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드백(FEEDBACK)


운동기술 학습에 대한 피드백을 다룬 연구는 주로 동작의 결과(Knowledge of Results, KR) 또는 동작의 질(Knowledge of Performance, KP)에 대해 다루어왔다. 의학교육에서 주로 다루는 피드백은 KP이다. 그러나 두 가지 종류 모두 학습에 영향을 주는 원리에 있어서는 동일하다. 

Feedback examined in the context of motor learning research usually involves information about the outcome (termed ‘knowledge of results’ [KR]) or the quality of the movement (termed ‘knowledge of performance’ [KP]). The latter corresponds more to the feedback given by an instructor in medical education. Yet, both types of augmented feedback (KR, KP) seem to adhere to the same principles in the way they affect learning.37

운동기술 학습을 다룬 연구는 피드백의 정보전달적 기능에 대해 주로 다루고 있는데, 이는 즉 학습자의 수행능력이 목표한 것에 비해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주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피드백의 빈도, 시기, 정확성 등이 미치는 영향이 주로 연구되어 왔다. 이들 연구는 증가된 피드백(augmented feedback)이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통찰을 준다.

Much research in the motor learning domain has been concerned with the informational function of feedback, which refers to its role of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n individual’s performance in relation to the task goal. In this context, studies have addressed issues such as the effect of feedback frequency, timing, accuracy or error estimation. This research has provided important insights into the role of augmented feedback in learning and the findings have been reviewed in various articles.37,38 


최근의 많은 연구들이 수술 기술(봉합, 매듭)의 수행능력과 학습에 있어 피드백의 역할을 다루고 있다. 비록 이들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과제와 피드백의 종류가 분명히 의학 분야의 훈련과 연관이 되어있긴 하지만, 여기서 조심해야 할 것은 피드백의 양이나 타입이 다른 변수에 의해서 교란되고 있다는 점이다.

A number of recent studies have examined the role of feedback in the performance and learning of surgical skills, such as suturing or knot-tying.9,10,39 Although the tasks and types of feedback (e.g. instructor feedback) have obvious relevance for medical training, a caveat of such studies is that the amount and type of feedback are often confounded.


여기서 우리는 지금까지 무시되어왔던, 혹은 운동기술 수행능력에 일시적인 영향만 준다고 생각되어왔던 요소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최근의 일부 연구결과를 보면 피드백에 있어서 '동기(motivation)'의 영향이 중요한 요소가 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예를 들어 과제를 '잘 한' 다음에 주는 피드백이 '못 한'다음에 주는 피드백보다 학습에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Here, we focus on an aspect of feedback that has been largely neglected, or has been assumed to exert only temporary effects on motor performance.11 Some recent findings indicate that the motivational properties of feedback can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learning. For example, some studies in the past few years have shown that providing learners with feedback after ‘good’ trials, compared with after ‘poor’ trials, results in more effective learning.40


성공적으로 과제를 수행한 뒤에 피드백을 받는 참가자들은 피드백이 없는 상태에서 유지(retention)를 측정해서 보면 더 나은 학습 수준을 보여준다. 성공적인 수행을 강조하고 덜 성공적인 수행은 무시하는 방식의 피드백은 긍정적인 동기화를 유발하는 효과가 있어 학습에 도움이 된다. 흥미롭게도, 학습자들은 종종 그들이 수행한 것에 대해서 스스로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따라서 잘못한 점을 지적하는 피드백이 불필요 한 것은 아니지만, 스스로에 대해서 걱정을 더 많이 하도록 만들어서 학습을 방해할 수도 있다.

Participants who received feedback after the best trials demonstrated more effective learning, as measured by retention tests without feedback. Feedback that emphasises successful performance and ignores less successful attempts benefits learning presumably because of its positive motivational effects. Interestingly, learners often have a relatively good feel for how they perform.41,42 Thus, feedback indicating errors may not only be redundant, but it can also heighten concerns about the self that may hamper learning.35,36





두 그룹으로 나누어서 실제 수행 능력에 대한 객관적인 피드백(veridical feedback)외에 

추가적으로 한 그룹은 무조건 좋은 피드백을, 다른 그룹은 나쁜 피드백을 주었다.

진짜 점수와 무관하게 좋은 피드백을 받은 그룹의 성과가 더 좋았다.





자기 자신에 대한 우려, 걱정은 상대평가적 피드백(normative feedback)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다. 상대평가성 피드백은 다른 사람의 수행능력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게 되는데, 이러한 피드백에서 자신이 평균 이하라는 것을 알게 되면 자기효능감이 떨어지고, 부정적인 자기반응(self-reaction)을 갖게 되고, 과제에 대한 관심이 낮아질 수 있다.

Similar self-related concerns, or worries, may be induced by normative feedback. Normative feedback involves information about others’ performance, such as a peer group’s average performance scores, provided in addition to the learner’s personal scores. If such feedback indicates that one’s own performance is below average, this may result in decreased self-efficacy (situation-specific self-confidence), negative self-reactions, and decreased task interest.43 


반대로 상대평가에서 긍정적으로 비교를 당하면 자기효능감이 높아지고, 자기반응이 긍정적이 되고 그 기술에 대한 학습동기가 높아진다. 상대평가적 피드백은 일시적인 수행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학습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최근 연구에서 운동기술 학습은 (가짜로) 긍정적인 상대평가적 피드백을 해줬을 때 (부정적인 상대평가적 피드백을 해줬을 때보다) 더 향상되었다.

By contrast, positive comparisons with the ‘norm’ can enhance self-efficacy, produce more positive self-reactions and increase motivation to practise a skill.44,45 Normative feedback not only has the potential to affect performance while it is provided,44 but it can have more permanent effects on motor learning. In recent studies, motor learning was enhanced by (false) positive relative to negative normative feedback.46–48


따라서 단순히 어떤 과제에 대해서 '잘한다' 혹은 '못한다'라는 확신을 하는 것 만으로도 학습에 영향을 미치고, 자기 충족적 예언에 영향을 준다. 흥미롭게도 아무런 상대평가적 피드백을 받지 못한 그룹에 비해서 '평균보다 낫다'라는 정도의 피드백만 받은 그룹의 학습이 더 촉진되었다. 아무 피드백을 받지 못한 그룹의 학습 수준은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은 그룹과 비슷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긍정적인 피드백이 학습에 촉진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us, the mere conviction of being ‘good’ or ‘poor’ at a particular task influenced learning and essentially represented a self-fulfilling prophecy. Interestingly, in another study, feedback indicating better-than-average performance also facilitated learning compared with that in a control group that did not receive normative feedback. The control group’s level of learning was similar to that of a group that received negative normative feedback. 48 This finding suggests that positive feedback may have a facilitatory effect on learning. 


반대로, 부정적인 상대평가적 피드백을 주거나 아무런 상대평가적 정보를 주지 않을 경우 스스로에 대한 생각을 하도록 만들면서 자기 통제적 활동을 하게 함으로써 일차적 과제에 대한 학습을 방해한다. 따라서 피드백은 단순히 아무런 감정적 주석이 달리지 않은 정보를 '중립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것이 아니라 실수를 줄이기 위한 목적이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피드백은 동기유발과정에 영향을 주는 것이 되어야 하며, 다시 말해 학습에 영향을 줄 수 있어야 한다.

Alternatively, negative normative feedback, or no comparison information (control condition), may trigger thoughts about the self and engage ensuing self-regulatory activities that hamper learning of the primary task.35,36 Thus, feedback should not merely be viewed as ‘neutral’ information that is processed – without any affective connotation – with the goal of minimising errors. Rather, the valence of feedback appears to have an influence on motivational processes that, in turn, affect learning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의학과 관련된 훈련에 있어서 가르치는 사람들은 피드백의 정보전달적 기능만 생각해서는 안되고, 학습자의 동기유발 상태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실수를 했을 때 즉각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하라'와 같은 제안은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실수에 대한 정보로부터 학습자는 자신의 수준을 정확히 인지할 수도 있지만, 사기가 꺾일 수도 있으므로 그 정보의 양이 과도해서도 안된다.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structors in medical training should not only consider the informational function of feedback, but should also remember that feedback will almost certainly affect learners’ motivational states. Suggestions such as ‘provide immediate (proximate) feedback when an error occurs’6 should be viewed in this context. Error information may not only be superfluous, as learners may already have a good sense of how well they have performed,41,42 but it also has the potential to be demoralising. 


또한 최근의 연구결과를 고려하면 "한 훈련 사이클이 종료되었을 때 학습자가 달성해야 하는 목표와 비교한 학습자의 발전과정(Learning curve)"에 대한 피드백을 주는 것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목표를 설정하는 것 자체는 학습을 촉진하는 것이 맞지만, 기대치보다 수행능력이 떨어진다는 피드백을 받으면 - 특히 그것이 반복적일 경우 - 학습에 대해 부정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Furthermore, recommendations to provide ‘evidence at the end of each trial of progress (graphing the ‘‘learning curve’’), with reference to a proficiency performance goal that the trainee is expected to attain’6 should be viewed with some caution, given recent findings related to normative feedback. Although goal setting has been shown to enhance learning,49 feedback indicating that performance is below expectations – especially when presented repeatedly – may have negative effects on learning.






 2010 Jan;44(1):75-84. doi: 10.1111/j.1365-2923.2009.03421.x.

Motor skill learning and performance: a review of influential factors.

Source

Department of Kinesiology and Nutrition Sciences, University of Nevada, Las Vegas, Nevada 89154-3034, USA. Gabriele.wulf@unlv.edu

Abstract

OBJECTIVES:

Findings from the contemporary psychological and movement science literature that appear to have implications for medical training are reviewed. Specifically, the review focuses on four factors that have been shown to enhance the learning of motor skills: observational practice; the learner's focus of attention; feedback, and self-controlled practice. OBSERVATIONAL PRACTICE: Observation of others, particularly when it is combined with physical practice, can make important contributions to learning. This includes dyad practice (i.e. practice in pairs), which is not only cost-effective, but can also enhance learning. FOCUS OF ATTENTION: Studies examining the role of the performer's focus of attention have consistently demonstrated that instructions inducing an external focus (directed at the movement effect) are more effective than those promoting an internal focus (directed at the performer's body movements). An external focus facilitates automaticity in motor control and promotes movement efficiency. FEEDBACK: Feedback not only has an informational function, but also has motivational properties that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learning. For example, feedback after successful trials and social-comparative (normative) feedback indicating better than average performance have been shown to have a beneficial effect on learning. SELF-CONTROLLED PRACTICE: Self-controlled practice, including feedback and model demonstrations controlled by the learner, has been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externally controlled practice conditions.

CONCLUSIONS:

All factors reviewed in this article appear to have both informational and motivational influences on learning. The findings seem to reflect general learning principles and are assumed to have relatively broad applicability. Therefore, the consideration of these factors in designing procedures for medical training has the potential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raining.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