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조절이론: 의학교육에 적용 AMEE Guide No. 58 (Med Teach, 2011)

Self-regulation theory: Applications to medical education: AMEE Guide No. 58

JOHN SANDARS1 & TIMOTHY J. CLEARY2

1University of Leeds, UK, 2University of Wisconsin-Milwaukee, USA




도입

Introduction


자기조절이란 무엇인가?

What is self-regulation?


자율규제는 '개인적인 목표 달성을 위하여, 계획되고 주기적으로 적응하는, 스스로 만든 생각, 감정, 행동'으로 정의되어 왔다(Zimmerman 2000, 페이지 14).

Self-regulation has been defined as, ‘self-generated thoughts, feelings, and actions that are planned and cyclically adapted to the attainment of personal goals’ (Zimmerman 2000, p. 14).


경영능력, 자기 관리, 자기 주도, 자기 감시 및 자기 통제와 같은 다양한 '조절 관련' 용어가 문헌에서 사용되어 왔다.

a variety of ‘regulation-related’ terms have been used in the literature, such as executive functioning, self-management, self-directedness, self-monitoring and self-control.


현실에서 자기조절이론 

Self-regulation theory in practice


개인이 자신의 행동(행동), 인지(생각) 및/또는 환경(서라운드)을 통제하는 일련의 뚜렷한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경험적으로 지원되는 여러 자기조절모델이 있다(Puustinen & Pulkkkinen 2001).

There are several empirically supported self-regulation models which delineate a set of distinct processes through which individuals exert control of their behaviour (actions), cognition (thoughts) and/or environment (surroundings) (Puustinen & Pulkkinen 2001).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시작된 반두라의 일과 이론을 역사적으로 바탕으로 한 자기조절의 사회인식모델에서는 개인은 자신의 삶의 적극적 참여자로서, 개인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생각, 행동, 환경요인을 조절함으로써] 중요한 사건에 대한 통제권을 갖는다고 본다.

Social-cognitive models of self-regulation, which are historically based on the work and theories of Bandura beginning in the 1960s and 1970s, suggest that individuals are active participants in their lives who seek control over important events through the regulation of their thoughts, actions and environmental factors to achieve personal goals (Bandura 1986).


여러 요인 중 언제든지 특정 요인이 우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나치게 시끄러운 환경이나 책의 내용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면 책이 잘 안 읽힌다. 반두라는 인간은 단순히 학습에 소극적인 참여자일 뿐 아니라, 자신의 행동과 학습 환경이나 맥락에 대한 통제력을 적극적으로 발휘하려고 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책을 읽는 예에서, 이렇게 책을 잘 읽기 어려운 환경에서, 학생들은 보다 조용한 학습 환경을 마련하거나, 책을 읽는 것의 중요성이나 가치에 관한 동기부여적인 자기 대화에 참여하거나, 본문을 읽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학습 맥락을 구성할 수 있다. 

At any given time, one factor may predominate. For example, reading a book may be inhibited by an excessively noisy environment or due to a person’s lack of interest in the content of the book. Bandura would argue that humans are not merely passive participants in learning, but that they proactively seek to exert control over their behaviour and learning environment or context. In the illustrative example of reading a book, frustrated students can actively structure their learning context to attain their goal of reading the text, such as arranging a more quiet study environment or engaging in motivational self-talk regarding the importance or value of reading the book. 


개인의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이러한 적극적인 조정을 하는 과정은 자기조절의 핵심이며, 이 과정은 자기효능과 같은 개인의 자기신념과 판단에 의해 크게 조정된다. 한 사람이 자신의 역량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은 [피로, 지루함 또는 스트레스 등을 당면한 상황에서, 노력을 지시direct하고 지속sustain하는 능력에 대한 강력한 결정 요인]이다.

This active process of making adjustments in the pursuit of personal goals is at the heart of self-regulation and is largely mediated by an individual’s self-beliefs and judgements, such as self-efficacy. Perceptions of personal competency are powerful determinants of one’s ability to direct and sustain efforts in the face of fatigue, boredom or stress.


본 가이드에서는, 다양한 이론에 걸쳐 공유되는 자기 규제 학습자의 세 가지 중요한 특성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1) 목표 지향적 행동, 

(2)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의 사용 

(3) 학습을 최적화하기 위한 행동이나 전략에 대한 적응과 수정.

In this Guide, we will focus on thre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self-regulated learners that are shared across the various theories: 

(1) goal-directed behaviour, 

(2) use of specific strategies to attain goals, and 

(3) the adaptation and modification to one’s behaviours or strategies to optimise learning.




주기적 조절

Cyclical regulation.


'순환 고리'는 개인이 직무별 및 인지적 전략을 능동적으로 사용하는 반복적인 과정에 관여하고 목표 달성에 있어 이러한 전략의 효과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림 1을 참조하십시오.

‘cyclical loop’ means that individuals will engage in an iterative process during which they proactively use task-specific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and continuously gather information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se strategies in achieving their goals. See Figure 1.



(a) 수행 전 단계

(a) Before (or forethought) phase


정교한 자기 규제 학습자들은 과제나 활동의 성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 다음 그 학습 과제를 잘 수행할 목표와 구체적인 계획을 설정함으로써 능동적으로 '준비'할 것이다. 짐머만(2000년)은 이러한 준비단계는 자기규제 학습자의 능동적인 본질을 강조하고 있으며, 그러한 준비 생각과 행동은 학습이 일어난 후 적응적 자기평가와 성찰을 촉진한다고 주장한다. 

Sophisticated self-regulated learners will proactively ‘prepare’ by seeking to understand the nature of an assignment or activity and then setting goals and specific plans to perform well on that learning task. Zimmerman (2000) argues that this preparatory phase underscores the proactive essence of self-regulated learners and that such preparatory thoughts and actions facilitate adaptive self-evaluation and reflection after learning has occurred. 


또한 자기 효능감, 목표 지향성, 과제 관심 또는 가치와 같은 자기 동기 부여 신념은 학습자가 자율 규제 과정에 참여하기 위해 필요한 노력을 기울이는 자극이나 동기를 제공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self-motivation beliefs, such as self-efficacy, goal orientation, and task interest or value, provide the impetus or motivation for a learner to put forth the necessary effort to engage in the self-regulation process. 



(b) 수행 중 단계

(b) During (or performance) phase


또한 자기조절적 학습자는 주의 집중, 이완, 긍정적인 자기 대화 및 절차 단계의 정신적 리허설 같은 특정한 전략을 사용함으로써 학습 중 행동과 생각을 통제하려고 시도할 것이다(Wolters 2003).

Self-regulated learners will also attempt to control their behaviours and thoughts during learning by employing specific tactics, such as attention focusing, relaxation, positive self-talk and mental rehearsal of the steps of a procedure (Wolters 2003).


자기조절적 학습자는 매우 전략적이기 때문에 미리 생각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감정, 인지, 행동을 관리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추구할 것이다. 많은 이론가들이 학생들의 학습과 수행에 인지 제어와 자기 모니터링의 역할을 강조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Winne & Hadwin 1998; Zimmerman 2000). 즉, 얼마나 학습이 성공적이었는가를 능숙하게 관찰하고 알아채고, 그에 따라 여기에 기여한 조건이나 요인을 밝히는 것은 조절 프로세스의 핵심이다.

Regulated individuals are highly strategic in nature and thus will actively seek to manage emotions, cognition and behaviour in order to attain their forethought goal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many theorists emphasise the role of metacognitive control and self-monitoring as students learn or perform (Winne & Hadwin 1998; Zimmerman 2000). That is, the extent to which students can skilfully observe, or notice, when learning is successful or not and then to identify the contributing conditions or factors influencing that learning is a key regulation process.


(c) 수행 후 단계

(c) After (or self-reflection) phase


학생들이 학습하기 위해 사용하는 구체적인 전략과, 이러한 전략의 성공과 관련된 정보에 대한 지식이 수행 후 단계의 기초를 확립한다(Zimmerman 2000). 개인이 목표를 달성했는지 여부를 스스로 평가하고, 성공 또는 투쟁의 원인이 되는 1차적 요인을 식별하는 것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이것은 자기조절의 마지막 단계인 자기성찰 단계에 들어간다.

Students’ knowledge of the specific tactics they use to learn as well a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ccess of these strategies sets the foundation for the after phase of self-regulation (Zimmerman 2000). It is during this final self-reflection phase of self-regulation in that individuals self-evaluate whether they have attained their goals and seek to identify the primary factors causing them to succeed or struggle.


자기조절 이론가들은 학생들이 학업성취도 문제로 고군분투할 때 귀인이라고 불리는 이 인지적 자기판단이 특히 중요하다고 주장할 것이다. 원인에 대한 귀인은 학생들의 후속 행동과 학습 지속 동기를 잘 예측한다(Weiner 1986).자율규제의 주기적인 관점을 지지하는 이론가들은 또한, 학생들이 성찰에 참여한 후에, 미래 학습을 위한 목표나 전략을 수정하거나 수정하여 규제 피드백 루프의 다음 반복을 시작하도록 결정할 것을 제안한다. 

Self-regulation theorists would argue that this latter type of cognitive self-judgement, called attributions, is of particular importance when students struggle with academic performance. Causal attributions are highly predictive of students’ subsequent behaviours and motivation to sustain learning (Weiner 1986).Theorists who support a cyclical viewpoint of self-regulation would also suggest that after students engage in reflection,they will make decisions about modifying or adapting their goals or strategies for future learning, thereby initiating the next iteration of the regulatory feedback loop. 


자신의 수행전략에 귀인하는 것은 이상적인 방식인데, 왜냐하면 전략을 사용하는 방식을 본질적으로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학습 활동에 참여하기 전에 수정하거나 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자신이 어려워하는 이유를 능력 부족과 같은 고정된 개인적인 요소들 또는 운이나 선생님의 기술과 같은 외부적이고 통제할 수 없는 요소들 탓으로 돌릴 때, 이러한 학생들에게서는 동기부여가 저하되고 참여가 낮아진다.

Strategic attributions are ideal because strategy use is inherently changeable and thus can be modified or adjusted prior to engaging in a new learning activity. when students blame their struggles to fixed personal factors, such as poor ability, or to external and uncontrollable factors, such as luck or the skill of the teacher, poor motivation and disengagement become most pronounced in these individuals.



목적-지향적 행동

Goal-directed behaviour.


주기적 규제의 첫 단계는 수행 전 생각을 하는 것이다.

The initial phase of cyclical regulation involves engagement in forethought,


이 단계 내의 핵심 하위 프로세스 중 하나는 목표 설정이며, 목표라는 것은 [자신이 개인적으로 확립한 학습이나 수행의 기준 또는 특정 결과]라고 정의할 수 있다(Locke & Latham 1990). 목표는 동기부여 기능을 하며 학습 과정이나 결과의 특정 측면에 대한 학생들의 주의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기조절모델에서 중요하다.

One of the key subprocesses within this phase is goal-setting, which has been defined as the standards or specific outcomes of learning or performance that are personally established by an individual (Locke & Latham 1990). Goals are important in self-regulation models because they serve a motivation function and can direct students’ attention on specific aspects of the learning process or outcomes.


프로세스 목표와 결과 목표. 

    • 결과 목표는 시험 성적과 같은 학습의 최종 제품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으며, 

    • 과정 목표는 학습을 위해 사용하는 단계, 절차 또는 전략을 포함한다(Zimmerman & Kitsantas 1996). 

    • 결과 목표가 긍정적인 동기부여와 규제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지만, 

    • 과정 목표는 학생들이 처음 과제나 기술을 수행하는 방법을 배우거나 과제를 마스터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상황에서 특히 유용하다.

process and outcome goals. Outcome goals tend to emphasise the final products of learning, such as a test grades, where process goals involve the steps, procedures or strategies that one employs to learn (Zimmerman & Kitsantas 1996). Although outcome goals can exert positive motivational and regulatory effects, process goals are particularly beneficial in situations when students are first learning how to perform a task or skill or when they struggle to master the task.


연구자들은 과제에서 높은 수준의 숙련도나 전문지식을 획득한 학생들을 살펴보면, 이들은 결과 목표보다 프로세스 목표를 설정하는 경우가 더 많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의학 교육 환경에서 채용된 정성적 연구에서 클리어리와 샌더스(2011년)는 정맥 작업을 능숙하게 해낸 의대생들은 프로세스 또는 기술 목표를 일관되게 나타낸 반면, 이 절차에 어려움을 겪은 학생(혈액을 성공적으로 뽑기 위한 세 번의 시도가 필요함)들은 결과 목표를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보고했다.

Researchers have found that students who have attained a high level of proficiency or expertise on a task report setting process goals more frequently than outcome goals. Furthermore, in a qualitative study employed in a medical education context, Cleary and Sandars (2011) showed that medical students who demonstrated proficiency on a venepuncture task consistently displayed process or technique goals, whereas those who struggled with this procedure (need to have three attempts to successfully draw blood) tended to emphasise outcome goals.


요컨대, 목표는 동기부여의 역할을 하고, 배우는 동안 목표의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주의를 지시하며, 개인이 학교에서 자신의 성공을 스스로 평가하는 기준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In short, goals are critical because they serve a motivational role, direct students’ attention on the content of the goal during learning, and act as the standards against which individuals self-evaluate their success in school.


전략적 인식 및 행동

Strategic awareness and behaviours.


프로세스 목표를 능동적으로 수립하고 전략 계획을 수립하는 학생은 과제 수행 중에 이러한 전략을 사용할 가능성이 더 높다. 단, 전략의 종류나 종류는 제각기 뚜렷한 목적과 목표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Students who proactively establish process goals and who develop strategic plans are more likely to use such strategies during task performance.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re are different classes or types of strategies, with each having distinct purposes and goals.


두 가지 전략: 동기부여전략, 정보/학습의 최대화 전략(Zimmerman 2000; Wolters 2003).

managing motivation versus maximise acquisition of information or learning(Zimmerman 2000; Wolters 2003).


    • 자기 보강, 자기 계발, 환경 구조와 같은 자기 통제 전략은 학생들의 주의를 관심의 과업으로 유도하고 노력과 끈기를 유지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 이와는 달리, 개념 맵 사용, 학습의 핵심 용어 식별 및 수업 노트와 교과서 정보의 비교와 같은 학습 전략은 학습과 성과를 용이하게 한다.

In short, self-control strategies, such as self-reinforcement, self-instruction and environmental structuring, are designed to direct students’ attention to the task of interest and to sustain effort and persistence. In contrast, learning strategies, such as using concepts maps, identifying key terms to study and comparing class notes to textbook information, facilitate learning and performance


학생들이 전략적인 사고방식과 이용자가 되도록 훈련하는 것은 학생들의 학업내용이나 연령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학생에 대한 자기조절 개입 프로그램의 중심 요소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raining students to become strategic thinkers and users is a central component of most academic self-regulation intervention programmes, regardless of academic content or age of the students.


적응과 유연성

Adaptation and flexibility.


학생들이 학교에서 struggle할 때는 목표나 전략 계획을 어느 정도까지 조정하는지가 가장 중요하다.

The extent to which students adapt their goals or strategic plans is of greatest importance when students struggle in school.


주기적 순환의 모든 단계와 유사하게, 자기반성 또는 '후' 단계는 

    • 자기평가(목표나 표준과 자신의 성과를 비교), 

    • 귀인(성과에 대한 이유 인식), 

    • 적응적 추론(학습 개선에 필요한 변경이나 조정에 관한 결론)과 같은 몇 가지 하위 프로세스를 포함한다(Zimmerman 200).0). 

이 모든 하위 과정이 중요하지만 인과적 귀인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Similar to all phases of the cyclical loop, the self-reflection or ‘after’ phase involves several sub-processes, such 

    • self-evaluation (comparing performance to goals or standards), 

    • attributions (perceived reasons for performance) and 

    • adaptive inferences (conclusions regarding modifications or adjustments required to improve learning) (Zimmerman 2000). 

Although all these sub-processes are important, we will focus on causal attributions


학생들이 하는 귀인의 종류는 실패 후의 인지적, 영향적, 행동적 반응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따라서 미래의 학습 노력을 상당히 예측한다.

the types of attributions students make will impact their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ural reactions following failure and thus are quite predictive of future learning efforts.


Weiner에 따르면, 기여는 세 가지 차원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 로쿠스(내부 또는 외부), 

    • 안정성(원인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얼마나 안정적이었는가), 그리고 

    • 관리성(통제할 수 있는 정도)

According to Weiner,attributions can be classified into of one of three dimensions: 

    • locus (cause is either internal or external), 

    • stability (how stable the cause is over time), and 

    • controllability (extent to which the can be controlled). 


연구자들은 노력과 전략 사용과 같이 내부적이고 불안정하며 통제할 수 있는 것에 귀인하는 사람들은 그들의 지속성과 전략의 사용에 있어 높은 성취도와 적응력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Cleary & Zimmerman 2001; Cleary et al. 2006).

Researchers have shown that those who make internal, unstable and controllable attributions, such as effort and strategy use, tend to be high achieving and adaptive in their persistence and use of strategies (Cleary & Zimmerman 2001; Cleary et al. 2006)


반두라에 따르면, 실패에도 불구하고 개인의 효능을 유지하는 것은 학생들의 노력과 끈기를 유지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고 한다. 또한, 실패에 따른 전략적 귀인을 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성공적인 직무 수행과 관련된 핵심 전략, 프로세스 또는 기술 요인에 대해 학습자가 주의를 기울이게 유도할 것이다(Cleary et al. 2008).

According to Bandura, sustaining a sense of personal efficacy in the face of failure is on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sustaining students’ effort and persistence. In addition making strategic attributions following failure will direct students’ attention on the key strategies, processes or tech-niques that are ultimately linked to successful task performance (Cleary et al. 2008).


연구에 따르면 학생들이 전략적 귀인을 하도록 훈렴함으로써 성적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한다.

Research has found that training students to make strategic attributions can improve their performance.


즉, 자유투를 놓쳤을 때, 이것을 부적절한 전략으로 귀인하는 학생들은 개선을 위해 슈팅 기법을 수정하거나 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내릴 가능성이 높았다. 자유투를 놓친 뒤 전략적인 귀속을 한 학생들은 이런 훈련을 받지 않은 학생들보다 연습 시간에 자유투 수행능력을 빨리 조절하는 데 더 뛰어났다는 점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That is, students who attributed their missed free-throws to poor strategy use were more likely to conclude that they needed to modify or adjust their shooting technique in order to improve. It should be noted that students who made strategic attributions following missed free-throws, showed better skill at quickly adjusting their shooting performance during the practice session than those who did not receive such training.


결론적으로, 학습에서 자기조절 이론은 개인의 학습이나 수행과제에 접근하는 방법에 영향을 주기 위해 유동적인 심리적 과정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이해할 수 있는 템플릿을 제공한다.

In conclusion, academic self-regulation theories provide a template from which one can understand how malleable psychological processes interact to influence how individuals approach a learning or performance task.



의료교육에 대한 자율적 규제이론의 적용

The application of self-regulation theory to medical education


의료 교육에서 가르치고 배우는 많은 현재 접근방식은 문제 기반 학습의 목표 설정과 같은 자율 규제 이론의 일부 측면을 적용한다(Lycke et al. 2006). 그러나, 우리의 의견으로는, 의학 교육의 실천에는 여전히 자율규제의 포괄적인 이론적 모델에서 더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Many current approaches to teaching and 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apply some aspects of self-regulation theory, such as goal setting in problem-based learning (Lycke et al. 2006). However, in our opinion, the use of a comprehensive theoretical model of self-regulation has the potential to further inform the practice of medical education


학업 성취도 향상과 임상 성과 향상

academic improving achievement and improving clinical performance.


학업 성취도 개선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이전의 연구는 자기조절이 학업적 성취도에 따른 대학생들의 상위와 하위 사이의 구별되는 특징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at self-regulation is a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between high and low academically achieving college students.


예를 들어, Zimmerman과 Kitsantas(1999)는 프로세스에서 결과물로 이전한 학생들이 결과만을 사용한 프로세스 목표를 사용하는 학생들을 능가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변화된 목표 그룹의 사람들은 그들의 글쓰기 수정 기술에서 우월했다.

For example, Zimmerman and Kitsantas (1999) found that students who shifted their forethought goals from processes to outcome outperformed those who used process goals, who in turn, surpassed those who only used outcome goals. Individuals in the shifting goal group were superior in their writing revision skill,


목표 설정은 학습자의 생각, 감정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학습의 자율적 규제의 중요한 측면이다. 학생들이 과정 목표와 결과 목표를 구별할 수 있는 것은 중요하다. 

    • 결과 목표는 각 장을 이해하는 것과 같은 활동의 최종 산물을 의미하지만, 

    • 프로세스 목표는 최종 결과 목표에 도달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Goal setting is an important aspect of the self-regulation of learning since goals influence the learner’s thinking, emotions and actions. It is important that students can make a distinction between process goals and outcome goals. Outcome goals refer to the final product of the activity, such as understanding each chapter, but process goals refer to howthe final outcome goal will be reached. 



"학습한 내용의 요점을 요약한다"와 같은 프로세스 목표는 목표가 달성되고 있는지, 그리고 자기 적응적인 변화가 필요한지에 대한 신속한 자가 평가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새로운 주제를 배우는 초기 단계에서 특히 중요하다.

Process goals, such as summarising the main points in the chapter, are especially important during the early stages of learning a new topic since they allow rapid self-evaluation of whether the goal is being attained and whether any self-adaptive changes need to be made.


성공적인 목표 달성은 적절한 전략을 사용해야 한다. 효과적인 학습자는 '시도해봤고, 신뢰할 수 있는', 자신이 좋아하는 작은 전략 레퍼토리를 가지고 있지만, 성취도가 낮은 학습자는 제한된 범위만의 전략을 사용하거나, 비효율적인 전략을 반복적으로 사용한다(Pressley & Ghatala 1990). 교과서와 강의 노트를 반복해서 읽어도 과목을 이해할 수 없다고 말하는 의대생들의 말을 듣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

Successful goal attainment requires the use of appropriate strategies. Effective learners have a small repertoire of favourite strategies that are ‘tried and trusted’ but underachieving learners either have a limited range of effective strategies or repeatedly use ineffective strategies (Pressley & Ghatala 1990). It is not unusual to hear many underachieving medical students state that they cannot understand the subject despite repeatedly reading their text book or lecture notes.


독서를 하는 동안 자기조절 과정을 살펴본 연구는 높은 이해력을 가진 학생들은 지속적으로 자기-모니터링을 했으며, 자기-평가를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에 사용하던 전략이 그들이 읽고 있던 텍스트를 이해하는 데 효과적이었는지에 따라) 전략의 선택에 관해 적응적인 변화를 만든다는 것을 밝혀냈다(Paris & Paris 2001).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근법은 예측, 질문, 명확화 및 요약의 네 가지 주요 전략에 집중한다.

Research that has looked at self-regulation processes during reading has identified that high-achieving readers constantly self-monitored, self-evaluated and made adaptive changes regarding their choice of strategies to ensure that these strategies were being effective for understanding the text that they were reading (Paris & Paris 2001). For example, one commonly used approach concentrates on four main strategies: predicting, questioning, clarifying and summarising.


선택된 전략이 가장 적절하고 효과적인지 여부를 구현하고 평가하는 것은 학습자가 스스로 수행하는 능동적인 과정이다. 목표 달성을 위한 진전뿐만 아니라 자신이 어떤 일에 어떻게 접근하는지에 대해 더 큰 자각을 가진 학습자는 도전에 직면했을 때 자신의 전략에 적응적인 변화나 조정을 할 가능성이 더 높다.

Implementing and evaluating whether a chosen strategy is the most appropriate and effective is an active process for the learner. Learners who have greater self-awareness of how they are approaching a task, as well as their progress towards their intended goal, are more likely to make adaptive changes or adjustments to their strategies when confronted with challenges.


학생들이 능동적이고 전략적인 학습자가 될 수 있는 정도는 내부 및 외부 피드백의 질과 관련이 있다(Butler & Winne 1995).

The extent to which students can become active, strategic learners is related to the quality of both internal and external feedback (Butler & Winne 1995).


학업 성취도의 또 다른 중요한 측면은 학습자의 동기부여다. 동기 부여는 학생들의 행동에 활력을 불어넣고 지도한다. 그것은 그들의 자기신념과 그 일에 대한 믿음의 영향을 받는다. 목표 설정과 귀인도 동기부여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만, 사회 인지 이론가들은 또한 기대와 가치와 같은 자기-동기적 믿음에도 일차적인 중요성을 둔다(위그필드 & 에클스 2000; Zimmerman 2000).

Another important aspect of academic performance is the motivation of the learner. Motivation energises and directs students’ behaviour. It is affected by their self-beliefs and also their beliefs about the task. Although goal-setting and attributions impact on motivated behaviours, social-cognitive theorists also place primary importance on self-motivation beliefs, such as expectancy and value (Wigfield & Eccles 2000; Zimmerman 2000). 


기대 판단특정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특정 행동을 수행하는 기술에 대한 개인의 인식이다. 어떤 의미에서 이러한 유형의 판단은 개인이 자신이 얼마나 능력이 있다고 믿는지와 자신과 주어진 상황을 통제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포함한다. 가장 잘 조사된 기대 구조 중 하나는 자기효능 신념인데, 이는 특정 상황에서 특정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매우 구체적인 판단이다. 이러한 믿음은 매우 맥락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따라서 다른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종종 실제로도 그러하다.

Expectancy judgements involve a person’s perceptions about the skill in performing specific actions that can lead to particular outcomes. In a sense, these types of judgements involve how capable an individual believes that he or she is and whether he or she has control over themselves and a given situation. One of the most well-researched expectancy constructs is self-efficacy beliefs, which are highly specific judgements about one’s capabilities to perform specific acts in a particular situation. These beliefs are highly contextualised and thus can, and often do, vary across different situations.


특정 과목에 대한 학습의 가치에 대한 학습자의 신념도 동기부여 수준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특정 과목 영역에 관심이 있거나 이 내용 영역이 매우 중요하거나 가치가 있다고 인식하는 학생들은 종종 학습에 더 많은 노력과 참여를 보일 것이다. 학습자의 동기와 귀인에 대한 신념을 직접 질문으로 식별한 다음, 이러한 믿음이 학업 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으며, 이러한 믿음을 변화시키기 위한 긍정적인 접근방식은 무엇인지를 성찰하여 수정할 수 있다.

Learners’ beliefs about the value of studying for a particular subject are also important for understanding their level of motivation.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a particular subject area and/or perceive this content area to be of high importance or value will often display more effort and engagement in learning. The motivational and attribution beliefs of underachieving learners can be identified by direct questioning and then modified by reflecting on how these beliefs can influ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consideration of positive approaches to change these beliefs.


임상 퍼포먼스 개선

Improving clinical performance


임상 수행의 중요한 측면은 필수적인 기본 임상 기술의 효과적인 사용이다.

An important aspect of clinical performance is the effective use of essential basic clinical skills,


기존 연구에 따르면, 자기조절은 정신운동 숙련도에 따른 여러 개인을 구분짓는 특징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클리어리와 짐머맨(2001)은 농구 프리 스로우의 전문가로 분류된 성능(예상 단계) 이전에 학생들이 더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고 기술 중심의 전략을 사용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at self-regulation is a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between individuals who have high and low complex psycho-motor skilled performance. For example, Cleary and Zimmerman (2001) showed that prior to performance (forethought phase) students classified as experts in basketball free-throws made more specific goals and used more technique-focused strategies.


저자들은 또한 전략의 선택과 목표 설정이 상호 연관되어 있으며, 성과 개선을 위한 후속 노력 중 전략의 사전 고려된 선택forethought selection과 귀인에 대한 자가 판단attribution self-judgement이라는 여러 자율 규제 프로세스 간의 순환적 관계를 강조한다.

The authors also highlight the cyclical relationship among several self-regulation processes, with goal setting being correlated with choice of strategy and attribution self-judgements being predictive of forethought selection of strategy during subsequent efforts to improve performance.


클리어리와 샌더스(2011)에 따르면,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참여자들은 세 가지 주기적 단계 전체에 걸쳐 전략적 사고를 보인 반면, 성공하지 못한 참여자들은 결과나 비과정non-processes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첫 번째 시도에서 성공한 참가자는 

    • 프로세스 목표와 계획을 수립하였고,

    • 작업(성능 단계) 중에 사용되는 프로세스 및 해당 정맥 기법을 모니터링하였고,

    • 프로세스 또는 기술 관련 준거를 사용하여 성과에 대한 성공 또는 만족도를 평가했다.

Cleary and Sandars (2011) Participants who were successful at this task exhibited strategic thinking throughout each of the three cyclical phases, whereas those who were not successful tended to focus on outcomes or non-processes. Specifically, participants who did the venepuncture successfully on their first attempt, 

    • reported setting process goals and plans, 

    • monitored the process and their venepuncture techniques used during the task (performance phase) and 

    • evaluated their level of success or satisfaction with their performance using process or technique related criteria.


연구는 참가자들에게 사이클 모델, 특히 목표 설정(예측 단계)과 자기 기록(수행 단계)에서 특정 프로세스에 참여하도록 지시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Research has focused on instructing participants to engage in specific processes in the cyclical model, in particular, goal setting (forethought phase) and self-recording (performance phase).


전반적으로, 골 세팅과 자기 기록이 학생들의 71%를 차지했다. 이는 이러한 과정이 기술 습득을 증가시키는데 매우 영향력이 있음을 시사한다.

Overall, goal setting and self-recording accounted for 71% of the students dart-throwing proficiency. This suggests that these processes are very influential in increasing skill acquisition.


자기평가적 기록을 남기는 학생은 (이런 유형의 기록을 하지 않는 학생보다) 다트던지기를 잘 하지 못한 것에 대해 strategic attribution을 더 많이 했다. 자율 규제와 동기부여의 관점에서 전략적인 귀속을 하는 것은 전략적인 사용이 수정되고 적응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익하며, 따라서 학생들에게 주체로서의 신념과 통제력을 길러준다.

Individuals who engaged in self-evaluative recording made more strategic attributions following poor dart-throwing attempts than those who did not engage in this type of recording. From a self-regulation and motivation perspective, making strategic attributions is highly beneficial because strategy use can be modified and adapted, thus cultivating beliefs of agency and control in students.


연구는 또한 각 단계에서 훈련하는 개인들이 농구 자유 스킬에 미치는 부가적 영향을 조사했다(Cleary et al. 2006). 세 단계 모두, 또는 두 단계에 대해서(예측 및 성과) 훈련을 받은 학생들은 한 단계만 훈련받았거나 자기조절 훈련을 받지 않은 개인보다 더 정확한 프리트로우 슈팅을 보여주고, 보다 전략적인 인과적 귀속을 하고, 적응적 추론을 더 많이 보고했다.

Research has also investigated the additive effects of training individuals in each phase of the cyclical process on their basketball free-throw skill (Cleary et al. 2006). Individuals who received training in all three or two phases (forethought and performance), displayed more accurate freethrow shooting, made more strategic causal attributions and reported more technique specific adaptive inferences than those who only received one phase of training or no regulation training.


자기조절학습 미세분석이라는 진단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미시 분석의 일차적인 목표는 사람이 어떤 실제 업무를 수행하고 있을 때 특정한 자기조절 관련 질문을 하는 것이다. OSCE는 학생들이 임상 과제를 완료하면서 구체적인 행동이나 기술을 보여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미시적 분석을 채택하는 데 이상적인 방법이다.

The tutor decides to employ a diagnostic technique called Self-Regulated Learning Microanalysis . The primary objective of micro-analysis is to ask specific regulatory questions as a person is engaging in some authentic task. The OSCE is an ideal method to employ microanalysis because students are expected to demonstrate specific behaviours or skills as they complete the clinical tasks.




(a) 주요 자기조절 프로세스의 문제 식별 

(a) Identification problems with key self-regulation processes


OSCE 수행 전의 질문:

Questions before taking the OSCE:


  • 이 환자에게 적절한 심장 검사를 할 수 있다고 얼마나 확신하십니까? (자기효능신념 평가)

  • 심장 검사를 시작하기 전에 염두에 두고 있는 목표가 있는가? 만약 그렇다면, 그들은 무엇인가? (프로세스 또는 결과 목표 선택 평가)

  • 심장검사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특정 전략 및 기법의 선정 평가)

  • . How sure are you that you can perform an adequate cardiac examination on this patient? (to assess self-efficacy beliefs)

  • . Do you have a goal(s) in mind before you begin the cardiac examination? If so, what is(are) (it)they? (to assess process or outcome goal selection)

  • . What do you need to do to successfully perform the cardiac examination? (to assess the selection of specific strategies and technique)


OSCE 수행 중 질문:

Questions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OSCE:

  • 당신은 지금까지 흠잡을 데 없는 과정을 수행했다고 생각하는가, 아니면 실수를 한 적이 있는가? (수행에 대한 자체 모니터링 평가)

  • Do you think you have performed a flawless process thus far or have you made any mistakes? (to assess self-monitoring of performance)


OSCE 수행 후 질문:

Questions after the OSCE performance:


폴이 심장 소리를 해석하지 못하면 가정교사는 그를 멈추게 하고 다음과 같이 묻는다.

. If Paul fails to interpret the heart sounds, the tutor stops him and asks:


(a) 심장 소리를 해석할 수 없었던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실패에 대한 귀인 평가)

(b) 다음 번 심장 소리를 해석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 (성공적 성과에 필요한 자기 적응적 변화 평가)

(a) Why do you think that you could not interpret the heart sounds? (to assess the attributions for unsuccessful performance)

(b) What do you need to do to successfully on your next attempt to interpret the heart sounds? (to assess the selfadaptive changes required for successful performance)


레지던트가 심장소리를 성공적으로 해석한다면, 가정교사는 폴을 멈추게 하고 다음과 같이 물어볼 수 있다.

. If the resident successfully interprets the heart sounds, the tutor can stop Paul and ask:


(a) 심장 소리를 성공적으로 해석하셨습니다. 왜 첫 번째 시도에서 성공했다고 생각하십니까? (성공에 대한 귀인  평가)

(a) You successfully interpreted the heart sounds. Why do you think that you were successful on your first attempt? (to assess the attributions for successful performance)


(b) 임상 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주요 자체 규제 프로세스의 문제 해결

(b) Remediation of problems with key self-regulation processes to improve clinical performance




일반적 교육 접근

General instructional approaches


다양한 교육 접근방식이 보고된 바 있음

A variety of instructional approaches have been described


이러한 모든 접근법의 핵심 특징은 학습자에게 단순한 전략의 범위 이상의 것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그들은 학습자가 특정 전략을 언제 사용해야 하는지, 그리고 그것이 왜 사용되어야 하는지를 알고, 그것이 효과적인지 확인하고, 전략의 사용에 대한 자기적응적인 변화를 만들 수 있는 전략의 사용을 스스로 모니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지만, 또한 가장 적절한 전략을 사용하여 과제를 달성할 수 있다는 강한 신념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The key feature of all these approaches is that they offer the learner more than a range of simple strategies. They provide an opportunity for the learner to know when to use a particular strategy and why it should be used, to self-monitor the use of the strategy to check whether it is effective and to make selfadaptive changes to both their use of strategy but also develop a strong belief that they can achieve a task using the most appropriate strategy.



튜터의 역할

The role of the tutor.


자기조절은 개인 학습자의 생각, 감정, 행동에 초점을 맞추는 과정이다. 그러나 이 과정은 다른 사람들, 특히 숙련된 튜터가 제공하는 행동과 피드백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평생 학습자를 위한 자기조절교육을 위한 전체적인 목표는 내부 동기 부여와 전략의 사용에 대한 개인 통제의 권한을 부여하고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Bandura 1989). 교육활동은 학습자가 

  • 자신의 생각과 감정이 자신의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더 의식하고 인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 긍정적인 동기 부여적 믿음과 적응적 귀인을 개발하고, 

  • 성공을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적응하는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Self-regulation is a process that focuses on the thoughts, emotions and actions of an individual learner. However, this process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actions and feedback provided by others, especially a skilled tutor. The overall aim for the training of self-regulation for lifelong learners is to empower and develop their personal control, often called agency, of their internal motivation and use of strategies (Bandura 1989). Educational activities should enable learners 

  • to become more conscious and aware of how their thoughts and emotions influence their performance, 

  • to develop positive motivational beliefs and adaptive attributions and 

  • to develop their skills to adapt a variety of strategies to achieve success.


튜터의 전반적인 역할을 더 자세히 고려하는 것이 유용하다. 파리 및 파리(2001)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It is useful to consider the overall role of the tutor in greater detail. Paris and Paris (2001) include:


.학습자가 튜터와 같은 숙련된 전문가의 성과를 관찰할 수 있는 기회 제공. 이는 특히 핵심적 자기조절 프로세스의 사용을 함께 구두로 설명하며 제공하는 경우 강력하다. 

. Providing opportunities for the learner to observe theperformance of a skilled individual, such as a tutor. This isespecially powerful if verbal explanations of the use of thekey self-regulation processes are given by the performer. 


. 복잡한 기사를 읽거나 진단 결정을 내리는 등 주요 자기조절 프로세스가 필요한 상황에서 학습자를 참여시키고, 전략적, 적응적 방식으로 자기조절 프로세스를 사용하도록 학습자를 지도한다.

. Engaging the learner in situations in which key self-regulation processes are required, such as reading a complex article or making a diagnostic decision, and coaching the learner to use the self-regulation processes in a strategic and adaptive way.


. 학습자가 새로운 과제를 처음 배우는 동안 또는 학업 또는 임상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때 자기조절 프로세스의 사용에 대해 더 잘 인식하도록 유도하여, 학습자가 더 자기 성찰적이고 자기 적응적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과제를 실패하는 경우, 자신의 투쟁을 불충분한 노력 수준이나 전략의 비효율적인 사용과 연관시켜야 한다.

. Encouraging learners to become more aware of their use of self-regulation processes during initial learning of a new task or when trouble-shooting underachievement, either academic or clinical, so that the leaner can become more self-reflective and self-adaptive. For example, if a learner fails a task, he or she should relate one’s struggles to insufficient levels of effort or ineffective use of strategy.



배우는 방법 배우기 과정

Learning to learn courses.


'배움하기 위한 학습' 코스의 가치는 대학생들과의 여러 연구 연구에서 입증되었다(호퍼&유 2003).

The value of ‘learning to learn’ courses has been shown in several research studies with college students (Hofer & Yu 2003)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MSLQ; see Figure 2).


Figure 2. Main components of the MSLQ.


MSLQ는 대학생들을 위한 81개의 항목 자체 보고 질문이다.

• 동기 부여 척도(31개 항목) - 고유의 목표 지향성, 외적인 목표 지향성, 과제 가치, l 소득 신념의 통제, 학습 및 성과에 대한 자기효능, 시험 불안

• 학습 척도(31개 항목) – 다양한 전략(리허설, 정교한 설명, 조직, 비판적 사고) 및 자율 규제 프로세스 사용

• 리소스 관리 척도(19개 항목) – 시간 및 학습 환경, 노력 규제, 동료 학습, 검색 지원


The MSLQ is an 81 item self-report questionnaire for college students:

• Motivation scale (31 items) - intrinsic goal orientation, extrinsic goal orientation, task value, control of l earning beliefs, self-efficacy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test anxiety

• Learning scale (31 items) – use of different strategies (rehearsal, elaboration, organisation, critical thinking) and self-regulation processes

• Resource management scale (19 items) – time and study environment, effort regulation, peer learning, help seeking


Copies of the MSLQ can be obtained from Combined Program in Education and Psychology (CPEP) cpep@umich.edu



자기조절 프로세스에 초점을 맞춘 피드백

Feedback focused on self-regulation processes


연구는 일관되게 의대생과 의사를 포함한 많은 개인이 자신의 지식, 기술 및 성과에 대한 자신의 판단에서 부정확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Davis et al. 2006; Hacker et al. 2008). 대부분의 학생들은 그들의 기술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는데, 불행하게도 이것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의 선택과 사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가장 많이 고군분투하는 학습자들은 종종 인식된 능력과 실제 성취도 사이에 가장 큰 차이를 가진다. 게다가, 이런 유형의 학생들은 종종 나쁜 성적을 올바르게 자가 평가했을 때조차 시정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 효과적인 적응에 참여하기 위해서, 이러한 유형의 학습자들은 유익한 내부 피드백을 발생시키거나 강사나 교사들에 의해 외부 피드백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요컨대, 피드백은 학습자가 주요 자기조절 프로세스 사용에 적응적인 변화를 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학습 자기조절의 필수적인 요소다(Butler & Winne 1995).

Research has consistently shown that many individuals, including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are inaccurate in their own judgements about their knowledge, skills and performance (Davis et al. 2006; Hacker et al. 2008). Most students tend to overestimate their skills, which unfortunately can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ir selection of and use of strategies to achieve a task. Learners who struggle the most are often those have the greatest discrepancy between perceived competence and their actual performance. In addition, these types of students often do not take corrective measures when they correctly self-assess poor performance. To engage in effective adaptation, these types of learners either need to be able to generate informative internal feedback or to be given external feedback by tutors or teachers. In short, feedback is an essential and integral component of the self-regulation of learning since i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the learner to make adaptive changes to their use of key self-regulation processes (Butler & Winne 1995).


내부 피드백, 즉 개인이 생성하는 정보는 일반적으로 훈련을 통해 개발할 수 있는 자체 모니터링 프로세스를 통해 발생한다(Hartman 2001). 흥미로운 접근법은 학습자가 자신의 성과를 스스로 모니터링하고 학습 전략과 기법에 대한 적응적 변화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화된 워크북의 자가 주도적인 사용이다(Nietfeld et al. 2006). 

Internal feedback, or information that is produced by the individual, typically occurs through a self-monitoring process that can be developed through training (Hartman 2001). An interesting approach is the self-directed use of structured workbooks that allow learners to self-monitor their performance and also to record their adaptive changes to study strategies and techniques (Nietfeld et al. 2006). 


외부 피드백, 학생의 기술이나 직무수행에 대해 다른 사람이 언급하는 것. 인식과 실제 수행의 차이를 부각시키는 강력한 리얼리티 체크가 될 수 있다.  효과적으로 제공되는 경우 외부 피드백은 과제의 필수 요건이나 오류를 수정하거나 수정하는 데 필요한 행동 또는 프로세스에 대한 학습자의 주의를 지시하기 때문에 자기조절의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External feedback, such as comments made by others about the skills or task performance of a student, can be a powerful reality check that highlights the discrepancy between perceived and actual performance.  When provided effectively, external feedback can be a very important component of self-regulation because it directs a learner’s attention on essential requirements of a task or the behaviours or processes needed to adapt or correct mistakes.




미래 발전과 적용

Future developments and applications


기존 교육과정에 통합 

Integration into existing curricula


의학 교육의 많은 학부생과 대학원생들은 자연스럽게 적응적인 자기조절 과정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하나 이상이 미개발될 가능성이 있다.

Many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learners in medical education naturally exhibit adaptive self-regulation processes. However, it is likely that one or more of these processes may be under-developed


문제 기반 학습은 새로운 정보를 찾기 위한 방아쇠로 문제 상황을 사용하는 학생들의 학습 과정을 발전시키려는 시도로 널리 소개되었다. 문제 기반 학습과 자율 규제의 개념 사이에는 중첩이 있으며, 두 개념 모두 학습 과정에 대한 학생 통제와 목표 설정과 성과 반영을 요구하는 학습 접근법의 사용에 중점을 두고 있다(Loyens 등 2008).

Problem-based learning has been widely introduced in an attempt to develop the learning processes of students using problematic situations as a trigger to seek new information. There is overlap between the concepts of problem-based learning and self-regulation, with both having an emphasis on student control over the learning process and the use of a learning approach that requires the setting of goals and reflecting on performance (Loyens et al. 2008).


그러나 문제 기반 학습의 전달은 자율 규제 프로세스의 개발에 큰 초점을 두지 않는다(Moust et al. 2005). 특히 튜터가 학생들의 성취도가 낮다는 것을 안다면 자기조절의 주요 측면은 PBL 커리큘럼에 구체적으로 도입될 수 있다. 이러한 개입의 예로는 프로세스 목표 설정,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 선택, 자가 모니터링 및 적절한 전략이나 기법의 선택과 관련된 적응형 변경을 포함한다. 

However, the delivery of problem-based learning does not have a strong focus on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processes (Moust et al. 2005). Key aspects of self-regulation can be specifically introduced in problem-based curricula, especially if the tutor is aware that students are underachieving. Examples of these interventions include those related to 

    • setting process goals, 

    • selecting a strategy to achieve these goals, 

    • self-monitoring and 

    • making adaptive changes that are related to self-beliefs or selection of appropriate strategies or techniques. 

중요한 측면은 학생들이 문제 기반 학습의 단계에 초점을 맞추는 대신에 다양한 주요 자기조절 과정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An important aspect is that the tutors focus on how the students are using the various key self-regulation processes instead of a focus on the steps in problem-based learning.


튜터는 또한 전략 사용과 자기조절 프로세스에 초점을 맞춘 학습자에게 전략 및 프로세스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학습자의 주기적 자율규제 프로세스 사용에 대한 피드백(그림 3)은 think-aloud 또는 자기조절 미세분석과 같은 맥락별 평가 기법에서 생성될 수 있다. 학생들은 또한 별도의 '학습하기 위한 학습' 과정을 시행하거나, 학습자들이 텍스트를 이해하는 구조화된 접근법을 사용하여 서로를 멘토링하는 상호 교습과 같은 동료 멘토링 접근법을 사용함으로써 도움을 받을 수 있다.

Tutors could also provide strategic and process feedback to learners with a focus on strategy use and self-regulation processes. Feedback about a learner’s use of cyclical self-regulation processes (Figure 3) can be generated from context-specific assessment techniques, such as think-aloud or self-regulation microanalysis. Students could also be helped by implementing separate ‘learn to learn’ courses or using a peer mentoring approach, such as reciprocal teaching, in which learners mentor each other using a structured approach to understanding text.


Figure 3. Questions about the key self-regulation processes


예상 단계

• 과제의 특성은 무엇인가?

• 내 목표는 무엇인가?

• 어떤 종류의 정보와 전략이 필요한가?

• 얼마나 많은 시간과 리소스가 필요한가?

• 나의 동기는 무엇인가?

• 환경을 수정해야 하는가?

Forethought Phase

• What is the nature of the task?

• What is my goal?

• What kind of information and strategies do I need?

• How much time and resources will I need?

• What is my motivation?

• Do I need to modify the environment?


성능 단계

• 내가 하고 있는 일을 확실히 이해하고 있는가?

• 이 작업이 이치에 맞는가?

• 목표에 도달하고 있는가?

• 무언가에 변화를 줘야 하는가?

• 내 생각/감정을 수정해야 하는가?

• 환경을 수정해야 하는가?

Performance Phase

• Do I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what I am doing?

• Does the task make sense?

• Am I reaching my goals?

• Do I need to make changes?

• Do I need to modify my thoughts /emotions?

• Do I need to modify the environment?


자기반사단계

• 내가 목표에 도달했는가?

• 무엇이 효과가 있었는가?

• 무엇이 작동하지 않았는가?

• 다음 번에는 다른 방식으로 작업을 수행하시겠습니까?

• 나의 동기 부여에 미치는 영향은?

Self-reflection Phase

• Have I reached my goal?

• What worked?

• What didn’t work?

• Would I do things differently next time?

• What is the impact on my motivation?



이러닝 개발

Development of e-learning


더 간단한 접근법이 효과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학습(Azebedo & Cromley 2004)에 참여하기 전에 자율 규제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짧은 교육 모듈을 사용하는 것. 모듈에 참여하는 동안 온라인 학습자의 자기조절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훈련된 촉진자를 사용하는 것이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Azebedo et al. 2008).

simpler approaches can be effective. For example, a short training module on how to use self-regulation processes prior to engaging in online learning (Azevedo & Cromley 2004) or the use of a trained facilitator to develop self-regulation skills of online learners whilst participating in a module has been shown to impact learning (Azevedo et al. 2008).


저성취자 발견과 재교육

Identification and remediation of underachievement


모든 의학 교육자들에게 점점 더 많은 관심은 그들의 잠재력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는 소수의, 그러나 중요한 학습자들이다(Hauer 등). 2009).

An increasing concern to all medical educators is the small, yet significant, number of learners who are underachieving reaching and not their potential (Hauer et al. 2009).


이러한 '스트루글러'들은 이질적인 집단이며 종종 학문적 성과와 임상적 업적 모두에 대한 문제 외에도 심리학적 문제와 사회적 문제가 복잡하게 뒤섞여 있다.

These ‘strugglers’ are a heterogeneous group and often have a complex mix of psychological and social problems in addition to problems with both academic and clinical achievements.


자율 규제 이론의 흥미로운 잠재적 적용은 임상 성과 문제의 식별 및 교정조치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에 대한 자체 규제 학습 및 미시적 평가 훈련(SRL-MAT)의 사용이다(Durning et al. 2011).

An exciting potential application of selfregulation theory is the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and Microanalytic Assessment Training (SRL-MAT) for the systematic approach to the identification and remediation of clinical performance problems (Durning et al. 2011).


학부형, 대학원형 의학 교육에서도 '전문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There is also increasing concern about ‘professionalism’ in both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Sam을 도울 방법은?

How can Sam be helped to improve his professional behaviour by the actions of his tutor?


튜터의 주요 교육 및 교정 조치는 인식된 성과와 실제 성과의 차이를 강조하는 것이다. 이는 튜터나 시뮬레이션된 환자로부터 외부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지만, 보다 강력한 접근방식은 샘이 일련의 실제 또는 시뮬레이션된 상담 동안 빈번한 간격으로 환자의 비언어적 행동을 관찰하고 기록하도록 함으로써 자가 평가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그 후, 튜터는 샘을 리뷰했다. 

The main educational and remedial action of the tutor is to highlight the discrepancy between the perceived and actual performance. This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external feedback from either the tutor or the simulated patient but a more powerful approach is to increase self-evaluation by ensuring that Sam observes and records the non-verbal behaviour of the patient at frequent intervals during a series of further real or simulated consultations. Subsequently, Samis reviewed by the tutor. 


그 튜터는  샘이 상담에 대한 자기 만족에 대한 점수가 떨어지고, 또한 그가 감정적인 고통을 알아차려야 할 필요성에 대해 점점 더 많이 인식하게 되었다고 지적한다. 튜터는 자기 인식의 중요성에 대해 논하고, 샘에 의해 변경된 매개변수와 특정 전략이나 기법의 사용 사이의 연결을 만든다. 이것은 샘에게 중요한 학습 경험이다. 왜냐하면 그는 이제 그의 전문적인 행동이 개인적인 통제 하에 있는 자율 규제 과정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기 때문이다.

The tutor notes that Sam’s score for his self-satisfaction of a consultation falls and that he has also become increasingly aware of his need to notice emotional distress. The tutor discusses the importance of self-awareness and makes the link between these changed parameters and the use of specific strategies or techniques by Sam. This is an important learning experience for Sam since he now realises that his professional behaviour is dependent on self-regulation processes that are under his personal control.









 2011;33(11):875-86. doi: 10.3109/0142159X.2011.595434.

Self-regulation theoryapplications to medical educationAMEE Guide No. 58.

Author information

1
Leeds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Leeds, UK. j.e.sandars@leeds.ac.uk

Abstract

Self-regulation theory, as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describes the cyclical control of academic and clinical performance through several key processes that include goal-directed behaviour, use of specific strategies to attain goals, and the adaptation and modification to behaviours or strategies to optimise learning and performance. Extensive research across a variety of non-medical disciplines has highlighted differences in key self-regulation processes between high- and low-achieving learners and performers. Structured identification of key self-regulation processes can be used to develop specific remediation approaches that can improve performance in academic and complex psycho-motor skills. General teaching approaches that are guided by a self-regulation perspective can also enhance academic performance. Self-regulation theory offers an exciting potential for improving academic and clinical performance in medical education.

PMID:
 
22022899
 
DOI:
 
10.3109/0142159X.2011.595434
[Indexed for MEDLIN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