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학 신입생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BMJ, 2003)

Thoughts for new medical students at a new medical school

Richard Smith




올해 초 나는 새로운 의과대학인 헐 요크 의과대학에서 새로운 의과대학 학생들과 대화할 수 있는 특권을 누렸다. 뭐라고 말해야 할까요? 나는 거의 기절할 것 같았다. 비록 내가 한 말의 대부분이, 고맙게도, 또 다른 "꼰대"의 횡설수설처럼 잊혀지거나 무시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그것은 중요한 책임으로 보였다.

Earlier this year I had the privilege of speaking to new medical students at a new medical school—the Hull York Medical School. What should I say? I felt almost overawed. It seemed a major responsibility, although I knew that most of what I said would—thankfully—be for-gotten or ignored as the ramblings of yet another “old fart.”


상자 1: BMJ의 편집위원들로부터 젊은 의사들에게 조언

Box 1: Advice to young doctors from members of the BMJ ’s editorial board


• 불확실성에 대처하는 방법 학습

• Learn to cope with uncertainty


• 특히 일관성이 없거나 일관성이 없어 보이는 경우 배운 내용에 대해 도전하십시오.

• Challenge what you are taught, especially if it seems inconsistent or incoherent


• 겸손한 자세로 지식을 숙지하십시오.

• Regard your knowledge with humility


• 항상 자기 자신이 되십시오.

• Be yourself at all times


• 즐거운 시간 보내세요

• Enjoy yourself


• 의대를 시작할 때와 동일한 윤리 및 원칙을 가지고 의학을 실천하도록 노력하십시오.

• Try to practise medicine with the same ethics and principles you believed in when you started medical school


• 자신의 무지를 인정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라.

• Never be afraid to admit your ignorance


• 의학은 임상 작업일 뿐만 아니라 관계, 팀 작업, 시스템, 커뮤니케이션 기술, 연구, 출판 및 비판적 평가에도 관여한다.

• Medicine is not only clinical work but is also concerned with relationships, team work, systems, communication skills, research, publishing, and critical appraisal


• 환자들을 마치 사랑하는 친구나 가족처럼 보살피고 존중하는 마음으로 치료하십시오.

• Treat your patients with the same care and respect as if they were your loved friends or family


• 치료는 모든 사람이 기대하는 것이 아니다. 환자와 그 가족은 그저 도움을 구하고, 다정한 손길, 보살핌을 받는 영혼일 수 있다.

• Cure is not what everyone is expecting from you: you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may be just seeking support, a friendly hand, a caring soul


• 가족을 빼면, 의사와 환자 보다 밀접한 관계가 없다.

• Outside the family there are no closer ties than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 의학 저널 및 신문에서 읽은 내용을 믿지 말라

• Don’t believe what you read in medical journals and newspapers


• 학습 방법, 유용한 의료 정보를 얻는 방법 및 정보를 평가하는 방법을 아는 것을 목표로 한다.

• Aim at knowing how to learn, how to get useful medical information, and how to critically assess information


어떤 일이든 처음 10번(환자 프리젠테이션, 정맥 카테터 삽입, 열상자 봉합)은 어려울 것이므로, 가능한 한 빨리 첫 10번을 통과하십시오.

• The first 10 times you do anything—present a patient, put in an intravenous catheter, sew up a laceration—will be difficult, so get through the first 10 times as quickly as possible


• 적절할 때 "모른다"고 말하는 것을 두려워해서는 안 되지만, 또한 틀리는 것을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 Although you should not be afraid to say “I don’t know” when appropriate, also do not be afraid to be wrong


• 특별한 일을 하고 경험을 공유하기 때문에 해당 전문 분야를 추구할 의도가 없더라도 교육 중에 모든 회전을 관리하십시오.

• Cherish every rotation during your training, even if you do not intend to pursue that specialty, because you are getting to do things and share experiences that are special


• 피곤, 스트레스, 과로, 그리고 과소평가로 인해 나쁜 날을 보낼 때라도, 청진기의 차가운 끝에 있는 사람에게 상황이 훨씬 더 나쁘다는 것을 절대 잊지 말아야 한다. 네 하루는 형편없을지 몰라도, 췌장암은 아니지 않은가.

• When you have a bad day because you are tired, stressed, overworked, and underappreciated, never forget that things are much worse for the person on the cold end of the stethoscope. Your day may be lousy, but you don’t have pancreatic cancer


상자 2: 증거 기반 의학의 아버지 데이브 사켓의 충고

Box 2: Advice from Dave Sackett, the father of evidence based medicine


• 가장 강력한 치료 도구는 자신의 성격

• The most powerful therapeutic tool you’ll ever have is your own personality


• 의과대학에서 배우게 될 것의 절반은 졸업 후 5년 이내에 완전히 틀렸거나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나타날 것이다. 문제는 아무도 어느 반을 당신에게 말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가장 중요한 것은 스스로 배우는 방법이다.

• Half of what you’ll learn in medical school will be shown to be either dead wrong or out of date within five years of your graduation; the trouble is that nobody can tell you which half—so the most important thing to learn is how to learn on your own


• 당신의 선생님들도 (당신의 부모님처럼) 헛소리로 가득하다는 것을 기억하라.

• Remember that your teachers are as full of bullshit as your parents


• 상상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즐거움을 누리십시오.

• You are in for more fun than you can possibly imagine


"자신에게 진실하라"

“To thine own self be true”


아마도 영어권 젊은이들에게 가장 유명한 충고는 셰익스피어의 햄릿(3번 상자)에서 떠나는 아들 라에르테스에게 보내는 지겨운 늙은 바람개비 폴로니우스의 연설일 것이다. 그 연설에는 많은 훌륭한 조언이 담겨 있지만, 아마도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에게 진실하라"는 것이다. 모든 사람들, 특히 의대생들은 다른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압박감을 경험한다. 경쟁적인 의학계에서는 "최고"가 되려고 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산수만 해봐도 모든 사람이 최고가 될 수는 없다: 최고는 오직 한 명일 뿐이다.

Perhaps the most famous advice to young people in the English language is the speech of Polonius—a tiresome old windbag—to his departing son Laertes in Shakespeare’s Hamlet (box 3). The speech contains much excellent advice, but perhaps the quintessence is, “To thine own self be true.” Everybody—but perhaps especially medical students—experiences pressure to be somebody else. In the competitive world of medicine there is strong tendency to try to be “the best.” But the simplest mathematics shows that everybody cannot be the best: there is only one best.


의사가 빠져있는 저주 중 하나는 강한 고정관념이다. 의사들은 정직한 사람, 믿음직한 사람, 영리한 사람, 편협한 사람, 보수주의자, 권위주의자, 억제된 사람, 부자, 우파, 그리고 종종 dull하다고 여겨진다. 많은 의사들은 이러한 것들이 아니지만, 의대생으로서 여러분은 고정관념에 순응해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낄 수도 있다. 그러지 말라. 평생 네가 아닌 다른 사람이 되려고 노력하면 널 파괴할 것이다.

One of the curses of doctors is that they have such strong stereotypes. Doctors are upstanding, trust-worthy, clever, straitlaced, conservative, authoritarian, inhibited, wealthy, right wing, and—often—dull. Many doctors are none of these things, but as a medical student you may feel a pressure to conform to the stereotype. Don’t. A lifetime spent trying to be something you are not will destroy you.


나는 이것을 의사와 환자 사이의 "가짜 계약"이라고 부른다. 나는 이것이 의사들의 불행과 환자들의 유아화infantilization의 원인이라고 믿는다.1 나는 "인생은 고달프다, 그러나 우리는 해결책이 거의 없다"라는 스토익 철학을 선호한다.

I’ve called this the “bogus contract”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and I believe that it’s a cause of the unhappiness of doctors and the infantilisation of patients.1 I favour a stoical philosophy of “life is tough, we have few if any solutions”


상자 3: 폴로니우스로부터 아들 라에르테스에게 충고

Box 3: Advice from Polonius to his son Laertes


모든 사람에게 귀를 기울이되, 목소리는 적게 하라.

Give every man thy ear, but few thy voice;


각 사람의 비난을 받되, 판단을 유보하라.

Take each man’s censure, but reserve thy judgement.


당신의 손가방이 살 수 있는 만큼 당신의 습관도 값싸지만,

Costly thy habit as thy purse can buy,


그러나 화려함을 표현하지 않고, 부유하고, 야비하지 않으며,

But not express’d in fancy; rich, not gaudy;


의복을 입으면, 그 남자가 선언할 것이다.

For the apparel oft proclaims the man,


그리고 그들은 최고의 계급과 지위를 가진 프랑스에 있다.

And they in France of the best rank and station


그 점에서 가장 선택적이고 관대한 추장이다.

Are of a most select and generous chief in that.


차용자 또는 차용자 중 어느 것도 허용되지 않는다.

Neither a borrower nor a lender be;


대출은 자신과 친구를 모두 잃는다.

For loan oft loses both itself and friend,


그리고 빌리는 것은 남편감을 무디게 한다.

And borrowing dulls the edge of husbandry.


무엇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자기 자신에게 진질한 것이다.

This above all: to thine own self be true,


그리고 반드시 뒤따라야 해, 그날 밤처럼

And it must follow, as the night the day,


그러면 너는 어떤 사람에게도 거짓이 될 수 없다.

Thou canst not then be false to any man.


가장 중요한 세 단어

The three most important words


공중 보건 의사인 데이비드 펜천은 새로운 의대생들과 게임을 한다. 그는 학생들에게 점점 어려워지는 문제에 대해 질문한다. 결국, 시간이 지나면, 한 학생이 이렇게 말할 것이다.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그런 다음 펜천은 학생들에게 지혜의 상자를 주며 학생들에게 이 단어들이 의학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세 단어라고 말한다.

David Pencheon, a public health doctor, plays a game with new medical students. He asks them questions of increasing difficulty. Eventually—and it may take a while—a student will say: “I don’t know.” Pencheon then gives the student a box of Smarties and tells the students that these are the three most important words in medical education.


T S 엘리엇도 똑같이 생각하여 모르는 것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무지의 길'을 가야 한다고 했다. 무지함은 행복하지 않을지 모르지만, 모든 학문의 시작이다.

T S Eliot thought the same, saying that in order to arrive at what you do not know, you must go by a way which is the “way of ignorance.” Ignorance may not be bliss, but it is the beginning of all learning.


옛날에는, 무엇을 알아야 하는지를 아는 것이 배움이었다. 그러나 이제 배움이란 것은 무엇을 모르는지를 아는 것이다. 그리고 모른다는 것에 대해 기분나쁘게 느끼지 않으며, 어떻게 알아내는지를 아는 것이다. 불확실성은 한때 사람을 기죽게 했고, 무지는 피하고 싶은 것이었지만, 이제, 불확실성은 정당한 것이고 의심은 장려된다.

The old way of learning, says Pencheon, was knowing what you should know. Now the way of learning is knowing what you don’t know, not feeling bad about it, and knowing how to find out. Uncertainty was discouraged and ignorance avoided. Now, uncertainty is legitimised and questioning encouraged.


"어리석은 질문은 없다."

“there is no question too stupid to ask.”


나는 또 다른 공중 보건 의사인 내 친구 뮤어 그레이로부터 "매 주 한 번씩 자신이 하는 일을 의심하지 않는다면 아마도 잘못된 일을 하고 있는 것이다."라고 배웠다.

I also learnt from my friend Muir Gray, another public health doctor, that “If you don’t doubt what you are doing once a week you’re probably doing the wrong thing.”


의사들도 자신의 무지를 환자와 공유해야 하지 않을까? 나는 의사는 그렇게 해야 한다고 믿는다. 환자와 불확실성을 공유하는 것이 잘못되고 자만하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그렇게 하지 않은 결과는 그릇된 확신이다. 그리고 그릇된 확신은 다른 말로 "거짓말"이다.

And shouldn’t doctors also share their ignorance with patients? As somebody who now is more an informed patient than a proper doctor, I believe they should. It may seem wrong and conceited to share uncertainty with patients, but the alternative is not knowledge but false certainty. And another word for false certainty may be “lie.”


Box 4: Rudyard Kipling's If의 조언

Box 4: Advice from Rudyard Kipling’s If


당신이 꿈을 꿀 수 있고 꿈을 주인으로 만들지 않는다면,

If you can dream—and not make dreams your master,


생각을 할 수 있고, 생각을 목표로 삼지 않는다면,

If you can think—and not make thoughts your aim;


Triumph and Disaster를 만날 수 있다면

If you can meet with Triumph and Disaster


그리고 그 두 사기꾼을 똑같이 대하라.

And treat those two impostors just the same


상자 5: 죽음에 가까운 랄프 투쳇이 헨리 제임스의 여신의 초상화에서 이사벨 아처에게 충고한다.

Box 5: Ralph Touchett, who is close to death, advises Isabel Archer in Henry James’s Portrait of a Lady


일을 좀 더 쉽게 처리해라. 이것인지 저것인지 자신에게 너무 많이 묻지 마라. 네 양심에 대해 그렇게 따지지 마. 그건 음치에서 벗어날 거야, 마치 현란한 피아노처럼. 좋은 기회를 위해 보관해 두어라. 네 성격을 형성하려고 그렇게 많이 노력하지 마. 그건 마치 장미꽃 봉오리를 뜯으려는 것 같아. 네가 가장 좋아하는 대로 살아라, 그러면 너의 성격은 저절로 형성될 것이다. 대부분의 일은 너에게 좋다. 예외는 매우 드물다. 날개를 펴라. 땅 위로 솟아라. 그렇게 하는 것은 결코 잘못된 것이 아니다.

Take things more easily. Don’t ask yourself so much whether this or that is good for you. Don’t question your conscience so much—it will get out of tune, like a strummed piano. Keep it for great occasions. Don’t try so much to form your character—it’s like trying to pull open a rosebud. Live as you like best, and your character will form itself. Most things are good for you; the exceptions are very rare. Spread your wings; rise above the ground. It’s never wrong to do that.


세상은 바뀔 것이지만 어떤 것들은 변하지 않을 것이다.

The world will change but some things must not change


전 왕립의학대학 총장인 턴버그 경은 몇 년 전 다음과 같이 예측했다: "의료는 지난 2000년 보다 앞으로 20년 안에 더 많이 변할 것이다."

Lord Turnberg, a former president of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predicted some years back: “Medicine will change more in the next 20 years than it has in the past 2000.”


요점은 의대생들은 지금과는 완전히 다른 세계에서 의료를 하겠지만, 그 세계가 어떻게 보일지 지금으로서는 알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학생들은 변화할 의지가 있어야 하겠지만, 의학이 의미를 가지려면, 분명한 가치와 배움에 대한 열정과 같은 어떤 것들은 지켜져야만 한다.

The point is that medical students are likely to find themselves practising in worlds very different from now, but it’s hard to see what that world will look like. Students must thus be willing to adapt, but some things—like a clear set of values and an enthusiasm for learning—must be kept if medicine is to mean anything (box 6).


상자 6: 세상이 변함에 따라, 무엇이 지속되어야 하는가?

Box 6: As the world changes, what should persist?


• 명확한 윤리적 가치

• Clear ethical values


• 조직의 목적을 명확히 함

• Being clear about the purpose of your organisation


• 환자 우선

• Putting patients first


• 지속적으로 개선 노력

• Constantly trying to improve


• 증거에 기반한 작업

• Basing what we do on evidence


• 리더십

• Leadership


• 교육 및 학습

• Education and learning


환자를 우선 배치하고, 환자의 말을 듣고, 파트너로서 함께 일하라.

Put patients first, listen to them, and work with them as partners


모든 의사들과 의료시스템은 환자들을 우선시한다고 주장하지만, 근거에 따르면 환자들은 종종 그렇게 느끼지 않는다. 환자들은 자신이 사람보다는 사례처럼 대접받는다고 느끼며, 환자에게 중요한 것은 의사들이 중요시하는 것과는 종종 다르다.

All doctors and health systems purport to put patients first, but ample evidence shows that it often doesn’t feel that way to patients. They regularly feel like cases rather than people, and what is important to patients is often different from what is important to doctors.


BMJ의 환자 편집장이자 파킨슨병협회의 전 대표인 메리 베이커는 이렇게 말한다. "의사가 파킨슨병에 대해 관심을 갖는 것은 대부분 목 위에 있는 것으로, SN와 관련이 있다. 그런데 환자들이 관심을 갖는 것은 대부분 허리 아래에 있다: 내가 내 바지를 입을 수 있을까? 내 소변은 괜찮을까?" 이러한 시각의 차이를 가질 것으로 기대되곤 하지만, 최고의 의사란 환자가 보는 대로 세상을 볼 수 있는 사람들이다.

Mary Baker, the patient editor of the BMJ and former chief executive of the Parkinson’s Disease Association, puts it like this: “For doctors Parkinson’s disease is mostly above the neck, something to do with the substantia nigra. For patients it’s mostly below the waist: Can I get my knickers on? Will I be continent?” This difference of view is to be expected, but the best doctors are those who can begin to see the world as the patient sees it.


그러한 상태는 주로 능동적인 청취에 의해 달성된다. 그것은 "환자에게 귀 기울이면 진단은 저절로 따라올 것이다"이라는 의학의 격언이 있다. 그러나 그 격언은 종종 무시된다. 비슷하게, 임상적 의사결정은 환자를 위해서가 아니라 환자와 함께 내려져야 한다. 그러나 다시 말하지만 이것은 대부분의 나라에서 일상적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Such a state is achieved mostly by active listening. It’s one of the maxims of medicine that “listen to the patient and he or she will tell you the diagnosis.” But the maxim is often ignored. Similarly the fashion is to take decisions with the patient, not for the patient, but again this is not the reality of everyday practice in most countries.



무결성이 목적지가 아닌 상태state임을 인식

Recognise that integrity is a destination not a state


나는 integrity란 사람이 가지고 있는 것이며 부정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 한 계속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제 나는 매일 우리에게 우리의 진실성을 감소시키는 행동을 취하는 것이 가장 쉬운 선택들이 제시된다는 것을 인식한다.

I thought that integrity was something you had and continued to have unless you took a dishonest step. Now I recognise that every day we are presented with choices where it may be easiest to take an action that diminishes our integrity.


내 메시지는 청렴성이 항상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아마도 그렇게 해야 할 것임에도 불구하고)이고, 우리가 정직해지기 위해 끊임없이 투쟁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다.

My message is less that integrity must always come first (although perhaps it should) and more that we should recognise our need to struggle constantly to be honest.


마지막 생각: 기도와 배움의 중요성에 대한 말

Final thoughts: a prayer and a word on the importance of learning


나의 마지막 충고는 지혜를 쫓는 것뿐만 아니라 궁극적인 결실이 될지도 모르기 때문에 배움의 가치를 결코 잊지 말라는 것이다. 작가 T H 화이트는 7번 박스에서 아름답게 표현하고 있으며, 나는 그의 말을 반복하는 것에 대해 사과하지 않는다: "배움은 마음이 결코 지칠 수 없고, 결코 소외되지 않으며, 결코 고문을 당하지 않으며, 두려움이나 불신도 하지 않으며, 후회할 꿈도 꾸지 않는 유일한 것이다."

My final advice is never to forget the value of learning not only for chasing after wisdom but also because it may be the ultimate balm. The author T H White expresses it beautifully in box 7, and I make no apologies for repeating his words: learning “is the only thing which the mind can never exhaust, never alienate, never be tortured by, never fear or distrust, and never dream of regretting.”


Box 7: The Once and Future King에서 T H White로부터 배움의 중요성에 대한 조언

Box 7: Advice on the importance of learning from T H White in The Once and Future King


슬퍼할 때 가장 좋은 것은 무언가를 배우는 것이다. 그것은 결코 실패하지 않는 유일한 것이다. 해부학을 앞에 두고 늙어 떨고 있을 수도 있고, 밤에 깨어 정맥의 무질서를 들으며 누워 있을 수도 있고, 유일한 사랑을 그리워할 수도 있고, 사악한 미치광이들에 의해 폐허가 된 당신에 대한 세계를 볼 수도 있고, 또는 당신의 명예가 바이어 정신의 하수구에 짓밟힌 것을 알 수도 있다. 그때 그것을 위한 것은 단 한 가지다. 배우는 것이다. 세상이 왜 꾸물거리는지, 또 어떤 게 그걸 꺼리는지 알아보세요. (배ㅜㅁ이란) 마음이 결코 지칠 수 없고, 결코 소외될 수 없으며, 결코 고문을 당하지 않으며, 두려움이나 불신하지 않으며, 후회할 생각은 꿈도 꾸지 못하는 유일한 것이다.

The best thing for being sad is to learn something. That is the only thing that never fails. You may grow old and trembling in your anatomies, you may lie awake at night listening to the disorder of your veins, you may miss your only love, you may see the world about you devastated by evil lunatics, or know your honour trampled in the sewers of baser minds. There is only one thing for it then—to learn. Learn why the world wags and what wags it. This is the only thing which the mind can never exhaust, never alienate, never be tortured by, never fear or distrust, and never dream of regretting.





 2003 Dec 20;327(7429):1430-3.

Thoughts for new medical students at a new medical school.

Author information

1
BMJ, London WC1H 9JR. rsmith@bmj.com
PMID:
 
14684637
 
PMCID:
 
PMC300793
 
DOI:
 
10.1136/bmj.327.7429.1430


한국의 의예과 교육: 무엇이 문제이고 무엇이 해법인가? (KMER, 2017)

예병일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의학교육학과





서 론 


2001년 6월 대한민국 교육인적자원부에서 의학전문대학원 추진 위원회가 발족되기 전까지 대한민국 의과대학은 의예과 2년, 의학과 4년, 합계 6년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었다. 1990년대부터 의학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주장을 하시는 분들이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정부에서도 이를 공론화하기 시작하더니 2005년부터 의학전문대학원 제도가 시행되기 시작했다. 2006년에는 교육인적자원부에 의해 ‘의치의학전문대학원체제 정착 추진계획’이 발표되었고, 2008년에 는 교육인적자원부에서 ‘의료인력 양성체제 비교평가 및 전문대학원체제 발전방안 연구’라는 연구과제가 수행되면서 의학전문대학원 체제를 도입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준비가 진행되었다[1]. 이 과정에서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을 비교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고, 의예과를 없애야 운영이 가능한 의학전문대학원으로의 전환을 검토한 것이 역설적으로 우리나라에 의학교육이 도입된 후 처음으로 의예과 교육이 공론의 장에 들어서는 계기가 되었다. 


일본의 식민통치 후 미군정체제에 들어서면서 사회 전반에 걸쳐 미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본문에서 기술할 우리나라의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의학교육체제는 미국의 4+4와 전혀 다른 일본식 6년제 의학교육과정을 도입했다. 초기에는 각 학교에서 자체적으로 의학교육과정을 운영했으나 1970년대 이후 의학교육에 관심을 가진 분들이 생겨나기 시작하면서 의학교육에 대한 공론의 장이 마련 되었고, 1983년 5월에 한국의학교육학회가 발족하였다. 그러나 의예과 교육에 대한 논의는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1997년부터 시작된 의학교육평가인증에서도 지금까지 의예과에 대한 내용은 다루지 않고 있다. 


의과대학을 유지할 것인가, 정부방침에 의해 의학전문대학원으 로 전환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진 2000년대에 의과대학생이 아닌 의학전문대학원생에게 어떤 방식으로 이전의 본과 4년과 다른, 차별화된 교육을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과 토론은 활발하게 이루어졌지만 전체든 일부든 의과대학 신입생을 선발하는 학교에서 의예과 교육에 관심을 가진 학교는 거의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 었다. 실제로 지난 15년간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과 “의학교육논단”에 게재된 논문 중 의예과 학생만을 대상으로 한 경우는 교육과정을 개편하면서 새로 개설된 과목에 대한 소개와 평가를 한 논문을 포함해도 10건이 채 안 될 정도다. 약 10년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의학전문대학원을 포기하고 의과대학으로 돌아 가는 학교가 많아지면서 과거에 이과대학이나 자연대학에 맡겨 놓은 의예과 교육과정을 의과대학이 직접 운영하는 사례가 늘면서 의예과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된 것은 다행이라 할 수 있다. 


2015년에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에 교육문화원이 설립된 후 매년 의예과에 대한 워크숍을 진행해 오고 있는 것이 우리나라에서 의예과에 대한 공론의 장이 마련된 최초의 예라 할 수 있다. 워크숍 계획이 발표되고 신청을 받을 때마다 조기에 마감되는 상황은 그동안 무관심했던 의예과 교육에 관심을 가진 이들이 많아졌음을 반영한 것이라 생각된다. 많은 학교들이 과거에 타 단과 대학에 맡겨 놓았던 의예과 교육을 의과대학에서 직접 운영하기로 하면서 어떻게 하면 의예과 2년을 알차게 보내게 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을 풀기 위해 머리를 맞대는 자리에 참여하는 현상이 일어 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1940년대에 전국적으로 6년제 의학교육과정이 도입된 후 의학 전공교육에는 나름대로 관심을 쏟았지만 오랜 기간 의예과 교육에 덜 관심을 가지는 동안 어떤 문제가 발생했으며, 이 문제들을 어떻게 풀어야 할 것인지에 대해 필자의 의견을 소개하 고자 한다. 


한국에서 의예과 교육과정의 탄생 


  • 1847년에 미국 의학의사협회(American Medical Association) 는 의학교육위원회(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를 설치했다. 이것이 미국에서 의학교육에 관심을 가진 이들의 모임이 처음 형성된 것이다. 

  • 1876년에는 22개 의학교육기관을 대표하는 이들이 모여 미국의사협회 산하의 연합체를 구성한 것이 미국 의학교육연합회(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의 효시다[2]. 

  • 1880 년대에 의사면허제도가 시행되기 시작하면서 의학교육과정에 변화가 필요했고, 

  • 1904년부터 의학교육위원회가 의학교육과정 표준화 를 위한 활동을 시작했다. 이 때부터 의과대학에 입학하기 위한 자격요건이 명시되기 시작했고, 필기와 구두시험도 시작되었다. 


19세기 말의 병원에서는 의과대학생을 가르치는 임상교육의 중요성을 알고 있었지만 병원이라 해도 환자를 제대로 고칠 수 있는 병이 많지 않았으므로 병원의 입원실보다는 진료실이 의학교육에 더 적합했다. 미국의 의과대학생들은 역량을 키우기 위해 유럽으로 가서 단기 의학교육을 받는 일이 잦았다[3]. 1910년에 플렉스너 (Abraham Flexner)가 의학교육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의학 교육에도 혁신이 일어났다. 플렉스너는 1889년에 미국 최초로 4년 제 의학교육과정을 개설한 존스홉킨스 의과대학을 참고로 하여 2년 간의 기초의학과 2년간의 임상의학교육으로 이루어진 4년제 의학교 육과정을 제안하였다[4,5]. 이 교육과정은 임상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기초의학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한 점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19세기 말에 독일의 베를린과 괴팅겐 의과대학에서 실험을 중시하는 교육이 이루어진 것이 미국의 존스홉킨스 의과대학과 플렉스너 의 보고서를 통한 의학교육과정의 변화를 일으키는 자극제가 되었다 [6,7]. 독일 이민자의 아들인 플렉스너는 미국보다 엄격한 유럽의 의학교육을 따라잡기 위해서는 미국 의학교육에 혁신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플렉스너는 4년제 의학교육과정이 이상적이라 제안했고, 의학을 공부하려면 고등학교 졸업 후 최소 2년간 대학에서 기초과학 을 공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주장이 받아들여져 미국에서 의학 교육이 4년 과정으로 체계를 잡아가면서 입학조건이 강화되기 시작 했다. 나라와 학교마다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미국에서는 대학의 학부에서 적어도 2년간 생물, 화학, 물리학 등의 교육을 받은 후 시험을 거쳐 의과대학에 들어오게 되었고, 1920년이 되자 미국에서는 92%의 의과대학이 이에 합당한 지원자를 선발했다[8]. 이후로 미국에서는 의과대학 입학요건을 더 강화하기 시작한 것이 오늘날 4년제 학위과정을 마치고, 의학공부를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고, 유럽에서는 6년제 의학교육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1945년 11월 군정청 학무국 산하 위원회로 조직 된 조선교육심의회(The National Committee on Educational Planning)가 학무국에 건의하여 도입한 미국식 신학제가 1946년 9월 1일 시작되었으나 유독 의과대학은 미국과 다르게 4년제가 아닌 6년제를 도입하였다[9]. 해방 이전에 경성제국대학 의학부는 예과 2년을 포함한 6년의 의학교육과정을 운영하다가 1934년부터는 예과 3년을 포함한 7년제 교육과정을 운영했고, 나머지 의학교육기관 은 이름이 의학전문학교였으므로 4년의 교육과정을 운영했다. 


해방 이후 의과대학이 6년제로 결정된 이유로는 

  • 첫째, 식민지시기와 마찬 가지로 중등교육이 제대로 자리 잡지 못하였고 대학 진학자도 극소수인 상황에서 의학교육분과위원회 위원들이 의과대학 진학자에게 미국과 같이 타 대학 수료 또는 학사 학위를 입학조건으로 내세워 제도화할 수는 없었을 것, 

  • 둘째, 위원들이 낯선 미국식 의과대학 모델보다는 자신들에게 친숙했던 일본식 제국대학 모델을 선호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9].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겠다는 계획 없이 교육과정을 만들어 놓 고, 의학교육 4년은 이미 해방 전에 하고 있던 교육을 중심으로 하기 시작했지만 의예과 교육은 방치해 놓다시피 반세기 이상을 흘려보낸 것이 대한민국 의학교육에서 의예과를 대하는 태도였다. 



의과대학의 단점이 의예과 교육의 부실이라고? 


의학전문대학원으로 유도하려는 교육과학기술부의 정책에 의해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 중 하나를 선택해야만 했던 2010년경 우리나라 각 의과대학에서는 이 제도를 어떻게 받아들이는 것이 좋을지에 대해 고민에 고민을 거듭하고 있었다. 각종 공식․ 비공식 보고서가 정부 부서는 물론 각 대학별로 준비되었고, 이에 따른 매스컴의 보도내용도 많았다. 신기한 것은 의과대학을 선택할 때의 단점으로 “의예과 교육의 부실”을 거론했다는 점이다[10]. 이에 대 해 필자는 아래와 같은 글을 쓴 바 있다[11].


의과대학에서 의사를 양성할 때의 단점 중 하나는 의예과 교육 이 부실하다는 점이다. 이것은 교육과학기술부 발표자료, 각 대학에서 여론수렴을 위해 마련한 자료, 2009년부터 시행된 교육과학기술부 용역사업결과 보고서 등에 공통적으로 제시되 어 있다. 지금까지 의예과 교육을 제대로 하지도 못한 상태에서 이제부터 의과대학이라는 교육기관을 선택한다면 전과 달리 의예과 교육을 아주 훌륭하게 운영하겠다는 내용과 의지를 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의학전문대학원이 아닌 의과대학을 선택한 학교에서 논의되고 있는 내용을 보자면 극소수의 학교 를 제외하고는 의예과 교육에 대하여 지극히 적은 관심조차도 내보이지 않고 있다. 그런데도 의과대학제도를 선택하여 2년간의 의예과 과정을 운영하겠다는 것은 의예과 학생들이 보기에 는 “전혀 이해가 가지 않는 명목으로 2년이라는 쓸데없이 기간 을 만들어서 학교에 등록금이나 더 받겠다는 심보”로밖에 보이 지 않을 것이다. (…) 2년의 부실한 의예과 과정을 계속 운영하 겠다는 것도 웃기는 일이지만 의학전문대학원 제도의 경우에 “학부교육 부실”이라는 말이 나오지 않는 것도 참으로 웃기는 일이다. 필자가 여러 학교의 의예과 과정에 대한 시간표를 받아 서 비교해 본 의예과 2년 과정은 최소한 일반학과 4년 과정의 반보다는 충실하게 운영되고 있다. 


의학전문대학원 제도의 도입과 함께 각종 보고서에 난무하다시피 등장한 “의예과 교육의 부실”이라는 표현은 전혀 근거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부실”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없기 때문이다. 그때나 지금이나 한국의학교육평가원과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어느 곳에서도 의예과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렇다 보니 수년 전까지도 의예과 교육의 부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어떤 측정도구도 마련되지 않고 있었다. 그런데도 수많은 의과대학 교수들이 “의예과 교육의 부실”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거나 이의를 제기하지 못한 것은 학생들의 모습을 지켜보노라면 인생에서 소중하기 이를 데 없는 청춘을 그냥 허비하는 것처럼 시간을 흘려보 내는 게 안타까워서일 수도 있고, 자신이 의예과 교육에 신경을 쓰지 못하고 있는 걸 미안하게 생각하여 부실하다고 여길 수도 있을 것이다. 진짜로 부실하다면 이유가 분명히 있어야 하고, 그 이유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함으로써 부실을 면할 수 있겠지만 아예 관심 자체가 없었으므로 부실에서 벗어날 대책도 방법도 모르는 채 시간 을 보내온 것이 비교적 최근까지의 현실이다. 


다행히 수년 전부터 의학전문대학원을 포기하고 의과대학으로 돌아가는 학교가 많아지면서 의예과 교육을 의과대학에서 직접 맡기로 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경험이 없는 상태에서 새로 2년의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이 쉽지는 않지만 이미 갖추어져 있는 것을 바꾸기보다는 새로 도입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쉬우므로 판을 새로 짜서 각 학교마다 고유의 교육과정을 만들어가는 것은 의예과 교육 을 알차게 구성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최근에는 학교와 학생이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의예과 교육과정을 구성하기 위해 교수들이 아이디어를 짜내기 위한 공부를 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한 예로 2015년에 한국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협 회 산하로 설립된 교육문화원에서는 지금까지 3회에 걸쳐 매년 “의예과 교육 재설계 워크숍”을 진행해 오고 있다. 매년 수용 불가능할 정도로 신청자가 쇄도하고 있는 걸 보면 의예과 교육에 관심을 가지 신 분들이 크게 늘어나고 있고, 각 학교가 의예과 교육의 내실을 다지는 일에 전과는 확연히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음을 짐작게 한다. 


대한민국 의학교육과정에서 반세기 이상 무관심의 대상이었던 의예과는 의학전문대학원제도가 도입되고 사라져가는 과정에서 큰 관심의 대상으로 떠올라 이제야 의학교육과정에서 명실상부한 한 축으로 등장할 준비를 해 가고 있는 중이다. 



의예과의 존재 이유 


의예과가 존재하는 이유는 수업연한을 제시한 고등교육법 시행 령 제25조에서 “대학(대학원대학을 제외한다)의 수업연한을 6년으 로 하는 경우는 의과대학․한의과대학․치과대학 및 수의과대학으로 한다. 이 경우 그 교육과정은 예과를 각각 2년으로, 의학과․한의학과 ․ 치의학과 및 수의학과를 각각 4년으로 한다”라고 정립되어 있기 때문이다. 지금은 거의 모든 의과대학이 의예과 교육에 관심을 쏟기 시작하는 추세에 있지만 법적으로 의예과 2년을 마쳐야 의학 공부를 시작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예과 2년의 교육과정을 어떻게 구성 할 것인지에 대한 교육철학이 부재하다 보니 구성원들이 서로 다른 다양한 생각을 가지곤 했다. Appendix 1에 그 내용을 일부 제시하였 다[12]. 



의학을 공부하겠다고 대학에 입학한 의예과 학생들에게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 것인지를 명확히 하지 못한 상태에서 의과대학과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타 단과대학에서 의예과 학생들을 2년간 교육하는 일이 수십 년간 관례처럼 굳어오다 보니 왜 공부를 해야하는지 확실치 않은 내용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있어서 의예과 수업시간은 계륵이었고, 대학에서는 확실한 교육목표 없이 대충 시간을 메꾸는 시기였을 뿐이다. 해방 직후 도입한 의사 양성을 위한 학제로 6년제를 선택했기 때문에 교양과정이라는 이름의 의예과 2년이 존재할 뿐, 어떤 교양을 어떻게 공부하게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하지 않는 상태로 오랜 세월을 흘려보낸 것이 Appendix 1과 같이 각 구성원 간 또는 한 구성원 내에서도 서로 다른 여러 가지 견해를 가지게 된 이유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의예과 시절을 편하게 보내는 것을 두고 “논다” 또는 “놀아도 된다”라는 표현을 흔히 사용하곤 한다. “의예과가 놀아도 되는 시기 인가?”라는 질문을 받는다면 화자에 따라서 긍정과 부정의 답이 나뉘어질 것이다. 의학교육 전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이런 표현을 접한다면 “인생에서 가장 활발히 세상을 접하고 모든 일에 의욕이 충만한 시기에 2년을 허비하는 게 말이 되는 이야기인가?”라는 의문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논다”는 말의 의미 를 다시 생각해 보아야 한다. 이 용어에는 “학과 수업 이외에 다양한 활동을 하고 그동안 대학입시로 인해 경험해 보지 못한 사회의 여러 측면을 경험한다”는 의미와 “뭘 하는지 모르는 상태로 시간만 흘려 보내고 있다”는 뜻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누구나 동의하겠지만 뭘 하는지 모르는 상태로 시간만 흘려보내고 있다면 의예과는 교육과정 에서 없애버리는 것이 합당할 것이며, 학과 수업 이외에 다양한 활동을 하고, 그동안 대학입시로 인해 경험해 보지 못한 사회의 여러 측면을 경험한다면 의예과 시절을 보람있게 보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논다”는 말에는 적어도 두 가지 상반된 뜻이 있으므로 바람직한 은유의 뜻을 생각하지 않으면 의예과의 존재이유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의미로 같은 용어를 사용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의예과 학생들의 특징 


1997년 말 전 세계적으로 금융계가 불안정해지면서 여러 나라에 금융위기가 찾아왔고, 우리나라도 그 소용돌이에 휩싸이게 되었다. 급기야 국제금융기금(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으로부 터 외환을 빌려야 했고, 그 대신 IMF의 정책을 받아들이느라 금융위 기를 벗어나기까지 수많은 직장인들이 직장을 잃어야 했다. 강산이 두 번 변할 세월이 흘렀지만 그때의 경험 때문인지 의사와 공무원의 인기는 전보다 높은 상태가 지속되고 있고, 의예과에 입학한다는 것은 10대 시절에 남들보다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음을 의미하게 되었다. 10대 시절에 각종 모든 걸 참아 가며 “공부”라고 하는 경쟁의 틈바구니에서 혁혁한 성공을 거둔 후에 얻은 것이 “의예과 입학”이 라는 선물로 찾아온 것이다. 필자가 근무하는 학교에서 2016년 입학 생 약 1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부모 또는 주변 어른들의 권유에 의해 의예과로 진학한 학생이 처음으로 50%를 넘어섰다. 의사가 되기 위해 의예과로 들어온 것이 아니라 부모 또는 주변 어른들이 하라는 대로 따라 한 것이다. 인생에서 뭘 하고 싶은지를 생각해 보지 않은 채 공부만 해 온 것이 이런 결과를 가져온 듯하다. 


의예과 1학년 학생들은 착하고, 긍정적이고, 적극적이고, 호불호 가 분명한 편이다. 하지만 학생들 간의 편차가 큰 편이다. 잘해야 한다는 생각은 있으나 실천이 어려운 학생, 의기소침한 학생, 수업시 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학생 등이 함께 존재한다. 자기관리 의 측면에서 보면 의과대학 합격이라는 목표를 달성한 후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지 못하고 방황하는 경우,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고 싶어하지 않고 현재의 자유로움을 만끽하는 경우,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고 새로운 도전을 하는 경우 등이 있고, 자기관리에 대한 인지도가 학교나 교수의 기대치에 못 미치는 편이다. 기본적인 교양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매너가 부족하여 기본 생활지도가 필요하며, 경험과 체험에 적극적이고, 타인의 개성이나 다양성을 존중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13]. 


의예과 학생들은 자신들의 실력이 대단한 것으로 착각을 하고 있다. 실제로 현재의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내용은 과거 와 비교하여 많지 않으며, 깊이 있는 내용에 대한 이해도가 낮아서 대학에서 과거의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다룬 내용을 교육한다는 내용도 매스컴에 수시로 보도되고 있다. 그러나 스스로에 대한 자부심은 커서 잘못된 걸 지적받는 경우 받아들이기 힘든 경우가 (과거의 학생들보다) 많고 간섭받기를 싫어하는 경향이 있다. 2006년 10월 3일에 의대가자 카페에 올라온 “예과생, 본과생, 인턴의 뇌구조 (Appendix 2)”는 이미 10년도 더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이들에 의해 회자되고 있는 중이다[14]. 


Appendix 2를 꼼꼼히 들여다보면 교수 입장에서 볼 때 의예과 학생들의 수업태도가 날이 갈수록 마음에 들지 않는 걸 이해할 수 있다. 자부심은 강하고, 놀아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있고, 성적에 대한 죄책감은 없고, (공부를 못할 생각은 없지만) 본과에 가서 마음 만 먹으면 공부를 잘 할 수 있을 거라 믿고 있으니 수업시간에 다루는 내용에 관심이 없다. 실제로 2011년에 의대생신문에 게재된 내용을 보면 의예과 1학년의 수업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15]. 교육내용 만족도에 대해서는 ‘보통’으로 답한 경우가 50.2%로 다수였고 ‘만족,’ ‘불만족,’ ‘전혀 만족하지 못함,’ ‘매우 만족’ 순으로 나타났다. 5점 만점으로 했을 때, 평균 3.08점이고 학년별 평균점수 는 의전원 4, 의전원 3, 의전원 1, 의전원 2, 본과 4, 본과 3, 본과 1, 본과 2, 의예과 2, 의예과 1 순서로 나타났다. 고3 때를 떠올려보면 납득이 가는 결과다. 대학만 가면 내가 하고 싶은 공부를 열정적으로 할 것이고, 교수님들이 해주는 강의는 지루하지 않고 쏙쏙 이해될 것이라는 꿈을 품고 견뎌내지 않았던가! 하지만 벚꽃이 질 때쯤 우리의 환상도 함께 진다. 그 실망감, 모두가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인간은 적응의 동물이라 했다. 우리는 적응했다. 강의수준이 낮아서 만족하지 못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학습량이 과도하다, 교육과 정의 현실성이 떨어지고 체계적이지 못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의학과, 치의학과, 간호학과, 법학과, 교육대학, 사범대학에 우수 학생이 몰리고, 여기에 속하지 않은 대학생들이 공무원 시험을 준비 하는 것은 나라의 미래를 망치는 지름길이다. 국제사회에 나가 싸울 사람을 양성하지 않고, 국내에 머무는 일에만 인재가 모이는 나라가 어떻게 밝은 미래를 기약할 수 있겠는가? 위에 열거한 학과(대학)에서 공부를 한 후 얻을 직업과 공무원은 모두 나라의 경제적 형편이 좋아져야 함께 잘 살 수 있으므로 이들이 국제경쟁을 하지 않는다면 자신들의 기대치에 못 미치는 대접을 받게 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어려서부터 “좋은 대학 입학”이라는 목표에 맞추어 주어진 틀에 맞추어 찍어내다시피 하는 교육을 통해 세상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다양한 측면의 공부를 하는 것이 아니라 많지도 않은 양의 학습내용이 문제로 출제되었을 때 하나라도 틀리지 않기 위한 훈련을 받으며 자라나다 보니 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8–9가지 지성[16] 중 두 가지도 채 측정하지 못하는 시험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고 해서 우수한 학생이라 할 수 없음은 외국 의과대학생들과 비교해 보면 쉽게 알 수가 있다. 의학을 공부하고 싶어서 고등학교 때부터, 또는 고등학교 졸업 후 재수를 하다시피 하여 의과대학 입학에 요구되는 내용을 미리 공부하여 의과대학에 들어온 후 자신이 하고 싶은 공부 를 마음껏 하는 학생들과 아무 목적의식 없이 주어진 틀에 맞추는 훈련만 받고 대학에 들어와서 학문에는 아무 관심 없이 의사로 살아 가는데 필요한 소양을 닦을 생각은 하지 않고, 학년만 올라가면 어떻게 될 것이라는 기대로 의예과를 보내고 있는 학생들을 비교하 는 것은 전혀 의미가 없는 일이다. 


세대 차이는 시대를 막론하고 존재하는 것이지만 해가 갈수록 목표의식 없이 대학생활을 시작하는 의예과 학생들을 대하노라면 대한민국을 지탱할 인재로 키우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함을 실감하게 된다. 



바람직한 의예과 교육을 위하여 


“의예과 교육을 어떻게 하는 것이 잘 하는 것인가?”라는 질문을 처음 받았을 때 깊은 생각 없이 4가지 조건을 이야기했다가 후에 이 내용을 정리하여 글로 쓴 것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17]. 



어떻게 교육을 해야 잘 하는 것인지 고민하던 초임교수 시절에 모 교수께서 “우리가 의예과 교육을 맡아서 수십 년째 교육을 잘 해 오고 있다”는 말씀을 하시기에 “어떻게 교육하는 것이 의예과에서 교육을 잘 하는 것인지요?”라고 질문을 했다가 분 위기를 엉망으로 만든 적이 있다. 그 분은 열심히 교육한 것을 잘 했다고 표현하신 것이다. 아직까지 의예과 교육의 충실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은 설문조사 외에 어떤 방법도 개발되어 있지 않았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대학평가기준이나 교원승진규정을 대할 때면 선진국 대학을 따라잡는다는 명목인지는 몰라도 날이 갈수록 교육보다 연구에 대한 비중이 커지는 느낌을 받는다. 그렇게 하는 것이 국가발전 에 도움이 될지는 몰라도 비싼 등록금을 낸 학생들에게 교수가 교육을 잘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는지 의문이 든다. “의과대학에 서 교육을 제대로 하고 있다”라는 이야기를 하려면 적어도 다음 의 4가지 요소는 갖추어야 할 것이다. 

    • 첫째, 학생들이 대한민국 의사국가고시를 통과할 수 있어야 한다. 

    • 둘째, 선진국 의과대학 생들과 비교할 때 실력이 뒤지지 않아야 한다. 

    • 셋째, 선진국에서 의사로 활약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과정을 마련해야 한다. 

    • 넷째, 국내・외에서 대학평가를 받기 위한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특정 의과대학의 교육과정이 위 네 가지를 충족시키고 있는지, 또 의과대학에서 10년이 넘게 교육을 담당한 교수께서 나름대로 열심히 가르친 내용이 의사국가고시에 나오는 것인지, 교육 내용이 다른 나라에서도 학생들에게 보편적으로 가르치는 내용 인지, 외국에서 전공의 과정을 밟고자 할 때 반드시 필요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지, 국내 대학평가기준을 충족시키는 것 인지 등을 모르는 상태에서 교육에 임하는 것은 망망대해에서 배를 열심히 젓기는 하나 목표지점은 모르고 있는 것에 비유해 야 할 것이다. 


로렌 포프가 쓴 “Colleges That Change Lives(내 인생을 바꾸는 대학)”라는 책에서는 필자 나름대로 교육을 잘 한다고 선정한 미국의 40개 대학을 소개하고 있다. 학교마다 나름대로의 교육 방침에 맞게 교육을 진행한다는 내용에 흥미를 갖게 되어 미국 을 방문할 때면 틈을 내어 이 책에 나오는 대학을 방문하는 것이 취미가 되었다. 새로운 학교를 방문할 때마다 입학 담당자 등을 만나 학교의 교육방침, 성과, 앞으로의 계획 등을 들어 볼 때마다 ‘차별화된 교육방법이 잘 먹혀 들어가고 있구나’라는 생각을 가져 보곤 했다. 


말로만 잘 하는 교육은 더는 필요하지 않다. 대학은 교육목표를 확실히 정해야 하고, 교수는 학생들이 학교에서 훌륭한 성과를 거두고 졸업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렇게 하자면 교육 에 쏟는 시간이 지금보다 늘어나야 할 텐데 대한민국 대학을 이끌어가는 힘은 교육에 쏟는 열의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듯해서 안타까울 뿐이다. 



위 인용문에서는 의학교육을 잘 하기 위한 조건 4가지를 제안했지 만 그 후로 필자는 “학생과 교수의 만족도가 높아야 한다,” “학교가 즐겁고 행복한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를 추가해서 이야기 하고 있다. 위 4가지 조건은 주로 전공과목을 공부하는 과정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이므로 의예과 과정에서는 별도의 교육목표를 정할 필요가 있다. 


의학이라는 학문의 깊이는 나날이 깊어가고 있고, 의예과 때는 특별히 하는 일도 없으니 의학전문대학원체제가 거의 폐지 수순을 밟고 있는 지금 의예과 교육과정을 개편하면서 전공과목 교육기간을 4년에 국한하지 말고 예과 때부터 시작하는 것이 어떻겠느냐는 이야기를 수시로 접하곤 한다. 특정 학교가 6년간의 교육기간 중 다루어 야 할 교육내용을 가장 합리적으로 배치하는 과정에서 의학 전공교육을 일찍부터 가르쳐야 할 필요가 있어서 의예과 때 교육을 한다는 것은 있을 수 있는 일이지만 전공과목의 내용이 방대해졌으니 의예과 때 교육을 하자는 것은 교육목표가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주먹구구식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겠다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 무엇인가를 성취하려면 목표와 목적이 분명해야 하고, 이것이 분명하지 않으면 일이 끝난 후에 평가가 불가능해진다. 6년 과정의 교육목표를 마련해 놓고,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마련 하다 보면 의예과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이 자연스럽게 대두될 것이다. 바람직한 의예과 교육을 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은 각 의과대학 교육목표 달성에 가장 적합할 수 있는 의예과 교육과정을 마련하는 일이다. 


과거에는 의예과에서는 교양교육, 본과에 올라가면 의학 전공교육을 하는 식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날이 갈수록 현대인들에게 요구되는 교양이 증가하고 있으니 교양교육은 의예과 시절에 끝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의과대학 기간 전체는 물론 평생에 걸쳐 지속되어야 한다. 따라서 의학 전공과목이 아닌 내용을 교양이라 한다면 교양교육은 의학교육 기간 전체에 걸쳐 진행되어야 한다. 


의예과에서는 전공과목을 교육하느냐 하지 않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의학교육과정 전체를 두고 어떤 내용을 본과에 들어가기에 앞서 교육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의학을 공부하려는 허락을 받으려면 대학입시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어야 한다. 오늘날 우리나라의 입시생들은 자신 들의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부를 하는 것이 아니라 정부에서 사교육을 하지 않고도 충분히 공부할 수 있다고 정해 놓은 많지 않은 양의 지식을 가능한 한 완벽하게 공부한 후 실수 없이 다 맞을 수 있는 훈련을 하고 있을 뿐, 자신들의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우수하다”는 것은 경쟁자 중 상대적으로 우수하다는 것일 뿐, 가드너가 주장한 세상을 살아가는데 필요 한 지능을 잘 갖추었다는 뜻이 아니며, 외국 의과대학에 처음 입학하 는 학생들이나 과거의 의과대학 신입생들과 비교할 때 실제로 우수 하다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 


게다가 날이 갈수록 입시를 위해 모든 걸 미루는 환경에서 자라나 다 보니 주어진 것은 잘 하지만 스스로 잘 하지는 못하는 지원자가 양산되고 있다. 전공의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의사는 교수의 지시 없이도 스스로 제 할 일을 찾아 하는 인재임을 감안하면 의과대학 교육과정 중에 제 할 일은 스스로 찾아서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인공지능이 보편화될 미래의료사회를 감안하면 단순 암기 는 지양하고, 이미 알려진 지식을 통합하고 융합하여 새로운 지식을 만들어낼 수 있는 능력과 집단 내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는 인재로 양성해야 할 것이다. 교수가 살아온 과거의 환경이 그렇지 않았지만 지금 별 문제없이 살고 있다고 해서 똑같은 반복교육을 하는 것은 미래지향적인 교육이 아니며, 과거의 교수가 현재의 학생을 대상으 로 미래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내용을 교육하지 않는다면 경쟁력 없는 교육의 표본이 될 뿐이다. 


의학교육평가원의 평가기준에 따르면 2014년에 대한의사협회에 서 발표한 “2014 한국의 의사상”을 참고로 하도록 되어 있다. 2014 한국의 의사상은 의사들이 전문 직업인으로 추구해야 하는 가치와 역량을 환자 진료, 소통과 협력, 사회적 책무성, 전문 직업성, 교육과 연구라는 5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환자 진료와 교육과 연구영 역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의예과 시절부터 그 소양을 닦기 시작해야 하는 항목이다. 이를 포함하여 각 학교의 교육목표에 부합되는 의사 를 양성할 수 있도록 의예과 시절부터 필요한 역량을 갖추어 갈 수 있는 교육과정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결 론 


우리나라에서 6년제 의학교육과정을 받아들인 것은 교육철학에 따른 것이 아니었다. 21세기에 접어들 때까지 6년제 의학교육과정 속에서 2년의 의예과 과정에 관심을 가진 이들은 거의 없었지만 의예과는 미래의료사회에서 핵심역할을 할 의사로 자라남에 있어서 많은 걸 경험할 수 있는 중요한 시기다. 그동안 의예과 과정에 관심이 부족하기는 했지만 2015년부터 매년 한국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 원협회 교육문화원에서 워크숍을 개최하고 있고, 참가자들이 조기 마감 등 관심을 가진 분들이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의예과 학생들을 교육하기 어려운 것은 의예과 교육에 임하는 자세가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이지만 미래사회에서 활동할 의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더 경쟁력 있는 교육내용을 효율적으로 집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교육의 성패를 판정하기 위해서는 교육목표가 분명해야 하며, 각 의과대학은 자체 교육목표를 잘 달성할 수 있도록 6년의 교육기간을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육과 정을 마련해야 한다. 법적으로 정의된 2년을 의예과로 간주한다면 입학 후 2년 동안 어떤 내용을 어떻게 교육하는 것이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지에 대한 고민과 함께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한다. 지금까지는 의예과 교육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지만 다행히 최근에 의예과 교육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관련 교육프로그램도 운영되고 있으므로 앞으로 많은 교육자들이 앞장서서 더 경쟁력 있는 의사를 양성할 수 있도록 의예과 교육을 활성화하기를 기대한다.











의학교육논단 2017 10;19(3):121-128                                                                                                                                                                
한국의 의예과 교육: 무엇이 문제이고 무엇이 해법인가?
How Can We Improve Premedical Education in Korea?


Byung-Il Yeh1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Yonsei University Wonju College of Medicine(1) 

Corresponding Author
ABSTRACT
When a new educational system for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was established in 1946, the National Committee for Educational Planning adopted a 6-year curriculum of medical education, consisting of a 2-year premedical component and a 4-year medical component. For more than half a century, the premedical curriculum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However, it is very important for premedical students to have a range of experiences that could be useful in their future medical careers. In 2005, another change was made to the system of medical education, in which medical schools without a 2-year premedical curriculum were established. This began to stimulate interest in premedical education, and more and more professors have become interested in premedical education as 6-year medical colleges have become more popular than before. Since 2015, the Education and Cultural Center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has annually hosted a workshop for redesigning premedical education; these workshops quickly fill up with registrants, reflecting the participants’ lively interest in premedical education. The problems of premedical education are mostly due to students’ and educators’ attitudes. A more effective approach will be needed in the educational system of the future to train highly competent medical doctors. To judge whether an educational program is successful, its aims must be clearly articulated. For this reason, medical colleges must prepare premedical education curricula based on their educational aims. It is expected that the system of premedical education will be strengthened in the future due to the growing awareness of its importance.
KEYWORD
Premedical education, Attitude, Competency, Curriculum


의예과 교육의 역사적 발전과 교육과정 편성 방향 고찰(KMER, 2017)

정한나ㆍ양은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A Study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Directions of Premedical

Education

Hanna JungㆍEunbae B. Yang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서 론 


  • 의예과와 의학과의 구분은 고등교육법시행령 제25조에 근거하고 있다. 동법 25조는 “대학은 수업연한을 6년으로 하는 경우는 의과대학, 한의과대학, 치과대학 및 수의과대학으로 하며, 그 교육과정은 예과를 각각 2년으로, 의학과, 한의학과, 치의학과, 수의학과를 각각 4년으로 한다.”라고 규정한다. 

  • 2005년 의학전문대학원체제의 도입 으로 15개 대학이 의예과 과정을 폐지하였으나, 2010년 의학전문대 학원체제의 자율화 이후 41개 의과대학 중 38개 대학이 의예과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의학교육 단계 측면에서 의예과 과정은 의학과 진입 전 단계를 의미한다. 

  •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Korea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는 이러한 의예과 기간을 의학교육 기본과정(basic medical education)을 이수하기 이전에 의사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교양과 인성 함양을 위한 인문사회 의학 교육, 그리고 과학적으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능력과 기초적인 과학지식을 습득하는 기간이라고 정의하였다[1]. 


의사를 양성하는 의학교육체제는 국가의 교육철학에 따라 다양 한 형태를 갖고 있다[2]. 일반적으로 의학교육기관에 입학하는 학생의 특성에 따라서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3]. 

  • 첫 번째 유형은 고등학교 졸업생이 의과대학에 진학하는 유형(nongraduate-entry program, non-GEP)이다. 이러한 유형은 의학교육 기관이 중심이 되어 1–2년의 예과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교육기간은 5–7년이다.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독일, 네덜란드, 벨기에, 스페인, 스코틀랜드, 말레이시아, 일본이 이 유형에 포함된다. 

  • 두 번째 유형은 일반대학에서 다양한 전공을 이수하고 학사학위를 취득한 졸업생이 의과대학에 진학하는 유형(graduate-entry program, GEP)이다. 이러한 유형의 교육기간은 4년이며, 대표적인 국가는 미국과 캐나다가 있다. 

  • 세 번째 유형은 위의 두 가지 유형을 혼합(mixed program of non-GEP and GEP)하여 운영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유형을 운영하는 국가는 호주, 잉글랜드, 아일랜드, 싱가포르 등이 있다. 


의예과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국가는 의예과 교육기간에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왜 그것을 가르치려고 하는가에 대해 오랫동안 고민 해왔다. 또한 대학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한 학생을 선발하는 국가는 어떤 역량과 자질을 갖춘 학생을 선발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해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 이후부터 의예과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하였으며, 2010년 이후에는 38개 대학이 예과 과정을 운영하게 됨으로써 의예과 교육과정의 편성 방향은 중요한 현안이 되었다[4]. 그동안 우리나라 의예과 교육의 주요 현안으로는 학생들의 

  • 소속감 결여, 

  • 정체성 혼란, 

  • 대학의 관심 부족, 

  • 의예과와 의학과의 연계성 부족 

...등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의예과 교육의 제반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의학전문대학원체제 도입, 의예과 학사조직을 이과대학 또는 자연과학 대학에서 의과대학으로 변경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의예과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은 부족하였다. 의료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새로운 의사의 역할이 탐색되고 있는 시점에서 의예과 교육 과정을 어떻게 편성할 것인지는 미래 의학교육을 위한 출발점이 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의예과 교육과정의 방향에 대한 제안을 위하여 의예과 교육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분석하고, 의예과 교육과정의 편성 방향에 대한 논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의예과 교육과 관련한 학술논문, 학술저서 및 연구보고서를 문헌분석하고자 한다. 


대학교육으로서의 의학교육 


의예과 교육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미국의 의학교육 역사를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5,6]. 

  • 18세기 후반까지 미국의 의학교육은 도제시스템(apprenticeship system)으로 운영되어 왔다[7]. 도제 교육은 표준화된 교육과정이 없었기 때문에 의학을 이론적으로 공부 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초에 미국 의학교육을 체계화하기 위한 시도들이 있었다. 오늘날 의과대학의 모체가 되는 사설 강습소(해부학을 가르치기 위한)가 생겨나기 시작하였으며[5], 미국의 의학교육은 이론교육을 담당하는 사설 강습소와 도제식 의학교육으로 이원화되었다. 

  • 19세기 중반에 들어서면서 실제 환자 진료교육을 담당하는 도제교육은 점차 쇠퇴하기 시작하였으며, 사설학원, 진료소, 병원을 중심으로 환자 진료교육이 이루어졌다. 

  • 19세기 후반에는 의과대학들이 임상교육에 대한 필요와 책임을 더 많이 느끼게 되면서 임상과 관련된 훈련과 교육을 교육과정에 포함 하였으며[5], 미국의 의학교육은 이론교육과 임상교육이 일원화되어 운영되기 시작하였다. 

  •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으로 넘어가면서 종합대학 (university)과는 별개로 운영되던 의과대학이 대학과 연합하기 시작 하면서 의학교육은 종합대학의 영역으로 자리 잡기 시작하였다[8]. 

    • 종합대학이라는 특징은 ‘지식의 통합’이라는 역할을 하는 학문의 장으로서 의학이 다른 학문 영역, 특히 과학과 통합되는 길을 열어주었다[7]. 

    • 한편, 의학교육이 종합대학체제에서 이루어지게 되었다는 것은 대학의 중요한 교육 역할 중 하나인 자유교양교육(liberal arts education)을 의과대학 교육과정으로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대학교육으로서의 의학교육체제를 통해 의학교육은 과학과 인문학 간의 균형을 유지하는 길을 마련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원동력은 당시 유럽에 유학을 다녀온 학생과 의사들이 미국 의학교육을 혁신하려는 노력의 결과였다[9]. 


의예과 교육의 역사적 기초 


19세기 후반 미국은 유럽에서 유학한 의사들의 영향으로 의학의 토대가 되는 기초과학 지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기초과학 및 실험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었다[8]. 이러한 강조는 의학교육에 두 가지 큰 변화를 가져왔다. 

  • 첫째는 1870년 무렵부터 주요 의과대학들이 학생의 과학적인 사고능력을 함양하기 위하여 해부학, 화학, 생리학, 병리학 등의 실험실 과학을 강조하였다는 점이다. 의과대학의 교육과정에 새로운 과학지식과 임상내용에 대한 과목이 추가되면서 학생들은 이러한 기초과학을 실험실에서 직접 경험하면서 배우게 되었다[5,7]. 

  • 둘째는 과학과 실험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 되면서 자연과학 시험이 의과대학의 입학요건으로 요구되기 시작했 다는 점이다. 이러한 입학요건의 변화는 의과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로 하여금 대학에 재학하는 동안 기초과학 학습을 장려하게 되었다. 즉 일종의 의학교육 기본과정을 위한 예비교육 개념이 형성 되기 시작한 것이다. 

    • 1874년 하버드 의과대학은 입학요건으로 학사 학위 또는 기초과학 시험을 요구하였다[9]. 하버드 의과대학은 입학 을 위한 기본자격으로 학부(college) 또는 과학 관련 전문대학 (scientific school)의 학위를 가지고 있거나 자연과학(물리학)과 언 어(라틴어) 시험에 합격할 것을 요구하였다[10]. 

    • 이후 펜실베이니아, 미시간 등 다른 의과대학도 의학교육 기본과정 이전에 이루어지는 예비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관심을 두기 시작하면서 기초과학과 실험교육 중심의 입학요건과 예비의학과정(preliminary medical course)이 제안되었다[10]. 


  • 19세기 후반에 이루어진 미국 의과대학의 개혁은 1893년에 설립 된 존스 홉킨스 의과대학이 혁신적인 의학교육제도를 수립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었다. 존스 홉킨스 의과대학의 초대 학장인 다니엘 길먼(Daniel Coit Gilman)은 기초과학 관련 입학정책을 수립하였으 며, 의학교육 기본과정 이전의 예비교육과정에 생물학, 화학, 물리학 등 자연과학 교과목을 구성하여 학생들이 이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10]. 

  • 이러한 자연과학을 중심으로 한 예비교육과정은 1910년에 플렉스너 보고서(Flexner Report)가 발표되면서 확고하게 자리 잡 게 되었다[11,12]. 이후 미국과 캐나다의 거의 모든 의과대학에서는 실험실 경험을 포함한 자연과학 교과목이 의과대학 진학을 위한 예비교육과정의 핵심으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9]. 


  • 한편, 이와 비슷한 시기에 존스 홉킨스 최초의 전임 교수이자 학장이었던 윌리엄 웰치(William Henry Welch)는 의과대학에 입학 하는 학생이 과학의 원리를 제대로 이해하고 이를 의학영역으로 확장하기 위해서는 비판적 사고와 논리적 추론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9]. 

  • 1905년 존스 홉킨스는 하버드 의과대학과 함께 미국에서 유일하게 입학요건으로 대학 학위를 요구하였다. 또 한 같은 해에 미국의사협회(American Medical Association)와 미국 의과대학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는 화학, 물리학, 생물학을 포함하는 1–2년의 대학 과정을 의과대학 입학 이전에 이수해야 하는 필수요건으로 합의하였다[9]. 


이상에서 살펴 본 것처럼 미국은 의과대학이 직접적으로 의학교육 기본과정 이수를 위한 의예과 과정을 운영하지는 않지만, 의과대학 입학 이전에 이수 해야 하는 필수요건 지정, 의사가 갖추어야 하는 역할과 자질을 규정함으로써 학생들이 일반대학에 재학하는 동안 이와 관련된 교육 을 이수하도록 하고 있다. 



의예과 교육과정의 방향성에 대한 논의 


교육과정 전문가들은 의예과 교육에서 무엇을 가르칠 것인지에 대해 오랫동안 논의해 왔다. 

  • 의예과 교육이 의학교육 기본과정의 학습 토대를 쌓는 기간이라고 주장하는 사람은 기초과학(science)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편성해야 한다고 말한다.

  • 반면, 의예과 교육이 의료 기술자가 아니라 더 ‘좋은 의사’가 되는데 필요한 자질을 함양하는 기간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자유교양교육(liberal arts education)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말한다.

이러한 논쟁은 의학교육 기본과정 입학 이전에 이루어지는 예비교육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던 19세기 말과 20세기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예비교육의 개념이 정립되던 시기에 나타난 미국 의학교육의 변화는 이후 의예과 교육 또는 예비교육 단계에서 무엇을 가르칠 것인지에 대해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1. 기초과학 중심의 의예과 교육 


의학에서 기초과학 역할이 중요하게 자리 잡게 된 배경은 과학의 발전과 이에 따른 의사의 업무 변화이다. 과거 의사의 역할은 환자의 질병을 진단하고 이에 대한 예후를 설명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고통을 일부 경감시키는 정도였기 때문에 의사가 질병을 치료할 것이라는 기대를 하지 않았다[13]. 그러나 과학이 점차 발전되면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이 다양해지고 정교화되기 시작하였고, 의사도 의학의 토대가 되는 기초과학지식을 공부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1910년에 발표된 플렉스너 보고서는 의과대학에 입학하기 위한 조건으로 화학, 생물학, 식물학, 물리학에 대한 수준 높은 지식 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 이 보고서는 의학교육 기본과정 이전의 예비교육과정(의예과 교육과정)을 보다 기초과학 중심의 교육과정 으로 편성하게 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또한 의과대학이 대학에서 일정한 교육을 받은 학생을 선발하는 대학원 과정으로 변화되면서 예비교육과정을 통해서 배워야 하는 필수 기초과학 과목이 생겨 나기 시작하였다[13]. 


의예과 교육과정에서 요구되는 기초과학 과목이 늘어나면서 이 러한 기초과학 과목을 의예과 교육과정을 통해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타당한 이유가 무엇인지, 나아가 의예과 교육의 진정한 목적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가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 

    • 의학을 본격적으로 공부하기 전에 의예과에서 기초과학을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한다는 입장과 

    • 의예과의 기초과학 과목이 의과대학에서 기초과학과정을 공부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지에 대해서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하다는 견해

...가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예를 들어 1920년대부터 의학교육 기본과정에 포함되었던 화학이 의예과 교육과정에 편성됨에 따라 유기화학은 의예과에서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기초과학 교과목의 하나로 자리 잡아가기 시작하였다. 지금까지도 유기화학은 의과 대학의 입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과목 중 하나가 되었다 [14]. 

    • 일부 학자는 유기화학을 배우는 것 자체가 과학적 사실을 습득 하고,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데 필요한 기술을 개발할 수 있으며, 유기화학의 학점은 의학교육을 성공적으로 끝마칠 수 있을지에 대한 주요한 예측 변수 중 하나라고 주장한다[13]. 

    • 반면, 또 다른 학자는 의예과 과정에서 유기화학을 이수하는 것이 단순히 의과대학에 입학 하는 학생을 선별하기 위한 도구에 불과하다고 말한다[14]. 


2. 자유인문교양 중심의 의예과 교육 


의학이 인문학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것을 논하기 위해서는 중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중세시대에는 과학이 인문교양의 한 부분이었다. 이 시대의 교양과목은 

    • 문법, 수사학, 논리학의 3과목 학과(trivium)와 

    • 음악, 수학, 기하학, 천문학의 4과목 학과 (quadrivium)로 구분되는데, 

    • 3과목 학과는 언어와 관련된 교양이고, 

    • 4과목 학과는 수학과 관련된 교양으로서 이후에는 과학이라고 불리 게 된다[13]. 


일곱 과목으로 구성된 교양과목은 당시 의사가 되는데 필요한 학문적 기초를 제공하였다. 중세시대에는 의사들이 광범위 한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정당성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중세시대의 학자인 세르비아의 이지도르(Isidore of Seville, AD 560–636년)는 어원사전(etymologiae)이라는 세계 최초의 백과사전을 통해서 의사라면 문학, 수사학, 변증법, 수학, 기하학, 음악, 천문학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15]. 즉 의사가 환자의 질병에 대해 적절한 진단을 내리고 효과적인 치료방법을 찾아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질병으로 말미암아 고통받고 있는 환자의 삶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 또한 중요한데, 이러한 능력은 단순히 과학을 공부하는 것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폭넓은 교양교육을 통해서 개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환자가 질병을 앓고 있다는 것은 그 삶이 중단되었고 불안을 겪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폭넓은 교양교육을 받은 의사라면 환자의 삶이 중단 되었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이해할 수 있고 환자의 불안을 어떻게 완화할 수 있는지도 고민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Dienstag [16]는 의예과 교육이 전문적인 의학교육 기본과정에 진학 하기 위해서 준비하는 학생을 위해서 설계되어서는 안 된다고 하면 서 의예과 기간은 지적 탐구를 확장해가고, 문학, 언어, 예술, 인문학, 사회과학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교양교육에 창의적으로 참여하는 시간이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는 의예과 교육과정이 글쓰기 및 의사소통능력을 향상하고, 인간 행동에 대한 이해, 사회구조와 기능 에 대한 평가, 문화에 대한 인식, 평생교육을 위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3. 우리나라 의예과 교육 방향에 대한 논의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 이후부터 의예과 교육이 중요하게 논의되었다[17]. Kim 등[18]은 ‘의예과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통해 의예과 교육의 목표 설정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 1994년에는 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가 주최하는 의학교육 세미나에서 ‘의예과 교육의 개선방향’이라는 주제로 의예과 교육 개선에 대한 논의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었다[17]. 이 세미나에서는 의예과 교육목표 설정의 중요성이 다시 한 번 강조되었으며, 의예과 교육목표와 의학과 교육 목표의 일관성을 요구하였다. 

  • 의예과 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이러한 논의에 불구하고 의예과 교육은 크게 개선되지 못하였다. 1990년대 당시만 하더라도 대부분의 의예과 체제가 의과대학이 아닌 이과대학 이나 자연과학대학에 소속되어 있었기 때문에 의예과 교육을 개선하 기 위한 의과대학의 노력이 실효성을 갖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 1990 년대 후반에 의예과 교육의 목표가 불분명하고 교육내용이 부적절하 다는 비판과 함께 의학전문대학원제도 도입의 필요성이 논의되기 시작하였고[4,6,19], 2005년에는 의학전문대학원제도가 시행되었다. 이후 우리나라는 의예과 교육보다는 의학전문대학원제도를 중 심으로 한 의학교육 기본과정에 대한 관심과 개선에 많은 노력을 하게 되었다.

  • 앞에서도 언급하였지만 2010년 의학전문대학원체제를 대학 자율로 선택할 수 있게 됨으로써 38개 대학이 새롭게 의예과 교육과정을 시작하거나 기존의 의예과 교육과정을 개편하기 시작하 였다. 이러한 시점에서 의예과 교육과정 편성 방향은 많은 대학의 핵심 관심사항이 되었다. 


최근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가 발간한 ‘의예과 교육설계와 운영 안내서’에는 5개 대학의 의예과 교육과정 이수학점과 26개 의과대학의 교과목 개설현황을 자연과학 기초지식 함양, 의학 기초지식 함양 및 인문・교양 교육과정으로 구분하여 Tables 1, 2와 같이 보고하였다[1]. 다음 표를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의예과 교육은 

  • 기초과학 중심의 예과 교육과 

  • 자유교양중심의 예과 교육이 동시에 강조되고 있다. 

  • 여기에 더하여 의학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교과목이 의학의 기초라는 이름으로 개설되고 있다. 




의예과 교육과정 편성에 관한 최근의 논의는 의예과-의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선 상에서 미래사회에 요구되는 역량을 강조하고 있다. Yang 등[4]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제시한 대학생에게 요구되 는 여섯 가지 역량(의사소통 역량, 글로벌 역량, 종합적 사고력, 자원 정보 기수의 처리 및 활용역량, 대인관계 역량, 자기관리 역량)을 의예과 교육기간에 함양해야 하는 역량으로 소개하고 있다. 의과대학의 의예과와 의학과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의과대학의 교육과정은 기본교육 단계(의예과)-심화교육 단계(의 학과)로 체계적인 연계교육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즉 의예과 학생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그 수준이 모든 대학생에게 요구 되는 역량과 같은 반면, 의학과 학생은 기본 역량 위에 ‘의사’라는 직군에서 좀 더 필요로 하는 특별한 역량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도 의과대학 졸업생이 갖추어야 하는 역량의 관점에서 역량중심의 의예과 교육과정 설계 필요성을 주장하였는데, 인문학적 소양, 과학적 사고능력, 자기계발과 관리, 사회적 역량 등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과정 편성을 강조하였다[1].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의예과 교육의 기본 방향을 탐색하기 위하여 대학 교육으로서의 의학교육, 의예과 교육의 역사적 기초, 의예과 교육과 정의 방향성에 대한 논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역사적으로 의예과 교육은 의학교육이 종합대학 교육체제로 편입되면서 기초과학과 자유인문교양 교육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의예과 교육은 의학 수련 의 토대가 되는 기초과학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입장과 의사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을 함양하는 자유인문교양 교육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입장으로 교육과정 편성 방향이 나뉘기 시작하였다. 의예과 교육의 방향을 기초과학에 두느냐, 인문학에 두느냐에 대한 논쟁은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있지만, 의학의 뿌리가 과학과 인문학 에 모두 두고 있기 때문에 의예과 교육의 방향성을 논의할 때 이 두 입장이 상반된 가치가 아닌 상호 보완해야 하는 가치임을 인정해야 한다[13]. 


최근에는 의예과 교육이 의학지식을 학습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초과학적 역량과 의사가 갖추어야 할 인문사회의학 자질 을 함께 개발하는데 필요한 과정이라는 것에 대해 합의를 이루고 있다[4,17]. 즉 의예과 교육의 방향을 기초과학 교육에 중점으로 둘 것인가, 자유인문교양 교육에 중점으로 둘 것인가와 같이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사회에 요구되는 역량을 기반으로 의예과 교육의 방향이 설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20세기가 모든 학문 분야에서 ‘극단적 전문화 과정’의 시대였다면 21세기는 ‘새로운 통합화 과정’의 시대가 되어 가고 있다. 21세기 전문가는 ‘통합적 전문인’을 의미한다. 즉 자기의 좁은 분야에만 매달려 있는 사람은 도태되고, 인간과 사회의 전체적 흐름과 시각에 정통하면서도 자기의 전문 분야에 창조적 능력을 갖춘 사람이 새로운 전문가로 인식된다. 인류의 전 영역에 있어 지식은 양적인 면에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문제는 그렇게 지식이 양적으로 증가하 는 것에 있는 것이 아니다. 문제는 그 증가하는 방향이 전통적인 개념의 방향으로가 아니라 수천 가지의 다른, 다양한 방향으로 일시 에 팽창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21세기에 활동을 하여야 할 사람들에게 요구되는 것은 자기 영역의 지식을 열심히 모아 외우고 이해하는 것이 아니다. 중요한 것들을 다 알고 외울 수 있는 시대는 지났다. 문제는 스스로 자신의 철학, 가치관, 아이디어를 가지고 의미 있는 자료들을 모아 의미 있는 결과를 만들어 새로운 지식을 인류에 제공할 수 있는 사람이 될 수 있는 가이다. 그것이 21세기가 요구하는 교육의 내용이다. 미래사회에는 지금과는 다른 생활방식과 사고방식이 우리 삶을 지배할 것이며, 이에 따라 보건 의료서비스 에 대한 요구와 의료서비스의 형태도 변화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의학교육을 통해 길러내야 하는 새로운 의사의 모습을 요구하는 것이며, 지금의 의학교육이 미래 지향적인 비전과 목적을 가지고 새롭게 변화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의예과 교육의 방향이 논의되어야 한다. 이제는 의예과 교육이 의학과 교육 만큼이나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20]. 









의학교육논단 2017 10;19(3):115-120                                                                                                                                                                
의예과 교육의 역사적 발전과 교육과정 편성 방향 고찰
A Study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Directions of Premedical Education


Hanna Jung1 Eunbae B. Yang1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1) 

Corresponding Author
ABSTRACT
Despite the importance of how the premedical education curriculum is organized, the basic direction of the curriculum has not been evaluated at a fundamental level. In order to explore the basic directions of the premedical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examined medical education as a university education, the historical basis of premedical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premedical education curriculum. Historically, as medical education was incorporated into the university education system, premedical education developed based on basic science and liberal arts education. Accordingly, the direction of the premedical education curriculum began to split into two approaches: one believing in a basic science-based education intended to serve as the foundation of medical training, and the other believing in a liberal arts-based education intended to cultivate the qualities of a doctor. In recent years, however, the binary division in the direction of premedical education has ceased to exist, and the paradigm has now shifted to an agreement that premedical education must cultivate the basic scientific competence required for learning medical knowledge as well as the social qualities that a doctor should have, which are cultivated through the liberal arts. Furthermore, it has been asserted that the direction of premedical education should move toward the qualities that will be required in the future.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underway, the role of doctors is now being re-examined. This means that today’s medical education must change in a future-oriented way, and the direction of the premedical education curriculum must be on the same page.
KEYWORD
Premedical education, Curriculum, Humanities


"의예과 교육을 어떻게 고칠 것인가" 다시 읽기(Acad Med, 2008)

Perspective: “How to Fix the Premedical Curriculum” Revisited

Richard B. Gunderman, MD, PhD, and Steven L. Kanter, MD





2008 년은 지금까지 출판 된 premedical education에 가장 도발적인 수필 중 하나의 30 주년을 기록합니다. "Premedical Curriculum을 고치는 법"이라는 제목의이 책은 Memorial Sloan-Kettering Cancer Center의 Lewis Thomas, MD.가 저술하였다.

The year 2008 marks the 30th anniversary of one of the most provocative essays on premedical education ever published. Entitled “How to Fix the Premedical Curriculum,” it was composed by then-president of Memorial Sloan-Kettering Cancer Center, Lewis Thomas, MD.1


토마스의 세 가지 주요 주제 : 

  • 의과 대학이 학부 교육에 미친 영향

  • 의대 입학을위한 학생 선발 

  • 의예과 교육의 급진적 개혁 제안.

Thomas’s three central themes: the influence of medical schools on undergraduate education, the selection of students for admission to medical school, and a radical proposed reformof premedical education.




토마스의 테마 재검토

Revisiting Thomas’s Themes


의과 대학이 학부 교육에 미친 영향

The influence of medical schools on undergraduate education



토마스는 의대 교육에 대한 의과 대학의 영향력을 "해로운 것 외에는 아무것도 없다"고 부른다. 의예과 교육에 대한 두 가지 주요 문제가있다. 

  • 첫째, 현재 시스템은 포괄적 인 능력주의가되어야하는 것을 편협하고 이기적인 "testocracy"로 바꾸면서고 학점 경쟁을 촉진합니다. 방정식은 간단합니다 : GPA + MCAT = MD. 호기심, 지적인 자극, 폭 넓은 시야와 같은 다른 요인들이 뒤로 밀려난다.

Thomas calls the influence of medical schools on undergraduate education “baleful and malign, nothing less.” There are two principle problems with premedical education. 

  • First, the current system fosters competition for high grades, turning what should be a comprehensive meritocracy into a narrow-minded and mean-spirited “testocracy.” The equation is simple: GPA + MCAT = MD. Other factors, such as curiosity,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broadened horizons, get left behind.


  • 둘째, 의대 입학 요건과 MCAT가 자연 과학 교과목에 대한 보상을받는 것을 보고, 많은 학생들은 가능한 한 소수의 non-science과목을 수강하며 과학에 중점을 둡니다. Thomas는 이것을 과거의 시대와 대조합니다.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가능한 한 광범위하게 교육 받아서 그것을 의미하기를 바랍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많은 학생들이 수년 간 그것을 표현한 것처럼 "과학과 수학에서 A를 얻는 방법을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나는 왜 문학, 철학, 역사와 같이 꼭 필요하지 않은 과목을 택해야 하는가?" 그 결과, 이 모델은 좌절스러운 태도를 키운다. "나는 교육을 받기 위해 여기에 온 것이 아니다. 저는 의과 대학에 입학하기 위해 왔습니다. "

  • Second, seeing that medical school admissions requirements and the MCAT reward natural science coursework, manystudents focus on science, taking as few nonscience courses as they can. Thomas contrasts this with a bygone era, in whichschools said they wanted students “to be as broadly educated as possible, and meant it.” As many students have expressed it over the years, “I know how to get A’s in science and math courses, so why would I take a chance on a nonrequired course in literature, philosophy, or history, in which the grading standards are less clear?” As a result, This model cultivates a discouraging attitude: “I amnot here to get an education. I am here to qualify for medical school.”



의과 대학 입학생 선발

The selection of students for admission to medical schools


의대 입학 정책과 관련하여 Thomas는 급진 처방을 내립니다. 토마스의 이상적인 미래에서, 자기 자신을 의예과로 구분짓는 지원자는 "세 개의 등급 중 세 번째 등급을 받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어떤 형태의 premedical association 회원이라도 결과적으로는 불합격할 것이다.

Regarding medical school admissions policies, Thomas offers a radical prescription. In Thomas’s ideal future, any applicants whose course selection distinguishes them as premed “will have their dossier placed on the third stack of three.” Moreover, membership in any form of premedical association will result in summary rejection.


Thomas는 GPAs가 입학 과정에서 무시 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지만, 가능하다면 그는 MCAT를 완전히 없애야 한다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대학 교수들의 판단이 의사로서의 학생의 약속에 대한 우수한 지표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Thomas recognizes that GPAs cannot be ignored in the admissions process, but if it were possible, he would dispense with the MCAT completely. Why? Because he deems the judgment of college faculty members a superior indicator of a student’s promise as a physician.


Thomas는 "모든 대학의 커리큘럼 내에서 보편적 인"핵심 분야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모든 학생들은 자신의 교육에 중점을 둘 수 있습니다. 토마스는 예기치 않은 장소, 즉 고전 연구에서 그러한 핵심 분야에 대한 자신이 선호하는 후보자를 찾습니다. 그는 학부 교육의 핵심은 호머, 소포클레스, 플라톤의 언어 인 그리스 고전이여야한다고 주장했다.

Thomas recognizes the need for a core discipline, “universal within the curricula of all colleges,” on which all students could focus their education. Thomas finds his preferred candidate for such a core discipline in a rather unexpected place—namely, classical studies. He argues that the centerpiece of undergraduate education should be classic Greek, the language of Homer, Sophocles, and Plato.


왜 토마스는 "영어, 역사, 문학, 적어도 두 가지 외국어 및 철학"을 미루면서 고전을 먼저 넣기를 원합니까? 그 대답은 의대 입시위원회가 찾고자하는 것, 그리고 확장을 통해 대학을 육성해야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특징 중에는 "학생의 마음의 자유로운 범위", "끈기와 결단력", "인간을 이해할 수있는 타고난 능력", "인간 조건에 대한 애정"이 있습니다. 성적, 시험 점수 및 순수 자연 과학 커리큘럼 의학 학생과 의사의 가장 필수적인 자질을 양성하지 않습니다.

Why does Thomas want to put classics first, with “English, history, literature, at least two foreign languages, and philosophy” trailing just behind? The answer lies in what he believes medical school admissions committees need to look for and, by extension, what colleges and universities should be cultivating. Among these traits are “the free range of a student’s mind,” “tenacity and resolve,” an “innate capacity for understanding human beings,” and “affection for the human condition.” Grades, test scores, and a pure natural science curriculumdo not nurture the most essential qualities of medical students and physicians.







의예과 교육 개편 제안

A proposed reform of premedical education


신학자 Abraham Joshua Heschel 4는 미국 의학 협회의 연설에서 "한 사람을 고치려면 먼저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토마스는 자신의 제안 된 의예과  교육의 개혁에서 장래의 의사들을 인간으로서 가장 먼저 교육시키는 것을 추구합니다.

In an address to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theologian Abraham Joshua Heschel4 once said, “To heal a person, we must first become a person.” In his proposed reformof premedical education, Thomas seeks to educate future physicians first and foremost as human beings.



고도로 숙련 된 생물 의학 과학자 인 Thomas는 과학이 의료에 미치는 중요성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는 생화학, 분자 생물학, 해부학, 생리학 및 병리학의 기본 원리를 파악하지 못한 의사는 단지 이름만 의사일 뿐임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는 그러한 과학을 공부하기위한 적절한시기는 학부 과정이 아니라 의과 대학이라고 주장했다. 자연 과학을 학부로 연구하는 것이 적절하지만, 너무 많은 과학을 대학에 편입시키는 것은 필연적으로 진정한 인문학 교육을 훼손합니다.

A highly accomplished biomedical scientist, Thomas understands the importance of science to medical practice. He knows that a physician who fails to grasp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bio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atomy, physiology, and pathology is a physician in name only. He argues, however, that the proper time for studying such science is the years of medical school, not undergraduate studies. Although it is perfectly appropriate to study the natural sciences as an undergraduate,5 shifting too much science into college inevitably undermines a truly liberal education.


토마스는 이렇게 개혁될 경우의 수혜자들을 언급했다.. 그들 중 첫 번째는 학생들 자신이 될 것입니다. 학생들은 광범위한 과정에서 샘플을 추출하고 평생 동안 자신을 기르고 유지할 수있는 지적인 관심사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임상의, 교육자 및 과학자로서의 미래 기여에 결정적인 요인 인 독립적으로 그리고 창조적으로 사고 할 수있는 능력을 자극 할 것입니다.

Thomas cites a number of beneficiaries of his proposed reform. First among them would be students themselves. Students would be free to sample froma broad range of courses and develop intellectual interests capable ofnourishing and sustaining them throughout their lives. This would stimulate the capacity to think independently and creatively, a crucial factor in their future contributions as clinicians, educators, and scientists. 


또 다른 수혜자는 대학이다.

Another beneficiary would be college faculties.


Thomas의 제안의 또 다른 수혜자는 의과 대학의 기초 과학 교수가 될 것입니다. 토마스는 의대가 의대에 진학하기 전에 의학 과목을 공부하지 못하게되면, 기초 과학 교수들의 수업은 "완전히 새로운 생소한 지식의 몸에 깜짝 놀랄 준비가되어있는 학생들이 있을 것"이라고 토마스는 주장했다.

Still another beneficiary of Thomas’s proposal would be the basic science faculties of medical schools. Thomas argues that if students were discouraged from studying medical subjects before they reach medical school, basic science faculties “would again have classrooms of students ready to be startled and excited by a totally new and unfamiliar body of knowledge.”



아마도 가장 중요한 수혜자는 사회 자체 일 것입니다. 우리는 열린 심장 수술을 시행하는 시인이나 철학자를 원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또한 사람이 항상 우리 삶에서 어떻게 살았내는지를 이해하는 사람을 찾고 있습니다.

Perhaps the most important beneficiary would be society itself. We do not want a poet or a philosopher performing our open-heart surgery. But we also seek someone who understands, “as much as anyone can learn from our colleges and universities, how human beings have always lived out our lives.”





현대적 관점에서 본 토마스의 주장들 

Thomas’s Themes Today


미국의 독특한 교육 혁신은 연구 대학이 아닙니다. 존스 홉킨스 대학 (Johns Hopkins University)과 시카고 대학교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와 같은 훌륭한 미국 연구 기관은 새롭게 만들어지지 않았지만 독일 모델에서 채택되었습니다. 미국의 위대한 교육 혁신은 liberal arts college이며, 이것은 옥스포드 대학 (Oxford University)과 캠브리지 대학 (Cambridge University)과 같은 위대한 영국 교육 기관에서 발표 한 liberal education 모델을 기반으로 하였다. 고등학생 이후 전문 교육을 시작하는 지배적 인 유럽 모델과 달리 미국의 인문 대학은 대학 4년간 학생들에게 인간 문명의 열매를 넉넉하게 보내기를 권장합니다.

The distinctive American educational innovation is not the research university. Great American research institutions such as Johns Hopkins University and the University of Chicago were not created de novo, but adapted froma German model. Building on the model of liberal education promulgated by such great British institutions as Oxford University and Cambridge University, the great American educational innovation is the liberal arts college. In contrast to the dominant European model, which commences professional education after high school, the American liberal arts college encourages students to spend four years relishing the fruits of human civilization.


한 가지 관점에서 볼 때 4 년을 일반 연구로 기울이는 것은 비효율적이며 심지어 시간 낭비 일 수 있습니다 . 교양교육Liberal education은 공짜가 아니며, 이미 큰 빚을 지고 있는 의대생들에게 추가의 비용을 부담시킨다. 왜 학생들은 의료에 절대적으로 필요하지도 않은 정보때문에 학생들에게 부담을 주는가?

From one point of view, devoting four years to general study might seem inefficient, even a waste of time.6 Liberal education is not free, and its rising cost adds to the mammoth debt encumbering many medical students. Why burden students with any information not absolutely requisite to the practice of medicine?


사실, 의예과 교육을 순수하게 실용적인 측면으로만 접근한다면 파괴적 일 것입니다. 한 가지로, 그러한 모델은 비인간적이다 .7 의사는 높은 수준의 인간 통찰력, 동정심, 현명함이 필요하다. 훌륭한 의사는 마음을 필요로하며, 마음은 교육을 필요로합니다.

In fact, a purely utilitarian approach to premedical education would prove ruinous. For one thing, such a model is dehumanizing.7 physicians relies on a high degree of human insight, compassion, and sagacity. Good physicians need heart, and the heart, no less than the mind, requires education.



현대 헬스케어는 싱글 테니스, 농구, 축구와 같은 팀 스포츠와 흡사합니다. 의사가 얼마나 재능이 있더라도, 우리가 제공하는 진료의 질은 지식을 공유하고 여러 팀 구성원의 노력을 조정하는 데 달려 있습니다.

Contemporary health care resembles individual sports such as singles tennis and long-distance running less than team sports such as basketball or soccer. No matter how talented a physician might be, the quality of care we provide hinges on sharing knowledge and coordinating the efforts of multiple team members.


토마스는 교양학습의 기초로서 Attic Greek의 미덕을 찬양 할 때 무언가를 배우고있었습니다. 학생들이 모국어로 Homer, Sophocles, Dante 또는 Tolstoy를 읽지는 못하더라도, 일급 현대 번역에서 얻은 훌륭한 통찰력을 수집 할 수 있습니다.

Thomas was on to something when he extolled the virtues of Attic Greek as the foundation of liberal learning. Even if students never read Homer, Sophocles, Dante, or Tolstoy in their native language, they can glean great insight froma wealth of first-rate contemporary translations.


우리가 미래의 의사들에게 인간에 대한 통찰력을 개발해주지 못한다면, 의학의 미래가 위태로워 질 것입니다 .10 자신의 이익을 다른 것보다 우선시하는 학생들은 scientific and professional misconduct에 빠지게 될 것입니다.

If we fail to develop the human insight of tomorrow’s physicians, we imperil the future of medicine.10 Students who put their own interests before everything else are more likely to become ensnared in scientific and professional misconduct. 



우리는 학생들이 우리가 추천하는 종류의 선택을 하도록 격려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야합니다. 우리는 그들이 교양교육을 추구하게끔 간청 할 수는 없지만, 좁은 지적 범위와 성적 및 시험 점수에 대한 피상적인 노력에 대해 암묵적으로 보상하는 시스템에 둘 수는 있다.11

We need to create a system that encourages students to make the kinds of choices we commend. We cannot entreat them to pursue a liberal education but place them in a system that implicitly rewards a narrow intellectual range and a superficial focus on grades and test scores.11



의과 대학에서 수학하는 학생들은 인간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을 알 필요가 없으며, 완전히 성숙한 인간으로서 스스로 순위를 매길 필요도 없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우리가 주기보다는 얻음으로써 삶을 저하less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이해한 상태로 의학에 입문해야 한다. 교육은 교화에 관한 것이 아닙니다. 교육은 라틴어로 "draw out"하는 것으로, 학생들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끌어내는 것입니다. 심각한 교육은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것을 직접 실천하고 있습니다. 12 의학 자체는 가장 비옥 한 형태의 교양교육의 하나가 될 수 있습니다.

Students matriculating in medical school need not know everything there is to know about human beings or even rank as fully mature human beings themselves. Yet, they do need to enter medicine prepared to 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we make a life less by what we get than by what we give. Education is not about indoctrination. Fromthe Latin for “to draw out,” education is about drawing out of students the whole person they are capable of being. Serious education is laying hands-on what is most vital in a human being.12 Medicine itself can be one of the most fertile forms of liberal education.


토마스는 두 가지 더 깊은 포인트를 만들고있었습니다. 

  • 첫째, 학부 커리큘럼은 의과대학 교육과정 만큼이나 의학의 미래에 중요한 것이다.

  • 둘째, 학부생들이 premature specialization의 길을 걷지 않도록 안내하여야 하며, 이들이 의학 교육에 들어가기 전에 가능한 한 인간으로서 최대한 발전하도록 장려해야합니다.

Thomas was making two more profound points. 

  • First, we should regard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as no less vital to the future of medicine than medical school itself. 

  • Second, we should guide undergraduate students away from the path of premature specialization, instead encouraging them to develop as fully as possible as human beings before they enter medical training.






 2008 Dec;83(12):1158-61. doi: 10.1097/ACM.0b013e31818c6515.

Perspective: "How to fix the premedical curriculumrevisited.

Author information

1
Indiana University, Indianapolis, Indiana, USA.

Abstract

The authors celebrate the 30th anniversary of Lewis Thomas's provocative essay, "How to Fix the Premedical Curriculum," by reexamining its three central themes: the influence of medical schools on undergraduate education, the selection of students for admission to medical school, and a radical proposed reform of premedical education. At issue are fundamental question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beral arts and medical education--questions that are no less vital today than when Thomas first posed them: What is the purpose of undergraduate education? How closely aligned are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phases of medical education? What do future physicians need to know that is not taught in medical school? Thomas reminds us that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is no less vital to the future of medicine than medical school itself, and that premature specialization does not serve the best interests of future physicians or patients. Instead of treating premedical education as a mere prelude to medical school, we should encourage undergraduates to take full advantage of their college years as an opportunity to develop as human beings.

PMID:
 
19202486
 
DOI:
 
10.1097/ACM.0b013e31818c6515
[Indexed for MEDLINE]


의예과 요건과 의대 교육과정 바꾸기 (JAMA, 2006)

Changing Premed Requirements and the Medical Curriculum

Ezekiel J. Emanuel, MD, PhD






한 세기 전,  American Medical Association은 Council on Medical Education를 창설했으며 의대에 대한 최초의 최소 기준과 이상적인 의학 커리큘럼을 발표했습니다. 그런 다음 the Carnegi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은 Med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Flexner 보고서)이라는 의과대학 평가에 자금을 지원했습니다.1 많은 사람들이 이 보고서의 비판적인 어조에 반대했지만, 대부분의 의학 교육자는 그것을 지지하였고, 중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주요 결과는 의학 교육이 전임상 과학 교육과 병원 기반 임상 교육으로 나뉘어지면서, 이미 쇠락하기 시작한 practice-oriented proprietary schools가 마침내 사망 한 것이 었습니다.

A CENTURY AGO,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created the Council on Medical Education and published the first minimal standards for medical schools and an ideal medical curriculum. Then, the Carnegi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 funded an evaluation of medical school performance titled Med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the Flexner report).1 While many objected to its highly critical tone, most medical educators endorsed it and implemented significant change.2 A major consequence was that the already fading practice-oriented proprietary schools finally died, while medical education was divided into preclinical science training and hospital-based clinical training.


Flexner의 시간 이후, 주요 의사들과 의료 단체들은 의학 교육에 대해 불평했다 .3,4 GME의 변화에 ​​대한 요구는 더 많았다 .4 그러나 주목할만한 점은, 100년 전과 비교했을 때 의학 교육에 대한 불만이 거의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의료계는 지금까지 무시되어 온 분야들에 대한 또 다른 Flexner 보고서를 필요로합니다. 바로 의예과 요건과 의과대학 1학년과 4학년 교육과정이다

Since Flexner’s time, leading physicians and medical organizations have complained about medical education.3,4 There have been even more calls for changes in graduate medical education.4 Yet, what is striking is how little the complaints about medical education heard today have changed from 100 years ago.2,5 The medical profession needs another Flexner report, one that focuses on areas that thus far have been rather neglected: premedical school requirements and parts of the first and fourth-year medical school curricula.



변화의 필요성

The Need for Change


궁극적으로 의학 교육위원회 (Council on Medical Education)와 플렉스 너 (Flexner) 보고서는 인간 질병과 의학 실습에 대한 이해의 근본적인 변화를 강화했기 때문에 성공적이었습니다 .2 1905 년까지 많은 사람들은 오래된 영웅적 치료 - 퍼징, 출혈, 카타르틱스 및 독점 의약품 효과가없고 위험했다. 동시에 세균학, 방부 수술 및 예방 접종에 대한 새로운 과학 기반 사례가 효과적이었습니다. Flexner 보고서는 이러한 과학적 진보를 의사의 훈련에 체계적으로 통합 할 필요성을 체계적으로 정리했습니다 .2 실제로,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는 두 가지의 업적은 의과 대학 입학 기준으로서의 과학 교육의 필요성과 의대 첫 2 년 동안의 기초 과학에 대한 강조이다.

Ultimately, the Council on Medical Education and the Flexner report were successful because they reinforced the underlying changes in the understanding of human disease and medical practice.2 By 1905, many recognized that the old heroic treatments—purging, bleeding, cathartics, and proprietary medicines—were ineffective and dangerous. Simultaneously, new science-based practices of bacteriology, antiseptic surgery, and vaccinations were proving effective. The Flexner report codified the need to systematically integrate these scientific advances into the training of physicians.2 Indeed, two of its enduring triumphs are the requirement for scientific training as a medical school admission criterion and the emphasis on basic science in the first 2 years of medical school.4


오늘날 의학의 기본 구성 요소는 인문학, 법률, 경영 측면을 포함하며, 단순히 생의학에 그치지 않는다. 

  • 과학은 절대적으로 필수적이지만, 특히 유전학 및 환경 영향을 통해 질병 원인을 결정하는 데있어 더 정밀한 경우에도, 실질적인 시행의 한계는 체계적인 구현 문제에서 비롯됩니다.

  • 인도되는 의료 서비스의 대부분은 부적절하거나 유해합니다. 효과가 입증 된 것의 대부분이 환자에게 일상적으로 전달되지는 않습니다. 결과적으로 수십억 달러가 낭비되는 가운데 수십만 명이 조급하게 고통을 당하고조차 죽어 가고 있습니다.

  • 이 문제는 몇 가지 "bad apples"의 결과가 아니라, 이미 intervention이 환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시스템의 실패이다.6,7,12

21 세기 과학 진보를 효과적으로 환자의 보살핌에 적용하려면 인본주의 적, 법률 적 및 경영 과학을 더욱 강조해야합니다

Today, the fundamental components of medicine go beyond the biomedical sciences to include its humanistic, legal, and management aspects. 

  • While science is absolutely essential, especially with greater precision in determining disease etiology through genetics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the limitations in practice increasingly result from systematic problems of implementation. 

  • Many of the medical services being delivered are irrelevant or harmful10,11; much of what has been proven effective is not being routinely delivered to patients.12-

  • 14 Consequently, hundreds of thousands are suffering and even dying prematurely while billions of dollars are wasted.15 

  • These problems are not the result of a few “bad apples,” but of systematic failures to deliver proven interventions to patients.6,7,12 

To apply 21st century scientific advances effectively in the care of patients requires more emphasis on the humanistic, legal, and management sciences.



Flexner는 의료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과학에 초점을 맞춘 의예과 요건에 의해 고도로 준비된 학생들을 의대에 선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 없는 자료는 제거되어야하고 의학 교과 과정에서 요구되는 관련 기초 과학 자료를 포함시켜야 하며, GME보다는 의예과 요구 사항과 의과 대학 교과 과정 초점을 두어야 한다.3 이 단계에서의 변화는 교착 상태를 만드는 대학원 의학 교육 개혁보다 더 다루기 쉬운데, 책임은 공유하지만 필요 사항을 협조하거나 조정할 동기가 없는 협회, 특수 학회, 전문위원회, 인가 기관 및 허가 당국이 개입하지 않기 때문이다.

Flexner recognized that to improve medical care, highly prepared students had to be recruited to medical school largely by more rigorous science-focused premedical requirements; irrelevant material had to be eliminated and relevant basic science material required in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1,2 


the focus should be on premed requirements and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rather than graduate medical education.3 Changes at these stages are more tractable than reforming graduate medical education in which associations, specialty societies, specialty boards, accrediting bodies, and licensing authorities share responsibility but have no incentive to cooperate or coordinate their requirements, ensuring gridlock.4




의예과 요건 바꾸기

Changing Premed Requirements



입학 요구 사항을 발행함으로써 의대 학교는 수천 명의 대학생들이 매년 배우거나 배우지 않는 것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3 현재의 많은 사전 준비 요구 사항은 미래의 의학 교육 및 실습과 관련이 없습니다. 3,16

  • sinθ를 통합하는 방법을 아는 것이 재생 불량성 빈혈에서 TERC의 역할을 설명하거나 환자를 돌보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까? 

  • 어떤 의사, 심지어 연구원이 Diels-Alder 부가 물에 대해 알아야합니까? 

  • 어떤 의료 행위와 관련된 회전 탑의 각운동량을 계산하고 있습니까? 

  • 대학 미적분, 유기 화학 및 물리학의 1 년에 포함 된 대부분은 의료 종사자, 연구원 및 관리자와 관련이 없습니다.


By issuing admission requirements, medical schools have a profound impact on what thousands of college students learn and do not learn each year.3 Many premed requirements are irrelevant to future medical education and practice.3,16

  • Does knowing how to integrate sin θ have anything to do with caring for a patient or elucidating the role of TERC in aplastic anemia? 

  • Do any physicians, even researchers, have to know about Diels-Alder adducts? 

  • Is calculating the angular momentum of a spinning top relevant to any medical practice? 

  • Most of what is contained in 1 year of college calculus, organic chemistry, and physics is irrelevant to medical practitioners, researchers, and administrators.


미적분학, 유기 화학 및 물리학이 왜 아직도 요구 사항을 채우고 있습니까? 주로 학생을 '걸러내기' 위한 목적일 것이다. 물론 관련없는 자료보다는 예비 의대생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의료 실습, 연구 또는 행정과 밀접한 주제에 대한 도전적인 과정을 요구하는 것이 좋습니다.

Why are calculus, organic chemistry, and physics still premed requirements? Mainly to “weed out” students. Surely, it would be better to require challenging courses on topics germane to medical practice, research, or administration to assess the quality of prospective medical students, rather than irrelevant material.3


적어도 6 개의 주제들이 의대 교육과 관련이 있음에도 요건에 포함되어있지 않다. 첫째, 수학 통계입니다. 통계는 의학 문헌을 읽고, 연구 연구를 설계하고, 품질 개선 계획을 실행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At least 6 relevant topics are not premed requirements. First, the mathematics most medical students need are statistics. Statistics are essential to reading the medical literature, designing research studies, and implementing quality improvement initiatives.


유전학, 분자 생물학 및 생화학은 유기 화학 및 물리보다 훨씬 의학에 필수적입니다. 사실, 명명법과 유기 구조 및 반응에 대한 지식은 생화학 분야에서 중요하지만, 필요한 재료는 관련없는 합성 경로의 전체 연도를 요구하기보다는 몇 주 동안 가르쳐 질 수 있습니다.

Genetics, molecular biology, and biochemistry are much more essential to medicine than organic chemistry and physics. True, some knowledge of nomenclature and organic structures and reactions is important for biochemistry, but the necessary material could be taught in a fewweeks, rather than requiring an entire year of irrelevant synthetic pathways.



히포크라테스 선서의 단순한 존재가 증명했듯이, 윤리적 도전은 의료 행위와 연구에 내재되어 있습니다 .17 일반적인 윤리 코스를 요구하는 것은 집중된 생체 윤리 코스보다 바람직합니다. 학생들은 실제 환자와 임상 딜레마에 대한 경험이 생길 때까지 기다려야합니다.

As the mere existence of the Hippocratic oath attests, ethical challenges are inherent in medical practice and research.17 Requiring a general ethics course is preferable to a focused bioethics course, which should wait until students have experience with actual patients and clinical dilemmas.


더욱이, 의료행위는 의학 연구처럼 연구 팀을 다루고 조직을 관리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으므로, 인간의 심리를 다루어야 한다.

Moreover, much of the practice of medicine, as well as dealing with a research team and administering organizations, entails dealing with people and, therefore, human psychology.





의과대학 교육과정 바꾸기

Changing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General Professional Education of the Physician and College Preparation for Medicine에 관한 1984 년 보고서에서 선언한 것과 같이, 현재 의과대학 커리큘럼에 포함 된 내용들은 대부분 임상의, 연구원 및 의료 관리자의 실제 일과 관련이 없으며, 오히려 포함되지 않은 것들은 매우 관련이 있고 중요하다.

As the 1984 report on the General Professional Education of the Physician and College Preparation for Medicine declared, much of what is included in medical school curricula is irrelevant to the actual day-to-day work of clinicians, researchers, and medical administrators, while much of what is excluded is very relevant.3,8



커리큘럼에 포함되거나 제외되는 코스를 결정하기 위한 치열한 교수들의 대결이있을 수 있습니다. 각 교수는 안전하게 제거 할 수 있는 것의 목록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다른 교수가 하는 과목이다.

Determining what courses are included and excluded from the curriculumis subject to fierce faculty battles. Each professor has a list of what could safely be eliminated, which is usually someone else’s offering.




커뮤니케이션, 생명 윤리, 통계, 보건 재정, 보건법, 경영 과학 등 의학 교육의 일부로서 무엇이 필요한지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더 중요 할 수 있습니다.

Rather than debate what to reduce or eliminate, it might be more valuable to focus on what should be required as part of medical education: communication, bioethics, statistics, health care financing, health law, and management sciences.


효과적인 의사 소통, 연구 및 행정을 제공하기 위해 의사 소통과 생의학이 필수적이라는 인식하에, 의학 교육 연락위원회 (LCME)는 "의사의 책임과 의학 윤리 및 인간의 가치관과 관련된 의사 소통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18을 요구한다. 그러나 의료윤리 교육이 환자 관계의 윤리적 위반에만 초점을 두게 되면, 희소 한 자원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 공공 건강 비상 사태 및 기본 및 임상 연구 등을 무시하게 된다. 또한, 윤리 및 커뮤니케이션 모두 "그 기술들을 가르치고 평가하는 방법에 엄청난 variation이 있다."19

Recognizing that communication and bioethics are necessary skills for providing effective medical practice, research, and administration, the Liais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 (LCME) requires “specific instruction in communication skills as they relate to physician responsibilities...[and] medical ethics and human values.”18  However, The medical ethics requirement focuses on the ethical breaches in physician-patient relationships, marginalizing if not ignoring ethical issues related to scarce resources, public health emergencies, and basic and clinical research. In addition, for both ethics and communications “there is tremendous variation in the way, and extent to which [these] skills are taught and assessed.”19 


이 과정은 정규 교육이 부족하고 해당 지역의 전문가 나 연구자가 아닌 교수가 자주 진행합니다. 이 주제들은 종종 학습을 인도하기위한 명확한 개념적 틀 없이 교육된다. 19,20 게다가, 교육과정 기간동안 지속적으로가 아니라 한 번 가르치는 경향이있다.

These courses are frequently taught by faculty who lack formal training and are neither experts nor researchers in the area. These topics are often taught without an explicit conceptual framework to guide learning.19,20 Moreover, they tend to be taught once rather than continuously through medical training.


통계를 사전 요구 사항으로 삼아 의과대학 입학생이 기초를 갖출 수 있도록 보장하는 한편, 1 학년의 공식 통계 과정은 의학 문헌 읽기, 연구 데이터 분석, 보건 서비스 연구 이해 및 품질 개선에 대한 지식을 강화하고 적용합니다.

While having statistics as a premed requirement will ensure that entering medical students grasp the basics, a formal statistics course in the first year would reinforce and apply the knowledge to reading the medical literature, analyzing research data, understanding health services research, and improving quality.





모든 의사는 협상, 리더십, 인사 관리, 회계, 전략 기획 및 성과 평가를 포함한 경영 과학의 필수 요소를 알아야합니다. 이들은 더 이상 부수적 인 기술로 간주 될 수 없으며, 임상의, 연구원 및 관리자의 최적 기능에 필수적입니다. 그리고 그들 각각은 가르 칠 수 있습니다.

Every physician needs to know the essentials of management sciences, including negotiations, leadership, personnel management, accounting, strategic planning, and performance assessment. These can no longer be considered incidental skills, but are integral to optimal functioning of clinicians, researchers, and administrators; and each of them can be taught.


의사와 의사 경영자는 

  • 금융 시스템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민간 

  • 보험, 메디 케어, 메디 케이드 및 기타 지불 인이 제공하는 서비스가 무엇인지

  • 상환 시스템에 내포 된 임상의를위한 인센티브

를 이해해야합니다.

Practitioners and physician executives must understand

  • how the financing system is structured, 

  • what services are covered by private insurance, Medicare, Medicaid, and other payers, and 

  • the incentives for clinicians implicit in reimbursement systems.


인공 영양 및 수분 섭취 중단, 전염병 신고, 정보통 동의 획득 또는 의료 소송과의 싸움과 관련하여 법률 및 법원 판결은 관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칩니다 .1 의대를 졸업한 학생들이 건강 관련 법률이나 어떻게 법률가들이 헬스케어 이슈를 생각하는지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

Whether addressing terminating artificial nutrition and hydration, reporting communicable diseases, obtaining informed consent, or battling malpractice suits, the law and court rulings substantially influence practices.21 That a student can graduate from medical school and not understand relevant health laws and how lawmakers and lawyers think about health care issues seems problematic.


1905 년 이래로 의료 시스템의 조직은 훨씬 더 복잡해졌습니다.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하거나 관행, 부서, 연구 실험실 또는 병원을 관리하기 위해 의사는 기본적인 경영 기술을 소유해야합니다.

Since 1905, the organization of the health care system has become much more complex. To deliver effective care or administer a practice, department, research laboratory, or hospital, physicians need to possess basic management skills.




스케쥴링

Scheduling


유전학, 분자 생물학 및 생화학을 의예과 요구 사항으로 이동하여, 의대 첫 해에 절약 된 시간은 의사 소통, 생명 윤리 및 통계에 대한 공식 교육을 확대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의료 재정, 건강 법 및 관리 과정뿐만 아니라 통신 및 생명 윤리를위한 통합 과정은 의대 4 학년까지 기다릴 수 있습니다. "오디션"하위 특수성 순환에 의해 지배 된 1 년 대신에, 3 회전은 1-2 주 간부 형 훈련으로 관리 및 보건 의료 금융 과정에 할당 될 수 있습니다.


The time saved in the first year of medical school by shifting genetics, molecular biology, and biochemistry to premed requirements might be used for expanded formal training in communication, bioethics, and statistics. Conversely, health care financing, health law, and management courses as well as the consolidation courses for communications and bioethics can wait until the fourth year of medical school. Instead of a year dominated by “auditioning” subspeciality rotations, 3 rotations could be devoted to management and health care financing courses as 1 to 2-week executive-style trainings.



변화를 실행하기

Enacting These Reforms



의료 교육 개혁에 대한 실현되지 않은 요구의 역사는 회의론과 질문을 강요한다: 어떤 레버리지 포인트가 개혁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인가? 사전 요구 사항과 관련하여 두 가지 열쇠가 있다: 입학 요건과 의대 입학 시험.

The history of unrealized calls for medical education reform compels skepticism and the question: 

what leverage points might catalyze reform? 

Regarding premed requirements, there are 2 keys: admission requirements and the Medical College Admission Test.


미국 의과 대학 협회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는 이러한 변화를 촉진 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또한 의과 대학 입학 시험에 대한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유전학, 분자 생물학, 생화학 및 통계를 통합하면서 물리, 유기 화학 및 시험에서 배제 된 수학을 제거함으로써 예비 학생의 교육이 변경됩니다.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could facilitate this change. It also has authority over the Medical College Admission Test. By eliminating physics, organic chemistry, and calculus from the test, while incorporating genetics, molecular biology, biochemistry, and statistics, the education of premed students would change.


의과 대학 교과 과정의 변화는 의과 대학 인가 기관인 LCME의 영역입니다. 공식적으로 통계, 보건법, 재정 및 관리 과정을 요구하고 의사 소통 및 생명 윤리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내용을 명시함으로써 LCME는 의료 학교 교과 과정을 실질적으로 형성 할 수 있습니다.

The proposed changes in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are the domain of the LCME, the accrediting authority for medical schools. By formally requiring statistics, health law, financing, and management courses and explicitly specifying the content that would fulfill the communications and bioethics requirements, the LCME can substantially shape medical school curricula.




결론

Conclusion


관련없는 자료를 제거하고 현재 의과대학 교육에서 제외 된 통계 및 관리 과학과 같은 관련 자료를 포함해야합니다.

It is time to eliminate irrelevant material and include relevant material, such as statistics and management sciences, currently excluded from medical student training.






 2006 Sep 6;296(9):1128-31.

Changing premed requirements and the medical curriculum.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Clinical Bioethics, The Clinical Center,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20892-1156, USA. eemanuel@nih.gov
PMID:
 
16954492
 
DOI:
 
10.1001/jama.296.9.1128
[Indexed for MEDLINE]


한세기에 걸친 의예과 교육 비판 이후, 우리가 놓치고 있는 것은? (Acad Med, 2008)

Perspective: After a Century of Criticizing Premedical Education, Are We Missing the Point?

Jeffrey P. Gross, Corina D. Mommaerts, David Earl, and Raymond G. De Vries, PhD




흥미롭게도 미래의 의사 양성을 위한 교과외 활동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의예과 교육의 개혁자는 교과 과정 개혁에 거의 전적으로 초점을 맞춘다. 마치 공식 교과 과정이 의사 양성의 모든 것인 듯 보였다. 일반적으로 개혁에 대한 이러한 요구는 "잠재 의예과 교육과정"이라고 불릴 수있는 것에 대한 인식이 부족합니다.

Curiously, and despite the oft- acknowledged importanc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physicians, would- be reformers of premedical education focus almost exclusively on curricular reform, as if the syllabus were all that mattered in the making of a physician. Generally, these calls for reform lack an appreciation of what might be termed the “hidden premedical curriculum”:


의학 교육에서 잠재 교육과정의 역할은 오랫동안 인정 받아 왔습니다 1-2.이 커다란 커리큘럼은 전임상 학생의 사회화 경험에 필수적이며, medical training에서 성공하기 위해서 그들이 필요로하는 경쟁 전략으로 안내하고 지침을 제시합니다. 잠재 의예과 교육과정은 학생들이 배우는 것 뿐만 아니라, 배우는 방법, 그리고 또한 그들이 누구인지를 형성합니다.

The role of the hidden curriculum in medical education has long been acknowledged.1–2 Not surprisingly, this larger curriculum is also critical to the socializing experience of premedical students, introducing them to, and instructing them in, the competitive strategies they will need in order to succeed in their medical training. The hidden premedical curriculum shapes not only what students know, but also how they know, and thus, who they are.


우리는 교실 수업이 도덕적으로 적절한 행동을 생산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premedical 교육에 관해서는, 마치 "premed"가 되는 사회화 경험이 행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처럼, 교육내용이 교육맥락을 trump하는 듯이 논쟁이 진행됩니다 미래의 의료 전문가. 우리는 도덕 교육에 관해서, 학생들이 배우는 방법 (그들이 배우는 환경 포함)이 그들이 배운 것보다 더 중요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합니다.

We know that classroom instruction is not sufficient to produce morally proper conduct: When it comes to premedical education, however, the debate goes on as if content trumped context, as if the socializing experience of being a “premed” did nothing to influence the behavior of future medical professionals. We must realize that when it comes to moral education, how students learn (including the environment in which they are learning) may be more important than what they learn.







Premedical 교육 : 비판의 역사

Premedical Education: A History of Critique


의학 교육을 준비하기 위해 무엇을해야합니까? Abraham Flexner의 1910 년 보고서, Med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에 따르면, 의대 입학 요건은 매우 다양했습니다. 일부 학교는 예비 과정 수료 과정을 수강해야하지만 나머지 과정은 수강료를 납부하기에 충분한 돈만 필요했습니다. 오늘날 Flexner 보고서와 미국 의과 대학 의학 교육 협의회 (American Medical Association)의 협의회 결과에 따라 엄격한 과학 지향적인 의예과 교육은 의과 대학 입학을 위한 필수불가결한 것sine qua non이 되었다. Pre-Flexner 년에는 충분한 돈만 있으면 의사가 될 수 있습니다. 오늘날 의과 대학 입학을 위해서는 생물학, 화학 및 물리 분야에서 높은 점수를 얻은 학부 교육, 광범위한 과외 활동 및 자원 봉사 활동, MCAT에서의 높은 점수 등 다양한 종류의 자본이 필요합니다.

What should one do to prepare for medical education? Before Abraham Flexner’s5 1910 report, Med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requirements for entry to medical school were highly varied. Some schools required completion of a collection of preparatory courses, whereas others required only money enough to pay the tuition. Today, as a result of the Flexner report and the work of the Council on Medical Education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 rigorous, science- oriented premedical education is the sine qua non for entry to medical school. In the pre-Flexner years, any student with enough money could become a physician; today, gaining admission to medical school requires a different kind of capital: an undergraduate education, including high marks in biology, chemistry, and physics, extensive extracurricular and volunteer activities, and a high score on the MCAT.


Flexner의 보고서 이후 거의 100 년 동안 "엄격한" 의예과 교육의 내용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했다. 이러한 불일치에 대한 검토는 세 가지 유형의 비평가를 드러내고있다 : 

  • 기존의 premedical 교과 과정을 제거하자고 주장하는 사람들, 

  • premedical 교육이 중요하다고 믿지만, 과학에 너무 집중되어 있다는 걱정을 하는 사람들

  • premedical 최신 커리큘럼을 통해 학생들이 새로운 과학 및 의학 비즈니스를 제대로 준비 할 수 있도록 하자는 사람들.

As one would expect, in the nearly 100 years since Flexner’s report, there has been disagreement about the content of a “rigorous” premedical education. Review of these disagreements reveals three types of critics: those who argue for eliminating a defined premedical curriculum, those who believe premedical education is important but worry that it has become too focused on the sciences, and those who call for constant vigilance in keeping the premedical curriculumup-to-date so that students will be properly prepared for the new science and business of medicine.


루이스 토마스 (Luis Thomas)는 아마도 분절화되고, 명확하게 정의 된 premedical 커리큘럼을 제거하자는 의견에 대한 가장 유명한 옹호자 일 것입니다. 학사 학위 교육의 가치에 대한 그의 강한 믿음은 근대 의과 대학이 교양 과목에 "baleful하고 악의적인"영향을 주었다고 한탄하였다.

Lewis Thomas6 is perhaps the best- known advocate for eliminating a separate and clearly defined premedical curriculum. His strong belief in the value of a baccalaureate education led himto lament the “baleful and malign” influence of the modern medical school on the liberal arts:


나는 모든 의과 대학의 학장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발표를 요구하는 제안을하고있다 : 이제부터, 스스로 "premed"라고 지칭하는 모든 지원자들, 즉 자신의 동기들과 수강하는 과목이 구분되는 학생들은 3개 stack중 3등이 될 것이다. "premedical society"의 회원 자격은 그 자체로 불합격의 근거가됩니다. "premedical 커리큘럼"이라고 불리는 것을 가지고 있거나 "premedical advisors"라고 불리는 사람들을 위해 사무실을 유지하고있는 모든 대학은 의과 대학의 인정에서 제외됩니다.


I have a suggestion, requiring for its implementation the following announcement fromthe deans of all the medical schools: henceforth, any applicant who is self-labeled as a “premed,” distinguishable by his course selection fromhis classmates, will have his dossier placed in a third stack of three. Membership in a “premedical society” will, by itself, be grounds for rejection. Any college possessing something called a “premedical curriculum,” or maintaining offices for people called “premedical advisors,” will be excluded from recognition by the medical schools.


토마스보다 덜 급진적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예과 교육에서의 과학에 대한 과도한 관심은 premedical 교과 과정에서 인문학과 사회 과학을 추구하는 비평가들입니다. 1937 년에 Reinke7은 의사가 기술자가되어 가고 있다고 우려했다. 

"현대 의사는 전임자보다 인간 본성에 대한 더 나은 통찰력을 가지고 있습니까? 그는 그 단어의 고대 의미에 있는 의사입니까 아니면 장기에 대한 치료자입니까? "

Less radical than Thomas, but nonetheless concerned with the overemphasis on the hard sciences in premedical education, are those critics who push for mor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the premedical curriculum. As early as 1937, Reinke7 worried that doctors were becoming technicians: 

“Does the modern physician have any better insight into human nature than his predecessor? Is he a doctor in the ancient meaning of the word, or is he only a healer of organs?”



40 년이 지난 후에, Wolf8은 너무 많은 과학에 의해 만들어진 마음의 형태에 대한 견해를 추가하여 이 걱정을 상기시킵니다.

More than 40 years later, Wolf8 echoes this worry, adding a comment about the types of minds created by too much science:


나는 우리가 인문학 분야에서 civilizing 배경이 부족한 젊은이들, 즉 거의 (책을) 읽지 않았을 뿐 아니라 전혀 쓰지도 않았을 수 있는 젊은이들을 의과대학에 데려 오는 것을 걱정한다. 또한 배워야 할 자료가 명확하게 정리되어있는 경우에만 배울 방법을 알고있는 사람들, 즉 concrete thinker들만 의과대학 입학이 쉬워지는 것을 우려한다.

My concern is that we not only are bringing into medical school young men and women who lack a civilizing background in the humanities, who have read little and may have written not at all, but also we are making medical school admission easy for concrete thinkers, those who know how to learn only if the material to be learned is clearly laid out.



이러한 유형의 비평가들은 과학과목이 인문학 분야를 밀어내고 있는 것을 두려워합니다. Gellhorn9 글 :

Critics of this stripe fear that science courses tend to crowd out work in humanities and the human sciences. Gellhorn9 writes:


인문 사회 과학 분야의 광범위한 교육을 위해 의예과 학생에게 헌신 할 시간을주기 위해서는 (의학에) 기여하지 않는 과정을 제거해야합니다. . . 화학, 생물, 물리 등의 교과목을 수정하여 그것이 생물 의학 분야와 직접적으로 관련되도록합니다.

In order to give the committed premedical student time for a broad educatio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t is necessary to eliminate those courses which are not contributory . . . and to revise the course material in mathematics, chemistry, biology, and physics so that it is directly pertinent to the biomedical disciplines.



premedical 교육에 대한 "수정, 거부하지 않음"접근 방식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premedical preparation이 의학 및 의학 실무에 뒤처져 있다고 우려하는 세 번째 비평가 의견에 있습니다. Page10은 끊임없는 경계constant vigilance를 권고합니다.

Sympathy for a “revise, but do not reject” approach to premedical education is found in the comments of a third set of critics who are concerned that premedical preparation lags behind the science and practice of medicine. Page10 recommends constant vigilance:



대부분의 학교는 이제 최소한의 양의 생물학, 화학 및 물리학을 요구하지만, 이러한 전제 조건에 대한 명확한 근거가되는 있는 것 같지는 않다. 이 과목들이 학생에게 의학 연구에 중요한 지식의 토대를 제공하고 있습니까? 의술을 행하기 위해서 반드시 이러한 지적 도구가 있어야합니까?

Although most schools now require ‘minimum’ amounts of biology, chemistry, and physics, there does not seemto be a clear rationale for these prerequisites....Arethecourses needed to give the student a foundation of knowledge important for his medical studies? Must he have these intellectual tools to practice medicine?


2006 년에 작성한 Emanuel's11의 비판은 "현재 상태 유지"를 우려하는 가장 최근의 예입니다. 그는 메모 :

Writing in 2006, Emanuel’s11 critique is the most recent example of the “keep it current” concern. He notes:


많은 사전 준비 요구 사항은 미래의 의학 교육 및 실무와 무관합니다. 죄를 통합하는 방법을 아는 것이 재생 불량성 빈혈에서 TERC의 역할을 설명하거나 환자를 돌보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까? 어떤 의사, 심지어 연구원이 Diels-Alder 부가 물에 대해 알아야합니까? 어떤 의료 행위와 관련된 회전 탑의 각운동량을 계산하고 있습니까? 미적분, 유기 화학 및 물리학의 1 년에 포함 된 대부분은 의료 종사자, 연구원 및 관리자에게 관련이 없습니다.

Many premed requirements are irrelevant to future medical education and practice. Does knowing how to integrate sin  have anything to do with caring for a patient or elucidating the role of TERC in aplastic anemia? Do any physicians, even researchers, have to know about Diels– Alder adducts? Is calculating the angular momentumof a spinning top relevant to any medical practice? Most of what is contained in one year of calculus, organic chemistry, and physics is irrelevant to medical practitioners, researchers, and administrators.



Emanuel은 premedical education의 많은 요구 사항이 이미 낡았으며, 단순히 학생들을 "제거weed out"하는 역할을한다는 것을 인정합니다.

Emanuel acknowledges that many of the requirements of premedical education are outdated and serve simply to “weed out” students.



Kramer13은 의예과 유기 화학의 골치거리(bane)을 변호합니다. "나는 유기 화학을 신청자가 떼를 모으는 단순한 도구로 성급하게 기각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정말로, 나는 (유기화학만큼) 임상 진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과목은 없다고 믿는다. "Higgins와 Reed14는 hard science의 가치를 무시하는 것에 조심 스럽다."우리는 많은 [Emanuel의 견해에 동의하지만, 유기 화학과 물리학을 배제하다는 것은 잘못되었다고 생각한다. "

Kramer13 defends that bane of the premed—organic chemistry: “I would not so hastily dismiss organic chemistry as a mere tool to thin the applicant herd. Indeed, I believe that no other premedical course so directly impacts clinical practice.” Higgins and Reed14 are also wary about dismissing the value of hard science: “While we agree with many of [Emanuel’s] views, we think it is misguided to exclude courses in organic chemistry and physics.”




놓친 것은? 

What’s Missing?


프레스 너 (1910)에서 엠마누엘 (Emanuel) (2006)까지 확장되는 의예과 교육에 대한 불만의 전통은 의예과 기간이 미래 의사의 머리에 지식을 채우는 것 이상이라는 사실을 무시합니다. 의과 대학 입학위원회가 수립 한 요구 사항과 의사가되기 위해 자격이없는 사람들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과정 및 시험은 의과 대학의 엄격함을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것 이상을 수행합니다. 의과대학의 선발 과정은 의계과 학생에게 독특한 규범과 가치 집합으로 이뤄진 문화를 형성한다. premedical 기간 동안 학생들이 교과서와 교사로부터 얻는 정보보다 더 많은 것을 배운다는 사실을 인정하기 위해서, (성적에 대한 과도한 우려, 극도의 경쟁력, 사교성의 부재로 특징지어지는) "premed syndrome"이 존재한다고 믿지 않아도 된다. 


The tradition of complaint about premedical education that extends fromFlexner (1910) to Emanuel (2006) ignores the fact that the premedical years do more than fill the heads of future physicians with knowledge. The requirements established by medical school admission committees and the courses and tests used to “weed out” those who are not “qualified” to become physicians do more than lay the groundwork for the rigors of medical school—they also create a premedical student culture with a distinctive set of norms and values. One does not have to believe in the existence of the “premed syndrome”15—excessive concern with grades, extreme competitiveness, and lack of sociability—to acknowledge that during the premedical years, students learn more than information fromtheir textbooks and teachers.




의예과 학생처럼 생각하기

Thinking Like a Premed



의대가 지원서를 검토 할 때, 그들은 이 학생이 성공하고 유능하고 보살피는 의사가 되기에 필요한 것 - 지적 능력과 성격 - 을 갖고 있는지를 알고 싶어 합니다. 의예과 학생들은 "내가 그러한 것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입학위원회에서 알 수 있도록 자신을 소개하는 방법은 무엇일까?"라고 묻습니다.

When medical schools review applicant dossiers, they rightly want to knowone thing: does this student have what it takes—the intellectual ability and the character—to succeed and become a competent and caring doctor? For their part, premedical students ask, “Howdo I present myself so that an admissions committee will see that I have what it takes?”


그들이 학부 과정을 통해 길을 탐색하면서, 의예과생들은 이력서의 학문적인 부분과 비 학문적인 부분을 모두 관리하는 법을 배우게됩니다.

As they navigate their way through the undergraduate years, premeds learn howto manage both the academic and nonacademic portions of their resumes. 



성공하는 법에 대한 조언

Advice on how to succeed


의예과생들이 받게 되는 조언의 유형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학부 대학의 계층화 된 무작위 표본의 사전 지향형 웹 사이트를 살펴 보았습니다.

To better understand the type of advice that premeds receive, we looked at the premed-oriented Web sites of a stratified random sample of undergraduate colleges and universities.



이 웹 사이트의 대다수는 학부생으로서 수강할 수 있는 과목에 대한 실용적인 조언을 제공하고 어떤 지역 자원이 있는지(premedical clubs, meeting, library libraries)를 설명하고, 지역 절차 (premedical위원회의 역할, 모의 스케줄링 인터뷰,위원회 서신 요구 사항)를 설명하고 있었습니다.

The majority of these Web sites offer practical advice on the courses one should take as an undergraduate, direct students to local resources (premedical clubs, meetings, lending libraries), and explain local procedures (the role of the premedical committee, the scheduling of mock interviews, the requirements for a committee letter).


조언의 연속체가 존재합니다. 이 연속체의 한쪽 끝에는 전략적인 조언이 있다 - "입학위원회를 만족시키기 위해이 일을해야만한다."- 그리고 다른 한쪽에는 성격을 형성하는 것에 대한 조언이 있습니다. "좋은 의사가 될 성격을 키우기 위해 이것을하십시오."

There exists a continuum of advice giving. On one end of this continuumis the strategic—“you must do this to satisfy the admission committee”—and on the other end there is advice on creating character—“do this to develop the kind of character that will make a good physician.”



언어의 미세한 그라데이션은 "자신의 성격을 만들어가는 방법"에 대한 조언과, 보다 도구적인 조언이라 할 수 있는 "입학위원회에 긍정적 인상을 주는 방법"을 구별합니다. MIT는 학생들에게 "이 과정이 성적표에 있어야한다"고 조언하지만 Yale은 "인문 사회 과학의 견고한 배경"의 가치를 강조했다.

Fine gradations in language distinguish advice on “how to build one’s character” fromthe more instrumental “how to impress an admissions committee.” MIT simply advises students that these courses must be on their transcript, whereas Yale gives a nod to the value of a “solid background in social sciences in the humanities.”


premedical 학생들이 연구에 참여해야합니까? 의예과생은 연구가 이러한 자질을 개발할 것이라는 말을 듣지 않습니다; 오히려, 그들에게 주어지는 조언은 "바람직한 성격을 갖추었음을 보여주라"는 전략적 목표에 맞춰져 있습니다.

Should premedical students get involved in research? Notice that premeds are not told that research will develop these qualities; rather, the advice is geared toward the strategic goal of demonstrating character.


자원 봉사의 가치에 대한 조언은 거의 동일합니다.

Advice about the value of volunteer work is much the same.


강조는 전략적 의료 학교 지원자가 자신의 성격을 “show” or “demonstrate” 해야한다는 것입니다.

The emphasis is on the strategic— medical school applicants must “show” or “demonstrate” their character.



여정인가 경쟁인가?

Journey or tourney?


우리는 성격을 develop하는 것과 그것을 demonstrate하는 것의 구분이라는 미묘한 본질을 깨닫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학생의 성격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의도된 경험이, 의과대학 지원시에 "체크리스트의 상자"가 되고마는 사회적인 과정을 반영하는 구별입니다.

We realize the subtle nature of the distinction between developing a trait and demonstrating it. However, it is a distinction that reflects a social process whereby experiences that were meant to be a way to check a student’s character become nothing more than “boxes to be checked” when putting together a medical school application.



우리는 "성격의 전략화 - 성격의 개발"의 연속체가 학생과 행정관 사이에 입학 과정을 인식하는 방법상의 차이점과 연관되어 있었다. 여러 명의 전임 고문 및 의대 입학위원회 위원은 의과대학에 이르는(입학하는) 과정은 career in medicine 또는 다양한 의과 대학의 특성에 맞는 학생을 찾는데 도움이 되는 "여행"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이 비유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We discovered that the “strategic/creating character” continuum tracked closely with differences in how students and administrators perceive the admissions process. Several premedical advisors and medical school admissions committee members described the path to medical school as a “journey” where the demands of the premedical years helped students discover their fit with a career in medicine and/or with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medical schools. Most students did not accept this metaphor, describing their premedical years more as a competition than as a journey.





의예과 다시 생각하기

Rethinking the Premedical Years



premedical 교육 개혁을 요구하는 사람들은 학생들이 의과대학에 지원할 준비를 하면서 배우는 것들을 무시하면서 대부분 교육과정의 내용에만 집중합니다.

Those who call for the reformof premedical education focus almost exclusively on the content of the courses, ignoring the many lessons learned by premedical students as they prepare their applications to medical school.


학생들은 의예과 경험이 의대 진학의 수단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합니다. 그들의 성격을 형성하고있는 경험이기도합니다. 의예과 학생들이 잠재 교육과정의 영향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윤리 또는 전문성에 대한 또 다른 수업이 아닙니다. 필요로하는 것은 학생들이 조기 진료 전공에서 의사가되기로 선택하는 동기를 반영하고, premedical 문화가 그들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고, demonstration과 development의 차이점을 이해하도록하는 과정입니다 

Students must realize that the undergraduate premedical experience is not just a means to enter medical school; it is also an experience that is shaping their character. The best way to help premeds understand the influence of the hidden curriculum is not another class on ethics or professionalism. What is needed is a course that encourages students, early in the premedical careers, 

  • to reflect on their motives for choosing to become a physician, 

  • to recognize the influence of premedical culture on their behavior, and 

  •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monstr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haracter.






 2008 May;83(5):516-20. doi: 10.1097/ACM.0b013e31816bdb58.

Perspectiveafter a century of criticizing premedical education, are we missing the point?

Author information

  • 1Department of Psychology,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Michigan 48109-5429, USA.

Abstract

Ever since Abraham Flexner formalized the idea of premedical education in 1910, medical educators have argued about how best to prepare students for medical school. This back-and-forth about the premedical years has focused almost exclusively on the range and content of the required course work; noticeably absent from the debate is consideration of the ways in which the experience of the premedical years-including the curricular and noncurricular demands placed on students-shape the moral education of the next generation of physicians. The authors review the century-long conversation about premedicaleducation, highlighting the themes of that discussion and the important aspects of being a "premed" that have not been a part of the conversation. From their systematic review of college and university Web sites designed for premedical students and from comments collected from a symposium on the premedical years, the authors describe how life as a premedical student, and not just curricular content, teaches important lessons about what it means to be a professional. The authors also report important disparities in attitudes about premedical education; for example, premedical advisors regard the "sifting process" of premedical education as a "journey of discovery," whereas students describe their premedical years as a competition. The authors' work suggests a new approach to premedicaleducation, an approach that combines the coursework needed to succeed in medical school with formal opportunities to reflect on both the positive and pernicious effects of the premedical years.

Comment in

PMID:
 
18448911
 
DOI:
 
10.1097/ACM.0b013e31816bdb58
[PubMed - indexed for MEDLINE]


의예과 교육의 관련성Relevance와 엄격성Rigor (NEJM, 2008)

Relevance and Rigor in Premedical Education

Jules L. Dienstag, M.D.




최근 수십 년 사이에 과학 지식은 극적으로 바뀌었습니다. 한때 정착되었던 과학 원리가 정교한 개념과 완전히 새로운 분야로 대체되면서 의료 행위와 의료 전달에도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현실에 직면하여 의과대학 교과 과정이 적응해야했습니다. 그러나 분자 생물학과 세포 생물학 및 유전학에 의한 대부분의 의학 분야의 침투를 포함한 이러한 과도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의대 입학 요건은 수십 년 동안 사실상 변함없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In recent decades, scientific knowledge has changed dramatically, once-settled scientific principles have been replaced by more sophisticated concepts and entirely new disciplines, and parallel changes have occurred in medical practice and health care delivery. In the face of these new realities, medical school curricula have had to adapt. Yet despite these sweep- ing changes, including the perme- ation of most areas of medicine by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and genetics, requirements for ad- mission to medical school have remained virtually unchanged for many decades.


아이러니하게도 오늘날 많은 고등학생들이 (제 세대가 대학이나 의과 대학에서 공부한) 고급 과학 및 수학을 배우고 있지만, 미국 의과 대학에서는 초등 생화학, 세포 생물학, 유전체학에 소중한 시간을 헌신하고 있습니다. 

Ironically, though many of today’s high-school students are learning advanced science and mathematics that my generation studied in college or medical school, U.S. medical schools con- tinue to devote precious time in the preclinical years to elementary- level biochemistry, cell biology, and genetics.


전임상 과정을 가르치는 교수진에 대한 압박은 임상 교과 과정에 더 빨리 진입 할 수 있도록 많은 의과 대학에서 전임 상 프로그램을 생략함으로써 강화된다. 동시에 많은 의대에서는 4 년 과정의 커리큘럼에 적합한 심층적 인 학술 프로젝트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Pressure on faculty members teaching preclinical courses is intensified by the truncation of the preclinical program at many medical schools to allow for ear- lier entry into the clinical curricu- lum. At the same time, many med-ical schools are adding a requirement for an in-depth scholarly project that must also fit into a 4-year curriculum.


일부는 생물학 1 년, 화학 2 년 (특히 유기 화학), 물리 1 년, 일부 학교에서는 1 년의 수학과 같은 현재의 의예과 요구 사항을 applicant pool을 thin out 시키는 necessary gauntlet으로 간주합니다 지원자 풀. 예를 들어 학생들은 생화학 학습을 준비하기 위해 1 년 동안 유기 화학을 정말로 필요로합니까?

Some view the current pre- medical science requirements — 1 year of biology, 2 years of chem- istry (especially organic chemistry), 1 year of physics, and, in some schools, 1 year of mathematics — as a necessary gauntlet that thins out the applicant pool. Does a stu- dent, for example, really need a full year of organic chemistry to prepare for the study of biochem- istry?



유전체학와 인포메틱스가 생체 의학 및 건강 관리에 혁명을 일으킬 시대이며, 우리는 의학을 추구하고자하는 학생들에게 높은 기준을 기대해야합니다.

We should expect a high- er standard from students who wish to pursue medicine in an era in which genomics and in- formatics will revolutionize bio- medical science and health care.


대학 의예과 과학 과정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오히려 의학에 중요한"matter" 과학을 더 효율적, 집중적으로 가르쳐야 합니다. 또한 인간은 복잡하고 유기적으로 복잡하고 정교하게 외부의 영향을 받아 복잡한 유기체이기 때문에 우리는 이러한 복잡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학생들이 학문 분야에 걸쳐 정보를 종합할 수 있도록 가르칠 필요가 있습니다. 불행히도, 그러한 synthesis을 교수들에게 요구하는 것은 학문별로 고립silo되어 있는 오래된 신성한 구분을 거부하는 것과 같다.

No one is arguing for more time in college devoted to pre- medical science courses; rather, I support greater efficiency and a tighter focus on science that “matters” to medicine. In addition, because  human beings  are  complex  organisms whose di scret e syst ems are l i nked intricately and elaborately within the body and modified profound-ly by external influences, we need to teach in ways that reflect this complexity and that stimulate stu-dents  to  synthesize  information across disciplines. Unfortunately, asking faculty members to under-take  such  synthesis  defies  the long-sacred compartmentalization of disciplines into departmental silos.


아픈 환자는 생화학적 문제, 해부학적 문제, 유전학 문제 또는 면역학 문제로 나타나지 않습니다. 오히려 한 사람의 건강 상태와 질병 상태의 결정은 복잡한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무수한 영향의 산물입니다. 대학과 의과 대학에서 우리의 가르침은 이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되풀이하고 여러 분야를 가로 질러야합니다.

A sick pa-tient  does  not  represent  a  bio-chemistry  problem,  an  anatomy problem, a genetics problem, or an immunology problem; rather, each  person  is  the  product  ofmyriad in- fluences that interact in complex ways to determine health and dis- ease. Our teaching, in both college and medical school, ought to echo this conceptual framework and cut across disciplines.


2006 년 하버드 메디컬 스쿨 (Harvard Medical School)은 임상기간 동안 기초 및 인구 과학의 강화를 목표로 한 새로운 학제 간 통합 통합 커리큘럼을 출시했습니다. 커리큘럼 개혁을위한 준비 과정에서 워킹그룹은 의예과 과학과목 준비의 엄격성을 강화하고, 생물학적으로 관련성이 높은 학제 간 과학 과정에 집중하였는데, 이 때 생물학, 화학, 물리학 및 수학에 대한 상호 보완적인 개념에 기반을 두고자 하였다.

In 2006, we at Harvard Medi- cal School launched a new, more cross-disciplinary, integrated cur- riculum, one of whose goals was to amplify reinforcement of ba- sic and population sciences dur- ing  the  clinical  years.  In  prepa-ration  for  curriculum  reform,  a working group advocated for increased rigor of undergraduate science preparation and a refocusing on more biologically relevant and interdisciplinary science courses that demonstrate and build on complementary concepts in biol- ogy, chemistry, physics, and math- ematics.


많은 대학에서 성공적으로 세포 및 분자 생물학과 유전학을 입문 생물학 과정에 도입했습니다. 그러나 이전의 화학 및 수학 요구 사항의 관련성 및 엄격성을 높이기에는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했습니다.

Many colleges have successful- ly incorporated cellular and mo- lecular biology and genetics into introductory biology courses. They have been less successful, how- ever, at increasing the relevance and rigor of premedical chemistry and math requirements.


이상적으로, 유기 합성의 두 번째 학기로 시간을 보내는 대신에, 대학생들은 준비적인 유기 화학과 생화학의 기본 원칙 (특히 프로틴 구조와 기능)을 연속적으로 학습함으로써, 의과 대학 입학 전에 기본적인 생화학 학습을 마치고, 의과 대학 과목을 학습하기 위한 기초를 수립해야 한다.

Ideally, instead of de- voting time to a second semes- ter of organic synthesis, college students could take a seamless sequence of preparatory organic chemistry and basic principles of biochemistry (especially pro-tein structure and function), com- pleting the study of introductory biochemistry before medical school and building a foundation for medical school courses


대학 수학 과정은 

    • 생물학적으로 관련된 대수학 및 삼각법 양적 기술에 중점을 두어야합니다. 

    • 미적분과 수학적 묘사와 역동적인 생물학적 시스템의 불확실성에 익숙해져야 하지만, 생물과는 관련성이 거의없는 정리theorem을 유도하는데 주의를 돌리지 말아야 한다. 

    • 과학 및 의학 문헌의 이해에 필요한 확률 및 통계에 대한 적절한 근거를 제공해야합니다.

college math courses should 

    • focus on biologi- cally relevant algebraic and trig- onometric quantitative skills; 

    • re- quire familiarity with calculus and the mathematical description and uncertainties of dynamic biolog- ic systems but not divert atten- tion to the derivation of theorems that have little relevance to biol- ogy; and 

    • provide adequate ground- ing in probability and statistics, which are required for an under- standing of the scientific and medical literature.


대학 시절은 주로 professional school을 준비하는 학생들을 위하여 설계되어서는 안된다. 대학은 

  • 학문적으로나 지적으로 탐구하고 확장해가는 

  • 문학, 언어, 예술, 인문학 및 사회 과학을 포함하는 광대 한 교양 교육에 창의적으로 참여하는

  • 사회에서 시민권을 준비하는 

시간이 되어야 한다.

The college years should not be designed primarily to prepare students for professional schools. College should be a time 

  • to ex- plore and stretch academically and intellectually; 

  • to engage cre- atively in an expansive liberal arts education encompassing literature, languages, the art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 to prepare for citizenship in society. 


이 기초에는 

  • 분석, 글쓰기 및 의사 소통 기술

  • 유창하고 미묘한 영어 의사소통

  • 외국어 숙달; 

  • 인간 행동을 이해하고, 사회 구조 및 기능을 평가하고, 문화적 인식을 달성하고, 평생 자기 교육의 습관을 촉진하기위한 기초. 

  • 심층적이고, 지속적이고, 독립적인 학습을 통하여 지식을 습득하는데 깊은 성찰과 능동적인 역할을 하고, 탐구 영역에서 학자적 ownership을 갖춰야 한다.

Includ- ed in this foundation should be 

  • analytic, writing, and communi- cations skills; 

  • fluency and a nu- anced facility in English; 

  • mastery of a foreign language; 

  • the basis for understanding human behav- ior, appreciating societal structure and function, achieving cultural awareness, and facilitating a habit of lifelong self-education; and 

  • in-depth, sustained, independent study, which fosters deep reflec- tion, an active role in acquiring knowledge, and scholarly owner- ship in an area of inquiry.


효율성과 경제를 위한 합당한 처방은 재조정, 관련성 증가, 더 높은 기준 설정,보다 학제 적 사전 의학 과정의 설계를 장려하는 것을 포함한다.

A rea- sonable prescription for efficien- cy and economy would involve 

  • refocusing, 

  • increasing relevance, 

  • setting a higher standard, and 

  • encouraging the design of more interdisciplinary premedical sci- ence courses.


의예과 교육에 대한 동일한 우려에 대응하여 미국 의과 대학 협회와 Howard Hughes Medical Stitute는 사전 및 의학 과학 교육의 연속체에 대한 공동 평가를 수행했습니다. 여기에서의 권고 사항은 specific discrete 과정이 아니라, 과학적 역량을 중요시할 것이며, 엄격한 1 년에서 2 년의 분야 별 과학 과정에 대한 의예과 요건에서 벗어나서, 보다 창조적이고 혁신적인 과정을 도입하고, 생물학자와 의사가 실제 생활 문제를 실제적으로 탐색하는 방식을 엿볼 수 있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Responding to the same con- cerns about premedical science education,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nd the Howard Hughes Medical In- stitute have undertaken a joint, comprehensive assessment of the continuum of premedical and medical science education. The recommendations are likely to favor scientific com- petencies over specific discrete courses, implying that premedical requirements for rigid, 1-to-2-year, discipline-specific science cours- es should give way to more cre- ative and innovative courses that span and unite disciplines, offer- ing a glimpse of the way biolo- gists and physicians actually nav- igate real-life problems.


이러한 새로운, 학문을 넘나드는 과학 과정을 만드는 것은 대학에 따라 어려울 수도 있다. 커리큘럼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자원의 가용성, 교수의 depth, 전통적인 부서의 정치적 의지가 학교마다 다양하기 때문이다.

Creating such new, cross-dis- ciplinary science courses may well be diff icult for colleges, which vary in the availability of resources, depth of faculty, and political will of traditional departments to ad- dress these curricular demands.


최근 몇 년간 여러 의과대학으로부터, 학부과정에서 과학 과목에 대한 요건은 약화시키고, 대신 윤리, 애타주의, 동정심, 청취 기술 및 건강 정책 및 경제 관련 기술을 가르치기를 요구하는 다양한 방안이 나왔습니다. 그러나 의학의 이러한 측면은 의과대학에서 가장 잘 가르칠 수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경우 환자들과의 상호 작용이라는 의미있는 맥락과 관계되기 때문이다. 


In recent years, calls have come from various quarters for medi- cal schools to require and for col- leges to teach ethics, altruism, compassion, listening skills, and skills relevant to health policy and economics — at the expense of science requirements. In my view, these aspects of medicine are best reserved for medical schools, where t hey can be t aught in the meaningful context of in- teractions with patients. 



의학교육자는 학생들에게 과학적 토대를 둔 의학을 행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책임감을 진지하게 생각합니다. 의대가 그 책임을 완수 할 수있는 자유를 갖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더 높은 수준의 과학적 능력을 갖추어야하며, 대학은 현대적이고, 정교하고, 생물학적으로 관련이있는 과학을 학생들이 효율적으로 준비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여할 수 있습니다 .

Medical educators take seriously their re- sponsibility to equip students for the practice of scientifically an- chored medicine. If medical schools are to have the freedom to fulfill that responsibility, stu- dents should arrive with a higher level of scientific competence, and colleges can contribute by prepar- ing students more efficiently for the study of contemporary, so- phisticated, biologically relevant science.









 2008 Jul 17;359(3):221-4. doi: 10.1056/NEJMp0803098.

Relevance and rigor in pre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 1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USA.


지난 한 세기의 의예과 교육(Perspectives in Biology and Medicine, 2011)

A Century of Premedical Education

Donald A. Chambers,* Rhonna L. Cohen,† and Jorge Girotti‡








지식 있고, 숙련되고, 자비로운 의사가 될 수있는 잠재력을 지닌 사람을 가려내어서 의학 교육을 받기 위해 최선을 준비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것은 1800 년대 중반 이후 계속되고있는 도전 과제였습니다 (Ludmerer, 1985). 의학 교육이 거의 전적으로 proprietary이었을 때, 입학을 위한 우선적인 고려 사항은 적절한 재원을 확보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1800 년대 후반에 두 명의 남성이 미국에서 의학 및 의예과 교육을 구조화하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Daniel Coit Gilman, of Yale and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ater the founding President of Johns Hopkins University, and Charles W. Eliot, President of Harvard는 Flexner Report (1910)에 나오는 두 가지 급진적인 목표를 분명히 밝혔습니다. (1)의학교육을 대학에 두는 것, (2)물리학 및 생물학 연구 및 실험실 경험을 포함하여 엄격한 예비 교육을 정의 및 구현하는 것. Gilman과 Eliot는 독일과 영국 의학의 사례에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유럽의 주요 의료계 리더 (Barr 2010, Ludmerer 1985)의 조언을 받았다.

IDENTIFICATION OF THOSE who have the potential to become knowledgeable, skilled, and compassionate physicians, and determining how best to prepare them for medical education has been an on ongoing challenge since the mid- 1800s (Ludmerer 1985). When medical education was almost exclusively pro- prietary, the primary consideration for admission was having adequate financial resources. However, in the late 1800s, two men became the driving forces for structuring medical and premed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Daniel Coit Gilman, of Yale and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ater the founding President of Johns Hopkins University, and Charles W. Eliot, President of Harvard, articulated two radical objectives that would later appear in the Flexner Report (1910): to place medical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to define and implement a rigorous premedical education including the study of chemistry, physics, and biology and encompassing laboratory experience. Gilman and Eliot were influenced greatly by the examples of German and British medicine and were advised by major European medical leaders (Barr 2010; Ludmerer 1985).


그 당시 대학 학위는 드물었습니다. 하버드 의대 학생들 중 단 20 %만이 학위를 소지했으며 (Ludmerer 1985), 의대에 지원 한 대부분의 학생들은 자격 시험을 통과했거나 적어도 1 년의 대학을 졸업했습니다. 1874-75 년 하버드는 물리학 (자연 과학)과 언어, 바람직하게는 라틴어로 대학 학위 또는 시험을 요구하는 최초의 의과 대학이었습니다. 존스 홉킨스 대학교 (Johns Hopkins University)의 존 쇼 교수 (John Shaw Billings)는 1877-78 년에 의학 연구를위한 선행 조건으로 "liberal scientific education"을 요구했다 (Fishbein 2001). 의학의 과학적 기반이 커짐에 따라 의학 교육자들은 개혁의 필요성을 인식하게되었습니다. 향후 20 년 동안 스탠포드, 캘리포니아 - 샌프란시스코, 미시건, 코넬 등의 대학교는 의과대학 수학에 필요한 필수 준비 과정을 지원하고 시행했습니다. 1893 년에 뉴욕 주 리전트 (Regents of New York)주는 뉴욕 주립대의 의대생이 최소 1 년의 대학 및 산수술, 미국사, 영어 작문 및 자연 과학의 연구를 포함하여 준비를해야한다고 입법했습니다 Barr 2009).

At that time a college degree was a rarity. Only 20% of Harvard medical stu- dents had degrees (Ludmerer 1985), and most applicants to medical school either passed qualifying examinations or had had at least one year of college. In 1874– 75, Harvard was the first medical school to require a college degree or exami- nation in physics (natural science) and language, preferably Latin. John Shaw Billings, at Johns Hopkins University, called for a “liberal scientific education” as the prerequisite for the study of medicine in 1877–78 (Fishbein 2001). As the scientific basis of medicine grew, medical educators recognized the need for re- form. Over the next two decades, universities including Stanford, University of California–San Francisco, Michigan, and Cornell supported and implemented defined requisite preparation for medical studies. In 1893, the Regents of New York State legislated that all medical students in NewYork State had to have cer- tification of preparation, including a minimum of one year of college and the study of arithmetic, American history, English composition, and natural science (Barr 2009).


1889 년에서 1893 년은 결정적이었습니다. Gilman은 Johns Hopkins Hospital and Medical School 개업으로 의학 교육 목표를 달성했습니다. Johns Hopkins Hospital and Medical School은 미국에서 의학 및 의예과 교육을 위한 모델이자 Gold standard가 되었습니다. 존스 홉킨스 (Johns Hopkins)가 모은 기부금은 여성 학생의 입학을 보장하는 의대 입학 정책을 형성하고 확고히 하는 데 도움이되었습니다 (Barr 2009, Fleming 1954). 존스 홉킨스 (Johns Hopkins)의 최초의 전임 의학 교수이자 학장 인 윌리엄 헨리 웰치 (William Henry Welch)는 의대에 지원하는 사람들이 잘 이해하고 분석 할 수있는 비판적 사고와 논리 기술을 갖추고 있어야한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의학 중심의 자연 과학에 대한 지식을 확대했다 (Fleming, 1954, Flexner and Flexner, 1941, Fishbein 2001). 20세기 초, AMA 교육위원회 (CME)는 의사에게 특화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학생들을 준비시키는 방법에 대한 질문을 받았다. 1905 년 Johns Hopkins와 Harvard만이 입학을 위해 대학 학위를 요구했습니다. 미국 인구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대학에 다니는 청년 인구가 늘어나고 의대 지원자 수가 증가했다. 1905 년에 AMA와 AAMC는 화학, 물리학 및 생물학을 포함하여 1 년에서 2 년 동안의 대학 과정이 모든 의료 훈련을위한 절대적 요건이라는 것에 합의를 이루었다.

The years 1889 to 1893 were pivotal. Gilman achieved his goal for medical education with the opening of the Johns Hopkins Hospital and Medical School, which became the model and gold standard for medical and premedical educa- tion in the United States. A critical endowment to Johns Hopkins helped shape and solidify their medical school admissions policy guaranteeing the inclusion of female students (Barr 2009; Fleming 1954). William Henry Welch, the widely influential academic physician-educator, who was Johns Hopkins’ first full-time medical faculty member and dean, expressed concern that applicants to medical school must have well-developed critical thinking and logic skills as a basis for understanding and expanding knowledge of the natural sciences central to med- icine (Fleming 1954; Flexner and Flexner 1941; Fishbein 2001). By the turn of the century, the AMA Committee on Education (CME) had taken on the ques- tion of how best to prepare students for specialized education necessary for phys- icians. In 1905, only Johns Hopkins and Harvard required college degrees for admission. As the population of the United States increased rapidly, there was a parallel increase in the number of young people attending college and an in- crease in the number of applicants to medical schools. By 1905, the AMA and AAMC were in agreement that a one- to two-year college course including chemistry, physics, and biology were absolute requisites for all medical training.


Flexner 보고서는 Gilman 및 CME의 의학적 연구에 대한 "적합성"에 대한 전반적인 견해를 통합하면서, 실험실 경험을 포함한 물리학, 생물학 및 화학이 미국 및 캐나다의 거의 모든 의과 대학에서 요구되는 의예과 교육 과정의 핵심으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The Flexner Report consolidated the prevailing views of Gilman and the CME about “fitness” for medical studies as physics, biology, and chemistry including laboratory experience became the accepted core of the premedical curriculum required by almost all medical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인문학에 대한 연구와 광범위한 인문 교양 교육은, 의사들이 잘 교육 받고 사회 구성원으로 참여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에 (예 : Cooke 2010, Dienstag 2008, Nuland 1999), 의예과 교육의 필요하고 가치있는 요소로 간주되어왔다. . 그러나 과거 대부분의 사회에서는 의과대학에 진학하는 학생이 알아야 할 것이 무엇인지, 끊임없이 확장되는 과학적 기초에 대한 지식을 언제(의과대학 입학 전인지 후인지) 가르쳐 져야하는지에 대한 토론이 진행되어왔다 . Flexner는 물리학, 생물학 및 화학이 의학의 기초라고 생각하고 이러한 과목에서 성과가 열악한지를 기준으로, 자격이없는 지원자를 식별하고 이들을 제거 할 수있었습니다. 


더 최근에, 의과대학생들의 화학과 물리학은 지원자를 제적시키는 역할만을 할 뿐, 의료 실무와 관련이 없기 때문에 덜 배워도 되고, 오히려 통계, 윤리 및 심리학 등이 의과대학 과정을 위한 의예과 커리큘럼에 더 중요하다는 주장도 있다 (Barr 2010, Emanuel 2006). 의예과 교육 개혁을 추구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코스 내용과 강조점의 변화를 모색하고 있으며, 경쟁이 치열한 환경이 예비 학생과 학부모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캔터 (Kanter, 2008)는 학부 교육이 "더 나은 의사"가 될 수있는 근거인지 또는 의대에 더 나은 지원자인지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는지 여부에 관한 중요한 질문을 제기했다.

Study of the humanities and a broader liberal arts education have been as- sumed to be a necessary and valuable component of premedical education, as physicians are expected to be well-educated, participatory members of society (Cooke 2010; Dienstag 2008; Nuland 1999). However, for most of the past cen- tury there has been ongoing discussion and debate about what an entering med- ical student needs to know and whether knowledge of the ever-expanding sci- entific basis of medicine should be taught before or during medical school. Flexner considered physics, biology, and chemistry to be the foundations of medical science, and that a poor performance in these subjects could identify un- qualified applicants and weed them out. More recently, others would have less chemistry and physics for premedical students, arguing that these courses only serve to weed out applicants, or that they are irrelevant to medical practice, and that there is greater need in the undergraduate premedical curriculum for foun- dation courses in statistics, ethics, and psychology (Barr 2010; Emanuel 2006). Most who seek reform of premedical education have sought changes in course content and emphasis and have expressed a concern for the effects of the highly competitive environment on prospective students and their undergraduate expe- rience. Kanter (2008) has raised the critical question of whether undergraduate education is to provide the basis for being a “better doctor” or a better applicant for medical school.


1972 년 뉴 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1978)에 루이스 토마스 (Lewis Thomas)는 의예과 교육에서 급진적 변화를 제안하면서, 모든 과학을 제거하고 고전, 역사, 문학 및 철학으로 복귀 할 것을 촉구하였다. 이유는 우리의 premedical 문화가 모든 것과 관련된 모든 것을 "먹어"버린다는 것이 이유였다.  Thomas는 이러한 똑똑한 학생이 "인간이 항상 삶을 살았던 방법"에 대해 가능한 많은 것을 배운다면 "사회는 그러한 변화의 궁극적 인 수혜자가 될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의과학에 필요한 것들은 의과대학에서 그 이후에 배울 수 있으며, 의대에서 인간 생물학과 의학에 새로이 노출 된 학생들이 excited될 것이라고 보았다. Thomas, Gunderman and Kanter (2008)는 다음과 같이 결론을 맺었습니다.

The peerless Lewis Thomas, writing in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1978), proposed a radical change in premedical education, calling for the elim- ination of all science from premedical study and a return to the classics, history, literature, and philosophy, on the grounds that our premedical culture “eats away” at everything and everyone involved. Thomas believed that “Society would be the ultimate beneficiary” of such a change as these bright students would have learned as much as possible “about how human beings have always lived out their lives.” All necessary learning of medical science could then be done in medical school, where students newly exposed to human biology and medicine would be excited to learn. In their reflection on Thomas, Gunderman and Kanter (2008) conclude that:


토마스는 두 가지 더 깊은 포인트를 만들고있었습니다. 첫째, 학부 커리큘럼은 의대 자체보다는 의학의 미래에 중요한 것으로 간주해야합니다. 둘째, 학부생들을 조기에 전문화 되지 않도록 안내하고, 대신에 그들이 의학 교육에 들어가기 전에 가능한 한 인간으로서 최대한 발전하도록 장려해야합니다. 내일의 의사가 의학, 지역 사회 및 환자의 직업에 봉사한다면, 오늘날 의학의 학생들은 인간이라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깊이 있고 깊게 반영해야합니다. (1161 쪽)


Thomas was making two more profound points. First, we should regard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as no less vital to the future of medicine than medical school itself. Second, we should guide undergraduate students away from the path of premature specialization, instead encouraging them to develop as fully as possible as human beings before they enter medical training. If the physicians of tomorrow are to serve the profession of medicine, their communities and their patients, it is vital that today’s medical students arrive having reflected broadly and deeply on what it means to be human. (p. 1161)





2009 년 Dienstag는 뉴 잉글랜드 의학 저널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서 특히 "화학 및 수학 분야의" Premedical Education에서 Relevance and Rigor를 요구했습니다. 그는 

  • 학생들이 정보를 종합하고 분석 할 수있는보다 학제 간 과정, 

  • 그러한 변화를 반영하기위한 MCAT의 개정, 

  • premedical 학생들이 의사에게 기대되는 리더십과 시민권 역할을 준비 할 수 있도록, 더 넓고 의미있는 교양 교육을받을 수있는 시간과 지원을 주장했다. 

In 2009, Dienstag, in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called for “Rele- vance and Rigor in Premedical Education,”especially in chemistry and math. He argued for 

  • more interdisciplinary courses in which students would synthesize and analyze information, 

  • revision of the MCAT to reflect such changes, and 

  • time and support for premedical students to have a broader, more meaningful liberal arts education to prepare them for the leadership and citizenship roles expected of physicians.



가장 최근에 그리고 강력하게 HHMI-AAMC (2009) 보고서는 미래의 의사를위한 과학 기초에 관한 보고서에서 어떤 예비 학습 과정의 예비 의학 학생들에게도 "과학과 수학의 주요 개념과 기술을 배우고 의과 대학에 이 과학 기반 위에 과학 기반 의학을 실천할 수있는 능력을 제공하는 과학적 역량을 구축해야한다"고 기술했다. 이 역량 기반 커리큘럼은 학생들이 "수학의 기본 원리를 사용하는 지식과 능력을 모두 보여줄 수 있도록 설계된 학습 목표를 제시합니다 인간 건강과 질병에 과학을 적용하는 데 필요한 통계, 물리학, 화학, 생화학 및 생물학; 관측 및 분석 기술과 그러한 기술과 원리를 생물학적 상황에 적용 할 수있는 능력을 보여줍니다. "

Most recently and compellingly, an HHMI-AAMC (2009) report on the Sci- entific Foundations for Future Physicians calls for premedical students of whatever primary course of study to “learn the major concepts and skills of science and mathematics, leaving to medical schools the task of building on this scientific foundation the further scientific competencies that provide them the ability to practice science-based medicine.” This competency-based curriculum suggests learning objectives designed so that students will “Demonstrate both knowledge of and ability to use basic principles of mathematics and statistics, physics, chem- istry, biochemistry, and biology needed for the application of the sciences to human health and disease; demonstrate observational and analytic skills and the ability to apply those skills and principles to biological situations.”



20 세기에 표준적인 의학교육은 4년의 학부와 4년의 의과대학으로 정착하였으나, 중간중간 약간의 variation은 있었다. 예를 들어, 세계 대전 Ⅰ과 Ⅱ에서 의사에 대한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의과대학은 3 년으로 단축되었으며 학부 요구조건이 감소되었습니다. 이 프로그램의 성공으로 인해 종종 6 년으로 진행되는 병합된 의예과/의학과 프로그램이 생겼는데, 현재 미국에는 약 46 개의 학사-MD 연계 프로그램이 있으며 다양한 missions와 형식이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의 졸업생은 성공적인 의사가 될 수 있고 성공적인 의사이지만, 이러한 프로그램 중 일부는 엄격하고 다양하며 완전한 학부 경험을 희생함으로써 생존한다는 공통적인 우려가 있습니다.

For the major part of the 20th century, the standard premedical/medical cur- riculum required a four-year undergraduate degree followed by four years of medical school, culminating in a medical degree, with some variations on this theme. For example, to meet the enhanced demand for physicians during World Wars I and II, the medical school experience was accelerated to three years, and the undergraduate prerequisite was diminished.The apparent success of this pro- gram suggested the concept of shortened combined premedical/medical school programs, often to six years. At present, there are approximately 46 baccalaure- ate/MD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with a variety of missions and formats. While graduates of these programs can be and are successful physicians, a com- mon concern is that some of these programs survive at the expense of a rigor- ous, varied, and complete undergraduate experience.


시카고 일리노이 대학 (University of Illinois Chicago) (UIC)의 의학 분야에서 GPPA (Guaranteed Professional Program Admission)는 1996 년 UIC에 우수한 학생을 끌어 들이기 위해 대학의 총장 David Broski의 지시에 따라 시작되었습니다. 이것은 학생이 고작 3.5 평점을 유지하고 마지막 점수의 평균 점수와 동일한 MCAT 점수를 획득 한 경우, 재능있는 고등학교 졸업자를 받아 들여 우리의 의과 대학에서 한 곳을 보장하는 학사 학위 / MD 프로그램입니다 올해의 M1 학급 수업.

The Guaranteed Professional ProgramAdmissions (GPPA) in Medicine at the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UIC) was initiated in 1996 at the direction of David Broski, the chancellor of the university, in order to attract superior stu- dents to UIC. This is a baccalaureate/MD program that accepts highly talented high-school graduates and guarantees them a place in our College of Medicine, provided that the student maintains a minimal 3.5 GPA and achieves a score on the MCAT equal to the average score of the last year’s matriculated M1 class.


연간 20 명에서 30 명까지의 학생들에게 약 400 건의 신청서가 접수됩니다. 입학 전형 프로그램은 지원자 수를 약 75 명으로 줄이고 각 최종 후보는 GPPA 전문 대학의 인터뷰 대상자와 인터뷰합니다. 일반 면접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내가 너에 대해 알고 싶다면 해야 하는 질문은 무엇입니까? 당신은 어떤 면에서 흥미로운 사람입니까? "왜 당신은 의사가되고 싶니?"라고 자주 묻는 질문은 절대로하지 않는다. 매년 입학하는 학생들은 ACT 점수가 평균 34 점이나 SAT가 1400을 넘습니다. 모든 학생들은 고등학생 중 상위 5 %에 ​​속하며 최상위 학급 기관 (학생을 잃은 학교를 대표 함)에 경쟁력이 있습니다. 우리 수업의 75 %가 아시아계 미국인입니다.

For an annual intake of 20 to 30 students, we receive approximately 400 appli- cations. The admissions screening program narrows the number of applicants to approximately 75, and each finalist is interviewed by a GPPA College of Med- icine faculty member.Typical interview questions include: what are the questions I could ask you that will tell me what you want me to know about you? and why are you an interesting person? We never ask the often-expected question “why do you want to become a physician?”The students who matriculate each year have ACT scores that average 34 or an SAT over 1400; all students are in the top 5% of their high-school class and are competitive for top-tier institutions (which represent the schools we lose students to). Seventy-five percent of our class are Asian Americans.


이 프로그램의 명시된 사명은 사회적 계약의 진화와 그것이 의학과 가지는 관계의 맥락에서 의예과 교육을 촉진하는 것입니다. 이 임무에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역량이 있습니다. 

(1) 비판적 사고 기술 습득. 

(2)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결정하는 것; 

(3) 의과대학에서 잘 배우기 위한 기초를 쌓는 것; 

(4) 삶의 의미와 즐거움을 가져오는 가져 오는 개인 영역을 확인하는 것; 

(5) 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

The stated mission of the program is to facilitate an undergraduate premed- ical education in the context of the evolution of the social contract and its rela- tion to medicine. Coupled to this mission are five competencies for students to achieve, including: 

(1) acquiring critical thinking skills; 

(2) determining what is important to think about; 

(3) learning the fundamentals necessary to excel in medical school; 

(4) identifying the personal areas that bring substance and joy to life; and 

(5) becoming an active participant in society.


본질적으로 모든 학생들은 의대에 진학합니다. 매년 약 25 %가 받아 들여지고 하버드, 시카고 대학, 미시간 대학, 노스 웨스턴을 포함한 UIC 이외의 의과 대학에 진학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학부 졸업 때 GPPA 수업의 40 % 피 베타 카파 (Phi Beta Kappa)로 선출되며, 명예 의학 사회 인 알파 오메가 알파 (Alpha Omega Alpha)에 20 % 선거가 실시됩니다.

Essentially, all of our students go on to medical school. Each year about 25% are accepted and choose to go to medical schools other than UIC, including Harvard, the University of Chicago, the University of Michigan, and North- western.At the time of undergraduate graduation, usually 40% of the GPPA class are elected to Phi Beta Kappa, and subsequently 20% gain election to Alpha Omega Alpha, the honorary medical society.



처음 몇 년 동안, GPPA 학생들은 UIC Honors College에 배정 받았고, 그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 외에는 의예과 요구 사항 이외의 요구 사항이 없었습니다. 저자 중 한 명(DAC)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면서, 표준 의예과 프로그램을 개발할 엄청난 기회가 있음을 깨달았다..

For the first several years, GPPA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UIC Honors College, and other than fulfilling the criteria of that unit had no requirements in addition to the standard premedical requirements.When one of us (DAC) became engaged in the program, he realized that this was a splendid opportunity to develop a model premedical program.


우리는 

  • (1) 학생들에게 의학의 본질과 의학이 liberal arts education(이 책과 Flexner와 관련이 있음)에서 어떻게 벗어 났는지

  • (2) 의학의 예술 및 과학, 또는 의학의 과학이 의료 실무에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translate 될 수 있는지; 

  • (3) 의학의 역사와 철학; 

  • (4) 건강 정치가 건강 권리 또는 특권인지 여부를 중심으로하는 건강 정치, 보건 및 글로벌 건강과 관련된 현안 문제.


...등을 목표로하는 핵심 교과 과정을 개발했습니다. 

We developed a core curriculum aimed at: (1) introducing our students to the nature of medicine and how it devolves from a liberal arts education (particularly relevant to this volume and Flexner); (2) the art and science of medicine, or how the science of medicine can be effectively translated in medical practice; (3)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medicine; and (4) contemporary problems involving health politics, health care and global health, discussions that often center on whether health care is a right or a privilege.


결론적으로 Johns Hopkins University를 미국 의학 교육의 황금 표준으로 승화시킨 Daniel Coit Gilman과 William Welch의 꿈은 미국의 의학 교육을 세계에서 주도적 인 역할로 끌어 올린 현실이되었습니다. 대학을 의학 교육의 기초로서 확립함으로써, 대학은 의예과 교육의 중심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대학은 Flexner Report에 의해 공식화되고 삶life을 얻었습니다. 의학 과학 및 모든 과학 분야의 20 세기 선진 연구가 극적 이었지만, premedical 및 medical curriculum의 수반 된 변화는 덜 그렇습니다. 아마도 이것은 의학 교육을 기초 과학 및 임상, 환자 중심 활동으로 분리하는 창립자의 교육적 천재 때문일 것입니다. 그러나 생물 의학 혁명, 유전체학, 이미징을 포함한 최근의 지적, 기술적 혁신으로 인하여, 학제 간, 생명 윤리, 전문성, 휴머니즘 및 건강 정책에 새로운 도전이 등장했습니다. 우리는 의학을 learned profession으로 invigorating함으로써, 21 세기의 의예과 교육과 의학 교육을 모두 포함 할 수 있는 극적인 혁명의 새벽에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In conclusion, the dreams of Daniel Coit Gilman and WilliamWelch, which elevated Johns Hopkins University to the gold standard for U.S. medical educa- tion, have become the reality that has lifted American medical education to its leadership role in the world. The establishment of the university as the basis for medical education also made the university the center for premedical education, which was formalized and given life by the Flexner Report.Although 20th-cen- tury advances in medical sciences, and all sciences, were dramatic, accompanying changes in the premedical and medical curriculumhave been less so. Perhaps this is because of the educational genius of the founders in dichotomizing medical education into basic science and clinical, patient-centered activity. However, in the light of the intellectual and technological innovations of the recent past, in- cluding the biomedical revolution, genomics, and imaging, new challenges have emerged in interdisciplinarity, bioethics, professionalism, humanism, and health policy. It is likely that we are at the dawn of a dramatic revolution that will encompass both premedical and medical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thereby invigorating medicine as a learned profession.





 2011 Winter;54(1):17-23. doi: 10.1353/pbm.2011.0011.

century of pre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 1Department of Physiology and Biophysics and GPPA Program in Medicine, University of Illinois College of Medicine at Chicago, Chicago, IL 60612, USA. rcohen@uic.edu

Abstract

The Flexner Report established guidelines for medical education and made the university the obligate home for medical education. Flexner mandated specific elements necessary for university-based premedical education. With the exception of the MCAT, much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premedical education and its integration into the scope of medical education than to education within the confines of the medical school. This article reviews the history of premedical education, describes some recent critiques of premedical education, discusses a newer program for premedical education evolving at the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and offers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PMID:
 
21399379
 
DOI:
 
10.1353/pbm.2011.0011
[PubMed - indexed for MEDLINE]


의예과 교육의 건전한 철학을 위하여 (Acad Med, 2008)

Toward a Sound Philosophy of Premedical Education

From the Editor




세르비아의 Isidore는 초기 중세 시대의 위대한 학자 중 한 명으로, 의학 학습를 준비하기 위해 어떤 과정을 수료해야 하는지를 정당화하는 가장 초기의 주장 중 하나인 백과 사전 Etymologiae에서 제안했습니다 .1 Saint Isidore는 수사학, 변증법, 수학, 기하학, 음악 및 천문학을 포함하는 광범위하게 교육받은 의사입니다.

In the seventh century CE, Isidore of Seville, one of the great scholars of the early Middle Ages, offered in his encyclopedic Etymologiae one of the earliest arguments justifying which courses should be completed to prepare for the study of medicine.1 Saint Isidore argued for a broadly educated physician whose premedical education included literature, rhetoric, dialectic, arithmetic, geometry, music, and astronomy.


그러나 근본적인 문제는 의예가 교과 과정이 더 나은 의사가 될 수 있도록 준비해야하는지 아니면 의대에 입학 할 가능성을 극대화해야하는지 여부입니다. 다시 말해서, 의예과 교육의 주된 목적은 각 학생에게 풍부하고 다양한 직업 경력을위한 토대가 될 포괄적 인 교육을 제공하는 것일까, 아니면 의과 대학 과정을 준비하는 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여 입학 시험에서 학생의 점수를 최대화 하는 것인가? 모두가 전자에 동의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대부분의 나라에서 현재 관행은 후자와 가장 비슷합니다.

However, a fundamental issue is whether premedical coursework should prepare one to be a better doctor or whether it should maximize one’s chances of acceptance to medical school. In other words, is the primary purpose of premedical education to provide each student with a broad-based education that will serve as the foundation for a rich and varied professional career, or, instead, with material that is specifically preparatory for medical school courses and that will maximize a student’s scores on the admission test? It seems that everyone agrees with the former, but current practice, both in this country and elsewhere, is most like the latter.


왜 그럴까?

Why is this the case?


첫째, 의예과 학생은 지능있는 개인이기 때문에 판단을위한 조치에 대한 성공을 최적화하기 위해 합리적 결정을 내리는 것은 예상치 못한 일이 아닙니다. 따라서 그들은 자신의 나라의 의과 대학 입학 시험을 준비하고 의학 학교의 입학 요건을 충족하며 의과대학 교과 과정을 더 잘 준비 할 수있는 과정을 택하기로 결정합니다.

First, since premedical students are intelligent individuals, it is not unexpected to find that they make rational decisions to optimize their success on measures by which they will be judged. Thus, they choose to take courses that prepare thembest for their country’s medical school admission test, that satisfy medical school admission requirements, and that enable themto feel more ready for medical school coursework.



둘째로, 의예과 advisor는 학생들이 의대에 입학하는 비율이 높을 때 가장 좋아 보이며, 이는 이러한 종류의 결정을 장려하고 지원하도록 동기를 부여합니다.

Second, premedical advisors look best when their students have a high rate of acceptance to medical school, which motivates themto encourage and support these kinds of decisions.


셋째, 어떤 의과 대학의 지도자들은 그들의 학교에서만 입학 요건을 변경하는 것을 주저합니다. 다른 의대가 입학을위한 과정 요구 사항이 현저히 다른 경우, 잠재적인 지원자는 자신이 신청할 수있는 각 학교의 모든 요구 조건을 충족시켜야하는 부담이 있다.

Third, the leaders of any given medical school are hesitant to change admission requirements at their school only. If different medical schools were to have significantly different course requirements for admission, a potential applicant would need to satisfy all of the requirements for each school to which he or she might apply.


넷째, 특히 국가 표준 시험 인 입학 시험을 변경하기가 어렵습니다.

Fourth, it is difficult to make changes to the admission test, especially in countries where it is a nationally standardized examination.


그리고 다섯 번째, premedical 커리큘럼은 혼잡 한 의과 대학 커리큘럼의 brunt를 짊어 질 것입니다. 한 보고서 8)는 의과대학 커리큘럼에서 특정 교육 과정을 의예과 교육 과정에서 다루도록 요구함으로써 시간을 절약하는 것이 중요 함을 시사합니다. 이 보고서는 양질의 예비 교육을 추구하는 맥락에서 "효율성"이 실제로 의미하는 바는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교과 과정을 의예과 커리큘럼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의과 대학 커리큘럼의 압력을 덜어주는 것이 좋은 전략이라고 제안합니다.

And fifth, the premedical curriculum may bear the brunt of an overcrowded medical school curriculum. One report8 suggests that it is valuable to free up time in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by requiring that certain courses be taken as part of the premedical curriculum. While it is arguable what “efficiency” really means in the context of pursuing a high-quality premedical education, the report suggests that it is a good strategy to relieve some of the pressure of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by shifting coursework to the premedical curriculum.


어떻게 의예과 교육 개선을 통해 학생들이 성적보다 학습에 더 집중할 수 있게 할 것인가?

how do we in academic medicine reformpremedical education so that it encourages students to focus more on learning than on grades,


먼저 철저한 의예과 교육 철학에 기반해야합니다. 그러한 철학은 broad-based education의 가치에 대한 논쟁으로 시작해야한다 .19) premedical 교육은 강한 도덕적인 나침반과 사회적 정의에 대한 헌신과 함께 독립적이고 창조적 인 thinker로 발전하도록 학생을 준비시켜야한다고 명시해야한다. 

To begin, we must base what we do on a sound philosophy of premedical education. Such a philosophy should begin with an argument about the value of a broad-based education.1,9 It should state that a premedical education must prepare the student to develop into an independent and creative thinker, with a strong moral compass and a commitment to social justice.



그리고 그것은 premedical 경험이 다음의 것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

And it should specify that the premedical experience should enable the student’s ability 

  • to synthesize academically rigorous information; 

  • to pursue an art, craft, or skill that requires disciplined practice; 

  • to deal successfully with adversity; 

  • to demonstrate ethical behavior, particularly in a complex or difficult situation; and 

  • to serve others by volunteering one’s time.


이 철학은 의대 입학 요건과 시험이 의예과 학생들이 폭 넓은 교육을 추구 할 합리적 선택을하도록 도와야지 반대로 막아서는 안 된다는 것을 강조해야합니다.

This philosophy should emphasize that medical school admission requirements and testing should help, and not deter, premedical students to make rational choices to pursue a broad- based education.


이러한 철학을 구현하려면 의과 대학 입학에 필요한 과목을 재검토해야하며 입학 시험의 내용을 다시 생각해 봐야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분명히 충분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또한이 과정의 성적과 입학 시험에서 얻은 점수를 사용하여 어떤 지원자가 수락하거나 거절하는지 결정해야합니다.

To implement such a philosophy, we need to re-examine which courses should be required for entry to medical school, and we need to re-think some of the content of the admission test. But this is clearly not enough. We also must examine the way in which grades in these courses and scores fromthe admission test are used to decide which applicants to accept or reject.



입학위원회가 시험 점수와 과정 성적을 사용하는 방식이 합리적인 premedical 학생들이 선택하는 방법에 불균형 적으로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합니다. 이 시스템은 학생들이 "A"를 받기 힘든 과정을 수강하지 못하게합니다.이 과정에는 더 어려운 과학 과정, 문학과 인문학 과정, 그리고 "하드 그레이더 (hard-graders)"라고하는 코스의 프로패셔널 코스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I posit that the way admission committees use test scores and course grades has a disproportionately large influence on how rational premedical students make choices. This systemdeters students from taking courses for which they are unlikely to get an “A.” These might include some of the more difficult science courses, certain courses in literature and the humanities, and courses fromprofessors known as “hard-graders.”


따라서 premedical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의미있는 변화를 달성하려면 학부 과정 요구 사항 현대화, 입학 시험 내용 수정, 입학시 코스 성적 및 테스트 점수 사용의 새로운 방법 개발 등 여러 가지 전략을 추구해야합니다. 학생들이 폭 넓은 교육을 추구하도록 격려하는 결정. 또한 우리는 독립적 인 사고와 창의력에 대한 신청자의 능력을 평가하고, 도덕적인 나침반의 정확성을 판단하고, 개인의 전문성에 대한 잠재력을 이해하는 새롭고 나은 방법을 개발해야합니다.

So, to achieve meaningful change that improves the quality of premedical education, we must pursue a multi- pronged strategy that includes modernizing undergraduate course requirements, revising the content of the admission test, and developing new ways of using course grades and test scores in admission decisions that encourage students to pursue a broad-based education. In addition, we must develop new and better ways to assess an applicant’s capability for independent thinking and creativity, to judge the accuracy of his or her moral compass, and to understand that individual’s potential for professionalism.





2 Petsko GA. Medicine man. Genome Biol. 2007; 8:114.


5 Emanuel EJ. Changing premed requirements and the medical curriculum. JAMA. 2006;296: 1128–1131.


9 Brieger GH. The plight of premedical education: myths and misperceptions – Part II: Science “versus” the liberal arts. Acad Med. 1999;74:1217–1221.




 2008 May;83(5):423-4. doi: 10.1097/ACM.0b013e3181734623.

Toward a sound philosophy of premedical education.

Comment in

PMID:
 
18448893
 
DOI:
 
10.1097/ACM.0b013e3181734623
[PubMed - indexed for MEDLIN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