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성에 대한 편견: 왜 사람들은 창의적인 생각을 갈망하면서도 거부하는가?
The Bias Against Creativity: Why People Desire but Reject Creative Ideas
Jennifer S. Mueller1, Shimul Melwani2, and Jack A. Goncalo3
1Management Department, The Wharton School, University of Pennsylvania; 2Organizational Behavior Department,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Chapel Hill; and 3School of Industrial and Labor Relations, Cornell University
사람들은 창의적인 생각을 갈망할까? 대부분의 학자들은 당연히 '그렇다'라고 대답할 것이다. 창의성이야말로 과학적 발전과 긍정적 변화의 원동력이기 때문이다. 또한 창의력은 지능, 지혜, 도덕적 선함과도 관계가 있는 것처럼 보여지기도 한다. 학자들은 지금까지 사람들이 창의성의 긍정적인 측면을 인정하면서도, 조직과 과학기관, 의사결정자들이 창의적인 생각을 거부하는 것을 의아하게 생각해왔다. 이런 현상은 심지어 창의성을 중요한 목표라 생각하는 사람들에게서도 나타났다. 유사하게, 연구자들은 선생님들이 호기심이 많고 창의적인 생각을 많이 하는 학생들을 싫어한다고 보고해왔으며, 이는 교사들이 창의성을 중요한 교육의 목표로 생각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
Do people desire creative ideas? Most scholars would answer this question with an obvious “yes,” asserting that creativity is the engine of scientific discovery and the fundamental driving force of positive change (Hennessey & Amabile, 2010). Furthermore, creativity is seen as being associated with intelligence, wisdom, and moral goodness (Niu & Sternberg, 2006; Sternberg, 1985). However, although people strongly endorse this positive view of creativity, scholars have long been puzzled by the finding that organizations, scientific institutions, and decision makers routinely reject creative ideas, even when espousing creativity as an important goal (Staw, 1995). Similarly, research has documented that teachers dislike students who exhibit curiosity and creative thinking, even though teachers acknowledge creativity as an important educational goal (Westby & Dawson, 1995).
우리는 이러한 현상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람들이 나이, 인종, 성별에 대한 뿌리깊은 편견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밖으로는 드러내지 않듯이, 사람들은 공공연하게 인정하지는 않아도 창의성에 대한 뿌리깊은 부정적 인식을 하고 있을수도 있다. 창의성에 대한 이러한 편견의 존재와 특징을 드러내는 것은 왜 사람들이 그러지 말아야한다고 생각하면서도 창의적인 생각을 거부하고 과학적 진보를 억누르는지에 대한 설명을 줄지도 모른다.
We offer a new perspective to explain this puzzle. Just as people have deeply rooted biases against people of a certain age, race, or gender that are not necessarily overt (Greenwald & Banaji, 1995), so too can people hold deeply rooted negative views of creativity that are not openly acknowledged. Revealing the existence and nature of a bias against creativity can help explain why people might reject creative ideas and stifle scientific advancement, even in the face of strong intentions to the contrary.
창의적인 생각이란 새로우면서도 유용해야 한다. 그리고 '새로움'은 창의성의 중요한 특징으로서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이 '새로움'이라는 특징이 창의적인 생각을 평가하는 사람들의 마음에 과연 이 아이디어를 따라도 될 것인가에 대한 걱정(tension)을 유발한다. 실제로, 평가자들은 '새로움'과 '유용성'이 반드시 서로 동반되는 것이라고 보기보다는 부의 상관관계(inversely related)를 갖는다고 보는 경우도 많다. 여기에는 몇 가지 이육 ㅏ있다. 유용한 아이디어들은 대체로 그 가치를 인정받는다. 그러나 새로운 생각일수록 그 아이디어가 과연 실용적이고, 유용하고, 실수로부터 자유롭고,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반복적으로 보여줄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진다. 따라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수용할 때, 사람들은 실패를 경험할 수도 있고, 사회적인 거절을 당할 수도 있고, 과연 그 아이디어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될지에 대한 불확실성도 느끼게 된다. 불확실성은 불쾌한(aversive)상태로서, 사람들이 그 상황을 종결시키거나 피하고 싶게 만든다. 따라서 사람들은 '새로움'에 대해 부정적인 연관을 짓게 되는 것이다.
Creative ideas are both novel and useful (Hennessey & Amabile, 2010), and novelty is the key distinguishing feature of creativity beyond ideas that are merely well conceived. Yet the requirement that creative ideas contain novelty can also promote a tension in evaluators’ minds when they judge whether to pursue an idea. Indeed, evaluators have a hard time viewing novelty and practicality as attributes that go hand in hand, often viewing them as inversely related (Rietzschel, Nijstad, & Stroebe, 2009). There are several reasons why. Practical ideas are generally valued (Sanchez-Burks, 2005). However, the more novel an idea, the more uncertainty can exist about whether the idea is practical, useful, error free, and reliably reproducible (Amabile, 1996). When endorsing a novel idea, people can experience failure (Simonton, 1984), social rejection (Nemeth, 1986), and uncertainty about when their idea will reach completion (Metcalfe, 1986). Uncertainty is an aversive state (Heider, 1958) that people feel a strong motivation to diminish and avoid (Whitson & Galinsky, 2008). Hence, people can also have negative associations with novelty—an attribute at the heart of what makes ideas creative in the first place.
학자와 practitioner들에게는 창의성이라는 것이 대개 긍정적인 것과 연결되나, 창의적인 생각 평가해보면 부정적인 것과 연관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서 사고의 연상(associative thinking)에 대한 연구를 보면 강한 불확실성은 창의성의 부정적인 측면과 연관된다.
Although positive associations with creativity are typically the focus of attention among both scholars and practitioners, negative associations may also be activated when people evaluate a creative idea. For example, research on associative thinking suggests that strong uncertainty feelings may make the negative attributes of creativity, particularly those related to uncertainty, more salient (Bower, 1981).
이 평가 절차는 창의성에 대해서 드러내놓고 평가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창의성에 대한 편견을 내밀한 것(insidioius)으로 만들 수 있다. 사실 창의적인 생각을 지지해야 한다는 사회적 규범으로서의 압력도 있고, 창의성을 부정적으로 보는 생각을 겉으로 표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사회적 편견도 있다. 그 결과, 인종 편견에 대한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론을 얻게 된다. 겉으로 드러내는 창의성에 대한 우호적 태도와 속으로 감추는 창의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서로 갈등이 존재한다. 즉, 창의적인 생각에 대한 편견을 드러내는 것은 직접적으로 '편견을 가지고 있느냐'라고 물어보는 것보다 더 정교한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우리는 내면적 태도와 더불어 겉으로 드러나는 태도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두 실험으로부터 우리는 서로 다른 두 가지 방법을 통해서 조작되고 측정된 불확실성이 창의성에 대한 더 심한 편견을 유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This evaluative process is not necessarily overt, which makes the bias against creativity potentially insidious. In fact, there is often strong normative pressure to endorse creative ideas (Flynn & Chatman, 2001) and a strong social desirability bias against expressing any view of creativity as negative (Runco, 2010). This resulting state is similar to that identified in research on racial bias: There is a conflict between an explicit preference toward creativity and unacknowledged negative associations with creativity (much as there can be a conflict between explicit and implicit attitudes toward a specific social group; Gaertner & Dovidio, 1986). In other words, uncovering a bias against creative ideas requires a method more subtle than simply asking directly. Therefore, we decided to employ a measure that assesses explicit attitudes in addition to implicit attitudes, which are less susceptible to self-presentation biases and normative pressures (Greenwald, Poehlman, Uhlmann, & Banaji, 2009). In two studies, we tested whether uncertainty measured and manipulated in two different ways promotes a greater bias against creativity relative to practicality. In the second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this bias deters peoples’ ability to recognize creative ideas.
General Discussion
현대 로켓 추진체의 아버지라 불리는 Robert Goddard는 그 당시 동료들로부터 그의 아이디어는 터무니없고 불가능하다며 조롱과 조소의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사례는 적지 않으나 창의성에 대한 이론을 다루는 사람들을 혼란스럽게 한다. 기존의 연구에서 더 창의적인 사람들이 덜 창의적인 사람들보다 창의성을 더 정확히 인식하고 평가했기 때문이다. 우리의 연구 결과에서 사람들은 얼마나 개방적인지와 무관하게 불확실성을 줄여야겠다는 느낌이 들었을 때 창의성을 더 부정적으로 연관시켰고 그 결과 창의적인 생각에 더 낮은 점수를 줬다. 여기에는 상당한 아이러니가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이 창의적인 생각을 더 추구하도록 한다고 했으나, 우리의 연구에서는 상황이 불확실해질수록 사람들은 심지어 창의성이 가장 필요한 때에조차 창의성을 인지하지 못했다.
Robert Goddard, the father of modern rocket propulsion, endured ridicule and derision from his contemporary scientific peers, who stated that his ideas were ludicrous and impossible. This example is not unique, but it would puzzle creativity theorists, as research shows that expert raters who are themselves creative are even more likely to accurately recognize and assess creativity than expert raters who are less creative (Hennessey, Amabile, & Mueller, 2011). Our results show that regardless of the degree to which people are open minded, when they feel motivated to reduce uncertainty (either because they have an immediate goal of reducing uncertainty or they feel uncertain generally), they may experience more negative associations with creativity, which results in lower evaluations of a creative idea. Our findings imply a deep irony. Prior research shows that uncertainty spurs the search for and generation of creative ideas (Audia & Goncalo, 2007), yet our findings reveal that uncertainty also makes people less able to recognize creativity, perhaps when they need it most.
단순히 현재 상태나 익숙한 아이디어를 선호하는 것을 넘어서서 사람들은 창의성에 대한 이중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다. 우선 Exp1의 baseline이나 Exp2의 불확실성에 대한 고용인(high tolerance)그룹에서는 창의성과 유용성을 연관시키는데 좀 더 긍정적이었다. 또한 불확실성 조건에 있는 참여자 중 95%와 불확실성에 대한 저용인 상태에 있는 사람들도 긍정적이라는 단어와 연관지어서 창의성에 대한 겉으로 드러내는 태도에서 7점 중 4점 이상을 주었고, 두 그룹은 통계적으로 동등하였다.
Beyond merely having a preference for the status quo or for familiar ideas (Eidelman, Crandall, & Pattershall, 2009; Zajonc, 2001), people appear to have ambivalent feelings toward creativity. On the one hand, participants in the baseline condition of Experiment 1 and the high-tolerance-for- uncertainty condition of Experiment 2 demonstrated positive implicit associations with creativity relative to practicality. Additionally, 95% of participants in the uncertainty condition of Experiment 1 and the low-tolerance-for-uncertainty condition of Experiment 2 rated their explicit attitudes toward creativity-related words as positive—higher than 4, the midpoint of a 7-point scale; these ratings were statistically equivalent to the ratings of attitudes toward practicality-related words.
그러나 다른 한 편에서 내포적 척도(implicit measure)는 고불확실성 조건에서 '구토', '독', '고뇌' 등과 연관되었다. 사회적으로 창의성을 지지해야 한다는 강력한 규범이 있고, 사람들이 또한 실제로도 창의성에 긍정적인 느낌을 가지기 때문에 사람들은 그들이 창의적인 생각을 원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정하기를 꺼려한다. 그 결과 창의성에 대한 편견은 진단해내기 힘들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implicit measure showed that participants in each high-uncertainty condition (i.e., the uncertainty condition of Experiment 1 and the low-tolerance condition of Experiment 2) associated words such as “vomit,” “poison,” and “agony” with creativity more than with practicality. Because there is such a strong social norm to endorse creativity, and people also feel authentic positive attitudes toward creativity, people may be reluctant to admit that they do not want creativity; hence, the bias against creativity may be particularly slippery to diagnose. The implicit measures may have picked up negative associations with creativity under conditions of uncertainty because the methodology is more resistant to social desirability bias (Greenwald et al., 2009).
사람들의 창의성에 대한 편견이 겉으로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면, 우리는 조직이나 기관이나 심지어 과학적인 투자(endeavor)에 있어서도 공식적으로 창의성을 원한다고 언급한다고 해서 진정으로 창의성을 원할지에 대해서 확신할 수 없다. 이는 많은 저널이 창의적인 연구를 극찬하고, 대학에서 창의적인 해결책을 추구하는 과학자를 훈련시키고, 연구와 개발 회사들이 새로운 상품을 개발하고자 하고, 제약회사들이 창의적 돌파구를 극찬한다고 해도 단 하나의 최선의, 또는 가장 정확한 아이디어를 찾아내기 위한 수문장을 두는 방식으로서 불확실성을 장려하며, 이는 창의성에 대한 무의식적(unacknowledged) 혐오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우리의 결과가 제안하는 것은 사람들이 창의적 아이디어를 수용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면, 초점은 어떻게 더 창의적인 생각을 만들어낼 것인가를 찾아내는 것이 아니라 창의적인 기관들이 어떻게 인정받게 만들 것이며 어떻게 창의성을 받아들이게 할 것인가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후속 연구로 창의성에 대한 편견을 낮추거나 되돌릴 수 있는 요소를 찾아볼 필요가 있다.
If people hold an implicit bias against creativity, then we cannot assume that organizations, institutions, or even scientific endeavors will desire and recognize creative ideas even when they explicitly state that they want them. This is because when journals extol creative research, universities train scientists to promote creative solutions, research and development companies commend the development of new products, and pharmaceutical companies praise creative medical breakthroughs, they may do so in ways that promote uncertainty by requiring gatekeepers to identify the single “best” and most “accurate” idea, thereby creating an unacknowledged aversion to creativity. In addition, our results suggest that if people have difficulty gaining acceptance for creative ideas, especially when more practical and unoriginal options are readily available, the field of creativity may need to shift its current focus from identifying how to generate more creative ideas to identifying how to help innovative institutions recognize and accept creativity. Future research should identify factors that mitigate or reverse the bias against creativity.
The bias against creativity: why people desire but reject creative ideas.
Abstract
People often reject creative ideas, even when espousing creativity as a desired goal. To explain this paradox, we propose that people can hold a bias against creativity that is not necessarily overt and that is activated when people experience a motivation to reduce uncertainty. In two experiments, we manipulated uncertainty using different methods, including an uncertainty-reduction prime. The results of both experiments demonstrated the existence of a negative bias against creativity (relative to practicality) when participants experienced uncertainty. Furthermore, this bias against creativity interfered with participants' ability to recognize a creative idea. These results reveal a concealed barrier that creative actors may face as they attempt to gain acceptance for their novel ideas.
'Articles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HEXACO에 따른 정직성 및 겸손 관련 준거와 성격의 5요인 모델 (0) | 2014.10.29 |
---|---|
창의성의 정의와 측정: 창의성 검사는 쓸만한가? (0) | 2014.10.22 |
임파워먼트 평가(Empowerment Evaluation) (0) | 2014.09.17 |
인구집단의 사망과 소득의 불균등 분배 사이의 상관관계가 통계적 Artifact인가? (0) | 2014.06.20 |
성격의 "5가지"요인과 학업 수행능력과의 관계 (0) | 2014.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