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직업성: 옳은 문제를 풀기 위한 잘못된 도구? (Acad Med, 2020)
Professionalism: The Wrong Tool to Solve the Right Problem?
Victoria Frye, DrPH, MPH, Marlene Camacho-Rivera, ScD, MPH, MS, Kaliris Salas-Ramirez, PhD, Tashuna Albritton, PhD, MSW, Darwin Deen, MD, Nancy Sohler, PhD, MPH, Samantha Barrick, MS, and Joäo Nunes, MD

 

 

미국 전역의 의과대학과 다른 고등교육기관들은 캠퍼스 안팎에서 인종차별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해 고심하고 있다. 인종 차별과 인종 차별은 이러한 기관들로 하여금 그들의 정책과 관행, 임무, 커리큘럼, 그리고 교수진, 직원, 학생들 사이의 인종과 소수 민족 집단의 대표성을 조사하도록 강요했다. 의학에서는 [화이트 코츠 포 블랙 라이프]와 같은 학생들이 주도하는 단체들이 등장해 의대 커리큘럼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변화를 옹호하고 있다. '인종차별에 대항하는 국가 캠페인을 위한 도구'의 창시자인 카마라 존스 박사와 같은 의학과 인종 정의의 지도자들 또한 의료와 의료 교육에서 인종차별에 대한 공식적인 대응을 조직하기 위해 나섰다. 예를 들어, 일부 의과대학은 입학 과정을 평가하고, 그들이 어떻게 전임상 및 임상 연도에 인종 구성을 제시하는지 분석하고, 교실, 과외 및 병동에서의 암묵적이고 명시적인 편견의 역할을 탐구함으로써, 자습으로 대응했다.
Medical schools and other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across the United States are grappling with how to respond to racism on and off campus.1–5 Racist incidents and acts of race- or ethnicity-based discrimination have forced these institutions to examine their policies and practices, missions, curricula, and the representation of racial and ethnic minority groups among faculty, staff, and students. In medicine, student-led groups, such as White Coats for Black Lives,6,7 have emerged to critically evaluate medical school curricula and advocate for change. Leaders in medicine and racial justice, such as Dr. Camara Jones, the creator of Tools for a National Campaign Against Racism,8 have also stepped forward to organize formal responses to racism in health care and medical education. Some medical schools have responded with self-study, for example, by assessing their admissions process; analyzing how they present the construct of race in the preclinical and clinical years; and exploring the roles of implicit and explicit bias in the classroom,9 extracurriculars,2 and on the wards.10

의학교육에서 인종차별을 다루는 또 다른 보완적 접근은 가치, 특성, 행동, 도덕, 휴머니즘, 역할, 정체성, 심지어 사회적 계약으로 다양하게 정의되는 [전문직업성]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이 글에서, 우리는 의료 교육에서 인종차별에 대응하는 전문직업성의 개념과 잠재적인 역할을 경쟁적 정의contested definition의 맥락에서 고려한다. 우리는 인종차별에 대한 해결책으로 전문성 연장의 핵심인 3가지 관심사를 식별하고 설명한다.

  • 첫 번째 우려는 전문직업성이 해결책으로 적용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혼란이다.
  • 두 번째 우려는 전문직업성이, 인종 차별이나 심지어 인종 차별 사건에 대한 잠재적 해결책으로서, 진정한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개념이다. 왜냐하면 현실에서 전문직업성은, 의학을 지배하는 사회 집단이 (자율 규제뿐만 아니라) 이 분야에서 수용되는 행동에 대한 권력과 사회적 경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사회적 통제의 도구]이기 때문이다.
  • 세 번째 우려는 만약 전문직업성이 인종차별의 해결책으로 잘못 적용된다면, 훈련생들이 연극적performative 전문직업성에 관여하기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노골적으로 인종차별적인 행동은 피하고, 관용 지향적인 행동은 표면적으로 제정되며, 위험한 상황(전문적 행동을 제정하는 능력에 대한)은 피할 수 있다. 이러한 행동은 주로 백인적인 공간에서 학생과 유색인종 의사를 배제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Another sometimes complementary approach to addressing racism in medical education has been a focus on the role of professionalism, variously defined as values, traits, behaviors, morality, humanism, a role, an identity, or even a social contract.11–13 In this article, we consider the notion and potential role of professionalism, in the context of its contested definition,14,15 in responding to racism in medical education. We identify and describe 3 concerns central to the extension of professionalism as a solution to racism.

  • The first concern is confusion around the problem to which professionalism, as a solution, might be applied.
  • The second concern is the notion that professionalism, as a potential solution to racism or even to racist incidents, may not be a true solution because it is—in practice—a tool of social control that is used by the social groups that dominate medicine to self-regulate as well as to gatekeep and maintain power over the discipline’s accepted behaviors and social boundaries.16 
  • The third concern is that, if professionalism is misapplied as a solution to racism, trainees may begin to engage in performative professionalism, whereby overtly racist behaviors are studiously avoided, tolerance-oriented behaviors are superficially enacted, and risky (to one’s ability to enact professional behaviors) situations are avoided. These actions may hav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xclusion of students and physicians of color from predominantly white spaces.

인종차별적 행동이나 제도적 인종차별?
Racist Acts or Institutional Racism?

그렇게 많은 의과대학과 다른 고등교육기관들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 그것은 일반적으로 평등주의적이고 비인종주의적인 학교에서 (상대적으로 고립된) 인종차별적인 사건들인가? 아니면 제도적 인종차별, 즉 백인들의 이익을 체계적이고 포괄적으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과 다른 인종과 소수 민족 집단에 손해를 입히도록 발전시키는 억압의 사회역사적 시스템의 발현인가? 미국 전역의 뉴스 보도를 보면, 한 가지 일반적인 시나리오는 종종 학생들에 대한 학생들에 대한 분노와 보상을 요구하는, 촉매적이고, 명백한 인종차별적 사건에서 시작한다. 학생들은 그 기관이 그 사건의 원인을 분석하도록 요구하거나 그들이 직접 그 일을 할 수도 있다. 종종 이러한 검사inspection는 취약한 다양성 정책, 느린 판단 과정, 교수진과 리더십의 인종 및 민족 동질성, 다양성과 형평성과 반인종주의의 차이에 대한 개념적 혼란, 문화적 및 구조적 무능과 같은 시스템 전체의 결함을 드러낸다. 이러한 결함은 미국의 억압에 대한 사회역사적 제도, 반인종주의/성차별주의/계급주의에 대한 진정한 약속의 부족 또는 부재, 자원의 부족, 또는 비판적으로 검토되지 않았거나 불충분한 커리큘럼에 뿌리를 두고 있다. 그런 다음 학생들은 동료, 교수진, 교직원 및/또는 학교 지도자에 의해 저질러진 미시적이고 거시적인 공격들로 가득 찬 세상에 존재해왔다는 것을 조직하고 소통한다. 
What is the problem facing so many medical schools and other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Is it (relatively isolated) racist incidents in a generally egalitarian, nonracist school? Or is it institutional racism, a manifestation of the sociohistorical system of oppression that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advances the interests of white people to the detriment of African American people and other racial and ethnic minority groups? Looking at news reports from across the country, one common scenario starts with a catalyzing and clearly racist incident, often student on student, that incites student outrage and demands for redress.17–20 Students may call for the institution to analyze the causes of the incident or they may do the work themselves. Often these inspections reveal system-wide deficiencies, such as weak diversity policies, slow adjudication processes, racial and ethnic homogeneity in faculty and leadership, conceptual confusion around the difference between diversity and equity and antiracism, and cultural and structural incompetence. These deficiencies may be rooted in the institution’s underdeveloped grounding in the sociohistorical systems of oppression in the United States, a lack or absence of an authentic commitment to antiracism/sexism/classism, a lack of resources, or critically un- or underexamined curricula. Students then organize and communicate that they have existed in a world filled with micro- and macroaggressions perpetrated by fellow classmates, faculty, staff, and/or school leaders; demands to address the problem become more heated and public.21


이에 대해, 행정부와 일부 교직원들은 학생들의 요구를 촉발시킨 급박한 사건에 초점을 맞추고, 학생들이 그 대응에 만족하고 나아가기를 바라는 것 같다. 그러나 [학생들과 그들의 동맹국들이 문제라고 인식하는 것](즉, 체계적이고 제도적인 인종차별)과 [행정부가 문제라고 인식하는 것](불운한 사건이나 심지어 단지 관리되어야 할 홍보 상황으로 인해 발생하는 난처한 상황) 사이에는 불일치가 있다. 많은 학생 지도자들과 교수진, 교직원, 그리고 행정 동맹들에게, 문제는 목록화된, 개인의 나쁜 행동들뿐만 아니라, 그 기관이 미국 사회에 스며든 패턴화되고 목적 있는 인종차별을 어떻게 반영하고, 표현하고, 재생산하는가, 그리고 그 인종차별을 정직하고, 성심성의껏, 그리고 포괄적으로 다루려는 정치적 의지의 결여이다. 간단히 말해서, 그들의 관점에서, 문제는 백인 우월주의이며, 법률학자 프랜시스 리 앤슬리는 이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In response, the administration and some faculty and staff focus on the acute incidents that precipitated the students’ demands, seemingly hoping that the students will be satisfied with that response and move on. Yet, there is a mismatch between what students and their allies perceive to be the problem—systemic and institutional racism—and what the administration perceives to be the problem—a rough patch generated by unfortunate incidents or even merely a public relations situation to be managed. For many student leaders and faculty, staff, and administrator allies, the problem is not only individual acts of bad behavior, which have been catalogued,22 but also how the institution reflects, manifests, and reproduces the patterned and purposive racism that permeates U.S. society and the lack of political will to address that racism honestly, earnestly, and comprehensively. In short, from their perspective, the problem is white supremacy, defined by legal scholar Frances Lee Ansley as:

백인들이 압도적으로 권력과 물질적 자원을 지배하고, 백인들의 우월성과 권리에 대한 의식적이고 무의식적인 생각이 널리 퍼지며, 백인들의 지배와 비백인들의 종속 관계가 광범위한 제도와 사회 환경에 걸쳐 매일 재연되는 정치, 경제, 문화 시스템이다. 
a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system in which whites overwhelmingly control power and material resources, conscious and unconscious ideas of white superiority and entitlement are widespread, and relations of white dominance and non-white subordination are daily reenacted across a broad array of institutions and social settings.23

 

백인우월주의가 의료교육, 의료 등 사회 전반에 짜여진 인종차별적 억압체제를 견인하고 있다.
White supremacy is driving a racist system of oppression that is woven into every aspect of society, including medical education and health care.

사회통제의 도구로서의 전문직업성
Professionalism as a Tool of Social Control

문제의 해결 방법은 문제가 어떻게 정의되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고립된 행동 또는 일련의 행동이 문제인 경우, 몇 가지 기본적인 행동 수정이나 점검표가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는 행동 지향적인 체크리스트 형식을 갖춘 전문직업성이 잠재적인 해결책이다. 학생들은 그저 편협한 태도로 행동하거나, 무분별한 행동을 하거나, 차이점을 존중하지 않을 수도 있다. 대신, 그들은 사회화에서 백인 우월주의로 기대되고, 강화되고, 견뎌내는 행동을 제정할 수도 있다. 전자의 상황에서는 관용, 존중, 예의, 그리고 전문적으로 행동하는 방법에 대한 지도가 문제가 있는 행동을 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학생들의 행동이 고립된 것이 아니며, 오히려 사회화에서 백인우월주의 이데올로기로 이어지고 그 이데올로기가 유지하기 위해 행동하는 권력체계를 강화한다면, [생각, 믿음, 행동, 존재에 대한 혁명]이 아니면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것이다.

The solution to any problem depends on how the problem is defined. If an isolated behavior—or even a set of behaviors—is the problem, then some basic behavioral modifications or a checklist could be the solution. In this situation, professionalism with its behavior-orientated, checklist format is a potential solution. Students may be merely acting in an intolerant manner, engaging in thoughtless behaviors or not respecting differences. Alternately, they may be enacting behaviors expected from, reinforcing, and borne of socialization to white supremacy. In the former situation, instruction in tolerance, respect, civility, and how to behave professionally might act to arrest the problematic behavior. However, if the students’ behaviors are not isolated and instead stem from their socialization to the ideology of white supremacy and reinforce the system of power that that ideology acts to maintain,24 then nothing short of a revolution in thinking, believing, acting, and being will solve the problem.

수십 년 동안 미국에서 의학을 지배해 온 단체들에 의해 통제 도구로 사용된다면, 후자의 상황에서는 전문직업성이 올바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여기에 작가이자 활동가인 오드레 로드의 말이 공명한다.
Professionalism cannot be the right solution in the latter situation, if it is used as a tool of control by the groups that have dominated medicine in the United States for decades. Here, writer and activist Audre Lorde’s words resonate:

주인의 도구로는 주인의 집을 절대 해체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들은 우리가 일시적으로 그의 게임에서 그를 이기는 것을 허락할지 모르지만, 
그들은 결코 우리가 진정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지 않을 것이다. 

For the master’s tools will never dismantle the master’s house. They may allow us temporarily to beat him at his own game, but they will never enable us to bring about genuine change.25

 

행동과 복장의 지배적인 기준을 유지하기 위해 전문직업성이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대한 문헌이 증가하고 있다. 저자들은 어떻게 백인의 규범이 전문직업적이라고 여겨지는 것에 대한 참조 기준이 되었는지를 특징짓는다. 그들은 또한 그러한 기준이 전문직업성의 기능에 대한 사회학적 해석에 기초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수많은 관찰자들은 자연스러운 머리카락을 착용하는 것과 같은 비백인 사회 집단과 관련된 옷차림이나 외모가 (징계displinary action를 포함한) 미시적이고 거시적인 공격aggression의 초점이 되어왔다고 언급했다. 게다가, 흰색이 아닌 스타일의 옷이나 외모와 관련된 몇 가지 고용 차별 사례가 있었다. 이러한 행동들이 전문적이지 않은 행동, 특히 저항의 행위일 수도 있는 흑인의 문화적 표현으로 지목될 때, 백인 우월주의가 발전한다.

The literature around how professionalism is used to maintain dominant standards of behavior and dress is growing. Authors have characterized how white norms have become the standard of reference for what is considered professional.24,26 They also have described how those standards are based on a soci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function of professionalism.27,28 Numerous observers have noted that dress or appearance associated with nonwhite social groups, like wearing natural hair, has been the focus of micro- and macroaggressions,29 including disciplinary actions; further, several related employment discrimination cases related to nonwhite styles of dress or appearance have been waged.30 When these behaviors are singled out as unprofessional, especially cultural representations of blackness that may also be acts of resistance,31 white supremacy is advanced.

연극적 전문성
Performative Professionalism

[체크리스트를 통해 제정되고 평가될 수 있는 일련의 행동]으로서 전문직업성을 조작화하는 것에 대한 최종적인 잠재적인 문제는, 학생들이 그러한 행동이 [사소한 지각lateness 위반]에서 [인종에 기초한 차별 행위]에 이르기까지 심각도에 다양할 수 있다는 것을 배울 수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학생들은 전문적인 행동이 특정한 청중들을 염두에 두고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배울 수 있고, 따라서 그러한 행동을 수행하는 동기는 외부적이다.

A final potential problem with operationalizing professionalism as a set of behaviors that can be enacted and assessed via a checklist is that students may learn that such behaviors can range in severity from minor lateness infractions to acts of race-based discrimination. In addition, they may learn that professional behaviors are to be performed with specific audiences in mind and thus the motivation to perform those behaviors is external. 

반대로, 의료 교육과 환자 치료에서 인종차별을 교정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서 전문직업성이 [사회 및 인종 정의에 대한 진정한 헌신]에 기초한다면, 전문직업적 행동은 사회적 지위나 사회적 지위에 관계 없이 모든 사람들에게 의료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의무만을 반영하는 [내부 가치 집합]에서 비롯될 것이다. 또한 의사들은 미국 사회를 특징짓는 인종에 기초한 위계질서를 발생시킨 힘의 체계를 이해하고 해체한다. 그렇다면 사회적, 인종적 정의에 기초한 전문직업적 가치와 행동이 환자, 사무직 교사, 교수들 앞에서만 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의료교육과 환자진료 환경 안팎에서 실천해야 하며 "외부적으로 압박받거나 행동을 강요당하는 것"이 아닌, "의지, 지지, 선택을 충분히 갖고 행동한다'고 정의되는 학생들의 [자율적 동기부여]에서 흘러나와야 한다. 

In contrast, if professionalism—as one way to remedy racism in medical education and patient care—is grounded in an authentic commitment to social and racial justice, professional behaviors will flow from an internal set of values that reflect not only the imperative that medical care be offered to all people regardless of their social position or background32 but also that physicians understand and dismantle the systems of power that gave rise to the race-based hierarchy that characterizes U.S. society. Social and racial justice-based professionalism values and behaviors then should not be enacted only in front of patients, clerkship preceptors, and professors. They should be practiced within and outside medical education and patient care settings and flow from students’ autonomous motivation, which is defined as “acting with a full sense of volition, endorsement and choice” and not from feeling “externally pressured or compelled to behave.”33

"새 천년의 의학 전문성: "의사 헌장"의 핵심 원칙은 [환자 복지, 환자 자율성 및 사회 정의]를 우선하는 것을 전문직업성의 기초로 확인한다. 그리고 학문의학에서 일부 사람들이 [사회 정의]를 전문성의 핵심 원칙으로 옹호하지만, 우리는 오늘날 의학이 반인종주의적인 현대적 도덕적 서사를 가지고 있는지 확신할 수 없다. 게다가, 과거에, 의학은 권력의 체계에서 나타난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문직업성을 사용하려고 노력해왔다. 예를 들면, 미국 내과 이사회가 오늘날 우리가 [신자유주의에 기반한 의료의 변화](예를 들면 [관리 의료, 영리 의료, 그리고 환자 치료와 의료 교육에서 제약 산업의 영향력  증가])를 다루기 위해 만든 1990년대의 Professional Project입니다. 시장의 힘에 기반한 의료 서비스 제공 변화가 환자가 사람이 아닌 상품으로 취급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는 우려는 전문직업성의 개념에 초점을 맞춘 대응에 동기를 부여했다. 그러나 2020년에, 우리는 이 노력이 건강, 의료, 그리고 관련된 사람들의 상품화를 막는 데 성공했는지를 판단할 수 없다.
In the article “Medical Professionalism in the New Millennium: A Physician Charter,” 3 core principles are identified as foundational to professionalism—the primacy of patient welfare, patient autonomy, and social justice.34 And whereas some in academic medicine advocate for social justice as a core principle of professionalism,35 we are not certain whether medicine today possesses a modern moral narrative36 that is antiracist. Further, in the past, medicine has tried to use professionalism to address social problems that emerged from systems of power. An example is the Professionalism Project from the 1990s that the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created to address what we today would identify as neoliberalism-based changes to health care, such as managed care, for-profit medicine, and the increased influence of the pharmaceutical industry in patient care and medical education.37 Fear that market force-based health care delivery changes would result in patients being treated as commodities rather than people motivated a response focused on the notion of professionalism. Yet, in 2020, we cannot determine if this effort was successful in staving off the commodification of health, health care, and the humans involved.

추가 고려 사항
Additional Considerations

우리는 여기서 전문직업성이 의학교육의 인종차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불충분한 독립적인 도구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우리는 전문성이 명시적으로 반인종주의적 접근 방식을 적용하고 교육, 훈련 및 환자 치료에서 구조적 역량의 우선순위를 정함으로써 인종차별을 되돌리기 위한 더 광범위한 [제도적인 노력의 한 부분]이 될 수 있다고 믿는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관련 사람들과 기관의 반인종주의에 대한 이해와 헌신을 반영하는 내용 지식, 태도, 분석, 정책, 관행, 비폭력적 커뮤니케이션, 옹호 및 행동주의, 그리고 일상적인 행동을 산출한다. 이 작업은 사회적, 인종적 정의를 학교의 사회적 사명의 핵심에 두고, 의사 간 옹호 역할을 강조하며, 구조적 역량을 높이기 위해 커리큘럼 내용과 기술개발로 뒷받침되는 교육 프로그램 목표를 통합하는 [의학교육 모델]로 통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인종차별에 대항하기 위한 포괄적인 접근은 인종차별 사건에 대한 기관들의 신속한 대응, 강력한 반인종 정책, 그리고 의료 교육에서의 기관 인종차별을 다루는 것을 요구한다.
We assert here that professionalism is an inadequate stand-alone tool to address the problem of racism in medical education.38 However, we believe that professionalism may be one part of a larger, institutional effort to undo racism39 by applying explicitly antiracist approaches8 and prioritizing structural competence40 in education, training, and patient care. Such approaches ideally will yield the content knowledge, attitudes, analyses, policies, practices, nonviolent communications, advocacy and activism, and day-to-day behaviors that reflect an understanding of and commitment to antiracism on the part of the people and institutions involved.24 This work may be integrated into a model of medical education that puts social and racial justice at the core of a school’s social mission,41 emphasizes the role of advocacy among physicians,42,43 and integrates educational program objectives that are supported by curricular content and skill development to enhance structural competence.10 Finally, a comprehensive approach to countering racism requires swift responses from institutions to racist incidents, strong antiracist policies, and addressing institutional racism in medical education.

여러 [의과대학]이 인종차별과 백인우월주의를 명시적으로 문제로 지목하고 해결책을 개발하고 테스트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예를 들어, 미네소타 의과대학의 연구원들은 교육과정 설계 중에 인종 기반 동력 역학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관찰하고 기록하기 위해 공중 보건에 중요한 인종 연습 방법론을 사용했다. 그들의 연구는 의과대학 1학년 학생들의 개입을 초래했다. 이 밖에도, 인종이 [생물학적 구조]가 아닌 [사회적 구조]임을 가르치고, 교육 자료와 교육에 소수인종을 공평하게 표현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학 교육을 요구한다. 이 접근 방식은 각 프레젠테이션 슬라이드, 강의, 텍스트, 학습 활동 및 평가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통해 서로 다른 그룹이 과하게 또는 과소하게 표현되고 인종 구성이 학생들에게 어떻게 제시되는지 판단해야 한다.

Several medical schools are leading the way in explicitly naming racism and white supremacy as problems and developing and testing solutions. For example, researchers at the University of Minnesota Medical School used a public health critical race praxis methodology to observe and document how race-based power dynamics unfolded during curriculum design.9 Their work resulted in an intervention for first-year medical students. Other approaches call for medical education that teaches that race is a social, rather than a biological, construct44,45 and that includes equitable representation5,46 of minority populations in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eaching. This approach requires a critical analysis of each presentation slide, lecture, text, learning activity, and assessment to determine where different groups are over- or underrepresented and how the construct of race is presented to students.

반인종주의 의학교육 노력을 기술하고 의학에서 인종차별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 유망한 접근방식을 식별하는 [문헌 검토literature reviews]도 늘어나고 있다. 여기에는 사회 집단을 초월한 대화, 권력과 특권의 해체, 비판적 의식과 실천의 고양, 학생들 간의 경험적 변신이 포함된다. 또한 Wear와 동료들은 구조적 역량을 달성하기 위한 반인종주의적 교육 전략과 방법들을 찾아냈고, 이러한 목표들을 진전시킬 수 있는 많은 교육적 접근들을 기술했다. 
There is also a growing number of literature reviews that describe antiracist medical education efforts and identify a number of promising approaches to addressing racism in medicine. They include dialogue across social groups, deconstructing power and privilege, raising critical consciousness and practice, and experiential transformation among students.47 In addition, Wear and colleagues identified antiracist pedagogical strategies and methods to achieve structural competence, describing a number of instructional approaches that would advance these goals.48

결론적으로, 우리는 인종차별 행위를 전문직업적이지 않은 것으로 식별하고, 이 관점을 사용하여 다루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우리는 학술 의학에서 제도적 인종차별을 되돌리려면 [비판적 분석, 대립, 옹호 및 집단적 사회적 행동]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인종차별을 경험하고 반인종적 의료행위를 개발하고자 하는 학생 둘 다 지원이 필요한 학생들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변화를 요구해 왔다. 오늘날 미국에서는, 캠퍼스와 의과대학에서 인종차별적인 사건들이 계속 전개되면서, 미국이 원주민들로부터 빼앗긴 땅에 노예 아프리카인들의 노동력으로 건설된 백인, 남성 우월주의라는 이념 위에 세워졌다는 대중적 인식의 맥락에서 그렇게 한다. 의과대학과 교육자들은 이러한 사회역사적 사실을 훈련의 모든 측면에 통합해야 하며, 의료교육에서 인종차별을 해소하기 위한 포괄적인 접근법의 필요성을 인정해야 한다. 사회정치 이념으로서 백인 우월주의가 존재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그것이 어떻게 불평등한 사회를 지지하는지 이해함으로써, 의과대학은 미국의 건강 불평등과 인종과 사회 정의를 위한 현대 투쟁의 핵심 장소가 될 수 있다.

In conclusion, we argue that it is not enough to identify racist acts as unprofessional and address them using this lens; we in academic medicine need to use critical analysis, confrontation, advocacy, and collective social action to undo institutional racism. Students, who need support as they both experience racism and seek to develop antiracist medical practices, have been calling for changes to achieve these goals.49,50 Today, in the United States, as racist events on campuses and medical schools continue to unfold, they do so in the context of increasing popular recognition that the United States was founded on the ideology of white, male supremacy, built with the labor of enslaved Africans, on land taken from indigenous peoples. Medical schools and educators must incorporate these sociohistorical facts in all aspects of training and acknowledge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approach to undoing racism in medical education. By recognizing that white supremacy, as a sociopolitical ideology, exists and understanding how it supports an inequitable society, medical schools can become key sites of the modern struggle against health inequity and for racial and social justice in the United States.


Acad Med. 2020 Jun;95(6):860-863. doi: 10.1097/ACM.0000000000003266.

Professionalism: The Wrong Tool to Solve the Right Problem?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V. Frye is associate medical professor, Department of Community Health and Social Medicine, CUNY School of Medicine/Sophie Davis Program in Biomedical Education, New York, New York; ORCID: http://orcid.org/0000-0003-3239-7201. M. Camacho-Rivera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Community Health Sciences, SUNY Downstate School of Public Health, Brooklyn, New York. K. Salas-Ramirez is assistant medical professor, Department of Molecular, Cellular and Biomedical Sciences, CUNY School of Medicine/Sophie Davis Program in Biomedical Education, New York, New York. T. Albritton is assistant medical professor, Department of Community Health and Social Medicine, CUNY School of Medicine/Sophie Davis Program in Biomedical Education, New York, New York; ORCID: http://orcid.org/0000-0002-7592-4318. D. Deen is distinguished lecturer, CUNY School of Medicine/Sophie Davis Program in Biomedical Education, New York, New York. N. Sohler is associate medical professor, Department of Community Health and Social Medicine, CUNY School of Medicine/Sophie Davis Program in Biomedical Education, New York, New York. S. Barrick is lecturer and director, Humanities in Medicine Program, CUNY School of Medicine/Sophie Davis Program in Biomedical Education, New York, New York. J. Nunes is medical professor, Department of Molecular, Cellular and Biomedical Sciences, CUNY School of Medicine/Sophie Davis Program in Biomedical Education, New York, New York.

PMID: 32134778

DOI: 10.1097/ACM.0000000000003266

Abstract

Medical schools and othe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cross the United States are grappling with how to respond to racism on and off campus. Institutions and their faculty, administrators, and staff have examined their policies and practices, missions, curricula, and the representation of racial and ethnic minority groups among faculty, staff, and students. In addition, student-led groups, such as White Coats for Black Lives, have emerged to critically evaluate medical school curricula and advocate for change. Another approach to addressing racism has been a focus on the role of professionalism, which has been variably defined as values, traits, behaviors, morality, humanism, a role, an identity, and even a social contract.In this article, the authors consider the potential role that professionalism might play in responding to racism in medical education and at medical schools. They identify 3 concerns central to this idea. The first concern is differing definitions of what the problem being addressed really is. Is it isolated racist acts or institutional racism that is a reflection of white supremacy? The second concern is the notion that professionalism may be used as a tool of social control to maintain the interests of the social groups that dominate medicine. The third concern is that an overly simplistic application of professionalism, regardless of how the problem of racism is defined, may result in trainees practicing professionalism that is performative rather than internally motivated. The authors conclude that professionalism may complement a more systematic and holistic approach to addressing racism and white supremacy in medical education, but it is an insufficient stand-alone tool to address this core problem.

 

판도라의 상자 열기: 누가 프로페셔널리즘을 소유하고 있으며, 21세기 정의가 필요한 시점인가? (Med Educ, 2022)
Re-opening Pandora's box: Who owns professionalism and is it time for a 21st century definition?
Viktoria C. T. Goddard | Susannah Brockbank

 

1 소개
1 INTRODUCTION

"프로페셔널리즘은 성공적인 이데올로기이며,
따라서 지위와 소득을 위해 경쟁하는 광범위한 직업 집단의 정치적 어휘로 들어갔다." (추가됨)

“[P]rofessionalism is a successful ideology and as such has entered the political vocabulary of a wide range of occupational groups who compete for status and income”.1 (emphasis added)


의료 종사자로서 졸업하는 것은 새로운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개발, 즉 그러한 정체성을 얻음으로써 획득되는 지위status와 특권 때문에 정확히 중요한 개념이다. 의료 전문직으로 졸업하는 젊은이들이 직면하는 도전은, 이러한 정체성에는 일군의 기대치가 따라온다는 것이다. 관련 규제 기관을 대표하여, 사회를 대표하여 시행enforced된다. 바로 전문직업성이다.
"전문직업성"은 의료 교육 및 모든 의료 학생의 삶에서 지배적인 개념이다.

Graduating as a health-care practitioner involves the development of a new professional identity,1 a concept that matters precisely because of the status and privilege that is acquired with gaining such an identity.2 The challenge that befalls the (often) young people graduating into the health-care professions is that with this identity comes a set of expectations, observed by their educational establishments, on behalf of the relevant regulatory bodies, enforced on behalf of society: professionalism. “Professionalism” then is a dominant concept in health-care education and in the life of any health-care student.

몇 년 전부터 의료 전문직업성과 정체성 개발 분야에서 연구·출판해 왔지만, 여전히 이 분야에서는 상대적으로 신인이라는 느낌이 든다. 전문직업성에 관한 도전에 대해 글로벌 동료들과 논의하는 과정에서 우리가 공유한 반성은 이 분야에서 우리만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전문직업성을 이해하고 정의하기 위해, 우리는 모두 보건 전문가들 사이에서 공인된 일련의 저자들을 이용한다. 이 규약 자체는 대개 의학을 기반으로 한다. 특히, 법률가과 성직자와 함께 최초로 정의된 전문직 중 하나로서, 다른 의료 직업에서 전문성을 배치하는 것과 관련된 작업이 부족하지는 않지만, 보다 새롭게 "전문직화된" 보건의료 관련직보다, 의료전문직 분야에서 전문직업성의 개념을 논의하는 시간이 더 길었다고 할 수 있다. 

We have been researching and publishing in the area of medical professionalism and identity development for some years,1, 3-5 but it still feels as if we are relative newcomers to the field. Our shared reflection from discussing challenges concerning professionalism with global colleagues6-8 is that we are not alone in this; in order to understand and define professionalism, we all draw upon the same set of authors as recognised canon across the health professions.9, 10 This canon itself is usually based in medicine; notably, as one of the first defined professions alongside law and the priesthood, there has arguably been longer to debate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in this field than for the more newly “professionalised” health-care occupations, although there is no shortage of work related to positioning professionalism in other health-care professions.11, 12

그러나 "전문직업성"을 이해하기 위한 공동 참조 프레임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전문직업성 위반의 시나리오를 논의할 때, 추가적인 위반을 방지하거나 교정하는 데 합의된 접근 방식은 결코 없다.4 우리는 종종 사회적 또는 문화적 맥락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전문직업성에 대한 출판된 문헌이 우리 자신의 생각과 가치를 나타내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을 반영합니다. 현재 전문직업성에 관한 지배적인 정의는 [성별, 민족성,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21세기의 기대, 그리고 종종 가장 걱정스러운 것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대한 고려]를 무시하는 듯 보인다.
Yet despite a shared frame of reference for understanding “professionalism”, when we discuss scenarios of professionalism transgressions, there is never one agreed approach to remediation nor prevention of further transgressions.4 We often talk about the importance of social or cultural context; and we reflect that the published literature on professionalism does not seem to represent our own thoughts and values. Dominant definitions seem to ignore considerations of gender, ethnicity, twenty-first century expectations of work-life balance and often, most worryingly of all, physical and mental health concerns.

한편, 의료 외에서는 이러한 고려사항이 전문직업성에 대한 논의에서 이미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우리의 우려는 40년 전 프리드슨 자신이 "전문직"을 정의할 때 반영했던 것과 같다. 프리드슨은 이 용어를 "영국-미국 제도들에 의해 강한 영향을 받은 산업국가들에서 특별한 뿌리를 가진 변화된 역사적 개념"임을 인정하지 않고, 대신 "일반적인 개념generic concept"으로 정의하려는 시도의 어리음에 주목했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우리는 전문직업성의 정의를 재검토하여 그것들이 다른 맥락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이해할 시간이 지났다고 느낀다. 여기서 우리 연구는 다시 한번 의학을 기반으로 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이러한 논쟁을 모든 보건의료 직업과 관련이 있다고 말하는 동안, 우리는 각각의 단일 건강관리 직업의 맥락이 이 토론이 각각의 직업 정체성에 대해 특별히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Meanwhile outside health care, these considerations appear to already exist in discussions of professionalism.13, 14 Indeed, our concerns mirror Friedson's own reflections15 in defining a “profession” 40 years ago. Friedson noted the folly of attempting to define the term as a “generic concept” rather than acknowledging it is a “changing historic concept with particularistic roots in those in industrial nations that are strongly influenced by Anglo-American institutions” (p32). With this in mind, we feel it is beyond time to review the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to understand how they are applied in different contexts. Our own work here will once again be based in medicine; thus whilst we speak of these debates as relevant to all health-care professions, we must acknowledge the context of each singular health-care profession may mean this debate needs to be had specifically for each occupational identity.

또한 질 개선quality improvement을 주제로 한 이 특별호 내에서 논의를 진행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교육자로서, 우리는 우리 학생들 사이에서 전문직업성 과실을 관리하기 위한 최적의 방법을 찾을 뿐만 아니라 우리의 전문직업성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종종 단순히 그 일을 감당할 수 없는 [전문직업성의 정의]에 의해 좌절된다는 것을 발견한다. 그러므로, 우리의 눈에는, 전문직업성의 교육 및 관리의 질을 향상시키는 첫 번째 단계는 [기존의 정의]에 대한 공개 토론을 장려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기원과 가정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다.
It is also important to situate this discussion within this special issue on the theme of quality improvement. As educators, we find ourselves constantly striv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our professionalism teaching, as well as searching for optimal methods to manage professionalism lapses amongst our students.4 We often, however, find ourselves hamstrung by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that are simply not up to the task. Thus, in our eyes, the first step to improving quality in teaching and management of professionalism is to encourage an open debate of existing definitions and to interrogate the origins and assumptions that underpin these.

현재의 의료 전문직업성 상태에 대한 비판적 평가를 실시하기 위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다룰 것입니다.

  • 전문직업성을 정의하도록 "허용"되는 지배적인 목소리는 누구인가? 전문직업성을 정의하는 것은 규제자, 학자, 전문가 또는 실제로 비정형 "공공"의 소관이 되어야 하는가?
  • 만약 지배적인 목소리가 직업 내에서 모든 것 혹은 심지어 다수를 대변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전문직업성의 패권적 정의와 그에 따른 전문적 기준의 설명에 무엇을 의미합니까?
  • 서로 다른 국가적, 문화적 맥락에 걸쳐 서로 다른 이해를 고려한다면, 모든 사람에게 "통하는" 전문직업성에 대한 하나의 허용되는 정의가 있을 수 있을까?
  • 전문직업성에 대한 현재의 정의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그 개념이 무기화되고 전문가 자체에 대해 사용되는 결과를 초래할 위험이 있는가?

In order to undertake a critical appraisal of the current state of medical professionalism, we will seek to address the following questions:

  • who are the dominant voices that are “allowed” to define professionalism? Should defining professionalism be the remit of regulators, academics, the profession or indeed the amorphous “public”?
  • If the dominant voices do not speak for all – or even a majority – within a profession, what does that mean for hegemonic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and for the subsequent delineation of professional standards?
  • Taking into account different understandings across different national and cultural contexts, is it even possible for there to be one single accepted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that “works” for everyone?
  • Is the danger that uncritical acceptance of current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results in the concept being weaponised and used against the professions themselves?

이 논문은 이러한 대화들이 [현재 존재하는 전문직업성의 정의가 최종적인 것definitive ones]이라는 입장에서 나아가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토론을 탐구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debate on each of these questions, to make the case that these conversations need to move on from the position that the extant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are the definitive ones.

2 프로페셔널리즘을 정의할 수 있는 사람(그리고 허용되어야 함)은 누구입니까?
2 WHO IS – AND SHOULD BE – ALLOWED TO DEFINE PROFESSIONALISM?


"전문직"을 정의하려는 시도는 사회학 분야에서 시작되었다. 가장 넓게 본다면, 전문직업성은 사회에서 구성원의 위치를 정당화하는 직업의 측면이다. 이러한 정의에서 "사회적 계약"의 개념이 등장했다. 그것은 전문가들이 사회에 유용한 지식과 기술에 [접근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 이러한 지식은 전문직 자체에 의해 보호되므로 모든 사람이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므로, 지식을 휘두르고 그것에 대한 접근을 계속 규제하기 위해, 의사들은 전문직업 밖의 사람들의 신뢰를 정당화하는 방법으로 행동해야 한다. 이는 전문직업성이 대중들에 의해 정의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오직 전문직 바깥에 있는 사람들만이 신뢰를 정당화할 수 있는 것을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분명히 그렇지 않다. 심지어 의학 교육 분야에 존재하는 이 기사는 전문직업성에 대한 논쟁이 의사들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된다. 전문직의 어떤 구성원들이 전문직업성을 규정할 수 있는 힘을 주장합니까?

Attempts to define a “profession” and thus professionalism started in the field of sociology; most broadly, professionalism is the aspects of occupations that justify members' position in society.16 From these definitions emerged the concept of a “social contract”,17 that is where professionals have access to knowledge and skills that are useful to society. This knowledge is safeguarded by the profession itself – so is not accessible to all – thus, in order to be trusted to wield said knowledge and continue to regulate access to it, doctors must behave in a way that justifies the trust of those outside the profession. Immediately this suggests that professionalism is defined by members of the public: only those out with the profession can define what would justify their trust. This is, however, clearly not the case: even this article, existing within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demonstrates that the debate regarding professionalism is one dominated by doctors. Thus, the question arises: which members of the profession claim the power to define professionalism?

2.1 학술
2.1 Academics

2.1.1 전문성은 의학과 사회계약의 기초이다. 
2.1.1 Professionalism is the basis of medicine's contract with society18

이 인용문이 시사하듯이, 전문직업성을 논하는 학술 문헌들 중 상당수는 의사가 반드시 전문적이어야 하는 이유로 '사회적 계약'을 꼽고 있다. 우리는 대중이 정한 정의에 대해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는 것을 증명했으므로, [대중의 기대]는 [의사들이 생각하는 대중의 기대]와 [헤드라인을 강타한 의료사고의 이야기에 대한 대중의 반응]의 조합에서 추론될 수밖에 없다. 비록 "사회적 계약"이 유용한 이론적 구조일 수도 있지만, 현실은 그것이 기껏해야 역사적 추측에 기초하고, 최악의 경우 허구인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As this quotation suggests, much of the academic literature that discusses professionalism cites the “social contract” as the reason why doctors must be professional.19, 20 As we have established that little is known about definitions set by the public, it must follow that the expectations of the public are only inferred from a combination of what doctors think members of the public expect and the public reaction to stories of malpractice that hit the headlines.21, 22 Though the “social contract” may be a useful theoretical construct, the reality is that it seems at best to be based on historical guesswork and at worst to be a fiction.

이 단계에서는 아마도 전문직업성의 정의와 사회계약에 대한 통제력을 가진 듯한 기득권의 힘으로 몇 가지 어려움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전문직"의 개념은 적어도 1930년대부터 논의되어 왔지만, 직업과 관련된 표준과 관행을 참조하는 개념으로서의 전문직업성은 직업의 가치에 관한 영국과 미국의 사회학적 분석에서 등장하여 1970년대 말과 1980년대 초에 주목을 받았다. 실제로 1990년, 버라지와 토르스텐달 24는 이 분야에서 주의가 필요하다고 통찰력 있게 주장했다. 사회적, 정치적 맥락으로부터 정의된 전문직의 분리separation, 그리고 전문가 간 관계의 무시와 영미 편향은 모두 전문가 행동의 이론화 적용에 대한 우려로 확인되었다.
At this stage, it is perhaps important to outline some difficulties with the power of the establishment that seems to have control over the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the social contract. Whilst the concept of a “profession” has been discussed since at least the 1930s,23 professionalism as a concept referring to the standards and practices associated with a profession emerged from British and American sociological analysis concerning the value of occupations, gaining traction towards the end of the 1970s and early 1980s.24, 25 Indeed in 1990, Burrage and Torstendahl24 insightfully argued that caution was needed in this field; the separation of a defined profession from its social and political context, and the neglect of inter-professional relationships and an Anglo-American bias were all identified as concerns in the application of the theorising of professional behaviours.

이미 심하게 논의되고 있는 이 작품에서, 전문직업성에 대한 학문적인 토론에 끼어들기가 도전적이라고 느끼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는 의료 전문직업성의 진화를 이해하고 그 분야에서 [특정 인물의 명백하고, 꿈쩍하지 않는 지배력]과, 위에서 강조된 우려에 대한 후속적인 비판적 관여의 부족에 더 관련되는 데 전념하는 시간과 관련이 적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루즈와 크루즈는 20년 넘게 전문성의 정의와 가르침에 대해 출판해 왔으며, 다른 작가들에 의해 전문직업성을 정의하기 위한 일종의 roadstone으로 종종 인용된다. 그러나 크루즈 부부는 1950년대에 졸업한 백인 캐나다인 부부라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것을 염두에 두고, 그들의 전문직업성에 대한 정의는 약간의 질문을 필요로 한다.전문직업성에 대한 이러한 정의가 처음 받아들여졌을 때, 의학은 매우 다르게 보였다. 그것은 여전히 매우 동질적인 노동력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 직업이었다. 이러한 정의는 맥락에 대해 사려 깊고 잘 이론화되었을 수 있지만, 우리는 현재와 미래의 노동력에 기존의 정의를 적용하는 것이 의심할 여지 없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고 믿는다.

In this already heavily debated body of work, it is perhaps understandable that it feels challenging to break into scholarly discussion of professionalism. Nevertheless, this may be less to do with the time dedicated to understanding the evolution of medical professionalism and relate more to the apparent immovable dominance of particular figures in the field, and a subsequent lack of critical engagement with the concerns highlighted above. Cruess and Cruess, for example, have been publishing about definitions and teaching of professionalism for over 20 years,9, 26 and they are often cited by other authors as a kind of lodestone for defining professionalism.27 It is worth noting, however, that the Cruesses are a white, Canadian couple who graduated in the 1950s.28 With this in mind, their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require some interrogation. When these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were first accepted,9, 18 medicine looked very different. It was a profession still dominated – certainly in senior positions – by a very homogeneous workforce. Whilst these definitions may have been thoughtful and well theorised for their context, we believe it is increasingly challenging to apply them unquestioningly to the current and future workforce.

그러나 대안적 정의를 제시하는 데 있어 난제 중 하나가 토론에서 설득력을 얻은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2006년에 Wear와 Aultman은 다른 이론적 틀을 사용하여 전문성에 대한 비판적 분석 모음집을 편집했다. 이들 중 하나는 전문직업성에 대한 전통적인 정의를 사용할 때 성 불평등의 가능성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만약 전문직업성이 초특권supererogation을 요구한다면 – 의무 이상의 것을 요구한다면 – 그들의 아이들을 돌보기 위해 제 시간에 떠나야 하는 부모들은 여전히 전문직업적일 수 있는가? 아마도 의학에 대한 무조건적인 헌신은 모든 국내 업무를 책임지는 파트너에 의해 개인 생활에서 지원받는 사람들의 특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의학이 점점 더 다양한 노동력을 수용함에 따라, 정시에 퇴근해도 전문직업적이 되는 것이 확실히 가능해졌는가? 그러나 셜리와 패젯의 비평은 지배적인 정의를 인용하고 암송하라는 소동 속에서 크게 사라졌다. 이것은 전문직업성에 대한 학문적academic 논의와 "현장on the ground"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 사이에 더 큰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만약 그렇다면, 아마도 전문직업성에 대한 실용적인 정의는 practicing physician들에게 더 널리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One of the challenges in presenting an alternative definition, however, seems to have been gaining traction in the debate. In 2006, for example, Wear and Aultman29 edited a collection of critical analyses of professionalism using different theoretical frames. One of these highlights the potential for gender inequality when using conventional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30 For example, if professionalism requires supererogation – going above and beyond the call of duty – can parents who need to leave on time to care for their children still be professional? Perhaps, unqualified commitment to medicine can only be the privilege of those supported in their personal lives by a partner who assumes responsibility for all domestic tasks. As medicine embraces an increasingly diverse workforce, surely it has become possible to leave work on time and be professional? And yet Shirley and Padgett's30 critique has been largely lost in the clamour to cite and recite the dominant definitions. This suggests to us that there is a widening gulf between the academic discussion of professionalism and what is happening “on the ground”. If this is the case, perhaps a practical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is more widely applicable to practising physicians.

"사회적 계약"을 일반적으로 합의된 정의로 변환하려고 시도할 때 추가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행동에만 의존하는 전문성의 정의는 "깊이가 얕다skin deep"는 비판을 받아온 반면, 덕목virtues에 의존하는 정의는 비정형적이고 평가에서 구현하기 어렵다. 어떤 이들은 규범적normative 정의 - 대부분의most 의사들이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에 기초하는 -가 도움이 된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규범은 세대에 따라 변화하며 여기에 어려움이 있다: 전문직업성의 정의는 직업의 모든 구성원에 의해 동등하게 통제되지 않는다. 대신 학계와 규제당국과 같은 강력한 이해당사자들이 정의를 통제하는 것처럼 보인다.
A further challenge arises when attempting to translate the “social contract” into a commonly agreed definition.31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that rely solely on behaviour have been criticised for being “skin deep”,32 whereas definitions that rely on virtues are amorphous and difficult to implement in assessment.33 Some have suggested that normative definitions – based on how most doctors would behave – are helpful.34 Pertinently, however, norms change with generations and herein lies the difficulty: the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is not equally controlled by all members of the profession. Instead, powerful stakeholders such as academics and regulators seem to control the definition.

2.2 규제 기관
2.2 Regulators

아마도 전문직업성에 대한 가장 직접적인 정의는 규제 기관들이 사용하는 정의일 것이다. 이러한 정의와 이를 통제하는 기관들은 전문성을 측정하는 사실상의 기준을 형성하기 때문에 힘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영국에서 GMC(General Medical Council)전문직업성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설명하기 위해 이 정의를 사용한다.

Perhaps the most straightforward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is one used by regulatory bodies. These definitions – and thus the institutions that control them – have power as they form de facto standards against which professionalism is measured. In the United Kingdom, for example, the General Medical Council (GMC) uses this definition to outline what they believe professionalism means:

 

"좋은 의사들은 환자를 돌보는 것을 첫 번째 관심사로 삼는다. 그들은 유능하고, 지식과 기술을 최신 상태로 유지하고, 환자 및 동료들과 좋은 관계를 수립하고 유지하고, 정직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그리고 법 안에서 정직하게 행동한다." 
“Good doctors make the care of their patients their first concern: they are competent, keep their knowledge and skills up to date, establish and maintain good relationships with patients and colleagues, are honest and trustworthy, and act with integrity and within the law.”35

규제 기관은 의학에 진입하는 조건, 그리고 의학 내에서 합법적인 고용 조건을 설정하기 때문에 전문성을 정의하는 데 강력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정의에는 명백한 문제가 있다. 첫째, 각 용어 - "좋은good"를 예로 들어 - 더 많은 설명이 필요합니다. 다음으로, 각 개념은 주어진 의사의 경험, 훈련 단계 및 당면한 특정 시나리오와 맥락화되어야 하는데, 이 모든 것은 객관적인 방법으로 측정하기 어렵다. 이러한 명확성의 결여는 해석의 정의를 열어주고 이러한 해석은 일종의 비공식 규제 사례법을 통해 이루어지게 한다. 전문직업성에 대한 GMC의 자체 정의는 의사들과 일반인들이 전문적 위법 행위와 실천의 적합성에 대한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수행하는 [의료 종사자들의 재판소tribunals]를 통해 검증된다. 따라서, "체제establishment"에는 외부 비판의 기회가 거의 없으며, 자신의 정의를 그대로 유지한다.
Regulatory bodies have a powerful role in defining professionalism as they set the conditions of entry to – and legitimate employment within – medicine. Yet there are manifest problems with a definition such as this. Firstly, each term – take “good” as an example – requires further clarification. Next, each concept needs to be contextualised with a given doctors' experience, stage of training and the specific scenario at hand, all of which are challenging to measure in an objective way. This lack of clarity then opens the definition to interpretation and leaves these interpretations to be made through a kind of informal regulatory case law. The GMC's own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is tested through tribunals of medical practitioners, which are conducted by doctors and lay people experienced in dealing with matters of professional misconduct and fitness to practise. Thus, the “establishment” maintains its own definitions with little opportunity for external critique.

전문직업성에 대한 규제적 정의에 의존할 때 생기는 또 다른 문제는 [전문직업적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행동과 태도]만 공개적으로 평가된다는 것이다. 이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전문직업성의 '흑백(옳고 그름)'이 조금씩 바뀌기 때문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개인적인 금전적 이익을 위해 환자를 죽이는 것은 어느 때라도 전문직업적이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회색 지대"는 바뀐다. 즉, 이것은 덜 명확한 결정이며, 규제 기관의 소관이 덜한 결정입니다. 대신, 그것들은 교육자, 의료 서비스 제공자, 의사 및 대중이 매일 해야 할 결정입니다.
Another challenge of relying on a regulatory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is that it is only tested in relief: only behaviours and attitudes that do not meet professional standards are publicly measured against it. This is unhelpful as the “black and white” of professionalism changes little over time. It is never going to be professional to kill your patients for personal financial gain. What do change are the “shades of grey”, the decisions that are less clear, which are less often the remit of the regulator. Instead, they are decisions that fall to educators, health-care providers, “jobbing” doctors and members of the public to make on a day-by-day basis.

3 다양한 국가 및 문화적 맥락에 걸친 다른 이해를 고려하여, 모든 사람에게 "효과적"인 전문성에 대한 하나의 허용되는 정의가 가능할까요?
3 TAKING INTO ACCOUNT DIFFERENT UNDERSTANDINGS ACROSS DIFFERENT NATIONAL AND CULTURAL CONTEXTS, IS IT EVEN POSSIBLE FOR THERE TO BE ONE SINGLE ACCEPTED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THAT “WORKS” FOR EVERYONE?


여러 이전 출판물에서 인정된 바와 같이, 국가 또는 국제 경계를 넘어서는 전문직업성에 대한 단일 또는 합의된 정의는 없다. 따라서 각 국가/지역 규제 기관 또는 의료 면허 기관은 자체 규정과 어느 정도 "전문직업성"에 대한 자체 정의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정의는 때때로 전문직 규정 문서에 통합된 지침으로 캡슐화되지만, 다른 정의는 학부 교육 또는 등록된 전문가에 대한 전문적 기대에 초점을 맞춘 전체 문서에서 캡처된다.  실제로, 어떤 맥락에서 전문직업성의 정의는 규제 기관보다는 의사 협회에 의해 생성되는 것처럼 보인다. 여러 가지 시도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전문직업성이 어떻게 다른 국가 지침에서 다루어지는지를 고려할 수 있는 쉽게 식별할 수 있는 비교 가능한 문서 세트는 없다.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최근 일련의 문헌에서 서구의 전문직업성 정의가 반드시 비서구 국가의 문화적 가치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다른 맥락에서 다른 전문성 정의가 필요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As has been acknowledged in multiple previous publications, there is no single or agreed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across national or international borders.36 As such, each national/regional regulator or medical licensing organisation has its own regulations and to a certain extent their own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These definitions are sometimes encapsulated in guidance incorporated into professional regulatory documents,37 whereas other definitions are captured in whole documents focussed on professional expectations either in undergraduate training38 or for registered professionals.39 Indeed, in some contexts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seem to be generated by doctors' associations, rather than the regulatory body.39, 40 There is not then an easily identifiable set of comparable documents by which we can consider how professionalism is addressed in different national guidance, though there have been a number of attempts to do so. Most notably, a recent set of literature notes that Western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do not necessarily reflect the cultural values of non-Western countries, and therefore, that different professionalism definitions could be needed in different contexts.41-50

표 1은 규제 기관 또는 인증 기관 웹 사이트에서 "전문직업성"을 검색할 경우 나타나는 지침의 작은 표현을 결합하려고 시도한다. 이 길이의 기사 범위 내에서, 의학이 규제 직업으로 시행되는 모든 국가의 사례를 검색하고 포함할 수 없었다. 대신 우리는 전문성을 정의하는 복잡성을 보여주기 위해 대륙을 가로질러 가능한 한 횡단면을 포함하기로 선택했습니다. 따라서 이 정보에 대한 검색은 의도적으로 실용적이었으며, 우리가 알고 있는 의학교육 문헌의 큰 단체들이 이미 국제 무대에서 대표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장소(영국, 유럽, 미국, 호주 - 이전에는 "서구"라고 불렸을 수도 있는 것)와 다른 것들은 잘 표현되지 않은 장소들을 포함했다.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남아프리카 및 일본) 그러나, 우리는 이것이 이미 그 분야에서 지배적인 목소리를 더욱 증폭시키고 덜 대표되는 국가들을 여전히 듣지 못하게 한다는 것을 인정한다. 이것은 이러한 토론이 필요한 이유 중 하나를 강조합니다: "전문직업성"에 대한 견해를 [명확하게 정의되고 보편적으로 이해되는 용어인 것처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국가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기 위해서입니다.
Table 1 attempts to bring together a small representation of guidance that emerges if one searches for “professionalism” on the regulatory or accreditation body websites. Within the confines of an article of this length, it was not possible to search for and include an example from every country where medicine is practised as a regulated profession. Instead we chose to include a cross-section as far as we could across continents to demonstrate the complexities of defining professionalism. The search for this information was therefore deliberately pragmatic and included locations from where we knew large bodies of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already had representation on the international stage (UK, Europe, USA and Australia – what might previously have been termed the “Western” voice) and then others less well represented (China, Saudi Arabia, South Africa and Japan). However, we acknowledge this further amplifies the already dominant voices in the field and leaves the underrepresented nations still unheard. This highlights one of the reasons these debates are needed: to acknowledge there are whole nations whose views on “professionalism” are unknown to those who use it as if it were a clearly defined and universally understood term.

표 1. 전문성과 관련된 이용 가능한 정의 또는 지침의 국가 간 비교
TABLE 1. A cross-national comparison of available definitions of, or guidance related to, professionalism

국가/지역 출처 전문성/전문적 행동에 대한 요구사항/지침 발췌
Country/region  Source  Excerpts of requirements/guidance on professionalism/professional behaviours

Australia Australian Medical Council (AMC)36 Nothing articulated in training standards.
AMC promotes a published guide on “Good Medical Practice: Professionalism, Ethics and the Law”:
Professionalism covers a wide range of elements, including good communication skills, an empathetic attitude, the virtues of self-reflection, truthfulness and dependability, cultural awareness in our multicultural society, and awareness of relevant laws pertaining to medical practice. Above all it covers an assumption that a person wishing to practise medicine effectively will bring positive attitudes to all the roles involved in being a doctor
China National Health Commiss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ebsite51; Chinese Medical Doctor Association (CMDA) charter52 Nothing returned in search for “professionalism” on National Health Commission (main national health agency) website. New legislation to “better protect doctors” introduced in August 2021 clarifies that doctors must not produce false medical certification documents and not perform unnecessary examinations and treatments on patients.
CMDA defines “six tenets” of medical practice:
  • equality and benevolence;
  • primacy of patients;
  • honesty and fidelity to promises;
  • commitment to excellence and prudence;
  • incorruptibility and impartiality;
  • lifelong learning.

Germany German Medical Association53 Publishes a (Model) Professional Code for Physicians in Germany which contains the “Rules for Professional Practice”. Excerpts:
Physicians serve the health of the individual and of the population. The medical profession is not a trade. It is by nature a liberal profession.
Physicians practice their profession according to their conscience, the precepts of medical ethics and humaneness. They may not acknowledge any principles, or comply with any regulations or instructions, that are irreconcilable with their tasks or for whose observance they cannot answer.
If physicians who are permanently established or perform their professional activity in another Member State of the European Union temporarily and occasionally perform their medical activity on a cross-border basis in the territory covered by this Professional Code without establishing a practice, they must observe the provisions of this Professional Code.
In addition to practising their profession, physicians are forbidden to engage in any other activity that is irreconcilable with the ethical principles of the medical profession. Physicians are also forbidden to allow their name to be used in conjunction with a medical occupational title in an unfair manner for commercial purposes. They may equally not permit use to be made of their name, or of the professional reputation of physicians, in such a way.
Japan Japan Medical Association Website39 “… the physician should serve society with a basic love for humanity.” Underpinned by the following six principles:
  • continuing education;
  • dignity and responsibility, striving “to enhance his/her cultural refinement, education, and integrity”;
  • respecting the individuality of patients, treating them with compassion and earning their trust;
  • maintaining respect for his/her fellow physician and serving “the cause of medical care to the best of his/her abilities”;
  • respecting the spirit of public service and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society;
  • not engaging in profit-making medical activities.
Saudi Arabia Kingdom of Saudi Arabia Education & Training Evaluation Commission (ETEC) website54 SaudiMeds Framework developed by Saudi Medical Deans Committee; Theme V – Professionalism:
“The commitment to deliver the highest standards of ethical and professional behaviour in all aspects of health practice, and take a responsibility for own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 Adhere to professional attitudes and behaviours of physicians
  • Apply Islamic, legal and ethical principles in professional practice
  • Demonstrate the capacity for self-reflec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South America Centeno et al 201655 Nothing obvious available in English but Centeno et al. 2016 discuss a collaboration between three South American Schools with a shared aim to promote professionalism amongst their students; the agreed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used was Epstein and Hunderts56 definition where professionalism is:
“The habitual and judicious use of communication, knowledge, technical skills, clinical reasoning, emotions, values, and reflection in daily practice for the benefit of the individual and the community being served”
South Africa Health Professions Council of South Africa website57 Health Professions Council publishes a lengthy document with very specific requirements of all registered health-care practitioners. An example of this is that they provide guidance on a practitioners stationery as follows:
“4. (1) A practitioner shall print or have printed on letterheads, account forms and electronic stationery information pertaining only to such practitioners – (a) name; (b) profession; (c) registered category; (d) speciality or subspeciality or field of professional practice (if any); (e) registered qualifications or other academic qualifications or honorary degrees in abbreviated form; (f) registration number; (g) addresses (including email address); (h) telephone and fax numbers; (i) practice or consultation hours; (j) practice code number; and (k) dispensing licence number (if any).”
The Netherlands Royal Dutch Medical Association (KNMG)40 KNMG Manifesto on Medical Professionalism
“The aim of this manifesto is to perpetuate and promote the trust that society should be able to place in medical professionals.
… A good doctor is a medical professional: he is a medical expert, he keeps his professional know-how up-to-date, communicates in an empathic way with his patients, cooperates with colleagues, exercises his profession within the (moral) boundaries of the professional group, organises quality in his practice and renders account.
The doctor needs society to place trust in him. Trust is necessary for the proper operation of the health-care sector as a whole, for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and for the intrinsic motivation of medical professionals. The medical professionals intrinsic motivation is the most powerful driving force for qualitatively sound, meaningful and efficient care.”
United Kingdom General Medical Council Website Outcomes for Graduates38 defines the standards which all medical graduates are expected to reach by the end of their pre-registration training. It states that “newly qualified doctors must behave according to ethical and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and gives a 28-point list detailing specific requirements including:
  • demonstrate compassionate professional behaviour and their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in making sure the fundamental needs of patients are addressed
  • act with integrity, be polite, considerate, trustworthy and honest
  • recognise the potential impact of their attitudes, values, beliefs, perceptions and personal biases (which may be unconscious) on individuals and groups and identify personal strategies to address this
Good Medical Practice,35 a document defining professional values and behaviours expected of any qualified doctor registered with the GMC, states that:
“As a good doctor you will:
  • make the care of your patient your first concern
  • be competent and keep your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up to date
  • take prompt action if you think patient safety is being compromised
  • establish and maintain good partnerships with your patients and colleagues
  • maintain trust in you and the profession by being open, honest and acting with integrity”

United States of America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Website58 Common Programme Requirements for residency training includes a long list related to professionalism,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Residents and faculty members must demonstrate an understanding of their personal role in the:
  • provision of patient- and family-centred care;
  • safety and welfare of patients entrusted to their care, including the ability to report unsafe conditions and adverse events;
  • assurance of their fitness for work, including:
  • management of their time before, during, and after
  • clinical assignments; and, recognition of impairment, including from illness, fatigue, and substance use, in themselves, their peers, and other members of the health-care team.
  • commitment to lifelong learning;
  • monitoring of their patient care performance improvement indicators; and,
  • accurate reporting of clinical and educational work hours,
  • patient outcomes, and clinical experience data …

“All residents and faculty members must demonstrate responsiveness to patient needs that supersedes self-interest. This includes the recognition that under certain circumstances, the best interests of the patient may be served by transitioning that patients care to another qualified and rested provider …
“Programmes, in partnership with their Sponsoring Institutions, should have a process for education of residents and faculty regarding unprofessional behaviour and a confidential process for reporting, investigating, and addressing such concerns.”

어떤 경우에는, 이것들은 번역된 버전이며, 우리는 여기서 한계점을 인정합니다. 우리는 영어로만 이용 가능한 자원들에 접근할 수 있었고, 때로는 2차 소스를 통해서요. 따라서 우리는 이것을 전문직업성에 대해 이용 가능한 모든 국제 지침의 결정적 표현이라고 주장하지 않으며, 우리는 몇몇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 예를 들어 러시아의 의학 교육 시스템은 러시아의 모든 핵심 문헌을 찾는다. 따라서 우리는 이 지역, 또는 표에 포함되지 않은 다른 곳에서의 전문직업성에 대한 태도에 대한 지식을 주장할 수 없다. 그러나, 이것이 보여주는 것은 서로 다른 맥락에서 "전문직업성"이 의미하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누구에게나 얼마나 복잡한지이며, 입증하기 위해 국가 기관 웹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기대와 요구사항의 샘플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some instances, these are translated versions, and we acknowledge a limitation here is that we were only able to access resources that were available in English, sometimes via secondary sources. We therefore do not claim this as a definitive representation of all international guidance available on professionalism, and we acknowledge there are some large gaps; the inwardly facing medical education system in Russia for example locates all key literature in Russia; therefore, we can make no claims to knowledge about attitudes to medical professionalism in this part of the world, nor anywhere else not included in the table. What it does, however, is give a sample of the types of expectations and requirements made available on national agency websites for the purpose of demonstrating how complex it is for anyone to make sense of what “professionalism” means in different contexts.

각 국가 규제 기관이 고유한 기준을 갖는 것은 이해할 수 있는데, 이는 의약품과 의료가 고유한 맥락과 관련이 있음을 보장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표 1은 "전문직업성"의 정의, 적용 및 규제가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의학 교육 내에서 그것이 하나의 단일한 개념인 것처럼 말하고 쓴다. 흥미롭게도, 대부분의 맥락에서, 지침은 평생 학습 및 전문직업적 개발의 중요성을 포함하지만, 여기서 직접적인 비교는 끝난다. 
It is understandable that each national regulator will have its own standards, an important part of ensuring medicine and health care is relevant to its own context.59 What Table 1 demonstrates is quite how far apart the definition, application and regulation of “professionalism” is. Despite these differences, we speak and write about it within medical education as if it is just one singular concept. Interestingly, in most contexts, guidance incorporates the import of lifelong learning and/or professional development but here the direct comparison ends.

네덜란드 왕립의학협회(Royal Dutch Medical Association)의 가이던스는 학술적 담론을 따르고 있으며, 사회가 전문직에 두는 신뢰와 직업적 지위 사이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일부 규제당국의 경우 교육 제공자에 대한 지침을 포함하여 등록 전pre-registration부터 대학원 교육까지 일련의 지침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더 많다. 다른 국가에는 개별 시나리오에 전문적인 판단을 적용할 수 있는 여지를 상상하기 어렵게 만드는 엄청나게 상세한 지침 목록이 있다. 

The guidance from The Netherlands from the Royal Dutch Medical Association,40 a professional organisation rather than a regulator, follows an academic discourse and focus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tatus and the trust that society puts in the profession. For some regulators38, 58 there is more evidence of a continuum of guidance from pre-registration to postgraduate training including guidance for training providers. For others,57 there is an incredibly detailed list of instructions leaving it hard to imagine room for application of professional judgement to individual scenarios.

특히, 한 나라의 교리가 다른 나라에 어떻게 적용될지 상상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의료 보험 회사가 바로 그 목적(영리활동)을 위해 존재하는 많은 나라에서는, 의료 활동이 "영리화"를 위해 수행되지 않을 것이라는 일본의 가이던스는 이치에 맞지 않을 것이며, 반면 사우디아라비아의 맥락에서 이슬람 관행을 고수하는 것에 대한 언급은 비이슬람 국가들에게는 거의 의미가 없다. 사실, 종교가 의도적으로 국가와 분리되어 있고 따라서 의료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는 많은 나라에서, 전문직 행위의 일부로서 특정 종교에 대한 언급을 포함하는 것은 꽤 성가신 일이다. 금요기도를 위해 보건활동이 일시 중단되는 일국의 기대가 전문직업적인 것으로 인정되겠지만, 또 다른 문화적 맥락에서, 종교적 교리를 따르기 위해 환자 치료로부터 "휴식"을 고려하는 것은 전문적이지 않은 것으로 보일 수 있다.

Notably, it is extremely challenging to imagine how the tenets of one country would apply in another; the guidance from Japan that medical activities will not be undertaken for “profit-making” would not work in many countries where medical insurance firms exist for that very purpose, whilst reference to adherence to Islamic practice in the Saudi Arabian context54 makes little sense for non-Islamic countries. Indeed, in many countries where religion is deliberately separated from the state and therefore health service provision, the inclusion of a mention of a specific religion as part of professional practices is quite jarring. Where the expectation in one country that health care activity is paused for Friday prayers is seen as professional; in another cultural context, it might be seen as unprofessional to consider a “break” from patient care for religious observance.

개별 국가의 가이던스는 전문직업성에 대한 표면적으로 "유사한" 이해에서 비롯될 수 있지만, 이에 따른 적용은 훨씬 더 멀리 떨어져 있으며, 이는 국제 경계를 넘어 학생과 교직원의 이동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지배적 정의가 세계화된 의료 관행의 맥락에서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없음을 시사하며, 이는 전문직업적 표준을 이해하려고 시도할 때 의사에게 불확실성을 야기한다. 실제로, 독일의 지침은 그들의 의사가 일시적으로 국경을 넘어 일하는 경우, 그들의 의사는 여전히 독일의 규칙을 따라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는데, 이것은 "전문직업적이지 않은" 행동에 대한 어떠한 비난도 누구의 관할권에 의해 중재될 것인지 의문을 제기한다. 

Whilst individual national guidance may originate in superficially “similar” understandings of professionalism, the resultant application of these is much further apart, which has implications for the movement of students and staff across international boundaries. This suggests that dominant definitions are not universally applicable in the context of globalised medical practice, creating uncertainty for doctors when attempting to understand professional standards. Indeed, the German guidance specifies that, where their doctors are temporarily working on a cross-border basis, their physicians must still follow the German rules, which raises questions for whose jurisdiction any accusations of “unprofessional” behaviours would be arbitrated by.53

우리의 분석에서 분명한 것은 비교적 작은 전문 규제자 표본 내에서도 국경, 문화, 맥락을 초월한 전문직업성에 대한 보편적인 정의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실제로, 우리는 보편적 정의에 대한 어떠한 시도도 서구 중심의 세계관에 의해 지배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것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할 것이다.
What seems clear from our analysis is that, even within a relatively small sample of professional regulators, a universal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that transcends borders, cultures and contexts does not exist. Indeed, we would argue that this is not desirable as in all likelihood any attempt at a universal definition would be dominated by a Western-centric view of the world and thus would not be representative of the needs of many doctors and indeed their patients.

4 만약 지배적인 목소리가 직업 내 전체 또는 심지어 과반수를 대변하지 않는다면, 전문성의 헤게모니적 정의와 후속적인 전문성 표준의 설명에 어떤 의미가 있는가?
4 IF THE DOMINANT VOICES DO NOT SPEAK FOR ALL – OR EVEN A MAJORITY – WITHIN A PROFESSION, WHAT DOES THAT MEAN FOR HEGEMONIC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AND FOR THE SUBSEQUENT DELINEATION OF PROFESSIONAL STANDARDS?


최근 수십 년간 전문직업성 논쟁에서 변화의 원동력 중 하나는 소셜 미디어의 부상이었다. 많은 의사들이 학문적, 규제적 대화에서 제외되었을 수 있는 반면, 트위터와 같은 플랫폼은 종종 매우 공개적인 방식으로 개인이 토론에 참여하도록 허용했다. 지역 근무 환경 밖에서 새로운 전문직업적 관계를 개발하는 것은 이전에는 컨퍼런스 네트워킹에 국한되었지만 소셜 미디어 플랫폼은 의사로서 공개적인 프로필과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갖는 것이 의미하는 것의 성격을 바꾸었다. 소셜 미디어 토론은 종종 논쟁적인 견해와 출판물에 대한 토론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2020년 혈관외과 저널은 "젊은 혈관외과 의사들 사이에서 비전문적인 소셜 미디어 콘텐츠의 보급"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 글에서 저자들은 비키니를 입은 자신의 사진을 SNS에 올리는 것은 비전문적이라고 암시했다. 전 세계 의사들로부터 "MedBikini"라는 해시태그를 사용한 소셜 미디어에 대한 반발은 매우 충격적이었고, 저널은 얼마 지나지 않아 논문을 철회해야 했다. 많은 면에서, 소셜 미디어 플랫폼은 새로운 세대의 의사들이 그들의 [온라인 존재]뿐만 아니라, [전문직업성이 그들에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상대적으로 검열없이 토론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통해서, [전문직업성에 대한 자기만의 정의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게 해주었다.

One of the forces for change in the professionalism debate over recent decades has been the rise of social media. Where many doctors may have been excluded from academic and regulatory conversations, platforms such as Twitter have allowed individuals to become involved in the discussion, often in a very public way. Developing new professional relationships outside of local working environments was previously limited to conference networking, but social media platforms have changed the nature of what it means to have a public profile and professional identity as a doctor.60 Social media debates have often included discussions of controversial views and publications. For example, in 2020, the Journal of Vascular Surgery published a paper entitled “prevalence of unprofessional social media content amongst young vascular surgeons“. In this article, the authors implied that posting a picture of oneself on social media wearing a bikini was unprofessional.61 The backlash on social media from doctors around the world – employing the hashtag “MedBikini” – was so impactful; the journal was forced to retract the paper shortly thereafter. In many ways, social media platforms have allowed a new generation of doctors to claim ownership of their own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not just in their online presence but also in their ability to have relatively uncensored discussion of what professionalism means to them.

흥미롭게도, 소셜 미디어의 사용은 윤리적으로 보이는 것이 개인의 해석에 달려있을 수 있는 전문직업성과 관련하여 논쟁적인 영역이다. 미국 의사협회가 소셜미디어 가이드라인을 2010년 이전부터 도입했고, 의료교육자로서 소셜미디어 활용에 대한 팁페이퍼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규제당국은 빠르게 진화하는 소셜미디어와 'e-프로페셔널리즘'의 세계에 발맞추지 못하는 듯했다. 온라인 활동을 하면서 어떻게 "전문직업적"이 될 수 있는지는 점점 더 불분명해지고 온라인에서의 "전문적" 행동이 어떻게 보이는지에 대한 합의가 거의 없는 것 같다.66 백신을 예로 들어보자: 의료 종사자가 개인이 백신을 접종하는 것을 막는 것은 파격적인가, 아니면 비전문적인가? 더욱이, 만약 [비관습적 신념들]이 [전문적이지 않다]고 해석된다면, 누가 이러한 견해를 단속하는 데 책임이 있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료 규제 기관들은 소셜 미디어를 보유하고 있지만, 이것들은 현재 규제 목적보다는 홍보를 위해 존재한다. 이 경우에, 소셜 미디어는 의료 전문가들에게 "동료로 구성된 배심원들에 의해 재판"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학문적 용어로, 이것은 (e-) 전문성에 대한 규범적 정의와 일치하며, 전문적이라고 여겨지는 것을 통제하는 가장 일반적으로 보유되는 아이디어와 일치한다. 그러나 여기서의 어려움은 [파격적인 아이디어]가 프로페셔널하지 않은 것은 아니더라도, 파괴적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전문직업성]과 [언론의 자유] 사이에서 긋기 어려운 선이 있다. 예를 들어, [극우적인 정치적 의견]을 말하는 것은 전문적이지 않은가? 우리는 개인적으로 이러한 관점이 의사 조직/규제자의 전문적 가치와 어떻게 양립할 수 있는지 보기 위해 고군분투하겠지만, 이러한 맥락에서 의견을 표현하는 것이 [전문적이지 않은 행동]에 해당하는지는 불분명하다.
Interestingly, the use of social media is itself a contentious area in relation to professionalism where what is viewed as ethical can be down to individual interpretation.62 Despite the fact that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introduced social media guidelines as long ago as 2010,63 and the existence of tips papers on using social media as a medical educator,64 regulators have not seemed to keep pace with the rapidly evolving world of social media and “e-professionalism”.56, 65 It is increasingly unclear how “professional” it is possible to be whilst engaging online at all and there seems to be little consensus on what “professional” behaviours online looks like.66 Take the debate around vaccines as an example: is it unconventional, or unprofessional, for a health-care worker to discourage individuals from receiving vaccines? Furthermore, if unconventional beliefs are construed as unprofessional,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o is responsible for policing these views. Medical regulators do have a social media presence, but these currently exist for promotion rather than regulatory purposes. In this case, perhaps social media offers medical professionals the opportunity to be “tried by a jury of their peers”. In academic terms, this aligns with a normative definition of (e-)professionalism, with the most commonly held ideas controlling what is deemed professional. The difficulty here, however, is that unconventional ideas may be disruptive – but might not be unprofessional. In addition, there is a line that is difficult to draw between professionalism and freedom of speech. Is it unprofessional, for example, to voice far right political opinions? Whilst we personally would struggle to see how these views are compatible with the professional values of doctors' organisations/regulators, it is unclear whether expressing an opinion in this vein amounts to unprofessional behaviour.

점점 더 많은 소셜 미디어는 ["전문직업성"의 개념이 외모, 언어 및 기타 개인 속성을 감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오용/사용 되었던 예를 공유하기 위해 쓰인다. 걱정스러운 것은, 여기에는 운동화 착용(하루 종일 발바닥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이치에 맞는 말), 넥타이를 매지 않는 것(영국에서는 감염 통제 조치에 따라 금지됨), 화장하고 염색한 머리, 그리고 한 예로 "전문적이지 않은" 이름에 대한 비판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당연하게도 공동체 내에서, 그리고 실제로 그 직업에 합류하기 위한 훈련을 받고 있는 사람들로부터 점점 더 많은 우려를 유발했다. 전문직업성의 개념이 "무기화weaponised"되고 있으며, 동료 "전문가"들은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세계관과 의견을 바탕으로 한 비전문적인 행동으로 서로를 비난하고 있다. 예들은 거의 항상 존재해왔다. 그러나, 소셜 미디어는 이러한 토론을 공유하고, 토론하고, 증폭시키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다.

Increasingly, social media is used to share examples of where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has been (mis-)used to police appearance, language and other personal attributes. Worryingly, not only do examples include wearing of trainers (which make sense for people working on their feet all day), not wearing a tie (which is banned under infection control measures in the UK), wearing make-up, dyed hair and, in one example, a criticism of an “unprofessional” name.67 This has understandably led to increasing concern from within the community and indeed from those training to join the profession that the notion of professionalism is being “weaponised”, with fellow “professionals” using social media to accuse one another of unprofessional behaviour based on differing world views and opinions.68 Examples have arguably always existed; however, social media offers the profession new ways of sharing, discussing and amplifying these debates.

전문직업성이라는 용어를 무기화한 최근의 두드러진 예가 뉴캐슬 대학의 의대생으로부터 나왔다. 이 학생은 치마 길이로 실기시험에서 벌점을 받았다. 억울함을 느낀 그녀는 그 이야기와 그 스커트의 사진으로 무장한 트위터에 글을 올렸고, 처벌을 내린 개인과 그것을 지지한 의대는 광범위한 비난을 받았다. 이는 [전문직업성이 더 이상 의심의 여지 없이 임상 및 학술 엘리트들에 의해 규제될 수 있는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학생들과 훈련생들은 침묵할 수 없고, 침묵해서는 안 되는 목소리를 가지고 있다.

A recent prominent example of the weaponisation of the term professionalism emerged from a medical student at the University of Newcastle (UK). This student received a penalty in a practical examination based on the length of her skirt. Feeling aggrieved, she took to Twitter armed with the story and a picture of the said skirt, attracting widespread criticism of the individual who issued the penalty and the medical school that upheld it.69 This demonstrates that professionalism can no longer be unquestioningly policed by the clinical and academic elite: students and trainees have a voice that cannot, and should not, be silenced.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문직업성 논쟁을 소셜 미디어로 가져가는 흥미로운 측면 중 하나는 그것이 공공 영역이라는 것이다. 만약 우리가 "사회적 계약"의 개념으로 돌아간다면, 아마도 소셜 미디어는 전문직업성이 그들에게 어떤 의미인지에 대한 토론에 대중을 포함시킬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학문적, 규제적 논쟁]이 아무리 중요하게 보일지라도, 그들은 대체로 "일반lay" 사람들의 목소리를 배제하고, 논쟁을 종결시키며, 그 결과 편협하고 사회 전반에 맞지 않게 된다.
Nevertheless, one of the interesting aspects of taking the professionalism debate to social media is that it is in the public domain. If we return to the idea of the “social contract”, perhaps social media offer a new opportunity to include the public in the debate about what professionalism means to them. Ultimately, however important the academic and regulatory debates may seem, they largely exclude the voices of “lay” people, closing the debate down and ensuring it is insular and out-of-step with society at large.

5 결론
5 CONCLUSIONS

이 기사에서는 우리가 제공한 답변보다 더 많은 질문을 제기했습니다. 우리의 의도는 전문직업성에 대한 지배적인 담론에 도전하고 그 개념이 더 이상 한 때 나타났던 것처럼 간단하지 않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었다. 이번 기사를 통해 학술대화의 질적 향상을 위해 이해당사자들과 폭넓게 참여하는 전문성의 정의에 대한 대화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우리는 단일한 글로벌 정의를 추구하는 것은 무의미하다는 대담한 진술을 하고 싶습니다. 우리가 논의한 바와 같이, 문화적 맥락은 전문직업성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이는 전 세계의 전문직업성에 대한 수준 높은 정의가 각 사회의 요구에 문화적으로 양립되고 정서적으로 지적인 정의라는 것을 의미한다.
In this article, we have posed more questions than we have provided answers. Our intention was to challenge dominant discourses around professionalism and demonstrate that the concept is no longer as straightforward as it once appeared. Through this article, we hope to reinvigorate conversations about the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that engage widely with stakeholder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academic conversation. We want to make a bold statement: that seeking a single global definition is pointless. As we have discussed, cultural context is so important to our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This means that a high-quality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around the world is one that is culturally compatible and emotionally intelligent to the needs of each society.

간결함을 위해서, 우리가 토론에 포함하지 못한 몇 가지 쟁점들이 있다. 한 가지 예는 전문직업성의 구성에 내재된 잠재적인 사회 경제적 불평등이다: 특정 사회 규칙이나 단서에 대한 무의식적인 인식이 일부 개인에게 다른 개인보다 전문직업성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정도가 있을 수 있다. 게다가, 전문직업성 문제가 발생할 때, 부는 비용이 많이 드는 변호사를 접하게 하고, 따라서 불리한 결과로부터 어느 정도의 보호를 제공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하지만, 이것들은 우리가 여기에 공간을 줄 수 있는 것보다 더 큰 아이디어들이기 때문에, 우리는 토론을 계속하도록 초대합니다.
In the interests of brevity, there are several issues that we have failed to include in our discussion. One example is the potential socioeconomic inequity built into the construct of professionalism: there is perhaps an extent to which unconscious awareness of particular social rules or cues makes access to professionalism easier for some individuals than others.4 Furthermore, when professionalism problems arise, wealth matters as it provides access to expensive defence lawyers and thus a degree of protection from adverse consequences. These are, however, bigger ideas than we can give space to here, so we invite the debate to continue.

마지막으로, 우리가 전문직업성에 대한 이해를 "사회적 계약"에 계속 기초한다면, 품질의 지표는 "대중"이 의료 전문가에 대한 그들의 기대치에 대해 어떻게 상담되는지are consulted가 될 필요가 있다. 변화하는 사회에 맞춰 전문직업성이 진화할 수 있도록 '전문직profession'과 '공공public'의 쌍방향 담론이 진행돼야 한다. 우리는 이것이 종종 서구, 백인, 이단 규범, 남성 엘리트들로부터 전문성에 대한 통제권을 빼앗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며, 그 정의가 직업과 사회를 좀 더 폭넓게 대표할 수 있는 쪽으로 방향을 틀게 할 수 있기를 바란다. 따라서, 우리의 맥락에서, 만약 전문직업성이 "무기화"된다면, 우리는 이것이 지배적인 아이디어들을 영구화하기 보다는 도전하기 위한 것이기를 바랍니다.

Finally, if we are going to continue to base understandings of professionalism on the “social contract”, a marker of quality needs to be how the “public” are consulted about their expectations of medical professionals. There needs to be an ongoing two-way discourse between the “profession” and the “public” so that professionalism can evolve in line with changing societies. We hope that this may help us wrest control of professionalism from an academic – and often Western, white, hetero-normative, male – elite and allow the definition to pivot towards one that is more representative of the profession and society more widely. So, in our context, if professionalism is to be “weaponised”, we hope that this will be to challenge dominant ideas rather than to perpetuate them.

 


Med Educ. 2022 Jun 27. doi: 10.1111/medu.14862. Online ahead of print.

Re-opening Pandora's box: Who owns professionalism and is it time for a 21st century definition?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Liverpool, Liverpool, UK.

PMID: 35761477

DOI: 10.1111/medu.14862

Abstract

Background: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is dominant within health care education and the lives of practising clinicians globally, and yet there is no single agreed definition nor framework applied universally across the health care professions. This article questions how much attention is paid to where definitions of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came from and whether the accepted norms within the dominant discourses are still truly applicable to a 21st century workforce.

Method: Taking a critical look at the existing body of literature on professionalism using a locus of medical education, this article reviews who the dominant voices have been in the creation of current understandings of professionalism. Using a pragmatic and targeted approach, regulatory body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from across the world are compared to demonstrate the complexities of finding a universally accepted definition of the concept.

Results: The article suggests that the extant definitions are grounded but also stuck in a background of Western, White, heteronormative view of society and the professions of the past and argues that we need to better understand the expectations of professionalism from the perspectives of those who now work in health care and health care education, as well as reviewing the views of the "public" within this debate.

Conclusions: By reopening the "Pandora's box" of professionalism, this article argues that we can improve the quality of definitions-and thus application-of professionalism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and patients.

역설적 진실과 사라지지 않는 미신: 팀 역량 대화를 리프레이밍하기(J Contin Educ Health Prof, 2016)
Paradoxical Truths and Persistent Myths: Reframing the Team Competence Conversation 
Lorelei Lingard, PhD

 

 

의학은 매우 개인주의적인 문화이다. 우리는 개인을 선발한다. 우리는 개인을 교육하고 평가합니다. 우리는 개인에게 라이센스를 부여하고, 고용하고, 급여를 지급합니다. 우리는 개인을 규제하고 치료한다. 그렇다면, 의학이 똑똑하고, 숙련되고, 헌신적인 임상의와 같은 유능한 사람들로 가득하다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 불행히도, 유능한 개인은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다. 
Medicine is a highly individualist culture. We select individuals. We train and assess individuals. We license, hire, and pay individuals. We regulate and remediate individuals. It should come as no surprise, then, that medicine is full of competent individuals: smart, skilled, dedicated clinicians. Unfortunately, competent individuals do not equal quality health care. 

보건의료의 가장 시급한 문제들 중 일부는 무능한 개인이 아닌 무능한 팀들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예를 들어 홈케어를 받는 노인들 사이에서 10-13%의 위험 발생률은 고객의 집을 통과하는 많은 의료 서비스 제공자들 사이의 조정과 의사소통 문제 때문이다. 그것은 개인의 역량의 문제가 아니며, 책임 있는 개인을 찾고 그들을 교정하는 우리의 통상적인 전술로는 해결될 수 없다. 우리는 개인의 능력 이상의 것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그것은 필요하지만,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위해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Some of health care's most pressing problems can be traced back to incompetent teams rather than incompetent individuals. For instance, the alarming 10–13% adverse event rate among seniors receiving homecare is due to problems of coordination and communication among the many health care providers passing through the client's home.1 That is not a problem of individual competence, and it cannot be solved by our usual tactic of looking for the responsible individual and remediating them. We need to think beyond individual competence because, although it is necessary, it is not sufficient for quality health care.

나는 거의 20년 동안 건강관리 팀워크를 공부해 왔다. 제 연구 그룹은 수술실, 중환자실, 입원환자 의료 및 소아과, 뇌졸중 재활실, 다장기 이식실, 심부전 클리닉, 가족 보건팀 등 직장에서 팀을 관찰하는데 수천 시간을 보냈습니다. 우리는 수백 명의 임상의들과 그들의 팀이 어떻게 소통하고 협력하는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고, 우리는 어떻게 교육생들이 이러한 팀 관행과 가치를 습득하게 되었는지 탐구했습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사회과학자가 복잡하고 유동적인 사회세계에서 안정된 진리의 존재를 선언하는 것은 신성불가침으로 여겨지지만, 저는 그것을 하려고 합니다. 우리가 연구한 모든 팀에게 다음과 같은 진술이 들어맞기 때문입니다.
I have been studying health care teamwork for almost 20 years. My research group has spent thousands of hours watching teams at work—in operating rooms, critical care units, inpatient medicine and pediatric units, stroke rehabilitation units, multiorgan transplant units, heart failure clinics, family health teams. We have talked with hundreds of clinicians about how their teams communicate and collaborate, and we have explored how trainees come to acquire these team practices and values. And while it is generally deemed sacrilegious for a social scientist to declare the presence of stable truths in a complex and fluid social world, I am about to do just that. Because the following statements hold true across all the teams we have studied:

  • 유능한 개인은 무능한 팀을 구성할 수 있다.
  • 한 팀원이 무능해도 팀은 유능할 수 있다.
  • 한 명의 무능한 팀원이 팀 전체를 좌절시킬 수도 있지만, 어떤 팀은 그러한 팀원과 함께 나아간다.
  • 동일한 팀도 한 상황에서 유능하고, 다른 상황에서 무능력할 수 있다.
  • Competent individuals can form an incompetent team.
  • Teams can be competent even when one team member is incompetent.
  • An incompetent team member can derail one team, but another team carries on around her.
  • The same team can be competent in one situation and incompetent in another.

한편으로, 이러한 사실들은 놀랍지 않다. 모든 임상의는 "드림팀"이었어야 했던 팀이 그저 그런 팀으로 변해버린 시절을 경험한다. 모든 교육자는 임상 환경의 교육이 작동하는 이유는, 부분적으로 초보자의 존재를 나머지 팀이 보상하기 때문임을 알고 있습니다. 모든 유닛 리더는 리소스의 변화가 팀이 성과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On the one hand, these truths are not surprising. Every clinician has experienced those days when what should have been a “dream team” turned sour. Every educator knows that teaching in clinical settings works in part because teams compensate for the presence of novices. Every unit leader recognizes that a change in resources can cause teams to struggle to maintain their performance.

반면에, 이러한 사실들은 놀랍기만 한 것이 아니라 역설적이다. 그들은 우리가 능력에 대해 진실이라고 믿는 것에 도전한다. 우리는 전통적으로 역량이 개인의 자질이라고 믿는다. 선택에서 훈련과 규제를 통해, 의학은 충분한 훈련을 통해 달성될 수 있고 주기적인 업데이트로 유지될 수 있는 상태로서 개인이 소유한 어떤 것으로 역량에 접근한다. 개념적으로, 이 접근법은 역량이 맥락에 구애받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고 해서 우리가 맥락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한다는 것은 아니다. 

  • 현실적으로 말해서, 우리는 역량이 임상의, 환자, 조직 환경 및 기타 요인들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수반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 그러나 개념적인 수준에서, 역량에 대한 우리의 전통적인 개별적인 접근법은 한 환경에서 유능한 의사가 다른 환경에서 유능할 것이라고 가정한다. 

어느 정도, 역량에 대한 이러한 믿음은 개인에게 전제된 [허가와 규제 시스템에 대한 믿음]을 갖기 위해 필요하다.

On the other hand, these truths are not just surprising, they are paradoxical. They fly in the face of what we believe to be true about competence. We conventionally believe that competence is a quality of the individual. From selection, through training and regulation, medicine approaches competence as something individuals possess, as a state that can be achieved through sufficient training and maintained with periodic updates. Conceptually, this approach also implies that competence is context-free. That is not to say that we do not recognize that context matters:

  • practically-speaking, we know that competence involves a complex interaction among clinician, patient, organizational setting, and other factors.
  • But at a conceptual level, our conventional, individual approach to competence assumes that a physician competent in one setting will be competent in another.

To some degree, these beliefs about competence are necessary in order to have faith in a system of licensing and regulation that is predicated on the individual.

위에서 요약한 네 가지 진리는 개인의 역량에 대한 전통적인 개념화에 도전한다. 사실, 이 역설적인 진리는 [집단적 역량]을 참고해야만 설명할 수 있습니다. [집단적 역량]은 시스템의 분산된 능력으로, 개인에게 쉽게 환원될 수 없다. 
그것은 역동적이고 문맥과 강하게 연관되어 있다.

  • 그래서 유능한 개인들은 무능한 팀을 구성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팀워크는 그 부분의 합보다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사회적 상호작용, 공유된 경험, 그리고 암묵적인 지식을 필요로 한다.
  • 마찬가지로, 팀워크는 공동의 인지적 성취이기 때문에 한 구성원이 무능력하더라도 팀은 유능할 수 있다.
  • 무능한 팀원이 어떤 팀을 마비시킬 수 있지만, 다른 팀은 마비시킬 수 없다. 왜냐하면 그 개인에 대한 집단적 대응이 관건이지 개인 자신이 아니기 때문이다.
  •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 팀은 다음이 아닌 한 상황에서 유능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집단적 역량은 진화하고, 불안정하며, 그들의 다양한 사회적 관계와 그 순간에 팀워크를 지원하거나 구속할 수 있는 물질적 조건을 가진 상황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 [사회적 관계]는 갈등, 권력, 존중, 신뢰와 같은 이슈들에 의해 형성되는 복잡하고 미묘한 것이다.4-6
    • [물질적 조건material condition]도 중요하다: 교대 근무 시간표부터 "자료" 변경과 같은 프라이버시 법률까지 팀의 집단적 역량도 중요하다.7

The four truths outlined above challenge this conventional conceptualization of individual competence. In fact, we can explain these paradoxical truths only by reference to collective competence. Collective competence is a distributed capacity of a system, not easily reducible to an individual; it is dynamic and strongly tied to context.2 

  • So competent individuals can form incompetent teams because teamwork is more than the sum of the parts; it requires social interaction, shared experience, and tacit knowledge.
  • Similarly, a team can be competent even if one member is incompetent because teamwork is a joint cognitive accomplishment.3
  • An incompetent team member can paralyze one team but not another because how the collective responds to that individual is the key, not the individual him/herself.
  • And finally, a team can be competent in one situation and not the next because collective competence is evolving, unstable and based in situations with their varying social relations and material conditions that can support or constrain teamwork in the moment. Social relations on teams are complex and nuanced, shaped by issues such as conflict, power, respect, and trust.4–6 And material conditions matter too: from shift schedules to privacy legislation as such “materials” change so does the collective competence of the team.7

비록 우리가 집단 역량의 개념을 통해 이러한 역설적인 진리를 인정하고 설명할 수 있지만, 몇몇 강력한 신화는 팀워크에 대한 일상적인 대화에서 지속된다.
Even while we can acknowledge and, through the concept of collective competence, we can explain these paradoxical truths, some powerful myths persist in everyday conversations about teamwork:

  • 우리가 각자 맡은 일을 제대로 해낸다면, 이 팀은 효과적일 것이다.
  • 만약 우리가 서로의 역할을 이해한다면, 이 팀은 유능할 것이다.
  • 만약 우리가 분명한 리더십과 책임감이 있다면, 이 팀은 잘 기능할 것이다.
  • 우리 모두가 환자에게만 집중한다면, 이 팀은 부드럽게 작동할 거예요.
  • If we each did our job properly, then this team would be effective.
  • If we understood each other's roles, then this team would be competent.
  • If we had clear leadership and accountability, then this team would function well.
  • If we all just focused on the patient, then this team would work smoothly.

이러한 미신은 우리 모두가 "좋은 것"이라고 동의할 수 있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것은 바로 개인의 우수성, 역할 이해, 명확한 리더십 및 환자 중심성. 그럼 왜 이것을 "미신"라고 불러야 할까요? 왜냐하면 선의 핵심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은 팀이 어떻게 일하는지에 대한 잘못된 믿음이기 때문입니다. 사실, 이 미신은 너무 단순해서 위험하다.

Each of these myths centers on something we would all agree is a “good”: individual excellence, role understanding, clear leadership, and patient centeredness. Why, then, do I call them “myths?” Because, notwithstanding the kernels of good, they are false beliefs about how teams work. In fact, I would argue that they are dangerous oversimplifications.

  • 첫 번째 신화는 - 우리가 각자 맡은 일을 제대로 했다면 - 이라는 말은 [협소한 개인주의]이다. 그것은 능력의 개별적인 차원을 반영하고 위에서 설명한 집단적 차원을 무시한다. 
  • 두 번째는, 만약 우리가 서로의 역할을 이해했다면, 이라는 말은 [고정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이는 보건 전문가의 역할이 안정적이고 뚜렷하다는 것을 암시하는 반면, 팀워크에 대한 민족학 연구는 역할이 유동적이고 중복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
  • 세 번째는, 만약 우리가 분명한 리더십을 가지고 있다면, 이라는 말은 [낭만적으로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것]이다. 그것은 의사들이 의료 서비스 제공의 "리더"였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최근의 연구는 의료 팀에서의 리더십은 복잡한 협상이며 "가장 책임 있는 의사"는 명확하게 식별되지 않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 네 번째는, 우리 모두가 환자에게만 초점을 맞춘다면, 이라는 말은 [천진난만한 이상주의]입니다. 나는 환자 중심주의를 공유된 핵심 가치로 반대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의료 팀워크는 종종 경쟁적인 많은 동기들에 의해 형성됩니다.
    • 적시에 환자 치료를 제공하려는 욕구,
    • 부족한 자원을 보존해야 하는 필요성,
    • 환자 안전을 보장해야 하는 요구 사항,
    • 교육생이 자신의 기술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의무  
      • ...등 모든 것이 팀이 임상 상황의 진화에 따라 협상하고 우선순위를 다시 정해야 하는 정당한 동기이다. 그리고 의료팀의 개인들은 이러한 동기를 다르게 해석하고 제정할 수 있다.

 

  • The first myth—if we each did our job properly—is narrowly individualistic. It reflects the individual dimensions of competence and ignores the collective dimensions described above.
  • The second—if we understood each other's roles—is problematically static. It implies that health professional roles are stable and distinct, while ethnographic studies of teamwork have demonstrated that roles can be fluid and overlapping.8 
  • The third—if we had clear leadership—is romantically nostalgic. It harkens back to a time when physicians were the unchallenged “leaders” of health care delivery, but recent research argues that leadership on health care teams is a complex negotiation9 and the “most responsible physician” may not be clearly identifiable.4 
  • And the fourth—if we all just focused on the patient—is naively idealistic. I am not arguing against patient-centeredness as a shared, core value. But health care teamwork is shaped by many, and often competing, motivations. The desire to provide timely patient care, the need to conserve scarce resources, the requirement to ensure patient safety, the mandate to allow trainees to practice their skills—all are legitimate motivations that teams must negotiate and reprioritize as a clinical situation evolves. And individuals in the health care team may interpret and enact these motivations differently.10,11

이러한 신화는 의도하지 않은 방법으로 보건 전문가 교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문가 간 협업 및 전문가 간 교육(IPE)을 지원하기 위해 강력한 프레임워크가 개발되었지만, 제한된 교육 시간과 참여로 인해 이러한 프레임워크는 종종 단순화된 방식으로 구현된다. 이 경우, 강력한 모델은 "팀에서 전문적인 역할을 이해하는" 학습 목표로 축소될 수 있습니다. 역할에 대해 배우는 것이 중요하지만, 연구 결과 역할이 종종 유동적이고 중복되는 것으로 나타남에도, 이같은 접근법은 보건 전문가 역할이 실제로 안정적이고 뚜렷하다는 암묵적인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임상 전 IPE 커리큘럼은 [역할을 명확하게 설명하는] "기본" 시나리오[역할 유동성과 모호성을 설명하여 인위적으로 구분하지 않게 하는] "고급" 시나리오를 모두 제시하여 의도하지 않은 메시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학생과 전문가를 위한 실무 기반 IPE 이니셔티브는 실제 임상 상황에서 의료 제공자와 환자 간의 역할 복잡성과 역할 교차점을 가르치는 강력한 방법이 될 수 있다.
These myths can influence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in unintended ways. For instance, while robust frameworks have been developed to support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and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12 these are often implemented in simplified ways due to limited curricular time and engagement. When this happens, the robust model can be reduced to the learning objective to “understand professional roles on the team.” While learning about roles is important, this approach can send the implicit message that health professional roles are stable and distinct in practice, when research has shown that roles are often fluid and overlapping.4 Preclinical IPE curricula can guard against this unintended message by presenting both “basic” scenarios that illustrate roles distinctly and more “advanced” scenarios that trouble artificial distinctions by illustrating role fluidity and ambiguity. Practice-based IPE initiatives, for students and for experts, may also be a powerful way to teach both role complexity and role intersection among health care providers and patients in real clinical situations.13

우리가 북미에서 역량 기반 의학교육으로 전환함에 따라, 우리는 이러한 신화가 그러한 노력에 미치는 영향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예를 들어, 리더십은 지속적인 전문 개발 환경에서처럼 대학원 교육을 위한 역량 프레임워크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리더십도 중요하지만 연구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팀 협업과의 관계는 복잡하다. 만약 이 미묘한 관계가 주의 깊게 지켜지지 않는다면, 우리는 "강한 리더십"이 팀워크를 해치는 만병통치약이라는 신화를 영속시킬 위험이 있다. "강력한 리더십"이 수반하는 것은 임상적 맥락에 따라 달라질 것이지만, 기존의 지식은 주로 "행동팀action teams"이라 불리는 것을 작업하는 중환자 치료, 외과, 소생 및 외상 팀에서 파생된다. 이러한 지식을 오늘날의 만성적이고 복잡한 질병 시대에 더 분산된 팀의 리더십의 특성에 비판적으로 적응시키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행동 팀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진 [지시적 또는 적응적 리더십]과 같은 전략은, "리더"가 팀에서 덜 안정적이고 가시적인 실체entity가 될 수 있는 [만성적인 치료 상황]에서 효과적이려면 신중한 번역translation을 요구할 수 있다.
As we shift to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in North America, we must also attend to the influence of these myths on those efforts. For instance, leadership features prominently in competency frameworks for postgraduate training14 as it does in the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landscape.15 Leadership is important, but it is in complex relation to team collaboration, as research has shown.5 If this nuanced relation is not carefully attended to, we risk perpetuating the myth that “strong leadership” is the panacea for what ails teamwork. What “strong leadership” entails will vary according to clinical context, yet existing knowledge is derived largely from critical care, surgical, resuscitation and trauma teams, whose members work on what are called “action teams,” collocated space and time.16 Care must be taken to critically adapt such knowledge to the nature of leadership on more distributed teams in today's chronic, complex disease era.17,18 Strategies such as directive or adaptive leadership, found to be effective in action teams,16 may require careful translation to be effective in chronic care contexts where “leader” may be a less stable, visible entity on the team.

이러한 진실과 신화는 우리의 가정이 의료 팀워크의 복잡한 현실과 맞지 않을 수 있는 곳으로 우리의 관심을 끈다. 이러한 가정에 대한 비판적 탐구는 개인과 집단적 역량을 인식하고 촉진하는 교육 관행에 더 가까이 다가갈 것이다.

These truths and myths draw our attention to places where our assumptions may not fit the complex realities of health care teamwork. Critical exploration of these assumptions will bring us closer to educational practices that recognize and promote both individual and collective competence.

 


J Contin Educ Health Prof. Summer 2016;36 Suppl 1:S19-21. doi: 10.1097/CEH.0000000000000078.

Paradoxical Truths and Persistent Myths: Reframing the Team Competence Conversation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Dr. Lingard: Director, Centre for Education Research and Innovation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London, Ontario, Canada.

PMID: 27584064

DOI: 10.1097/CEH.0000000000000078

Abstract

Medicine has conventionally had an individualist orientation to competence. Individual competence is conceptualized as a stable possession that, once acquired, holds across contexts. Individual competence is necessary; however, it is insufficient for quality health care. We also need to attend to collective competence in order to grapple with paradoxical truths about teamwork, such as: competent individuals can form incompetent teams. Collective competence is conceptualized as a distributed capacity of a system, an evolving, relational phenomenon that emerges from the resources and constraints of particular contexts. This article outlines a set of paradoxical truths about teamwork in health care and uses the concept of collective competence to explain how they can hold true. It then considers a set of persistent myths about teamwork which have their roots in an individualist orientation, exploring how they hold us back from meaningful change in how we educate for, and practice as, health care teams. Finally, the article briefly considers the implications of these truths and myths for educational issues such as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nd competency-based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이야기에 대한 감각, 또는 왜 성찰적 글쓰기를 가르치는가? (Acad Med, 2012)
A Sense of Story, or Why Teach Reflective Writing?
Rita Charon, MD, PhD, and Nellie Hermann, MFA

 

여성 두 명이 어린이병원과 장로회 병원 사이 복도를 걷고 있다. "이곳은 정말 큰 장소입니다,"라고 한 여성은 말한다. "여기서 길을 잃을 수도 있을 것 같은데…. 저는 항상 제가 어디로 가는지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나서 그녀는 두 번째 여자에게 질문을 한다. "그럼." 두 번째 여자가 대답한다. "이 복도를 곧장 내려가서 저 모퉁이에서 좌회전 한 다음 엘리베이터를 타고 B로 내려가면 방사선 종양학으로 갈 수 있습니다."
Two women are walking down the hallway between Children's Hospital and Presbyterian Hospital. “It is such a big place,” says one woman. “I bet you could get lost in here…. I always need to know where I am going.” Then she asks the second woman a question. “Sure,” the second woman answers. “Go straight down this hallway, turn left at that corner, then go down in the elevator to B to get to Radiation Oncology.”

우리 병원에서 이 논평의 저자들 중 한 명이 엿듣는 이 짧은 대화는 암환자가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겪는 곤경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것 같다. 첫 번째 연사의 말을 되새기며, 우리는 그녀의 상실감, 그녀가 길을 잃을까 두려워하는 것의 광대함, 그리고 그녀가 추구하는 확실성을 방사선 종양학에서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허무함에 대해 궁금해 한다. 비록 화자가 암에 걸린 자신의 경험에 대해 "의도"하지 않을 지라도, 그것이 그녀가 하고 있는 일인가요? 사실, [통계 데이터의 그래프]가 [그것을 읽는 법을 아는 독자에게만 무언가를 보여줄 수 있는 것]처럼, 이야기는 그것을 구체적으로 말하지 않고spelling out, 잠재적인 의미를 보여준다display. 의미는 그것의 형태에 의해 드러난다.
This brief exchange, overheard by one of the authors of this Commentary in our hospital, seems to make visible the plight of the cancer patient starting out on treatment. Reflecting on the first speaker's words, we wonder about her lostness, the vastness of that in which she fears getting lost, the probable futility of finding in Radiation Oncology the certainty she seeks. Even though the speaker might not “mean” to talk about her experience of having cancer, is that what she is doing? The story, such as it is, displays, without spelling it out, potential meaning, much as a graph of statistical data might display something to a viewer who knows how to read it. The meanings are emitted by their forms.

이런 단절된 말들을 엿듣는 우리들 대부분은 자연스럽게 [이야기의 파편]을 이야기하게 될 것입니다. 물론 우리가 틀릴 수도 있다는 것을 깨닫는 동안, 그것이 담고 있을 수 있는 것을 가시화시키면서 말이죠. 분위기를 파악하고, 특정한 단어를 메모하고, 말하지 않은 것을 채워줌으로써, 우리는 창구원의 상황을 상상할 것이다. 만약 말하는 사람이 환자이고 듣는 사람이 그녀의 의사라면, 임상 실습은 이 상상력 있는 노력에서 생성된 가설을 실험하는 것을 수반할 것이고, 우리는 의사가 그녀의 말에 대해 묻기를 바랍니다"저는 당신이 이 암과 치료의 불확실성에 대해 길을 잃었다고 느끼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그렇다면, 내가 당신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Most of us overhearing those disconnected utterances would have naturally narrativized the fragment of talk, making visible that which it might have contained while realizing, of course, that we might be wrong. By identifying a mood, noting particular words, filling in the said with the unsaid, we would imagine the situation of the teller. If the speaker were a patient and the listener her doctor, clinical practice would entail testing the hypotheses generated in this imaginative effort, and the doctor would, we hope, ask the patient about her words: “I wonder if you feel lost in the uncertainty of this cancer and its treatment. If so, what might I do to lessen your suffering?”

의과대학에서 [성찰적 글쓰기]의 지지자들이 학생들에게서 강화하고자 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이야기 감각]이다. 심리학자 Jens Brockmeier와 Rom Harré1은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It is this sense of story that proponents of reflective writing in medical schools are seeking to enhance in their students. Psychologists Jens Brockmeier and Rom Harré1 suggest that

  • 구술과 저술 모두, [이야기의 형태]는 [우리의 존재의 본질과 조건을 받아들이려는 우리의 시도를 위한] [근본적인 언어, 심리, 문화, 그리고 철학적 틀]을 구성한다.
    the story form, both oral and written, constitutes a fundamental linguistic, psychological, cultural, and philosophical framework for our attempts to come to terms with the nature and conditions of our existence.

만약 의학이 [우리 존재의 본질과 조건을 받아들이려는 시도]가 아니라면, 무엇이겠는가?
If the practice of medicine is not the attempt to come to terms with the nature and conditions of our existence, what is?

의학 교육에서 성찰적 글쓰기는 가장 생산적이면서 동시에 위험한 단계에 있다. 성찰적인 글을 공부하고 가르치는 사람들은 그들이 의학 교육을 위해 중요한 것을 알고 있지만 실제로 그 분야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또는 어떻게 할 수 있는지를 아직 정하지 못한 채 깨달음과 증명 사이의 어딘가를 맴돌고 있다. 조지 엥겔, 로버트 콜스, 아서 클라인먼, 레이첼 레멘과 같은 선각자들은 일찍이 [의료행위가 실증주의적이고 환원적인 성향에 의해 방해받고 있다]는 것을 이해했고, 그들은 [환자와 의사들에 대한 특이한 이야기]를 의학 교육에 받아들이는 것이 [의사들이 환자의 살아 있는 경험을 인식]하는 것을 돕고, [의사 자신의 경험의 의미의 인식]을 서포트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 두 가지 변화를 함께 가져오면 의료의 효과와 이를 제공하는 방법을 배우는 과정 모두를 개선할 수 있다고 제안되었다.
The field of reflective writing in medical education is at a most productive and perilous stage. Those who study and teach reflective writing hover somewhere between epiphany and proof, knowing they are on to something important for medical education but having yet to establish what, in fact, the field can do or how it does it. Such visionaries as George Engel, Robert Coles, Arthur Kleinman, and Rachel Remen early understood that medical practice was being hampered by its positivist and reductive bent, and they suggested that admitting singular stories of patients and doctors into medical education might aid doctors to recognize patients' lived experiences and might support doctors' awareness of the meanings of their own experiences. Bringing about these two changes together, it was proposed, could improve both the effectiveness of the health care and the process of learning how to give it.

우리는 이러한 초기 깨달음 이후 상당한 거리를 다루었다. Wald와 동료들이 의대생들의 성찰적 글쓰기의 등급을 매기기 위한 새로운 루브릭에 대해 논한 기사는 이러한 발견과 변화의 발전sweep에 기여하고 있다. 우리는 이 팀을 통해 학생들에게 성찰적인 글쓰기에 대해 구조화된 개별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배웠습니다. 그들과 이 교육 연구 분야에서 일하는 다른 사람들은 특히 그러한 작업이 주류 교육자들로부터 종종 받는 반대되는 반대에 비추어, 몇몇 지저분한 개념과 더 지저분한 학습 행동을 조사하고, 명확히 하고, 도구화하는 그들의 진지하고 생산적인 헌신에 대해 칭찬받을 것이다.
We have covered a considerable distance since these early realizations. The article by Wald and colleagues2 discussing a new rubric for rating reflective writing by medical students contributes to this sweep of discovery and change. We have learned from this team about methods of giving structured individualized feedback to students about their reflective writing. They and others working in this area of educational research are to be commended for their serious and productive commitment to examining, articulating, and instrumentalizing some messy concepts and messier learning behaviors, especially in view of the contrary reception such work often gets from mainstream educators.

Wald와 동료들이 채택한 연구 접근법은 성인 학습 심리학에서 파생된 주류 교육 체계 내에서 성찰적 글쓰기를 찾고 이러한 개념을 의학 교육에 적용한다. 이들이 제안한 평가 전략은 [주류 의료 교육의 평가 루틴]과 일치하며, 의료, 간호, 약학 및 물리 치료 교육 문헌의 광범위한 참조 목록에 기초한다. 이 프로젝트와 유사한 프로젝트는 [학생들이 서로 또는 자신의 초기 성과에 대해 성찰 성과를 비교 평가하도록 의도적으로 지원]한다. 즉, 이들의 목표는, 교수진들이 [전통적인 교육 관행에 부합하는 방법]으로, [측정 가능한 기술의 달성]에 대해, [학생들을 한명씩 판단하고 순위를 매기는 것]이다.

The research approach adopted by Wald and colleagues locates reflective writing within mainstream pedagogic frameworks derived from adult learning psychology and applies these concepts to medical education. The rating strategy proposed is congruent with mainstream medical education's assessment routines and is grounded in an extensive list of references from the medical, nursing, pharmacy, and physical therapy education literatures. This and similar projects purposefully support the comparative rating of students' performance of reflection against one another or against their own earlier performance. The aim, that is to say, is for faculty members to judge and then rank students singly and within cohorts on their attainment of a measureable skill in a way that fits with traditional educational practices.

성찰적 글쓰기의 개념적 모델
Conceptual Models for Reflective Writing

Wald와 동료들은 성찰을 "개인 경험이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전문성 강화 메타인지적이고 암묵적인 과정"이라고 정의한다. [다음과 같은 가정]들이 여기와 다른 반성적 글쓰기에 대한 현재 연구에서 함축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1) 성찰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선형적으로 발달하는 기술이다. 
  • (2) 의대 교수진들은 성찰 기술을 가지고 있으며, 최소한의 준비로 다른 사람들에게 그것을 가르치고 다른 사람에 대해서 평가할 수 있다. 
  • (3) 성찰은 삶의 경험에 적용되는 심리적인 조작을 통해 가르치고, 배우고, 성취된다. 
  • (4) 글쓰기는 성찰 기술의 성취도를 표시하고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이다. 
  • (5) 쓰여진 텍스트는 글쓴이를 투명하게 보여주며, 독자가 글쓴이의 진지한 생각, 동기, 감정에 명확하게 접근할 수 있게 한다. 
  • (6) 쓰여진 글은 모든 독자들이 비슷한 방식으로 읽고 해석할 것이다. 
  • (7) 의료 훈련에 적합한 글은 지시 프롬프트에 대해 규정된 형식과 시간 순서에 따라 작성된 1인칭 산문이다.

Wald and colleagues2 define reflection as an “expertise-enhancing metacognitive, tacit process whereby personal experience informs practice.” The following assumptions seem to be implied here and in other current work on reflective writing:

  • (1) Reflection is a skill that progresses linearly in time.
  • (2) Medical school faculty possess this skill and can, with a minimum of preparation, both teach it to others and assess it in others.
  • (3) Reflection is taught, learned, and accomplished through psychological operations applied to life experiences. (4) Writing is a method used to display and then to measure the attainment of the skill of reflection.
  • (5) Written texts display their writers transparently, allowing the reader unambiguous access to the writer's earnest thoughts, motives, and feelings.
  • (6) Written texts will be read and interpreted by all readers in similar ways.
  • (7) The writing appropriate to medical training is first-person prose about quandary events written to directive prompts in prescribed forms and in chronological sequences.

우리 중 다른 사람들은 [여기에 열거된 가정들을 보완하고 논쟁]하는 성찰, 글쓰기, 그리고 독서에 대한 [또 다른 다른 개념적 가정들]로부터 출발한다. 이러한 가정은 성찰의 본질과 결과, 그리고 성찰과 읽기와 쓰기의 관계에 대해서 조금 다른 믿음에서 비롯된다.
Others of us start from different conceptual assumptions about reflection, writing, and reading that both complement and contest the assumptions on display here. These assumptions arise from different beliefs about the nature and consequences of reflection and the relation of reflection to reading and writing.

[성찰]은 [인지, 감정, 상상력, 창조적 수단을 사용하여 인지하고, 언어로 표현함으로써, 살아있는 경험을 겪어내는, 능동적인 내부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지속적이고 평생에 걸친 성찰의 상태를 통해 사람은 자신의 삶을 경험하게 된다. 
서술 이론, 미학 이론, 현상학을 바탕으로, 성찰은 [존재, 정체성, 자아 인식, 상호 주관성, 윤리적 분별]을 향한 [서술과 서술narrative and narrating의 진입로avenue]로 인식된다. [성찰하는 자아]는 주의 깊은 자아, 현재의 자아, 느낌의 자아, 이야기 감각의 자아와 하나가 된다. 헨리 제임스의 소설가에 대한 6가지 정의를 빌리면, "아무것도 잃지 않는 사람들 중 한 명"이다.
Reflection can be understood to be an active interior state that uses cognitive, affective, imaginative, and creative means to perceive, represent in language, and thereby undergo one's lived experience. Through sustained and lifelong states of reflection, one experiences one's life. Drawing on narrative theory, aesthetic theory, and phenomenology, reflection is recognized as a narrative and narrating avenue toward presence, identity, self-awareness, intersubjectivity, and ethical discernment.3–5 The reflecting self is one with the attentive self, the present self, the feeling self, the self with the sense of story. It is, to borrow Henry James'6 definition of the novelist, “one of the people on whom nothing is lost.”

성찰에서 글쓰기의 역할은 이러한 성찰의 개념에 따라 극적으로 변화한다.

  • Wald와 동료들의 연구에 따르면, 글쓰기는 [다른 곳에서 어떤 식으로든 성찰의 기술이 달성된 후, 그 기술의 성취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 우리가 제안하는 [대안적 개념]에서, 글쓰기는 [성찰 상태state of reflection에 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보고'가 아니라 '발견'을 쓰는 것은, [작가가 접근할 수 없는 생각이나 지식의 저장고]를 열어준다. 7 [언어로 경험을 표현하는 것]은 아마도 그것을 [가시적으로 보이게 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수단]일 것이다. 글쓰기는 [자신의 경험을 되돌아보는 방법]이다. 그것은 마치 [경험한 것]은 어떻게든 [그 사람의 "밖으로" 나와야만 그것이 파악되고 이해될 수 있는 것]과 같다.

The role of writing in reflection changes dramatically with this conception of reflection.

  • According to Wald and colleagues' study, writing is used to measure the attainment of the skill of reflection after that skill has somehow been attained elsewhere.
  • In this alternate conception, writing is used to attain the state of reflection. Not report but discovery, writing unlocks reservoirs of thought or knowledge otherwise inaccessible to the writer.7 Representing one's experience in language is perhaps the most forceful means by which one can render it visible and, hence, comprehensible. Writing is how one reflects on one's experience. It is as if that which is experienced has to be somehow “gotten outside” of the person so that it can be apprehended and then comprehended.

서사 이론은 [서사 행위]를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이 있는 것]으로 정의한다. 의대생 성찰의 청취자는 쓰여진 모든 것의 독자나 감사자이다. 구성 이론가들이 우리에게 가르쳐 주듯이, 글쓰기는 단독 행위가 아니다. 상호 주관적, 대담적, 노출적이다. 글쓰기 행위가 독서 행위와 결합될 때, 타인과의 깊은 자아의 회합을 허용하며, 그 결과로서 자기와 자아 사이의 깊은 회합을 허용한다. 수신자를 통한 자기 설명account of self의 통과는 기업에 매우 중요하며 쓰기와 읽기를 일방적으로 "평가가능한ratable" 것에서 [상호적인 것]으로 변화시킨다.
Narrative theory defines a narrative act as having a teller and a listener. The listener in medical student reflection is the reader or auditor of whatever is written. As composition theorists teach us, writing is not a solitary act.8 Intersubjective, daring, exposing—the writing act, when coupled with the reading act, permits deep congress of self with other and, as a corollary, self with self. The passage of the account of self “through” the receiver is critical to the enterprise and transforms writing and reading from something unilaterally “ratable” to something reciprocal.

글쓰기를 가르치면서 성찰을 가르치다
Teaching Reflection by Teaching Writing

성찰로서의 글쓰기의 개념 안에서 성찰의 가르침과 학습은 특정한 형태를 취한다.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시작되었지만, 현재 북미와 해외의 다른 의료 센터들에서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주요 노력은 (학생, 하우스 오피스, 교수진, 모든 종류의 보건 전문가, 환자 등) 학습자들에게 [복잡한 사건과 상황을 표현하고 인식할 수 있는 언어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다. 우리는 학생들이 이야기를 인식하는 서사적 기술, 즉 그들이 그들의 삶에서 사용했을지도 모르지만 의학에서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여겼던 기술들을 되찾고, 우리는 그들이 지금 여기서 이러한 기술들을 사용하도록 초대합니다. 대부분의 강의 세션은 시, 소설의 단락, 병의 서술, 인턴의 진행 노트, 기도 같은 [쓰여진 텍스트를 자세히 읽는 것]으로 시작하므로 학습자들은 글쓰기를 연습하는 동안 읽는 것을 배운다. 글쓰기 프롬프트는 특정 질문을 던지는 것이 아니라 글쓴이의 마음을 넓히고 학습자가 방금 읽은 본문의 그늘에서 글을 쓰도록 유도하기 위해 짧고 공들여 개발된다. 프롬프트는 학생들이 임상 경험을 쓰도록 안내할 수 있지만 그럴 필요는 없다.
Within the sights of this conception of writing-as-reflectio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reflection take on specific forms. Arising at Columbia University but now becoming evident in other medical centers in North America and abroad, the primary effort is to equip learners—students, house officers, faculty, health professionals of all sorts, patients—with the language skills to represent and recognize complex events and states of affairs. We reclaim for students the narrative skills to recognize stories, skills that they perhaps used to use in their lives but have deemed not salient to medicine, and we invite them to use these skills here and now. Learners learn to read while they practice writing, as most teaching sessions begin with the close reading of a written text—a poem, a paragraph from a novel, an illness narrative, an intern's progress note, a prayer. Writing prompts are short and painstakingly developed, not to pose specific questions but to expand the writers' minds and to invite learners to write in the shadow of the text they just read. Prompts can but do not have to guide students to write of clinical experiences.

글의 형태와 내용은 예측할 수 없다. 서정적인 것, 아이러니한 것, 초현실적인 것, 코믹한 것, 또는 실험적인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학생들은 홀로 고독하게 글을 쓰고 업로드하는 대신, 자신이 쓴 글을 소리 내어 읽고 적극적으로 글을 지도하는 협업 워크숍에 참여한다. 모든 쓰여진 텍스트는 읽을 가치가 있고, 독자나 감사자auditor를 얻으며, 보통 여러 수신자의 혜택을 받는다. 적어도 몇몇 독자들은 치밀한 독서close reading에 능숙하다. 정의에 따르면, 이것은 모든 쓰여진 텍스트가 다양한 해석에 놓인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두 명의 독자가 텍스트에서 동일한 "방출emission"을 끌어내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작가]는 [자신의 글에 무엇이 포함되어 있는지 아는 마지막 사람]이며, 은유, 시간적 구조, 서술적 목소리, 장르, 사전, 암시, 줄거리와 같은 서술적 특징 때문에 [본문을 주의 깊게 검토하는 다른 사람들]이 글 안에 무엇이 들어있을 수 있는지를 작가에게 밝혀줄 수 있다고 이해된다. 판단 없이, 그리고 고정된 기대 없이 들어봄으로써, 작가와 독자들은 서로가 말로 무엇을 하는지, 글이 그들에게 어떤 인상을 주는지, 그리고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적극적으로 인식하도록 격려 받는다.
The writing is unpredictable in form and content, often marked by the lyrical, the ironic, the surreal, the comic, or the experimental. Instead of writing in solitude and uploading their work, students participate in collaborative workshops where they often read aloud what they have written and their writing is actively coached. Every written text deserves and gets a reader or auditor and usually gets the benefit of several receivers. At least some of the readers are skilled in the acts of close reading. By definition, this means every written text gets multiple interpretations, for no two readers will derive the same “emission” from a text. It is understood that the writer is the last person to know what's contained in his or her writing and that others carefully examining the text—for such narrative features as its metaphors, temporal structure, narrative voice, genre, diction, allusions, and plot—can illuminate for the writer what might be contained within it. By listening nonjudgmentally and with no fixed expectations, writers and readers are encouraged to actively recognize what one another does with words, how the writing strikes them, and what it might mean.

교사의 의무
The Duty of the Teacher

이 모델에서 교사의 의무는 판단하고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보이는 것을 읽고 말하는 것이다. 면밀한 독서에 대한 교육을 받은 우리 교사들은 [평점 루브릭]이 아니라, 독자가 텍스트의 몇 가지 서술적 특징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유도하는 [읽기 가이드]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독자/코치]는 적어도 독자의 관점에서 쓰여진 텍스트에 무엇이 포함되어 있는지 먼저 보고 나서 필자에게 보여줄 수 있으며, 글쓰기의 과정뿐만 아니라 글쓰기가 탄생시킨 성찰의 과정에도 도움이 된다. 독자가 여러 명으로 늘어나면서 교훈을 복잡하게 만든다. 우리가 관찰한 바에 따르면, [독자/작가 그룹]은 강력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협력적인 팀을 형성한다. 그래서 우리의 성찰을 위한 훈련은 팀워크, 동료 학습, 신뢰, 그리고 보살핌에서 의학 교육의 다른 어려운 임무도 수행한다.
The duty of the teacher in this model is not to judge and rate but, rather, to read and tell what is seen. Our teachers, having been trained in the acts of close reading, are equipped not with rating rubrics but, rather, with a reading guide that prompts the reader to attend to several narrative features of a text. The reader/coach can thereby first see and then show the writer what is contained in the written text, at least from that reader's vantage point, helping along the process not only of the writing but also of the reflection the writing birthed. Multiple readers swell and complicate the lessons learned. As a dividend, we have observed, the group of readers/writers form strong, trusting, collaborative teams. And so our training for reflection also fulfills other difficult missions of medical education in teamwork, peer learning, trust, and care.

우리는 학생들에게 성찰적인 글쓰기를 제공하려는 우리의 약속에서, [개별 학습자의 성취를 계량화한 지표]처럼, 학교가 원하는 것을 학교에 제공하는 것만을 서두지는 않을까 우려한다. 이러한 충동은 아마도 반성적 글쓰기의 잠재적인 깊은 배당을 왜곡하고 낭비할 것이다. 우리는 학생들과 우리 자신에게 [이야기를 하고 들을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 것이 심오한 성과라는 것을 기억할지도 모릅니다. 우리는 확실히 이런 능력의 학습을 왜곡하지 않으면서도 학습을 증명할 수 있을 것이다. 복잡한 상황이나 상황의 상태를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말을 수신하고 해독하는 기술을 개발한 의대생은 중심 임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학생들은 (말, 외모, 몸짓, 신체적인 발견, 침묵 등) [환자들이 발산하는 모든 미묘한 차이]를 받아들이는 사람이 될 것이다. 주의 깊고, 수용적이며, 환자가 자신의 내부 상태를 공유해 준 것에 대해 감사하는 마음으로, 학생은 [환자의 상황을 그 복잡성 속에서 흡수하고, 그 지식을 바탕으로 환자를 대신하여 행동]할 수 있습니다. 그 또는 그녀는 그 임상적 만남을 언어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는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이 환자와 그 또는 그녀의 붓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경험하고, 따라서 이해하기 위해서이다. 골든 볼 서문에서 헨리 제임스 3세는 "물건을 아주 정확하고 책임감 있게 그리고 끝없이 하는 것"을 제안한다. 우리의 깊어진 이야기 감각은 우리를 광활함, 상실감, 불확실성, 그리고 그들을 돌보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모든 사람들과 우리를 하나로 묶는 의미들로 열어줄 것이다.

We worry that in our commitment to bring reflective writing to our students, we might hurry to provide our schools with what we think they want, like quantified markers of individual learners' achievements. This impulse perhaps distorts and squanders the potential deep dividends of the work of reflective writing. We might remember that it is a profound achievement to equip our students—and ourselves—with the capacity to tell and listen to stories. We can certainly demonstrate this learning, but in ways that will not distort the undertaking itself. The medical student who has developed skills in representing complex situations or states of affairs and in receiving and decoding the utterances of others is equipped to accomplish central clinical tasks. This student will be a nuanced receiver of all that patients emit—in words, appearance, gestures, physical findings, silences. Attentive, receptive, grateful to patients for sharing their interior states, the student will absorb the situation of the patient in its complexity and will then be able to act, on behalf of the patient, on that knowledge. He or she may represent that clinical encounter in language, not in order to fulfill an assignment but, rather, to undergo and, hence, understand what has happened in his or her brush with this patient. In the preface to The Golden Bowl, Henry James3 suggests that “to put things is very exactly and responsibly and interminably to do them.” Our deepening sense of story will open us to the vastness, the lostness, the uncertainty, and the meanings that unite all who are ill and all of us who do our best to care for them.


Acad Med. 2012 Jan;87(1):5-7.

 doi: 10.1097/ACM.0b013e31823a59c7.

Commentary: a sense of story, or why teach reflective writing?

PMID: 22201631

PMCID: PMC3247912

DOI: 10.1097/ACM.0b013e31823a59c7

Free PMC article

Abstract

Reflective writing is being introduced in many medical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and abroad for a variety of reasons and with a variety of goals in mind. As Wald and colleagues write, multiple methods, including the rubric introduced in their study, have been proposed for rating or grading this writing to quantify the gains obtained. The authors of this commentary detail the assumptions both about reflection and about writing implied in Wald and colleagues' work. They then describe a reciprocal model of writing as discovery, suggesting that the writing itself is what teaches the skills of reflection. Equipping medical students with a sense of story may well be the active ingredient in whatever gains are observed in teaching reflective writing.

집단적 자기치유와 흔적: 군집지능은 어떻게 팀적응에 대해서 다르게 생각할 수 있게 해줄까? (Med Educ, 2020)
On collective self-healing and traces: How can swarm intelligence help us think differently about team adaptation?
Sayra M. Cristancho

 

1 소개
1 INTRODUCTION

가장 성공적인 팀은 변화에 원활하게 적응하는 팀이다. 이들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직무 환경에서 상충하는 목표와 요구를 탐색하는 동시에 시간 제약 증가, 리소스 감소 및 팀원 로테이션의 영향과 싸웁니다. 이것은 만성 질환의 만연, 흐릿한 진료 범위, 전문가 간 역학 및 임상 작업의 분산적 특성을 감안할 때 오늘날의 의료 팀이 직면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특징들은 팀들이 공통의 방향을 찾는 것을 어렵게 만들 수 있는데, 특히 팀이 [항상 명확한 리더십을 가지고 있거나] [서로의 역할을 항상 완전히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가정과 같은 전통적인 사고 방식에 너무 집착하는 경우 더욱 그렇다.

The most successful teams are those that seamlessly adapt to change. They navigate competing goals and demands within constantly changing workplace environments, all while battling the effects of increased time constraints, fewer resources and rotating team members.1 This is the reality that today's health care teams face given the prevalence of chronic conditions, blurred scopes of practice, interprofessional dynamics and the distributed nature of clinical work.2, 3 These features can make it challenging for teams to find common direction, particularly if teams remain too attached to traditional ways of thinking, such as the assumption that it is possible to always have clear leadership or to always fully understand each other's roles.4

효과적인 적응을 위해서는, 특히 고부담 환경(행동팀action team)에서 팀 구성원은 [진정한 집단 행동]이 목표라면 [개인적 아젠다] 추구를 포기해야 할 수 있다. 자연은 사회적 곤충, 어류, 조류 군락에서 볼 수 있는 놀라운 [집단 행동]의 예를 포함하고 있다. 생물학 문헌에서는 이러한 집단 행동을 '군집 지능Swarm Intelligence'이라고 한다. 비의료 산업은 기업 및 팀이 변화에 적응할 때 집단 행동에 참여하는 것을 돕기 위해 군집 지능의 원리를 활용하기 시작하고 있다. 그러나 군집 지능은 보건의료 팀 문헌에서 아직 명시적으로 고려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저는 군집지능이 어떻게 건강관리 팀워크, 특히 팀 적응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것을 알려줄 수 있는지 묻습니다. 이 개념적 탐구에서, 저는 집단 지성과 인간 팀워크에 대한 새로운 문학 단체를 끌어내어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에 대한 템플릿이나 모델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우리 분야가 여전히 직면하고 있는 팀워크에 대한 뿌리 깊은 도전들에 대해 다르게 생각하도록 영감을 줍니다.

To adapt effectively, members of teams, especially in high-stakes settings (a.k.a action teams), might need to surrender the pursuit of their individual agendas if truly collective behaviour is the goal.1 Nature contains striking examples of collective behaviour as seen in social insects, fish and bird colonies. In the biology literature, this collective behaviour is known as Swarm Intelligence.5 Non-health care industries are beginning to draw on principles of swarm intelligence to help companies and teams engage in collective behaviour when adapting to change.6, 7 Swarm intelligence, however, has not been yet explicitly considered in the health care team literature. In this paper, I therefore ask, how can Swarm Intelligence inform our grappling with health care teamwork, in particular around team adaptation? In this conceptual exploration, I draw on the emerging body of literature on swarm intelligence and human teamwork not to craft a template or a model of how to behave, but rather for inspiration to think differently about some of the ingrained challenges around teamwork that our field is still encountering.

2 팀 적응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2 WHAT DO WE KNOW ABOUT TEAM ADAPTATION?

[팀 적응Team adaptation]은 도전을 성공적으로 헤쳐나가는 개인의 능력이다. 팀 적응에 대한 개념적이고 경험적인 연구가 풍부하다. 개념적 연구는 사용 가능한 개념적 프레임워크가 많아 더욱 두드러지지만, 점차 경험적 연구가 대두되고 있다. 특히, 핵심 개념 프레임워크는 세 가지 특정 영역에 대한 연구 노력을 안내했다.

  • 팀의 적응 능력, 
  • 실제 적응 과정
  • 팀 기능에 미치는 결과

Team adaptation is the ability of a group of individuals to successfully navigate challenges.8 There is a wealth of conceptual and empirical research on team adaptation. While the former is more prominent with a plethora of conceptual frameworks available,9, 10 empirical studies are emerging. In particular, key conceptual frameworks have guided research efforts around three specific areas:

  • the team's capacity to adapt,11 
  • the actual process of adaptation12 and
  • the consequences on the team's functioning.13 

이러한 [팀 적응]의 영역은 현재 저의 연구 관심사인 [액션 팀action teams]을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팀에서 탐색되고 있습니다. [액션팀]은 '긴급하고 매우 중요한 임무를 가진, 때때로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즉흥성과 적응이 필요한 이벤트에 협력하는, 고도로 숙련된 전문가 팀'으로 특징지어진다. 팀 조정Team coordination, 리더십 및 신뢰는 액션팀의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탐구되는 팀 적응의 차원 중 하나입니다.

  • 예를 들어, 군에서의 연구는 팀 리더가 진정한 것authentic으로 간주될 때, 그러한 리더의 행동은 팀 행동과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했다.
  • 마찬가지로, 트라우마의 맥락에서, 리더 역할의 신속하고 반복적인 위임은 팀의 신뢰할 수 있는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초보 팀 구성원의 기술을 구축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한편, [암묵적인 조정implicit coordination(즉, 서로 직접 의사소통할 필요 없이 다른 팀 구성원의 요구를 예측하고 조정할 수 있는 능력)]이 과거에는 [액션팀에서 잠재적으로 문제가 있는 것]으로 제안된 반면, SWAT, 항해, 극지 탐험 팀들 간의 최근의 연구는 특정 비일상적인 임무들이 실제로 [암묵적인 조정]으로부터 이익을 얻는다는 것을 보여주기 시작하고 있다. 

These areas of team adaptation are being explored in various types of teams, including action teams—my current research interest. Action teams are characterised as, ‘highly skilled specialist teams cooperating in events that require improvisation and adaptation in sometimes unpredictable circumstances with urgent, highly consequential tasks’.1 Team coordination, leadership and trust are among those dimensions of team adaptation consistently explored in the realm of action teams.

  • For instance, research in the military has demonstrated that when team leaders are regarded as authentic, such individual behaviour positively influenced team behaviour and productivity.1415 
  • Similarly, in the context of trauma, a rapid and repeated delegation of the leadership role proved to enhance a team's ability to perform reliably while also building their novice team members’ skills.1 

And while implicit coordination (ie the ability to anticipate and adjust to other team members’ needs without having to communicate directly with each other) has been suggested as potentially problematic in action teams, recent research in the context of SWAT, sailing, polar expeditions teams among others is beginning to show that certain non-routine tasks actually benefit from it.16, 17

3 우리가 뭘 놓쳤지?
3 WHAT ARE WE MISSING?

현재 누락된 것은 팀 적응에 대한 [전체론적인 시각]이다. 기존 작업은 팀 적응의 요소를 서로 격리하여 탐색합니다. 우리는 [조각이 어떻게 서로 잘 맞는지]를 더 잘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What's missing is a holistic view of team adaptation. Existing work explores elements of team adaptation in isolation of one another; we need to better understand how the pieces fit together.

예를 들어, [팀 적응의 여러 차원(예: 리더십 대 조정) 사이의 관계]에 대한 질문은 거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 이 격차를 메우기 위해서는 현상에 대한 시스템적 관점을 취하는 대안적인 접근법이 필요할 것이다. 즉, 문제를 부품으로 분할한 다음 각 부품을 개별적으로 고정하기보다는, 부분parts과 환경 간의 상호 연결에 초점을 맞추어야 합니다. 이러한 적응에 대한 체계적 관점의 가장 좋은 예들 중 일부는 자연에서 발견된다. 침입자가 개미 군집의 일을 방해할 때, 한 마리의 개미의 행동을 관찰하는 것은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밝히는 데 실패한다. 오히려, 우리는 식민지의 회복 노력을 목격하기 위해 [그들 모두를 함께 볼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새떼의 경우, 서로의 위치와 속도에 대한 작은 조정으로 양떼가 매우 효율적인 조정된 패턴으로 함께 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러한 집단 행동은 집단 지능 분야의 기초를 형성한다. 

For instance, questions around the relationships among multiple dimensions of team adaptation (eg leadership vs coordination)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3,8,18,19 Filling this gap will require alternative approaches that take on a systemic view of the phenomenon. That is, rather than fragmenting a problem into parts and then fixing each part separately, the focus should be upon the interconnections between the parts and their environment.20 Some of the best examples of this systemic view of adaptation are found in nature. When an intruder disrupts the work of an ant colony, looking at the behaviour of one single ant fails to reveal what's going on. Rather, we need to look at all of them together to witness the colony's recovery effort. Similarly, in a flock of birds, it is the little adjustments to each other's position and speed that allow the flock to fly together in very efficient coordinated patterns. These collective behaviours form the basis of the field of Swarm Intelligence.21,22

[군집 지능]의 관점에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군집 구성원들의 개별적 행동이 아니라, [집단 행동의 결과]이다. 집단행동은 네 가지 주요 원칙을 통해 달성된다.

  • 첫 번째 원칙은 [의사소통]입니다. 군집은 직간접적인 의사소통을 모두 사용한다. 인간이 언어를 사용하는 동안, 직접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떼는 촉각(개미의 경우 더듬이의 촉각)을 사용한다. 간접적인 의사소통의 경우, 인간은 신체 언어와 몸짓을 선호하지만, 무리들은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유도하기 위해 환경에 '흔적'을 남기는 것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만약 더 많은 개미들이 먹이를 주울 필요가 있다면, 먹이를 찾는 것을 책임지는 첫 번째 그룹은 다른 개미들이 먹이를 얻기 위해 어디로 가야 하는지를 알기 위해 사용하는 일종의 페로몬을 땅에 남겨둔다. 페로몬이 이 사건의 흔적입니다.
  • 이러한 형태의 의사소통은 군집 지능의 두 번째 원칙을 촉진한다. [인식], 즉 지역 환경에 적응하는 집단의 능력입니다. 일단 그 무리들이 자신이 처한 환경을 알아내면, 자기 결정이라고 불리는 세 번째 원칙이 일을 수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 [자기 결정]이란 각 개인이 특정 업무를 수행하는 동안 시스템의 잠재적 손상에도 주의를 기울이고, 경직된 위계질서나 중앙 통제를 고수하지 않고도, 필요에 따라 한 업무에서 다른 업무로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종합하면, [의사소통, 인식 및 자기 결정]은 군집 지능의 [가장 중요한 특징]을 실현한다. 그것은 군집 구성원들이 [상호 교환]할 수 있는 능력으로, 현재 한 작업을 수행하는 개인이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다른 개인을 대체할 수 있다.
  • 이러한 방식으로 집단은 네 번째 원칙인 [집단적 자기 치유] 행동을 보여주는데, 집단적 자기 치유 행동은 집단에게 실패에 대처하고 환경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From a swarm intelligence perspective, a solution to a problem emerges as the result of the collective action of the members of the swarm, not individual action. Collective action is achieved via four key principles.5, 23-25 

  • The first principle is Communication. Swarms use both direct and indirect communication. For direct communication, while humans use language, swarms use touch (eg the touch of the antennae in the case of ants). For indirect communication, while humans favour body language and gestures, swarms rely on leaving ‘traces’ in the environment to drive the behaviour of others. For instance, if more ants are needed to pick up food, the first group responsible for finding food leave a type of pheromones on the ground that other ants use to know where to go to get the food. Pheromones are the traces in this case.
  • These forms of communication facilitate the second principle of swarm intelligence: Awareness, which is the ability of the collective to remain attuned to its local surroundings.
  • Once the swarm figures out the environment it is in, the third principle called Self-determination is used to perform work. Self-determination means that while each individual is working on a particular task, they also attend to potential damage to the system and are able to change from one task to another as necessary without having to adhere to rigid hierarchies or central control. Taken together, communication, awareness and self-determination realise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swarm intelligence. That is the ability of swarm members to be interchangeable, so that an individual currently performing one task can replace another individual performing another task.
  • In this way, the collective exhibits the fourth principle: Collective self-healing behaviour, which provides the swarm with the ability to cope with failure and to adapt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4 적응력이 뛰어난 의료팀을 어떻게 개발할 수 있는가?
4 HOW CAN WE DEVELOP HIGHLY ADAPTABLE HEALTH CARE TEAMS?

다른 산업 분야에서는, 인간이 개별적으로 똑똑할지라도, 집합적으로 우리는 개미, 벌, 물고기 군집처럼 효과적이지 않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하고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는 이러한 산업들이 팀워크를 바라보는 [전통적인 기계적인 방식]이 그들에게 생존할 수 있는 전략적 이점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시작되었다. 사회적 곤충들이 집단적 수준에서 성공하는 방식에 영감을 받아, 그들은 대신 팀을 [초유기체]로 생각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초유기체(超有機體, )는 [동물의 사회적 단위]로, 분업이 전문화되어 있으며, 개인이 집단 없이는 오랜 시간 동안 스스로 생존할 수 없는 것을 말한다. 개미, 벌, 물고기 군집, 그리고 인간 사회는 모두 자연에 있는 초유기체의 예이다.
Other industries are beginning to realise that even though humans are smart individually, collectively we are not as effective as ants, bees and fish colonies.7 This paradigm shift began when those industries26, 27 recognised that traditional mechanistic ways of looking at teamwork were not giving them the strategic advantage to survive. Inspired by the ways social insects succeed at the collective level, they turned instead to thinking about teams as super-organisms. A super-organism is a social unit of animals, where division of labour is specialised and where individuals are not able to survive by themselves for extended periods of time but need the collective.7, 24 Ants, bees, fish colonies and human societies are all examples of super-organisms in nature.

인류의 급진적인 발전은 우리가 소리, 몸짓, 의식, 언어까지 '마커'를 사용하여 [소속belonging이라는 신호]를 보내기 시작했을 때 일어났다. 그 특징은 우리가 집단으로 [사회적으로 조직]될 수 있게 해주었고, 그것은 우리에게 [종족으로서 생존에 전략적인 이점]을 주었다. 이 특징을 공유하는 유일한 다른 동물 종은 사회적 곤충입니다. 사회적 곤충들은 5억년 동안 모든 종류의 변화를 통해 적응해 왔습니다. 그들은 기회를 이용하여 집단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타고난 능력을 통해 장애를 극복하고 탄력성을 유지함으로써 그들의 식민지를 이끈다. 팀 적응에 대한 우리의 사고에 영감을 주기 위해, 나머지 논문에서, 나는 군집 지능의 두 가지 원칙, 즉 추적 기반 커뮤니케이션과 집단적 자가 치유에 대해 확장해 나갈 것이다.

Humanity's radical breakthrough happened when we began signalling belonging through the use of ‘markers’ such as sounds, gestures, rituals, all the way to language. That feature allowed us to socially organise in groups, which has given us a survival strategic advantage as a species. The only other animal species that share this characteristic are social insects.21 Social insects have been adapting for 500 million years, through all kinds of change. They lead their colonies by capitalising on opportunity, riding out disturbance and staying resilient through their natural ability to collectively adapt. To provide some inspiration for our thinking around team adaptation, in the rest of the paper, I will expand on two principles of swarm intelligence: trace-based communication and collective self-healing.

4.1 추적 기반 통신은 집합적으로 적응하는 능력에 역할을 한다.
4.1 Trace-based communication plays a role in the ability to collectively adapt

우리는 [명확하고, 노골적explicit이며, 언어적인 의사소통이 효과적인 팀워크의 중요한 지표]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 제공자의 교육은 [간접적인 의사소통이 수반하는 오해의 가능성] 때문에 [직접적인 언어 소통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간접적인 의사소통이 대부분 문제라는 가정]은, 특히 우리가 지금까지 가지고 있는 것보다 더 넓은 의미에서 간접적인 의사소통을 생각할 때 재검토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제 주장은 직접적인 의사소통을 없애자는 것이 아닙니다. 사회적 곤충이 인간보다 더 목적적으로 사용하는 추적 기반 의사소통 등 우리가 알아야 할 만큼 의식하지 못했던 대체 형태의 소통의 공간을 만드는 것이다.
We know that clear, explicit, verbal communication is an important marker of effective teamwork. Hence, the training of health care providers tends to prioritise direct verbal communication because of the potential for misinterpretation that indirect communication carries.28, 29 However, the assumption that indirect communication is mostly problematic needs to be revisited, in particular when we think of indirect communication in a broader sense than what we have so far. And my argument is not to get rid of direct communication. It is about making room for alternative forms of communication that we have not been as aware of as we should, such as trace-based communication, that social insects use more purposefully than humans.30

우리는 간접적인 의사소통이 보건의료에서 항상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안다. 연구는 [보디 랭귀지와 제스처]가 의미 있고 목적적인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예를 들어, 팀의 흐름을 보존하면서 지도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서입니다. 군집 지능은 [흔적trace 기반 의사소통]이 간접 통신의 유용한 형태라는 것을 우리에게 가르쳐 준다. [흔적-기반 커뮤니케이션]은 다른 개미들이 페로몬을 사용하여 다른 개미들이 먹이를 찾는 곳을 안내하는 것과 같이 다른 개체들이 행동을 조정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물체를 남기거나 환경을 수정하는 것에 의존한다. 인간에서, 간단한 예는 누군가 다른 사람(보통 배우자나 아이들)이 청소를 하도록 부엌 싱크대에 접시를 놓고 갈 때일 것이다. 그들이 그것을 하느냐 안 하느냐는 그들에게 달려 있지만, 요점은 메시지가 의도적으로 전달되었다는 것이다. 우리가 의식적으로 이러한 형태의 간접 커뮤니케이션을 수용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나의 연구팀은 의료 전문가[저널 동료 검토에 따른 원고]의 추적 사용을 탐구했다. 비록 이러한 형태의 행동을 지칭하는 특정한 용어를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타인과 소통하기 위해 흔적을 사용한다는 생각]은 이미 익숙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 예를 들어, 신생아 중환자실의 간호사들은 퇴원 과정 중에 신생아 전문의들이 일을 빨리 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항상 침대 옆에 안검경(흔적)을 남겨둔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퇴원할 때 아기의 눈을 확인하는 것은 흔한 습관이다.
  • 다른 경우에는 임상의가 팀 위계질서를 파괴하지 않고 급박한 상황에서 기동을 추구하거나 중지할 필요성을 팀장에게 전달하기 위해 특정 도구(예: 초음파)를 배치하거나 다른 도구(예: 주사기)를 제거했다.

전공이 무엇이든, 의료팀 구성원들은 서로 의사 소통하기 위해, [흔히 사용되지만 완전히 의식적이지는 않은 다양한 흔적]을 식별할 수 있었다.

We know that indirect communication is not always problematic in health care. Research has shown that body language and gestures can be used in meaningful and purposeful ways, for instance to attract a leader's attention while preserving team's flow.31 Swarm intelligence teaches us that trace-based communication is a useful form of indirect communication. Trace-based communication relies on leaving objects or making modifications to an environment to prompt other individuals to adjust their behaviour, such as ants using pheromones to guide other ants where to find food. In humans, a simple example would be when someone leaves dishes in the kitchen sink for another person (usually the spouse or the children) to clean. Whether they do it or not is up to them, but the point is that a message was delivered intentionally. Since we do not seem to consciously embrace this form of indirect communication, my research team explored the use of traces by health care professionals [manuscript under journal peer-review]. We found that while health care team members did not have a specific term for this practice, the idea of using traces for communicating with others was already familiar.

  • For instance, we found that nurses in the neonatology intensive care unit consistently leave an ophthalmoscope (a trace) by the bedside to prompt neonatologists to speed things up during the discharge process—checking the baby's eyes is a common practice upon discharge.
  • In other cases, clinicians placed certain tools (eg an ultrasound) or removed others (eg syringes) to communicate to the team leader the need to pursue or stop a manoeuvre during an acute situation without breaking the team hierarchy.

Regardless of the speciality, health care team members were able to identify a variety of traces commonly used, but likely not fully consciously,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이 경험적 탐구를 통해, 우리는 인간 사회 환경에서 [흔적을 구성하는 것]에 대한 정의를 제공하고, 의료 제공자들이 추적을 사용하도록 유도한 의도를 강조했으며, 흔적이 발견되어 커뮤니케이션을 생산적으로 향상시킨 상황의 종류를 식별했다. 우리는 [흔적]을 '다른 팀원의 행동을 촉구하기 위해 환경을 의도적으로 그리고 전략적으로 변조하는 데 사용되는 객체(표시, 신호)로 정의했다.

  • 인간이 아닌 유기체와 달리 인간은 흔적을 다른 방식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추적은 의도된 행동을 촉진하거나 촉진하지 못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흔적 반응trace response]은 생물학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것이며, 따라서 시간, 공간, 대인 관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흔적은 시간, 공간 및 대인 관계에 의해 맥락에 묶여있어서, 짧은 시간만 유지되지만short-lived, 흔적-기반 의사소통은 팀이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점이 생산적이었다.

Through this empirical exploration, we offered a definition of what constitutes a trace in a human social environment, highlighted the intentions that prompted health care providers to use traces and identified the kinds of situations where traces were found to productively enhance communication. We defined a trace as ‘an object (mark, signal) that is intentionally and strategically used to modulate an environment in order to prompt action by another team member.

  • Unlike non-human organisms, humans can interpret traces in different ways, such that the trace may succeed or fail to prompt the intended action, and may have multiple effects.
  • A trace response is social, not biological, and is therefore influenced by time, spa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
  • While these traces were contextually bound by time, spa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hich can make them short-lived, trace-based communication was nonetheless productive in helping a team adapt to changing circumstances.

의료 전문가들은 대체로 흔적 기반 의사소통의 꾸준한 사용을 기억하는 듯 보인다. '흔적'이 익숙함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그것에 대해 말하는 것을 불편해하여, '간접적으로 우리를 곤경에 빠뜨릴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가정이 여전히 건강관리 문화에 뿌리박혀 있음을 보여준다. 집단 지성은 우리가 그러한 가정을 해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Overall health care professionals seem able to recall industrious uses of trace-based communication. Despite their familiarity with traces, they were uncomfortable talking about it, indicating that the assumption that ‘indirect is most likely to get us into trouble’ is still ingrained in the culture of health care. Swarm intelligence might help us to dismantle such an assumption.

4.2 팀 적응을 활용한 집단적 자가 치유
4.2 Collective self-healing leverages team adaptation

[집단적 자가치유(collective self-healing)]는 군집 구성원이 상호교환interchangeable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군집이 실패에 대처하고 변화에 적응하는 능력이다. 집단적 자가치유라는 개념은 [집단을 최전선]에 두고, 개인을 뒤로 밀어낸다. 곤충에서 집단적 자가치유는 자연스러운 능력이다. 왜냐하면 매우 하나의 개체는 원시적이기 때문이다. 인지능력이 없으며, 조직체계는 생물학적이며, 사회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개미들은 집단으로서 군체의 진행을 방해할 자유 의지나 의사결정 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다. 하지만 인간은 그러합니다. 이것은 인간에서 [집단적인 자가치유]에 대한 어려워지는 이유이다. 인간 팀에서의 집단적 자가치유는 자연적인 특성이 아니다; 그것은 육성되고 개발되어야 한다.

Collective self-healing is the ability of the swarm to cope with failure and adapt to changes by permitting swarm members to be interchangeable. The concept of collective self-healing places the collective at the forefront and pushes the individual to the background. In insects, collective self-healing is a natural ability because individually, they are very primitive; they do not have cognitive capacity, and their organisational system is biological, not social. Ants do not have free will or decision-making capacity to disrupt the proceedings of the colony as a collective. But humans do, which creates challenges for collective self-healing. Collective self-healing in human teams is not a natural trait; it must be nurtured and developed.

지금까지, 그들의 팀에서 집단적 자가치유의 힘을 이용할 수 있는 분야는 거의 없었다. Sea, Air and Land(SEAL) 팀과의 연구는 분산된 리더십, 이전 경험, 팀 구성원 간의 신뢰, 적절한 위험 감수 및 혁신을 장려하는 관대한 문화 등 [적응력이 높은 팀]의 4가지 핵심 요소를 확인했습니다. 특히, SEAL 팀은 [분산된 리더십]을 활용하여 비인간 초유기체가 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집단적 자가 치유 능력을 가진 팀에게 부여한다. 

To date, few industries so far have been able to harness the power of collective self-healing in their teams. Research with Sea, Air and Land (SEAL) teams has identified four key elements of highly adaptable teams:

  • distributed leadership,
  • previous experience,
  • trust between team members and
  • a permissive culture that encourages appropriate risk-taking and innovation.32 

In particular, SEAL teams capitalise on distributed leadership to bestow teams with the capacity for collective self-healing in the same way as non-human super-organisms do.

중요한 것은, 초유기체super-organism 사회에서의 리더십은 전통적인 인간 팀과는 매우 다르게 보인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개미 군집에서는 외부 노동자의 30%가 세 개미의 하위 팀으로 조직될 때 '리드'한다. 리더 한 명과 전문가 두 명입니다. 각 하위 팀의 리더는 다른 두 팀의 작업을 안내하기 위해 큰 그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책임진다. 그리고 그 반대로, 두 전문가는 지도자에게 지역 정보를 제공하여 그들의 지도자가 다른 지도자들과 소통할 수 있도록 하여 집단적인 수준에서 큰 그림을 유지한다. 이와 같이, 사회 곤충 사회의 지도자들은 명령과 통제를 하지 않는다. 그들은 글로벌 패턴을 찾고, 그들에게 목소리를 부여하고, 모듈러 팀을 구성해서 전체적으로 기능하도록 합니다. SEAL 팀은 이 전략을 성공적으로 채택하여 가장 가치 있는 지식, 경험 또는 이점을 가진 사람에게 권한을 이양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Importantly, leadership in super-organism societies looks quite different from traditional human teams. For instance, in ant colonies, 30% of outside workers ‘lead’ as the colony arranges itself in sub-teams of three ants: one leader and two specialists. The leader in each sub-team is in charge of gathering information about the big picture to guide the work of the other two. And vice versa, the two specialists provide local information to the leader so that their leader can communicate with other leaders to maintain the big picture at the level of the collective.7 As such, leaders in social insect societies do not command and control; they look for global patterns, give voice to them and knit their modular teams into functioning as a whole. SEAL teams have successfully adopted this strategy to allow authority to shift to whoever has the most valuable knowledge, experience or vantage point.32

최근 한 연구에서, 우리는 [분산된 리더십]이 팀 구성원을 [테스크 스와핑swapping tasks] 형태의 집단적 자가치유를 가능하게 하는 동일한 기술을 훈련시킴으로써 육성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 경찰 기동대 팀에서는 브라보 1, 브라보 2 그리고 브라보 3과 같이 [구성원들이 숫자로 식별되는 집단적 자가치유]를 볼 수 있다. 그래서, 만약 어떤 것이 브라보 2를 무력화시킨다면, 그 팀은 전체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다른 팀원이 그 사람의 역할을 맡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안다.
  • 일부 병원 밖 팀에서도 유사한 패턴이 보인다는 것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병원 전 소생팀에서는 가능한 사람(구급병, 소방서, 경찰, 방관자 또는 학생)과 팀을 구성하여 리더 역할을 교환하는 형태의 집단적 자가치유가 이루어질 수 있다.

In recent explorations with my research team, we have found that distributed leadership can be fostered by training team members in the same skills which allows for collective self-healing in the form of swapping tasks [manuscript in preparation].

  • Collective self-healing is visible in police SWAT teams, where members are identified by numbers, like Bravo 1, Bravo 2 and Bravo 3, where Bravo 1 is the main leader. So, if something incapacitates Bravo 2, the team knows that they have to make sure another team member takes on that person's role to ensure safety of the whole.
  • We have found that similar patterns are visible in some out-of-hospital teams. For instance, in pre-hospital resuscitation teams where teams are made up with whoever is available (paramedics, fire department, police, bystanders or students), collective self-healing in the form of swapping of the leadership role can take place.

집단적 자가 치유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엄격한 위계적 구조]가 [위기 상황에서 서로 교환interchangeable할 수 있는 팀의 능력을 탈선시킬 수 있다는 것]을 관찰하고 있다. 부분적으로는, 제 생각에, 그것은 사회적 행위자성social agency을 집행하는 인간의 능력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곤충에는 없는 능력이다. 비록 군집 지능이 [사회적 행위자성 문제]를 명시적으로 다루지 않지만, 집단적 자가 치유 원리는 다른 인간 산업에서 입증되었듯이 매우 관련성이 있다. 사실, 그것은 우리에게 건강 관리 팀의 특수성에 특유한 방식으로 그것을 발전시킬 기회를 줍니다.

Notwithstanding the potential for collective self-healing, we are also observing that rigid hierarchies can derail a team's ability to be interchangeable in a time of crisis. In part, I speculate, it has to do with the capacity of humans to enact social agency—a capacity that does not exist in insects. Even though swarm intelligence does not explicitly deal with issues of social agency, the principle of collective self-healing remains highly relevant, as demonstrated by other human industries. In fact, it gives us the opportunity to advance it in a way that is unique to the particularities of health care teams.

5 의료에 대한 함의
5 IMPLICATIONS FOR HEALTH CARE

적응력이 높은 팀은 [위계 구조나 엄격한 역할 할당]보다, [효과적이고 적시의 작업 완료]를 우선시합니다. 의료 서비스 외부의 팀은 군집 지능의 원리를 활용하여 복잡한 문제를 집단적으로 적응하고 해결하는 팀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저는 건강관리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집단지성으로부터 영감을 얻어 끊임없이 변화하는 직장 환경을 탐색할 수 있는 팀을 어떻게 준비할지에 대해 다르게 생각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Highly adaptable teams prioritise effective and timely task completion over hierarchal structure and rigid role assignment. Teams outside health care are capitalising on principles of swarm intelligence to enhance their teams’ ability to collectively adapt and solve complex problems. I believe that we in health care can draw inspiration from swarm intelligence to think differently about how we prepare teams to navigate constantly changing workplace environments.

5.1 군집 지능은 우리에게 간접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를 제공한다.
5.1 Swarm intelligence gives us language for indirect communication

의료 분야에서, 우리는 팀워크에서 명확하고 직접적인 의사소통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전진해 왔습니다. 이러한 진전의 부산물로서, 우리는 간접적인 의사소통과 효과적인 의료 팀에서의 그것의 위치를 강력하게 탐구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바디 랭귀지와 제스처를 뛰어넘는 간접적인 의사소통의 형태의 역할이나 목적을 아직 완전히 의심하지 않았다. 군집 지능은 우리에게 간접적 의사소통의 대안적 형태, 특히 [흔적 기반 의사소통]을 고려할 수 있는 언어를 제공한다.
In health care, we have made headway towards fostering clear, direct communication in teamwork (eg 33-35). As by-product of this progress, we have not robustly explored indirect communication and its place in effective health care teams. (eg 36, 37). Consequently, we have not yet fully interrogated the role or purpose of forms of indirect communication beyond body language and gestures. Swarm intelligence gives us language to consider alternative forms of indirect communication, in particular trace-based communication.

의료 팀 구성원은 훈련을 받고 직접 전달자가 되는 것을 선호하지만, 우리의 경험적 연구는 현재 [흔적]이 팀 커뮤니케이션에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흔적'이 간접적인 특성을 지니기 때문에, 우리가 흔적을 사용하는 것을 인정하는 것은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지만, 그것은 또한 특히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 팀의 적응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 잠재적인 이익에 대한 풍부한 토론을 촉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흔적'은 팀이 팀의 위계를 방해하거나 직접적으로 도전하지 않고 적응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생산적인 출발점은 디브리핑 대화에서 이 언어('흔적')를 점진적으로 도입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팀은 구성원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흔적'을 사용한 순간을 성찰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흔적 기반 커뮤니케이션]을 이러한 대화의 표면으로 끌어내는 것은 팀이 의도성을 명확히 하고 상황적 과제에 대한 팀의 대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행동 패턴을 발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While health care team members are trained and prefer to be direct communicators, our empirical research shows that traces currently play a role in team communication. Due to its indirect nature, acknowledging our use of traces may create discomfort, but it can also prompt rich discussions about its potential benefits for improving a team's ability to adapt, particularly in unexpected situations. For instance, traces might be a way for teams to adapt without disrupting or directly challenging the hierarchy of the team. A productive starting point may be to progressively introduce this language in debriefing conversations. A team might consider asking their members to reflect on moments in which they used a trace to convey a message. Bringing trace-based communication to the surface of those conversations will help teams clarify intentionality and uncover patterns of behaviour that may enhance a team's response to situational challenges. 

이를 통해 흔적 기반 통신을 성공적으로 통합한 다른 산업의 통찰력을 활용해야 합니다. 건설업계의 내부 벽을 쌓는 과정, 배치된 팀을 더 잘 훈련시키기 위해 매복작전에 대한 접근방식을 재설계하려는 군수업계의 노력, 예측과 의사결정을 최적화하기 위한 기술회사 유니콘 AI의 플랫폼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사례는 동일한 철학을 공유합니다.

  • 서로 직접 대화하지 않고도 개인은 작업 환경에 남겨진 흔적을 인식할 수 있고, 이것을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건물의 벽 프레임의 변화, 맞물림/사격/후퇴 패턴 또는 AI 플랫폼에 남겨진 개별 예측:

이러한 산업은 [흔적 기반 의사소통]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그것이 얼마나 생산적이고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의료 팀의 고유한 복잡성을 감안할 때 흔적 기반 의사소통의 잠재적 힘을 활용하는 방법을 이해하기 위한 세심한 작업이 필요하다.

In so doing, we should draw on insights from other industries who have successfully integrated trace-based communication. Examples include the process of building interior wall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31 the military industry's effort to redesign their approach to ambush operations to better train deployed teams,27 or tech company Unanimous AI’s platform to optimise forecasts and decision making.38 These examples share the same philosophy:

  • without directly talking to each other, individuals become aware of traces left in their work environment—for instance, the changes in the wall frame of a building, the patterns of engage/shot/retreat or the individual forecasts left on the AI platform—and use them to carry out their part of the work.

These industries have taken trace-based communication seriously and recognise how productive and influential it can be. Given the unique complexities of health care teams, careful work is needed to understand how to harness the potential power of trace-based communication.

5.2 군집 지능은 팀워크를 강화하기 위해 집단적 자가 치유에 주의를 돌린다.
5.2 Swarm intelligence turns our attention to collective self-healing to enhance teamwork

의료 분야에서, 우리는 [팀이 예상치 못한 상황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어떻게 팀을 [상호 교환적으로 만들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문제와 씨름해 왔다. 군집 지능과 팀의 집단적 자가 치유 개념에서 얻은 통찰력은 우리가 아직 효과적으로 육성할 수 없는 팀 상호 교환성의 측면과 씨름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이것을 하기 위해서, 우리는 불편함에 앉아 보건의료 문화에 지속되어 온 오랜 믿음의 일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위계 구조의 경직성]과 그것들이 [(위계의) 의도된 목적인 안전]에 진정으로 복무하고 있는지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우리는 작업 교환과 환자 안전에 대한 그것의 역할에 대한 우리의 믿음을 주의 깊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In health care, we have struggled with the question of how to make teams interchangeable so that they develop a high capacity to adapt to unforeseen circumstances. Insights from swarm intelligence and the concept of collective self-healing in teams may enable us to grapple with aspects of team interchangeability that we have yet been unable to effectively foster. To do this, we need to sit in discomfort and examine some of the long-held beliefs that persist in the culture of health care. We may need to rethink the rigidity of our hierarchies and whether they are truly serving their intended purpose: safety. In particular, we need to carefully examine our beliefs around task swapping and its role in patient safety. 

과제 스와핑(특히 할당된 역할을 벗어난 경우)은 주로 안전을 위협하는 것으로 개념화되지만, 생산적이고 안전성을 촉진할 수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의료 및 기타 영역에서 안전은 정적이고 변하지 않는 실체가 아닙니다. 오히려, 의료 서비스 작업 과정에서 예기치 않은 도전을 포함하여 전개되는 사건들에 의해 형성됩니다. 안전성과 적응 사이의 관계는 확실히 맥락적이다. 예를 들어 [역할 교환]은 복잡도가 높은 작업에서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복잡도가 낮은 작업이나 극한 상황에서는 선호될 수 있다. 즉,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적응을 허용한다는 것]은 역설처럼 느껴진다. 세계가 코로나19 범유행과 싸우면서, 우리는 안전을 완전히 보장할 수 없다는 것을 받아들여야 하는 동시에 이동 중에 적응해야 한다.

While task swapping, particularly outside of assigned roles, is predominantly conceptualised as a safety threat, there may be instances where it can be both productive and safety promoting. Safety, in health care and other domains, is not a static, unchanging entity. Rather, it is shaped by the events that unfold—including unexpected challenges—in the course of the work of health care. And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and adaptation is certainly contextual—for instance, swapping roles may deemed unsafe in high complexity tasks, it may be preferred in low complexity tasks or in extreme situations—maintaining safety and allowing adaptation for many, feels like a paradox. As the world fights the COVID-19 pandemic, we are forced to adapt on the go while having to accept that safety cannot be fully guaranteed.

이 역설은 거의 논의되지 않지만 문헌에서 새로운 것은 아니다. Aalmberti에 따르면, 다른 산업보다도 [의료 분야]에서는 [안전, 수행능력, 회복탄력성 사이에 트레이드 오프]가 있다. 그의 말에 따르면

  • '최고의 안전(부작용 발생률 낮음),
    높은 수행능력(긴 수명, 건강한 수명, 최고의 금전적 가치)과
    강한 회복탄력성(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한 적응)은 잘 어울리지 않는다'

This paradox is not new in the literature, although it is rarely discussed. According to Amalberti, in health care more than in other industries, there is a trade-off between safety, performance and resilience. In his words,

  • ‘best safety (lower rate of adverse events),
    high performance (longer life, healthy life, best money value) and
    strong resilience (adaptation to the unexpected) do not go together very well’.39 

따라서, 이 세 가지를 모두 다 똑같이 달성하려는 목표는 실현 가능하지 않으며, 대신 '타협의 기술'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 우리는 적응을 위한 공간을 만들고자 하는 우리의 욕구와 안전을 위한 우리의 약속을 조화시키는 방법을 찾을 필요가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 적응은 안전을 강화한다. 여기서 군집 지능 유추는 영감을 줄 수 있습니다.

As such, aiming to achieve all three equally is not feasible; instead, we need to apply the ‘art of compromise’. To move forward, therefore, we might need to find ways to reconcile our desire to make space for adaptation with our commitment with safety. Ultimately, adaptation strengthens safety. Here is where the swarm intelligence analogy might become inspirational.

자연적으로 [집단적 자가치유]를 통해 집단에게 예상치 못한 위협에 무리들이 적응하는 동시에 개별 구성원들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사회적 곤충에서, 이것은 [분산된 리더쉽]에 의해 가능해진다. [분산형 리더십]은 특히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위계가 팀의 행동을 형성하는 중요한 구조로 작동하는] 의료 서비스에 잘 들어맞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 팔로워쉽과 리더쉽은 특정 역할에 얽매이지 않고 행동(예: 주도적 수용, 상승 영향, 피드백 탐색 및 발언)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도 알고 있다. [분산형 리더십]을 육성하려면 팀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협력할 수 있는 방식으로 리더십과 팔로워십의 행동을 배양]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황의 요구에 따라 리더와 팔로워 행동을 교환할 수 있는 동적 구조가 필요하다. 분산형 리더십은 군에서 입증한 바와 같이, 그리고 의료 분야의 복잡성 학자들이 제안한 것처럼 팀별로 집단적 자가 치유 개발을 촉진한다. 

In nature, collective self-healing enables swarms to adapt to unexpected threats to the collective while minimising the number of individual members lost. In social insects, this is enabled by distributed leadership.7 Distributed leadership does not comfortably fit into health care, where hierarchies are important structures that shape the actions of teams, particularly during unexpected situations. However, we also know that during these situations, followership and leadership are not tied to specific roles but to behaviours (eg initiative taking, upward influence, feedback seeking and speaking up).40, 41 Fostering distributed leadership would require us to cultivate the behaviours of leadership and followership in a way that enables teams to work together to achieve a common goal. This requires a dynamic structure that allows for the swapping of leader and follower behaviours as per the demands of the situation. Distributed leadership nurtures the development of collective self-healing in teams, as demonstrated by the military,37 and as suggested by complexity scholars in health care.42

5.3 군집 지능은 사각지대가 없는 것이 아니다.
5.3 Swarm intelligence does not come without blind spots

집단 지성이 우리에게 팀에 집단적 자가치유를 주입하는 가능성을 받아들이도록 유혹하는 반면, 우리는 인간 본성의 독특성에 대해 비판적으로 반성해야 한다. 인간과 달리, 사회적 곤충들은 자율성, 권력, 그리고 에이전시의 문제와 씨름할 필요가 없다. 인간의 특징이 팀의 집단적 자가 치유 발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려 깊은 작업이 필요하다.
While swarm intelligence entices us to embrace the possibility of instilling collective self-healing in teams, we must critically reflect on the uniqueness of human nature. Unlike humans, social insects do not have to grapple with issues of autonomy, power and agency. Thoughtful work is needed to understand how human features impact the development of collective self-healing in teams.

인간 본성은 군집 지능의 원리의 통합에 도전장을 내밀지만, 다른 산업들은 우리에게 그것이 가능하면서도 성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보건의료와 마찬가지로 군military도 위계질서를 강하게 중시한다. 특정 맥락에서는 위계질서의 한계가 있음을 인식한 군military은 [군집 지능 원리를 통합]한 [팀에 대한 대안적 사고 방식]을 기꺼이 채택해 왔다. 이러한 노력이 도전이 없었던 것은 아니며, 군 당국은 모든 시나리오에서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인정했다. 군집지능은 Navy SEAL과 같은 [배치된 팀]에게 효과적인 조직 및 의사결정 전략이지만, [공동 운영 계획 프로세스]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이 경우에는, [경직된 위계질서에 의해 부여된 권력과 기관]이 정보를 안내하고, 분석을 수행하고, 직원 기능을 집중하고, 조직 목표를 향한 종속적 활동을 지시하는 것을 촉진한다.

While human nature poses a challenge to the integration of the principles of swarm intelligence, other industries have shown us that it is both possible and fruitful. Like health care, the military strongly values hierarchy. Recognising the limits of hierarchy in certain contexts, the military has been willing to adopt alternative ways of thinking about teams by incorporating swarm intelligence principles. This endeavour has not been without challenges and the military has acknowledged that it is not effective in all scenarios. While swarm intelligence has been an effective organisational and decision-making strategy for deployed teams such as the navy SEALs who must perform in remote places, it is not well suited for joint operational planning processes where the power and agency ascribed by rigid hierarchies facilitate guiding information, conducting analysis, focusing staff functions and directing subordinate activities towards the organisational objectives.27 

[군집지능] 원리를 군사산업으로 발전시키는 연구자들은, 군집지능이 이득이 되는 상황과 장소를 분별하기 위한 신중하고 지속적인 성찰적 실천을 요구한다. 보건의료에서, 우리는 군집 지능의 맹점을 보완하는 동시에 군집 지능의 장점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른 이론과 관련된 강력한 인식론적 대화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집단 행동을 형성할 때 개개인성individuality(즉, 자율성, 창의성 및 행위자성)의 역할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우리는 팀의 집단적 자가치유를 독특하게 특징짓는 상호의존성에 대한 추가적인 견인력을 얻기 위해 무엇보다도 [심리적 안전, 관계적 행위자성, 이질적 체계heterarchy]로 눈을 돌릴 필요가 있을 수 있다. 

Researchers advancing swarm intelligence principles into the military industry call for caution and continuous reflective practice to discern the venues where swarm intelligence makes more good than harm.43 In health care, we might benefit from a robust epistemological conversation that entails engaging with other theories to augment the advantages of swarm intelligence while supplementing for its blind spots. For instance, we need to consider the role of individuality (ie autonomy, creativity and agency) as it shapes collective behaviour.44 Therefore, we might need to turn to psychological safety,45 relational agency46 or heterarchy,47, 48 among others, to gain additional traction on the interdependencies that uniquely characterise collective self-healing in teams.

팀워크에 대한 수십 년간의 연구는 [상호 교환성]과 [집단적 자가 치유]에 관한 문제에 있어서 바늘을 그리 많이 움직이지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이 팀 적응력의 핵심입니다. 군집 지능은 우리에게 내재된 가정에 도전하는 불편함에 직면하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유용한 비유와 건설적인 언어를 제공한다. 그리고 나는 우리가 지금까지 했던 모든 것을 버리고 개미처럼 행동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제 목표는 우리가 가능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에 대해 말할 수 있도록 다른 사고방식에 대한 인식을 심어주는 것입니다. 따라서, 저는 이 대화가 우리를 어디로 데려갈지 기대합니다.

Decades of research on teamwork has not moved the needle very much on issues of interchangeability and collective self-healing. Yet these features are central to team adaptability. Swarm intelligence offers a helpful analogy—and a constructive language—precisely because it invites us to confront the discomfort of challenging ingrained assumptions. And I am not saying that we should abandon everything we have done so far and start behaving like ants. My goal is to bring awareness to a different way of thinking to help us talk about what's possible and what's not. As such, I look forward to where this conversation might take us.

 


Med Educ. 2021 Apr;55(4):441-447. doi: 10.1111/medu.14358. Epub 2020 Sep 8.

On collective self-healing and traces: How can swarm intelligence help us think differently about team adaptation?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Department of Surgery, Faculty of Education, Centre for Education Research & Innovation, Schulich School of Medicine & Dentistry,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London, ON, Canada.

PMID: 32815185

DOI: 10.1111/medu.14358

Abstract

Background: Health care teams are increasingly forced to navigate complex challenges to achieve their collective aim of delivering high-quality, safe patient care. The teamwork literature has struggled to develop strategies that promote effective adaptive behaviours among health care teams. In part, this challenge stems from the fact that truly collective adaptive behaviour requires members of the teams to abandon the human urge to act self-sufficiently. Nature contains striking examples of collective behaviour as seen in social insects, fish and bird colonies. This collective behaviour is known as Swarm Intelligence (SI). SI remains poorly described in the health care team literature and its potential benefits hidden.

Objective: In this cross-cutting edge paper, I explore the principles of SI as they pertain to systemic or collective adaptation in human teams. In particular, I consider the principles of trace-based communication and collective self-healing and what they might offer to team adaptation researchers in medical education.

Results: From a SI perspective, a solution to a problem emerges as a result of the collective action of the members of the swarm, not the individual action. This collective action is achieved via four principles: direct and indirect communication, awareness, self-determination and collective self-healing. Among those principles, trace-based communication and collective self-healing have been purposefully used by other industries to foster team adaptation. Trace-based communication relies on leaving 'traces' in the environment to drive the behaviour of others. Collective self-healing is the ability of the swarm to cope with failure and adapt to changes by permitting swarm members to be interchangeable.

Conclusions: While allowing teams to rely on indirect communication and to be interchangeable might create discomfort to our ways of thinking, teams outside health care are demonstrating their value to advance human teamwork. SI offers a helpful analogy and a constructive language for thinking about team adaptation.

'그들'에서 '우리'로: 그룹 경계를 팀 포함성으로 연결하기 (Med Educ, 2019)
From ‘them’ to ‘us’: bridging group boundaries through team inclusiveness
Walter J Eppich1 & Jan B Schmutz2

 

 

이번 달 의학 교육에서, 보차타이는 집단 경계와 학술 의료 센터의 갈등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기 위한 렌즈로서 사회적 정체성 이론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보고한다. 사회적 정체성 이론은 집단 행동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며, 전문적 및 다학제적 의료 환경에서 잘 알려진 현상, 즉 '집단 내 편애', '집단 외 경멸' 및 부족주의를 명확히 한다. 그룹 내 및 그룹 외 이러한 개념은 종종 '우리 대 그들'의 멘탈리티로 나타난다. 실제로, 보차타이는 [갈등]을 '권력, 역할, 위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개인 또는 집단 간의 의견 불일치의 사회적 과정'으로 정의한다. 놀랄 것도 없이, 그들은 의료 분야의 갈등이 종종 위계적 수준과 전문적 그룹에 걸쳐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그들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그룹 프로세스가 어떻게 충돌에 기여하는지를 강조한다.

  • (i) 개별 의료 서비스 제공자들은 그룹 내 참여하기 위해 일한다. 
  • (ii) 그룹 간 경계는 임상의들이 권력 차이가 그들 자신의 그룹을 불리하게 만든다고 느끼게 한다. 

In this month's Medical Education, Bochatay et al.1 report on their use of social identity theory as a lens through which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group boundaries and conflict at an academic medical centre. Social identity theory helps to explain group behaviours and clarifies phenomena well known in interprofessional and multidisciplinary health care settings, namely ‘in-group favouritism’, ‘out-group derogation’2 and tribalism.3 These notions of the in-group and out-group often manifest in an ‘us versus them’ mentality. Indeed, Bochatay et al.1 define conflicts as ‘social processes of disagreements between individuals and/or groups influenced by power, roles, and hierarchies’. Not surprisingly, they found that conflicts in health care often occur across hierarchical levels and professional groups. Further, their results highlight how group processes contribute to conflict when:

  • (i) individual health care providers work to join the in-group, and
  • (ii) intergroup boundaries lead clinicians to feel that power differentials place their own group at a disadvantage.

어려운 갈등 경험은 잠재적으로 다른 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강화시킨다. 비록 보차타이가 [사회적 정체성 이론]을 사용했지만, [사회문화 이론]과 [실천 공동체] 같은 다른 이론적 관점 또한 이러한 상황에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론들 역시 [공동체나 '집단'에 새로 온 사람들이, 어떻게 권력과 위계질서의 문제를 협상하고, 집단 관습과 규범을 채택하고, 그들의 직업적 정체성을 개발함으로써, 주변적 구성원에서 핵심 구성원으로 나아가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Difficult conflict experiences potentially reinforce negative stereotypes of other groups. Although Bochatay et al.1 used social identity theory, other theoretical perspectives, such as sociocultural theories and communities of practice,4 also provide valuable insights in this circumstance. These theories also help us to understand how newcomers to a community or ‘group’ negotiate issues of power and hierarchy and make their way from peripheral to core members by adopting group customs and norms and developing their professional identity.

보차타이의 연구는 갈등의 부정적인 측면을 강조한다. 최근의 다른 문헌들은 좀 더 차별화된 관점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deWit 등은 작업, 프로세스 및 관계 충돌에서 구별됩니다. [작업 충돌]은 그룹 결과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반면 [프로세스와 관계 충돌]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복잡성을 감안할 때, 우리 분야는 보건의료에서의 갈등과 긴장의 본질과 다양한 영향을 더 자세히 설명하는 추가 작업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Eppich 등은 다른 임상의와의 업무 관련 전화 통화가 의사의 임상 교육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했다. 저자들은 특히 전문적, 규율적, 계층적 경계를 넘나드는 [업무 관련 전화 대화]가 [인식되지 않는 학습 기회]를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했다. ['생산적인 대화적 긴장']은 [권력의 차이, 미루기, 불확실성]을 처리하고 관리함으로써 학습을 중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생산적인 긴장은 비록 불쾌하지만, 훈련 중인 의사들에게, [미래의 긴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화에서 말하는 것과 말하는 방법]의 측면에서 행동을 수정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으로 보였다.

Bochatay et al.'s work1 underscores the negative side of conflict. Other recent literature presents a more differentiated view. For example, de Wit et al.5 distinguished among task, process and relationship conflict. Task conflict contributes positively to group outcomes, whereas process and relationship conflicts have negative effects. Given this complexity, our field needs additional work that further delineates the nature and varied influences of conflict and tensions in health care. For example, Eppich et al.6 studied how work-related telephone talk with other clinicians influenced physicians’ clinical education. The authors found that work-related telephone talk, especially across professional, disciplinary and hierarchical boundaries, represented unrecognised learning opportunities. ‘Productive conversational tensions’ appeared to have mediated learning through dealing with and managing power differentials, pushback and uncertainty. These productive tensions, although unpleasant, appeared to motivate physicians in training to modify their behaviour in terms of what they said and how they said it on the telephone in order to minimise future tensions.6

물론, 우리는 교육적 노력과 환자 치료를 모두 위협하는 비생산적인 긴장과 갈등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보차타이는 그룹 간의 경계를 넘나들고 충돌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개념으로서 관점 수용과 팀 포용성에 대해 언급한다. 우리는 그룹 및 위계의 경계에도 불구하고, '팀'의 감각을 확립하는 네 가지 전략을 확장한다. 

  • (i) 관점 수용
  • (ii) 포용적 리더십과 언어 
  • (iii) 팀 성찰
  • (iv) 그룹 간 구성원 간의 접촉 증가.

Of course, we should seek to minimise unproductive tensions and conflict, which threaten both educational endeavours and patient care. Bochatay et al.1 touch on perspective taking and team inclusivity as notions that span boundaries between groups and minimise potential for conflict. We expand on four strategies that establish a sense of ‘team’ despite group and hierarchical boundaries, including:

  • (i) perspective taking;
  • (ii) inclusive leadership and language;
  • (iii) team reflection, and
  • (iv) increased contact between intergroup members.

[관점 수용]은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세상을 상상하거나,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자신을 상상하는 것'을 포함하며, 자신과 다른 사람을 더 '자기답게self-like' 만들기 위해 결합한다. 결과적으로, [관점 수용]은 다른 사람들과의 협업을 가능하게 하고 사회적 유대와 연결을 장려합니다. 중요한 것은, [관점 수용]은 다른 사람과 그 사람이 속한 그룹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따라서 고정관념, 편견, 사회적 공격성을 최소화한다. 실질적으로 말해서, [관점 수용]은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상황을 적극적으로 상상하거나,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문제를 고려하도록 다른 사람들을 초대하기 위해 질문을 던지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Perspective taking involves ‘imagining the world from another's vantage point or imagining oneself in another's shoes’,7 merging the self and the other to make the other more ‘self-like’.8 As a result, perspective taking enables collaboration with others and encourages social bonds and connectedness.7 Importantly, perspective taking enhances understanding both of another person and of the group to which the person belongs, and thus minimises stereotyping, prejudice and social aggression.9 Practically speaking, perspective taking might involve actively imagining a situation from another person's point of view or posing questions to invite others to consider an issue from someone else's perspective.10

[포용적 리더십과 리더의 포용적 언어]는 그룹 경계를 넘어 공유된 팀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포용적 리더십]은 '그렇게 하지 않았으면 토론과 결정에 부재했을 타인의 목소리와 관점을 포함시키고자' '타인의 기여를 인정하고 초청함을 보여주는 지도자가 보여주는 말과 행위deeds'을 나타낸다. 넴하드와 에드먼드슨은 포용적 리더십이 [심리적인 안전]과 [팀원들이 목소리를 높이는 행동]을 촉진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리더십은 의료 서비스 제공자 간의 입력 및 감사 증진을 위한 [명시적 초청]의 형태를 취한다. Weiss 등은 [리더의 포용적 언어]가 의료 팀에 미치는 중요한 뉘앙스와 긍정적인 영향을 입증했다.

  • (i) 간호사들에 의해 목소리를 높이는 의사들의 그룹 외 구성원에 대한 명시적 초청과 감사의 사용 
  • (ii) 'we, us, our'와 같은 집단 대명사와 같은 암묵적 포괄적 리더 언어를 훈련 중인 의사들과 같이 더 낮은 지위의 그룹 내 구성원들에게 목소리를 높이는 것을 감독함으로써 사용한다.

이러한 발견은 실수, 우려 또는 불확실성에 대해 말하는 것이 보건 직업의 교육과 환자 안전에 모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광범위한 의미를 갖는다.

Inclusive leadership11 and inclusive leader language12 help establish a shared team identity across group boundaries. Inclusive leadership represents the ‘words and deeds by a leader or leaders that indicate an invitation and appreciation for others’ contributions’ that serve to ‘include others in discussions and decisions in which their voices and perspectives might otherwise be absent’.11 Nembhard and Edmondson showed inclusive leadership promoted psychological safety and team speaking up behaviours; such leadership takes the form of explicit invitations for input and demonstrations of appreciation among healthcare providers.11 Weiss et al. demonstrated important nuanced and positive effects of inclusive leader language on health care teams:

  • (i) the use of explicit invitations and appreciation on the part of physicians increased out-group member speaking up by nurses, and
  • (ii) the use of implicit inclusive leader language, such as collective pronouns like ‘we, us, our’, by supervising physicians promoted speaking up in in-group members of lesser status, such as physicians in training.12 

These findings have broad implications because speaking up about mistakes, concerns or uncertainty impacts both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patient safety.

팀의 포괄성에 잠재적으로 기여하는 또 다른 중요한 팀 프로세스는 [팀 성찰]입니다. [목표, 전략, 성과]에 대한 [팀 성찰]은 [공유된 정신 모델]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며, 따라서 [상황에 대한 이해]를 공유하게 되며, 이는 [인식된 포용성]을 향상시킬 가능성이 높다. 우리 자신의 연구에서, 우리는 [집단적 성찰]이 발생할 수 있는 환자 치료 에피소드의 맥락에서 특정 시점을 설명하는 건강 관리의 팀 반사성에 대한 새로운 개념 프레임워크를 개략적으로 설명했다. 환자 치료 전 '작전회의huddle'; 환자 치료 중 및 환자 치료 후 보고하는 '개괄 및 요약'. 
Another important team process that potentially contributes to team inclusiveness is team reflection.13 Team reflection about goals, strategies or outcomes helps create shared mental models and, therefore, shared understandings of a situation, which is likely to enhance perceived inclusiveness. In our own work, we have outlined a novel conceptual framework for team reflexivity in health care that delineates specific time-points in the context of patient care episodes in which collective reflection may occur:13 a ‘huddle’ before patient care; a ‘recap and summary’ during patient care, and debriefing after patient care.

이러한 과정에서, 포용적 리더십 행동과 팀 의견을 초대하는 언어를 사용하면("우리가 놓친 것이 있습니까?" "다른 제안이 있습니까?" "그 밖에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까?") 공유된 성찰과 토론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팀 성찰이 팀을 하나로 모으고 잠재적으로 팀 내 및 팀 간 경계를 줄이는 유익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며, 이는 학제 간 임상 사건 보고를 더 자주 지원한다고 믿는다. 사건 후 디브리핑은, 숙련된 촉진자에 의해 조정될 때, 관점수용을 채택하도록 권장하는 이상적인 상황을 나타낼 수도 있다. 

The use of inclusive leadership behaviours and language that invites team input (‘Did we miss anything?’ ‘Are there any other suggestions?’ ‘Anything else we need to consider?’) at any of these time-points may prompt shared reflection and discussion. We believe team reflection represents a beneficial process that brings teams together and potentially decreases intra- and inter-team boundaries, which supports more frequent interdisciplinary clinical event debriefings.14 Post-event debriefings perhaps also represent ideal contexts in which to encourage perspective taking when they are moderated by skilled facilitators.10

마지막으로, ['접촉 가설']은 서로 다른 그룹의 [사람들을 시공간에서 함께 모이게 함]으로써, [그룹 간 접촉이 증가]하는 것이, 어떻게 그룹 간 갈등과 편견을 감소시키는지를 설명한다. 따라서, 우리는 의료 분야에서 전문적, 규율적, 계층적 경계를 넘어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회를 창출해야 한다. 이것은 서로 다른 직업의 임상의들이 서로의 관점을 배우고 팀 아이덴티티를 개발할 수 있도록 전문 간 교육에 대한 노력을 정당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POC 시뮬레이션과 임상 사건 보고가 전문 분야와 분야에 걸친 제공자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추가적인 기회를 창출할 수 있다. 향후 연구는 인계, 보고 및 기타 공동 교육 이벤트와 같은 전문적 및 다학제적 협력 사건이 충돌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해야 한다.

Finally, the ‘contact hypothesis’ explains how increased intergroup contact decreases intergroup conflict and prejudice by bringing people from different groups together in time and space.15 Hence, we must create opportunities for social interaction across professional, disciplinary and hierarchical boundaries in health care. This helps to justify the push for interprofessional education so that clinicians from different professions can learn about one another's perspectives and develop a team identity. Point-of-care simulations and clinical event debriefings may also create additional opportunities for interaction between providers across professions and disciplines. Future study should delineate how interprofessional and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ve events, such as handovers, debriefings and other joint educational events, influence conflict.


비생산적인 긴장과 경계와 위계 간의 갈등은 의료에서 중요한 문제로 남을 것이다. 팀의 포괄성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에 대한 우리의 논의가 혁신과 연구에 대한 더 많은 아이디어에 불을 붙이기를 바랍니다. 이러한 혁신은 교육 및 훈련, 임상의 직업 만족도 및 환자 치료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Unproductive tensions and conflict across boundaries and hierarchies will remain significant issues in health care. We hope our discussion about strategies to promote team inclusiveness sparks further ideas for innovation and research. Such innovations have the potential to impact education and training, clinician job satisfaction, and patient care.

 


 

Med Educ. 2019 Aug;53(8):756-758. doi: 10.1111/medu.13918. Epub 2019 Jun 24.

From 'them' to 'us': bridging group boundaries through team inclusivenes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Departments of Pediatrics and Medical Education, Northwestern University Feinberg School of Medicine, Chicago, Illinois, USA.

2Department of Communication Studies, Northwestern University, Evanston, Illinois, USA.

PMID: 31236982

DOI: 10.1111/medu.13918

비-서구 문화권에서 의료 전문직업성 프레임워크: 내러티브 개괄(Med Teach, 2016)
Medical professionalism frameworks across non-Western cultures: A narrative overview
A. Al-Rumayyana, W. N. K. A. Van Mookb,c, M. E. Magzoubd, M. M. Al-Erakye,f, M. Ferwanaa, M. A. Khana and D. Dolmansb

 

서론
Introduction

지난 25년 동안, 의료 전문직업성에 대한 정의와 합의에 관한 상당한 문헌이 출판되었습니다. 그러나 서양문화의 전문 의료기관이 실시한 연구에서는 이를 [사회와 의료전문직의 계약 이행]으로 규정했다. 1980년대 초 미국내과학회(ABIM)는 다음과 같은 전문성 요소를 결정하는 휴머니즘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책임감, 이타심, 탁월함, 의무, 성실성, 명예. 이 프로젝트는 적어도 미국 사회에서 현대 의학 전문성의 요소와 의미를 정의하는 데 중요한 공헌으로 여겨졌다.
Over the past 25 years, substantial literature has been published on definitions and consensus on medical professionalism (Cruess et al. 2000; ABIM Foundation et al. 2003). However, studies done by professional medical organizations in Western culture thus defined it as a fulfillment of the medical profession’s contract with society (Sohl & Bassford 1986; Pellegrino & Relman 1999). In the early 1980s, the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ABIM) started its project on Humanism in which the following elements of professionalism were determined: accountability, altruism, excellence, duty, integrity, and honor (Evetts 2003; Zijlstra-Shaw et al. 2012). This project was considered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defining the elements and meaning of contemporary medical professionalism at least in the American society.

이와 관련, 미국 내과의사협회, 미국 내과의사협회, 미국 내과의사위원회 및 유럽 내과의사연맹은 2002년에 의료 전문성에 관한 의사 헌장을 제정했다. 이 중요한 문서에는 사회 정의, 환자 자율성, 환자 복지의 우선을 포함한 의료 전문직업성의 세 가지 기본 토대와 10가지 전문직업적 책임을 함께 열거되어 있다.

  • 환자와의 정직성, 
  • 전문적 역량, 
  • 환자의 기밀성에 대한 헌신, 
  • 질 향상 및 진료 접근성 향상, 
  • 환자와의 적절한 관계 유지, 
  • 과학적 지식, 
  • 신뢰 유지, 
  • 이해 충돌 관리, 
  • 전문직업적 책임
  • 유한 자원의 분배. 

In a related important development,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the American Society of Internal Medicine, the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and European Federation of Internal Medicine established a Charter for Physician on medical professionalism in 2002. This important document listed three basic foundations of medical professionalism including, social justice, patient autonomy, and primacy of patient welfare, (General Medical Council 2001) along with 10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that include:

  • honesty with patients,
  • professional competence,
  • commitment to patients’ confidentiality,
  • improving quality and access to care,
  • maintaining appropriate relationships with patients,
  • scientific knowledge,
  • maintaining trust,
  • managing conflicts of interest,
  •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and
  • just distribution of finite resources (ABIM Foundation et al. 2003).

그 결과, 역량 기반 커리큘럼과 전문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도입되고 있어 전문성은 학부·대학원 연수·평가 프로그램의 불가결한 부분이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들 중 일부는 일부 사회와 문화로 제한될 수 있는 반면, 다른 것들은 다른 것들보다 더 두드러진다.

As a result, the competence-based curriculum and professional training programs are being introduced, and professionalism is made an integral part of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training and assessment programs. Some of these changes may be limited to some societies and cultures, whereas others are more prominent in others.

의대생에게 의학 전문직업성을 가르칠 때는 [환자의 이익을 의사의 이익보다 우선시]하는 것을 포함한 기본적인 사회적 계약을 반영해야 한다(Cruess 2006). 따라서 Physician Charter의 편집자가 말한 것처럼, 의료 전문직업성의 사회문화적 맥락의 중요성은 더욱 가치 있고 두드러진다. "이 문서는 헌장 저자들이 의술을 실천한 서양 문화 이외의 문화에서 의학의 전통을 반영하는가?" (Blank et al. 2003) 의료 전문직업성에 대한 보편적인 진실은 없다. Ho et al(2011)은 의료전문성 적용성의 서구적 틀에 도전하여 대만 이해관계자의 가치와 문화유산을 반영한 전문성 틀을 제안했다(Irvine 1997). 많은 연구자들은 의학 전문직업성은 [어떤 문화에서든 맥락적 연결에 관한 명확한 기술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문화적 배경은 이론적으로는 전문직업성 개념에 문화적 특정 요소를 추가할 수 있지만(Hafferty 2006), 다른 한편으로는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직업성 개념에 대한 영역이 중복되어 있어 전문직의 전문직업성적 특성에 대한 공감대는 아직 검증되지 않았다.

When medical professionalism is taught to medical students, it should reflect the underpinning social contract including placing the of patients’ interests above those of physicians (Cruess 2006). The importance of a sociocultural context of medical professionalism thus becomes more valuable and outstanding as voiced by the Physician Charter editor; “Does this document reflect the tradition of medicine in cultures other than those in the West, where the authors of the charter have practiced medicine?” (Blank et al. 2003).There is no universal truth about medical professionalism. Ho et al. (2011) challenged the Western framework of medical professionalism applicability and proposed a framework of professionalism reflecting the values and the cultural heritage of Taiwanese stakeholders (Irvine 1997). Many researchers suggested that medical professionalism needs a clear description that should be contextually linked to any culture (Van De Camp et al. 2004; Wear & Kuczewski 2004; Hafferty 2006; Woodruff et al. 2008). Cultural backgrounds may theoretically add cultural-specific elements to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Hafferty 2006), but on the other hand these are herein shown to be very limited (Cruess et al. 2010). The areas on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are overlapping; therefore, the consensus on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for professionals is not yet validated.

의학교육에서 [여러 문화권에 걸친 전문직업성의 개념화]를 강조하는 것은 [사회적 핵심 가치와 지역사회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차이]에 대응한 것이다. 동양 세계의 가치와 신념은 [집단의 역동성과 존엄화된 페르소나]의 관점에서 유교적 전통에 의해 추진되는propelled 반면, [전문직업성의 진화와 담론]은 서양 문화에서 더 두드러진다(Cruess 2006). 포함된 연구 중 일부에서는 서양의 전문직업성 개념을 문자 그대로 활용했고, 다른 연구에서는 다른 출처의 개념을 인용했다. 이러한 인용은 문화적 전통이 의료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 다른 개념을 가져왔다.
The emphasis on conceptualization of professionalism in medical education across cultures has come in response to perceived differences in societal core values and community needs. While Eastern world values and beliefs are propelled by Confucian traditions in terms of group dynamics and dignified persona (Ho et al. 2011), the evolution and discourse of professionalism are more prominent in the Western culture (Cruess 2006). In some of the included studies, utilization of the Western concept of professionalism was literal (Akhund et al. 2014; Nishigori et al. 2014), and other studies (Ho et al. 2011; Chandratilake et al. 2012; Al-Eraky et al. 2014) included cited concepts from other sources (Cruess et al. 2002; Cruess 2006; Cruess et al. 2010). These citations brought different concepts on the influence of cultural traditions on medical professionalism.


비서방 문화권, 특히 중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다른 조사자들은 이러한 추세를 따랐다. Pan 등은 [모든 맥락을 포용하며, 모든 맥락에 적용할 수 있는 전문적 프레임워크는 없다]고 주장했다. 이 연구는 세 가지 비서구적인 전문성 프레임워크를 식별한다. 목표는 세 가지이다.

  • (1) 세 가지 프레임워크와 그 문화 고유의 요소를 설명한다.
  • (2) 세 가지 프레임워크 간의 공통점을 설명한다. 
  • (3) 그 차이점을 설명한다.

Other investigators from non-Western cultures especially China and Saudi Arabia followed this trend Pan et al. (2013). They all advocated that there is no professionalism framework that is comprehensive and applicable in all contexts. This study identifies three non-Western framework of professionalism; the aim is three folds:

  • (1) to describe the three frameworks and their culture-specific elements,
  • (2) to describe the commonalities among the three frameworks, and
  • (3) to describe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방법들
Methods

이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내러티브 개괄narrative overview을 사용했다. 서술적 개요는 일반적으로 각 기사의 내용을 요약한 형식으로 저자들의 연구 결과를 보고한다. 이 방법을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기준에 부합하는 기사를 4개만 발견했기 때문입니다. 둘째, 저자들이 비서양 문화권의 전문성 등 중요한 이슈를 조명해 토론을 자극하고 현안 질문에 답하려 할 때 가장 적합하다. 우리의 경우, 우리는 포괄적인 문헌 검토와 기사 선정 기준의 파악을 통해 앞서 언급한 연구 질문에 답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A narrative overview was used to realiz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 narrative overview reports the authors’ findings in a condensed format that typically summarizes the contents of each article (Green et al. 2006). The main justification of using this method is the fact that we found only four articles that met the criteria. Second, it is most suitable when the authors intend to bring an important issue such as professionalism in non-Western cultures to light for stimulating discussion and try to answer a pending question. In our case, we are trying to answer our research questions addressed earlier through conducting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and identifying selection criteria of articles.

문헌 검색
Literature search

이 검토에는 1947년부터 현재까지 가장 중요한 국제 생물의학 문헌을 다루는 PubMed, Embase(최신 데이터베이스, PsychInFO, Educational Resources Information Center(ERIC; 교육 정보 센터), 사회학적 추상화, TIMELIT(Topics in Medical Education) 등 여러 방법이 사용되었다. PubMed는 1966년부터 시작되는 문헌을 다루는 우리의 연구와 더 관련이 있다. 2002년부터 2014년까지 PubMed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검색을 제한했습니다. 그 해 「Physician Charter」가 확립되었기 때문입니다. 표 1은 검색에 사용된 용어를 보여 줍니다. 선택된 모든 연구의 참조는 이후 손으로 검색되었다. 체계적인 검토, RCT, 보고서 및 저널 기사를 포함한 정량적 및 정성적 연구가 연구의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표 2는 데이터베이스의 히트 수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두 명의 검토자는 총계와 요약본을 스캔하여 선택된 모든 연구의 포함 기준을 평가했다. 기사의 참조 리스트를 스캔 해, 의료 프로페셔널리즘과 같은 중요한 작업을 통합할 수 있는 한층 더 관련 있는 연구를 취득했습니다. 그 후, 동일한 두 검토자가 편견의 위험을 고려하여 전문 기사를 검색하여 검토하였다.

Multiple methods was used in this review including: PubMed; Embase (an up-to-date database, PsychINFO, Educational Resources Information Centre (ERIC); Sociological Abstracts; and Topics in Medical Education (TIMELIT) were covering the most important international biomedical literature from 1947 to the present day. PubMed is more relevant to our study which covers the literature starting from 1966. We limited our search on PubMed database from 2002 to 2014 because the “Physician Charter” was established in that year. Table 1 showed the terms used for the search. References of all selected studies were subsequently hand-search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including systematic reviews, RCT, reports, and journal articles was us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able 2 showed the numbers of hits in the database. Two reviewers assessed the inclusion criteria of all selected studies by scanning the totals and the abstracts. The reference list of the articles was scanned to retrieve the further relevant studies enabling us to incorporate seminal work such as the Medical Professionalism. Subsequently, full text articles was retrieved and reviewed by the same two reviewers taking in consideration the risk of biases.

 

 

포함 기준
Inclusion criteria

비서양 문화에서 의료 전문성을 다루는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선정 기준에 따라 선정되었습니다. 
(1) 의사, 의대생, 의대교사, 의료교육자, 구급대원을 모집한 의료전문성에 관한 모든 종류의 원본 기사 
(2) 비서양 문화 전반에 걸친 의료 전문성과 그 치수를 정의한 연구 
(3) 영어로 출판된 연구

Studies addressing medical professionalism in non-Western culture were selected based on the following selection criteria:

  • (1) any type of original article on medical professionalism that recruited physicians, medical students, medical teachers, medical educators, and paramedical staff,
  • (2) research that defined medical professionalism and its dimensions across non-Western cultures, and
  • (3) studies published in English language.

 

제외 기준
Exclusion criteria

비의료/패러메디컬을 포함한 서양 문맥에서 수행된 연구는 제외되었다.

Studies conducted in Western context, included non-medical/paramedical, and in non-English language were excluded.

 

결과.
Results

144개의 전문이 추가 검토를 위해 최종 후보 명단에 올랐으며, 131개의 연구는 비의료 전문성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제외되었다. 비서양 문화에서 전문직업성을 다룬 기사는 13건뿐이었다. 이 13개 연구 중 [오직 4개 연구]만이 문화 특이적 요소를 포함하는 독특한 비서구적 프레임워크를 가지고 있었다. 이 네 가지 연구로부터 오직 세 개의 다른 프레임워크만이 중국어로 확인되었고 대만 연구는 둘 다 하나의 프레임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표 3은 포함된 연구의 특성을 보여준다. 상자 1 ~ 3은 세 가지 프레임워크를 설명합니다. 다른 9개의 연구는 서양의 관점을 통해 전문성을 보기 때문에 제외되었다. 표 4는 3개의 비서양 문화에서 발견된 24개의 속성을 보여줍니다. 3개의 프레임워크에서 공통되는 속성은 3개뿐이며, 12개의 속성은 적어도 2개의 문화에서 공유됩니다. 나머지 9가지 속성은 각 문화마다 고유하다. 즉, 적어도 하나의 문화에서 발견된다.
One hundred and forty-four full-texts were shortlisted for further review; 131 studies were excluded due to its focus on non-medical professionalism. Only 13 articles addressed professionalism in non-Western culture. From these 13 studies, only 4 studies had a unique non-Western framework which includes culture-specific elements. From these four studies, only three different frameworks were identified as the Chinese and the Taiwanese studies were both focusing on one framework. Table 3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cluded studies. Boxes 1–3 describe the three frameworks. The other nine studies were excluded because they look at professionalism through a Western lens. Table 4 presents 24 attributes found in the three non-Western cultures. Only 3 attributes are common among the three frameworks, while 12 attributes are shared by at least two cultures. The remaining nine attributes are unique to each culture i.e. are found at least in one culture.

 

 

Box 1 중국 문화의 관점에서 본 프레임워크
Box 1 Framework from Chinese cultural perspective

중국의 문화적 관점에서 Ho et al(2011) 프레임워크는 그리스 사원 형태의 스턴의 의료 전문성 프레임워크로 구성되며,

  • 3개의 기본 원칙(소통, 임상 능력, 윤리),
  • 4개의 기둥(설명성, 휴머니즘, 우수성, 이타주의)
  • 빔(integrity)을 포함하고 있다. 빔은 기둥을 위에서 가로지르고 있다. 빈 기둥이 있어서 전문직업성의 가치를 추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From China’s cultural perspective, Ho et al. (2011) framework consists of Stern’s medical professionalism framework in the shape of a Greek temple and includes

  • three basic principles (communication, clinical competence, and ethics),
  • four pillars/columns (accountability, humanism, excellence, and altruism), and
  • a beam (integrity), the beam across the top of the columns. Included blank columns are to be used for additional values for professionalism.

그들은 중국 문화에서 integrity과 관련된 문화 개념인 자중(자기 존엄과 존경)을 사용했다. 저자들은 존경과 자긍심을 갖는 것이 전문성 발달의 기본 단계라고 생각하고 그것을 지지 기둥의 맨 위에 대들보로 배치했다. 의료 전문성의 이러한 속성은 서양 문화와 유사하지만, 모든 참가자들이 Zizhong의 개념과 관련된 "integrity"을 추가하기로 동의했기 때문에 이 프레임워크는 Stern에서 벗어난다. 이 틀은 대만과 중국 신앙체계의 문화적 뿌리에 깊이 박혀 있다. Ho와 그녀의 동료들에 대한 연구는 그들의 문화적 맥락에서 전문직업성의 개념을 개발하기 위해 공동체의 의료 전문가들과 구성원들이 포함되었다.

They used the cultural concept of Zizhong (self-dignity and respect) which is associated with integrity in Chinese culture. The authors consider that to be respectful and self-dignified is a fundamental step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placed it as a beam on the top of the supporting column. Although these attributes of medical professionalism are similar to Western culture, this framework derails from Stern as all participants agreed to add “integrity” relating to the concept of Zizhong. This framework is deeply embedded in cultural roots of the Taiwanese and Chinese belief system. The study of Ho and her coworkers included allied health professionals and members from the community to develop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in their cultural context.

Pan et al(2013)은 동일한 개념을 사용했다. 그러나 팀워크, 건강증진, 자기관리, 경제 등 네 가지 카테고리를 통합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8개의 범주가 integrity, 임상 능력, 커뮤니케이션, 휴머니즘, 윤리, 이타주의, 설명 책임, 탁월성을 포함한 기존의 틀을 제공했습니다. 이러한 범주는 Ho et al(2011) 및 서구 지향 문화 체계와 유사하다.
Pan et al. (2013) used the same concept. However, they integrated four additional categories of: teamwork, health promotion, self-management, and economics. According to this study, eight categories offered a preexisting framework, which included integrity, clinical competence, communication, humanism, ethics, altruism, accountability, and excellence. These categories are similar to Ho et al. (2011) and Western-oriented cultures frameworks.

 

박스 2 아라비아 프레임워크
Box 2 The Arabian framework

[아라비아 맥락]이란 아랍어를 공용어로 하고, 이슬람교가 대다수 인구의 종교인 중동의 아라비아 국가들에 의해 행해지고 있는 문화, 전통, 믿음, 그리고 행동의 혼합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행동과 전통은 반드시 이슬람 교리로부터 나온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나라들 사이에서는 몇 가지 공통된 가치관이 표준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비록 인종 집단, 부족, 지역 문화, 그리고 지역 실체에 차이가 있지만, 아랍 세계는 여러 독립 국가의 집합이라기 보다는 하나의 중요한 사회이다. 아라비아 맥락에서 알-에라키 외 연구진(2014)은 이슬람의 가치에 기초한 아라비아 문화의 맥락에서 의료 전문성의 [4대문 모델]을 설명했다. 8개의 전문적 속성이 다음과 같은 4개의 테마로 분류되었다.

  • (1) 자기자신을 다루는 것: 자기인식(taqwa)와 자기관리(ehtesab)
  • (2) 과제를 다루는 것: 수월성 다루기, 전문성 개발에 대한 헌신, 성찰적 실천
  • (3) 타인을 다루는 것: 환자, 동료 및 학생에 대한 존중, 전문적 기밀 유지
  • (4) 알라(신)를 다루는 것: 기존 문헌과 다르게, 자기-책무와 자기-동기가 알라(신)와 연계되어서, 이것은 (사람이 아닌) 알라로부터 전문직이 받는 보상이라고 정의했다.

The Arabian context can be perceived as the blend of culture, traditions, beliefs, and behaviors that are being practiced by nations of Arabian countries in the Middle East, where Arabic is the official language and Islam is the religion of majority of the population. Those behaviors and traditions are not necessarily derived from Islamic doctrines, but some common values have been accepted as the norm among populations of these countries.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ethnic groups, tribes, local cultures, and regional entities, the Arab world is a single, overarching society rather than a collection of several independent states. In Arabian context, Al-Eraky et al. (2014) described the Four Gates model of medical professionalism in the context of Arabian culture that is based on the value of Islam. Eight professional attributes were grouped into four themes which include:

  • (1) dealing with self that includes two attributes of self-awareness (taqwa) and self-management (ehtesab),
  • (2) dealing with tasks that deals with excellence, commitment to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lective practice,
  • (3) dealing with others that reflects attributes of respect for patients, colleagues and students, and maintaining professional confidentiality, and
  • (4) dealing with Allah (God), a different stream in the literature that reflects attributes of self-accountability and self-motivation that link with Allah defined it as a reward professionals receive from Allah, not from people.

박스3 일본문화의 관점에서 본 프레임워크
Box 3 Framework from Japanese cultural perspective

니시고리 외 연구진(2014년)은 일본의 문화적 맥락에 대해 "무사의 길"은 전문성에 대응한다는 가치체계라고 표현했다. 이 개념은 사무라이의 고대 무사들로부터 추출된 일본의 개인 행동 규범을 상징한다. 무사도의 틀에서 일곱 가지 주요 덕목은 청렴, 정직, 자애, 공손, 용기, 명예, 충직이다

With respect to Japanese cultural context, Nishigori et al. (2014) described the concept of Bushido as a value system that means, “the way of the warrior,” is corresponding to professionalism. This concept symbolizes a Japanese code of personal conduct extracted from the ancient warriors of Samurai. Seven principal virtues were grouped in the framework of Bushido are

rectitude (gi),
honesty (sei),
benevolence (jin),
politeness (rei),
courage (yu),
honor (meiyo), and
loyalty (chugi).

청렴은 사람이 이성에 따라 흔들림 없이 생각하고, 결정하고, 행동하는 방식을 나타냅니다. 그것은 사무라이의 가장 중요한 속성으로 여겨지는 첫 번째 속성이다. 

용기(氣)는 일본의 틀에 특화된 두 번째 덕목이며, 즉 위험에 직면했을 때 어떻게 서고 걷고 행동하고 적절한 행동을 하는지를 나타내는 용기(氣)의 정신이다.

세 번째 덕목인 자애(진)는 사랑, 동정, 연민의 개념을 결합한다. 그것은 인간의 영혼에서 가장 높은 속성으로 평가된다. 그것은 의학에 의해 "인혜로운 예술로서의 약"으로 번역되어 왔다.

일본인은 병원 직원이나 가족 등 집단의 이익과 요구에 대한 충성심을 중시해 개인의 이익과 요구보다 집단의 요구를 중시한다. 그러므로, 무사도는 가족과 그 구성원의 이익을 결합했다.

Rectitude (gi) represents the way a person thinks, decide, and behave based on reason, without wavering. It is the first attribute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attribute of the Samurai.

Courage (yu) is the second virtue which is culture specific to Japanese framework means the spirit of bearing and daring, in other word, how one stands, walks, behaves, and doing the appropriate acts when facing danger.

Benevolence (jin), as a third virtue, combines the concepts of love, sympathy, and pity. It is valued as the highest attribute in the soul of human. It has been translated by medical practice as “medicine as a benevolent art.”

The Japanese have considered loyalty (chu-gi) to the interests and needs of the group such as hospital staff and family, and they place the needs of groups above individual interest and needs. Therefore, Bushido combined the interests of family and its members.

논의
Discussion

이 섹션에서는 먼저 세 가지 프레임워크에 대해 논의한 후 이들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논의한다.
In this section, we will discuss first the three frameworks followed by discussion of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em.

중국의 프레임워크는 전문직업성의 개념화에 [자기존엄, 팀워크, 건강증진, 자기관리] 등의 측면에서 새로운 범주의 전문직업성을 추가했다. Pan et al (2013) 프레임워크의 강점은 지명된 그룹 기술(NGT)을 사용하는 다원적 전문가 그룹이 중국뿐만 아니라 다른 아시아 문화에서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의 사회적 문화적 속성을 우선시했다는 것이다.
The Chinese framework added new categories of professionalism in terms of self-dignity, team work, health promotion, and self-management to the conceptualization of professionalism. The strength of Pan et al.’s (2013) framework is that multidisciplinary expert groups using Nominated Group Technique (NGT) prioritized social and cultural attributes of medical professionalism which can benefit health-care providers not only in China but also in other Asian cultures.

아랍 문화에서 4대문 모델은 종교 중심 사회에서는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비이슬람 아랍 학생이나 교사, 또는 인도주의적 가치를 가진 기관에서는 효과가 없을 수 있습니다. 4개 게이트 모델은 4개의 논리적 영역(게이트)에서 결합되는 연결된 전문적 품질의 구조적 패턴으로 연결하기 위해 독립형 속성의 짧은 목록으로서 의료 전문성에 대한 고전적 인식에서 변화를 제안한다.
The Four-Gates Model in the Arab culture may work for faith-driven societies, but not for non-Muslim Arab students or teachers, or in institutions with humanistic values. The Four-Gates model suggests a move from the classical perception of medical professionalism as a short list of standalone attributes, to link them in a structural pattern of connected professional qualities as coupled in four logical domains (Gates).

자기 책임(self-accountability)을 사용하는 대신, Al-Eraky et al(2014)는 taqwa라는 용어를 도입했다. 프로페셔널리즘에서, 행동과 그 결과에 대한 의사의 본질적인 감각은 그들이 알라에게 대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자기 동기부여에 대해서는, 의사들이 교육, 학습, 연구에 최선을 다하고 그 대가로 알라로부터 보상을 기대하는 새로운 ehtesab의 구조가 도입되었다. 흥미롭게도, 4게이트의 관심의 중심은 개인이고, 이는 8가지 속성 중 4가지 속성에서 "자신"의 존재로 나타난다. 의료 전문성은 우선 복잡한 의료 시스템에서 일할 수 있도록 전문가들을 준비시키는 것부터 시작됩니다. 요약하면, 6개의 속성으로 이루어진 마지막 3개의 테마는 각각 서구 문화의 틀과 비슷하지만, 이 아라비아 문화 관점에 대한 연구는 사회적 책무social accountability의 개념을 신의 대한 책무divine accountability과 연결시켰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페셔널리즘의 보편적 속성은 지역 규범과 신념 체계에 따라 다양한 맥락에서 다르게 해석된다.
Instead of using self-accountability, Al-Eraky et al. (2014) introduced the term taqwa; in professionalism, an intrinsic sense of doctor for action and its consequences because they are answerable to Allah. For self-motivation, a new construct of ehtesab in which doctors perform their best in teaching, learning, and research and in return expect reward from Allah was introduced. Interestingly, the center of attention of the Four-Gates is the individual, which is reflected with the presence of “self” in four out of eight attributes. Medical professionalism starts by preparing professionals – themselves – to work in a complex health-care system. In summary, although the last three themes each consisting of six attributes are similar to frameworks of Western culture, this study on the Arabian cultural perspective linked the concept of social accountability with divine accountability. As indicated above, the universal attributes of professionalism are interpreted differently in various contexts, based on the local norms and belief systems.

일본의 문화에 대해서는 의사 헌장 등 자주 언급되는 서양의 전문 가이드의 특성을 부시도 개념과 비교했다. 그들은 종교, 전통, 미덕의 효과를 포함한 속성들 사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설명했다. 연구진은 일본 문화에서 부시도의 7가지 원칙은 의학 전문성에 적용 가능하며 의사 헌장에 상당하다고 주장했다. 눈에 띄는 차이는 부시도에는 있지만 몇 가지가 '의사 헌장'에는 없다는 것이다. 무사도에는 일반적으로 '사회를 위한 행동 규범'으로 설명되는, '청렴' '용기' '예의' '명예' 등이 있다. 반대로 환자 자율성의 개념은 부시도 체제에서는 누락되어 있지만 서양 문화에서는 높이 평가되고 있다.
In regard to the Japanese culture, the attributes of a frequently referenced professionalism Western guide such as the Physician Charter were compared to the Bushido concept. They describ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attributes including the effect of religion, traditions, and virtues. The researchers suggested that in Japanese culture Bushido’s seven principles were applicable to medical professionalism and were fairly comparable to Physician Charter (Nishigori et al. 2014). The notable differences pointed out was the omission of several commitments such as rectitude, courage, politeness, and honor in the Physician Charter that are mentioned and discussed in Bushido, as the Charter described medical professionalism, whereas Bushido explained generally as a code of conduct for the society. Prominent of other differences is the concept of patient autonomy of the individual which is omitted in the Bushido framework but is highly regarded in Western culture.

따라서 전문성에 대한 비서구적 관점을 다루는 연구는 의료인의 전문적 속성에 관한 몇 가지 주요 유사점과 차이점을 확인했다. 이러한 유사성과 차이는 다음 섹션에서 자세히 다룰 것이다.
The studies addressing non-Western perspectives on professionalism thus identified several ke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regarding professional attributes of medical practitioners. Thes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ll be addressed in more details in the next sections.

 

서양 이외의 연구에서 인용된 전문성의 공통점
Commonalities of professionalism cited in non-Western studies

이 세 가지 틀은 아랍 문화에 대한 믿음과 중국과 일본 문화에 대한 전통과 같은 문화적 규범에 의해 주도되고 깊이 영향을 받는다. 3개의 기사에서 총 24개의 속성이 식별되었다(표 4). 많은 개념들이 비서양적 문맥을 다루는 연구들 사이에서 비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양 문화와도 매우 유사했다. 예를 들어 이타주의, 정직과 진실성, 존경, 책임, 팀워크, 윤리, 임상 능력, 헌신과 소통, 환자의 권리와 환자의 보호 등이다. 

특히 동양에서 존중respect은 [강한 유대감connectivity]을 가지고 있으며, 가르치는 것뿐만 아니라 의료 환경에서 전문직업성을 실천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는 서양에서도 마찬가지지만, 현대 서구 사회에서는 교육과 환자 진료에 대한 의미가 다르다. 서양 이외의 사회에서는, 의학 교사와 학생, 그리고 의사와 환자의 직업적인 관계는, 가부장적 접근에 근거하고 있다. 이는 주로 전문직이 결정을 내리는 가부장적 접근에 기반하고 있으며, 서양에서는 더 이상 일반적인 관행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요약하자면, 요소적 유사성은 전문성의 세 가지 비서구적 프레임워크 모두에서 공통분모이다.

These three frameworks are driven and deeply influenced by cultural norms such as faith in Arab culture and tradition in Chinese and Japanese cultures. A total of 24 attributes were identified from the three articles (Table 4). Many concepts not only were comparable among the studies addressing non-Western context, but also very much comparable to Western culture, such as altruism, honesty and integrity, respect, accountability, teamwork, ethics, clinical competence, commitment and communication, and protection of patient’s rights (Chiu et al. 2010; Adkoli et al. 2011; Ho et al. 2011; Pan et al. 2013; Akhund et al. 2014; Al-Eraky et al. 2014; Nishigori et al. 2014) and patients (Cruess et al. 2010; Chandratilake et al. 2012; Leung et al. 2012; Akhund et al. 2014). Notably, in the Eastern world (Al-Eraky et al. 2014; Nishigori et al. 2014), respect has a strong connectivity and influences not only in teaching but also practicing professionalism in medical settings. This is also true in the Western world, but its meaning for teaching and patient care is different in the contemporary Western society. In the non-Western society, the professional relationship between a medical teacher and a student, and likewise, the doctor and the patient is based on the paternalistic approach where decisions are usually made by professionals (Cruess et al. 2010), which has been abandoned as common practice in the Western world, moving toward shared decision-making. In summary, elemental similarities are common denominators in all three non-Western frameworks of professionalism.

서양 이외의 연구에서 인용된 전문성의 차이
Differences of professionalism cited in non-Western studies

세 가지 비서양 프레임워크에서 기술된 몇 가지 중요한 측면은 서구 프레임워크에서 두드러지게 누락되었다. 앞서 말한 세 개의 틀에 대한 깊은 문화적 영향의 공통점은 또한 각각의 문화가 MP에 반영되는 그들만의 고유한 가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들 사이의 주요한 차이점의 원천이다. 세 개의 틀 사이의 주요한 차이점은 문화, 우선순위 그리고 각 특성에 대한 해석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9개의 attribute는 3개의 프레임워크에서 공통 또는 공유되지 않습니다.
Several important aspects described in three non-Western frameworks were notably absent from the Western frameworks. The commonalities stated earlier by the deep cultural influence on the three frameworks are also a source of major differences between them due to the fact that each culture has its own unique values that are reflected in MP. The main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frameworks are related to culture and prioritization as well as interpretation of attributes. For instance, nine attributes are not common or shared by the three frameworks.

Ho et al(2011)이 Zzong 문화 개념에서 도출한 자기 존엄성과 존중Self-dignity and respect 은 Integrity과 동일하다. Al-Eraky et al(2014)은 알라(신)를 다루는 형태로 아라비아 문화의 의료 전문성의 틀에 독특한 차원을 도입했으며, 이 주제 아래 자기 책임(taqwa)과 자기 동기 부여(ehtesab)가 기술되었다. Pan et al(2013)과 Ho et al(2011)의 프레임워크는 특히 건강 증진, 자기 관리, 팀워크 및 전문성 촉진을 위한 경제적 고려사항 등 4가지 추가 주제 측면에서 다른 두 모델과 다르다.

Self-dignity and respect derived from the Zizhong culture concept by Ho et al. (2011) equate with integrity; Al-Eraky et al. (2014) introduced a unique dimension to the framework of medical professionalism in Arabian culture in the form of dealing with Allah (God), and under the umbrella of this theme, self-accountability (taqwa) and self-motivation (ehtesab) were described. Pan et al.’s (2013) and Ho et al.’s (2011) framework differs from the other two models in terms of four additional themes, especially health promotion, self-management, team work, and economic consideration in promoting professionalism.

이 리뷰는 비서방 연구 간의 차이점을 비교하면서 중국, 홍콩, 대만 지역에서 옹호, 형평성, 인본주의 및 경제적 고려의 속성을 발견한 반면 사우디아라비아와 일본의 문화에서는 전문성의 필수적인 속성을 발견했다. 이러한 속성은 의료 전문가 정신의 필수 요소로 간주되지 않는다. 이전 절에서 설명한 이러한 유사점과 차이점은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배경과 관련이 있다.
While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non-Western studies, this review found the attributes of advocacy, equity, humanism, and economic considerations essential attributes of professionalism in the region of China, Hong Kong, and Taiwan whereas in Saudi Arabia and Japan’s culture, these attributes are not considered essential elements of medical professionalism. Thes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described in the previous sections relate to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backgrounds.

실제적 의미
Practical implication

또, 이 조사 결과나 문화의 직업적 속성에 대한 영향에 근거해, 아랍 문화에 대한 신앙이나 일본 문화에 있어서의 부시도등의 사회문화적 요소를 배경 변수로 포함시키는, 직업적 속성에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확장된 전문성의 틀을 제안할 수 있다. 속성의 우선순위 부여는 각 문화에 대한 중요성을 반영합니다. 제안된 모델은 환자 및 제공자 만족도와 같은 건강 고발자에 대한 전문적인 속성의 결과인 세 번째 수준을 추가하여 완성할 수 있다.
Based on the findings and the effect of culture on professional attributes, the study may propose an extended framework of professionalism to include sociocultural factors as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faith in Arabic culture and Bushido in Japanese culture; these background factors positively or negatively influence professional attributes. The prioritization of the attributes reflects the importance to each culture. The proposed model may be completed by adding a third level which is the outcome of professional attributes on health indictors such as patient and provider satisfaction as well as better health care.

이 연구는 전문직업성이 맥락적이라는 강력한 증거를 제시하며, 따라서 논리적으로 보자면, 의학 교육에서 전문직업성을 가르치고 평가할 때 [고유한 문화적 요소]를 커리큘럼과 CPD 프로그램에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그러나 제안된 확장된 전문성 모델과 다양한 맥락에서 전문성을 가르치고 평가하는 데 미치는 영향을 개발하고 경험적으로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This study provides strong evidence that professionalism is contextual, and therefore including culture-specific elements in curricula and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regarding teaching and assessing professionalism in medical education seems a logical consequence. Further research is however needed to develop and empirically test the suggested extended model of professionalism and the impact on teaching and assessing professionalism in different contexts.

 

연구의 한계
Limitations of the study

이 연구의 한계 중 하나는 방법으로서의 서술적 검토의 활용이다. 소수의 연구에 의존하는 이러한 유형의 검토는 발견의 일반화에 영향을 미치는 편향적인 요소를 우주에 가져올 수 있다 29-30. 다만, 개요를 실시하는 모든 스텝에 주의해, 보다 객관적으로 하기 위한 모든 조치를 취했습니다.
One of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s the utilization of narrative review as a method. This type of review which depends on few studies may bring an element of bias which affects generalization of findings to the universe 29-30. However, we took all the measures to make it more objectives by carefully following all the steps of conducting an overview.

결론들
Conclusions


이 서술적 개요는 네 가지 주요 발견을 드러냈습니다. 

첫째, 일본, 아랍권, 중국을 대표하는 알-에라키 외 연구진(2014년), 호 외 연구진(2011년), 판 외 연구진(2013년)의 세 가지 문화 맞춤형 비서구 프레임워크 개발을 시도한 연구는 4개뿐이었다. Pan et al(2013)은 Ho와 관련자들에 의해 개발된 프레임워크를 확장했다. 이러한 연구는 문화 고유의 요소를 출발 지역을 대표하는 의료 전문직업성의 독특한 개념적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했다. 

둘째, 확인된 세 개의 비서구 프레임워크는 보편적으로 칭찬받는 속성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그것들은 다양한 문화에서 다르게 해석되었다. 예를 들어, Integrity은 중국 유교적 가치에서 Zizhong과 관련이 있는 반면, 자기 동기 부여와 자기 책임성은 아라비아 문맥에서 각각 taqwa와 ehtesab으로 해석되었다. 따라서 그 차이는 속성의 해석과 우선순위 부여에 관한 것이다. 의료 전문가 정신은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모든 국가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단일한 프로페셔널리즘의 틀은 없다. 전문직이 무엇에 전념하는지를 이해하고 그 개념을 의대생과 의사의 전문적 정체성 형성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문화지향적 전문성 개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의료에 대한 결과로 이어지는 속성의 배경으로서 문화를 포함하는 확장된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This narrative overview revealed four major findings.

First, only four studies attempted to develop a three culture-tailored non-Western framework for medical professionalism (Nishigori et al. 2014); Al-Eraky et al. (2014), Ho et al. (2011), and Pan et al. (2013) representing Japan, Arab world, and China, respectively were identified. Pan et al. (2013) extended the framework developed by Ho and associates (Ho et al. 2011). These studies provided culture-specific elements in a unique conceptual framework of medical professionalism representing the region they originated from.

Second, the three identified non-Western frameworks have commonalities of universally praised attributes, but they were interpreted differently in various cultures. For instance, integrity was relevant to Zizhong in Chinese Confucian values, while self-motivation and self-accountability were interpreted as taqwa and ehtesab in Arabian context, respectively. The differences thus concern the interpretation and prioritization of the attributes. Medical professionalism is context-specific. There is no single framework on professionalism that can be globally acknowledged. A culture-oriented concept of professionalism is necessary to understand what the profession is dedicated to and to incorporate the concept into the medical students’ and physician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Finally, the authors propose an extended framework to include culture as background to attributes leading to an outcome on health care.

 


Med Teach. 2017 Apr;39(sup1):S8-S14.

 doi: 10.1080/0142159X.2016.1254740. Epub 2017 Mar 5.

Medical professionalism frameworks across non-Western cultures: A narrative overview

 

1a College of Medicine , King Saud bin Abdulaziz University for Health Sciences , Riyadh , Saudi Arabia.

2b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 Maastricht University , Maastricht , The Netherlands.

3c Department of Intensive Care Medicines , Maastricht University Medical Centre , Maastricht , The Netherlands.

4d World Health Organization - Eastern Mediterranean Regional Office , Cairo , Egypt.

5e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 University of Dammam , Dammam , Saudi Arabia.

6f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 University of Zagazig , Zagazig , Egypt.

PMID: 28417688

DOI: 10.1080/0142159X.2016.1254740

Abstract

Background: Medical professionalism is context-specific, but most literature on professionalism stems from Western countries. This study is about benchmarking of different frameworks on professionalism and interpreting the commonalities and discrepancies of understanding professionalism across different cultures. We need to study the cultural underpinning of medical professionalism to graduate future "global" practitioners who are culturally sensitive enough to recognize differences (and also similarities) of expectations of patients in various contexts.

Aim: This study aims at describing culture specific elements of three identified non-Western frameworks of professionalism, as well as their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Method: A narrative overview was carried out of studies that address professionalism in non-Western cultures in the period 2002-2014.

Results: Out of 143 articles on medical professionalism, only four studies provided three structured professionalism frameworks in non-Western contexts. Medical professionalism attributes in non-Western cultures were influenced by cultural values. Out of the 24 identified attributes of professionalism, 3 attributes were shared by the three cultures. Twelve attributes were shared by at least two cultures, and the rest of the attributes were unique to each culture.

Conclusions: The three frameworks provided culture-specific elements in a unique conceptual framework of medical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the region they originated from. There is no single framework on professionalism that can be globally acknowledged. A culture-oriented concept of professionalism is necessary to understand what the profession is dedicated to and to incorporate the concept into the medical students' and physician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대만 의과대학생의 문화간 전문직업성 딜레마 내러티브: 서양의학과 대만문화의 긴장(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7)
Taiwanese medical students’ narratives of intercultural professionalism dilemmas: exploring tensions between Western medicine and Taiwanese culture
Ming-Jung Ho1 • Katherine Gosselin1 • Madawa Chandratilake2 • Lynn V. Monrouxe3 • Charlotte E. Rees4

 

서론
Introduction

세계화 시대에 의료 종사자들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을 치료하고, 일하고, 소통해야 합니다. [문화적 역량]은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인 것으로 널리 인정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문화적 역량훈련은 서양 의학 커리큘럼에 포함되었지만, 유사한 훈련은 서양 이외의 의학 교육 맥락에서 아직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다. 동시에, 세계적인 이주와 그에 수반되는 문화의 흐름에 매료된 기존 의학 교육 문헌은 서양의 맥락에서 '기타' 또는 소수 문화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현재의 문헌은 대만과 같은 비서양 국가에서 서양 의학을 배우는 비서양 학생들이 겪는 도전을 대부분 무시하고 있다.
In an era of globalization, healthcare practitioners must treat, work and communicate with people from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Cultural competence has been widely acknowledged as essential to the provision of quality healthcare (Anderson et al. 2003; Betancourt 2006). However, while cultural competence training has been incorporated in Western medical curricula (Betancourt 2003; Brach and Fraser 2000), similar training has yet to gain traction in non-Western medical education contexts. At the same time, enamored with global migration and its attendant flows of culture, existing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has tended to focus on ‘other’ or minority cultures within Western contexts. Current literature largely ignores the challenges experienced by non-Western students learning Western medicine in non-Western countries, such as Taiwan.

대만의 문화간 전문직업성 딜레마
Intercultural professionalism dilemmas in Taiwan

대만에서는 의대생들이 환자 진료에서 직면하는 문화적 문제를 다룰 준비가 잘 되어 있지 않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비록 짧은 교육 개입이 학생들의 문화-간cross-cultural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향상시켰지만, 장기간의 유지는 걱정거리이다. 게다가 서구의 틀에 근거한 문화적 역량에 대한 일부 정량적 평가는 대만 문맥에서 유효하지 않거나 신뢰할 수 없는 것으로 판명되어 그 적용성에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여전히, 현재 대만에서 문화적 역량에 대한 관념은 [대만 문화에서 서양 의학의 도전]을 간과하고, 소수민족이나 '외국foreign' 문화와의 만남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대만과 같이 서양 이외의 맥락에서 서양 의학을 훈련받은 의대생들에게는 문화 간 딜레마가 더 뚜렷할 수 있다.

In Taiwan, research suggests that medical students are not well prepared to deal with cultural issues encountered in patient care (Lu et al. 2014). Although brief educational interventions have improved students’ cross-cultural communications skills, long-term retention is of concern (Ho et al. 2008, 2010). Moreover, some quantitative assessments of cultural competence based on Western frameworks have been found invalid or unreliable in the Taiwanese context, which has raised the question of their applicability (Ho and Lee 2007). Still, existing notions of cultural competence in Taiwan tend to focus on encounters with minority or ‘foreign’ cultures (Kleinman and Benson 2006), overlooking the challenges of Western medicine in Taiwanese culture. For medical students trained in Western medicine in non-Western contexts, as in Taiwan, intercultural dilemmas may be more pronounced.

문화 및 문화 역량
Culture and cultural competence

  • [문화]는 가치, 규범, 실천, 역할 및 관계에서 나타나는 믿음과 행동의 패턴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광범위한 용어입니다.
  • [각 개인]은, 단일 집단의 정체성을 보여주기보다는, 단순한 인종, 민족, 종교를 넘어 문화적 영향을 미치는 독특한 [키메라]입니다(베탕쿠르 2003). 
  • 이것을 확장하면, [문화적 역량]은 다양한 문화적 관행과 신념으로 특징지어지는 대인관계와 맥락에서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베탕쿠르 2006). 이 능력은 또한 '문화 상대주의', '문화 간 효과', '문화적 겸손', 그리고 '초국가적 능력'으로 언급되어 왔다.

Culture is a broad term used to signify patterns of belief and behavior, as manifest in values, norms, practices, roles and relationships (Anderson et al. 2003; Betancourt 2003). Far from denoting a singular group identity, each individual is a unique chimera of cultural influences beyond simply race, ethnicity or religion (Betancourt 2003). By extension, cultural competence implies the ability to operate effectively in interpersonal interactions and contexts characterized by diverse cultural practices and beliefs (Betancourt 2006). This ability has also been referred to as ‘cultural relativism’ (Sobo and Loustaunau 2010), ‘cross-cultural efficacy’ (Núñez 2000), ‘cultural humility’ (Tervalon and Murray-García 1998) and ‘transnational competence’ (Koehn and Swick 2006).

문화적 역량에 대한 이전의 움직임은 학생들에게 문화 간 지식과 기술을 전수하는 것을 추구했는데, 이때 주로 [문화적 고정관념]과 [과도하게 단순화된 문화 간 및 문화 내 이질성]에 의존해왔다. 그러나 문화적 역량에 대한 최근의 접근은 환자를 위한 공감적이고 개인화된 치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문화적 배경을 통합하는 것]으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Earlier movements towards cultural competence sought to impart students with cross-cultural knowledge and skills (Kripalani et al. 2006; Altshuler et al. 2003) relying on cultural stereotypes and oversimplifying inter- and intra-cultural heterogeneity (Koehn and Swick 2006; Dreher and Macnaughton 2002). Recent approaches to cultural competence, however, have shifted towards the integration of cultural background in the provision of empathic, individualized care for patients (Tervalon and Murray-García 1998; Koehn and Swick 2006; Dreher and Macnaughton 2002).

문화 간 역량에 대한 이론적 관점
Theoretical perspectives on intercultural competence

많은 학자들이 교육, 학습 및 의료 분야에서 [문화 간 역량intercultural competence]을 탐구해 왔지만, 우리는 특히 관리 연구로부터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에 이르기까지 프리드먼과 베르토인 안탈의 공헌을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이 이론을 선택한 것은 행동과학 및 정체성 기반 갈등의 개념을 바탕으로 한, [문화 간 역량]에 대한 [행동지향적 접근법] 때문이다(Friedman and Bertoin Antal 2005). 이 작가들은 [문화적 역량]은 [문화 간 역량]과 다르다고 정의한다. 그들의 관점에 따르면,

  • [문화적 역량]은 문화-간 상호작용에서 미성찰적 행동을 의미한다. 즉, 학습된 [기술, 지식 또는 '다른' 문화에 대한 가정]에 의존하는 것이다.
  • [문화 간 역량]은 '현실 협상negotiating reality'을 수반한다. 이는 높은 옹호와 높은 탐구의 신중한 조합을 통해 상호 문화적 인식과 반성을 창출하는 과정이다. [옹호]란 자신의 문화를 표현하고 대변하는 것이다. [탐구]란 자신과 타인의 문화를 탐구하고 성찰하는 것이다.

While many scholars have explored intercultural competence in teaching and learning and healthcare contexts (Byram 1997; Leininger 1996; Srivastava 2007), we draw specifically on Friedman and Berthoin Antal’s contributions from management studies to cross-cultural communication (Berthoin Antal and Friedman 2008; Friedman and Berthoin Antal 2005, 2006). We chose this theory because of its action-orientated approach to intercultural competence, drawing on concepts of action science and identity-based conflict (Friedman and Berthoin Antal 2005). These authors define cultural competence as differing from intercultural competence (Berthoin Antal and Friedman 2008; Friedman and Berthoin Antal 2005, 2006).

  • In their view, cultural competence denotes non-reflective action in cross-cultural interactions; reliance on a set of learned skills, knowledge or assumptions about ‘other’ cultures. 
  • Intercultural competence, on the other hand, involves ‘negotiating reality’: a process of generating mutual cultural awareness and reflection through a careful combination of high advocacy and high inquiry (Berthoin Antal and Friedman 2008), where advocacy involves expressing and championing one’s own culture and inquiry means exploring and reflecting upon one’s own and others’ cultures (Friedman and Berthoin Antal 2005).

프리드먼과 베르토인 안탈에 따르면,

  • [높은 옹호/낮은 탐구] 접근법에는 타인의 가치를 고려하지 않고 자신의 가치를 장려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의료 환경에서 드물지 않다. '의료 중심medicocentric' 의료인을 만난다거나, 위계적 의사-환자 관계이다.
  • [낮은 옹호/높은 탐구] 접근법은 자신의 견해를 공유하지 않고, 타인의 견해와 가치를 탐색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는 환자 치료에 잠재적인 해를 끼친다.
  • [낮은 옹호/낮은 탐구] 접근법은 다른 문화와의 만남에서 철수하거나 이탈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 [높은 옹호/높은 탐구]은 가장 바람직한 접근법이다. 탐구, 토론 및 상호 이해 정신으로 열린 의견 교환이다.

A high advocacy/low inquiry approach involves exhorting one’s own values without considering those of others—not uncommon in healthcare settings, where one might encounter ‘medicocentric’ practitioners (Campinha-Bacota and Munoz 2001; Pfifferling 1981) and hierarchical provider-patient relationships (Chandratilake et al. 2012).

On the other hand, a low advocacy/high inquiry approach involves exploring the views and values of others without sharing one’s own views, with potential detriment to patient care.

A low advocacy/low inquiry approach can be interpreted as withdrawal or disengagement from a cross-cultural encounter.

The most desirable approach, according to Friedman and Berthoin Antal, is high advocacy/high inquiry: an open exchange of views in the spirit of exploration, discussion and mutual understanding (Berthoin Antal and Friedman 2008; Friedman and Berthoin Antal 2005).

서구의 [크로스 컬쳐 프레임워크]가 대만에 적용될 수 있는지는 의문이지만, 기존의 독자적인 이론 프레임워크가 없기 때문에, 높은 옹호/높은 탐구가 최선이라는 결론을 정해두지는 않되, 프리드먼과 베르토인 안탈의 모델을 휴리스틱 장치로서 사용하였다. [서양의 이론 체계를 사용하지 않는 것]의 대안은 [이론 체계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것]이었다. 그러나 우리는 [이론이 질적 분석 과정에 엄격함을 가져올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무-이론 접근법theory-free approach를 따르지 않기로 결정했다(Rees and Monrouxe 2010).

Although the applicability of Western cross-cultural frameworks is questionable in the context of Taiwan, due to a lack of existing indigenous theoretical frameworks, we adopt Friedman and Berthoin Antal’s model as a heuristic device to analyze our data without commiting to their conclusion that high advocacy/high inquiry is ncessarily the best. The alternative to not using a Western theoretical framework was to not use a theoretical framework at all. However, we decided against this theory-free approach as we felt that theory would bring rigour to the qualitative analytic process (Rees and Monrouxe 2010).

 

근거 및 조사 질문
Rationale and research questions

비서양적 맥락에서의 의학 교육이 점점 서구화됨에 따라, 서양의학과 비서양 문화 사이의 단절을 다룰 필요가 있다. 대만에서는 의과대학의 정식 커리큘럼이 서양의 표준(서양의 프로페셔널 코드와 환자의 자율성, 기밀성, 정보에 근거한 동의를 나타내는 커뮤니케이션 모델 등)을 따르고 있지만, 임상 실무의 비공식 및 숨겨진 커리큘럼은 현지 문화에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가족]은 [환자의 자율성을 훼손할 정도]로 의료 의사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As medical education in non-Western contexts becomes increasingly Westernised, there is a need to address any disconnects between Western medicine and non-Western cultures. In Taiwan, while the formal curriculum in medical schools follows Western standards, including formal teaching and assessment of Western professional codes and communication models articulating patient autonomy, confidentiality and informed consent, the informal and hidden curriculum in clinical practice is affected by local culture. For example, families play important roles in medical decision-making, to the degree of compromising patient autonomy (Ho et al. 2012).

환자 중심의 돌봄, 상호 이해 및 공동 의사결정을 장려하는 기존 문화역량 모델(베탕쿠르 2006)에 따라 대만 학생들의 문화 간 딜레마 내러티브 분석에 '문화 간 역량intercultural competence'이라는 개념을 채택했다. 이 이야기들은 학생들의 [전문직업성 딜레마]에 대한 탐구를 통해 도출되었다: 그들이 목격했거나 참여한 상황들, 그들 자신의 문화적 관점에서 볼 때 부도덕하거나 부적절하거나 프로답지 않다고 생각하는 상황들(Christakis and Pondtner 1993). 의대생들은 문화적 차이를 수반하는 전문성 딜레마에 자주 직면하기 때문에, 문화적 역량을 키우는 것이 학생들의 전문성 학습과 실천에 핵심이다. 따라서 이 백서에서는 다음 두 가지 조사 질문에 대해 설명합니다. 

  • (1) 학생들의 문화 간 전문성 딜레마 이야기에서 대만 문화의 어떤 측면이 강조됩니까? 
  • (2) 이러한 딜레마에 대응하여 대만 의대생들은 어떤 옹호와 질문을 조합하여 이야기합니까?

In line with existing models of cultural competence that encourage patient-centered care, mutual understanding and joint decision-making (Betancourt 2006), we employed the concept of ‘intercultural competence’ (Friedman and Berthoin Antal 2005) in our analysis of Taiwanese students’ intercultural dilemma narratives. These narratives were elicited through an exploration of students’ professionalism dilemmas: situations that they witnessed or participated in, which they believe to be immoral, improper or unprofessional from their own cultural perspective (Christakis and Feudtner 1993). Since medical students frequently encounter professionalism dilemmas involving cultural differences, developing cultural competence is key to students’ learning and practice of professionalism (Ho et al. 2008; Monrouxe and Rees 2012). This paper, therefore, addresses two research questions:

  • (1) Which aspects of Taiwanese culture are highlighted in students’ intercultural professionalism dilemma narratives?
  • (2) Which combinations of advocacy and inquiry do Taiwanese medical students narrate in response to these dilemmas?

방법들
Methods

연구 설계
Study design

이 연구는 대만 의대생들의 전문직업성 딜레마에 대한 이야기를 조사하는 대규모 연구 프로젝트의 일부입니다. 질적 내러티브 인터뷰를 사용하였으며, [지식을 '사회적 상호 작용을 통해 협상되는 것'으로 개념화]하고, [다중적 현실의 존재를 인정]하는 [사회적 구성주의social constructionism]에 의해 뒷받침된다(Crotty 2003). 따라서 우리는 데이터에서 몇 가지 기본적인 정량적 패턴을 확인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에서 정성적 해석적 접근법을 취한다.
This study is part of a larger research project investigating Taiwanese medical students’ narratives of professionalism dilemmas. It employs qualitative narrative interviewing (Monrouxe and Rees 2012; Monrouxe et al. 2014) and is underpinned by social constructionism, which conceptualizes knowledge as negotiated through social interaction and acknowledges the existence of multiple realities (Crotty 2003). We therefore take a qualitative interpretive approach in this study, despite identifying some basic quantitative patterns in our data (Maxwell 2010).

맥락
Context

대만의 의학교육은 서양의학과 전통 의학을 어느 정도 수용하는 문화적 배경에도 불구하고 서양의학 교육에 기반을 두고 있다. 대만의 의학 학위는 보통 7년이며, 본 학교에서는

  • 4학년 학생들이 일주일에 하루 오후를 신체 검사와 환자력 검사를 배우는 데 소비합니다.
  • 5학년과 6학년 학생은 다양한 임상 부서에서 임상실습을 하며 관찰하고, 환자 진료에 대한 제한된 책임을 맡습니다.
  • 7학년 학생들은 환자 진료에서 직접적이지만 감독된 책임을 지는 인턴으로 활동합니다.

Taiwanese medical education is based on Western medical education (Ho et al. in press), despite the cultural backdrop embracing both Western and traditional medicine to varying degrees (Huang et al. 2014). Taiwanese medical degrees are typically seven years, and in the participating school,

  • year 4 students spend one afternoon per week learning to do physical examinations and take patient histories.
  • Year 5 and 6 students undertake clerkships in different clinical departments, observing and taking on limited responsibilities in patient care. Finally,
  • year 7 students act as interns with direct but supervised responsibilities in patient care.

참가자 모집
Participant recruitment

윤리적 승인에 따라, 우리는 참가자를 모집하기 위해 전자 게시판과 학생회 대표들의 도움을 이용했습니다. 2013-2014년에 대만 의과대학 14개 초점 그룹이 6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20~33세, 평균 연령 = 24.5세) 4-7년차에 실시되었다. 초점 그룹에는 4학년 학생 10명(여자 4명, 남자 6명), 5학년 학생 15명(여자 3명, 남자 12명), 6학년 학생 16명(여자 3명, 남자 13명), 7학년 학생 23명(여자 4명, 남자 19명)이 포함됐다.

Following ethical approval, we used electronic bulletin boards and assistance from student association representatives to recruit participants. In total, 14 focus groups at one Taiwanese medical school were conducted with 64 students in 2013–2014 (15 females and 49 males, reflective of the school’s gender ratio) in Years 4–7 (age ranged from 20 to 33, mean age = 24.5). The focus groups included 10 students from Year 4 (4 females, 6 males), 15 students from Year 5 (3 females, 12 males), 16 students from Year 6 (3 females, 13 males), and 23 students from Year 7 (4 females, 19 males).

데이터 수집
Data collection

그룹 전체에서 인터뷰의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두 명의 저자가 실시한 이전의 연구에 근거한 토론 가이드를 채용했다. 그룹 참가자 집중, 소개 및 기본 규칙 토론에 대한 전반적인 환영을 받은 후, 우리는 오리엔테이션 질문으로 각 그룹 토론을 시작했습니다. [O학년 의대생으로서, 전문직업성에 대해 어떻게 알고 계십니까?] 그런 다음, 참가자들은 그들의 전문성에 대한 정의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전문직업성 딜레마에 대해 공유하도록 요구받았다. 문헌에서 [전문직업성 딜레마]는 비윤리적, 비전문가적, 비도덕적 또는 잘못된 사건을 목격하거나 참여하는 학생들의 일상적인 경험으로 정의된다. 전문직업성 딜레마에는 윤리적 딜레마가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습니다. 학생들의 전문직업성 딜레마가 소진된 후, 우리는 인터뷰를 끝내고, 토론에 중요한 기여를 한 참가자들에게 감사를 표하고, 떠나기 전에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요청했습니다. 여기에는 기본 인구통계(예: 연령, 성별)와 교육 관련 세부사항(예: 연구 연도)이 포함되어 표본과 각 하위 그룹의 특성을 정의할 수 있었다.
We employed a discussion guide based on previous studies conducted by two of the authors (Monrouxe and Rees 2012; Monrouxe et al. 2014) in order to ensure consistency in interviewing across the groups. After a general welcome to focus group participants, introductions and a discussion of ground rules, we started each group discussion with an orienting question: “what is your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as a [state year] medical student?”. Then, participants were asked to share their professionalism dilemmas based on their discussion of their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In the literature, professionalism dilemmas are defined as day-to-day experiences of students in which they witness or participate in an event that they find unethical, unprofessional, immoral or wrong (Christakis and Feudtner 1993). Professionalism dilemma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ethical dilemmas. Once students’ professionalism dilemmas were exhausted, we closed the interviews, thanking participants for their important contributions to the discussions and asking them to complete a questionnaire before they left. This included basic demographic (e.g. age, gender) and education-related details (e.g. year of study) so that we could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our sample and each sub-group.

 

데이터 분석
Data analysis

그룹 토론은 오디오 녹음, 문자 변환, 익명화 및 ATLAS.ti 버전 7.5.2에 입력되었습니다. 첫째, 일반화된 대화가 아닌 코딩의 주요 단위로 개인적인 사고 기록(특정 사건의 이야기)을 식별했다. (예: "항상 있는 일입니다…"). 총 233건의 개인적 사건 내러티브가 확인되었다. 이 데이터의 1차 주제 분석은 [프레임워크 분석]의 5단계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Group discussions were audio-recorded, transcribed, anonymized and entered into ATLAS.ti Version 7.5.2 (Scientific Software Development GmbH, Berlin, Germany). First, we identified personal incident narratives (i.e. stories of specific events) as the primary unit for coding, rather than generalized talk (e.g. “it happens all the time…”). In total, 233 personal incident narratives were identified. A primary thematic analysis of this data was undertaken using the five stages of framework analysis (Ritchie and Spencer 1994):

  1. 1. 모든 저자는 주제와 하위 주제를 식별하기 위해 독립적으로(각각 최소 6개의 대본) 데이터를 숙지했다. 5명의 저자 중 2명은 영국과 호주에서 전문직업성을 위해 이전에 개발된 코딩 프레임워크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연역적인 방식]으로 이를 수행했다. 다른 세 명의 저자는 이 과정을 [귀납적인 방식]으로 수행했다.
    1.
    All authors familiarised themselves with the data independently (at least 6 transcripts each) in order to identify themes and sub-themes. Note that two of five authors did this in a deductive manner based on their knowledge of a previously developed coding framework for professionalism from the UK and Australia (Monrouxe and Rees 2012; Monrouxe et al. 2014). The other three authors engaged in this process in an inductive fashion.
  2. 2. 우리는 서로의 통찰력을 공유하고 상호 합의된 코딩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기 위해 함께 모였습니다. 학생의 내러티브에서 식별되는 가장 일반적인 주제 중 하나가 [문화간 딜레마]였고, 문화간 딜레마 내러티브의 2차 분석을 실시하기로 결정하였으며, 이 논문의 초점이 되었다. 그런 다음, 우리는 문화간 전문직업성 딜레마에 대한 추가적인 코딩 프레임워크를 개발했고(예를 들어, 학생들은 어떤 유형의 문화 간 딜레마를 경험했는가) 데이터를 코드화하기 위해 프리드먼과 베르토인 안탈(2005)의 옹호와 질문 조합을 사용했다.
    2.
    We came together to share our insights and to develop a mutually-agreed coding framework. As intercultural dilemmas were among the most common themes identified in students’ narratives, we decided at this point to undertake a secondary analysis of intercultural professionalism dilemma narratives, which became the focus of this paper. We then developed an additional coding framework for intercultural professionalism dilemmas (for example, what types of intercultural dilemmas did students experience?) and employed Friedman and Berthoin Antal’s (2005) combinations of advocacy and inquiry, to code the data.
  3. 3. 두 번째 저자는 모든 문화 간 전문지업성 딜레마 내러티브를 코드화하고, 연구 보조자는 코드화를 재확인했다(승인 참조). 이견은 제1저자와의 논의를 통해 해결되었다.
    3.
    The second author coded all intercultural professionalism dilemma narratives and a research assistant double-checked the coding (see acknowledgements). Disagreements were resolved through discussion with the first author.
  4. 4. 데이터를 차트화했다(즉, 주제 내에서 패턴을 탐색했다).
    4.
    The data were charted (i.e., patterns were explored within the themes).
  5. 5. 이 주제들은 프리드먼과 베르토인 안탈(2005)의 이론 체계와 기존 문헌에 비추어 해석되었다.
    5.
    These themes were interpreted in light of Friedman and Berthoin Antal’s (2005) theoretical framework and existing literature.

 

결과.
Results

우리는 109개의 문화 간 딜레마를 확인했는데, 그 중 98개(90%)는 대만 문화 문제를, 10개(9%)는 국제 문화 문제를, 그리고 1개(1%)는 둘 다와 관련된 이야기(Monrouxe와 Rees 2017)를 확인했다.
We identified 109 intercultural dilemmas, 98 (90%) of which referred to one or more Taiwanese cultural issues and 10 (9%) to international cultural issues, as well as one narrative (1%) referring to both (Monrouxe and Rees 2017).

 

학생들의 문화 간 딜레마에서 대만 문화의 어떤 측면이 인용되는가?
Which aspects of Taiwanese culture are cited in students’ intercultural dilemmas?

다음과 같은 대만 문화 주제가 확인되었으며, 여러 주제와 관련된 서술이 일부 확인되었다.

  • (1) 가족 관계 및 역할(n = 37),
  • (2) 지방 정책(n = 33),
  • (3) 말기 의료(n = 15),
  • (4) 한의학(n = 15),
  • (5) 젠더 관계(n = 11)
  • (6) 대만어
  • (7) 기타 문화적 이슈

각 주제와 설명에 대한 설명은 표 1을 참조하십시오.
The following Taiwanese cultural themes were identified, with some narratives involving multiple themes:

  • (1) Family relations and role (n = 37);
  • (2) Local policy (n = 33);
  • (3) End-of-life care (n = 15);
  • (4) Chinese medicine (n = 15);
  • (5) Gender relations (n = 11);
  • (6) Taiwanese language (n = 7); and
  • (7) Other cultural issues (n = 8).

See Table 1 for a description of each theme and illustrative narratives.

 

대만 학생들은 어떤 옹호와 탐구를 조합하여 이야기합니까?
Which combinations of advocacy and inquiry do Taiwanese students narrate?

109개의 문화 간 딜레마 내러티브 중 62개는 옹호/탐구 프레임워크를 적용하기에 대인관계에 대한 충분한 세부사항을 제공했다(정의와 예는 표 2 참조). 이하에, 특정된 옹호와 탐구의 조합의 예를 나타냅니다.
Of the 109 intercultural dilemma narratives, 62 provided sufficient detail about interpersonal interactions to apply the advocacy/inquiry framework (see Table 2 for definitions and examples). Below, we provide examples of the combinations of advocacy and inquiry identified.

 

낮은 옹호/낮은 탐구
Low advocacy/low inquiry

대부분의 학생들의 내러티브는 대만의 문화적 딜레마에 관여하는 것을 꺼리는 것을 반영했다. 흥미롭게도, 학생들은 종종 그러한 경우에 불확실하거나 실망감을 표현했다. 한 7학년 학생은 자기 친적 이야기를 했다. 친척은 폐색전증으로 혈액을 희석하면서 한약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 학생은 양약과 한약의 조합이 친척의 사망으로 이어졌다고 의심했다.

Most of the students’ narratives reflected their reluctance to engage with Taiwanese cultural dilemmas, though a few observed superiors taking the same approach. Interestingly, students often expressed uncertainty or disappointment in such cases. In a narrative combining end-of-life care, the role of the family and Chinese medicine, a Year 7 student shared that her own relative, while taking blood thinner for a pulmonary embolism, began to use Chinese medicine. The student suspected that the combination of Western and Chinese medicines led to her relative’s death:

대학에서 전통의학 동아리에 가입했는데... 그래서 배웠어요. 인삼과 동콰이 항응고 효과에 대한 연구가 있어요. (Y7F2)
I participated in a traditional medicine club in the university… So I learned… that there… [is] some research about… ginseng and… dong-quai hav[ing an] anticoagulation effect. (Y7F2)

 

하지만 친척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그녀는 관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Yet, upon hearing of her relative’s death, she chose not to get involved:

가족에게는 설명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 환자의 딸이 아버지가 전통 의학을 찾아야 한다고 제안했기 때문이다… 그들은 전통 의학이 항응고 효과도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 (Y7F2)
I didn’t explain that to the family… because I think it’s the patient’s daughter that suggest[ed] that… [her] father should seek… traditional medicine… They… don’t know that traditional medicine also include[s] some anticoagulation effect. (Y7F2)

 

그러나 이 학생의 한의학 지식은 흔치 않았다. 서양 생물의학 교육을 받은 대부분의 학생들은 전통의학을 배우는 데 거의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한 학생은 환자가 한의학을 언급했을 때 더 이상 묻지 않고 이 점을 공유했다.
This student’s familiarity with Chinese medicine was, however, uncommon. Most students, having been trained in Western biomedicine, expressed little interest in learning about traditional medicine. One student shared that, instead of inquiring further when a patient mentioned Chinese medicine:

그냥 적어두지만 독소가 아닌 한 아무도 신경 쓰지 않을 겁니다. (Y5M4)
I just write [it down], but I think nobody cares about that as long as it is not some kind of toxin. (Y5M4)


대만에서는 죽음을 둘러싼 문화적 금기사항 때문에 위독한 환자나 노환자의 가족은 종종 환자와 상의하지 않고 중요한 임종 결정을 내린다. 한 7학년 학생은 가족이 환자에게 자신의 상태를 말하는 대신 혼수상태에 빠질 때까지 기다려 DNR오더를 내린 암 환자의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이 학생은 이러한 방식에 불편함을 표시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Due to cultural taboos surrounding death in Taiwan, the families of critically ill and elderly patients often make important end-of-life decisions without consulting patients. A Year 7 student shared the story of a patient with cancer whose family, rather than telling the patient about his condition, waited until he was in a coma to sign a ‘do not resuscitate’ order. The student expressed discomfort with this practice, saying:

하지만 그건 말이 안 돼요. 환자가 소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려야 하는데... 대만 문화, 이런 상황은 정말 흔해요. (Y7M5)
but that doesn’t make sense, because we should let the patient know that he will [not be resuscitated]… but I think in… Taiwanese culture, this situation is really common. (Y7M5)

 

이 학생은 다음과 같은 딜레마에 직면한 의대생들 사이에서 낮은 지지/낮은 질의 응답이 일반적이라고 관찰했다.
The student observed that a low advocacy/low inquiry response is common among medical students faced with this type of dilemma:

몇몇 의대생들은 그런 이상한 상황을 마주하고 싶지 않기 때문에 그냥 물러설 것이다. (Y7M5)
some of the medical students will just withdraw… because they d[o]n’t want to face that strange situation. (Y7M5)

높은 옹호/낮은 탐구
High advocacy/low inquiry

일부 학생들은 높은 옹호/낮은 탐구 방식을 사용하여 자신의 경험을 공유했지만, 대부분은 이 방식을 사용한 상관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예를 들어, 한 5년차 학생은 환자 치료에 가족이 관여하는 사건에 대한 치프 레지던트의 높은 옹호/낮은 탐구 접근법의 비효율성에 주목했다. 환자의 며느리는 [의대생들이 시어머니를 방문하는 것]에 대해 불만을 표시했다.
While some students shared their own experiences using a high advocacy/low inquiry approach, most were critical of their superiors who used this approach. For example, a Year 5 student noted the ineffectiveness of a chief resident’s high advocacy/low inquiry approach in an incident concerning family involvement in patient care. When a patient’s daughter-in-law expressed frustration with the medical students visiting her mother-in-law:

치프 레지던트도 조금 화가 나서 '여기는 교육병원이니 학생들을 거절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Y5F3)
the chief resident was also a little bit angry and [told] her, ‘this is the teaching hospital, so you should not decline the students’. (Y5F3)


그러나 이 학생은 치프 레지던트가 종종 대만 가족의 비난을 받는 [며느리에 대한 시댁의 압박]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노력하지 않았다는 것을 인정했다.

The student recognized, however, that the chief resident made no effort to inquire about family pressures on the daughter-in-law, who often bears the brunt of a Taiwanese family’s blame:

우리는 다른 전공의와 다른 치프 레지던트로부터 그녀가 환자의 유일한 간병인이라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만, 다른 가족들은 그녀에게 '어머니를 잘 돌봤나요?'라고 질문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 할머니 잘 보살펴드렸니?' 가족들로부터 엄청난 압박감을 받고 있는 것 같아요. 거기엔 그녀 한 명밖에 없어요. (Y5F3)
We’ve heard from other residents and [another] chief resident that she’s the only caregiver of the patient, but the other [family members] may… question her, ‘Did you take good care of my mother? Did you take good care of my grandmother?’ So maybe she’s under great pressure [from] the family, and there’s only one of her. (Y5F3)

한 6학년 학생은 표 2와 같이 한약을 사용하는 환자와의 상호작용에서 '의학중심주의'가 뚜렷한 한 교수를 관찰하였다. 한 5학년 학생은 이 관찰을 반복하면서 다음과 같은 의사를 묘사했다.
A Year 6 student observed a professor whose ‘medicocentrism’ was evident in interactions with patients who used Chinese medicine, as indicated in Table 2. A Year 5 student echoed this observation, describing a doctor who:

한약을 가지고 귀찮게 만들고 싶지 않다. 그래서 그는 그냥 '오, 제발 이 약을 드세요, 한약은 먹지 마세요.'라고 말한다.(Y5M3)
doesn’t want to bother himself [with]… Chinese medicine, so he just say[s], ‘oh come on… please just take this drug, don’t take Chinese medicine’. (Y5M3)

 

학생은 이 접근방식이 다음과 같이 환자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고 인식했다.
This approach, the student recognized, may harm the patient, as it:

의사가 처방하는 약의 성질을 설명하지 않기 때문에 환자의 순응도가 좋지 않다. (Y5M3)
results in… bad compliance… because the doctor just simply doesn’t explain what kind[s] of characteristics the drug that he prescribe[s has]. (Y5M3)

높은 옹후/높은 탐구
High advocacy/high inquiry


학생들은 종종 선배의사가 취한 [높은 옹호/높은 탐구 접근법]에 감탄하고, 다른 학생들은 이 접근방식을 성공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자랑스럽게 여겼다. 예를 들어 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제 많은 대만인들이 만다린어를 구사하여 더 이상 대만어로 의사소통을 할 수 없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짧은 환자와의 만남에서는 언어 능력을 배울 수 없지만, 한 5학년 학생은 자신이 어떻게 대만어를 하는 환자들과 더 잘 소통하고 배울 수 있었는지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Students often admired the high advocacy/high inquiry approaches taken by their superiors, with others being proud to share their own successful use of this approach. For example, as explained in Table 1, many Taiwanese people speak Mandarin and are no longer able to communicate in Taiwanese. Although language skills cannot typically be learned during brief patient encounters, a Year 5 student related how she was better able to communicate with and learn from Taiwanese-speaking patients:

저는 대만어로 할 수 있는 단어를 제한적으로 사용하려고 합니다. 또한 그들이 자신의 방식으로 이해한 것을 알려주면 더 많은 대만어를 배울 수 있기 때문에 단어를 더 잘 설명할 수 있습니다. 좋아지고 있어요. (Y5F3)
I try to use the limited words I can speak in Taiwanese and when they tell us what they understand in their own way, I can learn more Taiwanese word[s]… so I can use the words [t]o explain better to them so… I’m improving. (Y5F3)

 

환자에게 더 물어봄으로써 그녀는 다음과 같이 할 수 있었다.
By further inquiring of the patient, she could:

그들이 이해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Y5F3)
make sure [of] what they understand… and make [a] better understanding. (Y5F3)

 

표 2에서 강조된 바와 같이, 4학년 학생은 가족이나 친구와 한의학에 대해 이야기할 때 공감과 정직으로 응답하면서 높은 지지와 높은 관심을 보였다.
As highlighted in Table 2, a Year 4 student exercised high advocacy/high inquiry when talking about Chinese medicine with family and friends, responding with empathy and honesty.

 

낮은 옹호/높은 탐구
Low advocacy/high inquiry

소수의 학생들은 낮은 옹후/높은 탐구의 접근법에 대한 경험과 관찰을 공유했는데, 그 중 많은 수가 환자에게 치명적인 진단에 대해 알리는 것을 가족이 거절하는 것에 관한 것이었다. 6학년 학생은 환자의 자율성에 대한 신념과 합법성에 대한 우려를 억누르면서 가족의 관점을 존중하는 방법을 공유했습니다.

A few students shared experiences and observations of low advocacy/high inquiry approaches, many of which concerned families’ refusals to inform patients about fatal diagnoses. A Year 6 student shared how he respected a family’s point of view while suppressing his belief in patient autonomy and concerns about legality:

그 가족은 의사에게 아버지에게 아버지의 건강에 대해 말하지 말라고 설득했다. 그들은 그가 행복하게 살기를 원했고 어떤 치료도 거부했다. 하지만 사실 환자의 자율성을 존중하기 위해 환자의 몸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환자에게 알려야 합니다. 하지만 대만에서는 사회적 또는 전통적 가치나 규범 때문에 가족이 결정하는 것을 존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건... 법에 있어요. 말기 환자라도 치료 계획이나 선택지에 대해 말해줘야 하지만 실제로는 쉽지 않다. (Y6M8)
the family sort of lie[d], persuade[d] the doctors… not [to] tell… their father about… his health. They wanted [him] to live happily and… refuse[d] any medical treatment. But actually, in order to respect the patient’s autonomy, we’re supposed to tell the patient about what’s going on in his body. But in Taiwan… perhaps due to… social or traditional value[s] or norms… we tend to… respect what [the] family decide[s]. But it’s… in the law. It sa[ys] even the terminal[ly] ill patient, you have to tell him about the treatment plan or his options… but in practice… [it’s] usually not easy to. (Y6M8)


한편, 표 2에서 강조된 바와 같이, 6학년 학생은 자신의 신념에 관계없이, 말기 치료 시 한약 사용을 존중하는 이유로 환자의 자율성을 들었다. 비슷한 상황에서, 한 7학년 학생은 방문진들이 침과 피를 흘리기 위해 한의사를 방문하는 것을 반대하지 않는 것을 관찰했다.
On the other hand, as highlighted in Table 2, a Year 6 student cited patient autonomy as a reason to respect the use of Chinese medicine during end-of-life care, regardless of her own beliefs. In a similar situation, a Year 7 student observed how a visiting staff did not oppose a visit from a Chinese medicine doctor to administer acupuncture and blood-letting.

 

논의
Discussion

이 연구에서 우리는 대만의 의대생들이 공유하는 [전문직업성 딜레마의 거의 절반]과 [문화간 딜레마의 거의 대부분]이 서양의학과 대만 문화의 긴장을 우려하는 것임을 관찰했다.

  • 첫 번째 조사 질문에서는 대만 문화 간 전문성 딜레마에 대해 가족관계와 역할, 지방정책과 입법, 종말관리와 죽음, 전통의학, 성관계와 규범, 대만어 및 기타 문화적 신념과 실천 등 7가지 주제를 특정했다.
  • 두 번째 연구 질문에 대해,
    • 대부분 낮은 옹호/낮은 탐구 접근법을 언급하였고, 이는 학생들이 대체로 문화 간 딜레마에 빠져나가는 쪽을 선택했다는 것을 시사한다.
    • 흥미롭게도, 학생들은 종종 높은 탐구/높은 옹호로 분류된 경험에 대해 긍정적으로 말하면서,
    • 높은 옹호/낮은 탐구로 분류된 내러티브에서는 종종 윗사람을 비판했습니다.
    • 낮은 옹후/낮은 탐구의 경우, 그들은 종종 불확실성이나 실망감을 표현했다.

In this study we observed that, nearly half of the professionalism dilemmas shared by Taiwanese medical students related to culture and nearly all were intercultural dilemmas, in that they concerned tensions between Western medicine and Taiwanese culture.

  • In terms of our first research question, we identified seven themes for Taiwanese intercultural professionalism dilemmas: family relations and role, local policy and legislation, end-of-life care and death, traditional medicine, gender relations and norms, Taiwanese language and other cultural beliefs and practices.
  • With respect to our second research question, we found that
    • a low advocacy/low inquiry approach was narrated the majority of the time, suggesting that students typically opted out of engagement with intercultural dilemmas.
    • Interestingly, students frequently spoke positively about experiences classified as high inquiry/high advocacy,
    • while they often criticized superiors in narratives categorized as high advocacy/low inquiry.
    • In cases of low advocacy/low inquiry, they often expressed uncertainty or disappointment.

조사결과와 기존 문헌과의 비교
Comparison of findings with existing literature

우리는 영국과 호주에서 학생들의 내러티브를 수집하는 데 사용된 것과 동일한 포커스 그룹 방법론과 내러티브 인터뷰를 사용했다. 이전 연구는 아마도 서양의학을 배우는 서양 맥락의 학생들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문화 간 딜레마를 발견하지 못했는데, 이는 학생들이 이러한 문화 간 긴장을 경험할 기회가 적다는 것을 의미했다. 대만 의대생들의 문화 간 딜레마는 부분적으로 [서양적 방식의 의학과 대만적 방식의 수련]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서구화된 의료 문화는 대만 학생들을 대만의 특정 가치관, 관행, 신념과 충돌시킬 수 있다. 비록 서양의학과 비서양의 문화 사이의 갈등이 비서양의 환경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지만, 비슷한 도전은 서양의 맥락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We employed the same focus group methodology with narrative interviewing as was used to collect student narratives in the UK and Australia (Monrouxe and Rees 2012). However, the previous study did not find intercultural dilemmas, probably because it involved students in a Western context learning Western medicine, which meant fewer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experience such intercultural tensions. The intercultural dilemmas expressed by our Taiwanese medical students may, in part, be explained by the Western style of medicine and medical training in Taiwan. Such Westernised medical culture can set Taiwanese students at odds with certain Taiwanese values, practices and beliefs (Dreher and Macnaughton 2002). Although the conflict between Western medicine and non-Western cultures may be more pronounced in non-Western settings, similar challenges have been found to exist in Western contexts (Westerhaus et al. 2015).

대만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낮은 옹호/낮은 탐구 방식을 통해 [문화 간 딜레마에 관여하지 않기로 선택했다는 것]은, [문화적 지식]만 가지고 있는 것은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학생들의 낮은 지지/낮은 질문 접근법에 대한 의존은 그들의 권위와 경험 부족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이는 학생들이 민감한 상황에서 결정을 내리는 것을 방해한다. 사실, 대만과 같은 [중등도 위계 사회]에서, 학생의 목소리를 듣고자 하지 않기 때문에, 문화적 갈등과 같은 복잡한 문제를 다루는 것은 보통 윗사람에게 맡겨질 수 있다. 문화 간 역량은 공감 및 개인화된 환자 관리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아시아 학생들 사이에서 이전에 보고된 낮은 공감 수준이 이탈에 기여했을 수 있다. 또한, 감정적으로 충전된 시나리오(예: 수명 만료 관리)에서는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기 위하여 withdraw했을 수도 있다. 대만의 이전 연구에 따르면 완화의료 종사자들은 [환자를 개종하려 들지 말고, 교육하고, 지원하며, 환자 가족과 공공연하게 소통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체면'이 중요한 대만에서는 낮은 옹호/낮은 탐구 접근법이 선호될 수 있으며, 이는 환자가 [부정적인 체면(즉, 원하는 대로 행동할 자유)]을 유지하면서 학생들이 자신과 환자의 [긍정적인 체면(즉, 자기 이미지)]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That most students opted out of engagement with Taiwanese intercultural dilemmas through low advocacy/low inquiry approaches highlights that cultural knowledge alone is insufficient. Students’ reliance on a low advocacy/low inquiry approach might be explained by their lack of authority and experience, which precluded them from taking decisions in sensitive situations. Indeed, students in a moderately hierarchical society like Taiwan (Hofstede n. d.) may leave their superordinates to deal with complex issues like cultural conflicts, as their voices might not be heard (Sidanius and Pratto 1999). As intercultural competence is related to empathy and individualised patient care, the low empathy levels previously reported among Asian students may have contributed to disengagement (Berg et al. 2015). Also, in emotionally charged scenarios (e.g., end-of-life care), students might withdraw in an effort to regulate their own emotions (Gross 1998; Gross and Thompson 2007). Previous research in Taiwan indicates that palliative care workers recognize that they should not proselytize, but educate, support and openly communicate with patients’ families (Hu et al. 2002). In Taiwan, where ‘face’ is important, a low advocacy/low inquiry approach might be preferred, permitting students to maintain their own and the patients’ positive face (i.e., self image) while allowing patients to maintain their negative face (i.e., freedom to act as they wish: Goffman 1967; Johnson et al. 2004).

[높은 옹호/높은 탐구 접근법]은 의미가 명시적이고 직접적으로 표현되는 저맥락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일반적으로 서양 맥락)에 가장 적합해 보일 수 있지만, 우리의 조사 결과(학생들이 높은 옹호/높은 탐구 내러티브에 대해 긍정적으로 말한 것)는 문화간 역량은 고맥락 의사소통 맥락(일반적으로 아시아 맥락)의 경우에도 효과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의사와 환자는 고맥락의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덜 명확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지만, 다른 관점을 표현하고 상호 이해를 위해 노력할 수 있는 문화적으로 적절한 방법을 찾을 수 있다.
Although a high advocacy/high inquiry approach might seem best-suited to low context communication styles (typically found in Western contexts), where meanings are expressed explicitly and directly, our findings (that students spoke about high inquiry/high advocacy narratives positively) suggest that intercultural competence might also work in high context communication settings (typically in Asian contexts). Physicians and patients may communicate less explicitly in high context communications settings, but could still find culturally appropriate ways to express differing perspectives and work towards mutual understanding (Gudykunst et al. 1996; Nishimura et al. 2008).

방법론상의 과제와 강점
Methodological challenges and strengths

우리의 연구와 관련하여 많은 방법론적 문제가 있다. 

  • 첫째, 포커스 그룹은 단일 대만 의과대학에서 실시되었으며 다른 기관 학생들의 경험과 관찰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만의 몇몇 의과대학 학생들은 중국과 서양 의학을 공부한다. 서양의학과 한의학을 포함한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학생들은 이문화간의 전문성 딜레마를 다르게 생각할 수 있다. 
  • 둘째, 이 연구는 대만의 문화 간 딜레마를 검토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지역 문화를 이차 분석의 테마로 파악했다. 즉, 우리는 학생들에게 그들의 내러티브의 문화적 측면에 대한 논리와 반응을 묻지 않았다. 
  • 마지막으로, 프리드먼과 베르토인 안탈이 개발한 프레임워크는 높은 옹호/높은 탐구 접근법을 지지하지만, 이 프레임워크 기저의 가정이 [비서구 문화 환경]에서는 완전히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Friedman과 Bertoin Antal은 다국적 기업 구성원 간의 권력 관계가 본 연구에서 설명한 의사-환자 및 교사-학생 상호 작용과 다른 국제 비즈니스 맥락에서 프레임워크를 개발했습니다. 본 연구의 맥락에서, 옹호는 존중이 없는 것으로, 탐구는 무례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상황이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문화적 맥락과 시나리오에서 높은 옹호/높은 질의 접근방식을 신중하게 적용해야 할 수 있다.

There are a number of methodological challenges concerning our study.

  • First, focus groups were conducted at a single Taiwanese medical school and may not reflect the experiences and observations of students at other institutions. For example, students at some medical schools in Taiwan study both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Students who opt for programs including Western and Chinese medicine might conceptualize intercultural professionalism dilemmas differently.
  • Second, this study did not set out to examine Taiwanese intercultural dilemmas, but instead identified local culture as a theme for secondary analysis, meaning that we did not ask students for their reasoning of and reactions towards the cultural aspects of their narratives.
  • Finally, although Friedman and Berthoin Antal’s Western-developed framework advocates for a high advocacy/high inquiry approach, the assumptions underpinning this framework might not be wholly applicable in non-Western cultural settings. For example, Friedman and Berthoin Antal developed their framework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business, in which the power relationships among members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differ from the doctor-patient and teacher-student interactions outlined in our study. In the context of our study, there are circumstances in which advocacy might be interpreted as disrespectful, and inquiry as rude. Thus, high advocacy/high inquiry approaches may need to be applied thoughtfully in different cultural contexts and scenarios.

이러한 도전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은 많은 방법론적 강점을 가지고 있다. 

  • 우선, 우리가 아는 한, 우리의 연구는 대만 학생들의 문화 간 딜레마와 이러한 딜레마에 직면한 옹호와 질문의 조합을 고려한 첫 번째 연구이다. 대만 문화는 표면적으로는 환자, 학생 및 의료 전문가를 포괄하지만, 우리는 '외국' 또는 '소수민족' 문화뿐만 아니라, 어떤 맥락에서든 ['내부home' 문화 또한 학생의 학습과 환자 치료에 어떤 challenge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 둘째, 본 연구는 경영 문헌에서 의학 교육 분야에 이르기까지 유용한 프레임워크인 문화 간 역량을 소개합니다. 상기 경고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문화 간 역량 프레임워크가 문화 간 전문성 딜레마에 접근하는 데 유용한 기초가 될 수 있다고 믿는다.  
  • 마지막으로, 우리는 비서양의 의학 교육 맥락에서 문화적 역량에 대한 기존 연구의 제한된 부분을 추가하지만, 대만의 경험 측면은 문화적 환경 전반에 걸쳐 의학 교육자들에게 공감을 줄 수 있다.

Despite these challenges, our paper has a number of methodological strengths.

  • First, to our knowledge, our study is the first to consider Taiwanese students’ intercultural dilemmas and the combinations of advocacy and inquiry employed in the face of these dilemmas. Though Taiwanese culture ostensibly encompasses patients, students and healthcare professionals, we highlight how ‘home’ cultures—not just ‘foreign’ or minority cultures—can pose challenges to student learning and patient care in any context.
  • Second, our study introduces a useful framework—intercultural competence—from the management literature to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Despite the caveats mentioned above, we believe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framework can serve as a useful basis from which to approach intercultural professionalism dilemmas.
  • Finally, we add to the limited body of existing research on cultural competence in non-Western medical education contexts (Ho et al. 2008; Lu et al. 2014), though aspects of the Taiwanese experience may resonate with medical educators across cultural settings.

 

교육 실무에 미치는 영향
Implications for education practice

대만 학생이 주로 [낮은 옹호/낮은 탐구] 방식을 채택한다는 것은, 이들이 [문화 간 딜레마에 휘말릴 때 직면하는 어려움]이 무엇인지 보여주며, 학생들의 [문화 간 역량 향상]에 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이전의 연구가 한편으로는 문화적 차이를 다루지 못하면 불만족스러운 환자, 오진 및 최적의 건강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을 고려할 때 매우 중요하다. 한편, 강력한 의사-환자 간 커뮤니케이션은 환자 만족도와 순응도를 향상시키고, 환자 중심의 커뮤니케이션 모델은 환자의 건강을 향상시킵니다. 우리의 연구는 의료 종사자들이 어떤 맥락에서든 문화적 격차를 효과적으로 메울 수 있도록 이해, 교육 및 실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Taiwanese students’ frequent adoption of a low advocacy/low inquiry approach highlights the challenges faced in engaging with intercultural dilemmas and suggests that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developing students’ practices of intercultural competence. This is crucial given that previous research suggests, on the one hand, that failure to address cultural differences can result in dissatisfied patients, misdiagnoses and less optimal health outcomes (Barker 1992; Lavizzo-Mourey and Mackenzie 1996); and, on the other hand, that strong physician-patient communication improves patient satisfaction and compliance (Beckman and Frankel 1984; Betancourt et al. 1999) and patient-centered models of communication can improve patient health (Epstein and Street 2007; Mead and Bower 2002). Our study suggests the potential need for a shift in understanding, teaching and practice towards intercultural competence, so that healthcare practitioners can effectively bridge cultural gaps in any context.

따라서 우리는 교육자가 지역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에 맞게 문화 간 역량에 대한 가르침을 조정하고 문화 간 역량을 언제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고 믿는다. 실제로, [문화간 역량]에 대해서 어떻게 학생들을 교육시킬지를 고려할 때, 우리의 연구결과는 [의료계의 문화]와 [역할모델]이 학생들의 학습과 실천에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일부 학생은 상급자가 모델링한 [높은 옹호/낮은 탐구 접근법]의 부정적인 의미를 인식했으며, 다른 학생들은 'negotiating reality'에 있어 상급자의 능숙함에 감탄했다. 의학 교육자들이 일부 학생들에 의해 부정적인 롤모델로 인식되었다는 사실은 교수개발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공식 커리큘럼은 또한 [지역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다시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대만의 경우, 일반적으로 접하는 문화 간 딜레마(예를 들어 대만어, 한의학)와 관련된 특정 지식 및 기술(예: 대만어)이 커리큘럼에 포함될 수 있다.

We believe, therefore, that educators could adapt their teaching of intercultural competence to suit local communication styles and foster understanding of when to use intercultural competence. Indeed, in considering how we might educate students for intercultural competence, our findings indicate the importance of medical culture and role modeling to students’ learning and practice. Some students recognized the negative implications of high advocacy/low inquiry approaches role modeled by their superiors, while others expressed admiration for superiors’ adeptness in ‘negotiating reality’. The finding that medical educators were recognized by some students as negative role models warrants further faculty development. Formal curricula could also be refocused to reflect local needs. In the Taiwanese case, certain knowledge and skills related to commonly encountered intercultural dilemmas (e.g., Taiwanese language, Chinese medicine) c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curriculum.

문화 간 역량 육성은 공식 및 숨은 커리큘럼에서 장기적이고 통합된 교육을 필요로 하는 복잡한 노력이 될 것입니다. 학생들이 경험을 쌓을수록, 그들은 프로네시스(즉, 실용적인 지혜)를 실천하고 옹호와 질문의 다른 조합이 특정 환경에 더 적합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Fostering intercultural competence will be a complex endeavor, requiring long-term and integrated teaching in formal and hidden curricula (Berthoin Antal and Friedman 2008). As students gain experience, they may practice phronesis (i.e. practical wisdom) and find that different combinations of advocacy and inquiry are better suited to particular circumstances (Dowie 2000; Hofmann 2002).

추가 연구에 대한 시사점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는 대만 학생들의 문화 간 딜레마의 표면만을 긁어낼 뿐이지만, 다른 비서양의 의과대학에서의 문화 간 및 문화 간 역량 이니셔티브를 조사하고 서양의학과 전통 의학을 배우는 사람들의 견해를 이끌어내기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추가적인 종단적 연구는 학생들이 임상 경험이 쌓이면, [사용하는 옹호/탐구 조합]이 달라지는지 여부를 탐구해야 한다. 추가적인 연구는 또한 프로페셔널리즘 내러티브의 문화적 측면에 대한 학생들의 논리와 반응을 탐구할 수 있다. 그것은 학생들이 이러한 문화적 딜레마를 서술하면서 교차하는 개인과 직업적 정체성을 어떻게 구성하는지 탐구하기 위해 교차성 이론에 기초한 서술적 조사를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생, 교사 및 의료 전문가들이 특정 옹호/문의 접근법을 채택하는 이유와 방법을 이해하기 위해 문화 관련 경험과 관찰에 초점을 맞출 수 있습니다.

While our study only scratches the surface of intercultural dilemmas for Taiwanese students, further research is now needed to investigate cultural and intercultural competence initiatives at other non-Western medical schools and elicit views from those learning both Western and traditional medicine. Additional longitudinal research should explore whether students employ different combinations of advocacy and inquiry as they gain clinical experience. Further research could also explore students’ reasoning of and reactions towards the cultural aspects of professionalism narratives. It could employ narrative inquiry, drawing on intersectionality theory (Tsouroufli et al. 2011; Monrouxe 2015), to explore how students construct their intersecting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 while narrating these cultural dilemmas. Finally, additional research could focus explicitly on the culture-related experiences and observations of students, teachers and healthcare professionals, with the aim of understanding why and how they adopt certain advocacy/inquiry approaches.

결론들
Conclusions

우리의 연구결과는 대만의 의대생들 사이에서 문화 간 역량 향상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자신의 교육적 맥락에서 문화 간 역량을 육성하고자 하는 의학 교육자들에게 통찰력을 제공한다. 의료 종사자는 다수의 문화적 문제와 일상적으로 마주치는 문제를 협상할 수 있는 기술과 도구를 갖추어야 할 뿐만 아니라 문화적 배경에 관계없이 모든 환자에게 고품질의 개인화된 치료를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서양의학과 비서양문화 사이의 유사한 단절을 목격한 글로벌 의학 교육자는 이 연구를 자신의 의료 환경에서 문화 및 문화 간 역량의 교육과 실천을 재고하기 위한 기초로 사용할 수 있다.

Our findings highlight the potential need for improved intercultural competence among Taiwanese medical students and offer insights for medical educators seeking to foster intercultural competence in their own educational contexts. Not only should healthcare practitioners be equipped with the skills and tools to negotiate everyday encounters with majority cultural issues, but they must be prepared to provide high quality, individualized care to any patient, regardless of cultural background. Global medical educators witnessing a similar disconnect between Western medicine and non-Western cultures may use this study as a basis from which to reconsider the teaching and practice of cultural and intercultural competence in their own healthcare settings.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7 May;22(2):429-445.

 

 doi: 10.1007/s10459-016-9738-x. Epub 2016 Nov 26.

 

Taiwanese medical students' narratives of intercultural professionalism dilemmas: exploring tensions between Western medicine and Taiwanese culture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 Bioethics, National Taiw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aipei, Taiwan.

2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Kelaniya, Ragama, Sri Lanka.

3Chang Gung Medical Education Research Center (CG-MERC), Chang Gung Memorial Hospital, Linkou, Chang Gung Medical Foundation, 5. Fu-Hsing St., Kuei Shan Dist., Taoyuan City, 333, Taiwan, ROC. monrouxe@cgmh.org.tw.

4Faculty of Medicine, Nursing and Health Sciences, Monash University, Clayton, VIC, Australia.

PMID: 27888427

DOI: 10.1007/s10459-016-9738-x

Abstract

In an era of globalization, cultural competence is necessary for the provision of quality healthcare. Although this topic has been well explored in non-Western cultures within Western contexts, the authors explore how Taiwanese medical students trained in Western medicine address intercultural professionalism dilemmas related to tensions between Western medicine and Taiwanese culture. A narrative interview method was employed with 64 Taiwanese medical students to collect narratives of professionalism dilemmas. Noting the prominence of culture in students' narratives, we explored this theme further using secondary analysis, identifying tensions between Western medicine and Taiwanese culture and categorizing students' intercultural professionalism dilemmas according to Friedman and Berthoin Antal's 'intercultural competence' framework: involving combinations of advocacy (i.e., championing one's own culture) and inquiry (i.e., exploring one's own and others' cultures). One or more intercultural dilemmas were identified in nearly half of students' professionalism dilemma narratives. Qualitative themes included: family relations, local policy, end-of-life care, traditional medicine, gender relations and Taiwanese language. Of the 62 narratives with sufficient detail for further analysis, the majority demonstrated the 'suboptimal' low advocacy/low inquiry approach (i.e., withdrawal or inaction), while very few demonstrated the 'ideal' high advocacy/high inquiry approach (i.e., generating mutual understanding, so 'intercultural competence'). Though nearly half of students' professionalism narratives concerned intercultural dilemmas, most narratives represented disengagement from intercultural dilemmas, highlighting a possible need for more attention on intercultural competence training in Taiwan. The advocacy/inquiry framework may help educators to address similar disconnects between Western medicine and non-Western cultures in other contexts.

Keywords: Cultural competence; Culture; Intercultural competence; Intercultural professionalism dilemmas; Professionalism.

보건의료전문직 학생이 경험하는 전문직업성 딜레마: 단면 연구(J Interprof Care. 2020)
Professionalism dilemmas experienced by health professions students: a cross-sectional study
Xin Wanga,b and Ming-Jung Hob,

 

서론
Introduction

의학에서 [전문직업성]은 일반적으로 사회에 의해 의사가 기대하는 행동과 속성으로 정의된다. 전문직업성은 보건 전문가 교육의 핵심 역량이며(Stern, 2006), 환자 중심의 치료와 환자 안전의 중심이다. 보건 전문 교육자들은 전문직업성을 가르치고 평가하는 데 상당한 시간과 자원을 투자하지만 보건 전문직 학생들은 전문직업성 딜레마에 직면했을 때 종종 어려움을 겪습니다.
Professionalism in medicine is commonly defined as the behaviours and attributes expected of a doctor by society (Cruess, Cruess, & Steinert, 2009; Ho, Yu, Hirsh, Huang, & Yang, 2011). Professionalism is a core competency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tern, 2006), and is central to patient-centred care and patient safety (Holtman, Frost, Hammer, McGuinn, & Nunez, 2011). Although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devote considerable time and resources to teaching and assessing professionalism (Cruess & Cruess, 1997, 2006), health professions students are often challenged when confronted with professionalism dilemmas (Binyamin, 2017; Ho, Gosselin, Chandratilake, Monrouxe, & Rees, 2017; Ho, Lin, Chiu, Lingard, & Ginsburg, 2012; Monrouxe, Chandratilake, Gosselin, Rees, & Ho, 2017).

[전문직업성 딜레마]는 동시에 또는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상충하는 가치 사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선택을 요구하는 윤리적 충돌상황을 의미한다(Cuban, 2001). 전문직업성 딜레마는 학생들의 직업적 태도와 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예: 불충분하고 비지능적이라고 느끼는 것과 같은 감정적인 고통으로 학생들의 학습을 방해합니다). 최근의 연구들은 직장에서의 불안과 불신과 같은 전문직 간 딜레마의 다른 해로운 결과들을 묘사했다.
This refers to conflictual ethical situations that require undesirable choices between competing values that cannot be simultaneously or fully satisfied (Cuban, 2001). Professionalism dilemmas can negatively impact students’ professional attitudes and behaviours (e.g. hinder students’ learning with emotional distress, such as feeling inadequate and unintelligent) (D’eon, Lear, Turner, & Jones, 2007; Satterwhite, Satterwhite, & Enarson, 2000). Recent studies have described other detrimental consequences of interprofessional dilemmas, such as anxiety and mistrust in the workplace (Marshall & Robson, 2005; McKenzie, 2015; Sexon & Orchard, 2016).

전문직업성 딜레마에 대한 학생들의 경험과 관련된 문헌이 증가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여러 분야에 걸쳐 보건 전문가 학생들을 비교 탐구하기 보다는 하나의 특정 분야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여러 분야의 보건 전문직 학생들이 경험하는 전문직업성 딜레마를 찾아 비교함으로써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Whilst there is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related to student experiences of professionalism dilemmas, most studies focus on one specific discipline, rather than conducting a comparative exploration of health professions students across disciplines. This study aims to bridge this gap by uncovering and comparing professionalism dilemmas experienced by health professions students from different disciplines.

배경
Background

효과적인 전문직군 간 협력은 환자의 결과 향상과 안전한 작업 환경을 지원합니다(Marshall & Robson, 2005; McKenzie, 2015). 그러나 실증적 조사에 따르면 전문직간 관행interprofessional practice은 갈등과 장벽으로 가득합니다. 연구자들은 효과적인 전문직간 관행을 저해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을 확인했습니다. 이러한 요인에는 다른 건강 직업에 대한 고정관념, 의사소통 문제, 불평등한 권력 분배 및 위계적 구조가 포함됩니다.
Effective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supports better patient outcomes and safer working environments (Marshall & Robson, 2005; McKenzie, 2015); however, empirical research has shown that interprofessional practice is rife with conflicts and barriers (Hean, Craddock, Hammick, & Hammick, 2012; Khalili, Orchard, Laschinger, & Farah, 2013; Körner et al., 2016; Monrouxe & Rees, 2017). Researchers have identified a number of factors that can inhibit effective interprofessional practice; these factors include stereotypes of other health professions (Hind et al., 2003; MacDonald, Bally, Ferguson, Murray, & Fowler-Kerry, 2010; Rotz & Dueñas, 2016; Tunstall-Pedoe, Rink, & Hilton, 2003), communication problems (Childers, Cole, Lyons, & Turley, 2016), unequal power distributions (Nugus, Greenfield, Travaglia, Westbrook, & Braithwaite, 2010), and hierarchies (Lingard et al., 2012).

게다가, 문헌에서는 점차 보건의료 전문직 학생들의 [이중 정체성 개발]이 미래의 전문직 간 역량의 주요 결정 요소라는 것을 증명했다.
Furthermore,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has demonstrated that health professions students’ development of a dual identity is a principal determinant of future interprofessional competence (Baker, Lee, Martimianakis, & Reeves, 2011; Khalili et al., 2013; Monrouxe & Rees, 2017; Stull & Blue, 2016).

의료 전문가의 [이중 정체성]은 그들의 전문직 정체성과 전문직간 정체성을 뒷받침합니다.

  • [전문직 정체성]은 개인이 전문직 집단(예: 간호사)과 동일시하는 것을 말한다. 이 용어는 그들이 누구인지, 그리고 그들의 직업의 일원으로서 행동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포착합니다.
  • 한편, [전문직간 정체성]은 보다 넓은 전문가간 그룹(예: 보건 전문가) 내에서 개인의 정체성을 나타내며, 보다 넓은 전문가간 팀의 일부로서 다른 사람들과의 정체성을 나타냅니다. 전문직간 정체성의 개념은 직업적 정체성에 대한 기존의 생각을 단일 직업군을 넘어 확장합니다.

Health professionals’ dual identity underpins their professional identity and interprofessional identity.

  • Professional identity refers to an individual’s identification with their professional group (e.g. nurse). The term captures who they are and what it means to be and to act as a member of their profession (Mackey, 2007; Monrouxe & Rees, 2017; Stull & Blue, 2016).
  • On the other hand, interprofessional identity describes an individual’s identification within a wider interprofessional group (e.g. health professionals), and with others as part of a broader interprofessional team (Monrouxe & Rees, 2017). The concept of interprofessional identity broadens existing ideas of professional identity beyond the singular occupational group.

Kalili의 [전문직 간 사회화 프레임워크]에 따르면 [이중 정체성]이 결여된 전문직은 자신의 전문직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전문직 간 협업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의료 전문가들은 타인의 역할을 이해하는 능력과 전문가 간 팀의 일원으로서 훈련할 기회를 제한하면서 [학문적 고립disciplinary isolation]을 교육받는다(Hall, 2005). 이번 연구는 서로 다른 보건의료전문직의 학생들이 [이중 정체성]의 관점을 통해 전문직업성 딜레마에 어떻게 직면하는지 조사하기 위해 전문직간 사회화에서 이중 정체성의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
According to Khalili’s interprofessional socialization framework (Khalili, Orchard, Laschinger, & Farah, 2013), professionals who lack a dual identity may resist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in order to maintain their own professional identity. Most health professionals are educated in disciplinary isolation, limiting both their ability to understand others’ roles and opportunities to train as part of an interprofessional team (Hall, 2005). This study use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dual identity in interprofessional socialization to examine how students from different health professions face professionalism dilemmas through a dual identity perspective.

의대생들이 임상 환경에서 직면하는 전문직업성 딜레마에 대한 잘 발달된 문헌들이 있다. 이전의 연구들은 간호, 치과, 약국, 직업 치료, 물리 치료 프로그램을 포함한 다양한 보건의료전문직에서 학생들의 직장 기반 딜레마를 조사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하나의 전문직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학생들의 전문직업성 딜레마에 대한 삶의 경험을 조사하기 위해 질적인 방법을 사용한 사람은 거의 없다. 보건 분야의 학생들을 연구하기 위해 질적인 방법을 사용한 몇 안 되는 논문들은 여러 분야를 비교하지 않았다.
There is a well-developed body of literature on professionalism dilemmas faced by medical students in clinical settings (Christakis & Feudtner, 1993; Ginsburg & Lingard, 2011; Ho et al., 2017, 2012; Monrouxe et al., 2017; Monrouxe & Rees, 2012; Monrouxe, Rees, Dennis, & Wells, 2015; Monrouxe, Rees, Ho, & Chandratlake, 2017; Monrouxe, Rees, & Hu, 2011; Rees, Monrouxe, & McDonald, 2012). Previous studies have examined students’ workplace-based dilemmas in various health professions, including nursing (e.g. Erdil & Korkmaz, 2009; Gunther, 2011; Park et al., 2003; Rees, Monrouxe, & McDonald, 2015; Solum, Maluwa, & Severinsson, 2012; Yeh, Wu, & Che, 2010), dentistry (Duley, Fitzpatrick, Zomosa, Lamber, & Mitchell, 2009; Green, 1981; Sharp, Kuthy, & Heller, 2005; Wilson & Avers, 2004), pharmacy (Lowenthal1, 1988; Lowenthal2, 1988; Lowenthal, Klein, & Overton, 1986), occupational therapy (Barnitt, 1993; Kinsella, Park, Appiagvei, Chang, & Chow, 2008), and physiotherapy programs (Gedde, Wessel, & Williams, 2004; Mansbach, Bachner, & Melzer, 2010; Mansbach, Melzer, & Bachner, 2012). However,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a single profession, and few have used qualitative methods to examine students’ lived experiences of professionalism dilemmas. The few papers that have used qualitative methods to study health professions students (Monrouxe & Rees, 2017; Monrouxe, Rees, Endacott, & Teman, 2014; Rees et al., 2015) did not compare across disciplines.

[이중 정체성] 관점을 통해 학생들이 겪는 건강 직업의 실제 전문성 딜레마를 조사하는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는 질적 방법과 이중 정체성 관점을 활용하여 다른 보건 분야의 학생들이 임상 훈련에서 경험하는 전문성 딜레마를 조사함으로써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려고 시도한다. 다음의 연구 질문에 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 임상 환경에서 여러 건강 전문직 학생들이 경험하는 전문성 딜레마의 유형은 무엇입니까?
  • 다른 분야의 보건 전문직 학생들이 경험하는 전문성 딜레마의 빈도와 유형에는 어떤 차이가 있습니까?

There is a dearth of research investigating the actual professionalism dilemmas health professions students experience through a dual identity perspective. This study attempts to bridge this gap by utilizing qualitative methods and a dual identity perspective to examine professionalism dilemmas experienced in clinical training by students from different health professions. It aims to answer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 What are the types of professionalism dilemmas experienced by different groups of health professions students in clinical settings?
  • What differences (if any) exist in the frequency and types of professionalism dilemmas experienced by health professions students from different disciplines?

방법들
Methods

리서치 디자인.
Research design

우리는 학생들의 전문직업성 딜레마에 대한 경험을 탐색하고 이해하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를 사용했다. 서사적 조사는 lived experience 연구에 널리 사용된다(Clandinin, 2006; Connelly & Secretin, 1990). 해석적 해석학과 현상학에 기반을 둔, 그것은 서술(글쓰기, 구두, 시각)을 모으고, 사람들이 자신의 경험에서 기인하는 의미에 초점을 맞추는 질적 방법이며, "인간의 삶의 복잡성에 맞는 통찰력"을 제공하고자 한다(Joselson, 2006, 페이지 4). 윤리적 문제를 강조하고 사람들의 경험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형성할 수 있다(Clandinin & Huber, 2010). 우리는 프로페셔널리즘 딜레마에 대한 생생한 경험을 수집하기 위해 주요 데이터 수집 도구로서 내러티브 인터뷰와 포커스 그룹을 사용했습니다(Monrouxe & Rees, 2012).
We used narrative inquiry to explore and make sense of students’ experiences of professionalism dilemmas. Narrative inquiry is widely used in studies of lived experience (Clandinin, 2006; Connelly & Clandinin, 1990). Grounded in interpretive hermeneutics and phenomenology, it is a qualitative method that gathers narratives (written, oral, visual) and focuses on the meanings that people ascribe to their experiences, seeking to provide “insight that befits the complexity of human lives” (Josselson, 2006, p. 4). It can highlight ethical matters as well as shape new understandings of people’s experiences (Clandinin & Huber, 2010). We used narrative interviews and focus groups as our main data collection tools to gather lived experiences of professionalism dilemmas (Monrouxe & Rees, 2012).

참가자 및 모집
Participants and recruitment

대만 국립대학 의과대학에서 임상경험이 있는 보건계 학생을, 학급 대표나 학과장의 발표,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등, 참가시키고 있습니다. 이 연구에는 간호, 치과, 약국, 의료기술, 작업치료, 물리치료 등이 참여했다. 이 연구에 참여할 학생을 모집했는데, 학부 3학년 37명, 대학원 1학년 19명 등 56명이었습니다. 각 분야의 참가자 수는 간호(n = 8), 치과(n = 9), 약국(n = 15), MT(n = 9), OT(n = 6), PT(n = 9)와 같았다(표 1 참조). 연구 표본의 남성 대 여성 성비는 전체 학생 인구의 성비에 가까웠다(표 1 참조).

We invited health professions students with clinical experience from the National Taiw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o participate through announcements by class representatives and department administrators, and snowballing. Nursing, dentistry, pharmacy, medical technology (MT), occupational therapy (OT), and physiotherapy (PT)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We recruited 56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including 37 senior students in the undergraduate program and 19 graduate students in their first year of study. The number of participants from each discipline was as follows: nursing (n = 8), dental (n = 9), pharmacy (n = 15), MT (n = 9), OT (n = 6), and PT (n = 9) (See Table 1). The male to female gender ratio in our study sample was close to that of the overall student population (see Table 1).

일반적으로 학부생보다 임상 경험이 많은 상급생으로 채용을 제한했습니다. 연구 후반기에 몇몇 참가자들은 대학원 첫 학기에 있었다.
We limited our recruitment to undergraduate seniors as they generally have more clinical experience than undergraduate students in other years. At the latter phase of our study, some participants were in their first semester of graduate study.

 

데이터 수집
Data collection

학생을 부문별, 연도별로 그룹화해, 합계 56명(남 24명, 여 32명)의 포커스 그룹을 13개 실시했습니다. 먼저, 우리는 보건 전문직 학생들의 전문직업성과 전문직업성 딜레마에 대한 이해를 조사하기 위해 일반적인 질문을 했다. 그리고 나서, 그들은 그들이 직면했던 전문직업성 딜레마에 대해 설명하도록 요구받았다. 학생들은 그들이 무엇을 하고 왜 그랬는지 포함하여 자유롭고 공개적으로 말하도록 격려받았다. 인터뷰는 모두 중국어로 진행됐다. 대표적인 인용문은 영어로 번역되어 결과 섹션에 제시되어 있습니다.
We grouped students by discipline and year and conducted thirteen focus groups with a sum of 56 students (24 males, 32 females). First, we asked general questions to probe health professions students’ understandings of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ism dilemmas. Then, they were asked to describe a professionalism dilemma that they have encountered. Students were encouraged to speak freely and openly, including what they did and why. All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Mandarin. Representative quotes have been translated into English and are presented in the Results section.

데이터 분석
Data analysis

평균적으로, 각 그룹 인터뷰는 약 70-90분 동안 지속되었다. 모두 참가자의 동의를 얻어 음성녹음, 녹음, 익명으로 작성되었다. 우리는 Template Analysis(Template Analysis)를 사용하여 인터뷰를 코드화했다(King, 1998). 우리는 이것을 두 가지 이유로 사용했다.

  • 첫째, 미리 정의된 테마를 사용할 때 유연하다.
  • 둘째, 연구자가 데이터를 해석할 때 조정(새로운 코드 추가 또는 관련 없는 코드 삭제 등)할 수 있다(King, 2004; Slade, Haywood, & King, 2009).

On average, each group interview lasted about 70–90 minutes. All were voice-recorded, transcribed, and anonymised with participants’ consent. We coded the interviews using Template Analysis (King, 1998). We used it for two reasons: firstly, it is flexible in terms of using pre-defined themes; secondly, it allows the researcher to make adjustments (such as adding new codes or deleting irrelevant ones) during his/her interpretation of the data (King, 2004; Slade, Haywood, & King, 2009).

분석을 위한 선행 템플릿으로 Monrouxe 등(2014)에 의해 개발된 코딩 프레임워크를 채택했다. 연구원들은 인터뷰 내용을 읽고 NVivo 9 소프트웨어(QSR International Pty Ltd, Doncaster, Victoria, Australia)를 사용하여 이전에 개발된 템플릿에 따라 코드를 작성했습니다. 연구진은 원본 템플릿의 23개 테마를 수정하여 데이터에서 찾을 수 없는 8개의 테마를 제거하고 전문가 간 딜레마 및 인력 부족 딜레마를 포함한 2개의 새로운 테마를 추가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대화록을 독립적으로 코드화한 두 명의 연구자가 코드화를 함께 검토하고 전체 팀과의 논의를 통해 의견 불일치를 해결했다. 최종 코딩 템플릿에는 17개의 테마가 포함되어 있으며 다음 섹션에서 설명합니다.
We adopted a coding framework developed by Monrouxe et al. (2014) as a priori template for our analysis. Researchers read the interview transcripts and coded them according to the previously developed template using NVivo 9 software (QSR International Pty Ltd., Doncaster, Victoria, Australia). Researchers modified the original template’s 23 themes by removing eight themes not found in our data and adding two new ones, including interprofessional dilemmas and lack of manpower dilemmas. Finally, two researchers who coded the transcripts independently reviewed the coding together and resolved disagreements through discussions with the whole team. Our final coding template includes 17 themes and will be presented in the next section.

우리는 결과를 시각화하기 위해 레이더 차트를 사용했다. 가장 일반적으로 보고된 6개의 테마가 차트에서 주요 범주로 사용되었습니다. 차트의 척도는 백분율 값 범위이며 각 분야의 분포 차이를 강조하기 위해 레이더 차트에 각 주제의 백분율 범위를 투영했다.
We used radar charts to help visualize the results. The six most commonly reported themes were used as main categories in the charts. The scale for the charts is in percentage value range and the percentage coverage of each theme was projected on the radar chart to highlight the distribution differences between each discipline.

 

결과 및 조사 결과
Results and findings

결과는 다음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 (1) 보건 전문직 학생들이 유형 및 빈도별로 가장 일반적으로 보고하는 전문성 딜레마 
  • (2) 가장 일반적으로 보고된 딜레마의 전체 분포(레이더 차트를 통해 표시됨)와 각 개별 분야에 대한 지배적인 딜레마(있는 경우)의 설명과 함께.

We present the results in two parts:

  • (1) the professionalism dilemmas most commonly reported by health professions students by type and frequency;
  • (2) the overall distribution (represented through radar charts) of the most commonly reported dilemmas and the dominant one(s) (if any) for each individual discipline, along with illustrative narratives.

딜레마의 종류
Types of dilemmas

435개의 개인 사고 내러티브(PIN)가 식별되어 17개 주제 중 하나 이상에 코드화되어 있으며(전체 목록은 표 2 참조), 상위 6개 주제가 가장 일반적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표 3 참조).

Four hundred and thirty-five Personal Incident Narratives (PINs) were identified and coded to one or more than one of the 17 themes (See Table 2 for the full list), and the top six themes are the most commonly reported (See Table 3).

 
 
 
 

[전문직 간 딜레마]는 가장 일반적으로 식별되는 주제였으며 보건직 전반에 걸쳐 존재했습니다. 약학과 학생이 가장 많은 전문직 간 딜레마를 보고했으며, 다음으로 MT, PT, 치과, 간호 및 OT 학생이 그 뒤를 이었다(그림 1 참조).
Interprofessional dilemmas were the most commonly identified theme and existed across health professions. Pharmacy students reported the most interprofessional dilemmas, followed by MT, PT, dental, nursing, and OT students (See Figure 1).

 
 

분야별 딜레마 분포
Distribution of dilemmas by discipline

우리는 분야별로 딜레마 유형과 빈도에 큰 차이가 있음을 발견했다.

  • MT, 약학 및 PT 학생들은 동료와 관련된 딜레마(HCP에 의한 환자 안전과 존엄성 침해, 전문가 간 딜레마, 도전적인 행동과 내부고발에 관한 딜레마)에 직면했다(그림 1 참조).
  • OT 학생들은 특히 환자의 가족(가족이 환자 치료 딜레마에 미치는 영향)에 의해 어려움을 겪었다(그림 1 참조). 
  • 치과 및 간호학과 학생들은 동료와 관련된 딜레마와 동료와 관련이 없는 딜레마를 비슷한 정도로 경험했다고 보고했다(그림 1 참조).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lemma type and frequency among different disciplines:

  • MT, Pharmacy and PT students encountered more colleague-related dilemmas (patient safety and dignity breaches by HCPs, interprofessionalism dilemmas, dilemmas about challenging behaviour and whistle-blowing) (see Figure 1);
  • OT students were particularly challenged by patients’ family members (impact of family on patient care dilemma) (see Figure 1).
  • Dental and Nursing students reported experiencing both colleague-related dilemmas and non-colleague-related dilemmas to a similar extent (see Figure 1).

레이더 차트는 차이를 시각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세 가지 동료 관련 주제]가 X축 위에 있다: [HCP에 의한 환자 안전 및 존엄성 침해, 전문직 간 딜레마, 도전적 행동 및 내부고발에 관한 딜레마]
  • [비-동료 관련 주제]는 X축 아래에 있으며, 보건 전문직 학생의 환자 안전 및 존엄성 침해, 가족의 영향 등을 포함한다.환자 치료 딜레마 및 정체성 딜레마에 대해 설명합니다.

Radar charts help to visualize the differences.

  • Three colleague-related themes are located above the X-ray, including patient safety and dignity breaches by HCPs, interprofessionalism dilemmas, dilemmas about challenging behaviour and whistle-blowing;
  • the non-colleague-related themes are placed below, and include patient safety and dignity breaches by health professions students, impact of family on patient care dilemmas, and identity dilemmas.

 

치과의
Dental

결과에서 동료와 무관한 전문성 딜레마의 분포는 치과 학생들에게 동등했다. 동료 관련 딜레마가 전체의 47.5%를 차지했다. 비-동료 관련 딜레마가 52.5%를 차지했다(그림 1 참조). 치과 학생들에게 가장 흔하게 보고된 두 가지 딜레마는 전문가 간 딜레마와 보건 전문가 딜레마에 의한 환자 안전 및 존엄성 침해였다. 예를 들어, 전문성 간 딜레마에 대한 질문을 받았을 때, 한 치과 대학원생이 의사들과 비효율적인 협업 경험을 공유했습니다.

The results show that the distributions of colleague-related and non-colleague-related professionalism dilemmas were equal for dental students. Colleague-related dilemmas accounted for 47.5% of the total; non-colleague-related dilemmas covered 52.5% (see Figure 1). Interprofessionalism dilemmas and patient safety and dignity breaches by health professional dilemmas were the two most commonly reported dilemmas for dental students. For example, when asked about interprofessionalism dilemmas, a graduate dental student shared his experience of an ineffective collaboration with physicians:

"한 번은 상사가 X과 의사의 조언을 구하는 것이 좋다고 해서 그와 이야기를 나누러 간 적이 있습니다. 의사는 동의하지 않았지만 명확한 설명을 해주지 않았고, 나는 그가 어디서 왔는지 이해하지 못했다.(대학원 치과그룹2)
“I remember once, my supervisor said it is better to seek the advice of a physician from X department, so we went to speak to him. The physician disagreed with us, but didn’t give clear explanations, and I didn’t understand where he was coming from.” (Graduate Dental Group 2)

치과 학생과 의사는 같은 환자를 치료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의 지식과 기술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정보 격차가 발생했습니다. 의사는 그의 설명이 치과 학생에게는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지 못했고 치과 학생은 의사가 왜 동의하지 않는지 이해하지 못했다.

Despite working on the same patient, the dental student and the physician lacked awareness of each other’s type of knowledge and skills, leading to an information gap: the physician didn’t realize that his explanation was not enough for the dental student, and the dental student didn’t understand why the physician disagreed.

동료와 관련이 없는 딜레마에 대해 질문을 받았을 때, 일부 학생들의 서술은 정체성 딜레마에 대한 그들의 경험을 반영했다. 예를 들어, 한 7학년 학생은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When asked about non-colleague-related dilemmas, some students’ narratives reflected their experience of identity dilemmas. For example, a Year 7 student said:

"제가 학생인 줄 모르고 치과의사인 줄 알았던 환자들도 있어요. 왜냐하면 그들이 상담 클리닉에 왔을 때 "치과의사에게 진찰을 받을 거예요"라는 말을 듣고 나서 그들을 소개받았기 때문입니다." (6학년 치과 그룹 1)
‘‘Some patients didn’t know I was a student, they thought I was a dentist … because when they came into the consulting clinic, they were told ‘You will be seen by a dentist’, and then I was introduced to them’’ (Year 6 Dental Group 1)

이 학생은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신원에 대한 환자의 오해를 바로잡거나 관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The student chose not to get involved or correct the patients’ misunderstanding of his identity, despite his discomfort.

약국.
Pharmacy

약대생들은 다른 분야의 학생들보다 [동료와 관련된 딜레마]에 더 많이 직면했다. 39%(n=41)를 커버한 [비동료 관련 딜레마]에 비해, 동료 관련 딜레마는 약학 학생이 보고한 전체 딜레마의 약 61%(n=64)를 차지했다(그림 1 참조). 약대생들은 비효율적인 전문가간 협업의 직접적인 결과로 많은 전문직 간 딜레마가 보고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한 대학원생이 왜 그 약학 학생이 환자를 위해 다른 검사를 원하는지 이해하지 못한 임상의에게 부당한 대우를 받았던 경험을 공유했다. 임상의의 관점에서 보면, 문제는 이미 해결되었습니다.
Pharmacy students encountered more colleague-related dilemmas than students of any other discipline. Colleague-related dilemmas accounted for approximately 61% (n = 64) of the overall reported dilemmas by pharmacy students, as compared to non-colleague related dilemmas which covered 39% (n = 41) (see Figure 1). A significant number of interprofessionalism dilemmas were reported by pharmacy students as a direct result of ineffective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For example, a graduate student shared his experience of being treated unfairly by a clinician who didn’t understand why the pharmacy student wanted another test for the patient. From the clinician’s point of view, the problem had already been solved:

"몇 가지 처방전 때문에 매우 나쁜 부작용을 가진 환자가 있었는데... 그리고 임상의는 그에게 복용을 중단하라고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정확히 어떤 약이 원인인지 알고 싶었죠... 제가 필요한 건 그 환자의 소변 검사를 통해 확인되는 것이었어요. 그래서 나는 임상의에게 갔지만 그는 약간 짜증이 나서 '왜 이 일에 대해 나에게 잔소리할 필요가 있는가?'라고 말했다. 문제가 해결됐어! 이제 좀 그만하지 않겠어요?' (대학원 약학 그룹 1)
‘‘I had a patient who had very bad side effects because of some prescriptions … And the clinician asked him to stop taking them. But I wanted to know exactly which medicine caused it … All I needed was to have a urine test of that patient to confirm it. So I went to the clinician … but he was … kind of annoyed and said ‘Why do you have to nag me about this? The problem is solved! Can you stop doing this for fun?’’’ (Graduate Pharmacy Group 1)

이 딜레마는 주로 임상의사가 약사와 임상의사 사이의 문제 정의의 차이를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에 일어났다(이 경우 임상의사는 부정적인 부작용을 주요 인과 인자로 본 반면 약사는 진짜 문제가 약의 선택에 있다고 느꼈다). 또 다른 약대생은 많은 갈등은 타인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존경의 결여에서 비롯된다는 자신의 신념을 강조하며 끝을 맺었다.

This dilemma was mainly caused by the clinician’s unawareness of differences in problem definitions between pharmacists and clinicians (in this case, the clinician saw negative side effects as the chief causal factor, while the pharmacist felt that the real problem lay in the choice of medicine). Another graduate pharmacy student concluded by emphasizing his belief that many conflicts are caused by a lack of recognition and respect for others’ professions:

"제 생각에 가장 큰 문제는 임상의들이 우리의 역할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임상의들이 무엇을 하는지 알지만, 그들은 우리에 대해 제한된 지식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우리가 함께 일할 때 그들은 우리에게 무엇을 요구해야 할지 몰랐습니다.그들은 우리가 공동작업에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할지 몰랐습니다.(대학원 약학그룹2)
‘‘I think the big problem is … clinicians don’t understand our roles. We know what clinicians do, but they have limited knowledge about us. So when we were working together, they didn’t know what to ask from us … they didn’t know what kind of role we were supposed to play in collaborative work.’’ (Graduate Pharmacy Group 2)

간호
Nursing

치과 학생들의 경우처럼, 간호학과 학생들은 6가지 주요 주제를 모두 비슷한 비율로 경험했다고 보고했다. 간호학과 학생의 경우, 가장 일반적으로 보고된 딜레마의 55%가 동료와 관련이 있는 반면, 45%는 동료와 관련이 없는 딜레마였다. [동료 관련된 전문성 딜레마]와 [동료 비관련 전문성 딜레마]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이 그룹에서 가장 자주 보고된 주제는 HCP에 의한 환자 안전과 존엄성 침해와 관련된 딜레마였다. 예를 들어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As was the case with dental students, nursing students reported experiencing all six main themes at similar rates. For nursing students, 55% of the overall most commonly reported dilemmas were colleague-related, while 45% were non-colleague-relat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lleague-related and non-colleague-related professionalism dilemmas.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themes for this group were dilemmas involving patient safety and dignity breaches by HCPs. For example, a Year 4 nursing student stated:

한 직원은 좋은 사람이었지만 사무실에서 환자에 대해 상당히 부적절한 방법으로 불평했다. 그녀가 바빴다는 것은 알지만, 솔직히 말해서 그 환자는 무리하지 않았다. 우리도 결국 그녀처럼 공감을 잃을까?(4년차 간호그룹 1)
‘‘There was one staff member [who] was a nice person, but she complained about her patient in a quite inappropriate way in the office. I understand she has been busy, but that patient [was] not being unreasonable, to be honest … and I wonder if we will eventually lose our empathy just like her. ‘‘ (Year 4 Nursing Group 1)

한편, 많은 간호학과 학생들에 의해서도 전문직 간 딜레마가 보고되었다. 한 4학년 학생은 그녀의 설명을 듣지 않은 의사로부터 "환자를 잘 돌보지 않았다"는 비난을 받았던 경험을 털어놓았다.

Meanwhile, interprofessionalism dilemmas were also reported by many nursing students. A Year 4 student shared her experience of being blamed for “not looking after the patient well” by a physician who did not listen to her explanation:

" 그 환자는 다음날 아침 수술을 받을 예정이었기 때문에 그 전에는 음식이나 음료가 허용되지 않았습니다. 저는 그와 그의 가족들에게 이 사실을 여러 번 상기시켰지만, 그는 (설명서를) 따르지 않고 수술 전에 물을 마셨습니다. 의사는 조금 짜증이 났고, 저를 비난했지만, 아무도 내 설명을 들으려 하지 않았다. 사실 24시간 지켜볼 수 없어요.다른 일이 있어요.(간호그룹 4년차)
“ … because that patient was going to have an operation the next morning, food or drink were not allowed for him before that. I had reminded him and his family members about this, quite a few times … however, he didn’t follow (the instruction) and had some water before the operation. The physician was a bit annoyed, and I was the one blamed, but no one wanted to hear my explanations. The fact is, I can’t watch him 24/7, I have other work to do.” (Year 4 Nursing Group 1)

이 학생은 의사가 자신의 업무량을 알지 못해 화가 나고 화가 났다며 자초지종을 파악하지 못한 채 그녀를 비난했다.
This student said she was upset and angry because the physician was not aware of her workload, and blamed her without seeking to understand the full story.

의료 기술
Medical technology


MT 학생들이 보고한 전문성 딜레마는 대부분 동료와 관련된 것이었다. MT 학생 중 HCP에 의한 환자 안전 및 품위 침해와 관련된 전문성 간 딜레마 및 딜레마가 가장 많이 보고되었습니다. 한 4학년 학생은 자신이 이해하지 못하는 명령을 받고 의사로부터 더 자세한 정보를 찾는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역할 경계로 인해 '소통 채널 없음'을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The professionalism dilemmas reported by MT students were mostly colleague-related. Among MT students, interprofessionalism dilemmas and dilemmas related to patient safety and dignity breaches by HCPs were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A Year 4 student described being given orders that he didn’t understand, and seeking out further details from a physician. However, due to role boundaries, there was ‘no communication channel’ available:

"어떤 순서가 적절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환자에게 왜 그 모든 검사가 필요한지 모르겠습니다. 의사와 상담하고 싶습니다만, 의사와의 연락 창구는 없습니다. MT는 의사와의 협의가 아니라 의사의 지시를 이행할 의무가 있습니다.(제4년차 MT 그룹 1)
“Some order seems … inappropriate … I don’t see why the patient needed all those tests. I would like to talk to the physician … but there is no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us … you know, the MT is expected to be under a certain obligation to implement a physician’s orders, not to discuss with them about that.” (Year 4 MT Group 1)

작업 요법
Occupational therapy

OT 학생들이 경험한 딜레마의 분포는 더 큰 차이가 있었다. OT 학생의 경우, 가장 일반적으로 보고된 딜레마의 45%(n = 18)가 환자 치료에 대한 가족의 영향과 관련이 있었다. 일부 OT 학생들은 환자의 가족이 진단이나 치료 과정에 개입하거나 영향을 준 유사한 사건의 경험을 보고했다. 예를 들어, 4년차 OT 학생은 가족 구성원의 주장에 따라 작업 치료 세션을 해야 하는 경우를 보고했습니다.
There was greater variance in the distribution of dilemmas experienced by OT students. For OT students, 45% (n = 18) of the most commonly reported dilemmas were related to the impact of family on patient care. Some OT students reported experiences of similar incidents, wherein the patient’s family intervened or influenced the diagnosis or treatment processes. For example, a Year 4 OT student reported a case in which they were forced to give occupational therapy sessions following the insistence of a family member:

"작업치료에 대한 의욕이 없는 노부인이 있었지만, 그 노부인의 가족은 병원에 있는 동안에는 작업치료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리가 그녀에게 운동을 시키려고 할 때마다, 그녀는 항상 잠든 척했어요. 그래서 우리는 수동적인 운동을 할 수밖에 없었다."(4년차 OT 그룹 2)

‘‘There was an old lady [who] was not motivated for occupational therapy sessions herself, but her family insisted she should do it during her stay in the hospital. Every time we try to get her to do some exercises, she always pretended she was asleep. And so we had no choice but to do passive exercises.’’ (Year 4 OT Group 2)

대만에서는 문화적 차이로 인해 [고령 환자의 가족이 환자를 위해 의료 결정을 내리는 경우]가 많은데, 학생들은 이 관행에 불쾌감을 표시했다.
Due to cultural differences in Taiwan, the families of elderly patients often make medical decisions for the patients; the student expressed discomfort with this practice.

물리치료
Physical therapy

MT나 약학과 학생들처럼 물리치료 학생들도 동료와 관련된 딜레마를 많이 경험했다. PT학생이 가장 많이 경험하는 딜레마의 약 61%를 동료와 관련된 딜레마가 측정되었으며, 비동료와 관련된 딜레마는 38%였다(그림 1 참조). PT 학생의 경우, HCP에 의한 환자 안전과 품위 침해에 관한 딜레마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문직 간 딜레마와 함께 가장 많이 보고된 주제 중 두 가지였다. 예를 들어, 한 4학년 학생은 장비 부족 시 환자 치료에 3대의 기계 대신 1대의 기계만 사용하도록 요구받았습니다.
Like MT and pharmacy students, physical therapy students also experienced a high volume of colleague-related dilemmas. In total, colleague-related dilemmas measured about 61% of the most commonly experienced dilemmas for PT students, and non-colleague-related dilemmas stood at 38% (see Figure 1). For PT students, dilemmas concerning patient safety and dignity breaches by HCPs scored the highest, and, along with interprofessionalism dilemmas, were two of the most reported themes. For example, a Year 4 student described being asked to use only one machine instead of three for a patient’s treatment during an equipment shortage:

환자는 무릎과 허리를 모두 치료해야 했습니다.즉, 동시에 3대의 기계를 사용해야 했습니다. 그 당시에는 모든 환자를 위한 기계가 충분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그래서 치료 효과가 떨어지더라도 그 환자에게는 1대의 기계만 사용하라는 지시를 받았습니다.(4년차 PT 그룹 1)
“The patient needed treatment on both of his knees as well as his lower back, which means I needed to use three machines at the same time. Apparently, we didn’t have enough machines for all patients at that time … So I was told to use only one machine on that patient (who actually needed three), even though the treatment would be less effective … ” (Year 4 PT Group 1)

또 다른 4학년 학생은 자신의 경험을 전문직 간 딜레마에 대해 공유했습니다.
Another Year 4 student shared his experience with interprofessionalism dilemmas:

예를 들어 무릎이 아픈 환자에게도 같은 진단을 내리기도 했는데, 의사는 우리가 같은 치료를 해주길 기대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알고 있는 바로는, 평가 결과, 동일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고, 환자 중 한 명은 다른 치료가 필요했고, 진단은 정확하지 않았다. 이것은 우리에게 있어서 어려운 상황입니다…그들(의사)에게 어떻게 말을 걸어야 할지 모릅니다」(4년째 PTGroup1)
“For example, sometimes patients with aching knees were given the same diagnosis, and the physician expected us to give them the same treatment. However, after evaluation, according to our knowledge, we found they were not the same, and that one of the patients needed a different treatment, and the diagnosis he received was not accurate. And that is a difficult situation for us … we don’t know how to talk to them (the physicians).” (Year 4 PTGroup1)


같은 그룹의 다른 학생은 상황의 어려움을 더 설명했다.
Another student from the same group further explained the difficulty of the situation:

전문 분야와 직군에 따라 환자의 치료에 대한 의견이 다르면 의사 소통이 어려워집니다. 서로의 지식이나 기술을 잘 모르기 때문만이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능력도 매우 중요합니다. 우리가 당신의 전문지식을 문제삼는 것이 아니라, 제안을 하고 싶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제4년차 PT Group1)
“We are from different disciplines and professions, and when we have different opinions towards a patient’s treatment, it is difficult to communicate. Not only because we are not familiar with knowledge and skills held by each other; communication skills are also very important. It is important to deliver the message that we are not challenging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but rather just want to provide suggestions.” (Year 4 PTGroup1)

치과, 약학, 간호 및 MT 그룹의 학생들과 유사하게, PT 학생들도 비효율적인 의사소통을 경험했다고 보고했습니다. 대만에서는, 많은 학생이, 팀원간의 정보 갭을 만들어, 오해를 불러일으키거나 화가 나거나 하는 등, 경솔하지 않은 경청이나 비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악영향을 인식하고 있었다.

Similar to students from Dental, Pharmacy, Nursing, and MT groups, PT students also reported experiencing ineffective communication. In the Taiwanese context, many students recognized the negative influences of non-respectful listening and ineffective communication, such as creating an information gap between team members, causing a misunderstanding and feeling upset or angry.

논의
Discussion

우리의 연구에서 두 가지 중요한 발견이 나왔다. 첫째, [전문직간 딜레마]는 대만 보건 전문직 학생들이 임상 경험 중에 직면하는 가장 흔한 전문직업성 딜레마입니다. 이는 의학에 초점을 맞춘 전문성에 관한 기존 문헌에는 명료하지 않은 새로운 차원이다. 이 연구 결과는 또한 이전에 문서화된 것보다 더 광범위한 전문가 간 딜레마를 포착함으로써 전문성 딜레마 문헌을 확장합니다.

Two significant findings emerged from our study. Firstly, interprofessional dilemmas are the most common professionalism dilemma faced by Taiwanese health professions students during their clinical experience. This is a new dimension not articulat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on professionalism, which tends to focus on the medical professions (Tsou, Shih, & Ho, 2015). This finding also expands the professionalism dilemmas literature by capturing a broader array of interprofessional dilemmas than previously documented (Monrouxe et al., 2014; Monrouxe & Ree, 2012; Rees, Monrouxe,Ternan, & Endacott, 2015).

여기에 제시된 프로페셔널 간 딜레마에 대한 학생 내러티브는 Kalili 등의 [전문직 간 협업에서 이중 정체성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뒷받침합니다. 배경 섹션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단일 전문직군 교육 시스템] 내에서 전문직의 사회화는 [단일 전문적 정체성]을 조장하고, [다른 사람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제한한다. 이것은 [고정관념, 내그룹 편애, 전문직군 간의 차별적 편견]을 고착화함으로써 전문가 간 협업을 방해한다. 게다가 다른 전문직이 어떻게 문제를 정의하고 접근하고 있는지에 대한 이해가 없는 경우, "같은 것을 보면서도look at, 같은 것을 보지seeing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The student narratives of interprofessional dilemmas presented here support Khalili and his colleagues’ framework of dual identity in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Khalili et al., 2013). As presented in the background section, health professional socialization within a uniprofessional educational system fosters a uniprofessional identity and limits health professionals’ understandings of other’s roles. This hinders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by entrenching stereotypes, in-group favouritism, and out-group discriminatory bias among professional groups. Furthermore, if interprofessional team members do not have an understanding of how other professions define and approach problems, then they may “look at the same thing without seeing the same thing” (Pertrie, 1976).

우리의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전문직 간 딜레마]는 보건의료 전문가들이 [다른 전공을 하는 동료의 역할, 경험 및 전문지식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인해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Khalili et al(2013)은 [전문가 간 정체성의 개발]이 학습자 자신의 전문적 역할을 넘어, [협업과 팀워크를 위한 모든 전문적 역할에 대한 공통의 이해]를 갖게 됨으로써, "내-그룹in-group" 관점을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우리의 연구결과는 그러한 훈련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Our results indicate that most interprofessional dilemmas are caused by health professionals’ lack of awareness of their extradisciplinary colleagues’ roles, experience, and expertise. Khalili et al. (2013) found that development of interprofessional identity can help to expand ‘‘in-group’’ perspective beyond learners’ own professional roles to a shared understanding of all professional roles for collaboration and teamwork. Our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for such training.

둘째, 우리는 분야마다 다양한 프로페셔널리즘 딜레마의 분포에 직면한다는 것을 증명한다. 이전의 다전문 그룹 연구는 학생들이 직면했던 전문성 딜레마 목록을 만들어냈지만, 이 연구는 연구 결과를 학문적으로 비교하고 딜레마 분포의 차이를 밝혀냄으로써 독자들에게 새로운 관점을 제공한다.
Secondly, we demonstrate that different disciplines encounter distinct distributions of the various professionalism dilemmas. While previous multi-professional group studies produced a list of professionalism dilemmas that students encountered (Monrouxe et al., 2014; Rees et al., 2015), this research offers the reader a new perspective by comparing the findings cross-disciplinarily and revealing differences in dilemma distributions.

예를 들어 치과 의사는 일반적으로 환자 치료에서 독립적으로 일하기 때문에, 치과 학생들은 혼자서 환자를 치료할 때 전문직업성 딜레마에 직면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OT 학생들은 환자의 대부분이 노인이고 대만에서는 노인의 가족이 의료 결정을 내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가족이 환자 치료에 미치는 영향' 딜레마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 동료와 관련된 딜레마는 MT, 약학, 간호 및 PT 학생의 전문직업성 딜레마 프로필에서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의사 및 기타 HCP의 명령에 따르도록 요구되며, 일부 작업이 지나치게 시간이 많이 소요되거나 까다롭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도, [위계질서와 역할 경계]로 인하여 순응해야 하는 상황이 만들어진다. 이 결과는 개인 전문가의 행동이 그들이 일하는 사회적 규범과 조직적 맥락에 의해 형성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For example, dental students are more likely to encounter professional dilemmas when treating patients by themselves, as dental practitioners generally work independently in patient treatment (Masella, 2007). OT students are more likely to encounter ‘impact of family on patient care’ dilemmas, as many of their patients are elderly people, and in Taiwan, families of elderly patients often make medical decisions for them. Colleague-related dilemmas occupy a leading position in MT, Pharmacy, Nursing, and PT students’ professionalism dilemmas profile: they are expected to obey orders from physicians and other HCPs, and even if they feel that some tasks are excessively time-consuming or exacting, hierarchies and role boundaries necessitate their complianc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actions of individual professionals are moulded by the social norms and organizational context(s) in which they work.

시사점
Implications

우리의 연구결과는 실질적인 함의를 담고 있다.
Our findings bear practical implications. 

첫째, [전문직 간 정체성]의 결여가 전문가 간 딜레마의 주요 원인이기 때문에, 보건 전문가 교육은 전문가 간 교육, 즉 '협업과 관리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서로와 배우고, 서로에게서 배우고, 서로에 대해 배우는 것'을 강조함으로써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는 보건 전문직 학생들의 [이중 정체성] 개발을 돕고, 그들 자신의 전문직과 더 큰 전문직 간 관리 팀 모두에 대한 소속감을 형성할 것이다(Monrouxe & Rees, 2017). 보건 전문 교육학은 그들의 실천이 위치한 더 큰 사회 시스템과 제도 구조에 반응해야 한다.
Firstly, since a lack of interprofessional identity is a primary cause of interprofessional dilemmas,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ould benefit from greater emphasis o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learning with, from and about each other to improve collaboration and the quality of care’ (Oates, 2016). This will assist health professions students’ development of a dual identity, building a sense of belonging to both their own profession and the larger interprofessional care team (Monrouxe & Rees, 2017). Health professions pedagogy should be responsive to the larger social systems and institutional structures in which their practice is situated (McMurtry, Rohse, & Kilgour, 2016).


둘째, [존중이 결여된 경청과 비효율적인 의사소통]이 전문직 간 딜레마의 주요 요인 중 일부라는 우리의 발견에 대처하기 위해, 보건의료전문직 학생들은 전문직 간 의사소통 기술에 대한 더 많은 훈련을 받아야 한다.

Secondly, to address our findings that non-respectful listening and ineffective communication are some of the primary factors in interprofessional dilemmas, health professions students could benefit from more training in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skills (Carpenter & Dickinson, 2008; Clark, 2006; Oates, 2016).

셋째, 많은 연구 참여자들은 [인터뷰 과정에서 무언가를 배웠다]고 느꼈으며, 커리큘럼에서 비슷한 성찰 연습을 보고 싶다고 털어놓았다. 그들은 프로페셔널리즘의 딜레마 경험을 반영하면 그들 자신의 접근 방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다른 사람의 관점을 고려할 수 있다고 느꼈다. 그 결과, 그들은 미래의 딜레마에 대처하는 것에 대해 더 자신감을 느꼈다. 이것은, 전문가간 교육에서의 성찰을 지지하는 이전의 출판물을 반향한다.

Thirdly, many participants in our study confided that they felt they had learned from the interview process, and would like to see similar reflection exercises in their curricula. They felt that reflecting on professionalism dilemma experiences enabled them to critically examine their own approaches and to consider others’ perspectives. As a result, they felt more confident about coping with future dilemmas. This echoes previous publications that advocate reflection i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Clark, 2009; Zarezadeh, 2009).

제한 사항
Limitations

연구의 잠재적인 한계를 염두에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첫째, 대만에서 의대를 한 곳밖에 공부하지 않았기 때문에 우리의 결과가 보편적이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추가 연구를 통해 이 연구 방법론을 대만 및 다른 나라의 다른 의과대학으로 확대할 수 있다. 둘째, 우리의 샘플 사이즈는 상대적으로 작았다. 우리는 6개의 보건 전문가 학생 그룹에 걸쳐 다른 표본 크기를 가지고 있었다. (간호학과 8명에서 약학과 15명까지) 그 결과, 특정 유형의 딜레마가 과소 보고되거나 과도하게 표현되었을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각 직업에 대해 두 개 이상의 포커스 그룹을 실시했고, 추가 포커스 그룹에서 새로운 테마가 나오지 않은 후에야 모집을 중단했습니다.

It is important to bear in mind potential limitations of our study. Firstly, our results are not necessarily universal, as we studied only one medical school in Taiwan. Further studies could extend this research methodology to other medical schools in Taiwan and other countries. Secondly, our sample sizes were relatively small. We had different sample sizes across the six health professions student groups (from 8 nursing students to 15 pharmacy students). As a result, certain types of dilemmas may have been underreported or overrepresented. Nevertheless, we conducted more than one focus group for each profession and stopped recruiting only after no new themes emerged from additional focus groups.

코멘트를 정리하다
Concluding comments

이 연구는 프로페셔널리즘 딜레마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넓힌다. 우리가 아는 한, 다른 분야의 보건 전문직 학생들의 전문성 딜레마 경험을 질적으로 비교한 것은 처음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전문직 간 딜레마가 보건직 학생들에게 직장 내 전문직의 지배적인 딜레마라는 것을 보여줄 수 있었다.
This research broadens our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dilemma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it is the first to compare the professionalism dilemma experiences of health professions students from different disciplines qualitatively. Doing so allowed us to show that interprofessional dilemmas are a dominant workplace professionalism dilemma for health professions students.


딜레마 유형에 대한 유의한 분야 간 차이가 발견되었다. 다른 분야의 보건 전문직 학생들은 다양한 유형의 딜레마에 영향을 받는데, 특히 그러한 학문적 차이 때문이다. 조사 결과, 특정 분야의 보건 전문 교육자는 해당 분야의 학생들이 직면할 가능성이 높은 특정 전문성 과제에 보다 잘 대처할 수 있도록 교육과 학습을 재구성할 것을 권장합니다.

Significant disciplinary differences regarding dilemma types were found. Health professions students of different disciplines are affected by different types of dilemmas, due specifically to those disciplinary differences. As a result of our findings, we recommend that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of specific disciplines restructure teaching and learning to better address the specific professionalism challenges that are more likely to be faced by their field’s students.

 

 


 

J Interprof Care. May-Jun 2020;34(3):259-268.

 doi: 10.1080/13561820.2019.1649645. Epub 2019 Sep 13.

Professionalism dilemmas experienced by health professions students: a cross-sectional study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School of Humanities, Jiangnan University, Wuxi, China.

2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 Bioethics, National Taiw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aipei, Taiwan.

3Center for Innovation and Leadership in Education, Georgetown University Medical Center, NW Washington, DC, USA.

PMID: 31516056

DOI: 10.1080/13561820.2019.1649645

Abstract

Health professions students will invariably confront professionalism dilemmas. These early encounters significantly influence future professional attitudes and behaviours. Heretofore, studies concerning professionalism dilemmas experienced by health professions students across disciplines have been limited. To address this issue, we recruited 56 students with clinical experience from the National Taiw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in the nursing, dentistry, pharmacy, medical technology, occupational therapy, and physiotherapy programs to participate in this research to compare health professions students' understandings of professionalism and their experiences of professionalism dilemmas. We used group interviews to uncover students' experiences of professionalism dilemmas. We identified the six most commonly reported professionalism dilemmas and found that interprofessional dilemmas were the dominant workplace professionalism dilemma for health professions students. We also identified significant disciplinary differences regarding dilemma types and frequencies. We employed the framework of dual identity development to better understand the role of professional and interprofessional identities in interprofessional dilemmas. The professionalism dilemmas that individual students encountered were shaped by disciplinary differences.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a sense of belonging to both their own profession and a broader interprofessional care team in health professions students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interprofessional healthcare teams.

Keywords: Professionalism dilemma; interprofessional education; professionalism; qualitative method.

 

성격은 무엇인가? 두 개의 미신과 하나의 정의(New Ideas in Psychology, 2020)
What is personality? Two myths and a definition

Raymond M.Bergner1

 

"어떤 것들은 결코 당연하게 여겨져서는 안 됩니다. 그 중에서도 여러분 분야의 핵심에 있는 말의 정확한 의미입니다."
“Certain things should never be taken for granted, among them … the precise meaning of words that are at the heart of your discipline.”

-N. Angier, 2009, p. D1.

"저는 명확하고 합의된 정의를 사용하는 것이 우리의 학문(성격심리학)을 더욱 재생시키는 하나의 열쇠라고 생각합니다."
“I see the use of clear and consensual definitions as one key to the further regeneration of our discipline (personality psychology).”

-J.D. Mayer, 2007, p. 1.


수년 동안 저는 성격 심리학 수업을 해왔습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저는 수업 첫날에 들어와서 학생들에게 다음과 같이 연설했을지도 모릅니다. "성격심리학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성격이라는 매우 중요한 주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러나 시작하기 전에 면책 사항disclaimer을 발표해야 합니다. 우리는 성격이 무엇인지 잘 모릅니다. 안타깝게도, 아시다시피, 우리 분야는 '성격'을 어떻게 정의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견 일치를 보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본질적으로, 우리는 여러분에게 우리의 주제의 본질을 정확하고 확실하게 말할 수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성격이 무엇인지 말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절차적으로 이 분야의 다른 권위자들의 이론과 연구 결과를 연구할 때, 우리는 각각의 경우에 대해 제안했다는 개념에 따를 것이다. 비록 서로 다르겠지만, 그 결과는 모두 같은 것, 그러니까 '성격'을 연구한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 다른 것을 공부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우리 분야의 몇몇 사람들은 이 문제에 대해 고민하는 것 같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않습니다.
For many years, I taught a class in the psychology of personality. In doing so, I might have (but never did) walked in on the opening day of class and addressed my students as follows: “Welcome to personality psychology. In this class, we will be investigating the very important topic of human personality. Before we begin, however, I must issue a disclaimer. We're not sure what personality is. Unfortunately, you see, our field has so far come to no consensus in the matter of how to define ‘personality’. So, in essence, we cannot state for you precisely and definitively the nature of our subject matter-- cannot tell you basically what personality is. Procedurally, then, as we study the theories and research findings of different authorities in this area, we will in each case just go along with the conception that each of them has proposed, even though these will differ one from another, and even though the result may be that, although they all claim to be studying the same thing, “personality”, they may actually be studying different things. A few people in our field seem bothered by this problem, but most of us are not.”

현재의 성격 텍스트로 눈을 돌리면, 그 분야의 모든 주요 전문가인 저자들은 방금 언급한 거부권을 발행한다: 성격 심리학 분야는 지금까지 "성격"이라는 용어의 어떤 합의된 정의에도 도달할 수 없었다. 예를 들어

  • Feist, Feist 및 Roberts(2013)는 "모든 성격 이론가들이 하나의 정의를 받아들일 수는 없다"고 주장한다.
  • Mischel, Shoda, and Ayduk (2007)는 "인격이라는 용어는 많은 정의를 가지고 있지만,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하는 반면,
  • Engler (2009)는 "이론가들은 각자 성격이라는 용어의 이해를 우리에게 제시한다"고 주장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저자들은 정의적인 문제에 대해 조금 더 논의한 후, 그리고 그들의 주제에 대한 합의된 공식화의 부재가 중요한 문제를 나타낸다고 주장하지 않고, 성격에 대한 다른 이론적 접근법의 발표로 넘어간다. 

If one turns to virtually any current personality text, the authors, all leading experts in the field, issue (if less polemically) the disclaimer just stated: the field of personality psychology has not to date been able to come to any consensus definition of the term “personality”.

Typically, these authors, after little further discussion of definitional matters, and without asserting that the absence of a consensus formulation of their subject matter represents a significant problem, move on to presentations of different theoretical approaches to personality.


이 문서에서 제안하는 성격의 개념화는 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를 나타냅니다. 

  • 이 논문의 파트 1은 과학에서 경험 이전의 개념에 대한 몇 가지 전통적인 기억을 제시한다. 
  • 파트 2는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격의 본질에 대해 의문스러운 두 가지 제안을 소개하고 질문한다. 
    • (a) 그 용어가 개인 내부의 근본적인 원인 실체를 가리키는 것. 
    • (b) 성격에 대한 연구는 전체 사람을 위한 연구라고 생각합니다. 
  • 제3부에서는 "개성"의 정의, 이 정의를 상세하게 설명하고 명확히 하는 몇 가지 논의 및 이전의 모든 정의와 다른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 제4부에서는 "그래서?"에 대해 설명합니다. 일반적으로 합의된 정의를 갖는 것과 제안된 정의를 수용하는 것 모두 어떤 이점이 있는가? 

The proposed conceptualization of personality in this paper represents an attempt to address this situation.

  • Part 1 of the paper presents some traditional reminders about the pre-empirical status of concepts in science.
  • Part 2 introduces and calls into question two widely accepted but nonetheless questionable propositions about the nature of personality: (a) that the term refers to an underlying causal entity within a person, and (b) that the study of personality is the study of the whole person.
  • Part 3 presents a definition of “personality”, some discussion elaborating and clarifying this definition, and an explication of the ways in which it differs from all previous definitions.
  • Part 4 discusses the “so what?” question: what benefits accrue both to having a consensus definition in general and to acceptance of the proposed definition in particular?

현재의 분석은 비트겐슈타인(1953)의 일반적인 언어 철학에 크게 힘입은 프레임워크인 기술심리학(Descriptive Psychology)의 개념적 프레임워크 내에서 생성되었다. 바라건대, 현재의 빅5와 성격에 대한 다른 특성 접근과 잘 조화를 이루고 그들을 위한 개념적 기초가 될 수 있는 이 공식은 성격 심리학에서 현재의 개념적 혼란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resent analysis was generated withi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Descriptive Psychology (Ossorio, 2006; see also; Bergner, 2010; Schwartz, 2019; Shideler, 1988), a framework heavily indebted to the ordinary language philosophy of Wittgenstein (1953). Hopefully, this formulation, one that coordinates well with current Big 5 and other trait approaches to personality, and which might serve as a conceptual underpinning for them, will prove helpful in ameliorating the current conceptual confusion in personality psychology.

1. 개념에 대한 몇 가지 주의사항
1. Some reminders about concepts

내가 동료들에게 정의(및 파라메트릭 분석과 같은 기타 개념적 공식)를 제시할 때, 종종 발생하는 질문은 제시된 공식에 경험적 뒷받침이 있는지 여부이다. 이 질문에 답하면서, 전통적인 과학 관행에서 몇 가지 상기시켜주는 것이 순서입니다. [개념concepts은 이론이 아닙니다]. 이론과 달리, 개념concepts은 경험적 명제로 구성되어 있지 않다. 개념을 정의할 때 정확하거나 부정확할 수 있지만 개념 자체는 참도 거짓도 아닙니다. 예를 들어 "척추동물", "힘" 및 "아이소토프"라는 개념은 참(또는 "검증 가능") 또는 거짓(또는 "falsable")이 아닙니다. 만약 생물학 교수가 "척추동물은 등뼈나 척추를 가진 생물"이라고 말하거나 물리학 교수가 "힘은 신체를 가속시키는 어떤 영향"이라고 말한다면, 우리는 그러한 주장에 대한 경험적 뒷받침이 있었는지 묻지 않을 것이다. 독신남에게 아내가 있는지 없는지를 경험적으로 판단하는 것보다 힘이 신체를 가속시키는 것을 경험적으로 결정하는 실험을 더 이상 하지 않을 것이다.

When I have presented definitions (and other conceptual formulations such as parametric analyses) to colleagues, a question that often arises is that of whether or not the formulation presented has any empirical support behind it. In responding to this question, some reminders from traditional scientific practice are in order. Concepts are not theories. Unlike theories, they are not comprised of empirical propositions. While one might be correct or incorrect in defining a concept, concepts themselves are neither true nor false (Bergner, 2010; Harré & Tissaw, 2005; Ossorio, 1981, 2006; Schwartz, 2019). The concepts “vertebrate”, “force”, and “isotope”, for example, are not true (or “verifiable”) or false (or “falsifiable”). If the biology lecturer states, “A ‘vertebrate’ is a creature that possesses a backbone or spinal column”, or the physics professor states, “A ‘force’ is ‘any influence that causes a body to be accelerated,” we would not ask if there was empirical support for such claims. One would no more do an experiment to empirically determine if forces accelerate bodies than one would to empirically determine whether bachelors have wives.

과학에서 개념의 위치는 오히려 필수불가결한 사전 경험적pre-empirical 요소이다. Lyons(1980)는 개념의 필수불가결성에 대해 언급하면서 그 점을 잘 지적하고 있다. "감정"을 정의할 필요성을 부인했던 동료 감정 연구자에 대해 라이언스는 "어떤 이는 토끼로 간주되는 것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한 채 토끼를 연구하기 위해 돌진하는 것과 같은 상황이 되어야 한다고 말하고 싶다"고 답했다. 예를 들어 물리학자가 먼저 "힘", "역비례성", "점질량"의 개념(경험적으로 확립되지 않은 의미의 규정)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힘은 두 점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한다"는 경험적 주장을 공식화할 수 없었을 것이다. 만약 어떤 경험적 현상을 구별하기 위한 적절한 개념을 먼저 가지고 있지 않다면, 그 현상에 대해 어떤 것을 엄격하게 말하는데 매우 불리할 것이다(예를 들어, 이론을 공식화하거나, 연구 가설을 말하는 것).

The place of concepts in science, rather, is that of being indispensable pre-empirical elements (Bergner, 2010; Harré & Tissaw, 2005; Ossorio, 1981, 2006; Schwartz, 2019). Lyons (1980), in commenting on their indispensability, puts the point well. Objecting to a fellow emotion researcher who had denied the necessity of defining “emotion”, Lyons responded that, “One is tempted to say that the resulting situation must be like that of sallying forth to study rabbits while having no idea of what is to count as a rabbit” (p. xi). If the physicist, for example, did not first have the concepts of “force,” “inverse proportionality”, and “point mass” -- all of which have stipulated, not empirically established, meanings -- he or she could not even have formulated, much less tested, the empirical claim that “a force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between two point masses?” If one did not first have an adequate concept for distinguishing any empirical phenomenon, one would be at great disadvantage in saying anything rigorously (e.g., formulating a theory or stating a research hypothesis) about that phenomenon.


[정의](용어의 올바른 적용을 위해 필요하고 충분한 조건의 사양)는 물론 정확/부정확 하나 적절/부적절 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과학에서, 정의에 대해서 제기되는 적정성의 기준은 다음과 같은 것이다. 

  • 첫째, 그리고 특히 오랜 공통 사용 역사를 가진 개념에 관해, 그 정의는 직관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가, 아니면 우리의 언어적 직관에 위배되는가? 후자의 예로는 "나는 '사랑'을 상호 강화로 정의한다" 또는 "나는 '정신적 질환'을 자기 나라의 정부 당국에 대한 불복종으로 정의한다"와 같은 말이 있을 것이다. 
  • 둘째, 그것들이 유용한가? 예를 들어, 역사적으로, 뉴턴의 "힘"과 "질량"의 개념에 대한 새로운 공식은 그의 만유인력 이론의 창조에 필수적이었다. 

Definitions -- specifications of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correct application of a term (Gupta, 2015; Ossorio, 1981, 2006) -- can of course be correct or incorrect, and more or less adequate. Historically, in science, the criteria of adequacy to be posed of them, very different in nature than those for theories, are ones such as the following.

  • First, and especially with respect to concepts with a long history of common usage, is the definition intuitively acceptable, or does it so violate our linguistic intuitions that language seems to be used anarchically (Ossorio, 19812006)? Examples of the latter might occur were I to say such things as, “I define ‘love’ as mutual reinforcement”, or “I define ‘mental disorder’ as disobedience to the governmental authorities in one's country”.
  • Second, are they useful (Ossorio, 19812006)? Historically, for example, Newton's novel formulations of the concepts of “force” and “mass” were indispensable to the creation of his theory of universal gravitation (Gleick, 2003). 

따라서, 이 기사에서 제안하는 성격의 정의와 성격 문헌의 모든 경쟁자들은 [직관적인 수용성]과 [유용성]이라는 기준을 적절히 갖추고 있다.
Thus, the standards that the definition of personality proposed in this article, as well as all of its competitors in the personality literature, are appropriately held to are those regarding their intuitive acceptability and their usefulness.

2. 성격에 관한 두 가지 신화
2. Two myths about personality

2.1. 신화 #1: "인격"이란 근본 원인 실체를 말한다.
2.1. Myth #1: The term “personality” refers to an underlying causal entity

많은 사람들은, [성격]은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행동의 기초가 되고 영향의 원인으로 그것과 관련된 어떤 실체(예: 구조 또는 메커니즘)로 보인다. 예를 들어, 아마도 가장 유명하고 여전히 널리 인용되는 정의에서,

  • Allport(1961)는 성격은 "한 사람의 특징적인 행동과 사고를 결정하는 정신-물리 시스템의 개인 내의 역동적인 조직"이라고 말했다.
  • 보다 최근에, 라센과 버스(2017)는 성격을 "개인의 심리적 특징과 메커니즘의 집합으로, 조직화되어있고, 비교적 지속적이며, 정신 내, 신체적, 사회적 환경과의 상호작용과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개념화했다.
  • Funder(2016)는 부분적으로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공식에서 성격은 "개인의 생각, 감정, 행동의 특징적인 패턴을 지칭하며refer, 이것이 모여서 그 패턴 뒤의 (숨겨지거나 숨겨지지 않은) 심리적 메커니즘을 만드는 것"고 주장한다.

On many accounts, personality is seen, in whole or in part, as some entity (e.g., a structure or mechanism) that underlies behavior and is related to it as cause to effect. For example, in perhaps the most famous and still widely cited (e.g., Funder, 2016, p. 340) definition,

  • Allport (1961) stated that personality is “the dynamic organization within the individual of those psycho-physical systems that determine his characteristic behavior and thought” (p. 28).
  • More recently, Larsen and Buss (2017) conceptualized personality as “the set of psychological traits and mechanisms within the individual that are organized and relatively enduring and that influence his or her interactions with, and adaptations to, the intrapsychic,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s” (p. 4).
  • Finally, Funder (2016), in a partially causal formulation, contends that personality “refers to a person's characteristic patterns of thought, emotion, and behavior, together with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 hidden or not -- behind these patterns” (p. 5).

이 관점의 문제점. 이 관점의 가장 큰 어려움은 직관적인 [수용가능성]에 관한 것입니다. 이러한 우려는 다음 가설에서 포착되었습니다. Jill을 잘 아는 Jack은 어느 날 Susie에게 Jill을 "주장스럽다assertive"고 표현합니다. 수지는 잭에게 그 성격 용어를 사용할 때, [그녀가 자주 하는 방식으로 행동하게 만드는 메커니즘이나 구조, 정신-신체 체계와 같은 질 내부의 무언가]를 말하는 것이냐고 묻습니다. 잭의 답변은 이렇다.

  • "아뇨, 저는 그녀가 이렇게 행동하게 될 수 있는 내부 메커니즘이나 구조, 시스템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내가 그런 걸 어떻게 알아요? 제 말은 질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권리와 욕구를 표현하고 강하게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입니다. 저는 오랫동안 그녀가 이것을 꽤 꾸준히 하는 것을 봐왔고, 제가 볼 때, 그녀는 연극을 하지 않았고, 아무도 그녀에게 강요하거나 돈을 주거나 그녀의 의사에 반해서 이런 행동을 하도록 영향을 주지 않았기 때문에, 그것은 단지 그녀의 개인적인 성향인 것 같습니다. 그게 바로 그 용어입니다. 

Problems with this view. The central difficulty with this view concerns its intuitive acceptability. This concern is captured in the following hypothetical. Jack, who knows Jill very well, one day describes her to Susie as “assertive”. Susie asks Jack if in using that personality term he is referring to an inner something within Jill -- for example, a mechanism or structure or psycho-physical system -- that is causing her to behave in the way that she often does. Jack replies:

  • “No, I'm not referring to an inner mechanism or structure or system that might be causing her to behave this way. How would I even know about such a thing? I mean only that Jill is a person who tends to express and to pursue strongly her personal rights and desires in her relationships with others. I have observed her doing this pretty consistently for a long time and, as far as I can see, she is not play-acting and no one is forcing her, paying her, or in any other way influencing her to behave this way against her will, so it seems like it is just her own personal inclination. That's what I mean by the term.”

여기서 잭은 "민속" 또는 "보통 언어" 개념으로 여겨지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나의 궁극적인 공식은 그의 것과 모든 면에서 동일하지는 않지만, 직관적인 수용성의 기준은 내가 그것에서 너무 멀리 벗어나지 않도록 요구한다. (NB: Jack이 Jill의 성격 특성에 대해 [동료 평가]를 할 경우, 이것이 그가 채택할 개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 연구자가 사람 내면의 "정신-신체psycho-physical 시스템"과 같은 다른 것을 측정하고 있다고 믿는다면, 이는 잘못된 것이다.)

Here, Jack is giving what would be considered a “folk” or an “ordinary language” conception; while my ultimate formulation will not be identical in every particular with his, the criterion of intuitive acceptability requires that I not stray too far from it. (NB: It might be noted that, if Jack were to do a peer rating of Jill's personality traits in the context of a research study, this is the conception he would be employing. If the researcher believed that he or she was measuring something else such as an inner “psycho-physical system”, this would be mistaken.)

잭의 분석과 일관되게, 기술 심리학 체계 내의 저자들은 "성격"이라는 용어가 사람에 대한 특정한 사실을 의미한다고 주장해 왔다. 행동, 사고 및 감정에 대한 인과 관계에 있는 기본 메커니즘, 구조 또는 시스템을 지정하지 않으며, 이러한 메커니즘과 구별됩니다. 이 개념에서 [(관찰할 수 없는 내적 원인 실체에 대한) 추론]이 아니라 [관찰]을 통해 질이 자기주장이간함(또는 외향적, 관대함 또는 우울함 등)임을 알게 된다. 이러한 특성이 추가 설명에 적합하다는 주장에는 문제가 없겠지만 -- 예를 들어, 질의 어린 시절 경험, 특정 신념의 보유, 유전적으로 획득된 소인 보유 등을 언급함으로써-- 우리는 ["주장이 강함"과 같은 단어]와 [겉으로 보이는 행동을 야기하는 "메커니즘"이나 "심리-신체 시스템"]과 같은 관찰할 수 없는 [내적 실체]를 혼동하지 않는다. 이 모든 것은 매우 공적인public 특성이 있는 "성격"이라는 용어의 [라틴어 어원]과 일치한다: "마스크"를 뜻하는 페르소나.


Consistent with Jack's analysis, authors within the framework of Descriptive Psychology (Bergner, 2017; Ossorio, 1978, 2006; Schwartz, 2019) have maintained that the term “personality” designates certain facts about persons. It does not designate any underlying mechanisms, structures, or systems that stand in a causal relationship to behavior, thought, and emotion, and as such are distinct from them. On this conception, we learn that Jill is assertive (or extraverted or generous or depressive, etc.) primarily through observation, not inference to an unobservable inner causal entity. While there would be no problem with the contention that such characteristics are amenable to further explanation -- for example, by reference to Jill's childhood experiences, her holding of certain beliefs, or her possession of genetically acquired predispositions -- we do not confuse words like “assertiveness” with unobservable inner entities such as “mechanisms” or “psycho-physical systems” that are causing her overt behavior. All of this is in keeping with the very public Latin etymology of the term “personality”: persona, meaning “mask”.

마지막으로, 어떠한 대상물 X를 설명하는 것과 달리, 「X」의 올바른 사용에 필요한 충분한 조건을 기재하는 것으로, 종래에는 대상물 X가 무엇인지를 특정하는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인과관계나 다른 설명적 주장을 하는 사업을 하고 있지 않다. [사전]은 [요약된 단어의 의미]이지, 그 단어들이 언급하는 [현상의 원인]이 아니다. 총각은 미혼 성인 남성이다; 무엇이 여러 총각들로 하여금 그러한 상태에 있게 만드는지는 별개의, 정의와는 무관한, 경험적인 문제이다.

Finally, in defining, as opposed to explaining, any given subject matter X, we are traditionally in the business of identifying what subject matter X is by stating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correct usage of the term “X” (Gupta, 2015; Ossorio, 1981). We are not in the business of making causal or other explanatory claims. A dictionary is a compendium of word meanings, not of the causes of phenomena referred to by those words. A bachelor is an unmarried adult male; what might cause many bachelors to have that status is a separate, non-definitional, empirical matter.

 

2.2. 제안 #2: 성격을 연구하는 것은 전인whole person을 연구하는 것이다.
2.2. Proposition #2: The study of personality is the study of the whole person

심리학 문헌에서는 성격을 사람 전체와 동일시하고, 그 연구는 사람 전체와 동일시하는 경향이 널리 퍼져 있다.

  • 예를 들어 McAdams(2009)는 다음과 같이 기술했다. 성격심리학은 전인에 관한 과학적 연구다. 심리학은 많은 것에 관한 것이다. 지각과 주의력, 인식과 기억, 뉴런과 뇌회로…우리 (성격심리학자들)는 개개의 인간을 복잡한 전체로서 이해하려고 노력한다…그리고 인간의 개개인성individuality에 대한 과학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설명을 구축하려고 한다.
  • 유사한 맥락에서 세르본과 퍼빈(2013)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 …성격의 개념은 포괄적입니다. 이는 개인의 모든 측면을 의미한다." (p.8); 
  • 옥스퍼드 심리학 사전은 그것이 "개인의 특징적인 행동적, 정신적 특징의 총합"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 마지막으로, 펀더(2016)는 다음과 같이 선언했다. "이 정의(즉, "개성"의 정의)는 성격 심리학자들에게 전체 인물을 연구해야 하는 독특한 사명을 부여한다." (p.5)

In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there is a widespread tendency to equate personality with the whole person, and its study correspondingly with the study of the whole person.

  • For example, McAdams (2009) has stated that “Personality psychology is the scientific study of the whole person … psychology is about many things: perception and attention, cognition and memory, neurons and brain circuitry … We (personality psychologists) try to understand the individual human being as a complex whole … (and) to construct a scientifically credible account of human individuality” (p. 2).
  • In a similar vein, Cervone and Pervin (2013) assert that “ … the notion of personality is comprehensive. It refers to all aspects of persons” (p. 8); while
  • the Oxford Dictionary of Psychology maintains that it is “the sum total of the behavioural and mental characteristics that are distinctive of an individual” (Colman, 2006, p. 564; cf.; APA Dictionary of Psychology, 2007, p. 689).
  • Finally, Funder (2016) has declared that, “This definition (i.e., of “personality”) gives personality psychologists their unique mission to study whole persons ” (p. 5).


이 입장을 다루기 위한 비공식적인 시작으로서, 다시 한 번 직감적인 수용 가능성의 관점에서, "전체 인물"에 대한 다음과 같은 설명을 고려한다. "사라"는 56세의 이혼한 백인 여성이다. 그녀는 현재 대학에 다니고 있는 두 아이의 헌신적인 엄마로 그들의 삶에 매우 관여하고 있다. 그녀는 무엇보다도 적극적이고, 외향적이며, 배려심이 있고, 모험심이 강하고, 사회적으로 의식이 있는 사람으로 친구들에 의해 묘사된다. Sarah는 컴퓨터 공학의 고급 학위를 가지고 있으며, 그 분야의 실무자로 일하고 있으며, 일에 전념하고 있으며, 동료들에게 상당한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그녀는 시민 문제에 적극적이며 때때로 지역 시민 단체에서 리더 역할을 맡기도 했다. 그녀의 관심사는 자전거 타기, 정원 가꾸기, 정치, 연극, 오페라 등이다. 열성적인 여행자인 그녀는 비교적 쉽게 외국어를 습득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비록 종교적으로 매우 적극적이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그녀의 종교적 유산과 강하게 동일시하고 있으며, 이것은 그녀의 개인적 정체성의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현재 사라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는 두 사건은 2년 전 어머니의 죽음과 26년 동안 살아온 남편과의 고통스러운 이혼이다. 최근 그녀는 은퇴에 대해 점점 더 많이 생각하고, 은퇴 후 어떻게 보내고 싶은지에 대한 목표를 세웠습니다. 즉, 가까운 두 명의 여자 친구와 함께 해외 여행을 하는 것입니다.

As an informal beginning to addressing this position, again primarily from the point of view of its intuitive acceptability, consider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a “whole person”. “Sarah” is a 56-year-old divorced Caucasian woman. She is the devoted mother of two children, both currently attending college, and remains very involved in their lives. She is described by her friends, among other things, as an assertive, extraverted, caring, adventurous, socially conscious individual. Sarah has an advanced degree in computer science, works as a practitioner in that field, is dedicated to her work, and is regarded by her colleagues as having considerable expertise. She is active in civic affairs and at times has assumed leadership roles in local civic organizations. Her interests include cycling (she is in excellent physical condition), gardening, politics, theatre, and opera. An enthusiastic traveler, she has a capacity to pick up foreign languages with relative ease. Although not very active religiously, she nonetheless identifies strongly with her religious heritage, and this is a very important part of her personal identity. Two events that weigh heavily on Sarah at the present time are the death of her mother two years ago and a painful divorce the subsequent year from her husband of 26 years. Lately, she thinks more and more of retirement and has set some goals for herself regarding how she would like to spend it; essentially, traveling abroad with two close female friends.

사라에 대해 더 많은 것을 말할 수 있다. 하지만 핵심을 밝히기에 충분하다고 합니다. 성격 특성이 전체 개인의 특성을 모두 이해하는 것은 아니다. 성격은 그러한 특성의 하위 집합만을 구성한다. 사라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려면, 그녀의 성격에 관한 사실들을 뛰어넘는 많은 말들이 필요하다. 따라서, 일부는 그녀의 성격 특성에 관한 것이지만(외향적이고, 적극적), 지위(어머니, 이혼한 사람, 고급 학위 보유자), 핵심 관계, 직업, 능력, 목표, 종교적 정체성, 관심사, 능력, 나이, 인종, 건강, 현재 개인적인 불행의 근원 등과 같이 많은 직관적으로 보더라도 [성격과는 관련 없는 사실에 대한 정보]가 추가적으로 제시되었다. 직감적으로, 사실상 아무도 "사라는 컴퓨터 프로그래머" 혹은 "두 아이의 부모" 혹은 "현재 불행하다"는 그녀의 성격에 대한 진술이라고 말하지 않을 것이다. 분명히 사라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한 사람 전체를 묘사하려는 합리적인 시도에는 개인의 성격 특성을 암송하는 것을 훨씬 뛰어넘는 정보가 포함될 것이다. [그 사람 전체whole person]에는 [그 사람의 성격]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이 있습니다.

More could be said about Sarah. But enough has been said to make the key point: personality characteristics do not comprehend all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whole person; they comprise only a subset of such characteristics. To provide a picture of Sarah as a whole person, many things needed to be said that go beyond facts about her personality. Thus, while noting some of her personality traits (extraverted, assertive), further information was presented about many intuitively non-personality facts such as her statuses (mother, divorced person, advanced degree holder), core relationships, occupation, competencies, goals, religious identity, interests, capacities, age, race, health, current sources of personal unhappiness, and more. Intuitively, virtually no one would say that “Sarah is a computer programmer” or “a parent of two” or “is currently unhappy” are statements about her personality. Clearly, as illustrated by the case of Sarah, any reasonable attempt to describe a whole person is going to include information that goes well beyond the recitation of an individual'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here is much more to any “whole person” than his or her personality.

인물의 파라메트릭 분석. 이 점을 보다 공식적이고 체계적으로 만들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개인 특성 모수 분석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 분석은 원래 오소리오에 의해 책정된 것으로, 한 사람이 다른 사람과 같거나 다를 수 있는 다양하고 다양한 방법(단순한 성격 방식이 아니라)을 포착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사람 특성을 명료하게 표현한 것이다(비교: 색채 과학에서 색상, 포화도 및 밝기는 한 색이 다른 색과 같거나 다를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적 자원을 제공합니다.) <PC> = <Ds, P, Dr> 이며, 각각은 다음과 같다. 

A parametric analysis of persons. To make this point more formally and systematically, the following parametric analysis of Person Characteristics may be helpful. This analysis, originally formulated by Ossorio (1985; 2006), is an articulation of the various kinds of person characteristics whose specification enables us to capture the many and various ways (as opposed to just the personality ways) in which one person can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another person. (Compare: in color science, hue, saturations, and brilliance provide the conceptual resources necessary to articulate all of the ways in which one color can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another color.)<PC> = <Ds, P, Dr>where

PC = 인물 특성
PC = Person Characteristics

Ds = 기질, 개인의 다양한 개인적 경향 또는 성향으로, 일반적으로 행동 빈도의 지속적 패턴에 의해 관찰된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특질 (특정 종류의 행동(예: 외향적, 공격적 또는 자기 비판적 행동) 또는 특정 감정 상태(예: 우울하거나 불안한 행동)를 경험하는 성질) 
  • 스타일 (사람이 하는 일이 아니라 그것을 하는 방법(예: 세련되고 화려하거나 우아한 방식으로)으로 해야 하는 배치) 
  • 태도 (예: 기후과학 또는 종교적 신념) 또는 특정 등급의 객체(예: 여성 또는 소수민족)를 특정 특징적인 방식으로(예: 찬성 또는 반대) 보고 다루는 처분) 
  • 흥미 (특정 주제(예: 정치 또는 패션) 또는 활동(예: 체스 또는 춤)을 찾아 마음을 사로잡는 것)

Ds = Dispositions, the various personal inclinations or tendencies of an individual, ordinarily observable by virtue of an enduring pattern of frequency in their behavior. These include 

  • Traits (dispositions to engage in a certain kind of behavior [e.g., extraverted, aggressive, or self-critical behavior]) or to experience certain emotional states [e.g., depressive or anxious ones]);
  • Styles (dispositions having to do, not with what a person does, but with how he or she does it [e.g., in a sophisticated, flamboyant, or gracious fashion]); 
  • Attitudes (dispositions to regard and treat different objects [e.g., climate science or religious belief] or certain classes of object [e.g., women or ethnic minorities] in certain characteristic ways [e.g., approvingly or disapprovingly]); and 
  • Interests (dispositions to find certain topics [e.g., politics or fashion] or activities [e.g., playing chess or dancing] absorbing and captivating).

P = 능력, 주어진 사람에게 가능한 것과 불가능한 것과 관련된 개념.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실력 (피아노 연주, 농구 슛, 외국어 말하기 등 어떤 종류의 성과에 관한 능력) 
  • 지식/신념 (법적 추진에 관한 법률 지식이나 신의 존재에 관한 신념 등 당사자가 행동할 수 있는 사실 및 신념의 집합) 
  • 가치 (성실성, 부의 축적, 모험적인 삶의 방식 등 사람이 일상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동기 부여 우선 사항의 집합).

P = Powers, concepts having to do with what is possible and not possible for a given person. These include the person's 

  • Abilities (i.e., capabilities with reference to some kind of achievement such as playing the piano, shooting a basketball, or speaking a foreign language); 
  • Knowledge/beliefs (the set of facts and beliefs the person has the ability to act on, such as knowledge of the laws governing legal driving or beliefs about the existence of a deity); and 
  • Values (the set of motivational priorities that the person is routinely able to act on, such as a value for integrity, for accumulating wealth, or for an adventurous way of life).

Dr = 파생물, 이전의 두 범주와 달리 행동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지만, 기질Disposition과 능력Power을 참조하여 정의되는 개념입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상태 (병들거나 격분하거나 술에 취하거나 하는 등 개인의 통상적인 권력이나 성향에 조직적인 차이가 있는 상태) 
  • 카파시티 (음악 기술을 습득하거나 언어를 배우는 능력 등 개인 특성을 습득할 수 있는 가능성) 
  • 신체화 (신장 6피트, 체중 175파운드, 면역체계 저하 등 사람의 신체적 특징)

Dr = Derivatives, concepts which, unlike the two previous categories, do not have a direct connection to behavior but are defined instead by their reference to Dispositions and Powers. These include 

  • States (states of affairs in which there is a systematic difference in the ordinary powers or dispositions of a person, such as being sick or enraged or drunk); 
  • Capacities (the potential to acquire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ones to acquire musical skills or to learn languages); and 
  • Embodimen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 person, such as being six feet tall, weighing 175 pounds, or having a compromised immune system) (adapted from Ossorio, 2006, pp. 70–71).

사라와 같은 사람 전체를 묘사하기 위해서는, 그녀의 성격 특성을 구성하는 중요한 부분집합뿐만 아니라 이 모든 범위의 사람 특성이 요구될 것이다. 이 분석에서 성격 특성은 세 가지 [일반적인 파라미터] 중 하나인 기질Disposition과, 네 가지 [하위 파라미터] 중 두 개인 특성Trait 및 스타일Styles로만 구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러 해 동안 성격 강좌에서 학생들에게 '어머니의 성격을 묘사해 달라'고 부탁하는 첫 번째 연습을 했습니다. 응답을 보면, 생성된 설명의 93% 이상이 엄마의 특성 및 스타일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엄마의 능력, 지식/신념, 카파시티, 흥미 및 태도와 관련된 정보는 드물었습니다.) 그러나 이 목록조차도 단순히 성격의 특징을 파악하는 것보다 훨씬 포괄적이기는 하지만, 여전히 전체 인물을 포착하는 데 있어 완전한 것은 아니다. 우리는 사라가 인생에서 중대한 신체적 핸디캡을 일찍 극복한 것, 중요한 시기에 친구를 잃은 것에 죄책감을 느꼈던 것, 또는 그녀가 심한 공공의 굴욕을 겪은 시간을 극복하지 못한 것에 대해 항상 강한 만족감을 가지고 살아왔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전체 인물 팔레트whole person palette"는 개인의 성격 특성을 묘사하는 것보다 훨씬 더 광범위하며, (우리가 소설을 쓰지 않는 한) 사람에 대해 매우 포괄적인 설명을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매우 드물게만, 사용하는 팔레트이다.

In order to fully describe a whole person such as Sarah, this entire range of person characteristics would be required, not just that important subset comprising her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n this analysis, it may be note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comprise items falling under only one of the three general parameters, Dispositions, and under this category only two of the four sub-parameters, Traits and Styles. (Anecdotally, for many years in my personality course, I did an initial exercise in which I asked students simply to “describe your mother's personality”; in response, over 93% of the descriptions generated pertained to the mother's Traits and Styles; information pertaining to her Abilities, Knowledge/Beliefs, Capacities, Interests, and Attitudes was rare.) Even this listing, however, though far more comprehensive than just identifying personality characteristics, is still not exhaustive with respect to capturing the whole person. We might still say of Sarah such things as that she has always lived with a strong sense of satisfaction that she overcame a significant physical handicap early in life, felt guilty that she once failed a friend at a critical time, or never gotten over the time she suffered a severe public humiliation. The “whole person palette” -- the palette which (unless we are novelists) we use only on those very rare occasions where there is a need to give extremely comprehensive descriptions of a person -- is far more extensive than the delineation of an individual'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3. 성격의 정의
3. A definition of personality

이 섹션에서는 "성격"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제안하고, 그 정의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이러한 요소 중 일부는 개념의 이전 공식에 나타나며 익숙할 것이고, 다른 요소들은 새로운 것이어서 현재의 공식은 이전 개념과 전반적으로 다르다. 이 섹션에서는 이러한 차이에 대한 설명으로 마무리합니다.
In this section, a new definition of “personality” is proposed, followed by an analysis of the different elements comprising it. Some of these elements appear in previous formulations of the concept and will be familiar, while others are new and thus render the present formulation different overall from its predecessors. The section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these differences.

3.1 정의
3.1. The definition

개인의 성격은 그 혹은 그녀가 보여주는 지속적 특질과 스타일의 집합이며, 그 특성은 다음을 나타낸다. 
(a) 이 사람의 기질 (즉, 타고난 성향 또는 개인적 경향) 및 
(b) 이 사람 자신이 속한 사회의 "표준적인 일반 사람"과 어떤 식으로 다른지. 
An individual's personality is the enduring set of Traits and Styles that he or she exhibits, which characteristics represent
(a) dispositions (i.e., natural tendencies or personal inclinations) of this person, and
(b) ways in which this person differs from the “standard normal person” in his or her society

개인의 성격은 파라메트릭 분석에서 위에서 지정한 모든 성격 특성 집합의 하위 집합으로 여기에 공식화됩니다. 그것은 위에서 나열된 10가지 특성 중 두 가지로 구성된 하위 집합이다.

  • 특질([특정 종류의 행동]에 관여하거나 [특정한 감정 상태]를 경험하는 것에 관한 기질)과
  • 스타일(사람이 [무엇을 하는지]가 아니라, [어떻게 하는지]에 관한 기질)

다음에서는 이 정의의 각 특징을 차례로 설명합니다. 
(NB: "행동"은 예를 들어, 개인적으로 자신을 비난하거나, "머리로" 요약하거나, 정신적으로 하루 일정을 계획하는 것과 같은 정신적인 행동을 포함하도록 의도되어 있습니다.)

An individual's personality is formulated here as a subset of the set of all the Person Characteristics specified above in the parametric analysis. It is the subset comprising two of the ten characteristics listed there, 
> Traits (dispositions to engage in a certain kind of behavior or to experience certain emotional states), and 
> Styles (dispositions having to do, not with what a person does, but with how he or she does it).

In the following, each of the features of this definition is discussed in turn. (NB: “Behavior” is intended here to include mental acts such as, for example, privately criticizing oneself, doing a sum “in one's head”, or mentally planning one's daily schedule.)

'지속적'. 이것은 대부분의 성격 정의에서 반복되는 특징입니다. 외향성, 공격성, 불안과 같은 특성은 [상당한 기간에 걸쳐 관찰되는 조건]에서만 성격적 특성으로 단정할 수 있다. 같은 성질을 나타내는 행동이나 감정이 단 한 번만 또는 단기간 동안만 일어난다면, 우리는 그 특성을 보인 "에피소드" 또는 "상태"라고 말한다. 예를 들어, 극심한 불안이나 불안한 상태의 일화이다.

Enduring”. This is a recurring feature in most definitions of personality (e.g., Feist et al., 2013; Larsen & Buss, 2017; Mischel et al., 2007). Characteristics such as extraversion, aggressiveness, and anxiety are aptly predicated a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nly under conditions where they are observed over a significant period of time. If behaviors or emotions exhibiting the same qualities occur only once or only over a brief period of time, we speak of “episodes” or “states” exhibiting the relevant quality -- for example, an episode of intense anxiety or an anxious state.

NB: 이것은 또한 일반적으로, 사람에 대한 같은 개념[예: "공격적", "적대적", 또는 "부끄러운"]이 다른 종류의 특성을 지칭하기 위해 다른 맥락에서 사용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다양한 맥락에서 "적대적"이라는 단어는 특성, 상태, 스타일, 태도, 행동 또는 위의 조합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 "성격적인 적대감은 적대적인 대인관계 스타일로 나타난다"]
(NB: This also illustrates the general point that the same person concept [e.g., “aggressive”, “hostile”, or “shy”] is used in different contexts to designate different kinds of person characteristics. The word “hostile”, for example, in various contexts is used to designate a trait, a state, a style, an attitude, a behavior, or some combination of the above [e.g., “His characterological hostility shows up in his hostile interpersonal style.”])

"의미있는" 기간은 무엇입니까? 여기서 통용되는 일반적으로 정해진 규칙은 없다. 그 개념은 모호함에 대한 공통적이고 많은 논란이 되고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일회성과 비일회성 사이에 명확한 경계가 없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자신의 연구 목적을 위해 정확하고 확실한 시간 경계를 필요로 하는 성격 연구자는 조작적 정의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예: "이 연구의 목적상, '지속적enduring'이란 3년 이상을 의미합니다.")
What is a “significant” period of time? There is no generally established hard and fast rule to go by here. The concept possesses the common and much-discussed quality of vagueness (Chaplin, John, & Goldberg, 1988; Sorenson, 2018). That is, it lacks a clear boundary between its instances and non-instances. For this reason, any personality researcher requiring a precise, determinate time boundary for his or her research purposes would need to decide upon an operational definition (e.g., “for purposes of this research, by ‘enduring’ we mean three years or more”).

기질. 지속성과 마찬가지로, 기질은 여러가지 성격의 정의에서 반복되는 특징이다. 사실, 그것의 연구에 대한 하나의 두드러진 접근법인 특질 이론trait theory은 종종 "기질적dispositional 접근법"으로 언급된다. 그러나 이 용어의 의미는 철학자들에 의해 충분히 논의되고 있지만, 심리학 문헌에서는 전혀 논의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 단어는 옥스퍼드 심리학 사전에도 나오지 않는 반면, APA 심리학 사전(2007)은 "개인을 다른 사람과 구별하는 반복적인 행동 또는 감정적 경향"이라고 명시할 때 동의어에 해당하는 것 이상을 제공하지 않는다. 기질disposition은 성격 특성의 중요한 측면이기 때문에, 이러한 부재는 심리학 내에서 성격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을 완전히 발달시키지 못한 상태로 남긴다.
Disposition. Like enduringness, disposition is a recurring feature in other definitions of personality (e.g., Allport, 1961; McAdams, 2009). Indeed, one prominent approach to its study, trait theory, is often referred to as the “dispositional approach”. However, while the meaning of this term is amply discussed by philosophers (e.g., Choi & Fara, 2016; Romero & Craver, 2015), it is discussed hardly at all in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The word, for example, does not even appear in the Oxford Dictionary of Psychology (Colman, 2006), while the APA Dictionary of Psychology (2007) provides little more than what amounts to a synonym when it states that it is “a recurrent behavioral or affective tendency that distinguishes an individual from others” (p. 90). Since disposition is a critical aspect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his absence leaves the overall conception of personality within psychology less than fully developed.

[기질disposition]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개념을 포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개인적인 "경향", "성향", "추세"를 포함한다. 어떤 것이 '기질적'이려면, 그 행동 패턴(예: 수줍음 또는 공격적인 행동)은 개인의 개인적 성향을 표현해야 한다. 그러나 이 단순히 동의어의 반복을 넘어서려면, 무엇을 의미해야 하는가? 이는 그 행동 패턴이 (가치관, 지식/신념, 태도 및 관심사와 같은 개인의 행동의 진행 방향과 관련된) [사람의 특성]에 기초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패턴이 (1) 이것들(가치관, 지식/신념, 태도, 관심사)과 일치하지 않거나, (2) 일관된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개인이 어떤 식으로든 행동하도록 압력을 받거나 강요당하거나 동기를 부여받는 등의 영향에 의해 야기되는 것이라면, 그 패턴을 본질적으로 [기질적이지 않고], 성격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는 근거가 된다. "그 영업사원은 사실 유쾌한 사람이 아닙니다. 그가 기분 좋게 행동하는 유일한 이유는 그렇게 하지 않으면 해고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즉, 개인의 다른 [지속성있는 성격 특징enduring Person Characteristics]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종종 성격 특성은 ('우리가 무슨 일을 하는가' 뿐만 아니라) "우리가 누구인가"에 대한 것이라고 말한다.

What is a “disposition”? Common terms used to capture this notion include personal “inclination”, “proclivity”, and “tendency”; to qualify as dispositional, the pattern of behavior in question (e.g., shy or aggressive behavior) must be expressive of the individual's personal inclinations. However, if we are to take this matter beyond the mere recitation of synonyms, what does this mean? It means that the pattern must be grounded in -- must be expressive of -- other Person Characteristics that pertain to the ongoing direction of the individual's behavior such as his or her Values, Knowledge/Beliefs, Attitudes, and Interests. If the pattern is seen as (1) inconsistent with these or, (2) though seeming consistent, actually brought about by influences such as the individual being pressured, forced, or incentivized to behave in some way, these are grounds for counting the pattern as not dispositional in nature, and so not pertaining to his or her personality: “The salesperson is not actually an agreeable person; the only reason he is behaving agreeably is because he would be fired if he did not do so.” It is in this sense, i.e., of their close relationship to -- their being expressive of -- the individual's other enduring Person Characteristics, that we often say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hat they are not just about what we do, but about “who we are”.

성격 용어들은 본질적으로 상대적이다. "빅 5" 성격 특성(외향성, 호감성, 양심성, 신경증, 개방성)에 대한 현재 유비쿼터스 문헌에서는 친숙한 [상대성]이 발전되어 있다. 그것은 현재의 시각과 양립할 수 있는 동시에 일상에서의 관찰과도 일관성이 있는 것입니다. 구체적으로, 이 다섯 가지 특징들을 [차원적인 것]으로 취급한다: 사람들은 다소 외향적이고, 호감도가 높거나 낮으며, 많거나 적거나 신경질적인 정도를 보인다. 예를 들어, 이 변수가 하나의 값만 갖는 것처럼 "그저 원만한" 것은 결코 아니며, 이 차원에서는 항상 상대적으로 높거나 낮습니다.
Personality terms inherently relativistic.
 In the currently ubiquitous literature on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extraversion,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neuroticism, and openness), a familiar kind of relativity is advanced (Digman, 1990; Goldberg, 1990, 1993; John, Naumann, & Soto, 2008). It is one that is both compatible with the present view and consistent with everyday observation. Specifically, this literature treats these five traits as being dimensional: persons are more or less extraverted, high or low on agreeableness, exhibit greater or lesser degrees of neuroticism, and so forth. They are never, for example, “just agreeable”, as if this variable had only one value, but always relatively high or low on this dimension.

하지만, 성격 개념을 규정하는 것에 관한 한, 두 번째 종류의 상대성이 증거이다. 이는 모두 오소리오에 의해 "표준 정상인"으로 지정된 사회적 규범(SNP)에 상대화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사람은 [한 사회에서 항상 보통 사람들이 하는 것과 똑같이 행동하는 가상의 사람]이다. 예를 들어, 그 혹은 그녀의 행동에 있어서, 이 개인은 "내향적"도 "외향적"도 아니고, "동의적"도 아니고 "불동의적"도 아니며, "시기적"도 "적극적"도 아닌, 어느 정도 그 사이의 센터이다. 사회적 규범에 대한 이러한 상대성 논쟁을 방어하기 위해, 특정 개인이 어떤 차원(예: 내향적-외향적)에 매우 중심적일 때, 우리 언어는 이 차원에 관해 그 또는 그녀에 대한 특정한 성격 설명자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할 수 있다. 잭이 내성적이지도 않고 외향적이지도 않은 경우(예를 들어, 큰 5개 기준의 중간 정도일 수 있음), "그 점에 있어서는 그저 평균"이라는 일반적인 비특정 표현을 사용하거나 "글쎄요, 그는 정말 수줍음을 타는 것은 아니지만 정말 외향적이지도 않습니다."와 같은 말을 할 수 있는 경우, 이러한 중간수준을 잡아내는 특별한 용어가 없다.

However, when it comes to predicating personality concepts, a second kind of relativity is in evidence. This is that they are all relativized to a societal norm, one designated by Ossorio (1983; Schwartz, 2019; Shideler, 1988) as a “standard normal person” (“SNP”). This is a hypothetical person who always behaves just as the average person in his or her society does. In his or her behavior, for example, this individual is neither “introverted” nor “extraverted”, neither “agreeable” nor “disagreeable”, neither “timid” nor “aggressive”, but more or less dead center in between. In defense of this contention of relativity to a societal norm, it may be noted that when a given individual is very central on some dimension (e.g., introversion-extraversion), our language contains no specific personality descriptors for him or her with respect to this dimension. If Jack is neither introverted nor extraverted (e.g., he might be right in the middle on a big 5-based scale), while we can use a general, nonspecific expression such as that he is “just average in that regard”, or say something like, “well, he's not really shy but he's not really outgoing either”, there is no specific personality term that captures just this intermediate level of social engagement.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가 한 개인의 성격을 개인에게 귀속시킬 때, 우리는 암묵적으로 다른 사람에 대한 개인적 차이뿐만 아니라, 그 사람이 사회의 표준적인 정상인(그리고 사회 내의 하위 공동체)에서 어떻게 벗어나는지도 구분하고 있다. 사회화를 통해 [우리 각자는 우리 사회의 SNP가 어떻게 생겼는지에 대한 개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처음 사람을 만났을 때, 우리 사회의 사람들은 보통 예의범절의 기준을 지키고, 우리와 눈을 마주치고, 말할 때 말을 걸고, 듣고, 원치 않는 성적, 공격적 진보를 하지 않는 등의 행동을 하는 것이 사회적 본보기였다. 어떤 사람에 대한 경험이 더 많아지면, 우리는 이를 바탕으로 [한 사람의 행동이 SNP에서 어떻게 벗어나는지]를 나타나는 방향으로 그 사람에 대한 인상을 조정한다. 개인은 자기 자신에 대해 끊임없이 이야기하고 우리가 말하는 어떤 것에 대해서도 전혀 관심이 없는 것처럼 보이며, 우리는 "자기애적" 혹은 "자기 중심적"이라고 생각하기 시작한다. 그 사람은 고개를 숙이고, 말을 적게 하고, 눈을 마주치지 못하는 것처럼 보이고, 우리는 "소심하다"고 생각하기 시작합니다. SNP에서 얼마나 벗어났는지에 대한 관찰에 기초해서, [관찰된 행동이 사회적 규범에서 어떻게 벗어나는지에 의해 나타나는 방향]으로 [성격 속성]을 만든다. 어떤 SNP에 근접할 경우, 그 사람의 성격을 특징짓기 위한 특성이나 스타일 용어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그들을 묘사해 달라고 하면, 우리는 다음과 같은 말을 합니다. "글쎄요, 어떤 이유에선지, 나는 그를 묘사하기가 어려워요. 그는 그저, 음, 좀 평범해요."

On this view, then, when we attribute a personality characteristic to an individual, we are marking off, however implicitly, not only her individual differences vis-à-vis other persons, but also how she deviates from the standard normal person in her society (and possibly even a subcommunity within her society) (Ossorio, 1983; Schwartz, 2019). Each of us, by virtue of our socialization, has a conception of what a SNP in our society looks like. Thus, upon first meeting a person, we carry as it were a societal template with us that persons in our society will ordinarily do such things as observe certain standards of politeness, maintain eye contact with us, both speak to us and listen when we speak, not make unwanted sexual or aggressive advances, and much more. Upon further experience with this person, then, in a quasi-Bayesian way, we adjust our impression of them in directions indicated by how their behavior deviates from the SNP. The individual talks non-stop about himself or herself and seems utterly uninterested in anything we say, and we begin to think “narcissistic” or “self-centered”. The individual looks down, says little, and seems unable to make eye contact, and we begin to think “shy”. It is on the basis of these observed deviations from the SNP, then, that we make personality attributions in a direction indicated by how the behavior observed deviates from the societal norm (Ossorio, 1983; Schwartz, 2019; Shideler, 1988). In those rare cases where actual persons closely approximate the SNP, we find it very difficult to provide trait or style terms to characterize their personality. Asked to describe them, we say things like “Well, for some reason, I find it hard to describe him; he's just, well, sort of average.”

사회적 기준에 대한 고유한 상대성을 갖는 성격 특성을 더욱 방어하기 위해, 그들 중 많은 수가 [(행동적 또는 감정적) 누락omission]으로 인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존이 "무책임하다", "신뢰할 수 없다" 또는 "무감정적"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경우에 관찰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의 존재]가 아니라 [예상되는 행동이나 감정의 반복적인 부재]입니다(예: 존은 자주 다른 사람과의 약속을 지키지 않는다). 긍정적인 공공연한 행동이나 감정이 관찰되지 않는다. 대신 관찰자는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것]에 대한 문화적 기준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의 반복적인 부재]할 때 성격 속성으로 나타낸다.
In further defense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possessing an inherent relativity to a societal standard, it may be noted that many of them impute behavioral or emotional omission. We say, for example, that John is “irresponsible”, “unreliable” or “unemotional”. What is observable in such cases is not the presence, but the recurrent absence of expected behaviors or emotions (e.g., John routinely fails to fulfill made commitments to others). No positive overt behavior or emotion is observed. Instead, the observer possesses a cultural standard of what is ordinarily present and marks its recurrent absence with a personality attribution.

성격 특성이 [사회적 규범에 대한 상대적인 것]이자 [그 규범과의 차이의 구별이라는 것]이라는 개념은 다음에도 도움이 된다. 이것은 성격 특성의 속성이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빈도]에 근거한다는 사실이다. 다음과 같은 고정 빈도기반 표준은 없습니다. "P가 Y개월 이상 일주일에 N번 이상 행동 X를 하면, 그것은 성격 특성 행동으로 간주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그렇지 않습니다." 오히려 (성격에 대한) 판단은 SNP 규범에 상대적이며, [특성 속성 행동]의 실제 빈도 자체는 매우 낮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은 장기적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매우 신뢰할 수 있고, 정당하게 "충성" 특성을 부여할 수 있지만, 그 혹은 그녀는 일년에 한두 번 이상 충성으로 특징지어지는 행동을 할 수 있다. "자기희생", "너그럽다", "용감하다" 등으로 특징지어지는 행동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어떤 행동의 주목할 만한 사례의 수가 적더라도, 사회적 규범에서 벗어난 것으로 보일 때, 그 사람이 이러한 특성을 가진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The notion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being relative to a societal norm and marking off divergences from that norm helps to clarify something further. This is the fact that the attribution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is not based on absolute but on relative frequency. There are no fixed, frequency-based standards to the effect that, “if P engages in behavior X more than N times per week for over Y months, it may be counted as personality trait behavior, and otherwise not”. Rather, the judgment is relative to the SNP norm and indeed the frequency of trait-attributed behavior may actually be quite low. A person might, for example, be very reliably loyal to others on a long-term basis, and justifiably assigned the trait “loyal”, yet he or she might engage in behavior marked by loyalty no more than once or twice a year. The same can be said for behavior characterized as “self-sacrificing”, “generous”, “brave”, and more. A relatively low number of notable instances of such behavior may cause the person to be perceived as possessing these traits when this is seen as deviating from the societal norm.

마지막으로 SNP template이 문화마다 다르기에, 이 개념은 [문화 간 상대성]이 내재되어 있음을 수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것은 동일한 행동 패턴일지라도 한 문화(또는 하위 문화)에서는 성격 귀속(예: "공격적")의 근거로 간주될 수 있는 반면, 다른 문화에서는 그렇게 간주되지 않는 익숙한 현상을 설명한다.

Finally, insofar as SNP templates will vary from culture to culture (and, while space does not permit its discussion here, subculture to subculture), it may be noted that this notion carries with it a built-in cross-cultural relativity. It explains the familiar phenomenon that the same pattern of behavior in one culture (or subculture) might be counted as grounds for a personality attribution (e.g., “aggressive”), while in another culture it would not be so counted.

 

3.2. 기존 정의와의 차이점
3.2. Differences from previous definitions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정의는 성격 문헌의 다른 정의와 몇 가지 특징을 공유한다. 예를 들어, 개념의 다른 공식에서 나타나는 [지속성][기질성]과 같은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중복은 현재의 공식에 대해 무엇이 다른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이 질문에 대한 답변에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제시되어야 한다.
As noted above, the present definition shares some features with other definitions in the personality literature. For example, it includes elements such as enduringness and dispositionality that appear in other formulations of the concept. These overlaps raise the question of what, if anything, is different about the present formulation. The following articulation of differences should serve to answer this question.

(1) 현재의 정의는 성격의 개념이 "표준 정상인"(SNP)으로 지정된 사회적 템플릿에 대한 내재적 상대성을 수반한다는 주장에서 다른 모든 것과 다르다.
(1) The present definition differs from all others in its claim that the concept of personality carries with it an inherent relativity to a societal template, one designated as a “standard normal person” (SNP).

(2) 현재의 정의는 성격을 행동 및 감정과 분리되어있거나, 행동 및 감정과 인과관계를 이루는 [기저 실체(예: 메커니즘, 시스템 또는 구조)]로 간주하는 일군의 정의와 다르다.
(2) The present definition differs from all those in that group of definitions that regard personality as an underlying entity (e.g., a mechanism, system, or structure) that is separate from, and stands in causal relationship to, behavior and emotion.

(3) 현재의 정의는 [성격이 전인whole person을 지칭한다]고 주장하는 큰 정의 그룹의 모든 정의와 다릅니다. 즉, "개인의 모든 측면을 지칭합니다."
(3) The present definition differs from all those in the large group of definitions that maintain that personality refers to the whole person -- that it “refers to all aspects of persons” (Cervone & Pervin, 2013, p. 8).

(4) 특성을 포함하는 다른 많은 정의와 달리, 현재의 정의에는 [스타일]도 포함됩니다. 즉, 어떤 사람이 [무엇을 하는가]가 아니라 [어떻게 하는가]에 관련된 그 사람의 특성 (예: Susie는 화려하거나 세련되거나 어색합니다).
(4) The present definition, unlike the many others that include Traits, also includes Styles; i.e., person characteristics that pertain not to what a person does, but to how he or she does it (e.g., Susie is flamboyant, sophisticated, or awkward).

(5) 현재의 정의는 이 작가가 성격 특성이 "기질적"인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비판적으로 설명하면서 발견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다른 모든 것과 다르다. (가치관이나 태도와 같은) 다른 인간 특징person characteristics에 대한 필요성과 함께 이 표현은, 성격 특징이 단지 [우리가 하는 일]이 아니라, [인간으로서의 우리가 누구인지]에 대한 명제를 이해할 수 있게 한다.
(5) The present definition differs from all others that this author could discover in providing a critical explication of what it means for a personality characteristic to be “dispositional”. This articulation, in turn, with its necessary connection to other person characteristics such as values beliefs, and attitudes, renders intelligible the proposition that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re not just about what we do, but about who we are as persons.

여기서 제안된 것과 가장 유사하고, 따라서 그것과 혼동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정의의 그룹은 미국 심리학 협회의 다음 예에 의해 예시된다: "성격은 생각, 느낌, 그리고 행동의 특징적인 패턴의 개인 차이를 말한다." 문헌의 다른 정의와 유사한 이 정의는 현재 정의와 가장 가깝고 따라서 후자가 이전 정의와 실제로 다르지 않다는 인상을 줄 가능성이 가장 높다. APA의 정의는 여기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지만 다음과 같은 점에서 다릅니다.

The group of definitions most similar to that proposed in this article, and thus most likely to be confused with it, is exemplified by the following one from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ersonality refers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 patterns of thinking, feeling and behaving” (https://www.apa.org/topics/personality/). It is this definition, similar to others in the literature (e.g., Funder, 2016 [part one]; Johnson, 1997; McCrae & Costa, 1995), that comes closest to the present one and is thus most likely to create the impression that the latter is not really different from its predecessors. While APA's formulation does have similarities with that presented in this article, it is different in the following ways:

(a) APA의 정의는 모호하며, 그 모호함 속에서 지나치게 포괄적이라는 것을 읽을 수 있다. 개성을 개인의 특징과 스타일에 더 정확하게 제한하는 것과 달리, APA는 널리 사용되는 "생각, 느낌, 행동 패턴의 특징"이라는 문구를 사용하는 것은 개인에 대해 다음의 항목도 포함하는데,

  • 버릇 ("Kathy는 매일 아침 9시에 집을 나서는 버릇이 있다"),
  • 루틴 ("Joe는 매일 아침 9시에 집을 나선다"),
  • 관심사 ("Amy는 콜럼버스 이전의 예술에 관심이 있다."),
  • 태도 ("Sam은 그가 비과학적이라고 생각하는 모든 것에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 

이것들은 전형적으로도, 직관적으로도 성격 특성으로 간주되지 않는 개인적 특징입니다.

(a) APA's definition is ambiguous and, in its ambiguity, open to a reading of being overinclusive. In contrast to limiting personality more precisely to an individual's Traits and Styles, APA'S use of the widely employed phrase, “characteristic patterns of thinking, feeling and behaving”, could be taken to include such items as an individual's 

  • habits (“Kathy has a habit of being late.”), 
  • routines (“Joe leaves the house at 9 each morning and parks in the same space at work.”), 
  • Interests (“Amy is interested in pre-Columbian art.”), and 
  • Attitudes (“Sam has a negative attitude toward anything he deems unscientific.”),

personal features that are not typically, or intuitively, regarded a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b) 여기서 제안된 정의와 달리, APA 정의는 [기질성, 지속성, 문화적 표준에 대한 내재적 상대성]이라는 중요한 특징이 결여되어 있다.

(b) Unlike the definition proposed in this article, the APA definition lacks the critical features of dispositionality, enduringness, and inherent relativity to a cultural standard.

(c) 여기서 정의한 성격은, [개인이 보여주는 특징과 스타일의 집합]이다. 즉, APA가 ['개인의 차이']라고 말한 것이 아니다. 후자와 같은 주장은 마치 코커 스패니얼이 '개의 한 종류'라기보다는, '개인의 차이'라고 말하는 것과 같으며, "가톨릭은 특정 종파의 하나"가 아니라 '가톨릭은 개인의 차이'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만약 "코커 스패니얼"을 정의해달라고 요구한다면, 사실상 아무도 "개인적인 차이"라고 말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여러 사전의 검사는 이러한 효과에 대한 단일 정의를 제시하지 않았다. [성격 특질 및 스타일]의 개념은 [한 사람이 다른 사람과 어떻게 다른지]를 구분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같은 이유로, 「잭과 질은 둘 다 매우 부끄러움을 많이 탄다」와 같이 「개인의 동일성individual sameness」이라고 불릴 수 있는, 한 사람이 다른 사람과 같은 것을 나타내는 데도 사용됩니다). 그러나 특질이 그 자체로 "차이"인 것은 아니다. 성격이 무엇인지 아직 알지 못하는 사람에게(따라서 정의를 필요로 하지 않는) 그것을 "차이"로 정의하는 것은 상당히 명확하지 않다. 생각, 느낌, 행동에서 어떤 차이가 있을까? 이런 사람은 우리가 무슨 말을 하고 있는 걸까?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APA의 정의에서는 이런 것이 전혀 명확하지 않다.

(c) On the present definition, personality is the set of Traits and Styles a person exhibits; it is not, contra APA, “individual differences”. Claiming the latter is like saying “a cocker spaniel is an individual difference” rather than “a type of dog”, or “a Catholic is an individual difference”, rather than “a member of a certain religious denomination”. If asked to define “cocker spaniel”, virtually no one would say, “It is an individual difference”. Further, a check of several dictionaries did not yield a single definition to this effect. Personality trait and style concepts can be and are used to mark off the ways in which one person differs from another person. (For that matter, they are also used to designate the way in which one person is the same as another person [“Jack and Jill are both very shy”], what might be termed “individual samenesses”.) But a trait is not, per se, a “difference”. For someone who does not already know what personality is (and thus does not require a definition), defining it for them as a “difference” carries with it a considerable lack of clarity. What sort of difference in thinking, feeling, and behaving, such a person might wonder, are we talking about?” This is not at all clear from APA's definition.

전반적으로 APA의 정의는 현재보다 더 유사하다. 또한 현재 제안보다 훨씬 덜 정확하고, 더 모호하며,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개념적 특성을 보여줍니다.
Overall, APA's definition is more unlike than like the present one. Further, it exhibits conceptual qualities that render it considerably less precise, more ambiguous, and possibly misleading than the current proposal.

 

4. 토론: 그래서?
4. Discussion: so what?


"그래서?" 비평가라면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왜 우리가 이 모든 것을 신경써야 합니까? 그것은 무슨 소용이 있는가? 성격 개념화 문제에 대해 오랫동안 합의를 이루지 못한 채 아주 잘 지내지 않았습니까? 이 절에서는 지금까지의 반대에 대한 답변을 간략하게 정리하고, 그 외에 두 가지를 소개한다.

“So what?”, a critic might object. “Why should we care about all this? Of what use is it? Haven't we gotten along perfectly fine with our long-term failure to arrive at a consensus in the matter of conceptualizing personality?” In this section, I will briefly recount the answers given to these objections thus far in this article, and then introduce two additional ones.

나는 우리가 충분한 합의의 정의에 도달하지 못한 채, 사실상 '완벽하게 잘 지내지 못했다'고 믿고 있다. 심리학은 과학이고, 우리는 심리학이 그렇다는 것에 자부심을 느낀다. 그러나 수십 년 전 Sigmund Koch(1959)가 개탄한 것처럼 우리는 핵심 주제의 본질에 대해 명확하지 않은 채 이 과학을 계속 추진하고 있다. - "행동", "사람", "자기" 또는 "인격"과 같은 중심 개념을 명확히 하지 않고 있다. 이 상황은 화학자가 동위원소로 계산할 대상을 먼저 결정하지 않고 동위원소 연구에 착수하는 상황과 유사하다. 그 결과 무수히 많은 다른 개념들이 생겨났다.

  •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많은 사람들은 성격을 근본적인 원인 메커니즘, 구조 또는 시스템으로 본다.
  • 다른 사람들은 그것을 전체로 본다.
  • 아직까지도,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질 이론가trait theoriests들은, 어휘 가설에 따르면, 대체로 직관적이지만, 개념적으로 성격 특징에 대한 명확하지 않은 개념에 의존합니다.

I believe, and have argued above, that we have not in fact “gotten along perfectly fine” with our failure to arrive at an adequate consensus definition. Psychology is a science, and we pride ourselves on its being such. However, as lamented famously by Sigmund Koch (1959) many decades ago, we continue to push forward with this science without being clear on the nature of its core subject matter -- without articulating such central concepts as “behavior”, “person”, “self”, or, in the present instance, “personality” (Bergner, 2017:; Schwartz, 2019). The situation is comparable to one in which a chemist would set out to study isotopes without first determining what was to count as an isotope. The result has been a myriad of different conceptions. As noted,

일반적으로 이 분야는 직관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고 모호하며 오해를 일으킬 수 있는 수많은 정의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그 결과는 전체적으로 다소 도움이 되지 않고 혼란스러우며 혼란스러운 과학 풍경이다. 앞에서 언급한 것 외에, 본 견해의 이점인 두 가지 추가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In general, the field suffers from a myriad of definitions that are intuitively unacceptable, ambiguous, and/or potentially misleading. The result overall is a rather unhelpful, confused, and confusing scientific landscape. In addition to the foregoing, two additional implications, both benefits of the present view, are the following.

 

4.1. 특성 기반 설명이 얼마나 진정한 설명인지를 명확히 한다.
4.1. Clarifies how trait-based explanations are genuinely explanatory

많은 작가들은 성격 특성 속성personality trait attributions 이 단지 행동의 규칙성에 대한 서술적인 언급에 불과하다고 주장해 왔고, 따라서 예를 들어, 누군가가 수줍음을 탄다고 말하는 것은 그 혹은 그녀가 동시에 조용하고 내성적이라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주장해 왔다. 이런 점에서 성격적 특성personality traits에 근거한 설명은 반복과 같다. "아만다는 조용하고 부끄러워서 파티에서 내성적이었다"는 말은, "조용하고 내성적이어서 조용하고 내성적이라는 말"에 불과할 뿐이다. (cf. 몰리에르의 유명한 의사 풍자는 아편이 "숙면적인 미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면을 유도한다고 설명했습니다.그것은 아편을 섭취하는 것 이상의 의미가 없고, 규칙적으로 수면이 뒤따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A number of authors have claimed that personality trait attributions are nothing more than the merely descriptive noting of regularities in behavior, and thus that saying that someone is, for example, “shy” means nothing more than that he or she is recurrently quiet and withdrawn (Boag, 2011; Holt, 1969; Saucier & Goldberg, 1998). On this account, explanations based on personality traits are tantamount to tautologies. Saying that “Amanda was quiet and withdrawn at the party way because she is shy” would be saying only “she was quiet and withdrawn because she is recurrently quiet and withdrawn”, and so would not be explanatory (cf. Moliere's famous lampoon of the doctor who “explained” that opium induced sleep “because it has a dormitive virtue” -- meaning nothing more than that ingesting it is regularly followed by sleep).

그러나, 현재의 분석에서는, 성격 베이스의 설명을 제공하는 것은, 동조를 말하는 것과 같지 않고, 정말로 설명적이다(익숙한 효율적인 인과관계에서는 아니지만). 우리는 제3자의 행동에 대해 명백하고 수행적으로 묘사된 사실에 전적으로 동의하는 두 사람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성격 속성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에서 이것을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티에서 아만다의 조용하고 내성적인 행동]에 주목하면서 [윌은 "부끄러워서"라고 주장]하는 반면, [질은 "아니, 그녀가 냉담해서"라고 반대 의견]을 내뱉는다. 그들의 "특징 X가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은 아만다의 행동이 다른 무언가를 표현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즉, 누군가는 다른 곳에서 온 것이라고 말할 수도 있고, 이것이 그들의 속성을 단순히 서술적인 것이 아니라 설명적인 것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본 분석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아만다의 다른 인물 특성에서 이와 다른 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 "아만다가 수줍음을 타서"라고 말함으로써, 그들은 그녀가 "조용하고 내성적인"과 같은 노골적인 행동에 영속적으로 관여하고 있다는 것 이상의 것을 말하고 있다. 그들은, 그녀가 가치관, 신념, 태도 등 다른 성격에 기반을 둔 성향을 가지고 행동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해되고 있는, [그런 종류의 사람이기 때문에 그렇게 하고 있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Amanda의 경우, 이것들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자신을 내세울 때 평가된 사회적 위험과 관련된 지식/신앙 매개 변수 요소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However, on the present analysis, providing personality-based explanations is not tantamount to uttering tautologies, and is genuinely explanatory (although not in the familiar efficient causal sense) (cf. Nilsson, 2015). We see this clearly in cases where two people who agree entirely on the overt, performatively described facts of a third person's behavior nonetheless disagree in their personality attributions. For example, noting Amanda's quiet and withdrawn behavior at the party, Wil maintains that it is “because she is shy”, while Gil issues a dissenting “no, it's because she is aloof”. Their “because she has trait X” explanations are saying that each thinks Amanda's behavior is expressive of something different -- that it is, one might say, “coming from a different place” -- and it is this that renders their attributions explanatory and not merely descriptive. On the present analysis, as noted above, this something different is to be found in Amanda's other Person Characteristics. In saying “because Amanda is shy”, they are saying more than that she is engaging enduringly in some performatively described overt behavior such as “she is being quiet and withdrawn”. They are saying that she is doing so because this is the kind of person she is, understood in the sense that she is acting on inclinations that are grounded in other of her person characteristics such as her values, beliefs, and attitudes. In Amanda's case, for example, these might include, among other things, Knowledge/Belief parameter factors having to do with appraised social dangers attendant upon putting herself forward with others.

「부끄럼을 타서」와 같이 성격특성-기반의 설명에 대해서, 그것이 최상위 수준의 설명이라고 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즉 그 이상의 설명은 할 수 없다고 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만약 "근데 왜 수줍음을 타느냐"고 묻는다면, 대부분은 아만다의 행동에 대한 완전한 설명을 하지 못한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고, 다른 요인들에 대한 추가 정보가 있어야 보다 포괄적인 그림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예를 들어, 그녀 자신의 개인적 욕구에 대한 평가나 난처한 말을 하는 것에 대한 지속적인 우려). 하지만, 그들은 암시적으로 그녀의 행동이 단지 변덕스러운 반복이 아니며, 강요, 금전적 유인, 또는 그녀가 어떤 사람인지 일관되지 않게 행동하게 하는 다른 영향력에 의해 발생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즉, 위에서 정의한 대로 그녀의 개인적인 성향에 의해 그렇게 행동하는 것이다.

In issuing personality characteristic-based explanations such as “because she is shy”, few people would maintain that they have given final order explanations; i.e., ones beyond which no further explanation can be given. If another person were to ask, “but why is she shy?”, most would readily understand that they have not provided a complete explanation of Amanda's behavior, and that further information about other factors (e.g., her appraisal of her own personal desirability or ongoing concerns about saying something embarrassing) could provide a more comprehensive picture. However, they have by implication indicated that they see her behavior as not just a willy-nilly repetition and as not arising through coercion, monetary inducement, or any other influence that is causing her to behave inconsistently who she is; i.e., with her own personal dispositions as defined above.

위에서 논의한 우리의 신화와 관련하여, 두 가지 점에 주목해야 한다. 

  • 첫째, [성격특성]과 다른 인간특성Person Characteristics과의 관련성을 가정할 때, 우리는 개인의 신념, 가치관, 태도 및 관심사와 같은 비근거적, 비원인적, 비신비한 특징에 대한 효율적인 인과적 메커니즘을 거래해 왔다. 
  • 둘째, 신화 #2에서 표현된 것과 상당히 다른 방식으로, 우리는 개인의 성격과 관련된 (그들 자신이 아닌) 전체 사람의 중요한 요소들을 다시 그림 속으로 끌어들였다.

Relating back to our myths discussed above, two things may be noted.

First, in positing the relatedness of personality traits to other Person Characteristics, we have traded in underlying efficiently causal mechanisms for non-underlying, non-causal, and non-mysterious characteristics such as an individual's beliefs, values, attitudes, and interests.

Second, in a way quite different than that expressed in myth #2, we have brought important elements of the whole person back into the picture as being related to (but not themselves aspects of) an individual's personality.

4.2. 성격사실의 과학적 관찰가능성 합리화
4.2. Rationalizes scientific observability of personality facts

현재의 공식에서 [성격 사실personality facts]은 항상 직접 관찰되는 것은 아니지만, 원칙적으로는 관찰할 수 있는 개인에 관한 사실로 나타난다. 따라서, 특히 기저의 인과관계 실체 설명causal entity accounts과 비교하여, 그들은 과학적 정밀 조사에 도움이 된다. 존의 특징에 관해 우리는 다양한 종류와 각각의 관찰 가능성을 구별할 수 있다. 

  • 그의 명백한 행동과 관련된 특징의 경우(예: 그가 외향적이거나, 적극적이거나, 적대적임), 이러한 특징들은 관련 행동을 [직접 관찰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 행동 누락과 관련된 특성(예: John은 무책임하거나 게으르거나 신뢰할 수 없음)의 경우, 관찰할 수 있는 것은 예상되는 [행동이 반복적으로 부재]하는 것이다(예: 그는 일상적으로 다른 사람에 대한 약속을 이행하지 못한다).
  • 사적인 행동이나 정신적인 행동과 관련된 특성(예: 존은 매우 자기 비판적이거나 강박적인 사고를 하는 경향이 있다)의 경우, 이러한 특성은 외부화되어 다른 사람들에게 공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원칙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예: 그는 연구자나 치료사에게 자기 비판의 성격을 보고한다).
  • 감정 상태와 관련된 특성(예: 존은 불안하거나 우울함)의 경우, 다른 사람들은 [관찰을 통해] 이러한 특징에 대해 배운다. 예를 들어, 그들은 그의 말에서 두려움을 감지하고, 겁먹은 표정으로 그것을 보거나, 그의 구두 진술에서 그것을 관찰한다.
  • 그러나 다른 경우, 그들은 [추론을 통해] 이러한 상태에 대해 알게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그들은 존이 사회적 모임을 오랫동안 회피한 것에 근거하여 사회적으로 불안하다고 추론할 수 있다.
  • 마지막으로, 존의 Styles에 관해서(예를 들어, 그는 화려하고, 세련되고, 어색하다), 그러한 특징은 본질적으로 공공연하며, 다른 사람들은 [직접적인 관찰]을 통해 그것을 확인한다.


On the present formulation, personality facts emerge as ones about individuals that, while not always directly observable, are observable in principle. As such, particularly in comparison with underlying causal entity accounts, they lend themselves well to scientific scrutiny. With respect to John's traits, we may distinguish various kinds and the observability of each.

  • In the case of traits having to do with his overt behavior (e.g., that he is extraverted, assertive, or hostile), these can be ascertained through direct observation of the relevant behavior.
  • In the case of traits involving behavioral omission (e.g., John is irresponsible, lazy, or unreliable), what is observable is the recurrent absence of expected behaviors (e.g., he routinely fails to fulfill made commitments to others).
  • In the case of traits having to do with private or mental behavior (e.g., John is very self-critical or prone to obsessive thinking), these are observable in principle in the sense that they can be externalized and thus made public to others (e.g., he reports the nature of his self-criticisms to a researcher or a therapist).
  • In the case of traits having to do with emotional states (e.g., John is anxious or depressive), again others learn about these primarily through observation; e.g., they detect fear in his speech, see it in his frightened expression, and/or observe it in his verbal statements.
  • On other occasions, however, they may learn of these states via inference; e.g., they might infer that John is socially anxious on the basis of his consistent longstanding avoidance of social gatherings.
  • Finally, with respect to John's Styles (e.g., he is flamboyant, sophisticated or awkward), such characteristics are inherently public and others ascertain them through straightforward observation.

여기서 "원칙적으로" 관찰 가능한 것은 이러한 [모든 상황이 본질적으로 관찰 가능한 상태]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실제로 항상 존재하거나 관찰에 의해 항상 입증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즉, 직접 관찰할 수 있든(예: 외향) 나의 시야에서 보이지 않든(예: 자기 임계성), 그러한 현상은 본질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정밀히 조사될 수 있는 현상이다.
Observable “in principle” here is intended to mean that all of these states of affairs are inherently observable ones. It does not mean that they always are in fact or always must be established by observation. It does mean that, whether directly observable (e.g., extraversion) or hidden from view (e.g., self-criticalness), they are phenomena that are, or that by their nature can be rendered available for the scrutiny of others.


이와 관련하여, [성격에 대한 이번 연구의 개념]은, [그 자체로는 관찰할 수 없는 것(기저의 인과 메커니즘이나 구조)이면서, 오로지 추론을 통해서만 확립될 수 있는 무언가]에 비해서 더 선호된다. 게다가 이러한 점에서 추리공제의 종점은 다소 수수께끼처럼 보인다. 명백한 동작을 일으키는 기본 메커니즘이나 구조를 찾고 있다면 정확히 무엇을 찾아야 합니까? 그런 메커니즘은 어떻게 생겼을까요? 내가 그걸 찾으면 어떻게 알아? 이 질문들에 대한 답은 명확하지 않고, 내가 아는 지식에 대한 답변은 그러한 실체를 주장하는 사람들에 의해 만족스럽게 답한 적이 없다.

In this regard, the present conception of personality is scientifically preferable to definitions that render personality something that is itself unobservable (e.g., underlying causal mechanisms or structures) and could only be established by inference. Further, on such accounts, the end point of the inferential deduction would seem to be something rather mysterious. If I am searching for an underlying mechanism or structure that causes overt behavior, what exactly am I looking for? What would such a mechanism look like? How would I know it if I found it?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are far from clear and to my knowledge have never been answered satisfactorily by those positing such entities.

5. 결론
5. Conclusion

이 기사의 첫머리에서, 나는 나탈리 앤지에의 진술을 인용했다. "어떤 것들은 결코 당연하게 여겨져서는 안 된다. 그 중에서도 당신의 훈련의 핵심에 있는 단어들의 정확한 의미이다." 이 기사는 이 분야의 핵심 단어인 "개성"이 합의에 도달하는 어떤 것을 성취하는 방식으로 지금까지 설명되지 않은 성격 심리학의 오랜 상황을 다루었다. 현재 빅5 및 성격에 대한 다른 특성 접근과 잘 조화를 이루며 그들에게 개념적인 기초가 될 수 있는 이 공식은 이 상황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At the outset of this article, I quoted Natalie Angier's statement that, “Certain things should never be taken for granted, among them … the precise meaning of words that are at the heart of your discipline” (2009, p. D1). This article has addressed the longstanding situation in personality psychology that the very word at the heart of the discipline, “personality”, has not to date been explicated in a way that has achieved anything approaching a consensus. Hopefully, the formulation presented here, one that coordinates well with current Big 5 and other trait approaches to personality, and which might serve as a conceptual underpinning for them, will prove helpful in ameliorating this situation.

 


Abstract

This article addresses the longstanding problem that the field of personality psychology remains in need of a consensus formulation of its core subject matter, that of the nature of “personality” itself. Part 1 of the article presents some reminders about the traditional pre-empirical status of concepts in science. Part 2 introduces and calls into question two widely accepted but nonetheless questionable propositions about the nature of personality: (a) that the term refers to an underlying causal entity within a person, and (b) that the study of personality is the study of the whole person. Part 3 presents a definition of “personality”, discussion elaborating and clarifying this definition, and an explication of the ways in which it differs from previous definitions. Part 4 discusses some benefits that accrue both to having a consensus definition in general, and to acceptance of the present definition in particular.

복잡성 해결하려고 노력하기: 전문직정체성 발달의 창으로서 의과대학생의 환자 조우 성찰적 글쓰기(Med Teach, 2018)
Grappling with complexity: Medical students’ reflective writings about challenging patient encounters as a window into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Hedy S. Walda, Jordan Whitea, Shmuel P. Reisa,b, Angela Y. Esquibelc and David Anthonya

 

서론
Introduction

의학 교육의 기본 목표는 직업 정체성 형성(PIF)의 적극적이고 건설적이며 변화적인 과정이다. PIF는 "자아의 표현으로, 직업의 특성, 가치, 규범이 시간에 따라 내재화되면서 단계적으로 달성되며, 결과적으로 개인의 의사로서의 생각하고, 행동하고, 느끼게 한다." 의료 교육자는 학습자의 복잡하고 반복적인 PIF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커리큘럼을 설계하여 성찰적이고 휴머니즘적이며 탄력적인 의료 전문가의 구성을 촉진한다(Wald 등 2015). 이와 같이, 우리는 PIF의 진화하는 프로세스(Fins et al. 2003) 내에서, 그리고 연습의 복잡함 내에서 수용 가능한 행동 과정과 "존재"의 방식에 대해 가치 중심의 선택을 하기 위한 도덕적 행위자(Pellegrino 1987)로서 학습자를 준비하고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Bryan).nd Babelay 2009). 「실천적 지혜」를 육성하는 메타인식과 메타감정적 스킬을 가지는 성찰적인 프로의 자아를 개발하는 것은, 건강한 PIF 프로세스를 서포트하는 것으로, 전문직 역량의 핵심입니다(Wald and Reis 2010). PIF 프로세스의 핵심 추진 요소로서의 경험에서 학습하기 위한 가이드된 성찰은 전문 지식과 가치의 의미 있는 조합을 배양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Rabow et al. 2010).

A fundamental goal of medical education is the active, constructive, transformative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 (Wald 2015a). PIF, “a representation of self, is achieved in stages over time during which the characteristics, values, and norms of a profession are internalized, resulting in an individual thinking, acting, and feeling like a physician” (Cruess et al. 2014). Medical educators strive to design curricula supporting learners’ complex, iterative PIF process to facilitate the formation of reflective, humanistic, and resilient health care professionals (Wald et al. 2015). As such, we aim to prepare and “fortify” our learners as moral agents (Pellegrino 1987) within the evolving process of PIF for making values-laden choices (Fins et al. 2003) about acceptable courses of action and ways of “being” (Wald 2015b) within complexities of practice and when encountering difficult or morally ambiguous circumstances (Bryan and Babelay 2009). The development of a reflective professional self with metacognitive and meta-affective skills (Epstein 2008; Chick et al. 2009) fostering “practical wisdom” (Epstein 1999) supports healthy PIF process and is core to professional competency (Wald and Reis 2010). Guided reflection for learning from experience as a key driver of PIF process helps cultivate a meaningful combination of expertise and values (Rabow et al. 2010).

[상호작용적 (가이드된) 성찰적 글쓰기(IRW), Interactive (guided) reflective writing (IRW)][미래의 행동과 "존재"를 안내하는 더 깊은 의미와 이해를 달성하기 위한 지식과 경험에 대한 비판적 분석]으로 정의되는 [성찰 능력]을 육성할 수 있다(Mann 등 2007). [성찰 능력]은 [자기조절]과 [임상 상황에서 치료적 자아]의 사용에 필수적이며, 피드백과 진단 정확도의 효과적인 사용과 관련이 있다(Mamede 등 2008). IRW 연습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 공감적 참여의 촉진
  • 중요한 교육적 시점에서 통과 의식의 서포트,
  • 취약자에 대한 전문직업적 책임에 대한 신념 유도
  • 문화적 겸손윤리적 딜레마에 대한 이해 촉진

Interactive (guided) reflective writing (IRW) (Wald et al. 2009) can foster reflective capacity, defined as a critical analysis of knowledge and experience to achieve deeper meaning and understanding (Mann et al. 2007) guiding future behavior (Driessen 2008) and “being” (Wald 2015b). Reflective capacity is essential for self-regulation and use of therapeutic self in clinical situations (Head et al. 2012) and is linked to both effective use of feedback (Bing-you and Trowbridge 2009) and diagnostic accuracy (Mamede et al. 2008). IRW exercises may

  • foster empathic engagement (Dasgupta and Charon 2004),
  • support rites of passage at critical educational junctures (Wald et al. 2010),
  • elicit beliefs about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toward the underserved (Ross et al. 2010), and
  • promote both cultural humility (Lie et al. 2010) and understanding of ethical dilemmas (House et al. 2015).

최근 학생들의 성찰적 글쓰기(RW) 내에서의 낮은 성찰 능력은 전문직업적 실수와 관련이 있었다(Hoffman et al 2016). 임상실습 특이적 RW 연습은 학생들이 그들의 성찰적 실천을 강화하고, 임상실습 경험이 그들의 학습과 개인 및 전문적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RW는 의료 및 산부인과 레지던트들의 자기 성찰과 전문성을 증진하고 개업의들의 공감을 증진하기 위해 의료 전문가 수명 주기 전반에 걸쳐 효과적으로 사용되어 왔다(Misra-Hebert et al. 2012). (비판적 성찰을 강화하는) IRW를 은유적으로 "회복탄력성 운동"이라고 표현하듯, 관점수용 및 공감적 관심에 대한 성찰 기술은 번아웃으로부터의 보호 효과가 있습니다(Lamoth 등 2014).

Recently, lower reflective ability within students’ reflective writings (RWs) was associated with professionalism lapses (Hoffman et al. 2016). Clerkship-specific RW exercises offer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enhance their reflective practice, and to consider the impact of clerkship experiences on their learning and on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Carr and Carmody 2006; Fischer et al. 2008; Levine et al. 2008; White 2008; Plack et al. 2010; Bradner et al. 2015) Furthermore, RW has been used effectively throughout the medical professional life cycle for promoting self-reflection and professionalism in medical and obstetric residents (Brady et al. 2002; Learman et al. 2008) as well as enhancing empathy among practicing physicians (Misra-Hebert et al. 2012). Reflective skills in perspective taking and empathic concern may be protective against burnout (Lamothe et al. 2014), with IRW (enhancing critical reflection) metaphorically described as a “resiliency workout” (Wald et al. 2015).

이에 따라, 우리는 "마음의 일work of the heart"을 포함한 임상 경험에 대한 서사적 성찰을 위한 "교육적pedagigic 공간"의 가치에 관심을 가져왔다. "새로운emerging 의사들이 자신의 경험을 성찰, 비판적 인식, 문화적 겸손 및 공감을 구체화하는 전문 정체성(PI)에 더 완벽하게 통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2009년에는 경험적 학습을 위한 가정의학의 핵심 개념에 대한 비판적 성찰 촉진을 포함한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가정의학 사무원(FMC) 내 IRW 커리큘럼을 개발하였다(Wald et al. 2015). 커리큘럼 구조는 1학년부터 2학년까지의 학생의 IRW 경험을 바탕으로 하며, 4개의 성찰 티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1) 커뮤니티 멘토 경험(롤 모델링), 
  • (2) IRW(글쓰기 프로세스 자체), 
  • (3) 소그룹의 협업적 성찰과 전문직간 교수팀의 피드백 
  • (4) 구조화된 프레임워크에 의해 지도되는 소그룹 교수진의 개별화된 형성적 피드백을 통해 보다 심층적인 성찰 프로세스를 촉진합니다. 

In line with this, we have been interested in the value of “pedagogic spaces” for narrative reflection on clinical experiences (Clandinin and Cave 2008) including the “work of the heart” (Freshwater and Stickley 2004) to “offer emerging physicians opportunities to more fully incorporate their experiences into a professional identity (PI) that embodies reflection, critical awareness, cultural humility, and empathy” (Wear et al. 2015, p. 289). In 2009, we developed an IRW curriculum within the Family Medicine Clerkship (FMC) to meet such objectives including promoting critical reflection on key concepts of family medicine for experiential learning, recently described in more detail (Wald et al. 2015). The curriculum structure builds on students’ IRW experience from years 1–2 and includes four reflection tiers:

  • (1) community mentor experience (role modeling),
  • (2) IRW (the writing process itself),
  • (3) small-group collaborative reflection and feedback from an interprofessional faculty team, and
  • (4) individualized written formative feedback from small group faculty who are guided by structured frameworks (Reis et al. 2010; Wald et al. 20102012), promoting a more in-depth reflective process (Wald et al. 2015; Wen et al. 2015).

성찰적 자기평가(전문성 발달의 구성요소)를 촉진할 뿐만 아니라, 소규모 그룹 프로세스에서 성찰적 글쓰기(RW)는 환자 치료 프로세스에 대한 통찰력을 배양하고 학생과 실무자의 복지를 촉진합니다.

In addition to promoting reflective self-assessment (as a componen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reflective writing (RW) in a small group process cultivates insights into the process of patient care and promotes student-practitioner well-being (Shapiro et al. 2006).

우리는 (의료 업무에서 도전적이고 의미 있는 순간을 포함하여) [결정적 사건에 대해 쓰는 것]이 전문적인 경험의 맥락에서 학습자의 가치와 태도를 다루는 효과적인 수단이라는 점에서 "도전적이거나 어려운" 환자 조우 RW 프롬프트를 선택했다(Branch 2005). [어려운 환자와의 만남]을 성찰하는 것은 좌절, 분노, 불확실성과 같은 감정에 대한 자각뿐만 아니라 자기 조절과 감정이 의료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통찰력도 발달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We selected a RW prompt of a “challenging or difficult” patient encounter given that writing about critical incidents (including challenging and meaningful moments in medical practice) is an effective means of addressing learners’ values and attitudes in the context of professional experiences (Branch 2005). Reflecting upon challenging patient encounters can also help develop self-awareness of emotions such as frustration, anger and/or uncertainty as well as insights into self-regulation and the impact of emotions on medical practice.

학생들은 의대 3학년에 students에서 practitioner로 전환하면서 극적인 변화를 겪는다. 의과대학 3학년은 "훈련의 목표 지점, 전문적인 기술과 환자에 대한 태도 개발의 중요한 단계"이다(Chen 2012). 의대생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3학년 동안의 '감정적 해방emotionally evocative 사건'에는 임상팀의 역할에 대한 적응, 적절한 멘토와 역할 모델 특정, 환자의 옹호 및 요구에 대한 대응 학습, 가장 보람 있는 진로 선택 등이 포함됩니다. 학생들에게 3학년 경험을 이해하고 대처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보다 체계적인 방법(공식적인 성찰 연습 커리큘럼 포함)의 필요성이 점점 더 인식되고 있다.
Students undergo dramatic changes in the third year of medical training as they transition from students to practitioners. The third year of medical school is a “pivotal point in training, a crucial step i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skills and attitudes toward patients” (Chen 2012). “Emotionally evocative” events affecting medical student development within the third year include adjusting to roles on clinical teams, identifying appropriate mentors and role models, learning to advocate for patients and respond to their needs, and choosing a career path that is most rewarding (Murinson et al. 2008). The need for more structured ways (including formal reflective practice curricula) to teach students how to understand and cope with their third-year experiences is now increasingly recognized (Treadway and Chatterjee 2011).

RW는 PIF(Wong and Trolope-Kumar 2014)의 역동적이고 건설적인 성격의 "창구"로 설명되어 왔지만, 학생들의 RW(3학년 포함)에서 드러나는 새로운 PIF 프로세스는 충분히 검토되지 않았다. FMC 학생의 RW에 대한 연구를 실시해, 환자의 만남에 대한 도전의 경험과 전문성 향상에의 공헌에 대해 자세하게 학습했습니다.
While RW has been described as a “window” into the dynamic, constructed nature of PIF (Wong and Trollope-Kumar 2014), the emerging PIF process as revealed in students’ RWs (including third-year students) has been understudied. We undertook a study of FMC students’ RWs to learn more about their experience of challenging patient encounters and its contribution to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방법들
Methods

샘플 및 데이터
Sample and data

(구조화된 글쓰기 프롬프트에 대한) 두 가지 RW 과제를 완료하는 것은 6주 FMC의 필수 커리큘럼 구성요소입니다. 어려운/도전적인 환자 조우 관련 RW는 2010년 5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사무원 코디네이터에 의해 FMC에 참여하는 학생들로부터 수집되었습니다. 이 그룹에서는 다양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3학년 초·후반 학생들의 내러티브가 포함된 50개의 RW가 무작위로 선택되었다.
Completion of two RW assignments (to structured writing prompts) is a required curriculum component of our six-week FMC. RWs about a difficult/challenging patient encounter were collected by the clerkship coordinator from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FMC from May of 2010 to October of 2012. From this group, 50 RWs which included narratives from students both early and late in their third year for maximum diversity were randomly selected.

 

분석.
Analysis

단계 1 – 테마 특정
Phase 1 – Identification of themes


연구팀은 시험 단계 훈련 중 몇 가지 내러티브의 주제 분석과 후속 데이터 분석을 위해 몰입 결정 과정을 이용했다. 몰입/결정화는 질적분석 프레임워크(Borkan 1999)로, "보고 가능한 해석에 도달할 때까지" 성찰 및 직관적 통찰력과 결합된 데이터의 집중적인 텍스트 검토 주기를 포함한다. HW, JW, AE의 연구원들은 개별적으로 서술문을 읽고 주제와 패턴에 대해 메모했다. 분석팀(HW, JW, AE, DA)은 정기적으로 만나 각 팀원의 교육 및 교육 관점의 근본적인 편견이 데이터 해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논의하고, 연구 결과를 공유하며, 주제 발견 간의 중복과 차이점을 논의하고, 서로 다른 해석을 탐색하고, 궁극적으로는 테마의 누적 목록을 종합했습니다. 

Members of the research team utilized an immersion-crystallization process for thematic analysis of several narratives during a pilot phase training and for subsequent data analyses. Immersion/crystallization is a qualitative analysis framework (Borkan 1999) involving cycles of concentrated textual review of data, combined with reflection and intuitive insights, “until reportable interpretations” are reached. Researchers HW, JW, AE individually read the narratives and took notes about themes and patterns. The analysis team (HW, JW, AE, DA) met regularly to discuss how each team member’s underlying biases from their training and teaching perspectives may be affecting their interpretation of the data (Barry et al. 1999), share their findings, discuss overlap and differences among their findings of themes, explore divergent interpretations, and, ultimately, to compile a cumulative list of themes.

조사 결과에 대한 토론과 비교를 통해 차이를 조정하고 포화를 결정하였습니다. 그 후 연구원들은 각각의 주제에 대한 최종 합의뿐만 아니라 최종 주제 체계에 대한 합의에 도달하기 위해 그들의 새로운 주제들을 비교하기 위해 만났다. 이 분석 과정에서는 내러티브 내에서 26가지 주제를 식별했다. 연구팀은 그 다음 주제를 토픽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방법에 대한 합의에 도달하기 위해 반복 주기의 주제 목록으로 작업했다. 이 접근방식을 통해 팀은 텍스트 전체를 사용하여 작업하고, 여러 팀원이 여러 번 텍스트를 검토하고, [주제와 그룹을 도출]할 수 있었습니다. 이 단계가 완료된 후에야 직접 콘텐츠 분석을 위한 이론적 프레임워크가 논의되어 2단계에서 사용되었습니다.

Through discussion and comparison of findings, differences were reconciled and saturation determined. The researchers then met to compare their emergent themes in order to reach consensus on a final thematic scheme, as well as final consensus on each theme. This analysis process identified 26 distinctive themes within narratives. The research team next worked with the resulting list of themes in iterative cycles to come to a consensus of how to group the themes into topical categories. This approach allowed the team to work with the texts in their entirety, to go through the texts multiple times by multiple team members, and to derive themes and their grouping. Only after this phase was completed wa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directed content analysis discussed and subsequently used for phase 2.

단계 2 – 주제와 카테고리의 해석 및 모델 개발에 대한 적용
Phase 2 – Interpretation of themes and categories and application to the development of a model

마지막으로, 이러한 주제와 카테고리는 직접 내용분석을 사용하여 추가로 분석되었습니다. 내용분석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법의 목표는 [현상에 대한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검증하거나 개념적으로 확장하고 초기 코딩 주제 또는 코드 간의 관계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입니다. 이 데이터 분석의 최종 단계는 이전 단계를 통해 RW 내의 중심 요소로 식별된 PIF의 구축을 지향했다.
Finally, these themes and categories were further analyzed using directed content analysis (Hsieh and Shannon 2005; Karnieli-Miller et al. 2010). The goal of the directed approach to content analysis is to validate or conceptually extend a theoretical framework about a phenomenon and help determine the initial coding theme or relationships between codes (Hsieh and Shannon 2005). This final phase of data analysis was directed at the construct of PIF, identified through the previous phase as a central element within the RWs.

이 2단계 분석은 전체 분석팀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PIF 내 주제 및 범주 상호 관계를 논의하기 위해 여러 번 만났다. 저자 SPR은 분석의 신뢰성과 신뢰성에 대한 경험이 풍부한 외부 감사인 역할을 했습니다. 이 과정과 모든 저자들 간의 추가 협의를 통해, 팀은 데이터에 의해 뒷받침되고 이론적으로 의미가 있는 학생 PIF의 새로운 기능 모델에 대한 합의에 도달했다(아래에서 논의). 전문가간 연구팀은 다양한 전문지식을 활용하여 관련 연구원의 특성과 질적 평가에 대한 반사성을 제공하였다.
This Phase 2 analysis was conducted by the entire analysis team, which met several times to discuss thematic and category interrelationships within PIF. Author SPR served as an experienced external auditor of trustworthiness and credibility of the analysis. Through this process and further consultations between all authors, the team reached consensus on an emergent functional model of student PIF that was supported by the data and made theoretical sense (discussed below). The interprofessional research team brought a wide array of expertise to the endeavor, contributing pertinent researcher characteristics and reflexivity to the qualitative assessment (O’Brien et al. 2014).

조사 결과
Findings

26개의 독특한 주제를 가진 5개의 주제 카테고리(표 1)가 학생들의 RW 분석에서 나타났다. 주제 스펙트럼의 극성이 명백할 때(아래 설명되어야 함) 여러 개의 예시와 함께 각 주제의 구체적인 예가 보충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긴급 PIF 모델은 그림 1에 나와 있다.
Five distinct thematic categories with 26 unique themes (Table 1) emerged from analysis of the students’ RWs. Specific examples of each theme, with multiple illustrative quotes when polarities of a theme’s spectrum were apparent (to be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in Supplementary Table 2. The emergent PIF model is presented in Figure 1.

 

주제 카테고리
Thematic categories

첫 번째 주제 카테고리인 [감정의 역할]은 학생들의 RW에 기술된 것처럼 강력한 감정을 포착합니다. 학생들은 종종 자신의 강한 감정에 대한 통찰력을 전달했는데, 이는 고통이나 불편함과 관련될 수 있고 왜 특정한 상호작용이 어려운지를 더 잘 이해하도록 도울 수 있다. 학생들은 또한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자주 인지했다(환자, 가족, 주치의). 마찬가지로, 이러한 인식은 약간의 불편함을 야기하거나 방문의 복잡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다. 학생들은 종종 두 가지 특정한 감정, 즉 공감과 연민(또는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환자에 대한 공감 또는 공감을 경험하거나 경험하지 않는 것에 대한 감정 반응)과 격려와 환멸의 감정과 관련된 두 가지 감정들에 대해 글을 씁니다. 
The first thematic category, the role of emotions, captures powerful emotions as described in the students’ RWs. Students frequently conveyed insight into their own strong emotions which could be associated with distress or discomfort and which could help them better understand why a particular interaction was challenging. Students were also frequently aware of the emotions of others (patients, family members, attending physicians). Similarly, this awareness could create some discomfort and/or promote increased understanding of the complexity of the visit. Often, students wrote about two specific emotions – empathy/compassion (or more specifically, their emotional response to experiencing or not experiencing empathy or compassion for a patient), and associated feelings of encouragement or disillusionment.

예를 들어, 한 학생은 이렇게 썼다. 갑자기 수치심에, 나는 그녀의 가정 상황이 엉망이라는 것을 깨달았고, 그녀는 일주일도 안 되어 두 번째로 병원에 입원했지만, 나는 내력 수집을 시도하는 동안 그녀를 극복해야 할 장애물로 빠르게 지목했다.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마비된 시도에서 공감을 표시하는 것을 소홀히 하고 인터뷰를 어떻게 진행해야 할지 생각만 했습니다. 

For example, one student wrote, “With an abrupt sensation of shame, I realized that her family situation was a mess, she was back in the hospital for the second time in less than a week, and yet during my attempt to collect a history I had quickly pegged her as an obstacle to overcome. In my paralyzed attempt to move forward, I neglected to display any empathy and merely thought of how best to move the interview forward.” 

수치심을 느끼고 인식하고 이를 학습 경험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은 이 학생이 개인 및 직업적 성장을 위한 도전을 높이 평가하면서 미래의 직업에서 도전하는 환자의 상호작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 인용문은 학생들이 공감에 어려움을 겪었던 환자와의 만남에 대해 얼마나 자주 글을 썼는지 보여주며, 어떻게 하면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할 수 있을지에 대해 반성하고 있다.

Feeling shame, recognizing it, and being able to use it as a learning experience may help this student more effectively manage challenging patient interactions in his/her future career while appreciating the challenge as cultivating personal and professional growth. This quote illustrates how students frequently wrote about patient encounters in which their empathy had been challenged but expressed discomfort with this and reflected on how they might be able to prevent this from recurring.

두 번째 주제 범주인 [인지의 역할]은 학생들이 RW에서 자주 겪는 성찰적 사고 과정을 설명한다. 학생들은 "실생활에서 배우는 것과 책에서 배우는 것"을 구분해야 하는 도전적인 환자 상호작용에 대해 썼을 뿐만 아니라, 이전 경험을 바탕으로 환자를 분류하거나 라벨을 붙이기 시작하는 것에 대해서도 썼다(예: "약물 찾는 사람"). 학생들의 RW는 의사가 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이해의 변화와 씨름하고 있으며, 환자 진료와 관련된 것으로 인식되는 자신의 무능함을 고려한다고 설명했다. 이 카테고리의 테마는 학생들이 성찰을 통해 능동적인 인지 과정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는 도전을 제시하는 환자에 대한 반응을 형성하고 자신의 전문성 발달에 대한 사려 깊은 참여를 용이하게 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The second thematic category, the role of cognition, describes thought processes that students frequently reflected upon in their RWs. Students wrote about challenging patient interactions that required them to distinguish between “learning in real life versus learning from a book” as well as about beginning to categorize or even label patients based on previous experiences (e.g. “drug seekers”). Students’ RWs described grappling with changes in their understanding of what it means to be a physician and considering their own perceived incompetence as it related to patient care. The themes in this category indicate that students are engaging in an active cognitive process through reflection that helps shape their response to those patients who present challenges and facilitates thoughtful engagement in their own professional development.

한 학생이 썼듯이, "이 상황은 특히 제게는 어려웠습니다. 왜냐하면 이것은 환자가 마취제를 찾는 행동을 보이는 첫 번째 환자였기 때문입니다. 만약 제가 의사와 함께 있는 환자를 보지 않았다면 제가 그 행동을 알아채지 못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곰곰이 생각해보면서, 의사와 이야기를 나눴는데, 그녀는 이 환자들에게 찾아봐야 할 몇 가지 징후를 설명해줬고, 더 말이 되는 일이었습니다. 의대생으로서 이런 상황을 미리 인지하고 대처하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또 다른 사람은 환자를 평가하는 데 있어 병력 파악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는 말을 몇 번이고 듣지만 환자는 로봇이 포함된 정보가 아니라 실제 사람이라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사회적 상호 작용의 기본 원칙을 사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As one student wrote, “This situation was particularly challenging for me because this was my first patient encounter where the patient was exhibiting narcotic-seeking behavior. I am not even sure I would have recognized the behavior if I would not have seen the patient with the physician. In reflection, I spoke to the physician and she explained to me some of the signs to look for with these patients and things made more sense. As a medical student new to the clinical scene, I have to learn how to recognize situations like this ahead of time and learn how to react to them.” Another wrote, “Additionally, we are told again and again how getting the history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evaluating the patient, but we have to remember that patients are not information containing robots, but instead real people. We need to use basic principles of social interaction.

세 번째 주제 카테고리는, [상황적 맥락에 맞춰 행동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학생들이 [특정한 상황이 그들의 행동에 특정한 변화를 야기하고 있거나, 야기해야 한다는 것]을 적극적으로 인식하는 과정을 묘사한다. 학생들은 환자와의 만남에서  코스를 바꾸는 상황을 기술했다. 자신이 압도당하거나, 상황을 차선적 방식으로 처리하거나, 다른 접근법을 취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기도 했다. 그들은 효과적인 프로토-의사proto-physician로서 계속 기능하기 위해 그들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깨달았을 뿐만 아니라, 그들이 그들의 환자들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한다고 느꼈는지 묘사했다.

The third thematic category, behaviorally responding to situational context, describes the process by which students actively recognize that a particular situation is causing, or should cause, a specific change in their behavior. Students wrote about steps that they took during patient encounters to change course when they recognized that they were overwhelmed, suboptimally managing the situation, or otherwise needing to take a different approach. They described things they did for their patients that they felt made an impact as well as what they realized they needed to do for themselves to continue to function as effective proto-physicians.

예를 들어, 한 학생은 다음과 같이 썼다. "나는 그것이 상황을 악화시킬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녀의 문화적 비방에 대응하지 않고 회피했다. 저는 사실 그녀가 그런 비방들을 믿지 않는다고 느꼈습니다.그것들은 단지 항생제의 문턱을 낮추기 위해 저와 직원들 사이에서 출세를 유도하는 데만 도움이 된다고 느꼈습니다. 도전적인 환자의 상호작용에 대한 특정한 반응을 인식하고 선택하는 것은 이 학생이 잠재적으로 감정적으로 흥분한 만남을 효과적으로 탐색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For example, one student wrote, “I chose to avoid addressing her cultural slurs because I feel that it would only have inflamed the situation. I actually felt that she did not believe those slurs, but that they served only to elicit a rise out of myself and the staff in order to lower our threshold for antibiotics.” Recognizing and specifically choosing a particular response to a challenging patient interaction helped this student effectively navigate a potentially emotionally charged encounter.

또 다른 학생은 "따라서 다음 번에 환자가 나를 병신이라고 잘못 부르면, 아마도 나는 다른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는 것을 상기시켜준 것에 대해 조용히 감사할 것이다."라고 썼다.

Another student wrote, “So the next time a patient wrongfully calls me a jerk, maybe I’ll silently thank him a little for reminding me that there are plenty of other people out there pulling their weight.” 

이러한 인용문은 잠재적으로 도발적인 상황에서 학생의 반응을 선택하게 한 인식을 나타내며, 학생이 경험될 수 있는 모욕 등 환자의 부정적인 의견에 대한 관점을 얻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 범주는 환자가 마주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행동을 적응시키는 방법을 배우는 성숙(및 회복탄력성 구축) 과정을 포착합니다.

These quotes illustrate the awareness informing the student’s response choice within a potentially provocative situation, and help the student gain perspective on patients’ negative comments including insults that may be experienced. This category captures the maturation (and/or resilience building) process by which students learn to adapt their behaviors to challenges within patient encounters.

네 번째 주제 범주인 [PIF에 영향을 미치는 환자 요인]은 학생이 의사로서의 전문적 성장에 기여하는 것으로 식별한 환자 요소를 포함합니다. 이러한 요인에는 환자 및 그 가족과의 의견 차이, 환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문제, 환자에 대한 신뢰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문제가 포함된다. 

The fourth thematic category, patient factors that impact PIF, includes patient factors identified by students as contributing to their professional growth as physicians. Such factors include disagreements with patients and their families, social issues that impact patients’ health, and issues that raise questions of trust in patients.

한 학생은 다음과 같이 썼다. "나는 통제된 약물을 피하는 유일한 예외를 제외하고, 다른 환자들처럼 약물을 찾는 환자들을 계속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저는 이것이 어떤 사람이 어디에서 왔는지, 어떤 경험을 했는지, 그리고 그것이 환자의 행동의 특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는 좋은 예라고 생각합니다. 또 약물 남용 문제가 있는 사람들이 실제 병리학 앞에서 적절한 통증 조절과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제가 직면한 딜레마의 완벽한 예라고 생각합니다. 

One student wrote, “I really think that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continue to treat drug seeking patients like any other patient with the only exception being to avoid controlled substances. I think that this is a great example of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of where someone is coming from and what they have experienced and how it influences the specific nature of the behaviors of patients. I also think that it is a perfect example of the exact dilemma I am faced with, which is to ensure that those with narcotic abuse issues receive proper pain control and management in the face of real pathology.” 

이 딜레마(진통제에 어려움을 겪은 전력이 있는 환자의 통증 관리 방법)는 학생 자신의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남용 환자와 관련된 문제로 학생에 의해 인식된다.

  • 학생들은 미래에 이러한 만남들을 어떻게 인식하고 관리할 것인가?
  • 이러한 유형의 환자 상호작용이 야기할 수 있는 문제를 인지한 후, 학생은 향후 실습에서 어떻게 적절한 관리 표준을 유지할 것인가?

높은 자기 인식과 함께 이러한 요소들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면 학생들이 미래의 환자와 상호작용하고 치료하고자 하는 방법에 대한 이해를 촉진할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 건강한 PIF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This dilemma – how to manage pain in a patient with a history of difficulties with pain medications – is recognized by the student as an issue associated with patients with substance abuse that impacts the student’s own professional development –

  • How will the student perceive and manage these encounters in the future?
  • How will the student maintain appropriate standards of care in future practice after recognizing the challenges that this type of patient interaction can create?

Critically reflecting on these factors with heightened self-awareness can foster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way they wish to interact with and treat their future patients, potentially supporting healthy PIF.


다섯 번째 주제 범주, [PIF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비환자) 요인]에는 역할 모델(일반적으로 교훈), 환자 치료 관계의 종적 성격의 영향1차 진료와 관련된 특정 속성이 포함된다. 환자 자신과는 특별히 관련이 없지만 잠재력이 있는 요인PIF에 영향을 줍니다. 

The fifth thematic category, external (non-patient) factors that impact PIF includes behaviors and attitudes of role models (usually preceptors), the impact of the longitudinal nature of patient care relationships, and certain attributes specific to primary care; factors which are not specifically related to the patients themselves but which potentially impact PIF.

예를 들어, 한 학생은 이렇게 썼다. "어떻게 하면 나를 더 신뢰할 수 있는 사람으로 만들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나는 내가 의대생이 아닌 실제 의사가 되는 미래에 그것이 문제가 되지 않기를 바란다. 시간과 반복적인 상호작용이 있어야만 어느 정도의 신뢰가 쌓일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종적 치료를 할 수 있다면 더 좋을 것입니다. 이 학생은 의사-환자 치료 관계의 유형(예: 지속적 대 일시적)을 성찰하여 미래의 의사-환자 관계에서 서로 다른 치료 시스템이 수행할 수 있는 역할을 고려하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 또한 학생들의 직업적 성장에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다.

For example, one student wrote, “I don’t know how to make myself come across as more of a trustworthy person, but I hope that won’t be as problematic in the future when I will be not just a medical student, but the actual doctor. It would be even better if I could provide longitudinal care, because I think certain levels of trust can only be established with time and repeated interactions.” This student, reflecting upon types of physician–patient care relationships (e.g. continuous versus episodic), is considering the role that different systems of care may play in future physician–patient relationships. These factors too, can be important contributors to students’ professional growth.

 

전체 모델
Overall model

우리는 학생들의 RW에서 [PIF 드러남 모델](그림 1)을 개발했다. 학생 자신의 배경과 이전의 의학 경험에서 얻은 내적 감정 및 인식은 외부(환자 및 비환자 모두) 요소와 결합되어 환자와 상호작용할 때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입력 정보를 생성합니다. 환자와 함께 검사실에 있는 동안, 추가적인 새로운 요소들이 작용하고, 학생들은 (방의 실제 물리적 공간뿐만 아니라 그들 자신의 "정신적" 공간에 있는) 감정, 인식, 그리고 외부 영향을 빠르게 처리하고 있다. RW는, 「공감/공감 부족, 격려/환멸, 책으로부터 배우는 것, 환자로부터 배우는 것, 그리고 한 학생이 쓴 것처럼, 「이상화된 비전과 살아 있는 현실과의 불일치」와 같은 양극화를 처리하는 것이 종종 수반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모델 내의 "긴급" 단계는 의사로서의 직업적 정체성의 출현과 관련이 있습니다.
We developed a model (Figure 1) of emerging PIF derived from students’ RWs. The students’ own backgrounds, as well as internal emotions and cognitions from previous experiences in medicine, merge with external (both patient and non-patient) factors to create a group of inputs impacting students as they interact with their patients. While in the examining room with patients, additional new factors come into play, and students (both in their own “mental” space as well as in the actual physical space of the room) are rapidly processing the emotions, cognitions, and external influences that coalesce within them. The RWs reveal that processing often involves polarities such as empathy/lack of empathy; encouragement/disillusionment; learning from books/learning from patients and as one student wrote, “dissonance between my idealized visions and the lived reality.” The “Emergence” phase within the model relates to the emergence of a professional identity as a physician.

논의
Discussion


PIF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화하며 학습 상황에 영향을 받습니다. 일부는 임상적 만남 내에서 구조화됩니다. 경험에 대한 안내된 성찰guided reflection(예: IRW 사용)은 형성적, 능동적, 건설적인 PIF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3학년 사무직 학생들의 RW에 대한 연구 결과는 PIF의 새로운 모델의 4가지 구성 요소 각각에 대한 주제와 주제 카테고리를 포함한다. 내부 및 외부 요인, 처리 및 (프로패셔널 정체성의) 출현. PIF의 고유한 복잡성을 포착하고 PIF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복잡한 정보를 정리하는 데 도움이 되는 PIF 신흥 모델(그림 1)을 제공합니다. 본 연구는 가정의학과 관련된 주제를 넘어 평생 프로세스 내에서 계속 진화하는 새로운 또는 "예상적인anticipatory" 직업 정체성의 모델을 지원하는 것으로 "RW의 파워 툴"의 범위를 넓힌다. "우리는 경험에서 배우는 것이 아니라, 경험을 성찰하면서 배우는 것"이라는 Dewey의 공식에 따라, 우리의 연구는 PIF 출현 내에서 변혁적 학습(Mezirow 1991)을 지원하기 위해 환자와의 만남에 도전하는 경험과 그 경험에 대한 구조화되고 안내된 성찰로서의 IRW 연습을 결합한다.

PIF evolves over time and is influenced by learning situations, some structured within clinical encounters. Guided reflection on experience (e.g. using IRW) may be formative and can support the active, constructive, developmental process of PIF (Wald 2015a). The outcomes of our study of third-year Clerkship students’ RWs include themes and thematic categories for each of the four components of an emergent model of PIF, i.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Processing, and Emergence (of professional identity). We offer the PIF emergent model supported by our findings (Figure 1) as helping to capture the inherent complexity of PIF and organize complex information in a way that can increase our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PIF process. Our study broadens the scope of the “power tool of RW” (Wald et al. 2015) beyond themes related to family medicine (Bradner et al. 2015) to those supporting a model of emerging or “anticipatory” professional identity (Mavor and McNeill 2015), which continues to evolve within a lifelong process. In line with Dewey’s formulation that “we do not learn from experience, we learn from reflecting on experience” (Dewey 1933), our study combines the experience of challenging patient encounters with an IRW exercise as structured, guided reflection on that experience to help support transformative learning (Mezirow 1991) within PIF emergence.

[도전적인 환자 조우]라는 주제에 관한 구조화된 글쓰기 프롬프트는 초기 전문직의 "혼란스러운 딜레마disorienting dilemmas"를 인식하고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의사-환자 관계 내에서 다양한 감정을 포함한 영향에 대한 성찰은 PIF 내에서 의대생의 정서 발달과 복지에 기여할 수 있다. 의사가 되기 위한 정서적 과정(Wald 2011)이 있으며, 주제별 분석 결과 학습자의 정서적 스펙트럼(충돌, 양극성, 이중성 포함)이 조기에 발견되었으며, 이는 어려운 임상 경험입니다. 이중성은 이러한 이중성을 초월한 전문적 정체성의 '발현emergence'의 핵심인 '처리processing'에 기여한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 [전문직 정체성의 출현]이 감정적 양극성을 탐색/관리하며 발생하는 "창조적 긴장creative tension"의 불편함 또는 "방향을 잃게 하는disorienting" 경험을 반드시 "해결solve"해주는 것은 아닙니다.
A structured writing prompt on the topic of a challenging patient encounter provides an opportunity for recognizing and grappling with “disorienting dilemmas” of the emerging professional (Mezirow 1991). Reflection on affect including a spectrum of emotions within the physician–patient relationship can contribute to the emotional development and well-being of a medical student within PIF (Helmich et al. 2012; Lipsitt 2015). There is an emotional process to becoming a physician (Wald 2011) and our thematic analyses revealed an emotional spectrum (with conflicts and polarities or dualities) for learners within early, challenging clinical experiences. Such dualities as noted in Table 1 contribute to the “processing,” core to the “emergence” of a professional identity that transcends such dualities. The emergence of professional identity at this point, however, does not necessarily “solve” the uncomfortable or “disorienting” (Lipsitt 2015) experience of “creative tension” when navigating/managing affective polarities (Monrouxe 2010).

IRW 커리큘럼은 "취약성, 수치심, 탄력성, 자신감 및 불확실성에 대한 커리큘럼 대화"를 장려하는 수단으로서, 의학 교육에서 유용하게 제안된다. 또한 IRW 커리큘럼은 [정서적 자기 인식]을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조사되지 않은 감정이 잠재적으로 스트레스를 발생시키고 의사의 피로와 잘못된 판단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환자 치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감정을 식별하고 다루는 것을 포함하여 의사 교육이 필요합니다. 감정 인식/감각이 성찰 능력의 핵심 요소이기 때문에 IRW 강화 성찰은 감정 인식, 규제 및 관리의 보다 건강한 기술을 습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감정 지능의 구성 요소인 프로토 전문가와 숙련된 임상의는 물론 감정 지능의 구성 요소이다. 커리큘럼 패러다임은 다음을 가능하게 한다. 

  • 내러티브를 발판으로 한 협력적인 동료 성찰, 
  • 교수진 촉진자(소규모 그룹 촉진자 교육을 받은 교육자)에 의해 안내되는 성찰 및 
  • 감정의식(및 검증)을 촉진할 수 있는 개별화된 피드백.

The IRW curriculum is a means of encouraging “curriculum conversation about vulnerability, shame, resilience, confidence, and uncertainty,” proposed as useful within medical education (Lipsitt 2015, p. 67) and may help cultivate emotional self-awareness. Physician training is needed to increase self-awareness including identifying and working with emotions that may affect patient care given that unexamined emotions are potentially stress-generating and can contribute to physician burnout and poor judgment (Meier et al. 2001). Given that emotional awareness/insight is a key element of reflective capacity (Wald et al. 2012), IRW-enhanced reflection may help facilitate the acquisition of healthier skills of emotional awareness, regulation, and management, components of emotional intelligence (Mayer and Salovey 2007) for proto-professionals as well as seasoned clinicians. The curriculum paradigm allows for

  • collaborative peer reflection with narrative as a springboard,
  • reflection guided by faculty facilitators (ideally trained in small group facilitation), and
  • individualized feedback which may promote emotional awareness (and validation) as well.



지적 요소와 정서적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성찰적 자기 인식은 공감을 촉진합니다. 임상 실무 내에서 감정 스펙트럼(극성 및 양면성을 포함할 수 있음)에 대한 RW-enhanced reflection은 이 과정을 지원하는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다. 학생들이 복잡한 환자 치료 상호작용을 탐색할 때 감정의 극성polarity을 인식, 처리 및 관리하는 것이 PIF의 핵심 요소입니다. 임상실습 경험 중 환자와의 만남에 대한 학생들의 RW는 실무적 현실에서 [환자의 공감]과 [환자의 객관화] 사이에서 관찰된 상충하는 담론에 따라 공감의 미묘한 관점을 드러냈다(Allen et al. 2008). 우리의 RW 분석은 3학년 때 공감에 대한 대안적 렌즈를 제공한다. 우리가 아는 한, 문학에서는 설명되지 않았다. 즉, 학생들이 도전적인 만남에서 공감의 잠재적 상실을 고민하고 우려하는 것이다. 이러한 성찰적 과정과 보다 미묘한 관점은 현재의 공감의 양적 측정치 내에서 완전히 포착되지 않을 수 있다. 우리의 연구결과는 공감의 복잡성에 대처하기 위해 여러 가지 형태의 측정을 요구하는 것과 일치합니다.

Reflective self-awareness that includes both intellectual and affective components (Bryan and Babelay 2009) promotes empathy (Ahrweiler et al. 2014). RW-enhanced reflection on the emotional spectrum (which can include polarities and ambivalence) within a clinical practice may serve as a vehicle supporting this process. Recognizing, processing, and managing polarity of emotions as students navigate complicated patient care interactions is a key element of PIF (Helmich et al. 2014; Dornan et al. 2015). Our students’ RWs on challenging patient encounters during clerkship experience revealed a more nuanced view of empathy, in line with observed competing discourse between empathy and objectification of the patient in the realities of practice (Allen et al. 2008). Our RW analyses provide an alternative lens on empathy in the third year, one which to our knowledge has not been described in the literature, i.e. students grappling with and concerned about potential loss of empathy within challenging encounters. Such a reflective process and a more nuanced view may not be fully captured within current quantitative measures of empathy. Our findings are in line with the call for multiple forms of measurement to address the complexity of empathy (Smith et al. 2017).

 

PIF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한 안전한 반사 공간으로서의 IRW
IRW as a safe reflective space for supporting PIF process

우리의 결과는 또한 학생들이 "인지적 불균형"과 "감정적이고 도덕적인 고통" 또는 "감정적인 불균형"과 씨름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이상주의가 의사의 생생한 경험의 현실과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인지적 불균형]의 경험, 즉 낯설거나 새로운 생각, 가치관, 관점 또는 상황을 접하는 것은 [정체성과 역량 변화]의 잠재적 지표이다. 자기 세계관의 새로운 관점을 통합하면서, [정체성 구축과 새로운 학습]의 [지적, 감정적, 도덕적 발달의 임계threshold 순간]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Our results also indicated students grappling with “cognitive disequilibrium” as well as “empathic and moral distress” or “affective disequilibrium” (Kumagai 2008) within challenging patient encounters as idealism meets realities of the lived experience of doctoring. The experience of cognitive disequilibrium, i.e. encountering unfamiliar or new ideas, values, perspectives, or circumstances, is a potential marker of a shift in identity and competence as it may result in threshold moments of intellectual, emotional, and/or moral development within identity construction and new learning with an incorporation of new perspectives in one’s own worldview (Kumagai 2008; Jarvis-Selinger et al. 2012).

PI의 "새로운" 단계, 통찰력, 개념, 기술 또는 기타 참신한 측면은 학생의 안전 영역에 도전하여 전문 지식과 자기 효율성을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듭니다. 우리의 IRW 커리큘럼 내에서, 그리고 그 후 협력적으로 촉진되는 소규모 그룹 성찰 내에서 다양한 감정적 및 인지적 부조화에 대처할 수 있는 기회는 이 "성장 과정"을 이상적으로 지원할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 불쾌감 및 관련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제 분석과 emergent PIF 모델의 결과는 모델의 처리 구성요소(그림 1) 내의 RW 관련 메타 인지 및 메타 효과(Epstein 1999)가 새로운 PIF(의사의 비기술적 측면 포함)를 지원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New” steps, insights, concepts, skills or other novel aspects of PI challenge a student’s comfort zone, creating opportunities for expanding expertise and self-efficacy. The opportunity within our IRW curriculum to grapple with various emotional and cognitive dissonances within RW and subsequently within collaborative facilitated small group reflection can ideally support this “growth process,” potentially reducing discomfort and/or associated stress. In general, the results of our thematic analyses and emergent PIF model suggest that RW-associated meta-cognition and meta-effect (Epstein 1999) within the Processing component of our model (Figure 1) can support emerging PIF (including nontechnical aspects of physicians).

이 모델을 만들게 된 학생들의 RW 내에서, 긍정적인 쪽과 부정적인 쪽 모두에서, 우리는 학생들이 [그들의 지도교사로부터 다양한 주제와 카테고리에 대해 배우고 있는 정도]와 [역할 모델의 영향에 대한 그들의 생생한 묘사]에 감명을 받았다. 이전 보고서와 마찬가지로 임상 환경에서 예외적인 역할 모델과 부정적인 역할 모델 모두 학생들의 정서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의대생들에게 불확실성과 모호함을 견디도록 가르치는 것은 어렵다. 우리의 분석은 롤모델이 연습생과의 상호작용에서 언어 표현과 비언어 제스처 모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 인식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Within the students’ RWs informing our formulation of this model, we were struck by the degree to which students were learning about the various emergent themes and categories from their preceptors and their vivid descriptions of the impact of role models, both positive and negative. In line with previous reports, we find both exceptional and negative role models in clinical settings potentially impacting students’ emotional development (Murinson et al. 2011; Clay et al. 2015). In general, teaching medical students to tolerate uncertainty and ambiguity (including recognizing one’s own limitations) is challenging (Campbell 2014). Our analyses highlight the need for role models’ self-awareness of the impact of both their verbalizations and nonverbal gestures within their interactions with trainees.

긍정적인 숨겨진 커리큘럼을 촉진하는 IRW 강화 반영
IRW-enhanced reflection facilitating a positive hidden curriculum

"잠재 교육과정" 개념은 "문화, 구조 및 제도가 PIF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포함하여, 암묵적 학습의 효과를 가시화한다. 의학 교육을 공부할 때 맥락의 중요성을 받아들이는 것은 숨겨진 커리큘럼 정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강조되어 왔다. 우리의 IRW-enhanced reflective "문화적 맥락"은 임상적 실천의 복잡성을 인식하고 대처하는 과정을 장려하고, 표준화하며, 명시하며, 우리는 이를 PIF를 서포트하는 "긍정적 숨겨진 커리큘럼"으로 개념화한다. 이러한 "긍정적인 숨겨진 커리큘럼"은 숨겨진 커리큘럼에서 "긍정적인 것을 기억하라"는 최근의 요구에 부합하며, 원하는 태도와 행동을 영속화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우리의 연구는 이 단계에서 학생들의 RW가 전문직 정체성 형성적 과정을 보여주는 창구 역할을 하는 은밀한 것을 이제 명백하게 한다. 우리는 [의료의 현실과 씨름하는 과정]을 커리큘럼 목표이자 "긍정적인 잠재 교육과정"으로 규정하고, 이것이 "의사의 도덕적 침식과 의료의 인도주의적 가치의 인식 훼손"을 포함한 부정적인 잠재 교육과정 효과의 일반적인 개념을 상쇄할 것이라 생각한다. 

The “hidden curriculum” concept makes the effects of tacit learning visible, “including how culture, structures, and institutions influence PIF” (Martimianakis et al. 2015). Embracing the importance of context when studying medical education has been highlighted within the hidden curriculum definitional framework (Hafferty et al. 2015). Our IRW-enhanced reflective “cultural context” (Fins and Rodríguez del Pozo 2011) encourages, normalizes, and makes explicit the process of recognizing and grappling with the complexities of clinical practice which we conceptualize as a “positive hidden curriculum” supporting PIF. Such a “positive hidden curriculum” answers the recent call to “remember the positive” within the hidden curriculum (Lawrence et al. 2017) and has the potential to perpetuate desired attitudes and behaviors (Holmes et al. 2015). Our study makes the covert now overt, with the students’ RWs serving as a window into the formative professional identity process at this stage. We frame the process of grappling with realities of medicine (supported by IRW pedagogy) as a curricular objective and “positive hidden curriculum” to potentially counterbalance the prevailing notion of negative hidden curriculum effects including “moral erosion of physicians and perceived undermining of humanistic values in health care” (Martimianakis et al. 2015).

내러티브를 통해 경험을 깊이 있는 개인 및 직업적 가치 및 새로운 가치에 연결하면 PIF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 PIF 모델의 "Emergence" 구성요소인 "진행 중인 작업work in progress"과 일관된다. RW를 통한 의미 창출의 기회에는 감정적 양극성을 포함한 순간과의 "씨름"이 포함되어 있으며, "우리 안에 앉는 것에 대한 불편함을 허용"한다(보칸 1999). [양극화된polarized 공간에 유예suspended되어 있는 것]은 학생들을 편안한 영역에서 밀어내기 때문에 불안하게 만들지만, 그러한 경험은 잠재적으로 개인적이고 전문적인 성숙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는 이전에 불안했던 상황에서의 침착함, 감정적인 양극성의 증가 및 통합이 포함됩니다. IRW 과제는 (감정과 관련된 작업 및 안내guided 피드백과 연계하여) 학생이 자신의 경험을 프로세싱 하도록 초대하며, PIF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기술 습득, 성능 범위 확장, 가치 명확화, 복원력을 잠재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마음, 생각, 실천 습관을 개발하도록 장려합니다. 일반적으로, 우리의 분석은 반사적 자기 인식의 품질과 의료행위의 회복력과 연계되어 건강한 PIF의 과정을 잠재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정서 지능의 구성요소를 밝혀냈다.

Connecting experiences to deeply held personal and professional values and emerging values through narrative can help shape PIF (Rutberg and Gaufberg 2015), consistent with the “Emergence” component of our PIF model, a “work in progress.” The opportunity for meaning-making through RW includes “wrestling” with moments, including emotional polarities, “allowing the discomfort they generate to sit inside us” (Borkan 1999). Being suspended in polarized space may be unsettling as it can push students out of their comfort zone, yet such experience can potentially contribute to personal and professional maturation including equanimity within formerly unsettling situations (Helmich et al. 2014) and increased tolerance and integration of emotional polarities. The IRW assignment provides an invitation for processing their experience including working with the emotions (Shapiro et al. 2016) and in conjunction with guided feedback, encourages the development of new habits of mind, heart, and practice (Shulman 2005) that can potentially support skill acquisition, expansion of performance scope, values clarification, and resilience within emerging PIF (Wald 2015a). In general, our analyses revealed qualities of reflective self-awareness and components of emotional intelligence that have been linked to resilience in medical practice (Howe et al. 2009; Olson et al. 2015) and can thus potentially support the process of healthy PIF.

우리의 결과는 이 연구의 잠재적인 한계에 비추어 해석되어야 한다. 학생들의 RW는 교직원 및 잠재적으로 동료들과 공유되는 필수 과제였기 때문에, "사회적 바람직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그러나, 우리 기관에는 솔직함의 문화가 강하게 남아 있고, 임상 경험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모두 드러낸 글들이 있다. 이러한 우려는 RW가 학생들의 성적에 기여하지 않았다는 사실에 의해 더욱 완화된다. 게다가, 몇몇 연구자들이 그 과정의 일부였고, 잠재적인 편견의 원천이었다. 그러나 잠재적 편견을 투명하게 하고 분석의 신뢰성과 신뢰성에 대한 외부 감사원으로 연구원을 배치함으로써 그러한 가능성을 해결하고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예방 조치를 취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1개의 기관과 1개의 임상실습(및 1개의 학년(3학년))을 나타냈기 때문에, 이러한 조사 결과를 다른 연수 사이트에 일반화하는 데 주의를 기울일 것을 제안한다. 이 연구의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미래 연구에는 일반화를 보장하기 위해 여러 기관 내에서 이 연구를 복제하고 다른 정량적 연구와의 결과를 삼각측량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RW와 관련된) PIF의 성장을 증명하기 위해 학생 설문지를 관리하는 것은 IRW 교육학을 구현하지 않은 학교의 다른 학생 표본과 비교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Our results should be interpreted in light of the potential limitations of this study. Since students’ RWs were a required assignment shared with faculty and potentially with peers, the question of “social desirability” may be raised. A culture of candor, however, remains strong at our institution and writings reveal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clinical experiences. This concern is further mitigated by the fact that the RWs did not contribute to the students’ grades. In addition, several of the researchers were part of the course, a potential source of bias. However, necessary precautions were taken to address and minimize such potential by making potential biases transparent and having a researcher as an external auditor of trustworthiness and credibility of the analysis. Lastly, outcomes of this study represented one institution and one clerkship (as well as one training year, year 3), thus, we suggest caution with generalizing these findings to other training sites. Future research to expand the scope of this study could include replicating this study within multiple institutions to assure its generalizability and triangulating results with other quantitative research. Administering student questionnaires to demonstrate growth in PIF (as related to IRW) could be considered, for example, with a comparison to another student sample at an institution that has not implemented IRW pedagogy.

결론들
Conclusions

의대 3학년의 도전적인 환자와의 만남에 대한 RW에 대한 연구는 자신의 가치관, 태도, 감정(생각과 행동)에 대한 인식과 새로운 이해, 프로토프로로서의 역할, 환자, 동료 및 다른 사람과의 경험의 영향, 롤모델의 영향 등 PIF를 위한 수단으로서의 이 방법을 뒷받침한다.  3년째의 그러한 RW 연습은 1년차 및 2년차(초기 단계에서 형성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훈련된 교직원과 함께)의 IRW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학생들이 전문 사회화 내에서 새로운 존재, 관련성 및 수행 방법을 개발하는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임상실습 학생들의 RW에 대한 주제 분석은 3년차에 [PIF의 잠재적 출현 모델emergent model]을 밝혀냈다. 

Our study of third-year medical students’ RWs about a challenging patient encounter supports this modality as a vehicle for PIF, including awareness and new understandings of one’s values, attitudes, and emotions (thoughts and actions), role as a proto-professional, impact of experiences with patients, colleagues, and others, and influence of role models. Such RW exercises within the third year build on the IRW paradigm within years 1 and 2 (with trained faculty providing formative feedback at early stages) and hopefully scaffold students’ developing new ways of being, relating, and doing within professional socialization. Thematic analyses of Clerkship students’ RWs revealed a potential emergent model of PIF in the third year.

이러한 'grappling"은, "새로운 파괴적 요소" 속에서 임상(및 기타) 경험을 처리, 분석, 평가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의미를 만들고, 이 의미는 변혁적 학습으로 이어져서 한 사람의 전문직 정체성을 (trans)formation시키고, 행동에 영향을 준다. 임상 업무의 '지저분함'는 전문직업적 전문성 핵심이다. 우리는 [휴머니즘적인 학습 환경 내에서의 복잡한 경험]에 대해 [학습자를 guided critical reflection에 참여시키는 것]이 [의료 관행의 불가피한 도전]에 "준비된" 마음과 생각을 가진, [성찰적이고 탄력적인 전문가]를 양성하여, 이상적으로는 의학에서의 휴머니즘을 보존할 귀중한 방법이라고 제안한다.

The “grappling,” the processing,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clinical (and other) experiences within a “novel disruptive element” (Kumagai 2010) is the meaning-making, leading to transformative learning about one’s “becoming,” one’s professional identity (trans)formation (Wald 2015a) which impacts behavior. The “messiness” of clinical practice is at the heart of professional expertise (Schön 1987). We propose engaging our learners in guided critical reflection about complex experiences within a humanistic learning climate (Gracey et al. 2005) as a valuable way to cultivate reflective and resilient professionals with “prepared” minds and hearts for the inevitable challenges of health care practice, ideally preserving humanism in medicine.


Med Teach. 2019 Feb;41(2):152-160.

 doi: 10.1080/0142159X.2018.1475727. Epub 2018 Jun 26.

Grappling with complexity: Medical students' reflective writings about challenging patient encounters as a window into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a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 Warren Alpert Medical School of Brown University , Providence , RI , USA.

2b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 Hebrew University/Hadassah , Jerusalem , NY , USA.

3c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 Mayo Clinic Health System Franciscan Healthcare in La Crosse , La Crosse , WI , USA.

PMID: 29944035

DOI: 10.1080/0142159X.2018.1475727

Abstract

Aim: Clerkship-specific interactive reflective writing (IRW)-enhanced reflection may enhanc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 a fundamental goal of medical education. PIF process as revealed in students? reflective writing (RW) has been understudied.

Methods: The authors developed an IRW curriculum within a Family Medicine Clerkship (FMC) and analyzed students? reflections about challenging/difficult patient encounters using immersion-crystallization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The qualitative analysis identified 26 unique emergent themes and five distinct thematic categories (1. Role of emotions, 2. Role of cognition, 3. Behaviorally responding to situational context, 4. Patient factors, and 5. External factors) as well as an emergent PIF model from a directed content analysis. The model describes students? backgrounds, emotions and previous experiences in medicine merging with external factors and processed during student?patient interactions. The RWs also revealed that processing often involves polarities (e.g. empathy/lack of empathy or encouragement/disillusionment) as well as dissonance between idealized visions and lived reality.

Conclusions: IRW facilitates and ideally supports grappling with the lived reality of medicine; uncovering a "positive hidden curriculum" within medical education. The authors propose engaging learners in guided critical reflection about complex experiences for meaning-making within a safe learning climate as a valuable way to cultivate reflective, resilient professionals with "prepared" minds and hearts for inevitable challenges of healthcare practice.

비판적 성찰과 비판적 반영의 발산과 수렴: 보건의료전문직교육에의 함의(Acad Med, 2019)
The Divergence and Convergence of Critical Reflection and Critical Reflexivity: Implications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tella L. Ng, PhD, Sarah R. Wright, PhD, and Ayelet Kuper, MD, DPhil


보건전문교육(HPE)은 사회과학 및 인문과학(SS&H)을 교과 내용, 디자인, 교육학에 활용해야 한다는 요구에 부응하기 시작했다. 보건 전문가는 역량 프레임워크에 의해 증명된 바와 같이 사회적, 인문학적 역할과 활동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SS&H는 HPE에 분명한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정보에 입각한 방법으로 HPE에 SS&H 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한편으로 SS&H 접근방식은 HPE에서 의미 있고 효과적이려면 신중한 적응이 필요하다. 한편, SS&H의 내용과 방법을 보건 전문직 훈련 프로그램에 적용하려는 의도는 좋지만 정보에 입각하지 않은 많은 사례들이 있다. HPE에 SS&H의 도입이 두드러지고, SS&H와 관련된 목표, 역할, 환자 중심의 관리, 건강 옹호, 포트폴리오 코스 등의 활동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잘못된 적용은 더욱 확산될 위험이 있다. 잘못 적용하면 잠재적으로 유용한 개념이 배제되고 더 많은 정보를 가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현될 수 있는 것보다 더 낮은 교육 결과가 초래될 수 있습니다.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has begun to answer calls to draw on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SS&H) for curricular content, design, and pedagogy.1–8 Health professionals must—as evidenced by competency frameworks—perform social and humanistic roles and activities9,10; thus, SS&H offers clear benefits to HPE. However, applying SS&H methods in HPE in an informed manner can prove challenging.11 On the one hand, SS&H approaches often require thoughtful adaptation if they are to be meaningful and effective in HPE.11,12 On the other hand, many examples abound of well-intentioned yet ill-informed attempts at applying SS&H content and methods to health professions training programs.13–16 As incorporation of SS&H rises in prominence in HPE,17 and as the popularity of SS&H-related goals, roles, and activities such as patient-centered care, health advocacy, and portfolio courses surges, misapplication risks becoming even more widespread. Misapplication may result in dismissal of potentially useful concepts and in poorer educational outcomes than could be realized with more informed applications.

HPE에서 일반적으로 오해되고 잘못 적용된 SS&H 접근법 두 가지는 비판적 성찰과 비판적 성찰성이다. 겹치지만 다른 지적 전통에서 비롯된 이러한 개념은 유사점을 공유하지만 교육학 및 평가에 대해 뚜렷한 의미, 사용 및 시사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그들이 공통적인 몇 가지 기본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거나, 아마도 비슷하게 들리기 때문에, 종종 혼동되거나 서로 결합된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HPE에서 SS&H 지식과 접근법의 잠재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초 지식과 방법의 견고한 기반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혼란은 교육자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Two commonly misunderstood and misapplied SS&H approaches in HPE are critical reflection14,18,19 and critical reflexivity.20–23 Arising from overlapping yet different intellectual traditions, these concepts share similarities but have distinct meanings, uses, and implications for pedagogy and assessment. However, we have noticed that, perhaps because they have some foundational ideas in common, or perhaps because they sound similar, they are often confused and/or conflated with each other. This confusion should concern educators because a solid foundation in the underlying knowledge and methods is required to realize the potential of SS&H knowledge and approaches in HPE.


학자들은 (성찰의 감시로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성찰과 성찰성의 서투른 적용으로 인한 부정적인 결과에 주목하고 있으며, 우리는 '성찰 피로reflection fatigue'를 초래할 정도로 성찰이 남용되는 것에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자금과 자원의 감소와 함께 설명 책임과 복잡성이 증가하는 시기에 심각합니다. 우리는 교육 접근방식의 부실하거나 비효율적인 구현에 시간과 자원을 낭비하거나 낭비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아기를 목욕물과 함께 내던져서는 안 된다" 즉, 성찰적 접근의 실행 실패가 성찰과 성찰성의 실패로 오해되어서는 안 된다. 우리는 비판적 성찰과 성찰성의 세부사항을 이해하는 것이 그들의 더 미묘한, 따라서 효과적인 연구와 응용을 지원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Scholars have noted negative consequences from clumsy applications of reflection and reflexivity in medical education, including the use of reflection as surveillance,24,25 and we have noticed its overuse to the point of driving “reflection fatigue.” These consequences are serious at a time of increased accountability and complexity alongside decreased funding and resources. We cannot spend or waste time and resources on poor or ineffective implementations of education approaches. Yet we should not “throw the baby out with the bathwater”; that is, the failings of implementations of reflective approaches should not be mistaken for the failings of reflection and reflexivity. We argue that understanding the details of both critical reflection and reflexivity can support their more nuanced and thus effective study and application.

이 기사에서는 HPE 분야의 비판적 성찰과 비판적 반사성을 위한 견고한 기반을 명확히 하기 시작한다. 우선 각 항목을 차례로 정의하는 것부터 시작합니다(정의의 개요는 표 1 참조). 우리는 독자들이 그들의 지향과 목표를 이해하도록 돕기 위해 각각의 지적 맥락 안에 위치를 정하고, 그들 사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명확히 한다. 그런 다음 비판적 성찰과 비판적 반사성에 적합한 교육 및 평가 방법의 유형을 설명합니다. 공간 제약으로 인해 기술자 "critical"에 포함된 개념을 상세하게 검토하지 않습니다(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이 용어 및 기타 용어의 간단한 정의는 박스 1 참조). 
간단히 말해서, 성찰 또는 성찰성이라는 단어를 앞에서 한정하는qualifier "비판적critical"이라는 단어는 관련된 성찰적reflective 또는 성찰성적reflexive 활동이 특히 가정, 권력 관계, 구조, 시스템적 효과와 실천에 대한 제약에 도전/질문하는 것을 의미한다.

In this article, we begin to articulate a solid base for both critical reflection and critical reflexivity for the HPE field. We start with defining each in turn (see Table 1 for a summary of their definitions). We locate each in their intellectual contexts to help readers make sense of their orientations and goals, and we clarif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We then delineate the types of teaching and assessment methods that fit with critical reflection versus critical reflexivity. Because of space constraints, we do not explore in depth the concepts embedded in the descriptor “critical” (see Box 1 for a brief definition of this and other terms used in this article); put simply, as a qualifier before reflection or reflexivity, “critical” means that the associated reflective or reflexive activities specifically challenge/question assumptions, power relations, and structural or systemic effects and constraints on practice.26–28

크리티컬 리플렉션/비판적 성찰
Critical Reflection

비판적 성찰은 [가정(즉, 개인 및 사회적 신념과 가치)과 권력 관계, 그리고 이러한 가정과 관계가 어떻게 실천을 형성하는지를 조사하는 프로세스]로 정의할 수 있다. 가정이 [유해한 실천]으로 이어질 경우,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실천자practitioner는 가정과 관행에 도전하고 변경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따라서 비판적 성찰의 목표는 프락시스이다: 사회 개선을 이끄는 [비판적 이론과 실천]의 균형잡힌 융합을 말한다. 

Critical reflection can be defined as a process of examining assumptions (i.e., individual and societal beliefs and values) and power relations, and how these assumptions and relations shape practice. When assumptions lead to harmful practices, the critically reflective practitioner aims to challenge and change assumptions and practices. The goal of critical reflection is thus praxis: a balanced fusion of critical theory and practice that leads to social improvement.29


[비판적 성찰]은 practitioner로 하여금 [유해한 가정이 갖는 물질적 영향(박스 1 참조)에 대해 의문을 갖고 이에 대해 행동]하도록 지시합니다. 예를 들어, 가정의사는 장애인이 지원이나 자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작성하는 서류 등 [실제로 사용되는 일부 물질material object]에 내장된 [유해한 효과]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환자의 특정 지원을 받기 위해 환자의 장애 정도를 "평가"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장애를 평가하는 과정]은 보통 지나치게 단순하고, 사람을 잘못 표현하기 쉬우며, 제대로 논의하지 않으면 환자의 자기 이미지와 환자와의 관계에 해를 끼칠 수 있다. 만약 주치의가 비판적 성찰을 통해 이러한 잠재적 위해를 인식한다면, 환자와의 관계에서 [자신이 수행하는 평가의 필요성과 한계]를 인식할 것이다. 비판적 성찰이 이끄는 행동을 함으로써, 이 가정의사는 Praxis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책 및 프로토콜 형성 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할 수도 있습니다. 그녀는 정규 교육 및/또는 연습과 개인적 경험을 통해 이러한 방식으로 연습하는 법을 배웠을 수 있습니다.
Critical reflection orients practitioners to question and act on the material (see Box 1) effects of harmful assumptions. For example, a family doctor may notice harmful effects built into some of the material objects used in practice, such as the paperwork she complet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access supports and resources.30 To garner access to certain supports for her patients, she is often required to “rate” their level of disability. The process of rating disability is usually overly simplistic and prone to misrepresenting the person31 and can be damaging to the self-image of patients and to her relationship with them if left undiscussed.31 Because she recognizes this potential harm—through critical reflection—the family doctor ensures that in the relationship she builds with her patients, they appreciate the necessity and limitations of the rating she has to conduct. By engaging in action informed by critical reflection, this family doctor is demonstrating praxis. She may also work to improve the policies and protocols shaping practice, over time. She may have learned to practice this way through formal education and/or learning in and through practice and personal experience.


박스 1
Box 1

이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집(중요한 반사 및 반사성 관련 용어집)
Glossary of Terms Used in This Article as They Relate to Critical Reflection and Reflexivity

행위자성사회에 대한 행동 능력.사회 규범과 가치관이 사회의 구조에 의해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지를 알 수 있는 능력을 필요로 한다. 
Agency:
 The capacity to act on the world, requiring the ability to see how social norms and values have come to be shaped by the structures of society.45

비판적: 성찰, 반사성 또는 이론보다 앞선 한정자 또는 형용사로서, '비판적'이란 의미는 가정, 이념, 시스템, 구조 및 권력 관계를 포함한 현재의 사회 규범에 대한 비판에 초점을 맞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Critical:
 As a qualifier or adjective preceding reflection, reflexivity, or theory, critical means that there is a focus on a critique of current societal norms including assumptions, ideology, systems, structures, and power relations.28,34,62

담론(형용사: 담론적): 사회적 구성 및 영속적인 언어 기반 의미 체계로서, 이것은 어떤 생각, 말, 행동 방식이 (불)가능한지를 형성한다. 예:

  • [한 사람 내에 존재하는 기능 손상으로서의 장애]라는 지배적 담론은 사람들이 "기능"을 회복하도록 돕기 위해 재활을 생각하고 실천한다. 반면
  • [사회가 부과하는 한계로서의 장애]라는 대안적 담론은 변화에 대한 부담의 일부를 사회에 이전시키고, 우리가 세상을 기능하고 살 수 있는 다양한 방법에 대한 개념을 넓힐 것을 간청한다.  

Discourse (as an adjective: discursive): A socially-constructed and perpetuated, language-based system of meaning shaping (im)possible ways of thinking, speaking, and acting; e.g.

  • the dominant discourse of disability as impairment of function within an individual means we think about and practice rehabilitation to help people regain “typical” function.
  • An alternative discourse of disability as limitations imposed by society would move some of the burden of change to society, and implore us to broaden our conceptions of different ways of being able to function and live in the world.73–75

인식론: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을 어떻게 알게 되는가에 대한 철학. (의견이 아니라) 지식을 개발하거나 습득하는 타당한 방법을 포함한다.
Epistemology:
 The philosophy of how we come to know what we know, including the methods considered to be valid ways of developing or gaining knowledge (as opposed to opinion).8,12,76–78

형평성Equity: 무엇이 정의롭고 공정한지에 대한 사고방식이며, 종종 평등equality과 대조된다.

  • [평등]은 모든 사람이 같거나 동등한 기회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것을 말한다(예: 의대에 입학하는 모든 학생이 동일한 수업료를 지불한다)
  • [형평]은 누군가를 애초에 기회에서 배제시킬 수 있는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의 영향과 같은 장벽을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할 수 있다(예: 의대 진학에 필요한 학업기준에 부합하지만 등록금 재원이 부족한 학생에게 학비보조금을 제공한다.)

Equity: A way of thinking about what is just and fair, often contrasted with equality. Rather than

  • equality in which all people would be given the same, or equal, opportunities and supports (e.g., all students entering into medical school pay the same tuition fee), an
  • equitable approach might aim to remove barriers such as the effects of the lower socioeconomic status of a student that might preclude them from an opportunity (e.g., offering bursaries to students who meet the academic standards for entry to the medical school but lack the economic resources for tuition).79

물질: 사회와 문화가 구성하고, 사회와 문화를 구성하는 물리적 대상 및 측면과 관련된다. 예: 의료 차트, 증거 기반 진료 지침.
Material:
 Relating to the physical objects and aspects constituting and constituted by society and culture,80 e.g., medical charts, evidence-based practice guidelines.

교육학: 가르침의 이론과 실제.
Pedagogy: The theory and practice of teaching.

프락시스: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생각과 행동의 융합. 
Praxis:
 The fusion of critically reflective thought and action.29


교육에서 [성찰]은 일반적으로 "어떤 믿음이나 가정된 형태의 지식에 대한 적극적이고 지속적이며 신중한 고려이다. [믿음이나 가정을 뒷받침하는 근거]와 [그것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결론]에 비추어 고려하는 것이다"로 정의된다. 종종 성찰에 [비판적 차원]을 추가하는 것으로 알려진 하버마스는, 여기에 [성찰 과정에 비판적 렌즈를 적용하지 않는 한, 지식은 지식이 창조된 사회적 조건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는 것을 추가했다.

  • 위의 예에서, 만약 가정의사가 장애 서류 작업을 하는 동안 성찰적인 태도를 보였다면, 그녀는 실제로 환자 자신의 희망에 대한 자신의 가정에 의문을 제기했을 수 있으며, 그녀가 인간 중심적이고 사려 깊은 방식으로 연습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하지만, 그녀는 비판적인 성찰을 통해 드러난 서류 처리 과정의 잠재적인, 더 음흉한 피해를 인식하지 못했거나 완화하려고 노력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또한, (서류에 서명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환자의 자원 접근을 허가 또는 불허하게 만드는) 자신의 위치와 더 큰 기관 복합체 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에 대해 덜 의식했을 수도 있다. 

[비판적 성찰]은 (이 경우 의사의 관점을 변화시킴으로써) 기존의 관점과 권력 관계를 영속화하기보다는 변화를 목표로 하기 때문에, 따라서 [해방적 지식]을 생산할 수 있다. 
In education, reflection is commonly defined as “active, persistent, and careful consideration of any belief or supposed form of knowledge in the light of the grounds that support it and further conclusions to which it tends.”32(p6) Habermas,33 often credited with adding a critical dimension to reflection, added to this definition that knowledge remains constrained by the social conditions in which it was created, unless a critical lens is applied to the reflective process.

  • In the example above, if the family doctor was reflective while working on the disability paperwork, she may indeed have questioned her own assumptions about the patient’s wishes, to ensure that she was practicing in a person-centered and thoughtful manner.
  • However, she may not have recognized or tried to mitigate the potential, more insidious harms of the paperwork process, which were brought to light through critical reflection. She would also be less aware of the position she holds by virtue of being the signatory on this paperwork, which ultimately grants/denies the patient’s access to resources, and her position relative to the larger institutional complex.

Critical reflection can thus produce emancipatory knowledge, as it aims to transform rather than perpetuate existing perspectives and power relations (in this case, by transforming the perspective of the physician).33


비판적 성찰 이론을 발전시킨 현대 작가로는 브룩필드, 켐미스, 킨셀라, 그린 등이 있다. 의학 교육에서 비판적 성찰에 관한 이론을 도입한 학자는 프리레와 하버마스의 작품과 그 적용 방법에 특히 초점을 맞춘 쿠마가이이다. Kumagai와 Lypson은 이러한 지식에 대한 이해를 학생들을 문화적 역량 밖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노력과 같은 교육 혁신에 적용했습니다. 그들은 학생들이 특정 환자와 상호작용하는 ["올바른" 또는 "최상의" 방법을 기억하는 체크리스트 접근법]에서 벗어나서, [권력 관계에 대한 더 넓은 인식과 사회적 불평등을 완화하려는 욕구]로 옮겨갈 필요성을 분명히 강조한다. 따라서, 이 접근방식에 따르면, 모든 환자에게 좋은 돌봄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기술을 수행하는 특정 방법을 습득할 때 [존재의 방식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동반되어야 한다. [존재의 방식]이란 관점과 덕성virtue를 체화하고, 집행하고, 문화화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렇듯, [
비판적 성찰]은 [사고 과정]이다. 비판적 성찰의 실천은 이 과정에 자주 또는 항상 관여engage하는 존재와 실천의 한 방법이다. 
Contemporary authors who advance theories of critical reflection include Brookfield, Kemmis, Kinsella, and Greene26–28,34–37 (see Table 1). In medical education, a scholar who has taken up theories related to critical reflection is Kumagai,4,38 who has focused particularly on the works of Freire and Habermas and how they can be applied in medical education. Kumagai and Lypson4 have applied these understandings of knowledge to educational innovations such as efforts to move students beyond cultural competence. They articulate a need to move from checklist approaches, wherein students memorize the “right” or “best” way to interact with a particular patient, toward a broader awareness of power relations and a desire to mitigate social inequity.4 This approach thus suggests that, to provide good care for all patients, acquiring particular ways of performing desired skills must be accompanied by critically reflective ways of being—by which we mean embodied, enacted, enculturated views and virtues. Critical reflection is a thought process; critically reflective practice is a way of being and practicing that engages this process often or always.26,39

(비판적) 성찰성
(Critical) Reflexivity

[성찰성]은 [[자기의 지식의 한계를 더 잘 이해]하고 [다른 사람들의 사회적 현실을 더 잘 인식]하기 위해, 세상world 내에서 자신의 위치position를 인식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성찰성은, 무엇보다 [권력관계]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을 포함하기에, 정의상 비판적이다. 그러나 일부 저자들은 [권력에 대한 주의를 명시적으로 우선시]하고자, "비판적 성찰성critical reflexivity"이라는 더 긴 용어를 사용하기로 선택한다. [성찰성적reflexive 실천가]는 그녀의 인식론적 가정과 합법적인 지식, 사회적 규범, 그리고 가치의 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담론적 요소]에 도전할 것입니다. [성찰성]과 [비판적 성찰]은 사회적 개선이라는 목표를 공유하지만, [성찰성]은 [담론적으로 이해contrued 사회적 세계가 누가, 어떻게, 어떤 지식과 사회적 규범의 구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강조한다.36. 따라서 성찰성적 접근으로 제시된 해결책은 종종 [구조와 제도를 바꾸는 것]을 포함할 것이다. 예를 들어, 장애에 대한 성찰성적 접근법은 

  • 현재의 정의에 의문을 제기하다. (예: 장애를 개인 안의 것으로 보는 정의)
  • 정의에 따른 실천에서 누가 권력을 얻거나 유지할지(예: 현재 장애가 없는 자, 재활 전문가 등), 이 담론에 의해 권력적 약자가 되는 사람은 누구인지(예: 장애인 등)에 대한 인식을 높인다. 
  • 이러한 권력 불균형을 만들고 유지하는 구조와 프로세스의 변화를 모색한다.

Reflexivity can be defined as recognizing one’s own position in the world both to better understand the limitations of one’s own knowing and to better appreciate the social realities of others. All reflexivity is thus by definition critical, as it specifically involves paying heed to power relations; however, some authors choose to use the longer term “critical reflexivity,” which explicitly foregrounds their attentiveness to power. A reflexive practitioner would challenge her epistemological assumptions (how we know what we know) and the social and discursive factors that influence conceptions of legitimate knowledge, social norms, and values. Although reflexivity and critical reflection share goals of social improvement, reflexivity emphasizes how the discursively construed social world influences what, how, and by whom knowledge and social norms are constructed,36 and so the solutions put forward in a reflexive approach will often involve changing structures and institutions. For example, a reflexive approach to disability may

  • call into question its current definition (e.g., as an impairment within an individual),
  • raise awareness of who stands to gain or maintain power from the ensuing practices of this definition (e.g., people currently without disabilities,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and who is rendered less powerful by this discourse (e.g.,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 seek to change the structures and processes that create and maintain this power imbalance.40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인식하는 것]은 [다른 사람들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다. 성찰성에 참여하려면, 먼저 이러한 믿음과 가정이 [우리가 자라나고 훈련받거나 현재 살고 일하는 사회문화 구조에 어떻게 내재되어 있는지]를 인식함으로써, [무엇이 진실되고 정상적인지에 대한 우리 자신의 믿음과 가정에 도전]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성찰성적 가정의사는 자신이 [장애인이 아닌 사람을 "정상"이라고 가정하는 건강 시스템] 내에서 기능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 의사는 [장애에 대한 현재의 담론]을 문제 삼을 것이다. 왜냐하면 이 담론에서는 "문제"는 '장애를 가진 사람'에게 존재하는 것이지, 장애를 가진 사람이 적응하고자 노력하고 있는 '시스템'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Recognizing one’s own social position may broaden one’s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of others. Engaging in reflexivity requires challenging our own beliefs and assumptions about what is true and normal by first recognizing how these beliefs and assumptions are embedded in the social and cultural structures in which we were raised and trained and/or currently live and work. Continuing our example, a reflexive family doctor would, for example, notice that she was functioning within a health system that assumes that people who are not disabled are “normal”; in so doing she would problematize the current discourse of disability, in which the “problem” is located with the “disabled” patient rather than with the system to which they have to try to fit in.40 

이와 같은 (현재의) 문제적 담론은 [포용적인 환경을 만들려는 사회의 책임]을 회피하고, 대신 [인식된 규범에서 벗어난 사람들]에게 "적합해지기 위해 노력하라fit in"는 부담을 전가한다. [우리 모두가 억압적인 권력의 당사자]라는 성찰성의 내재적 의미는, 자신의 [특권적 지위]가 [지배적인 문화 또는 사회 집단]에 속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임에 주의하게 만들기 때문에, 성찰성을 상당히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Rowland와 Kuper가 환자 경험을 하게 된 의료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에서, 참가자들은 그들의 경험 중 [가장 고통스러웠던 부분] 중 하나는 환자의 입장에서 부정적으로 경험했던 [구조와 과정에 자기 자신이 (보건의료제공자로서) 어떻게 기여하고 있었는지에 대한 성찰적인 깨달음]이었다고 언급했다. 

This problematic discourse defers responsibility from society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is inclusive, instead shifting the burden onto those who fall outside the perceived norm to “fit in.” An inherent implication of reflexivity—that we are all (as part of society) party to oppressive forces—can make reflexivity quite difficult, particularly when it calls attention to one’s own privileged position derived from belonging to a dominant cultural or social group.41 For example, in Rowland and Kuper’s42 study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who have also been patients, participants noted that one of the most painful parts of their experience was their reflexive realization of the ways in which they themselves (as health care providers) had contributed to the structures and processes that they then experienced so negatively as patients.

머튼은 성찰성을 [옳든 그르든, 상황의 결과와 그 믿음을 실현하기 위해 개인이나 집단이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충족적 예언]으로 묘사했다.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그와 다른 초기 이론가들은 성찰성을 문제가 있다고 생각했다. 즉, 사회적 세계에 영향을 받지 않는 어떠한 행동도 취할 수 없고, 이는 다시 사회적 세계에 영향을 준다. 하지만, 더 최근에는 이론가들은 성찰성을 구조(사회가 개인의 신념과 행동에 영향을 주는가?) 대 개인(개인의 신념과 행동과 행위가 사회에 영향을 주는가?) 이라는 오랜 인식론적 문제를 극복하는 해결책으로 제시한다. 
In one of the earliest uses of the term, Merton43 described reflexivity as a self-fulfilling prophecy, in which a belief or expectation, whether correct or incorrect, affects the outcome of the situation and how individuals or groups behave to make that belief come true. Arguably, he and other early theorists conceived of reflexivity as problematic: that no action can be taken that is not influenced by the social world, which in turn influences the social world. More recent theorists, however, present reflexivity as the solution to overcoming the long-standing epistemological problem of structure (does society influence individual beliefs and behaviors?) versus agency (do individual beliefs, behaviors, and actions influence society?).44

예를 들어,

  • Bourdieu는 사회과학은 본질적으로 우리의 선입견preconception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는 우리의 사회적, 문화적 기원, 현장에서의 우리의 위치, 그리고 우리의 지식 주장을 질문함으로써 우리 자신의 입장을 더 잘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 비슷하게, Foucault46은 역사가 현재 지식을 구조화하고 체계화한다고 제안했다; 무엇을 생각할 수 있고 알 수 있는지는 우리가 사용하는 담론을 통해 형성되며, 담론이 우리의 사고를 어떻게 제약하는지를 고려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 Bourdieu, for example, argued that the social sciences are inherently constrained by our preconception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we should seek to better understand our own positions by interrogating our social and cultural origins, our position in the field, and our knowledge claims.45 
  • Similarly, Foucault46 proposed that history structures and organizes knowledge in the present; what is thinkable and knowable is shaped through the discourses we use, making it imperative that we consider the ways in which this constrains our thinking.

부르디우와 푸코는 둘 다 보통 당연하게 여겨졌던 사회의 특성, 어떻게 그러한 특성을 갖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누가 이득을 보고 손해를 보는지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다. 또, 다음과 같은 권력의 문제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푸코는 [담론]이 우리의 사고와 실천을 함정에 빠뜨린다고 보았고, 부르디우는 [사회 구조]가 사회적 불평등을 재현한다고 보았. [비판적 성찰성]은 이렇게 ["자연스러워" 보이는 힘forces]을 인식하는 것이다. 즉, 우리가 힘forces을 어떻게 생산하고 재생산하는지, 힘forces이 우리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우리가 힘forces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인식하는 것이고, 이것이 변화하는 역동적인 과정이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다.

Bourdieu and Foucault both challenged the properties of society normally taken for granted, how they came to be, how they were naturalized, and who ends up benefiting and losing as a result. They also focused on issues of power: Foucault46 sees discourses as trapping our thinking and practice, and Bourdieu44 sees social structures as reproductive of social inequities. Critical reflexivity is about recognizing these “natural”-seeming forces, how we are implicated in producing and reproducing them, how they affect us, how we affect them, and that this is a dynamic process subject to change.

더 많은 현대 학자들이 (성별, 인종, 식민지 경험, 능력과 같은) 특정한 사회적 구조(및 이들의 교차점)와 관련하여 [비판적 성찰성]의 개념을 탐구해 왔다. 예를 들어,

  • 패트리샤 힐 콜린스는 아카데미에서 흑인 여성으로서의 그녀의 "외계인" 지위가 그녀가 정상적이고 자연스러워 보이는 "내부인"들에게 주목받지 못하는 현상을 알아차릴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탐구했다.
  • 마찬가지로, 사이드는 유럽과 북미의 학자들이 아시아, 중동, 그리고 아프리카에서 온 사람들을 "미스터리한 다른 사람"으로 구성하면서 그들의 목소리와 힘을 식민지화의 더 큰 현상의 일부로서 감소시키는 방식을 문제화했다.
  • Crenshaw58은 이러한 다른 사회적 범주가 중복될 수 있는 방법의 복잡성과 권력과 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기 위해 "교차성"이라는 용어를 도입했습니다.

이 저자들은 각기 다른 사회 집단의 경험을 강조하고 있지만, 집합적으로 우리가 ["자연적"이고 "정상적"으로 보이지만 실제로 변화하기 쉬운 구조와 과정을 유지하는 우리의 역할]을 깨닫는 데 도움이 되며, 따라서 우리가 공유된 사회 세계를 개선하기 위해 행동하도록 영감을 준다.
More contemporary scholars have explored the notion of critical reflexivity in relation to specific social constructs such as gender,47–50 race,51,52 experience of colonization,53–55 and ability40,56,57 (among others), as well as to the intersections between them.

  • Patricia Hill Collins,52 for example, has explored the ways in which her “outsider” status as a black woman in the academy enables her to notice (and seek to address) phenomena that go unremarked to those “insiders” for whom they seem normal and natural.
  • Similarly, Said53 has problematized the ways in which European and North American academics constructed people from Asia, the Middle East, and Africa as a “mysterious other,” diminishing their voices and their power as part of the larger phenomenon of colonization.
  • Crenshaw58 introduced the term “intersectionality” to highlight the complexity of the ways in which these different social categories can overlap and the implications that has for power and knowledge.

Although the experiences of the social groups highlighted by these writers differ, collectively their work helps us to identify our roles in maintaining structures and processes that seem “natural” and “normal” but may actually be amenable to change, and thus inspires us to act to improve our shared social world.

교육 및 평가에 미치는 영향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Assessment

교육적 접근 방식을 알려주는 학문적 전통을 사용하는 교육 및 평가 방법에 맞추는 것은 교육 노력의 질과 의미에 있어 중요합니다. 비판적 성찰과 비판적 성찰성은 특정한 약속을 공유한다. 둘 다 [사회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기존의 권력 구조에 도전]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차이점뿐만 아니라 비판적 성찰과 반사성을 교육, 평가 및 평가하기 위한 공통 과제와 전략도 탐구할 것이다.

Aligning the academic traditions informing an educational approach with the teaching and assessment methods used is key to the quality and meaning of the educational efforts being employed.59 Critical reflection and critical reflexivity share certain commitments; they both strive for social improvement and challenge existing power structures. We will thus explore not only the differences but also the common challenges and strategies for teaching, assessing, and evaluating critical reflection and reflexivity.

비판적 성찰에 대한 교육 및 평가
Teaching and assessing for critical reflection

HPE에서 비판적 성찰을 가르치는 사람들의 경우, 이론 문헌과 일치하는 전반적인 목표는 학생들이 임상 작업에 대해 일종의 [프락시스]로서 접근하는 것을 가르치는 것이다. 위의 장애 정책과 관련하여 일하는 가정의사의 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Praxis는 [비판적 이론에 입각한 행동]이다. 그것은 [성찰]과 [행동], 특히 [비판적 성찰]과 [행동]의 융합이다.

  • 조직 차원에서는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의대]라면, [이론적인 조사에 근거해, 불평등하다고 보여지는 척도를 제거하는 방향으로 입학 기준을 바꿀 수]도 있다.
  •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교수와 프로그램]은 학생들을 프락시스 지향의 문화(프락시스 지향의 입학은 좋은 시작이다)속에서 사회화하고, 학생들이 실천과 환자에 대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가정에 대해 지속적으로 의문을 던지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할 것이다.
  •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학생들]은 자신의 실천과 프로토콜에 포함된 가정과 유해한 관계에 적극적으로 도전함으로써 자신의 실천 컨텍스트에서 점진적으로 매일 개선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할 것이다.

Baker 등, Halman 등, Kumagai 및 Lypson에 의해, 이러한 목표에 맞춘 교육 관행의 개요가 설명되고 있으며, 표 2에 몇 가지 예가 있다.

For those teaching critical reflection in HPE, the overall goal congruent with the theoretical literature would be to teach students to approach their clinical work as a form of praxis. As noted above in our example of the family doctor working in relation to disability policies, praxis is critical theory–informed action. It is a fusion of reflection and action, specifically critical reflection and action.29 

  •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 critically reflective medical school might change its admissions criteria by removing a measure shown to be inequitable, based on theory-informed investigation.
  • Critically reflective faculty and programs would aim to socialize students in a praxis-oriented culture (a praxis-oriented admissions process being a good start) and to orient them toward continually questioning their own assumptions about their practices and about their patients.
  • Students would also be oriented toward creating incremental everyday improvements in their own practice contexts by actively challenging the assumptions and harmful relations embedded in their practices and protocols.

Pedagogical practices aligned with these goals have been outlined by Baker et al,59 Halman et al,60 and Kumagai and Lypson,4 and we share some examples in Table 2.

 

비판적 성찰의 커리큘럼 목표는 [합의된 "콘텐츠" 지식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지속적으로 질문하는) 시각과 존재 방식]을 학생들에게 고취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따라서 비판적 성찰의 핵심 개념(예: 확립된 권력관계를 인식하고 때로는 도전하는 것)은 단순히 특정 강의나 과목에서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공식적이고 숨겨진 커리큘럼 전체에 통합될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교수는 내용지식을 주로 전달하는 교사가 아니라, 학생들과 함께 배우고 도전하는 역할 모델 및 멘토 역할을 합니다. 구체적인 커리큘럼 내용은 사고와 존재 방식을 형성하는 수단이 될 것이다. 

Curricular objectives for critical reflection focus on imbuing students with a particular, constantly questioning, way of seeing and being, rather than on building an agreed-upon “content” knowledge base. As such, notions that are key to critical reflection (such as recognizing and, at times, challenging established power relations) would need to be integrated throughout the formal and hidden curricula rather than simply taught in a particular lecture or course.29 Similarly, faculty members would serve as role models and mentors who learn with and challenge students rather than as teachers who primarily transmit content knowledge; the specific curriculum content would be a vehicle for shaping ways of thinking and being.4,38,61

비판적 성찰의 평가는 또한 그것의 철학적, 이론적 기원과 일치해야 한다. 성찰 학자들은 성찰 활동을 평가하거나 의무화할 때 잠재적 위험에 주목했다. 일부에서는 성찰적 사고의 표현을 서면으로 의무적으로 제출하게 만들면, 성찰이 [일종의 감시]가 된다고 주장한다. 다른 이들은 성찰을 지나치게 환원주의적으로 평가하는 접근법은 [핵심point을 놓치고], 대신 [토큰주의적이거나 조작된 반성을 유도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크리틱은 일반적으로 (비판적 성찰이 아니라) 성찰에 대한 것이다. 성찰과 반사성에 대한 [비판성criticality]를 더할 때 [사회적 가정, 규범 및 가치가 강조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우리는 주의를 기울여야 할 이유를 더 확장할 수 있다.

Assessment of critical reflection must also align with its philosophical and theoretical origins. Scholars of reflection have noted potential dangers in assessing or mandating reflective activities. Some have argued that through mandated submission of written representations of reflective thought, reflection becomes a form of surveillance; others argue that overly reductionistic approaches to assessing reflection miss the point and instead drive tokenistic or fabricated reflection.14,24,62 These critiques have typically been levied at reflection (not critical reflection); given the emphasis on societal assumptions, norms, and values that adding criticality to reflection and reflexivity brings, we extend the cause for caution even further.

[모든 평가는 통제의 한 형태]라는 주장이 종종 제기되어 왔지만, [점수grading]을 통해 사회 세계를 바라보는 특정한 방식을 명시적으로 강요하는 것은 현대 교육자들 사이에서 불편함을 야기할 것임을 쉽게 상상할 수 있다. 그러나 윤리적으로 덜 까다로울 수 있는 다른 옵션이 적어도 두 가지가 있다.

  • 의료 분야에서는 실무 환경에서 직업의 일원으로 일하는 모든 실무자에게 요구되는 가치와 규범(종종 전문직 윤리강령으로 기술됨)이라는 오랜 역사가 있습니다. 그러한 가치의 현대적 예는 [동정심과 정직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직장 내에서 이러한 직업별, 합의된 가치를 집행enact하거나 수행하는 학생들의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 또한 비판적 성찰이 [환자 치료를 개선할 것으로 기대되는 특정 가치]를 옹호하고 모델링하는 [기관적 전환shift]의 일부로 받아들여진다면, [그러한 가치들을 기관적 차원에서 집행enact하는 학교의 성공]과 [환자 치료에 대한 그러한 조치의 효과]를 둘 다 평가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영향은 비판적 성찰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평가해야 한다.

Although it has often been argued that all assessment is a form of control,63 one could easily imagine that explicitly enforcing—through grading—particular ways of viewing the social world might cause discomfort amongst contemporary educators. However, there are at least two other options that might be less ethically fraught.

  • There is a long history in the health professions of identifying values and norms (often delineated in codes of professional ethics) required of all practitioners while working as a member of the profession in the practice setting; contemporary examples of such values might include compassion and honesty. One could, therefore, assess students’ abilities to enact or perform these profession-specific, agreed-upon values within the workplace.
  • In addition, if critical reflection is taken up as part of an institutional shift to espousing and modeling particular values that are thought to improve patient care, then it would be appropriate to evaluate both the success of the school in enacting those values at the institutional level and the effect of those actions on patient care. However, these effects would need to be assessed in ways aligned with critical reflection.

비판적 성찰과 연계된 평가는 주로 추가 연구의 영역으로 남아있지만, 관점과 가치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체크리스트 접근방식]은 비판적 성찰의 기본 원칙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시뮬레이션 디브리핑 중 대화 분석을 포함하여 개인의 시프트된 관점을 평가하기 위한 접근방식을 모색하기 시작했습니다. 학자들은 최근 성찰성에 대한 학습을 평가하기 위해 담론 분석 접근법을 사용했으며, 우리는 비판적 성찰에도 같은 것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제안한다. 

Although assessment aligned with critical reflection largely remains an area for further research,59 a checklist approach to measuring a shift in perspective and values would likely not be congruent with the underlying principles of critical reflection. Instead, we have begun to explore approaches to assessing a person’s shifted perspective, including, for example, analyzing conversations during simulation debriefings. Scholars have recently used discursive analysis approaches to assess learning about reflexivity, and we suggest that the same could be done for critical reflection.64

비판적 성찰성 교육 및 평가
Teaching and assessing for critical reflexivity

[비판적 성찰]을 가르치는 전반적인 목표가 [프락시스Praxis를 자극하는 것]이라면, [비판적 성찰성]을 가르치는 전반적인 목표는 [갱신된 행위자성renewed agency을 자극하는 것]이다. 행위자성은 [사회에 대해 행동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그것은 우리의 현재 행동 방식의 한계를 벗어나 더 나은, 더 윤리적 세상을 생각하는 것으로 시작해야 한다. [현재의 사고방식과 지식의 한계를 넘어 생각]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진정한 에이전시를 갖기 위해서는 성찰성적이어야 한다. 위의 예를 계속하여, 만약 우리가 개인의 수준에서 [비판적 반성]을 평가하고 싶다면, 우리는 먼저 현재의 평가 정의를 재고하는 사람들을 반사적으로 생각하고 평가하는 방법을 제정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즉, 평가의 다른 전제조건/이해에 의해 통지되는 새로운 평가 개념을 만드는 것). 여기서 우리는 [비판적 성찰과 비판적 성찰성 사이의 중첩]을 발견합니다. 즉, 평가를 완전히 다르게 상상함으로써 새로운 재료 평가 접근법을 만듭니다.

While the overall goal of teaching critical reflection is to stimulate praxis, the overall goal for teaching critical reflexivity in HPE is to stimulate renewed agency. Agency means being able to act on society, which must begin with thinking of a better, more ethical world, outside the confines of our current ways of doing things.44 One must be reflexive to have true agency as one must be able to think beyond the confines of current ways of thinking and knowing.44 Continuing with the example above, if we wanted to assess critical reflection at the individual level, we would need to first reflexively conceive of and enact a way of assessing people that rethinks current definitions of assessment (i.e., creating a new conception of assessment informed by different assumptions/understandings of assessment). Here we see a point of overlap between critical reflection and reflexivity—creating new material assessment approaches by imagining assessment completely differently.


[성찰성]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자신의 위치나 존재 방식] 등에 대해서도 암묵적인 가정을 보다 폭넓게 질문하는 방법을 가르쳐야 합니다. 학생들은 [(일상적으로 정상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역사와 우연의 산물인 사회적 현상을 "낯설게make strange" 만드는 방법]을 배울 필요가 있을 것이다.65 이러한 사고방식은 사회과학 전공에서 일상적으로 가르치고 있으며, HPE는 이러한 접근법에서 차용될 수 있다.8 예를 들어,

  • 학생들은 특정한 개념(즉, 형평성, 권력)을 정의하도록, 그리고 중요한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선택해서 작업하도록 배울 필요가 있을 것이다.
  • 그들은 또한 식민주의, 동성애 혐오증, 인종차별, 또는 환자들이 직면할 수 있는 다른 유사한 형태의 차별과 같은 주제에 대해 교육받을 필요가 있을 것이다.
  • 교수들은 학생들이 이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고 모든 지식 주장의 기초가 되는 가정에 대한 추가 질문의 기초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To teach reflexivity, students would need to be shown how to question their tacit assumptions not only about themselves—their own position and ways of being—but also about societal norms more broadly. They would need to learn how to “make strange” social phenomena that are routinely seen as normal but are actually socially constructed products of history and happenstance (e.g., definitions of family, competence, or disability).65 These ways of thinking are routinely taught in social science faculties; HPE could borrow from these approaches.8 For example,

  • students would need to be taught to define specific concepts (i.e., equity, power) and work with a selection of important theoretical frameworks.
  • They would also need to be educated about such topics as colonialism, homophobia, racism, and/or other similar forms of discrimination that might be faced by their patients.
  • Faculty members would need to enable students both to acquire this knowledge and to use it as the basis for further questioning the assumptions underlying all knowledge claims.

이 사회과학 지식에 대한 평가는 학생들이 토론, 서면, 그리고 실제에서 어떻게 주요 개념을 적용하는지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하지만 미묘한 차이점에 주목하십시오.

  • [비판적 성찰]은 프락시스 지향의 전통에서 비롯됩니다. 그것은 [보는 방법과 존재하는 방법ways of seeing and being]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학습과 성과를 평가하는 [전통적인 학문적 방식]에 덜 적합합니다. 따라서 비판적 반성은 평가에 대한 더 실무에 기초한 접근법practice-based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한편, [비판적 성찰성]은 학습자가 기억력, 이해력 및 적용 측면에서 시험할 수 있는 [사회과학 이론 세트]를 명확하게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약간 더 "전통적인"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즉, [비판적 성찰성적 이론의 이해]가 아니라, [비판적 반사성의 집행enact]에 대한 평가는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비판적 성찰]과 유사한 평가 접근법을 필요로 할 것이다.

비판적 성찰과 반사성의 궁극적인 목표는 겹치므로, 평가 접근법은 결국 관점과 관행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결정하는 데 수렴될 수 있다. 

Assessment of this social scientific knowledge could focus on how students apply key concepts in discussion, in writing, and in practice. Note here a key, yet subtle, difference.

  • Critical reflection derives from praxis-oriented traditions; it is more focused on ways of seeing and being and thus fits less neatly into our traditional academic ways of assessing learning and performance. Critical reflection may therefore lend itself to more practice-based approaches to assessment.
  • Meanwhile, critical reflexivity could be conceived of as being slightly more “traditional” in that it contains clearly agreed-upon sets of social science theory that learners could be tested on in terms of memory,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This said, the enactment of critical reflexivity as opposed to the understanding of critically reflexive bodies of theory would require similar assessment approaches to critical reflection such as those mentioned above.

The ultimate goals of critical reflection and reflexivity overlap, so the assessment approaches might eventually converge around determining how perspectives and practices have shifted.59

비판성을 위한 공간 확보
Making Space for Criticality

비판적 성찰과 반사성을 가르치고, 평가하고, 평가하는 위의 어떤 제안도 생명과학에서 일반적인 것 이상의 것을 알 수 있는 철학적, 물리적 공간 없이는 가능하지 않습니다. 다른 학자들이 이를 탐구했고, 우리는 독자들에게 이 작품들을 살펴보라고 권한다. 
None of the above suggestions for teaching, assessing, and evaluating critical reflection and reflexivity are possible without a philosophical and physical space for ways of knowing beyond those common in bioscience. Other scholarship has explored this, and we direct readers to these works.38,61,66,67

이 기사에서는 비판적 성찰과 비판적 성찰성의 개념을 보다 정밀하고 뉘앙스로 도입하고, 사회과학이나 인문학의 개념을 HPE에 적용하는 이 접근방식을 채택할 기회를 제시한다. 그러나 우리는 비판적 성찰 및 비판적 성찰성을 (지속적으로 적용하는 과정에서 진화하지 않는) 완전하거나 정적인 개념으로 포지셔닝할 의도가 없다. 사실, 브룩필드는 우리가 궁극적으로 비판적 성찰의 과정을 그 자체로 되돌릴 것을 옹호한다. 우리는 비판적 성찰과 비판적 성찰성 자체를 문제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개념이 더 대중화되면, 그것들은 또한 더 희석되어 의미가 "증발"되고, 궁극적으로 물화reified된다. 그렇게 되면, 이 개념은 [원래 그것이 기원한 맥락]을 훨씬 넘어, [담론의 수준]으로 올라감을 의미한다. 우리는 이미 비판적 성찰에서 피난evacuation의 징후를 볼 수 있다(비판적 성찰을 가르치고 육성한다고 주장하는 수많은 과제와 포트폴리오). 

This article sets forth an opportunity to engage the concepts of critical reflection and reflexivity with more precision and nuance, and to take this approach to applying any social science or humanities concept to HPE. However, we do not intend to position critical reflection and reflexivity as infallible or static concepts, unable to evolve as they are continually applied. In fact, Brookfield26 advocates that we ultimately turn the critically reflective process back on itself. We argue that we must problematize both critical reflection and reflexivity themselves. As these concepts become more popular, they also become more diluted, becoming “evacuated” of meaning (wherein the concepts mean everything and thus nothing) and ultimately reified, which means the concepts can become raised to a level of discourse well beyond their original contexts of origin. We can already see signs of evacuation of critical reflection (with countless assignments and portfolios claiming to teach and foster critical reflection but meaning vastly different things).

브룩필드는 또한 우리가 비판적 성찰을 홍보하는 것에 너무 빠져든 나머지, 그것을 [배제의 메커니즘]으로 사용하고, [권력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우리는 (마치 비판적 성찰을 위해 사용하고 가르치는 교육자들이 점점 더 나은 교육자가 되어 억압을 뿌리뽑을 수 있다는 것과 같은) "선형적인 진보"를 목격할 것이며, 또 그래야만 한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브룩필드는 "지배적 문화적 가치가 다수보다 소수의 이익에 기여하는 방식을 분석하는 데 적용한 것과 동일한 [합리적 회의론]을 우리 자신의 입장에 적용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 또한, 우리 자신의 실천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입장은 [건강한 아이러니]이다. 이것은 우리가 좋은 관행에 대한 하나의 보편적인 진실을 포착했다는 믿음에 대한 필요한 대비책hedge이다. 또한 [비판적 성찰 프로토콜]을 [무비판적 개발하고 물화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라고 말하였다.  

Brookfield further cautions that we can get so caught up in our own promotion of critical reflection that we use it as a mechanism of exclusion and means to gain power. We also need to let go of the notion that we can and should see “linear progress,” as if educators using and teaching for critical reflection become increasingly better educators, eradicating oppression one day at a time. Brookfield concludes that we must “apply the same rational skepticism to our own position that we apply to analyzing how dominant cultural values serve the interests of the few over the many. A critically reflective stance towards our practice is healthily ironic, a necessary hedge against the belief that we have captured the one universal truth about good practice. It also works against uncritical development, and reification, of protocols of critical reflection.”26(p47) 

우리는 Brookfield의 현명한 말을 반복하고, 모든 과학적이고 SS&H의 개념과 방법은 원래 분야와 HPE 양쪽에서 지속적인 정밀 조사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비판적 성찰과 비판적 성찰성의 경우, 지속적인 연구는 학습 방법, 학습 방법 및 학습 방법, 평가 방법 및 평가 방법, 결정적 성찰 또는 반사성의 교육 및 평가가 정렬되고 의미 있는 영향에 대해 어떻게 평가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비판적 성찰과 비판적 성찰성]의 목적은 (유일하고 고정적이며 올바른 존재, 시각, 사고방식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존재, 시각, 사고방식의 기초가 되는 가정에 대한 지속적인 의문을 불러일으키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방식을 보다 신중하게 실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면 평가 접근방식도 조정되고 적절해야 합니다. 이러한 지속적 질문과 일치된 평가는 HPE 분야의 지속적인 발전과 보건 전문가의 사고 및 실천의 핵심이다.

We echo Brookfield’s wise words, and stress that all scientific and SS&H concepts and methods be subject to continued scrutiny both from within their originating disciplines and in HPE. For critical reflection and reflexivity, continued research needs to focus on how they are learned, how they can and should be taught, how they can and should be assessed, and how the teaching and assessing of critical reflection or reflexivity might be evaluated for aligned and meaningful impacts. The purposes of critical reflection and reflexivity are not to lead to a singular, fixed, right way of being, seeing, and thinking but, rather, to inspire continual questioning of the assumptions underlying one’s ways of being, seeing, and thinking. As we move toward implementing these approaches more thoughtfully, evaluation approaches must also be aligned and appropriate. This continued questioning and aligned evaluation are core to both the ongoing development of the HPE field and that of health professionals’ thinking and practice.

 


 

Acad Med. 2019 Aug;94(8):1122-1128.

 doi: 10.1097/ACM.0000000000002724.

The Divergence and Convergence of Critical Reflection and Critical Reflexivity: Implications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S.L. Ng is director of research, Centre for Faculty Development, and Arrell Family Chair in Health Professions Teaching, St. Michael's Hospital, scientist, Centre for Ambulatory Care Education and the Wilson Centre, and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Speech-Language Pathology,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S.R. Wright is scientist, Michael Garron Hospital, Centre for Ambulatory Care Education and the Wilson Centre, and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A. Kuper is associate professor of medicine and faculty co-lead in person-centred care, Department of Medicine, scientist and associate director, Wilson Centre for Research in Education, University Health Network, University of Toronto, and staff physician,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Sunnybrook Health Sciences Centre, Toronto, Ontario, Canada.

PMID: 30920447

DOI: 10.1097/ACM.0000000000002724

Abstract

As a field,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has begun to answer calls to draw on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SS&H) knowledge and approaches for curricular content, design, and pedagogy. Two commonly used SS&H concepts in HPE are critical reflection and critical reflexivity. But these are often conflated, misunderstood, and misapplied. Improved clarity of these concepts may positively affect both the education and practice of health professionals. Thus, the authors seek to clarify the origins of each, identif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delineate the types of teaching and assessment methods that fit with critical reflection and/or critical reflexivity. Common to both concepts is an ultimate goal of social improvement. Key differences include the material emphasis of critical reflection and the discursive emphasis of critical reflexivity. Thes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result in some different and some similar teaching and assessment approaches, which are highlighted through examples. The authors stress that all scientific and social scientific concepts and methods imported into HPE must be subject to continued scrutiny both from within their originating disciplines and in HPE. This continued questioning is core to the ongoing development of the HPE field and also to health professionals' thinking and practice.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의학교육 현장의 과제 (KMER, 2021)
The Tasks of Medical Education to Support the Formation of Medical Professional Identity
김선

Sun Kim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서 론

의학교육에서 전문직 정체성 형성(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교육의 목적은 의과대학에 입학한 학생이 교육과정을 거치면서 의사직의 고유한 특성, 가치관, 태도, 신념 등을 쌓고 그 결과로 의사처럼 생각하고, 행동하고,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1]. 이는기본적으로 의학전문직업성(medical professionalism)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것이며,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의 중요성은여러 연구에서 강조되어 왔다[2-4]. 즉 전문직 정체성 교육은 의학전문직업성 교육과 직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의과대학생이 의사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의학전문직업성의 핵심 요소를자신의 가치로서 내면화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의학교육에서는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을 위한 교육내용을 비롯하여 교육방법 및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지만여전히 기본의학교육과정에서 전문직 정체성과 관련한 가치관, 태도, 신념 등의 교육이 부족하다는 지적으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4].

현대사회가 빠르게 변화하면서 전문직 정체성에 대한 사회문화적 기대와 요구 또한 빠르게 변화하고 있지만, 의학교육의 현실과의료의 실제 현장 사이에 발생하는 불일치에 대비할 수 있는 교육도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5]. 이와 관련하여 특히 Meng [6]한국에서의 의학전문직업성교육: 과제와 전망이라는 논문에서 전문직 정체성 형성교육의 과제로

  • ‘의학전문직업성 내용 정의와 학습목표의 개발,’
  • ‘의학전문직업성 교육과정의 개발,’
  •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전문가 양성과 관련 제도의 개선’

...등 주요 쟁점을 크게 세 가지로제시한바 있다. 이 밖에도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하여 의학교육현장에서 다루어야 할 과제는 상당수 있을 것이고, 대부분의 대학은당면한 과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취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이글에서는 미래지향적으로 대학이 좀 더 고려해야 할 과제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이 글에서 다루고자 하는 과제로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을 위해 고려해야 할 학습성과의 정립, 전문직 정체성 형성교육을위한 전문가 양성, 교육방법으로서 전환학습의 도입, 학습방법으로서 자기주도적 학습의 활용, 그리고 전문직 정체성 형성과정에 대한 평가방법 개발의 측면에서 제언을 하고자 한다.

  • 학습성과의 경우 대학이 추구하는 의사상과도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있어 우선적으로개발 및 정립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수개발프로그램은 교육전문가로서의 역량 함양을 통해 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자기성찰을 해야 하는 의미에서 중요하다고 하겠다.
  • 자기주도학습은 평생학습시대에서 필요한 핵심 역량으로서 좀 더 학습자 성향에 적합한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 전환학습에서 강조하고 있는인식의 관점 전환은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통해서 가능하기 때문에전환학습과 자기주도학습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Brookfield[7]는 자기주도학습은 학습자 내면의 의식변화를 이끌어낸다고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전환학습이 목표로 하고 있는 관점 전환과정과도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 마지막으로 교육평가는 교육과정의 마지막 단계로 전문직 정체성 형성이 어떻게 되었으며,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관찰하고 평가를 통해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의학교육에서는 이미 다양한 평가방법으로 학생이 갖추어야 할기본역량을 평가하고 있다. 다만, 여기에서는 전문직 정체성 형성과정의 평가에서 좀 더 미래지향적으로 고려해야 할 관점을 향후 과제로 언급하고자 한다.

 

과제 1: 전문직 정체성 교육을 위한 학습성과 정립

전문직 정체성 교육, 특히 의학전문직업성과 관련된 교육을 위해서 가장 우선되어야 할 부분이 학습성과의 개발이다. Meng [8]은우리나라 상황에 적합한 학습목표의 개발이 적극적으로 되어야 한다는 지적을 2008년 논문에서 한바 있는데, 10여 년이 지난 2017년에 한국의과대학 ․ 의학전문대학원협회에서 기본의학교육 학습성과“사람과 사회 중심”을 편찬함으로써 학습성과 개발의 중요한 지침이되었다. 이 학습목표집은 사람과 질병, 성찰과 자기계발, 환자안전,소통과 협력, 의사와 윤리, 의사와 법, 의사와 사회, 전문직업성 등8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고, 38개의 최종 학습성과와 169개의실행 학습목표로 구성되어 있다. 전문직 정체성 교육의 범위를 대부분 포함하고 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의과대학은 이 학습성과를 기본의학교육과정에 적합하게 반영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이 때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점은 제시된 학습성과를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는 대학이 목적으로 하는 의사상에 부합되도록 학습성과를 수정하거나 일부 학습성과를 추가로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이 학습성과를 대학의 교육목적 또는 졸업성과와 비교하는 작업을 통해 대학이 최종적으로 추구하는 학습성과를 개발하여 교육과정에 반영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특히 전문직 정체성 형성교육의 학습성과는 단기간 또는 특정 시기에 도달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대학의 교육과정과 수직수평의 통합을 통해 지속적으로 교육되도록 하는 것이필요하다. 또한 이와 같이 개발된 학습성과가 교육과정에 적절하게반영되어 교육이 진행되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학습성과를 주기적으로 수정 보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과제 2: 전문직 정체성 형성교육을 위한 전문가 양성 

전문직 정체성 형성교육을 위한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교수개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대학 차원과 대외적 차원의 노력이 모두 필요하다.

  • 첫째, 대학 차원에서는 교수들에게 장, 단기 연수과정을 제공하고 전담부서와 위원회의 설치 등을 통해 체계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 둘째, 대외적 차원으로는 제19차 의학교육학술대회가 “의학과인문학의 만남”이라는 대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하며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된 바 있다. 한국의학교육학회는 이러한 배경에서 의학교육 아카데미(Academy of Medical Education)과정 중 전문직 정체성 교육과정의 개발과 관련한 교육프로그램을제공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9].

Steinert [10]도 전문직 정체성을 위한 교수개발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한 바 있다. 특히 교수개인의 차원에서 전문직 정체성 형성의 개념과 다양한 특성에 대한이해를 바탕으로 가르치는 방법과 평가전략 등을 교육받아야 하며,전문직 정체성 형성교육에 대한 믿음을 갖도록 해야 한다고 하였다.또한 대학 차원에서 조직의 문화를 강조하여 교수와 학생이 대학의구성원으로서 소속감을 느끼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이러한 교수개발 프로그램은 해당 대학의 교육목표와 연계하여 제공되어야 하며, 실제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전문직 정체성 교육의 내용, 방법, 평가 등에 현실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기획하고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실제 학생 교육에 적용해 본 경험에 대해서는평가 워크숍을 통해 향후 진행되는 과정에 반영되도록 피드백 하는등 체계적으로 교수개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것이 지속적인 과제로 남아 있다.

과제 3: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방법의 도입

전문직 정체성 형성교육 방법으로서 롤 모델, 디베이트 등 다양한방법이 있겠지만, 전문직 정체성 형성과정에서 중요하지만 아직까지 의학교육에서 적용된 사례가 거의 없는 전환학습(transformativelearning) 방법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전환학습은 미국에서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관점의 전환(perspective transformation)이 특정 상황의 적응과정에서 보여지는 현상을 1978년 Jack Mezirow가 지적하면서 시작되었다[11]. 전환학습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가치와 태도, 신념 등을 학습을 통해 변화하는 하나의과정을 의미한다[12]. 이는 지식을 습득, 축적하는 전통적 학습과는다른 개념이다. Mezirow [12]에 의하면 전환학습은 성인학습에서중요한 의미가 부여된다. 성인학습의 주요한 특징이 한 개인이 세상을 이해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구조(meaning structure)를 만들어 가는, 전환기능(transformative function)에 있기 때문이다.

Mezirow [12]는 전환학습의 기본 과정을 비판적 성찰(critical reflection), 비판적 성찰에 의해 획득된 통찰력을 확인하기 위한 담론(discourse), 그리고 행동(action)의 단계로 구분하였다.

  • 비판적 성찰은 한 개인이 자신이 경험한 일에 대한 원인과 의미에 대해 의문을 던지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 비판적 성찰을 통해 자신의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신념과 가정 등을 검증해가는 것이다.
  • 담론은 편견이나 오류, 개인적 관심사를 배제하고 전적으로 개방적이고 객관적인 태도로 특정한 주장에 대한 논쟁과 증거를 검토하는 과정이다.
  • 그리고 전환학습의 마지막은 습득한 결과를 직접 행동으로 옮기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환학습은 전문직 정체성 형성교육에매우 적절한 방법이 될 수 있다. 학생들 스스로 자신의 경험과 행동등을 의사전문직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지속적인 성찰을 할 수 있는기회를 제공하고, 담론의 과정을 통해 실제 의사로서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문직 정체성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과제 4: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학습방법의 활용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학습방법으로서 자기주도학습(self-directed learning)은 가장 기본이 되는 역량 중 하나일 것이다. 의사는 평생 스스로 학습을 통해 자신의 전문성을 유지관리해야 하는데,이는 자기주도학습으로 가능하다. 자기주도학습은 한 개인이 다른사람의 도움 없이 자신의 학습요구를 진단하고 학습목표를 설정하며학습자원을 확인하여 적합한 학습전략을 선택 및 적용하고 학습성과를 스스로 평가하는 일련의 과정이다[13]. 또한 개인이 스스로 지식을 습득하고 성취하여 개인적 발달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이는 본인의 선택을 결정하는 과정과 결과이다[14]. 이와 같이 학생 스스로또는 조력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상황을 통제하고 관리하여스스로 유의미한 지식을 구성해나가는 방법은 전문직 정체성 형성교육에 매우 적절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의학교육은 의과대학을졸업한 이후에도 의사로서 지속적인 자기계발이 가능할 수 있도록 의학교육과정에서 자기주도적인 평생학습 역량을 갖추는 데 필요한적절한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과정 내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과정에 깊이 있게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지속적으로 부여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자기주도학습은 정형학습(formal learning)과 달리 학습자의 독립성과 자율성에 기반하기때문에 자기통제, 책임감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Grow[15]가 제안한 단계별 자기주도학습(staged self-directed learning)모델은 의존적 학습자, 흥미를 가진 학습자, 몰두하는 학습자, 자기주도적 학습자의 4개 단계에 따라 교수자가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지와 어떠한 교육적 경험을 제공해야 하는지를 설명하고 있어 자기주도적 학습경험을 계획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과제 5: 전문직 정체성 형성교육에 적합한평가방법의 개발

전문직 정체성 형성의 교육성과에 학생들이 적절하게 도달하고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이다. 의학교육에서의평가는 기본적인 의학지식을 확인하는 낮은 단계에서부터 실제 수행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역량을 평가하는 높은 수준의 단계로 구분할수 있는데, 이러한 평가의 수준은 Miller [16]4단계 평가체제로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Miller [16]는 평가의 목적에 따라아는 것(knows),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아는 것(knows how),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것(shows how), 실제 하는 것(does)을구분하여 평가해야 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Cruess [17]의 연구에서 Miller [16]4단계 평가체제를 5단계로 개정한 평가체제를 소개하였다. 이 연구는 Miller [16]4단계인 실제 하는 것(does)의 상위 단계로 identity (IS)의 단계를 제안한다. 1단계는 의사에게 기대되는 행동규범의 이해(knows), 2단계는 개인행동의 적절성에 대한 이해(knows how), 3단계는 감독하에 의사에게 기대되는행위를 보여주는 것(shows how), 4단계는 의식적으로 의사에게기대되는 행위를 보여주는 것(does)에 이어 의사전문직 정체성의형성이 나타나는 IS의 단계를 규명한 것이다. IS 단계에서 학생들에게 기대하는 교육성과는 의사처럼 생각, 행동하고 느끼는 수준에이르는 태도, 가치관, 행동을 지속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지금까지 의학교육에서는 14단계에 해당하는 평가방법이 개발되어 적용되어 왔지만, IS 단계에 대한 고민은 현저히 부족했다. 다만 IS 단계는의사로서의 정체성이 확고히 드러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교육직후 바로 관찰할 수 있는 것은 아닐 것이다. 따라서 졸업 후 교육과연계하여 IS 단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결 론

전문직 정체성 형성교육은 의학교육의 가장 중요한 사명이자 가장 기본이 되는 목적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대학은 각 대학의특성과 의도한 교육성과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교육과정, 교육내용,교육방법, 교육평가 방법을 개발하고 적용하려는 노력을 거듭해야한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교수들은 전문직정체성 형성과 관련한 교육을 개발하고 지도하는 데 필요한 준비가여전히 부족하며, 학생들은 동기부여도 되지 않은 상태에서 의미없는 학습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전문직 정체성 형성교육 을 위해서는 교육의 계획단계에서 교수와 학생의 요구분석을 통해대학 고유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교육의 그림을 그려 나아가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전문직 정체성 형성교육의 성과가 결정되고 교육내용이 구체화되었다면, 이 글에서 제시한 과제에 대한 고민을이어가야 할 것이다.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전문가 양성프로그램의 경우는 교수들이 실제로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내용구성이 중요하며 교수개발프로그램을 통해 교수 스스로도 전문가로서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위한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교육의 신념으로 받아들일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전환학습의 경우 의학교육에서는 비교적 새로운 개념으로서 전환학습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어떠한 방식으로 교육과정에적용이 가능한지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특히 전환학습에서비판적 성찰, 담론, 행동의 3단계는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것이 중요하고, 이 과정을 통해서 전환학습이 일어나기 때문에 각각의 단계를분리해서는 안 되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자기주도학습은 전문직 정체성 형성과정에 학생들이 기본적으로갖추어야 할 역량으로 의사의 전문직 특성의 하나인 평생 학습자의개념과 직결되어 있다.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자기주도학습과 자기계발을 통해 전문직 정체성에 부합하는 태도, 가치관, 신념 등을발전시켜 나아갈 수 있는 의사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본의학교육과정 및 졸업 후 교육과 연계를 통해 관련 경험을 충분히 제공해 주어야할 것이다.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학습성과의 경우 달성도 여부의 평가가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일부 성과는 의학교육전체 과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평가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학습성과는 어느 시기에 어떤 유형의 평가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구체적인 계획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Miller [16]5단계에서 제안하고 있는 IS 단계의 평가는 졸업 후 과정까지 연계되어야진정한 의미에서 전문직 정체성이 어느 정도 형성되었는지 확인할수 있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Building professional identity is the most basic purpose of medical education. Students who enter medical schools do not have an identity rooted in the medical profession, and universities should therefore take steps to help students form their identity as doctors, attitudes, beliefs, and values through the curriculum. However, while medical knowledge and clinical skills are fully reflected in basic medical education, issues persist regarding education on values, attitudes, and beliefs that are important for professional identity. Regarding the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t is important to keep in mind that rapid changes in modern society lead to corresponding changes in socio-cultural expectations and demands related to professional identity, resulting in discrepancies between the reality of medical education and the actual field of medicine. Medical schools need to prepare students for these discrepancies, and in-depth discussions should address what is important and what should be solved first at medical education sit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task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because each medical school may have unique circumstances. This article discusses the tasks that medical education should solve for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education in terms of five aspects: establishing learning outcomes, training educational experts, introducing transformative learning, utiliz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developing evaluation methods.
Keywords: Evaluation methods, Faculty development, Medical education, Medical professionalism, Transformative learning 

우리나라 의학전문직업성 교육과정에서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 현황 (KMER, 2021)
Current Statu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Education in the Medical Professionalism Curriculum in Korea
이영희

Young-Hee Lee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센터

Medical Education Center,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서 론

의학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좋은 의사를 양성하는 것이다. 좋은 의사는 임상역량과 의사소통능력을 갖추어야 하며, 윤리적 및법적 이해를 기반으로 수월성, 휴머니즘, 이타주의, 사회적 책무성과같은 핵심 가치를 진료상황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1]. 최근 의학교육 추세는 전문직 정체성 형성(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이 의학교육의 핵심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2-4]. 전문직 정체성은 의과대학 또는 전공의 교육의 과정에 있는 의과대학생이나 전공의로 하여금 사회가 의사에게 기대하는 일련의 가치와 성향을 자신의 정체성으로 통합시키도록 함으로써 그들이 전문가답게 생각하고, 행동하고, 느끼도록 하는 것이다[3,5]. 전문직 정체성 형성은 전문직으로 살아가는 생애 전 과정에 걸쳐 진행되는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능력을 통합하는 평생의 과정이다[6]. 이는 개인적 수준의 발달과 직업적 수준의 발달을 동시에 포함하는 사회적 구성 과정이며[4,7], 직업적 성공, 심리적 건강 및 사회적응과 관련이 있다[8]. 따라서 의과대학에서는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핵심 교육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설계와 효과적인 교육전략을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3,9].

역사적으로 보면 개념으로서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은 히포크라테스 시대부터 있어 왔지만[3], 교육실천으로서의 전문직 정체성형성은 전문직업성 교육의 범주에서 암묵적으로만 다루어지다가 최근 들어 명시적으로 교육할 것이 강조되고 있다. 몇몇 연구에따르면 전문직업성 교육은 덕목 기반, 역량 기반, 정체성 형성의 접근방식으로 강조점이 변해왔다[2,5]. 즉 전문직업성에 대한 개념정의와 인식 틀 또는 가정이 변해감에 따라 교육의 목표와 내용,교수법, 그리고 평가방법도 수정되거나 새롭게 창조되어 왔다고 볼수 있다[2,5].

  • 덕목 기반(virtue-based) 또는 윤리적 접근방식은 품성을 갖춘사람을 좋은 의사로 정의하며, 내적인 마음의 습관, 덕성(moralcharacter), 추론능력, 돌봄과 연민 같은 인간적인 자질을 갖추도록교육할 것을 강조한다.
  • 행동 기반(behavior-based) 접근방식은 좋은 의사는 환자를 돌볼 수 있는 역량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하며,교육에서는 이러한 역량을 입증하기 위한 마일스톤, 역량, 관찰 가능한 행동의 측정을 강조한다.
  • 정체성 형성(identity formation) 접근방식은 의사가 자신의 다양한 지위와 역할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험을 일관된 자아 이미지로 통합하는 정체성 발달과정과 지역사회에서의 사회화를 강조한다[7].

즉 좋은 의사는 의사에게 사회가 기대하는일련의 가치와 성향을 자신의 정체성으로 통합하기 위해 노력하는사람이며, 교육은 학생들이 더 높은 수준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발달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과정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2].이와 같은 세 가지 인식 틀의 변화는 전문직업성의 개념이 의사개인의 영역에서 타인과의 관계 및 사회 속에서 의사의 책무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확장되고 재구성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최근에는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방법과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10-14].

전문직업성(professionalism), 전문직 정체성(professional identity),전문직 정체성 형성(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은 동일한 개념이 아니다.

  • 전문직업성에 대한 많은 정의는 ‘전문가에게 기대되는 행동의 입증’을 강조한다[3]. 예컨대, ‘대중의 의사에 대한 신뢰를뒷받침하는 일련의 가치, 행동 및 관계’라는 Royal College ofPhysicians of London 정의는 전문가의 행동의 입증을 강조한다[3].이러한 정의를 따를 경우, 일련의 특성, 가치 및 신념을 평가하는것이 어렵기 때문에 전문직업성 교육은 개념적 정의를 관찰 가능한 행동으로 조작적으로 재정의하고 측정하는 것에 초점을 두게 된다.
  • ‘전문직 정체성’의 개념은 특정 행동보다는 주체의 자기인식 과정이 강조된다. Erickson [15]에 따르면 정체성은 ‘나는 누구인가와 관련된 자기의식’이다. 즉 ‘자기 내적인 요소들을 종합하여 동일하고 연속적으로 자기를 유지하며, 타인과 사회와의 사이에서 자기인정과 확신을 포함하는 자기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15]. 이러한 정의를적용하면, ‘의사의 전문직 정체성은 의사직의 특성, 가치 및 규범이내 면화되는 과정으로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계적으로 달성되어 결과적으로 개인이 의사처럼 생각하고, 행동하고, 느끼게 되는 자아의 표현’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3].
  • ‘전문직 정체성 형성’은 개인적수준과 집단수준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적응상의 발달과정’으로,개인수준의 심리발달과 집단수준의 사회화를 포함한다[7]. 이러한정의를 따르면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은 개인의 속성과 집단에서의 역할, 그리고 사회공동체 속에서 특정 행동의 추구를 통해 도달하려는 가치체계와 그것에 대한 자아인식 개발에 교육목표를 두게된다.

그런데 이러한 세 가지 용어는 개념상 차이가 있지만 상호배타적이라기보다는 수단적이거나 포섭적인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즉 전문직업성 교육목표에서 강조되는 의사가 입증해야 할 행동은 의과대학 및 전공의 교육과정에서 전문직 정체성이 발달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이 되며[3], 전문적 정체성개념이 담고 있는행동주체의 자아인식전문직 정체성 형성교육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전문직업성 교육에서 의사의 전문적 역할을 [개별적이고 측정 가능한 역량으로 변환하여 측정하는 역량 기반 접근방식]은 ‘의사가 되어가는 것’에 대한 근본적인 의미 탐색과 의사의 역할이 미래의 의사의 정체성 발달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간과하였다[7].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초점을 두는 접근방식은 의학교육과정 중에 개발된 역량과 의사의 정체성 형성 간의 상호 관련성을 이해하고, 의사가 되어가는 과정을 보다 광범위하게 설명할 수 있는 시야를 제공한다[7]. 따라서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은 기존의 역량 기반 접근방식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전문직업성 교육에 대한 보다 다양한 담론을 확장하는 틀로 살펴보아야 한다[3,7]. 이러한 맥락에서 서구에서는전문직 정체성의 형성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7,16-20], 다양한 심리학 및 발달이론이 이론적 토대가 되고 있다[15,21,22].

우리나라의 경우 전문직업성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는 주로 덕목기반 또는 역량 기반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전문직업성은 의사가 갖추어야 할 주요 속성이나 자질과 역량 요소라고 간주하고 각 요소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자기평가 연구를 수행한 연구들[23,24], 전문직업성 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들[25,26], 교육과정의 목적을 전문직업성의 기초자질 함양으로 설정하고 교육과정의 평가와 구성을 연구한 것들이 있다[27]. 2017년 ‘한국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협회’에서 발간한 「기본의학교육 학습성과: 사람과 사회 중심」에는 ‘의사의 직업 정체성’ 용어가 사용되어 ‘전문직 정체성 형성’이 우리나라 기본의학교육의 주요한 학습성과로 기술되었다[28], 최근 들어 전문직 정체성의 단어가 사용되고 있긴 하지만 아직 우리나라에서 전문직 정체성 형성이 전문직업성 교육의 중심 목표로 정착되고 있지 않다.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전문직 전체성 형성은 전문직업성 교육의 범주에서 교육되어왔기 때문에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전문직업성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이에 이 연구는 우리나라 기본의학교육 현장의 전문직업성 교육과정을 검토한 후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현황을 파악하고 전문직 정체성 형성교육으로 나아가기 위한 교육의 확대방안을 제안하고자한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전문직업성 관련 교과목의 개설현황(교과목 수, 학점 및 학년), 전문직 정체성 형성교육의 내용구조, 주요 교육방법 및 평가방법을 파악하고 우수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1. 자료수집 대상 및 방법

이 연구는 전국 40개 의과대학 및 의학전문대학원(이하 의과대학또는 대학)2020학년도를 기준으로 개설된 전문직업성 교육과정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1차 자료조사와 수집은 각 대학 홈페이지에게시되어 있는 전문직업성 교과목의 명칭과 개설 학년, 필수선택여부, 학점을 열람하여 Microsoft Excel (Microsoft Corp., Redmond,WA, USA)에 정리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2차 조사는 각 의과대학의 의학교육 전문가 또는 전문부서에 이메일을 보내 홈페이지에서수집한 내용에 대한 검토와 부정확한 정보의 수정 또는 누락 과목의 보완을 요청하였다. 추가로 전문직업성 관련 교과목별로 주요 수업내용 또는 주제(교육내용), 수업방법, 평가방법을 직접 기술해 달라고 요청하였다. 아울러 화이트코트 세리모니(White Coat Ceremony)와 행동 규범(Honor Code)의 운영 여부를 조사하였다.

일부 항목에 대해 개방형 직접기술방식을 사용한 이유는 전문직업성 교육과정의 특수성과 복잡성 때문이었다. 기초의학 및 임상의학 교육과정과 달리 전문직업성 교육과정은 대학마다 교과목의 명칭이 너무 다르고 교과목별로 포함하는 교육내용의 범위도 매우 상이하다. 따라서 객관식 설문지 제작에 어려움이 있었고, 전문직업성의 개념과 정의조차 조사 응답자 간에 인식의 편차가 클 수 있어서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설문조사방식보다는 개방형 자유기술 방식이 각 대학의 교육과정 현황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고 응답결과의 타당성을 확보하기에 더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자유기술 항목에 대해서는 연구자가 예시를 제시하여 응답자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20128일부터 219일까지였다. 40개 조사대상 대학 중 28(70%) 대학이 응답하였다. 분석대상 대학의 소재지와 학생 수는 Table 1과 같다.

2. 분석방법

분석대상 자료는 문서형태였다. 자료의 내용은 서술식 내용과양적 수치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분석방법은 자료 특성을 고려하여일반적인 질적 분석과 양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즉 전문직업성 교육과정 개설 교과목 수, 개설 학년, 학점 수, 필수 선택 여부와 같은양적 자료에 대해서는 빈도분석을 하였고, 교과목별 주요 교육내용은 내용분석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구체적인 내용분석의 과정은 Figure 1과 같다. 저자는 먼저 응답자가 직접 기술한 교과목별 주요 교육내용을 여러 번 읽고 탐색하면서 핵심 단어(key word)를 추출하였다. 핵심 단어 추출과정의 타도 확보를 위해 학부 4학년 연구보조원 한 명과 멀티로 작업하였다.연구자는 먼저 연구보조원에게 핵심 단어 추출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였고, 연구보조원과 연구자가 각각 따로 핵심 단어를 코딩한 후,둘 사이에 불일치하는 단어는 연구자가 2차로 검토하면서 최종 포함하거나 수정 또는 배제하였다. 한 교과목에서 동일한 단어가 반복되는 경우 배제하였고, 어디에도 잘 들어맞지 않는 핵심 단어(: 그리스도, 대중문화 콘텐츠 등)는 따로 메모하면서 비슷한 테마에 포함하거나 배제하였다.

 

핵심 단어 추출과정에서 저자는 교과목 명칭과 개설 학년, 필수 선택 여부 등과 교육내용의 관련성을 탐색하면서 가능한 기술된맥락을 반영하고자 하였고 중요한 단어의 누락이 없도록 고려하였다. 한 교과목에 기술된 내용에서 여러 개의 핵심 단어를 추출할수 있는 경우에는 중복코딩을 하였다. 예컨대 주요 교육내용이 의학에 대한 이해와 주요 의학자 중 역할모델 찾기, 의료정책 및 의사관련 책을 읽고 토론 및 글쓰기, 생명윤리, 의사와 사회, 바람직한 의사상이라고 기술된 경우, 의사 역할 탐구,’ ‘의료정책,’ ‘의학과독서,’ ‘생명윤리,’ ‘의사와 사회,’ ‘바람직한 의사상6개 핵심 단어를 추출하였다.

다음은 추출된 핵심 단어를 토대로 전문직 정체성의 관점에서자료의 의미 있는 패턴을 찾아 범주화하였고, 중요한 범주에 대한 테마(theme) 정하기의 과정을 통해 핵심 단어와 범주, 테마의 관계를 보여주면서 우리나라 전문직업성 교육과정의 내용구조를 조망하고자 하였다. 핵심 단어는 유사성에 따른 범주화(categorizing)와 인접성에 따른 연결(connecting)전략을 사용하면서 분류, 감소, 배열하였다. 범주화 전략은 다양한 교육내용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찾아내분류하는 방법이고, 인접성 전략은 자료와 맥락 간의 관계를 연결하여 각 내용 사이에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내는 방법이다[29].패턴 찾기와 범주화, 테마 정하기와 같은 일련의 자료분석과정은연구자의 경험과 직관에 의존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의 통찰력을 확장하기 위해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중간중간에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선행연구자들은 전문직 정체성 형성교육내용의 범위를 어떻게 포함 또는 배제하였는지 지속적인 검토를하였다.

결 과

1. 우리나라 전문직업성 교과목 개설현황

28개 의과대학에 개설된 전문직업성 관련 총 교과목 수는 최대37개에서 최소 5개까지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16(57.1%)대학은 모든 개설과목을 필수로 정하고 있었고, 12(42.9%) 대학은 선택과목을 최소 1개에서 최대 18개까지 두었다. 필수과목 수도 최대 33개에서 최소 5개로 대학별 편차가 컸다. 전체 학년에 개설된필수과목 수가 20개 이상인 대학은 2개였고, 20개 미만에서 10개이상인 대학이 18개, 10개 미만인 대학이 8개였다. 대부분 대학은선택과목보다 필수과목의 비중이 컸지만, 일부 대학의 경우 필수과목보다 선택과목 수가 더 많거나(ID12, ID25) 선택과목 비중이 40%이상을 차지하는 대학(ID8, ID13)도 있어서 총 교과목 수가 많다고 해도 학생들이 이수하는 전문직업성 과목이 반드시 비례하는 것은아님을 알 수 있었다. 14개(50%) 대학은 의예과 1학년부터 의학과4학년까지 전 학년에 걸쳐 전문직업성 교과목이 연속적으로 개설되었던 반면 나머지 절반의 대학은 1개에서 3개 학년까지 전문직업성교과목이 개설되지 않았다(Table 2).

 

2. 전문직업성 교육과정에 나타난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의내용구조

교과목별 주요 교육내용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전문직 정체성형성 교육의 내용구조는 15개의 범주와 4개의 테마로 축소되었다.즉 교육내용은 전문직업성에 대한 인지 기반이 되는 지식과 이론을포함하여 자신에 대한 이해, 타자와의 관계, 그리고 전체 사회와보건의료시스템 속에서 의사의 역할을 탐색하면서 학습자의 경험을 확장해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4개 테마의 명칭은 범주의내용 특성을 반영하여

  • (1) 전문직업성에 대한 지식 기반,
  • (2) 자기이해와 발달,
  • (3) 타자와의 상호작용,
  • (4) 사회와 보건의료시스템 속의의사로 명명하였다(Figure 2).

 

 

1) 전문직업성에 대한 지식 기반

테마 1 전문직업성에 대한 지식 기반에는 4개 범주가 포함되었다.

  • 범주 1은 ‘전문직업성의 개념과 의미 탐색’으로, 전문직업성의 의미와 핵심 가치, 의사의 가치관, 의사의 정체성 같은 내용을 포함하였다.
  • 범주 2는 ‘전문가가 갖추어야 할 덕목 또는 역량’으로, 의사에게 기대되는 인성, 자질, 가치관, 소양이나 소통, 협력, 리더십 같은 역량을 기술한 내용이 포함되었다.
  • 범주 3 ‘의사 및 전문직 발달의 역사’에는 의료전문직의 형성과 변화과정, 의학의 역사와 중요한의학적 사건들을 다루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 범주 4 ‘인간과 삶에대한 이해를 위한 인문사회학’에는 의학과 철학, 문화, 음악, 심리학등 인간과 삶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는 내용이 포함되었다(범주별 핵심 단어 예시는 부록 1 참조).

교과목별 주요 교육내용에서 테마 1의 핵심 단어를 추출한 방법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현대사회는 (중략) 전문성 본래의 의미뿐만 아니라 의료인들이 가져야 할 윤리성, 책무성, 소통능력과 관계성 등을 이론적으로 아는 것과 동시에 실천적 행동을 할 수 있기를 요구하고있다. (중략) 가장 기초적인 전문성의 개념과 의미뿐만 아니라‘윤리,’ ‘책무,’ ‘소통,’ ‘관계’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필요로하는 전문적인 역량에 대해서 이론적 강의와 함께 사례분석과학생들과의 토의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테마 1: 범주 1, 범주2; 대학 ID=01, “의료전문성과 진로설계 1”, 의학과 1학년,필수, 1학점)

 

2) 자기이해와 발달

인간은 누구나 독특한 개체이다. 테마 2 자기이해와 발달은 개인적 발달과 관련된 3가지 범주를 포함하였다.

  • 범주 1은 ‘자기성찰및 이해’로, 비전과 사명, 삶의 의미, 자기이해(성격, 가치관, 생각,감정 등)와 같은 내용을 포함하였다.
  • 범주 2 ‘자기계발과 자기관리’에는 자기관리, 자기 돌봄, 자기계발, 자아형성, 자기표현 등의 내용을 포함하였다.
  • 범주 3 ‘진로설계와 탐색’에는 진로설계, 진로탐색, 진로개발, 전공탐색, 다양한 직업군 이해를 다루는 내용을 포함하였다(부록 1).

교과목에서 다양한 핵심 단어가 추출되는 경우, 한 교과목의 내용이 여러 개의 범주로 중복 처리되었다(아래 인용문 참조).

현대 의료환경의 급격한 발전과 변화로 의사 직종의 다양화에 대해 이해하고, 자신을 성찰하고 자기관 능력을 키워 진로선택에 활용할 수 있다. (테마 2: 범주 1, 범주 2, 범주 3,대학 ID=08, “의료입문(1): 의학입문 및 체험실습” 예1, 필수, 2학점)

3) 타자와의 상호작용

테마 3 타자와의 상호작용에는 세 가지 범주를 포함하였다.

  • 범주1은 ‘일반적 의사소통’으로, 의사소통에 관한 이론과 지식, 일반인과의 의사소통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었다.
  • 범주 2 ‘의료상황에서의 의사소통’은 의학 면담의 기초이론, 환자 및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어려운 상황에서 의사소통, 동료 또는 타 직종 의료인과의 의사소통같은 내용을 포함하였다.
  • 범주 3 ‘생명․의료․연구윤리’에는 의료윤리의 원칙, 임상상황에서의 윤리, 연구윤리 관련 내용을 포함하였다. 생명윤리와 연구윤리는 의료윤리와 함께 묶어서 가르치는 대학이많아서 세 가지를 같이 한 범주로 포함하였다.
오늘날 의사들은 의료행위에 대한 여러 가지 법적, 사회적, 그리고 윤리적인 문제들을 인식하고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대처할수 있어야 한다. 본 강좌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의 내용과 그에합당한 의료행위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적절한 대응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테마 3: 범주 3, 대학 ID=05, “의료윤리학”, 의학과1학년, 필수, 1학점)

4) 사회와 보건의료시스템 속의 의사

테마 4 사회의 보건의료시스템 속의 의사에는 5개 범주가 포함되었다.

  • 범주 1은 ‘의료와 사회의 관계’로, 의사와 사회, 의료와 사회,의사의 사회적 역할과 기능 등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었다.
  • 범주2 ‘지역사회 이해’에는 일차진료, 지역사회에서 의사의 역할, 지역사회 의료기관 이해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었다.
  • 범주 3 ‘보건의료시스템’에는 의료제도, 정책 및 관리체계 등 보건의료 제반 현상에 사회시스템적 접근 관련 지식이 포함되었다.
  • 범주 4 ‘보건의료 행위에 대한 법적 이해’에는 의료 관련법과 의료행위의 법적인 측면을 다루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 범주 5 ‘환자안전’에는 의료팀 구성원으로서의 리더십과 전문직종 간 의사소통, 위기관리 등 시스템적 관점에서환자안전과 의료 질을 다루는 내용을 포함하였다.
의사의 사회적 책무를 이해하고, 의사가 갖추어야 할 사회적역량의 함양을 목표로 한다. 의학의 발전과 다양성을 고려한건강의 사회적 맥락을 파악하고, 지역사회의 보건자원 관련지식과 의료커뮤니케이션 기술을 습득한다. 의료제도와 의료윤리 관련 사회적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테마 4: 범주 1, 범주 2, 범주 3, 대학 ID=09, “환자 ․ 의사․ 사회 2”, 의학과 2학년, 필수, 1학점)

 

5) 우리나라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내용의 범주별 현황

위에서 기술한 4개 테마와 15개의 범주별 교육내용을 최소 한과목 이상에서 다루고 있는 대학의 현황은 Table 3과 같다. 결과를보면

  • 의료윤리’는 분석대상이 된 28개 모든 대학이 다루고 있었고,
  • 의료상황에서의 의사소통’은 26개(92.9%) 대학이 다루었다.
  • 보건의료행위에 대한 법적 이해’를 다루는 대학은 24개(85.7%)였고,
  • 의료와 사회의 관계’ 22개(78.6%),
  • ‘인간과 삶에 대한 이해를 위한인문사회학적 기초’ 21개(75.0%),
  • ‘전문직업성의 개념과 의미 탐색’과 ‘전문가로서의 덕목, 역량’은 각각 20개(71.4%) 대학이 다루고있었다.

교육내용에 가장 적게 포함된 범주는

  • ‘자기계발 및 자기관리’가 9개(32.1%),
  • 일반적 의사소통 11개(39.3%),
  • ‘진로탐색 및 설계’16개(57.1%)였다.

테마별로 보면, 약 25%–32%의 대학이 ‘전문직업성에 대한 지식 기반’을 다루지 않았고, 자기이해와 발달에서는범주별로 39.3%67.9%의 대학이 가르치지 않았으며, 타자와의 상호작용에서는 일반적 의사소통의료상황에서의 의사소통을각각 60.7%7.1%의 대학이 다루지 않았다. 사회와 보건의료시스템 속의 의사에서는 환자안전 42.9%, 의료와 사회의 관계 21.4%의 대학이 교육내용에 포함하지 않았다.

 

 

3.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방법 및 평가방법

1) 교육방법

전문직 정체성 형성교육을 위한 수업방법은 응답자가 전문직업성 관련 교과목별로 직접 기술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자료수집 시에연구자가 예시로 강의, 팀바탕학습, 문제바탕학습, 사례연구, 소그룹토론, 프로젝트학습, 현장체험, 성찰적 글쓰기, 역할모델, 표준화환자 면담, 강점탐구 등의 수업방법을 안내하였고, 응답자들은 예시를포함한 다양한 수업방법을 기술하였다.

결과를 보면 26개 대학에서 총 11개 유형의 수업방법을 사용하는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든 대학이 최소 한 과목 이상에서 강의를 사용하고 있었고, 토의 토론22(84.6%), 실습(시뮬레이션) 21(80.8%), 협력학습 20(76.9%) 대학 순으로 많았다.성찰적 글쓰기와 보고서를 한 과목 이상에서 사용하는 대학은 14(53.8%)였다. 현장체험12(46.2%) 대학에서, 코칭과 피드백,’‘역할모델이나 역할극은 각각 11(42.3%) 대학이 활용하고 있었다. 그 밖에 플립러닝, 명상훈련, 인터뷰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평가방법

교과목별로 26개 대학의 응답자가 직접 기술한 평가방법 내용을분석하였다. 자료수집 시에 연구자는 예시로 지필시험, 자기평가,성찰적 글쓰기, 관찰평가, 동료평가, 중요사건 보고서 등의 평가방법을 예시하였다.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의과대학은 10가지의 평가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5). 25개 대학이 최소 한 과목이상에서 지필고사를 사용하고 있었고, 과제 및 보고서,’ ‘토론발표22개 대학에서 활용하고 있었다. 면담, 수행평가, 역할극을 포함한관찰평가에세이를 사용하는 대학이 18개였다. 동료평가출석은 각각 15개 대학에서 평가방법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그 밖에 포트폴리오 평가, 프로젝트 평가, 자기평가 방법이 조사되었다.

 

 

4. 상징과 의식: 화이트코트 세리모니와 행동 규범

화이트코트 세리모니는 의과대학에서 임상실습을 시작하기 전에처음으로 흰 가운을 입는 착복식 행사이다. 이 의식은 학생들이 의료현장에서 환자를 직접 만나기 전에 의사의 소명과 의사됨의 의미를 생각해보고 휴머니즘을 겸비한 의사의 자질과 능력을 다시한번 성찰하는 기회가 된다. 행동 규범(Honor Code)은 과정 이수중 또는 임상실습과정 중에 의과대학생들이 적절한 전문적 및 개인적 자질을 갖추었음을 보여주기를 기대하는 행동들이다. 이러한 의식과 규범은 전문직 정체성을 개발하는 데 있어 학생과 교수 모두에게 중요한 역할을 한다[30]. 리나라에서 화이트코트 세리모니 행사를 개최하는 대학은 응답한 대학 중 25개(96.2%)였고, 한 곳(3.8%)만이 시행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생 행동 규범을가지고 있거나 제작 중인 대학은 21개(77.8%), 없는 대학은 6개(22.2%)였다.

 

5.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 우수사례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 우수사례는 대학별로 응답자가 대표과목으로 선정해준 것과 교과목 내용에 대한 설명을 근거로 연구자가 판단한 12개 교과목(과정) 사례를 선정하였다(부록 2). 이 과목들을 우수사례로 선정한 근거는

  • 첫째, 전문직 정체성과 관련된 의사의자질이나 덕목, 역량을 분절된 지식 위주로 가르치지 않고 통합과정내에서 다루거나 임상상황이나 주제와 연계하여 통합적으로 다룬다는 것이었다(ID 05, ID 09, ID 16, ID 17).
  • 둘째, 진료현장 또는환자체험 기회를 제공하거나(ID 08, ID 22), 의료현장의 목소리를직접 듣기 위해 전공의 또는 외부 연자를 교육에 참여시키는 점이었다(ID 10, ID 17, ID 21).
  • 셋째, 우수 교과목 사례의 교육방법은대부분 강의 외에도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방법으로 효과적인에세이 쓰기, 딜레마 이슈 또는 증례에 대한 소그룹토론, 실제 환자또는 표준화환자 면담, 문제바탕학습 또는 프로젝트 학습형태의 협력학습 방법을 포함하고 있었다.
  • 넷째, 평가방법은 자기평가, 에세이평가, 자기성찰 보고서, 조별활동 보고서, 토론 및 발표평가 등을활용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평가방법은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자기성찰에 도움이 되는 것들이었다(상세한 내용은 부록 2 참조).

 

고 찰

이 연구는 우리나라 전문직 정체성 형성교육현황을 파악하기위하여 전문직업성 교과목 개설현황, 주요 교육내용, 교육방법 및 평가방법을 조사하였다. 결과를 보면 대학별로 개설된 전문직업성관련 총 교과목 수와 학점은 학교마다 편차가 컸다. 총 개설 교과목을필수로 정하고 있는 대학도 있었지만, 선택 비중이 큰 대학도 있어서총 교과목 수가 많다고 해서 학생들이 이수하는 과목 수가 반드시비례한다고 볼 수는 없었다. 분석대상 대학 중 절반은 전 학년에걸쳐 매 학년에 연속적으로 전문직업성 관련 교과목이 개설되어있었고 나머지 절반은 13개 학년에 공백이 있었다. 교육내용은전문직업성에 대한 지식 기반, 자기이해와 발달, 타자와의 상호작용,그리고 사회와 보건의료시스템 속의 의사 역할 탐색으로 이해의지평을 확대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었다. 교육방법은 강의, 토의 토론, 실습, 협력학습, 성찰적 글쓰기, 현장체험, 코칭과 피드백,역할모델 등을 사용하고 있었고, 평가방법은 지필고사, 과제 및 보고서, 관찰평가, 에세이 평가와 동료평가,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평가등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의 확대방향을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전문직업성 관련 교과목에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명시적인 학습성과나 교육내용으로 표현해야 한다. 내용분석 결과를 보면우리나라 전문직업성 관련 교과목에 전문직 정체성이라는 단어가자주 사용되지 않았다. 의료 전문가로서의 생각이나 행동은 명확한목표 없이 성공적으로 가르치거나 배우기 어렵다[31]. 과거에는 교육목표가 주로 전문직업성에 대한 지식 기반의 이해에 있었고, 전문직 정체성 형성은 대부분의 교육프로그램에 명시된 목표가 아니었다[3]. 이제는 강조점이 전문직 정체성 형성의 개념을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고, 관련 연구와 의학교육자의 이해도 향상되었기 때문에 교과목의 학습성과와 교육내용에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명시하고 의사가 되어감에 대한 교육내용을 확장하고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매 학년에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과목이 연속적, 반복적으로배치되도록 교육과정을 편성․ 조직할 필요가 있다. 기본의학교육기간은 전문직으로의 전환이 시작되는 중요한 시기이다[32]. 의학전(pre-medical), 임상실습 전(pre-clinical), 임상실습 교육과정은학생들에게 질적으로 각기 다른 실세계이며, 학생 개개인의 성숙도와 정체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경험도 다르다.

  • 의과대학 입학시 학생들은 초기 적응 스트레스, 자신의 의학 적성에 대한 확신부족, 우수한 동료와의 비교에 의한 자존감 하락 등으로 인하여의사로서 긍정적인 자기정체성을 개념화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 공부량이 집중되는 의학과 1, 2학년 시기에는 시험성적 불안, 실패에대한 두려움으로 인한 스트레스, 의학 지식과 기술의 불충분, 실제환자와의 접촉 경험 부족 때문에 의사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내면화하기 어려울 수 있다[31,33-35].
  • 그러나 임상실습과정 중의 학생은 환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미래 의사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빠르게 개념화할 수 있고[36], 실습현장에서 의료시스템의 구조적, 사회적측면을 경험하면서 기존에 자신이 갖고 있던 의사의 역할 가치와병원 위계구조에 대처하는 의료의 엄중함 같은 다양한 전문직 가치를 통합해 가면서 의사의 전문직 정체성을 수정하고 발달시켜간다[34].

학생들은 의사처럼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아직 의사는 아니고 의사가 된다는 것에 대한 내면화도 부족하다[5]. 따라서 학생들이 학년마다 학생수준에서 고유하게 경험하는 갈등과 위기를 성찰과 자기관리를 통해 주체적 경험으로승화시킬 수 있도록 매 학년에 전문직업성 교육과정을 제공해야한다.

 

셋째, 이 연구결과에서 우리나라의 많은 의과대학들은 전문직업성에 관한 지식 기반, 학생들이 자기와 자신의 미래, 인간과 삶의 의미를 탐색해볼 수 있는 기회, 특히 타인과의 관계, 전체 사회 속에서 의사의 역할에 대한 성찰 기회를 가르치고 있었지만, 일부 대학은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관한 교육내용 중 일부가 전문직업성 교육과정에 아직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전문직 정체성형성에 관한 다양한 영역의 교육내용이 누락이 없도록 가능한 모두포함되도록 해야 한다. 앞서 기술하였듯이 전문직 정체성은 인간이 삶을 통해 자신의 경험을 개인적 또는 직업적 자아로 통합해 가면서형성된다[10,37].

이러한 정체성은 개인 정체성, 관계 정체성, 집단정체성의 세 영역에서 발달하는데,

  • 개인 영역은 개인의 특성, 자신의신념, 다양한 삶의 경험에 영향을 받고,
  • 관계 영역은 가족, 친구,멘토와 같은 중요한 타자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 집단 영역은 개인이 속해 있는 사회집단의 영향을 받는다[37].

이런 관점에서 개인 영역에서 자기이해와 발달을 위한 자기성찰, 자기계발과 자기관리, 진로탐색 및 설계를 교육내용에 포함할 필요가 있다. 한편, 인간은 가족,친구, 동아리, 학교, 직장 등 특정 사회집단과 그 집단에서의 역할과 관련해서만 자신의 자아를 알 수 있다[5,38]. 그러므로 타자와 의사소통 역량을 증진시키는 과정은 전문직 정체성 형성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게 된다[39]. 일반인, 환자와 보호자, 동료와의 관계에서 의사소통과 윤리에 대한 주제가 정체성 형성 교육과정에 기본적으로포함되어야 한다[38,40]. 전체 사회와 보건의료시스템과의 관계에서 보면 의료와 정보기술의 발전, 의료에 대한 대중매체의 관심증가, 환자 돌봄에 대한 철학과 관리방식의 변화도 의사 전문직정체성의 변화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41]. 의과대학에서 환자안전과 의료직종 간 교육이 강조되는 것은 이러한 맥락에서 중요하다. 타 직종 의료인과의 상호작용은 기존에 의사의 역할에 대해 갖고있던 생각과 타 의료직종 전문가의 역할을 비교하고 대조해 봄으로써 의사의 역할과 전문직 정체성에 이해를 밝혀줄 수 있다[42]. 최근연구들은 의사의 전문직 정체성에 대한 기술적 변화의 영향에 대해 개인수준의 전문직 정체성이 지속해서 변화하고 있음을 강조한다[43,44]. 그러므로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과정에 사회적 맥락을이해하는 과정을 포함해야 한다.

한편, 전문직업성 과정을 개별 교과목으로 개설하지 않고, 기초․ 임상의학 과정과 견고하게 통합되도록 구성하고, 문제바탕학습, 소그룹활동 등 다양한 학습환경에서 자기성찰을 촉진함으로써 전문직 정체성 형성이 잘 통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필요하다[31,45-47]. 예컨대, 의사소통 교육에서 환자의 증상이나 질병에만초점을 두기보다는 전인적 관점에서 환자와 공감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방식을 가르칠 수 있다. 의사소통 교육은 단순히 의사소통 역량을 키우는 것이 아니라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을 통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치매 환자의 경우, 손상된 뇌에만집중하기보다 치료계획 수립 시 환자의 심리상태와 가족관계 같은심리 사회적인 요인을 고려하고, 환자에게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접근 가능한 의료복지제도를 생각해 보고, 치료계획 수립과정에서동료와 상담하는 방법을 배우고, 자신의 미래 신경과 의사의 역할에대해 생각해 보도록 구성함으로써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도울 수있다[42]. 이 연구결과에서 도출한 우리나라 전문직업성 교육과정의 내용구조는 각 대학에서 개설한 교과목 중 부족한 부분과 보충해야할 범주가 무엇인지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하여 학생들의 자기성찰을 돕는교육방법이 확대되어야 한다. 이 연구결과, 우리나라 의과대학 중에는 성찰적 글쓰기, 역할모델링, 코칭과 피드백 같은 수업방법을 전문직업성 관련 교과목에서 사용하지 않는 대학들이 다수 있었다. 강의보다는 성찰적 글쓰기, 딜레마 토론, 역할모델, 코칭과 피드백, 강점탐구, 가이드가 있는 토론, 현장학습 등이 성찰학습에 유용하다.

  • 성찰적 글쓰기는 전문직 정체성 형성과정에서 자각을 돕고 자신의경험이 갖는 의미를 깨닫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42]. 개인의 생각,행동, 경험에 관한 토론 역시 학생들이 자기성찰을 통해 의사로서자신의 삶을 구성해볼 수 있게 한다[31]. 성찰과 토론은 전문직 정체성을 개발하는 데 있어 중요한 교수법임이 다수의 연구에서 보고되었다[45,48-50]. 현장학습 또는 실세계와 유사한 경험의 기회를제공하고, 상황학습 또는 경험을 통한 성찰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중요하다[51,52]. 피드백은 대화에 참여하는 학습문화를 통해서 학생들이 자신의 사고방식을 바꿀 수 있게 하여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촉진할 수 있다[16,53].
  • 딜레마 토론 또한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유용한 학습방법이다. 수업토론 자료로 제공되는 딜레마 상황은 학생들에게 자신이가지고 있는 현재의 가치와 관점을 재검토할 기회를 제공한다[5,15].도전적인 딜레마 상황은 질문하게 하고 비판적 성찰을 통해 핵심가치와 비판적 행동을 강화함으로써 전문직 정체성의 개발을 조정하고 촉진할 수 있다[42].
  • 학생들이 의과대학 교육과정 중에 경험하는 중요한 사건도 전문직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회이다. 의과대학입학 후
    • 처음으로 사체를 접하거나,
    • 병원현장에서 의사의 생활을실제로 보는 것,
    • 임상실습과정에서 환자의 죽음을 보는 것,
    • 코로나감염에 대처하는 의료팀을 목격하는 상황
      ...에서 교수자는 학생들에게의사가 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성찰과 의미를 유도하고 전문직으로서의 가치를 내면화하도록 안내함으로써 학생들의전문직 정체성 발달을 촉진해야 한다.
  • 정체성 형성과정은 개인적 차원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발달인 동시에 공동체 내에서 개인의 역할과 활동 참여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사회화 과정이기도 하다[7]. 학생들은 사회적 상호작용과정에서 교수의 역할모델을 통해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받으며[17,18], 학생들은 교수의 행동을 관찰하고, 신념과 철학을 경청하고, 능력 또는 무능력에 주목하기 때문에 교수는 매우 중요한 사회화 대행자이다[54]. 환자, 보호자, 동료, 타 직종 의료인, 일반 대중, 가족 또는친구가 어떻게 대우받는가 하는 것은 학생들의 의식과 무의식 수준모두에 반응하게 하며 이러한 학습은 대부분 암묵적으로 이루어진다[17,18]. 동료 학생 그룹도 공유된 관심사와 가치를 강화하거나 새로운 가치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39,55,56]. 또 의사와 간호사가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보면서 학생들은 진료팀 내에서 팀원으로서 의사의 능력과 역할에 대해 그 가치를 내면화하는 데 영향을받는다[5]. 이러한 과정에서 학생들은 의사의 역할을 배우고, 의학의언어를 습득하고, 직업구조의 위계와 권력구조를 학습하기 때문에역할모델이 중요한 학습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18].

 

다섯째,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에 있어서 평가는 매우 중요한문제이다. 전문직 정체성 평가는 자신이 누구인지, 한 인간으로서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전문가로서 어떤 의사가 되고 싶은지에대한 과정을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평가방법은 자기평가,도덕적 추론평가, 기대되는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틀을 기준으로 한 다자간 피드백 평가 등이 활용될 수 있다[5,57]. 이 연구결과, 우리나라 전문직업성 관련 교과목의 평가는 지필고사, 과제와 보고서, 토론발표가 가장 많았고, 80% 이상의 대학은 자기평가나 포트폴리오평가를, 30% 이상의 대학은 글쓰기 평가를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나타났다. 선행연구는 글쓰기 평가가 학생들의 자기평가, 성찰 및목표설정을 수행하도록 하여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에 유용함을보고하고 있다[2,3,5,10,53]. 예컨대 도덕적 딜레마 상황에서 학생들의 도덕적 추론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이슈 정하기 테스트(the defining issues test)나 피드백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53]. 포트폴리오 평가를 활용하여 전문직 정체성 학습계획과 성찰, 평가에 학생들을 주도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것도 필요하다. 즉 포트폴리오 기록중 입학 시의 에세이, 과정 중 자기평가, 교수 피드백 등의 내용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성찰하는 자기평가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57].우리나라 의학교육에서 전문직 정체성 형성 평가를 위해서 지필고사이외의 다원적이고 다차원적인 평가 및 평가도구를 개발, 적용 및확대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의과대학 행동 규범이 모든 대학에 확대되어야 한다. 화이트코트 세리모니와 행동 규범에 대한 서약은 학생들이 학습과정에서 의사의 공유된 전문직업적 가치를 지키고 윤리적이고 정직하게 탐구하겠다고 약속하는 전문직 정체성 개발과정의 일부다. 이 연구결과를 보면 대부분 대학이 화이트코트 세리모니를 운영하는 것과달리 행동 규범은 약 22%의 대학이 가지고 있지 않았다. 학생 행동규범은 의료를 경험하기 전에 학습자 및 예비 의사로서 학습행위또는 의사의 의료행위에 대해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학생들에게생각하게 한다[30]. 화이트코트 세리모니는 흰색 가운에 의미를 부여하고 학생들이 이전까지 머물렀던 강의실에서 벗어나 의학을 실천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하고 배우는 의료현장으로 나아가는시간적, 물리적 경계를 넘나들도록 돕는 의식이다[30]. 의과대학은이러한 의식을 통해 인본주의적, 윤리적 실천을 학생들에게 가르치고 시연하는 것이 중요함을 상기시켜야 한다.

일곱째,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과정을 설계․실행․평가할 의학교육자를 대상으로 교수개발 교육이 필요하다. 이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과정에서 연구자가 느낀 점 중 하나는 우리나라 의학교육자들에게 전문직 정체성 형성또는 전문직업성의 개념과 범위에 대한다양한 생각과 혼동이 있고, 그 결과 각 대학의 전문직업성 관련교과목에 포함 또는 배제되는 내용이 달라진다는 것이었다.

  • 협의로 해석하는 경우, 전문직업성, 의료윤리와 법규, 성찰과 자기계발, 환자 중심 의사소통 등의 내용만을 전문직업성 관련 과목으로 인식하였고,
  • 광의로 해석한 경우에는 행동과학, 지역사회의학, 직업환경의학, 역학 등 의료인문학 교육과정 전반을 포함하는 양상을 보였다.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은 해당 지식을 특정 교과에서 직접적인교육내용으로 다룰 수도 있고, 기초 임상 의료인문학 교육과정과 견고하게 통합적으로 설계하여 전문직 정체성 형성이라는 학습성과에 도달할 수도 있다. 따라서 협의와 광의의 해석 모두 타당할 수있다. 선행연구들은 전문직업성,’ ‘전문직 정체성,’ ‘전문직 정체성형성개념 구분을 명확히 하고[3],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강조점을두게 되면 교육전략도 달라져야 한다고 주장한다[2,7]. 따라서 교육자는 전문직 정체성 형성의 본질에 대한 내용적 지식을 갖추어야하고 가장 적절한 교육방법과 평가방법에 대해서도 이해하고 있어야한다. 교수개발은 학생들의 사회화 과정과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촉진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확대에 있어서 중요한 조건이 된다[3,58].

 

이 연구가 갖는 제한점은 첫째, 자료분석이 대학별로 응답자가보고한 내용을 기반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교과목 또는 교과목에대한 설명이 누락되었거나 실제 수업과 다르게 기술된 경우 연구결과와 실제 교육현실에 오차가 있을 수 있다. 둘째, 질적 분석방법을사용한 교육내용의 범주화는 연구자의 경험과 직관에 의존하였기때문에 다른 연구자의 관점에서 보면 새로운 분류가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우리나라 기본의학교육의 현황을 점검하고 전문직 정체성 교육을 확대하기 위한 유용한통찰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덕목과 역량 중심의 접근방법을 포함해서 이제는 전문직 정체성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의사가되는 것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접근을 시도할 때이다. 향후 전문직정체성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에 적합한 교수법과 평가방법을 도입하고, 전 생애적관점에서 우리나라 의과대학생, 전공의, 그리고 의사의 전문직 정체성 발달과정을 종단적으로 추적하는 연구와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촉진하거나 저해하는 개인적 요소와 조직문화적 요소 등에 대한다양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the medical professionalism curriculum in Korea to suggest a plan to move towards the formation of a professional identity. Professionalism education data from 28 Korean medical schools were analyzed, including the number of courses, required or elective status, corresponding credits, major course contents, and teaching and evaluation methods. Considerable variation was found in the number of courses and credits in the professionalism curriculum between medical schools. The course contents were structured to expand learners’ experiences, including the essence and knowledge of professionalism, understanding of oneself, social interaction with others, and the role of doctors in society and the healthcare system. The most common teaching methods were lectures and discussions, while reflective writing, coaching, feedback, and role models were used by fewer than 50% of medical schools. Written tests, assignments and reports, discussions, and presentations were frequently used as evaluation methods, but portfolio and self-evaluation rates were relatively low. White coat ceremonies were conducted in 96.2% of medical schools, and 22.2% had no code of conduct.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author suggests tha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should be explicitly included in learning outcomes and educational contents, and tha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courses need to be added to each year of the program. The author also proposes the need to expand teaching methods such as reflective writing, feedback, dilemma discussion, and positive role models, to incorporate various evaluation methods such as portfolios, self-assessment, and moral reasoning, and to strengthen faculty development. 
Keywords: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 Professionalism, Socialization

전문직 정체성 형성 및 촉진을 위한 의학교육 현황과 고려점(KMER, 2021)
Current Status and Direction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한희영, 서보영

Heeyoung Han, Boyung Suh
서던일리노이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과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pringfield, IL, USA

 

 

서 론

의학교육은 의사 양성을 궁극적 목표로 하는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발전시키는 것을 지향한다. 의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에게 무엇을 중점적으로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는 역량(competence) 또는 행동(doing) 중심 패러다임의 의학 지식습득을 위한 교육과정, 비판적 인지적 기능을 중심으로 하는 임상추론 기술(clinical reasoning skills) 습득을 위한 교육과정을 거쳐, 최근에는 존재(being) 중심 패러다임을 주축으로 한 전문직 정체성 형성(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을 위한 교육과정으로 활발하게이루어지고 있다[1-3].

의학교육에서 전문직 정체성 형성은 일반인이 의사라는 특정 역량을 갖춘 전문가가 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근본적인 정체성 변화를 의미하며, 이는 그저 단순한 개념이 아닌 개인의 정체성 발달, 사회화 학습 등 여러 사회과학 이론 및 개념을 통합하여야만 설명할수 있는 복잡한 개념이자 과정으로 보아야 한다[4]. 이러한 맥락에서여러 의학교육 학자들은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대한 개념을 전문성(professionalism) 교육과 구별하여 여러 가지 각도로 논의해 왔다. 우선 그들은 전문성 교육이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상당 부분 기여하지만, 전문성은 전문직 정체성 형성과 동일 개념은 아님을 강조하고있다[1]. 의사의 전문성은 의사에게 기대되는 사회적으로 합의된보편적 가치관, 역량, 전문가들의 행동양식 등을 의미하는 개념인반면, 전문직 정체성은 한 개인이 사회적으로 의사에게 기대되는 가치관, 역량, 규범 등을 내면화하는 여러 단계의 과정에서 생성되는 자아의 발현이다. 개인이 한 전문직의 기능을 수행할 때 다양한상황에 따라 변형될 수 있지만 근본적으로 따라야 할 양식이나 기본 가치관이 이미 존재한다는 것이 전문성 교육의 관점이다. 한편, 전문직 정체성 형성은 개인의 다양한 정체성을 근간으로 특정 전문 직업인이 되면서 재구성되는 개인과 사회가 함께 상호적으로 구성하는(co-constrution) 과정에 대한 관점을 지닌다. 전문직 정체성 형성은 크게 두 가지 측면, 즉 개인의 심리적 발달 및 집단적 사회화(socialization) 과정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보편적으로 좋은 의사,이상적인 의사에 대한 사회적 기대가 있지만, 전문직 정체성 형성은 개인적 정체성과 사회화라는 과정 속에서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거치면서 형성되기에 다중적이며 절충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1,2,5,6].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묘사하기 위한 이론적 틀은 Kegan [7]의 인간발달과정이론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Kegan [7]의 이론은 다음과 같이 6단계로 묘사되며, 이 중에서 초기 2단계 및 마지막 단계에해당하는 가정 및 개인 간 관계를 제외한 조직 내에서의 사회화에 초점을 둔 세 가지 단계, imperial, interpersonal, 그리고 institutional단계를 선택적으로 취한 것으로, 대부분의 연구에서 이것을 사용하고 있다[5,8].

  • Incorporative(1단계): 인간이 태어나서 주로 보육자에 의존되는 유아기 단계
  • Impulsive(2단계): 가족구성원과 또래집단과의 관계를 인지하기 시작하는 단계
  • Imperial(3단계): 사회적으로 기대되는 전문직 역할을 인지하지만 성찰이 부족하고 자기중심적인 단계
  • Interpersonal(4단계): 다양한 시각들을 성찰할 수 있고 타인의 자신에 대한 시각을 고려하여 자신의 이기적 생각을 져버릴수 있는 단계
  • Institutional(5단계): 자기 스스로 성찰을 통해 사회적 원리를 선택 및 취합하여 편집된 자기 자신만의 원리나 기준을 바탕으로 전문가로서 기능하고 활동하는 단계
  • Interindividual(6단계): 연인이나 부부와 같이 자율성 및 자기실현에 근거하여 개개인 간의 친밀한 관계를 성립하는 단계

 

Cruess [5]은 이 세 가지 단계에 근거하여, 전문직 정체성은성별, 인종, 종교, 문화, 교육, 사회적 경제적 배경, 일상적 경험등 이미 존재하는 개인의 정체성들이 의과대학을 입학하면서 겪게되는 사회화 과정을 통해 의과대학생에서 전공의 그리고 전문의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Lewin [8], 특히 Kegan[7] 이론의 변화적(transformative) 발달과정에 초점을 두었는데, 개인은 각 단계에서 상황을 이해하는 데 사용하는 특정 관점(lens)이있으며, 그 관점은 새롭게 또는 더 복잡한 것으로 발달하고 그로 인하여 세상을 이해하는 깊이와 너비도 변화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는 내면적인 과정이며 이것이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이해하는데 근본적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문직 정체성 형성의 중요성과 관심으로 이를 구체적이고 분명하게 발달시키려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여러 문헌 연구를 살펴보면,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촉진하는 교수학습전략으로 공통적으로 추천되는 것은 환자를 돌보는 경험, 롤모델, 반성적 사고및 작문, 그리고 공동체 소속감 발달 등이다[5,6,9,10]. 전문직 정체성 형성은 점진적인 진전보다는 의과대학 입학, 졸업, 진료 실행등과 같은 특정 경험을 중심으로 새롭게 변형(transformation)하는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1,2,6,10]. 또한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촉진하기 위해 숨은 교육과정(hidden curriculum)의 역할을 강조하기도하였다[9,11]. 이들의 연구가 전체적인 전문직 정체성 형성의 특징 및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 반면, 궁극적으로 어떠한 교수학습전략이 제공되고 평가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편이다. 특히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서 학생들의 다양성, 즉 인종, 문화, 성별, 성적지향성, 나이, 그리고 사회경제적 배경 등을 고려하여 어떻게 교수학습전략이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9,11]. 이에 본 연구는 의학교육에서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효과적으로달성하기 위한 교육방법과 평가전략은 어떤 것이 있고 어떻게 현장에 적용되고 있는지 문헌연구를 통해 의학교육의 현황을 기술하고자한다. 또한 이를 통한 전반적인 의학교육이나 의료 현장의 변화및 향후 발전방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문헌연구를 실행하였다. 우선,대부분의 의학교육 저널이 등재되어 있는 Web of Science를 선택하여,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medical education의 검색어 조합으로 2021127일 기준으로 시간적 제약 없이 문헌을검색하였다. 이 결과 282개 문헌이 검색되었다. 문헌 선택기준은(1) 주요 내용이 전문직 정체성 형성이어야 하며, (2) 의과대학 학생및 전공의 등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며, (3) 경험연구 또는 사례연구를실행한 문헌을 선택하였다. 단 전문직 정체성 형성과 관련된 주제를논의하였지만 교수방식을 탐구하지 않은 단순한 오피니언이나 논평은 제외되었다. 이 선택기준을 바탕으로 제목 검토 후 124개 문헌,그 후 논문 초록 검토 후 85개 문헌을 전체 본문 검토를 위해 추려내었다. 85개 전체 본문 검토 후 문헌연구, 개념적 논문 그리고 교수자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제외한 37개 문헌을 분석대상으로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주제에 대한 문헌검색 및 선택에 대한 일련의 과정은Figure 1에 도식화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팀은 의학교육 내에서 어떠한 교육방법 및 평가전략을통해 전문직 정체성이 형성되고 있는가를 연구하고자 각각 37개 경험연구 문헌을 독립적으로 검토하고 도출되는 내용을 주제분석(thematic analysis)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12]. 연구팀은 각문헌에서 보고된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방식, 대상, 지역, 평가 등에 대한 협력적 코딩작업을 통해 초기 문헌분석을 진행하였다.이 과정에서 연구팀은 6회에 걸친 논의를 통해 도출된 내용의 범주에대한 합의를 이루었다. 도출되는 내용의 범주를 기준으로 구분되는문헌들을 다시 역으로 검토하면서 반복적으로 보여지는 내용 및관계성을 중심으로 통합하는 작업을 하였다. 문헌검토 중에서 알게된 책이나 다른 관련 문헌을 필요에 따라 함께 검토하였다. 협력적문헌분석을 촉진하기 위한 두 가지 연구도구로는 각 문헌에 대한코딩작업을 위한 Google Sheets와 분석적 메모작성을 위한 Google Docs가 사용되었다.해당 문헌검토 및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간략한 기술통계를시작으로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방법에 대한 기술적인내용을 우선 보고하고, 모든 문헌을 다시 검토한 후 도출한 주제를중심으로 중요 개념 및 시사점을 본론(결과)에 기술하였다. 전문직정체성 형성을 위해 실시되고 있는 의학교육 방법의 주요 현황과시사점은 Table 1에 기재하였다[13-44].

 

결 과

의과대학생 및 전공의를 대상으로 한 전문직 정체성 형성과 관련된 37개 경험연구가 보고된 지역은 70% 이상이 미국을 중심으로한 북미지역, 22%가 서부 유럽, 그리고 나머지 지역에서 보고된논문은 연구지의 중복상태를 고려하더라도 16%에 불과하였다. 네덜란드와 대만을 비교연구한 Helmich [45]의 연구를 제외하고는동아시아에서 보고된 경험적 논문은 찾아볼 수 없었다. 즉 현재까지 의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대한 실증적 이해는 북미 및 서부유럽의지배적인 시각에서 거의 독점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연구방법 측면에서 살펴보면, 혼합연구(mixed methods)를 포함하여 99% 이상이 질적 연구방식으로 이루어진 논문들이었다. 교육과정의 효과를 추론하는 양적 연구방법은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교육방법을 기준으로 분석하였을 때 30%의 논문은 특정 교육전략을 사용하지 않고자연적 상태에서 교과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되는 의사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학생들의 시각을 인터뷰를 통하여 보고한 연구였다. 일상적교과과정 이외에 특정 교육활동을 준비하고 실행하고 보고한 논문은중복 사용을 고려했을 때 개인 또는 그룹 자기성찰(46%), 예술 과목(11%), 그리고 코칭, 시뮬레이션, 환자 가정방문 등과 같은 각종교육활동(22%)을 보고한 논문들이었다.

 

1. 교육방법

1) 자기성찰 활동(self-reflection)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방법 중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방법이 자기성찰 혹은 성찰적 작문이다. 이는 아무리 많은 특별한 교육과정혹은 프로그램을 도입하더라도 개인적인 혹은 집단 차원의 깊은성 찰의 기회와 과정이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필수적인 요소이기때문일 것이다[4,13,15,20].

자기성찰을 촉진하는 방법으로는 자기성찰일기를 작문하게 하거나 음성으로 기록하게 하는 과제를 내어줌으로써 일상 속에서 성찰의 공간을 확보하게 하는 노력들이 대부분이었다[13-21]. 자기성찰일기는 일상적 경험, 때로는 혼란스러운 경험, 그로 인한 감성적인반응 및 성찰, 그리고 견해 및 행동의 변화와 같은 성찰과정을 드러내는 방법이 되어왔다[16]. 일부 자기성찰활동을 장기적이고 지속적인성찰의 습관으로 기르고자 하는 방법도 제시되었다. 학생들의 자기성찰이 한 번 혹은 단기간에 일어나 끝나는 활동이 아니라, 포트폴리오와 같은 지속적인 기록시스템을 사용하여 학생들이 임상실습 전후로 성찰활동을 지속하고 또한 학기말이 되면 자신의 그동안의 성찰과정을 다시 초인지적으로 성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지속적인 성찰의 습관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접근방법이었다[15,17,21].

성찰을 촉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질문법 또는 서술적 피드백등을 사용한 guided reflection이었다[43]. 질문법은

  • “의사가 된다는것은 어떤 의미인가?”와 같이 주관적인 의미 창출(subjective meaning making)에 대한 질문,
  • “자격을 제대로 갖춘 의사가 되기위해 스스로에게 기대하는 바는 무엇인가?” 또는 “모범적인 프로페셔널리즘을 갖춘 의사에 대해 생각해보고 왜 그 사람을 롤모델로택하였나?”와 같은 사회적으로 기대되는 의사상에 대한 성찰을 유도하는 질문, 그리고
  • “기존 관념이나 생각을 돌아보게 하는 놀라운순간은 어떤 것이고, 그것으로 자신이 어떤 의사가 되어가고 있다고 생각하나?”와 같이 전문직 역량 영역과 관련하여 겪은 강렬하고도 중대한 순간을 포착하고 변혁적(transformative) 성찰을 위한 질문으로 그 범주를 나누어 살펴볼 수 있었다[16,19,20].

개인적인 생각을 바탕으로 하는 작문이나 오디오 성찰저널과 같은 과제물이 없더라도, 학생 또는 전공의들은 소그룹토의를 통해동료 및 교수진과 정기적으로 모여 자신들의 경험 및 성찰을 구두로나누는 활동도 보고되었다[22-25]. Wald [20]은 상호적인 성찰적 작문(interactive reflective writing)을 활용한 교과과정의 예를제시하였는데, 그 중 소그룹 협동성찰 및 전문직 간 교수진(interprofessionalfaculty)의 피드백 활동을 중심으로 학생들이 환자를돌볼 때 경험한 도전 혹은 어려움에 대해 직업적 환경 내에서 드러나는 자신들의 가치, 태도, 감정에 대해 돌아보게 되고, 이를 그룹내에서 토론하고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2) 단일 선택과정(elective courses)

일반적인 의학교육과정에서 제공하지 않지만 의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경험이 될 주제를 중심으로 선택과정이나 단편적과정으로 제공하는 사례도 보고되었다[22,26-31]. 한 예로, ReisWald [29]는 제2차 세계대전 중 의학과 의료인의 도덕적 실패에대하여 명료하게 인식하고 성찰을 통해 학생들의 환자들에 대한인 도주의적인 면모를 강화하기 위한 ‘유대인 대학살과 의학’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이는 민감하지만 중요한, 그러나 일반적 의학교육에서 다뤄지지 않는 유대인 대학살이라는 주제를 다루면서 의사로서 당면할 수 있는 사회정치적 가치관과 갈등, 그 과정에서 형성되어갈 그들의 정체성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은 의사의 전문직 정체성은 역사적 사건이나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사건들과 동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한 지역사회 또는 더 나아가 세계적인 사회역사적 맥락에서 성찰되고 형성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또 다른 선택과정으로는 학생들의 예술활동을 찾아볼 수 있었다.일반적으로 의학교육과정이 인지적 기술적 학습을 주요 내용으로하는 반면, 학생들의 정체성 형성은 그들의 느낌과 감성을 통하여표현되고 발달할 수 있다. 그러나 인지적 기술적 학습에 치중한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의 감성과 느낌을 심도 있게 탐색할 공간이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단일과정으로 예술적 창작활동을 제공하여 학생들의 내면적 감성을 표현하고 공유하는 사례도 보고되었다[32-35]. 예들 들면, 학생들이 의학 만화를 읽고 그룹으로 토론하고 자신이 의사가 되어가는 과정을 만화로 표현하거나[32], 의술을 익히는 동안 억누르게 되는 인간적 혹은 개인적 가치를 그림으로 표현하고 이를 또한 글로 설명하는 미술치유 선택과목(healer’s art elective)에 대한 사례도 보고되었다[34]. 그림을 통한 방법 외에가면(mask)이 가지는 내적 외적 정체성의 상징적인 표현과정을사용하여, 학생들이 직접 가면을 예술적으로 장식하거나 가면의 내외면에 이상적인 의사의 모습과 현재 자신의 모습을 표현하는 사례도 있었다[33,35]. 이와 같은 가면을 이용한 방식은 개인의 정체성과의사가 되어가면서 얻어지는 정체성 간의 탐색, 갈등, 혼동 등과같은 다양한 감성을 자연스럽게 이끌어내고 탐색하는 기회를 열어주는 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주목할 만한 방법 중 하나이다. 이러한 비언어적인(nonverbal) 예술활동에서 학생들은 언어로표현할 수 없었던 복잡하고 심오한 감성적 경험을 심리적으로 안전함을 느낄 수 있는 공간과 방법으로 표현함으로써 자신의 정체성형성을 표현하고 공유할 수 있다.

환자를 보는 일이 일상인 전공의에게 있어서 일상에서 벗어나는 단일과정은 거의 찾아볼 수 없었으나, 그 중에 보고된 사례는 교수진 및 동료들과의 협력적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바쁘게 돌아가는 임상경험 속에서 놓칠 수 있는 성찰의 기회를 확보하고자 하는 노력들이었다[22,25,26]. 집단토론과 다양한 영역의 세미나를 통해 개인의 가치와 직업적 가치의 통합을 추구하는 과정[25], 병원업무에서 겪는어려움과 직업적 개발사안을 전문직 간 그룹 내에서 소통하며 도움을 받는 또 다른 형식의 포럼프로그램[26], 그리고 교실을 기반으로한 교육프로그램 안에서 비형식적사회적 상호작용과 멘토링에 초점을 맞춘 레지던트를 위한 교육과정 등이 보고되었다[22].

 

3) 환자 경험 및 의료현장 경험

검토된 거의 모든 문헌에서 공통적으로 보여지는 의사 전문직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경험은 직간접적 환자 경험 및 의료현장 경험이었다. 임상 전 과정에 있는 학생들이 의료현장이 아닌환자의 집이나 지역사회에서 환자와 그들의 가족들을 만나 관계를형성하는 동안 환자의 삶과 질병을 이해함으로써 의사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27,30]. 이를 위한 구체적인 사례로, 상급 학생들의 코칭을 받은 1학년 학생들이 환자의 집을 방문하여 환자와 대화를 나누며 중증 환자로 살아가는 그들의 삶의 모습속에서 나타나는 질병의 영향 등을 배우는 동안 일어나는 정서적경험을 통해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도울 수 있다는 연구가 보고되었다[30]. 또한 만성질환을 앓는 환자 혹은 환자의 가족들이 의과대학생의 멘토로서 오랜 기간 환자의 관점과 경험을 학생들에게 공유하고, 이와 같은 환자와의 관계형성이 의사가 되어가는 정체성 형성을위한 의미 있는 경험으로 보고되기도 하였다[27]. 즉 이러한 연구들은 공식적인 의료현장에 투입되지 않는 임상 전 과정 학생들일지라도 지역사회에 존재하는 환자 경험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하게 함으로써 미래 의사로서 갖게 될 전문직 정체성을 투영할 수 있는 기회를주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임상실습과정 중에 있는 학생들이 지역사회를 기반으로한 의료현장에서 환자를 돌보는 동안 겪는 경험은 전문직 정체성형성을 위한 너무도 근본적이고 필수적인 교육과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연구자들은 어떠한 추가적인 교육과정 없이 임상실습기간동안 학생들의 정체성 형성을 질적인 방법으로 연구하였다[36-39].이들 연구 중에서, 특히 임상실습 경험을 통한 개인 차원의 전문직정체성 형성과 더 나아가 환자, 환자의 가족, 지역사회에 대한 책임의식을 촉진하는 방안과 그 사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24,40,43]. 즉 의사의 전문직 정체성이 병원 오피스에 한정하여 기능하는 것이아니라 지역사회와 연계된 그들의 전문직으로서의 역할과 정체성을성찰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지역사회 기반의 종적 통합임상실습(longitudinal integrated clerkships)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시골 지역의 환자 및 환자 가족들에 대해 장기적으로 알아가고 그들의건강에 직결된 의료서비스에 직간접적으로 개입하도록 돕는 방법이존재한다[24]. 아울러 이민자나 난민, 또는 교도소와 같은 의료서비스의 사각지대에 놓인 사회적 약자 그룹의 환자를 돌보는 기회를 제공하여 공평한 의료서비스와 돌봄(equitable care)에 대한 경험을강화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40].

전공의들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과 관련한 환자 경험은 의과대학생의 경험과는 사뭇 다르다. 전공의들의 환자 경험은 일상적인 업무로 자리잡고 있기에, 이들의 정체성 형성에는 단순히 환자 경험보다는 의료현장에서의 직접적인 ‘의사결정,’ ‘책임,’ 그리고 ‘자율성’이라는 상호연결된 개념들을 제공하는 환자 경험을 주축으로 정체성형성이 이루어진다[42,46]. 즉 전공의들은 점진적으로 환자에 대한 책임과 자율성을 얼마나 부여받는가에 따라 환자의 건강에 관여한직접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고, 이러한 의사결정권이 증대됨에따라 그들의 의사로서의 전문직 정체성도 형성될 수 있다.

 

2. 주요 개념 및 시사점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과정에 대한 문헌을 분석하면서도출된 공통된 개념 및 시사점을 아래와 같이 기술하고자 한다.

1) 비형식적 ․ 부가적 학습의 중요성

전문직 정체성은 비형식적 학습환경에서 부가적으로 형성되며, 의학교육자는 이러한 비형식적 부가적 학습(informal and incidental learning)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전반적인 교육환경(learning culture)이 학생들의 정체성 형성을 위하여 심리적으로안전하고 풍부한 경험을 제공하는 토대로 자리잡도록 노력해야 한다. 의학교육에서 어떤 교육전략을 취하든, 학생들은 나름대로의 의사로서 정체성을 발견하고 형성해나갈 것이다. 전문직 정체성 형성은 유기적이고 비선형적으로 발달하며 장기적인 과정이며 숨은교육과정의 영역이다[2,21]. 이에 기존의 처방적 사고에 기초한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것에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개방시스템적 사고에 기초하여 학습자의 개인적사회적 발달과정을 신뢰하고 교육자와 학습자가 상호유기적으로 일상화된 성찰과정에서 피드백 반응에 기초한 대화를 지속한다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반면, Holden 등[4]은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체계로서6개 영역과 30개의 하위영역을 정의하고, 이것을 지원하는 공식과목, 워크숍, 반성적 작문활동, 지역봉사학습, 임상실습, 멘토링, 문화체험 등과 같은 활동을 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활동이라고 하여 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환자를 돕는 의사가 되기 위해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등을 함양하기 위한 활동으로 이를 통한 의사로서의 정체성 형성은 부가적(incidental)으로, 비형식적(informal)으로 얻어지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할 것 이다. 예를 들어, 지역봉사학습을 대하는 학습자는환자의 환경과 건강을 체험을 통해 깊이 있게 알아가는 것이 주목적이며 전문직 정체성 형성은 부가적인 학습경험이 되어야 할 것이다.학생들이 자신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해 지역봉사를 한다는것은 주객이 전도된 상황으로 오도되는 것이다. 지역봉사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환자의 어려운 상황에 공감하고 동정심을 느끼다가도감당할 수 없는 압도적인 상황에 처하면 오히려 환자와의 감정적거리를 두려는 마음을 경험하는 등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고 여러방향으로 내적 가치의 변화를 경험한다[15]. 즉 지역봉사학습 활동이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가져오는 교육활동이라기보다는 학생들이 의사가 되어가는 장기적이고 혼돈적인 과정에서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동시에 내면적으로 자신의 의사로서의 정체성을 성찰할 수있는 비형식적 부가적 학습환경으로 인식해볼 수 있다.

반성적 작문활동을 연구한 여러 논문들도 반성적 작문활동이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유발하는가라는 처방적이고 인과관계에 대한어떠한 충분한 증거를 제시하지 않았다. 학생들의 전문직 정체성형성은 이미 개인적 사회적 여러 경험을 통해 일어나는 현상이고,반성적 작문활동이나 인터뷰, 토론 등은 그 개인의 내면에서 발생하는 정체성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 볼 수 있다.예를 들어, 만화를 사용한 반성적 사고에 대하여 연구한 Green [32]의 연구도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대한 효용성에 대하여 참여자의자기평가 또는 의견을 기반으로 한 자료분석이었기에 어떠한 인과관계를 주장할 수는 없다.

이에 단순한 처방적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의 필연적 발생과 그 과정의 복잡성과 개방적 시스템과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학습자가 처하는 교육환경과 의료문화를 정체성 형성을 보다 유의미하고 지속할 수 있는 비형식적 부가적 학습환경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21].

2) 일상적이고 실제적인 환자 경험

의미 있는 환자 경험은 여러 문헌에서 의사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필요한 경험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렇다면 어떤 환자 경험이중요한가? Javis-Selinger [43]grounded theory에 기초한 질적 연구를 통해 정체성 형성에 대한 개념적 과정을 발견하고 보고하였는데, 그들은 임상실습을 하는 학생들의 정체성 형성은 어떤 상황(context)에서 성찰을 불러일으키는 특정 경험을 할 때, 기존의 경험과 형성된 가치관이 촉매작용과 같이 의식적으로 자신의 정체성을다시 되돌아보는 기능을 한다고 설명한다. 특히 이때 자신의 현재의 정체성(being)과 미래의 정체성(becoming)이 역동적으로 절충하는과정을 통해서 학생들의 전문직 정체성이 형성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경험 중에서 인지적 불안정(cognitive disequilibrium)을 야기하는 세 가지 계기가 되는 것이 있으며, 그것은 의과대학에입학하여 일반 학생에서 의과대학생이 되는 것, 임상실습 경험, 실제의료사업 경험, 의료활동을 하는 의사들과 같이 일하는 경험 등 매우 일상적인 의사의 경험들이다[47].

물론 학생들의 일상에서 접하지 못하는 존재하는 실제를 경험하게 하기 위해 개발도상국가에의료봉사를 가도록 한다거나 가난한 중증환자의 집에 직접 방문하여환자의 환경을 직접 관찰하게 하거나 유대인 학살과 같은 내용을의료윤리 향상을 위해 성찰하도록 하는 등 급진적으로 기존 가치에서 벗어나(disoriented) 변화(transformation)하는 과정을 통해 의사로서의 정체성을 성찰하도록 하는 사례도 보고되었다[16,29,30]. 그러나 의과대학생들은 입학하여 단지 의사복을 입는 것만으로도 또는 해부학 시간에 시체 해부를 경험하는 것으로도 의사로서의 정체성을 되돌아본다[17,18]. 임상실습 등을 통해 의사가 된다는것을 간접적으로 관찰하고 롤모델을 통해 자신의 미래를 상상하게된다[24,27,40]. 의과대학에서 전공의가 되는 과도기적 학년인 4학년 학생들은 3학년 임상실습 때와 비교하여 역할이 보다 환자를돌보는 중요한 일에 근접함으로써 팀 소속감을 느끼며 의사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한다[39]. 전공의가 되어 환자를 돌보는 일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게 될 때는 자신들의 증대되는 환자에 대한 의사결정활동과 증대되는 자율성 및 책임감 같은 일상적이고 실제적인 의사들의 일을 하면서 전문직 정체성이 발달한다[41,42]. 즉 학생들은 전문직 정체성 형성과정에서 상당한 가치관의 변화를 겪기도 하는데, 그것은 어떤 특수한 경험을 해야 얻는 것이 아니라, 의과대학에서 경험하는 모든 활동과 의사가 되는 과정 자체가 일상적이지만 그안에 특별함을 발견하고 정체성을 형성해 나간다.

학생들은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의사상과 실제 자신들이 하는일들이 일치하는지 지속적으로 성찰하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상에서의 불균형 또는 균형이 그들의 의사로서의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44]. 예를 들어, 임상실습을 하는 학생들은 텔레비젼드라마에서 나오는 역동적인 의사상에 대한 기대감이 있다면 실제로상당한 시간을 환자 의료기록을 위한 문서작성에 보낸다는 것에놀라기도 할 것이다. 외과 전공의가 만약 경제적으로 어려운 고도비만의 당뇨병 환자의 발톱을 깎는 일을 한다면 왜 자신들이 의사인데이런 하찮은 일을 하냐고 이런 일을 하러 의사가 된 것은 아니라고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팀의 저자 중 한 명은 환자 경험이풍부한 어떤 노년의 내과 의사가 발톱깍이를 들고 직접 그러한 환자의 발톱을 정리해주는 모습을 관찰한 적이 있다. 이 의사는 발톱관리가 그 환자의 건강에 중요하나 직접할 수 없는 상황을 인지하고그것이 의사로서 당연히 해야 하는 일이라고 여긴 것이다. 이 예에서학생이나 외과 전공의가 겪는 정체성이 미숙한 것이고, 경험 많은 내과 의사가 생각하는 정체성은 완성된 것이라고 보는 것이 아니라,일상적 경험에 따라 환자를 이해하는 여러 방식이 질적으로 다름을의미한다[2]. 이런 이유로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있어서 일상적이고실제적인 환자 경험은 매우 중요하며, 학생들은 자신의 기존 의사상과 일상의 일을 지속적으로 수행해 가면서 발견하는 정체성을 비교해 가며 여러 번의 변화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3) 학생 개인의 배경과 감성발달의 중요성 및 사회심리적으로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이해하고 조장하고자 하는 과정에서 개인의 배경(background)과 감성발달(emotional development)의 중요성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19,20]. 이는 의학교육자들이 학생들 개개인에 대하여 깊이 있게 알아가는 것과 더불어 학생들이 개인의 정체성을 공유하는 데 어떠한 사회심리적 두려움이 없는 교육환경을제공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라는 너무도 근본적인 교육의 원리를되돌아보게 한다. 의과대학에 진학하는 대부분 학생들은 우월한 사회경제적 배경을 가지고 있고, 이로 인해 공유되는 지배적인 문화는시골 출신이거나 어려운 가정형편에 놓인 학생들의 존재 및 그들의다른 경험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것을 거의 암묵적으로 억제하여왔다[48]. 가난한 환자, 마약중독 환자, 결손가정 환자, 이민자 환자,교육수준이 낮은 환자 집단과 의사 집단을 암묵적으로 이분화하여 이러한 개념을 이야기할 때 그러한 환경과 배경을 가진 학생들의존재에 대하여 사려 깊게 고려하지 않는다. 이에 그들의 전문직정체성 형성에 대한 교육 실제 및 연구도 매우 미미한 상황이다[49]. 미국의 예를 들면 흑인 학생들에게 자신이 흑인이라는 것은 그들에게 매우 중요한 정체성의 요소이기 때문에 그들이 의사가 되어가는과정에서 이것을 고려하지 않거나 오히려 부정적인 관점으로 투영된의사 전문직 정체성을 형성하게 된다면 이를 조장한 교육환경은매우 우려되는 교육환경이라고 볼 수 있다[11]. 이처럼 의학교육환경에서 학생들의 진정한 자아(authentic self)와 다양성을 배제한 암묵적으로 조성된 사회심리적 환경은 학생들의 의미 있는 전문직정체성 형성을 위해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서 중요한 과정으로 여겨지는 전환학습(transformative learning)의 관점으로 볼 때 학생들이 의사로 성장하는 중에 겪는 여러 경험 가운데 이러한 개인의 다양한 상황과 감성적 반응은 매우 중요한 성찰의 토대가 되며 미래의 관점 및행동 변화에 매우 필수적인 영역이다[16]. 예를 들어, 학생들이 의사가 되는 경험을 하면서 자신도 모르게 가지고 있던 자신의 다른집단에 대한, 예를 들면, 정신질환 환자에 대한 비뚤어진 시각 또는편견을 마주하게 되었을 때 겪는 갈등은 인지적 반응이라기보다는 내면적 감성의 분투이자 감성의 변화로 볼 수 있다[19]. 감성의 발달은 인지적인 학습보다는 예술적 활동을 통해 표현되기도 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Joseph [33]은 학생들에게 가면을 만드는 예술활동을 하게 했을 때 학생들은 자신의 기존의 개인의 정체성과 의사가 되는 정체성의 불일치에서 오는 감성적 갈등을 표현하였다. 이처럼 성찰의 토대가 되는 감성적 분투와 변화를 표현하고 나눌 수있는 개방적 교육환경이 필요하다.

거시적인 문화 측면에서 기존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논의하거나 연구한 논문들은 대부분 북미 및 유럽에서 발표되어 왔다는 점,동양과 서양의 전문직 정체성이 다를 수 있다는 Helmich [45]의연구를 고려할 때 문화를 포함한 학생 개인의 배경 그리고 감성발달을 명료하게 고려한 교육환경의 제공이 학생들의 전문직 정체성형성에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아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에 학생들이 각기 다른 사회경제적 배경 혹은 자신의 감성적 반응을 어떠한 부정적 관점(stigma)에 대한 걱정 없이 공유하고 성장의 바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한 학습환경(safe learning environment)의 조성이 요구된다

 

4) 평가에 대한 재고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대한 평가는 몇몇 문헌에서 논의하고 있지만, 전문직 정체성 형성의 개념이 다면적이고 교육방식 자체가 발달단계에 있기에 아직 뚜렷한 방향성을 가지고 평가를 실행하는 사례를 찾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기존의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행동’을 근간으로 하는 평가방식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있어서 ‘존재’라는 개념을 평가하는 데 적용할 수 없으므로, 기존의 평가 개념의 틀을벗어난 새로운 방식의 평가가 고려되어야 한다[2]. 이는 비록 사과를 바구니에 담을 수 있지만 사과쥬스를 바구니에 담을 수 있다고 주장할 수 없는 이치와 비슷한 것이다.

Holden [4]은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고려한 평가의 개념은 역량과 같이 순차적으로 발달하는 선형적 형태를 갖지 않는 전문직정체성 형성의 특성을 고려할 때 평가의 표준을 정립하여 대조하는방식은 맞지 않는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조차도 실제적평가방식을 제안할 때는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반성적 사고 작문, 설문지, 포트폴리오 등과 같은 일반적인 평가방식을 조정해서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평가할 수 있다는 다소 모순된의견을 제시하였다.

우선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대한 평가의 개념을 교육과정 중 학생의 진전(progress) 여부에 대한 성공/실패라는 의사결정을 위한 것으로 정의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장기적이고도 다면적이며 비선형적인 전문직 정체성 형성과정을 촉진하고 조장하는 의미에서의 평가에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이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전문직정체성 형성의 내용과 과정과 관련하여 모든 학생에게 일률적으로적용되는 표준이 있는 것이 아니기에, 각 학생의 개인적 정체성,사회적 배경, 직업적 관심사 등을 고려한 상당히 개인화된(personalized) 발달을 장기적인 관점으로 지속 가능하게 하고자하는 평가의 철학과 방향성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평가의 개념에서 오는 혼돈을 피하기 위해 전문직정체성 형성에 대한 ‘평가’라는 용어가 적당한지 재고할 필요가 있다 .자기주도학습을 예로 들면, 개인이 학습을 주도적으로 지속하고 성취할 수 있는 역량은 어떤 한 시점에 관찰하여 평가할 수 있는 정적인개념이기보다는 학습의 과정 중에 변화하고 발달되는 역동적이자 초인지적 개념으로 여길 수 있다. 이에 이를 형식적으로 평가하기보다는 개인의 특정 상황에서의 과정을 관찰, 추적하고 필요에 따라 지침을 제공하는 것에 더 의미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비슷한본질을 지닌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대한 평가 및 교정(remediaion)에대해서도 개념의 재정립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교수개발(faculty development) 및 교수학습문화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1].

 

고 찰

연구팀은 본 종설연구를 통해 의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의학교육 현황과 방향(고려점)을 문헌연구 방식을 사용하여 탐구하였다. 해당 연구의 주요 결론은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별도의 교과과정은 존재하지 않으며, 오히려 학생들이 지역사회나 학생 개인의 삶의 영역을 포함한 의학교육 환경 내의 일상적 교과과정과 단일과정 또는 특정 경험, 그리고 의사로서 점진적으로 맡게 되는책임 및 책무를 시행하면서 필연적으로 의사 전문직 정체성을 형성해 나간다는 것이다. 또한 이는 개인 차원의 경험이면서 동시에사회적으로 더불어 형성되는(co-construced) 개념이자 과정이기에학생들의 개인적 배경, 학교에서 제공되는 교수학습환경, 의사 직업문화가 다각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전문성(professionalism)또는 의사됨됨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회적으로 기대되는 정체성이 획일적으로 존재한다기보다는 그러한 사회적 기대와 직업 내 공동체에서 형성하는 의사의 정체성에 대한 기대가치와 개인 스스로의 환경과 동기에 기반한 개인 정체성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개념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50].

이에 교육방식에 있어서도 따로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커리큘럼이 따로 존재하지 않고 일반 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 비공식적으로 그 기능이 기대되는 숨은 교육과정으로 존재한다. 학생들은 다양한 환자 경험에서 발생하는 인지적 감성적 반응을 토대로 때로는 가치관과 행동의 양상에 급진적인 변화(transformation)를 경험하면서 의사로서의 정체성을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과정에서 형성해나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지난 수십 년 동안 의학교육 분야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오고 있지만, 이 영역의 연구는 아직 미숙한단계에 머물러 있다. Kegan [7]의 이론이 해당 주제에 대한 대부분의연구에서 사용되는 가운데 학습자의 전문직 정체성이 어느 발달단계에 있는가라는 선형적 논리에 기반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는 현 상황에서 Kegan [7]의 이론은 다면적이고 비선형적인 전문직 정체성형성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돕는 데 한계점을 가진다. 이에 보다 포괄적이고 다양한 이론적 논의 및 토대가 앞으로 활발하게 요구된다. 더욱이 해당 주제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가 미국을 비롯한 서구권에서 보고되었기에 의사의 전문직 정체성에 대한 개념 및 형성과정에 대한 시각도 서구적 관점에 한정된 점 또한 해당 영역의 연구들이아직 발달단계에 머물러 있음을 짐작하게 하는 요인이다. 서양과 동양의 문화적 차이를 고려할 때 서구권 및 미국에서 주장하는 교육방식을 여과 없이 들여와 자국의 의학교육에 적용하기보다는 한국의의료계 및 더 나아가 지역사회에서 지향하는 의사의 전문직 정체성이 어떠한 모습으로 형성되어야 바람직한지에 대해 숙고하여 분별력있게 수용할 필요가 있다.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대한 평가 개념및 체계 역시 아직 정립되지 않았으며, 새로운 평가 패러다임과다양한 교육철학에 기초한 연구들이 앞으로 더욱더 요구될 것으로예상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해당 주제에대해 문헌을 검색할 당시 사용한 키워드의 제한적 사용으로 인해논의내용의 범주에 해당하나 검색에서 제외되었을 가능성이 있다.즉 만약 문헌검색 시 다른 검색어(: doctor identity, identity development)를 사용함으로써 다른 문헌이 도출되었을 수 있다. 둘째, 영문 검색어 조합을 이용했기 때문에 한국을 비롯한 비영어권국가의 저널에서 출판된 문헌이 제외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후속연구 주제로 다양한 의료환경에서 종사하는 의사들 및 의학교육 교수진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대해 연구를 고려할 필요가있다. 본 연구는 의과대학생 혹은 레지던트에 국한하였지만, 의사정체성 형성의 연장적, 변화적인 특성을 감안할 때 평생의학교육(continuing medical education)과 관련하여 여러 다양한 분야에서 종사하는 의사 또는 교수진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 및 발전에 대한지속적 연구와 논의는 학습자의 정체성 형성을 더 깊이 있게 이해할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 의학교육의 상황과학습문화에 적합한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과 평가전략에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한국의 의료상황에서 교수진이 형성한 의사 정체성 혹은 학생들과의 관계 또는 의학교육 환경이미래 의사가 될 학생들의 전문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더 나아가 이러한 전문직 정체성 형성이 학생들 개개인,환자, 의료기관 및 서비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가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이론과 연구방법을 이용한 학제 간 연구가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학생 개개인들이 어떠한 전문직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느냐는 장래의 의료계 또는 의학교육의 집단적 전문직 정체성을 투영하는 거울이라 할 수 있다. 즉 전문직의 이해관계에 편하여 사회의요구와 동떨어진 단절된 전문직 정체성이 우세하다면 그 안에서길러지는 미래 의사들의 정체성도 동일하게 단절된 형태로 형성될가능성이 많다. 이러한 이유로 의학교육과정과 이를 기획하고 운영하는 학교와 교수진은 우리가 속한 지역사회의 다양한 구성원들의 모습과 그들이 절실히 필요로 하는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끊임 없이변화하고 있음을 늘 염두에 두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이 이에 상응하는 다양한 정체성을 겸비한 다양한 모습의 의사가 되어 환자들과지역사회를 질병과 보건 이슈로부터 보다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기회와 방법을 학생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있다. 예를 들어, 만성질환 등 복잡한 의료필요에 대응하기 위한전문직 간 학습기회 확대, 어려운 의료상황에서 필요한 리더십과협동에 대한 격려, 지역사회 내에서 의료 및 불평등 문제를 다루며 구성원들의 옹호자로서 역할을 감당할 수 있는 기회 제공, 나아가팬데믹 등 국가적 혹은 국제적인 보건위기를 창의적으로 접근하고해결하는 능력 함양을 촉진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의학교육 환경 안에서 학생들은 스스로, 또한 동료들 및 교수진과 더불어의학을 배우는 중에 자신만의 고유하고도 다양한 전문직 정체성을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 is an essential concept in professional education. Many scholars have explored conceptual frameworks of PIF and conducted empirical studies to advance an understanding of the construct in medical education. Despite its importance, it is unclear what educational approaches and assessment practices are actually implemented in medical education settings. Therefore, we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of empirical studies reporting educational practices for medical learners’ PIF. We searched the Web of Science database using keywords and chose 37 papers for analysis based on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h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Most empirical papers (92%) were from North America and Western Europe and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cluding mixed methods (99%). The papers reported the use of reflection activities and elective courses for specific purposes, such as art as an educational activity. Patient and healthcare experiences were also found to be a central theme in medical learners’ PIF. Through an iterative analysis of the key themes that emerged from the PIF studies, we derived the following key concepts and implications: (1) the importance of creating informal and incidental learning environments, (2) ordinary yet authentic patient experiences, (3) a climate of psychosocial safety in a learning environment embracing individual learners’ background and emotional development, and (4) the reconceptualization of PIF education and assessment. In conclusion, research on PIF should be diversified to include various cultural and social contexts. Theoretical frameworks should also be diversified and developed beyond Kegan’s developmental framework to accommodate the nonlinear and dynamic nature of PIF. Keywords: Educational activities, Hidden curriculum, Physician identity, Professional development, Self-reflection

한국 의사의 역사적 정체성 형성 (KMER, 2021)
The Formation of the Historical Identity of Korean Doctors
여인석
In-sok Yeo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교실 의사학과
Division of Medical History, Department of Humanities and Soci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서 론

최근 coronavirus disease 2019 유행 상황에서 의료인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와중에 불거진 몇 가지 정책적이슈들에 대한 의사들의 반발은 사회적 비난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구체적으로는 의사들의 파업에 대한 비난이었다. 핵심은 생명을 다루는 의료인이 자기 직종의 이익을 위해 환자 곁을 떠나는 것이 정당화될 수 있느냐는 것이다. 사회가 바라보는, 혹은 기대하는 의사와 의사 스스로가 생각하는 의사 사이에 생기는 간극에서 유래하는 갈등이다. 이러한 갈등은 2000년대 초에 있었던 의약분업사태에서도 분출되었다. 의사는 무엇이며 어떠한 존재가 되어야 하는가? 우리는 이 질문을 다시금 진지하게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

의사 개인의 윤리적 일탈행위나 혹은 의사 파업과 같은 집단적행위가 사회적 비난의 대상이 되는 경우 어김없이 등장하는 수사가 ‘히포크라테스 선서’의 정신과 의학교육에서 인성교육 강화의 필요성이다. 그러나 엄밀히 말해 이 두 가지 요청은 성격이 다르다. 히포크라테스 선서는 의사의 직업윤리에 관한 내용이고, 인성교육에 대한 요구는 일반적인 의미에서 착한 심성을 가진 의사를 만들어야한다는 것이다. 교육을 통해 착한 사람을 만든다는 것은 성선설과성악설의 역사 깊은 논쟁은 차치하더라도, 전문지식을 배우는 고등교육기관인 대학에서 인성교육을 하는 것이 시기적으로 적절한가의문제와 함께 그것이 달성 가능한 현실적인 목표인가에 대한 의문도 불러일으킨다.

교육을 통한 달성 가능성의 측면에서 본다면 착한 심성의 함양보다는 직업적 윤리의식의 함양이 실현 가능성이 더욱 높은 목표라할 수 있다. 그렇다면 직업적 윤리의식은 어떻게 함양될 수 있을까?그것은 의사는 이러저러해야 한다는 당위성의 강조나 주입만으로는이루어지기 어렵다. 투철한 직업윤리는 직업정체성에 대한 투철한인식에서 나온다. 따라서 의사라는 전문직의 직업윤리 교육은 전문직정체성 형성에 관한 교육이라는 우회로를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다시 직업적 정체성 형성의 문제가 제기된다.

다만 여기서 혼란을 피하기 위해 개념적으로 구별해둘 것이 있다. 일반적으로 전문직의 직업적 정체성 형성은 개인에 초점을 맞춰한 개인이 교육과 수련, 그리고 직업활동의 경험을 통해 전문직업인으로서 정체성을 형성해가는 과정을 말한다. 즉 한 개인이 기존의 전문가 집단에 자신을 동일시해나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그에 비해 이 글에서 말하는 역사적 정체성 형성이란 역사적 과정을통해 형성된 의료직의 집단적 자기의식을 말하며, 이 집단적 자기의식이 역사적 과정을 통해 변화를 거치며 형성되어왔다는 것이다.

어떤 대상의 정체성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그것은 그가 가진 개인적 집단적 경험의 총체로부터 형성된다. 달리 말해 오늘날 그를만든 역사적 경험이 그의 정체성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한 개인의 정체성은 출생 이후 그의 개인사적 경험을 통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의사의 정체성 또한 이 직업의 역사적 경험을 통해 형성된다고할 수 있다. 그런데 개인으로서의 의사는 의사라는 직업의 역사적변천과정을 직접 경험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그것은 의사란 직종의역사적 형성과정에 대한 이해를 통해 간접적인 방식으로 정체성형성에 관여하게 된다. 그것은 마치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이 한국사에 대한 이해를 통해 형성될 수 있는 것과 같다. 요컨대 의사라는 직업적 정체성은 의사라는 직업의 역사적 형성과정을 이해함으로써자연스럽게 얻게 되는 자신에 대한 자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역사 속에 나타나는 의료인의 모습을 통해 의사는 무엇이며,또 어떠한 존재가 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생각한다.

한국 전근대사회 치료자의 정체성

1. 사제적 정체성

의사라는 용어에는 일반적 의미와 특수한 의미가 공존한다. 우리는 다른 사람의 질병을 치료해주는 사람을 포괄적으로 의사라고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특수한 의미로 사용하는 의사라는 말은역사적 용어로서 제한적 의미를 그 안에 담고 있다. 그것은 치료에 종사하는 많은 의료직 가운데 의료법이 규정하는 특정 직종을 지칭하는 법률적 용어이기도 하다. 오늘 한국사회에서 사용하는 의사라는 말에는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국가가 발급한 면허를 가진 사람,나아가서는 큰 병원에서 인턴, 레지던트를 거치는 수련 경험을 쌓은사람 등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달리 말해 병든 사람을 치료하는일을 하는 여러 종류의 사람들 가운데 법률이 요구하는 특정한 자격을 충족하여 국가가 부여하는 자격증을 가진 사람을 현대 한국사회에서 의사라고 부른다. 여기서 치료하는 기능은 시대에 무관하게일반적인 것이지만, 요구되는 자격은 근대 이후 서구사회가 만들어온 역사적이고 특수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자격에 대한 요구가 존재하지 않았던 고대사회에서 활동했던 사람을 의사라고 부르기에는 적절치 않고, 다만 병든 사람을 치료하는 사람이라는 의미에서 치료자라고 부르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여겨진다[1].

자격과는 무관하게 현대 한국사회에도 치료에 종사하는 많은 종류의 사람들이 있는 것과 같이 고대사회에도 많은 종류의 치료자가 있었다. 의학이 발달하지 않았던 고대사회에서는 특히 종교적 치료자들의 비중이 컸을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종교적 치료자란 샤머니즘적 치료자와 새롭게 중국에서 유입된 불교의 사제인 승려를 들수 있다. 실제로 삼국유사 삼국사기에는 승려들이 치료활동을 수행하는 기사들이 다수 기록되어 있다. 그뿐 아니라 전통적인 주술적 치료자와 치료승이 일종의 경쟁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모습도이들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2].

환자에 대한 치유가 종교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는 사실은복음서에 나타나는 예수의 많은 치유 기사와 석가모니가 대의왕(大醫王)으로 불렸음을 통해서도 잘 알 수 있다. 종교적인 치유는 단순히고대사회에만 이루어졌던 것은 아니다. 첨단의과학이 발전한 오늘날에도 종교적 치유행위는 여전히 사라지지 않고 행해지고 있다. 치유는 인간을 육체적으로만이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회복시킨다는 함의도 갖고 있다. 따라서 종교적 색채가 없는 현대의학적 치료라할지라도 그것을 단순히 기계적 수리로 보지 않는다면 치유행위에 종교적 차원은 여전히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고대사회에서 사제들이 수행했던 치유행위의 종교적 차원을 오늘날의 세속적 치료자들도 여전히 공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의료인은 ‘사제적 정체성’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적극적으로 말한다면 오늘날의 의사는 사제적 정체성을 가져야 한다고 말할 수도 있다. 의사의 치료행위가 단순히 고장난 기계를 고치는 것이 아니라면, 다시 말해 의사가 치료하는 환자를 기계로 보지 않는다면, 자신의 치료행위가 환자에게 가지는 전인적차원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에서도 사제적 정체성은 적극적으로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치료를 특정 종교와 연결시키라는의미가 아니라 의학적 치료 자체가 가지는 전인적 의미를 회복할필요가 있다는 의미에서 하는 말이다.

 

2. 관료적 정체성

동아시아 전근대사회의 특징 중 하나는 동시대의 서구사회에 비해 관료제가 발달한 점이다. 이러한 점은 의료인의 사회적 존재방식에도 영향을 미쳐 의료를 담당하는 관료가 중국에서는 춘추시대에,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부터 존재했다. 관료제는 한국사를 통해 점차 정비되고 확대되었으므로, 조선에 이르면 중앙정부에 의료를 담당하는 조직이 상당히 분화된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정부에서는 시험을 통해 우수한 의료인력을 선발하고 이들을 의료관료로 활용했다. 한편에서는 이러한 시험을 오늘날의 의사국가고시의 선구적 형태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시험을 본다는 사실은 동일하지만시험의 성격과 목적이 다르므로 이를 동일시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의사국가고시는 자격시험이다. 따라서 이에 통과하지 못하면 의료인의 자격을 사회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므로 의료행위를 할 수 없다. 반면, 조선시대의 시험은 선발시험으로 정부가 필요로 하는 분야의우수한 인재를 뽑기 위한 관료 선발시험이었다[3]. 조선사회에서 시험을 통해 고급관료가 되는 것은 입신양명의 대명사로 누구나 선망하는 것이었고, 의료인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시험에 합격해 관료가되는 것이 명예로운 일이기는 했으나 시험의 합격 여부와 의료활동의 가능 여부는 무관했다.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전근대의의료인과 근대의 의료인이 구별되는 가장 큰 차이점은 국가에 의한자격부여이다. 전근대사회에서는 본인의 능력과 의사만 있으면 누구나 의료활동을 할 수 있었지만, 근대국가에서는 국가가 부여하는자격을 획득하지 못하면 의료활동을 할 수 없다. 이러한 결정적차이는 의사의 정체성 형성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관료로서의 의료인에 대한 논의를 조금 더 확장해보자. 조선시대의 관료로 활동할 수 있었던 의료인은 전체 의료인 중에서 아주소수에 불과했다. 그러나 역사를 통해 살펴보면 전체 의료인의 관료화가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가깝게는 과거 사회주의 국가의 의료인들이 국가에 소속된 공무원으로 일한 사례가 있다. 멀리는 고대이집트에서 의료인은 신전 소속이었다[4]. 고대 이집트는 제정일치사회로 종교조직이 곧 정치조직이었으므로 이는 곧 관료에 해당한다. 반면, 고대 그리스의 의사는 자유직으로 여기저기를 떠돌아다니는 편력의가 일반적인 형태였다[5]. [관료로서의 의료인]과 [자유직으로서의 의료인]이라는 의료인의 두 가지 대표적인 사회적 존재 형태가 이미 고대사회에서부터 존재해왔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인 존재 양태의 차이는 의료인으로서 정체성 형성에도 큰 영향을미친다. 의사는 아픈 사람을 치료하는 사람이라는 본질적 특성을가진다. 그러나 의사가 어떤 사회적 입장에서 의료행위를 수행하는가는 의료를 시술하는 의사의 태도뿐 아니라 의사의 정체성에도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의료인의 정체성 형성에 대한논의를 위해서는 의료인이 어떤 사회적 입장에서 의료활동을 하는가도 중요한 고려사항이 되어야 할 것이다.

 

3. 유의(儒醫)적 정체성

유의(儒醫)란 유학자로서 유교적 교양만이 아니라 의학에 대한지식도 갖추어 자신과 주변 사람들을 치료해주는 지식인을 말한다. 유학자가 의학을 공부하게 된 결정적 계기는 중국 송대(宋代)의 과거제 실시와 관련이 있다. 송나라는 불교와 도교가 번성했던 이전의 당나라와는 달리 유교적 이념에 근거한 국가 건설을 목표로 했다.이를 위해 과거제를 실시하여 유교적 교양을 갖춘 인재를 선발하여국가를 운영하는 관료로 활용하였다. 그런데 과거로 선발할 수 인원은 소수에 그쳤으므로, 과거를 위해 유교적 교양을 쌓았던 많은지식인은 특별한 직업이 없이 지낼 수밖에 없었다. 이들 중 차선책으로 의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이 나타났다. 송대의 재상 범중엄(范仲淹,989–1052)의 유명한 말 “좋은 재상이 될 수 없으면 좋은 의사가되겠다”는 말은 이러한 배경에서 나왔다[6]. 중국에서도 의료인의 사회적 지위는 높지 않았기 때문에 학문적 소양을 갖춘 인재들이의업을 선택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과거제 시행이라는 사회적 변화와 함께 유교적 교양을 갖춘 지식인들이 대거 의학을 공부하기 시작했고, 그 덕분에 중국의학사에서 송대는 획기적 의학발전이 이루어진 시기로 기록되고 있다. 의술은 백성을 구제하는 지식과 기술이므로 유교적 이념을 사회적으로 펼치는 데 적합한 분야이다.

유교 국가였던 조선에서도 유학자가 의학을 공부하는 것은 특별한 일이 아니었다. ‘마과회통(麻科會通)’과 같은 홍역 전문 의서를직접 편찬했던 정약용이 대표적 유의일 것이다. 호학(好學)의 군주였던 정조도 할아버지 영조의 치료방법을 두고 내의원 의관들과 토론을 벌일 정도로 의학에 조예가 깊었고, 스스로 의서를 편찬하기도했던 유의였다. 그런데 유의는 오늘날의 관점에서 본다면 비직업적 의료행위자이자 무자격 의료행위자로 사회적인 비판의 대상이 될수 있으나, 의료에 대한 접근성이 좋지 않았던 조선사회에서는 오히려 유의의 활동이 장려되는 측면이 있었다[7]. 특히 효가 강조된조선의 유교사회에서 부모님의 건강을 보살펴드리기 위해 자식으로서 의학지식을 가지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었다.

비직업적인 유의의 시술은 영리나 의료에 대한 금전적 반대급부를 전제로 한 것이 아니었다. 그것은 지식인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의식에서 나온 의료활동으로 보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조선은 요즘처럼 전문적 의료인을 쉽게 접할 수 있을 정도로 의료인이 많은 사회가아니었다. 또 의료인은 사회적 지위가 높지 않았으므로 요즘처럼우수한 인재들이 몰리는 직업도 아니었다. 이처럼 사회가 필요로하는 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인력이 양과 질에서 턱없이 부족한조선사회에서 그 공백을 줄이는 데 기여한 것이 유의라고 할 수있다. 글을 아는 지식인이 유교적 교양만이 아니라 책을 통해 의학적지식까지 습득하여 의료적 혜택을 받지 못하는 주변 사람들에게도움을 주는 것은 지식인의 사회적 책임의식에서 나온 것이라 할수 있다.

유의의 의료활동을 오늘날의 관점에서 무자격자의 비전문적 의료시술이라고만 평가한다면 의사의 정체성 형성과 관련해 참고할내용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유의의 활동을 영리 목적이나 금전적 반대급부를 기대하지 않고 지식인의 사회적 책임의식에서유래하는 이타적 의료행위로 평가할 수 있다. 그렇게 본다면 현대사회의 대표적 전문직 지식인으로서 의사가 가져야 할 사회적 책임의식의 중요한 측면을 조선시대 유의를 통해서 재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근대적 의료인의 등장

일반적으로 한국사에서 근대적 의료인이란 1876년 개항 이후서양의학 교육을 받은 의료인을 말한다. 서양의학의 교육이라는 측면에서만 본다면 비록 결실을 맺지 못했으나 1886년부터 제중원에서는 학생을 선발하여 의학교육을 실시하였고, 에비슨은 1895년부터 의학교육을 시작하였다[8]. 그런데 근대적 의료인과 전근대적 의료인의 차이는 그들이 습득한 의학지식의 내용만이 아니라 제도적 차원에서 국가에 의한 공인과 의료행위에 대한 배타적 권리 부여가 핵심이다. 국가가 자격을 부여하는 사람만이 의료활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은 근대적 개념으로 전근대의 한국사회뿐 아니라 동아시아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개념이었다. 의료인에 대한 이러한 근대적 개념이우리 사회에 들어오고 자리를 잡은 것은 백여 년 남짓에 불과하다. 이러한 개념이 사회적으로 제도화된 것은 1900년에 공포된 ‘의사규칙(醫士規則)’을 통해서이다.

이 규칙은 한국의 역사상 최초로 의사의 정의를 법률적으로 규정하고 있다는 점에 큰 의미가 있다. 의사규칙의 제1조는 “醫士는 의술을 慣熟하여 天地運氣와 脈候診察과 內外景과 大小方과 藥品溫凉과鍼灸補瀉를 통달하여 對症投劑하는 자(제1조)로 규정한다. 내용적으로는 한의에 대한 것이다. 그러나 제2조에서는 의과대학과 약학과를 졸업하고 국가가 주관하는 시험에 합격한 사람을 의사로 규정하며, 그 외의 사람들이 의료행위를 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1조는당시 실제로 활동하고 있던 전통의료인을 지칭한 것이라면 제2조는아직 국내에서 배출되지는 않았으나 앞으로 배출될 미래의 의사를염두에 둔 조항이라 할 수 있다. 의사규칙에서 전통의료인과 근대의학을 공부한 의료인을 모두 같은 용어,  의사(醫士)로 지칭하고있는 것은 당시의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의사의 한자가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醫師’가 아니라 ‘醫士’임이 눈에 띈다. ‘醫士’가 아닌 ‘醫師’가 근대적 의료인을 지칭하는공식적인 용어로 쓰인 것은 일제강점기에 들어서이다. 1913년에총독부가 공포한 의사규칙(醫師規則)이 이를 공식화한 것이다. 그러나 의사(醫師)라는 용어가 일본에서 만든 용어는 아니다. 의사(醫師)는 고대 중국의 주나라와 당나라,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에 의료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직의 명칭으로 쓰였다(高麗史77, 百官志, 外職). 조선왕조실록에도 조선전기(태조성종) 7회의 사용례가 나타나고 있는데, 대개 중앙의 의료 관련 관직에 있는의원을 지칭할 때 쓰고 있다. 또 영, 정조 시대에도 2회의 사용례가있다. 한편, 醫士는 청나라 태의원에서 일하는 의관의 명칭이었다.우리나라에서는 특별히 관직명으로 사용된 적은 없다. 다만 왕조실록에서는 조선전기에 중앙의 의료 관련 관직에 있는 의원을 지칭하는 말로 醫師와 혼용되어 쓰였는데, 숙종 이후에는 醫士의 사용례가 없다. 1900년에 반포된 의사규칙에서 醫師를 쓰지 않고 醫士를쓴 것이 한국의 전통을 반영한 용어의 선택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으나[9], 고려나 조선에서도 醫師란 용어를 쓴 용례들이 있는 것으로보아 그렇게 보기는 어렵다.

명칭이야 어떠하든 중요한 것은 대한제국 이래 국가가 의료행위의 배타적 권리를 면허를 통해 의사에게 보장해주었다는 사실이다. 국가가 허가한 사람만이 의료행위를 할 수 있다는 것은 우리나라뿐아니라 동아시아 전통세계에서는 존재하지 않던 개념이었다. 면허제도를 통해 소수의 허가받은 사람만이 의료행위에 종사할 수 있게된 상황은 의사가 전문직으로 자리잡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그에 따라 의사의 사회적 지위를 높이는 데에도 크게 기여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조선시대의 의료인은 사회적 신분이 높지 않은 중인 계층이었다. 이는 과학기술을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는 사회적 분위기에서 유래했으며, 그에 따라 특정 기술분야 전문가의 사회적 지위가 유교적 교양을 갖춘 보편적 지식인보다 낮은 결과를 초래했던 것이다. 이러한 양상은 유교적 보편교양이 전문적 기술지식보다 사회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은 것에도 원인이 있지만, 의료행위에 진입장벽이 없다는 것, 다시 말해 누구나 의료행위를 할 수 있다는 사실도 중요한 원인이다.

조금 맥락은 다르지만 19세기 미국에서 의학교육기관이 난립하여, 사실상 누구나 원하기만 하면 의사가 될 수 있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플렉스너 보고서를 통해 이들 교육기관에 대한 냉정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이를 토대로 의학교육에 대한 질적 요구수준이 높아졌다[10]. 그에 따라 난립하던 부실한 의학교육기관들은 정리가 되고, 일정한 수준 이상의 충실한 의학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기관만이살아남았다. 이는 달리 말하면 의학교육을 받을 수 있는 진입장벽이높아졌으며, 따라서 배출되는 의사의 수도 제한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배타적 질 관리를 통해 의사들의 사회적 지위도 이전에 비해높아졌다는 것이 일반적 평가이다[11].

20세기 이후 한국사회에 도입된 의사면허제도는 근대적 의료제도 도입의 한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허락된 사람만이 의료행위를 할 수 있다는 것은 전통사회에서는존재하지 않던 관행이었다. 반면, 서양에서는 국가가 의료행위자에 대한 면허를 공식적으로 부여한 것은 19세기 근대국가의 성립 이후이지만, 그 이전에도 지방 권력에 의해서나 혹은 길드적 전통에따라 배타적 의료행위에 대한 허가의 오랜 역사가 있었다. 아울러의사는 의료시장에서 여러 관련 직종들과 경쟁을 하며 의료시장내에서 배타적 영역을 확보해 나갔다. 서구사회에서 의사직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이러한 역사적 경험은 의사직의 직업적정체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바탕이 되었다. 이러한 정체성은 오랜기간에 걸쳐 사회와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형성된 것으로, 거기에는 배타적 의료행위의 허가라는 특권에 상응하는 사회적 책임의식도 포함되어 있다.

이에 비해 한국사회의 의사는 의료행위의 배타적 허가라는 특권이 근대화의 과정에서 위로부터 갑자기 주어졌다. 다시 말해 법률에 의해 배타적 의료행위의 권리를 가진 의사라는 전문직이 새롭게창조된 것이다. 이는 이미 존재하던 사회적 관행을 법률로 공식화하는 과정이 아니라, 법률적 규정을 통해 과거에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사회적 관행을 만들어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서구사회에서 면허의사의 등장이 전자의 과정에 해당한다면, 한국사회에서 면허의사의 등장은 후자에 해당한다. 한국사회의 의사는 전문직으로서 스스로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역사적 경험의 부재 속에 등장했다. 물론 한국사회에 근대적 의사가 등장한 이후 100여 년간 쌓아온역사적 경험은 서구사회에 비해 일천하지만 중요한 자산이다. 지난100여 년간의 역사적 경험이 오늘날 한국사회에 존재하는 의사의정체성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난 역사적 경험에 대한비판적 성찰을 통해 한국사회가 요청하는 바람직한 의사의 모습을만들어가는 것이 오늘날 한국사회의 의사가 당면한 과제라 할 수있다.

결 론

의사는 현대사회의 대표적인 전문직이다. 전문직이란 달리 표현하면 진입장벽이 높은 직업을 말한다. 의사의 경우 장기간의 교육과수련, 그리고 면허와 같은 것들이 누구나 의료행위를 할 수 없게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주로 근대 이후 생겨난 이러한 외형적특성은 의사의 직업적 정체성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다른 한편 내용적으로 보았을 때 의사의 정체성에서 핵심을 이루는 것은 치료자로서의 정체성이다. 오늘날 한국사회의 의사는 [치료자]라는 보편적 정체성이 진입장벽이 높은 [전문직]이라는 특수한 역사적 정체성과 결합된 결과이다. 위에서 우리가 살펴본 바와 같이 치료자의보편적 정체성은 상이한 사회적  역사적 조건과 결합하여 다양한방식으로 나타난다. 과거 한국의 역사 속에서 치료자가 가졌던 여러가지 전근대적 면모들은 근대적 의료인의 출현과 함께 사라지는것은 아니다. 전근대사회에서 치료자가 가졌던 여러 정체성 가운데의사의 활동과 역할 속에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할 부분들도 있다고보인다.

오늘날 한국사회는 의사에 대해 높은 수준의 윤리의식을 요구한다. 이러한 요구는 의료라는 행위의 특성에서 유래하는 부분도 있지만, 전문직으로서 강한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구이기도 하다. 전문직의 직업윤리 함양은 단순히 당위적인 덕목의 부과, 이상적인 의사상의 제시, 혹은 현실성이 적은 인성교육의 강조 등으로 이루어지기어렵다. 투철한 직업윤리는 직업적 정체성에 대한 분명한 자각에서 유래한다. 의사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과 이에 대한 자각을 위해서는교육의 역할이 중요하며, 다양한 내용과 방법이 교육에 활용될 수있을 것이다. 다만 어떤 대상의 정체성은 역사적 경험의 과정 속에서형성된다는 점에서 의사직의 역사적 형성과정에 대한 내용이 교육의중요한 부분으로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In modern society, doctors ar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professionals—that is, doctors are members of an occupation with high barriers to entry. For doctors, long-term education, training, and licensing are factors that make it difficult to enter medical practice. These external characteristics, which have mainly arisen in the modern era, play an important part in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doctors. Nonetheless, the core of the doctor’s identity is the identity of the healer. In today’s Korean society, the universal identity of doctors as healers results from a combination of the special historical identity of professionals with high entry barriers. Korean society currently demands a high level of ethical awareness from doctors. These demands are partly derived from the nature of the practice of medical care, but they also reflect demands for strong social responsibility as professionals. It is difficult to cultivate professional ethics simply by imposing legitimate virtues, presenting an ideal model, or emphasizing moral education that is not fully realistic. A deep-rooted sense of professional ethics stems from a clear awareness of professional identity. Edu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and awareness of doctors’ professional identity, and various types of content and methods can be used in education. However, since the identity of an entity is formed through the process of historical experience, it is thought that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formation of doctors as a profession should be included as an important part of education.

 

Keywords: Confucian doctors, Healer, License, Professionals

 

 

의학교육에서 자신감-역량 정렬과 자기확신의 역할: 개념 리뷰(Med Educ, 2022)
Confidence-competence alignment and the role of self-confidence in medical education: A conceptual review
Michael Gottlieb1 | Teresa M. Chan2 | Fareen Zaver3 | Rachel Ellaway4 

1 | 소개
 1 |
INTRODUCTION

의심은 당신에게 동기를 부여할 수 있으니 두려워하지 마세요. 자신감과 의심은 양 끝에 있고, 당신은 둘 다 필요합니다. 그들은 서로 균형을 잡는다. –바바라 스트라이샌드
Doubt can motivate you, so don’t be afraid of it. Confidence and doubt are at two ends of the scale, and you need both. They balance each other out. –Barbra Streisand

지난 10년 동안 보건 직업 교육(HPE)에서 역량 기반 의료 교육에 대한 강조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시간 기반 교육 및 평가에서 관찰 가능한 역량으로 관심이 이동했음을 반영한다. 관찰된 행동에만 기반한 역량에 대한 접근법은 [잘못된 인식과 속성]을 놓칠 수 있다.1 학습자가 역량에 대해 공개하거나 행동할 충분한 확신이 있는 경우에만 명확해질 것이다. 간단히 말해서, 오직 역량에만 집중하는 것은 자신감의 중요한 차원을 무시합니다.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emphasis on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in the last decade.
1,2 T his reflects a shift of attention f rom t ime-based teaching and assessment to observable competence. Approaches to competence that are solely based on observed actions may miss aberrant perceptions and attributions,1 which will only become apparent if a learner is sufficiently confident to disclose or act on them.3 Simply put, focusing solely on competence neglects the important dimension of confidence.

자신감은 많은 것을 의미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정의는 '사람이나 사물을 신뢰하거나 의지하는 마음가짐; 어떤 사실이나 문제에 대해 자신하거나 확신하는 마음가짐'이다. 자신감은 행동과 인식을 바꿀 수 있습니다. 불행하게도, 기술에 대한 개인의 자기평가는 형편없고, 이것은 자신감과 역량의 공통적인 불일치를 반영한다. 자기조절이 성과 개선의 한 방법으로 제안되었지만, 여전히 개인의 자신감과 기술에 대한 확실한 이해에 달려 있다.7 자신감과 역량이 맞지 않을 때 문제가 생긴다. 예를 들어, 자신감이 부족한 의사는 필요할 때 결정을 내리는 것을 망설일 수 있는 반면, 자신감이 부족한 의사는 그들의 행동의 결과에 무모하거나 맹목적일 수 있다. 두 가지 상황 모두 환자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8,9 이와 비슷하게, 과소-자신감은 이미 알려진 정보에 과도한 시간을 소비할 수 있는 반면, 과다-자신감은 학습 기회를 놓치고 피드백에 대한 수용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안전한 임상 실천을 위해서는 훈련, 경험 및 임상 복잡성의 수준에 따라 적절한 수준의 자신감이 필요하다.
Confidence can mean many things, but a common definition is ‘the mental attitude of trusting in or relying on a person or thing; feeling sure or certain of a fact or issue’.
4 Confidence can change behaviours and perceptions.5 Unfortunately, individual self-assessment of skills is poor,6 which reflects a common mismatch between confidence and competence. Although self-regulation has been proposed as a way of improving performance, it is still contingent on a robust understanding of one's confidence and skills.7 When confidence and competence are out of sync, problems arise. For instance, a physician who is underconfident may still hesitate to make decisions when needed, whereas an overconfident physician may be reckless or blind to the consequences of their actions; either situation could lead to patient harm.8,9 Similarly, underconfidence may lead to spending excessive time on information already known, while overconfidence may lead to missed learning opportunities and decreased receptivity to feedback. Safe clinical practice requires an appropriate level of confidence based on the level of training, experience and clinical complexity.

자신감은 스트레스, 불확실성, 감정, 인지 부하 및 그룹 역학을 포함한 많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개별 차원이 어느 정도 주목을 받긴 했지만, 신뢰와 그것이 성과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구체적으로 본 사람은 거의 없다.
Confidence is influenced by many factors including stress,
10 uncertainty,11,12 emotion,13 cognitive load14 and group d ynamics.15 Although these individual dimensions have received some attention, few have specifically looked at confidence as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and how it relates to performance.

 

2 | 방법
2
|
METHODS


우리는 의학 교육뿐만 아니라 HPE 전반에 걸쳐 자신감과 역량에 대한 자신감의 교정을 탐구하기 위한 개념적 검토를 수행했다. 우리는 관심 있는 현상을 탐구하기 위해 문헌 검토와 이해관계자 협의를 이끌어내며 반복적인 발산 및 수렴 접근법(증거, 의견 및 이론의 차이점과 유사성을 탐구)을 채택했다. 
We undertook a conceptual review16 to explore confidence and the calibration of confidence against competence not just in medical education but across HPE. We employed an iterative divergent and convergent approach (exploring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evidence, opinion and theory), drawing on a literature review and a stakeholder consultation to explore our phenomena of interest.17,18 

2.1 | 팀
2.1
|
The team

연구팀은 응급의학 분야의 임상 교육자 3명과 박사과정 과학자 1명으로 구성됐으며 이들 모두 HPE 분야의 연구자로 확인됐다. 임상의에게는, 한 명의 저자가 그녀의 첫 몇 년간의 임상 실습에 있었고, 두 명은 그들의 학문적인 경력에 더 가까웠다. 한 교육자는 그녀의 지역 역량 위원회에 참여했고 거의 10년 동안 CBME에 몰두해 왔다. 우리의 박사 교육 과학자는 HPE 연구의 여러 영역에 광범위하게 익숙하며 임상의 교육자들이 반사성과 이론에 대한 참여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우리는 과정 전반에 걸쳐 핵심 현상에 대한 가정과 개념화를 선언하고 해제함으로써 반사적인 구성 요소를 연구에 내장했다.
The study team was composed of three clinician educators in the field of Emergency Medicine and one PhD scientist, all of whom also identify as researchers within the field of HPE. For the clinicians, one author was in her first few years of clinical practice and two were further along in their academic careers. One educator has participated in her local competence committee and has been immersed in CBME for nearly a decade. Our PhD education scientist is broadly familiar with multiple domains of HPE research and focused on helping the clinician educators maintain their reflexivity and engagement with theory. We built a reflexive component into the study through declaring and unpacking our assumptions and conceptualisations of our core phenomena throughout the process.

2.2 | 팀 토론
2.2
|
Team discussions

첫 번째 단계는 우리의 이론적 작업에 대한 민감한 개념으로 사용하기 위해 HPE 내부와 외부의 이론을 식별하기 위한 파일럿 문헌 검토를 포함했다. 반복적인 그룹 토론을 통해 확인된 용어에는 자기 효능감, 자가 평가, 직업적 정체성 형성, 쇤의 행동반영/행동반영25 개념 및 임포스터 증후군이 포함되었다. 이것은 우리의 초기 아이디어와 후속 문학 리뷰를 비계화 할 수 있게 해주었다. 다음으로, 우리는 협업 메모잉과 개념 쌓기를 사용하여 귀납적 추론과 연역적 추론을 번갈아 할 수 있는 일련의 대화식 토론에 참여했습니다. 우리의 목표는 명료성이 부족한 아이디어들을 질문하고 재구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아이디어화와 이론적 합성을 지원하는 것이었습니다. 

The first step involved a pilot literature review to identify theories from within and beyond HPE to use as sensitising concepts for our theoretical work.19 Terms identified through iterative group discussion included self-efficacy, 20 self-assessment, 7,21-23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24 Schön's concepts of reflection-in- action/ reflection-on- action25 and imposter syndrome.26 This enabled us to begin scaffolding our initial ideas and subsequent literature reviews. Next, we engaged in a series of interactive discussions that allowed us to alternate between inductive and deductive reasoning using collaborative memo-ing and concept-building. Our goal was to support ideation and theoretical synthesis, as well as question and reframe ideas which lacked clarity. 

2.3 | 문헌검토 및 작성
2.3
|
Literature review and writing

초기 개념화를 만든 후, 우리는 좀 더 심층적이고 표적화된 문헌 검토를 시작했다. 우리는 HPE 및 인접 도메인/분야(예: 심리학, 비즈니스, 비보건 전문직 교육)의 문헌을 활용하여 문제 공식과 새로 제안된 이론적 프레임워크에서 설명한 개념을 삼각측량하고 강화했다. 본 논문을 위해 검토한 개념의 전체 목록은 부록 S1에 포함되어 있다. 기사는 그룹 토론과 합의를 바탕으로 선정되었습니다. 그런 다음 기존 개요와 프레임워크를 텍스트와 그림으로 변환했습니다. 우리는 글의 흐름과 개념이 일치하고 반영될 수 있도록 논평, 토론, 편집을 통해 반복적인 수정에 참여했다. 우리는 식별된 주요 주제를 요약하기 위해 일반적인 공리를 만들었다.
After creating our initial conceptualisations, we began a more in-depth, targeted literature review. We utilised literature in the field of HPE and adjacent domains/fields (eg psychology, business, non-health professions education) to triangulate and augment the concepts that we described in our problem formulation and our new proposed theoretical frameworks. A full list of the concepts reviewed
for this paper is included in the Appendix S1. Articles were selected based upon group discussion and consensus. We then converted the existing outlines and frameworks to text and figures. We engaged in iterative revisions through comments, discussion and edits to ensure that the flow and concepts were congruent and reflective of the literature. We created general axioms to summarise the key themes identified.

2.4 | 이해관계자 협의
2.4
|
Stakeholder consultation

검토 범위 지정에 사용된 방법과 유사하게, 우리는 다음으로 전문가(예: HPE 분야의 과학자 및 학자)와 일선 개인(예: 임상의사 교육자, 동료 의사, 레지던트 의사 및 의대생)으로부터 잠정적 발견에 대한 조형적 피드백을 구했다. 기관, 국가, 전문성, 훈련 단계 등 다양성이 포함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이해관계자를 선정했습니다. 이해관계자들에게 연락하여 원고 초안을 제공했다. 8명의 개인이 광범위한 서면 의견과 선택적인 화상 상담을 통해 잠정적인 결과에 대한 의견을 제공했습니다. 주로 설명과 다른 연구와의 교차에 초점을 맞춘 이러한 의견을 바탕으로, 우리는 시사점을 논의하고 피드백을 반영하기 위해 섹션을 다시 작성했다. 이해관계자 피드백의 한 예는 분산 신뢰에 대한 논의를 가시적인 사례로 확장하는 것이었다.

Similar to methods used in scoping reviews, we next sought formative feedback on our provisional findings from experts (eg scientists and scholars in the field of HPE) and frontline individuals (eg clinician educators, fellow physicians, resident physicians and medical students).27-29 We intentionally selected the stakeholders to include diversity of institution, country, specialty and stage of training. Stakeholders were contacted and provided a draft of the manuscript. Eight individuals provided their reflections on our provisional findings via extensive written comments and optional video consultation. Based on these comments, which focused primarily on clarifications and intersections with other research,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rewrote sections to incorporate their feedback. One example of the stakeholder feedback was to expand the discussion of distributed confidence with a tangible example.

3 | 결과
3
|
RESULTS

3.1 | 현상으로서의 신뢰도
3.1
|
Confidence as a phenomenon

[확실성]은 주로 지식을 중심으로 구성된 인식론적 현상인 반면, [자신감]은 행동에 중점을 둔다. 무언가에 대해 확신하는 것은 [행동할 수 있는 자신감]을 만들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행동의 결과가 확신감을 강화한다면, 확신은 자신감을 시작하고 그것을 유지할 수 있다. 과학철학에서 [인식론적 자신감]은 [지식]과 [다른 조건에서 지식을 검증하는 능력]을 모두 반영한다. 인식론적 자신감은 (지식과 앎의 한계를 인식하는 온건한 덕목인) [인식론적 겸손]에 의해 조절되며, 그래야 한다. [인식론적 자신감]은 검증 가능한 확실성과 신뢰성을 반영해야 하지만, 자신감이 검증 가능성을 초과하면 오만이나 무모함으로 이어질 수 있다. 다른 때에는, 자신감이 검증 가능한 확신 아래로 떨어져 [소심함]이나 [불안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 자신감은 주관적이고 감정적이며 해석적입니다. 그것은 이성이나 논리에 끌릴 수도 있고 끌리지 않을 수도 있는 것에 대한 게슈탈트 감각이다.

While certainty is an epistemic phenomenon primarily constructed around knowledge, confidence centres on action. Being certain about something can create the confidence to act.30,31 Over time, if the outcomes of the action reinforce the sense of certainty, then certainty can initiate confidence and sustain it.32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epistemic confidence reflects both knowledge and the ability to verify that knowledge in different conditions.33 Epistemic confidence is (or should be) regulated by epistemic humility, a moderating virtue that recognises the limits of knowledge and knowing. Although epistemic confidence should reflect verifiable certainty and reliability, if confidence exceeds verifiability then it can lead to arrogance or recklessness. At other times, confidence may fall below verifiable certainty and lead to timidity or insecurity. Confidence is subjective, emotional and interpretive. It is a gestalt sense about something that may or may not draw on reason or logic.

자신감은 역동적입니다(그림 1). 그것은 다른 modifier에 반응하여 빠르게 변할 수 있는데, 그 수식어 중 일부는 자신감(예: 용기, 확신)을 증폭시킬 수 있는 반면 다른 modifier들은 그것을 완화시킬 수 있다(예: 의심, 겸손). 더욱이, 자신감 수준은 개인이 처한 특정 상황의 역학을 반영해야 한다. 일상적인 신뢰도의 작은 차이(예: 비상 상황에서의 해결 또는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상황에서의 주의)가 보장되는 반면, 신뢰의 상당한 초과나 부재(예: 명확성 앞에서의 소심함, 위험 앞에서의 무모함)는 피해야 한다. 
Confidence is dynamic (Figure 1). It can change rapidly in response to different modifiers, some of which can amplify confidence (eg, courage, conviction) while others moderate it (eg, doubt, humility). Moreover, the level of confidence should reflect the dynamics of the specific situation that an individual finds themselves in. Small variances in routine confidence are often warranted (eg, resolution in the face of an emergency or caution in the face of growing uncertainty),
11 whereas significant excesses or absences of confidence should be avoided (eg, timidity in the face of clarity, recklessness in the face of risk).6,26,34

공리: 자신감은 우리가 현실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 형성하며, 현실과 밀접하게 일치할 때 최적화됩니다.
AXIOM: Confidence can shape how we act in our reality and is optimised when it closely corresponds to reality
.

3.2 | 자신감
3.2
|
Self-confidence

우리는 모두 자신감을 표현합니다; 다른 사람들, 교육 및 보건 시스템, 그리고 광범위한 기술 및 사회 시스템에. 그러나 교육 문헌에 대한 자신감은 자기 효능감, 즉 '특정 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이라는 측면에서 더 자주 형성되어 왔다. 자기효능감은 종종 과제에 따라 다르지만,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자신감]의 축적은 개인의 전반적인 역량 감각을 형성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그들의 동기부여, 감정적 반응, 사고와 행동을 형성할 수 있다. 그동안 반두라 등이 '자기효능감'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지만, 우리는 그것이 사실상 자신감과 동의어라는 것을 발견했고, 일관성을 위해 후자를 사용했다. 자신감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개인이 감독 없이 주어진 일을 수행할 수 있는 책임이 얼마나 많은지에 달려있다. 우리에게 더 많은 선택권을 줄수록, 우리의 자신감은 더 중요하다. [더 개인주의적이고 모호함을 견뎌야 하는 맥락]은 [규칙 기반 또는 위계적 맥락]보다 더 많은 자신감을 요구할 수 있다. 따라서 자신감은 이러한 행동을 성공적으로 완수할 수 있는 능력뿐만 아니라 행동의 방향을 지시하는directing 것입니다.

We all express levels of confidence; in other people, in our educational and health systems and in our broader technical and societal systems. However, confidence in the educational literature has more often been framed in terms of self-efficacy, ‘the belief that one can successfully execute a specific activity’.35 While self-efficacy is often task-specific (ie one can be adept at one thing and inept at another), an accumulation of positive or negative confidences can shape an individual's overall sense of competence. It can also shape their motivation, emotional reactions, thinking and behaviours.5 While Bandura and others have used the term ‘self-efficacy’, we found that it was effectively synonymous with self-confidence, and we used the latter term for the sake of consistency. The degree to which self-confidence matters depends upon how much responsibility an individual is afforded to carry out a given task without supervision; the more options available to us, the more our self-confidence matters.5 Contexts that are more individualistic and tolerant of ambiguity may require more self-confidence than those that are more rule-based or hierarchical. Self-confidence is therefore about directing actions as well as the ability to complete these actions successfully.

자신감은 개인의 성격, 경험, 기대, 사회적 문화적 조건에 의해서도 형성된다. 개인의 이전 경험과 기준 자신감은 미래의 자신감을 알려주기 때문에 자신감이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방식으로 스스로 쌓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을 이끌거나 믿도록 문화화된enculturated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자신감을 가질 가능성이 높다. 낮은 사회적 지위에 있는 사람들은 (아무리 구성되어 있더라도) 자신감이 더 낮을 수 있으며, 특히 높은 사회적 지위에 있는 사람들(예: 교사 대 학습자, 전문가 대 비전문가)과 비교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젠더, 성별, 인종, 민족성, 장애 및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사회적 불평등에 의해 더욱 악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별 간 자신감의 비대칭은 동등한 능력에서도 설명되었다. 이러한 능력에서 내면화된 자신감은 편견, 고정관념, 역할, 노동의 분할 및 보상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지배적인 집단]에 속한 사람들은 종종 [덜 지배적인 집단]에 속한 사람들보다 더 큰 자신감을 갖게 된다.

Self-confidence is also shaped by an individual's character, experiences, expectations and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ing. An individual's prior experiences and baseline confidence can inform their future confidence, such that confidence can build upon itself in a positive or negative manner. For instance someone who has been enculturated to lead or believe in themselves is likely to have more self-confidence than someone who has not. Individuals of lower social standing (however constructed) may be conditioned or expected to have less confidence, particularly around and compared to those of higher social status (eg teachers vs learners, experts vs non-experts). 36 This phenomenon may be further exacerbated by social inequity around gender, sexuality, race, ethnicity, (dis)ability and socio-economic status. For example asymmetries of confidence between genders have been described even in light of equivalent abilities.37 I n t his c apacity, internalised self-confidence can be impacted by biases, stereotypes, roles, division of labour and rewards; those in more dominant groups are often afforded greater self-confidence than those in less dominant groups.

공리: 자신감은 직무에 특화되어 있지만 또한 개인의 자아 개념화, 주변 시스템 및 사회에 의해 불가분의 영향을 받습니다.
AXIOM: Self-confidence is task-specific but also inextricably influenced by the individual self-conceptualisation, the surrounding system and society
.

3.3 | 관계 신뢰도
3.3
|
Relational confidence

자신감은 학습자가 위치한 시스템뿐만 아니라 함께 일하는 개인들 간의 [관계 역학]을 반영할 수 있다. 팀 기반 환경에서는 여러 팀 구성원 간에 신뢰를 공유할 수 있으므로, [팀 구성원]은 개인 간 자신감 수준의 차이를 보완하거나 다른 팀 구성원의 기저 자신감 수준을 바꿔놓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더 젊은 주치의가 더 경험이 많은 간호사와 함께 일한다면 더 높은 자신감을 경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도 의사가 도움을 주지 않는다면 학습자는 더 낮은 자신감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주변 사람들에 대한 개인의 자신감은 또한 이러한 개인들이 계획하는 자신감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개인의 내적 자신감이 반영되지 않을 수 있는 ['예측된 신뢰']와 그룹 역학의 산물로서 자신감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반영하는 ['분산된 신뢰']를 고려해야 한다. 
Confidence can reflect the relational dynamics between individuals working together, as well as the system in which the learner is situated. In a team-based setting, confidence can be shared across multiple team members, allowing team members to compensate for differences in individual confidence levels or alter the baseline confidence among other team members. As an example, a more junior attending physician may experience increased confidence if they are working alongside a more experienced nurse. Similarly, a learner may experience more diminished confidence if their supervising physician is not supportive. A person's confidence in those around them may also be influenced by the confidence these individuals project. We should therefore consider ‘projected confidence’, which may not reflect an individual's internal confidence, and ‘distributed confidence’ that reflects how confidence changes as a product of the group dynamic.5,31

의료 지도자들(예: 의사, 교사)은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들이 그들을 따르도록 자연스럽게 설득하는 자신감을 투영하도록 기대되지만, 부하들은 비판으로부터 그들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그들의 실제 자신감을 평가절하 할 수 있다. 이는 일부 교육생들이 현재 [CBME 환경을 고부담으로 보는 관점]으로 인해 복합적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학습learning보다 성과performance를 중요시하는 인식이 반영되어 있다. 학습자는 학습 능력과 피드백을 받는 능력에 지장을 줄 수 있는 [과도한 자신감]은 피하면서, 적절한 수준의 자율성을 개발할 수 있는 [충분한 자신감]을 가져야 한다. 실제로, 자신감 부족을 감추기 위해 과도한 자신감을 보이는 학습자들은 역량의 위험뿐만 아니라 학습 기회를 더욱 제한하고 있을 수 있다. 

Medical leaders (eg attending physicians, teachers) are typically expected to project confidence which naturally convinces others to follow them, while subordinates may downplay their actual confidence to protect themselves from criticism.38,39 T his c an b e c ompounded by the high-stakes view of the current CBME environment taken by some trainees, reflected in a perceived emphasis on performance over learning.38,40 In this capacity, learners must have sufficient confidence to develop appropriate levels and forms of autonomy, while avoiding overconfidence that may interfere with their ability to learn and receive feedback. Indeed, learners who exhibit excessive confidence to mask a lack of self-confidence may be further limiting their learning opportunities as well as risking dyscompetence.41

마지막으로 자신감의 [관계적 특성]은 자신감을 형성하는 많은 상황적, 우발적 요소에 반영된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엄격한 위계구조와 제한된 지원을 받는 부적응maladaptive 시스템에 있다면, 학습자의 자신감은 더 도움이 되는 학습 환경에 있을 때보다 더 낮을 수 있다. 그림 2는 반복 분석을 기반으로 신뢰도에 기여하는 몇 가지 주요 내부 및 외부 구성요소를 강조한다. [불확실성]이 클수록 자신감은 일상적이거나 단순한 상황보다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문화와 환경과 같은 맥락적 요소들이 모든 상황에 필연적으로 스며들기 때문에 그림 2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자신감은 [행동-후-성찰과 행동-중-성찰]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데, 그 결과 빠르게 진행할 때와 속도를 늦춰야 할 때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최악의 경우 자신감이 현실과 완전히 괴리될 경우 소시오패스(sociopathy)를 반영할 수 있다.
Finally, the relational nature of confidence is reflected in the many contextual and contingent factors that can shape it. For example, if the learner is in a maladaptive system with a strict hierarchy and limited support, their confidence may be lower than if they were in a more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Figure 2 highlights some of the key internal and external components contributing to confidence based upon our iterative analyses. When there is greater uncertainty, confidence will tend to be lower than in routine or simple situations.
11,12 As stated before, the contextual factors such as culture and environment inevitably permeate all situations, and thus have not been included in Figure 2. Confidence is also influenced by reflecting-on- action and reflecting-in- action, 42 moderating when one might proceed with ease or should slow down.7,43 In the worst-case scenario, it can reflect sociopathy if confidence becomes fully dissociated from reality.


공리: 자신감은 많은 외부 요인과 상황의 맥락에 의해 형성됩니다.

AXIOM: Confidence is shaped by many external factors and the context of the situation
.

3.4 | 자신감 보정
3.4
|
Calibrating confidence

우리는 자신감이 당면한 상황을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개인의 자신감은 상황이 변함에 따라 변해야 한다. 우리는 또한 확실성certainty이 자신감에 대한 직접적인 아날로그는 아니지만, 자신감의 전구체precursor라고 제안했다. 일반적으로, 더 큰 확신을 가지게 되면, 자신감이 증가해야 한다. 그러나 자신감은 감정, 위계, 경험을 포함한 광범위한 외부 요인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자신이 처한 상황을 인지하고 해석하는 능력]은 [이러한 인식과 해석에 대해 행동하는 능력]과 직결된다. 이 단계가 중단되면 피드백 루프가 중단될 수 있습니다.
We have argued that confidence should reflect the circumstances on hand; an individual's confidence should change as their situation changes. We have also suggested that certainty is a precursor for, but not a direct analogue for confidence. Generally, with greater certainty, confidence should increase. However, confidence may be modified by a wide range of external factors including emotion, hierarchy and experience.44,45 The ability of an individual to perceive and interpret the situations they find themselves in is directly linked to their ability to act on these perceptions and interpretations. If any stage of this is interrupted, then the feedback loop can be disrupted.

자신감 수준은 다양한 심리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습니다. 자신감 평가를 위한 검증된 도구는 많지만, 특정 애플리케이션(예: 근골격계 검사, 학생 학습 기술)으로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사용된 새로운 자신감 평가 도구에 대한 적절한 타당성 증거를 확립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이 자신감 수준의 결과는 어느 정도 수준의 자신감이 특정 개인과 상황에 적합한지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비례성]과 [맥락화]는 비록 간접적이지만 CBME에서 자주 사용되는 위임 척도에 반영된다(예: CBME에서 자주 사용되는 위탁 척도에 대해 이야기하고, 설득하고, 만일의 경우를 대비해서 방에 있어야 하며, 거기에 있을 필요가 없다). 특정 도구와 별개로, 변화하는 상황에 대한 자신감을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은 위임을 확립하는 데 어느 정도의 확실성이 필요하다
Levels of confidence can be measured using different psychometric instruments.
46-48 While there are a number of validated tools for assessing confidence, they are often limited to specific applications (eg musculoskeletal examination, student learning skills).47,48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proper validity evidence for any new confidence assessment tools used. Importantly, the ramifications of this confidence level require an understanding of what levels of confidence are appropriate to the particular individual and situation. This proportionality and contextualisation is reflected, albeit tangentially, in the entrustment scales often used in CBME (eg had to do, had to talk them through, had to prompt them, needed to be in the room just in case, did not need to be there).49,50 Regardless of the exact tool, the ability to account for confidence in response to changing circumstances, need and degree of certainty is a necessary part of establishing entrustment.

앞에서 언급한 많은 도구들은 자신감의 자기평가에 의존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전혀 자신감이 없다'와 '매우 자신감 있다'와 같은 용어로 고정될 수 있는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자신감을 평가할 때, 우리는 [자신감self-confidence]과 [인지된 자신감]을 모두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는다. 전자의 관점에서 후자의 개념은 묘사된 자신감과 실제 신뢰도의 차이를 식별하고 적절한 경우 정렬을 유도하기 위해 고려될 수 있다(예: 과도한 자신감은 팀이 잘못된 정보에 의문을 갖지 않도록 이끈다). 인간이 자기 평가에 악명 높기로 악명 높은 것을 감안할 때, 적절한 수준의 자신감을 유지하는 것은 전적으로 개인에게 맡겨서는 해결하기 어려울 수 있다. 

Many of the aforementioned tools rely upon self-assessment of confidence. These are typically measured using Likert scales that can be anchored by terms such as ‘not at all confident’ and ‘very confident’. When assessing confidence, we believe it important to consider both self-confidence and perceived confidence. The latter concept may be considered in light of the former to identify differences in portrayed versus actual confidence and guide alignment when appropriate (eg the perception of overconfidence leading the team to avoid questioning incorrect information). Given that humans are notoriously bad at self-assessment, maintaining appropriate levels of confidence can be challenging if left entirely to the individual to resolve.21-23,51,52


자신감은 [독립적인 변수나 구성으로서 측정하기보다는] 역량과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HPE에 대한 자신감과 역량의 상호작용은 오랫동안 고려되어 왔으며, 개인은 자신감과 역량이 분리될 때 문제가 있다고 본다. 역량과 자신감은 독립적으로 평가하기 어렵지만, 비율로 더 추적하기 쉬울 수 있다. 이는 주어진 기술에 대한 역량 점수에 대한 자신감의 비율(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로 계산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교육자들은 자신감 앵커를 역량 앵커에 매핑하여 역량 단계를 통한 진행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이상적으로는 자신감이 역량에 부합되어야 하며, 능력 있는 사람일수록 자신감이 있어야 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그림 3, 표 1). 다만 CCR이 잘못 보정됐을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Rather than measuring confidence as an independent variable or construct, we can consider it as being linked to (but not as a surrogate for) competence. The interaction of confidence and competence in HPE has long been considered,53-58 and individuals are viewed to be problematic when confidence and competence are decoupled.37 While competence and confidence are hard to assess independently,21,56 they may be more trackable as a ratio. This may be calculated as the ratio of self-confidence (assessed using a Likert scale) to a competence score for a given skill. Alternatively, educators could map confidence anchors to competence anchors, such that they mirror the progression through stages of competency. Ideally, confidence should align with competence, such that the more competent a person is, the more confident they are and vice versa (Figure 3, Table 1). However, it is when the CCR is miscalibrated that problems can arise.6,26,34

 

CCR은 일반적으로 [자신감을 역량에 따라오는 것]으로 표현하며, 자신감은 행동적 성향이고, 역량이 더 중요하고 필수적인 구조라고 본다. 주장의 핵심은 이 둘이 정렬되고 비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들이 정렬하면 일이 예상대로 진행돼 자신감도 관심사로 후퇴한다. CCR이 과신이나 저신뢰로 표류할 때 우리는 균형을 다시 잡으려고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자신감이 역량의 중재자라고 제안합니다. 연습생은 기술적으로 유능할 수 있지만 자신감이 부족하다면 그러한 잠재적 역량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손상되어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공식이 제시된다.
The CCR is typically articulated such that confidence needs to follow competence, with the former being a behavioural disposition, while the latter is the more critical and essential construct. The argument is that they should be aligned and proportional. When they are aligned, things proceed as expected and confidence recedes as a concern. It is when the CCR drifts towards overconfidence or underconfidence that we seek to re-establish the balance. We, therefore, suggest that confidence is a mediator of competence. A trainee might be technically competent but if they lack confidence then their ability to use that potential competence is compromised, suggesting a general formula such as:



예를 들어, 과신하는 학습자(높은 CCR 값)는 잘못된 진단 계획을 과도하게 추구하고 잠재적인 인지 편향을 무시함으로써 역량이 낮아질 수 있다. 한편 학습자의 임포스터 증후군(즉, 낮은 CCR 값)은 정답을 억제하거나 적절한 계획에서 벗어나 자신을 재추측하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교육자와 전문가들은 독립적인 변수로서의 자신감보다는 CCR 구성에 더 집중해야 한다.
For example an overconfident learner (ie high CCR value) may manifest lower competence by over-aggressively pursuing an incorrect diagnostic plan and ignoring potential cognitive biases. Meanwhile, a learner's imposter syndrome (ie a low CCR value) may manifest with holding back on correct answers or second-guessing themselves out of an apt plan. Educators and professionals should therefore be more focused on the CCR construct than on confidence as an independent variable.

공리: 자신감은 역량과 함께 고려되어야 합니다.
AXIOM: Confidence must be considered in conjunction with competence
.

3.5 | CCR 및 CBME
3.5
|
CCR and CBME

CCR은 역동적이다(그림 4). 과도한 자신감과 과소한 자신감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목표다. 이상적인 CCR은 개인과 상황에 따라 약간 다를 수 있다. 개인 수준에서 일부 학습자는 약간 과하거나 자신감이 부족한 영역에서 탁월할 수 있으며, 이는 보다 균형 잡힌 팀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복잡한 의료 사례나 희귀 진단과 같은 일부 영역은 낮은 CCR을 필요로 할 수 있는 반면, 어떤 경우(예: 중요한 환자의 소생 유도, 새로운 리더십 위치)는 자신감을 표현하기 위해 더 높은 CCR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임상의사 역량에 대한 현재 관점은 능력의 여러 영역이 있으며 각 영역에 대해 초보자에서 마스터까지 해당하는 스펙트럼이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자신감은 각 영역에 대한 역량의 정도를 반영하도록 adapt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이상적인 CCR에서 멀어질수록 CCR의 중앙으로 진로를 되돌려야 할 필요성이 커진다.

The CCR is dynamic (Figure 4). The goal is to maintain a balance between overconfidence and underconfidence. The ideal CCR may vary slightly by person and situation. At the individual level, some learners may excel in areas of slight over-or under-confidence, and this may in fact be beneficial for creating a more balanced team. Moreover, some areas such as complex medical cases or rare diagnoses may require a lower CCR, while other scenarios (eg leading a resuscitation of a critical patient, assuming a new leadership position) may need a higher CCR to portray confidence. The current view of clinician competence suggests that there are multiple domains of ability and for each domain there is a corresponding spectrum from novice to master.59 Thus, confidence must be able to adapt to reflect the degree of competence for each domain. However, as one drifts farther from their ideal CCR, there is a greater need to revert course back towards the centre of their CCR.

따라서 우리는 학습자를 평가할 때 자신감은 역량과 함께 추적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측정은 지식 평가를 위한 시험 중 질문의 일부로, 그리고 시뮬레이션 사례 및 보다 포괄적인 학습자 평가 모델의 일부로써 실제 환자와의 만남에서 수집될 수 있다. 이는 CBME 내의 각 위탁 가능한 전문 활동(EPA)에 매핑되어 자신감과 역량이 각 구성요소에 대해 유사한 궤적을 따르도록 보장할 수 있다.
We therefore argue that confidence should be tracked alongside competence when assessing learners. These measurements could be gathered as part of the questions during examinations for knowledge assessment, as well as in simulation cases and real-life patient encounters as part of a more comprehensive learner assessment model. This could then be mapped to each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y (EPA) within CBME, ensuring that confidence and competence follow a similar trajectory for each component.

CCR의 deviation이 확인되면, 보다 균형 잡힌 CCR로 개인을 복귀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CCR의 교정 노력은 종종 역량 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교정 및 일상적인 교육에서 자신감도 다루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자신감이 주체감과 밀접하게 묶여 있다는 점에서 지식에만 집중하는 것 또한 부족할 것이다. 오히려 CCR의 균형을 재조정하는 작업이 그들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과신하는 학습자들이 [자신감이 과도한 부분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그들이 더 열심히 생각하고 편견을 버리고 주어진 주제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찾도록 도전하게 할 수 있다. 
When a deviation in CCR has been identified, efforts should be made to return the individual to a more balanced CCR. While remediation efforts are often focused on improving competence, we propose that confidence should be addressed in remediation as well as in day-to- day teaching. Given that self-confidence is intimately tied to one's sense of agency,
20,30,60 concentrating on knowledge alone will also be insufficient. Rather, working to rebalance their CCR could be more effective in addressing their difficulties. Alternatively, helping overconfident learners identify where their confidence may be excessive may challenge them to think harder, discard biases and seek out a deeper understanding of a given topic.61-65


따라서 과소한 자신감과 과도한 자신감은 모두 학습자가 자신감과 역량 피드백 루프를 개발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목표targeted 피드백과 코칭 노력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특정 사건 및 성과 데이터의 지원을 통해 학습자가 성공과 한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특히 자신감과 역량의 정도를 연결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5,26,68-71 표 2는 학습자의 CCR 재정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한다.

Both underconfidence and overconfidence may therefore benefit from targeted feedback and coaching efforts,5,66,67 with a goal of guiding learners to develop their own confidence-competence feedback loops. To that end, helping learners identify their successes and limitations with the support of specific incidences and performance data may be particularly valuable for linking confidence to their degree of competence.5,26,68-71 Table 2 sets out some strategies that could be employed to help realign learners’ CCR.

AXIOM: CCR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뀔 수 있다. CCR을 측정하고 학습자와 협력하여 CCR을 이상적인 비율로 재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XIOM: CCR is dynamic over time. It is important to measure CCR and work with learners to realign their CCR towards their ideal ratio
.

 

4 | 토론
4
|
DISCUSSION

본 논문에서, 우리는 HPE에서, 특히 CBME의 현재 컨텍스트 내에서 신뢰와 역량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In this paper, we have explored how confidence and competence are linked within HPE, specifically within the current context of CBME.

자신감과 역량의 관계는 [언어 행위 이론]과 [수행성performativity]의 개념의 맥락에서 볼 때 특히 흥미롭다. 예를 들어, 오스틴은 [말이 행동을 완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어떤 것을 선언함으로써, 그것은 실제로 특정한 경우에 행동을 구성할 수 있다(예를 들어, 환자를 입원시키거나 퇴원시키는 것을 선택한다). 이 개념은 버틀러에 의해 이와 관련된 권력과 정체성 형성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확장되었다. 이것에 비추어 볼 때, 자신감은 말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나중에 행동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CCR이 잘못 정렬되면 행위action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The concept of confidence and the relationship with competence is particularly interesting when viewed in the context of the speech act theory and the concept of performativity.72,73 For instance, Austin proposed that words could serve to consummate an action.72 By declaring something, it can actually constitute the action in certain cases (eg choosing to admit or discharge a patient). This concept was expanded upon by Butler to discuss the subsequent power and identity formation associated with this.73 When viewed in light of this, confidence influences speech, which can subsequently drive action. Therefore, when the CCR is misaligned, there can be a direct impact on action.

이는 신뢰와 CCR을 CBME에 대한 접근법에 반영해야 한다는 우리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CCR 교정에 대한 적절한 관심이 없다면 역량 개발은 관리되기 어려울 것이다. 우리는 CCR이 CBME 프레임워크 내에서 일상적으로 평가되고 추적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모의사례는 자신감과 역량에 대한 부수적인 평가로 수행될 수 있으며, 보다 표적화된 교정조치 전략을 안내할 수 있다. 피드백에는 역량만 고립해서 보기보다는 아닌 [자신감의 맥락에서 역량에 대한 논의]도 포함해어야 하며, CCR은 EPA에 통합되고 진급advancement 의사결정에 반영되어야 한다. 또한 CCR 불균형을 사용하여 '니어미스'를 식별하고 예측함으로써 나쁜 결과가 발생하기 전에 학습할 수 있는 순간을 식별할 수 있다. 정확하게 보정된 CCR은 학습자가 자신의 ZPD과 가장 잘 일치하도록 도와 성장률을 극대화할 수 있다. 
This reinforces our argument that confidence and the CCR need to be factored into our approach to CBME. Without adequate attention to CCR calibration,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 will likely be harder to manage. We propose that CCRs should be routinely assessed and tracked within the CBME framework. Simulated cases could be performed with concomitant assessments of confidence and competence, guiding more targeted remediation strategies. Feedback should include a discussion of competency in the context of confidence, as opposed to competency in isolation and CCRs should be incorporated into EPAs and factored into advancement decisions. Moreover, CCR imbalances could be used to identify and predict ‘near misses’, thereby identifying a teachable moment before a bad outcome occurs. An accurately calibrated CCR could also help a learner best align with their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to maximise their growth.
74

추가 연구는 자신감 측정을 위한 이상적인 도구를 개발하는 것, 및 자신감이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지 여부를 식별해야 한다(예: 시뮬레이션 사례, 절차, 실제 시나리오). 연구는 CBME 내의 CCR과 학습자와 환자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특정 CCR 임계값이 있는지 여부를 추가로 평가해야 한다. 이것은 어떤 CCR 수준이 개입이나 교정조치를 촉발해야 하는지를 알리는 데 사용될 수 있다. CBME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기존의 임상 역량 위원회는 '신뢰 및 역량 위원회'로 재구성되어 학습자의 기술 집합에 대한 자신감을 평가하고 위임 의사 결정과 연결할 수 있다. 이는 아마도 CCBMC(역량 및 자신감 기반 의학교육)일지도 모른다.

Further research needs to identify the ideal tools for measuring confidence and whether this varies by situation (eg simulated cases, procedures, real-life scenarios). Studies should further assess CCRs within CBME and whether there are specific CCR thresholds that may impact outcomes for learners, as well as for patients. This could be used to inform what CCR levels should trigger interventions or remediations. The traditional clinical competency committees that play a key role in CBME could be reframed as ‘confidence and competency committees’, assessing learners' confidence in their skill sets and linking them to entrustment decisions—perhaps as part of CCBME (competency and confidence-based medical education).

또한 자신감을 가르치고 다른 사람들이 그들의 자신감을 스스로 교정하도록 지도하는 가장 효과적인 접근법이 무엇인지 결정해야 한다. 여기에는 개인화된 코칭 및 시뮬레이션 기반 전략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자신감과 역량의 관계는 또한 우리의 학습자들 사이에 심리적 안전을 보장하고, 가짜 증후군과 이와 유사한 보증되지 않는 불안을 겪고 있는 사람들을 위한 완화 전략을 개발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Research should also determine what are the most effective approaches for teaching confidence and guiding others to self-calibrate their confidence. This could include personalised coaching and simulation-based strategi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idence and competence also emphasises the importance of ensuring psychological safety among our learners and developing mitigation strategies for those suffering from imposter syndrome and similar unwarranted anxieties.
26


또한, 수련 종료 후 이를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CPD)에 통합하는 방법을 평가해야 한다. 현재 피드백은 종종 덜 강력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임상 우수성 추구의 일환으로 개선이 필요한 영역을 식별하는 데 이상적인 영역을 제시한다. 향후의 노력은 훈련 후 신뢰도 보정을 위한 CPD 노력을 구축하고 지원하는 최선의 방법을 결정해야 한다. 여기에는 동료 관찰이나 레지던트 회의일 동안 환자 또는 외과 케이스의 공동 관리가 포함될 수 있다. 게다가, 전문 학회는 자격증 시험에 신뢰도 평가를 통합하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Additionally, studies should assess how to incorporate this into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CPD) after completion of training. As feedback is often less robust at this time,
75 it presents an ideal arena to identify areas for improvement as part of the continuous pursuit of clinical excellence. Future efforts should determine how best to build and support CPD efforts to calibrate confidence post-training. This could include peer observation or co-management of patients or surgical cases during resident conference days. Moreover, professional societies should consider incorporating confidence assessment into certification examinations.


마지막으로, 자신감과 역량의 관계적인 측면은 흥미로운 탐구 영역입니다. 트레이너와 훈련생 사이의 관계는 개인의 자신감과 겉으로 보이는 자신감에 대한 외부 인식 사이의 관계뿐만 아니라 더 완전하게 검토하는 데 중요할 것이다. 분산된 신뢰도를 이해하고 조직과 팀에 걸쳐 공유된 신뢰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면 보다 효과적이고 균형 잡힌 팀을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팀을 활용하여 구성원 간의 신뢰 보정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을 알 수 있습니다.

Finally, the relational aspects of confidence and competence are an exciting area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iners and trainees will be crucial to more fully examine,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an individual's self-confidence and external perceptions of their apparent confidence. Understanding distributed confidence and the interaction of shared confidence across organisations and teams could inform the creation of more effective and balanced teams, as well as how teams can be utilised to strengthen confidence calibration across members.

5 | 제한사항
5
|
LIMITATIONS

이 작품에는 몇 가지 한계가 있습니다. '과학의 상태' 논문으로서, 우리는 앞으로 이 연구의 영역에 직면하는 문제들을 추론적으로 탐색하고 반영하려고 노력해 왔다. 이 논문은 경험적으로 고려될 수 있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며, 이 시점에서 생겨나야 하는 과학적 연구를 대체하거나 대체하려고 하지 않는다. 또한 필드 내에서 잘 정의된 도메인을 조사하지 않기 때문에 체계적인 검토나 범위 지정 검토가 아니었습니다. 실제로 이러한 유형의 검토에 익숙한 사람들은 신흥 분야에서 이러한 유형의 지식 합성을 수행하는 것이 부적절하거나 시기상조라는 점에 주목한다
This work has several limitations. As a ‘state of the science’ paper, we have sought to deductively explore and reflect on issues that face this domain of research going forward. This paper is meant to highlight what might be considered empirically and does not seek to supplant or replace the scientific work that must spring forth from this juncture. Additionally, this was not a systematic or a scoping review, as we are not looking to examine a well-defined domain within a field. Indeed, those with the familiarity of these types of reviews would note that in an emerging field it would be either inappropriate or premature to conduct these types of knowledge syntheses.

우리의 리뷰는 다른 사람들이 우리가 제기한 문제들을 고려하고 향후 작업을 위한 방법을 제안하도록 영감을 주기 위한 것이다. 우리는 또한 우리의 현재 개념이 이전의 많은 담론, 이론 및 탐구 영역과 겹친다는 것을 완전히 인정한다. 이 경우 HPE 분야 내에서 다른 저명한 업무 기관과의 연계를 끌어내고 연역적 과정을 통해 해당 분야를 발전시켜 이전에 왔던 아이디어를 결합하고 재방문하는 새로운 방법을 추가하는 것이 우리의 의도였다. 마지막으로, 우리가 포용력을 가지기 위해 노력해왔지만, 우리의 이론적이고 개념적인 제품들은 그 분야 전문가들로부터 피드백을 받는 작가팀의 공동 구성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보건 분야와 그 너머에서 온 문헌에 대한 우리 자신의 인식에 의해 제한을 받는다.

Our review is meant to inspire others to consider the issues we have brought forth and suggest a way forward for further work. We also admit fully that our current concepts overlap with many preceding discourses, theories and areas of inquiry. It was our intention in this case to draw linkages to other prominent bodies of work within the field of HPE and advance the field through our deductive process, adding new ways to combine and revisit ideas that have come before. Finally, while we have tried to be inclusive, our theoretical and conceptual products are co-constructions of the authorship team with feedback from experts within the field. We are, therefore, limited by our own awareness of the literature from within the health professions and beyond.

6 | 결론
6
|
CONCLUSION

자신감은 개인에서 사회 전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수식어와 상황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구조이다. CBME는 현재 주로 자신감에 중점을 두고 역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자신감은 역량 평가의 필수 요소이며 CCR의 일부로 두 가지를 함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상적인 CCR에서 벗어나기 시작할 때 학습자가 어느 한 쪽에도 접근하지 않도록 이를 인식하고 개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향후 연구는 CCR을 평가하기 위한 전략, 신뢰도를 가르치고 자가 교정을 지도하기 위한 모범 사례 및 CBME, CPD 및 팀 간 CCR의 역할을 평가해야 한다.

Confidence is a construct that can be influenced by a variety of modifiers and circumstances, ranging from the individual to society at-large. CBME currently focuses primarily on competency with limited emphasis on confidence. However, confidence is an integral component of competency assessment and we believ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m both in conjunction as part of the CCR. As one begins to deviate from the ideal CCR, it is important to recognise this and intervene to guide the learner to avoid approaching either extreme. Future research should evaluate strategies for assessing CCR, best practices for teaching confidence and guiding self-calibration, and the role of CCR in CBME, CPD and among teams.

 


 

Med Educ. 2022 Jan;56(1):37-47.

 doi: 10.1111/medu.14592. Epub 2021 Jul 20.

Confidence-competence alignment and the role of self-confidence in medical education: A conceptual review

Affiliations

1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Rush University Medical Center, Chicago, IL, USA.

2Division of Emergency Medicine, Department of Medicine,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 Canada.

3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University of Calgary, Calgary, AB, Canada.

4Department of Community Health Sciences and Director of the Office of Health and Medical Education Scholarship, Cumming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gary, Calgary, AB, Canada.

PMID: 34176144

DOI: 10.1111/medu.14592

Abstract

Context: There have been significant advances in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with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While most of the efforts have focused on competency,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role of confidence as a factor in preparing for practice. This paper seeks to address this deficit by exploring the role of confidence and the calibration of confidence with regard to competence.

Methods: This paper presents a conceptual review of confidence and the calibration of confidence in different medical education contexts. Building from an initial literature review, the authors engaged in iterative discussions exploring divergent and convergent perspectives, which were then supplemented with targeted literature reviews. Finally, a stakeholder consultation was conducted to situate and validate the provisional findings.

Results: A series of axioms were developed to guide perceptions and responses to different states of confidence in health professionals: (a) confidence can shape how we act and is optimised when it closely corresponds to reality; (b) self-confidence is task-specific, but also inextricably influenced by the individual self-conceptualisation, the surrounding system and society; (c) confidence is shaped by many external factors and the context of the situation; (d) confidence must be considered in conjunction with competence and (e) the confidence-competence ratio (CCR) changes over time. It is important to track learners' CCRs and work with them to maintain balance.

Conclusion: Confidence is expressed in different ways and is shaped by a variety of modifiers. While CBME primarily focuses on competency, proportional confidence is an integral component in ensuring safe and professional practice. As such, it is important to consider both confidence and competence, as well as their relationship in CBME. The CCR can serve as a key construct in developing mindful and capable health professionals. Future research should evaluate strategies for assessing CCR, identify best practices for teaching confidence and guiding self-calibration of CCR and explore the role of CCR in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individuals and teams.

'나는 이 공간에 있을 가치가 없어요': 의과대학생에게 수치의 근원(Med Educ, 2020)

‘I'm unworthy of being in this space’: The origins of shame in medical students
William E. Bynum IV1 | Lara Varpio2 | Janaka Lagoo3 | Pim W. Teunissen4

 

 

1 | 소개
1 | INTRODUCTION


'인간 경험에 편재하는 마스터 감성master emotion'(P34)으로 불려온 수치심은 개인에게 파괴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자신에 대한 전 세계적인 부정적 평가로 인해 수치심은 상당한 고통을 야기할 수 있으며 회피, 숨기기, 방어, 자책감을 조장할 수 있습니다. 의학 교육의 수치심 경험에 대한 겸손한 연구는 졸업후 의학 교육에 초점을 맞추었고, 연구들은 전공의의 수치심이 다음을 포함한 부정적인 결과를 유발하는 '감정적 사건'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심리적 고통(예: 번아웃), 고립, 직무 성과 저하, 공감 장애, 전문적이지 못한 행동 및 학습으로부터의 이탈. 
Shame, which has been called 'a master emotion because of its ubiquity in human experience’(P34),1 can have devastating effects on individuals. Resulting from a global, negative evaluation of the self, shame can cause significant distress and promote avoidance, hiding, defensiveness and self-blame.2 The modest body of research on experiences of shame in medical education has focused on graduate medical education,3-6 with studies showing that shame in residents can be a ‘sentinel emotional event’6 that triggers negative outcomes, including psychological distress (eg, burnout), isolation, poor job performance, impaired empathy, unprofessional behaviour and disengagement from learning.5,6 

그러나 수치심 경험은 레지던트 훈련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의대생들은 학대, 학업 투쟁, 과도기 등 많은 수치심을 유발하기 때문에 수치심에 노출되기 쉽다. 더 나아가 의대생들은 계급의 최하위에 있기 때문에, 학생들은 수치심 반응을 유발하는 상황에 노출되거나, 수치심이 유발되는 자기평가를 겪을 가능성이 높다. 수치심과 관련된 부정적인 결과를 고려할 때, 의대생들이 이러한 감정을 어떻게 경험하는지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However, shame experiences are not confined to residency training; medical students are likely susceptible to shame because they are exposed to many of the same shame triggers, including mistreatment,7 academic struggle and transition periods.8,9 Furthermore, medical students' position at the lower end of the medical hierarchy may expose them to situations and predispose them to self-evaluative tendencies that lead to shame reactions.10,11 Given the negative outcomes with which shame is associated, it is essential that we understand how medical students experience this emotion. 

[교육적 안전]의 개념(심리적 안전이라는 용어에 기반한 표현으로써, 자신의 자기-이미지나 지위에 대한 부정적인 결과를 두려워하지 않고 업무에 참여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함)은 의대생들에게 수치심을 연구할 필요성을 더욱 강조합니다. Tsuei 등은 최근 '[교육적 안전]'을 다음과 같이 제안했다. 
The notion of educational safety12—a term built upon psychological safety, or the degree to which an individual can engage at work without fearing negative consequences to their self-image or status13—further underscores the need to study shame in medical students. Tsuei et al recently proposed ‘educational safety’ as: 


학습자가 자신의 투사된 이미지를 스스로 모니터링할 필요 없이, 학습 과제 참여에 진정하고 전적으로 집중할 수 있도록, 타인의 판단 의식에서 해방된 주관적 상태입니다.
The subjective state of feeling freed from a sense of judgment by others such that learners can authentically and wholeheartedly concentrate on engaging with a learning task without a perceived need to self-monitor their projected image.

 

쯔이 외 연구진 자료에 따르면 교육 안전

  • [다른 사람에게 역량을 발휘할 필요가 있다는 느낌]과 관련이 있다.
  • 학생들이 타인의 기대에 반하여against 지속적으로 자기평가 한다고 느끼는 정도에 영향을 받습니다.
  • 개인이 유능한 자기이미지를 보여줄 필요가 덜하다고 느낄 때 촉진됩니다.12

Tsuei et al's data suggest that educational safety

  • is related to the feeling of needing to display competency to others;
  • is affected by the degree to which students feel compelled to continuously self-assess against others' expectations; and
  • is facilitated when an individual feels less need to present a competent self-image.12

(개인 스스로가 부족하고 무능하며 가치가 없다고 판단할 때 발생하는) 수치심은 교육 안전의 구조와 밀접하게 반비례한다. 수치심은 이탈, 고립, 심리적 고통, 판단의 공포를 초래하기 때문에, 수치심을 느끼는 사람은 교육 안전 수준이 낮다고 인식하기 쉽다. 마찬가지로, 교육 안전 수준이 낮으면 수치심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그 결과 자기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인식된 판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낮은 교육 안전과 높은 수치심의 환경에서는 학습, 환자 관리 및 웰빙에 잠재적으로 심각한 다운스트림 효과가 뒤따를 수 있습니다.

Shame—which occurs when an individual assesses themselves to be deficient, incompetent and/or unworthy2—is intimately and inversely linked with the construct of educational safety. Due to its tendency to cause disengagement, isolation, psychological distress and fear of judgment,6 an individual experiencing shame is likely to perceive low levels of educational safety. Likewise, low levels of educational safety—which may negatively impact self-image and cause perceived judgment—are likely to increase the risk of shame.14 In settings of low educational safety and high amounts of shame, potentially profound downstream effects on learning, patient care and well-being may follow.12,14,15 

따라서, 교육적으로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고, 의료 훈련에서 안전한 환자 관리를 보장하고, 학습자의 참여와 웰빙을 촉진하기 위해, 우리는 수치스러운 경험과 이를 전파하는 힘에 적응해야 합니다. 그러나 의대생들이 수치심을 어떻게 경험하고 이러한 경험이 어떻게 발전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Thus, to facilitate educationally safe environments, ensure safe patient care in medical training and promote learner engagement and well-being, we must be attuned to the presence of shame experiences and the forces that propagate them.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how medical students experience shame and how these experiences develop. 


2 | 방법
2 | METHODS


2.1 | 헤르메네틱 현상학
2.1 | Hermeneutic phenomenology

해석적(헤르메네틱) 현상학은 어떤 현상을 묘사하고 그 근본적인 의미를 살아있는 경험의 맥락 안에서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질적인 방법론이다.16 헤르메네틱 현상학은 현상을 형성하는 '살아 있는 경험의 구조'를 통해 전달되는 현상의 의미에 대한 풍부한 설명을 만들어낸다. 
Hermeneutic phenomenology is a qualitative methodology aimed at describing a phenomenon and conveying its underlying meaning within the context of lived experience.16 Hermeneutic phenomenology produces a rich description of the meaning of a phenomenon, conveyed through the ‘structures of lived experience’ that shape the phenomenon.17

우리는 해석적 현상학을 연구에 사용했다. 왜냐하면

  • 해석적 현상학은 살아 있는 맥락에서 개인의 경험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 해석적 현상학은 인간 경험의 숨겨진 측면을 드러내는 능력이 있기 때문이다.
  • 해석적 현상학은 연구자들이 그 현상에 대해 살아 있는 경험을 분석 과정에 도입할 것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We used hermeneutic phenomenology in our research because of

  • its emphasis on individuals' experiences in their lived contexts;
  • its ability to reveal hidden aspects of human experience18; and
  • its requirement that researchers bring their own lived experience with the phenomenon into the analytic process.19

이러한 특징들은 우리의 조사에 중요한 이유는 수치심은 맥락적으로 영향을 받는 감정이기 때문이다. 수치심은 종종 깊이 간직되어 있고 공개적으로 공유되거나 쉽게 이해되지 않습니다. 게다가, 우리는 개인으로서 우리를 형성하고 우리가 이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동기부여하는 우리 자신의 수치스러운 경험들을 믿을 수 있게 분류할 수 없습니다.

These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to our investigation because shame is a contextually influenced emotion6 that is often deeply held and not openly shared nor easily understood. Furthermore, we cannot reliably bracket off our own shame experiences, which shape us as individuals and motivate us to engage in this program of research. 



2.2 | 참가자 모집
2.2 | Participant recruitment


우리는 미국의 한 사립 의과대학에서 16명의 자원봉사자를 모집했습니다.
We recruited 16 volunteer participants from a private medical school in the United States.

2.3 | 반사율
2.3 | Reflexivity


학술 가정의학과 의사인 WB가 인터뷰를 진행하며 연구 과정의 모든 측면을 주도했으며 의학 교육의 수치심을 조사하는 연구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그는 의대생, 레지던트, 주치의 및 배우자로 경험했던 자신의 수치심 경험을 연구에 가져왔습니다. 이는 의대생들의 데이터가 전공의 자신의 경험 및 데이터와 어떻게 일치하고 다른지에 대해 WB를 민감하게 만들었다. 이런 데이터는 모두 이 연구의 이론적 및 개념적 분석에 도움이 되었다.
WB, an academic family medicine physician, conducted the interviews, led all aspects of the research process, and has an active program of research investigating shame in medical education. Accordingly, he brought his own experiences of shame—experienced as a medical student, resident, attending physician and spouse—to the study. This sensitised WB to how the data from medical students aligned with and differed from his own experiences and data collected in residents,6 both of which informed this study's theoretical and conceptual analyses. 

JL은 가정의학과 레지던트이자 의대생으로서 수치스러운 경험을 통해 데이터 분석에 대한 관점과 기여도를 알게 되었습니다. PT는 산부인과 의사이자 의학 교육 분야의 연구자입니다. 그는 의대생, 레지던트, 주치의, 배우자로서의 수치스러운 경험을 이용했다. LV는 의학 교육 분야에서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박사 교육을 받은 자질 연구자입니다. LV는 임상의가 아니며 관리자로서 수치심을 경험하지 않았지만, 데이터에 대한 자신의 관점에 기여한 배우자, 부모, 친구 및 학자로서의 수치심을 여러 번 경험했습니다.

JL is a family medicine resident whose shame experiences as a resident and medical student informed her perspectives on, and contributions to, the data analysis. PT is a gynaecologist and researcher in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He drew on his shame experiences as a medical student, resident, attending physician and spouse. LV is a PhD-trained qualitative researcher with over 10 years of experience in the fiel d of medical education. LV is not a clinician and has not experienced shame as a care provider; however, she has experienced several shame experiences as a spouse, parent, friend and scholar that contributed to her perspectives on the data.


2.4 | 데이터 수집
2.4 | Data collection


우리는 각 참가자와 개별적으로 3부로 된 데이터 수집 프로세스를 수행했습니다. 2시간 동안의 단일 데이터 수집 세션에서, 참가자들은 먼저 성찰적 글쓰기(부록 S1)을 작성하도록 요청받았다. 그들은 심리학으로부터 수치심의 정의를 제공받았고 의과대학에서 수치심이 느껴질 때의 구체적인 경험에 대해 쓰라고 요청받았다.
We engaged in a three-part data collection process individually with each participant. In a single, 2-hour data collection session, participants were first asked to compose a written reflection ( Appendi x S1) . They were provi ded wi th a definition of shame from psychology and asked to write about a specific experience in medical school when they felt shame.

마지막으로, WB는 인터뷰 후 참가자가 정서적 고통의 존재 여부를 평가하고, 지지적 리소스(원하는 경우 당일 또는 일상적인 상담 포함)을 제공하고, 참가자의 연구에 대한 기여에 대한 통찰력과 감사를 제공하는 보고 기간을 통해 참가자를 이끌었다. 
Finally, after the interview, WB led the participant through a debriefing period during which he assessed for the presence of emotional distress, provided resources for support (which included same-day or routine counselling if desired) and provided insights about, and appreciation for, the participant's contributions to the study. 

2.5 | 데이터 분석
2.5 | Data analysis

이 과정에서 우리는 코딩 노트(데이터에 대한 이해의 진화를 위해 개발한 시각화 및 은유 포함)와 연구 회의록 작성을 통해 상세한 감사 추적을 유지했습니다. 우리는 해석적 방법을 고수했고 과거의 수치심 경험을 포함하여 데이터에 대한 우리의 반응을 공개적으로 논의함으로써 성찰성을 달성했습니다. 왜냐하면, 그녀의 해석적 철학자 마틴 하이데거에 따르면, 언어는 인간의 의식과 인식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22 우리는 참여자들이 수치심을 느낄 때 어떻게 자신을 묘사하는지, 그리고 그들이 이러한 감정을 설명할 때 사용한 은유 등을 포함하여, 우리는 참여자들이 사용하는 언어에 주의 깊게 주목했다. 첫 번째 연구에서 우리가 개발한 전문 지식과 이해력과 결합했을 때, 이 초점들은 데이터에 대한 효율적이고 깊은 몰입감을 촉진했습니다. 

Throughout this process, we maintained a detailed audit trail through coding notes (including visualisations and metaphors we developed to frame our evolving understandings of the data) and written minutes of research meetings. We adhered to the hermeneutic method and achieved reflexivity by openly discussing our reactions to the data, including our own past shame experiences. Because, according to hermeneutic philosopher Martin Heidegger, language shapes human consciousness and perception,22 we carefull y attended to the language used by participants, including how they described themselves when feeling shame and the metaphors they used to explain these feelings. When combined with the expertise and understanding we developed in the first study,6 these foci facilitated an efficient and deep immersion into the data. 

2.6 | 참가자 익명성 보호
2.6 | Protecting participant anonymity

참가자의 수치 경험의 독특한 특성은 독특한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어떻게 하면 참가자의 익명성을 보호하는 동시에 조사 결과에 대한 증거를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를 보고할 수 있을까요? 참가자의 독특한 이야기나 장황한 발췌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은 참가자를 알아볼 수 있게 하기 때문에 가능하지 않았다. 따라서 여러 참여자의 데이터에서 경험과 발췌한 내용을 통합하여 익명성을 유지하면서 수집된 데이터를 정확하게 보고하는 3가지 예시 내러티브를 구성하였습니다. 
The idiosyncratic nature of our participants' shame experiences posed a unique challenge: how could we report our data to provide evidence of our findings while simultaneously protecting the anonymity of our participants? Presenting participants' unique stories or lengthy, verbatim data excerpts was not possible because sharing those data would render participants recognisable. Therefore, we constructed three illustrative narratives within which we integrated experiences and excerpts from multiple participants' data, simultaneously preserving their anonymity and accurately reporting the collected data. 

원고를 완성한 후 참가자들에게 논문 최종 초안을 보내 익명을 지키면서 수치심 요소를 정확하고 진실하게 제시했는지를 물었다. 15명의 참가자가 만족스러운 익명화와 정확성을 확인했으며, 한 명은 우리가 채택한 사소한 제안을 요청했습니다. 

After completing the manuscript, we sent participants the final draft of the paper and asked if we had correctly and truthfully presented elements of their shame experiences while also protecting their anonymity. Fifteen participants confirmed satisfactory anonymisation and accuracy, and one requested a minor suggestion that we adopted. 

 

3 | 결과
3 | RESULTS


참가자들이 묘사한 부끄러움 경험은 개인과 환경 간의 동시적-다층적 상호작용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의 의미를 찾으면서 우리는 불fire의 은유를 통해 참가자들의 수치심을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불이 기질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과 같이, 수치심은 우리의 참가자들에게 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은 세계적으로 부정적인 자기 평가로 구성된 강렬하고, 음흉하며, 매우 골치아픈 수치 반응을 경험한다고 보고됩니다. 학생들은 자신을 '좋지 않다'(P10), '완전히 가치가 없다'(P12), '부적절한 의대생'(P15)이 '작다'(P8, P11), '멍청하다'(P6)고 말했다. 수치심의 감정적인 경험은 종종 압도적이었다.

The shame experiences described by participants consisted of simultaneous, multi-layered interactions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ir environment. In seeking the meaning of these interactions, we came to understand participants' shame experiences through the metaphor of fire. Like the potential impact of fire on a substrate, shame could profoundly affect our participants: most reported experiencing intense, insidious and/or deeply troublesome shame reactions that consisted of globally negative self-assessments. Students reported viewing themselves as ‘no good’ (P10), ‘completely worthless’ (P12), ‘an inadequate medical student’ (P15) feeling ‘small’ (P8, P11) and feeling ‘stupid’ (P6). The emotional experience of shame was often overwhelming:

이름 없는 이 부정적인 감정에 빠져드는 것 같았어요. (P15)
I felt like I was drowning in this negative emotion that I didn't have a name for. (P15)

 

3.1 | 수치심 트리거
3.1 | Shame triggers


수치심 트리거는 우리가 스파크에서 화재가 발생한다고 인식하는 것처럼, 수치심 반응을 촉발하는 구체적인 사건, 행동 또는 사건이었다. 즉, 참가자들은 이러한 사건의 발생과 동시에 수치심(전 세계적으로 결함이 있거나 부족하거나 가치가 없다는 느낌)이 발달했다고 보고하였다. 
Shame triggers, which we conceptualised as the sparks that initiated a fire, were the specific events, actions or incidents that precipitated shame reactions. In other words, participants reported that feelings of shame (ie, a sense of being globally flawed, deficient or unworthy) developed upon the occurrence of these events. 


참가자들이 보고한 수치심 유발은 주로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과 학습과 관련이 있었다.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과 관련된 수치심 트리거는 네 가지 범주로 나뉩니다. 

  • 감독의사의 학대(예: 경멸적 발언, 신체 수치심), 
  • 동료의 학대(예: 무시적 취급, 경멸적 논평), 
  • 자신에 대한 개인적인 것을 다른 사람에게 드러내는 것(예: 성적 정체성 드러내기, 감정 드러내기)과 
  • 환자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도전(예: 부담이 되는 느낌, 잘못된 환자에게 검사 수행)

Shame triggers reported by participants were primarily related to interactions with others and learning. Shame triggers related to interactions with others were broken into four categories:

  • supervisor mistreatment (eg, derogatory comments, body shaming),
  • peer mistreatment (eg, dismissive treatment, derogatory comments),
  • revealing something personal about one's self to others (eg, revealing sexual identity, showing emotion) and
  • challenging interactions with patients (eg, feeling like a burden, performing an examination on the wrong patient).


학습과 관련된 수치심 유발 요인은 두 범주로 나뉩니다. 

  • 학습 프로세스(예: 작업량을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 교정 중, 그룹 앞에서 고군분투하는 경우)와
  • 평가(낮은 USMLE 1단계 점수, 명예롭지 않은 임상 성적 획득, 부정적인 피드백 받기)

Shame triggers related to learning were broken into two categories:

  • struggle with learning processes (eg, inability to keep up with the workload, undergoing remediation, struggling in front of a group) and
  • assessment (low USMLE Step 1 score, earning non-honours clinical grades, receiving negative feedback). 

Table 2.



3.2 | 수치심 촉진자
3.2 | Shame promoters

우리가 화재 추진제로 개념화한 [수치심 촉진제]는 수치심 반응의 발생 위험을 높이거나 이미 촉발된 수치심 반응의 강도나 지속시간을 증폭시켰다.
Shame promoters, which we conceptualised as fire propellants, increased the risk of developing a shame reaction or amplified the intensity or duration of an already triggered shame reaction.

우리의 분석에 따르면 세 가지 유형의 수치심 유발자가 나왔다. 

  • 개인적 수치심 촉진자는 주로 개인과 연결되었고 과소 표현, 성과 기반 자존감, 완벽주의, 고정적 사고방식, 임포스터 증후군을 포함했습니다. 
  • 환경적 수치심 촉진자는 사람들은 주로 주변 환경과 관련이 있었고 심리적으로 안전하지 않은 환경, 기관의 기대, 의료 훈련의 혹독함을 포함했습니다.
  • 관계적 수치심 촉진자는 개인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였으며 타인과의 비교, 판단에 대한 두려움, 정체성 이동 및 소속감 저하를 포함하였다. 

Our analysis yielded three types of shame promoters.

  • Intrapersonal shame promoters were primarily connected to the individual and included underrepresentation, performance-based self-esteem, perfectionism, fixed mindsets and imposter syndrome.
  • Environmental shame promoters were primarily connected to the surroundings and included psychologically unsafe environments, institutional expectations and the rigours of medical training.
  • Interactive shame promoters arose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ir environment and included comparisons to others, fear of judgment, shifting identity and impaired belonging. 

Table 3.

3.3 | 수치심 유발과 촉진자가 수치심 반응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3.3 | How shame triggers and promoters interact in a shame reaction

수치심과 같은 복잡한 현상을 별개의 요소로 줄이는 것은 본질적으로 인위적인 과정이다. 참가자들의 생생한 경험 속에서 위의 요소들(예: 개인, 환경, 유발자 및 촉진자)은 복잡하고 혼합된 독특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하여 수치심을 유발합니다. 참가자들의 경험의 본질을 전달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들이 공유하는 구체적인 수치심 경험의 측면을 포함하는 세 가지 내러티브를 만들었습니다. 이러한 내러티브는 우리가 식별한 모든 수치심 유발자 또는 촉진자를 묘사하지 않습니다(표 1과 2) 대신, 수치심으로 이어지기 위해 특정 요소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Reducing a complex phenomenon like shame into discrete elements is an inherently artificial process. Within the lived experience of our participants, the elements above (eg, the individual, environment, triggers and promoters) interacted in a complex, amalgamised and unique fashion to lead to shame. To convey the essence of our participants' experiences, we created three illustrative narratives wherein we have included aspects of the specific shame experiences shared by our research participants. These narratives do not depict all of the shame triggers or promoters that we identified (Tables 1 and 2); instead, they illustrate how specific elements can interact to lead to shame. 

3.3.1 | 서술 #1: 과소표현, 임포스터 증후군 및 수치심
3.3.1 | Narrative #1: Underrepresentation, imposter syndrome, and shame

모니크의 수치스러운 경험은 학업 부진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Monique의 수치 경험의 기원은 수많은 개인적, 환경적, 상호작용적 요인(즉 수치심을 조장하는 요인)에 의해 채워집니다. 과소대표는 모니크의 수치심에 가장 큰 기여자이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이자 작은 주립대 출신의 1세대 대학생인 그녀의 배경은 의대에 입학할 만한 가치가 있다는 것을 증명해야 한다는 압박감을 증폭시켰다. underrepresented 배경을 가진 참가자도 비슷하게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Monique's shame experience is triggered by academic underperformance. However, the origins of Monique's shame experiences are fuelled by numerous intrapersonal, environmental and interactive factors (ie, shame promoters). Underrepresentation is a central contributor to Monique's shame. Her background as an African-American and first-generation college student from a small state university has ratcheted up the pressure to prove herself worthy of admission to medical school. A participant from an underrepresented background similarly recounted:

다수의 참가자들은 인종적/민족적 소수자, 퀴어적/레즈비언적, 트랜스젠더, 공립대학에서 학부 과정 이수하고, 낮은 사회경제적 계층 출신, 특정 지역에서 성장 등이 자신들의 수치심 경험에 기여하는 형태로 과소표현의 형태를 보고하였다. 
Multiple participants reported forms of underrepresentation as contributing to their shame experiences, including being a racial/ethnic minority, being queer/lesbian, being transgender, completing undergraduate studies at a public university, coming from a low socio-economic demographic and growing up in a certain region of the country. 

의대에 도착한 모니크는 자신보다 남들이 똑똑하다고 인식하는 환경을 접하게 되고 자신과 비슷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며 소속감과 자기 의구심, 자기 표현에 대한 거부감을 심화시킨다. 모니크의 수치심 반응은 1학기 내내 계속되는 추세인 1차 시험에서 평균보다 훨씬 낮은 점수를 받았을 때 불을 붙인다. 그녀의 수치심은 다른 학생들과 비교했을 때, 그리고 다른 참가자들에 의해 비슷하게 표현된, 덜 대표적인 학생이 되는 것의 무게로 인해 더욱 악화됩니다. 
Upon arriving to medical school, Monique encounters an environment in which she perceives others as smarter than her, and she struggles to find people with similar backgrounds to hers, deepening her questions of belonging, feelings of self-doubt and unwillingness to express herself. Monique's shame reaction ignites when she scores well below average on the first test, a trend that continues throughout the first semester. Her shame feelings are further inflamed by comparing to other students and the weight of being an underrepresented student, tendencies similarly articulated by other participants: 

모니크의 소속감을 더욱 악화시키고 수치심을 동반한 것은 의과대학 그녀가 기존에 소속되어있던 공동체와의 관계 상실과 지원 관계의 상실이었다. 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참가자는 자신의 삶의 여러 영역에 소속감이 손상되고 수치심이 스며드는 경향을 비슷하게 반영했다. 
Further exacerbating Monique's sense of impaired belonging and accompanying shame were the loss of supportive relationships and connection with the communities with which she was affiliated prior to medical school. An African-American participant similarly reflected on the tendency for impaired belonging and shame to seep into multiple areas of his life: 

요약하자면, 모니크의 수치심은 의과대학에 입학하여 평균 이하의 시험 성적을 기록함으로써 촉발triggered되었다. 그녀의 수치심은 과소표현, 임포스터 증후군, 기관의 기대, 의료 훈련의 엄격함, 소속감 손상, 타인과의 비교와 관련된 현상으로 인해 촉진promoted되었다.

In summary, Monique's shame was triggered by arriving to medical school and making a below-average test score. Her shame was promoted by phenomena related to underrepresentation, imposter syndrome, institutional expectations, the rigours of medical training, impaired belonging and comparisons to others.

3.3.2 | 서술 #2: 성과 기반 자존감, 고정적 사고방식, 객관적 평가 및 수치심
3.3.2 | Narrative #2: Performance-based self-esteem, fixed mindsets, objective assessment, and shame

USMLE 1단계 시험을 준비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면서 John의 수치심이 촉발되었습니다. 그의 수치심의 근원은 자긍심의 원천, [그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인상]과 [다른 학생들과의 비교]에 있다. 이것들은 모두 수치심 촉진자promoter이다. 존은 '똑똑하게 보이는 것'에 높은 가치를 두는데, 이는 수행능력-기반 자기존중감을 나타내며, 초기 교육 경험에서 기인하는 성향이다. 
John's shame is triggered by difficulty preparing for the USMLE Step 1 examination. The origins of his shame lie in his sources of selfworth, need to manage others' impressions of him and comparisons to other students—all shame promoters. The high value that John places on being seen as smart—and the degree to which his self-worth relies on feeling intelligent—indicates the presence of performance-based self-esteem, a tendency that some participants ascribed to early educational experiences: 

자존감을 유지하기 위해 존은 시험에서 계속 좋은 점수를 받아야 하고, [다른 사람들이 그에게 가지는 인상]을 관리해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낀다. 즉, 그들이 존을 똑똑하고 능력 있는 사람으로 보기를 바란다. 자신을 최고의 학생이라고 알게 하기 위해서, 그리고 이러한 이미지를 반 친구들에게 투영project하기 위해서, 존은 자주 자신을 다른사람과 비교하고, 다른사람을 능가해야 한다고 느낀다. 수많은 참가자들은 자존심을 강화하려는 것 때문에 비슷한 경쟁적 압박이 있었다고 보고했지만, [상대적 우월감을 느끼고자 하는 마음]이 수치심을 유발한다는 사실도 인정했습니다. 
To maintain his self-esteem, John feels pressure to continue scoring well on tests and to manage the impressions that others have of him, namely that they see him as clever and capable. To know himself as a top student, and to project this image to classmates, John feels compelled to frequently compare himself against and outperform them. Numerous participants reported similar competitive pressures stemming from a need to bolster self-worth, but they also acknowledged that the need to feel superior drove feelings of shame: 

John이 USMLE 1단계 준비과정에서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때, 이러한 수치심 촉진자promoters들은 각각 큰 수치심 반응을 일으킵니다. 존은 주변 사람들이 모두 여유 있게 준비하고 있다고 생각하며, 어려움을 겪는 자신의 모습이 어떤 모습으로 비춰질지 깊은 우려를 가지고 있다. USMLE 1단계 점수에 대한 학교의 기대와, 이 시험점수가 그의 미래 커리어 계획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는 점이 수치심을 증폭시킨다. 복수의 참가자들은 1단계에서 높은 점수를 얻어야 한다는 강한 압박감을 보였으며, 그 원인에는 자문 학장, 학생들의 이전 수업, 종종 공표되는 학교 평균 등이 있었다. 이로 인해 한 참가자는 Step 1 시험을 '당신이 임포스터가 될지 훌륭한 레지던트 지원자가 될지, 그것을 만들거나 무너뜨리는 것 위대한 이퀄라이져'이라고 표현했다(P14). 
When John encounters significant struggle preparing for USMLE Step 1, each of these shame promoters fuel a major shame reaction. John perceives that everyone around him is preparing with ease, and he has deep concerns over how he'll be viewed in the midst of his struggle. Amplifying his shame are the institution's expectations about USMLE Step 1 performance and the heavy influence the test has on his future career plans. Multiple participants reported intense pressure to achieve a high score on Step 1, the sources of which included advisory deans, prior classes of students and the oft-publicised school average. This caused one participant to describe the test as ‘the great equalizer [that] makes or breaks you as an imposter or a good residency applicant’ (P14). 

존은 또한 Step 1 시험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이 '나는 시험을 잘 볼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이것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스스로 할 수 있는 것은 없다는 숨겨진 진실을 드러낸다고 믿는다. 이러한 [고정 마음가짐]의 증거로는 '느린 프로세서'(P3), '절대 나아지지 않을 것'(P4)과 '[성공할] 배경 없음'(P10)과 같은 느낌을 재조명한 다른 참가자들에게서 나타났다. [고정 마음가짐]은 수치심 트리거(예: 낮은 성과)가 [본질적으로 변하지 않는 자신의 부족한 점] 때문이라는 믿음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John also believes that his struggle with Step 1 reveals a hidden truth: that he does not possess the ability to perform well on the test and that nothing he can do will change that. Evidence of this fixed mindset was present in other participants who recounted feeling like ‘a slow processor’ (P3), ‘never going to get better’ (P4) and ‘not having the background to [be successful]’ (P10). Fixed mindsets appeared to deepen the belief that a shame trigger (eg, low performance) was due to an inherent, unchangeable deficiency of the self: 

요약하자면, John의 수치심은 낮은 모의고사 점수와 USMLE 1단계 준비 과정에서의 어려움으로부터 비롯되었습니다. 그의 수치심은 성과에 기초한 자존감, 판단에 대한 두려움, 제도적 기대, 타인과의 비교, 고정된 사고방식과 관련된 현상들에 의해 촉진되었다.

To summarise, John's shame was triggered by his low practice scores and struggle to prepare for USMLE Step 1. His shame was promoted by phenomena related to performance-based self-esteem, fear of judgment, institutional expectations, comparisons to others and a fixed mindset.

3.3.3 | 서술 #3: 학대, 정체성 이동 및 수치심
3.3.3 | Narrative #3: Mistreatment, shifting identity, and shame

Peyton의 수치심은 상사의 학대(여러 참가자들이 보고한 수치심 유발)로 촉발되며 심리적으로 안전하지 않은 환경, 높은 개인적 성공 기대감 및 현재 로테이션에서 받는 평가의 고부담성 때문에 촉발됩니다. 사실 페이튼은 경쟁이 심한 레지던트 자리를 노리고 있고, 임상실습 첫 번째 해의 성적은 P/F로 판정되기 때문에, 임상 로테이션에서 Honor 이하의 성적을 받는 것은 사실상 실패Fail라고 믿고 있다. 
Peyton's shame is sparked by mistreatment from a supervisor—a shame trigger reported by multiple participants—and fuelled by a psychologically unsafe environment, high personal expectations of success and the high-stakes nature of assessment on her current rotation. In fact, because Peyton is seeking a competitive residency, and because the first year is pass/fail, she believes that anything less than honours on a clinical rotation is a failure.

게다가, 페이튼은 항상 좋은 사랑을 받았기 때문에, 그녀는 주변 사람들과 교류할 수 있는 그녀의 능력에 큰 자부심을 부여한다. 환자와의 관계를 희생하면서라도, 점수를 잘 받고, 레지던트에게 호감을 받고자 하는 이 강렬한 욕구는 페이튼이 지금의 자신을 바라보는 방식(즉, 자신의 교육과 성적에 지나치게 신경을 쓰는 방식)과 페이튼이 의대에 입학했을 때 자신을 바라보는 방식(즉, 환자를 모든 것보다 우선하려는 욕구) 사이에 긴장을 불러일으킨다. '환자를 위해 자신을 완전히 바꿔야 한다'(P9)는 말처럼, 참여자들은 페이튼과 비슷한 정체성 변화가 수치심 경험을 촉진했다고 이야기했다.

Further, because Peyton has always been well liked, she attaches a great deal of self-worth to her ability to interact with those around her. This intense desire to receive a good evaluation and be liked by the resident, which come at the expense of her relationships with patients, creates tension between the way Peyton views herself now (ie, as overly concerned with her own education and grades) and the way Peyton viewed herself upon entering medical school (ie, as desiring to prioritise the patient above all else). Multiple participants reported similar identity shifts as promoting their shame experiences, including one who felt that ‘you have to completely change yourself for someone else, for the better of the patient’ (P9). 

페이튼의 경험은 참가자가 보고한 수많은 수치심 유발 학대 중 하나로, 신체 수치심, 미세-공격성, '펌핑', 불필요하게 거친 커뮤니케이션, 지식 기반, 훈련 수준 또는 선택한 진로에 대한 비하 발언 등이 포함된다. 
Peyton's experience is one of numerous types of shame-catalysing mistreatment reported by participants, including body shaming, microaggressions, ‘pimping’,23 unnecessarily harsh communication and disparaging comments about knowledge base, level of training or chosen career path. 

참가자들은 또한 동료들로부터 수치심을 유발시키는 학대를 보고했으며, 이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취했다. 

  • 자신의 전공 선택 또는 학부 기관에 대한 경시. 
  • 직무 윤리에 대한 비판 
  • 시험에서 어려움을 겪은 후 지능에 대한 의심
  • 개인적 삶의 선택에 대한 비판(예: 개인적 관계)

Participants also reported shame-triggering mistreatment from peers, which took the form of

  • belittlement about their specialty choice or their undergraduate institution;
  • critiques of their work ethic;
  • questions about their intellect after struggling on a test; or
  • criticisms about personal life choices (eg, personal relationships). 

요약하자면, 페이튼의 수치심은 감독관의 학대mistreatment와 환자와의 단절로 촉발되었다. 그녀의 수치심은 심리적으로 안전하지 않은 환경, 소속감 손상, 완벽주의, 타인과의 비교, 정체성의 변화 등과 관련된 현상에 의해 촉진되었다. 
In summary, Peyton's shame was triggered by supervisor mistreatment and disconnection with patients. Her shame was promoted by phenomena related to a psychologically unsafe environment, impaired belonging, perfectionism, comparisons to others and a shifting identity. 

4 | 토론
4 | DISCUSSION


우리의 분석 과정을 통해 발전된 [불의 비유]는 참가자들의 수치심 반응의 기원의 복잡성과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이러한 은유를 통해 [의과대학의 경험]을 가연성combustible 물질로 개념화하고, 수치심이 발생하게 prime 되어 있다고 개념화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 많은 의대 학습자들에게 의대 환경을 탐색하는 것은 수치심을 경험할 수 있는 상당한 위험(필연적인 위험은 아님)을 야기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The metaphor of fire, developed throughout our analysis processes, helped us understand the complexity and meaning of the origins of participants' shame reactions. Through this metaphor, we came to conceptualise the medical school experience as being combustible and primed for the development of shame. In other words, for many medical learners, navigating the medical school environment appears to incur substantial—but not inevitable—risk of experiencing shame. 

우리의 자료는 이러한 위험과 의대생들의 수치심 발달에 [환경적 요인]이 기여한다는 것을 강하게 시사하고 있습니다. 학대mistreatment는 강력하고 (학생과 전공의에게) 공통적인 수치심 트리거로서, 환경적 요인 중 하나입니다. 참가자가 보고한 괴롭힘, 체면치레, 핌핑, 모욕적 처우, 그리고 학문적 투쟁에 대한 지나치게 가혹한 반응은 유감스럽게도 의학 교육에서 흔하며, 학습 환경에서 불필요하게 수치심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강조하는, 현재 상당히 과소평가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이러한 mistreatment가 의학 학습자에게 미칠 수 있는 엄청난 감정적 영향입니다. 실제로, 많은 참여자들은 때로는 다른 사람들을로부터, 교육학적 전략(예: 핌핑)을 가장하여, [상당한 권력이나 영향력을 가진 감독관]들의 손에 의해, 학대당하는 심대하고 장기간 지속된 수치심을 경험했습니다. 

Our data strongly suggest that factors from the environment contribute to this risk and the development of medical students' shame. Mistreatment, a potent and common shame trigger in both our participants and residents,4-6 is one such environmental factor. The harassment, body shaming, pimping, derogatory treatment and overly harsh responses to academic struggle that our participants reported are unfortunately common in medical education24,34,35 and appear to unnecessarily increase the risk of shame in the learning environment. What our study emphasises—and what we believe is significantly underrecognised—is the overwhelming emotional impact this treatment can have on medical learners. Indeed, many of our participants experienced significant and prolonged shame upon being mistreated by others, sometimes under the guise of pedagogical strategy (eg, pimping) and often at the hands of supervisors with significant power or influence over them. 

의대생들의 수치심은 단순히 환경의 특성 이상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수많은 참가자들이 의학을 배우는 과정에서 정상적이고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사건(답을 틀리거나, 여러 사람 앞에서 struggle하거나, 부정적 피드백 을 받는 것 등)으로 촉발된 수치심 반응을 보고했습니다. 이러한 사건들이 수치심을 유발하는 경향은 고정된 사고방식의 존재와 성과에 기초한 자존감 같은 [개인적 특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였다. 지적 능력은 고정되어 있고 바꿀 수 없다는 믿음으로 정의되는 고정(즉, 실체적entity) 마음가짐은 수치심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였으며(예: '나는 결코 충분히 똑똑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나는 멍청하다'), 수치심 반응은 고정 마음가짐(예: '나는 멍청하다; 그러므로 결코 똑똑하지 않을 것이다')을 고착시키는 것으로 보였다. 
Shame in medical students appears to be influenced by more than just the nature of the environment. In our study, numerous participants reported shame reactions triggered by events considered normal and expected in the course of learning medicine, such as being wrong, struggling in public and receiving negative feedback. The tendency for these events to cause shame appeared to be influenced by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presence of fixed mindsets and performance-based self-esteem. Fixed (ie, entity) mindsets, defined as the belief that intellectual ability is fixed and unchangeable,36 appeared to increase the risk of shame (eg, ‘I'll never be smart enough do this; therefore, I'm stupid’), and shame reactions appeared to entrench fixed mindsets (eg, ‘I'm stupid; therefore, I'll never be smart enough to do this’).

많은 참가자들에게, [고정 마음가짐]의 존재는 정상적인 학습의 어려움을 자신에 대한 전체적인 무가치함이나 약점(수치심)의 증거로 변화시켰다. (개인의 자긍심이 성취감과 수행능력 인식 수준에 따라 좌우되는 자긍심의 한 유형으로 정의되는 )[수행능력-기반 자존감]도 연구에서 정상적인 학습 사건과 관련된 수치심을 증폭시켰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관찰, 평가 및 수행능력 사이의 경계가 모호해지면 불안, 임포스터리즘, 자기-의심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27, 39 우리의 데이터는 이러한 발견을 반복하며 수치심을 목록에 추가할 것을 시사합니다. 

For many participants, the presence of a fixed mindset turned a normal learning struggle into proof of global unworthiness or deficiency (ie, shame). Performance-based self-esteem, defined as a type of self-esteem in which an individual's self-worth is contingent upon their sense of accomplishment and perceived level of performance,37, 38 also amplified shame related to normal learning events in our study. Research has shown that the blurred lines between observation, assessment and performance can drive anxiety, imposterism and self-doubt.27, 39 Our data reiterate these findings and suggest that shame be added to the list. 


이론적으로 수치심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수행능력-기반 자존감]과 [고정 마음가짐]과 같은 특성은 [수정가능]하다 (아래 참조). 다만, 참가자가 수치심에 기여했다고 보고한 인종/인종, 성적 성향, 성 정체성, 종교적 신념, 고향, 학문적 혈통 등 [수정불가능]한 요인도 확인하였습니다. 중요한 것은 참가자들의 수치심을 자극한 것은 단순히 이러한 인구통계적 요인의 존재가 아니었다. 오히려, 이러한 인구통계학적 요인들이 (잘 표현되지 않는)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수치심이 유발되고 지속되었다. 우리의 underrepresent background을 가진 많은 참가자들에게, 면접 날이나 수업 첫날에 의과대학에 들어가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수치심과 소속감에 대한 질문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일단 입학한 후에도, 자기-가치를 보호해주는 원천의 상실(예: 소셜 네트워크, 취미 및 가정과의 근접성), [새로운 문화 규범에 동화되어야 한다는 압박], 의대에 입학할 만큼의 [가치가 있음를 입증해야 한다는 압박]은 기존의 수치심을 증폭시키거나 새롭게 촉발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다. 
Characteristics such as performance-based self-esteem and fixed mindsets can theoretically be modified to reduce the risk of shame (see below). However, we also identified non-modifiable factors that participants reported as contributing to their shame, including race/ethnicity, sexual orientation, gender identity, religious beliefs, hometown and academic pedigree. Importantly, it was not simply the presence of these demographic factors that precipitated  participants' shame. Rather, their shame was often triggered and sustained through interactions with an environment in which these demographic factors were underrepresented. For many of our participants from underrepresented backgrounds, simply walking into medical school on interview day or the first day of classes precipitated significant shame feelings and questions of belonging. Once enrolled, loss of protective sources of self-worth (eg, social networks, hobbies and proximity to home), pressure to assimilate to new cultural norms and the need to prove one's worthiness to be in medical school amplified existing shame or helped to trigger it anew. 

마지막으로, 우리는 [표준화된 시험]과 [비표준화된 시험]을 모두 포함하여 [평가]가 참가자들의 수치심 경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객관적 평가가 동료와의 비교를 위한 명확한 측정 척도를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참가자는 객관적 수행능력의 실수를 스스로의 무가치함, 소속성 결여, 임포스터 증후군에 대한 결정적인 증거로 해석했다. 객관적 평가는 전공의에 대한 최근 연구에서 간헐적인 수치심 유발 요인이었지만, 객관적 평가에서 주관적 평가로의 전환(상대적 측정 막대 부족으로 정의됨)은 특히 객관적 지표 대신 지나치게 가혹한 자기 평가에 의존할 때 전공의의 수치심에 더 큰 기여를 했다.6 따라서 의대에서 자긍심을 평가하기 위해 객관적인 수행방안에 의존하는 것은 자긍심이 성과에 좌우되지만 객관적인 조치는 사라졌을 때 레지던트에서 정서적 고통을 선사할 수 있다. 
Finally, we found that assessment—including both standardised and non-standardised testing—exerted substantial influence on our participants' shame experiences. Not only did objective assessment provide a clear measuring stick for peer-to-peer comparisons, but numerous participants interpreted lapses in objective performance as definitive proof of their perceived unworthiness, lack of belonging and imposter syndrome. While objective assessment was an infrequent shame trigger in the recent study on residents, the transition from objective to subjective assessment—defined by the relative lack of a measuring stick—was the greater contributor to resident shame, especially when they relied on overly harsh self-assessments in the place of objective markers.6 It is thus possible that relying on objective performance measures to assess self-worth in medical school presages emotional distress in residency when self-worth remains contingent on performance but objective measures disappear. 

4.1 | 의과대학에서 수치심의 위험 해결 및 완화
4.1 | Addressing and mitigating the risk of shame in medical school


수치심의 위험을 줄이고, 수치심을 느끼는 학생들을 지원하고, 교육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우리는 제안합니다.

  • (a) [진정한 포용성]을 보장하고, 우리의 학습 환경에서 [진정한 자기 표현]을 촉진한다.
  • (b) [성장 마인드셋]을 촉진하고 성과가 아닌 [리허설]을 장려한다.
  • (c) 우리 기관의 [학대 및 의도적인 수치심 주기shaming를 제거]하는 것.

To dampen the risk of shame, support students experiencing shame and enhance educational safety, we suggest

  • (a) ensuring true inclusivity and promoting authentic self-expression in our learning environments,
  • (b) facilitating growth mindsets and encouraging rehearsal, not performance, in our students and
  • (c) eliminating mistreatment and intentional shaming in our institutions. 


underrepresentation이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점점 더 다양한 학생들을 의과대학에 모집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아직) 진정한 소속감, 포용감, 진정한 자기표현을 촉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지 못하고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수치심의 위험을 줄이고 수치심의 회복력을 높이기 위해, 특히 URM의 학생들을 위해, 우리는 [자기표현]과 [개인적 정체성 형성]을 전문적 표준의 내면화(즉, 직업적 정체성 형성)와 같은 중요도로 높여야 합니다. 
Given our finding that underrepresentation can promote shame, we believe, like others,40 that despite efforts to recruit increasingly diverse students into medical school, we may be failing to create environments that promote true belonging, inclusion and authentic self-expression. To reduce the risk of shame and promote shame resilience, particularly for students from underrepresented backgrounds, we should elevate self-expression and personal identity formation to the same level of importance that we ascribe to the internalisation of professional standards (i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41 

[개인 정체성 형성]을 육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이니셔티브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학생들이 학습 환경 내에서 문화적, 개인적 정체성의 측면을 실제로 표현하고 통합할 수 있는 배출구 제공.
  • 학생들이 자신의 정서적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안전하고 지지적인 공간을 만듭니다. 
  • 학습 환경을 최적화하고 [microaggression 및 공공연한 인종차별]과 같은 수치심 유발에 직면한 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한 암묵적 편견, allyship, 반인종주의에 대한 교수 훈련
  • 부족한 학생들의 경험을 공감하고 지원할 수 있는 멘토의 존재를 보장합니다. 

Specific initiatives to nurture personal identity formation could include

  • providing outlets for students to authentically express and integrate aspects of their cultural and personal identities within the learning environment;
  • creating safe, supportive spaces for students to share their emotional experiences;
  • faculty training on implicit bias,42 allyship43 and anti-racism44 to optimise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support students confronted with shame triggers such as microaggressions and overt racism; and
  • ensuring the presence of mentors who can relate to and support the experiences of underrepresented students.45

이러한 노력이 underrepresented 학생들에게 집중될 수 있지만, 기관의 모든 구성원들에게까지 확대되어야 한다.
While these efforts may focus on underrepresented students, they should extend to all members of the institution. 

[성장 마음가짐] 구축과 [학습을 (성과가 아닌) 리허설rehearsal로 재구성하는 것]은 학업적 어려움으로 인한 수치심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두 가지 전략이다. 연구에 따르면 적어도 일시적으로만이라도 자신의 고유 역량에 대한 개인의 사고방식이 바뀔 수 있다.36 교육자는 아래 활동을 통해 성장 마음가짐을 촉진할 수 있다.

  • 현실적인 기대치를 유지하고,
  • 학업적 고군분투를 성장 기회로 재구성하고,
  • 학습 환경에서 심리적 안전성을 확립하고, 
  • 근본적인 수치심을 탐색하고 해소하는 것.

Establishing growth mindsets36 and reframing learning as rehearsal, not performance, are two strategies to reduce the risk of shame in the midst of expected academic struggle. Research indicates that individuals' mindsets about their inherent capabilities can be changed, at least temporarily.36 Educators can facilitate growth mindsets by helping learners

  • maintain realistic expectations,
  • reframing academic struggle as a growth opportunity,
  • establishing psychological safety in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 identifying and addressing underlying shame.

또한 학습자에게 수행perform이 아닌 리허설을 권장함으로써 탐색, 투쟁, 실패를 허용하고, 동시에 이러한 어려움에 내재된 학습 가치를 강조합니다. 

Furthermore, by encouraging learners to rehearse—rather than perform—we grant them permission to explore, struggle and fail, simultaneously emphasising the learning value inherent in this struggle. 


의학교육의 공동 목표가 [역량있고, 참여적이며, 공감적이고, 회복탄력적인] 의사를 배출하는 것이라고 가정할 때, 우리 교육 시스템에서 수치심을 유발하는 학대(특히 의도적으로 부과된 학대)는 설 자리가 없으며, 반드시 제거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의 근절을 복잡하게 만드는 것은 우리가 확인한 많은 [수치심 유발자와 촉진자]가 어느정도 의학과 의학교육의 문화에 내재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학대, 가혹한 교육방법, 포괄성 결여, 높은 수준의 경쟁, 성과에 대한 과도한 의존, 완벽주의, 개인 정체성 형성에 대한 낮은 강조 등이 그것이다. 수치심 치료를 없애기 위한 노력과 함께 의학에서 수치심 문화가 존재할 가능성을 고려하고 탐구해야 한다.

Assuming that our shared goal in medical education is to produce competent, engaged, empathic and resilient physicians, shame-inducing mistreatment—especially that levied intentionally—has no place in our education system and must be eliminated. Complicating the eradication of these behaviours, however, is the degree to which many of the shame triggers and promoters we identified may be embedded in the culture of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including mistreatment, harsh teaching tactics, lack of inclusivity, high levels of competition, excessive reliance on objective measures of performance, perfectionism and low emphasis on personal identity formation. Alongside efforts to eliminate treatment intended to shame, we should consider and explore the potential existence of a shame culture in medicine. 


4.2 | 한계
4.2 | Limitations



5 | 결론
5 | CONCLUSION


사실, 그것은 정상적인 인간의 감정이기 때문에, 수치심의 위험을 완전히 없애는 것이 우리의 목표가 되어서는 안 되며, 그렇게 할 수도 없습니다. 대신 우리는 이러한 위험의 원인을 식별하고 불필요한 위험 요소를 제거하며 학습자가 남아 있는 위험 요소에 완전하고 확실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In fact, because it is a normal human emotion, complete elimination of the risk of shame should not—and likely cannot—be our goal. We should instead strive to identify the sources of this risk, eliminate those that are unnecessary and support learners in fully and authentically engaging with those that remain. 



12. Tsuei SH, Lee D, Ho C, Regehr G, Nimmon L. Exploring the construct of psychological safety in medical education. Acad Med. 2019;94(11S):S28-S35.

 

 


Med Educ. 2021 Feb;55(2):185-197.

 doi: 10.1111/medu.14354. Epub 2020 Sep 13.

'I'm unworthy of being in this space': The origins of shame in medical students

William E Bynum 4th 1Lara Varpio 2Janaka Lagoo 3Pim W Teunissen 4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Duk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urham, NC, USA.
  • 2Department of Medicine,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Bethesda, MD, USA.
  • 3Duke Family Medicine Residency Program,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Duk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urham, NC, USA.
  • 4School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 PMID: 32790934
  • DOI: 10.1111/medu.14354Abstract
  • Objectives: Shame results from a negative global self-evaluation and can have devastating effects. Shame research has focused primarily on graduate medical education, yet medical students are also susceptible to its occurrence and negative effects. This study explores the development of shame in medical students by asking: how does shame originate in medical students? and what events trigger and factors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shame in medical students?Results: Data analysis yielded structural elements of students' shame experiences that were conceptualised through the metaphor of fire. Shame triggers were the specific events that sparked shame reactions, including interpersonal interactions (eg, receiving mistreatment) and learning (eg, low test scores). Shame promoters were the factors and characteristics that fuelled shame reactions,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individual (eg, underrepresentation), environment (eg, institutional expectations) and person-environment interaction (eg, comparisons to others). The authors present three illustrative narratives to depict how these elements can interact to lead to shame in medical students.
  • Conclusions: This qualitative examination of shame in medical students reveals complex, deep-seated aspects of medical students' emotional reactions as they navigate the learning environment. The authors posit that medical training environments may be combustible, or possessing inherent risk, for shame. Educators, leaders and institutions can mitigate this risk and contain damaging shame reactions by (a) instilling a true sense of belonging and inclusivity in medical learning environments, (b) facilitating growth mindsets in medical trainees and (c) eliminating intentional shaming in medical education.
  •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hermeneutic phenomenology, which seeks to describe a phenomenon, convey its meaning and examine the contextual factors that influence it. Data were collected via a written reflection, semi-structured interview and debriefing session. It was analysed in accordance with Ajjawi and Higgs' six steps of hermeneutic analysis: immersion, understanding, abstraction, synthesis, illumination and integration.

 

웰니스가 의사의 핵심 역량이 되어야 하는가? (Acad Med, 2020)
Should Wellness Be a Core Competency for Physicians?
Erene Stergiopoulos, MD, MA, Brian Hodges, MD, PhD, FRCPC, and Maria Athina (Tina) Martimianakis, MA, MEd, PhD

 

"의사 웰니스"의 개념은 최근 기억에서 의료 문화의 가장 큰 변화 중 하나입니다. 지난 몇 년 동안 지역 위원회, 국가 태스크포스 및 의사 건강 및 웰빙에 대한 국제 컨퍼런스가 등장하여 의료계의 전통적 스토아주의에 도전하고 있으며, 의료진의 웰빙에 대한 이전에 들어보지 못한 대화를 촉진하고 있습니다.1–3 2018년 10월, 국제 의사 건강 컨퍼런스는 500명 이상의 참석자를 소집하여 의사 건강 증진을 위한 개인 및 시스템 차원의 전략을 논의했습니다.4 
The concept of “physician wellness” represents one of the biggest shifts in medical culture in recent memory. Over the past few years, local committees, national task forces, and international conferences on physician health and wellness have emerged and have called for action, challenging the medical profession’s traditional stoicism while promoting previously unheard conversations about the well-being of its providers.1–3 In October 2018,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hysician Health convened more than 500 attendees to discuss individual- and systems-level strategies for improving physician wellness.4 

의사에게 "역량으로서의 웰니스"라는 개념은 커리큘럼, 평가, 입학 및 자격증, 그리고 교사와 학습자에게 깊은 영향을 미칩니다. 
The concept of “wellness as a competency” for physicians holds profound implications for curricula, evaluations, admissions, and licensure, and for teachers and learners. 

그러나 '역량으로서의 웰니스' 개념이 완전히 새로운 것은 아니다. 1999년 초에, 대학원 의학 교육 인증 위원회(ACGME)는 미국 거주자를 위한 6가지 핵심 역량을 정의했다. 여섯 번째 역량인 전문직업성professionalism은 "감정,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유지하고 지속적인 개인 및 직업적 성장을 추구"하는 하위 역량과 "자신의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유지"함으로써 "환자의 본보기가 될 수 있는" 역할 모델이라는 과제를 의사에게 제시한다.
Yet the idea of wellness as a competency is not entirely new. As early as 1999,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 defined 6 core competencies for residents in the United States. The sixth competency, professionalism, includes the subcompetency of “maintaining emotional,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pursu[ing] continual personal and professional growth”5 and tasks the physician with becoming a role model who can “set an example for their patients” by “maintaining their own healthy lifestyle.”5 

마찬가지로 캐나다 왕립 의사 및 외과 대학(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inals of Canada)은 7가지 CAN MED 역할 또는 핵심 의사 역량에 대해 간략히 설명했습니다. 2015년에 발표된 CanMEDs Physical Competency Framework 제3판에서는 특히 'Professional' 카테고리 내에서 의사 웰빙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여기서 의사들은 "최적의 환자 치료를 촉진하기 위해 의사 건강과 웰빙에 대한 헌신을 보여야 합니다."6 의사 웰빙의 하위 역량 하에서 예상되는 행동에는 다음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포함됩니다.6

  • 자기 조절,
  • 자기 인식 표시,
  • 적절한 자기 돌봄 사용,
  • 건강 및 환경 요인의 부정적 영향 완화

Similarly,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has outlined 7 CanMEDS roles or core physician competencies. The third edition of the CanMEDS Physician Competency Framework, released in 2015, notably places an increased emphasis on physician well-being within the role of professional, in which doctors must “demonstrate a commitment to physician health and well-being to foster optimal patient care.”6 The expected behaviors under the subcompetency of physician well-being include the physician’s ability to self-regulate, exhibit self- awareness, use appropriate self-care, and mitigate negative effects of phys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wellness.6

의과대학 커리큘럼 수준에서도 웰빙을 역량으로 인식하는 방향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A shift toward framing wellness as a competency has also taken place at the level of medical school curricula.

의과대학과 레지던시 프로그램이 웰빙을 어떻게 평가로 운영하여 이 영역에서 학습자의 역량을 평가할지는 불분명합니다.

It is unclear how medical schools and residency programs will operationalize wellness into evaluations to assess learners’ competence in this domain.

 

장애 및 "건강"을 정의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의학 학습자
Medical Learners With Disabilities and Challenges to Defining “Wellness”

미국 의과대학 협회는 2018년 학습자와 장애의사에 대한 획기적인 보고서를 발표했다.8 
In 2018,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released a groundbreaking report on learners and doctors with disabilities.8 

2019년 미국 의대생의 4.6%가 학교에 장애를 스스로 드러내고 편의accommodation을 신청해 2016년 2.7%에 비해 증가했지만, 여전히 공개 장벽을 고려하면, 과소보고되었을 가능성이 높다.9 
In 2019, 4.6% of U.S. medical students self-disclosed a disability to their school and registered for accommodations, an increase from 2.7% in 2016, though this is still likely underreported given existing barriers to disclosure.9 

개인화된 편의시설은 일반적으로 의과대학의 전용 접근성 서비스accessibility services 오피스의 관할인 시설입니다. 이는 장애 학생이 자신의 학문적 및 임상적 역할에 참여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설이다. 이 시설의 담당자는 종종 모든 학생들의 "웰니스"를 촉진하는 오피스와 같은 오피스인 경우가 있다. [참여와 수행에 대한 장벽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웰니스에 접근하면 장애의 공개여부와 무관하게 [모든 학습자]에게 혜택을 줄 수 있습니다.

Personalized accommodations, which allow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participate and perform in their academic and clinical roles, are typically the purview of dedicated accessibility services offices at medical schools—which are often the same offices that promote “wellness” among all students. Approaching wellness as a way to remove barriers to participation and performance has the potential to benefit all learners, including those learners with disclosed or undisclosed disabilities. 

그러나 건강한 식사, 규칙적인 운동, 그리고 자기 관리를 위한 활동에 초점을 맞추는 웰니스에 대한 대화에는 [장애를 가진 학습자를 위한 편이accommodations시설]이 종종 빠져 있다. AAMC의 2018년 보고서에서 전국의 학습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감독관과 동료들로부터 장애에 대한 낙인이 자주 찍히고, 학습자가 편의/도움의 필요성을 밝히기를 주저하는 교육환경이 드러났다. 실제로, 지난 20년 동안 회의와 워킹 그룹의 보고서는 의료 문화를 강조해 왔다. 장애가 있는 의사와 학습자는 휴가를 내지 말아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끼고, 도움을 요청하는 것으로부터 discourage되며, '질병은 훈련의 요구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는 것을 반영한다'는 널리 알려진 의학에 대한 믿음때문에 오명stigma을 받는다. 이러한 공개와 지지 추구에 대한 장벽은 의료계의 보편적인 "완벽의 문화culture of perfection"를 반영한다. 즉, 이곳에서의 학습자는 의사가 어떻게 수행하고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인식된 이상perceived ideals에 기반하여 질문하기를 두려워하게 된다.

Yet accommodations for learners with disabilities are often absent from conversations about wellness, which tend to focus on healthy eating, regular exercise, and activities for self-care. In the AAMC’s 2018 report, interviews with learners across the country revealed educational environments where disability is often stigmatized by supervisors and peers and where learners are hesitant to disclose their need for accommodations. Indeed, reports from conferences and working groups over the last 2 decades have highlighted a medical culture where doctors and learners with disabilities feel pressured to not take time off, get discouraged from asking for help, and face stigma from widely held beliefs in medicine that illness reflects an inability to cope properly with the demands of training.10–12 These barriers to disclosure and support-seeking reflect a prevailing “culture of perfection”13 in medicine, where learners hesitate to ask for help based on perceived ideals of how a doctor should perform and behave.13,14 

그렇다면 우리는 웰니스를 역량으로 간주하는 것이 [장애를 가진 학습자에 대한 낙인]을 영구히 남길 수 있다고 우려한다. 즉, "well"와 "unwell"에 대한 표준화된 기대치를 설정함으로써, 우리는 장애를 가진 학습자가 의료 행위를 하기에 부적합하다는 개념을 무심코 다시 포장하고 있는 것일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유능하지 않다"고 표시함으로써 말입니다. 
We worry, then, that framing wellness as a competency may perpetuate stigma against learners with disabilities. That is, by setting standardized expectations for “well” and “unwell,” we may inadvertently be repackaging the notion that learners with disabilities are unsuitable to practice medicine—this time, by labeling them as “not competent.” 

그러나 이는 "역량"을 정의하는 방법과 "웰니스"의 의미에 따라 달라집니다. 최근 연구에서 우리 142명(E.S., M.A.T.M.)은 대학교 정책, 제도적 웰빙 및 학생 서비스 웹사이트, 웰빙과 관련된 학생 블로그에 대한 심층 인터뷰와 분석을 통해 캐나다 의과대학의 장애 학생들의 경험을 탐구했다. 우리는 웰빙에 대한 다양한 담론이 수련생들의 "이상적인" 의대생에 대한 인식된 기대를 어떻게 형성하는지 관찰했습니다. 

  • 어떤 경우에는, 웰니스는 균형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프레임되었다. 즉 그 자체로 바람직한 [목적]이다.
  • 다른 경우에, (기관 웹 사이트와 학생 블로그 모두에서) 웰니스는 최고의 학업 성과를 달성하고, 산만함을 최소화하며, 학업 문제에 대처하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제시되었습니다.
  • 어떤 경우에, 웰니스는 ["이상적인" 학생 지위]를 달성하는 방법이 되었습니다. 이는 장애 학습자가 [학업 성과]와 [자기 건강]을 모두 관리해야 한다는 경쟁적 요구를 고려할 때 거의 불가능한 것이었다. 실제로 이러한 방식으로 "웰니스"를 정의하면 [장애를 가진 학습자]는 [역량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But this depends on how we define “competency” and what we mean by “wellness.” In a recent study,14 2 of us (E.S., M.A.T.M.) explored the experiences of medic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English-speaking Canadian medical schools, using in-depth interviews and analysis of university policies, institutional wellness and student affairs services websites, and student blogs related to wellness. We observed how various discourses of wellness framed trainees’ perceived expectations for the “ideal” medical student.

  • In some cases, wellness was framed as a means to achieve balance—a desirable end unto itself.
  • In other cases—both in institutional services websites and student blogs—wellness was framed as a means to achieve peak academic performance, to minimize distractions, to cope with academic challenges, and to increase efficiency.
  • Wellness became a method to achieve “ideal” student status—something that learners with disabilities found nearly impossible, given the competing demands of managing both their academic performance and their health.
  • Indeed, defining “wellness” in this way might lead these learners to be evaluated as not competent. 

그러나 의학 교육에서 학습자가 접하는 "웰니스"의 정의 중 많은 부분이 이러한 강점을 강화하지 못한다. Dyrbye 등이 미국 의대를 대상으로 전국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웰빙 커리큘럼을 시행한 학교 중 가장 보편적인 것은 명상 훈련, 신체 활동을 위한 행사, 강의 또는 재정 관련 회의, 사회 활동 조직 등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7 학교는 일반적으로 의무 활동과 비의무 활동을 함께 제공하며, 학습자는 종종 요가, 명상, 학생 주도 사회, 전담 상담사와의 회의와 같은 자기 관리 활동 메뉴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15 

Many of the definitions of “wellness” that learners encounter in medical education do not reinforce this strength, however. Dyrbye et al’s national survey of U.S. medical schools found that among schools that had implemented well-being curricula, the most common offerings included mindfulness meditation training, organized events for physical activity, lectures or meetings related to finances, and organized social activities.7 Schools typically offer a combination of mandatory and nonmandatory activities,7 and learners can often select from a menu of self-care activities like yoga, meditation, student-led socials, and meetings with dedicated counselors.15

그러나 "웰니스"를 이러한 [자기 관리 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정의하는 것은 [장애를 안고 살면서 개인의 건강을 관리해야하는 요구 때문에 이러한 활동에 시간을 할애할 수 없는 학습자]를 배제할 위험이 있다. 게다가, 여기에 "역량"을 추가하면, "웰니스"는 막연한 이상에서 [일련의 표준화된 기대치]로 전환되어 평가 및 라이센스에 대한 깊은 의미를 갖습니다.

However, defining “wellness” as participation in these self-care activities risks singling out learners who cannot spend time on such activities because of the demands of living with a disability and managing their personal health. And if we then add “competency” to the mix, “wellness” transforms from a vague ideal into a series of standardized expectations, with profound implications for evaluation and licensure.

역량 문제
The Question of Competency


"역량"은 "웰니스"와 "장애"와 같은 많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역량으로서 중요한 것은 임상, 문화 및 지리적 맥락에 따라 달라진다.16,17 국제 의학 문헌으로부터, 우리 중 한 사람(B.H.)은 역량 담론이 훈련과 평가의 구조와 내용에 대한 [물질적 효과]와 함께 얼마나 다른 [내재적 가치]를 내포하는지를 보여주었다.16 예를 들어, 우리가 보는 경우 [지식으로서의 역량]은 객관식 시험을 통해 측정할 수 있는 사실 축적 능력을 통해 학습자의 역량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역량을 수행능력]로 볼 경우, 학습자가 역량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하는 구체적인 행동을 식별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시뮬레이션과 관찰된 만남을 통해 평가됩니다. 
“Competency,” like “wellness” and “disability,” has many meanings. That is, what counts as competency varies by clinical, cultural, and geographic context.16,17 Drawing from the international medical literature, one of us (B.H.) has shown how different discourses of competency imply different inherent values with material effects for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raining and evaluation.16 For example, if we view competency as knowledge, we can determine a learner’s competence through their ability to accumulate facts, which we might measure via a multiple- choice test. If we view competency as a performance, in contrast, we must identify specific behaviors performed by the learner to achieve competence, usually evaluated via simulations and observed encounters. 

즉, 우리가 "역량"을 정의하는 방식에 따라, 학습자에게서 무엇을 평가하는지, 어떻게 평가하는지, 그리고 누가 역량있다고 생각하는지가 결정됩니다. 
In other words, the way we define “competency” determines what we evaluate in our learners, how we evaluate it, and who is considered competent. 

[객관식 시험에서 좋은 점수를 획득한 학생]은 어떤 의미에서는 유능할 수 있지만 객관적인 구조화된 임상 검사에 직면했을 때처럼 다른 의미에서는 유능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역량 담론을 웰빙에 적용]하면 학습자가 달성하고자 하는 것이 정확히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이ascertainig 과제가 됩니다. 모든 학습자가 번아웃을 예방하는 테크닉 목록을 암송할 수 있어야 합니까? 그들이 정기적으로 운동을 해야 하는가? 자체 보고한 번아웃 척도에 대한 점수를 사용하여 "잘 있다" 또는 "잘 있지 않다"를 평가해야 하는가? 
The student who achieves a good grade on a multiple-choice test may be competent in one sense, but not competent in another, such as when faced with an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When we apply the discourses of competency to wellness, the challenge becomes ascertaining what, exactly, we want learners to accomplish. Should all learners be able to recite lists of techniques for avoiding burnout? Should they be required to exercise regularly? Should their scores on self- reported burnout scales be used to assess whether they are “well” or “unwell”? 

만성 건강, 정신 건강, 학습, 감각 또는 거동 관련 장애를 가진 학생들에게 "웰니스"와 "역량"의 정의는 어떤 영향을 미칩니까? 

what effect would these definitions of “wellness” and “competency” have on students with chronic health, mental health, learning, sensory, or mobility- related disabilities? 

역량으로서의 웰니스: 이제 어디로 가야 하지?
Wellness as a Competency: Where Do We Go From Here?

학습자의 의료 경력 초기에 웰빙을 강조하는 데에는 분명한 이점이 있습니다. 실제로 웰빙을 역량으로 인식하는 것은 모든 의사에게 있어 개인 건강을 우선시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기존의 완벽주의 문화에 도전하고, 더 많은 학습자들이 어려움에 처했을 때 도움을 구하도록seek 유도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웰니스 목표와 전략의 개발, 정의 및 실행에 있어 학습자와 장애 교직원이 참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렇게 하면 장애인들이 자신의 필요에 따라 "웰니스"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There are clear benefits to emphasizing wellness early in learners’ medical careers. Indeed, framing wellness as a competency could be a way of legitimizing personal health as a priority for all physicians. It has the potential to challenge the existing culture of perfection in medical education and to encourage more learners to seek support when in distress. It is critical, though, that institutions involve learners and faculty with disabilities in the development, definition, and execution of wellness goals and strategies. Doing so will ensure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can help define “wellness” relative to their own needs. 

요가 수업과 학생 사회 외에 의대 교육의 웰빙에 대한 대안 모델도 가능하다. Bodenheimer와 Sinsky19가 "4중 목표"에서 제안했듯이, 의료 기관은 의료 전반을 개선하기 위해 의료진과 의료진의 일과 웰빙을 개선하기 위한 [시스템 수준]에서 작업해야 합니다. 웰빙 향상을 위해 새로운 자원을 추가하는 대신 [웰빙을 저해하는 장벽을 제거하는 것]을 제안합니다. 
Alternative models of wellness in medical education, beyond yoga classes and student socials, are also possible. As Bodenheimer and Sinsky19 suggest in their “quadruple aim,” health organizations should work at a systems level to improve the work–life and well- being of clinicians and health care staff to improve health care overall. Rather than adding new resources to improve wellness, they propose removing the barriers that impede wellness in the first place. 

의료 교육에 이러한 [시스템 수준의 접근방식]을 적용하는 것은 [보편적 설계universal design]의 개념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웰빙에 대한 어떤 장벽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장벽을 제거하는 것이 모든 학습자에게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20 의학교육 환경에서 보편적 설계 접근방식은 커리큘럼에서 일정을 조정할 수 있는 유연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학습자가 appointments에 참석하거나, 건강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도록 빈 공간blank space을 할당할 수 있습니다. 결정적으로, 웰빙에 대한 [보편적 설계 접근법]은 모든 학습자에게 유익할 것이다. 그들은 장애를 가진 학생이나 전공의를 선별하거나 배제하지 않을 것이다. 
Applying this systems-level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would mean applying concepts of universal design: What barriers to wellness could we remove, and how might removing these barriers benefit all learners?20 Universal design approaches in the medical education setting might include flexibility in the curriculum to adjust schedules, with blank space allotted to allow learners to attend appointments or attend to their health needs. Critically, universal design approaches to wellness would benefit all learners; they would not single out or exclude students or residents with disabilities. 


궁극적으로, 현재의 역량 기반 의료 교육 시대에 우리는 '웰니스'와 '역량'의 의미 변화를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이들 중 어느 것이 지배적인지를 이해해야 한다. 우리는 또한 [새로운 학습 활동과 웰니스에 대한 평가]가 어떠한 방식으로 새로운 "이상적인" 학생을 표현하는지, 일부 학습자에게 의도하지 않은 장벽을 만들고 있지는 않은지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결국, 이는 [누가 유능한 의사로 간주되고] [누가 의도치 않게 직업에서 배제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Ultimately, in the current era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we must be careful to take stock of the shifting meanings of “wellness” and “competency” and understand which among these are dominant. We must also pay attention to the ways in which new learning activities and evaluations of wellness articulate a new “ideal” student and perhaps create unintended barriers for some learners. In the end, these meanings may determine who is considered a competent physician—and who may be inadvertently excluded from the profession. 




Acad Med. 2020 Sep;95(9):1350-1353.

 doi: 10.1097/ACM.0000000000003280.

Should Wellness Be a Core Competency for Physicians?

Erene Stergiopoulos 1Brian Hodges 2Maria Athina Tina Martimianakis 3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 1E. Stergiopoulos is a first-year resident, Department of Psychiatry,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 2B. Hodges is professor, Faculty of Medicine and Ontario Institute for Studies in Education, University of Toronto, and chief medical officer and executive vice president of education, University Health Network, Toronto, Ontario, Canada.
  • 3M.A. Martimianakis is associate professor and director of medical education scholarship, Department of Pediatrics, and scientist and associate director, The Wilson Centr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 PMID: 32134774
  • DOI: 10.1097/ACM.0000000000003280Abstract
  • There has been a recent rise in calls for action around wellness and physician health. In medical education, wellness has been proposed as a physician competency. In this article, the authors review the history of the "wellness as a competency" concept within U.S. and Canadian residency programs and medical schools. Drawing from literature on the discourses of wellness and competence in medical education, they argue that operationalizing wellness as a physician competency holds profound implications for curricula, admissions, evaluation, and licensure. While many definitions of "wellness" and "competency" are used within medical training environments, the authors argue that the definitions institutions ultimately use will have significant impacts for trainees who are considered "unwell." In particular, medical learners with disabilities-including those with mental health, chronic health, learning, sensory, and mobility disabilities-may not conform to dominant conceptions of "wellness," and there is a risk they will become further stigmatized or even be considered unsuitable to practice in the profession. The authors conclude that framing wellness as a competency has the potential to legitimize support-seeking and prioritize physician health, yet it may also have the potential unintended effect of excluding certain learners from the profession. They propose a universal design approach to understand wellness at a systems level and to remove barriers to wellness for all medical learners.

임상술기와 지식의 학습과 전이에 있어서 감정의 역할(Acad Med, 2012)
The Role of Emotion in the Learning and Transfer of Clinical Skills and Knowledge

Meghan M. McConnell, PhD, and Kevin W. Eva, PhD

 

의사가 되기 위한 훈련은 학생들이 지식과 기술을 배우고 새로운 환경에 전이하는 방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광범위한 느낌과 감정을 수반합니다. 일반적인 정서적 경험에는 시간의 압박, 불확실성 또는 비현실적인 기대, 만성적인 질병 환자 치료에 따른 절망, 실패에 대한 두려움 또는 책임감 증가, 그리고 환자의 죽음이나 인식된 성과에 대한 죄책감과 동정이 포함됩니다.1-5 이 목록과 일관되게, 의학 교육의 감정에 관한 대부분의 문헌은 부정적인 감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연구자들은 그러한 부정적인 상태가 종종 의료 훈련생들의 높은 번아웃 발생률과 연관되기 때문에 이러한 초점을 정당화한다.6,7 그러나 자부심, 흥분, 감사, 행복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도 의료 훈련생들에게 중요한 경험을 동반한다.1 

Training to become a physician involves a broad range of feelings and emotions that can influence how students learn and transfer knowledge and skills to new settings. Common emotional experiences include stress from time pressures, uncertainty, or unrealistic expectations; hopelessness from treating chronically ill patients; fear of failure or increasing responsibility; and guilt and sympathy over the death of patients or perceived poor performance.1–5 Consistent with this list, most of the literature on emotion in medical education focuses on negative emotions. Researchers justify this focus because such negative states are often associated with the high incidence of burnout among medical trainees.6,7 However, positive emotions—such as pride, excitement, gratitude, and happiness—also accompany important experiences for medical trainees.1 

감정이란 무엇인가?
What Is Emotion?

감정은 정의하기가 다소 어렵다. 연구자들은 감정, 기분, 영향, 태도, 감정을 포함한 다양한 경험적 개념을 개념화했습니다. 우리는 감정이라는 용어를 가장 일반적인 의미, 즉 정서적인 내용, 상태 및 경험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했습니다. 
Emotion is somewhat difficult to define. Researchers have conceptualized a variety of experiential concepts, including emotion, mood, affect, attitudes, and feelings. We used the term emotion in its most general sense—to refer to affective contents, states, and experiences. 

연구자들은 감정을 가장 잘 정의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했지만, 일반적으로 감정이 감정가valence과 각성의 두 가지 차원에 따라 다르다는 데 동의합니다.

  • 발렌스는 물리학 및 화학8에서 차용한 용어로, 감정이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이거나 유쾌하거나 불쾌하거나 좋거나 나쁘거나 하는 정도로 인식되는 정도를 말한다.
  • 발렌스가 종종 감정 상태를 정의하는 특징으로 여겨지지만, 각성 또한 중요한 구성요소입니다.
  • 각성은 감정이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되는 정도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높은 각성 상태(예: 두려움, 불안, 흥분)는 낮은 각성 상태(예: 우울증, 침착함)와 구별됩니다.

Although researchers have debated how to best define emotion, they generally agree that emotions vary along two dimensions—valence and arousal.

  • Valence is a term borrowed from physics and chemistry8 that refers to the extent to which an emotion is perceived as being positive or negative, pleasant or unpleasant, good or bad.
  • Although valence is often considered the defining feature of emotional states, arousal is also an important component.
  • Arousal refers to the extent to which an emotion is experienced as activating or deactivating. For example, high arousal states (e.g., fear, anxiety, excitement) are differentiated from low arousal states (e.g., depression, calmness).



방법
Method

초점을 폭넓게 고려할 때,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검토를 시도하는 것보다 다양한 관련 연구 결과의 비판적 통합이 더 적절하다고 판단했다.9 그러한 검토는 좁게 정의된 연구 질문과 관련된 근거의 완전한 요약을 생성하기보다는 넓은 주제에 관한 문헌의 선별적인 요약을 독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Given the breadth of focus, we decided that a critical synthesis of a variety of relevant research findings was more appropriate than attempting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review.9 Such a review is intended to provide readers with a selective summary of the literature around a broad topic rather than generating an exhaustive summary of the evidence relevant to a narrowly defined “Does it work?” type of research question. 

결과
Results


인식과 정보 처리
Percep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긍정적인 분위기]에 있을 때, 사람들은 상황의 보다 광범위하고 일반적인 구성 요소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큰 그림"을 더 잘 볼 수 있다는 것을 많은 연구가 증명했습니다. 반면에, 사람들이 [부정적인 기분]에 있을 때, 그들은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에 더 집중합니다.10-13 다시 말하면, 긍정적인 감정은 사람들이 을 볼 수 있도록 격려하는 반면 부정적인 감정나뭇잎에 집중하도록 이끈다. 어떤 것이 다른 것보다 나은지는 특정 업무에 가장 유용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는 수준에 따라 달라지지만, 상당히 미묘한 영향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은 분명하다. 
A plethora of research has demonstrated that, when in positive moods, individuals are more likely to see the “big picture” by focusing on the broader, more general components of the situation (e.g., global processing). On the other hand, when people are in negative moods, they are more likely to focus on specific details (e.g., local processing).10–13 In other words, positive emotions encourage people to see the forest, whereas negative emotions lead them to focus on the leaves. Whether one is better than the other depends on the level at which the most useful information is available for a particular task, but it is clear that even fairly subtle influences can have an effect. 

예를 들어, 프레드릭슨과 브래니건 14,15는 참가자들이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영화 클립을 보게 함으로써 긍정적인 감정(예: 기쁨, 평온, 놀이, 만족)과 부정적인 감정(예: 두려움, 불안, 분노, 슬픔)의 범위를 유도했다. 또한 참가자들에게 감정을 유도하지 않는 영화(즉, 색 막대기가 쌓이는 추상적 표시)를 보게 함으로써 중립적인 통제 조건도 포함시켰다. 연구자들은 국소적인 세부사항과 전체적 맥락을 분리하는 작업을 통해 감정이 기본적인 지각 처리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조사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위해 참가자들에게 표적과 두 개의 비교 항목인 세 개의 기하학적 도형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보여주었다(그림 1 참조). 
For example, Fredrickson and Branigan14,15 induced a range of positive (e.g., joy, serenity, amusement, contentment) and negative emotions (e.g., fear, anxiety, anger, sadness) by having participants watch emotionally evocative film clips. They also included a neutral control condition by having participants watch a film intended to elicit no emotion (i.e., an abstract display of colored sticks stacking up). Using a task that dissociated the local details from the global context, the researchers were able to examine whether emotion had an influence on basic perceptual processing. To do so, they showed participants a display consisting of three geometric figures—a target and two comparison items (see Figure 1). 



긍정적인 감정을 경험하는 참가자는 전체적 특징(예: 그림 대상의 삼각형 구조)에 따라 항목을 분류할 가능성이 더 높았고,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상태를 경험하는 참가자에 비해 국지적 특성에 기초하여 선택했다(Stimulus의 동그라미를 가지고 Comparison item 2를 선택)
Participants experiencing positive emotions were more likely to categorize items on the basis of their global features (e.g., the triangular structure of the illustrated target, leading to a selection of comparison item 1; see Figure 1) relative to participants experiencing negative or neutral states, who were more likely to categorize items on the basis of their local features (e.g., the circles used to create the stimulus in Figure 1, leading to selection of comparison item 2).

개인의 정보 인식 및 처리 방식에 대한 정서적 상태의 이러한 영향은 학습 및 지식의 전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글로벌 프로세싱 스타일](즉, "큰 그림"에 초점을 추는 것)은 서로 관련이 있는 학습 사건 사이에서 연관성 및 관계적 연결로 이어지며, 이는 개인이 새로운 작업 전반에 걸친 유사성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식을 새로운 상황으로 이전하는 것을 촉진해야 합니다. 
This influence of emotional states on how individuals perceive and process information can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learning and knowledge transfer. Global processing styles (i.e., focusing on the “big picture”) appear to lead to more associative and relational connections between relevant learning events, which should promote the transfer of knowledge to new situations by enabling individuals to detect analogies across novel tasks. 

예를 들어 브랜드와 동료 16,17이 실시한 최근 일련의 연구에서는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이 지식 전이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조사했습니다. 이러한 실험의 학습 단계에서 참가자들은 하노이의 탑(ToH)을 푸는 법을 배웠다. 
For example, a recent set of studies conducted by Brand and colleagues16,17 examined whether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have differential effects on knowledge transfer. During the learning phase of these experiments, participants learned to solve the Tower of Hanoi (ToH) 

참가자들은 미리 정의된 마스터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디스크 3, 4개 ToH 퍼즐을 풀었습니다. 이후 연구원들은 참가자들에게 '행복하고 긍정적인' 혹은 '슬프고 부정적인' 인생 사건에 대해 쓰도록 함으로써 참가자들의 기분을 조작했다. 무드 인덕션에 이어 참가자들에게 근위부 문제 1개(5디스크 ToH)와 전이문제 2개 과제를 풀도록 했다. 
Participants solved three- and four-disk ToH puzzles until they reached a predefined mastery level. Afterwards, the researchers manipulated the participants’ mood by having them write about a “happy and positive” or “sad and negative” life event. Following the mood induction, they asked participants to solve one proximal (five-disk ToH) and two transfer tasks. 

그 결과는 감정적 발렌스가 전이에 있어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참가자가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도록 유도하는 2가지 전이과제의 성과가 향상되었고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는 참가자에게는 장애가 되었다. 
The results showed that emotional valence is an important factor in transfer. Performance on the two transfer tasks was improved for participants induced to experience positive emotions and was impaired for those experiencing negative emotions.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감정(예를 들어, 세계적인 대 지역)에 스타일 처리의 차이 그nonanalytic(시스템 1)적(시스템 2)추론 과정 사이에 혼동하지 않아야 한다. 연구진은 기껏해야 시스템1에만 감정처리가 특정하며 시스템2 처리는 감정적 영향이 없다는 가설을 세워왔다.20 긍정적 감정은 전역적 세부사항의 자동처리를 부추기는 반면 부정적 감정은 국소적 세부사항의 자동처리를 유도한다. 
The differences in processing styles for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e.g., global versus local) should not be confused with those between nonanalytic (System 1) and analytic (System 2) reasoning processes. At most, researchers have hypothesized that emotional processing is specific to System 1 and that System 2 processing is free from emotional influence.20 Therefore, positive emotions likely encourage the automatic processing of global details, whereas negative emotions lead to the automatic processing of local details. 

일부 경험적 뒷받침은 감정적 발렌스에 따라 인지적 편견을 저지를 가능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시사하지만, 이러한 효과의 유병률에 대한 감정의 영향은 다양한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 고정 편견(즉, 전체 상황을 이해하는 대신 하나의 특성이나 정보에 초점을 맞춘다)은 학습자가 부정적인 감정 상태에 있을 때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반면, 
  • 근본적인 귀인 편향(즉, 상황적 힘을 과소평가하고 처분 요인을 과대평가하려는 경향)과 정의로운 세계 편향(즉, 사람들이 받을 만한 결과를 얻는다는 믿음)은 사람들이 긍정적인 감정 상태에 있을 때 더 많이 발생한다.

Some empirical support suggests that emotional valence can influence the likelihood of committing cognitive biases, but the influence of emotion on the prevalence of this effect appears to vary. For example,

  • anchoring biases (i.e., focusing on one trait or piece of information at the expense of understanding the whole situation) are more likely to occur when learners are in negative emotional states.21,22 On the other hand,
  • the fundamental attribution bias (i.e., the tendency to underestimate situational forces and overestimate dispositional factors) and the just world bias (i.e., the belief that people get the outcomes they deserve) are more likely to occur when people are in positive emotional states.23,24

 

정보 해석
Interpreting information

인지적 유연성
Cognitive flexibility.

연구에 따르면 긍정적인 감정은 개인의 유연한 사고 능력을 촉진하고 다른 전략과 해결책을 발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예를 들어, Gasper28은 당면한 문제의 맥락에 따라 개인의 사고방식 전환 능력에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이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Studies have shown that positive emotions facilitate an individual’s ability to think flexibly and discover alternative strategies and solutions.25–27 For example, Gasper28 examined whether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have different influences on an individual’s ability to switch mindsets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problem at hand.

개스퍼는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하는 개인들이 그것이 부적절하다는 피드백을 받기 전까지 확립된 문제 해결 전략에 의존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반면 긍정적인 감정을 경험하는 사람들은 스스로 수립된 전략을 포기하는 경우가 훨씬 더 많았다. 
Gasper found that individuals experiencing negative emotions relied on the established problem-solving strategy until they received feedback that it was inadequate. On the other hand, those experiencing positive emotions were much more likely to abandon the established strategy on their own accord. 

개스퍼의 연구 결과는 [긍정적인 감정]이 머리 속에 떠오르는 잠재적 해결책의 수를 늘리며, 오래된 것에 대한 개인의 의존도를 낮추고, 잠재적으로 불충분한 문제 해결 전략을 줄임으로써 문제 해결을 촉진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브랜드 외 연구진에 따르면, [유연한 사고]는 "하위 구조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표면 특성을 가진 서로 다른 전이 과제 간의 유사성을 감지하는 데 특히 유리하다"고 한다. 분명히, 이러한 인지적 유연성은 의학처럼 연구자들이 [조기 종결]가 진단 정확성에 대한 주요 도전과제로 지적한 분야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실제로, 진단 의사결정을 연구하는 에스트라다, 이센, 그리고 동료들은 [긍정적인 감정]이 진단 정확도 증가, 호기심 증가, 그리고 정보의 통합 강화와 연관되어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The results of Gasper’s28 study suggest that positive emotions promote problem solving by increasing the number of potential solutions that come to mind and by decreasing an individual’s reliance on old, and potentially inadequate, problem-solving strategies. According to Brand et al,16 flexible thinking “should be particularly favorable for detecting analogies between different transfer tasks with similar or dissimilar surface features with identical substructure.” Clearly, such cognitive flexibility can have important implications in a field like medicine where researchers have identified premature closure as a major challenge to diagnostic accuracy.29,30 Indeed, Estrada, Isen, and colleagues,21,31,32 studying diagnostic decision making, have reported that positive emotions are associated with increased diagnostic accuracy, greater curiosity, and enhanced integration of information.

기억 인출
Memory retrieval.

모든 기억이 동등하게 만들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고도의 감정적 경험]은 잘 기억되는 경향이 있는데, 특히 감정적 경험에 대한 강한 기억을 발생 후 수년 만에 흔히 보고하는 임상의에게는 놀라운 일이 아니다. [정서적 사건과 경험]이 [중립적 사건]보다 기억에서 더 안정적으로 인출된다는 많은 연구가 있지만, 정서적 경험이 기억 형성에 이처럼 큰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있다..
All memories are not created equal. Highly emotional experiences tend to be well remembered, which should come as no surprise to clinicians who themselves commonly report strong memories of particularly emotional experiences many years after their occurrence. Although plenty of research has shown that emotional events and experiences are retrieved more reliably from memory than neutral events,33,34 what is less recognized is why emotional experiences have such a strong impact on memory formation

감정적인 사건에 대한 기억력 향상에 대한 한 가지 가능한 설명은, 감정적인 반응을 경험하는 사람은 정신적으로 연습을 하거나 그 사건에 대해 "골똘히 생각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입니다.35–37 이 가설은 최근 연구에서 Ferree와 Cahill35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그들은 사람들이 무의식적으로 비감정적 사건과 관련된 감정적 사건을 다시 찾는 비율을 조사했다. 놀랍게도, 그들의 연구는 감정적이지 않은 것보다 [감정적인 경험]에서 의도하지 않은 사건들의 회수가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은지를 체계적으로 조사한 최초의 연구들 중 하나였다.
One potential explanation for enhanced memory of emotional events is that an individual who experiences an emotional reaction is more likely to mentally rehearse or “mull over” the event.35–37 This hypothesis was supported by Ferree and Cahill35 in recent research. They examined the rate at which people involuntarily revisit emotional events relative to nonemotional events. Surprisingly, their study was one of the first to systematically examine whether unintentional retrieval of events was more likely to occur for emotional experiences than for nonemotional ones. 

연구원들은 이 질문을 연구하기 위해 참가자들에게 일련의 감정적 혹은 중립적 영화를 보여주면서 "완전히 무감정적"에서 "극도의 감정적"에 이르는 10가지 형용사 척도를 사용하여 각 영화의 '감정성emotionality'에 대해 주관적으로 평가해 줄 것을 요청했다. 작가들은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을 구분하지 않았다. 
To study this question, the researchers showed participants a series of either emotional or neutral films and asked them to subjectively rate each film for its “emotionality” using a 10-point adjectival scale ranging from “completely unemotional” to “extremely emotional.” The authors did not distinguish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다양한 조치들에 걸쳐 참가자들은 중립적인 영화보다 감정성이 높았던 영화에 대해 더 많이 기억했다. 게다가 참가자들은 중립영화보다 감성영화에 대한 "자발적인 침입적 회상(SIR)"이 거의 3배 더 많으며, SIR의 빈도는 상기된 세부사항의 양과 긍정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Ferree와 Cahill은 SIR이 어떤 사건의 암호화된 버전에 대한 은밀한 검색을 촉진하고, 결과적으로 정서적 경험에 대한 기억을 향상시킨다고 결론지었다. 
Across the various measures, participants remembered more about the emotional films than the neutral films. Furthermore, participants reported nearly three times more “spontaneous intrusive recollections” (SIRs) for the emotional films than for the neutral films, and the frequency of SIR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detail recalled (but only for emotional film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Ferree and Cahill concluded that SIRs promote covert retrieval of encoded versions of an event, which subsequently enhances memory for emotional experiences. 

다른 연구에서는 부정적인 사건이 긍정적인 사건보다 자발적으로 더 자주 기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38,39 예를 들어, Bernsten40은 대학생들의 매우 부정적인 사건과 매우 긍정적인 사건에 대해 비자발적인 기억을 비교했다. 결과는 부정적인 사건과 긍정적인 사건 모두 비자발적인 회복의 대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매우 부정적인 인생 사건과 관련된 비자발적인 기억은 매우 긍정적인 사건에 대한 비자발적인 기억보다 더 우세했다. 
Other research has shown that negative events are spontaneously remembered more frequently than positive events.38,39 For example, Bernsten40 compared involuntary memories for highly negative and highly positive events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both negative and positive events are subject to involuntary retrieval; however, the involuntary memories associated with highly negative life events were more prevalent than the involuntary recollections of highly positive ones. 

이처럼 [부정적으로 자극되는 감정적 사건의 반복적 인출]은 의학 교육 연구자들이 의학 훈련 중에 흔히 보고되는 [공감의 감소]를 이해하고 의사의 번아웃에 대해서도 빛을 비줘출 수 있다.6,7,42 즉, 의료연수생과 전문직 종사자가 모두 부정적인 사건(즉, 까다로운 환자, 경솔한 임상 오류 및 실패, 또는 어려운 내부 또는 전문가 간 상호작용)을 기억하고 회상할 가능성이 높다면, 그들의 인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편향될 수 있으며, 이는 긍정적인 경험보다 부정적인 관행 측면이 훨씬 더 보편적으로 나타난다(기억하기 쉽기 때문이다). 

Such repeated retrieval of negatively arousing emotional events may help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understand the commonly reported decline in empathy41 that occurs during medical training, as well as shed light on issues of physician burnout.6,7,42 That is, if medical trainees and professionals alike are more likely to remember and recall negative events, then their perception may be biased over time, whereby negative aspects of practice (i.e., demanding patients, imprudent clinical errors and failures, or difficult intra- or interprofessional interactions) appear to be much more common (because of the ease of recall) than positive experiences. 

동시에 이러한 연구 결과는 [부정적인 사건]이 직업에 대한 [다양한 불만족 지표]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동시에 [학습을 유도하는 데 특히 가치가 있다]는 점에서 어려운 역설을 만들어낸다. 
At the same time, these findings establish a difficult paradox in that negative events might prompt various indications of dissatisfaction with the profession while being particularly valuable for inducing learning. 

정보에 대한 작업
Acting on information

지금까지 우리는 감정이 개인의 인식과 기억을 어떻게 조절하는지에 초점을 맞춰왔지만, 감정 또한 사람들이 다른 [학습 사건에 어떻게 행동하고 반응하는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감정은 [피드백 개입]에 대응하여 개인이 피드백을 탐색하고 이에 대해서 적절하게 행동하는 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To this point in our report, we have focused on how emotions moderate individual perceptions and memories, but emotions also appear to influence how people act and respond to different learning events.47,48 For example, emotions appear capable of altering the extent to which individuals seek out and act appropriately in response to feedback interventions. 

피드백은 의학 교육 환경에서 중요한 교육학적 개입으로 작용한다.49 학생들에게 성과 피드백을 이끌어내고 받을 기회를 제공하고, 자신의 성과에 대한 인식을 알리기 위해 외부 데이터를 찾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학습과 지식 전달을 촉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나 긍정적인 피드백(예: 성공에 대한 정보)과 부정적인 피드백(예: 실패에 대한 정보)이 학습자의 동기 부여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긍정적인 피드백과 부정적인 피드백 모두 동기 부여와 성과를 동등하게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했습니다.50–52
Feedback serves as an important pedagogical intervention in medical education settings.49 Providing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elicit and receive performance feedback and stressing on them the importance of seeking external data to inform their perceptions of their own performance is commonly thought to promote learning and knowledge transfer. However, research on whether positive (e.g., information about success) and negative (e.g., information about failure) feedback has different effects on a learner’s motivation has suggested that both positive and negative feedback can equally increase and decrease motivation and performance.50–52

자기 조절 초점 이론 53,54는 두 개의 독립된 조절 방향 또는 "마음의 상태" 즉, 촉진 시스템예방 시스템을 제안한다.

  • 촉진 시스템 하에서, 개인은 승진 기회, 보상, 성취를 지향합니다. 반대로,
  • 예방 시스템은 개인을 보안, 처벌, 부정적인 결과 회피로 향하게 합니다.
  • 프로모션에 초점을 맞춘 개인은 긍정적인 결과의 유무에 민감하므로 숙련된 성과로 인한 보상에 특히 민감해야 한다.
  • 그러나 예방에 초점을 맞추면 부정적인 결과의 유무에 민감하기 때문에 성과가 저조할 경우 처벌에 민감해야 한다.55–57 

Self-regulatory focus theory53,54 proposes two separate, independent regulation orientations or “states of mind”—the promotion system and the prevention system.

  • Under the promotion system, individuals are oriented toward advancement opportunities, rewards, and accomplishments.
  • In contrast, the prevention system orients individuals toward security, punishment, and avoiding negative outcomes.
  • With a promotion focus, individuals are sensitive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positive outcomes and, therefore, should be particularly sensitive to rewards that result from skilled performance.
  • With a prevention focus, however, individuals are sensitive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negative outcomes and, therefore, should be sensitive to punishments that accompany poor performance.55–57 

 

히긴스 53,54는 

  • [승진 초점] 하에서 성공(예: 긍정적인 피드백)은 긍정적일 뿐만 아니라 정서적 자극(예: 흥분, 행복)이 높은 감정을 생성하는 반면, 실패(예: 부정적인 피드백)는 부정적이지만 각성(예: 무관심, 낙담)이 낮은 감정을 생성한다고 제안했다. 반면, 
  • [예방 초점] 아래의 성공/긍정적 피드백은 각성이 낮은 긍정적인 느낌(예: 침묵, 이완)과 관련이 있는 반면, 실패/부정적 피드백은 각성이 높은 부정적인 느낌(예: 동요, 긴장)을 생성한다. 

따라서 히긴스의 이론은 피드백에 더 잘 수용하고 변화에 더 동기부여를 받게 하는 것은 정서적 (valence보다는) arousal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Higgins53,54 suggested that

  • under a promotion focus, success (i.e., positive feedback) produces feelings that are not only positive but are also high in emotional arousal (e.g., excitement, happiness), whereas failure (i.e., negative feedback) produces feelings that are negative but are also low in arousal (e.g., apathy, discouragement).
  • On the other hand, success/positive feedback under a prevention focus is associated with positive feelings that are low in arousal (e.g., quiescence, relaxation), whereas failure/negative feedback produces negative feelings that are high in arousal (e.g., agitation, tension).

Higgins’ theory, therefore, suggests that it is emotional arousal that leads to an individual being more receptive to feedback and more motivated to change rather than emotional valence. 

동기 부여에 대한 정서적 각성arousal의 잠재적 영향은 Van Dijk와 Kluger 55-57에게 피드백 가치(부정적 대 긍정적)와 규제 초점 사이의 상호작용과 이러한 상호작용이 개인이 받은 피드백에 대해 행동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직접 검토하도록 영감을 주었다. 참가자들에게 자신의 (그리고 히긴스의) 가설을 시험하기 위해, 그들은 직장에서 일하고 있는 시나리오를 상상하게 하고 그들의 감독자는 그들의 업무 수행에 대해 논평하게 했습니다.56 
The potential influence of emotional arousal on motivation inspired Van Dijk and Kluger55–57 to directly examine the interaction between feedback valence (negative versus positive) and regulatory focus and whether this interaction influences the extent to which an individual is motivated to act on the feedback that he or she has received. To test their (and Higgins’) hypothesis, they had participants imagine a scenario in which they were working at a job and their supervisor commented on their task performance.56 

조절 초점을 조작하기 위해 참가자의 절반은 재정적 의무(예방 초점) 때문에 지켜야 할 일을 하고 있다는 말을, 나머지 절반은 항상 갖고 싶어하고 자신의 직위(승진 초점)에 진출하고 싶은 일을 하고 있다는 말을 들었다. 피드백 valence를 조작하기 위해 각 조건의 참가자 중 절반은 작업 수행에 실패했다고 랜덤하게 말했고, 나머지 절반은 성과가 뛰어났다는 말을 들었다. 
To manipulate regulatory focus, half the participants were told that they were working at a job that they had to keep because of financial obligations (prevention focus), whereas the other half were told that they were working at a job that they had always desired to have and wanted to advance at their position (promotion focus). To manipulate feedback valence, half of the participants in each condition were randomly told that they had failed in their task performance, whereas the other half were told that they had excelled in their performance. 

[동기부여 등급]은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은 사람에 비해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은 사람이 더 높았지만, 참가자가 [촉진 초점]을 둔 경우에만 그러했다. [예방에 초점]을 둔 대상자에 대해서는 효과가 역전되었으며, (긍정적 피드백을 받은 대상자에 비해)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은 대상자가 동기 부여가 더 높았다. 

Motivation ratings were higher for those who received positive feedback relative to those who received negative feedback, but only when participants were under promotion focus. The effects were reversed for those under prevention focus, with motivation being higher for those who received negative feedback relative to those who received positive feedback. 

고찰
Discussion


우리는 몇 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we can draw several conclusions.

1. [부정적인 감정]은 개개인이 학습 시나리오와 관련된 개별 [세부 사항]에 집중하도록 장려하며, 세부 사항에 대한 강한 주의가 필요한 작업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긍정적인 감정]은 개인들로 하여금 학습 행사의 [큰 그림]에 집중하도록 장려한다. 이러한 전체적 처리 스타일은 학습자가 관련 학습 이벤트 간의 연관성 및 관계적 연결을 만들어, 지식 및 기술을 새로운 상황으로 전이transfer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1. Negative emotions encourage individuals to focus on the individual details associated with a learning scenario, which may be beneficial in tasks that require a strong attention to detail. On the other hand, positive emotions encourage individuals to focus on the big picture of a learning event. This global processing style may enable learners to create associative and relational connections between relevant learning events, thereby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transferring knowledge and skills to new situations.

2. [부정적인 감정]은 [익숙한 문제 해결 전략에 대한 개인의 의존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전략이 잠재적으로 부적절할 때 적응하기가 더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긍정적인 감정]은 정보에 대한 [인지 유연성과 개방성]을 촉진하고, 이를 통해 학생들이 과제 간의 유사성을 감지하여 임상 기술과 지식을 전이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유연성이 조기 종결으로 인한 [오류 발생 가능성을 줄이는 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59 
2. Negative emotions may increase an individual’s reliance on familiar problem-solving strategies, which may make it more difficult for him or her to adapt when such strategies are potentially inadequate. Positive emotions facilitate cognitive flexibility and openness to information, which may enable students to detect similarities between tasks, thereby enhancing the transfer of clinical skills and knowledge. Researchers believe that such flexibility is valuable for reducing the likelihood of errors attributable to premature closure.59 


3. [감정적 경험], 특히 부정적인 경험은 비감정적 경험보다 더 자주 떠오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의도하지 않은 감정적 사건과 반응의 검색은 비록 전이transfer에는 방해될 수 있지만, 개인이 긍정적인 경험에 비해 부정적인 학습 경험을 기억으로부터 더 많이 인출할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그러한 (부정적 경험의) 인출은 공감과 만족도를 낮추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3. Emotional experiences, particularly negative ones, are more likely to be mulled over than nonemotional experiences. This unintentional retrieval of emotional events and reactions can increase the likelihood of an individual further retrieving his or her negative learning experiences from memory relative to positive experiences, though transfer may be impeded, and such retrieval may contribute to lowering empathy and satisfaction. 

4.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의 차이는 피드백 받는 사람의 심리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프로모션 및 예방 규제 시스템은 동기 부여 및 개선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피드백 가치(부정/실패 대 긍정/성공)와 상호 작용한다. [승진 초점] 아래서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는 사람보다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는 사람이 동기부여가 더 높습니다. [예방 초점]에서는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는 사람보다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는 사람이 동기부여가 더 높습니다. 
4. The difference in eff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is dependent on the feedback recipient’s state of mind. The promotion and prevention regulatory systems interact with feedback valence (negative/failure versus positive/success) to influence motivation and improvement. Under promotion focus, motivation is higher for those who receive positive feedback relative to those who receive negative feedback. Under prevention focus, motivation is higher for those who receive negative feedback relative to those who receive positive feedback.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 모두 학습과 지식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발견은 학생들이 복잡한 지식과 기술을 배우고 이 지식을 새로운 임상 환경으로 전이할 수 있도록 최선의 준비를 하는 방법에 대해 의학 교육자들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담당 의사나 상급 레지던트가 후배에게 일련의 어려운 질문을 하는 일반적인 교육학적 기법을 생각해 보십시오. 이러한 핌핑pimping 경험은 굴욕감, 당황감, 흥분감, 그리고 불안감을 포함한 다양한 감정과 연관되어 있으며, 교육자들은 이러한 감정적 상태가 핌핑pimping 경험을 통한 학습을 촉진시킨다는 이론을 세워왔다.60,61 실제로, 대부분의 학생들은 이러한 핑핑 세션을 꽤 잘 기억한다 – 이는 일부 교육자들이 핌핑을 교육의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을 촉진하는 사실 중 하나이다.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learning and knowledge transfer. These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ors regarding how best to prepare students to learn complex knowledge and skills and to transfer this knowledge into novel clinical settings. Consider the common pedagogical technique known as “pimping,” whereby attending physicians or senior residents ask junior colleagues a series of challenging questions. These pimping experiences are associated with a variety of emotions, including humiliation, embarrassment, excitement, and anxiety, and educators have theorized that these emotive states promote learning during the pimping experience.60,61 Indeed, most students recall these pimping sessions quite well—a fact that is used by some educators to promote the use of pimping as a form of teaching. 

하지만, 우리는 핌핑이 언제, 왜, 왜 효과가 있는지 아직 완전히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 학생들이 이런 사건들을 떠올리는 성격 때문에 머리 속에서 재현할 가능성이 더 많은가?
  • 특정 핌핑 사건에 대응하여 관련 정보를 더 많이 찾을 수 있습니까?
  • 포주가 지식 유지에 미치는 영향은 학생들이 긍정적 대 부정적 감정을 경험하는지 또는 자극적 대 비흥분적 상태를 경험하는지에 따라 달라지는가?
  • 핌핑이 새로운 임상 사례로 지식과 기술을 이전하는 것을 촉진하거나 방해합니까?

 

However, we do not yet have a complete understanding of whether, why, or when pimping works.

  • Are students more likely to replay these events in their heads because of their evocative nature?
  • Are they more likely to look up relevant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particular pimping event?
  • Does the impact of pimping on knowledge retention depend on whether students experience positive versus negative emotions or arousing versus nonarousing states?
  • Does pimping promote or impede the transfer of knowledge and skills to new clinical cases?

 

이 글에서 검토한 문헌은 [학생들이 학습 상황을 위협적이거나 두려운 것으로 인식]할 때 인지 리허설과 정교함으로 인해 정서적 사건에 대한 기억력이 더 좋을 수 있지만, 더 넓은 연관성을 가질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학습된 정보를 다른 임상상황에 전이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비록 핌핑이 특정 상황에 대한 기억을 향상시켜 영향력 있는 교육/학습의 인상을 만들 수 있더라도, 실제로 새로운 맥락에 습득한 지식을 적용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The literature reviewed in this article suggests that, when students perceive a learning situation as threatening or frightening, they may have better memory of the emotional event because of cognitive rehearsal and elaboration, but they may be less likely to make broader connections, thereby precluding transfer of the learned information to other clinical settings. Therefore, although pimping may enhance memory for certain situations, creating the impression of influential teaching/learning, it may actually impede the application of knowledge gained to new contexts. 

물론 그러한 지식이 훈련과 연습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감정과 그것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효과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지 알아야 한다. 어떤 증거는 일단 개인이 잠재적인 기분 영향을 알게 되면 감정이 그들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결과적으로, 의학 교육자들은 의사들이 그들의 [감정 상태와 그들의 감정이 어떻게 인식, 해석, 행동을 편향시킬 수 있는지를 인식하도록 훈련]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Of course, for such knowledge to have an impact on training and practice, we must know whether emotion and its influence on performance can be modulated effectively. Some evidence suggests that once individuals are made aware of potential mood effects, they are able to modulate the extent to which emotion influences their performance.10,62,63 As a result, medical educators may be able to train physicians to be aware of their emotional states and how their emotions may bias perceptions, interpretations, and actions. 

  • 이와 관련하여 자기 성찰 체크리스트와 포트폴리오의 구성요소로써 학습자의 정서 상태에 대한 관심을 분명히 유도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습니다. 
  • 또는, 시뮬레이션된 상황을 사용하면 학생들이 언제, 어느 정도까지 감정이 결정을 통제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학생들에게 일련의 시뮬레이션을 시킨 다음, 학생들이 어떻게 느끼는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도록 요구함으로써, 의료 훈련생들은 그들의 감정 상태를 더 잘 모니터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감정상태와 그 감정상태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함으로써, 의료전문가와 교육생은 자신이 언제 가장 잘 학습하고 있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대한 인식을 이상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 Explicitly drawing attention to learners’ emotional states by making them components of self-reflective checklists and portfolios may be useful in this regard.64
  • Alternatively, the use of simulated situations may help students become aware of when and to what extent emotions regulate their decision making. By subjecting students to a series of simulations and then requiring them to continuously monitor how they are feeling, medical trainees may become better at monitoring their emotional states.
  • By fostering the ability to identify different emotional states and their effects on learning, medical professionals and trainees will ideally develop an awareness of when they are learning and performing at their best and when they are not.



마지막으로 우리는 감정이 얼마나 강력해질 수 있는가에 대해 명시적으로 보강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본 리뷰에서 설명한 분위기 유도 절차는 매우 미미합니다. 짧은 필름 클립이 효과가 있다면, 의료 훈련과 관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더 극단적인 경험을 한 후에 얼마나 더 극적인 변화가 일어날 수 있을까? 말하자면, 우리가 유도된 감정 상태에 대해 논의한 후 참가자들에게 감정적으로 중립적인 작업(예: 전역/지역 처리 작업; ToH 퍼즐)을 완료하도록 한 많은 연구들에 주목해야 한다. 

Finally, we think it is worth explicitly reinforcing just how powerful emotions can be. The mood induction procedures that we have described in this review are quite minimal. If a brief film clip has an effect, how much more dramatic might the change be after a more extreme experience, like those common in medical training and care? That being said,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many of the studies that we discussed induced emotional states and then had participants complete emotionally neutral tasks (e.g., global/ local processing tasks; ToH puzzle). 

훈련생들이 학습 환경에 가져오는 

  • 내생적 정서 상태(즉, 스트레스, 긴장, 흥분)
  • 특정 학습 사건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감정 상태(즉, 첫 삽관 수행과 관련된 스트레스, 유아의 탄생을 관찰함으로써 유발되는 흥분) 

...를 구별할 가치가 있을 수 있다. 

It may be worth differentiating between

  • endogenous emotional states that trainees bring into a learning environment (i.e., stress, nervousness, excitement) and
  • the emotional states that are brought about in response to specific learning events (i.e., stress associated with performing one’s first intubation, excitement induced by observing the birth of a infant). 

우리가 검토한 문헌들은 개인의 감정 상태가 학습/전이 사건과 얼마나 연관되어 있는지가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우리에게 알려주지 않았다. 의료 환경에서 두 사례가 모두 잠재적으로 높은 유행률을 보인다는 점을 고려할 때, 내인성 및 외인성 정서 경험의 구별은 의료 교육의 맥락에서 특히 중요할 수 있다.

The literature that we reviewed did not inform us about the extent to which it matters whether an individual’s emotional state is tied to the learning/transfer event. The distinction between endogenous and exogenous emotional experiences may be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context of medical education, given the potentially high prevalence of both instances in health care settings.1 

향후 연구를 위한 권고사항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오히려 의과대학 시절뿐만 아니라 경력 전반에 걸쳐 경험했던 감정들이 의료전문가와 연수생들의 높은 수준의 수행 능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보렐-캐리오와 엡스타인65가 최근 밝힌 것처럼 "의사들이 임상 상황에서 더 잘 기능할 수 있도록 정서적 자기 인식과 주의력 자기 조절을 습관화 할 수 있다"고 밝혔다.

Rather, the emotions experienced not only during medical school but throughout one’s career ma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health care professionals and trainees’ capacity to perform at a high level. As Borrell-Carrió and Epstein65 recently stated, “emotional self-awareness and self-regulation of attention can be consciously cultivated as habits to help physicians function better in clinical situations.”

 


Acad Med. 2012 Oct;87(10):1316-22.

 doi: 10.1097/ACM.0b013e3182675af2.

The role of emotion in the learning and transfer of clinical skills and knowledge

Meghan M McConnell 1Kevin W Eva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 1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Faculty of Medicine,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meghan.mcconnell@ubc.ca
  • PMID: 22914515
  • DOI: 10.1097/ACM.0b013e3182675af2Abstract
  • Purpose: Medical school and residency are emotional experiences for trainees. Most research examining emotion in medicine has focused on negative moods associated with physician burnout and poor quality of life. However, positive emotional states also may have important influences on student learning and performance. The authors present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he influence of emotion on cognition, specifically how individuals learn complex skills and knowledge and how they transfer that information to new scenarios.Results: The authors found articles that show that emotion influences various cognitive processes that are involved in the acquisition and transfer of knowledge and skills. More specifically, emotion influences how individuals identify and perceive information, how they interpret it, and how they act on the information available in learning and practice situations.
  • Conclusions: There are many ways in which emotions may influence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must further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to ensure that learning is not treated simply as a rational, mechanistic process but that trainees are effectively prepared to perform under a wide range of emotional conditions.
  • Method: From September 2011 to February 2012, the authors searched Medline, PsycInfo, GoogleScholar, ERIC, and Web of Science, as well as the reference lists of relevant articles, for research on the interaction between emotion, learning, and knowledge transfer. They extracted representative themes and noted particularly relevant empirical findings.

의과대학이라는 형상화된 세계에서 의사가 되기 전 정체성 저술하기(Perspect Med Educ, 2018)

Authoring the identity of learner before doctor in the figured world of medical school
Evangeline Stubbing1 · Esther Helmich2 · Jennifer Cleland3

 

도입
Introduction

정체성 형성이란 다음에 대한 것이다

  • 사람들이 어떻게 자기 자신을 이해하게 되는지,
  • 자기자신을 [자신이 속한 '세계'와 및 세계 내외부에 존재하는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면서] 자신이 누구인지 어떻게 '추정figure' out할 것인지

Identity formation is about

  • how people come to make sense of themselves,
  • how they ‘figure’ out who they are as they interact with the ‘world’(s) they are part of and with others who both exist within and outside of these worlds [1, 2].

의대생은 여러 세계 사이에 위치한다. [환자라는 일반인 세계lay world의 성인으로서being adolescents]와 [의사 및 전문직이 되어가는 것becoming]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과도기적 입장의 결과는 의대생들이 [자신의 교육 및 미래의 의사]와 관련하여 [자신이 누구라고 생각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을 어떻게 표현할지]에 대해 지속적으로 협상하거나 자신의 정체성을 작성authoring하는 것입니다 [5]. 

Medical students are positioned between worlds, between being adolescents [3] in the lay world of patients and becoming doctors and professionals [4]. A consequence of this transitional position is that medical students are continually negotiating or authoring their identities in terms of who they think they are and how they portray themselves to others in relation to their training and as future doctors [5].  

지금까지의 연구는 정체성 형성과 관련된 의학교육의 세계 속에 존재하는 [외부적 사회적 요인]들을 밝혀냈다. 예를 들어, 의과대학 문화로의 사회화[6–8] 또는 환자와의 만남의 정서적 경험[9–11]이 그것이다.
Research to date has illuminated the external social factors within the world of medical education implicated in identity formation: for example, socialization into the culture of medical school [6–8] or the emotional experience of patient encounters [9–11].

더 최근의 연구는 [내부 요인]의 영향을 탐구했다. 이러한 내부 요인에는 의대생들이 의사의 정체성과 이타적으로 연관짓는 [초기 선입견이나 상상력]이 포함된다(예: 사람들을 돕고 아픈 사람들을 치료하는 것). 하지만 여기에는 바람직하지 않은 선입견(예: 권력과 지위를 소유하는 것)도 있습니다. 학생들이 world of medicine 내에서 자신이 누구인지 '추정figure'하려고 할 때, 초기 선입견preconception은 강화되거나(유익한 '조화'), 경쟁될 수 있습니다(정서적으로 충돌하는 '불화').
More recent studies have explored the influence of internal factors. These internal factors include the early preconceptions or imaginations that medical students associate altruistically with the identities of a doctor (such as to help people and cure the sick) [4, 12–15], but also less desirable preconceptions (for example to possess power and status) [13–15]. As students try to ‘figure’ who they are within the world of medicine their early preconceptions may be reinforced (beneficial ‘consonance’), or contested (emotionally conflicting ‘dissonance’) [16, 17].

불화dissonance 경험의 결과로 학생들은 자신의 세계관과 포부를 의심하고, 자신의 가치를 의심하며, 전문직에서 요구되는 바를 충족시키기 위해 고군분투할 수 있습니다 [16]. 따라서, 전문가 정체성에 대한 이러한 지속적인 협상은 [정서적 비용]을 수반하지만, 정체성 형성에 관련된 감정은 의학교육 연구에서 종종 간과된다[18]. 
As a consequence of the experience of dissonance students may doubt their world-views, aspirations, question their self-worth and may then struggle to succeed in meeting the requirements of their profession [16]. It is clear, therefore, that this continual negotiation of a professional identity has an emotional cost, yet the emotions involved in identity formation are often overlooked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18].

더욱이 학생들이 의과대학에서 [(의사가 되는 것에 대한) 초기 선입견]을 자신의 정체성과 통합하려고 할 때 긴장감이나 불화가 있는 경우, 초기 선입견은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도움을 주기보다는) 방해가 될 수 있다.
Moreover, where there is tension or dissonance as students attempt to integrate their early preconceptions about being a doctor with their developing identities once at medical school (for example; when being unable to cure the sick [4] and when facing the expectation that a clinician should be emotionally detached) [19, 20], early preconceptions may hinder rather than help students form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의대생들이 의대에 '빈 석판'으로 입학하는 것이 아니라면, 그러한 내부 긴장과 관련 감정을 어떻게 경험하고 관리하는지를 더 깊이 탐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증진시키면 복잡한 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고 교육자들이 이러한 경험을 통해 학생들을 가장 잘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도울 수 있을 것입니다. 
If medical students are not entering medical school as ‘blank slates’, it is crucial to explore further how such internal tensions and associated emotions are experienced and managed. Advancing our understanding of this phenomena will provide new insights into the complex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and assist educators in how best to support students through this experience. 

따라서 [의대 내에서 감정의 역할]을 인정해야 한다는 요구에 대응하고자, 우리의 목표는 의대 학생들이 의대 초기에 새로운 신분을 형성하기 시작할 때 경험하는 감정을 탐구하는 것이었다. 우리는 정체성 형성과 감정 사이의 연결을 명확히 하고[22] 우리의 발견을 일관성 있게 설명하기 위해 '그림화된 세계' 이론[1]을 사용했습니다. 
Thus, and responding to calls to acknowledge the role of emotion within medical education [17, 18, 21], our aimwas to explore the emotions medical students experience when starting to form new identities early in medical school. We used ‘figured worlds’ theory [1] to help make explicit the links between identity formation and emotions [22], and to help us explain our findings in a coherent way. 

방법
Methods



연구 패러다임/방법론
Study paradigm/methodology


이는 구성주의적 인식론에 의해 뒷받침된 질적 해석적 연구였다[23].
This was a qualitative, interpretative study underpinned by a constructivist epistemology [23].

컨텍스트
Context


이 연구는 5년제 학부 과정을 제공하는 영국의 한 의과대학에서 이루어졌다. 이 프로그램은 시스템과 사례 기반이며, 급성 병원 병동에 조기에 임상적으로 노출되고 첫 해에 환자가 가정을 방문합니다. 

The study took place at one medium-sized UK medical school offering a five-year undergraduate program (the norm in the UK). The program is systemsand case-based, with early clinical exposure to acute hospital wards and a patient home visit in the first year. 

참가자
Participants


2013년에는 전체 학급 프레젠테이션, 포스터 광고 및 학급 이메일을 통해 1학년 의대생 169명이 5년 종별 연구에 참여하도록 초대되었습니다 [24]. 
In 2013, all 169 first year medical students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a five-year longitudinal study via a wholeclass presentation, poster advert, and class email [24]. 

데이터 수집
Data collection


데이터 수집을 위해 포커스 그룹을 사용하여 참가자들이 대응, 토론을 주도할 수 있도록 하고 [26] 접근 불가능한 잠재적 사고를 자극했다[27]. 23명의 참가자는 최적의 그룹 크기에 기초하여 네 개의 포커스 그룹으로 구성되었습니다 [23]. 6인 2조, 5인 1조, 4인 1조로 구성됐다. 이후 4인 1조로 참석할 수 없는 참가자 2명이 짝을 지어 인터뷰했다. 모든 참가자들이 참여했으며, 연구 내내 같은 그룹/쌍에 머물렀다. 데이터 수집은 두 가지 포커스 그룹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첫 번째 포커스 그룹은 의대를 시작한 지 몇 주 내에 이루어졌고 두 번째 포커스 그룹은 1학년 말에 이루어졌습니다. 약 1시간 동안 지속된 포커스 그룹은 의과대학 구내에서 수행되었다. 참가자들은 간단한 다과를 제공받았지만 다른 인센티브는 받지 않았다. ES는 참가자의 경험과 감정을 유도하기 위해 반구조적이고 개방형 질문 가이드를 사용하여 포커스 그룹을 수행했습니다 [28]. 
We used focus groups for data collection to allow participants to lead responses, discussion [26],andalsotostimulate potentially inaccessible thoughts [27]. The 23 participants were formed into four focus groups on the basis of optimal group size [23]. Two groups of six, one group of five and a group of four were formed. Two participants unable to attend with the group of four were interviewed later as a pair. All participants attended and remained in the same groups/pairs throughout the study. Data collection was longitudinal with two sets of focus groups: the first within a few weeks of starting medical school and the second at the end of Year 1. Focus groups, lasting around 1 h, were undertaken on medical school premises. Participants received light refreshments but no other incentives. ES conducted the focus groups using a semi-structured and openended question guide to elicit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emotions [28].

데이터 관리 및 분석
Data management and analysis


포커스 그룹은 텍스트 데이터에 익명으로 참여하기 위해 이름을 제거하여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고 기록했습니다 [29]. 
Focus groups were audio 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with names removed, to engage anonymously with textual data [29]. 

책임연구자(ES)가 예비 코딩 과정을 맡았다. 그런 다음, 작성자 팀이 이 코드를 논의하고 포커스 그룹 집합 전체에 걸쳐 그리고 종방향으로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 데이터 집합 1차(2013년 10월)와 포커스 그룹 데이터 2차(2014년 6월) 각각에 대해 하나씩, 두 개의 별도 '코딩 템플릿'을 개발하는 데 사용했다. 이러한 템플릿은 참가자 계정의 반복적 특징에 대한 기반과 구성 수단을 형성했습니다 [32]. 코딩과 분석은 반복적이고 귀납적이었다: 데이터에 대한 풍부한 표현이 있을 때까지 템플릿을 수정하기 위한 팀 토론이 정기적으로 있었다[33]. 
The lead researcher (ES) undertook the process of preliminary coding. These codes were then discussed by the author team and used to develop two separate ‘coding templates’, one for each set of focus groups, the first round (October 2013) and second round of focus group data (June 2014) to conduct analysis both across the set of focus groups and longitudinally. These templates formed the foundation and means of organization for recurrent features of the participant accounts [32]. Coding and analysis were iterative and inductive: with teamdiscussions at regular intervals to modify the templates until we had a rich representation of the data [33]. 

정성적 데이터의 해석은 연구자의 관점과 연구가 수행되는 사회적 맥락에 따라 달라진다 [33].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연구 결과]는 [연구자의 편견, 가정 및 특성]과 결코 분리되지 않을 것이다 [34]. 따라서, 연구 내내 ES는 성찰 일지를 유지했고, 팀으로서 우리는 이러한 일지가 연구 과정과 결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인지하는 우리의 입장과 가능한 편견을 정기적으로 고려했다. 
Interpretation of qualitative data is dependent upon the researcher standpoint and the social context in which the research is undertaken [33]. From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research outcomes will never separate from the biases, assump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er [34]. Thus, throughout the study, ES maintained a reflexive diary and as a team we regularly considered our stances and possible biases recognizing how these may be influential to the research process and findings. 

이론적 프레임워크
Theoretical framework

Holland 외 연구진들은 '형상화된 세계figured worlds'를 광범위하게 '사회적으로 생산되고, 문화적으로 구성된 활동'(P. 40-41)으로 정의했으며, 이 곳에서 사람들은 [새로운 자기 이해(정체성)를 생산(수행)]한다. [형상화된 세계]는 개인의 가능성의 장소, 즉 'as if' 세계의 장소이지만, 홀랜드 등은 형상화된 세계는 문화적, 사회적 기반을 갖기 때문에, 일상 활동에 수반되는 [권력, 지위, 계급 관계]에 의해 조정된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 다시 말해, 이러한 [형상화된 세계] 또는 맥락 안에서, [특정한 사회적 행위는 의미]를 가지며 [사람들의 위치가 중요]합니다. 
Holland et al. broadly defined figured worlds as ‘socially produced, culturally constituted activities’ (P. 40–41) where people produce (perform) new self-understandings (identities). Figured worlds are sites of individual possibility, or ‘as if’ world(s) but Holland et al. also make clear that because figured worlds are culturally and socially based, they are mediated by relations of power, status, and rank, implicated through daily activities. In other words, within these figured worlds, or contexts, certain social acts have significance and people’s positions matter. 

각 [형상화된 세계]는 사회적으로 구성된 [마스터 내러티브] 또는 [세계의 바탕이 되는 선입견]에 의해 조직됩니다(예: 의사들이 병자를 치료할 수 있어야 함). 일상적인 사회적 관행과 활동은 이러한 서술에 반하여against 해석됩니다. 형상화된 세계는 [일상적인 행동]과 ['위치성positionality'의 과정]을 통해 구성되고 재구성됩니다. '위치성Positionality'이란, 특정한 형상화된 세계(예: 환자, 의사 또는 의대생)에 있는 사람들에게 그들이 받아들이거나 거부하거나 협상할 수 있도록 '제공offered'되는 위치position을 말한다. [형상화된 세계 이론]에서 이것은 '저작의 공간space of authoring'으로 지칭되며, 이는 사람들이 그들에게 제공된 정체성을 받아들이거나/거부하거나/협상함으로써 응답하고 대답하는 것이다. 
Each figured world is organized by socially constructed master narratives or preconceptions on which the world is based (such as doctors should be able to cure the sick). Day-to-day social practices and activities are interpreted against these narratives. Figured worlds are constructed and reconstructed through daily actions and a process of ‘positionality’; that is, the positions ‘offered’ to people in a certain figured world (such as patient, doctor or medical student) which they may accept, reject, or negotiate. This is referred to in figured worlds theory as the ‘space of authoring’, or of people answering and responding by accepting, rejecting or negotiating the identities offered to them.

즉, 사람들은 자신이 누구인지 '자기 저술'한다.

  • 그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활동들을 통해서,
  • 이 상상된 세계를 채우는 사회적 유형들과 관련하여,
  • 이 세계를 수행하는 사람들과의 사회적 관계에서,

In other words, people ‘self-author’ who they are

  • through activities that they attach significance to,
  • in relation to the social types that populate these figured worlds and
  • in social relationships with the people who perform these worlds. 


예를 들어 의사가 되는 것은 [병자를 치료하는 것 뿐만 아니라 편안하고 품위 있는 죽음을 보장해주는 것]이라는 선입견처럼, [형상화된 세계]가 [원래 만들어진 것]과 다를 때 도전이나 긴장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그러한 긴장에 대응하여, 자기자신을 세상에 대하여 재작성re-write하는 자기-저술self-authroing이 일어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개개인은 사회적 자원을 사용하여 반응을 만들어낸다. 

Figured worlds can create a challenge or tension when they are different to what was originally constructed, as in preconceptions, for example, that being a doctor is not only about curing the sick but is also about providing support to ensure a comfortable and dignified death. In response to such tensions, ‘self-authoring’ may take place, where individuals use their social resources to craft a response, to re-write themselves into the world [1]. 

윤리
Ethics


결과
Results


템플릿 분석 결과, 세 가지 중요한 주제와 관련된 하위 주제가 발견되었습니다.

  • 의사가 되는 것에 대한 선입견(예: 변화를 돕고 리더가 되는 것)
  • 선입견으로 경험하는 긴장감(변화를 만들거나 돕지 못하는 것, 변화를 만들거나 도와야 하는 압박감, 무력감)
  • 긴장과 자기저술 정체성self-authoring identities을 협상하는 참가자들의 모습이 드러났습니다.

Template analysis revealed three overarching themes and associated subthemes:

  • preconceptions of being a doctor, e. g. to help/make a difference and to be a leader.
  • Tensions experienced with preconceptions included being unable to help/make a difference, feeling a sense of pressure to help/ make a difference and lacking power.
  • Moreover, analysis revealed participants negotiating tensions and self-authoring identities. 

 

의사가 되는 것에 대한 선입견
Preconceptions of being a doctor

의대에 도착하자마자, 초기 정체성 형성의 일환으로 참가자들은 [의학의 세계]와 [의사의 위치]와 관련된 많은 선입견을 형성했다. 두 가지 유의적인 선입견이 표현되었다.

  • 첫 번째는 다소 이타적인 것으로, 의사가 되기 위한 근본적인 것이었다: '나의 관점은 국경 없는 의사와 같은 존재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며, 무력한 사람들을 돕겠다는 생각'이었다.
  • 둘째, 참가자들은 의사가 '리더'가 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진정한 변화를 만들기 위해서는 의사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팀 리더이기 때문이다. 그들은 결정을 내리고 모든 것은 그들로부터 따라온다.  

On arrival to medical school, as part of their early identity formation participants had formed a number of preconceptions associated with the figured world of medicine and the position of a doctor. Two significant preconceptions were expressed.

  • The first somewhat altruistic, participants considered ‘to help/make a difference’ was fundamental to being a doctor: ‘I think my angle will be trying to be something like a doctor without borders or something like that, and so the idea of helping the helpless’ (MP11-FG2-T1).
  • Second, participants considered that a doctor is ‘to be a leader’: ‘But I think to make a real difference, you have to be a doctor because they’re the team leader; they make the decisions and everything follows down from them’ (FP2FG1-T1). 

 

선입견으로 인한 긴장감
Tensions experienced with preconceptions


'도움을 주고 변화를 만드는' 의사라는 선입견과 '리더'라는 선입견과 달리, 새롭게 경험하는 의학계의 현실은 [분명한 긴장감]을 만들어냈다.
In contrast to their preconceived figured world of a being a doctor to ‘help/make a difference’ and a ‘to be a leader’, the realities of the newly experienced world of medicine created an evident tension (dissonance).

1학년 내내 참가자들은 [부족한 지식]과 관련하여 '도움이 안 되고 변화를 일으킬 수 없는 것'에 대해 토론했다. '아직도 경험이 없는 1학년 의대생이고 아무것도 할 수 없고 아무것도 할 수 있는 지식이 없는 것 같다.'(FP16-FG3-T1) 그리고 '저희들은 제가 그것에 대해 잘 모르거나 어떻게 치료해야 할지 모른다는 사실에 정말 짜증이 났습니다.' (MP10-FG2-T2) 
Participants throughout their first year discussed ‘being unable to help/make a difference’ with reference to a lack of knowledge: ‘I’ll still feel like I’m an inexperienced first year medical student and I can’t do anything and I don’t have the knowledge to do anything’ (FP16-FG3-T1). And ‘We were really annoyed by the, uh, fact that I don’t know much about it, or don’t know how to treat it (referring to a patient condition) ...’ (MP10-FG2-T2). 

1학년 말에도 참가자들은 지식이 부족하여 변화를 도울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환자들이 여전히 신뢰를 부여했다고 생각]했다. 이로 인해 '도움을 주어야 한다는 하는 압박감'이 생겼고 긴장감을 더했습니다.

  • '당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고 있다는 (환자들의) 믿음입니다. 사실, 나는 아마 아는 것이 없는데도...' (MP8-FG2-T2)
  • 아니면, '... 한 사람에게 많은 신뢰를 주는 것은 그 사람에게 부담을 줄 수 있고, 만약 실수를 하게 되면 그 환자가 당신을 정말 믿었기 때문에 기분이 백만 배 더 나빠질 것이다.' (FP17-FG3-T2) 

At the end of Year 1 participants considered that, despite lacking the knowledge and thus being unable to help/make a difference, patients still granted them their trust. This created ‘feeling a sense of pressure to help/make a difference’ and added to the tension.

  • ‘It’s that trust that you know what you’re doing, when in actual fact, you probably don’t [laughs]’ (MP8-FG2-T2).
  • Or: ‘... putting so much trust in a single person can add pressure to that person too and if you mess up then you’ll feel a million times worse because that patient really trusted you’ (FP17-FG3-T2). 

1학년 내내 참가자들은 [의대 1학년이라는 그들의 위치]와 [의학계의 리더]라는 초기 선입견 사이에 긴장감을 표현했다.

  • 이런 긴장감은 '생각만큼의 파워가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MP8-FG2-T1)는 인식을 통해 표출됐다.
  • 존경심이 부족하다는 인식도 '권한이 부족하다'는 긴장의 원인이 되었다. '넌 아무도 널 존중하지 않을 어린 소녀야'

Throughout their first year participants expressed a tension between their position as a first year medical student and their earlier preconception of being a leader in the figured world of medicine.

  • This tension was expressed through their recognition of ‘lacking power’: ‘You realize you don’t have as much power as you think’ (MP8-FG2-T1).
  • A perceived lack of respect also contributed to the tension of ‘lacking power’: ‘I got told ... you’re a little girl no one will ever respect you’ (FP5-FG1-T2).


긴장의 협상 및 자체 작성
Negotiating tensions and self-authoring


참가자들은 의과대학 1학년을 여행하면서 [self-authoring 과정]을 통해 위에서 설명한 긴장감을 협상했다. 1년 말, 참가자들은 [자신들의 부족한 지식들을 해결하기 위해 열심히 하는 것]만으로는 [변화를 일으킬 수 없다는 긴장감]을 협상하려는 시도를 표현했다. 이것은 의학이라는 형상화된 세계에 자신을 써넣는 방법이었다.

  • '더 많은 것을 알고 더 많은 것을 할 수 있기를 바라는 것 같다' (FP4-FG1-T2)
  • 동시에 참가자들은 이 긴장감을 해소하려면 [자기 위치의 재구성이 필요로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 단계에서 그들은 모든 것을 알 수 없다는 것은 인식하고 받아들여야 했다. '우리도 인간이다. 우리가 모든 걸 알 수는 없다'

As the participants journeyed through Year 1 at medical school, they negotiated the tensions outlined above through a process of self-authoring. By the end of Year 1, participants expressed an attempt to negotiate the tension of being unable to help/make a difference by being eager to address their lack of knowledge, a way in which to write one’s self into the figured world of medicine: 

  • ‘I kind of feel like I want to be able to know more and start to be able to do more’ (FP4-FG1-T2).
  • At the same time, participants realized that addressing this tension required reconstructing their position, by recognizing and accepting they cannot know everything at this stage: ‘It’s only human. We, we can’t know everything’ (MP7-FG2-T2).

1학년 말에 참가자들은 의대생으로서의 자신의 위치가 의사의 권위와 리더십이 아니더라도 [책임이 부여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아마도, 의과대학생으로서, 권한은 가질 수 없지만, 책임은 있습니다' (MP9-FG2-T2) 참가자들은 '2학년은 좀 더 높은 지위가 있고, 사람들은 의학 지식이 있고, 자신들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안다'는 생각을 하며, 리더로서의 개념을 강화할 수 있는 더 강력한 한 해를 내다본다. 
By the end of Year 1 participants also recognized that their position as a medical student does grant responsibilities, if not the authority and leadership of a doctor: ‘Maybe, now that you’re, like, a medical student ... you can have, not authority, but you’ve got responsibility ...’ (MP9-FG2-T2). Participants look to the year ahead imagining a stronger position that might enhance the notion of being a leader: ‘I think second year has more of a standing, people are like, oh they’ve got some medical knowledge, they know what they’re doing’ (FP1-FG1-T2). 

고찰
Discussion

우리는 학생들이 의학의 세계로 들어갈 때 [의대생으로서의 위치적 정체성]과 [변화를 돕고 선도하는 의사라는 초기 내부 선입견 또는 상상력] 사이에서 긴장을 느낀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 대신 의대 1학년 학생들은 스스로가 변화를 돕고 이끌 지식과 힘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We found that, on entering the figured world of medicine, students experience tensions between their positional identities as medical students and their earlier internal preconceptions or imaginations of being doctors who help/make a difference and are leaders. Instead, being ‘just’ first year medical students they found themselves lacking both the knowledge and power to be able to help/make a difference and to lead. 

의과대학 1학년이 끝날 무렵, 비록 지식과 권력은 부족하지만, 우리의 학생들은 지식과 권력의 한계를 인정하는 법을 배우면서 그들이 경험했던 긴장감을 해소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의과대학은 그들에게 [특권과 책임을 부여]해 주지만 [아직 권한은 부여하지 않았습니다]. 
By the end of the first year of medical school, although still lacking knowledge and power, our students appear to resolve the tensions they had experienced, learning to acknowledge limitations of knowledge and power, yet recognized that being a medical student granted them privileges and responsibilities (but not yet authority). 

의사라는 'as if'나 상상 속의 정체성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고, 학습자와 의대 1학년이라는 self-authored 정체성으로 위치를 재정비했다. 의대 1학년 학생으로서의 정체성은,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우리 학생들에게 합법적인 지위를 부여했고, 그 결과 그들은 미래의 직업적 정체성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 의학의 세계로 진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Instead of focusing only on the ‘as if’ or imagined identities of being a doctor, they re-aligned their position into the self-authored identity as learner and first year medical student. The very identity as a first year medical student, nothing more, nothing less, granted our students a legitimate position, which in turn allowed them to enter the world of medicine in which they could further develop their future professional identities. 

환자들로부터 신뢰를 받는 것은 우리 참가자들에게 부적절하게 느껴졌다. [신뢰는 전문가 지위의 기초]이며 환자와 의사 사이의 사회적, 도덕적 계약의 일부로 인정됩니다 [42, 43]. 그러나 1학년 학생들은 필요한 지식과 기술이 부족하여 이 '계약'을 이행할 수 없었다. 이로 인해 긴장감이 생겼고, 압력감으로 표현되었습니다. 이는 초기 연구(예: Lingard 등)의 연구 결과를 반영합니다. 이 연구에서는, 사례 발표 중의 불확실성과 지식의 한계와 관련한 의대 3학년 학생들의 긴장을 식별했다. 
Being trusted by patients felt inappropriate to our participants. Trust is fundamental to the status of a professional, and granted as part of a social and moral contract between patients and doctors [42, 43]. Yet, year 1 students felt unable to fulfil their end of this ‘contract’, because of lacking necessary knowledge and skills. This resulted in a tension, articulated as a sense of pressure. This reflects the findings of earlier studies: for example Lingard et al. (2003) identified tensions in third year medical students, concerning uncertainty and limitations of knowledge during case presentations ([44], see also [45]). 

참가자가 보기에 [신뢰는 획득해야 하는 것]이며, 역량(충분한 지식)이라는 수단으로 얻어야 한다. 또한 [사람들을 돌보고자 하는 희망(환자를 돕고 변화를 만드는 것)]이나 [변화를 만들 수 있도록 의사에게 부여된 지위나 힘]을 통해 얻을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토론' 중 두 가지는 이전에 McLeod(2011)가 설명했으며, 그녀는 학생들이 [(지배적인) 역량 담론]과 [(덜 가치롭게 여겨지는) 돌봄 담론] 사이에서 긴장을 경험할 수 있는 방법을 탐구했다[20]. 우리의 연구는 학생들이 'as if' 정체성에 대해 협상할 때 사용될 수 있는 세 번째 이슈를 추가하는데, 이 이슈는 [권력의 담론]이라고 불릴 수 있다. 
In the eyes of our participants, trust needs to be gained, by means of competence (having enough knowledge), in their wish to take care for people (helping patients, making a difference), or through the position or power granted to doctors enabling them to make a difference. Two of these ‘discourses’ were previously described by MacLeod (2011), when she explored how students may experience tensions between the dominant discourse of competence, and the less valued discourse of caring [20]. Our study adds a third issue that might be in play when students negotiate ‘as if’ identities, one which might be called a discourse of power.

우리가 아는 한, 우리의 연구는 학생들이 [의과대학에 입학할 때 이미 가지고 있는 선입견의 일부]이며, 의과대학 1학년 때 경험하는 [긴장감의 중심에는 권력 부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첫 번째 연구에 속한다. 이전의 연구에서는 '권한/권력'을 부정적인 선입견으로 식별했다[13–15]. 그러나, 우리의 참가자들에게 힘은 다른 사람들보다 지배적이고 우월한 위치를 차지하거나, 그 자체로 지위를 갖는 것에 대한 것이 아니라, 변화를 만드는 수단으로서 여기는 것처럼 보였다. 이것은 더 조사해 볼 가치가 있다. 

As far as we know, our study is among the first showing that power is already part of the preconceptions students have as early as entering medical school, and that lacking power is central to the tensions they experience in the first year of medical school. Previous studies have identified ‘power’ as a negative preconception [13–15]. However, for our participants power seemed less about assuming a dominant and superior position over others, or having status per se, and more as a means to make a difference. This merits further investigation. 

의학 교육에서 [형상화된 세계 이론]을 사용한 연구는 일반적으로 담론[22, 40] 또는 언어 분석 형식을 채택했다[38]. 그러나, 우리의 연구에서와 같이, 그림화된 세계 이론과 다른 방법론의 결합은 더 넓은 문헌에서 성공적으로 활용되었습니다 [35–37]. 이러한 방법론적 '가져오기importing'(한 분야에서 잘 알려지지 않은 다른 분야로 개념과 도구를 이전하는 것)는 오래된 문제를 새로운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가치가 있다[49]. 
Studies using figured worlds theory in medical education have typically employed discourse [22, 40] or linguistic forms of analysis [38]. However, the combination of figured worlds theory and other methodologies, as in our study, has been successfully utilized in the wider literature [35–37]. This methodological ‘importing’ (the transference of concepts and tools from one field where it is well known to another field where it is less known) is valuable because it provides opportunities for addressing old problems in new ways [49]. 

[도움을 줄 충분한 지식과 힘이 없다는 긴장감]은 학생들이 [의사에 대해 상상한 'as if' 정체성]과는 반대로, 학습자로서 그들의 [위치적 정체성]에 대해 더 강한 확신을 갖도록 돕는 것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이는 의과대학에 입학한 첫 달 동안의 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높이고 이 과정에 대한 성찰을 장려함으로써 뒷받침될 수 있다[50]. 개인적 성찰을 통해 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은 학생들이 초기 내부 정체성 및 선입견과 관련된 딜레마와 긴장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전문적 정체성에 대한 긍정적인 개발을 향상시킬 수 있다[19].
The tension of not having enough knowledge and power to help suggests the importance of helping students to affirm a stronger sense of their positional identity as a learner as opposed to an imagined ‘as if’ identity of a doctor. This may be supported through increasing students’ awareness of the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in their first months of medical school, and encouraging reflection on this process [50]. Raising awareness of the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through personal reflection may help students to work through dilemmas and tensions associated with early internal identities and preconceptions. This may enhance positive development for a professional identity [19].

40. Helmich E, Yeh HM, Yeh CC, de Vries J, Tsai DF, Dornan T. Emotional learning and identity development in medicine: a cross-cultural qualitative study comparing Taiwanese and Dutch medical undergraduates. Acad Med. 2017;92:853–9.

 

 


Perspect Med Educ. 2018 Feb;7(1):40-46.

 doi: 10.1007/s40037-017-0399-0.

Authoring the identity of learner before doctor in the figured world of medical school

Evangeline Stubbing 1Esther Helmich 2Jennifer Cleland 3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 1School of Medicine, Medical Sciences and Nutrition, University of Aberdeen, Foresterhill, Aberdeen, UK. evangeline.stubbing@abdn.ac.uk.
  • 2Center for Education Development and Research in Health Professions, University Medical Center Groningen, Groningen, The Netherlands.
  • 3Centre for Healthcare Education Research and Innovation, Institute of Education for Medical and Dental Sciences, University of Aberdeen, Foresterhill, Aberdeen, UK.

Free PMC article

Abstract

Introduction: Students enter the 'figured world' of medical school with preconceptions of what it means to be a doctor. The meeting of these early preconceptions and their newly developing identities can create emotional tens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how such tensions were experienced and managed. Using figured worlds as a theoretical framework we explored students' interactions of preconceptions with their newly developing professional identities in their first year at medical school. Advancing our understanding of this phenomena provided new insights into the complex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Methods: This was a qualitative study underpinned by a constructivist epistemology. We ran biannual focus groups with 23 first year students in one UK medical school. Data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then template analysis used to undertake an inductive, iterative process of analysis until it was considered the template provided a detailed representation of the data.

Results: Significant preconceptions associated with the identity of a doctor were 'to help' and 'to be a leader'. These early preconceptions were in conflict with realities of the figured world of medical school creating the emotional tensions of 'being unable to help' and 'lacking power', with implications for interactions with patients. By the end of year one students' negotiated tensions and 'self-authored' their identity as a learner as opposed to an imagined 'as if' identity of a doctor.

Discussion: We revealed how preconceptions associated with becoming a doctor can conflict with a newly developing professional identit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supporting students to embrace the formation of a 'learner' identity, a necessary part of the process of becoming a doctor.

Keywords: Emotion; Figured worlds;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Qualitative research.

 

의사의 정체성 이행: '이도저도 아닌' 상태에 있기로 선택하다 (Med Educ, 2019)

Doctors’ identity transitions: Choosing to occupy a state of ‘betwixt and between’
Lisi Gordon1,2 | Charlotte E. Rees2,3 | Divya Jindal-Snape4

 

1 | 소개
1 | INTRODUCTION


의료 전문가는 자신의 경력 동안 수많은 이행transition을 경험한다.1-3 [사회 구성주의 관점]에서 이행은 [맥락, 대인 관계 및 정체성의 변화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하는 심리, 사회 및 교육적 적응의 지속적인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4 의사들의 전이 경험을 다중적이고 복잡하고 지속적인 것으로 개념화함으로써, 우리는 이러한 경험을 집중적인 학습을 위한 시기로 간주할 수 있다.4-10
Health care professionals experience numerous transitions during his or her career.1-3 From a social constructionist viewpoint, transitions can be defined as ongoing processes of psychological, social and educational adaptations over time necessitated by changes in contex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identities.4 By conceptualising doctors’ experiences of transitions as multiple, complex and ongoing, we can regard these experiences as times for intensive learning, but also as periods of increased stress and burnout.4-10

이전의 이행 연구는 [새로운 역할에 대한 공식 및 비공식 학습 기회의 증가]를 중심으로, [의사의 이행에 대한 개인화된 접근 방식]을 우선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의사 입장에서 [이행 경험을 탐색하는 과정]으로써, 의사의 안녕과 조직, 그리고 궁극적으로 환자에게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집니다. 이전의 연구는 [의사들의 과도기 경험]에 대한 지원과 도전들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본 연구는 상위 단계 수련생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전환]과, 이 수련생들이 [이행 중의 의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에 대비하기 위해 [어떻게 한계성liminality을 경험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확대한다.

Previous transitions research suggests that priority be given to personalised approaches to doctors’ transitions, with increased opportunities for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about new roles.8 This is seen as fundamental to doctors’ well-being, to his or her organisation and ultimately to patients as doctors navigate transition experiences.8 Whereas previous research has centred on the support for, and challenges of, doctors’ transition experiences,5-10 this study extends this research by focusing on higher-stage trainees’ professional identity transitions and how such trainees experience liminality in order to better enhance understandings of, and provisions for, doctors in transition. 

즉각적인 명확화를 위해, [사회 구성주의 관점]에서, 우리는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역동적으로, 대화와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고 재형성formed and reformed되는 것]으로 개념화합니다(정체성 작업identity work이라고도 함, 아래 참조).11 전통적 인류학적 의미에서 [한계성liminality]은 (여성 사춘기 통과의례와 같이) [의식화된 사건이 기존의 지위에서 새로운 지위로의 전환을 용이하게 하는 맥락에서 두 지위(예: 소녀도 아니지만, 아직 여성이 아닌) 사이에 존재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것으로 정의된다.12,13 따라서 상급 단계 수련생의 이행과정이라는 맥락에서, 리미널리티는 [수련생에서 훈련받은 의사로 이행하는 동안(예: 의사가 컨설턴트가 되는 경우)] 경험하게 되며, 이 때 의사에 대한 기대치의 변화가 수반된다. 그러나 우리는 한계성을 이 인류학적 정의보다 더 복잡한 방식으로 개념화하며, 이것을 아래에 상세히 기술한다.
To offer immediate clarification, from a social constructionist perspective, we conceptualise professional identities as dynamic, and as formed and reformed through dialogue and interaction (also known as identity work; see below).11 Liminality, in the traditional anthropological sense, is defined as describing the condition of being betwixt and between two positions (eg, as not a girl but not yet a woman) in a context in which a ritualised occurrence facilitates the shift from an old to a new status, such as in female puberty rites of passage.12,13 Thus, within the context of higher-stage trainees’ transitions, liminality may be experienced during the transition from trainee to trained doctor (such as when a doctor becomes a consultant), alongside changing expectations of doctors that support these liminal experiences. We conceptualise liminality in a more complex manner than this anthropological definition, however, and we articulate this in detail below. 

 

1.1 | 신원 확인 작업
1.1 | Identity work

첫째, 우리는 '정체성 작업identity work'이 의미하는 바를 명확히 표현합니다. 정체성 작업은 [전문직과 같은 특정 사회 집단의 구성원이 되는 사람들이 경험하는 지향적 과정orienting process]이라고 볼 수 있다.14 직업적 전환기 동안에 정체성 작업은 전면에 드러납니다.

  • 개인적, 가족 구성원과 같은 중요한 타인으로써(개인적),
  • 옛 동료와 새 동료로서(전문직업적),
  • 여러 영역에서 복잡하고 역동적인 변화의 씨름으로써(사회적, 문화적, 심리적, 물리적).

First, we articulate what we mean by ‘identity work.' Identity work can be considered an orienting process experienced by people through which people become members of particular social groups such as professional ones.14 During times of workplace transition, identity work comes to the fore as

  • individuals and his or her significant others such as family members (personal), and
  • old and new colleagues (professional),
  • grapple with complex and dynamic changes in multiple domains (eg, social, cultural, psychological and physical).4,8 

사회 구성주의 관점에서, [정체성]은 [언어, 상징, 의미와 가치의 집합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으로 개인적 경험, 타인 및 조직을 통해 함께 그려진다].15 [정체성 작업]'...사람들이 그들의 정체성을 형성, 수리, 유지, 강화 및 수정하는 데 관여하는 것'을 말한다.16 
From a social constructionist perspective, identities are drawn together through personal experiences, others and organisations in numerous ways, including through language, symbols, sets of meanings and values.15 Identity work refers to ‘… people being engaged in forming, repairing, maintaining, strengthening and revising their identities.'16

따라서, [정체성 작업]은 새로운 정체성을 개발하고, 묘사하고, 지원하기 위한 노력이다. 또한 정체성 작업은 [경합적인 대화]와 [다양한 경험] 사이의 상호작용에서 의미가 도출되는 성찰적 서술로 개념화할 수 있다. 개인은 특정 정체성 투사project할 수 있으며(즉, 정체성 주장claim identities), 다른 사람들은 이렇게 '투사된 정체성projected identities'를 진실authentic하다고(또는 진실되지 않다고) 지지하거나(예: 허용grant), 혹은 주장되거나 거절될claimed or rejected 특정한 정체성을 개개인에게 부여bestow on할 수도 있다.
Thus, identity work endeavours to develop, portray and support new identities, and can be conceptualised as a reflexive narrative in which meaning is derived from interaction between contending dialogues and a range of experiences.17 Individuals will project certain identities (ie, claim identities), as others simultaneously support (ie, grant) those projected identities as authentic (or not) and may also bestow on individuals certain identities that may be either claimed or rejected.17-20 


정체성 구성 과정에서 필수적인 요소로서, 이러한 [정체성 주장과 허용claims and grants]자아로부터 비롯되거나, 다른 사람의 말에서부터 비롯되거나, 그리고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서 비롯될 수 있다.21,22 그러한 정체성 구성은 그것이 [공동 구성]이든 [다른 사람과 경쟁을 벌이는 것]이든 간에 개인의 [자기 서술]의 일부가 된다.20,23 따라서 정체성 작업의 성과는 '맥락적 담론의 강점과 유연성pliability'에 의해 협상되고, 부여된 정체성에 대한 개개인의 해석을 통해 협상된다. 더욱이, 정체성 작업을 [개개인이 안전한secure 자아 의식sense of self을 위해 노력하는 일시적인, 선형적 과정]으로 개념화하는 것은 옳지 않다. 실제로, [직업적 불안]이나 [경력 전환]과 같은 상황은 사람들이 '자기 의식을 만들고, 확인하고, 분쇄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는 정체성 작업를 촉진할 수 있다.

As vital elements in identity construction processes, these identity claims and grants can stem from self and other talk, plus non-verbal communication.21,22 Such identity construction, whether it is co-constructed or contested by others, becomes part of an individual’s self-narrative.20,23 The outcomes of identity work are, therefore, negotiated by the ‘strength and pliability of contextual discourses’ and through individual interpretations of identities granted.20 Furthermore, conceptualisations of identity work as a transient, linear process in which individuals strive towards a secure sense of self can be challenged.24 Indeed, situations such as job insecurity or career transitions may actually catalyse identity work, whereby people expend efforts to ‘create, confirm and disrupt a sense of self.'24 

1.2 | 정체성과 경계성
1.2 | Identities and liminality


더 넓은 문헌을 탐구하면서 우리는 [커리어 전환]은 종종 ['내가 누구인가']에 대한 감각이 ['내가 누가 되고 있는가']라는 감각에 자리를 내주는 [역동적인 경계 단계dynamic liminal phase]에 의해 정의될 수 있음을 발견한다.25 경계성liminality에 대한 기존의 선형적 개념에서 벗어나, 현재는 [정체성 전환]이 덜 의식화되며, 새로운 정체성으로의 집합은 종종 불완전하게be partial 이뤄진다고 본다.

  • 예를 들어, 경영학 문헌의 한 연구는 [낙하산 대원 지망생]에서 [낙하산 대원]으로의 전환을 묘사하고 있는데, 새로운 정체성에 대한 인식은 [대중 앞에서의 임관식]을 거치며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조용한 심사숙고 중]에 일어난다.
  • 마찬가지로 영국(영국)에서도 의사들의 transitions out of traning은 교육 수료증(CCT)을 발급받고 전문의 등록부에 포함되는 [의례적인 절차]를 수반한다. 그러나, 의사들은 이러한 전환을 [지속적이고 복잡한 것]으로 경험하며, 단순히 CCT를 받는 것을 넘어서, [자기자신의 전문의로서의 새로운 의사 정체성을 인지]하는 데 어느정도의 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Exploring the wider literature, we find that career transitions can often be delineated by a dynamic liminal phase, in which the sense of ‘who I am’ gives way to a sense of ‘who I’m becoming.'25 Moving away from traditional, linear notions of liminality, current conceptualisations suggest that identity shifts are less ritualised and aggregation to new identities can often be partial.26

  • For example, a study from the management literature articulates the shift from aspiring paratrooper to paratrooper, in which recognition of the new identity happens during quiet contemplation rather than through a public passing out ceremony.27
  • Similarly, in the United Kingdom (UK) doctors’ transitions out of training involve the ceremonial process of receiving a certificate of completion of training (CCT) and inclusion on the specialist register.
  • However, our research suggests that doctors experience this transition as ongoing and complex such that his or her personal recognition of his or her new specialist doctor identity takes time beyond the simple receiving of a CCT.8

 

이러한 [중간상태in-betweenness]는 시공간적으로 한정되어 불확실성과 연계되어 있는 듯 하다.26-30 따라서, [리미널리티]는 종종 '사회 제도에서 자신의 내면적 자아와 위치에 대한 현저한 교란'으로 묘사된다. 26-30 연구자들은 그러한 교란이 개인들로 하여금 [강렬한 정체성 작업]을 통해 [리미널(경계적) 지위를 해결할 필요]가 있게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30 실제로, 개인은 이러한 [경계 공간을 가로질러 이동]하기 위해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게 중요한 방식으로 정체성을 개발합니다. Beech는 상당한 경계 기간을 경험하는 사람들은 과거, 현재, 미래를 언급함으로써 [시간순적으로 위치를 잡기도position themselve 한다]고 주장한다. [(과거에 대한) 자기 성찰]과 [미래 자아 투사]를 통해 리미너liminar는 리미너 공간liminal space을 벗어나기 위해 [앞뒤를 동시에 바라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개념화된 리미널리티는 ['일시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ate of in-betweenness is seen as bounded in space and time and linked to uncertainty.26-30 Thus, liminality is often portrayed as something that ‘significantly disrupts one’s internal sense of self and place in a social system.'26-30 Researchers argue that such disruptions can bring individuals to need to resolve his or her liminal status through intense identity work.30 Indeed, individuals develop identities in ways that are important to themselves and others in order to move across these liminal spaces.23,26 Beech argues that people experiencing significant periods of liminality also position themselves chronologically by referring to the past, present and future.26 Through engagement in self-reflection and projecting a future-self, these liminars can be seen as simultaneously looking forwards and backwards in order to move out of the liminal space. Liminality, conceptualised in this way, is thought to be 'temporary.'26,31,32 

그러나 Ybema 등은 [영구적 리미널리티perpetual liminality]의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리미널리티에 대한 보다 복잡하고 사회적인 이해를 설명하였다. [영구적 경계성]은 개인이 [상황적, 사회적, 시간적 관련성relevant을 갖기 위해 정체성 확인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말한다.23 영구적 경계성은 [비정규직 근로자(예: 대리 의사)]와 [이중 역할 전문가(예: 의사-관리자)]와 같이 지속적인 중간 상태를 경험하는 근로자에게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다.32-34 일시적 경계성은 '더 이상 X-가 아니지만 아직 Y도 아니다'라는 느낌을 만드는 반면, 영구 한계성은 'X-도 아니고 Y도 아닌 존재' 또는 'X-와 Y가 모두 되는 것'이라는 [지속적인 느낌]을 만들어낸다.23 일시적 경계성과 마찬가지로, 영구적 경계성은 흔히 다른 사람들에 의해 부과되며, 소위 경계의 브리콜루어(브리콜라지를 하는 사람)라고 불리는 사람이 되는 것이다. 브리콜루어는 [정체성 작업]을 사용하여 '시시각각 시간에 서로 다른 관객들에 따라 자신에게 다른 역할을 주기cast and recast'를 한다.


Ybema et al,23 however, have described more complex and social understandings of liminality by introducing the notion of perpetual liminality. Perpetual liminality is a state in which individuals undertake identity work to make themselves contextually, socially and temporally relevant.23 This perpetual liminality is most evident in workers experiencing enduring in-betweenness, such as impermanent workers (eg, locum doctors) and dual-role professionals (eg, clinician-managers).32-34 Whereas temporary liminality creates a feeling of ‘not-X-anymore-butnot-yet-Y,' perpetual liminality creates an ongoing sense of ‘being neither-X-nor-Y’ or ‘being both-X-and-Y.'23 As with temporary liminality, perpetual liminality is often imposed by others, with individuals becoming so-called boundary bricoleurs, who use identity work to ‘cast and re-cast themselves to different audiences at different times.'23,35 

[일시적 경계성]에 대한 이해가 선형적이라면, [영구적 경계인]은 [이전과 새로운 자아에 대한 시간적 성찰에 덜 의존]한다.23 대신, 그들은 [지속적으로 정체성을 전환]함으로써 즉각적인 경쟁적 요구와 충성도에 대응하고, 따라서 [지속적인 예측 불가능을 경험]하고 사회적인 '노맨스 랜드'에 거주하는 것에 익숙해진다. 그들은 '노맨스 랜드'를 '충성을 쌓는 운영 기반'으로 활용한다. 문헌에 따르면, 이러한 장기간 지속되는 경계감은 [불확실성과 중간성의 지속적인 감정]을 통해서 [부정적인 정서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In a manner that differs from more linear understandings of temporary liminality, perpetual liminars rely less on temporal reflections of their old and new selves.23 Instead, they respond to immediate competing demands and loyalties by continuously switching identities, thus experiencing lasting unpredictability and growing accustomed to inhabiting a social ‘no-man’s land,' which they employ as an ‘operating base to build allegiances.'23 The literature suggests that this long-lasting sense of liminality can lead to negative emotional consequences as a result of ongoing feelings of uncertainty and in-betweenness.'29, 35 


1.3 | 리미날리티 및 의료 교육
1.3 | Liminality and health care education


상위 의학 교육 저널의 키워드 검색('리미날*' 용어를 사용)에서는 학습자가 전문적 정체성을 개발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어려운 지식troublesome knowledge에 어떻게 직면하는지에 대해 [학부 학습의 임계값 개념]에 대해 상당한 연구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36,37 [지식의 임계값 개념]은 학습자가 (종종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행동을 모방하는 것처럼) 진실성 부족을 경험할 때 [반드시 거쳐야 하는 포털]에 비유되며, [경계성 시기liminal phase]로 묘사될 수 있다.38 학습자의 초점은 이러한 [문턱을 넘어서 학습자가 개념과 세계를 인식하는 방식을 바꾸는 [변혁적 학습]]에 있습니다. .37 이러한 의료 교육 연구 영역은 종종 정확한 임계 개념의 목록(예: 돌봄 또는 책임)을 얻는 데 초점을 맞춘다.39-42
A keyword search (using the term ‘liminal*’) of top medical education journals reveals that considerable research exists around threshold concepts in undergraduate learning with reference to how learners are confronted with troublesome knowledge that challenges his or her developing professional identities.36,37 The notion of knowledge as threshold is likened to a portal through which learners must travel when experiencing a lack of authenticity, often imitating behaviours considered appropriate, and described as a liminal phase.38 The focus for learners is on moving through these thresholds and on to transformational learning, which changes the ways learners perceive concepts and the world around them.37 This sphere of health care education research often centres on obtaining a definitive list of threshold concepts (eg, caring or responsibility).39-42 

그러나 여기에는 확인되지 않은 질문이 있다. 바로 학습자가 [문제 지식]에서부터 [경계 단계]를 거쳐 [혁신적 학습]에 다다를 것이라는 생각(즉, 일시적 경계성)이다.를 들어, 브라운 외 연구진은 두 정체성 사이의 일시적 경계성 단계를 stressful하다고 표현하기 위해 [의료 전문가에서 교육자로의 전환]에 대한 선형적 개념화를 사용했다.43 다른 이들은 논의 물리적 공간을 [경계적liminal]이라고 초점을 두었다. 예를 들어서, 병원 복도와 같은 곳을 토론과 지식 교환과 비공식 학습을 위한 [경계성 공간]으로 본다거나, 어떻게 새로운 의과대학 건물이 [전문직]과 [대학] 사이의 경계 공간이 되는가를 연구했다.44,45 

Relevant here, however, is the unquestioned notion in this literature that learners will progress from troublesome knowledge through a liminal phase to transformational learning (so, temporary liminality).36 For example, Browne et al used a linear conceptualisation of the transition from medical professional to educator to describe the temporary liminal phase between the two identities as stressful.43 Others have focused on physical spaces as liminal, such as the hospital corridor as a liminal space for discussion, knowledge exchange and informal learning, or how a new medical school building becomes a liminal space between the profession and the university.44,45 


1.4 | 연구 목적 및 연구 질문
1.4 | Study aims and research questions


우리의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Our research questions are:

1. 수련생이 훈련한 전환 과정을 거치면서 의사가 설명하는 경계적 경험(및 이와 관련된 정체성 작업)은 무엇입니까?
1. What liminal experiences (and associated identity work) do doctors narrate as he or she moves through trainee-trained transitions?

2. 훈련생으로 전환되는 동안 경계적 경험(및 이와 관련된 정체성 작업)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합니까?2. How do liminal experiences (and associated identity work) change over time during trainee-trained transitions?

2 | 방법
2 | METHODS


2.1 | 연구 설계
2.1 | Study design


본 논문은 수련생으로 양성된 의사들의 전환을 탐구하는 보다 폭넓은 종단적 서술연구에서 나온 것이다.8 종단적 서술 탐구를 통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각 참가자들의 독특한 경험을 탐구할 수 있었다.46 종방향 오디오 다이어리(LAD)는 스토리텔링을 전경화하고 출입구 인터뷰와 함께 참가자가 세로 방향으로 깊이 있는 경험을 탐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때문에 변경 시 감지 도구로 특히 적합합니다.46,47 
This paper comes from a wider longitudinal narrative study exploring trainee-trained doctors’ transitions.8 Longitudinal narrative inquiry allowed us to explore the unique experiences of each participant over time.46 Longitudinal audio-diaries (LADs) are particularly applicable as sense-making tools during times of change because they foreground storytelling and, used alongside entrance and exit interviews, help participants to explore his or her experiences in depth longitudinally.46,47 

2.2 | 샘플링 및 모집
2.2 | Sampling and recruitment


영국 의사들은 대학 졸업 후 일반적으로 2년간의 Foundation 교육을 받은 후 [전공과목specialty 교육]으로 옮기기 시작하는데, 전문 분야에 따라 3년에서 8년 사이의 기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전문대학 평가의 성공적인 완료에 따라, 수습생은 [CCT를 취득]하고 [전문의 등록부specialty register]에 등록됩니다. 우리는 의도적으로 향후 6개월 이내에 CCT를 확보할 것으로 예상되는 영국의 수련의들을 표본 추출하여 수련의들이 수련을 받은 경험을 종적으로 탐구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본 논문의 목적상, 우리는 이러한 의사들을 전체적으로 '훈련된 의사들trained doctor'이라고 설명한다. 훈련 완료 후 여러 가능한 목적지를 설명하는 일반 용어이기 때문이다(예: 컨설턴트, 일반의사 [GP], 임상 펠로우). 

Following university graduation, UK doctors typically begin postgraduate training with 2 years of Foundation training before moving to specialty training, which can take anything between 3 and 8 years (depending on the specialty). Following the successful completion of specialty college assessments, the trainee achieves a CCT and is placed on the specialty register. We purposely sampled UK trainee doctors expected to secure CCTs within the following 6 months to allow us to longitudinally explore doctors trainee-trained experiences. For the purposes of this paper, we describe these doctors throughout as ‘trained doctors’ as this is a generic term accounting for multiple possible destinations following completion of training (eg, consultant, general practitioner [GP], clinical fellow). 

2.3 | 데이터 수집
2.3 | Data collection

초기 면접에서 참가자들은 전환에 대한 이해도와 다가오는 전환에서 기대하는 바를 질문 받았다. 참가자들은 또한 지금까지의 훈련 경험을 되새기고, 훈련된 전환 준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토론했습니다. 그런 다음 참가자들은 LAD 단계에 참여하도록 초대되었습니다. 이 단계에서 참가자들은 6~9개월에 걸쳐 훈련받은 전환 경험과 관련된 이야기, 생각, 성찰 등을 기록하도록 요청받았다.
At entrance interview, participants were asked about his or her understanding of transitions and what he or she expected from his or her upcoming transitions. Participants also reflected on his or her training experiences to date and discussed what influenced his or her readiness for trainee-trained transitions. Participants were then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LAD phase. During this phas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cord stories, thoughts and reflections pertaining to trainee-trained transition experiences over 6-9 months.

표 1은 세 단계에 걸쳐 수집된 데이터와 각 참가자에 대한 인구통계 정보를 보여줍니다.
Table 1 depicts the data collected across the three phases, as well as demographic information for each participant.

 

2.4 | 데이터 분석
2.4 | Data analysis


우리는 먼저 프레임워크 분석을 사용하여 데이터 집합의 광범위한 테마를 유도적으로 식별했다.51 이 테마 분석에는 여러 단계가 포함되었다. 

  • (a) 광범위한 연구팀(승인서 참조)의 구성원은 반복적인 기록 탐사와 오디오 녹음을 통해 데이터에 익숙해졌다.
  • (b) 주제 프레임워크는 각 연구팀이 데이터의 하위 집합을 별도로 분석하고 주요 테마를 제안하도록 한 다음, 팀이 코딩 프레임워크에 대한 고차 주제를 함께 협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발되었다.
  • (c) 이러한 고차 테마는 atlas.ti 버전 7.0(ATLAS.ti, 과학 소프트웨어 개발 GmbH, 독일 베를린)을 사용하여 모든 데이터를 코드화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가장 중요한 주제는 의사 수련생이 훈련한 전환의 다양한 경험에 보다 광범위하게 초점을 맞추고 전환에 대한 촉진자 및 억제자를 식별했다.8

We first used framework analysis to inductively identify broad themes in our dataset.51 This thematic analysis involved several stages:

  • (a) members of the wider research team (see Acknowledgements) familiarised themselves with the data through repeated explorations of transcripts and audiorecordings;
  • (b) a thematic framework was developed by having each research team member separately analyse a subset of data and propose key themes and then allowing the team to negotiate higher-order themes for the coding framework together, and
  • (c) these higher-order themes were utilised to code all data using atlas.ti Version 7.0 (ATLAS.ti, Scientific Software Development GmbH, Berlin, Germany). The overarching themes focused more broadly on the multiple experiences of doctors’ trainee-trained transitions, identifying facilitators and inhibitors to transitions.8 

 

3 | 결과
3 | RESULTS

세 가지 학습 단계를 모두 마친 참가자들은 [전공의trainee]에서 [전문의trained doctor]로의 이행과정에서 자신의 정체성과 관련된 경계성을 경험했다. 이전 문헌과 일관되게 데이터 분석을 통해 참가자의 경험에서 일시적이고 영구적인 경계성을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참가자의 정체성 대화에 대한 세분화된 분석을 통해 우리는 새로운 한계 경험, 즉 훈련된 의사 지위와 관련된 [다른 사람들로부터의 정체성 부여를 적극적으로 거부]하는 일부 참가자의 여정에서 포인트를 식별할 수 있었습니다. 대신, 참가자들은 (수련생도 훈련된 의사도 아닌) 자신의 [경계적 지위를 유지]하거나 [적극적으로 수련생 신분을 유지]하는 정체성 작업에 착수했다. 우리는 이러한 새로운 유형의 리미날리티를 [점유적 리미날리티occupying liminality]로 설명한다. 
All participants completing the three study stages experienced liminality related to his or her identity as he or she moved from trainee to trained doctor. Consistent with previous literature, our data analysis enabled us to identify temporary and perpetual liminality in participants’ experiences. However, fine-grained analysis of participants’ identity talk also enabled us to identify novel liminal experiences: points in some participants’ journeys at which he or she actively rejected identity grants from others associated with his or her trained doctor status. Instead, participants undertook identity work that either maintained his or her liminal positions (as neither trainee nor trained doctor) or that actively maintained a trainee identity; we describe this novel type of liminality as occupying liminality. 

3.1 | 일시적인 한계성을 설명하는 의사들
3.1 | Doctors narrating temporary liminality


대부분의 의사들은 자신의 이행단계에 걸쳐 [일시적 경계성 정체성]을 서술했다; 이것은 이미 자리trained post를 확보했지만, 아직 시작을 기다리고 있는 의사들에게 특히 관련이 있었다. 이 시점에서 이들 참가자들은 CCT에 대한 서류 작업을 완료하고 새로운 역할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있었지만, 또한 경험에 대한 반성을 하고 있었다. 예를 들어, Andrew는 [정체성 작업]을 통해 컨설턴트로서 첫 당직 근무를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나타냈습니다(표 2, 견적 1). 돌이켜보면, 그는 (다른 사람들이 그에게 컨설턴트 신분을 부여하는 것과 함께) 컨설턴트 역할을 했던 이전의 경험이 자신을 잘 준비시켜주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Most doctors narrated temporary liminal identities at some point across his or her transitions; this was particularly pertinent for doctors who had already secured trained posts but were waiting to start them. At this point, these participants had completed the paperwork for the CCT and were looking forward to the new roles but were also reflecting backward on the experiences. For example, Andrew used identity work to project his confidence in doing his first on-call shift as a consultant (Table 2, Quote 1). Looking backwards, he recognised that his previous experiences of acti ng up as a consul tant (wi th others granti ng hi m a consul tant identity) had prepared him well.


[일시적 경계성 단계]에서, 일부 의사들은 [공식적인 CCT 서류 작업]이 어떻게 완료되었는지 설명했지만, 아직 공식적인 역할을 시작하지는 못했다고 말했습니다([서류 작업 완료]와 [실질적인 '훈련된trained' 직책을 맡는 것] 사이의 이 시차time lag는 영국에서 일반적이다). Steven's와 Arun의 경험에서 확인된다 (표 2, 인용문 2, 3). 임상진료clinical practice에 초점을 맞춘 이러한 각각의 경험에서, 두 의사는 자신의 [훈련된 의사]의 신분을 주장하면서도, 여전히 다른 사람의 신분을 허락받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Some doctors in this temporary liminal phase described how his or her formal CCT paperwork was complete, but that he or she were yet to start his or her formal roles (this time lag between the completion of paperwork and the taking up of a substantive ‘trained’ post is common in the UK), as illustrated by Steven’s and Arun’s experiences (Table 2, Quotes 2 and 3). In each of these experiences, focused on clinical practice, both doctors claimed his or her trained doctor identities but were still waiting for others’ grants of these identities.


다른 의사들은 이 경계성 기간liminal period 동안 그들이 새로운 [컨설턴트 신분]을 주장할 수 있도록 돕는 [의식ritual의 중요성]을 설명했습니다. 이는 특히 George가 논의한 바와 같이, 아직 수련 현장에 남아 있는 상황에서 [시니어 역할]로 이동하는 것을 보여준다signify는 점에서 중요했습니다(표 2, 인용 4).
Other doctors described the importance of rituals (eg, celebrations with colleagues) in helping them claim his or her new consultant identities through this liminal period. This was especially important to signify doctors moving into senior roles in contexts in which he or she remained at the site of his or her training, as discussed by George ( Table 2, Quote 4).

어떤 이들은 일시적인 경계성의 경험을 [긍정적으로 묘사]한 반면(예: Andrew, Steven, Arun 및 George[표 2, 인용문 1-4]), 다른 이들은 [trained doctor 신분의 부여가 다른 사람들에 의해 억제된다]고 인식하면서 좌절감을 경험했다. 예를 들어, 헤더는 자신이 컨설턴트로서 기능하고 있다고 설명함으로써 컨설턴트 신분을 스스로 주장했지만, 그녀는 또한 자신이 여전히 훈련생이라고 설명했으며, 다른 사람들이 [중요한 의사결정 회의에서 자신을 배제함]으로써 컨설턴트 정체성 인정identity grants를 보류했다고 보고했다(표 2, 인용 5).
Whereas some described the experiences of temporary liminality positively (eg, Andrew, Steven, Arun and George[Table 2, Quotes 1-4]), others experienced frustration as he or she perceived that grants of trained doctor identities were withheld by others. For example, although Heather claimed a consultant identity for herself by explaining that she was functioning as a consultant, she also described that she was still a trainee and reported that others withheld consultant identity grants to her by excluding her from important decision-making meetings (Table 2, Quote 5). 

3.2 |영구적 한계성을 설명하는 의사들
3.2 | Doctors narrating perpetual liminality


어떤 의사들은 종종 [이중 역할의 소유]를 통해 [영속적 경계성]을 이야기했다. 예를 들어, 임상 관리자 역할을 맡았던 Petra는 다른 사람들이 다양한 환경에서 자신을 어떻게 보는지에 대해 논의했습니다(표 3, 인용문 1). 영국에서 새로 교육을 받은 의사에게 이러한 역할은 드문 일이지만, 국유화되지 않은 의료 시스템에서 의사가 교육 후 즉시 관리 책임을 지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닙니다. 먼저, 페트라는 managerial role을 수행함에 있어서, 자신이 그 팀이나 직장의 [확고한fixed 구성원이 아니라는 점]을 감안하여 임상의로서의 [집중적인 정체성 작업]을 사용하여 [다른 임상의와 관계를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Some doctors narrated perpetual liminality, often through the possession of dual roles. For example, Petra, who had a clinical manager role, discussed how others saw her in the different environments (Table 3, Quote 1). Note that although this role is unusual in the UK for a newly trained doctor, it is not unusual in non-nationalised systems of health care for doctors to have management responsibilities immediately post-training. First, Petra talked about how, in her managerial role, she used intensive identity work as a clinician to build relationships with other clinicians given that she was not a fixed member of that team or workplace. 

둘째, 패트라는 자신이 운영회의management meeting에 참석했을 때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매니저로만 생각해서, 그녀도 임상의라는 사실을 잊은 채 어떻게 다른 임상의들에 대해서 불만을 늘어놓았는지를 이야기했다. 그러나 페트라는 자신을 임상의이자 관리자로 보았고, 이러한 두 세계의 경험을 통해 [서로 다른 집단의 관점을 중개하려고 노력]했습니다. 또 다른 참가자인 [GP 임상 학자clinical academic]인 프레디는 Petra와는 다른 방식으로 영구적 경계성을 경험했습니다. 가정의학 개업의 자격을 갖춘 GP로 매주 하루씩 소속된 Freddie는 근무 시간 이외의 회의에 참석하는 등 임상 팀의 일원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정체성 작업에 착수했습니다(표 3의 인용문 2). 이와 함께 그는 임상학자의 역할 8개월 만에 연구 기간이 끝날 때까지 임상학자clinical academic로서 자신의 정체성에 의문을 품었다. 실제로, 그의 정체성 투쟁은 [임상 실무의 정규직]도 아니고, [학계의 정회원도 아닌] 그의 감정을 반영했다(표 3, 인용 3). 
Second, she described how, when sitting in management meetings, others saw her as a manager, forgetting that she was also a clinician as the others complained about clinicians. Petra, however, saw herself as someone who was both a clinician and a manager and used this experience of both worlds to try and broker the different group views. Another participant, Freddie, a GP clinical academic, experienced perpetual liminality in a different way to Petra. Affiliated for 1 day per week as a qualified GP to a family medicine practice, Freddie undertook identity work to try to establish himself as part of the clinical team, such as by going to meetings outside his working hours (Table 3, Quote 2). Alongside this, he questioned his identity as a clinical academic until the very end of his time in the study, 8 months into his clinical academic role. Indeed, his identity struggles mirrored his feelings of being neither a full-time member of the clinical practice nor a full member of the academic community (Table 3, Quote 3).

3.3 | 점유적 경계성을 설명하는 의사들
3.3 | Doctors narrating occupying liminality

일부 참가자가 [점유적 경계성]을 서술하는 것으로 판명된 한 가지 방법은, [영구적 경계인]으로 능동적으로 포지셔닝하는 커리어 선택을 통해서였다. 이러한 선택의 이유에는 [훈련된 의사 책임]에 대해 더 준비가 되어 있다고 느낄 때까지 기다리려는 욕구와 유연하게 일하고 싶은 욕구가 있었다. 예를 들어, Julie는 자신을 '물 건너가기treading water'라고 표현했습니다(더 영구적인 자리를 원할 때까지 지역 훈련 기관에서 시간제로 일하도록 지원하는 GP). 그녀는 아직 자녀가 매우 어리고, 파트타임으로 일했기 때문에, GP 파트너가 됨으로써 따르는 책임을 원치 않았고, 그래서 그녀는 경계적인 역할을 선택했습니다(표 4). 인용문 1). 

One way by which we identified some participants as narrating occupying liminality was through his or her career choices as participants actively positioned themselves as perpetual liminars. The reasons for these choices included a desire to wait until he or she felt more ready for trained doctor responsibilities and a wish to work flexibly. For example, Julie described herself as ‘treading water’ as a retained GP (a GP funded by the local training body to work part-time until he or she wants a more permanent position), and as choosing to be in a liminal role as she did not want the responsibility of being a GP partner as her children were very young and she worked part-time (Table 4, Quote 1).

마찬가지로, 외과의사인 루시는 자신의 전공분야specialty에 머물고 싶은지 결정하기 위해 1년 동안 임상연구원을 선택했다(표 4, 인용문 2). 또 다른 GP인 Jason은 업무 유연성을 유지하고 다양한 직업 환경을 경험하기 위해 대리의사locum으로 일하기로 결정했습니다(표 4, 견적 3). 흥미롭게도, 모든 종단적 데이터 집합에서, 우리는 연구참여자들이 [훈련된 의사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주장 또는 인정을 거부rejected]한 무수한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Morag와 Megan은 [전문의 정체성의 수여grants를 거부하기 위해] 정체성 작업을 사용했다. 

Similarly, Lucy, a surgeon, chose to be a clinical fellow for a year in order to decide whether she wanted to stay in her specialty (Table 4, Quote 2). Another GP, Jason, chose to work as a locum to maintain work flexibility and to experience different occupational environments (Table 4, Quote 3). Interestingly, across our longitudinal dataset, we were able to identify numerous occurrences within and across participants in which he or she rejected claims and/or grants of his or her trained identities. For example, both Morag and Megan used identity work to reject grants of the consultant identities; 

더욱이, 일부 참여자들은 [과거에 동료]였지만 [지금은 후배]가 된 동료들과의 관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정체성 작업을 수행했음을 이야기했다. 예를 들어, Anna는 동료들 중 한 명이 이제 Anna가 컨설턴트가 된 것을 '무서워했음'을 알게 되었다고 설명했으며, Anna는 이러한 동료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정체성 작업을 사용했다고 한다(표 4, 인용 6). 에이미의 일기장에서, 그녀는 이전에 그녀의 [교육 감독관]이었던 컨설턴트 동료와의 관계가 변한 것에 대해 논의했다. 이 일기들을 통해 에이미는 이런 상황에서, 자신의 [컨설턴트 정체성을 거부하는 것을 선택]했다고 밝히면서, 이전 교육 감독관과의 관계에서는 연습생trainee 정체성을 차지occupy하는 것을 선호했다. 에이미는 자신의 다이어리에 정체성 작업을 통해 이를 통해 컨설턴트 동료의 지원을 여전히 원하지만, [더 이상 감독받고자 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에 대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주장했다(표 4, 인용문 7). 
Moreover, some participants discussed undertaking identity work in order to respond to changing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who had previously been peers but were now more junior. For example, Anna explained that one of her peers found it ‘scary’ that Anna was now a consultant, and Anna employed identity work to try and maintain this peer relationship (Table 4, Quote 6). In Amy’s diaries, she discussed the changed relationship she had with a consultant colleague who had previously been her educational supervisor. Through these diaries, Amy revealed that she was choosing to reject her consultant identity in this circumstance, preferring to occupy a trainee identity in her relationship with her previous educational supervisor. Amy employed identity work in her diaries to talk through this, positioning herself as a trainee by claiming that she still wanted support from her consultant colleague and was struggling with the (self-imposed) notion that she should not be seeking supervision anymore (Table 4, Quote 7). 



3.4 | 카렌의 종단적 이야기
3.4 | Karen’s longitudinal story

3.4.1 | 카렌의 일시적 한계: 더 이상 연습생도 아니고 컨설턴트도 아닙니다.
3.4.1 | Karen’s temporary liminality: No longer a trainee but not a consultant either

카렌이 연구를 시작한 지 두 달째 되던 해, 그녀는 CCT를 받는 공식적인 의식을 거쳤다. 그녀는 그것을 '약간의 안티-클라이막스(LAD 4)'라고 묘사했고, 그녀의 훈련 병원에서의 유예 기간grace period으로 들어갔다(그림 1). 이번 유예기간 동안 카렌은 경계적이었다. 더 이상 trainee는 아니었지만, 아직 consultant도 아니었다. 이 경계 단계(시간 제한적이고 일시적) 동안, Karen은 자신을 유능하고 대학적인 사람으로 강조함으로써 미래의 컨설턴트 자신을 투영하기 위한 자신의 정체성 작업을 설명했습니다(표 5, 인용문 2, 3). 
In Karen’s second month in the study, she moved through the formal ritual of receiving her CCT, which she described as ‘a slight anticlimax’ (LAD 4) and into her grace period at her training hospital (Figure 1). Through this grace period, Karen was liminal; she was no longer a trainee, but she was not yet a consultant. During this liminal phase (time-bound and thus temporary), Karen described her identity work to project her future consultant self through emphasising herself as competent and collegiate (Table 5, Quotes 2 and 3).

카렌이 이 유예 기간을 거치면서, 그녀의 어조는 리미나로서의 불확실성을 강조하기 위해 바뀌었다. 카렌은 자신이 유예기간에 갇혔으며 컨설턴트로서의 일을 제안하기 위해 (높은 지위의) 다른 사람들에게 완전히 의존하고 있다고 자신을 표현했다. 

As Karen moved through this grace period, the tone of her LADs shifted to emphasise her uncertainty as a liminar (and its associated stresses). Karen presented herself as trapped in her grace period and as having complete reliance on others (of higher status) to offer her work as a consultant.

이 기간 동안 카렌은 자신의 유예 기간이 끝날 때까지의 기간에 대해 모든 일기에서 언급했다(표 5, 인용문 4). 또한, 카렌의 정체성 작업은 가속화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그녀는 자신이 팀 플레이어이며 일을 완수하는 리더임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로 보았기 때문에 연례 직원 이벤트를 이끌겠다고 자원했습니다(예: 시간이 제한에도 불구하고). 게다가 카렌은 자신의 일기에서 자신의 훈련 환경에서 컨설턴트 자리를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많은 대화를 나누었다고 보고했다.

During this, Karen remarked in every diary on how long it was until the end of her grace period (Table 5, Quote 4). Additionally, Karen’s identity work accelerated; for example, she volunteered to lead an annual staff event (despite having limited time) because she saw this as an opportunity to show herself to be a team player and a leader who gets things done (Table 5, Quote 5). Furthermore, Karen reported in her diaries numerous conversations about the possibility of securing a consultant position in her training setting.

 


카렌의 정체성 작업을 볼 때, 카렌이 (스스로를) 그 부서 내에서 '컨설턴트 의사'로 주장하였음을 볼 수 있는데, 이 주장은 의사결정 과정에서 중요한 다른 이해관계자들에 의해 인정되고 있었다(표 5, 인용문 6). 카렌은 일자리를 찾기 위한 다른 사람들의 불확실한 '망토와 단도' 성격으로 묘사된 것과 씨름했다. 정보에 부분적으로만 접근할 수 있었던 그녀는 정보를 공유하는 데 다른 사람들에게 의존했고, 선임 컨설턴트로부터 중요한 리더십 정체성 부여를 거절당했음이 틀림없었다(표 5, 견적 7). 

In terms of her identity work in her audio-diaries, we can see Karen’s claims as ‘consultant doctor’ within that unit, which were being acknowledged by other stakeholders important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Table 5, Quote 6). Karen struggled with what she described as the uncertain ‘cloak and dagger’ nature of others’ attempts to find her a job. Having only partial access to information, she relied on others to share information, and was arguably denied important leadership identity grants from senior consultants (Table 5, Quote 7).

마침내, 다행스럽게도, 그녀의 유예 기간이 끝난 다음날 그녀는 안식년을 보내는 또 다른 컨설턴트의 자리를 대신할 하숙 컨설턴트 자리를 제안받았다. 이것은 캐런이 새로운 컨설턴트 일을 시작하는 것과 그녀가 대신할 사람의 퇴사 사이에 겹치는 것을 의미했다. 카렌은 이 소식에 의기양양했지만 일기장에서 유예기간이 얼마나 스트레스가 많았는지 되새겨 보았다(표 5, 인용문 8).  

Finally, and much to Karen’s relief, the day after her grace period ended she was offered a job as a locum consultant, covering for another consultant who was going on sabbatical. This meant that there was an overlap between Karen’s starting of her new consultant job and the leaving of the individual she was replacing. In her diary entry, although elated by this news, Karen reflected back on how stressful the grace period had been (Table 5, Quote 8). 

 

3.4.2 | 카렌은 경계성을 점유하였다: 컨설턴트가 되지만 아직 컨설턴트가 되지 않음
3.4.2 | Karen occupies liminality: Being a consultant but not yet becoming a consultant

새로운 컨설턴트 역할을 시작한 후, 카렌은 한 달 동안 오디오 일기를 제출하지 않았다. 다음 일기에서 그녀는 컨설턴트로서 첫 경험을 되새겼다. 카렌의 정체성 작업은 그녀가 유능하고 팀플레이어이며 리더라는 것을 입증하는 일에서 '컨설턴트라고 불리는 것이 마치 거짓말을 하는 것 같음'를 느끼고, 다른 사람들이 자신에게 컨설턴트 신분을 부여하는 것을 거부하였다. 실제로, 그녀는 [간단한 환자를 맡고 싶다는 자신의 희망]과 [복잡한 환자를 맡아서 변화를 일어켜주길 바라는 동료의 신념]을 대조했다. 따라서 우리는 그녀가 다른 사람이 부여하는 컨설턴트 정체성을 거절하는 것을 목격하였으며, 카렌은 스스로 이 정체성을 주장할 때 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한다(표 5, 인용구 9). 
After starting her new consultant role, Karen did not submit an audio-diary for a month. In her next diary, she reflected on her first experiences as a consultant on call. Karen’s identity work shifted in emphasis from working to demonstrate that she was competent, a team player and a leader (as discussed previously) to someone who ‘felt a bit of a fraud being called the consultant’ and rejected others’ grants of her new consultant identity (LAD 15, Month 9). Indeed, she contrasted her hopes for simple cases when on call with her colleague’s beliefs that she should be hoping for complicated cases so that she could make a difference. We therefore see her rejecting others’ granting of her consultant identity, stating that she requires time to claim this identity for herself (Table 5, Quote 9). 

카렌은 직장 내 선배 trainee들과의 관계와 컨설턴트가 되는 데 내재된 교육자 역할에 자신이 발을 들여놓을 것이라는 기대감에 대해서도 이야기했다. 캐런은 퇴사 인터뷰에서, 현재 다른 사람이 자신에게 [교육자-컨설턴트 정체성]을 부여하는 것을 거부하고 있으며, 자신의 외과적 자신감과 전문지식을 키우기 위해 시니어 수련생들과 어려운 수술 사례를 놓고 경쟁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표 5, 인용문 10). 
Karen also talked about her relationships with senior trainees within the workplace and the senior trainees expectations that she would step into the educator role inherent in being a consultant. In her exit interview, Karen simultaneously claimed a learner-trainee identity and rejected others’ grants of her now educator-consultant identity, describing herself as in competition with her senior trainees for difficult theatre cases in order to develop her own surgical confidence and expertise (Table 5, Quote 10). 

마지막으로, [자기 자신]과 [그녀가 대신하는 동료] 간의 오버랩은 캐런이 직장 내에서 자신의 위치에 대해 느끼는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카랜은 [점유적 경계성] 상태일 뿐만 아니라, 대리의사라는 지위 때문에 [영구적 경계인 상태]이기도 했다. 카렌은 이러한 중복된 지원에 안도감을 표시했다. 비록 이러한 오버랩때문에 그녀는 아직도 '조금은 registrar처럼 느꼈다'라고 하지만, registrar처럼 행동해서는 안 되었고, 따라서 self-imposed occupation of liminality에 대한 불안을 보였다. 

Finally, the overlap between herself and the colleague she was replacing seemed to affect how Karen felt about her position within the workplace. As well as occupying liminality here, she was also a perpetual liminar as a result of her locum status. Karen expressed relief in the support this overlap provided. Although this overlap meant that she still felt ‘a bit like a registrar,' she felt she should not be behaving like a registrar, thus indicating her anxieties about her self-imposed occupation of liminality (Table 5, Quote 11). 

4 | 토론
4 | DISCUSSION

우리는 훈련된 전환 과정을 통해 의사들에 의해 서술된 한계적 경험을 탐구했다. 첫 번째 연구 질문에 답한 결과, 참가자들은 세 가지 방법으로 한계성을 경험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 첫째, 가장 많은 사람들이 어느 순간 [일시적 경계성]을 경험했다. 정체성 작업을 통해 참가자들은 이러한 또는 그녀의 새로운 정체성으로의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자기 성찰에 참여하고 과거, 현재, 미래의 자신을 고려하며, 종종 한계에서 벗어나기 위해 타인의 '컨설턴트' 정체성 부여에 의존합니다. 
  • 둘째, 일부 의사들은 이중 역할 속에서 지속적인 중간 관계in-betweenness를 겪으며, 즉 [영속적 경계성]을 경험했음을 시사한다.23 참가자들은 상황별로 그리고 사회적으로 관련성을 갖기 위해 정체성 작업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였으며, 지속적으로 정체성을 전환함으로써 경쟁하는 충성심과 요구에 대응하는 경계선 브리콜러가 되었다.예를 들어, 임상에서 학술에 이르기까지).
  • 셋째, 이것은 리미널리티에 대한 이론적 개념에 있어 새로운 것으로, 개인들은 때때로 경계성의 적극적인 창조와 유지를 통해 [경계성을 의도적으로 점유]하곤 했다. 예를 들어, 의사들은 훈련된 의사와 훈련된 의사 사이의 경계 공간을 의도적으로 차지하기 위해 [훈련된 신임의사trained doctor 정체성이 부여되는 것을 거부]하는 정체성 작업을 수행하였다. 우리는 일시적 경계성이나 영구적 정체성이 외부적으로 부여되는 것external imposition과는 달리, 개인이 [경계인liminar]이 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신의 리미널리티에 대한 행위자성과 통제권을 행사할 것을 제안한다.

We explored liminal experiences narrated by doctors across traineetrained transitions. Answering our first research question, we found that participants experienced liminality in three ways.

  • First, most experienced temporary liminality at some point. Through identity work, participants engaged in self-reflection and considered past, present and future selves in order to expedite shifts towards this or her new identity, often relying on ‘consultant’ identity grants from others to move them out of liminality. 26
  • Second, our findings suggest that some doctors experienced perpetual liminality, undergoing enduring in-betweenness through dual roles.23 Participants were seen to use identity work to make themselves contextually and socially relevant, becoming boundary bricoleurs responding to competing loyalties and demands by continuously switching identities (eg, from clinician to academic).23,32–35
  • Third, and novel to theoretical notions of liminality, individuals would sometimes purposely occupy liminality through its active creation and maintenance. For example, doctors would engage in identity work to reject grants of his or her new trained doctor identities in order to purposely occupy the liminal space between trainee and trained doctor. We suggest that, in a manner contrary to the external imposition of temporary and perpetual liminality, individuals can and do actively choose to be liminars, thereby exerting agency and control over his or her own liminality. 

두 번째 연구 질문의 관점에서, [하나의 전문적 정체성(예: 수련 의사)]에서 [다른 전문적 정체성(예: 훈련된 의사)]으로 정체성이 선형적으로 진행된다는 것은, 지나치게 경계성을 단순화하여 개념화한 것임을 밝혀냈다. 실제로, 종단적 데이터셋 전체에 걸친 개인의 경험에 대한 시간적 분석 결과, 참가자들이 [항상 리미날 단계를 통해 선형으로 진행되지는 않는다는 점]에 주목했다. Karen의 경험이 보여주듯이, 맥락, 관계(대인관계와 조직관계 모두)와 시스템은 종종 이리저리로 오락가락하는 우리의 참가자들에 의해 [주장되고 부여된claimed by, and granted to 직업적 정체성]에 영향을 주었고, 따라서 항상 훈련된 의사 정체성으로 곧바로directly 진척되지는 않았습니다. 
In terms of our second research question, our analysis revealed that a conceptualisation of liminality as a linear progression from one professional identity (eg, trainee doctor) to another (eg, trained doctor) is overly simplistic. Indeed, through our temporal analysis of individuals’ experiences across the longitudinal dataset, we noted that participants did not always proceed in a linear manner through the liminal phase. As Karen’s experiences illustrate, context, relationships (both interpersonal and organisational) and systems also influenced the professional identities claimed by, and granted to, our participants, which often fluctuated from one diary to the next, and thus did not always progress directly towards a trained doctor identity. 

[왜 사람들이 경계성을 점유하기로 선택했는지]에 대해서, 우리는 [어떻게 transition이 개념화되는가]를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Jindal-Snape는 이행transition을 다차원적(다차원적 및 다차원적 전환 이론)으로 간주하며, 개인의 삶의 한 맥락(예: 새로운 직업)에서의 전환이 다른 맥락(예: 홈 무브)에서의 전환을 트리거한다고 보았다.4 의사들의 직업 전환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개념적 사고와 일치하며, 그러한 과도기적인 단계들을 [복잡하고 종종 비선형적]이라고 파악한다.5-10 When we consider why people might choose to occupy liminality, we need to return to how transitions are conceptualised. Jindal-Snape considers transitions as multiple and multidimensional (multiple and multidimensional transitions theory), with transitions in one context of an individual’s life (eg, a new job) triggering transitions in other contexts (eg, a home move).4 Research on doctors’ career transitions aligns with this conceptual thinking, identifying such transitional phases as complex and often non-linear.5-10

호이어와 슈타이어트는 커리어의 변화기간에 사람들은 때때로 [일관성]과 [모호함]에 대한 상반된 욕구를 가지고 있다고 제안한다. 여기에는 불안과 상실감이 끼어들고, 개개인은 그러한 감정에 방어적인 반응을 보인다. [경계성 공간]은 이러한 감정에 대응하기 위하여 개인이 머물 수 있는 장소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경계성 공간]은 중요한 다중 전환의 복잡성을 경험하면서 [개인의 성찰과 계획에 안전한 공간]이 될 수 있다. 우리의 종적 사례를 사용하여 이 점을 설명하기 위해, 카렌은 자신의 [경계성 공간]을 컨설턴트로 일했던 초기 경험과 이 새로운 컨설턴트 정체성에 익숙해진 경험을 되새기는데 사용했습니다. 따라서, [경계성 공간]을 점유하는 것은 (연구참여자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발전시킬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게 했다.

Hoyer and Steyaert suggest that during career changes, individuals sometimes have conflicting desires for coherence and ambiguity, which can be punctuated by feelings of anxiety and loss, with individuals developing defensive responses to such feelings.28 We suggest, therefore, that liminal spaces can come to represent places in which individuals can dwell to respond to these feelings. Indeed, liminal spaces can become safe spaces for individuals’ reflection and planning as he or she experience the complexity of significant multiple transitions. To illustrate this point using our longitudinal case, Karen used her liminal space to reflect on her early experiences of being a consultant and getting used to this new consultant identity. Therefore, we argue that occupying of liminal spaces, as our data illustrate, allowed our participants time to make sense of his or her developing identities.

4.1 | 과도기 및 한계성 문헌에 대한 기여
4.1 | Contribution to the literature on transitions and liminality

요약하자면, 이 연구는 수련생으로 전환되는 동안 의사들이 겪었던 종말적 경험을 종적으로 탐구한 최초의 연구입니다. 또한, 우리의 연구 결과는 [경계성 점유]에 대한 개념을 추가하여 경계성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문헌에 새로운 기여를 한다. [점유적 경계성occupying liminality]는 개개인이 새로운 경험을 성찰하고 이해하여 경계적 정체성을 능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이다.
To summarise, this study is the first of its kind to explore longitudinally the liminal experiences of doctors during trainee-trained transitions. Furthermore, our findings make a novel contribution to the wider literature on liminality23,35 by adding this notion of occupying liminality, whereby individuals actively maintain liminal identities as safe spaces in which to reflect and make sense of new experiences.

4.2 | 방법론적 강점과 한계
4.2 | Methodological strengths and limitations


우리의 연구는 다양한 방법론적 강점을 가지고 있다.

  • 첫째, 우리의 정성적 데이터는 비교적 크고 다양한 표본(예: 성별 및 전문성)에서 방대한 종적 데이터(인터뷰 및 다이어리)를 수집했기 때문에 충분한 정보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연구 결과가 다른 영국 의사들에게 전달될 가능성을 증가시킨다.50
  • 둘째, 이 연구의 세로적 성격은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참가자들의 독특한 경험을 탐구할 수 있게 해주었습니다. 실제로, 일기는 참가자들이 성찰을 위한 안전한 공간(그리고 어쩌면 그 자체로 한계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중심 메커니즘이 되었다. 이는 자신의 전환과 관련된 생각과 느낌을 공유하고 다시 볼 수 있는 영역입니다.
  • 셋째, 다이어리 내에서 수집된 데이터는 현재의 생각과 감정이었고, 따라서 인터뷰, 특히 사건이 발생한 지 오래 후에 수행된 인터뷰에서는 이러한 것들이 자주 있기 때문에 기억에 의해 필터링되지 않았다.
  • 넷째, 출구면접을 포함함으로써 우리는 참가자들과 함께 다이어리로 돌아갈 수 있었고, 그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험을 명확히 하고 확장할 수 있었다.
  • 마지막으로, 데이터 분석에 대한 팀 기반 접근방식은 엄격함과 반사성을 장려했다.52 실제로 모든 연구자(LG, CER, DJ-S)가 여성이지만, 우리의 다양한 배경(예: 임상, 심리학, 교육 등)은 분석에 다양성을 가져와서 데이터에 대한 보다 다면적인 해석으로 이어졌다.53

Our study has various methodological strengths.

  • First, our qualitative data have sufficient information power because we collected voluminous longitudinal data (interviews and diaries) from a relatively large and diverse sample (eg, in terms of gender and specialty), which increases the potential transferability of the findings to other UK doctors.50
  • Second, the longitudinal nature of this study also allowed us to explore participants’ unique experiences over time.46,47 Indeed, the diaries became a central mechanism through which participants were able to secure a safe space for reflection (and possibly a liminal space in itself), in which he or she could share (and revisit) his or her thoughts and feelings pertaining to his or her transitions.8
  • Third, the data collected within the diaries were current thoughts and feelings, and therefore were not filtered by memory as these so often are in interviews, particularly those conducted long after events have taken place.46,47
  • Fourth, the inclusion of exit interviews allowed us to return to the diaries with participants, enabling them to clarify and expand on his or her experience over time.46
  • Finally, our team-based approach to data analysis encouraged rigour and reflexivity.52 Indeed, although all of the researchers (LG, CER and DJ-S) are female, our diverse backgrounds (eg,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etc.) meant that we brought diversity to the analysis, leading to a more multifaceted interpretation of the data.53 


4.3 | 교육 실천에 미치는 영향
4.3 | Implications for education practice


우리의 연구 결과는 [의사들이 중요한 커리어 전환 동안 복잡하고 종종 비선형적인 방법으로 경계성을 경험할 것]이라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따라서 우리의 연구 결과는 이행 중in transition인 개인을 지원하는 개인화된 접근법에 우선순위를 부여할 것을 시사한다.8 실제로, 데이터의 사례 연구는 전환 경험에 대한 공개 토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학습자와 교육자에게 한계성의 다양한 측면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Our findings emphasise a need to recognise that doctors will experience liminality in complex and often non-linear ways during significant career transitions. Our findings suggest therefore that priority be given to personalised approaches to supporting individuals in transitions.8 Indeed, case studies from our data could be used for teaching purposes to help explain the different facets of liminality to learners and educators in order to facilitate open discussion about transition experiences. 

따라서 의사들이 경험하고 직업 여정 동안 적극적으로 점유할 수 있는 리미널리티에 대한 준비와 수용도를 높여 수련생과 트레이너 모두 리미너 이전과 수련생이 리미너일 때 모든 우려를 성찰하고 표현하는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멘토, 동료 및 경험이 풍부한 동료와의 지원 대화를 통해 이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Increased preparation for and acceptance of the liminality doctors will experience and may actively occupy during his or her career journey should thus be developed amongst trainees and trainers alike and used a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and articulate any concerns before and when trainees are liminars. This could be achieved through, for example, supportive conversations with mentors, peers and more experienced colleagues. 

또한, (이중 또는 임시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와 같이) 영구적 경계성 경험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면 그러한 영구성과 여러 역할이 수반되는 책임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멘토링 논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습니다. 복수의 전환에 적응하기 위한 경계성 점유의 가능성도 강조해야 한다. 실제로 [경계성 점유occupying liminality]는 [의료 경력 전반에 걸친 고위험적 전환에 대한 반응]으로써, 조직과 시스템이 인식하고 지원해야 할 사항이다. 더 계획적이고 지지적인 접근법은 의사들이 한계 경험을 긍정적으로 활용하고 동시에 어떤 도전도 헤쳐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Additionally, better awareness of perpetual liminal experiences (such as when undertaking dual or temporary roles) should facilitate mentorship discussions around how to manage such perpetuity and the responsibilities that come with multiple roles. The possibility of occupying liminality to adapt to multiple transitions shoul d also be emphasised. Indeed, occupying liminality, as a response to high-stakes transitions across medical careers, is something that organisations and systems should recognise and support. A more planned and supportive approach should allow doctors to make positive use of liminal experiences and simultaneously navigate any challenges. 

4.4 | 추가 연구를 위한 의미
4.4 |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Med Educ. 2020 Nov;54(11):1006-1018.

 doi: 10.1111/medu.14219. Epub 2020 Jun 23.

Doctors' identity transitions: Choosing to occupy a state of 'betwixt and between'

Lisi Gordon 1 2Charlotte E Rees 2 3Divya Jindal-Snape 4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 1Centre for Medical Education,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Dundee, Dundee, UK.
  • 2Monash Centre for Scholarship in Health Education (MCSHE), Faculty of Medicine, Nursing and Health Sciences, Monash University, Clayton, Victoria, Australia.
  • 3College of Science, Health, Engineering and Education (SHEE), Murdoch University, Murdoch, Western Australia, Australia.
  • 4Transformative Change: Education and Life Transitions (TCELT) Research Centre, School of Education and Social Work, University of Dundee, Dundee, UK.
  • PMID: 32402133
  • DOI: 10.1111/medu.14219Abstract
  • Context: During transitions, doctors engage in identity work to adapt to changes in multiple domains. Accompanied by this are dynamic 'liminal' phases. Definitions of liminality denote a state of being 'betwixt and between' identities. From a social constructionist perspective, being betwixt and between professional identities may either involve a sense of disrupted self, requiring identity work to move through and out of being betwixt and between (ie, temporary liminality), or refer to the experiences of temporary workers (eg, locum doctors) or those in dual roles (eg, clinician-managers) who find themselves perpetually betwixt and between professional identities (ie, perpetual liminality) and use identity work to make themselves contextually relevant. In the health care literature, liminality is conceptualised as a linear process, but this does not align with current notions of transitions that are depicted as multiple, complex and non-linear.Results: All participants experienced liminality. Our analysis enabled us to identify temporary and perpetual liminal experiences. Furthermore, fine-grained analysis of participants' identity talk enabled us to identify points in participants' journeys at which he or she rejected identity grants associated with his or her trained status and instead preferred to remain in and thus occupy liminality (ie, neither trainee nor trained doctor).
  • Conclusions: This paper is the first to explore longitudinally doctors' liminal experiences through trainee-to-trained transitions. Our findings also make conceptual contributions to the health care literature, as well as the wider interdisciplinary liminality literature, by adding further layers to conceptualisations and introducing the notion of occupying liminality.
  • Methods: We undertook a longitudinal narrative inquiry study using audio-diaries to explore how doctors experience liminality during trainee-to-trained transitions. In three phases, we: (a) interviewed 20 doctors about his or her trainee-to-trained transitions; (b) collected longitudinal audio-diaries from 17 doctors for 6-9 months, and (c) undertook exit interviews with these 17 doctors. Data were analysed thematically, both cross-sectionally and longitudinally, using identity work theory as an analytical lens.

 

의사됨의 형상화된 세계에서 정서와 정체성(Med Educ, 2015)

Emotions and identity in the figured world of becoming a doctor
Tim Dornan,1 Emma Pearson,2 Peter Carson,3 Esther Helmich4 & Christine Bundy5

 

도입
INTRODUCTION

[다른 사람을 보살피고자 하는 바람]은 젊은이들이 의사가 되도록 동기를 부여한다.1 보살피는 법을 배우면 환자와 가족의 건강, 질병, 죽음, 회복에 대한 감정적인 반응에 노출된다. 의대생들은 그 결과 강한 감정을 경험할 수 있다. 관심을 가지기 위해서는, 그들은 유능해져야 합니다. MacLeod1은 학생들이 유능함과 자상함을 동시에 드러내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감정의 표출은 배려하는 정체성과 관련이 있었지만 의과대학에서 가장 가치 있는 능력 있는 정체성의 유형은 비감정적인 유형이었다. 샤피로에 따르면, Net result는 의학 교육이 학생들을 감정에 민감하게 하기보다는 둔하게 한다는 것이다. 
A wish to care for other people motivates young people to become doctors.1 Learning how to care exposes them to patients’ and their families’ emotional reactions to wellness, illness, death and recovery. Medical students can experience strong emotions as a result. In order to care, they must become competent. MacLeod1 found it was hard for students to show themselves as both competent and caring. Displays of emotion were associated with a caring identity, but the type of competent identity most valued in medical school was an unemotional type. The net result, according to Shapiro,2 is that medical education blunts rather than sensitises students to emotions. 

[감정]은 학생들이 배운 것을 사회적이고 도덕적으로 적절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돕기 때문에, 감정은 모든 종류의 학습에 밀접하게 관여합니다. 4. 의학과도 명백히 관련이 있습니다.

  • 감정은 정보 처리5와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칩니다.6-9
  • 의사가 되는 것은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을 이끌어낸다. 5,9–15 한 가지 상황이 두 가지 유형의 감정을 모두 이끌어 낼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서적 갈등을 해결해야 한다.18
  • 연구 간행물은 주로 의사가 되는 것과 관련된 부정적인 감정을 강조해 왔으며, 이는 교사에 의한 학대, 환자의 고통을 경험, 어려운 상황에서 전문성을 유지하는 것 등이 원인이 된다
  • 학생들은 감정을 인정하고 표현하며 관리하는 것보다, 감정을 억압하는 것을 더 많이 배우며, 이는 정서적으로 미감한 의사가 되는 발달을 혼란스럽게 합니다. 

Emotions are intimately involved in any sort of learning because they help students apply what they learn in socially and morally appropriate ways,4 which is self-evidently relevant to medicine.

  • Emotions influence information processing5 and academic achievement.6–9
  • Becoming a doctor elicit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5,9–15 A single situation can elicit both types of emotion16,17 and therefore students are required to resolve emotional conflict.18
  • Research publications have mainly emphasised the negative emotions associated with becoming a doctor, which result from being abused by teachers,19,20 experiencing patients’ suffering,14,18 and remaining professional in challenging situations.21–24
  • Students learn more about suppressing than acknowledging, expressing and managing emotions, which confounds their development as emotionally sensitive physicians.14,18,20,23 


감정이 의대생들의 정체성 발달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이전에 관찰했듯이, 11,15 우리는 감정과 정체성이 서로 어떻게 연관되는지 더 잘 이해하고 싶었고, 이는 직장 학습 중에 경험하는 감정이 의대생들의 정체성 발달과 어떻게 연관되는가 하는 연구 질문으로 이어졌다. 

Having previously observed that emotions were related to medical students’ identity development,11,15 we wanted to better understand how emotions and identity relate to one another, which led to the research question: how do emotions experienced during workplace learning relate to medical students’ identity development? 

 

방법
METHODS


연구윤리 승인 및 참여자 신원보호
Research ethics approval and protection of participants’ identities



개념적 지향
Conceptual orientation


비판적 담론 분석
Critical discourse analysis


McNaughton25와 MacLeod1 모두 의학 교육에서 담화 연구를 지배하는 경향이 있는 Michel Foucault의 연구에서 도출된 비판적 담론 분석의 형태를 사용했다(예 26). 그러나 수학교육과 같은 다른 분야들은 대체 담론 전통을 잘 활용해왔다.27 다른 전통들은 푸쿨드 전통에서 사용되는 것과 다른 방식으로 '담론'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Gee는 [담론]을 '사용 중인 언어의 모든 인스턴스'와 '특징적인 표현 방식, 행동 방식, 존재 방식'으로 정의했다.28 
Both McNaughton25 and MacLeod1 used a form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derived from the work of Michel Foucault, which has tended to dominate discourse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e.g.26). Other fields such as mathematics education, however, have made good use of alternative discourse traditions.27 Those other traditions use the term ‘discourse’ in a manner that differs from its use in the Foucauldian tradition. Gee, for example, defines discourse as ‘any instance of language in use’ as well as ‘characteristic ways of saying, doing, and being’.28 


바크틴은 혁명 이후 러시아 발효 이후 비고츠키가 사회 문화 이론을 창안하도록 자극한 담론 전통을 만들었다. 바크틴의 사고의 중심은 '대화론'이었다. 이것은 [언어 및 상징과 기호]가 인간의 모든 인식을 매개한다고 가정합니다.29 언어와 문화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는 [우리의 세계]를 [우리 문화의 관점]에서 인지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의 삶을 살아가면서,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목소리에 의해 다뤄진다.29 바크틴의 관점에서, 우리는 그러한 목소리에 반응하는 것 외에 다른 대안이 없다. 그리고 목소리에 반응한다는 것은, 우리 자신을 개인으로서 창조하는 반응을 '저작authoring'(하나의 반응을 선택함)하는 것이다.29  
Bakhtin fathered a discourse tradition in the same post-revolutionary Russian ferment that stimulated Vygotsky to originate socio-cultural theory. Central to Bakhtin’s thinking was ‘dialogism’. This assumes that language and other symbols and signs mediate all human perception.29 As language and culture are intimately related to one another, we cannot but perceive our world from the perspective of our own culture. As we go about our lives, we are addressed by the voices of other people.29 From a Bakhtinian point of view, we have no alternative but to respond to those voices. It is by ‘authoring’ our responses (choosing one response rather than another) that we create ourselves as individuals.29 

우리는 삶의 이야기를 하면서telling the stories 정체성을 창조한다.29 그러므로 담론과 정체성은 서로 뗄 수 없는 관계이다. 의대생들의 정체성 발달에 있어서 그들의 언어행동(바흐티니아어로 된 '발언utterances')은 결코 독창적이지 않다. 그러나 학생들은 정체성을 [자신이 마주치는 담론에 의해 수동적으로 형성]하기보다는, [다른 사람의 말utterances에 대한 반응을 저술authoring] 함으로써 각자의 정체성을 발전시킨다. 이러한 개념적 오리엔테이션을 채택하면 담론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 과정에 접근할 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이 [의과대학에서 듣는 모든 다양한 목소리에 대한 반응]을 어떻게 저술하는지author가 [그들이 어떻게 그들의 정체성을 창조하는지]를 말해준다. 
We create our identities by telling the stories of our lives.29 Therefore, discourse and identity are inseparable from one another. In the identity development of medical students, their speech acts (‘utterances’ in Bakhtinian language) are never truly original. However, such students develop different identities by authoring their responses to other people’s utterances,29 rather than being passively formed by the discourses they encounter. Adopting this conceptual orientation allows us to assume that conducting discourse analysis gives access to students’ processes of learning. How they author their responses to all the different voices they hear in medical school tells us how they create their identities. 

형상화된 세계
Figured worlds


[형상화된 세계 이론]은 바크틴의 연구에 깊이 뿌리를 두고 있다. 그것은 (다른 사회문화 이론보다) [감정]과 [정체성 발달]을 연계하는 쪽으로 나아가는 정체성 이론이다. 그것은 비판적 담론 분석을 위한 사회 문화적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Figured Worlds의 관점에서 의대생들은 학장, 의사, 환자, 동료 및 간호사들이 의사가 되는 것에 대해 동적으로 변화하고 잠재적으로 모순되는 방식으로 말하는 목소리를 듣는다. 학생들은 학습 환경에서 접한 특정 목소리와 그 밖의 징후와 상징을 선택할 수 있는 [행위자성agency(세상에서 행동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정체성이 발전하는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학생의 담론 속에서, 개인(학생이 식별하거나 식별하지 못한 의사)은 figures가 된다.
Figured Worlds theory30 is deeply rooted in the work of Bakhtin. It is an identity theory, which goes further towards linking emotions and identity development than other socio-cultural theories. It provides a socio-cultural platform for critical discourse analysis. From a Figured Worlds perspective, medical students hear the voices of deans, doctors, patients, peers and nurses speaking about being a doctor in dynamically changing and potentially contradictory ways. Students have agency (capacity to act in the world) to choose certain voices and other signs and symbols they have encountered in their learning environments to tell the stories of their own developing identities. Individuals – such as doctors with whom students have been (un)able to identify – become figures in students’ discourses. 

Figured Worlds 이론은 의학교육과 같은 사회적 과정이 [위계, 권력, 특권]의 영향을 받는다고 본다. 의사와 다른 영향력 있는 사람들의 연설은 학생들을 특정 행동과 궁극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정체성으로 '위치'시킨다. 그러나 학생들이 자신에게 주어진 위치에 의해 행위자성의 범위가 제한되어 있더라도, 그들은 상상력을 발휘하고 미래의 가능성에 대해 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조물주worldmakers' 30이 될 수 있다. 

Figured Worlds theory sees social processes like medical education as being influenced by hierarchy, power and privilege. The speech of doctors and other influential people ‘positions’ students in ways that make certain actions and, ultimately, identities (in)accessible. However, even when the scope for demonstrating agency is limited by the positions students are given, they can become ‘worldmakers’30 in that they can use their imaginations and speak about worlds of future possibilities. 

 

맥락 Context

유럽의 거대 산업도시에서 주요 학술기관인 맨체스터 대학이 연구 맥락을 제공했다. 그것의 대규모 학부-진학 의료 프로그램은 강력하게 통합되고 문제 기반입니다.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which is a major academic institution in a large, traditionally industrial European city, provided a context for the research. Its large undergraduate-entry medical programme is strongly integrated and problem-based. 

 

방법론 및 연구 설계
Methodology and study design


이 연구는 기존 데이터셋에 대한 이차 분석입니다.
This study was a secondary analysis of an existing dataset.

표본 추출 및 모집
Sampling and recruitment


우리는 주로 이론적인 학습에서 실습 기반 학습으로 전환하는 동안 정체성 발달이 강한 감정을 이끌어내기 때문에 임상실습 3년 중 처음 2년(5년 과정의 3년과 4년제)의 학생을 참가자로 선택했다.31 우리는 또한 [저학년 임상실습생]들이 임상실습의 잠재 교육과정에 덜 사회화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했기에, 따라서 [고학년 임상실습생]보다 직무현장의 실천에 대해서 더 비판적인 관찰자일 것으로 생각했다.
We chose students in the first two of three clerkship years (Years 3 and 4 of a 5-year programme) as participants because identity development during the transition from predominantly theoretical to practice-based learning elicits strong emotions.31 We also thought junior clerks would be less fully socialised to the hidden curriculum of clerkships19 and therefore more critical observers of workplace practices than senior clerks. 

연구의 윤리적 민감성을 인정하여 중립적 당사자(EP, 심리학과 졸업자 및 커리큘럼에 관여하지 않는 박사과정 학생)는 병원에서 임상실습에 진입하는 코호트의 모든 학생들에게 설명을 했다. 강요를 피하기 위해 참석 예정자 전원에게 제3자로부터 이메일을 보내 연구 내용을 설명하는 짧은 대화에 초대하고 의전서, 동의서, 참가자 정보지 등을 담은 안내팩을 포함시켰다. 비참여나 참여 철회는 의료 프로그램을 통한 그들의 진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Acknowledging the ethical sensitivity of the research, a neutral party (EP, a psychology graduate and PhD student, not involved in the curriculum) addressed all students in a cohort entering clerkships in the hospital. To avoid coercion, all prospective participants were sent an e-mail by a third party, which invited them to a short talk explaining the study and included an information pack containing the protocol, consent form and participant information sheet. It was made clear that non-participation or the withdrawal of participation would have no negative consequences on their progress through the medical programme. 

데이터 수집 절차
Data-gathering procedures


광범위한 데이터 세트를 생성하기 위해 세 가지 보완 절차를 사용했다. 여기에는 반구조화 인터뷰(SSI), 인지 인터뷰(CI) 및 요청된 오디오 일지(AD)가 포함된다. SSI는 표 1의 프롬프트를 사용했으며, 이어서 개방형 질문이 제시되어 참가자의 답변을 넓히고 심화시켰다. 
Three complementary procedures were used to generate a broad dataset; these included semi-structured interviews (SSIs), cognitive interviews (CIs) and solicited audio-diaries (ADs). The SSIs used the prompts in Table 1, which were followed by open questions to broaden and deepen participants’ responses. 

분석
Analysis


각 참가자는 연구자 번호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 번호는 EP만이 사용할 수 있어 다른 연구자가 참가자의 신분을 알 수 없었다. 참가자들의 목소리가 우연히 확인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다른 연구원들은 오디오 녹음 자료를 듣지 않았다. 
Each participant had a study number, the key to which was available only to EP so that no other researcher knew participants’ identities. To avoid the accidental identification of participants’ voices, other researchers did not listen to audio-recorded material. 

인터뷰와 일지 내용은 구두로 기록되었고 연구 번호로만 식별되었다. 이 접근방식에는 감정적으로 중요한 에피소드를 나타내는 텍스트 블록을 식별하고, 먼저 에피소드별 및 참가자별로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인 내부 및 개인 간 응답 패턴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포함되었습니다. 연구자 3명이 모든 자료를 면밀히 검토한 후, 우리는 분석에 포함될 에피소드를 파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을 사용했다. 
Interview and diary contents were transcribed verbatimand identified only by study numbers. The approach involved identifying blocks of text representing emotionally salient episodes and first analysing the data by episode and participant in order to allow us to explore intra-individual as well as interindividual patterns of response. After all of the materials had been closely read by three researchers, we used the following criteria to identify episodes for inclusion in the analysis. 

이러한 모든 에피소드가 식별되고 각 에피소드의 전체 텍스트가 템플릿으로 복사되어 앞에서 설명한 Figured Worlds 개념의 적용을 구성했습니다. TD와 PC는 모든 에피소드를 독립적으로 분석하고 서로의 템플릿을 검토하여 토론으로 차이를 해결하고 해석에 합의하였다. 
All such episodes were identified and the whole text of each episode was copied into a template, which structured the application of the Figured Worlds concepts described earlier. TD and PC independently analysed all episodes and reviewed each other’s templates, resolving differences by discussion and agreeing an interpretation. 

결과.
RESULTS


정체성 개발의 복합적인 감정
The mixed emotions of identity development

그림 1은 에밀리가 서술하는 텍스트의 축약된 버전을 제시하며, 연구의 주요 결과를 예시하고 Figured Worlds 개념을 설명하기 때문에 이 텍스트가 일부러 선택되었습니다. 이것과 다음 두 단락은 에밀리의 감정의 기원을 에밀리의 정체성 발달과 연결짓는다. 동시에, 에밀리는 [공감적으로 슬퍼하는 부정적인 감정]과 [동지애의 긍정적인 감정], [환자의 자신감으로 받아들여지는 영광스러운 감정]을 경험했다. 
Figure 1 presents an abbreviated version of text narrated by Emily, purposively selected because it exemplifie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nd illustrates Figured Worlds concepts. This and the next two paragraphs link the origins of Emily’s emotions to her identity development. At the same moment, Emily experienced the negative emotion of feeling empathically sad and the positive emotions of camaraderie and feeling honoured to be taken into a patient’s confidence. 

[피규어 월드 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그들이 이용할 수 있는 담론을 '조율orchestrating'함으로써 그들의 정체성을 발전시킨다. 마치 작곡가가 음악을 조율하듯이, 그들은 다양한 담론를 이끌어내어 그들의 정체성에 대한 다양한 목소리를 내는 공연을 합니다. 에밀리는 환자들에게 지배적이고 정서적으로 긍정적인 목소리와 함께 환자들과 관계를 형성하는 운 좋은 의사들을 orchestrate했습니다. 그녀는 [의사와 환자 모두]가 [그녀를 미래의 의사라는 정체성을 가진 사람으로 포지셔닝해준 것]으로부터 도움을 받았다. 
According to Figured Worlds theory, people develop their identities by ‘orchestrating’ the discourses available to them. Like a composer orchestrating music, they draw different discourses together into a multi-voiced performance of their identities. Emily orchestrated fortunate doctors building relationships with patients as a dominant and emotionally positive voice alongside a non-dominant and emotionally negative voice of sadness towards patients. She was helped to do so by both the doctor’s and patient’s positioning of her as someone with the identity of doctor-to-be. 

제인이 심장마비 환자 곁에 있었던 경험도 마찬가지로 복잡한 감정으로 이어졌고, 이번에는 충격, 두려움, 기쁨, 슬픔의 시기였습니다. 
Jane’s experience of attending a cardiac arrest, likewise, led to mixed emotions, this time of shock, fear, pleasure and sadness: 

일반인이라면 심장마비 현장을 떠날 것을 요청받았을 것이지만, 제인은 남아 있었다. 의대생이라는 신분이 그녀를 그 현장에 적합하게 만들었다. 에밀리와 다른 참가자가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것처럼, 제인은 치료 과정을 긍정적인 감정의 원인으로 확인했습니다. 그녀는 슬픔을 저술하기도authored 했지만, 심장마비가 '중요한 일a big thing'인 세상에서 '진보progress'를 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녀의 지배적인 감정은 긍정적이었다.
Whereas a lay person would have been asked to leave the scene of a cardiac arrest, Jane stayed. The status of a medical student positioned her within practice. Just like Emily and other participants not cited here, Jane authored her identification with the process of care as a cause of positive emotions. She also authored sadness, but her dominant emotion was positive because she was ‘making progress’ in a world in which cardiac arrests are ‘a big thing’. 

지금까지의 해석은 의사, 학생, 환자의 신분이 다른 세상에서 참가자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했다는 것인데, 이는 참여자들의 [애매한 입장]과 [감정의 협상]으로 드러난다. 그들의 dominant voices(예비)의사라는 empowered position에 대해 긍정적인 감정을 저술했다. 그들의 nondominant voices는 [무력한 환자에 대한 슬픔]을 자아냈다. 이것은 [사람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권력을 가진 분야에서 감정을 경험]하게 된다는 점에서 피규어 세계 이론에 부합한다. 예를 들어, 의사들은 [아버지 같은 인물fatherly figure]이 됨으로써 환자를 매우 편안하게 함으로써 긍정적인 방식으로 힘을 행사했다(그림 1). 

Our interpretation thus far is that participants formed their identities in a world in which doctors, students and patients had different levels of status, made apparent by participants’ negotiation of their ambiguous positions and emotions. Their dominant voices authored positive emotions towards the empowered position of doctors(-to-be). Their nondominant voices authored sadness towards disempowered patients. This is consonant with Figured Worlds theory, according to which people form their identities and experience emotions in fields of power. Doctors exercised power in positive ways (thus far at least) by, for example, making a patient very comfortable by being a fatherly figure (Fig. 1). 

 

위치 정체성의 감정
The emotions of positional identities


긍정적인 감정과 위치적 정체성을 부여받음
Positive emotions and being granted a positional identity


의사, 환자, 동료 및 자기자신의 행동들은 실무의 세계world of practice에서 지위position를 부여했다. 지위를 얻는 것은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감정을 유발했습니다. 농담을 나누는 것과 같은 간단한 일 조차 그러했다.
Actions by doctors, patients, peers and participants themselves granted positions in the world of practice. Gaining a position consistently caused positive emotions. Such a simple thing as sharing a joke did so:

한 전공의의 행동은 루시를 in practice로 위치시켰고, 이는 긍정적인 감정을 유발했다.
A resident’s behaviour positioned Lucy in practice and caused positive emotions:

루시의 이야기는 중요한 발견을 보여준다: 참가자가 학습뿐만 아니라 환자 진료에도 중요한 일을 하고 있다고 느꼈을 때 가장 정서적으로 긍정적이었다. 
Lucy’s story illustrates an important finding: being given a position was most emotionally positive when the participant felt that he or she was doing something that ‘mattered’ to patient care as well as to learning. 

[의사]만이 지위position를 부여하는 것이 아니었다. '모든 것을 잘 설명해 준 [조산사]가 [소니아]가 임신한 배에 대한 많은 검사를 할 수 있게 해주었기 때문에 '신생아에게 관여할'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간호사]는 관계를 맺어 나타샤가 간호사와 협력적으로 일할 의사가 될 미래를 만들 수 있게 해주었습니다.
It was not just doctors who granted positions. A midwife who ‘explained everything well ... allowed [Sonia] to do lots of examinations of pregnant tummies’, which made it possible ‘to get involved with newborn babies’. Likewise, a nurse built a relationship, which allowed Natasha to author a future in which she was a doctor who would work cooperatively with nurses:

[환자]들도 (학생들에게) 자신들을 털어놓음으로써 참가자들을 within practice에 position하였다. 에밀리처럼(그림 1), 젬마는 그것을 발견했다: 
Patients positioned participants within practice by confiding in them. Like Emily (Fig. 1), Gemma found it:

[환자의 니즈]도 position을 생성하였다:
Patients’ needs created positions:

이 모든 사례에서 [workplace 내 다른 사람들의 간단한 행동]은 학생들이 임상실무에 참여할participate in practice 힘을 실어주었고, 이는 긍정적인 감정을 불러 일으켰다. 피규어 월드의 관점에서 참가자들은 환자들이 솔직한 이야기를 털어놓을 수 있고, 병동을 운영할 수 있는 [책임감 있고 신뢰할 수 있고, 참여적인 인물]로서의 정체성을 저작authoring하면서 그러한 감정을 경험했습니다. 
In all of those examples, rather simple actions by other people in workplaces empowered students to participate in practice, which resulted in positive emotions. From a Figured Worlds perspective, participants experienced those emotions whilst authoring the identity of a responsible, trusted, involved person in whom patients could confide and who was able to run a ward. 

부정적인 감정과 직책을 부여받지 못하는 것
Negative emotions and not being granted a position

참가자는 [불리한 위치에 놓이거나 실무에서 어떠한 지위도 부여받지 않았을 때], 전적으로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했으며, 자신의 정체성 개발을 저술author하지 않았다. 
Participants experienced wholly negative emotions and did not author their identity development when they were positioned unfavourably or granted no position in practice at all 

다음 발췌문에서는 참가자의 담론은 혼합되지 않은 부정적인 감정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는 환자의 요구에 반응하지 않는 의사의 무력한 관찰자로 자리 잡은 결과였다. 

주니어 의사들은 이리저리 뒤척이며 "넌 누구니?"라고 말하곤 했다. 간호사들은 "왜 우리 병동에 오는 거야?"라고 말하곤 했죠. 그리고 당신과 함께 있으면 정말 야단법석을 떨죠. 후배 의사들은 이렇게 말하곤 했다. "우리는 정말 바빠... 너한테 쓸 시간이 없어." (소니아, SSI)
The junior doctors would shuffle about; they’d be like “who are you?” The nurses would be like “why are you in the way on our wards?” and get really narky with you. The junior doctors would say: “We’re really busy ... we don’t ... have time for you.” (Sonia, SSI)

다음 발췌문에서는 참가자의 담론은 순수히 부정적인 감정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는 [환자의 요구에 반응하지 못하는 무력한 의사]로 포지션된 결과였다. 

In the next excerpt, a participant’s discourse was of unmixed negative emotions, which resulted from being positioned as a helpless observer of a doctor who did not respond to a patient’s needs: 

때때로 [환자를 돕는 것이 전혀 불가능]한 것이 참가자가 부정적인 감정을 저술하도록 이끌었다.
Sometimes it was the sheer impossibility of helping a patient that led a participant to author negative emotions: 

이 글들은 참가자들이 [empowered 또는 disempowred한 상황]]이 의사와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으로 각각 발전하도록 이끌었다는 우리의 새로운 이론에 들어맞습니다. 
These texts fit our emerging theory that participants’ empowered or disempowered situations led them to develop or not develop the identity of a doctor and to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respectively. 

 

부정적인 감정과 입장을 취할 수 없는 것
Negative emotions and being unable to take up a position


소니아는 [환자의 살이 썩어가는 것에 혐오감을 느낀 자기자신의 모습]에 의기소침해졌고 죄책감을 느꼈다.
Sonia was disempowered by her disgust at a patient’s flesh rotting away, which made her feel guilty:

그의 다리는 본질적으로 썩어가고 있어서 냄새가 지독하고 끔찍해 보였다. 결국 나는 그 모든 것에 너무 스트레스를 받아서 밖으로 걸어나갔고 울음을 터뜨렸다.나는 그것이 꽤 역겨웠다. 그것은 끔찍한 말이다. 왜냐하면... 당신은 개방적인 사람이어야 하는데... 전 그냥 너무 많은 걸 발견했어요. 내가 의사일 때 3년, 4년 만에 알게 돼서 정말 미안했어... 내가 그렇게 할 수 있는 방법은... 네 자신을 실망시켰다는 느낌이 들어. (Sonia, CI)
His legs were essentially rotting away so it smelt horrible and looked horrible. In the end, I got so stressed out by it all [that I walked] out ... and burst into tears. ...I was quite disgusted by it, which is a horrible thing to say because ... you’re supposed to be very open minded ... but I did just find it all a bit too much. I did feel bad leaving because I know in 3 or 4 years time when I’m a doctor ... there’s no way I’d be able to do that... It’s a sense that you’ve sort of let yourself down. (Sonia, CI) 

 

나타샤의 감정은 수치심과 죄책감이었다.
Natasha’s emotions were shame and guilt:

이 3개의 본문은 참가자들이 [도전적인 임상 상황에 대한 반응을 감당하지 못할 때] 자기자신을 예비 의사로 authoring하지 못하였음을 보여줌으로써, 해석을 뒷받침하고 더욱 정교하게 설명하며, 이는 순수한 부정적인 감정으로 이어졌다.

These three texts support the interpretation and further elaborate it by showing how participants were unable to author themselves as doctors-to-be when they were unable to handle their reactions to challenging clinical situations, which led to unmixed negative emotions.


형상화된 정체성
Figured identities


긍정적인 감정과 형상화된 정체성 제작
Positive emotions and authoring a figured identity


일반의와 동일시할 수 있었던 에밀리처럼, 안과 의사와 수술 간호사는 나타샤의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인물figures이었다. 그녀는 미래의 외과의사의 정체성을 저술하고, 강한 긍정적인 감정을 경험했으며, 연구 동기를 부여받았습니다.

Like Emily (Fig. 1), who was able to identify with the figure of a general practitioner, an ophthalmic surgeon and a scrub nurse were figures in Natasha’s world. She authored the identity of a future surgeon, experienced strongly positive emotions, and was motivated to study:

컨설턴트는... 정말 예리하고 열정적이었어요... 모든 학생들에게 봉합할 기회를 줬어요 수술실 간호사가 내 봉합이 얼마나 좋았는지 말해줬어 난 그 점이 꽤 우쭐했어 왜냐하면... 제대로 봉합해 본 적이 없어서... 외과의사에게 말했죠 수술에 별로 관심이 없었지만... 그녀는 나에게... 내가 훌륭한 외과의사가 될 수 있다는 피드백... 몇 가지 아이디어가 떠올랐죠. 그리고 그게 내 뇌리에 박혀있어 왜냐면 그녀는 정말 친절하고 긍정적이었으니까... 저도 기분이 좋아서 부서에 얼굴을 내밀려고 노력했어요. 그래서 흥미롭기도 했고... 최근 것보다 더 많은 일을 했어 

A consultant ... was ... really keen and enthusiastic... She gave every student the opportunity to do some suturing... The ... scrub nurse ... commented on how good my suturing was... I was quite flattered by that cos ... I’ve never sutured properly before... I told [the surgeon] I wasn’t really too keen on surgery but ... she gave me ... feedback that I might make quite a good surgeon... It opened up a few ideas ... and it just sticks in my mind cos she was really nice and positive... I was feeling good about myself ... so I made an effort to show my face around the department ... and so it was also quite interesting as well so ... I just put more work into that [placement] than my most recent one. (Natasha, SSI) 


시니어 의사들은 개인으로서 담론을 생생하게 형상화하였으며figured, 레지던트, 간호사, 산파 및 다른 전문 의사들은 [참여자들에게 개방해준 가능성]의 관점에서 주로 형상화하였다. 때때로, 한 사람이 아니라, 심정지 팀, 특정 교대 근무자, 또는 마취사와 마취 간호사와 같은 전체 팀에 의해 세상은 형상화된다world was figured. 임상적 인물의 동정적 행동과 그들의 작업을 능숙하게 수행하는 방식은 긍정적인 감정을 이끌어냈습니다. 

Senior doctors figured the discourse vividly as individuals, whereas residents, nurses, midwives and other professionals figured it more in terms of the possibilities they opened up for participants. Sometimes, rather than by one person, the world was figured by a whole team of people, such as a cardiac arrest team, the people staffing a particular shift, or an anaesthetist and anaesthetic nurses. The compassionate behaviour of clinical figures and the proficient way in which they did their work elicited positive emotions: 

학생은 [자신의 임상 작업을 칭찬하고 지지적이었던 의사]와 자신을 동일시하였다.
Participants identified with doctors who were supportive and who praised their clinical work:

[어떤 figure와 자신을 동일시하는 것]은 참가자들이 [그 figure의 전공]을 자신의 커리어 선택으로 author하고, 더 성실하게 공부하도록 격려했다. 이 예외는 긍정적인 수치에도 불구하고 참가자가 그림 세계에서 자신을 에이전트로 작성할 수 없을 때 발생했습니다. 

Identification with a figure encouraged participants to author the doctor’s specialty as a career choice and to study conscientiously. An exception to this occurred when, despite positive figuring, participants were unable to author themselves as agents in the figured world: 

부정적인 감정과 Figures와 동일시하지 못하는 것
Negative emotions and being unable to identify with figures



Rashida는 직원들이 (잘 확립된 윤리적 관행에 반하는) 환자와 먼저 상의하지 않은 채 'DNR' 명령을 내려 혼란스러웠다.
Rashida was confused by staff issuing ‘do not resuscitate’ orders without first discussing them with patients (contrary to well-established ethical practice):

DNR이 소생하지 않는 형태가 생각나서 "오 하느님" 이라고... 4개월 동안 내 컨설턴트가 DNR 양식을 작성하는 걸 봤는데, 그는 오직 한 가지 DNR 양식에 대해서만 논의했어요. 여성 환자 중 한 명의 손녀와요. 그 시점에 저는 그에게 "이 양식에 대해 환자와 의논하지 말아야 하나요?"라고 물었던 것을 기억합니다. 그리고 그는 "아니오"라고 대답했고, 저는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저는 [다른 병원]에 있었는데... 우리는 그들과 의논해야 한다고 들었습니다. 환자나 적어도 그들의 가족... 그 시점에서... 나는 정말 혼란스러웠다 "그럼 내가 뭘 해야 할까?" (라시다, CI)
I just remember the DNR [do not resuscitate] form and thinking “Oh God” ... During the four months I’ve seen my consultant filling out DNR forms, he only discussed one DNR form ... with the grand-daughter of one of the female patients. At that point I remember asking him: “Should you not discuss these forms with patients?” and he said, “No,” and I’m thinking ... “I was at [a different hospital] and ... we were told we should discuss them with ... the patient or at least their family... At that point... I was really confused ... thinking: “Well what would I do?” (Rashida, CI)

 

참가자들이 Figures와 동일시하지 못할 때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았다.

  • [아시아 여성 라시다] 씨는 상담 도중 [아시아 남성 의사]가 베일을 쓴 [아시아 여성 환자]에게 반대object하자 안타까움과 충격, 실망감을 느꼈다.
  • [개인적인 정신병력] 때문에 로빈은 화가 났고, [정신병 환자를 '사냥'한 의사]와 동일시할 수 없었다.
  • 나타샤는 의사들이 병원 규칙을 어기고 환자가 감염될 위험을 높였을 때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했다.
  • 소니아는 학생들에게 짜증을 내고, 도움을 주지 않으며, 환자들에 대해 무례한 태도를 보이는 의사와 간호사들을 자신과 동일시할 수 없었다. 그녀는 '상상의 세계imagined world'를 저술했는데, 그녀는 (자격을 갖춘 의사로서) 의대생들에게 지지적으로 행동할 것입니다.

There were many instances in which participants experienced negative emotions when they could not identity with figures.

  • Rashida, an Asian woman, felt sad, shocked and disappointed when a male Asian doctor objected to an Asian female patient wearing a veil during a consultation.
  • A personal history of mental ill health made Robin angry and unable to identify with a physician who ‘shunned’ a mentally ill patient.
  • Natasha experienced negative emotions when doctors broke hospital rules and increased the risk for patients becoming infected.
  • Sonia could not identify with doctors and nurses who were irritable and unhelpful towards students and rude about patients. She authored an ‘imagined world’ in which, as a qualified doctor, she would behave supportively towards medical students:


이 마지막 섹션에서 감정, 이해 및 정체성 발전 사이의 관계는 매우 간단해 보입니다. 참가자들은 그들이 동일시할 수 있는 인물들과 마주쳤을 때, 그리고 자기 자신의 정체성을 author할 수 있을 때 긍정적인 감정을 경험했습니다. 그 반대도 사실이었다.

The relationships among emotions, figuring and identity development in this final section seem quite simple: participants experienced positive emotions when they encountered figures with whom they could identify and when they could author their own identities. The reverse was also true.

고찰
DISCUSSION

주요 결과 및 의미 
Principal findings and meaning 

참가자의 [감정]은 [정체성 발달]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습니다. 의료의 세계에서 자신의 위치를 획득having a position하고, 어떤 인물과 동일시할 수 있다는 것은 긍정적인 감정을 불러일으켰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참가자들은 모든 의사, 간호사, 레지던트들과 동일시하지 않았다. 그들은 학생을 지지하고, 환자에게 윤리적 또는 동정적으로 행동하고, 문화적으로 민감하거나, 손 위생에 신중한 인물들과 동일시하였다. 
Participants’ emotions related directly to their identity development. Having a position in the world of medicine and being able to identify with a figure generated positive emotions, and vice versa. Participants did not identify with every doctor, nurse or resident. They identified with figures who were supportive of students, behaved ethically or compassionately towards patients, were culturally sensitive, or were careful with hand hygiene.

비판적 담론 분석에서는 또 다른 중요한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즉, 참가자들은 Field of power 내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발전시켰습니다. 의사들은 상대적으로 힘이 있었다empowered. 환자들은 상대적으로 권력이 없었다disepowered. 참가자들의 순감정은 [환자의 이익을 위해 자신의 힘을 사용하는 의사]와 동일시했을 때 더 긍정적이었다. 그러한 인물들이 참가자들의 떠오르는 정체성에 대한 이야기에서 가장 두드러진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Critical discourse analysis uncovered something else important: participants developed their identities within a field of power. Doctors were relatively empowered. Patients were relatively disempowered. Participants’ net emotions were positive when they identified with doctors who used their power to the benefit of patients. Such figures occupied the most prominent places in participants’ stories of their emerging identities. 

장점과 한계
Strengths and limitations

다른 연구와의 관계
Relationship to other research

[관계적 상호의존성relational interdependence]에 대한 빌렛의 [사회문화 이]론에 따르면, [직장 학습workplace learning]은 두 가지 주요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즉, [직장에서 제공되는affored 사회적 가능성]과 [학습자들이 일에 참여하면서 이러한 가능성을 받아들이는uptake 것]이다. 많은 참가자들이 의사, 간호사, 조산사 및 다른 사람들의 행동이 [그들이 어떻게 실무practice를 수행하며, 어떻게 그로부터 배울 수 있도록 하는지]를 설명했기 때문에 우리의 연구 결과는 Billett의 이론과 일치합니다. 따라서, 의대생들의 정체성 발달과 감정은 (빌렛의 말로) [개인적 행위자성과 사회적 행위자성individual and social agency 사이의 관계적 상호의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According to Billett’s socio-cultural theory of relational interdependence,34 workplace learning is influenced by two main factors: the social possibilities afforded by workplaces, and learners’ uptake of those possibilities as they engage themselves in work. Our findings fit Billett’s theory because many of our participants described how behaviour on the part of doctors, nurses, midwives and other people made it more or less possible for them to engage in practice and learn from it. Thus, medical students’ identity development and emotions are influenced by, in Billett’s words,34 relational interdependence between individual and social agency.

우리의 연구 결과는 기존 연구에서

  • [긍정적인 감정]이 환자 및 동료와의 연관성, 노력한 공로를 인정받는 것, 다른 사람들로부터 정서적 지지를 받는 것에서부터, 생겨난다는 것을 보여준 것과 부합한다.
  • [어려운 감정]은 불확실성, 무력감, 책임감, 존중의 결여, 가치관의 차이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에 더하여, 우리의 연구 결과는 [어려움(슬픔)과 긍정적인 감정 모두 하나의 경험에서 비롯될 수 있다]는 카스만 외 연구진의 관찰을 반영한다.

 

Our findings fit closely with those in an influential publication by Kasman et al.,16 which showed

  • how positive emotions resulted from connections with patients and colleagues, from being recognised for one’s efforts, and from the receipt of emotional support from others, whereas
  • difficult emotions resulted from uncertainty, powerlessness, responsibility, lack of respect and a difference in values.

Our findings, moreover, echo the observation of Kasman et al. that both difficult (sadness) and positive emotions can result from a single experience.16

효과의 규모에 대한 논란이 있지만, 의대생들의 교육 진행에 따라 공감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36 원인에는 학생들의 취약성, 부적절한 역할 모델, 괴로움 및 부적절한 대처 메커니즘이 포함된다.36 의대생들은 [잠재적으로 상충하는 인물figures과 지위positions] 사이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발전시키면서 많은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참가자들은 환자의 disempowered 상태에 공감적으로 반영하였고, 공감적 인물과 자신을 동일시하였다. 어떤 학생들은 비공감적으로 반응했을 가능성이 높고, 비공감적 인물과 동일시했을 수 있지만, 그들은 이러한 유형의 연구에 자원할 것 같지는 않을 것이다.
Although there is debate about the size of the effect,35 there is concern that medical students become less empathic as their education progresses.36 Causes include students’ vulnerability, inappropriate role models, distress and inadequate coping mechanisms.36 Our research shows that medical students experience many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as they develop their identities among potentially conflicting figures and positions. Our participants responded empathically to patients’ disempowered conditions and identified with empathic figures. It is likely that other students may have responded non-empathically and may have identified with non-empathic figures, but they would be unlikely to volunteer for a study of this type.

환자를 돌보는 것이 의학의 목표이고, 돌보는 법을 배우는 것이 의대 교육의 목표라는 데 동의하지만, 의대생 정체성 발달에 있어서 의사와 다른 사람들의 중요한 역할로 인하여 [환자에 대한 집중이 흐트러지는 것]은 원치 않을 것이다. [의대생들의 정체성이 'knotworks'에서 어떻게 발전하는지]를 고려하는 Bleakley의 최근 연구는 이러한 우려를 해결한다.39 사회적 상호작용이라는 매듭knotwork은 현대 의료에서 의료전달에 관여하는 모든 개인을 포함하기에, '의사가 가장 잘 안다'는 사고방식이 지배적인 한, 환자 중심의 지향을 유지할 수 없다. 

Albeit that we agree that caring for patients is the goal of medicine, and learning to care for them is the goal of medical education, we would not want a sole focus on patients to distract from the vital roles of doctors and other people in medical students’ identity development. More recent work by Bleakley, which considers how medical students’ identity develops in ‘knotworks’, addresses this concern.39 The knotwork of social interactions involves all the individuals who deliver contemporary medical care, but a patientcentred orientation cannot be maintained if a ‘doctor knows best’ mentality prevails. 


연구 및 실무에 미치는 영향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교육 실천의 가장 분명한 의미는 의사, 레지던트, 의대생들의 감정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감정이 권력과 정체성 발달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탐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의사들 사이의 개입에 있어 발린트 접근법의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의학 커리큘럼에서 감정의 담론을 분명히 하는 것은 사실 새로운 아이디어가 아니다. 영국의 한 의과대학은 많은 의대생들이 발린트 그룹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의과대학에서 감정에 대해 배울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3

The clearest implication for educational practice is that we should explore how it can be made legitimate to talk about physicians’, residents’ and medical students’ emotions, and how those emotions link to power and identity development. Making the discourse of emotions explicit in medical curricula is not, in fact, a new idea because it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Balint approach to intervision among physicians. One UK medical school has helped large numbers of its medical students learn about emotions in medical practice by offering them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Balint groups.3 

 

 

 

 

 

 


Med Educ. 2015 Feb;49(2):174-85.

 doi: 10.1111/medu.12587.

Emotions and identity in the figured world of becoming a doctor

Tim Dornan 1Emma PearsonPeter CarsonEsther HelmichChristine Bundy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 1Department of Education Development and Research,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 PMID: 25626748
  • DOI: 10.1111/medu.12587Abstract
  • Context: There is little room in clerkship curricula for students to express emotions, particularly thos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a caring identity. Yet it is recognised that competence, alone, does not make a good doctor. We therefore set out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s and identity in clerkship education. Our exploration was conceptually oriented towards Figured Worlds theory, which is linked to Bakhtin's theory of dialogism.Results: Students' emotions were closely related to their identity development in the world of medicine. Patients were disempowered by their illnesses. Doctors were powerful because they could treat those illnesses. Students expressed positive emotions when they were granted positions in the world of medicine and were able to identify with the figures of doctors or other health professionals. They identified with doctors who behaved in caring and professionally appropriate ways towards patients and supportively towards students. Students expressed negative emotions when they were unable to develop their identities.
  • Conclusion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has uncovered a link between students' emotions and their identity development in the powerful world of becoming and being a doctor. At present, identity development, emotions and power are mostly tacit in undergraduate clinical curricula. We speculate that helping students to express emotions and exercise power in the most effective ways might help them to develop caring identities.
  • Methods: Nine female and one male member of a mixed student cohort kept audio-diaries and participated in both semi-structured and cognitive individual interviews. The researchers identified 43 emotionally salient utterances in the dataset and subjected them to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y applied Figured Worlds constructs to within-case and cross-case analyses, supporting one another's reflexivity and openness to different interpretations, and constantly comparing their evolving interpretation against the complete set of transcripts.

 

 

 

 

 

CBME에서 성장형 마음가짐(Med Teach, 2021)

Growth mindset in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Denyse Richardsona,b , Benjamin Kinnearc , Karen E. Hauerd , Teri L. Turnere , Eric J. Warmc , Andrew K. Hallb,f , Shelley Rossg , Brent Thomab,h and Elaine Van Melleb,i; On behalf of the ICBME Collaborators 

 

 

Introduction

보건 직종에 걸쳐 역량 기반 의료 훈련 교육(CBME)을 지속적으로 채택하면서(Carracio et al. 2002), 역량 개발을 지원하는 평가 관행에 대해 많은 내용이 작성되었다(Frank et al. 2010; Holmboe et al. 2010; Harris et al. 2017; Lockkyer et al. 2017; Iobst and Holmboe 2020). 그러나 개인의 발전을 지원하는 교육 관행과 학습 경험에 동등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Van Melle et al. 2019). CBME는 의학적 정교함의 연속을 따라 누적 학습을 요구하므로(McGaghie et al. 1978), CBME가 성공적으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숙달이라는 평생 목표를 가지고 개별화되고 지속적인 학습을 통해 자신의 성장을 형성하는 파트너가 되어야 합니다. 
In the ongoing adoption of competency-based medical training education (CBME) across health professions (Carraccio et al. 2002), much has been written about assessment practices that support competency development (Frank et al. 2010; Holmboe et al. 2010; Harris et al. 2017; Lockyer et al. 2017; Iobst and Holmboe 2020). However, equal attention must be given to instructional practices and learning experiences that support individual development (Van Melle et al. 2019). As CBME calls for cumulative learning along a continuum of increasing medical sophistication (McGaghie et al. 1978), its successful implementation requires learners to be partners in shaping their own growth through individualized, ongoing learning with the lifelong goal of mastery. 

개인의 학습 접근 방식은 CBME 프로그램의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최근에는 Dweck의 자기이론, 즉 성장마인드(Growth Mind)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Teunissen and Bok 2013, Khalkhali 2018, Shapiro and Dembitzer 2019, Chadha 2020). Dweck는 개인이 지능과 능력에 대해 암묵적인 견해나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고정된 특성(고정 사고방식)인지 변화 가능한(성장 사고방식)인지에 대해 보고하고 있습니다(Dweck 2016). 성장 마인드를 가진 학습자는 역량과 숙달로 나아가는 길이 발전적 진전임을 인식합니다.  

An individual’s approach to learning will significantly affect their success in a CBME program.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Dweck’s self theory, or growth mindset, as an important underpinning value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Teunissen and Bok 2013; Khalkhali 2018; Shapiro and Dembitzer 2019; Chadha 2020). Dweck reports that individuals have implicit views, or mindsets, regarding intelligence and abilities and whether they are fixed traits (fixed mindset) or changeable (growth mindset) (Dweck 2016). Learners with the growth mindset recognize that the road to competence and onward to mastery is a developmental progression. 

성장 마인드셋이란 무엇입니까?
What is the growth mindset?

사고방식Mindset이란 '특정한 생각의 방식'이다. 그것들은 성격과 습관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방식을 강력하게 형성하는 태도, 전망, 신념의 집합체입니다. 사고방식의 토대는 개인의 신념이다. 기본 신념을 면밀히 검토하면 이러한 기본 신념과 관련된 인지 과정과 그것이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러한 행동에 대한 개인의 자기 해석, 분석 및 라벨링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이해를 제공할 것이다.
Mindsets have been described as a ‘particular way of thinking’ ( ). They are a collection of attitudes, outlooks, and beliefs that powerfully shape personality and how one habitually thinks and acts. The foundation of a mindset is one’s beliefs, Closely examining underlying beliefs will provide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cognitive processes linked to these underlying beliefs and thereby how they affect behaviours and the individual’s self-interpretation, analysis, and labelling of those behaviours.

즉, [우리의 행동]은 [우리의 신념을 반영하는 관찰 가능하고 측정 가능한 행동]입니다. Dweck의 사고방식 이론에 따르면, 이러한 자기관념은 '우리가 원하는 것과 그것을 얻는 데 성공하느냐'에 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Dweck and Leggett 1988; Dweck 2016).
In other words, our behaviours are the observable and measurable actions that reflect our beliefs. According to Dweck’s mindset theory, these self-conceptions can profoundly ‘affect what we want and whether we succeed in getting it’ (Dweck and Leggett 1988; Dweck 2016).

 

  • 성장 마인드를 가진 개인은 속성(예: 지능)이 유연하고 개선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
  • 고정 마인드를 가진 사람은 속성을 바꿀 수 없고 자신의 가치에만 내재한다고 믿는다(Hong et al. 1999; Dweck 2016).
  • An individual with the growth mindset believes attributes (e.g. intelligence) are malleable and can be improved, while
  • someone with the fixed mindset believes attributes are unchangeable and inherent to their self-worth (Hong et al. 1999; Dweck 2016).

학습자의 사고방식은 목표 지향성(Locke 및 Latham 2002)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학습자의 행동에 반영됩니다.
A learner’s mindset can influence their goal orientation (Locke and Latham 2002), which is reflected in their behaviour.

  • 고정관념의 학습자는 자신의 가치를 재확인하고 실패를 피하기 위해 '좋아 보이는' 방식으로 행동합니다.
  • 성장 마인드 학습자들은 숙달하기 위한 역량 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실패를 발전 과정의 일부로 봅니다.
  • Fixed-mindset learners behave in a way that makes them ‘look good’ to reaffirm their selfworth and avoid failure, while
  • growth-mindset learners focus on improving their competence in the pursuit of mastery and see failure as a part of the developmental process.

 

  • 성장 마인드는 호기심과 질문 의지를 촉진하는 반면,
  • 고정된 사고방식은 무능해 보일까 봐 호기심을 억누른다.
  • The growth mindset promotes curiosity and a willingness to ask questions, while
  • the fixed mindset subdues curiosity for fear of appearing incompetent.

 

  • 성장 마인드를 가진 학습자는 광범위한 자가 모니터링에 참여하며 단순히 달성한 진도가 아니라 노력한 노력을 바탕으로 만족도를 높입니다. 외부 소스의 의견을 구하고 개선을 위한 제안을 환영합니다.
  • 고정된 사고방식을 가진 학습자들은 피드백이나 비판에 더 저항적입니다.
  • Learners with the growth mindset engage in extensive self-monitoring and base their satisfaction on effort exerted rather than simply on progress achieved. They seek input from external sources and welcom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while
  • learners with the fixed mindset are more resistant to feedback or criticism.

 

  • 성장 마인드를 가진 개인은 도전에 직면할 경우 자신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노력을 증가시키며, 학습에 다른 전략을 사용합니다. 그들은 역경과 실패에 대응하기 위해 끈기를 보여주고 끈기를 발휘합니다.
  • 고정된 사고방식을 가진 학습자는 장애 앞에서 무력하게 반응한다(Dweck 1975; Dweck and Leggett 1988; Klein et al. 2017; Osman et al. 2020). 
  • If faced with challenges, growth-minded individuals use setbacks to motivate themselves, increase their efforts, and use different strategies for learning. They demonstrate tenacity and persevere in response to adversity and failure.
  • Learners with the fixed mindset react helplessly in the face of obstacles (Dweck 1975; Dweck and Leggett 1988; Klein et al. 2017; Osman et al. 2020).


성장 마인드를 가지면 학습의 비선형 궤적과 불가피한 실패를 여정의 일부로 수용할 수 있습니다. 너무 빨리 포기하지 말고 현실적으로 상황을 평가하는 것도 포함된다. 성장의 과정은 지속적인 자기 반성, 자기 평가, 불완전성에 대한 자기 수용을 필요로 합니다. 성장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은 성장 사고방식이 없는 사람보다 더 정확하게 자기 평가를 하며 실패 후에도 자신을 성공적이라고 볼 가능성이 높습니다(Diener와 Dweck 1980). 
Having the growth mindset allows one to embrace the nonlinear trajectory of learning and the inevitable failures as a part of the journey. It includes not giving up too soon but also realistically assessing the situation. The process of growth requires continual self-reflection, self-assessment, and selfacceptance of imperfections. Individuals with the growth mindset more accurately self-assess than those without the growth mindset and are more likely to view themselves as successful even after failure (Diener and Dweck 1980). 



성장 마인드 및 CBME: 이론과 실천을 연결합니다.
Growth mindset and CBME: connecting theory to practice


성장 마인드는 CBME의 기초가 되는 두 가지 구성 요소, 즉 [숙달 학습]과 [의도적 연습]의 핵심 요소입니다.
Growth mindset is a key ingredient to two constructs that are foundational in CBME: mastery learning and deliberate practice.

[숙달 학습]은 베스트 프랙티스의 지속적이고 빠른 진화를 감안할 때, 21세기 의학의 실천에 필수적인 평생 학습 경로를 강조한다. 계획된 특정 학습 경험은 발달적 진전 및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시퀀싱됩니다. 학습자는 성과 데이터를 통해 정보를 제공받고, 감독자의 안내를 받으며 세심한 반성을 통해 개선해야 할 부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의료 전문가는 남은 경력 동안 실무 역량을 유지하기 위해 이러한 기술을 계속 요구합니다(McGaghie 2015). 
Mastery learning emphasizes the lifelong learning pathway that is essential for the practice of medicine in the twenty-first century, given the constant and rapid evolution of best practice. Planned, specific learning experiences are sequenced for developmental progression and/or to overcome weaknesses. The learner, informed by performance data and guided by a supervisor, is able to identify areas for improvement through careful reflection. Health care practitioners require these skills to continue to maintain competence for practice for the rest of their career (McGaghie 2015). 


에릭슨의 '의도적 연습' 개념은 학습이 특정 영역의 성과를 개선하는 것을 지향하는 고도로 구조화된 활동으로 특징짓는다. 의도적인 연습은 어떤 작업을 무심코 반복하기보다는 잘 정의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집중적인 접근 방식을 사용합니다. 실제적 구현에는 다음이 필요하다.

  • (a) 의도된 인지 또는 정신운동 기술의 반복적 수행,
  • (b) 더 경험이 많은 개인의 능력의 엄격한 관찰,
  • (c) 개선을 위한 제안을 포함한 특정 정보 피드백

Ericsson’s concept of ‘deliberate practice’ characterizes learning as a highly structured activity that is explicitly directed at improving performance in a particular domain. Rather than mindless repetition of a certain task, deliberate practice uses a focused approach to reach well-defined goals. Practical implementation includes

  • (a) repetitive performance of intended cognitive or psychomotor skills,
  • (b) rigorous observation of abilities by a more experienced individual, and
  • (c) specific informative feedback, including suggestions for improvement (Ericsson 2015). 

 

[숙달 학습]과 [의도적 연습]에 토대를 둔 CBME 프로그램은 자연스럽게 성장을 배움의 중심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든 학생, 레지던트 및 의사는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개선해야 합니다. 학습의 점진적 순서는 [비록 각각의 학습자가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역량에서 강점을 보이며, 과제가 시간에 따라 달라지더라도] 일정한 궤적을 경험할 것임을 나타낸다(Van Melle et al. 2019). 교육자의 일은 학습자와 협력하여 학습 진척도와 학습 계획을 파악하고 모니터링하며, 숙달은 모든 학습자가 [동일한 방식으로 경험하는 하나의 사건]이 아니라 [하나의 과정]이라는 관점을 강화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학습자 중심의 접근방식은 의사가 환자의 선호도와 의료 상태에 따라 치료를 조정하는 환자 중심의 치료와 유사합니다. 
A CBME program founded on mastery learning and for deliberate practice naturally situates the expectation growth as central to learning. All students, residents, and practising physicians must continue to learn and improve. The progressive sequencing of learning explicates that all learners will experience a trajectory, although their relative strengths in different competencies and tasks will vary over time (Van Melle et al. 2019). The job of an educator is to work with learners to identify and monitor their progress and learning plans and reinforce the view that mastery is a process, not a single event that every learner experiences the same way. This learner-centred approach is analogous to patient-centred care wherein a physician tailors their care to a patient’s preferences and medical condition(s). 

CBME의 성장 마인드에 초점을 맞추면 보건 직업 교육의 오랜 가정과 관행에 대한 재검토가 촉진될 것입니다.
A focus on the growth mindset in CBME should prompt the re-examination of some long-standing assumptions and practic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첫째, 성장 마인드는 의학에서 수월성에 대한 기존의 관점은 재정립할 필요성을 요구한다. 전통적으로 [수월성]은 동료에 비해 우수한 성과를 나타내는 높은 점수로 정의되고 인정되어 왔습니다. 수월성을 특징 짓기 위해 [시험 점수]를 강조하면, [커뮤니케이션, 환자 및 팀 구성원과의 관계, 전문성, 건강 시스템 기술, 평생 학습 등] 대등하게 중요한 실무 역량을 평가절하할 수 있다(Razack et al. 2019). 전통적으로 Excellence는 타고난 (혹은 타고나지 않은) 능력으로 간주됩니다. 그러다보니, 훈련생들에게 이는 [유능해 보여야 하며 약점이나 질문을 숨기면서 높은 점수를 받아야 한다]는 암묵적인 메시지를 전달한다(Pintrich et al. 2003; Bullock et al. 2019). 그러나 CBME에서 우수성은 코치의 지원을 받아 고의적인 연습을 통해 배양된 역동적인 특성 및 행동 집합으로 재구성되어, [모든 학습자가 우수성을 지속적으로 추구할 수 있는 기회]를 창출합니다(Sternberg 2001; Ericson 2015). 
First, established views of excellence in medicine require reframing. Traditionally, excellence has been both defined and recognized by high grades indicating superior performance relative to peers. The emphasis on test scores to characterize excellence can devalue other equally important competencies for practice, including communication, relationships with patients and team members, professionalism, health systems skills, and lifelong learning (Razack et al. 2019). Excellence is traditionally viewed as an ability one naturally has or does not have (Sternberg 2001). The implicit message to trainees is that they must appear competent and should seek high grades while hiding weaknesses or questions (Pintrich et al. 2003; Bullock et al. 2019). In CBME, however, excellence is reframed as a dynamic set of traits and behaviours cultivated through deliberate practice with the support of a coach, thereby creating the opportunity for all learners to continually pursue excellence (Sternberg 2001; Ericsson 2015). 

둘째, [개선을 중시하기보다는 결점 없는 성과를 기대하는] 전통적 문화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성장 마인드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의료 종사자의 경력 전반에 걸쳐 필요한 평생 학습과 일치하고 이를 지원합니다. [지속적인 학습과 개선의 필요성을 받아들인다는 것]은 재교육remediation이라는 개념에 대한 도전이라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재교육에는 전통적으로 [결함을 식별하고 해결하는 것]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결핍과 실패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모든 학습자의 발전과 성장에 대한 기대]와 상충한다
Second, the traditional culture, which expects flawless performance rather than valuing improvement, is called into question. A growth-mindset focus aligns with and supports the necessary lifelong learning throughout any health care practitioner’s career. Acceptance need for of the continual learning and improvement challenges the concept of remediation, which traditionally involves identifying and addressing deficiencies (Hauer et al. 2009). The focus on deficiencies and failure is at odds with the expectation for development and growth for all learners.

Ellaway와 동료들은 이러한 긴장을 인정한다.

  • '교정 조치remedial action'는 예상대로 진행되지 않는 [학습자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취해질 수 있는 방법으로 정의하였으며,
  • 공식적인 '교정 조치remediation'는 [lack of progression]과 [프로그램에서의 퇴출되어야 할 가능성]에 대한 심각한 우려concern를 나타내는 흔치 않은 상황이라고 정의하였다(Ellway et al. 2018) 

Ellaway and colleagues acknowledge this tension by defining how

  • ‘remedial action’ can be undertaken to strengthen support for a learner who is not progressing as expected, whereas
  • formal ‘remediation’ signals the uncommon situation of serious concern about lack of progression and the potential for recommended removal from a program (Ellaway et al. 2018).

그렇다고 성장 마인드를 가진 사람들은 모두가 같은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들은 모두가 발전할 수 있다고 믿는다. 
That said, those with a growth mindset do not assume that everyone is capable of reaching the same level. Rather, they believe that everyone can improve. 

교정조치의 탈낙인화(destigmatizing)는 [개별 학습 요구를 최대한 조기에 식별하려는 노력]과 결합하여, 개선을 가치있게 여기는 문화에 기여할 수 있다(Chou et al. 2019). 성장 중심의 CBME 프로그램에서는 모든 '교정 조치'가 목표 학습 계획에 포착된 개인 개발의 정상적인 부분으로 재구성되어야 하며, 모든 학습자가 서로 다른 속도로 진척되고 개선이 필요한 영역을 보유해야 합니다. 그렇다고 모든 학습자에게 역량을 입증할 수 있는 [무한한 시간이 주어져야 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목표한 학습 계획 및 지원에도 불구하고 진전이 없는 특정 경우를 위해, '교정remediation'이라는 용어는 남겨두어야 합니다. 

Destigmatizing remediation, coupled with efforts to identify individual learning needs as early as possible, can contribute to a culture in which improvement is valued (Chou et al. 2019). In a growth-oriented CBME program, all ‘remedial action’ should be reframed as a normal part of individuals’ development, captured in their targeted learning plan, with the understanding that all learners will progress at different rates and have areas that need improvement. This is not to say that all learners must be given infinite time to demonstrate competence; rather, the term ‘remediation’ should be reserved for those specific instances where progress is not being made, despite targeted learning plans and support. 

성장 마인드로 CBME 구현에 미치는 영향
Implications for implementing CBME with a growth mindset

의학교육 초기 성장마인드 함양
Fostering growth mindset early in medical education

현재 학부 의학 교육(UME)은 학습자가 성과 결손을 숨기고(Williams et al. 2003; McGaghie 2018) 가능한 최고 등급과 순위를 달성하기 위해 '역량의 외피cloak of competence'로 자신을 감싸면서 인상을 관리하려는 [고정 마인드적 실천]을 강화하는 경우가 많다.
Currently,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often reinforces the fixed-mindset practice of impression management, with learners keeping themselves wrapped in a ‘cloak of competence’ to hide performance deficits (Williams et al. 2003; McGaghie 2018) and achieve the highest possible grade and ranking.

학생들은 또래와의 [상대적 비교]를 걱정하는, 대신 자신의 향상에 집중할 수 있어야 한다. 성장 마인드를 가진 학생들은 남들이 힘들어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바람직한 어려움을 받아들일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 마인드를 강화하는 인센티브를 제거해야 합니다. Pass/Fail 평가 시스템과 상대적 비교를 최소화하는(또는 제거하는) 준거 기반 표준화 테스트로 이동하면 학생들이 성적에 덜 집중하고 성장에 더 집중할 수 있다(Line et al. 2020).

Instead of worrying about normative comparisons with peers, students could focus on their improvement. Students with a growth mindset could embrace desirable difficulties, unafraid of others seeing them struggle . For this to be possible, incentives that reinforce fixedmindsets must be removed. Moving to pass/fail rating systems and criterion-based standardized tests that minimize(or eliminate) normative comparisons may help studentsfocus less on grades and more on growth (Lin et al. 2020).

학부에서 대학원 의학 교육으로 전환하는 성장 사고방식
Growth mindset in the transition from undergraduate to 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가 성장 마인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졸업후 의학교육(GME)도 이에 발맞춰야 한다. 현재, UME에서 GME로의 전환 프로세스는 고정된 사고방식을 가진 학습자에게 유리합니다. 많은 GME 프로그램 책임자들은 성장 잠재력은 거의 고려하지 않고 '최고의' 지원자를 찾고 레지던트에서 성공할 사람을 예측하는 방법을 지속적으로 찾고 있습니다(Green et al. 2009; Nallasamy et al. 2010; Makdisi et al. 2011; Weissbart et al. 2015). 실제로 학습자 '개선'은 레지던트 선발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Saudek et al. 2019).
If UME moves toward a growth mindset, graduate medical education (GME) must act in sync. Currently, the transition process from UME to GME favours learners with the fixed mindset. Many GME program directors continually search for ways to find the ‘best’ applicants and predict who will succeed in residency, with little regard for growth potential (Green et al. 2009; Nallasamy et al. 2010; Makdisi et al. 2011; Weissbart et al. 2015). In fact, learner ‘improvement’ is viewed as undesirable in residency selection (Saudek et al. 2019).

모든 GME가 성장 마인드를 충분히 받아들인다면, ['최고의' 지원자를 찾는 것]에서 벗어나, (종적 코칭 프로그램이나 사회적 개입과 같은) 학습자의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노력에 자원을 더 투입할 수 있습니다(Walton and Cohen 2011; Palamara et al. 2015). UME 프로그램이 졸업생들의 강점과 약점을 투명하고 개방적일 수 있을 만큼 성장 마인드를 수용하고 GME 프로그램들이 각 지원자들의 학습 요구에 맞춰 프로그램의 강점을 맞추려고 노력했다고 상상해 보십시오. 이러한 시스템은 CBME의 진정한 정신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장기적인 성장을 극대화할 것이다. 또한 시스템의 초점도 [누가 '최고'인지를 결정하는 것]에서 [프로그램의 요구 및 접근방식과 학습자의 학습 요구와 목표 사이의 매칭이 적합한지good match]로 초점이 전환될 것이다
If all of GME were steeped in the growth mindset, resources could be shunted away from finding the ‘best’ applicants and toward efforts that help learners maximize their potential, such as longitudinal coaching programs or social-belonging interventions (Walton and Cohen 2011; Palamara et al. 2015). Imagine if UME programs embraced the growth mindset enough to be transparent and open about their graduates’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GME programs tried to match their program’s strengths to each applicant’s learning needs. Such a system would maximize a learner’s long-term growth in the true spirit of CBME. The focus would shift from determining who is ‘best’ to establishing whether there is a good match between the needs and approaches of the program and the learning needs and goals of the learner. 

제도적 성장 사고방식
Institutional growth mindset


[학습자가 성장을 수용하기를 기대하기에 앞서서], 기관장과 일선 교수진이 먼저 성장 사고방식을 채택하고 모델링해야 합니다. 교수진은 교육의 목표가 졸업시에 완벽한 의사를 배출하고 지속적인 성장과 학습에 능통한 학습자를 배출하는 것이라는 잘못된 생각을 버려야 한다. 비교와 경쟁을 강화하는 상대적normative 평가 시스템은 최소화하거나 제거해야 한다. 
Institutional leaders and front-line faculty must first adopt and model the growth mindset before learners can be members expected to embrace growth. Faculty should reject the false notion that the goal of training is to produce perfect physicians at graduation and embrace the need to produce learners who are adept at continuous growth and learning. Normative assessment systems that reinforce comparison and competition should be minimized or removed. 

Toxing quizzing을 통해 위계를 강화하고 학습자를 경시하는 오랜 방법인 '핌핑'은 없애야 한다(나가루르 외. 2019). 이러한 관행은 성과에 근거하여 누군가의 자존심을 떨어뜨리는 전형이며, 고정된 사고방식을 강화합니다. 
‘Pimping,’ a long-held method of reinforcing hierarchy and belittling learners through toxic quizzing, should be eliminated (Nagarur et al. 2019). This practice is the epitome of reducing someone’s self-worth on the basis of performance and reinforces the fixed mindset. 

아마도 가장 어려운 점은 보건의료전문직 훈련에서 실패의 부담stakes of failure을 줄여야 한다는 것이다. 미국과 영국을 두 가지 예로 들 수 있는 많은 국가의 의대생들은 막대한 금융 부채(Ercolani et al. 2015; AAMC 2020)가 발생하므로 실패를 방어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의사 훈련의 동정적 오프램프compassionate off-ramps가 항상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Belini et al. 2019). 
Perhaps most challenging, the stakes of failure in health professions training must be reduced. Medical students in many countries, with the United States and United Kingdom as two examples, incur large amounts of financial debt (Ercolani et al. 2015; AAMC 2020), making failure untenable. Compounding this, compassionate off-ramps from physician training do not always exist (Bellini et al. 2019). 


성장 마인드는 일부 학습자가 '역량을 못 갖춤'으로 라벨링되는 임의의 [시간 기반 결승선]을 강화하는 대신, 학습자가 숙달해야 하는 시간을 제공하여 '아직 역량을 못 갖춤'이라는 라벨링으로 바꿀 것이다. 

Rather than reinforcing an arbitrary time-based finish line where some learners may be labelled with ‘competence not realized,’ the growth mindset affords learners the time they need to gain mastery, changing the label to ‘competence not yet realized.’ 

 

CBME 성장마인드 채택 전략
Strategies for adopting the growth mindset in CBME


[개인 학습자]의 수준에서는, 수년 간의 암기와 표준화된 평가 관행(Shapiro 및 Dembitzer 2019)으로 강화되어 있는 고정적 사고방식을 극복하는 것이 과제입니다. 학습자에게 성장 사고방식을 채택하는 근거와 실천요강을 소개하는 것만으로도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Klein et al. 2017). 학습자 중심의 개별화된 학습 계획 및 프로세스를 구현하면 원하는 행동을 강화할 수 있다(Ramani et al. 2019). 
For individual learners, the challenge is to overcome a tendency toward the fixed mindset reinforced by years of rote memorization and standardized assessment practices (Shapiro and Dembitzer 2019). Simply introducing learners to the rationale and practices for adopting the growth mindset can be effective (Klein et al. 2017). Implementing a learner-initiated, individualized learning plan and process can also reinforce desired behaviours (Ramani et al. 2019). 

[개별 교수진]들은 그들의 언어가 그들의 행동과 주변 사람들의 행동에 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습니다(Kegan과 Lahey 2001). 그들이 사용하는 단어들은 그들이 가지고 있는 사고방식을 나타낸다(Ricotta et al. 2019).

  • 예를 들어, '당신은 소통이 잘 돼요'라고 말하는 대신 (고정 속성을 강조)
  • 성장지향적인 코치는 '나는 네가 의사소통 능력을 키우기 위해 열심히 노력했다고 생각한다. 당신은 환자 및 다른 팀원들과 의사소통을 잘합니다.'


Individual faculty members need to recognize that their language can profoundly affect their behaviour and the behaviour of those around them (Kegan and Lahey 2001). The words that they use indicate the mindset they hold (Ricotta et al. 2019). For example,

  • instead of saying ‘You’re a good communicator’ (emphasizes fixed attribute),
  • a growth-oriented coach might say ‘I imagine that you’ve worked hard to develop your communication skills. You communicate well with patients and other team members.’

 

교직원들이 이러한 방식으로 관찰과 피드백을 수용하고 일상적인 평생 학습의 추구와 같은 성장 사고방식에 부합하는 다른 행동을 할 때, 학습자도 같은 행동을 하도록 더욱 장려될 수 있다. 개인의 오해도 해결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일부 교수들은 성장 사고방식이 주로 정동적affective 영역(예: 공감과 동정)이 아닌 인지cognitive 영역(예: 임상적 추론)에 적용된다고 생각합니다. 반드시 직접 가르침이 아니더라도, [세심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정동적 영역affective domain의 역량을 개발할 수 있다는 점]을 교수진과 학습자 모두가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When faculty embrace observation and feedback in this way, as well as other behaviours consistent with the growth mindset, such as the pursuit of daily lifelong learning, they encourage their learners to engage in the same behaviours. Individual misperceptions must also be addressed. For example, some faculty think that the growth mindset applies primarily to the cognitive domain (e.g. clinical reasoning) as opposed to the affective domain (e.g. empathy and compassion) (Pal et al. 2020). It is important to ensure that both faculty and learners understand that competencies in the affective domain can be developed, although not necessarily through direct teaching but through careful cultivation of social interactions (Ekman and Krasner 2017; Lavelle et al. 2017).

또한, 교수진이 [자신의 지속적인 학습 및 개선과 관련하여 자신의 신념과 실천을 검토]할 때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상당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학습을 모델링하고 오류나 도전적인 상황에 대한 성장 마인드의 접근 방식에 대해 명확한 대화를 나누는 것은 학습 환경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행동을 장려하기도 합니다. 또한, 교수진이 학습자의 발전에 대한 노력을 학습자에게 알릴 경우, 교육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안전한 학습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Eva et al. 2012; Telio et al. 2016).
Additionally, when faculty examine their beliefs and practices with respect to their own continuous learning and improvement they can gain significant insight into their interactions with their learners. Role modelling continuous learning and having explicit conversations about a growth-mindset approach to errors or challenging situations will have an impact on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even encourage these behaviours. Furthermore, if faculty make learners aware of their commitment to the learners’ development it will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n educational partnership and signify a safe learning environment (Eva et al. 2012; Telio et al. 2016).

[관계적 차원]에서, 성장 사고방식은 [학습이라는 사회적 맥락]에서 대인관계 차원에서 개념화될 수 있다(오스만 외 2020). 예를 들어, CBME의 효과적인 구현의 중심에는 [목적적 피드백과 코칭]이 있다. [의미 있는 외부적 관점]은 개별화된 학습 목표(Dweck 2016)의 식별을 통한 학습의 점진적 성장을 지원합니다. 데이터의 품질이 중요한 것은 분명합니다. 예를 들어, 학습자 성과에 대한 풍부한 서술적 설명은 효과적인 피드백의 기초가 됩니다(McConnell et al. 2016).

At the relational level, the growth mindset can be conceptualized on the interpersonal level in the social context of learning (Osman et al. 2020). For example, purposeful feedback and coaching is central to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CBME. Meaningful external perspective supports progressive growth in learning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individualized learning goals (Dweck 2016). Clearly, the quality of the data matters. For example, rich narrative descriptions of learner performance are foundational to effective feedback (McConnell et al. 2016).

[시스템 수준]에서, [어떻게 평가 및 보상 결정을 하는지]가 성장 마인드를 촉진하거나 파쇄시킬 수 있습니다. CBME는 평가의 이중 목적dual-purposing을 장려하는데, 이는 [학습을 위한 평가]와 [학습의 평가] 사이에 긴장을 조성한다. 당연하게도 [역량을 입증하는 데]만 집중하는 평가 시스템을 만든다면 성장 마인드의 행동을 저해할 것입니다. 학습자는 개선해야 할 부분에 대해 [솔직한 피드백]을 구하기보다는, 감독관에게 잘 보이기 위한 수행만을 하려고 시도할 것이다(LaDonna et al. 2017). 
At the systems level, it is within our processes of assessment and promotion that the growth mindset can either be cultivated or crushed. CBME encourages the dual-purposing of assessment, which sets up a tension between the use of assessment for learning and of learning (Lockyer et al. 2017; Watling and Ginsburg 2019). Understandably, if we create assessment systems that focus only on demonstrating competence, we will discourage growth-mindset behaviours. Learners will be tempted to perform for their supervisors rather than to seek honest feedback about areas for improvement (LaDonna et al. 2017).

마찬가지로 중요한 것은, 우리의 평가 시스템이 성장을 장려하는 방식으로 교사들에게 보상을 해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학습자의 개선을 위하여 [정기적인 관찰과 코칭을 제공하는 임상 교사]는 적절한 인정을 받아야 합니다. 적어도 개선의 문화가 정착되고 있는 초기에는, [학습자에게 고품질의 서술적 피드백과 개선을 위한 단계]를 제공하고 기록하는 것에 대한 인센티브를 주는 것이 성장 지향적 행동을 장려할 것이다.

Equally important, our systems of assessment must reward our teachers in ways that encourage growth. Clinical teachers who provide regular observation and coaching for improvement to learners need to be appropriately acknowledged. Incentives to provide and record high-quality narrative suggestions and steps for improvement to learners will also encourage such growth-oriented behaviour, at least early on when a culture of improvement is being established

학습 궤적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척도의 전체 범위]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그렇게 하도록 요구되어야 한다. Watling and Ginsburg(2019)가 언급했듯이, '[평가에 초점을 맞춘 학습 문화]는 학습자의 탐구, 실험, 때로는 실패에 대한 안전 의식을 제한할 수 있다.' 교육생이 자신의 역량을 입증하는 특정 수의 평가를 획득해야 한다면, [개선을 위한 피드백을 얻을 수 있는 취약성 상황moments of vulnerability의 평가]를 더 받아야 할 인센티브가 과연 무엇인가요? 부족한 점이나 개선의 여지를 강조하는 평가가 '중요하지 않다'거나, 더 나쁘게는 진행 결정에 부정적으로 기여하는 경우, 수련생들은 '강점 상황moments of strength'에서만 평가를 받고자 할 것입니다. 
Use of the entire spectrum of scales to reflect the trajectory of learning is critical and needs to be the expectation. As stated by Watling and Ginsburg (2019), ‘a learning culture focused on assessment may limit learners’ sense of safety to explore, to experiment, and sometimes to fail.’ If trainees must simply acquire a certain number of assessments that demonstrate their competence, what incentive do they have to seek out assessment in moments of vulnerability to get feedback so they can improve? If assessments that highlight deficiencies or room for improvement ‘don’t count’ or, even worse, contribute negatively to progression decisions, then trainees will seek assessment only at moments of strength. 

[시스템 수준]에서 조직의 가치와 리더십은 조직/제도 문화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이에 따라 어떤 행동이 권장되는지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이러한 [건설적 목표 설정 관계]의 존재는 기존 조직 문화와 가치에 크게 의존한다(Watling et al. 2014; Ramani et al. 2017). 우리의 교육 및 의료 시스템의 문화는 성장 마인드를 반영하는 활동과 행동을 지원하고 장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오류]를 [책임을 지우려는 목적]이 아니라 [품질 개선의 기회]로 접근하는 조직은 성장 문화를 촉진한다고 볼 수 있다. 리더십 지원은 성장 마인드 채택에 매우 중요하며, 이론과 조직 관행을 연결하는 다각적 접근법을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인 전략이다(Derler et al. 2018, Halvorson et al. 2017). 긍정적인 학습 풍토 구축은 성장 지향 피드백 관행을 육성하는 데도 중요합니다(Ramani et al. 2017). 새로운 조직 문화를 채택하는 것은 어려운 과제이며, 필요한 포괄적인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조직은 거의 없다(Derler et al. 2018, Halvorson et al. 2017).
Additionally, at the systems level, organizational values and leadership profoundly influence the organizational/ institutional culture and thereby what behaviour is encouraged. Hence, the existence of these constructive goalsetting relationships is highly dependent upon the exist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values (Watling et al. 2014; Ramani et al. 2017). The culture in our systems of education and health care needs to support and encourage activity and behaviours that reflect the growth mindset. For example, an organization that approaches an error as an opportunity for quality improvement rather than with the goal of assigning blame would be promoting a growth culture. Leadership support is critical to the adoption of the growth mindset, and using a multipronged approach that connects theory to organizational practice is an ideal strategy (Derler et al. 2018, Halvorson et al. 2017). Establishing a positive learning climate is also critical for fostering growth-oriented feedback practices (Ramani et al. 2017). Adopting a new organizational culture is a challenging task, with few organizations using the required comprehensive approach (Derler et al. 2018, Halvorson et al. 2017).


A call for research on growth mindset in CBME

결론
Conclusion

우리는 능력을 개발의 여지가 있다고 보는 성장 마인드와 숙달에 중점을 두는 CBME 채택 사이에서 자연스러운 시너지를 주장해 왔습니다. 의대 교육에서, 전통적으로 ['보기 좋은looking good' 것을 최우선 관심사로 하는 고정적 마인드]를 강화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성장 마인드를 도입할 때 특히 어려운 과제이다.

We have argued for a natural synergy between the growth mindset, where abilities are viewed as being open to development, and the adoption of CBME, where the emphasis is on working toward mastery. That traditional approaches to medical education tend to reinforce a fixed mindset, where ‘looking good’ is an overriding concern, is a particular challenge when introducing the growth mindset.


Rich JV, Fostaty-Young S, Donnelly C, Hall AK, Dagnone JD, Weersink K, Caudle J, Van Melle E, Klinger DA. 2020. Competency-based education calls for programmatic assessment: But what does this look like in practice? J Eval Clin Pract. 26:1087–1095. XXX

Ricotta D, Huang G, Hale A, Freed J, Smith C. 2019. Mindset theory in medical education. Clin Teach. 16(2):159–161.


Abstract

The ongoing adoption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across health professions training draws focus to learner-centred educational design and the importance of fostering a growth mindset in learners, teachers, and educational programs. An emerging body of literature addresses the instructional practices and features of learning environments that foster the skills and strategies necessary for trainees to be partners in their own learning and progression to competence and to develop skills for lifelong learning. Aligned with this emerging area is an interest in Dweck’s self theory and the concept of the growth mindset. The growth mindset is an implicit belief held by an individual that intelligence and abilities are changeable, rather than fixed and immutable. In this paper, we present an overview of the growth mindset and how it aligns with the goals of CBME. We describe the challenges associated with shifting away from the fixed mindset of most traditional medical education assumptions and practices and discuss potential solutions and strategies at the individual, relational, and systems levels. Finally, we present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to better understand the growth mindset in the context of CBME.

보건전문직 교육에서 성장형 마음가짐 이론을 특징짓는 것에 대한 고찰(Med Educ, 2020)

A review to characterise and map the growth mindset theory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ichael D. Wolcott1,2 | Jacqueline E. McLaughlin1,3 | Alice Hann3 | Amelia Miklavec3 | Gary L. Beck Dallaghan4 | Denise H. Rhoney1 | Meg Zomorodi5

 

 

 

1 도입

1 | INTRODUCTION

 

보건 전문가에서 학습하려면 학생과 임상의가 복잡하고 어려운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기능해야 합니다. 우리는 종종 어떤 개인이 번창하는thrive 반면 다른 사람들은 비틀거리는stumble 것을 관찰합니다. 이러한 관찰된 변동성을 설명하고 이해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목표를 달성하거나 도전을 극복하려는 동기 부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가정했다.1-3
Learning in the health professions requires students and clinicians to function effectively in complex and challenging environments — we often observe some individuals thrive while others stumble. To describe and understand this observed variability, many have hypothesis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our motivation to achieve a goal or overcome a challenge.1-3

동기적 영향을 설명하는 한 그룹의 이론은 목표 지향에 초점을 맞춘다. 

동기적 영향을 설명하는 한 그룹의 이론은 목표 지향성에 초점을 맞추는데, 여기에는 우리가 성취에 초점을 맞추는지 아니면 학습에 초점을 맞추는지의 여부가 포함된다.

  • 성과 지향적인 개인은 종종 다른 사람보다 저조한 수행을 보이지 않는 것(예: performance-avoidance) 또는 다른 사람들보다 더 뛰어난 성과를 내는 노력(예: performance-approach)에 집중한다.
  • 대조적으로, 학습 지향적인 개인들은 다른 사람들과의 비교보다는 새로운 지식이나 기술을 배우고 개발하는 가치에 초점을 맞춘다.

지능의 암묵적 이론은 (일반적으로 성장형 마음가짐 이론으로 알려져 있는) 목표 지향성이 종종 그들의 [지능이나 능력(즉, 사고방식)의 통제 가능성에 대한 개인의 신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한다.
One group of theories that describe motivational influences focus on goal orientation, which include whether our focus is on performance or learning.3, 7, 8 A performance-oriented individual is often highly focused on not performing more poorly than others (eg performance-avoidance) or trying to outperform others (eg performance-approach).9-11 In contrast, learning-oriented individuals are focused on the value of learning and developing new knowledge or skills rather than the comparison to others.1,2 The implicit theory of intelligence—more commonly known as growth mindset theory— posits that goal orientation is often influenced by an individuals’ belief about the controllability of their intelligence or abilities (ie mindset).7,12,13

 

 

성장 사고방식 이론의 요약본은 암묵적 사고방식이 고정과 성장의 두 극단적 스펙트럼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제안한다. 

  • 좀 더 고정된 사고방식(즉, 실체적 사고방식)을 가진 개인들은 지성과 능력이 정적이고 성공이 재능에서 나온다고 믿는 반면, 
  • 성장 사고방식(즉, 증분적 사고방식)을 가진 개인들은 이러한 특성이 악랄하고 성공이 노력에서 나온다고 믿는다. 7,12,13

The abridged version of the growth mindset theory proposes that implicit mindsets vary along a spectrum of two extremes: fixed and growth. Individuals with a more fixed mindset (ie entity mindset) believe intelligence and ability are static and success comes from talent, whereas individuals with a more growth mindset (ie incremental mindset) believe these traits are malleable and success comes from effort.7,12,13



우리의 사고 방식은 상황에 따라 다르며, 나이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우리가 어떻게 도전에 접근하고 지속하는지에 영향을 미친다(표 1). 물론, 우리의 동기는 [목표 지향성]과 [사고방식]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포함하며, 이는 다른 행동에 의해 드러난다. 여기서 설명하는 과정은 다른 사람들에 의해 상세히 설명되는 단순화된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

Our mindsets appear to be situation specific, can change with age and have implications for how we approach challenges and persist (Table 1).14 Of note, our motivation involves a complex interaction of our goal orientation and mindset that manifests in different behaviours—the process described here offers a simplified approach that has been elaborated by others.1-3


초등학교와 중학교 환경에서 성장 마인드 이론의 광범위한 사용에도 불구하고, 건강 직업 교육에서의 적용은 불완전하게 이해된다.
Despite widespread use of growth mindset theory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ettings, the application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s incompletely understood.

[성장형 마음가짐 개입]의 예는 대부분 초등학교와 중학교 환경에서 발견된다. 성장형 마음가짐 개입은 종종 교육자와 학습자에게 이론에 대해 가르치고, 지능은 목적적 노력을 통해 변형될 수 있다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이러한 개입을 통한 훈련은 종종 성장 사고방식이 어떻게 탄력성과 지속성을 촉진하는지 설명하는 연구를 통합하는데, 이는 고차원의 기술과 지식을 얻는 데 중요하다. 성장 마인드를 뒷받침하기 위해, 전략은 자기 대화를 개선하고 성취 대신 진보를 보상하며 동료와 교육자 사이의 보다 효과적인 관계를 촉진함으로써 개인들을 도울 수 있다.

Examples of growth mindset interventions are mostly found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ettings.15-18 Growth mindset interventions often focus on teaching educators and learners about the theory and that intelligence is malleable via purposeful effort; training through these interventions often incorporates research describing how a growth mindset promotes resilience and persistence, which are important for acquiring higher-order skills and knowledge.19 To support a growth mindset, strategies can assist individuals by improving selftalk, rewarding progress instead of achievement and promoting more effective relationships between peers and educators.7,12,13

 

 




2 | 방법

2 | METHODS

 

보건직업 교육에서 성장 마인드 기사를 파악하기 위한 체계적인 검토가 진행됐다.
A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to identify growth mindset articl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팀 구성원은 개요들을 상황별 또는 의도된 청중(예: 건강직업 내 또는 외부 교육)과 유형별(해설, 독창적인 연구 또는 기타 출판 유형)으로 분류했다.
The team members classified the abstracts by context or intended audience (eg either within or outsid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by type (eg either commentary, original research or other publication type).

  • 주요 이론 토크 기사(n = 14)는 설계, 데이터 분석 또는 이론과 관련된 이론 또는 도구를 테스트하는 등 성장 사고방식을 연구의 중요한 특징으로 사용했습니다.
  • 중등도 이론 토크 기사(n = 13)는 Dweck의 성장 사고 방식 이론을 [참조하거나 기술]한 반면,
  • 사소한 이론 토크 기사(n = 32)는 성장 사고 방식 또는 관련 구성 요소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었다]. 사소한 이론 토크 기사들은 이론이나 그 적용 가능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기 때문에 제외되었다.
  • Major theory talk articles (n = 14) used growth mindset as a significant feature of the study, such as informing the design, the data analysis or to test the theory or instrument related to the theory. 
  • Moderate theory talk articles (n = 13) referenced or described Dweck's growth mindset theory, whereas 
  • minor theory talk articles (n = 32) had little or no reference to growth mindset or related components. Minor theory talk articles were excluded because they did not elaborate on the theory or its potential application.

 

 

3 | 결과

3 | RESULTS

 

3.1 | 건강 직업 교육에서 성장 사고방식의 어떤 측면이 연구되고 있는가?
3.1 | What aspects of growth mindset are being researched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연구 논문의 서술적 요약은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연구 기사에는 의학(n = 4; 29%), 수의학(n = 4; 29%), 간호(n = 2; 14%), 물리치료(n = 1; 7%), 약국(n = 1; 7%), 다중직업(n = 2; 14%)의 참가자가 있었다. 연구는 미국(n = 6; 43%), 영국(n = 3; 21%), 캐나다(n = 3; 21%), 스웨덴(n = 1; 7%), 호주(n = 1; 7%)를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수행되었습니다. 대부분의 연구 참가자는 학생(n = 11; 79%)이었고, 나머지 연구에는 면허를 받은 의사(n = 2; 14%)와 교수(n = 1; 7%)가 포함되었다.
A descriptive summary of the research articles is provided in Table 2. Research articles had participants from medicine (n = 4; 29%), veterinary medicine (n = 4; 29%), nursing (n = 2; 14%), physical therapy (n = 1; 7%), pharmacy (n = 1; 7%) and multiple professions (n = 2; 14%).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multiple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n = 6; 43%), United Kingdom (n = 3; 21%), Canada (n = 3; 21%), Sweden (n = 1; 7%) and Australia (n = 1; 7%). Most research study participants included students (n = 11; 79%), and the remaining studies included licensed practitioners (n = 2; 14%) and faculty (n = 1; 7%).

연구의 86%(n = 12)는 참가자의 사고방식을 측정하고 자가 진단 의료 오류 및 척도의 근성, 회복력, 불안 및 성과와 같은 다른 변수와의 상관관계를 평가했다. 대부분의 연구(n = 7, 50%)는 참가자들에게 일반 지능과 변경 능력에 대한 진술에 대한 동의를 평가하도록 요구하는 인텔리전스 인벤토리 이론 또는 Dweck의 사고방식 계측기를 통합했습니다. 8,12 연구는 계측기에서 사용한 질문의 수가 2개에서 20개 항목까지 다양했습니다.,33,35

Eighty-six percent of the research studies (n = 12) measured participant mindset and evaluated its correlation with other variables, such as self-reported medical errors and scales measuring grit, resilience, anxiety and performance. Most studies (n = 7, 50%) incorporated the Theories of Intelligence Inventory or Dweck's Mindset Instrument, which asks participants to rate their agreement with statements about their general intelligence and the ability to change it.8,12 Studies varied in the number of questions they used from the instrument ranging from 2 to 20 items.24-26,28,32,33,35


세 가지 연구는 임상 추론, 전문적 추론, 커뮤니케이션, 재능, 도덕적 성격 및 공감을 포함한 영역별 능력의 사고방식을 측정하기 위한 [수정된 도구]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사고방식에 대한 교육, 문화 및 기타 배경의 차이가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췄다. 영역에 기초한 사고방식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사고방식의 차이는 교육이나 인구통계학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두 개 연구는 사고방식과 학습 전략 및 행동의 척도를 포함하는 학습 전략의 윌리엄스 인벤토리를 사용했다. 성장 사고방식과 증거 기반 학습 전략의 사용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Three studies described modified instruments for measuring mindset of domain-specific abilities, including clinical reasoning, professional reasoning, communication, talent, moral character and empathy.29,31,34 These studies focused on the impact of educational, cultural and other background differences on mindset measur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indset based on the domain; however, mindset differences were not correlated with education or demographics.31 Two studies used the Williams Inventory of Learning Strategies, which includes a measure of mindset and measures of learning strategies and behaviours—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growth mindset and the use of evidence-based learning strategies.36,37

연구 결과는 측정된 영역에 따라 30%-90% 범위의 값을 갖는 참가자의 성장 및 고정 마인드셋의 변동성을 보여주었지만, 한 연구에서는 성장 마인드 측정치를 보고하지 않았다. [고정된 사고방식]과 스트레스와 불안의 척도가 상관관계가 있는 반면, [성장 사고방식]은 심리적 행복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반대로, 몇 가지 연구는 자가 보고한 의료 오류, 성적 평균, 의사소통 및 정신 건강 측면과의 상관관계가 없거나 거의 없었다. 프로그램 구현 후 사고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연구는 단 한 개뿐이다. 이 연구는 간호학과 학생들과 한 시간 동안 교육적으로 개입하는 것을 포함했고, 자기계발적인 성장 사고방식의 증가라는 것을 통계적으로 입증했다.

The study results showed variability in growth and fixed mindsets across participants with values ranging from 30%-90% depending on the domain measured; however, one study did not report the growth mindset measures.35 There were some correlations of fixed mindsets with measures of stress and anxiety, while a growth mindset was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25, 29, 33 Conversely, several studies showed no to minimal correlation with self-reported medical errors, grade point average, communication and mental health aspects.24,26,32,35 Only one research study evaluated the impact on mindset measures following a programme implementation—this study included a one-hour educational intervention with 35 nursing students and demonstr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elf-reported growth mindset measures.36


 


3.2 | 성장 마인드 이론의 잠재적인 이득은 무엇인가?
3.2 | What potential benefits of growth mindset theory are being discussed?


모든 논평과 연구 기사들은 성장 사고방식의 접근법이 다른 분야에서 발표된 연구로부터 적어도 한 가지 이점을 갖는다고 주장했다. 그림 2A에는 설명된 편익의 포괄적인 목록이 나와 있습니다.
All commentaries and research articles advocated that the growth mindset approach had at least one benefit from published research in other disciplines. A comprehensive list of described benefits is mapped in Figure 2A.

학습자의 이익에 대해 가장 일반적으로 설명한 것은 성장 사고방식은 다음을 돕는다.

  • 회복력과 인내력을 높이고자 하는 욕구를 강화한다.
  • 피드백을 구하고 수용한다.  
  • 배움의 기회로서 실패에 개방적이다.
  • 프로세스에 초점을 맞추어 보다 목표 지향적인 동기를 제공한다   
  • 심리적 행복, 자존감, 자신감을 향상시킨다.

The most commonly  described  learner  benefits  were  that  a  growth  mindset  can

  • reinforce a desire to increase resiliency and perseverance,
  • seek and be  receptive  to  feedback,  
  • offer  an  openness  to  failure  as  a  learn-ing  opportunity,  
  • provide  a  more  goal-oriented  motivation  focused on  process  and  
  •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steem  and confidence. 



교육자를 위한 성장 마인드 접근 방식은 협력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관계를 구축하고 안전한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물론, 실패를 학습 기회로 보는 교직원의 자존감, 자신감, 자아 인식 및 개방성을 향상시키도록 장려되었다.

A growth mindset approach for educators was encouraged to build collaborative and trusting relationships and create a safe learning environment as well as improving faculty self-esteem, confidence, self-awareness and openness to viewing failure as a learning opportunity.

 

 

 

 

3.3 | 건강 직업 교육에서 성장 사고방식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은 무엇인가?
3.3 | What are the strategies for promoting growth mindset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모든 논평과 연구 기사들은 다른 분야의 출판된 연구로부터 성장 마인드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략을 제공했다. 성장 마인드를 촉진할 수 있는 포괄적인 전략 또는 개입 목록은 그림 2B에 나와 있습니다. 결과는 전략이 구현되어야 하는 수준(학습자, 교육자 또는 조직 수준)에 따라 분류됩니다.
All commentaries and research articles offered at least one strategy that could be used to promote growth mindset from published research in other disciplines. A comprehensive list of strategies or interventions that can promote a growth mindset is mapped in Figure 2B; the results are categorised according to the level the strategy should be implemented—the learner, educator or organisational level.

가장 자주 기술되는 [학습자 수준 전략]은 학습자 마인드셋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할 수 있는지를 평가 및 추적하고, 학생들에게 성장과 고정 마인드셋에 대해 가르치고, 학습자가 수행 목표나 문자 점수 대신 진도에 초점을 맞춘 학습 목표를 만들 수 있도록 돕는 개입이었다.
The most frequently described learner-level strategies were interventions that assess and track how learner mindsets may shift over time, teach students about growth and fixed mindsets and help learners create learning goals focused on progress instead of performance goals or letter grades.

[교육자 수준의 개입]으로는 학습자에 대한 칭찬과 건설적인 피드백의 전달을 개선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특히, 권고안은 피드백이 성격 특성이나 재능 대신 노력과 관찰 가능한 행동에 초점을 맞춘다는 것이다. 다른 전략으로는 성장 사고방식 행동 모델링, 성장 사고방식 학습, 학습자 성찰 유도, 공개 토론을 통한 심리적으로 안전한 학습 환경 조성 등이 있었다.
Articles included educator-level interventions that improved delivery of praise and constructive feedback to learners; specifically, the recommendations are that feedback focuses on effort and observable behaviours instead of personality traits or talents. Other strategies included educators modelling growth mindset behaviours, learning about growth mindset, prompting learner reflection and creating psychologically safe learning environments through open discussions.

[조직 수준 전략]으로는 모든 수준에서 피드백을 우선시하고, 안전하고 정의로운 학습 문화를 확립하며, 성장 사고방식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하고, 조직 구성원에게 퍼져있을 수 있는 편견과 고정관념을 식별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 등이 있다.

Organisation-level strategies described prioritising feedback at all levels of the organisation, establishing a safe and just learning culture, providing systemic training on growth mindset and helping organisation members identify their biases and stereotypes they may propagate.

 



4 | 토론
4 | DISCUSSION


[성장 사고방식 지향]의 이점에는 학습자가 피드백에 더 잘 수용하도록 돕고, 학습자와 교육자 간의 협업 관계를 지원하며, 조직 전체에 걸쳐 안전한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복원력, 인내력 및 심리적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있다. 대부분의 기사는 학습자, 교육자 및 조직 차원의 피드백 전달 및 수신을 촉진하고 실패를 정상화하기 위한 성장 사고방식 접근방식을 옹호했다.
Proposed benefits of the growth mindset orientation included helping learners be more receptive to feedback, supporting collaborative relationships between learners and educators and positive impacts on resiliency, persevera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at foster safer learning environments across organisations. Most articles advocated for growth mindset approaches to facilitate feedback delivery and receipt and normalise failure at the learner, educator and organisational level.

중요한 관찰은 [사고방식을 측정하는 것] 이상으로 확장된 연구의 부족과, 성장 마인드 이론이 건강직업 교육에 혜택을 줄 수 있다는 가정이었다. 보건 전문가 교육에 대해 실시된 대부분의 연구는 학습자, 실무자 및 교수진의 사고방식을 평가했으며 종종 이러한 가치관을 다른 변수와 연관시켰다.
An important observation was the scarcity of research that extended beyond measuring mindsets and the assumption that growth mindset theory can have benefits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ost of the research conducted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evaluated learner, practitioner and faculty mindsets and often correlated these values with other variables.


또한, 연구는 주로 학습자 사고방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사고방식을 지원하거나 줄일 수 있는 외부 요인(예: 교육자 및 조직 차원 전략)에 초점을 맞추지 않았다. 사고방식과 관련하여 조직 차원의 측면을 평가한 연구는 없으며, 단 하나의 연구만이 교수 사고방식을 측정했으며, 이는 교육자가 학습 능력을 고정된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 학습자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환경에서 보여졌다.51, 52
Moreover, research has focused predominantly on learner mindset and not external factors that can support or diminish their mindset (eg educatorand organisational-level strategies). No research study has evaluated organisational-level aspects in relation to mindsets, and only one research study measured faculty mindset, which has been shown in other settings to influence learner outcomes if an educator perceives learner ability as fixed.51, 52


이 검토 과정에서 관찰된 성장 마인드 연구를 수행하는 데 있어 한 가지 과제는 마인드 평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성장 사고방식 이론과 사용되는 도구들은 종종 일반적인 지능에 대한 인식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우리의 사고방식은 영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 이미 입증되었다. 예를 들어, 개인은 [임상 추론]에서는 더 성장 지향적이더라도, [의사소통 능력]에서는 더 고정 지향적일 수 있다. 이러한 영역별 능력을 탐구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결과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추가로 검증해야 할 수 있는 자체 도구를 개발해야 할 수 있다. 또한 성장, 고정 또는 혼합된 사고방식을 나타낼 수 있는 기기에서 [적절한 컷 점수]를 결정하는 것이 연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사고방식은 이분법 대신 연속체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에 민감할 수 있는 척도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One challenge of conducting growth mindset research observed during this review is related to mindset assessment. The growth mindset theory and instruments used often focus on perceptions of general intelligence, whereas it has been demonstrated our mindset can vary based on the domain.34,56 For example, an individual can be more growth-oriented in clinical reasoning and more fixed-oriented in communication ability. To explore these domain-specific abilities, researchers may need to develop their own instruments, which can require additional vetting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ults. In addition, identifying the appropriate cut-scores on an instrument that may indicate a growth, fixed or mixed mindset can have implications for research. Mindset represents a continuum instead of a dichotomy; therefore, having scales that can be sensitive to those differences is important.12,13

성장 사고방식 연구의 또 다른 과제는 이론의 적용 가능성의 광범위한 범위를 간과하는 것입니다. 종종 성장 사고방식은 칭찬과 피드백에만 관련된 접근법으로 권장됩니다. 

이런 일이 너무 많이 일어나 드웩은 [칭찬이 잘못된 방향이거나 평가 대상 업무와 관련이 없는] '거짓 사고방식false mindset'의 출현에 주목했다. 예를 들어, 수준 이하의 작업에 대해 (성장을 지향하는 피드백을 주면 긍정적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해서) 칭찬을 하는 것이다. 피드백이 이익을 주려면 진정성authentic이 있어야 한다.

Another challenge with growth mindset research is overlooking the broad scope of the theory's applicability—often growth mindset is touted as an approach that exclusively relates to praise and feedback. This has occurred so much that Dweck has noted the emergence of a “false mindset” in which praise is misdirected or does not relate to the task being evaluated.57 For example, individuals giving praise for work that was subpar under the assumption that any feedback oriented towards growth can have a positive impact; the goal is that feedback is authentic to have a benefit.

연구의 다음 단계는 의료 기관 내의 학습자, 교육자 및 다른 사람들의 사고방식을 고정된 것에서 성장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개입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또한, 연구는 성장 사고방식의 관점이 전문가 팀 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전문가 간 교육 기회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개입의 영향을 평가하는 것은 학업 및 직장 성과에 대한 변화에 초점을 맞출 수 있으며, 목표 지향성과 교육에 대한 우리의 접근 방식은 효과적인 학습 환경을 설계하는 데 추가적인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오스만과 동료들이 설명한 바와 같이, "아직 [성장 사고방식]의 큰 이점을 극대화하지 못한다는 데 동의합시다."(695쪽).
Next steps in research should focus on design and implementing interventions aimed to shift mindsets from fixed to growth for learners, educators and others within health care organisations. In addition, research can explore how growth mindset perspectives influence interprofessional teams and enhance interprofessional education opportunities. Evaluating the impact of these interventions could focus on changes to academic and workplace performance, goal orientations and our approaches to educational can offer additional insights in designing effective learning environments. As Osman and colleagues described it, “let's agree that we don't quite maximize [growth mindset's] great benefit…yet.” (p. 695).50




 

 

5 | CONCLUSION

 

 

 

 

 

 

 



 


Review

 

Med Educ

  •  
  •  
  •  

. 2020 Sep 21.

 doi: 10.1111/medu.14381. Online ahead of print.

A review to characterise and map the growth mindset theory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ichael D Wolcott 1 2Jacqueline E McLaughlin 1 3Alice Hann 3Amelia Miklavec 3Gary L Beck Dallaghan 4Denise H Rhoney 1Meg Zomorodi 5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 1University of North Carolina Eshelman School of Pharmacy, Chapel Hill, NC, USA.

  • 2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dams School of Dentistry, Chapel Hill, NC, USA.

  • 3Monash University, Clayton, VIC, Australia.

  • 4University of North Carolina School of Medicine, Chapel Hill, NC, USA.

  • 5Office of the Provost,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nd Practic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Chapel Hill, NC, USA.

    • PMID: 32955728

 

Abstract

Introduction: Growth mindset is a motivation theory proposed by Carol Dweck that posits our beliefs about intelligence, and the ability to change mindsets can have impacts on how we approach challenges, respond to criticism challenges and orient our goals. This study characterised articles on growth mindset theory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to: summarise the aspects of growth mindset being researched, describe the discussed benefits of growth mindset theory and outline strategies discussed that may promote a growth mindset.

Method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yielded 4927 articles-articles were reviewed and excluded if they were outside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did not discuss Dweck's growth mindset theory. The final review yielded 14 research articles and 13 commentaries, which were characterised and analysed using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included articles were published in 2016 and beyond; the articles represented a diverse context, participant type and approach. Most research studies measured participant mindsets and evaluated the correlation with other variables (eg grit, well-being, anxiety). Articles often highlighted benefits and strategies to promote a growth mindset at the learner, educator and organisation level. The most common learner benefits were to help them be more receptive to feedback as well as increased resiliency and perseverance, educator benefits focused on supporting collaborative relationships and safe learning environments. The most prevalent strategies discussed were teaching learners about growth mindset theory, shifting faculty feedback to emphasise effort and to prioritise feedback across the organisation.

Conclusion: The growth mindset framework has been shown in other fields to help others manage educational challenges and enhance learning environments. Researchers are encouraged to explore how interventions such as teaching about and prioritising a growth mindset can support learners, health care professionals, educators and organisations.

 

배움을 위한 배움: 학습 계획에 마스터 적응적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전략(Med Teach, 2019)

Learning to learn: A qualitative study to uncover strategies used by Master Adaptive Learners in the planning of learning

Linda Regana, Laura R. Hopsonb, Michael A. Gisondic and Jeremy Branzettid




도입 Introduction


우리는 독립적인 학습을 향한 의료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의 중심에 있다(Brydges et al. 2010). 이제 학습자는 [학습자 수준에 따라] 사려깊게 직접 교수진의 감독을 배정받아 비동기식asynchronously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가 증가하게 되었다. 여러 저자는 오늘날의 학습자가 필요로 하는 개념적 기술, 학습 능력에 대한 환경적 영향을 설명했으며 능동적 및 비지도 학습을 위한 학습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접근 방식을 제안했다. 그러나 비요크와 비요크가 "최종 생존 도구"라고 묘사한, "배우는 법how to learn"을 학습자에게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풍부하고 실행 가능한 설명은 여전히 부족하다(화이트 외 2014; 밀로풀로스 외 2016).

We are in the midst of a paradigm shift in medical education towards independent learning (Brydges et al. 2010). Learners are now afforded increased opportunities to learn asynchronously, with direct faculty oversight apportioned judiciously, across learner levels. Authors have described the conceptual skills needed by today’s learners, the environmental influences on the ability to learn, and have suggested approaches to develop learning strategies for active and unsupervised learning. However, a rich and actionable description of how to teach learners “how to learn,” a skill described by Bjotk and Bjork (2011) as the “ultimate survival tool,” (p. 63) is still lacking (White et al. 2014; Mylopoulos et al. 2016).


마스터 적응형 학습자(MAL) 프레임워크는 보건 분야의 현대 학습자 교육에 대한 상당한 가능성을 제공한다(Cutrer et al., 2017). 이 프레임워크의 중심은 "유연하고 혁신적이며 창의적인 능력"을 사용하여 친숙하고 낯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으로 기술되는 적응형 전문지식의 개념이다(하타노와 오우라 2003, 페이지 28). Mylopoulos와 Regehr(2009)는 학습자가 "과거의 지식과 경험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문제에 대응하여 새로운 지식과 아이디어를 혁신적으로 창조해야 한다"고 논의한다. (페이지 128)

The Master Adaptive Learner (MAL) framework offers significant promise for the training of modern learners in the health professions (Cutrer et al. 2017). Central to the framework is the concept of adaptive expertise, described as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both familiar and unfamiliar, by using, “flexible, innovative, and creative competencies” (Hatano and Oura 2003, p. 28). Mylopoulos and Regehr (2009) discuss that learners must, “both make efficient use of their past knowledge and experiences and innovatively create new knowledge and ideas in response to novel problems” (p. 128).


MAL 프레임워크는 계획, 학습, 평가 및 조정의 네 가지 상호 연결된 단계로 구성된다. 이러한 단계는 비판적 사고성찰이 전문지식 획득을 촉진하는 반복적 주기를 형성한다(Cutrer et al., 2017). 학습자는 "계획" 단계에 참여하여 추가 연구가 필요한 지식, 기술 또는 태도적 갭을 식별합니다. 교육생들은 중요한 질문을 사용하여 학습의 우선 순위를 정한 목표를 파악한 다음, 품질 개선 주기와 유사한 프로세스에서 이를 달성한다.

The MAL framework identifies four interconnected phases – planning, learning, assessing, and adjusting. These phases form an iterative cycle in which critical thinking and reflection facilitate the acquisition of expertise (Cutrer et al. 2017). Learners engage in the “planning” phase to identify knowledge, skill, or attitudinal gaps requiring further study. Trainees use critical questioning to identify prioritized goals for their learning, which they then accomplish in a process analogous to a quality improvement cycle.


방법 Methods


건설주의적 패러다임을 사용하여 주요 개념과 의미 있는 내러티브를 식별하기 위해 구조화된 포커스 그룹을 실시했다. IRB 승인 획득은 4개 사이트 모두에서 이루어졌습니다.

Using a constructivist paradigm, we conducted structured focus groups to identify key concepts and meaningful narratives. IRB approval was obtained at all four sites


연구 참여자 Study participants


잠재적 참여자들은 사이트 PI로부터 "조사관들이 가장 효과적으로 학습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효과가 있는 핵심 개념과 개발 전략을 검토하고 있다"는 일반적인 진술과 함께 이메일을 받았으나 MAL 모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없었다. 참가자의 최종 선정은 계획된 세션 날짜/시간의 가용성에 기초해 과목의 변동성을 극대화했다.

Potential participants were emailed by site PIs with the general statement that the investigators were looking at “key concepts and developmental strategies that work to develop skill in learning how you learn most effectively,” but without details of the MAL model. Final selection of participants was based on availability at the date/time of the planned session, thus maximizing the variability of subjects.


연구 장소 Study sites


모든 사이트는 외과, 의료 및 병원 기반 전문 분야의 수많은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대학 기반 의료 센터입니다. 미국 북동부, 대서양 중서부, 서해안 지역에 위치한다.

All sites are university-based medical centers that sponsor numerous training programs in surgical, medical, and hospital-based specialties. They are located in the Northeast, Mid-Atlantic, Mid-West, and West Coast regions of the United States.


포커스그룹 가이드 Focus group guides


MAL 모델(Cutrer et al., 2017)을 기반으로 포커스 그룹 진행자가 사용하기 위한 주제 가이드를 개발했으며, 특히 "계획" 단계의 핵심 단계(갭 식별, 격차 우선 순위, 리소스 식별)에 초점을 맞췄다.

Building on the MAL model (Cutrer et al. 2017), we developed a topic guide for use by focus group moderators, specifically focused on the key stages of the “planning” phase (identification of a gap, prioritization of the gap, identification of resources).


자료 수집 Data collection


다섯 명의 진행자가 네 개의 사이트에 걸쳐 7개의 오디오 녹음 포커스 그룹을 이끌었다. 포커스 그룹의 범위는 65~94분이었다. 공개 토론을 촉진하기 위해, 우리는 참가자의 감독에 관여하지 않는 중재자의 사용을 권장했다.

Five different moderators led seven audio-recorded focus groups across four sites. Focus groups ranged from 65–94min. To promote open discussion, we encouraged the use of moderators not involved in the supervision of participants.


데이터 수집의 일관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각 진행자는 동일한 서면 지침과 프롬프트를 받았다. 우리는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모든 그룹에 걸쳐 데이터 수집을 표준화하고, 식별된 테마가 최종 분석이 수행된 후 토론에 대한 그들의 기억과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구성원 검사를 사용했다(Shenton 2004).

To maximize consistency in data collection, each moderator received the same written instructions and prompts. We used a script to standardize data collection across all groups, and member checks to ensure that the themes identified matched their recollections of the discussions once final analysis was done (Shenton 2004).


자료 분석 Data analysis


우리는 지속적 비교 분석을 사용하여 여러 스크립트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Glaser 2008).

We used constant comparison analysis to analyze the data from multiple transcripts (Glaser 2008).


데이터 수집 과정에서 모든 조사원이 전화를 통해 만나 분석을 논의 및 다듬고, 새로 수집한 데이터와 이전에 수집한 데이터를 비교하고, 기존 코드를 검토했다. 포화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 분석이 발생했으며, 새로운 주요 코드, 주요 테마 또는 개념이 확인되지 않았다.

Over the course of data collection, all investigators met through the phone to discuss and refine the analysis, compare new and previously gathered data, and review existing codes. Iterative analysis occurred until saturation was reached, and no new major codes, key themes, or concepts were identified.








결과 Results


우리의 주제 분석은 우리의 대표적인 인식된 MAL 그룹이 학습을 계획하는 접근 방식에서 상당한 공통점을 공유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기존의 피드백 및 평가 시스템]에서 비롯되지 않고. 학습자가 소유하고 주로 환자에 대한 책임에 의해 추진되는 내재적으로 동기 부여된 프로세스입니다.

Our thematic analysis found that our representative group of recognized MALs share a significant commonality in their approach to planning learning. This is an intrinsically motivated process that is owned by the learner and driven primarily by their responsibility to patients, rather than originating from traditional feedback and assessment systems.


좋은 학습자가 되기 위해서는 모든 것이 내면에서 나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내 생각에 다른 사람들이 당신을 위해 목표를 세우고 동기 부여를 할 수 없을 것 같아요. 스스로 더 잘하고 싶고, 더 하고 싶고, 더 열심히 공부해야 합니다.

I think that to be a good learner, it all has to come from within. I think people can’t really goal set for you and try to motivate you. You have to want to be better, want to do more, want to study harder.


갭 식별 Gap identification


(1) 퍼포먼스 중심 갭 식별은 학습자가 자신의 성과를 표준과 비교할 때 발생하는 프로세스로 정의한다.

(1) Performance-driven gap identification is defined as the process that occurs when learners compare their performance against a standard.


(2) 커뮤니티 중심 갭 식별은 교사, 동료 및 학생을 포함한 학습 환경에서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촉진되는 과정으로 정의된다.

(2) Community-driven gap identification is defined as a process facilitated by interactions with other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including teachers, peers, and students.


퍼포먼스 중심 갭 식별

Performance-driven gap identification


참가자들은 주로 실시간 환자 치료를 통해 갭을 확인했다. 이런 방식의 괴리감별은 본의 아니게 시작되는 경우가 많지만, 과정이 전개되면서 [의식적인 관찰]이 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참가자는 자신의 갭을 식별하기 위해서 과제 실행 능력에 대한 자체 평가를 활용한다고 설명하였다(표 2). 그들은 갭 식별을 위한 핵심 방법으로 적극적인 입증demonstration, 특히 나름의 답을 commit할 필요성이 갭 식별의 핵심 방법이라고 언급했다. 여기에는 서면(평가 및 계획), 구두(예: 사례 제시), 행동(예: 절차적 실행) 등이 가능하다.

Participants identified gaps predominantly through real-time patient care. It wa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identification of gaps in this way often starts unintentionally, but becomes a conscious observation as the process unfolds. Participants described utilizing self-assessment of their ability to execute tasks to identify their gaps (Table 2). They cited the importance of active demonstration, specifically the need to commit to an answer – by writing (e.g. assessment and plan), verbalizing (e.g. case presentation), or doing (e.g. procedural execution) – as key methods for gap identification.


… ED에서 사건을 해결하고 나면 모든 일이 중단됩니다. 모든 오더가 완료되고 나면 "[어, 이 사람이 어디로 가야 할지 모르겠어요. 그들이 들어와야 할지 집에 가야 할지 모르겠어요." 그리고 누군가와 협력하고 나서 벽에 부딪히는 과정은 여러분에게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 대해 충분히 알지 못한다"고 말해줍니다. 그러면 이것은 매우 실시간 피드백이 됩니다. 여러분은 주치의에게 가서 "나는 더 이상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라고 말합니다.

… You will be working on a case in the ED and then everything stops happening … because all of your orders are done and then you’re like, “[H]uh, I have no idea where this person needs to go. I don’t know if they should come in or go home.” And the process of working someone up and then hitting a brick wall tells you, “I do not know enough about this presentation” and then it’s a very real-time feedback … you go to your attending and [say,] “I don’t know what to do anymore.”


커뮤니티 중심 갭 식별

Community-driven gap identification


레지던트와 다른 의료 팀 구성원의 상호 작용은 갭 식별에 도움이 된다. 감독관(출석, 선임 레지던트)과 이들이 감독하는 감독관(학생, 후배 레지던트) 모두 격차를 파악하는 파트너로 파악됐다. 참석자들은 주치의에 의해 자신의 mental framework를 다듬는 것이 이롭다고 언급했지만, 어떤 이들은 주니어 레지던트로서 주치의에게 접근하는 것이 제한적이었고, 그들의 결정을 지도하고 변경한 더 많은 선배 레지던트의 준비 후에야 이뤄진다고 언급했다. 따라서, 종종 주치의는 갭 식별에 덜 유용한 경우도 있다.

Residents’ interactions with other healthcare team members assist in gap identification. Both supervisors (attendings, senior residents), as well as those they supervise (students, junior residents), were identified as partners in identifying gaps. While participants did comment on the benefit of having their mental frameworks refined by attendings, some noted that access to attendings was limited as junior residents, and often occurred after preparation by more senior residents who guided and altered their decisions. Thus, attendings were often less useful for gap identification.


질문. 참가자들은 "왜"라는 질문이 갭을 식별하는 데 가장 효과적이라고 언급했다. 놀랄 것도 없이, 특정 사례의 특정한 "왜"를 아직 파악하지 못한 의대생들은 종종 이러한 유형의 질문의 개시자였다(표 2).

QuestioningParticipants noted that “why” questions were most effective in helping to identify gaps. Not surprisingly, medical students who do not yet grasp the particular “why” of a given case were often initiators of these types of questions (Table 2).


가르침. 참가자들은 가르침이 갭 식별의 중요한 방법이라는 점에 주목했다. 가르치는 데 적절히 대비하고 싶은 욕구가 학습자들을 밀어내고 많은 학생들이 지식을 깊게 하는 것은 의도적으로 이러한 기회를 추구하여 지식을 준비하고 "성대화"하도록 할 것이다(표 2).

TeachingParticipants noted that teaching was an important method of gap identification. The desire to be to adequately prepared to teach often pushed learners and many deepen their knowledge intentionally sought out these opportunities so they would be forced to prepare and “vocalize” their knowledge (Table 2).


책임 강화. 책임감 있고 독립적인 관리팀 구성원으로서 권한을 부여받음으로써 학습자가 갭 식별을 할 수 있도록 지원했습니다. 이러한 "스킨 인 더 게임" 사고방식은 그들의 행동이 실제적이고 가시적인 결과를 가져올 때만 발생하는 그들 자신의 성과에 대한 투자 수준을 그들에게 영향을 주었다(표 2).

Empowering responsibility. Being empowered as a responsible, independent member of the care team assisted learners in gap identification. This “skin in the game” mindset imbued them with a level of investment in their own performance that occurred only when their actions have real and visible consequences (Table 2).


피드백 요청. 참가자들은 학생, 간호사, 기술자, 참석자 등 의료 팀의 여러 구성원으로부터 의도적으로 피드백을 구하여 갭을 파악했다고 설명했습니다(표 2). 이것은 그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더 편안해진 기술이었다.

Inviting feedback. Participants described intentionally seeking feedback from multiple members of the care team – including students, nurses, techs, as well as attendings – to identify gaps (Table 2). This was a skill that they became more comfortable with over time.


대리 학습. 중요한 학습은 결정과 실수를 포함한 동료들의 경험에 대해 토론하는 데서 온다. 이러한 대리체험은 학습자가 주어진 사례에 개인적으로 관여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갭을 식별하는 방법입니다(표 2). 한 참석자는 확인된 오류 중 패턴인식을 목표로 학습자가 '놓친' 서로의 사례를 분석하는 레지던트 전용 '놓친missed' 증례 컨퍼런스의 가치에 대해 토론했다.

Vicarious learning. Valuable learning comes from discussing the experiences of their peers, including decisions and mistakes. This vicarious experience was a way for a learner to identify their gaps, despite having no personal involvement in a given case (Table 2). One participant discussed the value of a resident-only “missed” case conference, where learners analyze each other’s cases where something was “missed,” with the goal of pattern recognition among identified errors.



갭의 우선순위 정하기

Prioritization of gaps


우리의 분석에 따르면 MAL은 우리가 트리아지triage적절성adequacy이라고 부르는 두 가지 간단한 스키마를 사용하여 학습의 우선순위를 정할 때 성공적이다. 

    • 트리아지는 학습자가 제한된 시간을 분배하면서 학습 과제의 중요성과 순서에 대해 결정하는 과정으로 정의된다. 

    • 적합성은 다른 작업으로 넘어갈 수 있음을 알리는 학습의 종결점을 정의하는 과정으로 정의된다. 적절성은 역량도 숙달도 아니다. 오히려, 그들이 스스로 식별한 갭을 해소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학습의 정도가 된다.

Our analysis found that MALs are successful when they prioritized their learning using two simple schemas we term triage and adequacy. 

    • Triage is defined as the process in which learners make decisions regarding the importance and order of their learning tasks as they ration their limited time. 

    • Adequacy is defined as the process of defining an end-point for learning that signals that it is acceptable to move on to another task. Adequacy is neither competency nor mastery; rather, the degree of learning that they deem necessary to address their self-identified gap.


우리의 많은 피험자는 종단적 학습 목표는 실용적이지 않더라도 부담스럽고 즉각적인 임상 치료 요구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Many of our subjects described longitudinal study goals as burdensome, if not impractical, and not aligned with their immediate clinical care needs.


또한 목표를 정하지 않는다. 그것이 왜 중요한지 모르겠다. 내 관심사가 내가 가고 싶은 곳으로 데려가준다.

I also do not set goals. I don’t see a point to it. My interests will take me where I want to [go].



트라이아지

Triage


연습생들이 배우기를 기대하는 압도적인 양의 자료를 감안할 때, 참가자들은 자신에게 이치에 맞는 순서로 학습의 우선순위를 정했다고 설명했다. 학습자는 여러 요인을 바탕으로 식별된 갭을 조사합니다. 지금까지 가장 일반적으로 확인된 요인은 다음 환자 또는 증례에 대한 학습 필요성이었다.

Given the overwhelming amount of material that trainees are expected to learn, participants described prioritizing their learning in an order that made sense to them. Learners triage their investigation of identified gaps based on multiple factors. By far the most commonly identified factor was the learning needs for the next patient or case.


콘텐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콘텐츠 발생 빈도, 학습 기회의 편리성 또는 처리의 용이성, 주제를 학습해야 하는 시간 프레임, 주제에 대한 자신의 관심 등 수많은 요소가 사용된다(표 3).

Numerous triage factors are used, including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content, frequency of content occurrence, convenience or ease of addressing the learning opportunity, the time frame in which they must learn the material, as well as their own interest in the subject matter (Table 3).


연구참여자들 사이에 거의 일치된 의견들이 있었는데, 시험(테스트를 위한 학습)과 임상 로테이션("환자 치료를 위한 학습")의 요구라는 두 가지가 모두 트리아지에 영향을 미쳤지만, 분명히 이 둘은 서로 달랐다. 모든 참가자들은 레지던트 과정에 도달한 후 임상 전문 지식과 환자 관리에 관한 갭이 그들의 트리아지 과정을 지배한다는 데 동의했다.

There was near-consensus among subjects that both course examinations (“learning for tests”) and the demands of a clinical rotation (“learning for patient care”) influenced their triage process but were distinctly different endeavors. All participants agreed that once they reached residency training, gaps pertaining to clinical expertise and patient care dominated their triage process.


적절성 Adequacy

작업의 우선 순위 지정에는 다음 작업을 시작할 수 있도록 작업이 완료되는 시기를 파악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적절성은 학습 과정 자체의 결과를 반영하며, 학습 과제의 종료 시점에 대한 신호를 보낸다. 참가자들은 처음 학습 과제의 우선순위를 정할 때 이 설정값이 불확실하더라도 "충분히" 학습한 시점을 인식한다고 보고했다. 학습 깊이는 임상 작업에 대한 자료와 적용에 따라 다를 수 있다(예: 피상적 대 숙달). 참가자들은 학습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연구 노력의 적절성에 대해 의도적인 결정을 내렸다고 보고하였다(표 3).

Inherent to the prioritization of tasks is knowing when a task is complete so that the next task can begin. Adequacy reflects the outcome of the learning process itself, signaling when the learning task comes to an end. Participants reported recognizing when they had learned “enough,” even if this set-point was uncertain to them when they first prioritized the learning task. The depth of learning could be different (e.g. superficial vs. mastery) based on the material and application to their clinical work. Participants reported they made intentional decisions about the adequacy of their study efforts to achieve learning efficiently (Table 3).



리소스 식별 Identification of resources


온라인 교육의 빠르고 지속적으로 확장되는 세계는 우리의 참가자들에게 도전 과제를 안겨주었다.

The rapid and continuously expanding world of online education posed challenges to our participants.


첫 번째, [의도적인 적응]은 특정 학습 환경에서 확인된 격차를 가장 잘 해결하기 위한 의도적이고 때로는 기회주의적 자원 선택으로 정의된다.

The first, intentional adaptation is defined as the deliberate, and sometimes opportunistic, choice of resources to best address identified gaps in a specific learning environment.


두 번째 [가중 큐레이션]은 학습자가 학습 자원의 특성(예: 신뢰성, 적용성 또는 재료와의 교제 능력)을 동적으로 평가하는 반복 프로세스로 정의된다.

The second, weighted curation, is defined as the iterative process by which learners dynamically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resource, such as credibility, applicability, or ability to engage with the material.


의도적 적응 Intentional adaptation


우리의 참가자들은 우리가 의도적인 적응이라고 부르는 것의 발달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학습자가 학습 자원의 선택을 의도적으로 수정하는 이 trial-and-error 접근 방식은 학습 단계와 물리적 환경이라는 두 가지 컨텍스트에 기초한다.

Our participants described the development of what we term intentional adaptation. This trial-and-error approach by which learners deliberatively modify their choice of learning resource is based on two contexts: the learning stage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저는 의과대학이 그저 주제적으로 읽거나 아주 큰 붓으로 읽는 것과 같은 일반적인 주제였다고 생각합니다. 레지던트는 [구체적인 임상 질문]이나 [환자 개개인의 맥락에서 나온 문제]들에 초점을 맞추는 것에 훨씬 더 중점을 두었습니다.

I think medical school for me was a lot of reading just topically or like in large brushes … general topics. And residency has been much more about focusing on specific clinical questions and issues that come up in the context of individual patients.


학습 단계의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기보다] [임상 질문에 답할 수 있는 콘텐츠를 검색하는 방식으로] 학습 리소스 선택에 영향을 미쳤다(표 4). 이는 [교과서/기초적 독서]에서 [최신 문헌과 증거 기반 의학의 사용]으로의 변화로 나타났다. 이처럼 교과서를 점점 덜 보는 경향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한 레지던트가 언급했듯이 (수술 전문분야에서) 여전히 교과서 또는 '바이블'을 읽었다. 한 참석자는 비록 최신지견은 아니지만, 교과서는 모든 필수 내용을 포함하고 있고, 한 분야의 지도자들에 의해 쓰여졌으며, 현대 치료 토론의 금본위제 역할을 했다고 보고했다.

This change in the learning stage impacted their selection of learning resources as they searched for content that can answer clinical questions, and not simply cover broad topics (Table 4). This manifested as a change from textbook/foundational reading to the use of current literature and evidence-based medicine. Despite this trend towards the abandonment of the textbook, we found that certain residents (from surgical specialties) still read textbooks, or the “Bible,” as one resident referred to it. One participant reported that despite perhaps not being up to date, their textbook contained all required content, was written by leaders in their field, and served as the gold-standard resource for contemporary care debates.


두 번째 맥락은 학습자가 공부를 하는 실제 물리적 위치(예: 집, 직장, 통근)와 관련있었다. 많은 참가자들이 실시간으로 가장 손쉬운 자원은 감독관이라고 밝혔다. 전공의의 리소스 선택은 지식의 깊이가 아니라 편의성의 필요성에 의해 영향을 받고, 시간이 얼마나 남았는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The second context referred to the learners’ actual physical location when they learn (e.g. home, work, commuting). Many participants identified the easiest resource in real time was their supervisor. Resident choice of the resource is impacted by how much time they have and sometimes influenced by the need for expediency, as opposed to depth of knowledge.


가중 큐레이션

Weighted curation

자원 식별에 활용되는 두 번째 핵심 프로세스는 상대적 가치를 평가하는 것입니다. 논의된 가장 일반적인 기준은 [자원의 신뢰도credibility 또는 trustworthiness]였으며, 자원의 가중치를 결정하는 데 종종 사용되었다(표 4).

The second key process utilized in the identification of resources is weighing their relative value. The most common criterion discussed was the credibility or trustworthiness of the resource, which was often used to help determine the weight it should be given (Table 4).


참가자들이 자원을 저울질한다고 보고한 두 번째 기준은 [개별 요구에 대한 적용 가능성]이다. 엔터테인먼트와 교육의 이점을 모두 제공하는 자원은 참가자들에 의해 더 높은 가중치를 받았다(표 4).

The second criterion by which participants reported weighing resources is the applicability to their individual needs. Resources that provided the benefit of both being entertaining and educational were more highly weighted by the participants (Table 4).



학습의 "계획" 단계에 대한 장벽

Barriers to the “planning” phase of learning


참가자들이 직접 "배우는 법을 가르쳐 주는 공식적 훈련이 있느냐"는 질문을 받았을 때, 참가자들로부터 거의 보편적인 대답은 "아니오"였다. 참가자들은 [학습에 대한 best practice에 대한 경험 부족]이 [레지던시 훈련의 높은 인지 부하와 결합되었을 때] 압도적이라고 설명했다. 이 중 후자에는 [학습할 자료의 실제 양]과 [어떤 출처가 평판이 좋거나 최신인가에 대한 지식] 등이 포함되었다. 참가자들은 경험, 시간, 그리고 더 많은 맥락에서 해결해야 할 갭과 이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의 중요성이 더욱 분명해졌다고 언급했다.

When participants were asked directly if they had “formal training that taught you how to learn,” the nearuniversal answer from participants was “no.” Participants described inexperience with best practices for learning as overwhelming, especially when coupled with the high cognitive load in residency training, including both actual volume of material to learn and knowledge of what source is reputable or that current. Participants noted with experience, time, and more context, the importance of gaps to be addressed, and how to address them, became clearer.


모든 참가자는 [시간 제약]을 갭 식별과 학습의 우선 순위 지정에 있어 중요한 장벽으로 식별했다. 참가자들은 특히 지식 격차를 확인한 순간, 가용 시간이 부족함을 지적했다. 그들은 직장에서의 학습에만 의존하는 것은 피상적인 학습으로 이어지는 반면, 딥 러닝은 종종 개인적인 시간의 희생으로 인식되는 추가적인 노력과 공부를 필요로 한다고 경고했다. 시간 부족을 관리하기 위해, 대부분은 나중에 공부할 목록을 만들었다는 것을 확인했다.

All participants identified time constraints as a significant barrier, in particular for gap identification and the prioritization of learning. Participants noted specifically the lack of available time at the moment they identified a knowledge gap. They cautioned that relying only on learning while in the workplace led to superficial learning, while deep learning required additional effort and study – often at the perceived sacrifice of personal time. To manage this, most identified that they made lists for later learning.


참가자들은 또한 [시스템 장벽]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많은 참가자들은 동료들은 자신을 과신하고 있으며 갭을 스스로 인식하지 못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Participants also discussed systemic barriers. Many participants spoke of colleagues deemed overconfident and unable to recognize their own gaps.


마찬가지로 중요한 것은 환자 진료의 여러 측면에 대한 연습생 참여를 제한하는 의학의 [위계적 시스템]이 장애물로 지적됐다는 점이다.

Just as important, the hierarchical system of medicine, which limits trainee involvement in many aspects of a patient’s care, was noted as a barrier.



고찰 Discussion


"계획" 단계의 각 3단계에 걸쳐, 참가자들은 학습 탐색에 사용하는 두 가지 별개의 기술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 (1) 갭 식별 전략 - 성과 중심 갭 식별 및 커뮤니티 중심 갭 식별, 

  • (2) 우선순위 전략 - 트리아지와 적절성 

  • (3) 자원 정의 식별전략 – 가중 큐레이션 및 의도적 적응. 

Across each of the three stages of the “planning” phase, our participants described two discrete techniques they use to navigate their learning: 

  • (1) Gap identification strategies – Performance-Driven Gap Identification and Community– Driven Gap Identification; 

  • (2) Prioritization strategies Triage and Adequacy; and 

  • (3) Identification of Resources strategies – Weighted Curation and Intentional Adaptation. 


모든 전략에서 공통적인 것은 자신의 호기심, 관심사, 그리고 무엇보다도 현재 또는 미래의 환자에 대한 책임에 의해 학습하도록 추진된 참여적이고 내면적으로 동기부여된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였다.

Common across all strategies was the active involvement of an engaged, intrinsically motivated learner, driven to learn by their own curiosity, interests, and most of all, their responsibility to their current or future patients.


기존 연구와의 관계 Relationship to existing work


우리의 연구는 학습자의 MAL 프레임워크의 인지 단계 사용을 촉진하거나 방해하는 요인을 설명하는 최근의 관점을 뒷받침한다(Cutrer et al., 2018). 여기에는 호기심, 동기부여, 사고방식, 회복탄력성의 핵심적 [내적 특성]과 코칭과 학습 환경의 [외부 요인]이 포함된다.

Our study supports that of a recent perspective describing factors that either foster or impede a learners’ use of the MAL framework’s cognitive phases (Cutrer et al. 2018). These include the key internal characteristics of curiosity, motivation, mindset, and resilience, and the external factors of coaching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어떤 경우, 학습자들은 선택된 "전문가"가 신뢰할 수 있는 자원으로서의 역할을 한다고 언급했지만, 놀랍게도 [공식적인 피드백이나 학습을 계획하기 위한 도구]로서 [코칭]을 언급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In some instances, noted a chosen “expert” served as the trusted resource for them, but surprisingly few mentioned formal feedback or coaching as a tool to plan their learning.


Cutrer 등(2018)은 회복탄력성이 MAL이 번창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 특성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많은 학습자는 자신의 스타일이나 필요에 가장 적합한 접근 방식, 사람 또는 자원을 찾을 때까지 시행착오를 겪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는 "생산적 투쟁의 가치와 의미 있는 변화에 대한 노출"에 대한 최근의 옹호와 일치한다(Mylopoulos et al. 2018, 페이지 850). "시행착오""생산적인 투쟁"으로 접근하는 것에 대해 학습자들과의 투명한 토론은 그들이 이러한 경험을 실패가 아니라 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고, 회복탄력성과 적응적 전문지식의 개발에 있어 학습자들을 더 잘 지원할 수 있다.

Cutrer et al. (2018) note that resilience is a key characteristic that allows a MAL to thrive. Many of our learners noted using trial and error until finding the approach, person, or resource best suited to their style or need. This aligns with recent advocacy for “the value of productive struggle and exposure to meaningful variation” (Mylopoulos et al. 2018, p. 850). Transparent discussions with learners about approaching “trial and error” as “productive struggle” may help them see these experiences, not as failures, and may better support learners in the development of resilience and adaptive expertise.


Jason과 Westberg(2018)는 또한 교육자가 적응형 전문가의 개발을 촉진하는 주요 방법을 논의한다. 한 가지 제안은 교육자들이 학습자가 학습 결과에 대한 소유 의식sense of ownership을 개발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Jason and Westberg (2018) also discuss key ways educators foster the development of the adaptive expert. One proposition is for educators to encourage learners to develop a sense of ownership over their learning outcomes.


학습자가 차이를 스스로 식별할 수 있는 기회를 극대화하기 위해 교사는 임상 역할이 [학습자가 강의와 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제공하도록 보장해야 한다. 또한, 우리는 학습자에게 [환자를 제시하기 전에 "자신의 생각을 정리"할 기회]를 줌으로써, 특히 정신적인 약속mental commitment의 가치를 활용하는 중요한 학습 전략에 주목한다. 이는 학습자가 배려와 표현에 의해 유발되는 [벽돌담 순간]을 경험할 수 있는 가능성을 극대화합니다. 이것은 학습자가 직접 학습 발견을 할 기회를 갖는 1분 프리셉터 모델의 "커밋 단계"와 SNAPS 모델의 "프로브 프리셉터" 단계(Neher et al. 1992; Wolpaw et al. 2003)와 관련이 있지만 완전히 유사하지는 않다. 이 "학습 가능한 순간"을 통해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에 대한 차이를 스스로 파악하고 소유권을 높일 수 있습니다.

To maximize opportunities in which learners can selfidentify gaps, teachers should ensure that clinical roles provide ample opportunity for learners to engage in teaching and learning. In addition, we note an important learning strategy in utilizing the value of mental commitment, specifically, by giving the learner the chance to “organize their thoughts” prior to presenting their patient. This maximizes the chance the learner can experience a brick wall moment, prompted by consideration, and then by the expression, of their thoughts. This is related, but not entirely similar to, the “commitment stage” of the One-Minute Preceptor model and the “probe the preceptor” stage of the SNAPPS model (Neher et al. 1992; Wolpaw et al. 2003), where the learner has an opportunity to make a learning discovery themselves. This “learnable moment” permits learners to self-identify gaps and enhances ownership over their learning.



학습자 및 교육자를 위한 주요 결과 및 권장 사항

Key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for learners and educators


갭 식별 Gap identification


참가자들은 차이를 식별하기 위해 두 가지 주요 프로세스를 활용했습니다. 두 가지 모두 학습자가 스스로 평가해야 하지만, [커뮤니티 중심의 갭 식별]은 팀 기반 의료 환경에서 일하는 것의 이점을 활용한다. 참가자들은 [자신의 업무 수행 평가(성과 중심 갭 식별)]의 중요성에 대해서 많이 언급하였고, 이 때 [과제 수행 능력의 비교 기준(bar)]으로 활용했다. 크루거와 더닝(1999)이 논한 것과 같이 문헌에 기술된 자기 평가의 어려움에 대해 논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Participants utilized two main processes to identify gaps. While both require that the learner self-assess, community-driven gap identification capitalizes on the benefits of working in a team-based healthcare environment. Participants spent significant time discussing the significance of self-assessment of performance (performance-driven gap identification), utilizing their ability to complete a task as the comparative bar to find gaps. None discussed the difficulties of self-assessment described in the literature, such as those discussed by Kruger and Dunning (1999).


우선순위 정하기 Prioritization


마스터 학습자는 순서, 내용, 즉시성, 선택한 자료의 깊이 또는 범위를 고려한 우선순위 지정에 탁월합니다. 트라이어티에 영향을 미치는 큰 그림 고려사항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요구의 즉각성(예: 다음 사례), 

      • 장기적 목표(예: 하위 전문 직업 관심사) 

      • 전 학습 경험(예: 이전에 한 업무work 내용)

Master learners excel at prioritization, including consideration of the order, content, immediacy, and depth or breadth of the chosen material. Big-picture considerations affecting triage included 

      • immediate needs (e.g. the next case), 

      • long term goals (e.g. subspecialty career interests), and 

      • previous learning experiences (e.g. what worked previously). 


학습자 목표 설정을 장려하는 일반적인 관행과 달리, 우리는 참가자들이 목표를 설정하지 않았다는 사실에 놀랐다. 실제로 많은 이들이 의도적으로 목표 설정을 피했고, 목표를 제시하도록 유도했을 때 좌절감을 지적했다. 이것은 많은 참가자들이 설명한 [학습 니즈의 즉각적인 영향]을 강조하며, 아마도 [많은 요인에 기초하여 우선순위 니즈를 수정하는 적응력]을 보여줄 것이다.

In contrast to the accepted practice of encouraging learner goal setting, we were surprised to find our participants did not set goals. In fact, many intentionally avoided goal-setting and noted frustration when prompted to suggest goals. This highlights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immediacy of learning needs that many participants described and perhaps shows their skill at adaptability to modify their prioritization needs based on a number of factors.


갭 식별과 대조적으로, [트리아지와 적절성의 프로세스]는 (학습자 간에 쉽게 일반화될 수 있는 명확한 공식이 없으며) [고도로 개인화된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스키마의 개발을 향한 개별적인 여정은 느리고, 실망스럽고, 반복적이었지만, Mylopoulos 외 연구진(2018)이 기술한 "생산적인 투쟁"과 매우 일치한다. 학습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시간과 시행착오]가 모두 필요하, 일부 학습은 높은 수익률을 보일 수 있지만 "당장은 느리지만 (숙련도가 높아질수록) 학습 속도에 가속이 붙는다"는 것을 의식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프로그램 리더 또는 코치의 anticipatory guidance는 학습자가 이러한 "생산적인 투쟁"의 존재와 적응적 전문지식의 개발에 제공하는 역설적 이점을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In contrast to gap identification, our participants described the processes of triage and adequacy as highly individualized and without a clear formula that can be easily generalized across learners. The individual journey towards the development of these schemas appeared slow, disjointed, and iterative, but highly consistent with the “productive struggle” al. described by Mylopoulos et (2018). Learners must have the conscious understanding that a combination of time and trial and error will be required to find their preferred methods and that some learning may be high yield but with “slow but accelerating rates of uptake” (Son and Sethi 2010, p. 138) as they become more adept. Anticipatory guidance from program leaders or coaches may help learners recognize the existence of this “productive struggle” and the paradoxical benefit it provides to their development of adaptive expertise.


리소스 식별

Identification of resources


참가자들은 여러 가지 요인(예: 학습해야 할 사항, 자원 신뢰도 평가, 다른 사람의 권고 사항, 물리적 환경)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리소스 세트를 큐레이션했다. 트리아지와 적절성처럼, 가중 큐레이션의 이 과정은 학습자의 필요에 의해 매우 개별화되었다. 레지던트의 가중 큐레이션 프로세스의 개발을 공개적으로 인정하는 것은 경험적 코칭의 기회를 포함하여 많은 귀중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최소한 이 주제에 대한 일관된 관심은 전공의에게 그 중요성을 강화시킬 것이다.

Participants curated their own set of resources based on a number of factors (e.g. what they need to learn, assessment of resource credibility, recommendations from others, physical environment). Like triage and adequacy, this process of weighted curation was highly individualized by the learner’s needs. Overtly acknowledging the development of a resident’s weighted curation process may offer a number of valuable outcomes including the opportunity for experiential coaching. At the very least, consistent attention to this topic will reinforce its importance to the resident.


학습자가 의대에서 레지던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의도적인 적응]을 하도록 유도해야 하며, 우선순위 정하기와 유사하게 [시간과 반복적 발전을 요구하는 고군분투가 될 것]임을 인식해야 한다. 임상 질문은 학습을 주도drive하며, 학습자는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자원을 선택하는 책임을 져야 합니다. 교육 프로그램은 경험이 부족한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게끔 사전 큐레이팅된 리소스(예: 프로그램별 매뉴얼) 또는 검증된 리소스(예: 온라인 교육 사이트)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가 이러한 전환 과정을 연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솔루션은 [효과적인 트리아지]와 [의도적인 적응 전략]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경험과 시간이 부족한 학습자에게 유용하고 일시적인 프로그래밍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다.

Learners should be encouraged to employ intentional adaptation during the transition from medical school to residency, and that similar to prioritization, be made aware that it will be a struggle requiring time and iterative development. Clinical questions will drive learning, and learners will need to assume responsibility for choosing resources to meet this need. Training programs can help bridge learners through this transition by providing pre-curated (e.g. a program-specific manual) or vetted resources (e.g. online education sites) from which inexperienced learners can benefit. These solutions highlight useful, temporary programmatic solutions that can be provided to learners to address their inexperience and time needed to develop effective triage and intentional adaptation strategies.


장벽 Barriers


프로그램 리더와 교육자들이 스스로에게 "시간 부족의 학습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학습자와 교사 모두에 대한 인식이 첫 번째 단계이지만, 우리의 학습자는 식별된 갭을 해결하기 위해 [나중에 학습할 목록], ["개인적인" 시간의 활용]과 같은 전략을 활용했다. 교육자는 학습자가 바쁜 임상 영역 밖에서 언제 학습할 것인지에 대한 개인화된 계획을 식별하도록 권장해야 한다.

It is essential for program leaders and educators to ask themselves the question, “how do we manage the negative effects on learning of the lack of time?” While awareness for both learners and teachers is the first step, our learners utilized strategies, such as lists for later learning, and incorporating dedicated time during what can be considered “personal” time, to address their identified gaps. Educators should encourage learners to identify a personalized plan for when they will learn outside of a busy clinical area.


최근 연구는 [환자의 안전을 최대화하기 위한 의학의 사회적 의무]와 [차세대 의사가 독립적인 진료에 적절하게 준비되도록 해야 하는 필요성] 사이의 긴장을 강조했다(Whitehead and Kuper 2015; Carraccio et al. 2016; Eva et al. 2016).

Recent works have highlighted the tension between the societal duty of medicine to maximize patient safety and the need to ensure the next generation of physicians is adequately prepared for independent practice (Whitehead and Kuper 2015; Carraccio et al. 2016; Eva et al. 2016).


적응적 전문지식을 위해서 학습자는 효율성과 혁신을 모두 활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의료 시스템이 개인 개발과 사려 깊고 혁신적인 탐험을 희생하여 MAL을 효율로 향하게 할 수 있다는 참가자들의 표현된 우려에 동의한다(Pusic et al., 2018).

Adaptive expertise requires learners to make use of both efficiency and innovation. Thus, we agree with our participants’ expressed concerns that the healthcare system may push MALs toward efficiency at the expense of personal development and thoughtful, innovative exploration (Pusic et al. 2018).


한계 Limitations


결론 Conclusions


용어 Glossary


  • 적응형 전문 지식: 1986년 하타노 기야오(Hatano Giyaoo)에 의해 일상적인 전문 지식과 분리된 개념을 구별하기 위해 처음 기술되었다. 일상적 전문가는 익숙한 문제를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해결할 수 있는 반면, 적응형 전문가는 "일상적인 역량을 넘어 유연하고 혁신적이며 창의적인 능력으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며 건강 전문가가 익숙하지 않거나 이전에 접한 적 없는 임상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일상적 전문지식은 익숙한 것에서 계속해서 숙달할 수 있는 전문가를 배출하는 반면, 적응형 전문가는 일상적인 전문지식을 기반으로 익숙하지 않은 문제에 새로운 해결책을 만들기 위해 유연성과 혁신을 더한다.

Adaptive expertise: Was first described in 1986 by Giyaoo Hatano to distinguish a concept separate from routine expertise. Routine experts are able to solve familiar problems both efficiently and accurately, while adaptive experts are able to “go beyond the routine competencies, and can be characterized by their flexible, innovative, and creative competencies,” Adaptive expertise allows a health professional to respond flexibly to clinical situations that were not familiar or never encountered before. Thus, routine expertise produces experts who can achieve mastery in the familiar over and over, while adaptive experts build on routine expertise by adding flexibility and innovation to create novel solutions to unfamiliar problems.


  • 마스터 적응 학습자: 2017년 미국 의학 협회의 Accelerating Change in Education 프로젝트가 발표한 원고에 정의된 개념 모델을 설명합니다. 마스터 적응형 학습자 프레임워크는 학생이 적응형 전문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사용하는 통합 학습 프로세스의 네 가지 주요 단계를 설명한다. 

    • 첫 번째 단계인 계획(Planning)은 학습자가 미래 학습을 계획하기 위해 사용하는 세 가지 단계를 통합합니다. 

      • 여기에는 갭을 식별하고, 학습 기회를 선택하고, 학습을 위한 자원을 검색하는 작업이 포함됩니다. 

    • 두 번째 단계인 학습(Learning)은 학습자가 학습에 참여하고 새로운 지식, 기술 또는 태도를 내면화하는 단계입니다. 

    • 세 번째 단계인 평가(Assessment)는 학습자가 새롭게 습득한 역량이나 지식을 시험해 보고 피드백과 자기 평가에 의한 정교함을 통해 편안한 상태로 나아가는 단계입니다. 

    • 마지막 단계인 조정(Adjusting)은 학습이 일상적 실무에 통합되고 새로운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단계를 설명한다.

Master Adaptive Learner: Describes a conceptual model defined in a manuscript published by the Accelerating Change in Education project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in 2017. The Master Adaptive Learner framework describes four key phases of an integrated process of learning used by students to develop the skill of adaptive expertise. 

    • The first phase, Planning, incorporates three stages that a learner uses to plan future learning. They include: identifying a gap, selecting an opportunity for learning, and searching for resources for learning. 

    • The second phase, Learning, is the phase during which the learner engages in learning and internalizes new knowledge, skills or attitudes. 

    • The third phase, Assessing, is when learners try out their newly attained capabilities or knowledge and progress to a state of comfort through refinement by feedback and self-assessment. 

    • The last phase, Adjusting, describes a stage in which learning is routinely incorporated into daily practice and is able to be used in novel ways.


  • "Brick Wall" 개념: "벽돌에 부딪히는 것"이라는 흔한 관용구는 사람의 발전을 막는 장애물을 마주치는 것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의료 교육에서 "벽돌 담" 개념은 연습생이 "벽돌 담"에 부딪혔다는 것을 의식적으로 깨닫기 전까지 독립적으로 감별진단을 만들고 계획을 실행하거나 절차를 시도하기 위해 작업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즉, 올바른 다음 단계가 무엇인지 알지 못한다. 이러한 의식적 깨달음은 자기 반성을 촉진하고, 해결해야 할 격차를 식별하도록 촉진하며,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감독자와의 논의와 같은 다음 단계를 촉진한다. '벽돌 벽'은 학습자가 가르칠 수 있는 순간teachable moment을 나타내며, 학습자가 생산적인 학습 투쟁의 일환으로 조형적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핵심 방법으로 간주해야 한다.

“Brick Wall” Concept: The common idiom, “to hit a brick wall,” has been used to describe an encountering an obstacle that stops ones’ progress. In medical education, the “brick wall” concept describes the process whereby a trainee works independently to create differential diagnoses, implement plans, or attempt procedures until they come to the conscious realization that they have hit a “brick wall”–they do not know what the correct next step should be. This conscious realization prompts self-reflection, facilitates the identification of a gap that needs to be addressed, and prompts a next step, such as, discussion with a supervisor, in order to move forward. The “brick wall” represents a teachable moment for learners, and should be considered a key way for learners to receive formative feedback, as a part of the productive struggle of learning.


브릭 월은 스스로 식별한 학습의 갭이며 진행 중인 임상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 감독자의 연습 기반 학습 또는 교육이 필요하다. https://grammarist. com/idiom/hit-a-brick-wall vs-hit-the-the-wall/

The Brick Wall is the self-identified learning gap and requires practice-based learning or teaching from a supervisor in order to complete the clinical task in progress https://grammarist. com/idiom/hit-a-brick-wall-vs-hit-the-wall/



Cutrer WB, Atkinson HG, Friedman E, Deiorio N, Gruppen LD, Dekhtyar M, Pusic M. 2018.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xt that allow master adaptive learners to thrive. Med Teach. 40:791–796.


Cutrer WB, Miller B, Pusic MV, Mejicano G, Mangrulkar RS, Gruppen LD, Hawkins RE, Skochelak SE, Moore DE, Jr. 2017. Fostering the development of master adaptive learners: a conceptual model to guide skill acquisition in medical education. Acad Med: J Assoc Am Med Coll. 92:70–75.








. 2019 Nov;41(11):1252-1262.
 doi: 10.1080/0142159X.2019.1630729. Epub 2019 Jul 9.

Learning to learn: A qualitative study to uncover strategies used by Master Adaptive Learners in the planning of learning

Affiliations 

Affiliations

  • 1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Baltimore , MD , USA.
  • 2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University of Michigan Medical School , Ann Arbor , MI , USA.
  • 3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Stanford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Stanford , CA , USA.
  • 4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New Yor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New York City , NY , USA.

Abstract

Background: The ability to adapt expertise to both routine and uncommon situations, termed adaptive expertise, has been suggested as a necessary skill for physicians. The Master Adaptive Learner (MAL) framework proposes four phases necessary to develop adaptive expertise. The first phase, "planning" for learning, includes three stages: identification of gaps, prioritization of gaps, and identification of learning resources. This study explored key strategies used by MALs in "planning" for learning. Methods: Focus groups were used to identify strategies that successful postgraduate trainees use to plan learning. Researchers analyzed transcripts using constant comparison analysis and grounded theory to guide the generation of themes. Results: 38 participants, representing 14 specialties, participated in 7 focus groups. Six key strategies used in the "planning" phase of learning were found. During gap identification, they used performance-driven gap identification and community-driven gap identification. To prioritize gaps, they used the schema of triage and adequacy. To identify resources they used intentional adaptation and weighted curation. Barriers such as lack of time and inexperience were noted. Conclusions: MALs use six strategies to plan learning, using patients, health-care team roles, and clinical questions to guide them. Understanding these strategies can help educators design learning opportunities and overcome barriers.


의학교육에서 불확실성을 해결하기 위한 철학적 접근(Acad Med, 2019)

A Philosophical Approach to Addressing Uncertainty in Medical Education

Mark R. Tonelli, MD, MA, and Ross E.G. Upshur, MD, MA, MSc




의학의 실천에 필수적인 불확실성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도록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것은 대학원 이전과 후기 의학 교육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 확실성이 중시되고 기대되는 생물학이나 물리과학을 전공한 북미의 의대생 대다수가 직업적 불확실성에 직면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다.

Teaching students to acknowledge and accept uncertainty, essential for the practice of medicine, should be a goal of both pre-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We suspect that the majority of medical students in North America, having majored in the biologic or physical sciences, where certainty is valued and expected, have not been forced to confront professional uncertainty.


  • 확실성은 지식이나 이해가 자신 있는 임상적 의사결정을 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상황을 설명하는 반면, 

  • 호성은 다수의 임상적 선택이 동등하게 합리적으로 보인다는 것을 암시한다.

  • Uncertainty describes situations where knowledge or understanding is insufficient to allow for confident clinical decision making, whereas 

  • ambiguity implies that multiple clinical choices appear equally reasonable.


임상의사들 사이의 모호성과 불확실성의 낮은 내성은 자원 사용의 증가와 의사소통 기술 부족과 관련이 있다.3 의대생들의 불확실성에 대한 낮은 내성은 또한 더 높은 수준의 심리적 고통과 관련이 있다.4

Intolerance of ambiguity and uncertainty among clinicians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resource use and poor communication skills.3 Medical students’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s also been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distress.4


임상 의학의 불확실성은 진단에서 치료 결정에 이르기까지 임상 실습의 모든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6 철학적으로 분류하면 임상적 불확실성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 덕적(예: 죽어가는 환자를 위해 옳은 것은 무엇인가?), 

  • 형이상학적(예를 들어 건강하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식론적(예: 이 약이 이 환자에게 도움이 되기보다 더 많은 해를 끼칠 것이라는 확신이 있을 정도로 충분히 알고 있는가?)

Uncertainty in clinical medicine comes in a variety of forms, affecting all parts of clinical practice, from diagnosis to treatment decisions.6 Categorized philosophically, clinical uncertainty may be 

  • moral (e.g., What is the right thing to do for a dying patient?), 

  • metaphysical (e.g., What does it mean to be healthy?), or 

  • epistemic (e.g., Do I know enough to have confidence that this medication will do more harm than good for this patient?).


도덕적 불확실성생명 유지 치료의 철회, 장기 기증 기준, 부족한 자원의 할당과 같은 문제들을 특징짓는다. 그러한 문제들을 중심으로 20세기 중반에 시작된 도덕적 고통의 고조된 감각에 대처하기 위해 임상 의학은 윤리학자와 신학자의 형태로 철학자 쪽으로 방향을 돌려 문제를 명확히 하고 이러한 도덕적 불확실성의 일부를 완화시켰다.7 전체 학문 분야인 생명윤리학이 발달하여 의료교육과 통합되어 있다. 생명윤리학은 도덕적 불확실성을 다루었지만, 형이상학적, 인식론적 불확실성을 다루는 데 있어 학생과 임상의에게 별로 도움이 되지 않았다.

Moral uncertainty characterizes issues such as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s, organ donation criteria, and allocation of scarce resources. To deal with the rising sense of moral distress that began in the mid-20th century around such issues, clinical medicine turned to philosophers, in the form of ethicists and theologians, to help clarify matters and to alleviate some of this moral uncertainty.7 An entire academic field, bioethics, developed and remains integrated with medical education. While addressing moral uncertainty, bioethics has been of little help to students and clinicians in dealing with metaphysical and epistemic uncertainty.


형이상학적 불확실성은 임상 의학에 침투하지만 실천 과정에서 거의 표현되지 않는다

  • 질병은 무엇으로 정의되는가? 통계적 이상, 기능적 상태 또는 환자 경험?

  • 어떤 사람이 병에 걸렸지만 여전히 건강하다고 여겨질 수 있을까? 

  • 임상 의학은 치료, 기능 회복, 기관 회복이 목표인가? 

Metaphysical uncertainty permeates clinical medicine but is rarely articulated in the course of practice. 

  • Is disease defined by statistical aberration, functional status, or patient experience? 

  • Can one have a disease and yet still be considered healthy? 

  • Does clinical medicine aim to cure, to restore function, or to restore agency? 


형이상학적 불확실성은 치유자 직업에서 다양한 사상의 학파들 사이의 논쟁에 종종 반영된다. 예를 들어, 자연병증(개체 내에서 질병의 발현을 발생으로 보는 경향이 있음)과 동종 요법의학(개체와는 독립적으로 질병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는 경우)의 기초는 형이상학적으로 다르다.

Metaphysical uncertainty is often reflected in debates between various schools of thought in the healing professions. For instance, the underpinnings of naturopathy (which tends to view manifestations of disease as occurrences within an individual) and those of allopathic medicine (where disease is viewed as existing independently of individuals) differ metaphysically.8


이러한 가정을 더 잘 이해하면(입증 가능한 진리가 아닌 가정을 나타낸다는 단순한 인식이라도) 임상의사가 다음을 처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질병의 새로운 진단 및 재분류 불확실성 

  • 질병에 대한 연구 방법론과 이론 사이의 관계 

  • 병, 장애, 건강에 대한 환자의 개념의 중요성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se assumptions (even simply the recognition that they represent assumptions, not demonstrable truths) would be expected to help clinicians deal with 

  • the uncertainty of new diagnoses and reclassification of diseases; 

  •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methodologies and theories of disease; and 

  • the importance of the patient’s conception of illness, disability, and health. 


의사-철학자 둘 다인 설리번과 캐셀은 [건강과 질병의 본질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만성질환과 다중질환의 시대에 환자를 돌보는 임상의들에게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이 보다 깊은 형이상학적 이해의 이점은 환자와 의사에게 똑같이 부여될 것이라고 각각 주장한다.

Sullivan9 and Cassell,10 both physician–philosophers, assert that a new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health and disease is crucial for clinicians caring for patients in an era of chronic illness and multimorbidity. The benefits of this deeper metaphysical understanding, each argues, would confer upon patients and physicians alike.


우리는 매일 임상의들이 직면하는 불확실성의 대다수는 인식론적이라 주장한다. 즉, 불확실성은 의료적 의사결정에 도달하는 다양한 원천에서 도출된 지식을 얻고, 이해하고, 평가하고, 적용하는 데 있어 많은 어려움과 관련이 있다.

We assert that the majority of the uncertainty faced by clinicians on a day-to-day basis is epistemic; that is, the uncertainty is related to a great number of challenges in obtaining, understanding, weighing, and applying knowledge derived from a variety of sources in reaching medical decisions.


인식론적 불확실성이 만연하며 진단, 예후 및 치료적 선택과 같은 임상 의사 결정의 모든 차원에 영향을 미친다. 다음의 것들은 모두 인식론적 불확실성의 현대적 원천으로 인한 도전과제이다.

  • 개별 환자에게 임상 연구 결과 적용 

  • (때로는 상충되는) 정보, 지침 및 원칙의 여러 출처 처리 

  • 의학적인 결론에서 어떤 수준의 자신감을 가지고 전달해야 하는지를 결정

Epistemic uncertainty is pervasive and affects all dimensions of clinical decision making: diagnosis, prognosis, and therapeutic choice.11 The challenge of 

  • applying clinical research results to individual patients; 

  • dealing with multiple sources of (at times conflicting) information, guidelines, and principles; and 

  • determining what level of confidence to have and convey in a medical conclusion 

...are all contemporary sources of epistemic uncertainty in medicine.


개인의 가변성variability에 대한 이해가 높아져도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을 것이다. 정밀 의학의 출현으로 불확실성이 완화되기보다는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Nor will a better understanding of individual variability solve the problem, as the advent of precision medicine adds to, rather than mitigates, uncertainty.13,14


단순한 수용보다는, 목표는 불확실성의 다양한 종류와 출처를 이해하고, 가능한 최선의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하는 데 있어 미래의 임상의들을 돕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Rather than simple acceptance, the goal should center on aiding future clinicians in understanding the various kinds and sources of uncertainty and in developing strategies to make the best possible decisions regardless.


의학 교육에 의학의 철학을 도입하다

Introducing the Philosophy of Medicine Into Medical Education


의료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불확실성의 유형을 명확히 하는 것이 학생들에게 유용할 것이다.16

Clarifying the types of uncertainty that directly impact practice would be useful for students.16


우리는 의대생들을 위해서 의학철학에서 필수과목으로 해야한다고 주장하지는 않는다. 붐비는 의료 교육과정에서 충분한 시간을 찾는 것은 어려운 일이 될 뿐만 아니라, 임상 전 학생들은 아직 실무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이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을 것이다. 실용적으로 보자면, 우리는 대부분의 북미 의과대학과 교수 병원에서 현재의 커리큘럼 이니셔티브(아래 구체적인 예시)의 일부로서 불확실성과 관련된 의학의 철학을 공식적으로 포함시킬 것을 제안한다.

We do not advocate a required course in the philosophy of medicine for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Not only would finding sufficient time in a crowded medical curriculum be a challenge, but preclinical students would not be in a position to most benefit, as they do not yet have any direct experience with uncertainty in practice. Being pragmatic, we suggest the formal inclusion of the philosophy of medicine related to uncertainty as part of current curricular initiatives (specific examples below) in most North American medical schools and teaching hospitals.


전문 철학자들 사이에서는 공감대가 형성되기 어려울 수 있지만, 현재는 공감대가 형성되는 분야도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 합의에 따르자면 인구 수준 연구에서 얻은 연구 결과만으로는 개별화된 치료 20을 제공하는 데 기초로 불충분하며, 질병의 정의는 malleble하고 종종 가치의존적value-laden하다는 것을 인정한다.21 공감대를 형성하고 집중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실용적이고 유용한 철학적 교육을 제공할 수 있어 이러한 훈련의 가치를 강화할 수 있다. [인식론적 및 형이상학적 불확실성]의 분석에 필요한 어휘와 방법론을 의대생과 임상의에게 가르치는 것은 윤리적 숙고의 도덕적인 어휘와 틀을 가르치는 것만큼 중요할 것이다. 철학자들은 관심 있는 의사 챔피언들과 협력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는 임상 의학의 난제를 이해하고 이러한 문제에 대한 철학적 분석을 임상의들에게 의미 있는 방법으로 해석하도록 돕기 위함이다.

Although consensus may be hard to reach among professional philosophers, currently there are some areas of agreement. General consensus acknowledges, for instance, that findings from population-level studies alone are an inadequate basis for providing individualized care20 and that definitions of disease are malleable and often value laden.21 By focusing and building on areas of consensus, students can be provided with a philosophical education that is practical and useful, reinforcing the value of such training. Teaching medical students and clinicians the vocabulary and methodologies necessary for the analysis of epistemic and metaphysical uncertainty will be as important as teaching the moral vocabulary and framework of ethical deliberation. Philosophers will need to partner with interested physician champions, both to understand the challenges in clinical medicine and to help translate the philosophical analyses of these issues to clinicians in a meaningful way.


시작점

Places to Begin


현대 의학 교육의 다음 4가지 특정 영역을 의료행위의 철학적 기초를 탐구하고 인식적 불확실성을 완화하기 위한 올바른 합리화 접근법을 도입하기 위한 이상적인 출발점으로 권고한다.

We recommend the following four specific areas of contemporary medical education as ideal starting places to explore the philosophical underpinnings of medical practice and to introduce well-reasoned approaches for mitigating epistemic uncertainty.


역학/증거 기반 의약품 모듈

Epidemiology/evidence-based medicine modules


증거 기반 의학(EBM)은 대부분의 의과대학과 레지던트 프로그램이 역학 및/또는 의학 문헌 사용법에 대한 전용 단위를 추가함으로써 커리큘럼을 증가시키는 등 의료 교육에 심대한 영향을 끼쳤다. 기본적인 역학적 이해는 의료행위에 확실히 필요하지만, 의료지식 조성과 개별 환자에 대한 응용을 위한 인구수준 연구의 한계에 대한 이해도 역시 마찬가지다. 역학적 불확실성은 의학에서 인식론적 불확실성의 주요 근원을 나타낸다.6 인구 기반 연구에 대한 지나치게 집중하면 특정 개인에 대한 최선의 결정에 도달하기 위해 종종 요구되는 mechanistic한 지식이나 경험적인 지식을 평가절하하는 경향이 있다. 임상의사가 훈련을 통해 진척됨에 따라 임상연구만으로는 다양한 이유로 실패하는 사례가 점점 더 많이 경험한다. 현재 의학교육은 인구 수준 연구에서 도출된 역학적 방법과 지식에 초점을 두면서, [직접적인 임상 경험의 결과로 발달한 지식]이나 [생물학적 원리와 병태생리학을 이해하는 것]보다 낮은 것으로 평가절하하는 경향이 있다.

Evidence-based medicine (EBM)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medical education, with most medical schools and residency programs augmenting their curricula with the addition of dedicated units on epidemiology and/ or how to use the medical literature. Basic epidemiological understanding is certainly necessary for medical practice, but so too is the understanding of the limitations of population-level research for the generation of medical knowledge and application to individual patients. Epidemiological uncertainty represents a major source of epistemic uncertainty in medicine.6 Too narrow a focus on population-based research tends to devalue the mechanistic and experiential knowledge that is often required to arrive at the best decision for particular individuals. As clinicians progress through training, they may face more and more cases where clinical research fails them for any of a variety of reasons. The current focus of medical education on epidemiologic methods and knowledge derived from population-level research tends to devalue knowledge that develops as the result of direct clinical experience and from understanding biologic principles and pathophysiology.


학부연구연수

Undergraduate research training


우리(R.U) 중 한 명이 '불확실성 이해'라는 학부 건강과학 연구 모듈을 위해 세미나와 자습서를 만들었다. 이 세미나는 윌리엄 오슬러 경이 인용한 "의학은 불확실성과 확률의 기술"이라는 격언을 바탕으로 구성된다.25 세미나는 증거와 불확실성의 관계를 설명하는 비디오 강의를 사용한다. 의학사(특히 헬리코박터균의 발견이 소화성 궤양의 원인)의 예를 들어 의학적 증거의 내재적 잠정성을 강조하고 학생들이 지속적인 학습을 유지해야 하는 규범적 요건으로 이끈다. 그 세미나는 인식론(특히 오류론의 개념*)과 의료윤리 사이의 상호 강화 관계를 보여준다. 발레리 미케의 [증거 윤리에 대한 두 가지 의무]로 마무리된다.

One of us (R.U.) created a seminar and tutorial for the undergraduate health science research module called Understanding Uncertainty. The seminar builds on Sir William Osler’s oft-quoted dictum that “Medicine is a science of uncertainty and the art of probability.”25 The seminar uses a video lecture that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evidence and uncertainty. Using examples from the history of medicine (particularly the discovery of Helicobacter pylori as the cause of peptic ulcers), it emphasizes the inherent provisional nature of medical evidence and leads students to the normative requirement to maintain continuous learning. The seminar shows the mutually reinforcing relationship between epistemology (particularly the idea of fallibilism*) and medical ethics. It concludes with Valerie Miké’s26 two imperatives for an ethics of evidence:


1. 의료 의사 결정의 모든 단계의 기초로서 가능한 최선의 과학적 증거를 작성, 배포, 사용하고,

1. to create, disseminate, and use the best possible scientific evidence as a basis for every phase of medical decision making, and


2. 불확실성의 범위와 궁극적으로는 환원불가한 성질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이를 수용한다.

2. to increase awareness of, and come to terms with, the extent and ultimately irreducible nature of uncertainty.


*Fallibilism은 우리의 모든 과학적 신념이 불확실하고 새로운 발전에 비추어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을 고수하는 인식론적 접근법이다. https://www.iep.utm.edu/fallibil을 참조하십시오.

*Fallibilism is an epistemological approach that holds that all of our scientific beliefs are uncertain and subject to revision in light of new developments. See https://www.iep.utm.edu/fallibil.


임상 의학 소개

Introduction to clinical medicine


불확실성에 대한 접근은 임상 의학 강좌의 도입부에서 유용하게 가르쳐질 수 있으며, 침상 교육을 통해 강화된 개념을 가르칠 수 있다. 특히 형이상학적 불확실성은 일단 학생들이 환자에 손을 대기 시작하면 표면화된다. 질병에 걸린 사람과 처음 마주치는 것은 질병의 본질과 질병의 의미에 대한 질문을 자연스럽게 불러일으킨다. 환자를 처음 경험하는 것은 환자의 경험에 대한 공감적 검사examination를 장려한다.

Approaches to uncertainty can usefully be taught in the introduction to clinical medicine course, and the concepts reinforced through bedside teaching. Metaphysical uncertainty, in particular, rises to the fore once students begin to lay hands on patients. Initial encounters with persons who are ill naturally engender questions about the nature of illness and the meaning of disease. Experiencing patients for the first time encourages an empathetic examination of the experience of patients.


의학 교육에서 임상 의사 결정의 기초에 대한 명시적 논의가 항상 강조되는 것은 아니지만, 임상 실습에서 직관력과 경험의 중요한prominent 역할은 학생들이 전문가로 최종적인 발전을 촉진하도록 초기에 분명히 해야 한다.28 [경험적 접근과 직관]의 [중요성과 편재성ubiquity]을 인정하면 그러한 임상 평가에 부적절하게 개입할 수 있는 잠재적 편견을 명시적으로 논의할 수 있다.29

Explicit discussions of the bases of clinical decision making are not always emphasized in medical education, but the prominent role of intuition and heuristics in clinical practice should be made clear to students early on to facilitate their eventual development into experts.28 Acknowledging the importance and ubiquity of heuristics and intuition also allows for explicit discussion of potential biases that may inappropriately enter into such clinical assessments.29


전문직업성 Professionalism


많은 의대와 대학원 연수 프로그램들은 비록 최고의 모델이 여전히 문제시되긴 하지만, 훈련생들의 전문성을 기르기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접근해왔다. 불확실성의 전체 범위를 수용하고 이해하는 것은 의료 행위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의료전문가의 전문직업성에는 의료지식의 한계와 모든 의료결정의 확률론적 성격을 인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의료 훈련생들에게 전문적인 행동을 심어주기 위한 시책은 종종 지나치게 권위적이거나 가부장적인 관행을 수반하는 잘못된 확신의 위험성을 지적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Many medical schools and postgraduate training programs have taken a more active approach to developing professionalism in trainees, although the best model for doing so remains in question.30 Embracing and understanding the full extent of uncertainty is critical to the understanding of the practice of medicine; thus, clinicians’ professionalism includes acknowledging the limits of medical knowledge and the probabilistic nature of all medical decisions. Initiatives to instill professional behavior in medical trainees would do well to point out the perils of false certainty that often accompany overly authoritative or paternalistic practice. 


일부 사람들은 불확실성을 지나치게 강조하면 의사와 환자의 신뢰도에 대한 환자와 사회의 신뢰를 떨어뜨리거나 규제 당국과 과실치상 주장을 더 많이 불러올 수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 우리는 불확실성을 무시하고 거짓된 자신감과 자신감에 따라 행동하는 데 더 큰 위험이 있다고 본다. 불확실성을 인정하는 것은 [의사의 오류가능성]과 [의사들이 불가피하게 의지할 수 밖에 없는 지식의 오류]를 강조한다. Marcum은 "인식론적으로Epistemically 도덕적인" 임상의의 중요성을 주장해왔다. 그런 의사의 중요한 지적 미덕은 지적 겸손뿐만 아니라 호기심, 용기, 정직도 포함한다. 불확실성은 의료 교육에서 이러한 덕목을 배양해야 한다. 불확실성을 이해하면 전문성을 높일 수 있다.

Some may argue that too much emphasis on uncertainty will undermine the confidence of the patient and society in the credibility of physicians or may also invite more oversight from regulatory authorities and malpractice claims. Our view is that there are greater hazards to ignoring uncertainty and acting on false confidence and self- certainty. Acknowledging uncertainty underscores the fallibility of physicians and of the knowledge that they must, of necessity, rely on. Marcum31 has argued for the importance of an “epistemically virtuous” clinician. The important intellectual virtues of such a physician include curiosity, courage, and honesty as well as intellectual humility. Uncertainty necessitates the cultivation of these virtues in medical education; understanding uncertainty may facilitate professionalism.



의학의 철학을 의학 교육에 도입하는 것의 중요성

The Importance of Bringing the Philosophy of Medicine Into Medical Education


반세기 전, 의학 교육은 철학자와 신학자들의 유입과 투입으로 인해 임상 실습에서 도덕적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고, 촉진하고, 이익을 얻었다. 임상 의학에서 인식론적, 형이상학적 불확실성의 계속되는 난제는 더 많은 임상 연구로 해결되지 않을 것이다. 의료 교육은 미래의 의사들에게 불확실성을 임상 의학의 일부로 받아들이도록 간청할 뿐만 아니라, 불확실성의 본질에 대한 통찰력과 실무에 스며드는 인식론적 도전과 형이상학적 가정을 다루기 위한 구체적인 접근법을 제공함으로써 미래의 의사들에게 최선의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A half century ago, medical education invited, facilitated, and benefited from the influx and input of philosophers and theologians to help address and ameliorate moral uncertainty in clinical practice. The ongoing challenges of epistemic and metaphysical uncertainty in clinical medicine will not be solved by more clinical research. Medical education would best serve future physicians by not only imploring them to accept uncertainty as part of clinical medicine but also providing them insight into the nature of uncertainty and concrete approaches to dealing with the epistemic challenges and metaphysical assumptions that permeate practice.






. 2019 Apr;94(4):507-511.
 doi: 10.1097/ACM.0000000000002512.

A Philosophical Approach to Addressing Uncertainty in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Affiliation

  • 1M.R. Tonelli is professor of medicine and adjunct professor of bioethics and humanities,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Washington. R.E.G. Upshur is professor, 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and Dalla Lana School of Public Health,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Abstract

Conveying the uncertainty inherent in clinical practice has rightly become a focus of medical training. To date, much of the emphasis aims to encourage trainees to acknowledge and accept uncertainty. Intolerance of uncertainty is associated with medical student distress and a tendency in clinicians toward overtreatment. The authors argue that a deeper,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uncertainty would allow students and clinicians to move beyond simple acceptance to explicating and mitigating uncertainty in practice.Uncertainty in clinical medicine can be categorized philosophically as moral, metaphysical, and epistemic uncertainty. Philosophers of medicine-in a way analogous to ethicists a half century ago-can be brought into medical education and medical practice to help students and physicians explore the epistemic and metaphysical roots of clinical uncertainty. Such an approach does not require medical students to master philosophy and should not involve adding new course work to an already-crowded medical curriculum. Rather, the goal is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language and reasoning skills to recognize, evaluate, and mitigate uncertainty as it arises. The authors suggest ways in which philosophical concepts can be introduced in a practical fashion into a variety of currently existing educational formats. Bringing the philosophy of medicine into medical education promises not only to improve the training of physicians but, ultimately, to lead to more mindful clinical practice, to the benefit of physicians and patients alike.


소셜미디어와 의학 전문직업성: 논쟁과 나아갈 길(Acad Med, 2014)

Social Media and Medical Professionalism: Rethinking the Debate and the Way Forward

Tara Fenwick, MEd, PhD




의료 협회, 의료 교육자, 연구자 사이에 blog 및 마이크로블로그(트위터), 소셜 네트워크 작업 사이트(Facebook, Myspace), 콘텐츠 공유 사이트(YouTube, Flickr) 등 소셜 네트워킹 미디어의 사용에 대한 토론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1 의료 서비스 향상을 위한 소셜 미디어의 이점을 제시하는 새로운 연구에도 불구하고 실천, 출판된 문학은 여전히 그것의 인식된 남용에 대한 강한 우려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이러한 소셜 미디어의 위험은 일반적으로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우려로 프레임되며, 소셜 미디어 사용은 직업 윤리의 문제로 논의되고 있다.

A surge of interest in debating the uses of social networking media—blogs and microblogs (Twitter), social net­ working sites (Facebook, Myspace), and content sharing sites (YouTube, Flickr)—is occurring among medical associations, medical educators, and researchers.1 Despite emerging studies that suggest benefits of social media to enhance medical practice, the published literature remains dominated by strong concerns about its perceived abuses. These social media risks are typically framed in worries about medical pro­fessionalism, and social media use is discussed as a matter of professional ethics.


위험 회피에 대한 이러한 강조는 중요하지만, 소셜 미디어에 의해 제공되는 실험과 새로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온라인 행동을 규제하는 가이드라인에 걸려 있는 역학관계를 재고하고 온라인 전문성을 재고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This emphasis on risk avoidance, although important, can foreclose experimentation and the new possibilities afforded by social media. What may be helpful is to reconsider the dynamics at stake in the guidelines that regulate online behavior and to rethink online professionalism.


증거 검사: 소셜 미디어 사용 검토

Examining the Evidence: Reviewing the Use of Social Media


의료행위에 소셜미디어를 사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성이 널리 설명되어 있다.4–6 가장 윗부분은 불경스럽고 차별적인 언어 및/또는 술취하거나 성적으로 노골적인 행동을 묘사하는 내용을 게시함으로써 환자의 기밀성을 훼손하고 의료계에서 공공적 confidence를 침식하는 것에 대한 우려사항이다.7 일부 저자들은 전문가들이 전자 매체를 통해 친구들에게 보내는 개인적인 메시지는 프로페셔널리즘 코드에 따라 면밀히 조사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비전문성 혐의는 블로그와 연관되어 있으며, 고용주를 비난하는 트윗이 유포되었다.6 온라인 환경에 대한 불감증과 익명성이 언론의 넓은 범위에 의해 즉시 증폭된 부적절한 게시물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일반적인 우려가 있다.4

The potential risks of using social media in medical practice are widely described.4–6 Uppermost are concerns about compromising patient confidentiality and eroding public con­fidence in the medical profession through posting content that contains profanity, discriminatory language, and/or depictions of intoxication or sexually explicit behavior.7 Some authors have warned that professionals’ personal messages to friends via electronic media can be scrutinized according to codes of profes­sionalism. Charges of unprofessionalism are also linked to blogs and tweets per­ceived to criticize employers.6 There is general concern that a sense of dis inhibition and anonymity in online environments may produce inappropriate postings, amplified immediately by the wide reach of the media.4


이러한 우려에 대응하여, 일부 사람들은 특정한 훈련과 연습을 필요로 하는 뚜렷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e­professionalism" 3,8을 주장해왔다. 이러한 최근의 추세에 따라, 새로운 정책들은 소셜 미디어 사용을 규제하고 줄이기 위한 자발적인 행동에 대한 처방을 명시적으로 제시하고 있다.9 예를 들어 영국 종합의사회는 2013년 4월 금지 사항을 강조하는 국가 소셜 미디어 정책을 발표했는데, 이 정책은 어디서나 환자에 대한 식별 가능한 정보를 공유하지 말며, 사회와 직업 관계를 혼용하지 말며, 자신을 의사라고 밝힌다면 어떤 사이트에도 익명의 자료를 올리지 말라는 것이다.

Responding to such concerns, some have argued for “e­professionalism”3,8 as a distinct new paradigm requiring particular training and practice. Following this recent trend, new policies have explicitly set forth prescriptions for nor­mative behavior to regulate and reduce social media use.9 The General Medical Council of the United Kingdom, for example, released a national social media policy in April 201310 that emphasizes the prohibitive: Do not share identifiable information about patients anywhere, do not mix social and professional relations, and do not post anonymous material on any site if you identify yourself as a doctor.


한편, 소셜 미디어가 어떻게 의료 관행을 강화할 수 있는지, 그리고 온라인 프리젠테이션이 어떻게 연대를 촉진하고 전문적 발전과 국가/국제적 연계를 확장시킬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연구들이 지금 나타나고 있다.11–13

Meanwhile, studies are now appearing that show how social media can enhance medical practice and how an online pre­sence can foster collegiality and exte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national/ international linkages.11–13


함과 동료 11은 이 문헌에 대한 범위 지정 검토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보고되는 경향이 있지만, 아직 유의미한 효과성을 보이는 평가는 많지 않다고 결론짓는다. 이러한 증거의 부족은 소셜 미디어의 위험요소가 그것의 이익보다 훨씬 더 큰 관심을 끄는 한 가지 이유일 수 있다.

In their scoping review of this literature, Hamm and colleagues11 conclude that while positive results tend to be reported, there is not yet much evaluation showing significant effective­ness. This lack of evidence may be one reason why social media hazards attract far greater attention than do its benefits.


분명히 소셜 미디어와 의료 직업에 대한 연구 확산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Clearly, despite the proliferating studies of social media and medical profession­alism, more research is needed


그리슨과 동료 17은 여전히 문제가 있는 내용의 의사 게시물이 전체 프로파간다 위반 건수의 상대적으로 적은 비율에 불과하며, 이러한 게시물은 온라인 상에서 심각한 오프라인 위반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고 결론짓는다. 즉, 공동체로서 우리는 문제가 되는 행동이 소셜 미디어의 결과인지 더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따라서 온라인 활동을 감시하고 의대생들에게 온라인 전문성에 대해 가르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인지 살펴봐야 한다) 혹은, 어쩌면 온라인 환경은 (이미 존재하는) 의료 전문직업성의 더 싶은 문제를 그저 좀 더 가시적이고 더 공개적인 문제로 만드는 것일지도 모른다.

Greysen and colleagues17 conclude that physician postings of problematic content still constitute only a relatively small percentage of the total number of profes­sional violations, and that these postings may be online manifestations of serious offline violations. That is, as a community, we might look more closely at whether problematic behaviors are a consequence of social media (and therefore best addressed through policing online activity and teaching medical students about online professionalism) or if, perhaps, the online environment simply makes more visible—and more public—some deeper problems in conceptualizing and actualizing medical professionalism.


프로페셔널리즘 재고

Reconsidering Professionalism(s)


의학적 "온라인 전문성"으로 이해되는 것은? 소셜미디어 문학에서 강조되는 것은 부적절한 개별 게시물에 해당된다. 여기서 우리는 전문직업성을 윤리적인 결정을 내리는 개인의 문제로 본다. 이러한 결정은 교육을 통해 발전하고 윤리 규범을 통해 규율할 수 있는 특정한 직업적 가치에서 도출된 합리적이라고 가정한다.

What is understood to be medical “online professionalism”? The emphasis in the social media literature falls on inappropriate individual postings. Here we see a view of professionalism as a matter of individuals making ethical decisions. The decisions are assumed to be rational, drawn from particular professional values that can be developed through education and disciplined through ethical codes.


점점 더, 오랫동안 지속되어온 이 논쟁은 비판적으로 재고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프로페셔널리즘은 신뢰, 전문 지식, 공직에서의 위험을 관리하는 데 필요한 재량권과 관련된 규범적 가치 체계로 표현되어 왔다.18 그러나 비평가들은 프로페셔널리즘은 존재의 방식이 아니라, 오히려 [직업적 봉쇄와 통제를 보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념적 담론]이라고 주장한다.19

Increasingly, this long­standing assump­tion is being critically reconsidered. Traditionally, professionalism has been represented as a normative value system, associated with trust, specialized knowl­edge, and the discretion needed to manage risk in public service.18 However, critics argue that professionalism is not a way of being; rather, it is an ideological discourse used to ensure occupational containment and control.19


예를 들어, Lewis20은 제도화된 의학("전문직")과 "프로페셔널리즘"의 담론 (프로페셔널리즘은 아직도 개별 임상의들의 가치와 행동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사이의 근본적인 모순을 강조한다. 의료전문직은 전문가 중심, 첨단 기술, 고비용 개입을 강조한다. 때로는 인문학적 환자 치료, 사회 정의 및 민주적 조사를 희생시키기도 한다. 그러나 프로페셔널리즘은 개개인이 이타적 치료와 여러 기관에 대한 의무를 모두 책임지게 한다. 전문성 담론은 개인의 실무자들을 통제하고 이 개인들이 상충되는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시스템을 탐색하는 데 일차적으로 책임을 지도록 함으로써 심오한 시스템 갈등을 억제하는 수사학처럼 잘 작동한다.

For example, Lewis20 highlights the fundamental con­flict between the discourses of institution­alized medicine (the “profession”) and of “professionalism” (which still tends to focus on the values and behaviors of individual clinicians). The profession emphasizes expert­driven, high­tech, high­cost interventions—sometimes at the expense of humanistic patient care, social justice, and democratic inquiry. However, professionalism makes the indi­vidual responsible for both altruistic care and duty to multiple authorities. The professionalism discourse works well as rhetoric to contain deep systemic conflicts by controlling individual practitioners and making these individuals primarily accountable for navigating the system to meet conflicting demands.


게다가, 의학 전문성에 대한 최근의 논쟁은 전문직업성의 단일한 프레임의 부적절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전통적인 프레임워크는 단순히 여러 규제기관, 빠르게 변화하는 증거, 그리고 새로운 형태의 실천요강에 대응할 수 없다.21 증가하는 연구는 의료전문가의 책임의 다원화를 의미한다.22 전문직들은 [제도적 규칙과 효율성, 환자와 가족, 광범위한 사회적 요구, 의학, 전문 표준과 규제 코드, 그리고 그들 자신의 개인적 가치에 대한 의무]를 잘 저글링해야 한다.

Furthermore, recent debates in medical professionalism have shown the inade­quacy of singular frames of profession­alism. These traditional frameworks simply cannot respond to multiple regulators, fast­changing evidence, and new forms of practice.21 Growing research points to the pluralism of medical professionals’ responsibilities.22 Professionals must juggle obligations to institutional rules and efficiencies, to patients and families, to broad social needs, to medical science, to professional standards and regulatory codes, and to their own personal values.


이러한 "약속 거미줄"은 종종 메이23이 "합법적인 타협"이라고 부르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의사들은 [여러 이해당사자들의 우려] 사이의 균형을 맞추되, 그 중 한쪽의 기대만 완전히 충족시키지는 않을 수 있는 행동 경로를 탐색한다.

This “web of commitments” often necessitates what May23 has called “legitimate compromises.” Doctors navigate a path of action that simultaneously balances concerns for different stakeholders with­out necessarily meeting the full expecta­tions of any one.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에서, 주니어 의사는 학생들과 교육자들의 공통적인 딜레마를 설명하기 위해 그의 마취 실습에서 발생한 사건에 대해 정기적으로 블로그를 할 수 있다. 게시물은 효과적인 전략을 다룰 수 있지만, 고정된 일상, 상충되는 프로토콜, 조직과 자원의 비효과적인 병원 과정, 의심스러운 직원 역량, 가족 문제 등 문제를 드러낼 수도 있다. 비록 모든 자료가 익명으로 되어 있고 동료들과 대중들의 반응이 압도적으로 긍정적이라고 할지라도, 그러한 블로그는 쉽게 "비전문직업적" 행동으로 치부될 수 있다. 블로그 독자는 어쩌면 환자, 제공자, 직원 또는 다른 사람의 신원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의사는 잠재적으로 고용주의 계약을 위반할 수 있다; 블로그 게시물은 동료에 대한 전문적인 윤리 규정을 어길 수 있다; 그리고 블로그 내용은 일부 환자의 기밀을 해칠 수 있다.

For example, in social media, a junior doctor may regularly blog about incidents from his anesthesia practice to illustrate common dilemmas for students and educators. The postings may cover effective strategies but may also reveal problems: entrenched routines, conflicting protocols, ineffectual hospital processes of organizing and resourcing, questionable staff competence, family issues. Even if all the material is anonymized and responses from colleagues and the public are overwhelmingly positive , such a blog can easily be dismissed as “unprofessional.” Blog readers may be able to discover the identities of patients, providers, staff, or others; the physician may potentially contravene an employer’s contract; blog postings may flout professional codes of ethics  respecting colleagues; and blog content may compromise some patients’ confidentiality.


일부 전문가들은 이러한 갈등에 의해 전문성에 대한 완전히 새로운 이해가 요구된다고 주장해왔다. 예를 들어 비판적 연구24는 [전문직업적 미덕의 보편적 목록]이 현대적 관행의 모순된 요구에 맞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직업사회학자인 이베츠는 병원과 같은 공공기관에 시장을 침투시킴으로써 프로페셔널리즘의 새로운 현실에 주목한다. 즉 그녀는 [프로페셔널리즘 커뮤니티("직업적" 프로페셔널리즘")를 정의하는 기존의 자율규제 및 이타적 약속]이 어떻게 [고용주의 요구와 생산 조치("조직적" 전문성")]에 의해 대체되고 재정의되는지를 보여준다.

Some experts have argued that entirely new understandings of professionalism are called for by these conflicts. For example, critical studies24 show that universal lists of professional virtues are not fit for the contradictory demands of contemporary practice. Evetts,25 a sociologist of professions, draws attention to new realities of professionalism being produced through the infiltration of markets into public institutions such as hospitals; that is, she shows how the conventional self-­regulation and altruistic commitments defining a pro­fessional community (“occupational” professionalism) are being displaced and overridden by employers’ demands and output measures (“organizational” professionalism).


점점 더 많은 연구자들이 복잡한 시스템에 내재된 공동의 노력으로서 전문성을 연구하고 있다. 예를 들어, 마르티미니아키스와 동료 26은 응급실 감독관의 간단한 지시로 바쁜 복도에서 임산부 환자의 빠른 질 검사를 한다는 것이 어떻게 전문직업성의 다중적 갈등을 통합하는지를 보여준다: 환자 중심의 진료, 자원 제약, 역사적 제도적 갈등과 실천, 위계, 성별, 인종, 그리고 의사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역할(해결사, 휴머니스트, 교사, 동료, 옹호자, 협력사원)

Increasingly, researchers are studying professionalism as a collec­tive endeavor embedded within complex systems. For example, Martimianakis and colleagues26 show how a simple direction to a clinical clerk from her emergency department supervisor that she conduct a quick internal vaginal examination of a pregnant patient in a busy hallway integrates multiple conflicts of professionalism: patient­centered care, resource constraints, historic institutional conflicts and practice, hierarchies, gender and race, and the different roles demanded of doctors (problem solver, humanist, teacher, colleague, advocate, cooperative employee).


이 모든 문제들은 전문직업성을 이해하는 데 있어 보다 시스템적이고, 관계적이며, 심지어 다원주의적 접근방식에 대해 말한다.

All of these issues speak to a more sys­temic, relational, and even pluralist approach to understanding professionalism.


소셜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생각

Thinking More Critically About Social Media


기술은 디지털 작업 전문가인 Orlikowski에 따르면, 테크놀로지는 사람들이 실제로 그것을 실천할 때에만 가치가 있고, 의미 있고, 그 결과물이 된다. 새로운 소셜 미디어와 같은 테크노로지의 운영과 결과는 고정되거나 결정되지 않는다. 그것들은 실제로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항상 출현한다. Orlikowksi27은 가상 공간의 우발적 상호작용을 말한다. 건강 관리에서 소셜 미디어를 통해 상호작용하는 다양한 온라인 사용자들은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Technology becomes valuable, meaning­ful, and consequential only when people actually engage with it in practice, accord­ing to digital work specialist Orlikowski.27 The operation and outcomes of techno­logies such as new social media are not fixed or determining. They are always emergent through interaction with humans in practice: what Orlikowksi27 calls the contingent intermingling of virtual spaces. In health care, the various online users interacting through social media— are not easily separated.


더욱이 소프트웨어 자체에 내장된 알고리즘과 기술적 여유와 같이 비판적으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역학관계가 있다. 이것들은 일상 생활을 지배하는 디지털 인프라를 만든다: 키친과 닷지28이 말하는 "코드스페이스"이다. 소셜 미디어의 기존 역사는 이미 특정 형태의 참여를 형성하고 있다. 페이스북 알고리즘과 루틴은 [무엇을 지식으로 취할 것인지]뿐만 아니라, [지식 교환의 내용과 스타일]을 형성한다. 반다이크의 소셜미디어 이용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는 "친구맺기," "좋아요 누르기," 연결하기, 유행하기, 팔로잉 등의 패턴이 어떻게 관계에 대한 더 넓은 문화적 기대를 형성하게 되었는지를 보여준다. 프라이버시 개념 자체가 온라인 규범을 통해 재구성되고 있다. 관계, 프라이버시, 그리고 지식에 대한 이러한 변화된 생각은 환자와 전문가들이 온라인 상에서 어떻게 관여하는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Furthermore, there are important dynamics to consider critically, such as the algorithms and technological affordances built into the software itself. These create digital infrastructures that govern everyday practice: what Kitchin and Dodge28 call “codespace.” Existing histories of social media are already shaping particular forms of participation. Facebook algorithms and routines shape the content and style of exchange, as well as what is taken for knowledge. Van Dijk’s29 in­depth study of social media use shows how patterns of “friending,” “favoriting,” linking, trending, and following have come to shape broader cultural expectations for relationships. Notions of privacy itself are being recon­figured through online norms. These changing ideas of relationship, privacy, and knowledge are bound to affect how patients and professionals engage online.


의료계에 종사하는 우리들도 '개방성', 모호한 경계, 연결성이 본질적으로 좋은 것이라는 가정에 더 비판적일 필요가 있다. 사용자는 디지털 법인의 상업적 이익을 창출하는 콘텐츠를 창출하기 위해 무료 노동력을 기부하고, 사용자 연결은 기업 데이터 마이닝에 공급한다.30 이러한 관점에서 소셜 미디어 참여자는 [권한을 부여받은 행위자]이자 동시에 [착취당하는 대상]으로 볼 수 있다. 게다가, "정보격차"는 노령화, 저소득, 또는 시골지역 인구의 진정한 온라인 활동을 계속해서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Those of us in the medical community also need to be more critical of assumptions that “openness,” blurred boundaries, and connectivity are inherently good things. Users donate free labor to generate content that creates commercial profits for digital corporations, and user connectivity feeds corporate data mining.30 From this perspective, social media participants can simultaneously be viewed as empowered agents and targets for exploitation. Further, the “digital divide” continues to complicate genuine online outreach to aging, low­income, or rural populations.


이러한 매우 현실적이고 종종 드러나지 않는 문제에도 불구하고 소셜 미디어를 통해 생성된 가상 환경은 의사소통을 위한 고유한 이점을 제공한다. 컨텐츠 반복 및 리믹스(다른 미디어 유형의 컨텐츠와 심지어 기법까지 결합)의 일반적인 관행은 새로운 하이브리드 형태의 지식을 생산하면서 참가자들을 독특한 방식으로 연결시킨다.

Despite these very real, often­ unexamined issues, the virtual environment generated through social media affords unique benefits for communication. Common practices of content reiteration and remixing (combining content and even techniques of different media types) connect participants in unique ways while producing new hybrid forms of knowledge.


가상 환경(사진, 웹 페이지, 게시물, 클릭과 선택 패턴 등)에서 우리의 "경로"나 디지털 발자국이 차지하는 현상은 유용한 방법으로 수확될 수 있는 자원을 만들어낸다.

The phenomenon of our “traces” or digital footprints in virtual environments (photos, Web pages, posts, even our patterns of clicks and selections, etc.) creates resources that can be harvested in useful ways.


추가 연구를 위한 문제

Issues for Further Research


우리는 다른 임상 상황에 있는 의사와 학생들이 실제로 일상 생활에서 소셜 미디어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견실한 비교 설명이 필요하다.

We need robust, comparative accounts of how physicians and students in different clinical contexts actually use social media in their everyday practice.


소셜 미디어를 통해 어떻게 전문적 정체성이 변화하고 적응할 것인가? 

온라인에서 구성되는 ID는 무엇인가? 

어떤 형태의 전문가-환자 간 의사소통이 온라인으로 진화하고 있는가?

How do professional identities shift and adapt through social media? 

What identities are constructed online? 

What forms of professional–patient communication are evolving online?


우리는 또한 대중을 참여시키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유용한 정보를 퍼뜨리기 위해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 것의 효과성에 대한 증거를 제공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We also need studies providing evidence about the effectiveness of using social media to engage the public, provide service, and disseminate useful infor­mation.


이러한 종류의 연구는 소셜 미디어의 전문성에 관한 새로운 지침과 이슈를 식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소셜 미디어의 전문성에 대한 이념적 폐쇄나 단순한 전문성 제한을 회피한다.

This sort of research could help identify new guidelines for and issues regarding professionalism in social media that avoid the ideological closure or simple restricting of e­professionalism.


결론 

In Sum


온라인 행동의 규제와 교육은 몇몇 당면한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디지털 세계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에 대해 비판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을 발달시키지는 못할 수도 있다. 또한 전문성에 대한 그러한 제재적이고 지시적 접근은 학생들이 그들의 연습에 있어 중요한 문제, 즉 [전문직과 전문직업성 사이의 중심적 갈등]과 [이해당사자들 사이의 모순된 요구들]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없다. 사용자들이 하는 일에 반응하여 새로운 소셜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사회 규범과 전문성의 의미 모두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미디어는 상호작용, 관계 구조, 프라이버시의 의미, 그리고 지식의 특정 유형과 신체의 가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기 위해 교육자뿐만 아니라 학생들에 의한 광범위한 비판적 검토가 필요하다.

Regulations and in­struction in online behavior can help address some immediate issues but may not develop students’ capacity to think critically about their engagements in digital worlds. Nor can such restrictive, didactic approaches to professionalism help students to navigate the larger issues at stake in their practice: central conflicts between profession and professionalism, and contradictory demands among stakeholders. New social media are continually appearing, often in response to what users do, with profound effects on both social norms and the meaning of professionalism. These media need broad critical examination by educators as well as students to appreciate how they influence interactions, relationship structures, the meaning of privacy, and the value of certain types and bodies of knowledge.


내가 옹호하는 접근방식은 "나쁜" 소셜 미디어 관행을 서둘러 통치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하고 이중적인 선/악의 프레임을 넘어, 소셜미디어 practice가 갖는 현재와 미래의 함의를 보다 면밀하게 그리고 더 비판적으로 보는 것이다.

The approach I advocate does not rush to govern “bad” social media practices but, rather, looks more closely—and more critically—at its current and future implications for practice beyond the simplistic, dualistic good/evil framing.


전문직업성을 단일한 덕목이나 존재상태보다는, 다원적 실천의 범위로 취급하려는 움직임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다양한 온라인 실험을 통해 나타나고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전문성을 추적하는 데 주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Given the widespread shift to treat professionalism as a pluralistic range of practices rather than as a singular set of virtues or state of being, we might focus on tracing the new forms of professionalism that are emerging through various online experiments.






. 2014 Oct;89(10):1331-4.
 doi: 10.1097/ACM.0000000000000436.

Social media and medical professionalism: rethinking the debate and the way forward

Affiliations 

Affiliation

  • 1Dr. Fenwick is professor of professional education and director, ProPEL (international network for research in professional practice, education and learning), School of Education, University of Stirling, Stirling, United Kingdom.
Free article

Abstract

This Perspective addresses the growing literature about online medical professionalism. Whereas some studies point to the positive potential of social media to enhance and extend medical practice, the dominant emphasis is on the risks and abuses of social media. Overall evidence regarding online medical professionalism is (as with any new area of practice) limited; however, simply accumulating more evidence, without critically checking the assumptions that frame the debate, risks reinforcing negativity toward social media. In this Perspective, the author argues that the medical community should step back and reconsider its assumptions regarding both professionalism and the digital world of social media. Toward this aim, she outlines three areas for critical rethinking by educators and students, administrators, professional associations, and researchers. First she raises some cautions regarding the current literature on using social media in medical practice, which sometimes leaps too quickly from description to prescription. Second, she discusses professionalism. Current debates about the changing nature and contexts of professionalism generally might be helpful in reconsidering notions of online medical professionalism specifically. Third, the author argues that the virtual world itself and its built-in codes deserve more critical scrutiny. She briefly summarizes new research from digital studies both to situate the wider trends more critically and to appreciate the evolving implications for medical practice. Next, the author revisits the potential benefits of social media, including their possibilities to signal new forms of professionalism. Finally, the Perspective ends with specific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that may help move the debate forward.


의과대학생의 전문직업성 실수를 다루는 로드맵 (Acad Med, 2019)

A Road Map for Attending to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ism Lapses

Marianne C. Mak-van der Vossen, MD, Anne de la Croix, MA, MEd, PhD, Arianne Teherani, PhD, Walther N.K.A. van Mook, MD, PhD, Gerda Croiset, MD, PhD, and Rashmi A. Kusurkar, MD, PhD



학부 의대생들의 전문직업성 실수에 관심을 갖는 것은 교육자들에게는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일이다.1 프로페셔널리즘의 오류를 관리하는 방법은 가르쳐지지 않으며, 전문직업성은 쉽게 얻어지지 않는다.2

Attending to professionalism lapses of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is a demanding and time-consuming task for educators.1 How to manage professionalism lapses is not taught, nor does expertise come easily.2


[전문직업적 실수의 관리]에 대한 지식은 기관에 학생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증거 기반 도구(즉, 학생의 졸업 허용 여부)를 제공할 것이다.

Knowledge about managing professionalism lapses will provide institutions with evidence-based tools by which to make decisions about their students (i.e., whether a student should be allowed to graduate).


학부 의학 교육의 전문직업성을 가르치고, 모델링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은 미래의 의사들에 의한 좋은 환자 진료의 전달에 매우 중요하다.3–8 이전의 연구는 학생들의 전문성 결여가 4개의 영역, 즉 관여, 성실성, 상호작용, 자기성찰의 4가지 영역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준다.9

Teaching, modeling, and monitoring professionalism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re crucial for the delivery of good patient care by future physicians.3–8 Previous research shows that students’ professionalism lapses occur in four domains, the so-called 4 I’s: lapses in involvement, integrity, interaction, and introspection.9


기여 요인은 종종 [인식, 기술 및 태도의 결핍과 같은 개인적 영향]과 [학습 환경에서의 상황적 영향]의 조합이다.15–17 전문적이지 않은 행동에 대한 이해도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교육자들이 보고하기를 꺼려하기 때문에 더 나은 식별identification과 재교육이 잘 이뤄지지 않는다.18–21 교육교사들은 종종 전문직업적 실수의 교정조치가 어렵고 효과적이지 않다고 생각한다.18,22–24 또한 전문직업성 교정조치 practice에 관한 학교들 간의 큰 변동성을 관찰할 수 있다.25,26 교육자들은 전문직업성 실수의 관리방침와 그러한 관리방침이 학습자에게 갖는 영향력이 명확할 경우에 전문직업성 실수에 대해 보고할 의사가 더 높아질 수 있다.

Contributing factors are often a combination of individual influences such as deficits in cognition, skills, and attitude,13,14 and contextual influences from the learning environment.15–17 Despite a growing understanding of (un)professional behavior, better identification and remediation is hampered by educators’ reluctance to report it.18–21 Educators often consider remediation of lapses difficult and ineffective.18,22–24 Also, a wide variability among schools regarding professionalism remediation practices can be observed.25,26 Educators would be more willing to report professionalism lapses if policies regarding the management of professionalism lapses and the effects such management has on the learner were clearer to them.18


전문성 오류를 관리하는 모델은 여러 이론 논문에서 설명되어 왔다. 이러한 모델은 [특정 전문성 문제를 대상으로 하는 모델]과 [지식, 기술 또는 태도 문제에 적용되는 일반적 모델]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성된다. 6,8,27–30 표 1 참조

Models for managing professionalism lapses have been described in several theoretical papers. These models are of two types: specific models that target professionalism concerns, and general models that are applicable to knowledge, skills, or attitude problems.6,8,27–30 See Table 1



기존 모델은 학습자의 수준(이하)에 따라 다르다. 각 모델에서, 다른 수준들은 문헌이 적절하게 설명하지 못하는 특정한 행위자, 규칙, 그리고 규정들을 가지고 있다. 아직까지는 수준 사이의 임계값을 구성하는 것이 무엇인지 불분명하다.

Existing models are based on different levels of (under)performance of learners. In each model, the different levels have specific actors, rules, and regulations that the literature does not adequately describe. So far, it is unclear what constitutes the thresholds between the levels.


방법

Method


연구 설계 Study design


우리는 이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근거이론 접근법을 채택했다. 31,32 그것은 우리가 이해를 발전시킬 수 있게 해주었고, 전문성 실수의 관리에 관한 이론적 모델을 제안했다.

We employed a grounded theory approach to conduct this study,31,32 as it allowed us to develop an understanding, and propose a theoretical model regarding the management of professionalism lapses.


근거이론 접근법은 종종 귀납적인 방법으로 사용되지만 기존의 지식을 더 쌓는 데도 사용될 수 있다.33 본 연구에서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은 이전 연구의 결과에 의해 주도되었다.10,34

A grounded theory approach is often used as an inductive method but can also be used to build further on existing knowledge.33 In this study, the data acquisition and analysis was guided by findings from our previous research.10,34


성찰성 Reflexivity


우리는 [지식은 인간의 상호작용과 관계의 결과로서 능동적으로 구성되고 공동생산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구성주의적 패러다임을 사용했다.35

We used a constructivist paradigm, in which knowledge is seen as actively constructed and cocreated as a result of human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35


절차와 참가자 Procedures and participants


2016년 10월부터 2018년 1월까지 미국 13개 의과대학 전문가 19명을 대상으로 23명의 공개 심층면접을 통해 반복적으로 질적 데이터를 수집했다. 모두 최소 3년 동안 학교에서 전문성을 위한 교정조치 과정을 감독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었으며, 이 글에서 "전문성 교정조치 감독관"(PRS)이라고 언급되었다.

Between October 2016 and January 2018, we iteratively collected qualitative data through 23 open-ended in-depth interviews with 19 experts from 13 medical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All had, for at least three years, the task of supervising the remediation process for professionalism in their school and will in this article be referred to as a “professionalism remediation supervisor” (PRS).


M.M.이 인터뷰를 실시했는데, 이 인터뷰에서는 이전 연구에서 나온 결과가 전문성 결여 관리에 대한 아이디어 교환의 출발점으로 사용되었다(추가 디지털 부록 1, 2는 http://links.lww.com/ACADMED/A618 참조).

M.M. conducted the interviews, in which findings from a previous study were used as a starting point for an exchange of ideas about managing professionalism lapses (see Supplemental Digital Appendices 1 and 2, available at http://links.lww.com/ACADMED/ A618).


자료 분석 Data analysis


초기 코딩 단계에서는 파일럿 면접에서 비롯되는 초기 코딩 방식을 사용했으며, 이는 읽기, 코딩 및 토론의 지속적인 비교 과정에서 진화했다. 초기 발견에 기초하여 우리는 추가 샘플링을 채택했다. 이러한 추가 데이터를 분석한 후, 코드와 범주의 최종 세트가 확립되고, 예비 모델이 초안되었다. 두 번째 코딩 단계의 경우, M.M.은 다른 코더들과 애로사항을 논의하면서 최종 코드 세트를 사용하여 모든 대본을 다시 작성했다. M.M.과 A.C.는 세 번째 자료를 통해 특히 예비 모델에 도전할 만한 사례를 찾아보았다. 분석 과정 동안 우리는 아이디어를 모으기 위해 메모, 다이어그램, 회의록 등을 사용했다. 우리는 전체 연구팀과 토론을 통해 그 결과를 범주적 수준에서 개념적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For the initial coding phase we used an early coding scheme originating from the pilot interview, which evolved in a constant comparative process of reading, coding, and discussing. On the basis of the initial findings we employed additional sampling. After analyzing these additional data, a final set of codes and categories was established, and a preliminary model was drafted. For the second coding phase, M.M. recoded all transcripts using the final set of codes, discussing difficulties with the other coders. M.M. and A.C. went through the data a third time to especially look for any cases that would challenge the preliminary model. During the analytic process we used memos, diagrams, and minutes of research meetings to collect ideas. We raised the results from the categorical to the conceptual level through discussions with the full research team.


결과 Results


인터뷰를 바탕으로 교육자들이 3단계 과정으로 학생들의 전문성 실수에 어떻게 참여했는지를 시각화했다. 

  • 1단계는 "탐구와 이해"로 특징지어졌다. 

  • 2단계는 "재교육"이었고, 

  • 3단계는 "해임에 대한 명백한 증거"였다. 

On the basis of the interviews, we visualized how educators attended to students’ professionalism lapses as a three-phase process. 

  • Phase 1 was characterized as “explore and understand,” 

  • phase 2 was “remediate,” and 

  • phase 3 was “gather evidence for dismissal.” 

1단계와 2단계 사이의 임계치는 [실수의 근본 원인]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보였다. 

2단계와 3단계 사이의 임계치는 학생의 [성찰도와 개선](또는 개선 부족)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보였다.

The threshold between phases 1 and 2 appeared to be constituted by the underlying causes for the lapse. 

The threshold between phases 2 and 3 appeared to be constituted by the student’s reflectiveness and (lack of) improvement.


세 가지 단계는 각각 달성해야 할 목표, 관련된 개인, 수행된 활동의 유형, 그리고 의사결정의 이면에 있는 추리에서 달랐다.

Each of the three phases differed in the goals to be achieved, the individuals involved, the type of activities undertaken, and the reasoning behind decisions that were made.


참가자들이 교정조치에 관여하고 있다고 설명한 개인은 (부)학장, 책임교수, 정규(임상) 교사, 교정(임상) 교사, 학교 밖 전문가, 진급위원회 위원, 때로는 학생명예위원회 위원이었다.

Individuals that the participants described as being involved in remediation were the (associate) dean, course directors, regular (clinical) teachers, remedial (clinical) teachers, experts outside the school, members of promotion committees, and sometimes members of Student Honor Councils.


각 단계에 대해 이 개인은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했다. 1단계에서 이 개인은 관련 교사, 2단계에서 지원 코치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3단계에서는 해당 직업의 문지기 역할을 수행했다.

For each phase these individuals fulfilled different roles. In phase 1 these individuals had the role of a concerned teacher, in phase 2 that of a supportive coach, and in phase 3 they became gatekeepers of the profession.



1단계: 탐색 및 이해

Phase 1: Explore and understand


PRS는 한 학생이 프로페셔널리즘 실수에 대해 언급된 후, 그 학생과 대화를 갖는다고 보고했다. PRS는 처음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와 실수에 대한 감정에 대해 학생들이 어떻게 이해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After a student had been cited for a professionalism lapse, PRSs reported holding a conversation with the student, in which the PRS initially sought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what happened and the emotions regarding the lapse:


이 단계에서 PRS는 [어떤 개인적 또는 맥락적 요인이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In this phase the PRS was tasked to understand what personal or contextual factors influenced the behavior:


한 PRS는 초창기 대화의 추가적이고 중요한 목표가 [학교가 전문직업성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인식했다. PRS는 학생들이 실수로 비전문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의사를 개발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1단계에서, PRS는 학생들을 [처벌하는 것이 아니라, 지지하고 돕는 것을 목표]로 하는 관련 교사의 역할을 맡았다.

One PRS recognized that an additional and important goal of the initial conversation was to show that the school takes professionalism seriously. PRSs felt that students are developing physicians who can accidentally behave unprofessionally. Hence, in phase 1, the PRS assumed the role of a concerned teacher who aims to support and help, not to punish the student,


이 단계에서 PRS는 학습자를 "진단"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에 대해 종종 이해 상충을 겪는다.

In this phase, PRSs reported often encountering a conflict of interest about being allowed to “diagnose” a learner:


면접 응답에 따르면 PRS와 학생은 이상적으로 개인, 외부, 대인관계 또는 맥락으로 분류된 [전문직업성 실수의 기여 요인]에 대해 상호 이해하게 될 것이다. 목록 1 참조

Interview responses show that the PRS and the student would ideally arrive at a mutual understanding about the contributing factors for the professionalism lapse, which were classified as personal, external, interpersonal, or contextual. See List 1



    • PRS와 학생 모두 [실수는 우발적이었고, 더 이상 반복을 의도적으로 막을 필요가 없다는 의견]인 경우, 참가자들은 학생이 정상적인 교과과정에서의 교육을 계속하였음을 시사했다. 

    • 두 사람이 학생이 [추가 지원이 필요하다고 동의한 경우(예: 지식 격차를 채우거나 특정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해당 학생은 교정 조치를 제안받고 2단계가 시작되었다.

    • In the case that both the PRS and student were of the opinion that the lapse was accidental, and there was no further need to prevent repetition, participants indicated that the student continued her or his education in the normal curriculum. 

    • If both agreed that the student needed further support (e.g., to fill in a knowledge gap or to develop certain skills), the student was offered remediation, and phase 2 commenced.


불법행위의 경우 학생이 곧바로 3단계로 이동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한 즉각적인 해고는 예외적으로 드문 일이었고 극한 사건의 경우에만 고려될 것 같았다.

In the case of unlawful behaviors, the student sometimes immediately moved to phase 3. It seemed that such immediate dismissal was exceptionally rare and would only be considered in the case of an extreme event.


2단계: 재교육

Phase 2: Remediate


이 단계의 목표는 학생들의 [성찰 능력을 향상]시키고, 학생들이 전문성 실수에 기여하는 확인된 [지식, 기술 및 역량의 부족을 극복]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참여자들은 이러한 문제들이 해결하기 어렵다는 것을 인정했지만, 어려운 개인적 요인이나 실수에 대한 외부적인 기여 요인에 대해서는 개별적인 지원이 제공되었다. 학생과 협력하여 학생의 개인적 필요에 맞춘 개입을 기술하는 재교육 계획을 세웠다. PRS는 재교육 개입을 설계할 때 창의성이 필요함을 설명했고, 구체적인 목표에 맞는 선택지를 고려했다. 

    • 과제: 전문성의 지식 기반을 개선하고 (의사)의사 및 환자 치료에 대한 비전문적 행동의 결과를 명확히 하기 위한 과제 

    • 스킬 훈련: 특정 기술을 개선하고 자신의 수행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높이기 위한 기술 훈련 또는 

    • 일대일 멘토링: 가치관을 가르치고 경험에 대한 지도적 성찰을 제공하기 위한 일대일 멘토링

The goal of this phase was to improve students’ ability to reflect, and for students to overcome identified deficiencies in knowledge, skills, and competencies that contributed to the professionalism lapses. Therefore, individual support was offered for difficult personal factors or external contributing factors for the lapse, although participants acknowledged that these issues were hard to solve. In collaboration with the student, a remediation plan was set up that described interventions tailored to the student’s personal needs. PRSs described creativity in designing remediation interventions, and considered different options, each with its specific goal: 

    • assignments to improve the knowledge base of professionalism and to clarify the consequences of unprofessional behavior for (aspiring) physicians and patient care; 

    • skills training to improve specific skills and create the student’s awareness about own performance; or 

    • one-to-one mentoring to teach values and offer guided reflection on experiences.


이 단계에서 PRS와 교정 교사들은 [지지적 코치]로 묘사되었다. [개선해야 할 시기]와 더불어 [목표에 도달하지 못할 때의 기대와 결과]는 명확하게 제시되었다.

In this phase the PRS and remedial teachers were described as supportive coaches. The expectations and consequences of not reaching the goals were set out clearly, including a time frame in which improvement must be reached:


참석자들은 전문직업성 재교육의 의도하지 않은 효과를 언급했다. 일부 학생들은 '게임을 하는 것'을 보였다. 이는 [프로페셔널리즘의 가치를 내재화하지 않은 채 참가자들이 교육자를 만족시키기 위해 원하는 행동을 보여주는 것]을 의미한다.

Participants mentioned an unintended effect of professionalism remediation. Some students seemed to “play the game,” which was described by the participants as displaying desired behaviors to satisfy their educators, without having internalized the values of professionalism:


이런 종류의 비전문적인 행동은 면접자들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데이터에서 "게이밍" 학생을 어떻게 다룰지에 대한 생각은 나오지 않았다.

This type of unprofessional behavior was described by the interviewees, yet no ideas on how to deal with the “gaming” student came forward from the data.


3단계: 해고를 위한 증거 수집

Phase 3: Gather evidence for dismissal


교정 교육에도 불구하고 문제가 지속되는 것으로 보이거나 학생이 부정직하거나 심지어 불법적인 행동을 보이면 2단계와 3단계 사이의 문턱을 넘었다. 이 경우 환자안전이 위협받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The threshold between phases 2 and 3 was crossed if the problem appeared to persist despite remedial teaching, and if the student displayed dishonest or even unlawful behaviors. In these cases, patient safety was deemed to be threatened:


때때로 참가자들은 자신의 행동이 [의료 환경에서 일하는 것]에 미치는 결과에 대한 통찰력이 부족한 학생을 보고했다. 결과적으로, 그 학생은 직업적 기대치에 도달하려고 하거나 도달할 수 없었다. PRS에 따르면, 이는 [개별화된 재교육에도 불구하고 개선 없이 반복적인 전문직업성 상실]을 초래할 수 있다.

Sometimes participants reported a student lacking insight into the consequences of his or her behavior for working in a medical environment. Consequently, the student was not willing or able to reach the professionalism expectations. According to PRSs, this could result in repetitive professionalism lapses without improvement, despite individualized remedial teaching:


3단계에서 PRS는 추가 교정조치가 더 이상 효과적이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었다.

In phase 3, PRSs were of the opinion that further remediation would not be effective anymore.


다음과 같은 매우 명확한 절차를 통해 해고를 위한 강력한 증거를 확보해야 했다.

Strong evidence had to be obtained for dismissal, through very clear processes:


연구를 계속하기로 결정한 책임은 PRS의 손에 있는 것이 아니라 진급위원회에 있었다진급 위원회는 학생을 해고하는 어려운 결정을 내리는 것을 꺼릴 수 있다.

The responsibility for deciding about continuing the studies was not in the PRS’s hand but, rather, belonged to a promotion committee. Promotion committees could be reluctant to take the tough decision to dismiss a student:


나는 의대를 네 군데 다녔는데 그 모든 학교에서는 문화가 똑같아. 일단 의대에 입학하면 학생들을 해고하는 것을 정말 꺼린다. 의과대학에 있는 것보다 다른 많은 학업 프로그램에서 학생들을 해고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훨씬 덜하다. (P9)

I’ve been in four medical schools and the culture is the same in all those schools. There’s a real reluctance to dismiss students once they’re admitted to medical school. There’s a lot less reluctance to dismiss students from lots of other academic programs than there is in medical school. (P9)


3단계에서 PRS는 1단계와 2단계에서와는 완전히 다른 역할을 수행한다고 보고하였다. 그들은 의료계의 문지기 노릇을 했다. 그들은 이 역할을 진지하게 받아들였지만, 학생이 의사가 되는 것을 허용해서는 안 된다는 결론을 내리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다. PRS는 해고를 정당화하기 위해 의대추진위원회에 정보를 통보해야 했다. 협력자에서 상대방으로 넘어가는 PRS는 학생의 관심사와 의료 및 환자의 관심사 중 하나를 선택하는 데 있어 갈등을 경험했다고 설명했다.

In phase 3, PRSs reported taking up a completely different role than in phases 1 and 2: They became the gatekeepers of the medical profession. Although they took this role seriously, they found it difficult to conclude that a student should not be allowed to become a doctor. PRSs had to notify the medical school promotion committee with information to justify dismissal. Going from collaborator to opponent, PRSs described experiencing a conflict in choosing between the interest of the student and the interest of health care and patients:


또한 참여자들은 교정조치가 [여러 교수들이 나누어 맡아야 하는 부담스러운 과제]라는 점을 인정하였다.

Furthermore, participants acknowledged that remediation is a demanding task that has to be shared among a group of teachers:


내가 15년 넘게 이 자리를 지켜온 슬픈 부분은 내가 아는 각 학교가 이 일을 잘 한다는 것이다.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잘 하는 교수"만 이 일을 맡지 않게 하도록 주의해야 한다. 우선, 그것은 그들을 지치게 한다. 그러면 당신은 이것을 어떻게 하는지 배울 기회가 있을 때 다른 사람들에게 다시 기회를 주는 것이다. (P1)

The sad part of what happens is—I have had this position now for over 15 years—that I find that each school the people I know that are good at this … I have to be careful not to just continually use them repeatedly. First of all, it tires them out. You also then are giving other people opportunity back when there’s opportunity to learn how to do this. (P1)


로드맵 모델

The road map model


자료를 분석하고 관련시키면서 의대생들의 프로페셔널리즘 실수에 대한 참여 과정을 설명하는 로드맵 모델을 개발하게 되었다. 그림 1은 이 로드맵을 그리고 있다.

Analyzing and relating the data prompted us to develop a road map model that describes the process of attending to professionalism lapses of medical students. Figure 1 depicts this road map.




표 2는 각 단계에 깔끔하게 들어맞는 두 가지 예시와 그렇지 않은 두 가지 예시 등 단계별 학생 사례에 대한 참가자의 인용구를 보여준다.

Table 2 shows participants’ quotes delineating examples of student cases per phase: two examples that fit neatly into each phase, and one that does not as well.



고찰 

Discussion


1단계와 2단계 사이의 문턱값은 실수의 인식된 기여 요인에 기초하여 교정 교육이 필요하다는 PRS와 학생의 상호 이해에 의해 결정된다. 교정적 가르침에도 불구하고 계속되는 실수 패턴에서 입증되었듯이 성찰성과 적응성의 부족은 3단계로 진행해야 하는 이유로 보여지며, 따라서 2단계와 3단계 사이에 임계값을 형성한다.

The threshold between phases 1 and 2 is determined by the mutual understanding of the PRS and student that remedial teaching is necessary, based on the perceived contributing factors of the lapse. A lack of reflectiveness and adaptability, as evidenced by an ongoing pattern of lapses despite remedial teaching, is seen as a reason to proceed to phase 3, and thus forms the threshold between phases 2 and 3.



이 연구에서 기존 모델에 추가하는 사항

What this study adds to existing models


우리가 1단계로 지정한 것은 힉슨과 동료들이 제안한 "커피 한 잔" 대화와 유사하다.27 우리의 연구 결과는 1단계 및 2단계에서 재교육 접근방식은 [행동에 대한 기여 요인]과 [학생이 피드백에 어떻게 반응하는가]에 의해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발견은 기존 모델이 [전문직업성 실수의 심각성 인식]에 기초하는 대조된다. 또한, 이전의 연구에 따르면, 직업적 결손 때문에 학교를 그만두는 이유로 행동의 심각성을 가장 많이 꼽고 있다. 교정 개입에도 불구하고 학생이 성적 향상을 보이지 않을 경우 교정조치가 확대된다는 것을 확인한다. 원인 불문하고 반복되는 전문성 실수는 3단계를 가리킨다.

What we designate as phase 1 resembles the first phase in all previous models: the “cup of coffee” conversation as proposed by Hickson and colleagues.27 Our findings indicate that in phases 1 and 2, the approach to remediation is guided by the contributing factors for the behavior, and how the student responds to feedback. This finding contrasts with existing models in which the phases are based on the perceived severity of the professionalism lapse.6,8,27–30 Also,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severity of the behavior is most often cited as the reason for dismissal from school for professionalism deficits.24 We do confirm that remediation is scaled up if the student does not show improvement of performance, despite remedial interventions: Recurrent professionalism lapses, regardless of the cause, point to phase 3.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프로세스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행동의 심각도]와 [원인 요인] 모두 중요하지 않은 것 같다. 우리는 학생의 [통찰력 부족]과 [개선 결여]가 마지막 3단계로 가는 문턱을 결정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학생이 [성찰성]과 [적응성]의 발전된 모습을 보여주지 않으면, 더 이상 실천 공동체의 문화에 흡수되지 않을 것이다. 이것은 해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모델에 추가된다.6,8,27–30

In contrast, according to the findings in our study, in the last phase of the process neither the severity of the behavior nor causal factors seem to be important. We found that a student’s lack of insight and improvement determines the threshold to the last phase. If a student does not show progress in reflectiveness and adaptability, she or he will no longer be absorbed into the culture of the community of practice. This can lead to dismissal. These findings add to existing models.6,8,27–30


Kalet과 동료 37은 재교육이 교과과정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우리의 연구 결과에 의해 뒷받침된다. 교정조치 전략은 2단계에서 적용되는 바와 같이 본질적으로 일반적인 교수법과 다르지 않다. 차이점은 PRS가 "평균 이상의" 기술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PRS 참여자들은 재교육은 (상당한 에너지를 소비하는 일이기 때문에0, [재교육을 하는 교사들은 정성들여 뽑아야 하고, 이들에게 서포트를 제공해야 하는 까다로운 과제]라는 것을 확인했다.1 분명히, 교수진들은 그들의 경험을 공유하고 의과대학에서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함께 일함으로써 이익을 얻을 수 있다.2

Kalet and colleagues37 advocate that remediation should be a part of the curriculum, which is supported by the findings of our study. Remediation strategies, as applied in phase 2, do not in essence differ from normal teaching methods. The difference is that the PRS needs to have “above average” skills. PRS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firmed that remediation is a demanding task for which they need to handpick teachers, and give support to these individuals because their work can be energy consuming.1 Clearly, faculty could benefit from working together to share their experiences and improve expertise in the medical school.2


정상적인 교육과정에 맞춰, 참가자들은 때때로 학생들의 "시스템 길들이기" 행동에 주목했는데, 이는 학생들이 [부족한 전문직업적 가치를 통합하지 않은 상태로 교수가 기대하는 행동만을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아마도, 행동과 직업적 발달에 초점을 맞추면 전통적 미덕에 대한 관심이 감소될 수 있다.26 이 발견은 직업적 가치의 지식 기반이 기초라는 것을 확인하고, 그러한 행동을 예방하기 위해 학생들의 직업적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한 활동과 결합되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한다.5,6

Congruent to the normal curriculum, participants sometimes noticed “gaming the system” behavior by their students, meaning that students show desired behaviors without having incorporated the lacking professional values. Possibly, the focus on behavior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diminishes the attention for traditional virtues.26 This finding confirms that the knowledge base of professionalism values is foundational, and that skills training has to be combined with activities to improve the student’s professionalism values to prevent such behavior.5,6


단계와 실천 공동체

The phases and the community of practice


놀라운 통찰력은 서로 다른 교정조치 단계를 실행 커뮤니티의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전문성 결여에 대한 참여에 더 많은 통찰력을 추가하기 위해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38

A surprising insight was that the different remediation phases could be interpreted using the framework of communities of practice to add further insights to attending to professionalism lapses.38


의료행위를 실천의 공동체로 본다면 의대에서 학생의 여정은 [합법적인 주변 활동]에서 [완전한 참여와 성원권]으로 진행되어 공동체의 핵심에 점점 더 가까워진다. 전문적 행동은 핵심인 경쟁력 있는 의사들에 의해 실행된 공동체의 공통 가치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비전문적인 행동은 공동체의 기준이 될 수 없으며, 학생이 지역사회로의 여정에 도움이 필요하다는 신호가 될 수 있다.

If we view medical practice as a community of practice, the student journey at the medical school progresses from legitimate peripheral activities to full participation and membership, coming closer and closer to the core of the community. Professional behavior can be seen as a common value of the community, practiced by those in the core—competent physicians. Unprofessional behavior, however, is not the standard in the community, and can be a signal that a student needs help in his or her journey into the community.


우리의 3상 모델에서, 1단계는 학생이 아직 공동체의 참여 과정에 있다고 가정한다. 프로페셔널리즘에 실수가 있었지만, 학생에게 친절하고 개방적이며 지지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교정조치에 관여하는 개인은 학생들을 지역사회에 포함시키기 위해 일치된 노력을 기울이며, 그들의 역할은 관심 있는 교사나 동료 중 한 명이다.

In our three-phase model, the first phase assumes that the student is still in the process of joining the community. There has been a lapse in professionalism, yet the approach to the student is friendly, open, and helping. The individuals involved in remediation make a concerted effort to include students into the community, and their role is one of a concerned teacher or colleague.


2단계에서는 학생이 지역사회에서 머물기 위한 기술을 기꺼이 개발하고 발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의도성이 서서히 변화해 가는 것처럼 보인다. 학생들을 다시 실습 커뮤니티로 안내하기 위해 참가자들은 멘토링과 역할 모델 매칭의 형태에 대해 언급했다. 우리의 로드맵은 실제로, 그 학생이 여전히 지역사회에 머무를 수 있는 자격이 있다고 접근하는 것이 목표지만, 그 자격을 부여받을 조건이 생기는 것이며, 그 학생은 그 조건을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In the second phase, the intention seems to slowly shift, as in this phase the student needs to prove that he or she is willing and able to develop the skills to stay in the community. To steer the student back onto the journey into the community of practice, participants mentioned forms of mentoring and matching the student to role models. Our road map shows that indeed, while the goal is to approach the student as still being eligible for staying in the community, conditions are being laid out, and it is made clear that the student needs to meet the requirements.


그러나 3단계에서는 학생이 더 이상 주변으로부터 중앙으로 이동하지 않고, 예상된 관행을 따르지 않음으로써 다른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단계에서는 의료계의 핵심 가치들이 위협받고 있다. 이것이 우리가 역과정의 시작을 볼 수 있는 부분이다: 이 단계의 노력은 해당 학생을 실천 공동체로부터 이끌어내기 위한 것이다.

In phase 3, however, the student no longer moves from the periphery to the center, but in the other direction, by not adhering to the expected practices. In this phase, core values of the medical community are threatened. This is where we see the initiation of a reverse process: Effort is put into guiding the student out of the community of practice.



함의 Implications


실천 공동체의 개념에 따르면, 한 개인을 공동체의 핵심으로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사회적 관계가 중요하다.38 재교육이 정규 교육적 맥락 밖에서 이루어질 때, 그것은 학생의 고립을 초래할 수 있다. 이것은 학생들이 지역사회에 들어가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이는 교정조치 궤적 중 다른 학습자 및 교육자와의 연결 필요성에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의미한다.

According to the concept of communities of practice, social relations are important to bring an individual into the core of a community.38 When remediation takes place outside the regular educational context, it can lead to isolation of the student. This can make it even more difficult for the student to enter the community. This implies that, during remediation trajectories,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the need for connection with other learners and educators.


맥락은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이 연구에서 다시 확인되었다.15–17 PRS는 전문직업성 실수에 대한 맥락적 기여 요인에 대해 정보를 제공받고, 그들은 의대생의 향후 실책을 예방하기 위해 제도적 문화를 변화시키는 데 그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Context influences behavior, which is confirmed again in this study.15–17 PRSs are informed about contextual contributing factors for professionalism lapses, and they can use that information to make changes in the institutional culture to prevent medical students’ future lapses.


한계 Limitations


게다가, 미국에서 의학을 공부하는 것에 대한 사법적, 재정적 측면들이 다른 나라들과 다른 경우, 그 발견은 미국에 특정적이며 다른 맥락에서 시험되어 다른 나라에 일반화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Furthermore, where judicial and financial aspects of studying medicine in the United States differ from those in other countries, the findings are specific for the United States and need to be tested in other contexts to make them generalizable to other countries.


Future investigations


Conclusions











. 2019 Apr;94(4):570-578.
 doi: 10.1097/ACM.0000000000002537.

A Road Map for Attending to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ism Lapses

Affiliations 

Affiliation

  • 1M.C. Mak-van der Vossen is general physician, coordinator of professional behavior, and PhD student, Department of Research in Education, VUmc School of Medical Sciences, Amsterdam University Medical Centers, Amsterdam, The Netherlands; ORCID: https://orcid.org/0000-0001-7810-6575. A. de la Croix is assistant professor, LEARN! Academy, Vrije Universiteit, and researcher, Department of Research in Education, VUmc School of Medical Sciences, Amsterdam University Medical Centers, Amsterdam, The Netherlands. A. Teherani is professor of medicine and education researcher, Center for Faculty Educators,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an Francisco, California. W.N.K.A. van Mook is internist/intensivist, Department of Intensive Care Medicine, postgraduate dean, Maastricht University Medical Center, and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G. Croiset is professor of education and training, Health and Life Sciences, and dean of education and training, University Medical Center Groningen, Groningen, The Netherlands. R.A. Kusurkar is associate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and head, Department of Research in Education, VUmc School of Medical Sciences, Amsterdam University Medical Centers, Amsterdam, The Netherlands; ORCID: https://orcid.org/0000-0002-9382-0379.

Abstract

Purpose: To develop a road map for educators attending to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ism lapses, aiming to offer an empirical base for approaching students who display such lapses.

Method: Between October 2016 and January 2018, 23 in-depth interviews with 19 expert faculty responsible for remediation from 13 U.S. medical schools were conducted about the way they handle students' professionalism lapses. Three researchers independently completed three rounds of coding. Data collection, coding, and analysis were performed in a constant comparative process. A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approach was used to develop an explanatory model for attending to students' professionalism lapses.

Results: Based on participants' descriptions, the authors developed a three-phase approach for attending to professionalism lapses. In phase 1, experts enacted the role of concerned teacher, exploring the lapse from the student's perspective. In phase 2, they functioned as supportive coach, providing feedback on professionalism values, improving skills, creating reflectiveness, and offering support. In phase 3, if the student did not demonstrate reflectiveness and improvement, and especially if (future) patient care was potentially compromised, participants assumed an opposite role: gatekeeper of the profession.

Conclusions: An explanatory model for attending to professionalism lapses that fits in the overarching "communities of practice" framework was created. Whereas phase 1 and 2 aim at keeping students in the medical community, phase 3 aims at guiding students out. These findings provide empirical support to earlier descriptive, opinion-based models and may offer medical educators an empirical base for attending to students who display professionalism lapses.


전문직업적 역량과 정체성 발달 및 비전문직업적 행동을 재교육을 위한 실용적 프레임워크(Med Teach, 2019)

A practical framework for remediating unprofessional behavior and for developing professionalism competencies and a professional identity

Pieter C. Barnhoorna, Mirjam Houtlosserb, Marleen W. Ottenhoff-de Jongea, Geurt T. J. M. Essersc, Mattijs E. Numansa and Anneke W. M. Kramera





도입

Introduction


비전문적 의사 행동은 환자-의사 관계뿐만 아니라 환자 안전 및 의료 품질에도 영향을 미친다(Hickson et al. 2002; Rosenstein 2011, 2015). 학부 및 대학원 의과대학에서의 비전문적 행동과 의사가 된 이후에서의 비전문적 행동 사이에 명확한 연관성이 연구 결과 드러나면서 의료실무에서의 전문적 행동에 대한 관심이 탄력을 받게 되었다(파파다키스 외). 2004, 2005, 2008). 이러한 연관성은 가능한 한 일찍 비전문적인 행동을 다루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Unprofessional physician behavior affects patient–doctor relationships as well as patient safety and quality of care (Hickson et al. 2002; Rosenstein 2011, 2015). Interest in professional behavior in medical practice gained momentum when research showed a clear association between unprofessional behavior in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medical school and unprofessional behavior in later practice (Papadakis et al. 2004, 2005, 2008). This association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unprofessional behavior as early as possible.


비록 소수의 학생들만이 비전문적인 행동을 보이지만(Mak-van der Vossen et al., 2016; Barnhoorn et al. 2017), 비전문적인 행동은 환자와 의료전문직에 대한 그들의 신뢰에 해를 끼칠 수 있다(Hickson et al. 2002; Rosenstein 2011, 2015; Ellaway et al. 2017). 그러나 비전문가의 평가와 행동 교정조치는 여전히 어려운 과제로 남아 있다.

Although only a small number of students display unprofessional behavior (Mak-van der Vossen et al. 2016; Barnhoorn et al. 2017), unprofessional behavior can harm patients and their trust in the medical profession (Hickson et al. 2002; Rosenstein 2011, 2015; Ellaway et al. 2017). However, assessment and behavior remediation of unprofessional remain difficult tasks


박스 1

(Box 1).


상자 1. 의대생이 전문 행동 위원회에 회부되었다.

Box 1. A medical student referred to the professional behavior board.


Sara는 22세의 의대 학생으로, 의대 전문 행동 위원회에 회부되었다. 간단한 소개서에는 "의사가 되기 위한 올바른 역량의 부족"이 언급되어 있다. 담당 의사에게 전화 한 통을 받은 결과, 산부인과에서 일하는 동안 그녀의 상사들이 사라에게 "너무 적게 참여한다"거나 심지어 "일부 동안 어딨는지 알 수 없다"는 피드백을 줬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반복된 피드백에도 불구하고, 사라는 계속 표준 이하로substandardly 출석했는가? 전문 행동 위원회의 두 멤버와의 회의에서, 사라는 왜 주어진 피드백에 따라 행동하지 않았는지 물었다. 그녀는 대답하였다. "나는 내가 할 수 있는 곳이면 어디든지 임상실습 일에 참여하려고 한다. 하지만 박사 과정으로 인해 시간을 효율적으로 보내야 하기 때문에 앞으로의 진로와 관련된 부분만 참석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Sara is a 22-year-old medical student who has been referred to the professional behavior board of her medical school. The brief referral letter mentions a “lack of the right competencies to become a doctor”. A phone call to the referring doctor reveals that her supervisors during the clerkship gynecology have given Sara feedback on “participating too little” or even “being untraceable for parts of the day”. Despite repeated feedback, Sara continued to participate substandardly? In a meeting with two members of the professional behavior board, Sara asked why she did not act upon the given feedback. She answered: “I try to participate in the clerkships wherever I can. But due to my PhD trajectory I have to spend my time efficiently, so I plan to attend only the parts of the clerkship that are relevant for my future career”.



비전문적 행동의 교정조치는 전문성에 대한 서로 다른 관점과 이러한 관점을 연결하는 어려움으로 인해 방해받는다(Birden et al. 2014; Irby and Hamstra 2016; Smith et al. 2017). 최근까지 전문성 담론에서는 두 가지 관점이 두드러졌다.

The remediation of unprofessional behavior is hampered by the different perspectives on professionalism and by difficulties in bridging these perspectives (Birden et al. 2014; Irby and Hamstra 2016; Smith et al. 2017). Until recently, two perspectives were prominent in the professionalism discourse.


한편으로, 우리는 실용적이지만, [전문적 행동]에 대한 좁은 초점을 발견한다. 그러나 [행동에 대한 초점]은 관찰과 평가가 가능하고 바람직한 행동에 대한 기대는 비교적 쉽게 설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Barnhoorn과 van Mook 2015).

On the one hand, we find a pragmatic, but narrow focus on professional behavior. The focus on behavior, however, has 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observed and assessed and expectations for desirable behavior can be set relatively easily (Barnhoorn and van Mook 2015).


한편, 성격 특성, 태도, 미덕 및 가치관(반 묵, 드 그레이브, 등)을 언급하면서 전문성에 중점을 두는 경우도 있다. 2009; 반 무크, 반 루이크, 기타. 2009; Banhoorn 및 Van Mook 2015). 이 두 번째 초점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영감을 주는데 도움이 되지만, 평가하기는 어렵다(Barnhoorn and van Mook 2015; Irby and Hamstra 2016).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focus on professionalism, referring to character traits, attitudes, virtues and values (van Mook, de Grave, et al. 2009; van Mook, van Luijk, et al. 2009; Barnhoorn and van Mook 2015). This second focus helps to motivate and inspire students, but it is difficult to assess (Barnhoorn and van Mook 2015; Irby and Hamstra 2016).


두 관점 모두 전문의가 되는 과정의 중요한 측면을 포착하지만, 두 관점 모두에서 빠진 것은 [전문직이 되는 과정]에 대한 보다 넓은 관점이다(Holden et al. 2015). 따라서 초점은 "전문적 정체성 형성"(PIF)의 관점으로 옮겨갔다. PIF는 "오랜 시간에 걸쳐 단계적으로 달성되는 자아상representation으로서, 의료계의 특성, 가치관, 규범이 내면화 되어 개인이 의사처럼 사고, 행동, 느낌을 갖게 되는 것"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Cruess et al. 2014).

Both perspectives capture important aspects of the process of becoming a professional physician, but what is missing in both is a broader view on the process of developing into a professional (Holden et al. 2015). The focus, therefore, shifted to the perspective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 PIF can be defined as the process of forming “a representation of self, achieved in stages over time during which the characteristics, values, and norms of the medical profession are internalized, resulting in an individual thinking, acting and feeling like a physician” (Cruess et al. 2014).


여러 저자들이 서로 다른 관점의 요소들을 결합하는 비전문가적 행동을 다루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했다.

Several authors have proposed frameworks to address unprofessional behavior that combine elements from the different perspectives


프레임워크는 행동, 태도, 프로세스 요소를 기술하지만, 이들 요소 사이의 상호관계를 탐구하는 것은 없다.

The frameworks describe behavior, attitude, and process elements, but none explore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se elements.


행동, 태도 또는 과정 중 어느 한쪽의 관점을 넘어 비전문적인 행동을 논하기 위해서는 종합적인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Boileau et al. 2017). 이런 틀의 부재는 교사들에게 비전문적인 행동을 효과적으로 다루기엔 역부족이라는 인식을 심어준다.

A comprehensive framework is needed to discuss unprofessional behavior beyond the perspective of either behavior, attitude, or process (Boileau et al. 2017). The absence of such a framework feeds the perception of teachers that they are ill-equipped to address unprofessional behavior effectively.


다수준 프로페셔널리즘 프레임워크

The multi-level professionalism framework


다단계 전문성 프레임워크가 성찰과 발전의 틀이 될 수 있는 만큼 다양한 직업, 특히 의료계, 의료교육에 있어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코타겐은 환경, 행동, 역량, 신념, 정체성, 그리고 모델의 중심에서 미션(코타겐 2004)의 6단계로 구성된 모델을 개발했다. 이 모델은 좋은 교사의 본질적인 자질이 행동이나 역량의 측면에서만 설명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더 많은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역량은 행동의 잠재력으로 볼 수 있지만, 어떤 역량이 실행에 옮겨질 것인지는, 어떻게 옮겨질 것인지는 환경에 의존적이다 (Kortagen 2004).

We expect the multi-level professionalism framework to be of value for various professions, in particular for the medical profession, and medical education, as it can serve as a framework for reflection and development. Korthagen developed a model consisting of six levels: environment, behavior, competencies, beliefs, identity, and, at the model’s center, mission (Korthagen 2004). The model shows that the essential qualities of a good teacher should not only be described in terms of behavior or competencies; more aspect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Competencies, for example can be seen as potential for behavior, but which competencies will be put into practice and how depends on the environment (Korthagen 2004).


(see Figure 1),



환경: 여기가 어디지?

Environment: Where am I?


환경 수준이란 의대생이 생활하고 일하고 배우는 다양한 맥락과 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말한다. 의학 교육의 영역 내에서, 그것은 다음의 두 가지이다.

[학술적academic 학습 환경] (숨겨진 커리큘럼과 공식적인 커리큘럼), 그리고 

[임상적 환자 관련 환경]이다(Hafferty 1998; Franco et al. 2017; Hawick et al. 2017). 

[학생의 개인 환경]은 가정에서의 문제, 신체적 또는 정신 질환, 개인 이력 등 자신의 사생활과 상황을 가리킨다(Mak-van der Vossen et al. 2016). 이것들은 학생의 행동과 발전에 영향을 미친다. 

The environment level refers to the diverse contexts in which the medical student lives, works and learns, and which influence his or her behavior. Within the realm of medical education, it describes the academic learning environment: both the hidden and the formal curriculum, as well as the clinical, patient-related environment (Hafferty 1998; Franco et al. 2017; Hawick et al. 2017). The personal environment of the student refers to his or her personal life and circumstances, such as problems at home, physical or mental illness and personal history (Mak-van der Vossen et al. 2016). These influence the student’s behavior and development. 


따라서, 환경은 또한 좁든 넓든 방식으로 학생의 전문적인 수행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학생의 행동은 상황, 즉 환경이 해석에 포함될 때만 이해할 수 있다(Kortagen 2004; Jha et al. 2016; Franco et al. 2017; Mason 2017).

Therefore, the environment can also have a profound influence on a student’s professional performance, both in a limiting and an expanding way. Student behavior can only be understood when the context, i.e. the environment is included in the interpretation (Korthagen 2004; Jha et al. 2016; Franco et al. 2017; Mason 2017).


행동: 내가 뭘 하는 거지?

Behavior: What am I doing?


행동 수준의 초점은 [학생의 퍼포먼스]로, 직접 관찰하고 평가할 수 있다. 실제 환자와의 만남은 물론 학생과 교직원, 학생과 또래와의 만남이 이뤄지는 것도 이 정도 수준이기 때문에 행동이 많은 관심을 끈다. 환경과는 별개로 행동이란 [(프레임워크의 내면에 표현되어 있는) 사람 내부의 다양한 힘]에 의해 동기가 부여된다.

The focal point at the behavioral level is the performance of the student, which can be directly observed and assessed. Behavior attracts much attention, because it is at this level that actual patient encounters take place, as well as encounters between students and faculty, and students and peers. Apart from the environment, behavior is motivated by various forces within the person, which are represented in the inner circles of the framework.


역량: 내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Competencies: What can I do?


역량은 전문적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지식, 기술 및 태도의 통합체로 정의할 수 있다(Stoof et al. 2002). 이들은 의료 교육 분야에서 확고한 기반을 얻었다(Hunderfund et al. 2017). 마찬가지로 전문성 프로그램도 역량 측면에서 편성되는 경우가 많다(Royal College of Occessors and Occessors in Canada 2017). 역량은 행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행동의 잠재력을 나타낸다. 그러나 역량이 실행에 옮겨질지는 무엇보다도 상황이나 환경, 그리고 기초적인 신념, 가치관, 정체성, 미션에 달려 있다. 학생들은 자신의 행동을 당면한 상황에 맞출 수 있도록 자신의 역량을 언제, 어떻게 실천에 옮겨야 하는지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Competencies can be defined as an integrated body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Stoof et al. 2002) that make professional behavior possible. They have gained a strong basis in medical education (Hunderfund et al. 2017). Likewise, professionalism programs are often formulated in terms of competencies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in Canada 2017). Competencies are closely connected to behavior, they represent a potential for behavior. However, whether competencies are put into practice depends, the among other things, on circumstances or environment, and on underlying beliefs, values, identity, and mission. Students need to reflect on when and how to put their competencies into practice, in order to be able to match their behavior to the situation at hand.


신념과 가치: 내가 뭘 믿어?

Beliefs and values: What do I believe in?


믿음과 가치관의 수준은 의대생이 [의료전문직]과 [그 안에서의 자신의 위치]와 관련하여 가지고 있는 개념과 신념을 다룬다. 예를 들어, 학생들은 [질병에 초점을 맞춘 신념]이나 [좀더 환자 중심적인 믿음]을 가질 수 있다.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신념은 특정 역량을 개발하려는 학생의 동기에 영향을 미친다

    • 의학전문가의 핵심 역할이 질병 치유라고 믿는 학생이 있다면 기술역량 개발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 학생이 대신 환자를 돌보는 것이 의학의 중심이라고 믿는다면 의사소통 역량을 키워야 할 강력한 동기를 기대할 수 있다. 

The level of beliefs and values deals with the conceptions and convictions a medical student holds true regarding the medical profession and his or her place in it. For instance, students can adopt a disease-focused belief or a more patient-focused belief. The beliefs students hold influence a student’s motivation to develop certain competencies: 

    • If a student believes that the main role of the medical professional to be curing disease, there will be a tendency to focus on developing technical competencies. 

    • If a student instead believes caring for patients is central to medicine, a strong motivation to develop communication competencies can be expected. 


하지만, 반대로 행동과 역량은 학생들의 믿음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의사소통 능력을 개발하는 것은 학생의 면접 방식을 더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의사소통에 대한 기본적인 믿음을 바꿀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따뜻하고 공감하는 것뿐만 아니라, 어떤 경우에는 커뮤니케이션이 약을 처방하거나 수술을 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Jenkins and Fallowfield 2002).

However, also the other way around, behavior and competencies influence student’s beliefs. For example developing communication competencies does not only make the student’s interviewing style more effective, it may also alter underlying beliefs about communication, for instance that it is not only about being warm and empathetic, but also that in some instances in medical care communication may be more effective than prescribing pills or operating (Jenkins and Fallowfield 2002).


정체성: 나는 누구인가?

Identity: Who am I?


정체성은 [직업의 특성, 가치관, 규범을 포함하여 특성, 가치관, 규범 측면에서 자신을 정의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Kortagen 2004; Cruess et al. 2014). 예를 들어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떤 의사가 되고 싶은가' 등의 질문에 성찰을 하면서 자신에 대해 더 많이 배울수록 자신의 정체성이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더 잘 알게 된다. 정체성 평가에 대한 상세한 가이드는 베보, 파버랑겐덴(2014년)이 제공했다.

Identity can be described as the way one defines oneself in terms of characteristics, values, and norms,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values, and norms of the profession (Korthagen 2004; Cruess et al. 2014). The more students learn about themselves, for example by reflecting on questions such as “who am I?” and “what kind of doctor do I want to be?”, the more they are aware of how their identity influences their behavior. A detailed guide for the assessment of identity has been provided by Bebeau and Faber-Langendoen (2014).


사명: 왜 내가 하는 일을 하지?

Mission: Why do I do what I do?


여기서 문제는 무엇이 한 학생으로 하여금 지금 하는 일을 하게 만드느냐는 것이. 사명 레벨은 '의사가 되고 싶은 목적이 무엇인가' '의사로서 나의 개인적인 소명은 무엇인가' 등 고도의 개인적인 질문에 대한 대답에 관한 것이다. 코스타겐에 따르면, 이 수준은 사람들의 원동력driving force을 묘사한다; 우리가 지금 하는 일을 하도록 움직이게 하는 것은 내면 깊은 곳의 무엇일까. 그것은 더 큰 전체 안에서 자신의 존재에 의미를 부여한다(Kortagen 2004). 미션과 정체성의 차이점은, 정체성이 의대생의 자아상self-image에 대한 것이라면, 미션은 의대생이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있어서 자신의 역할을 무엇으로 보는가에 관한 것이다.

The question here is what moves a student to do what he or she does. The mission level is about answers to highly personal questions, such as “to what end do I want to become a doctor?” and “what is my personal calling as a doctor?”. According to Korthagen, this level describes people’s driving force; what is it deep inside us that move to do what we do. It gives meaning to one’s own existence within a larger whole (Korthagen 2004). The mission level differs from the identity level in that refers to medical students’ self-image, whereas the mission level is about what role the medical student sees for himor her-self in relation to others.


재교육에 다수준 전문직업성 프레임워크 적용

Applying the multi-level professionalism framework to remediation


이제 우리는 다단계 전문성 프레임워크가 어떻게 의료 교육자들이 학생들을 전문적 행동의 발달에 지원하도록 도울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 사례를 다시 살펴본다.

We now revisit the case in order to explore how the multilevel professionalism framework can help medical educators to support students in developing professional behavior.


사건 재조사 1 

The case revisited 1 


새라의 행동(참여 부족)은 선생님들에게 인정받지 못했다. 그녀가 미래의 의사를 위한 올바른 능력이 부족하다고 말함으로써, referring doctor는 "미래 의사를 위한 올바른 능력"과 같은 것이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러나 사라는 자신이 어디로 가고 있는지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임상실습의 모든 부분에 참여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Sara’s behavior (her lack of participation) was not appreciated by her teachers. By stating that she lacks the right competencies for a future doctor, the referring doctor implies there is such thing as the “right competencies for a future doctor”. Sara, however, believes she does not need to participate in every part of the clerkship, knowing already where she is heading.


이번 논의는 다단계 전문성 프레임워크(Box 3)를 활용해 구성된다.

This discussion will be structured using the multi-level professionalism framework (Box 3).


사건 재조사 2 

The case revisited 2 


위원회는 우선 비전문가로 낙인찍힌 행동에 대해 사라와 합의를 볼 필요가 있었다. 사라는 대부분의 임상실습중 많은 부분이 그녀의 흥미를 끌지 못한다는 것과 그녀가 놓칠 수 있을 때 안과에서 박사학위 궤적을 연구한다는 것에 동의한다. 

  • 환경과 관련하여, 사라씨는 몇몇 전문가들이 임상 전 기간 동안의 강의에서 최고점에 도달하기 위해 초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말한다. 

  • 그녀는 "만약 목표가 있다면, 그것을 고수하라!"라는 자신의 모토를 따라 산다. 게다가, 사라는 자신이 좋은 의사가 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능력을 이미 갖추고 있다고 생각한다. 

  • 그녀는 자신에게 있어 [대부분의 임상실습은 불필요한 존재]라는 믿음을 공유하고 있다고 말한다. 결국, 그녀는 자신이 무엇이 되고 싶은지 이미 알고 있고, 박사 학위 취득에 시간을 보내는 것이 낫다고 믿고 있다. 

  • 궁극적으로 위원회는 사라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대해 이야기하기를 원했다. '어떤 의사가 되고 싶으냐'는 질문에 대한 새라의 대답은 [안과의 절대적 정상]에 오르고 싶다는 것이다. 

  • 사명의 차원에서 사라는 '왜 일류 안과 의사가 되고 싶은가'라는 질문에 초특급 안과의 사회적 지위가 자신에게 어필하며 안과의 실용적이고 기술적인 측면이 자신이 선호하는 주요 이유라고 말한다.


The board first needed to reach consensus with Sara about the behavior that has been labeled as unprofessional. Sara agrees that large parts of most clerkships do not interest her, and that, when she can be missed, she works on her PhD trajectory in ophthalmology. 

  • Concerning the environment, Sara says that several specialists, in their lectures during her pre-clinical years, as well as supervisors during some clerkship stressed the importance of focus in order to reach the top. 

  • She lives by her motto: “If you have a goal, stick to it!” Besides, Sara thinks she already possesses the basic competencies needed to become a good doctor. 

  • She says she shares the belief that most of the clerkships, for her, are redundant. After all, she already knows what she wants to become and believes that she better spend her time on her PhD trajectory. 

  • Ultimately, the board wanted to talk to Sara about her professional identity. Sara’s answer to the question “what kind of doctor do you want to become?” is that she wants to reach the absolute top in ophthalmology. 

  • At the level of mission, when asked “why do you want to become a top ophthalmologist?”, Sara states that the societal status of a superspecialist appeals to her and that the practical and technical aspects of ophthalmology are the main reasons for her preference.


고찰 

Discussion


최근 의학교육 목표를 전문직업성을 가르치고 평가하는 것에서 전문직 정체성 형성으로 바꾸자는 제안도 비전문적 행동이 어떻게 다뤄질지 시사하는 바가 있다(Cruess et al. 2014). 비전문가적 행동의 교정조치는 다르게 접근될 수 있지만 여전히 도전적인 것으로 남을 것이다(Bebeau 및 Faber-Langendoen 2014; Arnold et al. 2016). 행동, 태도 또는 프로세스 기반에 관계없이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각각의 일반적인 관점은 비프로페셔널한 행동을 다르게 보고 결과적으로 서로 다른 교정조치 전략을 권고한다(Irby와 Hamstra 2016).

The recent proposal to change the goals of medical education from teaching and assessing professionalism to the formation of a professional identity also has implications for how unprofessional behavior will be addressed (Cruess et al. 2014). Remediation of unprofessional behavior can be approached differently, but will remain challenging (Bebeau and Faber-Langendoen 2014; Arnold et al. 2016). Each of the prevailing perspectives on professionalism, whether behavior-, attitude-, or process-based, views unprofessional behavior differently, and consequently, different remediation strategies are recommended (Irby and Hamstra 2016).


[행동 기반 관점]에서 보면, 의학교육의 목표는 [전문적으로 행동하는, 사회에 유능한 의사]를 전달하는 것이다. 행동은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의대생의 행동이 비전문적이라고 판단되면 교정조치가 적용된다. 여기에는 종종 행동 식별, 행동 논의, 교정조치 계획 수립, 교정조치 계획 준수 여부 모니터링이 포함되며 때로는 보호관찰 또는 학생의 해고를 포함한다(Domen 2014; Irby and Hamstra 2016; Banhoorn et al. 2017).

From the behavior-based perspective, the goal of medical education is to deliver competent doctors to society who behaves professionally. Behavior is seen as measurable, and if behavior of a medical student is judged as unprofessional, remediation is applied. This often involves identifying behavior, discussing behavior, developing a remediation plan, monitoring compliance to the remediation plan and sometimes includes probation, or the dismissal of the student (Domen 2014; Irby and Hamstra 2016; Barnhoorn et al. 2017).


[태도 기반 관점]에서 의료 교육의 목표는 좋은 의료 실천에 필요한 덕목과 가치를 기르는 것이다. 미덕과 가치는 측정하기 어렵다.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행동의 경우 교정조치는 성찰 과제와 피드백을 포함한다(Irby and Hamstra 2016).

From the attitude-based perspective, the goal of medical education is fostering the virtues and values needed for good medical practice. Virtues and values are difficult to measure. In case of unprofessional behavior, remediation involves reflection assignments and feedback (Irby and Hamstra 2016).


[프로세스 기반 관점]에서 의료 교육의 목표는 전문적 정체성의 형성이다(Cruess et al. 2014). 이러한 전문적 정체성은 시간 경과에 따라 단계적으로 달성된다(Cruess et al. 2014). 프로답지 못한 행동은 다음 발달 단계로 나아가는 데 실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 따르면 교정조치는 발달 단계에 맞게 조정되어야 하며, 학생들이 "그들이 누구인지, 그들이 누가 되고 싶은지 알아내기 위해" 지속적이고 오랜 시간에 걸쳐 도움을 필요로 한다(Cruess et al. 2014).

From the process-based perspective, a goal of medical education is the formation of a professional identity (Cruess et al. 2014). This professional identity is achieved over time, in stages (Cruess et al. 2014). Unprofessional behavior can be seen as a failure to progress to the next developmental stage. According to this perspective, remediation must be tailored to the developmental stages, and involves helping students, continuously and over a long period of time, “to find out who they are, who they are becoming and who they wish to become” (Cruess et al. 2014).


그러나 다단계 전문성 프레임워크는 전문성에 대한 서로 다른 관점을 연결시키는 데 있어서 독특한 것은 아니다. 크루세스 외 행동 기반 관점을 밀러의 "수정된 피라미드"(Cruess, Cruess, Steinert, et al. 2015)에서 PIF-persentive와 연결했다. 그들은 원래의 피라미드 외에도 피라미드의 꼭대기(Cruess, Cruess, Steinert, et al. 2015)에 있는 추가적인 수준의 "의사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며 느끼는 것"("Is")을 제안한다. 그들은 전문적 정체성에 대한 평가 도구로 제시된 모델에서 PIF(Cruess et al. 2016)의 평가에 대한 관점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고 제안한다. 그러나, 그것은 교육자들이 비전문적인 행동을 다룰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지 않는다. 반면에 제안된 다단계 전문성 프레임워크는 전문성과 관련된 여러 수준 사이의 비계층적 상호작용을 설명한다.

The multi-level professionalism framework, however, is not unique in linking different perspectives on professionalism. Cruess et al. have linked the behavior-based perspective to the PIF-perspective in Miller’s “Amended Pyramid” (Cruess, Cruess, Steinert, et al. 2015). In addition to the original pyramid, they propose an extra level of “thinking, acting and feeling like a physician” (“Is”) at the apex of the pyramid (Cruess, Cruess, Steinert, et al. 2015). Presented as an assessment tool for professional identity, they suggest that the model helps in creating a perspective on assessment of PIF (Cruess et al. 2016). However, it does not provide tools for educators to address unprofessional behavior. The proposed multi-level professionalism framework, on the other hand, describes the nonhierarchical interplay between the different levels relevant to professionalism.


다단계 프로페셔널리즘 프레임워크는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연결하는 교정조치에 대한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한다.

The multi-level professionalism framework offers a practical guidance for the remediation which bridges the various perspectives on professionalism.


다단계 프로페셔널리즘 틀은 프로페셔널리즘의 청사진을 나타내는 척도 하지 않고 프로페셔널리즘의 '본질'을 포착하는 척도 하지 않는다. 프로페셔널리즘에서 중요한 관점을 다루면서, 그것은 학생들과 교사들에게 행동의 수준 그 이상의 것에 대해 성찰하도록 한다. 프레임워크로 작업하는 것은 더 깊은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multi-level professionalism framework neither pretends to denote a blueprint for professionalism, nor pretends to capture the “essence” of professionalism. Addressing the important perspectives in professionalism, it invites students and teachers to reflect on more than just the level of behavior itself. Working with the framework suggests that deeper learning can be attained.



Barnhoorn PC, Youngson CC. 2014. Defining professionalism: simplex sigillum veri! Med Teach. 36:545. XXX


Bebeau MJ, Faber-Langendoen K. 2014. Remediating lapses in professionalism. Remediation in medical education. Berlin, Germany: Springer. p. 103–127.


Barnhoorn PC, van Mook WN. 2015. Professionalism or professional behaviour: no reason to choose between the two. Med Educ. 49:740. XXX


Kalet A, Guerrasio J, Chou CL. 2016. Twelve tips for developing and maintaining a remediation program in medical education. Med Teach. 38:787–792.







. 2019 Mar;41(3):303-308.
 doi: 10.1080/0142159X.2018.1464133. Epub 2018 Apr 27.

A practical framework for remediating unprofessional behavior and for developing professionalism competencies and a professional identity

Affiliations 

Affiliations

  • 1a Department of Public Health and Primary Care , Leiden University Medical Center , Leiden , The Netherlands.
  • 2b Department of Medical Ethics and Health Law , Leiden University Medical Center , Leiden , The Netherlands.
  • 3c The Netherlands' Network of the GP Specialty Training Institutes , Utrecht , The Netherlands.

Abstract

The relatively new term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 complements behavior-based and attitude-based perspectives on professionalism. Unprofessional behavior and its remediation should also be addressed from this perspective. However, a framework is needed to guide discussion and remediation of unprofessional behavior, which can encompass behavior-based, attitude-based, and identity-based perspectives on professionalism. To this end, the authors propose a multi-level professionalism framework which describes, apart from professional behavior, more levels which influence professional performance: environment, competencies, beliefs, values, identity, and mission. The different levels can provide tools for educators to address and discuss unprofessional behavior with their students in a comprehensive way. By reflecting on all the different levels of the framework, educators guard themselves against narrowing the discussion to either professional behavior or professional identity. The multi-level professionalism framework can help educators and students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oot of unprofessional behavior, and of remediation strategies that would be appropriate. For despite the recent emphasis on PIF, unprofessional behavior and its remediation will remain important issues in medical education.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