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적 연구의 용도는 무어인가? (Med Educ, 2017)
What use is qualitative research?
Tim Dornan1 & Martina Kelly2
"우리의 목표는 국제 audience과 관련이 있으며 clinical practice를 변경하고 의사가 더 나은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definitive (not exploratory)한 연구 질문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는 것입니다. 질적 연구는 대개 본질적으로 탐구 적이기 때문에 일반화가능한 답을 주지 않아 우선적으로 포함시킬 수 없다.1 '
‘Our aim is to publish studies with more definitive—not exploratory—research questions that are relevant to an international audience and that are most likely to change clinical practice and help doctors make better decisions. We do not prioritise qualitative research because qualitative studies are usually exploratory by their very nature and do not provide generalisable answers.1’
시니어 학자 76 명은 최근 BMJ에 질적 연구에 대해 더 호의적이기를 바라는 편지를 보냈다 .2 편집자들은 거부했다 .1 다른 주요 임상 저널도 질적 연구를 똑같이 unfavourably하게 여긴다 .2 그러나 현재의 'State of the Science' 이슈는, 의학교육이 확고하게 헌신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Seventy-six senior academics recently signed a letter asking the BMJ to look more favourably on qualitative research.2 The editors declined.1 Other major clinical journals view qualitative research equally unfavourably.2 This ‘State of the Science’ issue on methodology, however, shows that Medical Education is unwaveringly committed to it.3–6
BMJ이 입장을 밝힌 표현은 유익합니다. 학술지 편집자는 '연구가 ... 일반 임상 독자들에게 얼마나 흥미롭고, 얼마나 많이 추가되고, 얼마나 실용적인 가치가 있을지에 대해' 단호한 결정을 내려야합니다 .2 연구가 얼마나 '흥미로운지'를 특징짓는 것은 그 연구가 '결정적인', '일반화가능한', 'practice를 변화시키는', '더 나은 의사 결정을 돕는' 가에 달려있다. '효과적인' 의사는 명확하게 정의 된 대안 중에서 선택해야 하기에, 명확하고 수치적인 결과가 필요합니다. 그들이 필요한건 words가 아닙니다. 정치. 그러나 HL Mencken은 '모든 인간 문제에 대해서는 늘 잘 알려진 해결책이 있다. 그것은 바로 깔끔하고, 그럴듯하고, 그리고 잘못된 해결책이다.'고 말했다.
The wording of the BMJ’s stance is informative. Its editors have to ‘make hard decisions on just how interesting an article will be to ... general clinical readers, how much it adds, and how much practical value it will be’.2 Characterising ‘interesting articles’ as ‘definitive’, ‘generalisable’, able to ‘change practice’ and helping clinicians ‘make better decisions’ describes effectiveness research. ‘Effective’ practitioners choose between clearly defined alternatives. They need clear, numerical outcomes; not words. Appealing. But HL Mencken said ‘there is always a well-known solution to every human problem — neat, plausible, and wrong’.7
이번 호에 실린 다섯 개의 기사는 knowing and searching의 swampy ways를 설명합니다. 두 개의 논문에서는 브루너 (Brunner)가 제안한 패러다임적(paradigmatic) 일반적 (general) 서사적 (narrative), 특이적(particular) 지식의 구분을 활용했다.
복제 가능한 단계와 일반화가능한 발견을 다루는 과학은 패러다임적 지식을 만들어냅니다.
하나의 상황이나 경험이 다른 것과 다른 것을 만드는 특수성 (개인적 및 상황 적 요소)에 관심을 갖게 되면 서사적 지식을 생성하게 된다.
과학보다는 인문학이 특이적 지식을 제공합니다 .9
- 서사적 지식은 패러다임적 지식이 가질 수 없는 불확실성과 모호함을 의사가 처리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Five3–6,9 articles in this issue describe swampy ways of knowing and researching. Two4,9 cite Brunner’s distinction between paradigmatic, or general, and narrative, or particular, knowledge.
A science of replicable steps and generalisable findings generates paradigmatic knowledge.
- Paying attention to particularities (individual and contextual factors) that make one situation or experience different from another generates narrative knowledge.
Humanities rather than science cater for particularities.9
Narrative knowledge helps clinicians handle uncertainties and ambiguities that paradigmatic knowledge cannot.
이 연구들이 묵시적으로 말하는 것은, 깔끔한 기술적 해결책이 아니라 whole mess of humanity가 교육연구를 수행하는 합법적인 주제라는 것입니다. Mencken의 경구가 임상 연구뿐만 아니라 교육 연구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What these articles3–6,9 state implicitly is that the whole mess of humanity, and not just neat technical solutions, is a legitimate topic of education inquiry. Two5,9 even hint that Mencken’s aphorism is applicable to clinical as well as education research.
한 논문은 effectiveness에서 impact로 토론의 범위를 확대합니다. effectiveness 연구가 공평한 자원을 공정하게 사용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점을 인정하면서, 질적 연구의 impact는 원인과 결과 사이의 관계를 명확히함으로써 나온 것이라고 주장했다 .5 질적 연구는 '현장에서의 영향을 보여주는 미묘한 접근을 지지한다.'5 Regehr의 말에서 11 이것은 연구를 imperative of proof에서 imperative of understanding으로 향하게한다. 복잡성을 잘 나타낸다면 (예를 들어, 수술과에서 어떻게 여성보다 남성에게 힘을 실어주는지를 보여주는 것은) effectiveness를 증명하지는 못할지 몰라도, 그것은 광범위한 사회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One article5 broadens the discussion from effectiveness to impact. Having acknowledged that effectiveness research helps use scant resources fairly, it argues that the impact of qualitative research comes from clarifying10 relationships between cause and effect.5 It ‘advocates for a nuanced approach to demonstrating impact in the field’.5 In Regehr’s words,11 this re-orientates research from an imperative of proof towards an imperative of understanding. Representing complexity well by, for example, showing how the discipline of surgery empowers men over women12 may not prove effectiveness. But it could have far-reaching social impact.
방법론적으로 다음의 것들에 대해서 절충적인 입장을 취한다면 우리는 교육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문제 파악 및 골조;
솔루션 탐색; 과
사회적 방어 가능 가치와 효과성을 이유로 선택을 정당화
2017 State of the Science 문제의 정 성적 방법론은 조사 연구가 효과 연구가 장님 인 방법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We will have an impact on education if we are methodologically eclectic:
identifying and framing problems;
exploring solutions; and
justifying choices on grounds of socially defensible values as well as effectiveness.
The qualitative methodologies in Medical Education’s 2017 State of the Science issue show how exploratory research can have an impact to which effectiveness research is blind.
우리는 두 가지 일시적인 경향을 대조했다 : 의학교육의 진보적인 경향(절충적인 입장). 그리고 보수적인 입장(패러다임적 지식을 서사적 지식보다 우선하는 입장). 유토피아 사람들은 진보적인 경향을 따라 가면서 복잡성을 잘 표현할 것이다.
그들은 이 문제에 설명 된 친숙하지 않은 인식론에 호의적으로 반응하거나 심지어 받아 들일 것입니다.
그들은 창 발적 주제를 넘어서 질적 연구의 움직임을 축하 할 것입니다.
그들은 rigour의 arbiter로서 삼각 측량, 회원 확인 및 포화를 포기할 것입니다 .3
그들은 연구자들이 환자와의 조우를 공저하고, 이야기로 생각하고, 4 생각하고, 교육 문제에서 출발 할 때 '전문 용어'를 피할 것입니다 .5
그들은 담론 분석의 혼란스러운 세부사항bewildering niceties에 직면 할지라도 권력, 특권 및 기회에 관한 불편한 결론을 심각하게 취할 것입니다.
We have contrasted two temporal trends: Medical Education’s liberal one, which is eclectic; and a conservative one, which increasingly privileges paradigmatic over narrative knowledge. Utopians will ‘represent complexity well’11 by following the liberal trend.
They will respond sympathetically to, even embrace, unfamiliar epistemologies described in this issue.
They will celebrate the move of qualitative research beyond emergent themes.
They will abandon triangulation, member checking and saturation as arbiters of rigour.3
They will avoid the word ‘jargon’ when researchers coauthor biographical encounters with patients,4 think with stories,4 and depart from educational problematics.5
They will take uncomfortable conclusions about power, privilege and opportunity seriously, even when confronted with bewildering niceties of discourse analysis.6
9 Chiavaroli N. Knowing how we know: an epistemological rationale for the medical humanities. Med Educ 2017;51 (1):13–21.
What use is qualitative research?
Author information
- 1
- Belfast, UK.
- 2
- Calgary, Alberta, Canada.
- PMID:
- 27981661
- DOI:
- 10.1111/medu.13229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의학교육연구(Re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확한 정의와 의도하지 않은 결과(Med Educ, 2017) (0) | 2017.08.25 |
---|---|
질적인 질적 대화(Med Educ, 2017) (0) | 2017.08.21 |
현상학적 연구에서 연구자의 위치성에 대한 협상 프레임워크(Med Teach, 2017) (0) | 2017.08.18 |
코브라 효과: 주제 발현, 삼각측량, 포화, 멤버체킹에 대하여(Med Educ, 2017) (0) | 2017.08.18 |
논문 교정의 세 가지 S: 스토리, 스트럭쳐, 스타일(Perspect Med Educ, 2016) (0) | 2017.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