라인을 만드는 데 기여하고,
  • 만연한 과정과 관행을 밝히는 데 기여하는 

그레고리 해들리(Gregory Hadley, Charmaz 2020, 168쪽)는 병원에서의 죽음과 임종에 대한 글레이저와 스트라우스의 분석의 유용성에 대해 설명합니다.

Usefulness includes

  • clarifying research participants’ understanding of their everyday lives,
  • forming a foundation for policy and practice applications,
  • contributing to creating new lines of research, as well as
  • revealing pervasive processes and practices.

Gregory Hadley (in Charmaz 2020, 168) describes the usefulness of Glaser and Strauss’s analysis of death and dying in hospitals.

예를 들어, 글레이저가 스트라우스와 함께 쓴 저서 "죽어감에 대한 인식"은 장인어른이 말기 암으로 투병 중이던 시기에 일본 병원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었는지'에 대한 많은 의미를 밝혀주었습니다. 이 근거 이론이 반세기 후 수천 마일 떨어진 문화권에서도 빛을 발할 수 있었다는 것은 글레이저와 스트라우스가 고전적 근거 이론을 사용한 천재성을 입증하는 증거입니다.
Glaser’s work with Strauss in his book, “An Awareness of Dying”, for example, unlocked much of the meaning of what was “going on” in a Japanese hospital during the time when my father-in-law was on the trajectory of terminal cancer. That this grounded theory could have salience a half century later in a culture thousands of miles away is a testament to the genius behind what Glaser and Strauss did using Classical Grounded Theory.

이 사례에서 글레이저와 스트라우스의 광범위한 연구는 그들이 어떻게 유용한 수준의 일반성을 달성했는지 보여줍니다. 구성주의적 근거 이론을 사용하여 스노우와 모스(2014)는 행동과 감정을 형성하는 조건을 포함하여 겉으로 보기에 자발적인 집단 행동이 발생하는 조건을 설명합니다. 이러한 조건에 대한 민감성은 사회 운동 주최자가 군중을 동원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In this case, Glaser and Strauss’s extensive research shows how they achieved a useful level of generality. Using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Snow and Moss (2014) delineate the conditions, including those shaping behavior and emotions, in which seemingly spontaneous collective action arises. Sensitivity to these conditions can assist social movement organizers in mobilizing crowds.

이중 희생: 근거 이론에 기반한 새로운 개념 개발의 사례
Double victimizing: an example of developing a new concept with grounded theory

구성주의적 근거 이론 연구인 Thornberg 외(2013)는 학교 괴롭힘의 피해자였던 개인이 괴롭힘 경험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경험이 자신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조사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스웨덴의 3개 중등학교와 2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에게 523개의 개방형 설문지를 배포하는 것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설문지에는 괴롭힘에 대한 과거 경험과 괴롭힘에 대한 인터뷰를 받을 의향이 있는지에 대해 질문했습니다. 511명의 응답자 중 168명의 학생이 과거에 괴롭힘을 당한 적이 있다고 답했으며 36명이 인터뷰에 응했습니다. 연구진은 1년 이상 괴롭힘을 당한 학생 21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모든 인터뷰를 진행한 할딘, 볼름스요, 피터슨은 질적 인터뷰에 대한 교육과 훈련을 받았습니다. 편안하고 사적이며 조용한 면담 환경 조성, 면담 대상자와의 친밀감 형성 및 강조, 관심 있는 학습자의 역할 수행, 적극적인 경청, 개방형 질문 사용 및 선행 질문 피하기, 프로빙, 비판적 접근법 채택 등 문헌에서 제시하는 질적 기준이 이들의 면담을 이끌었습니다(예: King & Horrocks, 2010; Kvale & Brinkmann, 2009; Seidman, 2006). 
In their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study, Thornberg et al. (2013) examined how individuals, who had been victims of school bullying, perceived their bullying experiences, and how these had affected them. The project began with distributing 523 open-ended questionnaires to students in three secondary schools and two universities in Sweden. The questionnaire asked about their past experiences with bullying and their willingness to be interviewed about it. Of 511 responses, 168 students reported having been bullied in the past and 36 volunteered to be interviewed. The researchers interviewed the 21 students who had been bullied for more than one year. Halldin, Bolmsjö and Petersson, who conducted all the interviews, were instructed and trained in qualitative interviewing. Quality criteria from the literature guided their interviewing, such as establishing a comfortable, private, and quiet interview setting building rapport and emphasizing with the interviewee; taking the role of an interested learner; active listening; using open-ended questions and avoiding leading questions; probing; and adopting a non-judgmental approach (e.g., King & Horrocks, 2010; Kvale & Brinkmann, 2009; Seidman, 2006).

구성주의 근거 이론(Charmaz 2014)에서 인터뷰는 현실을 반영하려는 노력이 아니라, 인터뷰 대상자의 경험과 관점에 대한 상호 탐색을 통해 발생하는 상호 작용으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인터뷰어의 접근 방식과 질문 방식, 인터뷰 대상자가 말하는 것을 경청하고 후속 조치를 취하는 것]은 데이터의 공동 구성과 품질에 매우 중요합니다. 질적 인터뷰 문헌에 기반한 이러한 접근 방식은 Thornberg 등(2013)이 생생하고 풍부하며 포괄적인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들은 근거 이론에 따라 데이터 수집과 분석(반복적 과정) 사이를 오갔습니다. 이 접근 방식에는 네 가지 장점이 있습니다.

  • (1) 피상적이고 무작위적인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 (2) 분석되지 않은 방대한 양의 데이터로 인해 압도감을 느끼거나,
  • (3) 오랜 기간 동안 집중하지 못하거나,
  • (4) 참가자의 견해나 주식 규율 범주를 무비판적으로 채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습니다. 

In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Charmaz 2014), interviewing is not considered as efforts to mirror reality but as emergent interactions through a mutual exploration of the interviewee’s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Therefore, the interviewer’s approach and way of asking questions, listening and following up what the interviewee is telling are crucial in the co-construction and quality of data. Such an approach, based on the qualitative interview literature, helped Thornberg et al. (2013) to gather vivid, rich, and comprehensive data. In accordance with grounded theory, they moved back and forth between gathering and analyzing data (iterative process). This approach has four advantages. It prevented them from

  • (1) gathering data in a superficial and random way;
  • (2) feeling overwhelmed due to a huge amount of unanalyzed data;
  • (3) being unfocused for lengthy periods; and
  • (4) uncritically adopting the participants’ view or stock disciplinary categories.

Thornberg 등(2013)은 데이터와 데이터, 데이터와 코드, 코드와 코드를 비교하는 초기 코딩을 통해 데이터에 맞는 코드를 구성하고, 데이터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다고 해석하는지에 대해 열린 자세를 유지하며 탐구하는 과정을 계속했습니다. 잠정적인 초기 코드는 서로, 그리고 데이터와 주의 깊게 비교하고 유사점과 차이점에 따라 더욱 정교하게 그룹화하여 더 적지만 더 집중적이고 포괄적인 코드로 이어졌습니다. 반복적인 과정과 코딩, 지속적인 비교를 통해 구축된 초점 코드는 데이터와 밀접하게 일치했습니다. 예를 들어, '자기 억제'라는 초점 코드는 '눈에 띄지 않으려고 노력함', '사회적 두려움으로 소극적이 됨', '자신을 낮춤', '사회적 투명성이 괴롭힘을 방지한다고 믿음', '자아의 사회적 존재감을 억제함', '침묵함'과 같은 초기 코드에 뿌리를 두고 있었습니다. 또 다른 초점 코드인 '자기 의심'은 표 1과 2에 표시된 것처럼 '불안해짐', '무가치함을 느끼기', '자신감 상실', '괴롭힘으로 인해 자신감이 떨어짐'과 같은 초기 코드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Thornberg et al. (2013) constructed codes that fit the data by engaging in initial coding, in which they compared data with data, data with codes, and codes with codes, and stayed close to and remained open to exploring what they interpreted was happening in the data. The provisional, initial codes were carefully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with data, further elaborated and grouped together based o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leading to fewer but more focused and comprehensive codes. As a result of the iterative process, coding and constant comparison, their constructed focused codes fit tightly with their data. For example, the focused code ‘self-inhibiting’ had its roots in initial codes like ‘trying to not stand out’, ‘becoming passive out of social fear’, ‘keeping oneself down’, ‘believing social invisibility prevents bullying’, ‘inhibiting the social presence of self’, and ‘becoming silent’. Another focused code, ‘self-doubting’, had its roots in initial codes like ‘becoming insecure’, ‘feeling self-worthlessness’, ‘loss of self-confidence’, and ‘getting bad self-confidence from being bullied’, as indicated in Tables 1 and 2.

 

쏜버그와 동료들이 집중 코딩을 하는 동안 데이터 수집 및 분석에 대한 비교 접근법(2013)에는 이론적 샘플링이 반복적 프로세스의 중요한 부분으로 포함되었으며, 이는 이후 인터뷰를 안내하고 새로운 범주를 작성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Charmaz(2014)가 언급했듯이, 이들의 초점 코딩은 이후 분석을 위한 프레임의 기초를 제공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초점 코드를 최종 프레임으로 사용하기보다는 Thornberg 등(2013)은 학교 괴롭힘의 피해자가 되고 그로부터 자신을 구출하는 과정에 대한 분석을 개발했습니다(Charmaz 2014, 141). 
Thornberg and colleagues’ comparative approach to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2013) during their focused coding included theoretical sampling as a prominent part of the iterative process, which guided their later interviews and helped them to fill out emerging categories. As noted by Charmaz (2014), their focused codes provided the makings of a frame for the later analysis. ‘Rather than using these focused codes as the final frame, however, Thornberg et al. (2013) developed an analysis of processes involved in becoming a victim of school bullying and in extricating self from it’ (Charmaz 2014, 141).

집중 코딩, 이론적 코딩, 지속적인 비교, 메모 작성 및 이론적 샘플링의 근거 이론 방법을 통해 Thornberg 등(2013)은 '자기 억제', '자기 고립', '감정 끄기'와 같은 집중 코드를 통합하여 '자기 보호'라는 범주로 개발하여 이 범주를 구성하는 이전의 집중 코드를 다른 자기 보호 전략을 나타내는 하위 범주로 포함시켰습니다. 다른 초점 코드 그룹은 '어울리지 못한다는 느낌', '자책' 등 보다 포괄적인 다른 범주로 병합되었습니다. [풍부한 데이터의 공동 구성, 지속적인 비교, 집중 코딩, 이론적 코딩, 메모 작성 및 이론적 샘플링] 간의 상호 작용은 데이터에 고정된 일련의 개념적 범주를 개발하는 데 매우 중요했습니다.
Grounded theory methods of focused coding, theoretical coding, constant comparison, memo-writing and theoretical sampling guided Thornberg et al. (2013) to merge focused codes such as ‘self-inhibition’, ‘self-isolation’, and ‘turning off emotions’ into an even more comprehensive focused code developed into a category that they labeled ‘self-protecting’, in which the former focused codes that constituted this category were included as subcategories representing different self-protecting strategies. Other groups of focused codes were further merged into other more comprehensive categories such as ‘a sense of not fitting in’ and ‘self-blaming’. The interplay between co-constructing rich data, constant comparison, focused coding, theoretical coding, memo-writing and theoretical sampling was crucial in order to develop a set of conceptual categories anchored in the data.

이러한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Thornberg 등(2013)은 Glaser(1998)와 Corbin과 Strauss(2015)가 연구의 '핵심 개념'이라고 부르는 주요 범주, 즉 '이중 피해자화'를 구성할 수 있었습니다. 이 주요 범주는 외부적 피해자화(즉, 피해자를 향한 반복적인 유해 행위로 인해 또래 사이에서 피해자 역할을 확인하는 사회적 과정)와 내부적 피해자화(즉, 피해자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 동시에 외부적 피해자화가 만들어낸 피해자 이미지를 통합하는 과정) 간의 상호 작용 및 순환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중 피해자화'는 핵심 개념(Corbin and Strauss 2015; Glaser 1998)과 마찬가지로 실제로 가장 중요하고 빈번한 코드였으며, 다른 많은 코드와 연관되어 있고 다른 범주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차지했습니다. 
This iterative process helped Thornberg et al. (2013) to construct a major category – what Glaser (1998) and Corbin and Strauss (2015) would refer to as the ‘core concept’ of the study – namely ‘double victimizing’. This major category refers to an interplay and cycling process between external victimizing (i.e., a social process of repeated harmful acts directed at the victims that confirmed their victim role among the peers) and internal victimizing (i.e., victims incorporated the victim-image produced by external victimizing at the same time as they tried to develop strategies in order to protect themselves). Like the term core concept (Corbin and Strauss 2015; Glaser 1998), ‘double victimizing’ was indeed the most significant and frequent code, and was related to as many other codes as possible and accounted for more data than other categories.

결국 다른 범주는 이중 피해의 일부이거나 다른 방식으로 이중 피해와 관련되어 있다는 이중 피해에 대한 근거 이론이 구축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외적 피해자화는 다른 사람으로 분류되어 낙인찍히고 사회적으로 배제되는 사회적 과정으로 구성되는 반면, 내적 피해자화는 어울리지 못한다는 느낌, 타인 불신, 자기 보호, 자기 의심, 자책, 체념 등을 포함합니다. 초기 공격은 이중 피해자화보다 먼저 발생했으며, 이중 피해자화가 괴롭힘에서 벗어나면 괴롭힘의 후유증으로 내부 피해자화가 남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완성도를 갖춘 근거 이론을 구축했다는 측면에서 이론적 포화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이론적 샘플링이 필요했습니다(Charmaz 2014; Glaser, 2001). 
A grounded theory of this double victimizing was finally constructed in which the other categories were parts of the double victimizing or in other ways related to it. For instance, whereas external victimizing consists of the social processes of stigmatizing by being labelled as different and social excluding, internal victimizing includes a sense of not fitting in, distrusting others, self-protecting, self-doubting, self-blaming, and resignation. Initial attacks antedated double victimizing, and when double victimizing ended in terms of bullying exit, after-effects of bullying included a lingering internal victimizing. In this study, theoretical sampling was necessary to reach theoretical saturation in terms of having constructed a grounded theory with theoretical completeness (Charmaz 2014; Glaser, 2001).

신중하게 수행된 인터뷰와 근거이론 방법의 체계적인 사용은 학교폭력 이중피해에 대한 최종 근거이론이 이론과 그 개념이 데이터와 명확하게 일치하고(Glaser 1998), 신뢰성(Charmaz 2014; Strauss and Corbin 1998)과 신뢰성을 입증함으로써 경험적 근거에 도달(Strauss and Corbin 1998)할 수 있게 했습니다. 또한 이론의 경험적 근거는 다음과 같이 이어졌습니다:

  • (a) 개발된 중간 범위 이론인 작업성(Glaser 1998): 괴롭힘 피해와 정신 건강 문제 사이의 연관성을 설명하는 데 기여하는 문헌(예, Klomek, Sourander, and Elonheimo 2015),
  • (b) 추상적 이해(Charmaz, 2017): 의미와 행동, 피해자가 이를 구성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
  • (c) 관련성(Glaser 1998)과 공명(Charmaz 2014): 연구 참여자와 다른 학교폭력 피해자가 이중 피해자화 근거 이론에 포함된 대부분의 또는 모든 과정을 인식할 수 있었기 때문에 

The carefully conducted interviews and the systematic use of grounded theory methods made sure that the final grounded theory of double victimizing in school bullying reached empirical grounding (Strauss and Corbin 1998) as the theory and its concepts clearly fitted with the data (Glaser 1998), and demonstrated credibility (Charmaz 2014; Strauss and Corbin 1998) and trustworthiness (Strauss and Corbin 1998). In addition, the empirical grounding of the theory led to:

  • (a) workability (Glaser 1998) as the developed middle-range theory contributes to explain the link between bullying victimization and mental health problems in the literature (e.g., Klomek, Sourander, and Elonheimo 2015) from the voice and perspectives of the participants;
  • (b) abstract understanding (Charmaz, 2017) as it contributes to increase our understanding of meanings and actions and how victims construct them; and
  • (c) relevance (Glaser 1998) and resonance (Charmaz 2014)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and other victims of school bullying could recognize most or all processes included in the grounded theory of double victimizing.

개방적이고 탐구적인 접근 방식으로 인해 개발된 근거이론은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고 피해자의 경험과 학교폭력 이후의 경로에 대한 새로운 개념화를 증명함으로써 문헌에 기여하는 독창성을 보여주었습니다(Charmaz 2014). 경험적 근거, 적합성, 신뢰성, 관련성, 실행 가능성, 공명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 Thornberg 등(2013)의 이중피해이론은 새로운 연구 계통 창출에 기여하고, 학교폭력 피해자 경험을 명확히 하며, 학교폭력이 끝난 후에도 내적 피해는 몇 년 동안 지속된다는 것을 밝혀내 학교폭력 예방에 시사하는 바가 있어 유용성이 인정되었다(Charmaz 2014). 지식과 앎에 대한 실용주의적 관점에 따라 구성주의적 근거 이론 접근법(Charmaz 2006, 2014; Thornberg 2012)의 근간이 되는 Thornberg 등(2013)의 이중 피해에 대한 근거 이론은 위치, 오류, 잠정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따라서 수정가능성을 수용합니다(Glaser 1998). 새로운 데이터는 이론을 더욱 수정하고 정교화할 수 있습니다. 
Due to the open and exploratory approach, the developed grounded theory showed originality (Charmaz 2014) as it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offering new insights and proving a fresh conceptualization of victims’ experiences and path through school bullying and beyond. As a result of empirical grounding, fit, credibility, relevance, workability and resonance, Thornberg et al. (2013) grounded theory of double victimizing also demonstrated usefulness (Charmaz 2014) as it contributes to creating new lines of research, clarifies bullying victim experiences, and reveals that an inner victimizing seems to continue several years after bullying has ended, which has anti-bullying implic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pragmatistic view of knowledge and knowing, underlying the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approach (Charmaz 2006, 2014; Thornberg 2012), Thornberg et al. (2013) grounded theory of double victimizing is considered to be situated, fallible and provisional, and therefore embraces modifiability (Glaser 1998). New data may revise and elaborate the theory further.

구성주의 근거 이론의 품질: 체크리스트 및 가이드라인
Quality in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checklists and guidelines

마지막으로 구성주의 근거 이론의 대학원생과 초심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체크리스트로 사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합니다. 이 목록은 엄밀한 연구를 대신하는 것이 아니라 리소스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Barbour(2001)가 지적했듯이, 체크리스트를 사용하면 방법에 대한 깊은 몰입을 피하는 방법론적 버팀목이 될 위험이 있습니다. 우리는 연구자가 자신의 방법과 데이터에 깊이 관여할 것을 강력히 지지합니다.
We conclude by offering guidelines that graduate and postgraduate students and beginners in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can use as a checklist while conducting their work. Use the list as a resource, not as a substitute for rigorous research. As Barbour (2001) observes, using checklists risks becoming a methodological crutch that avoids deep engagement with the method. We strongly advocate that researchers gain a deep engagement with their method and data.

다양한 버전의 근거 이론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구분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합니다. 동시에, 사용하기로 선택한 특정 버전의 근거 이론의 방법론적 담론에서 강조하는 엄격성, 신뢰성 및 품질 문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것을 권장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사항을 일반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거나 특히 근거 이론 연구를 구성할 때 고려할 수 있는 유연한 지침으로 삼으시기 바랍니다.
Although we can discer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various versions of grounded theory, we offer a general set of guidelines. At the same time, we recommend you learn more about issues of rigor, credibility and quality emphasized in the methodological discourse of the specific version of grounded theory that you choose to use. So just take these points as flexible guidelines to consider when conducting qualitative inquiry in general or constructing a grounded theory study in particular.

  1. 방법론적 자의식을 갖기 위해 노력하세요(Charmaz 2017)
    1. 특정 주제, 방법론 및 방법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이며, 이것이 연구자의 정체성, 연구 목표 및 질문과 어떻게 부합하는가? 
    2. 어떤 버전의 근거 이론을 채택했으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3. 존재론적 및 인식론적 가정은 무엇이며, 이러한 가정이 연구 과정, 연구자의 위치, 연구 결과 및 전이 가능성을 포함한 품질 문제에 어떤 의미가 있나요?
  1. Strive to achieve methodological self-consciousness (Charmaz 2017).
    1. Why have you chosen the specific topic, methodology and methods, and how do these fit with who you are and your research objectives and questions?
    2. What version of grounded theory have you adopted and why?
    3. What are the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assumptions, and what do these mean for the research process, researcher position, findings, and quality issues, including transferability?
  2. 내러티브 탐구, 담화 분석, 근거 이론 등 어떤 질적 탐구 유형을 채택하든 가능한 한 모든 것을 알아보세요. 가능하다면 접근 방식에 대해 잘 알고 있는 멘토와 함께 작업하세요.
    Learn everything you can about the type of qualitative inquiry you adopt, whether it’s narrative inquiry, discourse analysis, or a version of grounded theory. If possible, work with a mentor who is knowledgeable about your approach.
  3. 해당 분야의 기존 문헌에 대해 개방적이고 비판적이며 분석적인 관점을 취하세요. 글레이저주의 근거 이론과는 달리, 스트라우시안 및 구성주의 근거 이론에 부합하는 문헌을 검토하여 연구에 대한 방어 가능한 근거를 확립하고, 바퀴를 재발명하지 않으며, 이론적 민감성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문헌을 진리가 아닌 잠정적이고 오류가 있을 수 있는 것으로 취급하세요(자세한 내용은 Thornberg 2012, Thornberg and Dunne 2019 참조).
    Take an open, non-committal, critical, analytic view of the existing literature in the field. In contrast to Glaserian grounded theory but in line with Straussian and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we recommend that you review the literature to establish a defensible rationale for the study, to avoid re-inventing the wheel, and to increase theoretical sensitivity. Treat the literature as provisional and fallible, not as the Truth (for further reading, see Thornberg 2012; Thornberg and Dunne 2019).
  4. 풍부한 데이터를 수집하세요. 심리학자에게 풍부한 데이터란 일반적으로 특정 경험을 했거나 현재 경험하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학습하고 수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풍부한 데이터는 경험적 세계에 대한 개방성과 나와는 다른 사람들의 경험을 이해하려는 의지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Gather rich data. For psychologists, rich data usually means learning and collecting the stories of people who have had or are having a specific experience. Rich data means an openness to the empirical world and a willingness to try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people who may be far different from you.
  5. 투명성을 유지하세요. 연구를 수행한 방법, 샘플을 확보한 방법, 참여자를 포함시킨 방법과 이유, 근거 있는 이론과 데이터 수집 방법을 사용한 방법을 설명하세요. 선택의 정당성을 포함하세요.
    Be transparent. Describe how you conducted your study, obtained your sample and state how and why you have included the participants, and how you have used grounded theory and data collection methods. Include justifications of your choices.
  6. 데이터와 개발 중인 분석 사이를 오가며 후속 데이터 수집에 집중하고 새로운 분석 범주를 채우세요.
    Go back and forth between data and your developing analysis to focus your subsequent data collection and to fill out your emerging analytic categories.
  7. 경험적 세계에 친숙해지고 이를 이해하기 위한 분석적 핸들을 만들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동안 모호함을 용인하세요.
    Tolerate ambiguity while you struggle to gain intimate familiarity with the empirical world and to create an analytic handle to understand it.
  8. 진행하면서 새로운 분석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는 데이터에 대해 점진적으로 집중적인 질문을 하세요.
    As you proceed, ask progressively focused questions about the data that help you develop your emerging analysis.
  9. 데이터와 데이터에 대한 아이디어를 가지고 놀아보세요. 데이터에 대한 가능한 모든 이론적 설명을 찾아서 확인합니다.
    Play with your data and your ideas about it. Look for all possible theoretical explanations of the data and check them.
  10. (1) 유용한 비교를 하고, (2) 강력한 분석 범주를 만들고, (3) 독자들에게 범주의 중요성을 설득할 수 있도록 충분한 데이터를 수집하세요.
    Collect sufficient data to (a) make useful comparisons, (b) create robust analytic categories, and (c) convince readers of the significance of your categories.
  11. 카테고리에 대해 질문하세요: 카테고리의 속성은 무엇인가? 어떤 방식으로 하위 카테고리를 포함하나요? 주요 카테고리는 어떻게 연결되어 있나요? 어떻게 이론적 진술을 하는가? 이 진술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Ask questions about your categories: What are their properties? In which ways do they subsume minor categories? How are your main categories connected? How do they make a theoretical statement? What 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atement?
  12. 코드, 범주 및 이론적 개요는 항상 잠정적인 것으로 취급하고 새로운 데이터와 추가 분석에 비추어 수정하거나 거부할 수 있도록 열어 두세요.
    Always treat your codes, categories and theoretical outlines as provisional and open for revision and even rejection in the light of new data and further analysis.
  13. 분석을 완료한 후에는 이전 검토에서 다루지 않은 사례 연구 및 관점을 포함할 수 있는 문헌의 관련 자료와 비교하세요. 이때 검토는 자신이 개발한 아이디어에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 이 검토를 통해 여러분의 분석이 해당 분야의 선도적인 아이디어와 어떻게 부합하는지, 확장되는지, 또는 어떻게 도전하는지 보여줄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After you have completed your analysis, compare it with relevant material from the literature, which may well include case studies and perspectives that you did not address during your earlier review. At this time, your review will be focused on the ideas that you have developed. This review gives you the opportunity to show how your analysis fits, extends, or challenges leading ideas in your field.

ABSTRACT

This article introduces grounded theory and places this method in its historical context when 1960s quantitative researchers wielded harsh criticisms of qualitative research. The originators of grounded theory, sociologists Glaser and Strauss, sought to defend the quality of qualitative research and argued that grounded theory increased its quality by providing a method of theory construction. Our major foci include: (1) introducing the logic of grounded theory, with emphasis on how researchers can use it to construct theory, (2) detailing criteria for quality in the major forms of grounded theory advocated by Glaser and Strauss and augmented by Glaser, Strauss and Corbin and refined by Corbin, and Charmaz and (3) providing an analysis of how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ists Thornberg, Halldin, Bolmsjö and Petersson attended to the interviewing process, coding, and developing their theoretical concept of double victimizing. Students and researchers new to the method can use our concluding guidelines as a checklist to assess the quality of their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research.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