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bioethics.stanford.edu/arts/)







어느 날 밤, 심근경색이 있는 한 여자환자를 볼 일이 있었다. 

그녀는 술에 취해 있었고, 들것 위에서 숨을 헐떡거리며 몸부림을 치고 있었다. 

파라메딕은 "죄송하게 되었네요"라면서 환자를 인계해주었다.


내가 물었다. 

"아주머니, 가슴 통증이 있으신가요?"



그녀는 대답은 하지 않고 IV를 하려던 간호사에게 소리를 지르기 시작했다. 

"야 이 XXX아, 저리 꺼져. 놔두라고 이 XXX아"


간신히 환자의 주머니를 뒤져 신분을 파악하는 도중, 

꼬깃꼬깃한 종이 한장을 발견했다. Plavix 처방전이었다.


상황이 이해가 되었다. 

얼마 전에 퇴원한 이 환자는 Plavix를 복용하지 않고 있었고, 

그래서 혈전이 생긴 것이었다.


내가 물었다. 

"왜 플라빅스를 복용하지 않으셨어요?"


환자가 대답했다. 

"돈이 없다고!"


내가 다시 말했다.

"그 약은 무료에요"


환자가 다시 대답했다. 



"버스 탈 돈이 없다고!"






종종 의학교육에 인문학을 꼭 넣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의구심을 품는 사람들이 있다. 그리고 그 이유는 매우 간단하게 요약될 수 있다. "그게 꼭 들어가야 하는 이유가 뭔데?" 


"배워야 할 내용이 이렇게 많은데, 그 소중한 시간을 실용적이지도 않고, 주관적이고 잘 가늠되지도 않는 것을 배우는데 쓸 수는 없지. 게다가 뭐? 예술적? 무언가에 대한 의문을 가질 때는 실용적인 목적이 있고,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이 가능한 것에 대해서 해야하는거야."

Doctors are often suspicious of including the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The resistance can be summed up succinctly: What’s the point? When there is so much to learn, why spend precious time in medical school or residency considering the impractical, the subjective, the indeterminate, and the artful? If we’re going to ask questions, we might as well pick ones that have practical use and are possible to answer.


나 또한 이런 주장이 한편으로는 이해가 간다는 것을 고백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의사가 매일매일 진료를 하면서 마주하는 문제 중에서 과연 몇 퍼센트나 진정으로 "과학"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을까? 좀 더 넓게 보자면, 우리의 보건의료 시스템에 '과학'은 도대체 얼만큼이나 영향을 미치는가?

This is an understandable and, I must confess, often appealing view. Yet how many of the problems that clinicians face in daily practice are scientific, in any meaningful sense of the term? On a larger scale, how much does science even influence our health care system? 


보건의료 시스템은 다른 어떤 것들 보다도 인간의 아주 근원적인 특질을 반영한다. 젊음과 건강에 대한 갈망, 질병과 죽음에 대한 공포,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탐욕, 집단과 개인의 충돌, 그리고 무엇보다 사회경제적인 위계 등등..

It is a system that reflects primal cultural traits as much as anything else: thirst for youth and health, fear of illness and death, greed in all its forms, conflicting notions of both collective and personal responsibility, and socioeconomic hierarchies above all.


내 환자는 의대생들의 소그룹 토의 사례가 되진 않았지만, 사례로 활용하기에 좋은 케이스이다. 하지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 것인가의 문제는 그리 간단치 않다.

My patient never became a case study in a small-group discussion for medical students, but she easily could have. Where to start? It’s hard to know.


어떤 질문으로 시작을 하든지, 문제의 특성상 객관적인 답이 정해져있지 않다. 그리고 케이스로 다룬다고 하더라도 이런 문제들은 다 넘어가버리고 스텐트가 막힌 문제라든가 혈전생성에 있어서 혈소판의 역할을 다루는 파트로 넘어가고 싶은 강한 충동이 들 것이다.

By their nature these are questions without objective answers, and the temptation to throw one’s hands up and go back to PowerPoint presentations on stent reocclusion and the role of platelets in thrombogenesis is strong


마치 어떤 규칙이 있는 것처럼, 우리는 논쟁과 설득이 오가야만 하는 현실적인 답안이 없는 문제에 대해서 토론하기를 꺼린다. 마치 정서적으로 개입해야만 하는 것이 요구되는 상황을 회피하듯 말이다.

As a rule, we absolve ourselves from participating in debates that resist empirical solutions that require argument and persuasion— just as we tend to shy away from issues that ask for, and at times require, emotional engagement.


하지만 회피하더라도 여전히 문제는 남아 있다. 그리고 사실 우리는 그 문제에 대해 어떻게든 답을 하게 되어 있다.

Yet the questions remain, and we do in fact answer them.


이와 같은 주관적인 문제들에 대한 답이 미치는 영향력은, 객관적인 문제에 대해서와 마찬가지로, 그 영향력이 클 뿐만 아니라 어떤 식으로든 보여지게 되어 있다.

Put another way, answers to subjective questions have consequences that are just as profound, and just as tangible, as answers to objective ones.


따라서 의학에 있어 인문학을 가르친다는 것의 의의는 무엇이고, 시간이 제한되어 있음에도 그렇게 해야만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한 가지 이유는, 인문학도 과학과 같은 하나의 '도구'라는 점이다. 또한 '인문학'을 정의하기는 쉽지 않지만, '과학'과는 결정적으로 다른 점이 있다. 인문학은 우리가 비이성적인 존재라는 것을 인정한다. 늘상 그런 것은 아니더라도, 대부분의 경우에서 그러할 수 있음을 인정한다. 

So what is the point of studying the humanities in medicine, and why is doing so worth at least some of our time? One answer is that the humanities, like science, are a tool. The humanities, broadly and imperfectly defined as they may be, nonetheless concede what the sciences resist—that we are irrational creatures much, if not all, of the time. 


우리의 집단적인 가치와 신념은 반대되는 근거에 의해서 약간 침식당할 수는 있겠지만, 완전히 전복되지는 않는다. 이것이 순수한 경험주의의 한계이다. 순수한 경험주의는 우리가 보는 관점과 던지는 질문의 한계를 제한한다. 

Our collective values and beliefs may be eroded by evidence, but they are rarely overturned by it. Pure empiricism, in other words, gets us only so far, in part because it so dramatically limits both the scope and the relevance of the questions we can ask. 


또한 경험주의만으로는 감정이 가진 힘을 깨워낼 수 없다. 그러나 대중들은 아이와 같아서 논리만으로 그들을 움직이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좋든 싫든, 트위터와 구글, 끝없는 정보의 시대에, 그리고 상반되는 뉴스 속보가 넘쳐나는 시대에, 진실과 거짓을 구분하는 것, 국소적인 안건과 광범위한 의제를 구분하는 것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Empiricism lacks the ability to generate emotional power, and crowds are like children: Logic hardly sways them. Like it or not, in an era of Twitter and Google and bottomless seas of information, in an era of news that is always breaking and of endless dueling facts, the ability to distinguish truth from falsehood, to

discern narrow agendas from collective ones, has never been harder.


하지만 인문학은 사람을 움직이게 하는 힘이 있다. 잘만 활용하면 개인적 경험의 공명을 이끌어낼 수 있다. 어떠한 선택과 그 선택에 달려있는 것을 동등하게 볼 수 있게 해주고, 숫자를 살아 움직이게 하여 논리적인 것과 그렇지 않은 것, 품위있는 것과 그렇지 않으 것을 구분할 수 있게 해준다. 

But the humanities have the power to move us. At their best, they can approach the resonance of personal experience. They have the ability to illuminate stakes and choices alike, to make numbers come alive, to help distinguish both the reasonable from the absurd and the decent from the indecent. 


인문학은 도덕의 권위를 환기시키고, 동정과 분노의 감정을 불러일으키며, 더 나쁜 것을 피해, 더 나은 것을 향해 나아갈 수 있게 해준다.

The humanities have the power to invoke moral authority, to invoke feelings of outrage as well as feelings of compassion, to inspire us to be better, and to caution us against being worse.


어쩌면 인문학에 대해 공부함으로서 환자에 대한 공감능력을 높일 수 있을지도 모른다. 인문학을 가르칠 것을 지지하는 사람들 중 종종 이러한 주장을 하는 사람도 있다. 이들의 주장이 틀린 것은 아니지만, 핵심을 놓치고 있다.

Perhaps studying the humanities can also help us empathize with our patients. Advocates of the humanities in medicine often make this argument, and it may even be true, but I think it misses much of the point.


의사가 되는 것은 단순히 공감을 할 줄 아는 것 그 이상이다. 사실 아무런 공감이 느껴지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내가 본 환자는 입이 거칠었고, 폭력적이었고, 비협조적이었으며, 어떤 면을 보아도 좋아할 수 없는 사람이었다. 하지만 우리는 그 환자에 대해 공감하기 위해 거기 있었던 것이 아니다. 우리는 그녀를 살려내기 위해 거기에 있었다.

Being a physician is about more than empathy—It is as much about doing your job when you feel no empathy whatsoever. My patient was foulmouthed, abusive, uncooperative, and unlikeable in virtually every way. But we weren’t there to empathize with her—We were there to save her if we could.


다른 말로 하자면, 의학에서 인문학을 가르친다는 것은 감정적인 것에 취하자는 것이 아니다. 도저히 달성할 수 없을 것 같은 상황에서조차 공감을 하라는 것도 아니고, 의사들은 친절하게 만들기 위한 것도 아니다. 

In other words, studying the humanities in medicine is not about indulging in sentimentality, in earnest appeals for empathy that is often impossible to achieve. It’s not about making doctors nicer, although few will complain if that happens.


그보다, 인문학은 의사와 의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이 보건의료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좀 더 생각하고, 통찰력을 가지고, 성찰을 하고, 궁극적으로는 그것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람이 되도록 돕는 것이다. 집단적인 침묵은 더 이상 의사에게 도움이 되지 않기에 재능과, 의지와, 능력을 갖추어 더 넓은 영역의 공적인 토론의 장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nstead, studying the humanities in medicine is about helping doctors and medical students become more aware, more insightful, more reflective, and— ultimately—more influential in shaping the trajectory of health care. It’s about encouraging the facility, willingness, and ability to enter into the larger public debate in these cacophonous times, when collective silence will not serve the medical profession well. 


그리고 마지막으로 인문학은 정서적 교감과 자기성찰을 중요시하지 않는, 바깥 세상보다는 내부만 들여다보는, 개개인이 부담하는 비용 뿐만 아니라 개개인에 대한 보상조차 무시하는 문화에 대한 어떤 배출구를 만들어주는 것이다.

And, finally, it is about providing an outlet for both emotional engagement and self-reflection in a culture that typically denies both, looks outward rather than inward, and too often ignores not only the personal costs but also the personal rewards of medical work.


돌이켜 생각해보면, 같이 일을 하는 동료의사와 간호사, 내가 좋아했던 것들과 싫어했던 것들, 저지른 실수에 대한 불편한 감정과 옳은 선택을 한 것에 대한 영광, 환자에 대한 탄식과 안도, 총명함과 어리석음, 교묘함과 솔직함, 이들이 뒤섞인 공간 어딘가에 우리 모두는 중요한 일을 하고 있다는 의식이 자리잡고 있었다. 

Somewhere in the impossible mix is the sense that all of us in medicine are doing work, however imperfectly and at times despite ourselves, that counts. 


그 중대성을 인식하고 있기에, 여기에 중요한 것이 걸려있다는 것을 알기에, 하고 있는 일의 더 큰 의미를 알기에 의료계 문화의 고됨과 원칙이, 체력적 고갈이, 밤중에 걸려오는 끊임없는 전화가, 그 무수한 기록들이, 그 많은 강의들이 유지될 수 있었던 것이다. 

It is precisely this sense of significance, of stakes that actually matter, of work with larger meaning, that drives the rigor and discipline of medical culture, the physical exhaustion, the endless phone calls in the middle of the night, all those pages both read and written, and all those lectures both given and received.


의학의 많은 부분들은 사실 아무도 알아주지 않고, 감사해하지도 않고, 기여한 사람도 불분명하고, 불확실하지만, 결국 중요한 것은 "그럼에도 불구하고"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한번 더 생각해볼 수 있다. 그리고 그래야만이 더 좋은 의사가 될 것이며, 그리고 우리가 타인에 대해 무관심한 상황에서도 선(善)을 행할 수 있을 것이다.

So much of medicine is like that— anonymous, thankless, faceless, and uncertain—but necessary nonetheless. This necessity bears reminding, in part because it affirms our better natures, the good we sometimes do despite our indifferences.







 2013 Jul;88(7):918-20. doi: 10.1097/ACM.0b013e3182959e16.

The woman in the mirrorhumanities in medicine.

Source

Dr. Huyler is associate professor, Emergency Medicine, University of New Mexico, Albuquerque, New Mexico.

Abstract

While the role of the sciences in medicine and medical training is unquestioned and should remain so, the traditional resistance of medical culture to the humanities and humanistic argument does not serve the medical profession well, nor does it do justice either to the challenges or rewards of clinical practic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