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확한 정의와 의도하지 않은 결과(Med Educ, 2017)
What’s in a name? Definitional clarity and its unintended consequences
Kevin W Eva
문제 기반 학습, 2 타당성, 3 피드백, 4 전문성, 5 통합, 6 객관적 구조 임상 시험, 7 자기 평가 및 종단 통합 사무직 9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입니까?
topics explored in our field: problem-based learning,2 validity,3 feedback,4 professionalism,5 integration,6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s,7 self-assessment8 and longitudinal integrated clerkships.9 What do these things have in common?
필자가 생각해 왔던 한 가지 특징은 개념이나 혁신이 충분히 대중화 될 때, 누군가는 그 개념이 불충분하게 정의되거나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고 주장하기 시작할 것입니다 .2-9 명확한 정의가 중요하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그것이 없으면 상당한 오해의 위험이 있습니다. 명확한 정의가 없으면, 어떤 혁신의 영향력도 suboptimal할 것이고, 새롭게 사람들이 효과적으로 현장에 참여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듭니다. 이러한 모든 문제는 효과적인 의사 소통을 저해하기 때문에 교육 과정의 품질 향상을 어렵게 만듭니다.
The one feature I have come up with that seems to be constant to these terms is that when a concept or innovation becomes sufficiently popular, someone will begin to argue that it is insufficiently defined or is used in a variety of ways.2–9 There can be no doubt that definitional clarity is important. Without it, there is considerable risk of misunderstanding, we can guarantee that any innovations we put forward will have suboptimal impact, and we make it impossible for newcomers to engage effectively in the field. All of these issues make it difficult to enable quality improvement of our educational processes because they impede our ability to communicate effectively.
최악의 시나리오는 '나는 그것에 대해 배우기 위해 충분한 시간을 쓰지 않았다.'라고 말하는 대신 '명확한 정의가 없다'라는 핑계를 대는 것이다. 모든 사람이 HPE 공동체가 사용하는 모든 개념에 진실로 정통 할 수 없기 때문에 naivety에 대해 불만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자신의 무지가 자신의 전문 지식의 영역을 넘어서서 모든 것을 undermine하게 만드느니, "나는 sensibly하게 말하기에 충분히 알지 못한다"고 말하는 것도 괜찮음을 상기시키려는 것이다.
In the worst case scenario ‘there is not a clear definition’ is used as an excuse that should really be rephrased ‘I haven’t spent enough time learning about it’. This is not a complaint about naivety because no individual can be truly well versed in every concept the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community uses. It is, however, a reminder that it is ok to say ‘I don’t know enough about that to speak sensibly’ rather than allowing one’s ignorance to generically undermine everything that extends beyond the realm of one’s personal expertise.
더 중요한 것은 '사람들이 각기 다른 방식으로 용어를 사용한다. 그래서 용어 자체는 별로 의미있지 않다'라는 것을 핑계로 중요한 토론을 고의적으로 회피하는 것이다.
More concerning to me though are observations of cases in which important discussions have deliberately been brushed aside with the claim ‘different people use the term in different ways’ and the implication that, therefore, the term is not meaningful and should be banned from our lexicon altogether.
또한 다른 사람이 아이디어나 데이터를 비평가와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단순히 그 사람의 아이디어나 데이터를 무시하는 코멘트도 문제이다.
Equally troubling are comments that simply dismiss the ideas or data of others on the basis that those others appear not to use the terms in a way that aligns with the critic’s understanding of them.
세계의 모든 언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의미가 변화하고 예측할 수없는 방식으로 진화됩니다 .10 그렇다면 왜 학계에서 사용하는 언어에 대해서만 일관성과 보편성을 기대해야합니까? 왜 우리는 용어가 현재 사용되는 방식이 '그 용어가 유래한 방식'과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현재의 사용되는 방식을 무시해도 된다는 주장을 인정하는가? 용어가 변화하는 것은 그 용어를 사용한 사람이 의도적으로 추구하지 않았더라도, 어떤 목적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1
Every language in the world evolves with meaning changing over time and place in unpredictable ways.10 Why then should we expect constancy and universality in the language we use in academia? Why should we accept the argument ‘that’s not how the term originated’ as sufficient to rule out of consideration how the term is currently being used? Such changes often serve some purpose even if it is not a purpose that was deliberately pursued by the user.11
학자들은 명확함과 이해를 갈망하며, 특히 모든 것에 대해 정확하길exacting하는 바라는 성향이 있습니다.
Scholars tend to be a particularly exacting lot, desiring clarity and understanding.
그러나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용어에 대해 직접적인 합의를 이룰 수 있다는 믿음이 아니라, 단어의 특정 의미, 혁신의 구체적인 특징을 모니터링하고 명확히 함으로써 인식의 차이를 밝히는 행위가 우리를 더욱 발전시킨다.12 또한 우리는 용어에 대한 합의가 변하지 않고 항구적일 거라고 기대할 수 없으며, 그러한 정의가 존재한다면 아마도 사전에 제시된 '문자적인' 정의에 그칠 뿐이며, 그 이상은 보여주지 못한다.
It is, however, the act of uncovering differences in perception through monitoring and clarifying the specific meaning of words or the specific features of innovations that moves us forward, not the belief that we could achieve straightforward consensus on every term we use.12 Even if we could, we cannot expect such consensus to remain stable any more than the ‘literal’ definitions of words offered in a dictionary reflect anything more than current norms.10
이 노력에서 우리는 명확한 정의를 만들이 위해 계속 노력해야 한다. 그러나 동시에, 개념을 간단하게, 보편적으로, 안정적으로 정의하는 것은 복잡한 일이기 때문에, 이것에 마비되어 앞으로 나아가지 못해서도 안 된다. 셰익스피어의 견해에서, '우리가 장미를 다른 이름으로 부르더라도, 여전히 장미의 감미로운 냄새를 맡을 것입니다.' '장미'라는 이름이 수천 개의 다른 식물을 묘사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의 장미를 비료에 묻지 말고, 달콤한 장미 냄새가 계속 나도록하십시오. 그 중 일부는 꽤 가시가 있습니다.
In this effort we want to continue to strive for definitional clarity. At the same time, we cannot stall in our efforts to move forward by becoming paralysed by the complexities that make the more interesting concepts difficult to simply, universally or stably define. In Shakespeare’s view, ‘that which we call a rose by any other name would smell as sweet’. Let’s make sure our roses continue to smell sweet by not burying them in manure just because the name ‘rose’ describes thousands of different plants, some of which can be quite prickly.
15 Chiavroli N. Knowing how we know: an epistemological rationale for the medical humanities. Med Educ 2017;51 (1):13–21.
16 Paradis E, Sutkin G. Beyond a good story: from Hawthorne effect to reactivity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 Med Educ 2017;51 (1):31–9.
17 Gegenfurtner A, Kok E, van Geel K, de Bruin A, Jarodzka H, Szulewski A, van Merrie¨nboer JJG. The challenges of studying visual expertise in medical image diagnosis. Med Educ 2017;51 (1):97–104.
Med Educ. 2017 Jan;51(1):1-2. doi: 10.1111/medu.13233.
What's in a name? Definitional clarity and its unintended consequences.
Author information
- 1
-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 PMID:
- 27981659
- DOI:
- 10.1111/medu.13233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의학교육연구(Re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커스 그룹 이해하기 (Med Educ, 2005) (0) | 2017.11.23 |
---|---|
의학교육 연구에 델파이나 NGT와 같은 합의 그룹 방법 사용하기(AMEE Guide, 2017) (0) | 2017.09.21 |
질적인 질적 대화(Med Educ, 2017) (0) | 2017.08.21 |
질적 연구의 용도는 무어인가? (Med Educ, 2017) (0) | 2017.08.21 |
현상학적 연구에서 연구자의 위치성에 대한 협상 프레임워크(Med Teach, 2017) (0) | 2017.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