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전문직 학생이 경험하는 전문직업성 딜레마: 단면 연구(J Interprof Care. 2020)
Professionalism dilemmas experienced by health professions students: a cross-sectional study
Xin Wanga,b and Ming-Jung Hob,
서론
Introduction
의학에서 [전문직업성]은 일반적으로 사회에 의해 의사가 기대하는 행동과 속성으로 정의된다. 전문직업성은 보건 전문가 교육의 핵심 역량이며(Stern, 2006), 환자 중심의 치료와 환자 안전의 중심이다. 보건 전문 교육자들은 전문직업성을 가르치고 평가하는 데 상당한 시간과 자원을 투자하지만 보건 전문직 학생들은 전문직업성 딜레마에 직면했을 때 종종 어려움을 겪습니다.
Professionalism in medicine is commonly defined as the behaviours and attributes expected of a doctor by society (Cruess, Cruess, & Steinert, 2009; Ho, Yu, Hirsh, Huang, & Yang, 2011). Professionalism is a core competency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tern, 2006), and is central to patient-centred care and patient safety (Holtman, Frost, Hammer, McGuinn, & Nunez, 2011). Although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devote considerable time and resources to teaching and assessing professionalism (Cruess & Cruess, 1997, 2006), health professions students are often challenged when confronted with professionalism dilemmas (Binyamin, 2017; Ho, Gosselin, Chandratilake, Monrouxe, & Rees, 2017; Ho, Lin, Chiu, Lingard, & Ginsburg, 2012; Monrouxe, Chandratilake, Gosselin, Rees, & Ho, 2017).
[전문직업성 딜레마]는 동시에 또는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상충하는 가치 사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선택을 요구하는 윤리적 충돌상황을 의미한다(Cuban, 2001). 전문직업성 딜레마는 학생들의 직업적 태도와 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예: 불충분하고 비지능적이라고 느끼는 것과 같은 감정적인 고통으로 학생들의 학습을 방해합니다). 최근의 연구들은 직장에서의 불안과 불신과 같은 전문직 간 딜레마의 다른 해로운 결과들을 묘사했다.
This refers to conflictual ethical situations that require undesirable choices between competing values that cannot be simultaneously or fully satisfied (Cuban, 2001). Professionalism dilemmas can negatively impact students’ professional attitudes and behaviours (e.g. hinder students’ learning with emotional distress, such as feeling inadequate and unintelligent) (D’eon, Lear, Turner, & Jones, 2007; Satterwhite, Satterwhite, & Enarson, 2000). Recent studies have described other detrimental consequences of interprofessional dilemmas, such as anxiety and mistrust in the workplace (Marshall & Robson, 2005; McKenzie, 2015; Sexon & Orchard, 2016).
전문직업성 딜레마에 대한 학생들의 경험과 관련된 문헌이 증가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여러 분야에 걸쳐 보건 전문가 학생들을 비교 탐구하기 보다는 하나의 특정 분야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여러 분야의 보건 전문직 학생들이 경험하는 전문직업성 딜레마를 찾아 비교함으로써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Whilst there is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related to student experiences of professionalism dilemmas, most studies focus on one specific discipline, rather than conducting a comparative exploration of health professions students across disciplines. This study aims to bridge this gap by uncovering and comparing professionalism dilemmas experienced by health professions students from different disciplines.
배경
Background
효과적인 전문직군 간 협력은 환자의 결과 향상과 안전한 작업 환경을 지원합니다(Marshall & Robson, 2005; McKenzie, 2015). 그러나 실증적 조사에 따르면 전문직간 관행interprofessional practice은 갈등과 장벽으로 가득합니다. 연구자들은 효과적인 전문직간 관행을 저해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을 확인했습니다. 이러한 요인에는 다른 건강 직업에 대한 고정관념, 의사소통 문제, 불평등한 권력 분배 및 위계적 구조가 포함됩니다.
Effective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supports better patient outcomes and safer working environments (Marshall & Robson, 2005; McKenzie, 2015); however, empirical research has shown that interprofessional practice is rife with conflicts and barriers (Hean, Craddock, Hammick, & Hammick, 2012; Khalili, Orchard, Laschinger, & Farah, 2013; Körner et al., 2016; Monrouxe & Rees, 2017). Researchers have identified a number of factors that can inhibit effective interprofessional practice; these factors include stereotypes of other health professions (Hind et al., 2003; MacDonald, Bally, Ferguson, Murray, & Fowler-Kerry, 2010; Rotz & Dueñas, 2016; Tunstall-Pedoe, Rink, & Hilton, 2003), communication problems (Childers, Cole, Lyons, & Turley, 2016), unequal power distributions (Nugus, Greenfield, Travaglia, Westbrook, & Braithwaite, 2010), and hierarchies (Lingard et al., 2012).
게다가, 문헌에서는 점차 보건의료 전문직 학생들의 [이중 정체성 개발]이 미래의 전문직 간 역량의 주요 결정 요소라는 것을 증명했다.
Furthermore,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has demonstrated that health professions students’ development of a dual identity is a principal determinant of future interprofessional competence (Baker, Lee, Martimianakis, & Reeves, 2011; Khalili et al., 2013; Monrouxe & Rees, 2017; Stull & Blue, 2016).
의료 전문가의 [이중 정체성]은 그들의 전문직 정체성과 전문직간 정체성을 뒷받침합니다.
- [전문직 정체성]은 개인이 전문직 집단(예: 간호사)과 동일시하는 것을 말한다. 이 용어는 그들이 누구인지, 그리고 그들의 직업의 일원으로서 행동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포착합니다.
- 한편, [전문직간 정체성]은 보다 넓은 전문가간 그룹(예: 보건 전문가) 내에서 개인의 정체성을 나타내며, 보다 넓은 전문가간 팀의 일부로서 다른 사람들과의 정체성을 나타냅니다. 전문직간 정체성의 개념은 직업적 정체성에 대한 기존의 생각을 단일 직업군을 넘어 확장합니다.
Health professionals’ dual identity underpins their professional identity and interprofessional identity.
- Professional identity refers to an individual’s identification with their professional group (e.g. nurse). The term captures who they are and what it means to be and to act as a member of their profession (Mackey, 2007; Monrouxe & Rees, 2017; Stull & Blue, 2016).
- On the other hand, interprofessional identity describes an individual’s identification within a wider interprofessional group (e.g. health professionals), and with others as part of a broader interprofessional team (Monrouxe & Rees, 2017). The concept of interprofessional identity broadens existing ideas of professional identity beyond the singular occupational group.
Kalili의 [전문직 간 사회화 프레임워크]에 따르면 [이중 정체성]이 결여된 전문직은 자신의 전문직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전문직 간 협업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의료 전문가들은 타인의 역할을 이해하는 능력과 전문가 간 팀의 일원으로서 훈련할 기회를 제한하면서 [학문적 고립disciplinary isolation]을 교육받는다(Hall, 2005). 이번 연구는 서로 다른 보건의료전문직의 학생들이 [이중 정체성]의 관점을 통해 전문직업성 딜레마에 어떻게 직면하는지 조사하기 위해 전문직간 사회화에서 이중 정체성의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
According to Khalili’s interprofessional socialization framework (Khalili, Orchard, Laschinger, & Farah, 2013), professionals who lack a dual identity may resist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in order to maintain their own professional identity. Most health professionals are educated in disciplinary isolation, limiting both their ability to understand others’ roles and opportunities to train as part of an interprofessional team (Hall, 2005). This study use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dual identity in interprofessional socialization to examine how students from different health professions face professionalism dilemmas through a dual identity perspective.
의대생들이 임상 환경에서 직면하는 전문직업성 딜레마에 대한 잘 발달된 문헌들이 있다. 이전의 연구들은 간호, 치과, 약국, 직업 치료, 물리 치료 프로그램을 포함한 다양한 보건의료전문직에서 학생들의 직장 기반 딜레마를 조사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하나의 전문직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학생들의 전문직업성 딜레마에 대한 삶의 경험을 조사하기 위해 질적인 방법을 사용한 사람은 거의 없다. 보건 분야의 학생들을 연구하기 위해 질적인 방법을 사용한 몇 안 되는 논문들은 여러 분야를 비교하지 않았다.
There is a well-developed body of literature on professionalism dilemmas faced by medical students in clinical settings (Christakis & Feudtner, 1993; Ginsburg & Lingard, 2011; Ho et al., 2017, 2012; Monrouxe et al., 2017; Monrouxe & Rees, 2012; Monrouxe, Rees, Dennis, & Wells, 2015; Monrouxe, Rees, Ho, & Chandratlake, 2017; Monrouxe, Rees, & Hu, 2011; Rees, Monrouxe, & McDonald, 2012). Previous studies have examined students’ workplace-based dilemmas in various health professions, including nursing (e.g. Erdil & Korkmaz, 2009; Gunther, 2011; Park et al., 2003; Rees, Monrouxe, & McDonald, 2015; Solum, Maluwa, & Severinsson, 2012; Yeh, Wu, & Che, 2010), dentistry (Duley, Fitzpatrick, Zomosa, Lamber, & Mitchell, 2009; Green, 1981; Sharp, Kuthy, & Heller, 2005; Wilson & Avers, 2004), pharmacy (Lowenthal1, 1988; Lowenthal2, 1988; Lowenthal, Klein, & Overton, 1986), occupational therapy (Barnitt, 1993; Kinsella, Park, Appiagvei, Chang, & Chow, 2008), and physiotherapy programs (Gedde, Wessel, & Williams, 2004; Mansbach, Bachner, & Melzer, 2010; Mansbach, Melzer, & Bachner, 2012). However,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a single profession, and few have used qualitative methods to examine students’ lived experiences of professionalism dilemmas. The few papers that have used qualitative methods to study health professions students (Monrouxe & Rees, 2017; Monrouxe, Rees, Endacott, & Teman, 2014; Rees et al., 2015) did not compare across disciplines.
[이중 정체성] 관점을 통해 학생들이 겪는 건강 직업의 실제 전문성 딜레마를 조사하는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는 질적 방법과 이중 정체성 관점을 활용하여 다른 보건 분야의 학생들이 임상 훈련에서 경험하는 전문성 딜레마를 조사함으로써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려고 시도한다. 다음의 연구 질문에 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 임상 환경에서 여러 건강 전문직 학생들이 경험하는 전문성 딜레마의 유형은 무엇입니까?
- 다른 분야의 보건 전문직 학생들이 경험하는 전문성 딜레마의 빈도와 유형에는 어떤 차이가 있습니까?
There is a dearth of research investigating the actual professionalism dilemmas health professions students experience through a dual identity perspective. This study attempts to bridge this gap by utilizing qualitative methods and a dual identity perspective to examine professionalism dilemmas experienced in clinical training by students from different health professions. It aims to answer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 What are the types of professionalism dilemmas experienced by different groups of health professions students in clinical settings?
- What differences (if any) exist in the frequency and types of professionalism dilemmas experienced by health professions students from different disciplines?
방법들
Methods
리서치 디자인.
Research design
우리는 학생들의 전문직업성 딜레마에 대한 경험을 탐색하고 이해하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를 사용했다. 서사적 조사는 lived experience 연구에 널리 사용된다(Clandinin, 2006; Connelly & Secretin, 1990). 해석적 해석학과 현상학에 기반을 둔, 그것은 서술(글쓰기, 구두, 시각)을 모으고, 사람들이 자신의 경험에서 기인하는 의미에 초점을 맞추는 질적 방법이며, "인간의 삶의 복잡성에 맞는 통찰력"을 제공하고자 한다(Joselson, 2006, 페이지 4). 윤리적 문제를 강조하고 사람들의 경험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형성할 수 있다(Clandinin & Huber, 2010). 우리는 프로페셔널리즘 딜레마에 대한 생생한 경험을 수집하기 위해 주요 데이터 수집 도구로서 내러티브 인터뷰와 포커스 그룹을 사용했습니다(Monrouxe & Rees, 2012).
We used narrative inquiry to explore and make sense of students’ experiences of professionalism dilemmas. Narrative inquiry is widely used in studies of lived experience (Clandinin, 2006; Connelly & Clandinin, 1990). Grounded in interpretive hermeneutics and phenomenology, it is a qualitative method that gathers narratives (written, oral, visual) and focuses on the meanings that people ascribe to their experiences, seeking to provide “insight that befits the complexity of human lives” (Josselson, 2006, p. 4). It can highlight ethical matters as well as shape new understandings of people’s experiences (Clandinin & Huber, 2010). We used narrative interviews and focus groups as our main data collection tools to gather lived experiences of professionalism dilemmas (Monrouxe & Rees, 2012).
참가자 및 모집
Participants and recruitment
대만 국립대학 의과대학에서 임상경험이 있는 보건계 학생을, 학급 대표나 학과장의 발표,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등, 참가시키고 있습니다. 이 연구에는 간호, 치과, 약국, 의료기술, 작업치료, 물리치료 등이 참여했다. 이 연구에 참여할 학생을 모집했는데, 학부 3학년 37명, 대학원 1학년 19명 등 56명이었습니다. 각 분야의 참가자 수는 간호(n = 8), 치과(n = 9), 약국(n = 15), MT(n = 9), OT(n = 6), PT(n = 9)와 같았다(표 1 참조). 연구 표본의 남성 대 여성 성비는 전체 학생 인구의 성비에 가까웠다(표 1 참조).
We invited health professions students with clinical experience from the National Taiw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o participate through announcements by class representatives and department administrators, and snowballing. Nursing, dentistry, pharmacy, medical technology (MT), occupational therapy (OT), and physiotherapy (PT)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We recruited 56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including 37 senior students in the undergraduate program and 19 graduate students in their first year of study. The number of participants from each discipline was as follows: nursing (n = 8), dental (n = 9), pharmacy (n = 15), MT (n = 9), OT (n = 6), and PT (n = 9) (See Table 1). The male to female gender ratio in our study sample was close to that of the overall student population (see Table 1).
일반적으로 학부생보다 임상 경험이 많은 상급생으로 채용을 제한했습니다. 연구 후반기에 몇몇 참가자들은 대학원 첫 학기에 있었다.
We limited our recruitment to undergraduate seniors as they generally have more clinical experience than undergraduate students in other years. At the latter phase of our study, some participants were in their first semester of graduate study.
데이터 수집
Data collection
학생을 부문별, 연도별로 그룹화해, 합계 56명(남 24명, 여 32명)의 포커스 그룹을 13개 실시했습니다. 먼저, 우리는 보건 전문직 학생들의 전문직업성과 전문직업성 딜레마에 대한 이해를 조사하기 위해 일반적인 질문을 했다. 그리고 나서, 그들은 그들이 직면했던 전문직업성 딜레마에 대해 설명하도록 요구받았다. 학생들은 그들이 무엇을 하고 왜 그랬는지 포함하여 자유롭고 공개적으로 말하도록 격려받았다. 인터뷰는 모두 중국어로 진행됐다. 대표적인 인용문은 영어로 번역되어 결과 섹션에 제시되어 있습니다.
We grouped students by discipline and year and conducted thirteen focus groups with a sum of 56 students (24 males, 32 females). First, we asked general questions to probe health professions students’ understandings of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ism dilemmas. Then, they were asked to describe a professionalism dilemma that they have encountered. Students were encouraged to speak freely and openly, including what they did and why. All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Mandarin. Representative quotes have been translated into English and are presented in the Results section.
데이터 분석
Data analysis
평균적으로, 각 그룹 인터뷰는 약 70-90분 동안 지속되었다. 모두 참가자의 동의를 얻어 음성녹음, 녹음, 익명으로 작성되었다. 우리는 Template Analysis(Template Analysis)를 사용하여 인터뷰를 코드화했다(King, 1998). 우리는 이것을 두 가지 이유로 사용했다.
- 첫째, 미리 정의된 테마를 사용할 때 유연하다.
- 둘째, 연구자가 데이터를 해석할 때 조정(새로운 코드 추가 또는 관련 없는 코드 삭제 등)할 수 있다(King, 2004; Slade, Haywood, & King, 2009).
On average, each group interview lasted about 70–90 minutes. All were voice-recorded, transcribed, and anonymised with participants’ consent. We coded the interviews using Template Analysis (King, 1998). We used it for two reasons: firstly, it is flexible in terms of using pre-defined themes; secondly, it allows the researcher to make adjustments (such as adding new codes or deleting irrelevant ones) during his/her interpretation of the data (King, 2004; Slade, Haywood, & King, 2009).
분석을 위한 선행 템플릿으로 Monrouxe 등(2014)에 의해 개발된 코딩 프레임워크를 채택했다. 연구원들은 인터뷰 내용을 읽고 NVivo 9 소프트웨어(QSR International Pty Ltd, Doncaster, Victoria, Australia)를 사용하여 이전에 개발된 템플릿에 따라 코드를 작성했습니다. 연구진은 원본 템플릿의 23개 테마를 수정하여 데이터에서 찾을 수 없는 8개의 테마를 제거하고 전문가 간 딜레마 및 인력 부족 딜레마를 포함한 2개의 새로운 테마를 추가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대화록을 독립적으로 코드화한 두 명의 연구자가 코드화를 함께 검토하고 전체 팀과의 논의를 통해 의견 불일치를 해결했다. 최종 코딩 템플릿에는 17개의 테마가 포함되어 있으며 다음 섹션에서 설명합니다.
We adopted a coding framework developed by Monrouxe et al. (2014) as a priori template for our analysis. Researchers read the interview transcripts and coded them according to the previously developed template using NVivo 9 software (QSR International Pty Ltd., Doncaster, Victoria, Australia). Researchers modified the original template’s 23 themes by removing eight themes not found in our data and adding two new ones, including interprofessional dilemmas and lack of manpower dilemmas. Finally, two researchers who coded the transcripts independently reviewed the coding together and resolved disagreements through discussions with the whole team. Our final coding template includes 17 themes and will be presented in the next section.
우리는 결과를 시각화하기 위해 레이더 차트를 사용했다. 가장 일반적으로 보고된 6개의 테마가 차트에서 주요 범주로 사용되었습니다. 차트의 척도는 백분율 값 범위이며 각 분야의 분포 차이를 강조하기 위해 레이더 차트에 각 주제의 백분율 범위를 투영했다.
We used radar charts to help visualize the results. The six most commonly reported themes were used as main categories in the charts. The scale for the charts is in percentage value range and the percentage coverage of each theme was projected on the radar chart to highlight the distribution differences between each discipline.
결과 및 조사 결과
Results and findings
결과는 다음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 (1) 보건 전문직 학생들이 유형 및 빈도별로 가장 일반적으로 보고하는 전문성 딜레마
- (2) 가장 일반적으로 보고된 딜레마의 전체 분포(레이더 차트를 통해 표시됨)와 각 개별 분야에 대한 지배적인 딜레마(있는 경우)의 설명과 함께.
We present the results in two parts:
- (1) the professionalism dilemmas most commonly reported by health professions students by type and frequency;
- (2) the overall distribution (represented through radar charts) of the most commonly reported dilemmas and the dominant one(s) (if any) for each individual discipline, along with illustrative narratives.
딜레마의 종류
Types of dilemmas
435개의 개인 사고 내러티브(PIN)가 식별되어 17개 주제 중 하나 이상에 코드화되어 있으며(전체 목록은 표 2 참조), 상위 6개 주제가 가장 일반적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표 3 참조).
Four hundred and thirty-five Personal Incident Narratives (PINs) were identified and coded to one or more than one of the 17 themes (See Table 2 for the full list), and the top six themes are the most commonly reported (See Table 3).
[전문직 간 딜레마]는 가장 일반적으로 식별되는 주제였으며 보건직 전반에 걸쳐 존재했습니다. 약학과 학생이 가장 많은 전문직 간 딜레마를 보고했으며, 다음으로 MT, PT, 치과, 간호 및 OT 학생이 그 뒤를 이었다(그림 1 참조).
Interprofessional dilemmas were the most commonly identified theme and existed across health professions. Pharmacy students reported the most interprofessional dilemmas, followed by MT, PT, dental, nursing, and OT students (See Figure 1).
분야별 딜레마 분포
Distribution of dilemmas by discipline
우리는 분야별로 딜레마 유형과 빈도에 큰 차이가 있음을 발견했다.
- MT, 약학 및 PT 학생들은 동료와 관련된 딜레마(HCP에 의한 환자 안전과 존엄성 침해, 전문가 간 딜레마, 도전적인 행동과 내부고발에 관한 딜레마)에 직면했다(그림 1 참조).
- OT 학생들은 특히 환자의 가족(가족이 환자 치료 딜레마에 미치는 영향)에 의해 어려움을 겪었다(그림 1 참조).
- 치과 및 간호학과 학생들은 동료와 관련된 딜레마와 동료와 관련이 없는 딜레마를 비슷한 정도로 경험했다고 보고했다(그림 1 참조).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lemma type and frequency among different disciplines:
- MT, Pharmacy and PT students encountered more colleague-related dilemmas (patient safety and dignity breaches by HCPs, interprofessionalism dilemmas, dilemmas about challenging behaviour and whistle-blowing) (see Figure 1);
- OT students were particularly challenged by patients’ family members (impact of family on patient care dilemma) (see Figure 1).
- Dental and Nursing students reported experiencing both colleague-related dilemmas and non-colleague-related dilemmas to a similar extent (see Figure 1).
레이더 차트는 차이를 시각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세 가지 동료 관련 주제]가 X축 위에 있다: [HCP에 의한 환자 안전 및 존엄성 침해, 전문직 간 딜레마, 도전적 행동 및 내부고발에 관한 딜레마]
- [비-동료 관련 주제]는 X축 아래에 있으며, 보건 전문직 학생의 환자 안전 및 존엄성 침해, 가족의 영향 등을 포함한다.환자 치료 딜레마 및 정체성 딜레마에 대해 설명합니다.
Radar charts help to visualize the differences.
- Three colleague-related themes are located above the X-ray, including patient safety and dignity breaches by HCPs, interprofessionalism dilemmas, dilemmas about challenging behaviour and whistle-blowing;
- the non-colleague-related themes are placed below, and include patient safety and dignity breaches by health professions students, impact of family on patient care dilemmas, and identity dilemmas.
치과의
Dental
결과에서 동료와 무관한 전문성 딜레마의 분포는 치과 학생들에게 동등했다. 동료 관련 딜레마가 전체의 47.5%를 차지했다. 비-동료 관련 딜레마가 52.5%를 차지했다(그림 1 참조). 치과 학생들에게 가장 흔하게 보고된 두 가지 딜레마는 전문가 간 딜레마와 보건 전문가 딜레마에 의한 환자 안전 및 존엄성 침해였다. 예를 들어, 전문성 간 딜레마에 대한 질문을 받았을 때, 한 치과 대학원생이 의사들과 비효율적인 협업 경험을 공유했습니다.
The results show that the distributions of colleague-related and non-colleague-related professionalism dilemmas were equal for dental students. Colleague-related dilemmas accounted for 47.5% of the total; non-colleague-related dilemmas covered 52.5% (see Figure 1). Interprofessionalism dilemmas and patient safety and dignity breaches by health professional dilemmas were the two most commonly reported dilemmas for dental students. For example, when asked about interprofessionalism dilemmas, a graduate dental student shared his experience of an ineffective collaboration with physicians:
"한 번은 상사가 X과 의사의 조언을 구하는 것이 좋다고 해서 그와 이야기를 나누러 간 적이 있습니다. 의사는 동의하지 않았지만 명확한 설명을 해주지 않았고, 나는 그가 어디서 왔는지 이해하지 못했다.(대학원 치과그룹2)
“I remember once, my supervisor said it is better to seek the advice of a physician from X department, so we went to speak to him. The physician disagreed with us, but didn’t give clear explanations, and I didn’t understand where he was coming from.” (Graduate Dental Group 2)
치과 학생과 의사는 같은 환자를 치료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의 지식과 기술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정보 격차가 발생했습니다. 의사는 그의 설명이 치과 학생에게는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지 못했고 치과 학생은 의사가 왜 동의하지 않는지 이해하지 못했다.
Despite working on the same patient, the dental student and the physician lacked awareness of each other’s type of knowledge and skills, leading to an information gap: the physician didn’t realize that his explanation was not enough for the dental student, and the dental student didn’t understand why the physician disagreed.
동료와 관련이 없는 딜레마에 대해 질문을 받았을 때, 일부 학생들의 서술은 정체성 딜레마에 대한 그들의 경험을 반영했다. 예를 들어, 한 7학년 학생은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When asked about non-colleague-related dilemmas, some students’ narratives reflected their experience of identity dilemmas. For example, a Year 7 student said:
"제가 학생인 줄 모르고 치과의사인 줄 알았던 환자들도 있어요. 왜냐하면 그들이 상담 클리닉에 왔을 때 "치과의사에게 진찰을 받을 거예요"라는 말을 듣고 나서 그들을 소개받았기 때문입니다." (6학년 치과 그룹 1)
‘‘Some patients didn’t know I was a student, they thought I was a dentist … because when they came into the consulting clinic, they were told ‘You will be seen by a dentist’, and then I was introduced to them’’ (Year 6 Dental Group 1)
이 학생은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신원에 대한 환자의 오해를 바로잡거나 관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The student chose not to get involved or correct the patients’ misunderstanding of his identity, despite his discomfort.
약국.
Pharmacy
약대생들은 다른 분야의 학생들보다 [동료와 관련된 딜레마]에 더 많이 직면했다. 39%(n=41)를 커버한 [비동료 관련 딜레마]에 비해, 동료 관련 딜레마는 약학 학생이 보고한 전체 딜레마의 약 61%(n=64)를 차지했다(그림 1 참조). 약대생들은 비효율적인 전문가간 협업의 직접적인 결과로 많은 전문직 간 딜레마가 보고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한 대학원생이 왜 그 약학 학생이 환자를 위해 다른 검사를 원하는지 이해하지 못한 임상의에게 부당한 대우를 받았던 경험을 공유했다. 임상의의 관점에서 보면, 문제는 이미 해결되었습니다.
Pharmacy students encountered more colleague-related dilemmas than students of any other discipline. Colleague-related dilemmas accounted for approximately 61% (n = 64) of the overall reported dilemmas by pharmacy students, as compared to non-colleague related dilemmas which covered 39% (n = 41) (see Figure 1). A significant number of interprofessionalism dilemmas were reported by pharmacy students as a direct result of ineffective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For example, a graduate student shared his experience of being treated unfairly by a clinician who didn’t understand why the pharmacy student wanted another test for the patient. From the clinician’s point of view, the problem had already been solved:
"몇 가지 처방전 때문에 매우 나쁜 부작용을 가진 환자가 있었는데... 그리고 임상의는 그에게 복용을 중단하라고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정확히 어떤 약이 원인인지 알고 싶었죠... 제가 필요한 건 그 환자의 소변 검사를 통해 확인되는 것이었어요. 그래서 나는 임상의에게 갔지만 그는 약간 짜증이 나서 '왜 이 일에 대해 나에게 잔소리할 필요가 있는가?'라고 말했다. 문제가 해결됐어! 이제 좀 그만하지 않겠어요?' (대학원 약학 그룹 1)
‘‘I had a patient who had very bad side effects because of some prescriptions … And the clinician asked him to stop taking them. But I wanted to know exactly which medicine caused it … All I needed was to have a urine test of that patient to confirm it. So I went to the clinician … but he was … kind of annoyed and said ‘Why do you have to nag me about this? The problem is solved! Can you stop doing this for fun?’’’ (Graduate Pharmacy Group 1)
이 딜레마는 주로 임상의사가 약사와 임상의사 사이의 문제 정의의 차이를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에 일어났다(이 경우 임상의사는 부정적인 부작용을 주요 인과 인자로 본 반면 약사는 진짜 문제가 약의 선택에 있다고 느꼈다). 또 다른 약대생은 많은 갈등은 타인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존경의 결여에서 비롯된다는 자신의 신념을 강조하며 끝을 맺었다.
This dilemma was mainly caused by the clinician’s unawareness of differences in problem definitions between pharmacists and clinicians (in this case, the clinician saw negative side effects as the chief causal factor, while the pharmacist felt that the real problem lay in the choice of medicine). Another graduate pharmacy student concluded by emphasizing his belief that many conflicts are caused by a lack of recognition and respect for others’ professions:
"제 생각에 가장 큰 문제는 임상의들이 우리의 역할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임상의들이 무엇을 하는지 알지만, 그들은 우리에 대해 제한된 지식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우리가 함께 일할 때 그들은 우리에게 무엇을 요구해야 할지 몰랐습니다.그들은 우리가 공동작업에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할지 몰랐습니다.(대학원 약학그룹2)
‘‘I think the big problem is … clinicians don’t understand our roles. We know what clinicians do, but they have limited knowledge about us. So when we were working together, they didn’t know what to ask from us … they didn’t know what kind of role we were supposed to play in collaborative work.’’ (Graduate Pharmacy Group 2)
간호
Nursing
치과 학생들의 경우처럼, 간호학과 학생들은 6가지 주요 주제를 모두 비슷한 비율로 경험했다고 보고했다. 간호학과 학생의 경우, 가장 일반적으로 보고된 딜레마의 55%가 동료와 관련이 있는 반면, 45%는 동료와 관련이 없는 딜레마였다. [동료 관련된 전문성 딜레마]와 [동료 비관련 전문성 딜레마]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이 그룹에서 가장 자주 보고된 주제는 HCP에 의한 환자 안전과 존엄성 침해와 관련된 딜레마였다. 예를 들어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As was the case with dental students, nursing students reported experiencing all six main themes at similar rates. For nursing students, 55% of the overall most commonly reported dilemmas were colleague-related, while 45% were non-colleague-relat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lleague-related and non-colleague-related professionalism dilemmas.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themes for this group were dilemmas involving patient safety and dignity breaches by HCPs. For example, a Year 4 nursing student stated:
한 직원은 좋은 사람이었지만 사무실에서 환자에 대해 상당히 부적절한 방법으로 불평했다. 그녀가 바빴다는 것은 알지만, 솔직히 말해서 그 환자는 무리하지 않았다. 우리도 결국 그녀처럼 공감을 잃을까?(4년차 간호그룹 1)
‘‘There was one staff member [who] was a nice person, but she complained about her patient in a quite inappropriate way in the office. I understand she has been busy, but that patient [was] not being unreasonable, to be honest … and I wonder if we will eventually lose our empathy just like her. ‘‘ (Year 4 Nursing Group 1)
한편, 많은 간호학과 학생들에 의해서도 전문직 간 딜레마가 보고되었다. 한 4학년 학생은 그녀의 설명을 듣지 않은 의사로부터 "환자를 잘 돌보지 않았다"는 비난을 받았던 경험을 털어놓았다.
Meanwhile, interprofessionalism dilemmas were also reported by many nursing students. A Year 4 student shared her experience of being blamed for “not looking after the patient well” by a physician who did not listen to her explanation:
" 그 환자는 다음날 아침 수술을 받을 예정이었기 때문에 그 전에는 음식이나 음료가 허용되지 않았습니다. 저는 그와 그의 가족들에게 이 사실을 여러 번 상기시켰지만, 그는 (설명서를) 따르지 않고 수술 전에 물을 마셨습니다. 의사는 조금 짜증이 났고, 저를 비난했지만, 아무도 내 설명을 들으려 하지 않았다. 사실 24시간 지켜볼 수 없어요.다른 일이 있어요.(간호그룹 4년차)
“ … because that patient was going to have an operation the next morning, food or drink were not allowed for him before that. I had reminded him and his family members about this, quite a few times … however, he didn’t follow (the instruction) and had some water before the operation. The physician was a bit annoyed, and I was the one blamed, but no one wanted to hear my explanations. The fact is, I can’t watch him 24/7, I have other work to do.” (Year 4 Nursing Group 1)
이 학생은 의사가 자신의 업무량을 알지 못해 화가 나고 화가 났다며 자초지종을 파악하지 못한 채 그녀를 비난했다.
This student said she was upset and angry because the physician was not aware of her workload, and blamed her without seeking to understand the full story.
의료 기술
Medical technology
MT 학생들이 보고한 전문성 딜레마는 대부분 동료와 관련된 것이었다. MT 학생 중 HCP에 의한 환자 안전 및 품위 침해와 관련된 전문성 간 딜레마 및 딜레마가 가장 많이 보고되었습니다. 한 4학년 학생은 자신이 이해하지 못하는 명령을 받고 의사로부터 더 자세한 정보를 찾는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역할 경계로 인해 '소통 채널 없음'을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The professionalism dilemmas reported by MT students were mostly colleague-related. Among MT students, interprofessionalism dilemmas and dilemmas related to patient safety and dignity breaches by HCPs were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A Year 4 student described being given orders that he didn’t understand, and seeking out further details from a physician. However, due to role boundaries, there was ‘no communication channel’ available:
"어떤 순서가 적절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환자에게 왜 그 모든 검사가 필요한지 모르겠습니다. 의사와 상담하고 싶습니다만, 의사와의 연락 창구는 없습니다. MT는 의사와의 협의가 아니라 의사의 지시를 이행할 의무가 있습니다.(제4년차 MT 그룹 1)
“Some order seems … inappropriate … I don’t see why the patient needed all those tests. I would like to talk to the physician … but there is no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us … you know, the MT is expected to be under a certain obligation to implement a physician’s orders, not to discuss with them about that.” (Year 4 MT Group 1)
작업 요법
Occupational therapy
OT 학생들이 경험한 딜레마의 분포는 더 큰 차이가 있었다. OT 학생의 경우, 가장 일반적으로 보고된 딜레마의 45%(n = 18)가 환자 치료에 대한 가족의 영향과 관련이 있었다. 일부 OT 학생들은 환자의 가족이 진단이나 치료 과정에 개입하거나 영향을 준 유사한 사건의 경험을 보고했다. 예를 들어, 4년차 OT 학생은 가족 구성원의 주장에 따라 작업 치료 세션을 해야 하는 경우를 보고했습니다.
There was greater variance in the distribution of dilemmas experienced by OT students. For OT students, 45% (n = 18) of the most commonly reported dilemmas were related to the impact of family on patient care. Some OT students reported experiences of similar incidents, wherein the patient’s family intervened or influenced the diagnosis or treatment processes. For example, a Year 4 OT student reported a case in which they were forced to give occupational therapy sessions following the insistence of a family member:
"작업치료에 대한 의욕이 없는 노부인이 있었지만, 그 노부인의 가족은 병원에 있는 동안에는 작업치료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리가 그녀에게 운동을 시키려고 할 때마다, 그녀는 항상 잠든 척했어요. 그래서 우리는 수동적인 운동을 할 수밖에 없었다."(4년차 OT 그룹 2)
‘‘There was an old lady [who] was not motivated for occupational therapy sessions herself, but her family insisted she should do it during her stay in the hospital. Every time we try to get her to do some exercises, she always pretended she was asleep. And so we had no choice but to do passive exercises.’’ (Year 4 OT Group 2)
대만에서는 문화적 차이로 인해 [고령 환자의 가족이 환자를 위해 의료 결정을 내리는 경우]가 많은데, 학생들은 이 관행에 불쾌감을 표시했다.
Due to cultural differences in Taiwan, the families of elderly patients often make medical decisions for the patients; the student expressed discomfort with this practice.
물리치료
Physical therapy
MT나 약학과 학생들처럼 물리치료 학생들도 동료와 관련된 딜레마를 많이 경험했다. PT학생이 가장 많이 경험하는 딜레마의 약 61%를 동료와 관련된 딜레마가 측정되었으며, 비동료와 관련된 딜레마는 38%였다(그림 1 참조). PT 학생의 경우, HCP에 의한 환자 안전과 품위 침해에 관한 딜레마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문직 간 딜레마와 함께 가장 많이 보고된 주제 중 두 가지였다. 예를 들어, 한 4학년 학생은 장비 부족 시 환자 치료에 3대의 기계 대신 1대의 기계만 사용하도록 요구받았습니다.
Like MT and pharmacy students, physical therapy students also experienced a high volume of colleague-related dilemmas. In total, colleague-related dilemmas measured about 61% of the most commonly experienced dilemmas for PT students, and non-colleague-related dilemmas stood at 38% (see Figure 1). For PT students, dilemmas concerning patient safety and dignity breaches by HCPs scored the highest, and, along with interprofessionalism dilemmas, were two of the most reported themes. For example, a Year 4 student described being asked to use only one machine instead of three for a patient’s treatment during an equipment shortage:
환자는 무릎과 허리를 모두 치료해야 했습니다.즉, 동시에 3대의 기계를 사용해야 했습니다. 그 당시에는 모든 환자를 위한 기계가 충분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그래서 치료 효과가 떨어지더라도 그 환자에게는 1대의 기계만 사용하라는 지시를 받았습니다.(4년차 PT 그룹 1)
“The patient needed treatment on both of his knees as well as his lower back, which means I needed to use three machines at the same time. Apparently, we didn’t have enough machines for all patients at that time … So I was told to use only one machine on that patient (who actually needed three), even though the treatment would be less effective … ” (Year 4 PT Group 1)
또 다른 4학년 학생은 자신의 경험을 전문직 간 딜레마에 대해 공유했습니다.
Another Year 4 student shared his experience with interprofessionalism dilemmas:
예를 들어 무릎이 아픈 환자에게도 같은 진단을 내리기도 했는데, 의사는 우리가 같은 치료를 해주길 기대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알고 있는 바로는, 평가 결과, 동일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고, 환자 중 한 명은 다른 치료가 필요했고, 진단은 정확하지 않았다. 이것은 우리에게 있어서 어려운 상황입니다…그들(의사)에게 어떻게 말을 걸어야 할지 모릅니다」(4년째 PTGroup1)
“For example, sometimes patients with aching knees were given the same diagnosis, and the physician expected us to give them the same treatment. However, after evaluation, according to our knowledge, we found they were not the same, and that one of the patients needed a different treatment, and the diagnosis he received was not accurate. And that is a difficult situation for us … we don’t know how to talk to them (the physicians).” (Year 4 PTGroup1)
같은 그룹의 다른 학생은 상황의 어려움을 더 설명했다.
Another student from the same group further explained the difficulty of the situation:
전문 분야와 직군에 따라 환자의 치료에 대한 의견이 다르면 의사 소통이 어려워집니다. 서로의 지식이나 기술을 잘 모르기 때문만이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능력도 매우 중요합니다. 우리가 당신의 전문지식을 문제삼는 것이 아니라, 제안을 하고 싶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제4년차 PT Group1)
“We are from different disciplines and professions, and when we have different opinions towards a patient’s treatment, it is difficult to communicate. Not only because we are not familiar with knowledge and skills held by each other; communication skills are also very important. It is important to deliver the message that we are not challenging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but rather just want to provide suggestions.” (Year 4 PTGroup1)
치과, 약학, 간호 및 MT 그룹의 학생들과 유사하게, PT 학생들도 비효율적인 의사소통을 경험했다고 보고했습니다. 대만에서는, 많은 학생이, 팀원간의 정보 갭을 만들어, 오해를 불러일으키거나 화가 나거나 하는 등, 경솔하지 않은 경청이나 비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악영향을 인식하고 있었다.
Similar to students from Dental, Pharmacy, Nursing, and MT groups, PT students also reported experiencing ineffective communication. In the Taiwanese context, many students recognized the negative influences of non-respectful listening and ineffective communication, such as creating an information gap between team members, causing a misunderstanding and feeling upset or angry.
논의
Discussion
우리의 연구에서 두 가지 중요한 발견이 나왔다. 첫째, [전문직간 딜레마]는 대만 보건 전문직 학생들이 임상 경험 중에 직면하는 가장 흔한 전문직업성 딜레마입니다. 이는 의학에 초점을 맞춘 전문성에 관한 기존 문헌에는 명료하지 않은 새로운 차원이다. 이 연구 결과는 또한 이전에 문서화된 것보다 더 광범위한 전문가 간 딜레마를 포착함으로써 전문성 딜레마 문헌을 확장합니다.
Two significant findings emerged from our study. Firstly, interprofessional dilemmas are the most common professionalism dilemma faced by Taiwanese health professions students during their clinical experience. This is a new dimension not articulat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on professionalism, which tends to focus on the medical professions (Tsou, Shih, & Ho, 2015). This finding also expands the professionalism dilemmas literature by capturing a broader array of interprofessional dilemmas than previously documented (Monrouxe et al., 2014; Monrouxe & Ree, 2012; Rees, Monrouxe,Ternan, & Endacott, 2015).
여기에 제시된 프로페셔널 간 딜레마에 대한 학생 내러티브는 Kalili 등의 [전문직 간 협업에서 이중 정체성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뒷받침합니다. 배경 섹션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단일 전문직군 교육 시스템] 내에서 전문직의 사회화는 [단일 전문적 정체성]을 조장하고, [다른 사람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제한한다. 이것은 [고정관념, 내그룹 편애, 전문직군 간의 차별적 편견]을 고착화함으로써 전문가 간 협업을 방해한다. 게다가 다른 전문직이 어떻게 문제를 정의하고 접근하고 있는지에 대한 이해가 없는 경우, "같은 것을 보면서도look at, 같은 것을 보지seeing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The student narratives of interprofessional dilemmas presented here support Khalili and his colleagues’ framework of dual identity in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Khalili et al., 2013). As presented in the background section, health professional socialization within a uniprofessional educational system fosters a uniprofessional identity and limits health professionals’ understandings of other’s roles. This hinders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by entrenching stereotypes, in-group favouritism, and out-group discriminatory bias among professional groups. Furthermore, if interprofessional team members do not have an understanding of how other professions define and approach problems, then they may “look at the same thing without seeing the same thing” (Pertrie, 1976).
우리의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전문직 간 딜레마]는 보건의료 전문가들이 [다른 전공을 하는 동료의 역할, 경험 및 전문지식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인해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Khalili et al(2013)은 [전문가 간 정체성의 개발]이 학습자 자신의 전문적 역할을 넘어, [협업과 팀워크를 위한 모든 전문적 역할에 대한 공통의 이해]를 갖게 됨으로써, "내-그룹in-group" 관점을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우리의 연구결과는 그러한 훈련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Our results indicate that most interprofessional dilemmas are caused by health professionals’ lack of awareness of their extradisciplinary colleagues’ roles, experience, and expertise. Khalili et al. (2013) found that development of interprofessional identity can help to expand ‘‘in-group’’ perspective beyond learners’ own professional roles to a shared understanding of all professional roles for collaboration and teamwork. Our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for such training.
둘째, 우리는 분야마다 다양한 프로페셔널리즘 딜레마의 분포에 직면한다는 것을 증명한다. 이전의 다전문 그룹 연구는 학생들이 직면했던 전문성 딜레마 목록을 만들어냈지만, 이 연구는 연구 결과를 학문적으로 비교하고 딜레마 분포의 차이를 밝혀냄으로써 독자들에게 새로운 관점을 제공한다.
Secondly, we demonstrate that different disciplines encounter distinct distributions of the various professionalism dilemmas. While previous multi-professional group studies produced a list of professionalism dilemmas that students encountered (Monrouxe et al., 2014; Rees et al., 2015), this research offers the reader a new perspective by comparing the findings cross-disciplinarily and revealing differences in dilemma distributions.
예를 들어 치과 의사는 일반적으로 환자 치료에서 독립적으로 일하기 때문에, 치과 학생들은 혼자서 환자를 치료할 때 전문직업성 딜레마에 직면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OT 학생들은 환자의 대부분이 노인이고 대만에서는 노인의 가족이 의료 결정을 내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가족이 환자 치료에 미치는 영향' 딜레마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 동료와 관련된 딜레마는 MT, 약학, 간호 및 PT 학생의 전문직업성 딜레마 프로필에서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의사 및 기타 HCP의 명령에 따르도록 요구되며, 일부 작업이 지나치게 시간이 많이 소요되거나 까다롭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도, [위계질서와 역할 경계]로 인하여 순응해야 하는 상황이 만들어진다. 이 결과는 개인 전문가의 행동이 그들이 일하는 사회적 규범과 조직적 맥락에 의해 형성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For example, dental students are more likely to encounter professional dilemmas when treating patients by themselves, as dental practitioners generally work independently in patient treatment (Masella, 2007). OT students are more likely to encounter ‘impact of family on patient care’ dilemmas, as many of their patients are elderly people, and in Taiwan, families of elderly patients often make medical decisions for them. Colleague-related dilemmas occupy a leading position in MT, Pharmacy, Nursing, and PT students’ professionalism dilemmas profile: they are expected to obey orders from physicians and other HCPs, and even if they feel that some tasks are excessively time-consuming or exacting, hierarchies and role boundaries necessitate their complianc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actions of individual professionals are moulded by the social norms and organizational context(s) in which they work.
시사점
Implications
우리의 연구결과는 실질적인 함의를 담고 있다.
Our findings bear practical implications.
첫째, [전문직 간 정체성]의 결여가 전문가 간 딜레마의 주요 원인이기 때문에, 보건 전문가 교육은 전문가 간 교육, 즉 '협업과 관리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서로와 배우고, 서로에게서 배우고, 서로에 대해 배우는 것'을 강조함으로써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는 보건 전문직 학생들의 [이중 정체성] 개발을 돕고, 그들 자신의 전문직과 더 큰 전문직 간 관리 팀 모두에 대한 소속감을 형성할 것이다(Monrouxe & Rees, 2017). 보건 전문 교육학은 그들의 실천이 위치한 더 큰 사회 시스템과 제도 구조에 반응해야 한다.
Firstly, since a lack of interprofessional identity is a primary cause of interprofessional dilemmas,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ould benefit from greater emphasis o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learning with, from and about each other to improve collaboration and the quality of care’ (Oates, 2016). This will assist health professions students’ development of a dual identity, building a sense of belonging to both their own profession and the larger interprofessional care team (Monrouxe & Rees, 2017). Health professions pedagogy should be responsive to the larger social systems and institutional structures in which their practice is situated (McMurtry, Rohse, & Kilgour, 2016).
둘째, [존중이 결여된 경청과 비효율적인 의사소통]이 전문직 간 딜레마의 주요 요인 중 일부라는 우리의 발견에 대처하기 위해, 보건의료전문직 학생들은 전문직 간 의사소통 기술에 대한 더 많은 훈련을 받아야 한다.
Secondly, to address our findings that non-respectful listening and ineffective communication are some of the primary factors in interprofessional dilemmas, health professions students could benefit from more training in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skills (Carpenter & Dickinson, 2008; Clark, 2006; Oates, 2016).
셋째, 많은 연구 참여자들은 [인터뷰 과정에서 무언가를 배웠다]고 느꼈으며, 커리큘럼에서 비슷한 성찰 연습을 보고 싶다고 털어놓았다. 그들은 프로페셔널리즘의 딜레마 경험을 반영하면 그들 자신의 접근 방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다른 사람의 관점을 고려할 수 있다고 느꼈다. 그 결과, 그들은 미래의 딜레마에 대처하는 것에 대해 더 자신감을 느꼈다. 이것은, 전문가간 교육에서의 성찰을 지지하는 이전의 출판물을 반향한다.
Thirdly, many participants in our study confided that they felt they had learned from the interview process, and would like to see similar reflection exercises in their curricula. They felt that reflecting on professionalism dilemma experiences enabled them to critically examine their own approaches and to consider others’ perspectives. As a result, they felt more confident about coping with future dilemmas. This echoes previous publications that advocate reflection i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Clark, 2009; Zarezadeh, 2009).
제한 사항
Limitations
연구의 잠재적인 한계를 염두에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첫째, 대만에서 의대를 한 곳밖에 공부하지 않았기 때문에 우리의 결과가 보편적이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추가 연구를 통해 이 연구 방법론을 대만 및 다른 나라의 다른 의과대학으로 확대할 수 있다. 둘째, 우리의 샘플 사이즈는 상대적으로 작았다. 우리는 6개의 보건 전문가 학생 그룹에 걸쳐 다른 표본 크기를 가지고 있었다. (간호학과 8명에서 약학과 15명까지) 그 결과, 특정 유형의 딜레마가 과소 보고되거나 과도하게 표현되었을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각 직업에 대해 두 개 이상의 포커스 그룹을 실시했고, 추가 포커스 그룹에서 새로운 테마가 나오지 않은 후에야 모집을 중단했습니다.
It is important to bear in mind potential limitations of our study. Firstly, our results are not necessarily universal, as we studied only one medical school in Taiwan. Further studies could extend this research methodology to other medical schools in Taiwan and other countries. Secondly, our sample sizes were relatively small. We had different sample sizes across the six health professions student groups (from 8 nursing students to 15 pharmacy students). As a result, certain types of dilemmas may have been underreported or overrepresented. Nevertheless, we conducted more than one focus group for each profession and stopped recruiting only after no new themes emerged from additional focus groups.
코멘트를 정리하다
Concluding comments
이 연구는 프로페셔널리즘 딜레마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넓힌다. 우리가 아는 한, 다른 분야의 보건 전문직 학생들의 전문성 딜레마 경험을 질적으로 비교한 것은 처음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전문직 간 딜레마가 보건직 학생들에게 직장 내 전문직의 지배적인 딜레마라는 것을 보여줄 수 있었다.
This research broadens our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dilemma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it is the first to compare the professionalism dilemma experiences of health professions students from different disciplines qualitatively. Doing so allowed us to show that interprofessional dilemmas are a dominant workplace professionalism dilemma for health professions students.
딜레마 유형에 대한 유의한 분야 간 차이가 발견되었다. 다른 분야의 보건 전문직 학생들은 다양한 유형의 딜레마에 영향을 받는데, 특히 그러한 학문적 차이 때문이다. 조사 결과, 특정 분야의 보건 전문 교육자는 해당 분야의 학생들이 직면할 가능성이 높은 특정 전문성 과제에 보다 잘 대처할 수 있도록 교육과 학습을 재구성할 것을 권장합니다.
Significant disciplinary differences regarding dilemma types were found. Health professions students of different disciplines are affected by different types of dilemmas, due specifically to those disciplinary differences. As a result of our findings, we recommend that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of specific disciplines restructure teaching and learning to better address the specific professionalism challenges that are more likely to be faced by their field’s students.
J Interprof Care. May-Jun 2020;34(3):259-268.
doi: 10.1080/13561820.2019.1649645. Epub 2019 Sep 13.
Professionalism dilemmas experienced by health professions students: a cross-sectional study
PMID: 31516056
Abstract
Health professions students will invariably confront professionalism dilemmas. These early encounters significantly influence future professional attitudes and behaviours. Heretofore, studies concerning professionalism dilemmas experienced by health professions students across disciplines have been limited. To address this issue, we recruited 56 students with clinical experience from the National Taiw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in the nursing, dentistry, pharmacy, medical technology, occupational therapy, and physiotherapy programs to participate in this research to compare health professions students' understandings of professionalism and their experiences of professionalism dilemmas. We used group interviews to uncover students' experiences of professionalism dilemmas. We identified the six most commonly reported professionalism dilemmas and found that interprofessional dilemmas were the dominant workplace professionalism dilemma for health professions students. We also identified significant disciplinary differences regarding dilemma types and frequencies. We employed the framework of dual identity development to better understand the role of professional and interprofessional identities in interprofessional dilemmas. The professionalism dilemmas that individual students encountered were shaped by disciplinary differences.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a sense of belonging to both their own profession and a broader interprofessional care team in health professions students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interprofessional healthcare teams.
Keywords: Professionalism dilemma; interprofessional education; professionalism; qualitative method.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전문직업성(Professional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서구 문화권에서 의료 전문직업성 프레임워크: 내러티브 개괄(Med Teach, 2016) (0) | 2022.03.24 |
---|---|
대만 의과대학생의 문화간 전문직업성 딜레마 내러티브: 서양의학과 대만문화의 긴장(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7) (0) | 2022.03.24 |
성격은 무엇인가? 두 개의 미신과 하나의 정의(New Ideas in Psychology, 2020) (1) | 2022.03.21 |
복잡성 해결하려고 노력하기: 전문직정체성 발달의 창으로서 의과대학생의 환자 조우 성찰적 글쓰기(Med Teach, 2018) (0) | 2022.03.16 |
비판적 성찰과 비판적 성찰성의 발산과 수렴: 보건의료전문직교육에의 함의(Acad Med, 2019) (0) | 2022.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