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발의 우주론: 교수 쿠키통의 교훈(Med Educ, 2016)
Cosmologies of selection: lessons from the faculty biscuit tin
Maggie Bartlett1 & Flora Bartlett2
초록 중 일부
비록 어떤 집단의 매력은 다른 집단의 매력보다 덜 명백하지만, 일부 지속적인 이익은 이 그룹의 선택에서 파생 될 수 있으며, 즉각적으로 보이는 매력이 오히려 목적에 가장 적합한 것이 아닐 수 있습니다.
Some enduring benefits may derive from the selection of this group, although its attractions were less immediately obvious than those of others. What is immediately attractive may not be the most fit for purpose;
도입
INTRODUCTION
주전자와 비스킷 깡통 (특정 문화권의 '쿠키 항아리')은 직원 실의 효율성에 핵심적인 특징을 가지며 함께 먹고 마시는 인간의 범 사회 협약에 뿌리를두고 있습니다. 영양가를 제공하는 동안 비스킷은 어린 시절의 행복한 추억과 관련된 '위안 식품'의 기능을합니다.
The kettle and the biscuit tin (‘cookie jar’ in certain cultures) are features of central significance to the effectiveness of the staffroom, and are rooted in human pan-societal conventions of eating and drinking together,1 which lead to social bonding. While providing nutrition in an accessible way, biscuits also function as ‘comfort foods’, associated with happy memories of childhood.1
우리는 그들의 행동과 언어에 의해 전달되는 문화 공유 집단으로서의 비스킷의 경험에 관심이있었습니다. 따라서 구성주의 인식론을 사용하여 민족지학을 실시했으며, 사회 구성주의적 해석틀과 Deixis와 Cosmology를 포함하는 현상론적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Deixis: 사용되는 맥락에서의 언어의 의미
Cosmology: 우주의 order에서 그룹이나 개인의 역할과 의미에 대한 이해
We were interested in the lived experience of biscuits as a culturesharing group as conveyed by their behaviour and language, and therefore conducted an ethnography using a constructivist epistemology,6 a social constructionist interpretive framework7,8 and a phenomenological methodology9 that included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s of
deixis (the meaning of language in the context in which it is used)10 and
cosmology (understanding about group or individual role and meaning in the order of the universe).11
방법
METHODS
The ethnography was conducted on a Tuesday, which we perceived as a neutral day of the week in terms of staff behaviour. We avoided Monday as it is not typical of weekdays;
We observed the biscuits for an 8-hour period
This was not an immersive ethnography for practical reasons: we did not fit into the tin. However, we observed the behaviour of the biscuits and talked with them frequently. We collected data using field notes.
분석
Analysis
Both authors independently analysed the data from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and then refined the analysis in discussion. After three iterations of this process, we reached consensus. We practised reflexivity by discussing our own perceptions of the value of the various types of biscuit, and rigorously challenged the effectiveness of each other’s phenomenological bracketing.12
결과
RESULTS
3 개의 의미론적 그룹이 있었고 영국 정부가 인정한 28 가지 범주의 비스킷 중 3 가지에 해당하는 그룹 레이블 (표 1)을 지정했습니다.
There were three semantic groups, to which we assigned group labels (Table 1) corresponding to three of the 28 categories of biscuit recognised by the British Government.3
비스킷은 전혀 알지 못하는 기준을 사용하여, 세계가 빛에 넘치면, 강하하여 선택을 내리는 알 수없는 힘의 관점에서 후속 사건을 묘사했다. 이 힘에 대한 단어는 다각적 인 생물체를 암시하는 설명 적 요소와 '기아', '명령형'과 '탐욕'뿐만 아니라 '운명'을 포함하는 의미 론적 요소를 포함했다. 우리는 비스킷의 우주론적 지각의 이 요소를 '선택자'라고 부른다. 선택이 이루어질 때 관측 가능한 competitiveness는 없었고, 절대적으로 받아 들여졌다.
The biscuits described the subsequent events in terms of an unknowable force which would descend and make a selection while their world was flooded with light, using criteria of which they were unaware. The word for this force included descriptive elements suggestive of a multi-limbed organism, and semantic elements which included ‘hunger’, ‘imperative’ and ‘greed’, as well as ‘destiny’. We refer to this element of the biscuits’ cosmological perception as ‘the Selector’. There was no observable competitiveness when the selection was being made, and absolute acceptance of it.
세 그룹 모두 B 그룹과 C 비스킷이 하루 중 빠른 시간에 선택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고있었습니다. 그룹 A의 비스킷은 15:00까지 남아있는 유일한 참가자 였고, 그 후 그들은 특별한 현상을 경험했다. 비스킷 통은 셀렉터 (selector)의 출현없이 하나 이상의 매우 짧은 기간 동안 열렸다. 그런 다음 보통 2 ~ 3 회의 개봉 후에 선택기가 나타나고 비스킷 하나가 제거됩니다. Selector는 (비스킷이 오래된 동료에게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용어로) '피곤함', '부드러움', '사용 기한 지나서', '실망스러운' 등과 같은 요소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이 선택에 접근했다.
All three groups were aware that group B and C biscuits were more likely to be chosen in the early part of the day. Group A biscuits were the only participants to remain by 15.00 hours, after which they experienced a particular phenomenon: the tin was opened for one or more very brief periods without the appearance of the Selector. Then, usually after two or three openings, the Selector would appear and remove one biscuit. It was noted that the Selector approached this selection in a manner the biscuits described in the same terms they used for stale peers, which included elements of ‘tired’, ‘soft’, ‘past the use-by date’ and ‘disappointed’.
연구 기간이 끝날 때까지 그룹 A의 대표 만이 통에 남아있었습니다. 하루가 진행됨에 따라 Selector의 출현 빈도가 줄어 들었습니다. 비스킷은 이것을 긍정적 인 현실로 만들었습니다. 그들의 health-giving 속성은 셀렉터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더 적은 양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Selector가 B 그룹과 C 그룹에 대해 더 열광적 인 것처럼 보였지만 A 그룹 비스킷이 여전히 필요했고 B 그룹과 C 그룹보다 더 만족 스러웠습니다. B 그룹과 C 그룹은 더 매력적이긴 했지만 less sustaining해서 목적에 맞지 않습니다 .
By the end of the study period, only representatives of group A remained in the tin. As the day progressed, the frequency of the appearance of the Selector reduced. The biscuits constructed this as a positive reality; their health-giving properties meant that a smaller quantity was needed to fulfil the Selector’s needs. Although the Selector seemed to be more enthusiastic about groups B and C, it still needed group A biscuits and each one was more satisfying than those in groups B and C, which might be more beguiling but were also less sustaining and therefore less fit for purpose.
고찰
DISCUSSION
이 ethnography는 교수 비스킷 깡통의 비스킷은 discriminating Selector에게 가치가 있다고 인식하며, 선택에 사용 된 기준에 대한 인식이 없더라도 상대적인 가치에 대해 추측 할 수 있습니다. A 그룹의 구성원은 사회적으로 자신이 살아온 경험과 관련된 설명을 만들 수있었습니다. 즉, (A 그룹은) 통에 있는 다른 그룹의 비스킷처럼 즉시 매력적이지는 않지만 셀렉터는 여전히 그것들을 필요로했으며 지속 된 (그러나 불특정 한) 이점에 관해 특별한 가치가있었습니다.
This ethnography suggests that biscuits in a faculty biscuit tin perceive themselves to have a value to a discriminating Selector and, although they have no awareness of the criteria used for selection, they are able to speculate about their relative value. Members of group A were able to socially construct7,8 an explanation related to their own lived experience: that although they might not be as immediately attractive as biscuits in the other groups in the tin, the Selector still needed them and they had a particular value in terms of a sustained (but unspecified) benefit.
그들의 우주론에서 의과 대학에 대한 교훈이있을 수 있습니다.
there may be some lessons for medical schools from their cosmology.
우리의 입학 과정에서, 우리는 민족 지학에서 관찰 한 비스킷의 도료 및 내포물과 유사하게 바람직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받아 들여지는 특성을 가진 지원자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덜 분명하지만 오래 가고(less obvious but enduring) transferable한 특성에 대해 충분한 고려를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많은 교육자들이 학문적, 비 학문적 특성, 특히 열정과 동기 부여와 같이 측정하기 어려운 것들을 평가해야 하는 중요성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지만, 비 학문적 특성이 실제로 유용하거나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증거는 거의 없으며, 이것들이 선택의 주된 목적을 흐리게 할 수 있습니다.
In our admissions processes, we may select those applicants who have some characteristics that are generally accepted to be desirable, analogous to the coatings and inclusions of the biscuits we observed in our ethnography. We may be failing to give enough consideration to less obvious but enduring and transferable characteristics. Although many educators talk about the importance of assessing academic and non-academic attributes,13,14 and specifically those that are difficult to measure, such as enthusiasm and motivation,15 there is little evidence that some non-academic characteristics thought to be desirable are actually helpful or useful and they may distract from the main purpose of the selection.
더 비유를 넓혀보자면, 성공한 운동선수, 음악가, 사교계 명사가 되는 것이 이 개인이 훌륭한 의사가 될지, 아니면 초콜릿 코팅된 비스킷과 같이 잠재적으로 해로운 특성이 될지에 대한 확실한 지표가되고 있습니까?
To take the analogy further, is being an accomplished athlete, musician or socialite a reliable indicator that this individual will be a good doctor or is it a potentially harmful characteristic, like a chocolate coating on a biscuit?
라자크 외 (Razack et al)는 지원자가 그것을 준수하도록 노력해야하는 '수월성에 대한 단일한 권위적 정의'를 피해야한다고 제안한다.
Razack et al.16 suggest that we should avoid ‘one authoritative definition of excellence’ that requires applicants to strive to comply with it.
CONCLUSIONS
Med Educ. 2016 Dec;50(12):1233-1236. doi: 10.1111/medu.13092.
Cosmologies of selection: lessons from the faculty biscuit tin.
Author information
- 1
- Keele School of Medicine, Keele University, Keele, UK.
- 2
- (Formerly) Department of Anthropology, University College London, London, UK.
Abstract
© 2016 John Wiley & Sons Ltd and The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Medical Education.
- PMID:
- 27873402
- DOI:
- 10.1111/medu.13092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입학, 선발(Admission and Selec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PE의 현재: 투명성 향상 또는 여전히 혼란? (Acad Med, 2016) (0) | 2017.11.13 |
---|---|
의과대학 입학시험: 부모가 의사인 학생이 이득? (BMC Med Educ, 2015) (0) | 2017.10.23 |
의예과 교육과정과 입학 요건과 의과대학 퍼포먼스와 레지던트 취업의 관계(Acad Med, 2016) (0) | 2017.10.20 |
의과대학 입학의 도덕성(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04) (0) | 2017.09.14 |
사회과학과 인문과학(SSH)을 전공한 학생이 의과대학 입학과정에서 소외되는가? Review and Contextualization (Acad Med, 2014) (0) | 2017.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