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레니얼 학생에 대한 잘못된 신화: 전문직 교육과 관련한 특성의 재평가(Anat Sci Educ, 2011)

Demystifying the Millennial Student: A Reassessment in Measures of Character and Engagement in Professional Education

Camille DiLullo,1* Patricia McGee,2 Richard M. Kriebel3

1Department of Anatomy, Philadelphia College of Osteopathic Medicine, Philadelphia, Pennsylvania

2Department of Educational Psychology, College of Education and Human Development, The University of Texas at San Antonio, San Antonio, Texas

3Department of Neuroscience, Physiology and Pharmacology, Philadelphia College of Osteopathic Medicine, Philadelphia, Pennsylvania




도입

INTRODUCTION


In the book Generations: The History of America’s Future, 1584 to 2069, the authors showed the patterns of differences among individual generations including the 

  • Silent Generation (1925–1942), 

  • Baby Boom Generation (1943–1960), 

  • Generation-X (1961– 1981), and 

  • the Millennial Generation (1982–2001), 

...a term which they coined (Strauss and Howe, 1991).


스미스 앤 라간 (Smith and Ragan, 2005)은 학습 특성을 네 가지 영역,

(1) 변화하는 유사점,

(2) 변화하는 차이,

(3) 고정된 유사성, 

(4) 고정된 차이.

Smith and Ragan (2005) have organized learning characteristics into four areas: 

(1) changing similarities, 

(2) changing differences, 

(3) stable similarities, and 

(4) stable differences. 


  • '변화하는 유사점과 차이점'에 포함 된 특징은 개인에 따라 시간이지나면서 진화하는 특성입니다. 이러한 특성에는 개인의 가치와 신념, 성격, 발달 단계, 교육 수준 등이 포함되며, 모두 개인 개발, 현재의 사회 모아레, 전반적인 정치 환경 및 글로벌 경제의 영향을받을 수 있습니다. 학습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학습과 관련된 하나의 '변화하는 특성'은 프로그램 내용의 복잡성 선택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교육 수준이다.

  • '안정된 유사점과 차이점' 에는 적성, 민족성, 학습 스타일, 학문적 자아 개념 (학업 능력의 자기 인식), 그리고 '통제의 위치'(내부 위치는 학습자의 책임 임; 외부 통제 위치는 다른 학습자에게 그들의 학습에 대한 책임을진다.) 등이 있다.


  • The characteristics included among ‘‘chang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re those that will evolve over time for an individual. These characteristics include personal values and beliefs, personality, developmental stages, and educational level all of which can be impacted by personal development, current societal moire´s, overall political climate, and global economics. The one ‘‘changing characteristic’’ related to learning most important in the design of instruction is educational level as it is directly relevant to selection of program content complexity. 

  • The characteristics included among ‘‘stabl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re characteristics such as aptitude, ethnicity, learning style, academic self-concept (self-perception of academic ability), and ‘‘locus of control’’ (internal locus of control-learner takes responsibility for their learning; external locus of control-learner expects others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learning).


동일 세대 집단에 속하는 학습자가 안정된 특성을 공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밀레니엄 학생들은 종종 팀 지향적이며 협업적이고 가치있는 동료 의견으로보고됩니다.

Some stable characteristics may be shared by learners that belong to the same generational cohort. For example, Millennial students are often reported to be team-oriented, be collaborative and value peer opinions.


밀레니엄 학생들은 이전 세대와는 분명히 다른 세계에 살며 혁명적 인 기술을 접할 수 있습니다.

Millennial students live in a world that is clearly different from that of previous generations and have access to technologies that are revolutionary.


연구 데이터를 분석하면 이러한 학생들은 학습의 근본적 프로세스라는 점에서는 다른 세대와 다를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학습 과정에 진정으로 영향을 주는 특정한 '안정된 특성'을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며 교육 설계시 고려 대상이되어야합니다.

analysis of research data suggests that these students may not be as different from other generations in the fundamental process of learning as is regularly proposed. It is crucial to accurately assess which specific ‘‘stable characteristics’’ truly impact the learning process and should be targeted for consideration in instructional design.




밀레니얼 학생의 특징

MILLENNIAL STUDENT CHARACTERIZATION


일레니얼 학생과 흔히 연관되는 특징들

Characteristics Commonly Associated With the Millennial Student


천년기 세대에 대한 '사실'에 관한 최초의 주목할만한 불일치 중 하나는 넷 세대, 세대 Y, 에코 붐 세대, 세대 Me 및 디지털 원주민으로 불리우며 세대를 분류하는 데 사용 된 날짜의 범위입니다. 출처에 따라, 밀레니엄 세대 경계는 1978 년부터 1984 년까지 범위의 시작, 끝은 1990 년 초 ~ 2001 년 말에 제안되었다.


One of the first notable discrepancies regarding ‘‘facts’’ about the Millennial Generation, alternatively dubbed the Net Generation, Generation-Y, Echo-boomers, Generation Me, and Digital Natives, is the range of dates used to bracket the generation. Depending upon the source, generational boundaries set for the start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range anywhere from 1978 to 1984 with the end proposed to be as early as 1990 but as late as 2001.



2003 년, Millennials Go to College의 Howe and Strauss는 신세대 캠퍼스 전략을 수립하여 천년 세대 학생들을위한 7 가지 특성 특성을 제시했습니다.

(1) 특수,

(2) 보호,

(3) 자신감,

(4) 팀 지향,

(5) 종래의,

(6) 압력을 받고,

(7) 달성.

In 2003, Howe and Strauss, in Millennials Go to College: Strategies for a New Generation on Campus, posited seven specific character traits for students in the Millennial Generation which are 

(1) special, 

(2) sheltered, 

(3) confident, 

(4) team-oriented, 

(5) conventional, 

(6) pressured, and 

(7) achieving. 


많은 저자들은 Howe와 Strauss가 제공 한 Millennial 특성 분석에 동의하고 Millennials를 포함하도록 확장하여 Millennials는 낙관적이고 지능적이며 목표 지향적이며 야심 차고 학습에 관심을 갖고 멀티 태스킹, 문화적 차이에 대한 존중, 공동 작업, 유연성에 대한 욕구, 피드백에 대한 궁핍, 그리고 즉각적인 반응을 예상했다.

Many authors concurred with the Millennial characterization offered by Howe and Strauss and expanded it to include that Millennials are optimistic, intelligent, goal oriented, ambitious, interested in learning, multitaskers, respectful of cultural differences, collaborative, desiring of flexibility, needy for feedback, and anticipatory of immediate response . (Oblinger, 2003; McGlynn, 2005; Taylor and MacNeil, 2005; Wilson, 2005; Borges et al., 2006; Goldman and Schmalz, 2006; Pastorino, 2006; Taylor, 2006; Coates, 2007; Roos, 2007; Gleason, 2008; Lower, 2008; Tarr and Palmer, 2008; Wesner and Miller, 2008; Immerwahr, 2009; Moore, 2009; Sweeney, 2009).


밀레니엄 학생들의 학습 스타일에 관해서는 밀레니엄 학생들은 활동적인 학습자이며, 대규모 그룹보다는 작은 그룹에서 가장 잘 작동하고 테크놀로지를 사용하여 학습하는 것을 선호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Prensky, 2001; Dede, 2005; Oblinger and Oblinger, 2005, Sweeney , 2006, Sandars and Morrison, 2007, Croasdale, 2008).

regarding the learning style of the Millennial student reports show that Millennial students are active learners, work best in small rather than large groups, and prefer learning via the use of technology (Prensky, 2001; Dede, 2005; Oblinger and Oblinger, 2005; Sweeney, 2006; Sandars and Morrison, 2007; Croasdale, 2008).


다른 불안한 특성. 학생들은 보고됩니다 (Newton, 2000; Kuh, 2003; Weiler, 2004 Speencer, 2006, Westerman, 2006-2007, Hoover, 2007, 2009, Monaco and Martin, 2007, Sweeney, 2007, UCL, 2008, Considine et al., 2009, Immerwahr, 2009, Twenge, 2009).

    • 자격 부여의 느낌으로 자기애 주의적,

    • unmotivated,

    • 참을성이없는,

    • 부주의 한,

    • 독립 준비가 안된,

    • 학업 적으로 이탈 한

    • 시간 관리, 미디어 활용 능력 및 비판적 사고 기술이 부족합니다.

other disquieting traits. Students are reported to be 

narcissistic with a feeling of entitlement, 

unmotivated, 

impatient, 

incurious, 

unprepared for independence, 

academically disengaged, and 

deficient in time management, media literacy,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Newton, 2000; Kuh, 2003; Weiler, 2004; Spencer, 2006; Westerman, 2006– 2007; Hoover, 2007, 2009; Monaco and Martin, 2007; Sweeney, 2007; UCL, 2008; Considine et al., 2009; Immerwahr, 2009; Twenge, 2009).


대부분의 밀레니엄 학생 설문 조사는 보통 하나 또는 두 개의 유사한 기관에서 격리 된 학생 집단으로부터 수집됩니다. 따라서 일반적 조사 대상은 (인구 기반이 다양한 종족, 종교, 민족성, 사회 경제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을 포함하지 못하여) 전체적으로 밀레니얼 학 생을 반영하지 않는다고 주장 할 수있다 (Kennedy et al., 2006). 특히, 밀레니엄 학생들의 36 %는 흑인, 히스패닉 또는 아시아계이며,이 세대의 3 분의 1은 한 부모 가정에서 자랐습니다 (Taylor and Keeter, 2009). 밀레니엄 학생 인구의 현재 특성은 지나치게 단순화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Most Millennial student surveys are collected from isolated student populations usually from one or two similar institutions. It could be argued that the population base generally being surveyed does not reflect the Millennial student body as a whole which includes students from various races, religions, ethnicities, and socio-economic backgrounds (Kennedy et al., 2006). Specifically, 36% of Millennial students are African American, Hispanic, or Asian and one-third of this generation has been raised in a single parent household (Taylor and Keeter, 2009). The current characterization of the Millennial student population is likely to be over-simplified.



테크놀로에 대한 관여와 친화도

Engagement and Facility With Technology


밀레니엄 학생들에 관한 한 가지 도그마는 Millennials가 테크놀로지를 사용하여 광범위한 경험을 쌓아 왔기 때문에 수업 내용이 디지털로 전달되어야한다는 것입니다 (Tapscott, 1999, Carlson, 2005, Sweeney, 2006, Sandars and Morrison, 2007, Croasdale, 2008). 실제로,이 학생 집단에 주어진 'Digital Native'라는 이름은 Millennials의 테크놀로지에 친화력에 대한 불균형을 'Digital Immigrants'(Prensky, 2001)라고 불리는 이전 세대의 구성원과 비교하여 강조하기위한 것입니다. . Dede (2005)는 디지털 이민자가 오래된 교수법을 "unlearn"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지만, 이미 디지털 이민자는 많은 디지털 학습 도구와 컨텐츠 전달 혁신을 창안했습니다. 교육 환경에서 그것을 사용하는 데 능숙한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One apparent dogma regarding Millennial students is that instructional content must be delivered digitally because Millennials have grown up having extensive experience using technology (Tapscott, 1999, 2009; Carlson, 2005; Sweeney, 2006; Sandars and Morrison, 2007; Croasdale, 2008). In fact, the ‘‘Digital Native’’ moniker given to this student cohort is meant to accentuate the supposed disparity of the technological facility of Millennials compared with members of previous generations who have been dubbed ‘‘Digital Immigrants’’ (Prensky, 2001). Dede (2005) contends that it is necessary for Digital Immigrants to ‘‘unlearn’’ old teaching methods However, many digital learning tools and content delivery innovations have been created by Digital Immigrants. there are many who are adept at using it in the teaching environment.


마찬가지로 디지털 네이티브들 사이에도 디지털 학습 도구를 사용하려는 욕구와 능력에 대한 스펙트럼이 존재 함이 보고되어 있다(Murphy et al., 2004; Kvavik, 2005; Kvavik and Caruso, 2005; Kennedy et al., 2006; Jones et al., 2010). 또한 Digital Native가 써본 테크놀로지 장비는 교육 환경에서 기술을 갖춘 시설과 동일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기술에 대한 밀레니엄 학생들의 경험은 주로 게임 및 소셜 미디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Kennedy 외., 2006; Margaryan and Littlejohn, 2008; Kolikant, 2010). 게임 기술이 디지털 학습에 필요한 기술로 자동 변환되지 않을 수도 있음이 제안되었는데 (Foerde 외., 2006) 이러한 기술은 학습이 결과 인 경쟁 엔터테인먼트 환경에 놓여있다.

Likewise, it has been documented that a spectrum for both the desire and ability to use digital learning tools exists among Digital Natives (Murphy et al., 2004; Kvavik, 2005; Kvavik and Caruso, 2005; Kennedy et al., 2006; Jones et al., 2010). In addition, facility with electronic devices demonstrated by the Digital Native may not equate to facility with technology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predominant Millennial student experience with technology has been centered on gaming and social media skills (Kennedy et al., 2006; Margaryan and Littlejohn, 2008; Kolikant, 2010). It has been suggested that gaming skills may not automatically translate into skills requisite for digital learning (Foerde et al., 2006) in that these skills are situated in a competitive entertainment context, not one in which learning is the outcome.


또한 문화적 배경, 사회 경제적 지위, 분야 전문화와 같은 요인들로 인해 기술에 대한 가변적 인 노출의 결과로 Millennial 학생들 사이에 기술적 전문성의 차이가 존재한다 (Kvavik and Caruso, 2005; Bennett et al ., 2008). 마지막으로, 영국의 Joint Information Systems Committee (JISC, 2007)에 의해 위탁 된 연구는 특별한주의를 기울일 가치가있는 발견을 포함했다; 밀레니엄 학생의 테크놀로지 사용 경험이 자동적으로 전통적인 형태의 교육학과의 단절을 초래하지는 않습니다.

In addition, it has been proposed that differences in technological expertise among Millennial students exist as a result of variable exposure to technology due to factors such as cultural background, socio-economic status, and discipline specialization (Kvavik and Caruso, 2005; Bennett et al., 2008). Finally, a study commissioned by the United Kingdom’s Joint Information Systems Committee (JISC, 2007) included a finding worthy of special note; Millennial student engagement with technology does not automatically result in their disengagement with traditional forms of pedagogy.


고려해야 할 또 다른 요소는, 실제로 전문직 교실에서 밀레니엄 학생들의 구성 비율입니다 (Pastorino, 2006). Post-baccalaureate 수업은 단일 세대의 학생들로만 구성되지는 않습니다.

Another factor to consider is exactly what percentage within a cohort of students is actually composed of Millennial students especially in professional classrooms (Pastorino, 2006). Postbaccalaureate classes are unlikely to be comprised solely of students from a single generation.



멀티테스킹

Multitasking


Millennial 학생들은 멀티 태스킹 능력으로 인해 놀라운 생산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평을 받았습니다. Prensky는 "... 기술과 상호 작용하는 사람들의 두뇌는 종종 그 상호 작용에 의해 재구성 될 것입니다."(Prensky, 2009). 즉, 디지털 기술의 사용은 근본적으로 신경 경로를 바꿀 수 있습니다.

Millennial students are lauded for being capable of extraordinary productivity as a result of their ability to multitask. Prensky states ‘‘...the brains of those who interact with technology frequently will be restructured by that interaction’’ (Prensky, 2009). In other words, the use of digital technology can fundamentally alter neural pathways.


사실, 이러한 데이터 중 일부는 멀티 태스킹의 추정된 "기술"이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Foerde 외., 2006).

In fact, some of these data indicate that the presumed ‘‘skill’’ of multitasking is likely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learning (Foerde et al., 2006).


비디오 게임이 근본적으로 시각적 인 측면을 수정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본질적으로, 연습을 통해 빠르게 제시되는 자극에 대한 반응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비디오 게임에서 얻게 되는) [각 연구에서 실제로 인식되는] 이점이 학습에 어떤 식으로든 외삽하는 것 까지 입증되지는 않았습니다.

Several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video game playing fundamentally modified aspects of visual attention. In essence, with practice, one can improve reaction times for rapidly presented stimuli. The perceived benefit of practice, in each study, was not proven to extrapolate to learning in any way.


이중 작업 조건 하에서, 뇌 활동 (즉, 정보 처리)은 선언적 기억 및 유연 학습flexible learning과 관련된 영역에서 벗어나서 습관 학습habit learning을 유도하는 영역으로 향했다. 학생들은 자신의 경력 과정에서 지속적인 지식과 기술 습득을위한 전문적인 요구 사항을 고려할 때 학습 과정에 참여하면서 관심을 나누는 것을 재검토하고 싶어 할 수 있습니다.

Under dual task conditions, brain activity (i.e. information processing) was directed away from the region associated with declarative memory and flexible learning to a region that facilitates habit learning. Students may want to reconsider dividing their attention while engaged in the learning process particularly given the professional requirement for continued knowledge and skills acquisition over the course of their career.



독서
Reading


이 세대는 디지털 미디어 (DVD, 전자 책, 인터넷 및 모바일 기술)를 통한 지식의 분열에 영향을 받아 네러티브를 사운드 비트로 축소시켰으며, 이는 집중력의 저하 및 reading as literacy의 미디어 리터러시로의 전환으로 이어졌습니다 (considine et al., 2009). 그것은 종종 읽지 않아도 되는 디지털 자원으로 학습하는 밀레니얼 학생 선호에 대한 결과로 제시됩니다 (Oblinger and Oblinger, 2005; Sweeney, 2006). 그러나 독서는 학습에 필수적이며 정보에 입각 한 현재 및 미래의 전문적인 성공에 필수적입니다. 미국 국립 독서 예술 기금 (NEA) 보고서는 밀레니엄 학생들이 독서를 하지 않는다는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종종 읽혀집니다. NEA 보고서에는 밀레니얼 인구의 문학 독서가 감소했음을 보여주는 자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NEA, 2004). 이 보고서의 기초는 지난 12 개월 동안 문학 독서에 헌신 한 시간에 관한 질문을 포함하는 설문 조사였다. 문학 독서는 소설, 단편 소설, 연극 또는 시로 제한된 독서로 정의되었습니다. 응답자들은 학교 나 직장에 헌신적 인 독서를 배제하도록 지시 받았다. 그러나 Millennial Generation에 대한 독서가 10 %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제로는 모든 세대 별 코호트의 독서가 10 % 감소했습니다.

This generation more than any other has been influenced by the disaggregation of knowledge through digital media (DVDs, eBooks, the Internet, and mobile technologies) that has reduced narratives to sound bites and resulted in diminished attention spans and a shift from reading as literacy to media literacy (Considine et al., 2009). It is often put forward as a corollary to the Millennial student preference for learning with digital resources that they do not read (Oblinger and Oblinger, 2005; Sweeney, 2006). Yet, reading is fundamental to learning and requisite for informed current and future professional success. Statistics from the 2004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NEA) report on reading in America are often referenced to support the claim that Millenial students do not read. The NEA report contained data that revealed a decline in literary reading in the Millennial population (NEA, 2004). The basis of the report was a survey that included questions on the amount of time devoted to literary reading in the preceding 12 months. Literary reading was defined as reading limited to novels, short stories, plays, or poetry. Respondents were directed to exclude any reading devoted to school or work. While the data showed a 10% decline in reading for the Millennial Generation, it showed an equal 10% decline in reading for every generational cohort.


사실, 이후 NEA에서 읽는 2007 년 보고서는 교육 과제에 요구되는 것으로 정의 된 의무 독서를 고려했습니다. 특히 데이터는 학교에서, 그리고 숙제를 위해 하루에 읽은 페이지 수가 실제로 증가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NEA, 2007).

In fact, subsequently, the 2007 report on reading from the NEA took compulsory reading, defined as that required for educational assignments, into consideration. Notably, data showed that overall the number of pages read per day in school and for homework by Millennial students has actually increased (NEA, 2007).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읽을 수있는 읽을 수있는 콘텐츠의 양을 감안할 때 현재 학생들이 이용할 수있는 방법과 내용은 10 년 전 학습 환경의 학생들이 이용할 수 있었던 것과는 다릅니다.

Given the amount of readable content available via digital media, how and what is available now for students to access differs from that which was available for student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a decade ago.


또 다른 영국 연구에 따르면 학생들은 연구를 위해 '인터넷만으로 충분합니다'라고 느끼곤 한다(Kolikant, 2010). 그러나 '어려운' 과제에 대한 조사를 할 때 그들은 온라인과 텍스트 북 자원의 조합을 사용하여 정보를 검색했습니다. 이러한 축적 된 결과를 고려할 때, 밀레니얼 학생들은 그들의 학습 전략 중 글 읽기textual reading를 거부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과장된 표현 일 수 있습니다.

Another British study reported that students felt with ‘‘an assignment amounting to just a few pages...the internet is sufficient’’ for research (Kolikant, 2010). However, when doing research for more ‘‘serious’’ assignments, they searched for information using a combination of online and text book resources. With these accumulated findings taken into consideration, it is likely an overstatement to claim that students from the Millennial Generation are resistant to including textual reading among their learning strategies.



비판적 사고

Critical Thinking


비판적 사고 능력은 21 세기 직장에서의 전문적인 성공의 열쇠입니다 (P21, 2011). Millennial Generation의 학생들은 아마도 20 세기 말에 학습 이론의 급속한 발전을 감안할 때 광범위한 교수법을 경험 한 최초의 세대 일 것이며, 아마도 미국 역사상 가장 검증 된 세대 일 수 있다고 주장 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과도한] 시험testing은 (21 세기 고용주의 주요 관심사인) 비판적 사고 감소의 원인으로 제안되었습니다 (Spellings, 2006).

The ability for critical thinking is key for professional success in the 21st century workplace (P21, 2011). It can be argued that students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are probably the first generation to have experienced a wide range of teaching methods given the rapid advancement of learning theories in the end of the 20th century, and they are possibly the most tested generation in US history. Such testing has been suggested as a cause for reduced critical thinking, a primary concern for 21st century employers (Spellings, 2006).


비판적 사고의 과정은 추론의 과정과 관련이있다.

    • 전문가의 경우 임상 적 추론에는 이전 경험과 함께 관련 지식을 패턴 인식하여 전형적인 조건을 신속하게 평가할 수있는 귀납적 추론이 포함됩니다 (Maudsley and Strivens, 2000). 이러한 인식 패턴은 "스키마"(Sweller, 1988)라고도 불리며 정보의 덩어리를 구성합니다. 전문가가 발전할수록 접근 할 수있는 관련 정보의 덩어리가 커진다 (Sweller, 1998). 전문가들은 귀납적 추론이 실패 할 때, 문제 해결을 위해 귀납적 추론과 연역적 추론을 전환한다 (Maudsley and Strivens, 2000). 

    • 초보자는 스키마를 작성하기위한 기초 지식과 경험이 부족합니다. 그들은 hypothetico-deductive reasoning을 사용하여 가설로부터 후향적으로 작업한다. 초보자에게 문제 해결을위한 미리 결정된 스키마를 제공하면 자신의 전문적인 비판적 사고의 개발을 위해 적절한 지식과 경험을 독립적으로 합성 할 수있는 능력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The process of critical thinking is linked to the process of reasoning. For the expert, clinical reasoning involves inductive reasoning in which pattern recognition of relevant knowledge along with previous experience facilitates rapid assessment of typical conditions (Maudsley and Strivens, 2000). These patterns of recognition, also referred to as ‘‘schemas’’ (Sweller, 1988), constitute chunks of information. The more advanced the expert, the larger the chunk of relevant information that can be accessed (Sweller, 1998). For experts, when inductive reasoning fails problem solving involves switching between inductive and deductive reasoning (Maudsley and Strivens, 2000). The novice lacks the foundat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to create schemas. They use hypothetico-deductive reasoning to work backward from a hypothesis. Providing the novice with predetermined schemas for problem solving may limit their ability to independently synthesize appropriate knowledge and experience for the development of their own expert critical thinking.


헬스케어의 지속적인 발전은 실무 전문가가 현재 자신의 분야에서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가장 진보 된 지식을 독립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야합니다. 이 지식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1 차적 문헌에 대한 비판적인 분석이 필요합니다. Millennial 학생 인구 내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기술은 약하다는보고가있다 (Weiler, 2004; UCL, 2008; Considine et al., 2009; Hargittai et al., 2010, Kolikant, 2010). 밀레니엄은 WikipediaTM (Wikimedia Foundation Inc., 샌프란시스코, CA) 및 YouTube ™ (YouTube, LLC, San Bruno, CA)에 의해 예견된 융통성없는 인터넷 자원에 놀라운 노출로 성장해 왔습니다. Millennial 학생들은 [빠르게 최소한의 노력으로 큰 이익을 얻는 것]을 선호하며, 이는 그들을 [최초의, 가장 쉽게 얻어진 정보원을 선택하는 경향]을 갖게 했다 (Newton, 2000; Kuh, 2003). 넓게 봤을 때, Millennials는 비평 할 기술이 부족하고, 무엇이 valid하고 무엇이 그렇지 않은지를 판단하는 기술이 부족한 것처럼 보여서, 전략적으로 교육을 통해 이것을 길러줘야 할 것을 제안한다.

Ongoing advances in health care necessitate that practicing professionals, to remain current in their field, must be capable of independently ascertaining the most advanced knowledge. Verifying the validity of this knowledge requires critical analysis of primary literature. It has been reported that media literacy skills within the Millennial student population are weak (Weiler, 2004; UCL, 2008; Considine et al., 2009; Hargittai et al., 2010; Kolikant, 2010). Millennials have grown up with astonishing exposure to unvetted internet resources exemplified by WikipediaTM (Wikimedia Foundation Inc., San Francisco, CA) and YouTubeTM (YouTube, LLC, San Bruno, CA). The predilection for Millennial students is to make big gains quickly and with minimal effort (Newton, 2000; Kuh, 2003) which has conditioned them to select the first or most easily available information resource. In large measure, Millennials appear to lack the skill to critically analyze information and determine what is and is not valid (Selwyn, 2008; Considine et al., 2009) which suggests that strategic curricular strategies should be considered to develop these skills.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행동

Unprofessional Behaviors


Millennial 학생이 특성이 어떻든, 일단 전문 교육과 훈련을 받기로 선택하면 자신이 선택한 직업에 의해 정의 된 행동 기준을 유지해야 할 의무를 인식해야 합니다. 모든 전문 분야는 표준을 유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Cusimano, 1996; Lovas et al., 2008)

Regardless of which character traits are determined to be accurate for the Millennial student, once they choose to progress to profess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hey must recognize their obligation to maintain the behavioral standards defined by their chosen profession. Every professional field is expected to maintain standards (Cusimano, 1996; Lovas et al., 2008)


적절한 프로페셔널한 행동의 습득이 어떻게 훈련 과정에서 없어 졌는가? 미국의 18 세기 의학 교육은 공식 커리큘럼의 일부인 '견습 (Apprenticeship)'모델을 통해 전문적인 행동에 대한 교육을 통합했다. 각 학생은 교육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개별 의사의 뒤를 따라다닌다. 의사 견습생은 전문적인 행동, 윤리 및 도덕뿐만 아니라 적절한 환자/의사 상호 작용이 무엇인지에 대해 의도적으로 guide 되었습니다. 의학 교육을 표준화 한 1910 년의 Flexner 보고서는 과학 지식의 전달에 소요되는 시간을 늘려놓았다 (Flexner, 1910; Rothstein, 1987; Mitka, 2010). 근본적으로 ''견습 (Apprenticeship) ''형식의 의학교육 모델은 기본적으로 '2 + 2'모델이 되었습니다.

How did the acquisition of appropriate professional behaviors get lost in the process of training? Eighteenth century med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incorporated training in professional behaviors through an ‘‘Apprenticeship’’ model which was part of the formal curriculum (Rothstein, 1987). Each student shadowed an individual physician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their training. The physician apprentice was purposefully guided in appropriate patient/physician interactions as well as professional behaviors, ethics, and morals. The 1910 Flexner report, which standardized medical education, also lengthened the time devoted to the delivery of scientific knowledge (Flexner, 1910; Rothstein, 1987; Mitka, 2010). The essentially ‘‘Apprenticeship’’ model of medical training morphed to a model that was basically a ‘‘Two plus Two’’ model.


2 년의 교육 기간이 기초 지식 습득에 할당되면서, 의사 지식과 환자 상호 작용 관찰을 통해 적절한 전문적 행동을 배울 수있는 'Apprenticeship'훈련에 헌신하는 시간이 감소하였다. 원래 이 시기는 환자/의사 상호작용을 관찰하며 배우는 기회가 있었다. 임상 교육에서 환자와 의사의 상호 작용은 남은 2 년간의 훈련으로 대부분 이관되었습니다. 19 세기가 진행됨에 따라 의료의 근대화로 인해 주로 치료는 점차 사무실/가정에서 병원으로 이동하였다(Rothstein, 1987). 이것은 학생들이 임상에 노출되는 환경을 더 변화시켰고, 더 견습 훈련을 감소시켰습니다. 대부분의 학생과 의사의 상호 작용은 병원 환경에 국한되었습니다. 따라서, 학부 의학 커리큘럼은 전문적인 행동에 대한 공식적인 훈련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발전했습니다.

Approximately, the first two years of training were designated predominantly for the acquisition of foundational knowledge with a concomitant decrease in the time devoted to ‘‘Apprenticeship’’ training in which students had the opportunity to learn appropriate professional behaviors through observation of physician/ patient interactions. Interactions with physicians in clinical training were largely relegated to the remaining two years of training. As the 19th century progressed, modernization of healthcare moved treatment from primarily an office/home setting to one that was hospital based (Rothstein, 1987). This dramatically changed the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received clinical exposure and further diminished apprenticeship training. The majority of student/physician interactions were limited to the hospital setting. Thus, the undergraduate medical curriculum evolved in a way that minimized formal training in professional behaviors.


현재의 의학 교육 시스템에서 학생들이 프로페셔널한 행동 및 전문직 정체성을 개발하는 대부분의 input은 "숨겨진 커리큘럼"이다.

in the current medical education system, students receive most of their input regarding professional behaviors and the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 Identity’’ (Cribb and Bignold, 1999) through the ‘‘hidden curriculum’’ (Hafferty and Franks, 1994; Turbes et al., 2002; Lempp and Seale, 2004; Chuang et al., 2010) rather than through explicitly delineated program requirements within the formal curriculum.


행동 기준 또는 "전문직 정체성"의 습득은 필수 지식을 전달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공식 커리큘럼에서 필수적인 구성 요소가되어야합니다 (Cruess and Cruess, 1997). 해부학 과정은 초기 의학 커리큘럼에서 '직업적 정체성'교육의 요소를 도입 할 수있는 하나의 수단으로 확인되었습니다 (Escobar-Poni and Poni, 2006; Lachman and Pawlina, 2006; Pangaro, 2006; Pawlina, 2006). Swartz, 2006; Swick, 2006; Warner and Rizzolo, 2006; Bo ckers et al., 2010; Pearson and Hoagland, 2010).

Training students in behavioral standards, or in acquiring their ‘‘Professional Identity,’’ should be as integral a component in the formal curriculum as is delivery of requisite knowledge (Cruess and Cruess, 1997). The anatomy course has been identified as one possible vehicle through which to introduce elements of ‘‘Professional Identity’’ training in the early medical curriculum (Escobar-Poni and Poni, 2006; Lachman and Pawlina, 2006; Pangaro, 2006; Pawlina, 2006; Swartz, 2006; Swick, 2006; Warner and Rizzolo, 2006; Bo¨ ckers et al., 2010; Pearson and Hoagland, 2010).


많은 분야에서 역량 평가만을 위한 성과만을 사용하는 것이 그 약속을 성취하지 못했고 정의 된 표준의 명확한 clarification의 반복만이 되었다는 증거가 있습니다 (Wolf, 2001). 최근에는 적절한 역량 평가 도구가 존재하더라도 그 해석에 일관성이 없다는 것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Green and Holmboe, 2010). 또 다른 지적은 성과 목록 평가에만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은 지식과 기술에만 초점을 맞추는 결과를 낳는다는 것이다 (Wass et al., 2001; Whitcomb, 2007)

In many fields, there is evidence that using outcomes alone for competency assessment has not fulfilled its promise and has become a cycle of ever increasing clarification of defined standards (Wolf, 2001). Recently, a case has been made that, although in the field of medicine adequate competency assessment instruments exist, there is inconsistent interpretation and use of them (Green and Holmboe, 2010). Others caution that relying solely on assessing lists of outcomes focuses on testing knowledge and skills (Wass et al., 2001; Whitcomb, 2007)


전직 '견습'교육 모델 하에서 연수생들은 knows, knows how, shows how 등을 평가 받았다. 그러나 견습 모델(the Apprenticeship Model)에서는 비판적 사고 능력의 평가에도 상당한 기회를 제공했다. 멘토는 환자를 치료하는 과정에서 학생들과 협력하여 실제로 지식, 기술 및 행동을 통합하는 방법에 대한 학생의 이해를 평가했습니다. Knows, Knows how, Shows how에 대한 평가는 성과에 초점을 둔 역량 평가에 쉽게 복제duplicate될 수 있다(Miller, 1990). 그러나 어떤 교육 단계에서도, 지식과 기술 만의 시연에 기반을 둔 역량 평가는 본질적으로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 능력을 평가하지 못합니다. 이는 이미 천년 학생들에게 취약한 기술입니다. 비판적 사고와 임상 추론의 개발은 특히 전문 교육 분야의 주요 목표로 통합되어야한다 (Norman, 2005, 2006, ElizondoOman ~ a and Guzma'n-Lo'pez, 2008, Elizondo-Oman ~ a et al., 2010 ).

Under the former ‘‘Apprenticeship’’ model of education, trainees were assessed on their acquisition of ‘‘knows,’’ ‘‘knows how,’’ and ‘‘shows how’’ knowledge and skills. The ‘‘Apprenticeship’’ model, however, also provided substantial opportunities for the assessment of trainees’ critical thinking skills. Mentors worked with students in the process of treating patients and assessed student understanding of how to integrate their knowledge, skills, and behaviors in practice. Assessment of ‘‘knows,’’ ‘‘knows how,’’ and ‘‘shows how’’ knowledge and skills can be easily duplicated with competency assessments focused on outcomes (Miller, 1990). However, competency assessment based on demonstration of knowledge and skills alone, at any level of education, essentially neglects the evaluation of the students’ critical thinking skills—a skill already shown to be weak in Millennial students. The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and clinical reasoning should be incorporated as a major objective especially in professional education (Norman, 2005, 2006; ElizondoOman˜ a and Guzma´ n-Lo´ pez, 2008; Elizondo-Oman˜ a et al., 2010).



학습 스타일

Learning Style


많은 교육 기관에서는 학생들에게 최적의 지식 습득에 가장 효과적인 학습 전략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되는 특성 또는 학습 스타일 평가를 제공합니다. 학습자의 성격과 학습에 가장 중요한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 평가 도구의 대부분은 응답자가 자신이 가장 많이 기울이는 한 쌍의 반대 행동의 극에 대해 자기보고를하는 것을 기본으로합니다 (Felder, 1996; Reynolds, 1997; Coffield et al., 2004). 이러한 평가에 의해 생성 된 정보는 절대적이지 않다 (Coffield et al., 2004).

Many institutions provide students with personality or learning style assessments to help them determine which learning strategies would be most effective for optimal knowledge acquisition.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learner and those characteristics most critical for learning is paramount. The majority of these assessment instruments are based on having the respondent self-report toward which pole of a pair of opposite behaviors they are most inclined (Felder, 1996; Reynolds, 1997; Coffield et al., 2004).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se assessments is not absolute (Coffield et al., 2004).


학습 스타일 평가에 관한 발표 된 데이터는 그들이 선택하는 학습 전략과 관련하여 Millennial 학생 하위 집단 내에 다양성이 있음을 보여줍니다 (Murphy et al., 2004). 학생들 사이의 학습 스타일 차이는 다양한 학습 환경, 자원 또는 징계 내용을 가진 개별 경험을 반영 할 수 있습니다. 특정 직업이 종종 비슷한 핵심 성격 특성을 가진 개인을 끌어 들이고 있다고 생각하십시오. 아마도 각 보건전문직군마다 학생의 독특한 학습 경향이있을 수 있습니다

Published data on learning style assessments demonstrate there is diversity within Millennial student subpopulations in regard to which learning strategies they choose (Murphy et al., 2004). Learning style differences among students may reflect individual experiences with a variety of learning environments, resources, or discipline content. Consider that particular professions often attract individuals with similar core personality traits. Conceivably, there may be a unique learning predisposition among students in each of the health care professions


개인 학습 스타일 선호도를 알면 학생들이 다양한 콘텐츠 전달 방법에 접근하는 방법을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이 자신의 선호를 더 잘 인식할수록, 자신의 학습 전략을 consciously 계획 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러나 학생들이 자신이 선호하는 방식으로만 배워야 한다고 느끼지 않도록 주의해야합니다. 오히려 학생들은 자신의 학습을 위해 개인적인 책임을 져야합니다. 콘텐츠 전달에서 다양성을 사용하면 학생들에게 다양한 학습 전략을 제공 할 수 있습니다.

Knowing their personal learning style preferences may aid students in recognizing how to approach various content delivery methods. The more aware the students are of their preferences, the more likely they are to consciously plan their study strategy. However, care should be taken that students do not begin to feel entitled to be taught solely in their preferred style. Rather, students need to take personal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learning. The use of variety in content delivery can provide students a complete spectrum of learning strategies.


프로페셔널 지위에 도달한 이후에는, 청각 및 비주얼을 비롯한 다양한 형식으로 새로운 정보를 접하게 되므로, 학생들에게 복합적인 정보 처리 기술이 필요합니다 (Felder, 1996). 전문가는 어떤 방식으로 정보를 접하더라도 동등한 수준의 친숙도로 그것을 처리 할 수 ​​있어야합니다. 학생들이 자신이 선호하는 스타일로만 학습하도록 허용하면 평생 학습을 위해 준비하기에 충분하지 않습니다.

once professional status is attained, new information will be encountered in a variety of formats including text, auditory as well as visual which will require that students have multimodal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Felder, 1996). Professionals must be capable of processing all manner of information with equal facility. Allowing students to learn in their preferred style only, will be insufficient to fully prepare them for life-long learning.


FUTURE DIRECTIONS


교육 재설계

Issues Impacting Instructional Redesign


테크놀로지 혁신을 동반한 학습 향상

Advancing Learning With Technological Innovation


Millennial 학습자들의 유비쿼터스 기술에 대한 열망으로 인해, 교육자들은 (특정 목적을 지원하기 위해 활용할 때 상당한 학습 효과를 보인 모바일 시스템을 포함하여) 자유롭게 접근 할 수있는 교육 기술을 식별하고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Naismith et al., 2004).

The desire for ubiquitous technologies which Millennial learners embrace challenges educators to identify and use instructional technologies that can be accessed freely (Kemelgor et al., 2000; Cross, 2003; Norris et al., 2003; Oblinger, 2003) including mobile systems that have shown significant learning gains when utilized to support specific objectives (Naismith et al., 2004).


교수의 선호도를 고려해야하는 반면, 21 세기의 학습자가 전문 기술과 지식을 개발할 때 지원할 수있는 기술 통합을위한 네 가지 일반적인 동인이 있습니다.

While faculty preferences must also be considered, there are four general drivers for technology integration that can support the 21st century learner as they develop professional skills and knowledge.


첫째, 기술은 리허설과 연습을 통해 학습의 decay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학습은 대부분의 학습자가 서로간에 비공식적 인 상호 작용, 내용 및 사용 가능한 리소스를 통해 교실 밖에서 발생합니다. 학생들은 스스로 배우는 방법이나 자신의 전문성 개발을 뒷받침 할 수있는 자원을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지 숙련되지 않았을 수 있다. 자원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고 텍스트 및 수업 노트를 인쇄 할 수있는 대안을 제공하면 학생들이 자신의 시간에 맞춰 배우고, 자신의 전문직 커리어를 유지할 수있는 마음의 습관을 갖게 될 가능성이 크게 커집니다. 논쟁, 문제 해결, 연구, 심지어 수업 외의 경쟁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은 자신의 지식발전을 적용하고 성찰할 수 있습니다. 표 1은 자유롭게 사용할 수있는 인터넷 자원의 예를 통해 학습자를 지원하는 다양한 유형의 도구를 보여줍니다.

First, technology can assist to prevent decay of learning through rehearsal and practice. Much learning, if not most of it, occurs outside the classroom through informal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with each other, content, and available resources. Students may not be prepared or skilled in how to learn on their own or where to locate resources that can support their developing expertise. Providing directions to resources and offering alternatives to print text and class notes greatly expands the likelihood that students will take it on themselves to learn on their own time, a habit of mind that will sustain them over their professional career. Providing opportunities for debating, problem solving, research, and even competition outside of class can allow students to apply and reflect on their developing knowledge. Table 1 illustrates how different types of tools support the learner with examples from freely available internet resources.



둘째, 기술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이 배운 것을 문서화하고, 소유하고, 공개 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이 배우는 것의 대부분은 프로그램 구성 (파절 된 프로그램, 순서가 벗어난 코스 등)의 결과로 파편화 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서점에 텍스트를 대여하거나 팔고, 플래시 드라이브를 잃어 버리고, 노트북을 놓습니다. 개인 학습 네트워크와 전자 포트폴리오는 학습자가 제작하고 성취 한 것뿐만 아니라, (밀레니엄 세대에게 자연스러운 접근방식인)동료들의 프로페셔널 네트워크를 추적하는 데에도 도움이되는 체계적인 전략입니다.

Second, technology can allow students to document, own, and reveal what they have learned. Much of what students learn may be fragmented as a result of program organization (fractured programs, courses taken out of order, etc.). Students rent or sell back their texts to bookstores, lose flash drives, and misplace notebooks. Personal learning networks and electronic portfolios are systematic strategies that can assist learners in keeping track not only of what they produce and accomplish but also the professional networks of peers which can be accessed in ways that are natural for the Millennials.


셋째, 기술, 특히 Web 2.0 도구는 학생들이 동료, 강사 및 전문가와 상호 작용하고 의사 소통하는 것을 도울 수 있습니다. 밀레니엄 학생들은 휴대 전화를 통해 서로 유비쿼터스 연결을 유지하며 다른 세대와 달리 자신이 아는 바, 그들이하는 일, 다른 사람들이 하고있는 바를 검증하기 위해 친구들로부터 더 많은 피드백을 얻습니다 (Brown and Duguid, 2000). 그들은 또한 피드백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있으며, 그것 없이는 자신의 진보나 성취에 대한 오해가있을 수 있습니다. 강사는 기술을 통해 피드백과 상호 작용을 제공하여 잠재적으로보다 효과적인 교수법을 개발하고 학습자의 참여를 높일 수 있습니다 (표 2). 동료와 전문가는 학생의 지식을 authentic and public한 방식으로 검증하는 많은 전략을 통해 가치있는 피드백을 제공 할 수 있습니다. 소셜 네트워킹은 학생들이보다 폭 넓은 대화의 맥락에서 아이디어를 평가할 수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Third, technology, particularly Web 2.0 tools, can help students interact and communicate with peers, instructors, and experts. Millennial students have a ubiquitous connection with each other through their mobile phones and unlike any other generation they get more feedback from their peers to verify what they know, how they are doing, or what others are doing (Brown and Duguid, 2000). They also have an expectation for feedback and without it may have misconceptions about their progress or achievements. Instructors can provide feedback and interaction through technology in ways that can potentially make the work of teaching more efficient and increase learner’s engagement (Table 2). Peers and experts can provide valuable feedback through many of these strategies validating student knowledge in an authentic and public manner. Social networking provides a way for students to assess their ideas in the context of a broader dialogue.




넷째, 마지막으로 기술 (특히 온라인 도구)은 학습자가 정보에 액세스 할 가능성이 높은 방식으로 정보를 구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학습자는 이미 자신의 스타일과 개인 취향에 맞게 디지털 및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여 개인 생활을 스스로 구성합니다. 디지털 자료, 성취 및 연결을 조직하도록 돕는 것은 교실 및 코스 활동 이외의 학습 이전을 지원합니다. 개인 학습 네트워크 (PLN)를 만드는 것은 밀레니엄 학생들의 유비쿼터스 기술 접근에 대한 선호도를 활용합니다. PLN은 관리 시스템, 과정 또는 권한에 의해 조정되지 않는 분산 된 상호 연결된 사람 및 서비스입니다 (Yang and Yuen, 2010). 가장 단순한 PLN은 중앙 집중식 방식으로 느슨하게 연결된 도구 모음입니다 (그림 1). 무엇보다 PLN은 그것을 만든 학생이 졸업하고 난 후에도 지속적으로 학생의 소유로 남아 있게 된다. 학생들이 익숙하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있는 도구를 사용하면 학생 커뮤니케이션, 상호 작용 및 이후에 학습이 향상 될 가능성이 커집니다.

Fourth, and finally, technology—particularly online tools—can help the learner organize information in ways they are more likely to access it. Learners already self-organize their personal lives using digital and social media building upon their style and personal preferences. Helping them to organize their digital materials, accomplishments, and connections supports transfer of learning beyond the classroom and course activities. Creating personal learning networks (PLNs) taps into the Millennial students’ predilection for ubiquitous technology access. PLNs are distributed, interconnected people, and services not mediated by a management system, course, or authority (Yang and Yuen, 2010). At their simplest, PLNs are a collection of tools that are loosely connected in some centralized manner (Fig. 1). Most importantly, they are owned by their creators and remain with them long after they leave the institution. By using tools with which students are familiar and comfortable, it is more likely that student communication, interaction, and subsequently C learning will be enhanced.



교육의 구조를 재구조화 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근본 요인

Fundamental Factors to Consider in Reframing the Structure of Education


변화를 고려할 때 다음의 네 가지 요소를 고려하라

When contemplating changes in the advancement of instructional design four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지식 습득을 위한 학습 스타일

Student learning styles for acquisition of knowledge.


개인은 학습 스타일 선호도의 독특한 세트를 가지고 있지만 유사한 학습 특성을 가진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특정 분야의 학습이나 교육 프로그램에 끌릴 수 있습니다. 특정 학생 집단의 학습 특성을 파악하고 학습 촉진을 위한 지침 혁신에 초점을 맞 춥니 다.

While individuals have unique sets of learning style preferences, students with similar learning characteristics may be commonly attracted to particular fields of study or educational programs. Know the learning characteristics of your specific student cohort and focus on those for instructional innovation to facilitate learning.


테크놀로지에 대한 학생의 적성

Student aptitude for learning with technology.


Millennial Generation을 포함한 모든 세대의 학생들은 교육 기술을 사용할 수있는 능력에 상당한 격차가 있다. 어떤 코호트의 학생들도 교육 기술 사용과 관련하여 동일하지 않은 기술을 가지고 있음을 인식하십시오. 일반 교육 프로그램, 전문 소프트웨어 및 기술 혁신의 사용을위한 교육 또는 최소한의 온라인 교육을 제공하십시오. 이것은 테크놀로지에 덜 익숙한 학생들도 익숙하지 않은 패러다임으로부터 배우는 것을 촉진 할 것입니다.

Students from every generation, including the Millennial Generation, indicate via self-assessment a fairly large disparity in the ability to use various types of educational technology. Recognize that students in any cohort have unequal skill with regard to the use of educational technology. Provide hands on training or at a minimum online instruction for the use of general educational programs, specialized software, and technological innovations. This will facilitate learning from unfamiliar paradigms for students that are less technologically proficient.


비판적 사고에 대한 능력

Student ability for critical thinking.


학생들은 신뢰할 수 있는 수집한 정보를 어떻게 식별, 습득, 조립하는지, 그리고 수집된 정보, 사고 및 데이터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이해해야합니다. 학생들은 자신이 배운 것을 분석하고 통합 할 수있는 능력을 일찍 평가해야합니다. 온라인 운동은 이와 관련하여 학생들을 훈련시키는 데 유용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얼굴을 맞댄 상호작용이 학생이 이 목표를 얼마나 잘 달성했는지를 판단하는 데 가장 효과적 일 수 있습니다. 이 분야에서 약한 사람들에게는 training이 이 분야에서 성공하는데 결정적일 수 있습니다.

Students must understand how to identify, acquire, and assemble reliable, vetted information and subsequently how to critically analyze the collected information, thoughts, and data. Students should be assessed early and often for their ability to analyze and integrate what they have learned. Online exercises can be useful to train students in this regard; however, face to face interaction is likely to be most effective in determining how well a student has met this goal. For those weak in this area, training could prove critical to success in their field.


전문직 정체성 개발을 위한 학생 행동

Student behaviors for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학생이 훈련을 받고있는 분야에서 기대되는 "직업적 정체성"행동의 명시 적 묘사는 공식 커리큘럼에 통합되어야합니다. 학생들은 자신이 약한 행동 영역을 파악하고 개선의 기회를주기 위해 적절한 행동을 훈련 할 수 있도록 전문가 및 동료 평가를 통해 피드백을 제공받아야 합니다.

Explicit deline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behaviors that are expected by the field of study for which a student is being trained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formal curriculum. Students should be provided feedback through professional and peer evaluation to identify behavioral areas in which they are weak as well as training in appropriate behaviors to give them opportunity for improvement.


Green ML, Holmboe E. 2010. Perspective: The ACGME toolbox: Half empty or half full. Acad Med 85:787–790.









 2011 Jul-Aug;4(4):214-26. doi: 10.1002/ase.240. Epub 2011 Jul 6.

Demystifying the Millennial student: a reassessment in measures of character and engagement in profession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Anatomy, Philadelphia College of Osteopathic Medicine, Philadelphia, Pennsylvania 19131, USA. camilled@pcom.edu

Abstract

The characteristic profile of Millennial Generation students, driving many educational reforms, can be challenged by research in a number of fields including cognition, learning style, neurology, and psychology. This evidence suggests that the current aggregate view of the Millennialstudent may be less than accurate. Statistics show that Millennial students are considerably diverse in backgrounds, personalities, and learning styles. Data are presented regarding technological predilection, multitasking, reading, critical thinking, professional behaviors, and learning styles, which indicate that students in the Millennial Generation may not be as homogenous in fundamental learning strategies and attitudes as is regularly proposed. Although their common character traits have implications for instruction, no available evidence demonstrates that these traits impact their fundamental process of learning. Many curricular strategies have been implemented to address alleged changes in the manner by which Millennial students learn. None has clearly shown superior outcomes in academic accomplishments or developing expertise for graduating students and concerns persist related to the successful engagement of Millennial students in the process of learning. Four factors for consideration in general curricular design are proposed to address student engagement and optimal knowledge acquisition for 21st century learners.

PMID:
 
21735557
 
DOI:
 
10.1002/ase.24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