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적인 질적 대화(Med Educ, 2017)

The qualitative quality conversation

Renate Kahlke





질적 연구에서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토론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져왔다.

  • 질적 연구에서 어떤 종류의 진실성 주장을 할 수 있는가?

  • 질적 기준이 여러 질적 방법론 사이에 동일해야 하는가 아니면 각 방법론에 특화되어야 하는가?

Debates about how to measure ‘quality’ in qualitative research have been questions such as: What kind of truth claims can be made in qualitative research? Should quality criteria cross qualitative methodologies or be specific to each methodology?


이 질문들 중 어느 것도 깔끔하게 해결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논쟁이 지속되었다는 사실은 쉬운 해결책이 불가능할 수도 있음을 암시합니다. 어쩌면 논쟁 자체가 모든 것을 포괄하는 해결책을 만드는 것보다 더 중요 할 수 있습니다. 방법론적 문헌의 품질에 대한 사려 깊은 대화는 연구자에게 자원을 제공합니다.

None of these questions can be neatly resolved; The fact that these debates have persisted suggests that an easy resolution might not be possible (or even desirable). It is likely that the debates themselves are more important than the generation of an all-encompassing solution; thoughtful conversations about quality in the methodological literature provide a resource for researchers,


Varpio 등은 질적 및 구성주의적 접근법이 현재 널리 받아 들여지고 있으며, 어떤 용어들은 전략적으로 채택되었지만 무비판적으로 사용되고 있어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음을 지적한다. 충분한 양의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이 일어 났을 때를 기술하는 방식으로서의 포화, 데이터 소스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결과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방법으로서의 삼각 측량, 그리고 참여자 검증을 통한 결과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방법으로서 멤버 체킹 등이 있다.

Varpio et al.2 note that qualitative and constructivist approaches are now widely accepted, and that there is a need to rethink some of the terms that were strategically adopted but are now often uncritically applied, including: emergence as a way of describing the construction of themes, saturation as a way of describing when ‘enough’ data gathering and analysis have occurred, triangulation as a method of validating findings by comparing sources of data against each other, and member checking as a method of validating findings through participant verification.


저자가 주장 하듯이, 이러한 용어는 여전히 후기실증주의 가정에 의해 뒷받침된다. 즉, 이 용어를 사용할 때 연구자들은 종종 발굴 될 진리가 있음을 시사하며, 그 진리는 confirm 또는 disconfirm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As the authors2 argue, these terms are still underpinned by post-positivist assumptions; that is, the use of these terms often suggests that there is a truth to be unearthed and that this truth can be either confirmed or disconfirmed.


복잡한 문제에 대한 신속한 해결책을 찾으려고 하는 근본적인 압력이 있고, 그 결과 이러한 용어를 쉽게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이 가치가있다.

it is worth recognising that the underlying pressures that invite researchers to look for quick solutions to complex problems remain and are likely to lead to facile use of the terms discussed by Varpio et al.2


'포화'라는 용어의 사용 여부보다 샘플링, 데이터 분석 및 보고의 투명성이 더 중요합니다.

whether or not the term ‘saturation’ is used might matter less than the implications the term holds for sampling, data analysis, and transparency of reporting.



포화 상태를 달성한다는 것은 주어진 개념의 모든 가능한면을 찾는 것을 의미한다면, '포화'를 주장하는 것은 무모 한 것이다. 그렇다면, 포화가 여전히 정성적인 방법을 통해 종종 사용되고 있으며, 항상 사려 깊게 사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Morse3는 최근 이 용어의 계속 사용을 주장했습니다. 그녀는 이 용어(포화)를 사용할지 말지를 결정하는 것보다, 연구자들이 포화가 달성되었다는 것을 단순히 주장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입증해야함을 요구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Morse는 또한 포화가 강력한 이론 및 데이터 표현을 통해 증명 될 수 있음을 제안합니다 .3 근거이론 연구에서...

If achieving saturation means finding every possible facet of a given concept, it would be foolhardy to claimit. Then again, saturation is still often used across qualitative methods, and not always thoughtlessly. Morse3 has recently advocated the continued use of this term; her argument suggests that the use or replacement of this term is less important than the imperative that researchers actively demonstrate to what extent and how saturation was achieved, rather than simply claiming that it was. Morse further suggests that saturation can be demonstrated through a robust theorisation and presentation of data.3 In grounded theory studies: 


포화 상태의 연구는 자신감과 능력으로 일관되게 작성됩니다. 결과 이론은 각 개념과 관련 예제에 대한 포괄적 인 설명으로 완성됩니다. 이 이론은 추상적이며 문학과 관련되어있다. 결과는 새로운 사건에 일반화 될 수 있으며, 결과는 독자를 놀라게하고 기쁘게합니다 .3


‘Saturated research is written cohesively with confidence and competence. The resulting theory is complete with comprehensive descriptions for each concept and with pertinent examples. The theory is abstract and linked to the literature; the findings are generalisable to new incidents, and the findings surprise and delight the reader.’3



Malterud 등의 '정보 힘', Tracy의 '엄격한 엄격함', '해석 적 또는 이론적 충분 성'에 대한 다양한 접근법 (예 : 6-8)을 포함하여 채도에 대한 많은 대안이 제시되었습니다. 이들의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이 모든 접근법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있는 것은 샘플과 분석이 어떻게 주장을 보증하기에 충분한지 주의 깊게 설명해야 한다는 것이다. 포화라는 용어를 버리든 연구자가 취해진 방법 론적 태도에 더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다른 용어로 대체하든, 이러한 프레임워크는 '충분한' 데이터 수집 또는 분석이 발생했다는 결정에 대해서 생각해보고 토론하는 틀을 제공합니다 .

Many alternatives to saturation have been offered, including Malterud et al.’s ‘information power’,4 Tracy’s ‘rich rigor’,5 and various approaches to ‘interpretive or theoretical sufficiency’ (e.g.6–8). Despite their differences, what all of these approaches have in common is a concern for careful articulation of how samples and analyses are sufficient to warrant the claims made. Whether or not saturation is dispensed with and replaced with some other termthat the researcher deems more appropriate to the methodological stance taken, frameworks such as these offer a structure through which to think through and discuss the decision that ‘enough’ data collection or analysis has occurred.



공통된 용어와 인식론적 입장 사이의 모순은 더 큰 갈등의 표식이다. 이론적으로 연구자들이 가지고있는 신념과 그들이 (종종 무비판적으로) 채택하는 연구 관행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있다. 우리는 또한 가장 중요하고 반성적인 연구자조차도 그들이 자신의 연구의 rigor에 대해서 어떻게 '말해야 하는가'에 대한 disciplinary norm에 종속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것은 그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와는 다를 수 있다.

Contradictions between common terms and epistemological stances serve as markers of a larger conflict: there is often a disjuncture between the beliefs researchers hold in theory and the research practices they adopt (often uncritically). That said, we must also recognise that even the most critical and reflective researchers are subject to disciplinary norms that constrain how they talk about the rigor of their work, if not how they think about it.


편집자와 검토자의 의미와 무관하게, 단어 수와 방법 섹션의 구조와 길이에 관한 학술지의 규칙은 용어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어떻게 달성되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설명하지 않은 채로 포화 또는 삼각측량을 주장하는 현재의 관행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연구원은 종종 단어를 shave off하기위해 간략화된 설명을 강요 당한다. 특히 조사 결과를 발표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단어 수에 더 큰 영향을주는 질적 연구에서 그러하다.

Whether or not editors and reviewers enforce them, conventions around word count and the structure and length of methods sections are likely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current practice of claiming saturation or triangulation while offering little explanation of what these terms mean or how they are achieved. Researchers often feel compelled toward shorthand descriptions in order to ‘shave off’ words, particularly in qualitative work in which the presentation of findings generally takes a more significant toll on word count.



4 Malterud K, Siersma VD, Guassora AD. Sample size in qualitative interview studies: guided by information power. Qual Health Res 2015;26 (13):1753–1760.




 2017 Jan;51(1):5-7. doi: 10.1111/medu.13224.

The qualitative quality conversation.

Author information

1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PMID:
 
27981652
 
DOI:
 
10.1111/medu.132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