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교육연구: 30년간의 진전(BMJ, 2002)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three decades of progress
Geoff Norman
전문분야로서 의학교육연구는 30 년 전 뉴욕 버팔로 의과 대학의 소수의 임상의와 교육 연구자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The specialty of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began just over three decades ago with a small group of clinicians and educational researchers at the medical school in Buffalo, New York.
측정 진행
Measuring progress
의학에서 과학적 진보의 지표는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과 같은 객관적인 지표에 의해 측정 될 수 있습니다. 교육에서 이러한 "Hard"증거는 여러 가지 이유로 부족할 수 있습니다.
첫째, 역설적이게도 교육 전략의 실제 차이점은 면허 시험 성적과 같은 결과에 반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학생들의 동기가 높고 개입에 blind되어 있지 않아, 교과 과정의 결함을 (스스로) 보완하기 때문입니다 .5-5
둘째 커리큘럼은 표준 복용량으로 제공 될 수있는 약물과 같지 않으며, 다양한 교사가 다양한 품질로 제공하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합니다.
마지막으로 학습과 important outcome 사이의 시간이 너무 길어 교과 과정의 영향이 불명료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In medicine, indicators of scientific progress might be measured by objective indicators such as death from cardiovascular disease. In education such “hard” evidence may be lacking for several reasons.
Firstly, paradoxically, real differences in educational strategies may not be reflected in outcomes, such as licensing examination performance, simply because students are highly motivated and are not blinded to the inter- vention, so will compensate for any defects in the curriculum.1–5
Secondly, a curriculum is not like a drug, which can be given at standard doses, but instead contains many components, delivered with variable quality by different teachers.
Finally, the time between learning and important outcomes may be so long that the effects of the curriculum are obscured— although not always.6
교육적 의사 결정에서 증거 사용
Use of evidence in educational decision making
아마도 학문의 진전에 대한 가장 중요한 증거는 우리가 이전보다 교육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증거를 요구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입니다. 1970 년 이전에는 중요한 교육 진보가 주로 설득과 정치에 의해 결정되었습니다. 그러나 이후로 변화는 증거에 의해 시작되거나 증거를 동반할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 순환논리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연구가 교육 실습에 가져올 수 있는 공헌을 유형적으로 인정한 것입니다.
Perhaps the most important evidence of progress in the discipline is that we are now more likely than before to demand evidence to guide educational decision making. Before 1970 important educational advances were largely adopted by persuasion and politics; since that time changes are more likely to be initiated or accompa- nied by evidence. Although this may sound circular, it represents tangible recognition of the contributions that research can make to the practice of education.
진행의 특정 영역
Specific areas of progress
전문 지식 습득의 기초 연구
Basic research in the acquisition of expertise
1970 년대 초, 임상 추론의 본질에 대한 기초 연구는 전문적인 임상의가 일반적인 "임상 문제 해결"기술의 소유로 구별된다는 가설을 추구했습니다. 이것은 잘못된 것으로 판별되었다. 전문성은 공식적 또는 경험적 지식에 근거하고 있으며, 전문가는 문제 상황에 이 지식을 가져다가 사용하게 된다.
In the early 1970s basic research into the nature of clini- cal reasoning pursued the hypothesis that expert clinicians were distinguished by the possession of general “clinical problemsolving” skills. This was wrong; what emerged was that expertise lay predominantly in the knowledge, both formal and experiential, that the expert brought to the problem.78
이 발견은 새로운 탐구의 방향을 가져 왔고, 새로운 세대의 연구자들은 전문적인 임상의가 인지 심리학에서 파생 된 연구 전략을 사용하여 의학 지식을 조직화하는 방법을 발견하려고 시도했다.
This finding resulted in a new direction of inquiry, and a new generation of researchers attempted to uncover the ways that expert clinicians organise medi- cal knowledge in their minds, using research strategies derived from cognitive psychology.910
문제 기반 학습
Problembased learning
1960 년대 후반 McMaster University에서 개발 된 문제 기반 학습은 전통적인 강의 기반 접근법을 사용하는 의학 학교보다 더 humane한 의과 대학을 구성하려는 욕구에 힘 입어 발전했습니다. 그 이후로 광범위한 증거가 그 효과에 관해 나타났습니다 .2-5 12 그러나 평가가 면허 시험에 대한 성과와 같은 중앙 교육 결과에 국한되는 경우, 매우 작은 차이만이 발견됩니다 .23 이것은 놀랍지 않다. 학생들은 교과 과정에서 인지 된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것을 할 것이기 때문이다.13 그러나 인도적 학습 환경을 창출한다는 원래의 목표에서 문제 중심 학습은 합격하지 못한 성공입니다.
Problem based learning developed at McMaster University in the late 1960s, driven by a desire to con- struct a medical school that was more humane than one that used the traditional, lecture based approach. Since that time an extensive body of evidence has emerged about its effectiveness.2–5 12 If the evaluation is restricted to the central educational outcomes such as performance on licensing examinations, few differ- ences are found.23This should not be a surprise—most students will do whatever is necessary to compensate for any perceived weakness in a curriculum.13 However, in terms of the original goal of creating a humane learning environment, problem based learning is an unqualified success.34
평가 방법의 발전
Advances in assessment methods
아마 가장 극적인 진보는 평가 접근법에서 발생했습니다. 30 년 전 평가는 지필고사였고, 유럽에서는 에세이, 북미에서는 다지선다형 문제가 주로 사용되었다. Specialty certification처럼 성과 평가가 필요할 때에는 전통적인 viva가 지배적이었습니다.
Arguably the most dramatic advances have occurred in approaches to assessment. Thirty years ago assessment was dominated by written tests—essays in Europe and multiple choice questions in North America. When performance assessment did occur, as in specialty cer- tification, the traditional viva dominated.
그것은 모두 바뀌었다. 1970 년대에는 문제 해결과 같은 고급 기술 평가에 대한 시뮬레이션 접근 방식이 확산되었습니다. 이러한 발전은 미국의 면허 및 인증 기관에 의해 크게 자극받은 신중한 연구를 동반했습니다. 내용-특수성은 이 연구의 주요 발견이었습니다. 여러 문제에 걸쳐 skill을 측정한 결과들의 상관 관계는 일반적으로 0.1에서 0.3 범위 였으므로 안정적인 신뢰할 수있는 측정을 얻으려면 많은 샘플의 동작이 필요했습니다. 내용 특수성의 직접적인 결과는 OSCE로서, 여러 가지 퍼포먼스 샘플을 사용하여 성과 평가를 지배하게되었으며, SP의 평가 대 의사 관찰자와 같은 다양한 요소의 영향에 대한 광범위한 문헌을 이끌어 냈습니다 .
That has all changed. In the 1970s there was a prolif- eration of simulation approaches to assessing higher skills like problem solving. These developments were accompanied by careful research, largely stimulated by the licensing and certification bodies in the United States. Content specificity has been a major finding of this research—the correlation of the various measures of skills across problems was typically in the range of 0.1 to 0.3,14 so many samples of behaviour were necessary to obtain stable, thus reliable, measurement. It is a direct consequence of content specificity that the objective examination,15 structured clinical with its multiple samples of performance, has come to dominate performance assessment and has led to an extensive lit- erature regarding the impact of various elements such as ratings of simulated patients versus physician observers.
보수 교육, 자격 갱신 및 재 정규화
Continuing education, recertification, and relicensure
보건 전문가의 지속적인 교육이 "의학의 날"에 의해 주도되고 있지만, 의사들이 모여 학문 전문가로부터 특정 주제에 대한 강의를 하루 종일 듣는 접근법의 결함을 지적하는 실질적인 증거가 나타 났으며, 더 중요한 것은 효과적인 대체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다.
While continuing education of health professionals remains dominated by the “day in medicine,” when physicians assemble and hear a full day of lectures on a particular topic fromacademic specialists, a substantial body of evidence has emerged pointing to the deficiencies of this approach, and, more importantly, identifying alternative methods that are effective.18
이러한 변화는 의사를 평가하는 데있어 극적인 변화를 가져 왔습니다. 사회는 면허가있을 때 의사에게 주어진 독립적 인 실천에 대한 추정 된 권리에 도전하고 있으며, 의학 교육 공동체는 재평가를위한 몇 가지 방어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함으로써 대응하고 있습니다.
These changes have paralleled dramatic changes in the assessment of practising physicians. Society is challenging the presumed right of independent practice conferred on the physician at the time of licensure, and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has responded by devising and implementing several defensible strategies for reassessment.
The outcome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foci and major findings
Basic research on reasoning
일반적 추론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Generic reasoning skills are nonexistent
(공식적, 경험적) 지식은 추론의 결정적 요소이다. Knowledge (formal and experiential) is a critical determinant of reasoning
Problem based learning
자기주도학습이 지식 습득을 저하하지 않는다. Self directed learning does not result in lower knowledge
학생과 교사는 더 행복하고 만족해한다. Students and teachers are happier and more satisfied
Performance assessment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춘 평가에서 다수의 표집은 필수적이다. Multiple sampling strategies are crucial to reliable, valid assessment
지식과 마찬가지로 수행능력도 평가할 수 있다.Performance can be assessed as well as knowledge
Continuing education
실제 진료에서 수행능력 평가를 위한 신뢰성있는 방법의 개선 Improved reliable methods for performance assessment in practice
면허재발급을 위한 체계적 접근 Systematic approaches to relicensure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three decades of progress.
Author information
- 1
- Department of Clinical Epidemiology and Biostatistics,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 Canada L8N 3Z5. norman@mcmaster.ca
- PMID:
- 12089095
- PMCID:
- PMC116614
- [Indexed for MEDLINE]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의학교육연구(Re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교육연구의 퀄리티에 대한 논의의 폭 넓히기(Med Educ, 2009) (0) | 2017.08.08 |
---|---|
교육연구에서 '교란된 비교'를 피하는 법(Med Educ, 2009) (0) | 2017.08.07 |
가르치면 배울 것이다: 의학교육에 효과성 비교연구가 필요한 이유(Adv in Health Sci Educ, 2012)) (0) | 2017.08.04 |
보였다가, 안 보였다가? (Adv in Health Sci Educ, 2011) (0) | 2017.08.04 |
비추고 확대하기 위한 개념 프레임워크(Med Educ, 2009) (0) | 2017.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