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탄력성 다시보기 (J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09)

Resilience revisited

P. A . AT K I N S O N1 r n r h v p g d i p p g c e r t m a ,

C . R . MART I N 2 r n b s c p h d yc a p c p s y c h o l c s c i a f b p s s &

J . RANKIN3 r m r n r s c n b s c m s c p h d

1Research Student, 2Chair in Mental Health, and 3Senior Lecturer, School of Health, Nursing and Midwifery,

University of the West of Scotland, Ayr, UK




도입

Introduction


외상, 박탈, 위협 또는 스트레스의 극단적 인 상황을 복구 할 수있는 능력을 회복탄력성이라고합니다.

The ability to apparently recover from the extremes of trauma, deprivation, threat or stress is known as resilience.


역사적 관점

Historical perspective


회복탄력성은 점점 육체와 정신의 건강 영역에 대한 영향력과 관련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흥미롭게도, 이 종말점은 1 세기 이상에 걸친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역사적 유산을 기반으로합니다. Ernest Shackleton은 1914 년 8 월 1 차 세계 대전이 발발 한 후 그의 팀 탐험가와 함께 남극 대륙을 항해했습니다. 이후 극지방의 얼음 덩어리에서 난파선이 발생 해 1200 마일 이상 떨어진 사람들이 좌초했다. 지구상에서 가장 열악한 환경에서 엄청난 위험에도 불구하고 모든 인간은 2 년 후에 살아났습니다 (Shackleton 2004). 원정대는 영국 영웅주의의 사례로서 역사에 전해졌으며, 특히 그의 부하들을 안전에 이르게하는 Shackleton의 용기는 전설의 재료가되었습니다 (Lansing 2001). 최근 수년간 이러한 성과는 극단적이고 장기적인 위협에 대한 회복탄력성을 입증하기 위해 경영 교육에서 재구성되었으며, Shackleton은 성공적인 관리자의 역할 모델이되었습니다 (Harland 등, 2005). 회복탄력성의 이러한 패러다임은 매우 강력하여 회복탄력성 측정을 개발할 때, 한 팀의 연구원이 Shackleton의 개인적 특성, 낙관주의 및 신념을 자신의 규모에 포함시킬 요인으로 포함 시켰습니다 (Connor & Davidson 2003).


Resilience as a concept has become of increasing influence and relevance to the domains of health, both physical and mental. Interestingly, this end point is based on an extensive and enduring historical legacy spanning more than a century. Following the outbreak of the First World War in August 1914, Ernest Shackleton with his teamof explorers set sail for the Antarctic. The subsequent shipwreck in the polar ice pack stranded the men over 1200 miles fromhelp. Despite enormous dangers in the most inhospitable environment on earth every man returned alive 2 years later (Shackleton 2004). The expedition passed into history as an example of British heroism, and in particular, the courage of Shackleton in leading his men to safety became the stuff of legend (Lansing 2001). This achievement, in recent years, has become reframed in management training as a demonstration of resilience under extreme and prolonged threat, and Shackleton has become a role model for successful managers (Harland et al. 2005). This paradigm of resilience is so powerful that one team of researchers, when developing a measurement of resilience, included two of Shackleton’s personal characteristics, optimism and having a faith, as factors to be included in their scale (Connor & Davidson 2003).


개념의 다양한 적용

Diverse application of the concept


미합중국 군대의 훈련 프로그램 체제는 북 베트남의 전쟁 포로로 7 년을 보냈던 해군 조종사 제임스 스톡 데일 (James Stockdale)이 단독으로 감금 한 사례 (Sherman 2005)를 비롯하여 고전적 stoicism을 가르치면서 회복탄력성 개발에 중점을두고 있습니다. 

The training programme regimes of the United States military place great emphasis on developing resilience through teaching classical stoicism, as exemplified by James Stockdale, the navy pilot who spent 7 years as a prisoner of war in North Vietnam, mainly in solitary confinement (Sherman 2005).


살아남은 심각한 역경에서 특이한 회복력을 보인 역사적 인물들의 이야기는 'men of action' 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Brush (2004)는 유대인 간호사의 경험을 문서화했다. 최소한의 식량과 자원으로 절망적 인 질병과 불결한 상태에도 불구하고, 이들 간호사는 이들이 살아있는 다른 사람들을 돌볼 수있는 기회이자 능력이라고 말했다.

Accounts by historical characters who demonstrated unusual resilience in surviving severe adversity are not confined to ‘men of action’. Brush (2004) has documented the experiences of Jewish nurses . Despite desperate conditions of disease and squalor, with minimal food and resources, these nursesstated that it was the opportunity and ability to care for other people which kept them alive.


논란이 되는 지점은, 이 간호사들이 [자신의 직무에 대한 엄격한 수용과 관용뿐만 아니라] 자신들에게 할당된 업무를 수행 함으로써 회복력의 특성을 보여주었다는 것이다. 이는 실용주의, 생존에 초점을 맞추는 것, 목적이 있는 일과 목표 계획 등이다. 이것은 회복탄력성이 그 자체로는 순수하게 긍정적인 심리적 특성이 아닐 수 있음을 분명히 보여줍니다.

A moot point is that one could argue that these nurses, had not only a stoic acceptance and tolerance of their duties, but also demonstrated attributes of resilience in carrying out their allocated tasks – pragmatism, focus on survival, purposeful work and goal planning. This clearly demonstrates that resilience may not be, in itself, a purely positive psychological trait.


회복탄력성과 Valence

Resilience and valence


분명히 회복탄력성은 중요한 개념입니다. 그러나 이론 모델 및 임상 및 실용 응용 측면에서 현재 지식 상태는 '진행중인 작업'으로 남아 있습니다.

Clearly, resilience is an important concept; however, the current state of knowledge in terms of theoretical models and clinical as well as practical application remains very much a ‘work in progress’.


회복탄력성 연구는 실제로 일부 개인이 역경에도 불구하고 번영 할 수 있도록하는 과정에 대한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회복탄력성을 그러한 식으로 formulation하는 것은 construct의 개념화에 대한 더 깊은 고려를 필요로한다.

Resilience studies do indeed offer useful insights into the process involved in enabling some individuals to thrive despite adversity; however, such formulations of resilience necessitate a greater consideration of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construct.


회복탄력성의 개념

Concepts of resilience


회복 탄력성의 개념은 여러 학문 분야에서 동시에 발전해 왔으며, 이로 인해 현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 된 언어의 차이가 발생했습니다.

The concept of resilience has developed concurrently within a number of academic disciplines, This has led to differences in the language utilized to describe the phenomenon.


  • 많은 보건, 교육 및 사회 복지 분야에서는 역경을 극복하고 살아 왔음에도 불구하고 번창했거나 번영했던 사람들을 묘사 할 수 있습니다 (Wagnild & Young 1990, Coutu 2002, Friesen 2007). 

  • Rutter (2007)는 회복탄력성을 불리한 삶의 경험에 노출되었지만 상대적으로 좋은 결과를 낳는 현상으로 정의합니다. 

  • Polk (1997)는 역경을 극복하고 미래의 스트레스 요인에 직면했을 때 개인이 이용할 수있는 심리적 성장을 강조합니다. 

  • 유사하게 Aldwin (2007)은 스트레스, 적응 및 대처에 관한 연구에서 비롯된 것으로, 회복탄력성의 개념은 단순히 stoicism 또는 survival 이상이며, 스트레스 후 성장이 동반되어야 한다.

  • Wagnild & Young (1990)은 회복탄력성이 있는 개인이라고 스트레스에 면역이 되어있거나 무감각하진 않지만, 역경 후에 평형을 회복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 Many health, education and social care practitioners are able to describe individuals they have met who have thrived or flourished in spite of or because of living through adversity (Wagnild & Young 1990, Coutu 2002, Friesen 2007). 

  • Rutter (2007) defines resilience as the phenomenon that some individuals have relatively good outcomes despite exposure to adverse life experiences. 

  • Polk (1997) emphasizes the psychological growth which occurs as a result living through adversity and which is available to the individual when future stressors are encountered. 

  • Similarly, Aldwin (2007), whose work originates from studies into stress, adaptation and coping, identifies the concept of resilience as appearing to be more than stoicism or survival; it assumes post-stress growth. 

  • Wagnild &Young (1990) point out that a resilient individual is not immune or hardened to stress but will be able to re-establish equilibrium following an adverse experience.



회복탄력성은 성격특성인가?

Is resilience a personality trait?


회복탄력성이 성격 특성 (그러므로 시간에 따라 측정 가능하고 고정되어 있고 안정적인지)인지 아니면 인생을 거쳐 언제든지 발전 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다를 수있는 역동적인 과정인지에 대한 핵심 논쟁이 있습니다 (Jacelon 1997). 많은 연구들이 서로 다른 집단의 사람들에게서 회복탄력성의 성격특성의 존재를 알리는 요인을 확인하는데 집중되어있다 (Jacelon 1997, Connor & Davidson 2003, Campbell-Sills 외 2006, Waugh et al 2008).

There is a central debate about whether resilience is a personality trait (therefore measurable, fixed and stable over time) or a dynamic process which can develop at any time during the lifespan and may vary by context (Jacelon 1997). Many studies have concentrated on identifying the factors signalling the presence of the personality trait of resilience in different groups of people (Jacelon 1997, Connor & Davidson 2003, Campbell-Sills et al. 2006, Waugh et al. 2008).


Rutter (2007)는 대조적으로 회복탄력성이 성격 특성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는 사람들이 역경에 처했을 때만 회복탄력적이 될 수 있으며 이 역동적 인 과정은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고 믿습니다. Rutter의 이론은 최근 Gillespie 등의 탄력성에 대한 최근 개념 분석 연구에 의해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회복탄력성이 고난에 대항하는 투쟁의 과정이며 모든 연령대에서 학습가능하다고 주장했다.

Rutter (2007), by contrast, argues that resilience is not and cannot be a personality trait. He believes that people can only become resilient in the presence of adversity and that this dynamic process can vary in different contexts. Rutter’s theory has been further strengthened by a recent concept analysis study of resilience by Gillespie et al. (2007a) which argued that resilience is the process of struggle against hardship and can be learned at any age.


리차드슨 (Richardson, 2002)은 성격특성이냐 학습된 스킬이냐를 either/or 논쟁으로 보지 않으며, 오히려 이것은 연구 분야의 성숙을 알리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연구의 

  • 첫 번째 물결은 소위 회복탄력성의 특징 요인 또는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고, 

  • 두 번째 물결은 탄력성 상태를 획득하는 과정에 대한 것에 집중되었습니다.

Richardson (2002) does not view the personality compared with learned skill perspectives as an either/or debate, but he argues that this signals a maturing of the research field. The first wave of research concentrated on identification of factors or traits, so-called resilient qualities, and the second wave on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state of resiliency.


회복탄력성과 정신건강

Resilience and mental health


회복탄력성에 관한 초기 연구는 정신 의학 및 임상 심리학 분야에서의 제도적, 학대 적 또는 폭력적인 어린 시절을 겪었던 성인 생존자들과 함께 발전했다 (Garmezy & Rutter 1983, Anthony & Cohler 1987, Tizard & Varma 1992).

The early research on resilience developed from work in the psychiatric and clinical psychology field with adult survivors of institutional, abusive or violent childhoods (Garmezy &Rutter 1983, Anthony &Cohler 1987, Tizard & Varma 1992).


회복탄력성의 개념은 회복에 초점을 둔 정신 질환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에 포함되었습니다 (Edward & Warelow2005, McCormack 2007).

The concept of resilience has been included in new approaches to mental illness which focus on recovery (Edward &Warelow2005, McCormack 2007).


점점 더 많은 연구가 특정 상황이나 사람들의 그룹에서 중요한 보호적 요소를 확인하려고 시도해 왔습니다.

Increasing numbers of studies have attempted to identify the protective factors which are significant in specific contexts or groups of people.


최근에는 회복탄력성 발달 모델을 목표로 한 연구에 더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있다 (Gillespie 외, 2007a, b, Tusaie 외 2007, Waugh 외 2008).

Recently there has been more focus on research aimed at developing models of resilience (Gillespie et al. 2007a,b, Tusaie et al. 2007, Waugh et al. 2008).


최근의 추세는 회복탄력성의 유전적, 신경 생물학적 및 내분비적 기저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발달 적 정신 병리학 분야에있어왔다.

A further recent trend has been in the field of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where research into the genetic, neurobiological and endocrine bases of resilience has been initiated.



회복탄력성 발달 이론

Theories of resilience development


탄력 연구의 현재 논쟁은 세 가지 주요 영역에 초점을두고 있습니다. 이것들은 

  • (1) 회복탄력성의 정의; 

  • (2) 인성 특성으로서의 회복탄력성의 존재 대 생애주기 동안의 탄력성의 역동적 인 발달; 

  • (3) 회복탄력성이 학습가능한지, reliable하고 stable하게 측정 될 수 있는지 여부.


Current debates within resilience studies are focused on three main areas. These are 

  • (1) definitions of resilience/ resiliency; 

  • (2) the existence of resiliency as a personality trait versus the dynamic development of resilience throughout the lifespan; and 

  • (3) whether resilience can be learned or measured with reliability and stability.



측정 관련 이슈

Issues in the measurement of resilience


회복탄력성 또는 회복탄력성을 구성한다고 생각되는 요인의 측정은 이 분야의 핵심 연구입니다. 그러나 이 분야에는 여러 가지 복잡한 문제가 있습니다. Gillespie et al. (2007a)는 탄력성 측정에 관한 지식 개발의 문제점에 대한 세 가지 이유를 밝힌다 : 

  • 회복탄력성의 정의에 대한 합의의 부족, 

  • 연령 집단 및 연구 된 맥락의 폭 넓은 다양성, 

  • 현재까지의 주로 질적 연구 중심으로 이뤄진 것


The measurement of resilience, or the factors thought to comprise resiliency, is central to this field of research. However, there are a number of complex issues within this area. Gillespie et al. (2007a) identifies three reasons for the problems in knowledge development around the measurement of resilience: 

  • the lack of agreement of a definition of resilience, 

  • the wide variation in age groups and contexts studied and 

  • the predominately qualitative nature of the studies to date.


왜 헬스케어에서 이 개념이 중요한가?

Why is the concept significant in health care?


질병이나 외상으로부터 신속하게 회복하거나 견딜 수있는 사람들을 예측할 수있는 성격 특성을 찾는 것은 매력적인 분야였다(Smith 2006). 훨씬 더 매력적인 것은 1 차 예방 도구로서 좋은 건강 상태를 보호하거나 향상시킬 수있는 개입의 전망이다. 그러나 여전히 이 분야는 다양하고 결정적이지 않습니다.

The attraction of identifying personality attributes which could predict those people who might withstand or make a quick recovery from disease or trauma has been irresistible to researchers (Smith 2006). Even more attractive is the prospect of interventions which may protect or enhance good health status as a tool of primary prevention. However, the research field is again diverse and inconclusive.


정책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resilience on policy


회복탄력성 연구는 개인, 가족 및 지역 사회의 deficit 모델 대신 asset 모델에 중점을 두도록 권장합니다. 이것은 노령 인구의 사회 및 건강 관리 요구에 직면하고있는 실무자 및 서양 정부와 모두 공감했습니다. 

  • 영국에서는 최근의 교육 및 사회 정책이 생태적 접근에 의해 뒷받침되었으며 아동 및 청소년 사이의 회복력을 증진시키는 학교의 개입이 그 사례이다 (Scottish Executive 2004). 

  • 스코틀랜드의 교육 정책을 선도하는 현재의 'Curriculum for Excellence'은 어린이가 '성공적인 학습자, 자신감있는 개인, 책임있는 시민, 사회에 기여는 효과적인 기여자'가된다는 것을 명백히 밝힙니다. 이것은 회복탄력성 발달에 중요한 것으로 확인 된 것과 유사한 속성 및 결과이다 (Scottish Executive 2004). 

  • 아동 보호 전문직에서는 회복탄력성을 보호 정책으로 육성한다는 개념이 잘 정립되어있다 (Daniel 2006). 개입은 회복탄력성을 '건축'하려는 관점에서 계획되나, 이것이 가능하다는 근거는 제한적이다

Resilience studies encourage focus on an asset model, instead of a deficit model of individuals, families and communities. This has resonated both with practitioners and with Western governments, who are facing the social and healthcare needs of ageing populations. 

  • In the United Kingdom much recent educational and social policy has been underpinned by an ecological approach and the interventions in schools to promote resilience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are an example of this (Scottish Executive 2004). 

  • The current ‘Curriculum for Excellence’ which leads educational policy in Scotland has overtly stated values of ensuring children become ‘successful learners, confident individuals, responsible citizens and effective contributors to society’, similar attribute and outcomes to those identified as being significant in the development of resilience (Scottish Executive 2004). 

  • In child protection professions the concept of fostering resilience as a protective policy is well established (Daniel 2006). Interventions are planned with a view to ‘building’ resilience with limited evidence that this may be possible.


그러나 기초 연구의 다양한 정의와 연구 대상 집단의 다양성을 고려할 때 여러 정책이 담론이 아니라 얼마나 증거에 근거했는지는 불분명하다. 소위 'Positive Psychology'운동의 인기는 정책 입안자와 전문가이 선택적 증거만을 기반으로 이러한 asset 모델을 채택하는 데 영향을 미쳤을 수 있습니다 (Seligman & Csikszentmihalyi 2000, Seligman 2002, Tugade & Fredrickson 2004, Craig 2007).

However, given the variety of definitions within the underpinning research and the diversity of populations studied it is unclear to what extent these policies are based on evidence, rather than on current discourse. The popularity of the so-called ‘Positive Psychology’ movement may have influenced policy makers and professionals to adopt these asset models based on selective evidence only (Seligman & Csikszentmihalyi 2000, Seligman 2002, Tugade & Fredrickson 2004, Craig 2007).


결론

Conclusion


현재까지이 분야의 연구의 주요 초점은 회복탄력적인 사람들에게 관찰되는 보호 요소와 행동을 파악하는 데 집중되어 왔습니다. 비교적 최근에 연구자들은 그러한 회복탄력성이 형성되는 과정을 확인하고 예측 및 개입 모델을 개발하려고했습니다. 연구의 또 다른 물결은 현장에서의 행동 및 생물 과학 조사, 특히 매개 요인 (유전학, 신경 내분비 기능 및 대처 스타일)의 유전학 및 환경과 탄력성의 구조 모델 개발 사이의 상호 작용을 연구하려는 시도입니다.

To date the main focus of research in this field has concentrated on identifying protective factors and behaviours observed in resilient people. Comparatively recently researchers have aimed to identify the processes by which such resilience is formed and to attempt to develop predictive and intervention models. A further wave of research is attempting to integrate behavioural and biosciences investigation in the field, in particular studying the interaction between genetics and environment of mediating factors (genetics, neuroendocrine function and coping styles) and the development of structural models of resilience.


그러나 이렇게 많은 정보에도 불구하고 연구의 기본 도구 중 일부가 불충분 할 수 있습니다회복탄력성 연구는 중재에 대한 연구가 견고하게 평가되고 복제 될 수 있도록 회복탄력성을 견고하고 재현성게 측정할 수 있는 핵심 도구를 갖추어야합니다. 기존의 대중적 저울은 몇 년 전에 개발되었으며, 새로운 인구 집단으로 확대 적용되기에 앞서서 기본 원칙부터 재검토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However, despite this apparent plethora of information, some of the basic tools of research may be deficient. Resilience studies require to have at their core robust and reproducible instruments to measure resilience, so that the studies into interventions may be robustly evaluated and replicated. The existing popular scales were developed in the main several years ago, and despite refinement may need to be re-examined from first principles, rather than have their use extended into new population groups.


회복탄력성 연구 분야에 관심과 매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은 불확실한 증거에 근거한 대중 운동에 대한 'faddism'의 위험성을 암시하는 Doll & Lyon (1998)의 경고를 명심해야한다. 이 경고는 Masten & Obradovic (2006)에 의해 회복탄력성을 기르는 마법의 탄환이 없으며, 열악한 결과에 대해 '희생자를 비난하는' 위험을 강조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Rutter는 회복탄력성의 개념을 바라봄에 있어서 보는 사람이 보고싶은대로 볼 수 있는 위험성 - 밀레니엄 Rorschach -을 경고한다. (Rutter 1999 년).

Despite the interest and attraction of the field of resilience studies, professionals should bear in mind Doll & Lyon’s (1998) caution already alluded to regarding the dangers of ‘faddism’, of popular movements based on uncertain evidence. This warning is reinforced by Masten & Obradovic (2006) who caution that there are no magic bullets for producing resilience and highlight the risk of ‘blaming the victim’ for poor outcomes. Rutter himself warns against the danger of seeing in the concept of resilience anything the viewer wants to see – a ‘Millennium Rorschach’ (Rutter 1999).




 2009 Mar;16(2):137-45. doi: 10.1111/j.1365-2850.2008.01341.x.

Resilience revisited.

Author information

1
University of the West of Scotland, Ayr, UK.

Abstract

Contemporary reports of individuals experiencing severe adversity have led to renewed debate regarding the processes that mediate a person's ability to withstand extremes of both psychological and physical abuse. The capacity to recover from extremes of trauma and stress is termed resilience. This important concept is of key relevance to health professionals as resilience and also defines a more general concept of responding to challenges that affect the individual in terms of their health behaviour. The evidence base in this area is noteworthy in that much research is based on historical case studies that, although rich in both content and appeal, also fall short of contemporary rigour in terms of validity. This review will describe the evidence for the salience of the concept of the resilience to health and mental health and the implications of the domain to the healthcare professional.

PMID:
 
19281544
 
DOI:
 
10.1111/j.1365-2850.2008.01341.x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