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술기와 지식의 학습과 전이에 있어서 감정의 역할(Acad Med, 2012)
The Role of Emotion in the Learning and Transfer of Clinical Skills and Knowledge
Meghan M. McConnell, PhD, and Kevin W. Eva, PhD
의사가 되기 위한 훈련은 학생들이 지식과 기술을 배우고 새로운 환경에 전이하는 방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광범위한 느낌과 감정을 수반합니다. 일반적인 정서적 경험에는 시간의 압박, 불확실성 또는 비현실적인 기대, 만성적인 질병 환자 치료에 따른 절망, 실패에 대한 두려움 또는 책임감 증가, 그리고 환자의 죽음이나 인식된 성과에 대한 죄책감과 동정이 포함됩니다.1-5 이 목록과 일관되게, 의학 교육의 감정에 관한 대부분의 문헌은 부정적인 감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연구자들은 그러한 부정적인 상태가 종종 의료 훈련생들의 높은 번아웃 발생률과 연관되기 때문에 이러한 초점을 정당화한다.6,7 그러나 자부심, 흥분, 감사, 행복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도 의료 훈련생들에게 중요한 경험을 동반한다.1
Training to become a physician involves a broad range of feelings and emotions that can influence how students learn and transfer knowledge and skills to new settings. Common emotional experiences include stress from time pressures, uncertainty, or unrealistic expectations; hopelessness from treating chronically ill patients; fear of failure or increasing responsibility; and guilt and sympathy over the death of patients or perceived poor performance.1–5 Consistent with this list, most of the literature on emotion in medical education focuses on negative emotions. Researchers justify this focus because such negative states are often associated with the high incidence of burnout among medical trainees.6,7 However, positive emotions—such as pride, excitement, gratitude, and happiness—also accompany important experiences for medical trainees.1
감정이란 무엇인가?
What Is Emotion?
감정은 정의하기가 다소 어렵다. 연구자들은 감정, 기분, 영향, 태도, 감정을 포함한 다양한 경험적 개념을 개념화했습니다. 우리는 감정이라는 용어를 가장 일반적인 의미, 즉 정서적인 내용, 상태 및 경험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했습니다.
Emotion is somewhat difficult to define. Researchers have conceptualized a variety of experiential concepts, including emotion, mood, affect, attitudes, and feelings. We used the term emotion in its most general sense—to refer to affective contents, states, and experiences.
연구자들은 감정을 가장 잘 정의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했지만, 일반적으로 감정이 감정가valence과 각성의 두 가지 차원에 따라 다르다는 데 동의합니다.
- 발렌스는 물리학 및 화학8에서 차용한 용어로, 감정이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이거나 유쾌하거나 불쾌하거나 좋거나 나쁘거나 하는 정도로 인식되는 정도를 말한다.
- 발렌스가 종종 감정 상태를 정의하는 특징으로 여겨지지만, 각성 또한 중요한 구성요소입니다.
- 각성은 감정이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되는 정도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높은 각성 상태(예: 두려움, 불안, 흥분)는 낮은 각성 상태(예: 우울증, 침착함)와 구별됩니다.
Although researchers have debated how to best define emotion, they generally agree that emotions vary along two dimensions—valence and arousal.
- Valence is a term borrowed from physics and chemistry8 that refers to the extent to which an emotion is perceived as being positive or negative, pleasant or unpleasant, good or bad.
- Although valence is often considered the defining feature of emotional states, arousal is also an important component.
- Arousal refers to the extent to which an emotion is experienced as activating or deactivating. For example, high arousal states (e.g., fear, anxiety, excitement) are differentiated from low arousal states (e.g., depression, calmness).
방법
Method
초점을 폭넓게 고려할 때,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검토를 시도하는 것보다 다양한 관련 연구 결과의 비판적 통합이 더 적절하다고 판단했다.9 그러한 검토는 좁게 정의된 연구 질문과 관련된 근거의 완전한 요약을 생성하기보다는 넓은 주제에 관한 문헌의 선별적인 요약을 독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Given the breadth of focus, we decided that a critical synthesis of a variety of relevant research findings was more appropriate than attempting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review.9 Such a review is intended to provide readers with a selective summary of the literature around a broad topic rather than generating an exhaustive summary of the evidence relevant to a narrowly defined “Does it work?” type of research question.
결과
Results
인식과 정보 처리
Percep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긍정적인 분위기]에 있을 때, 사람들은 상황의 보다 광범위하고 일반적인 구성 요소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큰 그림"을 더 잘 볼 수 있다는 것을 많은 연구가 증명했습니다. 반면에, 사람들이 [부정적인 기분]에 있을 때, 그들은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에 더 집중합니다.10-13 다시 말하면, 긍정적인 감정은 사람들이 숲을 볼 수 있도록 격려하는 반면 부정적인 감정은 나뭇잎에 집중하도록 이끈다. 어떤 것이 다른 것보다 나은지는 특정 업무에 가장 유용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는 수준에 따라 달라지지만, 상당히 미묘한 영향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은 분명하다.
A plethora of research has demonstrated that, when in positive moods, individuals are more likely to see the “big picture” by focusing on the broader, more general components of the situation (e.g., global processing). On the other hand, when people are in negative moods, they are more likely to focus on specific details (e.g., local processing).10–13 In other words, positive emotions encourage people to see the forest, whereas negative emotions lead them to focus on the leaves. Whether one is better than the other depends on the level at which the most useful information is available for a particular task, but it is clear that even fairly subtle influences can have an effect.
예를 들어, 프레드릭슨과 브래니건 14,15는 참가자들이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영화 클립을 보게 함으로써 긍정적인 감정(예: 기쁨, 평온, 놀이, 만족)과 부정적인 감정(예: 두려움, 불안, 분노, 슬픔)의 범위를 유도했다. 또한 참가자들에게 감정을 유도하지 않는 영화(즉, 색 막대기가 쌓이는 추상적 표시)를 보게 함으로써 중립적인 통제 조건도 포함시켰다. 연구자들은 국소적인 세부사항과 전체적 맥락을 분리하는 작업을 통해 감정이 기본적인 지각 처리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조사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위해 참가자들에게 표적과 두 개의 비교 항목인 세 개의 기하학적 도형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보여주었다(그림 1 참조).
For example, Fredrickson and Branigan14,15 induced a range of positive (e.g., joy, serenity, amusement, contentment) and negative emotions (e.g., fear, anxiety, anger, sadness) by having participants watch emotionally evocative film clips. They also included a neutral control condition by having participants watch a film intended to elicit no emotion (i.e., an abstract display of colored sticks stacking up). Using a task that dissociated the local details from the global context, the researchers were able to examine whether emotion had an influence on basic perceptual processing. To do so, they showed participants a display consisting of three geometric figures—a target and two comparison items (see Figure 1).
긍정적인 감정을 경험하는 참가자는 전체적 특징(예: 그림 대상의 삼각형 구조)에 따라 항목을 분류할 가능성이 더 높았고,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상태를 경험하는 참가자에 비해 국지적 특성에 기초하여 선택했다(Stimulus의 동그라미를 가지고 Comparison item 2를 선택)
Participants experiencing positive emotions were more likely to categorize items on the basis of their global features (e.g., the triangular structure of the illustrated target, leading to a selection of comparison item 1; see Figure 1) relative to participants experiencing negative or neutral states, who were more likely to categorize items on the basis of their local features (e.g., the circles used to create the stimulus in Figure 1, leading to selection of comparison item 2).
개인의 정보 인식 및 처리 방식에 대한 정서적 상태의 이러한 영향은 학습 및 지식의 전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글로벌 프로세싱 스타일](즉, "큰 그림"에 초점을 추는 것)은 서로 관련이 있는 학습 사건 사이에서 연관성 및 관계적 연결로 이어지며, 이는 개인이 새로운 작업 전반에 걸친 유사성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식을 새로운 상황으로 이전하는 것을 촉진해야 합니다.
This influence of emotional states on how individuals perceive and process information can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learning and knowledge transfer. Global processing styles (i.e., focusing on the “big picture”) appear to lead to more associative and relational connections between relevant learning events, which should promote the transfer of knowledge to new situations by enabling individuals to detect analogies across novel tasks.
예를 들어 브랜드와 동료 16,17이 실시한 최근 일련의 연구에서는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이 지식 전이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조사했습니다. 이러한 실험의 학습 단계에서 참가자들은 하노이의 탑(ToH)을 푸는 법을 배웠다.
For example, a recent set of studies conducted by Brand and colleagues16,17 examined whether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have differential effects on knowledge transfer. During the learning phase of these experiments, participants learned to solve the Tower of Hanoi (ToH)
참가자들은 미리 정의된 마스터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디스크 3, 4개 ToH 퍼즐을 풀었습니다. 이후 연구원들은 참가자들에게 '행복하고 긍정적인' 혹은 '슬프고 부정적인' 인생 사건에 대해 쓰도록 함으로써 참가자들의 기분을 조작했다. 무드 인덕션에 이어 참가자들에게 근위부 문제 1개(5디스크 ToH)와 전이문제 2개 과제를 풀도록 했다.
Participants solved three- and four-disk ToH puzzles until they reached a predefined mastery level. Afterwards, the researchers manipulated the participants’ mood by having them write about a “happy and positive” or “sad and negative” life event. Following the mood induction, they asked participants to solve one proximal (five-disk ToH) and two transfer tasks.
그 결과는 감정적 발렌스가 전이에 있어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참가자가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도록 유도하는 2가지 전이과제의 성과가 향상되었고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는 참가자에게는 장애가 되었다.
The results showed that emotional valence is an important factor in transfer. Performance on the two transfer tasks was improved for participants induced to experience positive emotions and was impaired for those experiencing negative emotions.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감정(예를 들어, 세계적인 대 지역)에 스타일 처리의 차이 그nonanalytic(시스템 1)적(시스템 2)추론 과정 사이에 혼동하지 않아야 한다. 연구진은 기껏해야 시스템1에만 감정처리가 특정하며 시스템2 처리는 감정적 영향이 없다는 가설을 세워왔다.20 긍정적 감정은 전역적 세부사항의 자동처리를 부추기는 반면 부정적 감정은 국소적 세부사항의 자동처리를 유도한다.
The differences in processing styles for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e.g., global versus local) should not be confused with those between nonanalytic (System 1) and analytic (System 2) reasoning processes. At most, researchers have hypothesized that emotional processing is specific to System 1 and that System 2 processing is free from emotional influence.20 Therefore, positive emotions likely encourage the automatic processing of global details, whereas negative emotions lead to the automatic processing of local details.
일부 경험적 뒷받침은 감정적 발렌스에 따라 인지적 편견을 저지를 가능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시사하지만, 이러한 효과의 유병률에 대한 감정의 영향은 다양한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 고정 편견(즉, 전체 상황을 이해하는 대신 하나의 특성이나 정보에 초점을 맞춘다)은 학습자가 부정적인 감정 상태에 있을 때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반면,
- 근본적인 귀인 편향(즉, 상황적 힘을 과소평가하고 처분 요인을 과대평가하려는 경향)과 정의로운 세계 편향(즉, 사람들이 받을 만한 결과를 얻는다는 믿음)은 사람들이 긍정적인 감정 상태에 있을 때 더 많이 발생한다.
Some empirical support suggests that emotional valence can influence the likelihood of committing cognitive biases, but the influence of emotion on the prevalence of this effect appears to vary. For example,
- anchoring biases (i.e., focusing on one trait or piece of information at the expense of understanding the whole situation) are more likely to occur when learners are in negative emotional states.21,22 On the other hand,
- the fundamental attribution bias (i.e., the tendency to underestimate situational forces and overestimate dispositional factors) and the just world bias (i.e., the belief that people get the outcomes they deserve) are more likely to occur when people are in positive emotional states.23,24
정보 해석
Interpreting information
인지적 유연성
Cognitive flexibility.
연구에 따르면 긍정적인 감정은 개인의 유연한 사고 능력을 촉진하고 다른 전략과 해결책을 발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예를 들어, Gasper28은 당면한 문제의 맥락에 따라 개인의 사고방식 전환 능력에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이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Studies have shown that positive emotions facilitate an individual’s ability to think flexibly and discover alternative strategies and solutions.25–27 For example, Gasper28 examined whether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have different influences on an individual’s ability to switch mindsets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problem at hand.
개스퍼는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하는 개인들이 그것이 부적절하다는 피드백을 받기 전까지 확립된 문제 해결 전략에 의존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반면 긍정적인 감정을 경험하는 사람들은 스스로 수립된 전략을 포기하는 경우가 훨씬 더 많았다.
Gasper found that individuals experiencing negative emotions relied on the established problem-solving strategy until they received feedback that it was inadequate. On the other hand, those experiencing positive emotions were much more likely to abandon the established strategy on their own accord.
개스퍼의 연구 결과는 [긍정적인 감정]이 머리 속에 떠오르는 잠재적 해결책의 수를 늘리며, 오래된 것에 대한 개인의 의존도를 낮추고, 잠재적으로 불충분한 문제 해결 전략을 줄임으로써 문제 해결을 촉진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브랜드 외 연구진에 따르면, [유연한 사고]는 "하위 구조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표면 특성을 가진 서로 다른 전이 과제 간의 유사성을 감지하는 데 특히 유리하다"고 한다. 분명히, 이러한 인지적 유연성은 의학처럼 연구자들이 [조기 종결]가 진단 정확성에 대한 주요 도전과제로 지적한 분야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실제로, 진단 의사결정을 연구하는 에스트라다, 이센, 그리고 동료들은 [긍정적인 감정]이 진단 정확도 증가, 호기심 증가, 그리고 정보의 통합 강화와 연관되어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The results of Gasper’s28 study suggest that positive emotions promote problem solving by increasing the number of potential solutions that come to mind and by decreasing an individual’s reliance on old, and potentially inadequate, problem-solving strategies. According to Brand et al,16 flexible thinking “should be particularly favorable for detecting analogies between different transfer tasks with similar or dissimilar surface features with identical substructure.” Clearly, such cognitive flexibility can have important implications in a field like medicine where researchers have identified premature closure as a major challenge to diagnostic accuracy.29,30 Indeed, Estrada, Isen, and colleagues,21,31,32 studying diagnostic decision making, have reported that positive emotions are associated with increased diagnostic accuracy, greater curiosity, and enhanced integration of information.
기억 인출
Memory retrieval.
모든 기억이 동등하게 만들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고도의 감정적 경험]은 잘 기억되는 경향이 있는데, 특히 감정적 경험에 대한 강한 기억을 발생 후 수년 만에 흔히 보고하는 임상의에게는 놀라운 일이 아니다. [정서적 사건과 경험]이 [중립적 사건]보다 기억에서 더 안정적으로 인출된다는 많은 연구가 있지만, 정서적 경험이 기억 형성에 이처럼 큰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있다..
All memories are not created equal. Highly emotional experiences tend to be well remembered, which should come as no surprise to clinicians who themselves commonly report strong memories of particularly emotional experiences many years after their occurrence. Although plenty of research has shown that emotional events and experiences are retrieved more reliably from memory than neutral events,33,34 what is less recognized is why emotional experiences have such a strong impact on memory formation
감정적인 사건에 대한 기억력 향상에 대한 한 가지 가능한 설명은, 감정적인 반응을 경험하는 사람은 정신적으로 연습을 하거나 그 사건에 대해 "골똘히 생각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입니다.35–37 이 가설은 최근 연구에서 Ferree와 Cahill35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그들은 사람들이 무의식적으로 비감정적 사건과 관련된 감정적 사건을 다시 찾는 비율을 조사했다. 놀랍게도, 그들의 연구는 감정적이지 않은 것보다 [감정적인 경험]에서 의도하지 않은 사건들의 회수가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은지를 체계적으로 조사한 최초의 연구들 중 하나였다.
One potential explanation for enhanced memory of emotional events is that an individual who experiences an emotional reaction is more likely to mentally rehearse or “mull over” the event.35–37 This hypothesis was supported by Ferree and Cahill35 in recent research. They examined the rate at which people involuntarily revisit emotional events relative to nonemotional events. Surprisingly, their study was one of the first to systematically examine whether unintentional retrieval of events was more likely to occur for emotional experiences than for nonemotional ones.
연구원들은 이 질문을 연구하기 위해 참가자들에게 일련의 감정적 혹은 중립적 영화를 보여주면서 "완전히 무감정적"에서 "극도의 감정적"에 이르는 10가지 형용사 척도를 사용하여 각 영화의 '감정성emotionality'에 대해 주관적으로 평가해 줄 것을 요청했다. 작가들은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을 구분하지 않았다.
To study this question, the researchers showed participants a series of either emotional or neutral films and asked them to subjectively rate each film for its “emotionality” using a 10-point adjectival scale ranging from “completely unemotional” to “extremely emotional.” The authors did not distinguish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다양한 조치들에 걸쳐 참가자들은 중립적인 영화보다 감정성이 높았던 영화에 대해 더 많이 기억했다. 게다가 참가자들은 중립영화보다 감성영화에 대한 "자발적인 침입적 회상(SIR)"이 거의 3배 더 많으며, SIR의 빈도는 상기된 세부사항의 양과 긍정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Ferree와 Cahill은 SIR이 어떤 사건의 암호화된 버전에 대한 은밀한 검색을 촉진하고, 결과적으로 정서적 경험에 대한 기억을 향상시킨다고 결론지었다.
Across the various measures, participants remembered more about the emotional films than the neutral films. Furthermore, participants reported nearly three times more “spontaneous intrusive recollections” (SIRs) for the emotional films than for the neutral films, and the frequency of SIR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detail recalled (but only for emotional film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Ferree and Cahill concluded that SIRs promote covert retrieval of encoded versions of an event, which subsequently enhances memory for emotional experiences.
다른 연구에서는 부정적인 사건이 긍정적인 사건보다 자발적으로 더 자주 기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38,39 예를 들어, Bernsten40은 대학생들의 매우 부정적인 사건과 매우 긍정적인 사건에 대해 비자발적인 기억을 비교했다. 결과는 부정적인 사건과 긍정적인 사건 모두 비자발적인 회복의 대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매우 부정적인 인생 사건과 관련된 비자발적인 기억은 매우 긍정적인 사건에 대한 비자발적인 기억보다 더 우세했다.
Other research has shown that negative events are spontaneously remembered more frequently than positive events.38,39 For example, Bernsten40 compared involuntary memories for highly negative and highly positive events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both negative and positive events are subject to involuntary retrieval; however, the involuntary memories associated with highly negative life events were more prevalent than the involuntary recollections of highly positive ones.
이처럼 [부정적으로 자극되는 감정적 사건의 반복적 인출]은 의학 교육 연구자들이 의학 훈련 중에 흔히 보고되는 [공감의 감소]를 이해하고 의사의 번아웃에 대해서도 빛을 비줘출 수 있다.6,7,42 즉, 의료연수생과 전문직 종사자가 모두 부정적인 사건(즉, 까다로운 환자, 경솔한 임상 오류 및 실패, 또는 어려운 내부 또는 전문가 간 상호작용)을 기억하고 회상할 가능성이 높다면, 그들의 인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편향될 수 있으며, 이는 긍정적인 경험보다 부정적인 관행 측면이 훨씬 더 보편적으로 나타난다(기억하기 쉽기 때문이다).
Such repeated retrieval of negatively arousing emotional events may help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understand the commonly reported decline in empathy41 that occurs during medical training, as well as shed light on issues of physician burnout.6,7,42 That is, if medical trainees and professionals alike are more likely to remember and recall negative events, then their perception may be biased over time, whereby negative aspects of practice (i.e., demanding patients, imprudent clinical errors and failures, or difficult intra- or interprofessional interactions) appear to be much more common (because of the ease of recall) than positive experiences.
동시에 이러한 연구 결과는 [부정적인 사건]이 직업에 대한 [다양한 불만족 지표]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동시에 [학습을 유도하는 데 특히 가치가 있다]는 점에서 어려운 역설을 만들어낸다.
At the same time, these findings establish a difficult paradox in that negative events might prompt various indications of dissatisfaction with the profession while being particularly valuable for inducing learning.
정보에 대한 작업
Acting on information
지금까지 우리는 감정이 개인의 인식과 기억을 어떻게 조절하는지에 초점을 맞춰왔지만, 감정 또한 사람들이 다른 [학습 사건에 어떻게 행동하고 반응하는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감정은 [피드백 개입]에 대응하여 개인이 피드백을 탐색하고 이에 대해서 적절하게 행동하는 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To this point in our report, we have focused on how emotions moderate individual perceptions and memories, but emotions also appear to influence how people act and respond to different learning events.47,48 For example, emotions appear capable of altering the extent to which individuals seek out and act appropriately in response to feedback interventions.
피드백은 의학 교육 환경에서 중요한 교육학적 개입으로 작용한다.49 학생들에게 성과 피드백을 이끌어내고 받을 기회를 제공하고, 자신의 성과에 대한 인식을 알리기 위해 외부 데이터를 찾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학습과 지식 전달을 촉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나 긍정적인 피드백(예: 성공에 대한 정보)과 부정적인 피드백(예: 실패에 대한 정보)이 학습자의 동기 부여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긍정적인 피드백과 부정적인 피드백 모두 동기 부여와 성과를 동등하게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했습니다.50–52
Feedback serves as an important pedagogical intervention in medical education settings.49 Providing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elicit and receive performance feedback and stressing on them the importance of seeking external data to inform their perceptions of their own performance is commonly thought to promote learning and knowledge transfer. However, research on whether positive (e.g., information about success) and negative (e.g., information about failure) feedback has different effects on a learner’s motivation has suggested that both positive and negative feedback can equally increase and decrease motivation and performance.50–52
자기 조절 초점 이론 53,54는 두 개의 독립된 조절 방향 또는 "마음의 상태" 즉, 촉진 시스템과 예방 시스템을 제안한다.
- 촉진 시스템 하에서, 개인은 승진 기회, 보상, 성취를 지향합니다. 반대로,
- 예방 시스템은 개인을 보안, 처벌, 부정적인 결과 회피로 향하게 합니다.
- 프로모션에 초점을 맞춘 개인은 긍정적인 결과의 유무에 민감하므로 숙련된 성과로 인한 보상에 특히 민감해야 한다.
- 그러나 예방에 초점을 맞추면 부정적인 결과의 유무에 민감하기 때문에 성과가 저조할 경우 처벌에 민감해야 한다.55–57
Self-regulatory focus theory53,54 proposes two separate, independent regulation orientations or “states of mind”—the promotion system and the prevention system.
- Under the promotion system, individuals are oriented toward advancement opportunities, rewards, and accomplishments.
- In contrast, the prevention system orients individuals toward security, punishment, and avoiding negative outcomes.
- With a promotion focus, individuals are sensitive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positive outcomes and, therefore, should be particularly sensitive to rewards that result from skilled performance.
- With a prevention focus, however, individuals are sensitive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negative outcomes and, therefore, should be sensitive to punishments that accompany poor performance.55–57
히긴스 53,54는
- [승진 초점] 하에서 성공(예: 긍정적인 피드백)은 긍정적일 뿐만 아니라 정서적 자극(예: 흥분, 행복)이 높은 감정을 생성하는 반면, 실패(예: 부정적인 피드백)는 부정적이지만 각성(예: 무관심, 낙담)이 낮은 감정을 생성한다고 제안했다. 반면,
- [예방 초점] 아래의 성공/긍정적 피드백은 각성이 낮은 긍정적인 느낌(예: 침묵, 이완)과 관련이 있는 반면, 실패/부정적 피드백은 각성이 높은 부정적인 느낌(예: 동요, 긴장)을 생성한다.
따라서 히긴스의 이론은 피드백에 더 잘 수용하고 변화에 더 동기부여를 받게 하는 것은 정서적 (valence보다는) arousal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Higgins53,54 suggested that
- under a promotion focus, success (i.e., positive feedback) produces feelings that are not only positive but are also high in emotional arousal (e.g., excitement, happiness), whereas failure (i.e., negative feedback) produces feelings that are negative but are also low in arousal (e.g., apathy, discouragement).
- On the other hand, success/positive feedback under a prevention focus is associated with positive feelings that are low in arousal (e.g., quiescence, relaxation), whereas failure/negative feedback produces negative feelings that are high in arousal (e.g., agitation, tension).
Higgins’ theory, therefore, suggests that it is emotional arousal that leads to an individual being more receptive to feedback and more motivated to change rather than emotional valence.
동기 부여에 대한 정서적 각성arousal의 잠재적 영향은 Van Dijk와 Kluger 55-57에게 피드백 가치(부정적 대 긍정적)와 규제 초점 사이의 상호작용과 이러한 상호작용이 개인이 받은 피드백에 대해 행동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직접 검토하도록 영감을 주었다. 참가자들에게 자신의 (그리고 히긴스의) 가설을 시험하기 위해, 그들은 직장에서 일하고 있는 시나리오를 상상하게 하고 그들의 감독자는 그들의 업무 수행에 대해 논평하게 했습니다.56
The potential influence of emotional arousal on motivation inspired Van Dijk and Kluger55–57 to directly examine the interaction between feedback valence (negative versus positive) and regulatory focus and whether this interaction influences the extent to which an individual is motivated to act on the feedback that he or she has received. To test their (and Higgins’) hypothesis, they had participants imagine a scenario in which they were working at a job and their supervisor commented on their task performance.56
조절 초점을 조작하기 위해 참가자의 절반은 재정적 의무(예방 초점) 때문에 지켜야 할 일을 하고 있다는 말을, 나머지 절반은 항상 갖고 싶어하고 자신의 직위(승진 초점)에 진출하고 싶은 일을 하고 있다는 말을 들었다. 피드백 valence를 조작하기 위해 각 조건의 참가자 중 절반은 작업 수행에 실패했다고 랜덤하게 말했고, 나머지 절반은 성과가 뛰어났다는 말을 들었다.
To manipulate regulatory focus, half the participants were told that they were working at a job that they had to keep because of financial obligations (prevention focus), whereas the other half were told that they were working at a job that they had always desired to have and wanted to advance at their position (promotion focus). To manipulate feedback valence, half of the participants in each condition were randomly told that they had failed in their task performance, whereas the other half were told that they had excelled in their performance.
[동기부여 등급]은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은 사람에 비해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은 사람이 더 높았지만, 참가자가 [촉진 초점]을 둔 경우에만 그러했다. [예방에 초점]을 둔 대상자에 대해서는 효과가 역전되었으며, (긍정적 피드백을 받은 대상자에 비해)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은 대상자가 동기 부여가 더 높았다.
Motivation ratings were higher for those who received positive feedback relative to those who received negative feedback, but only when participants were under promotion focus. The effects were reversed for those under prevention focus, with motivation being higher for those who received negative feedback relative to those who received positive feedback.
고찰
Discussion
우리는 몇 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we can draw several conclusions.
1. [부정적인 감정]은 개개인이 학습 시나리오와 관련된 개별 [세부 사항]에 집중하도록 장려하며, 세부 사항에 대한 강한 주의가 필요한 작업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긍정적인 감정]은 개인들로 하여금 학습 행사의 [큰 그림]에 집중하도록 장려한다. 이러한 전체적 처리 스타일은 학습자가 관련 학습 이벤트 간의 연관성 및 관계적 연결을 만들어, 지식 및 기술을 새로운 상황으로 전이transfer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1. Negative emotions encourage individuals to focus on the individual details associated with a learning scenario, which may be beneficial in tasks that require a strong attention to detail. On the other hand, positive emotions encourage individuals to focus on the big picture of a learning event. This global processing style may enable learners to create associative and relational connections between relevant learning events, thereby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transferring knowledge and skills to new situations.
2. [부정적인 감정]은 [익숙한 문제 해결 전략에 대한 개인의 의존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전략이 잠재적으로 부적절할 때 적응하기가 더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긍정적인 감정]은 정보에 대한 [인지 유연성과 개방성]을 촉진하고, 이를 통해 학생들이 과제 간의 유사성을 감지하여 임상 기술과 지식을 전이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유연성이 조기 종결으로 인한 [오류 발생 가능성을 줄이는 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59
2. Negative emotions may increase an individual’s reliance on familiar problem-solving strategies, which may make it more difficult for him or her to adapt when such strategies are potentially inadequate. Positive emotions facilitate cognitive flexibility and openness to information, which may enable students to detect similarities between tasks, thereby enhancing the transfer of clinical skills and knowledge. Researchers believe that such flexibility is valuable for reducing the likelihood of errors attributable to premature closure.59
3. [감정적 경험], 특히 부정적인 경험은 비감정적 경험보다 더 자주 떠오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의도하지 않은 감정적 사건과 반응의 검색은 비록 전이transfer에는 방해될 수 있지만, 개인이 긍정적인 경험에 비해 부정적인 학습 경험을 기억으로부터 더 많이 인출할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그러한 (부정적 경험의) 인출은 공감과 만족도를 낮추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3. Emotional experiences, particularly negative ones, are more likely to be mulled over than nonemotional experiences. This unintentional retrieval of emotional events and reactions can increase the likelihood of an individual further retrieving his or her negative learning experiences from memory relative to positive experiences, though transfer may be impeded, and such retrieval may contribute to lowering empathy and satisfaction.
4.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의 차이는 피드백 받는 사람의 심리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프로모션 및 예방 규제 시스템은 동기 부여 및 개선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피드백 가치(부정/실패 대 긍정/성공)와 상호 작용한다. [승진 초점] 아래서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는 사람보다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는 사람이 동기부여가 더 높습니다. [예방 초점]에서는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는 사람보다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는 사람이 동기부여가 더 높습니다.
4. The difference in eff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is dependent on the feedback recipient’s state of mind. The promotion and prevention regulatory systems interact with feedback valence (negative/failure versus positive/success) to influence motivation and improvement. Under promotion focus, motivation is higher for those who receive positive feedback relative to those who receive negative feedback. Under prevention focus, motivation is higher for those who receive negative feedback relative to those who receive positive feedback.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 모두 학습과 지식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발견은 학생들이 복잡한 지식과 기술을 배우고 이 지식을 새로운 임상 환경으로 전이할 수 있도록 최선의 준비를 하는 방법에 대해 의학 교육자들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담당 의사나 상급 레지던트가 후배에게 일련의 어려운 질문을 하는 일반적인 교육학적 기법을 생각해 보십시오. 이러한 핌핑pimping 경험은 굴욕감, 당황감, 흥분감, 그리고 불안감을 포함한 다양한 감정과 연관되어 있으며, 교육자들은 이러한 감정적 상태가 핌핑pimping 경험을 통한 학습을 촉진시킨다는 이론을 세워왔다.60,61 실제로, 대부분의 학생들은 이러한 핑핑 세션을 꽤 잘 기억한다 – 이는 일부 교육자들이 핌핑을 교육의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을 촉진하는 사실 중 하나이다.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learning and knowledge transfer. These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ors regarding how best to prepare students to learn complex knowledge and skills and to transfer this knowledge into novel clinical settings. Consider the common pedagogical technique known as “pimping,” whereby attending physicians or senior residents ask junior colleagues a series of challenging questions. These pimping experiences are associated with a variety of emotions, including humiliation, embarrassment, excitement, and anxiety, and educators have theorized that these emotive states promote learning during the pimping experience.60,61 Indeed, most students recall these pimping sessions quite well—a fact that is used by some educators to promote the use of pimping as a form of teaching.
하지만, 우리는 핌핑이 언제, 왜, 왜 효과가 있는지 아직 완전히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 학생들이 이런 사건들을 떠올리는 성격 때문에 머리 속에서 재현할 가능성이 더 많은가?
- 특정 핌핑 사건에 대응하여 관련 정보를 더 많이 찾을 수 있습니까?
- 포주가 지식 유지에 미치는 영향은 학생들이 긍정적 대 부정적 감정을 경험하는지 또는 자극적 대 비흥분적 상태를 경험하는지에 따라 달라지는가?
- 핌핑이 새로운 임상 사례로 지식과 기술을 이전하는 것을 촉진하거나 방해합니까?
However, we do not yet have a complete understanding of whether, why, or when pimping works.
- Are students more likely to replay these events in their heads because of their evocative nature?
- Are they more likely to look up relevant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particular pimping event?
- Does the impact of pimping on knowledge retention depend on whether students experience positive versus negative emotions or arousing versus nonarousing states?
- Does pimping promote or impede the transfer of knowledge and skills to new clinical cases?
이 글에서 검토한 문헌은 [학생들이 학습 상황을 위협적이거나 두려운 것으로 인식]할 때 인지 리허설과 정교함으로 인해 정서적 사건에 대한 기억력이 더 좋을 수 있지만, 더 넓은 연관성을 가질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학습된 정보를 다른 임상상황에 전이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비록 핌핑이 특정 상황에 대한 기억을 향상시켜 영향력 있는 교육/학습의 인상을 만들 수 있더라도, 실제로 새로운 맥락에 습득한 지식을 적용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The literature reviewed in this article suggests that, when students perceive a learning situation as threatening or frightening, they may have better memory of the emotional event because of cognitive rehearsal and elaboration, but they may be less likely to make broader connections, thereby precluding transfer of the learned information to other clinical settings. Therefore, although pimping may enhance memory for certain situations, creating the impression of influential teaching/learning, it may actually impede the application of knowledge gained to new contexts.
물론 그러한 지식이 훈련과 연습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감정과 그것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효과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지 알아야 한다. 어떤 증거는 일단 개인이 잠재적인 기분 영향을 알게 되면 감정이 그들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결과적으로, 의학 교육자들은 의사들이 그들의 [감정 상태와 그들의 감정이 어떻게 인식, 해석, 행동을 편향시킬 수 있는지를 인식하도록 훈련]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Of course, for such knowledge to have an impact on training and practice, we must know whether emotion and its influence on performance can be modulated effectively. Some evidence suggests that once individuals are made aware of potential mood effects, they are able to modulate the extent to which emotion influences their performance.10,62,63 As a result, medical educators may be able to train physicians to be aware of their emotional states and how their emotions may bias perceptions, interpretations, and actions.
- 이와 관련하여 자기 성찰 체크리스트와 포트폴리오의 구성요소로써 학습자의 정서 상태에 대한 관심을 분명히 유도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습니다.
- 또는, 시뮬레이션된 상황을 사용하면 학생들이 언제, 어느 정도까지 감정이 결정을 통제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학생들에게 일련의 시뮬레이션을 시킨 다음, 학생들이 어떻게 느끼는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도록 요구함으로써, 의료 훈련생들은 그들의 감정 상태를 더 잘 모니터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감정상태와 그 감정상태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함으로써, 의료전문가와 교육생은 자신이 언제 가장 잘 학습하고 있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대한 인식을 이상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 Explicitly drawing attention to learners’ emotional states by making them components of self-reflective checklists and portfolios may be useful in this regard.64
- Alternatively, the use of simulated situations may help students become aware of when and to what extent emotions regulate their decision making. By subjecting students to a series of simulations and then requiring them to continuously monitor how they are feeling, medical trainees may become better at monitoring their emotional states.
- By fostering the ability to identify different emotional states and their effects on learning, medical professionals and trainees will ideally develop an awareness of when they are learning and performing at their best and when they are not.
마지막으로 우리는 감정이 얼마나 강력해질 수 있는가에 대해 명시적으로 보강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본 리뷰에서 설명한 분위기 유도 절차는 매우 미미합니다. 짧은 필름 클립이 효과가 있다면, 의료 훈련과 관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더 극단적인 경험을 한 후에 얼마나 더 극적인 변화가 일어날 수 있을까? 말하자면, 우리가 유도된 감정 상태에 대해 논의한 후 참가자들에게 감정적으로 중립적인 작업(예: 전역/지역 처리 작업; ToH 퍼즐)을 완료하도록 한 많은 연구들에 주목해야 한다.
Finally, we think it is worth explicitly reinforcing just how powerful emotions can be. The mood induction procedures that we have described in this review are quite minimal. If a brief film clip has an effect, how much more dramatic might the change be after a more extreme experience, like those common in medical training and care? That being said,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many of the studies that we discussed induced emotional states and then had participants complete emotionally neutral tasks (e.g., global/ local processing tasks; ToH puzzle).
훈련생들이 학습 환경에 가져오는
- 내생적 정서 상태(즉, 스트레스, 긴장, 흥분)
- 특정 학습 사건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감정 상태(즉, 첫 삽관 수행과 관련된 스트레스, 유아의 탄생을 관찰함으로써 유발되는 흥분)
...를 구별할 가치가 있을 수 있다.
It may be worth differentiating between
- endogenous emotional states that trainees bring into a learning environment (i.e., stress, nervousness, excitement) and
- the emotional states that are brought about in response to specific learning events (i.e., stress associated with performing one’s first intubation, excitement induced by observing the birth of a infant).
우리가 검토한 문헌들은 개인의 감정 상태가 학습/전이 사건과 얼마나 연관되어 있는지가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우리에게 알려주지 않았다. 의료 환경에서 두 사례가 모두 잠재적으로 높은 유행률을 보인다는 점을 고려할 때, 내인성 및 외인성 정서 경험의 구별은 의료 교육의 맥락에서 특히 중요할 수 있다.
The literature that we reviewed did not inform us about the extent to which it matters whether an individual’s emotional state is tied to the learning/transfer event. The distinction between endogenous and exogenous emotional experiences may be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context of medical education, given the potentially high prevalence of both instances in health care settings.1
향후 연구를 위한 권고사항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오히려 의과대학 시절뿐만 아니라 경력 전반에 걸쳐 경험했던 감정들이 의료전문가와 연수생들의 높은 수준의 수행 능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보렐-캐리오와 엡스타인65가 최근 밝힌 것처럼 "의사들이 임상 상황에서 더 잘 기능할 수 있도록 정서적 자기 인식과 주의력 자기 조절을 습관화 할 수 있다"고 밝혔다.
Rather, the emotions experienced not only during medical school but throughout one’s career ma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health care professionals and trainees’ capacity to perform at a high level. As Borrell-Carrió and Epstein65 recently stated, “emotional self-awareness and self-regulation of attention can be consciously cultivated as habits to help physicians function better in clinical situations.”
Acad Med. 2012 Oct;87(10):1316-22.
doi: 10.1097/ACM.0b013e3182675af2.
The role of emotion in the learning and transfer of clinical skills and knowledge
Meghan M McConnell 1, Kevin W Eva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 1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Faculty of Medicine,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meghan.mcconnell@ubc.ca
- PMID: 22914515
- DOI: 10.1097/ACM.0b013e3182675af2Abstract
- Purpose: Medical school and residency are emotional experiences for trainees. Most research examining emotion in medicine has focused on negative moods associated with physician burnout and poor quality of life. However, positive emotional states also may have important influences on student learning and performance. The authors present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he influence of emotion on cognition, specifically how individuals learn complex skills and knowledge and how they transfer that information to new scenarios.Results: The authors found articles that show that emotion influences various cognitive processes that are involved in the acquisition and transfer of knowledge and skills. More specifically, emotion influences how individuals identify and perceive information, how they interpret it, and how they act on the information available in learning and practice situations.
- Conclusions: There are many ways in which emotions may influence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must further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to ensure that learning is not treated simply as a rational, mechanistic process but that trainees are effectively prepared to perform under a wide range of emotional conditions.
- Method: From September 2011 to February 2012, the authors searched Medline, PsycInfo, GoogleScholar, ERIC, and Web of Science, as well as the reference lists of relevant articles, for research on the interaction between emotion, learning, and knowledge transfer. They extracted representative themes and noted particularly relevant empirical findings.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전문직업성(Professional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이 공간에 있을 가치가 없어요': 의과대학생에게 수치의 근원(Med Educ, 2020) (0) | 2021.08.03 |
---|---|
웰니스가 의사의 핵심 역량이 되어야 하는가? (Acad Med, 2020) (0) | 2021.07.31 |
의과대학이라는 형상화된 세계에서 의사가 되기 전 정체성 저술하기(Perspect Med Educ, 2018) (0) | 2021.07.28 |
의사의 정체성 이행: '이도저도 아닌' 상태에 있기로 선택하다 (Med Educ, 2019) (0) | 2021.07.24 |
의사됨의 형상화된 세계에서 정서와 정체성(Med Educ, 2015) (0) | 2021.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