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면허시험과 과제(Journal of Health Specialties, 2013)

National licensing examinations and their challenges

Cees PM van der Vleuten

School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aastricht University, P.O. Box 616, 6200 MD Maastricht, The Netherlands





UG 및 PG 수준에서 NLE도입에 어려움을 겪는 나라가 많다.

There are many countries in the world struggling with introducing national licensing examinations at both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levels.


NLE에 대한 공통적 요구는 한 국가의 의학교육연속체 내에서도 훈련프로그램과 그 훈련프로그램에서 수련을 받는 의사들의 이질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네덜란드는 매우 균질한 훈련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나라이다. 동일한 규제를 받는 졸업시험을 치르게 하는 강한 규제를 받는 국립 의과대학들이 있다. 그리고 법적으로 정해진 프로그램 성과를 따르는 국가 기반의 학부교육 프로그램이 있다. 모든 졸업후 수련 프로그램에 대해서 실시되는 매우 강력한 국가 단위의 인증 시스템과 결합되면 네덜란드 의과대학 졸업생의 균질함에 대해 이해하기가 더 쉬워진다.

A common need for national licensing exams depends on the heterogeneity of the training programs in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of a country and in the training programs preparing learners to enter that continuum. Countries may vary substantially in terms of the heterogeneity of training. The Netherlands is an example of a country with very homogeneous training programs. There are state schools with strongly regulated programs leading to equally regulated exit exams. Thereafter, comes state-based undergraduate medical training that follows legally defined program outcomes. Combine this with a very strict national accreditation system for all postgraduate training programs governed by the Dutch equivalent of royal colleges elsewhere, and it is easy to understand the homogeneous character of the products from Dutch medical schools.


네덜란드의 관점에서, 국가시험이 이 훈련역속체에 큰 의미를 지닐 것인가? 아마 그렇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사우디 아라비아의 상황은 무척 다르다. 지는 10년간 국립과 사립을 막론하고 의과대학들에는 큰 문제trebling이 있었다. 사우디 아라비아는 의학교육에 국가 커리큘럼이 없어서 훈련 프로그램과 심지어 훈련 프로그램의 성과에도 diversity가 존재한다. 또한 중등교육에도 엄청난 격차가 존재하여 (국립 사립 모두), 많은 의과대학들이 1년의 pre-professional program을 운영하여 모든 입학생이 의학을 배우기 전 동일한 수준이 되게끔 준비시킨다. 심지어 오늘날 SCHC는 졸업후 트레이닝에 대해서 야심찬 점검을 시작했는데, 오랜 기간 무시되어 왔던 것이다. 따라서 국가시험등의 형태로 질관리를 하는 것은 사우디의 상황에서는 합리화될 수 있다.

From a Dutch perspective, will national examinations add much to this training continuum? Probably not. The situation in Saudi Arabia seems very different. Over the last 10 years there has been a trebling of medical schools in the Kingdom,[6] both federally sponsored and private. Saudi Arabia does not have a national curriculum for medical training hence there is diversity in the existing training programs and even outcomes. There is also wide diversity in secondary school education available in the Kingdom, both private and federal, and many medical schools include the equivalent of a 1 year pre-professional program to ensure that all students admitted are brought to the same level before starting their medical studies. Even today the Saudi Commission for Health Specialties is starting an ambitious overhaul of the accreditation of postgraduate training, which has long been neglected. So in Saudi Arabia the educational continuum is very heterogeneous. Therefore, quality control in the form of national examinations seems to be justified in the Saudi situation,


영국 의과대학에게 주어진 것과 같은 큰 자유는 의과대학이 전체 의료시스템 내에서 개별 요구를 address할 수 있게 도와주며, one-size-fits-all 방식으로 하지 않는다.

Greater freedoms, as espoused by the UK medical schools, can allow for schools to address individual needs within the whole healthcare system and not just one size, of product, fits all approach.


SCHS는 모든 사우디 의과대학 졸업생이 응시해야 하는 NLE를 개발을 지원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러나 많은 난관이 남아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양질의 문항을 만드는 것이다. 그 외 다른 것들은 기술적인 문제지만, 역시나 쉽지만은 않다. 기본적으로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첫 번째는 문항을 더 큰 시험기관에서 '구매'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자체적으로 면허시험문항을 개발하는 것이고 사우디는 이 방식을 택했다. 첫 번째 방식은 상대적으로 쉽고 빠르게 이뤄질 수 있으며, (자체개발로는) 최소한 몇년간은 이렇게 testing service를 위해 기존에 있는 문항만큼의 퀄리티를 내기가 어려울 것이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방법은 사우디가 택한 방법이다. 여러 이유가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다음의 세 가지 때문이다. Ownership, Capacity building, Sustainability. 더 나아가, 평가와 교육은 동전의 양면과 같아서 어떤 형태의 시험이 되었든 NLE와 교육프로그램은 서로 연결이 되어 있어야 한다. 이는 외부에서 구입한 shelf exam으로는 달성하기 어렵다.

The Saudi Commission for Health Specialties has made the decision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a National Licensing Examination to be taken by every medical graduate in the Kingdom. However, there will be many challenges ahead, of which the pivotal one is the production process of high quality test material. All other challenges are technical, but not to be taken lightly. There are basically two routes. The first is to actually ‘buy’ a licensing exam from one of the larger testing institutions around the world. The second is to develop licensing exams in house, and the Saudi Commission has chosen this route. The first route would have been relatively easy and can be done fairly quickly and it is suggested that it may be difficult to match the quality of the established testing services, at least for several years. However, the desirable approach is the one chosen by the Saudi Commission. There are many arguments but fundamentally they come down to three: ownership, capacity building and sustainability. Moreover, because assessment and teaching are two sides of the same coin, there must be an obvious linkage between any form of licensing examination and the teaching programs. This becomes more difficult to achieve when an off the shelf exam is purchased.


시험에 대한 ownership은 시험문항을 그 지역의 상황에 맞게 tailoring하는 것이고, 교육 시스템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 것이다. 훈련 프로그램을 평가에 맞추어,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지속적인 조율attuning이 필요하다.

Ownership of testing is about tailoring the assessment to local circumstances and it will then drive the teaching system in a desired direction (according to the adagium “assessment drives learning”).[7] There will be an ongoing process of attuning the training program to the assessment and vice versa.


6. Bajammal S, Zaini R, Abuznadah W, Al-Rukban M, Aly SM, Boker A, et al. The need for national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in Saudi Arabia. BMC Med Educ 2008;8:53.






National licensing examinations and their challenges



School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aastricht University, P.O. Box 616, 6200 MD Maastricht, The Netherlands


면허와 인증의 맥락에서의 평가(Teach Learn Med, 2013)

Assessment in the Context of Licensure and Certification

John J. Norcini

Foundation for Advancement of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Philadelphia,

Pennsylvania, USA

Rebecca S. Lipner and Louis J. Grosso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Philadelphia, Pennsylvania, USA





지난 25년간 세 가지 주된 힘이 licensure and certification에 영향을 미쳐왔다.

Over the past 25 years, three major forces have had a sig- nificant influence on licensure and certification:

  • 교육 프로세스에서 교육 성과로 the shift in focus from educational process to educational outcomes,

  • 의사의 커리어 전반에 걸친 학습과 평가의 필요성 the increasing recognition of the need for learning and assessment throughout a physician’s career, and

  • 새로운 평가의 풍경을 연 기술과 pschometrics의 변화 the changes in technology and psychometrics that have opened new vistas for assessment.


이러한 힘에 반응하여 면허와 인증 프로그램은 다음의 변화를 겪었다.

To respond to these forces, licensure and certification programs have

(a) 시험 구성/채점/시행의 방식 향상 improved the ways in which their examinations are constructed, scored, and delivered;

(b) 평가방법의 레파토리 확장 expanded their reper- toire of methods of assessment; and

(c) 결정을 타당화하기 위한 연구에 대한 투자 invested in research intended to validate their decisions.


면허와 인증에 미치는 힘

FORCES INFLUENCING LICENSURE AND CERTIFICATION


교육 성과

Educational Outcomes


1990년대 초반에, 교육의 일반적인 초점이 프로세스에서 성과로 옮겨갔다. 전 세계 규제기구에 의해서 의학교육도 이 접근법을 점차 도입하기 시작했다.

In the early 1990s, the focus in general education shifted from process to outcome.1 Driven by the regulatory bodies around the world, medical education has begun to gradually adopt this approach.


좋은평가는 성과로의 움직임에 있어서 핵심되는 것이며, 왜냐하면 그 자체로 '적절한 결과가 달성되었음'을 확인해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성과'의 도입은 면허와 인증 기구들이 그들의 결정을 내리는 기반이 되어주는 평가를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환자와의 의사소통/대인관계기술/프로페셔널리즘 등과 같은 것은 역사적으로 평가에 포함되어오지 않았는데, 지난 25년간 새로운 평가법등이 도입되었다.

Good assessment is the linchpin of the outcomes movement, as it is the means for ensuring that the appropriate results have been achieved. As such, the introduction of outcomes has had a profound effect on howthe licensing and certifying bodies con- ceive of the assessments on which they base their decisions. In particular, competencies such as communications with patients, interpersonal skills, and professionalism had not historically been included in the assessments of the licensing and certi- fying bodies. Over the past 25 years, this has led to research in, and the introduction of, new methods of assessment



평생학습과 평가에 대한 요구

Need for Lifelong Learning and Assessment


학습과 평가에 대한 요구가 평생 지속된다는 것을 지지하는 네 가지 근거가 있다.

The lifelong need for learning and assessment is supported by four key pieces of scientific evidence related to patient care.

  • 환자는 다양한 만성, 급성 상황에서 받아야 할 care의 절반 정도밖에 받지 못한다.
    First, McGlynn and colleagues showed that patients receive only about half of the care that they should for a variety of chronic and acute conditions.5

  • 둘째, 의사의 지식/술기/근거중심의료에 대한 순응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떨어진다.
    Second, Choudhry and colleagues showed that continued learning and assessment throughout a physician’s career was critical because physicians’ knowledge, skills, and compliance with evidence-based patient care decline as a func- tion of time.6

  • 의사들은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정확히 자기-평가해내지 못한다. 그러나 적절한 학습도구는 의사들이 그 역량의 gap을 찾아내고 줄여가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Third, researchers found that physicians are unable to accurately self-assess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with respect to patient care, but with appropriate learning tools to help physicians identify and fill the competency gaps, effective change can occur.7–10

  • 넷째, 환자들은 의사들이 몇 년 단위로 평가되고 있다고 믿으며, 의학의 발전을 따라가고 있다고 믿는다.
    Fourth, patients believe that physicians are being assessed every few years and are keeping pace with medical advances.11,12


ABMS 의 MOC프로그램은 현재 '평생 인증'에 반하여 진행되는 것으로, 지속적인 학습과 정기적인 평가가 대중들에게 의사들이 근거-중심 환자진료를 의사의 커리어에 결쳐 꾸준히 따라가고 있음을 확신시켜주는데 필요함을 인정하는 것이다. 유사하게, 면허 역시 '평생의 특권'에서 'MOL'로 옮겨가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의사들이 자신의 면허를 갱신하게끔 한다.

The ABMS Maintenance of Certification (MOC) programs, which nowrequire ongoing activity as opposed to lifetime certification, acknowledge that continuous learning and periodic assessment are important to assuring the public that physicians are keep- ing pace with evidence-based patient care throughout their ca- reers.13 Likewise, medical licensure has begun to transition from an initial privilege to Maintenance of Licensure, which period- ically requires physicians to renew their license.14



테크놀로지와 Psychometrics

Technology and Psychometrics


지난 25년간 시스템의 상호연결성과 컴퓨팅 능력에 엄청난 진전이 있었고, 의사가 근무하는 방식 역시 25년 전과는 매우 달라졌다.

The past 25 years have also seen tremendous advances in computing power and the interconnectivity of systems.15 As a result, the way that physicians work is quite different than it was 25 years ago, and this has led to the incorporation of technological ad- vances into new assessment approaches.


문항 분석, 시험 분석의 영역에서는 IRT가 발전하였다.

In the areas of item analysis, examanalyses, and scoring the major advance has been the growth of Item Response Theory (IRT).18 IRT is...

  • a sophisticated mathematical model that provides precise esti- mates of examinee ability and evaluates how well assessments and individual items work without assuming equal difficulty of items.


면허와 인증에 미치는 힘에 대한 반응

RESPONSES TO THE FORCES INFLUENCING LICENSURE AND CERTIFICATION


시험 구성/채점/시행의 향상

Improved Test Construction, Scoring, and Delivery


 

Adaptive testing.


더 짧은 시험 시간 내에 더 정확하게 결과를 알려준다. IRT 방법을 활용하여, 피험자의 능력이 시험 프로세스 내내 추정되고, 추정이 이뤄질 때마다 최대한의 정보를 줄 수 있는 시험문항이 제공되고 언제 특정 피험자가 시험을 끝낼지는 정지규칙stopping rule(능력 추정 신뢰도의 충분조건)에 따라 이뤄진다.

Although there are several approaches to adaptive testing (e.g., pure or multistage), they all offer the advantage of shorter testing times with higher levels of preci- sion than standard, fixed length tests. Adaptive testing typically employs IRT methodology.19 Estimates of examinee ability are made throughout the testing process. Each time an estimate is made items that provide maximum information are adminis- tered, and stopping rules (i.e., sufficient confidence in the accu- racy of an ability estimate) are used to determine when the exam ends for a particular examinee.



Test scoring.


테크놀로지 발전으로 피험자가 시험을 보면서 취하는 대부분의 행동을 잡아낼 수 있게 되었고, 복잡한 채점과 분석 방법이 가능해졌다. 얼마나 시간을 쓰는가, 답을 얼마나 바꾸는가, 얼마나 검산(검토)를 하는가, 누가 먼저 시험을 종료하는가 등.

Technology now enables the capture of most examinee actions during a computer exam, and it, in turn, has al- lowedfor more sophisticatedscoringandanalyses. This includes a window into the amount of time examinees spend on items and their test-taking behaviors (e.g., frequency of changing an- swers, items marked for review, and the order of examination completion).


이러한 복잡한 과업을 위한 측정방법(rule-based logic and regression- based and Bayesian algorithms)도 더 복잡해졌다.

Measurement solutions to scoring these complex tasks, such as rule-based logic and regression- based and Bayesian algorithms, have become more sophisti- cated and effective in medical licensure.20,21




Test design.


시험 설계를 위한 평가공학의 도입이 가능해졌고, 다양한 conceptual design framework이 있다. 근거를 모으고 해석하는 방식이 평가의 확장된 목적과 더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Implementation of assessment engineering ap- proaches to building tests are now possible, and the conceptual design framework can support various methods.22 It helps ensure that the way in which evidence is gathered and interpreted is more directly linked to the intended purpose of the assessment.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연산능력의 향상이 기여하였는데, 시험을 컴퓨터에서 시행하게 되고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면서 문항 유형을 더 realistic하게 만들 수 있다.

Like advances in other areas, improvements in computing have opened the door to advances in the authenticity of the assessment. Delivery of exams on the computer and the au- tomatic capture of the data allows for more realistic features and item types.


마지막으로, 미국에서 EHR 도입을 강제하는 것은 의사의 진료행위 전반에 걸친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잘 개발된 결정-지원 도구의 활용은(왓슨 등) 평가 접근이 더 달라질 것이다. 

Finally, the mandate for implementing electronic health records in the United States will enhance the ability to assess practice performance across the breadth of a physician’s prac- tice. Use of well-developed tools that provide decision support, such as Watson and Isabel, might further change the approach to assessment.23,24


문항 개발과 조합

Item development and test assembly.


AIG가 등장했다. 또한 ATA는 내용/측정특성/보안 등을 고려하여 구체적인 조합을 만들어준다.

In terms of item devel- opment, efficiencies have been gained through the Automated Item Generation approach.25 Advances in technology have also enabled the use of sophisti- cated Automated Test Assembly routines to ensure that tests are built to a specific set of specifications including content, mea- surement properties, and security considerations.



데이타 법의학

Data forensics.


레코딩 장치가 더 작고 강력해져서 부정행위의 방식도 다양해졌다. 면허와 인증과 관련한 stake가 크기 때문에 이러한 데이타 법의학의 과학은 측정 커뮤니티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데, 퍼포먼스와 응시 행태에서의 이상한 부분(빠른 대답)을 발견하며,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Small recording devices and more pow- erful, subtle ways of communicating have enabled unprofes- sional behaviors such as cheating or illegally obtaining exam content. The stakes associated with licensure and certification have grown such that jobs and financial incentives are closely linked to successfully maintaining credentials. The science of data forensics has been the major response of the measure- ment community. Data forensics employ statistical procedures to identify anomalies in exam performance and behavior (e.g., rapid response to questions) that require further investigation.



새로운 평가방법

New Methods of Assessment



적절하게 도입된다면 구술시험은 MCQ의 정보를 보완해줄 수 있다. 그러나 outcome movement에 따라 임상스킬, 커뮤니케이션, 프로페셔널리즘 등을 평가해야할 요구가 높아졌다. 초기의 면허와 인증에서 규제기구는 시뮬레이션을 더 강조하는 방식으로 응답하였다.

When deployed properly, the oral examination can supplement the information derived from MCQs. With the out- comes movement, however, there followed the need to assess a wider array of competences including clinical skills, communi- cation with patients, and professionalism.26 For initial licensure and certification, the regulatory bodies responded by increas- ing emphasis on simulation in their examination processes.27



시뮬레이션

Simulation.


SP와 컴퓨터/마네킹 방식이 있다.

Two types of simulation are now included in licensure and certifica- tion: standardized patients28,29 and computer/mannequin-based simulations.30


처음 SP를 활용한 곳은 MCC에서 1993년

One of the first standardized-patient-based assessments used as part of licensure was offered by the Medical Council of Canada in 1993.


컴퓨터/마네킹 기반의 시뮬레이션에서 좋은 사례는 ABIM의 interventional cardiology

Computer/mannequin-based simulation includes a wide va- riety of different methods but one example is the device used as part of the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s (ABIM) maintenance of competence for interventional cardiology.31



근무지 기반 평가

Workplace-based assessment.


아무리 복잡해져도 시뮬레이션이 환자 대면을 대체할 수는 없다.

As sophisticated as it has be-come, simulation is still not a substitute for real patient encoun-ters. 


면허와 인증 기구는 근무지에서의 평가 필요성을 두 가지 다른 방향에서 바라보았다.

The licensing and certifying authorities have taken the need for assessment in the workplace in two different directions.

    • For trainees, they have delegated responsibility for assess- ment to training program directors and developed and/or re- searched tools to support them in their efforts. Specifically, chart-stimulated recall (called case-based discussion in the United Kingdom) was developed by the American Board of Emergency medicine and the mini-CEX was developed by the ABIM.32,33

    • For practicing doctors, the licensing and certifying boards have begun to explore the use of practice performance as a basis for assessment. ABIM has developed a series of Perfor- mance Improvement Modules. These web-based tools lead doc- tors through a review of their patient data, often for a specific condition.



타당도 연구

Increased Validation Research


MOC에 연관되는 stake는 높이며, hospital privileges를 얻기에 앞서서  credential을 요구하는 병원의 숫자가 늘어남을 보았다. stake가 높아짐에 따라 프로그램의 가치에 대한 논쟁이 늘어났고 어떻게 실제 (진료) 세계에서의 문제를 반영할 것인가가 과제가 되었다. 이에 따라 validating the decision을 위한 연구가 이뤄졌다. 

The stakes associated with maintenance of certification are high and we have witness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hospitals requiring the credential before granting hospital privileges.38 As the stakes grow, the value of the programs are debated and how well they reflect the real world of practice is challenged.39 As such, sig- nificant research has been targeted at validating the decisions made in these programs.



Validity에 대한 이해는 시간에 따라 진화해왔다. 

Ou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has evolved signifi- cantly over the years, and

  • Construct validity라는 우산 아래 통합 in 1995 Messick unified validity under the umbrella of construct validity.41

  • 표준화/일반화/외삽/결정 Kane’s more modern valid- ity theory is conceptualized as four structured arguments: stan- dardization, generalization, extrapolation, and decision rules.42

특히 외삽(평가 조건과 준거 행동간의 관계), 결정(개개인에 대한 평가 결정의 결과에 대한 것)이 중요하다.

In particular, practical implications flow from extrapolation, which involves the relationship between assessment conditions and criterion behaviors, and decision rules, which relate to the consequences of assessment decisions for individuals.


지난 25년간 타당도 연구는 이 practical implication을 네 가지 방향으로 확장해왔다.

Over the last 25 years validity research has expanded to address these practical implications in four ways:

  • (a) 평가나 프로그램을 이해관계자들이 받아들이는 정도 the ac- ceptability of the assessment or program to stakeholders,

  • (b) 이해관계자들이 학습하고 발전하게끔 encourage하는 정도 the extent to which stakeholders are encouraged to learn and improve,

  • (c) 프로그램 내에서의 수행능력과 외부 척도(다른 평가, 진료 특성)과의 관련성 정도 the extent to which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in the programs and external measures such as other assessments or practice characteristics, and

  • (d) 진료중의 평가와 퍼포먼스에 의해서 측정되는 퍼포먼스와의 관계 정도 the ex- tent to which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as measured by the assessment and performance in practice.43


연구의 사례

  • Examples of these types of research include studies showing  (a) public acceptability in that the participation rates in the pro- grams are high and the public expects that physicians will be assessed over their careers.38,44,45

  • Examples of studies (b) examin- 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ssessments and external measures include one study showing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ose certified in Internal Medicine and annual income as well as ca- reer satisfaction and another study showing that higher MOC scores are correlated with greater electronic resource use.47,48

  • Examples include a study showing that (d) certified physicians do better on mortality fo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or congestive heart failure and those with higher MOC scores also do better on processes of care for diabetes and mammography screening.49,50




CONCLUSION



6. Choudhry NK, Fletcher RH, Soumerai SB. Systematic review: The rela- tionship between clinical experience and quality of health care. Annals of Internal Medicine 2005;142:260–73.






 2013;25 Suppl 1:S62-7. doi: 10.1080/10401334.2013.842909.

Assessment in the context of licensure and certification.

Author information

  • 1a Foundation for Advancement of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 Philadelphia , Pennsylvania , USA.

Abstract

Over the past 25 years, three major forces hav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licensure and certification: the shift in focus from educational process to educational outcomes, the increasing recognition of the need for learning and assessment throughout a physician's career, and the changes in technology and psychometrics that have opened new vistas for assessment. These forces have led to significant changes inassessment for licensure and certification. To respond to these forces, licensure and certification programs have improved the ways in which their examinations are constructed, scored, and delivered. In particular, we note the introduction of adaptive testing; automated item creation, scoring, and test assembly; assessment engineering; and data forensics. Licensure and certification programs have also expanded their repertoire of assessments with the rapid development and adoption of simulation and workplace-based assessment. Finally, they have invested in research intended to validate their programs in four ways: (a) the acceptability of the program to stakeholders, (b) the extent to which stakeholders are encouraged to learn and improve, (c) the extent to which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in the programs and external measures, and (d) the extent to which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as measured by the assessment and performance in practice. Over the past 25 years, changes in licensure and certification have been driven by the educational outcomes movement, the need for lifelong learning, and advances in technology and psychometrics. Over the next 25 years, we expect these forces to continue to exert pressure for change which will lead to additional improvement and expansion in examination processes, methods of assessment, and validation research.

[PubMed - indexed for MEDLINE]


의사면허시험에 관한 논쟁(Regulation & Governance,2016)

The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debate

Julian Archer, Nick Lynn, Martin Roberts, Tom Gale, Sam Regan de Bere

The Collaboration for the Advancement ofMedical Education Research and Assessment (CAMERA), Plymouth University, Peninsula Schools ofMedicine

and Dentistry, Plymouth, UK

Lee Coombes

Cardiff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Cardiff, Wales, UK







도입

Introduction


헬스케어 규제는 공공을 보호하고 보건의료 전문직 내에서 기준을 따르도록 하는 책임이 있다. 한 가지 접근은 NLE이다.

Healthcare regulators around the world are charged with protecting the public and supporting standards within healthcare professions. One approach to this is the adoption of a national licensing examination (NLE).


이러한 시험을 도입하고 실행하는 방식은 국가마다 다르다.

The adoption and delivery of these examinations varies around the world.

  • 자국 내 졸업생만 NLE 치름
    Some countries have established NLEs exclusively for their home graduates as a method of quality assurance for both graduates and medical schools. These include Bahrain, Croatia, Germany, Poland, Qatar, and Switzerland (Seyfarth et al. 2010).

  • 해당 사법권 내에서 진료하고자 하는 모든 의사는 NLE를 봐야 함.
    Others, such as Canada, Chile, Hong Kong, Japan, Korea, the United Arab Emirates, and the United States (US), ask all prospective doctors who hope to work in their jurisdiction to undergo a NLE process, with North America dominating the literature and methodology (Sutherland & Leatherman 2006).

  • IMG에 대해서만 인증프로세스와 더불어 추가적으로 면허시험을 보는 국가. 언어능력과 진료를 위한 기본적 자격을 위한 validated documentation의 목적
    A third distinct group of countries exclusively involve international medical graduates (IMGs) who undergo an ad- ditional examination alongside an accreditation process, where they are required to provide evidence of language com- petence and validated documentation of their primary qualifications in order to practice in the new country. These include Australasia, parts of Europe (Sonderen et al. 2009), including Sweden (Musoke 2012), and the United Kingdom (UK) (Kovacs et al. 2014).


NLE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지닌다. 전 세계적인 의사 부족이 있고, 추가적인 시험이 있을 경우 인력 계획에 허들을 높이는 것이다. NLE는 최하위 1/4에 해당하는 학생들에게 있어서 IMG든 국내 대학 졸업생이든 미래 커리어 전망을 어붇게 한다. 반면,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들은 더 좋은 위치에 갈 것을 보장받기 마련이다. NLE는 졸업생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치며, 면허시험의 결과로 "스트레스와 번아웃"을 겪는 졸업생이 많다.

However, such systems are not without implications. There is a worldwide shortage of physicians, thus, addi- tional examination hurdles have workforce planning implications (Leitch & Dovey 2010). NLEs may also have im- plications for candidates if they achieve scores in the lowest quartile, resulting in poorer career prospects for both home graduates and international medical graduates (IMGs). In contrast, those who achieve the highest scores are likely to secure the best posts (Noble 2008; Green et al. 2009; Kenny et al. 2013). NLEs may also have an impact on the health of graduates, many of whom complain of “stress and burnout” as a result of the process (McMahon & Tallia 2010).


2015년 GME는 궁극적으로 2021년에는 새로운 의학면허평가를 도입할 것이라고 공지하였다. 이는 현재까지는 영국에서 진료하고자 하는 IMG만 평가하는 방식에서 영국에서 진료하고자 하는 모든 의사들을 대상으로 평가하는 방식으로 변경하는 것이다. 비록 EL, EEA, 스위스 졸업생, EC권 소유자 등은 '이주의 자유 권리'하에서 면제받을 것이긴 하다. 그리고 GMC는 '유럽 국가들까지 포괄하려는 열망이 있으며, 가능성을 찾아낼 것이다' 라고 언급했다.

In 2015, the General Medical Council (GMC), which regulates doctors in the UK, announced that they were plan- ning to develop and ultimately implement a new Medical Licensing Assessment by 2021 (General Medical Council 2015a). This will transformthe UK from only currently assessing IMGs if they wish to enter the UK to practice (General Medical Council 2015b), to assessing all doctors who wish to practice – although as European Law stands, European Economic Area and Swiss graduates, and European Commission (EC) rights holders will remain exempt under free- dom of movement legislation (Gullard 2015) and the GMC has stated that “it is our strong aspiration also to cover European nationals and we will continue to explore options” (Hulf & Hart 2015, p.3).


방법

Methods


We conducted an extensive appraisal of the literature following accepted guidance for narrative synthesis within sys- tematic reviews (Popay et al. 2006).


결과

Results


 

우리는 의사국가시험에 관한 국가 수준 혹은 대규모 수준의 담론이 양극화polarized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지지하는 주장과 반대하는 주장은 상대적으로 작은 숫자의 주제들에 머물러 있었고, 근거하고 있는 연구의 숫자도 적었다.

We found that the debate around national and other large scale licensing examinations is polarized (Ferris 2006; Neilson 2008) with the arguments for and against limited to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core themes based on a limited number of papers (Ricketts & Archer 2008; Harden 2009; Melnick 2009).


NLE는 새로운 것이 아니며, 어떤 사람들은 NLE의 오래 된 수명 그 자체가 그것의 가치를 보여주는 것이라 한다. 지지자들은 시험은 모든 사람에게 최소한의 기준을 요구하므로 모든 졸업생이 전문직에 들어서기 전에 그 기준을 달성해야 하고, "공평"해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신뢰도는 표준화와 구조화를 통해서 향상될 수 있다. 모든 지원자가 같은 시험을 보지 않는다면 지원자 간 공정하게 구별discriminate할 수 없을 것이다. 예컨대 학생들은 어떤 의과대학에 다녔느냐에 따라 대규모 시험에서 서로 다른 수행능력을 보여주고, 이 차이는 온전히 학생의 능력으로만 설명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말로 하자면, 의과대학의 수련 과정의 차이가 반영된 것이다. NLE는 공통의 의과대학 교육과정을 지지해주고, 이 교육과정에 대한 정보를 이해관계자(환자와 고용인 포함)들에게 더 잘 전달해준다.

National licensing examinations are not new and, indeed, some suggest that their longevity is, in itself, now an endorsement of their value (Neumann & Macneil 2007; Melnick 2009). Proponents argue that testing everyone to a minimum required standard, which all graduates must achieve to enter their chosen profession, must be “fair” (Cosby 2006; Melnick 2009). After all, reliability is improved by standardization and structure (van der Vleuten 1996). If all candidates do not undertake the same examination, one cannot fairly discrim- inate between them (Lee 2008). For example, medical students perform differently in large scale testing depending on which medical school they attended (Boursicot et al. 2007), and this difference cannot be en- tirely explained by underlying student ability (McManus et al. 2008; McManus & Wakeford 2014). In other words, differences in medical school training matter. NLEs might help to support a common medical curric- ulum and provide an opportunity for this curriculum to be better informed by stakeholders, including pa- tients and employers (Wass 2005).


그러나 점차 자국 내 졸업생이 - 언어와 시스템에 익숙하여 - 해외 졸업생보다 지속적으로 잘 한다는 근거가 축적되고 있다.

However, there is a growing body of evidence that home graduates, familiar with the language and systems, perform consistently better than graduates trained elsewhere (Holtzman et al. 2014; Tiffin et al. 2014).


어떤 사람들은 NLE의 기여가 적을거라고 하지만, 만약 공정하게 시행된다면 NLE는 의사의 (국가 간) 이동을 촉진시킬 것이다.

 If fairly administered, NLEs should promote the movement of doctors, although some believe thatsuch examinations do little to increase the mobility of health professionals (Cooper 2005; Philipsen & Haynes 2007;Archer 2009). 


NLE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시험 프로세스와 관련된 프로세스가 대규모 시험의 로지스틱스에 따라 향상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자원과 전문가들을 pooling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규모의 경제를 시행하면 경제적으로도 유리하다.

Advocates of NLEs infer that the standards associated with the testing process are improved as a result of the logis- tics of staging large-scale examinations, which necessarily require the pooling of resources and expertise (Neumann & Macneil 2007; Lehman & Guercio 2013). Furthermore, it may also be financially advantageous by economies of scale (Lehman & Guercio 2013).


교육 평가와 이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USMLE나 MCCQE에 대한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그 발전에 기여하는)  대표적 사례이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는 많다. 그러나 NLE가 환자 안전을 보장해준다는 등과 같은 추가적 주장을 하기는 어렵다. Norcini 등이 USMLE점수와 특정 환자 성과와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고 Tamblyn은 의사에 대한 불만과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으나 인과관계에 대한 근거는 없다.

There is little doubt that while educational assessment and theory evolves at a rapid pace, most specialists regard the United States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USMLE) and the Medical Council of Canada Qual- ifying Examination (MCCQE) as world-leading examples (Bajammal et al. 2008; Lillis et al. 2012; Norcini et al. 2014). This claim is supported by good empirical evidence (Stewart et al. 2005; Hecker & Violato 2008; Committee to Evaluate the USMLE Program 2008; Margolis et al. 2010; Lillis et al. 2012; Guttormsen et al. 2013). Yet difficulties arise from the additional claims that a national licensing examination assures pa- tient safety and that this form of assessment directly leads to better patient care (Stewart et al. 2005; Tamblyn et al. 2007; Wenghofer et al. 2009; McMahon & Tallia 2010). While Norcini et al. (2014) established a cor- relation between USMLE scores and some specific patient outcomes and Tamblyn et al. (2007) a correlation with later complaints, there is no evidence as yet to establish causality (Sutherland & Leatherman 2006; Boulet & van Zanten 2014).


일부 의학교육학자들은 면허시험이 환자를 더 안전하게 만들어준다는 주장은 것은 근거보다는 추정에 의존하고 있다고 말한다. 실제로, 의학교육을 표준화하는 것은 damaging할 수 있으며, 혁신과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

Some medical educationalists suggest arguments that licensing examinations make patients safer rest on assump- tions rather than evidence. In fact, it could even be damaging to standardize medical education, thus reducing innova- tion and advancement in curricula (Gorsira 2009; Harden 2009; van der Vleuten 2009).


분명히 NLE에 관한 다수의 가정이 있다.

Certainly a number of assumptions have been made about NLEs.

  • 공공이 더 안전해진다는...
    Melnick (2009) argues that the public are safer because assessment specialists provide a credible external audit of the quality of NLEs and, therefore, healthcare workers that are allowed to practice.

  • 지식과 역량의 최소 기준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는...
    Assessment specialists are able to accurately establish and assess minimum standards of knowledge and competence (Melnick 2009).

  • NLE가 더 나은 환자 진료와 관계된다는...
    Others reason that the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NLE scores, patient care outcomes, and the incidence of disciplinary action in later professional life is evidence that NLEs directly lead to better care (Tamblyn et al. 2007; Wenghofer et al. 2009).


NLE가 낡은 것이고, 사회적/교육적/전문직업적 맥락이 USMLE가 처음 도입되었을 때와 다르다는 것을 지적하며 NLE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있다. "우리는 더 이상 존재하지도 않는 문제(교육 기준과 인증이 전혀 없는 Proprietary diploma 공장)를 해결하기 위해서 100년도 넘는 과거에 설계된 시스템을 보고 있다." Ferris는 우리는 근무지에서의 역량을 여러 시간에 걸쳐 평가해야 하며, 특정 하나의 시점에서 평가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한다. 다른 사람들도 "(치)의료행위를 위한 최선의 준비는 (치)의료행위이다"라고 하며 동의했다. NLE를 반대하는 사람들은 쉽게 검사가능한 합습성과가 그러한 시험의 초점이 되기 쉬우며, 실제 진료행위를 위해 필요한 역량은 blueprint에서 제외됨을 지적한다. 이들이 내놓는 대안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다.(more job assessment, appraisal, and professional devel- opment to provide more accurate, up-to-date, and ongoing evidence of practitioner competence )

Opponents counter that NLEs are actually outdated and that the social, educational, and professional contexts are different to when, for example, the USMLE was first established: “We see a systemdesigned over 100years ago to solve a problemthat no longer exists – proprietary diploma mills that had no educational standards, or accreditation” (Ferris 2006, p.129). Ferris (2006) argues that we should be testing competence inthe workplace over time and not at a point in time. Others agree, stating, “the best preparation for the practice of dentistry is the practice of dentistry” (Calnon 2006, p. 140). Opponents of licensing examinations also suggest that easily testable learning outcomes become the focus of such examinations and that the competences needed more for actual practice are often missing from the blueprint (Neilson 2008; Noble 2008; Harden 2009). Their answer is for more job assessment, appraisal, and professional devel- opment to provide more accurate, up-to-date, and ongoing evidence of practitioner competence (Calnon 2006; Waldman & Truhlar 2013; Kovacs et al. 2014).


Neilson 은 이 주장을 더 발전시켰다. 최종시험/면허시험/진료적합성시험의 표준화는 교육자들을 기쁨에 울게 할 것이지만, 더 나은 의사를 만든다는 명확한 근거는 없다. 이제 갓 졸업한을 만나는 내 동료와 나는 의사가 어디서 qualified 되었뜬지, 그들의 실질적 교육은 환자와 실제로 만나기 시작하면서 시작함을 알고 있다.

Neilson (2008, p. a1783) develops this argument: The standardisation of final, licensing, and fitness to practice ex- aminations may make educationalists weep with joy, but there is no clear evidence that it makes for better doctors. My colleagues and I deal with the immediate postgraduate training of juniors and know that, regardless of where the doc- tors have qualified, their practical education starts when they start working with patients for real.


궁극적으로, NLE가 실제 진료에 대한 장애가 되지 않으면서, 사실상 시험을 보는 사람이 모두 통과하는 상황에서 더 이상 공공을 보호하지 않는다고 보는 사람도 있다. 이들은 커리어 시험에서 잘 하는 사람이 더 좋은 직장을 갖는다는 점을 지적한다. 어떤 의사가 disciplinary hearings 등에 불려나오는지 예측하려는 연구들이 있고, 환자 진료를 잘 못하는 것은 수많은 다른 변수와 결과에 따른 것이라는 연구도 있다. 많은 지지자들은 시간이 지나서 규제를 당하는 의사들도 여전히 처음에는 NLE를 통과한 것이라고 지적한다. 그리고 NLE는 운영하는데 돈이 많이 든다.

Ultimately, some believe that NLEs are not real barriers to practice and, therefore, do not protect the public as, for example, nearly everyone who takes the USMLE passes it in the end (Margolis et al. 2010). They also point out that while there is evidence that those who do well in early career examinations go on to get the best jobs (Green et al. 2009; Kenny et al. 2013), there are studies that argue that trying to predict which doctors may appear in disciplinary hearings or administer poor patient care is subject to a myriad of other variables and consequences (Harden 2009; Nor- man 2015a). Many proponents themselves point out that the doctors who are subsequently identified and disciplined still initially passed the NLE (Tamblyn et al. 2007; Wenghofer et al. 2009; Norcini et al. 2014). Finally, NLEs are expen- sive to run (Brown et al. 2015). 4


대서양을 사이에 둔 차이

Transatlantic divide


우리는 북미와 유럽의 차이를 발견하였다.

We discovered a distinct North American/European divide in the arguments in the literature.

  • 북미 North America has the well established USMLE and MCCQE (Bajammal et al. 2008; Lillis et l. 2012; Norcini et al. 2014), with the literature focusing on the psychometric/measurement aspects of the examinations (Stewart et al. 2005; Hecker & Violato 2008; CEUP 2008; Margolis et al. 2010; Lillis et al. 2012; Guttormsen et al. 2013).

  • 유럽 In Europe, it is more commonly argued that the challenges and practicalities of introducing an equivalence within or across European boundaries would be considerable (Harden 2009), despite imperatives that ensure citizens are able to freely move and work (de Vries et al. 2009). Securing a consensus whereby all doctors in Europe might sit a pan-European licensing examination would be very challenging (Gorsira 2009).

 

전-유럽 면허시험에 반대하는 주장은 로지스틱스에 대한 것 뿐만은 아니며, 유럽 전문가들은 더 큰 그림을 우려하고 있다. Harden은 대규모 시험은 쉽게 평가가능한 학습성과를 타겟으로 하는 경향이 있으나, 이것은 의사에게 요구되는 전반적인 역량과의 관련성이 거의 없다. 또한 NLE는 변화와 혁신을 저하시키고, 다양성을 낮춘다. van der Vleuten이 유럽에서 NLE가 작동할 수는 있다고 결론내렸지만 그는 "우리는 어떻게 학습과 혁신의 힘을 지나치게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원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qualifying system을 set up 할 수 있을지 매우 고심해봐야 한다"라고 하였따.

The arguments against a European equivalent not only refer to logistics, but European experts are also concerned about the wider picture. Harden (2009) argues that large scale examinations tend to target learning outcomes that can be easily assessed and that these are rarely related to the overall competence re- quired of a doctor, and that NLEs depress change and innovation while failing to recognize diversity. Although van der Vleuten concludes that an NLE might work in Europe, he explains: “…we need to start thinking very carefully about how qualifying systems could be set up to achieve the desired effects without doing too much harmto learning and to innovation power…” (2009, p. 191).


결론

Discussions and Conclusions


모든 잠재적 지원자에게 시행되는 시험은 여러 psychometrics 측면의 장점이 있고, 신뢰성있는 결과를 내놓아야 한다. 그러나 그렇게 간단하진 않다. 지원자의 능력이나 특성은 시간에 따라 일정한 것이 아니며, 유능한 사람도 다른 환경에서는 수행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통계적으로 말하면, poor performance 가 매우 드물어서 신뢰성있는 예측은 거의 불가능하며, NLE의 다양한 장점에 대해서 이야기하지만, 이는 transatlantic divide일 수 있다.

An examination that is deliv- ered to all possible candidates also has many psychometric strengths and should produce reliable results; however it is not as simple as that. Candidates’ traits or abilities are not constant over time and good people can perform badly in difficult settings (Weiner 2013). In statistical terms, poor performance is rare, making reliable predictions almost im- possible, and while recognized experts argue over the various merits of a national licensing examination, it is perhaps the discourse of a transatlantic divide that is of the most interest (Norman 2015a).


북미는 오랜 역사가 있다. NBME는 1913년 설립되었다. '시험의 문화'는 끊임없이 성장하는 litigioius society에 따라 더 강화되었다. 유럽은 적어도 역사적으로는 평가와 관련된 결정은 local하게 개발되고 시행되었으며, QA는 inspection의 동료평가모델에 기반하고 있다.

North America has a long history of large scale testing in health care; the National Board of Medical Examiners was founded in 1913. The testing culture is grounded and further reinforced by the perception of an ever-growing litigious society. In Europe, at least historically, more assessment decisions have been locally developed and delivered, and qual- ity assurance has been based on a peer review model of inspections.


미국에 기반을 둔 교육기관이 개발한 유용한 프레임워크는 validity를 다섯 가지로 나눈다. 그러나 이 프레임워크에 따라 수집하고 보고하는 타당도 근거는 저마다 다르다. 북미의 psychometrician은 전통적으로 internal structure에 초점을 맞춰왔으며, 이것은 평가는 신뢰도와 같이 통계학적 퍼포먼스에 대한 것이다. 시험의 재생산가능성은 타당도 근거의 근본적인 한 부분으로서, legal challenge를 버텨낼 수 있는 굳건한 일군의 통계학적방법들에 의해서 지지된다.

A useful framework, developed and revised by US based educational organizations, divides validity into five categories: content; response process; internal structure; relationship to other variables; and consequences (Downing 2003). Yet the emphasis for collecting and reporting validity evidence fromacross this framework appears to vary. North American psychometricians have traditionally focused on internal structure, which deals with the statis- tical performance of the assessment, including its reliability (Brannick et al. 2011). The reproducibility of a test is a fun- damental part of validity evidence, supported by a concrete statistical group of methods that can withstand legal challenge (Cavanaugh 1991).


우리는 NLE에 대한 논쟁이 현실reality를 구성하는 것에 관한 표준화와 맥락화라는 두 가지 이데올로기의 싸움의 일부라고 본다 - 즉 타당도의 두 가지 측면에 대한 것이다. 타당도 문헌에서 신뢰도와 다른 validity construct는 동일한 프레임워크 내에 존재하는데, 기본적으로 사회-정치적 차원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갈등이 있다. 신자유주의와 같은 더 넓은 차원의 움직임과 함께 국가는 전문직을 약간의 거리를 두고 통제하려고 하며, 우리는 그들이 운영하는 평가방법은 중앙화와 표준화를 목도하는데, 이로 인해 자기-조절적으로 자율적으로 돌아가게 하기 위함이다. 이는 위험을 회피하고자 하는 대중을 안심시키기 위한 접근법 중 하나이다. 이러한 drive는 'trusted'될 수 있는 신뢰성있는 결과를 요구하는 압박으로 이어지는데, 타당도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는 의도하지 않은 detrimental한 영향의 위험이 있다. 프로페셔널리즘과 Capability와 같은 실제로 관심을 가져야 하는 구인을 평가하는데 어려움을 겪으면서 robust하지만, potentially irrelevant한 평가가 되는 것이다.

We would argue that the NLE debate is part of a wider ideological battle between standardization and contextual- ized reality construction, the two “sides” of validity. Within the validity literature, while reliability and other validity constructs inhabit the same framework, there is a conflict that is fundamentally shaped by socio-political dimensions. With a background of a broader move, under neo-liberalism, as the state seeks to promote its control on professionals from a distance, we increasingly witness a desire to centralize and standardize assessment methodologies so they run autonomously with self-regulation (Rose & Miller 1992). This is part of an approach to assure an increasingly risk- averse public that professionals are safe and fit-for-purpose. This drive puts pressure on the need to secure reliable re- sults that can be “trusted” but at the risk of an unintended detrimental impact on other aspects of validity. The result is an assessment that is robust but potentially irrelevant as it struggles to assess constructs that are of real interest, such as professionalismand capability.


이 논쟁은 우리가 NLE를 운영해야하느냐 말아야하는가가 아니라, 무엇을 평가해야 하느냐로 관점을 옮길 때 도움이 될 수 있다. 전문직의 평가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함으로써 우리는 더 옳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The debate might benefit from refocusing fromwhether or not we should have an NLE, to what they should asses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assessment of professionals in the workplace, as opposed to simulated environments, such as OSCEs, might take us in the right direction. Ultimately, we would benefit fromattempting to achieve a balance between assessing a breadth of skills and the capacity for such skills in practice and focusing less on psychometric reproducibility.


궁극적으로, 과연 NLE가 환자 안전을 지켜주느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Jolly는 NLE의 긍정적인 측면을 확신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평가테크닉에 대해서 '추가적 가치'가 있는가를 찾아야 하며, NLE보다 더 비용-효과적 대안은 없는 것인지 찾아야 한다. 고 했다.

Ultimately, research needs to focus on whether NLEs add uniquely to assuring patient safety. Jolly (2016), in his re- cent opinion piece, argues that inorder to be convinced of the positive impact of NLEs, we should seek to ascertain their “added value” to existing assessment techniques and explore potentially more cost-effective alternatives to the NLE, such as a more “beefed up” accreditation of the existing assessment process (Jolly 2016, p. 14).


우리는 NLE 수행능력이 과거 시험의 성공여부에 의해서 예측가능하며, 미래의 성공을 예측해준다는 것을 안다. 또한 (최소한 일부 영역에서는) NLE에서 더 나은 저수를 받은 사람이 더 잘 진료한다는 것도 안다. 따라서 시험은 의심할 여지 없이 중요하다. 그러나 NLE만을 사용하여 시험을 치르는 것은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이는 NLE의 활용을 지지하거나 방박하는 일관된 근거가 없기 때문이다.

We know that performance in NLEs can be predicted by prior examination success and can, in turn, predict future success (Stewart et al. 2005; Ranney 2006; Hecker &Violato 2008; Tiffin et al. 2014). We also knowthat those who per- formbetter in NLEs deliver better care, at least in some specific domains (Norcini et al. 2014); therefore, testing is un- doubtedly important. However, testing specifically using NLEs remains up for debate as there is a lack of unequivocal evidence to either support or refute their use (Boulet & van Zanten 2014).

 

 


 

Holtzman KZ, Swanson DB, Ouyang W, Dillon GF, Boulet JR (2014) International Variation in Performance by Clinical Discipline and Task on the United States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Step 2 Clinical Knowledge Component. Academic Medicine. 89(11), 1558–1562.


Lee YS (2008) OSCE for the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in Korea. Kaohsiung Journal of Medical Sciences 24, 646–650.


Norcini JJ, Boulet JR, Opalek A, Dauphinee WD(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Licensing Examination Performance and the Out- comes of Care by International Medical School Graduates. Academic Medicine 89, 1157–1162.


Norman G (2015a) Identifying the Bad Apples.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20, 299–303.


Norman G (2015b)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Consequential Validity.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20, 575–579.


Wenghofer E, Klass D, Abrahamowicz M, Dauphinee D, Jacques A, Smee S et al. (2009) Doctor Scores on National Qualifying Examinations Predict Quality of Care in Future Practice. Medical Education 43, 1166–1173.





The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debate

Authors

Abstract

National licensing examinations are typically large-scale examinations taken early in a career or near the point of graduation, and, importantly, success is required to subsequently be able to practice. They are becoming increasingly popular as a method of quality assurance in the medical workforce, but debate about their contribution to patient safety and the improvement of healthcare outcomes continues.

A systematic review of the national licensing examination literature demonstrates that there is disagreement between assessment experts about the strengths and challenges of licensing examinations. This is characterized by a trans-Atlantic divide between the dominance of psychometric reliability assurance in North America and the wider interpretations of validity, to include consequences, in Europe. We conclude that the debate might benefit from refocusing to what a national licensing examination should assess: to achieve a balance between assessing a breadth of skills and the capacity for such skills in practice, and focusing less on reproducibility.


양질의 진료를 보장하기: 인증(대학), 면허, 증명, 재확인의 역할 (Med Educ, 2014)

Ensuring high-quality patient care: the role of accreditation, licensure, specialty certification and revalidation in medicine

John Boulet & Marta van Zanten




도입

INTRODUCTION


의료 규제 담당자의 관점에서, 불량한 의사는 질병에 비유될 수 있다. 규제의 첫 번째 역할은 역량을 갖춘 자에게만 전문적 진료를 제한하여 환자안전을 보장하는 것이다. 유사하게, 잘 기능을 수행하는 인증 시스템은 역량을 갖추지 못한 의사의 양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From the perspective of medical regulators, disease can be thought of as a metaphor for poorly functioning doctors. The primary mandate of regulators is to ensure patient safety by restricting professional practice to only those who have demonstrated competence (i.e. are free from ‘disease’). In a similar way, properly functioning accreditation systems should minimise the production of poorly skilled doctors by improving the education process. Prevention, in this context, is certainly preferable to cure. Given the costs associated with poor health care delivery, it is better to produce highly competent practitioners and ensure, through continuing educational activities, that those who care for patients remain competent to do so.



인증

ACCREDITATION


인증 시스템은 stakeholder에게 기본의학교육과정과 이후 수련 프로그램의 퀄리티를 보증하는 효과적인 기전으로 인식되어 왔다. 인증은 designated authority가 주기적으로, 기관의 교육 프로그램을, 특정 준거와 절차에 따라, 검토하고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Systems of accreditation are frequently viewed by stakeholders (e.g. the public, health care administra- tors, policymakers) as effective mechanisms for ensuring the quality of basic medical education cur- ricula and subsequent training programmes across the learning continuum. Accreditation can be defined as a process by which a designated authority reviews and evaluates, on a cyclical basis, an educa- tional programme or institution using clearly speci- fied criteria and procedures.


전 세계 다양한 조직에서 의학교육과 수련 프로그램 인증을 해왔다. 많은 국가에서, 예를 들어 남아메리카의 대부분,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일부에서 인증 기관은 고등교육기관 전체에 대한 검토를 한다. 일부 국가(호주, 멕시코, 영국) 등에서는 의학과 같은 전문직교육프로그램에 특이적인 기관이 별도로 존재한다.

Various organisations around the world accredit medica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mes. In many countries, such as the majority in South America and some in Africa and Asia, accreditation organisations review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s a whole. In other countries (e.g. Australia, Mexico, the UK), specialised agencies accredit specific pro- fessional education programmes, such as medicine.



인증기구는 정부기관(MOE, MOH)의 한 부분일 수도 있고 독립된 기구일 수도 있다. 인증기구의 결정은 보통 공식적으로 정부 단위에서 인정된다. provincial, national, cross-national 수준에서 작동할 수 있으며, 평가는 의무적일 수 있고 자발적일 수도 있다. 인증기구의 권위는 모든 의학교육프로그램을 포괄할 수도 있고, 일부에 대해서만(공립 또는 사립) 시행할 수도 있고, 특정 언어를 사용하는 기관에 대해서만 할 수도 있고, 다른 정책요건에 따를 수도 있다.

Accreditation authorities can be part of a country’s government, such as an entity that is directly part of a ministry of education or health, or may be an independent body, the decisions of which are usually officially recognised at government level. Organisations can function at the provincial, national or cross-national (regional) level, and reviews can be mandatory or voluntary. An accreditation organisation’s authority can be broad and encompass all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in its jurisdiction, or be limited in scope, and cover only either public or private educa- tion programmes, institutions with a specific lan- guage of instruction, or institutions that meet certain other policy requirements.



미국의 인증시스템

Accreditation in the USA



LCME와 COCA

In the USA, the Liais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 (LCME) is the nationally recognised accrediting authority for medical education pro- grammes leading to the MD degree in US and Cana- dian* medical schools, and the Commission on Osteopathic College Accreditation (COCA) accred- its schools granting the osteopathic (DO) degree.


ACGME와 AOA. 2015년부터는 단일한 통합된 시스템을 운영할 것.

Currently,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 tion (ACGME) is the overseeing body responsible for the quality assurance of allopathic GME, and the American Osteopathic Association (AOA) accredits osteopathic residency programmes. These organisa- tions have recently announced that, as of 2015, there will be a single, unified accreditation system for GME programmes in the USA.5


ACGME는 여섯 개 역량. 

The ACGME has identified six general competencies deemed essential for residency training: patient care; medical knowledge; practice-based learning and improvement; 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skills; professionalism, and systems-based practice. A meta-analysis of 56 studies reported mixed results, with the authors concluding that there was little evidence that most of the cur- rent measurement tools validly assessed the compe- tencies independently of one another.6



인증 (글로벌)

Accreditation globally



FAIMER에 의해 유지되는 DORA는 177개국 중 기본의학교육 인증시스템을 갖춘 104개 국가의 목록을 열거하였다. 이 중 42%는 의학교육 특이적 인증기구, 58%는 고등교육기관의 일부로서 의학교육프로그램을 인증하는 기구를 가지고 있다. 인증시스템이 존재한다고 해서 모든 해당 국가의 의과대학이 인증 절차를 밟는 것은 아니다.

As of February 2013, the Directory of Organizations that Recognize/Accredit Medical Schools (DORA) maintained by the Foundation for Advancement of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FAIMER) lists 104 countries with active systems of accreditation for basic medical education (out of 177 countries with currently operational medical schools).7 Of these countries, 42% (n = 44) have accreditation agencies that are specific to medical education, and 58% (n = 60) use agencies that accredit medical programmes as part of higher edu- cation institution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existence of an accreditation system in a country does not denote that all medical schools in that country are accredited, as the review is sometimes voluntary.



1996년 WHO의 설문에서 2/3의 의과대학이 외부기구에 의한 인증을 받는다고 하였다.

A report based on a 1996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survey of ministries of health and deans of medical schools8 indicated that almost two-thirds of medical schools were accredited by an external body,


또 다른 국제적 investigation은 비록 절반 이상의 국가에서 인증시스템을 갖추고 있지만, authority와 enforcement의 수준은 차이가 크다.

Another global investigation of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found that although over half of all countries with medical schools have a national system of accreditation, the nature of the various authorities and levels of enforcement vary considerably.9


아홉 개 개발도상국의 의학교육 인증시스템을 비교한 연구에서 일부 개발도상국에서 robust quality assurance procedure가 퍼져나가고 있으며, 그 프로토콜은 미국과 비슷하다. 인증시스템의 prevalence와 특징에 대한 문헌은 있으나, 그것이 교육향상에 기여하는 유용성을 정량화한 근거는 거의 없다.

A study comparing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s in nine developing countries located throughout the world concluded that the trend towards instituting robust quality assurance procedures was spreading to some developing countries, in which protocols similar to those used in the USA have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10 Unfortunately, although the preva- lence and characteristics of accreditation systems have been documented, there is relatively little evidence to quantify their utility with respect to improving education practices.



인증시스템의 타당도

Validity of accreditation


인증의 가치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것은 교육분야에 걸쳐 적용가능한 방법론적 요인이 다수이기 때문일 수 있다. 예컨대 의학교육에 있어서 많은 국가에서 모든 프로그램이 인증을 받기 때문에 국가 내에서의 비교가 불가능하다.

The lack of research related to the value of accreditation is likely to reflect a number of methodological fac- tors applicable across educational fields.11,12 For example, in medical education specifically, in many countries all programmes are accredited (usually based on the same criteria), which precludes within- country comparisons of performance of students or graduates from accredited and non-accredited pro- grammes.


이러한 방법론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일부 연구자들은 인증활동이 의학교육을 발전시키고, 적어도 학생의 퍼포먼스 차원에서 그러함을 보여주었다.

Despite these methodological difficulties, some investigations have shown that accreditation activi- ties may improve medical education, at least in terms of the performance of students. 

    • In a study of Mexican and Philippine citizens seeking Educa- tional Commission for Foreign Medical Graduates (ECFMG) certification, first-attempt pass rates on all components of the required US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USMLE) series were higher for individuals who had attended accredited medical schools, compared with their peers who had attended non-accredited schools.13 

    • In another study of the performance of all graduates of international medical schools who took the USMLE Step 2 clini- cal skills (CS) examination during the 5-year (2006– 2010) study period, accreditation was positively asso- ciated with the Step 2 CS first-attempt pass rate.


비록 이들 연구가 인증활동과 학생의 시험성적에서 연관성을 보여주었지만, 퀄리티에 대한 또 다른 표지자가 필요하고, 여기에는 이후 커리어에서 치르게 되는 시험과 실제 환자 진료 데이터 등이 필요하다. 이런 것 없이는 인증 프로세스가 좋은 것appreciable인지 알기 어렵고,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장기 영향력도 알기 어렵다.

Although these studies include some data showing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accreditation activities and student success on examinations, additional markers of quality, including performance on other examinations taken later in the career and actual patient care data are required. Without these, it is difficult to know whether accreditation processes have an apprecia- ble, long-term impact on education programmes and, hence, the quality of those who graduate and eventually practise medicine.



인증시스템의 존재에 따른 영향력 자료를 수집하는 것 외에도, 인증의 요소(구체적 스탠다드)를 조사하는 것도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연구가 인증시스템의 존재 여부 혹은 일부 일반적 특성에 관해 진행되어왔다면, 소수의 연구만이 특정 의학교육 스탠다드의 적절성 또는 효과성에 대해서 다루었을 뿐이다.

In addition to gathering data on the effects of the existence of accreditation systems, it is also impor- tant to investigate the components of accreditation, such as the specific standards used and protocols employed, that may enhance the quality of the edu- cation process.15 Whereas previous investigations focused on describing the existence and some gen- eral characteristics of accreditation systems, only a few studies, to our knowledge, have compared or assessed the effectiveness or appropriateness of the specific medical education standards used to make accreditation decisions.16–18


제한적이더라도 근거는 존재하재하고, BME에서 인증의 가치를 지지한다. 의과대학은 자신의 QA system을 돌아보고 internal rules and regulations와의 compliance를 정해야 한다.

Although there is evidence, albeit limited, to sup- port the value of accreditation of basic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some benefits of these sys- tematic reviews may be manifest despite limited data showing marked improvement in student outcomes. Schools must examine their own quality assurance systems and determine their compliance with internal rules and regulations.


인증기구에 의한 인증 결정은 이해관계자들에게 유의미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그러나 절차의 투명성 부족, 방법론적 변동성, 학교 간 표준화 부족 등으로 인해서 그 결정은 의심을 받거나 자의적인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 전세계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시스템을 갖추기 위해서 WFME는 FAIMER와 함께 인증기구를 recognition하는, 즉 meta-accreditation 절차를 만들고 있다.

Accreditation decisions made by agencies around the world are usually considered credible and are accepted by stakeholders as meaningful and trust- worthy. Nevertheless, because of a lack of transpar- ency in the process, variability in methodology, or other issues related to a lack of standardisation across schools, the decisions can sometimes appear capricious and arbitrary. In order to address the need for a globally accepted system for ensuring the quality of accreditation systems themselves, the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WFME), in conjunction with FAIMER, has formulated poli- cies and procedures for the recognition of agencies accrediting medical schools, an endeavour in meta- accreditation.19



인증에 대한 인센티브

Incentives for accreditation (cost/benefit)



미국에서, BME에 대한 인증은 기본적으로 자발적인 것이지만, 졸업생이 GME에 들어가고 진료면허를 받기 위해서는 그 학교가 인증을 받아야 한다.

In the USA, the accreditation of basic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is techni- cally voluntary, but a school must be accredited in order for graduates to enter GME and obtain licen- sure to practise, 

    • For example, in Mexico, students at accredited schools are provided with enhanced clinical clerkship opportunities compared with their peers at non- accredited institutions. The purpose of the US Department of Education National Committee on Foreign Medical Education and Accreditation (NCFMEA) is to review the standards used by for- eign countries to accredit medical schools and determine whether those standards are comparable with standards used to accredit medical schools in the USA.20 Thus, medical schools located outside the USA that seek to attract US citizen students are given incentives to seek accreditation by an agency that has been deemed comparable by the NCFMEA.


인도 사례

In other countries, such as India, obtaining accredi- tation by a voluntary agency (e.g. the National Assessment and Accreditation Council [NAAC]) in addition to the mandatory accreditation by the Med- ical Council of India (MCI) carries some prestige in a crowded field of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A school considering voluntary accreditation needs to weigh the direct cost of seeking the accreditation review and the costs associated with making the nec- essary changes dictated by the standards against the indirect value of obtaining a secondary accreditation status.



의사의 유동성

Doctor mobility


의학교육 인증은 의사의 유동성에도 도움이 된다. 왜냐하면 하나의 기관으로부터 여러 의과대학이 인증을 받거나, 다수의 기관으로부터 상호 인정을 받으면 학생들이 의과대학 간 학점 교류와 같은 유동성 옵션이 생기기 때문이다. 

Accreditation of medical education can also aid in doctor mobility, as accreditation of multiple schools by a common agency, or mutual recognition of accreditation decisions across multiple agencies, can enhance options for student mobility between schools, such as the transfer of credits.



면허, 증명, 재인증

LICENSURE, CERTIFICATION AND REVALIDATION OF CREDENTIALS


의학에서, 적어도 대부분의 국가와 사법권에서 합리적으로 진료를 제한하는 것이 있다. 면허 - 대체로 정부에 의해서 교부되는 - 는 국가 혹은 지역 단위에서 최초에 그 전문직군으로 들어가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증명은 반대로 비-정부 기관에 의해서 부여되며, 일반적으로 더 높은 수준의 자격qualification을 함축한다. 전 세계 많은 지역에서 의사는 진료를 위한 최초의 면허를 받을 수 있고, 그 후에 전문과목의 학회나 보드에서 증명을 받는다.

In medicine, at least in most countries and jurisdic- tions, there are reasonably strict practice regula- tions. 

  • Licensure (or registration), which is generally granted by governments, at either the national or regional level, is necessary for initial entry into the profession. 

  • Certification, by contrast, is usually con- ferred by a non-governmental agency, and typically connotes a higher level of qualification. 

In many areas of the world, a doctor can obtain an initial licence to practise medicine and then specialise, obtaining a certificate from a specialty society or board.



Licensure와 Certification이 각국마다 다른 것처럼, Licensure와 Certification에 관한 발급 결정도 상당히 다르다. 더 나아가 의학의 발전과 변화하는 환자 요구에 따라서 licensure와 certification 기준은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고, 또 그래야 한다. 일반적으로 Licensure와 Certification은 어떤 형태의 credentialing과 assessment를 포함한다. 면허 발급을 위한 credentialing으로 다음의 것이 필요하다.

Just as licensure and certification processes vary around the world, the criteria upon which licensure and certification decisions are granted can be quite different.21–23 Moreover, to keep up with advances in medicine and changing patient needs, licensure and certification criteria can, and should, be modi- fied over time.24 In general, licensure and certifica- tion involve some form of credentialing and assessment. 


For licensing purposes, credentialing can entail, amongst other criteria, 

  • confirmation of medical school attendance and graduation

  • recogni- tion of the medical school (e.g. accreditation), and 

  • verification of the medical school diploma. 


Credentialing에 더하여, 모두는 아니더라도 Licensure와 Certification 기구는 일정 유형의 평가 프로세스가 있다. Credentialing와 Assessment 프로세스 모두 Licensure와 Certification을 받고자 하는 지원자들이 특정 기준을 만족시켰는지를 확인하고, 대중을 qualify되지 않은 진료행위에서 보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설계된다.

In addition to credentialing, most, if not all, licensing and certifi- cation (or registration) bodies have some sort of assessment process. In the USA, initial licensure is dependent on successful completion of the USMLE or the Comprehensive Osteopathic Medical Licens- ing Examination (COMLEX-USA). Subsequent board certification (or registration) may also involvea number of assessments, including in-training examinations and specialty board examinations. Both the creden- tialing and assessment processes are designed to ensure that candidates seeking licensure and certifi-cation have achieved specific standards, and thus help to protect the public from unqualified practi- tioners. 




역사적으로, Licensure와 Certification은 한번 주어지면 평생 가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MoL와 MoC를 강조하는 쪽으로 옮겨가고 있다. 영국 등에서는 이를 revalidation이라고 한다. 이러한 're-registration'은 일정 기간(5년 또는 10년)마다 이뤄지며, 여러가지 요소(CME, CPD, 동료평가, 환자평가, 시험 등)로 구성될 수 있다.

Historically, both licensure and certification (or reg- istration) have been granted for the lifetime of the doctor.2 Today, there is a general movement towards maintenance of licensure (MoL) and main- tenance of certification (MoC) requirements. In the UK and many other countries, this process is typi- cally referred to as revalidation. This ‘re-registration’ of doctors, which is typi- cally on a periodic schedule (e.g. every 5 or 10 years), can have many components, including requirements for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CME) or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CPD), peer and patient assessments, and various types of examination.



최근, 임상에 re-entry하는 들어서는 의사들에 대한 규제에 대한 논의가 있다. 여기서 논의의 중심은 '해당 전문직을 자발적이든, 규제에 따라서든 떠났던 사람이 다시 전문직을 수행하기에 적절한가'이다.

Recently, there have been discussions of the regulatory challenges associ- ated with doctor re-entry into clinical practice.23,28 Here, the impetus is to ensure that doctors who have left the profession, either voluntarily or because of disciplinary action, are fit to return.


비록 Licensure, Certification, Revalidation이 대부분의 국가에서 도입되어 있지만,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best practice는 없다. 대신, 각 정부가 자신의 나름의 기준을 만들고 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도입되느냐 그리고 구체적은 기준이 얼마나 엄격rigour하느냐에 따라서 이들은 긍정적 결과를 낳을 수도 부정적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

Although licensing, certification and revalidation of doctors are accepted practice in most nations, there are no globally accepted ‘best practices’. Instead, local governments (or specialty societies) maintain their own standards. Never- theless, depending on its implementation and the rigour with which specified criteria are enforced, the application of licensure (or certification or reg- istration or revalidation) processes can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consequences.



Licensure와 Certification의 타당도

Validity of licensure and certification (scores and decisions)



가장 주된 우려는 평가와 실제 의료행위가 얼마나 match하느냐는 것이다. 면허를 위한 평가는 명확하게 환자가 의사에게 기대하는 역량을 반영해야 한다. 진료중인 의사들에게서 발견되는 문제의 성격과 유형이 규제를 위한 평가가 얼마나 요구되는지 알려준다. 종종, 내용 타당도를 지지하기 위해서 실제 진료 자료를 test blueprint에 활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료에는 다양한 측면이 있고(건강정보기술의 활용 등) 규제 프로세스에서 이것들이 더 잘 평가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Of primary concern is the match between what is assessed and what doc- tors actually do in practice. Assessments for licen- sure should clearly reflect competencies that patients expect of their doctors.31 The assessment needs for regulation can also be informed by the nature and types of problems typically seen in prac- tising doctors.32 Often, to support content validity, actual practice data are used to help inform the test blueprint (i.e. how examination content is distrib- uted in a test form). Never- theless, there continue to be various aspects of medical care (e.g. the use of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that need to be better assessed as part of the regulatory process.33


면허시험이 relevant content를 담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많은 작업이 있었음에도, 새로운 시뮬레이션-기반 평가는 기존에는 평가하기 어려운 역량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타당도 근거는 잘 해봐야 discouraging할 뿐이다. USMLE점수를 전공의 선발에 사용하는 validity에 대한 의문이 있었다. 그러나 면허시험점수와 졸업 후 수행능력은 validity chain에서 그저 하나의,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일 뿐이다. 정말 필요한 것은 이들이 unrestricted 면허를 받았을 때 어떻게 하느냐이다. 안타깝게도 이러한 연구는 부족하고, 주로 관찰적/묘사적이며 인과간계 해석이 안된다. 반면, 증명(재증명)에 대해서 의료전문직 내에서의 advanced standing이 더 나은 환자진료와 관련이 된다는 연구가 있다.

Although much work has been conducted to ensure that licensure assessments contain relevant content, and new simulation-based assessment methods can measure certain competencies that were difficult to measure previously,34 other validity evidence is often lacking or, at best, discouraging. For example, in the USA, some researchers have questioned the validity of USMLE scores for making medical resi- dency selections.35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licensure assessment scores and post- graduate performance is only one, and probably a relatively weak, link in the validity chain. What is really needed is some indication of the quality of care these individuals provide after receiving an unrestricted licence to practise medicine. Unfortu- nately, the research evidence linking regulatory interventions and quality of care is sparse, mainly observational and descriptive, and does not, for the most part, allow for causal interpretations.36 By con- trast, with respect to certification (or recertifica- tion),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to show that advanced standing within the medical profession (i.e. specialisation) is associated with the provision of better patient care.37–39 


초기 면허 발급에 대해서 보면 많은 연구들이 면허시험 점수가 미래의 진료 퍼포먼스와 관련됨을 보여주었다. 비록 이들연구가 informative하고 면허시험의 퍼포먼스가 미래의 진료까지 외삽가능함을 보여주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For initial licensure,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licensure examination scores are related to future practice performance.42–44 Although these studies are infor- mative, and provide some evidence to suggest that performance on licensure examinations extrapo- lates to practice, they are far from complete.


새로운 평가를 Licensure와 Certification의 한 부분으로 도입하는 것이 가져올 영향은 클 것이다. 평가가 잘 만들어지고 실제 진료행위와 유의미하게 연결이 되어있다고 한다면, 지원자들이 시험을 준비하면서 더 나은 의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효과는 주로 CME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재확인revalidation 활동에서 더 두드러질 것이다.

There is, no doubt, a consequential impact of intro- ducing new assessments as part of the licensure and certification (or registration) process.46 Provided that the assessments are well constructed and mean- ingfully related to practice, candidates will prepare, making them better practitioners. This effect, based primarily on CME, is probably more pronounced in revalidation activities.27,47




비용과 이득

Costs and benefits


대부분의 면허, 증명, 재인증 프로세스는 매우 비용이 많이 든다.

Most licensure, certification and revalidation pro- cesses are very expensive, and costs are typically borne by the candidate. As an example, the total cost of the USMLE (Step 1, Step 2 Clinical Knowl- edge, Step 2 Clinical Skills), necessary for licensure in the USA in all jurisdictions, is approximately US $2320.48 On top of the cost of typical licensure assessments, it is also com- mon to have a recurring fee associated with the granting and maintenance of the licence. For those doctors who seek specialty certification, there are additional expenses associated with obtaining and maintaining this status. Finally, with the possible introduction of simulation-based assessments for the MoC49 and retraining of doctors for medical licen- sure,50 the expense borne by the individual doctor is likely to rise. 


비록 면허, 증명, 재인증 비용이 엄두도 못 낼 정도로 높긴 하지만, 이것을 관리감독하는데 드는 비용은 그것이 없을 때 사회가 감당해야 하는 비용에 비추어 생각해보아야 한다. 규제시스템이 더 나은 의사를 양성한다는 일부 자료가 있다. 또한 전문과목학회specialty board의 증명과 등록이 더 나은 진료를 한다는 결과도 있다. 그러나 더 연구가 필요하다.

Although licensure, certification and revalidation costs can be prohibitive, the costs of oversight must be weighed against the potential cost of its lack to society (e.g. poor patient care). There are some data to show that regulatory (licensure) systems yield bet- ter performing doctors,51,52 and even more evidence linking specialty board certification or registration to better patient care,53–55 but there appear to be no comprehensive studies of their costs and benefits.


이 때 문제의 일부분은 개별 의사들의 poor care의 비용과 관련한 어려움을 반영할지도 모른다.

Here, part of the problemmay reflect the difficulty of relating the costs of (poor) care with the individually licensed doctor.



비용과 관련한 또 다른 문제는 의사의 qualification에 대한 정확한 DB를 구축하는 것이다. 미국과 다른 곳에서 이미 노력이 있어왔다. 규제시스템의 효과성을 판단하기 위해서 포괄적이고 종단적인 자료는 필수불가결한 것이다.

Another issue related to cost rests with the need to maintain accurate databases concerning doctor qualifi- cations. In the USA and elsewhere, efforts have been made to construct national practitioner databases.57 To judge the efficacy of any regulatory sys- tem, it is imperative to have comprehensive, longitudinal data on all doctors within a jurisdiction, including qualifications and practice characteristics.



의사의 유동성

Doctor mobility


개별 여행자들에 입장에서 외국에 도착하면 자동차를 빌리는 것은 당연한 절차이다. 국제운전면허증이 일부 국가에서 필요하지만, 차 대여 업체는 보통 그 대여 업체가 설립된 사법권 내에서 valid한 면허만 요구한다. 환자를 보는 것은 물론 운전보다는 더 복잡하지만, 의료의 국제화는 언젠가 authorities로 하여금 공동의 licensure pathway를 설립하게 할지도 모른다.

For individuals who travel, it is fairly straightforward to arrive at an airport and rent a car. Although international driver’s licences can be procured in some parts of the world, rental car companies typi- cally demand only a licence that is valid in the juris- diction in which the renter resides. Although treating patients is certainly more complex than driving a car, the globalisation of medicine, including the desires of patients to tra- vel across national borders to obtain health care, may one day motivate authorities to establish a com- mon licensure pathway.62,63



비록 유동성이 중앙화된 규제 기구에 의해서 강화될 수는 있지만 단점도 있다. 첫째로, 의료행위라는 것은 지역마다 다르다. 타당도 측면에서 광범위한 지리적 영역을 포함하는 단일화된 시험을 만드는 것은 어렵기도 할 뿐만 아니라 방어가능defensible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그렇다 하더라도, 여전히 면허기구들은 시험내용에 따라서는 best practice에 대해서 서로 공유할 필요가 있고, 그것이 효율적인 것이다.

Although mobility can be enhanced by the introduc- tion of centralised regulatory structures (e.g. national or international licensing examinations), there are some potential drawbacks. First and fore- most, the practice of medicine can be quite differ- ent from one region to another. Based on validity considerations, creating a unified examination (for licensure or certification) that spans a large geo- graphic region, or even a continent, may be quite difficult and, perhaps, not defensible. Even so, it would still be prudent, and efficient, for licensing authorities to share best practices and, when appli- cable, examination content.64



결론

CONCLUSIONS


그러나 미래의 환자 진료가 어떻게 되든, 역량의 진화는 필수적인 것이며, 적절한 규제는 자원(연구결과와 자료 등)의 공유 그리고 사용가능한 근거를 활용하여 best practice를 개발할 때 달성될 수 있다.

However, regardless of how patient care is deliv- ered in the future, or the evolution of competencies deemed essential for practice, the development of sound regulatory practices can be best accomplished by sharing resources, including research findings and data, and using the available evidence from around the world to develop best practices.


인증, 면허, 증명, 재확인의 성과를 정량화하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Systems to evaluate and quantify the outcomes of accreditation, licensure, certification and revalidation programmes are needed.



9 van Zanten M, Norcini JJ, Boulet JR, Simon F. Overview of accreditation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worldwide. Med Educ 2008;42: 930–7.





 2014 Jan;48(1):75-86. doi: 10.1111/medu.12286.

Ensuring high-quality patient care: the role of accreditationlicensurespecialty certification and revalidationin medicine.

Author information

  • 1Foundation for Advancement of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FAIMER), Philadelphia, Pennsylvania, USA.

Abstract

CONTEXT:

The accreditation of medical school programmes and the licensing and revalidation (or recertification) of doctors are thought to be important for ensuring the quality of health care. Whereas regulation of the medical profession is mandated in most jurisdictions around the world, the processes by which doctors become licensed, and maintain their licences, are quite varied. With respect to educational programmes, there has been a recent push to expand accreditation activities. Here too, the quality standards on which medical schools are judged can vary from one region to another.

OBJECTIVES:

Given the perceived importance placed by the public and other stakeholders on oversight in medicine, both at the medical school and individual practitioner levels, it is important to document and discuss the regulatory practices employed throughout the world.

METHODS:

This paper describes current issues in regulation, provides a brief summary of research in the field, and discusses the need for further investigations to better quantify relationships among regulatory activities and improved patient outcomes.

DISCUSSION:

Although there is some evidence to support the value of medical school accreditation, the direct impact of this quality assurance initiative on patient care is not yet known. For both licensure and revalidation, some investigations have linked specific processes to quality indicators; however, additional evaluations should be conducted across the medical education and practice continuum to better elucidate the relationships among regulatory activities and patient outcomes. More importantly, the value of accreditationlicensure and revalidationprogramm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the effectiveness of specific protocols employed in these diverse systems, needs to be better quantified and disseminated.

© 2013 John Wiley & Sons Ltd.

PMID:
 
24330120
 
DOI:
 
10.1111/medu.12286
[PubMed - indexed for MEDLINE]


의사국가면허시험의 경향(Med Educ, 2016)

Trends in national licensing examinations in medicine

David B Swanson1,2 & Trudie E Roberts3






면허의 목적은 의사들이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의료행위에 필요한 지식과 스킬을 갖추게 하기 위함이다. 그 아래에 깔려있는 원칙은 면허는 모든 의사에게 적용되어야 하며, 어디서 수련을 받았든, 어떤 세팅에서 진료를 하든 면허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국제적으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의사는 진료행위에 필요한 unrestricted licence를 받기 위해서는 다음의 전부 혹은 일부를 갖춰야 한다.

The purpose of licensure is to ensure that doctors have the knowledge and skills necessary to practise medicine safely and effectively. The underlying principle is that licensing should apply to all doc- tors, regardless of where they trained or the setting in which they practise. With some variation interna- tionally, a doctor must meet several requirements in order to obtain an unrestricted licence to practise, commonly including some or all of the following:


  • 인증받은 의과대학 졸업  graduation from an accredited medical school;

  • 일정 기간동안 지도감독 하에 진료행위를 해야하며, 이 시기는 의과대학 졸업 이후가 되기도 함.   the successful completion of a period of prac- tice under supervision, often after medical school graduation, and

  • 하나 혹은 그 이상의 NLE에서 합격해야 함   a passing score on one or more NLEs.


USMLE의 사례를 보여줄 것이다.

we will provide an overview of an example NLE, the United States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USMLE),


첫 번째 세 단계는 졸업후 수련에 준비도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Step 3를 보기 위해서는 여기에 통과해야 한다. 미국의 licensing jurisdiction에서 일반적으로 요구하는 것은 아님에도 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이 세 시험을 졸업후수련을 시작하기 전에 응시한다. IMG는 미국 졸업후수련에 들어오기 위해서는 이것들을 통과해야 한다. 일정 amount의 졸업 후 수련을 이수하고 모든 component에 합격하면 unrestricted license를 받을 수 있다.

The first three components are intended to assess readiness for postgraduate training; a passing score on these components is required to sit the final component, Step 3. In the USA, medical students typically take the first three components prior to entry to postgraduate training, although US licensing jurisdictions do not typically require this for entry; international medical graduates must pass these components in order to enter US postgradu- ate training. Along with successful completion of a specified amount of postgraduate training, passing scores on all components are required to be eligible for an unrestricted licence to practise.




NLE는 점점 더 흔해질 것이다.

NLES WILL BECOME MORE COMMON


의과대학의 수와 다양성 증가

The number and diversity of medical schools has increased


지난 20년간 의과대학의 수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의학교육의 질을 떨어뜨린다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2003년 WMA의 general assembly에서  Dr Hans Karle은 의과대학이 1995년부터 54%증가했다고 말했다. Karle은 '일부 의과대학에서 교육의 퀄리티는 충분하지 못하다. 이들 의과대학의 일부는 정말 필요한 것이었지만, 많은 수는 단순히 본국에서 의과대학에 들어가지 못하는 학생을 유혹하기 위한 사업으로 세워진 것이다'

Over the last two decades, there has been growing concern that the substantial expansion in the num- ber of medical schools has diluted the quality of medical education. In 2003, in a speech to the World Medical Association’s general assembly in Helsinki, Dr Hans Karle, then president of the World Federation of Medical Education, said that the number of medical schools had increased by 54% since 1995. Dr Karle was quoted as saying: ‘The quality of education in some schools is not good enough. Some of these schools are badly needed, but many are being set up simply as businesses to attract students who cannot get into medical schools in their own countries.’5



Boulet 등은 의과대학의 지속적 팽창을 보고하면서 IMED에 등록된 1900개의 의과대학을 언급했다. 영리적 목적의 사립대학은 캐리비안, 남아메리카, 남아시아애 많다. 인도의 사례.

Boulet et al.6 also reported on the continued rapid expansion of medical schools, 1900 of which are listed in the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Directory. Private for-profit schools were particularly popular in the Caribbean region, South America and South Asia. 

      • In India, during the period from 1970 to 2005, whereas the number of public medi- cal schools grew by 36%, the number of private medical schools increased by 1120%.7



학부의학교육의 다양성은 지역 내에서의 그리고, 학교간 학습성과와 스탠다드의 차이와 관련된다는 근거가 있다. 

There is evidence that the diversity of undergradu- ate medical education is associated with regional and between-school differences in standards and learning outcomes. 

      • 영국에서 의과대학에 따라서 RCGP 회원자격시험 합격률이 다르다.
        In the UK, Wakeford et al.8 reported large differences among medical schools in pass rates on the membership examination for the Royal College of General Practitioners; 

      • 영국에서 의과대학에 따라서 RCP 회원자격시험 합격률이 다르다. 
        McManus et al.9 reported a similar pattern of large differences among UK schools on several compo- nents of the membership examination for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 USMLE Step 2에서 Case 등은 평균점수의 상당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차이는 학교마다의 교내의intramural standard 차이에 기인하며, Step 1도 마찬가지다.
        Looking at variation in the performance of US schools on USMLE Step 2, Case et al.10 found sizable differences in mean scores; these coexisted with high correlations between scores on Step 2 and within-school measures of stu- dent performance, suggesting that the variation observed in Step 2 performance could be attributed to differences in intramural standards across schools. A similar pattern was seen for USMLE Step 1.11 

      • 지역 간, 그리고 국가 간 차이가 Step 2 CK에서 발견되었다.
        In a more recent study, Holtzman et al.12 reported large regional and country-to-country varia- tion on the Step 2 Clinical Knowledge component of the USMLE, confirming a pattern observed almost two decades earlier.13 


개별 연구에 대해서는 언제나 설명이 가능하지만, 이 모두를 종합해서 보면, 교육과정 접근법이 국가적으로, 세계적으로 다양해짐에 따라서 학습성과 또한 다양해졌다.

There are always multi- ple potential explanations for the results of individ- ual studies, but, taken together,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diversity of curricular approaches used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results in diversity in learning outcomes.




의료인력 유동성이 높아진다.

The medical workforce is increasingly mobile


역량에 관한 문제는 한 국가에서 수련받고 졸업한 의사가 다른 환경으로 갈 때 생긴다.

Competency issues can arise when doctors training and graduating in one country and culture move to practise in another environment.


유럽에서, 의료진의 이동은 1940년대부터 관찰되었으며 해가 지날수록 그 패턴이 다양해지고 있다. 

In Europe, medical migration has been observed since the 1940s and has shown various patterns over the years. 

    • 동유럽 The migration of doctors from Eastern Europe started before the accessions of their countries that resulted from the political transitions of the late 1980s and 1990s. 

    • EU의 확장 The enlarge- ment of the European Union, initially in 2004 and subsequently in 2007, has resulted in increased mobility, especially from east to west.15


전 세계적으로 학부의학교육의 형태과 내용에는 큰 차이가 있다. 유럽에서 학부교육에 필요한 기간은 European directive에 의해서 강제되며 최소한 5년, 5500시간이 요구된다. 대부분의 유럽 국가에서는 의사국가시험이 없으며, 각 의과대학은 자신의 졸업시험이 있다. 스위스와 같은 예외도 있다.

Across the globe, there are major differences in the formats and content of undergraduate medical edu- cation programmes. In Europe the length of time for undergraduate training is mandated by Euro- pean directive as a minimum of 5 years and 5500 hours. In most European countries, there is no national licensing examination at the end of the period of study, and each medical school has its own graduating examination requirements. There are exceptions, such as in Switzerland, which brought in a national licensing assessment in 2004.


미국에서 의과대학은, 대학원 과정second degree이며 4년이다. 캐나다하고 유사하게, 학사학위가 필요하며, 의과대학에 들어가기 전 1~2년정도 대학 수준에서 공부가 필요하다. 캐나다의 대부분 의과대학은 4년이며, 일부는 3년제도 있으며 이 경우 여름방학이 없다. 유럽과 달리 미국과 캐나다는 NLE를 모든 의과대학 졸업생이 응시해야 하고, 국내에서 수련을 받았든 해외에서 수련을 받았든 근무work할 수 있으려면 통과해야 한다. 브루나이를 제외한 모든 ASEAN국가는 어떤 형태든 NLE를 운영하며, 중국도 국가시험이 있다.
In the USA, the medical course, which is usually a second degree, is 4 years in duration. Similarly in Canada, students will have a primary degree or will have studied for at least 1–2 years at university level before entering medical school. Most medical courses in Canada are 4 years in duration; schools that offer 3-year programmes (McMaster and Cal- gary Universities) are exceptions and their pro- grammes do not include summer breaks. By contrast with Europe, both the USA and Canada have NLEs that all medical graduates, whether they were trained domestically or internationally, are required to pass before they can work. All ASEAN countries other than Brunei (i.e. Darussalam, Myan- mar/Burma, Cambodia, Indonesia, Laos, Malaysia, Philippines, Singapore, Thailand and Vietnam) operate some form of NLE, and China also has national examinations.


일부 국가에서는 질관리프로그램을 활용하여 NLE와 비슷한 성과를 내고자 한다. 예를 들면 영국의 모든 의과대학은 GMC에서 인증을 받아야 한다. GMC는 평가의 성격과 형식에 관한 정책문헌을 발간한다. 현재 시스템이서 GMC가 선발한 팀이 (의학교육자들, 임상가, 학생, 일반인 대표자) 매 5년마다 대학을 방문하여 inspect한다. 비록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 학교가 폐쇄될 수도 있지만, 실제로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만약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일련의 monitored requirement와 recommendation이 발생한다. 이 시스템에도 불구하고 영국은 현재 NLE도입을 염두에 두고 있다.

In some countries, quality assurance programmes are used in an effort to achieve outcomes similar to those of NLEs; for example, all medical schools in the UK are accredited by the General Medical Council (GMC). The GMC publishes policy docu- ments advising on the nature and format of assess- ments. In the current system, GMC-selected teams, which include medical educationalists, clinicians, students and lay representatives, visit schools every 5 years to inspect the course. Although schools that fail to meet the required standards can be closed, in practice this has never happened. If the standards are not met, a series of monitored requirements and recommendations are put in place. Despite this system, the UK is currently considering the implementation of an NLE.16




NLE 퍼포먼스가 실제 퍼포먼스를 예측한다.

Performance on NLEs predicts performance in practice


일정 수준에서 NLE퍼포먼스는 이후 의료행위의 퍼포먼스를 예측한다.

To a degree, performance on NLEs predicts subse- quent performance in practice.


Tamblyn 는 MCCQE의 점수가 처방패턴과 유방촬영술 스크리닝 비율을 예측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들은 또한 수행능력-기반 NLE의 점수가 환자의 불만과 부적 상관관계에 있음을 보여주었다. Wenghofer 등은 NLE점수가 동료평가 점수와 정적 상관관계에 있음을 보여주었고, 미국에서 일부 연구는 인증시험의 점수가 진료퍼포먼수 점수를 예측하였다. NLE점수는 Certifying exam점수를 예측한다.

Tamblyn et al.17,18 showed that scores on the Medical Council of Canada Qualifying Examination predict such practice behaviours as prescribing patterns and mammography screening rates for family medicine doctors. Tamblyn et al.19 also showed a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patient complaints to medical regulatory authorities for doc- tors licensed in Ontario or Quebec and scores on a performance-based NLE. Wenghofer et al.20 demon- strated that NLE scor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peer assessments of the quality of care. In the USA, a few studies21,22 have shown the predictive value of certification examination scores for performance in practice; Lipner et al.23 provide a review of this liter- ature. In turn, certifying examination scores are predicted by scores on NLEs.24–26



NLE를 위한 사례

The case for NLEs


NLE를 지지하는 주장은 다음과 같다.

A number of arguments have been offered in favour of NLEs:

    • 중요 영역에서 크게 부족한 의사를 가려낼 수 있다.
         they can screen out doctors with significant defi- cits in important areas of practice;

    • 공립, 사립 의과대학에 대해서 지속적이고 객관적인 역량 스탠다드를 제공하여 환자를 보호한다.
         they can provide consistent, objective evidence about competency standards across both public and private medical schools, thereby helping to protect patients;

    • 해외에서 이주한 의사가 수련과 진료를 시작하기에 앞서 ensure해준다.
         they can be used to ensure the quality of migrant doctors before they commence training or practice in a new country, and

    • 의과대학의 스탠다드를 높여준다. NLE의 실패가 질 향상의 유의미한 촉매가 될 수 있다.
         they can drive up standards in medical schools: failures on NLEs can be a significant catalyst for quality improvement.


NLE에 반대하는 주장은 교육과정의 개혁과 교육방법의 다양성을 저해한다고 우려한다. 비록 미국 레지던트 프로그램에서 NLE점수를 사용하고 있지만 미국과 캐나다에서 이런 경험을 한 것은 아니다. 

The arguments against NLEs relate to concerns about causing reductions in curricular innovation and diversity in teaching methods. This has not been the experience in Canada or the USA, how- ever, although the use of scores on NLEs by US resi- dency programmes in the selection of postgraduate trainees is well documented and makes the stakes associated with USMLE Step 1 very high from the student’s perspective.



내용특이성

CONTENT SPECIFICITY



NLE의 목적은 피험자의 지식과 스킬에 대한 inference를 끌어내는 것이다.

The purpose of NLEs is to permit the drawing of inferences on the knowledge and skills of exami- nees;




어떤 평가방법을 사용하든지, 한 케이스에서의 퍼포먼스가 다른 케이스에서의 퍼포먼스를 아주 잘 예측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현상은 내용(사례) 특이성이라고 하는데, 오래 전부터 인식되어 왔다. 같은 현상은 '과업 특이성task specificity'가 있고, 다른 영역의 수행능력 평가에서 오래 전부터 관찰되어 왔다(과학, 수학, 법학 등). 그 결과, 고부담 결정을 충분히 반복가능하게 지지해줄 수 있는 점수를 얻기 위해서는 평가의 length는 충분히 길어야 하고, 충분한 영역을 포함하여야 한다.

Regardless of the assessment method used, perfor- mance on one case does not predict performance on other cases very well.29 This phenomenon, com- monly termed ‘content (or case) specificity’ in the literature on medical education,30,31 has been recog- nised for many years.32–35 The same phenomenon, termed ‘task specificity’, has been observed for performance assessments in other areas, including science, mathematics and law.36–38 As a conse- quence, assessments must be of sufficient length and cover an adequate breadth of material in order to obtain scores that are sufficiently reproducible to support high-stakes decisions.


'충분한 길이'가 무엇인지 알기 위해서 Table 2는 통계적으로 예측된 신뢰도를 보여주고 있다.

To quantify what ‘sufficient length’ means, Table 2 provides statistically projected reliability (generalis- ability) coefficients as a function of testing time for the computer-based components of the USMLE. Values of 0.8 or higher are desirable for examinations on which high-stakes decisions are based.


Step 3에서 합/불합 결정은 MCQ와 CCS 점수를 합산하여 이뤄진다.

The first of these col- umns refers to the MCQ component of Step 3; the second refers to the computer-based case simulation (CCS) component. As will be discussed further in the next section, the latter format was developed to assess physicians’ patient management skills.40 Indices of CCS reproducibility as a function of testing time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for the MCQ component of Step 3: For this reason, pass/fail decisions for USMLE Step 3 are based upon a composite of MCQ and CCS scores,41 rather than on each component independently.


내용특이성의 원인은 불명확하고, skill의 전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master-apprentice 접근법은 임상 교육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일부 원인일지도 모른다. 임상 로테이션은 서로 분절된disparate 위치에서 이뤄지는데, 학생의 경험에 상당한 차이를 유발한다. 즉, 학습의 성과가 idiosyncratical하게 다르기 때문에 내용특이성이 생기는 것일 수 있다. 동시에, 내용특이성이 측정의 artefact에 따른 부수현상epiphenomenon이라고 보기도 한다.

The causes of content specificity are unclear35 and research on methods to improve the transfer of skills learned in one situation to another through instructional interventions is underway. The ‘mas- ter–apprentice’ approach used in much of clinical instruction may be partially responsible. Clinical rotations take place at disparate sites, both across and within schools, resulting in substantial variabil- ity in trainees’ experiences. It is, per- haps, not surprising that learning outcomes may vary idiosyncratically, and content specificity may be the assessment consequence. At the same time, others have suggested that content specificity is an epiphenomenon attributable to measurement artefacts.43,44





인지능력 평가

COGNITIVE ASSESSMENTS


Bennett는 CBT의 세 세대에 대해서 설명했다.

Bennett45,46 describes three generations of com- puter-based testing (CBT). 


    • In the first generation, the emphasis was largely on building the infrastruc- ture for test delivery. Although this involved sub- stantial investments in testing centres and rapidly evolving computer hardware and software to admin- ister examinations, assessments resembled tradi- tional tests, differing little in design and item format from their paper-and-pencil counterparts and taking limited advantage of the technology.47 The major innovation during this period was the introduction of computer-adaptive testing (CAT) in which software selects items sequentially based on the current estimate of an examinee’s proficiency.48 When used in conjunction with a large pool of items of varying difficulty, CAT makes it possible to efficiently achieve relatively consistent precision of measurement throughout a score scale.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diagnostic testing, which requires the accurate estimation of examinee proficiency across a broad range of distinct content areas. For licensure testing, CAT can also be useful in reducing item exposure and testing time, but, because the reproducibility of pass/fail decisions is most important, the administration of pre-con- structed fixed forms targeted at the pass/fail point is often simpler and can be as effective.

    • In the second generation of CBT, incremental changes were made in item formats to include mul- timedia formats, short constructed responses, and other enhancements to traditional item formats made possible through computer delivery. Often, new item types were incorporated simply because they were different from traditional MCQs, had visual appeal, or were otherwise ‘interesting’, rather than because they targeted key competencies that could not otherwise be measured. 

    • The (current) third generation of CBTs has begun to incorporate more complex, theory-based simulations and interactive performance tasks replicating important features of real environments and assessing new skills in more sophisticated ways. There is also great potential for integration of assessments with instruction, sampling performance repeatedly over time.


비교적 최근에 도입된 것은 자동화 문항 생성(AIG)이다.


A relatively recent and interesting application of computer technology in medical education is auto- mated item generation (AIG),54–56 although a more accurate term may be ‘computer-assisted item gener- ation’. Traditionally, MCQs for NLEs were painstak- ingly written and reviewed by committees of content experts. It can be challenging to recruit sufficient numbers of content experts and expensive to have them travel to a central site to review test items. With AIG, content experts first create item models or templates that highlight item elements (e.g. patient findings in the stem, distractors) to be manipulated. Software is then used to systematically manipulate these elements in each item model to generate hundreds of new (typically quite similar) items, which can then be reviewed by content experts. Initial research has produced promising results, demonstrating that content experts are unable to differentiate items developed in the tradi- tional manner from those produced with AIG.55 In the longer term, AIG could prove to be a useful technique for producing items in large numbers, meeting a significant practical need for NLEs (particularly those given throughout the year) and for formative assessments administered repeatedly during training.



USMLE Step 3의 CCS는 Bennett가 말한 3세대 CBT이다. CCS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The CCS component used in USMLE Step 3 pro- vides an example of Bennett’s45 third-generation computer-based assessment. 

  • Each CCS case begins with an opening scenario describing a patient’s loca- tion and presentation.57 

  • Using free-text entry, the examinee then orders tests, treatments and consul- tations while advancing the case through simulated time. 

  • The system recognises over 12 000 abbrevia- tions, brand names and other terms representing more than 2500 unique actions. 

  • The patient’s con- dition changes according to both the actions taken by the examinee and the patient’s underlying clinical problem. 

  • Performance is scored using a computer-automated algorithm that models the judgements that would have been produced by expert clinicians.


앞으로 몇 년간 NLE에 컴퓨터-기반 시뮬레이션이 추가로 이뤄질 것이다 .

Over the next few years, additional computer-based simulation formats are likely to be introduced into NLEs. 

  • Response formats can be enhanced to assess skills in: 

    • differential diag- nosis; the use of diagnostic studies and therapeutic options; 

    • writing orders for admission, discharge and other transfers of care; 

    • the management and recon- ciling of medications, 

    • and other common clinical tasks. 

  • The incorporation of multimedia and enhancements to response formats implies a poten- tial natural link to work on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bridging the gap between competencies and assessment.58,59


모든 것을 최대한 현실과 유사하게 시뮬레이션 한다는 것은 매혹적이지 모르지만, written simulation의 파란만장한 역사로부터 그 위험성에 대해 배울 점이 많다. 고부담 평가에서 key feature 문제에서 활용된 것과 유사한 접근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측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사례는 최대한 간결해야 하며, key clinical decision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It will be tempt- ing to simulate everything as realistically as possible, but much has been learned from the chequered history of written simulations (patient management problems) about the dangers inherent in that approach,29,33 which often result in wasted testing time and scoring problems. For high-stakes assess- ments, adopting an approach similar to that used in ‘key feature’ problems49,64 seems warranted. To improve measurement efficiency, cases should be kept short and should focus on key clinical deci- sions that are critical and essential steps in problem resolution and most likely to result in errors and poor patient outcomes in the real clinical environ- ment.



최근까지 NLE는 거의 전적으로 closed-book test였으며 정보를 recall하는 능력을 평가했다. CBT와 함께 지원자들은 온라인 참고문헌을 볼 수 있게 되었고, 이것은 Bennett이 말한 3세대의 또 다른 특징이다. 이는 어떻게 의사들이 현재 실제 진료실에서 진료를 하는지를 더 잘 모방할 것이며, 피험자의 스스로의 한계를 찾아내는 능력까지를 (간접적으로)평가할 수 있게 될 것이고, 관련된 외부 자료에 접근하는 능력, 수집된 정보를 환자진료결정에 통합하는 능력도 평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o date, NLEs have almost exclusively represented ‘closed-book tests’ assessing the examinee’s ability to recall information, as well as to apply it to make clin- ical decisions. With CBT, it is now possible to permit examinees to consult online reference materials (‘open-book tests’) during test administration; this is another characteristic of Bennett’s third generation of CBT.45 This will better mimic how doctors currently practise in the real clin- ical environment, and provide (indirect) assessments of examinees’ abilities to identify the limits of their own knowledge, to quickly access and understand relevant external resources, and to integrate the accessed information into patient care decisions.


NLE에서 OSCE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S IN NLES


Harden and Gleeson이 1979년 OSCE를 처음 언급하였고, 그 이후 OSCE는 빠르게 전파되었다. 최근에는 의사면허와 Qualifying 시험에 도입되었다.

Harden and Gleeson65 first described the OSCE in this journal in 1979. Since then, the use of OSCEs has spread quite quickly, first in school-based assess- ments and, more recently, in national licensure and qualifying examinations in several countries, includ- ing Australia, Canada, South Korea, Switzerland, Taiwan, the UK and the USA.


많은 OSCE는 여전히 '전통적' 형태로서, 피험자가 4~5분간 임상과제를 해야 한다.

Many OSCEs still use the ‘classic’ station format: examinees have 4 or 5 minutes to complete a clini- cal task


advanced된 피훈련자에게는 더 길고 복잡한 스테이션이 적절할 것이다.

longer and more complex stations seem more appropriate for advanced trainees and for NLEs in order to assess examinees’ capacity to integrate the constellation of competencies required for the provision of safe and effective patient care.66


시뮬레이션-기반 평가로부터의 validity inference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우리는 simulation의 fidelity에 지나치게 초점을 둬왔다는 일부 저자의 지적에 동의하며, fidelity라는 단어가 'physical resemblance'나 'functional task alignment'로 바뀌는게 낫다는 지적에 동의한다.

Given that evidence for the validity of inferences from simulation-based assessments is sparse,60,63,68 we agree with several of these authors that, firstly, there has been too much focus on increasing the fidelity of simulations and, secondly, the term ‘fidelity’ should be abandoned in favour of ‘physical resemblance’ and ‘functional task alignment’.


안타깝게도, 여전히 OSCE기반 시험에 스테이션 수는 적은 편이며, 그 결과 점수와 합/불합 결과가 매우 reproducible하진 않다.

Unfortunately, it is still common for OSCE-based tests to include relatively small numbers of stations. As a consequence, scores and pass/fail outcomes on such tests are not very reproducible,


시험 자원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sequential testing이 도움이 될 수 있다. multi-stage 혹은 flexi-level testing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이 방법은 초기에 짧은 initial screening 시험을 거쳐서 빠르게 합격할 피험자를 파악하는 것이다. 

To make more effective use of testing resources, it may be helpful to consider the use of ‘sequential testing’, also known as ‘multi-stage’ or ‘flexi-level’ testing in the general assessment literature,69,70 with OSCEs.71,72 This approach involves the administra- tion of a relatively short initial screening examina- tion that is used to quickly identify examinees who will clearly pass; this group is excused from further testing, and the assessment is continued for the remaining examinees.



근무지 기반 평가

WORKPLACE-BASED ASSESSMENTS


WBA의 formative한 사용이 늘어날 것이고, summative 한 사용은 challenging 하다.

The formative use of WBAs will increase; their sum- mative use in NLEs will prove challenging.


다양한 WBA의 방법

 In their very useful Association for Medical Education in Europe (AMEE) guide, Norcini and Burch74 describe methods for formative WBAs, including 

  • the mini-clinical evaluation exercise (mini-CEX), 

  • clinical encounter cards, 

  • clinical work sampling, 

  • blinded patient encounters, 

  • direct observation of procedural skills (DOPS), 

  • case-based discussion, 

  • and multi- source feedback (MSF).



WBA가 일상의 진료행위를 더 잘 반영하고, 피험자의 학습즐 자극할 수 있지만 문제도 있다. 이것은 기껏해야 formative하게만 사용 가능하다. 최근에는 신뢰도 타당도를 높이는 기전이 제시된 바 있다.

Although WBAs more closely reflect everyday prac- tice and can stimulate trainee learning, they are not without challenges. As Norcini and Burch note in their AMEE guide,74 they are best used formatively, not summatively. Recent research has also suggested some mechanisms for improv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cales used in making WBA judgements by aligning them with the con- structs of developing clinical sophistication and ‘entrustability’.79



안타깝게도, summative한 활용은 피훈련자와 훈련자가 평가를 바라보는 관점을 바꿀 수 있다. 피훈련자는 'dove'로 보이는 훈련자를 골라내거나 자신이 자신있는 분야를 고르고자 할 수 있다. 비슷하게 훈련자는 평가를 'tick box exercise'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GMC는 두 개의 종류의 WBa사용을 제안하였다.

Unfortunately, the summative use of WBAs can change how trainees and trainers view the assess- ment. Trainees may choose assessors who are seen as ‘doves’ and may pick out cases perceived to be less challenging or in areas in which they feel confident. Similarly, trainers may treat these assessments as ‘tick-box exercises’.80 To address these issues, the UK GMC proposed using two different types of WBA.81 

  • One type – referred to as supervised learning events (SLEs) – would be developmental and not used to determine progress. 

  • The second type – referred to as assessments of practice (AoPs) – would be used summatively to inform judgements about trainees’ progress. 

UK Foundation Programme에 SLE가 도입되었음.

The use of SLEs has now been incorporated into the UK Foundation Programme.81



WBA가 피훈련자들 사이의 실제 차이를 반영할 수 있지만, 그러한 차이는 교수가 판단을 내리는 기준이 다르거나 환자 집단의 특성이 다르거나, 활용가능한 자원이 다르기 때문에 생길 수도 있다. WBA의 risk adjustment를 위한 방법이 특히필요하다. 그러나 그러한 confounding factor를 보정할 분석적 방법이 없다. WBA 결과가 표현되는 metrics는 본질적으로 임상적 맥락과 연결되어 있다. 형성평가에서 이것은 문제가 되지 않으나, 총괄(평가)적 활용은 정당화하기 어렵게 된다.

Although the WBA results may reflect real differences in the trainees’ competence, there are alternative explanations, including variation in the standards used by faculty staff to make judge- ments, and differences in the patient populations (case mix) and resources available. Methods for risk adjustment for WBAs are particularly needed.82 However, there is no analytic way to adjust for these confounding factors: the ‘metrics’ on which WBA results are expressed are inherently tied to the clini- cal contexts in which they are obtained. This is not important for formative assessments in which the goal is to stimulate learning, but it makes the direct summative use of WBA results in NLEs challenging and difficult to justify.



마무리

CONCLUDING THOUGHTS



NLE가 비용-효과적인지 안니지는 어려운 문제이고 관점에 따라 다를 수 있다.

Whether or not NLEs are cost-effective is a difficult question and probably a matter of perspective. 

  • Costs undoubtedly vary substantially across countries as a function of both examination design and numbers tested.85 As an example, it is straightforward to esti- mate the dollar cost of the USMLE from public infor- mation, at least from the examinees’ perspective. An examinee graduating from a US school who passes each USMLE component on the first attempt would pay a total of roughly US$3200 in examination fees; the total fees paid by an analogous IMG are roughly US$800 more.86–88 Even with the addition of travel expenses to test sites, these costs are quite low relative to those of medical school tuition in many countries, although they are still substantial. The combining of cost information with USMLE examinee counts showed that total examina-tion fees, across USMLE components, amounted to approximately US$120 million in 2014.86–88


여기서는 초기 면허에만 초점을 뒀고, 이 경우 평가할 skill은 상대적으로 균질하다. revalidation에 관한 문제는 더 복잡하다. 

We have deliberately focused this arti- cle on initial licensure, for which the skills to be assessed are relatively homogeneous. Issues for reval- idation are much more complex and as doctors’ practices differentiate and evolve, typically become narrower. Norcini et al.89,90 and Melnick et al.91 pro- vide cogent discussions of the challenges posed.


명확하게, NLE는 많은 한계가 있다. NLE는 잘 해봐야 진료에 필요한 역량을 측정할 뿐이며, 그 의사가 진료를 유능하게competently할 것인지를 알려주지는 않는다. 그 결과, NLE에서 좋은 퍼포먼스를 보이는 것이 실제 진료를 잘 하는 것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NLE에서 안 좋은 퍼포먼스를 보이는 것은 (환경적 요인이 의사의 부족한 점을 보완해줄지라도) 실제 진료에서도 안 좋은 모습을 보일 가능성이 많다. 

Clearly, NLEs are subject to many limitations. At best, they can only measure competence to prac- tise, not whether a doctor does (or will) perform competently in practice. As a consequence, good performance on an NLE does not guarantee good performance in practice. However, poor perfor- mance on an NLE does suggest that performance in practice may fall below acceptable levels, although clearly other factors, notably systems of care, may compensate for individual doctors’ short- comings or exacerbate their weaknesses.


16 General Medical Council. National Licensing Examination 2014. http://www.gmc-uk.org/06_ National_Licensing_Examination.pdf_57876215.pdf. [Accessed 30 March 2015.]


43 Kreiter CD, Bergus GR. Case specificity: empirical phenomenon or measurement artefact? Teach Learn Med 2007;19:378–81.


53 Holtzman KZ, Swanson DB, Ouyang W, Hussie K, Allbee K. Use of multimedia on the Step 1 and Step 2 Clinical Knowledge components of USMLE: a controlled trial of impact on item Acad Med 2009;84:90–3.


90 Norcini JJ, Lipner RS, Grosso LJ. Assessment in the context of licensure and Med 2013;25:62–7.








 2016 Jan;50(1):101-14. doi: 10.1111/medu.12810.

Trends in national licensing examinations in medicine.

Author information

  • 1Academic Programmes and Services, American Board of Medical Specialties, Chicago, Illinois, USA.
  • 2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Melbourne Medical School, Melbourne, Victoria, Australia.
  • 3Leeds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Leeds, Leeds, UK.

Abstract

CONTEXT:

As a contribution to this special issue commemorating the journal's 50th volume, this paper seeks to explore directions for nationallicensing examinations (NLEs) in medicine. Increases in the numbers of new medical schools and the mobility of doctors across national borders mean that NLEs are becoming even more important to ensuring physician competence.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use of NLEs in the future in the context of global changes in medical education and health care delivery.

METHODS:

Because the literature related to NLEs is so large, we have not attempted a comprehensive review, but have focused instead on a small number of topics on which we think we have something useful to say. The paper is organised around five predicted trends for NLEs.

DISCUSSION:

The first section discusses reasons why we think the use of NLEs will increase in the coming years. The second section discusses the ongoing problem of content specificity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NLEs. The third section examines the evolution of large-scale, standardised cognitive assessments in NLEs and suggests some future directions. Reflecting the fact that NLEs are, increasingly, attempting to assess more than just knowledge, the fourth section addresses the future of large-scale clinical skills assessments in NLEs, predicting both increases in their use and some shifts in the nature of the stations used. The fifth section discusses workplace-based assessments, predicting increases in their use for formative assessment and identifying some limitations in their direct application in NLEs. The concluding section discusses the cost of NLEs and indulges in some further speculations about their evolution.

© 2015 John Wiley & Sons Ltd.

[PubMed - indexed for MEDLINE]



국가면허시험, 유럽면허시험, 또는 아무것도 안 하기? (Med Teach, 2009)

National, European licensing examinations or none at all?

C. P. M. VAN DER VLEUTEN

Maastricht University, The Netherlands




고등교육 일반과 의학교육에서 유럽의 통합은 특이하다. 볼로냐 선언 이후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은 two-cycle 훈련 프로그램을 도입하였고, 의과대학에도 이러한 것이 도입되었다. European legislature에서 전문직의 자유로운 mobility가 있다. 유럽 전역에 걸친 교육 이니셔티브의 퀄리티를 관리하기 위하여 고등교육을 accredit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The unification of Europe in higher education in general and in medical education in particular is progressing. Since the Bologna declaration most of the European countries are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a two-cycle training programme in higher education that also affects medical training programmes (Patricio et al. 2008). Within the European legislature there is free mobility of professionals across the borders of Europe. To control for quality of education initiatives are taken across Europe to accredit higher education programmes (Dittrich et al. 2004) including medical training programmes (van Zanten et al. 2008).


근대 유럽의 일부분은 노동력의 mobility와 그 경향을 함께 한다. 그렇다면 질문은 "이 모든 것에서 환자의 목소리는 어디로 갔는가? 환자의 권리는 이 유동성에 대해서 어떻게 지켜지고 있는가?"이다. 유럽 의과대학들은 서로 다른 퀄리티의 졸업생을 양성하고 있다. 만약 전 유럽적 관점에서 보면 어떠한가? Athens 의과대학 졸업생은 Tampere의 졸업생과 어떻게 다른가?

Part of modern Europe is also the trend of mobility of the workforce (Jinks et al. 2000). The question is: what is the voice of the patient in all this? How are the rights of the patient protected against this mobility? European country medical schools produce different quality of medical graduates (McManus et al. 2008). What happens if we look at this from a European perspective? How different is a graduate coming froma medical school in Athens as compared to one from Tampere? Or from London compared to Warsaw?



이 문제에 대한 한 가지 접근법은 북미의 면허시험 루트를 따르는 것이다. 그러나 내가 북미로 와서 내 자국에 면허시험이 없다고 말할 때 그들은 날 축하해준다.

One way of dealing with this issue of quality of graduates is to follow the North-American route of licensure examinations. However, when I come to North America and explain that licensing examina- tions do not exist in my country, they sometimes congratulate me.


질문은, 표준화된 시험이 표준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낳느냐는 것이다. 최근의 평가와 관련된 문헌에서 'testing culture'에서 'assessment culture'로의 이행이라는 패러다임을 주장한 연구자가 있다. 여기서 우리는 assessment of learning을 assessment for learning으로 변화시켜야 한다. 평가의 원동력을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평가를 학습 그 자체에 가급적 최대한으로 embed 시켜야 한다. 면허시험은 그 정의상 assessment를 ongoing learning과 구분시킨다.

The question is whether standardized tests lead to standardized programmes. In the recent assessment literature one speaks of a paradigm shift by moving away from the ‘testing culture’ towards an ‘assessment culture’ (Gielen et al. 2003). Here we change from assessment of learning towards assessment for learning. By using the driving effect of assessment strategically it is advocated to embed assessment as much as possible with the learning itself (Wilson & Sloane 2000). Licensure examina- tions by definition separate the assessment from the ongoing learning.



시스템 간 차이가 너무 커서 졸업생간 어떠한 비교도 사실상 불가능하다. 같은 OSCE스테이션에 대해서도 의과대학마다 passing score가 달라서 한 의대에서 합격할 학생이 다른 의대에서는 탈락할 수도 있다.

Finally, this issue of Medical Teacher contains a study by Peter McCrorie and Katherine Boursicot exploring the graduating assessment systems across the UK in terms of content, format, testing time and standard setting procedures(McCrorie & Boursicot 2009). They found wide variation in these systems and conclude that any comparison of graduates is really impossible. Even worse, they cite one of their own studies in which the same procedure used in different medical schools to set passing scores for the same OSCE stations resulted in such widely differing passing scores that students who would have passed in one medical school would have failed in another (Boursicot et al. 2006). They therefore conclude it is time to reassure the public by introducingnational qualifying examinations. 


Archer J. 2009. European licensing examinations – The only way forward. Med Teach 31:215–216.


McManus IC, Elder AT, De Champlain A, Dacre JE, Mollon J, Chis L. 2008. Graduates of different UK medical schools show substantial differences in performance on MRCP(UK) Part 1, Part 2 and PACES examinations. BMC Med 6:5.


McCrorie P, Boursicot K. 2009. Variations in Medica School Graduating Examination in the United Kingdom: Are clinical competence standards comparable? Med Teach 31:223–229.


Melnick D. 2009. Licensing examinations in North America: Is external audit valuable? Med Teach 31:212–214.




 2009 Mar;31(3):189-91.

NationalEuropean licensing examinations or none at all?

Author information

  • 1Maastricht University, The Netherlands.
PMID:
 
19811114

[PubMed - indexed for MEDLINE]



국가면허시험의 필요성 (Med Educ, 2007)

The need for national licensing examinations

Lambert Schuwirth





미국과 영국의 평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행해온 것을 보면 흥미롭다. 미국은 높은 퀄리티의 의사국가시험을 오랜 전통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영국은 각 의과대학이 각자 자신의 시험프로그램에 대한 책임이 있다. 그러나 영국의과대학은 외부 examiner를 두고 있는데, 의사국가시험은 없다.

It is interesting to see how some developments in assessment in the USA and UK seem to have gone in opposite directions. The USA has a longstanding tradition of high- quality national licensing examin- ations, whereas, in the UK, each medical school has traditionally been responsible for its own examination programmes. Although UK medical schools use external examiners, the country has no national licensing examin- ations.



"완전히 중앙화된 의사면허시험 vs 탈중앙화된 의과대학 자체 평가"를 둘러싼 논쟁은 다양한 주장을 가져왔다.

The debate between the systems ) a fully centralised national licens- ing system versus a decentralised in-school assessment system ) needs to incorporate a myriad of arguments



단발성 vs 지속성

SINGLE-SHOT ASSESSMENT VERSUS CONTINUOUS ASSESSMENT PROGRAMMES


대부분의 면허시험은 단발성(1회, 2회, 또는 3회의 시험)의 성격을 띈다. 이들 시험을 통과한 지원자는 특정 주제에 대한 적절한 스탠다드에 도달했다고 인정되며, 다시는 시험을 보지 않아도 된다. 역량의 관점에서 이는 평가와 교육의 misalignment이다. 반대로, 의료전문가가 되기 위해서 필요한 요소는 무수하며, 이 요소들은 특정 시점에서 평가되어야 하고 평가될 수 있다.

Yet most licensing approaches apply a  single-shot  technique with 1, 2 or 3 tests, each of which has to be passed. A candidate who passes such tests is considered to have reached an adequate standard in terms of the subject matter tested and will not be tested again. In terms of com- petences, this constitutes a mis- alignment between assessment and education. By contrast, there are a substantial number of elements involved in becoming a medical expert that can and probably should be tested definitively at certain time-points.




시간적 측면에서의 제한 vs 확장

LIMITED VERSUS EXTENDED MEASUREMENTS IN TIME


단발성 시험을 아무리 잘 설계하더라도, 제한된 시간 내에 제한된 샘플만을 가지고 할 수 밖에 없다. 네덜란드에서 Progress test의 결과는 (4개 의과대학이 공동으로 만들고 시행하는데) 각 의과대학 시점에 따라, 학년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No matter how carefully designed the single-shot assessment is, it always represents a limited sample in time. Progress test results in the Netherlands, where 4 medical schools jointly produce and administer progress tests, show large variations between the relative positions of each medical school depending on the test moment, the year groups com- pared and the cohorts of stu- dents.2



고도로 구조화된 평가 vs 유연한 평가

HIGHLY STRUCTURED VERSUS FLEXIBLE ASSESSMENT APPROACHES


필연적으로, 모든 의사면허시험은 고도로 구조화되어있다. 더 나아가 그들은 모든 시험이 모든 지원자에게 시행된다는 점에서 매우 inflexible하다.

By necessity, all national licensing assessment approaches I know of are highly structured. Moreover, they are rather inflexible in that the same test is given to all candidates.


그러나 in-school 시험은 추가적인 정보를 줄 필요가 있다. 첫째로, 어떤 교육적 인터벤션이 학생의 역량을 이상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 필요한가를 결정하는데 중요하다(치료적 결정 이라고 한다). 두 번째 결정은 어떤 종류의 추가적 평가정보가 개별 학생이 다음 단계로 넘어갈지 말지를 결정하는데 필요한지를 결정해야 한다 (진단적 결정 이라고 한다.)

In-school examinations, however, need to provide addi- tional information. Firstly,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which educational intervention is needed to improve optimally a student’s competence (we might call this a  therapeutic  decision). The second decision involves which type of additional information or assess- ment is needed for an individual student to determine his or her progression to a next phase (a sort of  diagnostic  decision).



저차원 역량 vs 고차원 역량

LOW-LEVEL VERSUS HIGH- LEVEL ABILITIES



이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무슨 말을 하는지 매우 간결하게 묘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는 low 와 high라는 용어가 부적절하다고 생각한다.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

I use these terms here because they describe so succinctly what is meant, but I think the terms  low  and  high  are inadequate. I dis- agree with their implication that one is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


국가시험은 전통적으로 저차원 스킬에 초점을 두나, 현재는 고차원 스킬과 역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얼마나 시험을 잘 설계하든지간에 심지어 OSCE조차 이러한 역량의 평가에는 제한적이다.

National tests typically focus on  low  level skills, whereas currently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higher order skills and compe- tences, such as  professionalism ,  scholarship , the ability to think as a  scientist , etc. Regardless of how well designed it is, any highly structured examination (even a national OSCE) is of limited value in this respect.


중앙화된 전문가 vs 탈중앙화된 전문가

CENTRALISATION VERSUS DECENTRALISATION OF EXPERTISE


의사면허시험시스템은 well equipped 된 면허기관이 필요하다. 이러한 조직은 그 분야를 이끄는 다수의 전문가가 고용되어야 하고, 이러한 전문가집단이 연구와 개발에 미치는 영향은 방대하다. NBME나 ABIM이 평가에 대한 우리의 지식과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보라. 탈중앙화된 상황에서 이러한 전문가집단은 잘 되어봐야 전국에 흩어져있을 뿐이며 전혀 가능하지 않다.

A system with national licensing requires a well equipped licensing body. This is often an organisation in which many leading experts in the field are employed. The impact of such groups of experts on research and development in assessment is huge. Consider the enormous contributions of, for example, the National Board of Medical Examiners or the Ameri- 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to our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assessment. In a decentralised situation this expertise is, at best, dispersed through the country or not available at all.



면허시험이 개별 학생을 비교하는 것보다는 교육과정을 비교하는데 유용하다는 인식을 제안하며, in-school 평가에서의 GPA비교는 한 나라의 의과대학 졸업생의 퀄리티를 관리하는데는 쓸모없다.

 I would like to suggest the notion that the results of licensing examinations are more useful for comparing curricula than for com-paring the results of individual students, and that comparisons ongrade point averages from in- school assessments only are useless in ensuring and controlling the quality of medical graduates in a country.







 2007 Nov;41(11):1022-3.

The need for national licensing examinations.

[PubMed - indexed for MEDLINE]




유럽의사면허시험 또는 국가의사면허시험에 대한 다섯 가지 신화(Med Teach, 2009)

Five myths and the case against a European or national licensing examination

RONALD M. HARDEN

University of Dundee, UK






유럽의사면허시험은 매혹적인 것이지만, 부작용은 충분히 논의되지 않았다.

The case for a European or national examination is a seductive one,


What have not been discussed sufficiently, however, are the associated disadvantages or side effects –





신화 1: 유럽의사시험 혹은 의사국가시험은 의료행위에 있어서 중요한 영역을 평가하게 해줄 것이다.

Myth 1: A European or national examination will ensure that the candidate is assessed in important areas of medical practice



아니다! 중앙화된 시험은 가장 중요한 학습성과 대신 국가 혹은 유럽 수준에서 쉽게 평가가능한 것을 강조할 것이다. 시험의 초점은 written exam에 맞춰질 것이고, MCQ가 주를 이룰 것이며, 임상술기나 태도보다는 지식을 평가하게 될 것이다. Schuwirth가 주장한 것처럼 '국가시험은 '낮은' 레벨의 스킬에 초점을 두게 되나, 최근의 추세는 프로페셔널리즘, 스칼라십, 과학적 사고 등의 '높은' 수준의 스킬을 강조한다'. 역량평가프로그램으로 이행함에 따라서 우리는 전통적인 형식과 새로운 형식의 평가를 모두 사용해야 하며, psychometric과 edumetric 모두에서 유도derive된 질평가준거를 활용해야 한다. 이러한 조합은 중앙화된 시험에서는 갖추기 어렵다.

No! A centralized examination will emphasize not necessarily the most important learning outcomes but instead those which can be readily assessed at a national or European level. The focus will be on written examinations, often with multiple choice questions, where knowledge rather than clinical skills or attitudes are assessed. As Schuwirth (2007, p. 1023) argued ‘National tests typically focus on ‘‘low’’ level skills, whereas currently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higher order skills and competences, such as ‘‘professionalism’’, ‘‘scholarship’’, the ability to think as a ‘‘scientist’’, etc.’. With the move to competence assessment programmes, we need a combination of different assessment methods including both traditional and new forms of assessment with the criteria used to evaluate their quality derived from both psychometrics and edumetrics (Baartman et al. 2007). This combination is unlikely to be found with a central examination.



문제는, 과거에는 우리가 측정에 대해 논쟁을 할 때 '신뢰도'를 강조했다. 우리는 이제는 'systemic validity'의 개념을 강조하는 데에 이르렀으며, 이것은 교육시스템, 교육과정, 교육변화instructional change에 대한 것이다.

A problem is that in the past we have emphasized in the measurement debate, the concept of reliability. We need now to focus more on Fredericksen and Collins’ (1989) concept of ‘systemic validity’ which they define in terms of inducing in the education system, curricular and instructional changes.


중앙화된 시험은 덜 중요한 학습성과를 평가하게 되면서, 교사의 교육과 학생의 학습 패턴에 영향을 주어 뒤틀리게 한다. soft skill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변화하는 현재의 교육과정은 지식의 recall과 사실의 manipulation을 다루는 시험에서는 축소undercut될 것이다.

A centralized examination, assessing as it does less important learning outcomes, is likely to influence and distort a teacher’s teaching and the students’ study patterns. Current moves to increase the emphasis in the curriculum on ‘soft skills’ such as the ability to generate fresh and original ideas, to work in teams, and to be empathetic are undercut when assessment regimes largely test the recall and manipulation of facts (Cole 2007).



신화 2: 유럽의사시험 혹은 의사국가시험은 평가행위assessment practice의 향상을 가져올 것이다.

Myth 2: A European or national examination is likely to encourage change and lead to improvements in assessment practice


아니다! 현재의 근거를 보면, 중앙화된 시험이 있는 시스템에서는 평가의 혁신은 저해된다.

No! The evidence is that where there is a system of centralized examinations, innovation in assessment is hindered.


NBME는 아마도 중앙화된 평가전문가들이 모인 가장 좋은 예시일 것이며, 전 세계적으로 평가행위의 발전에 기여해왔고, 그 분야의 이해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그 조직의 우선순위상 필요한 것을 감안하면, 그러한 조직은 평가practice의 최신의 지식을 활용하거나 그 분야의 새로운 이니셔티브를 가져오는 것에는 적합하지 않다. Peter Scoles는 NBME가 미국에서 Gateway Examination의 지위를 갖게 되면서, USMLE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6~10년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의과대학의 졸업시험으로 OSCE가 처음 도입된 것은 30년 전이었지만, 다수의 의과대학에서 이미 그것을 도입한지 수 년이 지나서야 중앙화된 시험에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The NMBE is probably the best example of a central team of assessment experts and it has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internation- ally to advances in the practice of assessment and to our understanding of the field. Because, by necessity its priorities have to be different, however, such a body is not well placed to work at the cutting edge of assessment practice and to lead new initiatives in the field. Peter Scoles highlighted, at a session on the NBME position on the Gateway Examination in the USA, that 6–10 years was required to change the process for the USMLE. It was 30 years after the objective structured examination (OSCE) was first introduced in the final examina- tion at the medical school in Dundee (Harden et al. 1975) and many years after it was introduced by a number of other schools that it was adopted as an approach to be used in a centrally organized examination.



중앙화된 시험에 대해서는 근본적인 우려가 있는데, 그 특성상 평가에 대한 낡은outmoded 관점을 가질 수 밖에 없고, 학생들로 하여금 평가란 교육과정이나 교육 프로그램에서 분리되어 어느 한 시점에서 가장 잘 이뤄질 수 있는 것이라는 오해를 가지게 만든다는 것이다. Schuwirth가 '역량의 관점에서, 이러한 시험(한 차례로 끝나는 시험)은 평가와 교육의 misalignment를 가져온다'

There is a fundamental concern about a central examina- tion and its impact on progress with assessment practice. A central examination by its very nature perpetuates an outmoded view of assessment and encourages the misconcep- tion that students are best evaluated at one point in time and that assessment is something separate from the curriculum and the teaching programme. As Schuwirth (2007, p. 1022) put it ‘in terms of competences, this (single-shot assessment) constitutes a misalignment between assessment and educa- tion’.



미래를 볼 때 Schuwirth and Van der Vleuten 는 '평가는 교육 프로세스의 결과에 대한 외부적 측정이 아니라, 교육 프로세스의 핵심적 부분으로 인식될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들은 또한 '평가는 psychometric measurement problem으로만 인식되지 않을 것이며, 그보다는 교육설계의 문제educational design problem로 인식될 것이다'라고 했다. 이는 평가의 목적은 단순히 한 지원자가 기준을 충족시켰는지를 보는 것이 아니라, 한 지원자의 역량에 대한 정보를 교육과 교육과정을 개개인의 요구에 따라 tailor하는데 사용되게끔 하는 것으로 봐야 함을 시사한다. 그리고 이것은 평가가 교육과정에 통합될 때 (교육이 끝날 때 single-shot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할 것이다.

Looking to the future, Schuwirth and Van der Vleuten (2006, p. 18) suggest that ‘Assessment will be less viewed as an external measurement of the results of the educational process but more as an integral part of the process’. They argue that ‘Assessment is no longer seen exclusively as a psychometric measurement problem, but more as an educational design problem. This implies that the purpose of assessment is not merely to determine whether a candidate is up to standard, but more how the information about the candidate’s competence can best be used to tailor the teaching or the courses to individual needs’. This is most likely to be achieved when assessment is integrated into the curriculum and not a single- shot end of course in national or international test.




신화 3: 스탠다드와 국제화의 시대에, 유럽의사시험 혹은 의사국가시험은 uniformity를 향상시킴으로서 우리의 요구를 충족시킬 것이다.

Myth 3: In an age of standards and globalization, a European or national examination will meet our needs by encouraging uniformity


아니다! 의심할 여지 없이, 모든 학교에 해당되는 핵심 역량이 있고, 공통의 평가가 적절한 부분이 있지만, 중요하고 유의한 차이 또한 존재한다.

No! Undoubtedly there are core competencies that are likely to be common to all schools and where a common assessment might be appropriate, but there are also important and significant differences. 



실제로 UK에서는 GMC가 'promoting equality and diversity'를 질관리프로그램의 한 목표로 지정하고 있다. 이 문제는, Darney가 정의한 것으로서, 국제적 donor 국가에 의해서 주도되는 시험의 활용이 인지적 성취를 글로벌하게 강조하는 결과를 낳으면서, 좋은 교육은 무엇인가에 대한 지역의 가치는 무시하는 결과를 낳는 것이다.

Indeed in the UK, the General Medical Council has been ‘promoting equality and diversity’ among the aims of its Quality Assurance Programme. The problem, as defined by Carney (2003), is that the use of tests promoted by international donor nations has resulted in a global emphasis on cognitive achievement without a con- sideration of what local values might define as good education.



신화 4: 의사국가시험은 시스템의 퍼포먼스를 추적할 수 있는 지표이다.

Myth 4: A national examination is of value as an indicator that helps to track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Smith는 ‘tunnel vision, sub-optimization, myopia, measure fixation, gaming, ossification, misinterpretation and misrepresentation’이라는 문제를 언급했다.

Smith (1995) identified a ‘huge number of instances of unintended behavioural consequences of the publication of performance data’ and described problems such as ‘tunnel vision, sub-optimization, myopia, measure fixation, gaming, ossification, misinterpretation and misrepresentation’.


Fitz-Gibbon and Tymms 는 지표가 복잡한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수 있으며, 각 기관이 지표에 초점을 맞추려는 노력에 대한 게이밍이 발생하여 그 시스템이 훼손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Fitz-Gibbon and Tymms (2002) argue that an indicator may not reflect the complexity of the situation and that the system will be undermined as gaming takes hold with the efforts of the institution focussed on the indicator (student performance in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example) at the expense of other issues.


Hecker and Violato의 연구에 따르면, 의사국가시험의 퍼포먼스를 교육과정평가의 지표로 사용할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USMLE 점수에 기반하여 이들은 '의학교육개혁의 변화는 학생의 성취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자신들의 연구에서 종속변수가 면허시험 점수이며, 의사의 여러 중요한 특성인 공감/문제해결/임상추론 등을 평가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인지하고 있었다. 

The study of Hecker and Violato (2007, p. 112) demon- strates the problems that can arise when performance in a national examination is used as an indicator for curriculum evaluation. Based on USMLE scores, they made the sweeping conclusion that ‘changing curricula in medical education reform is not likely to have much impact on improvement in student achievement’. They did recognize, however, that in their study the dependent variables are licensing exam scores, which may not fully access important physician characteristics such as empathy, problem solving, clinical reasoning and so on, that are learning objectives of some medical schools.


표준화시험과 고정된 교육과정의 문제는 가장 중요하게 다뤄져야 할 유형의 교육을 죽인다는 데 있다. 그러나 학생이 고득점으로 시험을 통과하게 도와주려는 선생의 노력을 누가 비난할 수 있겠는가? 학생들이 표준화 시험에서 잘 하도록 가르치려는 유혹은 그러한 시험이 전체 학교 시스템을 평가하는 자료로 사용될 때 거의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This problem with standardized tests was highlighted in ‘Engines for Education’ (Engines for Education 2008). ‘The problem with standardized tests and the fixed curricula they engender is their tendency to kill off the kind of education that matters most. But who can blame a teacher or school for orienting the lesson towards helping students pass those tests with high marks? The temptation to teach students to do well on standardized tests is almost unavoidable when performance on such tests is how entire school systems are evaluated.’




신화 5: 유럽의사시험 혹은 의사국가시험은 더 안전한 의료행위를 하게 해서 공공을 보호할 것이다.

Myth 5: A European or national examination will lead to safer medical practice and protect the public from substandard practitioners



아니다! 중앙화된 시험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서 수준미달의 의사를 양성한다는 근거는 없다. 또한 그러한 시험을 도입한다고 향상이 있다는 근거 또한 없다. 의사국가시험이 없는 UK의 의과대학 졸업생이 진료역량 측면에서 의사국가시험이 있는 미국의 의사보다 열등하다는 근거는 없다.

No! There is no evidence that the absence of a centralized examination leads to the graduation of substandard doctors (Noble 2008) nor that the introduction of such an examination will lead to an improvement in the practice of medicine. There is no evidence that the graduate of a UK school where there is no national examination is in some way inferior in terms of their competence to practice medicine than the graduate of an American school who has passed the relevant national examinations.


Papadakis 는 진료중인 의사에 대해 medical board가 시행하는 displinary action이 (의사면국가시험에서 측정된 퍼포먼스보다) 비전문직업적 행위와 더 강력한 연관이 있음을 보여준 바 있다. 

Papadakis et al. (2005) found that disciplinary action taken against practicing doctors by medical boards in the USA was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records of unprofessional behaviour in medical school, than with their performance as measured by a national examination.



결론

Conclusions


전체적인 이득에 대한 근거가 없음을 고려하면, 왜 상당한 양의 자원이 유럽의사시험 혹은 의사국가시험에 투입되어야 하는가를 물어야 할 것이다. 이는 연속체에 따라 구분해볼 수 있다.

Given the lack of evidence as to the overall benefits, one has to ask whether the significant resources required to implement a European or national examination might be used in other ways to improve the assessment practice. This can be considered as a continuum with stages in the continuum: 



(1) Assessment procedures in the medical school are completely independent with no external standards


(2) The school’s assessment procedures are subject to external inspection and approval in line with specified standards (such as those offered by the WFME).


 (3) Examinations in a school are monitored by external examiners including student pass/fail decisions (the current practice in the UK, with the process quality assured by the General Medical Council). 


(4) Assessment instruments and some questions are shared between schools and common questions are intro- duced in examinations. 


(5) Students are required to take and pass both an internal school examination and an external European or national examination.


(6) Only a single European or national examination is taken by the student.




Noble ISG. 2008. Are national qualifying examinations a fair way to rank medical students? No. Br Med J 337:1a279.



 2009 Mar;31(3):217-20.

Five myths and the case against a European or national licensing examination.

Author information

  • 1University of Dundee, UK. r.m.harden@dundee.ac.uk

Abstract

The introduction of a European licensing examination or national examinations, where these do not already exist, offers significant advantages. These are more than offset, however, by the disadvantages and the collateral damage incurred. Five myths about centralizing examinations are explored. Myth 1: The claim that a central examination will ensure that candidates are assessed in important areas of medical practice is unfounded. What tends to be assessed are learning outcomes that can be easily assessed. These are often not the important outcomes related to the overall competence of a doctor. Myth 2: It is claimed that a central examination will lead to improvements in assessment practice. The evidence is that this is not the case and that, in fact, a central examination stifles change and inhibits innovation. Myth 3: A central examination, it is suggested, will meet a need for greater uniformity. There is also an important need to recognize diversity. Myth 4: Central examinations are seen as an indicator that will track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The limitations of the data, however, are usually not recognized and there maybe unfortunate and unintended consequences if the results are used in this way. Myth 5: Finally, a major argument proposed for a Europeanor national examination is that it will lead to safer medical practice and that this will protect the patient from substandard practitioners. There is, in fact, no evidence to support this argument. There is a need for further work and new initiatives on standards and quality improvement in assessment approaches. This can be achieved in a number of ways including monitoring the assessment process and sharing tools and assessment approaches between schools.

PMID:
 
19811119

[PubMed - indexed for MEDLINE]

질적 연구에서의 현상학적 글쓰기의 전략과 방법의 탐구* (교육문화연구, 2014)

정 상 원(경북대학교)**ㆍ김 영 천***(진주교육대학교)








Ⅰ. 서론


간호학, 교육학, 사회학,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현상학 적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하여 다양한 연구 결과물을 쏟아내고 있다. 이러한 현 상학적 질적 연구는 인간의 체험(lived experience)의 본질적인(essential) 의미 구 조를 규명하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철학으로서의 현상학에 그 기반을 두고 있 다(van Manen, 1990: 15-19; 2011, 2014: 88-112; moustakas, 1994: 25-42; Creswell, 2007: 92; 김영천, 2014: 90). 철학으로서의 현상학은 Husserl이 인간경험의 본질을 탐구하기 위해 정초한 방법론인데 이후 Husserl Heidegger, 등을 거치면서 발전되었고, 질적 연구로서의 현상학적 탐구는 Merleau-Ponty Giorgi, van Kaam, Collaizzi, van Manen과 같은 질적 연구자들에 의해 질적 연 구의 한 전통으로 자리를 잡았다(Polkinghorne, 이남인, 1983: 66-74; 2004: 3-18; 2014: 23-60; 이근호, 2001: 189-191).


이러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에 대해 많은 학자들과 연구자들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현상학적 질적 연구에 대한 철학적 논의와 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연구 결과물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Denzin & Lincoln (1994), Creswell (2007) 등의 학자들은 문화기술지, 근거이론 등과 함께 질적 연구의 대표적인 전통으로 현상학적 질적 연구를 소개하고 있으며, van Manen(1990, 2011, 2014), Moustakas (1994), Crotty (1996), Giorgi (2009)와 같은 학자들은 심리학, 교육학, 간호학 등의 분야에서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론과 절차 등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를 통해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체계를 좀 더 세밀하게 정 립시켰다. 이러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에 대한 관심은 최근에도 지속되고 있어 van Manen (2014), Vagle (2014) 등의 학자들이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방법론 과 절차에 대해 논의한 바 있으며, 이와 더불어 현상학적 질적 연구를 기반으 로한 많은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Taylor, 2013; Ginsberg & Sinnacore, 2013; Prendergast & Chan Hak, 2013; Hermann, 2013; Ofonedu & Percy & Harris-britt & Belcher, 2013).


우리나라에서도 최근까지 현상학적 질적 연구를 기반으로 한 많은 연구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발표되고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의 연구자들이 가지고 있는 현 상학적 질적 연구에 대한 관심이 영미권의 그것과 다르지 않음을 보여준다. 신 경림(2004), 고미영(2012), 김영천(2014)은 질적 연구방법의 대표적인 연구 전통 으로 현상학적 질적 연구를 소개하며 이에 대해 개괄적으로 논의한 바 있으며, 이남인(2014)은 현상학적 질적 연구를 현상학의 한 갈래인 ‘응용 현상학’으로 보고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다양한 철학적 기반에 대해 논의 한 바 있다.


현상학적 질적 연구에 대 한 단일한 논의는 이남인(2014)의 논의 정도가 전부라고 말해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연구자들이 가진 현상학적 질적 연구에 대한 높은 관심에 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논의가 영미권의 그것에 비해 매우 부족한 것도 현실이 다.


국내 연구자들에 의해 논의된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글쓰기에 대한 탐구는 김영천(2013)의 논의 정도만을 살펴볼 수 있을 뿐인데, 이러한 글쓰기에 대한 이론적 논의의 부재는 현상학적 글쓰기를 현상학적 연구의 핵심적 과정으로 보는 관점에서 살펴보면 대단히 모순적인 상황이라 할 수 있다. van Manen (1990: 149-175; 1997, 2002b, 2006, 2011, 2014: 240-296)은 현상학적 글쓰기에 대해 크게 세 가지 측 면에서 논의한 바 있는데 그것을 종합하여 정리하면 크게 ‘현상학적 탐구 그 자체로서 현상학적 글쓰기’, ‘현상학적 글쓰기의 어려움’, ‘배려를 이끌어 내기 위한 글쓰기’로 주제화 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주제들을 살펴봐도 현상학적 질 적 연구에 있어서 글쓰기의 중요성을 짐작해 볼 수 있으며 이런 이론적 논의의 빈약함은 필연적으로 질적으로 우수하지 못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 결과물의 양 산으로 이어질 개연성이 매우 높다.


현상학적 질적 연구를 방법론으로 표 방하지만 글쓰기에 있어서의 실패로 인해 현상학적 민감성을 달성하지 못하고 상대적으로 빈약한 연구결과물을 산출해버리고 마는 연구결과물들을 많이 볼 수 있다. 현상에 대한 단순한 정보의 나열 수준에 그쳐 버리는 경우나 지나친 인지적 접근을 추구하여 연구 결과로서의 현상의 의미가 독자에게 전달되지 못 하는 경우가 그것이다. 이러한 글쓰기는 현상에 대한 의미를 전달하여 독자의 공감을 이끌어야 하는 현상학적 글쓰기의 의미에 부합하지 않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두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 여 접근하고자 한다. 첫째는 ‘현상학적 글쓰기는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이 며 둘째는 ‘성공적인 현상학적 글쓰기를 수행하기 위해서 유념해야 할 전략들 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이다. 이러한 연구문제들에 대한 탐구를 통해 연구자 들로 하여금 현상학적 글쓰기에 대한 접근을 좀 더 용이하게 하는데 참고가 될 수 있는 글쓰기와 표현의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현상학적 글쓰기는 방법론에 있어 여타의 다른 질적 연구 전통들과 차이를 보인다. 이와 관련하여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글쓰기를 ‘현상학적 글쓰기’로 구 별할 수 있는데, ‘현상학적 글쓰기’는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결과물로서 현상학 적 텍스트를 현상학적 민감성이 뚜렷이 드러나게 구성하여 독자에게 호소하는 (vocative) 글쓰기라 할 수 있겠다(김영천, 2013: 290). 이러한 현상학적 글쓰기 는 현상학적 질적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데 우선 van Manen (1990, 1997, 2006, 2011, 2014)의 논의를 중심으로 현상학적 글쓰기에 대해 살 펴보자.


먼저, 현상학적 글쓰기란 탐구의 과정과 분리되어 생각되어질 수 없는 탐구 그 자체이다(van Manen, 2011). 현상학적 탐구의 핵심적인 부분(heart)은 바로 글쓰기이며 연구자는 탐구의 결과를 기술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을 통해 그 현 상의 의미를 발견한다. 이는 Ely (2007)의 논의와도 유사하다 하겠는데, 그의 논의에 따르면 우리가 글을 쓰는 목적은 우리의 생각을 알기 위함이요, 배우기 위함이요, 우리를 발견하는 과정 자체이다(Ely, 2007: 716). 결론적으로 현상학 적 탐구에 있어 글쓰기는 발견한 의미의 기술이 아니라 의미의 발견을 위한 과이라 할 수 있고 따라서 현상학적 질적 연구는 글쓰기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둘째로, 현상학적 글쓰기의 어려움에 대한 부분이다. van Manen (2006, 2011) 은 우리의 기술은 그 현상 자체가 아니라고 논의한다. 그에 따르면 우리가 그 현상에 대해 기술하는 순간 그 현상 자체는 사라져 버리고 오직 그것의 재현 (representation)만이 남아있을 뿐이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에 대한 재현이 그 현 상을 대신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그러한 현상에 대해 기술한다는 것 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가 현상을 드러낼 수 있는 방법 또한 글쓰 기 밖에 없기 때문에 최대한 현상의 의미에 대해 기술하기 위해 노력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셋째로, 현상학적 글쓰기는 독자로 하여금 그 현상에 대한 배려를 이끌어내야 한다는 측면이다(van Manen, 1990; 27-28). 현상학적 글쓰기는 단순한 정보의 전달이 아니다. 현상에 대한 기술을 통해 독자들에게 의미를 전달해야하고 독자 를 흔들어야 하고 독자의 끄덕임을 이끌어 내야 한다. 그리고 그것을 통해 그 현상에 대한 배려를 이끌어 내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좀 더 호소적인(vocative) 텍스트를 구성하여야 필요가 있다. 이러한 호소적인 텍스트는 인지적 접근과 비인지적 접근이 함께 할 때 이루어 질 수 있다(van Manen, 1997; 345-350).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이러한 현상학적 글쓰기를 이룩할 수 있는가? 위에 서 살펴본 van Manen의 논의는 현상학적 글쓰기의 본질적 의미에 다가가는 시 사점을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귀중히 다루어야 할 논의임에는 분명하지만 무언 가 구체적으로 접근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Ⅲ. 연구방법


이 연구는 현상학적 글쓰기와 관련된 글쓰기 전략을 도출하고 또한 그것을 확인할 수 있는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결과물들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 다. 그렇기 때문에 먼저, 현상학적 글쓰기와 질적 연구 글쓰기에 대한 폭 넓은 논의들을 전체적으로 살피며 관련된 전략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분야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결과물을 살펴보고 이 속에서 이러한 전략을 확인할 수 있는 글쓰기의 예들을 찾고 이러한 예들의 어떤 측면이 이러한 전략과 부합하 는지 살펴보았다.


1. 현상학적 글쓰기와 관련된 시사점 추출을 위한 분석


현상학적 글쓰기에 대한 논의를 활발하게 하고 있는 대표적인 학자는 van Manen이다. 그는 서적 혹은 논문을 통해 글쓰기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발표한 바 있다(van Manen, 1990, 1997, 2002b, 2006, 2011, 2014). 이 연구에서 는 그의 저서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1990)’, ‘Phenomenology of 그리고 그가 발표한 논문 Practice (2014)’, ‘Writing Qualitatively, or the Demands of Writing (2006).’, ‘From Meaning to Method(1997)’을 중심으로 하 여 온라인 사이트 ‘Phenomenologyonline(2011)’에 게재된 그의 논의를 함께 살 펴보았다. 이와 함께, 다른 질적 연구자들의 글쓰기 방법에 대한 논의를 함께 살펴보았다. Nicol의 ‘Creating vocative text (2008)’에 드러나는 현상학적 텍스 트를 더욱 호소적으로 만들기 위한 전략들을 살펴보았으며, ‘Qualitative Inquiry (2007)’에서의 Creswell의 논의와 ‘For and Research Design the lack of a boilerplate: tips on writing up (and reviewing) qualitative research. (2009)’를 통 해 살펴본 Pratt의 논의를 통해 현상학적 텍스트 속에서의 표와 그림의 효과에 대한 시사점을 얻었다. 또한, 김영천의 ‘소설적 글쓰기’와 Humphrey & Watson 의 ‘Ethnographic Practice: From Writing-Up Ethnographic Research To Writing Ethnography. (2009)’에서의 논의를 통해 현상학적 텍스트 속의 ‘일화’의 가능성 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다.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A Practical Guide (2006)’에서의 Chamaz의 논의와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1990)’에서 의 Strauss & Corbin의 논의를 통해서는 현상학적 주제들을 연결하는 도구로서 의 ‘축코딩’의 가능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으며, 독자와 텍스트와의 관계성에 대한 시사점을 ‘Writing Up Qualitative Research. (2005)’에 나타나는 Drisko의 논의와 ‘Writing Strategies: Researching Diverse Audiences. (1990)’에 서의 Richardson의 논의를 통해 얻을 수 있었다. 특히, Richardson의 논의에서는 질적 연구 결과물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은유법과 제유법의 가치에 대한 시사점 을 얻을 수 있었는데, 이는 ‘Writing A Good Read: Strategies for Re-Presenting Qualitative Data. (1998)’에 드러나는 Sandelowski의 논의와도 일맥상통하는 것 이었다. Goodall의 ‘Writing Qualitative Inquiry. (2008)’의 논의를 살펴봄으로서, 전체를 구성하는 틀의 중요성과 성찰의 가치, 문학적 장치로서의 은유법의 가치 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으며, Holliday의 ‘Doing and Writing Qualitative Research. (2002)’에 나타난 논의를 통해서는 질적 글쓰기에서의 인칭대명사의 사용이 가지는 효과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다.


2. 현상학적 글쓰기 전략이 잘 드러난 연구 결과물 분석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현상학적 글쓰기의 시사점을 추출한 후 이러한 전략 들이 잘 드러난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글쓰기 예들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예들 은 학술지 논문과 출판물을 중심으로 추출하였는데, 이들 예시와 함께 이들에서 어떠한 전략이 구체적으로 적용되고 있는지도 분석하였다.


Ⅳ. 현상학적 글쓰기 전략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현상학적 글쓰기를 실현하기 위해 여기서는 좀 더


전략적 접근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아울러 이러한 전략적 접근에 대해 단순한 논의에 그치기보다는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여러 연구결과물들을 살피며 그 적 용의 실제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1. 데이터를 살펴 체험(lived experience)의 의미를 최대한 추출하여 매력적인 문장으로 개념화 시켜라


현상학적 글쓰기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자료 안에 내재되어있는 체험의 의 미를 규명하고 이를 ‘문장’이나 ‘절’로 문장화 하여야 한다.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주요한 목적은 체험의 본질적 구조를 밝혀내는 것 이다.(van Manen, 1990: 24-29; 2011, 2014: 26; moustakas, 1994: 100; Creswell, 2007: 91) 이를 위해서는 먼저 그 체험(lived experience)안에 내재하는 본질적 의미를 규명해내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본질(essence)이란 그 어떤 ‘대 상들을 바로 그러그러한 의미를 지닌 대상들로 존재할 수 있게 해주는 어떤 것’이며 현상학적 질적 연구에서는 이러한 본질적 의미들을 문장 혹은 절의 형 태로 기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물론 이러한 본질적 의미들은 단순한 문장으로 요약될 수 없고 오직 풍부한 기술을 통하여 그 진정한 의미를 밝혀 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문장화된 주제 진술은 현상학적 텍스트의 기술에 있어서 ‘고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체험에 대한 의미의 기술을 좀 더 용이 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van Manen, 1990: 108-127). 즉, 현상학적 체험속의 의 미를 드러내는 문장화된 주제진술은 체험 속에 뒤엉켜 있는 주제들을 규명하고 이를 개념화함으로서 체험의 의미를 기술하는 작업을 훨씬 더 수월하게 만들어 줄 수 있는 것이다.


<표 1> 환자의 죽음을 경험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체험의 본질적 의미들 (Camargo, 2011)



위에서 살펴본 이런 주제의 개념화는 자료에 대한 분석과 코딩을 통해 이루 어질 수 있다. 현상학적 분석은 과정은 Giorgi, van Kaam, Colaizzi 등의 학자들 에 의해 제시된바 있다(Cotty, 1996: 29-31). 또한 Moustakas (1994: 120-122)는 이런 분석방법을 변형시켜 조금 더 구체화된 분석절차를 제시하기도 하였으며, Wertz (2011)는 이러한 방법을 적용하여 실제로 현상학적 분석이 어떻게 이루 어지는지 보여주었다. 김영천(2013)은 이러한 논의를 종합하여 현상학적 분석 절차를 제시한바 있다.


위의 학자들의 논의를 종합해 보면, 우리는 텍스트 속에 담겨있는 개념들을 추출하는 과정을 ‘➀ 반복적으로 읽기 ➁ 성찰하기 ➂ 의미있는 구절 찾기 ➃ 의미 단위로 묶기 ➄ 개념 추출하기 ➅ 문장화하기’ 의 순환적 과정으로 단순 화 해 볼 수 있다. 현상학적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은 이러한 과정 속에서 자료에 대한 읽기와 성찰을 통해 그 체험 속에 담겨 있는 주제들을 파악 하고 이를 문장화해야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주제의 도출하는 것과 관련하여 van Manen (1990: 127-132)은 좀 더 구체적인 전략을 제안하고 있는데 ‘전체론적 방법 혹은 경구 적 방법’, ‘선택법 혹은 집중 조명법’, ‘세분법 혹은 추행법’이 그것이다.

  • 전체 론적 방법 혹은 경구적 방법’은 자료를 전체적으로 살펴보고 의미를 드러낼 수 있는 문장을 기술하는 것이고,

  • ‘선택법 혹은 집중 조명법’은 자료 중 의미를 드 러내는 몇 개의 구절에 집중하여 그것을 주제화 하는 것이다. 또

  • ‘세분법 혹은 추행법’은 자료안의 문장들을 하나하나 살피며 그것 각각에 대해 주제문을 만 드는 것이다.


주제를 도출하기 위한 위와 같은 van Manen의 전략 이외에 Saldaňa (2009)의 ‘현장부호화(In vivo coding)’ 전략을 살펴봄직하다. 현장부화화란 현장에서 연구 참여자들의 목소리와 표현에 무게를 두는 코딩방법으로 연구 참여자들이 실제 로 사용한 표현을 사용하여 코딩을 하는 것이다(Saldaňa, 2009: 118-123). ‘현장 부호화’ 전략은 연구 참여자의 목소리를 그 주제로 드러냄으로서 좀 더 그 의 미를 매력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매력적인 주제와 관련하여 van Manen (1990)은 현상학적 글쓰기에 있어서 주제문이 갖추어야 할 조건도 제시하고 있 는데, 그는 현상학적 텍스트의 주제문은 좀 더 ‘현상학적 민감성이 돋보여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van Manen, 1990: 132). 이는 체험의 현상을 드러내는 주 제문들이 단순하고 피상적인 진술이기보다는 현상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 게 도와주면서 독자의 흥미를 불러일으킬 만큼 매력적인 문장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매력적인 주제문’들은 앞에서 제시한 예들과 같이 단순 한 단어나 구, 혹은 문장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평서문 이외에 의문문, 혹 은 구어체의 문장 같은 것들이 될 수 있겠다.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표 2> Winning(2011)이 도출한 주제들



2. 추출된 주제들 사이의 관계를 밝혀 이를 포괄하는 중심주 제로서의 체험을 구성하라.


현상학 글쓰기를 위해서는 분석을 통해 도출된 주제들을 연결하여 이들이 연 결되어 있는 중심주제로서 체험의 구조를 구성해야 하여야 한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목적은 체험의 본질적 의미 구조를 밝히는 것이 다(van Manen, 1990: 111; 2011; moustakas, 1994: 100; Creswell, 2007: 96). Keen (1975: Moustakas, 1994: 78에서 재인용) 은 본질적 구조에 대해 ‘일상의 체험 속에 내재되어 있는 질서(order)이며 오직 성찰을 통해서만 획득되어 질 수 있는 것’이라 언급했으며 Creswell (2007: 96-97)은 모든 경험이 ‘근원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연구자는 이러한 ‘본질을 제시하는 혼합적 기술’을 제시 하여야 한다고 언급했다. 그렇기 때문에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결과로서 텍스트 도 그 체험을 구성하는 의미 구조를 밝히는 것이어야 한다. 이 때 말하는 의미 구조란 체험 내에 존재하는 의미들이 서로 관계를 가지며 구성되는 체계이지 순한 의미의 나열이 아니다. 서로 관계 맺거나 조직되지 못하는 파편적인 의미 들의 집합체는 우리에게 어떠한 의미를 전달하지 못하고 단순히 그것을 피상적 으로 전달할 뿐이다. 체험의 의미에 대한 깊은 이해를 이끌고자 하는 연구자는 추출된 주제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의미구조를 조직해야 한다. 그리고 바로 그 의미구조가 현상학적 질적 연구에서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Goodall (2008: 30-38)의 논의에서도 그 시사점을 찾을 수 있는데 그는 질적 연구의 결과를 기 술함에 있어서 전체의 이야기를 구성하는 틀(frame)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그렇다면 우리 연구자들은 이러한 의미구조를 밝히기 위해 어떠한 전략을 구 사할 수 있는가? 여기서는 의미구조를 밝히기 위한 도구로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의 ‘축코딩(axial coding)’의 적용을 논해보고자 한다. ‘축코딩’은 Strauss (1990)이 제안한 코딩(coding) 기법으로 ‘코딩 패러다임(coding & Cobin paradigm)'에 따라 범주들을 조직함으로서 범주들을 연결하여 전체적인 구조를 형성하는 도구이다. 하지만 현상학적 질적 연구는 ‘환원(reduction)’, ‘괄호치기 (bracketing)’, ‘에포케(epoche)’와 같이 ‘선개념’ 혹은 ‘선이해’와 같은 종류의 선 지식에 대한 거리두기를 그 철학적 방법론적 기반으로 한다. 그렇기에 ‘코딩 패 러다임’과 같은 ‘선개념’에 맞추어 주제들 간의 관계를 밝히거나 조직하는 것은 결국 van Manen (2011)이 언급한 모든 정형화된 방법에 대한 판단을 유보하는 ‘방법론적 환원(Methodological reduction)’에 배치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렇 기에 현상학적 주제들의 관계를 밝히는 데는 Strauss & Cobin의 ‘축코딩’보다는 Chamaz (2006)의 ‘축코딩’이 더 합당하다고 할 수 있다. 전자의 것과 비교해 후자는 ‘코딩 패러다임’ 같은 특정한 조직의 틀을 상정하지 않고 범주와 범주간 의 관계를 밝히려 한다는 점에서 현상학적 질적 연구에 더 합당한 도구라 할 수 있겠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범주간의 관계를 밝혀 체험의 의미구조를 도출하였다면 이제는 이러한 의미구조를 어떻게 하면 좀 더 의미 있게 독자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해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당연한 말이겠지만 연구결과의 기 술은 연구자를 위한 것이 아니라 그것을 읽는 독자를 위한 것이다. 이처럼 범 주들 간의 관계에 기반을 두어 전체적인 의미구조를 파악하였다면 텍스트를 기 술할 때도 이러한 의미구조가 잘 드러나게 기술해야 할 필요가 있다.


현상학적 텍스트에서 주제들 간의 관계를 드러내어 전체적인 의미의 구조를 독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은 주제의 배열 순서이다. 이 는 구체적으로, 유사한 주제들을 나란히 배치하거나, 주제들의 인과적 관계나 시간적 관계를 고려하여 이에 맞게 배열함으로서 주제들 간의 관계를 독자들에 게 전달하는 것이다. 예를 살펴보자.


Winning (2011)이 제시하고 있는 주제들은 전반적으로 시간적 관계에 따라 배열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3> Winning (2011)의 물음들이 관심 가지는 사실들의 시간성


두 번째로 생각해 볼 수 있는 전략은 이러한 체험의 구조를 보여줄 수 있는 표나 그림(figures)을 사용하는 것이다. Pratt (2009: 860)은 구조화된 그림이 연구자가 발견한 연구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도와준다고 논의 한 바 있으며 Creswell (2007: 260)은 질적 연구 결과물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표나 도표가 효 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표 4> 본질적인 진술로 부터의 주제들


Allane & Dixon (2009)은 노인 여성의 우울증에 대한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로서 다음과 같은 주제들을 의미구조에 따라 배 열하였다.


[그림 1] 노령 여성 우울증 환자들의 체험의 의미구조도



3. 일화(Anecdote)의 형태로 자료를 재구성하여 제시하라.


현상학적 글쓰기에서는 수집되고 분석된 자료들을 그대로 제시하기보다는 일 화의 형태로 재구성하여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화(anecdote)는 사건(특히 전기형식의)에 대한 짧은 설명으로, van Manen (1990: 153-162)은 이러한 ‘일 화’가 체험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일화는 학 자들이 설명해주지 못하는 ‘삶과 이론적 명제’와의 연관을 밝히는 것이며 ‘가르 침이나 주장’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이며 ‘지혜’, ‘통찰', ‘진리’ 등을 제시하는 것이며 ‘사례로 남을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서의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논의 하였다. 이러한 일화적인 이야기의 사용은 독자의 ‘의지적인 관 심’을 끌어내고 ‘사고’하게 하고 ‘감동이나 심적 변화’를 일으킨다.


이러한 일화를 제시전략은 Humphreys & Watson (2009)의 논의와 김영천 (2013)의 논의에서도 그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 Humphreys & Watson (2009)은 문화기술지의 글쓰기 형식에 대해 크게 ‘평범한 문화기술지(Plain ethnography)’, ‘강화된 문화기술지(Enhanced ethnography)’, ‘반소설화된 문화기 술지(Semi-fictionalized ‘소설화된 문화기술지(Fictionalized ethnography)’, ethnography)’로 제시하고 있는데, 이 중 ‘소설화된 문화기술지’와 일화 구성을 통한 자료제시가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이야기를 구성한다는 측면에서 유사하 다고 할 수 있으며, 김영천(2013)은 질적 연구의 글쓰기 중 한 장르로서 ‘소설 적 글쓰기’를 논의한 바 있다. 이러한 글쓰기들이 연구자가 연구를 통해 발견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그것을 설명하기보다는 그러한 의미가 내재되어 있는 이야기를 구성하여 구체적으로 의미를 전달한다는 측면에서 ‘일화’를 통한 의미 의 전달과 유사하다 할 수 있다.


하지만 ‘일화’는 이러한 글쓰기와 차이점도 가지는데 그것은 ‘일화’가 전적으 로 저자의 구성에서 비롯되지 않는다는 것에 있다. ‘일화’의 출처는 어디까지나 자료(인터뷰, 문서 등)에 드러나는 이야기이고 저자는 그것을 재구성하여 하나의 ‘일화’를 조직한다. 연구자들은 자료의 수집과정에서 여러 가지 데이터를 수 집하게 된다. 이러한 데이터 중에는 체험의 의미를 극명히 전달해 주는 연구 참여자의 사례도 포함된다. 이때 이들 사례를 제시함에 있어 인터뷰 내용을 그 대로 전달하는 것보다 이를 일화의 형태로 재구성하여 하나의 내러티브로서 일 화를 제시하는 것이 독자들의 직관적인 통찰을 불러일으키는 데 있어서 더욱더 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일화(anecdote)는 비네트(vignette)와 구별되는데, Ely (2007: 732-734)에 따르면 비네트는 ‘연구자가 발견한 주요 단 면을 포착한 간략한 묘사’라는 측면에서 일화와의 차이점을 논의 하였다.


‘일화’가 현상학적 텍스트에서 이러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연구자는 ‘일화’를 구성하고자 할 때,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일화’가 텍스트 내에서 그것의 진정한 역할을 하지 못할 경우, 오히려 독자들을 혼란에 빠뜨리거나 체험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이끌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van Manen(2014)은 이러한 일화가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 다음과 같은 기준을 제시 하고 있다.


<표 6> 일화가 갖추어야 할 요건(van Manen, 2014: 252)


그렇다면 이러한 일화를 구성하기 위한 전략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 수 있 는가? 이와 관련하여 van Manen은 일화를 구성하기 위한 전략도 함께 소개하 고 있다. 그는 좋은 일화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자료로부터 제시할 일화를 결정하고 그것이 나타내는 주제가 무엇인지 해석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 고 있다. 그 후, 그것을 핵심적인 내용만이 드러날 수 있게 축소, 삭제하는 과 정을 통해 편집(재구성)함으로서 좋은 일화를 구성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다음


<표 7> 좋은 일화를 구성하기 위한 전략(van Manen, 2014: 254)


하지만 위의 표에 나타난 논의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일화는 연구자가 그것 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왜곡되거나 과장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 해서는 일화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연구자가 주의해야 할 점들이 있는데 이와 관련해서도 van Manen은 연구자가 유념해야 할 가이드라인으로 아래와 같은 논의를 제시하고 있다.


<표 8> 좋은 일화를 위한 가이드라인(van Manen, 2014: 256)




4. 구체적인(concrete) 묘사를 통해 독자들이 현상과 자신의 관련성을 느끼게 하라.


현상학적 글쓰기는 구체적인 묘사를 통해 독자들에게 의미를 전달해야 하여 야 한다. van Manen(1997)은 우리가 연구하게 되는 현상은 ‘생활세계 안에 구체적으로 존재’하고 있고 따라서 독자는 그것을 ‘경험적으로 알’ 수 있다고 하 였다. 그에 따르면 현상학적 텍스트는 독자의 공감을 불러일으키기 위해서는 독 자로 하여금 자신이 바로 거기에 있는 것과 같이 느끼게 하여 자신의 생활세계 와 텍스트 속의 생활세계를 관통할 수 있게(lived throughness)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독자로 하여금 텍스트에 등장하는 구체적인 예와 독자의 인 생에 있어 특별한 부분과의 관계를 발견할 수 있게 도와 주어야 한다(van Manen, 1997: 351-353). 이러한 현상학적 텍스트의 ‘구체적임(concreteness)’에 대해 Nicol (2008: 318)은 ‘현상학적 텍스트에서 구체적임(concreteness)이란 명 확하고 특정한 묘사를 사용하여 일상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분명하게, 그리고 독 자들이 읽고 있는 것을 밀접하게 느끼도록 돕는 것’이라 하였다. 결국, 현상학 적 텍스트에 있어서 구체적임이란 독자들이 텍스트 속에 기술된 내용(의미, 상 황 등)을 좀 더 쉽고 구체적으로 떠올려볼 수 있게 하여 그것에 좀 더 쉽게 다 가갈 수 있게 만드는 요소라 할 수 있겠다.


그렇다면 이러한 구체적임은 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까? Nicol (2008: 318)은 구체적임을 확보하는 방법으로 따옴표를 사용하여 연구 참여자의 언어를 그대 로 전달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텍스트의 예를 살펴보자.


숙련된􀀁 병실􀀁 간호사인􀀁 Irene은􀀁 일을􀀁 하는􀀁 동안􀀁 그녀가􀀁 얼마나􀀁 많이􀀁 이동하는지에􀀁 대해􀀁

이야기􀀁 하였다.􀀁 “그때쯤,􀀁 당신은􀀁 병실의􀀁 한쪽으로􀀁 내려가야􀀁 해요,􀀁 모든􀀁 사람들의􀀁 소변을􀀁 비

워내고,􀀁 소변을􀀁 볼􀀁 수􀀁 없는􀀁 환자들의􀀁 기저귀와􀀁 패드,􀀁 침대보를􀀁 갈고....환자􀀁 모두를􀀁 씻기

고....저녁식사를􀀁 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거나􀀁 직접􀀁 먹여주고....의학적􀀁 처치를􀀁 하고...응급상

황을􀀁 다루고...대소변을􀀁 받고,􀀁 씻기고,􀀁 자세를􀀁 바꿔주고􀀁 ...􀀁 그리고􀀁 또􀀁 하고􀀁 또􀀁 하고,􀀁 정말􀀁

다른􀀁 걸􀀁 할􀀁 시간이􀀁 없어요.􀀁 환자들에게􀀁 큰􀀁 의미를􀀁 주는􀀁 그런􀀁 것들,􀀁 그들의􀀁 이야기에􀀁 관심

을􀀁 보여주면서􀀁 침대􀀁 한켠을􀀁 정리하거나􀀁 그들의􀀁 머리를􀀁 감기고􀀁 빗겨주는􀀁 것,􀀁 그들을􀀁 위해􀀁

전화하는􀀁 것,􀀁 아니면􀀁 그냥􀀁 들어주는􀀁 것􀀁 같은...그런􀀁 일들은􀀁 못해요.􀀁 일단􀀁 응급상황이􀀁 발생

하거나􀀁 누군가가􀀁 숨을􀀁 못􀀁 쉬는􀀁 상황이􀀁 생기면􀀁 당신은􀀁 그런􀀁 것들에게서􀀁 멀리􀀁 떨어지죠.􀀁 당

신은􀀁 ‘좋아,􀀁 무얼􀀁 해야􀀁 하고􀀁 무얼􀀁 뒤에􀀁 하지.’하고􀀁 결정해야􀀁 하죠.􀀁 하지만􀀁 하루􀀁 동안􀀁 해야􀀁

할􀀁 일을􀀁 다􀀁 하면,􀀁 때때로􀀁 스텝들이􀀁 좀􀀁 많이􀀁 있는􀀁 날도􀀁 있거든요.􀀁 나는􀀁 누가􀀁 진짜로􀀁 관심이􀀁

필요한데􀀁 그렇지􀀁 못했는지􀀁 기억해요.􀀁 그리고􀀁 그들을􀀁 위해􀀁 간호􀀁 이상의􀀁 것을􀀁 하기􀀁 위해􀀁 노

력하지요.”(Cameron,􀀁 2002)


5. 성찰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독자들이 ‘깨달음 (epiphany)’에 이르도록 하라.


현상학적 텍스트에는 연구자의 성찰의 과정이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제시되어 야 하며 이를 통해 독자들을 깨달음(epiphany)에 이를 수 있게 도울 수 있는 것 이어야 한다. van Manen (1997: 364-368)은 현상학적 글쓰기의 전략으로 독자 의 ‘깨달음’을 불러일으키는 글쓰기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러한 깨달음은 어떤 ‘살아있는 의미에 대한 순간적인 이해 혹은 직관적인 포착’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에 따르면 깨달음은 최종적인 텍스트 기능으로 독자들을 그들이 읽은 것에 대해 느낌이 남도록 하는 것이다. Nicol (2008: 323)


텍스트가 가져야 할 요소로서 ‘깨달음’의 중요성을 논하고 있으며 이러 한 깨달음이 ‘텍스트의 전반에 걸쳐서’ 이루어 져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비단 현상학적 텍스트뿐만 아니라 여타의 질적 텍스트에서도 이러한 텍스트 내에 나 타나는 성찰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Holliday, 2002; Goodall, 2008). 이 러한 논의들은 결국 독자의 깨달음을 위한 논의라 할 수 있겠다. 현상학적 질 적 연구자는 글쓰기를 통해 독자가 체험에 대해 성찰하고 깨달을 수 있도록 도 와야 한다. 그러한 깨달음이 있어야만 독자의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방법을 통해 독자의 깨달음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까? 이에 대한 힌트를 우리는 Goodall (2008: 38-42)의 논의에서 얻을 수 있다. Goodall은 독자의 성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글쓰기 속에 연구자의 성찰의 과 정을 포함시켜야 한다고 이야기 하고 있는데 이는 연구자의 성찰과정을 통해 독자도 성찰과 깨달음으로 이를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다.


독자는 이러한 연구자의 성찰 과정을 따라 연구자와 같은 성찰에 이를 수도, 혹은 연구자의 성찰에 문제를 제기하며 자신 만의 또 다른 성찰에 이를 수 있다. 중요한 것은 현상학적 텍스트는 독자의 성 찰을 도와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연구자의 성찰의 과정을 독자에게 소상히 전 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연구자의 성찰이 텍스트에서 어떻 게 나타날 수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또한 연구자는 어원에 대한 탐구 과정 속에서 일어나는 성찰을 통해 자신의 성찰과정을 독자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토의하다(discuss)”는􀀁 타동사이고􀀁 “대화하다(converse)”는􀀁 자동사이다.􀀁 우리는􀀁 “주제에􀀁

대해􀀁 토론하기(discussing􀀁 an􀀁 issue)”라고􀀁 말하지􀀁 “주제에􀀁 대해􀀁 대화하기(converse􀀁 an􀀁

issue)”라고􀀁 말하지􀀁 않는다.􀀁 …􀀁 (중략)􀀁 …􀀁 라틴어􀀁 “discutere”는􀀁 “거칠게􀀁 흔들다,􀀁 분쇄하다,􀀁

박살내다,􀀁 흩어버리다,􀀁 흐트러트리다.”를􀀁 의미한다.􀀁 우리는􀀁 이러한􀀁 때림,􀀁 타격함,􀀁 질타함과􀀁

같은􀀁 거친􀀁 의미를􀀁 “충격을􀀁 주다(concussion)”나􀀁 “타악기(percussion)”같은􀀁 단어에서􀀁 확인

할􀀁 수􀀁 있다.􀀁 두􀀁 주체가􀀁 하나의􀀁 토픽이나􀀁 대상에􀀁 대해􀀁 토론을􀀁 할􀀁 때􀀁 그􀀁 대상은􀀁 요동치고,􀀁

충돌하고􀀁 공격당한다.􀀁 그리고􀀁 때때로􀀁 그들이􀀁 논쟁하고􀀁 열성적으로􀀁 반대할􀀁 그􀀁 주체􀀁 자신이􀀁

그􀀁 대상과􀀁 같은􀀁 방식으로􀀁 취급되기도􀀁 한다.􀀁 사실상􀀁 이러한􀀁 이유􀀁 때문에􀀁 우리가􀀁 “격렬한􀀁 논

쟁”이라고􀀁 부를지도􀀁 모른다.􀀁 유사하게􀀁 “토론하기”􀀁 라는􀀁 말􀀁 역시􀀁 어원적으로􀀁 “싸움,􀀁 전투”와􀀁

“치다,􀀁 때리다”􀀁 같은􀀁 의미를􀀁 암시한다.􀀁 “토의”와􀀁 “토론”􀀁 둘􀀁 다􀀁 강요,􀀁 갈등,􀀁 대립􀀁 그리고􀀁 대

결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하지만􀀁 “대화(conversation)”는􀀁 이런􀀁 강제적인􀀁 행동이라는􀀁 어원적􀀁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다.􀀁 대화(conversation)는􀀁 “누구와􀀁 관련􀀁 맺다”와􀀁 “돌아보다,􀀁 머물다,􀀁 살다”의􀀁 의미를􀀁 가

진􀀁 라틴어􀀁 “conversari”에서􀀁 그􀀁 어원적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대화(conversation)”라는􀀁

단어는􀀁 함께함,􀀁 접촉함과􀀁 관련된􀀁 감각을􀀁 불러일으키는􀀁 것처럼􀀁 보인다.􀀁 접두사􀀁 “con”은􀀁 그

것과􀀁 관련된􀀁 “집중하다(con-verge,􀀁 한곳을􀀁 향하게􀀁 하다)”,􀀁 “접촉하다(contact,􀀁 매우􀀁 가깝게􀀁

붙어있다)”,􀀁 그리고􀀁 “소집하다(con-vence,􀀁 모이다)”와􀀁 같은􀀁 단어들처럼􀀁 가까이􀀁 모여􀀁 있는􀀁

감각을􀀁 연상시킨다.􀀁 이러한􀀁 함께함의􀀁 의미가􀀁 대화(conversation)의􀀁 어원적인􀀁 의미의􀀁 바탕인􀀁 것처럼􀀁 보인다.􀀁 좋은􀀁 대화는􀀁 대화가􀀁 공유된􀀁 세상􀀁 속에서􀀁 함께􀀁 하는􀀁 삶의􀀁 감각이나􀀁 공간

을􀀁 창조한다는􀀁 측면에서􀀁 토론과􀀁 다르다.(Li,􀀁 2002)



6. 강조의 기법을 사용하여 의미를 강화하라.


현상학적 글쓰기에서는 강조의 기법을 사용하여 체험 속에 담겨있는 의미를 강조하여야 하며 이를 통해 독자의 공감을 불러일으켜야 한다.(van Manen, 1997: 355-359) 그리고 이러한 강조를 통해 독자는 그 체험의 의미에 인지적으 로 좀 더 깊이 자극받을 수 있는 것이다. van Manen (1997: 355-356)은 이러한 의미를 강조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현상학적 텍스트의 기법이 문학적, 시적 글쓰 기를 차용할 필요가 있음을 언급하고 있으며 또한 Nicol (2008: 320-322)은 단 어의 배치나 은유법 등을 사용해서 텍스트 안에 드러나는 의미를 강화해야 할 필요성을 논의하고 있다. 이러한 논의는 결론적으로 현상학적 텍스트를 구성할 때는 그 체험의 의미를 독자들에게 더욱 강력하게 전달하기 위해 시적, 수사적 도구를 사용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현상학적 텍스트에서 의미를 강조할 수 있는 수사적 기법으로 가장 대표적인 것은 은유(metaphor)를 사용하는 것이다(Nicol, 2007: 320). 은유법은 질적 연구 텍스트에 사용될 수 있는 시적 수사법으로 많은 학자들이 강조해 오고 있다 (Richardson, 1990; Sandelowski, 1998; Goodall, 2008). 특히, Richardson (1990: 11-15)은 ‘은유법’과 ‘제유법’이 사회과학적 글쓰기에 있어서 ‘사고를 구체화’하 고 ‘핵심적인 주장을 설득력과 신뢰성’있게 만들고, ‘다른 사람이 쉽게 인식하 도록’ 하기 위한 문학적 수사적 장치라고 논의 하였으며, 특히 ‘은유법’에 대해 서는 사회과학적 글쓰기의 기둥이라 칭하며 강조하였다.


마치􀀁 온라인􀀁 추적􀀁 도구􀀁 같은􀀁 파놉티콘(원형감옥)은􀀁 관찰의􀀁 경험을􀀁 바꾸는􀀁 기술이다.􀀁 교

사가􀀁 교실,􀀁 복도,􀀁 학생􀀁 식당에서􀀁 학생의􀀁 대화를􀀁 􀀁 ‘엿듣기’􀀁 할􀀁 때,􀀁 교사와􀀁 학생은􀀁 상호의􀀁 존

재를􀀁 알고􀀁 있다.􀀁 교사가􀀁 온라인􀀁 상태에서􀀁 학생들에게􀀁 완전히􀀁 보이지􀀁 않고,􀀁 알아챌􀀁 수􀀁 없는􀀁

상태에서􀀁 ‘들여다보는􀀁 것’􀀁 혹은􀀁 ‘엿듣는􀀁 것’과는􀀁 아주􀀁 다르다.􀀁 이러한􀀁 방식의􀀁 파놉티콘에􀀁 대

한􀀁 비유는􀀁 온라인상에서의􀀁 학생􀀁 관찰􀀁 경험을􀀁 이야기한다.􀀁 물론􀀁 파놉티콘􀀁 비유의􀀁 결정적인􀀁

약점은􀀁 온라인상에서􀀁 학생들이􀀁 작업을􀀁 할􀀁 때는􀀁 ‘완벽하게􀀁 관찰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반면에,􀀁 컴퓨터실에서􀀁 사용되었던􀀁 교실관리􀀁 소프트웨어는􀀁 놀랍게도􀀁 파놉티콘􀀁 비유와􀀁 매우􀀁

유사하다.􀀁 (Boger,􀀁 2011)


자판기􀀁 동전도􀀁 넣지􀀁 않고􀀁 버튼도􀀁 누르지􀀁 않은􀀁 채,􀀁 자판기􀀁 앞에서􀀁 기다리고􀀁 있는􀀁 것은􀀁

바보􀀁 같은􀀁 짓이다.􀀁 한편으로􀀁 필요한􀀁 작업이􀀁 이미􀀁 수행되었다􀀁 하더라도􀀁 결과가􀀁 나오기까지

의􀀁 기다림은􀀁 여전히􀀁 불가피한􀀁 것이다.



7. 생생한(vivid) 언어를 사용하라.


현상학적 텍스트는 생생함(vividness)을 확보하여 독자의 공감을 호소해야 하 여야 한다. van Manen (1997: 353)과 Nicol (2008: 319)은 현상학적 글쓰기란 생생함이 전달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Keen (1975, Polkinghorn, 1989; 72에 서 재인용)은 생생함에 대해 ‘진정성 있는 느낌을 창출하여 독자를 사로잡는 것’이라 언급하였다. 이러한 생생함은 경험을 현실로 이끄는 것이며 독자에게 경험을 현실화하여 현재성과 근접성 확보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독자에게 그 의미를 불러일으킨다(van Manen, 1997: 353-354). 하지만 이러한 생생함을 앞에 서 언급한 구체적임과는 구별해야 할 필요가 있다. Nicol (2008: 319)은 현상학 적 텍스트에서 구체적임과 생생함의 차이에 대해, 구체적임은 현상에 주목하지 만 생동감은 생생하게 즉각적으로 확실한 경험을 초월하여 의미를 확장하는 것 이라 논의 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살펴보면, 구체적임이 현상에 대한 구체적인 묘사를 통해 독자들에게 그 현상에 다가갈 수 있게 돕는 것이라면 생생함은 그 생생한 표현을 통해 독자로 하여금 즉각적으로 그 의미에 다가설 수 있도록 돕 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텍스트에 이러한 확보하는 방법으로는 시각적 이미지, 청각적 이미지, 전체적 인 분위기를 묘사하는 표현 등을 사용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러한 방법을 통해 텍스트의 생생함을 살리고 있는 기술을 살펴보도록 하자.


창백하고􀀁 땀에􀀁 젖은􀀁 얼굴이􀀁 내􀀁 앞에􀀁 있다.􀀁 중환자실에서􀀁 내게􀀁 익숙한􀀁 소리는􀀁 산소􀀁 호흡

기,􀀁 모니터􀀁 그리고􀀁 중환자실에서의􀀁 다른􀀁 행동􀀁 절차에􀀁 따른􀀁 경고음􀀁 같은􀀁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알􀀁 수􀀁 없었다.􀀁 나는􀀁 죽음􀀁 속에􀀁 존재한다고􀀁 느꼈다.􀀁

왜?􀀁 어떻게􀀁 내가􀀁 내􀀁 환자가􀀁 죽었다는􀀁 걸􀀁 알􀀁 수􀀁 있었을까?􀀁 나는􀀁 몰랐지만􀀁 중환자실에서􀀁 예

전에􀀁 겪은􀀁 죽음에􀀁 관한􀀁 경험이􀀁 생생하게􀀁 내􀀁 마음􀀁 속에􀀁 되살아났다.􀀁 그것은􀀁 마치􀀁 중환자실

에서의􀀁 모든􀀁 경험과􀀁 기억이􀀁 다시􀀁 되살아나고􀀁 되살아나서􀀁 새로운􀀁 경험으로􀀁 마주하게􀀁 되었

다.􀀁 (Camargo,􀀁 2011)



8. 독자에게 말을 걸며 대화하는 것과 같은 어조(tone)를 유 지하라.


현상학적 텍스트는 의도한 어조(tone)를 통해 독자와의 관계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상학적 텍스트는 독자의 공감과 배려를 이끌어 내는 글쓰기가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어조는 독자들에게 ‘말을 거는 방법’으로 이를 통해 텍스트의 깊은 의미가 독자에게 영향을 끼치도 록 하여야 한다(van Manen, 1997: 359-364). 현상학적 질적 연구뿐만 아니라 전 체적인 질적 연구의 글쓰기에 있어서도 독자에 대한 고려는 여러 학자들에 의 해 강조되어왔다(Richardson,1990; Drisko, 2005; Shakespear, 2009; Blowers, 2014). 특히, Drisko (2005: 590-591)는 질적 연구가 사회를 변화시키는 효과적 인 도구임을 언급하며 이러한 측면에서 질적 글쓰기에 있어서 독자에 대한 고 려가 꼭 필요함을 논의한바 있다. 그의 이러한 논의는 사회를 변화시키기 위한 도구로서의 질적 연구의 성격을 규명하고 이를 이루기 위해서는 그 텍스트가 독자를 변화시켜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라 하겠다. 왜냐하면 사회의 변화는 개인의 변화에서 시작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그의 논의는 현상학적 텍스트에 대 한 van Manen (1990)의 논의와 일맥상통한다고 하겠다.


van Manen (1997: 359-364)에 따르면 현상학적 텍스트는 어조(tone)를 통해 텍스트가 ‘우리에게 이야기를 걸게’ 하고 ‘설명하게’ 하여 체험의 깊은 의미를 비인지적인 방법으로 독자에게 효과를 미치게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Nicol (2007: 322-323) 또한 현상학적 텍스트에서 말을 거는 듯 한 어조가 글 전체를 통해 드러나야 한다고 논의 하였다.


그렇다면 현상학적 텍스트에 있어 이러한 독자와의 관계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우리는 Blowers (2014)의 제안을 살펴보자. 그는 Arizona 대학 출판사 의 편집자인 Townsand의 논의를 기반으로 하여 ‘대상독자(Target Marshall reader)’를 선정하여 글을 전개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이 방법은 구체 적으로 자신이 이야기를 전개하고자 하는 하나의 독자층을 선정하는 것으로 시 작된다. 그리고 주변인중 그러한 독자층에 해당하는 실제인물을 떠올린다. 그리 고 글을 전개하는 동안 그에게 이야기를 하고 있다고 생각하며 글을 전개하는 것이다.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학생들이􀀁 온라인에􀀁 접속하는􀀁 시간과􀀁 관련된􀀁 정보에􀀁 다가서는􀀁 것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쉬운􀀁 것이다.􀀁 하지만􀀁 이것이􀀁 아주􀀁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한다면,􀀁 교사들이􀀁 이􀀁 통계를􀀁 보

기􀀁 위해􀀁 시간을􀀁 할애할까?􀀁 직접적으로􀀁 교사들에게􀀁 학생들이􀀁 교과서를􀀁 펴놓는􀀁 시간이􀀁 얼마

나􀀁 되는지에􀀁 대한􀀁 통계를􀀁 유지하라고􀀁 하는􀀁 교육적􀀁 시나리오는􀀁 우스운􀀁 일이다.􀀁 하지만,􀀁 온

라인􀀁 세계에서는􀀁 교사가􀀁 학생들이􀀁 전자􀀁 문서를􀀁 그들의􀀁 브라우저에서􀀁 얼마동안􀀁 접속하고􀀁

있는지􀀁 확인하는데􀀁 시간을􀀁 할애한다.􀀁 하지만􀀁 상식적으로􀀁 봐도􀀁 이러한􀀁 정보가􀀁 교육자료􀀁 혹

은􀀁 이것과􀀁 얼마나􀀁 연결되어􀀁 있는지에􀀁 대해􀀁 나타내는􀀁 것은􀀁 매우􀀁 적다는􀀁 것은􀀁 사실이다.􀀁 이􀀁

통계에􀀁 접근할􀀁 수􀀁 있는􀀁 편리함은􀀁 전자적으로􀀁 학생들을􀀁 온라인상에서􀀁 관찰할􀀁 수􀀁 있는􀀁 특별

한􀀁 경험에􀀁 대한􀀁 유혹을􀀁 가지게􀀁 한다.(Boger,􀀁 2011)


Nicol (2008: 322-323)은 이러한 어조(tone)를 드러내기 위한 방법으로 텍스트 를 통해 독자에게 질문을 던지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텍스트를 통해 계속적


으로 질문을 던짐으로 인해 독자는 텍스트를 읽는 것을 넘어서서 텍스트와 지 속적인 대화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다음은 환자를 타인으로 보지 않고 그의 상황에, 어쩌면 그에게 공감하고 있는 모습에 대한 Camargo (2011)의 기술이다.


누가􀀁 다른􀀁 사람의􀀁 문제에􀀁 대한􀀁 일종의􀀁 공감을􀀁 하지􀀁 않을􀀁 수􀀁 있을까?􀀁 이􀀁 순간,􀀁 이􀀁 사람

은􀀁 단지􀀁 깨어나지􀀁 못하고􀀁 침대에􀀁 누워만􀀁 있는􀀁 사람이􀀁 아니다.-그는􀀁 내􀀁 아버지􀀁 같았다.􀀁 이􀀁

순간􀀁 그의􀀁 상황은􀀁 내􀀁 가족을􀀁 생각하게􀀁 한다.􀀁 나는􀀁 이러한􀀁 점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그의􀀁 상황에􀀁 대한􀀁 나의􀀁 자각은􀀁 그의􀀁 가족에게􀀁 공감하게􀀁 된다.􀀁 (Camargo,􀀁 2011)


Ⅴ. 결론


많은 질적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결과물로서 텍스트를 좀 더 자신의 연구 목적에 맞게 기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상학적 텍스트의 목적은 독자로부 터 체험에 대한 공감의 끄덕임을 이끌어 내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통해 그 러한 체험과 관련된 ‘배려’를 이끌어내어야 한다. 우리는 앞에서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는 현상학적 텍스트를 구성할 수 있는 몇 가지 전략들에 대해 살펴보았 다. 그것을 몇 개의 문장으로 요약한다면 ‘주제를 찾아라.’, ‘주제를 연결하여 라.’, ‘일화를 제시하라.’, ‘성찰을 드러내어라.’, ‘구체적으로 기술하라.’, ‘의미를 강조하라.’, ‘생생함을 살려라.’, ‘독자에게 말을 걸어라.’로 나타낼 수 있겠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기술은 인지적 글쓰기와 정서적 글쓰기가 병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 질적 연구자들은 자신의 연구결과가 과학적인 어떤 것으로 보이게 하기 위해, 혹은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그 결과의 기술에서 지나치게 인지적인 측 면이나 사실적인 측면만을 강조해온 경향이 있다. 물론 현상학적 질적 연구가 과학적이어야 함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지만 그 기술에 있어서는 정서적인 측면 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독자들의 공감과 배려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 는 인지적 측면 못지않게 정서적 측면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둘째, 독자의 공감을 얻어내기 위해 좀 더 다양한 전략을 구현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전략은 문학적 장치에서 그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문학은 과거로 부터 독자들에게 정서적 감동이나 깨달음을 주기 위해 이루어져 왔으며 이것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들을 사용하여 왔다. 현상학적 글쓰기의 목적이 문 학의 그것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으며, 그렇다면 이러한 문학의 수사적 장치 들을 좀 더 과감하게 도입하여 텍스트를 풍부하게 할 필요가 있다.


셋째, 현상학적 글쓰기에 대한 더욱 폭 넓은 논의가 필요하다. 앞서 살펴본 현상학적 글쓰기의 주요한 개념들은 대부분 영미권의 학자들의 논의에서 가져 온 것들이다. 이는 그들의 논의가 훌륭하기에 그렇기도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그 러한 논의가 매우 부족하기에 어쩔 수 없이 그들의 논의를 살펴본 측면도 없지 않다. 우리나라에서 이와 관련된 좀 더 많은 논의가 활성화되면 이것에 대한 우리 연구자들의 이해도 훨씬 수월하게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고미영(2012). 초보자를 위한 질적 연구 방법. 청목출판사.


이남인(2014). 현상학과 질적연구. 응용현상학의 한 지평. 한길사.


















질적 연구에서의 현상학적 글쓰기의 전략과 방법의 탐구

An Inquiry on Writing Techniques for Phenomenological Research
정상원, 김영천식별저자
교육문화연구 제20-3호, 2014.09, 5-42 (38 pages)

초록

국내에서 현상학적 연구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많은 논의들이 있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현상학적 글쓰기에 대한 논의가 현저히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연구 현장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연구 결과로 표현하는데 필요한 글쓰기 아이디어와 방법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우리 모두가 알고 있듯이 질적 글쓰기는 질적 연구에서도 가장 힘든 과정 중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이는 이를 위해 연구자들이 참고할 만한 특별한 단계나 전략이 부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그러한 연구자들이 글쓰기를 시작할 때 적용할 수 있는 여덟 가지의 글쓰기 방법을 규명해 보았다. 이러한 여덟 가지 전략은 구체적으로 ‘주제를 찾아라.", ‘주제를 연결하여라.’, ‘일화를 제시하라.’, ‘성찰을 드러내어라.’, ‘구체적으로 기술하라.’, ‘의미를 강조하라.’, ‘생생함을 살려라.’, ‘독자에게 말을 거는 어조를 유지하라.’ 로 축약될 수 있다.
이러한 글쓰기 방법은 자료의 분석에서 역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그것은 글쓰기가 분석을 통한 결과물과 주제의 발견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Even though there has been much discussion on the meaning and value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in qualtiative research in Korea, there has not been much effort and research on phenomenological writing in specific. Therefore,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in-depth theorization of this research orientation by indentifying the concrete ideas and techniques to transform the phenomenological data collected from the field into the research result.
As we all recognize, the qualitative writing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difficult processes in qualitative research since there are not specific step or strategeties for the researchers to follow. For this reason, we have developed eight techniques for the qualtiative researchers to apply for when they begin to write their field data. Learning these techniques are also meaningful for data analysis because writing is closely related to the anlaytic induction and theme development.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현상학 - 독특성과 보편성 사이의 변증법적 탐구 양식 - (교육인류학연구, 2007)

이 근 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위촉연구원





1. 들어가는 말


현상학이라는 말이 광의의 맥락에서 다양한 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것은 이미 주지 의 사실이다(유혜령, 2005). 그러나 일반적으로 그 말이 지칭하는 바를 크게 다음과 같은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 하나는 훗설(Husserl)이래로 다양한 학자들과 사상가들 에 의하여 논의되어 온 특정한 철학 내용 체계로서의 현상학이다.

  • 다른 하나는 그러한 논 의가 가능하게 했던 현상학만의 독특한 관점과 태도 혹은 그러한 관점과 태도를 바탕으로 하는 탐구 방식으로서의 현상학이다.

애초에 훗설이 ‘철학을 하는 새롭고 급진적인 방식’으 로 현상학을 제안하고 있는 데서 드러나듯이, 현상학은 지금까지의 현상학적 논의를 관통 하는 개념, 이론, 대표적인 사상가들에게 친숙해지고 달통하는 일만을 지향하는 것은 아니 다. 오히려 현상학의 독특한 관점과 안목으로 인간과 세계에 대한 실천적 탐구의 과정에 직접 동참하는 일을 그 의미의 한 축으로 포함한다.


그러나 여기서 언급한 현상학의 두 가지 함의가 항상 균형 잡힌 채로 추구되어 오지는 못한 것 같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의 관심은 대표적인 사상가들과 그들의 아이디어를 주석 하고 전유하는 데 머물러 있지, 실제로 그것을 자신의 탐구 방식으로 활용하는 일에는 소 극적이다. 그리고 그것이 불러 온 현상학에 대한 오해, 즉 “지극히 난해하다.”, “실제적이지 못하고 공허하다.” 등의 세간의 평가는 현상학이 표피적인 관심을 넘어 실제로 사람들의 생각과 행위를 인도할 급진적 학문으로서 기능하지 못해왔음을 반증한다.


현상학이 대중화되지 못하고 ‘그들만의 세계’를 구축해왔던 것은 현상학자들 자신의 과 실이 가장 크다. 즉, 스스로의 관심사를 기존 개념의 구명이나 논쟁의 해결에만 집중해왔 지, 현상학이 갖는 탐구 방법으로서의 성격이나 그 과정을 명확히 하려는 노력을 도외시해 왔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우리는 훗설, 하이데거, 메를로퐁티 등과 같은 천재들을 경외하지 만, 도대체 그와 같은 천재들이 어떤 생각의 과정을 거쳐서, 어떤 탐구 경로를 거쳐서 그 토록 획기적인 아이디어와 조우하게 되었는지를 잘 알지 못한다. 현상학이 담고 있는 급진 성은 멀리서 감탄만 하는 일로는 충분히 구현될 수 없다. 현상학자들 자신이 자신들의 탐 구 방식을 분명히 하고, 그것들을 공유하고, 보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들의 탐구에 동참하 도록 이끌어 줄 수 있을 때 비로소 그 길이 열리는 것이다.


다행스러운 것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공유하는 일단의 학자들이 이미 등장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흔히 현상학 영역 내에서 ‘실천 현상학(phenomenology of practice)’이라 불리 는 지향을 가진 사람들로서, 그들의 일차적 관심은 현상학의 방법론적 측면을 규명하고 확 립함으로써 보다 많은 사람들이 ‘직접 참여하고 수행하는 것’으로서의 현상학 정립에 있다. 특기할만한 것은 그들 중 대부분이 흔히 실천적 영역이라 불리는 교육학, 임상 심리학, 의 학, 간호학, 특수교육학 등의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며, 현상학이 질적 연구의 이념적 토대 로서 뿐만 아니라 실제로 하나의 탐구 양식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는 점이다.


2. 실천 현상학의 요구와 논리


실천 현상학의 주창자들, 예컨대 교육학 분야의 반 매넌(van Manen), 심리학 분야의 지 오르지(Giorgi)와 무스타카스(Moustakas), 간호학 분야의 벤너(Benner) 등은 모두 소위 실제 적 분야라고 불리는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람들이다. 그들은 정통 철학자로서 자처하기 보다는 그들이 종사하는 실제적 영역에 대한 개화된 이해, 진전된 실천을 추구한다. 즉, 현상 학의 관점과 태도를 구체적인 방법론으로 변용하는 일에 관심을 가지며, 자신들의 실제를 접 근하고 이해하기 위한 탐구 양식으로 현상학을 바라본다. 이 장에서는 실천 현상학이 어떤 필요에 의해 제기되었으며, 어떤 기본적인 논리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살펴보도록 한다.


2.1. 현상학의 의미와 특징


2.1.1. 현상학 개관


급진적 철학이라는 수식어가 결코 무색하지 않을 정도로 현상학은 철학사적, 이념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전통철학으로부터 현대철학으로의 전환을 이루는 직접 적인 계기가 되었으며, 음으로든 혹은 양으로든 오늘날의 대부분의 철학적 관점들이 성립 하고 발전하는 데 현상학이 상당한 영향을 끼쳐왔기 때문이다. 그런 만큼 현상학에 대한 관심이 지대할 수밖에 없는 것도 또한 사실이며, 실제로 현상학은 다양한 학자와 유파를 통해서 인간과 그들의 삶에 대한 중요한 통찰들을 축적해왔다. 때로 그러한 통찰들을 공유 하고, 이해하는 일은 적어도 인문학도나 사회학도들에게는 필수적인 것처럼 간주되기도 한 다. 그러나 현상학은 비단 학문적, 이론적 영역에서의 관심뿐만 아니라 실제적 영역에 종 사하는 많은 사람들로부터 특별한 주목의 대상이 되어 오기도 했다. 현상학은 앎과 삶에 대한 획기적인 인식의 전환을 요청하며, 그것은 이론과 실제 사이의 불일치 혹은 괴리라는 오래된 문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우선 현상학은 인간이 의식(consciousness)을 가진 존재라는 사실에 주목한다. 의식은 우리가 무엇에 관해 말하고 지적하고 이해하기 위해서 반드시 전제되어야 하는 것이며, 사 물은 오직 의식을 통해서만 그 진면모를 우리에게 드러낸다. 의식은 인간이 그를 둘러싸고 있는 세계에 대해서 앎을 형성하는 유일한 통로이며, 만일 의식의 관여가 없다면 결국 그 것은 그 개인의 체험 세계와 무관한 것이 된다. 체험의 세계에 그 자신을 드러내는 모든 것들은 이미 그것을 체험하는 사람의 의식의 일부로 들어와 있을 때에만 그 면모를 드러 낸다. 그러나 의식은 또한 항상 무엇인가로 이행중(transitive)에 있다. 의식적이라는 것은 지금 이 순간 우리가 세계의 ‘어떤 특정한’ 측면에 대해서 인식하고 있다는 뜻이며, 그런 맥락에서 현상학은 그렇게 드러나는 것으로서의 인간들의 세계를 탐색하는 데 직접적인 관심을 기울인다.


그러나 또 한 가지 명심해야 할 것은, 의식은 그 자체로서 직접적으로 기술되는 일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van Manen, 1997). 마찬가지로 의식, 혹은 체험을 하는 주체를 빼놓 는다면, 세계 역시 직접적으로 기술되는 일이 불가능하다. 이를 현상학에서는 지향성 (intentionality)의 개념으로 설명한다. 즉, 의식의 근원적인 구조는 지향성을 가진 것으로 파악된다는 뜻이다. 지향성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드러낸다. 우리가 하는 모든 사고는 항 상 무엇인가에 관한 것이다. 우리가 하는 모든 행위는 결국 무엇인가를 하는 것이다. 그렇 게 본다면 모든 인간 활동은 항상 지향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의식 혹은 인식과 관련한 주체와 대상 사이의 불가분의 관련을 드러낸다. 이는 인식의 주체와 대상을 분리하 고, 인간과 세계를 나누며, 이론과 실천을 가르는 전통적인 사고에 획기적인 변화를 요청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앎의 주체와 대상의 상호관련성을 강조하는 지향성 개념은 현상학이 인간의 체험과 의 미에 대해서 특별히 주목하게 된 계기를 설명해준다. 전통 철학에서 해석되듯이 앎의 근원 이 어느 한 극단에 위치해 있는 것이 아니라 앎의 주체와 대상 사이의 상호 작용, 구성 작 용에서 비롯되는 것이라면, 세계에 대한 우리의 앎은 결코 자연과학에서 상정하듯이 고정 적이거나 객관적인 형태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체험이라는 개념은 모든 종류의 개념화, 범주화, 대상화 이전에 전반성적으로 주어지는 원초적이고도 즉각적인 세계 경험을 지칭하 는 것이며(이근호, 2006), 오직 체험을 통해서 우리는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의 양상을 확 인할 수 있게 된다. 동시에 체험이 담고 있는 의미는 비단 앎의 문제로서만 아니라 우리 삶의 지표이자 추동력으로 작용한다. 그래서 반 매넌(1997, p. 36)은 체험이야말로 현상학 적 탐구의 시작점이자 종결점이다.”라고 주장한다.


체험 혹은 그것이 담고 있는 의미에 대한 강조는 생활세계(lifeworld)라는 현상학의 독 특한 개념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생활세계란 실제로 우리가 살고 있는 일상적인 삶 의 세계를 일컫는다. 우리가 가진 모든 지식이나 앎의 터전인 동시에 우리의 체험이 성립 하는 유일한 곳이기도 하다. 그러나 우리의 체험이 성립하는 곳으로서의 생활세계는 전반 성적(pre-reflective)인 특성을 갖는다. 여기서 전반성적이라고 하는 것은 우리가 그것에 관 하여 생각하고 언어로 표현하기 이전에 이미 그것이 ‘주어져’ 있음을 뜻한다. 그래서 생활 세계는 종종 ‘즉각적인 경험의 세계(the world of immediate experience)’, ‘이미 거기에 있 는(already there)’, ‘미리 주어진(pregiven)’, ‘자연적이고 원형적인 태도(natural, primordial attitude)’ 속에서 경험되는 본래적이고 자연스런 삶의 세계로 표현되기도 한다(Husserl; van Manen, 1997, p. 182에서 재인용).


한편 생활 세계가 전반성적으로 주어져 있고 일상적이고 자연적인 태도 속에 삶이 영 위되는 곳이라는 말은 생활세계가 포함하고 있는 진실이 때로 무시되거나 소홀히 취급될 가능성을 내포한다. 일상적이라는 말에서 잘 드러나듯이, 생활세계는 우리의 특별한 관심 과 주목의 대상이 되기보다는 그저 주어진 것으로서 또는 루틴(routine)으로서 살아내는 세계이기도 하다. 아무런 의미도 발견할 수 없고, 깊이 생각할 것도 없이, 당연하게 어제처럼 오늘을 살아내는 세계이다. 그러나 현상학은 그 당연한 세계를 되짚어보고, 다시 생각해보 자고 주장한다. 우리가 묻어 버리는 삶의 진실과 의미가 사실상 앞으로의 우리 삶의 소중 한 자원이자 원천이라고 파악한다.


모든 체험은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체험이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해서 그 의미가 항상 우리에게 명확하게 드러나는 것은 아니다. 생활세계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일 반적인 태도가 관성적 혹은 무비판적, 전반성적이라는 점을 지적했거니와 그러한 삶 속에 서는 어떠한 의미도 개입될 여지가 없다. 의미는 체험하는 순간에, 단순히 체험하고 있다 는 사실만으로 성립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적극적으로 그것을 찾고 드러내기 위한 특별 한 노력을 요청한다. 현상학은 환원(reduction)이라는 특별한 활동을 통해서 체험이 담고 있는 의미 혹은 의미 구조를 밝혀내려고 시도 한다.


환원은 일상적이고 관습적인 태도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종류의 앎과 이해를 더 이상 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그러한 이해 자체에 대해 심각하게 검토해보고 반성해 보 는 일을 뜻한다. 이는 다시 관성적, 전반성적, 무비판적인 삶의 태도를 잠시 멈추고, 우리가 체험하는 것의 의미에 관해서 심각하게 생각해보고 점검해 보는 태도를 말한다. 환원은 우 리가 인간과 세계에 대하여 일상적으로 갖는 근거 박약한 믿음과 오해와 얄팍한 지식을 괄호쳐내는 일일 뿐만 아니라, 만일 그것이 우리의 순수한 이해를 방해하는 것이라면 심지 어 우리가 가진 가장 정련된 형식의 앎(예컨대, 과학)조차도 회의의 시선을 보내도록 요구 한다. 이와 관련하여 반 매넌(2001b)은 실제로 우리가 검토하고 반성해보기 이전에 주어지 는 “일체의 편견과 선입견을 중지하고, 모든 상정들을 괄호로 묶고, 제반 주장들을 해체하 며, 우리가 관심을 갖는 현상과 경험에 대한 개방적 태도를 회복하는 것”이 곧 환원의 의 미라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그는 환원에 대해서 또 다음과 같이 말한다.


현상학적 환원은 지금까지 우리를 지배해 온 다양한 전통, 상정, 언어 그리고 인 식들을 소박하게 제거하거나 중지시키는 일 뿐만 아니라 우리의 일상적 체험의 실제 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제로 그것들과 직접적으로 맞닥뜨리는 일로 이루어진다(van Manen, 2001a, p. 3).


즉, 현상학은 환원이라는 아이디어를 단순히 일체의 편견, 상정, 선입견을 제거하고 소 멸하는 일이라고 받아들이기 보다는, 연구 현상에 관하여 우리가 지니고 있던 기존의 생각 이나 가설, 이론적 틀이 과연 무엇이었던가를 끊임없이 고민해보고 드러내는 일이라고 파 악한다.


요컨대, 현상학은 인간과 세계 사이의 역동적인 관련성을 바탕으로 우리 자신의 세계 경험, 즉 체험의 의미와 구조를 밝히고 드러내는 일을 표적으로 한다. 그러한 일은 저절로 이루어진다기보다 아주 특별한 종류의 노력을 통해서 획득되며, 그 과정을 인도하는 것이 바로 반성적 사고, 즉 환원이라는 아이디어가 된다. 이제 절을 바꾸어, 그와 같은 특징을 갖는 현상학이 어떠한 의미에서 현장의 실천가들에게 특별한 관심과 주목의 대상이 되어 왔는가를 살펴보도록 하자.

 


 

2.1.2. 현상학에서의 이론과 실제


아리스토텔레스가 삶의 형식을 이론적인 것과 실제적인 것으로 개념화한 이래로, 실제 의 문제는 이론의 세계에 비해서 열등한 것, 보조적인 것, 혹은 이론적 탐구의 결과를 적 용하는 곳으로서의 부차적인 지위를 차지해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17, 18세기 자연과학 의 비약적인 성취에 힘입어서 학문(이론)의 세계가 재편되고 우리 삶의 양상이(실제가) 급 격하게 변화되고 난 뒤에도, 이론과 실천의 불균형적인 관계는 개선되기는커녕 오히려 그 간극이 점점 더 넓어져 왔다. 자연과학이 기반하고 있는 객관성과 일반화에 대한 신념은 국지적이고 예외적이며 부단히 변화하는 실제의 문제를 정상이 아닌 변태(anomaly)로서, 그래서 장차 해소되고 정리되어야할 심각한 문제로서 간주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의 세계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그러한 변태와 문제들이 바로 그들의 생활세계이며, 그들의 앎과 삶이 구성되고, 의미가 구축되는 공간이라는 점도 분명하다. 현 상학이 그들에게 주는 교훈은 아무리 불규칙하고 예외적이라 하더라도 결국 그들의 생활 세계를 떠나서는 어떠한 앎도, 삶도 의미 있는 것일 수 없다는 점이다. ‘현상 자체로’라는 현상학의 오래된 표어야말로 바로 이점을 극명하게 드러내는 경구라고 말할 수 있다.


아닌 게 아니라, 그간 전통적인 연구의 대상은 우리가 실제로 먹고, 마시고, 분노하고, 사랑하고 부대끼는 것으로서의 삶의 세계가 아니라 이론적 세계에 고착되어 왔다. 예컨대, 전통적인 연구 체제에서의 연구 관행을 살펴보자. 의례히 상당한 정도의 선행 연구들, 기 존의 이론들이 조사되고(문헌연구, survey), 그러한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문제를 형 성하고, 구체적 변인들을 설정하며, 연구 설계와 가설이 마련된다. 이미 연구문제 형성을 포함한 연구 과정의 대부분이 우리의 실제적 관심을 반영하거나 혹은 우리가 일상에서 당 면하는 삶의 문제들로부터 벗어나 있다(보통은 기존에 연구되지 않은 변인들이 무엇인가에 의하여 연구문제가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관행은 기존의 이론 체계에 대한 맹 목적인 추종을 불러오기도 한다. 기존의 이론적 틀 속에 함몰 되어서 삶의 현실을 외면하 고, 삶의 실제적 과정을 무시하고, 삶의 실천 양상을 도외시하는 경우도 생긴다. 혹은 공허 한 이론적 논의 속에 갇혀서 기존의 논리를 벗어나는 어떠한 것도 반 지식의, 반 진리의 멍에를 씌워 배척하는 태도로 일관하기도 한다.


반면에 현상학은 우리의 시선이 우리 자신과 우리의 삶으로부터 벗어나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물론 모든 종류의 이론화 작업은 필연적으로 삶으로부터 한 걸음 비켜나는 일을 포함한다. 그러나 현상학은 이렇게 잠시 비켜서는 일을 통해서 얻어진 이해를 다시금 삶으로 환원시켜 가는 과정을 통해서 연구와 삶의 연속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기존의 이론 에 함몰되고 고착되는 것이 아니라 항상 실제적 삶의 세계를 바탕으로 연구 문제를 형성 하고, 그러한 실제적 관심이 사실상 연구과정을 인도하도록 요구한다. 어떻게 보면 현상학 은 ‘이론’ 자체의 중요성보다는 실제에 대한 끊임없는 ‘이론화 노력’의 필요성을 더욱 강조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2.2. 실천 현상학의 필요성과 논리


하이데거(1994, p. 328)는 “오직 하나의 현상학이란 것은 없다. 만일 그런 것이 있을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결코 어떤 철학적 테크닉을 일컫는 것은 아닐 것이다.”라고 역설 한다. 반면에 메를로퐁티(1962, viii)는 현상학을 특정한 철학 내용들의 체계라기보다는 하 나의 독특한 사고방식이나 스타일을 일컫는 것으로 보아야 함을 지적한다. 전자는 어떤 한 가지 방법이나 형식 속에 현상학을 가두는 일의 불합리성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후자의 경 우는 현상학의 정신이 특정한 내용과 체계 속에 사장되는 일에 대한 우려를 포함하고 있 다.


현상학이 기존의 이론에 대한 맹목적인 추종이 아니라 연구자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실제의 세계에 대한 부단한 탐색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라면, 이는 현상학 이론 자체에 도 예외 없이 적용되어야할 사실이다. 즉, 지금까지의 현상학적 탐색을 통해서 발견된 의 미, 통찰, 이론도 결코 금과옥조나 만고불변의 진리일 수 없다는 당연한 사실을 지적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현상학은 전문적인 현상학자들이 던져주는 탐구의 결과물들을 맹목적 으로 따르고 주석하는 것으로서가 아니라, 실제로 현상학적 관점과 태도를 바탕으로 자신 의 실제와 실천을 살피고 탐구하는 일 역시 중요한 부분으로 포함 하고 있다. 실천현상학 의 당위성은 바로 이 점을 기반으로 해서 성립한다.


이상과 같은 논의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는 실천 현상학의 대강은 다음과 같다. 즉, 실천 현상학은 현상 자체의 의미를 있는 그대로 파악하기 위하여, 그 현상이 우리의 체험 세 계에 그 자신을 드러내는 바대로 탐색하고 기술하려는 기술적(descriptive) 방법론이다. 그 것은 발견 지향적 방법이며 예기치 못했던 의미들의 출현까지도 포용하는 개방적 태도를 연구자에게 요구한다(Giorgi, 1997).


실천 현상학은 한 개인이 그의 생활세계에서 직면하는 도덕적, 윤리적, 사회적, 문화적 영향들을 최대한 배제한 채로, 그 현상의 의미를 있는 그대로 드러내고자 노력한다. 현상 학은 새로운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보다는 체험 속에 이미 함축되어 있는 의 미들을 전유하고 해석하는 일을 표적으로 한다(Burch, 1989). 또한 현상학은 그 현상에 관 하여 밝혀진 어떤 새로운 의미를 권위적인 것으로 받아들이도록 강요하는 일을 의도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것은 실제로 사람들이 삶을 영위하는 세계 속에서 가능한 경험의 범위가 어느 정도나 되는지, 어떻게 그것들이 기술될 수 있는지, 더불어서 어떻게 언어가 그러한 경험들을, 그것들이 가지고 있는 풍부한 의미들이 상실되지 않은 채로 타인들에게 소통하 는 능력을 갖고 있는지를 보여주려고 노력한다. 실천 현상학은 체험에 관한 풍부한 기술을 통해서 그 체험 속에 담겨 있는 의미들을 포착하고 드러내고자 하며, 따라서 기본적인 질 문은 다음과 같다. 즉, “이런 종류의 경험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이며, 그것은 또한 내게 어 떻게 체험되는가?”


한편 실천 현상학이 공통적으로 우리가 경험하는 것으로서의 일상 세계를 기술하는 일 에 표적을 두고 있다고 하지만, 서로 다른 차원과 맥락을 강조하는 몇 가지 변형들 또한 존재한다. 예컨대 훗설의 초기 아이디어에 깊이 심취한 사람들은 의식 속에 드러나는 것으 로서의 현상의 본질들을 기술하는 일에 보다 초점을 맞춘다(Giorgi & Giorgi, 2003). 반면 에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지향을 쫓는 사람들은 현상이 포함하고 있는 반성적이고 실존적 인 차원을 드러내는 데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며, 어떤 개인의 자기감(sense of self), 공간 감(felt space), 시간감(felt time), 신체를 통한 감각(felt body), 타인들과의 관계(felt relationship with others) 등을 탐색하는 일에 더욱 치중한다. 전자가 보다 본질주의적 속 성을 띠고 있다면, 후자는 보다 해석학적인 주장을 나타낸다.

 

 


 

3. 실천 현상학의 방법


대부분의 현상학적 방법들의 출발점은 환원을 수행하는 일로부터 비롯된다. 환원은 연 구자가 기존에 가지고 있는 모든 종류의 편견이나 전이해를 일시 중단하거나 괄호로 묶어 내려는 노력이다. 종종 이 과정은 절대적으로 객관적인 자세를 유지하거나 혹은 완전무결 하게 편견을 제거한 상태라고 오해받기도 한다. 그러나 오히려 그것은 연구자가 자신에게 주어진 세계를 끊임없이 다르게(새롭게) 보려는 노력이며, 연구 참여자들의 관점(그들이 실 제로 경험하는 것으로서의 세계)에 보다 적극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는 일을 뜻한다. 연구자 는 스스로 현상과 맞닥뜨려서 발생하는 어떤 종류의 놀라움이나 두려움도 감수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달버그, 드류, 그리고 니스트로 등(Dahlberg et. al., 2001, p. 97)은 이와 관련하여, “개방성은 진정으로 보고, 듣고, 이해하려는 의지의 표상이다. 그것은 그 현상에 대해서 연구자가 갖는 민감성이나 융통성뿐만 아니라 그에 대한 존경과 겸양의 태도마저 도 포함하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환원이라는 아이디어는 연구자의 개방적 태도를 요구할 뿐만 아니라 그가 끊임없이 성적 실천(reflective practice)의 과정에 참여해야함을 역설하고 있다. 일찍부터 실천 현상 학의 영역 내에서는 반성적 실천이 과연 무엇이며 그것은 어떻게 규정될 수 있는 가에 관 한 다양한 논쟁이 있어왔다(Ghaye & Ghaye, 1998; Loughran, 1996; Reiman, 1999; Ussher, 2001). 그러나 그 모든 주장들이 현상학적 탐구의 요체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것들 중 많은 것들이 오직 체험의 기술적 혹은 표피적 측면에만 관심을 기 울일 뿐이다. 이와 관련하여 반 매넌(Griffiths & Tann, 1992에서 재인용)은 반성의 세 가지 수준(각각의 것은 그에 선행하는 것보다 상위 수준임)을 구별한다.


첫 번째 것은 기술적 적용에 관심을 둔다.

두 번째 것은 어떤 행위의 기저에 놓여 있는 가정들, 경쟁하는 교육목표들의 가치 등에 관해서 관심을 기울인다.

세 번째, 그 리고 마지막의 것으로서의 ‘비판적 반성’은 교육 실제의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조건 들과 관련된 도덕적, 윤리적 이슈에 관심을 갖는다(p. 77).


어떤 현상을 성공적으로 탐색하고 조사하기 위해서 관찰자는 처음의 표피적인 기술을 넘어 서야할 필요가 있고, 그 체험의 본질적인 의미를 찾기 위해서 거기에 덧칠해진 온갖 종류의 영향력들(도덕적, 윤리적, 사회적, 문화적)을 한 꺼풀씩, 한 꺼풀씩 벗겨 내야할 필 요가 있다. 다시 말해서 현상학은 반성과 사고의 중요성만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반성과 사고의 대상과 내용이 제한되어서도 안 된다고 파악한다. 생활세계의 일상성을 깨뜨리려는 노력이 반성이요 사고라고 한다면, 관성적 무사고의 또 다른 형태인 독단과 편견과 아집을 해체하고 제거하려는 노력역시 오직 반성과 사고의 개입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독단과 편 견과 아집은 한 개인의 심리적 성향에서만 출발하는 것이 아니다.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기존의 이론에 대한 맹목적인 추종이나 함몰역시 또 다른 형태의 독단과 아집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결국 실천 현상학이 요구하는 것으로서의 반성은 일체의 예외도 허용치 않으 며, 영역과 대상과 내용과 정도가 제한된 반성과 사고가 아니라 우리의 힘이 닿는 범위의 극한까지 밀어붙이는 것이 된다. 결국 반성이란 열심히 생각하고, 검토하고, 되짚어 보는 일에 다름 아니다.

 


 

3.1. 자료수집 방법


다양한 질적 자료 수집 방법들 중에서 어떤 것들은 보다 현상학적 접근에 유용한 것들 이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것은 인터뷰에 있어서 내러티브의 사용, 저널이나 일 지, 참여 관찰, 연구자 자신의 반성 일기 등이다.


실천 현상학자들은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던짐으로써 연구 참여자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기술할 것을 요구한다. “당신의 전형적인 하루 일과를 기술해주 시겠습니까?”, “그 특정한 사건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기술해주시겠습니까?” 이와 같은 방 식으로 대화를 열어가는 것은 보다 일반적이고 추상적인 질문, 예컨대 “당신의 역할은 무 엇입니까?”나 “우울증이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등과 같은 질문을 던지는 것보다 훨씬 더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연구자의 목적은 연구 참여자들의 상황에 스스로를 대입해 보는 것이고, 더 나아가 그 상황 속에 담겨져 있는 실존적 차원들을 밝혀내고 그 의미를 드러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그가 이 하루를 어떻게 경험했을까?”를 묻는 연구자가 있다 면, 그는 아마도 체험된 것으로서의 시간, 공간, 체감, 관계(lived time, lived space, lived body, lived relationship) 등과 같은 것들을 살펴보려고 할 것이다. 즉, “연구 참여자가 했 던 특정한 그 경험은 체험된 것으로서의 공간감이라는 견지에서 비추어보면 어떻게 될까?” “가령 그는 안전하다거나 자유롭다고 느낄까, 혹은 노출되었다고 느낄까, 아니면 좁은 곳에 갇혀 있는 듯한 느낌을 가졌을까?” 체험된 것으로서의 시간의 견지에 비추어 보면, “연구 참여자는 이것을 더디다고 느낄까, 불연속적이라고 느낄까, 혹은 지루하다고 생각하고 있 지 않을까?”


3.2. 자료 분석 및 글쓰기 과정


현상학적 이해는 실존적, 정의적, 상황 의존적, 그리고 체화된 것으로서 드러나며, 따라서 그것은 종종 우리가 가진 인지적 능력이라기보다는실제적, 직관적 능력에 호 소하는 경우가 많다. 강력한 현상학적 텍스트는 고유한 것과 공유된 것 사이의, 특정 한 것과 초월적인 의미 사이의, 그리고 생활 세계의 반성적인 영역과 전반성적인 영 역 사이의 어찌할 수 없는 긴장 속에서 성장한다(van Manen, 1997, p. 345).


이와 같은 긴장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자들은 부분과 전체 사이에, 그리고 경험과 인 식 사이의 놓여 있는 변증법적 관계에 기반 한 반성적 분석의 과정에 참여해야 한다 (Finlay, 2003). 허츠(Hertz, 1997, viii)가 지적하듯이, ‘반성적이라는 것은 삶이 이루어지는 순간에 그 경험과의 대화적 관계를 계속해서 유지하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주체와 대상이 상호간에 영향을 미치고 더불어 서로가 서로를 구축하게 하는 관계성의 측면들과 차원들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글쓰기의 과정은 탐구를 통해서 얻어지는 이해에 깊이를 더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즉, 그 경험이 가진 복잡성이나 모호성을 임의로 해체하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 담겨져 있 는 다원적이고 다층적인 의미들을 드러내는 일을 표적으로 한다. 글쓰기와 관련한 어떤 기 법이 동원되든 간에 실천 현상학의 핵심은 기술되는 체험 세계의 복잡성이나 모호성을 포 착하고 드러내는 일이다. 그래서 때로 현상학적 글쓰기는 시작(詩作)에 비유되기도 한다. 반 매넌(1990, p. 132)은 ‘현상학적 글쓰기란 저자가 존재 자체에 관한 민감한 파악을 끊임 없이 지향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베더(Vedder, 2002)는 어떻게 은유(metaphor)들이 의미 를 창출할 수 있는지 그래서 어떻게 존재를 표현하는 능력을 갖게 되는지에 관해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은유에 있어서 그것은 목하 어떤 경험적 실체를 기술하는 일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존재 속에서 그 이전에는 드러나지 않았던 모종의 것들을 볼 수 있게 해준다는 점이 다 … 시는 영상적 이미지를 생성한다. … 그리고 그러한 이미지는 바로 그 존재이자 그 존재의 표현이 된다(pp. 206-207).


3.3. 현상학적 연구에 대한 평가


현상학적 연구의 질은 독자들로 하여금 연구자의 발견을 통해서 얼마나 자신과 타인들 의 세계에 관해서 새롭고 보다 심화된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가에 달려 있다. 포 킹혼(Polkinghorne, 1983)은 독자들이 현상학적 연구의 힘과 진실성을 평가하는 네 가지 기 준을 제시한다. 그것들은 곧 생생함(vividness), 정확함(accuracy), 풍부함(richness) 그리고 우아함(elegance) 등이다. 독자들의 주의를 끌어당긴다는 의미에서 이 연구는 생생하게 묘 사되고 있는가? 독자들은 자신들의 경험에서 혹은 그 상황을 직접 머릿속에 그려봄으로써 그 현상을 인식할 수 있는가? 이 연구는 독자들에게 충분한 감정적 몰입의 기회를 제공하 고 있는가? 끝으로, 그 현상은 우아하면서도 명료하고 또한 날카롭게 기술되고 있는가?


물론 이와 같은 평가의 기준은 각각의 연구자들이, 저마다 채택하고 있는 인식론적 입 장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제시하고 있다. 예컨대, 많은 질적 연구자들이 자신들의 연구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참여자를 통한 타당성 확보(participant validation)' 방안을 채 택하고 있다. 연구 참여자가 연구자의 기술이나 해석에 동의할 때, 곧 그것이 연구자 자신 의 주장이 타당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강력한 증거가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어떤 사람들은 여기에 대해 찬동하지 않는다. 그들은 연구의 결과나 발견물은 특정한 상황이나 조건에서 나온 것이며, 따라서 또 다른 연구자들에게, 또 다른 연구 상황에서는 전혀 다른 이야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애쉬워드(Ashworth, 1993) 같은 사람은 참여자의 평가를 지 나치게 고려할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그는 참여자들의 관심이 오직 그들의 ‘사회적으로 드러나는 자기상(socially presented selves)’을 보호하는 데만 전념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를 통한 타당성 확보라는 것은 문제가 있는 방식이다. 사실상 연구 상황에서 참여자들이 자신들의 경계의 벽을 낮추고, 무엇 무엇인 체 가 장하지 않고, 실제로 마음을 여는 ‘안전한 분위기(atmosphere of safety)’를 형성한다 는 것은 좀처럼 어렵기 때문이다(p. 15).


이상에서 드러나듯이 타당성의 문제는 실천 현상학이 앞으로 해결해야할 중요한 방법 론적 숙제 중의 하나이며, 후속되는 연구 노력이 절실히 요청되는 지점이다. 현재로서는 애쉬워드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연구 참여자들의 평가가 현상학적 작품을 평가하기 위한 중요한 원천이라는 점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다만 동료 연구자나 질적 연구에 경 험이 풍부한 조언자들의 다양한 견해 등을 포함시키는 등의 노력을 통해서 연구의 신뢰성 과 타당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아야겠다.

 


 

4. 실천 현상학의 글쓰기


글을 쓰는 이유는 저자 자신이 무엇인가를 말하고자 하기 때문이 아니라, 그가 말 할 무엇인가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F. Scott Fitzgerald


사람들은 작가가 인간의 내면에 대해 보다 많은 것을 알고 있어야만 한다고 생각 한다. 그러나 그것은 사실이 아니다. 그들은 실제로 많은 것을 알지 못하며, 바로 그 렇기 때문에 글을 쓰는 것이다. 모든 다른 사람들이 당연하게 여기는 것들을 발견하기 위해서 - Margaret Atwood


내가 말하는 것을 눈으로 직접 볼 때까지, 내가 생각한 것이 무엇이었는가를 어떻 게 알겠는가? - E. M. Forster

 


 

4.1. 글쓰기의 중요성 및 구조


일반적으로 글쓰기는 연구 과정의 일부분으로서 간주되어 왔고, 따라서 그만큼의 가치 를 인정받아 왔다. 그러나 실천 현상학은 글쓰기의 가치는 그것을 훨씬 상회하는 것이라고 파악한다. 글쓰기는 전체 연구 과정의 한 부면(phase)으로서만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라 사실상 글쓰기 자체가 연구의 전부라고 주장한다. 실천 현상학에 있어서 탐구는 곧 반성하 는 것이고, 반성은 곧 사고하는 일이며, 사고는 다시 글쓰기 작업을 통해서 드러난다. 글쓰 기는 생각을 지면으로 옮기는 과정이다. 그것은 반성(사고)하는 일과 불가분의 관련을 갖 는다.


첫째, 글쓰기는 우리를 자연스럽게 반성과 사고의 영역으로 인도한다. 일반적인 대화나 말하기의 경우와는 다른 태도와 자세를 우리에게 요구한다. 그리고 그러한 태도와 자세는 우리가 요구하는 것으로서의 사고 과정과 다르지 않다.

둘째, 글쓰기는 우리가 생각을 통 해서 직관하고 통찰한 내용을 타인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해준다. 실천 현상학이 추구하는 형태의 연구는 자신만의 깨달음을 넘어서서, 다른 사람들이 그 깨달음을 이해하고, 그러한 이해의 결과로 그들의 실천이 개선될 수 있도록 돕는 일이다.


현상학적 글쓰기의 역할은 드러난 현상 자체의 의미를 기술 속에 담아내는 것이다. 현 상의 본질을 밝혀내는 일을 궁극의 목적으로 삼고 있다고 하더라도, 실천 현상학은 종국의, 고정된, 절대적이고 유일한 것으로서의 의미는 결코 존재하지 않는다고 파악한다. 현상학 적 글쓰기는 체험의 세계 내에서 어떤 현상이 갖는 풍부한 의미들을 기술해 내려고 시도 한다. 그렇게 본다면 글쓰기는 현상학적 탐구의 과정이자 동시에 산물이 된다. 현상학적 글쓰기는 우리로 하여금 이전에 보지 못했던 것을 보게 하며, 그 현상을 새롭고 신선한 시 각으로 바라보도록 유도한다.


반 매넌(1997)은 다음과 같이 시사한다.


인간 과학적 연구는 본질적으로 언어적 프로젝트이다. 즉, 체험 세계가 포함하고 있는 다양한 측면과 차원들을 반성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또한 글쓰기의 과정을 통해 서 다른 사람들도 이해할 수 있고 알아 볼 수 있도록 만드는 일이다… 그것은 우리가 체험의 세계에서 맞닥뜨리는 것으로서 인간의 행동, 행위, 의도, 경험들에 관하여 살아 있고, 저절로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기술(텍스트)을 제공하는일로 구성된다(p. 125).


인간의 의미는 오직 텍스트, 즉 현상학적 글쓰기를 통해서 소통될 수 있다. 반성을 통 해서 연구자는 체험 속에 있는 의미 구조들을 식별할 수 있게 되며, 그것은 글쓰기를 통해 서 소통이 시도되고 더 나아가 해석의 대상이 된다. 그러므로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실천 현상학은 반성(사고)과 글쓰기라는 두 축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물론 반성과 글쓰기의 과정은 제각각 이루어지는 것이라기보다는 나선형적 순환과정을 통해 서로 맞물려 있는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즉, 생각이 글로 표현되고, 다시 그 글은 더 깊은 사고와 반성적 검 토를 통해서 보다 정련된 형태로 성장한다.


글쓰기의 중요성을 강조할 뿐만 아니라 실천 현상학은 독특한 글쓰기의 형식마저도 제 안하고 있다. 질적 연구의 글쓰기가 보통 기술해석이라는 이원적인 체제로 구성되어 있 는 것과 마찬가지로, 실천 현상학도 일화해석이라는 두 가지 장치를 함께 활용한다.

  • 일 반적으로 일화는 짧은 이야기, 그러면서도 나름대로의 교훈과 의미를 담고 있는 이야기를 뜻한다. 독자들로 하여금 연구자가 연구하는 현상이 어떤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그 의미 가 어떻게 전유될 수 있을지를 ‘보여주는’ 글이다. 따라서 일화는 다양하고 풍부한 의미가 담겨 있는 것이어야 하며, 그 맥락과 상황을 얼마나 생생하게 전달하는가가 관건이 되는 이야기 형식이다. 그러나 여기서 한 가지 주의해야 할 것은 ‘생생하다’는 것이 단지 ‘상세하 다’는 것만을 뜻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때로 진부한 일상사의 나열은 독자들에게 식 상함만을 안겨주기 때문이다.

  • 반면에 해석이란 일화를 통해서 드러나는 의미들을 연구자 나름대로 체계적으로, 논리 적으로, 혹은 학문적으로 풀어내는 글이다. 해석은 연구자 자신의 주관적 해석의 틀에 입 각하여 그가 발견한 의미를 독자들과 공유하는 과정이다. 그러므로 연구자의 독창성과 사 고의 깊이가 어느 정도나 되는가가 관건이 되는 글의 형식이다. 여기서도 주의해야 할 점 은 연구자의 해석이 독창적이고 창의적이어야 한다는 말이 철저하게 개인적이고 상대적인


(독단적인) 견지에서 글을 구성해야 한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연구자의 해석이 객관적이어야 한다거나 혹은 읽는 독자들 모두가 반드시 동의해야 하는 것이 아니 라 하더라도 간주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글, 다시 말해서 상당한 정도의 개연성과 보편 성을 확보한 글이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4.2. 현상학적 글쓰기의 예


앞에서 실천 현상학의 글쓰기 구조가 한편으로 일화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기술과, 다른 한편으로 그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심층적 해석으로이루어져 있음을 지적했다. 여기서는 현상학적 글쓰기의 한 사례를 직접 소개함으로써 실천 현상학의 글쓰기가 갖는 특징들을 독자 들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4.2.1. 일화기술의 예


4.2.2. 해석의 예


5. 나오는 말


연구의 논리라는 측면에서 파악할 때, 실천 현상학은 독특성(uniqueness)과 보편성 (universality) 사이의 변증법적 탐구 양식으로 드러난다. 일차적으로 실천 현상학은 객관적 이고 일반적인 것들 사이에서 잘 드러나지 않는 연구 대상의 고유하고 독특한 측면을 관 심의 대상으로 한다. 그러나 그것에 대한 작위적이고 독단적인 해석을 배격하며, 오히려 그것들을 통해 연구 대상에 관한 보편적이고 본질적인 차원을 드러내려고 시도한다. 또한 현상학은 연구자 자신의 주관적이고 독창적인 통찰을 강조하되, 그 통찰을 상호주관적인 이해의 범주 내에서 소통하기 위하여 노력한다.


연구의 실제라는 측면에서 파악할 때, 실천 현상학은 사려 깊은 글쓰기와 글쓰기를 통 해서 더 익은 사고와 생각에 도달하는 변증법을 지향한다. 구체적인 기법과 형식과 절차를 처방하려 들기보다는 끊임없는 반성과, 쓰고 다시 쓰고 또 고쳐 쓰는 일을 요구한다. 생각 을 통해서 글이 가진 제약을 넘어서려하고, 글쓰기를 통해서 생각을 다듬으려고 한다.


동시에 현상학은 연구의 논리와 실제 사이의 변증법적 관계 속에 위치하고 있다. 그것 은 순전한 이념형으로도 혹은 맹목적인 형식이나 방법으로도 감환 되기를 거부한다. 그리 고 이 모든 변증법들 사이에서 특별한 균형감각을 우리에게 요구한다. 이 균형감의 훈련이 바로 현상학이 질적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데 공헌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나는 믿는다. 기 술과 해석, 반성과 글쓰기, 독특한 것과 보편적인 것, 개인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 주관적인 것과 간주관적인 것, 이론과 실천, 삶과 연구, 이 모든 것들을 분절된 것이 아니라 연속적 인 것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것이야말로 현상학의 강점이라고 생각한다.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현상학 - 독특성과 보편성 사이의 변증법적 탐구 양식

: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현상학

Phenomenology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 mode of dialectic study between uniqueness and universality of the phenomenon

이근호(Lee Keun-ho) 저

간행물명 : 교육인류학연구
권/호 : 교육인류학연구 제10권 제2호 / 2007 / 41~64 (24pages)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간행물유형 : 학술저널
주제분류 : 교육학
파일형식 : PDF

초록

한국어초록
  현상학은 이념적, 철학적 지향으로서 뿐만 아니라 그러한 지향을 실제적이고 실천적인 연구 방법론으로 원용하려는 모든 종류의 노력들을 망라하는 용어이다. 전자는 주로 철학 내용의 체계로서의 현상학을 말하고 후자는 실천 현상학의 관심이 된다. 실천 현상학의 관점에서 볼 때, 결국 현상학은 현상들에 관한 연구이며, 그것들의 본질적 성격과 의미를 밝혀내고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한 것으로서의 현상학의 관심은 사물이 우리의 의식 속에서 혹은 경험을 통해서 그 자신을 드러내는 방식에 충실하고자 한다. 현상학에 기반 한 연구자는 체험에 관한 풍부한 기술을 통해서 그 체험 속에 담겨 있는 의미들을 포착하고 드러내고자 하며, 따라서 기본적인 질문은 다음과 같다. 즉, “이런 종류의 경험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이며, 그것은 또한 내게 어떻게 체험되는가?” 이와 같은 질문을 해명하는 데 있어서 실천 현상학은 ‘반성’과 ‘글쓰기’라는 두 가지 경로를 활용한다. 이 글은 실천 현상학의 주요 개념들, 논리 및 방법론적 구조들을 살펴보고, 현상학적 연구가 질적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영어 초록
  Phenomenology is an umbrella term encompassing both a philosophical movement and a range of research approaches. They regard phenomenology not only as a certain philosophical system but also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is study tries to discuss and justify the necessity of this second stance (the so called ‘phenomenology of practice’) and to explore some its methodological features.
  Applied to research, phenomenology is the study of life experiences or lifeworld-the world as we immediately experience it rather than as we conceptualize, categorize, or theorize about it. Phenomenology asks, “What is this experience like?” “How does the living world present itself to me?” In order to answer those questions, the phenomenology of practice suggests two methodological axes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such as reflection and writing. Reflection (thoughtfulness) is the word that most aptly characterizes phenomenology itself and the practice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is the ministering of thoughtfulness. At the same time, phenomenology edifies thoughtfulness through the practice of writing. In sum, this study discusses the dialectic nature of phenomenological inquiry.
  Phenomenology seeks after overcoming the traditional barrier of the dichotomy between subject and object, theory and practice, life and research, and uniqueness and universality. According to this spirit, we should not confine phenomenology only within a particular philosophical or logical system, but try to appropriate it as our fundamental orientation or style (that is, methodology) with which we explore our world and ourselves.

목차

《요약》
1. 들어가는 말
2. 실천 현상학의 요구와 논리
3. 실천 현상학의 방법
4. 실천 현상학의 글쓰기
5. 나오는 말
참고 문헌
【Abstract】




결혼이주여성의 모성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도시거주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12)

김태임1·권윤정2·김미종3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간호학과1, 충청대학교 간호학과2, 한남대학교 간호학과3



이에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이 타국에서 어머니가 되 는 경험은 어떠한가?’, ‘이들은 어머니가 되는 경험에 어떻게 대처하고 적응하는가?’, 또한 ‘결혼이주여성들은 어머니가 되 는 경험을 통하여 어떠한 의미를 가지게 되는 것일까?’에 대 한 연구문제를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들의 모성경험을 탐색함으로써 앞으 로 증가 추세에 있는 도시거주 다문화 가정의 요구에 맞도록 향후 제공되는 지원 사업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 이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거주 결혼이주여성이 체험하는 모성 경험을 현상학적 접근으로 밝히고 서술하여 그 의미의 본질을 추구하기 위한 것이다. 더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 가족 어머니의 경험을 이해하며 새로운 간호의 대상자에 대한 민감 성을 높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도시거주 결혼이주여성들이 체험하는 임신, 출 산 및 초기 자녀양육의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 현상 학적 방법을 사용한 질적 연구이다.


2. 연구 참여자의 선정 및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과 출산경험 등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대상자를 찾기 위하여 의도표집과 눈덩이식 표집을 사용하여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대상자 선정기준으로는 첫째, 결혼을 통하여 국내로 이주한 외국인 여성, 둘째, 한국어로 의 사소통이 가능하고 셋째, 최근 5년 이내에 출산한 적이 있으 며, 마지막으로 연구의 목적과 내용을 이해하고 동의한 사람 들이었다.


연구에 앞서 기관의 윤리위원회에 승인을 받았으며(IRB- 11-37), 기관장의 허락을 얻어 자료수집을 시작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1년 2월 15일에서 4월 12일까지였으며, A시 에 위치한 다문화가족센터에 교양 및 한글 프로그램에 참여하 기 위하여 방문한 결혼이주여성 중에서 기관에 근무하는 실무 교육자에게서 대상자 선정 기준에 맞는 3명의 참여자를 추천 받았으며, 이들에게서 연구에 참여할 것에 대한 서면동의를 받은 후에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 후에 이들로부터 다른 대 상자를 소개받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자 모두 한글학교 중급과 상급반에 해당하였으며 일상적인 대화가 가 능하였고 면담 시에는 연구자는 평소보다 또박또박 천천히 말 하였다. 면담은 수업이 끝나고 소회의실에서 대상자와 연구자 둘만이 있는 조용한 분위기에서 이루어졌다. 미리 녹음할 것 임을 알렸으며 녹음내용은 본 연구에만 사용되고 기초자료로 정리된 후 폐기될 것과 익명으로 진행될 것을 설명하고 서면 동의를 받은 후 진행하였다. 면담 후 대상자에게 답례품이 제 공되었다. 연구중간이라도 원하지 않으면 그만둘 수 있음을 미리 고지하였으나 참여를 중단한 탈락자는 없었다. 개별면담 은 1회에 20~60분간 녹음을 하였으며 더 필요한 경우 다음 주 같은 시간에 재면접이 이루어져, 1인당 총 면담횟수는 1~3회, 총 면담시간은 60~90분가량이었다. 현상에 대한 새로운 범주 가 도출되지 않는 자료의 포화상태에 이르렀을 때 면담을 종 료하였으며 최종 연구 참여자는 9명이었다.


3. 연구자 준비


질적 연구의 가장 중요한 도구인 연구자의 준비는 매우 중 요하다. 연구자들은 질적 연구 워크숍에 참석한 적이 있으며, 대학원에서 질적 연구 과목을 수강하였다. 또한 연구자 중 한 사람은 간호학 저널에 두 편의 질적 연구를 발표한 경험을 가 지고 있었다. 연구자들은 의도적으로 사전에 문헌고찰을 하지 않아 연구 대상자의 대한 선입견을 배재하고자 하였고, 개방 적이고 비구조적인 질문과 의사소통으로 면담한 후에 대상자 가 기술한 내용을 여러 차례 함께 읽고 의미를 이끌어내었다. 분석과정에 앞서 현상학적 환원의 태도인 '괄호치기'를 사용 함으로써 연구자들의 편견과 경험이 대상자의 본질을 파악하 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의식적으로 노력하였다.


4.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본 연구자들은 Lincoln과 Guba (1985)이 제시한 질적 연 구의 평가기준에 부합하도록 연구를 진행하고자 노력하였다. 현상을 생생하고 충실하게 해석하고자 면담 즉시 자료를 듣고 여러 번 읽어 본질적 의미를 추출하여 신뢰성(credibility)을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가 적용성(applicability)을 가 질 수 있도록 본 연구 참여자만의 특별한 경험이 아닌지를 논 의하였다. 또한 일관성(consistency)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 대상자, 심층 면담의 방법, 과정, 자료수집과정을 자세히 기 술하고자 하여 추후 반복연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마지막 으로 중립성(neutrality)을 높이기 위해 연구자들은 처음부터 의도적으로 문헌고찰을 하지 않았으며 의미와 본질을 추출하 는 과정에서 편견을 배재하고 판단중지를 위해 노력하였으며 연구가 진행되면서 의미를 파악하는 연구자간 토론 중에도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객관적으로 보도록 강조하면서 토론하 였다.



5. 자료분석


본 연구는 현상학적 자료 분석방법 중 Colaizzi (1978)가 제안한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우선 연구자들은 함께 심층면담한 녹음파일을 듣고 필사본 을 여러 번 읽었다. 연구자의 판단을 배제하고 의미를 파악하 고 대상자의 경험을 공감하고자 현상학적 반성을 하면서 관련 된 자료로부터 의미있는 문장과 구를 선택하였다. 추출된 문 장과 구로부터 일반적이고 추상적인 주제를 만들어 의미를 구 성한 후 더 큰 수준으로 범주화하였다. 범주화하는 과정에서 자료의 연구 참여자들이 표현한 내용을 명확하게 묘사하기 위 해 참여자의 인터뷰 내용을 반복하여 읽으며 주제를 분류한 후 질적 연구에 경험이 많은 간호학과 교수 2인으로부터 자문 을 받았다. 다음으로 분석된 자료를 주제의 흐름에 따라 결혼 이주여성의 모성경험에 관한 현상을 통합하여 포괄적으로 설 명하였다. 분석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에 참여했 던 결혼이주여성들 중 3인을 만나 경험의 본질적인 구조인 범 주와 주제들이 자신이 느꼈던 것과 같은지를 확인하였다.




Table 1. Experience of Motherhood among the Married Immigrant Women in Urban area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8권 제2호, 2012년 6월

Korean J Women Health Nurs Vol. 18 No. 2, 85-97, June, 2012

pISSN 2287-1640 | eISSN 2093-7695

http://dx.doi.org/10.4069/kjwhn.2012.18.2.85

결혼이주여성의 모성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도시거주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김태임1·권윤정2·김미종3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간호학과1, 충청대학교 간호학과2, 한남대학교 간호학과3





해석학적 현상학으로 본 향기요법 체험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06)

김 희 자1)․한 선 희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향기요법 체험의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 지를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향기요법에 대한 어떠한 체험을 하고, 그 체험의 의미와 그 본질이 무엇 인가?”이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향기요법 체험의 의미와 그 본질을 파악하기 위 해서 Van Manen(1990)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질적 연구방법론 을 적용하였으며, 특히 연구 참여자들의 개별체험 탐구를 위 하여 참여자 선정, 자료수집과 분석방법, 신뢰도와 타당도확 보를 다음과 같이 하였다.


연구 참여자


본 연구의 참여자는 2개월 이상 향기요법을 받았거나 간호 사 면허 소지자로서 향기요법 전문가 과정을 이수하고 향기 요법 전문인 자격증을 취득한 후 자신 또는 가족 이웃들에게 향기요법을 적용하고 있는 사람들이다. 참여인원은 7명으로 가정주부 5명 간호사 2명이며 이들의 연령 분포는 30세에서 60세이었다.


자료수집


자료 수집은 2006년 7월 15일부터 2006년 9월 30일까지 진 행되었다. 연구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를 위하여 먼저 참 여자들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면담기간동안 참여자는 언제든지 본인이 원할 경우 거부할 수 있다는 정보를 제공했 다. 또한 면담내용은 연구목적 이외에 사용하지 않을 것이며, 필요한 내용을 익명으로 처리되고 개인적인 신분이나 신상은 전혀 공개하지 않을 것을 동의서에 넣어 동의를 얻었다. 면담 내용은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기로 녹음을 하였다. 면담은 “향기요법을 받은 경험이나 향기요법을 적용한 경험에 대하 여 말씀해주십시오?”라는 개방형 질문으로 시작하여 참여자로 하여금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하였다. 면담장소 는 조용하고 아늑한 곳으로 참여자 자신들이 선택하도록 하 였다. 그리고 자료가 포화상태에 도달 할 때 까지 면담하였 다. 한 사람 당 평균 면담횟수는 3회 정도 이었고, 면담시간 은 1시간 정도였다.



자료분석


자료 분석은 면담직후 녹음한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자료 속에 나타난 주요 개념을 추출한 후 공통된 의미의 주 제로 묶었다. 다음은 주제별로 재조직하여 상황적인 의미를 메모하였다. 이 과정을 수차례 반복하면서 향기요법체험에 대 한 주요 패턴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기요법 체험 사례 중 주 제를 가장 선명하게 드러내는 자료를 중심으로 Van Manen (1990)의 해석학적 현상학 글쓰기를 하였다.


신뢰도와 타당도


본 연구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Field와 Morse(1985)의 질적연구 평가기준인 진실성, 적용가능성, 일관 성, 중립성의 4가지 영역으로 검토하였다.


진실성을 위해 연구자는 현장에서 수집된 자료를 참여자의 언어표현을 그대로 인용하여 그들의 관점에서 요약한 뒤 참 여자에게 그 내용을 보여주어 확인하였다. 적용가능성을 위해 공통된 연구주제들을 파악하여 이야기채로 기술한 뒤 연구 참여자에게 보여주어 자신의 이야기 내용의 의미를 검토하도 록 하였다.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연구자가 스스로가 도구 가 되어 자료를 수집한 후 간호학과 질적연구 교수와 일상생 활자등에게 본 연구결과를 검토하도록 하였다. 또한 중립성을 위해 연구과정의 각 단계를 분명히 기술하였고, 진실성, 적용 가능성, 일관성이 확립되도록 하였다.





논 의


해석학적 현상학 글쓰기


본 연구는 향기요법을 적용하고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Van Manen(1990)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질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 여 향기요법 체험의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지에 대한 탐구의 결과를 해석학적 현상학 글쓰기를 통해서 고찰해보고자 한다.


해석학적 현상학 글쓰기는 자기 자신의 음성으로 말하는 것을 말하는데(Merleau-Ponty, 1973), 본 장에서는 향기요법 체험에 관해 해석학적 현상학 반성의 통해 드러난 내용들을 그 체험의 의미중심으로 해석학적 현상학 글쓰기를 하였다. 이러한 글쓰기는 연구의 본질이며 연구과정의 최종단계로서 우리의 경험 세계를 더욱 반성적으로 이해하도록 이끌어 준 다(Van Manen, 1990).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향기요법체험의 본질을 파악하고 이해하기 위하 여 Van Manen(1990)의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을 적용하여 4단 계의 연구방법인 체험의 본질에 집중, 실존적 탐구,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를 하였다. 본 연구 의 참여자는 J시에 거주하면서 향기요법을 경험한 7명의 여성 으로 2006년 7월 15일부터 2006년 9월 30일까지 참여자가 선 택한 아늑하고 조용한 장소에서 1, 2, 3차 심층 면담을 통해 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구 참여 자들이 체험한 본질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2권 제2호, 2006년 12월

J Korean Acad Soc Nurs Edu Vol.12 No.2, 248-256, December, 2006

해석학적 현상학으로 본 향기요법 체험

김 희 자1)․한 선 희2)





경계선 지적 기능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경험 연구: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놀이치료연구, 2016)

A study of parenting experience for mothers with children of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using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Giorgi*

박 숙 자(Sook-Ja Park)1)



2. 연구문제


첫째, BIF 자녀 양육과정에서 어떠한 양육오류 를 경험하는가?

둘째, BIF 진단이후, 자녀를 어떻게 수용해나가 는가?

셋째, BIF 자녀를 둔 어머니로서 경험하는 심리 적, 사회적, 경제적 측면의 스트레스는 무엇인가?

넷째, BIF 자녀 양육과정을 통해 자녀와 삶을 바라보는 인식과 관점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Ⅱ. 연구방법




1.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BIF라는 특수한 상황에 있는 자녀 를 돌보는 어머니들의 심리적 현상과 양육의 어려 움을 체계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경험의 본질 구조 와 의미를 밝히고자 질적 연구의 한 영역인 현상학 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현상학은 주어진 현상의 발생적, 구성적 근원을 탐구하는 학문으로서, 인식 주체가 경험하는 의식 작용을 탐구하는 철학적 방 법론에 그 바탕을 둔다. 따라서 현상학적 연구는 귀 납적, 기술적 연구방법으로 살아있는 경험을 지향하 며, 그 경험의 기술을 분석하여 경험의 의미와 본질 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Omery, 1995).


본 연구는 Giorgi의 심리학적 현상학 연구 방법 론으로 접근하였다. Giorgi의 연구 방법은 연구의 대상, 즉 본질적 구조를 추구하는 현상이 되는 주 제에 대해 주로 면접의 형태로 경험적, 객관적 자 료를 수집하고, 이러한 연구 참여자의 기술을 심층 분석하여 살아 있는 경험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밝 히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또한 전체 연구 참여자 의 경험을 일반적, 구조적 진술에서 통합하는 특성 을 갖고 있다. Giorgi는 이 방법을‘경험적인 현상 학적 분석’이라고 불렀다(Giorgi, 1997).




2. 연구대상


연구자는 연구하고자 하는 내용과 관련하여 깊이 있고 풍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사례들을 의도적 으로 선정하는 목적 표집과 한 참여자를 통해 다른 참여자를 소개 받는 눈덩이 표집을 활용하여 다음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연구 참여자들을 선정하였다.


첫째,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들로 선정하였다.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시작하는 청소년기는 BIF의 특성이 본격적으로 가시화되면서 부모가 다양한 어려움에 봉착하게 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따 라서 청소년기가 BIF 자녀를 둔 어머니의 심리적 어려움을 가장 생생하게 포착할 수 있는 시기라고 판단하였다. 둘째, 연구자와 충분한 라포를 형성하 고 자발적인 참여의사를 표명한 참여자를 선정하 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같은 처지에 놓인 BIF 부모 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적극적인 참여의사를 밝힌 참여자도 있었다. 셋째, 자신의 심리적 경험을 어느 정도 언어적으로 잘 표현할 수 있는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실제 참여자 모집은 한 참여자로부터 같은 처지 에 있는 다른 참여자를 소개받는 방식을 통해 이 루어졌다. 본 연구자는 00교회 신앙공동체에서 알 게 된 한 참여자를 통해 자기와 같이 BIF 자녀를 둔 참여자를 만났다. 그리고 000건강가정지원센터 에서 BIF 자녀문제로 상담을 하러 온 내담자를 소 개받았으며, 청소년 관련 연구소에 내원한 어머니 3명을 직접 소개받았다.



현상학 연구에서는 참여자들의 경험적 진술을 통 해 그들의 일상생활이 총체적이고 자세하게 기술 되기 때문에 참여자에 대한 섬세한 윤리적 고려가 중요하다. 따라서 모든 참여자의 이름은 번호로 처 리하고 직업도 유사직종으로 바꾸는 등 익명성을 보장하고자 노력하였다. 연구 참여자를 처음 만나 는 1차 면담 시, 연구자는 본 연구의 목적과 면담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한 신상정보와 진술 내 용에 대한 비밀보장을 약속하였으며, <연구 참여 동의서>에 동의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 참여자들 은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40대의 중년여성 6명으 로서, 그들의 개별적인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다음 의 <Table 1>과 같이 간략하게 정리하였다.


3. 자료수집


현상학적 연구에서 자료는 주로 연구 참여자가 경험한 현상을 생생하고 상세하게 기술하는 면담 을 통해 얻어진다. 참여자들의 면담은 2013년 3월 부터 시작하여 2013년 12월까지 1-2차에 걸쳐 이루어졌다. 1차 면담시간은 100분-120분 정도가 소요되었다. 1차 면담 내용에서 좀 더 구체적인 탐색이 필요한 참여자 또는 1차 면담 이후 더 풍부 한 경험 내용을 얻을 수 있다고 판단되는 참여자 인 경우, 추가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장소는 참 여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참여자의 집, 상담실, 조 용한 카페 등을 선택하였다. 참여자의 동의를 받아 모든 면담 내용을 녹음하였고 참여자의 언어를 그 대로 필사하였다.



1차 면담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참여자 의 동의서를 작성했으며 좀 더 구체적이고 반구조 화된 개방형 질문(semi-structured open-ended question)들을 구성하여 개방적이고 전반적인 경 험을 파악하는데 치중하였다. 예를 들어,‘경계선 진단을 받은 후 그때의 심정은 어떠했습니까?’, ‘진단받은 후 어떤 부분이 가장 힘들었나요?’, ‘자녀를 양육하면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무엇인 가요?’,‘자녀로 인해 경험한 주변 사람들과의 관 계는 어떻습니까?’,‘자녀양육방식의 변화가 어떠 했습니까’,‘자녀로 인해 어머니의 삶에 변화가 있 다면 무엇이 있을까요?’,‘자녀로 인해 배우자와의 관계는 어떻습니까?’,‘경계선 자녀를 양육한다는 것은 나의 삶에서 어떤 의미가 있나요?’등을 질 문하였다. 2차 면담에서는 1차 면담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보다 초점화된 질문을 도출했으며, 이전 면담에서 참여자 별로 더 구체적인 확인이 필요한 추가 질문으로 진행하였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자료 수집과 동시에 이루 어졌다. 분석 과정은 전술한 Giorgi의 심리학적 현 상학 연구 방법론에 따라 다음의 단계를 거쳤다.


  • 1단계: 자료를 충분히 읽고 참여자의 언어를 이 해하여 전체를 파악하는 단계로서, 연구자는 전제 진술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얻기 위해 필사된 텍스트를 여러 차례 정독하였다. 전체를 잘 파악하 기 위해 음성 자료와 필사 자료를 여러 번 반복하 여 듣고 읽으며 전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고자 했다.
  • 2단계: 학문적 관점에서 현상에 대한 의미단위를 구분하는 단계로 현상의 본질을 탐구하려는 의도 로 참여자들의 말로 표현된 진술문을 구분하는 과 정이다(Shin, Jo, & Yang, 2004). 이때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BIF 자녀를 둔 어머니의 경 험이라는 연구 현상에 초점을 맞추고 의미단위를 구분했으며, 각 의미단위에 고유번호를 부여했다. 이를 통해 6명의 연구 참여자로부터 486개의 의 미단위를 도출했다. 구분한 의미단위의 예를 <Table 2>로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 3단계: 의미단위 전부를 조사해서 그 안에 내재 한 심리학적 본질을 연구자의 언어로 변형하였다. 규명된 주제를 구체화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의 경 험이 의미하는 중심의미를 연구자의 언어로 의미 단위 요약을 하고, 필요한 경우 주제별로 관련 내 용에 대한 자료를 재배치한 후 동질의 개념을 묶 어 하위구성요소로 도출하였다. 구분한 의미단위를 심리학적 변형으로 이루어진 의미단위의 내용을 <Table 3>에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 4단계: 연구자는 변형된 의미단위를 대상자의 경 험을 고려하면서 일관성 있는 진술로 통합하였다. 이것은 보통 경험의 구조와 관련이 있고 여러 수 준으로 표현해낼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질적 연 구에 풍부한 경험을 가진 전문가 1인과 지속적인 회의를 통해 분석 결과를 검증받았다. 또한 마지막 에 도출된 경험의 일반적 구조가 과연 타당한 것 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계속적으로 연구 참여자 들로부터 얻어진 원자료를 다시 반복적으로 읽으 면서 이를 점검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 로 총 8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으며 그 하위 구 성요소로는 19개가 도출되었다.


한편 자료 수집과 분석 과정을 거치면서 연구자 는 연구 현상에 대해 스스로 가지고 있는 가정과 선 이해를 점검해보면서 연구자의 편견이 연구 과 정 전반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의식적으로 노력하 였다. 또한 마지막에 도출된 경험의 일반적 구조가 과연 타당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계속적으로 원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이를 점검하였다. 연 구의 중심의미와 구조가 어느 정도 도출되었을 때, 질적 연구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역량을 갖춘 박 사학위 소지 전문가 및 교수 2인에게 연구 과정과 결과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받았다.



Ⅲ. 연구결과


BIF 자녀를 둔 어머니의 경험은 <Table 4>와 같이 8개의 핵심 구성요소와 19개의 하위 구성요 소로 도출되었다.






The Journal of Play Therapy 2016 Vol. 20, No. 1, 1-17

경계선 지적 기능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경험 연구: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A study of parenting experience for mothers with children of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using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Giorgi*

박 숙 자(Sook-Ja Park)1)






대학생의 이성교제와 성행동 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청소년연구, 2012)

조승희**․조아미

호서대학교․명지대학교



현상학은 주어진 현상의 발생적 구성적 근원을 탐구하는 학문으로서 인식주 체가 경험하는 의식작용을 탐구하는 철학적 방법론에 그 바탕을 둔다(신경림, 2003).현상학에서 말하는 ‘현상’이란 그것 자체로 현존하는 그대로,의식에 대 해 현존하는 것(whichpresentsitselftoconsciousnesspreciselyasifpresents itself)으로 ‘아무것도 더해지거나 감해지지 않은 것’으로서 ‘한 의식에 그 자체 로 나타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홍현미라,권지성,장혜경,이민영,우아 영,2008).vanMenan에 의하면 해석학적 현상학이란 사물들이 어떤 방식으로 나타나는가에 주의를 기울이고자 하고 사물들이 스스로 말하도록 만들고자 하 기 때문에 현상학적 방법론이며,또한 해석되지 않는 현상이란 없다고 주장하 기 때문에 해석학적 방법론이라는 것이다(신경림,조명옥,양진향,2004). 해석학적 현상학에서는 본질적 주제 분석이 이루어지는 반성의 과정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길잡이로서 네 개의 실존체,즉 신체성,공간성,시간성,관계성을 제시하고 있다.이성교제 하는 대학생의 성행동은 그 자체가 신체적 활동이고, 다양한 공간에서 시간을 가지고 변화하는 이성교제 당사자들의 관계에서 일어 나는 현상이기 때문에 vanManen이 제시한 신체성,공간성,시간성,관계성의 측면에서 다양하게 본질적 주제 분석을 할 수 있는 적합한 주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방법 중 van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을 통 하여 대학생의 이성교제와 성행동이 그들에게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살펴보고 자 한다.


2.연구문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대학생이 이성교제와 성행동 경험을 통해 체험하는 것은 어떠한 것들이며,그것이 그들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Ⅱ.이론적 배경


Ⅲ.연구방법


1.연구설계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이성교제와 성행동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이해와 의미 분석을 위해 연구 참여자의 생생한 경험을 분석하고자 vanManen의 연구방 법을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2.연구 참여자 선정 및 자료수집


연구자는 서울소재 일개 사립대학교 학생 중 대학교에 입학한 후 이성교제 경험이 있는 대학생 중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고자 하는 대학생 중 남녀 각 5명씩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연구 참여자는 부모와 동거하거 나 자취,기숙사 생활을 하고 있었고,참여자의 나이는 평균 23.2세(21세~26 세)였다.대학교 입학 후 이성교제 경험이 1회 이상 있었고,이중 9명이 이성 교제 상대자와 성관계 경험이 있었다.연구자료는 2011년 9월 1일부터 9월 30 일까지 한 달간 수집되었으며,자료수집 방법은 참여자와 면대면 개별 심층면 담을 통하여 이루어졌다.자료수집 전에 참여자에게 연구목적과 진행방식,녹 음에 대한 필요성을 설명하고 동의를 받았다.심층면담 질문은 “대학교에 와 서 경험한 이성교제에 대해 말해주겠어요?”와 같은 개방형 질문에서 점차 구 체적인 내용을 묻는 면담으로 이루어졌다.참여자의 비밀보장을 위해 남자는 M,여자는 F로 분류하여 코딩하였고,코딩된 내용은 연구 참여자의 확인을 받 았다.심층면담 이외의 다양한 자료를 얻고자 대학생의 이성교제와 성행동에 대한 경험을 표현한 문학 및 예술작품,영화 등의 다양한 참고자료를 수집하 였다.


3.연구의 질 확보


본 연구는 연구의 신뢰성을 위해 Trianglation을 실시하였다.본 연구에서 실시한 Trianglation은 multiple investigators이다.multiple investigators방법 은 본 연구를 위해 수집한 연구 데이터를 다른 질적 연구자에게도 연구 분석 을 의뢰하여 본 연구자와 다른 연구자가 분석한 연구 결과를 비교하여 본 연 구자의 주관성을 배재하려 방법이다.본 연구에서는 multiple investigators를 통해 서로의 연구결과를 비교하였다.비교를 통해 상반된 몇몇 연구 분석에 대하여 토론을 진행하였다.이 과정을 통해 서로 상반된 결과에 대해 서로의 합의가 도출 될 때까지 논의를 통해 합의된 연구결과를 이끌어냈다.본 연구 가 성(sex)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연구자의 성적 편견을 배제하 기 위하여 연구자와 성별이 다른 연구자와 함께 분석하여 연구의 신뢰성을 높 였다.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5호(2012.5).137―160

대학생의 이성교제와 성행동 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조승희**․조아미

호서대학교․명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학생의 PBL수업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대한통합의학회지, 2014)

김장곤ǂ

ǂ영동대학교 물리치료학과



본 연구는 물리치료학과에서 PBL에 따른 수업을 진행 하였을 때, 참여 학생들이 학업성취도와 관련되어 경험하 는 것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물리치료학과에서 PBL 수 업 적용하는 것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진행하 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자


본 연구는 2014년도 1학기에 Y 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전공 과목인 스포츠 물리치료학 3학점 수업을 PBL로 설 계하여 운영하였다. 15주 동안 표 1과 같이 수업을 진행한 후에 수강자 24명 중에서 남학생 2명, 여학생 3명 총 5명 을 무작위로 선정하였으며, 연구 목적을 충분히 설명한 후 에 학생들의 동의를 얻어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질적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신경림 등, 2004). 심층면접은 각 대상자와 개별면담 형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원이 구조 화된 질문지를 중심으로 인터뷰를 주재하고 응답자들은 이에 자유롭게 이야기하는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심층 면접에 필요한 질문 목록을 개발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를 통해 수업에 대한 성취도를 PBL 수업 성과와 관련 된 연구를 기초로 질문지를 구성하였다(서혜정, 2012; 정 진욱, 2008). 질문지 내용은 수업목표 달성을 위한 내용뿐 만 아니라, 수업 진행방식의 이해, 그리고 다른 교과목에 적용 가능성을 묻는 질문들을 포함하였다. 심층 면접에 사 용된 질문의 범주와 유형의 예는 표 2와 같다.


심층 면접은 1인당 20~30분 정도 연구자의 연구실에서 개별적으로 이루어졌다. 면담이 진행되기 전에 간단한 면 담 지침을 안내하였다. 면담 진행은 가능한 편안한 분위기 에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참여자들에게 면담 내용이 녹음이 되고 녹음된 내용은 나중에 전사되어 연구에 사용됨에 대하여 안내하였다. 녹음된 면담자료를 제 3자에 의하여 전사하였고, 연구자가 녹음 내용과 전사본이 일치하는지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모든 면 담 내용의 전사된 양은 A4용지 약 30장으로 전사하였다.



2. 분석방법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심층 면접 내용에서 획득된 원 자료를 기초로 하여 질적 분석방법의 하나인 연속적 비교 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김 두섭, 2002). 연구자는 첫 번째 전사본을 독립적으로 읽으 며 흥미로운 구절을 범주화(category)하였다. 두 번째 전사본은 첫 번째 전사본에서 정리된 범주에서 새롭게 생성된 범주를 추가 하거나 조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모든 전사본은 연구자가 분류하여 최종적으로 2개의 주제와 6 개의 하위주제로 정리하였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2014, 2(4), 83~90 

http://dx.doi.org/10.15268/ksim.2014.2.4.083

ISSN : 2288-1174

물리치료학과 학생의 PBL수업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장곤ǂ

ǂ영동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 Phenomenological Study on Academic Achievement After Experiences of Problem-Based Learning in Students of Physical Therapy

Kim Janggon, PT, Ph.Dǂ

ǂDept. of Physcal Therapy, Youngdong University






스포츠 심리상담사 수련생이 경험하는 상담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016)

이민진․김정은․박지연․윤용진*

연세대학교 스포츠레저학과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본 연구의 대상은 스포츠 심리상담사 자격연수 2급을 이수하고, 현장수련을 하고 있는 수련생 6 명으로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자신의 경험을 자유 롭게 펼쳐낼 수 있는 연구 참여를 허락한 이들로 선정하였다. 이들은 현재 스포츠심리학 전공 대학 원생으로 석사나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 생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이들은 프로선수, 재활 (부상)선수, 학생선수 등 다양한 선수층을 대상으 로 심리상담 수련 중에 있다. 연구 참여자의 개인 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2. 자료 수집


1) 참여관찰


참여관찰 기간은 총 9개월이며, 2014년부터 12월부터 2015년 8월까지 이루어졌다. 휴일을 제외 한 12월 27부터 8월 5일까지 각 참여자당 2회~3 회 총 15회의 관찰이 이루어졌다. 이렇게 수집한 내용들을 구체적으로 노트에 기록하였으며 연구 자의 개인적 선입견을 배제하고 관찰하고자 노력 하였다. 연구자는 수련생들이 실습하는 공간, 회 의장소, 경기장에 수차례 동행하였으며, 그 결과 생생하고 현장감을 느끼며 수련생의 상황을 자세 히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한국스포츠심리학 회의 정회원으로서 다양한 행사에 다수 참여하였 고, 외부 미팅을 통해 라포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를 얻기 쉬웠으며 신뢰 관 계 형성이 상대적으로 용이하였다.



2) 심층 면담 및 표적 집단 면접법


연구 참여자는 수련생 6명으로 심층 면담 및 표 적 집단 면접법 (focus group interview, FGI)은 2014년 12월부터 2015년 8월까지 총 9개월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개인별 최소 2회에서 3회까지 면담 을 실시하였고 집단 면접을 1회 120분 실시하였다. 면담의 내용은 스포츠 심리상담사 자격연수에 포 함된 교과과정을 기본으로 스포츠 심리상담 수퍼 비전 수련생으로서 경험하는 내용들을 반구조화 (semi-structured interview)된 질문을 통해 진행되 었다. 주로 현장수련 수련생으로서 겪는 어려움, 현 장과정 및 기대성에 대한 질문이었는데 면담이 계 속되면서 기존문헌(Sim, 2012)과 연구자의 경험을 참고하였다. 개인면담과 수련생이 모인 FGI 그룹에 사용된 반구조화된 질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스포츠 심리상담 이론교육과 실제 현장경험 비교


(2) 스포츠 심리상담시 만족스러운 경험과 불 만족스러운 경험


(3) 스포츠 심리상담시 일반 상담과 다른 점


(4) 스포츠 심리상담의 지향점과 지양해야 할 점


위의 질문들로 면담을 이끌어 나가며 연구 참 여자들이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진술 할 수 있 도록 진행하였다. 수련생 6명이 자신의 수련경험 에 대한 토론을 하고, 토론 내용 중 주제에 대한 공통된 내용을 도출하여 수렴하였다. 심층면담을 통하여 보다 자세하고 깊은 경험을 이끌어 내었 고 표적 집단 면접을 통하여 기존의 심층면담에 신뢰도를 더하였다.



3) 연구노트


연구노트는 2014년 12월부터 2015년 8월까지 작성하였다. 연구자는 직접 수련활동에 동행하면 서 현장의 환경과 분위기 등을 수시로 연구노트 에 기록하였으며 관찰 후에는 일지를 작성했다. 더불어 심층 면담과 표적 집단 면접법에 대한 내용 등을 모두 연구노트에 기록하였다. 또한 여러 문서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는데, 특히 연구 참 여자의 일지 등을 함께 수집하여 기록하였다.


3. 연구절차 및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qualitative resesarch)의 한 유 형인 현상학적 연구방법(phenomenological method) 을 활용하였다. 현상학은 인간의 경험(체험)에 관한 연구이다. 현상은 경험의 본질이며 현상학적 연구방 법은 생활세계 속에서 경험하는 개인의 모습을 그대 로 밝히고 이해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Kong, 2004). 본 연구는 참여자의 경험을 통해 인식된 세계 와 그들이 호소하고 있는 표현들과 의미부여, 그리 고 그들이 살아온 삶의 현장에서 체득된 호소들을 생생하게 드러낼 수 있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상담수련생의 수련 경험을 축적하여 기록하고 자료 화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의 의미 있는 진 술에서 구성된 의미(formulated meaning)가 도출되 고, 구성된 의미에서 주제(theme) 및 주제모음 (theme cluster)을 확인하여 범주화하는 Colaizzi의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Colaizzi, 1978).


이 분석 방법을 통해 스포츠 심리상담사 수련 생의 경험이라는 전체현상을 포괄적으로 기술하 기 위해 각 연구 참여자의 면담 자료로부터 주제 를 이끌어 내고자하였다. 이와 같이 전체연구 참 여자의 관점에서 진술된 현장수련 상담 경험의 분석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1) 연구 참여자와 면담한 수련과정 경험에 대 하여 녹음을 하였고, 전사한 내용을 여러 차례 반 복하여 읽는다.
  • (2) 반복적으로 듣고 읽음을 통해 경험의 단위 들을 파악한 후 이 현상이 갖고 있는 의미를 추 출하였다.
  • (3)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 단위들의 의미를 명 확하고 정교하게 하기 위해 원자료와 지속적으로 비교 및 확인 작업을 하였다.
  • (4) 주어진 다수의 의미들을 의미단위, 하위영 역 및 대주제로 조직화 하였다.
  • (5) 주제를 현상과 관련시켜 명확한 진술로 완 전하게 최종적인 기술을 하였다.


4. 연구의 윤리성과 진실성


첫째, 윤리성 확보를 위해 연구 참여자들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절차에 대해 사전 구두설명을 통해 참여에 대한 동의를 구하였다. 2차 서면동의 를 통하여 자료의 사용범위, 비밀유지, 원함에 따 라 언제든지 면담종료가 가능함을 알려주어 사생 활을 보호하고 자율적인 참여가 이루어지도록 하 였으며, 참여자들의 이름은 모두 가명으로 제시하 였다. 또한, 심층면담은 수퍼비전 후나 별도의 모 임에서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편견이 개입 되거나 자의적으로 해석한 부분 등을 수시로 체크 하며 적절하지 못한 부분 등을 수정 보완하였다.


둘째, 진실성 확보를 위해 자료수집과 분석에 서 삼각측정법(triangulation)을 이용하였으며, 자 료 수집과 분석이 끝난 후 지속적인 동료검증 (peer debriefing)의 과정으로 스포츠심리분야 교 수 1인 및 동료 연구자 2인과 함께 상의하며 공 동 연구를 진행하였다.



Table 2. Categorization of trainees’internship experience




Kong, B. H. (2004). Phenomenology in Nursing Research, Korean Journal of Phenomenology, 23, 151-178.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016, 제27권, 제1호, 71~86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2016, Vol. 27, No. 1, 71~86 DOI http://dx.doi.org/10.14385/KSSP.27.1.71 ISSN 1226-685X

스포츠 심리상담사 수련생이 경험하는 상담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민진․김정은․박지연․윤용진*

연세대학교 스포츠레저학과

A Phenomenological Study on Sport Counselor Trainees’ Internship Experiences Regarding to the Process of Counseling

Min Jin Lee, Jeong Eun Kim, Ji Yeon Park and Yong Jin Yoon (Yonsei University)

Department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Seoul, Korea







예비유아교사의 PBL 수업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012)

서혜정


I . 서 론


학교와 대학에서 과연 다양한 목소리를 충분히 배울 수 있는가 하는 의문이 제기(신 득렬/ 1쨌)되는 오늘날I t학생들의 실력 향상올 좌우하는 것은 교수가 아니라 교수법이 라는 연구결과’는 교사양성교육자로서 학생들의 실력 향상과 연결된 교수법에 대해 깊은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유명한 교수에 의한 전통식 교수 방법과 대학원생이 이끄는 상호 의사소통의 교수 방법 중에 오히려 대학원생의 수업이 훨씬 효과적이었다는 이야기는 교수법의 중요성올 더욱 강조하는 것이대김홍식/ 2011). 교사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진다.”라고 한다. 이는 교사로서 자신이 하는 일과 자신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자 기 자신을 끊임없이 발달시키고 변화시켜야 할 당위성을 부여한다(Rogers & Babinski, 2005) .


연구자는 매년 매학기 마다 i보다 나은 교수법에 대한 지향이 관심사이자 목표이다. ’어떻게 하면 학습자가 잘 배울 수 있는 교육이 될 것인가?’에서 t어떻게 하면 학습자가 잘 학습활 수 있을까?로 변화한 연구자의 시각은 학습의 주제로서 학습자를 수업의 중 심에 둔 것이라 할 수 있다. ’학습자가 잘 배운다.’에서 t학습자가 잘 학습한다.’의 차이는 매우 크다. 이 시각의 차이는 학습자를 t수통적인 존재에서 I능동적인 존재’로의 인식전 환을 보여주는 것이다 학습 주체에 대한 인식 변화는 곧 교수법과도 연결된다. 즉/ 수동 적인 존재로서의 학습자는 ’교사가 지식을 전달하는 수업’에서 만날 수 있으며/ 능동적인 존재로서의 학습자는 교사와 함께 만들어가는 수업에서 적극 참여하는 학습자로 만날 수 있다. 이렇게 능통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학습자를 만나게 된 연구자의 수업 변화의 큰 중심은 대화로 진행하는 문제중심학습(PB니1) 수업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PBL 수업에 대한 유아교육 전공의 학습자의 시간 체험을 통해 학습 자들이 PBL 수업에서의 체험 본질과 그 의미를 드러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올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예비유아교사들은 PBL 수업올 체험하면서 무엇올 경험하는7꺼


2 예비유아교사의 PBL 수업에 대한 체혐의 의미는 무엇인가?


11. 연구 방법


l. 연구 참여자


연구 참여자는 PBL 수업을 경험한 3년제 유아교육과의 3학년 예비유아교사 6언으로 연구자에게 2010년 2학년 2학기에 유아수학교육 교과목에서 15주간 표 1의 t유아주도학 습 PBL Package'로 PBL 수업을 받은 경험이 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2학년 2학기에 다른 교수로부터 t유아사회교육’ 교과목 PBL 수업올 받은 경험이 있어 총 2회의 PBL 수업 경 험이 있다. 연구 참여자 6인은 3년제 대학의 특성상 과목 이수도 공통으로 수강하였기에 공통의 체험을 하였다. 두 교파목에서 진행한 PBL 수업 진행은 교수에 따라 다르게 진 행되었을 것이라는 전제하에 본 연구에서의 연구 참여자들의 PBL 수업에 대한 경험은 유아수학교육 교과목에서 진행한 ’유아주도 학습 Package' 경험에 국환하여 인터뷰하였 다. 연구 참여자는 연구자의 요청으로 2011년 9월 15일부터 2011년 10월 20일까지 PBL 수업에 대한 싱충면담에 자발적인 참여를 회망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2. 자료수집 및 분석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가 대화로 PBL 수업올 경험하며 체험하는 현상과 의미를 기술 하는 현상학 연구이다(Creswell, 2005). 현상학적 연구는 인간 경험의 기술에 대한 분석 을 통해 경험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는 귀납적l 기술적 연구 방법이다(신경림, 조명옥/ 양 진향/ 2[)04 : 강4).


자료 수집올 위하여 연구 참여자가 연답하는 것올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 므로 PBL 수업 경험이 있는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중 연구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을 대 상으로 연접이 이루어졌다. 즉, 연구 참여자들은 그동안 수강하였던 강의식 수업과 다른 2010년 2학년 2학기에 ’유아주도 학습 Package’로 진행한 PBL 수업에 대한 체험올 2011 년 9월 15일부터 2011년 10월 20일까지 8시간 11분간 심충연담을 하였다. 심충면담 한 자료는 모두 전사하였고I 전사한 자료는 A4용지로 181페이지가 되었다.


자료 수집은 대화의 상호작용적 교환이 이루어지는 반구조화된 변답으로 하여 심충적 (in-depth)으로 이루어졌다(Mason, 201이. 연구자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한 후 추후 개 별 심충면담을 하고자 하였으나 연구 참여자들의 선호도에 따라 인터뷰의 그룹 크기가 정해졌다. 포커스그룹 인터뷰는 PBL 수업에 대한 개인의 생각이 대화로 드러남으로써 다른 면담자의 대화를 자극하게 되어 개인면담보다 다양한 의견올 수집할 수 있는 장점 으로 작용하였대김영천/ 2006). 연구 참여자에 따라 지속적인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원할 때에는 포커스그룹으로 인터뷰를 하였고r 포커스그룹 후 개인면담을 수용하는 연구 참여 자는 추후 개인면담올 통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연구하는 데 있어 자료 수집과 자료 분 석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심층연담은 분석 과정에서 생기는 연구 참여자의 체험을 보다 싱충의 의미를 들여다보기 위해 이루어진다.


질적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도구’이기 때문에 연구자의 선이해나 면견이 자료의 수집 과 해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대김영철/ 1999 : 77).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의 체험을 통해 의미를 발견해야 하므로 연구자 자신의 면견올 배제하기 위한 연구자 자신의 판단 중지(epoche)를 위해 노력하였다. 이는 연구자가 정보제공자의 목소리를 통해 현상(phenomenon)을 이해하기 위해 자신의 선입견을 I괄호 치기1 하는 것이다 Mores, 1985: G않weι 2뼈 : 79, 재인용).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의 현상적인 체험(lived experience)을 기술하도록 요청하였다. 수집 자료는 모두 녹음하여 전사하였고 전사한 전체 텍스트를 원고/ 의미 있는 기술을 드러내며 주제어를 지으며/ 최초의 코드를 형성하였다. 이후 같은 의미가 있는 주제어들 올 분류하고 묶어 대주제어를 지어I 이때 연구 참여자들이 PBL 수업에서 무엇이 얼어났 는지 체협의 본질을 찾아 이야기하고자 하였대Creswell, 2005). 동시에 주제어는 그 글 이 어떤 것인지 알 수 있도록 의미를 드러내는 문지기 역할올 하였대Oan따뻐, 2011). 또한, 해석 과정에서 명화를 이용하여 시각적 제시를 하고자 하였대김영철/ 1999).


연구자는 자료 수집l 분석I 해석의 과정에서 상호주관성올 확보하기 위한 ’옹답자에 의한 타당성 검증Iα1as。n, 2010 : 、279)으로 논문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금 읽는 기회를 주어 연구자가 연구 참여자의 의도를 왜곡하지는 않았는지 확인 과정을 가졌다. 이는 면 답 자료가 스스로 숨 쉬고 말하도록 하였는지에 대한 점검이 된대Sei따lall, 2009). 이 모든 과정은 순환적으로 이루어져 연구 과정이 나선형올 그리면서 반복적으로 발전하는 것이대김영철/ 1999).


Creswell, J. W. (2005). 질적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전톰. (조홍식, 정선욱, 김진숙, 권 지성 역). 서울: 학지사.



제 16권 제2호, 235∼264, 2)12

예비유아교사의 PBL 수업체험에 관한 현상혁적 연구*

서혜정




이직의도가 있는 임상간호사의 소진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15)

김증임1 ·손행미2 ·박인희1 ·신희진1 ·박지현1 ·조미옥1 ·김성의1 ·유미옥3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1 , 울산대학교 간호학과2 , 문경대학교 간호학과3




연 구 방 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이직의도가 있는 임상간호사의 소진에 대한 본질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간 경험의 의미에 중점을 두고 본질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는 Colaizzi [14]의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2. 연구참여자 선정

본 연구의 참여자는 4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에서 3년 이상 근무를 한 간호사 중에서 이직의도가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하였다. 3년이상을기준으로한이유는 3년에서8년미만의 간호사들의 이직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12,15]. 연구대상자 산정기준은 현상학적 연구에서 6인에 서8인의기준에따랐으며선정기준은다음과같다.Ÿ 

  • 400병상이상 800병상 미만의 종합병원에서 3년이상 근무를 한 간호사로서 소진으로 이직의도가 있는 간호사Ÿ 
  • 본 연구에 대한 설명을 듣고 녹음과 필사 사실을 알고 참여에 동의한 자
  • 제외기준은 병상규모에 따라 소진경험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400병상미만이거나800병상이상의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인 경우 


참여자 선정과정은 수간호사에게 사직서를 직접 제출했거나 동료들에게 사직하고 싶다는 심경을 밝힌 간호사를 소개 받았다. 참여자들은 연구자들로부터 연구의 목적, 면담 내용을 녹음하고 필사한다는 것에 대한 설명을 듣고 기꺼이 면담에 응하겠다고동의를하여서면동의를한사람들로총7명이었다.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29세로33세(참여자 4)가가장 높았고 27세(참여자5, 6)가가장 낮았다. 학력은 전문학사학위를 가진자가 4명(참여자1, 2, 5, 6), 4년제 학사학위를 가진자가 3명(참여자3, 4, 7)이었으며, 이직경험이 있는 자는 3명(참여자2, 3, 4)으로 평균 3년의 임상경험 후 재취업을 하였다. 참여자들의 총 임상경험은 평균6년4개월이었다. 근무부서로는 외과계2명(참여자1, 4), 내과계4명(참여자2, 3, 6, 7), 특수파트1명(참여자5)이며, 현근무지의 간호전달체계는 기능적 분담 체계 3곳(참여자2, 3, 4), 팀간호4곳(참여자1, 5, 6, 7), 직위로는일반 간호사4명(참여자2, 4, 5, 6), 팀리더간호사3명(참여자1,3, 7)이었다.


3. 연구자 준비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자들은 대학원 박사과정에서 질적 연구방법론을 한 학기 동안 이수하였고, 질적연구워크숍에2회이상 참여하여 면담기법과 질적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을 훈련받았다. 또한 질적간호연구학회의 세미나와 학술대회에 매년 참석하고 정기적인 연구모임 등에 참여하여 현상학적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자로서의 준비를 하였다.



4. 자료수집 

자료수집을 위한 심층면담은 대화에 방해받지 않도록 조용 하고 부드러운 분위기에서 이뤄졌으며, 편안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참여자가 원하는 시간과 선택한 장소에서 실시하였다. 면담은 한 사람 당 최소한 3회 정도 이루어졌다. 면담을 진행함에 있어 1단계 면담은 연구자가 2인1조 3개조를 이루어 인터뷰를하였다. 1인은면담을진행하였고 나머지 한 사람은  면담 의 주요 내용과 면담 분위기를 요약하면서 주 면담자를 보조 하는역할을하였다. 매번면담을 마친 후 녹음 내용은 필사하 였고 전체 공동 연구자들과 연구회의를 거쳤으며, 대상자가 말하지 못했던 부분을 보완하기 위하여 2단계로 심층면담을 하였다. 면담은 비구조적 질문으로 임상에서의 소진 경험의 의미와본질을 파악하기 위해 주질문과 부가질문, 예비질문 을준비하였다.주질문은“당신이업무를수행함에있어힘들 었던경험에대해이야기해주시겠습니까?”로시작하였다. 부 가질문과 예비 질문은 다음과 같다. 


1) 부가질문 Ÿ 

  • 이직을 고려할 정도로 힘들었던 소진경험은 무엇인가요? Ÿ 
  • 병원 안에서 직무갈등으로 인한 소진경험을 한 것이 있는 지요? Ÿ 
  • 간호사의 직무는 어떤 것이라고 생각하세요? Ÿ 
  • 간호사로서 직무갈등과 관련된 소진의 원인은 무엇이라 고 생각하십니까? Ÿ 
  • 간호사의소진경험시어떤대응(반응)을하셨습니까? Ÿ 
  • 소진을 극복한 경험이 있으신가요? 


2) 예비 질문 Ÿ 

  • 병원에서 처음 겪은 어려움은 무엇입니까? Ÿ 
  • 병원에서 경험한 업무는 무엇입니까? Ÿ 
  • 당신이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힘들었던 경험에 대해 이야 기해 주시겠습니까? Ÿ 
  • 당신의 업무 과정에서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 때 문에 갈등하신 적이 있습니까? Ÿ 
  • 소진을 경험한 결정적 이유는 무엇입니까? Ÿ 병원환경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세요? Ÿ 
  • 간호업무 이외에 어떠한 일을 하고 계십니까? 


1회 면담시간은 1시간에서 1시간30분 정도 소요되었다. 참여자가 편안히 이야기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였 고, 참여자 스스로 경험을 이야기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 1 단계로 의미가 불분명한 내용에 대해서는 반복적으로 질문하 여 의미가 분명해질 때까지 자신이 얘기하고자 하는 바를 충 분히이야기할수있도록하였고, 두명의연구자가같은내용 으로 이해하였는지를 확인해 가며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면담 내용은참여자의동의를얻은후모두녹음하였다.

  • 2단계로녹 음한 내용을 연구자들 각자 반복해서 듣고 직접 필사하였다.

  • 3 단계로 면담한 자료의 분석을 위해 연구자들이 함께 모여 토 의시간을 가졌고, 전지에 기록을 하면서 추가된 개념과 보충 해야할 부분에대해 정리하였다.

  • 마지막단계로는녹취한내 용을필사한내용에대해 타당도를 확립하기 위하여 2명의참 여자를 초대하여 내용을 설명하고 확인하였다. 또한 여기서 나온 것들을 다시 전지에 포스트잇을 붙여가며 의도한 내용이 맞는지와 코딩한 내용과 연구결과를 확인하는 절차를 거쳤다. 


5.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대상자 보호를 위해 S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 회의 심의(No. 1040875-201410-BM-036)를 거쳤으며 승인 내용에 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 내용은 연구목적 이 외에절대사용하지않으며, 자료화를마친후 음성정보는즉 시폐기할 것이며 연구 종료 후연구관련 자료는3년간보관 될 것임을 설명하였다. 연구 진행과정에서 노출된 개인적인 비밀 및 익명성은 철저히 보장되며, 논문게재 시에는 참여자 1,참여자2와같이기록할것이라고설명하였다. 참여자가원 하면 언제든지 연구참여를 철회할 수 있음을 사전에 알리고 철회하여도 어떤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음을 설명한 후에 면담 을 진행하였다. 


6. 자료분석 


본 연구는 현상학적 접근방법 중 참여자로부터 기술된 내용 에서 명확한 의미를 찾고 현상의 본질을 정확하게 진술하도록 하는Colaizzi[14]의 6단계 분석절차를 적용하였다.본연구의 분석과정은 다음과 같다.

  • 이직의도가 있는 간호사들의 경험에 대한 느낌을 이해하 기 위하여 심층면접 후 녹음해 온 내용을 여러 차례에 걸쳐 들으면서 대상자의 진술 그대로를 글로 옮겨 기술하였다.
  • 자료에서 얻은 느낌을 얻기 위해 기술한 모든 진술을 반 복하여 집중하여 읽었다.
  • 참여자들의 진술에서 얻은 탐구현상을 직접적으로 나타 내는 의미 있는 문장이나 구를 추출하였다
  • 의미 있는 진술들을 주의 깊게 보면서 중복되는 표현은 배제하고 일반적인 형태로 다시 진술 하였다. Ÿ
  • 원래의 진술과 분리되지 않도록 숙지하면서 의미 있는 문 장이나 구로부터 연구자의 언어로 의미를 구성하였다. Ÿ
  • 도출된 의미의 구성에서 주제를 뽑고 각 주제와 관련된 참여자들의진술들을분류(themes clusters)하였다. Ÿ
  • 지금까지 분석된 내용들을 하나의 기술로 통합한 후 이것 을 연구현상의 본질적인 구조에 대한 진술로 최종적으로 기술하였다. Ÿ 
  • 최종적인 기술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하여 참여자와 함께 읽어보며 참여자의 경험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였다. 


7.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확보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질을 검증하고 타당성과 신뢰성을 높 이기 위해 사실적 가치, 적용성, 일관성, 중립성을 평가의 기 준으로삼아연구의엄밀성을확보하였다[16]. 면담을시작하 기 전에 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설명함으로써 면담 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하고, 자료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면담이 방해받지 않도록 독립적인 장소를 확보하였고 개방형 질문을 하여 소진의 경험을 자신들의 언어로 자유롭게 표현하 도록 하였다. 연구자의 왜곡된 시각이 반영되지 않도록 면담 이 이뤄진 저녁에 필사하였고 연구자들이 매주 모여 반복적으 로 여러 번 읽어 의미의 본질을 찾는 과정을 통해 신뢰도를 높 이고 사실적 가치를 높이고자 힘썼다. 적용성은 연구가 얼마 나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지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자료 를 심층적으로 수집하고 포화시킴으로써 참여자의 진술은 반 복적으로 나타나며 공통적인 경험들을 찾음으로써 적용가능 성을높였다. 분석된결과가참여자의경험을타당성 있게정 리하고 서술되었으며 진실성이 확보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 해참여자2명에게분석된결과를보여주어참여자진술과일 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렇게 나온 자료를 2명의 교수가 다시 읽고 중요한의미를 모으고 이름 짓기를 하고 또 원 자료를 읽으면서 다시 그 주제 가 맞는지를 살피는 순환적인 검토를 수차례 실시하였다. 


연 구 결 과 


1. 의미의 구성 


의미의 구성은 의미 있는 진술들의 근본적인 의미를 연구자 의 언어로 표현하는 과정이며 형성된 의미들은 진술로 설명하 여 기술과 연결시켰다. 설정된 의미들은 모아서 원래의 기술 에 적절한 주제를 추출하고 주제들은 의미 있는 자료들을 반 영하도록 하였다. 


7명의 연구참여자로부터 도출된 소진경험을 나타내는 의 미 있는 문장이나 구는 총 108개였으며, 이 진술들을 하나씩 주의 깊게 읽어보면서 원 자료와 분리되지 않도록 연구자의 의미를 구성하였다. 


2. 주제모음 


일차적인 자료분석을 통해 이직의도가 있는 간호사들의 소 진 경험에 관한 진술들에서 각 개인의 개별적 경험들은 보다 일반적이고포괄적인9개의주제로도출되었고9개의주제는 ‘경고음을 울리는 방전직전의 배터리’, ‘북 치고 장구 치는 상 쇠’, ‘빗발치는 화살의 과녁’, ‘이직을 향해 흔들리는 시계추’ 의4개의주제모음으로구성하였다(Table 1)





1) 주제모음 1. 경고음을 울리는 방전직전의 배터리

(1) 주제1. 과다한업무의늪에서허우적거림

(2) 주제2. 수련부족으로생채기(scratch)가깊어짐


2) 주제모음 2. 북 치고 장구 치는 상쇠

(3) 주제 3. 의사업무로간호업무가떠밀리게됨

(4) 주제4. 간호외의업무로지쳐감


3) 주제모음 3. 빗발치는 화살의 과녁

(5) 주제5. 업무관련이해갈등에노출됨

(6) 주제6. 언어폭력으로감정의분화구가만들어짐

(7) 주제7. 모든실수를떠안는동네북이됨


4) 주제모음 4. 이직을 향해 흔들리는 시계추

(8) 주제8. 흔들리는간호사정체성

(9) 주제9. 이직에대한복잡한마음


3. 최종진술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를 통합한 것으로 이직의도를 가지고 있는 간호사의 소진경험 현상에 대한 최종진술은 다음과 같다. 


간호사들은 자신의 근무시간에 처리해야 하는 업무량의 과 다로 에너지 고갈을 자주 경험하며 주어진 업무의 불충분한 교육과 간호업무의 미숙한 상태의 지속으로 성취감을 느끼지 못하고있었다. 또한능숙하지못한 일처리로인하여의기소 침해지고 업무 수행에 자신감을 잃고 있었다. 


또한 이직의도를 가지고 있는 간호사들은 주기적으로 간호 직에 대한 정체성 혼란을 경험하였고 간호사란 직업에 부정적 인감정이쌓여가고있었다. 바쁜간호업무상황에서 다른직 종의 업무까지도 처리해야 되는 고충과 인계가 끝난 후에도 병동의 행정업무와 행사참여 등 환자 관련 업무 이외의 활동 에 참여를 하고 있었고 의사의 업무까지 처리하고 있는 실정 이었다. 또한인력부족 문제로한명의간호사가 다수의역할 을하고있어간호사들은이중, 삼중의스트레스로점점지쳐 가고있었다. 환자와보호자, 타부서또는간호부서내에서겪 는 여러 갈등상황이 무엇보다 간호사들을 지치게 하는 중요 요인으로 보였다. 여기저기서 환자와 보호자들, 의사와 타부 서, 동료간호사들의부탁으로늘어난부가업무는소진경험의 큰몫을차지하였다. 이러한근무여건에서동분서주하며과부 하상태로업무를감당하고있음에도불구하고, 모든 불만사 항의 과녁이 되어 버리는 것이 결국은 간호업무라는 것이었 다. 환자의 병원생활이나 치료과정의 설명에 환자가 이해를 잘못했을 때도 간호사 잘못이고, 의사에게 섭섭한 환자들의 불만사항도간호사가 사과해야할몫이되며, 동료간호사들 의 실수 또한 내 잘못이 되어 버리기에 전문직 간호사들로 하 여금 신세를 탓하는 감정노동자로 전락되고 에너지가 고갈되 는 현실 속에 있었다.



14. Colaizzi PF.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n: Valle RS, King M, editors. Existential-phenomeno- 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 versity Press; 1978. p. 48-71.



Korean J Women Health Nurs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 21 No. 4, 297-307, December 2015

pISSN 2287-1640 | eISSN 2093-7695

http://dx.doi.org/10.4069/kjwhn.2015.21.4.297

이직의도가 있는 임상간호사의 소진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증임1 ·손행미2 ·박인희1 ·신희진1 ·박지현1 ·조미옥1 ·김성의1 ·유미옥3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1 , 울산대학교 간호학과2 , 문경대학교 간호학과3

Phenomenological Study on Burnout Experience of Clinical Nurses Who have Turnover Intention

Kim, Jeung-Im1 · Son, Haeng-Mi2 · Park, In Hee1 · Shin, Hee Jin1 · Park, Ji hyun1 · Cho, Mi Ock1 · Kim, Seongui1 · Yu, Mi Ock3

1School of Nursing, Soonchunhyang University, Cheonan

2School of Nursing, Ulsan University, Ulsan

3Department of Nursing, Munkyung College, Mungyeong, Korea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 회복 경험 연구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접근- (청소년복지연구, 2016)

강 선 경* 이 근 무** 하 민 정***

서강대학교 예명대학교 성균관대학교


Ⅲ.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선정 및 자료수집 방법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으로부터 벗어나는 과정과 내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인터넷 중독에 빠져 있다가 회복한 청소년들을 의도적으로 표집하였다. 연구 자들은 연구문제에 대해 풍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연구참여자들 11명을 대상으로 심 층면담 하였다. 연구에 참여하기 전,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고 연구참여자들의 동의 를 받은 후 진행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4월 10일부터 215년 8월 23일까지 진행하 였고, 반구조화 된 심층면담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면담은 개인당 평균 2~3회에 걸쳐 진행 되었고 각 회당 평균 80분이 소요되었다. 면담 문항으로는 중독에 빠졌던 시기와 기간, 인 터넷 중독으로 인한 신체적․심리사회적 변화, 가족이나 학교생활, 현재의 생활, 인터넷에서 회복한 후의 생활 및 심정 등을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이야기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참 여자들의 인구학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11명의 연구참여자 의 연령은 10대 중후반으로 남성 9명, 여성 2명이었다. 중독유형 사항을 살펴보면 게임중 독, 도박중독이 주를 이루었다.


2. 자료분석


본 연구는 Giorgi(2004)의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 첫째, 전체적 맥 락을 파악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진술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모든 연구참여자 들의 구술을 기록한 원자료를 여러번 반복하여 읽음으로써 연구참여자만의 언어를 이해하 려고 노력하였다.

  • 둘째, 의미단위를 나누었다. 연구하고 있는 주제 즉, 청소년기 인터넷 중 독현상에 중점을 맞춘 의미단위를 확인하였다. 청소년기 인터넷 중독과 회복에 대한 경험 을 잘 드러내는 의미단위를 특별하게 강조하여 중심의미를 확인한 후, 마지막으로 중심의 미들을 통합하여 주제를 추출하였다.

  • 셋째, 학문적 언어로 변형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진 술내용들은 각각의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되어 있어 애매모호하기 때문에 연구자는 상호맥 락적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학문적 표현으로 변형시켰다.

  • 넷째, 일관성 있는 구조 진술 로 통합하였다. 학문적 표현으로 변형시킨 의미단위들 속에 내포된 통찰내용들을 통합하고 종합하여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에 대한 구조를 제시하였다.


3. 연구의 엄격성과 윤리적 문제


1) 연구의 엄격성


본 연구에서 엄격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연구참여자의 진술 중 오해의 소지가 있는 부분은 연구참여자에게 재차 확인의 절차를 거쳤고, 연구자 단독으로 해석하거나 판단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수행하고 있는 연구주제와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의 전문가인 사회복지 학 박사학위 소지자 1인, 사회복지학 교수 2인으로 동료지지 집단을 구성하여 연구의 방향 성을 검토하고 적절성을 확인하였다.


2) 연구의 윤리적 문제


연구자는 면담과정 동안에 다음과 같은 연구윤리에 관한 지침을 구성하고 준수하였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의 자발적 참여를 확인하고 연구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 취지를 설명하 고 동의를 얻어 면담을 진행하였다. 둘째, 연구수행 중, 연구참여자가 원할 때는 언제든지 연구에서 탈퇴할 수 있음을 고지하고 이를 보장하였다. 소개자를 통한 종용, 압력, 회유 등 을 하지 않았다. 연구 종료때까지 탈퇴한 연구참여자는 없었다. 셋째, 연구참여자의 익명성 을 보장하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신상정보는 ○○으로 처리하였다.


Giorgi, A. (2004).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dvanced Workshop on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Ewha Woman University, Seoul.


청소년복지연구 제18권 제1호 ISSN 1229-4705(Print) / 2466-2348(Online)
Journal of Youth Welfare http://dx.doi.org/10.19034/KAYW.2016.18.1.09
2016, Vol. 18, No. 1, 211-234.
A Study on Adolescents’ Recovery Experiences from Internet Addiction: Giorgi’s phenomenological approach
Kang, Sun Kyung*․Lee, Keun Moo**․ Ha, Min Jung***





학생의 수업참여 및 소외 양상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교육과정연구, 2014)

이 형 빈

(경희대학교)


Ⅲ. 연구 방법


2. 분석의 틀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수업참여와 소외 양상을 기술하고 분석하기 위해 현상학적 방법론을 택 하였다. 현상학은 질적 연구에 사용되는 주요 방법론 가운데 하나로, 어떤 현상에 대한 여러 개인 들의 체험적 의미를 기술하고 그것의 보편적 본질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Creswell, 2007). 교육과정 연구에서 현상학적 접근이 기여할 수 있는 바는 이것이 인간의 독특한 인식 및 존재 원리 를 해명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현상학적 방법론은 인간 행동을 예측하거나 통제 하기 위한 이론을 개발하고자 하는 실증주의적 방법론과는 달리, 교육과정 현상을 대상으로 하여 교사와 학생들이 구체적인 인간적 상호관계 속에 어떠한 경험이 형성되고 어떻게 매개되는지를 탐 구한다(이근호, 2012).


이 연구에서는 현상학적 기술과 범주 분석이라는 현상학적 접근의 기본 절차를 따르고자 하였 다. 현상학적 기술‘현상학적 환원’, 즉 연구자가 편견이나 선입관을 최대한 배제한 채 어떤 현상 을 그대로 생생하게 기술하는 것을 말한다. 현상학의 출발점은 실제로 인간이 겪은 ‘체험(lived ex- perience)’의 세계이며, 이 체험을 기술한다는 것은 곧 세계와 인간 존재 사이의 본래적인 관계를 직접적으로 드러내려는 시도이다(Manen, 1990). 이 연구에서는 우선 학생들이 하루 일과 동안 수 업시간에 경험하고 있는 수업참여와 소외 양상을 있는 그대로 기술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또한 Manen(1990)이 생활세계의 기본적 실존체(existentials)라 부른 ‘시간성’, ‘공 간성’, ‘신체성’, ‘관계성’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수업참여와 소외 양상을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인 간은 시공간이라는 조건 속에서 타자와 관계를 형성하면서 신체를 통해 어떤 경험을 하기 마련이 다.

  • 여기서 말하는 ‘시간성’은 시계가 나타내는 물리적 시간과는 달리 주관적으로 체험된 시간이다. 동일한 물리적 시간이라 할지라도 인간은 경험하는 바에 따라 더 빨리 흐르기도 하고 더디게 흐르 기도 한다. 또한 시간성은 과거에 대한 회상이나 미래에 대한 기대 속에서 자신의 삶을 재구성하 듯, 인간의 존재론적 기반이 되기도 한다.

  • ‘공간성’은 물리적 공간과는 달리 인간이 어떤 공간에서 느끼는 주관적인 경험이다. 인간은 자신만의 특별한 공간에서 안락함이나 성스러움을 느낄 수도 있 고 특정한 공간 배치 자체에서 낯설음이나 위협을 느낄 수도 있다. 이렇게 공간성은 인간의 체험과 관련된 실존적 주제를 드러낸다.

  • ‘신체성’은 인간이 생활세계 속에서 신체를 통해 어떤 대상과 접하면서 인식하는 의미를 말한다. 타자의 시선에 노출된 자신의 신체를 통해 두려움이나 소외감을 느낄 수도 있고, 악수나 포옹 등 신체적 접촉을 통해 타자와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기도 한다.

  • ‘관계 성’은 인간이 타자와 공유하는 관계의 의미를 말한다. 이는 타인과의 단순한 인간관계를 넘어 타자 와의 관계 속에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실존적 기반이 된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두 학교의 수업 양상을 있는 그대로 기술한 후 위에서 언급한 네 가지 범주 에 따라 이를 현상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이 수업에서 경험하는 현상 중 특히 극단적 으로 대비되는 두 현상, 즉 모든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현상과 잠을 자는 학생들이 많아지 는 현상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그리고 네 가지 범주를 관통하는 주제를 찾는 노력을 통해 학생들이 수업 참여와 소외 양상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교 육 과 정 연 구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014/1, Vol. 32, No.1, pp. 25~51.

A phenomenological study on students’ engagement and alienation in the class

Hyoung-Bin Lee

(Kyunghee University)







Systems-Based Practice Learning Opportunities in Student-Run Clinics: A Qualitative Analysis of Student Experiences (Acad Med, 2013)

Leslie Sheu, MD, Bridget O’Brien, PhD, Patricia S. O’Sullivan, EdD, Austin Kwong, and Cindy J. Lai, MD


Dr. Sheu is a first-year internal medicine resident and former student-run clinic volunteer and coordinator,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lifornia.


Dr. O’Brien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and Office of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lifornia.


Dr. O’Sullivan is professor and director, Office of Medical Education,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lifornia.


Mr. Kwong is a former volunteer at a student-run clinic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an Francisco, California.


Dr. Lai is associate professor and faculty advisor for a student-run clinic elective,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lifornia.


Correspondence should be addressed to Dr. Sheu,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Department of Medicine, 533 Parnassus Ave., Box 0131, San Francisco, CA 94143; telephone: (415) 476-1964; fax: (415) 502-7544; e-mail: leslie.sheu@ucsf.edu.




Method


Participants and setting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UCSF), School of Medicine has four independently run SRCs that provide care for underserved populations (for an overview of the clinics, see Table 1). Each year, approximately 70% (n = 105) of the school’s first-year medical students serve as volunteers who participate directly in patient care (with some students volunteering at more than one SRC), and 25% (n = 40) of first-year students become coordinators, assuming a leadership role with responsibilities for organizing and running the clinics. Coordinators continue in their positions during their second year of medical school, and many students continue to volunteer in their second year. At three of the four SRCs, interprofessional students from pharmacy, nursing, and/ or dental schools also provide patient care and act as coordinators.



Study design


As our study was exploratory in nature, we conducted in-depth,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medical students who were or had been involved with the SRCs and with SRC faculty advisors. Using the interview guide we developed, one of us (L.S.) conducted pilot interviews with four former SRC coordinators. On the basis of these interviews, we modified the guide to improve the flow of the questions, but we did not change the content. We asked all student interviewees to provide basic demographic information, describe the different roles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RCs, discuss the opportunities they had to learn about SBP through their SRC participation and formal curricular experiences, and reflect on their overall SRC experience. We used the same guide for the faculty interviews, but we asked faculty advisors to describe students’ SBP learning opportunities. (Our interview guide is available as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at http://links.lww.com/ ACADMED/A129.)


Between November 2011 and February 2012, we recruited and interviewed former SRC volunteers or coordinators (medical students in their third or later year), current SRC volunteers or coordinators (second-year medical students), and SRC faculty advisors who had been in their roles for several years at the time of our study. Including these three groups gave us a range of perspectives and allowed for triangulation of themes to increase validity of our results.20


After the pilot interviews, we recruited additional participants using a combination of purposive and snowball sampling techniques.21 One of us (L.S.) contacted 21 current and former coordinators using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nd interviewed the first 2 to 3 responders from each SRC for a total of 14 (2 current and 1–2 former coordinators per SRC, including the 4 pilot interviewees). We targeted this number of coordinators, anticipating saturation of ideas, and found this to be the case. L.S. asked the participating coordinators to recommend volunteers to interview and invited 14 past and current volunteers to participate. She interviewed the first current and past volunteer who responded per SRC. She stopped conducting volunteer interviews following these 8, after hearing similar ideas with no new responses.


After completing the student interviews, L.S. interviewed one of the primary faculty advisors for each SRC. These faculty were familiar with and responsible for overseeing the clinics’ activities.



Analysis


We analyzed the interview transcripts using thematic analysis.22 Prior to analysis, we agreed to broadly define SBP as “how patient care relates to the health care system as a whole and how to use the system to improve the quality and safety of patient care.”12 We also agreed to frame our coding to explore the four key elements of SBP outlined by Meah and colleagues19: “interdisciplinary and team-based care,” “resource acquisition and allocation,” “advocacy and navigation of the health care system to overcome barriers,” and “quality care.” Three of us (L.S., B.C.O., C.L.) read the same two coordinator transcripts independently to develop initial coding categories. At this stage, we modified Meah and colleagues’ four domains and added two other domains. In addition, we created codes for capturing students’ comparisons of SBP learning opportunities in SRCs to content in the formal curriculum, as well as comparisons of volunteer and coordinator experiences.



Once we finalized our coding cate- gories, three of us (L.S., B.C.O., C.L.) independently coded one transcript and reviewed discrepancies to clarify the definition of each code. Two of us (L.S., C. L.) each coded the remainder independently and discussed any disagreements until we reached con- sensus. We then coded the faculty interviews and used those data to check f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faculty and student perspectives.


We used NVivo version 8 (QSR International, Melbourne, Australia) to organize data for thematic analysis. We reviewed all the content coded in each category to identify themes and representative examples.



All potential interviewees were contacted by e-mail. The recruitment e-mails assured them that their responses would be confidential.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person or over the telephone, depending on interviewee preference and availability. All interviews were audio-recorded and deidentified by L.S. They were transcribed by L.S. and A.K. This study was approved by the UCSF Committee on Human Research.



22 Braun V, Clarke V.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 Res Psychol. 2006;3:77–101.


ACADMED_88_6_2013_03_04_SHEU_203337_SDC1.pdf






Medical stu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about family practice: a qualitative research synthesis (BMC Med Educ, 2012)

Anna Selva Olid1, Amando Martín Zurro2,3*, Josep Jiménez Villa2,3,4, Antonio Monreal Hijar5, Xavier Mundet Tuduri4, Ángel Otero Puime6, Gemma Mas Dalmau7 and Pablo Alonso-Coello 7 for the Universidad y Medicina de Familia Research Group (UNIMEDFAM)


* Correspondence: a.martinzurro@gencat.cat

2Servicio Catalán de la Salud, División de Planificación y Evaluación Operativa, Barcelona, Spain

3Institut Universitari d'Investigació en Atenció Primària Jordi Gol (IDIAP Jordi Gol), Gran Via 587 àtic, 08007, Barcelona, Spain 

Full list of author information is available at the end of the article




Methods


A systematic review and synthesis of qualitative studies using a thematic synthesis approach was conducted [13].


Analytical approach


The selected studies were thoroughly read. The type of study, its methodology, how information was collected and what type of analysis was performed for each study was identified. The authors of the studies were con- tacted to confirm witch methodology and type of ana- lysis was used (Table 1). Key themes and sub-themes were identified. The process of theme searching was dy- namic and it did not finish until all the studies were accounted for. Emerging theme definitions and limits were discussed for their development and refinement. A descriptive chart was created for each study including key information such as: author, date, country, method- ology, results, quality and limitations (Additional file 2). The initial list of themes was used to create a matrix, derived from an approach described by Miles and Huberman [15], allowing the comparison of each theme across the studies. This matrix was reviewed and refined and the themes were grouped until it was pos- sible to synthesize all the studies.







Medical students are afraid to include abortion in their future practices: in-depth interviews in Maharastra, India (BMC Med Educ, 2016)

Susanne Sjöström1,2*, Birgitta Essén2, Kristina Gemzell-Danielsson1 and Marie Klingberg-Allvin1,2,3

* Correspondence: susanne.sjostrom@ki.se

1Division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Department of Women’s and Children’s Health, Karolinska Institutet, 171 76 Stockholm, Sweden

2Department of Women’s and Children’s Health/, International Maternal and Child Health, Uppsala University, 751 85 Uppsala, Sweden Full list of author information is available at the end of the article



Method


Study design


We used a qualitative design conducting in-depth inter- views with twenty-three medical students in Maharastra applying a topic guide. Data was organized using the- matic analysis with an inductive approach.


Setting


Maharashtra is India’s second most populous state with 112 million inhabitants, and the third largest by area. The state capital Mumbai is the largest city in India with around 13.3 million inhabitants, yet a slight majority of the state’s inhabitants live in rural areas. In 2010–2012 the maternal mortality rate in Maharastra of 178 was around half of the national average, and according to data from 2001–2003 the maternal mortality due to abortion was 3 % for a group of seven well-off states in- cluding Maharastra [33]. Child sex ratio (0–6 years) was 883 females per 1000 males (national average 914) in the 2011 census, and the gender gap increased in the decade 2001–2011 [5, 34]. There are 44 medical colleges offering the MBBS degree to 5945 students in Maharas- tra of which 19 are run by the government [34].


Study participant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3 medical students in their last year of training leading to the MBBS degree (internship). The students attended 6 different col- leges (4 government (n =15) and 2 private (n =8)) in urban and peri-urban areas. The schools were purposively sampled among 28 private and public colleges that had previously engaged in a survey on attitudes to abortion. Purposive sampling was conducted with the aim to create maximum-variation representation within the group, e.g. to include participants with different socio-geographical- cultural backgrounds respecting gender, age, religion, marital status, and place of upbringing. A key-informant, the head of department at each college facilitated identifi- cation of eligible students, who were invited to participate. All included participants were between 22 and 25 years old. Thirteen respondents were men and ten were women, none were currently in a relationship. Most confessed to Hinduism, three were Buddhists, one Christian and one Muslim. A few had been sexually active. Oral and written information was given about the study, and participation was voluntary and anonymous. All interviews were con- ducted in privacy.


Data collection


A topic guide with open-ended questions and probes was developed to explore students’ attitudes and percep- tions toward abortion and provision thereof, medical abortion, and task shifting in comprehensive abortion care. The interview guide was subject to constant revi- sion as information from one interviewee influenced the interviewer’s knowledge of the subject [35, 36].


The first author, a Swedish Obstetrician-Gynaecologist who had been residing in India for two and a half years at the time of the study, conducted the interviews in English, the language of tuition at the included colleges.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three batches with two larger cities covered during December 2012, one city visited February 2013 and two smaller cities and a peri-urban area in April 2013. The interviews were tape- recorded and lasted between 30 min to one hour. Field notes were taken. Between interviews initial analysis and development of interview guides and probes was con- ducted. Interviews were continued until theoretical saturation was reached.


Data analysis


The data was analysed using an inductive thematic ap- proach applying a realist framework to report the experi- ence, meaning and reality of the participants [37]. The recorded data was transcribed verbatim, the transcripts were read through and the recordings repeatedly listened to by the first author. Data was coded manually and or- ganized into units of analysis with a semantic, explicit, approach to identify patterns and themes. The first au- thor conducted the coding and initial analysis; subse- quently data and results were reviewed and evaluated by all authors.




37. Braun V, Clarke V.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 Res Psychol. 2006;3:77–101.




Educating change agents: a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of graduates of a Master’s program in evidence-based practice (BMC Med Educ, 2016)

Grete Oline Hole1*, Sissel Johansson Brenna1, Birgitte Graverholt1, Donna Ciliska1,2 and Monica Wammen Nortvedt1


* Correspondence: Grete.Oline.Hole@hib.no

1Centre for Evidence-Based Practice, Bergen University College, Bergen, Norway



Methods


To examine the graduates experiences a qualitative descriptive design was chosen [13, 14]. Within the prag- matic framework [15]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apture participants’ collective discussion and reflection, following Krueger and Casey’s guidance [16]. This included planning the study, development and refinement of the interview-guide (“the question route” ([16], p 41), moderating each interview, with use of appropriate “pauses and probes” ([16], p 99), using an iterative process of analyses, and interpreting data and presenting findings.


Setting


Master’s programs in Norway are equivalent to two years full-time study, credited with 60 European Credit Transfer and Accumulation System (ECTS) credits each year [17]. A multi-professional Master’s program in evidence-based practice (MA-EBP) has been offered at Bergen University College, Norway since 2008. An overall aim of the programis to educate consumers of research who are able to initiate and carry out improvements in health care.


Sample and data colle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first two graduating cohorts (30 people). The graduates were mainly health care professionals but health librarians and health jour- nalists were also represented. All had considerable work experience, and many had earned postgraduate educa- tion (Table 2). While enrolled in the program, students worked part-time and their work experience was essen- tial for fulfilling some of the learning tasks.


Invitations were sent by e-mail one year after gradu- ation. Out of 30 potential participants, 22 volunteered, 11 from each cohort. Six semi-structured focus groups discussions with 3–4 participants in each were conducted. One participant who could not attend the focus group was interviewed by telephone.


The discussions were audiotaped and memos were written during the focus groups to capture the con- text. GOH and SJB facilitated and co-facilitated the interviews, except for one group in the second cohort where GOH had been supervising these students. In this case SJB moderated the discussion with another co-moderator.


The focus groups/interview lasted between 60–120 min. All professions represented in the cohorts partici- pated in the focus groups and all participants were female. Each participant had a unique identifier, by the cohort (2008 or 2009), the sequence of the interviews (1–4) and by the number of the participants (1–4).


Data analysis


The more than 12 h of taped discussion were transcribed to 130 pages of text by a research assistant. Interim analysis guided the planning of the next focus groups.


A thematic analysis was done with each transcript with the four themes for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guide as starting point [24]. This focused upon experiences as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competencies in EBP, role performance in EBP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in the educational program (not included in this paper as the purpose was feedback to the program). The analysis involved carefully reading through the transcript several times, first to get an overview over the interview and then to group the statements into the initial themes. When the three first interviews were grouped, a further rereading and grouping took place. The statements were then condensed and tentative codes and subcodes were developed for each group session. Thereafter the coded statements from the first cohort were pulled together for each initial theme. Next, statements were further grouped and condensed to new codes, where one sought to identify patterns and clarify what seemed to be essential for the students. Matrices were used to get an overview and make comparisons [25]. Saturation was not a goal of the analysis, as all potential participants were invited there was no possibility of increasing the number of participants.



The analysis was undertaken by GOH, but at each central step in the process the preliminary findings was discussed with SJB. Each session involved dialogue over the codes and how tentative findings could be inter- preted. Reflection notes were written before and after the meetings. Each step followed the criteria by Lincoln and Guba to ensure trustworthiness and authenticity [26]. Findings from the first cohort guided the interviews and analysis with the second cohort. For the second cohort, we sought to explore more in-depth how the students experienced the intended link between the model of EBP (Fig. 1), the study program and the under- lying pedagogical framework. Did the program promote the defined learning outcomes? Did it give participants the necessary competencies to implement EBP in their clinical practice? Minor adjustment of the interview guide and the introductory question were made at this point. Students’ experiences were still discussed, but with a closer focus on their feedback regarding the program rather than their personal experiences. For each theme we explored their experiences as adult learners, tasks rooted in cognitive learning theories linked to- wards lifelong learning and their thoughts about using EBP in the future. The coding first followed the same procedure as for cohort 1. Thereafter the findings from all seven data collection sessions were pulled together and further in-depth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closer focus upon the participants learning outcomes. Other authors (BG, DC and MWN) participated in analysis, discussion of the presentation of the findings and refinement of the model.


13. Sandelowski M. Whatever happened to qualitative description? Res Nurs Health. 2000;23:334–40. doi:10.1002/1098-240X(200008)23:4<334:: AID-NUR9>3.0.CO;2-G.


14 Sandelowski M. What’s in a name? Qualitative description revisited. Res Nurs 14. Health. 2010;33:77–84. doi.org/10.1002/nur.20362.


24. Braun V, Clarke V.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 Res Psychol. 2006;3:77–101. doi.org/10.1191/1478088706qp063oa.





Informal teacher communities enhancing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edical teachers: a qualitative study (BMC Med Educ, 2016)

Thea van Lankveld1,2*, Judith Schoonenboom1, Rashmi Kusurkar2, Jos Beishuizen1, Gerda Croiset2

and Monique Volman3


* Correspondence: t.van.lankveld@vu.nl

1Faculty of Behavioural and Movement Sciences, LEARN!, VU University Amsterdam, Amsterdam, Netherlands

2VUmc School of Medical Sciences Amsterdam, LEARN!, Amsterdam, Netherlands



Methods


Design


In order to study the processes involved in teacher communities, we employed a qualitative approach. The processes were observed.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 participants had experienced the processes, semi- 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tutors.


Setting


The teacher communities




Participants


About 30 tutors from both clinical and non-clinical de- partments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communi- ties by e-mail. Nineteen accepted the invitation: ten tutors from year 1 and nine tutors from year 2. Most of these tutors did not know each other prior to the teacher community. All participants in the teacher com- munities were invited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interviews. Ten agreed (four tutors from the first year of the bachelor’s programme and six tutors from the sec- ond year), while nine declined because of time con- straints. Demographic details regarding the participants are presented in Table 2.


Data collection


During the first semester, TvL took detailed observation notes during and immediately after the meetings of the two communities. As the processes we were looking for were unknown beforehand, we did not use a standar- dised observation scheme. Instead, we tried to include anything that seemed relevant to the research ques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The notes were qualitative in nature. They included: the con- tent of the discussion, i.e. the questions brought in (domain) and the solutions offered (practice) and any side discussions,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members and any important events or incidents (community).


After the semester, TvL held individual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TvL is a female educationalist holding an MSc in Psychology and extensive experience in qualitativ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aware of the aim of the interview, namely to reflect on the personal outcomes of the teacher communities (both positive and negative) and on the processes within the teacher communities that had contributed to these outcomes. The interview schedule was developed by TvL and MV and is available online as Additional file 1. Questions were asked about being a tutor (domain), as well as in what ways the teacher community had contributed to their understand- ing of the tutor role (practice) and to contacts with other tutors (community). We also added two questions in which the participants were encouraged to explicate any negative experiences or things they had missed in the teacher community. The interview schedule was adapted after the first interview (the data of which has not been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interviews lasted for 60–90 min and took place at the university, without anyone else being present apart from the interviewer and the interviewee. Field notes were made during the interview. The interviews them- selve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verbatim. Sum- maries of the interviews were sent to the participants for member checking.



Analysi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from an interpretivist point of view [29], which fits well with our aim to construct insightful accounts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the teacher communities. First, TvL and JS analysed the ob- servation notes. Through repeated reading of the obser- vation notes and extended discussions concerning our interpretations, we identified two main processes in the teacher communities, which were derived from the data. In order to gain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way the participants had experienced those processes, we ana- lysed the interview data using thematic analysis [30]. We started with the two initial processes that we had identi- fied in the observation notes as initial themes, but allowed for additional themes to emerge. The data was first systematically and iteratively analysed in Atlas.ti by TvL, and then re-analysed by JS. Any discrepancies were discussed until consensus was reached, which led to the further refinement of the analysis. In order to adequately interpret the interview data, we repeatedly went back over the original observation notes, so as to relate the participants’ accounts of the processes and their effects on them to the processes we had observed. The product of the analysi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ree processes including illustrative data extracts and relevant context- ual information, was discussed with the whole research team (i.e. triangulation of investigators [31]).


Reflection on the role of the researchers


TvL played a double role due to both serving as a co- facilitator in the teacher communities and being in- volved in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he was therefore not a neutral observer, but was involved in the teacher communities herself. We acknowledge that this might have influenced the findings and our account of them. At the same time, we experienced that this double role actually helped us to understand the participants’ responses during the interviews, and it also helped us to recognise and understand the processes involved in the teacher communities during the analysis. To minimise possible conflicts between the two roles, a second researcher was involved in the data analysis, which assisted TvL in creating dis- tance from her role as co-facilitator. Additionally, the research team, consisting of two scientists from the medical education field and three educational scien- tists, functioned as a critical review board during the data analysis.


Additional file 1: Interview schedule. (DOCX 18 kb)


29. Bunniss S, Kelly DR. Research paradigms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Med Educ. 2010;44:358–66.


30. Braun V, Clarke V.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 Res Psych. 2006;3:77–101.





Regional coordinators: a new teaching opportunity in family medicine training (BMC Med Educ, 2016)
Davorina Petek1*, Polona Vidič Hudobivnik2, Viktorija Jančar3, Bojana Petek4 and Zalika Klemenc-Ketiš5

* Correspondence: davorina.petek@gmail.com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Ljubljana, Poljanski nasip 58, Ljubljana 1000, Slovenia



Methods


Participants


Regional coordinators


Family medicine trainees


Progress of the study


Analysis


All audiotapes were transcribed verbatim and checked for accuracy. The transcript was analysed using thematic analysis, which contains analysis of raw data by open coding, category formation and abstraction [7, 8] by the so-called inductive technique from text level.


The unit of analysis was defined, (a transcript of one focus group) and the unit of coding (raw data as blocks of quotations). Codes were assigned to the quotations. Three independent researchers coded the text (D.P., Z.K.K., B.P.) and in case of differences, discussed the analysis until an agreement was reached. In the second stage, duplicated codes and codes which were not relevant to the research question were reduced to a final list of codes. Conse- quently, the codes were grouped by their similarities into themes. Themes and codes of regional coordinators and specialist trainees were compared to each other. The last stage represented Interpretation of the analysis and was made by associating the text and the context of the codes and themes. Codes were assigned by appropriate quota- tions and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the text.


7. Elo S, Kyngäs H.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J Adv Nurs. 2008; 62:107–15.






Exploring challenges in implementing a health systems science curriculum: a qualitative analysis of student perceptions (Med Educ, 2016)

Jed D Gonzalo,1 Paul Haidet,1 Barbara Blatt2 & Daniel R Wolpaw1


1Department of Medicine, Penn State College of Medicine, Hershey, Pennsylvania, USA

2Office of Medical Education, Penn State College of Medicine, Hershey, Pennsylvania, USA

Correspondence: Jed Gonzalo,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Penn State Hershey Medical Center – HO34, 500 University Drive, Hershey, Pennsylvania 17033, USA. Tel: 1 717 531 8161; E-mail: jgonzalo@hmc.psu.edu



METHODS


Study approach


Because there is very little in the literature in the way of student attitudes to systems-based educational curricula, we used a data-driven inductive approach for our study.19–22 We used a qualitative thematic analysis with several grounded-theory analytical tech- niques appropriate for the exploratory nature of the research question. We chose focus group interviews rather than surveys or individual interviews because we wanted to explore students’ perceptions in detail, while also providing a safe environment for interaction and potential agreement and disagree- ment among participants.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determined this project to be minimal-risk research.


Study setting


In 2013, the Penn State College of Medicine (PSCOM) received a grant fromthe American Medi- cal Association to implement a new systems naviga- tion curriculum, with the primary goal of aligning medical education with health systemneeds.23 This new curriculumwas to include two key components.7

First, a new health systems course was designed, last- ing 17 months with an estimated 125 contact hours, focusing on topics such as insurance, cost, care coor- dination, population and public health, health care performance and value, teamwork and leadership.6,7

Second, to foster motivation and relevance to the new classroom-based course, students were to be embedded into health systems in south-central Penn- sylvania as patient navigators. Patient navigation is an intervention that uses outreach workers to explore patients’ barriers to care and helps themnavigate complex health care systems to obtain the required care and reduce disparities.24,25


Participant sampling


Because we expected students at different stages in their education to perhaps have different viewpoints about HSS, we intentionally recruited medical stu- dents from each of the four years (MS1–4) of Penn State’s curriculum in order to obtain a sample that included the varying levels of experience. We sent e-mails describing the study and requesting inter- ested students to sign up for a pre-scheduled inter- view. Focus groups were comprised of three to seven participants, with each group including mem- bers of the same class. None of the students in the study had experienced any part of the new curricu- lum described above.



Data collection


Two experienced facilitators with knowledge of medi- cal education but without leadership positions in the medical school moderated and digitally recorded the focus-group discussions. We used an interview guide (see Appendix S1) that was informed by the relevant literature on SBP, experiential workplace-based learn- ing and curriculum design.12,13,16,18,26,27 As demon- strated in the interview guide, our questions were designed to encourage and probe responses about HSS in general, rather than issues specific to our local environment alone.

 

We began each discussion by ask- ing participants to write down thei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 term‘systems-based practice’. Following this activity, the discussion focused on stu- dents’ understanding of SBP concepts, their percep- tions of the importance of such concepts in a medical school curriculum, issues surrounding experiential systems-based education and participation as patient navigators, and how they prioritised different learn- ing subjects during medical school. A professional transcriptionist prepared a verbatimtranscript of each audio-recorded focus-group session.


Data analysis


Members of our research team with experience in qualitative research led the analysis phase of our study. Our research team’s perspective in approach- ing this work was that HSS has value in the training of medical students and in 21st-century medical practice. As such, we were particularly careful to ensure focus group moderators worded their ques- tions and probes neutrally, and we performed an informal analysis of the questions and probes asked to ensure the moderator was not asking leading questions that implied that students should value this content. In addition, we performed several cross-checks, described below, to ensure that our results could be confirmed.


We approached our data using thematic analysis with several grounded-theory analytical tech- niques.22,28,29 We used Atlas.tiTM 6.0 (Scientific Soft- ware, Berlin, Germany) software to manage the text data. During each focus-group session, the modera- tor recorded notes to inform the initial codebook. We reviewed these notes as well as the focus group transcripts using a process of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to identify initial themes and categories and generate a preliminary codebook.19,20 Because we were unsure if data saturation would be reached across all four years of training, we made an a priori decision to complete all scheduled focus groups regardless of whether saturation was reached at an earlier point.

 

One investigator (JG) independently analysed an initial transcript and modified the code- book. Through regular adjudication sessions with a co-investigator (BB), initial codes were compared for inconsistency and agreement, followed by updat- ing of the codebook. Members of the research team individually reviewed transcripts and cross-checked the text with the developed codebook, which informed subsequent adjudication sessions. The team discussed disagreements and collapsed and modified codes as necessary. Finally, the research team discussed overarching categories, themes and exemplar quotations, and developed a conceptual framework to explain students’ perspectives regard- ing systems-based education.




DISCUSSION


Why isn’t educational change happening more quickly and meaningfully in the area of health care systems, and why do schools appear ‘immune’ to change? In their seminal work on immunity to change, Kegan and Lahey outline a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both why it is difficult to make changes and what can be done about it.40 They suggest a personal or organisational ‘X-ray’ designed to uncover the inner-workings of difficul- ties with change. Best intentions (such as the com- mitment to teach HSS) are often accompanied by actions or inactions that do not support this goal (things being done or not done instead, such as preparing students for successful residency applica- tions), which can be mapped to faculty staff and education leadership worries (such as fears that stu- dents will not be matched with their preferred resi- dency positions) and underlying assumptions (e.g. criteria for a residency cannot be changed or other criteria for assessing competence are not as impor- tant or accurate as the USMLE). Such underlying assumptions are often not acknowledged and serve as powerful forces maintaining the status quo. Once such assumptions are identified, strategies to test the assumptions can be implemented to begin to move the previously immovable ‘object’. In the con- text of our results, we recognise the need to re- establish ownership and control of the core mission of medical education. Although standardised tests can measure a fund of knowledge, they represent only a small fraction of the overall lear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utcomes that medical schools should be (and would like to be) promoting for their students. Many educators are aware of this, and our results suggest students are as well. In Table 1, we subjected the challenge identified by students (i.e. competing educational agendas) to the Kegan/Lahey X-ray. Although this represents a specific example, we feel that this model has the potential for broad applicability as medical educa- tors seek to change what has previously been consid- ered unchangeable. It provides a focus and a guide for identifying and challenging key underlying assumptions that may be preventing us from achiev- ing our goals for future physicians and the health care system. The change is long overdue. We believe the Kegan/Lahey framework provides an identifi- able starting point and direction that can be applied in multiple settings.


Table 1 Immunity to change X-ray relating to health systems science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faculty members and the education leadership)






19 Bernard HR, Ryan GW. Analyzing Qualitative Data: System- atic Approaches. Los Angeles, CA: Sage 2010; xxi, 451 pp.


20 Braun V, Clarke V.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 Res Psychol 2006;2 (3):77–101.


40 Kegan R, Lahey LL. Immunity to Change: How to Overcome it and Unlock Potential in Yourself and Your Organization. Boston, MA: Harvard Business Press 2009; xvii, 340 pp.




ThematicAnalysis MedEduc Gonzalo_et_al-2016-Medical_Education medu12957-sup-0001-AppendixS1.docx





The “Handling” of power in the physician patient encounter: perceptions from experienced physicians (BMC Med Educ, 2016)

Laura Nimmon1,2* and Terese Stenfors-Hayes3


* Correspondence: laura.nimmon@ubc.ca

1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Vancouver, Canada

2Department of Occupational Science and Occupational Therapy, 429 – 2194 Health Sciences Mall,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V6T 1Z3, Canada



Methods


Research design


This current research was part of a larger study that ex- plored how physicians conceptualise their teaching and consultation practices and their thoughts about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se roles. For this current study we wanted to understand how physicians perceive power relations in the physician-patient encounter. To achieve this, 30 physicians were interviewed and the transcribed data analysed using an inductive thematic approach further described below.


Population, sample and data collection


We used purposeful sampling to capture a wide range of physicians to ensure we could fully understand the topic under study. The co-investigators on the larger study represented one of the five disciplines, and thus identi- fied colleagues that fit the study’s inclusion criteria of having at least five years of experience in teaching pa- tients and trainees. An email introductory letter that de- scribed the larger study was sent to all colleagues identified by the study’s co-investigators. Approximately 4 (70 %) out of 6 (100 %) of those physicians initially contacted in each discipline were interested in partici- pating, and were subsequently sent a consent form prior to the interview taking place. To recruit the additional two participants we used a snowball sampling technique which involved asking those interviewed if they could provide names and email addresses of colleagues who fit our recruitment criteria. We then contacted the new recruits by sending an introductory email describing the study. The interviews were held either in person at the participant’s office (n = 12, 40 %) or on the phone (n = 18, 60 %) and were approximately 1 to 1.5 h in dur- ation. The majority of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the first author (LN) and the remaining by a research assistant,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After the first six interviews were transcribed, the re- search team (LN & T S-H) met and reviewed the tran- scripts to fine tune the interview protocol.



Data analysis


In this exploratory analysis we wanted to focus on physi- cians’ conceptions of the phenomena of power in the physician-patient encounter, and thus this present ana- lysis drew on a subset of data from the larger study: We explicitly asked two open-ended interview questions within the larger study: “Do you find that there are power relations in your interactions with patients?” And “How do you deal with these power relations if you experience that they are there?”. and in this current ana- lysis, we focused on responses to these two interview questions. Follow up questions and probing techniques were also used to stimulate more information, such as “can you tell me more about that?” or “right, I see”. How- ever, we also coded all content within the full transcripts and analyzed any data found that highlighted physicians’ perceptions of power dynamics as they unfold with pa- tients in the clinical context.


Analysis of data began by multiple readings of the ver- batimtranscripts. We then used LeCompte and Schensul’s [35] approach to analyzing qualitative data that involves a systematic process that takes place in three stages: (1) Item analysis, (2) Pattern analysis, and (3) Structural ana- lysis. We used each of LeCompte and Schensul’sthree tiered inductive strategy as this analytic approach involves compiling items together at the specific level and then creating more abstract statements about patterns of re- lationships in the data to generate overall insights into the topic of interest [35]. Theoretical visibility was also present throughout all stages of analysis to enhance re- search rigour [36].




(I) First, we coded the transcripts for key phrases or tracts of text related to “physician-patient power dy- namics”. We used ATLAS.ti qualitative coding software to visually display items in the margins of the program rendering visible the relationship to each other across data sets.


(II) We then engaged in pattern analysis, which in- volved a process of comparison, contrast, and integra- tion and where items are organized, associated with other items, and linked together into higher order pat- terns. Examples of themes that were generated in this stage were: “awareness of power”; “the contextual nature of power”; and “the strategic handling of power”. These patterns emerged from drawing on prior research studies, the study’s theoretical framework, and our research pur- pose. For example, in operationalizing the item “awareness of power,” we drew on Bourdieu’s [22] notion that people often experience powe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iffer- ent social circumstances or fields they find themselves in.


(III) Following pattern analysis, we developed broader themes that involved blending many of the initial codes into finer tuned themes that captured similar conceptual dimensions across the data. These broader themes, for example, were named: “perceptions of holding and man- aging power”; “perceptions of being disempowered”; and “perceptions of power as non-existent”. These broader themes were then pulled together into a meaningful whole – the interpretation.



We began the interpretation by returning to the ori- ginal research purpose and reviewing the theoretical and research literature that contextualized the study. This process helped us focus the interpretation on what


others can learn from the study and how this is sup- ported by concrete, specific examples.

 


 

Trustworthiness and rigour


We employed strategies of credibility to establish qualita- tive criteria for trustworthiness and rigour in the research. To ensure credibility in an attempt to compensate for single-researcher bias, LN and T S-H engaged in re- searcher triangulation by both being involved in the analysis of data [37]. To further enhance credibility and because all steps in qualitative analysis involve acts of in- terpretation, we also engaged in peer-examination [38] that involved discussing the research process and findings with impartial colleagues. We engaged in an ongoing dialogue with Dr. Glenn Regehr (a well-respected scholar in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and Wendy Hartford (a research assistant who read all of the interview transcripts), comparing insights about our emerging themes and confirming the reliability of our analysis of data. Finally, credibility was ensured by engaging in a thick description of the research process so the reader would be able to follow the research process, such as rational for the study, data collection, and analytic process. These de- tailed descriptions allow others to be able to determine if the insights can be transferred to their local context and setting [39].





Medical students’ creative projects on a third year pediatrics clerkship: a qualitative analysis of patient-centeredness and emotional connection (BMC Med Educ, 2016)
Johanna Shapiro1*, Diane Ortiz2, You Ye Ree3 and Minha Sarwar2



* Correspondence: jfshapir@uci.edu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School of Medicine, 101 City Dr. South, Bldg 200, Rte 81, Ste 835, Orange, CA 92868, USA




Methods


Data analysis


Student projects were identified as the unit of analysis. The projects were first reviewed by a research team con- sisting of the first author and several medical students.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39, 40], each re- viewer independently studied a subset of the projects 2–3times,“deconstructing” both individual themes and emotions expressed in the projects. The research team compared their initial observations in an iterative process that involved both ongoing coding and identifica- tion of new codes as needed. Projects coded earlier were reviewed to ensure inclusion of more recently discovered categories. We grouped the codes used in scoring each project into broader categories addressing the theme(s) and emotions expressed in each project. The research team members met as a group and by email to discuss category issues, refine the scoring options, and resolve differences. Using this method, numerical counts and frequency distributions were computed for all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Codes included year project was completed, gender of student(s) completing project, type of project (artistic medium employed), and point of view represented (medical student’s, patient’s, family member’s, or resident/attendings’). In our analysis of type of project, we examined poetry and prose separately, in case different types of writing emphasized different themes and emotions. We also identified theme and emotion-based codes. Themes referred to the main point, focus, or message of the project. Emotional expression included all the emotions expressed in the project. Each project could be coded multiple times to ensure that all themes, emotions, and perspectives were captured. Forty-two theme codes and 31 emotion codes were identified.


We also considered regroupings of related content themes, for example combing various codes into an um- brella grouping that we re-labeled patient/relationship- centered care. We also summarized emotional tone into categories of positive (13 codes), reflective (3 codes), and negative (15 codes). These determinations were based on face validity. We further conducted analyses examin- ing the interaction of themes and emotions. To facilitate interpretation of these complex relationships, we calcu- lated the average number of emotions per theme so that we could determine unusually high or low frequencies of emotions. As well, we coded for shifts in emotions and attitudes within a given project. Finally we considered the data by year of project (collapsed into three approxi- mately equal groups: Group 1, 2002–2005, N=181;Group 2, 2006–2008, N=156; Group 3, 2009–2013, N=185)and gender of student to identify differences or patterns.








Cultural implications of mentoring in sub-Saharan Africa: a qualitative study (Med Educ, 2016)

Adam P Sawatsky,1 Natasha Parekh,2 Adamson S Muula,3 Ihunanya Mbata4 & Thuy Bui5

1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Mayo Clinic, Rochester, Minnesota, USA

2Internal Medicine Residency,University of Pittsburgh School of Medicine,UPMCMontefioreHospital, Pittsburgh, Pennsylvania,USA

3Department of Public Health, School of Public Health and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Malawi, Blantyre, Malawi

4TeamHealth Oak Ridge Methodist Medical Center, Hospitalist Medical Group, Oak Ridge, Tennessee, USA

5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Pittsburgh School of Medicine, UPMC Montefiore Hospital, Pittsburgh, Pennsylvania, USA

Correspondence: Adam P Sawatsky,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Mayo Clinic, 200 First Street SW, Rochester, Minnesota 55905, USA. Tel: 00 1 507 284 8913; E-mail: sawatsky.adam@mayo. edu



METHODS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qualitative study using in-depth,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the- matic analysis to explore the themes of culture and mentorship at the University of Malawi College of Medicine. Study team members had previous experi- ence in qualitative education research and had spent time in Malawi, and all but one (ASM) were not directly involved in education or mentoring at the College of Medicine. This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s of Mayo Clinic and the University of Pittsburgh, and by the Univer- sity of Malawi’s College of Medicine Research and Ethics Committee.


Context


The University of Malawi College of Medicine was started in 1991, and after 10 years had graduated 134 medical doctors.17 From 2006 to 2012, the grad- uating class grew from 24 to 47 students, with plans for continued growth.18 In 2004, the College of Med- icine began to run 4-year postgraduate programmes that lead to Master of Medicine degrees in internal medicine, paediatrics and child health, general sur- gery, and anaesthesia and ophthalmology, and has since added degrees in orthopaedics, obstetrics and gynaecology, nephrology, and emergency medi- cine.19,20 Yet there are still substantial shortages: for every 1000 people, Malawi has only 0.02 doctors, whereas Kenya has 0.18 and South Africa has 0.76 doctors.21 This has led to continued efforts to build the global health professional workforce, which include efforts to minimise medical migration by reducing recruitment in recipient countries, improve training and enhance the utilisation of non-physician health care workers.22 Medical students have identi- fied a need for mentoring, particularly for career planning and for identifying opportunities for post- graduate training.12 There is a programme in place that provides clinical supervision during clinical rota- tions for medical students in which the supervising person is designated a ‘mentor’. There are no formal mentoring programmes for interns, registrars or junior faculty staff, but they are encouraged to estab- lish mentoring relationships.


Participants


Using criterion sampling, we identified our initial interview candidates among Year 4 medical stu- dents, interns, registrars (i.e. residents) and faculty staff. We sampled participants at different academic levels, choosing Year 4 medical students because they have some clinical experience, but are distinct from interns. We sampled registrars and faculty staff across several specialties to get a broad perspective. We then used a snowballing technique to identify additional participants who would be likely to yield valuable information on the subject.23 We enlisted the help of student representatives to invite students to participate. We used department heads and lead- ers in the College of Medicine to assist in identify- ing interns, registrars and faculty members for participation; these leaders only provided lists of potential participants and were not actively involved in recruitment. Participants were given a medical penlight as a token of appreciation for their partici- pation.


Interviews


Participants underwent a semi-structured, one-to- one interview.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study team members who were not involved in the train- ing programmes at the University of Malawi College of Medicine, and therefore were potentially neutral observers (APS, NP and IM). The interviews were audio-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The inter- view guides were developed through an iterative process among research team members from the University of Malawi College of Medicine, the Mayo Clinic and the University of Pittsburgh School of Medicine. After an initial literature review, team members discussed important issues relating to aspects of mentoring and generated an initial list of questions that were organised into four interview guides, one for each participant group (medical stu- dents, interns, registrars and faculty staff). The study team revised each of the guides, which were then piloted and further refined for clarity. Each inter- view lasted 22–72 minutes (average: 37 minutes). A copy of the interview guide is available online (Appendix S1).


Data processing


The transcriptions were de-identified prior to analy- sis and uploaded to NVivo Version 10.0 (QSR Inter- national Pty Ltd, Melbourne, Vic., Australia), a software program that supports the analysis of quali- tative data. Three investigators reviewed a portion of the transcripts (seven of 41) and developed a code- book through open coding. The codebook was applied to each of the subsequent transcripts inde- pendently and in duplicate; differences were resolved through discussion.



Thematic analysis


We used the process of thematic analysis to conduct an exploratory analysis of the data.24 Study team members reviewed interviews and wrote analytic memos throughout the course of data collection, which began the analysis process and aided in the determining of thematic saturation. We continued to conduct interviews until no new themes were identified in the iterative discussion among study investigators. When we had completed the process of coding, we reviewed reports of quotations across interviews within each of the final codes to identify recurrent patterns from which major themes emerged in the course of our ongoing discussion. Using Sambunjak’s proposed ecological model of mentoring in academic medicine,6 we further cate- gorised themes and chose exemplary quotations.







Sequencing learning experiences to engage different level learners in the workplace: An interview study with excellent clinical teachers (Med Teach, 2015)

H. CARRIE CHEN1, PATRICIA O’SULLIVAN1, ARIANNE TEHERANI1, SHANNON FOGH1, BRENT KOBASHI1

& OLLE TEN CATE2

1University of California, USA, 2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The Netherlands



Methods


Design


This was a single institution qualitative interview study of teaching practices among excellent clinical teachers. We selected a grounded theory approach from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in order to develop an understanding and model for teacher selection of learning experiences for different level learners in clinical workplaces. By selecting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we acknowledge that teachers may conceptualize this process in different ways and that our understanding is an interpretive one (Watling & Lingard 2012; Creswell 2013; O’Brien et al. 2014).



Context


We conducted this study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UCSF) School of Medicine, and with ethical approval of the UCSF institutional review board. The UCSF undergraduate and graduate medical education programs are consistently ranked among the best in the United States (US News and World Report 2014). UCSF has an Academy of Medical Educators (AME) where the members are selected via an external review process based on their excellence in direct teaching and accomplishments in an additional area of medical education such as curricular development, advising/mentor- ing, educational administration/leadership or educational best research. AME members exemplify the teachers at UCSF and represent 4–5% of the faculty across all core teaching sites, departments and clinical and classroom settings (Cooke et al. 2003).


Participants


We used purposeful sampling methods to select participants who were most likely to provide the richest information about the selection of clinical learning activities for multiple levels of learners (Coyne 1997; Creswell 2013). We defined clinical teachers as physician faculty members who directly supervised learners in the clinical environment and who cared for patients jointly with the learner. These teachers were responsible residents/ simultaneously for both medical students and fellows who were on clinical rotations for their individual training programs with primary learning goals relating to patient care competencies. We considered medical students at any level of training, but primarily clerkship students, as junior learners; interns as intermediate or more advanced learners and senior residents/fellows as senior learners.


We first used criterion sampling to pick participants who met our pre-specified criteria of: (1) membership in the UCSF AME, (2) practicing physician and (3) taught learners of multiple levels of training in the clinical setting (Coyne 1997; Creswell 2013). Seventy-seven clinical teachers met these criteria. We then used theoretical sampling to select individ- uals based on whom we predicted would add new and varying perspectives on teaching (Coyne 1997; Watling & Lingard 2012; Creswell 2013). For instance, we anticipated that clinical teachers from different specialties (e.g. surgery versus psychiatry) or who work in dissimilar clinical settings (e.g. intensive care unit versus outpatient clinic) might have different approaches. Therefore, we specifically sampled from a variety of specialties as well as a range of inpatient and outpatient clinical settings. When emerging themes from early interviews suggested a potential difference in perspec- tive among teachers from procedural specialties, we explicitly recruited additional participants from procedural specialties to further explore their perspectives. We accomplished this by sending invitations to participate in individual interviews in multiple waves, selecting who was invited in each be inter- successive wave based on who had agreed to when we viewed. We stopped our recruitment reached theoretical saturation, at which point invitations to 46 of the 77 current physician AME members had been sent.



Instrument


Because we wanted to explore teacher selection of clinical workplace activities for different level learners, which may be a deliberate approach to structuring clinical learning, we used the framework of Collins’ cognitive apprenticeship and curricular sequencing (Collins 2005) to inform the develop- ment of an interview guide. To allow more open discussion, we did not include specific terminology from those frame- works in our interview questions or probes. The guide for our semi-structured interviews included the following questions: (1) Please describe your approach to teach learners at different levels in a clinical setting. (2) How did you develop your current approach to work with learners at different levels? (3) What role, if any, do you think faculty play in promoting the developmental progression of learners in the clinical settings? How might the faculty do a better job of this? (4) Do you have other comments about your teaching experiences with learners at different levels? We piloted the interview guide with experienced teachers who were not in the AME and made minor edits to the probes before using the guide with study participants.


Procedure


Two authors (BK and SF), who were non-AME junior clinician educators, trained in interview methods, conducted the semi- structured interviews. As non-AME members, they were not well known to the study participants and could function as outsiders (Creswell 2013). However, they were also clinical teachers with insider knowledge of the teaching roles and contexts of their interviewees. Each interviewed approximately half of the study participants either in-person or by telephone between January 2012 and March 2013. They debriefed their interviews with a third author (HCC) who, as an AME member meeting study criteria, was fully positioned as an insider. This facilitated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complexity and patterns present in the data while avoiding an insider’s influence on the data collection. Interviews averaged 30min- utes in length (range 15–50 minutes). All interviews were audio-recorded and the audio files were transcribed verbatim by an external service and de-identified.


Data analysis


Consistent with our grounded theory approach, we carried out inductive thematic analysis of our data using an iterative process during and after data collection. In inductive thematic analysis, themes are not imposed, but emerge naturally from the data (Bowen 2006). Though we had a cognitive appren- ticeship and curricular sequencing framework in mind when developing our interview guide, we took this open approach to our data analysis to allow for emergence of potential additional elements and concepts. To ensure analytical rigor, we used multiple coders for investigator triangulation (Creswell 2013). After familiarizing ourselves with the tran- scripts, the three authors who are clinical teachers (HCC, BK and SF) performed initial open coding of the same six randomly selected transcripts to identify codes. We compared our coding lists and reconciled differences. We developed a codebook for thematic analysis and two authors (either HCC and BK or HCC and SF) independently applied it to all transcripts for open and axial coding (Corbin & Strauss 2008; Creswell 2013). The authors met and discussed all transcripts and reconciled any discrepancies.



We then organized the emergent themes using the sensitizing concepts of cognitive apprenticeship and curricular sequencing. Sensitizing concepts are concepts brought to data analysis to allow for a frame of reference in organizing and reporting the emergent themes (Bowen 2006). Using the organizing framework of cognitive apprenticeships and cur- ricular sequencing, one author (HCC) took the lead in further abstracting, organizing and synthesizing the themes into a cohesive model grounded in the data. To maintain reflexivity, these final phases of analyses involved discussions with the larger study team (Creswell 2013). The three non-clinician team members (PO’S, AT and OtC), one of whom was from outside UCSF (OtC), functioned as outsiders to provide diverse perspectives and challenge assumptions. They were in agree- ment with the model and themes identified.


We used Dedoose Version 4.12.4 (http://www.dedoose.- com) for our data organization and analyses. As a part of our analyses, we looked at frequency of codes, co-occurrence of codes and stratification of codes by years of teaching experi- ence. We reached saturation within our sample; we did not discover new codes or themes despite additional sampling of clinical teachers from a variety of specialties and clinical settings. Also, the amount of data we gathered was sufficient to inform our understanding of teacher selection of learning experiences for different level learners (Morse 1995; Watling & Lingard 2012).


















학업우수 여자고등학생의 직업 결정 유형에 관한 질적 연구(한국심리학회지, 2008)

하 정†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이에 본 연구는 학업우수 여학생의 진로발 달에 대한 전반적이고 실제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인 근거이론(grounded theory)으로 학업우수 여자고등학생의 직업결정 경험과 그 유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연구 의 결과는 한국의 우수 여학생들에게 요구되 는 진로상담 및 프로그램을 적합하게 구성하 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 된다.


자료 수집


연구 참여에 대해서는 참여자와 부모에게 동의를 얻었다. 인터뷰는 1회 60분에서 90분 정도가 소요되었으며 참여자의 학교나 집 또 는 연구자의 학교 연구실에서 이루어졌다. 인 터뷰 내용은 녹취한 후에 연구자가 직접 컴퓨 터를 이용해서 입력하거나 연구보조원이 입력 하였다. 연구보조원이 입력한 경우는 연구자 가 인터뷰 녹음 내용을 다시 들으면서 검토하 는 과정을 거쳤다. 입력한 분량은 A4용지로 평균 20장 내외였다.


면접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 면담 자료의 분석은 Strauss와 Corbin(1998)에 의해 제시된 개방코딩(open coding), 축코딩(axial coding), 선택코딩(selective coding)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각 단계를 순환 적으로 반복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개방 코딩과 축코딩을 통한 범주 분석과정을 통해 패러다임 모형을 파악한 후 핵심범주를 선택 하고 패러다임 모형과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유형을 분석하였다.


개방 코딩


개방 코딩을 통해 근거자료에 나타난 현상 에 이름을 붙이고 개념을 도출하고 범주화하 는 단계를 거쳤다. 개방코딩 동안에 자료는 개별 부분으로 분해되어 검사된 후, 유사성과 차이점이 비교되었으며 본질상 개념적으로 유 사하거나 의미상 관련되어 있다고 여겨지는 사고나 사건, 작용은 “범주”라 불리는 추상적 인 개념으로 묶이게 된다(Strauss & Corbin, 1998).



축 코딩


축 코딩은 범주를 축으로 범주와 하위범주 를 연결시키고, 범주를 속성과 차원의 수준으 로 계속 발전시키며 범주의 관련성을 패러다 임 모형으로 파악하는 것이다(Strauss & Corbin, 1998). 본 연구에서는 무엇보다 축 코딩의 분 석적 도구인 패러다임 모형을 통해 인과적 조 건, 중심 현상,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작 용/상호작용 전략, 결과의 구조를 밝혔다.


선택 코딩


선택 코딩에서는 범주들 간의 관계를 통합 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포괄적이고 추상성이 높은 핵심범주를 선택하고 핵심범주를 중심으 로 이론을 정교화하고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타당성 검증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에 대한 평가로서 Lincoln과 Guba(1985)가 연구 결과의 진실성 (trustworthiness)을 추구하고자 제시한 신뢰성 (credibility), 전이가능성(transferability), 의존성 (dependability), 확증성(confirmability)을 확보하고 자 노력하였다.


우선,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 들에게 분석에 포함된 자료들과 분석결과들을 확인하는 과정(member checks)을 거쳤다.


전이가능성은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학업우 수 여자 고등학생 3인에게 본 연구 결과물을 보여주고 자신의 경험에 비추었을 때 의미있 고 적용 가능한 결과인지 검증하게 함으로써 확보 되었다.


의존성은 연구결과의 일관성을 의미하는 것 으로 감사가능성(audibility)으로 대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상담심리전공 박사과정 수료생 1인 이 별도로 원 자료를 분석한 후 논의하는 과 정을 거쳤고 상담심리사 1급 자격을 소지한 상담심리전공 교수 2인과 근거이론 방법으로 박사학위논문을 쓴 박사 1인으로 자문단을 구 성하여 연구 과정 전반과 연구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의 확증성은 양적 연구의 객관성에 해당되는 개념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른 동료 연 구자와의 만남을 통하여 연구의 목적, 연구의 의도 그리고 연구 결과를 논의하면서 지속적 으로 의견을 나누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근 거이론 방법의 절차와 분석과정을 제대로 따 름으로써 편견적 시각이나 기존 연구결과들을 증명하는 방식이 되지 않도록 객관성을 유지 하려고 노력하였다.



결 과


근거이론 패러다임에 의한 자료의 범주화


개방코딩에서 자료의 개념화 및 범주화와 범주의 속성 및 차원을 규명하였으며 91개의 개념, 43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8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표 1).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08, Vol. 20 No. 2, 431-454

학업우수 여자고등학생의 직업 결정 유형에 관한 질적 연구

하 정†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전립선암 노인의 질병 경험 (노인간호학회지, 2012)

김양신1·한진숙2

선병원1, 건양대학교 간호학과2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전립선암 노인의 질병 경험을 파악하여 그들의 삶에 대한 경험의 구조와 본질적 의미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경험의 본질을 있는 그대로 탐구하여 인간에 대한 심층적이고 총체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는 Colaizzi (1978)의 분석방법을 적용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2. 연구참여자


본 연구의 참여자는 전립선암 진단을 받고 D시의 K대학병 원에서 입원 또는 외래 통원치료를 받고 있는 65세 이상 남성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는 자신의 생각을 자유 롭게 표현하고 원만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인지기능에 문제 가 없고, 장시간의 면담에 참여할 수 있을 정도의 건강을 유지 하고 있는 환자들이다. 연구대상자의 선정은 편의표본 추출 방식을 사용하였고, 연구참여에 동의한 참여자로 하였다.


3. 연구자 준비


현상학적 접근은 연구조사자가 도구가 되기 때문에 철저한 사전 준비를 필요로 하는데 본 연구자는 임상에서 10년 이상 환자를 간호하였으며, 대학원에서 노인 간호학을 전공하였고 노인전문간호사 자격을 취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대학원 에서 질적 연구방법에 대한 강의를 수강하였으며, 현상학에 관하여 관심을 가지고 학회 참석 등을 통하여 질적 연구를 탐 구하였다. 가능한 한 선입견을 배제하기 위해 자료수집 전에 심층적인 문헌고찰을 의도적으로 삼가 하였고, 연구의 전 과 정을 질적 연구를 하고 있는 지도교수 1인과 현상학적 연구에 경험이 많은 간호학과 교수 2인의 자문을 받아 진행하였다.


4. 윤리적 고려


연구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를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기 에 앞서 K대학병원의 연구윤리심의위원회(IRB)의 승인을 얻 었다. 우선 비뇨기과 외래 간호사가 연구의 목적과 과정에 대 한 설명을 한 후 연구참여 의사를 확인하면, 본 연구자가 2차 로 연구목적을 설명한 후 연구참여 의사를 재확인하였다. 면 담을 시작하기 전 연구참여에 대한 서면 동의서를 작성하였으 며, 심층면담에 있어 면담 내용의 녹음에 대해서도 사전 동의 를 얻었다. 연구결과는 연구목적으로만 사용할 것이며 모든 자료는 익명으로 처리될 것과 연구참여자가 원할 경우 언제든 지 면담이 거부되거나 중단될 수 있음을 알렸다. 이러한 모든 내용에 대한 참여자의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동의를 얻 은 후에 면담을 진행하였다.



5. 자료수집


본 연구의 자료는 연구참여자를 심층 면담하여 수집되었다. 면담 장소는 참여자의 정보가 보호되면서 타인의 방해를 받지 않고 자유롭게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조 용하면서도 참여자가 원하고 편안해하는 장소로 조용한 상담 실을 이용하거나, 연구자가 직접 자택으로 방문하여 면담하는 사례가 많았다. 면담 횟수는 1회에서 2회까지로, 1회 면담은 참여자에 따라 40분에서 1시간 30분까지였으며, 심층면담 시 작과 종료는 대체로 참여자의 의견을 물어 조정하며 진행하였 다. 일상적인 이야기로 관계가 형성되면 “전립선암을 치료하 면서 겪는 경험은 무엇입니까?”라는 질문으로 본격적인 면담 을 진행하였으며, 그 밖의 주요 질문내용으로는 “전립선암을 진단받았을 때의 느낌을 말해주십시오.”, “전립선암을 치료하 면서 일상생활에서 겪는 어려운 점은 무엇입니까?”, “전립선 암을 치료하면서 경험하는 성생활에 대해 말해주십시오.” 등 이었다. 개방적이고 반구조적인 질문으로 면담이 이루어졌으 며,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진행되었다. 가능한 한 자료수집과 분석을 동시에 진행하려고 노력하였고 녹음한 내용은 매 면담 후 반복하여 들으면서 참여자의 언어로 필사하였다.



6. 자료분석


본 연구의 자료분석방법은 Colaizzi (1978)의 현상학적 방 법으로, 먼저 모든 참여자의 기술을 반복해서 읽으면서 전립 선암 남성노인의 질병 경험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의미 있는 문장이나 구를 추출하였다. 의미 있는 진술로부터 의미를 구 성하면서 원자료의 내용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주제와 주제군 으로 조직하고, 다시 범주화하였다. 자료분석결과를 서술하 여 통합하고 현상학적 글쓰기를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주요 참여자에게 분석과정과 결과를 보여주고 자신의 원래의 경험 과 일치되는가를 확인하는 검증 절차를 거쳤다.


본 연구는 Lincoln과 Guba (1985)가 제시한 질적 평가 기 준인 사실적 가치(truth value), 적용성(applicability), 일관 성(consistency), 중립성(neutrality)에 근거하여 연구의 신 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고자 노력하였다.

  • 사실적 가치를 높이 기 위하여 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을 상세히 설명하고 관계 형성을 하여 자신의 경험을 잘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생 생한 경험을 얻기 위하여 참여자가 익숙하고 편안해하는 자택 을 주로 면담 장소로 이용하였다. 또 면담 시의 분위기나 참여 자의 표정, 제스츄어와 연구자의 느낌 등을 메모하여 자료분 석 시 활용하였으며, 면담 내용을 녹음하고 녹음된 내용을 그 대로 문자화함으로써 자료의 누락을 막고 해석의 신뢰도를 높 였다.

  • 적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연구참여자의 진술이 반복 적으로 나타나서 더 이상 새로운 자료가 도출되지 않을 때까 지 자료를 수집하여 자료의 포화상태를 만들도록 하였다.

  • 분 석결과에 이르는 전 과정 동안 지도교수 1인과 현상학적 연구 에 경험이 많은 간호학과 교수 2인에게 자문을 받고 함께 검 토하며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연구의 일관성을 높였으며,

  • 중 립성 확보를 위해서 면담과정과 자료분석 과정에서 연구자의 편견이나 선 이해, 가정들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 유도 질문이나 연구자의 판단을 피하고 반영적 통찰을 통해서 연구 자의 주관성을 배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노인간호학회지 제14권 제3호, 2012년 12월

J Korean Gerontol Nurs Vol. 14 No. 3, 182-190, December 2012 

전립선암 노인의 질병 경험

김양신1·한진숙2

선병원1, 건양대학교 간호학과2






간호학 신임교수의 교수생활 경험 (성인간호학회지, 2012)

임은주1·김미영2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조교수1,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과학부 부교수2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간호학 신임교수가 교수생활을 하는 동안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심층적으로 기술하고자 van Manen (1990)의 해석학적 현상학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3. 연구참여자 선정 및 윤리적 고려


본 연구의 참여자는 3 ․ 4년제 간호대학에 전임으로 재직하 면서 5년 미만의 경력이 있는 신임 교수 11명을 목적적 표본 추출을 통해 선정하였다. 평균 나이는 만 40세34~49세 범위) 이었으며, 모두 여성으로 결혼여부는 기혼이 7명, 미혼이 4명 이었다. 재직 지역은 서울 2명, 경기도 2명, 충청도 1명, 전라도 3명, 경상도 3명이었다. 재직기간은 평균 17개월(4~58개 월 범위)이었으며, 소속대학 학제구분은 3년제가 6명, 4년제 가 5명이었다. 대학 직급은 전임강사가 5명, 조교수가 6명이 었고, 트랙구분은 비정년트랙이 3명, 정년트랙이 8명이었다. 주당 강의 및 실습시수는 평균 11.8시간이었으며, 학과장 및 각종 대학위원회와 같은 보직 활동을 7명이 담당하였다.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배경 중 특성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 보면, 거주 지역과 재직 지역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4명으로 이 중 3명의 참여자는 기혼이었다. 연봉에 따른 참여자들의 특 성을 비교한 결과, 연봉은 참여자의 소속 대학마다 기준이 달 랐으며, 실무경력은 부분적으로 인정받았다. 임상경력은 평균 118개월(60~202개월 범위)이었으며, 성인간호학, 모성간호 학, 아동간호학, 정신간호학, 지역사회간호학, 간호관리학 전 공 등의 박사학위를 소지하고 있었다. 박사전공과 강의 교과 목의 일치율은 64%, 임상 실무경력과 실습지도 과목과의 일 치율은 80%였다.


본 연구참여자를 윤리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연구자가 소속 해 있는 대학의 기관윤리심사위원회(IRB No.: 2010-6-2)의 승인 하에 연구를 수행하였다. 참여자의 모집에 있어 연구의 목적 및 방법, 연구참여에 대한 익명성 보장, 자발적인 연구참 여 동의와 거부, 중도포기가능, 발생 가능한 이익과 불이익, 녹음기 사용 등을 포함하는 내용을 구두와 서면으로 설명하고 자발적인 동의서를 받아 참여자를 최대한으로 보호하였다.



4. 자료수집


자료수집은 2010년 10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15개월 동 안 진행되었다. 면담 장소는 면담이 편안한 분위기에서 이루 어질 수 있도록 연구자 또는 참여자의 연구실이나 참여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이루어졌다. 면담횟수는 1차에서 11회, 2차 에서 6회, 3차에서 5회, 4차에서 3회로 총 25회 이루어졌으며, 자료 포화가 이루어지는 시기를 면담 종료시기로 삼았다. 1차 에서는 면대면 면담을 하였고 2차부터는 면대면 면담과 전화 면담을 동반하였으며, 1회당 면담시간은 면대면의 경우 평균 90분, 전화 면담의 경우 40분 정도 소요되었다. 면담 시에는 연구참여자가 자유로이 이야기할 수 있도록 개방적이고 비구 조화된 질문형식을 사용하였으며 면담을 위해 “임용 후부터 지금까지의 교수생활 경험에 대해 이야기해 주십시오”와 같 은 폭넓은 질문으로 시작하였다. 필사본의 분량은 10포인트 의 중고딕체로 A4용지 291매였다.



5. 해석학적 현상학적 분석과정



자료분석은 지속적인 반성과정(reflective process)을 거쳤 으며, van Manen (1990)에 의해 기술된 주제 분석(thematic analysis) 지침을 따랐다. 먼저 특별한 구성요소에 초점을 두 기 전에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필사 내용을 반복적 으로 읽었다. 귀납적인 추론을 통해 단어, 구, 절의 의미를 분 석하였으며, 신임교수의 대학생활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의미 를 탐색하기 위해 전체와 부분, 주제와 주제를 오가며 관련 진 술에 몰입해갔다. 신임교수의 일상 언어에 주목하고 글쓰기와 글 다시 쓰기 과정을 거치면서 의미 있는 요소들이 주제로 통 합되고, 확인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신임교수의 교수생활 경험 의 7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Table 1). 또한 분리된 주제와 관용어구, 문학 및 예술작품에서의 기술 간에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비교분석하여 교수생활의 의미에 대한 현상을 기술할 때 반영하였다.



6. 연구의 엄밀성


본 연구에서는 Lincoln과 Guba (1985)가 제시한 4가지 기 준에 따라 질적 연구의 엄밀성을 충족하고자 하였다.

  • 사실적 가치를 위해 3명의 참여자에게 분석 결과를 보여준 후 참여자 의 의도와 다른 부분이 있는지, 경험 내용이 잘 전달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질적 연구 세미나에서 3회에 걸쳐 본 연구결 과에 대한 동료들의 조언을 통해 전문가 평가과정을 거쳤다. 특히 간호학이라는 학문적 특성이 결과에 잘 반영되어 있는 지, 여성이라는 젠더 관점이 제목으로 제시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의견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 적용성을 확보하기 위하 여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간호학전공 신임교수 2인에게 연구 자료를 제시하여 검토 받은 결과 이해와 공감을 얻었다.

  • 일관성을 위해 현상학 철학을 바탕으로 연구목적과 van Manen의 연구방법에 이르는 과정을 일관성 있게 유지하였다.

  • 중립성을 유지하기 위해 연구주제와 현상에 대한 편견, 선 이해, 가정 등 을 개인일지에 기록하여 연구자 자신의 판단이 연구자료에 영 향을 미치지 않도록 괄호치기 하였다. 무엇보다 면담한 필사 내용이 참여자의 의미 전달에 충실하였는지, 면담 녹음을 다 시 들으면서 참여자의 이야기를 중단하거나 유도한 질문은 없 었는지 성찰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자의 편견, 가정과 선 이 해는 다음과 같다.



y 임용 초기의 신임교수는 대학문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y 신임교수는 강의 준비 및 강의평가와 관련된 부담감이 있을 것이다.


y 신임교수는 재임용이나 업적 평가와 관련된 부담감이 있 을 것이다.


y 임상 실습지도와 인간관계 형성에 있어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y 기혼인 신임 여교수는 가사 및 육아와 교수로서 업무를 병행하는데 갈등이 있을 것이다.



성인간호학회지 제24권, 제2호, 2012년 4월

Korean J Adult Nurs Vol. 24 No. 2, 149-159, April, 2012

http://dx.doi.org/10.7475/kjan.2012.24.2.149

간호학 신임교수의 교수생활 경험

임은주1·김미영2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조교수1,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과학부 부교수2







병원조직에서 간호팀장의 팀제 경험*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2)

박 광 옥1)



연구 방법


연구 설계


본 연구는 팀제를 경험한 간호팀장을 대상으로 팀제 시행 성과와 개선점을 탐색하기 위해 개인 심층면담에 의한 자료 수집과 심층면담 내용에서 명확한 의미를 찾아내고 그 현상 의 본질을 정확하게 진술하려는 Colaizzi(1978)의 자료 분석방 법을 사용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 선정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소재 병원에서 팀제를 시행하고 있는 800병상 이상 종합병원에서 간호팀장을 3년 이상 경험 한 간호 관리자 중 목적적 표집(Patton, 1990)으로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관련현상에 대하여 잘 알고, 연구 현상에 대하여 깊이 생각하고 연구에 기꺼이 참여할 의사와 시간이 허락되는 사람이 바람직하다는(Spradley, 1979) 기준에 따라, 기준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는 사람 중에서 전화로 본 연구의 주제와 소요시간, 자료처리방법 등 연구전반에 대해 설명하고 동의하는 8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을 시작하였다. 참여자들은 팀장 경력은 평균 6.8년이었으며, 최고 12년 6개 월이었다. 학력은 모두 대졸이상으로, 석사학위 소지자가 4명, 박사학위 소지자가 2명으로 교육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결혼 상태는 7명이 기혼이었으며, 연령은 팀장 보직을 받는 연령이 반영되어 최소 46세, 최고 57세로 평균 55.5세였다(Table 1. 참조).


자료 수집 방법


z 면담질문 개발


연구 분야에 대한 문헌고찰과 연구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팀제운영에 대한 현상을 총체적으로 끌어내기 위하여 개방형 질문을 작성하였다. 이를 팀제로 운영되는 병원에서 간호 관 리자로 근무한 경험을 가진 간호대학 교수 1인에게 본 연구 의 목적에 대하여 설명하고 질문내용에 대해 자문을 받아 반 영하였다. 연구 질문은 ‘참여자들은 병원에 팀제가 도입 운영 되면서 팀장으로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가?’였다. 면담의 주 질문은 ‘병원조직의 간호팀장 역할을 경험한 간호 관리자로서 귀하의 팀제운영에 대한 경험을 형식에 구애받지 말고 생각 나는 대로 폭 넓게 말씀해주시겠습니까?’였다. 면담은 일상적 인 대화로 시작하여 면담분위기를 편안하게 유도하였다. 참여 자와 자유롭게 면담하면서 면담과정에서 중요한 의미를 추출 하면서 필요한 경우 다시 질문을 하거나 보조질문을 하였다. 추가적으로 사용되었거나 생략된 보조질문은 다음과 같다.


y 과거 전통적인 과부장제도와 팀제간의 운영의 차이점을 이 야기해주시겠습니까? 

...


z 자료  수집  방법


2011년 10월부터 2011년 11까지 약 2개월 동안 연구보조원 이 참여자를 대상으로 개인 심층면담을 통해 팀장이 경험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에서는 연구 참여자가 자유롭게 자신 의 경험에 대하여 풍부하게 경험을 드러낼 수 있는 것이 중 요하다. 이에 연구자의 역할경험과 사회적 배경에서 나올 수 있는 선입견을 철저히 배제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직접 면담 하는 것보다 연구보조원이 면담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판단하였다. 그 이유는 연구자가 과거 병원 조직에서 간호 관 리자로서 직무를 수행한 특수한 상황에서 형성된 인간관계, 연령이나 학연, 사회적 역할 등의 다양한 요인이 참여자들과 관계에서 자유로운 면담에 제약조건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결정의 근거는 일상적으로 면담은 연구자 에 의해 가능한 방해를 받지 않고 자신의 이야기를 말 할 기 회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신경림, 고성희, 조명옥, 이영희, 정 승은, 2007)는 측면과 또한 질적 연구 전문가인 교수의 조언 을 구하여 심사숙고하여 결정하였다. 연구보조원의 선정은 상 대방의 이야기를 잘 듣고 스토리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대화 에 반응적이고 관심을 갖고 대화가 유지되도록 돕는 것이 이 상적이다(신경림, 김미영, 2003; 이명선, 최경숙, 손행미 은영, 2005). 따라서 이러한 자질을 갖추고 연구 주제에 관심을 갖 고 병원팀제 환경에 익숙하고 실제 상황에 대해 잘 이해하는 간호사 경험을 가진 간호 관리 박사과정 전공자로 정하였다.

 

연구보조원은 평소에 질적 연구와 병원 조직 운영에 대하여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었으며, 연구보조원 준비는 다음과 같 이 시행하였다.

  • 첫째, 질적 연구의 개념, 목적, 종류, 자료수집 방법, 분석방법, 글쓰기 등 전반적인 내용에 대하여 서적을 숙독하고, 이를 연구자와 일대일로 만나서 연구자가 확인하고 내용에 대하여 피드백 하였다.

  • 둘째, 발표된 국내외 질적 연 구 논문을 선택하여 숙독한 후에 연구자와 토의하였다.

  • 셋째, 현상학적인 연구와 면담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관계문헌과 최 근 3년간의 세미나 자료 등을 중심으로 연구자와 여러 차례 심도 있게 토의하였다.

  • 넷째, 본 연구의 목적, 자료수집과 분 석방법 등 전반적인 연구과정에 대한 계획을 충분히 공유하 였다.

  • 다섯째, 면담에 필요한 환경, 준비물, 면담시작과 진행 방식, 참여자의 반응에 따른 적절한 개입, 자료의 포화와 면 담의 종료 등 상황에 맞게 면담을 잘 끌어갈 수 있도록 상황 을 가상하여 논의하였다. 특히 면담 시 더 이상 새로운 내용 이 나오지 않고 같은 내용이 반복되는 시점에서 면담을 종료 할 것과 면담 시 가급적 상대방 대화를 중단하지 않도록 하 는 등 질적 연구의 면담방법에 대하여 세심하게 준비하였다.

 

면담은 팀장 실에서 진행되었으며 참여자에게 소정의 사례를 지급하였다. 면담은 더 이상 새로운 내용이 나오지 않고 반복 되는 시점으로 판단될 때 마무리하였으며, 개인에 따라 약 60 분에서 80분 정도 소요되었다.



자료 분석 방법


참여자들의 동의하에 녹음된 전체 면담내용은 면담 후 워 드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연구자가 입력하였고, 면담자료를 입 력하는데 소요된 시간은 1회당 약 6시간에서 9시간정도였다. 연구자가 1회 면담이 끝날 때마다 필사된 자료와 녹음내용을 다시 들으면서 체크하였으며, 이를 연구보조원에게 확인받아 면담내용의 정확성을 기하였다. 또한 필사된 자료는 자료수집 직후에 Colaizzi (1978)의 방법으로 분석되어 자료수집과 분석 이 순환적으로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와 연구보조원 은 긴밀히 면담상황과 내용에 대하여 의견교환을 하였으며, 중요한 내용은 메모를 하여서 다음 면담에 참고토록 하였다. 자료수집직후 자료를 분석해나가면서 다음 참여자에게 면담을 하여도 더 이상 새로운 내용이 나타나지 않을 때 면담을 종 료하였다. 분석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이루 어졌다. 연구자는 자료를 수차례 반복해서 읽고 기술한 내용 에 대한 연구자의 느낌을 성찰하였다. 자료에 나타난 맥락과 상황, 참여자의 반응 등에 집중하여 전반적인 현상의 본질을 파악하고자 노력하였으며, 현상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의미 있 는 문장이나 진술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의미 있는 진술들을 주의 깊게 살펴보면서 중복되는 표현을 배제하고 일반적이고 추상적인 형태로 재 진술하였다. 의미 있는 진술과 재 진술로 부터 그 진술의 명확한 의미를 찾아내어 구성하였으며, 구성 된 의미로부터 주제(theme), 주제묶음(theme cluster)을 도출하고 범주화(category)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확인된 자료 를 주제에 따라 총체적으로 통합하여 간호팀장의 팀제 경험 의 본질적 구조를 통하여 현상과 관련시켜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선행 단계에서 확인된 경험 현상의 공통적인 요소를 통합하여 진술하였다.



윤리적 고려


연구가 진행되기 전에 일 의과대학교 기관연구윤리심의위원 받았다(과제승인번호; 회에 연구계획서를 제출하여 승인을 EU11-37). 연구자는 면담 전에 연구목적, 면담내용이 다 녹음 된다는 점과 녹음 후 필사되며, 자료의 비밀을 보장한다는 점 을 설명하였다. 수집된 내용은 연구 외의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겠으며, 참여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면담을 중단할 수 있음 을 알리고 자유의사로 연구 참여를 원하는 참여자로부터 동 의서를 받고 심층면담을 시작하였다. 연구자는 약속한 사실을 지킬 것이며, 수집된 자료에서 참여자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컴퓨터자료에 번호를 매겨 처리하였으며, 자료에서 신 상정보를 삭제하였다.


연구결과의 타당성 확보


본 연구에서 질적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Lincoln과 Guba (1985)의 엄밀성 평가기준에 따라 사실적 가치(truth value), 적용성(applicability), 일관성 (consistency), 중립성(neutrality) 측면에서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 첫째, 사실적 가치는 참여자의 지각과 경험 의 진가를 평가하는 기준이다. 본 연구에서 이를 위해 참여자 에게 이메일로 연구자가 기술한 내용과 분석 결과를 보여주 어 참여자의 경험과 일치되는지 확인받았다.

  • 둘째, 적용성은 연구결과를 연구 상황 이외의 맥락에서 연구 자료가 적용될 수 있는 정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가 아닌 다른 간호팀장에게 연구결과를 보여주어 그들의 고유한 경험에 비 추어 보았을 때 의미 있고 적용력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 셋 째, 일관성은 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통하여 결과에 일관성이 있는지를 평가가하는 기준이다. 본 연구에서 이를 위해 자료 수집과 분석과정을 자세히 기술하였으며, 질적 연구 경험이 많은 질적 연구의 전문가인 간호학 교수에게 연구결과의 평 가를 의뢰하여 연구과정 전반에 관해 평가를 받고 보완을 거 쳤다.

  • 넷째, 중립성은 연구과정과 결과에 있어서 모든 편견으 로부터 해방을 의미한다, 본 연구자는 중립성을 유지하기 위 해 국내외 팀제에 관한 연구논문과 학위논문, 병원 팀제 운영 지침서 등의 문헌을 고찰하였으며, 연구자 편견이 최대한 배 제되도록 도출한 내용에 대한 비평은 일단 유보(bracketing)한 채 분석하였으며, 연구시작부터 끝날 때까지 연구에 대한 선 이해, 가정, 편견 등을 개인일지에 기술하는 작업을 계속하였 다. 또한 면담자료와 문헌내용, 자아인식 등에 대한 연구메모 내용들과 상호비교하고 구분할 수 있도록 의식적으로 노력하 였다.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8권 제3호, 2012년 12월

J Korean Acad Soc Nurs Edu Vol.18 No.3, 486-498, December, 2012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3.486

병원조직에서 간호팀장의 팀제 경험*

박 광 옥1)





간호사의 일-가정 양립: 젠더 관점 (간호행정학회지, 2012)

김 미 영1

1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학부 부교수



연구 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간호사의 일-가정 양립이 가정 내에서 어떻게 구축 되는지 질적주제분석(qualitative thematic analysis)을 통해 젠더 의 관점에서 분석한 질적연구이다.


2. 참여자 선정 및 윤리적 고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지역에 위치한 5 군데 종합병원에 소속 되어 있는 기혼이면서 자녀를 가진 간호사로서 편의표본과 목적 적 표본 추출에 의해 14명의 참여자가 선정되었다. 이는 14번째 참여자와 면담을 하였을 때 더 이상 새로운 개념이 추출되지 않 은 포화된 숫자를 의미하였다. 목적적 표본추출을 위해 참여자 의 배우자가 직장을 가진 어머니 밑에서 성장하였는지 가정환경 과 참여자의 연령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또한 참여자의 자녀 나이는 자녀 돌보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초등학교까지로 국 한하여 선정하였다.


참여자의 평균 나이는 37.7세(31∼42세 범위)였으며, 간호사경 력은 평균 12.6년(5∼17년 범위), 결혼기간은 평균 9.6년(3∼13 년)이었다. 학력은 전문대졸 2명, 학사졸업 7명, 석사졸업 5명이 었다. 직위와 근무형태는 4명은 중간관리자였고, 10명이 일반간 호사였으며, 이 중 7명은 교대 근무, 3명이 상근근무형태이었다.



간호사 중 자녀양육을 시부모나 친정부모가 담당하는 경우가 4 명, 부모와 도우미 아주머니 혹은 친척과 함께 돌보는 경우가 3 명, 전문기관에 맡긴 경우가 4명, 전문기관과 도우미 아주머니의 일부 도움을 받는 경우가 3명이었다. 간호사 중 7명이 부모와 함께 살았고 대부분 관리자이었다. 자녀수가 1명인 간호사는 3 명이었고 나머지 11명은 모두 2명의 자녀가 있었으며, 1세부터 12세까지의 범위였다. 주중에 가정에서 자녀양육과 가사일로 보 내는 시간은 평균 2.8시간, 주말은 평균 9.2시간이었다.


본 연구는 연구참여자를 윤리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연구자가 소속하고 있는 학교의 기관윤리심사위원회(IRB)의 승인 하에 연 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참여자의 모집에 있어 연구의 목적 및 방 법, 연구 참여에 대한 익명성 보장, 자발적인 연구 참여 동의와 거부, 중도포기가능, 발생 가능한 이익과 불이익, 녹음기 사용 등을 포함하는 내용을 구두와 서면으로 설명하고 자발적인 동의 서를 받아 연구참여자를 최대한으로 보호하였다.

 

 


 

3.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자료수집은 2011년 11월 1일부터 2012년 1월 20일까지 심층 면담과 현장노트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은 질적연 구 경험이 많은 연구자가 진행하였으며, 면담을 위한 질문은 “일 -가정 양립을 하는데 젠더가 어떠한 영향을 미칩니까?”와 같은 비구조적인 질문으로부터 시간이 경과하면서 “일과 가정 역할의 연계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을 때 어떻게 반응하고 대처하였습니 까?”와 같은 반구조적인 질문을 하였다. 면담에 필요한 시간과 장소는 참여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근무시간 전후나 병원의 빈 회의실을 이용하였다. 14명의 참여자는 1차적으로 모두 면대면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면담에 소요된 시간은 평균 60분이었다. 2 차 면담은 2명의 참여자와 면대면 면담을, 4명의 참여자와 전화 면담을 하였고, 평균 20분 소요되었다. 전화면담은 참여자의 근 무형태에 따라 하루 중 가장 편안하다고 제시한 시간을 이용하 였으며, 전화하는 동안 중요한 내용과 의미를 메모하였다. 면담 내용은 녹음한 후에 연구자가 직접 필사하였다.


4. 자료분석방법


본 연구는 자료 내에 패턴화된 반응이나 의미 수준을 기술하 고자 Braun과 Clarke(2006)의 주제분석 6단계를 따랐다.

  • 1단계 에서는 자료와 친숙해지는 단계로서 자료를 필사하고 자료를 반 복적으로 읽었다.

  • 2단계는 초기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자료 로부터 의미있는 특성을 코드화하였다. 이 단계에서 필사한 자 료로부터 85여개의 의미있는 진술이 추출되어 코드화되었다.

  • 3 단계는 주제 찾기 단계로서 코드를 잠정적인 주제와 대조를 하 고, 잠정적인 주제와 관련한 모든 자료를 수집한 결과 22개의 잠정적인 주제가 추출되었다.

  • 4단계는 주제를 고찰하는 단계로 서 추출한 주제가 전체적인 자료에 부합하는지, 주제들이 어떻 게 개념화되어 서로 연관되는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2개의 잠정적인 주제로부터 10개의 하부 주제와 최종적으로 4 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 5단계에서는 각 주제를 정련화하기 위 한 지속적인 분석을 통해 명확한 정의를 생성하고 각 주제를 명 명하였다.

  • 마지막 단계에서는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5. 엄격성


연구방법의 엄격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Lincoln과 Guba(1985) 의 기준에 근거하였다. 신빙성을 위해 2명의 참여자와의 확인을 통해 인터뷰 내용과 연구결과의 사실적 가치를 확보하였다. 연 구과정과 결과에 있어 모든 편견으로부터의 해방을 의미하는 중 립성을 위해서 질적연구 모임에서 자료수집 전, 자료 분석 동안, 결과 기술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반성적인(reflective) 과정을 통 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가 연구가 이루어진 상황 밖에서도 적 합한 지 알아보는 적합성에 있어서는 참여자가 아닌 기혼간호사 3명과 본 연구결과에 대한 집단적인 토론을 통해 연구결과를 수 긍하고 공감함을 알 수 있었다.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J Korean Acad Nurs Admin, 2012, 18(1), 87-95

간호사의 일-가정 양립: 젠더 관점

김 미 영1

1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학부 부교수






농촌지역 수출 시행단계 농가의 수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015)

이향미 ∙ 고종태

강원대학교 농업자원경제학과




III.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및  자료  수집


2. 분석 방법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다수의 사례로부터 드러나는 현상이나 패턴에 더 관심이 있는 경우에 적합 한 주제 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결과 를 기술하였다. 주제분석은 연구대상자들이 제시한 인터 뷰나 기술적 내용으로부터 주제를 끄집어내는 것이다. 그리고 연구자가 인터뷰나 다른 자료들을 여러 번 읽어 보고 전체적으로 연구 조망해 어떤 진술이나 어구에서 나타나고 있는 현상과 경험에 다하여 어느 정도 일관성 을 갖고 있는가에 따라 주제를 설정한다(Lee·Cho, 2001).


Figure 1은 본 연구 참여농가들의 인터뷰에서부터 주 제묶음 도출까지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수출 경 험에 대한 심층면담 자료를 바탕으로, 이들의 경험에서 발견된 이슈들 중 유사한 것들을 묶어 하위주제로 설정 하고, 다시 유사한 의미를 가진 하위주제들을 묶어 주제 로 통합하였다.


그리고 자료로부터 주제를 뽑아 낸 후, 주제를 나열하 는 형식으로 결과를 전개하였고, 각 주제 내에는 하부 요소들과 각각의 요소에 대해 인용구를 사용하여 뒷받침 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자료에서 반복되는 주제나 패턴 기술(description)을 위해 Braun과 Clarke 의 의미수준 (2006)의 주제 분석 6단계를 따랐다.

 

  • 제 1단계에서는 자 료와 친숙해지는 단계로, 자료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 하기 위해서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었다.

  • 2단계에서는 초기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로, 자료에서 의미 있는 특성을 코드화하였다. 예를 들어, 토마토 재배 시작, 수출 시작, 수출 효과, 수출 어려움, 농협 역할, 수 출 국가, 리더 등은 각각 코드1, 코드2, 코드3, 코드4, 코 드5, 코드6, 코드5 등으로 명명하였다.

  • 3단계에서는 주제 찾기 단계로서, 코드를 잠정적인 주 제와 비교 및 대조하고, 잠정적인 주제와 관련된 모든 자료를 수집하여 소주제를 도출하였다.

  • 4단계에서는 주 제를 선정하는 단계로, 주제가 코드화된 자료와 전체적 인 자료에 적합한지 여부를 파악하였다.

  • 5단계에서는 각 주제의 자세한 부분을 다듬기 위한 지속적인 분석을 통해 명확한 정의를 생성하고, 각 주제 를 명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코드1은 제 1주제모음인 토마토 재배동기, 코드2는 제 2주제인 토마토 수출동기, 코드3은 제 3주제인 수출지원정책의 만족도, 코드4는 제 4주제인 수출의 어려움, 코드5는 제 5주제인 농협 역할 의 만족도, 코드6은 제 6주제인 수출국가 개척 요구사항, 코드7은 제 7주제인 농가들의 자발적인 노력과 강력한 수출의욕 등으로 도출되었다.

  • 마지막으로 제 6단계에는 해당 분야 전문가 검토를 통해 분석 결과의 타당성을 확인하였고, 연구 내용의 적 용 가능성을 확보하였다.



통계적인 측면이나 가설검증적인 면을 강조하는 양적 연구와는 달리 주관적이고 의미의 발견과 해석에 중점을 두는 질적 연구의 평가기준은 양적 접근방법과 다르다 (Boswell·Cannon, 2005). 그리고 양적 연구에 비해 질적 연구의 평가 기준은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좋은 질적 연 구라고 판단할 수 있는 평가 기준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어 왔다(Jo et al., 2011)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와 그 결과의 해석을 신뢰할 수 있는 엄밀성(rigorousness) 확보하기 위해, 질적 연구 분야에서 가장 넓게 일반화된 (Lee, 2004) Lincoln과 Guba(1985)가 제시한 엄격성 평가 기준(신빙성(신뢰성)), 적합성, 감시가능성, 확증성)에 따 랐다.


첫째, 신빙성(credibility)은 실제 경험을 한 연구 참여 자로 하여금 결과물에 나타난 경험에 대한 서술과 해석 이 얼마나 자신의 경험과 일치하는 것이라고 믿을 수 있 는가를 측정하는 것이다(Lincoln·Guba, 1985). 본 연구에 서는 이러한 신빙성을 높이기 위해 Lincoln과 Guba(1985) 삼각검증법(triangulation)과 가 제시한 참여자 확인 (member check)을 활용하였다.


삼각감정법에서는 연구자 삼각검증, 자료 삼각검증을 채택하였다9). 왜냐하면 2인 이상의 연구자들이 자료수집 및 분석 등에 참여함으로써, 한 사람의 연구자가 단독으 로 연구하는데서 있을 수 있는 편견을 줄일 수 있기 때 문이다(Denzen, 1994). 그리고 자료삼각검증으로 본 연구 에서는 연구 참여자들과 가장 많은 접촉 기회를 가지고 있는 수출업체, 유관기관 담장자의 의견을 들음으로써 연구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10). 또한 참여자 확인을 위해 연구자가 도출한 주제와 결과를 연구 참여 자에게 확인하였다11).

둘째, 적합성(fittingness)은 연구결과가 연구가 이루어 진 상황 밖에서도 적합한지, 연구결과를 제 3자가 자신 의 경험에 비추어 보았을 때 의미 있고, 적용력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두 번째 평가기준인 적합성을 위해 수출은 하고 있지만, 본 연 구에는 참여하지 않은 2명(화암면과 북평면 농가 각각 1명씩)에게 본 연구결과를 제시하였고, 이들의 연구결과 수긍과 공감을 확인하여 본 연구결과의 적합성을 확인 하였다.


셋째, 감시가능성(auditability)은 연구자가 사용한 연구 절차상의 분명한 흔적과 자취를 다른 연구자도 그대로 따라 할 수 있을 때, 그 연구결과는 감사가능성이 있다 1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사가능성을 위해서 연구 과 정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과 연구참여자에 대한 접근, 자 료수집 과정 등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해석이나 분석을 검증할 수 있도록 연구 참여자의 말을 적집 인용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참여 농가들의 응답내용을 그대 로 기술하였다. 비록 문법에 어긋나고, 문장 자체가 제대 로 완결되지 않았지만, 농가들의 ‘수출 경험’에 대한 감 정을 함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을 제시하기 위해 오문임에도 불구하고 그대로 인용하였다.

 

넷째, 확인가능성(confirmability)은 연구결과가 중립적 으로 편견이 없음을 의미한다. 이것은 신빙성, 적합성, 획득된다(Sandelowski, 감사가능성을 학립하면 저절로 198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참여자들의 경험과 견 해를 최대한 반영하고, 분석의 신뢰성과 적합성, 감사가 능성을 확립하였기에 중립적인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고 판단된다13).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vol. 21, no. 3, 2015 (155-169)

농촌지역 수출 시행단계 농가의 수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이향미 ∙ 고종태

강원대학교 농업자원경제학과





노인의 죽음에 대한 인식(한국노년학, 2004)

이지영․이가옥

성공회대학교 노인복지연구소 연구원․성공회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Ⅲ. 연구 방법


1. 연구참여자 선정


질적 연구 방법은 일상생활의 다양성과 그것이 당사자에게 갖는 의미를 그들의 맥락 속에서 심 도 있는 관찰과 이해를 하고자 하기 때문에, 연구 참여자의 선정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 연구참여자를 의도적 표집 전략(purposive sampling)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 연구참여자 선정의 전제는, 첫째 연구참여자가 이를 쾌히 받아들이고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공감하는가를 기준으로 하였으 며, 둘째 연구참여자가 자신들의 생각과 느낌, 경 험을 의사소통하는 데 문제가 없을 정도의 의사 표현 능력을 기준으로 삼았다.


본 연구에서 연구참여자 선정시 가장 중요한 것은 표집의 원칙보다는 ‘신뢰 관계 형성의 가능 여부’라고 생각하였다. 왜냐하면 죽음에 대한 이 야기를 한다는 것이 어느 날 갑자기 할 수 있는 이야기는 아니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에, 그리고 그 것이 설사 가능하다 하더라도 ‘질 높은 대화’를 갖기 어렵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에, ‘신뢰관계 형 성의 가능 여부’를 선정의 일순위로 삼았다.


그렇지만 한편 표집의 원칙도 염두에 두었다. 죽음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일반적인 배경 요인 을 고려함으로써 조사 내용에 좀더 풍부한 정보 를 제공해 줄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물 론 일반적인 배경 요인들과 죽음 태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 기는 하지만, 성별․연령․종교․경제수준․건강 등의 일반적인 배경들을 고려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선정 방법은 노인종합사회복지 관, 대한은퇴자협회, 민간 지역사회 단체 등을 통 해 직접 접촉하거나, 선정 기준을 미리 알려주고 이에 적합한 노인을 추천해 줄 것을 요청하는 의 뢰기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사전에 모두 확정되지 않고, 인터뷰를 병행하면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연구참여자를 선정하였으며, 총 연구참 여자의 수는 14명이었다. 조사 과정에서 더 이상 새로운 정보가 나오지 않는다고 판단될 때, 연구 참여자 선정을 중단하였다. 이는 질적 연구에서 적절한 표본 수는 더 이상 새로운 정보가 나오지 않는 수준에서 결정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는 논리에 따른 것이다. Lincoln과 Cuba는 유의표집 에서 표본의 크기는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데, 새 로운 표본에서 더 이상 새로운 정보가 나타나지 않을 때 표집을 종료하는 것이 질적 연구 표집의 일차적 기준이라고 제안한 바 있다(Patton, 1990).



2. 자료 수집



본 연구에서는 자료 수집의 정확성을 위하여 사전 조사와 본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자료 수집 과정은 다음과 같다.


사전조사는 2003년 8월 15일부터 8월 23일까지 A노인종합복지관에 다니고 있는 연구참여자 4명 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들을 사전조사의 대상 으로 선정한 이유는 필자와 연구참여자들이 8회 기의 집단프로그램을 함께 하면서 충분히 신뢰관 계가 형성되었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사전조 사에서 사용된 자료수집 방법은 심층면접과 직접 적인 관찰 방법으로 이루어졌으며, 인터뷰를 위해 서는 사전에 면접지침을 마련하고, 연구참여자의 동의 하에 전 과정을 녹음하였다. 사전조사에서는 반구조화된 면접지침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죽 음에 대한 연구참여자들의 인식을 감지할 수는 있었지만, 면접지침에 얽매이다 보니, 대화처럼 이어지기보다는 필자의 단절된 질문에 답을 하는 형식으로 이야기의 흐름이 끊겨서 간간히 어색한 침묵의 시간이 흐르기도 하였다. 이러한 분절적 대화는 그들이 죽음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심도 깊게 이해하기에는 다소 미흡하였 다. 따라서 본 조사에서는 면접지침을 두되, 가능 하면 대화를 하듯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융통성 있게 적용하고자 하였다.



본 조사를 위한 자료수집 기간은 2003년 9월부 터 11월 초반까지이며, 자료수집 방법은 역시 심 층면접과 관찰을 사용하였다. 1차 면접에서는 먼 저 인터뷰를 응해 주신데 대한 감사를 표시하고, 필자 자신의 소개와 인터뷰 목적을 설명하고, 녹 음에 대한 허락을 얻는 순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와 면접의 횟수는 정하지는 않지만, 이전 집단프로그램을 통해서 연구참여자의 정보를 필 자가 익히 알고 있는 경우는 1회에서 2회 정도의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이번 조사를 위하여 처음 만난 연구참여자들은 2회에서 3회 정도 만났다. 면접시간은 잠정적으로 1시간 단위로 정했지만, 연구참여자들은 신체적 개인차가 크기 때문에, 상 황에 따라 융통성 있게 조절하였다. 오래 앉아있 는 것을 부담스러워하는 연구참여자는 20분 정도 로 면담이 종결된 경우도 있었으며, 연구참여자와 의 이야기가 길어져 1시간 30분이 넘도록 계속되 는 경우도 있었다. 면접장소는 연구참여자의 상황 에 맞게 복지관 상담실, 연구참여자의 집, 은퇴자 협회 사무실 등 가능한 이야기를 나누기 조용한 장소를 물색하여 실시하였다.


필자는 연구참여자와의 심층면접을 가능한 한 편안한 분위기에서 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면접자의 개입은 최소화하는 것을 원칙 으로 하였다. 심층면접을 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분명한 목적을 가진 대화이기는 하지만, 자연스러 운 분위기를 형성하기 위해서, 먼저 직접적으로 죽음에 대해서 연구참여자의 의견을 묻기보다는 그들의 일상생활에 대한 일반적 질문을 먼저 하 였다. 현재의 삶에 대한 일상적인 질문을 통하여, 어느 정도 대화의 분위기가 무르익었다고 느껴졌 을 때,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꺼냈다. 면접에서는 노인들이 인식하는 죽음, 노인으로서의 삶, 앞으 로 바라는 삶의 모습 등을 중심으로 연구참여자 들의 경험과 주관적 의미를 조사하였다.2)



질문은 정해진 순서 없이 이루어지지만 이야기 의 흐름이 가능하면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였 다. 또한 면담 전에 개별적인 배경에 대한 정보를 미리 숙지하고 면접을 시작하였으며, 필요할 경우 인구사회학적 배경에 관한 질문은 면담의 끝에 시 행하였다. 면담 말미에는 지금까지의 면담내용을 요약하여 질문을 함으로써 연구참여자가 보충하 거나 부연설명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으 며, 이러한 피드백을 통하여 연구참여자가 의미하 는 바를 보다 명확히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조사를 실시하면서 필자의 주관으로 흐를 가능 성을 배제하고 조사의 타당성을 높이고자 계속적 인 검증이 이루어졌다.3)


3) 질적 연구는 철학적 배경, 방법적 배경, 연구 목적 등에서 양적 연구와 다르기 때문에 연구를 평가하는 기준 또한 양적 연구와는 구별된다고 한다. 질적 연구의 평가기준은 학자들의 관점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Lincoln과 Guba(1985)가 제시한 진실성(truth value), 적합성(applicability), 일관성(consistency), 중립성(neutrality)이라는 네 가지 기준을 적용하여 평가하였 다.

 

  • 진실성의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①초기 면담시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얻은 후에 시작하고, ②참여자들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분위기 형성하고, ③필자는 개념이나 범주 명명시에 가능한 참여자와 일정거리를 유지하였다.
  • 적합성의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자료 수집하여 결과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 일관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①연구 방법 과 자료수집 및 분석과정을 자세히 기술하고, ②교수와 질적 연구를 공부한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에게 연구 결과의 평가를 의뢰하 여 연구과정 전반과 연구결과에 관한 자문을 받아 협의 수정하였다.
  • 중립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①사전에 어떤 결과나 시각을 증명하려는 의도 없이 연구를 시작하며, ②현장에서 나타난 그대로를 파일에 담아 실제의 상황을 왜곡하지 않고 진실된 시각에서 객관성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3. 연구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연구과정 동안 연구참여자들의 윤리적 측면을 보호하기 위해 연구참여자와의 면담 시작 전에 연구의 목적과 연구 방법을 설명하고, 면담 내용을 녹음하여 구두로 동의를 얻었다. 또 한 면담 내용은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할 것이며 개인의 사적인 상황은 비밀로 유지하며 익명성을 보장한다는 점과 연구참여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이 면담을 마칠 수 있음을 알려주어 연구참여자 의 권리를 보호하고자 노력하였다.



4. 자료기록 및 분석


녹음된 내용은 빠짐없이 필사하였으며, 필사된 내용은 필자가 녹음테이프를 반복하여 들으면서 원 자료의 내용과 비교하였다. 불명확한 부분이나 의문이 나는 부분이 있으면 직접 만나거나 혹은 전화를 이용하여 연구참여자에게 확인하고 현장 노트를 참고하면서 면담 내용의 정확성을 확보하 고자 하였다. 그런 다음 필사된 내용을 반복하여 읽고 반성하는 과정으로, 자료는 현장에서의 노트 기록과 녹음을 병행하였다.


자료분석은 자료수집과 동시에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trauss와 Corbin의 지속적 비교방 법(constant comparison method)4)에 기반을 두어 분석하였다. 즉 처음에는 개별 녹취록을 전체 한 번 통독함으로써 인터뷰에 대한 전반적인 인상을 얻고, 그 후 재독시에는 한 줄씩 읽고 떠오르는 잠정적인 개념들을 중심으로 해당되는 면담 내용 들을 분류시켜 나갔다. 이 과정은 반복적으로 이 루어졌으며, 새로운 주제가 나타날 때마다 다시 앞부분의 인터뷰 내용을 비교․검토하면서 범주 를 재 조직화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 결과, 참여자가 인식한 죽음의 의미는 ‘삶 의 소멸’, ‘삶으로부터의 해방’, ‘삶의 연장’ 이 세 가지로 나뉘었다. 개념들을 지속적으로 비교해 나 가는 과정에서 원자료를 다시 검토하는 작업을 반복하였으며, 사회복지학과 교수와 대학원생에게 연구 결과의 평가를 의뢰하여 자문을 받아 협의 수정하였다. 이는 의미를 누락하거나 잘못 이해하 는 부분이 없도록 하기 위한 조처로, 이러한 과정 을 반복적으로 거치면서 주제의 일관성을 높여나 갔다.


분석의 종료는 최종혁(2002)이 언급한 바와 같 이, 상황 안의 사상(事象)의 상징적 수준과 행동 수준 양측 면에서 분석이 진행되어 범주 (category)가 포화상태에 이르게 되었다고 판단되 었을 때 분석을 종료하였다.




韓國老年學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004. Vol. 24, No. 2. 193~215.

노인의 죽음에 대한 인식

이지영․이가옥

성공회대학교 노인복지연구소 연구원․성공회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정신간호학 분야의 질적 연구논문분석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4)

- 최근 10년 간 정신간호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

남 경 아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 교육학 등의 몇몇 분야에서 질 적 연구에 관한 관심이 증가되기 시작하였다[1]. 자연현상이나 물질과는 달리 경계가 불분명하고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인간 의 행동과 태도에 스민 고유하고 복잡한 의미는 실증주의 패 러다임에 기반한 과학적인 연구방법을 통해 탐구하기에는 한 계가 있고, 해석과 추론을 통해 탐색될 때 그 의미를 더 잘 이 해할 수 있기 때문에[2], 인간현상을 탐구하는 학문분야나 건 강 관련분야에서 자연주의 패러다임에 근거한 질적 연구의 비 중이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추세[2-4]이다.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 자료분석



Table 1. A Generic Guide for Detailing Studies




연구결과


1. 연구제목(주제), 연구목적과 철학적 입장



2. 질적 연구방법론과 분석방법의 활용 분포


3. 표본과 자료수집



4. 연구의 진실성 확보전략


연구의 진실성을 표현하기 위한 용어는 ‘타당도와 신뢰도’와 ‘타당도’가 가장 많았고 각각 11편(22.0%)이었다. ‘엄정성’ 을 사용한 경우는 6편(12.0%), ‘진실성’은 2편(4.0%), ‘신뢰 도’는 1편(2.0%)이었다. 이외 특정 용어 없이 ‘혼돈’되게 사용 한 경우가 4편(8.0%)이었고, 연구의 진실성에 대한 언급이 없 는 경우가 15편(30.0%)이었다.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 에서는 ‘참여자 확인’과 ‘교수 또는 전문가 의뢰’가 각각 22편 (44.0%)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선입견 배제’가 12편 (24.0%), ‘동료와의 검토’가 11편(22.0%), ‘절차 준수’가 10 편(20.0%), ‘참여자와의 관계형성’과 ‘인용구 제시’가 각각 5 편(10.0%)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참여자와 자료원’과 ‘면담 의 녹취’가 각각 4편(8.0%)으로 나타났다. 진실성 확보를 위 해 사용된 전략의 수는 ‘없음’이 15편(30.0%), ‘1개’가 6편 (12.0%), 2개 이상인 경우가 29편(58.0%)인 것으로 나타났 다. 진실성 확보를 확인하기 위한 준거의 근거는 언급되지 않 은 경우가 38편(76.0%)으로 가장 많았고, ‘Lincoln과 Guba (1985) 또는 Guba와 Lincoln (1989)’이 7편(14.0%), ‘Max- well (1996)’과 ‘Sandelowski (2000)’가 각 1편(2.0%)이었 으며, 본문에 준거가 제시되어 있으나 근거 문헌의 연도가 없 거나, 문헌이 참고문헌목록에 없는 등 ‘확인불가능’인 경우가 3편(6.0%)인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Table 2. Methodological Orientation and Data Analysis Techniques

 

 



Table 3. Sampling and Data Collection

 

 



Table 4. Trustworthiness of Qualitative Research

 

 

 


논의


연구방법론은 현상학적 연구(24편, 48.0%)가 가장 많았고, 분석방법은 Colaizzi의 방법을 활용한 경우가 13편으로 가장 많았다. 반면 상담학 관련 질적 연구 분석 논문[2]에서는 근거 이론방법, 합의적 질적 연구, 현상학 등의 순으로 다양한 연구 방법이 고루 분포되어 있었고, 최근 국내외 다른 학문분야의 현상학 연구들[9-11]은 Colaizzi 등 다수 저자의 분석방법들을 수정하여 정리한 Moustakas[12]의 단계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근거이론연구를 시행한 논문은 10편으로 이중 9편에서는 Strauss와 Corbin의 분석방법을 적용하고 있었다. Strauss와 Corbin의 분석방법은 유연성이 부족하다는 비난을 받을 정도 로 그 지침이 구조화 되고[14], 독특한 분석절차가 있어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과정과 그에 개재하는 요인들을 비교적 가시 적으로 잘 잡아서 결과물로 보여주는 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2]. 이 때문에 근거이론방법을 사용한 논문들에서는 연구제목 에 ‘과정’, ‘적응’ 등의 용어가 많이 사용되었다. 다만 Strauss 와 Corbin의 코딩 패러다임이나 중심현상을 둘러싼 범주들의 유형을 도출하거나 설명하는 내용은 결핍되었고, 더욱이 1편 의 논문에서는 분석방법이 언급조차 없었다.


내용분석을 활용한 논문은 총 4편이었고, 주제분석은 2편 이었다. 연구방법을 ‘주제내용분석’이라고 기술한 1편의 연구 에서 참고문헌은 내용분석에 관한 것이었다. 질적 연구에서 ‘주제분석’이라는 연구방법의 등장은 드물고[7], 주제분석이 특정한 연구방법이라기보다는 대부분의 질적 연구방법에서 질적 정보를 질적 자료로 변형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과 정 중의 하나[18]라는 관점에서 주제분석을 연구방법으로 표 기하는 것은 재고해 보아야 할 것이다.



참여자 수는 20명 미만인 경우가 38편(76.0%)으로 대부분 을 차지했고, 설문지나 글쓰기를 사용한 경우나 Q 방법을 사 용한 경우를 제외하면 대다수가 10명 내외인 것으로 나타났 다. Q 방법에서 P 표본의 규모는 연구목적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50명 내외가 적당하다고 하였으나[19], 본 연구결 과에서 P 표본은 6편에서 2~30명 내외였고, 1편만 56명이었 으며, P 표본의 선정근거를 구체적으로 제시한 경우는 1편이 었다. 질적 연구에서 참여자의 숫자가 큰 의미는 없으나 연구 참여자 수가 너무 적으면 편협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고, 반 대로 너무 많으면 심도 있는 분석을 하기 어렵다는 점[20]을 고려할 때 참여자 수도 어느 정도 고려될 필요가 있다.


질적 연구의 표본추출과정에서 더욱 중요한 것은 참여자 선 정이유, 과정 등에 대한 명확한 기술을 독자들에게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질적 연구에서 참여자 선정은 분석에 있어 결 정적인 역할을 하므로 선정 목적이나 기준이 중요하게 취급되 고 기술되어야 하므로[16,20], 다른 분과학문에서는 객관적 척 도를 사용하여 연구목적에 부합되는 특성을 가진 참여자를 확 인하는 방법[2]까지 제안되고 있다. 또한 질적 연구에서는 연구 진행에 따라 참여자 선정이 발전해 가야 한다[16]. 그러나 본 연 구결과에서는 참여자의 선정목적, 표집절차, 연구진행에 따른 참여자 선정의 변화에 대해 언급한 논문은 없었으며, 연구결과 부분에서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인 특성을 간략히 제시하는데 그쳐 참여자의 선정목적이나 기준에 대한 정보가 누락되어 연 구결과를 활용하는데 제한이 있을 수 있다.



타당도를 언급한 논문들에서는 타당도를 표 현하는 용어가 다양하였다. 이성주의(양적) 패러다임에서 사 용되는 ‘엄정성’에 상응하는 용어로 자연주의(질적) 패러다임 에서는 타당도와 신뢰도를 아우르기 위해 Guba가 ‘진실성’이 라는 용어를 사용했고[12], 이는 다른 분과학문의 질적 연구에 서도 많이 사용되는 용어이다. 본 연구에서 ‘진실성’이라는 용 어를 사용한 논문은 2편(4.0%)이었고, 상당수의 논문에서 ‘타 당도’, ‘신뢰도’, ‘엄정성’, ‘적합성’ 등을 혼돈스럽게 표기하고 그 의미도 명확하게 밝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분과학문 내, 그리고 분과학문 간의 원활한 학문적 교류를 위해서 가능한 다 수 학계에서 수용되는 용어와 의미를 일관적으로 사용하는 것 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 중 연구참여자의 확인 이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에 대해서는 오히 려 연구의 진실성을 위협하는 요인이 된다는 주장[12]도 있다. 또한 교수나 전문가로부터의 자문을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 났으나 자문가의 선정기준, 자문의 목적, 과정, 결과의 반영 등에 대한 내용은 부재하였고, 연구결과에 치중하여 ‘확인을 받았다’, ‘검증을 받았다’ 등으로 기술되어 있었다.



자료의 신빙성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한 전략인 충분한 시간 과 지속적인 관찰을 시행한 것으로 기술한 논문은 없었고, 논 문에서 제시된 심층면접(실제로는 면담이라고 표현한 논문이 대다수임)의 시간이나 횟수를 감안하여도 충분한 시간과 지속 적인 관찰에 의한 자료수집이라고 보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 다.


많은 전문가들이 연구의 진실성 확보에 있어 중요한 전략으 로 합의해 온 예외적 또는 반대 사례 분석[14,21,22]을 시행한 연구는 1편도 없었다.


진실성 확보를 위해서는 다수의 전략을 활용하도록 권고하 고 있지만[14],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1개의 전략만이 제시되 거나 아예 제시되지 않은 경우가 21편(42.0%)으로 거의 절반 에 다다랐다. 또한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를 위해 사용된 준거 의 근거를 제시한 경우는 9편(18.0%)에 불과하였는데, 이중 7 편은 가장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Lincoln과 Guba의 준 거를 근거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 준거는 지나치게 실증주 의적 관점에 근거하고 있고[1], 준거를 적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는 비판[21]을 받고 있어 새로운 준거를 적용해 보는 시도 가 필요하겠다.

 

한 가지 더 문제가 되는 것은 Lincoln과 Guba 가 1981년에 발표한 준거[21]를 사용하면서 Lincoln과 Guba 의 1985년 문헌[22], Guba와 Lincoln의 1989년 문헌[23]을 제시한 오류가 다수 발견되었다는 점이다. 학회지의 수준이 내용 뿐 만 아니라 형식적인 완성도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점 을 감안하지 않더라도 이러한 문제는 독자들의 학회지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미치므로 정확한 근거 제시에 대한 연구자들의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질적 연구의 타당도에 대한 관점들이 다르고[14], 그 준거들 이 혼돈스러워 연구의 진실성을 식별하는 것이 쉽지 않음[21] 에도 불구하고 패러다임에 관계없이 연구가 엄정하게 이루어 져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질적 연구가 건강관리, 건강정 책 결정을 위한 근거로 유용하게 활용되기 위해서는 참여자의 경험에 대한 통찰 뿐 아니라 그 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는 논리 적인 방법론과 결론을 보여주어야 한다[3,7]. 이를 위해 연구 자는 진실성 확보 전략들이 방법론적 일관성, 표본, 자료수집, 자료에 근거한 반복적인 가설 수정 등 전체 연구과정을 어떻게 끌고 왔는지를 보여주어야 한다[7,14,21]. 그러나 국내의 많은 질적 연구 논문이 진실성 준거를 실천하지 않은 채 발표되고 있다는 지적대로[1]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진실성 준거와 이를 위한 전략, 그 실천방법이 잘 드러나지 않고 있었다.


 

 

 

 






  ECN

ECN-0102-2015-500-002193657

  UCI

I410-ECN-0102-2015-500-002193657

  키워드

Qualitative research, Psychiatric nursing, Trends

  초록

<한국어 초록>

   

<영어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in qualitative research articles that from 2004 to 2013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and to raise issues for the evolution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Descriptive statistics and qualitative evaluation were used in analysis of fifty qualitative studies. The focus was on research methodology and techniques to establish validity of the study. Results: Most frequently used methodological orientation was phenomenology (48.0%) and the analytic method was Colaizzi’s. Nearly two-thirds of studies focused on general population or psychiatric patients dwelling in community settings. There were no comments on validity in fifteen studies, and in the rest of studies, the description about the techniques to enhance the validity of study were not elaborated. Conclusion: Although qualitative studies in health care environment have increased recently, the proportion of qualitative studies compared with quantitative studies was relatively low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In order to make qualitative studies useful to nursing research, practice, administration and education, authors employ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hould exert efforts to enhance validity of studies.

관광분야 연구의 질적 연구방법론에 대한 탐색적 분석 및 제언 (관광학연구, 2012)

- 2007-2011년 󰡔관광학연구󰡕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

An Exploratory Critiqu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Used in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ourism Sciences during 2007-2011 Period

1)차 석 빈*

Cha, Suk-Bin




I. 서 론


조용환(2002)은 질적 분석의 문제점으로

  • 첫째, 연구자들이 자료의 수집방법에 대해 장황하게 논의하는데 비해 수집한 자료 의 분석방법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 둘째, 질적 분석이 연구자 개개 인의 경험에 지나치게 의존하여 방법상의 체계와 표준을 결여하고 있으며,

  • 셋째, 그 결과 질적 연구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심각한 문제들이 야기되고, 특히 초 심자들이 질적 연구방법을 학습하는데 큰 곤란을 겪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이와 더불어 Creswell(1998)은 좋은 질적 연구의 특성으로 엄격한 자료수집 절차, 연 구를 위한 질적 접근의 가정들과 특성들 내에서 연구의 틀 규정(설계의 전개, 여러 가지 진실의 제시, 자료수집 도구로서의 연구자, 참여자의 관점에 대한 초점) 등 8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II. 질적 연구방법론 평가기준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위의 선행연구들을 볼 때 질적 연구방법론 분석의 공통된 항목들은 연구 참여 자, 연구 참여자 선정, 연구 참여자의 동의, 자료수집, 자료분석, 자료의 진실성 (신뢰성 및 타당성)임을 알 수 있다.


1. 연구 참여자


질적 연구에서는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가 수평적인 관계에서 연구를 함께 수행하기 때문에 연구대상 보다는 연구 참여자라는 용어를 선호한다(임수원, 2004). 연구 참여자 기술의 경우 질적 연구의 논리는 특정한 주제에 대해 심도 있게 이해 하는 것이기 때문에 연구의 목적에 따라 참여자에 대한 지역, 환경, 경력, 배경 등 의 정보를 상세히 기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기술은 독자가 연구가 진행 된 환경 및 결과를 이해함으로써 자신의 입장에서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독자 에 따른 일반화 가능성(user generalization)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임수원, 2004).


2. 연구 참여자 선정


질적 연구에 있어 연구에 대한 가장 좋은 정보를 제공하는 연구대상을 어떻게 선정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김윤옥 등, 2009). 질적 연구에서는 소수의 사례를 대상으로 하지만 추출된 사례가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는지에 대한 명확한 판단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례 혹은 참여자를 선택한 동기나 절차를 심도 있게 기술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질적 연구에서는 연구의 대상인 표본을 선 정하는 것은 양적 연구와 다르게 유목적 표본(purposeful sampling)이 될 수 있 다. 즉, 유목적 표본은 특정한 사람이나 환경 또는 활동이 고의적으로 선정되는데, 이는 다른 선택을 통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없거나 표본이 다른 사례들의 전 형이라고 생각할 때 사용하게 된다(이원욱, 2011).

 

유목적 표본전략에는 최대변 량(maximum variation), 동질적(homogeneous), 결정적 사례(critical case), 이론 기반(theory based), 확증적/비확증적 사례들(conf i rmi ng and di sconf i rmi ng cases), 눈덩이 굴리기 또는 연쇄(chain), 극단적 또는 일탈적 사례(extreme or deviant case), 전형적 사례(typical case), 강도(intensity), 정치적으로 중요한 사례들, 무작위 의도적(random puposef ul ), 층화된 의도적(strati f i ed purposef ul ), 기준(cri teri on), 기회적(opportuni sti c), 조합 또는 혼합(combi nati on or mi xed), 편의(convenience) 표본추출 등이 있다(Miles & Huberman, 1994).


3. 연구 참여자 동의


질적 연구의 윤리문제 중 하나로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의 사생활 또는 권익보호 측면에서 연구 참여자 선정과정에서 연구목적, 연구과정, 연구결과에 대한 기대 및 활용방안 등에 대해 연구 참여자에게 사전에 공지하고 동의를 얻어야 한다(김윤옥 등, 2009; 임수원, 2004). 여기에는 연구 참여자가 연구목적과 그와 관련된 모든 위 험성을 이해하고 있는 상태에서 연구에 참여하기로 승인했다는 점, 익명성이 보장 되고, 연구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연구 결과가 활용되지 않는다는 점, 불이익을 받 지 않고 언제든지 그만 둘 수 있다는 점을 숙지하고 있다는 내용을 포함되게 된다 (신경림, 2000).


4. 자료수집


5. 자료분석


질적 연구에서의 자료분석은 양적 연구와 달리 자료수집과 분석이 동시에 일어 나는 과정으로 연구자가 필요하다면 언제든지 이전 단계로 돌아가는 회귀적이며 반복적이며 역동적인 과정으로 이해된다(Stainback, 1988).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에는 주제적 분석(themantic analysis),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질문분석(question analysis) 등이 주로 쓰인다 (전형상․이철원, 1998).


조용환(2002)은 질적 자료에 따른 상이한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즉, 관찰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행태분석, 네트워크 분석, 연극적 분석을, 면접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담론분석, 대화 분석, 사회언어학적 분석, 자전적 분석을, 문헌자료의 분석은 내용분석과 텍스트 분석을 제시하였다.


6. 자료의 진실성(신뢰성 및 타당성)


양적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질적 연구에서도 자료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 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질적 연구에서는 신뢰성과 타당성 대신에 진실성(trust- worthiness)이라는 용어가 점차 많이 사용되고 있다(유정애, 2004).


<표 1> 진실성의 평가 기준 및 구체적인 전략

 

 

 


Guba & Lincoln(1981)에 따르면

  • 사실적 가치(신빙성)는 현상을 얼마나 생생하고 충 실하게 서술하였고 해석하였는가를 의미하며,

  • 적용성(대체가능성)은 연구결과가 연구가 이루어진 상황 밖에서도 적합한지 그리고 독자들이 연구결과를 읽고 자신 들의 고유한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의미 있고 응용력이 있는지를 의미한다.

  • 일관성 (의존성/믿음성)은 연구자에 의해서 사용된 분명한 자취를 다른 연구자가 따라갈 수 있을 때 혹은 더 나아가 다른 연구자가 연구자의 자료, 시각, 상황에 따라 전혀 모순되지 않은 똑같거나 비슷한 결론에 도달할 수 있을 경우를 의미한다. 마지막 으로,

  • 중립성연구과정과 결과에 있어서 모든 편견과 해방을 의미하며, 이는 사 실적 가치, 적용성, 일관성이 확립될 때 얻어지게 된다.


III. 연구 설계


1. 분석자료


2. 분석 유목


<표 2> 유목체계

 

 

 


IV.  분석  결과


1.  분석대상  논문의  특성


2. 연구 참여자


3. 연구 참여자 선정방법


4. 연구 참여자 동의


5. 자료수집 방법


<표  8>  자료수집  형태*

 


6.  자료분석  방법


<표 9> 자료분석 방법


7.  자료의  진실성(신뢰성  및  타당성)


자료의  진실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사실적  가치/적용성/일관성/중립성 방법이  5편으로  가장  많았고,  전문가  의견/검증/회의,  구성원  검토,  삼각검증이 각각 2편(5.39%)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기타 방법들은 각각 1편(2.6%)로 나타났다<표 10>


<표 10> 자료의 진실성 기술

 

 


Ⅴ. 결  론


분석결과의  요약에  따른  시사점을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둘째, 연구 참여자의 수를 기술한 논문 비율은 86.8%이며, 연구 참여자의 수는 평균 17.1명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분석대상 논문 중 21.1%는 연구 참여자를 전혀 기술하지 않는 것으로 나 타나 향후 독자가 연구 환경이나 결과를 이해함으로써 자신의 입장에서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독자에 따른 일반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임수원, 2004) 개 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연구 참여자 선정방법은 유목적 표집(눈덩이 표집, 기준 표집/이론적 표 집 등 포함)이 전체 분석대상 논문의 50%인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의 선정기준 이나 선정이유에 대한 기술에서는 분석대상 논문 중 57.9%가 그 기준과 이유를 기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 선정기준이 연구 주제관련 경력이나 경험이 풍부한 사람들이라는 식의 너무 광범위한 기준도 제시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분석대상 논문 중 단지 5.3%만의 연구가 연구 참여자 동의에 관한 문제 를 기술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면접(심층면접, FGI, 일반면접)이 주요 자료수집 방법으로 사용된 연 구의 비율이 73.7%이며, 관찰은 26.3%로 나타나 관찰보다 면접을 주로 사용하 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면접의 유형 중 심층면접이 사용된 경우는 42.1%로 제일 많이 나타났다. 자료수집 및 기록방법 등 자료수집 형태 분석결과에서는 면 접과 관찰에서 이러한 기술을 하지 않은 비율이 33.3%-83.3%로 나타났다. 관찰 기간의 경우 분석대상 논문 중 60%의 논문이 10일 이내로 한성호(2009)의 5회 와 허문경(2010)의 2회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1회의 관찰을 하고 있었으며, 심층 면접시간은 66.7%가 기술하지 하지 않았으며, 33.3%만이 면접시간을 기술했는 데 2시간 이내였으며, 면접 횟수에서는 손해경(2009)의 2회를 제외하고는 대부 분 1회로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자료수집 방법 중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법을 사용할 것인지를 연구 시작 전 연구의 특성을 고려하여 충분히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관찰을 했다면 완 전참여관찰, 관찰자로서의 참여자, 참여자로서의 관찰자, 완전한 관찰자 중 어떤 관철의 형태로 얼마 동안 관찰했으며, 관찰내용은 어떻게 기록했는지를 반드시 구 체적으로 명시하여야 한다. 심층면접 기술 역시 구조화, 반구조화, 비구조화방식 등 어떤 방식의 면접을 했으며, 몇 번의 면접을 실시했는지 그리고 면접관련 정보(연구 참여자의 모집 과정과 이들과의 공감대(rapport) 형성, 면접 장소의 분위 기, 면접 내용 등)는 어떠했는지, 면접은 어떻게 기록되었는지 등을 명확하게 기술 해줄 필요가 있다 하겠다.


여섯째,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근거이론이 23.7%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내용분석, 주제별 분석, 의미론적 분석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근거이론 이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으로 연결되는 체계적인 분석절차 과정이 있는 비 교적 구조적인 접근이라 양적 연구에 익숙한 연구자들이 질적 연구에 접근하기가 상대적으로 수월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자료의 진실성 기술에서는 사실적 가치/적용성/일관성/중립성 방법 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전문가 의견/검증/회의, 구성원 검토, 삼각 검증 순으 로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질적 연구의 진실성 평가에 대한 깊이 있 는 논의를 한 김길래․정소연(2009), 김수진․이진형(2009) 등 몇몇 연구를 제 외하고는 대부분이 4개의 진실성 기준 중 일부분 내지는 단순히 진실성을 체크했 다고만 기술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자료의 진실성에 대한 기술이 없는 논문도 전 체의 60.5%%로 나타났다. 자료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나타내는 자료의 진실성은 양적 연구와 마찬가지로 질적 연구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ECN

ECN-0102-2014-300-001587753

  UCI

I410-ECN-0102-2014-300-001587753

  키워드

질적 연구, Qualitative research, 관광학연구, Journal of tourism sciences, 연구방법, Research method

  초록

<한국어 초록>

   

<영어 초록>

   Although scholars have been increasingly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in Tourism since the end of 1990s in Korea, discussions on research methodology of qualitative studies have been r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used in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Tourism Sciences from 1997-2011. Thirty eight published articles using interviews and observation as main data collection methods were identified for analysis. Six categories such as descrip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sampling method, criteria and reason of participants selection, participants` consent, data collection method, data analysis method, and trustworthiness of data were analyzed. Findings from the research imply that there leaves room for improvement in each of the above six categories; especially as it pertains to participants` consent and the trustworthiness of the data. For the improvement of future qualitative research in the tourism field, the study concludes with implications of research findings related to the points of researchers, schools, and research societies, respectively.

행정연구에서의 해석적 연구과정의 탐색* (정부학연구, 2009)

1)박석희**・남지원***







Ⅰ. 머리말: 해석적 접근이 왜 중요한가?


따라서 현대 행정에 있어서 가장 시급한 것 은 공익적 가치를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시민참여의 증진이라고 할 수 있다 (Gawthrop, 2002; Box, 1998; Denhardt and Denhardt, 2003; Kettl, 2002). 따라서 행정은 시민사회의 맥락 속에서 다양한 행위자들의 광범위한 참여와 상호작용 속에서 수 행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행정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해석적 관점의 접근이 요구된다.


Ⅱ. 해석적 연구의 포괄적 접근


1. 해석학 연구의 의의와 본 연구에서 “해석”의 의미


해석적 연구 는 텍스트, 즉 언어와 담론에 관심을 두고(윤견수, 2008: 187), 문장과 언어에 담겨 있 는 일정한 주제(theme or thematic category)1)를 발견하고 해석하는데 초점을 맞추며, 이러한 주제를 복수의 연구참여자들이 갖고 있는 의미를 해석하기 위해 코드화한 다. 이러한 맥락에서 Gadamer는 해석적 이해는 해석자와 텍스트 사이의 대화의 결 과로 나타나는 합의 또는 ‘의견의 일치’로써 지평의 융합(fusion of horizons)으로 부 르고 있다(오명호, 1995; 조용환, 2008)


Denzin and Lincoln(1998)은 질적 연구의 세 가지 해석적 패러다임으로 구성주의적 해석론(constructivist-interpretive), 비판론(criticism), 페미니즘(feminism)을 강조하였고, Newman (2003)은 세 가지 질적 패러다임으로 실증주의, 해석론, 비판론을 지적하였 다. 각각의 패러다임은 실체와 개인의 본성(존재론), 이론의 유형(방법론), 무엇이 지식을 형성(constitute)하는지에 관한 입장(인식론)에 있어 차별화된 특성을 보인다.


3) 해석적 연구의 가치는 그것이 복제될 수 있느냐(replicable)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독특한 (unique) 주제에 대해 그것이 우리에게 본질적 지식을 더해줄 수 있느냐에 있다.



2. 이론, 연구방법, 방법론과 인식론


전통적으로 양적 연구를 통해 획득된 자료는 경성이며 과학적인 것이고, 일반화 가능하고 대표성 있는 것(representative)으로 간주된 반면, 질적 연구를 통해 얻어진 자료는 연성이며 주관적이고, 표상적이며2) 혹은 구성된 것(constructed)으로 간주되 었다.3) 그렇지만 해석적 이론에 의하면 지식은 사회적 실체에 관한 다양한 관점에 서 형성되며, 사회적 실체의 상이한 측면들을 해석의 과정을 통해 공유함으로써 창 출될 수 있다. 특히 해석적 접근은 특정의 이론적 관점을 배척하기보다 다양한 이론적 전통들을 포괄함으로써 복잡한 사회 현상 속 에서 더욱 풍부한 지식을 창출하고자 한다.


해석 적 연구의 궁극적 목적이 이론을 창출하고, 형성하며, 정교화하는데 있기 때문에 해 석적 연구 수행에 있어 이론은 매우 중요하다. 해석적 연구자는 단지 이론을 사용하 는 것이 아니라 이론을 창조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따라서 연역적 방법을 강조하는 양적 연구와 달리 해석적 연구는 귀납적 접근을 강조하기 때문에 필드에 바탕을 둔 근거이론(grounded theory)과도 맞닿아 있다.


요컨대 방법론(methodology)은 일정한 인식론적 토대를 전제로 이론(theory)과 연 구방법(method)을 연결 짓는 가교역할을 수행한다. 즉, 각 연구자가 취하는 연구방 법론은 논리실증주의 혹은 해석학적 인식론 기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인 식론적 기반에 따라 비판이론, 현상학, 해석학, 실증주의, 후기실증주의 등의 이론 적 입장과 연구방법이 상이하게 영향을 받는다. 즉, 방법론은 이론, 방법, 인식론의 통합적 연결고리라고 할 수 있다. 방법론은 연구과정을 통해 전략적이지만 가변적 인 지침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며 이론과 방법을 통합한다. 가변적이라는 개념은 연 구자의 인식론적 신념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연구수행 중에 방법론이 변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해석적 연구는 연구가 수행되는 맥락에 의존적이기 때문 에 연구방법론의 변화에 보다 유연하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림 1> 해석적 연구에서 이론과 연구방법의 가교로서 방법론의 위상




3. 해석적 인식론의 의의


해석적 연구는 왜 사회적 실체가 그렇게 형성되는지에 대한 일반화를 지향하는 인과모형적 설명보다 대체로 사회적 실체가 무엇이며,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관심 을 갖는다. 또한 양적 연구에서는 보편적 시스템으로부터 인과모형적 설명에 의한 복제를 강조하는 반면 해석적 연구에서는 개별 행위자들 혹은 그들 간의 의미작용 에 관심을 둔다. 실증주의 혹은 후기실증주의에서 강조하는 객관적 인식론은 연구 자가 파악할 수 있는 사회적 실체는 연구과정과 독립해서 존재하며, 주체와 객체의 구분이 지식발견에 있어 필수적이라고 강조한다. 실증주의적 인식론은 연구자와 분리돼서 존재하며, 객관적이고 가치중립적 연구자에 의해 객관적인 복제가능한 방법을 통해 설명될 수 있는 객관적 실체가 존재한다고 본다(Burrell & Morgan, 1979; Creswell, 1994; Rubin & Rubin, 1995; Schutt, 1999; Brower et al., 2000 재인용). 이에 의하 면 사회적 실체는 객관적이며, 가치중립적 연구자에 의해 경험적으로 연구되고 검 증될 수 있다. 또한 연구대상자는 물론 연구자도 연구의 복제를 위해 쉽게 대체될 수 있다고 본다.


이에 반해 해석적 연구방법은 전체주의적 접근법(holistic approach)을 취하며, 의 미창출과 해석을 통한 이론형성을 추구하기 때문에 실증주의와는 다른 인식론적 기반을 갖는다. 해석적 연구는 탐색적 지식, 기술적(記述的) 지식 창출을 모두 목적 으로 할 수 있고, 사회적 실체에 대한 유일한 인과모델의 중요성을 배척한다. 해석 적 연구는 오히려 연구주제의 선정부터 연구결과의 기술에 이르기까지 연구의 전 과정이 보여주는 전체적 상호작용에 주목한다. 해석적 연구에서는 사회적 실체의 본성을 상호주관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해한다. 결국 해석적 연구에서는 사회적 실체에 관해 주관성이 아닌 상호주관적 관점에서 접근 한다.


물론 해석적 관점을 강조하는 연구라고 해도 사회적 실체를 구성하는 방식에 대 해서는 연구자의 인식론적 지향에 따라 매우 다양한 논의가 있으며(Gergen, 2007),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석적 연구들이 공 통으로 지향하는 해석적 인식론은 최소한 사회적 실체가 상호주관적 이해와 해석 의 과정을 통해 구성된다는 점에 대해서는 인식을 공유한다고 할 수 있다.


해석적 연구가 해석적 인식론에 기초하여 상호주관적으로 구성되는 사회적 실 체를 가정한다는 점에서 연구문제의 선정은 매우 중요하다. 연구문제는 연구를 통 해 밝히고자 하는 사회적 실체의 본성에 관한 질문이기 때문이다. 연구문제의 선정 은 연구방법의 유형을 결정지으며, 반대로 특정한 연구방법의 선호가 연구문제 선 정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Ⅲ. 해석적 연구과정의 전략


1. 해석적 연구의 엄격성 확보방안


1) 해석적 연구에서 타당성과 신뢰성의 문제


해석적 연구에서의 타당성은 연구의 엄격성(rigorousness) 확보 정도를 포괄적으 로 지칭한다고 할 수 있다. 해석적 연구는 사회적 실체를 사회적으로 구성된다고 보 기 때문에(Meyer & Rowan, 1977; Granovetter, 1985; Weick, 1993), 객관적 실체와의 일 치성(correspondency)으로서의 타당성 개념을 사용하지는 않는다. 해석적 연구에서 타당성이란 ‘진실로 우리가 무엇을 의미 하는가’를 의미한다. 즉, 해석적 연구에서 는 기존 논리실증주의가 강조한 내용타당성, 기준타당성, 구성개념타당성 등과는 차별화된 의미로 타당성 개념에 접근해야 한다. 해석적 연구는 경쟁적 주장이나 해 석에 대해 어떠한 연구자의 발견을 주관화하는 형태, 그리고 독자들에게 연구자의 특정한 지식에 대한 강한 논변을 제공하는 형태를 취한다.4)


Kvale(1996)는 해석적 연구에서 타당성의 기준으로 연구전문가로서의 타당성 (validity as craftsmanship), 의사소통적 타당성(communicative validity), 실천적 타당성 (pragmatic validity)을 지적하였다.


한편 전통적 실증주의에서 신뢰성은 반복측정의 일관성을 의미하는 반면, 해석 적 연구에서 신뢰성은 크게 내적 일관성과 외적 일관성 개념에서 접근할 수 있다 (Neuman, 2003).

 

 

 


2) 타당성 확보수단으로서의 방법론적 다각화


해석적 연구에서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종종 방법론적 다각화 (triangulation)가 이루어지는데, 이는 몇 가지 차원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 첫째, 연구 방법의 통합(methods triangulation)을 채택할 수 있다. 두 가지 연구방법이 동일한 결 과를 가져다준다면 이는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제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양적 연 구방법(설문조사)과 질적 연구방법(면접)을 통합할 수도 있다.

  • 둘째, 동일한 연구문 제에 대해 이론적 통합(theoretical triangulation)을 채택할 수도 있다.

  • 셋째, 동일한 연 구 내에서 다양한 자료원천을 사용하는 자료통합(data triangulation)을 채택할 수도 있다.

  • 넷째, 동일한 현상을 연구하는 다양한 연구자를 채택하는 연구자 통합 (investigator triangulation)을 활용할 수도 있다.


다만 해석적 연구에서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은 특정한 실체에 대한 객관적 인식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서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은 독자들로부터 연구자 들이 옳은 길을 가고 있다는 신뢰를 확보해 나가는 하나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해석적 연구는 객관주의 인식론이 강조하는 개념으로서의 진실(truth)보다 는 연구자, 연구대상집단 및 독자들 간에 형성되는 신빙성(trustworthiness)을 강조한 다. 이로 인해 해석적 연구에서는 연구자 편이(researcher bias), 측정편이(measurement bias) 등이 타당성을 위협하는 요인이라고 하더라도 이것을 명확하게 측정하거나 통제하고자 하지 않는다. 해석적 연구결과를 평가하는 명확한 기준을 찾는 것은 연 구과정에 대한 실증주의적 모형으로의 귀환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2. 해석적 연구에서 연구대상 선정


해석적 연구는 작은 표본에 대한 심층적 이해에 초점을 맞춘다. 즉, 해석적 연구 는 연구대상이 그들의 주어진 사회적 상황에 부여하는 의미와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며, 반드시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목적으로 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목 적 달성을 위해 해석적 연구에서 자주 활용되는 연구대상 선정방법(sampling)으로 목적표출(purposive sampling) 판단표출(judgement sampling), 혹은 눈덩이표출 (snowballing), 이론표출(theoretical sampling) 등이 활용되고 있다.


  • 첫째, 목적표출과 판단표출은 연구자가 특정한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연구대상을 주관적 판단을 통해 선정하는 것으로 연구자가 이용할 수 있는 자원에 대한 고려뿐 아니라 특정한 연구문제에 따라서 영향을 받는다. 경우에 따라 연구자는 연구대상 들이 갖는 특성이 연구에 포함되도록 하기 위해 층화목적표출을 채택하기도 한다.

  • 둘째, 일정한 논리적 계획 등에 근거하지 않고 상황에 따라 발생하는 우연표출 혹은 편의표출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일반적인 연구대상선정방법은 아니다.

  • 셋째, 질적 연구에서 흔히 사용되는 것은 이론표출로서 이는 근거이론접근법의 한 부분으로 자주 활용되는데 이는 이론형성을 위한 자료수집의 과정을 의미한다 (Glaser and Strauss, 1967).


만약 다른 표본을 통해서도 똑같은 결론에 도달하고, 새로운 것을 발견하지 못한다면 이는 ‘이론적 포화(theoretical saturation)’ 상태를 의미하며, 따라서 연구자는 새로운 각도에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다른 집 단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게 된다. Morse(1995)에 의하면 이론적 포화는 이론표출 을 통해 가장 빨리 달성될 수 있고, 누적표출과 편의표출에 의해서는 느리게 달성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무작위표출에 의해서는 표본이 이론적으로 전혀 적합하지 않고, 연구대상이 적적한 정보를 갖고 있지 않으므로 이론적 포화가 달성되기 어렵다.


특히 해석적 연구에서 연구윤리는 연구결과의 신 빙성과 타당성과 관련해서 매우 중요하다. 즉, 해석적 연구에 있어 연구문제의 선 정, 연구설계와 연구대상 선정방법, 연구자의 연구대상에 대한 태도 등에 있어 연구 자가 어떠한 윤리적 입장을 취하는가는 연구결과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연구결과 의 분석과 해석, 최종 연구결과의 발표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6)


연구윤리와 관련해서 연구대상자들에게 관련정보를 제공하고 수락을 받는 과정 (informed consent)이 필요하다.

 

 


3. 해석적 연구의 과정


일반적으로 해석적 연구과정에서 질적 자료의 분석과 해석은 다음과 같은 단계 를 거쳐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지만, 단일의 최선의 방법이 존재하지는 않는다.

 

첫 째, 자료준비단계는 자료의 필사(transcribing) 단계로서 연구자는 다양한 연구방법 (심층면접, 핵심집단면접 등)을 통해 얻어진 자료를 문자화된 형태로 정리하고, 이 를 주의 깊게 읽어보면서 관련 오류를 수정할 수도 있다. 해석적 입장에서 보면 필 사단계에서 연구자가 자료를 어떤 형태로 혹은 어느 정도까지 정리할 것인지는 연 구자의 이론적 입장과 연구질문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연구대상과 긴밀한 상호작 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둘째, 자료탐색 및 자료축소(data reduction) 단계는 동시에 이루어진다. 탐색단계 에서 연구자는 각종 문자, 시각, 청각자료를 분석하며, 핵심적인 내용 등을 요약하 여 문자, 도표, 그래프 형태 등의 메모를 작성하면서 코드화 작업을 하게 된다. 자료 의 코딩과 분석은 주로 근거이론접근7)에 의해 이루어진다. 연구자는 자료수집과 동시에 개방형 코딩을 통해 분석과정을 시작하는데, 메모작성을 통해 코드를 범주 혹은 개념의 수준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8) 근거이론접근에 의한 분석은 한 줄 한 줄 주의 깊게 읽어 가면서 각 줄, 문장, 단락에 대한 코딩과 메모작성을 통해 핵심적인 범주나 개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자가 작성한 코드는 기술적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해석적일 수도 있다. 자료에 대한 1차 코딩이 이루어지고 나면, 2차적으로 심화된 코딩작업이 이루어지며, 심화코딩을 통해 개념형성과 구체화가 이루어진 다. 즉, 심화코딩에서는 단순히 자료에 이름을 붙이는 것이 아니라 분석적 범주화 (analytical category)를 요구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론적 구성을 시작하게 된다.


7) 근거이론은 Glaser and Strauss(1967)에 의해 개발되었는데 질적 자료로부터 의미를 추출하는 전 략을 제공해 준다. 근거이론접근은 자료수집에서 시작해서 자료에 근거를 두거나 자료로부터 생성되는 이론으로 종료되는데, 이러한 분석과정이 상호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근거이론 접근은 담화분석(narrative analysis), 담론분석(discourse analysis) 등 여러 분석전략의 한 유형일 뿐 유일한 질적 자료 분석방법은 아니다.


8) 코딩은 메모작성과 함께 근거이론접근(grounded theory)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로서 코딩은 질 적 자료의 각 단락의 핵심주제, 패턴, 관념, 개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자들이 주로 채택하 는 분석전략이다.



셋째, 자료해석단계에서는 코딩과 메모작성을 통해 도출된 질적 자료의 핵심개 념, 주제들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게 된다. 그런데 해석적 연구에서 자료의 분석과 해석이 구별되는 것은 아니며, 자료수집과 동시에 분석과 해석이 이루어진다. 특히 메모작성이 질적 자료의 분석과 해석을 연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또한 자료 의 해석에 있어 연구자와 연구대상자의 역학관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질적 자료의 해석에 있어 타당성과 신뢰성의 문제가 중요하게 부각된다. 결과해석 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연구자가 확실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지, 도덕적 흠결 없이 연구결과를 발견했는지, 연구결과가 연구참여자나 연구가 수행된 사회적 맥락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점검하고, 자료해석으로부터 이론화를 시도하고, 반대사 례를 찾아보고, 연구결과 해석에 대해 합법적인 지식인들 간에 허심탄회하게 논의 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신뢰성과 관련해서도 내적 일관성과 외적 일관성을 점검해 보아야 한다.


넷째, 원고작성단계로서 질적 자료에 대한 분석과 해석이 이루어지고 나면 혹은 분석 및 해석과 동시에 원고를 작성하게 된다. 여기에는 실증주의적 관점과 비실증 주의적 관점이 대립된다. 연구자에 의해 발견될 수 있는 실재가 연구자 밖에 존재한 다고 가정하는 실증주의 관점에서는 전통적으로 공식화된 글씨기가 강조되는 반 면, 포스트모더니즘을 토대로 하는 비실증주의 관점에서는 연구발견을 표출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 즉, 극장공연과 같이 예술과 인문으로부터 글쓰기 장르를 차용 하면서, ‘공연과 같은 글쓰기(performative style)’ 형태를 취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험적 글쓰기와 전통적 글쓰기가 상호 배타적인 것은 아니며, 연구과정에서 상호 활용되기도 한다.


요컨대 <그림 2>와 같이 해석적 연구에서 자료의 수집, 분석 및 해석은 코딩과 메모작성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선형이 아니라 상호적(dialectic)이며, 순 환적 과정을 통해 역동적으로 이루어진다(Agar, 1980: 양적 연구과정에서 가설은 반박과 대안가설을 통해 수정될 수 있다. 그러나 해석적 연구설계는 인식론과 방법론 간에 긴밀한 연결을 강 조하며 가설설정, 자료수집, 자료해석, 결론도출 등이 일방향적으로 전개되는 것이 아니라 동시적으로 혹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을 거친다. 해석적 연구는 ‘분 석적 귀납화(analytical induction)’를 통한 이론형성을 추구하기 때문에 연구자는 자료 를 수집함과 동시에 그것을 해석하고 광범위한 관념들을 검증하고, 다시 추가자료 를 수집한다.

 

 

 

 


Ⅳ. 해석적 관점을 적용한 근거이론 분석


1. 근거이론의 의의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은 해석적 관점에 입각한 질적 분석기법의 하나로 새로 운 영역을 탐구하여 이론을 개발하기 위한 귀납적 방법이라는 특징이 있다(Lofland and Lofland, 1995; 권선필, 2006). 즉, 근거이론은 논리적으로 추론된 이론과 달리 경 험적 자료에 근거한 이론 개발이라는 점을 나타내기 위해 명명된 이름이다(이경우, 2000; 남지원, 2008: 102). 이는 관련 행위자들의 일상생활에 대한 경험적 자료를 발 견하게 하고, 사회적 구조와 개인행태 간 관계를 밝히며, 실천적 제안을 제시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즉, 연구참여자로부터 도출된 관찰된 자료에 내재된 일정한 패턴, 주제나 공통의 범주에 대한 분석에서 시작된다(Glaser and Strauss, 1967; Strauss and Corbin, 1990; Charmaz, 2006)9). 요컨대, 근거이론의 핵심은 연구대상에 대해 이론적 틀을 부여하 기보다 주어진 맥락과 자료로부터 이론을 도출하는데 있다. 질적 분석을 많이 시도하는 윤견수(2008: 182)는 “질적 연구의 스펙트럼을 주관성이 강한 연구와 객관성을 지향하는 연구의 양극으로 나누었을 때, 현상학이 주관적 연 구를 대변한다면, 근거이론은 객관성을 지향하는 연구”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다른 질적 연구방법에 비해 근거이론이 비교적 객관적이라고 할 만한 규준이나 절차를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어떤 행동 의 의미를 당시의 상황과 시간적인 맥락 안에서 해석해야 하는 것은 물론, 문제 상 황이 어느 정도의 인접성(proximity)과 직접성(directness)을 가지고10) 행위자에게 의 미가 전달되었는지, 그리고 그 의미가 행위자의 행동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연구자는 분명하고, 체계적이며 유기적으로 진술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행위자의 행동의 상황 타당화 과정에 대하여 <그림 3>과 같이 모형화할 수 있다.


<그림 3>과 같이 행위자가 문제 상황을 해석하는 것과 그 해석 작용을 바탕으로 어떤 행동이 유발되는지를 나타낸다면 이는 연구자의 모멘트에서도 마찬가지로 적 용될 수 있다. 즉, 자료가 어떻게 해석하느냐는 전적으로 연구자의 맥락에 따라 다 른 의미를 띠게 된다. 즉, 해석이 달라질 수 있다.

 

 

 


2. 근거이론의 유형과 절차


Glaser & Strauss(1967)와 Strauss & Corbin(1998)에 의거하여 윤견수(2008: 182)는 근 거이론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친다고 밝히고 있다.

  • 첫째, 연구자는 연구대 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현장에 직접 뛰어 들어 자료를 수집한다.

  • 둘째, 자료수집 은 한 번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연구가 끝나는 시점까지 계속된다. 즉, 해석적 연 구에서 자료의 수집, 분석 및 해석은 상호적이며, 순환적 과정을 통해 역동적으로 이루어진다.

  • 셋째, 자료와 개념, 개념과 이론, 이론과 자료가 지속적으로 연관되고 수정되어야 한다(iteration between data and theory).

  • 넷째, 연구자는 자료 수집을 바탕 으로 개념화를 시도하고, 개념들을 묶어주는 범주를 만들며, 범주들 간의 관계를 설 정한 후 핵심개념(혹은 중심현상)을 발견하며, 그 핵심개념을 다시 다른 개념이나 범주들과 연결시키면서 이론화를 시도하는 노력을 더 이상 할 필요가 없는 수준 (saturation point)까지 수행한다.


Strauss and Corbin(1998)에 의하면 질적 자료의 코딩과정은 3단계, 즉 개방(open) 코딩, 축(axial) 코딩, 선택(selective) 코딩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3단계 코딩과정이 곧 근거이론 방법의 분석절차이며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의 진술을 가 능한 한 모든 의미들을 명명(label)하게 되는데, 예컨대, 특히 연구 초기단계에서 대 부분 사용하는 ‘행분석(line-by-line)’과 같은 방식을 개방코딩이라고 한다(남지원, 2008). 바꿔서 말하면, 개방코딩이란, 관찰한 현상 (혹은 그것을 기록한 텍스트)에서 개념을 만들어내고, 이를 발전시켜 포괄적 개념들로 범주화하고 동시에 이름을 붙이는 작업이다(윤견수, 2008).


둘째, 개념들이 나타내는 현상의 범주화 작업을 ’왜, 누가, 언제, 어떻게, 어디서 했는지‘를 나타내주는 하위범주(subcategory)를 연결지어줌으로써 범주와 하위범주 를 재구성하여 조건, 반응, 행동, 전략, 결과 등의 요소를 가지고 중심범주 설명구조 로 발전시켜 나가게 되는데, 이는 행동이나 사건이 실제 어떻게(how) 일어났는지 과정(process)을 기술하고, 왜(why) 그 사건이 일어나서 어떤 구조(structure)로 행위 자의 행동을 유발하는지를 하나의 범주의 축을 중심으로 도식화(diagramming)하는 것이기 때문에 축코딩이라고 한다(남지원, 2008).

 

마지막으로 이렇게 구축된 하나 의 패러다임에 새롭게 자료를 대입시켜보고, 설명을 시도하고 다시 연결하고 분류 해보는 등 새 자료와 구축된 이론 간의 재확인 과정을 선택코딩이라고 한다.


<그림 4> 해석적 연구에서 자료의 분석 및 해석절차

 

 

 






기획논문 「정부학연구」 제15권 제1호(2009): 215~245 원고투고일: 2009. 4. 06

원고수정일: 2009. 4. 10

게재확정일: 2009. 4. 17

행정연구에서의 해석적 연구과정의 탐색*

1)박석희**・남지원***

민주주의와 시민사회의 맥락에서 수행되는 행정적 활동은 다양한 행위자들의 광범위한 참여

와 상호작용 속에서 수행되고 있으며, 따라서 복잡한 맥락을 지닌 행정현상을 정확히 이해하

기 위해서는 해석적 관점의 접근이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은 행정연구에서의 해석적 연구과

정에 대해 탐색하였다. 먼저 논리실증주의를 비판하면서 반실증주의적 인식론에 토대를 두는

해석적 연구방법의 이론적 배경, 특징과 장점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해석적 연구방

법론이 채택하고 있는 연구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하였고, 해석적 연구방법을 통해 획

득된 질적 자료들에 대한 분석과 해석과정에 대해 논의하였다. 질적 자료는 기본적으로 표상

(representation)의 과정을 통해 의미를 도출할 수 있고, 자료의 해석과 자료의 수집과정이

단선적이기보다 역동적 무도(dynamic dance)의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해석적

관점을 적용하는 분석기법 중 근거이론 접근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근거이론접근은 질적

자료들에 대한 분석과 해석방법을 제시함으로써 행정현상에 대한 연구에 있어 해석적 연구과

정을 접목시킬 수 있는 접점을 찾아줄 수 있기 때문이다.

주제어: 해석적 연구, 반실증주의, 근거이론접근, 질적 연구

교육학/교육과정 연구에서 질적 연구자가 고려해야 하는 타당도 이슈들; 그 다양한 접근들의 이해(교육과정연구, 2006)

조 재 식 (University of Wyoming)

허 창 수 (인하대학교)

김 영 천 (진주교육대학교)




I. 서 론


질적 연구는 양적 연구와 철학적으로 성격이 전혀 다른 구체적 현상의 이해가 목적이므로 타당도란 개념 자체가 무의 미하다는 입장도 있었지만(Smith, 1984), 질적 연구에서 타당도에 대한 지적 관심과 학술적 탐구는 꾸준히 증대되어왔다. 구체적으로 말하여, 실재와 연구자의 해석과의 관계에 대한 철 학적/존재론적/인식론적 의미(매theide & Johnson, 1998; Kavale, 1989, 1995; R않son & Rowan, 1981; Smith & 2000), Coffey & Delamont, 2003; [놨mer, 상황 해석의 적절성(At때JSOn, Hammersley, 1990), 의미 구성의 해체적 접근(Sche뻐ch, 1996), 필수적으로 밟아야할 절차들 (Creswell & Mill하, 2α)(); Eise따iart & Howe, 1992; Maxwell, 1992, 1996, 2α)4; Wolcott, 1잊)()), 연구 패러다임간의 통합적 접근(α10 & Trent, 2뼈, in m짧) 둥 다양한 이론 및 실제적 접근 들과 해석 체계들이 학회나 학술지에 꾸준히 발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혁규(2뼈)의 논문 「질적 연구의 타당성 문제에 대한 고찰」 에서처럼 질적 연구의 특정 타당도에 대해서 심도 있게 논의하고 있는 연구들도 찾아볼 수 있었다. 특히, 김영천(2α)6)이 우리나라의 문화적 상황을 바탕으로 하여 매우 폭넓은 타당도 개념들을 새롭게 소개한 점은 매우 고무적이다. 아울러 김영천 • 정정훈 • 이영민(2006)의 작 품에서 타당도의 개념이 현장 작업 과정을 중심으로 논의된 점도 주목할 만하다.


질적 연구의 학문적 발달과 성숙에 맞추어 1980년대 중엽에 학계에 소개되어 이제는 하나의 규준이 되어 버린 링컨파 구바의 전통적인 질적 타당도 개념과 뒤이어 이를 수 정한 타당도 개념을 각각 첫째와 둘째로 살펴본다.


II . 양적 연구에서의 타당도


첫째, 일반적인 용어로서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소개한 후, 둘째, 처치가 과연 유효하 게 적용되었는가를 따져보는 내적 타당도를 그리고 셋째는, 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결정짓는 외적 타당도를 설명하고자 한다.


1. 타당도와 신뢰도


신뢰도는 자료 수집과 결과가 얼마만큼 일관성을 가지고 있는가를 측정하는 통계적 판단 이며, 이런 신뢰도에 바탕을 두어 타당도는 사전에 의도한 것을 실제로 측정하였는가를 따 져보는 논리적이고 추론적인 판단 행위이다I). 연구 방법론에 있어서 타당도 문제는 신뢰성 이 충분하면서 타당한 자료 수집을 방해할 잠재적이고 가능한 요소들(threats)을 사전에 얼마 만큼 예측하여 제거하였는가에 달려있다.


2. 내적 타당도


캠벨과 스댄리(Campbell & Stanley, 1963)는 앞 절에서 설명한 타당도의 개념을 실험 연구 를 통하여 자세히 예를 들었다.


〈표 1 > 내적 타당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Campbell & Stanley, 1963: 5-6)

 

얻은 결과가 독립 변인 혹은 처치의 ‘직 접적 효과’로만 발생한 것인가 묻는 것이다. 연구 결과가 의도한 것을 얻기는 얻었는데, 연 구자의 고의성이 있었던 없었던, 그 결과가 다른 요소(들)로 인해서 발생한 것이라면 우리는 그 결과를 타당한 것이라고 받아들일 수 없다.

 

 


 


3. 외적 타당도


앞 절의 내적 타당도 논의가 연구 결과의 효과 자체가 과연 인위적인 실험처치로 인해서 발생한 것을 묻는 것이었다면 외적 타당도 논의는 연구 결과를 어느 집단, 장소, 처치 변인, 그리고 측정 변인에게 일반화시킬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질문이다(성태제, 2002: 18-19).

 

 

 


III . 질적 연구의 타당도


질적연구는 다양한 이론적 바탕을 배경으로 하기 때문에 타당도에 대한 논의 역시 매우 다양하다. 그러한 점에서 양적연구에 서의 합의된 타당도 보다는 상당히 다양한 형태의 타당도들이 개념화되어 왔고 논의되고 있 다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요구된다.


즉, 질적 연구에서는 각각 의 이론적 배경에 따라 그 타당도 또한 개념과 의미가 다르게 사용되며 검증하기 위한 준거 또한 다양하다는 것이다. 

@ 전 통적인 질적 연구의 타당도, 

@ 수정된 전통적인 질적 연구의 타당도, 

@ 후기구조주의적 타 당도, 

@ 혼합방법론, 

@ 최근의 다양한 접근들이 그들이다.


1. 전통적인 질적 연구의 타당도 (링컨과 구바의 타당도 I)


링컨과 구바은 1985년 「자연주의적 탐구(Naturalistic lnq빠y)」라는 저서를 출간한다.


〈표 2) 실증주의자와 자연주의자의 원칙(Lincoln & Guba, 1985: 37)

 

 


링컨과 구바는 위와 같은 자연주의자들의 기본적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자연주의적 탐구 를 정의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Lincoln & Guba, 1985: 37-38).


  1. @ 존재론적 입장에서 자연주의적 탐구는 하나의 방법론적 실행으로 실재 (realities) 들이 각 각 독립적인 존재들로 인식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관계 속에서 다양하고 복잡한 구성 으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실재들에 대한 탐구는 복잡한 관계로 인해 필수 불가 결하게 다양한 형태를 보일 것이며, 어느 정도의 수준에서 통제와 예측이 달성될 수는 있지만, 완벽하게 산출되기는 불가능하다.

  2. @ 인식론적 입장에서 연구자와 연구 대상과는 서로 분리될 수 없으므로 상호작용에 의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연구자가 성취하려는 연구 목적은 연구 대상에 대한 지식을 표현하기보다는 상호작용 속에서 실체를 다양한 형태의 지식으로 표현 및 발전 시키기 위함이다.

  3. @ 가치론과 방법론적 입장에서 연구는 가치 내재적이다. 이러한 제효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은 연구자의 가치, 선택되는 이론적 배경, 자료 선택에 대한 이론적 방법, 맥 락적 가치 등이다. 이러한 제한들은 연구 과정에 있어서 서로 조합되기도 또는 갈등의 과정을 겪기도 하며, 이 과정의 연구는 결국 의미 있는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개념들과 함께 링컨과 구바는 자연주의적 탐구의 특정을 자연적 장소와 시간 (natural setting), 연구 도구로서의 사람(the human as ins뻐ment), 암묵적 지식(tacit knowledge), 질적 방법(qi빼빼ve meth,때s), 의도된 표본(purposive sampling), 귀납적 자료 분석(뼈uctive data 빼ysis), 근거이론(gr뼈1ded m뼈y), 점진적 설계(emerg잉lt d않ign), 협의된 산출물(negotiated outcomes), 사례 보고(the ca똥 report), 내부자적 해석(idiographic interpretation), 가정적 적용 (tentative application), 초점 결정적 경계(focus『det해뻐1ed boun없ries), 진실성( trustwortl피iess)둥 을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개념들 중에서 링컨과 구바는 진실성이라는 용어로서 질적 연구 에서의 타당도 기준을 새롭게 정립하였다. 이들에 따르면 자연주의적 탐구에서의 진실성에 대한 검증은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한 답변을 중심으로 구성된다{Lincoln & Guba, 1985: 218).


  1. @ 특정 대상자와 맥락을 위한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들의 진실에 대한 확신에 대해서 연구 자가 설계를 어떻게 할 수 있을까?

  2. @ 연구의 결과들이 다른 맥락과 대상자에게 적용 가능한 정도를 연구자가 어떻게 결정할 수있을까?

  3. @ 연구 대상이 같은 또는 유사한 맥락에서의 대상자로 대체된다면 현재의 연구에서 얻은 결과들이 일관적으로 반복될 것인가에 대해서 연구자가 어떻게 결정할 수 있을까?

  4. @ 연구의 결과들이 연구자의 경향, 동기, 관심, 관점들로부터가 아닌 연구 대상자와 대상 맥락 의 성격으로부터 얻어지도록 연구자가 어떻게 설계할 수 있을 것인가?


이러한 질문들에 답하기 위하여 이들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기준을 제시하였다. 실증주 의적 연구의 내적 타당도 위치에 신용성(credibility), 외적 타당도에 전이성(transferability), 신 뢰도에 의존성( dependability), 그리고 객관성에 확실성(confirmability)이라는 개념으로 대치하 였다.


첫 번째로 신용성에 대해서는 다섯 가지 방법이 있다Lincoln & Guba, 1985: 301-316).


  1. @ 신용 있는 결과가 산출되도록 가능성의 증가를 위한 다양한 활동들 이를 위해 장기간 지 속적인 종사, 지속적인 관찰, 그리고 삼각검증법을 예시하고 있다. 이들이 가지고 있는 의미는 다양한 각도에서의 해석적 시각 및 장기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연구를 방 법적 조건으로 하고 있다.

  2. @ 동료 검증(peer debriefing) 의 사용 - 연구자의 개인적 선호와 성향을 제거하기 위한 작 업으로 연구 주제에 익축하거나 그렇지 않은 동료들과 함께 연구 중 떠오르는 주제들을 함께 토론하는 지리를 자주 갖는 것이다.

  3. @ 반증 사례 분석 (negative case analysis) 이것의 의미는 완벽한 귀납적 방법의 달성을 위한 방법으로 연구의 대상인 모든 사례를 포함할 수 있는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가정 의 도출을 요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오류들을 포함할 수 있는 가정의 재구성 작업을 말한다고 할 수 있다.

  4. @ 참조 자료의 보관(referential adequacy) - 자료 수집에 있어서 적합한 자료의 관리를 지 적 하는 것이다. 음성 녹취 및 비디오 복화한 자료들의 원상태로 보관하여 필요시 심사 자에게 제시하는 것을 말한다.

  5. @ 참여자에 의한 연구 결과의 검증 (member checking) 다양한 실체의 존재를 받아들이 는 자연주의적 탐구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이 연구자가 수집하고 해석한 자료의 내용들을 검토하고 반성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함으로써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자연주의적 탐구의 진실성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두 번째 방법은 전이성이다. 가장 대 표적인 방법은 심층적인 기술(thick description) 이라고 할 수 있다. 주어진 시간과 맥락 안에 서 가능한 깊이 있는 자세한 묘사를 통해 그것으로부터 나타날 수 있는 적용의 가능성을 높 인다는 것이다.


진실성 요구의 만족을 위한 세 번째 방법은 의존성이다. 이를 위해서 링컨과 구바는 네 가지의 개념을 제안하고 있다. 이는 대부분 신용성에 대한 재검증 과정으로서

  • 번째는 완 벽한 신용성의 형성이다. 철저한 신용성의 검사는 결국 의존성의 필요성을 제거한다는 것이 다.

  • 두 번째는 신용성에서도 지적했듯이 다양한 삼각검증법의 사용이다.

  • 세 번째로는 동료 검사의 일환으로서 다양한 탐구목적의 질문을 형성하고 이들을 통해 검증하는 것이다.

  • 네 번째로 제시된 의존성에 대한 기술은 탐구의 감사라 하겠다. 이에 대한 검증 기술로는 두 가지가 제시되고 있는데

    • 첫째로는 모아진 자료와 해석에 대한 정당성(f:빠ness) 여부의 확인 이다. 이는 회사의 감사 작업과 일치하는 것으로 한 회사의 감사는 그 회사의 발전적인 방 향을 가지고 수행되는 것으로 자료의 진실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정당성에 대한 질문에 답변 을 하는 작업이다.

    • 두 번째로는 자료에 대한 다양한 가정을 통해 모든 기준들에 대한 정당 성의 구성과 함께 모든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검토를 신중히 고려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었다. 결국 이러한 작업들은 신용성에서 무심코 제외될 수 있는 부분들에 대한 이중 검토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자연주의적 탐구의 진실성 요구에 만족하는 네 번째 기준은 확실성이다. 앞서 제시한 의 존성의 작업과 연계되어 있는 것으로 구바와 링컨(Guba & Lincoln, 1981)의 삼각검증법과 지속적인 연구 반성일지 작성을 추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네 가지 방법들이 링컨과 구바가 제시하고 있는 자연주의적 탐구로서의 타당도 전략이다.


 

 

2. 수정된 전통적인 질적 연구의 타당도(링컨과 구바의 타당도 II)


구바와 링컨은 자연주의적 탐구로부터 발전된 연구 평가의 다음 작품으로 1989년 r 제4세 대 평가(Fourth Gen앉ation Ev머uation)」라는 저서를 출간한다. 이 책에서 구바와 링컨 은 1985년 제시하였던 자연주의적 탐구에서의 네 가지 진실성 요구를 질적 연구 또는 제4세 대 평가에 적합한 타당도 요구로 확장한다. 이러한 확장을 구바와 링컨은 세 부분으로 나누 어 설명하고 있는데, 첫 번째 평행적 준거와 두 번째 해석학적 과정의 비판, 그리고 이 둘과 함께 보완된 모텔인 세 번째 진정성(authenticity) 준거를 제안하고 있다.

 

 

 


가.평행적 준거


주요 관점은 실증주의 적 연구가 가지고 있는 타당도에 대한 준거들을 질적 연구로 평행이동 시키려 시도했다는 것이다.


〈표 3) 앙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타당도 평행적 준거 비교

 

 

 

 

나. 해석학적 과정


구바와 링컨이 두 번째로 주장하고 있는 타당도 기준은 방법적 과정을 강조하고 있는 해 석학적 과정이다. 이는 연구 진행 중 인위적으로 타당도가 요구하는 기준들을 모두 만족시 킨다는 것으로 해석학적 연구 방법의 이용을 제안하고 었다. 이 해석학적 과정 또한 자연주 의적 탐구의 패러다임과 근본적으로는 일치하며, 탐구 과정 속에 갈둥과 조합을 통한 의미 있는 결과의 산출이라는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다.


아래의 그림과 같은 해석학적이고 변증법적인 순환(H빼l앉eutic 뼈ectic circle) 이 이와 같은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결국 위의 그림이 보여주는 것은 끝엄 없이 반복되며 얻어지는 자료들과의 지속적인 의미 구성으로서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의 방법과 그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 진정성 준거


세 번째로 제시되고 있는 진정성 준거를 바로 구바와 링컨이 제4세대 평가에 가장 적합 한 타당도 기준으로 주장하고 있다. 구바와 링컨은 평행적 기준들은 아직 실증주의적 근거 를 버리지 못하고 그에 맞추려는 의도라고 비판하였으며, 해석학적 과정은 그 방법적인 과 정들이 얼마나 올바른 것일까라는 질문에 대해 명확히 답하기 어렵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구바와 링컨은 이러한 자기반성 및 이론적 비판과 함께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진정성 요구를 가장 적합한 타당도 기준으로 주장하고 있다. 이들이 주장하고 있는 진정성에 의한 기준은 

  1. 공정성(f:빠ness), 

  2. 존재론적 진정성(ontologic외 authenticity), 

  3. 교육적 진정성 (educative authentic띠), 

  4. 촉매적 진정성(catalytic authenticity), 

  5. 전술적 진정성(tactical authenticity) 이 다.


공정성이란 연구를 통하여 수집된 결과가 모든 해당자들에 만족될 수 있는 의미로 구성 되도록 노력하는 방법적인 단계를 말하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과정으로서 구바와 링컨은 두 단계를 주장한다.

  • 첫 번째 단계는 연구에 관련된 모든 가능한 관련자들을 포함함과 동시에 그 그룹 안에서 구성되는 의미를 구성하려고 노력하는 방법이다.

  • 두 번째 는 협약(negotiation)의 과정이다. 이 협약의 성격을 구바와 링컨은 여섯 가지 과정으로 설명 하고 있다.

    • 첫째, 공개적이어야 한다.

    • 둘째, 동둥한 기술과 함께 진행 되어야한다.

    • 셋째, 동등 한 권력을 지닌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 넷째, 똑같은 양의 정보를 소유한 상태에서 이루 어져야 한다.

    • 다섯째, 협약 그 자체는 관련성을 가져야 한다. 그리고

    • 여섯째, 모든 일들은 모 두의 동의 아래 이루어져야 한다.

결국 이러한 협약의 과정은 연구 방법적인 과정에서 연구 에 참여하는 모든 주체들이 공평한 관계에서 모두가 수긍하는 동의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테면 참여자에 의한 변담 내용의 확인 과정(member checking)이 있는 데 이 과정에서 연구자의 해석이나 이해가 참여자의 의도와 차이를 보일 때에는 이에 대한 동둥한 입장에서 서로의 토론 과정을 통해 합의점에 이룬 후 그 자료를 사용해야한다.


존재론적 진정성이란 연구 참여자들이 연구 진행 과정에서 참여자 자신들이 성장하고 자 신의 삶의 환경이 개선되고 이해의 폭이 정교화 되며 확장되는 것에 대한 증거들로부터 설 명되는 기준이다. 이러한 증거를 입증하기 위해서 구바와 링컨은 두 가지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 첫 번째는 연구 문제들에 대해서 참여자들의 새로운 또는 확장된 이해의 확인이다. 연 구 초기에는 이해하지 못했던 문제들이 연구 과정 속에서 이해되는 것을 말하는데 이를 구 바와 링컨은 중언이라고 표현하였다.

  • 두 번째 기술적 방법은 사례에 대한 감사 과정이다. 다 시 말해서 과정에서 구성된 기록과 의미를 다른 관점에서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결국 론적 진정성이란 연구에 참여하는 모두 주체에 대한 감사 과정을 통해 그 주체들이 성장하 는 증거의 목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테면 면담 과정에서 참여자들이 처음에 이해하지 했던 상황들을 연구 중반쯤에서 ‘그랬구나!’와 같은 탄성과 함께 이해되기 시작하기도 하는 데, 이에 이어지는 내용에 대해서는 좀 더 정교해지고 성숙된 진술을 하게 되는 것을 질적 연구의 면담이나 이야기 수집 과정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증거들이 바로 존재론 적 진정성의 예이다. 또한 연구자도 연구 진행 중 감사 과정을 통해서 오류를 발견하게 되 고 개선해 가는 순간들이 자주 나타나는데 이 또한 존재론적 진성성의 다른 증거이다.


교육적 진정성이란 존재론적 진정성보다 발전된 과정으로서 단순히 개선되고 인식의 확장뿐 아니라 참여자들 외의 다른 주체들이나 상황들에 대해서도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는 인식을 가지게 되는 단계를 말한다. 이를 위해 두 가지 기술이 추천되고 있는데

  • 존재론적 진정성에서 제시되었던 연구 참여자 자신에 대한 깊은 이해뿐 아니라 다른 주체들에 대해서 도 평가를 통해 증언할 수 있는 과정을 말한다.

  • 두 번째로는 감사 과정이 단순히 연구 참여 자들 사이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해석학적 순환 과정에서처럼 확장된 감사 과정을 말한다.

즉, 교육적 진정성은 존재론적 진정성에서 주장하고 있는 연구 참여자 그 주체에 대 한 개선을 넘어서 외부에 있는 다른 주체들에 대한 평가의 능력을 가지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를테면, 젠더에 대한 주제에서 연구 참여자가 젠더라는 문제에 대해서 어떻게 살아왔고 이 연구를 통해 보다 깊은 이해를 하게 되는 인식의 증거는 존재론적 진정성의 목격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연구 참여자의 가족 등 주변 사람이나 사회에 대해서도 깊은 이해 와 평가를 하는 모습의 목격이 교육적 진정성의 증거이다. 


촉매적 진정성과 전술적 진정성은 연구 과정에서 평가를 통해서 행동의 실천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촉매적 진정성은 연구 과정 속에서 다루게 되는 문제들에 대한 폭넓은 이해 및 평가와 함께 그 즉시 행동으로 옮기는 증거들의 목격을 말하며, 전술적 진정성이란 바로 행동의 실행으로 나타나지는 않지만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충분히 지닌 증거들 에 대한 목격으로부터 기준의 달성을 말할 수 있다.


구바와 링컨은 촉매적 진정성에 대한 기술로 세 가지를 제안하고 었다.

  • 첫 번째는 존재론적 진정성에서 설명하고 있는 연구 참여 자의 자기증언과 함께 바로 행동으로 옮기거나 옮기기를 원함에 대한 확인을 말한다.

  • 두 번 째는 협약의 과정을 통해 행동으로 옮겨지게 되는 것을 말하며,

  • 세 번째로는 일정 기간 동 안 체계적인 이해로부터 행동까지 진행되는 증거에 대한 목격이 그것이다. 이를테면 연구 참여자가 연구 초기에는 당연시 여겨왔던 행동들에 대해서 재평가를 하게 되고 바로 행동을 고쳐 가는 것이 하나의 예가 될 수 있다. 젠더와 관련된 주제에 대해서 참여하는 과정 속에 서 남성 참여자들이 집안일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됨과 동시에 행동으로 옮겨지게 되면 이 것을 촉매적 진정성의 증거들로 여길 수 있다.


또한 전술적 진정성에 구바와 링컨은 세 가지 방법을 설명하고 있는데,

  • 첫 번째는 연구 참여자들의 자기증언이 유도되는 것을 말한다.

  • 두 번째는 자기증언에 따르는 것으로 다른 그룹에 대한 평가의 시도를 착수하는 과정의 증거이다.

  • 세 번째로는 연구 참여자와 평가자가 유사해지는 것에 대한 증거로서 연구 평가에 대한 강화이다.

전술적 진정성의 증거에 대 한 목격은 결국 참여자들에 대한 적극적 연구 참여를 말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젠더에 대한 주제에서 전술적 진정성의 증거는 면담 참여자가 단순 가담자로서의 진술보다는 적극적 자 세와 함께 연구에 참여함으로서 경험에 대한 평가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3. 후기구조주의 타당도(레이더의 준거)


레이더는 1993년 “창의 력이 풍부한 망상; 후기구조주의 후의 타당도(F,얹ile obsession: Validity after poststruc따alism)” 라는 논문에서 진실이란 사람들에 의해 구성되어 재현되는 것으로 주장하며 권위 의 대항적 실행(counter-practices of authority)이라는 제목 하에 후기구조주의를 포함한 탈근대 주의 개념을 타당도와 접목시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개념들을 제시하고 있다.

  • 첫째는 보드 리야르U않n Ba뼈11따d)의 시율라크라의 개념과 아지”. Agee)와 이반(W. Ev:뻐)의 탈근대주의 텍스트로부터 형성된 시율라크라/반어적(ironic) 타당도이다.

  • 둘째는 리오타르(J. Lyotard)의 탈 근대주의 조건 중에 하나로서 소개되는 배리(par때ogy)의 개념과 함께 제시되는 배리/신실용 적(neo-pragmatic) 타당도이다.

  • 셋째는 데리대J. Derrida)의 엄밀성(rigour) 개념과 들레즈(G. Deleuze)와 가타리(F. Gua없ri)의 리좀(r피zom) 개념으로부터 주장되는 엄밀/리좀적 타당도이 다.

  • 그리고 넷째는 이리가레α. Irag없y)의 여성적 개념으로부터 주장되는 여성적(v,이uptuous)/ 상황적(situated) 타당도이다. 이들은 모두 기존의 과학적 연구에서 요구하는 연구 타당도에 대한 대항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가.반어적타당도


이와 관련하여 검색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레이더는 다음 의 네 가지를 예로 들고 있다(1993: 685).


  1. @ 언어의 불충분성 강조와 진실이 문제를 지적하는 의미적 효과의 생산을 부각시켰는가? 

  2. @ 현실의 당연한 인정에 저항하였는가? 표상의 문제성을 흔템 움직임을 보였는가? 참고자 와 탐구의 객체로서 창조의 간주 하에 암시적 긴장을 강조하였는가? 

  3. @ 표상의 위기를 하나의 연구 주제로 하는 연구 실행의 산출을 포함하는 형식을 분산, 순 환및 다산시켰는가? 

  4. @ 활용가능성을 증가시키는 분석 실행을 창조하였는가?


위의 질문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은 바로 표상 또는 대표성(repr,앓ntation)에 대한 저항적 실행이다.


나. 배리적 타당도


다음은 레이더가 제안하는 검토 기 준의 예이대1993: 686).


  1. @ ‘풍부한 방해’ 찾기를 통해 다양성을 양산하였는가? 

  2. @ 통제 부호들을 해체했는가? 그러나 현존 형태의 가해성 안에서 아직 명료한가? 

  3. @ 정당함과 알려지지 않은 무엇인가가 요구되는 전략이 기대 되는가? 그러나 어떤 형태의 전이를 부정했는가? 

  4. @ 결정할 수 없음, 한계, 역설, 복잡성과 관련이 되는가? 

  5. @ 우리가 이미 점유하고 있는 일상생활의 반대편을 찾았는가?


다. 리좀적 타당도


다음의 다섯 기준은 레이더의 제안이다(1993: 686).


  1. @ 경계 안에서 안주하지 않았는가? 밑바닥을 건드렸는가? 

  2. @ 새로운 논리적이고 결정적인 이해의 기준을 발전 시켰는가? 열려있고 맥락에 민감한 준 거를 다산했는가? 어떤 새로운 노선과 체계회에 대항하여 연구했는가? 

  3. @ 안정되고 지속적인 데리다의 놀이 (play) 를 공급하고 과다시켰는가? 

  4. @ 문제 제기의 새로운 공급, 다양한 열립, 네트워크, 그리고 다양성을 통해 권위의 제한 에 대항하여 연구되었는가? 

  5. @ 전통적이고 추론적인 과정을 지워버렸는가? 지배적인 담론과 비판, 지배를 깨트렸는가?


라. 여성적 타당도/상황적 타당도


레이더는 검토 기준으로 다음의 네 가지를 제안하고 있다(1993: 686).


  1. @ 과다한 파열, 누수, 탈주, 위험한 실행을 향해 지나치리만큼 멀리 갔는가? 

  2. @ 하나의 상황 되어지고, 부분적이고, 위치 지워진, 명료한 시험을 구체화했는가? 

  3. @ 자기성찰과 충분히 참여된 실행을 통해 권위를 구성하였는가? 

  4. @ 제한되어있고 제한되어있지 않은 또는 닫혀있고 열려있는 하나의 의심스러운 문맥을 창 조하였는가?

  5. @ 윤리학과 인식론을 함께 토론되었는가?


4. 혼합방법론(Mixed methodology)에서의 타당도


이 준거의 개척자로는 존슨과 옹웨이부지(J1빼없1 & Onwuegbuzie, 2004)를 들 수 있는데 이들의 입장을 대표적으로 설명한다.


실용주의 철학의 초점인 실제성 과 계속적인 문제 해결성에 비추어, 두 방법론의 장점들을 잘 섞어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해결책(workable solutions)을 모색하는 것은 제기된 연구 질문에 답하기 위한 가 장 적절한 방법론적 선택이 될 수 있다고 이들은 지적한다(2뼈; 16-17).


패러다임과 시간성에 대한 판단을 축으로 하여 생각해 볼 수 있는 혼합방법설계의 경우의 수는 모두 9가지이다.


위의 매트릭스를 간단히 설명해 보도록 하자. 

@번의 경우,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동 둥한 강조를 둔 상태에서 시간상으론 동시에 진행시켜 나가는 것을 말하며, 이를 시간적 계 열성을 가진다면 @번 혹은 @번과 같은 순서로 전체 연구 진행이 이루어지는 설계이다. 만 약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차별화 시켜, 질적 연구를 주된 방법론으로 양적 연구를 보조 적 수단으로 활용하되 시간상으로 동시에 진행할 경우 @번 그리고 양적 연구를 주로 질적 연구를 보조 수단으로 동시에 연구를 진행시킨다면 @번의 형태를 띤 설계가 될 것이다. 마 지막으로, 연구 방법이 차별화 되고 이를 시간성에 따라 다르게 활용할 @와@, @과@의 경우들이 있겠는데, 이들이 가장 보펀적인 혼합방법설계 방식이다,


결론적으로, 혼합방법론의 성격과 접근 방법은 연구 결과의 타당성의 확보를 최우선적인 목적으로 두고 있다. 단일 방법론이 가질 수 있는 자료 수집과 해석의 협의성을 극복하기 위한 이러한 노력은 분명히 설득력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설득력은 그련, 캐라셀리, 그리고 그래햄(Gr않ne, Caracelli & Gral뻐n, 198이이 주장한 혼합방법론의 5가지 목적으로 잘 이해된다. 

  1. @ 삼각검증법 - 같은 현상을 다른 방법으로 접근하여 보다 확실한 타당성을 확보 하려는 목적, 

  2. @ 보완적 - 연구 진행의 후반부에 필요한 자료의 보충을 위한 목적, 

  3. @ 주도 적 - 연구 질문을 다시 설정할 정도로 초기에 강한 현장작업을 실행해 보는 목적, 

  4. @ 개발 - 한 가지 방식에서 얻은 결과를 이용하여 다른 방법에 정보를 제공하려는 목적, 

  5. @ 확장 - 전 체적으로 연구의 폭과 깊이를 확장시키려는 목적이 그것이다.

 

 


5. 최근의 다양한 접근들


가.윤리적 타당도


질적 연구의 타당도를 논의함에 있어서 윤리성에 대한 강조는 최근 들어 부쩍 강조되고 있다. 본 절에서는 연구 윤리성 문제를 자세히 다룬 보크너어ochner, 2αα)의 정직성 타당도를 소개하고자 한다.


전통적으로, 우리는 우리의 작품이 누구에게 유용하고, 통질력이 있고, 혹은 의미 있는 가 없는가에 관심을 가지기보다는, ‘과학자로서’의 우리는 어떻게 다른 과화자들에 의해 평 가를 받을까 하는 문제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졌다. 우리는 엄격한 열성 (rigor) 에 지나치 게 몰입하는 동안 상상력과 같은 측면을 등한히 하였다. 그 결과, 주관성을 배제하기 위하 여 탈문화적 표준화에 우리 자신을 맡기는 우를 범하였다. 이제까지의 평가 준거들은 하나 같이 지나친 보편성에만 치중을 하였다. 때때로, 나는 이런 준거들이 오히려 우리의 능력 2002: 을 제한시키고 우리의 창의적인 에너지를 막는 역할을 한다고 느낀다(Bochner, 259).


그의 논문 제목인 r 우리 자신들에 비추어(Against ourselves)」가 시사하듯이 결국 질적 연 구자들이 양적 연구자들이 즐겨 쓰는 준거와 같은 탈주관적 용어들에 비추어 그 타당성을 찾으려 하기보다는, 우리가 사는 이 불확실한 세계 속에서 정직함을 추구하려는 연구자 자신의 실존적인 고통스런 노력, 즉 연구자 자신의 윤리적 존재 방식에 질적 연구 작품의 타 당성을 논하는 것이 오히려 바람직한 것으로 보크너는 주장한다.


혼히 훌륭하고 타당성이 높은 질적 작품 은 독자로 하여금 연구의 맥락과 현상을 이해하도록 잘 도와주는 것이라고 하지만, 보크너 는 이런 일반적 준거가 연구자 자신의 주관성이 매우 강렬한 내러티브에서는 쉽지 않은 일 임을 전제하면서, 제 삼자의 시각에서 자기문화기술지의 타당도를 평가해 보는 작업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준거들을 제시하였다.


  1. @ 풍부하고 상세한 기술, 역정의 삶을 극복 과정, 사실과 감정의 혼합 

  2. @ 시간성에 의한 복잡한 내러티브 구조 

  3. @ 작가의 감정적 신뢰성, 연약성, 그리고 정직성 

  4. @ 과거의 나와 현재의 나가 공존함, 두 자아가 만들어낸 한 이야기 

  5. @ 윤리적 자아의식, 독자를 위한 판단 공간, 이야기 속에 내재된 도덕성의 표현 

  6. @ 평가자인 제 삼자의 감정 및 이성적 감동, 단순한 주관적 이야기로 끝나기보다는 평가 자에게 삶이 어떻게 느껴지고 삶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분명히


나. 인간관계타당도


링컨(1995, 2002)은 지금 현재의 질적 연구자들은 다음과 같은 새로운 세 가지 측 면에 직접적이고 헌신적 관심을 보여야 한다고 피력한다. 

  1. @ 연구 참여자와의 인간관계, 

  2. @ 실천을 불러일으킬 연구자의 전문적, 개인적, 정치적 입장의 제고, 그리고 

  3. @ 사회정의, 공동 체, 다양성, 민주적 대화, 그리고 애정 어린 돌봄이 그들이다, 

링컨은 이런 새로운 세 가지 측면에 대한 헌신적 관심은 이제까지 우리가 알고 있는 ‘연구란 무엇인가?’, ‘연구는 무엇을 하기 위한 것인가?’, 그리고 ‘연구 참여와 그 권한은 누가 가지고 있는가?’와 같은 질문들을 윤리적 시각에서 새롭게 조명할 수 있을 것으로 믿으며(p.33이 다음과 같은 8가지 새로운 타 당도들을 소개하고 있다.


〈표 4) 새롭게 부상하는 타당도

 



다. 연구 목적에 따른 통합적인 타당도


앞 절에서 링컨이 언급했듯이 또한 지금까지의 본 논문에서 설명한 다양한 질적 타당도 개념들을 연구 목적에 비추어 통합적으로 이해하려는 접근이 최근에 동장하였다, 이 통합적 인 타당도 접근은 우선 기존의 많은 개념들을 상호작용적(없nsaction떠) 접근과 변형론적 (σansfonnational) 접근으로 구분한 후 그에 따른 이론 혹은 개념들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 전자의 상호작용적 접근은 본 논문의 앞부분에 설명된 링컨과 구바(1985)의 초기 이론 이 대표적이며, 그 핵심적 아이디어는 질적 타당도는 가능하고 바람직한 논의라는 후기/실증 주의적 철학적 배경 속에 있다. 이에 질적 연구자는 자신의 신념과 의지를 갖고 다양한 방 법과 기법을 사용한다면 연구의 타당도가 충분히 확보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예를 들어, 상 호작용론자들은 연구 참여자에 의한 연구 결과의 확인(mem밟 chec힘ng)을 통해 연구의 타당 도가 상당히 높게 확보될 것으로 믿는다.

  • 이와는 달리 변형론적 접근은 페티 레이더를 비롯 하여 많은 비판적 이론 혹은 탈근대적 시각에 바탕을 둔 연구자들의 주요 아이디어로, 질적 연구의 타당도는 어떤 몇몇의 방법이나 기법만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그러 나 이들은 상호작용론자들이 사용하는 제 방법이나 기법들이 무용하다고 주장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이들은 질적 연구자가 참되게 고민해야 할 부분은 얼마만큼 참여자의 삶을 실천적 으로 변화시켰는가, 나아가 연구자 자신이 어느 정도로 사회 변화에 진실성을 갖고 연구를 수행했는가와 같은 연구의 반성적, 비판적, 혹은 실천성 준거들이 더욱 중요하다고 보는 주 장이다(Cho & Tr짜 2α)4, in Iπ웠),


이렇게 연구 목적에 비추어 타당도의 개념을 구분하고 각각의 주된 준거들을 살펴본 장 점은 크게 세 가지이다.

  • 첫째, 연구 목적에 의한 접근(Donmoyer, 2001) 이라는 절충적인 시각 에 의한 타당도 개념을 새롭게 주장한 점, 첫째의 장점과 연계하여

  • 둘째, 순수 지적 전통에 의거한 연구들과 다소 개량적인 연구 패러다임들이 상호비교적 관점에 의하여 각각 다른 타 당도 개념과 준거들이 적용된다는 것을 체계적으로 제시했다는 점, 그리고 마지막으로

  • 셋째, 참여자에 의한 확인(member chec빼1g) 이나 삼각검증법과 같은 기존에 회자되던 중요한 기법 틀이 각각 다른 연구 목적에 따라서 어떻게 차별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인지를 명료화 했 다는 점이다.

결론적으로, 질적 연구에 있어서의 타당도 문제는 총체적으로 접근해야할 성격 이며, 상호작용론적 접근과 변형론적 접근에서 각기 강조하는 다양한 타당도의 개념과 기법 들은, 영국의 대표적 질적 연구자 중의 한 명인 실(S뼈e, 1999)이 유사한 주장을 펼쳤듯이, 구체적인 연구 목적의 적절성과 특이성에 비추어 실용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IV. 결론 및 시샤점


질적 연구에서의 타당도 개념은 질적 연구의 학문적 토대가 간 학문 혹은 다 학문적인 성격인 만큼 매우 다양함이 주된 특징이다. 양적 연구에서 타당도의 개념은 검증, 예측, 그 리고 일반화라는 연구 목표에 충실한 ‘논리적’인 점에 그 특징이 있다면, 질적 연구에서의 타당도 개념은 대부분 ‘설득적’ 혹은 ‘매우 그럴법한 추론적’인 성격이 특징인 셈이다. 질적 연구가 하나의 지적 탐구 영역으로 태동한 1980년 중엽에서는 양적 연구의 타당도 개념과 병립하고자하는 의지가 반영된 논리적인 성격의 타당도 개념들이 주종을 이루었다. 하지만 곧, 이들을 새롭게 조명하려는 질적 연구자들의 내부적 노력을 통하여 엄격한 논리성보다는 연구자가 연구 대상자 및 연구 상황에서 필연적으로 가지고 가는 면견, 그리고 복잡한 사회, 문화, 그리고 정치적 관계에 대하여 얼마만큼 공정하고 호혜적인 인식과 의식을 가져야만 하는가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 이런 질적 연구의 공정성, 그리고 연구자와 연구 대상자 사 이의 상호 이득적 관계가 선행된 기반 위에서 질적 연구자가 수행한 자료의 분석과 해석 과 정이 얼마나 ‘설득력’ 있고 ‘매우 그럴법한 추론’으로 결론이 났었는가가 가장 핵심적인 타 당도의 개념 이라고 본다(Ma뻐son, 1989).


이혁규(2004). “질적 연구의 타당성 문제에 대한 고찰”, 교육인류학회, 7(1), 175-210.


 

 

 

 

 

 






교육과정연구 제24권 제1호, 2006.3, 61-95 (35 pages)

교육학/교육과정 연구에서 질적 연구자가 고려해야 하는 타당도 이슈들

- 그 다양한 접근들의 이해

Validity Issues for Qualitative Researchers in Educational/Curriculum Studies: Understanding Different Approaches


목차

요약
I. 서론
Ⅱ. 양적 연구에서의 타당도
Ⅲ. 질적 연구의 타당도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상세서지

  • 발행기관 : 한국교육과정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PDF
  • KORMARC 보기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2294304 복사 즐겨찾기로 추가


질적 연구와 질적 교육 (교육인류학연구, 2004)

조용환 (서울대학교 교수)






I. 연구와 교육


무엇을 잃어버렸거나 잊어버렸을 때 우리는 찾는다. 무엇에 대해서 모르겠고 궁금할 때도 답을 찾는다. 찾는 그 무엇이 소중한 것일수록 더 열심히 끝까지 찾고, 하찮은 것일수록 대 충 찾다가 만다.


모든 찾기에는 그 이면에 상심(傷心)과 호기심(好奇心)이 있다.1) 상심이 상실, 결핍, 부족에서 오는 가슴앓이라면, 호기심은 기이한 것에 대한 유별난 궁금증이다. 그 점에서 모든 찾기는 연구와 교육을 닮았다. 뒤집어 말하면, 연구와 교육이 곧 찾기이다.


연구는  모르는  것을  묻고  그  답을  찾는  일이다.  ‘연구’의  영어말이  ‘re-search’인  데서  알수  있듯이,  찾되  대충  찾는  것은  연구가  아니다.  찾고  또  찾고,  되찾고,  까뒤집어  찾고,  밤 잠을 설쳐가며 찾는 것이 연구다.2)


교육도 그와 비슷하다. 교육은 가르침과 배움을 통해서 몰랐던 것을 알게 되(하)고, 새로운 것을 할 수 있게 되(하)고, 더 나은 성품을 갖게 되(하)는 변증법적 향상의 과정이다. 교육 은 무지, 무능, 모순, 부족에 대한 반성에서 출발한다. 다 알고 있고, 다 할 수 있고, 헷갈 리지 않고, 만족한 상태에 교육은 없다. 찾을 것이 없는 곳에 교육은 없다. 연구와 마찬가 지로 교육도 부단히 자기를 찾고, 세상의 이치를 찾고, 더 잘 사는 길을 찾는 일이다.


흔히  연구를  앎,  이론,  학문의  영역으로,  교육을  삶,  실제,  실천의  영역으로  구분한다.  그래서  연구소의  연구원은  교육과  멀고,  일선  학교  교사는  연구에서  멀다고  오해한다.  연구중심대학과  교육중심대학을  구분하고,  연구에  신경  쓰느라  교육을  소홀히  하는  교수,  교육에  치중하여  연구할  겨를이  없다고  말하는  교수도  흔히  볼  수  있다.  저명/국제  학술지에  연구 성과를  많이  수록하는  ‘학자  교수’에게  성과급을  몰아주어  왠지  교육보다  연구가  더  중요한것처럼  인식하게  만드는  풍조가  오늘날  우리  대학을  지배하고  있다. 


내가 보기에는, 이러한 오해들 이면에 잘못된 연구관과 교육관이 있다.


세상과 담을 쌓고 고고하 게 때로는 독선적으로 발명에 몰두하는 연금술사의 이미지로 연구자가 그려지기도 한다.


연구를 과학주의, 현학주의, 자본주의 입장에서 편향되게 규정한 결과 나타난 부수적 현상 들일 뿐이다. 이러한 오도된 연구관에서 볼 때 연구는 교육과 아무 관련이 없다. 연구 결과 의 성패와 효용성에 관심이 쏠려서, 연구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지적 인격적 성장과 사회 전체의 연구(학습)하는 분위기는 큰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한다.


교육관에도 문제가 있다. 우리 사회에서 교육은 아는 사람이 모르는 사람을 가르치는 일방 적인 일로 널리 인식되고 있다. 알고 보면 ‘아는 사람’이 ‘모르는 사람’이요, ‘모르는 사람’ 도 ‘아는 사람’인데 그 진실은 간과되고 있다.3) 교사와 학생이 함께 찾고 알아가는 일(敎學 相長)이 교육인데, 교사는 오로지 가르치고 학생은 오로지 배우기만 하는 구분된 일로 교 육이 오해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교육의 ‘다움’보다 ‘쓰임’, 의미보다 기능을 중시하여 효 율, 성공, 경쟁력을 최우선 과제로 삼는 것이 우리 사회와 그 구성원들을 지배하고 있는 교 육적 관행이요 태도이다. 이러한 오도된 교육관에서 볼 때 교육은 연구와 아무 관련이 없 다. 남이(학자들이) 이미 연구해 놓은 것을 잘 전달하고 수용하면 그만이라고 은연중에 생 각하기 때문이다.


연구와 교육은 개념상 혹은 활동상 구분할 필요가 있는 별개의 일이다. 하지만, 그 둘의 내 막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서로가 밀접하게 맞물려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육적 관심이 연구 를 요청하고, 연구를 통할 때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예컨대, 누 군가가 창의력을 기르는 교육을 하고 싶다면 먼저 창의력이 무엇이며 어떻게 길러지는지부 터 알아야 한다. 창의성이 문제가 되고 있는 사태의 실상-원인-대책을 충분히 연구하면서 교육적 방편을 모색해야 한다. 새로 산 자전거를 설명서에 따라 조립하듯이, (만약 그런 것 이 있다고 할 때)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수 지침서’를 좇아 가르치기만 하면 학습자의 창 의력이 길러질 것이라 생각한다면 큰 오산이다. 가르치는 사람 자신이 창의성의 본질과 창 의적 방법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관찰하고 실험할 때 비로소 학습자의 창의력을 온전히 기 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교사가 지식의 맹목적인 소비자가 아닌 생산자 혹은 연구자의 모 습을 보일 때 창의력 교육은 성공할 가능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연구도 마찬가지다. 연구 성과를 공유하기 위해서 혹은 잘 가르치기 위해서 고민하는 가운 데 연구자는 흔히 자신의 무지와 부족을 깨닫는다. 타인에게 혹은 책을 통해 배우는 과정 에서 새로운 사실과 문제를 발견하고 자신의 연구에 박차를 가하게 되는 경우도 비일비재 하다. 이 경우에 우리는 “가르치면서 배운다.”라거나 “교육이 연구를 유발, 촉진, 보완한 다.”고 말할 수 있다.


요컨대, 찾기라는 점에서 연구와 교육은 상호보완적이고 상호작용적인 시소(see-saw)의 양측과 같은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생 작용, 상승 효과는 연구와 교육 모두 ‘질적 접근으로’ 새롭게 이해되고 행해질 때나 가능한 것이다.


II. 질적 연구


오히려 동양적 전통이 더 오래고, 그것이 서양으로 건너갔다가 도로 동양에 돌아온 것이 아닌가 하는 게 최근의 내 생각이다. 왜냐하면 기원전에 정리된 <論語>에 이미 ‘문질빈빈 (文質彬彬)’이라는 말이 등장하고,4) 그와 관련된 본질, 성질, 본성이라는 말들이 동양에서 오래 전부터 쓰여 왔기 때문이다. ‘문질빈빈’에서 ‘문’은 무늬요 ‘질’은 바탕이며 ‘빈빈’은 어우러짐을 말한다. 그래서 그 뜻은 거죽 꾸밈과 본 바탕의 어울림이며, 글에서는 표현과 내용의 조화를, 사람에게는 말과 그 인품의 일치를 뜻하는 데 쓰이기도 한다. 인류학의 관점에서 볼 때 ‘문’은 문화와 크게 다 르지 않고 ‘질’은 문화의 바탕인 자연과 크게 다르지 않다. 문화는 자연을 길들인 것이고, 자연에서 얻어낸 무늬이다.


4) 논어 옹야(雍也)편에서 공자는 “質勝文則野 文勝質則史 文質彬彬 然後君子”(질이 문을 압도하면 거칠 고, 문이 질을 압도하면 곧기만 하다. 문과 질의 어우러짐이 군자의 길이다.)라고 말하였다.


질은 비교하기 이전의 상태, 또는 측정하기 이전의 상태이다. 바꾸어 말하면, 질은 개별적 사물의 고유한 속성이며, 그것을 그것답게 만드는 내재적 속성이다. 그와 달리, 양은 비교와 측정을 통해 인 식되는 관계적 속성이며,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이차적으로 부가된 속성이다. 그리고 수는 양을 보다 체계적이고 표준적으로 비교·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도구이다.(조용환, 1999: 15)



간단히 말해서 질적 연구는 추상 화, 개념화, 언어화, 이론화되기 이전 상태와 그 이후 상태를 동시에 고려하면서 사람, 사 물, 현상의 성질을 통찰하는 데서 출발한다. 문과 질, 문화와 자연 사이에 있었던 과정들을 파헤쳐 ‘해체’와 ‘(재)구성’의 역사를 읽어내고자 한다.6)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사람, 사물, 현상을 ‘있는 그대로(Ding an sich, as it is)’ 직관하여야 하며, 그것이 가능하기 위 해서는 ‘마음을 비우고’ 최대한 ‘낯선 눈으로’ 세상에 다가가야 한다. 객관주의적 설명, 선 행 연구, 권위자의 이론에 지레 현혹되지 않고, 판단을 절제한 채 현장에 가서 직접 체험하 고, 현지인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면서 겸허하게 세상을 새롭게 배워나가는 자세가 필요 하다. 질적 연구자는 연구의 체계와 분석틀을 미리 확정해 가지고 현장에 가지 않는다. 연 구 목적과 문제는 있지만 구체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는 현장에 가서 참여관 찰하고 심층면담하면서 (재)구성하고 조정해 나간다. 현장 사람이 자신의 연구 도구에 맞추 어 반응하기를 요구하지 않고, 그들의 일상 생활세계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반응들을 보물찾기 하듯이 하나하나 발견하여 수집한다.


이와 같은 질적 연구의 성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보조적인 모형을 고안하여 그려본 것이 아래 <그림 1>이다. 여기서 ‘학문’은 관련 분야의 기존 연구 전통과 성과를 집약한 것이며, 연구자가 소속하고 참조하는 하나의 특수한 현실세계이다. 그리고 ‘참여자’는 집단 특유의 방식으로, 즉 그들의 문화에 입각하여 세상을 해석하고 체험하면서 연구자를 도와 연구를 가능하게 해 주는 ‘현장 사람들’이다.7)


7) 전통적으로 연구하는 사람을 ‘연구자’ ‘조사자’ ‘관찰자’ ‘면담자’ ‘필자’ 등으로 불러 왔다. 그러나 질 적 연구에서는 ‘연구자’ 대신에 ‘현지연구자’라는 표현을 쓰기도 하고, 연구자 자신의 참여성과 주체성 과 책임성을 강조하여 아예 ‘나’로 표현하기도 한다. 그리고 전통적인 연구에서 ‘응답자’ ‘피험자’ ‘면 담대상’ ‘관찰대상’ 등으로 표현하던 ‘연구대상’을 질적 연구에서는 ‘참여자’ ‘제보자’ ‘현지인’ ‘행위자’ ‘안내자’ ‘연구파트너’ 등으로 표현하는 것을 더 선호한다. 그 이유는 연구자의 경우와 마찬가지다. 이 글에서는 그 각각을 ‘연구자’와 ‘참여자’로 표현하고 있다.





이 맥락 속에서 연구자가 하는 일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1] 세상을 체험하고 연구한다. 

[1-2] 학문을 접하고 비판하며, 자신의 연구를 제시하여 평가받는다. 

[1-3] 참여자를 이해하고 연구하며, 자신의 연구를 그들과 공유한다. 

[1-4] 다른 연구자들이 세상을 연구하고 학문으로 구성하는 과정을 관찰하고 비판한다. 

[1-5] 참여자가 학문세계를 접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관찰하고 참조한다. 

[1-6] 참여자가 세상을 체험하고 해석하는 과정을 관찰하고 참조한다.


연구 의 대상이면서 연구를 도와주는 참여자는 무슨 일을 어떻게 하는지 살펴보자.


[2-1] 세상을 체험하고 해석한다. 

[2-2] 학문을 접하고 이해, 비판, 활용한다. 

[2-3] 연구자를 이해하고 그의 연구에 참여하며 그 성과를 공유, 활용한다. 

[2-4] 세상이 연구되어 학문으로 구성되는 양상을 관찰하고 비판한다. 

[2-5] 연구자가 학문세계에 접하고 참여하는 양상을 관찰하고 참조한다. 

[2-6] 연구자가 세상을 체험하고 해석하는 양상을 관찰하고 참조한다.


연구자와 마찬가지로 참여자도 결코 한가롭거나 수동적이지 않다.


관찰하고 비판하고 참조하고 학습하고 활용한다. 그래서 질적 연구에서는 참여자를 연 구에 반응하는 맹목적인 객체가 아니라 연구자와 대등한 적극적인 주체로 본다.


첫째로, 연구자와 참여자는 동일하지 않은 위상 혹은 입장에서 세상을 접하고 체험한다. 이 말은 한국인 교육인류학자가 체로키(Cherokee) 인디언 사회를 연구하는 경우에 지극히 당 연하게 들린다. 그러나 한국인 교육인류학자가 한국 유치원을 연구하는 경우에는 이 말이 충분히 수긍 또는 이해되지 않을 수 있다. 설혹 그 말뜻은 이해한다손 치더라도 실제 연구 장면에서 이 말의 방법론적 함의를 충분히 고려하면서 연구에 임하는 연구자는 그리 흔치 않아 보인다. 왜냐하면 한국인 연구자가 익숙한 한국 사회를 연구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조금만 더 깊이 따져보면, 같은 한국인이라 하더라도 성인 연구자가 유치원 어린이의 언어 와 개념, 그들 특유의 문화적 방식을 고려하고 배려하면서 연구하기가 어디 쉬운가? 질적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자와 참여자 사이의 현상학적 실존, 해석학적 지평 차이를 중시 한다. 그리고 실존과 지평을 달리 하는 사람들이 함께 어우러져 살면서 서로서로 거울이 되어 주고 교학상장(敎學相長)하며 사는 세상이 질적 연구가 지향하는 세상이다. 연구를 통 해서 연구자와 참여자 모두 실존적, 교육적 성장을 체험하는 상생의 장을 지향하는 데 질 적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질적 접근에서 연구는 단순한 업적, 상품, 경쟁력 이상의 것이어야 한다.8) 그 점에서 질적 연구는 교육과 닮았고 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둘째로, 연구자는 세상을 직접 대면하고 자기 나름의 독특한 방식으로 세상을 체험하기도 하지만, 자신이 속한 학문분야나 학파 또는 스승의 학풍 등, 위 <그림 1>에서 축약하여 ‘학문’이라 칭한 ‘학문적 현실’ 속에서 세상을 간접적으로 대면하고 체험하기도 한다. 이를 조금 더 연장해서 말한다면, 연구자의 눈은 자신의 개성과 학문적 관점, 그리고 더 큰 문화 의 눈 등으로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다. 질적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이러한 ‘복합적인 눈’을 주목한다. 특히 연구 성과를 일차적으로 평가하고 활용하는 연구자의 학문세계가 그의 연 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에, 연구의 의미와 한계를 따질 때 반드시 그 배경 학문과 패러 다임적 특성을 고려한다. 요컨대, 연구자의 눈은 결코 가치나 정치에 중립적인 눈이 아니며 세상을 복제하는 카메라의 렌즈도 아니다. 연구자의 눈은 피가 흐르는 살아 움직이는 눈이 다. 이와 달리, 기존의 양적 연구 전통은 연구자를 지나치게 냉철한 객관적 관찰자로 인식 하고 요구해 왔다. ‘연구자 효과(researcher effect)’를 배제하고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연구자의 감정과 욕망 따위는 감추고 없애야 할 것으로 금기시해 왔다. 하지만, 실제 연구 실과 연구현장 안으로 들어가서 보자. 말 없는 대상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자들조차도 정말 그렇게 연구에 임하고 그렇게 결과를 생산하고 있는가? 이제 우리는 연구자를 보는 눈을 달리 해야 한다.


셋째로, 연구자와 그의 학문세계는 참여자, ‘현장 사람들’, 혹은 일반 대중에게 세상을 이해 하고 살아가는 특정한 방식을 제시한다. 바꾸어 말하면 연구자는 삶에 대한 해석과 실천의 매개체(mediator) 역할을 한다. 예컨대, 등 푸른 생선이 지능 발달에 유익하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면 연이어 어물시장이 술렁이고 자녀들 입에 고등어 반찬을 우겨 넣는 “교육적 인” 부모들이 늘어난다.


연구자 스 스로 ‘전문가’를 자칭하기도 한다. 이 전문가들은 언론이 부추기고 정부가 이용하는 가운데 괜스레 들떠서 제대로 하지도 않은 연구조차 그럴듯하게 포장하여 시장에 내어놓기 급급하 다. 질적 연구는 이런 오류와 오만을 경계한다. 달리 말하면, 질적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몸 가짐과 마음가짐을 중시한다. 작고 적지만 깊이 연구하고, 애써 일반화를 과장하지 않는다. 객관적이지도 않은(객관적일 수 없는) 것을 객관적이라고 우기지 않는다. 어찌해서 그런 연 구 결과가 나오게 되었는지 그 과정을 세세하게 언급함으로써 동료나 독자들이 자기 연구 의 가치와 오류를 두루 발견할 수 있게 해 준다. 오류가 사기보다는 낫기 때문이고, 오류는 다음 연구자에게 개선의 기회를 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질적 연구는 과오나 실 패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진실하지 못함, 성실하지 못함을 두려워할 뿐이다. 그 점은 질적 교육도 마찬가지다.


III. 질적 교육


고심 끝에 내가 내린 결론은 이렇다. ‘교육의 질’을 높이자면 ‘질적 교육’을 해야 한다. 여 기서 말하는 질적 접근은 질적 연구의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다. 앞에서 말했듯이, 질은 성 질이요 본질이다. 따라서 질적 교육은 ‘본질적 교육’이요 ‘교육다운 교육’이다.


질적 접근에서 볼 때 창의성은 일종의 ‘문(文)’이다. 말하자면, 그 추상적이고 인위 적이고 자의적인 개념이 나온 바탕으로서 ‘질(質)’이 따로 있다는 말이다. 우리가 다 알 수 없는 인간의 복잡다단한 심성과 능력 중에서, 그 본질적 맥락(context: 질, 바탕) 속에서 창의성이라고 하는 한 가지 특성이 일종의 텍스트(text: 문, 무늬)로 구성되어 나온 것이다. 이 말들이 함의하는 바는 창의성을 알고 싶으면 창의성을 몰라야 한다는 것이다. 더 철저 히 알고 싶으면 더 철저히 몰라야 한다. 아니면 적어도 모르는 척이라도 해야 한다.


질적 연구가 그렇 듯이, 창의성 교육을 질적으로 접근하자면 시간과 인내심과 사랑이 요구된다. 그리고 창의 성이 본래 무엇일까를 부단히 묻고 답하는 현상학적 환원의 자세가 필요하며, 학습자의 생 활세계 속에 깊이 파고들어 함께 체험하고 공감하는 참여관찰의 자세가 필요하다. 무엇이 창의적인지 제대로 알아야 창의적인 행동, 창의적인 인간을 기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 람들은 그냥 남이 시키는 대로 창의성 교육에 임한다. 피리를 잘 불기 위해서 피리 그 자 체를 불고 또 불어야 하듯이, 창의성 그 자체를 찾고 또 찾아가는 것이 창의성 교육의 지 름길이다. 아니 다른 길은 없다. 바로 이 점에서 질적 연구와 질적 교육은 맞닿아 있다.


 위<그림  2>에서  ‘지식’은  세상의  이치를  설명하는  체제다.  학교교육  맥락에서  지식은  인류문화유산의  정수(精髓)라  일컬어지며  국가와  교육전문가의  손길을  거쳐  교과와  교과서로집약된  것이다.  학교  밖  교육  상황에서도  지식은  권위  있는  기구  혹은  집단의  동의(consensus)에  의거하여  창출되고  결정화(crystallization)되어  일정한  지배력을  획득한  것이다.  요컨대,  여기서  말하는  ‘지식’은  교사와  학생이  속한  교육계가,  또는  교사와  학생이 속한  집단의  문화가  세상의  이치를  집약하고  결정화한  어느  정도  실체성을  가진  체제라고 보면  될  것이다. 




교수자는 교육의 주체인 동시에 객체이기도 하고 매 개체이기도 하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교수자가 하는 일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3-1] 세상을 체험하고 해석, 학습한다. 

[3-2] 지식을 접하고 학습, 비판, 활용한다. 

[3-3] 학습자를 이해하고 그와의 교육적 관계 속에서 교수한다. 

[3-4] 세상의 이치가 지식으로 구성되는 양상을 관찰하고 비판한다.

[3-5] 학습자가 지식에 접하는 양상을 관찰하고 참조한다. 

[3-6] 학습자가 세상을 체험하는 양상을 관찰하고 참조한다.


그와 함 께 교육에 참여하는 학습자는 무슨 일을 하는지 살펴보자.


[4-1] 세상을 체험하고 해석, 학습한다. 

[4-2] 지식을 접하고 학습, 비판, 활용한다. 

[4-3] 교수자를 이해하고 그와의 교육적 관계 속에서 학습한다. 

[4-4] 세상의 이치가 지식으로 구성되는 양상을 관찰하고 비판한다. 

[4-5] 교수자가 지식에 접하는 양상을 관찰하고 참조한다. 

[4-6] 교수자가 세상을 체험하는 양상을 관찰하고 참조한다.


표현이 부적절할 수도 있고 그것 아닌 다른 일도 많이 있을 수 있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애써 열거한 까닭은 질적 교육이 학습자의 능동성, 적극성, 주체성 을 중시한다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해서이다. 극단적으로 말해서, 학습과 학습자를 경시하는 교수중심주의, 교수자중심주의는 질적 교육의 주적(主敵)이다.


질적 교육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 유익한 몇 가지 시사점을 위 모형과 분석에서 도출해 보기로 하자.


첫째로, 교수자와 학습자는 서로 다른 지평에서 세상을 접하고 있다. 접하는 세상도 다르겠 지만 접하는 방식 또한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단순한 사실을 곰곰이 따져보면 그 속 에 엄청난 인식론적, 존재론적, 방법론적 쟁점들이 함축되어 있다. 한 예로, 교수자와 학습 자 사이에는 세상에 대한 인식 혹은 안목의 격차가 있으며, 그 격차 때문에 그 격차를 메 우기 위해서 교육이 행해진다. 이 격차는 양적인 것일 수도 질적인 것일 수도 있다. 그 무 엇이든 간에 이 격차가 교육의 발목을 잡는 경우가 허다하다. 나를 비롯한 많은 교수와 교 사들이 학습자와의 격차를 존중하고 이해하기보다는 답답해하고 조급해하며, 격차가 잘 해 소되지 않는 까닭을 교수자 자신이 아닌 학습자 또는 환경에서 찾기에 급급한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질적 교육의 관점에서 본 현실 교육의 최대 난점은 자신은 공부하지도 연구하 지도 않는 교수자들이 학습자만 공부시키고 연구시키는(그럴 수 있다고 믿는) 세태이다. 학 습자에게 학습자의 과제, 방식, 수준이 있듯이, 교수자에게도 교수자의 과제, 방식, 수준이 있다. 교육을 잘 하자면 교수자와 학습자가 먼저 자기 자신들을 알아야 하고, 그와 함께 상 대방을 알아야 한다. 질적 교육은 지극히 단순한 이 ‘교육적 사실(a typical educational fact)’을 주목한다. 무릇 이(異)질(質)적인 것들이 만나면 오해와 갈등이 생기기 마련이다. 하지만 요(凹)와 철(凸)이 그렇듯이 이질적이어야만 상호보완이 가능하다. 동질적인 것들 사이에는 동호(同好) 이면에 필시 경쟁이 있는 법이다. 교육을 통한 사회와 문화의 통합은 획일적 동화가 아니라 상생적 화이부동(和而不同)을 지향하는 것이다. 교사와 학생 사이의 격차가 클수록 교사의 필요성이 더 커지고, 교사와 학생이 서로 다를수록 함께 어울리는 재미가 더 있다고 볼 수도 있다. 따라서 교사들에게는 잘난 제자와 못난 제자, 평범한 제자 와 특이한 제자를 고르게 사랑하는 지혜와 기술이 요구된다.


둘째로, 세상-지식-교수/학습을 연결하는 맥락에서 볼 때 교육적 상황은 크게 세 가지가 있을 수 있다.

  • 먼저 교수자와 학습자가 함께 세상을 직접 체험하면서 교육에 임하는 경우 다. 부모와 자식이 논밭에 나가서 함께 농사를 지으면서 농사를 가르치고 배우는 경우가 그 예다.

  • 다음으로 교수자가 결정화된 지식을 학습자에게 전달하고 학습자가 그것을 수용 하기 바라는 경우를 들 수 있다.9) 교사가 학생들에게 교과서를 설명해 주고 그 숙지 여부 를 평가하는 일반적인 학교교육이 그 예다. 이 때 교사는 지식에서 소외되어 주체가 아닌 통로로 전락할 위험성이 있다.

  • 끝으로, 교수자가 학습자를 지식 세계로 초대하여 지식이 구 성되고 생산되는 과정을 관찰하고 비판하게 안내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교수가 제자를 실험실, 조사현장, 학회 등에 데리고 다니면서 세상과 지식의 접점을 직접 체험하게 하는 경우가 그 예다. 이 때 제자는 지식의 사회문화적 구성-해체 과정뿐만 아니라, 자기 스승 이 세상을 체험하는 양상과 지식에 접근하는 방식도 동시에 관찰하고 참조할 수 있게 된 다.

대부분의 교육은 이 세 가지 상황이 혼합되거나 그 중 한두 가지가 우세한 가운데 진 행된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사실은 세상-지식-교육에 이르는 경로가 길어지고 우 회할수록, 그리고 교수자가 지식에서 소외될수록 학습자 역시 교육소외를 경험할 가능성이 커진다는 사실이다. 교육소외는 주체적 참여 없이 명목상의 교육에 연루되어 실질적인 교 육효과를 얻지 못하는 불행한 사태다.10) 질적 교육은 교육소외를 없애거나 줄이고자 노력 하는 교육이다. 교육소외를 줄이는 한 가지 방법은 진지하고 개방적인 찾기(re-search), 즉 연구와 교육을 결합하는 것이다.


셋째로, 학습자가 세상과 지식과 교수자 사이에서 고통 받는 문제를 생각해 보자. 학습자는 교육적 상황 혹은 관계에서 약자의 위치에 처하기가 쉽다. 모르고 틀리고 실수하고 실패해 서 걸핏하면 야단맞고 구박받기 일쑤다. 그리하여 “내가 안 배우고 말지” “이런 걸 배워서 뭐하나” “이 시험 끝나면..., 학교만 졸업하면...” 운운 하면서 ‘교육에 대한 적의’를 드러낸 다. 이 비교육적인 적의는 약자라는 처지에서 오기도 하지만, 세상과 지식이 달라서 생기기 도 하고, 세상과 교수자가 달라서 생기기도 하고, 지식과 교수자가 달라서 생기기도 한다. 엄밀하게 말하면, 다르다기보다 뭔가 잘 맞지 않는 불일치, 부정합, 부조화, 부조리, 모순, 갈등 등이다.


  • 세상-지식 사이의 문제는 단적으로 지식이 마음에 안 드는 문제다. 학습자가 보기에 세상 의 이치가 그렇지 않은데 이상한 지식이 권위를 등에 업고 자신을 검열하고 구속할 때 이 문제가 생긴다.

  • 세상-교수자 사이의 문제 역시 교수자가 마음에 안 드는 문제다. 학습자가 체험한 세상의 이치는 그게 아닌데 교수자가 자신의 체험이 옳다며 우기거나 기성 지식의 권위를 내세워 학습자를 맹목적으로 굴복시키는 경우에 이 문제가 생긴다.

  • 끝으로 지식-교수자 사이의 문제는 마음에 안 드는 문제가 아니라 헷갈리는 문제다. 이 경 우는 세 가지 다른 상황이 있을 수 있다. 첫째는 학습자 자신이 접한 지식과 교수자가 제 공하는 지식이 상충하는 상황이다. 둘째는 교수자가 지식(또는 교육계)의 오류를 비판하면 서도 학습자에게 납득할 만한 근거와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셋째는 괜찮다 싶 은 자신의 교수자를 교육계가 몰아세우며 우매시하는 상황이다.


IV. 나오며


주요한 논의를 간추려 본다면, 질적 연 구와 질적 교육은 공히

(1) 연구자-참여자, 교수자-학습자의 현상학적 실존과 해석학적 지 평을 중시하며,

(2) 연구자와 교수자의 매개(mediation) 역할을 주목하고,

(3) 지식의 사회 문화적 구성-해체 과정에 관심을 가지며,

(4) 연구-참여, 교수-학습 사이의 불일치, 부정 합, 부조화, 부조리, 모순, 갈등에 민감하게 대처하여 소외를 최소화하는 데 최선을 다한다 는 것이었다. 그리고 질적 연구와 질적 교육의 상호보완적 결합은 진지하고 개방적인 ‘찾기 (re-search)’를 통해서 형성되고 발전된다는 것이었다.




질적 연구와 질적 교육

Qual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Education

조용환(Jo, Yong-Hwan) 저

간행물명 : 교육인류학연구
권/호 : 교육인류학연구 제7권 제2호 / 2004 / 1~16 (16pages)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간행물유형 : 학술저널
주제분류 : 교육학
파일형식 : PDF

초록

한국어초록
연구와 교육은 개념상 혹은 활동상 구분할 필요가 있는 별개의 일이다. 하지만, 그 둘의 본질을 직관하면 서로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호보완적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말하자면, 교육적 관심이 연구를 요청하고 연구를 통할 때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연구를 통해 교육이 향상되고 교육을 통해 연구가 향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생 및 상승 관계는 연구와 교육 모두가 '질적 접근으로' 새롭게 이해되고 행해질 때 비로소 가능한 것이다. 이 논문은 질적 연구와 질적 교육의 성격을 분석하여 양자의 이론적 타당성을 높이는 동시에 실천적 전략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와 함께 양자가 어떤 공통분모 속에서 상호보완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지 검토하고 있다. 요점을 간추리자면, 질적 연구와 질적 교육은 공히 (1) 연구자-참여자, 교수자-학습자의 현상학적 실존과 해석학적 지평을 중시하며, (2) 연구자와 교수자의 매개(mediation) 역할을 주목하고, (3) 지식의 사회문화적 구성-해체 과정에 관심을 가지며, (4) 연구-참여, 교수-학습 사이의 불일치, 부정합, 부조화, 부조리, 모순, 갈등에 민감하게 대처하여 소외를 최소화하는 데 최선을 다한다. 그리고 질적 연구와 질적 교육의 상호보완적 결합은 진지하고 개방적인 '찾기(re-search)'를 통해서 형성되고 발전된다.
영어 초록
Research and education are different conceptions and activities. Carefully analyzing each of them, however, we can find similiarity and relationship between them. Educational problem is an object to be researched, while research is a way of educating. The quality of education is improved through research practices. Also, the quality of research can be improved through the process of education. These mutual relations are typically identified in the qualitative approaches of education and research. By carefully analyzing the nature of qual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education, we try to refine the theoretical validity and practical strategies of them. Findings are as follows: (1) qual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education emphasize the participant's phenomenological existence and hermeneutic fusion of horizons; (2) they stress the mediator role of the teacher-researcher in mediating the knowledge of the world to the learner-subject; (3) they emphasize the process of construction,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text knowledge in sociocultural contexts; (4) they need to remove alienated situations where the participants are confronted with miscommunications, disharmonies, and conflicts. From these results, reciprocal interchange between qual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education can be developed through the 're-search'(search, search and search) itself.


질적 기술, 분석, 해석 (교육인류학연구, 1999)

조 용 환 (서울대학교 교수)



I. 들어가며


이 글에서 다루게 될 ‘기술(記述, description)’, ‘분석(分析, analysis)’, ‘해석(解繹, interpretation)’이라는 세 용어도 그 점에서 마찬가지다.


질적 연구의 맥락에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다”고 말할 때 ‘분석’은 ‘수집’과 대비를 이루며, 이 ‘분석’ 속에는 지금 우리가 논의하는 ‘기술’, ‘분석’, ‘해석’이 다 포함되어 있다. 국 내외를 막론하고 대다수 연구자들이 이러한 포괄적 용볍을 흔히 취하고 있으며(신혜숙, 1987; 유혜령, 1997; 이종각, 1997; 이용숙, 1998; 박보경, 1998; Lofland, 1971; Bogdan & Biklen, 1982; Lofland & Lofland, 1984; Ely, 1991),


양적 연구에서는 ‘기술’과 ‘해석’이라는 용어를 잘 사용하지 않으며, 질적 연구자들이 자 료 수집 이후의 과정을 ‘분석’으로 통칭하는 관행도 다분히 양적 연구의 전통을 따른 것으 로 보인다. 질적 연구가 대안적인 연구 방볍으로 부상하면서 질적 연구자들은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의 차이점을 부각하는 일에 신경을 썼으며,1) 질적 연구 안에서 기술, 분석, 해석 을 구분하는 데에는 그다지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기술, 분석, 해석 삼자를 구분하기 전에, 자료 수집 이후부터 글쓰기 이전까지의 과정을 ‘분석’으로 통칭하는 관행에 대해서 조금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하자.2) 후버만과 마일스 (Huberman & Miles, 1994: 428 9)는 질적 연구에서의 분석을 자료를 요약하고, 코딩하고,3)주제를 찾고, 덩어리로 ”는 작업으로 보았으며, 그 과제를 좀더 쪼개면 다음과 같다고 하 였다.



3) ‘coding’의 번역을 신옥순(1991: Bogdan & Biklen, 1982), 허미화(1994: Merriam, 1988), 한경구·김성례 (1996: Crane & Angrosino, 1992), 신경림(1997: Morse & Field, 1995) 등은 ‘부호화’로, 김영천(1998)과 이용숙(1998)은 ‘약호화’로 하고 있으나 그 어느 것도 적절해 보이지 않아서 이 논문에서는 잠정적으로 그냥 ‘코딩’이라 칭하기로 한다. HRAF(Human Relations Area Files: Moore, 1970)는 지구상에 존재하였 거나 존재하는 모든 민족들의 문화를 서로 비교할 수 있도록 체계화한 코딩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LeBar, 1970).



  1. 자료에서 발견되는 패턴과 주제 찾아 적기 
  2. 그것들이 그럴듯한지 살펴보기 
  3. 자료를 개념 범주에 따라서 묶기 
  4. 적절한 비유를 찾아서 표현하기 
  5. 빈도 헤아리기 
  6. 대조하고 비교하기 
  7. 요인화 하기(factoring) 
  8. 변수 셜정하기 
  9. 매개변수 찾기 
  10. 변수들 간의 관계를 찾아 적기 
  11. 부분을 전체 속에 놓고 보기 
  12. 증거들 간의 논리적 관계 셜정하기 
  13. 개념적, 이론적 일관성 확보하기


이렇게 늘어놓은 과제를 다시 요약하면, “자료 정리(data reduction)”, “근거자료 제시 (data display)”, “결론 도출/검증(conclusion drawing/verification)”의 세 과정이 된다. 그들 이 말하는 “자료 정리”는 자료를 선택하고 압축하는 작업이며, “근거자료 제시”는 결론을 뒷받침하는 형태로 자료를 제시하는 일이다. 큰거자료를 제시하는 방식에는 서술적 묘사, 일람표, 네트원, 다이아그램, 도표 등이 있다고 하였다. “결론 도출”은 일반적인 ‘해석’의 영 역에 속한다고 볼 수 있으며, 비교, 대조, 패턴, 주제, 비유 등을 발견하고 구성하는 일이다. 끝으로 “결론 검증”은 삼각검증(triangulation), 반대사례 찾기, 결론의 타당성을 현장에서 확 인하기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우리가 알 수 있는 사실은 후버만과 마일스가 질적 분석을 양적 분석 못지 않게 체계화, 과학화, 객관화하려고 하였다는 점이다. 후버만과 마일스 류의 질적 연구자들이 흔 히 ‘질적 분석’의 문제와 난점으로 지적했던 사항은 다음 세 가지이다.

  • 첫째로, 질적 연구자 들이 자료의 ‘수집’ 방볍에 대해서 장황하게 논의해 왔던 데 비해서 수집한 자료의 ‘분석’ 방 볍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 둘째로, 질적 분석이 연구자 개개인 의 경험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으며, 따라서 방볍상의 체계와 표준을 결여하고 있다는 지 적이다.
  • 셋째로, 그 결과 질적 연구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심각한 문제가 야기되고 있으며, 특히 초심자들이 질적 연구 방볍을 학습하는 데 큰 곤란을 겸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 지적들은 질적 연구의 실태와 다수 질적 연구자들의 동조에 의해서 타당한 것으로 인정되어 왔다. 시버(Sieber, 1976)는 1970년대 미국 학계에서 널리 활용되던 일곱 권의 질 적 연구 방볍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책 전체의 분량 중 자료의 ‘수집’이 아닌 ‘분석’이 차지 한 비율이 5 10%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보고한 적이 있다(Huberman & Miles, 1994: 428, 재인용).


질적 분석이 연구자 개개인의 경험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다는 지적은 오래 전부터 여 러 학자들에 의해서 제기되어 왔다.


질적 연구는 그 속성상 주관적 일 수밖에 없으며,5) 연구자 개인의 주관적 체험이 곧 사회성, 문화성, 역사성의 결여를 의미 하는 것은 아니다.


5) 나는 다른 글(조용환, 1998a)에서 ‘주관적’이라는 말을 ‘개인적’ 또는 ‘사적’이라는 말과 구분해서 써야 한 다고 주장한 바 있다. 나는 ‘주관적’이라는 말이 “남들이 어떻게 보든 상관 없이 나는 이렇게 본다”는 말 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자료 수집 이후의 모든 과정으로서 분석은 질적 연구의 질을 저하시킬 소지가 다분히 있는 ‘위험한 영역’이다. 이 논문에서 나는 기술, 분석, 해석을 상이한 성격의 작업으로 구분하고 그 각각을 상세히 검토하는 과정에서 위 세 가지 지적의 타당성도 함께 따져볼 것이다.



II. 기술, 분석, 해석의 구분: 월코트의 관점을 중심으로


자료 수집 이후의 전과정을 ‘분석’으로 뭉뚱그리지 않고 보다 세밀히 나눌 경우, 대체로 다음 세 가지 구분볍이 있을 수 있다. 먼저, ‘기술’, ‘분석’, ‘해석’ 삼자를 다 구분하는 방식이 다. 그 대표적인 예는 이 절에서 자세히 논의할 월코트(1994a)에게서 찾을 수 있다.


다음으로, ‘분석’을 ‘해석’에 포함시키거나 ‘해석’을 ‘분석’에 포함시켜서 ‘기술’과 구분하는 방식이 있다. 이 경우에 ‘분석’과 ‘해석’은 서로 혼용되지만 ‘기술’과는 명백히 구분된다. 이것 이 우리가 가장 흔히 접하는 구분볍이다. 한 예로, 글레스니와 페쉬킨(Glesne & Peshkin, 1992: ch.7)은 ‘분석’을 자료를 분류하고, 종합하고, 그 속에 숨은 패턴을 찾고, 셜명을 시도 하고, 가셜을 수립하고, 이론을 개발하는 작업이라고 하였다. 그들의 관점에서 ‘분석’과 ‘해 석’은 구분되지 않는다. 다만, 그들이 말하는 “초기 분석”과 월코트의 ‘분석’이 상응하며 “후 기 분석”과 월코트의 ‘해석’이 상응한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드물기는 하지만, ‘기술’과 ‘해석’을 하나의 작업으로 보고 ‘분석’과 구분하는 방식이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기어츠(Geertz, 1973, 1983)를 들 수 있다. 그는 ‘심층적 기술 (thick description)’을 ‘해석’과 동일시하고 있다. 그에게 있어서, 당시 사회과학을 지배하고 있던 구조·기능주의적 ‘분석’은 인류학적 문화 ‘해석’의 적절한 방볍이 될 수 없다.


월코트는

  • 기술이 “연구자가 본 것을 독자가 보게(see) 하는 일”이라고 한다면,

  • 분석은 “연구자가 안 것을 독자가 알게(know) 하는 일”이며,

  • 해석 은 “연구자가 이해한 방식으로 독자가 이해하게(understand) 하는 일”이라고 구분하고 있다 (p.412).

 

또한 그는 이 세 가지 작업이 서로 다른 사고를 요청한다고 본다.

  • 기술은 “사실을 관찰하고 수집하는 데 치중한” 사고를 요청하는 반면에,

  • 분석은 “장안(創案)과 상식의 적절 한 조화”를 요청하며,

  • 해석은 “자유롭게 그러나 인내심을 가지고 한 문제를 숙고하는” 자세 를 요청한다는 것이다(p.412).


그러므로 기술, 분석, 해석의 질을 평가하는 기준이 서로 다르다.

  • 우선 기술의 질은 내부 인의 세계를 얼마나 생생하게 보여주는가에 달려있다.

  • 그와 달리 분석의 질은 분석하는 내 용과 형식의 과학적 체계성과 치밀성에 달려있다.

  • 또한 해석의 질은 학문적 전통을 공유하 는 사람들 사이에서 어느 정도 ‘그럴듯함’을 인정받는가에 달려있다.

 

한 마디로 말해서,

  • 기술 이 ‘그들’의 세계를 중시할 때,

  • 분석은 ‘그것’의 세계를 중시하고,

  • 해석은 ‘우리’의 세계를 중시한다.


월코트는 기술 분석 해석이 일련의 과정 속에서 이루어지는 상호보완적인 작업이라고 보았다.6) 그 삼자를 일련의 과정으로 볼 때, 분석은 기술을 구조화하고 객관화하는 작업인 동시에 해석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월코트는 기술 분석 해석을 요리의 과정에 비유하자면,

  • 기술은 최대한 “요리하지 않은 자료(raw data)”의 상태로 현상을 제시하는 일인 반면에,

  • 분석은 현상(음식)의 가상적인 구 조를 염두에 두고 “요리된 자료(cooked data)”를 준비하는 과정이며,

  • 해석은 그 자료들을 활 용하여 하나의 완성된 음식을 만들어내는 일이라고 하였다.

기술과 분석의 단계에서는 요리 사에 따른 ‘자료’의 차이가 멀 나타나지만, 해석의 단계에 이르면 요리사에 따른 ‘음식’의 차 이가 크게 나타난다. 바꾸어 말하면, 해석의 단계에서는 연구자의 주관적 이해와 판단이 개 입될 여지가 더 크다.

 

 


물론, 질적 연구의 전 과정, 즉 기술, 분석, 해석 그 어느 작업에서도 우리는 연구자의 개입을 배제할 수 없다. 기어츠(Geertz, 1988)는 모든 현상이 결국 “내가 본 것(I witnessing)” 임을 강조하면서 연구자의 ‘자기관찰(self reflection)’을 촉구하고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월 코트도 나도 동의한다. 월코트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질적 연구자의 자기관찰이 ‘연구자가 연 구에 미치는 영향’ 뿐만 아니라 ‘연구가 연구자에게 미치는 영향’도 보는 양면적인 작업이어 야 한다고 주장하였다(p.44).


월코트는 분석을 “질적 연구의 양적, 과학적 측면”이라고 보며, 분석의 목적은 연구자의 주장이나 해석이 “옳다는 것을 보여주는 데” 있다고 생각한다(p.175). 또한 그는 분석이 “구 심적인(centripetal)” 반면에 해석은 “원심적(centrifugal)”이라고 보았으며, 자기 자신은 분석 보다 해석을 더 선호한다고 말하였다.


월코트(1994a)는 자신이 지난 30년간 수행해 온 현지연구들을 기술중심의 연구(1974a, 1983a, 1994b), 분석중심의 연구(1983b, 1987), 해석중 심의 연구(1974b, 1989, 1994c)로 나누어서 한 책에 수록하고 있다.


월코트(1994a)는 “기술이 질적 연구의 핵심”이라고 생각하는 동시에(p.55), 기술이 분석 과 해석을 위한 기초작업으로서만 의미를 갖지 않고, 그 자체가 현상에 대한 이해를 공유하 는 한 가지 중요한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그러한 논리에서 ‘기술중심의 연구’가 성립하게 되 는 것이다.


월코트는 기술이 “예술(art)”과 “과학(science)”의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그는 전 자를 “직관적 행위”로 후자를 “객관적 행위”로 파악하며, 인류학적 기술이 너무 후자에 치 우치는 것을 경계한다. 그가 기술의 “엄격성”보다 “적합성”을 강조하는 것도 같은 이유에서 이다. 기술은 사진기나 복사기로 사물을 복제하는 것과 같은 성격의 일이 아니다.7) 특히 모 든 기술에는 ‘선택’과 ‘배제’가 작용하므로, 초점을 두고 선택한 것 못지 않게 관심 밖으로 배제한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월코트는 연구자들이 “자료가 스스로 말한다(Data speak for themselves)”고 하면서 자료를 정리하지 않고 그 의미를 해석하지도 않은 채 제시하는 것을 기술이라고 보지 않는다. 또한 그는 ‘해석의 짐’을 송두리째 독자에게 지우는 것을 ‘연구자의 책임회피’로 규정한다. 기술의 차원에서도 연구자는 상당한 정도로 “가시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때 연구자가 할 일로서 월코트는 자료의 “구조화(structuring)”, “계열화(sequencing)”, “편집 (editing)” 세 가지를 들고 있다. 특히 편집의 기준으로는 “연구목적에 부합되도록”, “읽기 좋도록”이라는 두 가지를 들고 있다. 예컨대, 그가 선호하는 연구볍인 “기술적 생애사 (descriptive life history)”의 경우에 “이야기가 되도록 틀을 짜맞추는 일”이 대단히 중요하 다고 그는 말한다.


월코트는 기술이 사실을 직셜적으로 묘사하는 일에 그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은유를 위시한 여러 비유적 표현은 질적 기술에서 어느 정도 용인될 수 있는 가? 내가 보기에는, 질적 기술에서의 은유의 적합성은 독자가 현장을 ‘직접’ 또는 ‘생생하게’ 체험하는 데 어느 정도 도움을 주는가에 달려있다.


대표적인 ‘기술중심의 연구’(Wolcott, 1983a)에서 월코트는 제보자 브래드(Brad)의 말을 최대한 ‘있는 그대로’ 편집하여 제시하고 있으며, 브래드의 말 속에서 에믹(emic)한 문화주 제를 찾아 구조화하고 있다.8)



8) ‘에믹(emic)’과 ‘에틱(etic)’이라는 용어는 언어학자 파이크(Kenneth Pike, 1967)에 의해서 처음 사용되었 다. 이 두 용어는 각각 영어 낱말 ‘phonemic’과 ‘phonetic’의 끝 부분을 딴 것으로서 애당초 언어학적 자 료 분석의 두 가지 대조적인 방식을 셜명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언어학에서 말하는 ‘음운학적 (phonemic)’ 방식은 보통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범주화하는 음운 현상을 그 세계 내부에서 주목 하는 방식이며, ‘음성학적(phonetic)’ 방식은 언어학자들이 학문적인 표준과 도구에 의해서 음성 현상을 외부에서 관찰하고 범주화하는 방식이다. 파이크는 ‘에믹’과 ‘에틱’의 이 구분볍을 언어뿐만 아니라 인간 행동의 구조를 연구하는 모든 학문에 일반화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인류학은 이 구분볍을 가장 일찍 이 도입하여 가장 활발하게 응용한 학문이다.

 

인류학에서의 ‘에믹’문화기술적 연구에 임하는 인류학자 (ethnographer)가 한 문화를 현지인의 토속적 개념과 논리 속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접큰볍을 뜻한다.

그 와 달리, ‘에틱’비교문화적 연구에 관심을 가진 인류학자(ethnologist)가 학술적인 맥락에서 외부적 기 준, 용어, 도구 등을 활용하여 그 문화를 연구하는 접큰볍을 뜻한다. ‘에믹’과 ‘에틱’의 구분에 대한 보다 상세한 논의는 해리스(Marvin Harris, 1976) 참조.


기술 작업에서 월코트(1994a)가 중시한 것은 관찰과 추론의 명백한 구분이다. 그는 추론 을 관찰 자료의 의미를 해석하는 과정으로서 기술의 영역을 넘어선 것이라고 보았으며, ‘좋 은 관찰’은 추론을 최대한 배제한 것이라고 생각하였다(p.169). 또한 월코트는 연구자가 다 른 관찰자의 시각을 애써 취함으로써 보다 풍부하고 세밀한 관찰을 할 수 있다고 보았다.


분석에 대해서 월코트는 기술과 분석이 공히 자료에 충실해야 한다는 점을 일차적으로 지적한다. 기술이나 분석과 달리, 해석은 자료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다는 것이 월코트의 관점이다. 해석은 기술과 분석에 이어서 제기되는 “그래서 어쨌다는 얘기냐(So what)?”는 질문에 답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는 기술과 분석이 자료를 ‘변환하는(transform)’ 작업이라 고 한다면, 해석은 자료를 ‘능가하는(transcend)’ 작업이라고 본다. 즉, 해석은 특수사례의 경 계를 넘어서서 보다 일반적인 의미와 적용 가능성을 따지는 일이며, 자료를 보다 포적, 거시적, 주관적인 맥락에서 통찰하는 작업이다.


그러나 해석의 이러한 ‘자유’가 ‘방종’으로 치달아서는 곤란하며, 방종을 경계하는 방볍은 역시 자료에 충실하는 것이다. 월코트는 자료와 해석의 관계를 “자료는 해석을 지원하고, 해 석은 자료에 의미를 부여한다”라는 말로 표현하고 있다. 해석의 방종함을 경계하는 다른 한 가지 방볍은 연구자 자신의 세계와 시각에 대한 반성을 게을리 하지 않는 것이다.



<표>



월코트에 의하면, 분석과 해석은 “상호보완적 관계(coordinated give and take)”를 형성한다(p.258). 분석이 해석의 분방함을 경계하는 ‘과학의 파수꾼’인 데 비해, 해석은 분석틀의 타당성을 의문시함으로써 분석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그러나, 월코트는 “그럴듯한 해석을 얻기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분석의 객관성을 포기해야 한다”라는 말로써 분석과 해 석을 상호대립적 관계로 셜명하기도 한다. 또한 그는 분석과 해석이 선후 혹은 단계의 관계 를 맺는다고 보지 않고, 시이소오와 같은 순환적 관계를 맺는다고 본다. 말하자면, 분석과 해석 양자 중에 어느 것이 더 높고 낮음이 없으며, 어느 것이 더 먼저인가도 없다. 분석을 강조하면 해석이 약화되고, 해석을 강조하면 분석이 약해진다.


양자의 가장 중요한 차이는 다음 네 가지 점에 있지 않은가 싶다.


<표>



위 표에서 볼 수 있듯이, 분석은 현상을 구성하고 있는 요인이나 변수를 확인하고, 그것 들 간의 관계를 추론과 검증의 과정을 통해 확인하는 작업이다. 그에 비해, 해석은 현상의 의미를 보다 거시적인 맥락 속에서 이해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순환의 과정을 월코트는 “초점을 좁히고 넓히는 일(zoom in & out)”에 비 유하고 있다.


9) 예컨대,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은 질적 접큰과 양적 접큰 어느 것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내용분석 에 대해서는 조용환·김회목·이찬희(1990), Weber(1985) 참조.




분석이 ‘비교’에 의존한다고 하면, 해석은 ‘비유’에 의존한다고 볼 수 있다. 월코 트가 지적하듯이, 우리는 잘못된 비유가 해석을 망칠 수도 있다는 사실과, 신중하지 않은 해석이 연구 전체의 이미지를 망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유념해야 한다(pp.259 262). 같은 맥 락에서 그는 비유의 질이 “연장의 폭(the lengths of extension)”에 달려있지 않고, “통찰의 깊이(the depth of insight)”에 달려있다고 주장한다(p.262). 바꾸어 말하면, 비유는 표층적 관련이 아닌 심층적 이해를 지향해야 한다는 것이다. 해석의 목적이 “입증하는 데(to prove)” 있지 않고 “명시하는 데(to clarify)” 있다고 한 그의 말 역시 귀담아 들을 말이다.


이상의 검토에서 우리는 월코트가 기술, 분석, 해석을 다른 연구자들에 비해서 비교적 뚜렷하게 구분하고 있지만, 그 역시 삼자 사이의 관계를 애매모호하게 규정할 때가 많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나의 잠정적인 결론은 월코트와 마찬가지로 기술, 분석, 해석이 개념상 또는 방볍상 구분되어야 하지만, 실제 연구의 맥락에서는 그 세 작업이 복합적, 순환적, 상 호보완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ill. 질적 기술의 논리와 기볍


기술 작업에서 우리가 던지는 질문은 “무슨 일이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가?”이다. 일반적 으로 기술은 5W1H 또는 육하원직(六何原則) 중에서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 게’를 파악하여 서술적 이야기로 구성하는 작업을 말한다. 그렇다면, ‘왜’에 대한 대답은 기 술의 과제에서 제외되는가? 내가 보기에는, 바로 이 질문이 기술의 성격에 대한 질적 연구 자들의 입장 차이를 낳는다. ‘왜’에 대한 대답을 분석이나 해석의 과제로 미루는 사람에게는 기술이 분석과 해석의 준비단계로 간주되는 반면에, 기술에서도 ‘왜’에 대한 대답이 있기 마 련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에게는 기술이 별도의 작업이 될 수 있다.


기어츠(Geertz, 1973)나 멘진(Denzin, 1994)도 ‘표층적 기술(thin description)’과 ‘심층적 기술(thick description)’의 차이점이 여기서 발생한다고 본다. 멘진은 표층적 기술이 “의도나 맥락과 관계 없이 사실을 단순히 보고하는 것”이라고 하면, 심층적 기술은 “경험을 그 맥락, 의도, 의미와 함께 서술하는 것”이라고 하였다(p.505). 여기서 멘진은 경험을 하나의 과정으 로 보며, 그 과정 속에서 텍스트의 의미와 진실이 드러난다고 보았다. 그리고 멘진은 기어 츠의 심층적 기술을 “해석적 기술(interpretive description)”이라고 부르며, 그 점에서 ‘기술 (記述, description)’보다도 ‘각술(刻述, inscription)’이란 표현이 더 적절하다고 주장하였다.10)


여기서 우리가 유의할 점은 기술 이 사건들을 발생한 시간적 순서에 따라 늘어놓는 것이 아니라, 사건들을 의미 있는 방식으 로 서술하는 작업이라는 사실이다.


예컨대, 월코트(1974b)는 “초등학교 교장(The Elementary School Principal: Notes from a Field Study)”이라는 제목의 연구에서 교장직 응모자들에 관한 이야기를 면담 순서에 따라 나열하는 것보다는 면담이 끝난 뒤 교육장에게 추천된 서열 순서로 재구성하여 서술하 는 것이 더 의미 있는 방식의 서술이라고 지적한 적이 있다. 달리 말하면, 기술에는 구조화, 계열화, 편집의 세 작업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일찍이 로플랜드(Lofland, 1971: 128 129)는 질적 연구에서 기술과 분석의 균형을 취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역셜하였다. 분석이 지나칠 경우, 연구가 추상적인 카테고리들로 채워져서 풍부하고 구체적인 참여자의 세계가 사장(死藏)된다. 반대로 기술이 지나칠 경우에는 연구 한 문화의 구조와 패턴을 제시하지 못함으로써 이론적 셜득력을 갖지 못하게 된다. 그리하 여 로플랜드는 양자가 조화를 이룬 이상적 상태를 “분석적 기술(analytic description)”이라 고 표현하였다.


IV. 질적 분석의 논리와 기볍


여기서는 그러한 포괄적 입장을 취하지 않고 ‘좁게’ 정의한 분석을 다루기로 한다.


대부분의 방볍론 교과서에서는 질적 분석의 첫 작업을 ‘코딩(coding)’에 두고 있다. 코딩 은 연구하는 현상의 내면적 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자료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어휘, 주제, 장면 등을 조사하여 일정한 코드를 부여함으로써 자료를 체계화하는 작업을 말한다. 코딩을 분석의 한 과정으로 삼는 까닭은 자료에 코드를 부여하기 전에 연구자가 코드체계 혹은 분류체계를 마련해야 하기 때문이다(LeBar, 1970).


코드체계에는 ‘에믹한 것’과 ‘에틱한 것’ 양자가 있을 수 있다. 대개의 연구자들은 초기에는 자료 그 자체의 범주들을 에믹한 기준으로 코딩하고, 후기에는 연구자의 분석틀에 입각 한 에틱한 기준으로 코딩하는 방식을 따른다.

 

스트로스(Strauss, 1987: ch.3)는 코딩을 “개방 적 코딩(open coding)”, “중추적 코딩(axial coding)”, “선택적 코딩(selective coding)”의 세 유형으로 나누고 있다.

  • 개방적 코딩이 분석 초기에 행하는 것으로서 아무런 제한 없이 카테 고리들을 셜정, 검토해 보는 방식이라면,

  • 중추적 코딩은 카테고리 하나 하나를 중심축에 놓 고 자료들과 다른 카테고리들을 수렴시켜 검토하는 방식이다. 그와 달리,

  • 선택적 코딩은 지 금까지 검토한 모든 카테고리들을 하나의 체계 속에 정리하고 그 체계에 따라서 자료들을 일목요연하게 코딩하는 것을 말한다.


분석은 다양한 자료를 함께 다루지만, 자료에 따라서 상이한 분석 방볍이 요구되기도 한 다. 즉, 분석 방볍을 관찰자료, 면담자료, 문헌자료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도 있다.12)

  • 관찰자 료를 분석하는 방볍에는 행태 분석(ethological analysis: Gould, 1982; Eibl Eibesfeldt, 1989), 네트원 분석(network analysis: Mitchell, 1974), 연극적 분석(dramaturgical analysis: Goffman, 1959) 등이 있다.

  • 면담자료를 분석하는 방볍에는 담론 분석(discourse analysis: Cazden, 1988; Gee, Michaels, and O’Connor, 1992; Potter, 1997), 대화 분석(conversation analysis: Heritage, 1997), 사회언어학적 분석(sociolinguistic analysis: Hudson, 1980), 자전적 분석(biographical analysis: Runyan, 1982) 등이 있다.

  • 문헌자료의 분석은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 조용환·김회목·이찬희, 1990; Wiseman & Aron, 1970: ch.9; Weber, 1985)과 텍스트 분석(textual analysis: Prior, 1997; Watson, 1997)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용분석은 생산된 커뮤니케이션 자료를 계량적 기볍으로 분석 한 데서 출발하였으나, 최큰에 와서 질적 연구의 한 분석 방볍으로 그 활용 범위가 넓어졌다. 예컨대, 에스키모 민담 연구에서 “죽음”, “싸움”, “수호신” 등의 용어가 등장하는 빈도를 양 적으로 분석하는 동시에, 그 용어가 사용되는 맥락과 민담의 전체적 구조에서 갖는 그 용어 의 의미를 질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내용 분석이 커뮤니케이션의 ‘과정’이 아닌 ‘산물’을 소재로 삼는 정태적인 접큰을 취하 는 데 비해서, 텍스트 분석은 문헌을 의미의 생산과 소비 ‘과정’으로 취급하는 역동적인 접 큰을 취한다. 이 때 텍스트는 사회적 행위를 구성하고 매개하며, 사람들의 사고와 관심과 의미가 담겨있는 생생한 현실이다(Atkinson, 1990; Atkinson & Coffey, 1997). 예컨대, 열차 시간표의 내용을 분석하는 것과 시간표를 매체로 이루어지는 사회적 행위를 분석하는 것은 성격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연구자의 작업이 기술 단계를 지나서 분석과 해석으로 접어들면 ‘참여자의 관점(emic perspective)’보다 ‘연구자의 관점(etic perspective)’이 점점 더 부각된다. 내가 보 기에는 그러한 관점의 전환이 기술을 분석 또는 해석과 구분하는 가장 큰 차이점이다. 나는 분석이 한 마디로 말해서 ‘현상의 구조를 파악하는 작업’이라고 한다면, 해석은 ‘현상의 의미 를 이해하는 작업’이라고 본다.


나는 인간을 다루는 학문, 특히 질적 연구의 패러다임에서는 결정론적 인과관계가 성립할 수 없다고 본다. 그렇다면, 그 다음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것 이 확률적 인과관계이다. 확률론은 결정론보다는 온건하지만, 여전히 현상을 변수화하고 그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기계적 또는 통계적으로 셜명하고자 한다. 그러한 방식은 질적 연구 의 논리에 적합하지 않다.13)


후버만과 마일스(1994: 434 435)는 질적 연구자들이 셜정하는 인과관계를 “수사적 인과 관계(rhetorical causality)”, “국지적 인과관계(local causality)”, “역사적 인과관계(historical causality)” 등으로 표현하였다.

  • 질적 분석에서의 인과관계는 사람들의 사고와 의미체계 속 에서 가상적으로 셜정되는 “수사적 인과관계”이다.

  • 또, 질적 분석에서의 인과관계는 상황과 맥락을 고려한, 즉 어떤 조건하에서 그러한 일이 발생하는가를 묻는 “국지적 인과관계”이다.

  • 그리고, 현재 일어나고 있는 일이나 앞으로 일어날 일에 대한 예측보다도 과거에 일어난 일 을 되돌아보면서 사건의 구조를 분석해 내는 “역사적 인과관계”이다.


후버만과 마일스(1994: 435)는 질적 분석이 탐색하는 인과관계는 아래 넷 중 어느 하나 에 속한다고 보았다.


  • 관련의 강도(C에 비해서 B가 A와 더 관련성이 크다) 
  • 비례적 증감(A가 증가하면 B도 비례적으로 증가한다) 
  • 관계의 밀도(A와 B 사이의 다른 관계보다도 이 관계가 더 밀접하다) 
  • 관계의 유사(A와 B의 관계는 C와 D의 관계와 유사하다)


후버만과 마일스(1994)는 분석을 “변수중심 분석(variable oriented analysis)”과 “사례중심 분석(case oriented analysis)” 두 유형으로 나누고, 질적 연구에서는 전자보다 후자 에 더 치중한다고 하였다. ‘변수’는 사람, 사물, 현상의 속성을 인위적으로 조작화하여 측 정가능한 형태로 표현한 것이다. 그와 달리, 질적 연구에서의 ‘사례’는 일정한 맥락 속에서 등장하는 자연적인 사람, 사물, 현상 그 자체를 말한다.


후버만과 마일스(1994)는 사례중심의 분석을 사례내 분석(within case analysis)과 사 례간 분석(cross case analysis)으로 다시 나누고 있으며, 질적 연구에서는 이 두 가지를 다 활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사례간 분석에서 사례수가 늘어날수록 구체적이고 심층적인 상호비교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분석이 변수화, 추상화, 계량화될 가능성이 커 지게 된다.


이 문제는 분석의 단위(unit of analysis)를 어떻게 셜정하는가의 문제와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분석의 단위는 사회적 범주에 따라서 개인, 소집단, 조직, 국가 등이 될 수도 있고,14) 시간적 범주에 따라서 에피소드, 사건, 하루 등이 될 수도 있으며, 공간적 범주에 따라서 교실, 학교, 지역 등이 될 수도 있다. 이 때, 분석의 단위가 커지면 커질수록 연구의 구체성이 더 떨어질 우려가 있다.


14) 질적 연구의 한 유형인 집단토의연구(focus groups)는 분석의 단위를 개인이 아닌 소집단에 두고 집단 적 역동과 상호작용을 관찰하는 연구 방볍이다.


분석의 수준과 초점에 따라서 분석 형태가 달라지기도 한다. 한 예로, 결핵을 연구 문제로 삼을 때 ‘미시적 수준’에서는 결핵균의 감염경로를 분석하겠지만, ‘중간적 수준’에서는 결핵 에 대한 면역력을 약화시키는 사람들의 식사습관을 분석할 것이고, ‘거시적 수준’에서는 결 핵이 가난과 무지의 소산이라고 보고 정책이나 제도를 분석하게 될 것이다. 이 세 수준을 우리는 ‘생화학적 수준(biochemical level)’, ‘행동적 수준(behavioral level)’, ‘사회문화적 수준 (sociocultural level)’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질적 연구의 기볍을 자세하게 소개하고 있는 안내서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의외로 드물다. 그 점에서, 비록 책자 수준은 아니지만, 이용숙의 논문(1998)은 가 히 선구적인 기여를 하고 있다. 그녀는 교육연구를 위한 질적 자료의 분석 기볍으로 열 두 가지를 들고 있는데, 외형적 체제 분석, 주제별 약호화와 분류, 빈도 분석, 사례 추출, 분류 체계 분석, 성분 분석, 원인연쇄 분석, 계획 분석, 결정표 분석 및 흐름표, 과정 분석, 시간사 용 분석, 수업관찰 소감식 분석이 그것이다. 그녀는 이러한 예시를 통해서 각 분석 기볍을 소상하게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수준과 측면이 다른 “분석 방볍들”을 보다 체계적으로 정 리함으로써 질적 분석의 논리와 기볍을 명시하는 데까지는 이르지 못하였다. 그녀의 작업에 서 나타나고 있는 문제점을 두 가지만 지적하면, 첫째로 약호화(코딩), 분류, 사례 추출 등 이 다른 분석에도 공통적으로 필요한 작업이라는 점이 간과되어 있으며, 둘째로 방볍의 논 리적인 측면과 기볍적인 측면이 구분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요인 분석은 인류학자들이 특정 문화권에서 쓰이는 용어의 의미에 관한 가셜을 형성하 고 확인하기 위해서 일찍부터 활용해 온 기볍이다(Goodenough, 1970: 72 74; Spradley, 1979: 173 184, 1980: 130 139; Bernard, 1995: 390 392). 간단히 말해서, 요인 분석은 한 용 어가 쓰이는 외연적 사례들을 수집한 다음, 그 사례들에 공통적인 내포적 특성들을 추출하 여 구조화하고, 그 가셜적 구조의 타당성을 외연적 사례들 속에서 다시 확인하는 방볍이다. 이 작업은 주로 특성과 사례의 행렬표(matrix)를 만드는 형태로 진행되며, 완성된 행렬표는 연구보고서에 분석의 결과로 제시된다(Goodenough, 1970: 131 142).


V. 질적 해석의 논리와 기볍


위에서 나는 분석이 현상의 구조를 확인하는 작업임에 비해서 해석은 현상의 의미를 확 인하는 작업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 말을 달리 표현하면, 분석이 ‘셜명’지향적인 데 비해 서, 해석은 ‘이해’지향적이다. 그리고 나는 양적 연구가 치중하는 셜명이 닫힌 ‘셜득’인 데 비 해서, 질적 연구가 추구하는 이해는 열린 ‘대화’라고 생각한다. 이해는 생생하고,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체험의 공유를 추구하며, 질적 연구의 해석 작업은 바로 그러한 이해의 과정이라 고 말할 수 있다.


월코트는 질적 연구에서 ‘타당도’를 대신할 기준으로 ‘이해도’를 들고 있다. ‘이해’는 진리 의 입증이 아닌 의미의 구성을 중시하며, 않보다는 느낌을, 그리고 과학적 엄밀성이나 실용 적 가치보다 ‘발견’과 ‘공감’을 더 중시한다. “어떤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 그것에 관한 모 든 것을 알아야 할 필요는 없다”고 한 기어츠(1973: 25)의 말은 ‘이해’의 그러한 본질을 잘 서술하고 있다.


월코트가 보기에는 현장에서의 자료 수집은 그 곳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과정 에 불과하며, 문화는 자료 그 자체가 아닌 자료의 분석과 해석을 통해서 비로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그는 분석과 해석을 “특정한 사고의 틀(mental constructs)에 비추어 자료에 질서를 부여하는 과정”이라고 보았다. 그가 말하는 ‘사고의 틀’에는 반복(repetitions), 규직 (regularities), 구조(schemata), 주제(themes), 변형(aberrations), 모순(paradoxes), 문제 (problems), 전환(turnings) 등이 포함된다. 이것들은 내가 나중에 셜명할 ‘해석의 도구’와도 유사한 것이다.


기어츠(Geertz, 1983: 57)는 해석자의 위치나 관심에 따라서 해석을 “국지적 해석(local interpretation)”과 “과학적 해석(scientific interpretation)”으로 나눌 수 있다고 보았다.17)

  • 그는 “국지적 해석자는 ‘경험에 밀착된 개념들(experience near concepts)’을 사용하여 해석하 는” 반면에,

  • “과학적 해석자는 ‘경험에서 먼 개념들(experience distant concepts)’을 사용한 다”고 하였다.

바꾸어 말하면, 국지적 해석이 맥락의존적인 데 비해서 과학적 해석은 맥락에 서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한편, 멘진(Denzin, 1994: 502)은 “해석은 예술이지, 형식적이거나 기계적인 일이 아니다” 라고 하였다. 마치 예술가가 제각기 특유한 장작기볍을 가지듯이, 해석하는 사람은 각자의 위치에서 각자의 언어와 스타일로 해석에 임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모든 질적 연구에서 공 통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표준적인 해석기볍은 있을 수 없고 있을 필요도 없다.


그러나, 내가 보기에는, 해석이 한 개인의 것으로 머물지 않고 사회적으로 공유되기 위 해서는 후버만과 마일스(1994)가 아래와 같이 열거하는 ‘과학적인 해석 절차’를 어느 정도 따를 필요가 있다.


  • 확실하지 않은 주장을 배제할 것 
  • 주요 발견을 다시 한번 검토할 것 
  • 대안적 셜명이 가능한지 검토할 것 
  • 반증자료가 있는지 체크할 것 
  • 제보자와 전문가에게 보이고 타당성 검토를 받을 것18)


 해석의  도구에는  형식(form),  주제(theme),  규직(rule),  전략(strategy),  유형(pattern), 모델(model),  비유(metaphor),  양식(style),  구조(structure),  체제(system),  이론(theory) 등


국내 질적 연구의 견인차 혹은 주류를 이루어 온 문화기술적 연구에서 가장 빈도 높게 활용되고 있는 해석의 도구가 바로 ‘문화주제(cultural theme)’이다. 문화주제는 한 문화의 특성을 일반적, 압축적, 반복적으로 구성하고 표현하는 서술적 명제이며, 한 문화의 다양한 규범, 제도, 관행들을 통합하는 상위의 원리이다. 그것은 한 생활세계의 대다수 영역과 상황 에 적용 가능한 보편적인 셜명 원리라고 할 수도 있고, 한 집단 사람들의 생활(말과 행동) 속에 “공표되거나 함축된 가정 또는 입장”(Opler, 1945)이라고도 할 수 있다.


질적 연구자가 해석을 위해서 어떤 작업을 하던 간에 그 모든 것은 결국 ‘이론화(theorizing)’로 귀결된다. 이론에는 그것 하나로 많은 현상을 셜명할 수 있는 일반적인 ‘거대이론(grand theory)’도 있고, 특정한 현상에 국지 적으로 적용되는 ‘현장이론(grounded theory)’도 있으며, 그 ‘중간 수준의 이론(middle level theory)’도 있다. 그리고, 사회과학의 이론은 자연과학 이론과 동일한 구조나 기능을 갖지 않 는다. 이 문제에 관해서 나는 아래와 같은 글을 쓴 적이 있다.


이론은 세상을 보는 방식이다. 일상적 맥락에서 사람들의 인식과 행위 이면에 전 제되어 있는 이론을 인류학자들은 ‘민속적 이론(folk theory)’이라고 부른다. 이것은 학술적 맥락에서 형성되고 통용되는 ‘과학적 이론(scientific theory)’과 구별된다. 밥 을 먹고 바로 뛰면 왜 배가 아픈지, 큰친상간(近親相옳)에 대한 금기가 무엇을 뜻하 는지, 브레이크를 밟으면 어떻게 차가 서는지에 대해서 사람들은 막연하나마 나름대 로 셜명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셜명들이 과학적으로 반드시 타당한 것은 아니다. 그 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학문과 달리 인류학은 과학적 이론 못지 않게 민속적 이론을 중시한다.


이론의 수준은 한결같지 않다. 수학의 공리(公理)와 정리(定理)는 객관성과 안정성 이 가장 높은 이론이라 할 수 있다. 자연과학의 볍직과 가셜은 그 다음으로 치밀한 수준의 이론이다. 그러나 사회과학에 이르면 이론의 치밀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이론 의 성격 자체가 크게 달라진다. 물론 이론의 수준을 어떤 기준에 의해서 정할 것인 가에 대해서는 지금도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여하튼 현재로서는 사회과학 이론의 세 가지 대표적인 형태로 모형(model)과 접큰(orientation)과 비유(analogy)를 들 수 있을 것 같다(조용환, 1998c: 1195).


질적 연구의 해석 도구인 동시에 그 자체가 이론의 한 형태가 되기도 하는 비유 (metaphor)는 인간이 문명 생활을 하면서 획득한 가장 소중하고 보편적인 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비유는 언어, 상정, 기호 등을 활용하여 사람, 사물, 현상에 의미와 질서를 부여하 는 해석의 한 방식이다. 라코프와 존슨(Lakoff & Johnson, 1980)이 지적하였듯이, 우리 인간 은 문자 그대로 ‘비유의 세계’에 살고 있다. 기어츠(Geertz, 1983: 22)는 비유를 이론의 한 형 태로 보는 관점을 아래와 같이 서술하고 있다.


대부분의 이론은 비유에 의존한다. 비유는 알기 쉬운 것을 통해서 알기 어려운 것을 보여 준다. 예컨대, 지구는 자석에, 심장은 펌프에, 빛은 파동에, 뇌는 컴퓨터에, 우주 는 풍선에 비유된다.


‘모형’은 비유와 많은 특정을 공유하고 있다. 인류학자들은 일찍부터 ‘모형’이 질적 해석 의 중요한 도구이자 문화기술적 이론의 한 형태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인지인 류학자들은 비가시적이고 추상적인 인간의 심리 구조를 가시적이고 구체적인 ‘문화의 모형 (cultural model)’으로 형상화하여 제시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Holland & Quinn, 1987). 나는 다른 글(조용환, 1998c: 1195)에서 모형의 이론적 기능을 다음과 같이 풀이한 적 이 있다.


‘모형’은 추상적인 것을 구체적인 것으로, 비가시적인 것을 가시적인 것으로, 복잡한 것을 단순한 것으로, 미지(未知)의 것을 기지(많知)의 것으로 환원하여 제시하는 이 론적 형태이다. 예컨대, 패션 디자이너는 머리 속의 의상 아이디어를 제품화하기 전 에 모형의상으로 만들고, 그것을 패션모델에게 입혀 보임으로써 디자인 행위를 실현 한다. 다른 예를 들어보면, 아파트를 완공하기 전에 입주자는 그 아파트가 어떻게 생 겼을지 궁금하지만 그 결과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건축업자에게 모델하우스를 요구하 게 된다.


이상의 논의를 한 마디로 요약하자면, 해석은 질적 연구의 가장 ‘주관적인’ 영역인 동시 에 가장 ‘객관적인’ 영역이다. 내가 여기서 말하는 ‘객관성’은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차이 점을 논한 나의 다른 글(1998a)에서 언급했던 대로 “누가 보아도 그렇게 볼 수밖에 없는 것”이 아니라, ‘내가 본 것’을 그들도 보고 공감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하여 표현한다는 것 을 의미한다. 그 점에서 해석은 마음을 열고 뜻을 나누기 위해 ‘대화의 장구(짧口)’를 만드 는 일이라 할 수 있다.


VI. 나오며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차이를 패러다임의 차이로 보는 나로서는 (조용환, 1998a), 질적 기술, 분석, 해석의 문제를 양적 패러다임에 비추어서 셜명하고 평가 하는 것은 온당하지 않다고 본다.


단적인 예로, 질적 연구 방볍을 학습하는 최선의 방볍이 ‘직접 해 보는 것(learning by doing)’이라는 사실은 질적 연구의 속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전이해(前理解), 관점, 해석, 대화 등을 중시하는 질적 연구에서는, 다소 과장하여 말하면, 어느 두 연구자도 동일 한 절차에 따라서 연구할 수 없고 동일한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없다. 복잡하고 총체적인 현 상을 최대한 ‘있는 그대로’, 그리고 ‘낯선 것은 친숙하게(make the strange familiar)’, ‘친숙 한 것은 낯셜게(make the familiar strange)’ 만들어 연구하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간편하고 표준적인 연구 방법이 있을 수가 없다. 따라서 질적 연구자들, 특히 초심자들에게 제공되는 안내서의 의미가 양적 연구 안내서의 그것과 결코 동일할 수 없다. 질적 연구의 방볍론 교 재는 모든 연구자들이 공히 따라야 할 전범(典範)을 ‘직접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선배 연 구자들의 구체적 체험에서 드러나는 모범(模範)을 ‘간접 전달’하는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19)


또한 연구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에서도 두 패러다임은 큰 차이를 보인다. 질적 연 구에서도 어느 정도 공통적인 언어와 규직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사회과학계에 “방볍 혁명”(Denzin, 1994)이 일어나면서 학자들이 질적 연구의 가치를 인정하게 된 배경에는 섣 부른 계량화와 표준화가 야기하는 “생태학적 오류(ecological fallacy: Williamson et al., 1982)”를 경계하고 시정해야 한다는 각성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모든 개체는 그 군집 속의 다른 어느 개체도 가지고 있지 않은 속성을 최소한 한 가지 이상 가지고 있다. 그러한 개체의 속성을 사장한 채 군집의 속성들을 변수화하고 그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추론할 때, 즉 ‘자연적 맥락’을 떠나서 보고자 하는 속성만을 선택하여 ‘연구의 맥락’을 구성하게 될 때 발생하는 오류가 바로 ‘생태학적 오류’이다. 한 예로, 한 사회의 이혼율과 청소년 비행 발생율 사이에는 높건 낮건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지만, 개별 청소년에게 의미 있는 이혼과 비행의 총체적 관계는 결코 통계적으로 파악할 수 없다. 다른 예로, 통계적 추론은 질문지의 각 문항에 대한 응답자들의 반응과 일부 문항 반응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다룰 뿐, 질문지 문항 전체에 대한 개별 응답자의 유기적 반응 방식에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양적 연구에 비해 정도 차이는 있겠지만, 질적 연구 역시 그러한 오류에서 큰원적으로 벗어날 수는 없다. 그렇지만 그 오류를 주목하고 최소화하려는 노력은 해야 한다.


이용숙(1998). 교육연구에서의 질적 자료의 분석. 이용숙·김영천 편,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과 적용, pp.107 186. 서울: 교육과학사.




질적 기술, 분석, 해석

조용환 저

간행물명 : 교육인류학연구
권/호 : 교육인류학연구 제2권 제2호 / 1999 / 27~63 (37pages)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간행물유형 : 학술저널
주제분류 : 교육학
파일형식 : PDF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기술, 분석, 해석의 구분: 월코트의 관점을 중심으로 
Ⅲ. 질적 기술의 논리와 기법 
Ⅳ. 질적 분석의 논리와 기법 
Ⅴ. 질적 해석의 논리와 기법 
Ⅵ. 나오며 
참고문헌


보건의료분야에서의 질적연구의 적용(가정의학회지, 2008)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한림대학교성심병원 가정의학교실

정 진 주ㆍ조 정 진*†





서 론


양적방법은 연구자가 가설을 설정하고 이 가설을 증명하기 위한 변인을 선정하여 인과관계 및 각 변인의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 을 말한다. 학문적 패러다임으로서 이러한 연구방법이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근대의 실증주의(positivism)에 기 반을 둔 과학이 등장하면서부터이고 과학의 한 분야인 의학에서도 주요한 연구방법으로 양적 방법이 자리를 잡게 되었다. 양적방법이 주요한 연구방법으로 자리 잡 게 됨에 따라 다양하고 복잡한 통계적 기법이 발전하게 되었고 보다 복잡한 통계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학문적 우수성을 평가하는 하나의 기준으로 설정되는 경향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의학계에서는 연구 방법으로서 양적방법만이 인정을 받고 수행되어왔기 때 문에 다른 방식의 연구방법에 대한 허용도는 매우 낮았 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외국에서는 의료연구의 상당부분이 양적연구 와 대비되는 질적 연구방법(qualitative method)을 사용하 여 연구를 진행함으로서 새로운 문제의 발견, 대상자의 주관적 인식 및 상황에 대한 해석, 의료행위 결정방식 등을 밝혀냄으로서 환자의 질병경험의 이해와 보건정책 의 근거로 사용하고 있다. 물론 한국에서도 간호학1-3), 의료사회학4-6), 임상사회복지7-9) 등에서 질적 방법을 사용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지만 의학 분야와 의 소통은 이루어지지 않은 채 존재해 왔던 것이 현실이 다.



본 론


1.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예를 들어 당뇨병의 치료 순응도에 끼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가 있다고 하자. 여기서 연구의 목적은 ‘왜 환자들의 당 뇨병 치료가 제대로 되고 있지 않는 것일까?’를 알아내 는 것이다. 이 연구 질문에 대한 해답을 구하기 위해서 양적연구는 과거에 중요하다고 이미 밝혀지거나 추 정되는 요인이 정말 중요하거나 연구자가 선정한 요인 중 특정 요인이 더 중요하다는 방식으로 결론을 내릴 것 이다. 그러나 질적연구를 도입하면 그 방법이 조금 달라 질 수 있다.


“당뇨병 치료는 어떻게 하고 있나요?”, “당뇨병을 치료하기는 어떠신가요?”라는 개방된 질문을 통해 연구대상마다 다양한 생활환경에 따른 치료현황과 치료에 필요한 지원 및 장애요인을 찾아낼 수 있다. 이러 한 결과는 챠트조사나 설문조사에서 밝혀지기 힘든 부 분이고 연구의 내용이 기존에 알려져 있지 않은 사실을 밝히거나 새로운 질문에 대한 해답의 단초를 제시한다 면 그 연구는 매우 중요한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 양적 방법의 저변에 깔려있는 인식론은 실증주의(po- sitivism)와 계량주의에 근거한 것으로 세상의 실체와 법 칙은 인간의 인식밖에 ‘객관적’으로 존재하고, 이러한 객관적 사실은 연구자가 설정한 가설의 부단한 설립과 검증을 정량화하여 분석함으로서 ‘진리’(사물과 인간을 포함한 세상에 대한 이해)를 밝혀낼 수 있다고 본다.주1

  • 반면 질적 연구는 사회적 현상은 행위자에 의해 구성되 는 ‘주관적 해석’의 결과로 나타나기 때문에 연구하고자 하는 실체나 현상이 연구대상자에 의해 어떻게 해석되 고, 이해되고, 경험되거나 생성되는가가 중요하다. 이러 한 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과정 및 사회적 맥락 역시 매우 중요하게 된다. 여기서 ‘주관석 해석’이란 각 개인이 갖는 주관적 해석만이 아니라 사회구성원의 개 인(집단)과 개인(집단)이 서로 간에 상호작용하여 의미를 전달하고, 이해하고, 그러한 근거 하에서 행동한다는 간 주관성(inter-subjectivity)을 말한다.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양적연구방법이 실험과 통계에 의해 일반화, 대표성에 관심을 둔다면 질적 연구는 임의 적이고 이론적인 근거에 합당한 소규모집단에 ‘진실’인 본질(essence, nature)에 관심을 둔다.12,13) 양적연구방법이 가설을 중심으로 가설을 검증하는 연역적 방식을 택하 고 있다면 질적 연구는 열린 마음으로 대상에 대한 관찰 및 이해에 기반을 두어 결론을 내리는 귀납적인 방식을 택한다. 이러한 이유로 양적연구는 연구자의 관점에서 인과관계가 정확하고, 밝혀진 사실에 대해 검증하는 환 원적인 방식이라면, 질적 연구는 연구대상자의 관점에 서의 인과관계가 설명되고 전반적인 설명이 포괄적, 총 체적인 경향이 높다.


연구자와 연구대상과의 관계도 두 방법은 상당 한 차이가 있는데 양적연구에서 연구자와 대상자의 관 계는 없거나 멀다면 질적 연구에서는 매우 긴밀하고 직 접적인 관계를 맺게 된다.



실증주의적 입장에서 보면 ‘비과학적’이라고 여겨져 무시되어 왔던 질적 연구방법은 지난 50∼60년 동안 정 량적 분석방법의 한계 및 문제점을 지적하고 다양한 유 형의 질적 연구방법을 개발해왔다. 양적연구에서는 조 작적으로 정의된 변수간의 관계를 증명할 수 있는 방법 을 통해서 사실과 원인을 밝혀내므로 주로 변수에 대한 수량적 자료를 산출할 수 있는 질문지, 면접용조사표, 건 강검진기록 등을 사용하게 된다. 반면 질적 연구방법은 개인 및 집단의 동기, 의미, 감정, 인식, 행위, 간주관성을 연구대상으로 삼기 때문에 참여관찰, 면접, 사례연구, 기 록물, 사진 등의 방법이 이용되며 접근하는 방식에 따라 해석학(interpretive), 현상학(phenomenology)14-16), 민속학(eth- nography)17)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질적 방법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연 구대상자의 표집과 선택은 양적방법과 차이가 난다. 양 적방법에서는 전체 모집단과 유사한 구성비율과 유형을 이루도록 모집단의 축소판 또는 닮은꼴의 표본을 추출 하여 대표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고 모집단이 커질 수록 일반화의 가능성도 증대한다. 반면 질적 방법에서 는 연구자의 연구주제, 이론적 입장, 분석틀, 분석방법, 도출해내고자 하는 설명에 근거하여 표집의 기준이 정 해진다. 연구가 설명하고자 하는 바를 가장 잘 나타낼 수 있거나, 연구자의 이론이나 설명을 도출해내고 검증 하는데 도움이 되는 특징을 포함한 대상자를 포함한 표 집 즉, 이론적 표집(theoretical sampling) 또는 의도적 표집 (purposive sampling)이 중요하다. 연구자가 상황을 충분히 파악하고, 연구주제에 대한 적절한 설명을 이끌어 낼 수 있고, 모집단을 대표하기보다 사회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크기로, 대상자를 추가하더라도 더 이상 새 로운 정보가 생산되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이 서면 추가 표집을 중단한다.



일부 질적연구자18)는 미국사회에서 굳이 가설증명을 해보이지 않아도 아는 사실을 서베이를 하고 통계처리 를 하는데 급급해 있는 풍조가 만연되어 있음을 지적하 며 가능한 한 풍부하고 다양한 자료를 수집 한 후에 어떠한 연구과제나 관점을 도출해 내고 그 과제 나 관점에 근거하여 새로운 단계의 개념틀을 형성하고 다시 보다 심층적이고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나가는 계속적 과정,  즉 나선적 과정(spiral  process)을 제시



질적 연구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개인 및 집단면접은 많은 재원을 필요로 하며, 면접의 기획과 수 행, 그리고 자료 분석에 기술, 시간, 노력이 많이 소모된 다. 면접의 경우 양적연구방법에서 사용하는 구조화된 질문이 아니라 개방적이고 비구조화된 질문을 하게 되 며 질문의 내용도 면접과정 중에 면접내용에 따라 변화 되기도 한다. 양적방법처럼 특정현상에 대한 가설이나 결정을 한 채 면접을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개방되고 추상적인 질문에서 시작하여 연구가 원하는 바를 면접 에서 얻어내는 것이 핵심이 된다. 면접을 할 때 면접장소 정하기, 적당한 면접시간, 구조화된 질문의 내용, 면접대 상자와 연구자와의 라포(rapport)형성, 다양한 질문방식, 기록하며 다음 질문 던지기, 더 캐묻기(probing), 질문순 서 정하기, 질문의 내용에 따라 면접방식 전환하기, 집단 면접시 면접자 구성방식, 자연스럽게 이야기 흘러가기, 면접과정 중의 감정조절 및 성찰, 면접대상자의 윤리적 차원의 배려 등은 면접 전과 면접과정에서 연구자가 부 딪혀야 되는 문제이고21-26) 부단한 장기간의 훈련과 경험 에 의해서만 능숙한 질적 연구자로 거듭나게 된다.



질적 자료는 어떻게 분석하는가? 질적 면접 및 분석이 일상생활의 대화와 크게 다르지 않으며, 누구나 할 수 있다는 일부의 생각은 매우 잘못된 것이다.


질적 방법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자료의 수집과정과 동시에 시작하게 된다. 하나의 면접이 끝나 면 녹취를 풀어주2 내용을 이해하고 분석하여 다음 면접 에서 활용되며 이러한 과정 속에서 표본의 크기와 표본전략도 세워진다. 면접내용을 세부영역으로 분석하고 하위범주, 상위범주 등으로 분류하면서 맥락 및 과정 속 에서 현상을 ‘설명’(단순한 인과관계가 아님)할 수 있어 야 한다.주3 질적 연구자는 확정적인 가설이나 논리적인 결론을 가지고 출발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자료수집 및 분석과정에서 대상자의 추가나 면접내용에 따라 가 설 및 설명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분석의 결과가 기존에 밝혀지지 않은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거나, 새로 운 설명방식을 찾아낼 수 있다면 질적 연구의 성과는 극 대화된다.


분석된 내용의 결과를 양적연구에서는 일반화, 신뢰도, 타당도의 측면에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질적 연구는 연구대상자체가 이론 및 근거에 따른 ‘준거적 선택(cri- terion-based selection)을 한 경우로 모집단을 염두에 둔 일 반화가 될 수 없다.‘만일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을 전제로 일반화가 가능한 양적연구와 달리 질적 연구에 서는 인간세계에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이라는 것은 있을 수 없는 현상이고 양적연구의 일반화에 도전하는 다른 유형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존재한다고 본다. 따라 서 질적 연구는 일반화보다는 특정대상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비슷한 집단 또는 다른 집단에 대한 지속 적인 연구의 축적으로서 그 설명이 보편타당성을 획득 하게 된다. 한편 연구결과의 평가에 있어서 양적분석에 서 사용하는 신뢰도와 타당도의 기준이 질적 연구에서 그대로 적용되기는 힘들다. 질적 연구에 있어서 어떻게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할 것인지와 양적연구에서 중요 시여기는 신뢰도와 타당도의 검증이 크게 중요하지 않 다는 의견 등 이 분야에 대해서는 역동적인 논의들27-30) 이 지속되고 있으나 연구과정 및 분석에 있어 연구자의 자기점검과 성찰이 연구결과의 질을 높이는데 중요한 요소라는 것에는 대체로 동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중요 한 것은 질적연구가 양적연구에서 사물과 세상을 보는 관점이 기본적으로 다른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을 혼합 (triangulation)해서 사용할 수 있는가? 이 문제에 대해서 는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고31-33), 두 가지 방법론의 인식 론적 차이와 실제 연구기법상의 차이로 인해, 하나의 연 구에서 양자의 연구방법을 결합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 니다. 두 가지 방법이 결합주4될 때는 대개 질적 연구가 양적 연구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거나, 양적 연구 의 결과가 놓치는 미세한 현상을 포착하도록 질적 연구 가 도와주거나 양적연구결과를 해석하는데 있어 질적 연구가 도와주는 방식으로 드러난다. 


결국 양적방 법과 질적 방법이 상호보완적인 부분이 있다고 하더라 도 질적 방법은 대부분의 경우 양적 연구방법을 최소한 의 수준에서 ‘도와주는’ 종속적인 관계로 나타나게 되어 질적 연구방법의 장점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양적연구방법을 보조하는 질적 연구방법의 활용 외에는 질적 연구의 인식론이 확고한 연구자들은 특정 현상에 대해 양적 연구방법을 배제하고 배타적으로 질 적 연구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양적연구방법이 질적연구방법에 대해 ‘객관성’  및 ‘일반화’에 대해 부족하다고 하지만 객관성이란 결국 연구자의 객관성이나 과학의 한 패러다임으로서 가설검증에 의한 객관성이 아니라 연구대상자가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을 설명하는 객관성으로서 의미가 부여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모든 사람에게 똑같이 적용되는 기준이나 현상이 없듯이 특 정집단에 ‘진실’인 설명을 찾아내는 질적 연구방법은 사 회현상과 건강문제를 이해하고 개선하는데 매우 유용하 다고 하겠다.



2. 보건의료 영역에서 질적 연구의 사례 및 필요성


질적 연구는 자신의 관점을 놓고 상대의 관점 및 경험 살리기. 포괄적, 맥락적인 설명방식을 택하여 귀납적인 설명이 중심이 되기 때문에 많은 보거의료분야의 질적 연구의 적용은 의학적으로 판명된 증상이나 진단보다는 환자의 관점에서 질병에 대한 주관적 경험 및 과정, 고통 (suffering), 보건의료서비스이용의 현황을 밝혀내는데 집 중되어 시행되었다.34-36) 미국사회에서 기념비적인 연구 로 평가되는 Glaser와 Strauss37)의 “죽음에 대한 인식(Awa- reness of Dying) (1967)”은 병원에서 죽음을 앞둔 사람들 을 대상으로 질적 방법을 사용하여 죽음에 대해 환자가 알고 있는 정도는 다양하며 이것이 가족 및 의료진과의 관계, 제공되는 서비스의 차이를 낳고 있다는 것을 밝히 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저자는 질적 연구방법 중 근거 이론(grounded theory)을 제시하였고 이후 질적 연구방법 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현재까지 질적 연구가 어떤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답을 주는 연구는 질적연구 방법을 사용 한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을 시도한 논문내용이다. 1994 년 이후 보건의료 분야에서 질적 연구를 사용한 연구를 메타분석한 논문을 대상으로 다시 메타분석을 분석한 Dixon-Woods 등46)의 결과를 보면 질적 연구의 주제 및 경향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 포함된 43개의 메타분석논 문의 대부분(25/43)이 간호분야나 간호관련 분야에서 시 행되었으며, Qualitative Health Research 학술지가 이 중 1/5를 발표해온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주제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공통적인 사항은 연 구대상자가 의료진이던지 환자이던지 그 가족이던지 이 들의 경험, 인식, 판단을 이해함으로서 이제까지 밝혀지 지 않은 사실을 밝혀내거나 의학적 지식, 의학적 개입이 제대로 되지 않는 분야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환자 가 필요로 하는 보건의료요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최근 보건정책과 최상 의 의료서비스 실천사례로 확대되고 있다.


보건의료분야에서 질적 연구방법을 단독으로 사용하 기도 하지만 양적연구방법과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47) 는 것을 앞서 제시한 바 있다. 이의 구체적 내용을 알아 보기 위해 두 사례를 살펴보기로 하는데 특히 최근의 보 건의료분야의 추세는 의학뿐 아니라 타학문분야와 연계 하여 연구하는 경향이 강하므로 이런 부문의 연구사례 를 선정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첫 번째 사례는 영국에서 2000∼2003년에 실시한 ‘Developing and Evaluating Best Practice in User Involvement in Cancer Services (암치료서비 스 이용자참여에 대한 최고의 실천사례 평가와 발전에 관한 프로젝트)로 영국의 보건분야에서 The United King- dom Health in Partnership initiative (파트너쉽 이니시어티 브) 일환으로 시행된 프로젝트이다.48) 이 연구의 목적은 이용자참여라는 말이 갖는 다양한 의미와 각각의 보건 조직에서 사용되는 참여의 방법,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 자가 이용자참여프로젝트의 영향에 관해 갖는 생각, 이 용자참여의 성공과 장애요인 확인, 최상의 실천사례 찾 아내기 등이 연구목적이었다.


또 다른 사례는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것으로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표준화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49,50) 직 무스트레스의 증가 및 이로 인한 건강악화와 사회적 비 용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근로자가 경험 하고 있는 직무스트레스의 원인을 파악하고 건강관련성 을 알아볼 필요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이제까지 한국의 연구자가 직무스트레스와 건강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 척도는 외국에서 개발한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였다. 외국에서 개발된 척도는 외국근로자의 노동환경 및 근로조건, 근로자의 인식에 기반을 둔 것으로 이를 그대로 한국 사회에 적용했을 경우 실제 우리가 측정, 파악하고 있는 것은 한국의 현실이 아닌 외국의 도구에 한국의 현실을 짜 맞추어 가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즉 현실이 측정도구를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측 정도구가 현실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결과 의 신뢰성과 그 결과에 따른 예방정책에 의문이 제기된 다.



3. 미국 가정의학회에서 질적 연구 적용 사례


미국 가정의학 영역에서 질적 연구를 단독으로 사용 하는 경우도 있지만 여기서는 양적, 질적연구를 혼합하 여 사용하는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미국 가정의학과 연구소 중에는 질적 연구와 양적연구를 결합한 혼합연 구를 주로 하는 연구소들이 있는데 대표적인 연구소 중 하나가 University of Medicine and Dental of New Jersey (UMDNJ)의 가정의학과연구소이다.


이 연 구소에서 이루어지는 혼합연구의 주제들은 다양하다. ‘Using Learning Teams for Reflective Adaptation’라는 연구프 로젝트도 대표적인 혼합연구 중의 하나로서 여러 가지 만성질환을 가진 환자에 대한 치료분야에서 의료진협력 팀의 치료중재 효용성을 살펴보는 연구이다. 의료진협 력팀에 대한 평가를 양적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방법을 모두 이용하여 평가하고 있다. 즉 의사, 간호사, 의료기 사, 영양사 등 다양한 의료진 협력에 대한 평가를 단순히 설문지 등을 이용하여 자료수집(양적 연구방법에 의한 자료조사)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의사, 간호사, 의료기사 중 중심(key person) 의료진에 대한 심층면접, 외래진료소 에 대한 직접관찰 등을 포함한 현장노트(field note), 의료 진이 협동으로 치료 질을 높이는 과정에 대한 팀미팅 관 찰 및 회의내용 녹음 등의 자료수집(질적 연구방법에 의 한 자료조사)을 통해 다면평가를 하는 것이다.




결 론


이제까지 보건의료분야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연구방법 과 대비되는 질적 연구방법이 활성화되어 우리 사회의 건강문제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몇 가 지 현실적 변화가 요구된다.


첫째, 보건의료분야에서 질적 연구방법을 훈련받은 인력을 배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의과대학 및 보 건관련 학과에서 연구방법으로서 질적 연구에 대한 체 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습이 제공되어야 한 다. 이를 위해서는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의학 및 보건학분야에서 연구를 해 온 연구자를 의학계 내에서 받아들여 채용하고, 다양한 종류의 질적 연구방법을 훈 련하고 각각의 보건의료 분야에서 적용하여 건강문제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둘째, 현재 발주되는 연구사업의 많은 부분은 암묵적 으로 양적연구만을 대상으로 하거나 질적 연구를 포함 한다 할지라도 양적 연구에 종속적인 방법론으로서 주 로 허용하고 있다. 이러다 보니 연구사업의 기간도 양적 연구에 맞추어져 매우 짧은 것이 현실이다. 질적 연구방 법은 통상적으로 양적연구에 비해 자료수집뿐만 아니라 자료 분석에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므로 이런 부분이 고 려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질적 방법을 사용한 연구를 논문화하기 위해서 는 논문분량의 조정과 질적 연구를 심사하기 위한 인력 풀이 필요하다. 의학 분야에서의 논문분량은 질적 조사 결과의 충분한 내용을 담기에는 매우 제한된 지면만을 허용하고 있어 질적 연구결과를 논문화할 수 있도록 연 구방법에 따른 분량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양적연 구방법이 주류 연구방법이 될 경우 질적 연구논문의 심 사에 대해 불이익을 경험하는 학자들이 많은 것이 현실 이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오래 동안 사용해왔고 심사할 수 있는 심사자의 인력풀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 하다. 당장 의학계 내에서 훈련된 인원이 부족하다면 질 적 연구방법은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사용하고 있기 때 문에 다학제적인 심사자 풀을 형성할 수도 있다.



넷째, 질적 연구방법의 활성화를 위해서 국내외 의학 및 보건관련 질적연구방법 활용방법 및 연구에 대한 학 술대회, 심포지움, 워크샵을 주기적으로 시행하여 연구 의 활성화를 꾀하여야 할 것이다. 외국의 경우 보건관련 학술대회의 발표논문의 상당수가 질적 연구를 활용하고 있고, 연구방법습득을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있으므로 이를 벤치마킹하여 우리의 상황에 맞게 활용하면 좋을 것으로 보인다.





제어번호101602978 저자명 정진주  ,조정진 학술지명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권호사항 Vol.29 No.8 [2008] 발행처 대한가정의학회(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발행처 URLhttp://www.kafm.or.kr 자료유형학술저널 수록면 553-562(10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2008년 KDC597 등재정보KCI등재 주제어 양적연구  ,보건  ,건강  ,가정의학  ,연구방법  ,질적연구


한국의 보건의료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많은 연구들은 변인의 연관성을 통계적인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는 방식인 양적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외국에서는 의료연구의 상당부분이 질적 연구를 사용하여 새로운 문제의

발견, 대상자의 주관적 인식 및 경험고찰, 의료행위 및 보건정책의 활용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보건의료 분야 연구영역에서 질적 연구에 대한 이해나 질적 연구를 이용한 연구가 매우 빈약한 현실과 대비된다. 최근

보건의료계의 다양한 현실을 이해하고 파악하는데 있어 양적연구만으로는 여러 가지 한계가 있어 이를 보완하고자

질적 연구 또는 양적연구와 질적 연구를 결합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 종설에서는 질적 연구에

대한 개략적인 이해와 함께 보건의료영역에서 질적 연구의 활용 또는 질적ㆍ양적연구 결합의 필요성 및 구체적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미국 가정의학 연구영역에서의 질적․양적연구 결합의 활용사례들을 살펴보아 향후 우리나라가정의학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중심 단어: 질적연구, 양적연구, 보건, 건강, 가정의학, 연구방법 󰠚󰠚󰠚󰠚󰠚󰠚󰠚󰠚󰠚󰠚󰠚󰠚󰠚󰠚󰠚󰠚󰠚󰠚󰠚󰠚󰠚󰠚󰠚󰠚󰠚󰠚󰠚󰠚󰠚󰠚󰠚󰠚󰠚󰠚󰠚󰠚󰠚󰠚󰠚󰠚󰠚󰠚󰠚󰠚󰠚󰠚󰠚󰠚󰠚󰠚󰠚󰠚󰠚󰠚󰠚󰠚󰠚󰠚󰠚󰠚󰠚󰠚󰠚󰠚󰠚

Strauss와 Glaser의 근거이론방법론 비교 (정신간호학회지, 2005)

최 귀 순1)





서 론


질적 연구 방법은 1920년대 사회학자들이 사회현상연구에 사용했지만, 논리 실증주의에 근거한 자연주의적 방법에 의해 쇠퇴기를 맞는다. 1960년대 다시 기존의 논리 실증주의적인 객관성에 회의를 품은 사회학자들에 의해서 질적 연구는 새 로운 인식 패러다임으로 부활되었다. 이 기간에 근거이론방법 론도 시작되었다.


근거이론방법론은 1967년 Strauss와 Glaser 두 사람의 공동 작업에 의해 만들어진 질적 분석방법으로 실제 자료에 근거 해서 하나의 이론을 만들어내는 방법론이다. 그러나 근거이론 방법론을 적용하여 연구하려는 연구자는 1967년 근거이론을 공동으로 발전시킨 Strauss와 Glaser가 현재는 각각 다른 방향 으로 근거이론방법론을 발전시키고 있음을 간과할 수 없다. Strauss가 1996년 9월에 사망하였기 때문에 Strauss와 Corbin 의 근거이론방법론과 Glaser의 근거이론방법론에 차이가 있다 고 말해야 더 정확할 것이다.


근거이론방법론에서 Strauss와 Glaser의 입장이 약간씩 다르 기 때문에, 근거이론방법론을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자는 자신 이 사용하고자 하는 근거이론방법론이 어디에 근거하고 있는지를 정확히 밝히고 시작해야 한다(Wilson & Hutchinson, 1996). 다시 말해서 1967년 두 사람이 근거이론을 처음 발표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한 research』인지, Strauss가 1987년 qualitative 저술한 『Qualitative Analysis for Social Scientists』인지, 또는 Strauss 와 Corbin이 1990년(1판), 1998년(2판) 공동 저술한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인지, 아니면 Glaser가 자신의 입장을 밝힌 『Basics of Grounded Theory Analysis』(Glaser, 1992)와 『Doing Grounded Theory: Issues and Discussions』(Glaser, 1998)인지 적용하고자 하는 근거이론방법론의 근거를 분명히 서술해야 한다.





근거이론방법론의 역사적 발달 배경


1967년 Strauss와 Glaser가 공동으로 연구하여 발전시킨 근 거이론방법론은 말 그대로 자료에 근거해서 이론을 귀납적으 로 만들어 내는 질적 분석 방법을 적용한 이론개발과정이다. 근거이론방법론은 잘 알려진 것처럼 1960년대 후반 Anselm Strauss와 Barney Glaser의 공동 작업으로 시작되었다(Strauss & Corbin, 1990, 1998; Glaser, 1992, 1998). 사실상 근거이론 은 새롭게 발명된 방법론이라기보다는 1960년대 사회학 내에 서 이루어지고 있던 질적 방법론적 사고에 토대를 두고 발전 된 하나의 질적 분석방법이다(Glaser, 1998).


1960년대 질적 분석 방법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던 주 요 학교는 Strauss가 졸업한 시카고 대학Glaser가 졸업한 콜럼비아 대학이었다(Glaser, 1998). Strauss는 버지니아 대학의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시카고 대학에서 사회학으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Strauss는 질적 연구와 질적 분석의 오랜 전통 을 가진 시카고 대학에서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와 실용주의 학자들에 의해서 영향을 받았다(Strauss & Corbin, 1998). 그 리고 그는 1960년 이후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UCSF) 의 간호대학에서 1987년 은퇴할 때까지 27년동안 간호학과 박사 과정 학생들을 가르쳤다(Corbin, 1997). 이 곳에서 간호 대학 박사 과정 학생이었던 Corbin을 만나 사제지간 및 동료 연구자의 인연을 맺는다.


한편 Glaser는 1950년대 콜럼비아 대학에서 질적 분석과 이 론 개발에 관한 교육과 훈련을 받았다. 특히 양적 분석과 질 적 분석에서 전문가였던 Lazarsfeld로부터 근거이론방법론의 받았다(Glaser, 1992, 1998; Strauss & 많은 부분에 영향을 Corbin, 1998). 그리고 이론 구축 과정에 관한 부분은 그의 스 승인 Merton으로부터 배웠다(Glaser, 1998).


이러한 유사하면서도 각기 다른 학문적 배경을 가지고 만 난 Strauss와 Glaser는 병원에서 죽음을 앞둔 사람들을 대상으 “Awareness of 로 죽음에 관한 환자들의 관점을 연구하여 Dying(1967)”이라는 제목의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Glaser, 1992, 1998). 그리고 그 두 사람이 병원에서 시행한 죽음에 관한 연구를 어떻게 진행하였는지 정리할 필요를 느꼈고 (Glaser, 1992), 그 연구과정을 기술한 책이 근거이론방법론에 『The Discovery of Grounded 관한 최초 저서로 알려진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1967)이다.


그러나 Glaser는 1998년 자신의 저서 『Doing Grounded Theory: Issues and Discussions』에서 Strauss와 Corbin의 근거 이론방법론이 자신의 방법론적 입장과 다름을 밝히고 있다. Glaser는 Strauss와 Corbin의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 h』(1990)에서 설명하고 있는 내용이 두 사람이 본래 의도했 던 근거이론방법론이라기 보다는 새로운 개념적 서술방법이라 고 생각했다(Wilson & Hutchinson, 1996; Glaser, 1992).


Strauss와 Glaser의 근거이론방법론 비교


연구 주제 선정


근거이론방법론을 적용하여 연구를 시작하려고 할 때, 가장 어려운 부분 중 하나가 연구 주제 선정이다. 연구 주제를 어 떻게 선정하는 가에 관한 지침에서 Strauss와 Corbin (1998)과 Glaser(1992)는 연구 주제 선정 방법의 다양성에서 입장 차이 를 보여주고 있다. 먼저,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연 구 주제 선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자신의 관심 분야에 대해서 기존에 연구하고 있는 교수로 부터 연구 주제를 제안 받거나 연구비를 지원하는 연구 주제를 자신의 연구 주제로 선정한다.

 ∙ 문헌 속에서 후속 연구가 필요한 연구 주제나 또는 기존 에 연구가 되었지만 다시 새롭게 연구할 필요가 있는 연 구 주제를 찾는다.

 ∙ 개인적 경험이나 전문가적 경험 속에서 연구 주제를 선정 한다.

 ∙ 연구 자체에서 찾는다. 다시 말해서, 연구해 보고 싶었던 현장 속에 들어가 관찰 및 초기 면담을 통해서 연구 참여 자의 삶에서 중요한 문제가 무엇인지를 발견한다.


Strauss와 Corbin(1998)은 다양한 연구 주제 선정 방법을 제 안하고 있다. 반면, Glaser는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네 가지 방법 중 마지막 방법만이 근거이론방법론의 연구 주 제 선정에 적합하다고 주장한다.


Glaser(1992, 1998)에 의하면, 근거이론방법론에서 연구 주 제가 나타날 때까지 기다리는 이유는 연구자의 관심이 아닌 연구 참여자의 진정한 관심을 찾기 위해서이다. 연구 참여자 가 의식하든 의식하지 않든 간에 주로 고민하는 바(또는 주된 관심)가 나타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게 Glaser의 입장이 다. 그러나 이런 경우 연구 주제를 선정하기 위해서 연구 참 여자의 주된 관심 문제를 찾는 데 수개월이 필요할 수 있다.


연구 참여자의 주된 관심 문제는 Strauss와 Corbin(1990, 1998)의 “중심 현상(central phenomena)”이 되고, Glaser의 용어로는 “기본적인 사회 심리적 문제(basic social-psychological problem)”가 된다. 예를 들어, Hutchinson(1986)의 경우에는 신 생아 중환자실 간호사들을 관찰하고 면담한 결과 중증 신생 아를 돌보는 데서 오는 공포(horror)가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 사들의 주된 문제임을 발견했다. 중증 신생아를 돌보는 데서 오는 공포가 간호사들의 주된 문제로 발견된 이후에는 간호 사들이(연구 참여자) 그들의 공포(중심 현상 또는 기본적인 사회 심리적 문제)를 어떻게 다루어 나가는 가(핵심 범주)에 초점을 두게 된다.


위에서 보듯이 연구 주제 선정에서 Strauss와 Corbin(1998) 과 Glaser(1992, 1998)의 차이점은 연구 주제 선정 방법의 다 양성을 얼마나 허용하느냐에 있다. Strauss와 Corbin(1998)은 연구 주제 선정 방법을 다양화하여 더 많은 가능성을 열었다 고 할 수 있다. 한편, 근거이론방법론을 적용하고자 하는 연 구자는 연구자의 관심이 아닌 연구 참여자의 관심 속에서 연 구 주제를 선정해야 함을 강조한 Glaser(1992, 1998)의 의도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


연구자의 관심이 아닌 연구 참여자의 관심 속에서 연구 주 제를 선정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자의 경우 에, 근거이론방법론을 적용하여 처음 연구를 시작할 때, 정신 분열병환자의 “희망”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만성화되어 가 는 정신분열병환자를 보면서 희망을 찾고 싶었던 것이 연구 자의 바람이며 관심이었다. 그리고 “희망”이라는 연구자의 관 심 주제를 가지고 연구 참여자를 만나서 면담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연구 참여자와 면담을 하면서, 희망 자체가 그들의 주 된 문제가 아님을 알게 되었다. 오히려 연구자가 관심을 가지 지 못했던 “외로움”이 정신분열병환자들의 주된 문제이며 관 심임을 면담을 통해 알게 되었다. 그리고 근거이론방법론은 문제 해결 과정에 초점을 둔 문제 중심의 방법론임을 깨닫게 되었다.


본 연구자의 관심 주제였던 “희망”은 문제 중심의 개념이 아니었기 때문에, 근거이론방법론에 적합하지 않았다. 연구 참여자인 만성 정신분열병환자의 절실한 문제가 “외로움”(중 심 현상 또는 기본적인 사회 심리적 문제)임을 발견한 후에 핵심 범주를 찾기 위한 주된 연구 질문은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는 외로움을 어떻게 해결해나가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졌다. 그리고 외로움을 중심으로 관련 개념을 포화시키 며 이론적 표본 추출을 하였다.


 

 

면담 질문


심도 깊은 면담은 질적 연구에서 중요한 자료 수집 방법이 다. 면담은 면담자와 피면담자간의 상호관계 속에서 목적을 가지고서 이루어지는 대화로 정의되며, 질적 연구에서 면담은 일상적인 대화에서부터 심도 깊은 장시간의 면담까지 다양한 범위에서 이루어진다(Marshall & Rossman, 1989). 연구자는 여러 가지 질문을 던지면서 연구 참여자로부터 다양한 정보 를 얻게 됨으로, 면담 질문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는 질적 연구를 하는 연구자들에게 매우 중요하다. Strauss와 Corbin (1998)과 Glaser(1992, 1998)는 모두 연구 중인 자료가 말하고 있는 내용이 무엇인지에 민감성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근거이론방법론에서 면담 질문은 처음에는 연구 주제에 대 해서 광범위하게 질문하지만, 관련 개념들이 드러남에 따라서 점점 개념간 관계를 묻는 구조화된 형식을 갖는다. 따라서 Strauss와 Corbin(1998)은 연구 질문들이 “어떻게(how)”와 “만 약 ~한다면(if)”으로 구성된 질문 형식을 갖는다고 설명한다.


Strauss가 제시한 면담 질문 방법 중 하나는 자료 수집시 매 단어마다 멈추고 “What if?(만약 ~한다면, 어떠한가?)”라고 스스로 자문하며 질문하는 것이다(Strauss & Corbin, 1998). 이 점에서 Glaser와 차이점을 보인다. Glaser는 “만약 ~한다 면”과 같은 가정상황을 사용하는 것은 연구자의 선입견을 강 화시키고, 연구자의 생각을 연구 참여자에게 강요하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이런 이유로 Glaser(1992)는 “만약 ~한다면(if)”의 질문을 피하도록 권한다.



본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와 면담하면서, Strauss와 Corbin (1998)이 제안한 “어떻게(how)”와 “만약 ~한다면(if)”을 모두 사용해 보았다. 그리고 어떤 면담 질문이 더 적합한지 다양하 게 시도하며 면담질문을 수정해나갔다. 면담을 하다 보면, 대 부분의 면담 질문이 “어떻게”로 구성된다. 가끔씩 연구 참여 자가 어떤 사실을 부인하거나 잘 인식하지 못할 때, 상황이나 연구 참여자의 상태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만약 ~ 한다면”의 질문을 사용하였다.



“어떻게(how)”의 예:

 ∙ 요즘 어떻게 지내세요?

 ∙ 외로울 때 어떻게 하세요?

 ∙ 사람들에게 무시당했을 때의 기분은 어떠셨어요?


“만약 ~ 한다면(if)”의 예:

 ∙ 만약 여자친구가 있었다면, 어떨까요?

 ∙ 만약 돈이 많았었다면, 지금과 달라졌다고 생각하세요?

 ∙ 만약 지금 부모님이 무시한다면, 어떻게 하시겠어요?


 

본 연구자의 경우에는 연구자의 면담 질문 내용과 상관없 이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들이 하고 싶은 말을 하였다. 처음 면담시 정신분열병환자에게 희망에 대하여 이야기를 할 때에 도,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들의 문제인 외로움을 반복적으로 호소하였다. 그리고 연구 질문을 외로움으로 정한 후에, 외로 움에 초점을 맞추며, “어떻게”와 “만약 ~한다면”을 모두 사용 하여 질문했지만, Glaser가 걱정했던 것처럼 연구자의 선입견 을 불어넣는 질문은 되지 않았다. 그러나 만약 연구자가 원하 는 대답을 들으려고 의도적으로 강요하는 형식으로 면담 질 문을 던진다면, Glaser가 걱정했던 바대로 근거이론방법론의 기본 방향과 어긋나는 질문이 될 것이다.


근거이론방법론에서도 연구자가 자신의 생각이 편견이나 선 입견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현상학적 연구에서 강조하는 것처 럼 “가로넣기(bracketing: 자신의 선입견이나 편견이 연구 자료 에 개입되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을 말함)”하려고 노력하며, 연구 참여자가 하는 말의 내용과 의도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 하다. 연구자가 연구 참여자에게 진정한 관심을 가지고 능동 적으로 경청하며 면담을 진행한다면, 연구자의 질문 형식에 관계없이 연구 참여자는 자신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표현한 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문헌 고찰


문헌 고찰을 연구의 어느 시기에 할 것인지에 관한 고민은 근거이론방법론을 가지고 연구하는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겪는 문제이다. 그리고 문헌고찰에 관한 부분은 앞에서 설명한 연 구 주제 선정 및 면담 질문과도 연관되는 문제이다. 왜냐하 면, 문헌 고찰을 통해 관심 주제 및 연구 주제에 대하여 개념 적 명확성을 가지고서 연구를 하는 것이 자료 수집 및 분석 에 도움이 되는지, 아니면 오히려 방해가 되는지에 관한 문제 와 연결되기 때문이다.



문헌 고찰에 관한 두 학자의 견해 차이를 보면, Strauss는 실제 자료 속에 담겨있는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이론적 민 감성을 발달시키기 위하여 연구의 시작과 더불어 연구가 진 행되는 동안 계속적으로 문헌 고찰할 것을 권유한다. Strauss 와 Corbin (1998)은 연구자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이나 생각이 면담을 방해하지 않도록 “가로넣기(bracketing)”할 수 있다면, 문헌 고찰은 이론적 민감성(theoretical sensitivity)을 높여주기 때문에, 연구 시작 전이나 연구 도중 어느 때에 해 도 좋다는 입장이다.


반면, Glaser는 자료 속에서 핵심 범주가 발견되고 이론이 나타날 때까지는 문헌 고찰을 하지 말라는 입장이다(Glaser, 1992). Glaser는 사전에 문헌 고찰하는 것이 선입견을 줄 수 있고, 연구자의 선입견에 맞추도록 실제 자료를 강요할 수 있 음을 우려한다. Glaser(1992)에 따르면, 자료를 분석하는 동안 문헌고찰을 하지 않고 책을 덮는다고 해서 그 내용이 어디 가 지 않으며, 실제 자료 속에서 이론이 나타난 후에도 이론과 문헌을 비교하면서 통합할 시간은 충분하다고 설명한다. 또한 자료 속에서 행동 패턴에 대한 가설들이 나온 이후에 문헌을 고찰하는 것이 문헌의 어느 부분을 더 깊게 봐야 하는지를 알 려주게 되어, 문헌 고찰 시간을 단축시킨다는 것이다.



Hutchinson(1986)의 경우에는 두 학자의 절충된 입장을 취 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주된 문제를 발견한 후, 그러나 아직 핵심 범주를 발견하기 전에 문헌 고찰을 하였다. 즉,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에 대한 연구에서 간호사의 주된 관심 문제 “공포”로 고찰하였다. 를 확인한 후에 관련된 문헌을 Hutchinson(1986)은 “의미를 만들어감(creating 문헌 고찰이 meanings)”이란 핵심 범주를 발견하는 데 이론적 민감성을 더 해주었다고 기술하고 있다.



연구 참여자에 대하여 아무런 지식 없이 근거이론을 시작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왜냐하 면 연구 참여자에게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 자체가 어느 정도 알고 있다는 것을 말해주기 때문이다(Cutcliffe, 2000).


무엇보다 근거이론방법론을 적용하며 연구를 진행하면서 놀 라게 된 점은 새로운 앎에 대한 발견이다. 본 연구자는 기존 에 알고는 있었지만 피상적으로 알았던 내용이나 또는 미처 생각하지 못한 새로운 사실들을 실제 자료 속에서 재발견하 며 확인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만성 정신분열병환자들에게 환청이 주증상인 것을 이미 알고 있었고, 환청이 주로 어떤 내용이라는 것도 이미 알고 있었다. 그러나 연구를 진행하면 서 만성 정신분열병환자들의 이야기 속에서 환청이 훨씬 더 많은 의미를 갖고 있음을 알았다. 환청은 단지 정신분열병환 자를 힘들게 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마음을 알아주고 위로 해주는 친구역할을 하고 있었다.


요약하면, 본 연구자는 문헌 고찰에 대하여 Strauss의 견해 를 수용하여 연구자의 경험과 지식을 충분히 이용해서 자료 를 수집했으며, Glaser의 견해를 받아들여 자료 속에서 외로움 에 관한 개념들이 이론적으로 나온 후에 연구의 마지막 단계 에서 외로움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는 방식의 절충안을 선택 했다.


근거이론방법에서 자료 수집 및 분석과정 동안 문헌 고찰 은 어떤 절대적인 기준이 있어서 ‘완전히 하지 말아야’하거나 ‘꼭 해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연구주제에 맞게 연구 자가 선택해야 한다. 연구자가 자신의 선입견이나 편견을 잘 통제할 수 있는 능력(bracketing)에 맞추어, 연구자의 선입견을 자료에 강요하지 않을 수 있다면, 문헌 고찰은 Strauss가 강조 한 것처럼 자료 수집 및 분석의 민감성을 높여주는 유용한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분석 과정


• 중심 현상(또는 기본적인 사회 심리적 문제)과 핵심 범주


근거이론은 앞서 언급한 것처럼 문제 중심적 접근이다. 연 구 참여자의 주된 문제를 연구 참여자들이 스스로 어떻게 해 결해 나가는지를 밝혀서 이론화하는 작업이 근거이론방법론이 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연구 참여자의 주된 문제를 Strauss는 “중심현상(central phenomenon)”이라 하고, Glaser는 “기본적인 사회(심리적) 문제(Basic social-(psychosocial) problem)”라고 부 른다. 이처럼 중심현상(또는 기본적인 사회 심리적 문제)과 핵 심 범주에 관해서는 두 학자가 사용하는 용어의 차이가 있을 뿐 용어 자체가 담고 있는 의미에는 큰 차이가 없다.


중심 현상 또는 기본적인 사회 (심리적) 문제를 해결해 나 가는 것이 바로 “핵심 범주(core category)”이다. 핵심 범주가 과정(process)으로 나타날 경우에 그것을 Glaser는 “기본적인 사회적 과정(basic social process; BSP)”이라고 명명한다. 그러 나 Strauss와 Corbin(1990, 1998)은 핵심범주로서의 “기본적인 사회적 과정(BSP)”이란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기본적인 사 회적 과정이란 개념의 사용여부는 Strauss와 Glaser의 차이점 으로 볼 수 있다.


중심 현상(또는 기본적인 사회 심리적 문제)과 핵심 범주에 관한 부분에서 연구자들이 주의 깊게 생각할 부분은 “중심 현상(또는 기본적인 사회심리적 문제)”과 “핵심 범주” 자체에 대한 혼동이다. 언제부터인지 국내 근거이론방법론에 관한 연 구에서 중심 현상(또는 기본적인 사회 심리적 문제)과 핵심 범주가 혼용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혈우병환자의 적응 과 정에서는(Kim, W. O., 2001) 핵심 범주를 “불확실성”이라는 중심 현상으로 기술하였다. 여성 범죄인의 수형생활 적응 과 정에 관한 연구(Lee, Y. R., 2003)에서는 중심 현상을 “살아가 기”, 핵심 범주를 “고통을 안고 타인과 주고받으며 살아가는 과정”으로 중복 기술하여, 중심 현상과 핵심 범주의 구분이 불명확하다.


핵심 범주가 전혀 기술되지 않은 연구도 있다. 이것은 근거 이론 연구가 마무리 되지 않은 상황과 관련되며, 연구 기간의 한계와 같은 이유 때문에 근거 이론을 구성하는 개념들을 충 분히 포화시키지 않았을 때 생길 수 있다. 핵심 범주가 근거 이론의 핵심이기 때문에, 핵심 범주가 없다면 근거이론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이런 경우에도 비록 온전한 근거 이 론은 아닐지라도 탐색적 수준의 서술 연구로서의 가치가 있 으며, 후속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해줄 수 있다(Hutchinson, 1986).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미혼모가 된 경험과 과정에 관한 연 구(Noh, 2002)에서는 “성관계, 임신, 출산이라는 큰 축을 중심 으로 상위 범주들간의 연합 관계를 형성해 보았다”고 기술하 며, 중심 현상이나 핵심 범주 없이 각 개념간의 연합 관계만 을 기술하고 있다. Choi 등(2003)은 정신간호사의 망상 간호 경험에서 “난감함”이라는 중심현상은 기술하고 있지만, 핵심 범주는 기술하지 않았다. Bai와 Son(2000)은 정신과 간호사의 근무 경험에서 인과적 조건(지원 동기), 중심 현상(갈등), 맥락 (환자에 대한 애정/거부감), 중재 상황(전문지식과 기술, 노력, 지지), 전략(발전을 향한 노력: 지식 추구, 지지 추구), 결과 (가치 발견, 가치 미발견)를 기술하였지만, 핵심 범주에 대한 언급은 없다. 핵심 범주가 없는 경우에는 근거이론이라기 보 다는 근거이론접근법을 이용한 탐색적 서술적 연구로 봐야 한다(Hutchinson, 1986).


그렇다면, 중심 현상과 핵심 범주는 어떻게 기술되어야 하 는지 연구 사례를 통해 정리해보자. 예를 들어, 치매 노인을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에서 중심현상은 “안타까움”이었고, 간 호사가 자신의 “안타까움”을 다루어 나가는 핵심 범주는 “감 싸 안음”이었다(Kim, M. Y., 2001). 또한 정신과 병동 환자의 사고와 관련된 정신간호사의 중심 현상은 “고통”이었고, “고 통”을 다루어 나가는 핵심 범주는 “고통을 견디어 냄”이었다 (Kim, 2000). 외국 문헌에서도 우울증 회복 경험(Schreiber, 1996)에서 기본적인 사회 심리적 문제(이것은 중심 현상을 말 함)는 “우울”이었고, 연구 참여자인 우울증 환자가 자신들의 “우울”을 다루어 나가는 핵심 범주는 “나 자신을 재정의하기 ((Re)Defining my self)”라는 기본적인 사회 심리적 과정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의 근무 경험에 관 한 연구(Hutchinson, 1986)에서, 간호사의 기본적인 사회심리적 문제는 중증 신생아를 돌보는 데서 오는 “공포”였고, 공포 를 다루어나가는 핵심범주는 “의미를 만들어감”이라는 기본적 인 사회심리적 과정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핵심 범주가 하나 의 과정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기본적인 사회심리적 과정 (Basic social psychological process; BSP)이라고 하며, 핵심 범 주로서의 기본적인 사회 심리적 과정은 Glaser(1992, 1998)만 언급한다.




• 축코딩(axial coding)과 이론적 코딩(theoretical coding)


Strauss와 Glaser는 근거이론의 분석과정에서도 차이를 보인 다. 가장 주요한 차이는 축 코딩(axial coding)과 이론적 코딩 (theoretical coding)에 관련된 부분이다.

 

  • Strauss와 Corbin(1990, 1998)은 수집된 자료의 분석 단계로 개방 코딩(open coding), 축 코딩(axial coding), 그리고 선택적 코딩(selective coding)이 란 일련의 과정을 제시하였다. 여기서 축 코딩이란 Strauss와 Corbin(1990, 1998)이 제시한 코딩 패러다임으로 인과적 상황 (causal conditions), 현상(phenomenon), 전후관계(context), 중재 상황(intervening conditions), 작용/상호작용 적 전략 (action/interactional strategies), 결과(consequences)를 포함하는 일련의 개념적 모형이다.

  • 한편, Glaser(1992, 1998)는 개방 코딩선택적 코딩을 사 용하지만, 축 코딩 대신 이론적 코딩(theoretical coding)을 제 시하였다. Glaser(1978, 1992)가 제시한 이론적 코딩은 자료에서 나타난 범주(category)와 범주의 속성(property)간의 개념적 관계를 만들어 내는 지속적인 비교 분석과정이다. Glaser는 그 의 저서 『Theoretical Sensitivity』(1978)에서 18개의 이론적 코딩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Strauss의 축 코딩과 Glaser의 이론적 코딩은 모두 분석한 자료들을 하나의 이론으로 통합하는 방법이며 모델이다. 다만, 여기서 두 학자의 차이를 보면, Strauss는 축 코딩이라는 하나 의 코딩 패러다임만을 제시한 반면에, Glaser(1978, 1998)는 18개의 이론적 코딩 패러다임 중에서 자료에 맞게 하나의 이 론적 코딩을 선택해야 한다는 점이다.



Strauss는 사회학의 질적 분석에서 ‘빵과 버터’로 불릴 정도 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이론적 코딩 방법인 “Six C's: Causes, Contexts, Contingencies, Consequences, Covariances, Conditions” 를 발전시켜 축 코딩을 만들었다(Glaser, 1978). Strauss가 제 시한 축 코딩은 근거이론방법론을 시작하는 연구자들이 좀더 용이하게 근거이론방법론을 적용할 수 있도록 근거이론방법론 을 체계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반면, 자료의 분석과 이론 적 통합 과정에 익숙하지 않은 연구자들이 18개의 이론적 코 딩들 중에서 연구 자료에 맞게 이론적 코딩을 선택해야 하는 Glaser의 방법을 따르기에는 어떤 이론적 코딩을 사용해야 하 는지 선택의 어려움이 있다.


축코딩이나 이론적 코딩 부분에서 연구자들이 기억해야 할 중요한 사실은 축 코딩이나 이론적 코딩에 자신의 자료를 맞 추는 것이 아니라 자료에 맞게 축 코딩이나 이론적 코딩을 사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연구자들은 근거이론의 목적이 실제 자료에서 그 자 료에 근거한 이론을 만들어 내는 것이므로, 언제나 이론적 틀 보다는 자료가 우선되어야 함을 기억해야 한다.


국내에서 행해진 몇 편의 근거이론 연구를 보면, 자료보다 분석적 틀이 우선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Kim(2000)은 자료 분석방법에서 “2단계 축코딩에서는 각 범 주간의 관계를 좀 더 포괄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인과적 상 황, 현상, 전후 관계, 중재적 상황, 작용/상호작용 전략, 결과 의 근거이론 틀로 분석하면서 각 범주를 연결하였고”라고 기 술하였다. 이처럼 축 코딩을 먼저 설정하고, 그 틀에 맞추어 자료를 분석하는 것은 연구 자료에 맞는 다양화된 이론을 만들기보 다는 축 코딩에 맞는 이론만을 만들어 내기 쉽다. 자료를 분 석할 때 미리 머릿속에 축 코딩이라는 하나의 틀을 갖고, 축 코딩에 맞게 자료를 엄격하게 끼워 맞추는 것은 Strauss와 Glaser가 본래 의도한 근거이론방법론의 목적에도 맞지 않는 다.


다시  말하면, 축 코딩을 사용하더라도 자료에 맞게 필요에 따라서는 코딩  패러다임을  변화시켜야  한다.  한  예로,  임종환자를  돌보는  병원  간호사의  경험에  관한  연구(Lee,  M.  S., 2003)에서는  근거이론분석방법으로  Glaser와  Strauss(1967)와 Strauss와  Corbin(1990)의  두  가지  분석  방법  모두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자료를  축  코딩의  패러다임에  맞추기  보다는  자료에서  나타나는  그대로  세  단계의  과정(감정에  충실하기,  자신 추스르기,  죽음  애도하기)으로  기술하였다.  여기서  연구자는 계속적인  비교  분석을  하면서  개념을  뽑아내고  개념간의  관계를  발견한  후에  그  가설적  유형에  맞게  하나의  ‘과정(process)’이라는  이론적  코딩  방법을  사용하여  기술하였다. 



결론 및 제언


1960년대 Strauss와 Glaser에 의해서 사회학 분야에서 근거 발달되었다. 이론방법론이 간호학 분야에서는 1980년대부터 질적 방법이 연구 방법으로 활발히 이용되기 시작하였다(Shin, 1994).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근거이론방법론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 분 Strauss와 Corbin(1990, 1998)의 분석방법을 주로 사용해오 고 있다. 그러나 근거이론방법론을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자는 근거이론방법론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Strauss와 Glaser가 근거이론방법론에 대하여 서로 다른 견해 차이를 가지고 있 음을 주목해야 한다.


본 연구자는 근거이론방법론의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자를 위하여 네 가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연구자는 먼저 자신이 연구하고자 하는 연구 주제와 목적이 근거이론방법론과 적합한지 고려해야 한다. 같은 질적 연구라 하더라도 현상학적 연구방법과 근거이론방법론은 서로 의 지향점이 다르다. 현상학적 연구의 목적이 연구 참여자의 의식에 비추어진 그대로 경험적 현상의 본질을 찾는 데 있다 면, 근거이론방법론은 살아있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실제 자료 속에서 귀납적으로 이론을 개발하는 것이다(Baker, Wuest, & Stern, 1992). 근거이론방법론은 자료 속에서 개념들을 발견 하고, 개념간의 관계를 발견하여 그 개념간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가설 진술들을 만들고 그 가설 진술들을 통합해서 실제 현상을 기술하고 설명할 수 있는 근거 이론을 만들어 낸다. 이와 같이 근거이론방법론은 말 그대로 자료에 근거해 서 이론을 귀납적으로 만들어 내는 질적 분석 방법이다.


둘째, 자신의 연구 목적에 근거이론방법론이 적합하다면, 근거이론방법론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연구 주제 선정, 면담 질문, 문헌 고찰, 그리고 분석 과정에서 Strauss의 입장을 따 를 것인지, Glaser의 입장을 따를 것인지, 아니면 두 학자의 입장을 절충해서 연구를 진행할 것인지, 자신의 연구 방향을 정해야 한다. 그리고 연구자는 자신의 선입견이 연구 현상으 로부터 자료를 얻어내는 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주의하며, 자 료에서 주요 개념들이 자연스럽게 나타날 수 있도록 면담 질문과 문헌 고찰을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또한 연구자는 자료 에서 나타난 개념이 포화될 수 있도록 면담 질문을 점점 구 조화하며 자료를 수집해야 한다.


셋째, 융통성 있는 개념적 모형을 선택하여 이론적 코딩을 한다. 해야 국내에서 근거이론방법론을 적용한 논문들은 Strauss와 Corbin(1990, 1998)의 근거이론방법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축 코딩만을 주된 개념적 모형으로 사용해왔는데, 축 코 딩을 사용하더라도 자료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융통성을 가 져야 한다. 또한 연구 자료에서 나타난 개념간의 관계를 잘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코딩을 신중하게 선택하는 과정이 필 요하다.


넷째, 근거이론방법론을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자는 다른 질 적 연구와 마찬가지로 연구 참여자를 포함한 연구 현상에 대 하여 진정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 연구자의 연구 태도는 질적 연구의 전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근거이론방법론의 목적이 연구하고자 하는 실제 현상을 제대로 기술하고, 설명할 수 있 는 이론을 개발하는 것이므로, 연구자가 자료 수집 및 분석 과정에서 자신의 연구 현상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그 자체가 자료 수집의 민감성을 높이는 도구가 된다.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근거이론의 철학적 배경과 방법론적 특성에 대한 고찰

An Inquiry on the Philosophical Backgrounds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ed Theory a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이동성(Lee Dongsung) , 김영천(Kim Youngchun) 저

간행물명 : 열린교육연구
권/호 : 열린교육연구 제20집 제2호 / 2012 / 1~26 (26pages)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간행물유형 : 학술저널
주제분류 : 교육학
파일형식 : PDF

초록

한국어초록
이 연구는 교육연구자들에게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근거이론(grounded theory)에 대한 철학적 및 방법론적 지식과 이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우리는 근거이론의 철학적 배경을 고찰하기 위하여 근거이론의 철학적 기초로 볼 수 있는 프래그머티즘(pragmatism)과 상징적 상호작용론(symbolic interactionism)의 인식론적 및 존재론적 전제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철학적 배경에 터하여 Glaser와 Strauss가 창안한 근거이론의 원형(prototype)을 조명하고, 근거이론방법론(grounded theory methodology)의 상이한 네 가지 분기(分岐)와 쟁점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 연구는 근거이론의 방법론적 특성을 포착하기 위해서 개방 코딩과 축 코딩 그리고 선택적 코딩으로 불리는 구별적인 분석절차를 명확히 설명하고, 근거이론 연구물의 질에 대한 평가준거들(criteria)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국내 교육연구자들에게 근거이론에 대한 방법론적 시사점을 제공함으로써 질적 교육연구를 위한 방법적 토대가 될 것이다.
영어 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philosophical and methodological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grounded theory a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education researchers.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premises of pragmatism and symbolic interactionism, which has philosophical backgrounds of grounded theory methodology(GTM). Also, we examined Glaser & Strauss(1967)’s “Discovery” as a prototype of GTM, and scrutinized respective ramifications(Glaserian, Straussian, Charmazian, SA of Clarke) and issues of GTM. In addition, this paper articulates discriminative analytic procedures, such as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It also comprehensively examined evaluation criteria of GTM products for capturing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be a methodological cornerstone to promote qualitative education research through suggesting methodological implications on the GTM to education researchers.


근거이론의 개념과 연구방법(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최 지 영(나사렛대학교 교수)





1. 서론


질적 연구(qualitative research)란 통계적 과정이나 다른 양적 방법으로 얻어질 수 없는 성과를 가져올 수 있는 특수한 연구방법으로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집한 자료들로부터 비수학적 분석과정으로 결과물을 추출하는 연구 방법이다. Creswell(1998)은 대표적인 질 적 연구로서 전기, 현상학적 연구, 근거이론 연구, 문화기술지, 사례연구 등을 들었다. 주로 사회과학이나 행동과학 연구 분야의 연구자들, 그리고 인간 행동과 기능에 관한 문제들과 관련된 분야의 종사자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질적 연구는 제한된 맥락에서 연구자가 가 설적으로 설정한 관계(특히 상관관계나 인과관계)의 타당성을 입증해 보이는 데 치중을 하 는 양적 연구와는 방법론에 있어서 서로 상이하나, 오히려 그러한 점 때문에 양자가 상호보 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어떠한 현상을 수반한 경험들의 본질을 밝히려는 의도를 가진 연구에는 질적 연구방법이 효과적인데, 이는 질적 연구방법이 어떤 현상 뒤에 놓인 거 의 알려지지 않은 것들을 밝히고 이해하는 데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며, 이미 상당히 알려 진 것들에 대해서도 새로운 시각을 얻을 수 있고, 양적 연구방법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복 잡한 현상에 관해 상세한 설명을 해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원래 인간의 생활이나 내면세계 란 양적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키는 조건이라 할 수 있는 ‘만일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이라는 실험적 전제가 성립하지 않으므로(조용환, 1999), 현장연구를 통한 심리학적 접근을 가능하게 해주는 질적 연구는 똑같은 현상에 대한 다양한 원인을 밝혀내어 그에 따른 상담 의 치료적 접근을 제공해준다는 면에서 상담학을 연구하는 데 있어 매우 적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질적 연구의 기본 요소로는 면담과 관찰을 통한 자료 수집, 연구결과를 도출시 키는 분석과 해석절차, 그리고 서면 혹은 구두보고 등을 들 수 있다.


질적 연구의 접근방식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의 의견 차이가 있어 왔는데, 일부 학자들은 연구자가 연구 자료를 분석하거나 해석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를 보여주어야 한다고 하며, 또 다른 학자들은 연구자가 자신의 해석을 통해 자료와 결과를 정확히 묘사해야 한다고 주 장한다. 그리고 이외에도 이론 정립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학자들이 있어 자료를 해석하고 개념화하여 사실과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공식화하는 방법을 택하게 되는데, 근거이론 접근 법은 바로 이러한 연구 방법이다(Strauss & Corbin, 1990).




2. 근거이론의 기초


근거이론은 기존의 이론이나 이미 정의된 개념으로부터 시작하지 않는다. 근거이론은 그 현상에 적합한 개념적인 틀이 아직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고 개념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거나 특정한 문제에 대한 반복연구가 수행되지 않아 적합한 변수들과 적합치 않은 변 수들을 결정할 수 없을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Stern(1980)은 근거이론 접근방법은 체계적 이며 과정을 적용하여 궁극적으로 근거이론 방법론을 개발하는 것, 즉 특별한 현상을 이론 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근거이론 방법론은 사회심리학자인 Mead(1934)가 창시하였고 그의 제자 Blumer(1969) 가 발전시킨 상징적 상호작용론에 철학적 근거를 두고 있다(Munhall, 2001). 상징적 상호작용론은 상징적 의사소통을 통해 개인과 사회와의 관계를 설명한다(Milliken & Schreiber, 2003). 즉 개인이 어떻게 느끼고 경험하고 사회적 구조에 의미를 부여하는가를 조사하고 가족, 집단, 조직, 지역사회가 독특한 상황에 어떻게 의미를 부여하는가에 관심을 갖는다(신경림 외, 2004). 이러한 상징적 상호작용론자들의 주장에 근거하여 Glaser와 Strauss(1967)는 근거이론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근거이론 접근방법의 주요 특징을 Strauss와 Corbin(1990)의 설명을 중심으로 간략히 기술하기로 한다.



1) 연구문제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는 주목적은 이론을 정립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현상을 깊이 탐구 하기 위한 자유스럽고 유동성 있는 연구 질문이 필요하다. 근거이론 방법에서의 연구문제는 “특정상황이나 어떤 조건하에서 상호작용과 그 상호작용으로 인해 초래된 결과 등을 설명하 는 기본적인 사회 심리적 과정은 무엇인가?”이다.


2) 이론적 민감성


이론적 민감성이란 자료 속에서 중요한 것을 알아보고 그것에 의미를 부여할 줄 아는 연 구자의 능력으로 전문적인 경험 및 개인적인 경험과 학문적인 문헌으로부터 형성된다. 또한 이론적인 민감성은 분석과정 그 자체에서도 중요한데, 즉 자료를 수집하고 자료에 대해 질 문을 던져서 비교하고 자신이 본 것에 대해 생각하면서 가설을 세우고, 개념과 그들의 연관 성에 대해 잠정적으로 이론적인 기틀을 세워나가는 과정에서도 이론적인 민감성인 이해와 통찰력이 요구된다.


3) 문헌고찰


근거이론에서의 문헌고찰은 자료 분석을 좀더 완벽하게 하기 위해서 수행되어지는 계속 적인 과정으로, 완전한 진리라기보다는 하나의 자료로서 취급되어진다는 특징을 가진다. 또 한 연구의 종결부에 가서는 연구자는 기존의 문헌에서 얻게 되는 상황적 맥락에 의해서 자 신이 도출한 이론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4) 부호화


(1) 개방 코딩 (open coding)


개방코딩은 면밀한 자료검토를 통해 현상에 이름을 붙이고 범주화시키는 일종의 분석 작 업이다. 범주화란 똑같은 현상에 속하는 것처럼 보이는 개념들을 그룹 짓는 과정을 말하는데, 범주를 발전시키기 시작할 때에는 그 속성에 의거해서 하게 되며, 그 때 속성은 일정하게 차 원화된다. 즉 속성은 범주의 특성이고 차원은 연속선상에서 속성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2) 축 코딩 (axial coding)


축 코딩은 범주나 하위범주들을 패러다임에 따라 관계를 짓는 것이다. 즉 범주들은 인과 적 조건, 현상, 맥락, 중재적 조건, 작용․상호작용 전략, 결과들을 나타내는 범주에 따라 연 결된다(그림 1)

      • 현상(phenomena)은 어떤 작용․상호작용에 의해 다루어지고 조절되거나 관 계를 맺고 있는 중심 생각이나 사건들이다. 

      • 인과적 조건(causal condition)은 어떤 현상을 일어나게 하거나 발전하도록 하는 사건을 말한다. 

      • 맥락(context)은 어떤 현상이 놓여져 있는 일련의 속성들의 구체적인 나열이며, 

      • 중재적 조건(intervening condition)은 특정한 맥락 내 에서 취해지는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촉진하거나 억제하기 위해 작용하는 조건이다. 

      • 작용․상 호작용 전략(action․interaction strategy)은 현상을 다루고 조절하고 수행하고 반응하는 데 쓰이는 전략이며, 연속적이며 과정적인 특성이 있다. 

      • 결과(consequence)는 작용․상호작용 전 략에 따른 결과를 말한다. 


축 코딩을 하는 동안에 연역적으로 제안된 모든 가설적인 관계는 계속 얻어지는 자료와 반복적으로 대조, 검증될 때까지 임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한다.


(3) 선택 코딩(selective coding)


선택 코딩은 핵심범주를 선택하고 핵심범주와 다른 범주들을 연결시킨 관계에 대한 진술 문을 만들고 그러한 관계진술문에 대해서 확인하면서 범주를 좀 더 정련화시키는 과정이다. 즉 모든 범주들이 하나의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통합되어 하나의 이론이 구축되는 과정으로 서, 이야기 윤곽을 통해 핵심 범주를 찾아내고, 중심 현상과 다른 범주들과의 관계를 통해 유형을 분석하고, 가설적 관계 진술문을 만든 후 가설을 도출하여 근거이론으로 제시를 한 다.





5) 과정(process)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작용․상호작용을 순서적으로 연결시켜 놓은 것이 과정이다. 이 과정 은 작용․상호작용이 중재적 상황 변수의 영향을 받아 변화하면서 이러한 변화에 따른 결과 의 양상까지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과정은 진행적인 특성이 있고 목표를 지향하는 의도 적인 과정이며, 주로 기(phase)나 단계(stage)로 표기한다.


6) 상황모형(conditional matrix)


상황모형은 연구과정을 통해서 나온 결과를 요약하고 통합할 수 있는 기틀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상황적 조건(인과적, 맥락적, 중재적)과 결과가 작용․상호작용과 얽 혀서 어떻게 관계를 맺고 있는가를 설명하는 마지막 단계이다. 상황모형은 상황경로를 따라 가면서 도식화할 수 있는데, 다양한 수준에 있는 각각의 조건적 상황과 작용․상호작용의 다 양한 수준에 따라 결과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추적하는 것이 상황경로이다.


과정코딩이나 상황모형에 대해서는 Strauss와 Glaser 간에 이견이 있다. Strauss는 이 것들을 제안하는 데 반해 Glaser는 반대하는 입장이다. 그러나 둘 다 선택 코딩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으며 선택코딩을 거친 이론제시야말로 근거이론의 핵심부분이다. 만일 개방코딩 및 축코딩과 그에 따른 유형을 분석하여 제시하는 것으로 연구를 마친다면, 이는 Strauss와 Corbin이 그들의 책에서도 주장하는 바와 같이 질적 연구일 뿐 근거이론은 아닌 것이다. 질 적 연구를 함에 있어서 근거이론의 코딩 개념을 사용하여 수집한 자료들을 개념화하는 데에 는 도움을 받을 것을 장려하지만 그것만으로는 근거이론이 될 수 없음을 저자들은 명시하고 있다.




3. 근거이론 연구의 진행과정


근거이론 연구의 진행은 예비 조사, 연구 설계, 자료 수집, 자료 분석, 결과 해석 및 글쓰기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이를 간단히 정리하면 그림 2와 같다(최지영, 2008).




4. 근거이론의 실제


논문 “결혼과정을 통해서 본 모-자녀 관계변화에 관한 질적 연구: 기독교가정을 중심으 로”(최지영, 2009)를 통하여 근거이론의 실제적 적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1) 서론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의 결혼과정에서 나타나는 모-자녀 관계변화의 과정적 탐색을 통 해 모-자녀 관계변화의 패턴을 발견하고, 이를 기초로 ‘결혼과정을 통해서 본 모-자녀 관계 모형’을 제안하는 것이다.


2) 연구방법


근거이론 접근방법은 그 현상에 적합한 개념적인 틀이 아직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고 개 념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거나 특정한 문제에 대한 반복연구가 수행되지 않아 적합 한 변수들과 적합치 않은 변수들을 결정할 수 없을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Strauss와 Corbin(1990)이 제시한 근거이론방법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근거이론으로 수행한 이유는 

      • 첫째, 결혼과정에 대한 선행연구가 미비한 상태에서 실체이론을 개발하기 위 해서이며, 

      • 둘째, 연구 질문이 과정에 관한 것일 경우 가장 적합한 방법이기 때문이고, 

      • 셋째, 결혼과정에 나타나는 모-자녀관계를 시간의 흐름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서, 환경, 신앙 등 요소들의 상호작용적 관점에서 보기위해서는 상징적 상호작용주의로부터 비롯된 근거이론이 적합한 연구방법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대


본 연구에서는 Strauss와 Corbin(1990)이 제시한 이론적 표본추출(theoretical sampling) 방법에 따라 연구대상을 선정하였다. 개방적 표본추출(open sampling)을 위해 기독교가정 중에서 결혼과정을 경험한 사람들에 대한 관찰과 인터뷰를 통해 자녀 12명과 그들의 어머니 12명 등 총 24명을 선정하였는데, 이들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연관적이고 다 양한 표본추출(relational and variational sampling)을 위해 이론적으로 관련 있는 개념들 을 기초로 하여 아들과 딸을 고루 선정하였으며, 또한 결혼기간을 염두에 두어 신혼기 자 녀, 결혼 5년 이내 자녀, 10년 이내 자녀, 10년 이상 된 자녀들을 고루 면접하였다. 결혼한 지 오랜 시간이 지난 사람도 연구대상으로 포함한 이유는 시간의 경과에 의한 결혼과정 인 식의 차이를 알아보고 결혼과정에 대한 해석적 논의의 자료를 얻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그 들을 심층면접 할 때에는 결혼과정을 경험했던 시기를 중심으로 면접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차별적 표본추출(discriminate sampling)을 위해서는 부족하게 발전된 범주를 메우기 위한 보충질의 및 사후관찰을 통한 보충자료를 수집하였다. 면접을 실시할 때에는 솔직한 마음을 털어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어머니와 자녀를 따로 면접을 하였으며, 면접 내용은 녹음되 며 전사될 것임을 밝히고 허락을 받았다.



연구절차


예비조사는 2006년 10월에 결혼준비과정 중에 있는 아들과 어머니, 그리고 결혼한 지 3 년 된 딸과 어머니 등 4명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예비조사에서 얻게 된 사전 지식을 기초로 본 연구의 연구 질문을 확립하여 본 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면접을 실시하는 도중에도 즉각 적인 자료 분석을 통해 면접 질문을 지속적으로 수정시켜 나갔다. 본 면접은 2007년 1월부 터 5월까지 진행되었다. 연구자는 범주의 포화가 일어날 때까지 기독교가정의 자녀 12명(아 들 6명, 딸 6명)과 그들의 어머니 12명 등 총 24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였는데 각 면 접에 소요된 시간은 평균 1시간 30분가량 이었으며 전사한 원자료는 A4용지 315장 분량이 었다.


연구 질문의 기본적인 범주는 다음과 같다. 

① 결혼 전 어머니(자녀)와는 어떤 사이였는 가? 다른 가족들과의 관계는 어떠했는가? 가족분위기는 어떠했는가? 

...

⑧ 결혼(자녀의  결혼)이  자신에게  있어서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그러나 이는 기본적인 질문의 범주일 뿐이며 개방적인 태도를 유지하여 참여자들의 이야기 흐름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노력하였고, 또한 관찰한 내용들을 확인하기위한 질문들이 연구대상자들 개인에 따라 각기 다른 질문의 형태로 추가되었다.


연구대상자에 대한 면접은 연구자 1인이 실시하였고 코딩의 객관성을 위하여 연구자와 다른 분석가 1인이 각기 코딩한 결과물을 상호비교하면서 통합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후 상 담전문가 3인과의 논의과정을 거쳐 범주를 확정했으며 연구대상자 6인에게 결과물을 알리 고 승인을 받았다.


본 연구의 평가를 위해 근거이론연구의 평가방법으로 Strauss와 Corbin(2001)이 제시한 

        • 첫째, 타당성, 신뢰성, 신빙성, 

        • 둘째, 이론 그 자체에 대한 판단, 

        • 셋째, 연구 과정의 적절성, 

        • 넷째, 연구의 경험적 근거 

등의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삼각검증법을 포함하여 분석의 각 과정마다 다른 분석가와 논의하며 수정 보완 작업을 하며 확인과 검증을 거쳐 연구를 진행 하였다.



3) 연구결과


개방코딩: 근거자료 분석에 의한 개념 및 개념의 범주화


근거 자료의 분석을 통해 자녀의 경우는 50개의 개념을 얻을 수 있었으며, 비슷한 개념 끼리 서로 묶은 결과 얻게 된 범주는 25개가 나타났다. 어머니의 경우는 50개의 개념과 28 개의 범주가 나타났다.




축 코딩: 근거이론 패러다임에 따른 범주 분석


이번에는  자녀의  관점과  어머니의  관점의  두  패러다임  모형을  통합하여  도식화하고자  한다.  통합모형에서  자녀의  패러다임  모형은  상단부에,  어머니의  패러다임  모형은  하단부에 배치하였다.  자녀의  패러다임  모형과  어머니의  패러다임  모형이  중첩되는  부분은  둘  사이의 공통점을  나타내며,  나머지  부분은  둘  사이의  차이점을  나타낸다.  두  모형에  있어서  맥락은 동일하였기  때문에  그림  3과  같이  도식화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작업은  자녀와  어머니의  두 가지  관점에  대한  비교  분석을  더욱  용이하게  해준다. 



택코딩: 결혼과정을 통해서 본 모-자녀 관계변화에 관한 근거이론 제시


야기 윤곽


선택 코딩 단계에서는 ‘결혼과정을 통해서 본 모-자녀 관계변화’에 대한 근거이론을 제 시하기 위하여 먼저 자녀와 어머니 각각의 이야기 윤곽을 만든 후, 그 둘을 통합하여 통합 적 이야기 윤곽을 제시하고 핵심범주를 선택하였다. 통합적 이야기 윤곽은 다음과 같다.


결혼과정을 경험하는 기독교가정의 자녀와 어머니는...


근거이론 제시


핵심범주를 토대로 근거 이론을 개발하기 위해서 가설적 정형화 단계를 거쳤다. 가설적 정형화를 위하여서는 각 사례들 사이에서 발견되는 패턴을 확인하고 자료를 그룹 짓는 과정 에서, 경계(boundary)와 권력(power)이 중요한 단서가 됨을 발견하여, 그 둘을 통합한 범주 로서 어머니의 경우는 ‘통제’, ‘의존’, ‘의례’, ‘희생’의 4가지 범주로 구분하고 그 각각에 대 한 자녀의 경우는 ‘통제’, ‘거부’, ‘의존’, ‘의례’의 4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전개해 나간 결과, 16가지 경우를 가설적으로 정형화할 수 있었다(표 3).





이러한 16가지 가설적 정형화 결과에 기초하여 그에 해당하는 16가지 가설적 관계진술 문을 만들고, 마지막으로 가설적 관계진술문을 가지고 다시 근거자료로 돌아가 비교함으로 써 7가지 유형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결혼과정을 통해서 본 모-자녀 관계변 화’ 이론으로서 연구자는 이상에서 발견한 7가지 유형을 근거 이론으로 제시하는 바이다(표 4). 각 유형별 전형적 사례의 예는 다음과 같다.


[통제상실형/ 통제형/ 상호의존형/ 독립형/ 의례형/ 희생형/ 동일시형의 전형적 사례제시]






상황모형


상황모형은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통합할 수 있는 기틀을 제시하는 단계로 다양한 종류의 상황적 조건과 결과가 작용/상호작용 전략과 얽혀서 어떻게 관계를 맺고 있는가를 설명하는, 모든 범주를 통합하는 마지막 단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결혼과정을 통해서 본 모 -자녀 관계변화’의 상황모형을 그림 4와 같이 제시하였다.


상황모형에서는 통합 패러다임모형에서의 현상을 맨 왼쪽에 그림으로 나타내었으며 모- 자녀 관계변화 유형을 맨 오른쪽에 나타내었다. 나선형의 선은 통합 패러다임 모형의 결과 부분에 나타난 범주들을 작용, 상호작용, 모-자녀 관계변화 차원으로 분류한 후 배치한 것 이며, 모형의 한가운데에서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흐르는 화살표의 가운데에 배치된 범 주들은 중재조건들이다. 또한 각 중재조건들로부터 위아래로 연결된 화살표를 따라가 보면 그에 해당하는 전략들이 배치되어 있다. 상황모형의 내용을 묘사해 본다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결혼을 과정적 관점에서 바라보며 근거이론을 통해 결혼과정에서의 어머니와 자녀의 관계변화 유형을 도출하였다. 이전 연구들에서 결혼과정에 관한 연구를 찾아보기는 어려운 실정이므로 각 유형별 주요 특성(표 5) 및 전형적 사례에 대한 해석적 논의를 하고 어머니와 자녀의 차이점을 살펴본 후 ‘결혼과정을 통해서 본 모-자녀 관계모형’을 제안하고 자 한다.







유형별 특성


어머니와 자녀의 차이비교


‘결혼과정을 통해서 본 모-자녀 관계모형’ 제안


연구자는 근거자료를 분석하여 도출한 요인들을 도식화하여 ‘결혼과정을 통해서 본 모- 자녀 관계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근거자료에 나타난 다양한 범주와 속성들 중에서 모-자녀 관계를 도식화하기에 적합한 요소들을 찾아내었다.













국문 제목 

근거이론의 개념과 연구방법

저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발행일 

2012-09-21

Subject  

사회보장

Link 

http://repository.kihasa.re.kr:8080/handle/201002/12580

소속

6. 회의자료 > 회의자료

등록일

2014-07-22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근거이론의 철학적 배경과 방법론적 특성에 대한 고찰 (열린교육연구, 2012)

이동성*·김영천**







Ⅰ. 들어가며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은 특정한 사회현상에 대하여 알려진 사실이 거의 없거나 혹은 기존의 사회현상에 대하여 새로운 이해를 얻기 위해서 실제적 분야를 탐색하는 질적 연구방법론이다. 즉, 근거이론은 여타 연구방법론을 통해서 포착하기 어려운 인간 및 조직 의 사회적, 심리적, 구조적 현상(기본적 사회 과정: Basic Social Process 이하 BSP, 기 본적 사회․심리적 과정: Basic Social Psychological Process, 기본적 사회․구조 과정: Basic Social Structural Process)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질적 연구방법론이다(Morse, 2001: 14-23). 이러한 근거이론은 연구자와 독자들에게 특정한 사회현상에 대하여 직관 력을 제공하고, 이해를 강화함으로써 인간의 행위(action)와 상호작용(interaction)에 대한 의미 있는 통찰을 제공해 줄 수 있다(Strauss & Corbin, 1998: 10-11). 따라서 근거이론 은 인간의 행위와 상호작용을 둘러싼 과정(process)과 궤적(trajectory)에 대하여 추상적 개념화와 이론화를 시도하여 사회적 실재에 대한 실체적 이론(substantive theory)뿐만 아니라, 형식적 이론(formal theory)을 생성할 수 있는 유용한 질적 연구방법론으로 평가 받고 있다(Stern, 2001: 14).


이와 같은 특성과 장점 때문에 근거이론방법론(Grounded Theory Methodology)은 북 미를 포함한 전 세계에서 가장 대표적인 질적 연구방법론이 되었으며, 최근에는 교육학, 간호학, 경영학, 가족학, 노인학, 사회사업, 여성학, 문화연구 등의 사회과학 분야에서 각광 받고 있다(Strauss & Corbin, 1997: Bryant & Charmaz, 2007; Morse, et al., 2009). 또한, 근거이론방법론의 코딩방법은 질적 연구에서 대표적인 분석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문화기술지(ethnography)의 방법론적 명성과 권위를 넘어서는 근거이론방법론은 오늘날 사회과학 연구자들 사이에서 방법론적 쟁점과 논쟁을 야기하고 있다(Charmaz, 2006). 근거이론방법론을 둘러싼 논쟁의 핵심은 근거이론의 뿌리로 볼 수 있는 철학적 배 경의 난해함과 방법론적 다양성 및 복잡성에 있다. 서구에서는 최근 철학적 배경의 난해 함과 방법론적 다양성 및 복잡성 때문에 근거이론방법론과 근거이론 연구의 질에 대한 평 가준거가 이슈화되고 있다.


국내의 근거이론방법론 수용은 위와 같은 서구의 방법론적 쟁점과 논쟁으로부터 자유로 운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원인은 근거이론방법론에 대한 국내 연구자들의 심층적 이해에 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근거이론방법론이 질적 연구에서의 자료 분석을 위한 하나의 방 법적 도구나 기법으로 간주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국내의 근거이론 연구동향은 주로 방법적 절차와 기법을 강조하는 Strauss와 Corbin(1990, 1998, 2008)의 버전(version)에 편중되어 있다. 질적 연구에서의 자료 분석은 창의적이고 역동적이며, 유동적이고 유연성 이 있기 때문에 정형화된 방법이 있을 수 없다(Strauss & Corbin, 1998). 하지만 그들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절차와 기법을 강조하는 Strauss와 Corbin(1990, 1998, 2008)의 버 전은 한국의 질적 연구자들에게 압도적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근거이론방법론을 활용하는 국내의 일부 교육연구는 근거이론의 철학적 배경과 방법론적 특성을 간과하고, 주어진 절차와 기법에 기초하여 자료를 대입하 거나 치환하는 방법론적 오류를 범하고 있다. 손행미(2009)는 국내 학문영역(간호학, 사회 복지학, 교육학, 심리학, 행정학, 광고홍보학 등)에서 근거이론을 활용한 논문분석을 통하 여 이와 같은 사실을 입증하였다. 즉, 국내 근거이론 연구동향은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한 범주들 사이의 개념적 관련성이 미흡하고, 패러다임 모형을 과정분석으로 오해하는 경향 이 있었다. 또한, 그녀는 근거이론방법론에 기초한 국내의 질적 연구물들이 특수한 연구목 적과 연구주제에 부합하지 않게 방법론을 선택하여서, 연구결과의 진정성과 깊이가 결여되어 있다고 주장하였다(손행미, 2009).


이와 같은 국내의 수용은 1960년대 미국에서 출현한 근거이론의 철학적 배경과 방법론 적 특성에 대한 고찰이 상대적으로 미흡하였기 때문이다. 다행스럽게도, 비교적 최근에는 근거이론방법론을 둘러싼 Strauss와 Glaser의 방법론적 차이를 비교하거나(최귀순, 2005; 김인숙, 2011), 특정한 학문영역에서 근거이론이 기여할 수 있는 방법론적 특성을 주목하 고 있다(이숙정․이경아, 2007; 김성곤, 2011). 특히, 이명선(2009)은 Blumer(1969)의 저 작을 중심으로 근거이론방법론의 인식론적 및 존재론적 배경으로 볼 수 있는 상징적 상호 작용론(symbolic interactionism)을 국내의 간호학 연구자들에게 소개하기도 하였다.


Ⅱ. 근거이론의 철학적 배경과 발전


1. 프래그머티즘과 상징적 상호작용론


2. 근거이론의 생성과 원형(prototype): ‘discovery’를 중심으로


3. 근거이론방법론의 분기와 쟁점: 방법론적 논쟁과 제2세대의 출현


가. 근거이론방법론의 분기: Strauss의 근거이론방법론에 대한 Glaser의 비판


나. 제2세대의 출현과 변형적 근거이론방법론





Ⅲ. 근거이론의 방법론적 특성: 분석절차와 평가준거


1. 근거이론의 분석절차: 개방 코딩, 축, 코딩, 선택 코딩을 중심으로


근거이론의 분석절차를 살펴보기에 앞서 방법론(methodology)과 방법(method) 그리고 코딩(coding)에 대한 용어의 정의를 밝히고자 한다. 

  • 방법론은 연구자가 사회적 실재에 대 하여 생각하고 연구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세계에 대한 사고방법 및 관찰방법을 제공한다 (Strauss & Corbin, 1998: 3-4; Corbin & Strauss, 2008: 1). 그리고 방법론은 연구자 에게 연구수행을 위한 능력과 통찰을 제공한다(Strauss & Corbin, 1998: 7). 

  • 방법은 사회 적 실재를 해명하기 위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일련의 절차(procedure)와 기법 (technique)을 말한다. 절차와 기법은 연구자의 통찰력을 현실로 구현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 그리고 코딩은 자료(data)를 분해하고 개념화하며, 이론을 생성하기 위해서 개 념들을 통합하는 분석의 과정이다(Strauss & Corbin, 1998: 3). 즉, 이론의 검증보다 이 론의 구축을 목적으로 하는 코딩은 연구자에게 분석적 도구를 제공하며, 비판적 생각과 창의적 사고를 자극함으로써 이론 생성의 토대가 되는 개념(concept)을 발견하고, 발전시 킨다.


근거이론방법론에서의 이론화 작업(theorizing)은 개념정리(conceptual 시작된다(Strauss & Corbin, 1998). 개념정리란 개념을 속성(properties)과 (dimension)에 따라 조직하고, 등급을 매기는 분석 작업을 지칭한다(Strauss & Corbin, 1998: 3). 개념정리를 통한 이론화 작업은 개념을 직관적으로 구상하고, 개념들을 논리적, 체계적, 설명적 도식으로 연결시킨다. 근거이론에서의 이론화 작업은 흔히 자료로부터 이 론을 생성하는 귀납적 방식으로 특징지어진다. 그러나 분석의 과정을 면밀히 살펴보면, 이 론화 작업의 핵심은 자료로부터 개념과 속성 그리고 차원을 이끌어 내는 귀납(induction) 과 개념들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가설을 수립하는 연역(deduction) 사고활동의 상호작용 을 통한 ‘개념적 삼단논법(abduction)’이다(Strauss & Corbin, 1998: 19-20). 개념적 삼 단논법에 기초한 이론화 작업은 특정한 연구주제에 대한 설명과 예측을 제공하며, 높은 수준의 개념적 추상화를 지향한다(Charmaz, 2006).


가. 개방 코딩(open coding)


개방 코딩은 근거이론을 생성하기 위한 근거이론방법론의 기초단계로서 학자들(Glaser, Charmaz)에 따라 ‘초기 코딩(initial coding)’으로 불리기도 한다. 개방 코딩은 텍스트를 열어 젖혀서 자료로부터 사고와 의미를 드러내는데 있다. 즉, 개방 코딩의 목적은 자료로 부터 특정한 개념(코드-하위범주-범주-핵심범주)을 밝히고, 개념들의 속성과 차원을 발견 해 나가는 분석의 과정이다. 

        • 여기에서 범주란 현상(phenomena)을 대표하는 개념을 의미 한다. 

        • 현상은 자료로부터 생성되는 분석적 개념으로서 “여기에서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 가?”에 대한 대답이며, BSP를 밝히기 위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문제(problem), 쟁점 (issue), 중심사건(central event)에 주목한다. 

        • 그리고 속성이란 범주의 특성, 정의, 의미를 지칭하며, 

        • 차원이란 범주의 속성이 변화되는 범위를 말한다. 차원은 범주에 구체성을 부여 하고, 이론에 변화를 준다(Strauss & Corbin, 1998: 91-106).


개방 코딩은 질적 및 양적 자료에 대한 분석도구로서 미시분석(micro-analysis)을 강조 한다. 

        • 여기에서 분석도구란 연구자가 코딩 과정을 촉진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와 기법을 의미한다. 

        • 그리고 미시분석이란 원 자료(raw data)를 대상으로 단어(word), 줄(line), 문장 (구문), 문단, 문서전체 단위의 분석을 통하여 특정한 개념과 하위범주들(sub-categories) 그리고 범주들을 생성하고, 개념적 관계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의 실제적 사건 과 행위 그리고 사물에 대한 기억, 자료수집과 분석과정에서 자료와 연구자 사이에서 발 생한 상호작용과 반영성(reflexivity) 등이 미시분석의 주요한 대상이다(Strauss & Corbin, 1998: 51-109).


개방 코딩에서는 사건 대 사건, 사물(대상) 대 사물(대상)의 비교분석과 이론적 비교 (theoretical comparative)를 통해서 범주를 밝히고 심화분석을 시도한다. 

        • 비교분석은 범 주들의 속성에서 유사점과 차이점을 찾아 분류하는 방법이다. 

        • 그리고 이론적 비교는 범주 의 속성과 차원이 명확하지 않을 때 특정 범주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 유사하거나 다른 개 념들과 비교를 시도하는 방법이다. 

이론적 비교의 기법으로는 플립-플롭 기법(flip-flop technique), 현상에 대한 체계적 비교, 붉은 깃발 흔들기 방법이 있다(Strauss & Corbin, 1998: 85-87)

        • 플립-플롭 기법은 분석자가 사건, 대상(사물), 행위, 상호작용에 대한 새로 운 관점을 얻기 위해서 기존의 개념을 안에서 밖으로 뒤집거나 아래에서 위로 바꾸는 분 석기법을 의미한다. 이 기법은 개념의 다양한 변화와 이론적 타당성, 적용범위, 예외성을 검토하는데 유용하다. 

        • 현상에 대한 체계적 비교 기법은 연구자의 시야를 가로막는 분석적 장애물을 극복하기 위하여 자료 안의 한 가지 사건을 경험에서 회상된 것이나 문헌에 있는 것과 비교하는 방법이다. 이 기법은 자료에서 간과될 수 있는 속성과 차원에 민감해지 도록 한다. 

        • 붉은 깃발 흔들기는 연구 참여자들과 연구자의 편견, 신념, 가정을 면밀히 검 토함으로써 개념화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선입견을 최소화하는 기법이다.


나. 축 코딩(axial coding)


범주를 하위범주와 연결시키는 과정으로서 축 코딩은 한 범주(중심현상, BSP)의 축을 중심으로 속성과 차원에 따라 여러 (하위)범주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코딩방법이다. Strauss와 Corbin(1990, 1998)은 ‘코딩 패러다임(coding paradigm)’이라는 분석적 도구 를 통해서 중심현상(BSP)을 둘러싼 구조(조건)와 과정을 하나의 도식(diagram)으로 통합 하여 현상을 개념화하였다. 

        • 여기에서 구조란 중심현상(BSP)을 나타내는 범주의 조건적 맥 락(conditional context)을 의미하며, 

        • 과정이란 한 (중심)현상과 관련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발전하는 연구 참여자들(사람, 기관, 지역사회)의 행위 및 상호작용의 순차적인 과정 을 의미한다. 

축 코딩에서 구조(조건)를 과정과 연결시키는 이유는 구조 혹은 조건이 현상 (BSP)과 관련된 문제, 사건, 쟁점에 대하여 상황 혹은 배경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축 코딩 의 목적은 개방 코딩을 통해 분해되었던 자료들을 BSP의 범주를 중심으로 하여 재조합함 으로써 단일한 개념 혹은 범주를 중심으로 집약적이고 일치성 있는 분석을 하는 데 있다 (Strauss, 1987: 64).



축 코딩의 과정에서 

        • 구조(조건)만을 강조할 경우, BSP를 둘러싼 원인과 맥락을 해명함 으로써 ‘왜’라는 물음에 답할 수 있지만, BSP가 ‘어떻게’ 일어나는지에 대하여 제한적이다. 

        • 반면 과정만을 강조할 경우, 주체들(연구 참여자)이 BSP와 관련하여 어떤 전략(strategy) 을 사용하며, 어떻게 행위,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지만, '왜'라는 물음 을 간과할 수도 있다(Strauss & Corbin, 1998: 114-117). 


따라서 연구자가 BSP의 본질 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구조와 과정을 유기적으로 연결해야 하며, 이를 통해서 특정 현상 의 핵심과 역동성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축 코딩의 역할은 특정한 개념을 중심으로 행위 주체들의 BSP를 해명함으로써 현상을 종합적이고 역동적으로 포착하여 선택적 코딩의 기 틀을 마련하는데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패러다임의 구성요소들을 위한 코딩을 인위적으 로 해서는 안 되며, 특정 현상을 설명하고 이해하기 위하여 축 코딩을 해야 한다. 왜냐하 면, 코딩 패러다임에 대한 경직된 적용은 사건의 역동적 흐름과 관계의 복잡한 본질을 간 과하기 때문이다. Strauss와 Corbin(1998: 117)은 축 코딩에 있어서 이러한 전도현상을 “지나치게 열심히 노력하는 예술가”로 비유하였다.


축 코딩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코딩 패러다임의 기본적 구성요소를 자세히 살펴 볼 필요가 있다. Strauss와 Corbin(1990, 1998)의 코딩 패러다임 구성요소들(인과조건, 현상, 맥락적 조건, 중재조건, 행위/상호작용/전략, 결과)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첫째, 조건(명명조건: 인과적/우연적 조건,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은 ‘왜’, ‘어디에서’, ‘언제’, 라는 질문에 대답하는 개념적 방식이다. 조건은 현상(BSP)을 둘러싼 구조(거시적 조건)와 상황(미시적 조건)을 형성한다. 조건의 핵심은 명명조건(labeling conditions)을 나 열하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BSP의 문제나 쟁점 그리고 사건에 복잡하게 얽혀있는 구조화 상황을 세밀히 파악하는데 있다. 

        • 둘째, 현상은 “여기에서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가?”에 대 한 대답이다. 현상은 연구 참여자들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행위, 언어, 사건 등 의 BSP를 의미한다.

        • 셋째, 행위/상호작용은 ‘누가’, ‘어떻게’라는 질문에 답하는 개념적 방식으로서 특정한 조 건에 놓여있는 연구 참여자들(개인 혹은 집단)이 BSP와 관련된 쟁점, 문제, 사건에 대처 하는 전략(strategy)과 일상적이고 습관적인 행위(routine)를 말한다. 연구 참여자들의 행 위와 상호작용은 상이한 상황정의(definition of the situation)와 의미 부여방식 그리고 시 간경과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게 된다. 

        • 넷째, 결과는 BSP에 대한 행위와 상호작 용의 결과로서 ‘무엇’이 일어났는가에 대한 대답이다. 결과는 행위 및 상호작용(전략, 일상 적 전술 포함)의 결과물을 구체적으로 지칭한다(Strauss & Corbin, 1998: 114-119). 경 우에 따라 의도적 및 비의도적 결과가 나타날 수도 있으며, 시간경과에 따라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결과들이 나타날 수도 있다(Strauss & Corbin, 1998: 120-122). 결국, 연구자 는 축 코딩에서 한 범주(현상, BSP)를 조건, 행위 및 상호작용, 결과 범주들과 연결시킴으 로써 관계적 진술(relational statements) 혹은 가설형성을 위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다. 선택 코딩(selective coding)


근거이론방법론의 마지막 분석단계인 선택 코딩은 범주를 최대한 통합시키고 정교화 함 으로써 더 이상 새로운 속성과 차원이 드러나지 않는 이론적 포화상태(theoretical saturation)를 지향한다. 따라서 선택 코딩의 단계에서는 자료가 고도의 추상화된 이론으 로 전환된다. 특히, 개방 코딩과 축 코딩을 통하여 누적된 분석적 메모(analytic memo)와 도표(diagram) 그리고 범주는 중심(핵심) 범주(이하, 핵심범주)의 생성에 기여한다. 선택 코딩의 단계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작업은 핵심범주(core category)를 생성하는 일이다 (Strauss & Corbin, 1990, 1998, 2008). 특정한 연구의 중심주제(BSP)를 대변하는 핵심 범주는 몇 개의 단어를 조합하여 “이 연구가 무엇에 관한 것”인지를 추상화한다. 연구자 는 여러 범주들을 하나의 핵심범주로 통합함으로써 제 범주들 사이의 다양한 변화를 설명 하고 통합할 수 있어야 한다.


상이한 지맥의 근거이론가들(Straussian, Glaserian, Charmazian 등)은 선택 코딩의 단 계에서 핵심범주를 발견 혹은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앞서 밝 힌 것처럼, 이 연구는 Strauss와 Corbin(1990, 1998, 2008)의 근거이론 버전을 중심으로 핵심범주의 생성과정을 논의하고자 한다. 

        • 핵심범주는 개방 코딩과 축 코딩에서 생성된 기 존 범주(특히, 중심현상과 관련된 범주)에서 발견될 수도 있으며, 

        • 연구자가 창안한 추상적 용어나 구절을 통해서도 생성될 수도 있다. 

전자가 주어진 자료와 개념으로부터 실체적인 이론을 발견(discovery)하는 방법이라면, 

후자는 연구자의 지속적인 개념적 추상화와 해석 을 통해서 새로운 가설 혹은 이론을 생성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전자의 방식이 면밀한 자 료 분석에서 출현한 ‘뜻밖의 행운(serendipity)’이라면, 

후자는 연구자의 주관적인 해석과 선택이 다소간 개입되는 방식이다. 후자의 방식은 Strauss와 Corbin(1990, 1998, 2008) 이 1976년 원형 근거이론방법론과는 달리, 시카고학파의 해석적 전통을 강화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Strauss(1987: 36)가 제시한 핵심범주의 선택 준거(criteria)는 다음과 같다. 

        • 첫째, 선택 코딩을 통해 생성된 핵심범주는 모든 범주 및 속성과 개념적으로 연관되어야 한다. 

        • 둘째, 핵심범주는 자료에서 자주 나타나야 한다. 자주 출현하는 개념에 근거하여 핵심범주를 발 견하는 것은 실제로 그 핵심범주가 자료 내에 존재함을 입증한다. 

        • 셋째, 핵심범주는 다른 범주들과 논리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억지스럽지 않다. 또한 핵심범주는 개념적 포화상 태에 도달하기 위해서 다른 범주들의 생성보다 시간이 오래 걸린다. 

        • 넷째, 실체적 연구에 서의 핵심범주는 일반화된 이론을 위한 함의를 지녀야 한다. 즉, 핵심범주는 실제적 분야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이론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추상적이어야 한다. 

        • 다섯째, 핵심범주는 범주들 사이의 분석적 정교화를 통해서 이론의 깊이와 설명적 힘을 지녀야 한다. 

        • 마지막 으로, 핵심범주는 자료의 핵심뿐만 아니라, 최대한의 변화(maximum variation)까지도 설 명할 수 있어야 한다. 즉, 핵심범주는 조건이 변화하더라도 유효해야 하며, 모순적 사례와 대체적 사례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Strauss, 1987: 36).


한편, Strauss와 Corbin(1998, 2008)은 선택 코딩을 위한 네 가지 기법을 제시하였다. 핵심범주를 생성하기 위한 

        • 첫 번째 기법인 '이야기 개요(story line)작성'은 연구 참여자들 이 해결해야 하는 쟁점이나 문제(BSP)가 무엇인지를 서술적 문장으로 적는 방식이다. 

        • 두 번째 기법은 개방 및 축 코딩을 통해 이미 생성된 범주들을 이용하여 이야기를 재작성하 는 기법인데, 서술적 수준의 내용을 추상화된 개념화 단계로 끌어올림으로써 범주들 사이 의 연결고리를 구축하는 방법이다. 

        • 세 번째 방법은 도표(diagram)를 사용하여 개념(범주) 간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하는 기법이다. 연구자는 도표를 통하여 범주들 사이의 개념적 관계를 시각화함으로써 자료로부터 거리두기를 할 수 있으며, 자료에 대한 간략화와 추상 적 재현을 할 수 있다. 

        • 네 번째 방법은 메모를 통해서 개념들 사이의 관계를 검토하고 정 리하는 기법이다. 분석과정에 대한 지속적 기록이자 개념의 저장고인 메모는 범주들의 통 합과 추상화에 대한 결정적인 단서를 포함하고 있다.


2. 근거이론 연구에 대한 평가 준거(evaluation criteria)


여기에서는 근거이론의 적용 및 평가와 관련된 고전적 평가준거(classic criteria)와 종 합적 평가준거(comprehensive criteria)를 살펴보고자 한다. 고전적 평가준거는 Glaser와 Strauss(1967), Glaser(1987), Strauss와 Corbin(1990, 1998), Charmaz(2006)를 참조하 였고, 종합적 평가준거는 Birks와 Mill(2011)의 평가준거를 참조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Glaser와 Strauss(1967: 317-335)는 근거이론방법론의 함의 및 적용에 대 한 언급을 통하여 평가준거(적합성, 이해가능성, 일반성, 통제)를 제시하였다. 

    • 첫째, 근거이론방법론에서 생성된 이론은 실질적인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적합성(fit)이 있어야 한다. 

    • 둘째, 연구결과는 관련분야의 비전문가들이 쉽게 이해(understandable)할 수 있어야 한다. 

    • 셋째, 근거이론방법론의 연구결과는 다양한 일상적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general) 적용가능성을 지녀야 한다. 

    • 넷째, 근거이론의 사용자(독자)는 생성된 이론을 부 분적으로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여기에서의 통제(control)란 독자가 문제 상황을 이해하 고 분석하여 현실 개선을 위한 예측과 관리를 할 수 있는 적용적인 가치를 의미한다 (Glaser & Strauss, 1967: 335; Birks & Mills, 2011: 149-152).


Glaser(1978)는 ‘이론적 민감성’이라는 방법론적 저서에서 근거이론 연구결과에 대한 네 가지 평가준거(적합성, 효과성, 적절성, 변경가능성)를 제시하였다. Glaser(1978)가 제 시한 평가준거들은 1967년 ‘Discovery’에서의 네 가지 평가준거들을 보다 상세화한 것이 었다. 근거이론은 연구 자료와 상태(state)에 대하여 적합성(fit)을 지녀야 하며, 연구대상 에 대하여 설명적이고 예상적인 힘 즉, 효과성(work)을 확보함으로써 그 적절성 (relevance)을 증명해야 한다. Glaser(1978)는 이 세 가지 평가준거들에 더하여 근거이론 의 변경가능성(modifiability)을 제시하였다. 근거이론의 변경가능성이란 연구과정을 통해 구축된 한 이론이 이후 지속적인 적절성을 보증하고, 다음의 변화(later variation)를 수용 할 수 있음을 말한다(Glaser, 1978; Birks & Mills, 2011: 150).




Strauss와 Corbin(1998: 239-246)은 연구과정과 경험적 근거에 대한 평가준거들을 제 시하였다. 그들은 이 준거들을 엄격하고 고정된 평가규칙이 아니라, 하나의 평가지침으로 간주하였다. 따라서 그들은 창의적 작품을 위해서 아래 지침들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Strauss & Corbin, 1998: 247). 우선, 근거이론의 연구과정과 관련된 평가준거는 다음과 같다. 

  • 첫째, 표본은 어떻게 선정되었으며, 그 근거는 무엇이었는가? 

  • 둘째, 주요 범 주로서 어떤 것들이 출현하였는가? 

  • 셋째, 주요 범주를 나타내는 사건이나 지시자 (indicator, 주로 행위)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가? 

  • 넷째, 어떤 범주에 기초하여 이론적 표 본추출이 진행되었는가? 

  • 다섯째, 개념적 관계와 관련된 가설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가? 그리고 어떠한 조건에서 가설이 형성되고 검증되었는가? 

  • 여섯째, 가설이 자료를 설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는가? 만일 가설이 자료를 설명하지 못한다면, 그것을 어떻게 보아야 하며, 가설은 새롭게 변경되었는가? 

  • 일곱째, 핵심범주는 어떻게 발견 혹은 생성되었으며, 연구자는 어떠한 이유에서 특정한 핵심범주를 설정하였는가?


연구의 결과 혹은 경험적 근거에 대한 평가준거는 다음과 같다(Strauss & Corbin, 1998: 244-146). 

  • 첫째, 근거이론의 연구결과에서 특정한 개념이 생성되었는가? 

  • 둘째, 각 각의 개념들은 서로 체계적으로 연결되었는가? 

  • 셋째, 많은 개념적 연결이 존재하였는가? 즉, 범주들은 서로 잘 발전되었으며, 상호간에 개념적인 밀도를 나타내었는가? 

  • 넷째, 구축 된 근거이론에서 범주의 속성과 차원의 변화를 충분히 포함하고 있는가? 

  • 다섯째, 생성된 근거이론에서 범주의 속성과 차원의 변화를 발견할 수 있는 조건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것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는가? 

  • 여섯째, 생성된 근거이론에서 시간과 공간의 변화 그리 고 거시적 및 미시적인 조건의 변화에 따른 연구 참여자들의 행위, 상호작용, 전략의 변화 즉, 과정이 고려되었는가? 

  • 일곱째, 연구과정을 통해 생성된 이론에서 의미 있는 이론적 발 견이 발생하였는가? 

  • 마지막으로, 생성된 근거이론은 일반인과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 모두 에게 의미가 있으며, 특정 현상을 설명하고 예측하며,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하는지의 여 부이다.




한편, 구성주의 근거이론을 개척하고 있는 Charmaz(2006)는 연구의 목적 및 맥락과 조 화를 이룰 수 있는 평가준거의 적용을 강조하였다(Birks & Mills, 2011: 152). 근거이론 방법론의 복잡한 과정을 간략화한 그녀는 최종적 이론의 평가와 관련된 네 가지 준거들을 제시하였다. 

  • 첫째, 최종적인 연구결과(이론)는 논리(logic)와 개념적 근거를 반영할 수 있 는 신뢰성(credibility)을 지녀야 한다. 

  • 둘째, 근거이론방법론을 통한 결과는 그 연구의 중 요성을 언급하고 지지할 수 있는 독창성(originality)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근거이론방법 론을 통한 최종적인 연구결과는 상식적이고 피상적인 것이 아니라, 새로운 이론적 지식과 관점을 제공해야 한다. 

  • 셋째, 근거이론의 결과는 다수의 관련자들에게 최종적 이론이 의미 와 범위(scope)의 측면에서 적절하다는 반향 혹은 공명(resonance)을 불러일으킬 수 있어 야 한다. 

  • 넷째, 근거이론의 결과물은 지식의 개발과 실제적인 적용의 측면에서 유용성 (usefulness)을 지녀야 한다. 연구결과의 신뢰성과 독창성은 공명과 유용성을 강화할 수 있는 선결조건이다.


마지막으로, Birks와 Mills(2011: 152-154)는 지금까지 출판된 근거이론방법론의 고전 적 평가준거들을 종합하여 포괄적인 평가영역(전문적 지식, 방법론적 적합성, 절차적 명확 성)을 제시하였다. 근거이론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세 가지 영역들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 첫째, 근거이론 연구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연구자의 전문적 지식(researcher expertise)이 필요하다. 근거이론에 대한 전문적 지식은 연구자가 학문적 글쓰기의 기술을 증명하고, 근거이론에 대한 방법론적 친숙함을 드러내는 것이다. 또한, 연구자의 전문적 지식은 연구에서 적절한 방법론적 자원(resources)을 인용하고, 연구 설계와 연구 과정에 서의 가능성과 제한점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것이다.

  • 둘째, 방법론적 적합성(methodological congruence)은 연구자가 철학적 입장을 표명하 고, 연구의 목적을 위해 적절한 연구 전략을 수립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방법론적 적 합성은 연구의 결과가 서론에서 진술된 연구목적을 어느 정도 달성하였는지에 달려있으며, 철학적 및 방법론적 불일치를 연구결과물에 표현하고 밝히는데 있다.

  • 셋째, 절차적 명확성은 연구자가 특정한 연구를 지지할 수 있는 분석적 메모와 개념 혹 은 이론 생성에 필요한 감사추적(audit trail)의 메커니즘을 자세히 나타내는데 있다. 그리고 절차적 명확성은 자료의 관리와 출처에 대한 과정을 기술하고, 연구의 맥락에 맞게 근 거이론방법론을 사용한 증거를 제시해야 한다. 또한, 연구자는 자료와 추상화 사이의 논리 적 연결을 구축하고, 자료에 근거하여 이론을 생성하며, 이론의 잠재적 적용이 검토되었는 지를 밝힘으로써 방법론적 적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논의한 근거이론 연구의 다섯 가지 평가준거를 정리하면 다음의 <표 2>와 같다.


<표 2> 근거이론 연구에 대한 평가준거들



Ⅳ. 나가며: 교육연구를 위한 근거이론방법론의 시사점


이 연구는 교육연구자들에게 근거이론에 대한 철학적 및 방법론적 지식과 이해를 제공 하고자 하였다. 저자들은 근거이론의 철학적 배경을 고찰하기 위하여 근거이론의 철학적 기초로 볼 수 있는 프래그머티즘과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인식론적 및 존재론적 전제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철학적 배경에 터하여 Glaser와 Strauss가 창안한 근거이론의 원형을 조명하고, 근거이론방법론의 네 가지 분기(스트로스학파, 글레이저학파, 차마즈학 파, 클락의 상황적 분석)와 쟁점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 연구는 근거이론의 방법론적 특 성을 포착하기 위해서 개방 코딩과 축 코딩 그리고 선택 코딩으로 불리는 근거이론방법론 의 구별적인 분석절차를 명확히 설명하고, 근거이론 연구물의 질에 대한 평가준거를 다각 적으로 검토하였다. 여기에서는 본론에서 제시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교육연구를 위한 근거이론방법론의 방법적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 첫째, 근거이론방법론을 활용하고자 하는 교육연구자는 근거이론의 철학적 전제로 볼 수 있는 프래그머티즘과 상징적 상호작용론 그리고 요인분석에 대한 인식론적 및 존재론 적 전제를 공유해야 한다. 철학적 전제가 결여된 근거이론방법론은 연구주제와 연구대상 을 심층적으로 조명하기 위한 인식론적 방법보다는, 하나의 분석적 도구 혹은 장치로 전 락할 수 있다. 따라서 근거이론방법론의 철학적 전제는 근거이론 연구를 어떻게 수행할것인지에 대한 근본적인 방법적 통찰과 기술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근거이론방법론과 철학적 전제는 별개의 것이 아니라 하나의 '묶음(package)'이며, 세부적 인 방법과 절차 그리고 기법은 철학적 전제와 방법론에서 파생된 부산물이다. 따라서 교 육연구자는 근거이론방법론의 세부적인 절차와 기법에 의존하여 교육연구를 수행하는 관 행으로부터 과감히 벗어나야 한다.


  • 둘째, 원형으로서 근거이론은 콜롬비아학파의 양적 연구방법론과 시카고학파의 질적 연 구방법론 사이의 이종혼교적인 결합을 통하여 구성되었다. 그러나 Glaser와 Strauss는 사 회적 실재에 대한 사회학적 가정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선험적 사회이론과 가설검증의 실증적 연구방식을 극복하려 하였다. 즉, 원형으로서 근거이론은 자료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실체적 혹은 형식적 이론을 생성함으로써 특정한 사회현상 혹은 연구주제에 대하 여 예측과 설명을 제공하려 하였다. 따라서 교육연구자는 원형 근거이론을 통해서 자신이 왜 근거이론방법론으로 교육연구를 수행하는지 성찰할 필요가 있다. 근거이론방법론은 질 적 자료 분석을 위한 체계적 도구나 장치가 아니라, 학교와 교실 등과 같은 중규모 단위 의 사회적 집단에 살고 있는 연구 참여자들의 문제해결 과정을 밝히고, 그것과 관련된 추 상적 이론을 생성하는데 있다. 따라서 근거이론방법론을 사용하는 교육연구자는 교육현상 을 개념적으로 기술하는 차원을 넘어서 개념들 사이의 지속적 비교분석을 통해 실체적 혹 은 형식적 이론을 생성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특정한 교육연구자가 개념적 추상화 를 지향하지 않는다면, 굳이 근거이론방법론을 적용할 필요는 없다.


  • 셋째, 질적 연구논리와 양적 연구논리를 병합한 원형으로서 근거이론은 연구 패러다임 이 상이한 질적 및 양적 연구자들에게 매력적인 연구방법론이다. 따라서 교육연구를 수행 하는 초심자들은 자신의 방법론적 기초를 공고히 하고, 방법론적 비판을 잠재우기 위하여 명확한 절차와 기법을 지닌 근거이론방법론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근거이론 방법론은 자료 분석과 이론 생성을 대신해주는 만병통치약이 아니다. 따라서 교육연구자 가 근거이론방법론의 절차와 기법을 숙지할지라도 개념의 생성과 발전은 연구자의 이론적 민감성에 달려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교육연구자는 자료로부터 개념을 생성하고, 개념들 사이의 관계구축과 추상화를 위하여 끊임없이 이론적 민감성을 길러야 한다. 교육연구자 가 이론적 민감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연구주제에 대한 풍부한 문헌고찰과 분석과정 에 대한 글쓰기(특히, 분석적 메모) 작업이 필요하며, 수집된 자료와 연구의 상황이 자신 에게 무엇을 말하는지를 개념적으로 포착해야 한다.


  • 넷째, 근거이론방법론을 둘러싼 여러 가지 지맥들은 존재론적 및 인식론적 전제의 차이, 방법론적 전략의 차이, 지향하는 이론의 특성에 따라서 상이하게 분기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한 이론적 특성이란 근거이론방법론을 통해 최종적으로 생성된 이론의 가치와 규범성을 의미한다. 그 예로, Glaser는 개념적 서술에 가까운 근거이론을 강력히 비판하였지만, Strauss는 근거이론의 결과가 반드시 추상적 이론을 지향할 필요는 없다고 보았다. 따라서 특정한 지맥의 근거이론방법론이 상대적으로 우월하거나 열등한 것이 아니라, 특수한 연구목적과 연구문제 그리고 교육연구자의 철학적 오리엔테이션에 따라 근 거이론방법론의 적용이 유동적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교육연구자는 자신의 연구 상황에 적합한 특정 지맥의 근거이론방법론을 선택하거나, 다른 지맥의 근거이론방법론과 결합을 시도할 수도 있다. 또한, 연구자는 앞서 제시한 네 가지의 지맥을 벗어나 자신의 연구 상 황에 최적화된 변형적 근거이론을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 다섯째, 근거이론방법론은 그 분석절차가 무엇으로 명명되든지 간에 여러 차례의 분석 단계를 통해서 자료에 대한 개념화를 지향한다. 개념에 기초한 반복적이고 정교한 이론화 작업은 근거이론방법론을 여타 질적 연구방법론과 차별화시키는 주요한 특성이기도 하다. 교육연구자들은 근거이론방법론이 왜 여러 번의 분석단계를 거치는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사실상 여타 질적 연구방법론도 근거이론방법론과 유사한 분석절차를 거친다(예를 들면, 문화기술지에서의 영역분석→ 분류분석→ 성분분석). 따라서 연구자가 일반적인 질적 자료 분석의 방법으로써 근거이론방법론을 사용하는 것은 무리가 아닐 수도 있다. 그러나 교육 연구자는 근거이론방법론의 분석절차가 철저히 ‘개념중심’이라는 점을 상기해야만 한다. 즉, 1차 코딩을 통해 형성된 개념(범주)은 2차, 3차 코딩을 위한 근거가 되며, 자료수집의 판단준거가 된다. 따라서 분석의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순차적인 귀납적 논리가 아니라, 개념적 삼단논법(abduction)을 통한 개념(코드-하위범주-범주)의 생성과 발전이다. 즉, 분 석의 출발점은 수집된 자료에서 비롯되지만, 그 종착역은 개념적 삼단논법을 통한 이론의 최종적 발견 혹은 생성에 있는 것이다.


  • 마지막으로, ‘좋은’ 근거이론 교육연구가 무엇인지에 대한 평가준거는 근거이론방법론의 철학적 배경에 따른 지맥과 방법론적 특성에 따라서 상이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근거 이론방법론에 기초한 특정한 교육연구물에 대한 평가기준은 ‘누구’의 지맥을 ‘왜’ 근거하였 는지에 따라서 유동적일 수밖에 없다. 가령, 한 교육연구자가 글레이저학파(Glaserian)의 근거이론방법론에 기초하여 교육연구를 수행하였다면, 그 연구결과에 대한 질은 Glaser가 제시한 평가준거에 기초하여 가늠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논문 심사자들과 독자들은 하나 의 고정된 평가준거를 통하여 근거이론 작품을 재단하기보다, 한 교육연구의 특수한 연구 목적과 이론적 배경, 연구문제, 연구방법, 타당도 작업을 유기적으로 검토하여 그 질을 가 늠해야 할 것이다. 근거이론방법론에 기초한 국내 교육연구의 평가준거는 이후 생성될 근 거이론 연구 성과의 누적과 발전을 통해서 더욱 정교화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의 결과는 ‘좋은’ 근거이론 연구에 대한 평가준거를 마련하는데 있어서 일정부분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근거이론의 철학적 배경과 방법론적 특성에 대한 고찰

An Inquiry on the Philosophical Backgrounds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ed Theory a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이동성(Lee Dongsung) , 김영천(Kim Youngchun) 저

간행물명 : 열린교육연구
권/호 : 열린교육연구 제20집 제2호 / 2012 / 1~26 (26pages)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간행물유형 : 학술저널
주제분류 : 교육학
파일형식 : PDF

초록

한국어초록
이 연구는 교육연구자들에게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근거이론(grounded theory)에 대한 철학적 및 방법론적 지식과 이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우리는 근거이론의 철학적 배경을 고찰하기 위하여 근거이론의 철학적 기초로 볼 수 있는 프래그머티즘(pragmatism)과 상징적 상호작용론(symbolic interactionism)의 인식론적 및 존재론적 전제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철학적 배경에 터하여 Glaser와 Strauss가 창안한 근거이론의 원형(prototype)을 조명하고, 근거이론방법론(grounded theory methodology)의 상이한 네 가지 분기(分岐)와 쟁점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 연구는 근거이론의 방법론적 특성을 포착하기 위해서 개방 코딩과 축 코딩 그리고 선택적 코딩으로 불리는 구별적인 분석절차를 명확히 설명하고, 근거이론 연구물의 질에 대한 평가준거들(criteria)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국내 교육연구자들에게 근거이론에 대한 방법론적 시사점을 제공함으로써 질적 교육연구를 위한 방법적 토대가 될 것이다.
영어 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philosophical and methodological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grounded theory a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education researchers.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premises of pragmatism and symbolic interactionism, which has philosophical backgrounds of grounded theory methodology(GTM). Also, we examined Glaser & Strauss(1967)’s “Discovery” as a prototype of GTM, and scrutinized respective ramifications(Glaserian, Straussian, Charmazian, SA of Clarke) and issues of GTM. In addition, this paper articulates discriminative analytic procedures, such as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It also comprehensively examined evaluation criteria of GTM products for capturing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be a methodological cornerstone to promote qualitative education research through suggesting methodological implications on the GTM to education researchers.


질적 연구의 다양한 타당성에 대한 비교 분석 연구(교육평가연구, 2006)

나 장 함 (한국교육개발원)





Ⅰ. 문제제기


Ⅱ. 양(계량)적연구와 질적연구 비교: 찬·반(방법, 해석, 타당도), 평가목적


질적 연구는 현상에 대한 비제한적 접근을 시도한다. 즉, 자연주의적 패러다임을 추구하는 질적 연구에서 연구자는 주어진 현상, 실제적인 상황에서의 연구대상 및 현상에 대한 어떠한 조작 없이 있는 그대로를 탐구하고자한다. 질적 연구에도 자료수집 및 해석에 관한 표준화된 절차가 다소 있기도 하지만, 질적 연구는 본질적으로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를 도구로 하고 있다. 즉, 질적 연구에서는 자료수집의 방법 및 수집된 자료에 대한 해석 방법 등을 연구자 자 신이 결정하여야 한다. 바로 여기에 질적 연구의 장점과 단점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질 적 연구는 연구자를 도구로 활용함으로써 

1)심층적인 자료와 자료 해석의 근거를 함께 제공하 는 데 도움을 주지만, (양적 연구자 입장에서 보면) 

2)이는 타당도에 대한 통계적 (과학적 연구 의 객관성) 검증을 수반하지 않으므로 연구자의 편견이 개입될 위협성에 상대적으로 더욱 노출 되어있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질적 연구는 연구 현장·대상에 대하여 전체론적인 관점으로 접근하여 주어진 상황·맥락·사건에 대한 상세한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자와 연구대상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형성된 간주관성(inter-subjectivity)을 토대로 해석·이해를 시도한다. 따라서 질적 연구 결과는 연 구 현장의 맥락과 거기서 일어났던 사건들을 바라보는 논리적 창(window)을 제공한다.


<표 1> 양(계량)적 연구와 질적 연구 비교: 방법, 해석, 타당도&신뢰도




양적 접근과 질적 접근 중 어떤 연구방법을 선택할 것인가의 문제는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 까? 양자 중 어떤 연구 방법을 선택할 것인가의 문제는 궁극적으로 연구자의 패러다임과 연구 (평가)의 목적에 의하여 결정된다.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패러다임이 다르다는 것은 위에서 이미 언급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연구(평가)의 목적에 따라 양자 중 어떤 연구 방법이 보다 유용 한 선택이 될 수 있을지를 검토하는 몇 가지 사항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이론을 생성할 것인가, 아니면 기존 이론을 테스트 할 것인가에 관한 사항이다.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모두 현상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고 연구를 통하여 지식을 산출한다. 질적 연 구는 현장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에 관여하지만, 양적 연구는 현장에서 발생한 사건들에 관하여 수동적으로 관여한다. 질적 연구방법에 내재된 탐험적 특성에 기인하여 질적 연구는 새로운 이 론을 생성할 가능성이 크다. 반면, 양적 연구는 기존 이론들이 설정되어 있으며 그것을 다시 재검하고자 할 때 유용하다.


둘째, 문제를 구성하고 있는 변인들이 이미 밝혀진 것인가, 아니면 문제를 구성하는 변인들 을 발견하는 것인가에 관한 사항이다. 질적 연구는 연구하는 현상·대상에 영향을 주는 (새로운) 요소·변인들을 발견하는데 유용하다. 그러나 선행연구(양적 또는 질적 연구)에서 밝혀진 변인들 의 명확한 관계를 규명하고자 할 때에는 양적인 연구에 유용성이 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교육개혁 실패 원인에 관한 연구를 질적으로 수행한다면, 교육행정가, 교사, 교수, 학부모, 학습 자 등의 다양한 집단에 대한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무엇이 문제를 구성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 자 할 것이다. 이러한 질적 연구 과정에서 문제를 구성하는 변인들이 밝혀 질 수 있으며, 또한 어떠한 변인들이 주요한 변인들로 작용하고 있는지 파악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밝 혀진 변인들 간의 상대적 관련성·중요성 등을 명확히 밝히기 위해서는 양적 연구가 따라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를 통하여 얼마나 상세한 정보를 얻고자 하는가, 또는 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목적 으로 하는가에 관한 사항이다. 질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소수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여 개인 및 맥락에 대한 역동적이고 상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질적 연구는 특정 상황에 대한 심층 적인 자료를 제공하여 비슷한 맥락에 있는 대상의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으나, 연구결과를 외 부로 일반화시키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른다. 반면, 양적 연구결과는 다수의 연구 참여자를 대 상으로 실시한 통계분석에 기반을 두고 있으므로, 그들의 전체적인 경향성 제시할 수 있으며, 그러한 경향성을 일반화시키기에 유리하다.


위에서 다룬 것과 같이 연구의 문제 및 목적에 따라 양적연구와 질적연구 양자 중 어느 것 을 택할 것인가가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을 다른 각도로 해석해 보면, 양자 간의 협력적 관계성 설정의 단초가 될 수 있다. 즉, 먼저 양적연구를 통하여 전체적인 경향성을 파악하고, 질적 연 구방법을 통하여 왜 그러한 경향성이 나타나고 있는가를 밝히는 것으로 연구를 설계하거나, 질 적연구를 통하여 새롭게 밝혀진 변인들의 영향력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양적연구를 수반하 는 등의 상호보완적인 연구 설계가 가능할 것이다.


Ⅲ. 타당성(validity)의 정의 재고


Hammersley(1987)는 원래 기술하 고자 하고 이론화하려고 했던 현상을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면 그 설명은 근거가 있으며 진 실 된 것이라고 타당도를 정의하였다. 이러한 정의는 실증주의자들에게는 타당도에 대한 포괄 적이며 정당한 정의로 보일 수 있으나, 그들과는 다른 패러다임 (구성주의적, 비판적 패러다임) 을 갖고 있는 질적 연구자들에게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연구자의 인신론적 관점, 신념체계, 세계관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타당도에 관한 다양한 정의와 대체적 정의가 존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타당도의 정의에 대한 또 하나의 비판적 논의는 타당도와 신뢰도를 조합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타당도에 관한 집합적인 정의는 정확성에 관한 것이며, 신뢰도에 관한 집합적인 정의는 반복·복제 가능성에 관한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질적 연구에서 실증주의적 패러다임에 근거한 타당도, 신뢰도 정의(양적 연구에서 제시 하 는)를 받아들이는 입장은 크게 세 유형(차용, 중재, 거부)으로 나눌 수 있다. 양적 연구의 타당 도, 신뢰도 개념을 그대로 적용한다는 것은 질적 연구의 패러다임과 본질적으로 상치하고 있으 므로, 질적 연구자들은 질적 연구에 고유한 연구방법, 타당도 확보 방법 등을 구상하여 나름대 로의 엄격성(rigor)을 추구하게 된다.






Ⅳ. 질적 연구의 타당성 검증 기법 선정틀


질적 연구도 그들의 연구가 신뢰할 만하다는 것을 입증할 필요성이 있 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일군의 학자들은 질적 연구에서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보편적인 절차들을 고안하고자 하였다(Lincoln & Cuba, 1985; Maxwell, 1996; Merriam, 1998). 위와 같은 학 자들의 주장이 주목 받게 됨에 따라 많은 질적 연구자들은 그들이 제시한 참여자 확인(member checking), 삼각검증(triangulation), 풍부한 기술(tick description), 동료검사 (peer reviews), 외부감사 (external audits) 등을 거의 기계적으로 적용하였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기법들 중 일부를 고용한 것을 설명하며 자신들의 연구결과가 신뢰할 만한 것임을 입증 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질 적 연구에서 타당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제안되고 있는 위와 같은 절차적 기법들에 관 한 논의에서 왜 특정 전략이 선택되었으며, 왜 다른 방법은 배재되었는가에 관한 설명을 충분 히 제공해 주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면 선택된 기법과 배제된 기법의 정당성은 어떻게 규명할 수 있을까? Creswell과 Miller는 질적 연구 수행에 있어서 타당성 제고 기법들은 

  • 1) 연구의 근거 를 확고히 하기위해 연구자가 선택한 렌즈, 

  • 2) 연구자의 패러다임 가정

에 의하여 선택이 결정 될 수 있음을 주장 하였다(Creswell & Miller, 2000).



1. 연구자가 활용하는 렌즈


연구자 렌즈는 연구자가 타당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한 관점에 해당한다. 양적 연 구의 전통적인 렌즈와는 다른 렌즈를 질적 연구에서는 필요로 한다. 양적 연구자는 심리(정신) 측정 도구의 검사결과로부터 생성된 구체적인 추론, 내적·외적 타당도, 의사실험설계 (quasi-experimental design) 등에 가장 많은 관심을 보인다. 반면, 질적 연구자들은 측정치, 검사도 구, 연구 설계 등이 아니라,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 연구 참여자, 연구 결과를 읽게 될 사람 들의 관점을 활용하여 연구의 렌즈를 설정하게 된다.


연구자는 얼마나 많은 기간 동안 연구현장에 남아 있을 것인가, 유효한 분석 주제와 분류 를 설정하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충분한 것인가, 자료분석 결과가 얼마나 설득력 있을까 등을 결정한다(Creswell & Miller, 2000, p. 125).


    • 위의 예를 보면, 질적 연구의 신용성을 결정하는 주요한 렌즈는 연구자 자신의 고유한 렌즈 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연구자 렌즈를 고용한 질적 연구자는 자신의 분석결과에서 도출 된 주제, 분류, 설명, 해석들이 이해될 만한 것인가를 원자료를 지속적으로 참조하며 검토하여 야 한다(Patton, 1990). 이와 같이 연구자, 주제, 그리고 이해 가능하게 만드는 과정 등이 상호작 용하는 것을 반성적 설명으로서의 타당도라고 한다(Altheid & Johnson, 1998).

    • 질적 연구에서는 연구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연구자뿐만 아니라 연구 참여자 또한 연구 의 렌즈로 활용할 수 있다. 질적 연구의 패러다임에서 실제는 사회적으로 생성된 것이라고 가정하고 또한 그 실제는 연구 참여자가 그럴 것이라고 지각하고 있는 것이라고 가정한다. 연구 참여자 렌즈는 연구 참여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실제가 최종 기술·설명에 얼마나 정확하게 반영 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 것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참여자 렌즈를 고용한 연구자는 연구결과의 해석이 연구 참여자들을 제대로 잘 나타내고 있는가의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적 극적으로 연구 참여자들과 관여한다.

    • 질적 연구자가 활용할 수 있는 세 번째의 렌즈는 외부 평가자의 렌즈이다. 연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외부 평가자의 검증은 연구자가 제시하는 기술·설명에 대한 신뢰성을 더해 주어 질적 연구의 타당도를 제고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일군의 학자들은 외부 독자(평가자), 연구 참여자, 연구 결과를 활용할 집단 등이 분석 결과를 감정하도록 하는 것으로 검증작업을 정의하는 경향에 대하여는 보다 신중할 것을 당부 하고 있다(Hammersley, 1987; Morse et al, 2002). 이들은 그러한 검증 정의의 과도한 적용이 오히 려 질적 연구의 타당도를 위협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한 예로, 연구 참여자의 렌즈를 고용한 연구자가 참여자 확인 등으로 기술·설명을 검토할 수 있지만, 연구 결과는 개별 참여자들로부 터 종합되고, (개별) 맥락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며, 추상화되므로 개별 연구 참여자들이 연구 결 과를 자신들의 경험으로 인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에 직면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참여자 들의 특정 관심영역에 반응하고자 하는 조사자는 개별 참여자의 관심영역을 다루기 위해 자신 의 연구 결과를 보다 설명적인 수준으로 만들도록 강요받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참여자 확인 의 과도한 적용은 조사자의 연구의 타당도를 떨어뜨리며, 분석의 수준을 부적절하게 할 수 있 다(Morse et al, 2002).



2. 패러다임 가정


연구자가 활용하는 렌즈(연구자 자신, 연구 참여자, 외부 검토자)뿐만 아니라 연구자의 패러 다임 가정 또는 세계관 등도 질적 연구의 타당도 검증 기법과 절차를 선정하는데 작용 한다. 질적 연구의 진화에 따라 질적 연구에는 후기 실증주의적 패러다임, 구성주의적 패러다임, 비 판적 패러다임 등의 패러다임 가정 등이 존재 하고 있다(Guba & Lincoln, 1994). 이들 패러다임 가정의 특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후기 실증주의적 패러다임은 질적 연구가 엄격한 연구방법과 체계적인 탐구 형태로 구성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철학적 패러다임은 질적 연구의 비교적 초창기라 할 수 있 는 1970년대 근대주의적 시기에 나타났으며, 현재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후기 실증주의적 패러 다임이 방법론상에서 실증주의적 요소를 차용하고 있었음을 지적해 보면 다음과 같다.


...덴진(Denzin, 1978)의 삼각검증법은 실증주의적 요소를 대부분 간직하고 있다...(중략) 즉, 연구자의 바깥 세계에 객관적인 문화나 의미가 존재하고 있으며 그것을 연구자의 일정한 방법적 원리를 동원하여 발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이혁규 2004. p. 178).


후기 실증주의적 패러다임을 따르는 학자들은 양적 연구의 타당성과 거의 동치(同値)적인 타 당성을 추구하며 구체적인 연구 계획안에 의거하여 타당성 설정을 위한 절차들을 고용한다. 즉, 후기 실증주의적 패러다임은 양적 연구의 질을 관리하는 전통적인 준거라고 할 수 있는 내 적타당도, 외적타당도, 신뢰도, 객관도 등과 부합하는 개념으로 신뢰성(credibility), 전이가능성 (transferbility), 의존성(dependability), 확증성(confirmability)을 활용하였다. 그러나 질적 연구를 양적 연구자들에게 보다 쉽게 받아들여지게 하기 위한 후기 실증주의자들의 이러한 시도(양적 연구 의 준거들과 평행한 준거들을 고용한)는 그들의 논리적 모순(낙관성), 질적 연구에 내재된 고유 한 신실성 확보 가능성에 대한 경시 등에 대한 비판이 따르게 된다. 그리고 오늘날에도 질적 연구의 절차적 엄격성을 강조하고 연구결과의 적용 및 일반화 범위의 확대를 추구 하는 학자 들은(Maxwell, 1996) 후기 실증주의적 패러다임에 의거한 타당성을 가정하고 있다.


둘째, 구성주의적, 해석적 패러다임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출현 하였으며, 이는 오늘날의 질적 연구 타당성에 대한 개념에 많이 반영되고 있다. 구성주의적 패러다임은 실제에 관하여 복수적·해석적이고, 정해진 답이 없으며, 맥락을 강조하는 관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입장에 반 영된 질적 연구의 타당성 개념은 양적 연구의 타당성과는 다른 타당성 개념을 제시한다. 이들 은 양적 연구의 실증주의적 패러다임과 질적 연구의 자연주의적 패러다임은 상이하므로 질적 연구 수행을 위해서는 새로운 타당도 개념과 연구설계가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1980년대에 Guba와 Lincoln은 양적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해당하는 대등한 개념으로 신실성을 제안하 였으며, 신실성의 하위 범주로는 신뢰성, 전이가능성, 의존성, 확증성 을 제시하였다. 또한 1980 년대 후반에 그들은 구성주의적 패러다임에 고유하며 방법론적 특질을 넘어 연구의 질을 가늠 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진정성 준거를 개발하였다(Guba & Lincoln, 1981; Guba & Lincoln, 1989). Guba(1981)는 그가 개발한 준거들이 초보적인 것으로 한 정통이기 보다는 가이드라인으 로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으나, 이러한 준거들은 오늘날 질적 연구의 질을 가늠하는 기준 개발 의 기본으로 활용되고 있다(Morse et al, 2002).


셋째, 비판적 패러다임은 1980년대에 “대표성의 위기”가 대두되던 시기에 부상하였다(Denzin & Lincoln, 1994, p. 9). 비판적 패러다임에 영향을 준 비판이론은 사회체제를 구성하는 경제, 성, 인종, 계급, 이데올로기, 담론, 교육, 종교, 사회 제도, 문화 등에 관한 권력분석을 통하여 이들 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를 규명하고자 한다(이혁규, 2004). 비판적 패러다임은 연구자들이 이야기체(narrative) 기술·설명에 내재된 가정(그것이 어떻게 형성되고, 읽히고, 해석되는 가)들을 밝혀내어 현대 국가(주의)에 도전할 수 있는 비판을 가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들에 따르면, 이야 기체(에 대한 우리의 관점을 지배하는 것은, 탐구에 있어 역사적으로 주어진 상황성(historical situatedness)- 연구된 상황의 사회적, 철학적, 문화적, 경제적, 인종적, 성적 전례에 기초하여 주어 진 상황성-이다. 이러한 관점은 기존의 타당도 개념에 대하여 의구심 갖게 되며 기존의 타당도 개념의 가정에 대하여 심문하고 도전하는 태도를 취하게 된다. 따라서 연구자는 보다 반성적인 관점을 갖고 이야기체에 숨겨진 의미들을 드러내는데 충실할 것을 요구하였다. Richardson(1994) 는 비판적 패러다임이 추구하는 타당도에 관하여 크리스탈을 비유로 들어 설명하였다.


크리스탈은 외부(외관)를 반영하면서도 동시에 내부를 반영(반성)하는 프리즘이다...(중략) 우리가 보는 것은 우리의 안식각(安息角, angle of repose)에 달려 있다(p. 522).


따라서 비판적 패러다임에서 연구자는 자기 반성, 연구자들과의 공조 등을 통하여 타당도를 확보하고자 한다. 이러한 기법들은 연구 참여자가 종종 직면하게 되는 불평등성(연구자와 연구 참여자간의)을 최소화 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 후기실증주의 패러다임을 따르는 연구자는 연구자의 편견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추적 조사, 외부 감사, 빈도 계산 등과 같이 양적연구자들에게 친숙한 신뢰도·객관도 확보 기법들을 사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 다. 

    • 반면, 구성주의적 패러다임이나 비판적 패러다임은 연구자를 의미 생성의 공조자, 자료 해 석에 있어 없어서는 안 될 존재로 간주하며, 연구자의 편견을 극복하기 위하여 부정적 사례 샘 플링, 장기간의 현장조사, 연구자 반성 등을 보다 적극적으로 사용할 것이라고 전망할 수 있을 것이다.



<표 3> 연구자 렌즈 및 패러다임 유형과 9가지 타당도 확보 기법




Ⅴ. 질적 연구의 타당성의 유형과 기법의 조화


타당도에 관한 논의는 양적 연구방법의 전통에 부속되어 있다. 따라서 질적 연구자들은 양 적 연구자들이 주장하는 타당도의 개념을 일부 수용하거나 거부하는 태도들 보였다. 양적 연구 에 뿌리를 두고 있는 타당도 개념을 극단적으로 부정하는 질적 연구자 집단은 질적 연구의 수 행에는 양적 연구자들이 제시한 신뢰도 및 타당도 개념을 적용하는 것이 무의미 하다고 주장 하였다(Smith, 1984). Smith는 본질적으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기본적인 인식론적, 존재론적 가정이 서로 양립할 수 없으므로 그들(양적 연구자)이 제안하는 신뢰도와 타당도 정의를 질적 연구에서 따를 수 없음을 역설하였다. 그러나 오늘날 대부분의 질적 연구자들은 위와 같은 극 단적인 입장 보다는 보다 관대한 관점을 갖고 있는 듯하다. 여러 질적 연구들 간의 질적 차별 성을 논의 할 때, 타당도는 자주 검토되는 요소이다. 또한 질적 연구자들이 연구의 타당도에 관하여 논을 할 때, 그들은 주로 그럴듯하고, 믿을 만하며, 신실성이 확보되어 변론이 가능한 연구들을 언급한다. 따라서 질적 연구의 타당도에 관한 논의들과 타당도 확보 전략들을 살펴보 는 것은 질적 연구 수행에 있어서의 질적 제고를 위해 매우 유용하다 할 수 있다.


질적 연구의 타당성을 저해하는 한 가지 내재적인 위험요소로써 질적 연구자들의 부단한 주 의를 요하는 것은 연구자의 편견이라 할 수 있다. 흔히 질적 연구는 연구자가 보고 싶어 하는 것을 보고, 듣고 싶어 하는 것만을 정리하여 연구를 수행하게 되는 문제가 생기지 않겠냐는 지 적을 받게 된다. 질적 연구가 양적 연구와는 달리 비구조화 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연구자 편견이라는 문제는 질적 연구 수행에 있어 자주 언급되는 사항이다. 그러나 이는 질적 연구의 탐험적인 특성에 연유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궁극적으로 질적 연구에서의 연구자 편 견은 연구자의 선별적인 관찰과 기록 및 연구자 개인의 관점이 연구수행과 자료 분석 과정에 영향을 받도록 내버려 둔 것에서 기인한다(이러한 관점에서 연구자 편견은 질적 연구에서만 나 타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라고 사료된다).


질적 연구에서는 연구자 영향(편견)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전략이 반성부정적 사례 샘플링이다. 

  • 반성은 연구자가 적극적으로 자신의 잠재적 편견과 성 향에 관하여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연구자는 반성을 통하여 자신의 내면을 깊게 들여다보게 되며 연구자가 가질 수 있는 편견을 깨닫게 되어 자신의 편견을 감시하고 통 제하기를 시도하게 된다. 질적 연구자 중에는 연구 프로포절에 연구자 편견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는데, 여기에는 연구자 자신의 개인적 배경과 이것이 연구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 를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를 함께 제시한다. 이와 같이 연구자 자신의 배경, 관점, 약점 등을 소 개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자 스스로가 설정한 전략들에 관하여 알려준다는 것은, 연구 자 자신의 렌즈가 어떤 색깔을 띠고 있으며 어떤 상태에 있는가를 표명하고 또한 그 렌즈에 묻은 때를 제거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어떠한 노력을 하였는가를 제시하여 독자들의 판단에 대 한 준거를 더하여 준다. 

  • 부정적 사례 샘플링도 연구자의 영향(편견)을 극복하기 위한 대표적인 전략이다. 이는 연구자의 기대 또는 설명이 일치하지 않은 부정적인 사례를 의도적으로 면밀히 검토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략을 활용하게 되면 연구자는 중요하지만 자신의 기대, 설 명에 일치하지 않는 정보를 쉽게 무시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불일치에 대한 지속적인 분석 이 따르게 되어 보다 신뢰성 있고 근거 있는 연구결과를 도출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1.  기술적  타당도


기술적 타당도는 주로 자료수집 과정의 정밀성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연구자가 보고하는 상황·사건·행위 등에 관한 설명·기술의 정확성을 의미한다. 즉, 기술적 타당도는 연구자가 연구 현장에서 벌어진 상황·사건·행위 등을 정확하게 보고 들으며 보고하고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이 다. 관찰법과 질문법 등으로 얻어진 현장 자료를 우선 정확하게 기술하는 것이 질적 연구의 타 당성 확보에 기본이라 할 수 있다. 앞에서 질적 연구의 타당성을 저해하는 한 가지 내재적인 위험요소로 연구자의 편견을 언급 하였다. 그런데 반드시 연구자의 편견이 개입된 경우가 아니 더라도 질적 연구의 기술적 타당도가 위협받을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아래의 인용부분은 Katzer(1978)의 고전적 실험결과이며 이는 갑작스럽게 사건이 전개되어 관찰의 타당도가 위협받 을 수 있음을 지적하는 예라고 볼 수 있다.


유사한 맥락에서 Patton(1992)은 질적 연구자로서의 훈련을 충분히 받지 못했다거나, 사건이 갑자기 진행되어 그러한 상황을 포착할 준비가 되어있지 못해 부정확한 기술·설명이 발생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현장에서 질적 연구를 수행할 때 Katzer(1978)의 실험과 같은 갑작스런 상황 이 발생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하겠지만, 질적 연구자는 철저한 훈련(현장 관찰기록 작성 훈 련, 상세한 것과 사소한 것을 분리하는 능력, 관찰을 유효하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의 구비 등)과 준비로써 의미 있는 정확한 정보를 포착하는 데 근접할 수 있을 것이다. Katzer(1978)의 실험의 예와 같은 경우에는 적용이 용이하지 않지만,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기술적 타당도를 높일 수 있는 일반적이고도 쉬운 방법은 조사자 삼각검증을 들 수 있다. 조사자 삼각검증은 복수의 연 구자가 연구 참여자의 행위, 연구 현장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복수의 조사자 를 고용하게 되어 조사자들의 관찰과 기록에 대하여 교차검증이 실시 할 수 있다면, 연구결과 는 보다 믿을만하며 외부 검토자의 지적에도 보다 견고할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두 사람의 조사자가 동일한 사건·상황에 대하여 각기 상이한 기술·설명을 제공하고 있다 면, 조사자 삼각검증의 활용은 용이하지 않게 보인다.


예를 들어, 한 연구자는 자료수집 과정에서 특정인의 존재를 언급하였으나, 다른 한 연구자 는 그 특정인의 존재를 포착하지 못했다면, 주요한 오류를 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Maxwell(1992)은 두 연구자가 동일한 사건·상황에 대하여 각기 상이한 자료 기술·설명을 제공하 고 있다면, 이는 기술적 타당도에 있어서 의문을 제기한다고 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그는 이러한 불일치의 문제는 1) 기술·설명을 변형하여(연구자들이 자신들의 기술적 정확성에 대하여 합의하게 됨), 그리고 2) 연구자들의 관점과 관찰의 목적이 달라서 그러한 불일치가 나 타난 것이며, 연구자들에게 주어진 관점들과 목적들에서 양자 모두 기술적으로 타당함을 규명 함으로써 해결 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실제 질적 연구 수행에 있어서 Maxwell의 주장 은 좀 더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 두 연구자의 자료수집 과정 및 서술에 있어서 나타 난 위와 같은 불일치는 모든 연구에 내재하는 선별적이며 주관적인 자료수집 과정을 증명하는 것임에 더욱 주목하여야 한다(이러한 불일치의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만약 연구자가 진실 되지 못하거나 그와 같은 불일치의 문제를 성실히 처리하지 않으려 한다면 타당도는 단지 고결함 (integrity)만을 추구하는 것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사건에 대한 연구자 기술·설명의 불 일치가 발생할 경우에 연구자는 이를 재검토하며 해결할 방안을 충실하게 강구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고 두 연구자가 쉽게 타협하여 타당도를 확보하려 한다면 그들은 단지 타 협된 타당도를 추구하게 될 것이다. 반면, 자료수집의 과정이 신실하게 수행하였음에도 불구하 고 동일한 사건에 대한 두 연구자의 상이한 설명·기술이 나타나게 되었다면, 이러한 불일치는 단지 두 연구자의 복수적인 관점과 경험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자료수집 상황·과 정에 존재하는 두 연구자의 실제적인 경험에 대한 진실 되고 근거 있는 기술·설명임). 이러한 관점은 질적인 연구에서 보다 깊이 탐구할 필요성이 있는 흥미로운 질문을 제공하는 것으로 받아들여 질 수 있다(물론, 이러한 관점이 양적인 연구에서는 용인 될 수 없겠지만. 인간의 생 명, 개성, 경험에 초점을 두는 질적 연구방법은 기술·설명 내에 대등하고도 상반된 진실의 모순 과 존재의 필연성을 인정하게 된다).




2. 해석적 타당도


기술적 타당도가 얼마나 정확하게 관찰하고자 하는 대상을 기술·서술하고 있느냐에 해당하 는 개념이라면, 해석적 타당도는 연구 참여자(대상)의 내면에 존재하는 의미를 얼마나 정확하게 묘사하고 있느냐에 해당하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석적 타당도는 연구 참여자의 내면적 세계(관점, 사고, 감정, 의도, 경험 등)를 얼마나 정확하게 연구자가 이해하며 연구 보고 서에 묘사하고 있느냐를 의미한다. Patton(1990)은 연구 참여자의 인식, 내면 세계를 드러내는 데 질적접근(특히, 면담법)이 유용함을 다음과 같이 역설하였다.


면담조사의 목적은 연구 참여자의 내면에 무엇을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내면에 무엇이 존재하고 있는가를 밝히는 것이다...(중략) 우리는 사람들이 어떻게 세상을 조직하는 지 그리고 세상에서 벌어지는 일 속에 귀착된 그들의 의미를 보는 것만으로는 알 수 없다 (Patton, 1990, p.278).


질적 연구의 패러다임 내에서 해석은 자료 수집에서 분리할 수 없는 요소이다. 이러한 맥락 에서 기술과 해석의 분리는 잘못된 구분일 뿐 아니라 사실상 불가능 하다(Maxwell, 1992). 질적 연구에서 해석은 본질적으로 연구자가 상황을 기술하는 문체 속에 표현되어 있으며,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 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생성되는 것이다(이와는 달리 양적 연구자는 질적 연구자와 같은 해석과 자료수집의 연결부터 분리되어 있지만, 양적 연구자도 그들의 자료 분류화와 선정 에서 해석과 자료 수집의 연결은 역시 피할 수 없을 것이다).


기술적 타당도를 높일 수 있는 한 전략으로는 참여자 확인을 들 수 있다(IV장의 연구자 렌 즈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참여자 확인 결과는 연구자의 인식을 민감하게 하는 부수적인 자료 수준을 활용). Lincoln과 Guba(1985)는 참여자 확인을 신뢰성을 확립하는 가장 중요한 기법으로 설명하였다. 참여자 확인은 수집된 자료와 이에 대한 기술·설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금 검토하는 것으로, 중점 그룹(focus group)을 선정하여 실행할 수 있으며, 대안적으로는 원 자료만을 연구 참여자에게 나누어 주고 이에 대한 주석·설명을 달 것을 요청하는 방식으로 실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검토를 종합적으로 다시 분석하여 연구자의 기술·설명을 재구성 한다면, 연구 참 여자의 내면적 세계를 보다 충실하게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질적 연구가 연구 참여자의 내면적 세계를 충실하게 반영한다는 관점에서,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의 살아 있는 그대로의 언 어(verbatim)를 담아내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우리나라의 질적 연구에서는 이를 연구 참여자의 언어가 그대로 담아 내지 못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됨). 아래는 시범학교 위주의 교육개혁 관 행을 비판하는 한 교사의 언어를 있는 그대로 나타낸 예이다.



3. 이론적 타당도


이론적 타당도는 어떤 현상에 대한 이론으로서의 기술·설명에 해당한다(Maxwell, 992). 모든 이론에는 두 가지의 공통적인 요소가 있다. 하나는 이론이 활용하고 있는 개념 이며, 다른 하 나는 그러한 개념들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성이다. 이론적 타당도도 이론의 이러한 양상에 부합 하여 1)현상에 적용된 개념들에 대한 타당성, 그리고 2)개념들 간에 가정된 관계성에 대한 타당 성이라는 두 요소가 있다. 전자는 연구자가 모델을 세우려 할 때 이용하는 벽돌에 해당된다 할 수 있고, 후자는 벽돌을 쌓아 놓아 가는 방법의 타당성이라 할 수 있다. 이론의 개발은 단지 사실 제공을 넘어서 현상에 대한 설명을 요구한다. Maxwell(1992)은 다음과 같은 예를 들어 이 론적 타당도에서의 두 요소를 설명하였다.


...연구자는 한 학생이 지우개를 던지는 행동을 저항의 행위라고 분류하고, 이를 다시 교 사의 억압적인 행동, 학교의 사회적 구조, 그리고 미국 사회에서의 계급 관계성 등과 연결 할 수 있다. 던지는 행위를 저항으로 동일시하는 것은 이론(적) 구조물(theoretical construct)의 적용을 구성한다...(중략) 던지는 행위를 다른 연구 참여자, 학교, 커뮤니티로 연결하는 것은 이러한 구조물 사이의 이론적 관계성의 가정을 구성한다(p. 291).


위의 예에서는 ‘지우개를 던지는 학생의 행위’를 설명하기 위하여 ‘저항’이라고 명명한 이론 적 구조물이 활용되었다. 이론은 타 이론적 구조물들과 관련시켜서 개발될 수 있으며, 저항이 라는 이론적 구조물도 유사한 다른 이론적 구조물과 연관 지워 볼 수 있다. Maxwell(1992)은 이 론적 타당도는 질적 연구 수행 과정 중에 연구자가 적용하고 개발하는 이론적 구조물과 관여 한다고 주장하였다. 질적 연구에서 이론적 타당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기법으로는 장기간의 현장조사를 들 수 있다. 연구자가 현장 조사에 충분한 시간을 할애함으로써 연구자는 연구 참 여자들과 연구 현장에서 밝혀지는 유형, 관계들이 안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검증해 보며 확신 을 갖게 되어, 그러한 관계성에 대한 설명 및 이론 생성의 기반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Ⅵ. 결 론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는 서로 다른 패러다임 가정을 추구하고 있으므로 양적 연구에서 제 시하는 타당도 개념 및 정의를 그대로 수용한다는 것은 질적 탐구의 본질과 상치된다 하겠다. 그렇지만 이를 전면적으로 부정하며 질적 연구에서의 타당도는 양적 연구의 타당도와는 다르 다는 주장에만 주목하게 된다면, 질적 연구의 질적 연구물은 신뢰할 수 있는 과학적 연구로 (양적 연구자뿐만 아니라, 질적 연구자들로부터도) 인정받기 어려워지며, 질적 연구 질에 대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질적 연구자들은 질적 탐구에 고유한 연구방법, 타당도 확보 방법 등에 기초하여 나름대로의 엄격성(rigor)을 추구하여야 할 것이다.


질적 연구의 다양한 타당도 확보·검증 기법을 적절히 적용한다는 것은 단편적이고도 구체적 인 기법·절차의 적용을 넘어서 연구에 고용된 렌즈와 연구자의 패러다임 가정을 종합적으로 고 려한 거시적인 시각에서 강구하여야 한다. 즉, 주로 사용되는 9가지 기법들 (삼각검증, 불일치 적 증거, 연구자 반성, 참여자 확인, 장기간의 현장조사, 공조, 추적조사, 풍부한 기술·서술, 동 료복명)의 선정은 연구자의 렌즈 유형과 패러다임 유형들과의 관계성 속에서 결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의 편의성에 의존한 몇몇 타당도 확보·검증 기법을 활용한 것으로 연구의 엄격성과 신실성을 보장 받을 수 없다.


또한 질적 연구에서 제시하는 다양한 타당도 확보·검증 기법들에 대하여 사후 검사적인이며 일회성에 그치는 접근이 아니라, 과정적이며 지속적인 태도를 갖출 필요가 있다. 연구가 종료 된 시점에서 질적 연구의 표준화된 타당도 확보·검증 기법을 활용하는 것으로는, 실질 적인 타 당도 획득이 불가능하다. 이는 질적 연구에서 과정으로부터 분리된(연구 현장의 맥락 에서 분 리된) 타당도 검증기법의 적용으로는 연구의 엄격성과 신실성을 보장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사후검사적인 접근으로 질적 연구의 타당도를 확보할 수 없다는 것은, 사전적인 조정·중 재로 질적 연구의 타당성을 위협하는 요소를 미리 제거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질적 연구의 타당도 확보·검증의 궁극적인 관건은 외부 평가자가 아니라 연구 의 전 수행과정을 관장하는 연구자 자신에게 달려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강조 한다. 따라서 연구자는 질적 탐구 자체에 내재된 엄격성과 신실성 확보 방안들을 인지하고 그 적용을 강구 하여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타당도 개념 상이성에 대한 논의를 차치하더라도, 각 연구 접근에서 추구하는 타당도를 성취할 수 있는 방법에는 명확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타당도 성취 방법의 차이는 각기 다른 목적과 다른 진리를 추구하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Foucault(1972)의 진리의 복수성(multiplicity of truth) 정의를 토대로 볼 때, 각각의 진리들은 저마다의 타당도 방안을 필연적으로 요구할 수 밖에 없다고 할 수 있다. 즉, 추구하는 진리가 어떤 것이냐에 따라 그 성취방법의 타당도는 재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타당도는 진리 추구 과정을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는 연구방법 의 활용에 내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타당도에 대한 원론적 정의(타당도는 연구가 본래 평가하려고 했던 바를 제대로 평가하고 있는가를 탐구하는 것이다)를 다시 살펴볼 때, 질적 연구 타당도 탐구는 그 연구가 원래 평가하려고 했던 바를 제대로 평가하고 있는가에 대한 진단뿐만 아니라, 그 연구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려던 진리에 제대로 근접할 수 있는가에 대한 조명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질적 연구의 다양한 타당성에 대한 비교 분석 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of validity issues in qualitative research

나장함(Na Jangham) 저

간행물명 : 교육평가연구

권/호 : 교육평가연구 제19권 제1호 / 2006 / 265~283 (19pages)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간행물유형 : 학술저널

주제분류 : 교육학

초록

한국어초록

  타당도에 관한 논의는 실증주의적 패러다임에 근거한 양(계량)적 연구에 뿌리를 두고 있다. 양적 연구와는 다른 자연주의적 패러다임에 근거한 질적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에서 제시하는 타당도 개념과는 다른 나름대로의 타당도를 개념을 설정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있어왔다. 1990년대 이후부터 우리나라에서도 질적 연구에 대한 관심이 교육학계에서 꾸준히 고조되고 있으나, 우리의 학문적 맥락에서는 질적 연구의 타당도에 관한 논의가 활성화 되어 오지 않아, 오늘날 양산되는 질적 연구물의 질적 수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1)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특성 비교, 2) 타당도 정의 재고, 3) 질적 연구 타당도 확보 선정틀로서의 연주자 렌즈와 연구자 패러다임, 4) 질적 연구 타당성의 유형과 타당도 확보 기법의 조화 등을 논의하였다. 즉, 본 논문은 질적 연구수행에서 혼란을 초래하였으며, 간과되었던 영역을 종합적으로 논의하여, 질적 연구 타당성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고 있다.

영어 초록

  Because the various definitions of validity is rooted in positivist quantitative approach, qualitative research should redefine them for their use in naturalistic approach. Although the total number of research using qualitative approach has rising since the 1990s in Korea, the quality of their comes call into question. One of the major reason responsible for this problem is the lack of discussions on the quality criteria of qualitative research. In this sense, this study explores and analyzes the nature of validity 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in order to provide a insight into insuring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I begin this study by comparing some of the major differences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Next, I review and analyze a range of various definitions for validity given by leading authors. Than, I discuss the lens of researcher and researcher"s paradigm assumption as a determinant of choosing validity procedures. Finally, I offer 3 type of validity in qualitative research and its application with verification procedures. This study concludes with recommendations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qualitative research.

질적 연구 방법론 - 1:1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Qualitative Research - focused on 1:1 interview)

2005/11/22 화요토픽리뷰 Qualitative Research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예방의학교실

R2 주 수 영





먼저, 질적 연구의 특징(김창엽, 2004)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가장 질적 연구를 이 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① 현상을 기술하기 위해 숫자 대신 언어를 사용한다(uses words rather than numbers to describe findings) 

  • 역동적인 현실변화를 나타낸다(assume a dynamic reality) 

  • 대상자의 관점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것을 강조한다(emphasize seeing the worl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articipants) 

  • 목적은 예측이 아니라 이해다(goal is understanding rather than prediction) 

  • 인간 경험의 주관적인 측면을 강조한다(emphasize the subjective dimensions of human experiences)

  • 환원론적이기 보다는 전체론적이다(holistic rather than reductionistic) 

  • 사실대로, 발견 중심적이고 설명적이고, 기술적이고, 귀납적인 방법으로, 해석하는 접근 방법과 관련이 있다(associated with the interpretive approach which is discovery oriented, explanatory, descriptive, and inductive in nature) 

  • 일반적인 질문이나 문제로 시작한다(starts with general question or problem) 

  • 미리 가정을 세워두지 않는다(no pre-defined hypothesis) 

  • ⑩ 단순 무작위 표집이 아닌 유의 표집을 사용한다(uses a purposive sampling, not a random one) 

  • 상대적으로 작은 표본을 이용한다(uses a relatively small sample)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는 서로 배타적인 성격을 지니기 보다는 상호 보완적이다. 어떤 사회 조사를 막론하고 어느 한 쪽의 방법론만으로 훌륭한 결과를 거두기는 어 렵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이 두 방법론의 원리와 기법을 배합하여 활용하기 마 련이며, 단지 연구주제, 연구 대상의 성격, 연구자의 성향에 따라 어느 쪽을 위주로 하느냐의 결정이 있을 뿐이다. 그러나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이 두 가지 방법론을 단순히 반대되는 접근방법으로 생각하고 있다. 양적 방법론의 기법들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질적인 접근 방법을 부담 없이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 향도 있다(김두섭, 1999).


질적 연구 방법과 양적 연구 방법이 동시에 사용되기도 한다. 연구론의 삼각 측정 (methodological triangulation)이라고 불리는 이 방법은 질적 연구의 신뢰도 (credibility)를 높이기 위해 쓰이기도 하는 것으로, 

  • simultaneous triangulation은 질적 방법과 양적 방법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을 말하고, 

  • sequential triangulation은 한 가지 방법으로 얻어진 결과가 다른 방법을 시행하는데 요긴하게 활용되는 방식 을 의미한다. 

즉, 한 가지 사실은 여러 방법으로 접근하여 사라펴본다는 것이다(이 중규, 2003, J. Maison, 김두섭 역, 1996).


삼각측정(triangulation)을 시행하는데 4 가지 원칙이 있다(이중규, 2003).


  • ① 연구 질문은 반드시 명확해야 한다(The research question must be clearly focused) 

  • ② 각 방법의 장점은 각 방법의 단점을 보완해 주어야 한다(The strength and weakness of each chosen method must complement each other) 

  • ③ 연구 방법은 연구 현상의 성질과의 관련성에 따라 정해져야 한다(The methods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their relevance to the nature of the phenomenon being studied) 

  • ④ 연구 중에 접근 방법에 대한 평가가 계속 이루어 져야 한다(Continual evaluation of the approach should be undertaken during the study)


질적 연구가 사용되면 효과적인 보건의료 분야는 다음과 같다(신호철, 2005).


① Study of explanatory models (e.g. Health Belief Model) 

② Comparing different perspectives of different groups 

③ Identifying social networks 

④ Assessing the social impact of events 

⑤ Studying medical pluralism 

⑥Study of deviance (e.g. non-compliance) 

⑦ Understanding behavior of social groups


실제 질적 연구가 주요한 연구 방법으로 쓰이고 있는 학문 분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J. Maison, 김두섭 역, 1996).


① 현상학(phenomenology) 

② 민속방법론(ethnomethodology) 

③ 후기 근대주의자(postmodernist) 

④ 인류학(anthropology) 

⑤ 언어학(linguistics) 

⑥ 인본 지리학(human geography) 

⑦교육학(education) 

⑧역사학 

⑨ 매체 연구, 문화 연구 

⑩ 보건학(public health) 

⑪여성학(feminism)





4. 1:1 심층 면접 순서 및 면접 방법


4.1. 질적 연구의 기획과 디자인


많은 사람들은 지나치게 간단하 게 일반적인 형태로 서술하는데 그치고, 반대로 일부 연구자들은 그들의 연구 초점 을 너무 길고 진부하게 만들어버린다. 연구자들은 탐구하고자 하는 본질이 무엇인가를 분명하게 가려낼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선(질적 연구이든 양적 연구이든 간에) 다음 5 가지에 대한 질문들 을 제기해 볼 필요가 있다(J Maison, 이두섭 역, 1999).


    • 내가 탐구하고자 하는 현상, 실재(entity) 또는 사회적 실체의 본질이 무엇인가?

    • 무엇을 내가 탐구하고자 하는 실재 또는 사회적 실체에 대한 지식이나 증거로 간주할 것인가? 

    •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제, 또는 주관심 영역이 무엇인가? 

    • 이론적, 지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궁금증이 무엇인가? 무엇을 설명하고자 하는가? 풀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무엇인가? 

    • 내 연구의 목적이 무엇인가? 나는 왜 이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가?


특정 조사방법과 자료가 어떻게 그리고 왜 연구 문제를 풀어 가는데 도움이 되는가를 명백히 인지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문제 와 방법론을 특정한 조사방법 및 기법과 연계시키기 위해서, 연구자는 자신의 지적 문제 및 연구문제를 푸는데 필요한 지식과 증거가 무엇인가를 꼼꼼히 따져 보아야 한다. 그리고 그러한 지식과 증거를 어떻게 만들어내고 수집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아야 한다(J Maison, 이두섭 역, 1999).



표 2. 연구문제와 조사방법을 연계시키는 점검표의 예시





표 3. 학자에 따른 질적 연구 설득력(trustworthiness)를 위한 요소 분류 체계



신뢰도(credibility)

기술의 정확성 (accuracy of the description) 조사 장소에서 오래 있으면 있을수록 신뢰도 높아진다. 

대상자를 자주, 계속 관찰하고 관계를 맺음으로써 신뢰도가 높아진다. 

대상자가 자료 분석 과정에 개입하도록 한다. 

수집한 자료, 자료 수집 방법, 자료의 종류, 연구자, 연구론의 삼각 측정 (methodological triangulation)


타당성(dependability)

반복해서 조사했을 때(다른 때, 다른 환경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오는 것 

사람들의 상황은 항상 변한다는 것을 반영 

이를 위해서 비슷한 훈련을 맏고 대상자와 비슷한 신뢰정도가 형성된 조사자를 한 명 씩 더 투입하여 같은 대상자를 인터뷰하도혹 한다. 

이것은 audit trail(감사 과정)으로 확인한다.


전의 가능성(transferability)

일반화(generalization)가 가능한 정도, 적합(fittingness)한 정도를 의미 

독자들이 전의 가능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충분한 세부 설명이 있어야 한다. 

전의 가능성의 부족이 질적 연구의 약점이기도 하다


확실성(confirmability)

neutrality 중의 하나이다. 

2 명의 독립적인 조사자가 자료로부터 도촐된 의미를 동의해야 한다. 

audit trail(감사 과정)을 사용한다. 

개인적의 편견(personal bias)이 어떻게 들어갔는지, 다른 설명은 없는지를 정리해 야 한다.




4.2. 자료의 창출 : 면접


면접 시 연구자는 다음 사항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 피면접자가 납득할 수 있어야 한다. 

  • 피면접자에 대한 사전 지식을 바탕으로 그의 주변상황, 경험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 연구자의 윤리적 입장에 위배되지 않고, 피면접자의 요구와 권리를 고려하여야 한다. 

  • 면접하는 상호작용-‘목적을 지니고 이루어지는 대화’-의 흐름을 방해하기보다는 원활이 하는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 

  • 연구자의 연구문제에 관련되는 주제와 화제에 적절한 초점이 모아져야 한다.




질젹 면접을 위한 준비과정은 크게 7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제 1단계 : 커다란 연구 문제


연구가 탐구하고자 하는 커다란 연구문제들의 목록을 만든다(표2 참고).


‹ 제 2단계 : 작은 연구 문제


이 커다란 연구문제들을 일단의 작은 연구문제들로 쪼갠다. 커다란 연구문제들과 하위범주들 간의 연계는 적절한 번호나 부호로 표시되거나 도표로 그려질 수 있으 며, 상호확인을 위한 색인카드를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 제 3단계 : 가능한 면접 화제와 질문


각각의 작은 연구문제들에 대하여, 면접을 통하여 적절한 내용을 얻어내는 방법을 모색하기 시작한다. 이는 연구자가 탐구하고자 하는 크고 작은 문제들을 면접의 화 제로 전화시키고 면접에서 사용할 질문들의 내용과 형태를 만들어냄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것이 면접에서 그대로 사용될 질문의 대본을 작성한다는 뜻은 아니며, 면 접의 화제와 질문을 개발함으로써 면접과정에서의 상화적용에 적절히 대비하는 것 이다. 이 경우에도 면접에서 사용될 구체적인 질문들과 크고 작은 연구문제들 간의 연계는 구체적으로 명시되어야 한다.


‹ 제 4단계 : 교차 점검


면접 화제와 질문들이 거꾸로 커다란 연구문제와 작은 연구문제를 탐구하는데 도움 이 될 것인가를 점검한다.


‹ 제 5단계 : 느슨한 형태의 면접 지침표


면접을 위하여 이들을 느슨한 형태로 엮어낸다. 이는 유연성과 가변성을 지녀야 하 며, 논의하고자 하는 핵심적인 주제나 연구문제에 대한 일단의 실마리를 얻어 낼 수 있는 형태로 꾸며져야 한다.


‹ 제 6단계 : 표준화된 질문과 항목


면접에 표준화시킨 질문이나 항복들을 도입할 것인가를 확정한다. 모든 사람들에 똑같은 형태로 물을 수 있는 질문이 있을 수 있다. 위에 제시된 예에서는 고새서 명 부분이 상단 수준 표준화되었으며, 이는 연령이나 혼인상태 등 개인적/사회적 특 성을 묻는 일부 질문들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피 면접자에게 자료의 비밀 보장을 확신시키기 위해서 전하는 이야기도 표준화된 형태로 작성할 수 있을 것이다.


‹ 제 7단계 : 교차 점검


면접표와 표준화된 질문 및 항복들이 가능한 모든 주제와 질문들을 적절하고 충분 하게 포괄하고 있는가를 교차 점검한다.


베르토와 베르토-와이암은 표본의 크기는 탐구하고자 하는 사회과정에 따라서 결정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에 의하면 연구자가 상황을 충분히 파악하고 이에 적 절한 설명을 이끌어낼 수 있는 시점에 도달 할 때까지 표집이 계속되어야 한다. 만 약 수집되는 자료가 탐구하고자 하는 사회과정에 관하여 전혀 새로운 사실을 알려 줄 수 없게 되면 이러한 시점에 도달한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Bertaux and Bertaux-Wiame, 1981, J Maison, 이두섭 역, 1999 재인용). 즉, 대상자들의 면접 내용이 전에 수집한 자료와 같은 내용이 반복되고 전의 내용을 확인해 주기만 할 때가 자료 수집의 종료단계이다.


5. 질적 자료의 분류/정리/지료화, 분석/설명


5.1.횡단적, 범주적 지표화


5.2. 비횡단적, 범주적 지표화


5.3. 도형과 도표


5.4. 분석, 설명











7. 참고문헌

1) 질적연구방법론, 제니퍼 메이슨, 김두섭 역, 나남출판사, 1999

2) 질적연구 해석과 이해, 이효선 외, 학현사, 2005

3) Nahid Golafshani, Understanding Reliability and Validity in Qualitative Research, the Qualitative Report, 8(4);2003;597-607

4) Kyung Rim Shin, 한국 폐경 여성의 몸의 변화,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Methods 1(2);2002

5) Nicholas Mays, Catherine Pope, Qualitative research in health care: Assessing quality in qualitative reseach, BMJ;320(7226);2000;50-52

6) 신호철, 질적연구과 양적 연구, 가정의학회지;26(4);2005

7) 2004년 의료관리학 교실 Staff Lecture 중 'Introduction to Qualitative Research. 김창엽'

8) 2003년 의료관리학 교실 토픽리뷰 중 '질적 연구 방법, 이중규'

질적 연구에서의 자료분석 - 소프트웨어 접근의 이해 - (교육인류학연구, 2008)

김 영 천

진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김 진 희

University of Tasmania visiting scholar




1. 서론


이런 기본적인 관점을 시작으로 최근에 질적 연구자들이 자료수집과 분석을 위해 다양 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디지털화 하는 것은 더 이상 낯설지 않은 연구과정의 한 부분 이 되었다. 나아가 디지털 형태의 자료를 저장, 분류 및 분석, 재분류와 재분석을 통한 결 과도출을 연구작업의 중요한 활동으로서 실행하게 되었다. 즉, 서로 다른 멀티미디어와 매 체자료를 디지털화하여 상호작용하는 현상은 컴퓨터가 질적 연구의 전문성 확장에 기여하 고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Brown, 2002). 그 예로서 텍스트 자료입력 및 저장이 가능한 1 세대 소프트웨어(워드, 글 등), 텍스트뿐만 아니라 그림과 영상자료의 편집과 분석이 가 능한 2세대 소프트웨어(프리미어, 무비메이커)에서 이러한 기능을 모두 수행할 뿐만 아니 라 단어 및 코딩자료의 빈도비율 표시 및 양적 연구를 위한 소프트웨어(spss, excel 등)와 의 호환이 가능한 3세대 소프트웨어(ATLAS.ti5, Nvivo)까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Gibbs, Friese & Mangabeira, 2002).


2. 컴퓨터 소프트웨어 활용에 대한 견해들


최근 질적 연구에서의 소프트웨어 활용은 생산되는 제품의 다양함과 사용자가 편리하 도록 호환성을 높이면서 시장의 규모가 점점 커져가고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 여 자료분석을 해 본 경험이 있는 각국의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활용 동향을 파악한 조사에 의하면, 대학원생의 약 70%가 학위과정에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질 적 자료분석 강좌가 개설되어 있다고 답해, 각국에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질적 자 료분석에 대한 교육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근거이론, 문화기술지, 실행연구, 내러티브, 담론분석 등 다양한 질적 연구방법론에도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자 료를 분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Gibbs, Taylor & Fielding, 2007). 이것은 Lonkila(1995)가 질적 연구분석 소프트웨어 사용과 발전에 있어 근거이론(grounded theory) 이 지나치게 강조되고 있는 비판을 일축하고 있다. 즉, 근거이론은 연구자가 선택해야 할 방법론적인 일일뿐 소프트웨어 자체를 말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따라서 분석을 위해 프로그램을 사용한다고 해서 그것이 근거이론을 수행하는 것과는 상관이 없음을 증명해 주었다.


3. 질적 자료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종류들


3.1. 대표적 프로그램들의 특징


 <표  1>  질적  자료분석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특징




4.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질적 연구들의 예





질적 연구에서의 자료분석 -소프트웨어 접근의 이해-

김영천 ( Young Chun Kim ) , 김진희 ( Jin Hee Kim )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11권1호 (2008), pp.1-35


  ECN

ECN-0102-2015-300-000616400


  UCI

I410-ECN-0102-2015-300-000616400


  키워드

질적 자료분석, 컴퓨터 소프트웨어, Qualitative Data Analysis, computer software, Nudist, Nvivo


  초록

<한국어 초록>

   최근 각국에서 수행되고 있는 질적 연구의 경우 분석의 방법으로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분석방법은 연구자에게 자료의 기록과 관리 그리고 분석을 도와주는 매체로서 환영받고 있으며, 이 방법을 사용한 질적 연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이 분야에 대한 이론적 소개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질적 연구 자료분석을 위해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전체적인 조망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분석 방법이 발전해 온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질적 자료분석 도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소프트웨어인 누디스트와 엔비보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어서 누디스트와 엔비보를 활용하여 실행한 몇 개의 경험적 연구를 그 예로서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 분야에 대한 우리나라 연구자들의 학구적 관심이 요구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질적 연구에 대한 이론화의 한 가지 분야가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질적 자료의 분석이라는 점에서 이 분야에 대한 우리나라 학자들의 심층적인 연구노력이 요구된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영어 초록>

   Advancements in computer software have lead to increased use of computers to assist researchers with qualitative data analysis. Qualitative software has encouraged a more systematic approach to data management, and stimulated fresh interest in more formal approaches to data analysis.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y and impact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on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al field. We introduce how the software for qualitative data analysis NUDIST can be used to facilitate the process of organizing, storing, retrieving and analyzing data in research projects. We discuss the perils and promise of software packages for the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and offer specific future directions in the development and usage of software for qualitative researchers. As a concluding comment, we suggest that there should be more academic and practical interest in this field. Furthermore, as a country recognized as a leading IT frontier, we emphasize that we Korean qualitative researchers should develop a new computer software which can be used in Korean language for Korean users.

인터뷰조사기법: 질적 연구를 위한 인터뷰 성공기술 

이영희ㅣ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 조교수




인터뷰의 유형



먼저 대면인터뷰는 연구자가 직접 연구대상자를 만나 면담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대면인터뷰는 개 인적으로만나기 때문에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동시에 타인의 눈을의식하지 않아도되며 풍부한 화제를 깊이 있게다룰수있는장점이 았다. 이러한 대면 인터뷰 과정에서 연구지는연구대상자에게 어느 정도 성실도와 신뢰감을 인정받느냐에 따라 전화로 반밖에 들을 수 없는 내용을 전부 알아낼 수 있다 (김창룡, 1994). 이것은 대변인터뷰가 갖는 장 · 단점을 동시에 함축한 말이기도 하다. 즉, 대면 인터뷰 의 장점을-잘살려야그것이 정점으로연구에 반영될 수있다. 만약 연구대상자에게 성심감이나 신뢰감 을 주는 데 실패하여 오히려 건방져 보였다면 만나지 않은 젓보다 못한 결과를 낳기도 한다. 김창룡 (1994)은 대면인터뷰의 단점으로 곤란한 질문이나 답변이 어 렵다는 점을 지적하였는데 이것은 체면과 품위를중시하는 우리나라에서 흔히 있을수 있는일이라고 한다


인터뷰 기법


인터뷰는 질문방식에 따라 크게 ‘깔대기형’ 과 ‘역깔대기형’ 이 있다- 먼저 깔대기형 인터뷰는 배출구가 좁은 깔대기처럼 처음질문은포괄적으로시작하다가갈수록범위를좁혀가며 사안의 핵심에 접근 하는 방식을 일걷는다 반면에 역깔대기형은 깔대기흘 거꾸로 세운 형태로, 구체적이고 직선적인 질문 으로 인터뷰를 시작하여 전체 그림을그려나기는형태를말한다- 이라한 인터뷰 방식은 솔직한 어린이들 같은 대상과 인터뷰할 때 많이 활용되는 방식 이다 김창룡(1994) 에 의하면, 상대가 의사소통 이 어렵고 자기표현이 능란한 경우 깔대기형 인 터뷰를 히는 것이 좋고, 자기표현이 서툴거나 횡 설수설하는 경우는 역깔대기형 인터뷰가 효과적 이라고 한다.


인터뷰 기술



먼저, 인터뷰대상자에게 연구자를 최초로 소개할 때 연구의 목적과 요구사항을 밝히는 것이 좋으며 인터뷰 대상자의 일에 지장을 주지 않도 록 인터뷰 시간과 장소를 잡는 것이 섬리적으로 좋다 그라고 인터뷰 장소로는 전화벨소리 , 방문 두드리는 소리 등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 장소가 좋다.


둘째, 상대가 인터뷰에 잘 응해주지 않을 경우 편지는 인터뷰 승낙을 받아내는 데 매우 유용하 다. 우리는 남에게 펀지를 보내지 않으면서도 편 지를 받으면 즐거워한다. 특히 인쇄된 편지가 아 다고 직접 손으로 쓴 편지일 경우 받는 사람은 대 단히 반가워하게 마련이다(오효진, 2004), 필자 의 경우도영국공무원을인터뷰할때 이러한방 법을썼는데 매우효과적이었다.


셋째 , 인터뷰 내용의 기록매체를 연구자 및 인 터뷰 대상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잘 선택해야 한 다. 연구지가 인터뷰 내용을 받아 적거나 녹음하 는 동안에 주의집중을 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 이다. 그라고 인터뷰 내용을 기록할 때 형사처럼 취조하듯。1 기록히는 것은 좋지 않다. 연구의 특 성상 녹음기록이나 사진을 찍는 것이 꼭 필요하 다면 할 수 없지만 가능하면 인터뷰할 때 녹음, 기록, 사진촬영은삼가는것이 좋다. 필자의 경우 는 대상자의 말을 잘 기억했다가 인터뷰가 끝난 후기록했는데 이것이 매우효과적이었다.


넷째, 여성을 인터뷰할 때는 화장기 없는 수수 한 차림으로 인터뷰하는 것이 좋다 여성을 상대 로 인터뷰할 때 연구자의 세련된 외모는 상대여성 의 경쟁심리를 자극하여 말문을닫아버리게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여성을 면담할 때는 가급적이면 화장하지 않는 것이 좋고, 옷차림도 너무 세련되 지 않은 수수한 차림새가 좋다 그러고 표정 또한 진지한 표정을 지으며 꾸미지 않은 어투로 인터 뷰를 한다면 상대방으로부터 만족할 만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일곱째, 도움을 받았으면 감사인사를 하는 것이 좋다 일단 도움을 받았으면 그만이지 하는 생각은 금물이다. 인간관계는 복잡미묘해서 언제 어느때 다시 얽힐지 아무도 모른다. 엽서나 전화통화로김사 인사를 하게 되면 상대방은 연구자써 대해 따뜻한 민간성을 느끼게 되고 또 때에 따라서는 매우 귀중한 정보를제 공해 줄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감사인사는 연구자가 연구지역 사람들과 장기적인 인간관계를 맺게 해주는 단초 역할을 해주고 나아가 이것을 바탕으로 한지역을 지속적으로 연구할수 있게 해준 다.


여덟째, 인터뷰시 효과적인 의사소통기술을소개하면 다음-과같다


  • 인터뷰 대상자가 상기할수 있도록 질문을 반복한다. 

  • 인터뷰 대상자가 모호한 말을 할 경우는 좀 더 자세히 설명해 주서겠습니까?’ 라든가 '왜 그러한 말을 합니까?’ 라는 질문을 한다. 

  • 인터뷰 대상자가 무엇을 생각하거나 결정할 때는 침묵을 한다. 

  • 인터뷰 대상자가 했던 마지막 말, 개념, 진술을 반복하면서 매우흥미 있는데요, 좀더 자세히 말해 주시겠습니까? 라고 말한다. 

  • 연구자가 거울과 같은 역할을 하여 인터뷰대상지가 대답을 다시 한번 더 생각할 수 있도록 한다. 

  • 말하기 쉬운 분위기를 조성한다 김창룡(1994)은 필요하면 동조적여고 친구가 되도록 노력하며 당신이 연구자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이와 관련히여 오효진(2004)은 쉬운 얘 기부터 시작하거나 상대방이 제일 자신 있어 하는 분야나 열변을 토할 만한 쟁점을 끌어대서 일단 말문을 트이게 해놓으면 인터뷰의 절반은 성공한 것이라고 한다. 

  • 정확성을 꾀하기 위해 같은 것을 다른 각도로 질문해서 재확인한다 

  • 무의식 중에 상대를무시하지 않는다. 

  • 상대방의 말을 도중에 가료채서 끊지 말아야 한다. 도중에 말을 가로채면 상대방이 연상하여 했던 말을 잊게 된다. 

  • 두 가지 질문을 동시에 해서는 안 된다. 

  • 처음에는 대화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가벼운 이야기를 나눈다. 

  • 인터뷰할 때 말을 잘 하지 않는 사람은 의도적으로 인터뷰를 빨리 끝내고 잡담으로 들어가서 알맹이를 끌어낸다 

  • 도움을 청한다 사림들은 당신이 아는 모든 것을 말해딜파고 하면 우선 거부감부터 갖게 된다. 그러나 사람들은 자신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는 사실에 매우 흡족해진다. 따라서 사람들에게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당신이 이해할 수 있도록 정중히 요청하는 것이 좋다. 

  • 잘듣는다. 인터뷰를 잘 하는사람은 잘 듣는 사람이다. 스테이너 (1998)는 단순한 고개의 끄덕임이나 ‘음’ 이라는 말, 또는 침묵도 연구대상자에게는 그 설명을 계속해 나가라는 지시가 될 수 있다고 한다. ‘아 그래요’ , 꽤 그렇죠’ , '어떻게 그런 일이’ 등의 장단을 맞 추면서 계속 말할수 있도록 하는 짧은 중얼거림이야말로 가장 좋은 질문이 될 수 있다고 한다. 오효진(2004)은 인터뷰 경험상 대상자가 흥미진진한 얘기를 할때 인터뷰어가 눈을 동그렇게 뜨고 빤히 지켜보거나 고개를 푹 숙이고 받아 적기만 하면, 대상자는 자기가 하는 말에 흥미를 못 느끼는 줄 알고 말머리를 돌릴 것이라고 한다

  • 더듬수를 놓는다. 인터뷰어가 말쑥한 차림으로 표준어를 써가며 또박또박 묻는다면 또 상대방이 말하는 대로 받아 적는다면 상대방은 무언가 손해보는 듯한 느낌을 받 을 수 있기 때문에 때때로 더듬수를 놓는 것 이 좋다.


인터뷰 대화내용의 분석


인터뷰 대화내용의 분석방법은 인터뷰 조사를 실사하기 전에 먼저 제시되는 것이 좋으며 분석도구로는 광범위한 인터뷰 기록들을 쉽게 저장,관리,분석할 수 있는 컴퓨터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그리고 인터뷰 내용의 양적인 신뢰성 점검은 두사람에게 같은 인터뷰 내용을 따로따로엽력하게 한 후에, 컴퓨터 를 이용헤서 어휘목록을 만들고, 두 개의 가록본 간의 차이가 나는 단어수를 비교함으로써 가능하다(스 테이너, 1998).


스테이너(1998)는 인터뷰 내용을 좀 더 편하게 분석할 수 있는 방탬을 다음 5단계로 제시한다. 

첫 번째 단제는인터뷰대상자들이 표현한 의미를 더 짧은 형태로 요약하는 의미요약단계다. 

두번째 단 계는 요약된 의미들을 몇 개의 텀주로 코드화하는 의미범주핵- 단계다. 이러한 의미범주화 단계에서는 많은 텍스트를 몇 개의 표와 도형으로 축소구상할 수 있다. 

세 번째 단계는 담-화구조화(Narative structuring) 단계로 의미를 알아내기 위하여 텍스트를 시간적이고 사회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인터뷰 중에 들은 이야기를 중심으로 자체의 구조와 줄거리를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담화구조 화를 통해서 인터뷰 속에 들어 있는 잠재적인 의미를 좀 더 정교한 담화로 발전시킬 수 있다. 

네 벤째 단계는 의미해석 단계로 텍스트씩 의미구조화를 바탕으로 텍스트 내용을 좀 더 갚이 있고 폭넓게 해석 하는 단계다. 동일한 인터뷰 내용을 여러 사람이 해석함으로써 어느 정도 편협함을 벗어날 수 있다. 

다섯 번째는 의미창출의 단계다‘ 의미창출을 위해선 다른 접근방법과 기술이 이용되는데 얘기에 특별히 표준화 된 방법야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연구자가 인터뷰 내용을 끝까지 읽어보고 종합한 다음,특정 부분으로 되돌아가서 현상들에 대한 각기 다른 태도를 보여주는 말들을 수량화할 수 있고, 구체적인 표현을 더 깊게 해석하고, 인터뷰 부분들을 담화 로 엮거나 자료를 파악하기 위한 비유를 생각해 내거나 발견한 내용을 도표로 시각화 할 수 있다.



인터뷰 보고 다듬기 


인터뷰 보고서를 쉽게 만들려면 처음시작부터 최 종보고서를 염두에 두는 것이 좋다 그리고 인터뷰 보고서에서는 다음과 같은 독자들의 궁금증을 언 급히는것이 좋다(스테이너, 1998).



  • 설계하기 ; 연구대상자는 무작위 표본추출연 가? 아니면 이론적인 표본추출인가? 혹은 접근의 용이성을고려하여 선택하였는가? 

  • 인터뷰하기 ; 인터뷰 전에 연구대상자에게 어떤 정보가 주어졌는가? 인터뷰 당시의 인터뷰실행자와 대상자의 신뢰감은 어느 정도 인가? 정서적, 유대적 환경은 어떠한가? 어 떤 질문이 주어졌는가? 인터뷰 지침은 어떻게 마련되었는가? 

  • 기록하기 ; 어구 선택과 관련하여 기록자에 게 주어진 유의사항은 무엇인가? 

  • 분석하기· 분석이 개인의 직관적인 해석인 가? 아니면 공식화된 절차를 적용한 것인 가? 범주화 작업은 누구에 의해 어떻게 이루 어졌는가? 

  • 증명하기 ; 인터뷰의 기록, 분석과정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어떤 검토를 거쳤는가? 편향적이고 션택적인 해석을 방지하기 위해 어떤 통제 방식을 이용했는가?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얻기 위해서 어떤 논의가 이루어졌는가?













제어번호 : 75424444

저자명 : 이영희

학술지명 : 국토 : planning and policy

권호사항 : Vol.303 No.- [2007]

발행처 : 국토연구원

발행처 URL : http://www.krihs.re.kr

자료유형 : 학술저널

수록면 : 109-116(8쪽)

언어 : -

발행년도 : 2007년

비 고 : 기관요청에 의해 국토연구원, 논문 판매처인 누리미디어에서만 원문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으니, 국토연구원(http://www.krihs.re.kr) 과 누리미디어 (http://www.dbpia.co.kr) 사이트를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학회 요청에 의해 무료로 제공

질적 연구 방법론과 그 철학적 토대

신충식(성균관대)





1. 질적 연구방법과 제일인칭 시각의 현상학


이러한 참여적 관찰보다 심층 인터뷰 기법을 사회학자는 물론 여타 사회영역에서 널리 활용하고 있다. 심층 인터뷰는 반쯤 구조화되거나 전혀 구조화되지 않은 방식으로 문 제들을 토론하는 것을 쉽게 하기위해서 인터뷰 가이드와 끝없이 진행되는 질문 및 정보를 얻기 위한 끊임없는 탐구에 기초하고 있다. 이러한 심층 인터뷰는 안내를 받고 있는 대화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긴 인터뷰는 일상적으로 작은 샘플들에 한해서 행해질 수 밖에 없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들은 집단 인터뷰를 활용한다. 개인들 인터뷰보다 집단 인터 뷰가 갖는 이점은 특수한 주제에 대한 토론에서 참여자들이 상호작용을 할 수 있으며 어떤 관점에서 다른 인터뷰를 받는 자들과 동의하거나 반대하며 새로운 이슈와 관심을 제기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의사-자연적인 환경에서 모든 참여자들 간의 상호 작용은 일상적인 집단 대 화와 그렇게 다르지 않다.


따라서 질적 연구의 목적은 근본적으로 사람들의 주관적인 경험들과 그들이 그러한 경험들에서 얻게 되는 의미들을 탐구하는 것이다. 예컨대 심층 인터뷰는 사건의 당사자들이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사건에 대한 그들의 해석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들이 구성하고 있는 사고과정과 이야기들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결국 질적인 방법은 의미과정의 맥락을 포착하는 데 가장 유용한 방식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I. 질적인 연구방법의 철학적 토대


1. 서론


2. 객관학문의 발생


3. 초월학문의 발생


4. ‘초월론적인(transcendental)’ 것의 의미











II. 질적 연구방법의 특징과 연구 설계


1. 양적인 연구와 질적인 연구 방법의 차이


방법에 있어 옳고 그름의 문제는 있을 수 없다. 문제는 자신이 선택하고자 하는 방 법이 연구 주제와 연구 모델에 얼마큼 부합하는지에 있다.


이러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진리주장의 차이를 다음과 같이 도표화할 수 있을 것이다.




2. 질적 연구의 특징


Dryman, A. (1988) Quality and Quantity in Social Research, London; Macmillan. 


1. 연구 참여자의 눈을 통하여 보는 것, 또는 연구 참여자의 관점을 수용하는 것 

2. 일상세계; 세속적 일들을 기술하는 것 

3. 사회적 상황에서 행위와 의미들을 이해하는 것 

4. 개방적이고 비구조화된 연구 설계들이 사용되는 것 

5. 연구 초기 단계에 개념들과 이론들을 결정하지 않는 것


Hammersley, M. (1990). Classroom Ethnography: Empirical and methodological Essays, Open University Press.


1. 실험적 조건 대신에 일상적인 상황에서 연구 

2. 다양한 자료수집 방법들 

3. 비구조화된 자료수집 방법 

4. 사회생활에서 나타나는 미시적 특징에 대한 관심 

5. 사회적 행위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관심 

6. 양화가 부수적인 역할을 함


Hammersley, (1992), Some


1. 수 대신에 언어의 사용 

2. 자연적인 상황에서의 자료수집 

3. 행동 대신에 의미에 대한 관심 

4. 연구 방법으로서 자연과학 모델의 거부 

5. 가설 검증이 아니라 가설 생성적 방법


Bogdan and Biklen (1992),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Bacon.


1. 자연적 상황 

2. 연구 도구로서 연구자 

3. 수가 아닌 언어나 사진 형식을 통한 서술 

4. 결과나 산출보다 과정에 대한 관심 5. 귀납적 분석 방법 

6. 연구의 목적으로서 의미


Eisner (1991), The Enlightened Eye, Macmillan.


1. 현장 중심 

2. 연구 도구로서 연구자의 자아 

3. 해석의 강조 (상황에 대한 참여자의 설명) 

4. 표현적 언어의 사용 

5. 특별한 세부사항에 대한 관심 

6. 글쓰기와 자료제시를 통한 설득


김영천 (2006)『질적연구방법론 I』문음사.


1. 내부자적 관점의 포착


연구 참여자인 내부자의 시각을 기술하고 이해하는 데 있다. 이는 특정한 생활세계의 참여 자가 가지고 있는 그들의 시각을 기술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또한 문화적 상대주의 관점에 서 그들이 삶을 어떻게 구조화시키고 의미를 부여하며 상호작용하였는지를 기술하고 이해하 고자 한다.


2. 특정 사례에 대한 연구 관심


일반화를 목적으로 대규모의 소집을 대상으로 하는 양적 연구와는 달리 연구자가 관심을 두 고 있는 특정한 사례나 사건 그리고 현상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3. 목적 표집


이것은 연구자가 관심을 둔 특별한 사례를 의도적으로 선택하여 연구대상으로 삼은 표집방 법을 말한다.


4. 현장 작업


현장 작업은 연구자가 직접 현장에 들어가 참여자들과의 계속적인 상호작용을 하면서 자료 를 수집하고 연구하는 것을 말한다.


5. 장기간의 관찰


진실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연구자는 연구 현장 속에서 연구자들과 생활하거나 대화하면서 장기간 그들을 관찰할 필요가 있다.


6. 유연한 연구 설계


이는 연구 설계가 연구 이전에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연구가 진행되면서 점차적으로 구체화 되는 것을 말한다.


7. 자료 수집과 자료 분석의 순환성


이는 자료 수집 단계와 자료 분석 단계가 일직선상으로 전후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니라 수집 과 분석이 사이클을 이루면서 진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자료 수집 단계와 자료 분 석의 단계는 선후의 관계로서 확실하게 분리되어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두 개의 연구 과정 이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진행되는 것을 말한다.


8. 연구자와 연구 대상 간의 친밀도


이는 연구자가 연구 참여자와 심리적 공감대인 라포르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외부자의 시각인 연구자의 관점을 확인하려는 양적 연구의 경우 연구 참여자와의 이러한 라포르의 형 성이 굳이 필요가 없지만 내부자의 시각과 그들의 생각을 이해해야 하는 질적 연구의 경우 연구 참여자와의 심리적 공감대의 형성은 무엇보다 연구 작업의 성공에 필요한 작업 요소가 된다.


9. 점진적 주관성


이는 연구가 진행되면서 초기에 설정한 연구 문제나 연구 내용에 비하여 어떠한 새로운 변 화가 생겼으며 얼마나 현장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는가를 연구 도구인 연구자가 개인적으로 반성하는 작업을 뜻한다.


10. 기술적 형태의 자료 표현


기술적 형태의 자료 표현은 연구의 결과가 기술적인 형식의 글쓰기 양식을 통해서 표현된다 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질적 연구를 질적으로 만들게 하는 특징 중의 하나인 이 준거는 연구자가 수집한 연구 자료나 연구 결과를 숫자가 아닌 기술적인 형식의 표현 체계로서 나 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11. 투명성


투명성은 질적 연구의 결과가 연구 현장의 세계를 얼마나 투명하게 그리고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자세하게 기술되어 있느냐를 나타내는 언어이다.


12. 연구 도구로서 연구자


연구 도구로서 연구자는 연구자가 연구의 전체 과정에서 연구 도구가 되어 연구에 참여하는 것을 말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자료를 수집하는 작업을 연구자가 하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 역시 연구자가 직접 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 도구로서 연구자의 역할은 첫째, 연구자가 직접 현장에 들어가 필요한 자료들을 수집하고 둘째, 자료 분석의 과정에서 연구 자의 직접적인 개입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양적 연구의 자료 수집과 다르다.


13. 반성적 연구 활동


이는 연구자가 질적 연구를 하면서 끼친 여러 가지 인간적인 제약들과 특징들이 연구의 전 체 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를 해체적으로 분석하고 기술하고 노출시키는 작업을 말 한다.




3. 질적 연구자의 기본적인 절차


    1. 첫째, 친숙한 영역에서 시작하라. 

    2. 째, 우리가 작업하고 있는 완결된 이론적인 정향을 발견하라. 

    3. 셋째, 일단 정해진 분야에 대해서 느낌을 갖게 되면 가능한 빨리 연구 주제를 좁혀가 라. 

    4. 넷째, 기존의 다른 사람이 연구했던 것을 발견하고 그것을 따르라. 다시 말해서 연구를 위 한 새로운 바퀴를 발명하려 하지 마라. 

    5. 다섯째, 계속 써라. 그 페이퍼가 얼마나 짧고 거친지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마라. 

    6. 여섯째, 즉시 데이터 분석을 시작하라. 우리가 초기 연구 단계에 어떤 데이터를 얻지 못했 다면 다른 사람의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하려 하라. 

    7. 일곱째, 자신의 데이터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생각하라. 그 데이터에서 어떤 패턴을 확인하 기 시작할 때도 서둘러서 결론을 끌어내려 하지 마라. 

    8. 여덟째, 지도교수에게 자신의 아이디어를 시험하라. 지도교수는 우리의 아이디어를 실험하 는 것을 도울 수 있고, 자신감을 부여할 것이다. 

    9. 아홉째, 자기 자신의 분야 안과 밖에서 다른 자료들과 기회들을 활용하라. 가급적 자신의 연구 분야와 상관있는 학술 모임에 참석할 기회를 찾고, 가능하다면 작업 중인 페이 퍼들을 소개할 필요가 있다. 

    10. 열째, 꾸준한 학습곡선을 기대하지 마라. 어떤 연구도 위기 없이 진행될 수는 없다. 

    11. 열한째, 연구 일기를 작성하라. 

    12. 열두째, 다른 여타 활동들을 완성하기 위한 작업시간을 책정하라. 

    13. 열셋째, 연구가 진전이 없을 때 자기 자신을 책망하지 말고 휴식을 위한 시간을 가져라. 

    14. 열넷째, 자신의 연구 분야에 있어서의 관계들을 데이터로 다루어라. 즉 연구 주제와의 상호 작용이 자신의 데이터를 어떻게 형성해 가는지 숙고할 필요가 있다. 

    15. 열다섯째, 완벽한 연구 디자인 모델이 없음을 숙지할 필요가 있다. 이 말은 우연하게 얻게 될 어떤 데이터를 가지고 작업하는 것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4. 질적인 연구 프로포잘 작성방식


1. 제목


제목은 독자의 관심을 끌 수 있으면서도 연구 주요 사안에 관한 정보를 적절히 제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통상 주제목과 부제목의 이단으로 된 제목이 효율적이다. 주제목은 논문 주제를 포괄적으로 제시하면서 독자의 시선을 끌 수 있어야 할 것이고, 반면에 부제목은 보다 기술적이면서 한정적이어야 할 것이다.


2. 초록


초록은 첫째, 연구문제(research problem)를 드러내야 하고, 둘째, 그 문제가 왜 중요하고 연구할 가치가 있는지를 보여주어야 하고, 셋째, 연구 데이터와 방법, 넷째, 연구를 통한 주 요 발견(findings), 마지막으로, 다른 연구에 비추어 볼 때 그 연구가 갖는 함의를 밝힐 필 요가 있다. 초록 형식의 글쓰기는 가능한 한 적은 단어로 가능한 한 많을 것을 말하는 것이 다. 또한 초록은 연구주제를 가급적 생생하게 보여주고 필요한 정보도 제공할 수 있어야 한 다.


3. 연구 배경을 알리는 짤막한 서론


첫째, 다른 어떤 것보다 왜 이 주제를 선택하였는가? (예컨대, 연구 부재 또는 기존 연구의 부적절성 등) 둘째, 이 연구 주제가 관심을 끄는 이유는 무엇인가> 셋째, 원용하고자 하는 연구 방법이나 기법은 무엇인가? 넷째, 연구를 주도하게 될 질문이나 문제는 무엇인가?


4. 연구 목적 또는 연구 질문


5. 연구에 적절한 문헌에 대한 조명 (궁극적으로는 연구 분야에서 고전적인 문헌의 맥락에 서 연구 프로젝트의 중요성을 보여 줄 수 있어야 함)


6. 연구 방법론 소개 (선택된 사례나 기법에 대한 소개, 이론적인 정향과 연구 기법의 적절 성의 측면에서 데이터 수집과 데이터 분석의 절차에 대한 소개를 담아야 한다)


7. 정교한 참고문헌 소개: 각 문헌에 대한 비판적인 논평 환영




III. 스토리텔링과 전기적 생애사


IV. 근거이론


근거이론은 콜롬비아 대학 출신으로 양적 연구방법의 훈련을 받은 글래이져 교수 와17) 시카고 대학의 상징적 상호작용론(symbolic interaction) 전통의 영향 하에18) 질적 연구를 추구해온 슈트라우스 교수(Barney Glaser & Anselm Strauss의 저서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1967를 참조하라)가 1960년대 초반 병원에서 임종을 앞둔 환자들 을 돌보는 의료진들의 관찰을 토대로 한 현장 연구의 일부로서 최초로 개발하였다. 서로 상 이한 전통에서 훈련받은 이 두 연구자는 공히 모든 전문가들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도 유용할 수 있는 연구 기법을 추구하였다. 그러면서도 그들은 분석대상이 되는 현상에 대해 최대한 있는 그대로를 엄밀하게 기술하며 귀납적인 방식으로 현상의 구조를 도출해내고자 일정한 지침과 절차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근거이론은 접근방법에 있어 두 가지로 나뉜다. 

  • 첫째, 앞에서 언급한 글래이져의 방식으로 이는 해석주의적 시각을 가지고 연구자가 선행이론을 정교화하거나 수정하 고자 하는 의도 없이 축적된 자료로부터 이론을 생성하고자 하는 정통적인 근거이론 방식이 다. 다시 말해서, 연구자가 연구 이전에 어떤 이론도 정립하지 않은 가운데에 여러 단계와 절차를 거쳐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 다음 여러 정보군 간의 내적 관련성에 대해 비교분석 하여 새로운 이론을 도출해내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 반면에 슈트라우스와 간호사였던 코 빈(Corbin)이 새롭게 제시하고 있는 방식에서 연구자는 현상을 연구하는 데 근거가 되는 이 론으로부터 그의 연구를 시작하며 수집된 자료를 중심으로 이론을 형성하거나 근거가 되는 이론을 수정, 보완, 재해석하여 이론을 도출하는 방식이다. 다시 말해서 이 방법은 선행 연 구를 바탕으로 하는 이론을 근거로 사회현상을 비교분석하며 기존의 이론을 보완하거나 수 정하려는 방식이다.


따라서 근거이론은 실제 현장에서 어떤 행동의 변화를 설명하고 범주와 범주, 개념 과 개념 간의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며 해석주의자들과 같이 실재하고 있는 사회적, 문화적 현상의 바탕이 되고 있는 전체적인 과정을 기술하고자 한다. 이러한 점에서 관찰 가능한 것만 선택적으로 파악하려고 하는 실증주의적 분석 방식과 확연히 구분된다. 요컨대 근거이론은 현장에서 수집한 자료에 근거하여 개발된 이론으로서 수집하는 자료가 포화상태에 이를 때 가능한 범주를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자료가 포화상태에 이른다 함 은 연구자가 범주의 속성을 파악하는데 더 이상 새로운 자료를 발견할 수 없는 단계까지 도 달하였음을 의미한다.




제1단계. 자료수집: 녹취(transcribing)와 메모 작업(memoing)



근거이론에서 자료 수집은 통상 20-30명과의 심층 면접, 포커스 집단 면접, 직접 관찰 및 기록 등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자료 수집은 주로 현장참여 관찰과 심층 인터뷰 방식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항상 인터뷰의 지속성과 관찰 자료들의 연계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근거이론에서 표본의 크기는 생성된 자료에 의한 자료 분석에 따라 결정된다.


아무래도 표본크기의 적정선은 

1) 범주에 대한 자료들의 다양성과 자료집단 간의 차이를 극 대화하는 지점; 

2) 이론의 통일성과 밀도; 그리고 무엇보다 

3) 연구자의 이론적 민감도 (theoretical sensitivity)에 따라서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이론적 민감성을 제고하고 자료 수집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연구의 전 과정을 통해서 꾸준히 메모를 해 나갈(memo-ing) 필요가 있다. 이것은 연구자가 연구과정 에서 주제에 관련된 아이디어를 적는 과정이자 이론 형성에 도움이 되는 분석의 기록이기도 하다. 질적 연구의 유일한 연구수단인 연구자가 메모하는 동안의 사고과정은 귀납적임과 동 시에 연역적이다. 코딩하고 메모할 때 범주화 및 개념화하는 과정은 귀납적이다. 그러나 그 개념이 이론 구성에 어떻게 적절할 수 있는지를 메모하는 과정은 연역적이라 할 수 있을 것 이다.




제2단계: 자료의 분석으로서 코딩작업


1) 코딩의 정의


근거이론은 수집된 자료의 분석 과정에서 체계적인 이론 설계를 도출해 내기위해서 코딩(coding) 과정을 강조한다. 코딩은 근거이론은 물론 질적 분석의 가장 대표적인 방법으 로 이른바 ‘주제별 약호화’라 할 수 있다. 수집되고 녹취된 자료들을 계속 읽으면서 그 속에 내재된 주제를 찾아내는 과정으로서 코딩은 텍스트가 담고 있는 메시지와 의도 그리고 의미 가 무엇인가를 최초로 개념화하는 작업이다. 사실 질적 자료의 많은 분석들은 텍스트에 담 겨져 있는 중요한 주제나 패턴 등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마디로 코딩은 구분한 자 료에 상징, 기술적인 단어, 범주 등을 가지고 명칭을 부여하는(labeling) 과정이다.


2) 코딩의 역할


1. 텍스트를 특정 주제나 이름으로 범주화시켜 하나의 분석 단위를 생성함으로써 무수히 많 은 자료들 중에서 분석의 대상이 될 자료와 그렇지 않을 자료를 구분한다.


2. 자료의 내용이나 의미를 개념화시킴으로써 텍스트를 특정한 탐구의 대상으로 승화시켜 준다. 무의미해 보이는 자료들이 살아있는 새로운 가치 있는 자료들로 재인식된다. 즉 무관 해 보이는 자료들을 공통주제나 범주로 연계시켜 많은 원자료들을 의미 있는 방식으로 체계 화, 배열 및 조직화시켜준다.


3. 코딩은 연구자에게 연구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해준다. 현장 작 업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들을 이 과정을 통하여 분류하고 특징화하고 개념화하여 연구 질문 이나 목적에 부합한 연구 결과를 도출해낸다.



3) 코딩 방법


1. 개방코딩(open coding)


개방 코딩이란 논리적이고 연역적인 추론대신 수집된 자료들을 연구자의 감(sense) 또는 직관(categorial intuition)에 따라 최초로 귀납적 방식을 통해서 범주화하고 코드를 만 들어 내는 과정을 의미한다. 즉 피면담자의 진술을 ‘행 분석(line-by-line)' 하여 자료 속에 함축된 의미에 맞는 주제나 용어를 연구자가 직접 찾아내거나 만들어내는 방법이다. 이러한 코딩의 절차로 첫째, 세그멘팅(segmenting), 둘째, 초기 코드의 발견, 셋째, 심층 코드의 생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1) 세그멘팅


세그멘팅은 어떤 자료들(문장, 단락, 대화, 관찰 자료 등)에서 그 자료의 의미나 요지가 잘 들어가 있는 문장들을 추후 코딩을 위하여 괄호를 치거나 줄을 긋는 작업을 의미한다.


2) 초기 코딩


초기 코딩은 세그멘팅이 끝난 자료들 중에서 첫 단계로서 코딩을 하는 작업을 말한다. 세그 멘팅을 통하여 집적한 많은 자료들 중에서 중요하게 의미를 도출하고 메시지를 찾을 필요가 있는 자료들을 가지고 연구자가 그 세그멘팅 된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면서 일련의 반 복되는 내용, 의미, 주제에 최초로 이름을 부여하는 작업이다.


3) 심층 코드의 생성


심층 코드를 생성하기 위해서 템플릿 분석 방식이 원용된다. 이 분석은 텍스트 자료의 핵심 적인 주제들을 목록(템플릿)으로 제작하는 접근 방법이다. 이는 내용 분석과 근거 이론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즉 코드를 일목요연하게 정렬함으로써 해석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주 제 간의 내용을 비교분석할 수 있다.


2. 축 코딩(axial coding)


축 코딩은 개방 코딩한 다음 범주들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자료들을 새로운 방식으 로 다시 조합하는 과정이다. 연구자는 하나의 개방 코딩 범주를 선택하고 이것을 탐구하려 는 과정의 중심에 위치시킨 다음 이것과 다른 범주들을 연계시키고자 한다. 


이 과정은 

      • 핵심 범주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 조건

      •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조건인 맥락

      • 전략에 또 다른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인 배경으로서 중재적인 조건

      • 그 다음 핵심 범주로부터 발생 하는 구체적인 행위 또는 상호작용인 전략 그리고 

      • 전략을 채택한 성과물인 결과로 진행된 다.


3. 선택적 코딩(selective coding)


선택적 코딩은 이론을 통합하고 정교화 하는 과정이다. 통합 과정에서는 문제의 연 구가 무엇에 관한 것인지를 보여주는 선택된 중심사상을 근간으로 축 코딩 모형에서의 범주 들을 조직화하게 된다. 그러한 조직화를 통해서 연구자는 연구에서 탐구하려는 과정에 대해 이론적 설명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이론구도를 개략할 필요가 있으며 이론의 정 교화를 꾀할 필요가 있다. 즉, 내적 일관성을 위한 구도의 재검토와 논리의 간극을 메우기 위해 개발이 미흡한 범주들의 보완과 과도한 범주의 간소화 및 구도의 타당성 검증으로 이 루어진다. 여기서 개발이 미흡한 범주들은 추가적인 이론적 표본추출을 통해서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V. 질적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 제고 방법


질적인 연구의 질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질적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어떻게 가능한가? 질적 연구자의 초미의 관심사는 타당성과 신뢰도는 제고할 수 있는 연구 설계 방법 들을 결합하는데 있다. 복잡한 통계처리를 가하지 않는 이러한 질적 연구를 위해서 우리는 연구주제를 이론적으로 정교화 할 필요가 있으며 이와 동시에 방법론적 엄밀성(rigor)을 보 다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D. 실버만은 질적인 연구에서 질적인 이슈는 이른 바 방법론적 자각과 동일시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David Silverman & Am Marvasti, Doing Qualitative Research: A Comprehensive Guide, 2008, 257). 여기서 방법론적 자 각(awareness)은 특수한 결론으로 이끌었던 절차와 증거를 최대한 드러내려는 투신 (committment)과 결부된다. 물론 그 결론은 또 다시 새로운 증거에 비추어 언제나 수정될 가능성에 열려있다.


현상학적 사고에 기초한 질적 연구는 집적된 연구 자료들을 통해서 어떤 객관적이 고 절대적인 진리를 드러내는 것보다 다양한 시각들을 끌어내는 사고를 형성하는 데 주안점 을 두고 있다. 일반적으로 타당성은 과학적 연구결과의 정확성을 의미한다. 즉 연구자가 자 신의 연구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정확히 측정하고 있는지 그리고 연구에서 일반적인 구 성개념들이나 전제들이 다른 집단에서도 얼마나 적용가능한지의 문제와 관련이 있다. 하지 만 질적 연구에 있어서 타당성은 보통 진리에 대한 또 다른 이름이다. 즉 타당성은 “I mean truth: interpreted as the extent to which an account accurately represent the social phenomena to which it refers” (258). 여기서 해석은 필수불가결한 문제이다. 심 지어는 ‘탄탄한’ 양적 수치를 원용할 때조차도 해석의 문제가 개입된다. 그 이유는 모든 방 식의 데이터 수집은 분석 행위가 하나의 해석인한 질적으로 분석될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필연적으로 “선택적 번역(a selective rendering)”(259)의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질적 연구자들이 극복해야 할 문제는 일화주의(anecdotalism)의 유혹이다. 다시 말해서 문화적 필드 연구의 강점 즉 사회적 환경에 대해서 두텁게 기술할 수 있는 능 력은 그 자체로 약점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수집된 데이터가 양적이 되었던 질적이 되었 던 무엇으로 추론과정을 보장할 수 있는가? 나아가서 질적 연구에서 얻어진 발견이 데이터 에 대한 비판적 검토는 거쳤으며 단지 몇몇 잘 선정된 샘플에만 의존하고 있는 것은 아닌 가?


질적인 연구의 타당성에 늘 오류의 소지(fallible)가 있다. 여기서는 삼각측정 (triangulation) 방법을 통해서 그 방법 이외의 질적 연구 분석을 비판적으로 사유할 수 있 는 네 가지의 상호 관련된 방식들을 논의할 것이다. 물론 여기에 소개된 방법들은 보다 타 당한 발견들을 그 목표로 하고 있다.


  • 1. 적절한 삼각측정 방법의 활용 

  • 2. 논박가능성의 원리 

  • 3. 지속적인 비교방법 

  • 4. 포괄적인 데이터 처리 

  • 5. 일탈사례 분석 

  • 6. 현상학적 자명함(self-evidence)


1. 적절한 삼각측정 방법의 활용


질적연구의 타당성을 제고하기 위해서 연구과정에 대한 헌신과 연구시간의 양도 중 요하겠지만, 보다 근본적으로 우리는 

      • 다양한 시간과 공간의 자원들을 끌어들이는 데이터의 삼각측정법(data triangulation), 

      • 다수의 조사자들을 연구의 과정에 개입하도록 하는 조사자 의 삼각측정법(investigator triangulation), 그리고 

      • 다중적 연구방법들을 동원하는 방법적 삼각측정법(methodological triangulation)


을 적극적으로 원용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무엇 보다 중요한 것은 질적 연구 결과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어떤 현상에 대한 연 구자의 편견, 즉 주관성을 가능한 한 피할 수 있는 방안이 연구되어야 한다.


2. 논박가능성의 원리


질적 연구자들은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그들의 데이터에 대한 초기과정들을 논 박할 필요가 있다. 커크와 밀러에 따르면, “객관성을 위한 탐구 저변에 깔려있는 가정들은 단순하다. 세계 밖에 경험적 실재의 세계가 있다. 우리가 그 세계를 지각하고 이해하는 방 식은 대체로 우리에게 달려있다. 하지만 그 세계는 그것을 모두가 동일하게 이해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는다” (Kirk, J. & Miller, M. Reliability and Validity in qualitative Research 1986, 11).


오늘날의 영점가설개념은 포퍼식 사고의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그의 기본 입장은 우리들이 논리실증주의의 열망과는 반대로 어떤 진술을 ‘증명하거나’ ‘검증할’ 수는 없지만 최소한 그것을 ‘오류화’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어떤 진술이 그것을 오류화하려는 반복된 시 도들을 견디면 견딜수록 그 진술은 더욱더 진리인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어떤 관계의 존재 를 더 이상 논박할 수 없는 경우에야 비로소 “객관적인” 지식에 대해서 말할 수 있게 된다 는 것이다.


3. 지속적인 비교방법


이 방법은 질적인 연구자가 늘 잠정적인 가설을 시험하는 또 다른 사례들을 발견하고자 시도하는 것이다. 베커와 기어(Becker & Geer)는 의과대학생들 수련과정에서 한 그룹의 학생들과 또 다른 그룹의 학생들을 비교함으로써 각자의 커리어단계의 영향에 대한 떠오르는 가설들을 테스트하였다. 예컨대 이 테스트 결과 초창기 의과대학생들은 이상주의적인 경향을 띠고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 이러한 지속적인 비교방법은 단순사례에서 발생하는 모든 데이터 파편들을 단순히 검토하고 비교하는 것과 상관있다. 이런 방법이 가지고 있는 두 개의 실질적인 어려움으로써 

    • 첫째, 질적 연구자들은 분석 가능한 형식 안에서 모든 데이터들을 끌어 모으는 자원들이 부족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모든 데이터 집합들을 글로 옮긴다는 것은 대단히 많은 시간을 요하고 연구자들을 데이터 분석으로부터 분산시킨다는 점이다. 
    • 둘째, 우리가 잠정적인 가설이나 초기에 어떤 범주집합들을 낳을 수 없는 경우 데이터를 비교하는 것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우리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어떤 의미를 도출해내고 그런 다음 일단의 범주들을 생성해 내고 그 다음 데이터 군을 꾸준히 확장시켜서 드러나게 되는 가설들을 테스트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지속적인 비교방법은 연구자가 수집한 상향 데이터 부분 사이에서 반복해야하므로 훨씬 더 큰 데이터 집합을 포함하며 그 데이터들의 모든 부분을 분석하고 검사할 필요가 있게 된다.



4. 포괄적인 데이터 처리


텐 헤브는 지적하기를 회화분석에서 발견된 통찰들은 주관적으로 선택이 되어서 아마도 편견이 들어있는 사례들의 샘플에 입각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문제는 일화주의의 비난을 면할 수 없는 것으로서 우리는 이를 포괄적 데이터처리라 부른다. 이런 포괄성이 발생하는 이유는 질적인 연구에서 모든 데이터 사례들이 분석 안에서 서로 얽혀있기 때문이다. 그런 포괄성은 또 많은 양적인 방법에서 정상적으로 필요로 하는 범주들을 뛰어넘고 있다. 예컨대 서베이 리서치에서 사람들은 의미 있는 확고한 상호 관련성을 확보함으로써 만족하게 되는 것과 대조적으로 질적인 연구에 있어서는 반복되는 검토가 가능한 작은 집단의 데이터를 가지고 작업하게 되므로 연구자가 일반화하는 과정은 그 연구자가 수집했던 적절한 데이터들 모두에게 적용될 수 있을 때까지 만족하지 말아야 한다. 그 결과가 바로 통계학적 상관관계와 같이 모든 부분이 타당할 수 있는 일반화이다. 미한(Mehan)의 표현에 의하면 “결과는 특정한 현상을 포괄적으로 기술하는 통합되고 정확한 모델이지 이전과 이후 조건들에 대한 단순히 상호연관성이 있는 명제들이 아니다”(


5. 일탈사례 분석


앞에서 살펴본 포괄적인 데이터처리 기법은 적극적으로 일탈사례나 비정상성을 찾고자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로 일탈이나 비정상성을 기술함에 있어서 무엇이 중요한가의 문제가 따를 것이다. 이러한 일탈사례분석에 있어서 필요한 분석기법은 적은 양의 데이터로부터 시작해서 잠정적인 분석구도(scheme)를 잡아내는 것이다. 그 다음 그 구도와 다른 데이터들을 비교하고 점차적으로 그 구도 내에서 어떤 수정을 필요로 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잠정적인 분석구도는 연구자가 분석에서 모든 데이터들을 끌어 모으는 반복적인 일단의 규칙들을 얻어낼 때까지 부정적이거나 상이한 사례들을 끊임없이 대면해야 한다. 이러한 방법은 양적인 서베이 연구에서 일탈사례분석의 의미와 다음 두 가지 측면에 있어서 매우 차이가 있다.


양적 연구자는 

    • 첫째, 기존의 변수들이 매우 높은 통계적 상관성을 낳지 못할 때, 
    • 둘째, 흡족한 상관성이 발견되었지만 우리가 이것들을 확신하지 못하고 의심하게 되는 상황에서 

일탈적인 사례들을 주목하게 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질적인 연구자들은 그들의 데이터 안에서 나타나는 모든 변수들을 설명함으로써 만족하지 말아야한다. 다시 말하지만 질적인 연구에서 모든 데이터들은 그 데이터 조각이 충분히 설명될 수 있을 때까지 이용되어야 한다. 결국 일탈사례분석은 포괄적인 데이터처리를 지향하며 모든 일탈사례에서 응답자들은 그들의 입장에 대한 정당성을 제공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요컨대 일탈사례에 있어서 응답자들은 도덕적 적절성을 드러내는 것으로부터 출발하는 것이 아니라 대안적인 수단을 통해서 그들의 도덕적 적절성을 성공리에 드러낸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들은 정상적인 행위로부터 일탈한 사건에 대한 정향을 보여주었고, 이는 반드시 설명을 요하며 오히려 일반적인 사례들을 강화시키는 장점이 있다.


6. 현상학적 자명성(self-evidence)


보다 구체적으로 그 극복방안을 현상학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래 현상학자들은 의식의 나타남을 기술할 뿐이다. 의식은 주어진 사실이고 이 사실로부터 의식의 현상을 기술할 뿐이다. 이 정도의 수준에서 모든 현상학이 이루어진다면 굳이 이를 심각하게 궁구할 필요가 있을까 하고 의아해 할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의식의 중층기술(thick description)로서 현상학적 과제는 무엇일까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자. 현상학적 과제는 엄밀한 과학적 정신 속에서 모든 학문의 진정한 출발점의 찾고자 하는 시도에서 기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 모든 학문적 접근이 피해갈 수 없는 '방법론적 자각(methodological awareness)'의 문제가 걸려 있다. 그렇다면 무엇을 위한 방법론적인 자각인가? 양적인 연구에서의 연구 설계와 분석과정에서는 연구자의 주관성은 철저히 배제되어야 할 사안이었던 반면에, 우리는 지금까지 질적 연구에서 가장 관심을 쏟는 것은 연구자의 주관성(subjectivity)임을 누누이 강조해 왔다. 이러한 의미에서 질적인 연구에서 무엇이 진리, 즉 타당성의 문제는 개인의 주관성에 의해서 좌우된다는 현상학적/초월론적 사고에 기초하고 있다.


따라서 타당성을 위한 질적 연구의 방법론적 자각은 초월론적 동기와 자명함(self-evidence)을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19세기 현상학은 물론 20세기 현상학은 철저하게 초월론적 전통 위에 서있다. 먼저 19세기 이전의 초월철학과 20세기 초월철학의 근본적인 차이는 무엇일까? 그것은 판단중지와 환원이라는 방법에 의해서 확연히 구분된다 할 수 있다. 후설 이후 하이데거, 사르트르, 레비나스 등을 포함한 거의 모든 현상학적 전통위에 있는 사상가들은 현상학적 환원의 진정한 의미에 대해서 무시해왔다. 바로 그 무시를 통해 대단히 다양하고 풍요로운 현상학적 사유의 가능성이 열린 것도 사실이다




V. 혼합 활용 방법연구(Mixed Methods)


1. 혼합 활용 방법의 가능성


왜 혼합활용된 방법 설계를 사용하게 되는가? 그린, 카라첼리 및 그레함의 연구에 따르면 혼합활용된 연구방법을 원용하는 데 다섯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가장 일반적인 이유로 삼각측정(tringulation)이 있다. 이러한 전략은 동일한 연구 질문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한 방법 이상을 활용해야 하는 경우와 관계있다. 특히 이 러한 전략은 양적인 데이터가 부분적이고 질적인 연구가 연구 여건에 의해서 방해 받는 경 우에 적절하다. 예를 들어서 우리의 사회 체계 네트워크 안에서 리더십 순환의 정책 효과를 양적으로 분석하고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려는 경우에 적절하다. 즉 양쪽 방법론을 채택하 여 공공정책의 순환 효과를 테스트하는 데 있어서 더 나은 방식에 대해서 소홀하게 되는 경 우 이러한 접근들 중에 하나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방식이다.


또한 삼각측정은 다른 방식들로 가설을 구체화하는 데 적절하다. 어쨌든 연구자는 연구에서의 발견들에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그 여타 발견들을 끌어 모을 필요가 있다. 여 기에 여타 이론적인 시각들을 활용하는 이론적 삼각측정과 동일한 방법 내지는 상이한 방법 들을 활용하여 다른 데이터 자료들을 활용하는 데이터 삼각측정이 있다. 예컨대 쓰나미 프 로젝트에 있어서 우리가 인터뷰한 사람들의 복지를 확인하기 위해 양적인 심리테스트를 주 도하면서 보다 광범위한 심층 인터뷰도 곁들일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 해서 심리적 양적 측정은 인터뷰를 통해서 끌어 모은 심층심리학적 발견들에 대한 타당성 체크를 시도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둘째, 혼합활용된 연구방법을 채택하게 되는 두 번째 이유는 연구자가 연구 문제를 보다 잘 이해하려 하고 주어진 연구 결과를 명확히 할 수 있는 보완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 다는 데 있다. 혼합활용된 방법들은 무엇보다도 연구 문제에 대한 연구자의 전체적인 이해 를 돕는 목적으로 활용된다. 그 적절한 예로서 다시금 우리는 쓰나미 재난에 대한 질적 연 구가 재난 생존자들의 생생한 경험들을 확인하기 위해서 활용되는 반면에 양적인 연구는 마 을 사람들이 어떻게 재난 구호 노력의 효율성을 지각하고 있는지 평가하려는 서베이 연구를 활용하는 것과 결부된다.


셋째, 다른 방법을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한 방법으로부터 빚어지는 발전과 상관이 있다. 쓰나미 재난 연구에 있어서 연구자는 양적인 연구를 위한 설문지를 발전시키 기 위해서 질적인 연구로부터의 발견들을 활용할 수 있다.


넷째, 주어진 연구에 있어서의 여러 발견들이 보다 명확한 해명을 요구하는 질문들 을 제기하거나 모순들을 포함하고 있는 시발점에 있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새로운 연구 는 연구 중인 현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새로운 통찰들을 더할 목적으로 시작된다. 다시금 쓰나미 재난 연구에 있어서 마을 사람들이 자연적인 재해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와 관련 된 모순적이며 질적인 발견들이 나타날 수 있음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상이한 발견 들은 성별과 민족성에 의한 연구 결과에 대해서 보다 미묘한 해석으로 이끌 수 있다. 사실 그러한 발견은 전체적으로 새로운 연구를 시작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 주제의 확대과정에서 연구 기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여 기서 연구 주제 확대는 연구 범위와 영역의 확장으로 이어진다. 예컨대 상이한 재난 유형을 대면했을 때 성차를 비교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 911테러 생존자들의 인터뷰 를 포함하는 연구를 성별과 국적 및 재난유형에 의한 메커니즘과 관련하여 유사성과 차이점 들을 음미하는 것으로 자신의 연구를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연구 확장의 목적 은 자신의 연구에 타당성을 증대시키기보다는 보다 광범위한 영역의 연구목적을 포괄하는 것으로 확대된다.


2. 혼합 활용 방법의 연구 설계


우리는 데이빗 모오간의 제안에 따라 혼합활용 연구방법을 설계하는 실질적 전략들 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는 연구의 시차적 관점과 각 방법의 상대적 중요성에 입각하여 네 종류의 혼합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특수한 혼합방법을 설계함에 있어서 고려해야할 두 가지 질문은 

      • 첫째, 무엇이 주된 연구방법이고 무엇이 부차적인 것이냐이다. 

      • 둘째, 어떤 방법 이 선행하고 어떤 방법이 그 다음인가이다. 


이에 따라서 모오간의 가능한 네 가지 연구 설 계를 제공한다. 

      • 설계 1) 양적인 연구에 이은 질적 연구; 

      • 설계 2) 질적인 연구에 이은 양적 연구; 

      • 설계 3) 질적인 연구에 이은 양적 연구; 

      • 설계 4) 양적인 연구에 이은 질적 연구 


상이 한 범주들을 활용하여 양적인 연구와 질적 연구방법들을 결합시키는 다양한 혼합방법 설계 가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첫 번째 연구 설계는 연구 프로젝트의 질적인 구성요소를 첫째로 행하고 그것을 프 로젝트의 목적을 위해 부차적으로 유지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여기서 양적인 연구가 우선 이고 질적인 연구는 이를 뒷받침하는 것으로 활용된다. 양적인 연구에 앞서 질적인 설계를 활용하는 것은 특정한 주제에 친숙하지 않은 연구자에게 프로젝트의 양적부분에 필요로 하 는 특정한 이념들이나 가설들을 생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서 연구자들은 불치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생생한 체험을 이해하는 데 흥미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단 계의 환자에게 ‘케어는 환자의 마음, 몸 및 정신적인 필요를 설명하는 것이지 의학적인 개 입을 강조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불치병 환자의 생생한 경험을 이해하고 케 어를 제공하는 사람들에게 직접 그 필요성을 전달하는 것이 중요한 사안이 될 것이다. 연구 자는 그들 연구의 결과를 양적으로 보다 광범위하게 일반화시킬 수 있기를 바랄 것이다. 따 라서 이러한 연구 설계는 질적인 방법인 환자들 간의 인터뷰로부터 시작하여 필요한 질적 정보를 취합하여 가설적인 시나리오가 아닌 환자들의 경험에 입각한 일단의 설문지를 창출 해낼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양적 연구의 서베이적 요소가 질적 연구 요소인 환자의 직접 적인 경험에 입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연구 설계에서는 양적인 연구가 부차적으로 활용되고 질적인 연구가 주가 되는 방법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양적 연구는 보다 깊은 탐구를 위한 특정한 환자 분포나 이슈들을 확인하는 데 활용된다. 이러한 연구 유형의 예외로서 일반 의사들이 그들 환자들 의 흡연 이슈를 논의하는 태도를 통해서 알아볼 수 있다. 즉 연구자들은 상이한 태도를 주 장하는 일반 의사들의 다양한 경우들을 확인하기를 원한다. 이러한 경우 양적인 연구가 다 양한 태도를 가진 응답자들의 경우수를 확인하는 데 큰 도움을 주게 되고 이와 더불어 흡연 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려는 질적인 인터뷰 방식이 원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세 번째 연구 설계는 질적인 연구에 이은 양적 연구를 강조하는 것이다. 이 연구 설계는 양적인 연구를 주요탐구 양식으로 삼으면서 질적인 연구를 부차적으로 활용하는 것 이다. 즉 양적인 발견으로부터 나온 연구결과를 명확히 하고 정교화 할 필요성에서 비롯되 었다. 여기서 질적인 연구의 기능은 부정적인 연구결과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 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어떤 연구결과의 발견이 전반적인 가설이나 이론적인 시각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outlier)를 해명하는데 이러한 질적 연구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요컨대 질적인 데 이터는 양적 연구자가 자신의 서베이 데이터의 잘못된 결과를 이해하는 데에 그들의 양적인 데이터들을 보완할 목적으로 이러한 설계의 예로써 저자는 스웨덴 사회에서 이민자 가족의 통합에 대한 연구를 들고 있다. 이 연구의 주요 데이터는 이민자와 본국 스웨덴 사람들에 대한 인구 정보를 수집하려는 두 개의 양적 서베이에 입각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질적 연 구는 가족의 다이내미즘과 공동체 관계 문제를 해명하기 위해서 부차적인 방식으로 활용된 다. 예컨대 결핍된 서베이 데이터로 나타나는 것은 이민자의 삶에 있어서 종교의 중요성을 질적인 방식을 통해서 이해함으로써 해명될 수 있다. 여기서 연구자는 스웨덴이 종교적 감 각을 크게 강조하지 않는 세속사회임을 주목하게 될 것이다. 이 연구에서 질적인 연구는 인 류학적 관점을 가진 연구자들을 위해서 행해질 수 있는 반면에 양적인 연구는 인구통계학자 의 관점에 의해서 행해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양자의 방법을 혼합하려는 경우 동 일한 철학적 방법과 시각들을 공유하지 않는 연구자들 사이에 학제 간의 연구 참여를 필요 로 하며 연구자들 간의 소통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을 것이다.


네 번째 연구 설계는 양적인 연구에 이은 질적인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질적인 연구가 추가되고 보다 작은 양적 연구가 뒤따르게 되며, 양적 연구가 갖는 기능은 질적인 연구가 다른 연구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다른 표본들을 통해서 그 결과를 테스트하려는 데 활용된다. 여기서 연구자는 예컨대 한 대학의 관리팀에 대한 단 일한 사례연구와 같은 질적 방법을 활용하여 대학교의 고위층 행정가들의 생생한 체험을 얻 는다. 이러한 질적 사례연구는 연구자들로 하여금 대학 행정가들이 대학정책의 변화를 기하 는 데 도움이 될 만한 핵심적인 두 주제로 대학의 이미지와 정체성을 확인하도록 해준다. 이 경우 질적 연구를 통한 발견은 이미지, 정체성 및 해석들 간의 관계와 관련된 일단의 명 제들로 표현된다. 그 다음 이 명제들은 다른 대학들의 대학 행정가들에 대한 양적 서베이 방식을 통해서 검증된다. 이러한 혼합된 방법을 활용한 연구 설계에서 질적인 데이터는 연 구문제를 이해함에 있어서 핵심적인 사안이 되고 양적인 연구는 연구자들이 질적인 연구로 부터 얻은 발견들을 증명하고 그 결과들을 보다 큰 범주로 일반화시키는 데 도움을 제공한 다.




VI. 질적 연구 평가 기준


1. 질적 연구 일반에 대한 평가 기준


  • 1) 적절한 연구계획인가? 연구계획의 상이한 특징들을 보여주는 설득력 있는 논점을 가지고 있는가? 

  • 2) 신뢰할만한 자료인가? 방법들을 잘 기술하고 있는가? 필드노트 또는 트랜스크립션 관행 은 잘 지켜지고 있는가? 

  • 3) 명확한 이론 가설들이 설정되었는가? 연구과정에 대해 적절한 문헌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가? 자료와 방법에 장점과 약점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연구 설계에 나타나는 변화의 과정을 문헌화하고 있는가? 

  • 4) 연구에서 찾아낸 발견들은 어떻게 신뢰할 수 있는가? 그 발견들이 자료들을 통해서 지지 받고 있는가? 자료, 해석 및 결론들 사이의 연결은 명쾌한가? 

  • 5) 그 발견들이 일반화될 수 있는가? 보다 광범위하게 그 발견들을 추론하고자할 때 그에 상응하는 증거는 잘 제공되고 있는가?


2. 연구 평가 기준


  • 1) 연구자가 제기한 질문이 성격에 부합한 연구의 방법인가? 

  • 2) 기존의 지식이나 이론체계와의 연관성이 분명한가? 

  • 3) 사례연구나 근거이론에 사용된 범주에 대한 설명은 명확한가? 자료 수집과 분석의 범주 에 대한 설명은 명확한가? 

  • 4) 연구 방법의 민간도가 연구 질문의 필요성과 잘 조응하는가? 자료 수집과 자료 기록은 체계적인가? 

  • 5) 추론은 수용되고 있는 분석절차를 위해서 이루어졌는가? 

  • 6) 분석은 어떤 방식으로 체계적인가? 

  • 7) 주제, 개념 및 범주가 자료로부터 파생되는 방법을 적절히 논의하고 있는가? 

  • 8) 연구자 논점의 찬반에 대한 증거를 적절히 논의하고 있는가? 

  • 9) 자료와 그 해석 사이를 명확하게 구분하고 있는가?


3. 근거이론 평가 기준


  • 1) 최초의 표본이 어떻게 선택되었는가? 무엇을 근거로 하는가? 

  • 2) 어떤 주요 범주들이 나타났는가? 

  • 3) 주요 범주로 지목된 사건, 부수적인 사건, 행동 등은 무엇인가? 

  • 4) 어떤 범주에 기초하여 이론적 표본 추출이 이루어졌는가? 자료 수집은 어떤가? 이것이 범주들을 대표하는가? 

  • 5) 개념적 관계(즉, 범주들 간의 개념적 관계)와 관련된 가설은 무엇인가? 가설이 형성되고 검증되는 근거는 무엇인가? 

  • 6) 가설이 실제로 나타나는 것을 지지하지 않을 때가 있는가? 이러한 차이를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이들은 가설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 7) 핵심논증은 어떻게, 왜 선택되었는가? (갑자기, 점진적으로, 어렵게, 쉽게)? 어떤 근거에 서?


스트라우스와 코비는 근거이론 연구의 질을 판단하는 기준과 더불어 그 연구에 경험적 근거 와 관련된 다음 여섯 가지 기준을 덧붙이고 있다.


1) 개념이 만들어졌는가? 

2) 개념들이 체계적으로 관련되었는가? 

3) 개념적 연결이 많은가? 범주가 잘 개발되었는가? 밀도는? 

4) 이론이 많은 다양성을 반영하며 구축되었는가? 

5) 광범위한 조건들이 설명되었는가? 

6) 과정(변화 혹은 움직임)이 고려되었는가?




VII. 질적 연구자의 연구윤리


질적 연구/후기 실증주의 연구 과정에서 연구윤리가 핵심적인 문제로 제기된다. 실증주의 연구와 같은 객관학문의 경우 만인을 위한 객관적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다면 연구에 참여 했던 연구 참여자의 이익과 복지는 중요한 문제가 되지 않았다. 따라서 연구자가 연구 참여 자의 연구자를 속이거나, 기만하거나, 아니면 연구대상으로 물신화시키거나 하는 등의 비윤 리적인 절차나 속임수를 쓰는 연구 활동들은 나쁜 것으로 간주되지 않았다. 하지만 질적 연 구자가 현장에 참여하면서 중요한 것은 현장의 상황적 윤리와 연구의 윤리적 규범을 여하히 잘 조화시켜 가는가이다. 현장연구의 정치와 윤리는 질적 연구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 게 된다.


1. 질적 연구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들


  • 1. 연구자의 인성 - 현장 연구에서 연구자는 그 자신의 연구 도구이다. 즉, 질적 방법의 핵 심은 선택이다. 빈도보다는 의미(sense)가 대단히 중요한 선택의 문제이자 해석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결국 주제의 선택, 연구 접근 방법, 현장에서의 능력이 질적 연구의 결정적인 도 움을 준다. 

  • 2. 연구 대상의 성격 - 이는 연구 배경에서의 접근과 연구 계약 및 대립 가능성과 갈등에 관련된 중요한 문제이다. 

  • 3. 연구비 - 질적 연구를 위한 모든 비용과 시간은 연구의 질을 위해 결정적인 역할을 한 다. 

  • 4. 현장에서 연구자의 영향력 - 연구자의 현장 참여가 갖는 영향력은 현장 연구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 5. 연구진 내의 협력과 조화 - 현장에서의 행동을 방해하고 성과에 대해 갈등을 일으킬 수 있는 연구진 각기 그들의 기대와 역할의 다양성을 잘 조절할 필요가 있다. 

  • 6. 연구 수행과 현장에서의 성공은 연령, 성, 지위, 인종적 배경, 지나친 동일시, 거부감, 관 료주의적 태도, 사고, 행운 등 수많은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7. 현장에서의 조화로운 관계는 전체 연구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8. 현장 연구에 의해서 생성된 사회적, 도덕적 의무 사항이 중요하다.


3. 연구윤리 계획서에서 답해야하는 질문 내용


  • 1. 이 연구에 참여하는 피험자가 심리적, 사회적, 신체적 또는 법적으로 위험에 빠질 가능성 이 있는가? 만약 그렇다면 그 상황을 진술하시오. 

  • 2. 이 연구에 참여하는 피험자가 연구에 의한 스트레스를 느낄 가능성이 있는가? 있다면 어 떤 스트레스를 야기할 수 있는지 설명하시오. 

  • 3. 연구의 목적 때문에 이 연구에 참여하는 피험자를 의도적으로 소개하는 경우가 있는지 말씀해주시오. 혹시 있다면 그 이유에 대해 설명하시오. 

  • 4. 수집할 자료의 내용이 지나치게 연구 피험자의 개인적 정보를 묻는 것은 아닌가? 

  • 5. 수집할 자료의 내용이 지나치게 모멸적인 것이어서 피험자의 기분을 상하게 하거나 당황 하게 하지는 않는가? 

  • 6. 이 연구에 참여할 피험자를 어떻게 설득시킬 것인가? 연구 동의를 얻기 위하여 연구 참 여자에게 제출할 연구 계획서를 문서형식으로 그리고 구술형식으로 작성하여 피험자에게 보 여주시오. 

  • 7. 이 연구에 참여하는 피험자는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는가? 피험자가 자발적으로 참여 하였을 때 피험자가 받게 될 보상은 어떤 것이 있는가? 

  • 8. 피험자가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는 사실을 어떻게 입증하겠는가? 

  • 9. 이 연구에 참여하는 피험자가 연구를 위하여 투자하는 시간은 얼마나 되는가? 

  • 10. 연구를 통하여 획득한 자료의 기밀유지를 위하여 어떻게 보관할 예정인가? 

  • 11. 연구가 끝난 후 수집된 자료는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6. 동의의 기본적인 요소


  • 1. 뒤따르는 절차, 실험을 하는 사람들의 신분 증명을 포함한 그들의 실험 목적을 설명하고 연구 참여자가 이 실험에 참여하는 데 소요되는 예상기간을 설명한다. 

  • 2. 실험 참여자들에게 예상되는 불편한 사항과 위험한 사항들에 대해 합리적으로 설명해 준 다. 

  • 3. 실험 참여자들에게 예상되는 이점에 대해 합리적으로 설명해 준다. 

  • 4. 실험 참여자들에게 이득이 되는, 선택 가능한 적합한 절차들을 발표한다. 

  • 5. 연구 참여자의 신분상의 기록에 대한 비밀보장과 그 범위를 설명한다. 

  • 6. 연구 참여자가 어떠한 협박이나 손해 없이 그 연구에서 언제든지 그만둘 수 있음을 알려 준다. 

  • 7. 생물 의학적 또는 행동적 해를 당하였을 경우에 어떠한 의학적 치료와 경제적 보상이 주 어지는 지에 대해 설명한다. 

  • 8. 연구 참여자의 권리와 관련한 질문에 응답해 줄 사람이 누구인지, 그리고 그 실험과 관 련하여 피해를 입었을 경우 누구와 연락해야 하는 지를 설명해 준다.






(방법론)신충식 (1).hwp

(방법론)신충식 (1).pdf


해석적 관점에서의 질적 연구과정과 연구설계(서울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9)

박석희・이종원(가톨릭대학교)




Ⅰ. 머릿말


질적 연구는 오히려 우리의 삶의 현장으로서 사회적 실체를 보다 제대로 이해하고 해석하기 위한 것으로 우리가 질적 연구에 대한 일정한 ‘입장취하기’를 결정한다면 그것은 보다 용이하게 사회적 실체에 가깝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론적 지평을 제공해 줄 수 있다.


학문이란 주어진 가설에 대한 검증과 반증을 통해 성장한다는 후기실증주의적 사조가 행정학 분야에 널리 받아들여져 왔다.


Ⅱ. 질적 연구의 특징: 포괄적 접근


1. 질적 연구의 의의


질적 연구는 지식 구성에 대한 풍부한 관점을 지닌 매우 흥미 있는 다학문적 지평이라고 할 수 있으며, 지식형성의 과정에 대한 포괄적 접근(holistic approach)을 강조한다. 질적 연구 는 광범위한 인식론적, 이론적, 방법론적 가능성을 제공하며, 지식형성의 포괄적 접근과 관 련해서 질적 연구는 내용, 초점, 형태에 있어 매우 독창적이라고 할 수 있다. 포괄적 접근이라 는 것은 질적 연구가 반성적(reflexive)이며, 과정지향적(process driven) 연구를 통해 이론, 방 법, 연구자와 연구대상 간에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궁극적으로 문화적 특수성이 있고 (culturally situated) 이론적으로 짜여진(theory-enmeshed) 지식을 창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연구과정의 포괄적 특성이란 연구주제 선정부터 연구결과 작성에 이르기까지 연구의 다양한 국면들 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질적 연구는 오랜 기간 지배적 위치를 차지한 인과모형에 의한 설명보다는 탐색적이고 기술적인 지식의 창조를 강조한다.


그 동안 양적 연구는 경성과학(hard science) 혹은 좋은 과학(good science)으로서의 특권적 지위를 점해 왔다. 이에 반해 심층면접, 포커스집단면접, 구전역사면접(스토리텔링), 참여관찰(민속학방법론), 내용분석 등의 연구방법을 채택하는 질적 연구는 공통적으로 응답자의 언어와 관점에 기반해서 주제와 프레임을 발견하고 자료를 해석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질적 연구자는 문자(texts)와 언어(words)에 관심을 두고, 문장과 언어에 담겨 있는 일정한 주제 (theme or thematic category)1)를 발견하고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며, 이러한 주제를 연구대 상자들이 갖고 있는 의미를 해석하기 위해 코드(code)화한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는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합하여 사회현상에 대한 연구대상자들이 갖는 의미에 대한 해석을 시도한다.


1) 양적 연구는 사회현상에 대한 일정한 패턴의 발견과 예측가능성을 강조하지만, 질적 연구는 사회적 의미 이해와 해석을 강조하며, 주제 혹은 주제범주의 개발은 질적 자료로부터 의미를 추출하는 방식 이라고 할 수 있다.


비록 질적 연구방법이 다양한 이론적 패러다임을 갖고 있지만 질적 연구방법론에서는 공 통적으로 사회적 실체의 본성에 관한 해석적 접근법(interpretative approach)을 강조한다. 즉, 사회적 실체를 이해하기 위해 사상(events)을 검정하거나 통제하는 대신 각 개인은 사회적 실 체의 본성에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는지, 인간은 각 개인이 사회적 실체에 부여 다양한 의미 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등에 관심을 갖는다.


논리실증주의(positivist)와 후기논리실증주의(post-positivist)의 시각에서 보면 ‘좋은 과학 (good science)’은 실증주의에 기반을 둔 양적 연구를 의미하며, 질적 연구방법은 방법론적 엄 밀성(rigorousness)이 결여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 실증주의에 의하면 사회적 실체란 객관적 연구자에 의해 기술되고, 설명되거나, 

  • 후기실증주의 입장에서는 적어도 근사하게 파 악될 수 있는 연구자의 밖(out there)에 존재하는 외부적 실체로 이해된다. 연구의 객관성을 강조하며 가치개입을 배제한다.


Denzin and Lincoln(1998)은 질적 연구에서의 세 가지 해석적 패러다임으로 구성주의적 해 석론(constructivist-interpretive), 비판론(critical), 패미니즘(feminist)을 강조하였고, Newman (2003)은 세 가지 질적 패러다임으로 실증주의(positivism), 해석론(interpretive), 비판론 (critical)을 지적하였다. 각각의 패러다임은 실체와 개인의 본성(존재론), 이론의 유형(방법 론), 무엇이 지식을 형성(constitute)하는지(인식론)에 관해 차별화된 특성을 보인다. 가령 구 성주의 혹은 해석론에 입장을 취할 경우 개인들에 의해 구성되고 생산된 이야기와 의미로 구 성된 주관적 실체를 가정하며, 객관적 사회적 실체의 존재를 부정한다. 사회적 실체는 실제 (real) 혹은 진실(truth)보다는 표상되는 것(representational)으로 이해된다.2)





2. 이론(theory), 연구방법(methods), 방법론(methodology)과 인식론


전통적으로 양적 연구를 통해 획득된 자료는 경성(hard)이며 과학적인 것이고, 일반화가 능하고 대표성 있는 것(representative)으로 간주된 반면, 질적 연구를 통해 얻어진 자료는 연 성(soft)이며 덜 과학적인 것이고, 표상적(representational)인 것 혹은 구성된 것(constructed)으 로 간주되었다.3) 여기서 표상과 구성이란 덜 과학적이고, 덜 엄밀하며, 덜 중요함을 의미한 다. 질적 지식은 사회적 실체에 과한 다양한 관점(perspective)에서 창출되며, 공통적으로 해 석의 과정을 공유하면서도 사회적 실체의 상이한 측면에 초점을 맞춘다.


3) 연구의 가치는 그것이 복제될 수 있느냐(replicable)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특별한 주제에 대해 그 것이 우리에게 본질적 지식을 더해줄 수 있느냐에 있다.


인식론은 이론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인식론적 신념은 이론적 프레임을 통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론은 경험적으로 조사되어 온 것 이상의 사회적 실체 또는 그것의 구성요소에 대 한 설명이며, 이론은 연구과정의 일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질적 연구의 궁극적 목적이 이론 을 창출하고, 형성하며, 정교화하는데 있기 때문에 질적 연구의 수행에 있어 이론은 매우 중 요하다. 질적 연구자들은 단지 이론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론을 창조하는데 초점을 맞춘 다. 따라서 연역적 방법을 강조하는 양적 연구와 달리 질적 연구는 귀납적 접근을 강조한다. 가령 해석적 연구자와 패미니즘 연구자들은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의 모형을 자주 사용 한다.


흔히 연구방법을 논의할 때 그것은 자료수집방법의 의미로 사용되지만, 보다 궁극적으로 연구방법(research method)은 인식론 및 이론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특히 질적 연구에서 연 구방법과 이론의 연결은 더욱 강조된다. 즉, 질적 연구자들은 자신의 이론적 입장에 따라 민 속학방법론(참여관찰 등), 자전적 민속학방법론(autoethnography), 심층면접, 구전역사면접 (스토리텔링), 핵심집단면접, 사례연구, 담론분석 및 내용분석 등 다양한 연구방법을 사용한 다. 그런데 연구문제 형성부터 자료 분석과 해석에 이르는 연구설계에 대한 지침을 작성하기 위해 방법론 이론과 연구방법을 통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Harding은 방법론은 연구가 어떻게 수행되는지 그리고 어떻게 수행되어야 하는지에 관한 이론이라고 설명하였다(1987: 3).


요컨대 방법론(methodology)은 일정한 인식론적 토대를 전제로 이론(theory)과 연구방법 (method)을 연결 짓는 가교(nexus)역할을 수행한다. 즉, 각 연구자가 취하는 연구방법론은 논리실증주의 혹은 해석학적 인식론 기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인식론적 기반에 따 라 비판이론, 현상학, 해석학, 실증주의, 후기실증주의 등의 이론적 입장과 연구방법이 상이 하게 영향을 받는다. 즉, 방법론은 이론, 방법, 인식론의 통합적 연결고리라고 할 수 있다. 방 법론은 연구과정을 통해 전략적이지만 가변적인 지침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며 이론과 방법 을 통합한다. 가변적이라는 개념은 연구자의 인식론적 신념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연구수 행 중에 방법론이 변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질적 연구는 연구가 수행되는 맥락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연구방법론의 변화에 보다 유연하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이다.







3. 실체(social reality)와 객관성(objectivity)의 문제


1) 실증주의의 인식론과 객관성


질적 연구에서는 대체로 사회적 실체가 무엇인지(what) 혹은 사회적 실체가 어떻게(how) 구성되는지에 관심을 가지며, 왜(why) 사회적 실체가 그렇게 형성되는지에 대한 일반화를 지향하는 인과모형적 설명에는 관심을 갖지 않는다. 양적 연구에서는 보편적 시스템으로부 터 인과모형적 설명에 의한 복제(reproduction)를 강조하는 반면 질적 연구에서는 개별 행위 자들 혹은 그들 간의 의미작용에 관심을 둔다.


실증주의 혹은 후기실증주에서 강조하는 객관적 인식론연구자가 파악할 수 있는 인과 모형과 같은 사회적 실체(knowable reality)는 연구과정과 독립해서 존재하며, 주체와 객체의 구분이 지식발견에 있어 필수적이라고 강조한다. 실증주의적 인식론은 연구자와 분리돼서(out there) 존재하며, 객관적이고 가치중립적 연구자에 의해 객관적인 복제가능한 방법 (replicable method)을 통해 설명될 수 있는 객관적 실체가 존재한다고 본다. 이에 의하면 사회 적 실체는 객관적이며, 가치중립적 연구자에 의해 경험적으로 연구되고 검증될 수 있다. 또 한 연구대상자는 물론 연구자도 연구의 복제를 위해 쉽게 대체될 수 있다고 본다.




2) 사회적 실체의 본성에 관한 해석적 인식론


질적 연구방법은 전체주의적 접근법(holistic approach)을 취하며, 의미창출과 해석을 통한 이론형성을 추구하기 때문에 논리실증주의와는 다른 인식론적 기반을 두고 있다. 질적 연구 는 탐색적 지식, 기술적 지식 창출을 모두 목적으로 할 수 있고, 사회적 실체에 대한 유일한 인과모델의 중요성을 배척한다. 이는 연구주제의 선정부터 연구결과의 기술에 이르기까지 연구과의 전 과정이 보여주는 전체적 상호작용에 주목한다.


연구문제의 선정은 연구방법의 유형을 결정지으며, 반대로 특정한 연구방법의 선호가 연 구문제 선정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연구문제 선정과 구체화에 있어 질적 연구방법론에 있어서도 문헌검토(literature review)는 연구자의 관심영역과 연구문제 선정간의 가교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질적 연구에서 문헌검토는 연구과정의 특정한 시점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연구의 전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분석적 귀납에 의한 새로운 이 론의 발견 시 연구의 후반부에 이러한 새로운 발견을 이해하기 위한 맥락을 제공하기 위해 문헌검토가 이루어지는 경우도 많다.





Ⅲ. 질적 연구과정과 연구설계


1. 질적 연구에서의 타당성(validity)과 신뢰성(reliability)의 의의


1) 질적 연구에서의 타당성의 의의


질적 연구에서는 기존 논리실증주의에서 제시된 타당성 유형인 내용타당성(content validity), 기준타당성(criterion validity), 구성개념타당성(construct validity) 등과는 차별화된 타당성 개념을 강조한다. 질적 연구에서 사회적 실체란 사회적으로 구성된다고 보기 때문에 객관적 실체와의 일치성(correspondency)로서의 타당성 개념을 사용하지 않는다. 질적 연구 에서 타당성이란 진실로 우리가 무엇을 의미하는가를 의미한다. 즉 경쟁적 주장이나 해석에 대해 어떠한 연구자의 발견을 주관화하는 형태 그리고 독자들에게 연구자의 특정한 지식에 대한 강한 논변을 제공하는 형태를 취한다. Kvale(1996)는 질적 연구에서 타당성의 세 가지 타당성(validity as craftsmanship), 기준으로 연구전문가로서의 의사소통적 타당성 (communicative validity), 실천적 타당성(pragmatic validity)을 지적하였다.


(1) 전문가적 타당성(validity as craftsmanship)


전문가적 타당성은 ‘연구자가 도덕적으로 고결한가(moral integrity)’와 같은 연구자와 연 구의 신의(credibility)에 대한 지각의 문제를 말한다. 고결함과 신의는 연구자의 지각된 행동 을 통해 형성된다. 연구자가 발견된 사실을 어떻게 조사하였는가 혹은 연구가 어떻게 검토되 었는가 등과 관련이 있다. 이로 인해 전문가적 타당성은 검토적 타당성(validity as checking) 을 의미하며 질적 연구자료에 대한 검토는 통상 ‘반대사례분석(negative case analysis)’을 통 해 확인될 수 있다. 반대사례분석은 연구자의 초기 이론적 주장이 수집된 자료에 의해 타당 화될 수 있는 정도와 관련하여 일정한 환류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전문가적 타당성의 또 다른 측면은 연구자가 질적 자료로부터 이론을 도출하는 능력이다. 즉 질적 연구에서 연구자는 확 신할 만한 이야기를 말할 수 있어야 하며, 이는 연구자가 수집한 자료를 주어진 이론적 프레 임에 적합하게 할 수 있는가 그리고 그것에 대해 독자들에게 신의를 줄 수 있는가와 관련된 다.


(2) 의사소통적 타당성(communicative validity)


의사소통적 타당성은 지식형성에 있어 경쟁적인 주장을 하는 정당성 있는 지식인들 간에 이루어지는 대화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어떠한 발견에 대한 각자의 해석은 많은 연구자들 간에 자유롭게 토론되고 반박될 수 있어야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토론과 반박이 연 구대상집단에까지 확대될 수 있어야 한다. 의미를 둘러싼 대화가 필요하고, 대화를 통해 의 미에 대한 상호주관적인 이해에 대한 관념으로 나아갈 수 있다. 물론 누가 이러한 대화에 참 여할 수 있고, 지식을 해석할 권한을 누가 갖고 있으며, 의미에 대한 불일치를 어떻게 해소해 야하는지에 대해서는 연구자들 간에 완전한 합의는 없지만, 연구자들 간 혹은 연구자와 연구 대상자 간에 지속적인 대화와 담론이 연구결과의 의사소통적 타당성을 제고할 수 있다.


(3) 실천적 타당성(pragmatic validity)


사회과학연구에서 연구는 연구대상과 분리해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연구자와 연구대 상자는 상호작용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질적 연구에서 실천적 타당성은 매우 중요하다. 실 천적 타당성이란 발견된 사실이 연구대상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 그리고 연구가 수행된 사회 적․역사적 맥락 내에서 발생한 변화와 관련된다. 즉, 수행된 연구와 발견의 유형에 따라서 우리는 어떤 특정한 행동결과를 발견할 것을 기대하는데, 우리는 어떠한 연구의 결과로 발견된 사실이 연구가 수행된 지역이나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확인해야 한다. 따라서 실 천적 타당성은 권력동학(power dynamics)과 관련이 있다.




2) 타당성 확보수단으로서의 통합(triangulation)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 첫째, 연구방법(methods triangulation)의 통합을 채택 할 수 있다. 두 가지 연구방법이 동일한 결과를 가져다 준다면 이는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제 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양적 연구방법(설문조사)과 질적 연구방법(면접)을 통합할 수도 있다. 

    • 둘째, 동일한 연구문제에 대해 이론적 통합(theoretical triangulation)을 채택할 수도 있 다. 

    • 셋째, 동일한 연구 내에서 다양한 자료원천을 사용하는 자료통합(data triangulation)을 채 택할 수도 있다. 

    • 넷째, 동일한 현상을 연구하는 다양한 연구자를 채택하는 연구자 통합 (investigator triangulation)을 활용할 수도 있다.


다만 질적 연구에서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은 특정한 실체나 목적이 아니라 그것은 연구자 들이 옳은 길을 가고 있다는 독자들의 신뢰(confidence)를 확보하는 하나의 과정(process)이라 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질적 연구에서는 진실(truth)보다는 신빙성(trustworthiness)을 강조하며, 따라서 연구자 편이(researcher bias), 측정편이(measurement bias) 등이 타당성을 위협하는 요 인이라고 하더라도 이것을 명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질적 연구결과를 평가하는 명확한 기준을 찾는 것은 연구과정에 대한 실증주의적 모형으로의 귀환을 의미한다.




3) 질적 연구에서 신뢰성(reliability)의 문제


전통적 실증주의에서 신뢰성은 반복측정의 일관성을 의미하는 반면, 질적 연구에서 신뢰 성은 크게 내적 일관성(internal consistency)과 외적 일관성(external consistency) 개념에서 접 근할 수 있다(Neuman, 2003). 내적 일관성은 수집된 자료가 합리적인가(reasonable), 수집된 자료들이 모두 일치하는가, 관찰결과가 시간과 공간을 넘어 일관성이 있는가 등의 문제와 관 련된다. 한편 외적 일관성은 관찰결과를 다른 자료원천들과 상호검토(cross-checking) 혹은 확인(verifying)하는 것을 의미한다. 질적 연구에서도 타당성과 신뢰성은 비록 그것이 실증주 의 관점과는 상이하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중요하고 복잡한 쟁점이라고 할 수 있다. 타당성은 표상(representation)과 일반화가능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Gay and Airasian(2003: 56)은 적 연구에서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한 체크리스트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 연구자의 연구대상과 연구현장의 관계가 완전하게 기술되었는가?

      • 모든 현장기록(field documentation)이 포괄적이고, 완전 상호언급되고(cross- referenced), 주석이 달리고, 엄밀하게 상세하게 작성되었는가?

      • 관찰과 면접이 다양한 수단(기록노트, 녹음 등)을 사용해서 기록되었는가?

      • 면접자의 훈련이 기록되었는가?

      • 모든 도구의 구성, 계획, 검증이 기록되었는가?

      • 핵심 피면접자들이 표상하는 집단과 그들의 공동체 지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서 핵심 피면접자들이 완전히 기술되었는가?

      • 조사대상선정방법(sampling technique) 연구에 적합할 정도로 충분히 기술되었는가?




2. 질적 연구에서 연구대상 선정(sampling)


질적 연구는 적은 표본에 대한 심층적 이해에 초점을 맞춘다. 이는 연구대상이 그들의 주 어진 사회적 상황에 부여하는 의미와 과정을 이해하는 것으로 반드시 일반화를 목적으로 하 는 것은 아니다.4) 따라서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질적 연구에서 자주 활용되는 연구대 상선정방법(sampling)으로 목적표출(purposive sampling) 혹은 판단표출(judgement sampling), 우연표출(opportunistic sampling) 혹은 편의표출(convenience sampling), 이론표출(theoretical sampling) 등이 활용되고 있다.


목적표출과 판단표출은 연구자가 특정한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연구대상을 주관적 판단 을 통해 선정하는 것으로 연구자가 이용할 수 있는 자원에 대한 고려뿐 아니라 특정한 연구 문제에 따라서 영향을 받는다. 경우에 따라 연구자는 연구대상들이 갖는 특성이 연구에 포함 되도록 하기 위해 층화목적표출(stratified purposive sampling)을 채택하기도 한다.


둘째, 질적 연구에서는 일정한 논리적 계획 등에 근거하지 않고 상황에 따라 발생하는 우 연표출(opportunistic sampling)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는 일종의 편의표출(convenience sampling)로서 연구대상집단이 모두 샘플에 포함될 기회를 갖는 것은 아니다.


셋째, 이론표출(theoretical sampling)근거이론접근법(grounded theory approach)의 한 부 분으로 자주 활용되는데 이는 이론형성을 위한 자료수입의 과정을 의미한다(Glaser and Strauss, 1967). 질적 연구에서 분석가는 자료 수집, 코드화 및 분석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는데, 중요한 것은 이전 단계에서의 연구결과와 비교하기 위해 다음 단계에서는 어떠한 자료를 수 집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만약 다른 표본을 통해서도 똑같은 결론에 도달하고, 새로운 것을 발견하지 못한다면 이는 이론적 포화(theoretical saturation)상태를 의미하며, 따라서 연구자는 새로운 각도에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다른 집단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게 된다.5)


5) Morse(1995)에 의하면 이론적 포화(theoretical saturation)는 이론표출을 통해 가장 빨리 달성될 수 있고, 누적표출과 편의표출에 의해서는 느리게 달성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무작위표출에 의해서는 표본이 이론적으로 전혀 적합하지 않고, 좋은 정보담지자가 아니므로 이론적 포화가 전혀 달성될 수 없다.




3. 질적 연구의 과정


기존 논리실증주의 연구과정에서는 연구문제의 정의, 선행연구 검토, 가설설정, 연구설계 (연구방법), 도구화(instrumentation) 및 표본추출, 자료수집, 자료분석, 결론 및 해석, 가설수정 등의 단선적 방향으로 이루어져 왔다. 양적 연구과정에서 가설은 반박과 대안가설을 통해 수 정될 수 있으며, 후기실증주의자들은 실체에 대한 진실보다 궁극적 실체에 다가가는 개연성 혹은 실체에 대한 연속적 근사치(successive approximate)를 강조한다. 그러나 질적 연구설계 는 인식론과 방법론 간에 긴밀한 연결을 강조하며 이는 연구문제 선정, 표본추출절차, 자료 분석 유형 및 해석전략 등 질적 연구의 연구궤도를 결정짓는다. 특히 질적 연구에서는 이러 한 연구과정의 각 요소들이 일정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역동적 상호작용을 나타 낸다.


즉, 질적 연구에서의 연구과정은 역동적 무도장(dynamic dance)이라고 할 수 있다. 질적 연 구에서 중요한 것은 철학적 기반(philosophical substructure) 혹은 패러다임 선택(paradigm choice)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분석적 귀납화(analytical induction)’를 통한 이론형성(theory generation)을 추구하며, 일부 질적 연구자들은 근거이론관점(grouded theory perspective)6)을 채택하기도 한다. 즉, 질적 연구에서는 가설설정, 자료수집, 자료해석, 결론도출 등이 일방향 적으로 전개되는 것이 아니라 동시적으로(synchronic) 혹은 반복적으로(iteratively) 이루어지 는 과정을 거친다. 연구자는 자료를 수집함과 동시에 그것을 해석하고 광범위한 관념들을 검 증하고, 다시 추가자료를 수집한다.




Ⅳ. 질적 자료의 분석과 해석


질적 연구에서 자료의 수집, 분석 및 해석은 선형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적(dialectic)이며, 순환적으로 이루어진다(Agar, 1980: 9). 일반적인 질적 자료의 분석과 해석은 다음과 같은 단 계를 거쳐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지만, 단일의 최선의 방법이 존재하지는 않는다. 이와 관련 Tesch(1990)에 의하면 질적 분석은 예술적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극적으로(playfully) 이루어 질 수 있고, 또 이루어져야 하지만 그것은 많은 방법론적 지식과 지적인 성찰을 요구한다.


첫째, 자료준비(data preparation) 단계는 자료의 필사(transcribing) 단계로서 연구자는 다양 한 연구방법(심층면접, 핵심집단면접 등)을 통해 얻어진 자료를 문자화된 형태로 정리하고, 이를 주의 깊게 읽어보면서 관련 오류를 수정할 수도 있다. 해석적 입장에서 보면 필사단계 에서 연구자가 자료를 어떤 형태로 혹은 어느 정도까지 정리할 것인지는 연구자의 이론적 입 장과 연구질문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연구대상과 긴밀한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둘째, 자료탐색(data exploration) 및 자료축소(data reduction) 단계는 동시에 이루어진다. 탐 색단계에서 연구자는 각종 문자, 시각, 청각자료를 분석하며, 핵심적인 내용 등을 요약하여 문자, 도표, 그래프 형태 등의 메모를 작성하면서 코드화 작업을 하게 된다. 자료의 코딩과 분 석은 주로 근거이론접근7)에 의해 이루어진다. 연구자는 자료수집과 동시에 개방형 코딩 (open coding)을 통해 분석과정을 시작하는데, 메모작성을 통해 코드를 범주(category, 개념) 의 수준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8) 근거이론접근에 의한 분석은 한 줄 한 줄 주의 깊게 읽어 가 면서 각 줄, 문장, 단락에 대한 코딩과 메모작성을 통해 핵심적인 범주나 개념을 도출하는 것 이다.


7) 근거이론은 Glaser and Strauss(1967)에 의해 개발된 분석의 형태로서 질적 자료로부터 의미를 추출하 는 전략을 제공해 준다. 근거이론접근은 자료수집에서 시작해서 자료에 근거를 두거나 자료로부터 생 성되는 이론으로 종료되는데, 이러한 분석과정이 상호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근거이론접근은 담 화분석(narrative analysis), 담론분석(discourse analysis) 등 여러 분석전략의 한 유형일 뿐 유일한 질적 자료 분석방법은 아니다.


연구자가 작성한 코드는 기술적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해석적일 수도 있다. 질적 자료 에 대한 1차 코딩(initial coding)이 이루어지고 나면, 2차적으로 심화된 코딩작업(focused coding)이 이루어지며, 심화코딩을 통해 개념형성과 구체화가 이루어진다. 즉, 심화코딩에서 는 단순히 자료에 이름을 붙이는 것이 아니라 분석적 범주화(analytical category)를 요구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론적 구성(theoretical constructs)을 시작하게 된다. 또한 코딩과 메모작성의 과정은 선형이 아닌 순환적 과정을 통해 역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셋째, 자료해석(Interpretation) 단계에서는 코딩과 메모작성을 통해 도출된 질적 자료의 핵 심개념, 주제들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게 된다. 최근에는 방대한 양의 질적 자료분석을 위한 각종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발전으로 소프트웨어에 의한 분석과 해석과 관련한 이슈도 제기 되고 있다. 그런데 근거이론접근뿐 아니라 모든 질적 연구에서 자료의 분석과 해석이 구별되 는 것은 아니며, 자료수집과 동시에 분석과 해석이 이루어진다. 특히 메모작성이 질적 자료 의 분석과 해석을 연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질적 자료의 해석에 있어 연구자와 연구대상자의 역학관계(power dynamics)가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9)


넷째, 원고작성(writing up) 단계로서 질적 자료에 대한 분석과 해석이 이루어지고 나면 혹 은 분석 및 해석과 동시에 원고를 작성하게 된다. 여기에는 실존주의적 관점(realist)과 비실존 주의적 관점(non-realist)이 대립된다. 연구자에 의해 발견될 수 있는 실재가 연구자 밖에 존재 한다고 가정하는 실존주의 관점에서는 전통적으로 공식화된 글씨기가 강조되는 반면, 포스 트모더니즘을 토대로 하는 비실존주의 관점에서는 연구발견을 표출(represent)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 즉, 극장공연과 같이 예술과 인문으로부터 글쓰기 장르를 차용하면서, ‘공연과 같은 글쓰기(performative style)’ 형태를 취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험적 글쓰기와 전통적 글쓰기가 상호 배타적인 것은 아니며, 연구과정에서 상호 활용되기도 한다.


Ⅴ. 맺음말


질적 연구들은 어떠한 이론적 입장을 채택하든지 공통적으로 사회적 실체에 대한 접근에 있어 해석적 과정(interpretative)을 통한 사회적 구성(social construction)을 강조한다.


질적 연구에 있어서는 정형화된 단일의 연구방법과 연구설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질적 연구는 응답자의 특성, 연구가 수행되는 맥락 등에 따라 상황의존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단일의 질적 연구방법을 강조하는 것은 역설적으로 양적 패러다임으로의 귀환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제어번호

76359530

저자명

박석희 ,이종원

학술지명

서울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권호사항

Vol.- No.- [2009]

발행처

서울행정학회

발행처 URL

http://www.sapa21.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85-799(15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9년

KDC

350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o Ⅰ. 머릿말

o Ⅱ. 질적 연구의 특징: 포괄적 접근

o Ⅲ. 질적 연구과정과 연구설계

o Ⅳ. 질적 자료의 분석과 해석

o Ⅴ. 맺음말




질적 연구 방법의 내용과 적용전략: 양적인 질적 연구와 질적인 질적 연구*

1)임도빈**





Ⅰ. 질적 연구가 왜 중요한가?


질적연구방법이란 빈도(frequency) 등 수치적 방법에 의한 이외의 방법으로 현 상을 해석하고, 재코딩하고, 설명하는 다양한 방법론을 의미하는 광범위한 개념 이다(Van Maanen, J. 1979).


한국의 행정학 및 정책학의 연구경향은 경험적이고 실증적인 연구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권경득, 2006; 박흥식, 2006). 이에 따라 학생들의 질적 연구에 대한 이해는 매우 혼란스럽고 단순히 계량연구의 반대적인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도 있 다. 하지만, 밀턴 프리드만(Friedman, M,1966:4)이 제기한 대로, 실증연구는 원칙적 으로 규범적 연구와는 다른 연구이므로, 만약 어떤 질적 연구가 계량 연구가 아니 면서 동시에 규범적 연구가 아니라고 한다면 이는 실제 일어난 일 또는 행위에 대 한 연구일 수 있으므로 경험적, 실증적 연구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질적 인 방식으로 수행된 연구가 경험적 실증적 연구가 아닐 것이라는 편견은 일종의 과학주의의 미신이다. 다만, 질적 연구의 중대한 특성으로 연구자와 사물 간에 상 호의존과 상호작용을 토대로(윤견수, 2005:1) 연구자 저마다의 사회적 현실 (multiple realities)의 형성(구성)이 가능하다. 그 과정은 연구자가 사물을 이해해가 는 의미해석(sensemaking)과정과도 무관하지 않으므로 가치개입적일 수 있으며, 결국은 “실증적(positive)”이라는 용어는 ‘질적 연구다운’ 것과는 어느 정도는 상존 하기 곤란한 것이 되기도 한다.




Ⅱ. 기존 질적 연구들의 맥락적 이해


질적 연구(qualitative research)라는 용어가 가져다주는 의미는 다른 배경을 가진 사람들에게 다 다르게 나타난다(Strauss and Corbin, 1998:11).


1. 무엇이 ‘ 질적’ 인 것인가에 관한 다양한 견해들


질적 연구를 정의하기는 쉽지 않다. 많은 사람들은 비수학적(non-mathematical) 분석, 비수치적(non-numeric) 자료, 비통계적(non-statistical) 방법을 차용(Strauss & Corbin, 1998: 10-12) 하는 연구를 질적 연구라고 알고 있다. 또한 어떤 이들은 질적 인 것이란 주관적인 것과 동일하다고 보아 심지어 비과학적인 것으로 보기도 한 다. 혹은 계량적 방법이나 사례연구를 하지 않은 것이란 의미에서 이론적인 것과 동일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사회과학에서 완벽하고 객관적이고 명확한 사실이나 개념이란 존재하 지 않는다. 사회현상에 대한 서로 다른 다양한 견해가 존재할 뿐이다. 이런 점에서 질적인 것은 주관적인 것 즉, 가치적인 측면을 포함하여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따 라서 많은 사회과학자들은, 관찰이란 것이 이론에 기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체계적인 관찰이 현실에 대해 진실을 말해줄 것이며 과학적 주장은 검증할 수 있 다고 보는 실증주의자들의 생각에 동의하지 않는다(Johnstone, 2000). Cameron 등 (1992)은 관찰과 현실에 대한 이러한 딜레마를 해결할 수 있는 두 가지 방법을 제 시한다. 


  • 하나는 이른바 상대주의(relativism)로서 관찰만이 아니라 현실 또는 이론 에 의존하므로, 세상은 개인들에 따라 차이가 나며 따라서 기술(describe)할 수 있 는 단일한 현실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본다. 이들은 서로 다른 사례에서 관찰과 현 실간의 상호작용이 같은 방식으로 일어나는지 여부에 대한 일반화 작업을 하지 않는다.

  • 반면 객관적 현실주의(realism)는 관찰은 이론에 기반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 다고 보면서, 사람들이 사용하는 문장들은 서로 다르며 잘못 들릴 수도 있지만 같 은 발언을 듣는 두 사람의 경험은 어느 정도 같다고 보고 있다. 대부분의 사회학자 들은 다소 차이가 있겠지만 현실주의적 입장에 서 있다고 볼 수 있다(Johnstone, 2000).


한편, 어떤 이들은 접근방법과 패러다임 등도 질적인 것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접근방법이란 어떤 현상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을 중심으로 연구하는 것을 말하 며, 이러한 특징은 특정 학문분과에 있어서 “문제와 자료”의 선정기준이 된다.


이렇듯, 질적 연구란 매우 다양하고 다중(multiplicity)적인 방법론을 포괄하는 것 으로 ‘질적’의 의미를 밝히기 위해서는 여러 질적 연구방법의 공통분모를 추출해 보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질적 연구는 비교적 덜 알려진 영역에서의 사회적 실체 와 현상이 어떻게 해석, 이해되고 경험되거나 생성되는가에 관심을 두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연구대상의 사회적 맥락에 큰 관심을 갖는다. 설명방법에 있어서도


현상의 피상적인 유형, 추세나 상관관계의 묘사보다는 ‘본질적인’ 형태의 분석과 설명을 보다 강조한다(제니퍼 메이슨, 1999).





2. 양적 연구와 어떻게 다른가?


일반적으로 양적 연구는 질적 연구와는 달리 ‘객관적 연구’라고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렇다면 객관적이라는 것이 어떤 의미인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객관적 이라는 말은 사실(fact)이라는 말과 일맥상통한다. Simon(1958)은 행정현상을 가치 (values)와 사실(facts)로 분리하여 후자에만 국한하여 실증적으로 연구할 것을 주 장하였다.


사회과학에서 통상적으로 간주하는 ‘객관성’2)의 의미는 첫째, 경험적 사실인가 여부, 둘째, 모든 사람들이 동일하게 느끼는가의 여부, 셋째, 신뢰성 있는 사실인 지에 따라 달라진다. 그런데 모든 사람들이 동일하게 인식하거나 느끼는가 하는 문제에서 많은 사람들이 특정 현상을 동일하게 보고 느낀다는 이유자체만으로 그 현상을 사실이라고 규정할 수는 없다. 과거 천동설이 지배적인 시대에 사람들은 지구가 고정되어 있고, 태양이 움직인 것으로 경험적으로 느꼈지만, 실제로는 지 구가 움직이는 것이 올바른 사실이었다. 신뢰성이 있는 사실이란 같은 조건에서 같은 실험을 수행했을 때 동일한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에 성립한다.


질적 연구는 양적 연구가 추구하는 수치의 통계적 결과에 의해 제시된 “사실 (facts)”를 추구하는 것(남궁근, 2004)과는 다르다. 즉, 연구대상이 특정 사회 환경에 놓여 있는 행위자에 의해 지각된 사회적으로 구성된 실제(socially constructed reality)를 추구한다(Meyer and Rowan, 1977; Granovetter, 1985; Weick, 1993). 행위자나


연구자의 인식(perception)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상술한 객관성의 기준에서 볼 때 문제성을 띠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림 1> 연구방법의 유형




그런데, <그림 1>의 [유형 Ⅱ, Ⅲ, Ⅳ] 모두 질적 연구로 알려져 있다. [유형 Ⅱ, Ⅲ, Ⅳ]는 귀납적이라는 점에서 질 적인 방법론이라고 알려져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유형 Ⅱ]는 일단 자료수집단계에서 개방적인 태도로 문제를 본다는 점 에서 질적인 연구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는데, 실제 연구에서 주장하고자 하는 것 을 수치(즉, 통계)로 판별한다는 점에서 엄밀한 의미에서는 질적인 연구라고 보기 는 어렵다. 특히 [유형 I]은 물론이고 [유형 II]의 연구도 연구자가 연구대상이란 연 구자와는 별도로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보는 자세를 갖는 경우, 협의의 질 적 연구라고 보기 어렵다.


흔히 알려진 내용분석(contents analysis)이 그것인데, 연설이나 대화에서 특정단 어의 출현빈도수를 찾아 통계법(예, 카이자승법)으로 분석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 이다. 또한 과거 인간관계를 연구하는 방법으로 소시오메트리(sociometry)를 사용 하다가 최근에는 네트워크 이론이 발달되고 있다. 컴퓨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분 석기법에 의해 시각적으로 일목요연하게 네트워크가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를 그래픽화하는 것을 넘어서 통계적 유의성 검증기법에 의해(예컨대 두 네트워 크의 중심성(centrality)을 유의성여부를 검증하는 소프트웨어가 있다) 검증한다면 질적 연구라기보다는 오히려 ‘양적 연구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 말하는 질적인 질적 연구는 결국 [유형 Ⅲ]과 [유형 Ⅳ]이다. 이 두 유형 의 공통점은 주요한 결론을 통계방법에 의존하지 않고 연구자의 사유능력에 의존 한다는 점이다. [유형 Ⅲ]의 대표적인 것은 근거이론과 행위이론 등이다. 미리 정 해진 분석틀이 아니라 철저히 개방적인 태도로 현실을 이해하고 순차적인 귀납적 방법에 의해 이론에 도달한다는 것이다. Michel Crozier(1964)나 Friedberg의 행위이 론은 조직연구에서 인터뷰에 의하고, 연구대상 행위자들의 실제 행위내용을 근거 로 한다는 점에서 연구자의 주관을 배제하려고 한다. 이런 점에서 연구자의 주관 을 인정하고 밝히도록 하는 근거이론과는 차이가 있다.


[유형 Ⅳ]는 현상학이나 비판이론과 같이, 통합적 접근법이라는 점에서 [유형 Ⅲ]과 구분된다. 결국 연구자의 주관이 가장 중요한 연구추진력이 되고, 사회는 부 분으로 나누어 분석적으로 하기보다는 전체적으로 이해되는 경향이 있다.





3. 양적 연구와의 보완 가능성


King et.al.(1995)은 최고의 사회과학 연구들은 계량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혼합이 주류인데, 이것은 근본적인 추론과정 간 에 모순이 없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엄밀성이라는 가치를 얻기 위해서는 지불해야 하는 비용이 반드시 있기 마련이다. <그림 1>에서 제시한 유형들을 기분으로 할 때, [유형 I]과 다른 유형들 간 결합을 한다는 것은 그리 쉬워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국내 질적 연구가로서 조용환(1999a:104~109)은, 한국에서 수행되는 소 위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결합은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어정쩡하게 결합시 켜놓은 경우로, 석・박사 학위논문에서 자주 발견되며, 그 원인으로써, 질적 연구 에 관심을 가진 학생이나 지도교수가 심사위원들의 몰이해와 반발을 우려하여 과 감하게 질적 연구를 추진하지 못하고 우회”하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주장하면서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가 연구기법상 혼합할 수는 있지만 연구논리상 화합할 수 는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Sydney Tarrow(1995) 역시도 다각화(Triangulation)의 효 능은 양적 데이터가 부분적이고 질적 조사가 정치적 환경에 의해 막혀있을 때 특 히 적합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Ⅲ. 질적 연구의 유형과 연구전략


1. 양적인 질적 연구: [유형 II]


양적인 질적 연구에서는 ‘검증해야 하는 기존이론이란 좋은 것’이라는 암묵적 인 전제를 하고 있다. 가상적 예로서, 대통령의 라디오 연설에서 ‘공공서비스’ 정 신이 많이 포함되면 될 수록 대통령의 지지율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때 ‘공공서비스 정신’을 담은 단어를 찾아내는 내용분석을 하는 것이다.


즉, 양적인 질적 연구를 옹호하는 시각을 가진 사람들은,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문제를 도출하는 쪽으로 흐를 가능성이 크므로 이론으로부터 가설을 도출할 가능성이 많으며, 자료에서 가설을 도출하는 세련되지 못한 경험주의((brute empiricism)를 피할 수 있게 된다. 충분히 개방되고 유동성 있는 질문(홍영기, 2006)을 가지고 자료와 연구자와의 상호작용을 토대로 (Creswell, 1998) 진행되는 질적인 질적 연구와는 다른 것이다,


결국 진정한 질적 연구는 연구문제에서부터 차이가 있게 된다. 

  • 양적인 연구는 사회의 모든 현상이 인과관계라는 법칙에 의해 움직인다고 전제하고 이를 규명하 기위해 이론(가설)검증한다. 따라서 어떤 설명대상(종속변수)이나 독립변수의 출 현여부나 정도를 어떻게 경험적으로 측정하느냐의 문제와 이들 간에 관계가 있느 냐 여부를 통계적 유의성으로 검증하는데 중점이 있다. 이에 비하여 

  • 질적 연구는 사회현상의 단일성이나 인과관계를 전제하지 않고, 개별 사례(연구대상)의 독특 성을 이해하는데 중점을 둔다. 따라서 독립변수나 종속변수의 측정보다는 이들이 어떤 과정을 통해 왜 일어나는가를 탐구하는데 연구자의 노력이 집중된다. 

  • 예컨 대 관료부패와 관료의 월급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양적 연구가 해결해야 하는 연 구문제라고 한다면, 젊고 청렴한 관료가 어떤 환경과 과정을 통해 부패에 연루되 는가의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질적 연구의 대상이 된다. 따라서 같은 관료에 대한 인터뷰의 내용도 이 접근방법에 따라 상이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시각에서 볼 때 아무리 계량화되지 않는 자료(인터뷰, 비디오, 문서 등의 질적 자료)를 활용한다고 하더라도 모두 질적인 연구라고 보기는 어렵다. 양적인 질적 연구는 방법 자체가 이론부터 설 명하고 들어가거나, 혹은 그렇지 않더라도 이론을 전제로 연구 참여자의 인터뷰 내용이 사실을 뒷받침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 점은 인터뷰 내용의 진실의 신 빙성 여부나 인지적 편이(bias)문제를 중요 이슈로 다루는 질적인 질적 연구에서 는, 인용문을 사실적 주장의 수단으로 보지 않는다. 이 점에서 두 연구방식의 인식 의 간극이 매우 큼을 알 수 있다.





2. 질적인 질적 연구


1) 연구의 관심과 특성


흔히 질적인 연구를 겨냥한 잘못된 비판(Eight Common Erroneous Critiques)을 보면 다음과 같다.7)


첫째, 논문작성은 가설을 가지고 출발해야 한다(This paper needs to start with a hypothesis). 이것은 가설검증을 연구의 핵심으로 보는 실증주의자들이 주장하는 내용이다. 연구자가 어떤 연구대상을 대상으로 가지고 있는 궁금증(즉, 넓은 의미 의 연구문제)만 가지고 있어도 연구의 개시는 충분한 것이다. 넓은 의미의 연구문 제가 있으면 논문작성에 아무런 지장이 없다.


둘째, 외적 타당성이 있어야 한다(This study lacks external validity). 가설검증을 주 장하는 실증주의자들이 가진 편견으로 이를 해결하는 방법이 통계적 유의성검증 이다. 즉, 일반화를 위해 다른 유사한 집단에 적용가능성을 표본추출 오차라는 측 면에서 검증하는 것이다. 그런데 질적 연구에서는 개별 연구대상의 독특성을 강 조하기 때문에 연구결과의 외적 타당성에 비중을 두지 않는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왜 극단사례를 가지고 연구하느냐(Why are you focusing on these extreme, negative cases anyway?)라는 비판을 하게 된다. 그래도 대표성이 있는 중간정도의 사례를 연구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극단적 사례를 통한 이해가 훨씬 설명력이 더 클 수 있다. 더구나 사회과학 연구의 목적이 현실을 이해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는 점과 모든 연구대상들은 독특하다는 것을 전제하기 때문이다.


셋째, 종속변수가 무엇인가( So what’s the dependent variable?)라는 비판을 받게 된다. 질적 연구에서 현상에 대한 이해에 중점을 두면 소위 독립변수라고 할 수 있 는 것을 파악하는데 전력을 기울이게 된다. 이런 과정에서 작성된 연구는 가설검 증을 지지하는 연구가의 눈에는 가치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질적 연구는 무엇이 원인이고 결과인가를 묻는 연구가 아니다. 따라서 시간선행, 혹은 인과관계를 규 명하는 것이 아니다. 다만, 질적 연구의 관점은 “현재진행형(ongoing)”으로 진리를 향해 정진하는 것이다. 나아가서 연구대상은 항상 진화 내지 변하는 것이기 때문 에 어떤 확정성은 없다고 봐야 한다.


넷째, 연구자의 주관성 문제나 오류문제(Author error)가 배제되었느냐의 비판이다. 실증주의에서는 연구자의 무오류성을 추구한다. 그러나 질적 연구는 객관적 데이터를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자가 가진 편견을 그대로 내포하면서 연구를 진행하므로 항상 연구자로부터 기인하는 오류가 있다고 비판을 받는다.


그러나 질적 연구에서는 객관적인 데이터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믿는다. 예컨대 GNP와 같은 자료도 사실 그 나라의 자연적 조건, 산업구조, 인적 자원, 분배구조 등에 따라 나라마다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차이를 무시한채 국가간 GNP를 비교하는 가설 검증을 한다면 ‘다른 것을 같은 것으로 믿는 더 큰 오류’를 범할 수 있는 것이다. 두 사람이상의 연구자가 인터뷰를 하고 코딩을 하는 경우에는 이들 연구자들간의 일관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특히 근거이론과 같이 개방코딩, 축코딩을 하는 경우 이들 간 코딩결과가 완전히 서로 다른 것이 된다면 문제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problem with this coding process is that you can’t establish inter-rater reliability about what things mean?). 이 점은 질적인 연구방법의 태 생적인 약점으로 연구자간에 상호비교하고 토론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어느 정 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질적 연구는 일반화나 객관성의 확보가 연구의 핵심적 목적이 아니므로 치명적이라고 할 수는 없다.


다섯째, 질적 연구는 소수 표본이어야 한다는 믿음도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다 (But Helen, you’re not a qualitative type; you interviewed 200 people!). 200명이 넘는 사 람을 인터뷰하여 질적인 연구를 진행할 수도 있다. 사실 질적인 연구도 다양한 사 례를 보고 연구를 하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질적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 표 본이 많을수록 좋은 것은 아니다. 따라서 소수 표본으로도 훌륭한 연구가 가능하 다. 거꾸로 최근 통계기법이 발달하여 소수의 표본의 경우는 정규분포를 가정하지 않고 통계검증을 하는 양적 연구를 할 수 있다.


여섯째, 질적인 연구는 사적인 비밀보호의 원리를 침해한다(Aren’t the death row inmates at risk of having their privacy violated by your research?). 연구의 기본단위가 주 로 개인이고, 인터뷰나 관찰 등의 방법으로 이들 연구대상 인간들의 생각이나 행 동을 면밀히 이해하는 데에서 시작하고 그 과정이 어떻게 되었느냐가 연구의 질 을 좌우 한다. 이 연구과정에서 연구대상인 개인의 사적 생활이 연구자에게 노출 될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연구자와 연구대상간의 정보보호의 문제가 생긴다. 따 라서 질적인 연구에서는 연구윤리를 매우 중시한다. 우선 연구대상으로부터 연구 를 진행하겠다는 동의를 얻는 것이 필수적이고, 연구결과물에서는 익명성을 유지 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필요하다.


논문제목이나 내용목차에 “질적” 혹은 그밖에 질적 연구의 전통에 해당하는 용어가 포함되어있다고 해서 모두 질적 연구로 섣불리 단정할 수는 없음(조용환, 1999a:92)을 명심해야 한다.




2) 질적 연구방법(유형 Ⅲ)의 특성


Guba & Lincoln(1994:107)에 의하면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는 연구를 이끄는 존 재론, 인식론, 방법론상에 그 전제가 되는 신념체제(belief system)가 다르다고 한다. 바꾸어 말하면, 양자의 차이가 단순한 연구방법상의 차이가 아니라, 연구논리상 에 그 기저가 다름을 의미한다. 질적인 질적 연구란, 이렇게 연구방법상의 차이 뿐 만이 아니라 연구논리상 차이 즉, 패러다임이 완전히 다른 연구 방식인 것이다.


질적인 질적 연구(즉, [유형 Ⅲ], [유형 Ⅳ])는 연구의 출발 단계에서 전혀 이론 (theory)에 근거를 두지 않고 출발한다. 왜 이러한 질적 연구를 해야 하는가에 대한 이유(moments)는 다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연구참여자(natives 즉 연구대상)의 모멘트, 

둘째, 연구자(researcher)의 모멘트, 

셋째, 독자(audience)의 모멘트이다(Brower, 2007).


질적 연구는 바로 이 세 가지 모멘트들의 상호의존과 상호작용을 토대로 ‘의미’를 이끌어내는 장점이 있다(윤견수, 2005:1). 요컨대, 질적인 질적 연구는 기존 용어나 이론에 기대지 않 고, 생활세계(life world)의 상황에 근거를 두고, 그것을 담아 낼 수 있는 이론적 개 념(theoretical concept)을 정립(build)해 나간다.8) 그 일천(一淺)한 수준으로부터 발 견된 몇 가지 사실로부터 점점 더 코딩 작업을 고양화시킴으로써 마침내 모든 개 념을 아우르는 이론을 도출하는 것이다. 즉, 자료로부터 명명된(label) 개념으로부 터 점점 더 넓게 추상화 시켜나가는 상향식(bottom-up) 귀납연구이다.9)


9) 결국은 기존에 코딩된 개념이 모든 개념을 포착해낼 수는 없기 때문에, 연구자 자신이 최종 범 주를 독자적으로(즉, 질적으로) 산정하게 된다. 그 최종범주가 더 이상의 내러티브한 군더더기 없다고 평가가 되면, 만족(saturation)스러운 단계에 도달했다고 보는 것이다. 이 순간 마침내 “질적인 모멘트의 발견”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많은 질적 연구가들이 여전히 자료 수집 이후의 과정을 ‘분석’ 으로 통칭하는 관행을 보여 왔다. 이는 다분히 양적 연구의 전통을 따른 것이라고 비판받을 수 있다(조용환, 1999b:28). 

      • 나아가서 양적 연구(혹은 양적인 질적 연구) 에서는 연구자가 사물(thing)에 대해 대자(對自)적 관계로 설정되기 때문에 ‘적용’ 이라는 용어가 성립 가능하나, 

      • 질적인 모멘트에서는, 연구자와 대상 간에 주객의 혹은 주종적 존재 양식의 구분이 더 이상 의미가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 이, 질적인 질적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사물과 즉자(卽自)적 관계에 놓여있음으로 말미암아, 연구자의 인식의 범위(perceptual field) 내에서 사물이 지각되고, 의미가 해석・재해석되는 것이다.10)



이러한 설명방식은 기존 이론을 사례를 통해 확인하는 연역주의적 방식과는 거 리가 있는 방식이고, 이러한 설명방식이 설득력이 있는 이유는 자료로부터 범주 화된 개념들이 이론을 구성함에 있어 직결되는 증거(evidence)가 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연구자가 독자적(질적)으로 구축한 이론이 결국 ‘왜(why)에 대한 대 답’(Kaplan, 1964; Merton, 1967; Sutton & Staw, 1995: 378)으로서 그 역할을 잘 해주기 때문이다.


결국 이러한 질적인 질적 연구는, 개인 조직원이 제도를 사회적으로 습득한 사 고방식 즉, 각 개인의 의식에 각인된 사고의 사회적 습관으로 보는 사회학적 신제 도주의에 기초하여 질적 연구의 의미를 재조명할 수 있고, 그 방법으로서의 현상 학과 깊은 관련을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질적 연구를 진행하는 데에는 중점을 둬야하는 측면이 타당도와 신뢰도 에 중점을 두는 양적인 연구의 경우와 다르다. 이를 몇 가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 다.(Lawrence F. Locke, Stephen J. Silverman & Waneen Wyrick Spirduso, 2004:221~225)


우선 충분한 연구기간(The machinary of time)의 문제이다. 사실 이러한 연구성과 물의 질은 연구자가 연구대상 상황에 얼마나 충분한 시간을 보냈는지가 절대적 결정요인이다. 실제로 몇 시간, 몇 일을 보내야 하는지 잘라서 말하기 어렵다. 그 러나 연구자가 연구대상에 대해 충분한(만족할만한) 수준의 정보를 얻는데 필요한 시간을 의미한다. 대체로 행정학계에서 질적 연구를 표명한 연구들이 매우 짧 은 시간을 소비하여 질을 담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둘째, 주관성의 원칙(The machinary of subjectivity)이다. 질적 연구는 연구자의 주 관이 개입되는 것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는데, 연구자가 이에 대해 스스로 어 느 정도 의식하고 있는가가 중요하다. 이 세상에서 객관성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는 것이다. 1차 자료의 획득 후 한 걸음 물러서서 이를 관조해보는 자 세 등이 필요하다.


셋째, 부정합성의 원칙(The machinary of What Does Not Fit)이다. 조사결과 연구 목적에 부합되지 않는 것,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 것, 극단적 예외 등에 대해 양심 적으로 처리하고 깊이 생각해야 한다. 이를 그냥 무시하거나 의도적으로 누락시 키고, 마치 자신의 결론이 거의 현실에 부합되는 것처럼 해서는 절대로 안된다. 사 실 복잡한 현실세계를 이해하기 쉽게 멋있게 설명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 러다 보니 거짓연구를 하려는 유혹이 있는 것이다.


넷째, 관계성의 원칙(The machinary of Relationship)이다. 연구 대상 사람들 간에 오간 대화나 인터뷰 내용에는 이들 간의 인간관계가 내포되어 있음을 항상 주의 깊게 감안해야 한다. 연구자와 인터뷰 대상자의 관계도 마찬가지 차원에서 엄격 히 고려되어야 한다. 즉, 연구자와 연구대상간의 상호작용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 다. 정책연구에서는 정책입안부터 집행 시, 그리고 평가 시까지 외부연구자가 대 상집단과 긴밀히 상호작용하여 추진해야 한다. 예컨대 조직진단의 경우, 조직개 편안을 담은 보고서 제출이 최종점이면 안 되고, 그 개편안의 실행에도 연구자가 깊이 관여하여 소정의 효과가 나오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맥락의 원칙(The machinary of Context)이다. 사회적, 역사적, 물리적 환경 을 제대로 묘사하고 분석(설명)의 주요 내용으로 포함시켜야 한다. 이를 통해 독자 들은 연구의 결론을 유사한 상황으로 적용해 볼 수 있을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것 은 두터운 기술(Thick description)의 주요 부분이기도 하다.


우선 근거이론을 사용한 정책시뮬레이션(권선필, 2007:34) 연구에서, 예컨대 검색된 뉴스기사 데이터는 개방코딩(open coding)의 개념들의 소스이다. 이후, 상위 범주인 축코딩(axial coding) 단계에서는 몇 개의 하위 단계의 개념들이 하나의 상 위 범주의 소속으로 묶이게 된다. 이때 하나의 개방코딩은 복수의 축코딩에 중복 되게 소팅(sorting)이 된다거나 혹은 누락되지 아니하며, 타개념과 상호 배타적으 로(즉, 비중복적으로) 일관성있게 범주화가 진행된다. 그러한 작업에 도움을 주는 것이, ATLAS.ti나 MAXqda와 같은 소프트웨어들이다.




3. 질적 연구의 유형별 연구전략


질적 연구를 하는 데에는 많은 타당한 이유들이 있다(Strauss & Corbin, 1998:11). 

  • 첫째, 연구자들의 경험이나 선호로 인하여, 

  • 둘째, 연구자들의 기질이 질적 연구 작 업의 형태를 수행하는데 더 적합하기 때문에, 

  • 셋째, 연구자의 배경 학문 분야가 인 류학(anthropology)에서 왔거나, 전통적으로 질적인 방법을 이용하는 현상학이라 는 철학적 지향을 들고 있다. 

이러한 이유 중 어디에 속하느냐에 따라 여러 질적 방법론중 어느 방법에 의존할 것인가가 어느 정도 정해질 것이다.




우선 사례연구는 연구대상의 단위(unit)를 결정할 때 적어도 지리적으로 혹은 물리적으로 어느 정도 경계가 뚜렷한 경우를 의미한다. 사례의 크기는 천차만별 인데, 질적 연구를 할 때에는 대규모의 사례단위를 다루기는 쉽지 않다. 사례연구 란 이런 연구대상에 대한 관찰, 인터뷰, 자료분석 등을 통해 어떤 현상을 기록, 보 고, 진술하는 것이다. 실험이 자연과학에서 이론의 검증과 발전의 재료이듯이, 사 회과학에서는 관찰이 이론의 검증과 발전의 재료이고, 사례연구는 이 재료의 한 종류이다.13)


사례연구는 관찰의 보고 및 기록이고, 관찰은 어떤 시각과 관점이 없이는 이루 어질 수 없다. 이때 시각과 관점은 불가피한 선택이다. 포퍼는 관찰은 더욱이 관찰 진술이나 실험결과의 진술은 언제나 관찰된 사실의 해석이고, 이론에 비추어본 해석이라고 말한다. 뒤집어 본다면 이론(혹은 가설)이 없으면 어떤 의미 있는 해석 도, 관찰도 이루어질 수 없다는 뜻이다(최병선, 2006).




다음으로,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은 사회집단의 총체적인 문화(holistic culture), 즉 집단구성원들의 행위, 신념, 가치, 그리고 그러한 것들을 구성하는 문화적 요소들 을 종합적으로 기술하여 이해하고자 한다(남궁근, 2004). 이 경우 특정 민족집단, 원시사회, 갱(gang)집단과 같은 특수하위집단을 대상으로 심층연구하기 때문에 전술한 사례연구의 범주에 들어간다.


문화기술적 방법에서는 인간의 행위는 맥락적 성향(contextual orientation)이 있 다고 본다. 즉, 인간의 행위는 사회문화적 환경의 맥락에서 형성되며 모든 인간사 는 문화와 분리될 수 없다는 의미이다(남궁근, 2004).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사회 문화적 유형이 행위자들의 활동을 어떻게 규정하는가에 관심을 갖게 되며, 활동 이 일어나는 상황과 조건들에 집중한다. 문화기술적 연구는 양적 연구와는 달리, 사전에 연구가설을 명확하게 설정하지 않고, 자료를 수집하면서 연구가설을 명확 하게 하고 이에 따라 연구전략을 수시로 수정하는 전형적인 질적 연구방법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남궁근, 2004).




질적 연구 방법론의 의미 있는 또 다른 전통으로서,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을 꼽지 않을 수 없다. 근거이론 접근법은 수집한 자료로부터 귀납적으로 이론을 개 발하는 방법이다. 연구자는 자료를 수집하고, 그 자료에 기초하여 가설을 설정하 고, 그 자료를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며, 이론을 개발하려고 시도한다(이종규, 2006). 이렇게 개발된 이론이 근거이론인데, 이는 이론이 특정한 상황에서 도출되 었고 그것에 직접 근거(grounded)하기 때문이다. 근거이론의 연구 절차는 매우 엄 격한 단계를 거치게 된다. 근거이론 방법을 개발한 Glaser와 Strauss는 근거이론 연구의 일곱 가지 주요단계를 제시했다.(남궁근, 2004:317~320)


첫째, 관심주제 선정를 선정한다. 중요한 것은 근거이론 연구에서는 미리 설정 된 가설을 가지고 연구주제를 선택하지 않고 연구를 시작한다. 이렇게 이미 시작 한 연구과정에서 수집한 자료로부터 비로소 가설이 도출되어야 한다. 그러나 반 드시 가설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두번째로는 연구목적을 결정해야 한다. Glaser와 Strauss는 근거이론의 목적을 

  • 초기증거의 정확성 평가, 

  • 경험에 기초한 일반론의 확립, 

  • 개념의 확인, 

  • 기존이론의 검증, 

  • 새로운 이론 형성 

등 다섯 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이 중 어느 것 을 연구목적으로 해도 좋은 논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가운데 가장 중요하고 궁극적인 것은 새로운 이론 형성이다.


세번째로 연구대상 집단을 선택한다. Strauss와 Corbin은 이를 이론적 표본추출 의 문제라고 불렀는데, 이는 연구주제에 관한 상당량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대 상을 선택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연구대상의 크기는 연구목적이나 자 연상태의 (연구대상가능) 집단의 크기에 달려 있다. 표본은 미리 몇 개로 정하는 것이 아니고, 대략 몇 개 정도라고 생각하고 시작하는 정도이다. 실제로 표본추출 과정은 한 차례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연구가 진행되면서 새로운 표본을 추가로 선정한다. 필요에 따라 더 필요한 표본을 추가시키는 방법인 눈덩이(snow ball) 만 들기와 같은 것이다.


네번째로 실제로 연구자료를 수집한다. 이 때 자료는 인터뷰, 회의록 등 언어로 된 것이 지배적이다. 이를 풍부히 획득하는 것이다. 그런데 근거이론 방법이 가진 뚜렷한 특징 중 하나는 자료수집, 코딩, 그리고 해석 단계가 별개로 진행되는 게 아니라 동시에 진행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과정은 조사 시작부터 끝까지 상호 교 차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컨대 학위논문 논문프로포절을 할 때는 상 술한 3번째 단계까지 하고 가상적 설계를 하는 것이 아니라, 초보적이나마 어느 정도 연구를 진행한 상태에서 하는 것이 더 확실한 방법이다.


다섯째, 자료의 개방된 코딩단계이다. 개방형 코딩은 자료분석의 첫 단계이며 그 궁극적인 목적은 범주를 발견하고 설정하는 것이다. 자료분석을 진행하면서 새로운 자료를 범주와 대비하여 검증함으로써 연구자는 범주를 종합하고, 단순화 시키고, 축소하여 핵심개념으로 정립해 나간다.


여섯째, 자료의 이론적 코딩으로 이론적 또는 선택적 코딩은 자료의 최종적인 구조를 확정하고 개념적 범주들을 중요성에 따라 순위를 매기는 과정이다. 연구 자는 소수의 핵심범주를 제시하고, 수집한 자료 중 이에 적합한 자료를 골라낸다. 이 과정을 반복하여 모든 자료가 범주화될 때까지 계속한다.


마지막 단계는 새로운 이론을 개발하는 과정이다. 연역적 방법이 아닌 귀납적 이론개발이기 때문에 연구자의 사유(speculation)능력이 연구의 질을 좌우한다. 이 와 같이 개발된 근거이론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추어야 한다. 

  • 첫째, 이론이 연구 주제 및 학문분야와 부합하는 것이어야 한다. 

  • 둘째, 그 이론은 연구 상황의 참여자 들이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그들에게 유용해야 한다. 

  • 셋째, 이론은 연구대상 영 역의 상당 부분을 설명할 수 있을 만큼 복잡한 것이어야 한다.




세 번째의 질적 연구방법으로는 행위 연구(action research)를 들 수 있다. Crozier (1964)의 행위연구는 인간의 행위를 체제론적 입장에서 연구하는 것이다.15) 행위 자의 생각보다는 실제로 행위한 결과만을 가지고 분석을 한다는 점에서 실증적이 면서 질적인 연구방법이다(임도빈, 2004;2009). 행위체제론에서는 조직구성원 개 인의 행위를 중시하여 실제로 일어난 조직의 상황을 충분히 고려하여 조직인들의 전략과 조직인들이 벗어날 수 없는 제약점을 본다. 이를 통하여 일종의 반복적인 행위전략들의 총합으로서 행위체제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는 현실에 밀접한 근거 를 둔 조직분석으로서 개인의 생각을 중시하는 포스트모던식 조직이해와는 구분된다. 즉, 주관성을 강조하는 질적인 방법론과는 달리 이런 점에서 행위체제론은 실증적이면서 객관적인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네 번째로 행정학에 있어서 현상학적 방법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도 실증주의 적 연구경향이 지배적인 한국행정학계에서 의미 있는 일이다.


최근에는 사례조사가 현상학적, 비판이론적 방법론에 적합한 것으로 인식되어 그 중요성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Hummel, 1991:31-32; 박병식, 1993:26 재인용).


끝으로, 해석학적 관점은 중요문헌과 서적, 서면 등으로 전달된 의미를 해석하 고자 한다(안영섭, 1996). 해석학은 19세기 성서를 분석했던 독일의 신학자들에 의 해 시작되었다. 그 이후 법규, 고전문학작품 등과 같이 문헌류에 부여된 의미들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 자료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이 시도되었다. 최근 사회과 학 연구자들은 성서해석에서 출발한 해석학의 응용영역을 확대하여 세속적인 문 헌을 해석하려고 시도한다(남궁근, 2004).






4. 좋은 질적 연구결과물의 요건


질적인 연구방법론에 입각하여 수행된 결과물에 양적인 결과물과 다른 기준으 로 판단해야 한다. 특히 학술지 논문심사에서 질적 연구방법론을 잘 이해하지 못 하는 심사자들이 맥락에 맞지 않는 평가를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런데 질적 연 구물이 논문이 되었든 보고서가 되었든 전형적인 표현형식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론적 배경→가설→표본추출→가설검증→결론’ 으로 이어지는 전형적인 가설 검증적 양적 연구에 비하여 자유로운 편이다. 따라서 이런 기준으로 질적 연구물 을 판단하는 것은 학문발전을 저해하는 요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질적 연구는 무형식에, 아무것이나 해도 되는 것은 아니다. 질적 방법론 나름대로 갖추어야 할 사항이나 조건이 있는 것이다. Lawrence F. Locke, Stephen J. Silverman & Waneen Wyrick Spirduso(2004:214~215)이 주장하는 질 적 연구물이 담아야할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첫째, 어느 것을 연구했는가 연구대상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 (You should find a description of the provenance of the study and what is about). 연구대상의 독특성이 연구의 핵심이 되기 때문이다.

  • 둘째, 정보(자료)가 수집된 맥락에 대한 설명이 있어야 한다. (You should find a description of the context in which the data were collected). 같은 정보라고 하더라도 그 의미나 가치가 맥락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 셋째, 위와 같은 맥락에서 과연 누가, 무엇을, 언제, 어떻게, 왜 했는가에 대한 설 명이 있어야 한다. (You should find an account of what was done in that context)

  • 넷째, 실제 획득한 1차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You should find presentation of actual data) 비록 지면의 제약이 있다고 하더라도 인터뷰 내용 등 1차 정보가 어느 정도 제공되어야 그 내용이 실감 있게 전달된다. 핵심이론부분만 서술하지 왜 인 터뷰 내용을 넣느냐고 지적하는 것이나, 아니면 저속한 용어를 학술논문에 넣는 다고 비판하는 것이 적절치 않다.16)

  • 다섯째, 이런 과정을 통해 얻은 지식을 하나 또는 복수이상의 결론으로 요약해 야 한다. (You should find an explicit effort to summarize as well as articulate, one or several conclusion)


이상의 내용은 보통 양적인 연구에서는 익명성이나 주관성의 배제를 보장하기 위해 연구물에 포함시키지 않는 내용들이다. 반면 양적 연구에서 중시하는 가설 설정이나 표본의 대표성 확보문제는 중요하지 않다. 따라서 질적인 접근법을 연 구물을 심사할 때 기고자와 심사자간에 갈등이 발생하는 것이 드물지 않은 것이 다. 질적인 연구방법에 이해가 부족한 사람은 질적 연구물에 대한 심사를 자제해 야 될 것이다.


그러나 질적인 연구가 제대로 되기 위해서는 외부 심사자의 기준보다는 연구자 자신의 윤리가 더욱 중요하다. 윤리성이 확보되지 않은 질적인 연구는 인권의 침 해는 물론이고 연구의 내용을 왜곡시키게 된다. 즉, 자칫 잘못하여 질적인 연구를 남용하면 거짓연구를 양산하게 될 것이다. 양적연구에 치우친 학계의 풍토를 감 안하면 질적 연구방법론의 확산도 중요하지만, 윤리성이 확보되지 않은 한국학술 풍토에서는 매우 주의를 요한다.


우선 연구자는 본인의 연구가 어떤 목적을 갖고 있으며, 그 연구에 누가 관심을 갖고 있고 있으며 이해관계가 있는지 등을 염두에 두고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모 든 학술연구가 연구자 윤리를 요구하겠지만, 질적 연구에서는 특히 연구자의 윤 리가 중요하다. 이는 질적 연구의 특성상 연구 대상에 대한 직접적인 면담과 관찰 등으로 인해 프라이버시 침해 등의 직접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 구대상자도 모르는 사이에 요즘 잘 발달된 녹음기구인 MP3기기와 같은 것으로 녹음하는 것은 명백히 연구윤리를 어기는 것이다.


연구진행과정에서는 질적 연구는 풍부하고 세밀한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분석 또한 이러한 세밀성을 활용하는 것을 강조한다. 그러므로 연구에 관련된 사람들 의 비밀이나 사생활권을 보호하기가 양적 연구에 비해 어렵게 된다. 질적 연구의 특성상 연구 대상자와 친밀한 관계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지만, 이 경우에도 연구 자는 이러한 관계를 공식적인 목적을 위해 활용할 의도를 지닌 전문가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 문제는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계속해서 고민해야 할 부분이다. 더 중요한 것은 연구결과물의 발표단계이다. 연구결과물에서는 전술한대로 생생한 1차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요건과 연구자의 익명성과 정보비밀의 원칙을 확보 해야 한다는 상반된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더구나 연구자가 고의든 실수든 인 터뷰내용을 다른 맥락에서 사용함으로써 의미를 완전히 왜곡시킬 수 있다.17) 런 오류를 최소화하는 방법은 인터뷰나 관찰 대상이었던 본인들에게 연구논문을 읽히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당사자들은 자신이 한 얘기를 불리한 것은 삭제토 록 요구한다. 그러나 연구자와 대상자간에 충분한 대화를 통해 이를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질적 연구는 매우 노동집약적인 연구이기 때문에 실행하기 어려움에도 불 구하고 남용 내지 오용될 소지가 많다. 본인이 현장조사를 직접 해야 가장 신뢰할 수 있으므로 다른 연구보조자에게 현장조사를 대신하게 하면 바람직하지 않다.


그런데 심층면접이나 관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데, 이를 실제로 준수하지 않 고 마치 한 것처럼 거짓진술을 하는 경우가 생긴다. 예컨대 실제로는 3명 정도 인 터뷰를 했는데, 일반화가능성에 대한 비판을 피하기 위해 20명을 인터뷰했다고 과장하는 것은 흔히 있는 일인 것 같다. 더 나아가서 하지 않은 말을 한 것처럼 꾸 며 내거나 문장을 의도적으로 바꾸는 행위도 드물지 않다. 사실 연구대상은 현실 은 이론과 같이 잘 정리된 것이 아니라 모순이 얽혀있는 복잡한 것이기 때문에 전 술한 부정합성의 원칙(The machinary of What Does Not Fit)이 많이 발견된다. 그런 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추가적인 인터뷰를 더 하든지, 이론적 사유(speculation)를 하기 위해 시간을 충분히 갖지 않고 성급하게 연구결과를 발표하려 든다. 여기서 정보의 고의적 누락이나 선택의 문제와 왜곡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진정한 질적 연구를 진행하는 사람이 일 년에 서로 다른 주 제의 논문이 여러 편 발표되는 다산(多産)은 거의 불가능하다. 이렇게 실제로 이러 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한 것처럼 위장하는 것은 표절보다 더 무거운 도덕적 윤리적 기준에 어긋나는 것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연구윤리가 담보되지 않으면 질적 연구는 사상누각에 불과하고, 진행하지 않는 것이 오히려 낫다.




Ⅳ. 맺는말


일단 질적 연구가 활성화 된다는 전제하에 좋은 질적 연구 를 활용하고 감상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Lawrence F. Locke, Stephen J. Silverman & Waneen Wyrick Spirduso, 2004:216~219)


- 연구자의 특성에 대해서 얼마나 잘 알아냈는가? : 질적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연 구대상과의 거리를 두고 객관적인 관찰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봄으로, 연구 자의 주관적 특성을 이해하고, 그것이 얼마나 연구대상(내용)에 영향을 미쳤는 가를 감안할 수 있도록 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야 소위 ‘객관적’인 내용과 아닌 것과 다른게 비중을 두어 이해할 수 있다.


- 실제 연구에서 얻은 정보를 지칭하는데 얼마나 자주 어떤 단어나 표현을 쓰는가 를 알 수 있어야 한다 : 즉, 어떤 실제 현상에 대한 명명(naming)이 중요하다. 실제 무엇이 일어났는가, 무엇을 실제로 했는가, 어떻게 그것이 작동했는가, 어디에 서 그런 것이 일어났는가 등에 대한 정보가 있다. 예컨대 인터뷰의 실행시 행위 가 일어난 시간의 차원에 주의해야 한다. 주요 정보제공자가 제공해주는 정보는 시간차원에서 혼돈적인 것이 많다. 예컨대 공식적인 계획이 마치 일부 실현된 것처럼 과장하는 경향이 있다. 흔히 정부의 보고문서에도 보면 앞으로 할 일, 아직 진행되고 있는 것도 마치 실적(實績)인 것처럼 포장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 연구과정(연구방법이나 연구설계)에서 다른 대안을 얼마나 폭넓게 검토하여 특 정방법을 사용했느냐와 결과의 해석에서 얼마나 개방적으로 대안적 설명들을 충분히 찾았는가가 중요하다.


- 얼마나 생생하게 연구대상의 맥락, 참여자, 연구자, 사건에 대해 묘사했느냐가 중요하다. 양적 연구에서는 설명이나 해석에서 간결하고, 중립적이고, 명확한 표현이 바람직한 조건으로 꼽힌다. 그러나 질적 연구에서는 있는 그대로 생생하 게 표현을 하는 것이 바람직한 요건이다. 1차 자료에서 얻은 것을 인용문 등을 적절히 제시하고 있는지를 보고 판단할 수 있다.








기획논문 「정부학연구」 제15권 제1호(2009): 155~187 원고투고일: 2009. 3. 15

원고수정일: 2009. 3. 29

게재확정일: 2009. 4. 10

질적 연구 방법의 내용과 적용전략:

양적인 질적 연구와 질적인 질적 연구*

1)임도빈**


이 글은 최근 행정학계에서 관심이 제고되고 있는 질적 연구가 무엇인가에 대해 깊이 있는 소개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흔히 질적인 연구라고 일컬어지는 것중 많은 부분이 양적인 질적 연구로서 협의의 질적인 연구와는 구분됨을 주장한다. 아울러 진정한 질적인 연구란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를 한다. 즉 질적 연구가 가져야 할 요건, 질적인 연구를 해야 하는 이유, 질적인 연구의 구체적인 유형 등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연구대상에 대해 얻은 자료를 계량화하는 방법으로 가공을 하느냐의 여부와 논문의 핵심 주장부분을 통계적 유의성 검증에 의존하느냐의 여부가 질적 연구인가 아닌가의 판단기준이 된다. 이런 기준에 의하면 계량적 실증적 연구에서부터 완전한 질적인 연구까지 다양한 연구유형이 존재한다. 이와 같이 질적인 연구가 다양하고 광범위함에도 불구하고, 좋은 질적인 연구란 평가하는 기준이 양적인 연구의 평가기준과는 다름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질적인 연구는 무엇보다도 연구윤리의 확보가 치명적임을 주장한다. 


주제어: 질적 연구, 연구기준, 연구방법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