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의 회복탄력성: 무엇이고, 왜 중요하며, 어떻게 높일 것인가 (Acad Med, 2013)

Physician Resilience: What It Means, Why It Matters, and How to Promote It

Ronald M. Epstein, MD, and Michael S. Krasner, MD





Acad Med 이번호에서 Zwack과 Schweitzer의 연구는 회복탄력성이 의사의 웰빙에 핵심 요소임을 확인합니다. 회복탄력성은 한 개인이 최소한의 심리적 및 물리적 비용으로 목표를 달성하도록 건강하고 적응력있는 방식으로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능력입니다. 회복탄력적 개인은 도전 과제 후에 빠르게 "뒤로 물러 설"뿐만 아니라 그 과정에서 더욱 강해집니다. 의사의 스트레스에 대한 지난 25 년간의 작업을 바탕으로 그들의 질적 인 연구는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The study by Zwack and Schweitzer1 in this issue of Academic Medicine identifies resilience as a central element of physician well-being. Resilience is the ability of an individual to respond to stress in a healthy, adaptive way such that personal goals are achieved at minimal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st; resilient individuals not only “bounce back” rapidly after challenges but also grow stronger in the process. Building on work from the past 25 years on physician stress, their qualitative study suggests that it is possible to enhance resilience.


이러한 사실을 염두에 둔다면, 보건 의료의 세 가지 중요한 문제(진료의 질, 보건 비용, 임상인력의 웰빙)을 함께 다룰 때입니다. 서술적 연구는이 세 영역이 서로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우리 그룹은 마음 챙김 명상, 내러티브 의학, AI기반 대화를 사용한 집중 프로그램이 의사의 웰빙과 관계-중심적 치료의 질에 크고 시너지를 내는 효과가 있음을 입증했다.

With these findings in mind, it is now time to bring together three critical issues in health care—quality of care, health care costs, and the well-being of the clinician workforce. Descriptive studies suggest that these three areas are linked,2 For example, our group has demonstrated that an intensive program that used mindfulness meditation, narrative medicine, and appreciative inquiry- based dialogues had a profound and synergistic effect on physician well-being and quality of relationship-centered care.3


기대하지는 않았으나, 우리는 또한 성격의 변화를 보았습니다. 참여자들은 NEO-5 요인 성격에서 더 높은 회복탄력성 ( "정신적 안정성")과 성실성을 나타내 었으며, 임상에서의 스트레스를 보다 건강하게 관리하고 있음을 보고했습니다.

Unexpectedly, we also saw changes in personality. Participants exhibited greater resilience (“mental stability”) and conscientiousness on the NEO-5 factor personality inventory4,5 and reported healthier ways of managing the stresses of clinical practice.6






자기인식과 자기 모니터링

Self-Awareness and Self- Monitoring


회복탄력성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을 활용하기 전에, 개인은 우선 자신이 언제 스트레스에 의해 안좋은 영향을 받는지, 스트레스에 대한 자신의 적응적 대응과 부적응적 대응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 바쁜 의사는 (상황이 스스로 정정되거나 기본 적응력 기술이 앞으로 나아갈 것이라는 희망에서) 너무 자주 스트레스 피로, 과민 반응, 그리고 편안함 영역 밖에서 느끼는 조기 경고 신호를 무시합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효과가 없으며, 오히려 스트레스가 증가하여 해결하기가 더 어렵습니다. 

  • 더 큰 문제는, (스트레스 대응하지 못함으로서) 학습 기회를 잃고 만다는 것이다. 임상의는 스트레스가 사라지기 전에 더 잘 대응하고 적응하게 되지 못한다.

Before enacting strategies to enhance resilience, individuals must first be able to recognize when they are adversely affected by stress and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own adaptive and maladaptive responses to stress. All too often, busy clinicians ignore the early warning signs of stress—fatigue, irritability, and feeling outside their comfort zone—in the hope that the situation will self-correct or that their baseline adaptive skills will carry them forward.7 However, this approach often does not work—stresses increase so that they are more difficult to address. Worse yet, there is a missed learning opportunity—clinicians do not become more skilled in responding and adapting before stresses get out of hand.


자신의 신체적, 정서적,인지적 경험의 스트레스에 대한 자기 인식은 공식 및 비공식적 연습을 통해 배양 될 수있다. 

  • Zwack과 Schweitzer는 개인이 스트레스에 대한 자신의 반응을 관찰 할 수있는 지속적 자기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명상, 특히 마음챙김-기반 스트레스 감소의 사용을 강조한다. 

  • 또한 가정의학과 의사가 자신의 감정적 인 반응, 편견 및 자신의 임상 진료에 영향을 줄 수있는 역전이countertransference 을 인식하도록 설계된 Balint 그룹을 강조한다.

the requisite self-awareness of one’s own somatic, emotional, and cognitive experience of stress can be cultivated through both formal and informal practices . Zwack and Schweitzer direct our attention to the use of contemplative practices, specifically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to foster a continuous self-awareness in which individuals can observe their ownreactions to stress. They also direct our attention to Balint groups,8,9 designed to help family physicians be aware of their own emotional reactions, biases, and countertransference that might be influencing their clinical care. 



공식 연습이나 워크샵만큼 도움이 되는 것은, 회복탄력성 증진 활동을 일상 업무에 활용하는 것이다. 환자 치료 중 자기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비공식적 연습법이 고안되었습니다. 이러한 활동은 의사들이 핵심 순간에 자신을 점검하고 마음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있게 도와준다. 이로서 의사들은 자신이 현재 최적의 반응을 보이고 있지 못함을 알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Moulton과 Epstein은 전문 외과의가 암묵적인 인식tacit awareness을 개발하여 수술 중 어려운 순간을 만났을 때 "속도를 늦춰야 한다면 그럴 수 있도록"해준다. 이로서 외과의사는 더 심사숙고하여 (그리고 안전하게) 수술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 일부 일차 진료의는 환자의 방에 들어가기 전에 잠시 pause를 갖는 습관을 개발하고, 한번 숨을 들이킴으로써, 이전 환자와의 상호 작용에서 남은 잡념을 정리하고, 다음 환자에게보다 현명하고 세심한 배려를하도록 돕습니다.

As helpful as formal practice and workshops might be, practitioners also need ways of bringing resilience- promoting activities into their daily work. Informal practices are designed to promote self-awareness during patient care; they help clinicians take stock and clear their minds at key moments, allowing them to be aware of any less- than-optimal reactions that would not serve them well for the task at hand. For example, Moulton and Epstein10 describe how expert surgeons develop a tacit awareness so that they can “slow down when they should” when encountering difficult moments during surgery, allowing them to proceed more deliberatively (and safely). Some primary care clinicians have developed the habit of briefly pausing before entering a patient’s room, taking a breath to clear the mind of residual thoughts and feelings from the previous interaction to help them be more present and attentive for the next patient.



성찰 질문의 사용도 자기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예 : "

  • 나 또는 당신은 이 상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습니까?" 

  • "과거의 경험이 이 상황에 있어서 나와 당신의 반응에 어떤 영향을 미칩니 까?" 

  • 신뢰할 수있는 동료들은 나 또는 당신이 이 상황을 관리하는 방식에 대해 뭐라 말하고 있습니까? ").

Using reflective questions can also promote self-awareness (e.g., “What am I/are you assuming about this situation that might not be true?” “In what ways are prior experiences influencing my/your responses to this situation?” “What might a trusted peer say about the way I/ you managed this situation?”).11



자기조절과 회복탄력성

Self-Regulation and Resilience


스트레스의 존재와 불가피성, 스트레스가 인지 오류, 강한 감정, 도덕적 곤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 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임상가들은 스트레스를 해결하고 자신의 인지적, 감정적, 신체적 반응을 스스로 조절하는 방법에 대한 선택의 정도를 깨달을 필요가 있습니다.

It is not enough to recognize that stresses exist, that they are unavoidable, and that they can result in cognitive errors, strong feelings, and moral distress. Clinicians also need to realize the degree to which they have choices about how to address those stresses and self-regulate their own cognitive, emotional, and somatic reactions.


불행히도 현재의 의학 교육에서 학생, 레지던트 및 실습 임상의의 자기 조절 능력 향상은 너무 자주 개개인에게 맡겨져 있습니다.

Unfortunately, in current medical education, students, residents, and practicing clinicians are all too often left to their own devices to find means for enhancing their capacity for self- regulation.


  • 직장의 경계를 확실히 하고, 가족들과 긴장을 풀고 잠을 자며 시간을 보낼 수있는 충분한 시간을 갖는 것도 중요합니다. 젊은 의사들은 이전 세대와 비교했을 때 이것으로 더 잘할 수 있습니다

  • 그러나 직장 바깥에서의 활동만큼이나 직장 안에서 회복탄력성을 고갈시키지 않는 방식으로 참여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임상의는 작은 성과에 만족하고 말 것이다. 즉, 그들은 미래를 향한 건강한 습관을 키우기보다 당장의 생존 전략에 의지 할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의 회복탄력성은 직장의 자주 가혹한 현실에서 도망치는 것이 아니라 전폭적으로 참여하는 것이다. 역설적으로, 회복탄력성의 상실은 일견 에너지를 절약하려는 조치의 결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It is also important to set boundaries around one’s work and have enough time to relax, sleep, and spend time with family; younger physicians may be doing better with these compared with the prior generation. However, as important as those outside-of-work activities may be, clinicians also need to find ways to engage with work in such a way that it nourishes and does not deplete resilience. Otherwise, clinicians will satisfice; they will rely on survival strategies rather than cultivating healthy habits that they can bring to future challenges. Resilience, in that sense, is about wholehearted engagement with— not withdrawal from—the often-harsh realities of the workplace.12 Paradoxically, loss of resilience can result from the seemingly energy-saving measures of withdrawal.


2007 년부터 로체스터 의학 대학 및 치과 대학의 모든 3 학년 학생과 레지던트 프로그램은 필수 커리큘럼의 일환으로 "mindful practice seminars"를 가졌습니다. 유사한 기회를 가진 많은 기관이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제대로 연구되지 않았으며 형식, 내용 및 품질면에서 매우 다양합니다.

since 2007 all third-year medical students and several residency programs at the University of Rochester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have had “mindful practice seminars” as part of the required curriculum. There are likely many institutions that have similar opportunities. However, these efforts have been poorly studied and are highly variable in format, content, and quality.


우리가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자기 인식의 스킬과 습관을 기르기 위한 세션]과 [심리적 지원과 "friendly ear"를 제공하는 서포트 그룹]을 구별한 것이다. 서포트 그룹은 상황에 따라 도움이되거나 필요 할 수 있지만, 통찰력과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는 기술이나 마음의 습관을 강화시켜주지는 못할 수도 있다. 또한 모든 상황에 적용가능한 접근법이란 없다.

Importantly, we distinguish sessions which promote cultivation of skills and habits of self-awareness from support groups which provide psychological support and a “friendly ear.” Although support groups can be helpful and necessary in some circumstances, they may not necessarily enhance the skills and habits of mind that promote insight and resilience. Also, it is very likely that there is no one-size-fits-all approach;


우리는 의사 소통 인터벤션을 시행하고 몇 달 후 의사 참석자들과 인터뷰를 통해 그들이 배웠던 것을 탐구 해 미래 과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Several months after our mindful communication intervention, we interviewed physician participants to explore what they had learned that might be helpful for future courses.6


우리는 두 가지 다른 결과를 알게 되었다. 


  • 가장 먼저 자주 언급되는 것은 공동체의 필요성이었습니다. 의사들은 점차 더 신체적, 정서적으로 고립되는데, 이는 의사들이 다양한 환경에서 일하기 때문에, 서로의 스트레스에 대해 배우고, 어려움을 겪은 상황을 논의하며, 개인적인 관계를 발전시킬 시간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누구나 접근가능한 전자 문서가 동료 간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을 신속하게 대체하는 지금의 상황 때문에 이러한 고립감이 더욱 악화 될 수 있습니다.

we were struck with two other findings. The first and perhaps most frequently mentioned was the need for community. Physicians are increasingly isolated—physically or emotionally because they work in diverse settings because there is little time for learning about each other’s stresses, discussing challenging professional situations, and developing personal connections. This sense of isolation may be exacerbated as more impersonal and publicly discoverable electronic documentation is rapidly replacing collegial face-to-face communication.


  • 다른 결과도 눈에 띄었다. 의사는 자신의 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활동, 환자와 의사가 모두 가치있다고 생각하는 종류의 진료역량을 키울 수 있는 활동을 필요로 하면서도, 스스로에게 그러한 활동에 참여할 기회를 주는 것을 어려워했다. 그들은 가족과 동료가 지지적 태도를 보여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요구에 responding하기를 어려워했습니다.

The other finding was particularly compelling. Physicians needed—but found it difficult—to give themselves permission to engage in activities that would improve their self-awareness and self-care, despite recognizing that these qualities enhanced their own resilience and their capacity to provide the kind of patient care they and their patients value. They had difficulty responding to their own needs despite the supportive attitudes of their families and colleagues.



공적 책무, 진료 공동체, 의료기관

Public Accountability, Communities of Care, and Health Care Institutions


일반 대중은 의사의 건강을 증진시켜야한다는 주장에 그다지 공감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일반인들은 특권을 얻은 의사를 보게되며, 그들의 웰빙에 대한 투자를 entitlement의 증거로 보게됩니다. 그러나 환자들은 주의 깊고, 충분한 휴식을 갖고, Present하고, 돌보는 의사를 원합니다. 그들은 잠재적 인 오류가 발생하기 전에이를 인식하고, 필요할 때 천천히하고, 압도 당할 때 조언을 구하고, 복잡하고 도전적인 상황에 반사적으로 반응하는 대신 정신을 기울여 대응할 의사를 원합니다. 그들은 다른 의사와 충분히 연결되어있는 의사가 지원, 조언, 정보 및 지혜를 이끌어 내길 원합니다.

The general public may not be very sympathetic to an argument that physicians need to augment their well-being; they may see physicians as privileged and see an investment in their well-being as evidence of entitlement. But, patients want physicians who are attentive, rested, present, and caring. They want physicians who can recognize potential errors before they happen, slow down when they should, seek advice when they are overwhelmed, and respond mindfully rather than react reflexively to complex and challenging situations. They want physicians who are sufficiently connected to other physicians to draw support, advice, information, and wisdom.


일류 음악가와 운동 선수는 자기자신에 대한 주의attention가 최적의 성능을위한 열쇠임을 알고 있습니다. 그들의 훈련에는 자기 감시, 자기 인식 및 탄력성 기술 개발이 명시 적으로 포함됩니다. 논란의 여지가 없이 stakes가 매우 높은 의학에서 오히려 종류의 훈련은 부족합니다. mindfulness, 자기 인식 및 탄력성을 승진시키는 것은 단순히 개인의 책임에서 그치지 않는다. 이는 의료 기관의 적극적인 지원과 투자에 달려 있습니다.

First-rate musicians and athletes know that attention to the self is a key to optimal performance. Their training explicitly includes development of skills in self-monitoring, self-awareness, and resilience. In medicine, where the stakes are arguably higher, this kind of training is lacking. Promoting mindfulness, self-awareness, and resilience is not solely the responsibility of individuals. It also depends on active support and investment from health care institutions.


의료인력이 자기-인식을 가지고 회복탄력성을 가지는 것은 의료기관 만 아니라 대중의 관심사이기도 하다. 자신을 돌보는 의사는 다른 사람들을 돌보는 일도 더 잘 하며, 오류를 덜 저지를 것이고, impaired되었을 가능성이 낮고, 진료현장을 떠날 가능성이 낮다. 이 모든 것은 의료시스템에 비용으로 돌아온다. 우리는 의료 분야 밖에서 회복탄력성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는 고 신뢰성 조직 및 고위험 환경으로부터 배울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에는 의사와 간호사뿐 아니라, 그들은 또한 다른 임상의와 비 임상 진료 인을 포함해야한다.

It is in the public’s interest, as well as in health care institutions’ self-interest, to promote a more self-aware, resilient health care workforce.13,14 Physicians who care for themselves do a better job of caring for others and are less likely to commit errors, be impaired, or leave practice, all of which are costly to the health care system. We can learn from the experience of high-reliability organizations and high-risk settings outside of medicine that devote specific attention to the resilience of their workforces. Programs should involve not only physicians and nurses; they also should include other clinicians and nonclinical staff.



의사의 Self에 관심갖기

Attending to the Self of the Practitioner


우리는 의사의 self에 어떻게 관심을 가져야 하는지 대한 진지한 연구의 시작점에 있다. 이 질의에는 질적, 양적 접근이 포함되어야하며, 따라서 우리는보다주의 깊고, 자기 인식 적이며, 탄력적 인 방법을 찾은 사람들의 경험으로부터 배울 수 있어야합니다.

We are only at the beginning of serious inquiry about how to attend to the self of the practitioner. This inquiry should includ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so that we can learn from the experiences of those who have found ways to be more mindful, self-aware, and resilient.






1 Zwack J, Schweitzer J. If every fifth physician is affected by burnout, what about the other four? Resilience strategies of experienced physicians. Acad Med. 2013;88:382–389.



13 Leape LL, Shore MF, Dienstag JL, et al. Perspective: A culture of respect, part 2: Creating a culture of respect. Acad Med. 2012;87:853–858.


14 Leape LL, Shore MF, Dienstag JL, et al. Perspective: A culture of respect, part 1: The nature and causes of disrespectful behavior by physicians. Acad Med. 2012;87:845–852.




 2013 Mar;88(3):301-3. doi: 10.1097/ACM.0b013e318280cff0.

Physician resilience: what it meanswhy it matters, and how to promote it.

Abstract

Resilience is the capacity to respond to stress in a healthy way such that goals are achieved at minimal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st; resilient individuals "bounce back" after challenges while also growing stronger. Resilience is a key to enhancing quality of care, quality of caring, and sustainability of the health care workforce. Yet, ways of identifying and promoting resilience have been elusive. Resiliencedepends on individual, community, and institutional factors. The study by Zwack and Schweitzer in this issue of Academic Medicine illustrates that individual factors of resilience include the capacity for mindfulness, self-monitoring, limit setting, and attitudes that promote constructive and healthy engagement with (rather than withdrawal from) the often-difficult challenges at work. Cultivating these specific skills, habits, and attitudes that promote resilience is possible for medical students and practicing clinicians alike. Resilience-promoting programs should also strive to build community among clinicians and other members of the health care workforce. Just as patient safety is the responsibility of communities of practice, so is clinician well-being and support. Finally, it is in the self-interest of health care institutions to support the efforts of all members of the health care workforce to enhance their capacity for resilience; it will increase quality of care while reducing errors, burnout, and attrition. Successful organizations outside of medicine offer insight about institutional structures and values that promoteindividual and collective resilience. This commentary proposes methods for enhancing individuals' resilience while building community, as well as directions for future interventions, research, and institutional involvement.

PMID:
 
23442430
 
DOI:
 
10.1097/ACM.0b013e318280cff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