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교육에서 에드가 데일의 배움의 피라미드: 문헌 고찰(Med Teach, 2013)

Edgar Dale’s Pyramid of 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A literature review

KEN MASTERS






도입

Introduction


교육훈련서적, 컨퍼런스 리포트, 동료 리뷰 저널 기사에서는 문제 기반 학습(북)과 같은 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체류율을 설명할 때까지 학생들이 듣는 것의 10%, 읽은 것의 20%, 그리고 이러한 보유 비율의 10배 증가를 기억한다는 것이 널리 인용되고 있다.목재 외, 2003; 우드 2004; 우즈 2006; 예 외, 2011), 컴퓨터 기반 훈련 및 시뮬레이션(Barnes 2001; Buler 외, 2001; Chen et al. 2007; Krain & Lantis 2006) 사례 기반 학습(Golich et al. 2000년) 및 기타 구성주의 활동(Harker 2008; Khan et al. 2012; Pinto et al. 2012).

In education and training books, conference papers and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it is widely cited that students remember 10% of what they hear, 20% of what they read, and these percentages of retention increase in multiples of 10 until they describe the retention rates of students involved in activities such as problem-based learning (Northwood et al. 2003; Wood 2004; Woods 2006; Yeh et al. 2011), computer-based training and simulation (Barnes 2001; Buehler et al. 2001; Chen et al. 2007; Krain & Lantis 2006) case-based learning (Golich et al. 2000) and other constructivist activities (Harker 2008; Khan et al. 2012; Pinto et al. 2012).


이러한 컨퍼런스 및 저널 기사의 비율은 WHO(PAHO 1997), 유네스코(Obana 2010), 세계은행(n.d.), 유럽생명공학 가상캠퍼스(Kybartaite et al. 2007), 뉴캐슬 온 타이인 대학(2004) 및 주립 대학, 주립 지원 뉴스레터들 (Iowa Department on Aging 2009) 등과 같은 유명 비학문 자료에서도 나타난다.

The percentages from these conference and journal articles are also supported in documents from well-respected, non-academic sources such as the WHO (PAHO 1997), UNESCO (Obanya 2010), the World Bank (n.d.), the European Virtual Campus for Biomedical Engineering (Kybartaite et al. 2007), the University of Newcastle Upon Tyne (2004) and even State sponsored newsletters (Iowa Department on Aging 2009).


이 퍼센트의 근거가 되는 연구를 인용할 때, 저자들은 때때로 이차적 출처를 인용한다(Lagowski 1990; Golich 등). 2000; Buler 등; 2001; Joss 2001; Obana 2010; Pinto 등. 2012) 또는 전혀 출처가 없는 경우도 있다.(PAHO 1997; Barnes 2001; Iowa Department on Aging 2009; Martinez & Jaganathan 2010).

When citing the research on which these percentages are based, authors sometimes cite secondary sources (Lagowski 1990; Golich et al. 2000; Buehler et al. 2001; Joss 2001; Obanya 2010; Pinto et al. 2012) or no sources at all (PAHO 1997; Barnes 2001; Iowa Department on Aging 2009; Martinez & Jagannathan 2010).


이 연구의 가장 흔한 두 가지 주요 원천은 응용 행동과학의 학습 피라미드(Kybartite et al. 2007; World Bank n.d)를 위한 국립 훈련 연구소(NTL)에드거 데일의 학습 원뿔 또는 학습 피라미드 (Campbell 1993; Bernardo 2003; Learning Northwood et al.; Krain & 2006; Wood et; 2006; 2006; 2006; Wood 첸 등이다.007; Harker 2008; Elouarat 외, 2011; Yeh 외, 2011; Khan 외, 2012; Pinto 외, 2012). 때때로 소코니-진공 석유 회사의 연구도 인용된다(Golich et al. 2000).

The two most common primary sources of the research are the National Training Laboratories (NTL) for Applied Behavioral Science’s Pyramid of Learning (Kybartaite et al. 2007; World Bank n.d.), and Edgar Dale’s Cone of Learning or (Campbell 1993; Bernardo 2003; Pyramid of Learning Northwood et al. 2003; Krain & Lantis 2006; Woods 2006; Chen et al. 2007; Harker 2008; Elouarat et al. 2011; Yeh et al. 2011; Khan et al. 2012; Pinto et al. 2012). Occasionally, the Socony-Vacuum Oil Company’s research is also cited (Golich et al. 2000).


이 퍼센트의 분명한 신뢰성이 확고히 확립되어 있기 때문에, 의심받을 만한 것은 아무것도 없어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백분율을 대충 훑어보는 것은 분명히 경보를 유발해야 한다. 인간의 행동은 거의 모든 경우에 5 또는 10의 배수로 깔끔한 비율로 분류될 수 없다.

With the apparent credibility of these percentages firmly established, there appears nothing to be questioned. A cursory glance at these percentages, however, should surely trigger an alarm: human behaviour can seldom, if ever, be classified into neat percentages in multiples of 5 or 10.


피라미드를 지지하는 증거를 검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분명한 출발점은 피라미드의 주요 출처에 상세히 기술된 연구다.

it is crucial to examine the evidence supporting the Pyramid, and the obvious starting point is the research detailed in the primary sources of the Pyramid.


피라미드의 출처와 백분율

The sources of the Pyramid and the percentages


이러한 백분율의 첫 번째 가능한 주요 출처인 NTL은 이 피라미드를 지원하는 출판되거나 출판되지 않은 연구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 NTL(Raymond 2012)의 이메일 서신에 따르면, 학습의 피라미드는 자체 연구에 기초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 연구가 어디있는지 찾을 수 없었고 이 연구의 세부사항을 제공할 수 없다고 답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NTL은 "'학습 피라미드'가 변형된 것으로 보이며, 오랫동안 NTL의 결과로 귀속되어 왔다"고 설명한다. NTL 학습 피라미드(때로는 약간 다른 백분율로 표시됨)는 [그림 1]과 같다.(레이몬드 2012)

The first possible primary source of these percentages, the NTL, does not have any research data, published or unpublished, supporting its Pyramid. According to email correspondence from the NTL (Raymond 2012), its Pyramid of Learning is based upon its own research, although it has never been able to locate this research and has not been able to provide details of this research. Nevertheless, the NTL explains that ‘‘the Learning Pyramid as such seems to have been modified and has long been attributed to NTL. The NTL Learning Pyramid, sometimes with slightly different percentages, appears as [Figure 1].’’ (Raymond 2012)



NTL은 또한 에드거 데일이 1954년(레이몬드 2012) 본문에서 '조금 다른 숫자들을 가진 비슷한 피라미드'를 제작했다는 것을 인정한다. NTL에 따르면, "다음 [그림 2]는 Edgar Dale의 강의에서 시청각적 방법에 기인한 피라미드다." (레이몬드 2012).

The NTL further acknowledges that Edgar Dale produced ‘‘a similar pyramid with slightly different numbers’’ in his 1954 text (Raymond 2012). Audio-Visual Methods in Teaching According to the NTL, ‘‘The following [Figure 2] is the pyramid attributed to Edgar Dale’s Audio-Visual Methods in Teaching.’’ (Raymond 2012).



그러나 이 두 번째 (잠정적) 1차 출처를 보면 뭔가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Edgar Dale은 교수법에 관한 그의 책, 시청각 방법에서(Dale 1946, 1954, 1969), 에드가 데일은 '경험의 원뿔'(그림 3)을 제시하였지, 피라미드를 제기한 것이 아니다. (그의 텍스트의 다른 판들을 통해 텔레비전의 포함과 같은 몇 가지 업데이트가 있었을 뿐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NTL에 의해 데일에 귀속된 학습의 피라미드와는 달리 데일의 경험론은 숫자나 백분율이 없으며, 특정 유형의 입력 소스나 활동에서 또는 어떤 기간 동안 또는 어떤 입력 소스나 활동으로부터도 정보를 보존할 수 있는 제안도 없다.

When we look at this second possible primary source, however, we see something different. In his text Audiovisiual methods in teaching (Dale 1946, 1954, 1969), Edgar Dale presents a ‘‘Cone of Experience’’ (Figure 3), and not a Pyramid of Learning. (Through the different editions of his text, there were some updates, such as the inclusion of television.) Most importantly, unlike the Pyramid of Learning attributed to Dale by the NTL, Dale’s Cone of Experience has no numbers or percentages, and no suggestion of retention of information from any input source or activity of any type, or for any length of time.



데일의 경험론은 단지 분류 도표일 뿐이다. 이 원뿔은 '각각의 경험이 제공할 수 있는 상대적 수준의 concreteness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교육 자료를 분류'한 것이다(1969년 데일). 데일은 자신의 경험담을 '모형일 뿐'이라고 말하며, "시각적 아날로지"로서 두뇌의 기능을 이해하기 위한 컴퓨터의 비유와 비교한다.

Dale’s Cone of Experience is merely a classification diagram. It ‘‘classifies various types of instructional materials according to the relative degree of concreteness that each can provide.’’ (Dale 1969). Dale presents his Cone of Experience as ‘‘only a model,’’ a ‘‘visual analogy,’’ comparing it to the analogy of the computer for understanding the functioning of the brain.


또한 일반적으로 인용되는 학습의 피라미드와 달리, 원뿔의 하단부에 있는 경험이 상단부에 있는 경험보다 우수하다는 암시도 없다. 반대로 데일의 토론에서는, 비록 모든 학습이 그렇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암시적으로 원하는 지향하는 방향을 굳이 말하자면, 상단부apex의 경험이 추상화abtraction를 지향하는 경향이 있다.

In addition, unlike the Pyramid of Learning commonly cited, there is no suggestion that the experience at the base is superior to the experience at the apex. On the contrary, in Dale’s discussion, if there is an implied desired direction of movement, it tends towards the abstraction at the apex, although not all learning happens like that.


데일은 '직접적이고 직접적인 경험'이 우리 학문의 기초를 이루는 가치를 기술하지만, 그는 또한 '물론 인간의 삶은 직접적이고, 구체적이며, 감각적인 수준에서 독점적으로 살 수 없다'고 분명히 언급하고 있으며, 많은 경우 학습은 더 높은 수준의 추상화를 지향하는 경향이 있다. 원뿔은 '교육 메시지instructional message를 얼마나 더 혹은 덜 추상적인가의 관점에서만 분류'하고 있을 뿐이며, 이것은 '학습 과정의 실제적인 서열'이 아니다. 교수자와 학습자는 모든 단계를 통과할 수 있어야 한다.

While Dale describes the value of the ‘‘direct, firsthand experiences that make up the foundation of our learning,’’ he also makes it clear that ‘‘human life cannot, of course, be lived exclusively on the direct, concrete, sensory level,’’ and frequently learning tends towards higher levels of abstraction. The Cone ‘‘classifies instructional messages only in terms of greater or lesser concreteness or abstractness,’’ and it is not an ‘‘exact rank order of learning processes.’’ The teacher and learner must be able to move through all levels.


요컨대(상식과 모순되는 것은 둘째치고라도) 이러한 비율의 숫자도 의심스럽다.

In short (apart from contradicting common-sense), these percentages are questionable


그렇다면 피라미드 구조와 퍼센티지는 그 어떤 실질적인 것에도 기초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It appears, then, that the pyramid structure and the percentages are based on nothing substantial.


의학교육의 문제

The problem for medical education


의학교육을 뒷받침하기 위한 강력한 교육 연구와 이론의 필요성은 잘 알려져 있다(Pauli et al. 2000, 콜린스 2006, 깁스 외 2011). 게다가 의료 교육 관행은 가정과 잘못된 가정이 아니라 진정한true 연구에 기초해야 한다는 것이다.

The need for strong education research and theory to underpin medical education is well-recognised (Pauli et al. 2000; Collins 2006; Gibbs et al. 2011). It follows, moreover, that medical education practice must be based on true research, and not on suppositions and invalid assumptions.


방법

Methods


학습의 피라미드는 (실제 피라미드 없이 포함)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고, 다양한 출처로부터 참조될 수 있기 때문에 검색 용어는 넓었다.

Because the Pyramid of Learning might be displayed in a variety of ways (including without an actual pyramid), and might be referenced from a range of sources, the search terms were broad.



결과

Results


전반

Overall


피라미드의 기원과 적용가능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논문은 단 하나만 찾을 수 있었다. 갤러거 외 연구진(2012년)은 '학습 보존 피라미드'의 권한과 기원에 대해 일부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랄리와 밀러(2007년)를 인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갤러거 외 연구진은 여전히 피라미드의 백분율을 워크숍에서 토론을 자극하기 위해 사용했다.

This search could find only one article that questioned the origin and applicability of the Pyramid. Gallagher et al. (2012) noted that the ‘‘authority and origins of the [Learning Retention Pyramid] are disputed in some quarters,’’ and cite Lalley and Miller (2007). Nevertheless, Gallagher et al. still used the percentages in the Pyramid to stimulate discussion in their workshop.


기사 및 그 출처

Articles and their sources


표 1은 발견된 기사의 요약을 제시한다.

Table 1 gives a summary of the articles found.



데일의 1차 텍스트(Dale 1946, 1954, 1969년) 외에도 편집된 텍스트에서 그의 피라미드 복제에 대한 언급은 세 가지가 있다.

In addition to Dale’s primary text (Dale 1946, 1954, 1969), there are three references to a replication of his Pyramid in an edited text.


본문을 점검한 결과, Donald Stewart(1969)의 한 챕터를 발견하게 되는데, 이 장에서는 Dale의 경험론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자신의 해석 도표를 제공한다(그림 5).

Upon inspecting the text, one finds a chapter by Donald Stewart (1969) in which he elaborates on Dale’s Cone of Experience and supplies a diagram of his own interpretation (Figure 5).





백분율

The percentages


Hazlett(2009년)를 제외한 모든 저자들은 백분율을 인용한다.

All of the authors, apart from Hazlett (2009), quote percentages.


그러나 연구자들이 제시한 퍼센트는 표 2에 제시되어 있지만, 다양한 활동을 통해 몇 퍼센트의 정보를 보유하는지에 대해서는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The percentages, as given by the researchers, are given in Table 2.  however,  it appears that there is no agreement on what percentage of information is retained through the different activities. 



고찰

Discussion


2012년에 논문의 상당 부분이 출판되었다는 사실은 피라미드와 그 비율이 현재 의학 교육 문헌에서 여전히 인용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의학교육을 다루는 새로운 기사와 책을 통해 오류는 더 강화되고 있다(Frith 2013; Risavi et al. 2013; Sewell 2013).

The fact that a sizable proportion of the articles was published in 2012 indicates that the Pyramid and its percentages are still currently being cited in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Further, the error is being reinforced in new articles and books dealing with medical education (Frith 2013; Risavi et al. 2013; Sewell 2013).


형편없는 참고문헌

Poor referencing


일부 작가들은 선의로 존경할 만한 2차 자료를 인용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2차 출처를 언급하는 것은 거의 권장되지 않지만, 반드시 받아들일 수 없는 학문적 관행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몇몇 저자들은 NTL 도표를 주요 소스로 인용했고, 따라서, 그 피라미드에 존재할 수 있는 오류에 대해서까지 비난할 수는 없다.

It is apparent that some authors are citing respectable secondary sources in good faith. While citing secondary sources is seldom advisable, it does not necessarily indicate an unacceptable academic practice. Similarly, several authors have cited the NTL diagram as a primary source, and, therefore, cannot be blamed for errors that may exist in that Pyramid.


그러나 다른 많은 경우에서는 부실한 참고문헌 인용 패턴이 발견되었다. 이는 연구를 저해하고 모순된 비율에 기여하기도 한다. 이것들은 사소한 인쇄상의 오류나 잘못 배치된 구두점 오류가 아니라 더 깊은 무언가에 대한 증거다. '사기'라는 단어는 아마도 너무 지나칠지 몰라도, 연구 결과는 명백히 학문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In many other cases, however, there is a pattern of poor referencing, and this serves to undermine the research and also contributes to the contradictory percentages. These are not minor typographical errors or misplaced punctuation errors (for which students are routinely berated), but evidence of something deeper. The word ‘‘fraud’’ is probably too strong, but the evidence does point to something academically unsatisfactory. 


또한 일부 저자들이 2차 출처(예: Pei 2003)를 인용한 경우에는, 그 2차 출처문헌 자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저자들이 그 text를 consult했을 가능성은 낮다. 

In addition, where some authors have cited secondary sources (e.g. Pei 2003 citing Lagowski 1990), it is unlikely that the authors had consulted the text, as it does not exist. 


2차 출처가 존재하는 경우에서도, 여러 문헌들은 학술 논문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텍스트로서 의심스럽다. 일부 경우(예: Gordon 1996; Murphy 1998; Kumar et al. 2009), 백분율은 아무런 언급이나 인용 없이 제시되기도 하는데, 이 말은 그 백분율이 자명하게 정확하다는 것을 함축한다. 이러한 텍스트는 그 후에 또다시 다른 텍스트(예: Keulers & Spauwen 2003)의 데이터 출처가 된다.

In cases where the secondary sources do exist, many are questionable as texts supporting arguments in an academic paper. In some cases (e.g. Gordon 1996; Murphy 1998; Kumar et al. 2009), the percentages are given without any reference or citation, and the implication is that they are self-evidently correct. These texts then become a source of data for other texts (e.g. Keulers & Spauwen 2003).


의학교육의 시사점

Implication for medical education


증거의 질에 대한 하든 외 연구진(1999)의 논의에 따르면, 에드거 데일의 경험의 원뿔(Cone of Experience)은 그의 전문적인 경험과 관찰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에 여전히 분류 체계로서의 가치를 지닐 수 있다. 그러나 단순한 분류 체계를 넘어, 학습에서 retention 비율까지 적용하는 지점으로 이동하면, 이는 어떤 종류의 '측정'을 가정하고 있는 것이다. 즉, 우리는 이 비율에 대해 질문을 해야 한다. '이 측정은 어떻게 수행되었는가?’’

Harden et al.’s (1999) discussion of the quality of evidence supports the idea that Edgar Dale’s Cone of Experience still has value as a classification system, as it is based on his professional experience and observation. A move to a point at which we apply percentages of learning retention, however, assumes measurement, and we should ask the pertinent question that we would ask of any medical research: ‘‘howwas this measurement performed?’’


학습의 피라미드나 그 비율이 연구에 근거하는 것으로 검증될 수 있을 때까지, 의료 교육 연구자들은 이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하는 것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아제르 외 연구진(2012년)이 지적한 바와 같이, 의료 교육 저널의 동료 검토자들이 참고문헌이 정확하게 보고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Until the Pyramid of Learning or its percentages can be verified as grounded in research, there is a need for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to be wary of using th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m. There is also a need, as noted by Azer et al. (2012), for peer-reviewers of medical education journals to ensure that references are accurately reported.


이 연구를 통해, NTL을 인용하든, Edgar Dale을 인용하든 간에 학습의 피라미드는 실체가 없다는 것은 명백하다.

From this study, it is obvious from the background that, whether citing the NTL or Edgar Dale, the Pyramid of Learning has no substance.


함의

Implication for the NTL


적어도 연구자들과의 교신에서, 존재하지 않는 에드거 데일의 학습 피라미드에 대한 언급은 중단해야 한다.

At the very least, it should stop referring to Edgar Dale’s non-existent Pyramid of Learning in its correspondence with researchers.


Limitations


Conclusion















 2013 Nov;35(11):e1584-93. doi: 10.3109/0142159X.2013.800636. Epub 2013 Jun 11.

Edgar Dale's Pyramid of 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a literature review.

Author information

1
Sultan Qaboos University , Sultanate of Oman.

Abstract

BACKGROUND:

Edgar Dale's Pyramid of Learning and percentages of retained learning are cited in educational literature in a range of disciplines. The sources of the Pyramid, however, are misleading.

AIMS:

To examine the evidence supporting the Pyramid and the extent to which it is cited in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METHODS:

review of literature (1946-2012) based on a search utilising Academic Search Complete, CINAHL, Medline and Google Scholar conducted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2.

RESULTS:

A total of 43 peer-reviewed medical education journal articles and conference papers were found. While some researchers had been misled by their sources, other authors' interpretations of the citations did not align with the content of those citations, had no such citations, had circular references, or consulted questionable sources. There was no agreement on the percentages of learning retention, in spite of many researchers' citing primary texts.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inappropriate citing of the Pyramid and its associated percentages in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is widespread and continuous. This citing undermines much of the published work, and impacts on research-based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While the area of learning/teaching strategies and amount of retention from each is an area for future research, any reference to the Pyramid should be avoided.

PMID:
 
23758180
 
DOI:
 
10.3109/0142159X.2013.80063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