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마스 2022: 과학자: 크리스마스 12일째날, 통계학자가 보내주었죠(BMJ, 2022)
CHRISTMAS 2022: THE SCIENTIST
On the 12th Day of Christmas, a Statistician Sent to Me . . .
Richard D Riley, 1 Tim J Cole, 2 Jon Deeks, 1 Jamie J Kirkham, 3 Julie Morris, 4 Rafael Perera, 5 Angie Wade, 6 Gary S Collins7 

 

 

크리스마스까지 이어지는 몇 주는 의학 연구를 위한 마법의 시간이다. 임박한 휴가철은 연구원들이 시간을 내어 통계 분석을 끝내고 원고를 작성하고 검토자들의 의견에 응답하는 등 생산성에 극적인 상승을 일으킨다. 이러한 활동은 12월에 The BMJ와 같은 학술지에 대한 투고가 쇄도하여 연구자들이 학업 성취감을 가지고 한 해를 마무리하고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축제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사실, 연구원들은 심지어 크리스마스의 12일이 끝나는 1월 초까지 그들의 논문이 받아들여질 것으로 예상할 수도 있다. 
The weeks leading up to Christmas are a magical time for medical research. The impending holiday season creates a dramatic upsurge in productivity, with researchers finding time to finish off statistical analyses, draft manuscripts, and respond to reviewers’ comments. This activity leads to a plethora of submissions to journals such as The BMJ in December, so that researchers can finish the year with a sense of academic achievement and enjoy the festivities with their loved ones. Indeed, with optimism fuelled by mulled wine and mince pies, researchers may even anticipate their article’s acceptance by early January, at the end of the 12 days of Christmas.

그러나 집단은 이 출판 호의와 환호의 계절에 반대한다. 즉, 세부적인 것에 대해 매우 빛나는 코를 가진 작지만 영향력 있는 통계학자 그룹은 "모든 것이 밝다" 보다는 "모든 것이 옳다"를 추구하고 호, 호, 호, 호보다는 "아니오"를 강조한다. 통계학자들의 핵심 신념은 연구 기사가 크리스마스뿐만 아니라 평생을 위한 것이며, 높은 기준의 방법론적 엄격성과 투명성을 촉진하는 통계적 리뷰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당신은 그들이 크리스마스 기간 동안 얼마나 바쁜지 상상할 수 있을 것이다 - 그들이 먹고 마시고 즐거워하기도 전에, 이 사람들은 공개된 불에서 구워져야 하는 잘못된 분석 방법, 노란 눈처럼 순수한 의심스러운 통계적 해석, 그리고 반b로 제출물을 감지하기 위해 지칠 줄 모르고 일하고 있다편안함과 즐거움을 전혀 가져다 주지 않는 연구 세부 사항에 대한 케잌 보고. 허튼소리! 
A collective, however, works against this season of publication goodwill and cheer—a small but influential group of statisticians with very shiny noses for detail, seeking “all is right” rather than “all is bright” and emphasising no, no, no rather than ho, ho, ho. The statisticians’ core belief is that a research article is for life, not just for Christmas, and they deliver statistical reviews that promote high standards of methodological rigour and transparency. So you can imagine how busy they are during the Christmas period with its influx of submissions—even before they can eat, drink, and be merry, these individuals are working tirelessly to detect submissions with erroneous analysis methods that should be roasting on an open fire, dubious statistical interpretations as pure as yellow snow, and half-baked reporting of study details that bring zero comfort and joy. Bah humbug!

매년 BMJ의 통계 편집자들은 500개 이상의 기사를 검토한다. 약 30년 동안, 통계팀은 마틴 가드너와 더그 알트먼이 이끌었는데, 둘 다 통계학자와 크리스마스 별 사이의 유사성을 보았고, 통계학자들은 연구 무결성의 길을 밝히고, 측정 기준에 대한 방법론을 홍보하며, "과학과 세계를 구하기 위한" 통계 원칙을 장려했다.5 
Each year The BMJ’s statistical editors review more than 500 articles. For about 30 years, the statistical team was led by Martin Gardner and Doug Altman,12 both of whom saw similarities between statisticians and the Christmas star, with the statisticians lighting a path of research integrity, promoting methodology over metrics,34 and encouraging statistical principles to “save science and the world.”5

통계 동료 검토 중에 발생하는 가장 일반적인 문제를 도출하기 위해 BMJ의 통계 편집자에게 내부 조사를 실시하였다. 12개 항목이 확인되었으며, 각 항목은 여기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12월 25일부터 1월 5일까지 통계학자들이 그린치의 사고방식으로 리뷰를 진행하는 기간인 크리스마스의 12일마다 하나의 항목이 있지만 34번가의 미라클 온의 친절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 
To elicit the most common issues encountered during statistical peer review, an internal survey was administered to The BMJ’s statistical editors. Twelve items were identified, and each are described here. There is one item for each of the 12 days of Christmas, the period between 25 December and 5 January when the statisticians conduct their reviews in the mindset of the Grinch,6 but with the kind heart of Miracle On 34th Street.

재림절
Advent

매년 12월 BMJ의 통계 편집자들은 BMJ의 크리스마스 파티에서 휴식을 취하기 전에 공통적인 통계적 우려, 문제가 있는 제출물(인터넷을 통해 미끄러진 제출물, 소위 신빈 기사 포함), 검토 과정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할 때 하루 동안 만난다. 2019년 12월 18일 회의에서 통계학자들은 공통된 통계 문제를 보여주는 기사가 향후 기사 제출 저자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는 데 동의했고, 초기 항목 세트가 논의되었다. 2020년 12월 17일과 2021년 12월 16일의 후속 크리스마스 회의에서 이 기사에 대해 상기시키자, 통계학자들은 아이러니하게도 BMJ 시스템에서 우선순위를 두어야 할 통계 검토의 수 때문에 진행이 지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Every December The BMJ’s statistical editors meet for a day, when they discuss common statistical concerns, problematic submissions (including those that slipped through the net, the so-called sin bin articles), and how to improve the review process, before unwinding at The BMJ’s Christmas party. At the meeting on 18 December 2019, the statisticians agreed that an article showcasing common statistical issues would be helpful for authors of future article submissions, and an initial set of items was discussed. When reminded about this article at subsequent Christmas meetings on 17 December 2020 and 16 December 2021, the statisticians explained that progress was being delayed, ironically because of the number of statistical reviews that needed to be prioritised in The BMJ’s system.

추가 연기 후, 2022년 6월 28일, 잠재적인 항목 목록이 이메일을 통해 통계 편집자들 사이에 공유되었고, 모든 사람들은 통계 검토 중에 정기적으로 마주치는 추가 문제를 포함하도록 요청받았다. 조사 결과는 (이메일을 통해) 수집되고 논의되었으며, 더 광범위한 보급을 위해 합의된 가장 중요한 항목의 최종 목록이 작성되었다. 잘 알려진 곡의 크리스마스 일수에 맞춰 12개의 아이템이 선정되었다(이에 따라 BMJ의 크리스마스 호에 게재될 기회가 증가한다). 얕은 학습 접근법과 딥 러닝 접근법을 포함한 민감도 분석 결과, 동일한 12개 항목이 선택되었다. 자동화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모든 통계 편집자들이 그들 자신의 연구 기사 중 일부에서 유사한 통계적 오류를 범했다는 것을 빠르게 확인했다. 
After further procrastination, on 28 June 2022 a potential list of items was shared among the statistical editors by email, and everyone was asked to include any further issues they regularly encountered during statistical review. The findings were collated and discussed (by email) and a final list of the most important items agreed for wider dissemination. Twelve items were selected, to match the number of days of Christmas in the well known song (and thereby increase the chance of publication in The BMJ’s Christmas issue). Sensitivity analyses, including shallow and deep learning approaches, led to the same 12 items being selected. An automated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quickly identified that all the statistical editors were guilty of similar statistical faux pas in some of their own research articles, and so are not whiter than snow.

12일간의 통계 검토
The 12 days of statistical review

크리스마스에 그들을 집으로 데려다 주는 것을 돕기 위해, 12개의 식별된 물건들이 간략하게 설명되어 있다. BMJ 독자이자 미래의 작가인 당신을 위한 스타킹 필러로 생각하세요. 상당한 양의 크리스마스 식사를 허용하면서, 12월 25일과 1월 5일 사이에 매일 한 가지 항목을 소화하고 지침을 따르는 새해 결심을 하세요. 
To help drive them home for Christmas, the 12 identified items are briefly explained. Consider them as stocking fillers for you, The BMJ reader and potential future author. Allowing for sizeable Christmas meals, digest one item each day between 25 December and 5 January and make a New Year’s resolution to follow the guidance.

On the first day of Christmas, a statistician sent to me:

연구 질문을 명확히 합니다
Clarify the research question

크리스마스는 삶의 의미와 미래의 기대에 대한 성찰의 시간이다. 마찬가지로, 통계학자들은 종종 리뷰에서 저자들이 연구 질문을 반성하고 그들의 목표를 명확히 하도록 권장한다. 예를 들어,

  • 관찰 연구에서 저자는 자신의 연구가 기술적이거나 인과적이거나, 예측 인자 식별 또는 예측 모델 개발 또는 탐색적이거나 확인적인 범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 인과관계 연구의 경우 저자들에게 기본 전제(원인 경로 또는 모델)를 예를 들어 지시된 비순환 그래프로 표현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 개입 연구의 체계적인 검토에서 저자는 PICO 구조인 모집단, 개입, 비교 및 결과 시스템을 사용하여 연구 질문을 진술해야 할 수 있다.

Christmas is a time for reflection on the meaning of life and future expectations. Similarly, in their reviews, statisticians will often encourage authors to reflect on their research question and clarify their objectives. As an example,

  • in an observational study, the authors may need to clarify the extent to which their research is descriptive or causal, prognostic factor identification or prediction model development, or exploratory or confirmatory.
  • For causal research, authors may be asked to express the underlying premise (causal pathway or model), for example, in terms of a directed acyclic graph.
  • In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 studies, authors might need to state their research question using the Population, Intervention, Comparison, and Outcome system—the PICO structure.

관련된 요청은 추정을 위한 연구의 목표 측도인 추정량을 명확히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 무작위 시험에서 [추정치][치료 효과]이지만 통계학자는 모집단, 비교 중인 치료, 결과, 요약 측정(예: 위험 비율 또는 위험 차이, 조건부 또는 한계 효과) 및 기타 특징에 대한 더 나은 정의를 요청할 수 있다. 
  • 마찬가지로 무작위 시험의 메타 분석에서 [추정량]은 [연구 특성의 잠재적 이질성의 맥락]에서 정의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추적 관찰 기간이 다른 고혈압 임상시험의 메타 분석에서, 추정치가 혈압에 대한 치료 효과인 경우, 이것이 한 시점(예: 1년), 여러 시점(예: 1년과 5년), 또는 특정 시점 범위(예: 6개월에서 2년)에 걸친 평균과 관련이 있는지에 대한 명확성이 필요하다.

A related request would be to clarify the estimandthe study’s target measure for estimation.7 

  • In a randomised trial, for example, the estimand is a treatment effect, but a statistician might request better definitions for the population, treatments being compared, outcomes, summary measure (eg, risk ratio or risk difference, conditional or marginal effect), and other features.78 
  • Similarly, in a meta-analysis of randomised trials the estimand must be defined in the context of potential heterogeneity of study characteristics. In a meta-analysis of hypertension trials with different lengths of follow-up, for example, if the estimand is a treatment effect on blood pressure, clarity is needed about whether this relates to one time point (eg, one year), each of multiple time points (eg, one year and five years), or some average across a range of time points (eg, six months to two years).

 

On the second day of Christmas, a statistician sent to me:

추정치, 신뢰 구간 및 임상 관련성에 초점을 맞춥니다
Focus on estimates, confidence intervals, and clinical relevance

덜 익은 칠면조를 돌려보내는 것과 마찬가지로, 발견이 중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P 값과 "통계적 중요성"에만 초점을 맞춘 기사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추정치(예: 크리스마스 첫날부터 지정된 추정치에 해당하는 평균 차이, 위험 비율 또는 위험 비율), 해당 95% 신뢰 구간 및 발견의 잠재적 임상적 관련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통계적 유의성은 종종 임상적 유의성과 동일하지 않다

  • 예를 들어 대규모 시행에서 위험 비율을 0.97로 추정하고 95% 신뢰 구간을 0.95-0.99로 추정하는 경우 P 값이 0.05보다 훨씬 작더라도 치료 효과는 잠재적으로 작습니다. 

반대로 [증거가 없음]이 [없음의 증거]는 아니다

  • 예를 들어, 소규모 시행에서 위험 비율을 0.70으로 추정하고 95% 신뢰 구간을 0.40-1.10으로 추정하는 경우 P 값이 0.05보다 크더라도 효과의 크기는 여전히 잠재적으로 큽니다. 

따라서 통계 편집자는 저자에게 "유의한 발견"과 같은 문구를 명확히 하고, 신뢰 구간이 넓을 때 덜 명확하게 하며, 임상적 관련성이나 영향의 맥락에서 결과를 고려하도록 요청할 것이다. 베이지안 접근법은 확률론적 진술을 표현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예: 위험 비율이 <0.9일 확률은 0.85이다).
Just as with under-cooked turkeys being sent back so will articles that focus solely on P values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to determine whether a finding is crucial.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estimates (eg, mean differences, risk ratios, or hazard ratio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ed estimands from the first day of Christmas), corresponding 95% confidence intervals, and potential clinical relevance of findings. Statistical significance often does not equate to clinical significance—

  • if, as an example, a large trial estimates a risk ratio of 0.97 and a 95% confidence interval of 0.95 to 0.99, then the treatment effect is potentially small, even though the P value is much less than 0.05.

Conversely, absence of evidence does not mean evidence of absence9

  • here’s an example; if a small trial estimates a risk ratio of 0.70 and a 95% confidence interval of 0.40 to 1.10, then the magnitude of effect is still potentially large, even though the P value is greater than 0.05.

Hence, the statistical editors will ask authors to clarify phrases such as “significant finding,” be less definitive when confidence intervals are wide, and consider results in the context of clinical relevance or impact. A bayesian approach may be helpful,10 to express probabilistic statements (eg, there is a probability of 0.85 that the risk ratio is <0.9).

On the third day of Christmas, a statistician sent to me:

누락된 데이터를 주의 깊게 설명합니다
Carefully account for missing data

결측값은 공변량과 결과 모두에서 모든 유형의 의학 연구에서 발생한다. 저자들은 데이터의 완전성을 인정할 뿐만 아니라 누락된 데이터의 양을 정량화하고 보고해야 하며 이러한 데이터가 분석에서 어떻게 처리되었는지 설명해야 한다. 과거, 현재, 미래의 크리스마스 기사의 유령인 이 일을 하지 못하는 제출이 얼마나 많은지는 섬뜩하다. 
Missing values occur in all types of medical research,11 both for covariates and for outcomes. Authors need to not only acknowledge the completeness of their data but also to quantify and report the amount of missing data and explain how such data were handled in analyses. It is spooky how many submissions fail to do this—the ghost of Christmas articles past, present, and future.

누락된 데이터를 가진 참가자가 단순히 제외된 경우(즉, 전체 사례 분석이 수행된 경우), 저자는 누락된 값을 귀속시키기 위한 적절한 접근방식을 사용하여 참가자를 포함하여 분석을 수정하도록 요청받을 수 있다. [환자를 폐기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관계를 추정하기 위한 통계적 힘과 정밀도를 감소시키고 편향된 추정치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관찰 연구에서 [완전한 사례만 분석하는 것]은 거의 권장되지 않는다. 귀속을 위한 최선의 접근법은 상황에 따라 다르며 여기서 상세한 심문을 하기에는 너무 미묘한 것이다. 예를 들어, 무작위 시험에서 누락된 기준선 값을 처리하기 위한 전략에는 다음이 가능하다.

  • 평균 값으로 대체하는 것(연속 변수의 경우),
  • 누락된 값의 존재를 나타내기 위해 범주형 예측 변수의 별도 범주를 만드는 것(즉, 누락된 지표 방법)
  • 또는 무작위 그룹에 의해 개별적으로 수행된 다중 귀속. 

If it transpires participants with missing data were simply excluded (ie, a complete case analysis was carried out), then authors may be asked to revise their analyses by including those participants, using an appropriate approach for imputing the missing values. A complete case analysis is rarely recommended, especially in observational research, as discarding patients usually reduces statistical power and precision to estimate relationships and may also lead to biased estimates.12 The best approach for imputation is context specific and too nuanced for detailed interrogation here. For example, strategies for handling missing baseline values in randomised trials might include

  • replacing with the mean value (for continuous variables),
  • creating a separate category of a categorical predictor to indicate the presence of a missing value (ie, the missing indicator method), or
  • multiple imputation performed separately by randomised group.1314 

연관성을 조사하는 관찰 연구의 경우 [평균 귀책] 및 [누락 지표 접근법]이 편향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다중 귀책 접근법]이 항상은 아니지만 종종 선호된다. 임의의 결측 가정 하에서, 이것은 다른 연구 변수의 관측된 값에 조건부로 (결측의 불확실성을 반영하기 위해 여러 번에 걸쳐) 귀속되는 결측값을 포함한다. [다중 귀책]을 사용하는 경우, 이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은 귀책 프로세스에 사용되는 변수 집합을 포함하여 설명되어야 한다. 다중 귀책에 대한 소개는 다른 곳에서 제공되며, 누락된 데이터에 대한 전용 교재가 있습니다.

For observational studies examining associations, mean imputation and missing indicator approaches can lead to biased results,15 and so a multiple imputation approach is often (though not always16) preferred. Under a missing at random assumption, this involves missing values being imputed (on multiple occasions to reflect the uncertainty in the imputation) conditional on the observed values of other study variables.17 When using multiple imputation, the methods used to do this need to be described, including the set of variables used in the imputation process. An introduction to multiple imputation is provided elsewhere,12 and there are textbooks dedicated to missing data.18

On the fourth day of Christmas, a statistician sent to me:

연속형 변수를 이분화하지 않음
Do not dichotomise continuous variables

산타는 이분법을 좋아하지만, 저자들이 나이와 혈압과 같은 연속 변수를 수축기 혈압 130 mm Hg와 같은 임의의 절단점 위와 아래에 있는 두 그룹으로 나누어 이분법을 선택한다면 통계학자들은 깜짝 놀랄 것이다. 이분법화는 정보를 낭비하고 연속적인 척도로 연속 변수를 분석하는 것과 비교할 때 정당화되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피해야 한다(크리스마스 5일째의 스타킹 필러 참조). 절단점 바로 아래의 값(이 경우 129 mm Hg)을 가진 개인이 바로 위의 값(131 mm Hg)을 가진 개인과 완전히 다른 것으로 간주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반대로, 동일한 그룹 내의 두 개체에 대한 값은 크게 다를 수 있으며(131 mm Hg와 220 mm Hg), 왜 동일하게 간주되어야 하는가? 이러한 맥락에서, 이분법화는 비윤리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연구 참가자들은 적절하게 사용되는 단서에 대한 연구를 위해 자신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동의한다. 공변량 값을 이분화하여 정보를 폐기하는 것은 이 동의를 위반한다. 
Santa likes dichotomisation (you are either naughty or nice), but statisticians would be appalled if authors chose to dichotomise continuous variables, such as age and blood pressure, by splitting them into two groups defined by being above and below some arbitrary cut point, such as a systolic blood pressure of 130 mm Hg. Dichotomisation should be avoided,1920 as it wastes information and is rarely justifiable compared with analysing continuous variables on their continuous scale (see the stocking filler for the fifth day of Christmas). Why should an individual with a value just below the cut point (in this instance 129 mm Hg) be considered completely different from an individual with a value just above it (131 mm Hg)? Conversely, the values for two individuals within the same group may differ greatly (let us say 131 mm Hg and 220 mm Hg) and so why should they be considered the same? In this context, dichotomisation might be considered unethical. Study participants agree to contribute their data for research on the proviso it is used appropriately; discarding information by dichotomising covariate values violates this agreement.

이분화는 또한 연속 공변량과 결과 사이의 연관성을 감지하는 통계적 힘을 감소시키고 예측 모델의 예측 성능을 약화시킨다. 한 예에서, 중위수 값에서 이분법화는 데이터의 3분의 1을 폐기하는 것과 유사한 전력 감소를 초래한 반면, 다른 예에서는 연속 척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위수에서 이분법화하는 것보다 31% 더 많은 결과 변동성을 설명했다. 절단점은 또한 데이터 준설과 통계적 중요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최적" 절단점의 선택으로 이어진다. 이는 새로운 데이터에서 편향과 복제 부족으로 이어지고 연구마다 다른 컷 포인트를 채택하기 때문에 메타 분석을 방해한다. 연속적인 결과의 이분법화는 또한 power을 감소시키고 잘못된 결론을 초래할 수 있다. 좋은 예는 결과(Beck score)가 이분법 분석에서 연속 척도 분석으로 변경된 후 [필요한 표본 크기]가 800에서 88로 감소한 무작위 시험이다.  
Dichotomisation also reduces statistical power to detect associations between a continuous covariate and the outcome,192021 and it attenuates the predictive performance of prognostic models.22 In one example, dichotomising at the median value led to a reduction in power akin to discarding a third of the data,23 whereas in another example, retaining the continuous scale explained 31% more outcome variability than dichotomising at the median.20 Cut points also lead to data dredging and the selection of “optimal” cut points to maximise statistical significance.21 This leads to bias and lack of replication in new data and hinders meta-analysis because different studies adopt different cut points. Dichotomisation of continuous outcomes also reduces power and may result in misleading conclusions.2425 A good example is a randomised trial in which the required sample size was reduced from 800 to 88 after the outcome (Beck score) changed from being analysed as dichotomised to being analysed on its continuous scale.26

On the fifth day of Christmas, a statistician sent to me:

비선형 관계 고려
Consider non-linear relationships

크리스마스 저녁 식사에서, 어떤 가족 관계들은 다루기 쉬운 반면, 다른 가족 관계들은 더 복잡하고 더 많은 보살핌을 필요로 한다. 마찬가지로, 일부 연속 공변량은 결과(자연 로그 변환과 같은 데이터의 일부 변환 후)와 단순한 선형 관계를 갖는 반면, 다른 것들은 더 [복잡한 비선형 관계]를 갖는다. 선형 관계(연관)는 공변량의 단위 증가가 공변량 값의 전체 범위에서 결과에 동일한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합니다. 예를 들어, 30세에서 31세까지의 연령 변화의 영향은 90세에서 91세까지의 연령 변화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반대로, 비선형 연관성을 사용하면 연속 공변량의 1 단위 증가의 영향이 예측 변수 값의 스펙트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30세에서 31세로의 연령 변화는 위험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90세에서 91세로의 연령 변화는 중요할 수 있다. 비선형 모델링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두 가지 접근법은 입방체 스플라인과 분수 다항식이다.  
At Christmas dinner, some family relationships are simple to handle, whereas others are more complex and require greater care. Similarly, some continuous covariates have a simple linear relationship with an outcome (perhaps after some transformation of the data, such as a natural log transformation), whereas others have a more complex non-linear relationship. A linear relationship (association) assumes that a 1 unit increase in the covariate has the same effect on the outcome across the entire range of the covariate’s values. The assumption being, for example, that the impact of a change in age from 30 to 31 years is the same as a change in age from 90 to 91 years. In contrast, a non-linear association allows the impact of a 1 unit increase in the continuous covariate to vary across the spectrum of predictor values. For example, a change in age from 30 to 31 years may have little impact on risk, whereas a change in age from 90 to 91 years may be important. The two most common approaches to non-linear modelling are cubic splines and fractional polynomials.272829303132

분류를 제외하고, BMJ에 제출하는 대부분의 경우 선형 관계만 고려합니다. 따라서 통계 검토자는 중요한 연관성이 완전히 포착되지 않거나 누락되지 않도록 비선형 관계를 고려하도록 연구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요하네스와 동료들의 연구는 비선형 관계를 조사하는 한 예이다. 저자들은 제한된 입방 스플라인을 사용하여 저밀도 지질단백질 콜레스테롤 수치와 모든 원인 사망 위험 사이의 연관성이 U자형이며, 덴마크의 일반 인구에서 모든 원인 사망 위험 증가와 관련된 낮고 높은 수준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림 1은 전체 모집단과 지질 저하 치료를 사용하여 정의된 하위 그룹에 대한 결과를 보여주고, 치료를 받지 않은 집단에서 가장 강한 관계를 보여준다.
Aside from categorisation, most submissions to The BMJ only consider linear relationships. The statistical reviewers therefore may ask the researchers to consider non-linear relationships, to avoid important associations not being fully captured or even missed.33 The study by Johannesen and colleagues is an example of non-linear relationships being examined.34 The authors used restricted cubic splines to show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and the risk of all cause mortality is U-shaped, with low and high level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all cause mortality in the general population of Denmark. Figure 1 illustrates the findings for the overall population, and for subgroups defined by use of lipid lowering treatment, with the relationship strongest in those not receiving treatment.

그림 1. 코펜하겐 일반 인구 연구의 제한된 입방 스플라인을 사용하여 도출된 비선형 연관성은 요하네스 외 연구진으로부터 평균 9.4년 동안 이어졌다. 모든 원인 사망률에 대한 다변량 조정 위험 비율은 연속 척도의 저밀도 지질단백질 콜레스테롤(LDL-C) 수준에 따라 표시된다. 95% 신뢰 구간은 3노트의 제한된 입방 스플라인 회귀에서 도출된다. 연관성이 없는 기준선은 위험 비율 1.0으로 표시된다. 화살표는 모든 원인 사망률의 가장 낮은 위험과 관련된 LDL-C 농도를 나타낸다. 분석은 기준 연령, 성별, 현재 흡연, 담뱃갑 누적 연수, 수축기 혈압, 지질 저하 치료, 당뇨병, 심혈관 질환, 암 및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 대해 조정되었다 
Fig 1. Non-linear association derived using restricted cubic splines of individuals from the Copenhagen General Population Study followed for a mean 9.4 years, from Johannesen et al.34 Multivariable adjusted hazard ratios for all cause mortality are shown according to levels of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on a continuous scale. 95% confidence intervals are derived from restricted cubic spline regressions with three knots. Reference lines for no association are shown at a hazard ratio of 1.0. Arrows indicate concentration of LDL-C associated with the lowest risk of all cause mortality. Analyses were adjusted for baseline age, sex, current smoking, cumulative number of cigarette pack years, systolic blood pressure, lipid lowering treatment, diabetes, cardiovascular disease, cancer,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On the sixth day of Christmas, a statistician sent to me:

부분군 결과의 차이를 정량화
Quantify differences in subgroup results

제출된 많은 기사에는 성별이나 성별로 정의된 하위 그룹에 대한 결과 또는 브뤼셀 새싹을 먹는 사람과 먹지 않는 사람에 대한 결과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인 실수는 실제로 차이를 정량화하지 않고 한 부분군의 결과가 다른 부분군의 결과와 다르다는 결론을 내리는 것입니다. Altman과 Bland는 이를 웅변적으로 고려하여 두 개의 하위 그룹에 대한 치료 효과 결과를 보여주었는데, 첫 번째 그룹은 통계적으로 유의한(위험비 0.67, 95% 신뢰 구간 0.46~0.98, P=0.03) 반면 두 번째 그룹은 그렇지 않았다(0.88, 0.71~1.08, P=0.2). 순진한 해석은 처리가 첫 번째 부분군에는 유익하지만 두 번째 부분군에는 유익하지 않다는 결론을 내리는 것입니다. 그러나 실제로 두 부분군 사이의 결과를 비교하면 넓은 신뢰 구간(위험 비율 0.76, 95% 신뢰 구간 0.49~1.17; P=0.2)이 나타나므로 부분군 효과를 결론짓기 전에 추가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와 관련된 실수는 부분군이 서로 다른 95% 신뢰 구간이 겹치는지 여부만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지에 대한 결론을 내리는 것이다.36 따라서 연구자가 연구에서 부분군을 조사하면, 통계 편집자는 부분군 결과의 차이에 대한 정량화를 확인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이를 해결하도록 요청할 것이다. 하위 그룹 간에 진정한 차이가 존재하더라도 각 하위 그룹에 대해 (처리) 효과가 여전히 중요할 수 있으므로 연구 결론에서 이를 인식해야 한다. 
Many submitted articles include results for subgroups, such as defined by sex or gender, or those who do and do not eat Brussels sprouts. A common mistake is to conclude that the results for one subgroup are different from the results of another subgroup, without actually quantifying the difference. Altman and Bland considered this eloquently,35 showing treatment effect results for two subgroups, the first of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k ratio 0.67, 95% confidence interval 0.46 to 0.98; P=0.03), whereas the second was not (0.88, 0.71 to 1.08; P=0.2). A naïve interpretation is to conclude that the treatment is beneficial for the first subgroup but not for the second subgroup. However, actually comparing the results between the two subgroups reveals a wide confidence interval (ratio of risk ratios 0.76, 95% confidence interval 0.49 to 1.17; P=0.2), which suggests further research is needed before concluding a subgroup effect. A related mistake is to make conclusions about whether subgroups differ based solely on if their separate 95% confidence intervals overlap or not.36 Hence, if researchers examine subgroups in their study, the statistical editors will check for quantification of differences in subgroup results, and, if not done, ask for this to be addressed. Even when genuine differences exist between subgroups, the (treatment) effect may still be important for each subgroup, and therefore this should be recognised in study conclusions.

부분군 간의 차이를 조사하는 것은 복잡하며, 더 넓은 주제는 [(치료) 효과와 공변량 사이의 교호작용의 모형화]입니다. 문제에는 효과 측정에 사용되는 척도(예: 위험 비율 또는 승산 비율), 연속 공변량을 이분법화하여 하위 그룹이 임의로 정의되지 않도록 보장, 잠재적으로 비선형 관계를 허용한다(크리스마스 4일째와 5일째의 스타킹 충전재 참조).  
Examining differences between subgroups is complex, and a broader topic is the modelling of interactions between (treatment) effects and covariates.37 Problems include the scale used to measure the effect (eg, risk ratio or odds ratio),38 ensuring subgroups are not arbitrarily defined by dichotomising a continuous covariate,39 and allowing for potentially non-linear relationships (see our stocking fillers for the fourth day and fifth day of Christmas).40

On the seventh day of Christmas, a statistician sent to me:

클러스터링에 대한 회계 고려
Consider accounting for clustering

BMJ의 크리스마스 파티에서, 통계 편집자들은 거절된 작업에 대한 사후 조사를 요청받을 것을 두려워하여 가능할 때마다 비통계학자들과의 상호 작용과 눈 접촉을 피하면서 구석에 모여드는 경향이 있다. 마찬가지로, 연구 연구에는 여러 병원 또는 진료소의 전자 건강 기록을 사용하는 관찰 연구, 클러스터 또는 다중 센터 무작위 시험 및 여러 연구의 개별 참가자 데이터의 메타 분석을 포함한 [여러 클러스터]의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때로는 분석이 이 군집화를 설명하지 않아 결과가 편향되거나 신뢰 구간을 잘못 이끌 수 있습니다. 클러스터링을 무시하면 서로 다른 클러스터 내의 개인에 대한 결과가 서로 유사하다는 강력한 가정(예: 결과 위험 측면에서)을 만든다. 병원이나 연구와 같은 클러스터가 서로 다른 임상의, 절차 및 환자 사례 혼합을 가질 때 정당화하기 어려울 수 있다.
At The BMJ’s Christmas party, the statistical editors tend to cluster in a corner, avoiding interaction and eye contact with non-statisticians whenever possible for fear of being asked to conduct a postmortem examination of rejected work. Similarly, a research study may contain data from multiple clusters, including observational studies that use e-health records from multiple hospitals or practices, cluster or multicentre randomised trials,414243444546 and meta-analyses of individual participant data from multiple studies.47 Sometimes the analysis does not account for this clustering, which can lead to biased results or misleading confidence intervals.48495051 Ignoring clustering makes a strong assumption that outcomes for individuals within different clusters are similar to each other (eg, in terms of the outcome risk), which may be difficult to justify when clusters such as hospitals or studies have different clinicians, procedures, and patient case mix.

따라서 데이터 분석에서 제출된 논문이 캡처하거나 고려해야 하는 명백한 클러스터링을 무시하는 경우, 통계 편집자는 관심 추정에 적합한 접근법을 사용하여 클러스터링의 정당성 또는 재분석 회계처리를 요청할 것이다(크리스마스 첫날의 스타킹 필러 참조). 예를 들어, 다단계 또는 혼합 효과 모델이 권장될 수 있다. 이는 클러스터별 기준 위험을 설명하고 관심 효과에서 클러스터 이질성 사이를 조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us, if, in the data analysis, a submitted article ignores obvious clustering that needs to be captured or considered, the statistical editors will ask for justification of this or for a reanalysis accounting for clustering using an approach suitable for the estimand of interest (see our stocking filler for the first day of Christmas).525354 A multilevel or mixed effects model might be recommended, for example, as this allows cluster specific baseline risks to be accounted for and enables between cluster heterogeneity in the effect of interest to be examined.

On the eighth day of Christmas, a statistician sent to me:

I2 및 메타 회귀 분석을 적절하게 해석합니다
Interpret I2 and meta-regression appropriately

체계적인 검토와 메타 분석은 BMJ에 대한 인기 있는 제출물이다. 대부분 I2 통계를 포함하지만 잘못 해석하여 통계학자들에게 크리스마스 전후로 반복되는 악몽을 준다. I2는 우연이 아닌 연구 이질성 간에 기인하는 (처리) 효과 추정치의 변동성 백분율을 설명합니다. 요약치료효과 추정치에 대한 연구간 이질성의 영향은 I2가 0%에 가까우면 작고, I2가 100%에 가까우면 크다. 일반적인 실수는 저자들이 I2를 [절대적인 이질성의 양의 척도]로 해석하고(즉, 실제 효과의 연구 분산 간의 추정치로 간주한다), 무작위 효과 메타 분석 모델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이를 잘못 사용하는 것이다. I2는 [상대적인 측도]이며, 실제 효과의 연구 간 분산(또는 σ2)의 크기뿐만 아니라, 효과 추정치의 연구 내 분산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이는 현명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포함된 모든 연구가 작기 때문에 연구 내 효과 추정치의 분산이 크면 연구 간 분산이 크고 중요한 경우에도 I2가 0%에 가까울 수 있습니다.  반대로, 연구 간 분산이 작고 중요하지 않은 경우에도 I2가 클 수 있습니다. 통계 검토는 저자에게 I2의 오용을 시정하고 연구 분산 간의 추정치를 직접 제시할 것을 요청할 것이다.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are popular submissions to The BMJ. Most of them include the I2 statistic55 but interpret it incorrectly, which gives the statisticians a recurring nightmare before (and after) Christmas. I2 describes the percentage of variability in (treatment) effect estimates that is due to between study heterogeneity rather than chance. The impact of between study heterogeneity on the summary treatment effect estimate is small if I2 is close to 0%, and it is large if I2 is close to 100%. A common mistake is for authors to interpret I2 as a measure of the absolute amount of heterogeneity (ie, to consider I2 as an estimate of the between study variance in true effects), and to erroneously use it to decide whether to use a random effects meta-analysis model. This is unwise, as I2 is a relative measure and depends on the size of the within study variances of effect estimates, not just the size of the between study variance of true effects (also known as τ2). For example, if all the included studies are small, and thus within study variances of effect estimates are large, I2 can be close to 0% even when the between study variance is large and important.56 Conversely, I2 may be large even when the between study variance is small and unimportant. Statistical reviews will ask authors to correct any misuse of I2, and to also present the estimate of between study variance directly.

메타 회귀 분석은 종종 연구 수준 공변량(예: 평균 연령, 치료 선량, 편향 위험 등급)이 연구 이질성 사이에서 설명하는 범위를 조사하는 데 사용되지만, 일반적으로 통계 편집자는 저자에게 메타 회귀 분석 결과를 조심스럽게 해석할 것을 요청한다.

  • 첫째, 시행 횟수가 적은 경우가 많고, 그 다음 메타 회귀는 시행에서 전체 치료 효과의 변화와 진정으로 관련된 연구 수준 특성을 감지하기 위한 low power의 영향을 받는다.
  • 둘째로, 시험 전반에 걸쳐 교란 요인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시험 수준 공변량의 영향에 대한 인과 관계 진술을 하는 것이 가장 좋다. 예를 들어 편향 위험이 높은 시험은 최고 선량을 갖거나 특정 국가에서 수행될 수 있으므로 편향 위험의 영향을 dose과 country의 영향에서 분리하기 어렵다.
  • 셋째, 전체 치료 효과와 함께 집계된 참가자 수준 공변량(예: 평균 연령, 비율 남성)의 시험 수준 연관성을 사용하여 참가자 수준 공변량의 값(예: 연령, 성별, 바이오마커 값)이 치료 효과와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 추론해서는 안 된다. 집계 편향은 그림 2와 같이 실험 수준에서 관찰된 관계와 참가자 수준에서 관찰된 관계의 극적인 차이를 초래할 수 있다.

Meta-regression is often used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study level covariates (eg, mean age, dose of treatment, risk of bias rating) explain between study heterogeneity, but generally the statistical editors will ask authors to interpret meta-regression results cautiously.57 

  • Firstly, the number of trials are often small, and then meta-regression is affected by low power to detect study level characteristics that are genuinely associated with changes in the overall treatment effect in a trial.
  • Secondly, confounding across trials is likely, and so making causal statements about the impact of trial level covariates is best avoided. For example, those trials with a higher risk of bias might also have the highest dose or be conducted in particular countries, thus making it hard to disentangle the effect of risk of bias from the effect of dose and country.
  • Thirdly, the trial level association of aggregated participant level covariates (eg, mean age, proportion men) with the overall treatment effect should not be used to make inferences about how values of participant level covariates (eg, age, sex, biomarker values) interact with treatment effect. Aggregation bias may lead to dramatic differences in observed relationships at the trial level from those at the participant level,5859 as shown in figure 2.

그림 2. 치료-공변량 상호작용의 개별 참가자 데이터 메타분석이 아닌 연구 수준 결과의 메타회귀를 사용할 때의 [집계 편향]. 연구 질문은 [혈압을 낮추는 치료]가 [남성보다 여성들 사이에서 더 효과적인지]에 대한 것이었다. 10번의 고혈압 치료 실험의 메타 분석을 통해 증거를 보여주며, 치료 효과와 비율 남성(실선)의 임상적 연관성을 비교한다. 이는 가파르고 통계적으로 중요하다. 각 실험(점선)에서 성별과 치료 효과의 참가자 수준 상호작용을 비교한다. 통계적으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이 사례 연구는 이전 작업을 기반으로 합니다. 각 블럭은 시행 크기에 비례하는 블럭 크기를 사용하여 하나의 시행을 나타냅니다. 시험 간 연관성은 남성 비율에 대한 시험 치료 효과의 메타 회귀에서 파생된 실선의 기울기로 표시되며, 이는 남성에 비해 여성만을 대상으로 한 시험에서 15mm Hg(95% 신뢰 구간 8.8~21mm Hg) 더 큰 수축기 혈압 감소 효과를 시사한다. 그러나 참가자 수준 데이터에 기초한 치료-성 상호작용은 각 시험 내에서 파선의 기울기로 표시되며, 평균적으로 이는 임상적으로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남성보다 여성의 치료 효과가 0.8mm Hg(-0.5~2.1mm Hg) 더 클 뿐이다 
Fig 2. Aggregation bias when using meta-regression of study level results rather than individual participant data meta-analysis of treatment-covariate interactions. The research question was whether blood pressure lowering treatment is more effective among women than men. Evidence is shown from a meta-analysis of 10 trials of antihypertensive treatment,

  • comparing the across trial association of treatment effect and proportion men (solid line)—which is steep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 with participant level interactions of sex and treatment effect in each trial (dashed lines) —which are flat and neither clinically nor statistically important.

This case study is based on previous work.475860 Each block represents one trial, with block size proportional to trial size. Across trial association is denoted by gradient of solid line, derived from a meta-regression of the trial treatment effects against proportion of men, which suggests a large effect of a 15 mm Hg (95% confidence interval 8.8 to 21 mm Hg) greater reduction in systolic blood pressure in trials with only women compared with only men. However, the treatment-sex interaction based on participant level data is denoted by gradient of dashed lines within each trial, and on average these suggest only a 0.8 mm Hg (−0.5 to 2.1 mm Hg) greater treatment effect for women than for men, which is neither clinically nor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ninth day of Christmas, a statistician sent to me:

모형 예측의 보정calibration 평가
Assess calibration of model predictions

임상 예측 모델은 개인의 진단과 예후를 알리기 위해 (연속적인 결과에 대한) 결과 값 또는 (이진 또는 사건 발생까지의 시간 결과에 대한) 결과 위험을 추정한다. 예측 모델을 개발하거나 검증하는 기사는 모델 성능을 완전히 평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부정확한 예측은 잘못된 확신이나 희망을 주는 것과 같이 환자에게 잘못된 결정과 해로운 의사소통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결과 위험을 추정하는 모델의 경우 다른 곳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예측 성능을 식별, 교정 및 임상적 유용성 측면에서 평가해야 한다.  

Clinical prediction models estimate outcome values (for continuous outcomes) or outcome risks (for binary or time-to-event outcomes) to inform diagnosis and prognosis in individuals. Articles developing or validating prediction models often fail to fully evaluate model performance, which can have important consequences because inaccurate predictions can lead to incorrect decisions and harmful communication to patients, such as giving false reassurance or hope. For models that estimate outcome risk, predictive performance should be evaluated in terms of discrimination, calibration, and clinical utility, as described elsewhere.616263

그러나 대부분의 제출물은 (예를 들어 C 통계량 또는 곡선 아래 영역으로 정량화된) 모형 판별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림 3은 0.81의 유망한 C 통계량을 가진 예측 모델에 대한 게시된 교정 그림을 보여주고 있지만 0.05와 0.2.64 사이의 예측 위험 범위에서 예측 위험에 대한 명백한 (아마도 작은) 오교정이 있다. 이러한 오교정은 특히 치료제와 같은 결정이 있을 경우 모델의 임상적 유용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토르 모니터링 전략은 의사결정 곡선 분석에서 조사할 수 있는 예측 위험의 범위에서 위험 임계값에 의해 결정된다. 반대로 오보정은 오보정의 크기와 의사결정 임계값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시기에 따라 다르므로 모델에 임상적 유용성이 없다고 반드시 표시하는 것은 아니다.
However, the majority of submissions focus only on model discrimination (as quantified by, for example, the C statistic or area under the curve28)—when this is done, an incomplete impression is created, just as with that unfinished 1000 piece jigsaw from last Christmas. Figure 3 shows a published calibration plot for a prediction model with a promising C statistic of 0.81, but there is clear (albeit perhaps small) miscalibration of predicted risks in the range of predicted risks between 0.05 and 0.2.64 This miscalibration may impact the clinical utility of the model, especially if decisions, such as about treatment or monitoring strategies, are dictated by risk thresholds in that range of predicted risks, which can be investigated in a decision curve analysis.65 Conversely, miscalibration does not necessarily indicate the model has no clinical utility, as it depends on the magnitude of miscalibration and when it occurs in relation to decision thresholds.

그림 3. 예측 모델에서 관찰된 위험과 추정된(예측된) 위험 사이의 일치를 조사하기 위한 교정 그림의 예. 이 연구는 파열된 두개내 동맥류로 인한 지주막하 출혈을 경험한 사람들의 사망 위험을 추정하기 위한 예측 모델을 개발했다. 원은 추정 위험의 10분의 1로 그룹화된 추정 및 관찰 위험이며, 노란색 점선은 추정 위험 범위에 걸친 일치를 포착하기 위해 황토색이 더 부드럽다. AUROC=수신 사업자 특성상 영역 
Fig 3. Example of a calibration plot to examine agreement between observed risks and estimated (predicted) risks from a prediction model.64 The study developed prediction models to estimate the risk of mortality in individuals who experienced subarachnoid haemorrhage from ruptured intracranial aneurysm. Circles are estimated and observed risks grouped by 10ths of estimated risks, and the yellow dashed line is a loess smoother to capture agreement across the range of estimated risks. AUROC=area under the receiving operator characteristic


통계 편집자들은 또한 모델 개발 연구의 연구자들이 과적합 가능성을 줄이고 새로운 데이터의 예측 교정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페널티화 또는 수축 방법(예: 능선 회귀, 라소, 탄성 그물)을 사용하여 재분석을 수행할 것을 제안할 수 있다. 퍼스 보정과 같은 처벌 방법은 데이터가 희박한 비예측 상황(예: 치료 효과를 추정하는 무작위 시험)에서도 중요할 수 있는데, 이 상황에서 표준 방법(로지스틱 회귀 분석과 같은)이 편향된 효과 추정치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Statistical editors may also suggest that researchers of model development studies undertake a reanalysis using penalisation or shrinkage methods (eg, ridge regression, lasso, elastic net), which reduce the potential for overfitting and help improve calibration of predictions in new data.6667 Penalisation methods, such as Firth’s correction,68 can also be important in non-prediction situations (eg, randomised trials estimating treatment effects) with sparse data, as standard methods (such as logistic regression) may give biased effect estimates in this situation.69

On the 10th day of Christmas, a statistician sent to me:

변수 선택 접근 방식을 신중하게 고려합니다
Carefully consider the variable selection approach

통계 검토에서 비판의 일반적인 영역은 변수 선택 방법(예: 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에 기초한 공변량 선택)의 사용이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통계 편집자는 저자에게 정당성을 요청할 것이다. 연구에 따라, 통계 편집자들은 새해 첫날에 마지막으로 남은 칠면조 샌드위치처럼 저자들에게 이러한 접근법을 완전히 피하라고 제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목표는 특정 요인이 [다른 (확립된) 예측 요인]에 비해 [예측 값을 추가하는 방법]에 대한 [편견 없는 추정치]를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예측 요인 연구에서 변수 선택 방법을 가장 잘 피한다. 따라서 기존의 예측요인의 영향을 고려한 후 새로운 요인의 예측효과를 검토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모든 요인에 강제적인 회귀모형이 필요하다. 마찬가지로, 관찰 데이터에 기초한 인과 연구에서 조정 요인으로 포함할 교란 요인의 선택은 인과 경로에 기초하여 선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자동화된 선택 방법에 기초한 통계적 중요성이 아닌 (공변량과 결과 사이의 잠재적 매개자를 고려하여) 지시된 비순환 그래프를 사용하여 표현된다. 
A common area of criticism in statistical reviews is the use of variable selection methods (eg, selection of covariates based on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ir effects).70 If these methods are used, statistical editors will ask authors for justification. Depending on the study, statistical editors might even suggest authors avoid these approaches entirely, just as you would that last remaining turkey sandwich on New Year’s Day. For example, variable selection methods are best avoided in prognostic factor studies, as the typical aim is to provide an unbiased estimate of how a particular factor adds prognostic value over and above other (established) prognostic factors.71 Therefore, a regression model forcing in all the existing factors is needed to examine the prognostic effect of the new factor after accounting for the effect of existing prognostic factors. Similarly, in causal research based on observational data, the choice of confounding factors to include as adjustment factors should be selected based on the causal pathway—for example, as expressed using directed acyclic graphs (with consideration of potential mediators between covariates and outcome72), not statistical significance based on automated selection methods.

임상 예측 모델의 개발에서 잠재적 포함을 위한 모든 후보 예측 변수를 포함하는 전체 모델로 시작하는 라소 또는 탄성 네트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변수 선택(수축을 통한)을 통합할 수 있다. 일반적이지만 부적절한 접근법은 예측 변수 포함에 대한 결정이 관측된 비조정 효과 추정치에 대한 P 값에 기초할 때 일변량 선별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것은 다른 예측 변수에 대한 조정 후 예측 변수의 효과이기 때문에 합리적인 전략이 아니다. 왜냐하면 실제로 관련 예측 변수는 (의료 전문가와 환자에 의해) 조합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재발 정맥 혈전 색전증의 위험에 대한 예후 모델을 개발하고 있을 때, 연구자들은 연령의 조정되지 않은 예후 효과가 일변량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고 조정된 효과가 유의하며 다변량 분석과 반대 방향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In the development of clinical prediction models, variable selection (through shrinkage) may be incorporated using methods such as lasso or elastic net, which start with a full model including all candidate predictors for potential inclusion. A common, but inappropriate approach is to use univariable screening, when decisions for predictor inclusion are based on P values for observed unadjusted effect estimates. This is not a sensible strategy,73 as what matters is the effect of a predictor after adjustment for other predictors, because in practice the relevant predictors are used (by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patients) in combination. When, for example, a prognostic model was being developed for risk of recurrent venous thromboembolism, the researchers found that the unadjusted prognostic effect of a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rom univariable analysis but that the adjusted effect was significant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multivariable analysis.74

On the 11th day of Christmas, a statistician sent to me:

가정의 영향 평가
Assess the impact of any assumptions

모든 사람들은 그것이 크리스마스 영화라는 것에 동의하지만, 이것이 다이하드에 적용되는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마찬가지로 통계 편집자는 저자의 완고한 분석 가정에 대해 토론하고 가정이 변경될 경우 결과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검토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감도 분석). 예를 들어, 재발까지의 시간이나 사망 시간과 같은 사건 발생 시간 데이터가 있는 제출된 시험에서는 위험 비율이 전체 추적 기간에 걸쳐 일정하다고 가정하여 보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가정이 기사에서 정당화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시간에 따라 위험 비율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래픽으로 제시함으로써 저자들에게 이 문제를 해결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아마도 관심 공변량과 (로그) 시간 사이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생존 모델에 기초한다.). 또 다른 예는 베이지안 분석을 사용한 제출물에서, 이전 분포는 "모호한" 또는 "비정보적"으로 분류되지만 여전히 영향력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저자들은 다른 그럴듯한 사전 분포를 선택할 때 결과가 어떻게 변하는지 보여달라고 요청받을 수 있다.
Everyone agrees that It’s A Wonderful Life is a Christmas movie, but whether this applies to Die Hard is debatable. Similarly, statistical editors might debate authors’ die-hard analysis assumptions, and even ask them to examine whether results change if the assumptions change (a sensitivity analysis). For example, in submitted trials with time-to-event data, such as time to recurrence or death, it is common to report the hazard ratio, assuming it is a constant over the whole follow-up period. If this assumption is not justified in an article, authors may be asked to address this—for example, by graphically presenting how the hazard ratio changes over time (perhaps based on a survival model that includes an interaction between the covariate of interest and (log) time).75 Another example is in submissions with bayesian analyses, where prior distributions are labelled as “vague” or “non-informative” but may still be influential. In this situation, authors may be asked to demonstrate how results change when other plausible prior distributions are chosen.

On the 12th day of Christmas, a statistician sent to me:

보고 지침 사용 및 과도한 해석 방지
Use reporting guidelines and avoid overinterpretation

알트먼은 "독자들은 무엇이 행해졌는지 추론할 필요가 없어야 한다, 그것이 명확하게 말해져야 한다. 적절한 방법론이 사용되어야 하며 사용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합니다." 불완전하게 보고된 연구는 변명의 여지가 없으며 크리스마스 트리 아래에 있는 라벨이 없는 선물과 마찬가지로 혼란을 일으킨다. 독자들은 보고된 연구의 근거와 목적, 연구 설계, 사용된 방법, 참가자 특성, 결과, 증거의 확실성, 연구 결과 등을 알아야 한다. 이러한 요소 중 하나라도 누락된 경우 저자는 이를 명확히 해야 합니다.
Altman once said, “Readers should not have to infer what was probably done, they should be told explicitly. Proper methodology should be used and be seen to have been used.”76 Incompletely reported research is indefensible and creates confusion, just as with those unlabelled presents under the Christmas tree. Readers need to know the rationale and objectives of a reported study, the study design, methods used, participant characteristics, results, certainty of evidence, research implications, and so forth. If any of these elements are missing, authors will be asked to clarify them.

보고 지침을 활용합니다. 그들은 보고할 항목의 체크리스트를 제공한다(산타는 이것을 두 번 확인할 것을 제안한다). 이 체크리스트는 독자(통계 편집자 포함)가 연구를 이해하고 그 결과를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세부사항을 나타낸다. 보고 지침은 건강 연구 보고와 관련된 지침 및 기타 자료의 포괄적인 모음을 유지하는 EQUATOR 네트워크 웹 사이트에 나열되어 있습니다. 표 1은 무작위 시험을 위한 CONSTORT 문과 예측 모델 연구를 위한 TRIPOD 지침을 포함한 예를 보여준다. BMJ는 저자들에게 각 항목이 제출된 원고의 어느 페이지에 보고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관련 지침 내에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고 제출과 함께 포함할 것을 요구한다. 
Make use of reporting guidelines. They provide a checklist of items to be reported (Santa suggests checking this twice), which represent the minimum detail required to enable readers (including statistical editors) to understand the research and critically appraise its findings. Reporting guidelines are listed on The EQUATOR Network website, which maintains a comprehensive collection of guidelines and other materials related to health research reporting.77Table 1 shows examples, including the CONSORT statement for randomised trials79 and the TRIPOD guideline for prediction model studies.8081The BMJ requires authors to complete the checklist within the relevant guideline (and include it with a submission), indicating on which page of the submitted manuscript each item has been reported.

보고와 관련된 통계 편집자 검토 과정의 또 다른 공통적인 부분은 인과관계,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 또는 임상 실무에 대한 즉각적인 영향과 같은 결과의 해석을 지나치게 질의하는 것이다. 특히 다중 공변량(변수)이 있는 회귀 모델을 참조하기 위해 다변량(다변수가 아닌)을 오용하고, 그룹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절단점이 아닌 그룹을 참조하기 위해 분위수를 오용하는 것(예: 십진법은 10개의 동일한 크기의 그룹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9개의 절단점)을 오용한다업(10번째라고 함). 
Another common part of the statistical editors review process, related to reporting, is to query overinterpretation of findings—and even spin,82 such as unjustified claims of causality, generalisability of results, or immediate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Incorrect terminology is another bugbear—in particular the misuse of multivariate (rather than multivariable) to refer to a regression model with multiple covariates (variables), and the misuse of quantiles to refer to groups rather than the cut points used to create the groups (eg, deciles are the nine cut points used to create 10 equal sized groups called 10ths).83

에피파니
Epiphany

BMJ에 제출된 기사의 동료 검토 중에 일상적으로 마주치는 12개의 통계 문제 목록은 향후 제출된 문서 작성자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크리스마스 통계 편집자들은 이 목록을 트위터에 올렸지만, 어쨌든 그들은 다음날 제출이 저조했다. 올해, 그들을 눈물로부터 구하기 위해, 그들은 특별한 누군가를 위해 그것을 만들었습니다. 당신, BMJ 독자.

This list of 12 statistical issues routinely encountered during peer review of articles submitted to The BMJ will hopefully help authors of future submissions. Last Christmas statistical editors tweeted this list, but the very next day they got poor submissions anyway. This year, to save them from tears, they’ve tailored it for someone special—you, The BMJ reader.

저자들은 통계 검토 기간을 줄이고 통계 편집자들이 축제 기간 동안 중요한 (네, 말장난 의도로) 다른 사람들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상에 기쁨을 주기 위해 내년 크리스마스에 서둘러 논문을 제출하기 전에 이 목록을 다루어야 한다. 만약 저자들이 이 지침을 고수한다면, "크리스마스의 12번째 날에" 노래는 행복한 통계학자의 피드백을 반영한 가사와 함께 매우 긍정적인 "크리스마스 리뷰의 12번째 날에"로 바뀔 것이다(아마도 그림 4의 노래 시트 사용에 참여할 것이다).
Authors should address this list before rushing to submit papers to The BMJ next Christmas, in order to bring joy to the world by reducing the length of statistical reviews and allowing the statistical editors to spend more time with their significant (yes, pun intended) others over the festive period. If authors did adhere to this guidance, the “On the 12th Day of Christmas” song would change to the very positive “On the 12th Day of Christmas Review” with lyrics reflecting feedback from a happy statistician (perhaps join in using the song sheet in figure 4).

 
 

그림 4. "크리스마스 리뷰 12일째 되는 날, 행복한 통계학자가 나에게 보낸..."의 노래 시트
Fig 4. Song sheet for “On the 12th Day of Christmas Review, a Happy Statistician sent to me . . .”


궁극적으로, BMJ는 곰팡이가 아닌 금, 말도 안 되는 유향, 그리고 몰약을 출판하기를 원한다. 많은 다른 주제들이 언급될 수 있었고, 독자들은 더그 앨트먼과 마틴 블랜드가 작성한 BMJ Statistics Notes 시리즈, BMJ의 연구 방법 및 보고 섹션, 그리고 일반적인 통계 오류에 대한 다른 개요를 참조한다.

Ultimately, The BMJ wants to publish the gold not the mould, the frankincense not the makes-no-sense, and the myrrh not the urrgghh. Many other topics could have been mentioned, and for further guidance readers are directed to the BMJ Statistics Notes series (written mainly by Doug Altman and Martin Bland), the Research Methods and Reporting section of The BMJ,84 and other overviews of common statistical mistakes.8586


 

 

BMJ. 2022 Dec 20;379:e072883. doi: 10.1136/bmj-2022-072883.

 

 

On the 12th Day of Christmas, a Statistician Sent to Me .

Affiliations collapse

1Institute of Applied Health Research, College of Medical and Dental Sciences, University of Birmingham, Birmingham, UK r.d.riley@bham.ac.uk.

2UCL Great Ormond Street Institute of Child Health, London, UK.

3Institute of Applied Health Research, College of Medical and Dental Sciences, University of Birmingham, Birmingham, UK.

4Centre for Biostatistics, University of Manchester, Manchester Academic Health Science Centre, Manchester, UK.

5University of Manchester, Manchester, UK.

6Nuffield Department of Primary Care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Oxford, Oxford, UK.

7Centre for Statistics in Medicine, Nuffield Department of Orthopaedics, Rheumatology and Musculoskeletal Sciences, University of Oxford, Oxford, UK.

PMID: 36593578

DOI: 10.1136/bmj-2022-072883

설문에서 최대한을 얻어내기: 응답 동기부여 최적화하기(J Grad Med Educ. 2022)
Getting the Most Out of Surveys: Optimizing Respondent Motivation
Anthony R. Artino Jr , PhD
Quentin R. Youmans , MD, MSc
Matthew G. Tuck , MD, MEd, FACP

대학원 의학교육(GME)을 연구하는 사람들을 포함한 보건 전문 교육 연구자들은 설문 조사와 오랜 연애를 한다. 이러한 호감의 증거는 의학 교육 저널(Journal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JGME)에 게재된 최근 기사를 검토함으로써 찾을 수 있다. 우리가 집계한 바로는 2021년에 발간된 Original Research and Brief Report 기사 중 56%가 설문조사를 이용했다시간, 돈, 방법론적 전문지식의 한계를 포함하여 많은 GME 학자들이 직면한 제약을 고려할 때 이 큰 비율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결과적으로, 설문조사는 종종 GME 조사자들이 가장 접근하기 쉬운 연구 방법이다. 또한 설문조사는 일반적으로 GME 교육자들이 훈련생 평가와 프로그램 평가를 위해 사용한다. 이러한 이유로, 설문조사는 상당히 적응 가능하며, 신념, 가치, 태도, 인식 및 의견과 같이 측정하기 어려운 심리적 구조를 평가하는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ers, including those who study graduate medical education (GME), have a long-standing love affair with surveys. Evidence of this fondness can be found by reviewing recent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JGME). By our count, 56% of Original Research and Brief Report articles published in 2021 used a survey. This large proportion is not surprising, considering the constraints that many GME scholars face, including limitations of time, money, and methodological expertise. Consequently, surveys are often the most accessible research method for GME investigators. In addition, surveys are commonly used by GME educators for trainee assessment and program evaluation. For these reasons, surveys are quite adaptable and can be an efficient way to assess hard-to-measure psychological constructs like beliefs, values, attitudes, perceptions, and opinions.1 

광범위한 사용과 방법론적 유연성에도 불구하고 설문조사에는 [몇 가지 고유한 약점]이 있다. 여론조사, 사회학, 심리학과 같은 분야에서 수십 년 동안의 경험적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는 한 가지 약점은 [낮은 수준의 응답자 동기가 질 낮은 데이터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GME에서 문제는 훨씬 더 심각할 수 있다. 전공의는 업무 외의 삶뿐만 아니라 임상 및 교육 책임을 포함하여 많은 경쟁적 시간 제약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약 및 기타 제약 조건은 특정 GME 연구 또는 평가 노력의 장점에 관계없이 설문 조사를 우선해서 답하기 어렵게 만든다.
Notwithstanding their widespread use and methodological flexibility, surveys come with several inherent weaknesses. One weakness, supported by decades of empirical evidence in fields like public opinion polling, sociology, and psychology, is that low levels of respondent motivation can lead to poor-quality data.2  In GME the problem may be even more acute, as resident physicians have many competing time constraints, including clinical and educational responsibilities, as well as life beyond work. These and other constraints make prioritizing surveys difficult, regardless of the merit of any particular GME study or evaluation effort.

이러한 상황을 염두에 두고, 우리는 이 사설에서 [응답자의 동기 부여 문제]에 초점을 맞춘다. 동기 부여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인식에 대해 논의하고 설문 조사를 완료할 때 참가자가 일반적으로 고려하는 사항을 강조합니다. 다음으로, 동기가 낮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몇 가지 응답 행동을 설명하여 낮은 품질의 설문 조사 데이터를 생성한다. 우리는 연구원이 응답자의 동기를 최적화하고 궁극적으로 더 정확하고 해석 가능한 설문 조사 데이터로 이어질 수 있는 설계 및 구현 전략으로 결론을 내린다. 
With this landscape in mind, we focus on the issue of respondent motivation in this Editorial. To address motivation, we first discuss cognition and highlight what participants typically consider when completing a survey. Next, we describe several response behaviors that can occur when motivation is low, thereby resulting in low-quality survey data. We conclude with design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that can help researchers optimize respondent motivation and ultimately lead to more precise, accurate, and interpretable survey data.

설문조사 응답 프로세스
Survey Response Process

응답자의 동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설문 응답의 심리]를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설문 조사를 수행하는 인지 작업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고전적인 프레임워크는 Tourangeau와 동료들의 응답 프로세스 모델이다(그림 참조).  그것은 응답자들이 설문조사를 할 때 4가지 인지 과정을 거치는 것을 제안한다.

  • 첫째, 설문 항목을 이해하고 페이지에 있는 [단어의 의미를 해석]해야 한다(자체 조사에서).
  • 다음으로, 그들은 장기 기억에서 항목에 대응하는 데 필요한 [관련 정보를 검색]해야 한다. 이 정보에는 과거 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날짜나 주제에 대한 태도나 의견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메모리에서 검색해야 합니다.
  • 다음으로, 의견제출자들은 그 [정보를 판단에 통합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추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한 응답자는 작년에 얼마나 자주 헌혈을 했는지 보고할 것을 요청했고, 따라서 얼마나 자주 헌혈을 하는지에 따라 그 숫자를 추정할 필요가 있다. 만약 헌혈이 분기별로 실시된다면, 응답자는 작년에 헌혈한 횟수로 "4"를 추정할 수 있다.
  • 마지막으로, 응답자들이 답변을 염두에 둔 후에는 [해당 답변을 설문조사에 보고하고 제공된 옵션에 따라 답변을 조정]해야 합니다. 위의 예에서 헌혈 빈도에 대한 응답 옵션이 "가끔" 또는 "자주"로 제시된 경우, 응답자는 자신의 대답 "4"를 가장 적절한 응답 범주로 변환해야 한다.

To understand respondent motivation, it is helpful to first examine the psychology of survey response. A classic framework used to describe the cognitive work of taking a survey is Tourangeau and colleagues' response process model (see Figure).3  It proposes that respondents move through 4 cognitive processes when taking a survey.

  • First, they need to comprehend the survey item and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words on the page (in a self-administered survey).
  • Next, they need to retrieve from their long-term memory the relevant information needed to respond to the item. That information could include specific dates for activities in the past, or an attitude or opinion about a topic. Generally, something must be retrieved from memory.
  • Next, respondents need to integrate that information into a judgment and, in some cases, make an estimation. For example, a respondent asked to report how often they gave blood last year might not remember all instances and therefore would need to estimate the number based on how often blood drives are held. If blood drives are conducted quarterly, then the respondent might estimate “4” as the number of times they gave blood last year.
  • Finally, once respondents have an answer in mind, they must report that answer on the survey and adapt their response based on the options provided. In the example above, if the response options for the frequency of blood donations are presented as “sometimes” or “often,” then a respondent would need to convert their answer “4” into what they believe is the most appropriate response category.
Components of the Survey Response Process // a a Survey response process is adapted from Tourangeau et al.3

설문조사 응답 프로세스의 구성요소 

응답자들이 네 가지 인지 과정을 작업하는 동안, 이리저리 뛰어다니고, [심지어 단계를 건너뛸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이 작년에 의사를 얼마나 자주 봤는지 보고해 달라고 요청했는데, 기억에서 그 정보를 찾기 시작할 수도 있지만 물리치료사에게 가는 것이 고려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궁금해했다. 그리고 나서 그들은 이해 단계로 돌아가서 단서를 찾기 위해 질문을 다시 읽을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응답자는 제공된 응답 옵션에 기초하여 의사 방문 횟수가 적정한지에 대한 다른 단서를 찾기 위해 응답 단계로 점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설문 응답 프로세스는 비선형적입니다. 응답자들은 개별 설문 조사 질문을 탐색하고 응답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설문 조사에서 제공하는 상황별 단서를 사용합니다.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respondents may jump around, and even skip steps, while working through the 4 cognitive processes. For instance, a person asked to report how often they saw a physician last year might begin retrieving that information from memory but wonder if going to the physical therapist should be counted. They might then jump back to the comprehension step and reread the question to look for clues. The respondent might then jump forward to the response step to look for other clues about what a reasonable number of physician visits might be, based on the response options provided. In this way, the survey response process is nonlinear; respondents hop around and use contextual clues provided by the survey to help navigate and respond to individual survey questions.

이 네 가지 인지 단계에 대한 또 다른 중요한 점은, 과정 중에 어떤 지점에서 [마주치는 어려움이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응답자들은 혼란스러운 문구나 전형적인 시각적 배치 때문에 질문을 오해하거나, 관련 정보를 잊어버려서 검색할 수 없거나, 정보에 입각한 답변을 하는 데 필요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없을 수 있다. 각 예제에서 [응답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제공된 답변은 [부정밀하고, 부정확하며 조사 연구자가 해석하기 어려울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게다가, 응답자들은 설문 조사를 통해 일하는 동안 [인지적 지름길]을 취할 수 있고 종종 그렇게 한다. 즉, 응답자는 응답 프로세스(이해, 검색, 판단 및 추정 또는 보고)의 모든 단계에서 설문 응답 프로세스를 최적화할 수 없습니다. 대신에, 응답자들은 [정신적 에너지와 만족감을 보존하는 것]을 선택할지도 모른다.
Another important point about these 4 cognitive steps is that difficulties encountered at any point along the process can produce errors. For example, respondents might misunderstand a question because of confusing wording or atypical visual layout, not be able to retrieve the relevant information because they have forgotten it, or not be able make an accurate judgment because they do not have the necessary information to give an informed answer. In each example, response errors may occur, and the answers provided are more likely to be imprecise, inaccurate, and difficult for survey researchers to interpret. Furthermore, respondents can and often do take cognitive shortcuts while working through a survey. That is, at any step in the response process—comprehension, retrieval, judgment and estimation, or reporting—respondents may not optimize the survey response process. Instead, they may choose to conserve their mental energy and satisfice.4 

동기 부여 및 Satisficing
Motivation and Satisficing

응답자의 동기부여에 대한 우려는 설문조사 설계 문헌에 오랫동안 설명되어 왔다. 20여 년 전, 크로스닉는 "단 하나의 질문에도 최적의 답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지 작업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와 같이, 양질의 답변은 에너지를 소비하고 설문 조사 응답 프로세스를 최적화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응답자에게서 나오는 경향이 있다. 응답자들은 자기 표현에 대한 욕구, 지적 도전, 도움이 되고 싶은 욕구를 포함한 많은 요소들에 의해 동기 부여를 받는다. GME에서 주민들은 의무감과 전문성에서 설문에 참여하려는 동기부여를 받는다고 보고한다.  반면에, 개인적인 경험과 수십 년에 걸친 경험적 연구는 응답자들이 종종 설문 질문에 고품질의 답변을 제공할 동기가 없음을 말해준다. 크로스닉은 이 흔한 상황을 satisficing이라고 지칭한다.
Concerns about respondent motivation have long been described in the survey design literature. More than 2 decades ago, Krosnick4  noted that “a great deal of cognitive work is required to generate an optimal answer to even a single question.” As such, high-quality answers tend to come from respondents who are motivated to expend that energy and optimize the survey response process. Respondents are motivated by numerous factors, including their desire for self-expression, intellectual challenge, and a desire to be helpful. In GME, residents report being motivated to participate in surveys out of a sense of duty and professionalism.5  On the other hand, personal experience and decades of empirical research tell us that respondents are often unmotivated to provide high-quality answers to survey questions. Krosnick calls this common situation satisficing.4 

Satisficing은 응답자들이 "기준을 타협하여, 에너지를 덜 소비하려고 하는 정도"이다.  즉, 응답자들은 [최적의 답변을 도출하기 위해 필요한 노력을 기울이기]보다는, 예를 들어 질문의 의미에 대해 [덜 생각]하고, 기억을 [덜 철저하게 검색]하고, 검색된 정보를 [부주의하게 통합]하고, 또는 응답을 [부정확하게 선택함]으로써 "적당히 좋은" 답변을 제공한다. 따라서, 가장 정확하고 최고의 답변(즉, 프로세스 최적화)을 생성하기 위해 응답 프로세스의 네 가지 인지 단계를 신중하게 수행하는 대신, 만족하는 응답자는 정신 에너지를 보존하고 만족스러운 답변만 제공하는 것에 만족한다. 경험적 증거는 제한적이지만, 우리는 GME 훈련생들의 고유한 시간과 맥락 제약을 고려할 때 Satisficing이 특히 널리 퍼질 수 있다고 의심한다.
Satisficing is the degree to which respondents “compromise their standards and expend less energy.”4  That is, rather than devote the necessary effort to generate optimal answers, respondents often give “good enough” answers by, for example, being less thoughtful about a question's meaning, searching their memory less thoroughly, integrating retrieved information carelessly, and/or selecting a response imprecisely. Thus, instead of carefully working their way through the 4 cognitive steps of the response process to generate the best, most precise answers (ie, optimizing the process), respondents who satisfice conserve their mental energy and settle for giving just satisfactory answers.4  Although empirical evidence is limited,5  we suspect that satisficing may be particularly prevalent for GME trainees given their unique time and context constraints.

실제로 Satisficing을 하면, 낮은 품질의 설문 조사 데이터로 이어지는 [여러 가지 응답 행동]이 발생합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1) 서둘러 설문 조사를 통과하는 것; 
  • (2) 제일 처음 나오는 그럴듯한 답변을 선택합니다; 
  • (3) 평가에 제시된 모든 진술에 동의한다; 
  • (4) 동일한 옵션을 직선(일명 직선)으로 반복적으로 선택합니다; 
  • (5) 질문에 대해 실제로 생각하지 않고 "모름" 또는 "해당 없음"을 선택합니다 
  • (6) 설문 조사의 항목 또는 전체 섹션을 건너뜁니다.

Satisficing 는 중서부의 한 대규모 학술 의료 센터에서 설문 조사 행동에 대한 질문을 받은 주민의 말을 인용함으로써 전형적으로 나타난다: "대부분의 경우… 저는 정말로 기여할 것이 없고 단지 그것을 극복하고 싶기 때문에 중간을 끝까지 클릭할 것입니다."  이 진술이 시사하는 바와 같이, [응답 프로세스를 최적화하지 않는 응답자의 답변]은 suboptimal하며, 신뢰하기 어렵고, 의도한 용도에 타당할 가능성이 낮은 품질의 데이터를 초래한다.
In practice, satisficing results in a number of response behaviors that lead to low-quality survey data: these include

  • (1) rushing through a survey;
  • (2) selecting the first reasonable answer;
  • (3) agreeing with all statements presented on the survey;
  • (4) selecting the same options repeatedly, in a straight line (so-called straightlining);
  • (5) selecting “don't know” or “not applicable” without actually thinking about the question being asked; and
  • (6) skipping items or entire sections of a survey.2  

Satisficing is epitomized by this quote from a resident at a large Midwestern academic medical center who was asked about their survey behaviors: “A lot of the time… I'll just click the middle all the way through, because I have nothing really to contribute and I just want to get through it.”5  As this statement implies, answers from respondents who are not optimizing the response process are suboptimal and result in poor-quality data that are unlikely to be trustworthy, credible, or valid for their intended use.

Satisficing 완화 및 사려 깊은 응답 장려
Mitigating Satisficing and Encouraging Thoughtful Responses

만족스러운 결과로 발생하는 문제에 비추어 볼 때, GME 교육자와 연구자는 현상을 이해하고 데이터 품질에 대한 해를 완화하는 솔루션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크로스닉은 [Satisficing 을 촉진하는 세 가지 조건]을 설명했다: 

  • (1) [과제]가 어려운 경우
  • (2) [응답자의 능력] 또는 교육 수준이 낮은 경우
  • (3) 응답에 대한 참가자의 [동기 부여]가 낮은 경우

대부분의 경우 [응답자의 능력과 교육 수준이 고정]되어 있습니다. 다행히도, GME 연구원들은 종종 고등학생들보다 [교육을 잘 받았기 때문]에 Satisficing할 가능성이 낮은 고능력 참가자들을 조사하고 있다. [과제의 난이도]와 [응답자의 동기 부여]에 관해서는, 조사 설계자는 사려 깊은 설계와 구현 관행을 통해 이러한 요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Satisficing을 상당히 완화시킬 수 있다.
In light of the problems that result from satisficing, it is important for GME educators and researchers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and work to implement solutions that mitigate harms to data quality. Krosnick4  described 3 conditions that promote satisficing:

  • (1) greater task difficulty;
  • (2) lower respondent ability or education level; and
  • (3) lower participant motivation to respond.

In most cases, respondent ability and education level are fixed. Fortunately, GME researchers often are surveying high-ability participants who are well educated and thus less likely to satisfice than, for example, a high school student. As for task difficulty and respondent motivation, survey designers can influence these factors—and appreciably mitigate satisficing—through thoughtful design and implementation practices.6 

과제 난이도를 완화하는 것은 Satisficing을 완화하는 가장 중요한 방법이다. 설문조사의 경우, 설문조사를 완료하는 것이 과제입니다. 조사 설계자가 작업을 더 쉽게 하기 위한 최선의 접근법은 [근거에 입각한 모범 사례]를 따르는 것이다. 4가지 인지적 대응 과정을 통해 응답자가 자신의 길을 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양질의 설문지를 설계]하는 것이 목표다. 이러한 설계 관행이 다른 곳에서 자세히 설명되었지만, 우리는 표 1에서 GME 조사 설계자가 조사 완료 작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많은 [고수익high-yield 관행]을 강조한다.
Easing task difficulty is the most important way to mitigate satisficing. In the case of a survey, the task is completing the survey. The best approach for survey designers, to make the task easier, is to follow evidence-informed best practices. The goal is to design a high-quality survey that supports respondents as they work their way through the 4 cognitive response processes. Although these design practices have been articulated in detail elsewhere,1,7-9  we highlight in Table 1 a number of high-yield practices that GME survey designers can use to simplify the task of survey completion.

마지막으로, 설계자는 설문조사 요청을 [사회적 교환]으로 간주하여 응답자의 동기, 즉 [설문조사 초대를 수락하고, 설문조사를 시작하고, 응답 프로세스를 최적화하는 동기]를 직접 다룰 수 있습니다. 딜먼 등이 설명한 바와 같이,  "사람들이 다른 사람의 요청을 따르는 것에 대한 [보상]이 결국에는 그 요청을 따르는 [비용]을 초과할 것이라고 믿고 신뢰한다면, 그들은 다른 사람의 요청을 따를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즉, 잠재적 응답자들은 종종 [세 가지 주요 요인]을 고려합니다: 

  • 보상(이 설문 조사에 참여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은 무엇입니까?), 
  • 비용(시간이 얼마나 걸립니까?) 
  • 신뢰(초대 소스 및 제안된 데이터 사용을 신뢰합니까?). 

표 2는 설계자가 보상을 확대하고 비용을 절감하며 신뢰를 강화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 관행을 포함한다.

Finally, designers can directly address respondent motivation—the motivation to accept a survey invitation, start the survey, and optimize the response process—by viewing a survey request as a social exchange. As described by Dillman et al,8  “people are more likely to comply with a request from someone else if they believe and trust that the rewards for complying with that request will eventually exceed the costs of complying.” In other words, potential respondents often consider 3 primary factors: 

  • rewards (What will I gain by taking this survey?), 
  • costs (How much time will it take?), and 
  • trust (Do I trust the invitation source and the proposed data use?).

Table 2 includes several practices that designers can employ to magnify rewards, decrease costs, and fortify trust.

 

요약
Summary

고품질 설문 조사 결과는 응답 프로세스를 최적화하려는 동기를 가진 참가자들로부터 얻어집니다. 불행하게도, 많은 응답자들은 [동기가 없고], 그들의 [정신적 에너지를 보존하고], [satisfice하는 경향]이 있어서 "충분히 좋은" 대답에 만족한다. 설문조사를 통해 응답자의 생각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모델은 응답 프로세스 모델로, 다음과 같은 4가지 인지 단계를 설명합니다: 이해, 검색, 판단 및 추정, 대응. 이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설문조사 개발자는 응답자의 [인지 작업을 예측]하고, [응답자의 satisfice하려는 성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응답자의 동기 부여는 설문조사 완료에 따른 비용, 보상 및 신뢰를 고려함으로써 더욱 강화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을 채택함으로써 연구자와 교육자는 응답자의 동기를 최적화하고 더 나은 품질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우리는 조사자들이 조사 데이터 품질을 최적화하기 위해 거주자, 직원 및 교직원의 고유한 GME 인구를 위해 설계된 GME별 조사 전략을 연구할 것을 권장한다.

High-quality survey results come from participants who are motivated to optimize the response process. Unfortunately, many respondents are unmotivated and tend to conserve their mental energy and satisfice, thereby settling for “good enough” answers. A useful model for understanding how respondents think through a survey is the response process model, which describes 4 cognitive steps: comprehension, retrieval, judgement and estimation, and response. By using this model, survey developers can anticipate the cognitive work of respondents and mitigate respondents' tendencies to satisfice. Respondent motivation can be further bolstered by considering the costs, rewards, and trust involved in survey completion. By employing these strategies, researchers and educators can optimize respondent motivation and collect better-quality survey data. In addition, we encourage investigators to study GME-specific survey strategies, designed for the unique GME population of residents, staff, and faculty, to optimize survey data quality.


J Grad Med Educ. 2022 Dec;14(6):629-633. doi: 10.4300/JGME-D-22-00722.1.

Getting the Most Out of Surveys: Optimizing Respondent Motivation

Affiliations collapse

1is a Professor of Health and Human Function, and Associate Dean for Evaluation and Educational Research, 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and Deputy Editor, Journal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JGME).

2is an Advanced Fellow, Division of Cardiology, Northwestern University Feinberg School of Medicine, and Resident Editor, JGME.

3is a Residency Site Program Director, Washington DC VA Medical Center, Associate Professor of Medicine, 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Associate Clinical Professor of Medicine,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and Associate Editor, JGME.

PMID: 36591428

PMCID: PMC9765912 (available on 2023-12-01)

DOI: 10.4300/JGME-D-22-00722.1

구색만 갖추기: 어거지로 하는 설문이 자료 퀄리티에 미치는 영향(EDUCATIONAL RESEARCHER, 2021)
Assessing Survey Satisficing: The Impact of Unmotivated Questionnaire Responding on Data Quality
Christine Calderon Vriesema1 and Hunter Gehlbach2

 

교육 연구자들을 포함한 사회과학자들은 오랫동안 설문조사와 애증 관계를 유지해왔다. 한편, 설문조사는 응답자의 가치, 인식 및 태도를 효율적이고 규모에 맞게 파악한다(Gehlbach, 2015; Gilbert, 2006; West et al., 2017). 설문조사의 유연성을 통해 응답자는 자신, 다른 개인 또는 전체 계층 또는 공동체에 대한 인식을 보고할 수 있습니다. 
Social scientists, including educational researchers, have long maintained a love–hate relationship with surveys. On the one hand, surveys uncover respondents’ values, perceptions, and attitudes efficiently and at scale (Gehlbach, 2015; Gilbert, 2006; West et al., 2017). Surveys’ flexibility allows respondents to report on themselves (i.e., self-report measures), other individuals, or their perceptions of a whole class or community.
반면, [회의론자]들은 설문조사 데이터의 가치를 비판해 왔으며, 종종 세 가지 우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첫째, 일부는 참가자들이 양질의 답변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자기성찰 능력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예를 들어, Nisbett와 Wilson(1977a, 1977b)은 사람들이 자신의 선택을 이해하려는 잘못된 시도의 여러 예를 제공했다. 다른 것들은 응답자들이 존재하지 않는 정책에 대해 어떻게 쉽게 보고하는지, 따라서 사람들이 어떻게 그들이 가질 수 없는 의견을 보고하는지를 보여준다(Bishop et al., 1980).
On the other hand, skeptics have critiqued the value of survey data, often focusing on three concerns. First, some raise questions about the introspective abilities participants need to provide high-quality answers. For example, Nisbett and Wilson (1977a, 1977b) provided multiple examples of people’s erroneous attempts to understand their own choices. Others show how respondents readily report on policies that do not exist, thus, showing how people report opinions that they could not possibly have (Bishop et al., 1980).
  • 두 번째 도전은 사람들이 자신의 태도를 알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미묘한 힘이 응답자의 정확한 보고를 방해할 수 있다고 우려하는 비평가들로부터 발생한다. 이러한 힘에는 묵인 편향, 사회적 만족도, 바닥/천장 효과, 편향된 질문 표현, 대응 순서 효과 등과 같은 현상이 포함된다(예: Krosnick, 1999).
A second challenge arises from critics who acknowledge that people might know their own attitudes but worry that subtle forces may inhibit respondents’ accurate reporting. These forces include phenomena such as acquiescence bias, social desirability, floor/ceiling effects, biased question wording, response order effects, and so forth (e.g., Krosnick, 1999).
그러나 설문조사 설계자는 설문조사를 [응답자가 합리적으로 의견을 가질 수 있는 주제]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설문조사 연구자들이 개발한 많은 모범 사례에 부합하도록 설문조사를 설계할 수 있다(Gehlbach & Artino, 2018). 따라서 조사 연구의 방법론으로서의 이 [두 가지 잠재적인 문제는 현실적이고 진지하게 받아들여야 하지만 극복할 수 없는 경우는 거의 없다]. 
Yet, survey designers can delimit surveys to topics that respondents might reasonably have opinions on. Furthermore, they can design surveys to accord with many of the best practices that survey researchers have developed (Gehlbach & Artino, 2018). So, although these two potential problems with survey research as a methodology are real and need to be taken seriously, they are rarely insurmountable.
  • 셋째, 잠재적으로 더 도전적인 것은 참가자들이 설문조사를 진지하게 받아들이려는 동기에 대한 우려이다. 가장 극단적인 형태로, 어떤 사람들은 아마도 지루하거나 웃기려는 시도로 거짓 대답을 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장난꾸러기 응답자"가 될 수도 있다. Krosnick(1991)은 응답자들이 응답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지 못하는 더 온화하고 잠재적으로 더 보편적인 형태의 "구색만갖추기satisficing"을 설명한다. 이러한 동기 부여 문제는 충분히 일반적이어서 일부 연구자들은 성실성이라는 성격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수행 과제로 설문지에 대한 응답자의 노력(또는 그 부족)을 사용했다(Hitt et al., 2016; Zamarro et al., 2018).
Third, and potentially more challenging, are concerns about participants’ motivation to take the survey seriously. In its most extreme form, some may become “mischievous responders” (Robinson-Cimpian, 2014) who actively strive to give false answers, perhaps out of boredom or an attempt to be funny. Krosnick (1991) describes milder, and potentially more prevalent forms of “satisficing,” where respondents fail to put forth their best efforts in responding. This motivation problem is sufficiently common that some researchers have even used respondents’ effort (or lack thereof) on questionnaires as a performance task to measure the personality trait of conscientiousness (Hitt et al., 2016; Zamarro et al., 2018).
학교들이 설문조사 자료로 정책을 알리는 것을 점점 더 목표로 함에 따라, 이러한 동기 부여 문제는 독특한 도전 과제를 제시한다. 만약 응답자들이 항목을 건너뛰거나, 일찍 그만두거나, 매번 같은 대답을 해서 설문조사를 빠르게 통과하고 싶다면, 연구원들은 그것을 막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거의 없다. 실무자와 정책 입안자는 보완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고객은 만족도가 데이터 품질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satisficing의 만연성]을 이해해야 합니다. 우리는 캘리포니아에서 초등학생과 중등학생의 사회적 정서적 학습에 대한 지속적인 대규모 조사에서 만족도를 조사함으로써 두 가지 과제를 모두 해결한다. 이 기사는 설문 조사 데이터의 만족도를 감지, 평가 및 회계 처리하기 위한 간단한 전략을 개략적으로 설명합니다. 참가자 만족도에 관한 더 큰 문헌(예: Burge & Gehlbach, 2012; Hitt et al., 2016; Krosnick, 1991; Soland, 2018) 내에서, 우리는 이 연구가 잠재적으로 문제가 있는 대응 패턴을 식별하기 위한 접근 가능한 도구를 교육 의사결정자에게 제공하기를 바란다. 
As schools increasingly aim to inform their policies with survey data, this motivation problem presents a unique challenge. If respondents want to skip items, quit early, or speed through the survey by giving the same answer each time, researchers can do little to prevent it. Practitioners and policymakers face a complementary problem: They need to understand the pervasiveness of satisficing to determine to what extent satisficing affects data quality. We address both challenges by investigating satisficing in an ongoing, large-scale survey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social–emotional learning in California. This article outlines straightforward strategies for detecting, assessing, and accounting for satisficing in survey data. Within the larger literature around participant satisficing (e.g., Barge & Gehlbach, 2012; Hitt et al., 2016; Krosnick, 1991; Soland, 2018), we hope this study provides educational decision makers with accessible tools for identifying potentially problematic response patterns.

구색만 갖추기
Satisficing

전통적으로 "satisficing"은 사람들이 [정신 에너지를 보존하기 위해 차선의 의사 결정 전략을 사용하는 인지 휴리스틱]을 의미한다(Simon, 1957; Simon & Stedry, 1968). 예를 들어, 일부 의사결정자들은 "최적" 해결책을 찾기보다는 "충분히 가까워 보인다"는 만족스러운 첫 번째 대안을 선택하여 시간과 노력을 절약한다. 설문조사 학자들은 응답자들의 차선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이 개념을 적용했다(Krosnick, 1991; Tourangeau, 1984). 설문조사에서 만족하는 것은
  • 첫 번째 합리적인 응답 옵션 선택,
  • 제시된 모든 진술에 동의하는 것,
  • 여러 항목에 걸쳐 동일한 옵션을 직선으로 반복적으로 선택하는 것,
  • "모름" 또는 "해당되지 않는" 응답을 일관되게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Barge & Gehlbach, 2012; Krosnick, 1991).
Traditionally, “satisficing” refers to a cognitive heuristic in which people employ suboptimal decision-making strategies to conserve mental energy (Simon, 1957; Simon & Stedry, 1968). For example, rather than searching for an “optimal” solution, some decision makers select the first satisfactory alternative that seems “close enough,” thereby saving time and effort. Survey scholars have adapted this concept to explain respondents’ suboptimal behaviors (Krosnick, 1991; Tourangeau, 1984). On surveys, satisficing can include
  • selecting the first reasonable response option,
  • agreeing with all the statements presented,
  • selecting the same option repeatedly in a straight line across multiple items, and
  • consistently selecting the “don’t know” or “not applicable” responses (Barge & Gehlbach, 2012Krosnick, 1991).
일부 조사 연구자들이 참가자들의 satisficing에 대해 보고했지만, 이러한 세부사항을 체계적으로 포함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Barge와 Gehlbach(2012)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두 가지 설문조사를 대상으로 척도 간 신뢰도와 연관성에 대한 만족도의 영향을 조사했다. 저자들은 대부분의 학생들이 적어도 한 가지 형태의 satisficing에 관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두 조사에서 61%와 81%의 학생들). 이러한 satisficing은 인위적으로 부풀린 내부 일관성 추정치와 척도 간 상관관계를 초래했다. 이러한 관행의 만연성과 데이터 해석에 대한 시사점은 특히 특정 항목이 작성되는 방법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어린 학생들에게 만족스러운 설문조사와 잠재적 결과를 추가로 탐구할 필요성을 강조한다(예: 부정적으로 단어화된 항목; Benson & Hocevar, 1985). 대규모 데이터가 정책 및 실천을 위한 의사 결정을 안내하는 데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지식은 특히 중요하다(Marsh et al., 2018).

Although some survey researchers have reported on participant satisficing, few systematically include these details. Barge and Gehlbach (2012) examined the effects of satisficing on the reliability of and associations between scales for two surveys administered to college students. The authors found that most students engaged in at least one form of satisficing (61% and 81% of students across the two surveys). This satisficing resulted in artificially inflated internal consistency estimates and correlations between scales. The pervasiveness of these practices and implications for data interpretation underscore the need to further explore survey satisficing and its potential consequences, especially for younger students who may struggle with how certain items are written (e.g., negatively worded items; Benson & Hocevar, 1985). This knowledge is particularly important now as large-scale data are increasingly used to guide decisions for policy and practice (Marsh et al., 2018).

satisficing 검출 전략에는 복잡도가 다양한 방법이 포함된다(Barge & Gehlbach, 2012; Steedle et al., 2019). 이상적으로, 만족도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의 집합은 가능한 한 광범위하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연구자, 실무자 및 정책 입안자가 거의 모든 설문 조사 기반 데이터 세트 내에서 평가할 수 있는 세 가지 응답자 행동에 초점을 맞춘다
  • 조기종결
  • 미응답
  • 한줄긋기

Strategies for detecting satisficing include a range of methods that vary in complexity (Barge & Gehlbach, 2012; Steedle et al., 2019). Ideally, any set of procedures to address satisficing should be as broadly accessible as possible. Toward this end, we focus on three respondent behaviors that researchers, practitioners, and policymakers can assess within almost all survey-based data sets: 
  • early termination—when respondents fail to complete the full survey; 
  • nonresponse, or omitted items; and 
  • straight-line responding—when respondents select the same response option repeatedly (e.g., for at least 10 consecutive items).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Barge & Gehlbach, 2012)를 바탕으로 직선응답을 10개의 연속항목으로 조작화하였으며, 이는 역점수 항목의 배치를 고려할 때 이 특정 설문조사의 맥락에 부합하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동일한 구조 내의 여러 항목에 대해 유사하게 반응하는 것이 타당해 보였지만, 여러 구조와 역 점수 항목에 걸쳐 연속적으로 10개의 동일한 반응이 나타날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였다. 이러한 조작화는 또한 carryover effect와 같이 표면적으로 유사한 인지적 편향과 직선화를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직선적인 반응은 응답자들이 인지적 노력을 보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대조적으로, 참가자들이 한 조사 항목과 후속 항목의 유사성을 인식할 때 이월 효과(Dillman et al., 2014)가 발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유사한 응답을 장려한다(과다하게). 설문조사의 모든 10개 항목 집합에는 여러 개의 구성요소가 포함되므로, 참가자는 항목 간의 개념적 차이를 확인해야 합니다. 
In this study, we operationalized straight-line responding as 10 consecutive items based on prior research (Barge & Gehlbach, 2012), and because it fit the context of this particular survey given the placement of reverse-scored items. Although it seemed plausible for students to respond similarly across multiple items within the same construct, the likelihood of 10 identical responses in a row spanning multiple constructs and reverse-scored items seemed vanishingly small. This operationalization also should help distinguish straight-lining from ostensibly similar cognitive biases, such as carryover effects. Straight-line responding helps respondents conserve cognitive effort. By contrast, carryover effects (Dillman et al., 2014) can occur when participants perceive similarities from one survey item to a subsequent item, thereby encouraging (overly) similar responses. Because multiple constructs are included in all 10-item sets within the survey, participants should see conceptual differences between items.
요약하면, 우리는 조기 종료, 무응답 또는 직선 응답이라는 세 가지 차선의 응답 패턴 중 하나 이상에 관여함으로써 satisficing을 조작화했다. 다른 접근법이 존재하지만(예: Hit 등, 2016; Robinson-Cimpian, 2014; Steedle 등, 2019), 우리는 대규모 학생 설문 조사 데이터에서 만족스러운 것을 체계적으로 정의, 계산 및 보고하기 위한 세 가지 간단하고 접근 가능한 전략에 중점을 두었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이러한 간단한 단계들이 그들의 특정 교육적 맥락 내에서 가능한 한 많은 조사 데이터 사용자들에 의해 널리 채택되기를 희망했다. 
In sum, we operationalized satisficing as engaging in one or more of these three suboptimal response patterns: early termination, nonresponse, or straight-line responding. Although other approaches exist (e.g., Hitt et al., 2016; Robinson-Cimpian, 2014; Steedle et al., 2019), we focused on three straightforward, accessible strategies for systematically defining, calculating, and reporting satisficing in large-scale student survey data. By doing so, we hoped that these simple steps might be widely adopted by as many users of survey data as possible within their specific educational contexts.

연구 질문과 가설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연구 결과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권장 사례에 따라 일련의 가설을 사전 등록했다(Gehlbach & Robinson, 2018). 구체적으로, 우리는
  • (a) 학생들이 어느 정도까지 조사 satisficing에 참여했는지,
  • (b) 어떤 형태의 satisficing이 조사 데이터에 가장 큰 위협이 되는지,
  • (c) 이 전략이 조사 척도에서 학생들의 평균 점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더 잘 식별하기 위해, 학생들이 한줄긋기를 할 때 가능성이 높은 응답 옵션이 무엇인지
  • (d) 어떤 학생들이 가장 satisficing을 할 것 같은지
To boost the transparency and credibility of our findings, we preregistered a set of hypotheses (https://osf.io/36zqk/) according to recommended practices (Gehlbach & Robinson, 2018). Specifically, we wanted to know
  • (a) to what extent students engaged in survey satisficing,
  • (b) which form of satisficing posed the largest threat to survey data,
  • (c) which response option students were most likely to select when straight-lining in order to better discern how this strategy might affect students’ mean scores on the survey scales, and
  • (d) which students were most likely to satisfice.
탐사 파일럿 데이터와 이전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전 지정된 가설을 테스트했다:
Informed by our exploratory pilot data and prior research, we tested the following prespecified hypotheses:
  • 가설 1: 전체 표본의 최소 10%가 만족스러운 형태로 사용됩니다.
  • 가설 2: 세 가지 유형의 만족도 조사 중 직선이 가장 많은 총 조사 항목에 영향을 미칩니다.
  • 가설 3: 직선 라이닝은 데이터의 품질에 영향을 미칩니다. 구체적으로:
    • 가설 3a. 직선을 이루는 참가자는 대부분 척도의 오른쪽에서 가장 극단적인 반응 옵션을 선택합니다.
    • 가설 3b: 역점수 항목을 고려한 후 직선 응답은 네 가지 조사 척도의 평균 점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 가설 4: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만족도가 높을 것이다.
Hypothesis 1: At least 10% of the total sample will engage in some form of satisficing.
Hypothesis 2: Of the three types of satisficing examined, straight-lining will affect the greatest number of total survey items.
Hypothesis 3: Straight lining will affect the quality of the data. Specifically:
Hypothesis 3a. Participants who straight-line will select the most extreme response option on the right-hand side of the scale the majority of the time.
Hypothesis 3b: After accounting for reverse-scored items, straight-line responding will significantly affect the mean scores across the four survey scales.
Hypothesis 4: Male students will be more likely to satisfice than female students.

방법
Method

샘플
Sample

본 연구는 캘리포니아 교육의 Core-PACE 연구 파트너십을 위한 정책 분석을 통해 수집된 2차 자료를 분석하였다. 우리는 2014-2015년과 2015-2016년 학기 동안 여러 캘리포니아 학군을 대상으로 대규모 설문 조사의 일환으로 관리된 일련의 사회 정서 학습(SEL) 항목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했다. 전체 설문조사에는 SEL 항목이 포함되었고 그 다음으로 학교 문화와 기후 항목이 포함되었다. 그러나 문화와 기후 항목의 수는 학군과 학년에 따라 달랐다. 따라서, 우리는 분석을 SEL 항목으로 제한했다.
This study examined secondary data collected through the Policy Analysis for California Education’s CORE-PACE Research Partnership. We analyzed student responses to a set of social–emotional learning (SEL) items administered as part of a larger survey to several California school districts during the 2014–2015 and 2015–2016 school years. The full survey included SEL items followed by a set of school culture and climate items; however, the number of culture and climate items varied across districts and school years. Thus, we restricted our analyses to the SEL items.

파일럿의 경우 2014-2015학년도 데이터에 대한 탐색적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이러한 분석은 2015-2016년 데이터에 대해 테스트한 사전 등록된 가설을 생성했다. 확인 연구를 위한 표본(N = 409,721)은 CORE 학군의 하위 집합에서 온 학생들을 포함했다. 2학년 2명을 제외한 학생들은 3학년부터 12학년까지 다양했다. 표본은 146,126명의 초등학생들, 125,747명의 중학생들, 그리고 137,838명의 고등학생들을 포함했다. 표 1은 학생 인구 통계의 완전한 설명을 제공한다. 

For our pilot, we conducted exploratory analyses on the 2014–2015 school year data. These analyses generated the preregistered hypotheses that we tested on the 2015–2016 data. The sample (N = 409,721) for our confirmatory study included students from a subset of the CORE school districts (see the full list here: https://edpolicyinca.org/initiatives/core-pace-research-partnership). Except for two second graders, students ranged from Grades 3 through 12. The sample included 146,126 elementary school students; 125,747 middle school students; and 137,838 high school students. Table 1 provides a complete description of student demographics.

 

방안
Measures

25개 항목으로 구성된 SEL 조사 성장 마인드를 측정하는 척도 4개(n = 4개 항목), 규제(n = 9개 항목), 자기 인식(n = 4개 항목), 사회 인식(n = 8개 항목)을 포함하였다. 각 척도에 대한 예제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내 지능은 내가 별로 바꿀 수 없는 것", "마지막까지 기다리지 않고 바로 일을 끝냈다", "어려울 때도 모든 시험을 잘 볼 수 있다",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얼마나 주의 깊게 들었느냐"는 질문이 각각 나왔다. 우리는 전체 척도에 대한 모든 항목과 5가지 대응 옵션을 온라인 보충 자료의 부록 A(저널 웹사이트에서 이용 가능)에 제시한다. 평균, 표준 편차 및 내부 일관성 신뢰성 추정치는 표 2에 나와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이러한 구조를 측정하는 목적은 학생들의 SEL을 더 잘 이해하고 학교 수준의 데이터 중심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것이었다. 이 설문조사의 개발에 대한 자세한 내용(예: SEL 역량이 결정된 방법, 조치를 선택하고 테스트한 방법 등)은 West 등(2018)을 참조하십시오. 
The 25-item SEL survey included four scales measuring growth mindset (n = 4 items), regulation (n = 9 items), self-efficacy (n = 4 items), and social awareness (n = 8 items). Example items for each scale included: “My intelligence is something that I can’t change very much,” “I got my work done right away instead of waiting until the last minute,” “I can do well on all my tests, even when they’re difficult,” and “How carefully did you listen to other people’s points of view?” respectively. We present all items for the complete scales and their five response options in Appendix A of the online supplementary materials (available on the journal website). Means, standard deviations, an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estimates are in Table 2. Overall, the goal of measuring these constructs was to better understand students’ SEL and to support school-level data-driven decision making.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e development of this survey (e.g., how SEL competencies were determined, how measures were selected and tested, etc.), please see West et al. (2018).

절차들
Procedures

각 만족스러운 행동에 대해 응답자들이 특정 대응 전략(각각 1 또는 0으로 코딩됨)에 참여하는지 여부를 결정했다. 우리는 최종 조사 항목(즉, 항목 25)을 완료하기 전에 조사를 종료함으로써 조기 종료를 조작화했다. 응답자가 마지막으로 완료한 항목 이전에 설문조사에서 하나 이상의 항목이 누락하는 것으로 무응답을 조작화하였습니다. 이 접근법을 통해 비응답자와 초기 종료자를 이중으로 계산하는 것을 피할 수 있었다. 
For each satisficing behavior, we determined whether respondents engaged in the specific response strategy or not (coded as 1 or 0, respectively). We operationalized early termination as ending the survey prior to completing the final survey item (i.e., Item 25). Nonresponse was operationalized as omitting at least one item in the survey prior to a respondent’s last completed item. This approach allowed us to avoid double-counting nonresponders and early terminators.
직선 응답을 식별하기 위해 설문 조사 전체에 걸쳐 10개 항목의 각 순차적 집합에 대한 표준 편차를 분석했다(예: 항목 1-10, 항목 2-11, 항목 3-12 등). 주어진 집합에 대한 표준 편차 0은 학생이 10개 항목 각각에 대해 동일한 반응 옵션을 선택했음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16개의 가능한 구간(즉, 10개의 순차 항목의 16세트)에서 학생들은 전략을 적어도 한 번 이상 사용할 경우 직선자로서 자격을 얻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이 세 가지 이진수 값을 합산하여 전반적인 satisficing(조사 중 어느 시점에서 학생이 satisficing했는지 여부)를 결정했다. 0보다 큰 값은 학생이 조사 중 어느 시점에서 만족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계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온라인 보충 자료(저널 웹사이트에서 제공)의 부록 B를 참조하십시오.
To identify straight-line responding, we analyzed the standard deviation for each sequential set of 10 items across the survey (e.g., Items 1–10, 2–11, 3–12, etc.). Standard deviations of zero for a given set indicated that the student selected the same response option for each of the 10 items. Thus, across the 16 possible intervals (i.e., the 16 sets of 10 sequential items), students qualified as straight-liners if they used the strategy at least once. Finally, we determined overall satisficing—whether a student satisficed at any point during the survey—by summing these three binary values; values greater than zero indicated that a student satisficed at some point during the survey. Please see Appendix B in the online supplementary materials (available on the journal website) for detailed descriptions of these calculations.

사전 등록된 결과
Preregistered Results

가설 1: 전체 만족도
Hypothesis 1: Overall Rate of Satisficing

만족 학생 수를 전체 참가자 수로 나누어 표본의 최소 10%가 만족도 조사에 참여할 것이라는 첫 번째 가설을 실험하였다. 우리의 데이터는 30.36%의 학생들이 적어도 하나의 satisficing 형태에 참여하면서 그 가설을 지지했다. 만족도는 조기종료 3.73%, 무응답 24.99%, 직선응답 5.38% 등이었다. 일부 학생들은 다양한 형태의 satisficing을 보였다(3.26%는 두 가지 형태, 0.14%는 세 가지 형태 모두에 참여했다).
We tested our first hypothesis that at least 10% of the sample would engage in survey satisficing by dividing the number of students who satisficed by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Our data supported the hypothesis with 30.36% of students engaging in at least one form of satisficing. The satisficing included 3.73% early termination, 24.99% nonresponse, and 5.38% straight-line responding. Some students engaged in multiple forms of satisficing (3.26% engaged in two forms, and 0.14% engaged in all three).

가설 2: 측량 영향
Hypothesis 2: Survey Impact

우리는 세 가지 응답 패턴 중에서 직선 응답이 가장 많은 총 조사 항목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단일 항목에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무응답 및 조기 종료와 대조적으로, 정의상 한 번만 응답해도 최소 10개의 항목이 포함된다. 결과는 직선으로 선을 그은 학생들이 평균 3.90개의 간격(각 간격은 10개의 잠재적으로 중복되는 항목 집합을 나타낸다; SD = 4.04) 동안 이 행동에 참여했다는 우리의 가설을 뒷받침했다. 이 평균은 거의 13개 항목을 연속으로 동일한 반응 옵션을 선택하는 것에 해당합니다. 이에 비해 평균 무응답은 건너뛴 항목 1.77개에 해당했고, 평균 조기 종료로 3.52개 항목이 조기 종료됐다. 따라서 직설적 응답(각각 5.38% 대비 24.99%)에 비해 무응답 학생이 더 많았음에도, 무응답 관련 항목은 더 적었다.
We hypothesized that out of the three response patterns, straight-line responding would affect the greatest number of total survey items. In contrast to nonresponse and early termination, which might affect as little as a single item, straight-line responding even once implicates a minimum of 10 items, by definition. The results supported our hypothesis in that students who straight-lined engaged in this behavior for a mean of 3.90 intervals (each interval represents a set of 10, potentially overlapping items; SD = 4.04). This average corresponds to selecting the same response option almost 13 items in a row. In comparison, average nonresponse corresponded to 1.77 skipped items, and average early termination resulted in ending 3.52 items early. Thus, even though more students engaged in nonresponse compared with straight-line responding (24.99% compared with 5.38%, respectively), fewer items were implicated by nonresponse.

가설 3a 및 3b: 직선 반응
Hypotheses 3a and 3b: Straight-Line Responding

우리는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반응 옵션에 대해 직선 응답이 얼마나 자주 발생했는지에 대한 빈도를 조사함으로써 직선 응답을 한 참가자가 절반에 걸쳐 척도의 오른쪽에서 가장 극단적인 반응 옵션을 선택한다는 가설 3a를 테스트했다. 그런 다음 다섯 번째 반응 옵션(즉, 오른쪽으로 가장 먼 선택)을 사용하여 발생한 직선 반응의 백분율을 계산했습니다. 참가자들은 16개 구간에 걸쳐 46.02%의 경우에 가장 오른쪽 응답 옵션을 선택했는데, 이는 우리가 예측한 대다수에 미치지 못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로 많이 선택된 옵션은 중간 옵션(M = 29.97%)이었다.
We tested Hypothesis 3a, that participants who straight-lined would select the most extreme response option on the right-hand side of the scale over half the time, by examining the frequencies for how often straight-line responding occurred for the first,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response options. We then calculated the percentage of straight-line responding that occurred using the fifth response option (i.e., the choice farthest to the right). Participants selected this response option 46.02% of the time across the 16 intervals–short of the majority we had predicted. The second most frequently selected option was the middle option (M = 29.97%).
직선 응답이 4개 척도(가설 3b)에 대한 학생들의 평균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척도별로 일련의 2-표본 t 검정을 수행했습니다. 우리는 전체 샘플을 충실도가 높은 샘플(즉, 직선을 긋는 응답자를 제외한 후 샘플)과 비교했다.1 
To examine whether straight-line responding affected students’ mean scores for the four scales (Hypothesis 3b), we conducted a series of two-sample t tests for each scale. We compared the complete sample with the high-fidelity sample (i.e., the sample after excluding respondents who straight-lined).1
효과 크기는 작았지만, 전체 표본은 고출실도 표본보다 높은 평균 점수를 보였다: 규정, t(796909) = 9.68, p <.001, 99% CI 0.01, 0.02, Cohen's d = 0.02, 자가 진단, t(794575) = 16.19, p <.001, 99% CI [0.03, 0.04], 사회적 인식, C.03, C.03, C.03, 14.03, C.03, C.03, C.03, C.93).03, C.03, C.03, C.03oen's d = 0.03. 성장 마인드 척도에서도 동일한 패턴이 나타났지만 항목은 역점을 받았다. 척도의 맨 오른쪽에 일직선으로 그은 학생들(즉, 반응 옵션 5를 선택)은 성장 사고방식의 개념적 반대를 지지했다. 따라서 역점수 성장 마인드 항목을 고려한 결과 성장 마인드 점수는 다른 척도의 패턴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완전표본은 고순도표본 t(794700) = -6.51, p < .001, 99% CI [-0.02, -0.01], Cohen's d = 0.01 (표 2 참조)보다 낮은 점수를 받았다. 요약하면, 학생들이 직선 반응에 참여하는 방식은 각 구성에 대한 전체 평균 점수에 영향을 미쳤다. 
Although the effect sizes were small, the complete sample had higher mean scores than the high-fidelity sample for: regulation, t(796909) = 9.68, p < .001, 99% CI 0.01, 0.02], Cohen’s d = 0.02; self-efficacy, t(794575) = 16.19, p < .001, 99% CI [0.03, 0.04], Cohen’s d = 0.04; and social awareness, t(795008) = 14.93, p < .001, 99% CI [0.02, 0.03], Cohen’s d = 0.03. The same pattern emerged for the growth mindset scale; however, the items were reverse scored. Students who straight-lined on the far right-hand side of the scale (i.e., selecting Response Option 5) endorsed the conceptual opposite of growth mindset. Thus, after accounting for the reverse-scored growth mindset items, we found that the growth mindset scores mirrored the pattern of the other scales. Specifically, the complete sample had lower scores than the high-fidelity sample, t(794700) = −6.51, p < .001, 99% CI [−0.02, −0.01], Cohen’s d = 0.01 (see Table 2). In sum, the pattern of how students engage in straight-line responding affected the overall mean scores for each construct.

가설 4: 만족자 식별
Hypothesis 4: Identifying Satisficers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만족할 가능성이 높다는 가설을 검증했습니다. 결과에 따르면 satisficing을 할 확률은 남성이 여성보다 16% 높았다(B = 0.15, SE = 0.01, 승산비 = 1.16, 99% CI [1.14, 1.18]).
We used a logistic regression to test our hypothesis that male students would be more likely to satisfice than female students. Results showed that the odds of satisficing were 16% higher for males than females (B = 0.15, SE = 0.01, odds ratio = 1.16, 99% CI [1.14, 1.18]).

탐색 결과
Exploratory Results

전체적으로, 우리의 결과는 우리의 샘플에서 satisficing하는 학생의 만연성을 보여주었고, 30% 이상의 학생들이 이런 행동에 관여하고, 직선적인 응답을 하는 것은 가장 많은 항목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전 등록된 가설은 중요한 확인 데이터를 제공하는 동시에 일련의 탐색적 분석을 통해 추구한 추가적인 질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 먼저 성별 외에 다른 학생 특성이 전반적인 만족도를 예측하는지 살펴보았다.
  • 둘째, 직선 응답이 학생 하위 그룹 비교와 설문 조사의 심리학적 속성(예: 크론바흐의 알파 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추가로 조사했다
  • 마지막으로, 우리는 학생들이 이러한 형태의 만족에 가장 자주 참여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무응답을 더 자세히 탐구했다.2
우리는 향후 연구를 위한 보다 정교한 권장 사항을 개발하기 위해 이러한 탐색적 분석을 추구했다.
Overall, our results showed the pervasiveness of student satisficing in our sample, with over 30% of students engaging in some form of satisficing and straight-line responding implicating the greatest number of items. While providing important confirmatory data, these preregistered hypotheses also raised additional questions that we pursued through a series of exploratory analyses. Specifically,
  • we first explored whether other student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gender predicted overall satisficing.
  • Second, we further examined the effects of straight-line responding on student subgroup comparisons and the psychometric attributes of the survey (e.g.,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 Last, we explored nonresponse in further detail, given that students engaged in this form of satisficing most frequently.2 
We pursued these exploratory analyses to develop more refine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탐색적 분석: 전반적인 만족도
Exploratory Analyses: Overall Satisficing

로지스틱 회귀 모형을 적합하여 다른 학생 특성도 만족스러운 설문 조사를 예측했는지 여부를 조사합니다. 성별 외에 인종/민족, 학년, 영어 학습자 상태, 장애 상태 학생, 무료 또는 할인된 가격의 점심 자격, 정학을 포함했습니다. 결과에 따르면 유색인종 학생들은 6%, 무료 또는 할인된 점심식사를 할 수 있는 학생들은 8%, 영어 학습자로 분류된 학생들은 22%, 그리고 장애가 있는 학생들은 45%의 만족 가능성이 증가했다저학년 학생들은 만족할 확률이 13% 감소했다. 정학 횟수는 학생들의 만족도를 예측하지 못했다(표 3 참조). 
We fit a logistic regression model to examine whether other student characteristics also predicted survey satisficing. In addition to gender, we included race/ethnicity, grade, English Language Learner status, student with a disability status, free or reduced-price lunch qualification, and suspensions. Results indicated that odds of satisficing increased 6% for students of color, 8% for students qualifying for free or reduce price lunch, 22% for students classified as English language learners, and 45%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Odds of satisficing decreased by 13% for students in younger grades. The number of suspensions did not predict student satisficing (see Table 3).

탐색적 분석: 직선 응답
Exploratory Analyses: Straight-Line Responding

직선응답은 다른 어떤 형태의 만족도보다 총조사 항목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고 4개 척도에 대한 학생들의 평균 점수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고려하여, 우리는 이러한 구체적인 만족도 형태에 대한 몇 가지 후속 질문을 추구했다. 우리는 잠재적인 성별 차이, 크론바흐의 알파 및 상관 계수의 차이, 직선 응답 패턴에 초점을 맞추었다. 
Given that straight-line responding affected more total survey items than any other form of satisficing and affected students’ mean scores for the four scales, we pursued several follow-up questions for this specific form of satisficing. We focused on potential gender differences, differences in Cronbach’s alpha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the pattern of straight-line responding.

성별 차이
Gender differences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더 자주 satisficing한다는 사전 등록된 연구 결과를 추적하기 위해, 우리는 연구자들이 만족을 설명하지 못한다면 이러한 경향이 성별 차이를 강조하거나 약화시킬 수 있을지 궁금했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전체 샘플과 충실도가 높은 샘플(즉, 직선으로 선 학생들을 제거하기 전과 후)을 비교했다. 결과는 직선제를 실시한 학생들을 제거한 후 평균 점수가 0.01점에서 0.02점 사이에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예: 여학생들의 평균 자기 조절 점수는 4.16점에서 4.14점으로 떨어졌다). 그러나, 평균 점수가 변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학생과 남학생의 차이의 크기는 완전 표본에 기초한 분석인지 아니면 충실도가 높은 표본에 기초한 분석인지에 관계없이 일관성을 유지했다. 여학생들은 남학생들보다 자기조절(Cohen's d = 완전체 0.28, 고충실체 0.27), 항목을 역선택한 후 성장 마인드(Cohen's d = 완전체 0.04, 고충실체 0.03), 사회적 인식(Cohen's d = 완전체 0.22, 고충실체 0.22)이 더 높게 나타났다. 대조적으로, 남학생들은 여학생들보다 더 높은 자기 효능감을 보였다(완전한 경우에는 0.08, 고충실도 응답 경우에는 0.10). 
To follow up on our preregistered finding that male students satisficed more often than their female counterparts, we wondered if this tendency might accentuate or mute gender differences if researchers failed to account for satisficing. Specifically, we compared the complete sample and the high-fidelity sample (i.e., before and after removing students who straight-lined). Results indicated that mean scores changed between 0.01 and 0.02 points after removing the students who straight-lined (e.g., mean self-regulation scores for female students fell from 4.16 to 4.14). However, even though the mean scores changed, the magnitude of differences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remained consistent regardless of whether analyses were based on the complete sample or the high-fidelity sample.
  • Female students reported higher
    • self-regulation (Cohen’s d = 0.28 for complete, 0.27 for high fidelity),
    • growth mindset after reverse-scoring the items (Cohen’s d = 0.04 for complete, 0.03 for high fidelity), and
    • social awareness (Cohen’s d = 0.22 for complete, 0.22 for high fidelity) than male students.
  • In contrast, male students reported higher
    • self-efficacy than female students (Cohen’s d = 0.08 for complete, 0.10 for high fidelity).

Cronbach의 알파 및 상관 계수
Cronbach’s alpha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둘째, 우리는 Feldt의 (1969) W 통계량을 사용하여 Cronbach의 알파 계수를 비교했다.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성장 마인드, 조절, 자기효능감, 사회적 인식에 대한 알파 계수는 충실도가 높은 표본에 비해 전체 표본이 .01에서 .02 사이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0.001 미만의 p 값에 해당한다(표 2 참조). 
Second, we compared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by using Feldt’s (1969) W statistic. As Table 2 shows, the alpha coefficients for growth mindset, regulation, self-efficacy, and social awareness were between .01 and .02 higher for the complete sample as compared with the high-fidelity sample; these findings correspond to a p value of less than .001 (see Table 2).
셋째, Fisher's z를 사용하여 전체 표본과 충실도가 높은 표본 간의 상관 계수를 비교했습니다. 성장 마인드와 조절(z = -12.65), 자기 인식(z = -13.23), 사회 인식(z = -5.12)의 상관관계는 고순도 표본보다 완전 표본에서 더 높았다. 자기인식(z = 13.20)과 사회인식(z = 13.16)의 규제 상관관계와 자기인식과 사회인식의 상관관계(z = 21.80)를 분석할 때도 동일한 양상이 나타났다. 모든 상관관계는 p < .001에서 유의했다(표 4 참조). 결론적으로, 내부 일관성과 척도 간 상관관계에 대한 완전 표본과 고충실도 표본 간의 차이는 작았다. 
Third, we used Fisher’s z to compare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complete sample and the high-fidelity sample. Correlations for growth mindset with regulation (z = −12.65), self-efficacy (z = −13.23), and social awareness (z = −5.12) were higher for the complete sample than the high-fidelity sample. The same pattern emerged when examining the correlations for regulation with self-efficacy (z = 13.20) and social awareness (z = 13.16), as well as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social awareness (z = 21.80). All correlations were significant at p < .001 (see Table 4). In sum,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mplete and high-fidelity samples for internal consistency and correlations between scales were small.

직선 응답 패턴
Pattern of straight-line responding

지금까지, 우리의 데이터는 직선 응답이 평균 점수, 척도 신뢰성 및 상관 계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했다. 이것은 설문 조사에서 학생들이 가장 자주 직선을 긋는 부분(예: 학생들이 피곤해하고 설문 조사가 끝날 때쯤 직선으로 응답하기 시작할 수 있음)에 대한 질문을 제기한다. 그렇지 않으면 전체 설문조사를 완료한 모든 학생(즉, 항목을 누락하거나 설문조사를 일찍 종료하지 않은 학생을 포함)을 대상으로 응답 패턴을 조사했다. 우리는  
  • 첫 번째 간격 이후 학생 직선(a)이 감소했고,
  • (b) 다음 13 간격 동안 상당히 일정하게 유지되었지만
  • (c) 조사의 마지막 세 간격 동안 증가했다는 것을 발견했다(그림 1 참조).
Thus far, our data suggested that straight-line responding affected mean scores, scale reliability,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This raises the question of where, within the survey, students straight-lined most frequently (e.g., students may get fatigued and start straight-line responding toward the end of the survey). We examined the response pattern for all the students who otherwise completed the full survey (i.e., we included the students who did not omit items or end the survey early). We found that student straight-lining
  • (a) decreased after the first interval,
  • (b) remained fairly consistent for the next 13 intervals
  • but (c) increased during the last three intervals of the survey (see Figure 1).

탐색적 분석: 무응답
Exploratory Analyses: Nonresponse

사전 등록된 분석에 따르면 직선 응답은 무응답보다 설문 항목 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무응답이 대부분의 학생들이 참여하는 만족스러운 행동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우리는 (a) 누락된 데이터가 4개 척도의 평균 점수에도 영향을 주는지 여부와 (b) 누락된 데이터의 패턴을 조사하기 위해 두 가지 탐색적 분석을 추구했다. 
Our preregistered analyses indicated that straight-line responding implicated a greater number of survey items than nonresponse. However, given that nonresponse was the satisficing behavior most students engaged in, we pursued two exploratory analyses to examine (a) whether missing data also affected mean scores for the four scales and (b) the pattern of missing data.

평균 차이
Mean differences

네 가지 척도에 걸쳐 완전 표본과 충실도가 높은 표본 간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했습니다. 결과는 전체 표본이 높은 충실도 표본에 비해 규제 및 성장 사고방식에 대한 평균 점수가 유의하게 낮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차이의 크기는 규제(Cohen's d = 0.06)와 성장 사고방식(Cohen's d = 0.03) 모두에서 미미했다. 평균 차이는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인식에서 훨씬 더 작았지만, 표본 크기를 고려할 때 이러한 차이도 상당했다. 전체 표본은 고순도 표본(Cohen's d = 0.01)보다 낮은 자기 만족도를 보였습니다. 사회적 인식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Cohen's d = 0.001). 표 5를 참조하십시오. 
Across the four scales, we examin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complete and high-fidelity3 samples. Results indicated that the overall sample had significantly lower mean scores for regulation and growth mindset than the high-fidelity sample. However, the magnitude of the differences was modest for both regulation (Cohen’s d = 0.06) and growth mindset (Cohen’s d = 0.03). The mean differences were even smaller for self-efficacy and social awareness, although given our sample size, these differences also were significant. The overall sample had lower self-efficacy than the high-fidelity sample (Cohen’s d = 0.01). There was almost no difference for social awareness (Cohen’s d = 0.001). See Table 5.

무응답 패턴
Pattern of nonresponse

직선 응답 패턴을 탐구하는 분석과 유사하게, 우리는 이 분석에서 샘플을 전체 설문 조사를 완료한 학생(즉, 항목 25에 응답한 학생)으로 제한했다. 따라서 그림 2는 조사의 처음 24개 항목에 걸쳐 누락된 데이터의 패턴을 보여줍니다. 값은 각 항목에 대한 결측 반응의 총합을 나타냅니다. 이 패턴은 학생들이 일반적으로 하반기에 비해 상반기에 더 많은 항목을 누락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번 조사에서 가장 많이 누락된 항목은 10번과 11번으로 각각 13,627건과 10,104건의 누락 응답이 있었다. 두 항목 모두 역채점 성장 마인드 항목이었다. 
Similar to our analysis exploring the pattern of straight-line responding, we restricted our sample in this analysis to the students who completed the full survey (i.e., those who responded through to Item 25). Thus, Figure 2 shows the pattern of missing data across the first 24 items in the survey. The values represent the total missing responses for each item. The pattern suggests that students generally missed more items in the first half of the survey compared with the second half. The two most-missed items in the survey were Items 10 and 11, where there were 13,627 and 10,104 missing responses, respectively. Both items were reverse-scored growth mindset items.

논의
Discussion


이 기사에서, 우리는 고도로 훈련된 통계학자의 도움 없이도 다른 사람들이 이러한 단계를 쉽게 복제할 수 있도록 만족도를 정의하고 계산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간단한 접근법을 취했다. 광범위한 satisficing에도 불구하고 데이터는 조기 종료, 무응답 및 직선 응답에 놀라울 정도로 robust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는 우리의 연구 결과와 연구자, 실무자 및 정책 입안자가 응답자의 만족에 대응하여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논의한다. 

In this article, we took a deliberately simple approach to defining and calculating satisficing so that others might easily replicate these steps, even without the help of highly trained statisticians. Despite extensive satisficing, the data appeared to be surprisingly robust to early termination, nonresponse, and straight-line responding. We discuss our findings and what researchers, practitioners, and policymakers might do in response to respondent satisficing.

전체 만족도
Total Satisficing

전체적으로 30%가 조금 넘는 표본이 적어도 하나의 satisficing 형태에 관여했다. 그러나 만족도가 응답자의 동기 부여 부족을 반영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연구자들은 satisficing 행동을 어떻게 조작화 할 것인지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는 우리의 정의에 대해 포괄적인 접근법을 취했다. 특히, 응답자들은 한 항목을 생략하는 한 비응답자로서의 자격이 있었다. 이렇게 큰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면 일부 의욕적인 학생(예: 실수로 항목을 놓친 학생)을 실수로 잘못 분류하여 잠재적으로 학생 메타데이터를 잘못 표현하는 것이 불가피해 보인다(Soland 등, 2019)., 2019). 반면에, 연속적으로 10개 항목의 직선화 임계값은 차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일부 응답자(예: 9개 항목에 대해 직선화한 응답자)를 제외했을 가능성도 있다. 자체 데이터 만족도를 조사하는 연구자, 실무자 및 정책 입안자는 특정 컨텍스트에 대한 만족도 및 운영화에 대한 의미 있는 정의를 결정해야 합니다. 
Overall, a little more than 30% of the sample engaged in at least one form of satisficing. Given that satisficing reflects a lack of respondent motivation, however, it is important for researchers to consider how they operationalize satisficing behaviors. We took an inclusive approach to our definitions. In particular, respondents qualified as nonresponders as long as they omitted one item. With a data set this large, it seems inevitable that we inadvertently miscategorized some motivated students (e.g., those who missed an item by accident), thereby potentially misrepresenting student metadata (Soland et al., 2019).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hat our straight-lining threshold of 10 items in a row excluded some respondents (e.g., those who straight-lined for nine items) who were putting forth suboptimal effort. Researchers, practitioners, and policymakers examining satisficing in their own data will need to determine meaningful definitions of satisficing and operationalizations for their specific contexts.

설문조사 데이터에 미치는 영향
Impact on Survey Data

세 가지 만족행동 중 학생 직선응답이 전체 설문항목(평균 13개 항목)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고, 무응답 및 조기종료(각각 1.77개, 3.52개 항목)에 비해 영향을 미쳤다. 우리는 이번 조사에 성장 마인드를 측정하는 역점수 항목들이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직선으로 선 학생들이 자신의 태도를 정확하게 보고하지 않았다고 합리적으로 확신한다. 따라서 오른쪽 대응 옵션은 고정된 사고방식, 즉 성장 사고방식의 개념적 반대를 의미했습니다. 직선 응답자 중 성장 마인드 점수가 가장 낮은 학생은 자기효능감과 규제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러한 결과는 더 강한 성장 마인드셋과 더 높은 자기효능감을 연결하는 동기부여 연구와 일치하지 않을 것이다(Deck & Master, 2009). 
Of all three satisficing behaviors, student straight-line responding affected the greatest number of total survey items (almost 13 items on average) compared with nonresponse and early termination (1.77 and 3.52 items, respectively). We are reasonably confident that the students who straight-lined were not accurately reporting their attitudes because the survey included a set of reverse-scored items measuring growth mindset. The right-hand response option therefore signaled a fixed mindset—the conceptual opposite of growth mindset. Among straight-line responders, our survey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s with the lowest growth mindset scores have the highest self-efficacy and regulation. These findings would be incongruous with the motivation research linking stronger growth mindsets with higher self-efficacy (Dweck & Master, 2009).
또한, 우리 표본에서 한줄긋기를 한 학생들은 거의 절반의 경우(M = 46.02%)을 맨 오른쪽에서 반응 옵션을 선택했기 때문에, 이러한 만족스러운 행동은 네 가지 척도에 걸쳐 학생들의 점수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작은 효과 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긴 하나, 샘플 간의 차이가 반드시 우리의 연구 결과에 대한 해석에 상당한 위협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시사했다. 우리가 미리 지정한 가설에서, 코헨의 d 계수는 0.01에서 0.04 사이로, 일반적으로 "작은" 효과 크기에 대해 예약된 0.20 컷오프 아래로 떨어졌다(코헨, 1988). 우리는 탐색적 분석(Cohen의 d 계수 0.001 ~ 0.06)에 대해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이는 일반적으로 우리의 데이터에 대한 실질적으로 다른 해석을 정당화할 정도로 평균이 충분히 다르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물론 효과 크기의 크기는 연구 맥락에 따라 다양하다. 한 영역에서 작을 수 있는 것은 다른 영역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Kraft, 2020). 또한, 일부 연구자들은 효과 크기 컷오프가 상대적으로 임의적이며, 대신 효과가 야기할 수 있는 결과의 관점에서 해석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Funder & Ozer, 2019). 따라서 로컬 컨텍스트는 차이가 의미 있는 경우 안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Moreover, because the students who straight-lined in our sample selected the response option on the far right-hand side almost half the time (M = 46.02%), this satisficing behavior affected students’ scores across the four scales. Yet, the relatively modest effect sizes suggested that, while significant, the differences between samples did not necessarily represent a substantial threat to interpretations of our findings. In our prespecified hypotheses, the Cohen’s d coefficients ranged from 0.01 to 0.04, falling below the 0.20 cutoff typically reserved for “small” effect sizes (Cohen, 1988). We obtained similar findings for our exploratory analyses (Cohen’s d coefficients from 0.001 to 0.06)—indicating that, in general, the means were not sufficiently different to warrant substantially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our data. Of course, the magnitude of effect sizes ranges across research contexts—what may be small in one domain may represent a meaningful difference in others (Kraft, 2020). Moreover, some researchers argue that effect size cutoffs are relatively arbitrary and should instead be interpreted in terms of the consequences that the effects could cause (Funder & Ozer, 2019). Local contexts can therefore help guide when the differences are meaningful.
우리는 또한 직선 응답과 무응답의 패턴을 조사했다. 설문조사가 [끝날 무렵에는 한줄긋기 응답]이 더 많이 발생한 반면, [전반기에는 무응답]이 더 빈번하게 발생했다. 주목할 점은 가장 많이 놓친 항목이 성장 마인드 항목이었다는 점이다. 이는 본 SEL 설문조사에 사용된 성장 사고방식 척도와 역점수 항목의 포함에 대한 우려와 일치한다(Meyer et al., 2018). 역스코어링 항목 이외의 조사 설계 전략을 사용하면(예: 한 번에 한 척도에서 모든 항목을 제시하는 대신 조사 전체에 걸쳐 서로 다른 구조의 항목을 삽입하는 것) 역스코어링 항목에 필요한 인지 복잡성을 추가하지 않고도 응답자 satisficing를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Gehlbach & Barge, 2012) 항목(예: Benson & Hocevar, 1985). 
We also examined patterns in straight-line responding and nonresponse. Straight-line responding occurred more toward the end of the survey, whereas nonresponse happened more frequently in the first half. Of note is that the most frequently missed items were growth mindset items. This aligns with concerns about the growth mindset scale used in this SEL survey and its inclusion of reverse-scored items (Meyer et al., 2018). Using survey design strategies other than reverse-scoring items (e.g., interspersing items from different constructs throughout the survey rather than presenting all items from one scale at a time) may help to minimize respondent satisficing (Gehlbach & Barge, 2012) without adding the cognitive complexity required by the wording of reverse-scored items (e.g., Benson & Hocevar, 1985).
요약하면, 본 연구의 결과는 설문조사 데이터 사용자가 만족도가 각 표본의 데이터 품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인지할 필요가 있지만, 이러한 행동이 satisficing이 높은 경우에도 전체 결과의 무결성을 항상 위협하지는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기사에서 평가한 세 가지 전략(예: Robinson-Cimpian, 2014; Steedle et al., 2019)을 초과하는 만족도 감지를 위한 추가 또는 다른 전략을 원하는 설문조사 데이터 사용자는 응답 행동이 특정 교육 환경에서 데이터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유사하게 결정해야 한다. 
In sum,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lthough survey data users need to be aware of how satisficing affects data quality in their respective samples, these behaviors may not always threaten the integrity of the overall results even when rates of satisficing are high. Users of survey data who want additional or different strategies for detecting satisficing that extend beyond the three assessed in this article (e.g., strategies described in Robinson-Cimpian, 2014; Steedle et al., 2019) will need to similarly determine to what extent the response behaviors affect the data in their specific educational context.

응답자 특성
Respondent Characteristics

만족이 데이터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 외에도 satisficing이 샘플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지도 조사했다. 표본에서 만족자를 제거하여 응답자 동기 부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특정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더 높은 비율로 satisficing을 하는 경우 대표성이 없는 표본으로 이어질 수 있다. 현재 표본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탐색적 분석은 또한 인종/인종, 언어 상태 및 장애 상태를 만족과 관련된 다른 요인으로 식별했다. 이러한 결과는 Soland(2018)가 학생 하위 그룹 간 만족도 차이를 발견한 결과를 반영한다. 구체적으로 학업진보도 평가에서 남학생과 유색인종 학생들의 빠른 추측 비율이 높았다(Soland, 2018). 그러나 현재 연구와 다른 연구(예: Soland, 2018)에서 하위 그룹 차이의 작은 특성 때문에 정책 결정은 학생의 하위 그룹을 다르게 다룰 필요가 없을 수 있다. 그러나 언급한 바와 같이, 연구자들은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 전에 만족자를 제거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만족도가 자신의 데이터 품질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결정해야 한다.
In addition to investigating the impact of satisficing on data quality, we also examined whether satisficing might change the nature of the sample in systematic ways. Addressing the problem of respondent motivation by removing satisficers from the sample could lead to unrepresentative samples if certain groups satisfice at higher rates than others. In the present sample, 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satisfice than their female counterparts. Exploratory analyses also identified race/ethnicity, language status, and disability status as other factors associated with satisficing. These findings reflect those obtained by Soland (2018), who found differences in satisficing across student subgroups. Specifically, on the Measures of Academic Progress assessment, male students and students of color engaged in higher rates of rapid guessing (Soland, 2018). However, because of the modest nature of the subgroup differences in the current study and elsewhere (e.g., Soland, 2018), policy decisions may not need to treat different subgroups of students differently. As noted, however, researchers will need to determine to what extent satisficing affects their own data quality in order to ascertain whether it is necessary to remove satisficers prior to presenting their findings.

연구자, 실무자 및 정책 입안자를 위한 권장 사항
Recommendations for Researchers, Practitioners, and Policymakers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학생 설문조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5가지 지침을 제안한다. 
  • 첫째, 연구자, 실무자 및 정책 입안자는 설문 조사의 맥락 내에서 의미 있는 satisficing 의 정의를 결정해야 한다. 만족스럽게 정의하고 운영하기 위해 비교적 포괄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지만, 일부 구역에서는 더 보수적인 접근 방식(예: 무응답을 하나가 아닌 네 개의 누락된 항목으로 정의)이 필요할 수 있다. 다행히도 다양한 정의를 만족하고 영향을 검토하는 테스트는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추가 분석을 수행하는 데 걸리는 시간에 불과합니다. 데이터 분석가들이 만족의 영향을 더욱 탐구함에 따라, 우리는 주어진 맥락에서 가장 합리적인 것이 무엇인지 보기 위해 다양한 정의를 테스트하는 것을 추천한다.
Based on this study, we recommend the following five guidelines for handling student survey data. First, researchers, practitioners, and policymakers will need to determine meaningful definitions of satisficing that make sense within the context of their surveys. While we took a relatively inclusive approach to defining and operationalizing satisficing, some districts might require more conservative approaches (e.g., defining nonresponse as four missed items rather than one). Fortunately, testing different definitions of satisficing and examining the repercussions is relatively low cost—merely the time taken to conduct additional analyses. As data analysts further explore the impact of satisficing, we recommend testing various definitions to see what is most sensible for a given context.
  • 둘째, satisficing 행동이 결과 해석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기 위해 연구자, 실무자 및 정책 입안자가 satisficing 유무에 관계없이 데이터를 검토할 것을 권장한다. CORE 맥락 내에서, 직선 응답과 무응답은 결과의 주요 해석을 바꾸지 않았다. 예를 들어, 직선 응답 표본과 높은 충실도 표본 간의 차이의 크기는 매우 작았습니다. 그러나, 교육의 맥락 의존적 특성을 고려할 때, 이러한 결과는 교육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유형의 분석은 다른 방식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특정 부분군 비교(예: 학년 수준, 학교, 성장률 등) 또는 항목 구조와 관련된 분석(예: 요인 분석 기법)은 만족자의 포함 또는 제외에 더 민감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설문 조사 데이터 사용자가 다양한 분석 및 설정에 걸쳐 자체 설문 조사에서 만족도가 척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조사할 것을 권장한다. 만족으로 인한 결과적 차이가 언제, 어디서, 왜 더 많이 나타나는지를 배우는 것이 앞으로 나아가는 중요한 지식이 될 것이다.
Second, we recommend that researchers, practitioners, and policymakers examine their data with and without satisficers in order to evaluate how much the satisficing behaviors affect interpretation of the findings. Within the CORE context, straight-line responding and nonresponse did not change the main interpretation of findings. For example, the magnitude of differences between the straight-line responding and high-fidelity samples was quite small. However, given the context-dependent nature of education, results like these might vary across educational settings. Furthermore, other types of analyses might be affected in different ways. Perhaps certain subgroup comparisons (e.g., grade levels, schools, growth rates, etc.) or analyses involving item structure (e.g., factor analytic techniques) are more sensitive to the inclusion or exclusion of satisficers. Thus, we encourage users of survey data to examine how satisficing may affect scales in their own surveys across a range of analyses and settings. Learning when, where, and why there are more consequential differences in findings due to satisficing will be important knowledge moving forward.
  • 셋째, satisficing하는 모든 학생으로부터 모든 데이터를 제외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대신, 연구자, 실무자 및 정책 입안자는 결함이 있는 데이터만 제거함으로써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다(즉, 목록별 삭제보다는 사례별 삭제). 특히, 직선 응답과 무응답은 학생들의 평균 점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데이터 분석가들이 이러한 두 가지 반응 패턴에 초점을 맞출 것을 제안한다. 결함이 있는 데이터를 제거하면 분석가들이 데이터 중심의 의사 결정을 지원할 때 잠재적으로 손상된 데이터와 함께 양질의 데이터를 낭비하지 않도록 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러나 이 과정의 일부로, 우리는 또한 데이터 분석가들이 먼저 데이터를 제외하는 것이 표본 모집단의 성격을 크게 바꾸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도록 권장한다(예: 불균형한 수의 특정 인구 통계 그룹을 제거함으로써).
Third, we recommend against excluding all data from every student who satisfices. Instead, researchers, practitioners, and policymakers may benefit more from removing only the flawed data (i.e., case-wise rather than listwise deletion). Specifically, because straight-line responding and nonresponse may affect students’ mean scores, we suggest that data analysts focus on these two response patterns. Removing flawed data will also help ensure that analysts are not throwing quality data away along with the potentially compromised data when working to support data-driven decision making. As part of this process, however, we also encourage data analysts first to confirm that excluding data does not markedly change the nature of the sample population (e.g., by removing a disproportionate number of certain demographic groups).
  • 넷째, 설문조사에 [역스코어 항목을 포함하는 것]은 직선 응답자를 탐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으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이 전술을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고 경고한다. 역스코어 항목은 척도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고 참가자들이 답변하기 어렵다(Benson & Hocevar, 1985; Gehlbach & Brinkworth, 2011; Swain et al., 2008). 대신에 조사 설계자는 [서로 다른 구인의 항목을 분산시켜 삽입]하고(Gehlbach & Barge, 2012) [응답 옵션이 구인 특이적이도록 보장]하여 직선 응답을 완화할 수 있다(Gehlbach & Brinkworth, 2011).
    • 항목을 [interspersing]하면 참가자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의 항목을 서로 옆에 배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고정 및 조정과 같은 인지 편향에 참여할 가능성이 줄어든다(Gehlbach & Barge, 2012).
    • 또한 각 항목에 대해 [완전한 레이블이 지정된 응답 옵션]을 포함하고 항목과 응답 옵션 모두에서 동일한 구인별 언어를 사용하면 응답자들이 유사한 질문을 반복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별개의 현상에 대해 설문조사가 질문한다는 점을 강화할 수 있다(Gehlbach, 2015).

Fourth, including reverse-scored items in a survey may seem like an effective strategy for detecting straight-line responders. However, we caution against using this tactic. Reverse-scored items reduce scale reliability and are difficult for participants to answer (Benson & Hocevar, 1985; Gehlbach & Brinkworth, 2011; Swain et al., 2008). Instead, survey designers can attempt to mitigate straight-line responding by interspersing items from different constructs (Gehlbach & Barge, 2012) and ensuring that response options are construct specific (Gehlbach & Brinkworth, 2011).
  • Interspersing items reduces the chances that participants will engage in cognitive biases, like anchoring and adjusting, which can occur when items from the same or similar constructs are placed next to each other (Gehlbach & Barge, 2012).
  • Furthermore, including fully labeled response options for each item and using the same construct-specific language in both the items and response options can help to reinforce to respondents that the survey is asking about distinct phenomena as opposed to asking similar questions over and over (Gehlbach, 2015).
마지막으로, 설문조사에 인지적 노력을 기울이는 학생들의 동기는 가변적이기 때문에 설문조사를 이용하는 학생들은 설문조사 도구를 사용하기 전에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할 것을 권장한다. 미래 연구는 또한 학생들이 만족스러운 행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시기와 장소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설문 조사(예: 인지 면접을 통해)에서 학생들의 만족 동기의 질적 차이를 탐구함으로써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설문조사 과정 초기에 응답자의 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해 증거 기반 전략(예: Dillman 등, 2014)을 사용하면 학생들이 사용하는 만족스러운 행동의 일부를 줄일 수 있다.
Last, because students’ motivation to put cognitive effort into a survey is malleable, we urge those using survey research to cultivate buy-in from students prior to administering the survey instruments. Future research may also benefit from exploring qualitative differences in students’ motivation to satisfice on surveys (e.g., through cognitive interviewing) to better understand when and where students are most likely to engage in satisficing behaviors. Using evidence-based strategies (e.g., Dillman et al., 2014) to enhance respondent motivation early in the survey process may reduce some of the satisficing behaviors utilized by students.

결론
Conclusion

조사 데이터에 대한 비판이 많다. 이러한 비판은 응답자들이 자신의 태도를 이해하고, 태도를 정확하게 보고하고, 충분한 동기를 가지고 설문에 참여하는 능력에 의문을 제기한다. 낮은 응답자 동기 부여는 이러한 유형의 응답자 행동에 대한 연구자 통제가 부족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데이터 해석에 가장 도전적인 위협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우리의 연구 결과는 우리의 샘플에서 satisficing하는 학생들이 널리 퍼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관행이 데이터 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놀라울 정도로 작아 보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교육의 맥락별 특성 때문에,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데이터 세트에서 만족하는 설문 조사의 유병률과 영향을 유사하게 결정할 것을 촉구한다. 집단적인 노력을 통해, 우리는 조사 결과가 만족스러운 행동에 얼마나 강력한지 알 수 있다. 이 중요한 작업을 추구하는 연구자, 실무자 및 정책 입안자를 지원하기 위해, 우리는 대규모 데이터 세트에서 만족하는 학생을 정의하고 계산하기 위한 접근 가능한 기반을 제공했다. 우리는 이러한 전략이 궁극적으로 학교가 더 나은 데이터 중심 결정을 내리도록 도우려는 개인들을 촉진하기를 바란다.
Critiques of survey data abound. These criticisms question respondents’ ability to understand their own attitudes, accurately report their attitudes, and engage in surveys with sufficient motivation. Low respondent motivation may present the most uniquely challenging threat to data interpretation given the lack of researcher control over this type of respondent behavior. However, our findings indicate that despite the prevalence of student satisficing in our sample, the impact of this practice on data quality appeared surprisingly small. Because of the context-specific nature of education, we urge others to similarly determine the prevalence and impact of survey satisficing in their own data sets. Through a collective effort, we can learn how robust survey findings are to satisficing behaviors. To support researchers, practitioners, and policymakers pursuing this important task, we have provided an accessible foundation for defining and calculating student satisficing in large-scale data sets. We hope these strategies ultimately facilitate those individuals who are trying to help schools to make better data-driven decisions.

Abstract

Education researchers use surveys widely. Yet, critics question respondents’ ability to provide high-quality responses. As schools increasingly use student surveys to drive local policy making, respondents’ (lack of) motivation to provide quality responses may threaten the wisdom of using questionnaires for data-based decision making. To better understand student satisficing—the practice of suboptimal responding on surveys—and its impact on data quality, we examined its pervasiveness and impact on a large-scale social–emotional learning survey administered to 409,721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Findings indicated that despite the prevalence of satisficing, its impact on data quality appeared more modest than anticipated. We conclude by outlining an accessible approach for defining and calculating satisficing for researchers, practitioners, and policymakers.

 

 

 

코멘터리: 의학교육의 패러다임, 가치론, 인간행동학 (Acad Med, 2018)
Commentary: Paradigms, Axiology, and Praxeology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Zareen Zaidi, MD, PhD, and Douglas Larsen, MD, MEd

 

 

연구자들의 [연구 패러다임]과 [이론적 관점]은 [연구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승인된 RIME(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기사를 예로 들어 다음 질문을 살펴봅니다. 연구자들의 철학적 기반은 무엇이며, 그것이 출판물에서 드러나나요? 어떤 연구 패러다임이 잠재적으로 그들의 방법 선택을 가이드하는가? 그런 다음 우리는 연구 결과가 다른 의학 교육자들의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논의한다. 우리는 연구 설계가 패러다임, 이론, 방법론 및 방법을 어떻게 포괄하는지 강조한다. 더 진행하기 전에, 우리는 이 요약을 준비하는 동안 사용한 주요 개념에 대한 간단한 개요를 제공한다. 입문서와 관련된 더 자세한 자료는 관심 있는 사람들을 위한 참고 문헌에 제공된다. 우리는 독자들이 이러한 개념과 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자신의 실천과 연구를 안내할 것을 권장한다.
Research paradigms and theoretical perspectives of researchers influence the research process—even research questions posited by researchers are shaped by how they view the world. Using the accepted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RIME) articles as exemplars, we explore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are the philosophical underpinnings of the researchers, and are they made visible in their publications? What research paradigms potentially guide their choice of methods? We then discuss how the results from research can influence actions of other medical educators. We highlight how research design encompasses paradigms, theory, methodology, and methods. Before proceeding further, we provide a brief primer on the key concepts that we used while preparing this summary. More detailed resources1–6 related to the primer are provided in the bibliography for those interested. We encourage readers to consider the applicability of these concepts and theories to guide their own practice and research.

프라이머: 연구자들은 그들의 연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철학적 프레임워크]나 [패러다임]을 따른다. [패러다임]은 신념이나 세계관의 집합으로 볼 수 있으며, 세계의 본질과 개인이나 사물에 대한 세계의 관계, 또는 단순히 인식론적 입장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화해왔고 현재까지도 계속 그렇게 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일부 중첩이 있는 패러다임에 대해 다른 레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패러다임은 경직된 프레임워크보다는 [관련이 있는 사상적 학파의 느슨한 결합]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가장 잘 알려진 패러다임으로는 실증주의/후기실증주의, 포스트모더니즘/포스트구조주의, 비판론/이데올로기 패러다임, 구성주의, 실용주의 등이 있다. 패러다임에 대한 포괄적인 검토를 제공하는 것은 저자들의 의도가 아니다. 오히려 우리는 독자들에게 이해하기 쉬운 설명을 우리의 후속 대화의 기초로서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Primer:
 Researchers follow various philosophical frameworks or paradigms that impact their research activities. Paradigms can be viewed as a set of beliefs or worldviews, the nature of the world and the relationship of the world to individuals or objects, or simply as epistemological stances.7 These paradigms have evolved over time and continue to do so to date. Researchers may use different labels for the paradigms with some overlap; therefore, the paradigms should be regarded as loosely bound, related schools of thought rather then rigid frameworks.3 The best-known paradigms include positivism/postpositivism, postmodernism/poststructuralism, critical theory/ideological paradigm, constructivism, and pragmatism.3,8 It is not the intent of the authors to provide an encompassing review of paradigms; rather, we aim to provide easy-to-understand descriptions for readers as a primer to our subsequent conversation.

[실증주의]는 역사적으로 가장 잘 알려진 패러다임이다. 이 패러다임을 따르는 연구자들은 [발견되어야 할 하나의 진실]이 있으며, [현실은 관찰 가능하고 측정 가능]하며, [인과관계 연구]를 통해 발견될 수 있다고 믿는다. 고정된 측정 가능한 현실에 대한 생각은 많은 비판을 받았고, 연구자들은 측정이 잘못될 수 있고, 편견이 있으며, 완전한 객관성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인정했다. 이것은 객관성을 위해 노력하지만 완전한 중립성은 어떤 절대적인 의미에서도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이해하는 연구자들과 함께 후기실증주의 패러다임을 이끌었다. [후기실증주의자]들은 "진실"은 근사치이며 "우리가 현실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지금은 진실이다. 단, 더 많은 연구가 더 나은 설명, 더 정확한 척도를 찾을 때까지"라고 이해한다.
Positivism is historically the best-known paradigm.3 Researchers following this paradigm believe that there is a single truth to be discovered and that reality is observable, is measurable, and can be discovered in cause-and-effect studies.3,9 The idea of a fixed measurable reality received much criticism with researchers conceding that measurement is fallible, researchers have biases, and complete objectivity is not possible.3 This led to the postpositivist paradigm with researchers striving for objectivity but understanding that complete neutrality is not obtainable in any absolute sense.
Postpositivists understand that “truth” is an approximation or “what we know about reality is true for now—until more studies find a better explanation, a more accurate measure.”9,10 

[포스트모더니즘]은 어떤 현상의 현실이 그것을 경험하는 자와 주관적으로 상대적이라고 가정한다. 이 패러다임은 또한 탈구조적 또는 탈식민지적이라 불리며 [현대 사회에 대한 비판]을 제공한다. 포스트모던 연구자들은 [기존의 내러티브를 해체]하고 [현상에 대한 재개념화된 설명]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Postmodernism posits that reality of a phenomenon is subjectively relative to those who experience it.11 This paradigm is also variably referred to as poststructural or postcolonial and offers critiques of modern society.3 Postmodern researchers aim to deconstruct existing narratives and produce reconceptualized descriptions of phenomena.12 

[비판적 이론/이데올로기 패러다임]은 연구를 통해 [인식된 사회적 부당성]을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패러다임에서는 [현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결정되는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경제적, 민족적, 성별적 가치에 의해 형성된다]는 것을 인정한다. 이 경우 연구자는 (포스트모더니즘과는 반대로) 연구과제, 목적, 방법의 중심이 되는 가치에 대해서 [proactive한 입장]을 가지고 있다. 
Critical theory/ideological paradigm aims to address perceived social injustices through research and advocating for policy changes, acknowledging that reality is shaped by social, political, cultural, economic, ethnic, and gender values crystallized over time.7 The researcher in this case (as opposed to postmodernism) has a proactive stance with values being central to the task, purpose, and methods of research.13 

[구성주의]는 현실이 그것을 경험하는 사람들에 의해 구성되고 상대적이라는 것을 인식한다. 지식은 [연구자와 참가자 사이의 경계]를 흐리게 하는 [우리의 상호 작용]을 통해 만들어진 구성으로 구성되므로 [객관성에 도전]한다. 지식은 연구자와 참여자에 의해 [공동으로 만들어지며 시간에 따라, 개인에 따라,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Constructivism recognizes that reality is constructed by those who experience it and is relative.14 Knowledge consists of the constructions made through our interactions blurring the line between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therefore challenging objectivity. Knowledge is cocreated by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and is time dependent, individual dependent, and context dependent.9 

[실용주의]는 종종 진실과 현실의 문제를 회피하는 "대안적 패러다임"으로 간주되며, 이는 연구자가 실증주의/후지향주의에서 구성주의에 이르는 패러다임의 범위 사이에서 선택을 강요받지 않도록 한다. 이 연구자들은 사회적, 역사적, 정치적 맥락을 인정하면서도, [연구의 목적에 초점]을 맞춘다. 즉, [진실]은 그 당시에 작동하는work 것으로 간주합니다. 
Pragmatism is often regarded as an “alternate paradigm” sidestepping issues of truth and reality, allowing the researcher to be free of being forced to make a choice between the ranges of paradigms from positivism/postpositivism to constructivism.15 These researchers focus on the purpose of research while appreciating social, historical, and political context—describing truth as what works at the time.16

[방법론]은 [방법의 설명과 정당화]이지 [방법 자체]가 아니다. [방법]은 연구의 실제 연구 활동 또는 실제 활동이다.1 빈틈없는 성찰적 연구자는 연구와 관련하여 자신의 패러다임을 설명하는 데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것이며, work에 inform하는 philosophy를 설명할 것이다. 
Methodology is the description and justification of methods, and not the methods themselves. Methods are the actual research actions or practical activities of research.1 An astute reflexive researcher will pay careful attention to describing their paradigm in relation to the research, describing the philosophy informing the work.

[가치론]은 연구 과정에서의 [가치의 역할과 위치], 특히 [패러다임, 방법론, 방법론 사이의 관계]에 대한 가치의 영향을 의미한다. 즉, 연구 패러다임이 가치론적인 이유는 [연구자의 가치]가 [방법의 선택]에 inform하기 때문이다.
The role and place of values in the research process, specifically the influence of valu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adigm, methodology, and methods, is known as axiology—that is, the research paradigm is axiological in that the values of the researcher inform the choice of methods.

[프락세오로지]라는 단어는 프락시스, 즉 액션에서 유래했다. 프락세오로지(Praceology)는 [인간의 행동의 영향을 연구하거나 의미를 만들고 행동을 해석하는 과학의 한 분야]이다. [교육이 효과를 발휘하게 하고, 일상적인 교육 실천에서 더 잘 작동하게 만드는 데 있어서 연구의 의미는 무엇이냐]는 질문에 구체적으로 답한다.
The word praxeology stems from praxis—action. Praxeology is the branch of science which studies the effect of human actions or makes meaning and interprets actions.4,5 It specifically answers the question of what research means for making education work and making it work better in the everyday practice of teaching.4

RIME 출판물의 연구 패러다임은 어떻게 제정되는가?
How Are Research Paradigms Enacted in RIME Publications?

우리는 각 연구팀의 패러다임이 방법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탐구함으로써 독자들에게 기사의 일반적인 요약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서는 것을 목표로 한다. "AM 마지막 페이지: 의학교육과 관련된 연구 패러다임에 대한 가이드"를 지침 프레임워크로 사용하여, 우리는 각 수용된 RIME 논문을 검토하여 작가의 연구 패러다임이 어떻게 가시화되고 사용되는 방법인 축성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한 선택을 할 수 있는지 고려했다(표 1). 그런 다음 우리는 일상적인 교수 관행인 사전학에서 연구의 영향에 대해 논평한다. 우리는 저자들의 명시적인 진술이 없다면, 아래의 분류는 우리 자신의 해석을 나타내며, 저자나 다른 독자들이 동의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우리는 먼저 실증주의/후기실증주의 패러다임을 대표한다고 느끼는 연구 논문을 고려하고, 그 다음으로는 비판이론, 구성주의, 실용주의 패러다임을 가진 논문을 고려한다.
We aim to go beyond providing the readers with a general summary of the articles by exploring how paradigms of each research team influenced the methodology. Using “AM Last Page: A Guide to Research Paradigms Relevant to Medical Education17 as our guiding framework, we reviewed each accepted RIME paper to consider how authors’ research paradigm might be made visible and informed choices related to methods used—axiology (Table 1). We then comment on the impact of the research in the everyday practice of teaching—praxeology. We recognize that without explicit statements from the authors, the categorizations below represent our own interpretations, and the authors or other readers may disagree. We first consider the research papers we felt represented a positivist/postpositivist paradigm, followed by papers with critical theory, constructivist, and pragmatist paradigms.

Research paradigms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Suzanne Bunniss & Diane R Kelly

 

실증주의자/후기 실증주의자 패러다임 연구
Positivist/postpositivist paradigm research

이 패러다임에서 지식은 가설 검증에 의해 얻어진다. 쿨라세가람 등은 "발견의 순서와 그에 따른 직접 지도가 학생들의 기술 이전에는 도움이 되지만, 학생들의 유지나 시험 후 즉각적인 성과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명확한 가설을 밝혔다. 연구 설계는 공식 지시(Do then see) 전에 시뮬레이션된 환경에서 학습자 봉합 기술 성능을 보다 일반적인 공식 지시 순서와 비교하고, 이어서 실습(Do then see)을 비교하기 위한 설득력 있는 무작위 제어 시험이다. 연구원들은 자기효능감과 학생들의 성취도에 관한 자료를 수집했는데, 이는 눈이 먼 평가자에 의해 5점 만점의 글로벌 평가 척도로 평가되었다.

Knowledge in this paradigm is gained by hypothesis testing. Kulasegaram et al18 articulate a clear hypothesis that “the sequence of discovery, followed by direct instruction would benefit students’ transfer of skills, but not their retention or immediate post-test performance.” The study design is an eloquen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 compare learner suturing skills performance in a simulated setting before formal instruction (Do then See) versus the more typical sequence of formal instruction, followed by practice (See then Do). The researchers gathered data related to self-efficacy and student performance scored on a five-point global rating scale by a blinded rater.

연구자들의 [후기 실증주의 패러다임]은 기술 습득 측정에 초점을 맞춘 [실험 설계]에 반영된다. 후기실증주의에 충실하게, 저자들은 그들의 결과가 완전히 객관적일 수 없으며 봉합 작업에 할당된 단일 비율, 맥락 및 시간의 사용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인정한다. 또한, 그들은 다른 outcome를 연구하기로 선택할 수 있었다는 점에 주목한다. 특히, [행동 과정]은 [구성주의 패러다임]을 사용하여 가장 잘 연구되었을 수 있다.

The researchers’ postpositivist paradigm is reflected in the design of the experiment with its focus on the measurement of skill acquisition. True to postpositivism, the authors acknowledge that their outcomes cannot be completely objective and were impacted by the use of a single rater, the context, and time allocated for the suturing task. Additionally, they note that they could have chosen to study different outcomes—specifically, behavioral processes, which may then have been best studied using constructivist paradigms. 

[가치론]과 관련하여, 연구 목적을 보았을 때, 후기실증주의는 [연구 설계와 잘 일치]하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저자들은 [먼저 스스로 과제를 탐색하고 고군분투한 다음 지시를 받은 학생]들이 [먼저 교육을 받은 다음 독립적인 연습을 통해 과제를 탐색하도록 허용된 학생]들에 비해 나중에 이전 과제를 더 잘 수행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직접 교육과 과제 완료를 수반하는 전통적인 교육에 도전하기 때문에 [시뮬레이션에 참여하는 의학 교육자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Guided SRL]과 [직접 교육]의 사려 깊은 조합은 그러한 학습 기회를 최적화할 수 있다.

Regarding axiology, for the purpose of their study the postpositivist paradigm is well aligned with the research design and provides useful information. The authors show that students who first are allowed to explore and struggle with the task on their own and then receive instruction perform better on a later transfer task compared with those who are instructed first and then allowed to explore the task through independent pract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and should impact medical educators involved in simulation as the results challenge traditional teaching involving direct instruction followed by completion of tasks. A thoughtful combination of guided self-regulated learning and direct instruction can optimize such learning opportunities.

[실증주의자/후기실증주의자 연구(양적 또는 질적)의 목적]은 [가설을 검정하고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설정하는 것]이다. 펠드만 외 연구진과 오니시 외 연구진은 모두 [테스트가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다. 펠드만과 동료의 연구에서, [후기실증주의 패러다임]은 국립 의학 컨퍼런스에서 사전 및 사후 테스트를 모두 통합한 정보를 가지고, [객관식 질문 기반 시험 강화 학습(TEL) 개입]의 사용과 관련된 연구 질문에 답하는 데 매우 적합했다. [무작위 대조 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들은 사실을 반복적으로 검색하면 지속적인 의료 교육 환경(CME)에서 선언적 지식의 보존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향상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CPD)은 의료 전문가들이 자신의 업무 분야의 최신 변화를 최신으로 유지하도록 보장하는 데 필수적이다. 의료 전문가들은 CME 과정에 참여하며 지식과 숙련도를 입증하기 위해 면허 시험을 다시 치러야 한다. 본 연구가 기존 문헌에 덧붙이는 것은 검색실습을 촉진하는 인지시험이 학부 또는 대학원 교육에서 CPD에게도 마찬가지로 가치가 있다는 점이다. CME 인가 기관은 참석자들이 지식을 공고히 할 수 있도록 반복적인 TEL을 고려해야 한다.
The objective of positivist/postpositivist research (quantitative or qualitative) is to test hypotheses and to establish cause-and-effect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19 The studies by Feldman et al20 and Onishi et al21 both investigate the effect of testing on education. The postpositivist paradigm was well suited to answer Feldman and colleagues’ research question regarding the use of a multiple-choice-question-based test-enhanced learning (TEL) intervention on knowledge, which incorporated both pre- and posttesting at a national medical conference. Undertaking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hey found that repeated retrieval of facts improved retention of declarative knowledge in a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setting (CME) over time.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CPD) is essential in ensuring that health care professionals remain up-to-date with the latest changes in their fields of practice. Health care professionals attend CME courses and are often required to retake licensing exams to demonstrate knowledge and proficiency. What this study adds to the existing literature is that cognitive tests promoting retrieval practice are just as valuable for CPD as they are in undergraduate or postgraduate education. CME-granting agencies should consider repeated TEL to help attendees solidify their knowledge.

오오니시 등의 연구의 초점은 [이사회 인증 결정의 영향]을 결정하는 데 있으며, 이는 다음을 기반으로 합니다. 교육생이 전체 평가를 통과하기 위해 모든 하위 구성요소를 통과해야 하는지 여부(즉, 비보상적) 또는 한 하위 구성요소에 대한 성능이 평가의 다른 섹션에 대한 성능을 보상할 수 있는지 여부(보상적). 후기실증주의 패러다임에 기초하여, 저자들은 일본의 국가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종합점수]와 [보상성 및 비보상성 점수와 관련된 종합결정]의 [내부구조]와 [결과적 타당성] 증거를 검토했다. 그들은 인증 평가의 보상 및 비보상 채점에 대한 결정이 신뢰성에 극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한다. 특히, [역량과 안전이라는 이름으로 특정 요소를 반드시 통과시켜야 한다는 결정]에서 나오는 [비보상 채점]은 종종 평가의 신뢰성을 크게 떨어뜨릴 것이다. 비보상 채점은 학습자가 환자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내용 영역에서 완전히 유능함을 보장하는 이점이 있지만, 전체적인 의사 결정 신뢰도 감소를 포함한 심리측정학적 결과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연구의 [가치론(즉, 후기실증주의적 패러다임 렌즈)]과 [방법]은 잘 일치하지만, 저자들은 검사자의 설정, 맥락, 전문성, 학습자 샘플 및 가치가 모두 연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체 기관 또는 국가 차원에서 고평가 시험 계획에 참여하는 교육자들에게 특히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미국 의료 면허 시험(USMLE) 또는 면허 시험.


The focus of Onishi and colleagues’ research is to determine the impact of examining board certification decisions, which are based on whether trainees should pass all subcomponents to pass the entire assessment (i.e., noncompensatory)—or whether performance on one subcomponent can compensate for performance on other sections of the assessment (compensatory). Grounded in the postpositivist paradigm, using psychometric theory the authors used a national database in Japan to examine internal structure and consequential validity evidence of composite scores and composite decisions related to compensatory and noncompensatory scoring. They demonstrate that decisions about compensatory and noncompensatory scoring of certification assessments have dramatic effects on the reliability. Specifically, noncompensatory scoring, which emerges from a determination that a certain element absolutely must be passed in the name of competence and safety, often will significantly reduce the reliability of the assessment overall. Although noncompensatory scoring does have its benefits to ensure that learners are fully competent in specific content areas with implications for patient safety, there is a need to consider psychometric consequences including reducing the overall decision reliability. While the axiology of the study (i.e., the postpositivist paradigm lens) and its methods are well aligned, the authors do acknowledge that the setting, context, specialty, learner sample, and values of the examiners could all influence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articularly important for educators involved in the planning of high-stakes exams at their own institutions or at national levels—for instance, United States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USMLE) or licensing examinations.

펠드만 외 연구진과 오니시 외 연구진은 지식 측정에 대해 [후기실승주의적 관점]에서 접근하지만, 둘 다 [구성주의적 접근]이 가장 적합한 미래 연구에 대해 질문을 제기한다. 지식 보유도 중요하지만, CPD가 환자 치료나 의사가 침대 머리맡에서 "하는 것"을 개선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성주의적 방법]은 실제 수행, 테스트되고 평가되는 것에 대한 가치 판단, 특정 사실과 성과를 다른 것보다 더 중요하게 여기는 권력 구조, 신념 체계 및 문화적 편견에 대한 질문에 답하는 가장 좋은 접근법일 수 있다. 구성주의 연구는 후기실증주의 연구의 결과와 다른 관점을 제공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
Though the studies by Feldman et al and Onishi et al regarding the measurement of knowledge approach education from a postpositivist perspective, they both raise questions for future research that are best suited to a constructivist approach. Although knowledge retention is important, it is important to ensure that CPD improves patient care or what the physician “does” at the bedside. Constructivist methods may be the best approach to answering questions about real-life performance, about the value judgments made around what is tested and assessed, and about the power structures, belief systems, and cultural biases that value certain facts and performances over others. Constructivist studies may provide a different perspective than or could add to the results of the postpositivist research.

포스터 외 연구진과 박 연구진은 또한 실증주의 및 후기실증주의 패러다임을 사용하여 특정 작업장의 과제와 성과를 연구한다. 포스터 등은 [지식을 객관적인 것으로, 즉, 측정 가능한 고정된 현실]로 보았다. 그들은 [USMLE 테스트 상황]을 전자 건강 기록(EHR)의 사용과 관련하여 의대생들을 조사하는 기회로 사용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EHR을 사용하는 임상실습의 비율은 5년 동안 증가했지만, 이러한 기록에 메모를 입력하는 학생의 비율은 안정적으로 유지되었고, 오더를 실제로 입력하는 학생의 비율은 감소했다고 한다. 이 연구는 예측에 초점을 맞추고 일반화 가능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주로 실증주의 패러다임에 속하지만, 저자들은 맥락(EHR의 가용성)이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언급한다. 그들의 작업은 [두 가지 진행중인 대화에 영향]을 미칩니다. 하나는 환자 차트에 의대생에 의한 문서화를 허용하고 장려하는 [새로운 메디케어 가이드라인]에 관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레지던트 시작 전 환자 오더 작성 및 프로그레스 노트 작성의 숙련]을 권장하는 AAMC의 Core EPA 문서에 관한 것입니다. 커리큘럼 계획에 참여하는 의학 교육자들은 학생들이 이러한 과제를 연습하고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적절한 기회를 갖도록 보장해야 한다.
Foster et al22 and Park et al23 also use positivist and postpositivist paradigms to study specific workplace tasks and performance. Foster et al view knowledge as objective—that is, a fixed reality, which is measurable. They used the USMLE test setting as an opportunity to survey medical students regarding the use of electronic health records (EHRs). Data revealed that while the percentage of clerkships nationwide using EHRs has increased over a five-year period, the percentage of students entering notes into those records has remained stable, and the percentage of students entering orders has actually decreased. This study falls mainly in the positivist paradigm as they focus on prediction and aim to produce generalizable data, though the authors mention that context (availability of EHRs) can impact the results. Their work has implications for two ongoing conversations, one regarding the new Medicare guideline that allows and encourages documentation by medical students in patient charts, and another regarding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cor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document, which recommends proficiency in writing patient orders and progress notes prior to entering residency. Medical educators involved in curricular planning must ensure that students have adequate opportunity to practice these tasks and receive feedback.

Park 등은 [완전한 객관성이 달성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객관적인 지식을 얻기 위해 노력한다. 이들은 소아 인턴의 역량 등급 통계 분석에 업무량 측정치가 포함될 때 평가 점수의 신뢰성과 정밀도가 크게 증가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후기실증주의적 패러다임과 일치]하여, 측정을 사용하여 복잡한 현상을 명확히 하고 통찰력을 제공한다. 이 연구는 직장 기반 평가(WBA)에서 교육생의 업무량 같은 [교란 요인을 식별]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대학원 의학 교육을 위한 인증 위원회는 이제 WBA가 필수적인 마일스톤 보고의 사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이 논문은 교육자 작업량을 포함한 작업장의 다른 복잡성을 고려하지 않고 WBA의 정확성에 대해 교육자들에게 생각할 거리를 제공한다.
Park et al strive to obtain objective knowledge, acknowledging that complete objectivity is not achievable. They demonstrate that when measures of workload are include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of competency ratings for pediatric interns, the reliability and precision of assessment scores increase substantially. Consistent with a postpositivist paradigm, the study uses measurement to clarify and give insights into complex phenomena.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dentifying confounders to workplace-based assessment (WBA), such as workload of trainees.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now mandates the use of milestones reporting, for which WBA is essential. This paper provides food for thought for educators regarding the accuracy of WBA without taking into account other complexities of the workplace including trainee workload.

Burkhardt 등은 의대 입학전형에서 판단의 주관성을 제거하는 데 [예측적 입학모형(EM)]을 사용할 경우의 이점에 대한 가설을 생성하는데, 의대 입학사정관 등 교육 지도자들이 자신의 학교에 누가 다닐지 예측한다. 그들은 그들의 결과가 연역적이며 결과가 절대적으로 객관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 저자들은 [후기실증주의적 도구]를 사용하면 주관적인 판단을 제거함으로써 과정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EM 모델은 입학관리실에서 지원자의 가능한 행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대표성이 낮은 소수자와 여성의 모집에서 유용하고, 주 내 지원자와 주 외 지원자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저자들은 인간의 판단에 비해 열등하지 않고 일부 측면에서는 모델의 우월성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다양성을 개선하기 위한 의도적인 실천/단계들이 얼마나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Burkhardt et al24 generate a hypothesis about the benefits of using a predictive enrollment model (EM) in eliminating subjectivity of judgments in the medical school admissions process, where educational leaders such as medical school admissions officers make predictions about who will attend their school. They acknowledge that their results are deductive and that outcomes may not be absolutely objective. The authors demonstrate that the use of a postpositivist tool can improve the process by eliminating subjective judgments. EM models can be used by admissions office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likely behavior of applicants, which can be valuable in the admissions office particularly in the recruitment of underrepresented minorities and women, and to balance in-state versus out-of-state applicants. The authors show noninferiority and in some aspects superiority of their model compared with human judgment. This study is an example of how deliberate practice/steps to improve diversity can be helpful.

올해 RIME 선정에서 또 다른 [실증주의 연구]는 Aakre 등의 스코핑 리뷰이다. 연구자들은 전자 지식 및 관리 시점 교육 자원과 관련된 양적 및 질적 연구를 연구하기 위해 [중립적이고 객관적이며 독립적이며 가치 없는value-free 입장]을 유지한다. 가장 자주 인용되는 전자 자원은 UpToDate였다. 지식 자원의 교육적 또는 임상적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 의학 지식의 지속적인 성장과 그에 따른 효과적인 지식 합성과 실천으로의 번역의 필요성을 고려할 때, 이 분야의 추가 연구는 특히 자원이 지식과 치료 시점에 영향을 미치도록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Another positivist study in this year’s RIME selection is the scoping review by Aakre et al.25 The researchers maintain a neutral, objective, independent, and value-free stance to stud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related to electronic knowledge and point-of-care education resources. UpToDate was the most frequently cited electronic resource. A paucity of research was noted regarding the educational or clinical impact of knowledge resources. Given the ever-accelerating growth of medical knowledge, and the consequent need for effective knowledge synthesis and translation to practice, further research in this field is important, particularly ensuring that resources have impact on knowledge and at the point-of-care.

비판적 이론과 구성주의 패러다임 연구
Critical theory and constructivist paradigm research

곤잘레스 외 연구진과 수헤라 외 연구진은 [암묵적 편향 훈련]에 참여한 교육자와 학습자의 경험을 이해하고자 한다. 연구자들은 [구성주의 패러다임]을 가지고 있고 [근거 이론]을 사용한다. 구성주의에 충실하게, 저자들은 개인들 사이에 여러 진실이 구성된다고 믿으며, 연구 결과는 현실에 대한 인식이 사회적으로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를 보여준다. 두 연구 모두 지속적인 성찰과 자기계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수헤라 등은 [편견을 드러냄으로써 나타나는 긴장]과 [학습자와 교사가 이러한 긴장을 어떻게 조정하는지] 논의하는 반면, 곤잘레스 등의 연구는 [편향과 관련된 대화를 촉진하기 위한 교수진의 준비되지 않은 모습]을 보여준다. 그 결과는 편향 교육과 관련된 교수진 개발 및 참여자들이 자신의 편견을 발견했을 때 불안감을 해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미국 의사회는 최근 의사를 고용하는 모든 조직에 의한 정기적이고 반복적인 암묵적인 편향 훈련의 제공을 옹호하는 입장문을 발표했다. 곤잘레스 외 연구진과 수헤라 외 연구진의 연구 결과는 교육과정 설계에 참여하는 교육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며, 과정을 알리는 중요한 팁을 제공할 것이다.
The studies by Gonzalez et al26 and Sukhera et al27 seek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educators and learners engaged in implicit bias training. The researchers have a constructivist paradigm and use grounded theory. True to constructivism, the authors believe that multiple truths are constructed between individuals, and the results of the studies showcase how the perception of reality is socially created. Both studie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a constant process of reflection and self-improvement. Sukhera et al discuss the tensions emerging from revealing bias and how learners and teachers navigate these tensions, while the work by Gonzalez et al demonstrates the unpreparedness of faculty to facilitate conversations related to bias. The results can be used for faculty development related to bias instruction and to allay anxieties when participants discover their own biases.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recently released a position statement advocating for the provision of regular and recurring implicit bias training by all organizations that employ physicians.28 The results of the research by Gonzalez et al and Sukhera et al will be helpful for educators involved in curriculum design, providing important tips to inform the process.

[비판적인 종합 검토]에서, 와이즈너와 에바는 [교육에 대한 인센티브]를 탐구하기 위해 문헌을 검토한다. [비판적 합성]은 [비판]과 [합성]의 두 가지 주요 방법론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저자들이 자신의 패러다임을 명시적으로 밝히지는 않지만, 기사를 검토한 결과, [여러 개의 진실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저자들은 문학의 종합(의학 교육뿐만 아니라 심리학, 행동학, 조직학 문헌도 포함)을 제공한다. 그러나 한 걸음 더 나아가 이용 가능한 문헌을 비평한다. 그들은 교수진별로 자체 보고된 인센티브를 나열하고, 비판을 제공하는 동안 교수진이 어떻게 교수와 관련된 재정적 의욕 저하에 대한 우려(즉, 진료소에 있지 않음으로써 포기하는 돈)를 제기하지 않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그들은 [인센티브의 영향]은 다른 개인의 동기 부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좌우되며 제공되는 인센티브의 유형은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비판적 합성은 의료 교육자들이 일하는 많은 맥락에서 인센티브가 어떻게, 언제, 왜 작동하는지에 대한 더 큰 명확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In a critical synthesis review, Wisener and Eva29 review the literature to explore incentives for teaching. Critical synthesis revolves around two main types of methodology: criticism and synthesis. Although the authors do not explicitly state their paradigm, a review of the article reveals that they take on a critical stance, acknowledging that multiple truths do exist. The authors provide a synthesis of literature—not just from medical education but also psychology, behavioral, and organizational literature—but then go a step further to critique the available literature. They list self-reported incentives by faculty and, while providing a critique, discuss how faculty neglect to bring up concerns of financial disincentives associated with teaching (i.e., money that is given up by not being in clinic). Additionally, they point out that the influence of an incentive is dependent on factors influencing different individuals’ motivation and that the type of incentive offered has to be carefully thought out. The critical synthesis highlights that the field needs greater clarity regarding how, when, and why incentives operate within the many contexts in which medical educators work.

실용주의 패러다임 연구
Pragmatism paradigm research

Gowda 등은 [예술에 대한 조사를 통해 관찰능력을 기르는 과목]의 효과를 [성찰 능력, 불확실성에 대한 관용, 개인적 편견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으로 조사하였다. [과정이 관찰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저자들은 그들의 패러다임을 명시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지만, 현실 세계의 입장을 채택하면서 엄격함을 만들어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의 필요성]을 인정한다. 즉, "질문에 대한 과정[연구] 접근법 및 혼합을 명확히 하는 것"입니다. 저자들은 수업의 효과를 질적으로 탐구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뿐만 아니라 반영 능력에 대해 이전에 확립된 평가 척도를 사용하는 혼합 방법 설계를 사용한다. 그들은 과정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성찰 능력이 향상되고, 세상을 관찰하고 해석하는 데 있어 주관성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증가된 것을 발견했다. 이 연구는 모든 교육자, 특히 임상 기술을 가르치는 데 관련된 모든 교육자에게 중요하다. [주의 깊은 관찰]은 학생들에게 자동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어서는 안 되며, 학습된 기술로 간주되어야 한다. 또한 관측한 것의 불확실성을 성찰하는 능력은 학생들에게 모호하게 될 수 있다. 그 연구는 또한 교과과정에서의 예술과 인간의 통합을 지원하기 위해 증거를 제공하는 증거이다.

Gowda et al30 explore the effects of a course on observation through examining art in influencing reflective ability, tolerance for uncertainty, and awareness of personal bias. The authors do not explicitly state their paradigm but do acknowledge the need for diversity of methods to produce rigor, adopting a real-world stance, i.e., a “horses for courses [whatever works] approach to the question, and clarifying the mix.”16 The authors use a mixed-methods design using previously established rating scales for reflection ability as well as focus groups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course qualitatively. They found improvement in reflective ability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course and an increased awareness of the role of subjectivity in observing and interpreting the world. This study is important for all educators but particularly those involved in teaching clinical skills. Careful observation should not be presumed to be automatically present in students and should be considered a learned skill. Additionally, the capacity to reflect on the uncertainty of observations can help students deal with ambiguity. The study is also valuable because it provides evidence to support the integration of arts and humanities in the curriculum.

결론들
Conclusions

올해의 RIME 기사에서, 저자들은 개념적 틀을 명확하게 표현했거나, 저자들이 누구의 작품을 만들고 있는지에 대해 진술했다. 그러나 연구 패러다임을 명확히 밝힌 논문은 두 편뿐이었다. 이 두 저자들은 구성주의 관점에서 연구 질문을 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질적 연구원들은 그들이 방법을 정당화하기 위해 그들의 패러다임을 분명히 할 수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우리가 느끼기에 드러났다고 보는 논문은 실증주의, 후기실증주의, 실용주의 패러다임에 대한 것이었는데, 패러다임적 입장을 명시하지 않았다. 대부분의 서류들이 실증주의/후기실증주의 패러다임을 주목하는 것은 흥미롭다. 우리는 연구논문에 귀속되는 연구 패러다임이 논문에 제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한 우리 자신의 연구 해석임을 지적하고 싶다. 작가로부터 명확한 진술 없이, 우리는 이러한 해석에 동의하지 않았고, 작가들은 우리의 해석과 동의하지 않을 수 있다. 
In this year’s RIME articles, the authors have either clearly articulated conceptual frameworks (Burkhardt et al,24 Gonzalez et al,26 Kulasegaram et al18), or the authors state on whose work they are building (Aakre et al,25 Feldman et al,20 Foster et al,22 Gowda et al,30 Onishi et al,21 Park et al,23 Sukhera et al,27 Wisener and Eva29). However, only two papers had clearly articulated a research paradigm (i.e., Gonzalez et al and Sukhera et al). These authors state that they were approaching the research questions from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It is possible that qualitative researchers may feel they need to state their paradigm clearly to justify the methodology. The papers that we felt represented positivist, postpositivist, and pragmatism paradigms did not explicitly state their paradigmatic position.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majority of papers belonged to the positivist/postpositivist paradigms. We would like to point out that the research paradigms attributed to the research papers (other then Gonzalez et al and Sukhera et al) are our own interpretations of the research, based on information provided in the paper. Without clear statements from the authors, we had difficulty making these interpretations, and it is possible that authors may disagree with our interpretations.

연구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그러나 의학교육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검토한 결과, 사용된 개념적 틀에 대한 명시적 문구가 조사된 논문의 절반 미만이 포함되어 있어 의학교육 연구자들이 연구에 사용한 개념적 틀을 명확하게 기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패러다임 입장과 관련한 명시적 진술이 담긴 전체 의학교육 연구 논문의 수에 대해서는 언급할 수 없지만, 모든 의학교육 연구자들이 자신의 [개념적 프레임워크]뿐만 아니라 [연구 패러다임]도 명확하게 밝힐 것을 권장한다. 예를 들어 후기실증주의 저자들의 명시적 진술은 지식 및 지식 및 지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연구원들은 택시 기술을 유지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을 추가하고 그들의 연구를 논의해야 한다. 검토자, 편집자, 편집자 및 독자들은 일반적이어야 한다. 우리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을 의도적으로 아는 것"은 것이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 그리고 라벨을 붙이는 것은 때때로 불가능해 보일 수 있지만, 패러다임의 한계를 아는 것은 그것을 명확히 하는 것만큼 중요하다. 
There is little available in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about research papers articulating research paradigms. However, a review of experimental studies in medical education revealed that less half the articles examined contained an explicit statement of the conceptual framework used, leading to calls for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to clearly state the conceptual framework they have used in their research.31,32 We are unable to comment on the number of overall medical education research papers containing explicit statements regarding paradigms stances, but we encourage all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to clearly state not just their conceptual frameworks but also the research paradigm. Explicit statements of paradigm by postpositivist authors, for example, might influence the discourse around knowledge and the limitations of any one way of knowing. Researchers should also consider adding a statement of how they maintained axiology and discuss the praxeology of their research. Reviewers, editors, and readers need to evaluate the rigor of research, and clear statements by authors should be the norm. We acknowledge that it can be challenging to “intentionally know what we know,” and to articulate and label may at times seem impossible, but knowing the limits of our paradigm is as important as articulating it.33

좋은 품질의 연구는 패러다임, 방법론, 그리고 방법들을 다루고 그들 사이의 내부적인 일관성을 입증한다.1 이러한 가치론적 무결성은 연구 증거를 전달, 번역 또는 합성하는 데 가치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의학 교육 연구자들이 그들의 연구의 가치론적 무결성을 고려할 것을 권고한다. 연구자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연구자의 기억, 성찰 및 관점을 위한 저장소 역할을 하기 위해 [성찰 저널]을 유지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연구과정에 대한 메타인지적 성찰을 위한 저널 형태로 제공되는 공간은 성찰성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Good-quality research attends to paradigm, methodology, and methods and demonstrates internal consistency between them.1 This axiological integrity then has the ability to retain values in transferring, translating, or synthesizing research evidence.34 We recommend that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consider the axiological integrity of their research. Researchers can consider maintaining a reflexive journal to serve as a repository for their researcher’s memories, reflections, and perspective over time. The space provided in the form of a journal for metacognitive reflection on the research process can help in the development of reflexivity.35

결론적으로, 연구자들은 종종 특정한 연구 패러다임을 가지고 연구 질문들에 접근한다. [패러다임적 입장]은 질문의 유형과 선택 방법을 결정합니다. 비록 패러다임의 명확성이 중요하지만, 어떤 한 가지 입장도 인간 학습의 복잡한 현상의 모든 측면을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각 접근 방식에는 강점과 한계가 있습니다.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많은 이슈들은 다중 렌즈를 통해 탐구될 수 있다. 올해 RIME 프로그램의 연구는 연구자들이 다루는 질문의 다양한 패러다임을 보여준다. 렌즈의 다양성을 고려함으로써, 자신의 접근 방식의 한계와 향후 단계에 대한 가능성이 더 명확해진다. 이러한 깨달음은 우리의 연구에 겸손함을 가져다 주고 더 큰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In conclusion, researchers often approach the questions that they investigate from a particular research paradigm. This stance determines the types of questions that can be asked and the methods that are chosen. Although paradigmatic clarity is important,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no one view or approach is able to describe all aspects of the complex phenomena of human learning. Each approach will have its strengths and limitations. Many of the issues that are most important in education can be explored through multiple lenses. The studies from this year’s RIME program demonstrate a diversity of paradigms of the questions that researchers address—by considering the diversity of lenses, the limitations of one’s own approach and possibilities for future steps become more clear. This realization brings humility to our research and opens us up to greater possibilities.

 

 


Acad Med. 2018 Nov;93(11S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Learn Serve Lead: Proceedings of the 57th Annual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Sessions):S1-S7.

 doi: 10.1097/ACM.0000000000002384.

Commentary: Paradigms, Axiology, and Praxeology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Z. Zaidi is associate professor and associate chief of faculty development,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director of scholarship, Department of Medicine, and director of longitudinal portfolios, University of Florida College of Medicine, Gainesville, Florida; ORCID: http://orcid.org/0000-0003-4328-5766. D. Larsen is associate professor of neurology and pediatrics, Department of Neurology, and director of medical student education, Division of Pediatric and Developmental Neurology, Washingt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t. Louis, Missouri.

PMID: 30365423

DOI: 10.1097/ACM.0000000000002384

Abstract

This supplement includes 11 research papers accepted by the 2018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Committee. In this Commentary, the authors draw the attention of medical educators and researchers to questions about the researcher's philosophical paradigm. Such questions fundamentally guide research-the choice of conceptual frameworks, methods, and methodology. The authors provide a brief overview of research paradigms and the related concept of axiology and praxeology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The authors map the 11 accepted research articles, describing the researchers' stated or implied worldviews and the impact on chosen methods. The authors close by encouraging researchers to state the research paradigm behind their research, comment on how they ensured that the methods used displayed consistency with that paradigm, and highlight the value the research adds to everyday education.

혁신 - 의학교육원고의 핵심 특징 정의하기 (J Grad Med Educ. 2022)
Innovation—Defining Key Features for Medical Education Manuscripts
Arianne ‘‘Cuff’’ Baker, MD (@CuffBaker)
Halah Ibrahim, MD, MEHP (@HalahIbrahimMD)
Deborah Simpson, PhD (@debsimpson3)

레지던트 프로그램에 구현된 새로운 피드백 기법을 설명하는 원고에 대한 저널로부터 거부 이메일을 받았습니다. 실망한 당신은 혁신 원고에 대한 제출 지침을 검토한다. 작성자 지침에서 요청한 대로, 원고에는 새로운 접근 방식이 불충분한 피드백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 거주자와 교수진이 이 접근 방식을 중시했는지에 대한 데이터, 그리고 개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시간과 자료가 포함되어 있다. 편집자의 거부 설명은 "피드백은 필수적이고 도전적이지만, 이 접근법에 대해 혁신적이고 새로운 것이 무엇인지는 불분명하다"고 말한다. 아이디어를 출판하기에 충분히 참신하거나 혁신적으로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You have just received a rejection email from a journal about your manuscript describing a new feedback technique implemented in your residency program. Disappointed, you review the submission guidelines for innovation manuscripts. As requested in the author instructions, the manuscript includes information on how the new approach addresses the problem of inadequate feedback, data on whether residents and faculty valued this approach, and the time and materials required to carry out the intervention. The editor's rejection explanation states, “While feedback is vital and challenging, it is unclear what is innovative or novel about this approach.” You wonder, what makes an idea sufficiently novel or innovative enough for publication?

혁신이나 새로움 등의 용어는 의학 교육에서 자주 사용되지만, 그 의미를 명확히 하는 것은 그들의 작품을 출판하려는 작가들과 원고를 평가하는 저널 리뷰어들을 지원할 수 있다. 고품질 혁신은 우리 분야를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새로운 아이디어는 "아이디어, 트렌드 또는 사회적 행동이 문턱을 넘어서고, 팁을 주고, 들불처럼 퍼지는 마법의 순간"을 촉발시킬 수 있다. 

Though the terms innovation, novel, and new are used often in medical education, clarifying their meaning could support authors seeking to publish their work and journal reviewers evaluating manuscripts. High-quality innovations can drive our field forward. A new idea may precipitate a tipping point, “that magic moment when an idea, trend, or social behavior crosses a threshold, tips, and spreads like wildfire.”1 

많은 저널들이 의학 교육의 혁신을 발표하는데, 각각 특정한 제출 범주 및 포함 기준을 가지고 있지만, 구조와 세부 사항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보건 전문 교육 저널에 게재된 의료 교육 혁신에 대한 최근 체계적인 개요에서, 감사된 39개의 혁신 기사 중 90% 이상(13개의 의료 교육 저널에서 각각 3개씩)에 오직 2개의 특징만 존재했다. 혁신 보고서는 문제를 기술하고 혁신의 실제 또는 권장 구현을 기술했다. 
Many journals publish innovations in medical education, each with specific submission categories and inclusion criteria,2  but there is considerable variation in structure and details. In a recent systematic overview of published medical education innovations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journals, only 2 features were present in more than 90% of the 39 innovation articles audited (3 each from 13 medical education journals):

  • the innovation report
    • described a problem and
    • described the actual or recommended implementation of the innovation.3 

이 개요의 출판에 앞서, 우리는 의학 교육에 관한 원고를 게재하는 50개 이상의 저널에 대한 저자 지침을 분석하였다.  범주 제목이나 저자 지침에서 새로운, 참신함, 혁신성, 혁신성 또는 첨단성과 같은 용어를 사용한 언어를 찾았습니다. 우리 결과요? 많은 저널이 저자 지침에서 혁신적이거나 참신한 용어를 사용했지만, 절반 미만이 혁신을 위한 특정 범주를 포함했으며 단어 한계, 구조 및 지침(표)에서 상당한 가변성을 보였다.
Prior to the publication of this overview, we analyzed the author instructions for more than 50 journals that publish manuscripts on medical education.4  We looked for any language in the category title or author instructions that used terms such as new, novel, innovation, innovative, or leading/cutting-edge. Our results? Although many journals used the terms innovative or novel in the author instructions, fewer than half included specific categories for innovation, with substantial variability in word limits, structure, and guidelines (Table).

의료 교육의 혁신 정의
Defining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모든 저널에서 일관되게 사용되는 혁신에 대한 공유된 이해를 갖는 것은 저자와 검토자가 원고를 평가할 때 지침을 줄 것이다. JGME(Journal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의 경우, [혁신]은 [실현 가능성] 및 [지속 가능성]을 포함하여 [성공 및 일반화 가능성]에 대한 데이터와 함께, 다른 [사람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대학원 의학 교육의 [기존 문제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한다. 새로운 아이디어는 화려함 그 이상이다. 그들은 다른 사람들이 현실적으로 채택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실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Having a shared understanding of innovation, one that is consistently used across all journals, would guide authors and reviewers in their assessments of manuscripts. For the Journal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JGME), innovations present a new solution to an existing problem in graduate medical education, of interest to others, with data on success and generalizability, including feasibility and sustainability. New ideas are more than something flashy; they should have the potential to solve real problems in ways that others might realistically be able to adopt.

혁신은 새로운 인구 또는 환경에서 [기존 작업의 수정]만이 아니라, [문제 해결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 또는 접근 방식]을 입증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새로운 의사소통 모델을 설명하는 피드백 기술은 참신할 수 있다. 동일한 기법에 대한 약간의 개선 또는 다른 훈련생 그룹(예: 레지던트 대 펠로우, 수술 대 내과 레지던트)과 함께 사용하는 것은 중요한 복제 연구일 수 있지만 더 이상 혁신이 아니다. 새로운 기술은 흥미로울 수 있지만, 프로젝트에서 그 역할이 단순히 이전의 논문 기반 작업을 복제하는 것이라면, 그것은 아마도 새로운 해결책을 나타내지 않을 것이다.

Innovations must demonstrate new ideas or approaches to solving a problem, not just modifications of previous work in a new population or environment. For example, a feedback technique that describes a new communication model may be novel. Slight improvements to the same technique, or using it with a different group of trainees (eg, residents vs fellows; surgery vs internal medicine residents), may be an important replication study, but it is no longer an innovation. A new technology may be exciting, but if its role in a project simply duplicates prior paper-based work, it probably does not represent a novel solution.

고품질 혁신 원고의 특징은 전형적인 연구 논문의 특징과 겹친다. 그들은 원래의 연구 논문들이 보통 큰 표본 크기, 엄격한 방법론, 표준 측정 기구, 그리고 통계 분석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교육 혁신은 더 작은 표본 크기, 단일 사이트 또는 특수 설정 또는 더 짧은 연구 시간으로 더 제한적인 결과를 가질 수 있다. 혁신 원고는 혁신이 어떻게 새로운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이해관계자들에게 가치와 수용성을 보여주며, 실현 가능하고 지속 가능하며 다른 사람들과 관련이 있는지를 강조해야 한다.
The characteristics of high-quality innovation manuscripts overlap with those of typical research articles. They differ in that original research papers usually require large sample sizes, rigorous methodology, standard measurement instruments, and statistical analysis. Education innovations may have more limited outcomes with smaller sample sizes, single site or specialty settings, or shorter time of study. Innovation manuscripts should emphasize how the innovation solves a problem in a new way, shows value and acceptability to stakeholders, and is feasible, sustainable, and relevant to others.

우리의 분석에 기초하여, 우리는 의료 교육 관련 혁신 원고의 작성과 검토에서 고려해야 할 6가지 공통 특징을 제안한다(그림 참조).
Based on our analysis, we propose 6 common features to be considered in the writing and reviewing of any medical education–related innovation manuscript (see the Figure).

혁신원고 작성 및 검토에 관한 연구
An Approach to Writing and Reviewing Innovation Manuscripts

  1. 필요성: 저자는 혁신이 다루는 문제를 설명하고 의료 교육계에 그 중요성을 설명해야 한다. 연구 기사가 문헌의 격차를 해소하는 것처럼, 혁신은 의학 교육자들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신규성 요인이 실제 필요성 평가에서 주의를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저자는 이 단계를 간과할 수 있다.
    Need:
     Authors should describe the problem that the innovation addresses and explain its importance to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Just as research articles address a gap in the literature, innovations must address a problem faced by medical educators. Authors can overlook this step, as the novelty factor may distract from a true needs assessment.
  2. 문헌 검토: 여느 학술적 저작과 마찬가지로 문학평론도 매우 중요하다. 교육자들은 그들의 혁신이 기존 문헌에 어떻게 들어맞는지 탐구해야 한다. 개인적인 경험을 통해, 우리는 이미 수행된 것을 검토하기 전에 새롭고 흥미로운 아이디어가 우리를 행동으로 이끌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따라서 이전 보고서를 바탕으로 작업을 강화할 기회를 놓치고 있다.
    Literature Review: As with any scholarly work, a literature review is crucial. Educators should explore how their innovation fits into the existing literature. Through personal experience, we know that a new and exciting idea may propel us into action before we have reviewed what has already been done, thus missing the opportunity for strengthening our work by building upon prior reports.
  3. 데이터 = 가치: (정성적 방법 또는 정량적 방법에서 도출된) 증거가 모든 연구 및 혁신 기사의 핵심입니다. 특히 기술혁신의 경우, 새로운 접근법이 문제를 해결하고 기존 또는 과거의 접근법에 가치를 추가합니까? 데이터에는 수용성이 포함되어야 한다: 학습자, 교사 및 기타 관련 이해관계자 관점. 혁신이 효과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참가자들이 그것을 싫어한다면, 그것은 지속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Data = Value:
     Evidence, whether derived from qualitative or quantitative methods, is key for all research and innovation articles. For innovations in particular, does the new approach solve the problem and add value to existing or past approaches? Data should include acceptability: learner, teacher, and other relevant stakeholder perspectives. If an innovation appears effective but participants hate it, it is unlikely to be sustainable.
  4. 다른 사람들에게 관심: 의료 교육에서 다른 사람들에게 관심 있는 프로젝트는 관행을 바꾸거나 학문을 발전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Interest to Others:
     Projects that are of interest to others in medical education have the potential to change practice or move a discipline forward.
  5. 일반화 가능: 만약 혁신이 하나의 지역적 환경에서만 활용될 수 있다면, 그것은 다른 것에 대한 제한된 가치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저자는 한 전문 분야에서 새로운 외과적 절차를 시뮬레이션하는 것이 다른 절차 지향적 전문 분야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다루어야 한다.
    Generalizable:
     If the innovation can be utilized in only one local setting, it has limited value to others. For example, authors should address how simulating a novel surgical procedure in one specialty is applicable to other procedure-oriented specialties.
  6. 실현 가능 및 지속 가능: 혁신은 실현 가능하지 않다면 지속될 가능성이 적다. 상당한 시간, 인력 또는 비용이 필요한 혁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원 요구가 감소하지 않는 한 다른 기술로는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자원 지출을 보고하는 것은 새로운 아이디어의 실현 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Feasible and Sustainable:
     Innovations are less likely to last if they are not feasible. An innovation that requires significant time, human resources, or costs may be out of reach for others unless the resource needs decrease over time. Reporting specific resources expenditures is crucial for evaluating the feasibility of a new idea.

이러한 기능은 출판 가치가 있는 혁신 원고를 작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JGME에는 의학 교육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명시적으로 요구하는 두 가지 기사 범주가 있습니다. 교육 혁신 및 간략한 보고서. 우리는 또한 매년 새로운 아이디어(<600단어)를 출판한다. 위에 나열된 6가지 기능을 사용하여 혁신 관련 제출 지침 및 검토 지침을 강화할 것입니다. 의학교육학자로서, 우리는 또한 이러한 권고안을 혁신 작업과 글쓰기를 지도하는 데 사용할 것이며, 그 분야를 발전시킬 다음 분기점을 찾을 것이다.
These features should guide you in writing a publication-worthy innovation manuscript. At JGME we have 2 article categories that explicitly call for novel ideas in medical education: Educational Innovation and Brief Report. We also publish an annual collection of New Ideas (<600 words). We will be using the 6 features listed above to strengthen our innovation-related submission instructions and reviewer guidelines. As medical education scholars, we will also use these recommendations to guide our innovation work and writing as we seek to find the next tipping point to advance the field.

 

 


J Grad Med Educ. 2022 Apr;14(2):133-135. doi: 10.4300/JGME-D-22-00071.1. Epub 2022 Apr 14.

Innovation-Defining Key Features for Medical Education Manuscript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is a Pediatric Emergency Medicine Fellow, Boston Children's Hospital, and a Resident Editor, Journal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JGME).

2is Assistant Dean for Learning Communities and Associate Professor of Medicine, Khalif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Abu Dhabi, United Arab Emirates, and Associate Editor, JGME.

3is Director of Education-Academic Affairs Advocate Aurora Health, Adjunct Clinical Professor of Family Medicine, University of Wisconsin School of Medicine and Public Health and Medical College of Wisconsin, and Deputy Editor, JGME.

PMID: 35463170

PMCID: PMC9017250 (available on 2023-04-01)

DOI: 10.4300/JGME-D-22-00071.1

의학교육연구자의 연구 패러다임 선택 가이드: 더 나은 연구를 위한 기반 만들기(Med Sci Educ. 2019)
A Medical Science Educator’s Guide to Selecting a Research Paradigm: Building a Basis for Better Research 
Megan E.L. Brown1 & Angelique N. Dueñas1

 

서론
Introduction

최근 의학 교육 내에서 방법론적 엄격성을 높이는 움직임이 있었다[1, 2]. 많은 학자들은 "학문적 정당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3] 강력한 이론적 틀[4,5]이 작품 내에서 지식의 본질에 관한 논의에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6]. 간단히 말해서, 명확한 연구 원칙은 다른 사람들이 당신의 연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There has been a recent movement within medical education towards greater methodological rigor [1, 2]. Many scholars argue that in order to achieve “academic legitimacy” [3] strong theoretical frameworks [4, 5] engaging in discussion concerning the nature of knowledge within a piece of work are required [6]. Put simply, clear research principles assist others in understanding your research.

연구 프로젝트의 패러다임 내에서 작품 내 지식의 본질을 상세히 설명하고 탐구한다. [연구 패러다임]은 "문제를 어떻게 이해하고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해 과학자들 간에 공유되는 공통의 믿음과 합의의 집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7]. 패러다임은 사물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가정이며, 때때로 "현실에 대한 공유된 이해"를 포함하는 "세계관"으로 설명된다[8, 9]. 패러다임은 "문제 해결 방법을 안내"하고, 작가의 방법 선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자신의 연구 패러다임을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10]. 모든 연구자들은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세계의 상태에 대한 가정]을 한다. 그 연구가 양적인지 질적인지에 관계없이, 이러한 가정은 연구 결과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하다. 미트로프와 보노마는 이러한 입장을 요약하고 "실험의 힘은 그 기초가 되는 기본 가정의 명확성만큼만 강력하다. 이러한 가정은 실험실 실험뿐만 아니라 사회적 연구에도 기초를 두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11]. 패러다임은 또한 현상을 관찰할 때 이론의 적용을 위한 [기본 규칙ground rules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기본 규칙은 연구를 위한 "상황을 설정set the scene"하여 새로운 개념을 가장 잘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7].
The nature of knowledge within a piece of work is detailed and explored within a research project’s paradigm. A research paradigm may be defined as “the set of common beliefs and agreements shared between scientists about how problems should be understood and addressed” [7]. A paradigm is an assumption about how things work, sometimes illustrated as a “worldview” involving “shared understandings of reality” [8, 9]. Detailing one’s research paradigm is essential, as paradigms “guide how problems are solved” [10], and directly influence an author’s choice of methods. All researchers make assumptions about the state of the world before undertaking research. Regardless of whether that research is quantitative or qualitative, these assumptions are important as they impact upon the interpretation of a study’s results. Mitroff and Bonoma summarize this position and put forth “the power of an experiment is only as strong as the clarity of the basic assumptions which underlie it. Such assumptions not only underlie laboratory experimentation but social… research as well” [11]. Paradigms also assist in setting ground rules for the application of theory when observing phenomena. Such ground rules “set the scene” for research, providing information as to how best evaluate new concepts [7].

그 결과, 의학 및 보건 전문직 교육은 전통적으로 실증주의 또는 포스트 실증주의 패러다임에서 수행되어 왔으며, 이 두 패러다임 모두 [보편적인 진리가 존재함]을 유지하며, "의학에서는 신체 부위, 상태 및 치료에 대한 강조하는 것은, 보편적으로 일정하게 복제 가능한 팩트가 있음을 가정한다." [12] 이러한 신념이 지배적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의학 교육 내에서는 패러다임적 가정을 명시적으로 상술하는 문학이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이것은 연구 및 강의실 모두에서 결과 해석과 기본 규칙 설정에 있어 가정이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점점 더 널리 인식하면서 변화하고 있다[13, 14]. 이처럼 자신의 패러다임을 명시적으로 인정하는 것이 의료과학교육 연구의 기대 요소가 되고 있다.
Medicine and, as a consequenc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as traditionally been conducted from a positivist or post-positivist paradigm, detailed later in this paper, both of which maintain a universal truth exists, as, “in medicine, the emphasis on… body parts, conditions and treatments assumes that these are universally constant replicable facts” [12]. Given the dominance of this belief, there has been a relative dearth of literature within medical sciences education explicitly detailing paradigmatic assumptions. This is changing, with an increasingly widespread recognition of the important role assumptions play in result interpretation and in setting ground rules, both in research and in classrooms [13, 14]. As such, explicitly acknowledging one’s paradigm is becoming an expected element of medical science education research.

연구의 패러다임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서는 패러다임이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작품의 패러다임은 그림 1에 자세히 나와 있는 여러 개의 "구성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의 첫 번째 집합(축론, 존재론, 인식론, 방법론)은 자신의 방법을 선택하는 것과 같은 "직접적인 사고와 행동"이라는 철학적 가정으로 구성된다[16].
In order to detail your work’s paradigm, it is important to consider what a paradigm consists of. The paradigm of a piece of work is constructed of several “building blocks,” detailed in Fig. 1. The first set of these building blocks (axiology, ontology, epistemology, methodology) are composed of philosophical assumptions that “direct thinking and action” such as selecting one’s methods [16].

프로젝트 패러다임 구축의 첫 번째 "벽돌"인 가치론Axiology는 가치와 윤리에 대한 연구를 포함합니다 [17]. 연구할 가치가 있는 영역이 확인되고 연구 윤리가 고려되면 "현실의 본질"에 대한 질문인 존재론Ontology가 고려되어야 한다[3]. 일단 당신이 당신의 연구 영역의 현실에 대한 확고한 철학적 이해를 가지고 있다면, [그 현실 안에 있는 지식의 본질]은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인식론epistemology이라고 알려져 있다.
Axiology, the first “brick” in the construction of a project’s paradigm involves the study of value and ethics [17]. Once an area of value to study has been identified, and research ethics considered, ontology, which questions “the nature of reality” [3] must be contemplated. Once you possess a firm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your study area’s reality, the nature of knowledge within that reality needs determining—this is known as the epistemology of a piece of work.

작품의 존재론와 인식론에 대한 솔직한 논의를 통해 적절한 방법론Methodology적 접근법을 선택할 수 있고 결과 해석을 둘러싼 모호성을 줄일 수 있다[18]. 그러한 규정regulation이 없으면 "가정의 기본 맥락"이 불분명하기 때문에 "세심하게 수집된 결과도 오해를 일으킬 수 있다" [19]. 이 모노그래프는 의학 교육 연구에 적합한 패러다임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가이드를 구성하는 일련의 고려 사항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Frank discussion of a work’s ontology and epistemology allows an appropriate methodological approach to be selected and reduces the ambiguity surrounding result interpretation [18]. Without such regulation “even carefully collected results can be misleading” as the “underlying context of assumptions” is unclear [19]. This monograph will detail a series of considerations, forming a how-to guide, for selecting an appropriate paradigm for your medical sciences education research.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연구 패러다임을 선택하십시오.
Select your Research Paradigm Before You Begin Researching

패러다임이 양적 및 질적 연구의 설계에 정보를 제공하고 근본적으로 뒷받침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패러다임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erherani 등은 이 필요성을 훌륭하게 설명한다. "연구 접근법의 기초가 되는 신념 체계, 연구 질문, 연구 접근법 사이의 정렬은 엄밀한 연구를 위한 전제 조건이다."[20]. 이러한 정렬은 오로지 전향적으로만 확보될 수 있다.
Given that paradigms inform the design of, and fundamentally underp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it is important to select your paradigm before you begin researching. Teherani et al. emphasize the need for this nicely: “alignment between the belief system underpinning the research approach, the research question, and the research approach itself is a prerequisite for rigorous… research” [20]. Such alignment can only be assured prospectively.

작품의 연구 패러다임을 고려하지 않는 것에 대해 자주 인용되는 한 가지 주장은 이 과정의 시간 소모적인 특성이다. 인정하건대, 연구 패러다임을 선택하는 것은 시간이 걸리며, 잘 수행된다면 그렇게 해야 한다. 연구 프로젝트의 일정표를 작성할 때 이러한 고려 사항을 계획에 포함시키십시오. 해당 프로젝트와 연구팀에 따라 연구 패러다임을 선택하는 데 얼마나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기는 어렵다. 연구 패러다임의 고려사항을 연구의 "설계" 단계에 포함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 작업을 사용하는 것은 또한 이 작업의 시간 소모적인 측면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많은 초보자들에게 패러다임의 언어와 과정에 접근하는 것은 힘들고 시간이 걸릴 수 있다. 그러나 이 작업은 그 과정을 쉽게 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One frequently cited argument for not considering the research paradigm of a piece of work is the time-consuming nature of this process. Admittedly, selecting a research paradigm does (and should if done well) take time. Ensure you factor this consideration into your plans when drafting a timeline for your research project. It is difficult to provide guidance on how much time one should spend selecting a research paradigm as, depending upon the project in question and research team, this may vary. We recommend threading consideration of your research paradigm into the “design” phase of your research. Using the present work will also contribute to reducing the time-consuming aspect of this work; for many novices, approaching the language and process of paradigms can prove daunting and take time. However, this work is designed to ease that process.

유리 상자의 은유를 사용하여 연구 패러다임에 대해 생각해 보세요.
Try Thinking About Research Paradigms Using the Metaphor of a Glass Box

연구 패러다임은 위압적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실제로, 경험이 많은 학자들조차도 패러다임을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구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Varpio[21]가 설명한 바와 같이 [유리 상자의 은유]를 사용하여 연구 패러다임을 생각하는 것은 패러다임의 구성 요소를 더 잘 시각화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 은유에 따르면, 여러분의 패러다임은 여러분이 서 있는 유리 상자입니다. 여러분이 바깥 세상을 어떻게 보는지 틀을 잡습니다. 지식의 존재론과 인식론에 대한 한 사람의 믿음은 다른 방식으로 유리 상자를 색칠하여 개인마다 같은 상황에 다른 빛을 제공한다. 따라서, 같은 영역 내의 동료와 다른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주제를 연구할 수 있습니다.
Research paradigms can seem overwhelming—indeed, even experienced academics may struggle to distinguish between the various building blocks constituting a paradigm. Thinking of one’s research paradigm using the metaphor of a glass box, as described by Varpio [21], may assist in better visualizing and understand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a paradigm. Using this metaphor, your paradigm is the glass box in which you stand, framing how you see the outside world. One’s beliefs regarding the ontology and epistemology of knowledge color the glass box in different ways, lending different lights to the same situation for different individuals. Given this, you may research a topic using a different approach to your colleague within the same area.

연구를 수행하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보세요.
Think About your Reason for Carrying Out the Research

이는 너무나도 당연한 고려사항으로 보일 수 있지만, 의학교육 연구 내에서 의식적으로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많은 분야이다. 이 주제를 공부하게 된 동기가 무엇입니까? 당신은 실질적으로, 학문적으로, 또는 정치적으로 동기부여를 받은 적이 있습니까? 다시 말해,

  • 여러분이 일상 업무에서 깨달은 것이 더 많은 공부가 필요한 것일까요? 
  • 당신은 단순히 더 많은 것을 알고 싶은 걸까요?
  • 당신이나 다른 사람들이 관심이 있는 정치적인 "핫 토픽"이 있는가?

This may seem like an obvious consideration, but it is an area that is often not consciously reflected upon within medical science education research. What is your motivation to study this topic? Have you been practically, academically, or politically motivated? In other words,

  • is it something you have noticed in your day to day work that requires further study;
  • are you simply passionate to know more; or
  • is there a political “hot topic” you or others are interested in researching?

여러분의 동기에 대한 여러분의 초기 생각을 바탕으로, 여러분이 정말로 성취하려고 하는 것에 대해 더 깊이 반성하도록 노력하세요. Chilisa는 표 1 [23]에서 볼 수 있듯이 연구를 수행하는 다양한 패러다임적 이유를 비교합니다. 연구를 하는 당신 자신의 이유를 생각하고 이것을 칠리사의 이유와 비교하는 것은 어떤 패러다임이 당신의 연구에 적합한 선택일 수 있는지를 비추기 위한 시작이 되어야 한다.
Building upon your initial thoughts regarding your motivation, try to reflect more deeply regarding what you are really trying to achieve. Chilisa compares different paradigmatic reasons for doing research, as can be seen in Table 1 [23]. Thinking of your own reason for doing research and comparing this with Chilisa’s reasons should begin to cast light on which paradigm may be an appropriate choice for your research.

당신의 공리학적 접근 방식을 고려하라.
Consider your Axiological Approach

당신의 연구를 위한 적절한 패러다임을 고려하는 다음 단계는 당신의 공리학적 접근 방식을 반영하는 것이다. 전통적으로 구바와 링컨은 패러다임을 [세 가지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존재론, 인식론, 방법론] [24]. 그러나, 패러다임의 네 번째 정의 특성으로 [가치론]을 포함하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있었다[25]. 가치론은 윤리적 고려를 포함하며, 연구 분야 내에서 "무엇이 이뤄져야 하는지" 묻는다 [26]. [연구할 가치가 있는 것이 무엇인지]과 [해당 영역 내에서 윤리적 연구를 수행하는 방법]을 고려하기 때문에 제안된 연구의 중요한 출발점이다[27]. 이를 고려하여 Grix의 패러다임 구성 요소[15]를 수정하여 패러다임 선택의 초기 핵심 고려사항으로 가치론을 포함시켰다(그림 1).

The next step in the consideration of an appropriate paradigm for your research is reflecting upon your axiological approach. Traditionally, Guba and Lincoln describe a paradigm as involving three building blocks: ontology, epistemology, and methodology [24]. However, there has been a move towards including axiology as a fourth defining characteristic of a paradigm [25]. Axiology involves ethical considerations and “asks what ought to be” within a field of research [26]. It i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any proposed research, as it considers what would be of value to research and how to go about conducting ethical research within that area [27]. Given this, we modified Grix’s paradigmatic building blocks [15] to include axiology as a key early consideration in paradigm selection (Fig. 1).

[가치론적 접근 방식]을 고려하는 것은 연구 제안의 계획 단계에서 여러분의 연구 팀의 모든 구성원과 함께 지정된 성찰적 공간에서 수행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연구를 하는 목적을 고려하면서, 당신은 당신의 프로포절에 informing하는 [개인적인 가치]를 고려해야 한다. 자신에게 다음과 같이 물어보세요.

  • 왜 이 연구가 [내 시간과 관심을 기울일 가치]가 있을까요?
  • 무엇이 [나에게 동기를 부여]합니까? 나는 어떤 명령(예: 자금, 사회 정의)에 의해 움직입니까?
  • 아니면, [나는 교육이 본질적으로 가치있]고, [교육실천에 inform하는 모든 연구에 정당성을 제공한다]고 믿습니까? [28]

Considering your axiological approach is best done in a designated reflective space with all members of your research team during the planning phase of a research proposal. Building on considering your purpose in doing research, you must consider the personal values informing your proposal. Ask yourself the following:

  • Why is this research worth my time and attention?
  • What motivates me? Am I driven by imperatives (e.g. funding, social justice)?
  • Or, do I believe education to be inherently valuable, providing justification for any research that informs educational practice? [28]

일단 당신의 연구를 뒷받침하는 [가치가 명확]하고, 당신의 [연구가 정당]하다는 것이 확실하다면, 잠재적인 [윤리적 문제]도 고려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당신의 [가치론적 성찰]이 당신이 [외부의 동기 부여]에 의해 움직인다는 것을 드러낸다면, 당신의 연구 설계 내에서 이것을 공개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대부분의 저널은 당신의 연구를 뒷받침하는 모든 자금과 이해 상충(개인 자금 출처를 포함할 수 있음)에 관한 세부 사항을 포함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커크만 등은 주니어 의사와 의대생에 대한 최근 환자 안전 개입의 결과를 평가하는 체계적 검토에 상세한 "경쟁적 이해관계" 진술을 포함한다[29]. 특히 관련된 것은 영국의 의사 규제 기관인 GMC(General Medical Council)와의 두 저자의 제휴와 여러 저자가 다양한 기관의 환자 안전에 대해 이전에 수행한 자문 작업이다. [어느 기관에 소속되었는지institutional affiliations]는 기관의 가치에 따라 저자의 관점과 해석을 암묵적인 방식으로 물들일 수 있다. 따라서 팀의 가치론적 성찰 내에서, 이러한 [상충하는 이해관계]나 연관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Once the values underpinning your inquiry are clear and it is evident your research is justified, potential ethical issues should also be considered. For example, if your axiological reflection reveals you are being driven by an external motivator, it may be appropriate to disclose this within your research design. Most journals mandate inclusion of detail regarding any funding underpinning your research and any conflicts of interest (which could include sources of personal funding). Kirkman et al. include a detailed “competing interests” statement in their systematic review evaluating the outcomes of recent patient safety interventions for junior doctors and medical students [29]. Particularly relevant are two author’s affiliations with the General Medical Council (GMC), the UK’s regulatory body for physicians, and consultancy work several authors had undertaken previously on the topic of patient safety for a variety of institutions. These institutional affiliations could color the author’s perspectives and interpretations in tacit ways, in line with institutional values. As such, considering any such competing interests or associations within your team’s axiological reflection is the key.

온톨로지적 가정 반영
Reflect upon your Ontological Assumptions

비록 우리가 그것들을 명시적으로 고려하거나 자세히 설명하지 않더라도, 우리는 모두 [존재론적 가정]을 가지고 있다. 그것들을 되돌아보면 [현실의 본질에 대한 자신의 신념]에 따라 패러다임을 선택할 수 있다[3]. 현실은 당신이 연구를 수행하기를 원하는 사회 세계를 의미합니다 [22].
We all hold ontological assumptions, even if we do not explicitly consider or detail them. Reflecting upon them allows you to choose a paradigm in keeping with your beliefs regarding the nature of reality [3]. Reality refers to the social world in which you wish to conduct your research [22].

다른 패러다임은 현실의 본질을 정의하기 위해 다른 접근 방식을 채택한다. 일부 학자들은 최근 몇 년 동안 사회과학 내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정의하려고 시도하기도 한다[30]. 이를 감안할 때, 사용 가능한 모든 패러다임의 온톨로지를 자세히 설명하는 것은 이 기사의 범위를 벗어난다. 그 대신 일반적으로 의학 교육[3]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네 가지 패러다임, 즉 실증주의, 후기 실증주의, 구성주의/해석주의, 비판론에 초점을 맞추겠다.
Different paradigms adopt different approaches to defining the nature of reality. There are many paradigms research may operate within, with some scholars even attempting to define new, albeit contested, paradigms within the social sciences in recent years [30]. Given this, detailing the ontology of every available paradigm is beyond the scope of this article. Instead, we will focus upon the four paradigms most commonly used within general medical education [3]: positivism, post-positivism, constructivism/interpretivism, and critical theory.

존재론적 가정을 평가하기 위해 스스로에게 질문하세요: 당신은 "확인할 수 있는 하나의 현실"이 있다고 믿습니까, 아니면 "여러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이 존재한다고 믿습니까? [21, 31] 

  • 전자의 입장은 "현실주의" 온톨로지적 입장으로 불리며, 
  • 후자의 입장은 "반현실주의" 또는 "상대주의"로 알려져 있다[32]. 

넓게 보면, 의학 교육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네 가지 패러다임은 이 두 가지 범주 중 하나에 속하지만, 표 2에 자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그들의 입장을 구성하는 방법에는 차이가 있다.
To assess your ontological assumptions, ask yourself this: do you believe there is “one verifiable reality,” or that “multiple socially constructed realities” exist? [21, 31]

  • The former stance is sometimes referred to as a “realist” ontological position,
  • with the latter stance known as “anti-realism” or “relativism” [32].

Broadly speaking, the four paradigms most commonly used within medical education fall into either of these two categories,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how they frame their position, detailed in Table 2.

당신의 인식론적 가정을 반성하라.
Reflect upon your Epistemological Assumptions

일단 당신이 [현실의 본질에 대한 당신의 가정]을 인식한다면, [지식의 본질에 대한 당신의 인식론적 가정]을 성찰하는 것은 필요하다. 당신의 연구 인식론을 고려할 때, "세상 내에서 지식으로 간주되는 것"에 대해 숙고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40]. 인식론은 두 가지 질문에 답하고자 합니다.

  • 첫째, 지식이란 무엇인가,
  • 둘째, 지식은 어떻게 획득되는가? [41].

Once you are aware of your assumptions regarding the nature of reality, reflecting upon your epistemological assumptions regarding the nature of knowledge is necessary. When considering your research epistemology, it may be useful to reflect upon “what counts as knowledge within the world” [40]. Epistemology seeks to answer two questions—

  • one, what is knowledge, and
  • two, how is knowledge acquired? [41].

실증주의, 후기 실증주의, 구성주의, 비판론의 인식론적 접근은 다르다. 이러한 내용은 표 3에 요약되어 있습니다.
Again, the epistemological approaches of positivism, post-positivism, constructivism, and critical theory differ. These are outlined within Table 3.

다양한 유형의 패러다임에 익숙해져 자신과 자신의 업무가 적합한지 평가
Become Familiar with Different Types of Paradigm to Evaluate Where You and Your Work Fit

이상에서는 의학교육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네 가지 패러다임으로 실증주의, 사후 실증주의, 구성주의, 비판론에 초점을 맞추었다[37]. 이는 개인의 의료 교육 연구 목표와 일치할 수 있는 패러다임의 일부일 뿐이다[42]. 우리는 연구원들이 가능한 한 많은 다른 유형의 패러다임에 익숙해지고, 연구원으로서 당신이 어디에 있는지 가장 잘 이해할 것을 권고하며, 또한 당신의 팀과 프로젝트가 적합하다.
Above, we have focused on positivism, post-positivism, constructivism, and critical theory as four common paradigms in medical education [37]. These are only a subset of paradigms that might align with an individual’s medical education research aims [42]. We recommend researchers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as many different types of paradigms as possible, to best understand where you as a researcher, but also your team and project fit.

패러다임의 복잡성을 고려할 때 패러다임과 관련된 철학의 뉘앙스를 너무 깊이 파고들기보다는 단순한 인포그래픽과 은유를 찾는 것이 탐구를 더 다루기 쉽게 만들 수 있다. 우리는 이미 몇 가지 간단한 표와 유리집 은유[21]를 소개했지만, 당신은 다음과 같은 다른 시각화를 찾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Given the complexity of paradigms, rather than delving too deeply into the nuances of philosophy associated with paradigms, seeking simple infographics and metaphors can make exploration more manageable. We have already introduced some simple tables and the glass house metaphor [21], but you may find it helpful to seek other visualizations, such as the

"양파" [43, 44] 간단히 말해서, "연구 양파"는 건축 블록이나 유리 벽 대신 층으로 패러다임을 고려합니다.
“research onion” [43, 44]. In brief, the “research onion” depicts paradigmatic considerations as layers, in lieu of building blocks or glass walls.

패러다임을 탐구하는 또 다른 도움이 되는 방법은 문헌 리뷰에서 그러한 점을 염두에 두는 것이다. 작가들은 그들의 패러다임을 명시적으로 논의하고 있는가? 그렇다면, 동의하십니까? 만약 그렇지 않다면, 그들의 연구 세부사항에 근거하여 그들의 패러다임을 어떻게 분류할 것인가? 자이디와 라르센은 자체 해석을 사용하여 연구 패러다임에 따라 논문을 분류하는 훌륭한 논평을 제공한다[45]. 그러한 활동은 패러다임에 대한 이해를 실용적인 방식으로 향상시키기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할 수 있다.
Another helpful way to explore paradigms is to be mindful of such in your own reviews of literature. Are authors explicitly discussing their paradigms? If so, do you agree? If not, how would you categorize their paradigm based on their study details? Zaidi and Larsen provide an excellent commentary where they categorize papers based on research paradigms, using their own interpretations [45]. Such an activity may prove useful to those wishing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paradigms, in a practical fashion.

선택한 패러다임을 사용하여 적절한 방법론 선택
Use your Chosen Paradigm to Select an Appropriate Methodology

다음으로, 지식을 어떻게 "획득"할 수 있으며, 그것이 당신의 패러다임과 자연스럽게 일치할 수 있는지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개인이 단일한 진실이 있고, 그러한 진실이 측정될 수 있다고 믿는 [엄격한 실증주의자]라면, 당신은 그들이 명시적인 가설 테스트를 통해 더 [엄격한 형태의 실험 연구]를 이용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방법론은 다른 패러다임과 가장 잘 일치한다[46].
How you can go about “acquiring” knowledge, so that it aligns naturally with your paradigm, might be considered next. For example, if an individual is a strict positivist, believing that there are single truths, and that such truths can be measured, you would expect them to utilize stricter forms of experimental research, with explicit hypothesis testing. Different methodologies align best with different paradigms [46].

연구팀의 방법론을 고려하는 것은 또한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전에 당신의 패러다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위의 예에 따라, 당신의 연구팀이 당신의 프로젝트에서 [실험 설계]를 가장 자주 사용한다면, 이것은 당신이 [가치있게 여기는 지식과 정보]에 대한 [당신의 관점]에 대해 뭐라고 말할 수 있습니까?
Consideration of research teams’ methodologies can also be helpful in understanding your paradigm, prior to moving forward with research projects. Following the example above, if your research team most often utilizes experimental design in your projects, what might this say about your regard for what knowledge and information you place value in?

적절한 데이터 수집 방법을 선택하려면 방법론을 검토하십시오.
Examine your Methodology in Order to Select an Appropriate Data Gathering Technique

[방법론]과 [방법]은 별개의 개념으로 간주되어야 할 때 초보 연구자에 의해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너무 많다[47].

  • [방법론]은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전략 또는 전체 계획이며,
  • [방법]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되는 실제 기법이다[33].

Too often, methodology and methods are used interchangeably by novice researchers, when they should be regarded as distinct concepts [47].

  • Methodology is the strategy or overall plan to acquire knowledge, and
  • methods are the actual techniques used to gather and analyze data [33].

예를 들어, 의료 환경에서 전문성 간 조사에 관심이 있는 연구팀은 [현실은 개인에 의해 주관적으로 구성된다]고 믿는 [구성주의 패러다임]과 가장 일치할 수 있다.

  • 이 팀은 적절한 [방법론]은 [민족지학]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 그러나 실제 연구 [방법]은 [현장 기록, 오디오 또는 비디오 녹화 또는 정성적 인터뷰]를 통한 다양한 관찰일 수 있다[48].

이러한 방법은 방법론과 일치하지만, 방법의 최종 선택은 패러다임 고려 사항 외에도 그러한 [기술의 실용성]과도 크게 연관될 수 있다.
For example, a research team interested in examining interprofessionalism in a healthcare setting may identify most with a constructivist paradigm, believing reality is subjectively constructed by individuals.

  • Such a team might consider ethnography to be an appropriate methodology.
  • But the actual research methods they undertake might be a variety of observations with field notes, audio or video recordings, or qualitative interviews [48].

These methods align with the methodology, although eventual selection of methods may also be highly associated with the practicality of such techniques, in addition to paradigm considerations.

위의 섹션에서는 연구 프로젝트 패러다임의 "구성 요소"에 대한 개요를 제공했습니다. 참조의 용이성을 위해, 이러한 구성 요소는 의학 교육에서 사용되는 4가지 주요 패러다임에 대해 그림 2에 요약되어 있습니다 [30, 36, 49, 50].
The above sections have provided an overview of the “building blocks” of a research project’s paradigm. For ease of reference, these building blocks are summarized for the four main paradigms used within medical science education, in Fig. 2 [30, 36, 49, 50].

연구에 대해 쓸 때 패러다임과 구성 요소를 명확하게 설명하십시오.
Clearly Detail Your Paradigm and its Building Blocks When You Write about your Research

패러다임은 연구자의 마음속에만 존재하고 명확하게 전달되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 연구자로서의 이해를 위해 패러다임을 명확하게 설명하세요. 그림 1과 같이 빌딩 블록에 요약된 질문에 답함으로써 패러다임을 설명하는 것이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A paradigm does no good if it only exists in the mind of the researcher and is not clearly communicated. Clearly detail your paradigm, for your own understanding as a researcher. It is often helpful to describe your paradigm by answering the questions outlined in the building blocks, as shown in Fig. 1.

그러나 또한 여러분의 연구를 전파할 때, 여러분의 타겟 독자들이 접근 가능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여러분의 패러다임에 대한 세부 사항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을 명심하세요. 연구의 범위와 목표에 따라, 당신의 패러다임에 대한 설명은 출판을 위해 설계된 연구 보고서의 한 두 단락에서 더 큰 보고서나 논문의 여러 페이지 하위 장에 이르기까지 다양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패러다임에 대해 글을 쓰는 것은 독자 분이 패러다임을 전달하는 세부 사항의 수준은 다를 수 있지만 독자 분이 연구한 맥락을 이해하는 데 핵심입니다.
But also keep in mind to make any details of your paradigm accessible and understandable for your target audience when disseminating your research. Depending on the scope and goals of your research, description of your paradigm could range from a paragraph or two in a research report designed for publication, to a multipage subchapter of a larger report or thesis assignment. In either case, writing about the paradigm is key for the audience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your research, although the level of detail in which you communicate your paradigm may vary.

당신의 패러다임에 대해 쓸 때 참고할 수 있는 접근 가능한 문헌을 찾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이 분야에는 패러다임 선택에 대한 시간적 고려에서 앞서 다루었던 것처럼 패러다임의 세계로 진입하는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는 철학적 전문 용어들이 산재해 있다. 이 가이드가 이 분야의 몇 가지 기본 용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관심이 있고 시간이 있다면 지식의 본질과 다양한 패러다임적 입장을 명시적으로 논하는 '과학철학' 분야에는 풍부한 문학이 있다. 일부 중요한 문헌에는 사회 연구의 기초[36], 과학 혁명의 구조[7], 브루노 라투르가 있다. 하이브리드 세계에서의 하이브리드 사고[51]와 패러다임 대화[52].
Locating accessible literature to draw upon when writing about your paradigm can prove difficult. The field is littered with philosophical jargon that can act as a barrier to entry into the world of paradigms, as earlier addressed in time consideration of paradigm selection. We hope this guide will assist you in beginning to understand some of the foundational terms within this field. If you are interested and have time, there is a wealth of literature within the field of “Philosophy of Science” that explicitly discusses the nature of knowledge and varying paradigmatic stances. Some seminal texts include The Foundations of Social Research [36],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7], Bruno Latour: Hybrid thoughts in a Hybrid world [51], and The Paradigm Dialog [52].

몇몇 입문 교과서와 기사들은 다음과 같은 중요한 텍스트의 통합 요약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습니다. 
- Kivunja와 Kuyini의 "교육적 맥락에서 연구 패러다임의 이해와 적용" [53]; 
- Avramidis와 Smith의 "특수 니즈 연구를 위한 주요 연구 패러다임과 방법론적 함의 소개" [54]; 
- Denzin과 Lincoln의 The Sage Handbook of Qualityative Research [55] 및 
- 과학 철학: 매우 짧은 소개 [56].

Several introductory textbooks and articles offer integrated summaries of these seminal text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 Kivunja and Kuyini’s “Understanding and Applying Research Paradigms in Educational Contexts” [53];
- Avramidis and Smith’s “An introduction to the major research paradigms and their methodological implications for special needs research” [54];
- Denzin and Lincoln’s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55];
- Philosophy of Science: A Very Short Introduction [56].

철학에서 실용으로 전환
Move from Philosophy to Practicality

의료 교육의 일상적인 측면에 관련된 사람들에게, 연구의 철학적 토대를 둘러싸고 생각나는 첫 번째 질문 중 하나는 [이것이 어떻게 제 일에 실질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가]하는 것입니다. 철저하게 논의된 바와 같이 엄격성과 이해도를 향상시키는 것 외에도 [연구의 실용적인 측면에 접근하는 두 가지 핵심 방법]이 있다. : 전 그리고 후
For those involved in the day-to-day aspects of healthcare teaching, many times one of the first questions that comes to mind around the philosophical underpinnings of research is: how can this be practically applied to my work? Beyond improving rigor and understanding, as thoroughly discussed, there are two key ways to approach the practical side of research: from the before and the after.

의학 교육자로서 직면하는 실제적인 문제와 질문을 고려한다면, 다른 방식으로 문제에 접근하기 위해 어떻게 다른 패러다임이 사용될 수 있는지를 고려하는 것은 패러다임을 고려하는 실용적인 "전before" 방법이다. 실제 문제가 패러다임 정보에 입각한 관점에서 접근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그림 3에 몇 가지 예를 포함시켰다. 일부 다양한 실제 사례의 경우, 다른 교육 수준에서, 우리는 자연스럽게 다른 패러다임과 일치할 수 있는 연구 접근법의 몇 가지 다른 예를 제공했습니다.
Considering the practical problems and questions you face as a medical sciences educator, then considering how different paradigms could be used to approach problems in different ways, is a practical “before” way to consider paradigms. To elucidate the ways in which real-world problems can be approached from a paradigm-informed perspective, we’ve included some examples in Fig. 3. For somevarious real-world examples, at different educational levels, we have provided some different examples of research approaches, that would naturally align with different paradigms.

["After" 연구 관점]에서, 프락세오로지(praxoology)는 당신이 성찰해야 하는 마지막 '-론 (-ology)'이다. 연구로부터 종종 발생하는 보다 실용적인 권고사항과 관련하여, 프랙세오로지(praxoology)는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의미 있는 방식으로 해석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45]. 만약 당신의 연구가 "지식"에 기여했다면, 이것은 [의학 교육자로서 당신의 일상적인 역할]에 무엇을 의미합니까? 이렇게 하면 연구 과정 이후에 실용성도 중요해질 수 있다. 그림 2의 중간 수준의 예를 이용하여, 구성주의 접근법에서 연구를 완료했다면, [가상 조직학 실험실]의 [셀프-가이드 방법]이 유익한 학습 환경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을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상 조직학 리소스와 함께 사용할 [비디오 가이드]를 만들기로 결정하게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학생들은 처음에 학습을 안내하는 강사 주도 예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om the “after” research perspective, praxeology is the last -ology you may wish to reflect upon. Concerned with the more practical recommendations that often arise from research, praxeology is concerned with not just understanding human actions, but interpreting them in meaningful ways [45]. If your research has contributed to “knowledge,” what does this mean for your day-to-day role as a medical sciences educator? In this way, practicality can be also important after the research process. Using the mid-level example from Fig. 2, if you completed research from a constructivist approach, you may have discovered that self-guided methods in virtual histology labs was not leading to a conducive learning environment. This may lead to your decision to create video guides to accompany virtual histology resources, so students have instructor-led examples to initially guide their learning.

패러다임에 실질적으로 접근하는 위의 방법들 외에도, 연구자들은 [실용주의pragmatism]의 실용적인 패러다임을 고려하기를 원할 수 있다. [실용주의]는 연구 결과에 초점을 맞추고, 따라서 인식론이나 존재론을 고려하는 데 가치를 두지 않는다. 대신, 실용주의는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것에 초점을 맞추려고 노력한다[57]. 실용주의자들은 특정 연구 질문에 답하기 위해 [실제로 가장 잘 작동하는 방법]에 의존하며, 단순히 패러다임 정렬이 아닌 [선택된 접근 방식의 실용성]에 가장 중점을 둔다[58]. 그러나 실용주의는 ["진정한" 패러다임]이라기보다는 [접근법]에 가깝다는 견해가 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다른 공통 패러다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용주의를 자세히 탐구하지 않았다[30].
In addition to the above ways of practically approaching paradigms, researchers may also wish to contemplate the practical paradigm of pragmatism. Pragmatism focuses on research outcomes and, as such, does not place value on considering either epistemology or ontology. Instead, pragmatism strives to focus on what works best for understanding and solving problems [57]. Pragmatists rely on the methods that work best in practice to answer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ocusing most heavily on the practicalities of the chosen approach, not just paradigmatic alignment [58]. However, it is the view of some that pragmatism should be viewed as more of an approach, rather than a “true” paradigm. Consequently, the present work has not explored pragmatism in detail as it has other common paradigms [30].

가능한 경우 숙련된 연구원과의 협업 또는 상담
Collaborate with or Consult Experienced Researchers Where Possible

패러다임은 의학 교육계의 많은 사람들에게 복잡하고 참신해 보일 수 있지만, 연구의 핵심 측면이며 사회학 및 일반 교육과 같은 다른 분야에서는 확실히 새로운 것이 아니다[59,60,61].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협업은 성과를 거둘 수 있으며 성공의 최종 열쇠가 될 수 있습니다. 가능한 경우, 경험 많은 연구원들, 특히 방법론에 집중하는 연구원들과 협력하는 것은 매우 유익할 수 있다. 경험 많은 학자들은 패러다임과 관련된 철학적 질문에 대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연구팀이 어떤 방법론과 방법을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는지 유념할 수 있다. 협업이 불가능할 경우 방법론자 또는 경험이 풍부한 연구자에게 연락하여 연구 접근 방식을 검토할 수 있는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여부를 문의할 수 있습니다.
While paradigms might seem complex and novel for many in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they are a key facet of research, and certainly not new to other disciplines, such as sociology and general education [59,60,61]. Given this, collaboration can prove fruitful and may be the final key to success. When possible, collaborating with experienced researchers, particularly those who focus upon methodology, can be very beneficial. Experienced scholars can provide guidance regarding the philosophical questions associated with paradigms, while keeping in mind which methodology and methods may be best utilized by the research team. Where collaboration is not feasible, you may wish to contact a methodologist or experienced researcher to enquire as to whether they provide consultation services to review your research approach.

연구 능력을 개발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매우 도움이 되지만, 패러다임 선택에 관한 협력은, 특히 연구자들이 [연구에 가장 적합한 패러다임에 대해 동의하지 않을 경우] 긴장을 유발할 수 있다. 협업 프로젝트에 동의하기 전에 잠재적 협력자가 만나 "공유 의제"를 개발할 것을 권장합니다. 공유된 의제에는 공통 목표 집합, 사용 가능한 자원 목록, 관심 있는 연구 질문 및 각 연구자의 개인 패러다임에 대한 토론이 포함됩니다. 개인 입장에 익숙하지 않지만 협력팀의 공유 의제에 가장 적합한 패러다임 내에서 연구해야 하는 한 명 또는 여러 명의 연구자를 대신하여 [타협]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 위에서 소개한 바와 같이, 만약 당신이 엄격한 실용주의자라고 생각한다면, 온톨로지와 현실에 대한 광범위한 논의가 연구 시간을 비생산적으로 사용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 그러나 해석학자 팀과 함께 일하는 경우, 이 과정은 연구 노력과 연구 설계의 핵심 부분으로 간주될 수 있다. 개인적인 입장을 인식하고, 그것에 헌신하는 성찰적 공간에서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됨으로써, 협업이 완화되고 심지어 강화될 수 있다.

Although immensely helpful for those wishing to develop their research skills, collaboration with regard to paradigm choice can generate tension, especially if researchers disagree concerning which paradigm would be best suited for their research. We recommend that, prior to agreeing upon any collaborative projects, potential collaborators meet to develop a “shared agenda.” Shared agendas include a set of common objectives, a list of available resources, research questions of interest, and discussion as to each researcher’s personal paradigm. Compromise may be required on the behalf of one, or several, researchers, who may need to research within a paradigm unfamiliar to their personal stance, but best befitting the shared agenda of the collaborative team. For example,

  • if you consider yourself to be a strict pragmatist, as introduced above, you might find extensive discussions about ontology and reality to be an unproductive use of research time.
  • However, if working with a team of interpretivists, this may be viewed as a key part of their research efforts and study design. Through recognizing personal stances and being able to clearly express them in a dedicated reflexive space, collaboration may be eased, and even enhanced.

마지막으로, 출판을 위해 글을 쓸 때, 우리는 각 팀 [구성원의 패러다임적 입장에 대한 투명성]과 [긴장을 해결하기 위해 성찰성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에 대한 세부 사항을 포함할 것을 권고한다. 이 모노그래프는 공동 집필의 예로 사용될 수 있다. 저자들은 이 주제에 중립적으로 접근했지만 개인 패러다임이 다르다. 한 작가(MB)는 구성주의자이고, 다른 작가(AD)는 실용주의자입니다. 이 작품의 개념과 구성에 있어서, 저자들은 본 논문에서 논의된 과학철학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를 포함하여 그들의 패러다임적 가정에 대한 반사적 논의로 시작했다. 이 연구의 공유 의제는 각 저자가 가지고 있는 잠재적 가정을 인정하면서 가능한 한 중립을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우리는 이것이 이 모노그래프를 더 투명하게 보여줄 수 있기를 바란다.
Lastly, when writing for publication, we recommend transparency as to each team member’s paradigmatic stance and inclusion of detail regarding how reflexivity was used to navigate any tensions. This monograph may be used as an example of collaborative writing. The authors approached this topic neutrally but have different personal paradigms. One author (MB) is a constructivist, and the other (AD) is a pragmatist. In the conception and construction of this work, the authors began with reflexive discussions on their paradigmatic assumptions, including personal views regarding the philosophy of science discussed in this paper. It was determined the shared agenda of this work was to remain as neutral as possible, while acknowledging potential assumptions each author holds. We hope this allows for a more transparent presentation of this monograph.

결론들
Conclusions

초기에는 복잡하지만, 연구 패러다임의 식별은 엄격한 연구 프로젝트의 필수적인 측면이다. 또한 개별 프로젝트를 넘어 지식을 특정 패러다임과 결부시키면 의학교육 내 연구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가 높아져 전체 분야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While initially complex, identification of a research paradigm is an essential aspect of any rigorous research project. Further, beyond individual projects, association of knowledge with specific paradigms may lead to a better overall understanding of research within medical education, furthering the advancement of the entire field.

이 기사를 통해, 우리는 연구 패러다임의 식별을 통해 프로젝트를 개선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을 위한 몇 가지 초기 팁을 간략하게 설명하려고 시도했다. 이러한 팁과 연구 팀 내에서 더 많은 열린 토론을 고려한다면, 여러분의 연구는 새로운 목적을 가지고 더 깊이 있게 이해될 수 있습니다.
Through this article, we have attempted to outline some initial tips for researchers looking to improve on projects via identification of a research paradigm. With consideration of these tips, and more open discussions within research teams, your research can take on new purpose and be understood with greater depth.

 


Med Sci Educ. 2019 Dec 27;30(1):545-553. doi: 10.1007/s40670-019-00898-9. eCollection 2020 Mar.

A Medical Science Educator's Guide to Selecting a Research Paradigm: Building a Basis for Better Research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Health Professions Education Unit, Hull York Medical School, John Hughlings Jackson Building, University Road, Heslington, York, YO10 5DD UK.

PMID: 34457699

PMCID: PMC8368685

DOI: 10.1007/s40670-019-00898-9

Free PMC article

Abstract

A research paradigm, or set of common beliefs about research, should be a key facet of any research project. However, despite its importance, there is a paucity of general understanding in the medical sciences education community regarding what a research paradigm consists of and how to best construct one. With the move within medical sciences education towards greater methodological rigor, it is now more important than ever for all educators to understand simply how to better approach their research via paradigms. In this monograph, a simplified approach to selecting an appropriate research paradigm is outlined. Suggestions are based on broad literature, medical education sources, and the author's own experiences in solidifying and communicating their research paradigms. By assisting in detailing the philosophical underpinnings of individuals research approaches, this guide aims to help all researchers improve the rigor of their projects and improve upon overall understanding in research communication.

Keywords: Medical education; Methodology; Paradigm; Research approach.

의학교육연구실의 목적, 설계, 전망 (Acad Med, 2022)
The Purpose, Design, and Promise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Labs
Michael A. Gisondi, MD, Sarah Michael, DO, MS, Simiao Li-Sauerwine, MD, MSCR, Victoria Brazil, MD, MBA, Holly A. Caretta-Weyer, MD, MHPE, Barry Issenberg, MD, Jonathan Giordano, DO, MEd, Matthew Lineberry, PhD, Adriana Segura Olson, MD, MAEd, John C. Burkhardt, MD, PhD, and Teresa M. Chan, MD, MHPE

 

의학 교육 연구원들과 임상의 교육자들은 장학금, 교육 기법의 개선, 그리고 직접 가르침을 통해 건강 관리의 미래를 이끈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학문적 승진academic promotion은 학습자를 교육하는 데 성공적이지 않고, 연구 생산성에만 국한되어 왔다. 의학 교육 연구자들이 새로운 지식을 발굴하고 의미 있는 학술적 결과를 만들어내지만, 학계에서는 자신의 연구를 연구로 인정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 우리의 경험이었다. 이러한 편견은 의료교육 연구 경력을 추구하는 개인에 대한 제도적 지원과 승진 가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and clinician educators steer the future of health care through scholarship, refinement of educational techniques, and direct teaching. 1,2 However, academic promotion has historically been tied to research productivity alone and not success in educating learners. Though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discover new knowledge and create meaningful scholarship, it has been our experience that many in academia fail to recognize their work as research. This bias negatively affects institutional support and the likelihood of promotion for individuals pursuing medical education research careers.

실제로 교육 연구자는 작업 본체를 생산하는 뚜렷하고 잘 확립된 연구 방법을 사용하나, 이는 생물 과학자의 연구와는 다르다(예: 교육 연구자는 백신 흡수를 옹호하는 교육자의 능력을 연구할 수 있지만 생물 과학자는 환자에 의한 백신 채택률을 연구할 수 있다). 3 불행하게도, 기초 과학과 임상 연구자들이 종종 더 나은 자금, 자원 및 존경을 받는 학교에서, 교육 연구는 저평가되고 있다. 웹사이트와 보조금 개요를 검토하면서, 우리는 국립 보건원 상과 같은 교외 연구비의 격차가 생물 과학자들에게 크게 유리하고, 교육 연구 보조금은 간접 비용을 거의 보상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실제로, 우리는 의료 교육 연구원들이 종종 일관되지 않은 자금 조달 메커니즘과 그들의 기관에서 매우 소수의 명백한 멘토들을 남겨둔다는 것을 발견했다.

In reality, education researchers employ distinct, well-established study methods that produce bodies of work unlike those of bioscientists (e.g., an education researcher might study trainees’ abilities to advocate for vaccine uptake, while a bioscientist might study rates of vaccine adoption by patients) but that are no less rigorous. 3 Unfortunately, education research is undervalued at schools where basic science and clinical investigators are often better funded, resourced, and respected. 4,5 In reviewing websites and grant outlines, we have found that disparities in extramural funding, such a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awards, greatly favor bioscientists, and education research grants rarely cover indirect costs. In effect, we have found find that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are often left with inconsistent funding mechanisms and few obvious mentors at their institutions.

[연구실Research labs]은 개별 연구자의 커리어를 지원하기 위한 유용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지만, 우리는 그것들이 의학 교육에서 상대적으로 드물다고 믿는다. 우리는 [연구실Research labs]을 [특정 조건이나 문제를 연구하는 단일 또는 복수의 PI(주요 조사자)가 이끄는 부서 또는 기관 내의 별개의 연구팀으로 정의]한다. 그들은 종종 부서나 학교를 넘나들며 많은 조사원으로 구성된 [연구 센터, 협력체 또는 네트워크]보다는 작다. [연구실]은 PI가 연구를 수행하고, 강력한 지원 팀을 이끌고, 학생들을 훈련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의학 교육 연구자들은 [연구실 모델]을 폭넓게 채택하지 않아왔으며, 대신 의학 교육 부서, 보건 전문 장학 단체 또는 다른 연구 기업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협력적 구성에 배치한다. 우리의 의견으로는, 이러한 조직 스펙트럼은 특정 기관의 문화적 압력과 자금 부족, 협력자, 연구 주제 및 부서 지원과 같은 현장의 공통적인 도전에서 비롯된다.  우리는 [교육 연구실]이 이러한 장벽을 극복하고, 연구를 촉진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과외 자금 지원을 위해 경쟁하기 위해 부서 내에서 의도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고 믿는다.
Research labs provide a useful framework to support the careers of individual investigators, yet we believe they are relatively rare in medical education. We define a lab as a distinct research team within a department or institution that is led by a single or multiple principal investigators (PIs) who study specific conditions or problems. They are smaller than research centers, collaboratives, or networks, which often cross departments or schools and are composed of many investigators. Labs can be constructed to help a PI conduct their research, lead a robust supporting team, and train students.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have not broadly adopted the lab model, instead arranging themselves in different kinds of collaborative configurations, such as departments of medical education, health professions scholarship units, or other research enterprises. 6–9 In our opinion, this organizational spectrum results from cultural pressures at certain institutions and common challenges in the field, such as a lack of funding, collaborators, study subjects, and departmental support. 10 We believe that education research labs can be deliberately designed within departments by established investigators to overcome these barriers, catalyze research, enhance training programs, and compete for extramural funding.

본 논문에서는 [의료 교육 연구실]의 조직과 임무를 [연구 센터, 협력체 및 네트워크]와 같은 다른 더 큰 구조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우리는 또한 교육 연구실의 몇 가지 핵심 요소에 대해 논의한다. 의학 교육에 있어 상대적으로 참신함을 감안할 때, 우리는 자체 실험실 창설을 고려하고 있는 다른 교육 연구자들에 의해 고려될 수 있도록 연구실 구조를 강조한다.
In this article, we describe the organization and missions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labs as compared with other larger structures, such as research centers, collaboratives, and networks. We also discuss several key elements of education research labs. Given its relative novelty in medical education, we highlight the research lab construct for consideration by other education researchers who may be contemplating starting up labs of their own.

사례 예제
Case Examples

우리 저자 그룹은 조직, 규모,  또는 목적이 다른 팀을 이끄는 의학 교육 연구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기존의 전문적인 관계를 통해 편리하고 비공식적으로 모였습니다. 그들 사이의 차이점을 비교하기 위해, 우리는 각각 우리 팀 구조의 상세한 사례 예시를 제공했다. 우리는 조직 구조, 1차 연구 강조, 자금 조달 메커니즘, 기관 지원, 교육자 영향 및 성공에 대한 장벽을 포함하여 우리 팀의 정의 특성을 설명했습니다. 우리 중 몇 명(M.A.G., S.M., J.C.B., T.M.C.)은 설명을 검토하고 공통 특성에 따라 팀을 그룹화하고 다음과 같은 5가지 공통 유형의 연구 팀 구조를 만들었습니다.

  • 단일 PI 연구소(단일 PI 리드가 있는 연구소)
  • 여러 PI 연구소(일반적으로 같은 부서 내에 있는 소규모 PI 그룹이 이끄는 연구소)
  • 연구 센터(여러 부서를 넘나들면서 해당 기관에서 여러 명의 연구자를 통합하는 대규모 단일 조직 기관. 이를 연구기관이라고도 할 수 있다.
  • 연구 협력체(많은 기관에서, 그리고 많은 부서에서 온 대규모의 비기관 조사자 그룹)
  • 연구 네트워크(많은 기관에 걸쳐 있는 연구자들의 느슨한 연합)

Our author group is composed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who lead teams that differ in organization, size, and/or purpose. We were conveniently and informally assembled through existing professional relationships. To compare the differences among them, we each provided detailed case examples of our team structures. We described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our teams including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primary research emphasis, funding mechanisms, institutional supports, trainee impacts, and/or barriers to success. A few of us (M.A.G., S.M., J.C.B., T.M.C.) then reviewed the descriptions, grouped the teams based on common characteristics, and created 5 common typologies of research team structures:

  • single PI labs (labs with a single PI lead),
  • multiple PI labs (labs led by small groups of PIs, who are generally within the same department),
  • research centers (large, single-institution entities that cross departments but aggregate multiple investigators at the institution; these may also be called research institutes),
  • research collaboratives (large, noninstitutional groups of investigators who come from many institutions and may also come from many departments), and
  • research networks (loose associations of investigators across many institutions).

우리의 명명법은 [labs]라는 용어가 대규모 연구 센터, 협력체 및 네트워크와 구별되는 [단일 PI 또는 여러 PI 랩]을 지칭한다는 것이다. 도표 1과 그림 1은 이러한 의료 교육 연구 구조에 대한 개요를 제공한다. 우리는 아래의 다양한 구조를 간단한 예와 함께 설명하고 보충 디지털 부록 1의 각 연구 팀 구조에 대한 완벽한 사례 설명을 제공한다.
Our nomenclature is that the term labs refers to single PI or multiple PI labs, distinct from larger research centers, collaboratives, and networks. Chart 1 and Figure 1 provide an overview of these medical education research structures. We describe the different structures below with brief examples and provide complete case descriptions for each research team structure in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at https://links.lww.com/ACADMED/B274).

 

단일 PI 연구소
Single PI labs

전통적인 기초과학 연구소와 유사하게, 이들 유닛은 [인프라를 유지하는 단일 PI]에 의존하여 연구 및 교육생을 지원한다. 성공적인 단일 PI 모델의 이점은 일반적으로 [명확한 연구 의제]와 [지속적인 연구비 지원]을 포함한다. 한계로는 개인 PI가 자체 자금을 계속 지원해야 한다는 압박과 연구소를 떠날 경우 연구소가 문을 닫을 가능성이 포함됩니다. 미시간 대학의 의학 교육의 Burkhardt 정책 분석, 연구 및 혁신(PRIME) 컬렉션은 단일 PI 연구소의 한 예이다. 이는 PI의 연구 활동을 그의 전반적인 목표와 일치시켜 의학교육의 정책분석, 연구, 혁신을 연구하고 잠재적인 멘티 및 협력자에 대한 그의 가시성을 높이려는 욕망에서 비롯되었다. 그것의 연구 의제는 "의학과 전문 교육의 힘을 더 큰 공공의 이익을 위해 활용하는 것"이다. 

Similar to traditional basic science labs, these units rely on a single PI who maintains the infrastructure to conduct research and support trainees. Benefits of a successful single PI model generally include a clear research agenda and sustained grant funding. Challenges include the pressure on that individual PI to continue self-funding and a likelihood that the lab would close if they left the institution. The Burkhardt Policy Analysis, Research, and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PRIME) Collective at the University of Michigan is an example of a single PI lab. It stemmed from a desire to align the PI’s research activities with his overall goals to study policy analysis, research, and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and to increase his visibility to potential mentees and collaborators. Its research agenda is “to leverage the power of medical and professional education for the greater public good.” 11

여러 PI 랩
Multiple PI labs

이러한 연구소는 동일한 기관 및 일반적으로 [동일한 부서 내에서 공통의 연구 의제를 가진 소규모 PI 그룹]에 의해 주도됩니다. 연구실 내의 각 PI가 보조금을 시작하고 보유할 수 있기 때문에 그들은 [책임을 공유]하고 [재정적 탄력성을 증가]시켰다. 잠재적 어려움으로는 [연구 이니셔티브와 프로젝트 선정을 둘러싼 집단 갈등의 가능성]이 포함된다. Stanford University의 Precision Education and Assessment Research Lab(Pearl)과 Houston의 Texas University Health Science Center의 Texas Emergency Medicine Research Center는 여러 PI Lab의 두 가지 예입니다. PEARL은 서로 보완하고 다양한 관심사를 가진 연습생들의 멘토링을 가능하게 하는 독특한 기술과 배경을 가진 3명의 연구자가 지휘한다. 그것의 임무는 "의사를 위한 훈련을 개인화하는 최선의 방법을 연구함으로써 의학 교육의 정밀도를 정의하는 것"이다.  텍사스 응급 의학 연구 센터는 학습자를 교육하기 위한 기술 적용에 대해 비슷한 열정을 공유하는 두 명의 PI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그것의 연구 목표는 혁신적인 의료 교육 도구의 개발, 구현 및 영향을 측정하는 것이다.  
These labs are led by a small group of PIs with a common research agenda at the same institution and generally within the same department. They have shared accountability and increased financial resilience, since each PI within the lab can initiate and hold grants. Challenges include the potential for group conflict surrounding research initiatives and selecting projects. The Precision Education and Assessment Research Lab (PEARL) at Stanford University and the Texas Emergency Medicine Research Center at the University of Texas Health Science Center at Houston are 2 examples of multiple PI labs. 12,13 PEARL is directed by 3 researchers with unique skills and backgrounds that complement one another and allow for the mentorship of trainees with diverse interests. Its mission is to “define precision in medical education by studying the best ways to individualize training for physicians [… to] optimize assessment methods to promote learning and [to] leverage technology to reimagin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12 The Texas Emergency Medicine Research Center was created by 2 PIs who share a similar passion for the application of technology to educate learners. Its research goals are to develop, implement, and measure the impact of innovative medical education tools. 13

연구소
Research centers

때때로 [연구 기관]이라고 불리는 이 그룹들은, [공통의 연구 의제를 공유하며, 여러 부서에 걸쳐 여러 명의 연구자를 지원하는, 기관 수준의 enterprises]이다. 연구소의 설립은 일반적으로 특정 조직 요건을 갖춘 [매우 형식적인 제도적 노력]이다. 그들은 보통 원활한 창업을 보장하기 위해 기부자 자금 또는 중앙 자금 지원을 받지만 장기적인 유지를 위해 상당한 지원이 필요하다. 몇몇은 학위를 수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거나 그들 자신의 내부 계층이나 승진 과정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이 연구팀 설계의 3가지 예를 제시합니다.

  • Gordon Center for Simulation and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은 학습 및 평가를 위한 혁신 기술의 개발과 평가를 연구하기 위해 마이애미 대학교 우수 센터로 설립되었다. 고든 센터는 연방 보조금과 비연방 보조금을 조합하여 자체 자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최소 50%의 노력을 연구에 바치는 4명의 전임 PI를 보유하고 있다.
  • 다음으로, 맥마스터 교육 연구, 혁신 및 이론(MERIT) 프로그램은 원래 맥마스터 대학이 문제 기반 학습 커리큘럼을 설계할 때 지원하는 다중 PI 연구실이었다. 최근 MERITE는 의학 교육 연구에서도 견습생을 지원하는 연구 센터로 발전했다.
  • 마지막으로, 캔자스 대학 의료 센터의 Jamierowski 체험 학습 연구소 내의 CoLab은 개별 제공자와 팀 성과를 조사합니다. CoLab의 설립은 사회 및 행동과학 전문지식의 필요성을 인식한 기관 리더십과 수혜자들에 의해 시작되었습니다.

Sometimes called research institutes, these groups are usually institution-wide enterprises that support multiple investigators across multiple departments who share a common research agenda. The establishment of a research center is generally a very formal institutional endeavor with specific organizational requirements. They are usually either donor-funded or centrally funded to ensure a smooth start-up but require significant support to sustain long term. Some have the capacity to grant degrees or have their own internal hierarchy or promotion process. We offer 3 examples of this research team design.

  • The Gordon Center for Simulation and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was established as a University of Miami Center of Excellence to study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innovative technologies for learning and assessment. 14 The Gordon Center is self-funded through a combination of federal and nonfederal grants and has 4 full-time PIs who dedicate a minimum of 50% of their efforts to research.
  • Next, the McMaster Education Research, Innovation and Theory (MERIT) Program 15 was originally a multiple PI lab that supported McMaster University in designing problem-based learning curricula. 16,17 Recently, MERIT evolved into a research center that also supports apprenticeships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2,18–20 
  • Finally, the CoLab within the Zamierowski Institute for Experiential Learning at the University of Kansas Medical Center examines individual provider and team performance. 21 The creation of CoLab was initiated by institutional leadership and benefactors who recognized the need for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 expertise.

공동 연구
Research collaboratives

공식적인 [연구 센터]와 달리, 협력체은 [비공식적이고 더 비정형적이며, 대학 내의 부서나 학교에 걸쳐 같은 생각을 가진 연구자들 사이에서, 그리고 아마도 기관들 사이에서 더 유기적으로 발생]한다. [연구 센터]와 달리, 이것은 공식적인 제도적 구조가 아니다. 협업은 여러 PI를 보유하고 프로젝트별 팀을 구성하지만 새로운 벤처기업마다 구성원 자격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다른 프로젝트를 후원하지만 같은 회원 그룹 내에 있는 연구 네트워크와는 대조적이다. 협력업체의 해결과제에는 [신뢰할 수 있는 자금 흐름]과 [의사소통을 위한 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포함됩니다. 

In contrast to formal research centers, collaboratives are informal and more amorphous, arising more organically between like-minded researchers across departments or schools within a university, and possibly also between institutions. In contrast to research centers, they are not formal institutional structures. Collaboratives have multiple PIs and form project-specific teams but may change their membership with each new venture. This contrasts them from research networks, which sponsor different projects but within the same member group. Challenges for collaboratives include reliable funding streams and dependence on technology for communications.

여기서는 협업의 4가지 예를 강조합니다.

  • 첫째, 의료 교육 번역 자료: METRIQ(Impact and Quality) Study Collaborative는 교육 및 번역 온라인 리소스를 개발, 측정 및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 여러 기관의 연구자 파트너십입니다. METRIQ는 물리적인 집이 없으며, 오히려 여러 대륙에 걸쳐 수십 개의 프로젝트를 함께 완료한 협력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둘째, 본드 대학의 TSC(Translational Simulation Collaborative)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건강 관리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는 연구자들의 연결고리이다. 연구 협력의 초점은 번역 시뮬레이션 실습입니다. 따라서, 다양한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해 의료 서비스 과제를 탐색하고, 잠재적 개선 사항을 테스트하며, 더 나은 의료 관행을 임상 운영에 포함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TSC는 복잡한 재무 정리, 지적 재산권 문제 및 잠재적인 이해 상충을 가진 서로 다른 기관의 여러 연구 파트너들을 위한 포괄적인 조직 역할을 한다.
  • 셋째, ERLI(Academic Life in Emergency Medicine Education Research Lab and Incubator)는 소셜 미디어 기술과 교육 연구자 멘토십에 중점을 둔 비영리 건강 전문 교육 기관 내 연구 협력체이다. ERLI는 대학과 제휴하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전통적인 자금 조달 메커니즘에 적합하지 않다.
  • 마지막으로, 의료 허브의 기술, 교육 및 협업은 기술, 교육 및 디지털 네트워크에 관심이 있는 6개 PI에 의해 조정된 국제 협업입니다. 허브의 핵심 원칙 중 하나가 수사관들 간의 경쟁보다는 투명성과 공유를 장려하는 것이기 때문에 공유된 학술 및 전문성 행동 강령이 있다.

We highlight 4 examples of collaboratives here.

  • First, the Medical Education Translational Resources: Impact and Quality (METRIQ) Study Collaborative is a partnership of investigators at multiple institutions who study how educational and translational online resources can be developed, measured, and evaluated for quality. 22 METRIQ has no physical home, rather it consists of collaborators that span multiple continents and have completed dozens of projects together.
  • Second, the Translational Simulation Collaborative (TSC) at Bond University is a nexus for researchers working to improve health care through simulation. 23 The focus of the research collaborative is translational simulation practice; thus, it aims to explore health services challenges, test potential improvements, and embed better health care practices into clinical operations through diverse simulation techniques. 24 TSC serves as an umbrella organization for multiple research partners from different institutions with complex financial arrangements, intellectual property issues, and potential conflicts of interest. 25 
  • Third, the Academic Life in Emergency Medicine Education Research Lab and Incubator (ERLI) is a research collaborative within a nonprofit,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organization that focuses on social media technologies and education researcher mentorship. 26 ERLI is not affiliated with a university and therefore does not qualify for most traditional funding mechanisms; its funding has been largely philanthropic.
  • Finally, the Technology, Education, and Collaboration in Healthcare Hub is an international collaborative coordinated by 6 PIs interested in technology, education, and digital networks. There is a shared academic and professionalism code of conduct, as one of the core principles of the hub is to encourage transparency and sharing, rather than competition, among investigators.

연구 네트워크
Research networks

덜 형식적인 [연구 협력체]와는 대조적으로, [연구 네트워크]는 [고도로 구조화된 경향]이 있으며, [연구 주제와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기관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멀티센터 임상시험]은 종종 연구 네트워크 내에서 수행된다. 회원들은 이러한 임상시험에 참여함으로써 느슨하게 서로 제휴하고 있으며, 의사소통을 자주 하지 않을 수 있다. 자금 조달은 복잡하며, 사이트 리드는 전체 네트워크 내에 대리점이 거의 없을 수 있다. 여기서는 두 가지 예를 프로파일링합니다.

  • 응급의학교육연구동맹(EMERA)은 노스웨스턴 대학교 응급의학 레지던트 졸업생들이 의학교육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설립한 단체이다. 회원들은 광범위한 공식적인 연구 훈련과 다양한 행정적 역할을 가지고 있다. EMERA의 임무는 응급의학의 교육적 모범 사례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다중 기관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 둘째, RCPSC이 전국적인 역량 기반 의료 교육 평가 프레임워크를 시행하기 1년 전에 캐나다 의학 평가 및 분석을 위한 캐나다 데이터 연구(CanDREAM) 팀이 설립되었다. 세 명의 교육 연구원이 이 구현을 연구하기 위해 CanDREAM을 시작했고 캐나다의 거의 모든 의사 교육 프로그램에서 광범위한 교육자 네트워크를 빠르게 모집했습니다. 네 명의 연구원이 이 대규모 팀을 이끌고 새로운 도구를 개발하고, 기계 학습 혁신을 개발하며, 평가 기준을 검증한다.

In contrast to less formal research collaboratives, research networks tend to be highly structured and aim to increase the number of study subjects and participating institutions in research projects. Multicenter clinical trials are often conducted within a research network. Members are loosely affiliated with one another through participation in these trials and may communicate infrequently. Funding is complex, and site leads may have little agency within the overall network. We profile 2 examples here.

  • The Emergency Medicine Education Research Alliance (EMERA) was established by a group of Northwestern University emergency medicine residency graduates with an interest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27 Members have a breadth of formal research training and diverse administrative roles. The mission of EMERA is to conduct multi-institutional research aimed at developing educational best practices in emergency medicine.
  • Second, the Canadian Data Research for Evaluation and Analytics in Medicine (CanDREAM) Team was established 1 year before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implemented a nationwide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assessment framework. 28 Three education researchers started CanDREAM to study this implementation and quickly recruited a wide network of educators from nearly all physician training programs in Canada. Four investigators lead this large team to develop new tools, develop machine learning innovations, and validate assessment rubrics.

실험실의 주요 요소
Key Elements of Labs

우리의 경험에서, 우리는 연구실 설립이 의학 교육 연구자들이 경험하는 잘 알려진 제도적 난제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적 시도라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실 출범 자체가 교수 라인, 순위, 연구 서사에 따라 교외 자금과 PI 적격성에 대한 엄격한 요건을 갖춘 기관에서는 장애물이 될 수 있다. 우리는 연구실의 성공이 종종 연구자의 비전, 열정 및 정치적 의지에 의해 결정되며, 후원 기관의 초기 노력에서 거의 결과를 얻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위에서 제시한 사례를 검토하면서, [의학 교육 연구실]을 위한 몇 가지 핵심 요소를 확인했습니다. 

  • 실험실 정체성의 중요성,
  • 실험실 지정의 신호 효과,
  • 필요한 인프라
  • 실험실의 훈련 임무.

In our experience, we have found that the establishment of a lab is a strategic attempt at overcoming the well-recognized institutional challenges experienced by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Launching the lab can itself be a hurdle at institutions that have strict requirements for extramural funding and PI eligibility based on professoriate line, rank, and narrative of research. We have found that lab success is often predicated on the vision, passion, and political will of the investigators and rarely results from the nascent efforts of the sponsoring institution. In our review of the case examples presented above, we identified several key elements for medical education research labs:

  • the importance of lab identity,
  • the signaling effect of a lab designation,
  • required infrastructure, and
  • the training mission of a lab. 

이러한 요소는 연구실을 다른 팀 구성(즉, 연구 센터, 협업 및 네트워크)과 차별화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These elements appear to differentiate research labs from other team configurations (i.e., research centers, collaboratives, and networks).

실험실 아이덴티티의 중요성
Importance of lab identity

의학 교육 연구소는 표현형을 공유한다:

  • 연구실은 단일 PI 또는 소규모의 선임 연구자 및 PI 그룹에 의해 운영되며, 
  • 이들은 집중적인 연구 라인을 가지고 있으며, 
  • 그들의 임무는 가르치는 것보다 연구이다.

우리는 마지막 특성이 연구소와 [교육센터] 또는 [교육협동조합]을 구분하는 결정적인 차이점이라고 본다. 예를 들어, 임상 교육을 주로 제공하는 [시뮬레이션 센터]는 연구에 학문적인 초점을 둔 [시뮬레이션 연구소]와 본질적으로 다르다. 의학 교육 연구소는 또한 PI의 진로를 검증하고 그들의 연구 초점을 명확히 할 수 있다. 우리의 경험에서, 연구자의 자기 개념은 교육 연구자에게 중요하다. 연구자의 본질적인 동기 및 발견에 대한 접근 방식을 생명과학 동료의 것과 일치시키기 때문이다. [PI, 교수 협력자 및 연구 교육생]과 같은 식별자identifier가 관계를 정의하고 멘토/멘티 역할을 명확히 합니다. 

Medical education research labs share a phenotype:

  • the lab is directed by a single PI or small group of senior researchers and PIs,
    who have a focused line of research and
    whose mission is research rather than teaching.

We believe that the last characteristic is a critical difference that distinguishes research labs from educational centers or teaching collaboratives. For example, a simulation center that primarily provides clinical training is inherently different from a simulation research lab that has a scholarly focus to its work. 8 A medical education research lab can also validate the career path of the PI and clarify their research focus. In our experience, the self-concept of investigator is important to education researchers, as it aligns their intrinsic motivations and approach to discovery with that of their bioscience colleagues. Identifiers such as PI, faculty collaborator, and research trainee define relationships and clarify mentor/mentee roles. 29

실험실 명칭의 신호효과
Signaling effect of a lab designation

과학자들이 종종 실험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의학 교육 연구실을 만드는 것은 병원과 십일조 지도자들에게 개인이 과학자로 보여져야 한다는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 연구소의 브랜드 이미지는 "소비자"(즉, 과학 발표회 및 부서 회의에 참석하는 사람들)와 기금 모금, 연구실 웹사이트를 갖는 경험을 통해 더욱 만들어진다. [웹사이트]는 특히 기관 외부에 있는 사람들에게 보내는 [합법성에 대한 중요한 신호]이다. 게다가, 우리는 우리의 경험으로 일반적으로 [실험실 구조]가 의료계hall of medicine 내에서 더 잘 이해되며, 그들을 지휘하거나 구성원인 연구자들의 작업에 신뢰성을 더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우리는 "나는 X 조건을 연구한다"(연구자 개인의 업무와 능력을 나타낸다)와 "나의 연구소는 X 조건을 연구한다"(연구팀의 업무와 확장성을 나타낸다)라는 문구 사이에 강력한 신호 차이를 보았다. 이러한 시그널링은 단일 조사자보다 확립된 연구실을 찾을 가능성이 높은 기관 내 다른 사람들과의 협업 또는 멘토링 관계를 초래할 수 있다.
Since scientists often have a lab, the creation of a medical education lab can act as a signal to hospital and decanal leaders that an individual should be seen as a scientist. The brand image of a lab is further crafted through the experiences of having “consumers” (i.e., those who attend scientific presentations and department meetings), fundraising, and having lab websites. Websites are particularly important signals of legitimacy to those external to an institution. Furthermore, we find that in our experience the lab structure is generally well understood within the halls of medicine, adding credibility to the work of the researchers who direct or are members of them. We have seen a powerful signaling difference between the phrases “I study X condition” (signaling the work and capacity of an individual researcher) and “My lab studies X condition” (signaling the work and scalability of a research team). Such signaling may lead to collaborations or mentor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the institution, who are more likely to find established labs than a single investigator.

필요한 인프라
Required infrastructure

실험실 활동과 인력은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며, 실험실 모델은 개별 조사자가 이용할 수 없는 자원을 제공할 수 있다. 연구실 직원 및 기타 필요에 대한 [자금]은 특별 보조금, 자선 기부, 자문 업무 및 직접 수당, 종자 기금, 보조금 및 교수 급여의 형태로 제도적 지원을 결합하여 추구된다. [후원 기관]은 일반적으로 실험실 관리자 및 관리 직원에게 급여 지원을 제공하지만 통계학자 또는 데이터 과학자와 같은 다른 상근 직원에게는 급여 지원을 제공할 가능성이 낮다. [실험실 인력]은 PI의 연구팀을 구성하고 연구 프로그램을 촉진하는 것을 돕는다. [사무실 공간 및 장비 요구 사항]은 연구 유형 및 조직 접근 방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교육연구실의 [스마트 디자인 및 전략적 자금 지원]은 불충분하거나 산발적인 교외 자금 지원, 연구 대상자 모집의 어려움 등 공통의 장벽을 직접 극복할 수 있다. 이러한 [초기 투자]는 공식적인 부서 지원 없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PI의 성공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강력한 인프라는 프로그램 연구자의 신뢰도와 교외 자금을 위해 경쟁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Lab activities and personnel require financial support, and the lab model may provide resources that are not available to individual investigators. Funding for lab personnel and other needs are sought through combinations of extramural grants, philanthropic gifts, consultancy work, and institutional support in the forms of direct stipends, seed funding, grants, and faculty salaries. Sponsoring institutions commonly provide salary support for lab managers and administrative staff but are less likely to do so for other full-time personnel, such as statisticians or data scientists. Lab personnel comprise the research team of a PI and help to catalyze a research program. Office space and equipment needs vary based on the type of research and organizational approach. Smart design and strategic funding of an education research lab can directly overcome common barriers, such as inadequate or sporadic extramural funding and difficulty recruiting study subjects. These initial investments can ensure the success of a PI who might otherwise struggle without such formal departmental support. Moreover, a robust infrastructure improves the credibility of programmatic researchers and their ability to compete for extramural funding.

연구소의 훈련 임무
Training mission of a lab

우리는 [연구 교육생]들이 있는 연구실에는 많은 장점이 있다고 믿는다. 차세대 교육 연구 학자들이 이러한 연구실에서 개발되고 있으며, 우리는 확립된 연구소가 후배 학자들이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멘토링과 인프라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비록 연구실에 교육teach이 의무는 아니지만,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PI에서 교육 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배우는 교육자들을 후원한다. 이 교육생들은 학생, 거주자, 동료, 그리고 후배 교직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PI 멘토들의 긍정적인 참여와 영향력은 훈련생들의 훈련 프로그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의학교육연구실에서 교육생들의 초점은, 다른 졸업후 의학교육 훈련 프로그램에서 볼 수 있는 단순한 임상교습이나 학습이론이 아닌, [교육연구방법과 학술활동]이다. 이러한 연수생들은 후원부서 밖에 소속되어 있는 경우도 있어, 연구실을 상호 풍부하게 하는 추가적인 협업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학습자는 더 많은 학습자를 유치한다. 즉, 성공적인 연구 멘토링에 대한 기록은 유사한 관심사를 가진 다른 교육생 및 교수 협력자의 모집 장치 역할을 한다.
We believe that there are many advantages for labs with research trainees. The next generation of education research scholars are developed in such labs, and we have found that established labs can make it easier for junior scholars to gain access to the mentorship and infrastructure that they need to become successful. Though labs are not mandated to teach, many sponsor trainees who learn to conduct education research from their PIs. These trainees can include students, residents, fellows, and junior faculty. The positive engagement and influence of PI mentors can enhance trainee’s training programs. Importantly, the focus for trainees in a medical education lab is education research methods and scholarship, not simply clinical teaching or learning theory as is seen with other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training programs. In some cases, these trainees have affiliations outside the sponsoring department, which can lead to additional collaborations that reciprocally enrich the lab. Additionally, learners attract more learners; that is, a track record of successful research mentorship acts as a recruiting device for other trainees and faculty collaborators with similar interests.

창업 고려사항 및 지원 가능성
Start-Up Considerations and Likelihood of Support

우리는 최근 의학 교육 연구 경력을 지원하기 위해 혁신적인 조직 접근 방식을 개발하는 연구자들이 급증하는 것을 관찰했다. 왜 그럴까 하는 의문이 생긴다. 왜 실험실이나 더 큰 연구 구조가 그들의 성공을 위해 필요한가? 확실히 광범위한 교육 연구 주체와 투자 수익률을 계산하는 많은 방법(예: 지원금, 논문 발표, 프레젠테이션 전달)이 있다. 단일 PI 랩은 흔하지 않지만 고전적인 단위로 남아 있으며, (의료 교육 분야에서 종종 통합하기 어려운) 랩 인프라와 자금 지원에서 비롯되는 분명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우리는 이 최근의 확산에서 가치를 가져오는 다양한 규모와 범위의 다른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관찰했다. 자체 연구소를 설립할지 여부를 고민하고 있는 급성장하는 연구자에게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된다. "어떤 전략이 최선입니까?" 의학 교육 연구자들이 그들의 생명과학 동료들이 사용하는 단일 PI 연구실을 거울로 삼아야 하는가? 아니면 의학 교육 연구자들이 그 분야에 대한 더 나은 접근법을 찾아내야 하는가? (실험실 시작 가이드는 그림 2를 참조하십시오.) 현재 우리는 연구실 모델이 부족한 것을 우려하는 바인데, 왜냐하면 [스스로 연구를 수행하는 단일 개인]은 훈련생도, 멘토링도, 미래 교육 과학자를 위한 파이프라인도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회가 없다면, 훈련이 부족하기 때문에 미래에 의학 교육 실험실을 이끌 수 있는 사람이 없을 수도 있다.

We have observed a recent proliferation of investigators developing innovative organizational approaches to support their medical education research careers. The question arises: Why? Why are labs or larger research structures necessary for their success? There is certainly a wide array of education research entities and many ways to calculate return on investment (e.g., grant monies received, papers published, presentations delivered). The single PI lab is uncommon but remains a classic unit of analysis, with clear advantages that stem from lab infrastructure and funding that are often difficult to marshal in the medical education field. However, we observed in this recent proliferation the use of other constructs of various scales and scopes that bring value as well. 19 For the burgeoning researcher contemplating whether to establish a lab of their own, the question arises: “Which strategy is best?” Should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mirror the single PI lab used by their bioscience colleagues? Or must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identify a better approach for the field? (See Figure 2 for a lab start up guide.) The current scarcity of the lab model concerns us, as a single individual conducting research on their own yields no trainees, no mentoring, and no pipeline for future education scientists. Without these opportunities, there may be no one able to lead medical education labs in the future because of insufficient training.

 

교육 연구자를 조직 내에서 가장 잘 배치하기 위한 노력은 연구자와 그들의 소속 부서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의 경험에 따르면, [연구 협력체] 또는 [연구 네트워크]에 협력하는 연구원들은 [단일 PI 연구소]를 시작하는 데 필요한 지역 자원을 소진했기 때문에 그렇게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들은 처음부터 그러한 자원을 가지고 있었던 적이 없었거나 또는 그것들을 요청할 생각을 한 적이 없었습니다. 우리는 본 논문에서 검토한 다양한 연구소와 더 큰 연구 구조를 지역 연구 환경의 현실에 대한 측정된 반응으로 본다. 각 사례에서 선택한 경로는 특정 시간과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경로였을 수 있습니다. 우리의 사례에서 다양한 구성이 부서장들의 결정에 따라서 만들어진 것인지, 아니면 연구자들 스스로가 의사 결정자들을 중심으로 작업했기 때문에 발생했는지는 불분명하다. 
Efforts to best position an education researcher within an organization have implications for the investigator and their home department. In our experience, researchers who align themselves with research collaboratives and networks tend to do so because they have exhausted the local resources necessary to start a single PI lab, they never had such resources to begin with, or they never thought to ask for them. We view the various labs and larger research structures reviewed in this paper as measured responses to the realities of local research environments. The paths chosen for each case example may have been the only one available at that specific time and place. It is unclear from our case examples whether the various configurations occurred in response to decisions by department leaders or because the investigators themselves worked around the decision makers.

또 다른 이론은 이러한 준비는 종종 [필요성]보다는 [편의성]에 의해서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아마도 [저비용의 외부 협력]은 department로 하여금 [의료 교육 연구자]를 지원할 책임을 더 쉽게 포기하도록 만들지도 모른다. 왜 그들이 지원해야 하는지, 얼마나 지원해야 하는지, 어떤 방식으로 지원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떤 목적으로 지원해야 하는지. 아무도 이런 질문을 하지 않고, 그저 외부에서 의학교육 연구 지원을 찾고 있다면, department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변을 회피하게 되기 쉽다. 우리의 경험으로 볼 때, 이러한 질문에 대한 정직한 답변은 의료 교육 연구, 지원을 요청하는 개별 조사자 또는 둘 다에 대한 가치 판단을 나타낸다.
Another theory is that these arrangements are often made of convenience rather than necessity. Perhaps low-cost, external collaborations more easily allow departments to abdicate their responsibilities to support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Why should they support, how much should they support, in what ways should they support, and to what end should they support? It is easy for a department to avoid answering these questions if no one is asking them but instead looking externally for medical education research support. In our experience, honest answers to these questions represent value judgments about medical education research, the individual investigator seeking support, or both.

지금까지 자원이 부족해왔던 분야에서 얼마나 많은 연구소가 존재할 수 있으며, 존재해야 하는가? 의학 분야의 다른 분야들에 비해 미국에서 이용할 수 있는 의학 교육 연구 보조금은 매우 적다. 연구자들이 재정적으로 자립할 가능성이 낮은 연구 분야의 성장을 옹호하는 것이 옳기는가? 이러한 평가 질문은 학문적 의학에서 제자리를 찾으려는 잘 훈련된 의료 교육 연구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실존적 위기를 나타낸다. 우리의 사례 예는 연구 정체성을 확립하는 방법에 대한 로드맵을 제공할 수 있지만, [왜, 언제, 또는 연구 정체성을 확립해야 하는지] 또는 [연구 정체성 확립에 얼마나 오래 걸릴 수 있는지]에 대한 로드맵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우리의 경험에 따르면, 실험실 설계에 대한 물류 결정이 내려지기 전에 그러한 결정들은 개인화되고 현재의 고용 상황에 맞춰져야 한다. 당연히 [교육 연구소를 위한 최선의 계획]은 [부서 및 기관 문화의 영향]을 받습니다. 단일 PI 랩을 시작하는 선택은 다른 분야의 랩이 현지에서 일반적인지 또는 기관이 그러한 혁신에 대한 욕구를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조건(예: 자원이 풍부한 부서 및/또는 지원 기관 문화)이 없다면 교육 연구소를 시작하고 유지하는 데 필요한 지원이 불충분하고 그러한 연구소가 달성할 수 있는 성공은 미미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How many research labs can or should exist in a field with historically scarce resources? There are very few medical education research grants available in the United States compared with other disciplines in medicine. Is it even right to advocate for the growth of a research field in which investigators are unlikely to financially sustain themselves? These questions of valuation represent an existential crisis for the growing number of well-trained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trying to find their place in academic medicine. Our case examples can provide roadmaps as to how to establish a research identity but not why or when one should or how long one might need to establish a research identity. In our experience, those decisions must be individualized and aligned to one’s current employment situation before any logistical decisions about lab design can be made. Unsurprisingly, the best conceived plans for an education research lab are subject to departmental and/or institutional culture. The choice to start a single PI lab will depend on whether labs in other disciplines are common locally or if the institution has an appetite for such innovation. Without these conditions (e.g., a well-resourced department and/or a supportive institutional culture), we feel that the necessary support to start and maintain an education research lab will be inadequate and that any successes such a lab may achieve may be meager.

결론들
Conclusions

의학교육연구소의 성공적인 출범은 비전과 전략을 전제로 한다. 연구자는 후원 기관 어디에도 이미 존재할 것 같지 않은 것을 기꺼이 만들어내야 하며, 역할 모델링을 본 표준 프로세스와 방법을 넘어서야 합니다. 새로운 연구소장은 기관 외부의 동료들로부터 모델과 도식을 찾아야 할 것 같은데, 우리는 이것이 이 기사를 통해 다소 쉬워졌기를 바란다. 우리의 경험에 따르면, [성공적인 구현]은 [연구소의 출범과 장기적인 생존 가능성 모두를 위한 전략적 계획, 이해관계자 분석의 신중한 사용, 강력한 정치적 감각]을 필요로 한다. 의료 교육 연구소의 사례 사례는 자체 연구소를 설립할 준비를 하는 조사관에게 교훈을 제공한다. 부서 리더들이 교육 연구실을 왜 그리고 얼마나 중시하는지, 그리고 이 평가가 궁극적으로 실험실의 설계와 성공 가능성을 지시하는지에 대한 의문들이 남아 있다.
We believe that the successful launch of a medical education research lab is predicated on vision and strategy. Investigators must be willing to create something that is unlikely to already exist anywhere in their sponsoring institutions, and they must move beyond the standard processes and methods they have seen role modeled. New lab directors will likely need to seek out models and schemas from colleagues outside their institution, something that we hope has been made somewhat easier by this article. In our experience, successful implementation requires

  • a strategic plan for both the launch of the lab and its long-term viability,
  • deliberate use of stakeholder analyses, and
  • a strong political acumen.

Our case examples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labs offer lessons for investigators preparing to establish their own labs. Questions remain as to why and how much department leaders value education research labs and whether this valuation ultimately dictates the design of a lab and its likelihood of success.

 


Acad Med. 2022 Sep 1;97(9):1281-1288. doi: 10.1097/ACM.0000000000004746. Epub 2022 May 24.

The Purpose, Design, and Promise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Lab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M.A. Gisondi is associate professor and vice chair for education,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and principal, Precision Education and Assessment Research Lab (PEARL), Stanford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tanford, California; ORCID: https://orcid.org/0000-0002-6800-3932 .

2S. Michael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University of Colorado Anschutz Medical Campus, Aurora, Colorado; ORCID: https://orcid.org/0000-0003-0077-6282 .

3S. Li-Sauerwine is assistant professor and assistant program director,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The Ohio State University, Columbus, Ohio, and chief academic officer, Academic Life in Emergency Medicine Education Research Lab and Incubator; ORCID: https://orcid.org/0000-0003-3445-6404 .

4V. Brazil is professor of emergency medicine and director, Translational Simulation Collaborative, Bond University, Gold Coast, Queensland, Australia; ORCID: https://orcid.org/0000-0001-9103-2507 .

5H.A. Caretta-Weyer is assistant professor and associate program director,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and senior scientist, PEARL, Stanford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tanford, California; ORCID: https://orcid.org/0000-0002-9783-5797 .

6B. Issenberg is professor of medicine,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the Michael S. Gordon Chair of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Miami Miller School of Medicine, and senior associate dean for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and director, Gordon Center for Simulation and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Miami Miller School of Medicine, Miami, Florida; ORCID: https://orcid.org/0000-0002-2524-4736 .

7J. Giordano is assistant professor, director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codirector of medical education fellowship,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and lead, Texas Innovation and Educational Research Lab, McGovern Medical School at University of Texas, Houston, Texas.

8M. Lineberry is director of simulation research, assessment, and outcomes, Zamierowski Institute for Experiential Learning, and associate professor of population health, University of Kansas Medical Center and Health System, Kansas City, Kansas; ORCID: https://orcid.org/0000-0002-0177-5305 .

9A.S. Olson is assistant professor and assistant program director, Section of Emergency Medicine,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Chicago, Chicago, Illinois; ORCID: https://orcid.org/0000-0002-2585-0971 .

10J.C. Burkhardt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s of Emergency Medicine and Learning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Michigan Medical School, and principal investigator, Policy Analysis, Research, and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Collective,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Michigan; ORCID: https://orcid.org/0000-0001-6273-8762 .

11T.M. Chan is associate dean for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aculty of Health Sciences, associate professor, Divisions of Emergency Medicine and of Education & Innovation, Department of Medicine, clinician scientist, McMaster Education Research, Innovation, and Theory Program,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tario, Canada, and founder, Technology, Education and Collaboration in Healthcare Hub; ORCID: https://orcid.org/0000-0001-6104-462X .

PMID: 35612923

DOI: 10.1097/ACM.0000000000004746

Abstract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are often subject to challenges that include lack of funding, collaborators, study subjects, and departmental support. The construct of a research lab provides a framework that can be employed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and effectively support the work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however, labs are relatively uncommon in the medical education field. Using case examples, the authors describe the organization and mission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labs contrasted with those of larger research team configurations, such as research centers, collaboratives, and networks. They discuss several key elements of education research labs: the importance of lab identity, the signaling effect of a lab designation, required infrastructure, and the training mission of a lab. The need for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to be visionary and strategic when designing their labs is emphasized, start-up considerations and the likelihood of support for medical education labs is considered, and the degree to which department leaders should support such labs is questioned.

보건의료전문직 교육에서 리포팅 가이드라인의 사용과 가치(Acad Med, 2020)
On the Use and Value of Reporting Guidelin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

 

연구 간행물에서의 보고 지침의 사용과 가치에 대한 대화는 종종 양극화된 견해를 이끌어낸다. 그러한 견해는 더 많은 정보와 사려 깊은 고려의 필요성을 나타낸다. 우리 자신의 건강 전문 교육 분야의 한 예로,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유럽 의학 교육 협회의 2019년 회의에서 편집자 패널 토론이 [건강 전문 교육 연구 출판에서의 논쟁과 도전]이라는 제목의 토론은 HPE 연구 출판물의 보고 지침의 사용법을 둘러싼 편집자와 작가들 간의 활발한 토론을 촉발했습니다. 일부 참가자들은 그러한 지침의 사용을 강력히 지지한 반면, 다른 참가자들은 단호하게 반대했다. 이 사설에서, 우리는 보고 지침에 대해 학술 의학 커뮤니티에 알리고, 저널의 편집자로서 이에 대한 우리의 관점을 공유하며, 이러한 지침에 대한 지속적인 대화를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Conversations about the use and value of reporting guidelines in research publications often elicit polarized views. Such views signal a need for more information and thoughtful consideration. As an example from our own field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the editors’ panel discussion at the 2019 meeting of the Association for Medical Education in Europe in Vienna, Austria, entitled Controversies and Challenges in Publishing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 prompted a lively discussion among editors and authors around the use of reporting guidelin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 publications. Some participants strongly endorsed use of such guidelines, while others staunchly opposed them. In this editorial, we aim to inform the Academic Medicine community about reporting guidelines, share our perspective on them as editors of the journal, and promote ongoing dialogue on these guidelines.

보고 지침이란 무엇입니까?
What Are Reporting Guidelines?

보고 지침Reporting guidelines은 독자가 연구 또는 검토를 이해하고 평가 및/또는 복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구 연구 또는 문헌 검토를 설명하는 원고에 저자가 포함해야 하는 주요 정보를 나열하고 설명합니다.1 Reporting guidelines은 저자를 위한 [저널의 지침]을 보완하는데, [저널의 지침]은 단어 수 및 구조와 같은 기술적 요구사항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어서, 원고나 출판물에 제시된 증거의 신뢰성, 관련성 및 품질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비판적 평가 도구]와는 다르다.

  • 일부에서는 불완전한 보고는 실제로 작성자가 단어 제한을 준수하기로 한 결정이거나 단순한 감독일 수 있는 경우 종종 방법론적 품질이 낮다는 신호로 해석되기 때문에, [철저한 정보 보고 평가]는 [비판적 평가 과정]과 구별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 다른 이들은 정보의 [철저한 보고]가 [비판적 평가]의 필수적 선행조건이며 높은 과학적 기준을 충족하는 과정의 일부라고 생각한다.

Reporting guidelines list and describe the key information that authors should include in a manuscript that describes a research study or literature review, to ensure that readers can understand, evaluate, and/or replicate the study or review.1 Reporting guidelines complement a journal’s instructions for authors, which tend to focus on technical requirements such as word count and structure,2 and differ from critical appraisal tools, which are used to assess the trustworthiness, relevance, and quality of evidence presented in a manuscript or publication.3–5 

  • Some maintain that evaluation of thorough information reporting should be kept distinct from the critical appraisal process, since incomplete reporting is often interpreted as a sign of low methodologic quality when, in fact, it may be a decision made by authors to abide by word limits or a simple oversight.6 
  • Others consider thorough reporting of information to be a necessary precursor to critical appraisal and part of a process that fulfills high scientific standards.7,8

보고 지침의 간략한 기록
A Brief History of Reporting Guidelines

보고 지침은 과학 저널에 게재된 증거의 품질과 실제 의사 결정에서 약한 증거로 판명될 수 있는 신뢰와 관련된 위험에 대한 우려에 대응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전되었다. 많은 의학 분야에서, [연구 결과를 복제하여 증거를 검증하려는 연구자들의 노력]은 [연구 방법과 결과에 대한 불충분한 정보]로 인해 혼란스러워졌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물의학 연구에서 [무작위 통제 시험]에 대한 [두 가지 보고 지침]이 독립적으로 개발되었다. 이들은 최종적으로 CONSORT을 구성하기 위해 결합되었습니다.
Reporting guidelines evolved over time in response to concerns about the quality of evidence published in scientific journals and the risks associated with trusting what may turn out to be weak evidence in practical decision making. Across many fields of medicine, researchers’ efforts to verify evidence by replicating study findings have been confounded by insufficient information about study methods and results.9 Two reporting guidelines for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 biomedical research were independently developed to address this problem; the 2 were ultimately combined to form CONSORT (Consolidated Standards of Reporting Trials).9,10

연구의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는 오픈사이언스 운동과 최근 체계적인 검토, 메타분석, 기타 형태의 지식합성 붐 등 현재 학문의 흐름을 감안할 때 보고지침에 대한 인식가치가 높아졌다. CONSORT는 다양한 장르와 학문에 대한 접근 방식에 걸친 후속 보고 지침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The perceived value of reporting guidelines has increased, given current trends in scholarship such as the Open Science movement, which calls for greater transparency in research,11 and the recent boom in systematic reviews, meta-analyses, and other forms of knowledge synthesis.1,12 CONSORT laid the foundation for subsequent reporting guidelines spanning multiple genres and approaches to scholarship—for example,

  • CARE (for case reports),13 
  •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14,15 
  • SQUIRE (Standards for Quality Improvement Reporting Excellence) 2.0,16 
  • COREQ (Consolidated Criteria for Reporting Qualitative Research),17 and
  • STROBE (Strengthening the Reporting of Observational Studies in Epidemiology).18

초기 지침의 대부분은 생물의학과 건강 연구에서 비롯되었지만, 사회과학 및 교육 분야의 학자들은 보고 지침의 자체 버전을 채택하고, 채택하고, 만들었다. 보건 전문직 교육을 위해 개발된 지침으로는 SQUIRE-EDU(교육 품질 향상 보고 우수성 기준), GREET(증거 기반 실무 교육 개입 및 교육 보고 지침), SRQR(질적 연구 보고 기준) 등이 있다. 보건 전문 교육에서 자주 언급되는 다른 지침으로는 CHERRES(인터넷 전자 설문 조사 결과 보고용 체크리스트), PRISMA, RAMESES(실재주의자 및 메타 내러티브 증거 합성: 발전하는 표준) 및 STROBE. 표 1은 보건 전문 교육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지침의 예를 보여줍니다.
While many of the early guidelines originated in biomedical and health research, scholars in the social sciences and education adopted, adapted, and created their own versions of reporting guidelines. Guidelines developed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nclude

  • SQUIRE-EDU (Standards for Quality Improvement Reporting Excellence in Education),19 
  • GREET (Guideline for Reporting Evidence-Based Practice Educational Interventions and Teaching),20 and
  • SRQR (Standards for Reporting on Qualitative Research.21 

Other guidelines frequently referenced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nclude

  • CHERRIES (Checklist for Reporting Results of Internet E-Surveys),22 
  • PRISMA,14,15 
  • RAMESES (Realist and Meta-Narrative Evidence Syntheses: Evolving Standards),23 and
  • STROBE.18

Table 1 presents examples of guidelines that are applicable to research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보고 지침의 확산으로 인해 중복성을 줄이고 보급을 강화하기 위한 품질 관리 및 관리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2008년에 설립된 EQUATOR (Enhancing the Quality and Transparency of Health Research) 네트워크는 [생물의학 및 사회과학]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보고 지침을 개념화하는 방법을 형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해왔다. EQUATOR 네트워크는 보고 지침의 목적이 "연구자들에게 연구 방법을 알려주기 위해서가 아니라, 원고에 어떤 정보를 포함시켜야 하는지 상기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The proliferation of reporting guidelines created a need for quality control and management to reduce redundancy and enhance dissemination. The EQUATOR (Enhancing the Quality and Transparency of Health Research) Network, established in 2008, has played a large role in shaping how members of the biomedical and social science communities conceptualize reporting guidelines.1 The EQUATOR Network states that the purpose of reporting guidelines is “to remind researchers of what information to include in the manuscript, not to tell them how to do research.”9(p73)

보고 지침의 가치에 대한 상반된 주장
Conflicting Arguments on the Value of Reporting Guidelines

보고 지침의 용도는 다양하다.

  • 어떤 저널은 저자가 기사를 제출할 때 보고 가이드라인 체크리스트를 작성하도록 요구하기도 하고, 
  • 어떤 저널은 검토자가 검토를 완료할 때 보고 가이드라인을 참조하도록 권장하기도 하며,
  • 어떤 저널은 보고 가이드라인을 전혀 언급하지 않는다

지지자들은 보고 지침을 투명성을 위한 환영받는 도구로 보는 경향이 있다. 가이드라인은 출판 경험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기본 표준과 기대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지침은 또한 주요 정보의 누락을 줄임으로써 학문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이는 보고서 품질을 위해 출판된 기사를 평가한 여러 연구에서 지적된 문제이다. 연구에 대한 주요 정보를 일관된 방식으로 보고하면, 엄격한 방법론을 위해 노력하는 저자에게 보상할 수 있습니다.
Use of reporting guidelines varies.

  • Some journals require authors to complete reporting guideline checklists when submitting articles,
  • other journals encourage reviewers to refer to reporting guidelines when completing reviews, and
  • still other journals do not mention reporting guidelines at all.24,25 

Proponents tend to view reporting guidelines as a welcome tool for transparency. Guidelines make basic standards and expectations freely available to all, regardless of publication experience. Guidelines may also improve the quality of scholarship by reducing the omission of key information, a problem noted in several studies that have evaluated published articles for reporting quality.7,26 Reporting key information about a study in a consistent way rewards authors who invest in rigorous methodology.27

[보고지침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작성자와 검토자의 [규범적이고 비판적이지 않은 사용]에 대한 우려를 제기한다.28

  • 보고지침이 보고 "체크리스트"로 전환되면 [창의성이 저해]될 수 있으며, [지침을 준수하는 접근방식이나 기법]이 그렇지 않은 접근방식보다 더 가치가 있음을 암시한다.
  • 보고 지침의 사용은 [가시적 한계(예: 설계 결함, 낮은 응답률)]가 있는 [소규모 연구를 보고하는 자원이 적은 연구자]에게 불리할 수 있다.29
  • 또한 일부에서는 [작성자가 제공하는 정보의 충분성을 평가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 설명을 요청하는 것]이 [전문가 검토자의 의무]이기 때문에, 강력한 피어 리뷰 체계에서 지침이 필요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Those opposed to reporting guidelines raise concerns about their prescriptive and uncritical use by authors and reviewers.28 

  • The conversion of reporting guidelines into reporting “checklists” can inhibit creativity and imply that the approaches or techniques that conform to guidelines are more valuable than those that do not.
  • The use of reporting guidelines may disadvantage researchers with fewer resources who report smaller-scale studies with visible limitations (e.g., design flaws, lower response rates).29 
  • Some also argue that guidelines are not necessary in a robust peer review system, as it is the duty of expert reviewers to evaluate the sufficiency of information provided by authors and request additional clarification as needed.29

편집자들과 평론가들은 [뉘앙스의 필요성]을 인정한다. 의학교육연구의 질적 기준은 생물의학연구의 질적 기준에 큰 영향을 받은 것은 사실이지만, 강력한 사회과학연구의 유입은 

  • 검토자 풀을 다양화했고,
  • 저널 편집팀의 전문성을 확장했으며,
  • 과학의 다양한 철학을 반영하고, 다양한 분야의 방법론을 채택하면서도, 원고의 공정하고 정확한 평가를 보장하는 방법에 대한 많은 논의를 장려했다.


Editors and reviewers appreciate the need for nuance. While it is true that the quality standards for medical education research have been heavily influenced by those of biomedical research, the influx of robust social science research has

  • diversified the reviewer pool,
  • expanded the expertise of journals’ editorial teams, and
  • encouraged many thoughtful discussions of how to ensure fair and accurate evaluation of manuscripts that reflect different philosophies of science and employ methodologies from various disciplines.30

우리의 견해
Our View

학술 의학 편집팀으로서, 우리는 [보고 지침의 현명한 사용]을 지지한다. 저자, 검토자 및 저널 편집자는 명확성과 일관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주어진 연구에서 보고되어야 할 정보를 결정할 때 올바른 판단을 적용해야 한다. 어떤 상황에서는 특정 정보(예: 참가자의 익명성을 훼손할 수 있는 정보, 얻을 수 없거나 특정 연구 설계나 방법론 또는 사용 가능한 자원의 맥락에서 타당하지 않은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결국, [많은 중요한 교육적 연구 문제를 조사하려는 노력]은 [그에 대한 답을 목표로 하는 연구의 양과 질]에 의해 제한된다. 이러한 경우, 새로운 연구는 그 자체의 중요한 방법론적 한계를 가지고 있더라도 문헌에 실질적이고 의미 있게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은 우리 모두가 우리의 지식에 무엇을 더하는지에 비추어 연구를 판단하는 데 열려 있어야 하며, 이 분야의 현재 상태를 고려할 때, 지나치게 엄격할 수 있는 보고 기준만으로 연구를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As the editorial team at Academic Medicine, we advocate judicious use of reporting guidelines. Authors, reviewers, and journal editors must apply good judgment when deciding what information must be reported in a given study to maximize clarity and coherence. In some circumstances, it may be acceptable not to include certain information (e.g., information that would compromise participant anonymity, that cannot be obtained, or that does not make sense in the context of the particular study design or methodology or available resources). After all, efforts to investigate many important educational research questions are limited by the amount and quality of the research that aims to answer them. In these cases, new studies, even with important methodological limitations of their own, can substantially and meaningfully add to the literature. This recognition means that we all have to be open to judging research in light of what it adds to our knowledge and not judging that research only by reporting standards that may be overly stringent given the state of a field.

교육 연구는 축적에 의해 성장하며, 작은 이득도 가치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보고 지침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저자는 훌륭한 기사를 쓸 수 있고 검토자는 훌륭한 리뷰를 완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보고 지침의 사용을 의무화하지는 않지만 보고 지침은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음 섹션에서는 보고 지침을 사용하여 작성자, 검토자 및 편집자를 구상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Education research grows by accretion, and small gains can be valuable. Furthermore, authors may write excellent articles and reviewers may complete superb reviews without using reporting guidelines. We therefore do not mandate the use of reporting guidelines, yet we believe that reporting guidelines have value. In the sections that follow, we describe the ways that we envision authors, reviewers, and editors using reporting guidelines.

작가들
Authors

우리는 저자들이 교육 및 심리학 같은 사회과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침뿐만 아니라, EQUATOR 네트워크에서 승인한 보고 지침에 익숙해지도록 권장한다. [분별적 활용]이란 저자가 보고 가이드라인을 꼼꼼히 검토하고, 작업에 가장 적합한 가이드라인을 선정하고, 특정 가이드라인 항목이 적용되지 않을 때를 자신 있게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저자는 자신의 연구에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정보를 제공하도록 요청받는 경우 항상 검토자와 편집자에게 자신의 근거를 설명할 수 있는 선택권이 있다.
We encourage authors to become familiar with reporting guidelines endorsed by the EQUATOR Network as well as those commonly used in social sciences such as education31–33 and psychology.34,35 Judicious use means that authors review reporting guidelines carefully, selecting the guidelines most appropriate for their work, and confidently deciding when certain guideline items do not apply. Authors always have the option to explain their rationale to reviewers and editors if they are asked to provide information that they think is not appropriate for their study.

간단히 말해서, 우리는 저자들이 연구의 설계, 수행 및 기록 전반에 걸쳐 지침을 리소스로 참조할 것을 권고한다. 우리는 학술 의학에 제출할 때 보고 지침의 사용을 의무화하지 않는다.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새로운 학술적 질문] 또는 [lower-resources 환경에서만 다룰 수 있는 질문]은 보고 지침을 더 겸손하거나 덜 준수할 수 있으며, 그렇다 하더라도 여전히 문헌에 대한 진정으로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다. 저자는 주장이나 해석을 할 때 신중해야 하며 작품의 한계를 분명히 밝혀야 한다. 모든 연구 보고서는 방법론에 대한 설명을 투명하게 해야 한다.

In short, we advise authors to refer to guidelines as a resource throughout the design, conduct, and write-up of a study.28 We do not mandate the use of reporting guidelines for any submission to Academic Medicine. As previously indicated, reports involving novel scholarly questions, or questions that can only be addressed in lower-resources settings, may be more modest or less adherent to reporting guidelines and still represent truly important contributions to the literature. Authors must be careful when making claims or interpretations and should clearly state the limitations of their work. All research reports should be transparent in their descriptions of their methodologies.

연구보고서를 지나치게 표준화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청중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 이 야심찬 목표는 작가, 검토자 및 편집자가 사이에서 [미묘한 균형]을 협상할 것을 요구한다.

  • (1) 연구자의 가정, 접근 방식, 프로세스 및 결과에 대한 명확하고 포괄적인 설명과 
  • (2) 연구자의 성실성, 독창성, 판단력에 대한 존중 

이 균형을 찾는 것은 연구자들이 보건 전문 교육 밖에서 잘 확립된 접근법과 방법론을 그릴 때 특히 중요하다.
The goal is to make research accessible to a diverse audience, not to overly standardize research reports. This ambitious goal requires authors, reviewers, and editors to negotiate a delicate balance between

  • (1) a clear, comprehensive description of the researchers’ assumptions, approach, processes, and findings and
  • (2) respect for researchers’ integrity, ingenuity, and judgment.

Finding this balance is particularly important when researchers draw on approaches and methodologies that are well established outside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리뷰어
Reviewers

우리는 학계 및 과정의 중요한 부분인 [피어 리뷰어의 전문성]에 크게 의존한다. 우리는 원고의 품질을 공정하고 비판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전문 지식을 갖춘 리뷰어를 찾는 데 전념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우리는 보건 직업 교육과 같은 [다학제적 분야의 철학적 지향과 방법론의 넓은 폭]이 모든 연구, 특히 보건 전문직 교육 연구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와 접근 방식을 소개하는 [연구에 대한 내용과 방법론적 전문 지식]을 모두 갖춘 검토자를 식별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는 것을 인식한다.

  • 우리는 [보고 지침]이, 콘텐츠 전문지식을 가질 수 있는 영역에서 [생소한 방법론을 접하는 검토자]에게 [잠재적으로 유용한 리소스]로 보고한다.
  • 우리는 또한 [보고 지침]을, 방법론을 잘 알기 때문에 비전문가 독자에게는 더 많은 설명이 필요한 결정, 절차 또는 용어를 당연하게 여길 수 있는 전문가에게 [유용한 리마인더]라고 본다.

요약하면, 우리는 가이드라인을 검토 프로세스를 표준화, 훼손 또는 비숙련화하려는 시도가 아니라, 리뷰어가 각 원고에 가져오는 탁월한 통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도구로 본다.
We rely heavily on the expertise of peer reviewers, who are a critical part of our scholarly community and process. We are committed to finding reviewers with the necessary expertise to fairly and critically judge the quality of manuscripts. At the same time, we recognize that the breadth of philosophical orientations and methodologies in a multidisciplinary field such as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akes it challenging to identify reviewers with both content and methodological expertise for all studies, especially for studies introducing new ideas and approaches to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

  • We see reporting guidelines as a potentially helpful resource for reviewers who encounter unfamiliar methodology in an area where they may have content expertise.
  • We also see reporting guidelines as useful reminders for experts who may know the methodology well and take for granted decisions, procedures, or terminology that warrant more explanation for nonexpert readers.

In sum, we view guidelines as a tool to enhance the excellent insights that reviewers bring to each manuscript, not as an attempt to standardize, undermine, or de-skill the review process.

특히 학술 의학은 연구 원고에 대한 검토 기준을 제공한다. 검토 기준은 검토자가 원고를 평가하고 저자와 편집자에게 유용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Of note, Academic Medicine provides review criteria for research manuscripts (available at https://store.aamc.org/review-criteria-for-research-manuscripts.html). Review criteria are meant to assist reviewers in evaluating manuscripts and providing helpful feedback to authors and editors.

편집자
Editors

이 저널의 편집팀으로서, 우리는 출판을 위해 받아들여진 원고가 독자들에게 연구의 신뢰성을 판단하고 연구 결과를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한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일부 원고들은 그들의 메시지를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제안된 제한보다 더 많은 단어를 필요로 할 것이며, 우리는 이것을 사례별로 고려할 용의가 있다. 학술 의학에 제출된 모든 원고는 편집 및 직원 팀의 최소 2명의 구성원에 의해 평가됩니다. 우리는 스스로 새로운 방법론에 대해 배우고, 우리가 여러 관점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원고에 대한 어려운 결정에 대해 논의한다. 우리는 저자가 보고 지침을 체크리스트로 사용하도록 요구하지는 않지만, 저자가 자신의 작업에 대한 보고를 최적화했는지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특정 지침을 검토할 것을 권고할 수 있다. 
As the journal’s editorial team, we are committed to ensuring that manuscripts accepted for publication provide readers with the information they need to judge the credibility of studies and make informed decisions about how to use study findings. Some manuscripts will require more words than the suggested limits to convey their messages clearly, and we are willing to consider this on a case-by-case basis. Every manuscript submitted to Academic Medicine is also assessed by at least 2 members of the editorial and staff team. We learn about new methodologies ourselves and discuss challenging decisions about manuscripts to ensure that we bring multiple perspectives to bear. While we do not require authors to use reporting guidelines as a checklist, we may recommend that authors review a particular guideline as a way to ensure that they have optimized the reporting of their work.

요약
Summing Up

보고 지침의 현명한 사용에 대한 우리의 권고가 보건 전문 교육 출판물에서 그러한 지침의 역할에 대한 다른 관점을 통합하기를 바란다. 우리는 보고 지침의 존재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이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을 장려하며, 우리 커뮤니티에서 보고 지침 사용에 대한 사려 깊은 대화를 자극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진행 중인 대화에는 보건 전문 교육 연구를 위한 보고 지침의 유용성과 관련성에 대한 고려가 포함되어야 하며, 이상적으로는 명확한 의사소통을 촉진하고 우리 분야의 엄격함을 증진시키는 보고 지침의 가치에 대한 새로운 연구 기회를 이끌 것이다.
Our recommendation of judicious use of reporting guidelines will, we hope, unify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role of such guidelin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publications. We aim to increase awareness of the existence of reporting guidelines, encourage ongoing education about them, and stimulate thoughtful dialogue about the use of reporting guidelines in our community. Ongoing dialogue must include consideration of the utility and relevance of reporting guidelines for research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ideally, will lead to new opportunities for research on the value of reporting guidelines in fostering clear communication and furthering rigor in our field.

 

 


 

Acad Med2020 Nov;95(11):1619-1622.doi: 10.1097/ACM.0000000000003666.

 

On the Use and Value of Reporting Guidelin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Associate editor, Academic Medicine.

2Deputy editor, Academic Medicine.

3Editor-in-chief, Academic Medicine.

PMID: 33109958

DOI: 10.1097/ACM.0000000000003666

No abstract available

이름에 무엇이 있는가? 질적 서술 다시 보기 (Res Nurs Health. 2010)
What’s in a Name? Qualitative Description Revisited
Margarete Sandelowski*

 

내가 10년 전 '질적 묘사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샌델로프스키, 2000)를 구상하고 썼을 때, 나는 그것을 비판과 해명으로 읽힐 것을 의도했었다. 이 비판은 질적 건강 연구 보고서에서 오늘날에도 여전히 지속되는 상황에 대한 것으로, 이 방법들이 사용된 증거를 보여주는 발견을 만들기 위해 방법(예: 근거 이론, 현상학)을 사용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들을 수행한 사람들이 합법적으로 주장할 수 있는 방법론적 접근법에 대한 해명이었지만, 방법론 텍스트에서 독특한 방법으로 식별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 2000년 기사에서, 나는 질적 기술을 다른 질적 방법과 구별될 수 있고 기초적인 것으로 제시했다. 나는 정성적 연구와 정량적 연구 모두에서 서술의 종류를 간략하게 비교함으로써 해석의 정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서술들을 차별화했다. 또한 표본추출(최대변동), 자료수집(개인 또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 자료분석(질적 내용분석의 변이)에 대한 전형적인 접근방법 등 질적 서술연구의 이론적 위치(자연주의)와 설계특징을 정리하였다.
When I conceived and wrote ‘‘Whatever Happened to Qualitative Description?’’ (Sandelowski, 2000) 10 years ago, I had intended it to be read as a critique and as a clarification. The critique was of the state of affairs that still persists today in reports of qualitative health research, that of claiming to have used methods (e.g., grounded theory, phenomenology) to produce findings that show no evidence these methods were used. The clarification was of a methodological approach that those who conducted such studies could—in many of these instances—legitimately claim, but that is rarely identified as a distinctive method in methods texts. In that 2000 article, I presented qualitative description as both distinguishable from, and foundational to some, other qualitative methods. I differentiated various kinds of description by degree of interpretation by briefly comparing varieties of description in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I also summarized the theoretical location (naturalism) and design features of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including typical approaches to sampling (maximum variation), data collection (individual or focus group interviews), and data analysis (variants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이 기사는 처음 등장한 이후 10년 동안 간호 및 건강 연구소에서 가장 많이 다운로드되고 자주 인용되는 기사 중 하나가 되었다. 이것은 확실히 기쁘지만, 내가 소유하지 않은 방법과 내가 지지하지 않는 합법적인 주장과 관행에 대한 소유권을 나에게 할당하는 것이 잘못 사용되는 것을 일상적으로 보아왔기 때문에 실망스럽기도 하다. 후견의 20/20 비전을 습득한 나는 이러한 오해가 내가 의미하는 바를 충분히 전달하지 못한 것과 질적 연구 방법을 차별화하는 끈질긴 도전 모두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글에서, 나는 주요 오해를 바로잡고 그 근저에 있는 명명 문제를 더 분명히 한다.
In the decade since it first appeared, this article has become one of the most downloaded and frequently cited in
Research in Nursing & Health (see the virtual compendium at http://www.wiley. com/bw/vi.asp?ref¼0160-6891&site¼1). Although this is certainly pleasing, it has also been disheartening as I have routinely seen it misused to assign ownership to me of a method I do not own and to legitimate claims and practices I do not support. Having acquired the 20/20 vision of hindsight, I see that these misuses derive both from my failure adequately to convey what I meant and from the persistent challenge of differentiat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this article, I correct key misconceptions and make more explicit the naming problems at their roots.

오해 수정
CORRECTING MISCONCEPTIONS

[질적 묘사Qualitative Description]는 나만의(또한 다른 사람만의) 방법이 아니다.
Qualitative Description Is Not My (Nor Anyone Else’s) Method

2000년 기사에서 나는 내가 개발한 방법을 발전시키기 위해서가 아니라, [이미 오래 전부터 존재해 온 방법론적 접근법]을 정의하려고 했다. 그것의 다양한 추측과 그것을 특징짓는 샘플링, 데이터 수집 및 데이터 분석 기법의 절충적인 조합을 고려할 때, 질적 기술은 결코 한 사람이 발명한 어떤 방법으로도 묘사될 수 없다. 실제로, 정성적 서술적 연구가 수행되는 방식은 매우 다양하고, 이러한 연구가 전혀 [한정된 실체bounded entity]로 보이지 않는 데 기여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방법]이라고 불리는 모든 엔티티는 다양성(즉, 방법 내 변동의 상당 부분)을 포함한다. 더욱이, 더 넓은 의미에서, 모든 방법은 사용자 손에 달려있다. 즉, 방법이 사용될 때마다 다시 발명된다. 부분적으로는 연구 보고서의 한계 부분에서 분명히 드러나는 연구를 수행하려는 노력에 존재하는 제약 때문에, 그것에 대한 교과서적인 묘사에 완벽하게 부합하는 방법의 실행은 있을 수 없다. 실제로, [순수한 방법]을 구성하는 [한정된 실체bounded entity]라는 것은 없다. 나는 이 기사의 후반부에서 이 주제로 돌아갈 것이다.
In the 2000 article, I sought to define a methodological approach already long in existence, not to advance a method I had developed. Given its various guises and the eclectic combinations of sampling,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techniques characterizing it, qualitative description could never be described as any one method that any one person invented. Indeed, the very diversity in the conduct of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likely contributed to these studies not being seen as bounded entities at all. Yet, all of the entities commonly referred to as methods encompass diversity (i.e., a great deal of within-method variation). Moreover, in a larger sense, all methods become what they are in the hands of users; that is, methods are re-invented every time they are used. Partly owing to the constraints that exist in any effort to conduct research—evident in the limitations section in research reports—there can be no execution of any method that perfectly conforms to any textbook depiction of it. Indeed, there is no
it; there is no bounded entity constituting a pure method. I will return to this subject later in this article.

따라서 연구자가 사용한 방법, 예를 들어 '산델로프스키(2000)'가 묘사한 질적 기술이라고 하는 것은 적절하지만, 질적 기술이라고 하는 것을 '산델로프스키의 방법'이라고 하는 것은 부적절하며, 단순히 [2000년 논문만을 참고한 질적 서술 디자인을 사용했다]고 말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것이다.연구자들은 여전히 샘플링, 데이터 수집 및 데이터 분석 기법의 특정 조합을 적절한 참조와 함께 설명해야 한다. 2000년 기사는 실제 콘텐츠 분석 기법에 대한 설명이 없기 때문에, [내용 분석]을 위한 유일한 참조로 사용될 수 없다. 마찬가지로, 2000년 논문은 이러한 전략에 대한 매우 간략한 개요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되는 특정 샘플링 또는 데이터 수집 전략을 지원하는 데 사용될 수 없다.

Accordingly, although it is appropriate for researchers to refer to the method they used as, for example, ‘‘qualitative description as Sandelowski (2000) described it,’’ it is inappropriate to refer to qualitative description as ‘‘Sandelowski’s method.’’ Moreover, it would not be enough for researchers simply to state that they used a qualitative descriptive design with only a reference to the 2000 article. Researchers would still have to describe the particular combination of sampling,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techniques they used with appropriate references to support those techniques. The 2000 article cannot be used as the sole reference for content analysis as it contains no description of any actual content analysis technique. Similarly, the 2000 article cannot be used to support the particular sampling or data collection strategies used as it offers only a highly abbreviated overview of these strategies.

[질적 서술Qualitative Description]은 데이터 분석 및 해석의 실패를 정당화하지 않는다.
Qualitative Description Does Not Legitimate the Failure to Analyze and Interpret Data

나는 2000년 기사에서 [모든 서술은 필연적으로 해석적이지만 - 인간은 결코 "벌거벗은 순수한 눈으로 바라볼 수 없다" - 질적 서술 연구는 예를 들어 현상학적 또는 이론적 서술보다 덜 해석적]이라고 설명했다. 내가 소통하고자 했던 것은 질적 서술적 연구가 주어진 데이터에 더 가까운, 또는 [데이터-근접한 결과]를 산출한다는 것이었다. 나는 이어서 그러한 발견을 [주제 조사thematic survey]라고 칭하였다(Sandelowski & Barroso, 2007). 질적 건강 연구에서 지배적인 이러한 조사survey는, 예를 들어, [근거이론]이나 [푸코가 영감을 준 담론연구]보다, 훨씬 덜 변형된 데이터의 해석으로 구성된다. 주어진 데이터에 더 가깝지만, 이러한 주제 조사는 여전히 상세하고 미묘한 해석적 산물이다. 나는 이것을 "spin" (이 단어는 '거짓말'의 완곡어로서 더 자주 사용되어, 결과적으로 잘못된 단어 선택이 되었다)과 ["표면" 대 더 침투적인 데이터 읽기]또는 [행 안으로, 사이로, 너머로 읽기]와 반대되는 [행 그 자체로 읽기]에 대한 논의에서 전달하려고 노력했다. 임산부의 우려가 우려에 머무르고(Smeltzer, 1994) 의사의 인식이 지각에 머무른 데이터 근방 해석의 예를 들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우려와 인식은 체면치레, 만연한 문화적 담론에 대한 항의, 일탈 행위의 혐의를 물리치기 위한 도덕적 설명으로 해석적으로 변형되지 않았다.
I stated in the 2000 article that even though description of any kind was unavoidably interpretive— that human beings could never ‘‘look with a naked, innocent eye’’ (Pearce, 1971, p. 4)—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were less interpretive than, for example, phenomenological or theoretical descriptions. What I had intended to communicate was that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produced findings closer to the data as given, or data-near. I subsequently referred to such findings as thematic surveys (Sandelowski & Barroso, 2007). Dominant in qualitative health research, such surveys are composed of interpretations of data that are much less transformed than, for example, grounded theories or Foucault-inspired discourse studies. Although closer to the data as given, these thematic surveys are still detailed and nuanced interpretive products. I sought to convey this in my discussion of ‘‘spin’’ (admittedly an unfortunate word choice as it is used more often as a euphemism for lies), and of ‘‘surface’’ versus more penetrating readings of data, or readings
of lines as opposed to into, between, over, or beyond lines (2000, pp. 335– 336). I cited examples of such data-near interpretations in which pregnant women’s concerns stayed concerns (Smeltzer, 1994) and physicians’ perceptions stayed perceptions (Geller & Holtzman, 1995). These concerns and perceptions were not, for example, interpretively transformed into instances of face-work, or protests against prevailing cultural discourses, or moral accounts to defeat charges of deviant behavior (e.g., Murphy, 1999).

그러한 서술적 연구의 최근 두 가지 예가 RNH 학술지에 발표되었습니다. 아버지 관여에 대한 줄리온, 그로스, 바클레이-맥러플린, 포그(2007) 연구(보고서에는 질적 서술에 대한 언급이 없다), 소아 간호사와 약물 투여에 대한 반 훌레 빈센트와 가디즈(2009)의 명시적 질적 서술적 연구이다. Julion et al. report에서, 비거주 아프리카계 미국인 아버지들의 포커스 그룹 생성 견해는 일반적으로 부권 개입과 특히 자녀에 대한 그들 자신의 개입에 대해 주제별로 분류되고 상세했다. Van Hulle Vincent and Gaddyz 보고서에서는 아동에게 모르핀을 투여하는 것에 대한 두 개의 비넷에 대응한 간호사들의 사고와 실천이 주제별로 그룹화, 계수, 상세 및 비교되었다. 이 두 연구 모두에서, 연구 결과에 대한 분석과 해석은 데이터에 가까운 상태로 유지되었다.
Two more recent examples of such descriptive studies published in
Research in Nursing&Health are the Julion, Gross, Barclay-McLaughlin, and Fogg (2007) study of father involvement (the report of which contains no mention of the phrase qualitative description), and the Van Hulle Vincent and Gaddyz (2009) explicitly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of pediatric nurses’ and medication administration. In the Julion et al. report, non-resident African American fathers’ focus group-generated views of paternal involvement in general and of their own involvement with their children in particular were thematically grouped and detailed. In the Van Hulle Vincent and Gaddyz report, nurses’ thinking and practice in response to two vignettes about administering morphine to children were topically grouped, counted, detailed, and compared. In both of these studies,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findings remained data-near.

해석의 정도에 따라 [다른 종류의 정성적 연구 및 정량적 조사]와 구별하기 위해 노력한 모든 공간에도 불구하고, 나는 정성적 서술적 연구가 [여전히 해석적]이라는 것을 충분히 전달하는 데 실패했다. 양적 연구의 해석적 요소가 양적 연구의 더 큰 투명성, 정밀성 및 객관성에 대한 논의에서 경시되거나 가려지는 경향이 있더라도, 모든 연구는 질적 또는 양적 측면에서 해석을 수반한다는 것이 혼란을 가중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다른 종류의 정성적 연구와 마찬가지로 정성적 서술적 연구가 통계적 분석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도 혼란의 한 원인이 된다. 
Despite (or, perhaps, because of) all of the space I devoted to trying to differentiate—by degree of interpretation—qualitative descriptive from other kinds of qualitative studies and from quantitative surveys, I failed adequately to communicate that qualitative descriptive research is still interpretive. Likely adding to the confusion is that all research, whether qualitative or quantitative, entails interpretation even if the interpretive component of quantitative research tends to be downplayed or masked in discussions of the greater transparency, precision, and objectivity of quantitative research (Kritzer, 1996; Sandelowski, Voils, & Knafl, 2009). Also contributing to confusion is that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like other kinds of qualitative studies) may include statistical analyses.

내가 결코 소통하려고 의도하지 않았던 것은, [질적 서술]이 연구자의 [분석이나 해석을 할 의무를 완전히 없앤다]는 것이다. 2000년 기사의 일부 독자들은 '사건 사실의 일상언어 제시'라는 문구를 마치 연구의 finding을 [면담자료의 무분별하게 선별되고 해석되지 않은 부분(즉 인용)을 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받아들이고 있다. 그들은 다음을 전제한다.

  • (a) 데이터는 데이터 스스로 무언가를 말해준다. 
  • (b) 연구자들은 (목소리를 내지 않는 사람들을 위해) 이러한 데이터가 도출된 참가자를 대변해서는 안 된다. 

What I never intended to communicate was that qualitative description removes the researcher’s obligation to do any analyzing or interpreting at all. Some readers of the 2000 article have taken the phrase ‘‘the presentation of the facts of the case in everyday language’’ (p. 335) to mean the presentation of indiscriminately selected and uninterpreted segments (i.e., quotations) of interview data as if they were findings, on the premises

  • that (a) such data speak for themselves or
  • that (b) researchers should not (in the interests of voicing the voiceless) speak for the participants from whom these data were derived.

그러나 데이터는 결코 스스로를 대변하지 않으며, 연구자들이 데이터를 해석하려고 할 때 비윤리적으로 행동한다는 생각은 [해석의 엄격함, 책임 및 위험을 피하기 위한 핑계]가 될 수 있다. 유감스럽게도, 일부 독자들은 또한 "연구자들이 그들의 데이터에서 멀리 또는 그들의 데이터로 이동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라는 문구를 [사실상 (연구자는) 전혀 움직이지 않는다]는 의미로 받아들였다. 데이터가 단순히 "재생산"되거나 "축하celebrated"될 것이라는 생각만큼 그 당시나 지금이나 내 의도와는 거리가 먼 것은 없다. 질적 서술적 연구를 포함해서, 질적 연구는 항상 어딘가로 이동해야 한다: 연구자들이 그들의 데이터로 무언가를 만드는 것이다.
But, data never speak for themselves, and the idea that researchers are behaving unethically when they seek to interpret those data is too often a pretext to avoid the rigors, responsibilities, and risk of interpretation (Sandelowski, 2004). Regrettably, some readers also have taken the phrase ‘‘do not require researchers to move as far from or into their data’’ (p. 335) to mean virtually no movement at all. Nothing could be further from my intentions then or now than the idea that data are simply to be ‘‘reproduced’’ or ‘‘celebrated’’ (Atkinson, 2005, paragraph 3). Qualitative research, including qualitative descriptive research, always requires moving somewhere: that researchers make something of their data.

질적 서술적 연구는 이론이 없지 않다.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Are Not Atheoretical

질적 연구방법 카탈로그에서 질적 서술적 연구를 최소한의(그러나 여전히) 해석적 연구로 묘사하는 것 외에도, 나는 이러한 연구를 [''최소한의 '이론적']연구라고 묘사했다. 내가 전하고 싶었던 것은 방법의 이론적/철학적 기초(예를 들어, 근거이론의 기초로서의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와 조사 중인 현상에 대한 이론적 지향(예를 들어, 낙인 이론을 통한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 부착성 보기)에 관한 것이었다. 나는 자연주의naturalism를 질적 서술적 연구의 전형적인 이론적 토대로서 간략하게 논하고, 그것을 연구를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진 인공적인 기업artifice-laden에서는 가능한 한 인공적으로 자유로운free of artifice 방식으로 현상을 연구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고 정의했다.
In addition to depicting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as the least (but still) interpretive studies in the catalogu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 described these studies as the ‘‘least ‘theoretical’’’ (2000, p. 337). What I wanted to convey was something about both the theoretical/philosophical foundation of methods (e.g., symbolic interactionism as a foundation for grounded theory), and the theoretical orientation toward the phenomena under investigation (e.g., viewing antiretroviral medication adherence via stigma theory). I briefly discussed naturalism as the typical theoretical foundation for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and defined it as entailing a commitment to studying a phenomenon in a manner as free of artifice as possible in the artifice-laden enterprise known as conducting research.

나는 이제 내가 질적 서술적 연구에서 이론의 역할에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거나, 질적 서술적 연구가 2000년 논문에서 정의된 것처럼 최소한 (배타적이지는 않지만) 자연주의적이라는 것을 충분히 강조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방법과 방법론(method and methodology)이라는 단어]는 [세계에 대한 이해와 그것을 아는 방법]을 포함하며, [이론, 철학 또는 패러다임]으로 다양하게 언급된다. 종종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지만,

  • [방법/방법론]은 탐구를 위한 다소간의 이론적/철학적 방향을 내포하고 있는 반면,
  • [테크닉]방법(샘플링 및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기술)을 운용하기 위한 방식을 내포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방법으로 제시되는 경향이 있지만, [포커스 그룹]은 여러 다른 방법에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포커스 그룹이 그 자체로 구상되고 실행되는 방법, 그리고 포커스 그룹에서 생성된 데이터가 처리되는 방법은 운영을 위해 선택된 방법을 반영해야 한다.
I can see now that I did not give enough attention to the role of theory in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or emphasize enough that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were at the very least (albeit not exclusively) naturalistic as defined in the 2000 article. The words method and methodology entail some understanding of the world and how to know it, variously referred to as theory, philosophy, or paradigm. Although they are often used interchangeably,

  • method/methodology connote some theoretical/philosophical orientation to inquiry, while
  • technique connotes ways to operationalize method (e.g., techniques for sampling and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For example, although it tends to be presented as a method, the focus group can be used to generate data to operationalize different methods; the way a focus group is itself conceived and executed, and the way the data generated from it will be treated, ought to reflect the method it was selected to operationalize.

내가 결코 전하고자 하지 않았던 것은. 질적 서술이 "이론적이거나 규율적인 토대를 완전히 벗긴" 방법이라는 것이다(Thorne, 2008, p. 35). 어떤 종류의 연구도 그렇게 개념적으로 드러날 수 없으며, 심지어 그 보고서에 명시적으로 명시된 "이론"을 제공하지 않는 연구도 있을 수 없다. [질적 서술적 연구]가 ['"표현상에 대한 어떤 단일한 이론적 관점에 대한 선험적 약속을 수반하지 않는다"]고 명시함으로써, 나는 무심코 연구자들이 그들의 질적 연구에 순진하게 접근해야 하고, 선입견 없이 접근할 수 있다는 잘못된, 그러나 끈질긴 개념에 기여했다. 그러나 이론에 대한 헌신이 없다고 해서, 이론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 것은 아니다. 모든 단어는 이론이다. [연구자들이 그들의 주제에 대해 말하는 바로 그 방법]은, 그들이 이러한 성향을 그렇게 제시하든 심지어 그들을 인식하든 말든 상관없이, 그들의 성향을 반영한다. 예를 들어, 상실에 대한 어떠한 명시적인 이론이 없는 경우에도 유산을 손실로 묘사하는 것은 유산을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을 이론화하는 것이다.
What I never intended to convey was that qualitative description was a method ‘‘stripped entirely of its theoretical or disciplinary underpinnings’’ (Thorne, 2008, p. 35). No study of any kind could ever be so conceptually naked, even studies the reports of which offer no explicitly stated ‘‘theory.’’ By stating that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entail ‘‘no a priori commitment to any one theoretical view of a target phenomenon’’ (2000, p. 337), I inadvertently contributed to the mistaken but persistent notion that investigators must and can approach their qualitative studies naively, meaning with no preconceptions. Yet, having no commitment to a theory does not mean not being influenced by theory at all. Every word is a theory; the very way researchers talk about their subject matter reflects their leanings, regardless of whether they present these inclinations as such or even recognize them. For example, even in the absence of any explicit theory of loss or bereavement, to portray miscarriage as a loss is not to define miscarriage, but rather to theorize it.

다음의 두 가지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 열린 마음이지만 연구 분야에 들어가는 선입견(이론적 기울기 포함)을 염두에 두는 것.
  • 머리를 완전히 비워 두는 것. 

[후자]는, 완전히 기능하는 뇌를 가졌다면, 어떤 인간에게도, 그리고 그들이 이미 많이 알고 있거나 혹은 알고 있어야 할 것들을 연구하는 경향이 있는 연구자들에게도, [불가능한 일]이다. Nowhere에서 가지는 관점이라는 것은 없다. 관점을 가진다는 것은 어딘가에 서 있는 것을 의미한다. 질적 연구에 착수하는 연구자들의 의무는 (자신과 타인을 위하여) 연구를 시작할 때 그들이 어디에 있었는지 명시하는 것이다(일반적으로 이론과 경험적 문헌의 검토를 통해 달성된다). 그리고 그들의 추가 조사가 정당하다면 그곳에서 떠날 준비가 되어 있고 기꺼이 떠날 것이다. 질적 기술 연구는 대상 현상에 대한 이론이나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분석하기 위한 틀에서 시작할 수 있지만, 그것이 이 이론이나 틀을 지키겠다는 약속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There is a vast difference between

  • being openminded yet mindful of the preconceptions (including theoretical leanings) one has entering a field of study and
  • being empty-headed, an impossibility for any human being with a fully functioning brain and for investigators who tend to study things about which they already (or should) know a great deal.

There is no such thing as a view from nowhere; having or taking a view means standing somewhere (Haraway, 1991). The mandate for researchers embarking on any qualitative study is to make explicit—for themselves and others—where they were when they began their studies (usually accomplished via a review of theoretical and empirical literature), and to be ready and willing to move away from there if their further investigations warrant it.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may begin with a theory of the target phenomenon or a framework for collecting or analyzing data, but that does not mean a commitment to stay with this theory or framework.

이론은 데이터를 보는 바로 그 방식에서도 나타난다. 알라수타리(1995)는 데이터에 대한 "사실주의"와 "표본주의" 관점을 구별했다.

  • 예를 들어, 인터뷰 데이터의 [사실주의적 관점]은 이러한 데이터가 다소 정확하고 진실된 현실의 지표라고 가정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믿음, 행동 및 사건의 문서적 흔적이며, ["진짜" 진행 중인 것]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질적 내용 또는 주제 분석, 즉 질적 서술적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석 기법은 주로 이러한 사실주의적 관점에 기초한다. 사실주의적 관점은 그것의 "사실성"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는 세계관으로서의 자연주의에 대한 이해와 양립가능하다(Harris, 2003, p. 203; Gubrium & Holstein, 1997 참조).
  • 이와는 대조적으로 [표본]의 관점에서 [인터뷰 데이터는 현실의 지표가 아니라 연구된 현실의 일부], 즉 그 자체가 조사 대상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특정 형태의 담화 분석에서 인터뷰 데이터는 실제 사건이나 경험의 지표가 아니라 자아가 만들어지는 언어 수행으로 취급된다(Hardin, 2001).

Theory appears too in the very way data are viewed. Alasuutari (1995) differentiated between ‘‘factist’’ and ‘‘specimen’’ views of data.

  • For example, a factist perspective of interview data assumes these data to be more or less accurate and truthful indexes of reality ‘‘out there.’’ These data are taken to be documentary traces of beliefs, behaviors, and events, and to convey what is ‘‘really’’ going on. Qualitative content or thematic analyses, the analysis techniques typically used in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are largely based on this factist perspective. The factist perspective is compatible with another understanding of naturalism as a view of the world that does not question its ‘‘facticity’’ (Harris, 2003, p. 203; see also Gubrium & Holstein, 1997).
  • In contrast, from a specimen perspective, interview data are seen not as indexes of reality but rather as part of the reality studied, that is, as themselves objects to be investigated. For example, in certain forms of discourse analysis, interview data are treated not as indices of actual events or experiences, but rather as language performances in which selves are created (Hardin, 2001).

정성적 설명은 기본적Default 또는 구원적Salvage 방법이 아닙니다.
Qualitative Description Is Not a Default or Salvage Method

나는 2000년 기사에서 질적 서술적 연구는 유용한 연구 목적에 도움이 되며, 따라서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당하고 능동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고 말했다. 나는 [잘못 개념화되거나 행해진 연구]에 질적 기술이라고 이름 붙일 의도는 없었다. 2000년 논문은 (논문위원회나 인간 주제와 소통하기 어렵거나, 질적 연구에 익숙하지 않거나, 심지어 연구비 검토 패널을 부여하는 것이 더 어렵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더 해석적인 질적 연구를 수행하지 않는 것을 정당화하기 위해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나는 질적 연구에 대한 지식이 한정되어 있거나, 질적 연구에 대한 반감을 가지고 있거나, 질적 서술을 '가벼운 연구'로 인식하는 청중에게 질적 연구를 더 소비할 수 있도록 하려는 의도는 결코 없었다. 나는 또한 다른 방법의 "co-option"으로서 질적 서술을 만들 의도도 없었다(Barbour, 2003). 또는 그러한 성가신 숫자가 모두 없더라도 정량적 연구와 비슷하게 만들어진 정성적 연구로 묘사할 의도도 없었다.

I stated in the 2000 article that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serve useful research purposes and could, therefore, be justifiably and proactively chosen to fulfill those purposes. I had not intended that studies be named
qualitative description after the fact to give a name to poorly conceived and conducted studies. The 2000 article should not be used to justify not conducting more interpretive qualitative work because that work is deemed harder to do, or harder to communicate to a dissertation committee or to human subjects or grant review panels unfamiliar with or even resistant to qualitative research. I never intended to make qualitative research more consumable by an audience with limited knowledge of and/or antipathy to qualitative research, or qualitative description to be seen as research-light: a drive-by, ‘‘quick fix, data to go, smash-and-grab’’ affair (Atkinson & Delamont, 2006, p. 749). I also did not intend to advance qualitative description as a ‘‘co-option’’ of other methods (Barbour, 2003), or as qualitative research made over to resemble quantitative research, albeit without all those pesky numbers.

이름이 없는 것에 이름 짓기의 문제
THE PROBLEM OF NAMING THAT HAS NO NAME

나는 2000년 기사에서 내 의도를 충분히 전달하지 못했다. 그러나, 또한 그 기사가 만들어낸 오해들의 근원에는 이름을 짓고 방법을 차별화하는 질적 연구의 지속적인 문제가 있다. 질적 기술, 근거 이론, 현상학과 같은 이름들은 서로 명확하게 구별되는 잘 정의된 실체들이 그 안에 상주해야 하는 [경계boundaries]를 시사signal한다. 이 이름들은 분류 체계에 대한 신호이며, 그러한 다른 모든 체계와 마찬가지로, [탐구 세계를 질서화하는 고정된 방법]인 것처럼 취급되는 경향이 있다. 실재적이고 정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실제 효과를 발휘한다(Bowker & Star, 2000).
I failed adequately to convey my intentions in the 2000 article. Yet, also at the root of the misconceptions the article generated is the persistent problem in qualitative research of naming and thereby differentiating methods. Names, such as
qualitative description, grounded theory, and phenomenology, signal boundaries within which well-defined entities clearly differentiated from each other are supposed to reside. These names signal a classification system that, like all such systems, tends to be treated as if it were a fixed way of ordering the world of inquiry. Perceived as real and static, they exert real effects (Bowker & Star, 2000).

나는 현재 "내 연구를 뭐라고 부르느냐"는 질문을 받고 있다. 또는 만약 연구 보고서의 저자가 그것을 "이 연구를 뭐라고 부르느냐?"라고 하지 않았다면, 나는 제임스 미치너의 소설 체서피크(1978)에서 20여 년 전에 베꼈던 몇 구절을 기억한다.
I am recurrently asked, ‘‘What do I call my study,’’ or, if the author of a research report did not name it, ‘‘What do you call this study?’’ I recall some lines I copied more than 20 years ago from James Michener’s novel
Chesapeake (1978):

그러나 그는 항상 노동자가 진정한 숙달에 도달할 수 없는 필수적인 도구가 부족했다. 그는 그가 만들고 있는 부품의 이름을 알지 못했고, 이름이 없으면 예술적으로 불완전했다. 의사, 변호사, 정육점 주인이 그들이 한 일에 대해 구체적이지만 비밀스러운 이름을 발명한 것은 우연이 아니었다. 그 이름을 소유하는 것은 비밀을 아는 것이었다. 정확한 이름을 가진 사람은 새로운 숙련의 세계로 들어가 불가사의한 형제애의 일원이 되었고, 미스터리의 공유자가 되었고, 결국엔 [능력의 수행자performer of merit]가 되었다. 그 이름들이 없다면, 그 사람은 bumbler으로 남았거나, 배를 만드는 것이라면, 단순히 집목공으로 남았을 것이다.
But always he lacked the essential tool without which the workman can never attain true mastery; he did not know the names of any of the parts he was building, and, without the names, he was artistically incomplete. It was not by accident that doctors and lawyers and butchers invented specific but secret names for the things they did; to possess the names was to know the secret. With correct names, one entered into a new world of proficiency, became the member of an arcane brotherhood, a sharer of mysteries, and, in the end, a performer of merit. Without the names, one remained a bumbler or, in the case of boat building, a mere house carpenter (pp. 264–265).

보트 건조에서 조사로 바꾼다면, 연구는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가, 아니면 이름이 없는데도 연구로 간주될 수 있는가?
Moving from boat building to inquiry, can a study be considered credible, or even a study at all, if it has no name?

질적 연구 방법에 대한 교육 텍스트는 이러한 방법들이 서로 [명확한 경계를 갖는 것]으로 묘사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계는 경험적 차이와는 반대로 분석을 나타내기 때문에 [고도로 투과적]이다.

  • 분석적 구별은 교육과 의사소통의 목적을 위해 만들어진다: 연구 방법과 같은 [복잡한 실체의 본질이나 속성을 정의]하는 것이다.
  • 분석적 구별은 [현실에서는 서로를 구별하려는 노력에 저항하는 실체]를 구별하기 위해 만들어진다.

Instructional texts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end to depict these methods as having clear boundaries. Yet, these boundaries are highly permeable because they represent analytic as opposed to experiential distinctions.

  • Analytic distinctions are made for the purposes of instruction and communication: to simplify the essence or defining attributes of complex entities, such as research methods.
  • Analytic distinctions are made to distinguish entities that in real life resist efforts to distinguish them.

예를 들어, 민족학 연구는 종종 "근거 이론화"로 특징지어지며, 이는 다시 "방법론적 해석학"의 한 유형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한 연구는 민족학, 근거 이론, 해석학으로 중 무엇으로 명명되어야 하는가? 민족학 연구는 질병 서술의 유형론과 각 유형이 특정 담론을 수용하거나 항의하는 기능을 하는 과정을 산출할 수 있다. 그러한 연구는 근거 있는 이론, 민족학, 서술 또는 담론이라고 명명될 것인가? 고전 민족학은 종종 질적, 양적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수반하며,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몇 가지 환경에서 행동에 초점을 맞춘다. 그러한 민족지학은 혼합 방법 또는 사례 연구로 명명되어야 하는가? 
For example, ethnographic studies are often characterized by ‘‘grounded theorizing’’ (Hammersley & Atkinson, 2007, p. 166), which, in turn, may be conceived as a type of ‘‘methodical hermeneutics’’ (Rennie, 2000; Rennie & Fergus, 2006). Are such studies to be named
ethnography, grounded theory, or hermeneutics? An ethnographic study may yield a typology of illness narratives and the process by which each type functions to accommodate or protest certain discourses. Is such a study to be named grounded theory, ethnography, narrative, or discourse? Classical ethnographies often entail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nd they are typically focused on actions in one or a few settings. Are such ethnographies to be named mixed-methods or case-study research?

실제로 이러한 이름 중 하나 이상이 허용되거나, 아예 그 어떤 이름도 허용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사회과학 저널에 게재된 민족지학 연구 보고서에서 이러한 연구들이 [이름 없는 상태]로 남아 있는 것을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방법을 강조하는 간호학 저널에 게재된 그러한 연구의 보고서와는 달리, 사회과학 저널에 게재된 보고서는 종종 매우 축약된 방법 섹션을 포함하거나 엔드노트에 나타나는 간단한 설명만 포함한다. 이 보고서들은 대신 소견과 이론적 단계에 초점을 맞춘다. 이름은 [독자의 기대]를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어떤 이름을 선택할지, 또는 이름을 지을지 여부]는 저자가 연구 보고서가 ["어필"하기를 원하는 대상 독자]에게 어떤 신호를 보낼지에 달려 있다(Golden-Biddle & Locke, 1993)

In actual practice any one or more of these names, or even no name at all, might be acceptable. Indeed, in reports of ethnographic studies published in social science journals, it is common to see these studies remain un-named; some form of ethnography is understood to be the method. In contrast to reports of such studies published in nursing journals that emphasize method, reports published in social science journals often contain highly abbreviated methods sections or only brief descriptions appearing in an endnote; these reports are focused instead on findings and their theoretical staging. Because names create reader expectations, the choice of name(s), or whether to name at all, will depend on what authors believe will be signaled to the target audience to which they want their research reports to ‘‘appeal’’ (Golden-Biddle & Locke, 1993).

연구 실천의 실제 세계에서는 방법들이 서로 스며든다; 그것들은 교과서적인 묘사보다 훨씬 더 지저분하기 때문에, 그러한 묘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지시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지저분한 것"을 충분하게 청소하는 것이다. 이는 달리 말하면, 분류하고, 개별 방법 주위에 단단하고 천공되지 않은 선을 그으며, 방법 주위에 단단한 선을 그을 수 있는 것처럼 취급하는 것이다. 비록 이 기사의 범위를 벗어나지만, 심지어 연구를 질적 또는 양적으로 명명하는 것조차도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가능한 경우 그러한 지정은 보다 명확한 지정에 유리하도록 피해야 한다. 예를 들어, 비기술적이고 전혀 정보가 없는 질적 데이터 대신, 표준화된 질문지조차도 "질적" 데이터 수집의 형태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독자는 연구자가 데이터(예: 인터뷰 데이터 필사본, 관찰 필드 노트)를 명명하는 것이 더 낫다(Sandelowski 등, 2009). 그러나, 정성적 또는 정량적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크게 다음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서술적 연구를 신호화하는 가장 좋은 방법일 수 있다.

  • (a) 창발적 설계, 목적적 샘플링, 최소 구조화되고 개방된 데이터 수집 모드, 텍스트 분석 또는
    (b) 고정적 설계, 확률 표본 추출, 고도로 구조화된 데이터 수집 모드 및 폐쇄된 데이터 수집 모드 및 통계 분석에 의해 각각 결정된다.

In the actual world of research practice, methods bleed into each other; they are so much messier than textbook depictions as the purpose of such depictions is to clean up the ‘‘mess’’ (Law, 2004) sufficiently to instruct and communicate: to classify, to draw hard and not perforated lines around individual methods, to treat methods as if hard lines could be drawn around them. Although beyond the scope of this article, even naming research qualitative or quantitative can be misleading. Whenever possible, such designations should be avoided in favor of those that are more explicit. For example, instead of the nondescript and wholly uninformative qualitative data, readers are better served by researchers naming their data (e.g., transcripts of interview data, written field notes of observations) as even standardized questionnaires can be seen as a form of ‘‘qualitative’’ data collection (Sandelowski et al., 2009). Yet, the use of the term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ay simply be the best way to signal descriptive research largely characterized

  • by (a) emergent design, purposeful sampling, minimally structured and open-ended modes of data collection, and textual analyses or
  • by (b) fixed design, probability sampling, highly structured and closedended modes of data collection, and statistical analyses, respectively.

더욱이 질적 연구에서 방법의 분류는 매우 특이하다. 질적 연구에 대한 교훈적인 텍스트의 빠른 숙독이 보여주듯이, [단일한 분류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는다]. 방법들이 서로 관련하여 어떻게 명명되고 정렬되는가, 그리고 어떤 방법들이 어떻게 묘사되는가(즉, 그것이 무엇에 사용되는가, 그것을 어떻게 하는가, 그리고 그것이 다른 방법들과 어떻게 대비되는가)는 [분야에 따라 특화]되어 있고, 또는 [기존의 이론적 또는 정치적 약속]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분류 체계 자체도 이론적/철학적 계통, 방법 또는 기술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근거 이론이 제시되는 방식에 대한 수많은 변형variation과, 근거 이론을 하는 "올바른" 방법과 현상학을 하는 "잘못된" 방법에 대한 종종 격렬한 논쟁을 고려하라. 방법(및 방법론적 엄격성과 전문성을 너무 자주 지나치는 이러한 국경지의 치안 유지) 사이의 경계선을 더욱 복잡하게 만드는 것은, 정성적 연구에서는 방법론적 절차가 [(분석적 통찰력을)] [결정하거나 구성하기]보다는, [촉발]하는 기능이 더 많다는 것이다.
Moreover, in qualitative research the very classification of methods is highly idiosyncratic. As any quick perusal of didactic texts on qualitative research will show, there is no one classification system in play. How methods are named and ordered in relation to each other, and how any one method is depicted (i.e., what it is, what it is used for, howto do it, and howit contrasts with other methods), are discipline-specific and/or influenced by prior theoretical or political commitments. Classification systems can themselves be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they are constructed around theoretical/philosophical lineage, methods, or techniques. Consider too the variations in how grounded theory is presented (Charmaz, 2006; Clarke, 2005; Strauss & Corbin, 1998) and the often strident debates about the ‘‘right’’ way to do grounded theory (Boychuk Duchscher, & Morgan, 2004; Walker & Myrick, 2006) and the ‘‘wrong’’ way to do phenomenology (Crotty, 1996; Darbyshire, 1999; Paley, 2005). Complicating the borderlands between methods (and the policing of these borderlands that too often passes for methodological rigor and expertise) is that in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cal procedures function more to trigger analytic insights than to determine or constitute them (Eakin & Mykhalovskiy, 2003).

이 모든 것이 방법론적 전통에 대한 정의적 속성도, 그것에 대해 만들어질 수 있는 일반화도, 학습되어야 할 서명 연산과 규칙도 없다는 것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이 모든 것이 질적 연구의 수행에 어떤 것이든 진행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정의와 일반화]를 위한 모든 노력(즉, 분류와 이름 지정)과 마찬가지로, 그들은 [방법의 실제 실천의 다양한 변형variation] 및 [방법이 살아있다는 사실]을 잘 포착하지 못한다. 방법은 전기와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근거 이론, 민족학, 임상시험의 역사와 진화를 고려하라. 방법의 수행performance은 항상 "상황에 놓여 있다situated". 방법은 항상 연구 실천의 실제 세계에 수용되고 바로 그 수용으로 인해 재창조되기 때문에, 어떤 방법도 완벽한 실행이란 없다. 민족지학을 "비선형 동적 시스템"으로 묘사하면서, Agar (2004, 페이지 19)는 다음과 같이 관찰했다. 방법론적으로 말하면, 연구는 항상 처음에 예측할 수 없는 방식으로 발전한다. [방법론의 스토리]는 [연구의 스토리]이다.'
All of this is not to say that there are no defining attributes of methodological traditions, nor generalizations that can be made about them, nor signature operations and rules associated with them that should be learned. All of this is not to say that anything goes in the conduct of qualitative research. But, like all efforts to define and generalize—that is, to classify and name—they do not capture well the variations in the actual practice of methods and the fact that methods are alive; methods have biographies and histories. Consider the histories and evolution of grounded theory, ethnography, and the clinical trial. The performance of method is always ‘‘situated’’ (Haraway, 1991). There is no perfect execution of any method as methods are always accommodated to the real world of research practice and, by virtue of that very accommodation, they are reinvented. Describing ethnography as a ‘‘nonlinear dynamic system,’’ Agar (2004, p. 19) observed that: ‘‘methodologically speaking
. . . a study always develops in ways unforeseen at the beginning . . . The story of methodology is (emphasis in original) the story of the study.’’

방법은 실제 연구와 별개로 사용자가 없으면 독립적인 존재가 없다. 방법은, 다른 질적 연구 관행을 구별하는 특정 존재론적 및 인식론적 입장을 부정하지 않는 일반적인 "실천적 인식론"은, 사용자의 손에 있는 것이 된다. Becker는 다음과 같이 관찰했다
Methods have no independent existence without users and apart from actual studies. Methods become what they are in the hands of users, a generic ‘‘practical epistemology’’ (Becker, 1996, p. 57) that does not negate the particular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positions that distinguish different qualitative research practices. Becker observed (p. 57):

많은 에너지가 철학적 세부 사항 때문에 낭비되고 있는데, 이것은 종종 연구자들이 실제로 하는 것과 거의 또는 전혀 관련이 없다. 연구자들은 사회생활의 현실에 적응하면서 이러한 입장을 실천한다. 따라서 그들의 활동은 철학적 입장을 참고하여 완전히 설명되거나 설명될 수 없다.
A lot of energy is wasted hashing over philosophical details, which often have little or nothing to do with what researchers actually do . . . Researchers work these positions out in practice . . . accommodat- (ing) to the realities of social life . . . Their activity thus cannot be accounted for or explained fully (italics added) by referring to philosophical positions.


내가 10년 전에 질적 서술적 연구와 다른 종류의 질적, 정량적 연구 사이에 선을 그은 것은 그저 [선을 긋기 위한 것]이었다. 이 선들은 단순하게 다루어서는 안 될 '단순화 장치simplifying device'였다. 그러나, "색조와 톤"에 관한 섹션에서, 나는 방법론적 국경 통과의 불가피성, 방법의 역동적 특성, 그리고 "지적 장인정신" (Mills, 1959/1978)과 우리의 의지에 굽히는 방법에 관련된 주의를 전달하는 데 있어서 너무 단순했다.
The lines I drew 10 years ago between qualitative descriptive and other kinds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were for the sake of drawing lines; these lines were a ‘‘simplifying device’’ (Mol & Law, 2002, p. 4), not to be treated simplistically. Yet, in the section on ‘‘hues and tones’’ (Sandelowski, 2000, p. 337), I was much too simplistic in communicating the inevitability of methodological border crossings, the dynamic nature of methods, and the ‘‘intellectual craftsmanship’’ (Mills, 1959/1978) and care involved in bending methods to our will.

'광범위 잔여 범주'로서의 질적 서술
QUALITATIVE DESCRIPTION AS A ‘‘DISTRIBUTED RESIDUAL CATEGORY’’

이제 나는 질적 설명이 2000년 기사에서 내가 주장한 범주적 옵션도 아니고, 비 범주적 옵션인 Thorne(2008)이 '해석적 설명'을 설명하고 명명하는 것도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는 질적 서술을 ‘‘distributed residual category’’ 라고 보게 되었다. Bowker와 Star(149–150)는 이렇게 설명했다.
I see now that qualitative description is neither the categorical option I claimed it to be in the 2000 article, nor the noncategorical option Thorne (2008) described and named ‘‘interpretive description.’’ I have come to see qualitative description instead as a ‘‘distributed residual category’’ (Bowker & Star, 2000, p. 149). As Bowker and Star (pp. 149–150) described them:

단순히 쓰레기 분류는 아니다.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광범위 잔여 범주]는, [정확한 지정을 강요하는 것이 (확실성의) 잘못된 인상을 줄 수 있는 상황일 때], 불확실성을 시사한다. 
(far from being mere) garbage categories . . . where things get put that you do not know what to do with, (distributed residual categories) signal uncertainty . . . under conditions where forcing a more precise designation could give a false impression (of certainty).

 

  • 정성적 방법의 분류에서 [광범위 잔여 범주]로서, 질적 설명은 방법의 분류를 구성하는 "작업 관행"을 가시화하고, 이러한 관행으로 인해 "암흑으로 방치된" 모든 것을 밝혀냄으로써, 방법과 탐구에 대한 보다 세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 As a distributed residual category in the classification of qualitative methods, qualitative description makes visible the ‘‘work practices’’ that constitute the classification of methods, brings to light all that is ‘‘left dark’’ (Bowker & Star, 2000, p. 321) by these practices, and thereby enables more finely grained understandings of methods and of inquiry.
  • [광범위 잔여 범주]로서, 질적 서술은 질적 연구 "실천 공동체"로 구성된 "다양한 학자들의 연합"을 신호하여 한 종류의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재고하고 중요한 차이점에 초점을 맞춘다. (예: 샘플링된 사용자 또는 대상, 데이터 처리 방법, 데이터로부터 추론을 도출하는 방법과 관련이 있습니다.)
  • As a distributed residual category, qualitative description signals the ‘‘confederacy of diverse groups of scholars’’ (Preissle, 2006, p. 687) comprising the qualitative research ‘‘community of practice’’ (p. 686) to take stock of what it means to conduct one kind of qualitative research versus another and to focus on the differences that matter (e.g., related to who or what is sampled, to the way data are treated, to the way inferences are drawn fromdata).
  • [광범위 잔여 범주]로서, 정성적 설명은 정성적 설명과 정량적 설명 사이의 다공성 선을 가시화한다. 다양한 종류의 정성적 및 정량적 설명 중. 그리고 아마도, 가장 중요한 것은, 방법의 ''erosion''과 ''재발명'' 사이일 것이다.
  • As a distributed residual category, qualitative description makes visible the porous lines betwee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escription; among different kinds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escription; and perhaps, most importantly, between the ‘‘erosion’’ (Greckhamer & Koro-Ljungberg, 2005) and re-invention of method.
  • [광범위 잔여 범주]로서, 질적 설명은 경험적 연구의 수행에서 방법보다 기술이 계속 우세해야 하는지 여부와 얼마나 우세해야 하는지에 대한 실천 분야에서의 논쟁을 중심에 놓기 위해 움직인다.
  • As a distributed residual category, qualitative description moves to center stage the debate in the practice disciplines about whether and how much technique should continue to prevail over method in the conduct of empirical research (Chamberlain, 2000; Eakin & Mykhalovskiy, 2005; Hammersley, 2006; Rapport, Wainwright, & Elwyn, 2005).

 

결론
CONCLUSION

음, 나는 질적 묘사에 대한 2000년 기사에 대한 답방에서 내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멀리(아마도, 너무 멀리 또는 충분히 멀리 있지 않은) 여행했다. [질적 기술의 모양qualitative description shape]을 주기 위한 나의 노력이 다소 잘못되었다는 것을 이제 알겠다. 방법론적 접근법을 명확히 하는 대신, 2000년의 논문은 질적 연구가 데이터의 해석과 반대로, [단순한 축하celebration만을 포괄할 수 있다는 잘못된 인식]을 강화하는 역할을 했다. 이번 논문은 자주 사용되는 방법론적 접근법에 이름을 붙이는 대신 '명명이 유발할 수 있는 긴장the tensions naming can engender'을 표면화하는 역할을 했다. Bowker와 Star가 결론 내렸듯이, "유일한 좋은 분류는 살아있는 분류"이며, 그 안에 우리의 변화하는 이해를 수용하기 위해 "세상을 재구성"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하도록 구축되는 것이다. [질적 서술qualitative description의 가치]는 그것의 사용이 만들어낼 수 있는 지식뿐만 아니라, [단순한 분류에 저항하는 살아있는 실체]로서 연구 방법을 제시하고 다루는 매개체vehicle로서도 존재한다.
Well, I have traveled much farther than I anticipated (perhaps, too far or not far enough) in my return visit to my 2000 article on qualitative description. I see now that my effort to give qualitative description shape—to remove it from the ranks of what Caelli, Ray, and Mill (2003) referred to as ‘‘generic qualitative research’’— was somewhat misdirected. Instead of clarifying a methodological approach, the article served to reinforce the misconception that qualitative research could encompass the mere celebration, as opposed to interpretation, of data. Instead of giving a name to a frequently used methodological approach, the article served to surface ‘‘the tensions naming can engender’’ (Jutel, 2009, p. 294). As Bowker and Star (2000, p. 326) concluded, ‘‘the only good classification is a living classification,’’ built to contain within it the capacity to ‘‘reconfigure the world’’ to accommodate our changing understandings of it. The value of qualitative description lies not only in the knowledge its use can produce, but also as a vehicle for presenting and treating research methods as living entities that resist simple classification.

 


Res Nurs Health. 2010 Feb;33(1):77-84. doi: 10.1002/nur.20362.

What's in a name? Qualitative description revisited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School of Nursing, 7460 Carrington Hall, Chapel Hill, NC 27599, USA.

PMID: 20014004

DOI: 10.1002/nur.20362

Abstract

"Whatever Happened to Qualitative Description?" (Sandelowski, 2000) was written to critique the prevailing tendency in qualitative health research to claim the use of methods that were not actually used and to clarify a methodological approach rarely identified as a distinctive method. The article has generated several misconceptions, most notably that qualitative description requires no interpretation of data. At the root of these misconceptions is the persistent challenge of defin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Qualitative description is a "distributed residual category" (Bowker & Star, 2000). Cambridge, MA: The MIT Press) in the classification of these methods. Its value lies not only in the knowledge its use can produce, but also as a vehicle for presenting and treating research methods as living entities that resist simple classification.

질적 서술에 무슨 일이 있었는가? (Res Nurs Health. 2000)
Whatever Happened to Qualitative Description?
Margarete Sandelowski*

 

질적 연구자들은 이제 이론적으로나 기술적으로 정교한 방법들의 점점 더 많은 배열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선택권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더 평범하고 상당히 "덜 섹시한"1 방법, 즉 [질적인 묘사]를 부활시키는 것은 이상하게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정성적 기술의 재발견이 필요한 것은 바로 간호 연구에서 [정성적 방법의 복잡성]과 [방법의 횡포]이다.
Qualitative researchers now have the option to choose from an increasing array of theoretically and technically sophisticated methods. Accordingly, it may seem strange to resurrect a plainer and considerably ``less sexy''1 method: namely, qualitative description. Yet it is precisely the increasing complexity of qualitative methods and the tyranny of method in nursing research that makes the rediscovery of qualitative description necessary.

[기술 연구descriptive research]는 일반적으로 정량적 연구 설계 계층에서 가장 낮은 순위에 있는 것으로 연구 텍스트에서 묘사된다. 이 계층 구조에서 예측과 제어를 목표로 하는 "참" 실험은 금본위제이며 다른 모든 설계는 실험적이지 않고 약하다(예: 탤벗, 1995). 정량적 연구를 ''가장 조잡한 형태의 탐구'''로 묘사하는 견해(Thorne, Kirkham, & MacDonald-Emes, 1997, p. 170)는 질적 연구에 종사하는 연구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으며,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은 단순히 묘사 이상의 것으로 그들의 노력을 방어할 의무를 느꼈다. 즉, 그들은 현상학, 근거이론, 민족학, 또는 서사연구로 그들의 작품을 지정함으로써 ''인식론적 신뢰성''(p.170)을 추구했다. 그러나 너무 많은 경우에 이러한 노력은 현상학, 이론, 민족지학 또는 서술적 해석보다는 현상학, 근거이론, 민족지학 또는 서술적 연구에 대한 "가식posturing"를 초래했다(Wolcott, 1992). 아래와 같은 혼란스러운 상황이 존재한다.

  • 최소한의 구조화된 개방형 인터뷰만 포함하면 '서사적' 라고 부른다.
  • 참가자들의 "주관적" 경험에 대한 보고만을 포함하면, '현상학적'이라고 부른다.
  • 서로 다른 민족 집단의 참가자들만을 포함하기만 하면, '민족지적'이라고 부른다.

Descriptive research is typically depicted in research texts as being on the lowest rung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design hierarchy. In this hierarchy, ``true'' experiments aimed at prediction and control are the gold standard and any other design is non-experimental and weak (e.g., Talbot, 1995). The view of description in quantitative research as the ``crudest form of inquiry'' (Thorne, Kirkham, & MacDonald-Emes, 1997, p. 170) likely has negatively influenced researchers engaging in qualitative research, many of whom have felt obliged to defend their efforts as something more than mere description. That is, they have sought ``epistemological credibility'' (p. 170) by designating their work as phenomenology, grounded theory, ethnography, or narrative study. In too many cases, however, this effort has resulted in ``posturing'' (Wolcott, 1992) about phenomenology, grounded theory, ethnography, or narrative study rather than in phenomenologies, theories, ethnographies, or narrative interpretations. A confusing state of affairs exists whereby studies are called

  • narrative, even though they may include nothing more than minimally structured, open-ended interviews;
  • phenomenologic, even though they may include nothing more than reports of the ``subjectiv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or,
  • ethnographic, even though they may include nothing more than participants in different ethnic groups.

실제로, 그것들이 실습을 위한 귀중한 정보를 산출하는 가치 있는 연구일 수 있지만, 이러한 소위 서술적, 현상학적, 민족학적 연구는 종종 서술적, 현상학적, 민족학적 측면과 함께 [질적 서술적 연구]로 더 잘 설명할 수 있다. 나는 나중에 질적 연구의 과장된 주제로 돌아갈 것이다.
Indeed, although theymay undeniably be worthwhile studies that yield valuable information for practice, these so-called narrative, phenomenologic, and ethnographic studies are often better described as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albeit with narrative, phenomenologic, and ethnographic overtones. I will return to the subject of overtones in qualitative research later.

현재 방대한 질적 방법 문헌에서, 다른 질적 방법과 동등한 지위를 갖는 독특한 방법으로서 [질적 묘사qualitative description]에 대한 포괄적인 설명은 없지만, 실천 분야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방법론적 접근법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성적 묘사qualitative description]를 방법론적 곡예에 의존하지 않고 연구자들이 부끄럽지 않게 주장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설명한다. 나의 질적 서술에 대한 발표는 부분적으로 Thorne, Kirkham 및 MacDonald-Emes의 "해석적 서술"(1997)에 대한 통찰력 있는 논의에서 영감을 받았지만, 그 논의와 "방법론적 정통성"에 대한 Thorne의 이전 관련 토론(1991)에서 세 가지 방식으로 출발한다.

  • 첫째로, 나는 질적 설명qualitative description을 조사를 위한 "비범주적 대안"과는 달리 [범주적]으로 본다. 즉, 그 방법은 근거 이론, 현상학 및 민족지학의 새롭고 독특하게 간호된 적응인 것과는 달리 이미 존재하지만 상대적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 둘째, 질적 서술적 연구는 연구자들이 자료에서 멀리 또는 자료로 이동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해석적 서술"보다 [덜 해석적]이라고 본다.
  • 셋째, 개념적이거나 매우 추상적으로 데이터를 렌더링할 필요가 없습니다. 질적 묘사에 대한 나의 묘사는 다른 질적 연구의 ''진입점'''이라기보다는 [그 자체로 완전하고 가치 있는 최종 산물]을 생산하는 것으로 본다는 점에서 아르티니안(1988)의 ''기술적 모드'''에 대한 유용한 논의에서 출발한다. (반면, 그녀는 qualitative description을 근거 이론 탐구의 필수 전주곡으로 제시했다.)

In the now vast qualitative methods literature, there is no comprehensive description of qualitative description as a distinctive method of equal standing with other qualitative methods, although it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employed methodologic approaches in the practice disciplines. Accordingly, in this paper, I describe qualitative description as a method that researchers can claim unashamedly without resorting to methodological acrobatics. My presentation of qualitative description was inspired, in part, by Thorne, Kirkham, and MacDonald-Emes' insightful discussion of ``interpretive description'' (1997), but departs from that discussion and from Thorne's (1991) earlier related discussion of ``methodological orthodoxy'' in three ways.

  • First, I see qualitative description as a categorical, as opposed to ``noncategorical alternative'' for inquiry; that is, the method already exists but is relatively unacknowleged, as opposed to being a new, distinctively nursing adaptation of grounded theory, phenomenology, and ethnography.
  • Second, I see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as less interpretive than ``interpretive description'' in that they do not require researchers to move as far from or into their data.
  • Third, they do not require a conceptual or otherwise highly abstract rendering of data. My depiction of qualitative description departs from Artinian's useful discussion of the ``descriptive mode'' of qualitative inquiry (1988) in that I view it as producing a complete and valued end-product in itself, rather than as an ``entry point'' (p. 139) into other qualitative studies: as she presented it, as a necessary prelude to grounded theory inquiry.

나는 현상학, 근거이론, 민족학 등 다른 종류의 질적 설명과 구별하기 위해, 여기서 제시하는 방법을 [기본적 또는 근본적인 질적 설명qualitative description]으로 지칭한다. 현상학, 기초 이론 및 민족학 연구는 현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기술 영역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불행하게도, 기초, 기본, 표면이라는 단어(이 글의 뒷부분에서 내가 사용하는 단어)는 기초적이고, 피상적이고, 단순하거나, 또는 단지 예비적인 것을 암시한다. 나는 이 단어들을 사용함으로써 한 방법을 다른 방법보다 더 쉽고, 덜 가치 있고, 덜 바람직하거나, 덜 과학적이라고 제시하는 사악한 계층 구조를 결코 강화하고 싶지 않다. 어떤 방법도 절대적으로 약하거나 강하지 않고, 오히려 특정 목적과 관련하여 유용하거나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나는 여기서 정성적 설명qualitative description을 그 자체로 가치 있는 방법으로서 제시한다. 다른 방법과의 비교는 순위나 폄훼가 아닌 조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다.
I refer to the method I present here as
basic or fundamental qualitative description to differentiate it from other kinds of qualitative description, such as phenomenology, grounded theory, and ethnography. Phenomenologic, grounded theory, and ethnographic studies are not exclusively in the descriptive domain, though, as they may also be used to explain phenomena. Unfortunately, the words basic, fundamental, and surface (a word I use later in this article) connote something elementary, superficial, simple, or merely preliminary. In no way do I wish to reinforce, by using these words, those invidious hierarchies that present one method as easier, less valuable, less desirable, or less scientific than another. No method is absolutely weak nor strong, but rather more or less useful or appropriate in relation to certain purposes. Accordingly, I present qualitative description here as a valuable method by itself. Comparisons to other methods are for the purposes ofillumination,not rankingordenigration.

정성적 기술 대 정량적 기술 및 기타 정성적 방법
QUALITATIVE DESCRIPTION VERSUS QUANTITATIVE DESCRIPTION AND OTHER QUALITATIVE METHODS

모든 탐구에는 묘사가 수반되고, 모든 묘사는 해석을 수반한다. 어떤 현상(또는 사건이나 경험)을 아는 것은 최소한 그 현상에 대한 "사실"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그러한 사실들에 의미를 부여하는 특정한 맥락을 벗어난 "사실"은 없다. 설명은 항상 설명자의 인식, 성향, 민감성 및 감성에 따라 달라진다(예: Emerson, Fretz, & Shaw, 1995; Georgi, 1992; Wolcott, 1994). ''Naked, innocent 눈으로 바라보는 순수한 모습은 없다'(Pearce, 1971년, 페이지 4). 그리고 ''무구한 인식'''도 없다(Beer in Wolcott, 1994, 페이지 13). 경험이나 사건을 묘사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은 [그들이 묘사할 것을 선택하고 그것의 특정 측면을 특징짓는 과정]에서 그 경험이나 사건을 변화시키기 시작한다.
All inquiry entails description, and all description entails interpretation. Knowing any phenomenon (or event or experience) requires, at the very least, knowing the ``facts'' about that phenomenon. Yet there are no ``facts'' outside the particular context that gives those facts meaning. Descriptions always depend on the perceptions, inclinations, sensitivities, and sensibilities of the describer (e.g., Emerson, Fretz, & Shaw, 1995; Giorgi, 1992; Wolcott, 1994). ``There is no pure looking with a naked, innocent eye'' (Pearce, 1971, p. 4), and there is no ```immaculate perception''' (Beer cited in Wolcott, 1994, p. 13). Researchers seeking to describe an experience or event select what they will describe and, in the process of featuring certain aspects of it, begin to transform that experience or event.

어떠한 설명도 해석에서 자유롭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현상학적 또는 근거 있는 이론 설명과 반대로, [기본적 또는 근본적인 질적 설명qualitative description]은 낮은 추론 또는 연구자들 사이의 더 쉬운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는 형태의 해석을 수반한다. 비록 한 연구원이 한 여성이 인터뷰에서 보고한 사건들을 두 번째 연구원이 특징지을 수 있지만, 두 연구자 모두, 예를 들어, 그 여성이 화가 났다고 여러 번 진술했고, 그녀 자신이 유방암에 걸렸다는 것을 알고 하루 후에 어머니가 죽었다고 진술했다는 것에 동의할 것이다. 표면적으로 동일한 장면을 묘사하는 두 연구자의 경우, 한 연구자는 방의 공간 배치를 특징지을 수 있고, 두 번째 연구자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특징지을 수 있다. 그러나 두 연구자는 장면의 정확한 표현으로서 서로의 설명에 동의해야 한다. 즉, [추론력이 낮은 서술low-inference description]을 함으로써 연구자들은 설령 서술에 같은 사실을 포함시키지 않더라도 사건의 ``사실"에 더 쉽게 동의할 것이다. (인터뷰 또는 관찰 데이터의 설명 요약의 형태에 관계없이) 설명은 무엇을 설명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자의 선택을 수반한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은 항상 적절한 순서로 사건을 정확하게 전달하거나[서술적 타당성], 그리고 그러한 사건에 기인하는 [참여자의 의미]라는 [해석적 타당성]을 가져야 한다(Maxwell, 1992). 비록 인간은 결코 "거기"에 있는 모든 것을 묘사할 수 없으며 결코 원하지 않을 것이지만, 그들이 묘사하기로 선택한 것은 대부분의 관찰자들이 사실 "거기"에 동의하는 것이 될 것이다.''
Although no description is free of interpretation, basic or fundamental qualitative description, as opposed to, for example, phenomenological or grounded theory description, entails a kind of interpretation that is low-inference, or likely to result in easier consensus among researchers. Even though one researcher may feature the feelings and a second researcher the events a woman reported in an interview, both researchers will likely agree that, for example, the woman stated several times that she was angry and that she stated that her mother died one day after she herself learned she had breast cancer. In the case of two researchers describing ostensibly the same scene, one researcher might feature the spatial arrangement in a room, while the second researcher will feature the social interactions. But both researchers ought to agree with each other's descriptions as accurate renderings of the scene. That is, with low-inference descriptions, researchers will agree more readily on the ``facts'' of the case, even if they may not feature the same facts in their descriptions. Descriptions - whether in the form of descriptive summaries of interview or observation data - entail researchers' choices about what to describe. But these descriptions must always accurately convey events in their proper sequence, or have descriptive validity, and the meanings participants attributed to those events, or have interpretive validity (Maxwell, 1992). Although human beings can never, and will likely never want to, describe everything that is ``there,'' what they choose to describe will be something that most observers would agree is in fact ``there.''

따라서 '(인간의) 인식을 통해 필터링된다'는 점에서 필연적으로 해석적이기는 하지만, 연구자가 개념적, 철학적, 또는 그 밖의 고도로 추상적인 틀이나 체계적 측면에서 사건을 기술하는 것을 의도적으로 선택한다는 점에서 [기본적인 질적 묘사는 해석력이 높지 않다].

  • [질적 서술적 연구]의 서술은 [일상적인 언어]로 사례의 사실들을 제시하는 것을 수반한다.
  • 대조적으로, 현상학적, 이론적, 민족학적, 또는 서술적 서술은 다른 용어로 사건을 나타낸다. 이런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그들이 보고 듣는 것에 그들 자신의 [해석적 스핀]을 더 많이 넣을 의무가 있다. 이 스핀은 부분적으로 이러한 방법론 자체에서 파생됩니다.
    • 근거 이론 연구는 연구자가 데이터를 "조건적/결과적 행렬"에서 요소를 찾고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Strauss & Corbin, 1998, p. 181).
    • 특정 유형의 현상학적 연구는 연구자가 "생활 세계의 실존성"이라는 관점에서 데이터를 찾고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Van Manen, 1990, 페이지 101).

Accordingly, although unavoidably interpretive, in that it is `’filtered through (human) perceptions'' (Wolcott, 1994, p. 13), basic qualitative description is not highly interpretive in the sense that a researcher deliberately chooses to describe an event in terms of a conceptual, philosophical, or other highly abstract framework or system.

  • The description in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entails the presentation of the facts of the case in everyday language.
  • In contrast, phenomenological, theoretical, ethnographic, or narrative descriptions re-present events in other terms. Researchers are obliged to put much more of their own interpretive spin on what they see and hear. This spin derives, in part, from these methodologies themselves.
    • Grounded theory study inclines the researcher to look for, and interpret data as, elements in a ``conditional/ consequential matrix'' (Strauss & Corbin, 1998, p. 181).
    • Certain types of phenomenologic studies incline the researcher to look for, and interpret data in terms of, ``lifeworld existentials,'' such as corporeality and temporality (Van Manen, 1990, p. 101).

이러한 설명은 단순히 [단어와 장면만 읽는 것]이 아니라, [행간을 읽고, 단어와 장면을 초월한 읽기]를 요구하기 때문에 연구자가 데이터 안으로 더 깊이 들어가거나 그 너머로 이동할 것을 요구한다(예: McMahon, 1996; Poirier & Ayres, 1997). 현상학적 연구의 ''순간''에 대한 Wertz'(1983) 분석은 참가자의 사건에 대한 설명에서 연구자의 사건에 대한 현상학적 설명으로 이어지는 연속적인 변화를 잘 보여준다.
Such descriptions require researchers to move farther into or beyond their data as they demand not just reading words and scenes, but rather reading into, between, and over them (e.g., McMahon, 1996; Poirier & Ayres, 1997). Wertz' (1983) analysis of the ``moments'' of a phenomenological study is an excellent demonstration of the successive transformations from a participant's description of an event to a researcher's phenomenological description of that event.

현상학적 또는 근거 있는 이론 설명보다 해석력이 떨어지기는 하지만, [기본적인 질적 서술]은 [정량적 서술]보다 해석력이 더 강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사전 선택된 변수에 대한 공통 데이터 세트를 얻기 위한 조사 또는 기타 사전 구조화된 수단과 이를 요약하기 위한 서술적 통계를 수반한다. [정량적 서술적 연구]는 연구자들이 연구할 변수를 미리 선정하여 연구에 대한 기대의 지평을 설정하고, 일련의 가정을 바탕으로 스스로 통계적 시험 결과로부터 결론을 도출한다는 점에서 해석을 수반한다. 그러나 이는 개념의 운영적 정의와 조사 및 기타 조치의 항목으로서의 표현을 포함하여 이러한 사전 설정된 한계를 벗어나지 않는 일종의 해석이다. 정량적 설명은 참가자가 이벤트에 제공하는 의미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것을 제한한다. 더욱이, 정량적 설명에서, 연구자들은 예상치 못한 것을 위한 여지를 덜 남겨둔다(Becker, 1996, p. 61).
Although less interpretive than phenomenological or grounded theory description, fundamental qualitative description is more interpretive than quantitative description, which typically entails surveys or other pre-structured means to obtain a common dataset on pre-selected variables, and descriptive statistics to summarize them. Quantitative descriptive studies entail interpretation in that researchers set the horizon of expectations for the study by pre-selecting the variables that will be studied, and in that they draw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of statistical tests, which are themselves based on sets of assumptions. But it is a kind of interpretation that does not move beyond these pre-set confines, including the operational definitions of concepts and their representations as items in surveys and other measures. Quantitative description limits what can be learned about the meanings participants give to events. Moreover, in quantitative description, researchers leave less room for the unanticipated (Becker, 1996, p. 61).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은 사건 발생 시 발생하는 모든 요소를 포착할 수 있는 데이터를 최대한 많이 수집하려고 합니다. 그들이 "현장에 있는 한" 그들은 현장에서 무엇을 관찰하든 자료로 간주할 의무가 있다. 정성적 연구자들은 양적 연구자들만큼 쉽게 "데이터로부터 스스로를 절연"할 수 없다(Becker, 1996, p. 56). 비록 ''완전한 묘사는 이룰 수 없는 환상''이지만, 정성적 설명에 대한 [더 완전한fuller 설명]은 한정적이거나 정량적 조사에서 나온 (그들이 종종 인지하는) [엉성한 설명]보다 질적 연구자들에게 더 선호된다. 마지막으로, 정량적 연구에서는 정성적 서술적 연구보다 [탐구(있는 것을 찾아내는 것)]와 [서술(발견된 것을 기술하는 것)] 사이에 더 뚜렷한 선이 그어져 있다.
Researchers conducting qualitative studies want to collect as much data as they can that will allow them to capture all of the elements of an event that come together to make it the event that it is. As long as they are ``in the field,'' they are obliged to consider as data whatever they observe in the field. Qualitative researchers cannot, as readily as quantitative researchers, ``insulate themselves from data'' (Becker, 1996, p. 56). Although ``full description is a will-o'-the wisp,'' the ``fuller'' description of qualitative description is preferable to qualitative researchers than the confined, or (what they often perceive to be the) ``skimpy'' description resulting from quantitative surveys (p. 64). Finally, in quantitative research, there is a sharper line drawn between exploration (finding out what is there) and description (describing what has been found) than in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요약하면, [정성적 기술 연구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는 그러한 사건의 일상적인 용어로 사건에 대한 포괄적인 요약을 제공한다. 그러한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은 다음을 추구한다 

  • 기술적 타당성: 동일한 사건을 관찰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연구자와 참가자 포함)이 동의하는, 사건의 정확한 설명
  • 해석적 타당성: 참가자들이 동의하는 이벤트에 귀속되는 의미에 대한 정확한 설명

In summary,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offer a comprehensive summary of an event in the everyday terms of those events. Researchers conducting such studies seek

  • descriptive validity, or an accurate accounting of events that most people (including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observing the same event would agree is accurate, and
  • interpretive validity, or an accurate accounting of the meanings participants attributed to those events that those participants would agree is accurate (Maxwell, 1992).

[질적 서술적 연구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를 수행하는 연구자는 기초 이론, 현상학, 민족학 또는 서술적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보다 데이터와 단어 및 사건의 표면에 더 가까이 있다. [질적 기술 연구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에서 언어는 반드시 읽어야 하는 해석적 구조가 아니라 의사소통의 수단이다. 그러나 그러한 표면적 판독은 피상적이거나 사소하고 가치 없는 것으로 여겨져서는 안 된다. 나는 여기서 [보고되거나 관찰된 사건]에 대한 [투과의 깊이 또는 주변의 해석 활동의 정도]를 전달하기 위해 '표면'이라는 단어를 의도한다. 사실들을 얻는 것은 사소한 것이거나 쉬운 것이 아니며, 참가자들이 그 사실들에 부여하는 의미들은 그것들을 일관되고 유용한 방식으로 전달한다.

Researchers conducting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stay closer to their data and to the surface of words and events than researchers conducting grounded theory, phenomenologic, ethnographic, or narrative studies. In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language is a vehicle of communication, not itself an interpretive structure that must be read. Yet such surface readings should not be considered superficial, or trivial and worthless. I intend the word surface here to convey the depth of penetration into, or the degree of interpretive activity around, reported or observed events. There is nothing trivial or easy about getting the facts, and the meanings participants give to those facts, right and then conveying them in a coherent and useful manner.

정성기술연구의 설계특성
DESIGN FEATURES OF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정성적 서술적 설계Qualitative descriptive designs]는 전형적으로 절충적이지만 합리적이고 잘 고려된 샘플링, 데이터 수집, 분석 및 재현 기법의 조합이다. 다음 섹션에서는 일반적인 설계 기능에 대해 설명합니다. [질적 설명]은 특히 실무자와 정책 입안자와 특별한 관련이 있는 질문에 대한 솔직하고 대체로 장식되지 않은(즉, 최소한 이론화되거나 변형되거나 회전된) 답변을 얻는 데 적합하다. 이러한 질문의 예는 다음과 같다.

  • 사건에 대한 사람들의 우려는 무엇인가?
  • 사건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예: 생각, 느낌, 태도)은 무엇인가?
  • 사람들이 서비스나 절차를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 누가 언제 서비스를 이용합니까?
  • 어떤 요소들이 사건으로부터의 회복을 촉진하고 방해합니까?

Qualitative descriptive designs are typically an eclectic but reasonable and well-considered combination of sampling, and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re-presentational techniques. In the following sections, I describe typical design features. Qualitative description is especially amenable to obtaining straight and largely unadorned (i.e., minimally theorized or otherwise transformed or spun) answers to questions of special relevance to practitioners and policy makers. Examples of such questions include:

  • What are the concerns of people about an event?
  • What are people's responses (e.g., thoughts, feelings, attitudes) toward an event?
  • What reasons do people have for using or not using a service or procedure?
  • Who uses a service and when do they use it?
  • What factors facilitate and hinder recovery from an event?

이론적/철학적 지향성
Theoretical/Philosophical Orientation

질적 서술적 연구는 그러한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이 기존의 이론적 및 철학적 약속에 의해 가장 방해가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거의 틀림없이 질적 접근의 스펙트럼의 최소 "이론적"이다. 독특한 학문적 전통(예: Lowenberg, 1993)에서 나타나는 특정한 방법론적 틀을 기반으로 하는 현상학적, 근거 있는 이론, 민족학적 또는 서술적 연구와 대조적으로, 질적 서술적 연구는 자연주의 탐구Naturalistic inquiry의 일반적인 원칙에서 도출되는 경향이 있다. 자연주의 탐구는 질적 연구뿐만 아니라, [인간과 동물이 관련된 행동 연구의 형태, 예를 들어, 생태학적 관찰을 포함하는 탐구]의 generic orientation이다. [자연주의 탐구]는 연구에서 이것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자연상태 또는 있는 그대로의 상태에서 무언가를 연구하겠다는 헌신]만을 의미한다(Linkoln & Guba, 1985; Willems, 1967). 즉, 어떤 자연주의 연구에서도 연구할 변수의 사전 선택, 변수의 조작, 대상 현상에 대해 [특정한 하나의 이론적 관점에 대한 선험적 확약이 없다]. 따라서 자연주의 조사자는 대상 현상이 연구 중이 아닌 경우처럼 스스로 나타날 수 있는 기법을 사용할 것이다.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are arguably the least ``theoretical'' of the spectrum of qualitative approaches, in that researchers conducting such studies are the least encumbered by pre-existing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commitments. In contrast to phenomenological, grounded theory, ethnographic, or narrative studies, which are based on specific methodologic frameworks emerging from distinctive disciplinary traditions (e.g., Lowenberg, 1993),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tend to draw from the general tenets of naturalistic inquiry. Naturalistic inquiry is a generic orientation to inquiry that includes not only qualitative research, but also forms of behavioral research involving humans and animals, such as ethological observation. Naturalistic inquiry implies only a commitment to studying something in its natural state, or as it is, to the extent that this is possible in a research enterprise (Lincoln & Guba, 1985; Willems, 1967). That is, in any naturalistic study, there is no pre-selection of variables to study, no manipulation of variables, and no a priori commitment to any one theoretical view of a target phenomenon. Accordingly, the naturalist inquirer will use techniques that allow the target phenomenon to present itself as it would if it were not under study.

색조, 톤, 텍스처. 질적 서술적 연구는 현상학, 기초 이론, 민족학, 서술적 연구와 다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접근법에서 색조, 음색, 질감을 가질 수 있다. 어떤 하나의 질적 접근도 다른 접근의 모양, 소리 또는 느낌을 가질 수 있다. Charmaz(1990)는 그녀의 근거이론 연구를 현상학적 배역을 가지고 있다고 묘사했고, Sandelowski, Holditch-Davis, Harris(1992)는 그들의 근거이론 연구를 현상학적 배역과 서술적 배역을 획득하는 것으로 묘사했다. 실제로 질적 작업은 어떤 방법의 "순수한" 사용이 아니라 [다양한 질감, 톤 및 색조를 가진 방법]의 사용에서 생산된다. 근거이론의 오버톤을 가진 민족지학적 연구도 있고, 민족지학적 오버톤을 가진 근거연구(예: Kittell, Mansfield, & Voda, 1998)가 있다. 
Hues, tones, and textures
.
Although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are different from phenomenologic, grounded theory, ethnographic, and narrative studies, they may, nevertheless, have hues, tones, and textures from these approaches. Any one qualitative approach can have the look, sound, or feel of other approaches. Charmaz (1990) described her grounded theory studies as having a phenomenological cast, and Sandelowski, Holditch-Davis, and Harris (1992) described their grounded theory study as acquiring phenomenological and narrative casts. Indeed, qualitative work is produced not from any ``pure'' use of a method, but from the use of methods that are variously textured, toned, and hued. There are ethnographic studies with grounded theory overtones (e.g. Timmermans, 1997) and grounded theory studies with ethnographic overtones (e.g., Kittell, Mansfield, & Voda, 1998).

따라서, 질적 서술적 연구는 연구자들이 [지속적 비교]와 같은 근거이론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기술을 사용했기에 근거이론의 오버톤을 가질 수 있지만, 그 연구가 [대상 현상의 이론적 렌더링]을 만들어내지는 않을 수 있다(예: Chow, 1998). 일부 정성적 서술적 연구는 연구자들이 특정 단어와 구절 또는 경험의 순간에 진지하게 주의를 기울였기 때문에 서술적 또는 현상학적 색채를 가질 수 있지만, 목표 현상에 대한 [서술적 또는 현상학적 렌더링]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예: Jablonski, 1994). Altheide의 민족지학적 내용분석(1987)은 민족지학적 및 근거 있는 이론이 위에 있는 기법으로서 질적 내용분석(아래에서 더 논의될 것)을 제시한다. 정성적 기술 연구는 또한 페미니즘과 같은 더 큰 패러다임의 음영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ly,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may have grounded theory overtones as researchers may employ one or more techniques associated with grounded theory, such as a form of constant comparison, but not produce any theoretical rendering of the target phenomenon (e.g., Chow, 1998). Some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have narrative or phenomenological hues as researchers might seriously attend to certain words and phrases, or moments of experience, but not produce narrative or phenomenological renderings of the target phenomenon (e.g., Jablonski, 1994). Altheide's description of ethnographic content analysis (1987) present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o be discussed further below) as a technique with ethnographic and grounded theory overtones.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may also have shadings from larger paradigms, such as feminism.

다양한 색조, 톤 및 질감의 연구는 방법이나 기술의 잘못된 참조 또는 오용과 혼동되어서는 안 된다. 연구자들은 그들의 프레젠테이션에 대해 어떠한 것도 이러한 기법을 적절하게 또는 전혀 사용했다는 것을 나타내지 않을 때 이론적 샘플링, 일정한 비교, 서술적 분석 및 현상학적 반성을 사용했다고 주장할 수 있다. 연구자들은 혼합 방법 연구에서와 같이 기술을 명시적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Tashakkori & Teddlie, 1998).
Variously hued, toned, and textured studies are not to be confused with erroneous references to or misuses of methods or techniques. Researchers may claim to have used theoretical sampling, constant comparison, narrative analysis, and phenomenological re
flection when nothing about their presentation indicates they used these techniques appropriately or at all. Researchers may also explicitly combine techniques, as in mixed method studies (Tashakkori & Teddlie, 1998).

샘플링
Sampling

사실상 패튼(1990)이 설명한 [목적적 샘플링 기법]은 정성적 기술 연구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유용한 것은 [최대 변동 표본 추출]로, 연구자들은 광범위한 현상 및 인구 통계학적으로 다양한 사례에 걸쳐, [대상 현상의 공통적이고 고유한 징후]를 탐색할 수 있다(Sandelowski, 1995). 연구자들은 또한 나타나는 경향이 있거나 흔하지 않게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미리 선택된 변수들의 조합을 나타내는 사례(Trost, 1986)를 표본으로 추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정성적 연구와 마찬가지로 목적적 표본 추출의 궁극적인 목표는 연구의 목적을 위해 정보가 풍부하다고 간주되는 사례를 얻는 것이다. 연구자의 의무는 표본 추출 전략을 목적에 합당한 것으로 방어하는 것이다.
Virtually any of the purposeful sampling techniques Patton (1990) described may be used in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Especially useful, though, is maximum variation sampling, which allows researchers to explore the common and unique manifestations of a target phenomenon across a broad range of phenomenally and/or demographically varied cases (Sandelowski, 1995). Researchers may also choose to sample cases to represent a combination of pre-selected variables (Trost, 1986), or typical or unusual cases of a phenomenon, in order to describe it as it tends to appear or uncommonly appears. As in any qualitative study, the ultimate goal of purposeful sampling is to obtain cases deemed information-rich for the purposes of study. The obligation of researchers is to defend their sampling strategies as reasonable for their purposes.

데이터 수집
Data Collection

질적 서술적 연구의 데이터 수집은 일반적으로 [사건이나 경험의 누구, 무엇, 어디서, 또는 그 기본적 성격과 형태를 발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데이터 수집 기법에는 일반적으로 최소에서 중간 정도 구조의 개방형 개인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가 포함된다. 포커스 그룹은 사건에 대한 광범위한 정보를 얻기 위해 질적 연구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는 점에서 정량적 조사의 질적 대응물로 유용하게 볼 수 있다. 데이터 수집 기술은 또한 대상 이벤트의 관찰 및 문서 및 아티팩트의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Data collection in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is typically directed toward discovering the
who, what, and where of events or experiences, or their basic nature and shape. Data collection techniques usually include minimally to moderately structured open-ended individual and/or focus group interviews. Focus groups can usefully be viewed as the qualitative counterpart to the quantitative survey, in that they are typically used in qualitative research to obtain a broad range of information about events. Data collection techniques may also include observations of targeted events and the examination of documents and artifacts.

데이터 분석
Data Analysis

[질적 내용 분석Qualitative content analysis]은 [질적 서술적 연구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에서 [우선되는 전략적 선택analysis strategy of choice]이다. 정성적 내용 분석은 해당 데이터의 정보 내용을 요약하는 것을 지향하는 언어 및 시각적 데이터의 역동적 분석 형태이다(Altheide, 1987; Morgan, 1993). [정량적 내용 분석]은 기존 코드 집합을 데이터에 체계적으로 적용하는 것과 달리, [정성적 내용 분석]은 데이터 파생, 즉 코드도 체계적으로 적용되지만 연구 과정에서 데이터 자체에서 생성된다. 질적 연구는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동시에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이 특징이며, 둘 다 서로를 형성한다. 유사하게, [질적 내용 분석]은 연구자들이 새로운 데이터와 데이터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수용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데이터 처리를 수정하기 때문에 반사적이고 상호작용적이다. 연구자들은 [기존의 코딩 시스템]을 사용하여 정성적 내용 분석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시스템은 데이터에 가장 잘 적합하도록 분석 과정에서 항상 수정되거나 심지어 새로운 시스템을 위해 완전히 폐기될 수도 있다. Miller와 Crabtree(1992년, 페이지 18)는 분석에 대한 이 접근법을 \"템플릿 분석 스타일\"이라고 묘사했다.''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s the analysis strategy of choice in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s a dynamic form of analysis of verbal and visual data that is oriented toward summarizing the informational contents of that data (Altheide, 1987; Morgan, 1993).2 In contrast to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in which the researcher systematically applies a pre-existing set of codes to the dat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s data-derived: that is, codes also are systematically applied, but they are generated from the data themselves in the course of the study. Qualitative research is generally characterized by the simultaneous collection and analysis of data whereby both mutually shape each other.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s similarly reflexive and interactive as researchers continuously modify their treatment of data to accommodate new data and new insights about those data. Although researchers might also begin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with preexisting coding systems, these systems are always modified in the course of analysis, or may even be wholly discarded in favor of a new system, to ensure the best fit to the data. Miller and Crabtree (1992, p. 18) described this approach to analysis as the ``template analysis style.''

양적, 질적 내용 분석 모두 응답 범주별 응답과 참여자 수를 세는 것을 수반하지만, 질적 내용 분석에서 개수는 목적 그 자체가 아니라 목적을 위한 수단이다. 연구자들은 서술적 통계로 데이터를 수치적으로 요약함으로써 "준통계분석 스타일"(Miller & Crabtree, 1992, p. 18)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카운트의 최종 결과는 데이터의 준통계적 렌더링이라기보다는 부분적으로 발견되고 카운트를 통해 확인된 데이터의 패턴이나 규칙성에 대한 설명입니다. 정성적 내용 분석은 매니페스트(예: 빈도 및 평균)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잠재 내용]도 이해하려는 노력이 있다는 점에서 정량적 내용 분석보다 [해석의 영역]으로 더 멀리 이동한다. 그러나 [정성적 내용 분석]은 자체적인 용어 외에 다른 용어로 데이터를 재표현할 권한이 없다는 점에서 [질적 분석 접근법 중 가장 해석성이 낮다]. 예를 들어, Smeltzer(1994)는 다발성 경화증을 앓고 있는 임산부의 우려를 질문하고 이러한 우려를 분류하기 위해 그녀의 연구 결과를 정리함으로써 설명하였다. Geller와 Hotzman(1995)은 포커스 그룹에서 이 정보를 도출한 후 그들의 인식을 요약함으로써 유전자 검사에 대한 의사의 인식을 기술했다. 이러한 연구에서 우려는 우려로, 인식은 인식으로 남았다. 예를 들어, 그것들은 이론의 차원에서 [어떤 사건의 조건이나 결과]가 되지 않았고, 서사적 렌더링이라는 차원에서 자아를 "전략적"으로 표현하지 않았다(Riessman, 1990).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es entail counting responses and the numbers of participants in each response category, but in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counting is a means to an end, not the end itself. Researchers may use a ``quasi-statistical analysis style'' (Miller & Crabtree, 1992, p. 18) by summarizing their data numerically with descriptive statistics. But the end result of counting is not a quasistatistical rendering of the data, but rather a description of the patterns or regularities in the data that have, in part, been discovered and then confirmed by count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oves farther into the domain of interpretation than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in that there is an effort to understand not only the manifest (e.g., frequencies and means), but also the latent content of data. Yet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s the least interpretive of the qualitative analysis approaches in that there is no mandate to re-present the data in any other terms but their own. For example, Smeltzer (1994) described the concerns of pregnant women with multiple sclerosis by asking them about their concerns and then organizing her findings to catalog these concerns. Geller and Hotzman (1995) described physicians' perceptions concerning genetic testing by eliciting this information from them in focus groups and then summarizing their perceptions. In these studies, concerns remained concerns and perceptions remained perceptions. They did not become, for example, conditions for or consequences of some event in a theory, nor a ``strategic'' representation of self in a narrative rendering (Riessman, 1990).

데이터 재표시
Data Re-Presentation

질적 서술적 연구의 예상 결과는 [데이터에 가장 잘 맞는 방식으로 구성된 데이터의 정보 내용을 직접 서술적으로 요약]한 것이다. 예를 들어, Smeltzer(1994)는 임신 기간별로 요약을 정리했다. 즉, 그녀는 다발성 경화증을 가진 여성의 임신 관련 우려를 임신 전, 태반 전, 부분 내 및 출산 후 나타나는 것으로 묘사했다. Geller와 Holtzman(1995)은 정보를 도출한 주요 주제를 반영하는 두 가지 주요 범주로 요약을 구성했다. (a) 공개, 비지향성, 기밀성, 그리고 이러한 인식의 성별과 특수성 차이, 그리고 (b) 장벽과 통합 동기에 대한 인식.신뢰도, 자금 조달, 환자 수요, 그리고 이러한 인식의 성별과 전문성 차이를 포함한 1차 진료 관행에 대한 넷틱 테스트. 데이터를 배열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a) 사건의 실제 또는 역순, (b) 가장 널리 퍼진 주제, (c) 연구자가 사건의 광범위한 맥락을 설명하는 것에서 특정 사례로, 또는 특정 사례에서 광범위한 맥락을 설명하는 것으로 선택하는 점진적 집중, (d) 일, 주, 월 또는 연도-가 있다.실제 인(들)의 생활 내 접근, 그리고 (e) 동일한 사건이 둘 이상의 참가자의 관점에서 설명되는 라쇼몬 효과(Sandelowski, 1998; Wolcott, 1994, p. 17.
The expected outcome of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is a straight descriptive summary of the informational contents of data organized in a way that best fits the data. For example, Smeltzer (1994) arranged her summary by time in pregnancy; that is, she described the pregnancyrelated concerns of women with multiple sclerosis as they appeared pre-conceptionally, antenatally, intrapartally, and post-delivery. Geller and Holtzman (1995) arranged their summary in two major categories re
flecting the major topics about which they elicited information:

  • (a) perceptions of obligations for disclosure, nondirectiveness, confidentiality, and the gender and specialty differences in these perceptions and
  • (b) perceptions of barriers and incentives to incorporate genetic testing into primary care practice, including confidence, financing, patient demand, and, again, the gender and specialty differences in these perceptions.

Other ways to arrange data include:

  • (a) actual or reverse chronological order of events;
  • (b) most prevalent to least prevalent theme;
  • (c) progressive focusing, whereby researchers choose to move either from describing the broad context of an event to particular cases, or from particular cases to the broad context;
  • (d) a day-, week,month-, or year-in-the life approach of actual person(s); and,
  • (e) the Rashomon effect, whereby the same event is described from the perspective of more than one participant (Sandelowski, 1998; Wolcott, 1994, pp. 17±23).

그러한 요약은 (표면과는 달리) 데이터의 더 침투적인 재표현에 쉽게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정성적 서술적 연구가 방법론적으로 "좋다"거나 실질적으로 가치가 있다고 간주되기 위해서는 필요하지 않다. 예를 들어, 라쇼몬 효과 접근법은 동일한 사건에 대한 다른 참가자의 버전에 대한 추가 연구자 해석에 적합하지만, 정성적 기술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는 이러한 버전을 포괄적이고 정확하게 설명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요약은 주로 최종 제품으로서, 둘째, 추가 연구를 위한 진입점으로서 가치가 있다.
Although such summaries might easily lend themselves to more penetrating (as opposed to surface) re-presentations of data, these are not required for a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to be considered methodologically ``good'' or practically valuable. For example, the Rashomon effect approach lends itself to further researcher interpretations of different participants' versions of the same event, but the mandate for the researcher conducting a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is comprehensively and accurately to detail these versions. Accordingly, such summaries are valuable primarily as end-products and, secondarily, as entry points for further study.

[수집된 데이터를 가장 잘 포함하고, 목적한 청중과 가장 관련성이 높은 방식으로 구성된 사건에 대한 설명적 요약] 이외의 어떤 것도 생산해야 할 의무는 없다. 그러나 이러한 요약은 그 자체로 미래의 기초 이론이나 현상학 연구를 위한 작업 개념, 가설 및 주제적 순간을 산출하거나, 그 자체로 초기 버전을 포함할 수 있다.
There is no mandate to produce anything other than a descriptive summary of an event, organized in a way that best contains the data collected and that will be most relevant to the audience for whom it was written. But such summaries may themselves yield the working concepts, hypotheses, and thematic moments for future grounded theory or phenomenologic study, or themselves contain early versions of them.

결론
CONCLUSION

결론적으로 [질적 서술적 연구]는 [현상에 대한 직선적 묘사]를 원할 때 선택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연구는 특히 누가, 무엇을, 어디서 일어났는지 알고 싶어하는 연구자들에게 유용하다. 모든 질적 연구 접근법의 기초가 되지만, 질적 서술적 연구는 그 자체로 가치 있는 방법론적 접근을 구성한다. 연구자들은 그들의 방법을 [정성적 기술qualitative description]이라고 명명하는 것에 부끄러워하지 않아도 된다. 만약 그들의 연구가 다른 방법의 과장된 톤으로 디자인되었다면, 그들은 이러한 다른 방법들을 부적절하게 명명하거나 구현하는 대신, 이러한 과장된 톤들이 무엇이었는지를 설명할 수 있다. 그래서, 질적인 묘사는 어떻게 되었나요? 그 방법은 살아있지만, 질적 연구의 가치 있고 독특한 구성 요소로 재발견되고 건강 과학 연구를 위해 복구되면 된다.
In conclusion, the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is the method of choice when straight descriptions of phenomena are desired. Such study is especially useful for researchers wanting to know the
who, what, and where of events. Although foundational to all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comprise a valuable methodologic approach in and of themselves. Researchers can unashamedly name their method as qualitative description. If their studies were designed with overtones from other methods, they can describe what these overtones were, instead of inappropriately naming or implementing these other methods. So, whatever happened to qualitative description? The method is alive and well, but needs only to be re-discovered as a valuable and distinctive component of qualitative research and recovered for health sciences research.

 


 

Res Nurs Health. 2000 Aug;23(4):334-40. doi: 10.1002/1098-240x(200008)23:4<334::aid-nur9>3.0.co;2-g.

Whatever happened to qualitative description?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7640, Carrington Hall, School of Nursing, Chapel Hill, NC 27599, USA.

PMID: 10940958

DOI: 10.1002/1098-240x(200008)23:4<334::aid-nur9>3.0.co;2-g

Abstract

The general view of descriptive research as a lower level form of inquiry has influenced some researchers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to claim methods they are really not using and not to claim the method they are using: namely, qualitative description.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have as their goal a comprehensive summary of events in the everyday terms of those events. Researchers conducting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stay close to their data and to the surface of words and events. Qualitative descriptive designs typically are an eclectic but reasonable combination of sampling, and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re-presentation techniques.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is the method of choice when straight descriptions of phenomena are desired.

질적연구를 할 때 성찰성적(reflexive)으로 하는 방법(Clin Teach. 2020)
How to ... be reflexive when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Aileen Barrett1 , Anu Kajamaa2 and Jenny Johnston3

 

 

서론
Introduction

위의 반사적 진술은 이 일련의 '어떻게…' 기사의 저자로서 우리의 위치를 설명합니다. 우리의 관점에서 반사적인 것은 무엇보다도 질적인 연구와 임상 실습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과정이다.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고, 신뢰도, 신뢰성, 이전성, 확인성 등 출판의 5가지 품질 기준 중 하나로 꼽힌다. 이 기사에서는 반사 및 반사성의 개념을 살펴보고, 연구자 및 임상의로서 연구 과정을 살펴보고 반사성이 연구와 실천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방법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The reflexive statement above describes where we are positioned as authors of this series of ‘How to …’ articles. Being reflexive is, from our perspective, first and foremost a critical process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qualitative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It enhances the trustworthiness of the study and is considered one of five quality criteria for publishing, including credibility, dependability, transferability and confirmability.1 In this article, we will explore the concepts of reflection and reflexivity, and focus on how you as a researcher and a clinician can examine your research process and consider the impact of reflexivity on the quality of your research and practice.

성찰인가, 성찰성인가?
Reflection or reflexivity?

[성찰]은 교육 문헌, 조직적 학습과 변화, 그리고 건강 관리에서 흔히 언급되는 개념이다. 미국의 교육개혁가 존 듀이는 성찰을 '성찰을 뒷받침하는 근거와 그 근거가 되는 추가적인 결론에 비추어 어떤 신념이나 가정된 형태의 지식에 대한 적극적이고 지속적이며 신중한 고려'라고 정의했다. 반성을 통해, practitioner은 실천의 반복적인 경험에 대한 암묵적인 이해를 재고하도록 장려되고, 상황에 대한 새로운 감각을 만들 수 있으며, 이는 결국 그들이 새로운 경험을 얻을 수 있게 한다.
Reflection is a common concept in educational literature, organisational learning and change, and in health care. John Dewey, an American educational reformer, defined reflection as ‘active, persistent and careful consideration of any belief or supposed form of knowledge in the light of the grounds that support it, and the further conclusions to which it tends’.2 Through reflection practitioners are encouraged to rethink their tacit understanding of the repetitive experiences of a practice, and can make new sense of situations, which in turn may allow them to gain new experience.3

쇤의 행동과 성찰의 세 가지 수준은 의료 전문가들에게 친숙하다.
Schön's three levels of action and reflection are familiar to health care professionals:3, 4

  • '행동 중의 앎'은 직관적으로 행하는 실무자를 나타낸다.
  • '행동 중 성찰'은 무언가를 하는 때에 실천(함doing)의 변화 과정과 실천에 대한 성찰이다.
  • '행동 후 성찰'은 소급적 과정입니다. 우리는 실천 밖에 서서 강점과 개발 영역을 검토합니다.
  • ‘knowing in action’ represents the intuitively acting practitioner;
  • ‘reflecting in action’ is a change process of practising (doing) and reflecting upon practice when doing it; and
  • ‘reflection on action’ is a retrospective process – we stand outside our practice and review it for strengths and areas for development.

의식적으로, 집단적 성찰은 직장에서 발전과 학습의 필수적인 부분이며, 임상 작업장과 연구 맥락 모두에서 업무의 공동 구축과 재구성의 일부로 볼 수 있다. 성찰은 언제나 [일이 일어나는 맥락]과 관련하여 고려된다는 것을 강조할 가치가 있다.
Conscious, collective reflection is a necessary part of development and learning at work5 and can be seen as part of the co-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work,6 both in clinical workplaces and in research contexts. It is worth emphasising that reflection is always considered in relation to the context in which the work takes place.6, 7

그러나 [반사성]은 우리가 다른 사람들과 교류하고 경험에 대해 이야기할 때, [우리의 이해와 사회적 현실을 지속적으로 구성(그리고 전환)하기 위한 반성을 포함하는 지속적인 과정]이다. [반사성]은 우리의 [태도, 가정, 관점 및 역할]에 대해 [질문하고, 검토하고, 수용하고, 명확히 하는] 이 [연속적인 과정]을 통해 현상에 도전한다.
Reflexivity, however, is an ongoing process that involves reflection to continuously construct (and shift) our understanding and social realities as we interact with others and talk about experience.8 Reflexivity challenges the status quo through this continuous process of questioning, examining, accepting and articulating our attitudes, assumptions, perspectives and roles.9

반성의 개념은 종종 '반사성'의 개념과 동의어로 사용된다. 그러나 반사성은 실제로는 [성찰(그리고 그 결과, 즉 그 반사의 결과로 발생하는 정의된 행동)과 재귀성]의 조합이며, 여기서 우리는 맥락 속에서 그 결과를 고려한다. 예를 들어, 우리는 설정, 조치를 수행하는 사람들, 그리고 팀 역학이 연구 결과를 형성하는 방법을 고려한다. 

The notion of reflection is often used synonymously with the concept of ‘reflexivity’; however, reflexivity is actually a combination of reflection (and its outcome, i.e. a defined action that comes about as a result of that reflection) and recursivity, where we consider those outcomes in context. For example, we consider the setting, those performing the action and how team dynamics shape the outcomes of a research study.6, 10

무엇을 반사적으로 생각해야 할까요?
What should i be reflexive about?

연구는 항상 연구과정 전반에 관련된 요소들과 이러한 맥락에서 연구자의 입장과 영향력을 포함하여 많은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영향과 가정]의 [의도된 결과와 의도하지 않은 결과]와 함께, 이를 [명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연구 과정에 대한 [숙고적이고 반사적인considered and reflexive 접근법]의 특징이다. 정량적 연구에서 그러한 영향은 때때로 [편향]이라고 불린다. 질적 연구에서, 우리는 biases가 [반사적으로 연구에 포함되는 한 그것을 환영]한다. 모든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의제agenda를 제시합니다. 즉, 답해야 할 연구 질문을 말한다. 당신이 이것을 어떻게 하기로 선택했는지와 당신이 사용하는 방법은 당신이 지식과 세상을 보는 방식과 크게 관련이 있다.

  • 당신은 하나의 현실(실증주의)이 존재하는 상황의 '진실'을 찾기 위해 연구가 필요하다고 느끼는가,
  • 아니면 현실과 사람들의 경험의 상대적인 회색 영역 안에서 살 수 있는가?

후자의 경우, [사회적 구성주의]는 지식이 다른 문화적, 역사적 맥락 안에서 다르게 '구성'된다는 것을 인정한다.
Research is always influenced by a number of factors,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research process as a whole and the researcher's position and influence in this context. Explicitly describing this, along with the intended and unintended consequences of these influences and assumptions, is the mark of a considered and reflexive approach to the research process. In quantitative research, such influences are sometimes labelled biases; in qualitative research, we welcome them so long as they are reflexively included in the research. Every researcher sets out with an agenda: that is, a research question that needs to be answered. How you choose to go about this and the methods you use are to a large extent related how you view knowledge and the world.

  • Do you feel that research is needed to find the ‘truth’ of a situation, in which there is one reality (positivism),
  • or can you live within a grey area in which reality is relative to the experiences of a group of people?

In the latter case, social constructivism acknowledges that knowledge is ‘constructed’ differently within different 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s.11

[위치Position]는 연구 참여자 또는 연구 맥락과 관련된 연구자의 위치position를 말한다. 예를 들어, 당신이 어떤 현상에 대한 GP 연수생의 관점을 탐구하는 일반의(GP) 연수생(등록관 또는 거주자)이고, 이것이 당신이 직접 경험한 것이라면, 당신은 '내부 연구자'로 간주될 것이다. 그러나 동일한 현상에 대한 자격을 갖춘 GP의 관점을 탐구하는 GP 훈련생으로서, 당신은 '외부자' 연구원이지만, 예를 들어, 비의료 연구자보다 그 현상이 경험하는 맥락을 더 깊이 이해한다. 특정 현상과 그 현상에 대한 심오한 이해가 연구의 이론적 부분과 경험적 부분을 연결하는데 장점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내부자 입장은 진정한 강점이 될 수 있다. 연구 그룹의 참가자들과 임상의들은 또한 다른 입장을 가질 수 있다. 질적 연구에서, 우리는 이러한 다양한 목소리를 인식하고 환영하며, 종종 우리의 연구에서 그들이 들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열심히 노력한다.
Position refers to the researcher's position relative to the research participants or the research context.12 For example, if you are a general practitioner (GP) trainee (registrar or resident) exploring GP trainees’ perspectives on a phenomenon, and this is something that you have experienced yourself, you would be considered an ‘insider researcher’. As a GP trainee exploring qualified GPs’ perspectives on the same phenomenon, however, you are an ‘outsider’ researcher, but with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in which the phenomenon is experienced than, for example, a non-medical researcher. This insider position can be a real strength, as profound understanding of a particular phenomenon and the context in which it occurs can be an advantage in connecting the theoretical and the empirical parts of the study. The participants of a research group and clinicians may also have different positions. In qualitative research, we recognise and welcome this multiplicity of voices, and often work hard to help them to be heard in our research.

왜 특정 연구문제와 이론적 렌즈, 그리고 이와 관련된 방법들을 선택했는지 되돌아보는 것도 중요하다. 당신은 당신의 학문적 훈련을 바탕으로 이 주제에 대해 확실한 견해를 가지고 있습니까? 기본 원칙으로서, 우리의 [기본 가정]은 항상 우리의 [입장]을 명확히 하는 일부로서 [독자에게 설명]되어야 한다. 만약 우리가 특정한 이론을 사용하고 있다면(교육 연구에서 이론으로 시작하는 방법에 대한 우리의 이전 기사를 참조하라) 우리는 이것을 간단한 용어로 소개할 필요가 있다. 렌즈와 위치가 다르면 데이터 세트, 분석 절차, 결과에 대한 해석도 달라진다. 또한, 독자는 해석이라는 또 다른 레이어를 추가할 것이다. '최종 제품'을 출판하는 것은 실제로 또 다른 대화의 시작에 불과하다. 이것은 임상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환자와 대중의 참여]가 의학 교육에서 동등하게 중요한 한 가지 중요한 이유이다. 
It is also important to reflect on why you've chosen a particular research question, theoretical lens and its associated methods. Do you have a certain view on this topic based on your academic training? As a ground rule, our underlying assumptions should always be explicated to the reader, as part of making our position clear. If we are using a particular theory (see our previous article on how to get started with theory in education research) then we need to introduce this in simple terms.13 Different lenses and positions will give different sets of data, different analytical procedures and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results. Additionally, the reader will add another layer of interpretation; publishing the ‘final product’ is really just the start of another conversation. This is one important reason why patient and public involvement is equally as important in medical education as it is in clinical research.

반사성은 우리의 입장이 항상 명확하지 않을 수 있고, 때때로 우리는 우리 자신의 편견과 문화적 맥락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해 알지 못하기 때문에 필수적이다. 따라서 끊임없이 반사적인 자세를 갖고, 우리 자신의 근본적인 관점을 이해하고 명확히 하기 위해 도전하는 것은 질적 연구에서 엄격함의 중요한 부분이다. 라마니 등은 연구자가 연구를 수행할 때 선택하는 주요 요점과 연구자가 이러한 결정에 영향을 고려하도록 보장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유용한 인포그래픽을 제작했다. 
Reflexivity is essential because our own position might not always be clear to us, and because we are sometimes unaware of our own prejudices and relationship with our cultural contexts and settings.9 Thus, being continually reflexive and challenging ourselves to understand and make clear our own underlying perspectives is an important part of rigour in qualitative research. Ramani et al. have produced a helpful infographic that illustrates the key points at which researchers make choices when conducting a study and how to ensure that researchers consider the influences in those decisions.14

우리는 반사적인 글쓰기를 보여주는 두 가지 참고 자료를 포함했다. 첫 번째 글에서 주요 저자는 의료 교육생의 직장 기반 평가(WBA) 경험을 탐구할 때 '내부 연구자'로서의 그녀의 위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이 경우, 그녀의 업무는 대학원 교육에서 새로운 WBA 도구를 구현하는 것을 포함했다. 그녀의 연구 관심은 훈련생의 학습 궤적에 대한 이러한 이니셔티브의 영향에 집중되었다. 
We have included two references demonstrating reflexive writing.15, 16 In the first article the lead author details her position as an ‘insider researcher’ when exploring the workplace-based assessment (WBA) experiences of medical trainees.15 In this case her job involved implementing new WBA tools in postgraduate training; her research interest centred around the effect of these initiatives on the learning trajectory of trainees.


[반사적reflexively]으로 글을 쓸 때는 반사적 연구 일지를 쓰고, 팀원들과 정기적으로 만나 반사적 토론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종 연구 보고서에서 독자에게 자신의 연구에 대한 '이야기'와, 연구팀의 positionality를 알려줄 수 있습니다. 또한 독자들에게 어떻게 해석이 형성되었는지, 예를 들어 필드 노트에 대한 성찰이 연구의 작성과 결론에 영향을 미쳤는지 말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두 번째 기사는 연구 과정 전반에 걸쳐 짜여진 반사성의 예를 제공한다. 방법론적 선택의 이유가 논의되고, 연구에 앞서, 주요 저자는 자신의 입장과 가정을 고려하고 기록하여, 그녀가 전체 연구와 작성 과정 동안 지속적으로 해당 문서를 참조할 수 있도록 했다.
In writing reflexively, it is important to keep a reflexive research diary, and to meet regularly with team members for reflexive discussion. In the final research report, you may choose to tell the reader the ‘story’ of your research and the positionality of the research team. It is also important to tell your reader how interpretations were formed and any reflections, for example, on your field notes, that influenced the write-up and conclusions of your study. The second article provides an example of reflexivity woven throughout the research process: reasons for the methodological choices are discussed and, prior to the study, the lead author considered and wrote down her own position and presumptions, allowing her to continually refer to that document throughout the entire research and writing process.16

결론들
Conclusions

우리는 질적 연구의 질을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과정으로서 반사성을 증진시키고자 한다. 반사적인 연구자가 되는 것은 여러분이 연구 과정의 각 단계에서 여러분의 [선택을 신중히 고려]하고, [독자들에게 분명히 말]하고, 또한 여러분 자신과 [상충될 수 있는 대안적인 관점을 고려]한다는 것을 보장한다. 어떤 패러다임에서든 좋은 연구의 특징은 [방법론적 엄격함]이다. 질적 연구의 경우, 우리는 [반사적으로 행동하는 것being reflexive]이 그 엄격함에서 강인하고 중요한 요소라고 제안한다. 
We wish to promote reflexivity as a continual process for enhancing quality in qualitative research. Being a reflexive researcher ensures that you carefully consider, and articulate to the reader, your choices at each stage of the research process, and that you also consider alternative perspectives that may be at odds with your own. The hallmark of good research – in any paradigm – is methodological rigour. In the case of qualitative research, we suggest that being reflexive is a strength and critical factor in that rigour.

 


Clin Teach. 2020 Feb;17(1):9-12. doi: 10.1111/tct.13133.

How to … be reflexive when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Irish College of General Practitioners, Dublin, Ireland.

2Faculty of Educational Sciences, University of Helsinki, Helsinki, Finland.

3Centre for Medical Education, Queen's University, Belfast, UK.

PMID: 31970937

DOI: 10.1111/tct.13133

Abstract

Reflexivity can be a complex concept to grasp when entering the world of qualitative research. In this article, we aim to encourage new qualitative researchers to become reflexive as they develop their critical research skills, differentiating between the familiar concept of reflection and reflective practice and that of reflexivity. Although reflection is, to all intents and purposes, a goal-oriented action with the aim of improving practice, reflexivity is a continual process of engaging with and articulating the place of the researcher and the context of the research. It also involves challenging and articulating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s and dynamics that affect this context. As a hallmark of high-quality qualitative research, reflexivity is not only an individual process but one that needs to be considered a collective process within a research team, and communicated throughout the research process. In keeping with our previous articles in this series, we have illustrated the theoretical concept of reflexivity using practical examples of published research.

질적연구에서 성찰성(reflexivity)의 실용적 가이드: AMEE Guide No. 149 (Med Teach, 2022)
A practical guide to reflexivity in qualitative research: AMEE Guide No. 149
Francisco M. Olmos-Vegaa , Renee E. Stalmeijerb , Lara Varpioc and Renate Kahlked

 

 

서론
Introduction

질적 연구가 보건전문교육(HPE) 장학금(Varpio and Meyer 2017)에서 신뢰를 얻으면서 엄격한 연구 과정에 대한 현장의 이해가 다듬어졌다. 이러한 방향에서, [연구 엄격성]에 대한 마커는 정량적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마커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많은 [정량적 연구]는 연구자 "편견"으로부터 가능한 한 자유로운 근본적인 진실을 밝히기 위해 노력하는 반면, [정성적 연구]는 주관성에 의존한다(Rees et al. 2020). 질적 연구자들은 [주관성]이 그들의 연구를 어떻게 형성shapes하는지 설명하기 위해 [반사성]에 관여한다. 반사성은 [참여자의 경험과 사회적 관행의 지저분한 부분]을 반영하는 [실세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잡한 작업] 속에서, [미묘한 윤리적 결정을 내리고 소통]하는 연구자의 능력과 관련이 있다. 

As qualitative research has gained credibility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scholarship (Varpio and Meyer 2017), the field’s understanding of rigorous research processes has been refined. In this orientation, markers for research rigor are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ose commonly used in quantitative research (Tracy 2010; Varpio et al. 2017). Whereas much of quantitative research strives to reveal (or at least approximate) fundamental truths that are as free as possible from researcher “bias” (Young and Ryan 2020), qualitative research depends on subjectivity (Rees et al. 2020). Qualitative researchers engage in reflexivity to account for how subjectivity shapes their inquiry. Reflexivity is tied to the researcher’s ability to make and communicate nuanced and ethical decisions amid the complex work of generating real-world data that reflect the messiness of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social practices (Finlay 2002a).

즉, 연구자의 주관적 관점(또는 "편견")은 질적 연구 과정과 근본적으로 얽혀 있다. 그리고 연구자의 관점은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반사성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것은 질적 연구를 통해 구축된 지식과 그것과 관련된 지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가자와 면접관 사이의 [예상치 못한 권력 역학]을 설명하지 못하면, 일부 참가자가 말하기 불편하게 느끼는 [개인적인 세부 사항을 공개해야 한다는 부담]을 느끼거나, [침묵해야한다고 느끼]면서, 경험의 온전함을 공유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참여자가 피해를 입고 데이터 품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반사성에 참여하는 것은 연구자들이 그러한 함정을 피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ir subjective perspective (or “bias”) is fundamentally intertwined with qualitative research processes. And while the researcher’s perspective has many positive impacts, failure to attend to reflexivity can negatively impact the knowledge built via qualitative research and those connected to it. For example, failing to account for unexpected power dynamics between participant and interviewer can lead to situations where some participants feel pressured to disclose personal details that they are not comfortable talking about, or feel silenced, preventing them from sharing the fullness of their experience. In such cases, participants can be harmed and data quality suffers. Engaging in reflexivity can help researchers avoid such pitfalls (Finlay 2002a).

불행하게도 반사성은 종종 많은 사람들에 의해 모호하게만 이해되고,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질적 출판물에서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는다. 이 모호성은 몇 가지 문제에 매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성에 대한 [많은 정의]가 있으며, 각각의 정의는 서로 다른 핵심 이슈를 뒷받침한다. 결과적으로 반사성 문헌과 이를 적용하기 위한 [무수한 방법]을 탐색하는 것은 많은 연구자들에게 어려운 과제이다. 또한 반사성은 주관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그 의미가 연구과정을 통해 능동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연구자가 연구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할 필요가 있다(Varpio et al. 2021). 이러한 방향은 역사적으로 HPE에서 영향력을 행사해 온 [양적 연구와 관련된 후기실증주의적 가정]과 배치된다. 이러한 문제를 고려할 때, 반사성이 무엇이고 그것을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HPE 학자들은 종종 불확실성의 안개 속에서 길을 잃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반사성이 질적 연구의 필수적인 측면이라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어(Barrett et al. 2020), 많은 연구자들이 주저하며 반사성 물 속으로 들어간다. 우리는 반사성에 대한 미묘한 정의를 설명하고 이용 가능한 구체적인 반사 관행의 예를 제공하는 것이 HPE 학자들이 엄격한 질적 연구를 개발하고 소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믿는다.
Unfortunately, reflexivity is often only vaguely understood by many and, as a result, is poorly addressed in most qualitative publications. This ambiguity can be mapped to several issues. For instance, there are many definitions of reflexivity, each foregrounding different key issues (Schwandt 2014). As a result, navigating the reflexivity literature and the myriad of methods for applying it is a difficult task for many researchers (D’Cruz et al. 2005; Finlay and Gough 2008). Furthermore, reflexivity is anchored in an orientation that values subjectivity and requires researchers to explore their influence on research, as its meaning is actively constructed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Varpio et al. 2021). This orientation runs counter to the post-positivist assumptions, tied to quantitative research, that have historically held sway in HPE (Varpio et al. 2017). Given such issues, it is not surprising that HPE scholars are often lost in a fog of uncertainty when it comes to understanding what reflexivity is and how to use it. And yet, despite this uncertainty, there is increasing recognition that reflexivity is an essential aspect of qualitative studies (Barrett et al. 2020), so many researchers hesitantly wade into the reflexivity waters. We believe that delineating a nuanced definition of reflexivity and offering examples of the concrete reflexive practices available can help HPE scholars to develop and communicate rigorous qualitative research.

이 AMEE 가이드에서 우리는 그 목표를 달성하기를 희망한다. 이를 위해 반사성이 무엇을 의미하고 수반하는지 명확히 하고, 연구를 수행하고 전파하는 동안 반사성에 관여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우리는 HPE 연구원들이 반사성에 대해 직면하는 가장 일반적인 몇 가지 문제에 답한다. 

  • 반사성이란 무엇인가? 
  • 그것의 목적은 무엇입니까? 
  • 어떤 유형의 반사성이 HPE 연구에서 중요합니까? 
  • 내 HPE 연구에서 반사성을 연습하기 위해 어떤 전략을 사용할 수 있을까? 
  • 원고에서 반사성을 어떻게 전달합니까? 
  • 반사성에 대한 가장 흔한 비판은 무엇인가?

In this AMEE Guide, we hope to achieve that goal. To that end, we clarify what reflexivity means and entails, and we offer specific methods of engaging in reflexivity while conducting and disseminating research. We answer some of the most common challenges HPE researchers face vis-a-vis reflexivity:

  • What is reflexivity?
  • What are its purposes?
  • What types of reflexivity are important in HPE research?
  • What strategies can I use to practice reflexivity in my HPE research?
  • How do I communicate reflexivity in my manuscript?
  • What are the most common critiques of reflexivity?

반사성이란 무엇인가?
What is reflexivity?

반사성에 대한 많은 다른 정의가 존재하며, 그 결과 연구원들은 반사성이 무엇인지, 어떻게 하는지는 말할 것도 없고, 종종 확신하지 못하게 된다. 사용 가능한 다양한 정의를 존중하고 그 사이의 차이를 인식하는 반사성에 대한 포괄적인 정의를 구성하기 위해 반사성에 명시적으로 초점을 맞춘 출판물에 대한 정성적 방법론 문헌을 검색했다. 그런 다음 일치성을 식별하기 위해 귀납적으로 분석했습니다. 표 1은 아래에 제공된 정의에 통합된 일부 설명의 예를 보여 줍니다. 그런 다음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포괄적인 정의를 개발했습니다.

Many different definitions of reflexivity exist, and, as a result, researchers are often left unsure of what reflexivity is, let alone how to do it. To construct a comprehensive definition of reflexivity that both respected the variety of definitions available and appreciat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we searched the qualitative methodological literature for publications focused explicitly on reflexivity. We then inductively analyzed them to identify congruences. Table 1 provides examples of some of the descriptions we encountered, which are incorporated in the definition provided below. We then synthesized these findings to develop the following comprehensive definition:

반사율(Reflexivity)은 연구자들이 [자신의 주관성과 맥락]이 [연구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스스로 의식적]으로 [비판하고, 감정하고, 평가]하는 [지속적이고 협력적이며 다면적]인 실천의 집합이다.
Reflexivity is a set of continuous, collaborative, and multifaceted practices through which researchers self-consciously critique, appraise, and evaluate how their subjectivity and context influence the research processes.

우리의 정의는 반사성이 [연구 노력의 전체 기간]에 걸쳐 확장되는 [지속적인 과정]이라는 것을 강조한다.

  • 우리는 반사성의 [공유적이고, 협력적인 성격]을 강조한다. 반사성이 가장 효과적이려면 [연구팀 역학에 통합]되어야 한다.
  • 우리는 또한 반사성의 [다면적인 본성]을 강조한다; 그것은 수행 중인 연구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대인적, 방법론적 및 맥락적 요인]에 대한 비판적인 관심을 포함한다.

우리는 이러한 반사성의 복합 프레임이 HPE의 정성적 연구에 종종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한다. 우리 분야에서는 각 협력자의 주관성을 설명하면서, [개인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는 반사성이 더 넓고 미묘하기 때문에 우리의 정의와 적용은 그 이질성과 복잡성을 반영하도록 수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Our definition highlights that reflexivity is an ongoing process that extends across the entire duration of a research endeavor.

  • We emphasize its shared and cooperative nature; reflexivity must be integrated into the research team dynamic to be most effective.
  • We also stress the multifaceted nature of reflexivity; it involves critical attention to personal, interpersonal, methodological, and contextu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study being conducted.

We recognize that this composite framing of reflexivity is not often present in HPE’s qualitative research. In our field, we have tended to highlight the personal aspect, describing each collaborator’s subjectivity. We contend that reflexivity is broader and more nuanced, so our definition and application must be revised to reflect that heterogeneity and complexity.

우리가 제안하는 반사성 정의는 연구자 주관성(예: 주관주의, 사회구성주의)을 수용하는 연구 방향에 고정되어 있다. 우리는 반사성이 연구 프로젝트에서 [객관성이 결여된 것에 대한 사과]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구성주의의 관점에서, 목표는 정확하거나 공정한 표현을 달성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불가능하며, 바람직하지도 않다(리스 외 2020). 대신, 우리는 반사성을 [주관성을 존중하고 가치있게 여기는 것]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연구를 존재하게 하는 서로 얽힌 개인적, 대인관계적, 방법론적, 맥락적 요소들의 중요성을 질적 연구자들이 어떻게 설명하느냐의 일부이다.

The reflexivity definition we propose is anchored in orientations to research that embrace researcher subjectivity (e.g. subjectivism, social constructionism). We do not conceive reflexivity as an apology for the lack of objectivity in a research project. From a constructionism perspective, the goal is not to achieve an accurate or impartial representation; this is neither possible nor desirable (Rees et al. 2020). Instead, we conceive of reflexivity as rooted in a respect for and a valuing of subjectivity. It is part of how qualitative researchers account for the significance of the intertwined personal, interpersonal, methodological, and contextual factors that bring research into being.

반사성의 목적은 무엇인가?
What are the purposes of reflexivity?

연구자들이 반사성에 관여할 때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다른 목표들이 있는데, 여기에는 주관성의 영향을 중화시키고, 이를 인정하며, 설명하거나, 또는 이를 활용하는 것이 포함된다(Gentles et al. 2014). 이러한 목적은 연구자들이 그들의 [정체성, 맥락, 연구 사이의 관계]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가리킨다.
There are several different goals held by researchers when they engage in reflexivity, including neutralizing the influence of their subjectivity, acknowledging it, explaining it, or capitalizing on it (Gentles et al. 2014). These purposes point to different ways researchers might think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ir identity, context, and research.

연구자 주관성의 영향을 [중화]시키는 위치에 있을 때, 반사성은 빈 서판tabula rasa으로 접근하려는 연구자의 시도를 의미한다. 즉, 새로운 현상을 연구하기 위한 [객관적 거리]의 관점인 빈 슬레이트를 채택한다. 예를 들어, 이 중화 작업은 초월 현상학에서 "브라케팅"을 통해 접근된다. [괄호치기]는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자신의 모든 측면(예: 기존 이론, 개인적 견해 등에 대한 지식)을 제쳐두려고 시도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중화 노력은 질적 연구의 일부 분야에 여전히 존재한다. 예를 들어,

  • 근거이론은 원래 후기 실증주의에 기반을 두고 있었고, 연구자들은 관점이나 사전 지식이 전혀 없는 '빈 서판'으로서 연구에 참여하도록 장려되었다(Glaser와 Strauss 2017).
  • 초월 현상학은 연구자의 관점을 '브래킷'하고 연구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하고자 했다. 

When it is positioned to neutralize the impact of researcher subjectivity, reflexivity refers to the researchers’ attempts to take a tabula rasa approach—i.e. to adopt a blank slate, a perspective of objective distance from which to study a phenomenon afresh. This neutralizing work is, for example, approached in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via “bracketing” (Gearing 2004; Neubauer et al. 2019). Bracketing is a process through which researchers attempt to set aside any aspects of themselves (e.g. knowledge of pre-existing theories, personal views, etc.) that might influence their study (Neubauer et al. 2019). This neutralizing effort is still present in some branches of qualitative research. For example,

  • grounded theory was originally grounded in post-positivism, and researchers were encouraged to come to their research as a ‘blank slate’ with no perspective or prior knowledge whatsoever (Glaser and Strauss 2017).
  •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sought to ‘bracket’ the researcher’s perspective and eliminate (as far as possible) its influence on the research process (Neubauer et al. 2019).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연구자의 영향력을 완전히 무력화하려는 목표]는 [문제적이고 심지어 불가능하다]고 보는 현대 질적 연구자들의 선호에서 크게 벗어났다. 예를 들어, 인류학자들은 신선하고 무관심한 눈으로 문화를 볼 수 있는 외부 연구자로 자신들을 설정하려고 시도한 적이 있다(Paradis and Sutkin 2017). 그러나 현대 인류학자들은 이러한 [무력화 시도]가 연구자를 연구 집단과 동떨어진, [연구참여자보다 위에 서 있는 중립적인 관찰자]로 배치함으로써, 연구자와 참여자 사이의 [위계 구조를 활성화]시켰다는 것을 인정한다. 따라서 이러한 발전과 다른 정성적 방법론에 걸친 발전에 따라 반사성의 [중화적 목적]은 남겨두고 떠날 것이다.

However, this perspective has largely fallen out of favor with modern qualitative researchers who see the goal of utterly neutralizing researcher influence as problematic and even impossible (Levasseur 2003; Pillow 2003). To illustrate, anthropologists once attempted to frame themselves as outsider-researchers who could see a culture with fresh, indifferent eyes (Paradis and Sutkin 2017). However, modern anthropologists now acknowledge that these neutralizing attempts galvanized a hierarchy between researcher and participant by positioning researchers as neutral observers who stood apart from and above the studied population, and comprehended truths inaccessible to their participant-subjects (Pillow 2003; Marcus 2011; Holmes 2020). Thus, in line with these developments and those across other qualitative methodologies, we leave behind the neutralizing purpose of reflexivity.

중화시키는 것을 넘어서면서, 반사성의 주된 역할은 [주관성을 인정하는 것]으로도 간주되어 왔다. 이러한 목적을 염두에 두고 반사성은 [연구자의 주관성이 연구 노력의 각 단계에 영향을 미쳤음을 분명히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Russell과 Kelly 2002). 그러나 단순히 이러한 영향을 인정하는 것만으로는 데이터, 참가자, 상황 또는 연구자에 대한 영향을 설명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반사성의 목적을 [오로지 연구자의 영향력을 인정하는 것]으로 설정하는 것은 그것의 약한 개념화라고 주장한다.
Moving beyond neutralizing, the primary role of reflexivity has also been seen as acknowledging subjectivity. With this end in mind, reflexivity is conceived of as making explicit that researcher subjectivity has influenced each step of the research endeavor (Russell and Kelly 2002). However, simply acknowledging this influence does nothing to elucidate the effect of that influence on the data, participants, context, or researcher. Therefore, we contend that framing the purpose of reflexivity solely as acknowledging researcher influence is a weak conceptualization of it.

일부 학자들은 반사성의 목적이 연구자가 조사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 방향에서는, 그들의 [연구에 대한 그들의 영향력을 깊이 생각하고 설명하는 것]이 연구자들이 연구 finding에서 다음의 두 가지를 향상할 수 있게 한다.

  • 확인 가능성(다른 연구자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정도) 및 
  • 전송 가능성(결과를 다른 설정에 적용할 수 있는 정도)

그러나 반사성의 목적이 단순히 연구자의 영향력을 설명하는 데 그칠 때, 우리는 [주관성의 잠재적 가치를 제한할 위험]이 있으며, 종종 ["편견"의 렌즈를 통해 그들의 주관성을 고백하는, 사과하는 입장]에 빠지게 된다. 따라서 반사성을 설명하는 접근법explaining reflexivity은 질적 연구의 목표를 훼손하는 '내 탓이로소이다mea culpa' 선언로 전락할 수 있다.
Some scholars, attempting to extend beyond acknowledgement, have proposed that reflexivity’s purpose is to explain the researcher’s impact on the investigation. In this orientation, thinking through and explaining their influence on their research enables researchers to enhance the

  • confirmability (the degree to which the results could be confirmed by other researchers) and
  • transferability (the degree to which the results can be applied to other settings) of the findings (Koch and Harrington 1998; Malterud 2001).

However, when reflexivity’s purpose stops at simply explaining researchers’ influence, we risk limiting the potential value of subjectivity, often falling into an apologetic stance, confessing their subjectivities through the lens of “bias.” Thus, the approach to explaining reflexivity can devolve into mea culpa statements that undermine the goals of qualitative research (Lingard 2015).

마지막으로, 많은 현대의 질적 연구자들은 [주관성을 활용하고 데이터 생성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간주]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 연구원들은 연구 과정에서 [주관성이 지워질 수 없다]고 가정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노력이 연구에 해롭다고 믿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연구자의 영향력]은 [무력화]되거나, 단순히 [인정]되거나 [설명]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반대로 주관성은 모든 인간 상호작용의 생산적인 결과이므로, [데이터와 결과를 적극적으로 공동 구성하는 자산]이 될 수 있다(Finlay 2002a; Koopman et al. 2020). 이러한 방향에서 반사성은 [연구자의 지식과 정체성을 활용하는 수단]이다. 
Finally, many contemporary qualitative researchers strive to capitalize on their subjectivity and consider it an integral part of data generation (Finlay 2002b; Charmaz 2014; Koopman et al. 2020). These researchers not only assume that subjectivity cannot be erased from the research process, they believe that such efforts are detrimental to the research. From this perspective, a researcher’s influence is not something to be neutralized, merely acknowledged, or explained away. On the contrary, since subjectivity is a productive result of all human interaction, it can be an asset to actively co-construct data and results (Finlay 2002a; Koopman et al. 2020). In this orientation, reflexivity is a means of capitalizing on the researcher's knowledge and identities.

질적 연구에서 반사성의 중심적 역할을 추진한 두 가지 요인은 [연구의 사회적, 정치적 함의를 고려한 프로젝트의 확산]과 [참여적 방법론]의 부상이었다. 질적 연구의 참여적 접근법에는 [연구 참여자를 공동 연구자로 참여]시키는 데 공통점을 차지하는 다양한 방법론이 포함된다. 참여형 연구에서 [연구자와 참여자 모두 반사적인 존재]로 확인된다. 여기에는 프로젝트 라이프사이클 전체에 걸쳐 [연구자와의 반사적 대화에 참여자가 참여하는 것]이 포함되며, 이는 연구자가 데이터에 대한 해석에 맞서고 수정하며 연마하도록 한다(Smith 1994). [연구자와 참여자 주관성]을 활용한다는 아이디어는 이후 참여적 연구 방법을 넘어 확장되었으며, 우리는 모든 질적 방법론에서 반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Two factors that propelled the central role of reflexivity in qualitative research were the proliferation of projects that considered research's soci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and the rise of participatory methodologies (England 1994; Kuehner et al. 2016; Koopman et al. 2020). Participatory approaches in qualitative research include a range of methodologies that occupy common ground in enlisting participants as co-researchers (Finlay 2002b). In participatory research, both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s are identified as reflexive beings (Bergold and Thomas 2012). This includes involving participants in a reflexive dialogue with the researchers and among themselves throughout the lifecycle of the project, which pushes the researcher into confronting, modifying and honing their interpretations of the data (Smith 1994). The idea of capitalizing on researcher and participant subjectivities has since expanded beyond participatory research methods and, we argue, can enhance reflexivity in any qualitative methodology.

연구자들이 반사성에 참여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오리엔테이션은 무엇인가?
What Orientations can researchers use to engage in reflexivity?

이러한 다른 반사성 목적을 염두에 두고, 우리는 이제 연구원들이 이용할 수 있는 반사성의 유형을 구별할 수 있다. 질적 방법론자들은 다양한 반사율 유형을 제안했지만, HPE 내 또는 그 이상에서는 어느 것도 두드러지지 않았다. 이 AME 가이드에서는 월시(2003)의 접근법이 연구 프로젝트의 수명과 관련된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반사 관행 유형을 구성하기 때문에 제시한다. 우리는 각 반사율이 연구자의 목표에 따라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기 때문에 각 반사율에 대한 설명을 위에서 설명한 목적과 통합한다. 
With these different reflexivity purposes in mind, we can now differentiate between the types of reflexivity available to researchers. Qualitative methodologists have proposed various reflexivity typologies (Finlay 2002a; Walsh 2003; D’Cruz et al. 2005), though none have gained prominence within HPE or beyond. In this AMEE Guide, we present Walsh’s (2003) approach since it constitutes a broad and comprehensive typology of reflexive practices relevant throughout the life of a research project. We integrate our description of each type of reflexivity with the purposes described above because each reflexivity can take a different shape depending on the researcher’s goals.

월시와 같은 유형론은 반사성에 대한 더 넓은 이해에 다음으로서 포함되어야 한다.

  • 추상적 개념(위에서 제공한 정의와 목적 참조)으로서,
  • 연구 프로젝트 및 원고의 한 부분(다음 섹션의 적용 원리 참조)으로서,

월시에 따르면, 반사 과정에는 4개의 겹치고 상호작용하는 차원이 있다: 개인적, 대인관계적, 방법론적, 맥락적. 이러한 과정을 가능한 한 유형적이고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우리는 우리의 연구 중 하나를 사용하여 각 유형의 반사성이 연구 프로젝트에서 어떻게 나타날 수 있는지와 연구자들이 각각에 대해 어떤 질문을 할 수 있는지 보여줄 것이다. 우리는 이 연구를 Box 1에 요약한 다음 Walsh의 각 치수를 설명한 후 반사성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설명한다.

Typologies such as Walsh’s need to be embedded within a broader understanding of reflexivity,

  • as an abstract concept (see definition and purposes provided above) and
  • as a part of a research project and manuscript (see application principles in the sections to follow).

According to Walsh, there are four overlapping and interacting dimensions of reflexive processes: personal, interpersonal, methodological and contextual. To make these processes as tangible and easily applicable as possible, we will use one of our studies (Olmos-Vega et al. 2018) to demonstrate how each type of reflexivity might manifest in a research project and what questions researchers might ask themselves concerning each. We summarize this study in Box 1 and then illustrate how reflexivity can be applied after describing each of Walsh's dimensions.

개인적 반사성
Personal reflexivity

개인 반사성(Box 2)은 연구자가 [상황, 참가자 및 데이터]에 대한 [기대, 가정, (의식적 및 무의식적) 반응]을 [성찰]하고 [명확히] 할 것]을 요구한다. 연구자의 참여는 연구과정의 중요한 측면으로서 분석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개인 반사성에 참여하는 것은 각 조사자의 [배경과 훈련]을 공개하는 것 이상의 것이어야 한다. 연구자의 [이전 경험과 동기]가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내린 [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설명을 포함해야 한다(Finlay 2002b), 그러한 영향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또는 둘 다에 대한 설명을 포함해야 한다. 개인적 반사성은 조사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발생해야 하며 프로젝트의 모든 측면(즉, 프로젝트의 개념부터 연구 결과까지)과 상호 연관되어야 한다
Personal reflexivity (Box 2) requires researchers to reflect on and clarify their expectations, assumptions, and conscious and unconscious reactions to contexts, participants, and data (Walsh 2003; Dowling 2006; Gentles et al. 2014). The researcher’s participation is a significant aspect of the research process that should be analyzed and interpreted. Engaging in personal reflexivity should go beyond disclosing each investigator’s background and training; it should include descriptions of how the researcher’s prior experiences and motivations might influence the decisions made throughout the project (Finlay 2002b), whether that influence is positive, negative, or neither. Personal reflexivity ought to occur continuously across the duration of the investigation and should be interwoven with all aspects of the project—i.e. from the project’s conception to research outputs.

또한, 개인적 반사성은 [연구가 연구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다루어야 한다. 개인적 반사 운동에 참여하는 것은 강력한 학습 경험이 될 수 있다; 그것은 연구자의 관행을 재구성하고 다른 종류의 변화를 촉진할 수 있다. 그러나 잠재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고려하는 것도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참가자들과 상실과 슬픔에 대해 토론하는 것은 그러한 경험을 공유하는 연구자들에게 강렬한 감정을 촉발할 수 있다(Rowling 1999).
Additionally, personal reflexivity should address the impact of the research on the researchers (Mauthner and Doucet 2003; Finefter-Rosenbluh 2017). Engaging in a personal reflexive exercise can be a powerful learning experience (Mann et al. 2009); it can reshape a researcher’s practices and catalyze other kinds of change (Finlay 2002a; Koopman et al. 2020). However, it is also essential to consider potentially negative impacts; for example, discussing loss and grief with participants may trigger intense emotions for researchers who share those experiences (Rowling 1999).

 

대인 반사성
Interpersonal reflexivity


대인적 반사성(Box 3)은 [연구과정을 둘러싼 [관계]가 [맥락, 관련자 및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나타낸다(Walsh 2003). 이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연구자와 참가자 사이의 관계]일 것이다. 대인 반사성에 대한 사려 깊은 접근은

  • [참가자의 고유한 지식과 관점]을 [인식recognize]하고, [감사appreciate]하며,
  • (이 지식과 관점이) 연구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주의를 기울이는attending to] 것을 포함한다. —예: 질문을 해석하는 방법. 

반대로, [참가자들에 의해 공유된 정보와 통찰력]은 [연구자들의 결정과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과 감상은 [중립적인 공간]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다. 대인 반사성은 반드시 작동 중인 [권력 역학]에 대한 분석을 포함해야 한다(Finlay 2002a). 이러한 역학관계는 결코 보편적이거나 고정된 것은 아니지만, 연구자들은 종종 참여자와의 관계 속에서 권력 위치를 차지한다.

  • 참여자의 관점의 [해석자]로서,
  • "타당한" 정보로 간주되는 것의 [결정권자]로서,
  • 널리 인정받는 [자격의 보유자]로서 

Interpersonal reflexivity (Box 3) refers to how the relationships surrounding the research process influence the context, people involved, and results (Walsh 2003). Likely the most significant of these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A thoughtful approach to interpersonal reflexivity involves

  • recognizing and appreciating participants' unique knowledge and perspectives and
  • attending to their impacts on the research process—e.g. how they interpret our questions.

Conversely, the information and insights shared by participants will directly influence researchers’ decisions and results. However, this recognition and appreciation do not stem from a neutral space; interpersonal reflexivity must include an analysis of the power dynamics at play (Finlay 2002a). Though these dynamics are by no means universal or fixed, researchers often occupy power positions relative to participants, as the

  • interpreters of their views,
  • arbiters of what counts as “valid” information, and
  • holders of widely recognized credentials.

따라서 [데이터]는 [연구자와 참여자 간의 고유한 권력 관계의 산물]로만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인반사성은 [맥락적 반사성(아래에서 논의함)]과 중첩되며 연구 맥락에서 미묘한 힘의 감상이 필요하다. 이 역학을 인정하는 목적 중 하나는 참가자와 데이터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거나 관리하는 것일 수 있다.

Thus, data can only be understood as a product of the unique power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er and participants (England 1994; Finlay 2002b; Pillow 2003; Burns et al. 2012). In this regard, interpersonal reflexivity overlaps with contextual reflexivity (discussed below) and requires a nuanced appreciation of power in the research context. One of the aims of acknowledging this dynamic might be to temper or manage its influence on participants and data.

대인적 반사성의 또 다른 차원은 [연구팀 구성원들 사이의 관계]가 어떻게 전개되고 연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포함한다. 반사적인 연구 협력이란 다음을 포함한다.

  • 팀 구성원의 동기, 기대 및 가정 간의 상호 작용에 대한 능동적이고 지속적인 탐구
  • 이러한 관점과 역학이 어떻게 활용되거나 관리될 수 있는지를 조사
  • (연구자의 패러다임과 관점의 차이를 포함하여) 주요 연구 이슈에 대한 의견 차이를 반영하고 문서화

Another dimension of interpersonal reflexivity includes how the relationships among the research team members unfold and impact the research (Barry et al. 1999; Russell and Kelly 2002). Reflexive research collaboration involves

  • active and ongoing exploration of the interplay between team members' motivations, expectations, and assumptions,
  • while examining how these perspectives and dynamics can be leveraged or managed.
  • It also includes reflecting on and documenting disagreements on main research issues, including differences in researchers’ paradigms and perspectives (Leggatt-Cook et al. 2011). 

이러한 유형의 대인 반사성에 참여하는 것은 연구팀의 [모든 구성원들이 참여하는 협력적인 노력]이다.
Engaging in this type of interpersonal reflexivity is a collaborative effort involving all members of the research team.

 

 

방법론적 반사성
Methodological reflexivity

세 번째 유형의 반사성은 방법론적 반사성(Box 4)으로, 연구자들은 방법론적 결정의 뉘앙스와 영향을 비판적으로 고려한다. 그것은 종종 연구자들의 [패러다임 지향]에 대한 사려 깊은 고려로 시작된다(Walsh 2003). 패러다임은 연구 노력에 inform하고, 연구 과정 전반에 울려 퍼지며reverberates,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세계관이다. [패러다임을 선택하거나 인정하는 것]은 [특정한 가능성을 열고 배제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방법론적 반사성을 사용하는 것]은 [선택된 패러다임이 연구에 부과하는 경계를 이해하는 것]을 의미한다(Raven 2006). 

The third type of reflexivity is methodological reflexivity (Box 4), where researchers critically consider the nuances and impacts of their methodological decisions. It often begins with thoughtful consideration of researchers’ paradigmatic orientation(s) (Walsh 2003). A paradigm is a worldview that informs research efforts and, as such, reverberates throughout the research processes and impacts results (Varpio and MacLeod 2020). Choosing or acknowledging a paradigm entails opening and foreclosing particular possibilities, so using methodological reflexivity implies understanding the boundaries that a chosen paradigm imposes upon the research (Raven 2006).

연구 초기부터, 연구자들은 [방법론적 선택]을 [패러다임과 이론적 또는 개념적 틀에 맞추는 것]에 대해 반사적일 필요가 있다. 연구자들은 또한 질적 조사가 풍부한 맥락에 내재되어 있고 반응적이라는 것을 기억해야 하며, 이것이 [방법론적 의사 결정이 연구 과정의 초기에 설정되어서는 안 되는 이유]이다. 대신, 반사적 연구자들은 지속적으로 결정을 내리고, 데이터나 예기치 못한 상황에 대응한다(Varpio et al. 2020). 따라서 방법론적 반사성은 이러한 [결정의 의미]에 초점을 맞추고, [윤리적이고, 엄격하며, 패러다임적으로 정렬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At the outset, researchers need to be reflexive about aligning their methodological choices with their paradigm and theoretical or conceptual framework (Varpio et al. 2020). Researchers must also remember that qualitative inquiry is embedded in and reactive to rich contexts, that is why methodological decision making should not be set at the beginning of the research process. Instead, reflexive researchers are constantly making decisions and reacting to their data or unforeseen circumstances (Varpio et al. 2020). Thus, methodological reflexivity means focusing on the meaning of these decisions and ensuring that they are ethical, rigorous, and paradigmatically aligned.

 

문맥 반사율
Contextual reflexivity

반사성의 마지막 유형은 맥락적 반사성(Box 5)이며, 이는 [문화적, 역사적 맥락에서 특정 프로젝트를 위치시키는 것locating]을 의미한다(Walsh 2003). 그것은 [연구 질문과 연구자의 대답]이 [가정과 실천이라는 사회적 분야]에 [어떻게 포함되어embed 있고,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강조한다. 맥락적 반사성은 또한 연구가 의도하였거나 의도하지 않은 방식으로 수행되어지면서 [사회 분야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이해하는 것을 수반한다. 윤리적 연구는 [그 연구가 일어나는 맥락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를 추구]한다; 새로운 통찰력은 참여자들의 연구에 대한 성찰이나 참여가 그들의 실천과 맥락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The last type of reflexivity is contextual reflexivity (Box 5); it refers to locating a particular project in its 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 (Walsh 2003). It highlights how the research questions and their answers are embedded in and influenced by a social field of assumptions and practices (Naidu and Sliep 2011). Contextual reflexivity also entails understanding how research transforms the social field in which it is conducted in ways that are both intended and unintended (Smith 1994; Reid et al. 2018). Ethical research seeks to positively impact the contexts in which it takes place; new insights can be generated from how participants’ reflections or engagement in the study affects their practices and context (Bishop et al. 2002).

 

내 연구에서 반사성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How can I harness reflexivity in my research?

이러한 반사적 목적과 유형을 실행에 옮기기 위해서는 계획과 구체적인 실천이 필요하다. 반사성이 여러 차원으로 구성된 지속적인 과정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선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실천이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며, 그 중 많은 실천이 연구 과정 전반에 걸쳐 사용될 수 있다. 아래에 제시된 방법은 [반사적 글쓰기]와 [협업적 성찰]이라는 두 가지 주요 우산 아래에 있습니다. 
Putting these reflexivity purposes and types into action requires planning and concrete practices. Given that reflexivity is an ongoing process comprised of multiple dimensions,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re are several practices to choose from, many of which might be used throughout the research process (Finlay and Gough 2008). The methods we present below fall under two main umbrellas – reflective writing and collaborative reflection.

[반사적 글쓰기]는 아마도 반사성에 대한 가장 잘 알려진 접근법일 것이다. 연구자 메모, 필드 노트, 기타 연구 과정의 어느 시점에서 발생하는 서면 또는 기록된 성찰과 같은 문서 형태를 포함한다.

  • 저널링은 연구자의 관점과 연구 과정에 대한 가정에 의도를 가져오는bring intention 데 사용될 수 있다.
  • 메모 및 필드 노트는 다음을 위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참가자와 그 데이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대인관계 역학을 문서화한다.
    • 결정을 기록하고 조사하며 분석적 통찰력의 순간에 주의를 환기하고 구축한다(Birks et al. 2008).
    • 연구 활동에 영향을 미치거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맥락의 측면에 주의를 환기한다(Lempert 2007).

일관되고 사려깊게 받아들인다면, 이러한 과정들은 연구 과정에서 작용하는 [가정, 결정, 맥락 및 권력 역학]을 조사하는 애매한 과정일 수 있는 의도를 가져오는 필수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 또한, 그들은 기초를 제공하고 연구자들의 지식과 생각의 차이를 강조할 수 있다(Mruck and Mey 2019).

Reflexive writing is perhaps the best-known set of approaches to reflexivity. It includes forms of documentation such as researcher memos, field notes, and other written or recorded reflections occurring at any point in the research process.

  • Journaling might be used to bring intention to the researchers’ perspectives and assumptions to the research process (Watt 2007; Ortlipp 2008; Mruck and Mey 2019).
  • Memos and field notes might be used
    • to document critical interpersonal dynamics impacting participants and their data;
    • to record and probe decisions and to call attention to and build on moments of analytic insight (Birks et al. 2008); or
    • to call attention to aspects of context that may impact or be impacted by the study activities (Lempert 2007).

When taken up consistently and thoughtfully, these processes can be an essential tool to bring intention to what can be a nebulous process of examining the assumptions, decisions, contexts, and power dynamics at play in the research process. Additionally, they can provide a foundation and highlight gaps in the researchers' knowledge and thinking (Mruck and Mey 2019).

두 번째 반사 전략 세트는 [협업]을 중심으로 한다. 자신의 사각지대를 찾아내는 일은 어렵다. 당신은 당신이 볼 수 없는 것을 어떻게 보나요? 협력적 반사성은 질적 연구자들이 연구팀으로부터 격리되어 반사성에만 관여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는 것을 인정한다. 대신, 연구 협력자들은 종종 가정과 결정에 대한 어려운 질문을 하기 위해 서로에게 의존한다. [가정]은 [같은 가정을 공유하지 않는 다른 사람들의 관점]에서 볼 때 가정이 가장 명백해지기 때문에, 연구팀에 대한 관점의 다양성과 훈련은 반사성과 참가자와의 협력적(또는 적어도 대화적) 관계에 매우 유익할 수 있다(Barry et al. 1999). 그러나 [파워 다이내믹스]는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위협할 수 있다. 따라서 연공서열과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팀 내]에서, 그리고 [팀원과 참가자 사이]에 윤리적이고 엄격한 연구를 위한 [상호 책임의 확고한 기반]과 [상호 책임의 문화]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계는 모든 사람이 가정과 결정에 의문을 제기할 수 있는 공간을 허용한다(Linabary et al. 2020).
The second set of reflexivity strategies is centered on collaboration. The task of uncovering one’s blind spots is challenging. How do you see what you cannot see? Collaborative reflexivity acknowledges that qualitative researchers rarely engage in reflexivity alone, in isolation from the research team; instead, research collaborators often rely on each other to ask difficult questions about assumptions and decisions (Bieler et al. 2021). Because assumptions become most evident when viewed from the point of view of others who do not share them, diversity of perspectives and training on a research team can be quite beneficial for reflexivity as well as a collaborative (or at least dialogic) relationship with participants (Barry et al. 1999). However, power dynamics can threaten open communication. Thus, building a solid foundation of trust and a culture of mutual responsibility for ethical and rigorous research within a team and between team members and participants, regardless of seniority and status, is necessary. Such relationships allow space for all to question assumptions and decisions (Linabary et al. 2020).

협업과 반사적 글쓰기는 상호 배타적인 전략이 아니다. 예를 들어, 팀 반사적 대화는 개인 또는 그룹 반사적 글쓰기와 공동작업에 기초할 수 있다. 우리는 또한 전략이 하나 이상의 반사율을 다룰 가능성이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따라서 이 모든 것을 단일 프로젝트에 적용할 필요가 없으며, 이 목록은 결코 완전하지 않습니다. 대신, 우리는 반사성을 연습하는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로 이러한 전략을 제공한다.

Collaboration and reflexive writing are not mutually exclusive strategies–for example, team reflexive dialogue may be grounded in individual or group reflective writing and collaboration. We also note strategies are likely to address more than one type/dimension of reflexivity. Thus, there is no need to apply them all into a single project, and this list is by no means exhaustive. Instead, we offer these strategies as exemplars to demonstrate concrete and practical ways to practice reflexivity.

서사 자서전
Narrative autobiography

[서사적 자서전]은 처음에는 autoethnography을 둘러싼 방법론 문헌에서 개발되었지만, 어떤 프로젝트에서든 개인적인 반사성을 다룰 수 있는 강력한 자료이다. 이러한 성찰적 글쓰기에 대한 접근에서, 연구자들은 그들의 배경과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된 동기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쓰며, 연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체적인 인생 경험을 기록한다. 연구원들은 그들의 [개인적인 경험]이 참가자들의 이야기accounts에 대한 연구자 자신의 이해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통찰력이 잠재적으로 결과를 형성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성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리는 서술의 저자가 간과할 수 있는 문제를 발견하기 위해 [적어도 한 명의 다른 연구 팀원과 이 이야기를 공유할 것]을 제안한다. 궁극적으로, 이 연습은 연구자들이 관계 형성을 방해할 수 있는 문제를 분리함으로써 참여자들과의 상호작용을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예: 민감한 주제에 대한 가정). 연구를 구상하는 동안 및 데이터 생성 중에 이 연습을 수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서술적 자서전은 연구자의 첫 메모 또는 반사적 저널의 항목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The narrative autobiography was initially developed in the methodological literature surrounding autoethnography (Ellis 2004), but it is a powerful resource to tackle personal reflexivity in any project. In this approach to reflective writing, researchers write freely about their background and the motives that led them to conduct their research project, recording specific life experiences that might influence the research. Researchers aim to reflect on how their personal experiences might influence their understandings of participants' accounts and how these insights could potentially shape results (Koopman et al. 2020). We suggest sharing this narrative with at least one other research team member to unearth issues that the author of the narrative might overlook. Ultimately, this exercise will help researchers prepare for interactions with participants by disentangling issues that might hinder rapport building (e.g. assumptions on sensitive topics) (Gentles et al. 2014). We suggest doing this exercise while conceiving the study and during data generation. Narrative autobiography can serve as one of the researcher’s first memos or entries in a reflexive journal (Watt 2007; Barrett et al. 2020).

자체면접수
Self-interview

[연구 프로토콜 작성]에는 연구자가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구체화하는 것이 포함되며, 이는 종종 인터뷰나 포커스 그룹을 위한 특정 질문을 생성하는 것을 수반한다. 우리는 내부자로 간주될 수 있는 연구 팀원들이 그들 [자신이 만든 질문에 대답해보고, 주제에 대한 그들의 가정을 반영할 것]을 추천한다. 연구원들은 [자체 인터뷰]를 수행하거나, [다른 연구 팀원의 인터뷰]를 받을 수 있었다. 이러한 자체 인터뷰는 연구자들이 개인적인 경험과 그들의 주제에 대한 견해를 형성한 이론과 연구를 탐구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Crawley 2012). 자체 인터뷰는 연구자들이 주제에 대한 [자신의 경험]을 [참가자들의 경험]과 지속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록되고 분석될 수 있다. 이 연습은 초기 연구 프로토콜을 개발한 후 데이터 생성 전 또는 데이터 생성 중에 수행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연구원들은 심지어 그들의 신념이 연구를 통해 어떻게 진화했는지 이해하기 위해 한 번 이상 자체 인터뷰를 할 수도 있다.
Writing the study protocol includes specifying how the researcher will generate data, which often entails creating specific questions for interviews or focus groups. We recommend those research team members who could be considered insiders to answer their questions and reflect on their assumptions about the topic. Researchers could conduct a self-interview or be interviewed by another research team member (Koopman et al. 2020). These self-interviews are an excellent opportunity for researchers to explore personal experiences and the theories and research that have shaped their views on their topic (Crawley 2012). Self-interviews can be transcribed and analyzed in detail to enable researchers to constantly compare their experiences of the topic to those of the participants (Gentles et al. 2014). This exercise might be best conducted after developing the initial study protocol and before or during data generation. Researchers may even conduct self-interview more than once to understand how their beliefs have evolved throughout the study.

 

독자 반응 연습
Reader-response exercise

이 연습은 [연구자의 가정]이 [참여자와의 상호작용]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다룬다(Mauthner와 Doucet 2003). [독자 반응]은 [데이터 분석 중]에 수행되며, 연구자가 [자신의 배경 및 개인 이력과 관련하여 참여자 accounts에 어떻게 반응하고 해석하는지를 나타내는 코드 레이어]를 포함시키는 것이다. 이 연습 전에 [서술형 자서전]이나 [자기 인터뷰]를 해 연구자들이 그들의 [개인적인 반사적 자세를 이미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이 연습은 반사 메모와 짝을 이뤄 코딩 연습 후 반응과 해석을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이러한 반응들은 또한 저널 또는 다른 형태의 성찰적 글쓰기의 기사의 기초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분석은 연구자와 참여자 사이의 힘 역학이 참여자의 계정과 연구자의 반응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This exercise addresses how the researchers' assumptions might affect their interactions with participants (Mauthner and Doucet 2003). Reader response is conducted during data analysis and involves including a layer of codes representing how researchers react to and interpret participants accounts in relation to their background and personal history (Gilligan et al. 1990). It is helpful to have done a narrative autobiography or a self-interview before this exercise so that the researchers are already aware of their personal reflexive stance. This exercise is paired with reflexive memos to analyze reactions and interpretations in-depth after the coding exercise. These reactions may also form the basis of entries in a journal or other form of reflective writing. The analysis may focus on how the power dynamics between researcher and participant could have influenced both participants’ accounts and researchers’ reactions.

조직화된 팀 성찰적 토론
Structured team-reflexive discussion

연구자들이 협력적 반사성을 자극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한 가지 연습은 [팀-반사적 토론]이다. 이 연습 동안 각 팀 구성원은 배리 외 연구진(1999)이 제안한 것과 같은 개인적인 반사적 질문에 답하기 위해 반성적 글쓰기에 참여한다.

One exercise that can help researchers to spark collaborative reflexivity is the team-reflexive discussion. During this exercise, each team member engages in reflective writing to answer personal reflexive questions such as those proposed by Barry et al. (1999):

  • 제 경험이 프로젝트 참여를 어떤 식으로 형성할 수 있을까요?
  • 질적 연구에 대해 어떤 경험을 했는가?
  • 질적 연구에 대한 나의 지향점은 무엇인가?
  • 이 프로젝트에서 어떤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하나요?
  • 데이터를 분석할 때 선호하는 이론은 무엇입니까?
  • 그 연구에서 내가 가진 지분은 무엇인가? 내가 그것을 통해 무엇을 얻기를 바라는가?
  • 내가 두려워하는 것은 무엇인가?
  • In what way might my experience shape my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 What experiences have I had with qualitative research?
  • What is my orientation to qualitative research?
  • What results do I expect to come out of this project?
  • What theories do I tend to favor while analyzing data?
  • What is my stake in the research? What do I hope to get out of it?
  • What are my fears?

그런 다음 모든 답변이 팀 내에서 공유되고 논의됩니다. 이것은 연구 내에서 각 팀 구성원의 위치와 이 앙상블이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강력한 방법입니다. 우리는 이 연습이 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연구 과정 초기에 수행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믿는다. 그러나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팀 미팅에서 정기적으로 논의해야 하는 주제가 많을 것입니다.

All answers are then shared within the team and discussed. This is a powerful way to understand each team member’s position within the research and how this ensemble could impact the results. We believe it is best to conduct this exercise early in the research process to maximize its potential. However, many topics will likely need to be discussed regularly in team meetings throughout the project.

멤버 반사
Member reflection

협력적 반사적 연습은 [연구 참가자와의 협업]을 포함할 수 있다(그리고 그래야 한다). 초기의 질적 작업은 "회원 확인member checking"을 데이터의 진실 또는 정확성을 검증하는 방법으로 보았다. 그러나 보다 최근에는 질적 연구자들이 자료와 해석이 맥락에 맞게 구성되고, 참여자들이 다시 참여하게 되면 관점을 바꾸거나 새로운 해석을 추가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참여자들과 다른 이해당사자들과의 "checking in"에 대한 좀 더 미묘한 접근법으로 "member reflection"을 채택하고 있다. 이 접근 방식은 연구가 가장 신뢰할 수 있으려면credible, [참여자나 지식 사용자에게 돌아가서, 그들의 맥락과 아이디어에 대한 우리의 초기 해석을 기반으로 그들과 협력]해야 한다가정에 기초한다. 이러한 프로세스에는

  • 협력과 피드백을 위해 참가자에게 [원시 데이터 및 연구자 해석을 전송]하거나,
  • 참가자가 결과에 응답할 수 있도록 [후속 인터뷰 또는 포커스 그룹을 예약]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Collaborative reflexive practice can (and likely should) involve collaboration with participants. Early qualitative work saw “member checking” as a way to validate the truth or accuracy of data (Varpio et al. 2017). However, more recently, qualitative researchers have taken up “member reflection” as a more nuanced approach to “checking in” with participants and other stakeholders, taking into account that data and interpretations are constructed in context, and participants may change their perspective or add new interpretations when they are re-engaged (Tracy 2010; Ravenek and Rudman 2013). This approach is built on the assumption that our research is most credible if we return to participants or knowledge users to work with them to build on our earlier interpretations of their contexts and ideas. Such processes can involve

  • sending participants the raw data and/or researcher interpretations for collaboration and feedback (Birt et al. 2016), or
  • booking follow-up interviews or focus groups to allow participants to respond to results.

[윤리적]측면에서, 이러한 반사적 과정은 [참가자들에게 그들의 말이 어떻게 해석되는지에 대한 발언권을 제공]하여, 그들이 자신을 대표하고, 연구 결과에 의미 있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연구자는 [후속 인터뷰follow-up interview]를 수행하여, 연구가 연구 주제에 대한 [참가자들의 견해를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또는 그들의 [실천이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탐구할 수 있다. 이 도구는 일반적으로 초기 데이터가 생성된 후 연구의 후반 단계에서 수행되지만 동시 데이터 생성 및 분석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참여자 참여에 대한 보다 급진적인 접근방식은 참여적 연구 설계를 사용하여 연구 라이프사이클 전체에 걸쳐 지식 사용자와 참여자를 참여시킬 수 있다.

Ethically, these reflexive processes offer participants a say in how their words are interpreted, ensuring that they can represent themselves and contribute meaningfully to research findings. For example, researchers could conduct follow-up interviews to explore how the research has changed participants' views on the study subject or how their practices have been influenced (Naidu and Sliep 2011). This tool is generally done in the later stages of the research once initial data has been generated, though it could occur throughout concurrent data generation and analysis. More radical approaches to participant engagement might use participatory research designs to engage knowledge users and participants throughout the research lifecycle fully (Finlay 2002b).

반사 원고를 어떻게 쓰죠?
How do I write a reflexive manuscript?

우리가 우리의 연구에 반사성을 위한 전략을 통합함에 따라, 우리는 또한 반사적 연구의 뉘앙스가 빛을 발할 수 있도록 하는 강력한 보고 관행을 향해 노력해야 하며, 연구자들의 관점과 결정에 대한 투명성을 통해 연구의 신뢰성을 전달해야 한다. 본 안내서를 작성하기 위한 자극의 일부는 원고에서 반사성 문장을 읽고, 검토하고, 쓴 우리의 실망스러운 경험에서 비롯된다. 많은 경우 반사성에 대한 보고는 "연구자의 특성 및 반사성"과 같은 짧은 문단에 국한된다. 이런 반사성 섹션은 (개인적인 반사성의 복잡성을 탐구하기보다는) 본문의 이 부분들은 각 저자의 소속과 연구 방향에 대한 [짧은 전기적인 진술]이 된다. 반사성을 위한 또 다른 문제 있는 글쓰기 전략이 한계 부분에서 나타났는데, 여기서 저자들은 주관성이 어떻게 그들이 객관적인 연구에 참여하는 것을 방해했을 수 있는지 한탄한다(Lingard 2015).

As we integrate strategies for reflexivity in our research, we must also work toward robust reporting practices that enable the nuances of reflexive research to shine through, communicating the work’s credibility through transparency around the researchers’ perspectives and decisions. Part of the impetus for writing this Guide stems from our own disappointing experiences reading, reviewing, and writing reflexivity statements in manuscripts. In many cases, reporting on reflexivity is isolated to a short paragraph such as “researcher characteristics and reflexivity.” Instead of this reflexivity section delving into the intricacies of personal reflexivity, these portions of the text become short biographical statements of each author's affiliation and research orientation. Another problematic writing strategy for reflexivity has emerged in the limitations section, where the authors lament how their subjectivity may have prevented them from engaging in objective research (Lingard 2015).

[별도의 단락]을 통해 반사성을 보고하거나, [데이터에 대한 연구자의 영향에 대한 사과]로 보고하기보다는, 효과적인 보고가 되려면 [연구 과정 전반에 연구자의 주관성을 수용하고 걸쳐 결정의 뉘앙스를 다루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월시의 유형학은 원고 전체에 짜여진 반사적 보고 관행을 구조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독자는 연구를 형성한 관행과 의사 결정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나 단어 수 제한, 특히 HPE 저널에 제출된 원고의 경우 연구자가 모든 연구 결정 뒤에 숨겨진 미묘한 사고와 팀워크를 보고할 여유가 없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따라서 대신, 우리는 연구 과정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결정과 역학]에 초점을 맞추고 개인, 대인관계, 방법론 및 맥락적 차원을 강조할 것을 권고한다.
Rather than reporting reflexivity via a discreet paragraph or as an apology for the researcher’s influence on the data, we suggest that effective reporting should embrace researcher subjectivity and address the nuances of decisions throughout the research process. Walsh’s typology can be instrumental in structuring reflexive reporting practices woven throughout the manuscript, offering the reader an opportunity to journey through the practices and decision-making that shaped the study. However, due to word count limitations, particularly for manuscripts submitted to HPE journals, we recognize that researchers may not have the luxury of reporting the nuanced thinking and teamwork behind every research decision. So instead, we recommend focusing on decisions and dynamics that were most impactful in the research process, highlighting personal, interpersonal, methodological, and contextual dimensions.

서론
Introduction

서론은 연구자들이 자신들의 주장과 핵심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공간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그들의 [패러다임, 이론적 또는 개념적 프레임워크, 그리고 연구 질문 또는 목적 사이의 정렬을 명확히 함]으로써 반사성을 보여줄 수 있다. 여기에는 연구자들의 [패러다임과 이론적 전제를 투명하게 하는 것]이 포함되며, 독자는 이 입장이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할 수 있다. 연구에 참여한 사람들의 패러다임적 입장을 명확하게 파악함으로써 독자는 그러한 맥락에서 결과를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다. 게다가, 연구원들은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가 어떻게 [모순된 메시지]를 만들 수 있는지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연구자들은 서론에서 [구성주의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고 진술하면서, 정작 다른 섹션의 데이터에서 "편견 완화" 또는 "발견"을 의미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여, "발견"할 수 있는 진실이 있다는 경쟁적인 후기 실증주의적 믿음을 보이는 모수이 있다.
The introduction is a space where researchers lay out their arguments and core ideas. Thus, they can demonstrate reflexivity by articulating alignment between their paradigm, theoretical or conceptual framework, and research questions or purpose. This includes being transparent about the researchers’ paradigmatic and theoretical presuppositions, allowing the reader to understand how this stance influences the results (Varpio and MacLeod 2020). Having a clear picture of the paradigmatic stances of those involved in the research, the reader can understand and evaluate the results in that context. Additionally, researchers should be aware of how the language they use can create contradictory messages. For example, researchers might state in the introduction that they are taking a constructivist stance but then talk about “mitigating bias” or meaning “emerging” from the data in other sections, suggesting a competing post-positivist belief that there is a truth that can be “uncovered” (Varpio et al. 2017).

방법
Methods

모든 원고의 방법 섹션은 저자들의 [반사적 관행에 대한 가장 자세한 내용]을 제공할 것이다. 개인적 반사성과 관련하여, 우리는 [연구자의 배경과 관점을 상세히 설명]하는 섹션이 강력한 반사 운동을 구성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대신, 우리는 연구자들에게 [그들의 관점이 연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그러한 [관점을 어떻게 활용했는지] 설명함으로써 강력한 개인적 반사성을 보여줄 것을 요구한다. 이러한 설명은 방법에 대한 설명에만 국한될 필요는 없으며, 원고 전체에 걸쳐 수행할 수 있다.
The methods section of any manuscript will likely offer the most detail about authors’ reflexive practices. Regarding personal reflexivity, we do not believe sections detailing researchers' backgrounds and perspectives constitute a robust reflexivity exercise. Instead, we call on researchers to demonstrate a robust sense of personal reflexivity by explaining how their perspectives impacted the study and how they capitalized on those perspectives. Such descriptions nee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ption of methods; instead, they can be carried throughout the manuscript.

[대인관계 관점]에서, 반사성은 참여자와 연구자, 그리고 연구팀 내에서 [권력 차이와 역학]을 논의함으로써 입증될 수 있다. 또한 저자는 모집, 데이터 생성, 분석 및 구성원 반영에서 이러한 역학을 어떻게 고려했는지 논의해야 한다. 윤리적으로, 연구자들은 익명성과 기밀성에 관한 참가자의 선호에 어떻게 주의를 기울였는지 논의해야 한다.
From an interpersonal perspective, reflexivity can be demonstrated by discussing the power differentials and dynamics between participants and researchers and within the research team. Authors should also discuss how these dynamics were considered in recruitment, data generation, analysis, and member reflection (Shulman 1990). Ethically, researchers should discuss how they attended to participants’ preferences around anonymity and confidentiality.

[방법론적 반사성]은 방법론적 결정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투명성을 수반한다. 방법론적 반사성은 연구 결정과 절차를 주의 깊게 설명하고 이러한 결정이 어떻게 그리고 왜 내려졌는지에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해결된다. 예를 들어, "우리는 12개의 면접에서 포화를 이루었다"라고 쓰는 것보다, 반사적 보고는 [어떻게 연구자가 자신의 데이터나 분석이 연구의 목적에 충분하다고 결정하였는지에 대해 더 투명할 것]을 요구한다(Mason 2010). 

Methodological reflexivity entails transparency around how methodological decisions were made. Methodological reflexivity is addressed by carefully describing study decisions and procedures and attending to how and why these decisions were made. For example, rather than writing “we achieved saturation at 12 interviews,” reflexive reporting requires the researchers to be more transparent about how they decided that their data or analyses were sufficient for the purposes of their study (Mason 2010).

마지막으로, [맥락적 반사성]은 특히 현장에서 시간을 포함하지 않는 연구에서 종종 간과된다. 맥락 반사성을 입증하고 그들의 발견을 정당화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어떻게 자신의 맥락을 알게 되었는지]를 명확히 해야 한다.

  • 맥락에 대한 그들의 관계는 무엇인지
  • 어떻게 연구자가 맥락의 뉘앙스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어떻게 그 지식을 데이터에 활용하려고 노력했는가.

우리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연구는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으로 맥락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Finally, contextual reflexivity is often overlooked, particularly in studies that do not involve time in the field. To demonstrate contextual reflexivity and legitimate their findings, researchers should articulate how they came to know their context—

  • what their relationship is to the context and
  • how they sought to deepen their appreciation of its nuances and capitalize on that knowledge in their data.

As we noted above, they may also include information on how the research impacted the context, either positively or negatively.

 

결과.
Results

결과 섹션은 종종 엄격하게 데이터를 제시하는 곳으로 간주됩니다. 그러나, 우리는 연구자들의 목소리와 해석이 결과 및 토론 섹션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즉, 결과는 스스로 "발현"하지 않고 대신 구성되고 해석됩니다(Varpio et al. 2017). 따라서, 연구자들은 다음을 명확히 함으로써 반사성을 보여줄 수 있다. 

  • 제시하는 데이터가 어디에서 왔는지,
  • 어떻게 해석되었는지, 
  •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이러한 유형의 반사성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에는 결과에서 [참가자 인용문]과 [연구자의 설명]의 [균형]에 대해 논의하거나(Homes 2020), 데이터 세트에서 조사 결과가 대표되는representative 정도를 입증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Results sections are often thought of as strictly data presentation. However, we contend that the researchers' voices and interpretations are intimately connected to the results and discussion sections; in other words, the results do not “emerge” by themselves but are instead constructed and interpreted (Varpio et al. 2017). Thus, researchers can demonstrate reflexivity by clarifying

  • where the data they present came from,
  • how it was interpreted, and
  • how it is being used.

Strategies for achieving this type of reflexivity might involve discussing the balance of participant quotes and researchers’ description in the results (Holmes 2020), or demonstrating the extent to which findings are representative across a data set.

논의
Discussion

결과 섹션과 마찬가지로, 논의는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해석 작업과 그들의 발견을 더 넓은 문헌에 위치시키기 위한 노력을 반영해야 한다. 그러나 이것은 단순히 [연구자들의 해석을 확인하는 수단을 찾는 작업]이 되어서는 안 된다. 대신, 우리는 [연구자들의 해석에 도전할 수 있는 문헌의 측면을 찾고 제시하는 것]이 중요한 개인적이고 방법론적인 반사 작업을 구성한다고 주장한다.
Like the results section, the discussion should reflect researchers’ active interpretive work and efforts to situate their findings in the broader literature. However, this should not simply be an exercise of finding means of confirming the researchers' interpretations. Instead, we argue that seeking out and presenting aspects of the literature that might challenge researchers’ interpretations constitutes important personal and methodological reflexive work.

아마도 무엇보다도, 많은 사람들이 후기 실증주의적 기대에 부응하고자, 작아 보일 수 있는 작은 표본 크기나 연구의 맥락적 특수성에 대해 사과하면서 연구 한계에 대한 진부한 보고를 끝내버리고 싶어한다. 그보다, 한계는 독자들이 연구 결과의 다른 맥락으로의 전이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특히 중요한 연구 인구와 맥락의 측면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Perhaps most of all, we would like to end trite reporting of study limitations that seek to meet post-positivist expectations, offering apologies for a small sample size that may seem small or for the study’s contextual specificity. Instead, limitations can offer insights into the aspects of the study population and context that are particularly important to help readers assess the transferability of the study’s findings to other contexts.

반사성에 대한 비판은 무엇인가?
What are the criticisms of reflexivity?

반사실행의 배후에 있는 좋은 의도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반사실행을 둘러싼 일부 비판에 눈을 감아서는 안 된다. 이러한 비판을 해결함으로써, 우리는 연구자가 이러한 잠재적 문제를 기회로 전환하는 데 필요한 이해를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Despite the good intentions behind the practices of reflexivity, we must not close our eyes to some of the criticism surrounding reflexivity as a practice. By addressing these criticisms, we aim to equip the researcher with the necessary understanding to transform these potential problems into opportunities (Finlay and Gough 2008).

나르시시즘과 같은 반사성
Reflexivity as narcissism

연구자들은 개인의 반사성에 좁게 초점을 맞추고, 반사성을 (그들의 배경, 가정, 위치 결정 및 행동이 연구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비판적 자기 인식의 과정으로만 정의할 때, 참여자의 목소리를 꺾어버릴overpowering 위험이 있다(Week 1999). Week(1999)는 이러한 위험을 자기애의 한 형태로 분류하고(p. 894), '재미있는 통찰력과 반사적인 계정에서의 자기 집중성 사이의 얇은 경계' 를 만들 수 있다며 [개인 반사성의 한계]를 지적했습니다: 

Researchers run the risk of overpowering the voice of the participant (Weick 1999) when they narrowly focus on personal reflexivity and define reflexivity solely as a process of critical self-awareness, reflecting on how their background, assumptions, positioning, and behavior impact the research process (Finlay and Gough 2008). Weick (1999) labelled this risk as a form of narcissism (p. 894) and pointed to the limitations of personal reflexivity as it can create a thin line between interesting insights and self-indulgence in reflexive accounts (Nadin and Cassell 2006).

따라서, 반사적인 연습에서, 우리는 연구원들이 [참가자들의 목소리를 잃지 않을 것]을 권고한다. 이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결과 섹션]을 작성할 때 특히 관련이 있는데, 연구자가 [참가자의 인용문]과 [결과에 대한 설명] 사이의 균형을 잘 확인해야 하기 때문이다(Holmes 2020). 또한, 개인적, 대인적, 방법론적, 그리고 상황적 반사성을 연습하는 것은 반사성과 그것이 강화하고자 하는 연구에 더 균형 잡힌 접근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refore, in their reflexive practices, we encourage researchers not to lose sight of the participants’ voices. This is especially pertinent when writing the results section, as we explained earlier, as researchers need to ascertain a good balance between participant quotes and their description of the results (Holmes 2020). Also, practicing personal, interpersonal, methodological, and contextual reflexivity will aid in creating a more balanced approach to reflexivity and the research it aims to strengthen.

특권으로서의 반사성
Reflexivity as privilege

반사성은 용기 있는 행동이다. 연구자는 그들의 가정과 연구에 대해 잠재적으로 불편한 진실과 마주할 필요가 있다. 어떤 사람들에게는 이러한 [불편한 진실을 인정하고 토론하는 것]이 다른 사람들보다 더 용이할affordable 수 있다. Mauthner와 Doucet(2003)은 어떻게 박사과정을 이수하고, 학문적 지위를 확보하고, 각 분야에서 자리를 잡았는지를 돌아보며 데이터 분석에서 혼란과 모호함을 고백할 수 있는 안전감을 조성하였다. [신진 연구자]들은 [혼란과 모호성을 인정하는 것]이 타인의 평가에 매우 취약해지는 상황에서, 연구자로서의 신뢰성과 기술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걱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구 과정의 [불확실성과 실수에 초점을 맞춘 반사성을 정상화normalize]하는 데 다음의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 연구팀 내 반사성 실천에 대한 공개 대화,
  • 선임 연구원의 취약성 모델링,
  • 연구 네트워크 내 반사성에 대한 논의

Reflexivity is an act of bravery: the researcher needs to confront themselves with potentially uncomfortable truths about their assumptions and their research. Admitting to and discussing these uncomfortable truths might be more affordable for some than for others. Mauthner and Doucet (2003) reflect on how completing their PhD’s, securing academic positions, and becoming established in their respective fields created a sense of safety that enabled them to confess confusions and ambiguities in their data analysis. Newer researchers may worry that admitting confusion and ambiguity could reflect poorly on their credibility and skills as researchers at a time when they are very vulnerable to the assessments of others. As such,

  • an open dialogue about the practice of reflexivity within the research team,
  • modelling of vulnerability by senior researchers, and
  • discussions about reflexivity within research networks

...might help normalize reflexivity centered on uncertainty and mistakes in research processes.

끝없는 거울의 전당으로서의 반사성
Reflexivity as a never-ending hall of mirrors

반사성을 연습하는 데는 유일한 방법이 없다. 연구자의 인식론적 입장에 따라 반사성의 다른 측면이 다른 측면보다 우선할 수 있다(Day 2012). 우리 역시 린치(2000)처럼 반사성을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데 있어 '피할 수 없는 특징'으로 보고 있지만, 반사성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은 '거울의 전당'에 갇힌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하나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제기한다. 
우리가 언제 충분한 반사율을 보였습니까? 언제 끝나요? 특히 반사성을 프로젝트의 라이프사이클 전체에 걸쳐 계속되는 엄격한 연구의 특징으로 본다면, 실망스럽게도 대답은 '절대 끝나지 않는다'일 수 있습니다
There is no one way to practice reflexivity. Depending on the epistemological stance of the researcher, different aspects of reflexivity might be foregrounded over others (Day 2012). Although we, like Lynch (2000), see reflexivity as an ‘unavoidable feature’ in performing qualitative research, overdoing reflexivity might be likened to being stuck in a ‘hall of mirrors’ (Lynch 2000). One poses the questions: When have we done enough reflexivity? When does it end? The disheartening answer might be ‘never,’ especially if we see reflexivity as a hallmark of rigorous research that continues throughout the projects’ lifecycle.

그러나 [반사율 연습의 충분성]을 확인하는 방법은 [최종 원고를 검토하는 것]이다. 청중에게 명확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연구원들은 다음을 해야 한다.

  • [연구 질문]과 [연구의 이론적 및 개념적 근거] 사이의 정렬을 주시한다.
  • [방법론적 선택]에 대한 명확한 정당성을 제공한다.
  • [방법 섹션]에 연구 맥락에 대한 명확한 설명을 제시한다.
  • [결과 섹션]에서 참가자와 연구자의 목소리를 균형 있게 조정한다.

구체적인 관행과 투명한 보고에 토대를 둔다면, [거울을 보는 것]이 [에셔 그림에 갇힌 것]처럼 느낄 필요가 없다(Lynch 2000).

However, a way to check the sufficiency of reflexivity practices is to examine the final manuscript. To convey a clear message to the audience, researchers need to

  • keep sight of the alignment between the research question and the study’s theoretical and conceptual grounding,
  • provide clear justification for their methodological choices,
  • put forth a clear description of the research context in the methods section, and
  • balance the participant and researcher voices in the results section (Day 2012).

When grounded in concrete practices and transparent reporting, looking in the mirror does not have to feel like you are stuck in an Escher painting (Lynch 2000).

저자 개인 반사성
Authors personal reflexivity

우리는 사려 깊은 질적 연구 과정에 대한 상호 열정 때문에 이 가이드에 왔습니다. 우리는 엄격한 질적 작업을 수행하는 데 관심이 있는 HPE 연구원들이 이용할 수 있는 반사성에 대한 이론적 및 실용적인 지침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따라서 우리는 반사성에 관한 문헌에 대해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려고 시도하지 않았다. 대신, 본 가이드는 효과적인 반사적 실천을 중심으로 한 우리의 지식과 믿음의 결합과 우리가 보는 문헌의 표현을 나타냅니다. 
We came to this Guide because of a mutual passion for thoughtful qualitative research processes. We were troubled by a lack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guidance on reflexivity available to HPE researchers interested in doing rigorous qualitative work. Thus, we did not attempt to take a neutral stance regarding the literature on reflexivity. Instead, this Guide represents a combination of our knowledge and beliefs around effective reflexive practice and a representation of the literature as we see it.

우리 팀은 국제기구와 학제간 프로그램을 통해 질적 연구에 대한 전문성을 키워왔기 때문에 우리의 관점에 많은 차이가 있다. 그러나, 우리 모두는 주관주의 또는 사회 구성주의 패러다임 내에서 연구를 포지셔닝하고, 반사성에 대한 우리의 입장은 이러한 관점을 깊이 반영한다. 이 안내서에 사용된 언어는 이러한 관점을 명시적으로 식별합니다. 올모스-베가 박사는 마스트리히트 대학에서 HPE 박사 학위를 받은 마취과 의사입니다. 그는 학생들이 사회문화적, 사회적 물질적 이론을 이용하여 직장에서의 사회적, 물질적 상호작용을 통해 어떻게 배우는지 연구한다. 그는 연구 프로젝트를 감독하기 시작한 이후 질적 연구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반사성에 대한 명확한 지침이 없어 좌절감을 느꼈다. 이 좌절감이 마침내 그를 이 안내서를 쓰게 만들었다. Stalmeijer 박사는 마스트리히트 대학에서 HDE 박사 학위를 받은 교육학자입니다. 그녀는 교육의 질적 관리에 대한 배경과 인지적 견습 이론을 이용한 임상 교사 평가에 초점을 맞춘 박사 학위를 가지고 있다. 그녀는 현재 사회문화 이론을 사용하여 직장 학습과 지도를 연구하고 직장 학습 중에 존재하는 전문직 간 역학을 전경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Varpio 박사의 박사 학위는 수사학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그녀의 HPE 경력은 과학 철학에 대한 세심한 주의와 그러한 철학이 연구 실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기초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과 질적 HPE 연구원으로서의 활발한 연구를 고려할 때, 그녀는 반사성을 포함한 다양한 연구 패러다임과 방법론에 걸쳐 엄격함을 유지하는 기본 원칙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칼케 박사는 맥마스터 대학교, 앨버타 대학교,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녀는 사회문화 이론과 비판 이론(예: 비판적 인종 이론)의 분과를 사용하여 훈련생 및 의사 기관과 의료 시스템의 사회 정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그녀는 참여자의 목소리를 부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연구 전략에 열정을 가지고 있으며, 그녀의 작품의 사회 정의 목표를 위협하는 권력 역학을 관리한다. 이러한 관점은 대인관계 반사성에 대한 그녀의 견해를 깊이 알려준다. Dr. Kahke, Varpio 및 Stalmeijer는 석사 및 박사 수준의 대학원생들에게 질적 연구 방법론을 가르치고 그들의 교수 실습에 반사성에 대한 논의를 통합한다. 우리 팀의 경험은 이 가이드를 형성했고, 우리는 이 연구와 작성 과정에 도움을 주었고, 이는 우리의 연구와 교육 실습에서 반사성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다시 형성했습니다. 이 기사가 우리의 집단적 전문성과 주관성으로부터 이익을 얻는다는 것을 인정하기 위해, 우리는 이 원고 전체에 1인칭 복수 "우리"와 "우리"를 사용한다.
Our team developed expertise in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international institutions and interdisciplinary programs; thus,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our perspectives. However, we all position our research within subjectivist or social constructionist paradigms, and our stances on reflexivity deeply reflect this perspective. The language used in this Guide explicitly identifies this perspective. Dr Olmos-Vega is an anesthesiologist with a PhD in HPE from Maastricht University. He studies how students learn through social and material interactions in the workplace using sociocultural and socio-material theories. Since he started supervising research projects, he felt frustrated by the lack of a clear guide to reflexivity that could be used by researchers interested in qualitative research. This frustration finally drove him to write this Guide. Dr Stalmeijer is an educationalist with a PhD in HPE from Maastricht University. She has a background in quality management of education and her PhD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clinical teachers using Cognitive Apprenticeship theory. She currently studies workplace learning and guidance using sociocultural theories and focuses on foregrounding the interprofessional dynamics present during workplace learning. Dr Varpio’s doctoral degree is in English, focusing on rhetoric; her HPE career has been built on careful attention to philosophies of science and how those philosophies impact research practices. Given this background and her active work as a qualitative HPE researcher, she advocates for the need to clarify the foundational principles that uphold rigor across different research paradigms and methodologies—including reflexivity. Dr Kahlke holds a PhD in Education and trained at McMaster University, the University of Alberta, and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She uses sociocultural theory and branches of critical theory (such as Critical Race Theory) to conduct her research on trainee and physician agency and social justice in healthcare systems. She has a passion for novel research strategies that can highlight participant voices and manage power dynamics that threaten the social justice aims of her work. This perspective deeply informs her views on interpersonal reflexivity. Drs. Kahlke, Varpio, and Stalmeijer teach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o graduate students at both Masters and PhD levels and incorporate discussions on reflexivity in their teaching practice. Our team’s experience shaped this Guide, and we benefited this research and writing process, which reshaped our understandings of reflexivity in our research and teaching practice. To acknowledge that this article benefits from our collective expertise and subjectivities, we use the first-person plural “we” and “our” throughout this manuscript.

결론
Conclusion

이 AME 가이드에서는 반사성에 대한 명확하고 통일된 정의를 발전시켰습니다. 우리는 독자들에게 그것들을 해결하기 위한 도구와 전략을 제공하는 동시에 반사성의 여러 측면을 탐구했다. 우리는 이 가이드가 질적 연구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반사성 연습에 대한 간단한 접근법을 제공할 수 있다고 믿는다. 그것은 또한 그들의 학생들과 멘티들을 질적인 연구의 세계에 소개하고 싶어하는 연구 감독관들을 위한 교육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가이드를 통해 HPE 분야에서 엄격하고 고품질의 표준을 홍보하여 질적 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을 공고히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 가이드를 마무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테이크홈 메시지를 제공합니다. 
In this AMEE Guide, we have advanced a clear and unified definition of reflexivity. We have explored multiple facets of reflexivity while giving readers tools and strategies to address them. We believe this Guide can provide a straightforward approach to reflexivity practice for those interested in qualitative research. It could also be used as a teaching tool for research supervisors who want to introduce their students and mentees to the world of qualitative research. Finally, we hope that we promote rigorous, high-quality standards in the HPE field through this Guide, cementing a solid foundation to consolidate the growing interest in qualitative research. To close this Guide, we would like to provide four take-home messages:

  • 연구 설계의 모든 측면에 포함시켜 반사성을 위한 공간과 시간을 만듭니다. 반사율을 실현하기 위한 도구와 전략을 포함하는 반사율 계획을 수립한다. 불행하게도, 반사성은 집중적인 데이터 생성과 분석을 완료해야 하는 압박이라는 긴급한 문제에서 종종 상실된다. 그러나 무분별한 결정은 질적 연구의 무결성을 위협하고, 문서의 부족은 뉘앙스와 반사적 연구에 대한 보고 능력을 손상시킨다.
  • 협업 내에 반사성을 포함시킨다. 반사성은 사려 깊고 협력적인 방법으로 도전적인 가정과 결정에 의존한다. 이를 위해서는 팀들이 상호 관계를 구축하고 의사 결정과 데이터를 함께 씨름할 시간이 필요합니다.
  • 다양한 유형의 반사성을 탐색합니다. 당신의 연구에 대인관계, 방법론, 문맥 유형을 포함하기 위해 개인적인 반사성을 넘어 모험하라. 각 유형의 뉘앙스를 탐색하고 특정 패러다임과 방법론에 따라 심층적으로 탐색할 반사성 측면을 결정합니다.
  • 당신의 주관성을 수용하라; 기본 목표로서의 객관성을 버리고 의미 있는 반사성 연습을 통해 당신의 주관성의 힘을 받아들인다. 반사율은 제한이 아니다; 그것은 당신의 연구에 있어 자산이다.
  • Make space and time for reflexivity by embedding it in all aspects of study design; construct a reflexivity plan that includes tools and strategies to actualize reflexivity. Unfortunately, reflexivity often gets lost in the pressing issues of intensive data generation and pressure to complete analyses. However, thoughtless decisions threaten the integrity of qualitative research, and lack of documentation impairs the ability to report on nuanced and reflexive research.
  • Embed reflexivity within collaborations; reflexivity relies on challenging assumptions and decisions in thoughtful and collaborative ways. To do this, teams need time to build rapport and grapple with their decisions and data together.
  • Explore different types of reflexivity; venture beyond personal reflexivity to include interpersonal, methodological and contextual types in your study. Explore each type's nuances and decide which reflexivity aspect to explore in-depth according to your specific paradigm and methodology.
  • Embrace your subjectivity; abandon objectivity as a foundational goal and embrace the power of your subjectivity through meaningful reflexivity practices. Reflexivity is not a limitation; it is an asset in your research.

Med Teach. 2022 Apr 7;1-11. doi: 10.1080/0142159X.2022.2057287. Online ahead of print.

A practical guide to reflexivity in qualitative research: AMEE Guide No. 149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Anesthesiology Department, Pontificia Universidad Javeriana, Bogotá, Colombia.

2Department of Educational Development and Research, School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Faculty of Health, Medicine and Life Sciences,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3Department of Medicine and Center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Bethesda, Maryland, USA.

4Division of Education and Innovation, Department of Medicine and Scientist,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Canada.

PMID: 35389310

DOI: 10.1080/0142159X.2022.2057287

Abstract

Qualitative research relies on nuanced judgements that require researcher reflexivity, yet reflexivity is often addressed superficially or overlooked completely during the research process. In this AMEE Guide, we define reflexivity as a set of continuous, collaborative, and multifaceted practices through which researchers self-consciously critique, appraise, and evaluate how their subjectivity and context influence the research processes. We frame reflexivity as a way to embrace and value researchers' subjectivity. We also describe the purposes that reflexivity can have depending on different paradigmatic choices. We then address how researchers can account for the significance of the intertwined personal, interpersonal, methodological, and contextual factors that bring research into being and offer specific strategies for communicating reflexivity in research dissemination. With the growth of qualitative research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t is essential that qualitative researchers carefully consider their paradigmatic stance and use reflexive practices to align their decisions at all stages of their research. We hope this Guide will illuminate such a path, demonstrating how reflexivity can be used to develop and communicate rigorous qualitative research.

Keywords: Reflexivity; qualitative methods; qualitative research.

 

의학교육의 출판과 지식생성에서 새는 파이프라인(Perspect Med Educ, 2022)
The leaky pipeline of publications and knowledge generation in medical education
Rashmi A. Kusurkar

 

 

의학 교육에서의 나의 여정은 세계적인 것이다. 저는 의사, 교사, 연구원으로 글로벌 남방(인도)에서 글로벌 북방(네덜란드)으로 이주했습니다. 연구 역량은 뛰어나지만 과학 저술과 출판에 대한 자신감은 낮았던 인도에서 야심차고 동기부여가 된 제 자신을 회상하면서, 저는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것에서 출판 가치가 있는 학술 논문을 만드는 것에 이르는 궤적을 완성할 훈련과 자원이 전혀 없었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뒤늦게나마, 제 연구는 출판 가치가 있었지만, 제 글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네덜란드로 이사하면서 내 경력에 새로운 힘이 생겼다. 나는 네덜란드 최고의 연구소인 위트레흐트 대학 의료 센터에서 자원을 이용할 수 있었고, 세계적으로 유명한 전문가 올레텐 카테 교수의 지도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었다. 저의 새로운 위치와 저의 새로운 멘토 덕분에, 저는 그 분야의 지배적인 지식 대화가 일어나는 네트워크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나는 그러한 대화와 관점에 익숙해졌다. 나는 연구에 대한 독서와 대화를 통해 문헌의 차이를 비교적 쉽게 파악할 수 있었고 혁신적인 연구 주제로 나만의 연구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데 성공했다.

My journey in medical education is a global one. I relocated as a doctor, teacher and researcher from the Global South (India) to the Global North (the Netherlands). As I reminisce about my ambitious, motivated self in India with competence in research, but low confidence in scientific writing and publishing, I realize that I simply did not have the training and resources to complete the trajectory from conducting innovative research to crafting a publication-worthy academic paper. By hindsight, my research was publication-worthy, my writing was not. Moving to the Netherlands gave my career a new boost. I was granted access to resources at a premier Dutch institute,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and could benefit from the guidance of world-renowned expert Professor Olle ten Cate. By virtue of my new location and my new mentor, I became part of a network where the dominant knowledge conversations in the field were happening. I became privy to those conversations and viewpoints. I was able to identify gaps in the literature relatively easily through reading and talking to people about research and was successful in setting up my own research program with innovative research themes.

박사 학위를 받은 후, 리뷰어로서의 경험을 쌓으면서, 나는 '문헌의 gap이 명확하지 않다', '과학적 글쓰기의 질이 나쁘다', '영어 실력이 부족하다', '이것은 이미 서양맥락에서 행해졌다', '이 주제는 현장의 현재 대화에서 충분히 중요하지 않다' 등과 같은 이유로 거절당한 의학 교육에서 흥미로운 원고들을 발견했다. [글로벌 북방]의 출판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연구자들에 의해 심각한 자원 제약 속에서 진행되었다는 것을 알면서도,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거부된 고품질의 원작을 보고 가슴이 아팠다. 저는 그 작가들 각각과 동일시 했습니다. 제가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작가들은 펜을 들고 그들의 작품을 제출할 수 있는 충분한 자신감을 모으기 위해 주요 장애물을 극복했습니다. 제가 여러 의학 교육 저널의 부편집장으로 임명되었을 때, 저는 글로벌 사우스 출신의 작가들이 주요 저널에 게재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그 대의를 추진하겠다고 제 자신과 약속을 했습니다. 나는 편집자들과 이 주제에 대한 대화를 시작함과 동시에 일대일로 몇몇 작가들을 멘토링함으로써 이것을 할 것이다. 의학 교육에서 출판물의 유출 파이프라인에 대한 이 논평은 이러한 대화를 추진하기 위한 시도이다.
After my PhD, as I gathered experience as a reviewer, I came across interesting manuscripts in medical education written by authors from the Global South that were rejected for reasons such as: ‘the gap in the literature is not clear’, ‘poor quality of scientific writing’, ‘poor English language skills’, ‘this has already been done in the Western context’, ‘this topic is not important enough in the current conversations in the field’, and so on. It broke my heart to see high-quality original work rejected for these reasons, knowing it had been conducted under serious resource constraints by researchers who were not familiar with the publication culture in the Global North. I identified with each of those authors, who I could imagine had overcome major hurdles in order to put pen to paper and muster enough confidence to submit their work. When I was appointed as an associate editor on multiple medical education journals, I made a pact with myself that I would drive the cause to help authors from the Global South publish in the major journals. I would do this by mentoring some authors on a one-on-one basis, while simultaneously starting conversations about this topic with editors. This commentary on the leaky pipeline in publications in medical education is an attempt to drive this conversation.

물이 새는 파이프라인
The leaky pipeline

[누출성 파이프라인] 은유는 학계[1]와 STEM(과학, 기술, 공학, 수학) 분야[2]에서 여성의 대표 부족과 의학뿐만 아니라 학계에서도 유색인종의 부족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3]. 새는 파이프라인 은유는 의학 교육 출판 관행과 아름답게 들어맞는다. 의학 교육에 대한 지식은 전 세계적으로 생성되지만, 그 분야의 시스템적 요소 때문에 특정 유형의 지식만 출판되고 그 분야에 보탬이 되는 '지식'으로 인정된다. 그림 1에서는 [글로벌 남방]으로부터의 지식이 상실되어, [글로벌 북방] 의학 교육 연구 저장고에 도달하거나 통합되지 않는 지식 파이프라인의 여러 가지 점을 설명한다.
The leaky pipeline metaphor has been used to illustrate the lack of representation of women in academia [1] and in the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disciplines [2], and the lack of people of colour in academia as well as in medicine [3]. The leaky pipeline metaphor fits medical education publication practices beautifully. Knowledge on medical education is generated all over the globe, but due to systematic factors in the field only certain types of knowledge are published and acknowledged as ‘knowledge’ that adds to the field. In Fig. 1, I illustrate the different points in the knowledge pipeline where knowledge from the Global South is lost and never reaches or is never incorporated into the Global North medical education research reservoir.

Buffone 등은 10년 동안 7개 주요 의학 교육 저널의 출판물에 대한 조사를 실시했으며, 이러한 대륙이 세계 인구의 약 85%를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남부(아시아, 아프리카 및 남미)의 주요 저자가 있는 출판물은 21% 미만이라고 보고했다[4]. Maggio 등은 의료 교육에서 지식 합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의료 교육에서 지식 대화를 주도하는 사람이 누구인지 밝혀냈다[5]. 그들은 보건 전문 교육에서 지식 합성의 6%만이 저소득 또는 중간 소득 국가의 저자를 포함한다고 보고했다. 나머지 94%의 작가들 중에서, 대다수의 기사들은 고소득 국가 출신의 고위 기관의 작가들에 의해 쓰여졌다. 따라서 지식의 권력 구조는 고소득 국가, 특히 세계 인구의 5% 정도에 불과한 북미의 특정 기관으로 극단적으로 치우쳐 있다.

Buffone et al. conducted an investigation into publications in seven major medical education journals over a 10-year period and reported that publications with lead authors from the Global South (Asia, Africa and South America) were less than 21%, even though these continents represent around 85% of the world population [4]. Maggio et al. conducted an analysis of knowledge syntheses in medical education, uncovering who drives the knowledge conversations in medical education [5]. They reported that only 6% of knowledge synthesi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ncluded authors from low or middle income countries. Among the remaining 94% of authors, majority of articles were written by authors from highly ranked institutions from high income countries. Thus, the power structure of knowledge is extremely skewed to certain institutions from high income countries, and especially from North America, (which represents only around 5% of the world population).

Yip과 Rashid는 10개의 저명한 의학 교육 저널의 편집 위원회에 대한 최근 조사에서 이전에는 하드 데이터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았던 잘 알려진 그림을 밝혀냈다[6]. 0-10 척도에서 6개의 저널은 성별, 지리적, 소득 수준 관련 다양성으로 구성된 종합 점수에서 낮은 점수(≤ 5)를 받았으며, 그 안에서 대부분의 점수는 [지리적, 소득 수준 관련 다양성]이 아닌 [젠더 다양성]으로 설명되었다. 불행하게도 'Perspectives on Medical Education'은 이 척도에서 5점밖에 받지 못했고 'Academic Medicine'은 완전한 북미 편집 위원회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도되었다.

In their recent investigation of the editorial boards of ten well-established medical education journals, Yip and Rashid brought to light a well-known picture that was never before supported by hard data [6]. On a scale of 0–10, six journals scored poorly (≤ 5) on a composite score comprising gender-related, geographic and income level-related diversity, within which the scores of most of them were accounted for by gender diversity rather than geographic and income level-related diversity. Unfortunately, ‘Perspectives on Medical Education’ scored only 5 on this scale and ‘Academic Medicine’ was reported to have a fully North American Editorial Board.

따라서 글로벌 남부가 의료 교육 분야의 대화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시작한다. Lancet Global Health에서 발행한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가 의료 분야에서 스토리텔링의 일부가 아니라는 기사가 이러한 현상의 증거입니다 [7]. 글로벌 사우스 대표들은 의학 교육 연구 의제를 논의하기 위해 테이블에 앉아 있지 않다. '식탁에 앉아있지 않으면, 결국 메뉴판에 오르는 것으로 끝날 뿐이다'는 말이 생각난다. 여기에 비전통적 역량(강력한 개인 서사 작성, 과학에 전통적인 지혜 포함 등)과 글로벌 남방에서 창출되는 새로운 지식의 영역은 합법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8]. 따라서 글로벌 남방에서의 작업은 글로벌 남방에서의 의료 교육의 근거 있는 현실을 이해하지 못할 수 있는 글로벌 북방의 저자, 검토자 및 편집자의 손에 달려 있다[6, 8].

Thus, it begins with the Global South being excluded from conversations in the medical education field. An article published by Lancet Global Health on how the Global South is not part of the storytelling in the medical field is evidence of this phenomenon [7]. Global South representatives are not at the table to discuss the medical education research agenda. I am reminded of the saying, ‘If you are not at the table, you will end up on the menu’. On top of that, unconventional competences (such as in writing powerful personal narratives, inclusion of traditional wisdom in science, etc.) and the new domains of knowledge generated in the Global South are not accepted as legitimate [8]. Thus, work from the Global South is at the mercy of authors, reviewers and editors from the Global North, who may not understand the grounded reality of medical education in the Global South [6, 8].

자원이 부족하거나 서구 과학 글쓰기에 대한 문학과 훈련에 대한 접근성이 부족하면 글로벌 남방 저가들의 신뢰와 인지된 역량이 심각하게 저해될 수 있다. 주요 학술지에 투고조차 되지 않은 원고가 많다. 일부 저자들이 그들의 원고를 제출하기 위해 용기를 내더라도(지난 몇 년 동안 일어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 원고가 출판에 받아들여질 가능성은 여전히 아주 적다[8].
Lack of resources or access to literature and training in Western scientific writing, which is the dominant accepted practice, can seriously hamper the confidence and perceived competence of Global South authors. Much of the work is not even submitted for publication in major journals. If some authors do gather the guts to submit their work, which seems to be happening in the last few years, there is still only a miniscule chance that this work will be accepted for publication [8].

주요 보건 전문 교육 저널에 성공적인 저자의 다양성 부족과 편집위원회의 다양성 부족을 합치면, 극도로 왜곡된 지식 종합은 소수의 강력한 글로벌 노스(어소시에이트) 편집자들이 비공식적이고 암묵적으로 지배하고 있다고 결론짓는 것이 타당하다. 그들은 대다수의 논의에 공개되지 않은 품질 기준을 설정한다[8]. 우리의 새는 파이프라인은 긴급한 조사가 필요하며 데이터는 이미 존재합니다. 근거 있는 현실을 조사하기 위해 세계적으로 연구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되어야 한다.

  • a) 리뷰어의 다양성 분석
  • b) 저소득 및 중산층 국가 및 지리적으로 다양한 지역의 저자가 작성한 논문의 게재/거부에 대한 검토자의 권고 분석
  • c) 편집 위원회가 최종 게재/거부 결정을 결정하기 위해 이러한 결정을 승인/거부하는 방법.

If we put the lack in diversity of authors successful in publishing in maj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journals together with the lack of diversity of editorial boards, it i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the extremely skewed knowledge syntheses is informally and implicitly dominated by a handful of powerful Global North (associate) editors. They set standards for quality which is not open for the majority to debate [8]. Our leaky pipeline needs urgent investigation and the data already exist. A program of research needs to be set up globally for investigating the grounded reality. This should include:

  • a) analysis of diversity among reviewers,
  • b) analysis of reviewers’ recommendations on acceptance/rejection of papers written by authors from low and middle income countries and geographically diverse regions, and
  • c) how these decisions are accepted/rejected by editorial boards to determine final acceptance/rejection decisions.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How can we address this problem?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전략을 조합해야 합니다.
Addressing this problem needs a combination of several strategies such as:

출판 관행과 관련하여—Naidu는 출판 편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세 가지 전략을 권장하며 이를 '탈식민지적 프락시스'라고 부릅니다.

  • a) 행위자 변경—소외 작가에게 주요 저널에 게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 b) 연구의 권력 이동—서양 프레임워크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맥락과 관련된 비전통적인 연구에 자금을 지원함으로써, 그리고
  • c) 과학/연구의 질에 대한 지배적인 글쓰기 구조와 고정된 개념 해체[9].

Related to publications practices—Naidu recommends a three-pronged strategy to address the issue of publication bias and calls it ‘decolonial praxis’:

  • a) Changing the actors—By providing marginalized authors the opportunities to publish in major journals,
  • b) Shifting the power in research—By funding context-relevant unconventional research, which is not embedded in Western frameworks, and
  • c) Dismantling the predominant writing structures and fixed notions of the quality of science/research [9].

나로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고 글로벌 사우스 출신의 한 저자가 제안한 의학 교육 출판 관행과 지식 생성에 평등을 가져오기 위한 그러한 이니셔티브를 환영할 것이다.

I, for one, would welcome such initiatives to tackle this problem and to bring equity in medical education publication practices and knowledge generation, the suggestion of which comes from an author from the Global South.

저널 편집 위원회와 관련하여저널 편집자는 주요 성과 지표 중 하나로 다양성 목표를 선택해야 합니다. 여기에는 지리적, 소득 수준 관련 다양성이 포함되어 있으며, 저자들이 출판하는 저작물뿐만 아니라 편집위원회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모든 저널은 출판 관행의 투명성을 위해 매년 출판물에 다양성에 대한 보고서를 발행해야 한다.
Related to journal editorial boards—Journal Editors must take up diversity targets as some of their key performance indicators. This includes geographic as well as income-level related diversity not only among the authors whose work they publish but also in their Editorial Boards. Every journal should publish a report on diversity in their publications annually, in the interest of transparency in publication practices.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의 연구 및 출판 개선을 위한 특정 이니셔티브와 관련하여—국제 과학 및 정책 발전 네트워크(INASP)와 같은 국제 이니셔티브는 [10]에서 배울 수 있는 모범 사례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INASP는 모든 목소리를 포함하고 모든 인재를 육성함으로써 전 세계에 평등한 지식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개인, 조직 및 시스템] 세 가지 수준에서 지원과 지침을 제공합니다.

  • 개인에 대한 지원은 포용적인 생산, 의사소통, 평가 및 지식의 사용을 포함한다.
  • 조직에 대한 지원은 비판적 사고, 학습 및 지식 생산을 위한 포용적인 환경을 개발하는 것을 포함한다.
  • 시스템에 대한 지원은 공동생산, 교육 및 학습에 관련성과 퀄리티 증거를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10].

우리는 글로벌 남방으로부터 중요한 연구 및 출판물 덩어리를 만들기 위해 INASP와 같은 더 많은 이니셔티브가 필요하다.
Related to specific initiatives for enhance research and publication from the Global South—International initiatives such as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Advancing Science and Policy (INASP) can be considered as best practices to learn from [10]. INASP strives to produce an equitable knowledge ecosystem in the world through including every voice and fostering every talent. They provide support and guidance at three levels: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systemic.

  • Individual support comprises inclusive production, communication, appraisal, and use of knowledge.
  • Organizational support comprises developing inclusive environments for critical thinking, learning and knowledge production.
  • Systemic support comprises coproduction, and using relevant and quality evidence in teaching and learning [10].

We need more initiatives such as INASP to create a critical mass of research and publications from the Global South.

이것은 우리의 유출을 고치기 위해 힘을 모으자는 요청입니다!

This is a call to join forces to fix our leaks!

 


Perspect Med Educ. 2022 Mar;11(2):70-72. doi: 10.1007/s40037-022-00700-4. Epub 2022 Mar 3.

The leaky pipeline of publications and knowledge generation in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Amsterdam UMC, Research in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Vrije Universiteit, Amsterdam, The Netherlands. R.Kusurkar@amsterdamumc.nl.

2LEARN! research institute for learning and education. Faculty of Psychology and Education, VU University Amsterdam, Amsterdam, The Netherlands. R.Kusurkar@amsterdamumc.nl.

PMID: 35239162

PMCID: PMC8941050

DOI: 10.1007/s40037-022-00700-4

HPE에서 데이터 사이언스와 머신러닝의 역할: 실용적 적용, 이론적 기여, 인식론적 신념(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0)
The role of data science and machine learnin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practical applications, theoretical contributions, and epistemic beliefs 
Martin G. Tolsgaard1,2 · Christy K. Boscardin3 · Yoon Soo Park4,5 · Monica M. Cuddy6 · Stefanie S. Sebok‑Syer7

 

 

서론
Introduction

거의 10년 전, 제프 노먼은 왓슨의 상업적 성공을 사설화한 "의학자가 기계를 만난다"라는 제목의 글을 썼고, 왓슨은 인공지능(AI)이 미래에 의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노먼 2011). 그 이후로 건강 전문 교육(HPE) 분야의 학자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데이터 과학 분야에 뿌리를 둔 AI가 교육, 학습 및 평가에 혁명을 일으킬 가능성을 선전하고 있다. 미국 통계 협회(van Dyk et al. 2015)에 따르면, [데이터 과학의 학제간 분야]는 다음을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1) 데이터에서 지식을 추출하기 위한 통계, 인공지능(AI), 머신러닝(ML) 등. 
  • (2) 데이터 구성, 관리 및 저장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 (3) 복잡한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계산 인프라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엔지니어링. 

Almost a decade ago, Geoff Norman wrote a piece entitled, “Medicine man meets machine” where he editorialized the commercial success of Watson, arguing that Watson was a demonstration of how Artificial Intelligence (AI) may influence medicine in the future (Norman 2011). Since then, a growing body of scholarship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has touted the potential for AI, rooted in the field of data science, to revolutionize instruction, learning, and assessment (Masters 2019; Chahine et al. 2018; Murdoch and Detsky 2013; Gruppen 2012). According to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an Dyk et al. 2015), the interdisciplinary field of data science aims to utilize:

  • (1) statistics,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machine learning (ML) to extract knowledge from data,
  • (2) database management to organize, manage, and store data, and
  • (3) systems engineering to provide the computational infrastructure needed to conduct complex data analyses.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알고리즘과 수학적 모델이 HPE의 맥락에서 데이터와 그 응용에 대한 이해를 어떻게 형성했는지 강조하기 위해 데이터 과학의 ML 측면(그림 1 참조)에 초점을 맞춘다. 우리가 HPE 연구 내에서 데이터 과학과 ML의 존재 증가를 예상함에 따라, 건강 과학 교육의 발전은 데이터 과학과 HPE의 교차 분야 내에서 지식 확산을 촉진하고 중요한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ML aspect of data science (see Fig. 1) to highlight how computer algorithms and mathematical models have shaped our understanding of data and its applications in the context of HPE. As we anticipate an increasing presence of data science and ML within HPE research,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facilitating knowledge dissemination and enabling critical conversations within the intersecting fields of data science and HPE.

용어가 익숙하지 않을 수 있는 사람들을 위해, ML은 통계를 사용하여 기계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되지 않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하고 적응적 예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AI의 하위 집합이다(Thakur 2020). 많은 ML 접근 방식의 기본 원칙은 [기계의 데이터 해석 능력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반복적이고 적응적인 알고리듬을 통해, 데이터 내의 패턴을 자동으로 찾는 것]이다. 딥 러닝(DL)은 신경망 또는 노드(뇌에서 뉴런이 작동하는 방식과 유사)를 사용하여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복잡한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ML 기술의 새로운 하위 집합이다(MIT 2020). 자연어 처리(NLP)는 많은 양의 언어 또는 텍스트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DL 접근법이다.
For those who may be unfamiliar with the terms, ML is a subset of AI that uses statistics to enable machines to learn and make adaptive predictions based on data without being programmed to perform specific actions (Thakur 2020).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many ML approaches is to automatically find patterns within data through iterative and adaptive algorithms that continuously refine the machine’s ability to interpret data. Deep learning (DL) is a newer subset of ML techniques that uses neural networks or nodes (similar to the way neurons work in the human brain) to leverage big data to understand and solve complex problems (MIT 2020).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is a common DL approach used to process and analyze large amounts of language or text data.

최근의 연구는 ML이 HPE를 개선하고 환자 관리를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현재 검토 기사에서 Topol(2019)은 방사선사와 병리학자가 ML을 사용하여 의료 영상(예: 흉부 X선, 심전도, 피부 병변, 망막 영상)을 진단하는 전문가 수준의 성능을 보여주는 방법을 강조했다. 예를 들어, Haensle et al.(2018)은 알려진 결과를 가진 24,000개의 피부 병변 이미지에 대해 훈련된 신경망이 흑색종 진단 시 민감도와 특이성 측면에서 대부분의 인간 피부과 의사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입증했다. 또한, 의학에서 NLP의 적용에는 전자 건강 기록 및 임상 기록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환자 정보를 효율적으로 분류하고 요약하는 음성 인식 및 감정 분석이 포함된다.

Recent research showcased the potential for ML to enhance HPE and improve patient care. In a current review article, Topol (2019) highlighted how radiologists and pathologists use ML to display expert-level performance in diagnosing medical images (e.g., chest X-rays, electrocardiograms, skin lesions, retinal images). For instance, Haenssle et al. (2018) demonstrated that a neural network trained on 24,000 skin lesion images with known outcomes outperformed most human dermatologists in terms of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hen diagnosing melanomas. Furthermore, applications of NLP in medicine include speech recognition and sentiment analyses that use data from electronic health records and clinical notes to efficiently classify and summarize patient information (Koleck et al. 2019).

이러한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의료 분야의 ML은 주로 분류 및 예측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어떤 사람들은 그것이 그것을 [서포트]하기보다는, 의사들이 하는 일을 [모방]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한다. ML 기술은 의사 성과를 대체하는 대신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기 때문에, [HPE에 상당한 가치를 추가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ML은 보건 전문가의 교육, 학습 및 평가를 지원하기 위해 대량의 임상 및 교육 데이터를 자동화, 관리 및 결합하는 데 적합할 수 있다(Chan 및 Zary 2019).

As these examples suggest, ML in healthcare has been used primarily for classification and/or prediction purposes. Some argue that it tends to mimic the work being done by physicians rather than support it (Masters 2019). With a focus on improving physician performances as opposed to replacing them, ML techniques have the potential to add substantial value in HPE. In general, ML may be well-suited for automating, managing, and combining large amounts of clinical and educational data to support the instruction, learning, and assessment of health professionals (Chan and Zary 2019).

그러나 이 약속은 데이터 과학과 ML이 보건 분야의 연구와 실무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짐에 따라 완화될 수 있다. 교육 과학자들은 ML 기술이 HPE의 맥락적 뉘앙스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문제에 대한 포괄적인 해결책"으로 홍보하는 것을 경계했다. 일반 교육 문헌에서 제기된 한 가지 구체적인 우려는, 데이터 과학과 ML의 초기 적용은, 주로 [특정한 과학적 사고 방식에 뿌리를 둔 학문]인, [인지 심리학과 신경 과학]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다. 얼리 어답터로서, 이러한 특정 분야는 일반적으로 교육 및 특히 HPE 내에서 데이터 과학과 ML의 현재 사용을 알리는 이론적 입장과 인식론적 믿음에 과도하게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영역 영향은 HPE 연구에서 이러한 새로운 분석 접근법의 범위와 유용성을 제한할 수 있다.
This promise, however, may be tempered by growing concerns about the long-term impact of data science and ML on research and practice in the health professions (van der Niet and Bleakley 2020; Imran and Jawaid 2020; Wartman and Combs 2019). Education scientists have cautioned against promoting ML technology as an “all-encompassing answer to complex problems” as it might fail to recognize the contextual nuances of HPE (van der Niet and Bleakley, 2020). One specific concern raised in the general education literature is that early applications of data science and ML stemmed primarily from cognitive psychology and neuroscience, disciplines rooted in certain scientific ways of thinking (Williamson 2017). As early adopters, these specific disciplines may have unduly affected the theoretical positions and epistemic beliefs that inform the current use of data science and ML within education in general and HPE specifically. This type of domain influence has the potential to limit the scope and utility of these new analytic approaches in HPE research.

지난 10년간 데이터 과학과 ML의 발전은 교육 연구에서 [가설 검증에서 이론의 관련성과 사용에 대한 논의]를 이끌었다. 일부 학자들은 데이터 과학과 ML의 출현을 인간의 주관성과 편견의 영향 없이 데이터가 "스스로를 대변"할 수 있게 했다고 칭찬한다(Kitch 2014). 이러한 프레임워크는 교육에서 확립된 많은 전통적인 연구 관행에서 벗어난다. 전통적 연구 관행에서는 [이론의 사용]이 지식 생성을 위한 [가설 생성과 검증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교육 및 HPE에서 데이터 과학과 ML을 사용하는 이론 중심 접근법이 아직 충분히 구체화되지 않았지만(Kitch in 2014), [데이터 과학]은 [경험적 증거], [과학 이론], [계산 과학]에 합류하여 과학에서 네 번째 패러다임으로 언급되었다. 그러나 데이터 과학이 개념적으로나 운영적으로 과학적 패러다임으로서 어떻게 작동할지는 불분명하다. 이는 HPE에서 ML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러한 논의를 고려하여, 우리는 HPE 문헌 내에서 ML과 관련된 연구의 실제 적용, 이론적 기여 및 인식론적 믿음을 비판적으로 평가했다.

Advances in data science and ML over the past decade have led to discussions regarding the relevance and use of theory in hypothesis testing in educational research (Williamson 2017; Kitchin 2014). Some scholars praise the emergence of data science and ML for allowing data to “speak for itself” without the influence of human subjectivity and bias (Kitchin 2014). Such a framework strays from many traditional research practices established in education, where the use of theory takes a central role in hypothesis generation and testing for the purpose of knowledge generation (Laksov et al., 2017). Although a theory-driven approach to using data science and ML in education and HPE has not been sufficiently articulated yet (Kitchin 2014), data science has been referred to as the fourth paradigm in science, joining empirical evidence, scientific theory, and computational science (Hey et al. 2009). Yet, it is unclear how data science might operate as a scientific paradigm both conceptually and operationally. This is also true for the use of ML in HPE. In light of these discussions, we critically evaluated the practical applications, theoretical contributions, and epistemic beliefs of studies involving ML within the HPE literature.

방법들
Methods

연구설계
Study design

우리는 HPE 내에서 데이터 과학과 ML 연구를 분류하기 위해 비판적 검토 방법론(Grant and Booth 2009)을 사용했다. 우리는 실제 적용, 이론적 기여 및 인식론적 기반과 관련하여 선택된 연구의 속성을 비판적으로 평가했다. [비판적 검토]는 체계적인 검토를 위해 설계된 것은 아니지만, 우리의 목적과 잘 일치하는 문헌의 개념적 기여에 대한 평가를 지원하는 과정을 제공한다. 우리의 목적은 [HPE에서 데이터 과학 및 ML의 사용에 inform하는 핵심 또는 영향력 있는 작업의 개요를 제공하는 것]이다.

We employed critical review methodology (Grant and Booth 2009) to classify data science and ML research within HPE. We critically appraised attributes of selected studies with respect to their practical applications, theoretical contributions, and epistemic underpinnings. Although a critical review is not designed to systematically review a body of work, it offers a process that supports an evaluation of the conceptual contributions of the literature (Grant and Booth 2009), which aligns nicely with our purpose: to provide an overview of key or influential work that informs the use of data science and ML in HPE.

분류 과정을 안내하기 위해 Stokes의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각 연구 논문을 분류했다(Stokes 1997). [Stokes의 프레임워크]를 채택한 것은 연구자들이 HPE에서 데이터 과학과 ML을 활용하는 방식에 대한 분류를 기반으로 하는 공통 언어를 제공했다. 또한, 이 프레임워크는 비평적 렌즈를 사용하여 문헌을 탐구할 수 있게 해주었는데, 이는 일부 연구가 이론이나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참조하는 방법과 이유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었고, 다른 연구들은 그렇지 않았다.

To help guide our classification process, we used Stokes’ framework to categorize each research article (Stokes 1997). Employing Stokes’ framework provided a common language upon which to base our classifications of the ways that researchers utilized data science and ML in HPE. Furthermore, this framework allowed us to explore the literature with a critical lens, which helped explain how and why some studies referenced a theory or conceptual framework, while others did not.

Stokes의 프레임워크(Stokes 1997)는 [두 가지 차원]에 따라 연구를 검토한다. 

  • (1) 근원적 이해
  • (2) 실제 사용을 고려

그것은 네 가지 유형의 연구 결과를 낳는다. 

  • [이론적 이해]에 정보를 주기 위해서만 이루어지며, [실제적인 함의를 고려하지 않는 연구]를 '순수 기초 연구'라고 한다. 
  • [이론적 이해]뿐만 아니라 그러한 [작업의 활용을 고려]하는 연구를 "사용에 영감을 받은 기초 연구"라고 한다. 
  • 특정 과학 분야의 이론적 지식을 발전시키려 하지 않고, [오로지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특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행해지는 연구를 '순수 응용 연구'라고 한다. 
  • 마지막으로 [이론적 이해를 알리거나 실용화를 고려하지 않는 연구]는 '예측적, 탐색적, 평가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Stokes’ framework (Stokes 1997) examines research along two dimensions:

  • (1) quest for fundamental understanding and (2) consideration of practical use. 

It results in four types of research.

  • First, research that is done solely to inform theoretical understandings, but does not consider any practical implications, is labelled “Pure Basic Research.”
  • Research that seeks to further not only theoretical understanding, but also considers the applications of such work is called “Use-inspired Basic Research” and
  • research that is done solely to solve practical problems or achieve specific goals without attempting to advance theoretical knowledge in a particular scientific area is called “Pure Applied Research.”
  • Finally, research that does not seek to inform theoretical understandings or consider practical use can be classified as “Predictive, Exploratory, or Evaluative.”

검색 전략
Search strategy

우리는 주요 용어에 대해 Medline, Scopus, Eric, Web of Science, Google Scholar를 검색했습니다. 이 용어는 데이터 과학(데이터 과학, "인공지능", "딥 러닝", "빅 데이터 분석", "기계 학습", "자연 언어 처리", "신경 네트워크"), HPE(보건 전문 교육", "의학 교육", "시뮬레이션 기반 의료 교육", "학습 평가", "성과 평가", "컴포지트")와 관련이 있다.의학적 교육("Etentency-based medical dev 또한, 우리는 스노우볼 기법을 사용하여 주요 논문의 참조 목록을 검색했습니다. 주요 포함 기준은 본 논문에서 HPE 맥락에서 일부 데이터 과학 기술을 활용했다는 것이다. 우리는 다양한 실제 적용, 이론적 관점 및 인식론적 믿음을 강조하기 위해 독창적인 연구, 입장 논문, 사설 및 주석을 포함했다.
We searched Medline, Scopus, Eric, Web of Science, and Google Scholar for key terms. These terms related to data science (“data science”, “artificial intelligence”, “deep learning”, “big data analytics”, “machine learn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eural networks”) and HP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edical education”, “simulation-based medical education”, “assessment of learning”, “assessment of performance,”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In addition, we searched reference lists of key papers using a snowball technique. The main inclusion criterion was that the paper utilized some data science technique in an HPE context. We included original research, position papers, editorials, and commentaries to highlight a diversity of practical applications,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epistemic beliefs.

검토 프로세스
Review process

모든 저자들은 선별된 논문들을 검토하고 토론하는데 기여했다. Stokes의 프레임워크에 따라 논문을 분류하기 위해, 우리는 연구의 명시된 목표, 결과의 프레임 및 토론의 초점을 기반으로 지식을 발전시키거나 실제 문제를 해결하거나 둘 다로 코딩했다. 우리는 2020년 4월 16일부터 2020년 7월 29일까지 매주 만나 새로운 주제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All authors contributed to reviewing and discussing selected papers. To categorize the papers according to Stokes’ framework, we coded them as either advancing knowledge, solving practical problems, or both based on the stated goals of the study, framing of the results, and focus of the discussion. We met weekly from April 16, 2020 to July 29, 2020 to discuss emerging themes.

결과.
Results

HPE 연구에서 데이터 과학 및 ML의 실용적 적용
Practical applications of data science and ML in HPE research

HPE에서 데이터 과학과 ML을 사용한 연구의 대부분은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이론적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몇 가지 연구만 명시적으로 시작했다. 확인된 다수의 논문은 기술적 효율성을 입증한 "정당화" 연구 또는 [개념 증명]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는 "순수 응용 연구" 범주와 일치한다. 이것은 어떤 것이 어떻게, 누구를 위해, 왜 작동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명확화 연구]와 구별된다.

The majority of research using data science and ML in HPE aimed to solve practical problems, with only a few studies explicitly setting out to advance theoretical understanding. A large number of papers identified (Dias et al. 2019; Masters 2019; van der Niet and Bleakley 2020; Chan and Zary 2019; Topol 2019) could be classified as “justification” studies that demonstrated technological efficiency or a proof-of-concept (Cook et al. 2008), which coincides with the “Pure Applied Research” category. This is distinct from clarification research (Cook et al. 2008), which asks questions about how, for whom and why something works.

시뮬레이션 및 의료 영상과 같은 영역은 주로 성능 평가 자동화, 피드백 제공 및 환자 결과 예측을 위해 ML의 실용적인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했다(표 1 참조). 많은 경우, 저자는 ML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이유로 기존 한계(예: 전문가 인간 평가자의 직접 관찰과 피드백에 의존하는 간헐적이고 무작위적인 작업장 기반 평가)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인용했다(Oquendo et al. 2018). 실제로, 여러 연구는 [평가자 기반 점수]를 [ML 기반 예측]으로 대체하여, 수술 기술 평가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ML 알고리듬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예를 들어, 한 연구는 외과의사의 경험 수준을 사용하여 ML 알고리즘을 훈련시켜 서로 다른 수준의 수술 기술을 구별했습니다.

Areas such as simulation and medical imaging predominantly used practical applications of ML for automating performance assessment, providing feedback, and predicting patient outcomes (see Table 1). In many cases, authors cited the ability to address existing limitations (e.g., infrequent and haphazard workplace-based assessments that rely on direct observation and feedback by expert human raters) as the rationale for using a ML approach (Oquendo et al. 2018). Indeed, several studies described how ML algorithms could be us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assessing surgical skills by replacing rater-based scores with ML-based predictions (Winkler-Schwartz et al. 2019; Alonso-Silverio et al. 2018; Oquendo et al. 2018; Ismail Fawaz et al. 2019; Wang and Fey  2018; Uemura et al. 2018; Bissonnette et al. 2019; Khalid et al. 2020; Andrew et al. 2018). For example, one study used surgeons’ experience levels to train a ML algorithm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levels of operative skills (Uemura et al. 2018).

 

 

전통적인 교육 방법을 보강하는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ITS)은 HPE 내에서 ML의 실용적인 유용성을 입증한 문헌의 또 다른 영역을 대표했다. 한 연구에서는 복통 임상사례 208건을 바탕으로 임상추리력을 높이는 이러닝 툴을 개발하기 위해 ML 기법을 사용하였다. 이 도구를 사용하여 학생들은 가상 환자와 상호작용하고 학습자가 요청한 특정 환자 정보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피드백을 받았다(Khumrin et al. 2017). 또 다른 연구에서는 ML 기술을 사용하여 임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실제 임상 환경을 시뮬레이션하는 마취에서 몰입적이고 대화형 가상 훈련 플랫폼을 만들었다. 마지막으로 ML 기반 평가의 타당성을 탐구하는 대다수의 연구는 교육적 프레임워크가 없거나 시대에 뒤떨어진 타당성 프레임워크를 사용했다(Dias et al. 일반적으로, 이 연구의 하위 집합은 평가와 교육 내에서 실질적인 교육 문제를 다루었지만, 교육 이론이나 인식론에 대한 제한된 고려나 참고를 제공했다.
Intelligent tutoring systems (ITS) augmenting traditional instruction methods represented another area in the literature that demonstrated the practical utility of ML within HPE. In one study, ML techniques were used to develop an e-learning tool that increased clinical reasoning skills based on 208 clinical cases of abdominal pain. Using this tool, students interacted with a virtual patient and received personalized feedback based on the specific patient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learner (Khumrin et al. 2017). In another study, ML techniques were employed to collect clinical data and create an immersive and interactive virtual training platform in anesthesia that simulated an authentic clinical environment (Cao et al. 2015). Lastly, the majority of studies exploring the validity of ML-based assessments, either used no educational framework or outdated validity frameworks (Dias et al. 2019). In general, this subset of studies addressed practical educational problems within assessment and instruction, but offered limited consideration or reference to educational theory or epistemology.

HPE 연구에서 데이터 과학과 ML의 이론적 기여
Theoretical contributions of data science and ML in HPE research

이번 심사를 위해 선정된 논문의 대다수가 '순수응용연구' 범주에 속하지만 모두 이론적이 없는 것은 아니었다. 통계이론, 계산이론, 방법론적 고려사항 측면에서 데이터 과학이론을 충분히 활용한 연구가 몇 개 있었는데, 이는 ML 모델을 선택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안내하였다. 예를 들어, [설명 가능한 AI]의 개념은 모델이 특정 결과에 도달하는 방법이 불분명한 ML 연구에서 '블랙박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론으로 도입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사용에 영감을 받은 기초 연구" 범주에 속합니다.
Although the majority of papers selected for this review fall into the “Pure Applied Research” category, not all of them were atheoretical. There were a few studies with sufficient use of data science theory, in terms of statistical theory, computational theory, and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which guided how ML models were selected and utilized (Bisonette et al. 2019; Uemura et al. 2018; Wang and Fey 2018). For example, the concept of Explainable AI was introduced as a theory (Winkler-Schwartz et al. 2019) to address the ‘black box’ problem in ML research, where it is unclear how a model arrives at a certain result. These studies fell into the “Use-inspired Basic Research” category.

또한 역량 또는 성과 평가를 다루는 몇 개의 논문은 [이론이 데이터 분석 및 해석을 가이드하는 데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보여주었다.

  • 특별수술팀 구성원 간의 사회적 유대가 환자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기 위한 연구에서, 앤더슨 외 연구진(2020)은 ML 분석을 사용하여 기존의 통계로는 불가능했을 몇 가지 이론 기반 가설을 탐구했다. 소셜 네트워크 이론을 기반으로, 저자들은 수술팀의 서로 다른 하위 그룹을 대표하는 노드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환자 만족도의 예측 변수로서 하위 팀 간의 정서적, 전문적, 개인적 유대를 해부했다.
  • 또 다른 연구에서, 기븐스 외 연구진(2017)은 가설 유도 코딩을 사용하고 의사의 성과에 대한 핵심 지표로 다중 소스 피드백을 기반으로 실행 가능한 통찰력을 수집하는 ML 알고리듬을 훈련시켰다. 이 두 연구에서, 저자들은 크고 복잡한 데이터 세트를 탐구하기 위해 이론 기반 접근 방식을 사용했다.
  • 마지막으로, ITS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이러한 시스템이 도메인 모델에 그러한 통찰력을 포함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학습 이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예를 들어, Crowley와 Medbedeva(2003)는 병리학 슬라이드의 분류를 평가하는 연구에서 자신의 도메인 모델의 설계를 알리기 위해 시각적 전문지식을 개발하기 위해 이론적 프레임워크인 통합 문제 해결 방법을 사용했다.

Additionally, a few papers dealing with assessment of competence or performance demonstrated how theory was used to guide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 In a study aimed at exploring how social ties between members of ad hoc surgical teams influenced patient satisfaction, Andersen et al. (2020) used ML analytics to explore several theory-based hypotheses, which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using traditional statistics. Building on social network theory, the authors dissected affective, professional, and personal ties between sub-teams as predictors of patient satisfaction using a network consisting of nodes representing different sub-groups of the surgical team.
  • In another study, Gibbons et al. (2017) used hypotheses-guided coding and trained a ML algorithm that gleaned actionable insights based on multi-source feedback as key indicators of physicians’ performance. In both of these studies, the authors used theory-based approaches to explore large and complex datasets.
  • Lastly, studies that focused on ITS stressed the importance of learning theory, as these systems were engineered to include such insights in their domain model. For example, Crowley and Medvedeva (2003) used a theoretical framework, the unified problem-solving method, for developing visual expertise to inform the design of their domain model in a study evaluating the classification of pathology slides.


위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우리가 확인한 대부분의 연구는 "순수 응용 연구" 범주에 속하며, 몇 가지 예외는 "사용에 영감을 받은 기초 연구"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우리는 오로지 이론적 연구의 부족과 패턴 이해에만 초점을 맞춘 연구의 부족을 반영하여 "순수 기초 연구" 또는 "예측, 탐색적 또는 평가" 범주에서 0개의 연구를 분류했다.
As exemplified above, most of the studies we identified fell into the “Pure Applied Research” category, with a few exceptions classified as belonging in the “Use-inspired Basic Research” group. We classified zero studies in either the “Pure Basic Research” or “Predictive, Exploratory, or Evaluative” categories, reflecting a dearth of solely theoretical work and a lack of studies focused exclusively on understanding patterns.

데이터 과학 및 ML 기반 HPE 연구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
Epistemic beliefs in data science and ML driven HPE research

HPE 문헌에서 교육 이론의 일반적인 부재는 데이터 과학과 ML이 역사적으로 등장한 분야를 반영할 수 있다. 여기에는 [이론 구축과 테스트]보다는 [실제 적용과 문제 해결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는 컴퓨터 과학, 통계 및 공학이 포함된다(Pea 2014). 같은 이유로, [교육 데이터 과학]기술자, 도구자, 기능주의자로 인식되어 왔다. 이러한 생각은 "과학적인 관점에서 학습을 정량화, 측정, 실행이 가능하고, 따라서 최적화가 가능하다고 보는 과학적 사고방식"라는 표현에서 잘 드러난다.

To some degree, the general absence of educational theory in HPE literature may reflect the disciplines from which data science and ML emerged historically (Pea 2014). These include computer science, statistics, and engineering which tend to focus on practical applications and problem solving rather than theory building and testing (Pea 2014). For the same reasons, educational data science has been perceived as technicist, instrumentalist, and functionalist (Kitchin 2014) as it reflects “a scientific style of thinking that views learning in scientific terms as quantifiable, measurable, actionable, and therefore optimizable” (Williamson 2017).

이러한 프레임으로, 일부 일반 교육 학자들은 데이터 과학과 ML에서 비롯된 새로운 [경험주의 인식론]의 출현은, [이론을 불필요하게 만들고, 지식 생산을 인간 편향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운 상황으로 만들 수 있다]고 제안했다. 예를 들어, 앤더슨(2008)은 "과학은 모델, 통일된 이론, 또는 정말로 어떠한 기계론적 설명 없이도 진보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이론의 종말"을 선언했다. HPE 연구에 대한 우리의 검토에서, 일부 학자들은 교육, 학습 및 평가를 진전시키기 위한 데이터 과학과 ML의 잠재적인 사용에 대해 논의할 때 유사한 인식론적 신념의 목소리를 냈다.

  • 예를 들어 쇼텐 외 연구진(2018)은 의사의 기술력 향상을 위한 ML의 잠재적 사용을 요약하고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 환자 수준의 관찰은,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데이터가 스스로 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품질 또는 낮은 품질의 성능(효율 및 오류 회피)과 임상 결과를 예측하고 평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합니다." 
  • Uemura et al(2018)의 또 다른 연구는 외과의사의 전문성 수준 분류를 위한 신경망의 사용을 조사했고 "분류 중 인간의 개입은 없었으며, 이는 이 결과가 객관적이고 양적으로 간주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 비슷한 맥락에서 솔트 외 연구진(2019)은 USMLE 2단계 임상 기술 점수를 평가하기 위해 NLP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했고 다음과 같이 진술했다. "잘 설계된 컴퓨터 기반 채점 시스템은 피로나 인간의 편견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일관성, 객관성 및 효율성에 있어 인간의 판단보다 우수하다." 

따라서 일부 연구자의 경우 HPE에서 데이터 과학과 ML의 사용을 지원하는 가치 제안에서 [객관성에 대한 강조]와 [인간 편향이 없는 것]이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보였다.

With this framing, some general education scholars suggested that the emergence of a new empiricist epistemology stemming from data science and ML may render theory unnecessary and situate knowledge production as free from the influence of human bias (Kitchin 2014). For instance, Anderson (2008) proclaimed the “end of theory” arguing that “science can advance even without models, unified theories, or really any mechanistic explanation at all.” In our review of HPE research, some scholars voiced similar epistemic beliefs when discussing the potential uses of data science and ML for advancing instruction, learning, and assessment.

  • Shorten et al. (2018), for example, summarized potential uses of ML for improving physicians’ technical skills and argued that “by letting the data speak for themselves through a machine-learning algorithm, [...] patient level observations offer a means to predict and assess high- or low-quality performance (efficiency and error avoidance) and clinical outcome.”
  • Another study by Uemura et al. (2018) examined the use of neural networks for classification of surgeons’ expertise levels and highlighted that “there were no human interventions during classification, meaning that this result can be considered objective and quantitative.”
  • On a similar note, Salt et al. (2019) explored how NLP can be used to assess USMLE Step 2 Clinical Skills scores and stated that a “well-designed computer-based scoring system is superior to human judgment with respect to consistency, objectivity, and efficiency because it is not susceptible to the effects of fatigue or human biases.”

Hence, for some researchers, the emphasis on objectivity and perceived lack of human bias seemed to have high priority in the value proposition supporting the use of data science and ML in HPE.

[인간 편향의 감소를 통한 객관성 달성에 관한 이러한 인식론적 믿음]에 대해서나, [맥락의 역할]에 대해서 반대 의견이 없는 것은 아니다.

  • Salt et al(2019)에 대한 답변에서, Spadafore와 Monrad(2019)는 ML의 알고리듬이 본질적으로 훈련하기 위해 선택한 데이터 유형에 따라 편향되기 때문에 [점수 매김의 일관성]과 [객관성]을 동일시하는 개념에 대해 우려를 제기했다.
    • 솔트 외 연구진(2019)도 이것을 인정했지만, 그들은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자동 채점 시스템은 이상적인 인간 평가자보다 우수할 수 없겠지만, 실제 일반적인 인간 평가자보다 사전 정의된 채점 기준을 따를 수는 있다." 
  • 여기에 더하여 지얼 외 연구진(2014)은 NLP 기반 점수가 신뢰성 측면에서 인간 평가자가 산출한 것과 같거나 그 이상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그들은 또한 점수가 매겨지는 구조에 의미를 부여하고 시험의 비인간화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전문가의 판단을 통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엘라웨이(2014)는 "의학과 의학 교육의 기술은 [인간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보여서는 안 된다. [인간이 되는 것]은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다. "
    마지막으로, Bijker(1997)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하나는] 기술 아티팩트 또는 기술 시스템의 의미가 [기술 자체에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 됩니다. 대신, 테크놀로지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연구하고, 사회적 상호 작용의 이질성 속에서 그 의미를 획득해야 한다."

These emerging epistemic beliefs around achievement of objectivity through reduction of human bias, and the role of context are not unopposed.

  • In a reply to Salt et al. (2019), Spadafore and Monrad (2019) raised concerns about the notion of equating consistency in scoring with objectivity, as algorithms in ML are inherently biased based on the type of data we choose to train them with.
    • Although this was acknowledged in a reply by Salt et al. (2019), they noted that “while an automated scoring system cannot be superior to the ideal human rater, it can be more adherent to predefined scoring rubrics than the typical human rater in practice”.
  • Adding to this, Gierl et al. (2014) emphasized that NLP-based scorings were equal to (or better than) those produced by human raters in terms of their reliability; however, they also stressed the need for incorporating expert judgments to provide meaning to the constructs being scored as well as a way to avoid dehumanization of examinations.
  • Another view offered by Ellaway (2014) argued that “technology i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should not be seen as a distraction or deviation from being human; to be human is to use technology”.
  • Finally, Bijker (1997) stated that, “[one] should never take the meaning of a technical artifact or technical system as residing in the technology itself. Instead, one must study how the technologies are shaped and acquire their meaning in the heterogeneity of social interactions.”

논의
Discussion

데이터 과학과 ML은 HPE 분야에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미래에 교육, 학습 및 평가에 혁명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검토한 연구에서, 우리는 주로 [이론을 생성하거나 테스트하기]보다는 [실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 과학과 ML을 사용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프로시져 기술을 평가]하거나 [한정된 속성을 가진 임상 시나리오를 가르치는 것]은 데이터 과학 및 ML 기술을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잘 정의된 문제]의 일부 예이다. 이러한 유형의 성공적인 응용 프로그램을 염두에 두고, HPE의 비판자들은 기술자 및 도구주의 방식으로 데이터 과학과 ML을 사용하면 콘텐츠 전문가가 개발 및 실행 활동에 포함되지 않는 한 효과적인 교육, 학습 및 평가에 지장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데이터 과학은 특히 ML 영역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하지만, HPE에서도 몇 가지 고유한 과제를 안고 있다. 예를 들어, HPE는 사회과학에 의해 많이 알려진 분야인 반면, 데이터 과학과 ML은 기초과학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다. 과학을 조사하는 이러한 뚜렷한 사고 패턴과 철학은 HPE 내에서 데이터 과학과 ML 연구를 가이드하는 근원적 인식론적 믿음뿐만 아니라 연구를 설계하고 결과를 해석하는 데 이론의 사용에 영향을 미친다.
Data science and ML are increasingly used within the field of HPE and this likely will revolutionize instruction, learning, and assessment in the future (Rowe 2019; Wartman and Combs 2018). In the studies reviewed, we primarily found a focus on using data science and ML to solve practical problems, rather than generating or testing theories. Assessing procedural skills and teaching clinical scenarios with finite attributes are some examples of well-defined problems that can be addressed using data science and ML techniques. With these types of successful applications in mind, criticisms in HPE argue that the use of data science and ML in a technicist and instrumentalist way may disrupt effective instruction, learning, and assessment unless content experts are included in development and execution activities (van der Niet and Bleakley 2020). While data science offers new possibilities, especially in the area of ML, it also bears some inherent challenges in HPE. For example, HPE is a field that is heavily informed by the social sciences, whereas data science and ML are rooted in basic science traditions. These distinct thought patterns and philosophies of examining science have implications for not only the underlying epistemic beliefs guiding data science and ML studies within HPE, but also the use of theory in designing studies and interpreting results.

HPE 연구는 종종 [학습]이란, [학습이 이루어지는 학습 또는 의료 기관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맥락과는 동떨어진], [배타적인 인지 과정]이 아니라는 것을 인정한다. 학습과 평가를 이유나 작동 방식을 고려하지 않고 작동하는 무언가에 대한 간단한 시연으로 줄이는 것은 기술적 해결책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의미 있는 방법으로 지식을 발전시키지 못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HPE의 많은 데이터 과학과 ML 연구는 '데이터가 스스로 말할 수 있도록' 하는 그들의 요구에서 이러한 유형의 [이론적 불가지론theoretical agnosticism]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였다. 이 접근법에는 [두 가지 문제]가 있다.

  • 첫째, [모델]에는 인간이 해야 할 선택과 판단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결코 가치가 없거나 인식론적 믿음에서 자유롭지 않다. 
  • 둘째, [기존의 어떤 신념과 이론적 렌즈]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자료에서 절대적인 진실이나 지식이 나타날 것이라는 견해는 오류이다. 

HPE research often acknowledges that learning is not exclusively a cognitive process, separate from the social interactions and context of learning or healthcare organizations where learning takes place (e.g., Berkhout et al. 2018). Reducing learning and assessments to simple demonstrations of something working, without consideration of why or how it works, can lead to technical solutions, but may not advance knowledge in meaningful ways. Nonetheless, a number of data science and ML studies in HPE appeared to exhibit this type of theoretical agnosticism in their calls for letting ‘data speak for themselves’. There are two problems with this approach.

  • First, models are never value-free or free from epistemic beliefs as there are always choices and judgments that need to be made by humans (Spadafore and Monrad 2019; Kitchin 2014; Diekmann and Peterson 2013; Norman 2011).
  • Second, the view that an absolute truth or knowledge will emerge from data without being influenced by any pre-existing beliefs and theoretical lenses is a fallacy.

명백히, 데이터를 해석하는 렌즈는 언제나 있다(Bordage 2009). 문제는 렌즈가 어느 정도까지 식별되고 인식되는가 하는 것이다. 개념적 프레임워크의 사용은 HPE의 연구에 대한 두 가지 관점을 체계화한 Albert et al(2007)에 의해 강조된 연구 범위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보인다. 동료 과학자를 위한 [지식과 이론을 생성하려는 의도]인지, 아니면 [교육의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도]인지에 따라 생산자를 위한 생산(PP)과 사용자를 위한 생산(PU)이 달라진다. 이전의 사고방식은 사회과학자들이, 후자는 임상의들이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데이터 과학 문헌은 본 검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PU 관점(또는 "순수 적용 연구")을 지향하는 것으로 보인다.

Certainly, there is always a lens, through which data are interpreted (Bordage 2009); the question is to what extent is the lens identified and acknowledged. The use of conceptual frameworks seems to depend on the scope of studies as highlighted by Albert et al. (2007), who framed two perspectives on research in HPE: Production for Producers (PP) and Production for Users (PU) as depending on whether the authors intended to generate knowledge and theory for fellow scientists or to solve practical problems in education. The former way of thinking is thought to be dominated by social scientists and the latter by clinicians (Albert et al. 2007). The current data science literature seems oriented towards the PU perspective (or “Pure Applied Research”) as illustrated in this review.

[무이론적이면서, 응용에 초점을 둔 작업]을 과도하게 강조하는 것의 한 가지 특별한 문제는 '블랙박스' 문제이다. ML 알고리듬은 알고리듬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크고 지저분한 데이터 세트의 새로운 솔루션과 정밀한 분류를 제공한다(Topol 2019). 이에 대한 이유 중 일부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많은 ML 기법을 지원하는 통계 모델을 구성하는 노드 계층의 복잡성 때문이다. 모델이 [특정 결론에 도달한 이유 또는 방법을 설명할 수 없는 것]은 데이터 과학과 ML 접근법의 결과를 해석하기 위해 [이론을 사용하려는 노력]을 더욱 복잡하게 만든다. 이 문제를 기술적 차원에서 다루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개념적, 이론적 차원에서 ML 모델에서 통찰력을 얻는 방법을 배우기 위해서는 여전히 해야 할 일이 많다

One particular problem of a potential overemphasis on atheoretical, applied work is the ‘black box’ issue: ML algorithms provide novel solutions and precise classifications of large and messy data sets without providing any information about how the algorithm solved the problem (Topol 2019). Part of the reason for this is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layers of nodes that make up the statistical model supporting many ML techniques commonly used. The inability to explain why or how a model arrived at a certain conclusion further complicates any efforts to use theory to interpret the results of data science and ML approaches. Efforts are being made to handle this problem on a technical level, but there is still much work to do to learn how to gain insights from ML models on a conceptual and theoretical level.

ML 결과를 학습자를 위한 실행 가능한 통찰력으로 변환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술적 솔루션의 유망한 예는 의료 이미지에서 '히트맵'을 사용하는 것이다. 히트 맵은 의료 이미지 분류에서 신경망에 특히 중요한 픽셀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이미지가 원래대로 분류된 이유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피드백과 학습 목적에 유용한 것 외에도, 이러한 방법과 기술은 HPE 연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과학자들은 방법이 효과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 보다 지시, 학습 및 평가를 위해 작동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데 주로 관심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통계 또는 계산 전문지식을 갖춘 HPE 학자들은 HPE 연구에서 데이터 과학과 ML의 미래 사용자들에게 맥락과 설명을 제공함으로써 번역자 역할을 할 수 있는 독특한 위치에 있다.

A promising example of technical solutions that can help translate ML findings to actionable insights for learners is the use of ‘heat maps’ in medical images (Miller and Brown 2019). Heat maps can be used to highlight the pixels that are particularly important for a neural network in the classification of medical images, which can provide insights into why images were classified as they were. Besides being useful for feedback and learning purposes, these methods and techniques may impact HPE research, where scientists are primarily concerned with explaining why methods work for instruction, learning, and/or assessment rather than merely demonstrating that they work. In this regard, HPE scholars with statistical or computational expertise are in unique positions to act as translators by providing context and explanation for future users of data science and ML in HPE research (Miller et al. 2017).

HPE에서 데이터 과학과 ML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은 학제적 협력([데이터 과학자, 정량적 연구자 및 교육 과학자]들 사이)이 HPE에서 이론의 지속적인 발전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NLP의 유용성을 입증하는 연구는 학제간 접근법이 교육 이론, 질적 연구 방법, ML, 통계 및 데이터 분석을 결합하여 분야를 발전시키는 방법에 대한 몇 가지 예를 제공한다. 그러나 교육 과학자와 데이터 과학자의 긴밀한 파트너십은 (다른 전통, 가치, 그리고 다른 것들 사이에서 연구를 할 수 있는 동기 부여로 인해) 어려울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HPE에서의 데이터 과학 연구가 이론과 실제의 발전에 모두 관련될 수 있다면 협업이 중요할 것이다. 
With an increased use of data science and ML in HPE, a more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among data scientists, quantitative researchers, and education scientists may be necessary to broaden the potential applications and ensure the continued advancement of theory in HPE. Studies demonstrating the utility of NLP (Burstein et al. 2014; Gierl et al. 2014; Baker 2010) offer some examples of how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can bring together educational theor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ML, statistics, and data analytics to advance the field.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close partnerships between education scientists and data scientists may be difficult due to different traditions, values, and incentives to do research among other things. Nonetheless, collaboration will be crucial if data science research in HPE in the future is going to be relevant to the advancement of both theory and practice.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HPE 연구의 다른 영역에서 개발된 성공적인 [기존 학제간 파트너십] 중 일부에 주의를 돌릴 수 있다. 협력 관계의 유일한 유형은 아니지만, 데이터 엔지니어, 사회 과학자 및 임상 연구자가 함께 작업하여 실제 문제를 해결하고 이론에 기반을 둔 사용자 영감을 받은 연구를 생성하는 [학술-산업 협력]에서 한 가지 형태의 협업을 찾을 수 있습니다. [산업계]가 [재정 및 기술 자원]을 가지고 있을 수 있지만, [도메인 지식과 전문성]은 교육 과학자와 학자들이 가지고 있으며, 이는 파트너십과 협업을 개발하는 것이 향후 HPE 연구 내에서 데이터 과학과 ML을 성공적으로 통합하는 가장 중요한 예측 변수 중 하나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In this regard, we may turn our attention to some of the successful existing interdisciplinary partnerships developed in other areas of HPE research. Although not the only type of partnership arrangement, one form of collaboration can be found within academic–industry partnerships, where data engineers, social scientists and clinician researchers, for example, work together to produce user-inspired research that solves a practical problem and is grounded in theory. Although industry may have the financial and technological resources, domain knowledge and expertise reside with education scientists and scholars, which means developing partnerships and collaborations may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predictors of successfully integrating data science and ML within HPE research in the years to come.

이 저널의 25주년은 데이터 과학과 ML이 어떻게 HPE 분야에서 우리의 실천을 발전시키고 우리의 생각을 인도해 왔는지를 되돌아볼 수 있는 완벽한 시기인 것 같다. Norman과 Ellaway(2020)에 따르면, 건강 과학 교육의 진보는 여러 직업에 걸쳐 존재하는 시급한 교육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열망에서 태어났다. 우리는 데이터가 가치 있는 상품인 HPE의 중추적인 지점에 있으며 우리 중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그것의 통화를 파악하고 있다. 혁신에 직면하여 과학적 탐구의 엄격함을 유지하기 위해, 데이터 과학 및 ML 접근 방식은 다른 접근 방식과 마찬가지로 존재론적 및 인식론적 가정의 맥락에서 검토될 필요가 있다. 우리가 다른 분야의 가치를 활용하고 보건 분야에서 이론과 실습을 계속 홍보하고 싶다면, 우리는 과학적 접근 방식을 확장하고 HPE 내에서 데이터 과학과 ML의 실용, 이론적, 인식론적 기여에 대한 담론을 계속해야 한다.

The 25th anniversary of this journal seems like a perfect time to reflect upon how data science and ML has evolved within the field of HPE to advance our practice and guide our thinking. According to Norman and Ellaway (2020),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was born out of a desire to address pressing educational issues that exist across multiple professions. We are at a pivotal point in HPE where data is a valued commodity and many of us are still figuring out its currency. To retain rigor of scientific inquiry in the face of innovations, data science and ML approaches need to be reviewed in the context of their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assumptions, just like any other approach. If we want to capitalize on the value of other disciplines, and continue to promote both theory and practice in the health professions, we need to expand our scientific approach and continue the discourse around the practical, theoretical, and epistemological contributions of data science and ML within HPE.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0 Dec;25(5):1057-1086. doi: 10.1007/s10459-020-10009-8. Epub 2020 Nov 3.

The role of data science and machine learnin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practical applications, theoretical contributions, and epistemic belief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Copenhagen Academy for Medical Education and Simulation (CAMES), Rigshospitalet, Copenhagen, Denmark. martintolsgaard@gmail.com.

2Department of Obstetrics, Centre for Fetal Medicine, Copenhagen University Hospital Rigshospitalet, Copenhagen, Denmark. martintolsgaard@gmail.com.

3Department of Medicine, Department of Anesthesia,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an Francisco, CA, USA.

4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Boston, MA, USA.

5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 USA.

6National Board of Medical Examiners, Philadelphia, PA, USA.

7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Stanford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tanford University, Palo Alto, CA, USA.

PMID: 33141345

DOI: 10.1007/s10459-020-10009-8

Abstract

Data science is an inter-disciplinary field that uses computer-based algorithms and methods to gain insights from large and often complex datasets. Data science, which include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such as Machine Learning (ML), has been credited with the promise to transform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by offering approaches to handle big (and often messy) data. To examine this promise, we conducted a critical review to explore: (1) published applications of data science and ML in HPE literature and (2) the potential role of data science and ML in shifting theoretical and epistemological perspectives in HPE research and practice. Existing data science studies in HPE are often not informed by theory, but rather oriented towards developing applications for specific problems, uses, and contexts. The most common areas currently being studied are procedural (e.g., computer-based tutoring or adaptive systems and assessment of technical skills). We found that epistemic beliefs informing the use of data science and ML in HPE poses a challenge for existing views on what constitutes objective knowledge and the role of human subjectivity for instruction and assessment. As a result, criticisms have emerged that the integration of data science in the field of HPE is in danger of becoming technically driven and narrowly focused in its approach to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Our findings suggest that researchers tend to formalize around the epistemological stance driven largely by traditions of a research paradigm. Future data science studies in HPE need to involve both education scientists and data scientists to ensure mutual advancements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This may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in the integration of data science and ML in HPE research in the years to come.

Keywords: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learning; Medical education research; Research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data science.

 

심리학에서 이론의 위기: 어떻게 나아갈 것인가(Perspect Psychol Sci, 2021)
The Theory Crisis in Psychology: How to Move Forward
Markus I. Eronen1 and Laura F. Bringmann2

 

최근 몇 년 사이 심리학의 이론적 토대가 흔들리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하는 저자들이 늘고 있다. 심리학 이론은 일반적으로 질이 나쁘고 심리학은 통계 기술과 관행을 개선하고 더 많은 복제 연구를 수행하는 대신 더 나은 이론을 개발하는 쪽으로 더 많이 전환되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훨씬 많은 관심을 받았던 복제 위기보다 더 근본적인 '이론 위기'를 맞고 있는 셈이다.

In recent years, more and more authors have calle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psychology are shaky. The claim is that psychological theories are in general of poor quality and that the focus in psychology should shift more toward developing better theories instead of (just) improving statistical techniques and practices and performing more replication studies. In other words, we are facing a “theory crisis” that is more fundamental than the replication crisis that has received far more attention.

이 점은 물론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폴 미엘이 그의 경력을 통해 강조하기도 했다(예: 미엘, 1967, 1978, 1990). 멜은 심리학자들은 새로운 이론들을 개발하는 것을 좋아하지만, 이러한 이론들은 누적된 이론적 진보를 낳는 대신 그냥 왔다가 사라지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론은 결정적으로 반박되거나 확립된 지식의 일부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그들은 버려지거나 잊혀질 때까지 그저 빈둥거린다. 그는 1930년대와 1960년대에 각각 많은 열정으로 받아들여졌지만 지금은 대부분 잊혀진 '열망의 수준'과 '위험한 변화'의 이론을 예로 든다.

This point is of course not new but notably was also emphasized by Paul Meehl throughout his career (e.g., Meehl, 1967, 1978, 1990). Meehl pointed out that psychological scientists are fond of developing new theories, but instead of resulting in cumulative theoretical progress, these theories tend to just come and go: Theories are neither decisively refuted nor accepted as part of established knowledge; they simply hang around until they are abandoned or forgotten. He mentions as examples theories of “level of aspiration” and “risky shift,” which were received with much enthusiasm in the 1930s and 1960s, respectively, but are now largely forgotten.

미엘(1978)의 고전적 글 이후 40년이 지난 지금까지 심리학에서 이론의 역할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행동 변화 이론의 ABC라는 책에는 자기 조절 이론과 자기 효능감 이론에서부터 생태 모델에 이르기까지 [행동 변화 분야에만 83개의 이론]이 나열되어 있다(Michie et al., 2014). 이러한 이론들 중 어느 것도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거나 결정적으로 반박되지 않는다고 가정해도 무방하다. 좀 더 구체적인 예로, [자아 고갈 이론]을 떠올려보라. 이 이론은 대단한 열정을 가진 기간 후에, 최근 몇 년 동안 심하게 비판되어 왔으며, 현재 그것에 대한 찬반 양측의 결정적인 증거는 없다.
In the 40 years that have passed since Meehl’s (1978) classic article, the role of theories in psychology has not changed much. For example, the book ABC of Behavior Change Theories lists 83 theories in the field of behavior change alone, ranging from self-regulation and self-efficacy theories to ecological models (Michie et al., 2014).1 It is safe to assume that none of these theories is universally accepted or decisively refuted. As a more specific example, consider ego-depletion theory (Baumeister et al., 1998, 2000). After a period of great enthusiasm, this theory has been heavily criticized in recent years, and currently there is no conclusive evidence either for or against it (Friese et al., 2019).

심리학에서 이론적 진보가 부족한 이유는 심리학 이론이 너무 모호하거나 추상적으로 공식화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를 위조하거나 시험하기 어렵다는 것이다(Meehl, 1978, 1990). 더욱이, 이론이 부족하고 일부 현상을 설명할 수 없는 것으로 밝혀진 경우에도, 심리학자들은 종종 그것의 과거의 성공에 초점을 맞추어 그것을 계속 사용한다(예: 고전적 조건화의 레스콜라-바그너 모델; 밀러 외, 1995).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부족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결정적으로 잘못된 것은 아닌 공존하고 중복되는 심리학 이론]이 많이 발생한다(Meehl, 1990). 따라서 최근 이론위기에 관한 문헌에서 공통적으로 제기되는 주제는 심리이론을 보다 형식적이고 정밀하게 만들거나 심리학자들에게 더 나은 이론을 구축하는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는 것이다.
An explanation for the lack of theoretical progress in psychology is that psychological theories tend to be formulated so vaguely or abstractly that it is difficult to falsify or test them (Meehl, 1978, 1990). Moreover, even when a theory is found to be deficient and unable to explain some phenomena, psychological scientists often continue to use it, focusing on its past successes (e.g., the Rescorla-Wagner model of classical conditioning; Miller et al., 1995). These factors result in a plethora of coexisting and overlapping psychological theories that are known to be deficient but have not been decisively falsified (Meehl, 1990). Therefore, a common theme in the recent literature on the theory crisis is that psychological theories should be improved by making them more formal and precise or by teaching psychologists how to build better theories (e.g., Gigerenzer, 2010; Muthukrishna & Henrich, 2019; Oberauer & Lewandowsky, 2019; van Rooij & Baggio, 2021).

우리는 이러한 노력이 중요하고 칭찬받을 만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 기사에서는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합니다. 우리는 좋은 심리이론을 개발하는 것이 극히 어렵고, 그것이 어려운 이유를 이해하는 것이 이론위기의 진전을 이루는 중요한 첫걸음이라고 주장한다. 즉, 심리학자들이 이론 개발에 충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거나 이론을 세울 줄 모르는 것이 아니라, 주제의 특성상 좋은 심리학 이론을 구축하는 데 큰 장애가 있다는 것이 문제이다. 이러한 장애물을 설명하고 분석하기 위해, 우리는 최근의 과학 철학에서 도출한다.
We find these efforts important and laudable. However, in this article, we take a different approach. We argue that the core of the problem is that developing good psychological theories is extremely difficult and that understanding the reasons why it is so difficult is a crucial first step in making progress in the theory crisis. In other words, the problem is not (just) that psychological scientists do not put enough effort into developing theories or do not know how to build theories but that there are great obstacles to building good psychological theories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subject matter. To explain and analyze these obstacles, we draw from recent philosophy of science.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우리는 미엘의 발자취를 따라갑니다. 이 특별호(Meehl, 1978)의 초점인 글에서 그는 인간의 심리를 과학적으로 연구하기 어렵게 만드는 어려움의 목록을 제공했다. 그러나 미엘은 자연히 당대 과학철학에 의존하고 있었고, 그 이후로 특히 자료, 이론, 인과관계를 이해하는 데 있어 이론의 위기와 매우 관련성이 높은 많은 발전이 있었다. 우리는 과학철학의 이러한 발전으로부터 출발하여, 좋은 심리이론을 개발하는 것이 왜 그렇게 어려운지에 대한 세 가지 주요 이유를 논의한다:

  • 강력한 현상에 의한 이론에 대한 제약의 부족,
  • 심리구조의 타당성의 문제, 
  • 심리변수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발견하는 것의 장애물

With this approach, we follow in Meehl’s footsteps: In the article that is the focal point of this special issue (https://doi.org/10.1037/0022-006X.46.4.806" data-mce-href="https://journals.sagepub.com/doi/10.1177/1745691620970586#">Meehl, 1978), he provided a list of difficulties that make human psychology hard to study scientifically. However, Meehl was naturally relying on the philosophy of science of the day, and since then there have been many developments that are highly relevant for the theory crisis, especially in understanding the nature of data, theories, and causality. We draw from these developments in philosophy of science and discuss three key reasons for why developing good psychological theories is so hard:

  • the lack of constraints on theories by robust phenomena,
  • problems of validity of psychological constructs, and
  • obstacles to discovering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variables.

이론의 제약으로서의 현상
Phenomena as Constraints for Theories

이 절에서 우리는 현상이 과학에서 이론 발전을 제약한다고 주장하지만, 심리학에서는 충분한 제약을 가할 만큼 강력한 현상에 대한 지식이 충분하지 않다. 우선 과학철학에서는 [데이터, 현상, 이론]을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데이터]는 실험 또는 데이터 수집을 기반으로 하는 원시 관측치입니다. 심리학의 경우, 예를 들어 설문지나 행동의 관찰에 대한 반응일 수 있다. [데이터]는 세계의 비교적 안정적인 특징인 현상에 대한 증거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Stroop 작업 실험의 데이터는 Stroop 효과에 대한 증거를 제공합니다. 만약 우리가 그 현상들을 설명하고 싶다면, 우리는 그것들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설명하는 이론이 필요하다.
In this section, we argue that phenomena constrain theory development in science, but that in psychological science, there is not enough knowledge of robust phenomena to impose sufficient constraints. To start with, in philosophy of science, it is common to distinguish among data, phenomena, and theories (Bogen & Woodward, 1988; Haig, 2013; Woodward, 1989). Data are the raw observations based on experiments or data collection: In the case of psychological science, they can be, for example, responses to questionnaires or observations of behavior. Data serve as evidence for phenomena, which are relatively stable features of the world: For example, the data from different Stroop task experiments provide evidence for the Stroop effect. If we then want to explain the phenomena, we need theories that describe how they come about.2

이 프레임워크는 잘 확립되었고 심리학에 적용되었다(Borsboom et al., 2021; Haig, 2013). 그러나 [이론과 현상] 사이의 관계는 일반적으로 "일방향 트래픽"으로만 논의된다. [이론]은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공식화formulated]되며, 따라서 [이론]으로부터 관련 [현상]을 [도출derive]하거나 [예측predict]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예를 들어, 심리학 이론 논쟁에서 심리학 이론이 너무 모호하게 공식화되어 현상에 대한 정확한 예측을 하지 못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이 논쟁에서 훨씬 덜 주목받은 것은 이 관계가 양방향이라는 것이다. 현상들은 또한 가능한 이론들에 제약을 가한다. 즉, 이론은 가능한 이론의 공간을 좁히는 현장의 모든 관련 현상과 일치해야 한다.
This framework is well established and has been applied to psychological science (Borsboom et al., 2021; Haig, 2013). However,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ories and phenomena are usually discussed only as “one-way traffic”: A theory is formulated to explain phenomena, and therefore it should be possible to derive or predict the relevant phenomena from the theory. For example, a central (and, in our view, valid) argument in the theory debate in psychological science is that psychological theories are so vaguely formulated that they do not make precise predictions regarding phenomena (e.g., Oberauer & Lewandowsky, 2019). What has received far less attention in this debate is that this relationship is bidirectional: Phenomena also impose constraints on the possible theories (Bechtel & Richardson, 1993; Craver & Darden, 2013). In other words, a theory has to be consistent with all the relevant phenomena of the field, which narrows the space of possible theories.

이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진화론을 도입하기 전에 찰스 다윈은 엄청난 양의 설명적 증거를 수집했다. 그는 H.M.S. 비글호를 타고 유명한 항해를 하는 동안 (거의 5년 동안 지속되었다) 수많은 관찰을 하고 노트에 기록했는데, 위에서 설명한 프레임워크는 데이터와 일치한다. 이 자료로부터 그는 갈라파고스 섬에 서로 다르지만 매우 유사한 새 종의 분포와 같은 흥미로운 패턴을 도출했다. 다윈은 돌아온 후 몇 년 동안 선택적 번식, 화석 기록, 항해 중에 수집한 표본을 포함한 광범위한 주제를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이 모든 영역에서 그는 종들이 공통의 조상을 가지고 있고 선택적인 번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자연에 의해 선택된다는 것을 암시하는 [현상]을 발견했다. 그는 이러한 발견을 바탕으로 다양한 증거의 상세한 설명으로 구성된 종의 기원을 썼다(브라운, 2006; 다윈, 1859).
Let us illustrate this with an example. Before introducing the theory of evolution, Charles Darwin had gathered an immense amount of descriptive evidence (Browne, 2006; Darwin, 1859; Rozin, 2001). During his famous voyage on the H.M.S. Beagle (lasting nearly 5 years), he made numerous observations and wrote them down in his notebooks, which in the framework described above correspond to data. From these data he derived interesting patterns, such as the distribution of different but very similar bird species on the islands of the Galapagos. Over the years after his return, Darwin intensively studied a broad range of topics, including selective breeding, the fossil record, and the samples he had collected during the voyage. In all of these areas, he found phenomena suggesting that species have common ancestors and are selected by nature in a manner analogous to selective breeding. He wrote the Origin of Species, a large part of which consists of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various lines of evidence,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Browne, 2006; Darwin, 1859).

중요한 것은 이 증거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매우 강력하다는 것입니다. 이 [현상]은 몇 가지 독립적인 방법으로 검증 및 탐지 가능하며 특정 이론적 틀이나 관찰 방법에 의존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비둘기, 소, 개의 선택적 사육에서 형질의 진화의 패턴을 관찰할 수 있었고, 다른 연구자는 원칙적으로 이러한 패턴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현상]들은 과학계에서 일반적으로 동의되었고 [가능한 이론possible theories]의 공간에 [매우 강한 제약]을 가했다. 진화론은 이러한 강력한 패턴들 중 한두 개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것]과 일치해야 했습니다.
Importantly, this evidence was not only diverse but also highly robust: The phenomena were verifiable and detectable in several independent ways and not dependent on a specific theoretical framework or observation method (Eronen, 2015, 2019; Kuorikoski & Marchionni, 2016; Munafò & Smith, 2018; Wimsatt, 2007). For example, the patterns of the evolution of traits could be observed in the selective breeding of pigeons, cattle, and dogs, and any other researcher could in principle confirm these patterns. These phenomena were therefore generally agreed on in the scientific community and imposed very strong constraints on the space of possible theories. A theory of evolution had to fit with not just one or two of these robust patterns but with all of them.

천문학의 역사는 [현상이 이론에 강요하는 제약]의 훨씬 더 놀라운 예를 제공한다. 이 경우 관련 [현상]은 천체(가장 중요한 것은 달과 행성)의 운동 패턴이었다. 이러한 패턴은 수세기에 걸친 관찰에 기초했으며 매우 강력했다. 문제는 현상에 의해 부과된 엄격한 제약을 만족시키는 이론을 생각해내고 있었다(호스킨, 1997). 행성들이 복잡한 에피사이클 기반 궤적을 따른다는 프톨레마이오스의 지구중심적 모델은 부분적으로 현상에 더 적합하거나 동등하게 잘 맞을 이론을 내놓기가 매우 어려웠기 때문에 수세기 동안 살아남았다. 그러므로, 코페르니쿠스와 갈릴레오가 그들의 태양 중심 이론을 발전시켰을 때, 가능한 이론의 공간은 현상에 의해 매우 강하게 제약을 받았다. 현대의 [이론 물리학에 대한 제약]은 훨씬 더 극단적이다. 입자 물리학에서 천문학에 이르는 강력하고 논쟁의 여지가 없는 패턴의 방대한 본체가 있으며, 물리학에 대한 새로운 이론은 이 [모든 패턴]과 일치할 필요가 있다.
The history of astronomy provides an even more striking example of the constraints that phenomena impose on theories. In this case, the relevant phenomena were the patterns in the movement of celestial objects (most importantly the moon and the planets). These patterns were based on centuries of observations and highly robust; the problem was coming up with a theory that satisfied the stringent constraint imposed by the phenomena (Hoskin, 1997). Ptolemy’s geocentric model, according to which planets followed complex epicycle-based trajectories, survived for centuries partly because it was extremely difficult to come up with a theory that would have fit the phenomena better or equally well (Hoskin, 1997). Thus, when Copernicus and Galileo developed their heliocentric theories, the space of possible theories was very strongly constrained by the phenomena. The constraints on contemporary theoretical physics are even more extreme: There is a vast body of robust and undisputed patterns ranging from particle physics to astronomy, and any new theory of physics needs to be consistent with all of these patterns.

심리학에서의 상황은 매우 다르다. 이를 보기 위해 데이터와 현상의 구분을 상기해 보자. 심리학에서는 설문지, 웨어러블 기기, 인터넷 행동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데이터는 종종 의심스러운 품질(다음 절 참조)이며, 심리 과학의 많은 분야는 여전히 생물학이나 물리학에 필적할 만한 강력한 현상의 큰 본체를 가지고 있지 않다.

The situation in psychological science is very different. To see this, let us recall the distinction between data and phenomena. In psychological science, there is an increasing amount of data available from questionnaires, wearable devices, Internet behavior, and so on. However, these data are often of questionable quality (see the next section), and many areas of psychological science still have no large body of robust phenomena comparable to that of biology or physics.

예를 들어, [자아 고갈 효과]를 고려해보자. 이전에 자제력이 필요한 작업에 참여한 후(예: 쿠키를 먹고 싶은 유혹에 저항하는) 사람들이 자제력이 필요한 작업(예: 어려운 퍼즐 풀기)에서 더 나쁜 성과를 거두는 현상. 이 현상을 설명하는 독창적이고 매우 영향력 있는 이론은 자기 통제의 힘(또는 근육 또는 자원) 모델이며, 이에 따르면 [자기 통제]는 자기 통제가 필요하고 고갈될 수 있는 모든 작업에 사용되는 제한적이고 도메인-일반적인 자원이다.

As an example, consider the ego-depletion effect (Baumeister et al., 1998, 2000): the phenomenon that people perform worse on a task requiring self-control (e.g., solving a difficult puzzle) after having previously engaged in a task requiring self-control (e.g., resisting the temptation to eat cookies). The original and highly influential theory explaining this phenomenon is the strength (or muscle, or resource) model of self-control, according to which self-control is a limited and domain-general resource that is used by any tasks that require self-control and can be depleted (Baumeister et al., 1998, 2000).

이 이론을 지지하는 것으로 보이는 수백 개의 연구가 발표되었다(Inzlicht & Friese, 2019).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자아 고갈 효과 자체와 그 이면에 있는 이론 모두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멀티랩 사전 등록 복제 연구에서 자아 고갈에 대한 증거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전체 효과 크기는 작았고(d = 0.04) 대부분의 참여 실험실의 경우 효과 크기의 95% 신뢰 구간이 0을 포함했다. 저자들은 "만약 어떤 효과가 있다면, 그것은 0에 가깝다" 더욱이 효과가 실제적이라 하더라도, 이용 가능한 근거는 자기통제의 강도모델 외에 다른 이론과도 양립할 수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Inzlicht & Friese, 2019). 예를 들어, Inzlicht와 Schmeichel(2012)이 제안한 프로세스 모델에서는 고갈된 일반적인 자원 대신 동기부여 감소와 관심의 이동에 의해 자아 고갈 효과가 설명된다.

Hundreds of studies that seem to support this theory have been published (Inzlicht & Friese, 2019). However, in recent years, both the ego-depletion effect itself and the theory behind it have been called into question (Friese et al., 2019). In a multilab preregistered replication study (Hagger et al., 2016), little evidence for ego depletion was found: The overall effect size was small (d = 0.04), and for most of the participating laboratories, the 95% confidence intervals of the effect size included zero. The authors concluded that “if there is any effect, it is close to zero” (p. 558). Moreover,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even if the effect is real, the available evidence is compatible with other theories in addition to the strength model of self-control (Inzlicht & Friese, 2019). For example, in the process model proposed by Inzlicht and Schmeichel (2012), the ego-depletion effect is explained by reduced motivation and shifts in attention instead of a generic resource that is depleted.

중요한 것은 이것이 유일한 예가 아니라는 것이다. 심리학에서 발견의 수많은 복제 실패는 [심지어 잘 확립되었다고 생각되었던 현상]들(예: 고정관념 위협, 신생아 모방, 다양한 프라이밍 효과)도 심리학의 다른 영역에서도 상황은 비슷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다시 말해, 심리학 분야에서는 이론에 강한 제약을 가하는 광범위한 강력한 현상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가능한 이론들이 증거에 의해 [과소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사용 가능한 증거(즉, 관련 현상)는 우리가 어떤 이론을 진실이라고 믿어야 하는지 결정하기에 충분하지 않다(Stanford, 2017). 이런 점에서 [비교적 강력한 현상]이 거의 확립되지 않은 심리학 분야에서 [이론적인 진보]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Importantly, this is not an isolated example. The numerous replication failures of findings in psychology, even phenomena that were thought to be well established (e.g., stereotype threat, neonatal imitation, various priming effects; Bird, 2018), suggest that the situation is similar in other areas of psychology (Inzlicht & Friese, 2019). In other words, in many areas of psychology, there is no broad range of robust phenomena that would impose strong constraints on theories. This means that the possible theories are underdetermined by evidence: The available evidence (i.e., the relevant phenomena) is not sufficient to determine which theory we should believe to be true (Stanford, 2017).3 In this light, it is not surprising that little theoretical progress has been made in areas of psychology in which relatively few robust phenomena have been established.

심리적 구조와 인식론적 반복
Psychological Constructs and Epistemic Iteration

심리학에서 좋은 이론이 왜 그렇게 적은지를 설명하는 또 다른 중요한 요소는 심리 구조를 개선하고 검증하는 데 관심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심리학 문헌에서 우리는 점점 더 많은 수의 심리학 구조를 발견한다. 새로운 구조와 그에 상응하는 척도가 지속적으로 도입되고, 오래된 구조처럼 보이는 것에 대해 새로운 용어가 발명되며, 명백히 다른 구조에 대해 동일한 용어가 사용된다(Hagger, 2014). 예를 들어, 엘렌 스키너(1996)는 통제 심리학 문헌의 구조에 대한 리뷰에서 [인식된 통제]와 관련된 구조만 30개 이상 발견했으며, 그 이후로 더 많은 구조물이 소개되었다(Hagger, 2014).
Another important factor explaining why there are so few good theories in psychology is the lack of attention on improving and validating psychological constructs. In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we find a large and increasing number of psychological constructs. New constructs and corresponding scales are constantly introduced, new terms are invented for what seem to be old constructs, the same term is used for apparently different constructs, and so on (Hagger, 2014). For example, in her review of constructs in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on control, Ellen Skinner (1996) found more than 30 constructs related to perceived control alone, and since then many more have been introduced (Hagger, 2014).


원칙적으로, 수용 가능한 과학적 구조가 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모든 심리적 구조가 타당성을 가져야 한다. 구인 타당성의 개념은 Cronbach와 Meehl(1955)에 의해 도입되었으며, 그 의미는 그 후 수십 년 동안 크게 진화 및 영향을 받았다. 핵심 아이디어 중 일부는 구조가 [이론적 프레임워크](또는 Cronbach & Meehl의 처음 표현에 따르자면 "노몰로지 네트워크")에 포함되어야 하며, [구인의 측정]은 [측정하려는 것을 측정한다]는 의미에서 타당해야 한다는 것이다.
In principle, to be acceptable scientific constructs, all of these psychological constructs should have construct validity. The notion of construct validity was introduced by Cronbach and Meehl (1955), and its meaning has greatly evolved and ramified in the decades that followed (Newton & Shaw, 2013). Some of the core ideas are that the construct should be embedded in a theoretical framework (or a “nomological network” as originally phrased by Cronbach & Meehl, 1955) and that measurements of the construct should be valid in the sense that they measure what they are intended to measure (Borsboom et al., 2004).

문제는 구인 타당성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는 데 널리 동의하지만, 실제로 심리학자들은 신뢰성과 같은 척도에 비교하자면, 구인 타당도에는 거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Flake et al(2017)은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에 게재된 논문의 무작위 샘플을 검토한 결과, 검토한 논문의 대부분이 사용된 구조에 대한 타당성 증거를 전혀 보고하지 않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증거가 보고되었을 때, 그것은 일반적으로 다른 기사에 대한 인용만으로 구성되었다. 마찬가지로 Zumbo와 Chan(2014)에 수집된 논문은 심리학자들이 상대적으로 타당성 증거를 적게 보고하고 다른 심리측정학적 특성, (가장 주요하게는) [신뢰성에 훨씬 더 집중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대한 가장 간단한 설명은 신뢰성 증거를 제공하는 것이 비교적 쉬운 반면, 타당성 증거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전자의 경우 크론바흐의 α와 같이 잘 확립되고 정량화된 측정값이 있다. 후자의 경우 단순한 정량적 측정이 없으며, 구성 타당성이 무엇인지 또는 타당성 증거가 어느 정도여야 하는지에 대한 합의조차 이루어지지 않았다(Newton & Shaw, 2013). 구성 타당성이 교과서 및 지침서에 자주 등장하는 "시험은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측정해야 한다"는 문구로 이해된다면, 타당성을 확립하려면 관심 속성의 변동이 실제로 시험 점수의 변동을 야기하고 있음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 이런 종류의 구조 검증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그 결과 심리학은 타당성을 알 수 없는 수많은 심리 구조들에 의해 스며들고 있다.

The problem is that although it is widely agreed that construct validity is crucially important, in practice psychological scientists give it very little attention compared with measures such as reliability. For example, Flake et al. (2017) reviewed a random sample of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and found that most of the articles reviewed reported no validity evidence whatsoever for the constructs used. When evidence was reported, it typically consisted only of a citation to another article. Likewise, the articles collected in Zumbo and Chan (2014) show that psychological scientists tend to report relatively little validity evidence and focus much more on other psychometric properties, most importantly reliability. The simplest explanation for this is that providing reliability evidence is relatively easy, whereas providing validity evidence is very hard. For the former, there are well-established and quantified measures, such as Cronbach’s α. For the latter, there is no simple quantitative measure, and there is not even agreement on what construct validity is or what validity evidence should amount to (Newton & Shaw, 2013). If construct validity is understood in terms of the phrase “the test should measure what it is intended to measure,” which often appears in textbooks and guidelines, then establishing validity requires showing that variation in the attribute of interest is actually causing the variation in the test scores (Bringmann & Eronen, 2016; Borsboom et al., 2004). As construct validation of this kind is hardly ever done, the result is that psychological science is permeated by numerous psychological constructs of unknown validity (Flake et al., 2017; Fried & Flake, 2018).

자아 고갈 연구는 이것의 대표적인 예이다. 루르퀸과 미야케(2017)가 지적하듯이 핵심 개념인 '자기통제'가 명확하게 정의되거나 운용된 적은 없다. 종종 이 통제의 성격을 더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고 생각, 감정 또는 행동에 대한 모든 종류의 (억제적) 통제를 지칭하기 위해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된다(Lurquin & Miyake, 2017). 또한 자아 고갈 연구에서 자기 통제를 측정하거나 조작하는 데 사용되는 설정은 검증되지 않았다. 최근 연구에서 윔머 외 연구진(2019)은 자아 고갈을 유도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작업 중 하나인 [편지 취소 작업]을 체계적으로 테스트했는데, 참가자들은 복잡한 규칙에 따라 문자를 지워야 한다. 그들은 이 작업이 자기 통제나 억제 통제에 영향을 미친다는 어떤 증거도 발견하지 못했다.

Ego-depletion research is a prime example of this. As Lurquin and Miyake (2017) point out, the key concept “self-control” has never been clearly defined or operationalized. It is often used very broadly to refer to any kind of (inhibitory) control over thoughts, emotions, or actions without further specifying the nature of this control (Lurquin & Miyake, 2017). Moreover, the setups that are used to measure or manipulate self-control in ego-depletion studies have never been validated (Inzlicht & Friese, 2019). In a recent study, Wimmer et al. (2019) systematically tested one of the most widely used tasks to induce ego depletion, the letter-cancellation task, in which participants have to cross off letters following complex rules. They did not find any evidence that this task would affect self-control or inhibitory control (Wimmer et al. 2019).

임상심리학에서 예로 주요 우울증(MDD)을 들 수 있다. MDD의 정의는 1970년대부터 시작되었으며, 그 이후로는 근본적으로 바뀌지 않았다. 예를 들어, MDD의 다른 경우에 큰 이질성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두 사람이 단일 증상을 공유하지 않고 MDD를 가질 수 있다.) MDD 자체가 잘 정의된 카테고리인지 의심스럽다. 또한, MDD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수많은 척도는 내용이 중복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실제로 하나의 동일한 구조를 측정하는 것인지 불분명하다.

As an example from clinical psychology, consider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The definition of MDD stems from the 1970s and has not essentially changed since then, although it is increasingly clear that the validity of the construct is problematic (De Jonge et al., 2015; Fried, 2017). For example, because there is great heterogeneity in different cases of MDD (e.g., two individuals can have MDD without sharing a single symptom), it is doubtful that MDD in itself is a well-defined category (Fried, 2017). In addition, the numerous scales that are used to measure MDD often have little content overlap, making it unclear whether they are really measuring one and the same construct (Fried, 2017; Fried & Flake, 2018).

이러한 예들을 자연과학과 대조하는 것은 명확하다. 자연과학의 개념이나 분류는 추가 실험과 관찰을 통해 그리고 그것들이 내재된 이론적 틀을 개선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정제된다. 초기에 거칠고 잘못 정의된 개념(예: 상식적인 개념 "물고기fish")은 정제되고 재개념화된다. (예를 들어, 린네의 전통적인 종 분류법에서 물고기Pisces라는 개념으로, 대략 물 속에서 영원히 사는 지느러미 동물로 정의된다.) 그리고 새로운 버전은 새로운 이론과 증거에 기초하여 다시 테스트되고 조정된다. (예를 들어, 물고기는 더 이상 과학적 범주로 간주되지 않고 진화적 관계에 기초하여 몇 개의 다른 부류로 나뉘었다.)
It is illuminating to contrast these examples with the natural sciences. Concepts or classifications in the natural sciences are constantly refined through further experiments and observations and by improv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in which they are embedded. A concept that is initially rough and poorly defined (e.g., the commonsense notion “fish”) is refined and reconceptualized (e.g., into the concept “Pisces” in the traditional Linnaean taxonomy of species, defined roughly as finned animals perpetually living in water), and then the new version is again tested and adjusted on the basis of new theories and evidence (e.g., “Pisces” is no longer considered a scientific category but has been divided into several distinct classes on the basis of evolutionary relationships).

이것의 예는 과학에 많이 있다. 예를 들어, "전자"라는 개념은 1890년대에 물리학에 도입되었고, 처음에는 전하의 기본 단위를 의미했지만, 그 이후 양자 이론과 같은 실험과 이론적 발전을 통해 그 의미가 진화했고, 현재 "전자"는 페르미온이고, 전하가 -1인 소립자를 가리킨다. 1/2 등등.  Chang(2004, 2016)은 이 과정을 "인식적 반복"이라고 부르며, "특정 인식론적 목표의 달성을 강화하기 위해, 각각에 선행한 것 위에 구축되는, 지식의 연속적인 단계가 만들어지는 과정"이라고 특징짓는다(Chang, 2004, p.224).

Examples of this are abundant in the sciences: For example, the concept “electron” was introduced to physics in the 1890s, and it initially meant an elementary unit of electric charge, but since then its meaning has evolved through experiments and theoretical advances such as the quantum theory, and now “electron” refers to an elementary particle that is a fermion, has a charge of −1, spin of 1/2, and so on. Chang (2004, 2016) calls this process “epistemic iteration” and characterizes it as “a process in which successive stages of knowledge, each building on the preceding one, are created in order to enhance the achievement of certain epistemic goals” (Chang, 2004, p. 224)

이와는 대조적으로 심리학에서는 공식 지침이 검증의 중요성과 진행 중인 프로세스로 어떻게 봐야 하는지를 강조하지만, 이러한 반복은 표준이 아니다(Flake et al., 2017). 그러나 몇 가지 긍정적인 예외가 있다. 예를 들어, 에빙하우스가 1880년대에 기억의 과학적 연구를 개척했을 때, 그는 "기억"을 하나의 상식적인 개념으로 취급하고 있었고, 다른 종류의 기억들을 구별하지 않았다. 이후 연구, 특히 1950년대부터 시작된 [비선언적 기억]과 [선언적 기억]과 같은 많은 종류의 기억들이 도입되었으며, 그 중 [후자(선언적 기억)]는 [에피소드적 기억]과 [의미적 기억]으로 더 나눌 수 있다. 기억의 다른 범주와 종류는 고정되어 있지 않지만 새로운 증거와 주장에 비추어 여전히 정제되고 논의되고 있다(Tulving, 2007).
In contrast, in psychology, this kind of iteration is not the norm, although official guideline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validation and how it should be seen as an ongoing process (Flake et al., 2017). There are, however, some positive exceptions (see also Kendler, 2012). For example, when Ebbinghaus pioneered the scientific study of memory in the 1880s, he was treating “memory” as a monolithic commonsense notion and did not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kinds of memory (Tulving, 2007). In subsequent research, especially starting from the 1950s, many different kinds of memory have been introduced, such as nondeclarative and declarative memory, the latter of which can be further divided into episodic and semantic memory (Michaelian & Sutton, 2017). The different categories and kinds of memory are not fixed but are still refined and debated in light of new evidence and arguments (Tulving, 2007).

심리학적 구조가 종종 변화에 그렇게 저항하는 실용적인 이유 중 하나는, 윌리엄 윔샛에 의해 만들어지고 개발된 개념인 , "생성적 고착(알박기)"이다. 일단 어떤 개념이 그것에 따라 다른 많은 개념, 이론, 또는 실천을 가지면, 그것은 "고착"이 되고, 그것이 부족하거나 문제가 있다고 알려져도 바꾸기가 매우 어려울 것이다. 개념을 바꾸면 그에 따라 구조가 무너져 재앙이나 혁명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심리학적 구조(특히 임상심리학)는 다른 이론과 모델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서도 적용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깊이 자리 잡게 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MDD와 같은 구조는 환자를 진단하거나 건강보험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One practical reason why psychological constructs are often so resistant to change is “generative entrenchment,” a concept coined and developed by William Wimsatt (1986, 2007). Once a concept has many other concepts, theories, or practices depending on it, it becomes “entrenched” and will be very difficult to change, even if it is known to be deficient or problematic. This is because changing the concept could collapse the structures depending on it, leading either to a disaster or a revolution (Wimsatt, 2007, p. 140). Psychological constructs (especially in clinical psychology) often become deeply entrenched over time, as they have applications not only in other theories and models but also in society at large. For example, constructs such as MDD play an important role in diagnosing patients or in making decisions about health insurance.

그러나 인식론적 반복과 심리적 구조의 검증은 이론의 위기에서 벗어나는 방법을 찾는 데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앞 절에서 주장했듯이 [좋은 이론의 근거]는 [강력한 현상]이다. 결국, 현상은 데이터에서 추론되며, 데이터가 대부분 잘 이해되거나 검증되지 않은 구성과 측정을 기반으로 한다면, 추론된 현상은 강력하지 않을 것이다. 다시 말해, 심리학에서 강력한 현상이 없는 한 가지 원천은 구성 검증 과정에 대한 강조의 부족이다.
However, epistemic iteration and validation of psychological constructs is crucially important for finding a way out of the theory crisis. As we argued in the previous section, the basis for good theories is robust phenomena. Phenomena, in turn, are inferred from data, and if the data are based on constructs and measurements that for the most part have not been well understood or validated, the phenomena that are inferred are unlikely to be robust. In other words, one source for the lack of robust phenomena in psychology is the lack of emphasis on the process of construct validation.

심리학적 이론과 원인 규명의 문제
Psychological Theories and the Problem of Finding Causes

심리학에서 좋은 이론이 그렇게 적은 세 번째 이유는 심리적 원인을 찾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좋은 이론의 주요 특징은 어떤 식으로든 인과관계를 추적해야 한다는 데 널리 동의되고 있다. 예를 들어 다윈의 진화론은 진화의 원인(자연선택)을 기술했고, DNA 이론은 유전의 인과적 메커니즘을 기술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심리학적 이론들이 정신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한, 정신의 인과적 메커니즘을 또한 반영해야 한다고 요구하는 것은 타당하다. 즉, 심리적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포착해야 한다.
The third reason why there are so few good theories in psychology is that finding psychological causes is extremely challenging. It is widely agreed that a key feature of good theories is that they should, in one way or another, track causal relationships (e.g., Craver, 2007; Pearl, 2000; Woodward, 2003). For example, Darwin’s theory of evolution described the causes of evolution (natural selection), and the DNA theory describes the causal mechanism of inheritance. In this light, it is reasonable to require that psychological theories, insofar as they aim to explain how the mind works, should also reflect the causal mechanisms of the mind (Bechtel, 2008; Thomas & Sharp, 2019). In other words, they should captur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variables.

그러나 문제는 Eronen(2020)에서 광범위하게 주장되었듯이 심리적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발견하는 것이 종종 극도로 어렵거나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그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인과관계를 명확하고 일반적인 방법으로 추론할 수 있는 조건을 제시하는 개입주의적 인과관계의 틀에 의존한다. 
The problem, however, is that discovering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variables is often extremely difficult or impossible, as extensively argued in Eronen (2020). To explain why, we rely on the framework of the interventionist theory of causation (Woodward, 2003, 2015; see also Pearl, 2000, 2009), which lays out the conditions for inferring causal relationships in a clear and general way.

[인과관계]의 특징은 (상관관계와 달리) 조작과 통제에 이용될 수 있는 관계라는 것이다. [원인에 개입]하는 것은 [효과의 변화]를 가져오는 방법이다. 개입주의 이론은 이것을 출발점으로 삼아 다음과 같이 인과관계를 정의한다. 다른 변수가 해당 값에 고정되어 있을 때 X에 개입하여 Y를 변경할 수 있는 경우에만 X가 Y의 원인입니다. [개입]은 [Y에 대한 X의 교란 없는unconfounded 조작]이어야 한다: 즉, 'X를 조작'했을 때, [X를 거치지 않는 다른 경로]를 통해 Y를 변화시켜서는 안 된다. (더 정확한 정의는 Eronen, 2020; Woodward, 2003 참조). 실제로 개입을 수행할 필요가 항상 있는 것은 아닙니다. 
때때로 예를 들어 관찰 데이터를 기반으로 간접적으로 개입의 효과에 대한 지식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루빈의 인과관계 모델(예: 루빈, 2005)이나 캠벨의 인과관계 모델(예: 샤디쉬 외, 2002)과 같이 심리과학자들에게 더 친숙한 인과관계에 대한 다른 접근법에서도 동일한 생각이 다른 형태로 나타난다.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causal relationships is that (unlike correlations) they are relationships that are exploitable for manipulation and control: Intervening on the cause is a way of bringing about a change in the effect. The interventionist theory takes this as the starting point and defines causation (roughly) as follows: X is a cause of Y if (and only if) it is possible to intervene on X to change Y when other variables are held fixed to their values. The intervention should be an unconfounded manipulation of X with respect to Y: The manipulation of X should not change Y via any other route that does not go through X (for more precise definitions, see Eronen, 2020; Woodward, 2003). It is not always necessary to actually perform an intervention; sometimes it is possible to gain knowledge about the effects of interventions indirectly, for example, on the basis of observational data. The same ideas also appear in different forms in other approaches to causation that are more familiar to psychological scientists, such as Rubin’s causal model (e.g., Rubin, 2005) or Campbell’s causal model (e.g., Shadish et al., 2002).

무작위 대조 시험은 일반적으로 인과 추론을 위한 "금본위제"로 간주되며 위의 조건을 만족시킨다. 예를 들어, 약물 실험에서 참가자는 무작위로 치료 및 대조군에 할당되며, 이 무작위화는 원인(약물)과 효과(회복)가 아닌 다른 변수를 "고정"하는 효과를 생성한다. 치료 그룹의 참가자에게 약물을 투여하는 개입은 근거가 없어야 한다. 예를 들어, 알약에는 약물 자체를 순환하는 원인 경로를 통해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성분이 있어서는 안 된다.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re usually taken to be the “gold standard” for causal inference and for satisfying the above conditions. For example, in a drug trial, participants are randomly assigned to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and this randomization generates the effect of “holding fixed” other variables than the cause (the drug) and the effect (recovery). The intervention of administering the drug to participants in the treatment group should be unconfounded: For example, there should not be other ingredients in the pill that would affect recovery through a causal route that goes around the drug itself.

많은 [심리 실험]은 약물, 교육 자료 또는 시각 및 청각 자극과 같은 비심리적 원인의 조작을 포함한다(Eronen, 2020). 이러한 경우, 올바른 종류의 개입을 수행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다른 분야보다 어렵지 않다. 따라서 다음의 주장은 외적 독립 변수를 조작하고 심리적 영향을 추적하는 빌헬름 분트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오래된 실험 전통과 관련이 없다. 그러나 정신의 [인과적 메커니즘]을 기술하는 [실체적인 심리학 이론substantive psychological theory]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외부 독립 변수]와 [심리적 변수] 사이의 인과 관계를 확립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우리는 또한 [심리적 변수]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배울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것을 하기 위해서, 우리는 개입이 심리적 변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배울 필요가 있다.

Many psychological experiments involve the manipulation of nonpsychological causes, such as drugs, educational materials, or visual and auditory stimuli (Eronen, 2020). In such cases, performing the right kinds of interventions is in principle not more difficult than in other fields. Therefore, the following arguments do not concern the venerable experimental tradition, going all the way back to Wilhelm Wundt, of manipulating external independent variables and tracking their psychological effects. However, if the aim is to develop substantive psychological theories that describe causal mechanisms of the mind, establishing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external independent variable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is not enough: We also need to learn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variables. And to do this, we need to learn about the effects of interventions on psychological variables.

[심리적 변수]에 대한 개입의 문제는 일반적으로 "뚱뚱한 손"이라는 것이다. 이 variable는 대상 variable 하나만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다른 variable도 바꿔놓습니다. 생각이나 영향 등 심리적 변수를 직접 조작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대신, 그들은 구두 지시나 다른 외부 자극을 통해 간접적으로 조작되어야 하며, 그러한 기술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변수만 변경할 정도로 정확하지 않다. 예를 들어, (적어도 현재) 동기, 주의 또는 불안감과 같은 다른 심리 상태를 변경하지 않고 [통제력 상실의 감정을 조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심리적 변수는 예를 들어 자기 보고서나 행동 대용물을 기반으로 간접적으로만 측정할 수 있다(De Houwer, 2011). 따라서 개입이 정확히 어떤 변수를 변경했는지, 따라서 어느 정도까지 뚱뚱했는지 검증하거나 확인하는 것이 매우 어렵습니다.

The problem with interventions on psychological variables is that they are typically “fat-handed” (Eronen, 2020)4: They do not change just the one variable that is targeted but several other variables as well. This is because there is no direct way of manipulating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thoughts or affects (Chiesa, 1992; Hughes et al., 2016). Instead, they have to be manipulated indirectly via verbal instruction or other external stimuli, and such techniques are typically not precise enough to change just one variable. For example, it is (at least currently) impossible to manipulate feelings of loss of control without changing any other psychological states, such as motivation, attention, or feelings of anxiety. Moreover, psychological variables can be measured only indirectly, for example, on the basis of self-reports or behavioral proxies (De Houwer, 2011). This makes it very difficult to verify or check what variables the intervention precisely changed and therefore to what extent it was fat-handed.

이것은 심리적인 원인을 찾는 데 문제를 일으키는데, 왜냐하면 개입이 뚱뚱할 때, 우리는 그것들이 [인과적 추론]을 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교란 없는unconfounded 조작manipulation]이라고 가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그것들이 추정 원인 X를 통과하는 경로를 통해서만 추정 효과 Y를 변화시킨다고 가정할 수 없다. 이것을 설명하기 위해, 다시 한번 자아 고갈 연구에 초점을 맞추자. 자아 고갈 실험에서, 자기 통제는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조작된다(예: 참가자가 복잡하거나 좌절하는 작업이나 게임에 참여하게 하거나 맛있는 음식을 먹고 싶은 유혹을 뿌리치게 함으로써). Friese et al., 2019. 두 번째 작업에서 자기 통제가 성능 저하의 원인이라는 결론을 보증하기 위해, 이러한 개입은 추정 효과(즉, 두 번째 작업에서 성능 저하)와 관련하여 근거 없는 자기 통제의 조작이어야 한다. 다시 말해, 그들은 효과의 다른 가능한 원인(예: 동기, 주의, 분노의 감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방식으로 자기 통제를 변화시켜야 한다. 그러나 개입의 다소 일반적인 성격과 자기 통제 및 관련 구성(동기, 주의 등)의 인과 구조에 대한 우리의 지식이 부족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우리는 현실적으로 이것이 사실이라고 가정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쿠키를 먹고 싶은 유혹에 저항하는 것은 또한 동기부여에 영향을 미치거나 분노와 좌절의 감정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는 자아 고갈 실험이 감소된 자기 통제 자원이 두 번째 작업에서 성능 저하에 대한 원인이라는 충분한 증거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실제로 최근 연구 상태에 대한 검토에서 도달한 결론과 일치한다.

This creates a problem for finding psychological causes because when interventions are fat-handed, we cannot assume that they are unconfounded manipulations that license causal inferences. More specifically, we cannot assume that they change putative effect Y only via a route that goes through the putative cause X. To illustrate this, let us again focus on ego-depletion research. In ego-depletion experiments, self-control is manipulated in very diverse ways (e.g., by letting participants engage in a complex or frustrating task or game or by letting them resist the temptation to eat delicious food; Friese et al., 2019). To warrant the conclusion that self-control is the cause of impaired performance in the second task, these interventions should be unconfounded manipulations of self-control with respect to the putative effect (i.e., impaired performance in the second task). In other words, they should change self-control in such a way that other possible causes of the effect are not affected (e.g., motivation, attention, feelings of anger). However, given the rather general nature of the interventions and our lack of knowledge of the causal structure of self-control and related constructs (motivation, attention, etc.), we cannot realistically assume that this is the case (Friese et al., 2019). For example, resisting the temptation to eat cookies might also affect motivation or induce feelings of anger and frustration. This means that ego-depletion experiments do not provide sufficient evidence that a diminished self-control resource is the cause for the impaired performance in the second task which is indeed in line with the conclusion reached in recent reviews of the state of the research (Friese et al., 2019; Inzlicht & Friese, 2019).

요약하면, [심리 변수에 대한 개입]은 [뚱뚱한 손]일 가능성이 높으며, 그러한 개입은 인과 추론의 [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지 못한다]. 심리변수에 대한 개입은 종류가 완전히 다르고 외부변수에 대한 개입보다 훨씬 어렵기 때문에 외부요인을 조작하고 그 심리적 영향을 추적하는 실험적 전통은 단순히 심리변수를 조작하는 것으로 확장될 수 없다(Chiesa, 1992; De Houwer, 2011 참조). 심리학 이론이 인과관계를 추적해야 하는 한, 이는 심리학에서 좋은 이론이 왜 그렇게 적은지, 그리고 왜 그렇게 발전하기 어려운지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In sum, interventions on psychological variables are likely to be fat-handed, and such interventions do not provide a reliable basis for causal inference. The experimental tradition of manipulating external factors and tracking their psychological effects cannot simply be extended to manipulate psychological variables, as interventions on psychological variables are entirely different in kind and far more difficult than interventions on external variables (see also Chiesa, 1992; De Houwer, 2011). Insofar as psychological theories should track causal relationships, this is an important factor in explaining why there are so few good theories in psychology and why they are so difficult to develop.

논의
Discussion

이 글에서는 좋은 심리이론을 개발하는 데 있어 세 가지 근본적인 어려움에 대해 논의하였다. 

  • (충분한) 강력한 현상의 부족,
  • 심리적 구조에 대한 타당성과 인식론적 반복의 부족,
  • 심리적 원인 정립의 문제 등

이러한 문제들은 이론 위기 해결에 진전을 이루기 위해 다루어지고 논의되어야 한다. 우리는 이제 이러한 문제에 기초하여 심리 연구에 대한 몇 가지 권장 사항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In this article, we have discussed three fundamental difficulties in developing good psychological theories:

  • the lack of (sufficient) robust phenomena,
  • the lack of validity and epistemic iteration for psychological constructs, and
  • the problem of establishing psychological causes.

These issues should be addressed and discussed to make progress in resolving the theory crisis. We now outline several recommendations for psychological research on the basis of these issues.

첫째, 우리의 논의는 심리학에서 최근 더 많은 "현상 감지" 또는 "현상 주도 연구"에 대한 요구를 지지한다. [새로운 현상을 발견]하고, 이미 발견된 것에 대한 보다 강력한 증거를 수집함으로써 가능한 이론의 공간은 제한될 것이다. 

First, our discussion supports the recent calls for more “phenomena detection” or “phenomenon-driven research” in psychology (Borsboom et al., 2021; De Houwer, 2011; Haig, 2013; see also Trafimow & Earp, 2016). By discovering new phenomena and gathering more robust evidence for those already discovered, the space of possible theories will be constrained.

[현상 주도 연구]를 지지하는 또 다른 중요한 이유는 현상이 과학과 사회에 매우 중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Eronen, 2020). 
예를 들어 확증편향과 같이 심리학자들이 발견한 광범위한 인지편향은 대부분 매우 강력한 현상이다(길로비치 외, 2002).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이론이 제안되었는데, 예를 들어, 사람들이 간단한 휴리스틱으로 어려운 계산을 대체한다고 보는 [속성-대체 이론]이나, 이것보다 훨씬 일반적인 [이중 시스템 이론](Kaneman & Frederick, 2002)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론들은 현상 자체보다 훨씬 더 논란이 많다. 더욱이, 이러한 [현상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아는 것은 비록 우리가 그 이면의 이론이나 메커니즘을 알지 못하더라도 과학과 사회에 매우 중요하다. 심리학에서 발견된 광범위한 다른 강력한 현상, 예를 들어, 사람들이 [익숙하지 않은 자극]보다 [익숙한 자극]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현상도 마찬가지다(즉, 단순한 노출 효과; Bornstein, 1989). 이러한 [현상이 존재한다는 것]을 [아는 것, 그리고 그것을 기술하는 것]은 그것들을 설명할 수 있는 받아들여진 이론이 없는 경우에도 유용하다. 

Another important reason to support phenomenon-driven research is that phenomena can also be extremely important for science and society as such (https://doi.org/10.1016/j.newideapsych.2020.100785" data-mce-href="https://journals.sagepub.com/doi/10.1177/1745691620970586#">Eronen, 2020): Consider, for example, the broad range of cognitive biases that psychologists have discovered, such as confirmation bias, most of which are very robust phenomena (Gilovich et al., 2002). Various theories have been proposed to explain these phenomena, such as the attribute-substitution theory, according to which people substitute difficult computations with simple heuristics, or the more general dual-system theory (Kahneman & Frederick, 2002). However, these theories are far more controversial than the phenomena themselves. Moreover, knowing that these phenomena exist is extremely important for science and society, even if we do not know the theory or mechanism behind them. The same holds for a broad range of other robust phenomena discovered in psychology, for example, the phenomenon that people tend to prefer familiar stimuli to unfamiliar ones (i.e., the mere-exposure effect; Bornstein, 1989). Simply knowing that these phenomena exist and describing them is useful, even in the absence of an accepted theory that would explain them.

발견되고 기술되는 것 외에도, [서로 다른 현상들에서 공유된 추상적 구조]를 찾아냄으로써 현상을 더욱 분석할 수 있다(Hughes et al., 2016). 예를 들어, 추상적 수준에서, [끊임없이 전화기를 확인]하고 [사탕으로 아이들의 좋은 행동을 보상하는 것]이라는 이 두 가지 서로 다른 현상들은 둘 다 (긍정적) 강화의 사례로 볼 수 있다(Hughes et al., 2016). 이러한 모든 이유로, [현상 탐지]는 그 자체로 중요한 목표이자 심리 연구의 중심적인 부분으로 간주되어야 한다(Fiedler, 2017; Haig, 2013; Rozin, 2001 참조).
In addition to being discovered and being described, phenomena can also be further analyzed by looking for shared abstract structures in different phenomena (Hughes et al., 2016). For example, at an abstract level, phenomena as different as constantly checking your phone and rewarding the good behavior of children with candy can both be seen as instances of (positive) reinforcement (Hughes et al., 2016). For all of these reasons, phenomena detection should be seen as an important goal in itself and as a central part of psychological research (see also Fiedler, 2017; Haig, 2013; Rozin, 2001).

그러나 우리는 결코 심리학에서의 이론화가 절망적이거나 자원의 낭비이거나 정신적 과정에 대한 이론이 비과학적이라고 거부되는 일종의 행동주의로 돌아가야 한다고 제안할 생각은 없다. 우리가 제기한 문제는 극복할 수 없는 장애물이 아니라 주어진 영역에서 좋은 심리학 이론이 개발되기 전에 충족되어야 할 도전으로 보아야 한다.
However, we by no means intend to suggest that theorizing in psychology is hopeless or a waste of resources or that we should return to a kind of behaviorism in which theories about mental processes are rejected as unscientific. The issues we have raised should not be seen as insurmountable obstacles but rather as challenges that need to be met before good psychological theories can be developed in a given domain.

이제 다음 사항을 살펴보겠습니다. 최근 문헌에서 공통적으로 다루어지는 주제인 [심리이론을 좀 더 수학적으로, 형식적으로 만드는 것]이 과학으로서 심리학의 상당한 발전으로 이어질지 의문이다.5 우리가 논의한 문제들 중 어떤 것도 심리학 이론을 공식화하는 것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심리 이론을 formalize하더라도) 여전히 [이론을 제약할 강력한 현상]은 많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며, 따라서 [사용된 구인]이 더 유효해지지도 않을 것이며, 공식적인 처치formal treatment만으로는 [인과관계와 뚱뚱한 개입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또한 생명과학에서 많은 성공적이고 매우 중요한 이론들은 형식화되거나 수학적인 이론이 아니다. (예: 발효 이론 또는 시냅스 전달 이론; Bechtel & Richardson, 1993; Machamer, Darden & Craver, 2000) Rozin(2001; Morey et al., 2018 참조)이 지적한 바와 같이, 복잡한 통계 및 계산 모델을 사용한다고 해서 심리학이 더 과학적이지는 않으며, [개념 및 경험적 기초(예: 강력한 현상)]가 아직 견고하지 않다면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다.

This brings us to our next point: It is doubtful whether making psychological theories more mathematical or formal, which is a common theme in the recent literature (e.g., Borsboom et al., 2021; Muthukrishna & Henrich, 2019; Oberauer & Lewandowsky, 2019; van Rooij & Baggio, 2021), will lead to significant advances in psychology as a science.5 None of the problems we have discussed is solved by formalizing psychological theories: There will still be no large body of robust phenomena to constrain the theories, the constructs used do not become more valid, and a formal treatment alone does not solve the problem of causality and fat-handed interventions. Moreover, many successful and extremely important theories in the life sciences are not formalized or mathematical theories (e.g., the fermentation theory or the theory of synaptic transmission; Bechtel & Richardson, 1993; Machamer, Darden & Craver, 2000). As pointed out by Rozin (2001; see also Morey et al., 2018), using complex statistical and computational models does not make psychology more scientific and can be even counterproductive if the conceptual and empirical basis (e.g., robust phenomena) is not yet solid.

마지막으로, [이론의 기초]로서 [명확하고 투명하게 정의된 개념을 갖는 것]의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는 이론의 공식화와는 다르다. 개념은 [정성적으로 공식화된 이론]에서도 잘 정의될 수 있으며(예: 다윈의 진화론), 형식 이론은 제대로 정의되지 않은 개념을 요소로 가질 수 있다(예: 명확한 수학적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중심 개념 "밈"이 잘 정의되지 않은 밈학 모델; Kronfeldner, 2011). [개념적 명확화]와 [구인 타당화construct validation]은 연구의 중요하고 가치 있는 부분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validation은 단지 넘어야 할 장애물이 아닌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과정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우리가 볼 때, 심리학 이론의 개념적 기초를 강화하는 것은 적어도 심리학 연구에서 통계적 기법과 관행을 향상시키는 것만큼 중요하다.

Finally, it is hard to overemphasize the importance of having clearly and transparently defined concepts as the basis for theories. Note that this is not the same as formalization of theories: Concepts can be well defined in qualitatively formulated theories as well (e.g., Darwin’s theory of evolution), and formal theories can have poorly defined concepts as their elements (e.g., models in memetics that have a clear mathematical structure but for which the central concept “meme” is not well defined; Kronfeldner, 2011). Conceptual clarification and construct validation should be seen as an important and valuable parts of research, and validation should be taken to be an iterative and ongoing process instead of just a hurdle that needs be crossed. In our view, strengthening the conceptual basis of psychological theories is at least as important as improving statistical techniques and practices in psychological research.

장기적으로, 이것은 [명확하게 정의되고, 명확하게 측정 가능한 구인]을 가지게 해줌으로써, [표적 개입]을 수행하고 그 영향을 추적하는 것을 더 쉽게 만들어주고, 궁극적으로 [인과 추론] 문제에 도움이 될 것이다. 충분히 [잘 정의된 구조]와 [타당한 측정]으로, 순수한 [관측 데이터로부터 인과 관계를 추론]할 수도 있다(예: Eronen, 2020; Roher, 2018 참조). 심리학적 원인을 찾는 문제에 대한 또 다른 가능한 반응은, 예를 들어, 현상으로부터 추출된 추상적 기능 원리의 형태로 [비인과 이론noncausal theory]을 개발하는 것이지만, [비인과 이론]이 진정으로 설명될 수 있는지는 현재 진행 중인 논쟁의 문제이다.

In the long run, this will also help with the problem of causal inference, as having clearly defined and clearly measurable constructs makes it easier to perform targeted interventions and to track their effects. With sufficiently well-defined constructs and valid measurements, it may also be possible to eventually infer causal relationships from purely observational data (for more, see, e.g., Eronen, 2020; Rohrer, 2018). Another possible reaction to the problem of finding psychological causes is to develop noncausal theorie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bstract functional principles extracted from phenomena (De Houwer, 2011; Hughes et al., 2016), although whether noncausal theories can be truly explanatory is a matter of ongoing debate (see, e.g., Reutlinger & Saatsi, 2018).

다행히도, 우리가 위에서 설명한 좋은 관행을 예시하는 심리학의 지속적인 연구 프로그램들이 있다. 예를 들어, 최근 [자아 고갈 연구]에서 실망한 이후, [자기 통제 및 관련 개념]과 같은 핵심 구조를 더 잘 정의하고 이를 측정하는 다양한 방법을 검증하려는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더 넓은 예는 먼저 [환경-행동 관계(강력한 현상)]를 확립한 후 [매개자 역할]을 하는 명확하게 정의된 정신적 구조의 관점에서 이에 대한 설명을 공식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기능-인지 패러다임이다. 마지막으로,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Robinaugh 외 연구진(2020)은 이러한 특정 장애에 맞춤화되어 현상에 의해 제약을 받는 공황 장애에 대한 이론을 제안하고, 저자들은 또한 핵심 개념을 정의하는 데 명시적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
Fortunately, there are ongoing research programs in psychology that exemplify the good practices we have describe above. For example, after the recent disappointments in ego-depletion research, there are now increasing efforts to better define the key constructs, such as self-control and related concepts, and to validate different ways of measuring them (Friese et al., 2019; Inzlicht & Friese, 2019; Lurquin & Miyake, 2017). A broader example is the functional-cognitive paradigm (De Houwer, 2011; Hughes et al., 2016) that aims at first establishing environment-behavior relations (robust phenomena) and then formulating explanations for them in terms of clearly defined mental constructs that act as mediators. Finally, as a more concrete example, Robinaugh et al. (2020) propose a theory for panic disorder that is tailored to this specific disorder and thereby constrained by phenomena (there is robust evidence for many central phenomena related to panic attacks), and the authors also explicitly focus on defining the key concepts.


결론적으로, 우리는 이론 위기의 근저에 있는 가장 근본적인 요인은 주제 그 자체인 심리학이 좋은 이론을 개발하는 것을 매우 어렵게 만든다는 것이라고 믿는다(Meehl, 1978). 현대 과학 철학을 바탕으로, 우리는 심리학적 이론을 발전시키기 위한 세 가지 핵심 과제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이론을 제약할 만큼 [강력한 현상]이 없는 경우가 많고, [구인를 정의하고 검증]하는 데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며, 심리적 [원인을 규명]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우리는 이 기사가 이러한 중요한 문제들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옴으로써 심리학의 이론적 토대를 위한 보다 견고한 구성 요소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o conclude, we believe that the most fundamental factor underlying the theory crisis is that the subject matter itself, psychology, makes it very hard to develop good theories (https://doi.org/10.1037/0022-006X.46.4.806" data-mce-href="https://journals.sagepub.com/doi/10.1177/1745691620970586#">Meehl, 1978). Drawing on contemporary philosophy of science, we have discussed three central challenges to developing psychological theories: There are often not enough robust phenomena to constrain theories, not enough attention is paid to defining and validating constructs, and establishing psychological causes is very hard. We hope that this article brings more attention to these crucial issues and thereby helps to provide more solid building blocks for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psychology.

 

 


Perspect Psychol Sci. 2021 Jul;16(4):779-788. doi: 10.1177/1745691620970586. Epub 2021 Jan 29.

The Theory Crisis in Psychology: How to Move Forward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Department of Theoretical Philosophy.

2Department of Psychometrics and Statistics, University of Groningen.

PMID: 33513314

PMCID: PMC8273366

DOI: 10.1177/1745691620970586

Free PMC article

Abstract

Meehl argued in 1978 that theories in psychology come and go, with little cumulative progress. We believe that this assessment still holds, as also evidenced by increasingly common claims that psychology is facing a "theory crisis" and that psychologists should invest more in theory building. In this article, we argue that the root cause of the theory crisis is that developing good psychological theories is extremely difficult and that understanding the reasons why it is so difficult is crucial for moving forward in the theory crisis. We discuss three key reasons based on philosophy of science for why developing good psychological theories is so hard: the relative lack of robust phenomena that impose constraints on possible theories, problems of validity of psychological constructs, and obstacles to discovering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variables. We conclude with recommendations on how to move past the theory crisis.

Keywords: causation; phenomena; robustness; theory; validity.

 

이론, 잃어버린 인물? GP교육 연구논문에서 제시되는 방식에 따라 (Med Educ, 2019)
Theory, a lost character? As presented in general practice education research papers
James Brown,1,2 Margaret Bearman,3 Catherine Kirby,2,4 Elizabeth Molloy,5 Deborah Colville6 & Debra Nestel1,7

 

 

서론
Introduction

  • 앨리스: '도대체 내가 누구야? 아, 정말 멋진 퍼즐이군요! … 제가 여기서 어느 쪽으로 가야 하는지 말씀해 주시겠습니까?'
    Alice: ‘Who in the world am I? Ah, that's the great puzzle! … Would you tell me, please, which way I ought to go from here?’
  • 체셔 고양이: '그것은 당신이 어디로 가고 싶은지에 따라 많이 다릅니다.'
    The Cheshire Cat: ‘That depends a good deal on where you want to get to.’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루이스 캐롤)1
(Alice in Wonderland, Lewis Carroll)1

소드는 [연구논문]을 ['드라마 속 인물'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가진 이야기]로 봐야 한다는 설득력 있는 주장을 펴고 있다. 그녀는 학술적 글쓰기에 대한 광범위한 리뷰를 기반으로 한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의학 교육 연구 논문의 이야기에서 [이론]은 종종 [잃어버린 캐릭터]이다. 학자들은 이론의 역할에 있어서 종종 부재, 저개발, 어색함 또는 사소한 것으로 파악한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있는 체셔 고양이는 길을 잃은 사람들을 위한 현명한 조언을 가지고 있다: 우리가 누구이고 어떤 길을 가야 하는지 아는 것은 우리가 어디로 가고 싶은지에 달려 있다. 본 논문은 일반실천(GP) 교육연구의 스토리텔링에서 이론의 역할을 어디서 도출하고 싶은지에 대한 이야기다.

Sword makes a compelling argument for research papers to be viewed as stories with abstract concepts as ‘characters in a drama’.2 She bases this on an extensive review of academic writing. From this perspective, theory is often a lost character in the stories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papers. Scholars identify theory as frequently absent,3 underdeveloped4, 5 and awkward or trivial in its role.6, 7 The Cheshire Cat, in Alice in Wonderland ,1 has sage advice for the lost: knowing who we are and which way to go depends on where we want to get to. This research paper is a story about where we might want to get to in casting a role for theory in the storytelling of general practice (GP) education research.

이 논문을 이야기로 만들면서, 우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고대 비극 이론]을 이야기의 가장 고귀한 형태로, 그리고 캠벨의 '단일 신화'에 대한 보다 현대적인 이론을 이용한다. 아리스토텔레스와 캠벨은 모두 도전으로 시작하여 미지의 세계로 들어가는 여정의 관점에서 이야기를 서술한다. 아리스토텔레스 8은 알려진 주인공과 청중에게 의미 있는 설정을 규정한다. 따라서 우리는 먼저 의학 교육 연구의 광범위한 서술과 GP 교육 연구의 주인공인 이론을 소개한다.
In crafting this paper as a story, we draw on Aristotle's ancient theory of tragedy as the most noble form of story8 and Campbell's more modern theory of the ‘monomyth’.9 Both Aristotle8 and Campbell9 describe story in terms of a journey that starts with a challenge followed by an entry into the unknown that results in a discovery and concludes in a change for both the story's protagonist and the audience or reader. Aristotle8 prescribes a protagonist that is known and a setting that is meaningful to the audience. We therefore first introduce our protagonist, theory, in the narrating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broadly, and GP education research specifically.

호지스와 쿠퍼는 이론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의미 있는 전체로서 전달되는 일련의 이슈에 대한 조직적이고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표현'. 이론의 성격은 세 가지 다른 관점에서 볼 수 있다.

  • 첫 번째 관점, [범위scope]대통합 이론으로 시작하여, 시스템과 관련된 거시 이론, 특정 개입과 관련된 미시적 또는 프로그램 이론에 이르는 범위를 포함한다.
  • 두 번째 관점은 [연구 패러다임]과 관련된 이론의 위치에 관한 것이다.
    • 예를 들어, 후기 실증주의 패러다임에서 이론은 외부 불변의 진리의 표현으로 위치할 수 있다. 성인 학습 이론과 인본주의와의 정렬과 같이 문화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신념과 일치하는 이론은 이러한 방식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도움이 된다.
    • 대조적으로, 구성주의 패러다임에서 이론은 관심 있는 현상에 대한 임의의 수의 유용한 렌즈 중 하나로 위치할 수 있다. 이 관점은 이론이 목적에 부합하기 때문에 역할을 하는 이론에 대한 보다 실용적인 접근 방식을 가지고 있다. 
  • 세 번째 관점은 [인간이 되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 취한 렌즈]를 말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Bladley 등은 의학 교육에서 널리 사용되는 세 가지 렌즈를 식별한다. 여기에는
    • 사고, 감정, 행동의 과정에 초점을 맞춘 [인지-행동 기계론적 렌즈],
    •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하는 개인에 초점을 맞춘 [휴머니즘적 렌즈],
    • 학습의 사회적 맥락에 초점을 맞춘 [사회문화적 렌즈]가 포함된다.

Hodges and Kuper define theory as: ‘an organised, coherent, and systematic articulation of a set of issues that are communicated as a meaningful whole.’10 The character of theory can be viewed from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 The first perspective, scope, embraces a range that extends from grand unifying theories to macro theories pertaining to a system, and to micro or programme theories pertaining to particular interventions.3, 11 

> The second perspective concerns the position of the theory with respect to a research paradigm. For example, from a post-positivist paradigm, theory can be positioned as an expression of an external immutable truth.4 Theories that align with culturally accepted beliefs, such as adult learning theory and its alignment with humanism,12 lend themselves to being positioned in this way. By contrast, from a constructivist paradigm, theory can be positioned as one of any number of useful lenses on a phenomenon of interest.13 This view has a more utilitarian approach to theory in which a theory is cast a role because it fits a purpose.11, 14 

> The third perspective refers to the lens taken on what it is to be a human. From this perspective, Bleakley et al. identify three prevalent lenses in medical education.6 These include a cognitive–behavioural mechanistic lens focusing on processes of thinking, emotion and behaviour,15, 16 a humanistic lens focusing on an individual realising his or her potential,17, 18 and a sociocultural lens focusing on the social context of learning.19

이론을 연구 이야기로 쓰는 것은 의학 교육 연구에서 [이론의 역할]에 대한 개념과 반드시 연관되어 있다.

  • 리스와 몽루스는 이론을 [선험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의미를 만들기 위한 프레임]으로 사용할 것을 권고한다. 하나의 틀로서, 이론은 여러 연구 프로그램에 걸쳐 교육 현상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일관성coherence을 제공할 수 있다.
  • 비에스타 외 연구진은 [의미를 만드는 역할]에 이론을 캐스팅했다. 이 역할에서 그들은 이론에 대해 세 가지 가능한 과제를 식별한다: 인과관계 설명; 타당성에 대한 해석, 그리고 숨겨진 것을 가시화함으로써 해방.
  • Malterud 등은 [신뢰성credibility]에 대한 이론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네스텔과 베어맨은 이론이 '사람들이 어떻게 배우고 어떻게 가르침이 집행되는지에 대한 이해'로서 조명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이론은 연구 스토리에 기여하는 것뿐만 아니라 연구 자체의 대상이 되는 만큼 변화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The writing of theory into a research story is necessarily entwined with conceptions of the role of theory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 Rees and Monrouxe recommend using theory as a frame to provide a priori orientation and for making meaning.3 As a frame, theory can provide coherence in advancing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phenomena across multiple programmes of research.20 

> Biesta et al. cast theory in a role in making meaning.21 In this role they identify three possible tasks for theory: causal explanation; interpretation for plausibility, and emancipation by making the hidden visible.21 

> Malterud et al.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heory for credibility.22 

> Nestel and Bearman suggest that theories provide illumination as ‘understandings of how people learn and how teaching is enacted’.11 

As well as contributing to the research story, theory should be an object of change as it is subjected to the research itself.7, 23

학자들은 교육 연구자들이 질적 향상을 목적으로 이론과 그들이 창작하는 문헌에 등록할 것을 요구한다. 주요 의학전문지들은 연구논문이 이론에 대한 의미 있는 역할을 포함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07년 주요 의학 교육 저널에 게재된 연구 논문들을 조사한 결과, 논문의 절반 가까이가 이론이나 개념적 틀을 명시적으로 포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Scholars call for education researchers to enrol theory in their work and in the literature they generate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quality.5, 10, 20 Key medical education journals expect research papers to include a meaningful role for theory.24, 25 A 2007 examination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leading medical education journals indicated that close to half of papers did not explicitly include either a theory or a conceptual framework.26

연구 출판물에 이론의 더 나은 참여에 대한 요구는 이론의 본질과 사용 방법에 대한 연구자들 사이의 더 큰 이해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비스타 등은 [이론의 숙련된 사용]을 [이론적 감식안]이라고 한다. 이것은 주어진 맥락에서 어떤 이론이 연구 목적에 도움이 될 수 있고 그 이론이 어떻게 그 목적에 사용될 수 있는지를 인식하는 능력이다. Biesta 등은 [이론적 감식안]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이론이 현재 교육 연구에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야 한다고 제안한다. 우리가 이론이 연구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 수 있는 유일한 방법 중 하나는 그것이 연구 내러티브에 쓰여지는 방식을 통해서이다.

The call for better engagement of theory in research publications suggests a need for greater understanding amongst researchers of the nature of theory and how to use it.10 Biesta et al. identify the skilled use of theory as theoretical connoisseurship.21 This is the capacity to recognise which theory might serve the research purpose in a given context and how that theory might be used for that purpose. Biesta et al. suggest that to progress theoretical connoisseurship, we need first to know what and how theory is currently being used in education research.21 One of the only ways we can know how theory is used in research is through the way it is written into research narratives.

저희 연구팀은 교육이론, 연구이야기 작성, 가정의학 직업교육 연구 등에 관심이 있습니다. GP는 GP의 일이 개인과 공동체 내러티브에 의해 정의되는, 일상 생활의 평범한 세계에 위치한다. GP에 관한 직업교육은 주로 업무 중심이다. 의학교육 연구 문헌에 이론을 폭넓게 포함시켜야 한다는 요구에 따라 웹스터 등은 '가족의학 교육 연구에 더 많은 이론적 틀을 통합할 필요성'을 파악한다. 본 문헌 검토에서 우리의 전반적인 목표는 이론이 연구 내러티브에 어떻게 쓰여질 수 있는지 탐구함으로써 GP 직업 교육 연구에서 이론적 감각을 개발하는 것이다. 우리는 또한 GP 직업교육 연구의 문헌에서 이론의 사용을 이해하는 것이 의학 교육과 더 광범위하게 관련이 있다고 제안한다.
Our research team has an interest in education theory, the writing of research stories and GP, family medicine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General practice is situated in the ordinary world of day-to-day living in which the work is defined by personal and community narratives.27, 28 General practice vocational education is principally work-based.29 In line with the call for the greater inclusion of theory in the medical education research literature broadly, Webster et al. identify ‘the need to incorporate more theoretical frameworks into family medicine education research’.30 Our overall aim in this literature review is to develop theoretical connoisseurship in GP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through exploring how theory can be written into its research narratives. We also suggest that understanding the use of theory in the literature of GP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is relevant to medical education more broadly.

우리의 조사 여정을 안내하기 위해, 우리는 과제를 구성하는 세 가지 관련 질문을 한다. GP 직업 연구 사례:

  • 어떤 이론들이 명확한 역할을 부여받고 있는가?
  • 이론에는 어떤 임무와 역할이 할당되어 있는가?
  • 연구 이야기에서 이론이 제시되는 방식은 독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To guide our investigative journey, we ask three related questions which frame the challenge. In GP vocational research stories:

  1. What theories are being given an explicit role?
  2. What tasks and roles are being assigned to theory?
  3. What impact does the way theory is presented in the research story have on the reader?

방법들
Methods

연구설계
Study design

GP 직업 연구에서 이론이 무엇과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조사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체계적인 범위 문헌 검토를 선택했다.31 우리는 선택된 논문이 (연구팀의 선호에 부합하는 논문이 아니라) 현장에 의한 연구 이야기에서 이론의 사용을 포함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논문 선택에 대한 헤르메네틱 접근 방식보다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다. 우리는 논문 샘플에 세 가지 분석 접근 방식을 사용했다. 

  • (i) 기술된 구성요소에 대한 내용 분석 
  • (ii) 이론에 할당된 역할과 이것이 어떻게 수행되었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주제 분석, 그리고 
  • (iii) 이론 표현이 독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한 휴리스틱 분석. 

휴리스틱 분석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했다: 

  • 기사와의 참여, 
  • 독자로서의 경험에 대한 개별적 성찰, 그리고 
  • 이 경험에 대한 설명, 그리고 다른 연구원과의 대화. 

In order to address the challenge of investigating what and how theory is represented in GP vocational research, we chose a systematic scoping literature review.31 We took a systematic rather than a hermeneutical approach32 to paper selection to ensure that our selected papers covered the uses of theory in research stories by those in the field rather than by those that aligned with the preferences of the research team. We used three analytic approaches to our sample of papers:

  • (i) content analysis for the descriptive component;
  • (ii) thematic analysis for identifying the roles assigned to theory and how this was done,33 and
  • (iii) heuristic analysis for considering the impact of the representation of theory on the reader.34 

The heuristic analysis involved the following:

  • engagement with an article;
  • individual reflection on our experience as a reader, and
  • explication of this experience independently and then in conversation with another researcher.

우리의 주제 분석 및 휴리스틱 분석은 접근 방식에서 해석적이고 구성적이었으며, 데이터와 상호 작용할 때 우리 연구팀이 생성한 통찰력과 경험을 활용했다. 따라서 반사적으로 각 저자의 관련 관점을 제시한다.

Our thematic and heuristic analyses were interpretative and constructivist in approach and drew on the insights and experiences generated by our research team as they interacted with the data. We therefore reflexively35 present the relevant perspectives of each author.

JB는 일반 실무자이며 GP 직업교육 전달 및 연구에 관여합니다. 그는 GP 직업교육의 연구역량 구축에 관여하고 있다. JB는 현재 GP에서 해석적 접근법을 사용하는 업무 기반 학습에 중점을 둔 박사 후보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그는 이론 사용과 이론 구축에 관심이 있다.
JB is a general practitioner and involved in GP vocational education delivery and research. He is involved in building research capacity in GP vocational education. JB is currently a PhD candidate with a focus on work-based learning in GP using an interpretative approach. In this context, he is interested in theory use and theory building.

MB는 건강 전문 교육, 특히 질적 연구 분야에서 다년간의 경험을 가진 교육학자이자 교육 연구원이다. 그녀는 이론, 가장 최근에 실용 이론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녀는 또한 문학평론 방법론에 매료되었다.
MB is an educationalist and education researcher with many years of experience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and, particularly, in qualitative research. She has a keen interest in theory, most recently in practice theory. She is also fascinated by literature review methodology.

CK는 GP, 심리학, 교육 분야에서 양적, 질적 연구 경험을 가진 학제간 연구원이다. CK는 GP 교육 연구와 전문적 개발에 강한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의 지식, 아이디어 및 전문 지식을 활용하고자 합니다.

CK is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er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experience in GP, psychology and education. CK has a strong interest in GP education research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eeks to draw on knowledge, ideas and expertise from across disciplines.

EM은 물리치료사이며 15년 이상 보건 전문 교육 분야에서 일해 왔다. EM은 직장 학습, 직업 전환 및 학습을 촉진하는 피드백과 평가의 역할에 대한 연구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녀는 교육에서 사회적으로 내재된 현상을 조명하는 이론의 역할에 관심이 있다.
EM is a physiotherapist and has worked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for over 15 years. EM has research interests in workplace learning, professional transitions and the role of feedback and assessment in promoting learning. She is interested in the role of theory in illuminating socially embedded phenomena in education.

DC는 경험이 풍부한 임상의, 임상 교육자 및 학자이며, 페미니즘(들)을 포함한 많은 사회 문화 이론을 안과 수술 주제에 대한 GP 교육을 포함하여 자신의 교육 관행에 더 잘 통합하고자 합니다.
DC is an experienced practising clinician, clinical educator and scholar who seeks to better integrate many sociocultural theories, including feminism(s), into her own teaching practices, including GP education in the topic of ophthalmic surgery.

DN은 3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보건 전문 교육자이자 연구원이다. 그녀는 교육 이론과 교수진 개발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녀는 주로 연구에서 해석적 입장을 채택하고 훈련생과 감독관의 정체성 개발에 초점을 맞춘 GP 교육 연구 프로그램에 기여했다.
DN is a health professions educationalist and researcher with over 30 years of experience. She has a particular interest in education theory and faculty development. She mainly adopts an interpretative stance in research and has contributed to a programme of research in GP education with a focus on identity development in trainees and supervisors.

논문 선택
Paper selection

우리는 논문을 선정하기 위해 PRISMA(체계적 검토 및 메타 분석을 위한 선호 보고 항목) 지침을 따랐다(그림 1). 표 1에 자세히 나와 있는 검색어를 이용하여 Ovid MEDLINE, Ovid PsychINFO, ERIC(Educational Resources Information Center)를 검색하였다. 이 용어들은 GP 대학원 직업교육에서 이론을 명시적으로 언급한 발표된 연구 논문을 캡처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우리는 2013년 1월부터 2017년 6월까지 발표된 논문으로 검색을 제한했다. 검색어를 식별하기 위해 의학교육에서 이론 사용에 관한 최근 출판물에서 사용된 '이론' 용어를 살펴보았다. 우리의 기준을 충족시키는 알려진 논문들이 검색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데 사용되었다. 팀(JB, MB, CK, EM, DC 및 DN)은 의도된 문헌에서 논문을 수집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포함 및 제외 기준을 개발하기 위해 논문의 선택을 읽었다. 제외 기준은 그림 1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우리는 이론이 [교육 개입의 내용]만을 프레임하고, [개입의 교육적 과정]을 프레임하지 않기 위해 사용된 경우 그 논문을 제외했다. PRISMA 지침에 따라 두 명의 연구원(JB와 CK)은 제목별로, 추상별로, 그리고 나서 전체 논문을 읽음으로써 논문을 선별했다. 논문 포함에 대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연구팀(MB)의 제3의 멤버를 투입해 최종 결정을 가능하게 했다.

We followed the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guidelines36 to select our papers (Fig. 1). We searched Ovid MEDLINE, Ovid PsychINFO and ERIC (Educational Resources Information Centre) using the search terms detailed in Table 1. These terms were designed to capture published research papers in GP postgraduate vocational education that explicitly referred to theory. We limited our search to papers published from January 2013 to June 2017 as this represented recency. We examined the ‘theory’ terms used in recent publications on theory use in medical education to identify search terms. Known papers that fulfilled our criteria were used to judge the adequacy of the search. The team (JB, MB, CK, EM, DC and DN) read a selection of papers to develop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hat would achieve our purpose of collecting papers from our intended literature. The exclusion criteria are detailed in Fig. 1. We excluded papers when theory was used to frame only the content of an educational intervention and not to frame the educational process of the intervention. Adhering to the PRISMA guidelines, two researchers (JB and CK) screened papers by title, by abstract and then by a reading of the full paper. Where consensus could not be reached on the inclusion of a paper, a third member of the research team (MB) was engaged to enable a final decision.

 

분석.
Analysis

우리의 분석은 해석주의자구성주의자 관점에서 수행되었다. 우리는 데이터와 상호 작용하면서 반복적으로 분석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고 개념화를 개발했다. 우리의 범주는 연역적 및 귀납적 질문의 합성을 사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우리의 [범주의 개발]은 우리의 질문에 의해 프레임이 잡혔고, 교육 연구에서 이론의 역할에 대한 최근의 문헌을 읽음으로써 그리고 우리의 선택된 논문에서 이론이 표현되는 방법에 의해 알려졌습니다. 우리는 먼저 6개의 논문을 읽고 팀으로서 분석 범주의 초기 목록을 작성했다. 이러한 범주는 설명적, 해석적, 발견적이었으며 데이터에 대한 점진적 분석과 각자가 가져온 전문 분야별로 알려진 일련의 9개 회의에 걸쳐 다듬어졌다. 최종 분석 프레임워크의 구성 요소는 표 2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각 논문은 팀의 적어도 두 명이 분석했으며, JB는 자신이 작성한 두 개의 논문을 제외한 모든 논문을 분석했습니다.

Our analysis was undertaken from interpretivist and constructivist perspectives.35 We built an analytic framework iteratively as we interacted with the data and developed our conceptualisation. Our categories were developed using a synthesis of both deductive and inductive inquiry:37 our development of categories was framed by our questions, and informed by our reading of recent literature on the role of theory in education research and by the way theory was represented in our selected papers. We first read six papers and, as a team, developed an initial list of analytic categories. These categories were descriptive, interpretative and heuristic and were refined over a series of nine meetings informed by our progressive analysis of the data and by the areas of expertise we each brought. The component parts of our final analytic framework are detailed in Table 2. Each paper was analysed by at least two of the team; JB analysed all papers except two that he had authored.

사용된 이론을 확인한 후, 우리는 이것을 의학 교육에서 취해진 세 가지 이론적 관점에 대한 Bleakley 외 연구진의 유형론으로 분류했다. 

  • 인지-행동주의적;
  • 인본주의적
  • 사회문화적. 

비록 우리는 이론들을 그들의 지배적인 관점으로 묶었지만, 우리는 이론들이 하나 이상의 관점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했다.

Having identified the theories used, we grouped these to Bleakley et al.'s6 typology of three theoretical perspectives taken in medical education: cognitive–behavioural; humanistic, and sociocultural. Although we grouped theories to their dominant perspective, we recognised that theories may take more than one perspective.20, 38

우리는 저자들이 [이론이 무엇을 하도록 할당하고 있는지] 또는 [이론이 실제로 무엇을 하고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각 논문에서 이론에 할당된 작업을 결정했습니다. 그런 다음 우리는 [논문에서 이론에 할당된 과제]와 [캠벨의 '단신론monomyth' 이론에서 나온 전형적인 인물들의 과제] 사이의 유사점을 찾아냄으로써 [연구 이야기 내에서 역할을 가진 캐릭터로서의 이론의 개념화]를 발전시켰다. 캠벨은 위대한 이야기에는 각각 역할과 일련의 과제가 있는 전형적인 인물들이 있다고 이론화한다. 우리가 알아낸 과제와 유사한 역할을 가진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 도전을 하고 변화와 깨달음의 여정을 시작하는 '영웅' 또는 주인공. 
  • 도전을 밝히는 '선구(선발)자'
  • 여정에서 영웅을 응원하는 '동맹자'
  • 여정을 위한 안내와 도구를 제공하는 '멘토자'

We determined the tasks assigned to theory in each paper either according to what the authors said they were assigning theory to do or, more often, by identifying what theory was actually doing. Then we developed our conceptualisation of theory as a character with a role within a research story by looking for parallels between the tasks assigned to theory in our papers and the tasks of Campbell's archetypal characters from his theory of the ‘monomyth’.9 Campbell theorises that great stories have archetypal characters, each with a role and a set of tasks.9 The characters that held roles with parallels to the tasks we identified were:

  • the ‘Hero’ or protagonist, who takes up a challenge and embarks on a journey of change and enlightenment;
  • the ‘Harbinger’, who brings the challenge to light;
  • the ‘Ally’, who supports the Hero on his or her journey, and
  • the ‘Mentor’, who provides guidance and tools for the journey.

마지막으로, 이야기의 척도가 청중에게 미치는 영향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에 따라, 8 우리는 독자인 우리가 논문의 이야기에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해 각 논문에서 이론이 사용되는 방식의 영향을 휴리스틱하게 고려하였다.

Finally, following Aristotle's view that the measure of a story is its impact on its audience,8 we heuristically considered the impact of the way theory was used in each paper on how we, as readers, reacted to the story of the paper.34

결과.
Results

이론은 23편의 논문에 분명히 제시되었다. 선정 과정의 각 단계에서 확보한 논문이 그림 1에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이론이 발견된 논문은 표 3에 우리의 발견 요소들과 함께 저자별로 나열되어 있다. 총 13편의 논문이 정성적 방법론을 사용하였고, 6편의 논문이 정량적 방법론을 사용하였으며, 4편의 논문이 혼합 방법을 사용하였다.

Theory was explicitly present in 23 papers. The papers secured at each stage of our selection process are detailed in Fig. 1. The papers in which theory was found are listed by author in Table 3 with elements of our findings. A total of 13 papers used a qualitative methodology, six used a quantitative methodology and four used mixed methods.

 

어떤 이론과 어떤 유형의 이론이 사용되었는가?
What theory and what type of theory were used?

이론은 우리가 선택한 논문에서 벵거의 '실천 공동체' 이론과 같은 단독 이론'반성적 실천에 대한 이론화'와 같은 이론영역으로 모두 사용되었다. 어떤 논문들은 하나의 이론에 관여한 반면, 다른 논문들은 주로 하나의 이론에 관여하고 다른 이론들을 부차적인 목적으로 사용했다. 두 논문은 하나의 이론을 강조하지 않고, 여러 이론에서 도출된 구조와 아이디어를 사용했다. 총 18개의 [단독 이론discrete theory]과 3개의 [이론 영역areas of theorising]이 사용되었다. 표 4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각 이론은 이론의 주요 관점(인지적-행동적, 인본주의적 또는 사회문화적)의 유형론으로 분류된다. 가장 자주 취하는 관점은 휴머니즘적인 관점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론은 '성찰적 학습', '실천 공동체', '성인 학습'이었다.

Theory was used in our selected papers both as a discrete theory, such as Wenger's theory of ‘communities of practice’,39 and as areas of theorising such as ‘theorising on reflective practice’. Some papers engaged a single theory, whereas others primarily engaged one theory and used other theories for secondary purposes. Two papers used constructs and ideas drawn from multiple theories without emphasising any one theory.40, 41 A total of 18 discrete theories and three areas of theorising were used. These are detailed in Table 4, in which each theory is categorised to Bleakley et al.'s typology of a theory's primary perspective (cognitive–behavioural, humanistic or sociocultural).6 Perspectives, and then theories, are listed in order of their frequency of use as the primary perspective or primary theory. The most frequently taken perspective was a humanistic one. The most commonly used theories were those of ‘reflective learning’, ‘communities of practice’ and ‘adult learning’.

 

theory에 할당된 과제
Tasks assigned to theory

우리는 선택한 논문의 연구 이야기에서 이론에 할당된 [여섯 가지 다른 작업]을 확인했다. 이 발견은 대체로 우리가 논문에서 이론이 하는 것을 본 것에 의해 도출된 해석적 것이었다. 이론에 과제를 부여하는 데 있어서 명확한 논문은 거의 없었다. 6가지 작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 (i) 저자가 취한 위치와 얼라인하기. 
  • (ii) 연구 문제를 확인하기
  • (iii) 아이디어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
  • (iv) 방법론적 도구 제공
  • (v) 결과 해석
  • (vi) 이론을 검토 대상으로 제시

We identified six different tasks assigned to theory in the research stories of our selected papers. This finding was largely an interpretative one derived by what we saw theory doing in the paper; few papers were explicit in assigning a task to theory. The six tasks were:

  • (i) to align with a position taken by the author;
  • (ii) to identify the research problem;
  • (iii) to serve as a vehicle for an idea;
  • (iv) to provide a methodological tool;
  • (v) to interpret the findings, and
  • (vi) to represent an object of examination.

하나의 논문에서, 이론은(때때로 하나 이상의 이론이) 여러 업무에 할당될 수 있었을 것이다. 작업 이론에 할당된 내용에서, 우리는 우리의 집합 안에 형식은 이론적의 일은 일의 모범을 보이는 기사를 참조합니다.

Within a given paper, theory might have been assigned multiple tasks, sometimes by using more than one theory. In detailing the tasks assigned to theory, we reference articles within our set that provide examples of theory undertaking that task.

정렬을 이론
Theory for alignment

이론에 할당된 가장 빈번한 작업은 논문에서 취한 관점과 이론을 정렬하는 것이었다. 이론적 정렬은 다음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연구의 맥락; 연구 방법론의 선택 또는 만들어진 결론. 독자로서, 우리는 [정렬]을 [저자의 관점에 독자를 민감하게 하거나 입장에 대한 신뢰를 주기 위해 수행되는 포지셔닝 방법positioning manoeuvre]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언어는 이론이 '수용된 정통' 또는 '이상'의 지위를 부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Ingham 등은 다음과 같이 논문을 발표했다.

The most frequent task assigned to theory was to align theory with a perspective taken in the paper. Theoretical alignment might be performed for: the context of the research;42 the choice of research methodology,43 or conclusions made.41 As readers, we experienced alignment as a positioning manoeuvre performed either to sensitise the reader to the author's perspective44 or to give credibility to a stance.45 In this positioning, language could be used to give the theory the status of an ‘accepted orthodoxy’ or an ‘ideal’.46 Ingham et al. opened their paper with:


성인 학습 이론의 적용은, 학습자 중심의 접근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의학 교육에서 수십 년 동안 더 깊은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The application of adult learning theory, with its emphasis on a learner-centred approach, has for some decades in medical education been considered essential to facilitate deeper learning.47

 

이 오프닝으로, Ingham 등은 그들의 [논문의 목표]를 [성인 학습 이론]의 교리와 일치시키고, 이것을 [민감화하는 전략sensitising manoeuvre]으로 사용했다. 형용사 '본질적'을 사용하여 성인 학습 이론을 [노력하여 달성해야 할 이상]으로 위치시킨다. 논문의 뒷부분에서, 그들은 성인 학습 이론과 일치시킴으로써 그들의 결론을 정당화한다.
With this opening, Ingham et al.47 align the aim of their paper with the tenets of adult learning theory as a sensitising manoeuvre and, in using the adjective ‘essential’, position adult learning theory as an ideal to strive for. Later in the paper, they justify their conclusions by aligning them with adult learning theory:


이러한 행동은 학습자 중심의 성인 교육 접근법과 일치한다.
This behaviour is consistent with a learner-centred adult education approach.47

연구문제 파악을 위한 이론
Theory to identify the research problem

일부 논문은 [연구 문제를 식별]하기 위해 이론을 사용했다. Brumpton 등은 이러한 방식으로 [학습 스타일 이론]을 활용하여 수직적으로 통합된 교육 프로그램에서 [교수 스타일과 학습 스타일 간의 불일치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표시함으로써 경험적 학습 이론을 사용했다. Van Roermund 등은 [성인 학습 이론의 원리]를 사용하여 동료 디브리핑 워크숍에서 [교육자의 기대와 믿음]을 [피교육자의 기대와 신념]과 일치시키는 문제를 표시했다.

Some papers used theory to identify a research problem. Brumpton et al. used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in this way by drawing on theories of learning styles to flag the possibility that there may be a problem with a mismatch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styles in their vertically integrated education programme.45 Van Roermund et al. used the tenets of adult learning theory to flag the problem of matching the expectations and beliefs of educators with those of trainees in their peer debriefing workshops.48

아이디어의 매개체로서의 이론
Theory as a vehicle for an idea

단독 이론은 때때로 [아이디어나 개념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임무를 맡기도 했다. 이러한 유형의 과제에 할당된 이론은 광범위한 통화currency를 가진 이론이었다.

  • [성인학습이론]은 [학습자 중심주의 사상]의 매개체로 활용되었다.
  • [경험학습]은 [실천의 맥락]에서 학습의 수단으로 이용되었고,
  • [실천공동체 이론]은 [공동의 목적을 가지고 함께 일하는 사람들]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이용되었다.

Discrete theories were sometimes tasked with serving as vehicles for ideas or concepts. Theories assigned this type of task were theories with broad currency. 
Adult learning theory was used as a vehicle for the idea of learner-centredness.47, 48 
Experiential learning was used as a vehicle for learning in the context of doing,40, 49 and 
communities of practice theory was used as a vehicle for the idea of people working together with a common purpose.50-53

방법론적 도구를 제공하는 이론
Theory providing a methodological tool

어떤 저자들은 이론에게 [방법론적 도구]를 도입하거나 만드는 과제를 주었다. 여기에는 데이터 수집 도구, 유형학 도구 및 분석 도구가 포함됩니다.

  • Grierson 등은 [계획 행동 이론]을 사용하여 GP 등록자의 향후 임상 실습을 위한 의도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설문지를 설계]했다.
  • Keister 외 [드레퓌스의 기술 습득 모델]을 전공의 [발전과정progress을 채점]하기 위해 사용했습니다. 

Some authors gave theory the task of introducing or crafting methodological tools. These included tools for collecting data, tools for typology and tools for analysis. Grierson et al. use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to design a questionnaire to collect data on intentions for future clinical practice by GP registrars.54 Keister et al. used Dreyfus's model of skills acquisition for grading registrar progress.44

해석론
Theory for interpretation

비에스타 등은 이론이 '왜 사람들이 있는 그대로 말하고 행동하는가'에 대한 해답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교육 연구에서 해석적 과제를 부여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해석 기능]의 예는 스톤이 의사들과 감독자들이 설명할 수 없는 의학적 증상을 다루는 방식을 이해하는 수단으로 [상징적 상호작용주의]를 사용한 것이다.
Biesta et al. suggest that theory is given interpretative tasks in education research as a way of providing an answer to ‘why people are saying and acting in the way that they are’.21 An example of this interpretative function was Stone's55 use of symbolic interactionism as a means of understanding the way that doctors and supervisors dealt with unexplained medical symptoms:

이 연구는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의 전통을 바탕으로 현실과 자아가 상호작용을 통해 알려지고 의사소통과 언어를 통해 표현된다는 기본적 가정을 가지고 있다. 
This study is grounded in the symbolic interactionism tradition with its fundamental assumption that reality and the self are known through interaction and expressed through communication and language.55

검토 대상으로서의 이론
Theory as an object of examination

우리는 이론이 검토 대상으로 사용되는 두 가지 방법을 확인했다.

  • 첫 번째는 연구를 위한 이론의 전반적인 유용성을 평가하는 데 있어 global한 것이었고,
  • 두 번째는 이론적인 명제를 테스트하고 이론을 구축하고 확장하는 데 있어 particular한 것이었다.

Van den Eerweg 등은 의사소통 기술 학습에 대한 그들의 [연구 결과가 '변환적 학습 이론'과 일치한다고 판단]하며, 그 이론이 의사소통 기술 영역에서 추가 연구의 틀을 짜는 데 유용성이 있다고 결론지었다.

이론적 명제에 대한 시험은 [성찰이 행동의 변화를 이끈다는 '성찰의 이론']으로부터 명제를 검토했던 펠그림(Pelgrim) 등에 의해 수행되었다.

듀건 외 연구진은 의사-환자 의사소통에 대한 훈련생 성찰의 조사를 사용하여 이론 구축을 시도했다. 그들은 명시적과 암묵적 사이의 접점에 반성이 어떻게 자리 잡는지에 대한 표현으로서 [낚시꾼의 부유angler's float]에 대한 은유를 발전시키고 이러한 맥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긴장을 강조하기 위해 그들의 연구를 사용했다.

We identified two ways in which theory was used as an object of examination.

  • The first was global in assessing the overall utility of a theory for a research purpose and
  • the second was particular in testing a theoretical proposition, and building and extending a theory.

Van den Eerwegh et al. determined that their findings on learning communication skills were consistent with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and hence concluded that the theory had utility for framing further research in the communication skills domain.56 

Testing of a theoretical proposition was undertaken by Pelgrim et al., who examined the proposition from ‘theories of reflection’ that reflection leads to change in action.46 

Duggan et al. endeavoured to theory build using an examination of trainee reflections on doctor–patient communication.57 They used their research to advance a metaphor of an angler's float as a representation of how reflection sits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explicit and the tacit and to highlight the tensions that can occur in this context.

이론의 역할 특성 분석
Characterisation of the role of theory

이론이 캐릭터인 스토리로서의 연구 논문의 개념에서, 우리는 샘플에서 이론에 할당된 과제와 캠벨의 '단설 이론'에서 원형 캐릭터에 할당된 과제와 역할 사이의 유사점을 찾았다. 우리는 캠벨의 8개의 원형 캐릭터 중 4개와 의미 있는 유사점을 발견했다. 이러한 내용은 표 5에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In our conception of a research paper as a story in which theory is a character, we looked for parallels between the tasks assigned to theory in our sample and the tasks and roles assigned to Campbell's archetypal characters in his ‘monomyth theory’.9 We found meaningful parallels with four of Campbell's eight archetypal characters. These are detailed in Table 5.

때때로 이론은 하나의 논문에서 두 개의 인물의 역할을 차지했습니다. 클레멘스 등은 실천이론 공동체를 '주역자'와 '멘토'로 분류했다. '주인공'으로서, 그 이론은 데이터에 의해 시험되었다. 이 이론은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것은 [이론이 연구에 정보를 제공]하고, [연구가 이론에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필요성과 일치했다.

Sometimes theory occupied two character roles in a single paper. Clement et al.43 placed communities of practice theory as both the ‘protagonist’ and the ‘mentor’. As the ‘protagonist’, the theory was tested by the data; as the ‘mentor’, the theory was used to interpret the data. This accorded with the imperatives for theory to inform research and for research to inform theory.

이론에 주어진 역할의 중요성
Prominence of the role given to theory

이론이 취하는 역할을 검토하면서, 우리는 중요한 주제로 이론에 부여된 '역할의 탁월성prominence of the role'을 확인했다. 우리는 역할의 중요도를 '카메오 캐릭터'에서 '주요 캐릭터'로 등급을 매겼다. 한 논문에서 하나 이상의 이론이 사용될 때, 각각의 이론은 다른 정도의 두드러짐을 줄 수 있다.

  • [카메오 캐릭터]로서의 이론은 전형적으로 서론이나 토론에서 한 두 문장으로 나타났다.
  • [주요 캐릭터]로서의 이론은 논문 전반에 걸쳐 중요한 존재였다.

중요성은 이론에 할당된 역할과 임무와 관련이 있었다. [카메오 역할]은 대부분 ('신뢰를 위한 정렬'이나 '아이디어의 매개체'라는 업무를 수행하며) '동맹' 역할을 했다. 월터스(Walters) 등은 변혁 이론의 카메오 역할을 맡았으며, 이 이론에 대한 간략한 언급을 통해 발견에 신뢰성을 더했다. 
In examining the role taken by theory, we identified the ‘prominence of the role’ assigned to a theory as an important theme. We graded role prominence from ‘cameo character’ through to ‘major character’. When more than one theory is used in a paper, each theory may be given a different degree of prominence.

  • A theory as a cameo character typically appeared in one or two sentences in either the introduction or the discussion.
  • A theory as a major character was a significant presence throughout the paper.

Prominence was related to the role and tasks assigned to theory. Cameo roles were mostly as an ‘ally’ in the tasks of ‘alignment for credibility’ or as ‘a vehicle for an idea’. Walters et al. gave transformative theory a cameo role by making a brief mention of this theory to add credibility to a finding:58

이 연구는 또한 개인들이 주요 긴장을 관리하는 데 있어 그들의 편안함의 한계를 확장하기 위해 감독관에 의해 스트레칭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발견은 사람들을 그들의 "지식의 가장자리"로 데려가는 것이 성장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메지로의 변형적 학습 이론과 일치한다.58
This study also demonstrated that individuals can be stretched by supervisors to expand their limits of comfort at managing the key tensions. This finding is consistent with Mezirow's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which recognises that taking people to their “edge of knowing” can result in growth.58

 

[방법론적 도구의 원천]으로서의 이론의 사용, 또는 [검토의 대상]으로의 이론의 사용은 이론의 prominence를 더 높인다.

Use of theory as a source for a methodological tool or use of theory as an object of examination matched with greater prominence.

관객의 입장
Audience stance

이론 사용의 영향을 고려함에 있어 '관객 입장'이라는 주제를 유의미하게 파악하였다. 우리는 교육자-실천가, 교수진, 정책 입안자, 연구자 및 이론가의 5가지 청중 입장을 각각 확인했다. 몇몇 논문들은 그들의 의도된 청중들에 대해 분명히 말했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않았다.

  • 논문의 대상 독자에 대해 명시되지 않은 경우, 논문의 관심 대상인 포커스 또는 주요 영역을 대상 독자의 지표로 사용했다(표 3).
  • Nothnagle 등의 촉진 토론 그룹 검토와 같이, 초점이 이산 개입인 경우, 우리는 청중을 [교육자-의사]로 식별했다.
  • 관심 영역이 Walter 등의 회복력 검사와 같이 [실용적인 관점에서 조사된 현상]이라면, 우리는 청중을 [교수진] 또는 [정책 입안자]로 파악했다.
  • 관심 영역이 [방법론적인 문제]라면, 우리는 청중을 [연구자]로 식별했다. 예를 들어, Grierson 등은 '포괄적 실무에 참여하려는 의도'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계획된 행동 이론을 사용했다.
  • 펠그림 등의 성찰 이론 검토와 같이 관심 영역이 [이론 개발]이었다면, 우리는 청중을 [이론가]로 받아들였다. 일부 신문들은 하나 이상의 초점을 맞추거나 둘 이상의 청중에게 말한다고 주장했다.

We identified the theme of ‘audience stance’ as significant in considering the impact of the use of theory. We identified five audience stances of, respectively, the educator–practitioner, the faculty member, the policymaker, the researcher and the theorist. Some papers were explicit about their intended audience; most were not. 

  • When the paper was not explicit about its intended audience, we used the focus or main domain of interest of the paper (Table 3) as an indicator of the intended audience.
  • If the focus was a discrete intervention, such as in Nothnagle et al.'s examination of a facilitated discussion group,53 we identified the audience as educators–practitioners.
  • If the domain of interest was a phenomenon investigated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such as in Walter et al.'s examination of resilience,58 we identified the audience as faculty members or policymakers.
  • If the domain of interest was a methodological issue, we identified the audience as researchers. For example, Grierson et al. use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to develop a tool to measure ‘intention to engage in comprehensive practice’.54 
  • If the domain of interest was theory development, such as in Pelgrim et al.'s examination of theories of reflection,46 we took the audience to be theorists. Some papers took more than one focus or claimed to speak to more than one audience.

이론에 할당된 역할이 독자인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What was the impact of the role assigned to theory on us as readers?

[이야기의 척도]란 [그것의 청중에게 미치는 영향]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의무에 따라, 우리는 각 논문에서 이론이 사용되는 방식이 청중으로서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우리가 경험한 영향은 이론의 역할과 그 역할이 할당된 방식, 역할의 중요성, 그리고 우리가 청중으로서 취한 자세의 융합이었습니다.
In line with Aristotle's imperative that the measure of a story is its impact on its audience,8 we examined the impact of the way theory was used in each paper on us, as an audience. The impact we experienced was a confluence of the role of theory and the way that role was assigned, the prominence of the role, and the stance we took as the audience.

이론에 할당된 역할의 명확성과 관련된 영향
Impact in relation to the clarity of the role assigned to theory

우리는 이론의 역할이 명확해졌을 때 이론과 더 쉽게 관계를 맺었다. 우리가 어떤 역할이 할당되고 있는지 추측하도록 남겨졌을 때 더 어려웠는데, 이는 대부분의 검토된 논문에서 그랬다. Govaerts 등의 논문은 이론이 논문에서 취할 역할을 명확히 한 연구의 좋은 예였다. 이 논문은 '개념적 프레임워크'에 대한 서론에서 한 부분을 할애했다. 이론의 선택 뒤에 있는 철학적 가정을 명확히 하는 것 또한 도움이 되는 방향 설정 기법이었다. 클레멘스 등은 사회문화 이론으로서 벵거의 실천공동체이론을 탐구하면서 이렇게 했다.

We engaged more easily with theory when its role was articulated. It was more difficult when we were left to guess what role was being assigned, which was the case in most of the reviewed papers. Govaerts et al.'s paper42 was a good example of a work that articulated the roles that theory would take in the paper. This paper dedicated a section within the introduction to the ‘conceptual framework’.42 Articulation of the philosophical assumptions behind the choice of theory was also a helpful orientating manoeuvre.4 Clement et al.43 did this in their exploration of Wenger's theory of communities of practice39 as a sociocultural theory.

이론에 주어진 역할의 중요성과 관련된 영향
Impact in relation to the prominence of the role given to theory

이론에 기인하는 역할의 중요성은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독자로서 [이론이 논문의 이야기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경우]는 (반 로어문드 등의 논문에서처럼) [이론이 일찍 소개되었으면서, 논문의 고찰에서도 여전히 활발한 캐릭터였을 때]이었다. 이론이 [카메오 캐릭터]였던 논문에서 우리는 이야기를 산만하게 하는, 이론의 덧없는 존재감만을 경험했다. 일부 논문은 서론에서 이론의 역할을 강하게 주었지만, 나머지 논문에서는 계속되지 않았다. 우리는 이것을 이야기의 잠재적인 동반자로서 이론을 제시하는 것으로 경험했고, 그 후 그들은 설명할 수 없이 사라진다.
The prominence of the role ascribed to theory had an important impact. As readers, the impact of theory on the story of the paper was most meaningful when theory was introduced early and was still an active character in the paper's concluding discussion, as in van Roermund et al.'s paper.48 In papers in which theory was a cameo character, we experienced the fleeting presence of theory as a distracting diversion from the story. Some papers gave theory a strong role in the introduction, which was not continued in the rest of the paper. We experienced this as presenting theory as a prospective companion for the story, who then inexplicably vanishes.

청중의 입장에 대한 영향
Impact in relation to the stance of the audience

청중입장은 연구이야기에서 이론의 성격 전개 깊이가 미치는 영향을 결정하였습니다. [초점이 이론에 있으면서, 이론가 청중에게 초점을 맞출 때], 이론의 캐릭터 개발이 복잡한 것은 가치 있었다. 그러나, 이것은 [교육 개입]에 대한 초점이나 [교육 실무자로서의 청중]이라는 맥락에서는 소외될alienating 수 있다. 빈과 드 라 크룩스의 논문은 이러한 긴장감의 한 예이다. 본 논문은 촉진된 동료 보고 그룹에서 사례 제시와 그룹 반영 사이의 전환을 검토했다. 이를 통해 저자들은 '지식의 인식론' 이론의 효용성을 검증하고, [성찰에 대한 이론]의 구축에도 관여했다. 이 두 번째 시도는 이론의 복잡한 탐구를 포함했다. 이 논문은 교육자를 청중으로 다루어야 한다고 명시적으로 주장했지만, 우리는 교육자-실천자의 관점에서 그것이 어려운 읽을거리라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그것은 이론가의 관점에서 읽는 것이 매력적이었다.

Audience stance determined the impact of the depth of development of the character of theory in the research story. Complex character development of a theory was valuable when the focus was theory and the audience theorists; however, this could be alienating in the context of a focus on an educational intervention and an audience of education practitioners. The paper by Veen and de la Croix was an example of this tension.49 This paper examined the transition between case presentation and group reflection in facilitated peer debriefing groups. In doing so, the authors49 tested the theory of ‘epistemics of knowledge’ for its utility and also engaged in building theory on reflection. This second endeavour involved complex exploration of theory. Although the paper49 explicitly claimed to address educators as an audience, we found it a challenging read from the perspective of an educator–practitioner. It was, however, engaging to read from the perspective of a theorist.

논의
Discussion

우리는 GP 직업교육 연구논문에서 어떤 이론이 역할을 부여받는지, 이러한 역할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것이 이루어지는 방식이 독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했다. 총 21개의 다른 이론 또는 이론 영역이 선택된 23개의 논문에서 사용되었습니다. 이들 중 두드러진 것은 '성인학습이론', '실천공동체', '반성학습'으로, 모두 거시적 또는 중간적 이론이다. 인본주의적 관점을 가진 이론들이 지배적이었다. 이는 이러한 이론과 이 관점이 GP 교육 연구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론들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위해 제출되었다.

  • 민감화 하거나 신뢰도를 정당화하기 위한 이론적 정렬을 달성
  • 아이디어의 매개체 역할
  • 방법론적 도구 제공 
  • 해석 제시
  • 검사 대상으로서 이론 제시

We sought to uncover which theories are assigned roles in GP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papers, what these roles are and how the ways in which this is done impact on the reader. A total of 21 different theories or areas of theorising were used in our 23 selected papers. Prominent amongst these were ‘adult learning theory’, ‘communities of practice’ and ‘reflective learning’, all of which are macro or middle-range theories.3, 11 Theories with a humanistic perspective were dominant. This suggests that these theories and this perspective have particular currency in GP education research. Theories were enlisted for the roles of:

  • achieving theoretical alignment for sensitising or justifying credibility;
  • serving as vehicles for ideas;
  • providing methodological tools;
  • giving interpretation, and
  • representing objects of examination.

이러한 역할들은 다른 사람들이 제안한 역할과 일치한다. 예를 들면 특히 신뢰성에 대한 조정을 달성하기 위함이라든가, 해석 도구의 역할을 한다던가, 검토의 대상이 됨을 나타낸다. 우리는 할당된 역할에서 이론의 영향이 그 역할에 대한 명확성, 연구 이야기에서 이론이 얼마나 두드러졌는지, 독자의 입장에 달려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These roles aligned with those suggested by others, particularly for achieving alignment for credibility,22 serving as an interpretative tool23 and representing an object of examination.7, 23 We established that the impact of theory in its allocated role depended on clarity about its role, how prominent theory was in the research story and the stance of the reader.

우리는 이론이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을 식별함으로써 이론적 감지를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야기에서 역할에 대한 캠벨의 전형적인 특성을 적용함으로써, 우리는 역할이 이론에 어떻게 할당될 수 있고 이 역할이 연구 논문의 이야기에 어떻게 통합될 수 있는지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넓은 의미에서, 이야기 속의 인물들은 등장, 전개, 그리고 출구를 필요로 한다. [카메오 출연]은 무의미하거나 산만해질 위험이 있다.

  • 이론이 연구의 대상일 때, 그것은 [주인공]이다. 아리스토텔레스와 캠벨은 주인공이 여행이 시작되기 전에 관객들에게 친숙해지도록 권한다. 우리는 [서론]이 이 작업을 수행하는 부분이라고 제안한다. 그 여정은 변화 또는 새로운 통찰력을 가져와야 하며, 이는 [고찰]에서 분명해져야 한다.
  • 이론이 credibility를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아이디어의 전달 수단으로 사용될 때, 그것은 '동맹'으로서 기능한다. 동맹으로서 이론은 연구 이야기에서 주인공의 동반자이다. 따라서 도입부 또는 방법 섹션의 장면 설정에 나타나야 하며, 결론conclusion에 나타나야 한다.
  • 이론이 [도전이나 문제를 식별]하는 데 사용될 때, 그것은 '항해자' 역할을 한다. 전조(항해자)들은 도입부에 강한 존재감을, 결론부에 강한 존재감을 필요로 한다.
  • 이론이 [해석적 또는 방법론적 도구]로 사용될 때, 그것은 '멘토'로서 기능한다. 멘토 캐릭터는 신뢰받을 이유가 필요하기 때문에 연구 이야기에 처음 도입부에서 개발이 필요하다.

We aimed to progress theoretical connoisseurship by identifying the ways in which theory could be used. By applying Campbell's9 archetypal characterisation of roles in a story, we offer a framework for how a role might be assigned to theory and how this role might be integrated into the story of a research paper. In broad terms, characters in a story require an entry, development and an exit. Cameo appearances risk being meaningless or distracting.

  • When theory is the object of the research, it is the protagonist. Both Aristotle8 and Campbell9 recommend that the protagonist be made familiar to the audience before the journey commences. We suggest that the introduction is the section in which this is done. The journey should bring a change or new insight, which should become clear in the discussion.
  • When theory is used for credibility or as a vehicle for an idea, it functions as an ‘ally’. As an ally, theory is a companion for the protagonist in the research story. Therefore, it should appear in the scene setting of either the introduction or the methods sections and be present in the conclusion.
  • When theory is used in identifying the challenge or problem, it functions as the ‘harbinger’. Harbingers need a strong presence in the introduction and a presence in the conclusion.
  • When theory is used as either an interpretative or a methodological tool, it functions as a ‘mentor’. A mentor character needs reason to be trusted and therefore needs development when it is first introduced to the research story.

특정 역할에 대한 이론의 선택과 사용 방법은 분야와 관객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론이 신뢰성을 위해 또는 아이디어의 수단으로 사용되려면, 그 이론은 대상 독자와의 교류currency가 필요하다. 사용된 이론의 영향은 이론 뒤에 있는 철학적 가정을 명료화함으로써 뒷받침된다. 이는 이론이 인지-행동적 관점, 인문학적 관점 또는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나오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론적 개념화의 깊이]는 또한 [이론적으로 밀도 높은 탐색]에 대해서 [교육 실무자는 이론가와 같은 방식으로 참여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식하며, 의도된 청중에 따라 달라야 한다.
The choice of theory for a particular role and how to use it depends on the field and the audience. If theory is to be used for credibility or as a vehicle for an idea, the theory requires currency with the target audience. The impact of the theory used is supported by articulation of the philosophical assumptions behind the theory.4 These will differ depending on whether the theory comes from a cognitive–behavioural perspective, a humanistic perspective or a sociocultural perspective.6 The depth of theoretical conceptualising should also be dictated by the intended audience in recognition of the fact that an education practitioner may not be engaged in the same way as a theorist by a theoretically dense exploration.

우리의 논문은, 그 자체로, 연구 이야기에서 이론의 특성을 보여주는 예이다.

이번 연구에서 [우리의 '주인공']은 [일반적인 구성generic constrcut으로서의 이론]이었다. 우리는 서론에서 그녀의 성격을 깊이 있게 했다. 탐사와 토론의 여정을 통해, 우리는 그녀가 다른 연구 이야기에서 어떻게 등장인물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견해를 얻으려고 노력했다.

[우리의 '동맹']은 우리의 접근과 결론에 신뢰성을 주기 위해 사용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이었다. 이 이론은 서론에서 도입되었고, 그 후 이야기의 후속 부분에 존재하기 위해 친숙해졌다.

[우리의 '멘토']는 캠벨의 '단일 신화' 이론이었, 해석과 지도, 틀을 제공했다. 이 이론은 서론에서 소개되었고, 방법론 부분에서 친숙해졌으며, 발견과 논의에서 중요한 인물로 나타났다.

[우리의 '전조']은 의학 교육에서 이론의 사용에 관한 문헌이었다. 이것은 우리의 소개에서 두드러졌고 우리의 토론에서 잠깐 나타났다.

우리의 분야는 GP 교육 연구였고, [우리의 청중]들은 그들의 연구에 이론을 사용할 사람들, 특히 GP 교육 연구였다. General practice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넓은 관점의 미각을 이용하는 절충적인 훈련이다. 환자의 이야기가 무엇보다 중요한 훈육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야기의 은유를 선택했고 우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이론에 의존했다.
Our paper, in itself, is an example of the characterisation of theory in a research story. 

Theory as a generic construct was our ‘protagonist’. We gave depth to her character in our introduction. Through our journey of exploration and discussion, we endeavoured to gain a view on how she might be a character in other research stories.

We recruited Aristotle's poetics8 as an ‘ally’ to give credibility to our approach and our conclusions. This theory was introduced and made familiar in the introduction to then be a presence in the subsequent sections of the story.

Campbell's theory of the ‘monomyth’9 was our ‘mentor’, providing interpretation, guidance and a framework.3 This theory was introduced in the introduction, made familiar in the section on methodology and appeared as a significant character in the findings and discussion.

Our ‘harbinger’ was the literature on use of theory in medical education. This had prominence in our introduction and appeared briefly in our discussion.

Our field was GP education research and our audience those who would use theory in their research, particularly GP education research. General practice is an eclectic discipline that draws on a broad palate of perspectives to serve its ends. It is also a discipline in which the narrative of the patient is paramount.27 We therefore chose the story metaphor and drew on more than one theory to meet our ends.

이번 연구 여정의 장점이 곧 한계다. 우리는 GP 교육 연구를 우리의 설정으로 선택했고 우리의 시험을 과거 5년으로 제한했다. 이것은 우리가 분석적인 깊이를 추구할 수 있도록 샘플을 제한했다. GP 연구는 필연적으로 의학교육의 다른 분야와 관련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그 자체의 맥락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GP 교육 연구가 그 자체로 중요한 분야이며, 또한 이 분야의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은 보다 광범위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 단 5년의 기간 내에 출판된 작품을 검토하기로 한 우리의 결정은 변화하는 환경의 변화에 대해 언급할 수 없게 만든다. 이론의 사용에 대한 보다 장기적인 관점은 이론의 사용의 미래 방향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우리의 검색어는 논문이 포함되기 위해 이론에 대해 명시적으로 언급할 것을 요구했다. 이것은 암묵적인 이론적 지향이 검토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했다. 이는 이론적 기반이 가정될 가능성이 더 높은 실증주의 패러다임에서 정량적 논문에서 벗어난 샘플의 가중치를 초래했을 가능성이 높다.3 정성적인 논문이 우리의 선택을 지배했다. 우리는 이론의 사용을 검토하면서 해석적 접근법을 취했고, 이것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관점과 논문을 읽는 우리의 반응을 끌어낼 수 있게 해주었다. 그러나 이것은 다른 사람들의 해석과 반응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사람들이 문학에서 이론의 사용에 대한 그들 자신의 경험과 비교하여 우리 해석의 진실성과 유용성을 판단하는 것이다. 우리가 하는 권고안은 그 결과에 대한 우리의 해석으로부터 도출된다. 우리의 구성주의적 접근 방식에 따라, 우리는 우리의 결론이 많은 정당한 관점 중 하나에서 나온다는 것을 인식한다. 우리의 관심은 이론이 연구 글쓰기에서 표현되는 방식이었다. 우리는 그 이론이 연구 자체에서 사용되는 방식이나 그것이 사용된 엄격함을 조사하지 않았다. 이것들은 추가 연구에 유용한 분야일 것이다.
The strengths of this research journey are also its limitations. We chose GP education research as our setting and confined our examination to the past 5 years. This limited our sample to enable us to pursue analytical depth. General practice education research inevitably has its own contextual characteristics that may or may not pertain to other areas of medical education. We believe that GP education research is an important field in itself and also that conclusions drawn from research in this area have relevance more broadly. Our decision to examine works published within a period of only 5 years makes us unable to comment on changes in what is likely to be a changing environment. A more longitudinal view on the use of theory may offer insights to future directions of the use of theory. Our search terms required that a paper make explicit mention of a theory in order to be included. This meant that implicit theoretical orientations were not examined. This is likely to have resulted in the weighting of our sample away from quantitative papers in a positivist paradigm in which theoretical underpinnings are more likely to be assumed.3 Qualitative papers dominated our selection. We took an interpretative approach in examining the use of theory and this enabled us to draw on the perspectives we held and on our reactions to reading the papers. However, this may not align with the interpretations and reactions of others. It is for others to judge the veracity and usefulness of our interpretation against their own experiences of the use of theory in the literature. The recommendations we make are drawn from our interpretation of the findings. In line with our constructivist approach, we recognise that our conclusions come from one of many justifiable perspectives. Our interest was the way in which theory was represented in research writing. We did not examine the way that theory was used in the research itself or the rigour with which it was used. These would be useful areas for further research.

결론들
Conclusions

왕은 매우 진지하게 "처음부터 시작해서 끝까지 계속하세요. 그리고 나서 멈추세요."라고 말했다.
“Begin at the beginning,” the King said, very gravely, “and go on till you come to the end: then stop.” (Alice in Wonderland, Lewis Carroll)1


우리의 집중적인 검토는, 우리의 연구 이야기에서 [이론이 잃어버린 캐릭터가 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론을 의미 있게 캐스팅하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게 만들 수 있다. 이론이 연구 이야기에 영향을 미치려면 우리가 선택한 역할에 대해 숙고하고 이론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 명확히 설명하며, 우리의 연구 이야기에서 이론의 특성화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차원에 걸쳐 명시함으로써, 교육 연구자들은 그들의 연구 글쓰기의 응집력 있는 품질을 더할 수 있고, 다른 사람들이 그들의 연구 이야기에 이론을 쓰는 것을 도울 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론적 감식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Our focused review suggests that theory does not need to be a lost character in our research stories. Casting theory meaningfully enables it to take a significant role. For theory to have impact on the research story, we need to be deliberate about the role we choose to give theory and explicit about the reasons for our choice of theory, and to attend to the characterisation of theory in our research story. By being explicit across these dimensions, education researchers can both add to the cohesive quality of their research writing and provide insights to help others in writing theory into their research stories. Through this, theoretical connoisseurship may be progressed.

 

 


 

Med Educ. 2019 May;53(5):443-457. doi: 10.1111/medu.13793. Epub 2019 Feb 5.

 

Theory, a lost character? As presented in general practice education research paper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Monash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Nursing & Health Sciences, Monash University, Clayton, Victoria, Australia.

2Eastern Victoria GP Training, Churchill, Victoria, Australia.

3Centre for Research in Assessment and Digital Learning, Office of the Deputy Vice Chancellor (Education), Deakin University, Geelong, Victoria, Australia.

4School of Rural Health, Faculty of Medicine, Nursing and Health Sciences, Monash University, Churchill, Victoria, Australia.

5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Dentistry and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Melbourne, Melbourne, Victoria, Australia.

6University Department of Medicine, Royal Melbourne Hospital, Faculty of Medicine, Dentistry and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Melbourne, Melbourne, Victoria, Australia.

7Department of Surgery, Faculty of Medicine, Dentistry and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Melbourne, Melbourne, Victoria, Australia.

PMID: 30723929

DOI: 10.1111/medu.13793

Abstract

Objectives: The use of theory in research is reflected in its presence in research writing. Theory is often an ineffective presence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papers. To progress the effective use of theory in medical education, we need to understand how theory is presented in research papers. This study aims to elicit how theory is being written into general practice (GP)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papers in order to elucidate how theory might be more effectively used. This has relevance for the field of GP and for medical education more broadly.

Methods: This is a scoping review of the presentation of theory in GP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published between 2013 and 2017. An interpretive approach is taken. We frame research papers as a form of narrative and draw on the theories of Aristotle's poetics and Campbell's monomyth. We seek parallels between the roles of theory in a research story and theories of characterisation.

Results: A total of 23 papers were selected. Theories of 'reflective learning', 'communities of practice' and 'adult learning' were most used. Six tasks were assigned to theory: to align with a position; to identify a research problem; to serve as a vehicle for an idea; to provide a methodological tool; to interpret findings, and to represent an object of examination. The prominence of theory in the papers ranged from cameo to major roles. Depending on the way theory was used and the audience, theory had different impacts. There were parallels between the tasks assigned to theory and the roles of four of Campbell's archetypal characters. Campbell's typology offers guidance on how theory can be used in research paper 'stories'.

Conclusions: Theory can be meaningfully present in the story of a research paper if it is assigned a role in a deliberate way and this is articulated. Attention to the character development of theory and its positioning in the research story is important.

불만족한 포화: 질적연구에서 포화된 샘플 크기에 대한 비판적 탐색(Qualitative Research, 2012)
‘Unsatisfactory Saturation’: a critical exploration of the notion of saturated sample sizes in qualitative research
Michelle O’Reilly University of Leicester, UK
Nicola Parker Birmingham and Solihull Mental Health Foundation Trust, UK

 

 

서론
Introduction

우리의 논문은 최근에 출판을 위해 동료 검토를 받았고 피드백의 많은 부분이 건설적이고 공정했지만, 그것에 대한 비판 중 하나는 우리가 [샘플의 포화]를 언급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자세히 살펴본 결과, 그러한 세부 사항에 대한 요청은 저널 자체의 품질 기준에 포함되었습니다. 검토 중인 논문은 대화 분석 방법을 사용했기 때문에 우리는 모든 질적 조사에 대한 일반적인 요구 사항에 동요했다. 이에 대한 우리의 설명은 [서로 다른 질적 관점이 품질 보증을 위한 서로 다른 지표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일부 질적 접근 방식]은 [표본 크기 적정성을 위한 지표]로서 [포화]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포화] 개념은 원래 구체적이고 이론 중심적인 의미를 가진 [근거 이론]과 결부되어 있었으며, 이것이 다른 질적 접근에 유용하게 번역되었지만, 모든 경우에 그것을 부과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이론적/주제적/데이터 포화에 대한 가치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이 문제는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 글에서 우리는 이 개념을 둘러싼 논쟁을 분리하고 토론을 더 개방하고 복잡성의 일부를 해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비판적인 평가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A paper of ours was recently peer reviewed for publication and while much of the feedback was constructive and fair, one of the criticisms of it was that we had failed to mention saturation of the sample. On closer inspection the request for such detail was embedded in the journal’s own quality criteria. The paper under review had utilised the conversation analytic method and we were thus perturbed by this generic requirement for all qualitative inquiry. Our reasoning for this is that different qualitative perspectives have different indices for quality assurance and in this respect some qualitative approaches do not rely on saturation as a marker for sample size adequacy. Furthermore, the notion of saturation was originally tied to grounded theory with a specific and theory driven meaning, and while this has been helpfully translated for other qualitative approaches it is not appropriate to impose it in all instances. Because of the increasing value being placed on theoretical/thematic/data saturation we believe this issue requires closer examination. In this article, therefore, we aim to disentangle the debates surrounding this notion and provide a critical evaluation that will hopefully lead to opening up the debate further and to help demystify some of the complexities.

질적 연구의 품질 기준
Quality criteria in qualitative research

만약 우리가 '모든 것에 맞는 하나의 크기' 해결책의 유혹에 굴복한다면, 우리는 꼬리(체크리스트)가 개(질적 연구)를 흔들고 있는 상황에 빠질 위험이 있다. (바버, 2001: 1115)

If we succumb to the lure of ‘one size fits all’ solutions we risk being in a situation where the tail (the checklist) is wagging the dog (the qualitative research). (Barbour, 2001: 1115)

정성적 방법론적 논의에서, 문헌은 모든 정성적 연구에 일반적 품질 기준이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으로 가득 차 있다(Caeelli et al., 2003; Mays and Pope, 2000; Tracy, 2010). 품질기준 체크리스트가 질적 조사의 타당성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질적 방법을 일반적으로 더 폭넓게 수용하는 데 기여했다는 것은 인정되지만, 이를 규범처럼 따를 경우 역효과를 낼 수 있다(Barbour, 2001). 바버는 다양한 기준을 무비판적으로 채택하는 것 자체가 엄격함과 동일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또한 질적 연구의 질적 수준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측정할 수 있는 단일한 방법이 없다(Guba and Lincoln, 2005; Mays and Pope, 2000). 따라서 [모든 정성적 접근법에 적용할 수 있는 품질 기준을 개발하려고 시도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정성적 작업의 영향을 받는 광범위한 방법론을 존중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각 접근 방식은 다음과 같은 품질 지표에 대해 특이적으로 평가되어야 하기 때문이며, 이것이 질적 연구의 인식론적 기원과도 부합한다(Caeelli et al., 2003).

Within qualitative methodological discussions, the literature is littered with debates about whether there should be generic quality criteria for all qualitative research (Caelli et al., 2003; Mays and Pope, 2000; Tracy, 2010). While it is accepted that quality criteria checklists have contributed to increased confidence in the validity of qualitative inquiry and the wider acceptance of qualitative methods generally, these can be counterproductive if followed prescriptively (Barbour, 2001). Barbour argues that an uncritical adoption of a range of criteria does not in itself equate with rigour. Furthermore, there is no singular way to measure the quality of qualitative research because it is so diverse (Guba and Lincoln, 2005; Mays and Pope, 2000). It is argued, therefore, that it is problematic to attempt to develop quality criteria applicable to all qualitative approaches as this would not respectfully value the wide range of methodologies that fall under the rubric of qualitative work and because of this each approach should be idiosyncratically evaluated against quality markers that are congruent with their epistemological origins (Caelli et al., 2003).

모든 정성적 접근법과 잠재적으로 관련이 있는 품질 영역이 있으며, 트레이시(2010)는 그러한 8개의 보편적 품질 마커를 주장하지만, 다른 마커는 포괄적 접근법에 적합하지 않다. 문헌에서 혼란스러워진 것으로 보이는 그러한 문제 중 하나는 표본 추출, 특히 포화 개념과 관련이 있다. [포화]는 샘플의 다양성이 결정되는 금본위제가 된 것 같다(Guest et al., 2006). 그러나 포화는 여러 가지 의미와 제한된 투명성을 가지고 있다. 질적 연구의 [질적 방어가능성]은 상당 부분 조사 결과의 [전달가능성을 위한 깊이와 최대 기회를 제공해야 하는 [표본 추출 적정성]과 관련이 있다(Spencer 등, 2003).

While there are areas of quality that potentially relate to all qualitative approaches, and Tracy (2010) argues for eight such universal quality markers, other markers are less suitable for a blanket approach. One such issue that seems to have become confused in the literature relates to sampling, particularly the notion of saturation. Saturation seems to have become the gold standard against which the diversity of samples is determined (Guest et al., 2006) and yet saturation has multiple meanings and limited transparency. Defensibility of the quality of qualitative research, to a considerable extent, relates to sampling adequacy that should provide depth and maximum opportunity for transferability of findings (Spencer et al., 2003).

샘플링 및 포화 개념
Sampling and the concept of saturation

[표본 추출]은 연구자들이 프로젝트의 성공을 결정하기 위한 핵심 관심사이며 지속적인 검토가 필요하다(Tucket, 2004). 질적 연구에서 [응답자 선정]은 의견이나 사람을 세는 것이 아니라, [의견의 범위와 이슈의 다른 표현을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정량적 표본 추출 절차를 따를 수 없다(Gaskell, 2000). 따라서 질적 연구에서의 표본 추출은 [정보의 풍부성]과 관련이 있으며(Kuzel, 1992), 따라서 필요한 참가자 수는 주제의 성격과 이용 가능한 자원에 따라 달라진다(Gaskell, 2000). 정성적 연구에서 표본 추출 방법을 안내하는 두 가지 주요 고려사항이 있는데, 적합성appropriateness과 적절성adequecy이다(Morse and Field, 1995). 따라서 연구자는 표본 추출에 대한 접근 방식에 있어 실용적이고 유연해야 하며 적절한 표본 크기는 연구 질문에 충분히 답할 수 있는 크기여야 한다고 주장한다(Marshall, 1996).
Sampling is a core concern for researchers to determine the success of a project and continual examination is required (Tucket, 2004). In qualitative research the selection of respondents cannot follow the procedures of quantitative sampling because the purpose is not to count opinions or people but explore the range of opinions and different representations of an issue (Gaskell, 2000). Thus, sampling in qualitative research is concerned with the richness of information (Kuzel, 1992)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required, therefore, depends on the nature of the topic and the resources available (Gaskell, 2000). There are two key considerations that guide the sampling methods in qualitative research, appropriateness and adequacy (Morse and Field, 1995). It is argued, therefore, that the researcher should be pragmatic and flexible in their approach to sampling and that an adequate sample size is one that sufficiently answers the research question (Marshall, 1996).

이러한 의미에서 (질적연구의) 연구자는 [일반화 가능성]을 추구하지 않으며, 표본 크기가 아니라 [표본 적합성sample adequecy]에 더 중점을 둔다(Bowen, 2008). Bowen은 표본 추출의 적절성adequecy은 포화에 도달했다는 증명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정보의 깊이]는 물론 [정보의 폭]이 달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질적 연구자들은 종종 포화 개념을 기반으로 표본의 적절성과 관련된 결정을 내린다. 그러나, 연구자들에 의해 포화도가 이해되고 활용되는 방법의 발전이 있었다. 그 결과, 포화도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포화도를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언제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혼란이 생겼다.
In this sense then generalizability is not sought by the researcher and the focus is less on sample size and more on sample adequacy (Bowen, 2008). Bowen argues that adequacy of sampling relates to the demonstration that saturation has been reached, which means that depth as well as breadth of information is achieved. Qualitative researchers often make decisions related to the adequacy of their sample based on the notion of saturation. There has been, however, a development of the ways in which saturation is understood and utilised by researchers. The consequence of this has been that there is now some confusion in terms of what saturation means, how it should be used and when it is applicable.

포화의 역사
History of saturation

[포화]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원본은 근거 이론의 접근 방식으로 개발된 [이론적 포화]이다(Guest et al., 2006). 다른 정성적 방법에 대한 개념의 다른 변형으로는 데이터 포화(Francis et al., 2010; Guest et al., 2006), 주제 포화(Guest et al., 2006) 및 일부 경우에는 단순 포화(Starks and Trinidian, 2007)가 있다. 이러한 용어(Guest et al., 2006)를 둘러싼 약간의 확산과 모호함이 있지만, 그것들은 뚜렷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모든 정성적 방법에 적용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주제/데이터 포화]는 [새로운 정보가 생성되지 않을 때까지 데이터가 계속 수집되어야 한다]는 의미로 간주된다(Green and Thorogood, 2004). 즉, 데이터에 놀라움이 적고 더 이상 새로운 패턴이 나타나지 않는 시점(Gaskell, 2000). 이것은 근거 이론가들이 사용하는 포화 형태인 [이론적 포화]와는 상당히 다르다.
There are various forms of saturation, with the original being theoretical saturation developed in the approach of grounded theory (Guest et al., 2006). Other variations of the concept for other qualitative methods include, data saturation (Francis et al., 2010; Guest et al., 2006), thematic saturation (Guest et al., 2006) and in some cases simply saturation (Starks and Trinidad, 2007). While there is some diffusion and vagueness surrounding these terms (Guest et al., 2006) they do have distinct meanings and are typically applied to all qualitative methods. Generally, however, thematic/data saturation are normatively taken to mean that data should continue to be collected until nothing new is generated (Green and Thorogood, 2004); the point at which there are fewer surprises and there are no more emergent patterns in the data (Gaskell, 2000). This is quite different to theoretical saturation, the form of saturation used by grounded theorists.

[이론적 포화]라는 근거 이론 내에서 개척된 포화라는 원래 의미는 현재 연구에서 여전히 이 접근법 내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심적 중요성을 유지하고 있다. 근거이론에서 포화 개념은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오지 않는 시점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 범주가 완전히 설명되고,
  • 범주의 variability이 설명되며,
  • 범주의 관계가 검증되고, 따라서
  • 이론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Green and Thorogood, 2004).

이는 그들이 [(사회적 과정이) 발생한 환경에서 연구되는 사회적 과정에 대한 설명 이론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인식론적 입장과 근거이론의 목표와 일치한다(Glaser and Strauss, 1967; Starks and Trinidate, 2007).
The original meaning of saturation pioneered within grounded theory, of theoretical saturation, is still used within this approach in current work and has retained its central importance. In grounded theory the notion of saturation does not refer to the point at which no new ideas emerge, but rather means that

  • categories are fully accounted for,
  • the variability between them are explained and
  •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are tested and validated and
  • thus a theory can emerge (Green and Thorogood, 2004).

This is congruent with the underpinning epistemological position and the goals of grounded theory, which are to develop an explanatory theory of the social processes that are studied in the environments in which they have taken place (Glaser and Strauss, 1967; Starks and Trinidad, 2007).

포화에 적용된 다른 의미들, 시간에 따른 의미들의 변화들, 그리고 새로운 의미들의 일반적인 수용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실질적인 적용과 보급의 투명성 측면에서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어느 정도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 우리는 [한 가지 형태의 포화만을 품질 지표로 사용하는 균일한 수용]이 [상당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지만, 우리는 그 사용을 보장하는 접근 방식에 대해 [투명한 실천]에 대한 책임이 있다는 것에 주목하고, 따라서 포화에 대한 문제 있는 기대치에 대한 논의에 앞서 이러한 중요한 논쟁을 먼저 탐구한다.

Despite the different meanings that have been applied to saturation, the changes of those meanings over time and the general acceptance of the new meaning, it has significant influence and has attracted some debate in terms of its practical application and transparency in dissemination. While we recognize that uniform acceptance of using one form of saturation as a quality marker has considerable drawbacks, we note that for those approaches that warrant its use, there is an onus on transparent practice and, thus, prior to discussions regarding problematic expectations of saturation we explore these important debates first.

품질 및 투명성
Quality and transparency

질적 연구에서 [투명성]은 품질의 인정된 마커이다(Spencer 등, 2003). 즉, 데이터 수집 방법에 대한 충분한 세부 정보가 포함되어야 한다(Meyrick, 2006). 정성적 연구에서 [표본 크기의 충분성]은 [빈도]보다는 [데이터 깊이]에 의해 측정되므로 표본은 [연구 주제를 가장 잘 대표하는 참여자]로 구성되어야 한다(Morse et al., 2002). 일부 정성적 작업의 목적은 일반화 가능성 또는 전달 가능성을 갖는 것이므로 표본 크기가 중요하다(Onwuegbuzie, 2003). Corpus는 다양한 경험을 포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커야 하지만 반복적일 정도로 커서는 안 되며, 일반적인 지침 원리는 포화이다(Mason, 2010). 특히 문헌 내에서 포화 샘플의 개념은 품질의 지표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지만(Guest et al., 2006), 샘플 크기의 적절성과 관련하여 [투명성]만으로는 일반적으로 보급에 불충분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Bowen, 2008). 보웬은 연구자들이 포화가 어떻게 결정되었는지에 대한 세부 사항을 얼버무리는 경향이 있었다고 주장한다.
In qualitative research transparency is a recognized marker of quality (Spencer et al., 2003), which means that sufficient detail should be included about how the data were collected (Meyrick, 2006). Within qualitative research, sufficiency of sample size is measured by depth of data rather than frequencies and, therefore, samples should consist of participants who best represent the research topic (Morse et al., 2002). The aim of some qualitative work is to have generalizability or transferability and, thus, sample size is important (Onwuegbuzie, 2003). The corpus needs to be large enough to capture a range of experiences but not so large as to be repetitious, and the common guiding principle is saturation (Mason, 2010). Notably, within the literature the notion of saturated samples tends to be used as an indication of quality (Guest et al., 2006), and yet it has been argued that transparency, with regards to adequacy of sample sizes, is generally inadequate in dissemination (Bowen, 2008). Bowen argues that researchers have tended to gloss over the details about how saturation was determined.

그러나 연구 커뮤니티가 활용할 수 있는 제한된 가이드라인(Francis et al., 2010; Ziebland and McPherson, 2006)과 용어의 의미가 다르다는 점에서 투명성 달성은 연구자들에게 복잡한 요구 사항이다. 포화상태에 대한 지침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중요한 두 가지 영역이 있다.

  • 첫째, 설계 단계에서 제안된 표본 크기를 미리 명시하는 것이 계획, 자금 조달 및 윤리적 검토를 위한 점점 더 일반적인 요구 사항이 되고 있다. 연구자들이 표본 크기 충분성에 대한 제안을 꺼리고(Mason, 2010) 일부 접근 방식에서 선행 추정은 부적절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는 잠재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Morse, 1995).
  • 둘째, 포화상태에 이르렀을 때를 보여주기 위한 실질적인 지침이 제한적이다(Bowen, 2008; Guest et al., 2006). 이는 연구자와 검토자가 언제 포화 상태에 도달했는지 결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원칙]에 대해 연구 커뮤니티가 어떻게 합의할 수 있는지, 그리고 독자에게 투명한 방식으로 판단을 가장 잘 방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질문을 유발한다(Francis et al., 2010). 이는 실제로 연구자들이 [표본 적정성]보다는 [자원이 제한되고 시간과 돈에 의해 주도될 때 모집을 중단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감안할 때 특히 중요하다(Green and Thorogood, 2004).

Achieving transparency is, however, a complex requirement for researchers given that there are limited guidelines for the research community to utilise (Francis et al., 2010; Ziebland and McPherson, 2006) and differing meanings of the term. There are two areas of importance in relation to the need for guidance about saturation.

  • First, it is becoming an increasingly common requirement at the design stage, for planning, funding and ethical review, to state in advance the proposed size of the sample. This is potentially problematic given that researchers shy away from making suggestions about sample size sufficiency (Mason, 2010) and in some approaches a priori estimations are inappropriate (Morse, 1995).
  • Second, there is limited practical guidance or help to show researchers when saturation has been reached (Bowen, 2008Guest et al., 2006). This prompts questions about how the research community might agree on principles that researchers and reviewers can use to determine when saturation has been reached and how to best defend judgements in a way that is transparent to readers (Francis et al., 2010).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given that in reality, researchers often stop recruitment when resources become limited and are driven by time and money, rather than sample adequacy (Green and Thorogood, 2004).

흥미롭게도, 질적 작업에서는 종종 [어떻게 또는 왜 포화를 달성하였는지]에 대해서 [독자]가 [투명성이 거의 없는 방법론이나 증거]를 생성하기 위해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풀어내야 한다(Caeelli 등, 2003). 이는 16개월 동안 18개의 기사가 포화에 대해 언급했지만, 그 중 어느 것도 그것이 어떻게 달성되었는지에 대해 투명하지 않다는 것을 발견한 선도 저널의 리뷰를 통해 입증된다(Francis et al., 2010). 이는 연구자들이 보급 중 포화의 과정을 명시하는 것이 기대치라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Bowen, 2008). 실제로는 예상치 못한 참가자 감소(Tuckett, 2004)와 시간과 자원(Green and Thorogood, 2004) 측면에서 연구자에게 실질적인 제약이 있다. 이는 각 인터뷰 내에서 포화도와 품질에 관한 논쟁이 있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며, 따라서 연구자들은 인터뷰의 길이와 인터뷰 횟수에 모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Onwuegbuzie and Leech, 2005). 포화 도달에 대한 이러한 제한에 대한 투명성이 반드시 결과를 무효화하지는 않는다. 포화에 도달하지 못하면 이는 [발견이 유효하지 않다]는 의미라기보다는, [현상이 아직 완전히 조사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Morse, 1995). 따라서 표본 추출 적정성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투명하게 보고되는 것은 허용된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포화에 도달했는지, 포화에 도달했는지, 어떻게 도달했는지, 채용 중에 어떤 문제에 직면했는지에 대해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Interestingly, in qualitative work it is often left to the reader to unpack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o generate clues as to the methodology with little transparency or evidence to how or why saturation was achieved (Caelli et al., 2003). This is evidenced by a review of a leading journal that found that during a 16-month period, 18 articles mentioned saturation and yet none of them were transparent about how it was achieved (Francis et al., 2010). This is problematic given that it is an expectation that researchers make explicit the process of saturation during dissemination (Bowen, 2008). In reality there are practical constraints on the researcher in terms of unforeseen participant attrition (Tuckett, 2004) and in terms of time and resources (Green and Thorogood, 2004).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as there are arguments relating to saturation and quality within each interview and, therefore, researchers need to pay attention to both the length of interviews as well as the number of interviews (Onwuegbuzie and Leech, 2005). Transparency about these limitations on reaching saturation does not necessarily invalidate the findings. If saturation is not reached this simply means that the phenomenon has not yet been fully explored rather than that the findings are invalid (Morse, 1995). It is acceptable, therefore, that any limitations of sampling adequacy are transparently reported. Researchers thus need to be clear in dissemination if they reached saturation, how they reached it and what issues they faced during recruitment.

포화는 설득력 있는 개념이지만, 특히 어떤 경우에는 [새로운 테마의 수가 잠재적으로 무한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실질적인 약점을 가지고 있다(Green and Thorogood, 2004). 이는 각 삶이 독특하고, 이러한 의미에서 [데이터는 항상 새로운 발견이 있을 것]이기 때문에 결코 진정으로 포화되지 않기 때문이다(Ray et al., 2007). 질적 탐구에서 연구자들은 귀납적 접근이나 연역적 접근을 취할 수 있다. [귀납적 추론]을 사용하는 사람은 데이터를 사용하여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연역적 추론]을 사용하는 사람은 아이디어에서 시작하여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를 확인한다(Thorne, 2000). 따라서 이론적으로,

  • 초점이 명확한 생각focused idea을 가진 사람들은 관련 연구 의제를 가지고 있고, 따라서 이것은 데이터 수집의 방향을 안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매개변수가 생성되고 포화 상태에 도달할 수 있는 특정 관심 영역이 추구됩니다.
  • 반면에 [연역적 접근]은 훨씬 더 광범위하고 연구원은 데이터 수집에서 나올 수 있는 범주의 유형에 대해 알지 못한다. 이런 의미에서 포화를 달성할 수 있는 잠재력은 비현실적인 목표가 된다.

Saturation is a convincing concept but has a number of practical weaknesses, especially as in some cases the number of emergent themes are potentially limitless (Green and Thorogood, 2004). This is because each life is unique and in this sense data are never truly saturated as there will always be new things to discover (Wray et al., 2007). In qualitative inquiry researchers can take an inductive approach or deductive approach. Those who use inductive reasoning use the data to generate ideas and those who use deductive reasoning begin with an idea and then use the data to confirm it (Thorne, 2000). In theory, therefore,

  • those who have a focused idea have a related research agenda, and, thus, this guides the direction of the data collection. In this way parameters are created and particular areas of interest pursued within which saturation can be achieved.
  • On the other hand a deductive approach is much broader and the researcher is unaware of the types of categories that may emerge from data collection. In this sense, the potential for achieving saturation becomes an unrealistic target.


이 절에서 강조한 것은 질적 연구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배포 중에 [프로세스의 투명성]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품질을 달성하는 것]은 (저자가 전체 접근 방식의 장점을 입증할 책임이 있기 때문에) [포화도의 투명성]을 초월한다. 카엘리 등은 나아가 연구자들이 자신들의 이론적 입장을 밝히고, 방법론과 방법 사이의 일치성을 입증하며, 엄격함을 확립하기 위해 사용한 전략을 강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포화 개념이 모든 질적 접근법에 걸쳐 품질을 확립하는 데 [항상 적절한 기준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론적 위치와 방법 간의 일치성을 확립하는 것]은 서로 다른 데이터 수집 방법이 선호되고 서로 다른 품질 마커가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인터뷰]가 일반적이고 대중적인 데이터 수집 방법이고 일부 접근법에 적합하다고 간주되지만(Gaskell, 2000), 모든 사람이 보편적으로 선호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포화 상태에 대한 토론과 토론의 대부분이 거의 전적으로 인터뷰와 포커스 그룹 연구에 집중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특히 주목할 만하다. 따라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데이터, 일지 입력diary entries 또는 관찰과 같은 수집 방법에 적용할 때 그 다양성에 대한 비판적 사고의 누락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What this section has highlighted is that transparency of process is essential during dissemination to ensure quality in qualitative research. Achieving quality, however, transcends transparency of saturation as authors have a responsibility for evidencing the merits of the overall approach (Caelli et al., 2003). Caelli et al. further argue that researchers must address their theoretical position, evidence the congruence between methodology and methods, and highlight the strategies they used to establish rigour. What this means is that the concept of saturation is not always an appropriate criterion for establishing quality across all qualitative approaches. Theoretical position and establishing congruence between methods means that differing data collection methods are favoured and different quality markers are utilised. For example, although interviews are a common and popular method of data collection and deemed suitable for some approaches (Gaskell, 2000), they are not universally favoured by all. This is particularly noteworthy given that the majority of debate and discussion around saturation almost exclusively focuses on interview and focus group studies. Thus, there seems to be an omission of critical thinking about its versatility when applied to collection methods such as naturally occurring data, diary entries or observations.

포화에 대한 부적절한 기대의 문제
The problem of inappropriate expectations about saturation

지금까지의 주장으로 볼 때 포화를 고려하는 것이 문헌이 제시한 것보다 더 복잡하다는 것은 분명하다. 서로 다른 데이터 수집 방법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데이터 양의 충분성을 프레임화하며, 이로 인해 모든 경우에 포화도를 적용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양적 과학의 유산은 더 많은 수의 문화적 잔재가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데이터가 많을수록 반드시 정보가 많아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질적 작업에는 적용되지 않는다(Mason, 2010). [연구에 추가 참여자를 모집하고 이들이 제공하는 데이터를 충분히 활용하지 않는 것은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잠재적으로 비윤리적]이기 때문에 이것은 특히 중요한 문제이다(Francis et al., 2010). 질적 조사에서 목표는 고정된 수의 참가자를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 중인 현상을 완전히 설명하는 방법으로 충분한 깊이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다(Fossey 등, 2002). 이와 같이 다양한 접근 방식이 풍부한 분석과 심층 분석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 질문을 프레임화하고, 참가자를 표본화하고,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에 차이가 있다(Starks and Trinidian, 2007).

It is clear from the argument thus far that considering saturation is more complex than the literature has suggested. Differing data collection methods frame the sufficiency of data quantity in different ways and because of this it is questionable whether saturation can be applied in all cases. The legacy of quantitative science appears to have left a cultural residue of larger numbers having greater impact. This is not applicable to qualitative work as more data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more information (http://www.qualitative-research.net/index.php/fqs/article/view/1428/3027" data-mce-href="https://journals-sagepub-com-ssl.access.hanyang.ac.kr/doi/10.1177/1468794112446106#">Mason, 2010). This is a particularly important issue as it is not just unnecessary but also potentially unethical to recruit further participants to a study and not make full use of the data they provide (Francis et al., 2010). In qualitative inquiry, the aim is not to acquire a fixed number of participants rather it aims to gather sufficient depth of information as a way of fully describing the phenomenon being studied (Fossey et al., 2002). As such, there are differences in how various approaches frame research questions, sample participants and collect data (Starks and Trinidad, 2007) in order to achieve richness and depth of analysis.

연구의 중심 목표는 지식을 확장하고 발전시키는 것이지만(Caeelli et al., 2003), 그러나 획득의 본질과 메커니즘에 대한 근본적인 주장은 다양하다. 따라서 [지식에 대한 다른 가정]은 [연구의 인식론적 출발점]을 알려주며, 따라서 주어진 [프로젝트의 목적과 목표]를 결정한다. 이러한 목적과 목표가 전체 연구 과정의 궤적을 안내할 것이다. 우리는 이것이 표본 추출 적정성에 포화 개념을 적용할 때 특히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표본의 적절성adequecy]은 [참가자 수]만을 기준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의 적절성appropriateness]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대화 분석가는 고유한 조사 방식에 더 적합한 자연 발생 데이터의 작은 데이터 세트를 선호합니다(Potter, 2002). 이는 품질 지표로서의 포화도가 불필요해지는redundant 한 가지 접근법이다. 대화 분석을 사용하여 연구 과정에서 의사 결정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정교한 문헌이 있으며, 그 안에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강력한 메커니즘이 있다(Hutchby and Woffit, 2008; ten Have, 2007).

The central aim of research is to extend and advance knowledge (Caelli et al., 2003) and yet fundamental arguments about the nature of and mechanisms for its acquisition are diverse. Different assumptions about knowledge thus inform the epistemological starting point of research and, therefore, also determine the aims and objectives of any given project. It is these aims and objectives that will guide the trajectory of the whole research process. We argue that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when applying the notion of saturation to sampling adequacy. The adequacy of the sample is, therefore, not determin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participants but the appropriateness of the data. For example, conversation analysts have a preference for small data sets of naturally occurring data as more appropriate for their unique mode of inquiry (Potter, 2002). This is one approach where saturation as a marker for quality becomes redundant. There is a sophisticated literature about how to manage decisions in the research process using conversation analysis and there are robust mechanisms for ensuring quality within it (Hutchby and Wooffitt, 2008; ten Have, 2007).

그러나 포화의 무관성은 대화 분석에 국한되지 않으며, [인식론적 및 방법론적 프레임워크]는 연구자가 품질 기준을 결정하고 적용하는 데 있어 지침을 제공해야 한다. 문제는 모든 경우에 포화와 같은 마커를 엄격하게 적용할 때 발생한다. 포화와 같은 개념을 [의심의 여지 없이 수용]하면, 결과적으로 [최적의 표본 추출 적절성]에 대한 [도움이 되지 않는 신화]를 영구화하는, [품질에 대한 제도적 담론]의 일부가 되고, 동시에 이러한 기대에 부합하지 않는 연구의 가치를 훼손한다. 이는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 커뮤니티와 관련된 언어와 개념을 사용하는 데 익숙하기 때문에 이해할 수 있다(Caeelli et al., 2003).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전통에 대한 존중은 중요하고 쓰기, 복습, 교수와 같은 학문적인 활동에서는 성찰적 태도가 필수적이다. 특정 전통 내에서 [방법론적 무결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다른 정성적 방법을 자체 품질 측정과 비교하여 공정하게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포화의 측면에서 [이론적 일치성]은 그 유용성을 희석시키지 않도록 유지되어야 한다. 카엘리 외. (2003:9) 제안:
The irrelevance of saturation is not limited to conversation analysis, however, and the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frameworks should guide researchers in their decision making and application of quality criteria. The problem arises when markers such as saturation are rigidly applied in all cases. The unquestioned acceptance of concepts like saturation consequently become part of an institutional discourse of quality that perpetuate unhelpful myths about optimum sampling adequacy and simultaneously undermine the value of research not conforming to these expectations. This is understandable as researchers are accustomed to using language and concepts that are relevant for their own research community (Caelli et al., 2003). Nonetheless, respect for other traditions is important and in academic activities such as writing, reviewing and teaching, a reflexive attitude is essential. It is possible to maintain methodological integrity within a particular tradition, while fairly assessing other qualitative methods against their own measures of quality. In terms of saturation, therefore, theoretical congruence should be maintained so as to not dilute its usefulness. As Caelli et al. (2003: 9) propose:

포화도는 근거 이론에 뚜렷한 이론적으로 내재된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그것을 유비쿼터스하고 비선택적으로 사용하면 질적 연구 커뮤니티에 이 용어를 무의미하게 만들 위험이 있다.

While saturation has a distinct theoretically embedded meaning in grounded theory, its ubiquitous and non-selective use risks rendering the term meaningless to the qualitative research community.

마무리 멘트
Concluding remarks

이 논의에서 분명한 것은 [근거 이론의 기원을 넘어선 포화의 적용]에 관한 논쟁에 대한 관심이 부족했다는 것이다. [근거이론]은 이론적 포화도를 구성하는 것이 무엇인지, 그것을 적용하는 방법과 언제 사용할지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가지고 있지만, [다른 질적 접근법]과 관련된 새로운 의미는 덜 발달되어 있다. 이 기사에서 우리의 잠정적인 주장은 개념의 전환 이후 나타난 핵심 쟁점 중 일부를 분리하고 토론을 열기 위해 고안되었다. 포화가 의심받지 않고 기대되기 때문에 이것이 실제로 연구실습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성찰하는 시간을 가질 필요가 있다. 학술지가 검토 과정에서 포화에 대한 질문을 통합하기 시작한 만큼 연구계가 현실에 안주하기 전에 문제 제기가 절실하다. 서로 다른 전통의 학자들이 이 문제에 대해 흥미롭고 다양한 의견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이 글이 토론을 자극하여 학계와 질적 연구가 진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What is evident from this discussion is that the debates around the application of saturation beyond its origins in grounded theory, have received limited attention. While grounded theory has clear guidance about what constitutes theoretical saturation, how to apply it and when to use it, the new meanings in relation to other qualitative approaches are less developed. Our tentative arguments in this article are designed to disentangle some of the key issues that have emerged since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cept and to open up debates. As saturation becomes unquestioned and expected, it is necessary to take time to reflect on what this actually means for research practice. As journals are starting to incorporate questions about saturation in the process of review, it is imperative that questions are raised before the research community becomes complacent. We note that different academics from different traditions hold interesting and diverse opinions on this issue and we hope that this article will stimulate debate so that academia and qualitative research can progress.

 

 


Abstract

Measuring quality in qualitative research is a contentious issue with diverse opinions and various frameworks available within the evidence base. One important and somewhat neglected argument within this field relates to the increasingly ubiquitous discourse of data saturation. While originally developed within grounded theory, theoretical saturation, and later termed data/thematic saturation for other qualitative methods, the meaning has evolved and become transformed. Problematically this temporal drift has been treated as unproblematic and saturation as a marker for sampling adequacy is becoming increasingly accepted and expected. In this article we challenge the unquestioned acceptance of the concept of saturation and consider its plausibility and transferability across all qualitative approaches. By considering issues of transparency and epistemology we argue that adopting saturation as a generic quality marker is inappropriate.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highlight the pertinent issues and encourage the research community to engage with and contribute to this important area. (PsycINFO Database Record (c) 2019 APA, all rights reserved)

편집자에게 '오케이'를 얻어내기 위한 저자 답변서 쓰기(J Grad Med Educ, 2019)
Writing Author Response Letters That Get Editors to ‘‘Yes’’
Gail M. Sullivan, MD, MPH Deborah Simpson, PhD Lalena M. Yarris, MD, MCR Anthony R. Artino Jr, PhD

 

최근 걸작을 제출한 저널에서 흥미로운 의료 교육 혁신을 설명하는 원고인 이메일이 뜬다. 당신이 이 서사시 작품을 출품한 지 꽤 된 것 같아요. 두려움으로 당신은 이메일을 엽니다. 그것은 광범위하다: 수정이 요청된다. 당신은 그 논문이 거절당하지 않아서 기쁘지만, 이메일이 길다는 것은 여전히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더 많은 데이터, 분석, 토론, 제한 및 참조에 대한 많은 의견과 요청을 읽으면 기분이 가라앉습니다. 당신은 걱정한다: 검토자들이 당신의 논문을 이해했나요? 모든 댓글에 응답해 주실 수 있나요? 응답할 시간을 어디서 찾을 것인가?
An e-mail pops up from the journal to which you submitted your recent masterpiece, a manuscript describing an exciting medical education innovation. It feels like a long time since you submitted this epic work. With trepidation you open the e-mail. It is extensive: a revision is requested. You are elated that the paper has not been rejected, but the length of the e-mail indicates that considerable efforts are still required. As you read the many comments and requests for more data, analyses, discussion, limitations, and references, your spirits sink. You worry: Did the reviewers understand your paper? Can you respond to all of the comments? Where will you find the time to respond?

절망하지 마세요. JGME(Journal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편집자들이 여러분의 논문에 대해 편집자들이 "네"라고 대답하는 데 도움이 되는 훌륭한 작가 응답 편지를 만드는 것을 돕기 위해 여기에 있습니다.
Do not despair. The Journal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JGME) editors are here to help you craft a stellar author response letter, one that will help editors say “yes” to your paper.

첫 번째 일
First Things First

앉아서 맥을 짚고 나서 코멘트를을 주의 깊게 읽을 시간을 가지세요. 검토자 및 편집자(전부는 아니더라도 많은 사람들이 자원봉사자임)는 다음과 같은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논문을 최대한 좋은 것으로 만들기 위해. 동료 검토의 기본 원칙은 개정안이 항상 더 나은 논문을 만들어 낸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저자들은 그들의 논문이 검토 과정을 통해 개선된다는 것에 동의한다. 
Sit down, take your pulse, and then find some time to read the comments carefully. Keep in mind that the reviewers and editors—many, if not all, are volunteers—have the same goal as you: to make your paper the best it can be. A fundamental principle of peer review is that revision always produces a better paper. Most authors agree that their papers are improved through the review process.1 

좋은 소식은 수정 및 재제출 결정이 첫 번째 제출이 이 장소에 적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는 것입니다. 범위를 벗어나거나 저널에서 이미 많은 보도를 받은 주제에 관한 기사는 첫 번째 검토에서 거부될 것이다. 따라서, 당신의 논문은 유망합니다. 당신의 목표는 당신의 수정된 원고에 첨부할 강력한 저자 응답서를 만드는 것이다.

The good news is that a revise and resubmit decision indicates that your first submission is potentially a good “fit” for this venue. Articles that are outside the scope or on topics that have already received heavy coverage by a journal will be rejected on first review. Thus, your paper has promise. Your goal is to craft a strong author response letter to accompany your revised manuscript.

"주요 개정" 결정을 내리는 일반적인 이유
Common Reasons for Getting A “Major Revision” Decision

원고가 주요 수정 결정을 받는 가장 일반적인 이유는 주제가 저널의 독자들에게 흥미롭고 관련성이 있지만, 편집자들은 기존 버전의 논문에서 품질이 배포하기에 충분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론은 정보 또는 분석 누락, 논문 정리 불량 또는 불분명한 글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검토자와 편집자의 의견은 논문이 "주요" 대 "소" 개정 결정을 받는 이유에 대한 안내문을 제공한다. JGME를 포함한 일부 저널의 경우 메이저 대 마이너는 코멘트 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저널의 출판 약속에 따라 결정된다. 이 경우, 요청된 모든 변경이 이루어진 경우, minor decision은 개정된 원고를 출판하겠다는 저널의 약속을 나타낸다.

The most common reason for a manuscript to receive a major revision decision is that, while the topic is of interest and relevant to readers of the journal, the editors are unable to determine, from the existing version of the paper, whether the quality is sufficient for dissemination. This conclusion can be due to missing information or analyses, poor paper organization, or unclear writing. The reviewers' and editors' comments provide guideposts as to why a paper receives a “major” versus “minor” revision decision. For some journals, including JGME, major versus minor is not determined by the number of comments, but by the journal's commitment to publish. In this situation, if all requested changes are made, a minor decision indicates a journal's commitment to publish the revised manuscript.

대응 계획 수립
Planning Your Response

코멘트를 다음으로 나눕니다. 

  • (1) 쉽고 빠른 수정사항(예: 잘못된 인용, 잘못된 방법 순서) 
  • (2) 더 많은 시간과 공동 작성자의 입력이 필요한 항목(예: 새로운 데이터 분석, 섹션 변경) 
  • (3) 이해하거나 해결할 수 있는지 확실하지 않은 요청입니다. 

대부분의 의견 또는 주요 "꼭 해야 할" 의견(아마도 요청한 추가 데이터를 더 이상 얻을 수 없을 것)에 응답할 수 없는 경우, 문서를 수정할 수 없습니다. 당신은 그 지역의 보급이나 추가 작업을 위한 다른 장소를 고려할 수 있다.

Start by dividing the comments into

  • (1) revisions that are easy, quick fixes (eg, incorrect citation, wrong order of methods);
  • (2) items that need more time and coauthors' input (eg, new data analyses, rewriting sections); and
  • (3) requests that you are not sure you understand or can address.

If you cannot respond to most of the comments or to key “must do” comments (perhaps the additional data requested can no longer be obtained), you will not be able to revise the paper. You may consider a different venue for dissemination or further work in the area.

그러나 대부분의 수정 요청이 가능해 보이면, 공저자를 모아 수정에 접근하는 방법을 결정해야 한다. 저널은 대개 개정 마감일이 확정되기 때문에 속도가 중요하다. 그러나 다시 제출하는 데 시간이 더 필요한 경우 마감일 전에 항상 저널에 이것이 가능한지 물어 보십시오. 많은 저널들은 일상적으로 1~2주 또는 심지어 더 긴 연장을 준다.
However, if most of the revision requests seem possible, you should gather your coauthors, virtually or in person, to decide how to approach the revision. Speed is important, as journals usually have firm deadlines for revisions. However, if you need more time to resubmit, always ask the journal if this is possible, before the due date. Many journals routinely give 1 to 2 weeks or even longer extensions.

주저자는 전체 수정본과 작성자 응답서를 작성하는 경우가 많지만, 작업량을 분산하기 위해 그룹 간에 주석과 섹션이 분할될 수도 있습니다. 계획 수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주저자는 모든 편집자 및 검토자 주석을 포함하는 주석 및 응답 표(표 1 참조)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공동 작성자에게는 완료 기한과 함께 특정 응답/수정 작업이 할당될 수 있습니다. 수정할 때 Track changes과 함께 변경 내용을 추적할 수 있습니다. 팀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일관성과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해 주요 작성자가 최종 제품을 주의 깊게 읽는 것이 중요합니다.

Often the lead author writes the entire revision and author response letter, but comments and sections may also be divided among the group, to distribute the workload. To facilitate planning, the lead author can create a comment and response table (see table 1), which includes every editor and reviewer comment. Coauthors may be assigned a specific response/revision task, along with a deadline for completion. When revising, changes can be tracked with track changes. If a team approach is used, it is essential that the lead author read the final product carefully, to ensure consistency and accuracy.

이익 가정
Assume Beneficence

일부 편집자와 검토자의 요청이 부적절하거나 심지어 가혹해 보일 수 있지만, 종종 더 깊이 읽으면 이러한 논평이 불분명한 글이나 저자의 형편없는 조직력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드러낼 것이다. 편집자와 검토자는 일반 독자보다 귀하의 논문을 더 주의 깊게 읽습니다. 따라서, 만약 그들이 당신의 작품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독자들도 혼란스러울 것이다. 이러한 언급이 업무 또는 자신에 대한 공격이라고 가정하지 마십시오. 이 반응은 설득력 있고 설득력 있는 답변서를 만들 것 같지 않다. 검토자 의견의 톤에 관계없이, 여러분의 이익을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명확하지 않은 의견이나 질의에 대해서는 저널에 설명을 요청하십시오. 이것은 검토자가 반대되는 답변을 요구할 때 특히 적절하다. 편집자들은 작가들에게 지침을 제공하기 위해 명확하지 않거나 오해의 소지가 있는 요청을 포착하려고 노력한다. 종이의 양을 고려할 때, 엇갈린 메시지가 발생한다. 이 경우 수정본을 제출하기 전에 설명을 요청하거나,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답변을 선택하여 작성자 답변서에서 근거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Although some editor and reviewer requests may appear inappropriate or even harsh, often a deeper read will reveal that these comments stem from unclear writing or poor organization on the authors' part. Editors and reviewers read your paper more carefully than the typical reader; thus, if they do not understand your work, it is likely that readers will also be confused. Do not assume that these comments are an attack on your work or yourself. This reaction is unlikely to produce a compelling and persuasive response letter. No matter the tone of reviewer comments, it is best to assume they are provided for your benefit. For comments or queries that are not clear, ask the journal for clarification. This is particularly apt if reviewers ask for opposite responses. Editors try to catch unclear or misleading requests in order to provide guidance to authors. Given the volume of papers, mixed messages do happen. When this occurs, you can ask for clarification before submitting your revision, or choose the response you believe is most suitable and explain your rationale in the author response letter.

심사숙고 끝에 검토자의 의견이 적절하지 않은 어조로 나타날 경우 작성자 답변서와 별도로 편집자에게 문의하십시오. 대부분의 편집자와 평론가들은 작가들을 돕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지만, 우리는 틀리기 쉽다. 그러나 편집자와 평론가의 의도가 긍정적이라는 비방어적 입장과 사고방식을 채택하는 것은 여러분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If, after careful consideration, a reviewer's comments appear inappropriate in tone, contact the editor, separately from your author response letter. Most editors and reviewers try hard to help authors, but we are fallible. However, adopting a non-defensive stance and mindset that the editors' and reviewers' intentions are positive will serve you well.2 

작성자 응답 편지 구성
Organizing the Author Response Letter

매년 편집자들은 수천 개의 논문과 심지어 더 많은 개정판들을 읽는다. 작성자 답변서를 가능한 한 명확하면서도 간략하게 작성하십시오. 주석, 주석에 대한 응답 및 원고 변경(표 2)과 구별하기 위해 표 접근법(표 1) 또는 다른 글꼴 또는 색상을 사용하여 원고의 주석, 주석에 대한 응답 및 변경 위치를 쉽게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문서철에서 작성자 응답 서신에 대한 작성자 지시사항에 템플리트를 제공하는 경우, 템플리트를 자세히 따르십시오.

Each year editors read thousands of papers and even more revisions. Make your author response letter crystal clear—as clear yet as brief as possible. Make the comments, response to comments, and location of changes in the manuscript easy to visualize by using a table approach (table 1) or different fonts or colors, to differentiate comments from responses and manuscript changes (table 2). If the journal provides a template in the author instructions for the author response letter, follow the template closely.

대부분의 편집자는 검토자가 작성자를 돕기 위해 각 주석 또는 질의에 번호를 매길 것을 요청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번호가 매겨지지 않았거나 한 단락에 여러 개의 주석이 포함된 검토자 및 편집자 주석과 함께 의사 결정 편지를 받게 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이러한 의견을 단일 항목으로 나누고 번호를 매긴 후 의사 결정 서신에 나타나는 순서대로 답변하는 것입니다. 번호가 매겨진 주석이나 긴 단락에 여러 개의 쿼리가 함께 있는 경우에도 각 쿼리에 명시적으로 응답합니다.
Most editors request that reviewers number each comment or query, to assist authors. Nonetheless, you will receive decision letters with reviewer—and even editor—comments that are not numbered, or that have several comments buried in a single paragraph. The best approach is to divide these comments into single topics, number them, and answer in the order in which they occur in your decision letter. Explicitly answer each query, even when several are located together in a numbered comment or long paragraph.

때때로 검토자들은 논문이 단어 수나 그래픽 한계를 넘도록 하는 추가 정보나 표를 요청한다. 단어를 다듬을 다른 영역이 없다면, 원고가 아닌 작성자 답변서에 요청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분개장에 따라 온라인 전용 부록에 추가 정보를 넣을 수 있습니다. 또는, 작성자는 응답서에 요청된 답변을 제공하고 편집자가 원할 경우 이 정보를 논문에 추가할 수 있다고 진술할 수 있다. "용지가 단어 수 제한을 초과할 것이기 때문에 응답할 수 없습니다"를 응답하지 않는 이유로 사용하지 마십시오. 까다로운 검토자 및 편집자 의견과 작성자를 위한 잠재적인 해결책은 표 3을 참조하십시오.

Sometimes reviewers request additional information or tables that will make the paper go over word count or graphics limits. If there are no other areas in which to trim words, it is best to provide the requested information in the author response letter rather than in the manuscript. Depending on the journal, additional information can be placed in online-only appendices. Alternatively, authors can provide the requested answers in the response letter and state that this information can be added to the paper, if the editors prefer. Do not use “we cannot respond as it will put the paper over the word count limit” as a reason for nonresponse. See table 3 for tricky reviewer and editor comments and potential solutions for authors.

 

간결함은 미덕이지만, 당신의 반응은 완벽해야 한다. 그러나 일부 논평은 응답을 요구하지 않을 수 있다(예: "저자들이 흥미로운 주제를 다루었다"). 어떤 작가들은 모든 논평에 "이 매우 가치 있고 통찰력 있는 논평에 감사한다"라고 대답한다. 우리의 의견으로는 칭찬은 불필요하고, 우리 쪽에서 더 많은 읽기를 요구하며, 특히 30번째 논평 이후 지나치게 비굴해 보인다. 간단한 답변("감사" 또는 "동의")만 있으면 충분합니다.
Brevity is a virtue, yet your responses must be complete. However, some comments may not require a response (eg, “the authors have tackled an interesting subject”). Some authors respond to every comment with “Thank you for this extremely valuable and insightful comment.” In our opinion, compliments are unnecessary, require more reading on our part, and seem overly obsequious, especially after the 30th comment. A simple response (“Thank you” or “Agree”) is sufficient.

거부 또는 다른 수정 요청 방지
Avoiding a Rejection or Another Revision Request

가장 어려운 편집자 작업 중 하나는 검토자 제안과 작성자 응답을 교차 확인하는 것입니다. 모든 의견과 질문이 다루어지고 있으며, 개정안이 논문의 품질을 충분히 개선하였는가? 작성자 응답이 불완전한 경우, "거부" 또는 다른 "주요 수정" 결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응답이 완료된 경우에도 새로운 정보가 저널에 대한 논문의 품질, 유용성 또는 적합성에 도전하기 때문에 이러한 결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One of the most difficult editor tasks is cross-checking reviewer suggestions with author responses. Are all comments and queries addressed and have the revisions sufficiently improved the quality of the paper? If the author responses appear incomplete, you are likely to receive a “reject” or another “major revision” decision. (Even when responses are complete, you may receive these decisions because the new information now challenges the quality, usefulness, or fit of your paper for the journal.)

Reject을 피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모든 의견에 완전히 답하고 이 카테고리의 논문을 쓰기 위한 특정 저널 형식을 따르는 것입니다. JGME는 결정서에 올바른 형식을 명시적으로 기술하는 자료를 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필요한 형식을 따르지 않은 두 번째 버전의 원고를 계속 받는다. 경고 작성자는 원고를 제출하기 전에, 그리고 수정본을 제출할 때 이러한 자료를 다시 읽습니다. 요구되는 형식을 따르지 않는 것은 최소한 사소한 개정 결정을 얻을 가능성이 있다. 우리는 많은 저널에 대해 작가 지시가 얼마나 길고 지나치게 복잡한지 이해한다. 저자를 돕기 위해 JGME는 각 원고 섹션의 내용과 순서를 더 자세히 설명하는 자료를 제공한다. 

Your best approach to avoiding a rejection is to answer all comments completely and follow the specific journal format for writing papers in this category. JGME continues to receive second versions of manuscripts that have not followed the required format, despite pointing the authors to resources that explicitly describe the correct format in the decision letter. Alert authors read these resources before submitting the original manuscript, and again when submitting their revision. Not following the required format is likely to garner at least a minor revision decision. We understand how long and overly complex author instructions are for many journals. To assist authors, JGME provides resources that further describe the content and order of each manuscript section.3 

수정본과 저자 답변서를 제출하기 전에, 우리는 당신의 직속 작업 그룹 밖의 누군가가 문법과 오타뿐만 아니라 명확성을 위해 그 논문과 편지를 읽을 것을 강력히 권고한다. 편집자는 당신의 수정본을 읽는 첫 번째 외부인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성공적인 전략을 보려면 상자 1을, 유용한 리소스를 보려면 상자 2를 참조하십시오.

Before submitting your revision and author response letter, we strongly recommend that someone outside your immediate working group read the paper and letter for clarity, as well as grammar and typos. An editor should not be the first outside person to read your revision. See box 1 for successful strategies and box 2 for helpful resources.

BOX 1 저자답변서 성공전략

  • 그룹으로 작업합니다.
  • 답변서를 시각적으로 매우 선명하게 만드십시오.
  • 모든 요청이나 질문에 답하되, 필요 이상의 단어를 사용하지 마십시오.
  • 예의 바르고, 외교적이고, 방어적이지 마세요: "우리는 모두 같은 편입니다"라는 철학을 사용하세요.
  • 다시 제출하기 전에 작성자 답변서와 논문을 검토할 동료 또는 멘토를 찾으십시오.
  • 편집자와 평론가는 (거의) 언제나 옳다

BOX 1 Strategies for Success for Author Response Letters

  • Work within a group.
  • Make your response letter visually very clear.
  • Answer every request or question, but use no more words than necessary.
  • Be polite, diplomatic, and not defensive: use the “we're all on the same side” philosophy.
  • Find peers or a mentor to review your author response letter—as well as your paper—before resubmission.
  • The editors and reviewers are (nearly) always right.

 

BOX 2 Resources

 

요약
In Summary

원고를 수정해 달라는 요청은 반쯤 찬 유리잔("거절되지 않음") 또는 반쯤 찬 유리잔("더 많은 작업")으로 보일 수 있지만, 이러한 추가 노력은 궁극적으로 당신에게 도움이 됩니다. 수정하고 다시 제출하는 결정은 저널이 당신의 작품에 투자하는 두 번째 기회이자 증거입니다. 편집자와 검토자의 코멘트에 주의를 기울이면 주제에 대한 이해, 연구 방법, 작문 실력이 향상된다. "의료"는 작은 세계라는 것을 명심하십시오. 만약 당신이 당신의 작품을 다른 저널에 다시 제출한다면, 당신의 논문은 같은 리뷰어들에 의해 검토될 것이다. 따라서 원고를 새 저널에 제출할 때에도 원본 리뷰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좋습니다.
A request to revise your manuscript can be seen as a glass half full (“not rejected”) or a glass half empty (“more work”), yet this additional effort is ultimately to your benefit. A revise and resubmit decision is a second chance and evidence of a journal's investment in your work. Paying attention to editor and reviewer comments will sharpen your understanding of the topic, research methods, and writing skills. Keep in mind that “med ed” is a small world: if you resubmit your work to another journal, your paper may be examined by the same reviewers. Thus, paying attention to the original reviews, even when submitting your manuscript to a new journal, is suggested.

동료들 사이에서 일을 나누고, 부정적인 시각보다는 긍정적인 시각으로 의견을 보고, 완전하면서도 간결하게 하고, 시각적으로 명확한 답변서를 만드는 것은 당신의 성공 가능성을 높일 것이다. 당신의 목표는 당신의 편집자가 "예"에 쉽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ividing the work among your colleagues, viewing comments in a positive rather than negative light, being complete yet concise, and crafting a visually clear response letter will improve your chance of success. Your goal is to make it easy for your editor to get to “yes.”

 

 


J Grad Med Educ. 2019 Apr;11(2):119-123. doi: 10.4300/JGME-D-19-00161.1.

Writing Author Response Letters That Get Editors to "Yes"

PMID: 31024639

PMCID: PMC6476088

DOI: 10.4300/JGME-D-19-00161.1

의학교육 출판에서 저자 순서: 실용적 가이드를 찾아서(Teach Learn Med, 2019)
Authorship Order in Medical Education Publications: In Search of Practical Guidance for the Community
Brian Mavisa, Steven J. Durningb, and Sebastian Uijtdehaagec

 

 

현상
Phenomenon

협업 연구 프로젝트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authorship의 순서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저자 순서는 연구팀 리더십, 연구 참여 수준, 협업 능력, 학술 생산성, 연공서열, 연구 분야의 전문성을 위한 대용물로 일상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중요한 주제이다. 따라서, 저자 순서는 고용, 급여, 자원 할당, 승진 및 재직권과 관련된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 종종 사용된다. 작가 순서가 어떻게 결정되는지는 항상 투명하거나 직관적인 것은 아니다. authorship은 누가 저자로 포함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결정과 그에 따라 저자가 나열되어야 하는 순서에 대한 결정이 필요하다. 여러 공동작업자가 참여한 연구의 경우, 이전 연구는 저자 순서를 정하는 방법에 대한 학문분야별 관행의 일관성이 거의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The rise in the number of collaborative research projects brings with it questions about the order of authorship.1 This is an important topic because author order routinely is used as a proxy for research team leadership, level of involvement in a study, collaboration skills, scholarly productivity, seniority, and expertise in a field of investigation. Thus, author order is often used when making important decisions related to hiring, salary, resource allocation, promotion, and tenure.1–9 How author order is decided is not always transparent or intuitive. Authorship requires decisions about who should be included as an author followed by decisions about the order in which authors should be listed. For studies with multiple collaborators, prior work has found that there is little consistency in practices across disciplines on how to order authors.3,10

우리의 연구는 일반적으로 누구를 저자로 포함시켜야 하는지, 작가의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과 관련된 후배들의 빈번한 저자 질문의 결과로 이루어졌다. 증거에 기초한 접근은 신중해 보였지만, 문헌을 검토한 결과, 자신의 학문적 전통에 따라 authorship에 대한 의견과 관행이 크게 엇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후 우리는 구체적인 지침의 부족과 이러한 명확성의 부족과 함께 나타나는 긴장과 우려를 모두 인정한 그 분야의 몇몇 선도적인 학자들과 이야기를 나누었다.
Our research came about as a result of frequent authorship questions from junior colleagues, typically related to who to include as an author and how to decide on the order of authors. Although taking an evidence-based approach seemed prudent, a review of the literature suggested that depending on one’s academic tradition, there were widely divergent opinions and practices on the subject of authorship. We subsequently spoke with several leading scholars in the field who acknowledged both the lack of specific guidance and tensions and concerns that emerged with this lack of clarity.

의학 교육계는 대체로 학자들과 교육자들의 "이민자들"의 공동체이다. 역사적으로, 의학 교육의 대부분의 학자들은 기초 과학, 사회 과학 또는 임상 분야에서 왔다. 우리는 이러한 풍부하고 다양한 배경을 의료 교육 공동체를 강화하는 것으로 본다. 하지만, 학술활동에 관한 한, 우리는 종종 저자와 저자의 순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등 우리 자신의 분야에서의 관행을 연구에 도입한다. 최근 30개 이상의 학술지를 발간할 수 있는 의학 교육 연구의 성장과 보건 전문 교육(HPE) 분야의 대학원 프로그램의 수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학 교육 연구자에 대한 저작자 지령에 관한 인정된 커뮤니티 표준이나 지침은 없다. 실제로, 저자 결정은 지역 제도 표준 및 우리 자신의 학문적 전통의 관행에 의해 형성될 수 있습니다. 이런 점에서 우리는 다른 학술 출판계와 다를 바 없다.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is largely an “immigrant” community of scholars and educators.11 Historically, most scholars in medical education have come from the basic sciences, social sciences, or clinical disciplines; we view these rich and diverse backgrounds as strengthening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However, when it comes to scholarship, we often bring our own disciplinary practices to our research, including how we think about authorship and author order. Despite the recent growth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with now more than 30 journals available for publishing our work and increasing numbers of graduate program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12 there are no accepted community standards or guidelines for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regarding authorship order. In practice, authorship decisions likely are shaped by local institutional standards and/or the practices of our own academic tradition. In this respect, we are no different from other scholarly publishing communities.3

우리는 저자 순서라는 주제에 대한 문헌 검색을 수행했고 연구자들을 위한 일반적인 지침을 찾았지만 의학 교육 연구라는 주제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찾지 못했다. 리에센베르크와 룬드베르크는 작가 질서에 대해 작가에게 주어지는 "상식" 기준의 전형이다. 

  • (a) 누가 작가인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 (b) 저자의 지위는 기여에 기초하며, 첫 번째 저자가 가장 많이 기여하고 나머지는 기여의 내림차순으로 나열된다. 
  • (c) 프로젝트 내내 필요에 따라 작성자 주문에 대해 조기에 합의에 도달하고 재고합니다.

We conducted a literature search on the topic of authorship order and found general guidance for researchers but nothing specifically on the topic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Riesenberg and Lundberg13 is typical of the “commonsense” criteria given to authors about the author order:

  • (a) decide who is and is not an author;
  • (b) authorship is based on contribution, with the first author contributing the most and the rest listed in descending order of contribution; and
  • (c) reach agreement early about authorship order and reconsider as needed throughout the project.

234개 생물의학 저널의 저자 가이드라인을 검토한 결과 41%가 저자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지 않았고, 29%가 국제 의학 저널 편집자 위원회가 제공한 기준에서 도출된 저자 기준을 지지했으며, 28%가 자체 기준을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기준은 일반적으로 누가 저자의 자격을 갖췄는지 다루지만 저자의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은 다루지 않는다. 다저자 논문의 경우, 작성자 순서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한 사람의 기여의 크기를 기준선에서 추론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다. 
A review of the authorship guidelines of 234 biomedical journals found that 41% did not provide any criteria for authorship, 29% endorsed authorship criteria derived from those provided by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Medical Journal Editors, and 28% provided their own criteria.10 However, these criteria generally address who qualifies as an author but not how to determine the order of authors.14 On multiauthored papers, it is common practice to infer the magnitude of a person’s contribution from their place in the byline, despite the lack of specific guidance on authorship order.3

광범위한 분야의 저자들은 저자 순서를 결정하기 위해 알고리즘이나 기여 등급 체계를 제안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프로젝트의 여러 측면에 대한 [개별 기여도를 정량화]하려고 시도하며, 이 기여도를 종합하여 전체 상대적 기여도를 결정한다. 이 방법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는 증거는 거의 없다. 한 알고리즘만 일상적으로 사용되었고 다른 알고리즘은 전문 기관의 승인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Authors from a wide range of disciplines have proposed algorithms or contribution rating schemes to determine author order.6,15–22 They generally attempt to quantify individual contributions to multiple aspects of a project, which are then aggregated to determine overall relative contribution. There is little evidence of any widespread use of these methods. Only one algorithm appears to have be used routinely8 and another has been endorsed by a professional organization.23

authorship은 연구 과정 초기에 최적으로 발생하는 2단계 결정 과정을 포함한다. 첫 번째이자 근본적인 결정은 연구팀에서 누가 저자의 자격을 갖는지에 관한 것이다. 다음으로, 연구팀은 저자들이 출판물에 등재되는 순서에 동의한다. 저자 자격 기준은 일반적으로 저널에 열거되며 일반적으로 국제 의학 저널 편집자 위원회의 권고에 기초한다. 이러한 기준은 연구자들의 연구 전통에 관계없이 일관되게 적용되어야 한다. 사실, Teaching and Learning in Medicine을 포함한 많은 저널들은 저자들이 이러한 기준을 충족한다는 것을 증명하도록 요구한다. 따라서 저자가 저자권 기준을 충족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은 의견의 문제라기보다는, 윤리적인 문제이며 조사자들의 연구 배경 때문에 달라져서는 안 된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 우리는 저자 결정에 대한 광범위한 경험을 가진 가장 고위 HPE 학자와 사상 지도자조차도 연구에 기여한 사람들에게 적절한 크레딧을 주면서(그러나 기술적으로 저자 기준을 충족하지 못함) 저자 기준을 적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Authorship involves a two-stage decision process that optimally occurs early on in a research process. The first and fundamental decision involves who in a research team qualifies for authorship. Next, the research team agrees on the order in which the authors are listed on a publication. Authorship criteria are typically enumerated in journals and commonly based on recommendations by International Committee of Medical Journal Editors; these criteria must be consistently applied regardless of the research tradition of the investigators. In fact many journals, including Teaching and Learning in Medicine, require authors attest that they meet these criteria. Therefore, attesting that authors meet authorship criteria is an ethical issue rather than a matter of opinion and should not vary because of the research backgrounds of the investigators. However, in a recent study,24 we found that even the most senior HPE scholars and thought leaders who had extensive experience with authorship decisions can struggle with applying authorship criteria while giving adequate credit to those who contributed to the research (but technically fail to meet author criteria).

저자 순서와 관련된 두 번째 결정 지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여기에 대해서는 현재 연구는 공식적인 지침이 거의 제공되지 않고 있다. 누가 저자의 자격을 갖는지에 대한 결정과 달리, [저자가 나열되는 순서]와 관련된 의학 교육 외의 선행 연구는 [저자의 순서]가 학문분야마다 다르며 전통의 적용을 받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의학교육논문이라는 맥락 안에서 저자순서 결정에 적용되는 원칙과 관행을 기술하는 데 있다. 우리는 또한 의견 수렴이 있는 영역과 어느 정도의 불확실성이 남아있는 영역을 염두에 두고 저자 질서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자들의 의견을 기술하고자 했다. HPE 연구자들 사이의 다양성을 고려할 때, 우리는 다양한 관행과 의견을 기대했고, 따라서 다양한 배경, 학위 및 국적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샘플을 포함했다.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the second decision point regarding the author order, for which little formal guidance is available. In contrast with the decision of who qualifies as author, prior work outside of medical education related to the order in which authors are listed has found that author order varies among disciplines and is subject to tradition.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describe the principles and practices applied to authorship order decisions within the context of medical education scholarship. We also sought to describe educators’ opinions about the significance of author order, with an eye to areas where there is a convergence of opinion and to areas where a degree of uncertainty remains. Given the diversity among HPE researchers, we expected a range of practices and opinions, and therefore involved a broad sample to include variety of backgrounds, degrees, and nationalities.

접근
Approach

설문지 개발
Questionnaire development

[저자 자격]과 [저자 순서]와 관련된 관행에 초점을 맞춘 설문지가 개발되었습니다. 문헌 검색을 통해 확인된 출판물은 특정 저자의 원칙이나 관행에 대한 언급을 위해 검토되었으며, 이는 설문지 항목의 줄기로 사용되었다. 연구논문을 소설이 아닌 영화처럼 취급하는 아이디어, 영화 끝부분의 크레딧과 같은 기고자 목록을 독자들이 볼 수 있도록 하는 아이디어 등이 대표적이다.14 또는 공동연구팀의 리더를 마지막 저자로 나열하는 것.25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at focused on practices related to qualifying for authorship and order of authorship. Publications identified by a literature search were reviewed for mention of specific authorship principles or practices, and these were used as the stem for questionnaire items. Examples include

  • the idea of treating a research paper like a film instead of a novel, with a list of contributors like the credits at the end of a movie so that readers can see who did what,14 or
  • listing the leader of a collaborative research team as the last author.25 

기타 질문은 저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됐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저자가 원고의 무결성과 내용에 대한 최종적인 책임을 지고, 연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구성된 프로젝트의 경우, 여러 출판물이 계획될 때 첫 번째 저자의 역할이 팀원들 사이에서 순환한다. 항목의 초기 브레인스토밍 후, 한 팀원은 질문 초안을 작성했고 다른 팀원은 명확성과 연구 목표와의 일치를 위해 독립적으로 검토했습니다.

Other questions were drafted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he authors. Examples include that the first author has final responsibility for the integrity and content of the manuscript and, for projects organized around a program of research, the role of the first author rotates among the team members when multiple publications are planned. After initial brainstorming of items, one team member drafted questions and the other team members independently reviewed them for clarity and for alignment with the research goals.

설문 질문은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를 반영하기 위해 그룹화되었습니다. 1절에서는 '저자가 3명 이상인 논문의 경우 기여도가 감소하는 순으로 저자를 나열하고, 첫 번째 저자가 기여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는 등 16개 항목이 저자의 순서 결정에 대한 현행 원칙과 관행을 설명했다. 응답자들은 다음 두 가지 등급을 제시하도록 요청받았다. 그들의 경험상, 얼마나 자주 항목이 저자 명령에 대한 결정에 적용되어왔는지, 그리고 그들의 관점에서, 얼마나 자주 항목이 저자 명령에 대한 결정에 적용되어야 하는지. 등급은 4점 척도를 기준으로 했다. 1(절대 안 함), 2(때때로), 3(자주), 4(항상)입니다. 분석에서, 우리는 빈도와 만족도 측면에서 관행을 더 잘 강조하기 위해 "자주, 그리고 항상"을 결합한 이진 변수에 정보를 기록했습니다.

The survey questions were grouped to reflect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e study. In the first section, 16 items described current principles and practices for determining order of authorship, such as “For papers with three or more authors, the authors are listed in order of decreasing contribution, with the first author representing the largest contribution.” Respondents were asked to provide two ratings: how often, in their experience, the item had been applied to decisions about authorship order and how often, in their view, the item should be applied to decisions about authorship order. Ratings were based on a 4-point scale: 1 (never), 2 (sometimes), 3 (often), and 4 (always). In our analyses, we recoded the information in a binary variable combining “often, and always” to better highlight the practices in terms of frequency and desirability.

두 번째 항목에서는 [저자 순서의 중요성]에 대한 의견제출자들의 의견을 탐구하였다. 기여도에 따른 순서, 알파벳순 목록, 마지막 저자 등재 의의 등 첫 번째 저자 이후 저자 순서를 결정하는 공통 전략에 초점을 맞춘 문항이 3개였다. 추가적인 질문들은 응답자들에게 저자 순으로 특정 입장을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질문했다(예: "최초의 두 저자가 대부분의 출판된 연구에서 연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응답자들은 1(강력히 동의하지 않음)에서 3(불확실함)에서 5(강력히 동의함)의 범위에서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의견을 표시했습니다.
The second set of items explored respondents’ opinions about the significance of author order. Three questions focused on common strategies for determining the ordering of authors after the first author, including order based on contribution, alphabetical listing, and the significance of being listed as last author. Additional questions asked respondents about the possible interpretation of specific positions in the order of authorship (e.g., “The first two authors account for the majority of the work in most published studies”). Respondents used a 5-point scale to indicate their opinions, ranging 1 (strongly disagree) to 3 (uncertain) to 5 (strongly agree).

세 번째 섹션은 응답자들의 개인 및 경력 특성에 초점을 맞춰 우리 표본에 대한 설명적인 프로필을 제공했다. 질문에는 성별, 의학교육에 대한 경험, 동료평가 출판물 수, 학력, 학위 및 전문 분야, 거주 국가 등이 포함되었다.
The third section focused on respondents’ personal and career characteristics to provide a descriptive profile of our sample. The questions included gender, years of experience in medical education, number of peer-reviewed publications, academic rank, degree and specialty/discipline, and country of residence.

설문지는 초기에 45명의 기성 의료교육학자의 표본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이들의 응답을 바탕으로 작성자 기준과 관련된 일련의 질문에 대한 응답 옵션을 변경하였다. 저자로 포함되기 위한 기준에 대한 질문에서 도출된 결과는 이 보고서에 포함되지 않았으며 다른 곳에서 발표되었습니다. 
The questionnaire initially was administered to a sample of 45 established medical education scholars, and based on their responses, changes were made to the response options for a set of questions related to authorship criteria. The findings derived from the questions about criteria for inclusion as an author were not included in this report and have been published elsewhere.24

응답자
Respondents

본 연구는 저작자순서에 대한 질문에서 얻은 결과를 보고한다. 다양한 의료 교육계로부터 광범위한 의견을 얻기 위해 DR-ED listserv가입자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원 표본을 만들었다. DR-ED는 의학 교육자들의 온라인 커뮤니티입니다. 이 가상 토론 그룹은 1996년에 시작되었고, 전 세계적으로 2,800명 이상의 구독자로 성장했다. 우리는 식별 가능한 미국 전자 메일 주소(n = 216)를 가진 응답자로부터 10% 무작위 표본을 추출했고 식별 가능한 미국 이외의 전자 메일 주소(n = 175)를 가진 모든 가입자를 포함시켜 총 391명의 가입자를 표본으로 삼았다.
This study reports the findings from the questions about authorship order. To achieve a broad range of opinions from the divers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a sample of members from the DR-ED listserv26 subscriber database was created. DR-ED is a virtual community of medical educators. This virtual discussion group was started in 1996; it has grown to more than 2,800 subscribers worldwide. We drew a 10% random sample from respondents with an identifiable U.S. e-mail address (n = 216) and included all subscribers with an identifiable non-U.S. e-mail address (n = 175), for a total sample of 391 subscribers.

설문 조사 실시
Survey implementation

설문지는 익명으로 Qualtrics에서 온라인으로 관리되었으며, Qualtrics는 이메일로 참여 초대를 보냅니다. 첫 번째 메일 발송 후 두 개의 후속 이메일 알림이 발송되었습니다. DR-ED 코호트는 2016년 1월부터 2016년 4월까지 조사되었다. 유효하지 않거나 배달할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된 모든 전자 메일 주소는 코호트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미시간 주립 대학교 기관 검토 위원회(IRB# x15-581e)에 의해 인간 주제 연구에 대해 면제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The questionnaire was anonymous and administered online with Qualtrics (https://www.qualtrics.com/), which sends invitations to participate via e-mail. Two follow-up e-mail reminders were sent after the initial mailing; the DR-ED cohort was surveyed from January 2016 to April 2016. Any e-mail addresses that were identified as invalid or undeliverable were excluded from the cohort. This project was determined exempt by the Michigan State University Institutional Review Board for human subjects research (IRB# x15-581e).

분석.
Analysis

데이터는 SPSS Version 23을 사용하여 분석되었습니다. 기술 통계량은 반응 패턴을 요약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범주형 변수에 대한 그룹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카이-제곱이 계산되었습니다.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3: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summarize the response patterns. Chi-square was calculated to test for group differences for categorical variables.

무응답 편향의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파동 분석을 사용하여 조사 분포의 첫 번째 물결부터 응답의 마지막 물결까지의 응답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파동 분석에서 후발 응답자는 비응답자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간주되며 비응답자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1차 및 3차 반응자를 비교하기 위해 범주형 변수에 대해 카이-제곱을 계산하고 연속형 변수를 비교하기 위해 t 검정을 사용했습니다.
To evaluate the potential for nonresponse bias, wave analysis27 was used to compar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from the first wave of survey distribution to the final wave of respondents. In wave analysis, late responders are considered most like nonresponders and are used to represent nonresponders. To compare first- and third-wave responders, chi-square was calculated for categorical variables and t tests were used to compare continuous variables.

소견
Findings

응답자
Respondents

391개의 이메일 주소의 초기 샘플에서 54개의 이메일 연락처가 배달 불가능으로 반환되어 337개의 유효한 이메일 주소가 생성되었습니다. 퀄트릭스 플랫폼에 따르면 141명의 응답자가 설문을 열었고 109명의 응답자가 설문을 완료해 전체 응답률 32.3%(109/337명)를 나타냈다. 이 조사 결과들의 오차범위는 ±9%이다.28
From the initial sample of 391 e-mail addresses, 54 e-mail contacts were returned as undeliverable, yielding 337 valid e-mail addresses. According to the Qualtrics platform, 141 respondents opened the survey and 109 respondents completed it, representing an overall response rate of 32.3% (109/337). The margin of error for these survey results is ±9%.28


응답자들은 평균 19년(SD = 11.1년) 의학교육 경험(Mdn = 16.5년)을 보고하였다. 그들은 지난 2년 동안 의료 교육에서 4.5개의 동료 평가 출판물(Mdn = 3, 모드 = 2)을 보고했다. 응답자 특성 요약은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연구 분야별로는 임상(38%, n=41), 사회과학(24%, n=26), 기초과학(10%, n=11), 인문(3%, n=3), '기타'(25%, n=27) 순이었다. 연구 분야가 교육인 일부 응답자들은 자신을 사회과학 분야로 분류한 반면, 다른 응답자들은 "기타"라고 말했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57%, n=62)이 미국 출신이어서 본 연구의 표본 추출과 일치한다. 1차 조사 응답자와 3차 조사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수년 간의 의료 교육 경험, 지난 2년 동안의 동료 검토 간행물 또는 표 1에 나열된 속성과 관련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p > 0.05).

The respondents reported an average of 19 years (SD = 11.1) of experience in medical education (Mdn = 16.5 years). They reported a mean of 4.5 peer-reviewed publications in medical education (Mdn = 3, mode =2) in the prior 2 years. A summary of the respondent characteristics is presented in Table 1. In terms of fields of study, the breakdown was clinical sciences (38%, n = 41), social sciences (24%, n = 26), basic sciences (10%, n = 11), humanities (3%, n = 3), and “other” (25%, n = 27), which included business and organizational leadership. Some respondents whose field of study was education classified themselves within social sciences, whereas others indicated “other.” Just over half of the respondents (57%, n = 62) were from the United States,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sampling for this study. A comparison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first-wave and third-wave survey respondent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p > .05) with regards to years of experience in medical education, peer-reviewed publications in the past 2 years or any of the attributes listed in Table 1.

저작권과 관련된 현재 관행 및 바람직한 관행
Current practices and desirable practices related to authorship

응답자의 현재 경험을 이상적이거나 바람직한 관행이라고 믿는 것과 비교한 결과, 항목의 세 가지 그룹이 나왔다.

  • 흔하고 바람직한 것으로 높은 지지율을 가진 항목(표 2: 파트 A),
  • 드물고 바람직하지 않은 관행을 시사하는 낮은 지지율을 가진 항목(표 2: 파트 B),
  • 현재 관행과 바람직한 관행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표 2: 파트 C).

Comparing respondents’ current experiences with what they believed to be ideal or desirable practice resulted in three groups of items:

  • those with a high rate of endorsement as both common and desirable (Table 2: Part A),
  • items with a low endorsement rate suggesting practices that were both infrequent and undesirable (Table 2: Part B), and
  • the items with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 ratings of current practice and desirable practice (Table 2: Part C).

흔하고 바람직한 것으로 인정된 네 가지 항목이 있었다(표 2: 파트 A).

  • 기여 감소 순서대로 작성자 나열(A1),
  • 학생 프로젝트(A2)에서 파생된 논문의 제1저자로 작성자로 학생을 등록합니다.
  • 제1저자가 원고의 무결성에 대한 최종 보증할 책임을 갖고(A3) 교신저자(A4) 역할을 수행합니다.

There were four items endorsed as both common and desirable (Table 2: Part A). Respondents support

  • listing authors in order of decreasing contribution (A1),
  • listing a student as first author for papers derived from a student project (A2), and
  • the responsibility of the first author for final assurance of the integrity of the manuscript (A3) and
  • serving as the corresponding author (A4).


공동 연구팀의 리더를 논문(A5)에 마지막 저자로 등재하는 것에 대한 응답자들의 지지도는 현재와 이상적인 관행 모두에서 50%에 가까웠다. 이는 실무에 대한 양면성이나 불확실성을 반영할 수 있으며, 실무는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Respondents’ endorsement of listing the leader of a collaborative research team as last author on a paper (A5) was close to 50% for both current and ideal practice. This could reflect ambivalence or uncertainty about the practice, or that the practice is context dependent.

표 2의 파트 B는 낮은 지지율을 가진 네 가지 항목을 나열하여 이러한 관행이 드물고 바람직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이 항목들은 다음의 것들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을 강화한다.

  • 알파벳 순서대로 저자 정하기(B2)
  • 프로젝트에 대한 기여(B3) 또는 협업 팀 간의 논의(B4)를 기반으로 하지 않는 저자 순서 결정
  • 마지막 저자가 원고의 무결성에 대한 최종적인 책임을 지는 것(B1)에 대한 지지가 낮은 것은 이것이 첫 번째 저자의 책임이라는 높은 지지율(A3)과 일치한다.

Part B of Table 2 lists four items with a low endorsement rate indicating that these practices were both infrequent and undesirable. These items reinforce the undesirability of

  • alphabetical listings of authors (B2), as well as
  • author ordering strategies not based on contribution to the project (B3) or discussions among the collaborating team (B4).
  • The low endorsement rate for the last author having final responsibility for the integrity of the manuscript (B1) is consistent with the high endorsement rate for this being the responsibility of the first author (A3).

7개 항목의 경우 현행 실무와 바람직한 실무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표 2: 파트 C). 처음 5개 항목은 [동일한 기여도를 가진 여러 공동저자]를 식별하기 위해 기준선에 각주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현재 실행이 이상적인 실행으로 생각되었던 것에 미치지 못한 전략을 나타낸다(C1). 다른 바람직하지만 덜 빈번한 관행은

  • 모든 기여자들이 저자 순서에 대해 사전에 동의하나, 협업 중에 이 결정을 재검토하는 것(C2).
  • 여러 출판물이 계획될 때 팀 구성원 사이에서 첫 번째 저자의 역할을 돌아가면서 맡는 것(C3).
  • 다중 사이트 연구의 저자 자격은 부록(C4)에 제공된 개별 기여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가진 연구 그룹에 귀속되는 것.
  • 작가와 마지막에 크레딧에 등재된 그들의 기여가 있는 영화처럼 연구 논문을 검토해야 한다는 베거의 새로운 제안(C5)은 대체로 불확실하게 여겨졌다.

For seven items, there was a significant gap between current practice and desirable practice (Table 2: Part C). The first five items represent strategies where current practice fell short of what was thought to be ideal practice, such as the use of a footnote in the byline to identify multiple coauthors with equal contributions (C1). Other desirable but less frequent practices were

  • all contributors agreeing about the order of authorship in advance and revisiting this decision during the collaboration (C2),
  • rotating the role of the first author rotates among the team members when multiple publications are planned (C3),
  • authorship for multisite studies is attributed to a study group with more information about individual contributions provided in an appendix (C4).

The novel suggestion (C5) by Wager14 that we should consider research papers like a film with authors and their contributions listed in the credits at the end was largely regarded with uncertainty.

나머지 두 항목의 경우, 현재 관행은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되는 것보다 더 빈번했다. (즉, 아래 행위를 덜 해야한다)

  • M.D./D.O. 또는 박사 학위를 가진 저자가 항상 다른 기여자보다 먼저 나열되는 것(C6)
  • 첫 번째 저자는 원고의 무결성과 내용에 대한 단독 책임이 있는 것(C7).

For the remaining two items, current practice was more frequent than thought desirable:

  • authors with M.D./D.O. or Ph.D. degrees should always be listed before other contributors in medical education scholarship (C6), and
  • the first author has the sole responsibility for the integrity and content of the manuscript (C7).

저자순서와 관련된 태도
Attitudes related to authorship order

설문에는 첫 번째 저자 이후 저자의 순서를 결정하기 위한 전략에 대한 세 가지 질문이 포함되었다. '의학교육장학에서 저자순서가 상대적 기여도에 따른 것일 때 [첫 번째 저자 다음으로 좋은 순위]는 …'라는 질문에 응답자들은 선호 순위로 마지막 저자(47%)와 두 번째 저자(46%)로 나뉘었다. 다른 선택지를 선택한 응답자는 거의 없었다: 알파벳을 순서로 저자를 나열하는 것(1%), 첫 번째 작성자 이후에는 상관없다(6%) 등.

The survey included three questions about strategies for determining the ordering of authors after the first author. When presented with the question, “In medical education scholarship when authorship order is based on relative contribution, after the first author the next best place in authorship order is …” respondents split between last author (47%) and second author (46%) as the preferred order. Few respondents selected the other options: alphabetized by last name (1%) and after first author, it does not matter (6%).

후속 질문인 "의학 교육 장학금에서, 첫 번째 저자에 이어, 저자의 질서에 대한 최선의 접근은 …"에 대한 것이다. 
많은 응답자들은 모든 저자를 기여도에 따른 내림차순으로 하되 시니어 저자를 마지막에 뒀고(43%), 알파벳 순서(2%), 또는 가장 고위 저자에 대한 내림차순(2%)에 따라 내림차순을 나열하는 것에 비해, 마지막에 나열된 상위 저자에 대한 내림차순(51%)을 선호했다. 비록 두 개의 상위 승인 전략이 기여도에 따른 내림차순의 사용을 지지하지만, [마지막 저자 지위]의 중요성은 다시 의학교육계를 분열시켰다. 

In response to the follow-up question, “In medical education scholarship, after the first author the best approach to author order is …” many respondents preferred the strategy of descending order based on contribution with the senior author listed last (51%), compared to listing all authors in descending order based on contribution (43%), alphabetical order (2%), or ascending order based on seniority with the most senior author listed last (2%).

이 현상을 더 탐구하기 위해 마지막 저자로 등재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한 세 번째 질문이 나왔다. "교육 장학금에서 마지막 저자로 등재되는 것은 중요하게 여겨집니다." 응답자들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옵션을 선택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그것이 모든 의학 교육자들에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다(58%). 응답자의 중요성에 대한 지지도는 상급 교육자(36%), 의료 교육에 참여하는 기초 과학자(18%), 의료 교육에 참여하는 임상의(8%)에 비해 감소했다.

Although the two top endorsed strategies support the use of descending order based on contribution, the importance of the last author position again split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To further explore this phenomenon, a third question asked about the importance of being listed as last author: “Being listed as last author in educational scholarship is considered important.” Respondents could choose multiple options: Most respondents thought it important for all medical educators (58%). Respondents’ endorsements of importance decreased in reference to senior educators (36%), basic scientists involved in medical education (18%), and clinicians involved in medical education (8%).

표 3은 작성자 순서의 중요성과 관련된 여러 진술을 보여줍니다. 응답 범주는 비교를 용이하게 하고 각 진술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의하거나 동의하지 않거나 불확실한 응답자 간의 차이를 강조하기 위해 결합되었다. 지지율이 높은 성명서, 지지율이 낮은 성명서, 공감대가 부족한 성명서 등 3개 섹션으로 나눠 표를 구성한다. 많은 의견제출자들은 저자(A1)의 알파벳 순서의 불공정성에 대한 진술에 동의하였다. 또한, 많은 항목들은 첫 번째 저자의 위치(A2, A3)의 중요성과 많은 교육자들이 후속 저자에 대한 귀속에 대해 가지고 있는 상대적 불확실성을 반영한다. 또한 하위 교수진이 제1저자 자격을 얻을 수 있는 더 낮은 기준을 갖는 것에 대한 일반적인 지지도 부족했다.

Table 3 presents multiple statements related to the significance of author order. The response categories were combined to facilitate comparisons and highlight the differences among respondents who generally agreed, disagreed, or were uncertain about each statement. The table is arranged in three sections: statements with high endorsement rates, statements with low endorsements rates, and statements where there was a lack of consensus. Many respondents agreed with statements about the unfairness of alphabetical listing of authors (A1). In addition, many of the items reflect the importance of the position of first author (A2, A3) and the relative uncertainty many educators have about attributions to subsequent authors. There also was general lack of support for having lower standards for junior faculty to qualify as first author (B3).

의견제출자들은 많은 저널의 실무관행을 지지하여 [저자들이 기여사항을 공시하도록 요구]하였으며, 이는 [승진 및 재직권 위원회(A4)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데 동의하였다. 그러나 의견제출자들은 [공시된 기여사항이 작성자(C8)의 순서에 어떻게 반영되는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공시가 작성자 질서를 목적적합하게 한다고 생각하지 않았다(B1)].
Respondents supported the practice of many journals to require authors to disclose their contributions, agreeing that it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promotion and tenure committees (A4). However, respondents did not believe that these disclosures make author order irrelevant (B1), as there is uncertainty about how disclosed contributions are reflected in the order of authors (C8).

[저자 순서의 의미]에 대한 진술의 절반은 응답자들 사이에 명확한 합의(표 3, 파트 C)가 없었으며, 이는 의학 교육에 대한 학문적 노력을 둘러싼 불확실성의 정도를 보여준다. 다시 말하지만, [첫 번째 저자의 중요성은 논란의 여지가 없어] 보이지만, 의견제출자들은 [후속 저자들(C1과 C2) 또는 교신저자로 지정된 사람(C3)의 기여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 지 명확하지 않았다]. 리더십 측면에서 [마지막 저자의 기여(C7)]와 [이 관행이 선물 저자(연구에서 거의 역할을 하지 않았지만 저자로 포함되는 것)을 장려하는 정도(C6)]를 둘러싼 많은 불확실성이 있었다. 이와 유사하게, 의견제출자들은 [바꿔야 할 실천] 중에서 [마지막 작성자가 최소기여를 나타내는지(C9)]에 대해 대체로 불확실해하였다..

For half of the statements about the meaning of author order, there was no clear consensus among respondents (Table 3, Part C), revealing the extent of uncertainty surrounding scholarly endeavors in medical education. Again, although the importance of first authorship seems noncontroversial, respondents were unclear how to interpret the contributions of subsequent authors (C1 and C2), or the person designated as corresponding author (C3). Many uncertainties surround the contributions of the last author in terms of leadership (C7) and the extent to which this practice encourages gift authorships (C6), that is, individuals added as authors and who had little or no role in the research.29 Similarly, respondents were largely uncertain about suggested changes in practice so that the last author represents the least contribution (C9).

나머지 두 항목은 [선배 저자가 경력 향상을 촉진하기 위해 후배 교수진에게 1차 저작권을 부여하는 관행(C5)][저자로 포함할 가치가 있는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저자를 포함하는 논문 발표 빈도(C4)]로 불확실성을 드러낸다.
The remaining two items reveal uncertainty with the practice of senior authors giving first authorship to junior faculty to facilitate their career advancement (C5), and the frequency with which papers are published that include authors who do not meet criteria to merit inclusion as an author (C4).

통찰력
Insights

[저자 순서]는 학문적 경력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에 일상적으로 고려되는 많은 학문적 측면 중 하나이다. 승진 및 재직권 결정을 둘러싼 프로세스는 그 자체가 복잡하고 기관마다 다릅니다. [저자 순서]를 고려하는 방법에 대한 의학 교육자의 명시적 지침이 부족하면 이 과정이 더욱 복잡해진다. 이 연구는 이 과정의 한 차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의학교육연구에서 저자 순서 결정에 대한 일반적인 접근법과 이러한 일반적인 관행의 바람직함에 대한 교육자의 의견을 설명한다. 우리의 부차적인 목표는 일반적인 합의 영역과 불확실성이 남아 있는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노력으로 저자 순서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자들의 의견을 설명하는 것이었다.

Author order is one of many dimensions of scholarship that is routinely factored into decisions that impact an academic career. Processes surrounding promotion and tenure decisions are themselves complex and vary among institutions. The lack of explicit guidance for medical educators about how to consider authorship order further complicates this process. This study focuses on one dimension of this process: to describe common approaches to author order decisions in medical education scholarship, as well as educators’ opinions about the desirability of these common practices. Our secondary goal was to describe educators’ opinions about the significance of authorship order in an effort to identify areas of general agreement and areas where uncertainty remains.

우리의 연구는 저자 결정에 대해 HPE 학자들 사이에 많은 혼란과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전 연구에서, 고위 HPE 연구진에게 [누가 저자의 자격을 갖췄는지]에 대한 경험에 대해 질문했습니다. 저작권에 관한 첫 번째이자 근본적인 결정점 우리는 모범적인 역할 모델로 간주하는 이 지도자 그룹조차도 [바람직하지 않은 authorship 관행]과 마주쳤을 뿐만 아니라, 때때로 authorship 기준을 적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는 사실을 알고 놀랐다. 누가 authorship 자격을 갖는지에 대한 결정이 간단하지 않다면, 적절한 순서에 author들을 배치하는 것은 훨씬 더 어려워지고 연구 분야들이 작가 질서에 맞지 않는 전통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로 인해 복잡해진다. 실제로, 현재 연구는 응답자들 사이에서 [많은 불확실성 영역]을 시사한다. 이 작업의 결과를 고려할 때, 우리는 우리의 데이터가 현재의 저자 관행이 처음에 인식된 것보다 더 복잡하고 미묘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시사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믿는다. 저자 결정에 대한 이해와 명확성을 높이고 조사자가 모범 사례를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특히 저자의 기여와 역할, 책임을 적절하고 공정하게 반영하는 순서로 저자를 배치하는 것은 해명이 필요한 분야로 보인다.

Our work suggests that a great deal of confusion and uncertainty exists among HPE scholars around authorship decisions. In a previous study,24 we asked a group of senior HPE researchers about their experiences with determining who qualifies for authorship—the first and fundamental decision point regarding authorship. We were surprised to learn that even this group of leaders, who we consider exemplary role models, had not only encountered undesirable authorship practices but also struggled at times with applying authorship criteria themselves. If the decision of who qualifies as author is not straightforward, then placing authors in the appropriate order becomes even more challenging and is compounded by the fact that research disciplines have incongruous traditions for author order. Indeed, the current study suggests many areas of uncertainty among the respondents. Given the results of this work, we believe that additional investigation is needed as our data suggest that current authorship practices are more complex and nuanced than initially appreciated. Enhancing understanding and clarity surrounding authorship decisions and assisting investigators with establishing best practices is needed. In particular, placing authors in an order that appropriately and fairly reflects their contributions, roles, and responsibilities appears to be an area in need of clarification.

응답자들은 기여도가 줄어드는 순서로 저자를 나열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하게 지지했다. 그들은 이 전략이 상대적인 기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알파벳 순서로 나열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중요한 논문들은 종종 첫 번째 저자의 이름으로 비공식적으로 언급된다. 많은 저널은 인용문에 포함된 저자의 수를 제한한다. 국립 의학 도서관은 [처음 여섯 명]의 저자를 나열하고 그 뒤에 "기타"를 붙일 것을 제안한다. 이 관행은 마지막 저자로 나열된 선임 연구자뿐만 아니라 알파벳 뒤쪽에 시작하는 성을 가진 공동 저자에게 불리하며, 특정 연구에 기여하고 일반적으로 학자로서 그들의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심지어 알파벳 목록을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학문에서도, 이 전략은 알파벳의 초기 이름을 가진 작가들의 학문적 성공을 유리하게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Respondents strongly endorsed the importance of listing authors in order of decreasing contribution. They found alphabetical author listings to be problematic because this strategy provides no information about relative contribution. Important papers are often informally referred to by the name of the first and sometimes second author. Many journals limit the number of authors included in a reference citation; the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suggests listing the first six authors followed by “et al.”30 This practice disadvantages senior investigators listed as last author, as well as coauthors with last names that fall later in the alphabet, potentially affecting their recognition as contributors to a specific study and as scholars in general.31 Even in disciplines that routinely use alphabetical listings, this strategy has been found to advantage the academic success of authors with names earlier in the alphabet.32

아마도 가장 흥미로운 발견은 두 번째 저자와 마지막 저자의 '차선의 지위'에 대한 의학교육계의 분명한 분열일 것이다. 기초과학 분야에서는 1등 작가와 최종 저자 모두 '1등'으로 평가받는 경우가 많다. 많은 분야의 전통은 선임 과학자, 연구소장 또는 부서장에게 [마지막 저자]의 지위를 수여하며, 이는 [명예 저자]의 수상을 장려해 왔다. 이러한 관행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은 느렸고, 많은 응답자들은 이러한 관행의 변화에 대해 불확실했다. 점점 더 [마지막 저자] 자리는 기여도가 가장 낮거나 선임 저자가 마지막으로 나열되고, 다른 저자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각주에 의해 역할이 지정된다. 
Perhaps the most interesting finding is the clear division within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about the significance of second author versus last author as the “next best position.” Within the basic sciences, both first and last author are often valued as “first prize.”33 The tradition in many fields awards the position of last author to the senior scientist, lab director or division director, which has encouraged the award of honorary authorships.34 Movement away from this practice has been slow, and a large proportion of respondents were uncertain about this change in practice. Increasingly the last author position is reserved for the person who has contributed least34 or the senior author is listed last and their role is specifically designated by a footnote providing they meet other authorship criteria.35

우리의 연구 결과는 기여 이상의 authorship 순서를 둘러싼 결정의 복잡성을 말해준다. [학술적 기여 이외의 요소들]이 종종 작가 질서가 결정되는 방법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결정들 중 일부는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우리의 응답자들은 저자 기여에 대한 기준 기반 기대를 지지했다. [authorship의 기대]는 주니어 교수진과 시니어 교수진에 대해 동일합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상급 교직원]이 [더 하급 교직원에게 그들의 경력을 발전시키기 위해 주도적인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때가 있다고 느꼈다.
Our findings speak to the complexity of decisions around authorship order beyond contribution. Factors other than scholarly contribution often play a role in how author order is determined, and some of these decisions are context dependent. Our respondents supported criterion-based expectations for author contributions4; the authorship expectations are the same for junior and senior faculty. However, many felt there were times when a senior faculty member could give lead authorship to a more junior faculty member to advance his or her career.

응답자들은 많은 저널이 [각 저자의 기여도를 명시적으로 공개하도록 요구하는 것]이 승진 결정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의과대학 진흥 및 테뉴어 위원회 의장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제1저자 등재 중요성]은 [전체 저자 수]에 달려 있으며, [마지막 저자]를 제외한 [나머지 저자의 credit]는 열거되는 이름 순서일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은 또한 [저자 기여 진술]의 사용을 지지했다. 우리 표본의 경우, 이러한 명시적 기여 공개는 저자 순서의 중요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많은 응답자들에게 [공개된 기여]가 어떻게 [실제 저자 순서]로 변환되는지는 불분명했다. 프로젝트 CRediT(기여자 역할 분류법)의 연구는 발표된 연구를 위해 기여자 역할의 분류법을 만드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접근 방식은 각 저자의 작업에 대한 보다 명시적인 정보를 제공하지만 실제 authorship practice에는 아직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he requirement of many journals to provide explicit disclosure of each author’s contribution was valued by respondents as providing important information for promotion decisions. A study9 of medical school promotion and tenure committee chairs found that the importance of being listed as first author depended on the total number of authors and that except for last authors, author credit decreased the later in the byline their name appeared. They also supported the use of author contribution statements. For our sample, these explicit contribution disclosures did not obviate the importance of author order; it was unclear to many respondents how the disclosed contributions translated to actual authorship order. Work by Project CRediT (contributor roles taxonomy) has focused on creating a taxonomy of contributor roles for published research.36 This approach provides more explicit information about the work of each author but has not yet had an impact on actual authorship practices.

우리의 연구는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응답률이 차선의 수준이라는 것입니다. 141명이 설문을 열었지만 109명만이 설문을 완성했다. 낮은 응답률은 자동으로 응답 편향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응답하지 않은 이유가 설문 조사 내용과 구체적으로 관련이 있는 경우 편향이 존재합니다. 첫 번째 응답자와 마지막 응답자 코호트의 파동 분석에서는 주요 인구통계 지표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우리의 응답자들은 많은 국가와 학문을 대표하지만, 응답자들이 의학 교육계를 대표하는 정도는 알 수 없다. 또 다른 한계는 응답자들이 기관 홍보 및 테뉴어 위원회의 기대를 알고 있었다는 가정이다. 응답자들은 [승진 위원회가 어떻게 저자순서을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을 받았지만, [승진 expectation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이나 [승진 심사 위원회에서의 최근 경험]에 대해서는 질문을 받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최근 출판물에 대한 질문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초저자, 선임저자, 또는 그에 상응하는 저자가 얼마나 자주 있었는지를 묻지 않았다. 또한 표본 크기를 고려할 때 부분군 분석을 수행할 수 없었고, 그러한 부분군을 탐색하는 것이 향후 연구의 주제가 될 수 있다.

Our study has a number of limitations. Most important, the response rate is suboptimal. Although 141 individuals opened the questionnaire, only 109 completed it. A low response rate does not automatically imply response bias; bias is present if the reason for nonresponse is specifically related to the survey content.27 A wave analysis of first and last respondent cohorts did not reveal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key demographic indicators. Our respondents represent many countries and academic disciplines, but the extent to which the respondents are representative of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is unknown. Another limitation is the assumption that respondents knew the expectations of their institutional promotion and tenure committees. Respondents were asked about how they thought promotion committees might use authorship order but were not asked about their specific knowledge of promotion expectations or recent experience with promotion review committees. Similarly, although they were asked about recent publications, they were not asked how often they had been a first author, senior author, or corresponding author. We were also unable to perform a subgroup analysis given our sample size, and exploring such subgroups could be the topic of future investigations.

의료교육공동체를 위한 모범사례 또는 예비지도를 파악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의학교육학술활동을 서포트하기 위한 best practice의 출발점이 될 수 있는 의료교육 외부의 최근 모델을 하나 찾았다. 연방 연구소를 위해 작성된 이 문서는 모든 협력자 간의 공통된 기대를 촉진하기 위한 서면 지침을 제공하는 잠재적 협력자 간의 배포를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 문서는 [저자 순서의 주요 요소]로서 [기여도]를 지지하며, 일부 분야에서는 [종종 마지막 저자로 나열된 "선배" 저자를 인정하는 전략]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이 문서는 [작성자 순서를 변경할 수 있는 이유]를 명확하게 제시하고, 공유된 최초 작성자, 선임 작성자, 그룹 작성자 등과 같은 공동 작성 문제를 논의하였다.
In an effort to identify best practices or even preliminary guidance for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we found one recent model outside of medical education that could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outlining best practices to support medical education scholarship.35 Created for a federal research laboratory, the document is intended for distribution among potential collaborators, providing written guidance to facilitate common expectations among all collaborators. The document endorses contribution as a primary factor in ordering authors and outlines a strategy for recognizing “senior” authors often listed as last author in some disciplines. The document makes plain possible reasons for changing author order and discussed coauthorship issues such as shared first authorship, senior authorship, and group authorship.

[35]

CSE-v39n1-04_Authorship_Guidance_print.pdf
0.76MB

 

우리의 연구 결과가 의견과 실천의 수렴을 보여주는 한, 우리는 우리 공동체를 위한 접근법을 공식화할 수 있는 출발점을 가지고 있다. [두 번째 저자와 마지막 저자의 중요성]은 여전히 분열의 영역으로 남아 있기에, 개인의 기관 및 학문적 학문의 지역적 기대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지만, [기여도를 감소시키는 순서대로 저자를 나열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한 합의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알파벳 순으로 저자를 나열하는 것]에 대해서는 미적지근하다. 지속적인 조사, 토론 및 토론에 적합한 수많은 난제와 불확실성의 영역이 남아 있습니다. Flotemersch와 Rhodus가 설명한 지침에서 알 수 있듯이, 첫 번째 단계는 이러한 합의 영역을 명시하는 것일 수 있으며, 지금까지는 우리 커뮤니티 내에서 대체로 비공식적이고 일관성이 없었다.

To the extent that our findings show convergences of opinion and practice, we have a starting point to formalize an approach for our community. There seems to be agreement about the importance of listing authors in order of decreasing contribution, although the importance of second author versus last author remains an area of division and is likely subject to local expectations of an individual’s institution and/or academic discipline. There also is a clear lack of enthusiasm for listing authors alphabetically. There remain numerous sticking points and areas of uncertainty that are well suited to continued investigation, discussion, and debate. As the guidance described by Flotemersch and Rhodus35 suggests, the first step might be to make these areas of consensus explicit, in what has largely been informal and inconsistent approaches to authorship within our community.

 


 

Teach Learn Med. 2019 Jun-Jul;31(3):288-297. doi: 10.1080/10401334.2018.1533836. Epub 2018 Dec 15.

Authorship Order in Medical Education Publications: In Search of Practical Guidance for the Community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a Office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 Michigan State University College of Human Medicine , East Lansing , Michigan , USA.

2b Medicine and Pathology ,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 Bethesda , Maryland , USA.

3c Department of Medicine ,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 Bethesda , Maryland , USA.

PMID: 30556420

DOI: 10.1080/10401334.2018.1533836

Abstract

Phenomenon: With scholarly collaborations come questions about the order of authorship. Authorship order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because it often used as an indicator of seniority, expertise, leadership, and scholarly productivity. As a result, authorship order factors into decisions about hiring, salary, resource allocation, and professional advancement. This study describes principles commonly applied to authorship order decisions within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and educators' opinions about the significance of authorship order. Approach: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ascertain current practices related to authorship decisions. Sixteen items were rated in terms of frequency of actual use and the desirability of the practice using a 4-point rating scale: 1 (never), 2 (sometimes), 3 (often), and 4 (always). Additional questions addressed the perceived significance of authorship order. The last set of questions provided information about respondents' personal and career characteristics. The survey was delivered via e-mail to a random sample of 391 subscribers from the DR-ED listserv. Findings: Fifty-four e-mail addresses were returned as undeliverable; of the remaining 337 mailed surveys, 109 responses (32.3%) were received. Five of the current practices for determining authorship order were rated as both frequent and desirable; 4 items had low ratings suggesting that these practices were both infrequent and undesirable. For 7 items, there was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 ratings of practice frequency and desirability. When asked about preferred authorship order strategies, most respondents (94%) endorsed listing authors by descending order based on contribution but were split in identifying the last author (47%) or second author (46%) as the next best placement after first author. Respondents supported the practice of many journals requiring authors to disclose their contributions, agreeing (69%) that it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promotion and tenure committees; however, 43% were uncertain about how disclosed contributions were reflected in authorship order. Insights: Respondents strongly endorsed the importance of listing authors in order of decreasing contribution, although the meaning of second versus last author lacks consensus. This finding, together the other strategies that received strong endorsement and those that were not strongly endorsed, provides a starting point to develop guidance for medical educators about how to determine authorship order. Clear guidance for authors would promote fairness and accountability within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as well as provide more consistent interpretation for those who consider authorship order for career- and resource-related decisions.

Keywords: Authorship; research ethics; research practice; survey research.

 

When I say… 여행 개념(Med Educ, 2020)
When I say… travelling concepts
Mario Veen1 | Iris van der Tuin2

의학교육 연구를 하는 것의 많은 부분은 [개념]에 관한 작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학 교육의 이 섹션에 있는 논문은 대개 그러한 개념 중 하나를 논의하는데 전념한다. 그러나 종종 의심받지 않는 '개념'이라는 단어 자체의 개념은 어떠한가? 이 질문은 학문분야와 그 학문분야를 긴장시키는 기본 가정에 따라 달라지는 질문입니다. 예를 들어, 인지 심리학에서 개념들은 종종 '구성'과 같이 육체가 없는 추상적인 개념으로 보여진다. 그들은 언어로부터 떨어져 살고, 어쩌면 생각으로부터도 떨어져 산다. 하지만, 이것은 우리가 개념을 바라보는 방식이 아닙니다. 우리는 그들을 각자의 역사와 인격을 가진 비판적인 친구로 보고 있으며, 또한 고려를 요구합니다. 추상적인 실체와는 거리가 먼, 그것들은 우리의 분석 도구이며, 우리의 연구 대상과 의미 있는 대화를 할 수 있는 틀을 형성한다. 여기서, 우리는 특히 여행 개념travelling concepts을 의미한다. 이는 Mieke Bal에 의해 인문학에 소개된 [학제간 분석]을 위한 도구이다. 그것은 또한 학제간(또는 적어도 다학제간) 분야인 의학 교육에도 유용하다.

A large part of doing medical education research consists of working with concepts. The papers in this section of Medical Education are usually devoted to discussing one such concept. However, what about the often unquestioned concept of ‘concept’ itself—a question that depends on the discipline and the underlying assumptions that tension it.1 For example, in cognitive psychology, concepts are often seen as disembodied, abstract ideas—as ‘constructs’. They live apart from language and perhaps even apart from thought. However, this is not how we look at concepts. We see them as critical friends, each with their own history and personality that also demand consideration. Far from abstract entities, they are our analytical tools, shaping the frameworks that allow us to engage in a meaningful dialogue with our objects of research. Here, we specifically mean travelling concepts—a tool for interdisciplinary analysis introduced to the humanities by Mieke Bal.2, 3 It is useful for medical education as well, which is also an interdisciplinary (or at least, multidisciplinary) field.1

[개념]은 모든 단어 중에서 우선이다. [단어]는 체계적인 사용과 개발을 통해 [개념]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epression'이라는 단어를 생각해보세요. 심리학에서 정신적인 '장애'를 의미할 수도 있고, 기상학에서 '저압계'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두 개념 모두 단어의 어원인 deprimere에 의존한다. '누르다'라는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이 개념은 [일상적인 언어]에서도 더 느슨한 의미로 사용된다. 사람들은 슬플 때 '나는 우울하다'고 말한다. 의학교육, 의학교육 연구, 그리고 실제로 이 시리즈의 많은 작업은 [개념]과 [일상적 단어]를 구별하는 것이다. 특히 서로 다른 학문적 배경을 가진 동료들과 이야기할 때, 우리는 개념을 사용할 때 항상 우리가 의미하는 바를 분명히 해야 합니다.

Concepts are first of all words. A word can become a concept via its systematic use and development. As an example, consider the word ‘depression’. While it can mean either a mental ‘disorder’ in psychology or a ‘low pressure system’ in meteorology, both uses of the concept draw upon the word's etymology—deprimere, ‘to press down’. But the concept is also used in everyday language in a looser sense—people say ‘I am depressed’ when they feel sad. Much of the work of medical education, medical education research, and indeed this series, is to distinguish concepts from mere words. Especially when speaking with colleagues from different disciplinary backgrounds, we should always clarify what we mean when we use concepts.

그러나, 의학 교육에서 잘 확립된 개념들조차도 그 시점에 도달하기 위해 확장된 궤적을 따라왔다. 여행 중에, 그들은 둘 다 여행 중에 '짐baggage'을 얻거나 잃어버린다.

  • 예를 들어, '반성reflection'라는 개념은 철학에서 심리학, 그리고 교육과학으로 이동했다.
  • 마찬가지로, '증거evidence'라는 개념은 수학에서 매우 구체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자연과학을 통해 의학에 의해 채택되었고, 마침내 의학교육 연구의 터전을 찾았다. 따라서, 무작위 대조 시험이 금본위제라는 생각과 같이 반드시 짐baggage이 따라오게 된다. 또한 의학 교육 연구에도 사용됩니다. 

이러한 개념은 '여행 이력travel histories'을 매핑할 때 빠르게 구체화됩니다. 여행 이력이란, 특정한 단어가 서로 다른 (학술) 문화, 공동체 및 맥락에서 체계적으로 작업에 놓이게 된 방법을 의미한다.

Yet, even concepts that are well established in medical education have followed an extended trajectory to reach that point. During their travels, they both acquire and shed ‘baggage’ along the way.

  • For instance, the concept of ‘reflection’ travelled from philosophy to psychology, thence to educational science.
  • Similarly, the concept of ‘evidence’ has a very specific meaning in mathematics, but was adopted by medicine via the natural sciences, finally finding a home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Hence, it necessarily brings with it baggage, such as the idea that the randomised controlled trial is the gold standard—also for medical education research.

Such concepts quickly become concrete when you map their ‘travel histories’—the ways in which they have been systematically put to work in different (academic) cultures, communities and contexts.

마지막으로, 개념에는 [경계]와 [어포던스] 또는 ['선호']가 있습니다. [선호]란 우리가 그 개념과 [함께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을 뜻한다. [개념]과 [단순한 단어]를 구분하고, 그 궤적을 지도화해야, 우리의 연구에서 어떻게 그것들을 다룰 수 있는지 탐구하기 시작할 수 있다. 증거의 개념을 다시 생각해보세요. 이 개념은 의학의 뿌리에 있는 [실증주의]와 [현상학과 구성주의]와 같은 인간과학의 접근 사이에서, 근본적인 논쟁의 교차점에 있다.

  • [실증주의]에서 증거란 생성되기보다는 발견되는 것으로 본다. 연구 과정에서 확립된 사실들은 특정 현상, 사물 또는 관계의 [논란의 여지가 없는 존재의 근거]로 간주된다.
  • 그러나 [개념]으로 작업함에 있어, 개념과 증거에 대한 또 다른 관점도 존재한다. 즉, [현상]들이 특정한 개념을 [유도]하는 만큼, [개념적 도구]들은 현상을 [확립]한다.

의학교육 연구에서 테마가 자료에서 '출현emerged'했다거나, 특정 개입의 효과에 대한 증거를 '발견found'했다고 말할 수 없는 이유다. [개념] 그 자체는 '밖에서' 발견되거나, 한 번에 모두에게 구성되는 안정적인 실체가 아니다. 변화하고 진화해야 합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특정한 개념은 우리가 교육, 우리의 연구 대상, 연구를 어떻게 보는지를 결정한다.

Finally, concepts have boundaries and affordances or ‘preferences’—what we can (and cannot) do with them. Only when we distinguish concepts from mere words and map their trajectories can we start to explore how we can work with them in our research. Consider again the concept of evidence. This concept is at the intersection of a fundamental debate between positivism, which is at the root of medical science, and approaches from the human sciences such as phenomenology and constructivism.

  • Positivism sees evidence as something that is found rather than generated. Facts established in the research process are seen as the basis for the undisputed existence of certain phenomena, objects or relations.
  • However, working with concepts involves a different view of concepts and evidence. Here, conceptual tools establish phenomena, as much as phenomena invite particular concepts.

This is why,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we cannot say that themes ‘emerged’ from the data or that evidence was ‘found’ for the effectiveness of a certain intervention. Concepts themselves are not stable entities that are found ‘out there’ or that are constructed once and for all—they can (and should) change and evolve. The particular concepts that we use determine how we view education, our research objects and research.

하지만, 우리가 사용하는 개념의 역사적 배경이나 학문분야적 토대를 되돌아볼 때, 의학 교육에 대해 정확히 밝혀진 것은 무엇인가? 게다가, 의학 교육에서 그들의 사용은 그러한 역사와 다른 학문으로부터 수집된 지식과 통찰력에 대해 무엇을 드러내는가? [반성]의 예로 돌아가면, 이 개념은 최근까지 주로 [메타인지 과정]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이것은 그저 마음 뿐만 아니라, [사람 전체whole person]를 포함하는 [구체화되고 상황화된 현상embodied, situated phenomenon]으로 점점 더 여겨지고 있다. [주어진 개념의 의미]는 [그 개념이 어떤 용법으로 사용되는지]를 통해 자기자신을 드러내며, 따라서 그것은 다수의 타당한 의미를 갖는다.

Yet, what exactly is revealed about medical education when we reflect upon the historical backgrounds or disciplinary groundings of the concepts that we use? Further, what does their use in medical education reveal about such histories and about knowledge and insights gleaned from other disciplines? Returning to the example of reflection, the concept has until recently been seen primarily as a metacognitive process. However, it is increasingly seen as an embodied, situated phenomenon that involves the whole person, not just the mind. The meaning of a given concept reveals itself in the use made of it, and hence, it has multiple valid meanings.

따라서 개념을 출발점으로 삼으면 학술적 논의와 엄격한 연구를 촉진할 수 있다. 개념을 출발점으로 삼는다는 것은, 우리가 차이점과 공통점을 논할 수 있다는 공통지점common ground를 갖는다는 것이다. [개념]은 '모든 사람에게 같은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 아니라 그렇지 않기 때문에' 생산적인 힘을 갖는다. 예를 들어, '증거'의 개념을 구성하는 층들의 조심스러운 포장은 교육의 본질만큼이나 근본적인 토론 질문들을 위해 개방된다. Biesta와 Van Braak은 '증거'의 개념을 의학 연구에 사용하는 것은 의학 모델에 적용되는 인과적 가정을 수반하지만, 교육의 본질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의학 교육 연구에 적용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Thus, concepts can facilitate academic discussion and rigorous research if we take them as a starting point—a common ground on the basis of which we can discuss our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3, 4 Concepts become productive forces ‘not because they mean the same thing for everyone, but because they don't’2(p.11) For example, a careful unpacking of the layers that make up the concept of ‘evidence’ opens for debate questions as fundamental as the very nature of teaching. Biesta and Van Braak show that the concept of ‘evidence’ as used in medical research, cannot be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research, because it carries with it causal assumptions that work in the medical model, but are inconsistent with the nature of education.5

따라서, [어떤 개념의 힘]은 [한 번 설정되면 바로 실천에 적용될 수 있도록 엄격하게 정의할 수 있는 정도]가 아니다. 오히려, 그러한 [엄격한 적용에 저항하여, 대화의 파트너가 되는 정도]라고 볼 수 있다. 이론보다는 개념에서 교육 연구에 대한 방법론적 근거를 찾는 것은 의학에서 환자 중심의 치료와 유사한 방식으로 의료 교육의 실천으로 우리의 초점을 돌릴 수 있게 할 것이다. 우리는 미리 정해둔 범주로 무장하여 [대상]에 접근하기보다는, [대상]의 경계와 어포던스를 존중하는 대화에 참여ㅎ야 한다. 이 대화에서 [대상object]은 '대답하는to speak back' 것이 허용되고, 그 과정에서 개념에 대한 접근방식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개념으로 작업하려면 연구 대상에 대한 [방법론적 접근 방식을 조정]해야 합니다. 듣는 것이 먼저이고, 그 다음에야 이론과 방법을 선택한다. 그래야 대상object가 자신의 용어로 자신을 드러낼 수 있다.

Hence, the power of a given concept is not to be found in the degree to which we can rigidly define it so that once set, it can be straightforwardly applied to practice. On the contrary, it is in the degree to which concepts resist such straightforward application that they become our conversation partners. Finding our methodological basis for educational research in concepts rather than theories would allow us to turn our focus to the practice of medical education in a similar way to patient-centred care in medicine. Rather than approaching the object of our research armed with predetermined categories, we engage instead in a dialogue in which we respect the object's boundaries and affordances. In this dialogue, the object is allowed ‘to speak back’2(p.45) and we can adjust the concepts with which we approach it accordingly. Therefore, working with concepts demands that we tailor our methodological approach to the object of research—to listen to it first, only then choosing theories and methods so that the object is allowed to reveal itself on its own terms.

 


Med Educ. 2021 Feb;55(2):146-147.

 doi: 10.1111/medu.14400. Epub 2020 Nov 6.

When I say… travelling concept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Department of General Practice, Erasmus Medical Center, Rotterdam, The Netherlands.

2Department of Philosophy and Religious Studies, Utrecht University, Utrecht, The Netherlands.

PMID: 33099785

DOI: 10.1111/medu.14400

성찰은 비누와 같은 것인가? 의학교육연구에서 성찰에 대한 비판적 엄브렐라 리뷰(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2)
Is reflection like soap? a critical narrative umbrella review of approaches to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Sven P. C. Schaepkens1 · M. Veen1 · A. de la Croix2

 

서론
Introduction

성찰의 개념은 유능한 전문가가 되기 위해 무엇이 중요한지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바탕으로 의학 교육에 들어갔다(Sandars, 2009). 많은 학부 및 전문 의료 교육 프로그램에는 의료 교육생들이 유능한 전문 인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돕는 성찰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학습에 대한 다양한 이론은 모델에 성찰을 통합하는데, 그 중 콜브의 경험적 학습이 두드러진 예이다(Caty et al., 2015; Coffield et al., 2004; Roessger, 2014). 의학교육에 대한 성찰 연구의 주된 목적은 실천과 실천자를 지원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론과 실제 사이에는 긴장감이 존재한다(van Enk & Regehr, 2018).
The concept of reflection entered medical education based on new insights about what matters for becoming a competent professional (Sandars, 2009). Many undergraduate and specialty medical education programs include reflection to help medical trainees develop into competent professionals. Additionally, various theories about learning integrate reflection in their models, of which Kolb’s experiential learning is a prominent example (Caty et al., 2015; Coffield et al., 2004; Roessger, 2014). The main purpose of research on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is to support practice and its practitioners. Nonetheless, there is tension between theory and practice (van Enk & Regehr, 2018).

전문성으로 가는 성찰적 길reflective path은 비누처럼 미끄럽다. 성찰은 이론적으로 통일된 개념이 결여된 복잡한 현상이다. 반사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다양한 방법론적 접근 방식을 보여준다(Fragkos, 2016; Mann et al., 2007). 일부는 이것이 "반성 자체의 복잡성, 합의의 결여, 그리고 교육자들의 반성과정에 대한 이해의 다양성" 때문이라고 제안한다(Uygur et al., 2019, 페이지 13). 현재 존재하는 다수의 정의와 반사 모델은 "반사의 다중 의미 발생"에 기여한다(Nguyen et al., 2014, 페이지 1184; Chapey et al., 2012; Koole et al., 2011; Marshall, 2019; Roessger, 2014).
The reflective path towards professionalism is slippery like soap. Reflection is a complex phenomenon that lacks a theoretically unified concept. Empirical research on reflection shows a wide variety of methodological approaches (Fragkos, 2016; Mann et al., 2007). Some suggest that this is “due to the complexity of reflection itself, lack of consensus, and variability in educators’ understanding of the reflective process” (Uygur et al., 2019, p. 13). The multitude of definitions and models of reflection that currently exist contribute “to the accrual of multiple meanings of reflection” (Nguyen et al., 2014, p. 1184; Chaffey et al., 2012; Koole et al., 2011; Marshall, 2019; Roessger, 2014).

근본적인 과학적 문제는 유추analogy로 포착할 수 있다.

  • 만약 어른들에게 비누를 정의하라고 한다면, 그들은 비누가 기름, 잿물, 물, 그리고 향기로 구성되어 있다고 대답할 것이다.
  • 만약 우리가 아이에게 같은 질문을 한다면, 그녀는 더러운 손을 닦는 것은 미끄러운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 세 번째 대답은 Francis Pongge의 Soap처럼 그것이 개구리와 물고기처럼 행동한다는 시적인 것일 수 있다. (Pongge, 2015)
  • 화학자는 C17H35COO- + Na + 또는 K +로 응답한다(Brenntag, 2021).

다음 중 비누의 본질을 포착한 것은 무엇인가? 화학자의 정의가 아이의 정의보다 더 근본적인가? 아니면 다 합칠까요? 간단히 말해서, 어떤 제형이 비누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통합시키는가?
The underlying scientific problem can be captured in an analogy.

  • If we ask adults to define soap, they might reply that soap consists of oil, lye, water and fragrance.
  • If we ask a child the same question, she could say that it is a slippery thing that cleans dirty hands.
  • A third reply might be poetic, like Francis Ponge’s Soap, that it behaves like a frog and a fish (Ponge, 2015).
  • A chemist replies with C17H35COO- plus Na + or K + (Brenntag, 2021).

Which of these descriptions captures the essence of soap? Is the chemist’s definition more fundamental than the child’s? Or should we combine them all? In short, what formulation unifies our understanding of soap?

의학 교육 연구는 종종 [정확한 예측과 '개념적 우아함'을 지닌 이론의 생성]이라는 [과학적 이상]을 위해 노력한다(van Enk & Regehr, 2018). 그러나 성찰이 복잡한 관행이고, 비누처럼 동작하는 경우, 광범위한 설명을 지원할 수 있다. 바로 그 본성으로 인해 [예측가능성과 개념적 우아함]이 동일시되는 [과학적 엄격함]의 이상에 저항할 수 있다. (하이데거, 2002) 의학교육에 성찰과 같은 개념이 중요할 때, 우리가 그것을 과학적으로 측정하거나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은 자동적으로 뒤따르지 않는다. (Veen & Cianciolo, 2020) 이것은 의학 교육에 대한 성찰에 대한 연구에 무엇을 의미합니까?
Medical education research often strives for the scientific ideal of producing theory that can predict accurately and has ‘conceptual elegance’ (van Enk & Regehr, 2018). However, if reflection is a complex practice and behaves like soap, it might support a wide range of descriptions. Its very nature might resist the ideal of scientific rigor that equates to predictability and conceptual elegance (Heidegger, 2002). When a concept like reflection is important for medical education, it does not automatically follow that we can scientifically measure or assess it (Veen & Cianciolo, 2020). What does this imply for research on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회의론자들]은 성찰을 연구하는 것은 겸손함을 필요로 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왜냐하면 그것은 인간으로서 매우 기본적이기 때문이다. 이 개념은 "너무 크고, 너무 일반적이고, 모호하며, 효과적인 실제 적용에 적합하지 않다"입니다(Cornford, 2002, 페이지 226). 한편, 회의론자들과는 달리, 우리는 개념을 운용하는 다른 방법이 연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한다면 성찰에 대한 의학 교육 연구가 합리적이라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서는 한 걸음 물러서서, 의학교육 연구가 어떻게 하면 개념적, 방법론적 무결성을 잃지 않고 성찰적 실천에 정의를 내릴 수 있는지 명확히 해야 한다.
A skeptic could argue that researching reflection requires modesty because it is so fundamental to being human. The concept is “just too big, that is, too general and vague, for effective, real world application” (Cornford, 2002, p. 226). Contrary to such skeptics, we argue that medical education research on reflection is sensible, provided we understand how different ways of operationalizing the concept affect the research. This requires us to take a step back, and clarify how medical education research can do justice to reflective practice without losing its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ntegrity.

본 연구에서는 성찰의 개념 자체에 대한 이질적인 이해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성찰에 대한 학술적 논쟁에 대한 철학적 분석을 수행한다. 우리는 미래의 개념 개발이 어떻게 형성될 수 있는지에 대한 제안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Grant & Booth, 2009). 따라서 우리는 '성찰을 개념화하고 조작화하기 위하여 가능한 과학적 접근법은 무엇이며, 이러한 접근법이 실제로 성찰에 대한 지식 생산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라는 질문을 다룬다.
In this study, we conduct a philosophical analysis of the scholarly debate on reflection, which is challenged by its heterogeneou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reflection itself. We aim to provide suggestions on how future conceptual development can take shape (Grant & Booth, 2009). Therefore, we address the questions, ‘what are the possible scientific approaches to conceptualizing and operationalizing reflection, and how do these influence knowledge production on reflection in practice?’.

방법들
Methods

연구설계
Study design

우리는 반사에 대한 연구에 대한 비판적인 서술적 우산 검토를 수행했다(Ng et al., 2015). 이는 리뷰의 검토였으며, 이전 작업을 '재고'하고 평가하기 위한 분석이 포함되었다(Grant & Booth, 2009). 우리는 많은 체계적인 검토가 이미 개념적 합의를 도출하지 않고 수행되었기 때문에 이 비체계적인 검토를 선택했다.

We conducted a critical narrative umbrella review of research on reflection (Ng et al., 2015). This was a review of reviews, and included an analysis to ‘take stock’ and evaluate the previous body of work (Grant & Booth, 2009). We opted for this non-systematic review since many systematic reviews have already been performed without resulting in conceptual consensus.

데이터 수집
Data collection

우리는 체계적 검토에서 영어로 된 서술적 검토에 이르기까지 가장 넓은 의미의 반사에 대한 연구 리뷰를 분석했다. SS는 2000년부터 2020년 7월 6일까지 데이터베이스, 웹메디드, 과학, 출판에 이어 2020년 7월 6일까지 검색 문자열('반사' 또는 '리플렉스'), '리플렉스' 및 '리플렉스' 및 '리플렉스' 및 '리플렉스'로 검색을 수행했다. 본 연구에 포함할 수 있는 검토는 의료 교육 및/또는 의료 보건 직업에 대한 (의 특정 측면) 반영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보고해야 하거나, 또는 그들의 규율 초점과 관계없이, 반사 개념에 대한 상당한 이론적 토론을 제공해야 한다(브라운 외, 2019). 반성에 대한 학제간 이론적 논의를 다룰 때 교원교육 분야 등 의학교육 이외의 분야의 리뷰를 포함했다. 우리는 비의학 교육 맥락에서 성찰에 대한 경험적 연구만을 다룬 연구를 제외했다. 이러한 내부 및 제외 기준은 우리가 분석한 47개의 기사를 낳았다(cf. references with *).
We analyzed reviews of research on reflection in the broadest sense, ranging from systematic to narrative reviews in English. SS conducted a search with the search string (‘REFLECTION’ OR ‘REFLEXIVE’) AND (‘REVIEW’), and (‘REFLECTION’ OR ‘REFLEXIVE’) AND (‘SYSTEMATIC REVIEW’ OR ‘LITERATURE REVIEW’ OR ‘NARRATIVE REVIEW’ OR ‘CRITICAL REVIEW’) from 2000 until 6 July 2020 in the following databases: EMBASE, PubMed, Scopus, and Web of Science. Reviews eligible for inclusion in this study either had to report empirical research on (certain aspects of)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and/or medical health professions, or alternatively, regardless of their disciplinary focus, provide a substantial theoretical discussion on the concept of reflection (Brown et al., 2019). We included reviews from fields other than medical education, such as the teacher education field, when they dealt with cross-disciplinary theoretical discussions on reflection. We excluded studies that solely dealt with empirical research on reflection in non-medical education contexts. These in- and exclusion criteria resulted in 47 articles that we analyzed (cf. references with *).

분석.
Analysis

종종 검토의 목적은 경험적 데이터를 수집하고 평가하거나 모델 또는 이론적 프레임워크의 현상에 대한 문헌을 합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 연구의 경우, 검토 자체에서 연구와 합성된 프레임워크에 대한 평가가 철학적 분석의 대상이었다. [철학]은 넓은 분야이지만, 우리는 그것을 "이론 구성의 더 넓은 과정을 분석하고 이해하고, 그것의 숨겨진 배경 전제에 의문을 제기하고, 인간의 관행에 영향을 미치는 (…) 가치를 밝히고 조사하는 데 특화된 학문 분야"로 이해한다(Ruitenberg, 2009, 페이지 325; Holma, 2009). 철학은 어떤 접근법이 적절한지 즉시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성찰에 대한 다른 이론적 방향을 식별하고 그들 사이에서의 "브로커 또는 협상가 역할"을 도울 수 있다. (Veen & Cianciolo, 2020, 페이지 5).

Often, the purpose of reviews is to pool and assess empirical data, or synthesize literature about a phenomenon in a model or theoretical framework. For our study, however, the assessment of research and synthesized frameworks in the reviews themselves were the object of philosophical analysis. Philosophy is a broad field, but we understand it as “an academic discipline specialized in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 wider processes of the constructing of theories, questioning their hidden background premises, and revealing and examining the values affecting (…) human practices” (Ruitenberg, 2009, p. 325; Holma, 2009). Philosophy can help identify different theoretical orientations on reflection, and “act as a broker or negotiator” between them, because it is not immediately obvious which approach is appropriate (Veen & Cianciolo, 2020, p. 5).

우리는 리뷰를 뒷받침하는 기초적인 철학적 연구와 그들의 성찰 연구에 대한 평가를 대조하여 성찰 연구에 대한 문헌 리뷰를 분석했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트렌드가 무엇인지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가 어떻게 성찰의 이론적 토대와 일치하여 성찰에 대한 과학적 지식을 생산하는지 분석한다. 이 연구에서 기초 문헌을 사용하는 것은 '주관론 렌즈'와 같은 기능을 한다(Varpio et al., 2020). 렌즈는 개념적 문제를 강조하기 위한 분석 병렬 배치에 중요한 분야의 주요 경향을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된다(Biesta, 2009; Davis, 2009).

We analyzed literature reviews on reflection research by contrasting the foundational philosophical work that underpins the reviews with their assessments of reflection research. In this study, we do not describe what the trends are, but analyze how research produces scientific knowledge on reflection in alignment with reflection’s theoretical underpinnings. Using the foundational literature in this study functions like a ‘subjectivist lens’ (Varpio et al., 2020). The lens helps us recognize the field’s main tendencies that are valuable for analytical juxtaposition to highlight conceptual problems (Biesta, 2009; Davis, 2009).

결과.
Results

우리는 이제 [성찰 연구에 대한 두 가지 뚜렷한 접근 방식]을 먼저 설명함으로써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그런 다음 각 접근 방식을 더 자세히 설명하고, 분석 렌즈를 기반으로 각 접근 방식이 서로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논의하고, 추가 권장 사항을 제공한다.
We now present the results of our analysis by first describing the two distinct approaches to reflection research. We then describe each approach in more detail, discuss how they relate to each other based on our analytical lens, and provide further recommendations.

두 가지 접근 방식
Two approaches

우리는 성찰의 '퍼지 개념'을 연구하는 두 가지 주요 접근법을 구분했다.

  • 첫 번째 접근법은 [개념적 모호성을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Nguyen et al., 2014). 이 접근 방식은 이론과 반사에 대한 경험적 연구 사이에 통합된 개념적 토대가 절실한 필요성을 보여준다(Koole et al., 2011; Kuiper & Pesut, 2004; Kurt, 2018; Marshall, 2019; Nguyen et al., 2014). 대조적으로,
  • 두 번째 접근법은 성찰의 모든 개념을 포함하는 모호성을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 대신 [성찰에 대한 이질적인 이해]를 성찰에 대한 연구가 갖춰야 할 [필수적인 특질vital quality]로 통합한다(Mantzoukas, 2008; Ng, 2012; Ng 등, 2015; Ng 등, 2015; Norrie 등, 2012; Platt, 2014; Ven 등, 2018).

We distinguished two main approaches to studying the ‘fuzzy concept’ of reflection.

  • The first approach aims to dissolve conceptual ambiguity (Nguyen et al., 2014). This approach portrays a pressing need for unified conceptual ground between theories and empirical studies on reflection (Koole et al., 2011; Kuiper & Pesut, 2004; Kurt, 2018; Marshall, 2019; Nguyen et al., 2014).
  • The second approach, in contrast, does not aim at dissolving ambiguity with an all-encompassing concept of reflection; instead, it incorporates the heterogeneous understanding of reflection as a vital quality in research on reflection (Mantzoukas, 2008; Ng, 2012; Ng et al., 2015; Norrie et al., 2012; Platt, 2014; van Beveren et al., 2018).

검토된 연구는 이 분야에서 영향력 있는 하버마스나 콜바와 같은 다양한 학자들을 언급하지만, 분명히 대다수는 듀이 및 쇤의 연구를 근간으로 언급하고 있다(얼랜슨 & 비치, 2008; 펜들러, 2003; 프래그코스, 2016; 쿨 외, 2011; 미라글리아, 2015; 리처드 외, 2018; 반, 2018). 듀이와 쇤의 연구는 성찰 연구에 대한 두 가지 접근방식을 뒷받침한다. 비록 쇤이 듀이에 비판적으로 반응하지만, 그들 사이에는 뚜렷한 공통점이 있다. 성찰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그들은 [이론과 실제 사이의 관계를 재고]하고, [실천을 무대의 중심]에 둔다(Erlandson & Beach, 2008; Farrell, 2012). 일부 연구는 듀이와 쇤이 얼마나 성공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반성에 대한 연구는 이 논의의 중추적인 지점을 나타낸다(Hébert, 2015; Newman, 1999). 따라서 철학적 분석에서 우리의 '움직임'은 듀이와 쇤의 사상을 우리의 분석 렌즈로 채택하는 것이었다. 그들의 연구에서 우리는 이론-실천 논쟁과 일치하는 기술자적 rationale역동성적 rationale의 특징을 도출했다. 우리는 이 두 가지 이유를 성찰에 대한 현대 과학 지식 생산에 적용했다. 
The reviewed studies mention various scholars such as Habermas or Kolb as influential in this field, but a clear majority refer to the work of Dewey and/or Schön as foundational (Erlandson & Beach, 2008; Fendler, 2003; Fragkos, 2016; Koole et al., 2011; Miraglia, 2015; Ng et al., 2015; Richard et al., 2019; van Beveren et al., 2018). Dewey’s and Schön’s work underpin both approaches to studying reflection. Although Schön responds critically to Dewey, there is a distinct commonality between them. With their study of reflection, they rethink the relation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nd grant practice center stage (Erlandson & Beach, 2008; Farrell, 2012). Some studies question how far Dewey and Schön succeed; nevertheless, their work on reflection marks a pivotal point in this discussion (Hébert, 2015; Newman, 1999). Our ‘move’ in the philosophical analysis was, therefore, to adopt Dewey’s and Schön’s ideas as our analytical lens. From their work, we drew the qualities of a technicist and a dynamic rationale, that tie in with the theory–practice debate. We applied these two rationales to the contemporary scientific knowledge production on reflection. 


우리가 [기술자]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쇤이 '기술적 합리성'이라고 설명한 것에서 비롯됩니다(킨셀라, 2007; 쇤, 1983). [기술자]는 [전문적 문제]가 명확히 구분된 다음, [이론과 기술을 엄격하게 적용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함을 나타낸다. '적용applying'은 규범적 위계질서를 의미하며, 여기서 "일반 원칙은 가장 높은 수준을 차지하고, 가장 낮은 수준을 해결하는 구체적인 문제"를 의미한다(Schön, 1983, 페이지 24; Garison et al., 2012). 이론과 실제는 대부분 서로 분리된 것으로 인식되는데, 여기서 [이론]은 [현실의 혼돈에 질서를 가져다주는 체계적인 도구]이다. (킨셀라, 2007) 듀이와 쇤은 모두 합리성실천 사이의 이 이원론에 도전한다(Garrison et al., 2012).

Our use of the term technicist stems from what Schön describes as ‘Technical Rationality’ (Kinsella, 2007; Schön, 1983). Technicist indicates that professional problems are clearly demarcated and then solved by rigorously applying (scientific) theory and techniques in practice. ‘Applying’ implies a normative hierarchy, wherein “general principles occupy the highest level and concrete problem solving the lowest” (Schön, 1983, p. 24; Garrison et al., 2012). Theory and practice are mostly perceived as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rein theory is the systematic instrument bringing order to reality’s chaos (Kinsella, 2007). Both Dewey and Schön challenge this dualism between rationality and practice (Garrison et al., 2012).

우리가 [역동적dynamic]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듀이와 쇤이 [경험과 실습]을 제공한다는 설명에서 비롯된다. [실천 속의 문제]들이 [칼로 나누듯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서, 그것들은 역동적이다. 실천은 혼란스럽고 혼란스러우며, 실천을 불확정상태로 만드는 규범적 긴장, 무질서 및 갈등으로 가득 차 있다(킨셀라, 2007; Ng et al., 2020; 쇤, 1983). 게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험에서 합리성이 나타난다" (Garrison et al., 2012, 페이지 42). 논리logic는 변하지 않고 맥락에 무관심한 반면, 사고는 항상 "어떤 맥락에 대한 참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고는) 계속해서 변화하는 과정이다. (Dewey, 1933, 페이지 72) 다음 섹션에서는 두 가지 접근 방식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Our use of the term dynamic originates with the description that Dewey and Schön give of experience and practice. They are dynamic, in the sense that problems in practice are not clear-cut but interconnected. Practice is messy, turbulent, filled with normative tensions, disorder, and conflict which make practice indeterminate (Kinsella, 2007; Ng et al., 2020; Schön, 1983). Furthermore, “rationality emerges over time in experience” (Garrison et al., 2012, p. 42). Whereas logic is unchanging and indifferent to context, “thinking is a process” that continuously changes because thinking always “has reference to some context” (Dewey, 1933, p. 72). In the next section, we will discuss the two approaches in detail.

성찰에 대한 기술자적 접근 방식
The technicist approach to reflection

의학교육 연구 분야에 걸친 학문은 성찰이 복잡한 현상임을 강조한다. 성찰은 교육생이 켜거나 끌 수 있는 스위치처럼 단일하고 1차원으로 보이지 않는다. 대신, 성찰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하는 연속체를 따라 움직인다(Koole et al., 2011; Marshall, 2019; Nguyen et al., 2014; Uygur et al., 2019). 이러한 해석은 [성찰적 실천]이 [명확한 순서가 없다는 것]을 인정하기 때문에, 성찰에 대한 [역동적 해석]과 잘 일치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자세히 살펴보면, [성찰이 복잡하다고 주장하는 연구]는 여전히 특정 기술자 연구 문제와 방법론적 해결책으로 이어지는 기술자적 전제를 지지하고 있다.
Scholarship across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emphasizes that reflection is a complex phenomenon. Reflection is not seen as monolithic and one-dimensional like a switch that trainees can turn on or off. Instead, reflection moves along a continuum that happens over time (Koole et al., 2011; Marshall, 2019; Nguyen et al., 2014; Uygur et al., 2019). Such interpretations align well with a dynamic interpretation of reflection because it acknowledges that reflective practice has no clear-cut order. Nonetheless, upon closer scrutiny, studies that claim reflection is complex can still uphold technicist presuppositions that lead to particular technicist research problems and methodological solutions.


많은 리뷰는 성찰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는 [광범위한 방법론이 문제가 있다]고 결론짓는다. 그들은 다수의 프레임워크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성찰의 효과를 정량화하고 측정하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강력한 증거를 수집하기 위한 교차 비교 연구 결과는 제한된 결과를 산출한다(Anderson et al., 2019; Bjerkik & Hilli, 2019; Buckley et al., 2009; Chen & Forbes, 2014; Choperena et al., 2019; Contreras et al., 2020; Mann et al., 2007; 2015; Roess Gurel, 2014; 2014; 2014; 2014). [성찰의 정의]에 대한 지속적인 이론적 불일치는 타당성과 증거 기반 관행에 해로운 것으로 인식된다(Marshall, 2019). (성찰의 정의에 대한) 합의의 부재는 "[반성]을 가장 잘 육성하는 방법에 대한 상당한 불확실성"을 영속화 시키거나, 성찰이 효과적인지 알 수 없게 한다(Roessger, 2014; Winkel et al., 2017). 따라서, "더 명확한 성과를 가진, 보다 명확한 성찰의 구조는 학생들의 진도progress를 추적하거나, 연구 성과를 측정하는 데 유용한 벤치마크를 개발할 수 있다." (Chaffey et al., 2012, 페이지 202).

Many reviews conclude that the wide range of methodologies used to study reflection is problematic. They claim that effects of reflection are difficult to quantify and measure because multiple frameworks are in use. Cross-comparing research outcomes to harvest strong evidence yields limited results (Anderson et al., 2019; Bjerkvik & Hilli, 2019; Buckley et al., 2009; Chen & Forbes, 2014; Choperena et al., 2019; Contreras et al., 2020; Mann et al., 2007; McGillivray et al, 2015; Roessger, 2014; Uygur et al., 2019; Winkel et al., 2017). Ongoing theoretical disagreement over the definition of reflection is perceived as detrimental to validity and evidence-based practice (Marshall, 2019). The lack of consensus is seen as perpetuating “considerable uncertainty about how to best foster [reflection]” (Koole et al., 2011, p. 7), or prevents us from knowing if reflection is effective (Roessger, 2014; Winkel et al., 2017). Therefore, “a more defined construct of reflection, with clear outcomes, could lead to the development of benchmarks useful in tracking student progress and as research outcome measures” (Chaffey et al., 2012, p. 202).

[방법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술자 지향의 연구는 모델과 정의에서 [성찰의 일반적인 특성을 합성synthesize]한다. 그들은 개념을 검증하는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성찰에 대한 포괄적이면서도 정확한 이해"를 목표로 한다(Marshall, 2019, 페이지 397; Koole et al., 2011; Kuiper & Pesut, 2004; Nguyen et al., 2014). 연구는 일반적인 용어로 성찰을 정의하여, 개념을 자급자족하고 조작화가 용이하도록 외적 요소에 결합시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성찰은 맥락에 관계없이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하고 이해할 수 있다." (응우옌 외, 2014, 페이지 1185) 다양한 리뷰는 개념적 양면성을 완화하기 위해 경계를 명확히 정의하는, 이러한 [체계화된, 비맥락화된 모델의 추구]를 환영한다(Uygur et al., 2019).
To address the methodological challenges, studies with a technicist orientation synthesize common traits of reflection in models and definitions. They aim for “a comprehensive yet precise understanding of reflection” to accrue consensus that validates the concept (Marshall, 2019, p. 397; Koole et al., 2011; Kuiper & Pesut, 2004; Nguyen et al., 2014). Research tends to define reflection in generic terms to make the concept self-contained and untied to extrinsic elements for easier operationalization. “Reflection thus remains universally applicable and understandable independent of context” (Nguyen et al., 2014, p. 1185). Various reviews welcome such pursuits of systematized, de-contextualized models that clearly demarcate boundaries to mitigate conceptual ambivalence (Uygur et al., 2019).

[기술자 지향]의 문헌고찰은 [개념의 명확성과 동질성]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 첫째, [실용적인 지침과 검증된 평가 및 피드백 도구]를 찾는 커리큘럼 리더를 대상으로 합니다. 이러한 도구는 교육생이 필요한 기술, 지식 및 태도를 습득하고, 보다 집중적이고 구조적이며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보여준다(Chaffey et al., 2012; Kool et al., 2011; Nguyen et al., 2014). 또한 표준화된 모델과 도구는 교육자가 반영 결과를 균일하고 공정하게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된다.
  • 둘째, 이 접근법은 훈련생들이 [숙달될 수 있는, 차원이 다른 특정 단계를 거치는 과정]으로서 [성찰에 대한 절차적 이해]를 얻는 데 도움이 된다.

Reviews with a technicist orientation stress the educational need for conceptual clarity and homogeneity. First, it caters to curriculum leaders who seek practical guidelines and validated assessment and feedback instruments. Such tools show whether trainees obtained the required skills, knowledge and attitudes and allow for more focused, structured and effective feedback (Chaffey et al., 2012; Koole et al., 2011; Nguyen et al., 2014). Moreover, standardized models and instruments help educators assess reflection outcomes uniformly and thus fairly. Second, this approach helps trainees gain a procedural understanding of reflection as a process that goes through certain phases with different dimensions that can be mastered.


앞서 언급한 [실천에 대한 이점]은 매우 큽니다. 그러나, 이 시점까지, 현장 자체는 효과를 정확하게 측정하거나 연구를 효과적으로 교차 비교하여 일반화할 수 있는 [증거를 생성하지 못한 체계적인 실패]를 인정한다. 기술적 관점에서, 해결책은 [과학적 표준화를 허용하는 개념적 동질성과 합의]에 있다. 따라서, 성찰의 문제는 복잡하지만, "좋은 이론만큼 실용적인 것이 없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성찰의 복잡성은 도구적으로 길들여질 수 있다. (응우옌 외, 2014, 페이지 1187) 좌절에도 불구하고, 성찰의 진실은 방법론적 엄격함, 정확한 모델 및 엄격한 정의에 기초한 사실을 참조하여 [궁극적으로 시험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된다. (Schön, 1983)
The aforementioned benefits to practice are significant. However, up to this point, the field itself acknowledges its systematic failure to accurately measure effects or validly cross-compare studies to produce generalizable evidence. From the technical perspective, the solution lies with conceptual homogeneity and consensus that allows scientific standardization. Thus, the problem of reflection is complex, but in time its complexity can be instrumentally tamed because “there is nothing as practical as good theory” (Nguyen et al., 2014, p. 1187). Despite setbacks, the truth of reflection is ultimately perceived as testable in reference to the facts based on methodological rigor, accurate models and strict definitions (Schön, 1983).

성찰에 대한 동적 접근
The dynamic approach to reflection

[기술자 중심의 연구]처럼, 성찰 연구에 [역동적 접근 방식을 채택하는 연구]도 성찰의 복잡성을 강조한다. 그러나 기술주의자들의 연구와는 달리, 그들은 이론적으로 [실천의 지저분한 본성에 중점]을 두고, 이것을 [개념적 합의와 보편적인 정의]보다 우선시한다. "실천은 불확실성, 불안정성, 고유성, 가치 충돌로 특징지어지며, (…) 여기서 실천의 중요한 질문이 논의된다." (킨셀라, 2009, 페이지 6; 만주카스, 2008; Ng et al., 2015) 따라서 성찰적 실천은 "[고정된 특질trait]으로서가 아니라, 개인의 경험과 지식의 원천에서 발생하는 [역동적 상태state]"이다(Ng et al., 2020, 페이지 6). 이러한 관점은 성찰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더 중요하게는 [개방적open]이라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다양한 사고 방식과 형태가 성찰로 간주될 수 있으며, 성찰을 가르친다는 것은 광범위한 교육적 가치와 목적의 다양성 덕분이다." (van Beveren et al., 2018, 페이지 7; Beauchamp, 2015) [반성적 실천에 대한 미묘한nuanced 관점]을 개발하는 것은 "'진짜' (…) 성찰을 촉진한다고 주장하는 단일한 솔루션"을 거부합니다(Platt, 2014, 페이지 50).

Like technicist oriented studies, those that adopt a dynamic approach to studying reflection also emphasize its complexity. Contrary to techniscist studies, however, they place theoretical emphasis on the messy nature of practice, and prioritize this over conceptual consensus and a universal definition. “Practice is characterized by uncertainty, instability, uniqueness, and value conflict, and (…) this is where the important questions of practice are negotiated” (Kinsella, 2009, p. 6; Mantzoukas, 2008; Ng et al., 2015). Reflective practice is thus “not as a fixed trait, but, rather, a dynamic state arising out of personal experience and sources of knowledge” (Ng et al., 2020, p. 6). This view supports the argument that reflection is not only complex, but more importantly, open. “Different practices and forms of thinking are considered reflective and the teaching of reflection is attributed to a broad diversity of educational values and purposes” (van Beveren et al., 2018, p. 7; Beauchamp, 2015). Developing a nuanced view on reflective practice rejects “a one-sized solution for facilitating ‘real’ (…) reflection” (Platt, 2014, p. 50).

성찰에 대한 다양한 견해는 현장에서 경험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노리 외 연구진(2012)은 리뷰에서 의료 전문가들 간의 성찰 이해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고 결론짓는다. "의료적 맥락에서 볼 때, 전문적 관행(…)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대조적으로, 다른 전문직[예: 간호학]에서는, 반사적 실천이 각 집단의 자율적인 전문적 정체성을 주장하는 방법으로 더 접근된다." (노리 외, 2012, 페이지 573). 의료 분야의 연구는 [평가와 기술 습득에 중점]을 두고, [성과 지향적인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접근 방식]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간호학은 [보다 가치 지향적이고 건설적인 접근법]을 채택한다. 이처럼 다양한 성찰 연구가 생산되는 것은 "전문직 내 역사와 전통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논쟁과 정책적 의무의 발전과도 관련이 있다" (Norrie et al., 2012, 페이지 574). 따라서 [역동적 접근법의 요점]은 [널리 채택된 성찰 이론을 하나의 중요한 객관적 개념으로 합성하는 것]이 아니라, [반성의 의미]는 자신의 전통과 역사를 가진 실천에서 비롯된, 전문적 가치에 단단히 자리잡고entrench] 있다. 성찰의 개념은 [보편적]이 아니라, [개방적이고 사회적으로 의존적contingent]이다(Beauchamp, 2015).

Divergent views on reflection are empirically identifiable across the field. In their review, Norrie et al. (2012) conclude that there are significant variations in understanding reflection between healthcare professions. “In the medical context, the focus is on improving professional practice (…). In contrast, in other professions [e.g. nursing], reflective practice is approached more as a way of asserting each group’s autonomous professional identity” (Norrie et al., 2012, p. 573). Research in the medical field tends to favor a realist and pragmatic approach that is outcome oriented, with an emphasis on assessment and skill acquisition. Nursing adopts a more constructivist approach that is value-oriented. This varied production of reflection literature “is related to the history and traditions within the professions as well as to evolving national debates and policy imperatives” (Norrie et al., 2012, p. 574). Thus, the point of dynamic approaches is not synthesizing widely adopted reflective theories into one overarching, objective concept; rather, the meaning of reflection is entrenched in professional values stemming from practice with its own traditions and history. The concept of reflection is not universal, but open and socially contingent (Beauchamp, 2015).

[역동적 접근법]은 [일반화가능한 증거의 재평가]를 제안한다. 예를 들어, 만주카스(Mantzoukas, 2008)는 성찰을 위한 증거 기반 관행의 황금 표준이 항상 RCT는 아니라고 주장한다. 반대로, 간호사들은 "성찰이 실천을 위한 유효한 증거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실질적이고 유용하며 효과적인 증거를 제공할 수 있는 더 나은 위치에 그들을 배치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Mantzoukas, 2008, 페이지 221). 롤프는 "필요한 것은 [큰 수의 과학]이 아니라 [유일성unique의 과학]이다. (…)  간호 과학은 [개인에 대한 이론]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개인 실무자들로부터도 나올 수 있다. (롤프, 2006, 페이지 40)
Dynamic approaches suggest a revaluation of generalizable evidence. For instance, Mantzoukas (Mantzoukas, 2008) argues that the gold standard in Evidence Based Practice for reflection is not always a Randomized Control Trial. On the contrary, nurses “come to realize that reflection can provide not only valid evidences for practice, but possibly [allows them to be] positioned in a better place to provide more practical, useful and effective evidences” (Mantzoukas, 2008, p. 221). Rolfe argues that “what is required is not a science of large numbers, but a science of the unique. (…) [N]ursing science requires theories about individual persons,” that can also come from individual practitioners (Rolfe, 2006, p. 40).

[역동적 성찰]이라는 관점을 채택하는 학문의 중심 메시지는 "이 분야는 [성찰이 무엇인지, 성찰이 어떤 철학적 맥락에서 도출되는지, 그리고 현재 의학교육의 사회정치적 맥락에서 그 목적이 무엇인지]에 대한 [개념화를 확장하고, 이해를 심화시켜야] 한다"는 것이다(Ng et al., 2015, 페이지 469). [정확한 모델]을 가지고 성찰의 [개방성을 축소]시키는 대신, 다양한 실천에 의해 주입되는 [개방성을 수용]해야 한다. 또한, 맥락특이적인 사회-정치적 차원을 다루는 것이 논쟁을 불러일으키며, "의학 교육의 복잡한 과제에 대한 다양한 사고 방식"을 촉발한다(Ng et al., 2015, 페이지 469).
The central message of scholarship that adopts a dynamic view of reflection is that “the field must broaden its conceptualization and deepen its understanding of what reflection is, from what philosophical contexts it derives, and what its purposes in the current socio-political context of medical education can be” (Ng et al., 2015, p. 469). Instead of diminishing reflection’s openness with precise models, scholarship should embrace openness that is infused by divergent practices. Furthermore, addressing context-specific socio-political dimensions incites debate, instigating “multiple ways of thinking about complex challenges in medical education” (Ng et al., 2015, p. 469).

논의
Discussion

역설
A paradox

지금까지, 우리는 기술자적 렌즈와 역동적 렌즈의 접근법을 통해 내러티브로 성찰에 대한 연구를 구성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성찰의 복잡성을 해결하는 두 가지 다른 방법을 구현한다. 성찰 연구에 대한 [기술자 접근법]은 예를 들어 교육 개발자, 교육생 및 실무자에게 일반화되고 검증된 지침을 제공함으로써 [실무에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장점은 [성찰의 개념에 대한 합의]에 기반하여, 이를 [견고한 경험적 검증]를 받게 한다. [역동적 관점]에서 이 합의는 여전히 (지나치게) 이상적이거나, 혹은 불가능한 것으로 남아있다. 두 위치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기술자와 동적 접근 방식을 병치한다.

Thus far, we have organized the research on reflection in a narrative, perceived through the lens of technicist and dynamic approaches. These approaches embody two different ways of tackling reflection’s complexity. A technicist approach to studying reflection has merit for practice, for instance by offering generalized and validated guidelines for education developers, trainees and practitioners. However, this merit is based on a consensus on the concept of reflection in order to subject it to solid empirical testing. From the dynamic perspective, this consensus still remains an ideal (Williams et al., 2019)–or rather, an impossibility. To further our understanding of both positions, we juxtapose the technicist and dynamic approaches.

우리는 특히 연구가 언제 어디서든 개념이 기능하기를 원할 때, 우리는 성찰의 연구자들이 실천과 이론 사이의 상호적인 긴장과 씨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기술자적 관점]에서, [성찰을 필수요소essence로 환원]시키는 [자기충족적self-contained 개념]은 어떤 맥락에서든 적용될 수 있다. [역동적 관점]에서, 그러한 환원주의적 정의는 '이중 구속'으로 끝날 수 있다(Ng et al., 2015). 즉, 자기충족적 개념은 필연적으로 무수한 대안을 배제하기 위해 [현상의 핵심 요소]를 일반화하지만, 그 과정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복잡성과 타협]하고 마는 것이다(Kinsella, 2009). "실제로 발생하는 많은 것들에 대해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생긴다(Sacks, 1985, 페이지 25). [현실]이 [추상화된 처방]과 완전히 일치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이다.
We can see researchers of reflection struggle with a reciprocal tension between practice and theory, especially when research wants concepts to function anywhere, at any time and any place. From a technicist perspective, self-contained concepts that reduce reflection to its essence can be applied in any context. From a dynamic perspective, such reductionist definitions can end up in a ‘double bind’ (Ng et al., 2015): a self-contained concept that necessarily generalizes key components of the phenomenon to exclude alternatives, but in the process compromises the complexity which it wishes to convey (Kinsella, 2009). The disadvantage is that “many things that actually occur are debarred from use” (Sacks, 1985, p. 25). Conversely, reality rarely fully corresponds with abstracted prescriptions (Nofke & Brennan, 2005).

일반적으로 복잡한 개념은 이론과 실제 사이의 긴장을 보인다. 연구가 성찰와 같은 연구 대상을 [자기충족적 개념으로 공허하게 외삽]할 때 긴장이 겉으로 드러난다. 비트겐슈타인의 저작을 차용하여, 개념은 그 위치에 있는 사용에서 실질과 중요성을 얻는다(Newman, 1999; 비트겐슈타인, 1958).

  • 예를 들어, 'soap'은 손을 씻는다는 맥락 속에서 구체적인 의미를 얻는다.
  • 시인 Ponge와 이야기 하자면, 비누는 자연에서 발견된 어떤 돌과도 같지 않다. 그것은 물과 결혼한 후에 거의 무진장 여러분에게 주어집니다. (Ponge, 2015)
  • 비누는 순수하게 화학적 맥락에서 친수성이며 소수성이며, '물을 좋아하는' 또는 '물을 두려워하는' 것일 수 있다.

Generally, complex concepts show tension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ensions become tangible when research extrapolates the research object, like reflection, in a void as a self-contained concept. Borrowing from Wittgenstein’s work, concepts gain substance and significance in their situated use (Newman, 1999; Wittgenstein, 1958).

  • For example, ‘soap’ gains concrete meaning within the context of washing your hands.
  • To speak with the poet Ponge, soap is like no other stone found in nature. It gifts itself to you almost inexhaustibly after you marry it with water (Ponge, 2015).
  • From a purely chemical context, soap is hydrophilic and hydrophobic; it can be ‘water-loving’ or ‘water-fearing’.

간단히 말해서, 어떤 현상도 중복되는 것을 보여주는 뚜렷한 관행에서 다르게 나타나지만, 그것들은 결코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성찰은 "같은 가족에 속한 사람들의 얼굴처럼 많은 다른 방식으로 다른 사람들과 닮았다"지만 그들 사이의 [필수적 본질vital essence을 정의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Pears, 1970, 페이지 108; Wittgenstein, 1958) 복잡한 개념의 의미는 "사건과 과정의 미세한 입자"에 있습니다(Davis, 2009, 페이지 372).
In short, any phenomenon appears differently in distinct practices that show some overlap, but they are never completely identical. Likewise, each instance of reflection “resemble[s] others in many different ways, like the faces of people belonging to the same family,” but defining the vital essence between them is nigh impossible (Pears, 1970, p. 108; Wittgenstein, 1958). Meaning of complex concepts is in “the fine grain of events and processes” (Davis, 2009, p. 372).

[성찰을 모든 것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포착]하고자 시도함과 동시에 [성찰의 복잡성과 풍부함을 보존하는 것]역설을 수반한 연구를 제공한다. 우리가 어떤 개념을 생각할 때마다, 우리는 [일상 속에서 사용하는 특정한 적용]으로부터 그 [개념의 의미를 추론하고 재구성]한다. 반대로, 모든 다양한 용도를 염두에 두는 것은 불가능하다. (Newman, 1999)

  • 가능한 한 모든 다양한 용도를 포괄해야 하는 개념은 너무 광범위해지고 그 과정에서 힘을 잃게 될 것이다(거의 모든 것을 반영이라고 할 수 있다).
  • 동시에, 그 개념은 너무 좁고 정확해질 수 있고, 반사적으로 보일 수도 있는 것들을 잘라낼 수 있다.

역설이 학자들이 성찰이 정의하기 어렵기로 악명높다고 주장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맥락이 없다면, 개념의 생명은 산소 없이 남겨둔 것과 같다." (Nauta, 1984, 페이지 364; Boud & Walker, 1998; Flyvbjerg, 2006) 이것은 의문을 제기한다: 성찰에 대한 연구에서 그 역설은 왜 그렇게도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가?
To preserve the complexity and richness of reflection while trying to capture it in an all-encompassing concept provides research with a paradox. Each time we think of concepts, we deduce and reconstitute their meaning from their specific application in everyday use. Conversely, it is impossible to bring all varied uses to mind (Newman, 1999). A concept that needs to encompass all varied uses as much as possible will become too broad and will lose its power in the process (nearly everything can be called reflection). Simultaneously, the concept can become too narrow and precise, and cut away things that can also be seen as reflection. This paradox explains why scholars claim that reflection is notoriously difficult to define. Nonetheless, “without a context, the life of a concept is left without oxygen” (Nauta, 1984, p. 364; Boud & Walker, 1998; Flyvbjerg, 2006). This raises the question: why can the paradox manifest itself so prevalently in research on reflection?

두꺼운 개념으로 반영
Reflection as a thick concept

우리는 [너무 좁거나 너무 넓게 개념을 공식화하는 역설]은 성찰를 [두꺼운 개념thick concept]으로 생각함으로써 풀 수 있다고 제안한다(Kirchin, 2013; Kroes & Meijers, 2016).

  • [얇은 개념]들은 평가적인 차원evaluative dimension을 가지고 있다. 가장 간단한 예는 'pro'와 'con'으로, 어떤 것을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가장 단순한 형태를 나타낸다.
  • [두꺼운 개념]들도 이러한 평가적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여기에 더해서 우리에게 어떤 현상에 대해 무언가를 말해준다. 예를 들어, 어떤 것은 그것이 <a, b, c >의 특징을 가지고 있을 때 성찰이고, < d, e >일 때 성찰이 아니다. "여기서 중요한 문제는 우리가 [현상]의 모든 사례를 포착할 것이라고 확신할 수 있느냐 하는 것입니다." (Kirchin, 2013, 페이지 9)

We suggest that the paradox of formulating concepts too narrowly and too broadly, can be unpacked by thinking of reflection as a thick concept (Kirchin, 2013; Kroes & Meijers, 2016).

  • On the one hand, thin concepts have an evaluative dimension. The barest examples are the words ‘pro’ and ‘con’, that indicate the simplest form of favoring or disfavoring something.
  • On the other hand, thick concepts also have this evaluative function, but in addition they tell us something about a phenomenon. For instance, something is reflection when it has features of < a, b, c > , and is not reflection when < d, and e > . “The key problem here is whether we can be certain that we will ever capture all of [the phenomenon’s] instances” (Kirchin, 2013, p. 9). 

개념이 두꺼울수록 더 국소적local으로 변한다.

  • 찬성-반대는 거의 보편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관행과 의미의 별개의 웹을 넘어 이동할 수 있습니다(Harcourt & Thomas, 2013, 페이지 24).
  • 그러나, [두꺼운 개념]본질적으로 [참여자들 사이에서 실행 중인 특정한 형태의 합의로부터 자라나는thrive 실천에 구속bound to]된다(Medina, 2004). 문제의 핵심은 [사회적으로 복잡한 현상들]이 [상호 연관된 수많은 요소]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끊임없이 해석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 의미는 "직접 관찰로 단순히 '읽어낼 수' 수 없다." (Davis, 2017, 페이지 293).

The thicker the concept the more local it becomes.

  • ‘Pro’ and ‘con’ can be used almost universally, and can be transported beyond a distinct web of practices and meanings (Harcourt & Thomas, 2013, p. 24).
  • Thicker concepts, however, are inherently bound to practice that thrives on some form of agreement in action among its participants (Medina, 2004). The crux of the matter is that socially complex phenomena are under constant interpretation because they involve countless interrelated elements; their meaning “cannot be simply ‘read off’ by direct observation” (Davis, 2017, p. 293).

우리는 의학교육에 대한 성찰이 [성찰 그 자체를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성찰의 목적이나 지점은 항상 있지만, 성찰적 실천은 (규범적인) 해석이 필요하기 때문에 결코 완전히 안정적이지 않다. 이 점은 전통에 달려 있으며, 사회 문화적 역사와 진행 중인 논쟁에서 발전한다(Norrie et al., 2012). 예를 들어, 실제 성찰의 경우 대체로 두 가지 반대되는 점이 있습니다.

  • 한 쪽에서, 성찰은 [새로운 상황과의 조정alignment]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 때 요점은 [진행 중인 사회화]이다. 이러한 유형의 성찰은 어느 정도까지 측정 및 평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습생 측의 '효과적이고 숙련된 성찰'은 [잠재적인 지식 격차를 성찰적 포트폴리오에서 식별]하여, 학습 목표로 다루어야 한다. [지식 격차를 성공적으로 식별한 것]은 성찰이 효과적이었음을 나타낸다.
  • 다른 한 쪽으로는, 성찰은 [현재의 관행에 대한 명시적 비판자가 되게 함]으로써 [제도적 규범으로부터 일탈deviation]을 유발한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 따라서 [비판적 성찰의 측정과 평가]는 무의미한데nonsensical, 평가가 비판적 성찰이 의문을 던져야 할 바로 그 제도적 이상을 보호하기 때문이다(Hodges, 2015; Ng et al., 2020; Procee, 2006).

We should not forget that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is not there for its own sake. There is always a purpose or point to reflection, but reflective practice is never fully stable because it needs (normative) interpretation. The point hinges on traditions and evolves from its socio-cultural history and ongoing debates (Norrie et al., 2012). For example, in the case of reflection in practice, there are broadly speaking two opposing points.

  • On the one hand, reflection could imply alignment with new situations, and the point is ongoing socialization. This type of reflection could be, up to some degree, measured and assessed. ‘Effective and skilled reflection’ on the part of the trainee entails that potential gaps of knowledge are identified, for example, in reflective portfolios and subsequently addressed as learning goals. Successful identification of knowledge gaps indicates that reflection was effective.
  • On the other hand, one could argue that reflection instigates deviation from institutional norms by becoming explicitly critical of current practice. Measuring and assessing critical reflection is nonsensical, because assessment safeguards the very institutional ideals that critical reflection is supposed to question (Hodges, 2015; Ng et al., 2020; Procee, 2006).

다른 논쟁점은 다음과 같다:

  • 성찰은 감정에 관한 것이어야 하는가, 또는 그것이 이성적이어야 한다면 감정과는 거리가 멀어야 하는가?(Birden & Usherwood, 2013; Nguyen et al., 2014; Wald, 2015),
  • 성찰은 혼자하는 활동인가 또는 대인관계 활동인가? (Kotzee, 2012),
  • 성찰이 유해한 반추로 이어질 수 있는가? (Lengelle et al., 2016).
  • 성찰을 측정할 수 있는가? (Aukees et al., 2007; de la Croix & Veen, 2018; Veen et al., 2020)

이러한 영역을 비롯하여 수많은 다른 논쟁적 영역들이 있어, 성찰적 실천은 언제나 부담을 지니고 있다at stake. 다양한 측면에서 일치하지 않기에, 성찰에 대한 보편적인 설명이 구체화되는 것은 어려워진다. [얇은 개념]보다 [두꺼운 개념]은 그 개념이 기능하는 사회적 상황을 설명하는데 더 많은 요구를 하는 반면, 어떤 개념이든 사용자에게 일을 해야 하는 이유를 제공한다(Harcourt & Thomas, 2013). 각 개념화 및 실제 반영 적용은 학계와 교육기관의 규범적 논쟁을 임시로 묘사한 것이다(Gu-Ze'ev et al., 2001; Norrie et al., 2012). 이것은 연구를 도전으로 남깁니다: 어떻게 우리가 성찰과 같은 논쟁적인 개념을 연구할 수 있을까요? 

Other points of contention are:

  • should reflection be about emotions, or if it should be rational, debar from emoting (Birden & Usherwood, 2013; Nguyen et al., 2014; Wald, 2015),
  • is reflection a solitary or interpersonal activity (Kotzee, 2012),
  • can reflection lead to harmful rumination (Lengelle et al., 2016), and
  • can we measure reflection (Aukes et al., 2007; de la Croix & Veen, 2018; Veen et al., 2020)?

With each of these and other contested areas, the point of reflective practice is always at stake. Various points are incongruent and prevent a universal description of reflection from materializing. Thicker concepts place more demands on explaining the social situation they function in than thin concepts, while any concept equips the user with reasons for doing things (Harcourt & Thomas, 2013). Each conceptualization and application of reflection in practice is a temporary depiction of the normative debate in academia and educational institutes (Gu-Ze'ev et al., 2001; Norrie et al., 2012). This leaves research with the challenge: how can we study a debated concept like reflection?

우리는 어떻게 성찰을 연구할 수 있을까?
How can we study reflection?

성찰의 경합 상태를 고려할 때, 우리는 그것을 어떻게 연구해야 하는가? 우리의 접근 방식의 핵심 한계는 철학적 토대를 가능한 일관되고 일관성 있게 해석하지만, [결정적인 해석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학 교육은 종종 학제 간 분야를 제공하지만, 현실은 대부분의 의학 교육 연구가 여전히 의학 연구의 관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Albert et al., 2020). 아마도 우리는 기술자적 접근과 역동적 접근 방식 사이의 유익한 대화를 통해 '다학제적 에지 효과'(Varpio & MacLeod, 2020)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Given the contested state of reflection, how should we study it? The key limitation of our approach is that we interpret the philosophical underpinnings as coherently and consistently as possible, but that no conclusive interpretation exists. Nonetheless, medical education often proffers to be an interdisciplinary field, but the reality is that most medical education research is still done from the perspective of medical research (Albert et al., 2020). Perhaps we can achieve a ‘multidisciplinary edge effect’ (Varpio & MacLeod, 2020) through fruitful dialogue between technicist and dynamic approaches.

[기술자 접근법]을 채택하는 연구자들은 [과학에 대한 그들의 관점]이 [의학 연구의 인식론적 문화]와 더 일치하며, 대부분 [방법론적으로 연역적]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Varpio & MacLeod, 2020). 이는 성찰을 [사전에 개념화하고 다양한 환경에서 테스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접근 방식의 가치는 설문지, 포트폴리오, 러브릭 또는 학습 결과의 (통계적) 분석과 같은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여 선택한 변수가 특정 관행에서 결과로 나타나는지 확인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이 접근법은 [초기 개념화에서 채택된 성찰의 특징]이 반드시 성과에 나타날 것임을 받아들인다. 즉, '미리 계획한 것을 발견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사전에 개념화되지 않은 특징은 결과에 나타나지 않는다(Sacks, 1985; Uygur et al., 2019). 그 연구는 대부분 규범적이다. 

  • 첫째, 연구는 규범적인 의미에서 [처방적]인데, 개념화는 실제로 일어나야 할 일을 규정하기 때문이다(van Enk & Regehr, 2018). 단순하게 말하면, 성찰을 순전히 '사건들의 이성적인 해부'로 개념화한다면, 감정적인 순간은 반성으로 표시되지 않는다.  
  • 둘째, 듀이와 일맥상통하듯, 연구는 방법론적인 의미에서 [처방적]이다. 왜냐하면 모든 탐구는 개념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concept-laden. 개념이 [관찰을 지시]하고, 무관한 정보와 관련성있는 정보를 가른다(Garrison et al., 2012). 만약 우리가 (두꺼운) 개념의 선택이 일시적이고 제한적이라는 것을 명심한다면, 이것은 문제가 될 필요가 없다. 개념은 우발적이며 지속적인 재구성의 대상이 된다. 이용 가능한 모든 이론을 종합하여 개념적 보편성을 주장하는 것은 우리가 보기에 이상주의적인 것으로 남을 것이다.

Researchers who adopt a technicist approach should be aware that their outlook on science is more in alignment with the epistemic culture from medical research, and mostly methodologically deductive in nature (Varpio & MacLeod, 2020). This means that reflection is usually conceptualized upfront and tested in diverse circumstances. The value of this approach is in checking if the chosen variables appear as outcomes in specific practices by using datasets like questionnaires, portfolios, rubrics or (statistical) analyses of learning outcomes. In general, this approach accepts that only features of reflection in practice that are adopted in the initial conceptualization will necessarily appear in the outcomes–‘you will find what you formulate upfront’. Those features that have not been conceptualized upfront will likewise not appear in the results (Sacks, 1985; Uygur et al., 2019). The research is mostly prescriptive.

  • First, research is prescriptive in a normative sense, because the conceptualization prescribes what should happen in practice (van Enk & Regehr, 2018). Simplified, if one were to conceptualize reflection as a purely ‘rational dissection of events,’ then emotional moments are not flagged as reflective.
  • Second, and in line with Dewey, research is prescriptive in a methodological sense because all inquiry is concept-laden. Concepts direct observation and demarcate relevant from irrelevant information (Garrison et al., 2012). This need not be a problem, if we keep in mind that the selection of a (thick) concept is temporary and limited. Concepts are contingent and subject to continuous reconstruction. Claiming conceptual universality by aggregating all available theories will remain, in our view, idealistic.



[기술적 접근방식]은 조작화를 촉진하기 위해 일반적인 표현으로 말하면 [자급자족 개념self-contained concept]을 목표로 한다. "예를 들어, 쇤의 모델과 달리, 쇤의 저작에 대한 긴 탐구 없이는 쉽게 파악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마셜의 성찰에 대한 개념은 다른 전문적 맥락에 걸쳐 이론들을 종합한 후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성찰은 표현과 재/평가의 지속적인 순환을 통해 새로운 통찰력을 창출하기 위한 세심한 검토와 아이디어의 집합입니다." (Marshall, 2019, 페이지 411) 이론적으로만 보자면, 이
개념은 '올바른' 개념이며, 연구가 첫 발을 내딛는 데 도움이 된다. 하지만 역동적 접근법 또는 비트겐슈타인의 관점에서 보면, 그것은 거의 의미가 없을 정도로 추상적인 것으로 남아 있다. '주의 깊은 검토', '아이디어의 결합', '진행 중인 표현 주기', '재/평가'는 어떤 모습입니까? 실무자들은 어떻게 그러한 업적을 성취할 것인가? 그들은 무엇을 하고, 말하고, 침묵을 지키고 있는가? 그 개념은 여전히 실천과 밀접하게 일치함으로써 살아날 필요가 있다.

Technical approaches aim for self-contained concepts in generic wording to facilitate operationalization, “unlike, for example, Schön’s model, which is not easy to grasp without lengthy exploration of his writing” (Nguyen et al., 2014, p. 1185; Koole et al., 2011). For example, Marshall’s concept of reflection, after synthesizing theories across different professional contexts, reads as follows: “Reflection is a careful examination and bringing together of ideas to create new insight through ongoing cycles of expression and re/evaluation” (Marshall, 2019, p. 411). This concept is theoretically ‘correct’ and helps research gain a first footing, but from a dynamic and Wittgensteinian perspective, it remains abstract, up to the point that it means very little. What do ‘careful examination,’ ‘bringing together ideas,’ ‘ongoing cycles of expression’ and ‘re/evaluation’ look like? How do practitioners go about accomplishing such feats? What do they do, say or remain silent on? The concept still needs to come alive by aligning it closely with practice.

[역동적 접근 방식]에서 [(단일) 사례 연구의 가치]를 본다(Flyvbjerg, 2006; Newman, 1999; Rolfe, 2002, 2006). 사례 연구는 추상적 개념에 산소를 제공한다. 역동적 관점에서 사례 연구는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의미를 가지도록 설계되지 않았습니다. 사례 연구는 연습 자체를 모방한 매우 많은 측면들로 충분히 풍부해야 하며, "서로 다른 독자마다 사례의 서로 다른 것들에 의해 끌리거나 반발할 수 있다. 독자들은 어떤 [하나의 이론적 경로]를 가리키거나, [마지막엔 진실이 놓여있을 것]이라는 인상을 받지 않는다." (Flyvbjerg, 2006, 페이지 238) 사례 연구는 "'성찰적 실천'이라는 단일 용어에 의해 암시되는 어떤 하나의 의미에 대한 확실성"을 거부한다(Newman, 1999, 페이지 160). 현재 연구 분야에서, 우리는 [기술자적 추상]에 더 많은 [역동성]을 제공하기 위해 현장에서 성찰적 실천을 연구하는 것은 여전히 잘 표현되지 않고underrepresent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찰 그룹 세션의 대화 분석(van Braak et al., 2018; Veen & de la Croix, 2016) 또는 현상학적 접근(Rietmeijer et al., 2021)을 통해 '실제로 성찰이 일어나는 순간'에 그것을 조사하는 연구는 추가적인 역동성을 제공할 수 있다.

From the dynamic approach, we take the value of (single) case studies (Flyvbjerg, 2006; Newman, 1999; Rolfe, 2002, 2006). Case studies give abstract concepts oxygen. From the dynamic perspective, case studies are not designed to mean the same thing to all people. The case study should be sufficiently rich with so many facets, mimicking practice itself, that “different readers may be attracted, or repelled, by different things in the case. Readers are not pointed down any one theoretical path or given the impression that truth might lie at the end” (Flyvbjerg, 2006, p. 238). The case studies reject “the certainty of any one meaning implied by the single term ‘reflective practice’” (Newman, 1999, p. 160). In the current research field, we see that researching reflective practice in situ to provide more dynamism to technicist abstractions is still underrepresented. Studies that examine reflection ‘as it occurs in practice,’ for instance with conversation analysis of reflection group sessions (van Braak et al., 2018; Veen & de la Croix, 2016), or phenomenological approaches (Rietmeijer et al., 2021) can provide additional dynamism.

결론
Conclusion

우리는 성찰을 개념화하고 조작화하기 위한 가능한 과학적 접근법은 무엇이며, 이것들이 실제로 성찰에 대한 지식 생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물었다. 성찰에 대한 의학 교육 문헌의 분석은 성찰의 개념적 비결정성에 대해 두 가지 주요 반응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기술자 접근법]과 [역동적 접근법]은 둘 다 성찰이 복잡하다는 것에 동의하지만, [기술자 접근법]은 성찰에 대한 개념적 합의를 추구함으로써 그것의 복잡성을 길들이려고 시도한다. 컨센서스는 연구를 표준화 및 교차 비교하고 성찰이 어떻게 효과적인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반대로 [역동적 접근법]은 성찰의 개념적 개방성을 수용하고 지역local 관행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관행은 역사적으로 우발적이며,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따라서 성찰은 이론적으로 가변적이다. 우리는 성찰을 두꺼운 개념으로 해석했고, 현재 연구는 [성찰을 어떻게 개념화하더라도 너무 광범위하거나 너무 협소해지는 패러독스]에 얽매여 있다고 주장했다. 우발적 실천은 어떤 이론의 도달 범위를 제한하며, 보편적 성찰의 공식formulation은 강한 한계를 갖는다.
  • 또한, 두 가지 접근법은 [상호 보완적]일 수 있다. 일반화된 기술자 이론은 (단일) 사례 연구 증거를 제공함으로써 살아날 수 있다.

We asked what the possible scientific approaches to conceptualizing and operationalizing reflection are, and how these influence knowledge production on reflection in practice. Our analysis of medical educational literature on reflection showed that there are two main responses to reflection’s conceptual indeterminacy.

  • The technicist and dynamic approaches both agree that reflection is complex, but technicists attempt to tame its complexity by seeking conceptual consensus on reflection. Consensus is beneficial to standardize and cross-compare research and understand how reflection is effective.
  • Conversely, the dynamic approach embraces reflection’s conceptual openness,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local practice. Practices are historically contingent and evolving, and thus reflection is theoretically variable. We interpreted reflection as a thick concept, and argued that research is bound to the paradox that any conceptualization is either too broad or too narrow. Contingent practice limits the reach of any theory, and universal formulations of reflection have strong limitations.
  • Furthermore, the two approaches can be complementary; generalized technicist theory can come alive by providing (single) case study evidence of practice.

마지막으로, 우리는 비누를 묘사하려고 했던 시인 친구 폰게에게 돌아왔습니다. 폰지는 비누를 묘사하려고 했지만, 너무 많은 말이 있어서 비누를 접시 위에 되돌려 놓았습니다. 폰지가 패배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우리는 이 문제에 대한 그의 시의 마지막 말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엄밀한 외관, 엄격한 타원형, 건조한 인내력, 그리고 다시 서브할 수 있는 힘을 가진 접시로 되돌려 놓을 필요가 있다." (Ponge, 2015) 비누를 이해하고 묘사하려는 노력처럼, 성찰을 개념화하는 것의 핵심은 그것의 사용과 목적에 있고, 이것이 어떤 묘사에든 영감을 줄 것이다. 비누에 대한 어린이의 정의가 화학자의 정의와 다르다는 것을 고려하는 것은 중요하다. 비누나 성찰에 대한 각각의 정의는 서로 다른 일을 할 것이다. 모든 사건을 결합하여 확정적이고 보편적인 정의를 찾는 것은 우리에게 이상주의적인 것으로 남을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과소평가해서는 안 되는) 실천으로 돌아간다면, 비누와 같이, 성찰은 다시 한번 도움이 될 것이다.

Finally, we come back to our poet friend, Ponge, who tried to describe soap, but there was so much to say that he returned it to its saucer. It appears as if Ponge is defeated. However, we feel that his poem’s last words on the matter are of key importance: “… it is necessary to return it to its saucer, to its strict appearance, its austere oval, its dry patience, and its power to serve again” (Ponge, 2015). Like an effort to understand and describe soap, the key to conceptualizing reflection lies in its use and purpose that inspires any description. Taking into account that a child’s definition of soap is different from that of a chemist is crucial. Each definition of soap or reflection will do different work. Combining all occurrences to find that definitive, universal definition will remain, for us, idealistic. However, reflection, like soap, will serve again if we return to its practice, which should not be underestimated.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2 May;27(2):537-551.

 doi: 10.1007/s10459-021-10082-7. Epub 2021 Nov 12.

Is reflection like soap? a critical narrative umbrella review of approaches to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Department of General Practice, Erasmus University Medical Center, Postbus 2040, 3000 CA, Rotterdam, The Netherlands. s.schaepkens@erasmusmc.nl.

2Department of General Practice, Erasmus University Medical Center, Postbus 2040, 3000 CA, Rotterdam, The Netherlands.

3Faculty of Medicine, Vrije Universiteit Amsterdam, Postbus 7057, 1007 MB, Amsterdam, The Netherlands.

PMID: 34767115

PMCID: PMC9117338

DOI: 10.1007/s10459-021-10082-7

Free PMC article

Abstract

Reflection is a complex concept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No consensus exists on what reflection exactly entails; thus far, cross-comparing empirical findings has not resulted in definite evidence on how to foster reflection. The concept is as slippery as soap. This leaves the research field with the question, 'how can research approach the conceptual indeterminacy of reflection to produce knowledge?'. The authors conducted a critical narrative umbrella review of research on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Forty-seven review studies on reflection research from 2000 onwards were reviewed. The authors used the foundational literature on reflection from Dewey and Schön as an analytical lens to identify and critically juxtapose common approaches in reflection research that tackle the conceptual complexity. Research on reflection must deal with the paradox that every conceptualization of reflection is either too sharp or too broad because it is entrenched in practice. The key to conceptualizing reflection lies in its use and purpose, which can be provided by in situ research of reflective practices.

Keywords: Critical narrative umbrella review; Philosophy; Reflection; Technicist and dynamic; Theory and practice.

HPE연구의 네러티브 분석의 잠재력: 다섯 개의 분석적 렌즈(Med Educ, 2021)
The potential of narrative analysis for HPE research: Highlighting five analytic lenses
Abigail Konopasky1,2 | Lara Varpio1 | Renée E. Stalmeijer3

 

1 소개
1 INTRODUCTION

현대 보건의료전문직교육(HPE) 연구자들은 [여러 가지 고약한wicked 문제]에 직면해 있다1. 몇 가지만 열거하더라도, 전문가간 협력, 의학 학습에서의 수치심 경험, 소수자 의사와 훈련생에게 인종차별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등등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고약하게 만드는 이유 중 일부는 그것들이 사회적 특성social nature을 가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도전들에 관련된 개개인의 특별한 경험, 믿음, 선택은 그들이 그들 자신의 주관적인 해석이 수반되기 때문에, [확정적인definitive 공식이나 설명을 거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회적 뿌리를 고려할 때, 질적 연구 방법은 HPE의 고약한 문제를 이해하고, 부분적으로는 맥락을 고려한context-bound 해결책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Contemporary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researchers are faced with a number of wicked problems1: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experiences of shame in medical learning and how racism affects minoritised physicians and trainees, to note a few.2-12 Part of what makes these problems wicked is their social nature; the particular experiences, beliefs and choices of individuals involved in these challenges mean that they defy definitive formulation or explanation since the multiple people involved all bring their own subjective interpretations. Given these social root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can be helpful in understanding HPE's wicked problems and constructing some partial, context-bound solutions.13 

이러한 문제를 다루는 질적 분석은 가치 있는 통찰력을 만들어냈지만, 다수는 [유사한 질적 방법과 방법론]에 의존해 왔다.

  • 전문가간 협력에 대한 연구는 일반적으로 관찰, 인터뷰 및 포커스 그룹 방법의 조합을 사용하여 전문가간 협업을 가능하게 하거나 방해하는 요소를 푸는 정성적 접근법을 사용해 왔다. 
  • 수치심 조사는 일대일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로 현상학을 활용했다. 
  • 의사와 훈련생에게 미치는 인종차별의 영향에 대한 탐구는 종종 비판적 이론의 관점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일대일 인터뷰를 이용했다. 

분석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이러한 고약한 문제에 대한 접근법은 [지속적인 비교 및 주제적 내용 분석]을 포함한다. 

Qualitative analyses addressing these problems have generated valuable insights, but many of them have relied on a similar set of qualitative methods and methodologies:

  • studies of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have generally used qualitative approaches using a combination of observation, interview and focus group methods to unpack what enables or hinders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41214-16 
  • Investigations of shame have harnessed phenomenology with data collected via one-on-one interviews.67 
  • Explorations of racism's effects on physicians and trainees have also used one-on-one interviews to collect data, often from a critical theory perspective.8-101718 

Analytically, approaches to these wicked problems have included constant comparative and thematic content analysis, among others.

추가적이고 보완적인 통찰력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분석 접근법의 또 다른 세트는, 사람들이 자신의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사용하는 [핵심적 도구]에 의존한다. 바로 네러티브(서사)이다. 브루너는 이야기는 개인이 '삶의 바로 그 사건들을 목적적으로 만드는' 원칙적인 수단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사람들이 그들의 경험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야기]가 [인간이 의미를 만드는 기본적 과정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고 믿었다.

Another set of analytic approaches that may help provide additional, complementary insights relies on a central tool many individuals use to make sense of their world: narrative.1920 Bruner argued that stories are a principle means by which individuals ‘purpose-build the very events of a life’1915; he believed the stories people have of their experiences offer insight into humans' basic meaning-making processes.

[내러티브 분석 방법(NA)]은 HPE 연구원들이 임상의 교육자와 HPE 학습자가 자신의 삶을 이해할 수 있는 내러티브 방법을 활용하고자 하기 때문에 귀중한 자산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자산을 활용하려면 다양한 [NA 렌즈]가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분석적 렌즈analytic lenses는 질적 연구를 하는 특별한 '스타일'이다. 이론과는 달리, 그것들은 우리가 보는 것을 규정하지 않지만, Blumer의 [민감 개념sensitising concept]처럼, '어떤 방향에서 볼지를 제안'함으로써 질문과 주장을 형성한다.22

Methods of narrative analysis (NA) can be valuable assets as HPE researchers seek to tap into the narrative ways of knowing19 by which clinician educators and HPE learners may understand their lives. To harness these assets, it may be helpful to review the possibilities different NA lenses can provide. Analytic lenses are particular ‘styles’ of doing qualitative research21; unlike theories, they do not prescribe what we see but, like Blumer's sensitising concepts, ‘suggest directions along which to look’, shaping the questions asked and the claims made.22

이 연구 접근 논문은 NA 방법이 연구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다섯 가지 분석 렌즈(전체론, 위치론, 언어론, 대리인, 순차론)를 강조한다. 우리는 사회과학 연구의 '서사적 전환narrative turn'을 검토함으로써 이 설명을 시작합니다. 그런 다음 HPE에서의 사용(과거 및 잠재력)과 한계에 대해 논의하는 다섯 가지 렌즈(홀리스틱, 위치, 언어, 대리 및 순차)를 각각 설명한다. 또한 렌즈에 액세스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특정 NA 방법을 이해하기 위한 두 가지 접근 방식을 논의한다. 우리는 우리의 렌즈와 경험을 되새기며 NA의 약속과 편파성을 탐구함으로써 결론을 내린다.
This Research Approaches article highlights five analytic lenses NA methods can offer researchers: holistic, situated, linguistic, agentive and sequential. We preface this description by reviewing the ‘narrative turn’ in social science research.23, 24 We then describe each of the five lenses—holistic, situated, linguistic, agentive and sequential—discussing their use (past and potential) in HPE and limitations. We also discuss two approaches to understanding specific NA methods that can be used to access the lenses. We conclude by exploring the both the promise and partiality of NA, reflecting on our own lenses and experiences.

 

2 배경: '서사적 전환'
2 BACKGROUND: THE ‘NARRATIVE TURN’


1980년대 중반 제롬 브루너와 다른 사람들이 내러티브 연구의 정당성을 확고히 확립한 사회과학 연구의 '사서적 전환'을 이루었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들은 실증주의에 도전했고 (패러다임이나 범주적 방식 대신) 내러티브 방식의 지식을 장려했다. 학자들은 [내러티브에 대한of 연구]뿐만 아니라, [실천과 사건을 내러티브로as 해석하는 연구를 포함하는 서사적 탐구narrative inquiry]를 통해 이러한 지식을 탐구했다. 이후 학자들은 여러 연구 패러다임, 학문 분야, 방법론에 걸쳐 서사적 탐구를 사용해오면서, 사고의 서사적 모드의 가치를 인정하고 이용해왔다. 연구참여자들이 자신의 경험담을 어떻게 구성하는지를 연구하거나, 연구자들의 스토리텔링으로부터 전개drawing를 통해 참가자들을 더 잘 이해하게 된 것이다.
The mid-1980s marked the ‘narrative turn’ in social science research, when Jerome Bruner and others firmly established the legitimacy of narrative inquiry.23, 24 In so doing, they challenged positivism and promoted narrative—versus paradigmatic or categorical—ways of knowing.19, 23, 25, 26 Scholars explored these ways of knowing through narrative inquiry, which encompasses any study of narrative (or collections of narratives) as well as studies interpreting practices and events as narratives.20, 26, 27 Scholars have used narrative inquiry across multiple research paradigms, academic disciplines and methodologies, but they all value and harness this narrative mode of thinking, either studying how participants construct the stories of their experiences or drawing on researchers' storytelling to better understand participants.28-31

학자들이 서사적 분석(NA)에 대한 접근 방식을 개발한 것은 바로 이러한 방향에서이며, 서사적 탐구를 해나갈 지향orientation을 의미한다. NA 방법은 광범위하고 유연하게 해석하고 적용할 수 있으므로, 우리가 도출하거나 가리키려고 하는 [NA 방법의 목록]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 아래는 NA 문헌과 우리의 경험을 바탕으로 NA가 HPE 연구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렌즈 5개를 제공합니다. 각 렌즈는 데이터와 연구 맥락의 일부 측면을 강조하는 동시에 다른 부분을 강조하므로 연구 설계자는 그 중에서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It is from within this orientation that scholars develop their approach to narrative analysis (NA), that is, orientations through which they carry out a narrative inquiry. NA methods are wide-ranging and can be flexibly interpreted and applied, so there is no single list of NA methods we draw from or point to. Instead, below, based on the NA literature and our own experiences,23, 25, 26, 32 we offer five lenses NA can offer HPE researchers. Each lens highlights some aspects of the data and research context while deemphasising others, so research designers must carefully select from among them.

3 과정: 5개의 렌즈 장착
3 PROCESS: FIVE LENSES ON NA

NA의 [전체론적 렌즈holistic lens] 는 이야기의 지위를 복잡하고 통합된 단위로서 보존한다. 이 렌즈는 데이터를 별도의 청크나 테마로 분류하기 보다는 [하나의 이야기, 하나의 사건, 심지어 하나의 이야기와 사건의 시리즈 내에서의 연결]에 초점을 맞춘다. 내러티브에 대한 이 조감도 렌즈는 연구자에게 [데이터를 하나의 (또는 소수의) 해석으로 합성]하도록 요청하며, 아마도 [전체적인 주제, 도덕 또는 스타일]을 생성할 것이다. 이것은 프라이스와 동료들이 그들의 직업 선택에 대한 밀레니얼 간호사들의 설명에 대해 연구한 것과 같이 이야기 간 비교를 가능하게 한다(표 1 참조). 전체론적 렌즈는 각 [참가자의 이야기를 복잡하고 일관되게 이해]할 수 있게 해주었고, 프라이스와 동료들이 말하는 '참가자 이야기의 전체성과의 연결'을 유지했습니다.34 이 렌즈는 참가자의 이야기를 일관성 있게coherent 설명할 수 있게 해준다. [하나의 사건이나 순간이 네레이터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조사할 뿐만 아니라, [이야기의 모든 사건과 순간들이 어떻게 의미를 창조하기 위해 함께 작용하는지]를 보여준다.

The holistic lens on NA preserves the status of a story as a complex and integrated unit.23 Rather than categorising data into separate chunks or themes, this lens focuses on connections within a story, an event or even a series of stories and events that build a systematic whole.33 This bird's eye lens on narrative asks the researcher to synthesise data into a single (or small number of) interpretation(s), perhaps generating an overall theme, moral or style. This allows comparison across stories, as Price and colleagues34 did in their study of millennial nurses' accounts of their career choice (see Table 1). The holistic lens provided an understanding of each participant's story that was both complex and coherent, maintaining what Price and colleagues call, ‘ongoing connection to the wholeness of the participants' stories’.34 This lens allows for a coherent account of participants' stories, examining not just how one event or moment may have affected the narrator but how all the events and moments of a story work together to create meaning.

NA의 전체론적 접근법을 사용하는 연구자들이 해결해야 할 근본적인 과제는 '전체' 단위, 즉 '전체' 이야기를 기술하는 것이다. 즉, 전체론적인 NA 렌즈를 사용하는 학자들은 [분석해야 할 '전체'가 어느 정도인지 결정]해야 한다. 이 결정은 [길고 다부진 인생 이야기]부터, [단 몇 구절의 '작은 이야기']까지 매우 다양할 수 있다. 그리고, 미슬러의 주장처럼, 무엇이 이야기이고 무엇이 이야기가 아닌지를 묘사하는 선line과, 그 이야기를 어떻게 표현하는지는 해석 과정의 일부이다. 게다가, [연구자의 전체론적 관점]은 [참가자들이 그들의 이야기 전체를 보는 방식]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전체론적 렌즈를 사용하는 학자들은 자신의 해석의 잠재적 우위에 대해 인식하고 NA 과정에 참여자를 포함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A foundational challenge that researchers using NA's holistic approach must contend with is delineating what is a ‘whole’ unit, a ‘whole’ story. In other words, scholars using the holistic NA lens must decide how much of a person's story is the ‘whole’ to be analysed. This decision can be highly variable, ranging from a long and multi-part life story down to ‘small stories’ of just a few phrases or sentences.32, 38 And, as Mishler argued, the lines delineating what is and is not a story and how to represent that story are part of the interpretative process.39 Moreover, a holistic researcher perspective may not align with the ways participants see the whole of their stories. Scholars using the holistic lens, then, must be aware of the potential primacy of their interpretations and work to include participants in the NA process.

NA의 [상황적 렌즈situated lens]는 개인이 내러티브를 형성하는 [특정 문화적 맥락]을 전경foregrounds으로 한다. 이 렌즈는 청중, 서술의 목적 또는 기능, 그리고 해설자들이 끌어 들이는 문화적 자원을 고려하여, 이러한 맥락에서 무엇이 논쟁되고 정규화되거나 '표준화'되는지를 이해하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야기는 [그 문화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사적 자원을 사용하여, 화자와 청자에 의해 공동 구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구자들은 네러티브가 그것이 말해지거나 집행되는 맥락context어떻게 연결되는지 완전히 탐구한다.41 예를 들어, 연구자들은 언제 그리고 어떻게 청자가 긍정하고, 이의를 제기하고, 심지어 이야기를 이어받는지 보기 위해 [화자와 청자 사이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을 추적하면서 연구자들은 공동 창작자들이 이야기를 그리는 [사회적 구성](예: 성별, 인종 또는 민족 정체성)과 [문화적 구성](예: 과로한 레지던트, 보조 간호사, 영웅적 외과의)에 관심을 기울인다.

The situated lens on NA foregrounds the particular cultural context(s) in which individuals create narratives.23, 40 This lens seeks to understand what is contested and what is normalized or ‘typified’31 in these contexts, considering audience, the purpose(s) or function(s) of the narrative and the cultural resources narrators draw upon.23, 40 From this perspective, stories can be seen as co-constructed by the teller and hearer using the narrative resources available in the culture; researchers fully explore how the narrative connects with the context in which it is told or enacted.41 For instance, researchers might focus on the interactions between teller and hearers to see when and how hearers affirm, contest or even take over the story.41 As they trace these interactions, researchers attend to social constructs (e.g., gender, racial or ethnic identity) and cultural constructs (e.g., the overworked resident, the supportive nurse and the heroic surgeon) on which story co-creators draw.23, 42 

Sargeant 등에 의한 연구는 상황적 렌즈를 사용하여 모의 환자들이 그들의 일에 대한 서사에서 의대생과 비교해서 자신들을 어떻게 위치시키는지position 탐구했다(표 1 참조). 이 위치 렌즈는 사회적, 문화적 신념과 구조가 그들의 세계에 대한 화자의 이해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자들의 통찰력을 뒷받침했다. 이 연구에서 모의 환자들은 [가족]이라는 문화적 개념을 활용하여 [자신을 의대생들의 부모상parental figures]으로 이해했다.

A study by Sargeant and colleagues35 used a situated lens to explore how simulated patients position themselves vis-a-vis medical learners in their narratives about their work (see Table 1). This situated lens supported researchers' insights into the ways social and cultural beliefs and structures shape a narrator's understanding of their world. In this35 study, simulated patients drew on the cultural notion of family (among others) to understand themselves as parental figures to the medical learners.

그러나, 상황적 렌즈situated lens를 사용하는 다른 학문과 마찬가지로, 연구자들은 궁극적으로 분석, 해석, 그리고 궁극적인 연구 네러티브에서 [어떤 지역적, 문화적 맥락의 요소들을 전경에 둘지foreground]를 선택한다. 연구자는 자신의 경험, 문화적 배경, 이론적, 개념적 프레임워크에 영향을 받아 특정 서술이 수행하는 작업에 대한 연구자의 해석은 맥락의 [일부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다른 측면을 모호하게] 할 수 있다. 미슐러가 지적했듯이, 내러티브 학자들은 연구참가자들처럼 스토리텔러이다: '우리가 이야기를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를 만드는 것이 분명하다. 우리는 분석적인 재설명을 통해 응답자들의 설명을 다시 말한다. 우리도 역시 스토리텔러이다….25
As with any scholarship using a situated lens, however, researchers ultimately choose which elements of the local and cultural context to foreground in the analysis, interpretation and eventual research narrative. Influenced by their own experiences, cultural background and theoretical and conceptual frameworks, researchers' interpretation of the work a particular narrative is doing may overemphasise some aspects of the context and obscure others. As Mishler noted, narrative scholars are, like their participants, storytellers: ‘It is clear that we do not find stories; we make stories. We retell our respondents' accounts through our analytic redescriptions. We, too, are storytellers …’.25

NA의 [언어적 렌즈linguistic lens]는 내러티브의 형식과 구조, 내용 모두를 질문한다. 인간 언어는 스토리텔링을 위한 단어, 구, 융통성, 의미의 무한한 잠재적 조합을 제공하는 문법적 자원을 제공하며, 이 렌즈는 화자들이 그 자원들에 대해 하는 선택을 조사한다.

  • 예를 들어, 거의 틀림없이 같은 정신 상태를 서술하더라도, '모른다'(즉, 나는 당신의 질문에 대답하는 데 필요한 지식이 없다)는 '당신[일반]은 알 수 없다'는 말과 다른 함축적 의미를 갖는다. (즉, 누구도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다.)


NA's linguistic lens interrogates both the form and structure of a narrative as well as its content.40, 42 Human languages offer grammatical resources that provide an infinite number of potential combinations of words, phrases, inflexions and meanings for storytelling,43 and this lens examines the choices narrators make about those resources.40, 42, 44, 45 

  • For instance, while narrating what is arguably the same mental state, ‘I don't know’ (i.e., I haven't the knowledge required to answer your question) has different connotations from the statement ‘you [generic] just can't know’ (i.e., nobody has the knowledge to predict the future).46 

이러한 차이는 NA의 [언어적 렌즈]에 초점을 맞춘다. 언어적 렌즈의 중심적인 이점은 전문적인 딜레마의 의대생 내러티브에 대한 리스, 몬루제, 맥도날드 47의 연구에서 증명된 바와 같이 서술자narrator의 정체성에 대해 드러낼 수 있는 것이다. 한 학생의 딜레마에 대한 한 줄 한 줄 분석에서, 연구원들은 그녀가 괴롭힘의 피해자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매우 강한 여성'으로 구성하기 위해 어떻게 언어를 사용했는지를 보여주었다.47 이 언어 렌즈는 참가자가 그녀의 부정적인 경험에 대한 '통제'를 얻고' 그녀를 의사 커리어를 지속하게 하는 [정체성 작업identity work]을 하는데 어떻게 내러티브를 사용했는지를 강조하였다. 

These differences are brought into focus with NA's linguistic lens. A central benefit of the linguistic lens is what it can reveal about narrator identity,32, 40, 42 as demonstrated in Rees, Monrouxe, and McDonald's47 study of medical student narratives of professional dilemmas (See Table 1). In a line-by-line analysis of one student's dilemma, the researchers showed how she used language to construct herself as a ‘VERY strong woman’, despite being a victim of bullying.47 This linguistic lens highlighted how this participant used narrative to do the identity work of ‘gain[ing] control over her negative experience’ and persisting in her medical career.47

모든 연구 방향과 마찬가지로 NA의 언어 렌즈에도 한계가 있다. 

  • 첫째, 단어에만 집중하는 것은 다른 방법, 즉 억양, 몸짓, 또는 신체 위치 결정과 같은 부언어적 단서들로 전달되는 중요한 메시지들을 놓칠 수 있다. 전사된 단어에 대한 분석적인 집중은 '말하는' 다른 것들을 모호하게 할 수 있다.
  • 둘째, 데이터를 이산적discrete 언어 범주(예: 언어적 망설임 표식)로 분할함으로써, 연구자들은 내러티브의 전체적인overall 목적을 상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론적 렌즈]또는 [상황적 렌즈]가 제공하는 잠재력을 포기하게 되는 것이다. 스털리 교수는 언어 렌즈와 같은 분석적이고 패러다임적인 접근은 '이상화의 경향에 있으며, 연구자들이 이야기를 사전 설정된 범주로 강제하도록 장려하고… [특정한 사회적 사건]에서 [구체적인 서술]이 어떻게 작용work하는지를 놓치고 있다'고 주장했다.

Like all research orientations, NA's linguistic lens has limitations.

  • First, a focus on the words alone can miss the important messages communicated in other ways, i.e., paralinguistic cues like intonation, gesture or body positioning. An analytic focus on the transcribed word can obscure the other things being ‘said’.
  • Second, by fragmenting the data into discrete linguistic categories (e.g., linguistic markers of hesitation), researchers may lose the overall purpose of the narrative, abandoning the potential that, for instance, a holistic or situated lens offers. Bleakley argued that analytical, paradigmatic approaches like that of the linguistic lens, ‘tend to idealisation, encouraging researchers to force stories into preset categories … missing how specific narratives work for specific social occasions’.20

NA의 [행위자적 렌즈agentive lens]행위자성agency, 즉 제약 조건 속에서 행동을 선택하고 실행할 때 인간의 의도적인 활동을 강조한다. 많은 학자들은 이야기를 하는 것을 [행위자적 행위agentic act]로 간주한다: 내레이터는 청자를 위하여, 그리고 청자와 함께 경험을 해석하고 평가한다. 이 렌즈는 이야기의 목적을 이해하기 위해 화자의 선택에 부분적으로 주의를 기울인다: 지금 이 서사적 행위자(또는 에이전트 그룹)는 무엇을 달성하려고 하는가? 
An agentive lens on NA highlights agency—i.e., the intentional activity of humans as they choose and execute actions amidst constraints.48, 49 Many scholars position telling a story as an agentive act: narrators interpret and evaluate experiences for and with the listener.23, 28, 29, 50 This lens attends to the narrator's choices in part to understand the purposes of a story: what is this narrative agent (or group of agents) trying to accomplish?23, 42, 50 

예를 들어, Caps와 Ochs는 고소공포증을 가진 참가자에 대한 그들의 분석을 어떤 객관적인 진실과의 일치보다는 서술자로서 그녀가 했던 해석적 작업에 초점을 맞췄다. 이 행위자적 렌즈는 [서술자 자신의 의도와 행동]뿐만 아니라 [그들이 타인의 의도와 행동을 어떻게 보는지]에 대한 이해를 지원한다. 예를 들어, Warmington과 McColl의 의대생들이 환자 치료 경험을 설명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행위자agency'이라는 단어를 명시적으로 사용하지 않았지만, 학생들을 행위자적 스토리텔러로 만들어 환자와 강사에 대한 '위치positioning'를 지정했다(표 1 참조). Warmington과 McColl의 참가자들은 일부 동의 절차를 무시한 것을 정당화하기 위해, 조건부로 자신의 스토리를 사용했다. 이 렌즈는 나레이터들이 이야기를 통해 만드는 수사적인 움직임rhetorical moves 을 강조합니다.

For example, Capps and Ochs42 focused their analysis of the participant with agoraphobia on her ‘struggle to achieve coherence and continuity’, on the interpretative work she did as a narrative agent rather than on her story's alignment with some ‘objective truth’. This agentive lens supports understanding not only of narrators' own intentions and actions, but also of how they see the intentions and actions of others. For example, Warmington and McColl's49 study of the ways medical students narrate patient care experiences, while not using the word ‘agency’ explicitly, framed the students as agentive storytellers, ‘positioning’ themselves vis-a-vis patients and instructors (see Table 1). Warmington and McColl's49 participants used their stories to justify, with reservations, ignoring some consent procedures (e.g., getting full consent for a medical student to practice rather than just implying it is not a choice). This lens highlights the rhetorical moves narrators make with their stories.

[행위자적 렌즈]는 참가자들의 의도적인 활동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지만, 이러한 전략들은 또한 화자가 [기존의 규범과 담론에 의해 어떻게 위치지어지는지positioned by]를 반영한다. 서술형 에이전트는 그들이 자신을 발견하는 [상황과 구조에 의해 제약]을 받으므로, [행위자적 렌즈]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또한 이러한 제약을 설명해야 한다. 게다가, 연구 내러티브를 구성할 때, 연구자도 자신의 행위자성을 행사한다는 사실이, 행위자적 렌즈를 더욱 복잡하게 만든다. 참여자의 내러티브를 분석하든, 사건과 경험에서 내러티브를 생성하든, 연구자들은 자신의 이야기에서 일부 내러티브 에이전시를 [공동 선택co-opt]한다.

While the agentive lens can provide insights into participants' intentional activities, these strategies also reflect how the narrator is positioned by existing norms and discourses (recalling the situated lens above).41 Narrative agents are constrained by situations and structures in which they find themselves, so those using an agentive lens must also account for these constraints.48, 49 Moreover, in constructing research narratives, scholars exercise their own agency, further complicating an agentive lens. Whether analysing participant narratives or creating narratives from events and experiences, researchers co-opt some narrative agency in their own telling.

마지막 렌즈 NA는 [순차적sequential 렌즈]이다: 이야기 세계(즉, 이야기 세계)와 경험 세계(즉, 삶의 세계)에서 사건의 순서를 의미한다. Riessman은 내러티브의 기본 정의에 [스토리 세계]와 [삶의 세계]의 순서를 모두 포함시켰다

  • '일시적으로 순서가 매겨지고 일련의 사건들을 요약하는 대화의 경계지어진 세그먼트'와 
    NA의 구별되는 특징인 '행동 순서에 대한 주의'를 취하는 것

The final lens NA offers is sequential: the ordering of events in a story (i.e., the story world) and in experience (i.e., the life world).41 Riessman included both story world and life world ordering in her basic definition of narrative:

  • ‘a bounded segment of talk that is temporally ordered and recapitulates a sequence of events’23 and took ‘attention to sequences of action’ to be the distinguishing feature of NA.23 

행동의 순서는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세계를 이해하는 한 가지 방법]이며, 종종 시간적 순서로부터 [인과관계를 귀속]시킨다이야기 세계나 삶의 세계에서 [사건의 시퀀스]에 집중하는 것은 다음의 이해를 뒷받침한다.

  • 참가자들이 그들의 삶에서 다양한 사건과 개인을 어떻게 이해하는지,
  • 그들이 서로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그리고
  • 그들이 다른 사람들을 야기시키는 어떤 사건과 행동을 어떻게 경험하는지 . 

Sequencing of actions is one way many people make sense of their world, often imputing causality from temporal ordering.31, 40 Attending to the sequence of events—either in the story world or the life world—supports an understanding of

  • how participants understand the different events and individuals in their lives,
  • how they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 how they experience some events and actions causing others.3140 

예를 들어, 신경외과 의사들의 이야기에서 질병 위신에 대한 요한네센의 연구에서, 그는 이러한 이야기들 - 파단, 진단, 치료 그리고 정상으로의 복귀 - 의 일련의 사건들이 [서양 문화에서 강한 남성적 영웅과 함께 영웅적 스토리]를 미러링한다고 주장했다. 이 경우, [순차적 렌즈]는 어떻게 신경외과의사들이 그들의 행동과 결과에 대해 상상하는지, 그리고신경외과의사로서의 정체성을 구축하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면서 [특정한 유형type]의 이야기 구조를 드러낸다.37

For example, in Johannessen's study of disease prestige in neurosurgeons' narratives, he argued that the sequence of events in these narratives—rupture, diagnostics, treatment and return to normality—mirrored heroic stories with a strong masculine hero in Western culture (see Table 1).37 In this case, the sequential lens revealed a particular type of story structure, offering insight into how those neurosurgeons conceived of their actions and consequences, building prestige for their identity as neurosurgeons.37

[언어적 렌즈]와 마찬가지로 [순차적 렌즈]는 단편화를 초래할 수 있고, 내러티브의 전체적인 목적을 보는 데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행위자적 렌즈]와 마찬가지로, 이 렌즈는 순서 선택에 있어 서술자narrator의 행위자성을 지나치게 강조할 수 있다. 게다가, 철학자 게일런 스트로슨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가로지르는 사람으로서의 자아를 기본적으로 직교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모든 사람에게 선천적인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어떤 이들은 그들의 시간적 자아를 삽화episodic로 생각하기 때문에, 자신의 삶을 내러티브로 인식하지 못한다. 그러한 개인에게 순차적 선택은 근본적인 인과적 이해나 감각 형성 방법을 반영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Like the linguistic lens, the sequential lens can lead to fragmentation and difficulty seeing the overall narrative purposes. Also, like the agentive lens, this lens can overemphasise the agency of the narrator in making sequencing choices. Moreover, the philosopher, Galen Strawson,51 argued that the basic diachronic understanding of the self as someone who stretches across past, present and future is not innate to everyone. Some conceive of their temporal selves as episodic and, therefore, have no sense of their lives as narratives.51 For such individuals, sequential choices are likely not reflective of underlying causal understandings or ways of sense-making.


위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가 논의하는 5개의 NA 렌즈는 HPE 연구원들이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잠재력을 설명하기 위해 분석적 접근법이 이 다섯 개의 렌즈에 해당한다고 믿는 다섯 개의 HPE 논문으로부터 위의 예를 제공했다. 우리는 표 1에 이것들을 요약한다. 독자에게 NA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식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론과 방법을 사용하는 다양한 국가에서 왔다.

As the descriptions above illustrate, the five NA lenses we discuss hold different kinds of potential that HPE researchers can harvest. In order to illustrate this potential, we offered examples above from five HPE articles whose analytic approaches, we believe, correspond to these five lenses. We summarise these in Table 1. They are from a variety of countries, using a variety of methodologies and methods to give the reader a diversity of approaches to NA.

4 렌즈에서 방법으로: 내러티브 분석 유형
4 FROM LENSES TO METHODS: NARRATIVE ANALYSIS TYPOLOGIES

우리가 위에서 사용한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전체론적, 위치적, 언어적, 행위자적 및 순차적 렌즈는 각각 잠재적인 이점과 한계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 렌즈들은 그 자체로 방법methods이 아니다. 플롯 분석, 대화식 서술 분석, 내러티브 분석에 대한 브라운 교육 가이드(BEGAN) 그리고 아마도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접근법인 라보프와 왈레츠키의 구조 분석 등, 연구자들은 다양한 연구 질문을 다루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해 왔다

As the examples we use above demonstrate, the holistic, situated, linguistic, agentive and sequential lenses each offer potential benefits and limitations. But these lenses are not, themselves, methods: researchers have used various methods to address their research questions like plot analysis,52 dialogic narrative analysis,36 the Brown Educational Guide to the Analysis of Narrative (BEGAN)53 and, perhaps, the most widely used approach, Labov and Waletzky's structural analysis.35, 47, 54-56 Scholars have described different typologies to try to make sense of this variety of methods.20, 25, 26, 32, 41 

학자들은 이러한 다양한 방법을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학을 설명해왔다. 한 가지 접근방식은 NA 방법이 다루는 [내러티브의 '수준level']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다. 

  • 예를 들어, 밤버그는 이야기 자체의 실제 텍스트, 텔러와 청자 사이의 상호작용적 공동 구성, 텔러와 청자가 각각 어떻게 자기 자신에 대한 특정한 개념을 별도의 분석 수준으로 '설립하고 보여주는'지에 접근했다. 밤베리는 각 수준에서 내용과 맥락을 단계적으로 해석함으로써 내러티브를 이해하게 된다.
  • 예를 들어, Warmington과 McColl은 '대화적 서술 분석'을 사용하여 밤버그의 세 가지 수준을 모두 조사했으며, 이야기 자체, 내레이터와 인터뷰 진행자 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전문적 정체성 내레이터가 스스로 만들어 내는 것을 조사하였다.

One approach is to classify NA methods according to which ‘level’ of the narrative they attend to.25, 41 

  • For instance, Bamberg41 approached the actual text of the narrative itself, the interactional co-construction of the narrative between teller and hearer, and how teller and hearer ‘establish and display particular notions of selves’ each as separate levels of analysis. Bamberg comes to understand narratives through stepwise interpretation of the content and context at each level.
  • Warmington and McColl,36 for instance, used ‘dialogic narrative analysis’ to examine all three of Bamberg's levels, examining the stories themselves, the interactions between narrators and interviewers, and the professional identities narrators were creating for themselves.

약간 다른 접근법으로 폴킹혼과 스털리(Starlyley)는 각각 역할 서사극에 기초하여 NA를 비슷하게 입력했다.

  • 내러티브가 연구자들이 생각think about하는 [패러다임적 분석]의 대상인지 여부  (예: 범주 분석 및 기사 정리)
  • 내러티브가 연구자들이 생각think with하는 [합성적 분석]의 산물인지 여부 (즉, 스토리 분석 및 새로운 스토리 작성)

In a slightly different approach, Polkinghorne26 and Bleakley20 each typologised NA similarly, based on the role narrative plays:

  • whether narratives are the object of paradigmatic analysis (i.e., categorical analysis and chunking up stories) that researchers think about or, instead,
  • whether narratives are the product of synthetic analysis (i.e., narrative analysis and creating a new story) that researchers think with.

이 접근법에서 NA의 일부 방법은 이야기를 데이터로 가져다가 분해break down한다. 반면 다른 사람들은 경험과 사건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스토리를 만들어create 더 잘 이해한다. 지금까지 HPE 학자들은 (위에서 논의한 5개의 HPE 연구와 마찬가지로) 참가자들의 이야기를 이해하기 위해 NA 방법을 사용할 때 주로 전자의 접근법을 취했다. [이야기를 가지고 생각하는 것Thinking with stories]은, 패러다임적 접근법과 달리, 이야기를 단순 데이터로 환원하지 않으면서, 내러티브의 잠재적인 '감정적 영향'을 희생시키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강력하지만 개발되지 않은 방법론적인 도구이다.20

Within this approach, some methods of NA take stories as data and break them down, while others use the data of experiences and events to create stories to better understand them. Thus far, HPE scholars have mainly taken the former approach, using NA methods to make sense of participants' stories,20 as with the five HPE studies we discussed above (see Table 1).34-37, 47 Thinking with stories is a potentially powerful, but untapped, methodological tool for tackling HPE's wicked problems because, unlike a paradigmatic approach, it does not threaten to reduce stories to mere data, sacrificing the potential ‘affective impact’ of narrative.20

5 진주: 서사의 약속과 편파성
5 PEARLS: THE PROMISE AND PARTIALITY OF NARRATIVE

NA 렌즈(그리고 각 렌즈에 따르는 잠재적인 이점 및 제한 사항)를 선택할 때, 연구자들은 다양한 분석 방법(즉, 분석 및 합성 대 패러다임 분석의 수준)이 해당 렌즈를 어떻게 형성하는지 고려해야 합니다.

  • 예를 들어, 연구자들은 밤베르크의 상호작용적 수준의 분석을 통해 [상황적 렌즈]의 잠재적인 통찰력, 즉 사회 문화적 맥락이 어떻게 세계에 대한 나레이터의 이해를 형성하는가에 접근할 수 있다.
  • 또는, 학자들은 밤베르크의 스키마의 한 단계 아래로 내려가 [순차적 렌즈]에 대한 잠재적인 통찰력을 얻을 수 있으며, 텍스트 자체에서 어떤 사건의 시퀀스가 원인과 결과의 내레이터 구성에 대해 드러내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 대조적으로, 정체성에 초점을 맞춘 한 단계 '상위' 분석은 [행위자적 렌즈]와 참가자들이 자신과 타인의 의도와 행동을 표현하기 위해 하는 수사적 움직임을 뒷받침할 수 있다. 

In choosing an NA lens—as well as the potential benefits and limitations that come with it—researchers must consider how various analytic methods (i.e., the level of analysis and synthetic versus paradigmatic analysis) shape that lens.

  • For instance, researchers could access the potential insights of a situated lens—an understanding of how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shape narrators' understandings of the world—through Bamberg's41 interactional level of analysis.
  • Alternatively, scholars could go one level ‘down’ in Bamberg's schema to the textual level to gain the potential insights of the sequential lens, understanding what particular sequences of events in the text itself reveal about narrators' constructions of cause and effect.41 
  • In contrast, an analysis one level ‘up’, with its focus on identity, could support the agentive lens and the rhetorical moves participants make to represent their own and others' intentions and actions.41

 

  • 폴킹혼의 분석적 유형론을 본다면, [전체론적 렌즈]를 가지고 전체 스토리에 대한 복잡하고 일관성 있는 이해를 추구하는 사람들은 [참가자들의 경험을 재-스토리restorying하는 합성적 접근법]을 사용할 수 있다.
  • 반대로, [언어적 렌즈]를 통해 서술자들이 그들 자신과 그들의 세계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내리는 선택들을 더 잘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은 [패러다임적 분석]을 사용할 수 있다.

분석적 접근의 범위와 NA 렌즈의 다양성은 HPE 학자들의 연구 실습을 풍부하게 할 가능성이 있다.

  • Working from Polkinghorne's26 analytic typology, those seeking a complex and coherent understanding of a full story through the holistic lens might use a synthetic approach, restorying participants' experiences.
  • In contrast, researchers who want to better understand the choices narrators make in representing themselves, and their world through the linguistic lens might use paradigmatic analysis.26 

The range of analytic approaches and the variety of NA lenses hold the promise to enrich the research practices of HPE scholars.

그러나 여기서 설명하는 5개의 렌즈 중 어떤 것도 어떤 분석적 접근법에도 완벽하게 매핑되지 않으며, HPE의 고약한 문제에 대한 '기성품' 솔루션을 제공하지도 않습니다. NA 렌즈는 개념적 프레임워크, 특정 연구 질문, 수집된 데이터 및 수집 방법 및 대상과 일치하는 연구 설계로 의도적으로 짜여져야 한다. 또한 선택된 NA 렌즈는 연구자가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또는 질문과 일치해야 하며, 연구자가 설명하고자 하는 청중에게 말해야 한다. NA를 하는 것은 연구 조건에 특정한 [특정한 노력particularistic endeavour]이다. 스토리는 일종의 [상식적인 현실]을 창조하는 힘을 가지고 있는데, 린드는 이를 '보편적 사실성의 문제로 위장한 도덕성의 문제'라고 불렀다.

Yet, none of the five lenses we outline here map perfectly onto any analytic approach, nor do they offer ‘off the shelf’ solutions to HPE's wicked problems. The NA lenses must be deliberately woven into a study design, concordant with the conceptual framework,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the data collected and how and by whom it is collected. Furthermore, the NA lens selected must be congruent with the problem or question the researcher is trying to address, speaking to the audience for whom she is trying to address it. Doing NA is a particularistic endeavour, specific to the conditions of research.13 Stories have the power to create a kind of commonsense reality, what Linde40 called ‘an issue of morality disguised as an issue of universal factuality’. 

우리는 NA 방법과 렌즈도 이러한 힘을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방법과 렌즈를 선택했으니, '등장'하는 진리가 유일한 진실the truth이라고 믿기 쉽다. 예를 들어, 인종 차별 치료에 대한 흑인 의사의 이야기에 대한 [순차적 렌즈]는 반복된 경험들이 서로에게 쌓이는 방식을 강조할 수 있지만, 이것은 [행위자적 렌즈]로 더 명확해질 수 있는 인종 차별적 권력 구조에 대한 저항을 가릴 수 있다. 게다가, 이 렌즈들 중 어느 것도 참가자들이 경험하는 것을 진실로 드러내지 않을 것이고, 애초에 이야기를 하는 그들의 행위자성을 잠재적으로 감소시킬 것이다. 즉, 각각의 NA 렌즈는 무언가를 가리면서, 무언가를 드러낸다. 리스만은 이렇게 모함했다. '이야기적 진실은 항상 편파적이다- 어딘가에 열성적이고, 불완전하다'

We maintain that NA methods and lenses can also have this power. Having chosen a method and a lens, it is easy to believe that the truth that ‘emerges’ is the truth. For instance, a sequential lens on a Black physician's stories of racist treatment might highlight the ways repeated experiences build on each other, but this may mask the resistance to racist power structures that might be clearer with an agentive lens. Moreover, neither of these lenses may reveal what participants experience as truth, potentially diminishing their agency in telling the story in the first place. In other words, each NA lens both obscures and reveals. Riessman23 framed it this way: ‘Narrative truths are always partial—committed and incomplete’.

이 편파성은 이 작품의 작가로서 우리 각자에게도 적용됩니다. 우리는 우리의 이론적이고 방법론적이며 개인적인 렌즈를 이 작업에 가져옵니다.

  • 아비게일은 언어학자이자 교육심리학자이며 질적, 혼합적 방법 연구자이다. 연구자, 교사, 학부모로서, 그녀는 자신의 이야기 전달 기관인 개인적이고 전문적인 것을 받아들이는 법을 배우고 있다.
  • 라라는 이론가이자 질적 방법론자로 HPE의 다양한 주제를 탐구해 왔으며, 대부분은 개인이 집단과 함께 참여하는 근본적인 전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녀는 이야기를 연구를 공유하고,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가정에 도전하는 강력한 수단으로 본다.
  • 르네는 교육학자, 이론가, 질적 방법론자이다. 그녀는 직장 학습, 직장 지도, 그리고 직장 내에서의 직업 간 학습과 교육 역학에 대해 글을 쓴다. 그녀는 깊고 의미 있는 학습과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가르치고 연구하는 이야기의 힘을 믿습니다.

This partiality holds for each of us as authors of this piece as well. We bring to this work our own theoretical, methodological and personal lenses.

  • Abigail is a linguist, educational psychologist and qualitative and mixed methods researcher who writes about experiences of agency. As a researcher, teacher and parent who has moved across fields and across the country, she is learning to embrace the agency of her own storytelling—personal and professional.
  • Lara is a theorist and qualitative methodologist who has explored a range of topics in HPE, most of which focus on the foundational premises through which individuals engage with groups and vice versa. She sees stories as powerful means of sharing research, of impacting actions and challenging assumptions.
  • Renee is an educationist, a theorist and qualitative methodologist. She writes about workplace learning, workplace guidance and the interprofessional learning and teaching dynamic within the workplace. She believes in the power of stories in teaching and research to provide deep and meaningful learning and understanding.

이런 경험들을 볼 때, 우리는 모두에게 있지 않을 수도 있는 이야기들에 힘과 효용을 돌릴 수 있고, 다른 사람들과는 다르게 NA의 렌즈를 볼 수도 있다. 우리가 제시하는 5개의 NA 렌즈와 마찬가지로, 우리만의 렌즈는 어떤 부분은 비추고 어떤 부분은 가립니다. NA에 대한 우리의 이야기는 모든 이야기와 마찬가지로 '경험된 현실 속에서 승리를 거둔 구성자'이다. 우리는 NA 렌즈를 사용하는 다른 사람들의 구성을 기다리고 있는데, 그들이 우리의 연구 문제를 가지고 우리의 분야로 나아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Given these experiences, we may attribute power and utility to stories that may not be there for everyone, and we may see the lenses of NA differently than others would. Just like the five NA lenses we present, our own lenses illuminate some areas and conceal others. Our story about NA, like all stories, is ‘a triumphant configurer of experienced reality’.42 We await others' configurations using NA lenses, with the hope that they can help us move forward as a field with our research problems, wicked or otherwise.


Med Educ. 2021 Dec;55(12):1369-1375.

 doi: 10.1111/medu.14597. Epub 2021 Aug 29.

The potential of narrative analysis for HPE research: Highlighting five analytic lense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Center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Bethesda, Maryland, USA.

2Center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enry M. Jackson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Military Medicine, Bethesda, Maryland, USA.

3School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Department for Educational Development & Research, Faculty of Health, Medicine and Life Sciences,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PMID: 34291492

DOI: 10.1111/medu.14597

Abstract

Context: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has increasingly turned to qualitative methodology to address a number of the field's difficult research problems. While several different methodologies have been widely accepted and used in HPE research (e.g., Grounded Theory), others remain largely unknown. In this methodology paper, we discuss the value of narrative analysis (NA) as a set of analytic approaches that offer several lenses that can support HPE scholars' research.

Methods: After briefly discussing the 'narrative turn' in research, we highlight five NA lenses: holistic, situated, linguistic, agentive and sequential. We explore what each lens can offer HPE scholars-highlighting certain aspects of the data-and how each lens is limited-obscuring other aspects. To support these observations, we offer an example of each lens from contemporary HPE scholarship. The manuscript also describes methods that can be employed in NA research and offers two different typologies of NA methods that can be used to access these lenses.

Conclusions: We conclude with a discussion of how different analytic methods can be used to harness each of the lenses. We urge the deliberate selection and use of NA methods and point to the inherent partiality of any NA approach. Reflecting on our position as narrative scholars, we acknowledge how our own lenses illuminate some areas and conceal others as we tell the story of NA. In conclusion, we invite other researchers to benefit from the potential NA promises.

질적 내용분석: Trustwothiness에 초점을 두고(SAGE Open, 2014)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 Focus on Trustworthiness 
Satu Elo1, Maria Kääriäinen1,2, Outi Kanste3, Tarja Pölkki1, Kati Utriainen1, and Helvi Kyngäs1,2

 

질적 내용 분석은 간호과학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그 사용의 신뢰성은 아직 체계적으로 평가되지 않았다. 콘텐츠 분석 연구를 평가하기 위한 효과적이고 간단한 전략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가 있다. 특히 질적 내용분석보다 정량적 내용분석의 타당성과 신뢰성에 대한 여러 논문이 발표된 만큼 질적 내용분석 결과의 질에 대한 보다 집중적인 논의도 필요하다. 정량적 내용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표준화된 절차를 많이 이용할 수 있지만(Baxter, 2009) 질적 내용분석은 그렇지 않다.
Although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s commonly used in nursing science research, the trustworthiness of its use has not yet been systematically evaluated. There is an ongoing demand for effective and straightforward strategies for evaluating content analysis studies. A more focused discussion about the quality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findings is also needed, particularly as several articles have been published on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Neuendorf, 2011; Potter & Levine-Donnerstein, 1999; Rourke & Anderson, 2004) than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hereas many standardized procedures are available for performing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Baxter, 2009), this is not the case for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질적 내용분석은 현재 데이터를 분석하고 의미를 해석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 질적 방법 중 하나이다(Schreier, 2012). 연구 방법으로서, 그것은 현상을 설명하고 수량화하는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수단을 나타낸다(Downe-Wamboldt, 1992; Schreier, 2012). 성공적인 내용분석을 위한 전제조건은 범주, 개념, 모델, 개념 시스템 또는 개념 맵을 만듦으로써 데이터가 연구 현상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축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Elo & Kyngäs, 2008; Morgan, 1993; Weber, 1990). 연구 질문은 무엇을 분석하고 무엇을 만들 것인지를 명시한다. 질적 내용분석에서 추상화 과정은 개념이 생성되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과정의 일부 측면은 쉽게 설명될 수 있지만, 부분적으로 연구자의 통찰력이나 직관적인 행동에 의존하며, 이는 다른 사람들에게 설명하기가 매우 어려울 수 있다(Elo & Kyngäs, 2008; Graneheim & Lundman, 2004). 타당성 관점에서 결과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보고하는 것이 중요하다. 독자는 분석과 결과적 결론을 명확하게 따를 수 있어야 한다(슈라이어, 2012).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s one of the several qualitative methods currently available for analyzing data and interpreting its meaning (Schreier, 2012). As a research method, it represents a systematic and objective means of describing and quantifying phenomena (Downe-Wamboldt, 1992; Schreier, 2012). A prerequisite for successful content analysis is that data can be reduced to concepts that describe the research phenomenon (Cavanagh, 1997; Elo & Kyngäs, 2008; Hsieh & Shannon, 2005) by creating categories, concepts, a model, conceptual system, or conceptual map (Elo & Kyngäs, 2008; Morgan, 1993; Weber, 1990). The research question specifies what to analyze and what to create (Elo & Kyngäs, 2008; Schreier, 2012). In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abstraction process is the stage during which concepts are created. Usually, some aspects of the process can be readily described, but it also partially depends on the researcher’s insight or intuitive action, which may be very difficult to describe to others (Elo & Kyngäs, 2008; Graneheim & Lundman, 2004). From the perspective of validity, it is important to report how the results were created. Readers should be able to clearly follow the analysis and resulting conclusions (Schreier, 2012).

질적 내용분석은 귀납적 또는 연역적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귀납적 및 연역적 내용분석 프로세스에는 세 가지 주요 단계가 포함됩니다: 결과의 준비, 구성, 보고

  • 준비 단계는 콘텐츠 분석에 적합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를 이해하며 분석 단위를 선택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 귀납적 접근법에서 조직 단계는 개방형 코딩, 범주 생성, 추상화를 포함한다. 
  • 연역적 접근법에서 조직 단계범주 매트릭스 개발을 포함하며, 여기서 모든 데이터는 내용에 대해 검토되고 식별된 범주에 대한 대응 또는 예시를 위해 코딩된다(Political & Beck, 2012). 범주 매트릭스은 범주가 개념을 적절하게 표현하고, 타당성의 관점에서 범주화 행렬이 의도한 바를 정확하게 포착한다면 유효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Schreier, 2012). 
  • 보고 단계에서 결과는 선택된 접근법(연역적 또는 귀납적)을 사용하여 현상을 설명하는 범주의 내용에 의해 설명된다.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can be used in either an inductive or a deductive way. Both inductive and deductive content analysis processes involve three main phases: preparation, organization, and reporting of results.

  • The preparation phase consists of collecting suitable data for content analysis, making sense of the data, and selecting the unit of analysis.
  • In the inductive approach, the organization phase includes open coding, creating categories, and abstraction (Elo & Kyngäs, 2008).
  • In deductive content analysis, the organization phase involves categorization matrix development, whereby all the data are reviewed for content and coded for correspondence to or exemplification of the identified categories (Polit & Beck, 2012). The categorization matrix can be regarded as valid if the categories adequately represent the concepts, and from the viewpoint of validity, the categorization matrix accurately captures what was intended (Schreier, 2012).
  • In the reporting phase, results are described by the content of the categories describing the phenomenon using a selected approach (either deductive or inductive).


질적 연구 타당성을 평가하기에 가장 적합한 용어(강성, 타당성, 신뢰성, 신뢰도)에 대해 많은 논쟁이 있었다(Koch & Harrington, 1998). 신뢰성과 타당성 기준은 신뢰도를 평가할 때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에서 모두 사용됩니다. 그러한 용어들은 주로 연구의 실증적 개념에 뿌리를 두고 있다. 슈라이어(2012)에 따르면 [질적 내용 분석]과 [양적 내용 분석] 사이에 명확한 구분선이 없고, 신뢰성과 타당성에 대한 유사한 용어와 기준이 자주 사용된다.

There has been much debate about the most appropriate terms (rigor, validity, reliability, trustworthiness) for assessing qualitative research validity (Koch & Harrington, 1998). Criteria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are used 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when assessing the credibility (Emden & Sandelowski, 1999Koch & Harrington, 1998Ryan-Nicholls & Will, 2009). Such terms are mainly rooted in a positivist conception of research. According to Schreier (2012), there is no clear dividing line betwee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and similar terms and criteria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are often used. 

연구자들은 내용분석에서 타당성 측면을 평가할 때 주로 질적 기준을 사용해 왔다(Kyngás 등, 2011). 질적 내용분석을 평가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준은 링컨과 구바(1985)가 개발한 기준이다. 그들은 신뢰성trustworthiness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질적 조사에서 신뢰성trustworthiness의 목적은 조사의 발견이 "주의할 가치가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이다(Lincoln & Guba, 1985). 이론 기반 범주화 매트릭스 없이 원시 데이터에서 범주가 생성되기 때문에 귀납적 내용 분석을 사용할 때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우리는 데이터 수집, 분석, 콘텐츠 분석 결과의 발표의 신뢰성trustworthiness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파악할 때 이러한 전통적인 질적 연구 용어를 사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Researchers have mainly used qualitative criteria when evaluating aspects of validity in content analysis (Kyngäs et al., 2011). The most widely used criteria for evaluat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re those developed by Lincoln and Guba (1985). They used the term trustworthiness. The aim of trustworthiness in a qualitative inquiry is to support the argument that the inquiry’s findings are “worth paying attention to” (Lincoln & Guba, 1985). This is especially important when using inductive content analysis as categories are created from the raw data without a theory-based categorization matrix. Thus, we decided to use such traditional qualitative research terms when identifying factors affecting the trustworthiness of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presentation of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질적 연구를 위해 몇 가지 신뢰도 평가 기준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준의 공통점은 내용분석 과정을 정확하게 보고함으로써 신뢰도를 지원하고자 한다는 것이다. 링컨과 구바는 credibility, dependability, conformability, and transferability라는 질적연구에서 trustworthiness 평가를 위한 네 가지 대안을 제안해 왔다. 1994년에서 저자들은 5기준에 진정성authenticity을 덧붙였다.

  • Credibility의 확립을 위한 관점에서, 연구원들은 연구에 참여하고 정확하게 묘사했다 확인되도록 해야 합니다.
  • Dependability 데이터의 시간과 다른 조건에 따라 안정성을 말한다.
  • Conformability 그것이 객관성을 말한다, 일치에 대한 데이터의 정확성, 타당성, 또는 의미에 대해 두 이상의 독립적인 사람들의 가능성.
  • Transferability 추정에 대한 가능성에 말한다. 그것은 논거는 발견이나 다른 설정 또는 그룹에 편입이 개괄될 수 있는에 의존하고 있다.
  • 마지막 기준, authenticity는, 연구자들 공정하고 충실히, 현실의 범위(링컨&Guba, 1985;Polit&벡, 2012년)을 보여 주는 정도로 말한다.

Several other trustworthiness evaluation criteria have been proposed for qualitative studies (Emden, Hancock, Schubert, & Darbyshire, 2001; Lincoln & Guba, 1985; Neuendorf, 2002; Polit & Beck, 2012; Schreier, 2012). However, a common feature of these criteria is that they aspire to support the trustworthiness by reporting the process of content analysis accurately. Lincoln and Guba (1985) have proposed four alternatives for assessing the trustworthiness of qualitative research, that is, credibility, dependability, conformability, and transferability. In 1994, the authors added a fifth criterion referred to as authenticity.

  • From the perspective of establishing credibility, researchers must ensure that those participating in research are identified and described accurately.
  • Dependability refers to the stability of data over time and under different conditions.
  • Conformability refers to the objectivity, that is, the potential for congruence between two or more independent people about the data’s accuracy, relevance, or meaning.
  • Transferability refers to the potential for extrapolation. It relies on the reasoning that findings can be generalized or transferred to other settings or groups.
  • The last criterion, authenticity, refers to the extent to which researchers, fairly and faithfully, show a range of realities (Lincoln & Guba, 1985Polit & Beck, 2012)

 

연구자들은 종종 질적 연구 결과의 신뢰도를 손상시키는 문제와 씨름한다. 본 기사에서 설명하는 연구의 목적은 주요 질적 콘텐츠 분석 단계를 기반으로 신뢰도를 설명하고 콘텐츠 분석 연구의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한 체크리스트를 작성하는 것이었다. 가장 중요한 연구 질문은 "각 단계에서 콘텐츠 분석 연구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연구자들에게 필수적인 것은 무엇인가?" 제시된 지식은 초기 연구의 서술적 문헌 검토, 우리 자신의 경험, 방법론적 교과서를 통해 확인되었다. 다음과 같은 키워드를 사용하여 Medline(Ovid)과 CINAHL(EBSCO)의 복합 검색이 수행되었다. 신뢰성, 엄격함 또는 타당성, 질적 컨텐츠 분석.
Researchers often struggle with problems that compromise the trustworthiness of qualitative research findings (de Casterlé, Gastmans, Bryon, & Denier, 2012). The aim of the study described in this article was to describe trustworthiness based on the main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hases, and to compile a checklist for evaluating trustworthiness of content analysis study. The primary research question was, “What is essential for researchers attempting to improve the trustworthiness of a content analysis study in each phase?” The knowledge presented was identified from a narrative literature review of earlier studies, our own experiences, and methodological textbooks. A combined search of Medline (Ovid) and CINAHL (EBSCO) was conducted, using the following key words: trustworthiness, rigor OR validity,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다음은 포함 기준으로 사용되었다: 영어로 출판된 건강과학 분야의 질적 내용 분석에 초점을 맞춘 방법론적 논문이며 연도에 제한이 없다. 이 검색에서는 데이터베이스와 참조 목록 검사에서 12개의 방법론적 내용 분석 기사가 확인되었다. 선정된 논문의 참고목록도 확인했고, 검토 종합서 작성 시 질적 연구방법론 교재가 활용됐다. 이 글의 논의는 내용 분석을 유효하고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보고하는 방법을 명확히 하는 데 도움이 되며, 이는 과학 논문 검토자에게 특히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The following were used as inclusion criteria: methodological articles focused on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n the area of health sciences published in English and with no restrictions on year. The search identified 12 methodological content analysis articles from databases and reference list checks (Cavanagh, 1997; Downe-Wamboldt, 1992; Elo & Kyngäs, 2008; Graneheim & Lundman, 2004; Guthrie, Yongvanich, & Ricceri, 2004; Harwood & Garry, 2003; Holdford, 2008; Hsieh & Shannon, 2005; Morgan, 1993; Potter & Levine-Donnerstein, 1999; Rourke & Anderson, 2004; Vaismoradi, Bondas, & Turunen, 2013). The reference list of selected papers was also checked,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extbooks were used when writing the synthesis of the review. The discussion in this article helps to clarify how content analysis should be reported in a valid and understandable manner, which, we expect, will be of particular benefit to reviewers of scientific articles.

콘텐츠 분석 연구 준비단계에서의 신뢰도
Trustworthiness in the Preparation Phase in Content Analysis Study

문헌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 단계의 주요 신뢰도 이슈는 데이터 수집 방법의 신뢰도, 샘플링 전략, 적절한 분석 단위 선정으로 파악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각 단계에서 콘텐츠 분석 연구의 신뢰도 향상을 시도하는 연구자를 위한 점검표를 작성했다(표 1).

Based on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search, the main trustworthiness issues in the preparation phases were identified as trustworthiness of the data collection method, sampling strategy, and the selection of a suitable unit of analysis. Based on the findings, we have compiled a checklist for researchers attempting to improve the trustworthiness of a content analysis study in each phase (Table 1).

 

데이터 수집 방법
Data Collection Method

데이터 수집의 신뢰성trustworthiness에 대한 입증은 연구의 신뢰성에 관한 연구자의 궁극적인 주장을 뒷받침하는 한 측면이다(Rourke & Anderson, 2004). 내용분석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가장 적절한 데이터 수집 방법의 선택이 필수적이다(Graneheim & Lundman, 2004). 신뢰성credibility은 연구의 초점을 다루며 [데이터가 의도한 초점을 얼마나 잘 설명하는지address]에 대한 자신감를 의미한다(Political & Beck, 2012). 따라서 연구자는 내용분석에 가장 적합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해야 합니다. 내용분석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전략은 관심 있는 연구 질문에 답할 수 있는 [최선의 데이터 수집 방법]을 선택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내용 분석이 사용되는 대부분의 연구에서 수집된 데이터는 비구조적이며, 인터뷰, 관찰, 일기, 기타 서면 문서 또는 다른 방법의 조합과 같은 방법으로 수집된다. 그러나 연구의 목적에 따라 수집된 데이터는 개방적이고 반구조적일 수 있다. 귀납적 내용분석을 사용하는 경우 데이터가 가능한 한 구조화되지 않은 것이 중요하다(Dey, 1993; Neuendorf, 2002).
Demonstration of the trustworthiness of data collection is one aspect that supports a researcher’s ultimate argument concerning the trustworthiness of a study (Rourke & Anderson, 2004). Selection of the most appropriate method of data collection is essential for ensuring the credibility of content analysis (Graneheim & Lundman, 2004). Credibility deals with the focus of the research and refers to the confidence in how well the data address the intended focus (Polit & Beck, 2012). Thus, the researcher should put a lot of thought into how to collect the most suitable data for content analysis. The strategy to ensure trustworthiness of content analysis starts by choosing the best data collection metho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of interest. In most studies where content analysis is used, the collected data are unstructured (Elo & Kyngäs, 2008; Neuendorf, 2002; Sandelowski, 1995b), gathered by methods such as interviews, observations, diaries, other written documents, or a combination of different methods. However, depending on the aim of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may be open and semi-structured. If inductive content analysis is used, it is important that the data are as unstructured as possible (Dey, 1993; Neuendorf, 2002).


신뢰성trustworthiness의 관점에서 핵심 질문은 "사전 구성과 데이터 수집 방법의 관계는 무엇인가, 즉 연구자가 서술형 또는 반구조형 질문을 사용해야 하는가"이다. 오늘날 질적 내용분석은 면담 전사본과 같은 구두 데이터에 가장 자주 적용된다(Schreier, 2012). 서술적 데이터 수집을 하는 경우, 경험의 다양성을 통제하는 것이나, 면접관의 편향과 한 가지 유형의 정보 또는 분석적 관점의 특권을 방지하는 것은 종종 어려울 수 있다(Warr & Pyett, 1999). 예를 들어 "당신은 어떻게 자신을 돌볼 수 있는지 말씀해 주시겠습니까?"와 같은 서술형 질문을 사용할 때, 연구자는 데이터 수집의 목적을 고려하고 이를 위해 데이터를 추출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다만 연구자가 반구조적 데이터 수집 방식을 선택할 경우 참여자의 답변을 지나치게 조종해 귀납적 데이터를 얻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면담 질문을 "비판적 참조 그룹critical reference group"과 연계하여 개발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비판적 참조 그룹은 참여적 행동 연구에 사용되며 연구 및 평가가 주로 이익을 얻기 위한 그룹을 총칭하는 용어이다(Wadsworth, 1998). 면담질문을 이런 집단의 평가에 붙이는 것은 '올바른 방식으로 올바른 질문'을 함으로써 공부한 현상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질문을 구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From the perspective of trustworthiness, a key question is,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refiguration and the data collection method, that is, should the researcher use descriptive or semi-structured questions?” Nowaday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s most often applied to verbal data such as interview transcripts (Schreier, 2012). With descriptive data collection, it can often be challenging to control the diversity of experiences and prevent interviewer bias and the privileging of one type of information or analytical perspective (Warr & Pyett, 1999). For example, when using a descriptive question such as “Could you please tell me, how do you take care of yourself?” the researcher has to consider the aim of data collection and try to extract data for that purpose. However, if the researcher opts for a semi-structured data collection method, they should be careful not to steer the participant’s answers too much to obtain inductive data. It may be useful for the interview questions to be developed in association with a “critical reference group” (Pyett, 2003). Critical reference groups are used in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and is a generic term for those the research and evaluation is intended primarily to benefit (http://www.aral.com.au/ari/p-ywadsworth98.html" data-mce-href="https://journals.sagepub.com/doi/full/10.1177/2158244014522633#">Wadsworth, 1998). Subjecting the interview questions to evaluation by this kind of group may help to construct understandable questions that make better sense of the studied phenomenon by asking the “right questions in the right way.”

신뢰성credibility의 관점에서 연구자의 자기 인식은 필수적이다(Koch, 1994). 사전 면담은 면접 질문이 제안된 연구 질문에 답하는 풍부한 데이터를 얻는 데 적합한지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가 참가자를 조작하거나 이끌었는가?", "너무 광범위하거나 구조적인 질문을 했는가?"와 같은 질문이 연구자 자신의 행동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면밀하게 검토되어야 한다. 이러한 평가는 연구를 시작할 때 시작할 뿐만 아니라 콘텐츠 분석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지속적인 성찰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From the viewpoint of credibility, self-awareness of the researcher is essential (Koch, 1994). Pre-interviews may help to determine whether the interview questions are suitable for obtaining rich data that answer the proposed research questions. Interview tapes, videos, and transcribed text should be examined carefully to critically assess the researcher’s own actions For instance, questions should be asked such as “Did I manipulate or lead the participant?” and “Did I ask too broad or structured questions?” Such evaluation should not only begin at the start of the study but also be supported by continuous reflection to ensure the trustworthiness of content analysis.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정량적 연구 못지않게 정성적 연구에서도 분석방법의 사전검사가 중요하다. 연역적 내용분석 접근 방식을 사용할 경우, 파일럿 단계에서 분류 매트릭스도 사전 테스트해야 한다(Schreier, 2012). 이것은 특히 두 명 이상의 연구원이 코딩에 관여할 때 필수적이다. 시험 코딩에서 연구자들은 독립적으로 새로 개발된 행렬의 코딩(Schreier, 2012)을 시도하고 행렬을 사용하는 데 있어 명백한 어려움과 그들이 다르게 해석한 코딩 단위를 논의한다(Schreier, 2012). 그들의 논의에 기초하여, 필요한 경우 분류 매트릭스가 수정된다.
To manage the data, pre-testing of the analysis method is as important in qualitative as in quantitative research. When using a deductive content analysis approach, the categorization matrix also needs to be pretested in a pilot phase (Schreier, 2012). This is essential, especially when two or more researchers are involved in the coding. In trial coding, researchers independently try out the coding of the newly developed matrix (Schreier, 2012) and then discuss any apparent difficulties in using the matrix (Kyngäs et. al., 2011) and the units of coding they have interpreted differently (Schreier, 2012). Based on their discussion, the categorization matrix is modified, if needed.

 

샘플링 전략
Sampling Strategy

표본 추출 전략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 내 연구를 위한 가장 좋은 표본 추출 방법은 무엇인가요?
  • 내 연구에 가장 적합한 정보원은 누구이며, 참가자를 선정할 때 어떤 기준을 사용해야 합니까?
  • 제 샘플이 적절한가요?
  • 내 데이터가 잘 포화되었습니까?

타당성 기준으로서의 철저성Thoroughness 은 [데이터의 적정성]을 나타내며, 건전한 샘플링과 포화에 의존하기도 한다(Whittemore, Chase, & Mandle, 2001). 정성 연구에 사용되는 샘플링 방법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Creswell, 2013). 우리의 연구에 따르면, 표본 추출 방법은 질적 내용 분석 연구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는다. 질적 연구에서 표본 추출 전략은 보통 연구 결과의 일반화 필요성에 의해가 아니라 방법론과 주제에 기초하여 선택된다(Higginbottom, 2004). 질적 샘플링은 편의적, 목적적, 이론적, 선택적, 사례 내 및 눈덩이 샘플링을 포함한다. 그러나 표본은 적절해야 하며 연구 주제를 가장 잘 대표하거나 알고 있는 참가자로 구성되어야 한다.

From the viewpoint of sampling strategy, it is essential to ask questions such as the following:

  • What is the best sampling method for my study?
  • Who are the best informants for my study and what criteria to use for selecting the participants?
  • Is my sample appropriate?
  • Are my data well saturated?

Thoroughness as a criterion of validity refers to the adequacy of the data and also depends on sound sampling and saturation (Whittemore, Chase, & Mandle, 2001).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sampling method used in qualitative studies (Creswell, 2013). Based on our research, the sampling method is rarely mentioned in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studies (Kyngäs et. al., 2011). In qualitative research, the sampling strategy is usually chosen based on the methodology and topic, and not by the need for generalizability of the findings (Higginbottom, 2004). Types of qualitative sampling include convenience, purposive, theoretical, selective, within-case and snowball sampling (Creswell, 2013; Higginbottom, 2004; Polit & Beck, 2012). However, the sample must be appropriate and comprise participants who best represent or have knowledge of the research topic.

내용분석 연구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목적적 샘플링이다. 의도적 샘플링은 연구자가 연구 주제에 관한 최고의 지식을 가진 정보 제공자에게 관심이 있는 질적 연구에 적합하다. 목적적 샘플링을 사용할 경우, 샘플링을 누가 또는 무엇이 샘플링되는지, 어떤 형태를 취해야 하는지, 그리고 얼마나 많은 사람이나 사이트를 샘플링해야 하는지에 대한 결정을 내려야 한다(Creswell, 2013). 그러나 목적적 표본 추출의 단점은 완전한 세부사항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 독자가 표본 추출의 신뢰도를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자는 어떤 유형의 목적적 샘플링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지 결정해야 하며(Creswell, 2013) 표본 추출 방법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제공되어야 한다.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in content analysis studies is purposive sampling (Kyngäs, Elo, Pölkki, Kääriäinen, & Kanste, 2011): purposive sampling is suitable for qualitative studies where the researcher is interested in informants who have the best knowledge concerning the research topic. When using purposeful sampling, decisions need to be made about who or what is sampled, what form the sampling should take, and how many people or sites need to be sampled (Creswell, 2013). However, a disadvantage of purposive sampling is that it can be difficult for the reader to judge the trustworthiness of sampling if full details are not provided. The researcher needs to determine which type of purposeful sampling would be best to use (Creswell, 2013), and a brief description of the sampling method should be provided.



Dependability 데이터의 시간과 다른 조건에 따라 안정성을 말한다. 따라서 다른 맥락으로의 결과 전이가능성transferability을 평가할 수 있도록 [참가자를 선정할 때 사용하는 원칙과 기준을 명시]하고, [참가자의 주요 특성을 상세히 기술]하는 것이 중요하다. 곧,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여자와 같은 맥락에서 조사 결과가 복제된다면 반복될 것인가"라는 것이 주된 질문이다. 신뢰성을 확립하기 위한 링컨과 구바의 1985년 기준에 따르면, 연구자들은 연구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정확하게 식별되고 설명되도록 해야 한다.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에서 다른 샘플링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Dependability refers to the stability of data over time and under different condition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tate the principles and criteria used to select participants and detail the participants’ main characteristics so that the transferability of the results to other contexts can be assessed (e.g., see Moretti et al., 2011). The main question is then, “Would the findings of an inquiry be repeated if it were replicated with the same or similar participants in the same context (Lincoln & Guba, 1985; Polit & Beck, 2012)?” According to Lincoln and Guba’s (1985) criteria for establishing credibility, researchers must ensure that those participating in research are identified and described accurately. To gather credible data, different sampling methods may be required in different studies.

내용물 분석 연구의 신뢰성credibility을 보장하기 위해 가장 [적절한 표본 크기]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Graneheim & Lundman, 2004). 표본이 적절한지 평가할 때 표본 크기에 대한 정보는 필수적이다. 최적의 표본은 연구의 목적, 연구 질문 및 데이터의 풍부함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질적 연구에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표본 크기는 없다. 질적 내용 분석에서는 연구 참가자의 동질성 또는 그룹 간에 예상되는 차이를 평가한다. 예를 들어, 주택 거주 노인의 웰빙과 부양적 신체환경 특성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이질적인 데이터를 생성할 가능성이 높으며 예를 들어 85세 이상의 노인이나 농촌에 거주하는 노인만 연구하는 것보다 더 많은 참여자가 필요할 수 있다.
Selection of the most appropriate sample size is important for ensuring the credibility of content analysis study (Graneheim & Lundman, 2004). Information on the sample size is essential when evaluating whether the sample is appropriate. There is no commonly accepted sample size for qualitative studies because the optimal sample depends on the purpose of the study, research questions, and richness of the data. In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homogeneity of the study participants or differences expected between groups are evaluated (Burmeister, 2012; Sandelowski, 1995a). For example, a study on the well-being and the supportive physic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home-dwelling elderly is likely to generate fairly heterogeneous data and may need more participants than if restrictions are applied, for example, studying only elderly aged above 85 years or those living in rural areas.

데이터의 포화도가 최적의 표본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고 제안되었다(Guthrie 등, 2004; Sandelowski, 1995a). 정의에 따라, 포화된 데이터는 범주 내 복제를 보장하며, 이는 다시 이해와 완전성을 검증하고 보장합니다. 데이터의 포화가 불완전하면 데이터 분석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항목 간 연동을 방해할 수 있다(Cavanagh, 1997). 잘 포화된 데이터는 분류와 추상화를 용이하게 한다. 데이터가 최소한 사전 수집과 분석이 동시에 이뤄지면 포화 상태를 인지하기가 더 쉽다. 모든 데이터가 먼저 수집되고 나중에 분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리는 예를 들어 몇 번의 인터뷰 후에 예비 분석을 시작할 것을 권고한다. 포화도가 달성되지 않으면 데이터를 그룹화하고 개념을 만드는 것이 종종 어려워 완전한 분석을 방해하고 단순화된 결과를 생성한다(Harwood & Garry, 2003; Weber, 1990).

It has been suggested that saturation of data may indicate the optimal sample size (Guthrie et al., 2004; Sandelowski, 1995a). By definition, saturated data ensure replication in categories, which in turn verifies and ensures comprehension and completeness (Morse, Barrett, Mayan, Olson, & Spiers, 2002). If the saturation of data is incomplete, it may cause problems in data analysis and prevent items being linked together (Cavanagh, 1997). Well-saturated data facilitates its categorization and abstraction. It is easier to recognize when saturation is achieved if data are at least preliminarily collected and analyzed at the same time (Guthrie et al., 2004; Sandelowski, 1995a, 2001). It is common that all data are first collected and then analyzed later. We recommend that preliminary analysis should start, for example, after a few interviews. When saturation is not achieved, it is often difficult to group the data and create concepts (Elo & Kyngäs, 2008; Guthrie et al., 2004; Harwood & Garry, 2003), preventing a complete analysis and generating simplified results (Harwood & Garry, 2003; Weber, 1990).

 

적합한 분석 단위 선정
Selection of a Suitable Unit of Analysis

데이터 수집의 성공 여부는 [특정 연구 질문 및 연구 목적]과 관련하여 평가되어야 합니다. 준비 단계에는 [적절한 분석 단위 선정]도 수반되는데, 이는 내용분석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도 중요하다. 예를 들어, [의미 단위]는 글자, 단어, 페이지의 문장 부분 또는 단어가 될 수 있다(롭슨, 1993) 분석 단위가 너무 넓으면 관리가 어렵고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의미 단위를 너무 좁히면 조각화될 수 있습니다. 가장 적합한 분석 단위는 [전체라고 보기에 충분히 크지만, 분석 과정 동안 관련 의미 단위가 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작은 것]이다. 분석 프로세스를 보고할 때 의미 단위를 충분히 기술하여 독자들이 분석의 신뢰도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Graaneheim & Lundman, 2004). 그러나 이전 과학 논문에서 분석 단위는 종종 부적절하게 설명되어 사용된 의미 단위가 얼마나 성공적이었는지 평가하기 어려웠다(Kyngás 등, 2011).
The success of data collection should be assessed in relation to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nd study aim. The preparation phase also involves the selection of a suitable unit of analysis, which is also important for ensuring the credibility of content analysis. The meaning unit can, for example, be a letter, word, sentence portion of pages, or words (Robson, 1993). Too broad a unit of analysis will be difficult to manage and may have various meanings. Too narrow a meaning unit may result in fragmentation. The most suitable unit of analysis will be sufficiently large to be considered as a whole but small enough to be a relevant meaning unit during the analysis process. It is important to fully describe the meaning unit when reporting the analysis process so that readers can evaluate the trustworthiness of the analysis (Graneheim & Lundman, 2004). However, in previous scientific articles, the unit of analysis has often been inadequately described, making it difficult to evaluate how successful was the meaning unit used (Kyngäs et al., 2011).

내용분석 연구에서의 조직 단계의 신뢰도
Trustworthiness of Organization Phase in Content Analysis Study


모레티 외 연구진(2011)에 따르면, 질적 연구의 장점은 수집된 데이터가 풍부하다는 것이며, 그러한 데이터는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해석되고 코딩되어야 한다. 다음 섹션에서는 조직organization 단계와 관련된 신뢰도 문제에 대해 논의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범주가 잘 만들어졌는지, 해석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분석의 신뢰도는 어떻게 점검할 것인지 등을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According to Moretti et al. (2011), the advantage of qualitative research is the richness of the collected data and such data need to be interpreted and coded in a valid and reliable way. In the following sections, we discuss trustworthiness issues associated with the organization phase. In this phase, it is essential to consider whether the categories are well created, what the level of interpretation is, and how to check the trustworthiness of the analysis.

조직 단계의 일환으로 [개념이나 범주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대한 설명이 제공되어 연구의 신뢰도를 나타내야 한다. 특히 연구자가 데이터를 추출하지 않았거나 너무 많은 유형의 항목이 함께 분류된 경우 개념과 개념의 생성 방법을 설명하는 것은 종종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지나치게 많은 수의 개념]은 일반적으로 연구자가 데이터를 그룹화하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즉, 추상화 과정이 불완전하고 범주도 겹칠 수 있다(Kyngäs 등, 2011). 이 경우, 연구자들은 범주 내에서의 유사성과 범주 간의 차이를 식별하기 위해 그룹화를 계속해야 합니다. 

As part of the organization phase, an explanation of how the concepts or categories are created should be provided to indicate the trustworthiness of study. Describing the concepts and how they have been created can often be challenging, which may hinder a complete analysis, particularly if the researcher has not abstracted the data, or too many different types of items have been grouped together (Dey, 1993; Hickey & Kipping, 1996). In addition, a large number of concepts usually indicates that the researcher has been unable to group the data, that is, the abstraction process is incomplete, and categories may also overlap (Kyngäs et al., 2011). In this case, the researcher must continue the grouping to identify any similarities within and differences between categories.

Graneheim과 Lundman(2004)에 따르면, 질적 내용 분석 결과의 신뢰성에 대해 논의할 때 필수적인 고려사항은 텍스트에 접근할 때 어느 정도의 해석이 항상 있다는 것이다. 모든 연구자는 조직 단계의 신뢰성credibility과 적합성Conformability을 확인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조사 결과의 적합성Conformability은 데이터가 참여자가 제공한 정보를 정확하게 나타내는 것이며, 연구자에 의해서 발명invented 된 것이 아님을 의미한다(Political & Beck, 2012). 이는 연구자가 명백한manifest 내용에 추가하여 잠재된latent 내용(침묵, 한숨, 웃음, 자세 등)을 분석하기로 결정한 경우 특히 중요하다(Elo & Kyngäs, 2008). 데이터의 포괄성을 높이고 건전한 해석을 제공하기 위해 한 명 이상이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연역적 데이터 분석에 둘 이상의 코더가 관여하는 경우 높은 인터코더 신뢰성(ICR)이 필요하다. Burla, Knierim, Barth, Duetz 및 Abel(2008)은 질적 내용 분석에서 코드화를 개선하기 위해 ICR 평가를 사용하는 방법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분류 행렬이나 코딩 방식에 기반한 연역적 내용 분석을 사용할 때 유용합니다.

According to Graneheim and Lundman (2004), an essential consideration when discussing the trustworthiness of findings from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s that there is always some degree of interpretation when approaching a text. All researchers have to consider how to confirm the credibility and conformability of the organization phase. Conformability of findings means that the data accurately represent the information that the participants provided and the interpretations of those data are not invented by the inquirer (Polit & Beck, 2012).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if the researcher decides to analyze the latent content (noticing silence, sighs, laughter, posture etc.) in addition to manifest content (Catanzaro, 1988; Robson, 1993) as it may result in over interpretation (Elo & Kyngäs, 2008). It is recommended that the analysis be performed by more than one person to increase the comprehensivity and provide sound interpretation of the data (Burla et al., 2008; Schreier, 2012). However, high intercoder reliability (ICR) is required when more than one coder is involved in deductive data analysis (Vaismoradi et al., 2013). Burla, Knierim, Barth, Duetz, and Abel (2008) have demonstrated how ICR assessment can be used to improve coding in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is is useful when using deductive content analysis, which is based on a categorization matrix or coding scheme.

다만 두 명 이상의 연구자가 [귀납적 내용 분석]을 할 경우 신뢰도를 어떻게 점검해야 하는지에 대한 권고안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우리는 한 명의 연구원이 분석을 담당하고 다른 연구원들이 전체 분석 과정과 분류를 세심하게 추적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후에 모든 연구자들이 모여 앞에서 언급한 시범 단계와 같이 분류와 관련된 다양한 의견을 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우리의 연구에서는, 두 명의 연구원이 분석의 적절성을 확인하고 가능한 보완을 요청했다(Kyngás 등, 2011).
However, there are no published recommendations on how the trustworthiness should be checked if the inductive content analysis is conducted by two or more researcher. Our suggestion is that one researcher is responsible for the analysis and others carefully follow-up on the whole analysis process and categorization. All the researchers should subsequently get together and discuss any divergent opinions concerning the categorization, like in the pilot phase mentioned earlier. For example, in one of our studies, two research team members checked the adequacy of the analysis and asked for possible complements (Kyngäs et al., 2011).


한 연구(Kyngäs 등, 2011)는 특히 [귀납적 내용분석]을 사용할 때 가장 흔히 데이터가 한 명의 연구자에 의해 분석된다고 제안했다. 이 경우 데이터 전체의 대표성representativeness을 확인함으로써 분석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다(Thomas & Magilvy, 2011). Pyett(2003)에 따르면, 우수한 질적 연구자는 해석이 데이터에 사실인지와 식별된 특징들이 다른 인터뷰를 통해 입증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계속해서 데이터로 돌아가게 되며], 이렇게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작업을 피할 수 없다. 안면 타당도는 연구의 신뢰도를 추정하는 데에도 사용되어 왔다. 이 경우, 결과는 연구 주제에 익숙한 사람들에게 제시되고, 그들은 그 결과가 현실과 일치하는지 평가한다. 연역적 접근법을 사용하는 경우, 이중 코딩은 종종 분류 매트릭스의 품질을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슈라이어(2012)에 따르면, 코드 정의가 명확하고 하위 범주가 겹치지 않는 경우, 두 라운드의 독립성 코딩은 대략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생성해야 한다.

One study (Kyngäs et al., 2011) has suggested that data are most often analyzed by one researcher, especially when using inductive content analysis. In such a case, the credibility of the analysis can be confirmed by checking for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data as a whole (Thomas & Magilvy, 2011). According to Pyett (2003), a good qualitative researcher cannot avoid the time-consuming work of returning again and again to the data, to check whether the interpretation is true to the data and the features identified are corroborated by other interviews. Face validity has also been used to estimate the trustworthiness of studies (Cavanagh, 1997; Downe-Wamboldt, 1992; Hickey & Kipping, 1996). In this case, the results are presented to people familiar with the research topic, who then evaluate whether the results match reality. If the deductive approach is used, double-coding often helps to assess the quality of categorization matrix. According to Schreier (2012), if the code definitions are clear and subcategories do not overlap, then two rounds of independence coding should produce approximately the same results.

공동 연구자들 사이의 대화의 가치는 종종 강조되어 왔으며, [참여자의 연구 결과]에 대한 인식은 신뢰도 또는 적합성credibility or conformability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고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이 작업은 주의하여 수행하도록 권고되었다(Ryan-Nicholls & Will, 2009). 일부 연구는 참가자들이 자신의 경험에 충실하기 위해 연구 결과를 확인하는 [멤버 체크]를 사용한다. 비록 링컨과 구바(1985)가 멤버 체크를 데이터 분석 동안 연속적인 과정으로 설명했지만(예: 참가자들에게 가상의 상황에 대해 질문함으로써), 연구자들은 대체로 멤버 체크를 참가자들과 전체적인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해 왔다. 결과를 원래 참석자에게 돌려 검증하는 것이 매력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확립된 검증 전략은 아니다. 여러 방법론자들은 연구의 [독자, 참여자 또는 잠재적 사용자가 분석이 정확하다고 판단하는지의 여부에 기초하는 검증]을 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이것이 오히려 타당도 위협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Morse 등, 2002). Pyett (2003)은 연구 참가자들이 자신의 행동과 동기를 항상 이해하는 것은 아니며, 연구자들은 논증에 비판적 이해를 적용해야 할 더 많은 역량과 학문적 의무가 있다고 주장했다.
The value of dialogue among co-researchers has often been highlighted and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participant’s recognition of the findings can also be used to indicate the credibility or conformability (Graneheim & Lundman, 2004; Saldaña, 2011). However, it has been recommended that this be undertaken with caution (Ryan-Nicholls & Will, 2009). Some studies have used member checks, whereby participants check the research findings to make sure that they are true to their experiences (Holloway & Wheeler, 2010; Koch, 1994; Saldaña, 2011; Thomas & Magilvy, 2011). Although Lincoln and Guba (1985) have described member checks as a continuous process during data analysis (e.g., by asking participants about hypothetical situations), it has largely been interpreted and used by researchers for verification of the overall results with participants. Although it may seem attractive to return the results to the original participants for verification, it is not an established verification strategy. Several methodologists have warned against basing verification on whether readers, participants, or potential users of the research judge the analysis to be correct, stating that it is actually more often a threat to validity (Morse et al., 2002). Pyett (2003) has argued that the study participants do not always understand their own actions and motives, whereas researchers have more capacity and academic obligation to apply critical understanding to accounts.

내용분석 신뢰도 관점에서 보고 단계
Reporting Phase From the Viewpoint of Content Analysis Trustworthiness

글쓰기는 어떤 것을 사라지게 했다가 다시 단어에 나타나게 합니다. 이것은 간호과학에서와 같이 풍부한 데이터 집합에서 항상 달성하기 쉬운 것은 아니다. 글쓰기의 문제는 모든 표현을 벗어날 수 있는 현상을 정확하게 단어로 표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van Manen, 2006). Holdford(2008)에 따르면, 내용분석의 분석 및 보고 구성요소는 [의미 있고 유용한 방법으로 독자가 발견을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그러나 정성 연구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보고서에 연구 결과를 제시하는 것에는 거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Sandelowski & Leeman, 2011). 다음 섹션에서는 보고 결과, 방법 및 분석 프로세스와 관련된 신뢰도 문제에 대해 논의한다.
Writing makes something disappear and then reappear in words. This is not always easy to achieve with rich data sets, as encountered in nursing science. The problem with writing is that phenomena that may escape all representation need to be accurately represented in words (van Manen, 2006) According to Holdford (2008), the analysis and reporting component of content analysis should aim to make sense of the findings for readers in a meaningful and useful way. However,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qualitative studies: the presentation of findings in the reports (Sandelowski & Leeman, 2011). In the next sections, we discuss trustworthiness issues associated with the reporting results, methods, and analysis process.

결과 보고
Reporting Results

내용분석 결과 보고는 특히 전이가능성, 적합성 및 신뢰성transferability, conformability, and credibility과 관련이 있습니다. 결과는 체계적이고 신중하게 보고되어야 하며, 데이터와 결과 사이의 연관성이 보고되는 방법에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러나 결과를 체계적으로 보고하는 것은 종종 어려울 수 있다(Kyngäs 등, 2011). 보고 결과의 문제는 분석 실패의 결과일 수도 있고, 추상화 과정을 설명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있다. 왜냐하면, 추상화 과정이란 부분적으로 연구자의 통찰력이나 직관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Reporting results of content analysis is particularly linked to transferability, conformability, and credibility. Results should be reported systematically and carefully, with particular attention paid to how connections between the data and results are reported. However, the reporting of results systematically can often be challenging (Kyngäs et al., 2011). Problems with reporting results can be a consequence of unsuccessful analysis (Dey, 1993; Elo & Kyngäs, 2008) or difficulties in describing the process of abstraction because it in part depends on the researcher’s insight or intuitive action, which may be difficult to describe to others (Elo & Kyngäs, 2008; Graneheim & Lundman, 2004).

내용분석에 의해 만들어진 개념의 내용과 구조는 명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전체 결과의 개요를 제공하기 위해 수치를 제공하는 것이 종종 유용합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분석 과정을 통해 어떤 연구 현상들이 개념화되는지 지시한다. 그러나 개념conception은 목적이 다양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이 연구의 목적은 단지 개념을 식별하는 것일 수 있다.
  • 반대로, 모델을 구성하는 것이 목표라면, 결과는 개념, 계층 구조 및 가능한 연결의 개요를 설명하는 모델로 제시되어야 한다.

내용 분석 그 자체에는 개념을 연결하는 기술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결과의 구조가 동등하고 목표와 연구 질문에 답하도록 하는 것이 주요 고려사항이다.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concepts created by content analysis should be presented in a clear and understandable way. It is often useful to provide a figure to give an overview of the whole result. The aim of the study dictates what research phenomena are conceptualized through the analysis process. However, conception may have different objectives. For example, the aim of the study may be merely to identify concepts. In contrast, if the aim is to construct a model, the results should be presented as a model outlining the concepts, their hierarchy, and possible connections. Content analysis per se does not include a technique to connect concepts (Elo & Kyngäs, 2008; Harwood & Garry, 2003). The main consideration is to ensure that the structure of results is equivalent and answers the aim and research questions.

신뢰성trustworthiness의 관점에서, 주요 질문은 "독자가 결과의 전이가능성transferability을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가?"이다. 전이가능성은 연구 결과가 다른 설정이나 그룹으로 전달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코치, 1994; 폴리티 & 벡, 2012). 저자들은 전이가능성에 대한 제안을 할 수도 있지만, 보고된 결과가 다른 맥락으로 전달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궁극적으로 독자의 판단에 달려 있다(그래인하임 & 런드먼, 2004). 이는 고품질 결과를 보장하고 분석 프로세스를 보고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참가자들의 문화, 맥락, 선정, 특징 등을 명쾌하게 서술하는 것도 가치가 있다. 독자가 대체 해석을 찾을 수 있는 방식으로 결과가 제시되면 신뢰성이 높아진다(그래인하임 & 룬드먼, 2004). 우리는 질적 방법이 민감한 해석 능력과 연구자의 창의적인 재능을 필요로 한다는 반 마넨(2006)의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따라서 과학적인 글쓰기는 다른 사람의 분석 결과를 쓰고 비교함으로써 향상되어야 하는 기술입니다.

From the perspective of trustworthiness, the main question is, “How can the reader evaluate the transferability of the results?” Transferability refers to the extent to which the findings can be transferred to other settings or groups. (Koch, 1994; Polit & Beck, 2012). Authors may offer suggestions about transferability, but it is ultimately down to the reader’s judgment as to whether or not the reported results are transferable to another context (Graneheim & Lundman, 2004). Again,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nsuring high quality results and reporting of the analysis process. It is also valuable to give clear descriptions of the culture, context, sel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Trustworthiness is increased if the results are presented in a way that allows the reader to look for alternative interpretations (Graneheim & Lundman, 2004). We fully agree with van Manen (2006) that qualitative methods require sensitive interpretive skills and creative talents from the researcher. Thus, scientific writing is a skill that needs to be enhanced by writing and comparing others’ analysis results.

결과의 신뢰도를 나타내기 위해 인용문의 사용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적합성Conformability 은 [객관성]을 가리키며, [참가자들이 제공한 정보와 그 데이터에 대한 해석이 질문자에 의해 발명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연구 결과는 [연구자의 편견, 동기 또는 관점]이 아닌 [참여자의 목소리와 연구 조건]을 반영해야 한다. 저자들이 특히 데이터와 결과 사이의 연관성을 보여주기 위해 대표적인 인용구를 자주 제시하는 한 가지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Graneheim & Lundman, 2004). 예를 들어, 각각의 주요 개념은 인용문에 의해 데이터에 연결되어야 합니다. 가능한 한 많은 참여자들이 인용한 예들은 데이터의 풍부함뿐만 아니라 결과와 데이터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다만 인용문의 체계적 사용은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상적으로, 인용문은 최소한 모든 주요 개념과 연결되어 있고 표본의 광범위한 대표성을 갖는 것을 선택해야 한다. 다만 인용구가 과도하게 사용돼 분석을 약화시킬 위험이 있다. 예를 들어, 결과 섹션에서 따옴표가 너무 많이 사용된 경우 분석 결과가 불분명할 수 있습니다.
It has been argued that the use of quotations is necessary to indicate the trustworthiness of results (Polit & Beck, 2012; Sandelowski, 1995a). Conformability refers to objectivity and implies that the data accurately represent the information that the participants provided and interpretations of those data are not invented by the inquirer. The findings must reflect the participants’ voice and conditions of the inquiry, and not the researcher’s biases, motivations, or perspectives (Lincoln & Guba, 1985; Polit & Beck, 2012) This is one reason why authors often present representative quotations from transcribed text (Graneheim & Lundman, 2004), particularly to show a connection between the data and results. For example, each main concept should be linked to the data by a quotation. Examples of quotations from as many participants as possible help confirm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sults and data as well as the richness of data. However, the systematic use of quotations needs careful attention. Ideally, quotations should be selected that are at least connected to all main concepts and widely representative of the sample. However, there is a risk that quotations may be overused, thus weakening the analysis (Downe-Wamboldt, 1992; Graneheim & Lundman, 2004, Kyngäs et. al., 2011). For example, if quotations are overused in the Results sec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may be unclear.

Sheh와 Shannon(2005)에 따르면, 중요한 문제는 [맥락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해 주요 범주를 식별하는 데 실패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findings은 데이터를 정확하게 나타내지 못한다. 신뢰성trustworthiness과 특히 결과의 신뢰성credibility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범주가 데이터를 얼마나 잘 다루는지] 평가하고, [범주 내 유사성과 차이점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분석 추상화 과정을 완료하지 못하는 것은 개념이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결과로 제시되어 지나치게 단순한 결론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Harwood & Garry, 2003; Weber, 1990). 불완전한 분석은 분석 결과를 보고하기보다는 일상적인 표현이나 응답자의 진술 및 그들의 의견의 반복을 포함할 수 있다(Kyngás et al., 2011).
According to Hsieh and Shannon (2005), an important problem is failure to develop a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resulting in failure to identify the key categories. In such a case, findings do not accurately represent the data. To ensure the trustworthiness and especially credibility of the results, it is important to evaluate how well categories cover the data and identify whether there are similarities within and differences between categories. In addition, failure to complete the analysis abstraction process may mean that concepts are presented as results that are not mutually exclusive, leading to oversimplistic conclusions (Harwood & Garry, 2003; Weber, 1990). An incomplete analysis may involve the use of everyday expressions or repetition of respondents’ statements and/or their opinions rather than report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Kyngäs et al., 2011).

분석 프로세스 보고
Reporting the Analysis Process

[분석에 대한 완전한 설명]과 [개념의 논리적 사용에 대한 설명] 없이는 결과가 어떻게 생성되었는지와 그 신뢰도를 평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Guthrie 등, 2004). [분석에 대한 정확한 설명]과 [결과와 원본 데이터 간의 관계]를 통해 독자는 결과의 신뢰성에 관한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간호과학에서는 지난 10년 동안 책과 과학 기사에 게재된 내용 분석과 관련된 방법들이 상당히 증가했다. 이것은 내용 분석 과정에 대한 보고서의 품질을 향상시켰을 수 있다. 이제 연구의 분석, 결과 및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에 더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결과적으로, 이것은 독자들이 연구의 신뢰도를 더 쉽게 평가할 수 있게 한다.
Without a full description of the analysis and logical use of concepts, it is impossible to evaluate how the results have been created and their trustworthiness (Guthrie et al., 2004). An accurate description of the analysi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ults and original data allow readers to draw their own conclusions regarding the trustworthiness of the results. In nursing science, the number of methods concerning content analysis published in books and scientific articles has increased considerably over the last decade (Elo & Kyngäs, 2008; Harwood & Garry, 2003; Hsieh & Shannon, 2005; Neuendorf, 2002; Schreier, 2012). This may have led to improvements in the quality of reports on the process of content analysis. More attention is now paid to descriptions of the analysis, results, and how to evaluate the trustworthiness of studies. Consequently, this makes it easier for readers to evaluate the trustworthiness of studies.

최초 연구자가 사용한 [의사결정 흔적을 다른 연구자가 쉽게 따라갈 수 있다면] 연구의 신뢰성dependability이 높다(Thomas & Magilvy, 2011). 휘트모어 외 연구진(2001)은 생생함vividness는 데이터에서 두드러진 주제를 강조하는 풍부하고, 생생하고, 충실하고, 기교적인 묘사의 제시를 수반한다고 주장했다. 분석 프로세스는 조사 결과를 제시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에 관계없이, 적절한 방식으로 보고되어야 한다. 내용 분석의 신뢰성trustworthiness을 보장하기 위해 연구 보고서에 신뢰성credibility을 입증하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 모노그래프 연구 보고서는 분석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분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수치, 표 및 첨부의 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우리의 경험에 따르면, 분석 과정에 대한 설명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독자로서 결과의 신뢰성에 대한 평가는 종종 어려울 수 있다. 저널 기사는 일반적으로 내용 분석 과정을 설명하기 보다는 결과에 초점을 맞춘다. 질적 내용분석의 활용은 방법론 부분에서 간략하게 언급될 뿐이어서 독자들이 그 과정을 평가하기가 쉽지 않은 경우가 많다. 중요한 질문은, "연구논문에서 신뢰성은 얼마나 자세히 제시되어야 하는가?"—특히 단어 제한이 적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The dependability of a study is high if another researcher can readily follow the decision trail used by the initial researcher (Thomas & Magilvy, 2011). Whittemore et al. (2001) have argued that vividness involves the presentation of rich, vivid, faithful, and artful descriptions that highlight the salient themes in the data. The analysis process should be reported in an adequate manner regardless of the methods used to present the findings (see Moretti et al., 2011). Steps should be taken to demonstrate credibility in research reports to ensure the trustworthiness of the content analysis. Monograph research reports facilitate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analysis process and the use of figures, tables, and attachments to explain the categorization process. Based on our experiences, evaluation of the trustworthiness of results as a reader can often be difficult because of insufficient description of the analysis process (Kyngäs et. al., 2011). Journal articles generally focus on the results rather than describing the content analysis process. All too often, the use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s only briefly mentioned in the methodology section, making it hard for readers to evaluate the process. A key question is, “In what detail should trustworthiness be presented in scientific articles?”—particularly as word limits often apply.

내용분석 결과를 보고할 때 사진이 말보다 더 명확하게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 특히 개념 분석의 목적과 과정을 설명할 때, 콘텐츠 분석 결과를 보고할 때 수치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념이나 범주의 계층 구조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은 분석 과정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결과를 보고한 후 분석의 신뢰성에 대한 논의를 제공해야 한다. 그것은 각 질적 내용 분석 단계에 대해 논리적으로 따르는 일련의 정의된 기준에 근거해야 합니다.

The fact that pictures may convey results more clearly than words should be borne in mind when reporting content analysis findings. The use of figures can be highly effective when reporting content analysis findings, especially when explaining the purpose and process of the analysis and structure of concepts. Very often, these aspects can be shown in the same figure, for example, a diagram that illustrates the hierarchy of concepts or categories may also give an insight into the analysis process (see, for example, Timlin, Riala, & Kyngäs, 2013). After reporting the results, a discussion of the trustworthiness of the analysis should be provided. It should be based on a defined set of criteria that are followed logically for each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hase.

논의
Discussion

이 글의 주요 목적은 질적 콘텐츠 분석 연구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논의하고 강조하는 것이었다. 여기서 사용된 문헌평은 체계적인 평론이 아니어서 몇 가지 제약이 있다. 첫째, 우리는 이것이 신뢰성에 대한 완전한 설명이 아니며 일부 요점이 누락되었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예를 들어, 언어 제한이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습니다. 
다른 언어의 연구들은 우리의 설명에 새로운 정보를 더했을지도 모른다. 과학저널의 내용분석 보고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즉 연구자들이 질적 콘텐츠 분석 연구의 신뢰도를 보고할 때 강조했던 것과 신뢰도 기준이 이러한 연구에 의해 어떻게 해석되어 왔는지를 검토하기 위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이는 질적 내용분석에서 신뢰성에 대한 보다 완전한 설명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번 방법론 논문은 내용분석법을 사용한 경험이 풍부한 여러 저자들이 작성한 것이다. 여기에 석박사 학생들의 연구자, 교사, 감독자로서의 저자들의 경험도 우리의 논의에 힘을 실어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discuss and highlight factors affecting trustworthiness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studies. The literature review used here was not a systematic review, so there are some limitations. First, we recognize that this is not a full description of trustworthiness and some points may be missing. For example, the language restrictions may have influenced the findings; research studies in other languages might have added new information to our descript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reporting of content analysis in scientific journals, that is, to examine what researchers have emphasized when reporting the trustworthiness of their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study, and how criteria of trustworthiness have been interpreted by those studies. This may help to develop a more complete description of trustworthiness in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However, the present methodological article was written by several authors who have extensive experience in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In addition, the authors’ experience as researchers, teachers, and supervisors of master’s and doctoral students lends weight to our discussion.

Holloway와 Wheeler(2010)는 연구자들이 종종 질적 연구의 신뢰도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합의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고 말했다. 이 글의 목적은 데이터 수집과 결과 보고의 관점에서 질적 내용분석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질적 연구자들은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체계적이고 잘 조직되어야 한다(Saldana, 2011). 슈라이어(2012)에 따르면, 내용 분석은 다음과 같아야 체계적이다.

  • 모든 관련 소재가 고려할 경우
  • 분석 과정에서 일련의 단계를 따를 경우
  • 연구자는 코딩의 일관성을 확인할 경우

본 논문에서 제시된 정보는 내용분석의 사용 및 개발에 대한 중요한 문제를 제기합니다. 프로세스의 모든 단계(준비, 조직, 보고)에 대해 철저히 문서화되면 신뢰도 기준의 모든 측면이 향상된다.

Holloway and Wheeler (2010) have stated that researchers often have difficulty in agreeing on how to judge the trustworthiness of their qualitative study. The aim of this article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rustworthiness from the viewpoint of data collection and reporting of results. Qualitative researchers are advised to be systematic and well organized to enhance the trustworthiness of their study (Saldaña, 2011). According to Schreier (2012), content analysis is systematic because

  • all relevant material is taken into account,
  • a sequence of steps is followed during the analysis, and
  • the researcher has to check the coding for consistency.

The information presented here raises important issues about the use and development of content analysis. If the method is thoroughly documented for all phases of the process (preparation, organization, and reporting), all aspects of the trustworthiness criteria are increased.

분석 방법을 선택하기에 앞서 연구자는 대상 연구 질문에 가장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고, 내용분석을 활용하기에 [데이터 풍부성이 충분한지] 고려해야 한다. 그 방법을 사용하기 전에, 연구자는 질문을 해야 한다. "이 방법이 목표 연구 질문에 가장 잘 대답할 수 있는 방법입니까?" 어떤 분석 방법에도 단점이 없지만, 각각은 특정한 목적을 위해 좋을 수 있다. 강력한 분석 절차를 사용하면 연구의 신뢰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데이터 분석을 시작하기 전에 내용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할 접근방식을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Hsieh & Shannon, 2005).

Before choosing an analysis method, the researcher should select the most suitable method for answering the target research question and consider whether the data richness is sufficient for using content analysis. Prior to using the method, the researcher should ask the question, “Is this method the best available to answer the target research question?” No analysis method is without drawbacks, but each may be good for a certain purpose. It is essential for researchers to delineate the approach they are going to use to perform content analysis before beginning the data analysis because the use of a robust analytic procedure will increase the trustworthiness of the study (Hsieh & Shannon, 2005).

질적 내용 분석은 문서 자료를 분석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이것은 그 방법을 사용하여 광범위한 품질에 걸친 결과를 얻었음을 의미한다. 내용분석은 이를 이용하는 연구자들이 데이터의 신뢰성에 대한 강력한 근거를 만들어야 하는 방법론이다. 모든 finding은 가능한 한 신뢰할 수 있어야 하며, 연구는 소견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 절차와 관련하여 평가되어야 한다(Graneheim & Lundman, 2004). 많은 연구에서 내용 분석은 [설문지의 개방형 질문에 대한 답변]을 분석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Kyngäs 등, 2011). 그러나 이러한 답변은 종종 너무 간단하여 콘텐츠 분석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어렵다. 환원reduction, 그룹화, 추상화에는 풍부한 데이터가 필요하다. 또한 그동안 논문은 연구에서 얻은 질적 데이터보다는 정량적 데이터의 분석을 주로 보도하는 데 초점을 맞췄기 때문에 신뢰도를 평가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이것이 결과의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는 추측만 할 수 있다. 다만 연구자가 내용 분석을 통해 개방형 질문에 대한 답을 분석할 경우 독자가 쉽게 신뢰도를 평가할 수 있도록 적절한 설명을 제공해야 한다. 내용 분석은 또한 개방형 질문에 대한 답을 분석하기 위해 정량적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s a popular method for analyzing written material. This means that results spanning a wide range of qualities have been obtained using the method. Content analysis is a methodology that requires researchers who use it to make a strong case for the trustworthiness of their data (Potter & Levine-Donnerstein, 1999; Sandelowski, 1995a). Every finding should be as trustworthy as possible, and the study must be evaluated in relation to the procedures used to generate the findings (Graneheim & Lundman, 2004). In many studies, content analysis has been used to analyze answers to open-ended questions in questionnaires (Kyngäs et al., 2011). However, such answers are often so brief that it is difficult to use content analysis effectively; reduction, grouping, and abstraction require rich data. In addition, trustworthiness has often been difficult to evaluate because articles have mainly focused on reporting the analysis of quantitative rather than qualitative data obtained in the study. Whether this affects the trustworthiness of the results can only be speculated upon. However, if researchers use content analysis to analyze answers to open-ended questions, they should provide an adequate description so that readers are able to readily evaluate its trustworthiness. Content analysis has also been commonly used in quantitative studies to analyze answers to open-ended questions.

질적 내용분석을 할 때 자기비판과 좋은 분석력이 필요하다. 질적 분석은 연구의 시작부터 [연구자의 지속적인 성찰과 자기 비판]을 포함해야 한다(Pyett, 2003; Thomas & Magilvy, 2011). 연구자의 개별적인 속성과 관점은 분석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분석 능력이 부족해도 어떤 방법을 사용해도 간단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Weber, 1990). Neuendorf(2002)에 따르면 내용분석 방법은 딱 연구자가 허용하는 만큼 한 쉬울 수도, 어려울 수도 있다. 많은 연구자들은 여전히 이것을 단순한 방법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따라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경험이 부족한 연구자는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분석을 수행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연구자들이 연구의 [진정성authenticity]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진정성이란 공정하고 충실하게 다양한 현실을 보여주는 정도를 가리킨. 연구자가 그 결과를 올바르게 사용하고 보고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단순화된simplified 결과밖에 얻지 못할 것이다.

There is a need for a self-criticism and good analysis skills when conduct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y qualitative analysis should include continuous reflection and self-criticism by the researcher (Pyett, 2003; Thomas & Magilvy, 2011) from the beginning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individual attributes and perspectives can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analysis process (Whittemore et al., 2001). It is possible to obtain simplistic results using any method even when analysis skills are lacking (Weber, 1990). According to Neuendorf (2002), the content analysis method can be as easy or as difficult as the researcher allows. Many researchers still perceive it as a simple method, and hence, it is widely used. However, inexperienced researchers may be unable to perform an accurate analysis because they do not have the knowledge and skills required. This can affect the authenticity (Lincoln & Guba, 1985; Whittemore et al., 2001) of the study, which refers to the extent to which researchers fairly and faithfully show a range of realities. A simplified result may be obtained if the researcher is unable to use and report the results correctly.


또한, 내용 분석 프로세스의 보고는 분석의 각 단계에서의 자기 비판적 사고를 기반으로 해야 합니다. Whittemore 외 연구진(2001)은 해석이 타당하고 데이터에 근거한다는 것을 보장하려면, [지속적인 자기반성과 자기검열에 의해 무결성이 입증된다]고 주장했다. 데이터 검증에 도움이 되는 분석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제공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연구자는 [연구의 한계]에 대해서도 공개적으로 논의해야 한다. 질적연구에서 validation은 [연구원과 참가자가 가장 잘 설명한 결과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도]라는 Creswell(2013)의 의견에 동의한다. 이것은 모든 연구 보고서는 저자의 표상represenstaion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의 신뢰성에 대한 논의는 논리적으로 따르는 일련의 정의된 기준에 기초해야 한다. 질적 연구의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많은 기준이 제안되었지만 거의 지켜지지 않았다. 예를 들어 신뢰성, 검증 및 진정성과 같은 많은 유형의 질적 validation 용어가 있으므로 저자들은 검증 용어를 명확하게 정의할 것을 권고한다(Creswell, 2013).
Furthermore, the reporting of the content analysis process should be based on self-critical thinking at each phase of the analysis. Whittemore et al. (2001) have argued that integrity is demonstrated by ongoing self-reflection and self-scrutiny to ensure that interpretations are valid and grounded in the data. Not only should a sufficient description of the analysis be provided to help validate the data, but the researcher should also openly discus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 agree with Creswell’s (2013) comment that validation in a qualitative study is an attempt to assess the accuracy of the findings, as best described by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s. This means that any report of research is a representation by the author. Discussion of the trustworthiness of a study should be based on a defined set of criteria that are followed logically. Although many criteria have been proposed to evaluate the trustworthiness of qualitative studies, they have rarely been followed. It is recommended that authors clearly define their validation terms (see example from Tucker, van Zandvoort, Burke, & Irwin, 2011) because there are many types of qualitative validation terms in use, for example, trustworthiness, verification, and authenticity (Creswell, 2013).

결론
Conclusion

내용분석 결과의 신뢰성은 풍부하고 적절하며 잘 포화된 데이터의 가용성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데이터 수집, 분석 및 결과 보고는 모두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콘텐츠 분석의 신뢰도 향상은 연구에 앞서 철저한 준비에서 시작되며 데이터 수집, 콘텐츠 분석, 신뢰도 토론, 결과 보고 등의 고급 기술이 필요하다. 데이터 수집의 신뢰성은 샘플링 방법과 참가자의 설명에 대한 정확한 세부사항을 제공함으로써 검증할 수 있다. 여기서는 내용 분석을 유효하고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보고할 수 있는 방법을 보여 주었는데, 이는 과학 기사의 작성자와 검토자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중요한 질적 연구 결과가 모노그래프 보고서로 보도되는 경우가 많은 만큼, 콘텐츠 분석이 활용되는 출판된 기사를 분석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이것은 내용 분석 작성자들이 더 효과적인 방법으로 그들의 연구를 발표하는 데 도움이 되는 추가 정보를 생산할 수 있다.

The trustworthiness of content analysis results depends on the availability of rich, appropriate, and well-saturated data. Therefore,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result reporting go hand in hand. Improving the trustworthiness of content analysis begins with thorough preparation prior to the study and requires advanced skills in data gathering, content analysis, trustworthiness discussion, and result reporting. The trustworthiness of data collection can be verified by providing precise details of the sampling method and participants’ descriptions. Here, we showed how content analysis can be reported in a valid and understandable manner, which we anticipate will be of benefit to both writers and reviewers of scientific articles. As important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are often reported as monograph reports, there is a need for further study to analyze published articles where content analysis is used. This may produce further information that helps content analysis writers present their studies in a more effective way.

 


Article Information

Volume: 4 issue: 1,

Article first published online: February 11, 2014; Issue published: January 1, 2014
This article is part of the following special collection(s): Behavioral Sciences , Data Processing and Interpretation , Reliability and Validity , Nursing
Satu Elo1, Maria Kääriäinen1, 2, Outi Kanste3, Tarja Pölkki1, Kati Utriainen1, Helvi Kyngäs1, 2
1University of Oulu, Finland
2Medical Research Center, Oulu University Hospital, Finland
3National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Oulu, Finland

Corresponding Author:

Satu Elo, Senior University Lecturer, Institute of Health Sciences, Medical Research Center Oulu, Oulu University Hospital and University of Oulu, Box 5000, 90014, Finland. Email: satu.elo@oulu.fi

This article is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3.0 License (http://www.creativecommons.org/licenses/by/3.0/) which permits any use, re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e work without further permission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attributed as specified on the SAGE and Open Access page (http://www.uk.sagepub.com/aboutus/openaccess.htm).

Abstract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s commonly used for analyzing qualitative data. However, few articles have examined the trustworthiness of its use in nursing science studies. The trustworthiness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s often presented by using terms such as credibility, dependability, conformability, transferability, and authenticity. This article focuses on trustworthiness based on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our own experiences, and methodological textbooks. Trustworthiness was described for the main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hases from data collection to reporting of the results. We concluded that it is important to scrutinize the trustworthiness of every phase of the analysis process, including the preparation, organization, and reporting of results. Together, these phases should give a reader a clear indication of the overall trustworthiness of the study. Based on our findings, we compiled a checklist for researchers attempting to improve the trustworthiness of a content analysis study. The discussion in this article helps to clarify how content analysis should be reported in a valid and understandable manner, which would be of particular benefit to reviewers of scientific articles. Furthermore, we discuss that it is often difficult to evaluate the trustworthiness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studies because of defective data collection method description and/or analysis description.

보건전문직 교육에서 질적 에고 네트워크: 나를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잡아내기(Med Educ, 2022)
Qualitative ego network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apturing the self in relation to others
Laura Nimmon1 | Anique Atherley2

 

 

1 소개
1 INTRODUCTION

우리의 단결성과 함께 차별성을 깨닫는 것은 상호의존성을 보는 것이다
The combination of realizing our distinctiveness along with our unity is seeing interdependence

샤론 살츠버그
Sharon Salzberg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바로 우리의 자아 의식을 도출할 것을 제안한다.1 학생, 교수진, 행정 직원, 간호사 및 제휴 건강 전문가 등 보건 직업 교육의 모든 개인은 학습 경험의 본질을 만드는 관계와 교차 사회 서클을 통해 연결된다. 그루펜 등은 상호작용을 학습 환경의 사회적 구성 요소로 설명한다.2 '모든 사회적 관계는 학생들이 학습 환경 내에서 무엇을 어떻게 배우고 그들의 인식과 경험을 형성하는지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학습 환경의 차원을 가시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HPE 학문은 HPE 공간에서 사회적 프로세스의 영향과 관련하여 누가 그리고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포착할 수 있는 우아한 연구 접근법을 필요로 한다. 참가자들의 소셜 네트워크의 시각적 매핑은 HPE 문헌,3-5에서 주목을 받고 있지만 이 연구 접근법의 토대는 거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
It is suggested that we derive our very sense of self through interactions with others.1 All individual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students, faculty, administrative staff, nurses and allied health professionals—are connected through relationships and intersecting social circles that create the essence of learning experiences. Gruppen et al describe these interactions as the social component of the learning environment.2 ‘All these social relationships influence what and how students learn and shapes their perceptions of and experiences within the learning environment (pp. 970)’. To render this dimension of the learning environment visible, HPE scholarship requires elegant research approaches that can capture the who and how in regards to the influence of social processes in HPE spaces. Visual mapping of participants' social networks is gaining traction in the HPE literature,3-5 yet the underpinnings of this research approach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의미 있는 연결]은 [실제, 상상 또는 가상 가상 세계의 사람들에게 중요한 어떤 종류의 행동] 없이는 실현materialize될 수 없다. 본 State of the Science 논문에서, 우리는 학습 상황 및 사회적 맥락과 관련하여 개인의 자신에 대한 인식을 시각적으로 매핑하는 질적 자아 네트워크 분석 접근법을 소개한다. ego 네트워크와 personal network라는 용어는 종종 번갈아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참여자들의 사회적 연결에 대한 인식을 나타내기 위해 자아 네트워크라는 용어를 채택한다. 따라서 에고는 '자아' 또는 '나'로서 경험되고 인식을 통해 외부 세상과 연결된다.
Meaningful connection cannot materialise without some sort of action that matters to people in actual, imagined, or virtual-simulated worlds.6 In this State of the Science paper, we introduce a qualitative ego network analysis approach that visually maps individuals' perceptions of their self in relation to learning situations and social context. The terms ego network and personal network are often used interchangeably.7 In this paper, we adopt the term ego networks to represent participants' perceptions of their social connections. Ego is thus experienced as ‘self’ or ‘I’ and connects with the external world through perception.

많은 방법론들이 참가자들의 사회 세계를 탐구할 수 있다. [질적 자아 네트워크] 접근은 암묵적인 사회적 지식의 표현을 강화하기 위해 잘 배치된 시각적 방법이다. 이 접근법은 자신의 관점에서 자신의 사회적 환경을 반영하도록 자극한다.8 자아 네트워크 시각화는 질적 데이터와 결합하여 풍부하고 복잡하고 깊은 통찰력을 얻으면서 연구자가 관찰하지 못할 수 있는 숨겨진 관계 데이터를 고유하게 드러낼 수 있다.9 개인의 행동과 신념은 [현실 그 자체]보다는 [자신이 살고 있는 사회 세계에 대한 인식]에 의해 좌우되기 때문에 사람들의 관계에 대한 관점이 중요하다. 참가자의 주관적 사회 경험을 시각적으로 포착하면 연구자와 기관이 다양한 예상치 못한 사회 경계에서 교육 경험이 어떻게 생성되는지, 타인에 대한 인식이 행동, 태도, 가치 및 기회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다. 
Many methodologies can explore participants' social worlds. A qualitative ego network approach is a visual method well positioned to enhance expression of tacit social knowledge. This approach stimulates reflections of one's social environment from one's vantage point.8 Ego network visualisations, combined with qualitative data, can harvest rich, complex, deep insights, while uniquely revealing hidden relational data that the researcher may not observe.9 People's viewpoint of their relationships is important to capture because individuals' behaviours and beliefs are conditioned by their perception of the social world they inhabit, rather than by reality itself.10, 11 Visually capturing participants' subjective social experiences can reveal to them, researchers and institutions how educational experiences are created across diverse unanticipated social boundaries and how perceptions of others influence behaviour, attitudes, values and opportunities.12

본 논문에서, 우리는 구조적 및 비구조적 참여자가 생성한 질적 자아 네트워크 접근 방식을 보여준다. 그런 다음 우리는 질적 자아 네트워크 접근법에 대한 비판적 반영과 논문의 균형을 맞춘다. 우리의 목표는 초보자와 노련한 연구자들이 질적인 자아 네트워크 접근법을 탐색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 접근법을 도입하는 것은 HPE 분야가 자기, 사회 및 상황의 상호연결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기 때문에 특히 시기적절하다.
In this paper, we showcase structured and unstructured participant-generated qualitative ego network approaches. We then balance the paper with our critical reflections of a qualitative ego network approach. Our goal is to help novice and seasoned researchers navigate a qualitative ego network approach. Introducing this approach is particularly timely as the field of HPE works towards enlarging understanding of the interlacing of self, society and situation.

2 SNA가 무엇입니까?
2 WHAT IS SNA?

사회관계망분석(SNA)은 물리, 생물학, 경제, 공중보건, 사회학, 수학, 국가안보와 같은 과학의 다양한 분야에 의해 형성된다. SNA 접근법은 유기적으로 성장하여 수많은 이론, 모델 및 응용 프로그램을 아우르고 있다.13 SNA는 매력적이고 다양한 진화를 겪었지만, 접근방식을 특징짓는 다양한 개념과 방법이 있다. 이러한 기원은 그래프와 행렬 대수 이론, 사회측정학 및 인류학 방법의 혼합에서 비롯된다. SNA 학자들은 개인을 자율적이고 고립된 것으로 보지 않는다. 대신, 개인은 맥락화된 환경에 상호 의존적으로 위치한다. SNA는 HPE 맥락에서 역동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포착하기 위해 고유하게 배치된 연구 접근법이다. SNA는 개인이 특정 사회 문화 환경에서 배우고 일할 때, 인간 상호 작용은 그들이 접하는 제약과 기회 그리고 그들의 행동과 믿음을 형성한다는 전제에서 시작합니다.11 학습자는 사람, 그룹, 팀, 조직과 사회에 내재된 적극적 행위자active agent입니다. SNA는 일반적으로 발전소 및 인간 유전자와 같은 다른 엔티티가 포함되었지만, 인간 사이의 연결에 초점을 맞춘다.16
Social network analysis (SNA) is shaped by diverse branches of science such as physics, biology, economics, public health, sociology, mathematics and national security, to name only a few. SNA approaches have organically grown to encompass numerous theories, models and applications.13 Although SNA has undergone a fascinating and eclectic evolution, there are different strands of concepts and methods that characterise the approach. These originations derive from a blend of graph and matrix algebra theory, sociometric and anthropological methods.14 SNA scholars do not see individuals as autonomous and isolated; instead, individuals are interdependently situated in contextualised settings. SNA is a research approach uniquely positioned to capture dynamic social interactions in HPE contexts. SNA starts with the premise that when individuals learn and work in specific social and cultural settings, human interactions shape the constraints and opportunities they encounter and their behaviours and beliefs.11 Learners are active agents who are embedded with people, groups, teams, organisations and societies. SNA typically focuses on connections between humans,15 although other entities have been included such as power stations and human genes.16

2.1 SNA: 패러다임
2.1 SNA: A paradigm

[패러다임]은 과학에 대한 특정한 접근을 정의하는 개념, 실천 그리고 언어로 구성된다.17 SNA 패러다임의 기반이 되는 것은 [사회 구조를 형성하는 관계의 패턴]에 대한 관심이다.18

  • 이 패러다임을 함께 [온톨로지]는 사회세계가 관계형이기 때문에 관계를 통해 현실이 나타난다는 지향이다. 
  • 소셜 네트워크 학자들은, 사회적 관계가 사회 구조 내에서 서로 상호작용할 때, 사회적 유대의 본질과 역학을 이해함으로써 지식이 생성되는 [인식론적 입장]을 채택한다. 
  • [공리적]으로 SNA는 본질적으로 상호의존성을 중요시한다. 그러므로 구속력 있는 가정은 인간관계가 인간 경험의 본질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놀랄 것도 없이, SNA의 분석 단위는 관계입니다.


A paradigm consists of the concepts, practices and language that define a particular approach to science.17 What underpins a SNA paradigm is an interest in the patterns of relationships that form social structure.18 

  • The ontology that threads this paradigm together is an orientation that the social world is relational thus reality emerges through relationships.
  • Social network scholars adopt an epistemological position where knowledge is generated through understanding the nature and dynamics of social ties (ie social relations) as they interact with each other within a social structure.19 
  • Axiologically, SNA intrinsically values interdependence. Therefore, a binding assumption is that relationships form the essence of the human experience. Not surprisingly, the unit of analysis in SNA is the relationship.5

2.2 SNA의 이질성
2.2 The heterogeneity of SNA

Isba 등은 의학 교육지의 이전 호에서 SNA가 HPE.5 SNA 분야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에 답변할 수 있는 방대한 잠재력은 HPE 환경에서 학습에 대한 관계의 이해에 관련된 사회 현상을 조명하기 위해 양적 및 질적 접근법20으로 확장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정량적 SNA는 네트워크에서 위치와 연결을 통계적으로 측정한다.21

  • [정성적 SNA]는 관계의 주관적 의미를 탐구하는 반면,
  • [혼합 방법 SNA] 접근법은 네트워크의 구조적 차원 및 사회적 프로세스와 상호작용의 기본 의미를 강조한다. 

Isba et al in a previous issue of Medical Education remarked the vast potential for SNA to answer questions fundamental to the field of HPE.5 SNA can extend acros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20 to illuminate social phenomenon pertinent to understanding the role of relationships on learning in HPE settings. Quantitative SNA statistically measures positions and connections in networks.21 Qualitative SNA explores the subjective meaning of relationships.20 While mixed methods SNA approaches emphasize the structural dimensions of networks and the meaning underlying social processes and interactions.20, 22

SNA 연구의 유형학은 연구 질문에 따라 세 가지 수준의 분석으로 구성된다: 

  • 자아 또는 노드 수준(개인의/자신의 관계), 
  • 관계쌍 수준(두 사람 간의 관계),
  • 전체/네트워크 수준(특정 사회 공간에서 개인 간의 다중 상호 연결 관계).11 

이러한 수준은 의미, 크기, 밀도, 집중화, 넥타이 강도, 교량,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포함하여 소셜 네트워크 차원의 다양한 문서화와 분석을 용이하게 한다.

The typology of SNA research is organised into three levels of analysis depending on the research question:

  • ego or node level (an individual's/self's relationships),
  • dyad level (relationships between two people) and
  • whole/network level (multiple interwoven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in a particular social space).11 

These levels facilitate a variety of documentation and analysis of social network dimensions, including meaning, size, density, centralisation, tie strength, bridges, betweenness and change over time.

SNA는 이론적 및 방법론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패러다임이다. 복잡한 용도를 고려할 때, 연구자들은 연구 철학, 방법론적 선택, 데이터 수집 절차 사이의 정렬과 관련하여 많은 선택을 한다. 그림 1은 SNA 연구원이 SNA를 사용할 때 내릴 수 있는 결정을 설명하는 손더스 등의 인기 있는 연구 양파를 적용한 것이다.

  • 그림 1은 이론이 연구 설계에 따라 SNA 작업을 동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명시적인 고려를 허용한다.
  • 또한, 그림 1은 연구 질문에 답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SNA 데이터 수집 기술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시각 지도(즉, 소시오그램)는 근거이론 연구 및 민족학 연구에서 데이터로 사용되어 왔다. 25 다른 사람들은 SNA 이론의 요소를 '차용'하고 건강을 둘러싼 사회적 상호 작용 패턴을 탐구하기 위해 질적 자아 네트워크 방법을 채택한 종적 민족학 연구 설계를 기술했다.27

이론 통합, 데이터 수집 접근법 및 분석 기술의 복잡한 이질성을 광범위하게 설명하는 것은 본 논문의 범위를 넘어선다. 특정 관계 중심 연구 질문을 해결하기 위해 SNA 접근법의 범위에 대한 이해를 확대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해, 우리는 이러한 상세한 보급형 자원을 제안한다. 
SNA is a paradigm that can be employed theoretically and/or methodologically. Given its complex use, researchers make a number of choices as it relates to the alignment between their research philosophy, methodological choices and data collection procedures. Figure 1 is an adaptation of the popular research onion of Saunders et al23 which describe the decisions SNA researchers can make when employing SNA.

  • Figure 1 allows explicit consideration of the ways in which theory can underpin SNA work dynamically depending on the research design.
  • Moreover, Figure 1 emphasises the variety of SNA data collection techniques that can be employed to answer a research question. For example, visual maps (ie sociograms) have been used as data in grounded theory research24 and ethnographic research.25 Others have described a longitudinal ethnographic study design where they ‘borrowed’26 elements of SNA theory and employed qualitative ego network methods to explore patterns of social interaction around health.27 

It is beyond the scope of this paper to describe broadly the complex heterogeneity of theory integration, data collection approaches and analytic techniques. For those who want to expand understanding of the range of SNA approaches to address specific relationally focused research questions, we suggest these detailed, entry-level resources.11, 20, 28-30

 
 

3 HPE의 정성적 SNA 접근법
3 QUALITATIVE SNA APPROACHES IN HPE

[SNA에 대한 정성적 접근법]은 초기 단계이며 HPE에서 충분히 활용되지 않는다. 이 접근법은 관계에서 어떻게 권력, 지위, 의미, 감정 및 정체성이 나타나며, 어떻게 학습 환경의 인식과 경험을 형성하는지에 관심이 있다. 상호작용의 품질에 대한 관심은 의사소통, 행동, 지식, 자원 및 혁신이 어떻게 나타나고 철저한 사회적 관계와 심지어 조직으로 흘러가는지를 강조할 수 있다. [정성적 SNA 접근법]은 연구자들이 네트워크의 구조(예: 유대가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음)를 고려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유대의 생성, 변동성, 역학 및 의미를 탐구할 수 있게 한다. 

Qualitative approaches to SNA are nascent and underutilised in HPE. This approach is interested in the ways power, status, meanings, emotions and identities emerge in relationships and shap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Attention applied to the quality of interactions can highlight how communication, behaviour, knowledge, resources and innovation emerge and flow thorough social relations and even organisations.31 Qualitative SNA approaches allow researchers not only to consider the structure of a network (eg ties are present or absent) but also to explore creation, variability, dynamics and meanings of social ties.20

SNA를 수행한다고 해서 연구자들이 질적인 툴킷을 놓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질적 소셜 네트워크 연구자들은 이러한 관계의 본질과 결과를 탐구하기 위해 다양한 질적 데이터를 수집한다. SNA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질적 데이터 수집 방법의 몇 가지 예로는 개별 인터뷰, 포커스 그룹, 참가자 일지, 인구 통계 데이터, 현장 관찰 및 아카이브 소스가 있다. SNA 시각화 기법은 일반적으로 인간의 시선을 피할 수 있는 관계의 가시적 패턴을 렌더링하는 데 사용된다. 
Engaging in SNA does not mean that researchers have to let go of their qualitative toolkits.32 Qualitative social network researchers collect a variety of qualitative data to explore the nature of relationships and outcomes of these relationships. Some examples of qualitative data collection methods that can be used in SNA include individual interviews, focus groups, participant diaries, demographic data, field observations and archival sources.28 SNA visualisation techniques are typically used to render visible patterns of relationships that would otherwise escape the human gaze.33

이와 같이, SNA 질적 접근법은 HPE 학습 환경에 내포된 도전적이고 걱정스러운 사회적 복잡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잘 포지셔닝되어 있다. 또한 SNA에 대한 질적 접근법은 학습자가 다양한 사회적 환경을 어떻게 그리고 왜 횡단하는지 이해하여 [사회적 맥락의 인식적perceptual 경계]를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옴스 등의 정량적 SNA 연구는 비공식적인 학생 대 학생 사회적 상호작용이 의대생의 학습과 강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저자들은 어떻게 비공식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이 학생들의 학습을 촉진시키는지에 대한 질적 접근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질적인 소셜 네트워크 데이터를 통해 학자들이 어떻게 주로 학문적 발전 교육 맥락 밖에서 정서적, 학문적, 전문적인 지원을 개발했는지를 밝혀냈다.35 따라서 질적 SNA는 공식적인 교육 환경 외부의 숨겨진 의미 있는 관계를 발굴할 수 있다.

As such, SNA qualitative approaches are well positioned to help us understand challenging and fraught social complexities nested in HPE learning environments. Moreover, qualitative approaches to SNA can help us understand how and why learners traverse different social landscapes, expanding our perceptual boundaries of social context. For example, the quantitative SNA research of Hommes et al discovered that informal student to student social interactions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medical students' learning.34 However, the authors emphasised that qualitative approaches are needed to unpack how informal social interaction facilitate student learning.34 In another study, qualitative social network data have revealed how academics developed a range of emotional, academic and professional support mostly outside the academic development teaching contexts.35 Qualitative SNA can thus unearth hidden meaningful relationships outside of formal educational settings.

4 HPE의 질적 자아 네트워크
4 QUALITATIVE EGO NETWORKS IN HPE

많은 질적 접근법이 HPE 맥락에서 개인의 사회적 경험에 대한 통찰력을 얻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민족학, 현상학 서술 조사 또는 기초 이론. 더욱이, 사진, 드로잉, 풍부한 그림, 픽터 기술 및 비디오와 같은 다양한 시각적 방법이 vi를 위한 방법으로 도입되었다.참가자의 경험을 충실히 담아냅니다. HPE 연구에서 자아 네트워크 접근법이 점점 더 많이 채택되고 있지만, 3, 4는 질적 자아 네트워크 접근법의 기초와 기술을 깊이 탐구한 최초의 논문이다.

Many qualitative approaches have been used to gain insights into individuals' social experiences in HPE contexts—for example, ethnography,36 phenomenology37 narrative inquiry38 or grounded theory.39 Moreover, a variety of visual methods such as photovoice, photography, drawings, rich pictures, Pictor technique and video have been introduced as ways to visually capture the experiences of participants.9, 40, 41 Although ego network approaches are increasingly employed in HPE research,3, 4 this is the first paper that delves deeply into the underpinnings and techniques of a qualitative ego network approach.

[자아 네트워크(즉, 자기 중심) 접근법]은 자아ego(참여자)]에 의해 정의된다; 자아는 지향적인 초점orienting focal point이고, 이 사람은 네트워크의 구성을 정의한다. 관계(SNA 용어에서 유대ties라고 함)는 종종 자아와 다른 사람들 사이의 선으로 표현된다.18 따라서, [자아 네트워크의 유대관계]는 [초점 참여자focal participants]에 대한 연결에 의해 추진된다. 이 접근법은 지역 사회 구조의 의미와 역학을 강조하면서 타인과의 상호작용과 관계에 대한 개인의 인식을 드러낸다. 자아 네트워크의 데이터는 양적, 질적4 또는 혼합된 방법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3 표 1은 HPE에서 자아 네트워크를 탐구하기 위한 양적, 질적 및 혼합 방법의 비교를 제공한다.

An ego network (ie egocentric) approach is defined by the ego (ie the participant); the ego is the orienting focal point, and this person defines the composition of their network. Relationships (called ties in SNA terminology) are often represented by lines between the ego and others.18 Thus, the inclusion of ties for ego networks are driven by the connections to the focal participant. This approach reveals an individual's perception of their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with others, emphasising the meaning and dynamics of their local social structures.28 Data on an ego network can be obtained either quantitatively,42, 43 qualitatively4 or using mixed methods.3 Table 1 provides a comparison of quantitative, qual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to explore ego networks in HPE.

 

질적 자아 네트워크 접근은 개인의 경험의 본질을 형성하는 관계의 의미와 본질에 대한 연구 질문, 데이터 수집 전략 및 분석을 유도한다. 질적 자아망 접근법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모든 질적 보고에서 예상되는 투명성과 명확성을 동일하게 보고해야 한다. 이 접근법이 엄격하거나 절차적 접근법보다 유연한 경향이 있기 때문에 질적 자아 네트워크 접근법을 보고할 때 특히 중요하다.25 패러다임 및 이론적 토대, 방법론적 선택, 연구 접근법, 네트워크 수준, 시간 차원 및 데이터를 포함하여, 방법에 대한 명시적이고 투명한 보고를 권장한다.(그림 1 참조). 소셜 네트워크 연구의 이질성을 고려할 때, 다른 사람의 맥락과 더 넓은 문헌에 대한 신뢰도, 관련성 및 이전 가능성에 대한 판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방법에 대한 광범위한 보고가 중요하다.44

A qualitative ego network approach orients the research question, data collection strategies and analysis towards the meaning and nature of relationships that form the essence of individuals' experiences. Those engaging in qualitative ego network approaches must report the same transparency and explicitness expected of all qualitative reporting.44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when reporting qualitative ego network approaches as this approach tends to be flexible rather than rigid or procedural.25 In particular, we encourage explicit and transparent reporting of methods including paradigmatic and theoretical underpinning, methodological choices, research approach, level of networks, time dimension and data (see Figure 1). Given the heterogeneity of social network research, extensive reporting of methods is critical in order to facilitate judgements about the trustworthiness, relevance and transferability to other's context and to the broader literature.44

 

4.1 Ego 네트워크 시각화
4.1 Ego network visualisation

[자아 네트워크 시각화]는 [네트워크에 대한 개인의 인식]을 묘사한다(예: 의대생들의 네트워크 내 누가 초기 중요한 임상 경험의 의미를 형성하는지).45 본질적으로, 자기 네트워크 소시오그램은 연구 참여자들이 경험하는 사회세계를 복제하고 미리 결정된 포함 기준(연구자가 부과한 사회적 경계)을 넘어 확장될 수 있다.32 우리의 연구에서 참가자들은 네트워크 경계 측면에서 흥미로운 범위를 조명했다. 이러한 사회적 경계는 제도적 교육 환경을 넘어 친구와 가족의 영향을 포함한다. 
Ego network visualisation portrays an individual's perception of their network (eg medical students' descriptions of who in their network shapes meaning of early significant clinical experiences).45 In essence, ego network sociograms replicate the social world experienced by research participants and can extend beyond predetermined inclusion criteria (ie researcher imposed social boundaries).32 In our own work, participants have illuminated intriguing range in terms of their networks' boundaries. These social boundaries have spanned beyond institutional educational settings to include influences of friends and family.3, 4, 45

자아 네트워크 시각화는 다른 시각적 방법과 유사하게 질적 데이터의 유일한 출처로 독립적일 수 있지만, 질적 SNA 연구자는 종종 인터뷰 및 다른 형태의 질적 데이터 수집(예: 관찰)을 통해 더 깊은 이해를 추구한다. 인터뷰는 특히 자아의 주관적 관점에서 사회문서에 묘사된 특정 관계의 본질, 기능, 역학, 복잡성, 의미를 풀어내는 데 유용하다.47
Although an ego network visualisation could standalone as a sole source of qualitative data similarly to other visual methods,9 qualitative SNA researchers often seek a deeper understanding through interviewing3, 4, 45, 46 and other forms of qualitative data collection (eg observations).27 Interviews are particularly useful to unpack the nature, function, dynamics, complexity and meaning of specific relationships depicted in sociograms from the subjective perspective of ego.47

[이름 생성 기법]은 종종 양적(조사) 또는 질적(면접 질문) 방법을 사용하여 도출된 개인의 소셜 네트워크를 탐색하기 위한 출발점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면접을 위한 접근법은 참가자들에게 관심 있는 현상과 관련하여 누구와 상호작용하는지 물어본 다음 그 관계의 본질을 더 깊이 탐구하는 것이다. [이름 생성 기술]은 연구원과 참가자들을 소셜 네트워크의 풍부한 시각적 표현으로 이끈다.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시각화(사회그램)는 연구자 또는 참가자가 생성한 시각 자료일 수 있다.9 시각화는 인터뷰 진행자가 인터뷰 중에 참가자와 대화할 때 참가자 또는 연구자가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시각화는 인터뷰 후 또는 데이터 분석 시 생성될 수 있다.

Name generation techniques
are often used as starting points to explore individuals' social networks whether elicited using quantitative (surveys) or qualitative (interview questions) methods.48 For example, an approach for interviewing is to ask participants who they interact with around a phenomenon of interest and then explore more deeply the nature of those relationship. Name generation techniques lead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towards rich visual representations of social networks. These social network visualisations (sociograms) can be researcher- or participant-generated visuals.9 Visualisations can be created by the participant or researcher as the interviewer is conversing with participants during an interview. Moreover, the visualisations can also be created after the interview or when analysing data.

전형적으로, 자기 네트워크 소시오그램은 [참가자들이 인터뷰 중에 네트워크 연결(이름 생성)을 나열하는 것]에서 발생하는 반면, 연구원은 이러한 [관계의 성격과 의미에 대해 인터뷰를 통해 조사]한다. 참가자 또는 연구자가 인터뷰 도중 제작한 비주얼 맵핑은 인터뷰만으로 촬영하기 어려운 미처 듣지 못한 참가자들의 통찰력을 자극할 수 있다. 게다가, 참가자들은 우리의 이해를 증진시키는 소시오그램에 대한 그들의 서술적 반응을 편집하고 재편집 할 수 있습니다. 구성원 확인Member checking은 특히 연구자가 생성한 경우 참가자의 지도가 그들의 경험을 정확하게 포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에게 실현 가능한 경우 사용된다.

Typically, ego network sociograms arise from participants listing their network ties (name generation) during the interview, whereas the researcher probes through interviewing into the nature and meaning of these relationships. The visual mapping produced during the interview by the participant or researcher can stimulate insights from participants that are unrehearsed and difficult to capture using only interviews.9, 40 Moreover, participants can edit and re-edit their narrative response to the sociogram that enriches our understanding.49 Member checking is used if this is feasible for the researcher as it can ensure participants' maps accurately capture their experience, particularly if researcher generated.

연구원은 일반적으로 SNA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ego 네트워크를 만들거나, 참여자가 자신의 ego 네트워크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참가자들이 사회적 관계를 묘사하기 위해 화살표를 사용하는 [픽터 기법]과 명백한 유사점이 있다. 그러나 자아 네트워크 접근법은 사회적 환경의 차원을 나타내는 다양한 기술과 전략을 유도하기 때문에 덜 제한적일 수 있다. 참가자는 종이와 컬러 펜을 사용하여 종이 조각에 자아 네트워크를 만들어 네트워크의 다각적인 표현을 할 수 있다. 참가자는 또한 형태, 선 너비 및 화살표와 같은 특징을 사용하여 연결의 차원을 시각적으로 강조할 수 있다.50 예를 들어 참가자와 다른 사람 사이의 개념적인 거리 또는 영향의 강도.

The researcher can create the ego network typically using SNA software,27 or participants can generate their own ego network.34 There are some overt similarities to the Pictor technique where participants use arrows to depict their social connections.941 However, an ego network approach can be less restrictive because it incites a range of techniques and strategies to represent dimensions of one's social environment. Participants can use paper and coloured pens to create their ego network on pieces of paper, rendering a multifaceted representation of their network. Participants can also use features like shapes, line width and arrows to visually highlight dimensions of connection.50 For example, conceptual distance between the participant and others or intensity of influence.

자아 네트워크를 만드는 정해진 방법은 없으며, 자아 네트워크 소시오그램을 생성하기 위해 많은 창의적인 접근법이 사용되어 왔다. 더욱이, 자아 네트워크 데이터는 유연하게 분석되며 연구자의 기술에 어느 정도 의존한다. 예를 들어, 주제 분석, 상시 비교 분석,4 콘텐츠 분석 또는 서술 분석을 사용하여 자아 네트워크 비주얼과 인터뷰 데이터를 통합하고 해석하는 것이 합법적일 것이다. 데이터 수집은 반복적일 수 있지만, 이는 예상이 아니며 연구자의 설계와 시간에 따라 달라진다. 다음에서는 연구에서 채택한 서로 다른 질적 자아 네트워크 접근법의 두 가지 심층 사례를 소개한다.

There is no prescribed way to create an ego network and many creative approaches have been used to generate ego network sociograms. Moreover, ego network data are analysed flexibly and depend to some extent on the skillset of the researcher. For example, it would be legitimate to use thematic analysis,3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4 content analysis or narrative analysis to integrate and interpret ego network visuals and interview data. Data collection can be iterative, but this is not an expectation and depends on the design and time affordances of the researcher. In the following, we showcase two in-depth examples of different qualitative ego network approaches we have employed in our research.

4.1.1 예 1: 참여자가 생성한 자아 네트워크에 대한 구조화된 접근법
4.1.1 Example 1: Structured approach to participant-generated ego networks

한 연구에서,3 Atherley 등은 학부 의대생들의 임상 훈련으로의 전환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소셜 네트워크를 탐구했다. 애설리 등은 주관주의적인 이론 정보 귀납적 접근법(그림 1 참조)을 채택했으며, 이는 이론이 연구 설계의 모든 측면을 알려줬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들은 임상 환경으로 전환하는 8명의 의대생들의 소셜 네트워크의 구조와 경계를 고려하기 위해 실습 이론의 환경으로부터 민감한 개념과 함께 연구 설계를 알리기 위해 SNA 패러다임을 사용했다.
In one study,3 Atherley et al explored the social networks impacting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experiences transitioning to clinical training. Atherley et al employed a subjectivist fully theory-informed inductive approach (see Figure 1), which means the theory informed all aspects of the study design.51 They used a SNA paradigm to inform the study design alongside sensitising concepts from landscapes of practice theory52 to consider the structure and boundaries of social networks of eight medical students transitioning to the clinical environment.


애설리 등은 반구조적 인터뷰 동안 자아 네트워크(즉, 사회그램) 생성을 위한 템플릿으로 동심원3 방법을 사용했다. 네트워크 맵에 대한 이러한 '구조화된' 접근방식은 때때로 참여자들이 네트워크 데이터를 도출하는 다른 방법보다 선호한다. 참가자들은 먼저 임상실습으로 들어가는 전환 경험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는 사람들의 목록을 만들었다. 애설리 등은 참가자들이 나타낼 수 있는 동점자의 수에 제한을 두지 않았다. 그런 다음, 참가자들은 [네 개의 빈 동심원]이 있는 큰 종이를 사용하여 소셜 네트워크의 구성원을 서클에 성찰적으로 배치하여 그들의 영향력에 대해 인지된 강도를 강조할 수 있었다(표 1, Colum 3). 가장 안쪽의 원은 참여자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유대를 나타내며, 가장 바깥쪽 원은 참여자들이 전환 경험에 가장 적은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는 사람들을 나타내었다(표1, 3열). 이 접근법은 동심원 구조로 인해 네트워크의 비교 가능성을 촉진했다. 더욱이, 인터뷰는 참가자들이 왜 네트워크 내의 인물을 선택했는지와 그 관계가 전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깊이 탐구할 수 있게 해주었다.50

Atherley et al employed the method of concentric circles3 as a template for ego network (ie sociogram) creation dur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This ‘structured’ approach to network maps50 is sometimes preferred by participants over other methods of eliciting network data.50 Participants first made a list of anyone they deemed to influence their transitioning experiences entering clerkships (ie name generation). Atherley et al placed no limitation on the number of ties that participants could indicate. Then, using large paper with four empty concentric circles, participants reflectively placed members of their social network on these circles being able to highlight the perceived strength of their influence (Table 1, Colum 3). The innermost circle represented social ties who had the most impact on the participant, and the outermost circle represented those who participants perceived had the least impact on their transition experiences (Table 1, Column 3).3 This approach facilitated comparability of networks due to the concentric circle structure. Moreover, interviews allowed deep dive into why participants chose the persons in their networks and in what ways the relationship impacted the transition.50 Participants could not use shapes and colours when creating their ego network that may have inhibited their agency in terms of the visualisation expression of their social network.50

애설리 등은 사회적 영향에 대해 논의하고 유대관계가 참가자들의 전환 경험에 어떻게 도움이 되었는지 또는 방해가 되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반구조적인 인터뷰 가이드를 사용했다. 참가자들은 인터뷰가 진행되는 동안 언제든 사회적 유대감을 더할 수 있도록 격려받았다. 4개월 후, 이러한 데이터 수집 절차를 반복하여 초과 근무 시 변경된 사항을 포착했습니다. 그들은 인터뷰를 녹음하기 위해 오디오 녹음기와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했다. 애설리 등은 참가자들이 자아 네트워크 연결에 대해 말할 때 어떤 유대관계를 참조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에 비디오 녹화는 대화 내용의 해석을 도왔다.

Atherley et al used a semi-structured interview guide to discuss social influences and understand how ties helped or hindered participants' transition experiences.3, 50 Participants were encouraged to add social ties at any time during the interview. Four months later, these data collection procedures were repeated to capture any changes overtime. They used an audio recorder and video camera to record the interviews. The video recording aided interpretation of transcripts as Atherley et al could identify which ties participants were referencing as they spoke about their ego network connections.

Atherley 등은 혼합된 방법 접근법을 사용했다. 그들은 먼저 네트워크의 구조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피어슨의 카이-제곱 통계를 사용하여 모든 관계의 역할 구성을 비교했다. 이를 통해 저자들은 학생들이 임상 훈련으로의 전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인식되는 유형의 사람들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 다음 그들은 서술적 정량적 데이터와 함께 해석을 하기 위해 면접 성적표, 소시오그램, 비디오 녹취에 대한 반복적 정성 분석을 실시했다. [(실행 환경의 민감sensitizing 개념을 활용한) 주제 분석]은 시간 차원을 염두에 두고 모든 네트워크 맵의 인간 간 비교 및 대인 비교 가능성을 촉진했다. 양적 및 질적 데이터의 통합을 통해 애설리 등은 [유대관계 유형(예: 의사 대 가족 대 간호사) 간에 관계의 강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리고 [ego까지의 거리]를 탐색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임상 훈련으로 전환하는 의대생들의 사회 환경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제공했습니다. 자아 네트워크 접근법의 사용은 의대생이 의존하는 사람들의 다양성, 발생하는 관계의 역동적인 변화 및 유대관계가 일종의 감정적 또는 도구적 지원을 제공하는지에 따라 참여하는 의도적인 네트워크 관리 학생을 식별하는 데 매우 중요했다.3

Atherley et al used a mixed methods approach to our analysis.3, 30 They first quantitatively analysed the structure of the networks and compared the composition of roles of all ties using Pearson's chi-square statistic. This allowed the authors to see the composition of the types of people students perceived impacted their transition to clinical training.3 They then conducted iterative qualitative analysis of interview transcripts, sociograms and video recordings to make interpretations alongside the descriptive quantitative data.3 Thematic analysis, utilising sensitising concepts from landscapes of practice, facilitated intrapersonal comparison of all ties and interpersonal comparability of the network maps, all while bearing the dimension of time in mind. Through integration o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Atherley et al were able to explore the distance to ego, how the strength of relationships varied between types of ties (eg doctors vs family vs nurses). The study provided new knowledge on the social environment of medical students transitioning to clinical training.53 The use of an ego network approach was critical for identifying the diversity of people medical students depend on, the dynamic changes in relationships that occur and the deliberate network management students engaged in depending on whether a tie provided some kind of emotional or instrumental support.3

4.1.2 예 2: 참여자가 생성한 자아 네트워크
4.1.2 Example 2: Participant-generated ego networks

또 다른 예로, 버클리와 님몬은 교수들의 관계가 가르치는 것에 대한 학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했다. 참가자들은 나이, 학력, 교직 경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짧은 인구 통계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요청 받았다. 이어 반구조적인 면접질문이 이어졌다. 여러 차례의 인터뷰 질문 후, 참가자들은 [교육에 대한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동료들의 네트워크의 자아 네트워크(즉, 사회그램)]를 그리도록 지시받았다. 버클리와 님몬은 프롬프트로 사용할 모의 ego 네트워크를 제공했고, 넥타이의 두께와 노드 크기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이 제공됐다. 예를 들어, 더 두꺼운 넥타이는 더 가까운 관계를 나타내고, 점박이 넥타이는 더 단편적인 관계를 나타냅니다. 자아 네트워크가 그려지고 나면(표 1, 2열), 참가자들은 인터뷰의 나머지 시간 동안 자신의 소셜그램에 나타난 관계의 특징을 구두로 특징짓고 확장하도록 요청받았다. 따라서, 사회문헌은 이러한 관계가 참가자들의 가르침에 대한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적인 의문을 제기하는 서술적 자극제 역할을 했다.
In another example, Buckley and Nimmon4 explored how teaching faculty's relationships influenced their learning about teaching. Participants were asked to fill out a short demographic questionnaire that included information about,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is was followed by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s. After several interview questions,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draw an ego network (ie sociogram) of the network of colleagues that were influential in their learning about teaching. Buckley and Nimmon provided a mock ego network to use as a prompt, and instructions were provided about ways to emphasise the significance of thickness of ties and of size of nodes. For example, thicker ties represented closer relationships, and dotted ties represented more fragmented relationships. Once the ego networks were drawn (Table 1, Column 2),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verbally characterise and expand upon the features of the relationships represented in their sociograms during the remainder of the interview. The sociograms thus functioned as a narrative stimulus for further questioning on the influence these relationships had on participants' learning about teaching.


녹취록은 [문항, 패턴, 구조 분석]의 세 단계로 반복적으로 분석되었다. 질적 데이터 분석에 대한 이 접근법은 반복적 비교 접근 방식을 이용한다. 지도와 이미지의 요소(크기, 두께, 거리)는 비교 시각 데이터로서 분석 내내 사용되어 대본에 제공된 참가자들의 서술적 설명을 증가시켰다. 예를 들어, 참여자 동료들 사이의 연결고리의 유무에 주목하는 것은 인식된 동족 관계나 공동체 의식에 대한 참가자들의 설명을 강화했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데이터는 연령, 교육 경력 및 전문적 배경과 같은 참가자의 배경을 맥락화했다. 여러 데이터 소스의 코딩과 분석은 비선형적이었으며 궁극적으로 정보를 crystalize하고,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다.

The transcripts were analysed iteratively in three stages: item, pattern and structural analysis.54 This approach to qualitative data analysis draws on a constant comparative approach. The maps and the elements of the image (sizes, thickness and distances) were used throughout analysis as comparative visual data to augment the narrative descriptions of participants provided in the transcripts.40 For example, no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bridging ties between participant colleagues on their sociograms reinforced participant descriptions of perceived collegial connections or sense of community. In addition, the demographic data contextualised the participants' backgrounds, such as ag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professional background. The coding and analysis of multiple sources of data was non-linear and ultimately helped crystallise and deepen understanding of the information.4

[SNA 패러다임 지향]은 연구 설계에 정보를 제공했으며, 이는 주관주의적인 이론 정보 귀납 접근법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연구는 관계형 환경 내에 존재하는 참가자에게 주의를 기울여 설계되었다. 그러나 데이터 분석의 후반 단계에서 비고츠키의 사회 학습 이론은 이 연구의 중심 통찰력 중 하나가 된 동료들의 학습을 위한 발판으로 기능하는 동료들을 보기 위해 통합되었다.4 이것은 문헌에서 주관주의 이론-정보 귀납적 데이터 분석 접근법으로 설명된다. 이러한 복잡한 이론 사용은 SNA 연구(그림 1 참조) 또는 해당 문제에 대한 질적 연구에서 이론을 사용하는 보편적인 방법이 없음을 보여준다.55
A SNA paradigmatic orientation informed the study design, which is described as a subjectivist fully theory-informed inductive approach.51 The study was thus designed with attention placed on the participant existing within a relational environment. During the latter stages of data analysis, however, Vygotsky's social learning theory was integrated to view colleagues functioning as a scaffold for their learning which became one of the central insights of this work.4 This is described in the literature as a subjectivist theory-informing inductive data analysis approach.51 This complex use of theory demonstrates that there is no universal way to use theory in SNA studies (see Figure 1) or in any qualitative study for that matter.55 Buckley and Nimmon's use of multiple theories employed at different stages of the study helped them see and interpret the phenomena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55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교수 개발 문헌에 있는 개별 교수진에 대한 기존의 집중에서 벗어나 관심을 돌리게 했다. 대신, 통찰력은 교수 참여자들의 광범위한 관계적 맥락의 가치를 강조하고 비계층적 집단 학습으로 교수 개발의 개념화를 활성화했다.4

The study ultimately deflected attention away from the traditional focus on individual faculty present in the faculty development literature. Instead, the insights highlighted the value of the broad relational context of faculty participants and revitalised conceptualisations of faculty development as non-hierarchical collective learning.4

 

5 Ego 네트워크 접근법의 비판적 성찰
5 CRITICAL REFLECTIONS OF AN EGO NETWORK APPROACH

 

시각적 방법의 많은 한계와 강점은 HPE 문헌에서 우아하게 포착되었다.9 우리는 질적 자아 네트워크 접근법에 참여할 때 연구자가 고려할 수 있는 몇 가지 고유한 제한과 이점을 반영하여 이 대화에 기여한다.
Many of the limitations and strengths of visual methods have been elegantly captured in the HPE literature.9 We contribute to this conversation by reflecting on some of the unique limitations and affordances a researcher might consider when engaging with qualitative ego network approaches.

5.1 암묵적 가정
5.1 Implicit assumptions

우리는 이러한 유형의 시각적 매체가 [누구를 포함하거나 제외하는지에 대한 접근성 측면]에서 우리가 하는 가정을 유념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 의과대학 학생 또는 교수진이 참여했습니다. 따라서, 참가자들은 고등 교육을 받았고 문해력을 갖추었다. 그러나 위의 예1에서 일부 참가자들은 제2외국어로 영어를 사용했다. 영어를 제2외국어로 사용하는 참가자들이 인터뷰에 임하면서 시각지도를 만드는 것이 부담스러울 수 있다는 점에서 민감했다. 따라서, 우리는 참가자들이 먼저 지도를 만들고, 이어서 그들의 유대에 대해 인터뷰하도록 했습니다. 이 토론에서 참가자들은 그들의 지도를 조정할 수 있었습니다. 게다가, 사회 세계에서 개인의 자아에 초점을 맞춘 접근법을 사용하는 것은 [암묵적으로 유럽 중심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문화들은 그들 자신을 사회적 세계의 중심에서 보지 않고 오히려 상호 연결된 사회 시스템 안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접근법이 자아와 자아에 대한 초점을 통해 지배적인 유럽중심적 세계관49에 어떻게 특권을 부여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We must be mindful of the assumptions we make in terms of accessibility of this type of visual medium and who it includes and excludes.49, 50 In our studies, the participants were medical students or faculty members at medical schools in developed countries.3, 4 Thus, the participants were highly educated and literate. However, in Example 1 above, some participants spoke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We were sensitive that participants who spoke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may find it burdensome to create a visual map while engaging in an interview. Thus, we had participants first create their maps, followed by interviewing them about their ties; during this discussion, participants were able to adjust their map. Further, it may be implicitly Eurocentric to use an approach that focuses on the individual self in their social world. For example, some cultures may not view themselves in the centre of a social world50 but rather may see themselves interwoven in an interconnected social system. It is thus critical to evaluate how this approach may privilege a dominant Eurocentric worldview49 through a focus on ego and self.

5.2 사회적 경계의 고심
5.2 Grappling with boundaries of the social

참여자들에 의해 명명된 사회적 유대관계가 명명된 사람들에 의해 보답되는지를 이해하는 측면에서 자아 네트워크 접근법에는 제약이 있다. 예를 들어 의대생 엘리사가 또래지원망의 핵심멤버 4명을 말했는데, 이렇게 명명된 또래가 엘리사의 양방향 지원을 받는지는 알 수 없다. 따라서 자아 네트워크 접근법은 문제의 소셜 네트워크에 대해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에 경계를 부과한다. 연구자가 누가 누구와 함께 연구하는지 이해하기 위해 의대 1학년 전체 코호트를 탐색하고자 한다면, [자아 네트워크 접근]은 제한적일 것이다. 대신에 소셜 네트워크의 가장 중요한 구조적 관점을 포착하기 위해 완전한 (전체) 네트워크 접근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전체 네트워크 접근방식은 일반적으로 정량적 접근방식으로 사용된다.5

There are constraints with an ego network approach in terms of understanding whether the social ties named by participants are reciprocated by those named. For example, if a medical student Elisa names four core members of her peer support network, but we cannot know if the peers who are named experience reciprocated bidirectional support from Elisa. The ego network approach thus imposes boundaries on what we can know regarding the social network in question. If a researcher wished to explore an entire first year medical school cohort to understand who studies with who, an ego network approach would be limiting. Instead, a complete (ie whole) network approach could be employed to capture an overarching structural view of a social network. This whole network approach is commonly employed as a quantitative approach.5

5.3 스냅샷 적시
5.3 A snapshot in time

참여자들의 사회 세계에 대한 인식을 [물화된reified 것, 정적인 것]을 표현한다고 받아들이면 한계가 생깁니다. 사회적 관계는 연구자에 의해 집계되고 별개의 과거 사건들로 분석됩니다. [사회적 관계]를 [연속적 시간 속에서 개념화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는데, 이는 '네트워크가 어떻게 자극에 의해 발달하거나 느리고 꾸준히 구축될 수 있는지, 또는 질서와 혼돈의 순간을 혼합하는 반복적인 의식 행동을 어떻게 반영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기 때문이다.

A limitation arises if we accept representations of participants' perceptions of their social world as reified and static. Social relations are aggregated by the researcher and analysed as discrete past events. It may be more appropriate to conceptualise social relations in continuous time, as it accounts for how ‘networks may develop by spurts or build slowly and steadily, or how they may reflect repeated ritual behaviours that mix moments of order and chaos’.56(p1209) 

역동적 사회 관계는 관계적 속도pace(예: 초, 주, 수십 년) 또는 관계의 변화 속도(예: 빠르고 느리며 가속화)의 차원을 포함하며, 종종 불규칙성의 흔적을 포함한다. 관계의 속도와 변화는 각각의 독특한 사회적 맥락에 따라 달라지며 관계의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 [질적 자아 네트워크 접근법]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연속적인 관계형 사건이나 연속적인 사회적 과정으로 전개되는 상호작용으로 구성된 시간의 연속적인 해석 개념을 끌어내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관점은 우리가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a) 자신과 그들이 살고 있는 사회 세계에 대한 참가자들의 해석의 중첩되고 변화하는 특성 
  • (b) 상호 작용은 학습 환경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을 의미한다. 

Dynamic social relations contain dimensions of relational pace (eg seconds, weeks and decades) or rate of change in relations (eg fast, slow and accelerating), often containing traces of irregularities.57 The pace and change in relationships will depend on each unique social context and vary across types of relationships.56 To advance a qualitative ego network approach, it may be beneficial to draw on a concept of continuous renditions of time, which consists of sequential relational events or interactions that unfold as a continuous social process.57 This perspective can help us understand, for example,

  • (a) the overlapping and changing nature of participants' interpretations of self and the social world they inhabit and
  • (b) interactional meaning making across time in the learning environment.

우리는 시공간 교차가 본질적으로 모든 사회적 존재에 관여한다는 개념에 동의한다.58 다중 시간 척도 분석을 달성하기 위해, 한 가지 아이디어는 [시간을 경험하는 국지적이고 특이하며 맥락에 의존하는 방법]을 포착하는 [사회적 시간 이론]을 통합하는 것이다. '사회적 시간' 관점은 일상 생활의 관계 리듬을 예견한다. 이 렌즈는 선형 시계/기계 시간에 대한 일반적인 방향 외에 자아의 관계 경험에 대한 이해를 확장할 수 있다.59 더욱이, [종단적 질적 자아 네트워크] 연구는 고정되고 이산적인 시간의 순간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관계를 렌더링하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60

We concur with the notion that time–space intersections are essentially involved in all social existence.58 To achieve a multiple timescale analysis, one idea is to integrate a social theory of time that captures local, idiosyncratic, context-dependent ways of experiencing time.59 A ‘social time’ perspective foregrounds the relational rhythms of everyday life. This lens can stretch our understanding of the ego's relational experience outside of the prevailing orientation towards linear clock/machine time.59 Moreover, longitudinal qualitative ego network research may overcome the limitations of rendering social relations as occurring in fixed, discrete moments of time.60

5.4 사회적 기억력 과제
5.4 Social memory challenges

리콜 또는 소셜 메모리는 자아 네트워크 데이터 수집과 관련된 특정 과제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과거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중요하지 않은 경우(즉, 강한 유대감)에 대해 부정확하게 보고하는 경향이 있다. 게다가, 어떤 사람들은 그들이 그 전 주에 비해 이전 24시간 동안 누구와 소통했는지에 관한 최근의 사건들을 더 정확하게 기억할 수 있다. 다른 사람들은 참여자들의 주변 세계를 인식하는 다양한 능력은 그 자체로 흥미로운 통찰력이며, 직장 성과와 같은 결과에 대한 결과를 설명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관찰 데이터는 연구된 사회 현상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관찰 데이터는 초점 참여자가 [중요한 연관성으로 명명할 때 누락된 사람들]을 포착할 수 있다. 이것은 그 발견에 대한 신용을 떨어뜨리는 것이 아니라, 엄격함을 강화시켜주며 사회 현상에 대한 다면적인 이해를 강화할 수 있다.65
Recall or social memory is a specific challenge in respect to ego network data collection. Generally, people tend to be inaccurate in reporting past social interactions unless they are important (ie strong ties).61 Moreover, some people can more accurately recall recent events regarding who they communicated with in the previous 24 h compared with the week before.62 Others have proposed that participants' varying ability to perceive the world around them is an interesting insight in itself and can explain consequences for outcomes like workplace performance.63, 64 Observational data may deepen understanding of the social phenomenon studied. For instance, divergent observational data may capture people the focal participant neglects to name as important ties. This does not discredit the findings but can enhance rigour and enrich multifaceted understanding of a social phenomenon.65

5.5 사회적인 것을 드러냄
5.5 Revealing the social

자아 네트워크 접근법이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만드는 '마법'을 펼치지만, 개인 간 연결성을 드러내는 음험한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가자는 자신의 자아 네트워크를 만들 때 또는 연구자가 참가자에게 네트워크의 표현을 생성하고 보여줄 때, 고립과 외로움을 깨닫게 될 수 있다. 연구자들은 참가자들이 정서적 고통을 나타내는 경우 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지원 계획을 세워야 한다. 우리는 참가자들이 그들의 자아 네트워크를 만들고 그들의 사회적 유대에 대한 질문을 받는 것에서 약간의 여유를 발견했다는 것을 언급할 가치가 있다. 연구참여자는 종종 자신이 구축, 해체 또는 유지해온 관계의 의미를 깊이 성찰한다. 참여자들은 사회적 지지의식을 자극하고 체계적이고 구조적인 인식을 함양할 수 있는 사회적 관계를 성찰함으로써 이익을 얻는다. 우리의 데이터 세트 중 하나에서 의대생이 자신의 소셜 네트워크를 고민하면서 어려운 시기에 기댈 수 있는 사람을 발견했다.3 다른 사람들도 마찬가지로 스트레스가 많은 과도기 동안 소셜 네트워크 지도가 치료 전략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더 넓은 HPE 방법론 문헌에서는 다양한 시각적 방법에 참여하는 참가자의 치료적 이점도 보고된다. 

Although an ego network approach does its ‘magic’ by making visible the invisible, there can be insidious effects of revealing connections between individuals. For example, participants can become aware of isolation and loneliness when creating their ego network or if the researcher generates and shows the participant a representation of their network.33 Researchers should have a plan for support approved by ethics boards should participants signal emotional distress. It is worth mentioning that we have found some affordances in participants creating their ego networks and being asked questions about their social ties. They often deeply reflect on the meaning of the relationships they have built, dissolved or maintained.3, 45 Participants benefit from reflecting on their social relationships that can stimulate a sense of social support,66 and foster systemic and structural awareness.8, 67 In one of our datasets, a medical student, in contemplating his social network, discovered who he could lean on during difficult times.3 Others have similarly found that mapping one's social network can be a therapeutic strategy during stressful transitional periods.67 In the broader HPE methodological literature, the therapeutic benefits of participants engaging in various visual methods is also reported.68

5.6 SNA에 대한 연구원-참가자 관계
5.6 Researcher–participant relationships in SNA

마지막 과제는 소셜네트워크 연구자들의 존재감이 중립과 거리가 멀다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 참여자들은 그들의 자아 네트워크의 연관성으로 연구자를 지명할 수도 있다. 연구자가 연구가 이뤄지는 사회적 맥락과 관련이 있다면 그럴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그녀의 연구가 이루어진 연구소와 제휴했던 애설리는 그녀의 연구에서 이것을 경험했다. 두 명의 참가자는 임상실습에 들어갔을 때 전환 경험을 설명하면서, 애설리(Atherley, 그녀는 종적 연구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었다)를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냈다.3 이로 인해 애설리는 의대생들의 사회관계망에서 자신의 현장 노트에 성찰적으로 반응하게 되었다.

A final challenge can be that social network researchers' presence is far from neutral.33 In some instances, participants could name the researcher as a tie in their ego network. This may be likely if the researcher is affiliated with the social context where the research takes place. For example, Atherley, who was affiliated with the institution where her research took place, experienced this in her research. Two participants represented their relationship with Atherley (she was collecting data with them in a longitudinal study) as meaningful when describing their transition experiences when they entered clerkships.3 This led Atherley to be reflexive in her field notes of her embeddedness in the medical students' social networks.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에 참여자와 함께 반영하면 연구자-참여자 관계가 긴밀해질 수 있다. 애설리는 자신의 사회적 위치가 그녀가 기대했던 것보다 더 진실로 연구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더 깊은 대화를 촉진시켰다는 것을 인정했지만, 이것은 또한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연구자와 참여자의 긴밀한 관계는 참여자들이 의도치 않게 참여를 계속해야 한다는 의무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이 접근법에서 발생하는 친밀감은 한 번의 연구 인터뷰보다 연구자-참여자 관계를 더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 질적 자아 네트워크 접근법은 특히 참여자들이 자신의 사회적 현실을 반영하는 것을 수반하기 때문에 이러한 접근 방식을 채택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

Reflecting with participants on their social networks over time could result in an intimate researcher–participant relationship. Although Atherley acknowledged that her social positioning facilitated deeper conversations that allowed her to meet her research aims more authentically than she had anticipated, this could also have unintended consequences. Close researcher–participant relationships could lead to participants unintentionally feeling obligated to continue their participation.4749 Moreover, the intimacy generated in this approach may complicate the researcher–participant relationship more than a single research interview would.4749 These are all important issues to consider in employing this approach, particularly because a qualitative ego network approach involves participants holding a mirror up to their social realities.

6 향후 HPE 연구에서의 질적 자아 네트워크 접근법
6 QUALITATIVE EGO NETWORK APPROACHES IN FUTURE HPE RESEARCH

[질적 자아 네트워크 접근법]은 학습 환경의 사회적 측면에 대한 이해의 공백을 발굴하고 새로운 깊이 있는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Qualitative ego network approaches can unearth voids in our understanding of the social aspect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offer new depths of insight.69

[질적 자아 네트워크 접근법]으로 답할 수 있는 연구 질문들이 풍부하다. 탐구할 만한 흥미로운 영역 중 하나는 특정 교육이나 업무 공간에서 조직 구조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연결된 개인들로부터의 다중 자아 네트워크를 조사하는 것일 수 있다. 질적 자아 네트워크 접근법은 [정보 흐름을 도와주고 다른 사람의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물]을 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개인(중개자/중개자)은 네트워크에서 잘 연결되거나 느슨하게 연결될 수 있다. 우리의 연구에서, 우리는 (학생 기구가 투표한) 관리 역할의 의대생이 중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3 이 학생은 임상실습으로 전환하는 학생들에게 자주 정보를 공유했고 중요한 책임을 지는 사회적 권력의 위치에 있었습니다. [브로커]들이 서로 연결된 사회적 위치에서 잘 지원되고 훈련될 수 있도록 브로커들을 눈에 띄게 만드는 것은 교육 기관에 필수적일 수 있다. 그러나 민감하고 비밀스러운 소셜 네트워크 맵과 조직 구조와 기능의 구체적인 시각 자료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교육 기관과 공유해야 하는지 여부 사이에 긴장이 있다. 다른 시각적 방법론자들이 지적한 바와 같이, 사회그램sociogram과 같은 이미지는 [참가자]와 [구경꾼]을 더 식별 가능하게 할 수 있다.9

There are abundant research questions that could be answered using a qualitative ego network approach. One exciting area to explore could be examining multiple ego networks from connected individuals which can provide insight into the organisational structure in specific educational or work spaces.70 A qualitative ego network approach could detect key people who help information flow and have influence on attitudes and behaviours of others. These individuals (ie mediators/brokers) can be well connected or loosely connected (ie weak tie) in networks.3, 20 In our research, we discovered that a medical student in an administrative role (voted by the student body) had a broker role.3 This student frequently shared information to students transitioning to clerkship and was in a position of social power bearing important responsibilities. Rendering brokers visible could be vital 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 so that brokers themselves are well supported and trained in their interconnected social position. A tension, however, is between the sensitive and confidential social network maps and whether they should be shared with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could benefit from concrete visuals of their organisational structures and functions.33 As noted by other visual methodologists, images such as sociograms can render participants and bystanders more identifiable.9

질적 자아 네트워크 접근법이 포착할 수 있는 관심을 거의 받지 못하는 또 다른 흥미로운 현상은 의료 훈련이 발생하는 기관 내외에서 [학습자의 소셜 네트워크를 의도적으로 개발하고 다양화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교육 설계의 변화가 학생들의 소셜 네트워크를 변화시키는지 또는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이해하기 위해 질적 자아 네트워크 접근법을 적용하는 것은 흥미로울 수 있다. 훈련 참여의 결과로 네트워크 개발을 시각화하면 훈련의 성과를 기존처럼 [인지 및 태도 개발]에만 두던 것에서, [전략적 네트워크 구축과 이용]으로 지배적 초점을 확대할 수 있다. 일부는 심지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네트워크 규모가 증가하거나 네트워크가 더 연결되면 신입에서 전문가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나타낼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와 같이, 시간에 따른 훈련생의 사회관계망과 문서화된 그러한 관계의 질적 특성은 지식 이전과 사회통합의 지표가 될 수 있다.67

Another intriguing phenomenon that receives little attention that a qualitative ego network approach could capture is the intentional development and diversifying of a learner's social network within and outside the institution of where medical training occurs.3, 45 It might be interesting, for example, to apply a qualitative ego network approach to understand whether or how a change in educational design changes students' social networks and shapes student learning in a variety of contexts.34, 71 Visualising network development as a result of participation in training could expand the dominant focus on training outcomes on cognitive and attitude development towards strategic network building and utilisation.67 Some have even suggested that an increase in network size or a more connected network over time could indicate a successful transition from newcomer to expert.72 As such, a trainee's social network and the qualitative nature of those ties documented over time could be an indicator of knowledge transfer and social integration.67

7 결론
7 CONCLUSION

본 논문은 학습 환경에서 타인과 관련하여 자신과 관련된 설득력 있는 질문에 대답하는 데 있어 이 분야를 발전시키기 위해 질적 자아 네트워크 접근법의 사려 깊고 적절한 사용을 촉진하기를 바란다. 질적 자아 네트워크 접근법은 HPE 상황에서 경험이 사회에 의해 형성되고 형성되는 방법에 대한 풍부한 참가자의 성찰을 수집한다. 우리는 특정 HPE 상황에서 자신과 사회가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를 자세히 설명하면서 질적 자아 네트워크 접근법을 이용한 의도적이고, 임팩트 있고, 활력을 주는 연구를 기대한다.

We hope this paper fosters thoughtful and appropriate use of qualitative ego network approaches to move the field forward in answering compelling questions related to the self in relation to other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A qualitative ego network approach harvests rich participant reflections of how their experiences in HPE situations are shaped by and shape society. We look forward to intentional, impactful and invigorated research using qualitative ego network approaches as we elaborate how self and society in specific HPE situations interact.

 


 

Med Educ. 2022 Jan;56(1):71-81.

 doi: 10.1111/medu.14663. Epub 2021 Sep 22.

Qualitative ego network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apturing the self in relation to other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Faculty of Medicine,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2Academy of Teaching and Learning, Ros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arbados Campus, Bridgetown, Barbados.

PMID: 34490649

DOI: 10.1111/medu.14663

Abstract

Introduction: Our very sense of self emerges through interactions with others. As part of this State of the Science series on Self, Society, and Situation, we introduce a qualitative ego network research approach. This research approach offers insights into the self's (the ego's) interpretation of and relation to named others in the social network in question.

Purpose: Visual mapping of participants' social networks is gaining traction, yet this research approach has received no focused attention in th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literature. A qualitative ego network approach is a compelling research approach because it uniquely maps participants' perceptions of the complex social world they are embedded in. Although many methodologies can explore participants' social world, ego networks can enhance expression of tacit knowledge of one's social environment and encourage reflection. This approach, combined with other qualitative data, can also reveal hidden relational data that the researcher may not observe or consider. To demonstrate its value as a visual methodology, we will showcase two examples of qualitative ego network studies. We then balance the paper with some critical reflections of this research approach.

Conclusions: A qualitative ego network approach holds potential for deepening understanding of the self in relation to society and situation in future HPE research. We look forward to intentional, impactful and invigorated research using a qualitative ego network approach as we tackle unknowns about how self and society in specific HPE situations interact.

템플릿 분석 하기 (Qualitative Organizational Research, Chapter 24)
Doing Template Analysis
Nigel King

템플릿 분석이란?
What is Template Analysis?

이 책과 다른 책에 기술된 다양한 유형의 질적 연구 중 한 가지 공통점은 광범위하고 복잡한 텍스트 데이터를 만든다는 것이다. 연구자가 텍스트에 포착된 경험에 대한 이해를 도출하기 위해 이로부터 어떻게 나아가는가는가는 데이터 분석 기술의 선택에 달려 있다. 이 장에서는 그러한 기법 중 하나인 템플릿 분석(TA)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나는 그것의 뒤에 있는 원칙들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질적 데이터 분석의 잘 알려진 다른 형태보다 선호될 수 있는 상황을 고려할 것이다. 실제 연구 프로젝트의 확대된 예를 통해 저는 이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 단계를 거치겠습니다.

One common feature of the many different types of qualitative research described in this and other books is that it produces extensive and complex textual data (and occasionally also visual data: see Vince and Warren, in this volume). How the researcher moves on from this to produce an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captured in the texts depends on their choice of data analytical techniques. In this chapter, I will describe one such technique: template analysis (TA). I will outline the principles behind it and consider the circumstances in which it might be preferred to other well-known forms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Through the use of an extended example from a real research project I will go through the key steps required to utilize the technique.

템플릿 분석은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구조적 균형]을 잡고, [특정 연구의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조정]하는 [주제 분석의 한 가지 스타일]이다. 개별 인터뷰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 주로 사용되지만, 다른 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다.

Template analysis is a style of thematic analysis that balances a relatively high degree of structure in the process of analysing textual data with the flexibility to adapt it to the needs of a particular study. It has mostly been used to analyse data from individual interviews (see Alvesson and Ashcraft, in this volume, for more on qualitative interviewing), but it can be applied to other forms too. The example used in this chapter employed focus group interviews (see also Kandola, in this volume), while Kent (2000) used it to analyse free response items on a questionnaire, and it could certainly be applied to data from diaries or to observational field notes (see Yanow, Ybema and van Hulst on ethnography and Brennan on participant observation, in this volume).

이 기술의 중심은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하위 집합을 기반으로 하는 [코딩 템플릿을 개발하는 것]이며, 이것은 이후 추가 데이터에 적용되고 수정 및 재적용된다. 이 접근법은 생성되는 템플릿의 스타일과 형식에 대해 매우 유연하며, 다른 주제적 접근법과 달리 코딩 수준의 일련의 순서를 미리 제안하지 않는다.

Central to the technique is the development of a coding template, usually on the basis of a subset of the data, which is then applied to further data, revised and reapplied. The approach is very flexible regarding the style and format of the template that is produced and unlike some other thematic approaches does not suggest in advance a set sequence of coding levels.

 

템플릿 분석 다시 방문
Template analysis revisited

이 장의 첫 번째 버전은 10여 년 전에 등장했습니다(사이먼과 캐셀, 1998). 그 이후로, TA를 사용한 연구를 설명하는 출판물의 수가 상당히 증가했다. 내가 제인 멜빈과 함께 편집하고 있는 현재 진행중인 문학 리뷰는 200개가 훨씬 넘는 그러한 기사들을 식별해냈다. 넓은 영역에서는 조직 연구(예: Kenny and Briner, 2010)가 분명히 가장 크고 그 다음이 보건(Howard 등, 2008)이다. 이 외에도, TA는 교육(Au, 2007), 임상 심리/심리 치료(Stratton et al., 2006), 스포츠 과학(Nash and Sproule, 2009)을 포함한 광범위한 다른 환경에서 사용된다. TA 연구는 단일 자전적 사례(King, 2008)에서 질적 측면에서 매우 큰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연구(Donnelly, 2008, 예를 들어 81건의 인터뷰 포함)에 이르기까지 규모가 상당히 다양하다.

The first version of this chapter appeared more than ten years ago (Symon and Cassell, 1998). Since then, the number of publications describing studies that have used TA has grown considerably. An ongoing literature review I am compiling with Jane Melvin has identified well over 200 such articles. In terms of broad area, organizational research (including business and management) is clearly the largest (e.g. Kenny and Briner, 2010), followed by health (Howard et al., 2008). Beyond these, TA is used in a wide range of other settings, including education (Au, 2007), clinical psychology/psychotherapy (Stratton et al., 2006) and sports science (Nash and Sproule, 2009). TA studies vary considerably in size, from a single autobiographical case (King, 2008) to studies that in qualitative terms may be considered very large (Donnelly, 2008, for instance included 81 interviews).

정의론 및 인식론 문제
Definitional and epistemological issues

템플릿 분석은 완전하고 구별되는 방법론이 아니라 폭넓은 인식론적 위치의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이 책의 더벌리, 존슨 및 캐셀 참조). 한편으로, 템플릿 분석은 주류 양적 사회과학의 전통적인 실증적 위치의 많은 부분을 수용하는 [현실주의적 질적 작업]의 한 유형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인간 행동의 근본적인 원인을 '발견'하고 연구자의 객관성을 달성하고 코딩 신뢰성을 입증하고자 하는 연구를 말한다(Kidd, 2008). 

Template analysis is not a complete and distinct methodology, but rather is a technique that may be used within a range of epistemological positions (see Duberley, Johnson and Cassell, in this volume). On the one hand, it can be employed in the kind of realist qualitative work that accepts much of the conventional positivistic position of mainstream quantitative social science. By this I mean research that is concerned with ‘discovering’ the underlying causes of human action and which seeks to achieve researcher objectivity and to demonstrate coding reliability (Kidd, 2008).

반면에, 템플릿 분석은 Madill 등이 ['맥락적 구성주의자']라고 부르는 입장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구자들은 어떤 현상에 대해서도 항상 여러 해석이 있을 것으로 가정한다. 그것은 연구자의 입장과 연구의 맥락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따라서 코딩 신뢰성에 대한 우려는 무관하다; 대신 연구자의 성찰성, 다양한 관점에서 주제에 접근하려는 시도와 생성된 설명의 풍부함에 중점을 둔다. 현상학, 상호작용주의자 및 일부 서술적 접근법(이 책의 미틀리스 참조)이 이 범주에 속한다.

On the other hand, template analysis can be used within what Madill et al. (2000) call a ‘contextual constructivist’ position. Here, the researcher assumes that there are always multiple interpretations to be made of any phenomenon, which will depend upon the position of the researcher and the context of the research. Concern with coding reliability is therefore irrelevant; instead the emphasis is on the reflexivity of the researcher (see Haynes, in this volume), the attempt to approach the topic from differing perspectives and the richness of the description produced (Wimalasiri et al., 2008). Phenomenological, interactionist and some narrative approaches (see Maitlis, in this volume) fall within this category.

템플릿 분석은 다양한 형태의 담화 및 대화 분석에서처럼, 언어가 우리 세계의 버전을 구성하기 위한 상호작용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검토하기 위한 목적으로 [급진적인 상대론적 접근법]을 취하는 방법론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호작용에 대한 면밀한 분석보다는 담론 사용의 광범위한 패턴에 관심을 가지고 주제별 분석 스타일을 사용한 사회 구성주의 연구의 예도 일부 있다(예: Taylor와 Usher, 2001). 원칙적으로 본다면, 그러한 연구는 주제 분석을 목적으로 템플릿 스타일을 사용할 수 있다.

Template analysis is generally not used in methodologies that take a radical relativist approach to examining how language is used in interaction to construct versions of our world – as in various forms of discourse and conversation analysis (see Oswick, and Greatbatch and Clark respectively, in this volume). There are, however, examples of social constructionist studies that are concerned with broad patterns of discourse use rather than the close analysis of interactions, and that have used a thematic style of analysis (e.g. Taylor and Ussher, 2001). In principle, such studies could use a template style for their thematic analysis.

 

템플릿 분석을 사용하는 이유
Why use template analysis?

질적 연구 프로젝트에 착수하려는 사람이 템플릿 분석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특히, 근거 이론(예: Corbin과 Strauss, 2008), 해석 현상학적 분석(예: Smith 등, 2009) 또는 보다 일반적인 형태의 주제 분석(예: Braun과 Clark, 2006)과 같이 그것과 유사한 다른 접근법보다 이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 섹션에서는 템플릿 분석이 이러한 대안과 관련하여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고려하겠습니다.
Why should anyone about to embark on a qualitative research project choose to use template analysis? In particular, why should they choose it over other approaches that resemble it, such as grounded theory (for example, Corbin and Strauss, 2008, and see Kenealy, in this volume),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IPA; for example, Smith et al., 2009) or more generic forms of thematic analysis (e.g. Braun and Clarke, 2006)? In this section I will consider the advantages that template analysis may offer in relation to these alternatives.

먼저 근거 이론에 초점을 맞추면, 일부 연구자들에게 템플릿 분석에 대한 선호는 그들의 철학적 입장에 기초할 수 있다. 글레이저와 스트라우스가 1967년 기초이론의 발견에서 시작한 이래, 기초이론은 원작자들(스트라우스와 코빈, 1990년; 글레이저, 1992년)과 차마즈(1995년)가 제안한 사회구성주의 버전 사이의 차이를 포함하여 여러 다른 방향으로 발전해 왔다. 스트라우스와 코빈의 접근법은 아마도 가장 잘 알려져 있고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것과 글레이저의 접근법은 모두 현실주의적인 경향을 유지하고 있다. 즉, 사용자들은 대부분 연구 참여자들의 '진정한real' 신념, 태도, 가치 등을 발견한다고 주장해왔다. 따라서 경험적 연구를 통해 발견될 '실제real' 내부 상태의 존재에 회의적인 [맥락적 구성주의자 입장]을 취하는 질적 연구자들은 [템플릿 분석이 그들의 입장에 더 도움이 된다]고 느낄 수 있다.

Focusing first on grounded theory, for some researchers a preference for template analysis may be based on their philosophical position. Since its inception by Glaser and Strauss in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1967), grounded theory has developed in a number of different directions, including a divergence between the original authors (Strauss and Corbin, 1990; Glaser, 1992) and a social constructionist version proposed by Charmaz (1995). The Strauss and Corbin approach is probably the best known and most widely used, and both it and Glaser’s version retain a realist orientation. That is to say, its users have mostly claimed to be discovering the ‘real’ beliefs, attitudes, values and so on of the participants in their research. Those qualitative researchers taking a contextual constructivist stance that is sceptical of the existence of ‘real’ internal states to be discovered through empirical research may therefore feel that template analysis is more conducive to their position.

템플릿 분석은 또한 근거이론의 가정에 적대적이지는 않더라도 (따라야 할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위한 절차를 명시한다는 점에서) [너무 규범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선호할 수 있다(Corbin and Strauss, 2008). 대조적으로, 템플릿 분석은 전반적으로 지정된 절차의 숫자가 더 적은 [더 유연한 기법]이며, 연구자들이 자신의 요구사항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Template analysis may also be preferred by those who are not inimical to the assumptions of grounded theory but find it too prescriptive (especially in the Strauss and Corbin version), in that it specifies procedures for data gathering and analysis that
must be followed (Corbin and Strauss, 2008). By contrast, template analysis is, on the whole, a more flexible technique with fewer specified procedures, permitting researchers to tailor it to match their own requirements.

광범위한 현상학적 접근법에서 사용될 때, 템플릿 분석은 실제로 IPA와 매우 유사하다. 접근방식 간의 주요 차이점은 템플릿 분석에서 [선험적 코드]를 사용하고 [사례 내, 사례 간 분석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다. IPA는 전체 사례의 통합을 시도하기 전에 개별 사례를 더 깊이 분석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일반적으로 템플릿 분석이 IPA보다 다소 [시간이 적게 걸리고 더 큰 데이터 세트를 보다 편안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IPA 연구는 일반적으로 10개 이하의 표본을 기반으로 한다.

When employed within a broadly phenomenological approach, template analysis is in practice very similar to IPA. The main differences between approaches are the use of a priori codes in template analysis and the balance between, within and across case analysis. IPA tends to analyse individual cases in greater depth before attempting any integration of a full set of cases. The net effect of these differences is that template analysis is generally somewhat less time-consuming than IPA and can handle rather larger data sets more comfortably. IPA studies are commonly based on samples of 10 or fewer; template analysis studies usually have rather more participants, with 15 to 30 being common.

브라운과 클라크(2006) 등 일부 저자들은 특정 방법론 및 이론적 입장과 결부되지 않은 일반적인 형태의 주제 분석을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내가 템플릿 분석은 사실상 '방법론'이라기보다는, 다양한 철학적 입장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하나의 기법이라고 언급할 때와 같은 입장이다. 브라운과 클라크가 설명하는 주제 분석보다는 템플릿 분석을 선택할 수 있는 이유를 고려할 가치가 있다. 나는 기술마다 다양하며 연구자의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세 가지 특징이 있다고 제안하고 싶다: 코딩 구조의 유연성, 선험적 테마의 사용, 초기 템플릿의 사용.
Some writers – notably Braun and Clarke (2006) – argue for the use of a generic form of thematic analysis, one that is not wedded to a particular methodological and theoretical position. This is in effect the same position that I would take in stating that template analysis is a technique rather than a methodology, which can be used from varying philosophical positions. It is worthwhile considering why one might choose template analysis rather than the kind of thematic analysis Braun and Clarke describe. I would suggest that there are three features that vary between the techniques and that might influence a researcher’s choice: the flexibility of the coding structure, the use of a priori themes, and use of the initial template.

코딩 구조의 유연성
Flexibility of the coding structure



일부 접근법은 코딩이 어떻게 구조화되어야 하는지를 미리 명시한다. 일반적으로는,

  • 데이터에 가까운 서술적 주제에서
  • 적은 수의 해석적 주제로 이동한 다음
  • 소수의 주요(또는 '중요한') 테마로 이동한다(Langdridge, 2004; King and Horrocks, 2010 참조).

이러한 접근법은 [구체적이고 데이터에 기반한 단계]에서 [추상적이고 해석적인 단계]로의 단계적 이동을 요구하기 때문에, [경험이 부족한 질적연구자]들이 이른 단계에서 데이터에 강력한 해석을 서둘러 부과하지 않도록 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그러나 [서술 코딩]과 [해석 코딩] 사이에 그렇게 명확한 차이가 있는지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또한, 3단계 계층의 규범으로 인해 분석가가 데이터의 가장 풍부한 측면을 실제 깊이에서 탐색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템플릿 분석은 고정된 수의 코딩 계층 구조를 요구하지 않는다. 대신 분석가가 (연구 질문과 관련하여) 가장 풍부한 데이터가 발견되는 곳에서 테마를 보다 광범위하게 개발하도록 장려한다. 마찬가지로, 템플릿 분석은 서술적 주제와 해석적 주제 사이의 명시적인 구별을 주장하지 않으며, 구조의 각 유형별로 특정한 위치를 주장하지 않는다.  

Some approaches specify in advance how the coding should be structured, typically moving

  • from descriptive themes that are close to the data,
  • to feeding into a smaller number of interpretive themes and
  • then in turn into a few major (or ‘overarching’) themes (see Langdridge, 2004; King and Horrocks, 2010).

By requiring a step-by-step move from the more concrete and data-grounded to the more abstract and interpretive, such techniques can be useful in discouraging inexperienced qualitative researchers from rushing to impose strong interpretations on the data at an early stage. However, it is debatable whether there is ever such a clear distinction between descriptive and interpretive coding. Furthermore, the norm of a three-level hierarchy may restrict analysts from exploring the richest aspects of the data in any real depth. Template analysis does not insist on a fixed number of levels of coding hierarchy – instead it encourages the analyst to develop themes more extensively where the richest data (in relation to the research question) are found. Equally, template analysis does not insist on an explicit distinction between descriptive and interpretive themes, nor on a particular position for each type in the structure. 

선험 테마 사용
Use of a priori themes

주제 분석의 유형은 '상향식' 또는 '하향식' 접근법을 취하는 범위 측면에서 고려될 수 있다.

  • 전자의 경우 데이터로부터 테마가 귀납적으로 개발될 수 있도록 기존의 이론적 또는 실제적 헌신을 적극적으로 피한다. IPA와 근거 이론에서 사용되는 주제 분석이 그렇다.
  • 대조적으로, 하향식 접근법은 이론이나 실천에 의해 알려진 주제를 정의하고 적용하려고 한다. (예를 들어, 여기서 '실천'은 평가 기준 주위에 코딩 구조를 기초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매트릭스 분석(Nadin and Cassell, 2004)과 프레임워크 분석(Pope 등, 2000)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접근방식을 채택한다.

Types of thematic analysis can be considered in terms of the extent to which they take a ‘bottom up’ or ‘top down’ approach.

  • In the former, existing theoretical or practical commitments are actively avoided, to allow themes to be developed inductively from the data. This is the case in the thematic analysis used in IPA and grounded theory.
  • By contrast, top down approaches seek to define and apply themes that are informed by theory or practice (‘practice’ here could mean, for example, basing the coding structure around evaluation criteria). Matrix analysis (Nadin and Cassell, 2004) and framework analysis (Pope et al., 2000) generally adopt this kind of approach.

템플릿 분석은 [하향식 및 상향식 분석 스타일 사이의 중간지점]에 배치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일부 주제(선험적 주제)를 미리 정의할 수 있지만, 대개 연구의 주요 개념이나 관점에 해당하는 제한된 수의 주제만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선험적 주제가 재정의되거나 폐기될 필요가 있을 수 있는 가능성을 항상 고려하여 이러한 주제들이 잠정적으로 사용된다고 주장한다.

Template analysis can be positioned in the middle ground between top down and bottom up styles of analysis. It allows the researcher to define some themes in advance (a priori themes), but usually only a limited number that correspond to key concepts or perspectives for the study. It also insists that these are used tentatively, with the possibility always considered that any a priori theme may need to be redefined or discarded.

초기 템플릿 사용
Use of the initial template

대부분의 주제적 접근법은 연구자가 각 사본(또는 다른 텍스트 데이터 부분)에 대한 분석의 각 단계를 수행해야 한다. 템플릿 분석에서 [데이터의 하위 집합에 기반한 초기 템플릿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변화를 줄 수 있다. [초기 템플릿]의 구성에 따라 연구자는 다음 및 후속 사본에 대해서는 예비 코딩preliminary coding부터 시작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 장의 뒷부분에 나오는 예에서 볼 수 있듯이 초기 템플릿을 적용, 수정 및 다시 적용하는 반복적인 프로세스를 통해 분석이 대신 진행됩니다. 이러한 유형의 분석은 모든 데이터에 대해 모든 단계를 수행해야 하는 분석보다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결정적으로, 내 경험상, 초기 템플릿을 사용하는 것은 이것이 적절하게 수행될 경우 분석의 깊이를 감소시키는 심각한 위험을 감수하지 않는다.

Most thematic approaches will require the researcher to carry out each step of the analysis on each transcript (or other piece of textual data). In template analysis, the use of an initial template based on a sub-set of the data changes the process. Foll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initial template, the researcher does not need to begin with preliminary coding for the next and subsequent transcripts. As will be seen in the example later in this chapter, analysis progresses instead through an iterative process of applying, modifying and re-applying the initial template. This style of analysis can be more efficient than those that require all the steps to be carried out on all the data. Crucially, using the initial template does not, in my experience, seriously risk reducing the depth of the analysis if this is carried out properly.

템플릿 분석의 주요 특징
Key Features of Template Analysis

테마 및 코드 정의
Defining themes and codes

질적 분석의 [주제]는 [연구자가 특정 연구의 연구 질문과 관련되었다고 본, 참자가의 인식 및 경험을 특징짓는 account(인터뷰, 일기, 블로그 등)의 반복적이고 독특한 특징]으로 정의될 수 있다. '테마'의 개념을 정의하는 데 관련된 문제는 브라운과 클라크(2006)와 킹과 호록스(2010)에서 더 자세히 탐구한다. 이 장의 목적상, 이 정의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논점이 있다.

Themes in qualitative analysis may be defined as the recurrent and distinctive features of participants’ accounts (in interviews, diaries, blogs and so on) that characterize perceptions and/or experiences, seen by the researcher as relevant to the research question of a particular study. The issues involved in defining the concept of ‘theme’ are explored further in Braun and Clarke (2006) and King and Horrocks (2010).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chapter, there are three points related to this definition that require some comment:

1 '테마'라는 용어는 [반복]을 의미한다. 뷰가 표현되거나 경험이 기술된 단일 격리된 인스턴스에 적용해서는 안 됩니다. 테마는 일반적으로 여러 케이스에 걸쳐 식별되지만, 단일 사례 내에서 여러 번 식별되는 중요한 것은 여전히 테마로 정의될 수 있다.
1 The term ‘theme’ implies repetition. It should not be applied to a single isolated instance where a view is expressed or an experience described. While themes are usually identified across several cases, something important that is identified several times within a single case could still be defined as a theme.

2 테마는 그것을 정의하는 연구자와는 독립적이지 않습니다. 그들은 바위의 화석처럼 발견되기를 기다리며 거짓말을 하지 않습니다. 가장 현실주의적인 질적 연구조차도 주제가 객관적인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인정한다.
2 Themes are not independent of the researcher who defines them. They do not lie waiting to be discovered, like a fossil in a rock. Even the most realist-oriented qualitative research recognizes that themes are not objective ‘facts’.

3 유용하기 위해서는, 주제들이 서로 상대적으로 구별되어야 합니다. 일부 중복은 불가피하지만 주제 간의 광범위한 경계가 모호해지는 것은 피해야 한다.

3 To be useful, themes must be relatively distinct from each other. Some overlap is inevitable, but an extensive blurring of boundaries between themes is to be avoided.

코딩(coding)은 텍스트의 한 섹션에 레이블(코드)을 부착하여 테마와 관련된 색인화하는 과정이다. 템플릿 내에는 엄격하게 말해서 테마를 인덱싱하지 않고 관련 테마를 구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플레이스홀더' 역할을 하는 일부 코드가 있을 수 있다(Gibbs, 2002). 예를 들어, 새로운 IT 시스템에 대한 직원 견해 연구에서 각 그룹과 관련된 테마가 구성되는 자리 표시자 코드로 직원 그룹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Coding is the process of attaching a label (code) to a section of text to index it as relating to a theme. Within a template there may also be some codes that strictly speaking do not index themes but rather serve as ‘placeholders’ (Gibbs, 2002) to help organize associated themes. For instance, in a study of staff views on a new IT system, we might use staff groups as placeholder codes under which themes relating to each group are organized.

 

계층적 코딩
Hierarchical coding

템플릿 분석의 주요 특징은 [코드들의 계층적 조직으로, 유사한 코드들의 그룹들이 함께 모여 보다 일반적인 고차 코드를 만드는 것]이다. 계층적 코딩은 연구자가 다양한 수준의 특수성으로 텍스트를 분석할 수 있게 해주며, 연구자가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만큼 다양한 수준의 테마가 있을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주요(즉, 최상위 수준) 주제가 정교해지는 정도(하위 테마의 수와 수준)는 [특정 연구의 주제 영역에 대한 통찰력의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얼마나 풍부한지 반영해야 한다. 그러나 너무 많은 수준은 데이터를 정리하고 해석하는 데 있어 명확성을 확보하려는 목표에 역행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A key feature of template analysis is the hierarchical organization of codes, with groups of similar codes clustered together to produce more general higher order codes. Hierarchical coding allows the researcher to analyse texts at varying levels of specificity and there can be as many levels of themes as the researcher finds useful. Importantly, the extent to which main (i.e. top level) themes are elaborated – in terms of the number and levels of sub-themes – should reflect how rich they prove to be in terms of offering insights into the topic area of a particular study. It is worth bearing in mind, though, that too many levels can be counter productive to the goal of attaining clarity in organizing and interpreting the data.

템플릿은 계층적으로 구성될 뿐만 아니라 [테마 간의 측면 링크lateral link]를 표시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많은 주요 주제들을 가로지르는 소수의 통합 테마의 형태일 수도 있고, 개별 주제들 간의 더 복잡한 연결을 포함할 수도 있다. 템플릿에서 이러한 측면 링크lateral link를 사용하고 묘사하는 방법은 아래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As well as being organized hierarchically, the template can present lateral links between themes. This may be in the form of a small number of integrative themes that cut across many of the main themes or it may involve more complex links between individual themes. Using and depicting such lateral links on the template is discussed below.

병렬 코딩
Parallel coding

템플릿 분석은 일반적으로 텍스트 세그먼트의 병렬 코딩을 허용하며, 여기서 [동일한 세그먼트가 동일한 수준에서 두 개 이상의 다른 코드에 분류]된다. 병렬 코딩은 연구자들이 템플릿 분석과 정량적 내용 분석 요소를 결합하기를 원할 수 있는 [질적 연구 스펙트럼에서 실증적 지향성을 강하게 갖는 연구]에서만 문제가 될 수 있다.
Template analysis usually permits a parallel coding of segments of text, whereby the same segment is classified within two (or more) different codes at the same level. Parallel coding is only likely to be problematic in research that is located strongly towards the positivist end of the qualitative research spectrum, where researchers may wish to combine template analysis with elements of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통합적 주제
Integrative themes

때때로 템플릿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데이터의 많은 부분에 걸쳐 있는 것처럼 보이는 특정 주제]가 있다는 것이 명확해진다. 이러한 주제는 다른 주제 클러스터 중 다수에 걸쳐 있다. 예를 들어, 당뇨병 신장 질환의 경험에 대한 연구(King et al., 2002)에서 우리는 데이터의 많은 부분에 '불확실성'이 스며들어 있음을 발견했다. 단순히 이 주제를 최상위 테마로 취급하는 것만으로도 다른 모든 주제 군집과 관련된 방식에 충분한 관심을 끌지 못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불확실성'을 각 최상위 테마에 하위 테마로 추가하는 것은 우리가 보기에 그 중요성을 충분히 분명하게 하지 못했다. 따라서 템플릿을 만들 때 [여러 테마를 횡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표시한 [통합적 주제]를 식별했습니다.

Sometimes as the template develops it will become clear that there are certain themes that seem to pervade much of the data, cross-cutting many or all of the other thematic clusters. For example, in a study of experiences of diabetic renal disease (King et al., 2002), we found that ‘uncertainty’ permeated much of the data. To have simply treated this as a top-level theme in itself would not have drawn sufficient attention to the way it related to all the other thematic clusters. Equally, adding ‘uncertainty’ as a sub-theme to each top-level theme would not in our view have made its importance apparent enough. We therefore identified it as an integrative theme, shown on the template as connecting the other themes laterally.

통합적 주제를 개념화하는 한 가지 방법은 참가자의 account에 있는 undercurrent이다. 이것은 종종 명시적으로 다루지 않지만, 신중하게 읽어본다면 매우 명백하다. 당뇨병 신장병 연구에서 우리는 거의 모든 참가자가 취하는 그들의 질병에 대한 전형적인 입장을 나타내기 위해 '금욕stoicism'이라는 두 번째 통합적 주제를 확인했다. 그들은 자신들을 명시적으로 '금욕적'이라고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그들의 질병 경험에 대한 많은 다른 측면에서 그것을 보여주었다. '금욕주의'라는 통합적 주제는 사람들이 더 이상 개인의 고통에 대해 '강렬한 윗입'을 유지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는 문헌의 주장과 모순되는 것으로 보였기 때문에 관심을 끌었다.

One way to conceptualize integrative themes is as undercurrents running through participants’ accounts; often, perhaps, not addressed explicitly but very apparent to the careful reader. In the diabetic renal disease study we identified a second integrative theme of ‘stoicism’ to indicate the typical stance towards their illness taken by almost all participants. They did not explicitly describe themselves as ‘stoical’ but demonstrated it in many different aspects of their accounts of their illness experience. The integrative theme of ‘stoicism’ was of interest because it appeared to contradict claims in the literature that people no longer felt the need to maintain a ‘stiff upper-lip’ towards personal suffering.

템플리트 표시: 목록 및 마인드맵
Displaying the template: lists and mind-maps


템플릿 자체는 중요한 의사소통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것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신중하게 생각해 볼 가치가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스타일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 첫째, 테마는 들여쓰기, 타이포그래피(예: 글꼴 크기 및 스타일) 및/또는 번호 체계로 표시된 레벨과 함께 목록으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 둘째, 테마는 '마인드맵'과 유사한 형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계층적 수준을 나타내기 위해 화살표 연결뿐만 아니라 타이포그래피 세부 정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마인드맵 버전은 주제 클러스터 사이의 측면 링크를 목록 스타일보다 더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것은 더 복잡하고 전체 템플릿은 목록 버전보다 디스플레이에서 훨씬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 

The template itself has an important communicative function; it is therefore worthwhile to think carefully about how best to present it. There are two main styles that can be used.

  • First, themes can be presented in a list, with levels indicated by indentation, typography (e.g. font size and style) and/or a numbering system.
  • Second, themes can be laid out in a format similar to a ‘mindmap’, which might also use typographic details as well as connecting arrows to indicate hierarchical levels. The mind-map version allows lateral links between thematic clusters to be shown more clearly than in the list style. It is, however, more complex and for the full template would take up considerably more space in its display than the list version.

비록 템플릿 분석을 사용하여 발표된 대부분의 연구가 [템플릿을 목록 형식으로 제시]하지만, 주제 클러스터 간의 측면 링크가 중요한 경우 마인드맵 스타일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유용하다. 스터디의 서면 설명에서 더 잘 작동하는 경우 언제든지 목록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Although most published studies using template analysis present the template in list form, it is useful to think about using the mind-map style when the lateral links between thematic clusters are important. It is always possible to convert this to a list format if that works better in a written account of the study.

품질 검사
Quality checks

질적 연구의 질적 문제는 이 책에서 사이먼과 캐셀이 자세히 다루고 있다. 여기서는 템플릿 분석과 관련된 특정 사항을 강조하겠습니다. 데이터 분석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략]에는 연구자와 전문가 패널 간의 독립적인 코딩 및 비판적 비교, 응답자 피드백 및 감사 추적 제공이 포함된다. 이 모든 것은 템플릿 분석의 체계적인 특성과 템플릿의 수정을 통해 떠오르는 사고를 문서화할 수 있는 가능성에 의해 도움을 받는다.

  • 특히 [감사 추적]의 모아두는 것은 이러한 접근법과 매우 잘 부합한다. [감사 추적]은 연구자가 분석을 수행하면서 거쳤던 단계와 그 혹은 그녀의 사고가 발전한 방식을 기록한 것이다. 분석 과정에서 템플릿이 어떻게 발전하는지, 연속된 버전에 번호를 매기고 날짜를 기입하고, 템플릿에 큰 변화가 생긴 이유에 대해 메모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The issue of quality in qualitative research is dealt with in detail by Symon and Cassell in this volume. Here I will highlight specific points relating to template analysis. Some of the commonly used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data analysis include: independent coding and critical comparison among researchers and by expert panels; respondent feedback; and the provision of audit trails. All of these are assisted by the systematic nature of template analysis and the possibility it offers to document emerging thinking through the modification of the template.

  • The compiling of an audit trail, in particular, fits very well with this approach. An audit trail in qualitative research is a record of the steps the researcher has gone through in carrying out an analysis and the way his or her thinking has developed. I would always recommend that a full record is kept of how the template develops over the course of the analysis, numbering and dating successive versions and keeping notes as to the reasons for any major changes made to it.

 

템플릿 개발: 예
Developing the Template: An Example

접근 방식을 일반적인 용어로 설명한 후, Huddersfield 대학의 팀원들에 의해 수행된 꽤 최근의 연구의 데이터 분석에 사용하는 데 수반되는 단계를 여기에 발표하겠습니다. 우리가 작업하고 있던 자료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의 배경이 필요합니다.

Having described the approach in general terms, I will present here the steps involved in using it for the analysis of data from a quite recent study carried out by members of my team at the University of Huddersfield. Some background to the project is necessary he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material that we were working with.

배경: 커뮤니티 그룹 참여 연구
Background: the community group participation study

영국 정부는 2002년부터 광범위한 보건 전략의 일환으로 350개의 건강 생활 센터(HLCs)를 설립했다. 이는 심각한 빈곤 지역의 건강과 복지를 개선하기 위한 지역사회 기반 이니셔티브와 활동의 초점 역할을 했다. 허더즈필드 대학의 응용심리연구센터(CAPR)는 영국 북부의 빈곤한 도시 지역에서 HLC에 대한 일련의 평가 연구를 수행하도록 의뢰되었으며, 이를 브룸빌 헬스 파트너십(BHP)이라고 부른다. 나, 엠마 커크비-게데스, 앨리슨 브라빙턴으로 구성된 프로젝트 팀은 BHP의 지원을 받는 세 커뮤니티 그룹의 멤버들과 함께 포커스 그룹(칸돌라 참조)을 수행했다. 그룹의 세부사항은 아래의 표 24.1에 제시되어 있다.  
As part of their wider health strategy (Department of Health, 1999) from 2002 the UK government set up 350 Health Living Centres (HLCs) . These served as a focus for community-based initiatives and activities to improve health and wellbeing in areas of significant deprivation. The Centre for Applied Psychological Research (CAPR) at the University of Huddersfield was commissioned to carry out a series of evaluation studies for an HLC in a deprived urban area in northern England, which I will refer to as the Broomville Health Partnership (BHP). The project team of myself, Emma Kirkby-Geddes and Alison Bravington carried out focus groups (see Kandola, in this volume) with members of three community groups supported by the BHP. Details of the groups are given in Table 24.1 below.  

 

포커스 그룹은 오디오 녹음, 문자 그대로 옮겨지고 템플릿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이 분석 프로세스의 단계가 아래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특히 초기 단계에서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대본은 여백이 넓고 줄 번호가 매겨진 이중 간격으로 배치되었다.

The focus groups were audio-recorded, transcribed verbatim and analysed using template analysis. The stages of this analytical process are described below. The transcripts were laid out double spaced with wide margins, and line numbered, to facilitate analysis – especially in the early stages.

평가 프로그램의 이 부분의 전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The overall aim of this part of the evaluation programme was:

•• 브룸빌을 공동체로 바라보는 시각에서 BHP가 지원하는 그룹 활동에 참여하는 이들이 건강생활동반자 관계와 어떤 관계를 경험하는지 살펴본다.
• To examine how those participating in group activities supported by BHP experience their involvement with the Healthy Living Partnership, in the context of their views of Broomville as a community.

 '참여'라는 것은 그들 자신의 그룹에 참여하는 것과 그들이 BHP와 그것이 지원하는 활동과 시설에 대한 더 넓은 참여를 의미한다.
 By ‘involvement’ we meant both participation in their own group and their wider engagement with the BHP and the activities and facilities it supported.

 

선험적 주제 및 예비 코딩
A priori themes and preliminary coding

예비 코딩을 시작하기 전에, 익숙해지기 위해 대본을 훑어보고 혹시 모를 전사 오류를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첫 번째 대본을 가져가서 연구 질문에 답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텍스트의 모든 부분을 여백에 관심 있는 내용을 요약한 예비 코드 제목을 적어두어야 한다. [선험적 주제]를 사용하는 경우, 원고를 나열하고 정의하는 문서 옆에 시트를 두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선험적 주제 중 하나에 포함될 수 있는 텍스트 섹션이 나타나면 여백에 이를 기록해 두십시오. 이 단계에서 특정 이슈의 관련성이 의심된다면, 포괄성 측면에서 오류를 범하고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최선이다. 해석에 추가되지 않는 경우 나중에 항상 따로 둘 수 있습니다.

Before beginning preliminary coding, it is essential to read through the transcripts for familiarization and to check for any possible errors in transcription. The first transcript should be taken and every section of text that seems to offer something of relevance to answering the research question marked, noting in the margin a preliminary code title that sums up what is of interest here. If using a priori themes, it is best to have a sheet beside the transcript listing and defining these; should a section of text emerge that can be encompassed by one of the a priori themes, make a note of this in the margin. At this stage if there is doubt as to whether a particular issue is relevant, it is best to err on the side of inclusivity and code it. It can always be set aside later if it transpires that it does not add to the interpretation.

BHP 커뮤니티 그룹 참여 연구에서는 포커스 그룹과 함께 분석을 시작하여 녹음을 들은 다음 특히 커피 모닝 그룹 성적표에 집중했습니다. 예비 코딩을 시작하기 전에 BHP의 평가 우선 순위와 대본에 대한 초기 읽기 및 토론을 바탕으로 6개의 선험적 테마를 식별했다. 이것들은 표 24.2에 설명되어 있다.
In the BHP community group participation study we began our analysis with the focus groups, listening to the recordings and then focusing particularly on the Coffee Morning group transcript. Before commencing preliminary coding we identified six a priori themes, based on the BHP’s evaluation priorities and on our initial reading and discussion of the transcripts. These are described in Table 24.2.

다음으로 우리는 각각 선택된 대본을 독립적으로 읽고 연구의 목표와 관련된 문제와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 모든 부분의 여백 및 텍스트 위에 예비 코드를 추가했다. 만약 그러한 섹션이 선험적 주제 중 하나에 의해 캡슐화될 수 있다면, 우리는 이것을 대본에도 언급했다.

Next we each independently read through the selected transcript and added preliminary codes in the margins and/or above the text wherever any section of the discussion appeared to relate to matters relevant to the study aims. If such sections could be encapsulated by one of the a priori themes we noted this on the transcript too.

 

초기 템플릿
Initial template

템플릿 분석에서 중요한 결정은 [언제 초기 템플릿 개발을 시작해야 하는가]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것은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하위 집합을 기반으로 하지만, 얼마나 빨리 시도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정된 규칙은 있을 수 없다. 일반적으로, 연구 참여자의 account가 다양할수록, 실행 가능한 초기 템플릿을 만들기 위해 더 많은 스크립트를 분석해야 한다.
A key decision in template analysis is when to begin to develop an initial template. As noted above, this is normally based on a sub-set of the data, but there can be no fixed rule as to how soon it should be attempted. In general, the more diverse the accounts provided by participants within a study, the more transcripts will need to be analysed to produce a workable initial template.

[초기 템플릿 개발]은 [예비 코드]의 [클러스터링]에서 시작된다. [테마 간의 종적 및 횡적 관계를 정의]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그룹으로 만드는 것이다. 이것은 주제를 구성하는 많은 다른 방법들이 시도되는 매우 유동적이고 탐구적인 과정이어야 한다. 클러스터링 프로세스에서 선험적 주제가 반드시 클러스터의 최상위 수준에 있다고 가정해서는 안 된다. 선험적 테마는 가장 잘 작동하는 것으로 보이는 장소를 찾을 때까지 어느 방향으로든 새롭게 만들어지는 구조로 이동할 수 있다.
Developing the initial template begins with the clustering of preliminary codes, to bring them into meaningful groups within which hierarchical and lateral relations between themes can be defined. This should be a very fluid and exploratory process, in which many different ways of organizing themes are attempted. In the clustering process, it should not be assumed that a priori themes are necessarily going to be at the top levels of clusters; they can be moved around anywhere in the emerging structure until a place is found where they seem to function best.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 포커스 그룹의 예비 코딩에 기초하여 템플릿의 초기 버전을 제작했다. 우리는 서로의 코딩을 보고,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토론하고, 정리할 테마의 잠정적인 집합에 동의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우리는 포스트잇 노트에 각각의 잠재적인 주제를 쓰고 의미 있는 클러스터로 보이는 큰 종이에 노트를 배치했다. 포스트잇을 사용하는 장점은 템플릿을 구성하는 다른 방법을 탐색하기 위해 쉽게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지만, 물론 다른 방법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서로 다른 버전의 구조를 시험해 보는 긴 과정 후에 우리는 그림 24.1에 나온 초기 템플릿에 합의했습니다.
In our study we produced an initial version of the template on the basis of the preliminary coding of the first focus group. We began by looking at each other’s coding, discuss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agreeing on a provisional set of themes to organize. We wrote each potential theme on a Post-it note and placed the notes on large sheets of paper in what seemed to be meaningful clusters. The advantage of using Post-its is that they can easily be moved around to explore alternative ways of organizing the template, but of course other methods could be used. After a lengthy process of trying out different versions of the structure we agreed on the initial template shown in Figure 24.1.

 

선험적 주제 중 두 가지는 초기 템플릿에 포함되지 않았다. 두 경우 모두 템플릿의 다른 곳에도 맞지 않는 선험적 테마 제목 아래 '적합'되는 항목이 거의 없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나아가 노화와 신체적 불안과 같은 문제가 집단, 공동체, 사회의 관계 맥락에서 거의 항상 제기된다는 것을 데이터가 보여주었을 때 자아에 대한 인식은 지나치게 개인주의적으로 보였다. 템플릿에 편하게 담기지 않은 예비 테마도 다수 있었다. 이 단계에서 우리는 단순히 이것들을 분류되지 않은 것으로 남겨두었다.

Two of the a priori themes were not included in the initial template – Perception of Self and Practicalities. In both cases, we found there was little that would ‘fit’ under the a priori theme title that did not also fit elsewhere on the template. Further, Perception of Self seemed overly individualistic when the data showed that issues such as ageing and physical insecurity were almost always raised in the context of relationships in the group, the community and society more widely. There were also a number of preliminary themes that we could not include comfortably on the template. At this stage we simply left these as Uncategorized.

초기 템플릿에는 하나의 통합적 테마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수축shrinkage. 이것은 많은 참가자들이 개인적으로 노화의 영향과 지역 편의시설과 시설의 손실과 같은 것들을 통해 그들의 세계가 줄어드는 것을 묘사하는 방법을 포착했다.
The initial template included one integrative theme: Shrinkage. This captured the way that many participants seemed to describe a sense of their world shrinking – personally through such things as the effects of ageing and collectively through the loss of local amenities and facilities.

 

템플릿 수정
Modifying the template

초기 템플릿이 구성되면, 연구원은 전체 스크립트 세트를 체계적으로 작업하여 프로젝트의 목적과 관련된 텍스트 섹션을 식별하고 하나 이상의 적절한 코드로 표시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초기 템플릿의 미흡함이 드러나 다양한 종류의 변경이 필요할 것이다. 이것들을 통해 템플릿이 최종 형태로 발전합니다.
Once an initial template is constructed, the researcher must work systematically through the full set of transcripts, identifying those sections of text that are relevant to the project’s aims and marking them with one or more appropriate code(s). In the course of this, inadequacies in the initial template will be revealed, requiring changes of various kinds. It is through these that the template develops to its final form.

커뮤니티 그룹 참여 연구에서 초기 템플릿을 개발한 후, 연구 목표와 관련하여 데이터에서 중요하다고 느끼는 모든 것을 포착하는 데 성공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시 첫 번째 포커스 그룹 대본을 검토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항을 변경했습니다.
Having developed the initial template in the community group participation study, we again went through the first focus group transcript to check that it had succeeded in capturing everything we felt to be important in the data in relation to our research aims. As a result we made several changes:

•• 새로운 최상위 테마를 추가했습니다. BHP에 대한 이해 및 인식
• We added a new top-level theme: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BHP.

•• 새로운 통합적 테마를 추가했습니다. 나이를 먹는 것.
• We added a new integrative theme: Getting Older.

•• 우리는 브룸빌에 대한 최상위 테마를 두 가지 2단계 테마로 나누었다. 사람과 물리적 공간 및 시설.
• We divided the top-level theme Perceptions of Broomville into two second-level themes: People and Physical Space and Facilities.

그런 다음 이 수정된 초기 템플릿을 나머지 두 포커스 그룹에 적용하여 이러한 관련 재료가 템플릿의 어떤 테마에서도 쉽게 다뤄질 수 없는 경우와 그에 따라 템플릿을 수정해야 하는 경우에 주목했다. 마지막으로 개별 인터뷰 대본을 모두 읽고 추가 수정 사항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그 결과, 템플릿의 최종 버전이 그림 24.2에 제시되었습니다.
We then applied this revised initial template to the remaining two focus groups, noting where relevant material in these could not be readily covered by any theme on the template and where necessary revising the template accordingly. Finally we read through the individual interview transcripts to identify any further revisions needed. This resulted in the final version of the template shown in Figure 24.2.

 

이 과정에서 우리는 다양한 방법으로 템플릿을 재구성했습니다. 이에 대한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Throughout this process we reorganized the template in various ways. Examples of these are given below.

 

삽입
Insertion

초기 템플릿을 제작한 후 브룸빌/사람에 대한 인식 아래에 인종 간 문제라는 새로운 3단계 주제를 추가했습니다. 초기 템플릿의 첫 번째 버전에 민족성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가 등장했고, 그 이후에 더 추가되었지만, 우리는 이 시점에서야 이러한 주제를 종합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이 지역의 중요성이 가장 잘 반영된다는 것을 인식했다. 주제는 커피 모닝 그룹에서 (주로 남아시아 공동체에 관한) '인종'에 대한 명시적인 토론과 다른 두 그룹에서 더 많은 암시를 포함했다.
After producing the initial template we added a new third-level theme of Inter-racial Issues, under Perceptions of Broomville/People. While some issues relating to ethnicity did appear on the first version of the initial template, and more were added subsequently, it was only at this point that we recognized that the importance of the area in general was best reflected by pulling together such a theme. The theme included both an explicit discussion of ‘race’ (mostly regarding the South Asian community) in the Coffee Morning Group and more implicit allusions in the other two groups.

저는 아시아인들과 함께 살았고, 그들은 10년에서 12년 동안 그곳에 있었고, 그들이 당신에게 말하기 시작하는데 그렇게 오래 걸렸습니다. 그들은 당신을 그냥 무시하고 지금도 당신을 비웃고 당신을 지나칠 때 다른 쪽을 바라볼 것이다.I’ve lived with Asians, they’ve been there 10 to 12 years, and they, it’s taken that long for them to start speaking to you. They just ignore you, and even now, they’ll turn their nose up at you and look the other way when they walk past you. (Roger, Coffee Morning Group)

음, 만약 당신이 진실을 말하고 말할 수 있다면, 우리는 아시아 여자들을 위해 늘 쓰던 방에서 쫓겨난 것입니다. 제가 그렇게 말하지 말았어야 했다면, 저는 잘 모르겠지만, 우리는 그랬습니다. (기쁨, 운동 그룹)
Well, if you can speak the truth and speak out, we were pushed out [of our usual room] for the Asian ladies; if I shouldn’t have said that, I don’t know, but we were – so. (Joyce, Exercise Group)

[조이스 옆에 있는 멤버는 그녀의 머리를 두 손으로 받치는 과장된 제스처를 취하고 있다; 다른 사람들은 당황한 표정을 짓고 있다.]
[Member next to Joyce makes exaggerated gesture of holding her head in her hands; others look embarrassed.]

삭제
Deletion

최상위 테마인 Quality of Group은 템플릿 버전 4에서 삭제되었고 두 번째 레벨 테마인 우리의 그룹으로서의 목적(Us as a Group 아래)은 최종 버전에서 제거되었다. 왜냐하면, 분석이 진행됨에 따라, 우리는 우리의 연구 목적 측면에서 사람들이 그들의 집단을 어떻게 보는지에 대한 가장 중요한 측면이 균형이라는 것을 점점 더 많이 관찰했기 때문이다. 이 때의 균형은 [과정과 관계를 '내부적으로' 보는 경향]과 [모임과 더 넓은 공동체에서 관련된 집단이 어떻게 사는지에 대한 '외부적으로' 보는 의지] 사이에 있다.
The top-level theme Quality of Group was deleted at version four of the template and the second-level theme Our Purpose as a Group (under Us as a Group) was removed in the final version. This was because, as the analysis progressed, we increasingly observed that, in terms of our research aim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how people saw their groups was the balance (and at times tension) between a tendency to ‘look inwards’ at processes and relationships and a willingness to ‘look outwards’ to how the group related to lives beyond the meetings and to the wider community.

병합
Merging

브룸빌에 대한 인식 아래 초기 템플릿에서 우리는 2단계 테마로 월드 곤 다운 더 플러골(World Gone Down the Plughole)을 포함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세상이 과거에 비해 덜 안전하고 친근하며 살기 편한 곳이라는 관점을 포착했다. 우리는 이러한 견해와 브룸빌이 어떻게 쇠퇴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의견을 구분했으며, 통합 주제인 수축 아래에서 이를 포착했다. 아래의 인용문은 두 가지 주제를 보여줍니다. 

On the initial template under Perceptions of Broomville we included as a second- level theme World Gone Down the Plughole. This captured the view that the world in general was a less safe, friendly and comfortable place to live in than it had been in the past. We distinguished such views from specific comments about how Broomville had declined, which we captured under the integrative theme Shrinkage. The quotes below illustrate the two themes:

풀숲으로 사라진 세계
World Gone Down the Plughole

하지만 요즘은 어디가 살기 좋은가요? 여러분 중 안전하다고 느끼시는 분은요? 밤에 밖에 나갈 수 없어요
But where is nice to live these days? Where do, do you feel safe, any, any of you, well I can’t go out at night. (Maureen, Exercise Group) Shrinkage

내 말은 저 위에 있는 가게들은 솔직히 신경 쓸 가치가 없고, 가격도 비싸고, 종류도 다양하지 않다는 거야… 지금 당장 브룸빌을 떠나야만 물건을 살 수 있어. (로저, 커피명언)
I mean the shops up there are frankly not worth bothering, they’re very expensive and they haven’t got the variety … You’ve got to leave Broomville, get out of Broomville to get your stuff, now. (Roger, Coffee Morning Group)

템플릿을 더 개발하면서 위에서 만든 구별이 의미 있는 것인지 여부에 대해 점점 더 불확실해졌다. 결국 우리는 참가자들의 의견의 어조를 더 잘 압축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풀밭으로 간 세계"라는 제목을 사용하여 두 테마를 함께 병합하기로 결정했다.

As we developed the template further we became increasingly uncertain as to whether the distinction made above was a meaningful one. Eventually we decided to merge the two themes together, using the World Gone Down the Plughole title as we felt it better encapsulated the tone of participants’ comments.

범위 변경
Changing the scope

최상위 테마인 Quality of Group(위의 내용 참조)을 삭제하고, 부속 테마인 Careing Yother와 그 하위 테마로 범위를 변경하였습니다. 우리는 집단 내에서의 '돌봄'의 개념이 그들의 정신의 한 측면으로 가장 잘 보여진다고 결론지었고, 따라서 마지막 템플릿에서 이것의 위계를 뒤집었다. 이를 통해 집단 간 에토스의 차이를 '돌봄'의 개념에 포함되었을 때보다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었다. 
Having deleted the top-level theme Quality of Group (see above), we made changes in scope to the subsidiary theme Caring for Each Other and its sub-themes. We concluded that the notion of ‘caring’ in the groups was best seen as an aspect of their ethos and therefore reversed the hierarchical order here on the final template. This enabled us to get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ces in ethos between the groups than was the case when ethos was subsumed under the notion of ‘caring’.

고차분류변경
Changing the higher order classification

이전의 예에서는 그룹의 Ethos가 Looking Inside로 2단계 테마로 이동했기 때문에 고차 분류의 변경과 테마의 범위 변경을 포함했다. 이것은 그들 너머의 세상과 관련된 집단이 어떻게 방치될 수 있었는지를 우려하는 정신의 측면에서 잠재적인 어려움을 야기했다. 우리는 이것을 Ethos의 확산/공유라는 제목의 Looking Outwards 아래에서 세 번째 수준의 주제를 구성하여 다루었습니다.

The previous example involved a change in the higher order classification as well as a change in the scope for the themes, since Ethos of Group moved into the second-level theme Looking Inward. This created a potential difficulty in that aspects of ethos that concerned how groups related to the world beyond them could have been neglected. We addressed this by constructing a thirdlevel theme under Looking Outwards entitled Spreading/Sharing the Ethos.

 

'최종' 템플릿
The ‘final’ template

분석 템플릿을 구성할 때 가장 어려운 결정 중 하나는 개발 프로세스를 어디에서 중단해야 하는가이다. 거의 초기 단계까지 코드의 정의를 수정하고 다듬는 것은 가능하지만, 연구과제는 외부 제약에 직면할 수밖에 없어 '이상적' 템플릿을 만들기 위한 시간이 무제한은 아니다. 템플릿이 '충분히 좋은' 경우에 대한 결정은 항상 특정 프로젝트에만 적용됩니다. 그러나 연구 질문과 관련이 있지만 코드화되지 않은 텍스트 섹션이 남아 있는 경우 템플릿은 '최종'으로 간주할 수 없습니다.

One of the most difficult decisions to make when constructing an analytical template is where to stop the process of development. It is possible to go on modifying and refining definitions of codes almost ad infinitum, but research projects inevitably face external constraints which will mean that there is not unlimited time to produce an ‘ideal’ template. The decision about when a template is ‘good enough’ is always going to be unique to a particular project. However, no template can be considered ‘final’ if there remain any sections of text that are clearly relevant to the research question but stay uncoded.

 

템플릿 분석 해석 및 표시
Interpreting and Presenting Template Analysis

해석
Interpretation

[템플릿을 개발하고, 이를 사용하여 일련의 스크립트를 코딩하는 것]은 [데이터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프로세스]의 끝을 나타내지 않는다. 단순히 주제를 나열하고, 각각에 대한 주요 결과만 요약한다면 그것은 데이터에 대한 매우 단순한 설명이 될 것이다. 코드화된 데이터의 해석을 함께 그리는 정확한 방법은 특정 연구의 목적과 내용에 따라 달라집니다. 제가 유용한 출발점이 될 수 있는 몇 가지 지침과 예를 제시하겠습니다.
Developing a template and using it to code a set of transcripts does not represent the end of the process of analysing and interpreting the data. If the themes are simply listed and the main findings summarized under each this will result in a very flat description of the data. Exactly how to go about drawing together an interpretation of the coded data depends on the aims and content of the particular study. I will offer some guidelines and examples that may serve as a useful starting point.

코드 나열
Listing codes

나는 보통 각 전사transcript에서 발생하는 [모든 코드 목록과 빈도를 표시하는 것]이 초기 단계에 유용하다고 생각한다. 사본 내 및 사본 전체에 코드를 배포하면 추가 검사를 필요로 하는 데이터 측면에 주의를 끌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세트를 제외한 모든 인터뷰 내용에서 주제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면, 한 가지 예외를 자세히 살펴보는 것이 드러날 수 있다. 또는 특정 주제가 샘플의 한 하위 집합의 사본에서 자주 발생하지만 다른 하위 집합의 사본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경우, 이것이 둘 사이의 관점이나 경험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예시할 수 있는지 여부를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주제의 빈도와 분포 패턴은 면밀한 검토가 필요한 영역을 제안할 수 있지만, 그것 자체로 의미 있는 것을 알려줄 수는 없다.

I usually find it useful at an early stage to compile a list of all codes occurring in each transcript, with some indication of their frequency. The distribution of codes within and across transcripts can help to draw attention to aspects of the data that warrant further examination. For example, if a theme occurs prominently in all but one of a set of interview transcripts, it may be revealing to look closely at the one exception. Or if certain themes occur frequently in the transcripts of one sub-set of the sample but hardly ever in another, whether this may exemplify a meaningful difference in views or experiences between the two should be considered. Note, though, that while frequencies of themes and the patterns of their distribution may suggest areas for closer examination, they cannot in and of themselves tell us anything meaningful.

선별성
Selectivity

어떤 주제를 깊이 있게 검토해야 하는지 선별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항상 있다. 어떤 핵심 테마가 초점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결정을 서두르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최종 템플릿에 보존된 어떤 선험적 테마가 이들 중 포함되어야 한다고 자동으로 가정해서는 안 된다. 마찬가지로, 집중해야 할 주제들의 우선순위를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단순한 빈도에 근거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과제는 각 주제(또는 테마 클러스터)가 관심 주제를 어떻게 조명하는지 신중하게 고려하는 것이다.

There is always the need to be selective in identifying which themes to examine in depth. It is important not to rush to a decision about which key themes should be the focus, and it should not automatically be assumed that any a priori themes retained in the final template should be included among these. Equally, prioritizing themes to focus on should not be based on mere frequency, as explained above. Rather the task is to consider carefully how each theme (or cluster of themes) sheds light on the topic of interest.

개방성
Openness

데이터를 분석하고 해석할 때 [선별성]이 필요하나, 동시에 데이터에 대한 [개방성]과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연구자는 명백히 직접적인 관련없다면 주제를 모두 무시할 정도까지 초기 연구 질문에 의해 경도되어서는 안 된다. 조금이라도marginal 관련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주제는 긴 설명을 요구하지 않고 연구의 배경 세부 사항을 추가하는 데 유용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더 문제가 되는 것은 참가자들에게 분명히 매우 중요하지만, 연구 범위를 훨씬 벗어난 것처럼 보이는 주제들이다. 이러한 경우, '제외된' 주제에 대한 조사가 연구의 중심 주제에 대한 이해에 유의미한 빛을 던져주는지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만약 그렇다면, 그것은 해석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The need to be selective in analysing and interpreting data must be balanced against the need to retain openness towards it. The researcher must not be so strongly guided by the initial research questions that all themes that are not obviously of direct relevance are disregarded. Themes that are judged to be of marginal relevance can play a useful role in adding to the background detail of the study, without requiring a lengthy explication. More problematic are those themes that are clearly of great importance to participants, but which seem to lie well outside the scope of the study. In such cases, there should be a careful consideration of whether the investigation of the ‘excluded’ theme casts any significant light on the understanding of central themes in the study. If it does, then it should be included in the interpretation.

테마 간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themes

해석을 진행하면서 [강조되어야 하는 주제 간에 관계가 있는지]를 고려하여 [통합적 주제] 및 다른 [측면 연결]를 포함하도록 템플릿이 설계되었는지 검토해야 한다. 예를 들어, 커뮤니티 그룹 참여 연구에서, 우리는 세대 간 및 인종 간 문제 중 일부(최종 템플릿의 주제 2.1.1 및 2.1.2)가 그룹 내 역학(테마 1.1.3)에 나타났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를 보고서에 반영했다(King et al., 2009). 때로는 보고서 작성의 발견과 논의에서 그러한 연관성을 끌어내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대신, 크랩트리와 밀러(1999)가 제안하듯이 지도, 행렬 및 기타 도표를 사용하여 템플릿 분석 결과를 탐색하고 표시할 수 있다.

Whether or not the template has been designed to incorporate integrative themes and/or other lateral links, as the interpretation proceeds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whether there are relationships between themes that need to be highlighted. In the community group participation study, for instance, we recognized that some of the intergenerational and inter-racial issues (themes 2.1.1 and 2.1.2 on the final template, Figure 24.2) were manifest in the intragroup dynamics (theme 1.1.3) and reflected this in our report (King et al., 2009). Sometimes it will be sufficient to draw out such connections in the findings and discussion of the write-up. Alternatively, as Crabtree and Miller (1999) suggest, maps, matrices and other diagrams can be used to explore and display template analysis findings.

발표
Presentation

마지막 작업은 데이터 해석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템플릿 분석의 다른 단계와 마찬가지로, 이를 위한 하나의 '올바른' 방법을 정의하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데이터의 특성, 생성할 문서의 유형(단어 길이 포함), 그리고 중요한 것은 의도된 독자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발표를 위한 [세 가지 접근법]이 가능하다.

The final task is to present an account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data. As with other stages of template analysis, it would be wrong to try to define one single ‘correct’ way to do this. The nature of the data, the type of document to be produced (including its word length) and, critically, the intended readership need to be considered. All the same,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ree approaches to presentation, any one of which might prove useful.

1 개별 사례 연구, 사례 간의 차이점과 유사성에 대한 토론이 뒤따른다. 이것은 독자들이 개별 참가자들의 관점을 잘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참가자가 많은 경우 이 형식은 독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고 반복적일 수 있으며, 각 사례에 대한 적절한 설명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있어야 한다.
1 A set of individual case studies, followed by a discussion of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cases. This gives the reader a good grasp of the perspectives of individual participants. However, where there are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participants, this format can be confusing for the reader and repetitive, and it does rely on there being sufficient space to provide an adequate description of each case.

2 식별된 주요 테마를 중심으로 구성된 account를 제시하고, 필요에 따라 각 사본(또는 그 밖의 텍스트)에서 예시를 도출. 이것은 가장 쉽게 명확하고 간결한 주제 토론을 만들어 내는 접근법인 경향이 있다. 위험은 지나친 일반화, 그리고 개인의 경험의 시력을 잃는 것이다.
2 An account structured around the main themes identified, drawing illustrative examples from each transcript (or other text) as required. This tends to be the approach that most readily produces a clear and succinct thematic discussion. The danger is one of over-generalization, and losing sight of individual experiences.

3 연구 결과를 주제별로 제시하고, 각각의 주요 주제를 설명하기 위해 다른 개별 사례 연구를 사용. 이는 상기 (1)과 (2)의 유용한 통합이 될 수 있다. 핵심 과제는 데이터 전체의 주제를 공정하게 나타내는 방식으로 사례를 선택하는 것이다.
3 A thematic presentation of the findings, using a different individual case study to illustrate each of the main themes. This can be a useful synthesis of approaches (1) and (2) above; the key challenge is to select the cases in a way that fairly represents the themes in the data as a whole.

어떤 접근법을 취하든 참가자들의 직접 인용은 필수적이다. 여기에는 일반적으로 해석의 특정 지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짧은 인용구와 더 광범위한 구절이 포함되어 독자들에게 원문의 향미를 제공해야 한다.
Whatever approach is taken, the use of direct quotes from the participants is essential. These should normally include both short quotes to aid the
understanding of specific points of interpretation and more extensive passages, giving readers a flavour of the original texts.

기술의 장점과 단점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Technique

템플릿 분석의 가장 큰 장점은 모든 연구의 필요에 따라 수정할 수 있는 매우 유연한 접근법이라는 것이다. 그것은 처방과 절차라는 무거운 짐과 함께 오지 않으며, 따라서 조직 연구에 현상학적이고 경험적인 접근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특히 환영 받는다. 동시에 질적 방법에 대해 상대적으로 익숙하지 않은 이들이 이 기법의 원리를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분야에 대한 귀중한 소개가 될 수 있다. 템플릿 분석은 협업 환경에서 일하는 다양한 직업이나 특정 조직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 다른 직원의 등급과 같은 조직 환경 내에서 다양한 그룹의 관점을 검토하고자 하는 연구에서 매우 효과적입니다. 마지막으로, 템플릿 제작 분야는 연구자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체계적이고 잘 구조화된 접근법을 취하도록 강제한다.
Arguably, the greatest advantage of template analysis is that it is a highly flexible approach that can be modified for the needs of any study. It does not come with the heavy baggage of prescriptions and procedures and, as such, is especially welcome to those who want to take a phenomenological and experiential approach to organizational research. At the same time, the principles behind the technique are easily grasped by those relatively unfamiliar with qualitative methods and so it can be a valuable introduction to the whole field. Template analysis works very well in studies that seek to examine the perspectives of different groups within an organizational context – for example, different professions working in a collaborative setting or different grades of staff affected by a particular organizational change. Finally, the discipline of producing the template forces the researcher to take a systematic and well-structured approach to handling the data.

템플릿 분석에서 [코딩 구조coding structure]를 강하게 강조하는 것은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 다소 대조적인 두 가지 이유로 인해 단점으로 보일 수 있다. 한편으로, 이러한 강조는 텍스트에 대한 매우 개방적이고 구조화되지 않은 참여를 선호하는 사람들을 위해 데이터에 대한 개인적인 참여를 방해할 가능성이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반면에, 어떤 사람들은 템플릿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데이터의 의미를 이해하는)을 위한 수단이며 그 자체로 분석의 목적이 아니라는 이전의 중요한 점을 무시한 채 템플릿 구성의 세부사항에 지나치게 집중하는 것에 너무 쉽게 현혹될 수 있다. 이러한 두 가지 입장에 대응하여, 나는 템플릿 분석의 유연성이 연구자들이 자신의 스타일과 질적 데이터 분석에 대한 입장에 맞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결국 모든 사람에게 적합한 것은 아닐 것이다.

The strong emphasis on the coding structure in template analysis may be seen as a disadvantage by some researchers, for two rather contrasting reasons. On the one hand, this emphasis may seem potentially to stand in the way of a personal engagement with the data for those whose preferred style is a very open, unstructured engagement with texts. On the other hand, some may be too easily seduced into focusing excessively on the details of template construction, neglecting the crucial point made earlier that developing the template is a means to an end (making sense of the data) and not the purpose of the analysis in itself. In response to both these positions I would argue that the flexibility of template analysis should allow researchers to tailor it to suit their own style and stance towards qualitative data analysis, though in the end as with any analytical technique this will not suit everyone.

결론
Conclusion

템플릿 분석은 조직 연구와 그 이상에서 질적 데이터의 주제적 분석에 널리 사용되는 기법이 되었다. 그것의 인기의 주요 이유는 특정 연구의 내용과 사용된 인식론적 위치 모두에서 특정 요구에 적응할 수 있는 유연성과 명확하고 구조적이며 체계적인 접근법이 결합되었기 때문이다. 저는 이 장이 이 기술을 처음 접하는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에 어떻게 활용하는지, 그리고 이 기술에 이미 익숙한 사람들이 어떻게 그들의 분석적 관행을 창의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었기를 바랍니다.

Template analysis has become a widely used technique for the thematic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in organizational studies and beyond. The main reasons for its popularity, I would suggest, are its combination of a clear, structured and systematic approach with the flexibility to adapt it to specific needs – both in terms of the content of particular studies and the epistemological positions used. I hope this chapter has given a sense of how researchers new to the technique might go about employing it in their own research; and that those already familiar with the technique may have garnered some new ideas for how to creatively develop their analytical practice.   

 

질적연구인터뷰 수행의 열두 가지 팁 (Med Teach, 2018)
Twelve tips for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s
Cormac McGratha,b , Per J. Palmgrena and Matilda Liljedahla,c

 

 

소개
Introduction

의학 교육 연구에서 질적 연구 인터뷰는 실행 가능하고 활용도가 높은 데이터 수집 도구이다(DiCicco-Bloom and Crabtree 2006; Jamsheed 2014). 개인과 집단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면접 형식이 있으며, 의학 교육 연구에서 준구조적 면접이 점점 더 보편화되고 있다. 질적 인터뷰는 연구자들이 인터뷰 대상자의 경험에 고유한 문제를 심층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므로 다양한 관심 현상이 어떻게 경험되고 인식되는지 통찰할 수 있다. [참가자와 연구자 사이의 관계]를 고려하고, [인간 현상의 탐구에 대한 강조]를 고려할 때, 인터뷰는 전통적으로 질적 연구와 자연주의 패러다임과 연계된 데이터 수집 방법이었다(코테와 투르종 2005; 할콤과 데이비드슨 2006).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the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 is a viable and highly utilized data-collection tool (DiCicco-Bloom and Crabtree 2006; Jamshed 2014). There are a range of interview formats, conducted with both individuals and groups, where semi-structured interviews are becoming increasingly prevalent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Qualitative interviews afford researchers opportunities to explore, in an in-depth manner, matters that are unique to the experiences of the interviewees, allowing insights into how different phenomena of interest are experienced and perceived.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nts and researchers and the emphasis on the exploration of human phenomena, interviews have traditionally been a data-collection method linked with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naturalistic paradigm (Côté and Turgeon 2005; Halcomb and Davidson 2006).

브링크만과 크베일(2005)은 인터뷰를 진행할 때 어려운 점 중 하나는 [연구자가 대화와 토론을 통해 이해를 달성하고자 한다는 순진한 가정 아래 수행된다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인터뷰는 인터뷰 대상자와의 비공식적인 잡담informal chat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인터뷰는, 많은 연구 질문을 관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 수집 도구이다
Brinkmann and Kvale (2005) argue that one of the challenges of conducting interviews is that they are carried out under the naïve assumption that the researcher wants to achieve understanding through dialog and discussion. Interviews should not be conceived as informal chats with interviewees; instead they are data-collection instruments which can be used to penetrate a number of research questions. 

 

Tip 1

질적 연구 면접이 적절한 시기를 파악한다.
Identify when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s are appropriate

질적 인터뷰는 다양한 방법론적 접근법에 유용한 데이터 수집 도구이며, 따라서 많은 연구 질문을 다루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질적 연구 인터뷰는 연구자가 [큰 그룹의 사람들에 대한 일반화 가능한 이해]를 생성하는 것보다, [현상에 대한 인터뷰의 주관적인 관점을 이해]하고잘 할 때 선호된다. 예를 들어 질적 면담은 환자의 질병 경험이나 임상의가 직장에서 학습하는 개념을 탐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질적 인터뷰를 적용하는 연구는 다른 곳에서는 들을 수 없는 사회의 소수자와 집단에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리브스 외 2015). 또한 인터뷰 대상자로부터 [시간을 빼앗는 윤리적 차원]을 고려해야 하며, 따라서 연구 프로젝트에 필요한 만큼만 참여하고, 문제의 현상에 대한 통찰력이나 경험을 가진 사람을 포함해야 한다.
Qualitative interviewing is a data-collection tool that is useful in a range of methodological approaches and may therefore be applied to address a number of research questions. However,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s are preferable when the researcher strives to understand the interviewee’s subjective perspective of a phenomenon rather than generating generalizable understandings of large groups of people, for example, the qualitative interview may lend itself well to exploring a patient’s experience of illness, or a clinician’s conceptions of learning in the workplace. As such, a study applying qualitative interviews holds the potential to give voice to minorities and groups in society that may not be heard elsewhere (Reeves et al. 2015). Moreover, one should consider the ethical dimensions of taking up time from interviewees and therefore only include as many participants as needed in the research project and who may have insights or experiences of the phenomenon in question.

Tip 2

면접관으로서 자신을 준비하라.
Prepare yourself as an interviewer

면접관으로서 필요한 정확한 준비의 중요성을 과소평가해서는 안 된다. 여기에는 개념적 준비와 실용적 준비가 모두 포함된다(Brinkmann and Kvale 2005; Brinkmann 2014). 성공적인 인터뷰는 연구 질문의 초점과 범위를 고려하는 신중한 계획에서 시작됩니다. 탐구질문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대상분야에 대한 문헌의 배경지식, 정성면접 방법, 적용 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과학적 방법 등이 필요하며, 추가로 면접안내서 작성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The importance of accurate preparation on behalf of the interviewer should not be underestimated and includes conceptual and practical preparations (Brinkmann and Kvale 2005; Brinkmann 2014). Successful interviews start with careful planning that considers the focus and scope of the research question. Some background reading of the literature concerning the subject area as well as how to conduct qualitative interviews and the specific scientific method you are applying will be necessary in the further development of your research question(s) and it will additionally facilitate the construction of an interview guide.

정성 면접을 준비할 때는 사용할 데이터 기록 장비를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데이터 수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인터뷰 장소도 고려해야 합니다. 인터뷰는 잠재적인 방해와 잡음이 없는 편안한 환경에서 응답자가 편리한 시간과 장소에서 수행될 것을 권고한다. 대부분의 경우, 당신은 공식적인 윤리적 승인이 필요할 것입니다. 무엇보다 항상 인터뷰 대상자의 사전 동의가 필요합니다(Illing 2014).
When preparing for qualitative interviewing it is important to be familiar with the data recording equipment being used. The venue of the interview should also be considered as it may affect the data collection. We recommend interviews be conducted at a time and place of the respondents’ convenience, in a comfortable setting, free from any potential disruptions and noise. In most cases, you will need formal ethical approval. However, you will always need your interviewees’ informed consent (Illing 2014).

Tip 3

인터뷰 가이드를 구성하고 질문을 테스트합니다.
Construct an interview guide and test your questions

질적 연구 면담을 실시하는 것은 어떤 경우에는 심지어 인생을 바꿀 수도 있는, 잠재적으로 그들에게 중요한 문제들에 대해 성찰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당신의 관심의 현상은 직업적으로 중요할 수도 있고, 또는 당신이 어떻게 그들이 질병이나 사랑하는 사람을 잃었는지에 대해 참가자들을 인터뷰하고 있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당신은 미리 면접 가이드를 개발하고 최소한 한 번의 시험 면접을 실시해야 합니다. 초보 연구원은 시험 면접을 실시함으로써 데이터 수집을 시작하기 전에 기술을 습득합니다. 이러한 시험 면접은 동료 또는 지원자와 함께 진행될 수 있습니다. 시험 면담을 통해서 연구자는 언어, 질문의 명확성, 능동적인 경청 등의 측면을 탐색해볼 수 있다. 인터뷰 스타일은 인터뷰 대상자들과 비침습적이고 개방적인 대화를 만드는 데 필수적이다(Krag Jacobsen 1993). 연구 면접 질문에서 [난해한 전문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피하고], 대신 가능하면 비전문가의 언어를 채택하세요.
Conducting a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 means that you may be asking your interviewees to reflect on matters that are potentially important to them, in some cases even life-changing. The phenomenon of your interest might be important professionally, or you may be interviewing participants on how they experience illness or the loss of a loved one. Therefore, you should develop your interview guide in advance and conduct at least one test interview. By conducting test interviews the novice researcher gains skills prior to embarking on data collection. These test interviews may be undertaken with peers or volunteers. They furnish the researcher with an opportunity to explore language, the clarity of the questions, and aspects of active listening. The style of the interview is essential for creating a noninvasive and open dialog with interviewees (Krag Jacobsen 1993). Avoid using esoteric jargon in your research interview questions and instead adopt layman’s language when possible.

질적 면접은 다소 개방적이거나 구조화될 수 있다.

  • [비구조화 또는 반구조화 인터뷰 가이드]는 인터뷰 진행자가 인터뷰 대상자가 제기한 문제를 탐색할 수 있도록 미리 결정된 질문을 하나 또는 몇 개만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가이드가 방법론적 접근법과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Laksov et al. 2017).
  • 대조적으로, [구조화된 인터뷰 가이드]는 일반적으로 정확히 동일한 표현에 대한 응답을 이끌어내기 위해 모든 인터뷰 대상자에게 동일한 방식으로 제기되는 미리 결정된 질문을 포함한다.

Qualitative interviews may be more or less open or structured.

  • An unstructured or semi-structured interview guide may include only one or a few predetermined questions allowing the interviewer to explore issues brought forward by the interviewee. It is important that the interview guide aligns with the methodological approach (Laksov et al. 2017).
  • By contrast, a structured interview guide usually includes predetermined questions posed in the same way to all interviewees with the purpose of eliciting responses to the exact same phrasing.

의학 교육에서 종종 반구조화 면접이 사용되는데, 이 때 인터뷰 가이드에 미리 정해진 질문[(일반적으로 5~15개 질문)]이 다수 포함되어 있지만, 면접관이 후속 질문(Lingard and Kennedy 2010)을 통해 면접자의 답변을 더 깊이 탐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통 면접 대상자를 편안하게 하고 면접 주제를 숙지시키기 위해서는, 몇 가지 '쉬운' 질문으로 면접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 몇 가지 예를 들자면,

  • "여기서 일한 지 얼마나 되었나요?",
  • "어떻게 처음 교직에 참여하게 되었나요?",
  • "왜 간호사가 되고 싶었나요?" 등이 있다.

In medical education, semi-structured interviews are often applied, meaning that the interview guide includes a number of predetermined questions (typically 5–15 questions) but the interviewer can probe, in order to dig deeper, into the interviewees’ responses through follow-up questions (Lingard and Kennedy 2010). It is usually a good idea to open the interview with a few “easy” questions to make the interviewee comfortable and to familiarize him/her with the subject of the interview. A few examples are:

  • “Please tell me, how long have you been working here?”,
  • “How did you first become involved in teaching?” or
  • “Why did you want to become a nurse?”

인터뷰가 더 깊이 진행될수록, '무엇이 숙련된 교사를 의미한다고 보느냐' '현재 직장에서 업무량을 어떻게 경험했느냐' 등의 질문에 신중하게 considerately 답할 가능성이 높다. 그들이 인터뷰의 첫 번째 질문으로 제시되는 것과 달리 말이다. "더 추가하고 싶은 질문이 있습니까?"와 같은 질문이 적절한 마무리 질문이 될 수 있습니다.

Further into the interview, questions like “In your opinion, what signifies a skilled teacher?” or “How have you experienced the work load in your current workplace?” are more likely to be answered considerately as opposed to if they were posed as the first question of the interview. A question like “Is there anything more you would like to add?” can be a suitable closing question.

 

Tip 4

인터뷰 상황의 문화적 및 영향력 차원을 고려합니다.
Consider cultural and power dimensions of the interview situation

인터뷰에 앞서, 권력 차원뿐만 아니라 문화적 차원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이러한 분석에는 면접 상황이 무엇을 가능하게 하고 어떤 장애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고려가 수반될 수 있다. 사람들은 문화적 존재이며, 인터뷰 상황에 대한 기대가 다를 수 있다. 어떤 사람들은 인터뷰를 어렵거나 침습적인 상황으로 볼 수 있고, 어떤 인터뷰는 통역이나 문화적으로 인터뷰 받는 사람들의 상황에 민감한 사람으로 제3의 사람이 앉을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위에 언급된 시버 인터뷰를 통해 그러한 문제들을 드러낼 수 있다. 학생들을 인터뷰하는 의학 교사들은 명시적이고 암묵적인 권력 관계를 모두 인식하고, 학생들이 올바른 응답을 제공할 것이라는 (인터뷰어의) 기대를 따르지 않을 수 있음을 의식할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교사들을 인터뷰하는 학생도 권력 관계를 반영하고 반영할 수 있으며, 사전에 신중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An assessment of the cultural dimensions as well as power dimensions is necessary prior to the interview (Nimmon and Stenfors-Hayes 2016). Such an analysis could entail a consideration of what the interview situation affords and what obstacles are likely to occur. People are cultural beings (Rogoff 2003) and may have different expectations of the interview situation. Some people may view the interview as a difficult or invasive situation, and some interviews may require a third person to sit in, either as an interpreter or as someone who is culturally sensitive to the interviewees’ situation. The test interview outlined above may reveal such challenges. Medical teachers interviewing students need to be aware of both explicit and implicit power relationships and be conscious that students are not trying to comply with expectations of providing, what is perceived to be, a correct response. Similarly, a student interviewing teachers may involve and mirror a power relationship and would require careful consideration in advance.

Tip 5

응답자와의 관계 구축
Build rapport with your respondents

질적인 면접 상황에서 친밀감을 쌓고 편안한 상호작용을 구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면접 전뿐만 아니라 면접 그 자체에서도 좋은 결과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뷰를 진행할 때 어려운 점은, 면접 상황에서 신뢰를 쌓을 시간이 거의 없을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면접에서 어떤 내용이 거론될지, 왜 그것이 토론해야 할 중요한 주제인지 알려주는 방법으로, 비전문가의 용어로 작성된 연구 프로젝트의 간략한 요약본을 작성하여 인터뷰에 앞서 인터뷰 대상자에게 보내야 합니다.

Building rapport and establishing comfortable interactions in the qualitative interview situation is very important and is preferably done well in advance of the interview, but also during the interview itself. A challenge when conducting interviews is that there may be little time in the interview situation to build trust (DiCicco-Bloom and Crabtree 2006). Therefore, you should draft a short summary of your research project, written in layman’s terms, to send to your interviewees prior to the interview as a way of informing them of what to expect will be talked about in the interview and why it is an important topic to discuss.

또한 응답자가 연구의 핵심인 경험에 대한 풍부하고 상세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인터뷰 중에 공감대가 중요하다. 친밀감을 쌓는 열쇠는 근접감proximity입니다. 응답자를 이미 알고 있다면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더 쉬울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이 과제가 더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친밀감을 쌓는 한 가지 방법은 개방적이고 호기심 있는 태도로 인터뷰 대상자에게 접근하는 것인데, 구체적으로 왜 인터뷰 대상자의 특정 관점에 관심이 있는지 설명합니다(Krag Jacobsen 1993; Schoultz 등 2001; Bell 2014). "당신의 관심사에 대해 말씀해 주십시오…"와 같은 질문은 "당신은 언제 어떤 규칙과 규정을 따르나요?"보다 덜 위협적인 것으로 이해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Rapport is also crucial during the interview enabling the respondent to provide a rich and detailed account of the experiences at the heart of the study. Key to building rapport is a sense of proximity. If you already know your respondents, then it may be easier to build rapport; otherwise, this task may be more difficult. One way of building rapport is to approach interviewees with an open and curious attitude, stating specifically why you are interested in their specific point of view (Krag Jacobsen 1993; Schoultz et al. 2001; Bell 2014). A question like “Please tell me about your interest in…?” is likely to be understood as less threatening than “What rules and regulations do you follow when…”

Tip 6

사용자가 데이터의 공동 생성자임을 기억하십시오.
Remember you are a co-creator of the data

질적 연구에서 연구자는 데이터 수집의 주요 도구이다. 따라서, 면접관은 성찰적이고, 의식적이며, 자신의 역할이 인터뷰어와 인터뷰이 사이의 대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 인식할 필요가 있다. 질적 연구 면접에서 우리는 면접관을 데이터를 오염시키거나 편향시키는 사람으로 볼 것이 아니라, 면접관의 이전 지식이 면접자의 맥락이나 경험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인터뷰이와 함께 데이터의 공동 생성자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렇듯 인터뷰어는 인터뷰에서 수동적인 선수가 아니라, 면접 상황에서 자신의 능력과 경험, 역량을 활용한 도구다. 예를 들어, 임상의이기도 한 면접관은 임상 환경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고, 면접관이 임상 상황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보다 임상 문제를 더 심도 있게 논의하도록 인터뷰이를 초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인터뷰어는 사려 깊은 태도로, 그들의 배경을 활용할 것을 촉구한다.
In qualitative research, the researcher is the prime instrument of data collection. Consequently, the interviewer needs to be reflexive, conscious, and aware about how his or her role might impact the conversation between the interviewer and interviewee. In the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 we argue that the interviewer should not be viewed as someone contaminating or biasing the data, but rather as a co-creator of data together with the interviewee, where the interviewer’s previous knowledge may play an important part in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or the experiences of the interviewee. As such, the interviewer is not a passive player in the interview, but an instrument using his and her abilities, experiences and competencies in the interview situation (Lingard and Kennedy 2010). For example, an interviewer who is also a clinician may use his or her knowledge about the clinical environment and invite the interviewee to discuss clinical issues more in-depth than if the interviewer was unfamiliar to the clinical context. Therefore, we urge interviewers to make use of their background, albeit, in a considerate way.

Tip 7

말을 줄이고 더 많이 들어라.
Talk less and listen more

초보 인터뷰어로서 경험이 부족하면 인터뷰어가 대화에 지나치게 적극적일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긴장하거나 경험이 부족해 인터뷰어가 자각하지 못한 채 빈칸을 채우고, 대화를 일정한 방향으로 끌고 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면접관들은 대화를 줄이고 침묵이 대화를 진전시킬 촉매제 역할을 하도록 허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인터뷰 대상자의 말을 적극적으로 경청한다는 것은 [침묵을 존중]하고, [침묵의 순간을 지속적인 성찰의 기회]로 파악하는 것을 의미한다. 면접 주체에 대한 의미가 깊은 주제의 면접은 응답자를 대신하여 깊은 성찰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열린 자세로 정직하게, 관심을 유지하고(Bowden and Walsh 2000; Seidman 2013), 더 많이 경청하되, 적극적으로 경청하십시오(Giger 2017).
Inexperience as novice interviewers may result in the interviewer being overly active in the conversations. Due to nervousness in such situations, or a lack of experience, the interviewee may end up filling in blanks and driving the conversation in a certain direction without being aware of doing so. Interviewers may need to talk less and allow for silence to act as the catalyst that will drive the conversation forward. Actively listening to the interviewees means respecting silence and identifying such silent moments as an opportunity for ongoing reflection. Interviews on subjects that have profound meaning for interview subjects may prompt deep reflection on behalf of respondents. Thus, remain open and honest, maintain interest (Bowden and Walsh 2000; Seidman 2013), listen more, but also listen actively (Giger 2017).

Tip 8

인터뷰 가이드를 직접 조정하십시오.
Allow yourself to adjust the interview guide

초기 면접 후 질문을 조정하면 면접 과정에서 면접 가이드가 미세 조정될 수 있다. 일부 질문은 잘 못 이해될 수도 있고, 어떤 질문은 무관하거나 연구 질문의 범위를 벗어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의 한 연구에서 "여기 분위기를 어떻게 경험하는가?"라는 질문은 학생들이 물리적 환경과 공기의 질에 대한 질문으로 이해한 반면, 면접관의 의도는 클리닉의 사회 환경에 대한 통찰력을 얻는 것이었다(Liljedahl et al. 2015). 그러니 주의를 기울이고, 인터뷰 대상자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경청하고, 당신의 질문들이 당신이 의도한 대로 이해되고 있는지 성찰하세요. 인터뷰 중에 후속 질문을 통해 질문이 어떻게 이해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음 인터뷰 전에 용기를 내어 필요할 때 인터뷰 가이드에 변화를 주세요.
Adjusting the questions after the initial interviews allows the interview guide to be fine-tuned during the interview process. Some questions might turn out to be misunderstood, others to be irrelevant or outside the scope of the research question. In one of our own studies, for example, the question “How do you experience the atmosphere here?” was understood by students as a question about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quality of the air, while the intention of the interviewer was to gain insight into the social environment in the clinic (Liljedahl et al. 2015). So be attentive, listen to how your interviewees respond, and reflect on whether your questions are being understood in the way you intended. During an interview, follow-up questions can help probe how your questions are understood. Also, be courageous and make changes in the interview guide before the next interview when necessary.

Tip 9

예상치 못한 감정을 다룰 준비를 한다.
Be prepared to handle unanticipated emotions

의학 교육 분야에서, 우리는 때때로 질병과 죽음 또는 면접 대상자 자신의 경험(예: 괴롭힘, 스트레스, 실패 또는 면접 대상자의 정신 질환 학생 경험)과 관련된 연구 주제에 관여한다. 어떤 주제들은 인터뷰이가 이전에 알지 못했을지도 모르는 불안한 감정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면접관은 특정 주제에 대한 경험을 공유할 때 면접자의 반응에 민감해야 합니다. 때로는 인터뷰 대상자 스스로 이러한 감정을 다룰 수 있을 것이지만, 때로는 인터뷰 대상자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할 수도 있다. 이것은 인터뷰를 중단하고 인터뷰 대상자에게 적절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대상자를 초대해 자신에게 중요한 주제를 꺼내도록 하고, 인터뷰 대상자에게 인터뷰 주제와 관련해 덧붙이고 싶은 말이 있으면 항상 물어보는 것으로 인터뷰를 마무리한다.
In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we sometimes engage with research topics involving illness and death or interviewees’ own experiences of e.g. harassment, stress, failure, or interviewee’s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mental illness. These and many other topics may evoke uneasy emotions in the interviewee, which he or she previously might have been unaware of. Therefore, the interviewer must be sensitive to the interviewee’s reactions when sharing experiences on certain topics. Sometimes interviewees will be capable of handling these emotions themselves, but at other times you, as an interviewer, will need to take action to protect your interviewee (Varpio and McCarthy 2018). This might involve interrupting the interview and guiding the interviewee to appropriate assistance. Invite the interviewee to bring up issues of the topic that are important to him or her, and always end the interview by asking the interviewee if there is anything they would like to add regarding the topic of interest in the interview.

Tip 10

인터뷰 내용을 적시에 받아 적습니다.
Transcribe the interviews in good time

데이터가 수집되면 데이터 전사 프로세스가 시작됩니다. 좀처럼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지만, 전사는 인터뷰의 녹음된 데이터와 같은 구어를 재생산하고,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필기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다. 질적 면접에서 가장 흔한 전사 형태는 언어 데이터의 단어 대 단어 복제를 가리키는 [문자 그대로의 전사]이다(Poland 1995). 질적 면접에서 얻은 데이터를 전사하는 것은 시간이 많이 걸린다. 초보자의 경우 최초 전사는 기록된 데이터의 매 시간마다 4~8시간의 전사가 필요할 수 있다. 게다가, 이 공정은 방대한 양의 물질을 산출하는데, 데이터를 분석할 때 반복적으로 면밀히 조사하고 검토해야 한다. 
Once the data has been collected, the process of data transcription commences. Although rarely explicitly defined, transcription can be described as the process of reproducing spoken words, such as recorded data from an interview, and converting it into written form so the data can be analyzed. The most common form of transcription in qualitative interviews is verbatim transcription, which refers to the word-for-word reproduction of verbal data, where the written words are an exact replication of the audio-recorded words (Poland 1995). Transcribing data from qualitative interviews is very time-consuming. For novices, initial transcription may require as much as four to eight hours of transcription for each hour of recorded data. Furthermore, the process yields vast amounts of material which must be iteratively scrutinized and waded through when analyzing the data.

전사는 구어를 문어로 직설적으로 변환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면접에서 중요한 사건의 지표로서, 인터뷰 대상자가 제시하는 일시정지, 킥킥거림, 기타 단서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단서들은 전사 과정에서 인정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전사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요인의 결과일 수 있다. 따라서 전사 품질을 확인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많은 조사자들은 질적 면접이 데이터를 알아가는 측면에서 큰 이점을 제공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힘들더라도 직접 기록하기로 선택한다. 만약 직접 전사를 한다면, 우리는 인터뷰 완료 후 가능한 한 빨리 인터뷰를 전사하는 것을 추천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연구자는 분석적인 구조를 확인하기 시작할 수 있고 다른 인터뷰 대상자의 경험 사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찾을 수 있다.

It is easy to think that transcription is a somewhat straightforward conversion of the spoken word into written word. It is important to consider pauses, giggles, and other cues offered by the interviewee as markers for important events in the interview. These cues may need to be acknowledged in the transcription process. During the transcription process errors can creep in which can be the result of different factors. Consequently, steps need to be taken to check the quality of the transcription. Many investigators choose to transcribe the qualitative interviews themselves even though that is time-consuming and arduous, as it offers great benefits in terms of getting to know the data. When doing so, we recommend researchers transcribe the interview as soon as possible after completion. Doing so allows the researcher to start identifying analytical structures and fi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interviewees’ experiences.

Tip 11

데이터를 확인하세요.
Check the data

질적 데이터 중심 탐색에서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일환으로, [응답자 검증] 또는 [참가자 검증]이라고도 알려진 구성원 확인을 사용할 수 있다. Member checking은 동의를 위해 면담 녹취록을 보여주거나, 분석 결과를 참가자들과 함께 디브리핑하는 방법이다. 우리의 경험에 따르면 이 과정은 초보 연구자에게 데이터의 품질을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Member checking은 특히 아이러니, 감정, 침묵 또는 기타 제스처와 같은 미묘한 부분을 포착할 때 응답자들의 보고된 응답을 이해했는지 확인하는 방법이자, sounding board 역할을 할 수 있다(Birt et al. 2016; McGrath et al. 2016). 그러나 일부 연구자들은 해석에 대한 상반된 견해와 같은 잠재적인 단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 구성원 점검과 관련하여 주의를 권고한다(Angen 2000; Morse 등 2002; Varpio 등 2017).
As part of ensuring trustworthiness in qualitative data-driven explorations, member checking, also known as respondent validation or participant validation, can be used. Member checking is a method of returning an interview transcript or debriefing the analytical results with participants for agreement (Lincoln and Guba 1985; Creswell 2013). Our experience suggests that this process offers novice researcher a good opportunity to check the quality of the data. As such, member checking may act as a sounding board and a way of checking that one has understood the reported responses of the respondents, especially when it comes to picking up subtleties such as irony, emotions, silences, or other gestures (Birt et al. 2016; McGrath et al. 2016). However, some researchers recommend caution with reference to member checking, as there may be some potential drawbacks such as conflicting views on interpretation (Angen 2000; Morse et al. 2002; Varpio et al. 2017).

Tip 12

조기 분석 시작
Initiate analysis early

질적 연구의 주요 어려움 중 하나는 매우 빠르게 다루기 힘들 정도의 양의 데이터를 생성하며, 종종 수백 페이지의 텍스트를 필사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마일스(1979)는 질적 데이터를 "매력적인 성가신 존재"로 묘사했다. 질적 데이터는 풍부하기 때문에 매력이 있지만, 그 풍부함을 통한 분석 경로를 찾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모든 인터뷰를 수행하기 전에 데이터 분석을 고려해야 합니다. 조사 질문의 성격과 분석을 어떻게 진행하느냐에 따라 수행된 인터뷰의 깊이, 품질 및 풍부함이 결정됩니다. 따라서, 우리는 자료의 분석을 (모든 인터뷰 데이터가 기록될 때까지로) 미루지 말 것을 조언한다. 데이터 분석의 지연은 조사자에게 방대한 과제에 직면하는 인상을 줄 수 있다; 반대로, 곧바로 분석작업을 시작하는 것의 장점은 분석에 대한 초기의 생각이 조사자가 새롭게 부상하는 범주와 주제에 대해 더 잘 알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이다.
One of the main difficulties with qualitative research is that it very rapidly generates a large and cumbersome amount of data, often leading to hundreds of pages of transcribed text. Miles (1979) has depicted qualitative data as an “attractive nuisance”; it has attractiveness due to its richness, but effort is required to find analytical paths through that richness. Therefore, you will need to think about the analysis of data before conducting all the interviews. The nature of the research question(s) and how you go about the analysis will determine the depth, quality, and richness of the performed interviews. Hence, we advise that the analysis of the material is not left until all interview data has been transcribed. Procrastination of data analysis may give the investigator the impression of facing a monumental task; meanwhile, an advantage of starting the work soon is that early thoughts about the analysis allow the investigator to become more aware of emerging categories and themes.

요약 Summary

질적 연구 인터뷰는 의료 교육 기회의 연구자들이 의료 내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육 및 실습 영역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강력한 데이터 수집 도구이다. 
The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 is a powerful data-collection tool which affords researchers in medical education opportunities to explore unknown areas of education and practice within medicine. 

 

 

 


Med Teach. 2019 Sep;41(9):1002-1006.
 doi: 10.1080/0142159X.2018.1497149. Epub 2018 Sep 28.

 

Twelve tips for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s

Affiliations

1Department of Learning, Informatics, Management and Ethics, Karolinska Institutet , Stockholm , Sweden.

2Department of Education, Stockholm University , Stockholm , Sweden.

3Primary Health Care Unit, Institute of Medicine, The Sahlgrenska Academy, University of Gothenburg , Gothenburg , Sweden.

PMID: 30261797

DOI: 10.1080/0142159X.2018.1497149

Abstract

The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 is an important data collection tool for a variety of methods used within the broad spectrum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However, many medical teachers and life science researchers undergo a steep learning curve when they first encounter qualitative interviews, both in terms of new theory but also regarding new methods of inquiry and data collection. This article introduces the concept of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s for novice researchers within medical education, providing 12 tips for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s.

 

포화라는 위장 뒤에 숨은 것: 질적 인터뷰 자료와 견고함 (J Grad Med Educ, 2021)
Beyond the Guise of Saturation: Rigor and Qualitative Interview Data
Kori A. LaDonna, PhD . Anthony R. Artino Jr, PhD . Dorene F. Balmer, PhD

 

 

대학원 의학교육(GME)을 연구하는 이들을 포함한 보건직업 교육 연구자들이 교육 실천을 지도할 수 있는 근거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지난 20년 동안 질적 연구자들은 수많은 경험적 발견을 해냈다. 그러나 좋은 질적 증거의 특징은 무엇인가?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ers, including those who study graduate medical education (GME), are building an evidence base to guide educational practice. Over the last 2 decades, qualitative researchers have generated a plethora of empirical findings. However, what are the features of good qualitative evidence? 

 

엄격함 및 포화도
Rigor and Saturation

보건 직업 교육에서 질적 연구자는 "어떻게 교수진이 저성취나 실패를 탐색하는가?"1 또는 "왜 일부 의대생은 소아과에서 직업적 관심을 유지하는가?"2 그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질적 연구 과정은 적절히 견고해야 한다. 일반화가능한generalizable 것이 아닌 전이가능한transferable 연구 결과를 도출한다.3 이는 연구 상황을 넘어서는 상황에서 생각을 촉발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정보를 제공하거나, 실천을 바꾼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연구 결과는 타당하거나 신뢰할 수 있거나 대표적일 필요는 없지만, 신뢰할 수 있고, 공명적resonant이며 풍부해야 한다.3-6 이러한 기준의 주관성을 고려할 때, 일대일 인터뷰 방법을 사용하는 정성적 연구의 엄격성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가?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qualitative researchers explore how and why questions, such as “How do faculty members navigate underperformance or failure?”1  or “Why do some medical students maintain a career interest in pediatrics while others do not?”2  To answer such questions, the qualitative research process must be appropriately robust to produce findings that are transferable rather than generalizable,3  which means that they provoke thought, raise questions, and inform or change practice in settings beyond the research context. To do this, findings do not need to be valid, reliable, or representative, but they do need to be credible, resonant, and rich.36  Given the subjectiveness of these criteria, how do we evaluate the rigor of qualitative research that uses one-on-one interview methods?

엄격함은 종종 주로 [포화] 상태에 달려있다고 가정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면접이 더 이상 새로운 정보를 생성하지 않거나 연구자들이 "모든 것을 들었다"고 결정할 때 데이터 수집의 포인트로 이해된다. 포화라는 아이디어는 충분히 간단해 보이지만, 포화도가 의미하는 바에 대한 상당한 혼란은 언제 그것이 도달하는지(또는 도달하는지) 결정하는 것은 어게 한다. 실제로 정성적 인터뷰 기반 연구의 체계적인 분석은 저자들이 [포화]의 지표를 가변적이고 부적절하게 기술했으며, 검토자(그리고 아마도 그들 자신)에게 주장을 입증하기에 충분한 표본을 모집했다는 것을 확신시키기 위해 참가자 수에 종종 초점을 맞췄다는 것을 입증했다. 결과적으로, 많은 GME 연구자들은 그들의 연구에서 포화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설명하거나, 그들의 데이터가 실제로 포화되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제공하지 않고, "우리는 아홉 번째 레지던트를 인터뷰한 후에 포화상태에 도달했다"와 같은 진술을 한다. 

Rigor is often assumed to hinge largely on saturation, which is typically understood as the point in data collection where interviews are either no longer generating new information or when researchers determine that they have “heard it all.”7  While this idea seems simple enough, considerable confusion about what saturation means makes it difficult to determine when (or if) it is reached. Indeed, a systematic analysis of qualitative interview-based studies demonstrated that authors variably and inadequately described indices of saturation and often focused on participant numbers to try to convince reviewers (and perhaps themselves) that they have recruited a large enough sample to substantiate their claims.8  Consequently, many GME researchers make statements like “we reached saturation after the ninth resident was interviewed” without either describing what saturation means for their study or providing evidence to support the claim that their data were actually saturated.8 

포화상태에서 충분상태로
Shifting From Saturation to Sufficiency

질적 데이터 세트는 반복 주제 패턴을 식별할 수 있으면서(깊이), 동시에 모순되는 예를 설명할 수 있을 만큼(너비) 충분히 포괄적이어야 한다.  단순히 포화는 참여자 수보다 더 많은 것에 좌우된다는 얘기다. 우리는 리뷰어들에게 주로 표본 크기에 초점을 맞춰 퀄리티를 평가하는 것은, 실제로는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데이터를 위장할 수 있음을 경고합니다. 사실, 연구 윤리에 대한 최근의 국제 연구는 연구자의 11%가 포화 같은 용어를 부적절하게 알고 있다고 인정했다는 것을 발견했고, 이는 보건 직업 교육에서 가장 흔한 의문스러운 연구 관행 중 하나가 되었다.9 
A qualitative dataset should be comprehensive enough (depth) to both identify recurrent thematic patterns and to account for discrepant examples (breadth).7  In other words, saturation depends on more than the number of participants. We caution reviewers that appraisals of quality focused primarily on sample size may be a guise for data that do not meet these criteria. In fact, a recent international study of research ethics found that 11% of researchers admitted to knowingly using terms like saturation improperly, making it among the most common questionable research practic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9 

설상가상으로, 일부 질적 연구자들은 포화 상태에 도달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해 의문을 품기 시작했다.10-13 대신에, 많은 질적 연구자들은 충분성은 분석 과정의 엄격함(분석적 충분성)과 그것이 생성하는 데이터의 풍부함(데이터 충분성) 모두에 달려 있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품질 발견을 충분하다고 설명하는 것으로 전환하였다. 데이터 세트를 [객관적인 포화점을 가진 스폰지]에 비유하는 포화상태와 달리, [충분성]의 개념은 (인간 경험의 고유성과 사회적으로 구성된 데이터의 특성을 모두 인정하는 연구 패러다임 내에서) 은유적으로 연구자들이 지속적으로 데이터 세트를 짜낼 수wring out 있음을 시사한다. 인터뷰 가이드를 반복적으로 수정하고, 새로운 참가자를 샘플링하며, 여러 차례의 데이터 생성 및 분석에 참여함으로써 새로운 이해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연구는 영원히 계속될 수 없습니다. 의지할 수 있는 검정력 분석이나 표본 크기 계산 없이, 어떻게 연구자들이 그들이 "모든 것을 들었다"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충분히 들었다는 것]을 설득력 있게 증명할 수 있을까?
To further complicate matters, some qualitative researchers have begun to question whether reaching saturation is even possible.1013  Instead, many qualitative researchers have shifted to describing quality findings as sufficient, recognizing that sufficiency depends on both the rigor of the analytical process (analytical sufficiency) and the richness of the data it generates (data sufficiency). Unlike saturation, which likens a dataset to a sponge with an objective saturation point, the notion of sufficiency suggests that—within a research paradigm that acknowledges both the uniqueness of human experience and the socially constructed nature of data—researchers can metaphorically wring out their dataset, continuously dipping into a well of new understanding by iteratively revising interview guides, sampling new participants, and engaging in multiple rounds of data generation and analysis. But research studies cannot go on forever. Without power analyses or sample size calculations to rely on, how can researchers convincingly demonstrate not that they have “heard it all,”7  but that they have heard enough?

정성적 발견의 충분성 평가
Evaluating the Sufficiency of Qualitative Findings

포화 개념의 한계를 고려할 때, [정보력information power]의 개념은 충분성 평가를 위한 더 나은 척도를 제공할 수 있다. 질적 발견이 충분한지를 결정하기 위해 정보력을 사용하는 것은 연구의 목적, 표본의 특수성, 이론의 사용, 분석 전략, 면접의 질에 따라 달라진다.
Given the limitations of the saturation concept, the notion of information power14  may provide a better gauge for evaluating sufficiency. Using information power to determine whether qualitative findings are sufficient depends on examining them alongside the aims of the study, the specificity of the sample, the use of theory, the strategy for analysis, and the quality of the interviews.

질적 연구자들은 뚜렷한 유리한 관점에서 현상을 조사하기 위해 다양한 분석 전략을 이용하는 많은 방법론적 접근법을 사용한다. 어떤 방법론은 몇 개의 개별 accounts에 대한 심층 분석을 위해 설계된 반면, 어떤 방법론은 여러 관점에서 현상을 분석하기 위해 더 큰 샘플을 필요로 한다.14 또한 특정한 잠재적 참여자 그룹을 대상으로 하는 [협소한narrower 연구 목표]를 가지고 있다면, 더 희박한 샘플로 데이터 충분성을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사스와 뉴멕시코의 아동학대 동료들이 어떻게 인간 밀수업자에 의한 강간 혐의의 첫 사례를 관리하는지를 탐구하는 연구]는 [훨씬 광범위한 목적을 가진 연구(예: 북미 전역의 소아과 동료들이 아동학대를 보고할 때 그들의 감정을 어떻게 관리하는지)]보다 적은 참가자를 필요로 할 수 있다.
Qualitative researchers use a multitude of methodological approaches that draw on various analytical strategies to examine a phenomenon from a distinct vantage point. Some methodologies are designed to produce an in-depth analysis of a few individual accounts, whereas other methodologies require a larger sample to analyze a phenomenon from multiple points of view.14  Moreover, a narrower study aim with a targeted group of potential participants may allow for data sufficiency to be achieved with a leaner sample size. To illustrate, consider that a study exploring how child abuse fellows in Texas and New Mexico manage their first case of suspected rape by human smugglers may need fewer participants than a study with the much broader aim of examining how pediatrics fellows across North America manage their emotions when reporting child abuse.

충분성에 대한 요구사항은 또한 연구자의 의도가 [현상을 기술]하는 것인지, 아니면 [이론을 생성]하는 것인지에 달려있다. 예를 들어, 가상 학습에 참여하는 1학년 레지던트들에 대한 서술적 질적 연구는 가상 학습에 대한 적응에 대한 구성주의 근거이론(CGT) 탐구보다 더 적은 인터뷰 샘플과 덜 집중적인 분석 작업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 CGT에서, 강력한 이론화는 종종 [20회 이상의 심층 인터뷰]와 점점 더 해석적인 코딩의 여러 라운드에 의존한다.16,17 실제로, 충분성의 도달이라는 측면에서 [이미 선험적으로 존재하는 이론을 사용하여, 특정 연구 렌즈를 통해 현상을 조사하는 연구]는 [귀납적으로 이론을 구축하려는 연구]는 출발점이 서로 다르다. 따라서, [데이터 생성과 분석을 프레임화하기 위해 자기결정 이론19를 사용하는 연구]는 [정규 커리큘럼 밖에서 학습에 참여하려는 전공의의 동기에 대한 이론 생성을 목표로 하는 연구]보다 더 적은 인터뷰와 덜 해석적인 노동으로 충분할 것이다.
Requirements for sufficiency also depend on whether the researcher's intention is to describe a phenomenon or to generate theory. For example, a descriptive qualitative study15  of first-year residents engaging with virtual learning will likely require both a smaller sample of interviews and less intensive analytical work than a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CGT)16,17  exploration of adaptations to virtual learning. In CGT, robust theorizing often relies on 20 or more in-depth interviews18  and multiple rounds of increasingly interpretive coding.16,17  Indeed, studies using theory a priori to examine a phenomenon through a specific research lens are at different starting points for reaching sufficiency than studies seeking to build theory inductively. Consequently, a study using self-determination theory19  to frame data generation and analysis will likely reach sufficiency with fewer interviews and less interpretive labor than a study aimed at generating theory about residents' motivation to engage in learning outside the formal curriculum.

정보력 모델은 [더 큰 표본이 더 나은 데이터와 같다]는 통념을 버린다. 따라서 충분성을 평가할 때는 양보다 인터뷰의 질이 더 중요합니다. 풍부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인터뷰는 대화식이어야 하고, 연구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전략적인 후속 질문이 필요하고, illustrative examples을 위한 프롬프트가 필요하다. 면접관 실력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면접관은 참가자와 공감대를 형성하고, 사려 깊은 성찰을 유도하며, 참가자의 순간적 반응과 진화하는 분석에 따라 연구 질문이 확대되거나 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면접 가이드를 수정해야 한다. 질적 엄격함을 정량화하기는 어렵겠지만, [인터뷰 길이]가 표본 크기보다 정보 파워의 더 유용한 지표일 수 있음을 제안한다. 이 지침은 완벽하지 않으며 규범적으로 따라서는 안 되지만, [개방형 질문으로 1시간 이상 이어지는 6번의 심층 인터뷰를 한 경우]가 [표면 수준의 답변만 이끌어내는 10분짜리 인터뷰 20건]보다 풍부한 데이터를 산출할 가능성이 높다. 물론 면접 데이터가 풍부할 뿐만 아니라, [연구자의 개념, 실천, 문제에 대한 새로운 생각, 사고를 촉발하는 통찰력에 기여하는지]도 충분성이 진정으로 달성되었는지를 검증하는 방법이다.
The information power model dispels the myth that bigger samples equal better data. Thus, when evaluating sufficiency, interview quality matters more than quantity. To generate rich data, interviews must be conversational, focused on the research topic, and peppered with strategic follow-up questions and prompts for illustrative examples. Interviewer skill is paramount. Interviewers need to develop rapport with participants, invite thoughtful reflection, and adapt the interview guide to allow for research questions to expand or shift direction depending on participants' in-the-moment responses and the evolving analysis. While we hesitate to quantify qualitative rigor, we suggest that interview length may be a more useful indicator of information power than sample size. While this guidance is not foolproof and should not be followed prescriptively, 6 in-depth interviews with open-ended questions lasting an hour or more will likely yield richer data than twenty 10-minute interviews that elicit only surface-level responses. Of course, the true test of sufficiency is whether interview data are not only rich but also contribute new or thought-provoking insights into a GME concept, practice, or problem.

명확한 증거 가치 전달
Clearly Conveying Evidentiary Value

우리는 연구자들에게 학술적 글쓰기가 비효율적인 경우, 가장 강력한 질적 발견조차도 설득력이 없어 보이게 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정보력은 정성 표본의 충분성을 평가하거나 정당화하는 데 유용하지만, [정성적 발견의 증거적 가치evidentiary value]는 풍부한 데이터와 엄격한 분석 그 이상이다. 여기에는 반드시 좋은 글쓰기가 필요하다. 출판을 위한 연구의 초안을 작성할 때, 연구 절차와 의사결정 과정을 투명하고 설득력 있게 만드는 책임은 저자에게 있다.8,22 연구자들은 [데이터가 충분한 이유]뿐만 아니라, [데이터가 어떻게 해석]되고, [어떻게 GME에 기여하는지]도 명확하고 설득력 있게 전달해야 한다. 주제가 연결되어 새로운 이해를 창출하는 것을 보여주지 못하고, 그저 이질적인 주제만 단순히 열거하는 것은 리뷰어와 독자에게 연구 결과가 의미 있다는 것을 납득시키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결국, 검토자와 독자는 엄격한 질적 연구의 뉘앙스를 포착하지 못하는 정량적 기준의 부적절한 적용으로 인해 강력한 원고가 시들해질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We warn researchers that ineffective scholarly writing can make even the most powerful qualitative findings appear unconvincing. While information power is useful for appraising or justifying the sufficiency of a qualitative sample, the evidentiary value of qualitative findings depends on more than rich data and rigorous analysis. It requires good writing. When drafting research for publication, the onus is on the authors to make their research procedures and decision-making processes transparent and convincing.8,22  Researchers need to clearly and compellingly convey not only why a dataset is sufficient, but also how data were interpreted and what they contribute to GME. Enumerating a list of disparate themes, rather than demonstrating how themes connect to generate new understanding, will likely fail to convince reviewers and readers that the findings are meaningful. In turn, reviewers and readers must be mindful that strong manuscripts may wilt under the inappropriate application of quantitative criteria that fail to capture the nuances of rigorous qualitative research.

GME에서 질적 증거 기반을 강화하는 것은 [충분성을 입증]하고, [충분성을 적절하게 평가하는 것]에 달려 있다. 이 표에서 우리는 정성적 면접 결과의 증거 가치를 평가하거나 보고할 때 고려해야 할 일련의 안내 질문을 제공한다.
Boosting the qualitative evidence base in GME depends on both demonstrating sufficiency and evaluating it appropriately. In the Table we provide a set of guiding questions to consider when evaluating or reporting the evidentiary value of qualitative interview findings.

 

요약 Summary

우리는 GME 연구자, 검토자 및 독자들이 인터뷰를 통해 얻은 정성적 발견을 평가할 때, [포화라는 미명을 벗어나야 한다]고 촉구한다. 이 사설에서는 질적 초보자가 질적 인터뷰 데이터의 증거적 가치에 대한 직감을 명확하게 표현하고 경우에 따라 확인할 수 있는 학문적 언어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지침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질적 연구의 복잡성을 고려할 때 우리의 지침은 돌이 아닌 모래로 쓰여져 있다. 지도질문 목록(표)과 핵심참고문헌(박스)이 이러한 중요한 질적 이슈에 대한 보다 깊은 성찰과 학습을 촉진하기를 기대한다. GME 연구자, 검토자 및 독자들이 풍부함, 엄격함, 충분성, 정보력 등의 개념을 사려 깊게 사용하고 의심스러울 때는 질적 연구 전문가에게 조언을 구하도록 권장한다.

We urge GME researchers, reviewers, and readers to move beyond the guise of saturation when evaluating qualitative findings obtained from interviews. In this editorial, we provide guidance to help qualitative novices develop a scholarly language to articulate—and in some cases, check—their gut sense about the evidentiary value of qualitative interview data. However, given the complexities of qualitative research, our guidance is written in sand, not stone. We hope that the list of guiding questions (Table) and key references (Box) will promote deeper reflection and learning around these important qualitative issues. We encourage GME researchers, reviewers, and readers to thoughtfully use concepts like richness, rigor, sufficiency, and information power, and to seek advice from qualitative research experts when in doubt.


J Grad Med Educ. 2021 Oct;13(5):607-611.

 doi: 10.4300/JGME-D-21-00752.1. Epub 2021 Oct 15.

Beyond the Guise of Saturation: Rigor and Qualitative Interview Data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and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Ottawa, Ottawa, Ontario, Canada.

2is Professor and Associate Dean for Evaluation and Educational Research, 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and Deputy Editor, Journal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3is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Pediatrics, Perelman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MID: 34721785

PMCID: PMC8527935 (available on 2022-10-01)

DOI: 10.4300/JGME-D-21-00752.1

효과적으로 질적연구 결과 섹션을 쓰는 세 가지 원칙 (Focus o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2021)
Three principles for writing an effective qualitative results section
S. Cristancho, C. J. Watling & L. A. Lingard

 

 

도입 Introduction

우리의 글쓰기와 학문적 글쓰기에 대한 가르침은 중요한 전제에 달려 있다. 괜찮은decent 연구 논문은 [연구study]를 보고하지만, 훌륭한great 연구 논문은 [이야기story]를 들려준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우리는 연구와 이야기가 더 두드러지는 연구 논문의 부분을 구분했습니다. 우리는 [이야기가 크게 도입/고찰]이고 [연구는 방법/결과]라고 말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구분을 너무 엄격하게 적용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좋은 결과 섹션은 결과를 보고할 뿐만 아니라 독자가 결과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좋은 결과 섹션은 스토리와 공부의 요소가 모두 필요하고, 그것들을 공존시키는 것은 결과 섹션을 쓰기가 어려운 이유일 것이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질적 논문의 저자들이 결과 부분에서 연구/이야기 난제와 씨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세 가지 원칙인 과학적 스토리텔링, 진정성 및 주장을 논의한다. 
Our writing, and our teaching about academic writing, hinges on a key premisea decent research paper reports a study, but a great research paper tells a story (Lingard & Watling, 2016). For the sake of clarity, we have distinguished the sections of a research paper where study and story are more prominent. We have said that story is largely introduction/discussion and study is methods/results. Its important, however, not to apply this distinction too rigidlya good results section not only reports findings but also helps the reader to engage with them. A good results section needs elements of both story and study, and making them coexist is, likely, why a results section is so difficult to write. In this paper, we discuss three principlesscientific storytelling, authenticity and argumentto help writers of qualitative papers grapple with the study/story conundrum in their results sections. 

원칙들
The principles

1. 과학적 스토리텔링
1. Scientific storytelling

"이야기"라는 단어는 과학과 함께 놓이기 불편한 단어이다. 과학은 그 자체로 설득력이 있다는 믿음 때문에 불편함을 만듭니다. 따라서, 연구 보고를 윤색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무엇이든 잘못인 것처럼 느껴집니다. 우리가 "이야기"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과학의 장식을 선호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독자들이 [연구의 결과를 설득력 있게 만드는 것]이 무엇인지 쉽게 인식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과학적 스토리텔링의 원리는 그러한 목표를 향한 몇 가지 지침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The word
story sits uneasily alongside science (Should scientists tell stories?, 2013). It creates discomfort because of the belief that science is persuasive on its own. Therefore, anything that seems like embellishing the reporting of a study feels wrong. Our use of the word story is not to favor embellishment of science but, rather, to ensure that readers readily recognise what makes the results of a study compelling. The principle of scientific storytelling can offer some guidance towards such a goal.

많은 작가들이 직면하는 어려운 점은 [무엇이 당신의 결과를 구성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만약 독자들이 여러분의 연구에 참여하도록 강요하는 것이 목표라면, 여러분의 결과 섹션은 여러분이 그 구성 요소의 목록보다 더 많이 연구하고 있는 문제에 대한 개념적인 이해를 그들에게 제공해야 합니다. 훌륭한 연구자들은 독자들에게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해석하고 맥락화하며, 그러한 맥락화는 과학적 스토리텔링의 기초가 된다.
A struggle many writers face is deciding what constitutes your results. If the goal is to compel readers to engage with your study, then your results section should offer them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issue that you
re studying more than an inventory of its components. Good researchers interpret and contextualise to make meaning for their readers, and such contextualisation is the basis of scientific storytelling.

일반적으로 좋은 이야기는 환기시키고evocative, 참신하며 기억에 남아야 한다(Simmons, 2019).

  • 과학적 스토리텔링에서, 환기시킨다는 것은 글이 감정을 자극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대신, 그것은 마음을 사로잡고 울려 퍼지게 하는 결과를 의미한다.
  • 마찬가지로, 새롭다는 것이 항상 획기적인 발견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또한 알려진 현상에 대해 다른 관점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 그리고 기억에 남는다는 것은 독자들이 신문의 모든 세부사항을 기억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중요한 발견이 그들을 돋보이게 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As a general rule, a good story should be evocative, novel and memorable (Simmons, 2019).

- In scientific storytelling, evocative doesnt mean the writing stirs emotion (although it might); instead, it refers to results that captivate and resonate.

- Similarly, novel is not always about presenting a groundbreaking discovery. It is also about offering a different perspective on a known phenomenon.

- And memorable doesnt mean that your readers will remember every single detail of the paper but, rather, that the key findings will stand out for them. How do you organise your story with these features in mind?

여기서부터 시작하는 것은 시작 단락입니다. 대부분의 질적 연구가 주제를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기 때문에, 흔히 다음과 같이 시작하는 단락을 쓰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우리는 다섯 가지 주제를 발견했다: 테마 1, 테마 2, … 테마 5. 주제 1은 … 주제 5는 … 각 주제는 참가자들의 인용문을 사용하여 아래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문단은 결과에 대한 큰 그림 설명을 제공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이것은 테마의 목록입니다. 그리고 틀린 것은 아니지만, 할 이야기가 있는 것 같지는 않다. 대신 수치 경험에 대한 바이넘 외 연구진(2021)의 논문의 이 첫 단락을 생각해 보자.
A place to start is the opening paragraph. As most qualitative studies involve identifying themes, we might be inclined to write an opening paragraph that reads like:
We found five themes: theme 1, theme 2, theme 5. Theme 1 refers to theme 5 refers to Each theme will be described below using quotes from participants. You might think of this type of paragraph as providing a big picture description of the results, but it does not. Thats an inventory of themes. And while it is not wrong, it doesnt feel like there is a story to be told. Consider instead this opening paragraph from Bynum et al.s (2021) paper on experiences of shame.

참가자들이 묘사한 수치 경험은 개인과 그들의 환경 사이의 동시적이고 다층적인 상호작용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상호작용의 의미를 모색하면서, 우리는 '불의 은유'를 통해 참가자들의 수치심을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불이 기질에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처럼, 수치심은 우리의 참가자들에게 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부분의 보고는 세계적으로 부정적인 자기 평가로 구성된 강렬하고, 음흉하고, 그리고/또는 매우 골치 아픈 수치 반응을 경험한다. 학생들은 스스로를 '좋지 않다'(P10), '전혀 가치가 없다'(P12), '부적절한 의대생'(P15), '작다'(P8, P11), '멍청하다'(P6)고 생각한다고 보고했다. "이름도 없는 이 부정적인 감정에 빠져드는 것 같았다"(P15)는 수치심의 감정적 경험이 종종 압도적이었다. 참가자가 겪어낸 수치심 경험의 기원에 대한 두 가지 광범위한 구조, 즉 수치심 유발자와 수치심 촉진자를 식별했다. (188쪽)
The shame experiences described by participants consisted of simultaneous, multi-layered interactions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ir environment. In seeking the meaning of these interactions, we came to understand participants’ shame experiences through the metaphor of fire. Like the potential impact of fire on a substrate, shame could profoundly affect our participants: most reported experiencing intense, insidious and/or deeply troublesome shame reactions that consisted of globally negative self-assessments. Students reported viewing themselves as “no good” (P10), “completely worthless” (P12), “an inadequate medical student” (P15), feeling “small” (P8, P11) and feeling “stupid” (P6). The emotional experience of shame was often overwhelming: “I felt like I was drowning in this negative emotion that I didn’t have a name for” (P15). We identified two broad structures of the origins of participants’ lived experiences of shame: shame triggers and shame promoters. (p. 188)

이 단락을 읽으면, 여러분은 결과 파트에서 [수치심을 유발하고 촉진하는 것]을 다룰 것이라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하지만, 그것이 다가 아닙니다. 저자들은 이 단락에 이야기 풍미를 불어넣기 위해 [두 가지 추가 전략]을 사용했다. 주제 간 관계가 [메타포의 형태로 묘사될 것이라는 기대]를 독자들에게 준비시키고, [메타포를 엿볼 수 있는 짧은 인용구]를 주입하는 동시에 독자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In reading this paragraph, you get a sense that the results will be about triggers and promoters of shame. However, that
s not all. The authors used two additional strategies to instill a story flavor in the paragraph. They prepared readers to expect that the relationships among themes will be described in the form of a metaphor, and they infused evocative short quotes to provide a glimpse of the metaphor, while at the same time, capturing readers attention.

문단을 여는 것만이 당신의 결과의 스토리를 묘사하는 유일한 방법은 아니다. [시각 지향적인 도표]를 사용하여 독자가 아이디어 간의 연결을 볼 수 있습니다. 다음은 예입니다.
Opening paragraphs are not the only way to portray the story of your results. In the event that you are more visually oriented, you could also use diagrams to help readers see the connections between your ideas. Here is an example:



임상 학습 과정은 도표를 사용하여 표현되었다(Watling 등, 2012). 저자들은 모델의 각 핵심 요소를 입증하고자 했기 때문에 결과 섹션의 시작 부분에 도표를 포함하기로 명시했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 다이어그램은 독자들이 앞으로 다가올 것과 각각의 요소들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The process of clinical learning was represented using a diagram (Watling et al., 2012). Since the authors intended to evidence each key element of the model, they made the explicit decision to include the diagram at the beginning of the results section. By doing so, the diagram helped orient readers to what was to come and to how each element was connected. 

시작 문단 및 도표는 [이야기의 큰 그림]을 그리는데 도움이 된다. 결과 섹션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의도한 스토리가 스터디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설명합니다. 시작하기 전에, 모든 주제가 과학 이야기에서 동등하게 표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기억하라. 모든 주제 간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지만, 때때로 하나의 핵심 주제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진행하기로 결정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임의적인 결정이 아닙니다. 테마가 이야기를 의미 있게 진전시키는지, 그리고 그것을 뒷받침할 충분한 자료가 있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 이는 전통적인 결과 표시가 아니므로, 작성자들은 이 사례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의사결정을 명시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Opening paragraphs or diagrams help lay out the big picture of the story. The rest of the results section is about describing how your intended story relates to your study. To start, remember that not all themes must figure equally in a scientific story. While you could describe all the relationships among all your themes, sometimes you might decide to center your story around one key theme. This is not a random decision. It hinges on whether the theme(s) advances the story in a meaningful way and on whether you have enough data to support it. As this is not a traditional presentation of results, writers should consider explicitly articulating their decision making, as illustrated in this example.

우리는 두 가지 주요 발견을 확인했다. 첫 번째 범주는 아래에 설명된 원칙과 선호도의 한계인 핵심 범주입니다. 두 번째는 참가자들이 이러한 문턱에 직면했을 때 어떻게 반응했는지에 대한 이론적 프레임워크입니다. 연구 결과를 더 강력하게 표현해야 한다는 최근의 요구에 따라(26–28) 우리는 그 구축을 이끈 모든 범주와 코드를 요약하는 대신 [핵심적 이론 구조]를 환기하는 핵심 내러티브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Apramian 등, 2015, 페이지 S71)
We identified two key findings. The first is the core category—thresholds of principle and preference—as described below. The second is a grounded theoretical framework of how our participants responded to encountering these thresholds. Following recent calls to represent research findings more powerfully (26–28) we have elected to use core narratives that evoke the central theoretical constructs rather than outlining all categories and codes that led to their construction. (Apramian et al., 2015, p. S71)

저자들은 결과 이야기를 '문턱 원칙과 선호'라는 핵심 주제에 집중하기로 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를 짧은 인용구가 아닌 내러티브의 형태로 설명하기로 했다. 아래의 주장의 원칙이 이 전략에서 확장될 것입니다.
Not only did the authors decide to focus the story of the results on the key theme of
thresholds of principle and preference, but they also chose to illustrate its components in the form of narratives, not short quotes. The principle of argument, below, will expand on this strategy.

문단이나 도표를 여는 용도, 주제 간 관계를 어떻게 탐구할 것인지 등을 고려하는 것 외에도, [결과 부분을 어떻게 마무리할지]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고민해야 한다. 요약 단락, 기억할 만한 인용문 또는 간단한 전환 문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선호도와 단어 수 제한과 상관없이, 중요한 것은 가장 취약한 지점weakest point으로 끝나지 않는 것입니다. 첫 번째 초안 후에 이야기의 흐름을 다시 돌아보는 습관을 들이고 수사적인 목적을 위해 재정렬하세요.
In addition to considering the use of opening paragraphs or diagrams and how you will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your themes, some thought should be given to the ending of the results section. You may use a summary paragraph, a memorable quote or simply a transition sentence. Regardless of your preference and word count limit, what
s important is that you dont end with your weakest point. Make a habit of revisiting the flow of the story after your first draft, rearranging for rhetorical purposes.

과학적 스토리텔링의 원리를 이용하면서, 작가들이 마주치는 또 다른 어려움은 [결과와 토론 사이의 연결성]에 대해 결정하는 것이다. 저자는 잘못이 없다. 이런 어려움을 만드는 것은 질적 연구의 비선형성 때문이다. 질적 연구는 반복적이고 진화하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그들의 데이터를 읽고 해석하는 것 사이를 왔다 갔다 한다. 그리고 그것들을 작성하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렇게 하면, 때때로 검토자로부터 해당 문장이 토론 섹션에 속하는지 궁금하거나 질문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보건전문교육(HPE) 논문의 전통적인 IMRD(서론, 방법, 결과, 토론) 구조에서 [결과 섹션]은 참가자들이 어떻게 경험했는가라는 질문에 답하고, [토론 섹션]은 참가자들의 경험을 알게 되었으니, 우리는 이 지식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답한다.
In using the principle of scientific storytelling, another struggle writers encounter is deciding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sults and the discussion. The writer is not at fault here. What creates this struggle is the non-linear nature of qualitative studies. Qualitative studies are iterative and evolving; researchers go back and forth between reading and interpreting their data. And the same applies to writing them up. In doing so, you might sometimes wonder or get asked by a reviewer whether a statement belongs to the discussion section. In the traditional IMRD (Introduction, Methods, Results, and Discussion) structure for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HPE) papers, while

  • a results section answers the question How did participants experience this?,
  • a discussion section answers the question Now that we know about their experiences, what can we do with this knowledge?

결과 중 한 조각이 토론에 속하는지를 빠르게 점검해보는 요령은 [문장의 시제]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참가자들의 관점을 설명할 때 과거형을 사용하고, 우리의 해석을 제공할 때 현재형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만약 그러한 해석이 [참가자들이 말한 것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권고]로 넘어가게 된다면, 당신은 경계를 넘은 것이다. 예를 들어, 아래 첫 번째 문장은 참가자들이 조정된 치료 계획을 해결책으로 식별했음을 암시한다. 두 번째 문장은 현재 시제로 인해 권고와 혼동될 수 있다.
A quick test to identify if a piece of the results belongs to the discussion is to check the tense of your sentences. We tend to use past tense when describing participants
perspectives and present tense when providing our interpretation. If such interpretation slips into recommendations of what to do with what participants said, then you have crossed the boundary. For instance, the first sentence below implied that participants had identified the coordinated care plan as a solution. The second sentence, by virtue of its present tense, can be confused with a recommendation.

많은 참가자들이 환자의 의료 필요성의 반복적인 문제에 대한 "정밀한 해결책"으로서 조정된 진료 계획을 언급했다. 따라서 그러한 계획의 일상적인 채택은 전문가 간 의사소통을 개선하고 환자와 가족[작업의 시사점]의 관리에 있어 차질을 줄이기 위한 전략을 나타낼 수 있다.
Many participants spoke of coordinated care planning as a “sophisticated solution” to the recurring problem of patients’ healthcare needs “falling through the cracks” [participants’ experiences]. The routine adoption of such plans may, thus, represent a strategy to improve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and reduce disruptions in care for patients and families [implications of the work].

 

마찬가지로, 레퍼런스가 필요할 수도 있다고 생각되는 문장이나, 독자들이 그들의 실천에서 (적용)할 수 있는 것과 관련된 진술은 아마도 결과 섹션에 속하지 않을 것이다.
Similarly, if you write a statement that you think may need a reference, or a statement that has to do with what readers might do in their practice, those statements probably dont belong in the results section.

이러한 빠른 테스트가 [결과 대 고찰]의 딜레마를 반드시 해결하는 것은 아니지만, 특히 결과와 토론이 관례적으로 혼합된 분야에서 온 경우 HPE 분야에서 글을 쓰는 연습에 자신을 적응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최소한, 이 테스트들은 발견에 대한 묘사가 추천이나 함축적인 향을 가지고 있는지 자신에게 물어보거나 피드백을 요청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그런 경우 데이터로 돌아가서 소견으로 확인하거나 토론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While these quick tests will not necessarily solve the results versus discussion dilemma, it should help you orient yourself into the practices of writing in the HPE field, particularly if you come from a discipline where results and discussion are conventionally blended. At a minimum, these tests should prompt you to ask yourself or ask for feedback on whether a description of a finding has a recommendation or implication flavour. If so, then you should either go back to your data to confirm it as a finding or move it to the discussion.

 

2. 진실성—이야기에 가장 적합한 인용문 선택
2. Authenticity
selecting the best quotes for the story

연구에서 코딩하고 분석한 내용 중에서 가장 좋은 인용문을 선택하는 것은 보기보다 어렵습니다. 당신에게는 아마 선택지가 아주 많을 것이고, 그 중 일부는 당신이 꽤 좋아하는 것이다. [진실성의 원칙]은 각 인용문이 독자들에게 데이터의 지배적인 패턴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을 제공하도록 당신의 선택을 안내할 수 있다. 진실성을 확보하려면 데이터에 대한 요점을 설명해주면서, 데이터 패턴을 나타내는 인용문을 선택하십시오.
Selecting the best quotes from among all those you
ve coded and analysed in your study is harder than it looks. You likely have a wealth to choose from, some of which youre quite fond of. The principle of authenticity can guide your selection to ensure that each quote offers readers firsthand access to dominant patterns in the data. To achieve authenticity, select quotes that are illustrative of the point youre making about the data, reasonably succinct and representative of the patterns in data.

인용문이 설명이 되는가?
Is the quote illustrative?

독자들은 여러분의 주장의 요점과 여러분이 증거로 제시한 인용문을 연결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없습니다. 가장 좋은 인용구는 암묵적인 설명보다는 [명시적인 설명]입니다. 다음 예를 생각해 보십시오.
Readers should not have to work to connect the point in your argument and the quote youve offered as evidence. The best quote is an explicit illustration rather than an implicit one. Consider the following examples:

훈련 프로그램을 마친 뒤 참가자들은 "내가 내린 결정 중 가장 어려운 결정이었고, 하고 나니 기분이 나아지지 않았다"며 깊은 혼란과 방향감각을 드러냈다. (P5)
After leaving their training program, participants expressed profound confusion and disorientation: “It was the most difficult decision I’ d ever made, and I didn’t feel any better after making it”. (P5)

훈련 프로그램을 마친 뒤 참가자들은 자신들이 바라던 안도감이 바로 드러나지 않았다고 표현했다. "내가 내린 결정 중 가장 어려웠고, 하고 나니 기분이 나아지지 않았다." (P5)
After leaving their training program, participants expressed that the relief they
d hoped for wasnt immediately apparent: It was the most difficult decision I d ever made, and I didnt feel any better after making it. (P5)

첫 번째 예에서, 인용문은 "혼란과 방향 상실"의 요점을 명시적으로 증명하지 않는다. 두 번째 예시는 인용문과의 연결을 타이트하게 만들고 있다.
In the first example, the quote doesn
t explicitly evidence the point of confusion and disorientation. The second example alters the lead up to the quote to tighten the connection.

때로는 작가로서 스스로가 할 수 없는 말을 인용구를 이용해 하고 싶을 때가 있다. 이 경우, 인용문은 당신의 주장을 입증하는 것이 아니라 당신을 대신해서 주장을 하는 것입니다. 다음 예를 들어 다음과 같습니다.
Sometimes, you may also want to use a quotation to say something that you, as the writer, can
t say yourself. In this case, the quote isnt so much evidencing your point, its making a point on your behalf. Consider this example:

워크숍과 초청 연사와 같은 형평성 및 다양성 이니셔티브는 소수 교수진에 의해 "립 서비스"(P7)로 간주되었으며, 특히 기관의 더 큰 구조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더욱 그러했다.
Equity and diversity initiatives such as workshops and invited speakers were often viewed as
lip service (P7) by minority faculty, particularly if larger structures in the institution remained unchanged.

"립 서비스"라는 용어는 특히 소수 교수진 참가자의 입에서 나온 강력한 비판이다. 이것은 번역이 같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 때입니다. 독자들은 이러한 강한 입장이 참가자들로부터 직접 나온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The term
lip service is a powerful critique, particularly coming from the mouth of a minority faculty participant. This is a moment where paraphrasing would not have had the same impactreaders need to know that this strong position comes directly from participants.

 

그 인용문은 간결합니까?
Is the quote succinct?

인터뷰 녹취록을 읽어본 사람이라면 그들이 구불구불하고 재귀적이며 타원과 갑작스러운 전환으로 가득 차 있다는 것을 안다. 이 때문에 요점을 설명하기 위한 짧은 인용문을 찾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며, 더 긴 인용문을 타이트하게 줄여야 합니다. 한 가지 조임tightening 기법은 주요 문구를 추출하여 인용문의 도입 문장에 통합하는 것이다.
Anyone who has ever read an interview transcript knows that they are meandering and recursive, full of ellipses and abrupt transitions. Because of this, it can be difficult to find a short quote to illustrate a point, and you need to tighten up a longer one. One tightening technique is to extract key phrases and integrate them into your own introductory sentence to the quote.

훈련 프로그램을 떠난 참가자들은 "어려운 결정"이었다고 반성을 했고, 직후에는 "기분이 나아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P5)
Participants who had left their training program reflected that it was a
difficult decision, immediately after which they didnt feel any better. (P5)

또 다른 해결책은 줄임표를 사용하여 인용문의 일부를 오려냈다는 신호를 보내는 것입니다.
Another solution is to use the ellipsis to signal that you have cut part of the quote out:

대학원 훈련 경로는 "컨베이어 벨트처럼 단단하고 자동적이다. … 뛰어내릴 수는 있지만, 그 후에 다시 타는 것은 정말 쉽지 않습니다." (P13)
Postgraduate training pathways were described as
rigid and automatic, like a conveyor belt. You can jump off, but getting back on afterwards is really not easy. (P13)

  • 첫 번째 줄임표는 문장 중간에 무언가가 제거되었다는 신호입니다. 이 경우 이 누락된 자료는 내용을 추가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니까, 알잖아요, 그 단어가, 내가 하려던 말은..." 
  • 두 번째 줄임표는 완전한 정지를 따르며, 따라서 적어도 한 문장이 제거되었거나 그 이상이 될 수 있다는 신호를 보낸다. 
  • The first ellipsis signals that something mid-sentence has been removed. In this case, this missing material did not add content: “like, you know, um, what’s the word I’m looking for, like you’re on a”.
  • The second ellipsis follows a full stop, and therefore signals that at least one sentence has been removed and perhaps more.

줄임표를 사용할 때, 인용구의 의미에 중요한 뉘앙스를 가진 물질을 제거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참가자가 원하는 바를 말할 때까지 단편적인 내용을 담아내는 것이 목적이 아니며, 목표는 전체 인용문의 요지에 충실한 표현입니다.
When using an ellipsis, be careful not to remove material that importantly nuances the meaning of the quote. The goal is not to snip bits and pieces until participants say what you want them to; it is a representation that remains faithful to the gist of the full quote.

앞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여러분은 간결함을 돕기 위해 구술을 정돈하기를 원할지도 모릅니다. 인용문의 문구를 바꾸는 것은 항상 진실성 원칙에 위배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신중해야 한다. 인터뷰 전사본은 언어학자들이 "필러" 또는 "후회 표시자"라고 부르는 것, 소리 및 단어, 예를 들어 "아/어/음/좋아요/당신이 알고 있는/맞아요"(Tottie, 2016)로 가득 차 있다. 만약 당신이 담론과 서술적 분석을 한다면, 당신은 반드시 그러한 [망설임의 표현]조차도 의미의 일부로 분석하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다른 연구 방법론에서는 언어적 특성이 참가자를 식별할 수 있게 한다는 우려와 같은 가독성 또는 윤리적 이유로 일부 "라이트 정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Corden & Sainsbury, 2006).
As the previous example shows, you may wish to tidy up oral speech to help with succinctness. Changing the wording of a quotation always risks violating the authenticity principle, so writers must do it thoughtfully. Interview transcripts are replete with what linguists refer to as
fillers or hesitation markers, sounds and words such as ah/uh/ um/like/you know/right (Tottie, 2016). If youre conducting discourse and narrative analysis, you will necessarily analyse such hesitations as part of the meaning. However, in other research methodologies, you may opt to do some light tidying up for readability or ethical reasons, such as the concern that linguistic features might make participants identifiable (Corden & Sainsbury, 2006).

마지막으로, 문장의 문법적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인용구의 문구를 변경할 필요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작가들은 일반적으로 일관된 시제나, 동사와 주어 또는 대명사와 선행의 합치성을 위해 인용부호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적절한 문법 흐름을 보장하기 위해 동사 시제를 과거에서 현재로 변경한 예에서와 같이 대괄호를 사용하여 이러한 변화를 나타냅니다.
Finally, you may need to alter the wording of a quote to maintain the grammatical integrity of your sentence. Writers commonly need to alter quotes for consistent tense or for agreement of verb and subject or pronoun and antecedent. Use square brackets to signal such changes, as in this example in which verb tenses were changed from past to present to ensure appropriate grammatical flow:

임상 감독관들은 "직접 관찰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특히 "우리는 훈련생과 함께 일하지 않는다"와 "선배가 학생들의 직접적인 감독 중 일부를 하고 있다." (P2)
Clinical supervisors understood that
direct observation [isnt] always feasible, particularly in settings where we [dont] work side by side with the trainee and
seniors [are doing] some of the direct supervision of the students. (P2)

간결함을 위한 또 다른 전략은 인용문을 표에 넣는 것이다. 질적 연구자들은 표 형식이 주는 제약(그리고 '표'라는 것의 실승주의적 뿌리)에 대해 불평할 수 있지만, 복잡한 결과를 한눈에 보여주기 위해 전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예에서 긴즈버그 외 연구진(2015)은 참가자가 교육 중 평가 보고서에 대한 의견을 해석할 때 고려한 요소를 정의하고 설명한다(그림 2 참조).
Another strategy for succinctness is to put the quotes into a table. While qualitative researchers may chafe at the constraints (and positivist roots) of the table format, it can be used strategically to present complex results at a glance. In this example, Ginsburg et al. (2015) name, define and illustrate the factors their participants considered when interpreting comments on in-training evaluation reports (see Figure 2).


정성 분석의 주요 결과를 스냅샷하는 데 표를 사용할 수 있지만, 결과 본문에서 서술적 설명을 대체하거나 중복되어서는 안 됩니다. 이것은 의문을 제기한다: 어떤 인용구가 본문에 속하고 어떤 인용구가 표에 속할까? 결정하는 한 가지 방법은 "힘power"과 "증명proof" 인용구를 구별하는 것입니다.

  • 파워 인용문은 가장 설득력 있는 인용문이며,
  • 입증 인용문은 해당 인용문이 반복되었거나 다소 다면적이라는 추가 증거입니다(Pratt, 2008, 2009).

While tables can be used to snapshot the key findings from a qualitative analysis, they should not replace your narrative explanation in the body of the results, nor should they be duplicated. This begs the question: which quotes belong in the body and which belong in a table? One way to decide is to distinguish between power and proof quotes.

  • Power quotes are the most compelling ones, the quotes that most effectively illustrate your points, while
  • proof quotes are additional evidence that the point was recurrent or, perhaps, somewhat multifaceted (Pratt, 2008, 2009).

 

그 인용문이 대표적이니?
Is the quote representative?

모든 질적 연구자들은 그들이 빨리 논문을 작성하고 싶은 환상적인 인용문을 찾아냈다. 그러나 초안을 수정하다 보면 데이터가 잘못 전달되어 삭제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선택한 인용문은 데이터의 강력한 패턴을 반영해야 합니다. 모순되는 예는 중요한 목적을 수행하지만, 그 사용은 전략적이고 명확해야 합니다. 또한, 인용문 선택은 한 두 명의 매우 명확한 참가자로부터 나와서는 안 됩니다. 경우에 따라 차선의 또는 차차선의 모범적 예시문을 사용하더라도 여러 참가자에게 분산시킴으로써 데이터 집합 전체를 더 잘 표현할 수 있습니다.
Every qualitative researcher has identified a fantastic quote they just can’t wait to put into a paper. Sometimes, however, you discover as you revise the draft that it misrepresents the data, and it has to be removed. The quotes you choose should reflect strong patterns in the data. Discrepant examples serve an important purpose, but their use should be strategic and explicit. Furthermore, your quote selection shouldn’t come from the same one or two highly articulate participants. Distributing your choices across participants better represents the dataset as a whole, even if it means using the second- or third-best example in some instances.

주요 결과를 나타낼 인용문을 선택할 때 독자가 의미를 정확하게 추론할 수 있도록 충분한 맥락을 유지해야 합니다. 때때로 이것은 [참가자의 답변]뿐만 아니라, [면접관의 질문]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룹 토론에 중점을 두는 포커스 그룹 연구에서는 개별 의견을 추출하는 것보다 참가자 간의 교류를 인용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다음의 공개된 예(Greenhalgh 등, 2004)는 이 기술을 설명한다.
As you select quotes to represent main findings, be sure that you retain sufficient context so that readers can accurately infer their meaning. Sometimes this means including the interviewers question as well as the participants answer. In focus group research, where the emphasis is on the group discussion, it might be necessary to quote an exchange among participants rather than extracting individual comments. The following published example (Greenhalgh et al., 2004) illustrates this technique.

그러나 부유하지 못한 학생들 사이에서는 높은 사회 계층과 특권 교육이 입학 과정에 유리하다는 인식이 강했다.
However, there was a strong perception among less affluent pupils that high social class and a privileged education would confer an advantage in the admissions process:

[왜 학생이 의대에 입학하는 것을 쉽게 느낄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대한 답변]
[in response to a question about why a pupil might find it easy to get into medical school]

"그녀의 자기 자신과 성적은... ...잘하면 면접을 보는 것처럼요."
The way she carries herself and her grades . . . like at interview if she does well.

"어떻게 스스로를 감당하겠어?"
[facilitator]
How would she carry herself?

"각각, 제대로 말하고, 적절한 옷을 입고, 자신감이 넘친다."
Respectively [sic], talking properly, and dressing appropriately, alot of confidence.

"일반적인 억양이 아니라 제대로 말하세요."
Not saying it in a common accent, say it properly.

말을 잘하면 더 교육받은 것처럼 보일 것이다.(B학교 남학생들)
If they speak well, then they ll look more well-educated. (Boys from school B)

이 발췌문은 단일 참가자의 답변보다는 질문에 대한 그룹 참여를 효과적으로 나타냅니다.
This excerpt effectively represents the group engagement with the question rather than a single participant response.

3. 논쟁
3. Argument


예를 들어, 가장 대표적인 인용문조차도 스스로 설명하지는 않습니다. 글쓴이는 문법적으로나 수사적으로나 [인용문을 자신의 텍스트에 포함]해야 합니다. 문법 통합의 경우 인용된 자료는 인용되지 않은 자료와 동일한 문법 및 구두점 규정을 적용한다는 것만 기억하면 됩니다. 이 예제를 큰 소리로 읽어보십시오.
Even an illustrative, representative quote does not speak for itselfwriters must incorporate the quote, both grammatically and rhetorically, into their own text. For grammatical incorporation, you need only remember that quoted material is subject to the same sentence-level conventions for grammar and punctuation as non-quoted material. Read this example aloud:

사무국장들은 "전문성 문제가 반복될 때 아마 그 역할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일 것"이라며 비전문적인 행동을 바로잡기 위해 고군분투했다(P8)
Clerkship directors struggled to remediate unprofessional behavior,
its probably the most difficult part of the role, when you come across a recurring professionalism problem. (P8)

쉼표를 사용하여 인용구를 작가의 문장에 결합하면 쉼표 스플라이스와 런온 문장이 생성되는데, 이는 눈이 즉시 인식하지 못하더라도 귀가 들을 가능성이 높다. 인용구를 삽입한 문장을 큰 소리로 읽어서 문법적 편입을 확인하세요. 간단한 수정은 [쉼표를 콜론으로] 바꾸는 것입니다.
Using a comma to join the quote to the writer
s sentence creates a comma splice and a run-on sentence, which your ear likely hears even if your eye doesnt instantly recognise it. Read aloud sentences where youve inserted a quote to check grammatical incorporation. A simple correction is to replace the comma with a colon.

사무국장들은 비전문적인 행동을 바로잡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전문성 문제가 반복되는 것이 그 역할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일 것이다." (P8)
Clerkship directors struggled to remediate unprofessional behavior:
its probably the most difficult part of the role, when you come across a recurring professionalism problem. (P8)

[콜론]은 인용된 물질을 통합하기 위한 기본 메커니즘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문법적으로 많은 시간을 충분합니다. 그러나, 그것이 항상 수사적으로 충분한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독자에게 [연구자가 하려는 말]과 [인용된 말] 사이의 관계를 유추하게 남겨두기 때문이다. 인용문이 글쓴이의 논점을 완벽하게 전달할 때, 콜론은 충분할 뿐만 아니라 인용문을 산만하게 집중 조명한다. 하지만, 인용문은 당신의 논점을 완벽하게 만드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인용문을 이해하는 데에는) 보통 약간의 추론이 필요하며, 독자들은 작가가 의도하는 바를 추론하지 못할 수도 있다. 독자들이 자신만의 해석을 하도록 내버려둘 것이 아니라, 작가들은 그들의 해석을 분명하게 해야 한다. 이러한 맥락화는 모로(2005)가 해석과 인용의 "균형balance"이라고 부르는 것을 달성하기 위한 요건이다.
The colon is a default mechanism for integrating quoted material. And it suffices grammatically much of the time. However, it doesn
t always suffice rhetorically, because it leaves the reader to inf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int being made and the quoted illustration. When the quote perfectly makes the writers point, the colon not only suffices, it spotlights the quote without distraction. However, only rarely do quotes perfectly make your point; usually some inference is required, and readers might not infer what the writer intends. Instead of leaving readers to come to their own interpretations, writers should make explicit their interpretation. Such contextualising is a requirement for achieving what Morrow (2005) calls the balance of interpretation and quotation.

연구자들의 해석과 인용문 사이에 이러한 균형을 이루기 위한 많은 기술들이 있다. 다음 예에서 콜론 앞의 자료가 견적서에 대해 점진적으로 더 많은 맥락화를 제공하는 방법에 주목하십시오.
There are many techniques for achieving this balance between researcher interpretations and supporting quotations. Note in the following examples how the material before the colon provides progressively more contextualisation for the quote:

한 주민은 "표준 훈련 경로에서 벗어날 수 있지만, 다시 타는 것은 보장되지 않습니다."라고 말했다. (P21)
One resident said:
You can get off the standard training pathway, but getting back on isnt guaranteed. (P21)

한 주민은 "표준적인 훈련 경로에서 벗어날 수 있지만, 다시 승선하는 것은 보장되지 않는다."라고 단언했다. (P21)
One resident asserted:
You can get off the standard training pathway, but getting back on isnt guaranteed. (P21)

포커스 그룹의 한 주민은 훈련 경로가 CBME[역량 기반 의료 교육]의 맥락에서 개별화되고 유연하다는 생각에 동의하지 않았다. "표준 훈련 경로에서 벗어날 수 있지만, 다시 복귀하는 것은 보장되지 않습니다." (P21)
One resident in the focus group disagreed with the idea that training pathways were individualised and flexible in the context of CBME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You can get off the standard training pathway, but getting back on isnt guaranteed. (P21)

포커스 그룹 참가자들은 CBME의 맥락에서 훈련 경로의 유연성에 대해 토론했다. 일부는 훈련이 "더디게 갈 필요가 있거나 더 빨리 갈 수 있거나, 거주자의 길에서 조금 벗어나고 싶은 경우" (P19) 반면 다른 이들은 "표준 훈련 경로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다시 탈 수 있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21)
Focus group participants debated the flexibility of training pathways in the context of CBME. Some anticipated that training
can be adjusted, for if you need to go slower or youre able to go faster or you want to do something a bit off the beaten path of residency (P19), while others contested that you can get off the standard training pathway, but getting back on isnt guaranteed. (P21)


증가하는 문맥화는 중립적인 "말한said"을 사용하는 첫 번째 예와 참가자의 어조를 감지하기 위해 "주장된asserted"을 사용하는 두 번째 예 사이의 동사 변화에서 시작된다. 세 번째는 [포커스 그룹 토론의 맥락]에 그것을 배치함으로써 인용문의 의미를 더욱 해석한다. 네 번째 예시는 두 개의 인용구를 [문장의 서술 구조에 직접 통합]하여 참여자들 사이에서 일어나고 있는 토론을 보여준다. 그리고 콜론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마지막 예는 작가가 인용문을 그들의 논증에 엮기 위해 더 열심히 일하도록 강요한다. 이러한 직조는 [인용문의 의미를 수사적으로 강하게 통제]한다.
The increasing contextualisation begins with a shift in verb between the first example, which uses the neutral
said, and the second example, which uses asserted to give a sense of the participants tone. The third interprets the meaning of the quote even more by situating it in the context of a focus group debate. The fourth example integrates two quotes directly into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sentence to show the debate that was occurring among participants. And by not using a colon, the last example forces the writer to work harder to weave the quotes into their argument. Such weaving exerts strong rhetorical control over the quotes meaning.

초안을 쓸 때는 때는 기본적으로 콜론을 사용하는 편이 낫다. 각각의 조각을 어떤 자리에 고정하는 데 이상적이다. 하지만 수정할 때는 더 다양하고 스타일을 지향하세요. 이렇게 하면 결과 섹션이 점-콜론-인용, 점-콜론-인용, 점-콜론-인용 등의 로봇적 운율을 넘어 향상되고 인용문이 여러분이 주장하는 요점을 뒷받침하고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Use the default colon when you’re drafting—it’s perfect for just getting the pieces into place. But when you revise, aim for more variety and style. This will elevate your results sections beyond a robotic cadence of point-colon-quote, point-colon-quote, point-colon-
. And it will ensure that the quotes support and develop the points you’re making.

때때로 당신은 자신의 문장에 통합할 수 없는 더 긴 인용구를 포함하기를 원할 것이다. 이러한 인용문은 독자들에게 인터뷰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게 하거나 아이디어들 사이의 복잡한 상호관계를 엿볼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당신은 이러한 차원을 잃어버릴 정도로 그것들을 자르고 싶어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인용문이 길어질수록 독자의 관심이 당신이 의도한 것과는 다른 무언가에 걸릴 가능성이 더 커진다는 것을 명심하라. 결과 작성에 있어 이러한 모순을 방지하기 위해 인용 샌드위치 기법(인용문 앞의 문맥에 적용하고 그 뒤의 해석을 요약하는 것)을 고려하십시오. 다음 그림(Emerton-Coughlin et al., 2017)에서 비디오 발췌문 필사본은 3번 박스에서 설명되는 내용과 포인트에 대한 자세한 분석을 제공하는 요약 텍스트로 구성된다.
Sometimes you will want to include a longer quote that cannot be integrated into your own sentence. Such quotes can offer readers a sense of the mood of the interview, or a glimpse of the complex interrelationship among ideas, and you don
t want to cut them back to the point that this dimension is lost. Keep in mind, though, that the longer the quote, the greater the chance that the readers attention will snag on something other than what you intend. To guard against this source of incoherence in your results writing, consider applying the quotation sandwich technique (Graff & Birkenstein, 2018) to contextualise before the quotation and summarise your interpretation after it. In the following illustration (Emmerton-Coughlin et al., 2017), the transcription of a video excerpt is set off in Box 3, sandwiched by introductory text that sets up whats being illustrated and summary text that provides detailed analysis of the point:

다음 예는 통제 역학의 양방향 특성을 보여줍니다. 의사가 수술 기법을 수정하라는 지침을 시작합니다(상자 3 참조).
The next example typifies the bidirectional nature of control dynamics. The surgeon initiates an instruction to modify the surgical technique (see Box 3).

 

외과의사의 지침을 올바르게 이행하려면 훈련생이 올바른 표현을 해석해야 합니다. "상단 부분"과 "하단 부분"이 있습니다. 훈련생은 다시 데히스를 사용하여 "이것이 바로 여기입니까?"라고 응답하고 주어진 지침에 대한 자신의 해석을 확인하기 위해 현지화 기동을 합니다. 외과의는 명령을 승인한 다음 추가 정보와 추가 지시로 자신의 신체적 제스처 동작을 추가하며 더 정교하게 다듬는다. 이는 핵심 구조물인 담관을 식별하고 보호하는 것과 관련된 고난도의 순간 동안 교육생이 강사에게 준 엄격한 수준의 통제를 강조합니다.
Correct implementation of the surgeon’s instruction relies on the trainee’s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deictic expressions: “the top part” and “the bottom part”. The trainee responds, again using deixis, “This right here?” and pairs with it a physical localising manoeuvre in order to confirm her interpretation of the instruction given. The surgeon ratifies and then goes on to further refine the instruction with additional information and additional deictic instruction, adding his own physical gesturing manoeuvre. This back and forth highlights a concession by the trainee of a tight degree of control to the instructor during this high-stakes moment involving the identification and protection of a key structure, the bile duct.


이 예제는 또한 인용문의 내용을 단순히 반복하지 않고 요약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독자는 이미 인용문을 읽었는데, 인용문은 지시적인 표현들을 강조하기 위해 주석을 달았다. 그 뒤의 텍스트는 이 교환의 "양방향성"에 대한 시작점을 예시하며, 예제의 진행 상황에 대한 설명에서 "대응", "확인", "뒤로"와 같은 용어를 사용한다.

This example also demonstrates how to summarise the quote without simply repeating what it says. The reader has already read the quote, which is annotated to highlight the deictic expressions. The text after it exemplifies the opening point about “the bidirectional nature” of this exchange, by using terms such as “responds”, “confirms”, “ratifies” and “back and forth” in the explanation of what’s going on in the example.

한 요점을 뒷받침하기 위해 여러 개의 인용문을 사용하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여러 인용구를 사용하는 편이 더 좋은 경우는 단 하나의 인용구만으로는 정당하지 않은 층위나 뉘앙스가 있을 때 뿐이다
Using multiple quotations to support a single point should be avoided. More is only better when there are layers or nuances that a single quote doesn’t do justice to.

웰니스(Wellness)는 참가자들에게는 미묘한 아이디어였습니다.
Wellness was a nuanced idea for our participants:

"걸어다니는 좀비가 되지 않기 위해 규칙적으로 먹고, 잠을 자는 것." (P2)
“Eating regularly, getting some sleep, so that you’re not a walking zombie.” (P2)

"건강하지 않을 때, 불안하거나 우울할 때, 인간관계가 고통받고 있을 때, 곁에 있을 수 없다는 것을 깨닫는다."(P11)
“Recognising when you’re not well, you’re anxious or depressed, your relationships are suffering, you’re impossible to be around.” (P11)

"기본적인 행복이요, 제게 더 이상 기쁨이 없는 것처럼요? '나는 임상적으로 우울하다'가 아니라 '나는 내 작품에 더 이상 없을 뿐이다.' (P12)
“Basic happiness, like is there any joy in this anymore for me? Not, ‘I’m clinically depressed’ but sort of, ‘I’m just not present in my work anymore.’” (P12)

"미묘한 아이디어"라는 표현이 독자에게 여러 인용문이 이러한 뉘앙스를 보여주기 위한 것임을 경고하지만, 이 예는 독자로 하여금 [인용문 사이의 (비어있는) 공간을 스케치를 하도록] 만든다. 다음과 같이 바꾸는 것이 수사적으로 더 효과적이다.
While “nuanced idea” alerts the reader that the multiple quotes are intended to demonstrate this nuance, this example makes the reader do the work of sketching in the space between the quotes. The following revision is more rhetorically effective.

웰니스(Wellness)는 우리의 참가자들에게는 미묘한 아이디어였다. 많은 이들이 "걸어다니는 좀비가 되지 않기 위해 규칙적으로 먹고, 잠을 자는 것"의 중요성을 인정하는 가운데, 참가자들의 설명에서 신체 건강의 차원이 두드러졌다(P2). 정신건강도 특히 "건강이 좋지 않을 때, 불안하거나 우울할 때, 인간관계가 고통받고 있을 때, 곁에 있을 수 없을 때" (P11)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건강은 또한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대한 전통적인 개념을 넘어 "기본적인 행복, 나에게 더 이상 기쁨이 없는가?"라는 질문으로까지 확장됩니다. '나는 임상적으로 우울하다'가 아니라 '나는 더 이상 내 일에 있지 않을 뿐이다' (P12).
Wellness was a nuanced idea for our participants. Dimensions of physical health were prominent in participants’ explanations, with many acknowledging the importance of “eating regularly, getting some sleep, so that you’re not a walking zombie” (P2). Mental health was also discussed, in particular “recognising when you’re not well, you’re anxious or depressed, your relationships are suffering, you’re impossible to be around” (P11). And wellness was also understood to extend beyond the conventional notions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to questions of “basic happiness, like is there any joy in this anymore for me? Not, ‘I’m clinically depressed’ but sort of, ‘I’m just not present in my work anymore’” (P12).

이 버전에서 작가는 독자를 위한 이 세 인용구 사이의 관계를 설정하면서 '물리적', '정신적', '그 너머'를 명시적으로 명명한다.
In this version, the writer explicitly names “physical”, “mental” and “beyond” as they establish the relations between these three quotes for the reader.

우리가 논의할 마지막 예는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복합 내러티브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복합 서술은 여러 인터뷰나 관찰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사용하여 하나의 상세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복합 내러티브는 인용구가 아니다; 그것들은 구성이고, 따라서 작가들에게 상당한 수준의 수사적 통제를 제공한다. 그것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작가들은 그 구성 요소들이 무엇을 나타내는지 그리고 발견을 설명하기 위해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설명하면서 독자들의 방향을 잡아야 한다. 다음 단락은 그러한 지향성이 어떻게 보일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The final example we will discuss is the use of composite narratives to illustrate your results. A composite narrative uses data from multiple interviews or observations to tell a single, elaborated story. Composite narratives are not quotations; they are constructions and, thus, offer writers a significant degree of rhetorical control. To use them effectively, writers must orient readers, explaining what the composites represent and how they are used to illustrate findings. The following paragraph illustrates how such orienting might look.

데이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3가지 복합 내러티브가 생성되었는데, 참가자들의 3가지 구분된 그룹 각각에 대해, GP 교육을 마친 직후 학문적 역할에 입문한 GP들이 전임 임상을 원하지 않는다고 결정한 경험의 복합체인 '내러티브 1, '알렉스'l post; 교육이나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학문적 역할에 입문한 GP의 경험을 종합한 서사 2, '로빈', 그리고 경력 중후반에 학계에 입문한 GP의 경험을 종합한 서사 3, '조'로, 임상 실습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무식한 일 경험이 스스로 식별된 성별 범주를 넘나들었다는 것을 반영하여, 이러한 서술에 성 중립적인 이름이 할당되었다. 연구 결과는 복합 서술에서 발췌한 것으로 설명된다. (McElhinney & Kennedy, 2021, 페이지 3)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data analysis, three composite narratives were produced, one for each of the three distinct groups of participants identified: Narrative 1, ‘Alex’, a composite of the experiences of GPs who had entered an academic role immediately after completion of GP training, having decided that they did not want a full-time clinical post; Narrative 2, ‘Robin’, a synthesis of the experiences of GPs who entered an academic role mid-career, having been a GP partner, with an interest in education or research; and Narrative 3, ‘Jo’, synthesising the experiences of GPs who entered academia mid to late career, looking for an alternative to clinical practice to run in parallel to clinical work. Gender-neutral names were assigned to these narratives, reflecting that the experiences crossed self-identified gender categories. The findings are illustrated with excerpts from the composite narratives.
(McElhinney & Kennedy, 2021, p. 3)

 

Willis (2019)에 따르면, 복합 내러티브은 세 가지 주요 이점을 제공한다: 

  • 원자적인 범주나 주제보다 복잡하고, 위치된 설명을 제공한다;
  • 익명성을 보장한다;
  • 효용성과 접근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학계 밖의 독자들을 위한 질적 연구 결과.

필자는 복합물이 주요 데이터의 톤과 내용에 충실하도록 보장해야 하며 복합 서사를 작성하기 위한 적절한 절차를 따라야 한다. 그들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복합 사례를 시도하는 데 관심이 있는 저자들의 경우, 아파르미안 외 연구진(2015)과 팩 외 연구진(2020)은 이 접근방식을 사용하는 두 가지 다른 방법을 보여준다.

According to Willis (2019), composite narratives offer three main advantages:

  • they present complex, situated accounts rather than atomistic categories or themes;
  • they ensure anonymity; and
  • they may maximise the utility and accessibility of qualitative findings, particularly for readers outside academia.

Their main limitation relates to authenticity—the writer must ensure that the composite is faithful to the tone and content of the primary data and should follow appropriate procedures for creating their composite narrative. For writers interested in trying a composite case to illustrate their results, Apramian et al. (2015) and Pack et al. (2020) demonstrate two different ways of employing this approach.

 

복잡성의 인정
An acknowledgement of complexity


우리는 효과적인 질적 결과 섹션의 작성을 안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세 가지 원칙을 제시했습니다: 스토리텔링, 진실성 및 논쟁. 이러한 원칙들을 고정된 규칙으로 보아서는 안 된다. 많은 요인들이 이러한 요인들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영향을 미칩니다. 연구 방법론은 중요하다. 예를 들어, 서술적 탐구, 구성주의 기반 이론 및 비판적 담론 분석은 각자 바람직한 방식이 다를 것이다. 저널도 중요합니다. 많은 경우 이러한 원칙을 성공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이해하려면 반드시 참조해야 할 저자 지침이 있습니다. 

We have offered three principles to help guide the writing of an effective qualitative results section: storytelling, authenticity and argument. These principles should not be viewed as static rules. A number of factors influence how they might be applied. Research methodology matters; for example, narrative inquiry,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and critical discourse analysis will look—and sound—distinct. The journal also matters. Many have author guidelines you should consult to understand how to adapt these principles successfully.

마지막으로, 역사는 중요합니다. 질적 연구가 정당성을 얻으면서 우리 분야의 관습이 변화하고 있다. 방법론적 용어가 변화하고 있는 것처럼(Varpio 등, 2017) 결과를 제시하는 관례도 변화하고 있다. 이 원고를 작성하면서 우리의 논문을 되돌아보면서, 우리는 우리의 접근 방식의 변화를 깨달았다. 예를 들어, 우리는 각 주제 범주의 인스턴스 수를 열거하는 테이블을 더 이상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Lingard, 2004). 그러나 20년 전에는 데이터 코딩에 관련된 여러 연구자에 대한 평가자 간 신뢰도 계수를 포함시키는 것이 흔한 일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원칙을 지침으로 사용하고, 설득력 있는 질적 결과 섹션을 만들 때 수사적 상황에 주의를 기울이십시오.

Finally, history matters. Conventions in our field are changing over time as qualitative research gains legitimacy. Just as methodological terms are shifting (Varpio et al., 2017), so too are conventions for presenting results. Looking back at our papers in the writing of this manuscript, we realised shifts in our own approaches. For instance, we rarely use tables enumerating the number of instances of each thematic category (Lingard, 2004) anymore, but that was commonplace 20 years ago, as were inter-rater reliability coefficients for multiple researchers involved in coding data. So use these principles as a guide, and stay attentive to your rhetorical situation as you work to craft a compelling qualitative results section.

 


Abstract

 

Writing an effective qualitative results section can be a daunting task. How do you report the findings of the study and tell a compelling story? It is this delicate balance that we strive to navigate in this paper. We offer three principles—storytelling, authenticity and argument—to help writers envision the story they will tell, select the data as evidence for that story and integrate quotations to guide the reader’s interpretation. Practical advice and concrete illustrations make the principles easy to apply to your own writing. Finally, by reflecting on how historical, methodological and disciplinary elements shape their application, you will be able to use these principles to enhance the persuasiveness of your qualitative results section.

 

효과적인 문헌고찰 쓰기 파트2: 인용 테크닉(Perspect Med Educ, 2018)
Writing an effective literature review Part II: Citation technique
Lorelei Lingard1

 

이번 작가공예 편찬은 연구 원고의 문헌 검토 부분을 효과적으로 제시하기 위한 전략을 제공하는 2부작 시리즈 중 두 번째 작품이다. 이 글은 인용이 단순한 [기술적 실천]이 아니라 [수사적 실천]이라고 주장하며, 작가들에게 인용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확장된 어휘]를 제공한다.

This Writer’s Craft instalment is the second in a two-part series that offers strategies for effectively presenting the literature review section of a research manuscript. This piece argues that citation is not just a technical practice but also a rhetorical one, and offers writers an expanded vocabulary for using citation to maximal effect.

많은 작가들은 인용을 표절을 피하고 다른 사람의 작품을 인정하기 위해 우리가 사용하는 공식적인 시스템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인용은 이것보다 훨씬 더 미묘한 관행이다. 인용은 

  • 지식의 원천을 대표할 뿐만 아니라 
  • 그 지식과 관련하여 우리 자신을 포지셔닝할 수 있게 해주고, 
  • 그 지식을 다른 지식과 연관시킬 수 있게 해줍니다. 

Many writers think of citation as the formal system we use to avoid plagiarism and acknowledge others’ work. But citation is a much more nuanced practice than this. Not only does citation allow us

  • to represent the source of knowledge, but it also allows us
  • to position ourselves in relation to that knowledge, and
  • to place that knowledge in relation to other knowledge.

한마디로 인용은 연구를 프레이밍 하기 위해서, 문헌 검토 섹션을 작성할 때, 다음의 것을 예술적으로 이야기하는 방법이다. 

  • 이 분야에서 알려진 것이 무엇인지,
  • 그 지식을 어떻게 알게 되었는지,
  • 그것과 관련하여 우리가 어디에 서 있는지

In short, citation is how we artfully tell the story of

  • what the field knows,
  • how it came to that knowledge, and
  • where we stand in relation to it

as we write the literature review section to frame our own work.

이렇게 본다면, 인용은 한 영역의 문헌에 대한 심층적인 지식이 필요한 정교한 작업이다.

Seen this way, citation is a sophisticated task, requiring in-depth knowledge of the literature in a domain.

인용은 단순히 참고하는 것 그 이상이다. 그것은 우리가 한 분야에서 [지식의 사회적 구성]을 나타내는 방법이다. 인용 전략은 지식의 원천과 본질에 대한 텍스트의 표시이다. 모든 인용 전략이 이탤릭체로 표시된 다음 구절을 고려하십시오.

Citation is more than just referencing; it is how we represent the social construction of knowledge in a field. A citation strategy is any indication in the text about the source and nature of knowledge. Consider the following passage, in which all citation strategies are italicized:

긍정적인 직업 규범과 표준을 가르치고 시행하기 위한 수년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의학 및 교육 문헌과 일반 언론에서 의학 전문직업성에 대한 도전에 대한 많은 보고가 계속 나오고 있다. 의료계에서는 직업적 실수의 예들이 도사리고 있다: 규제가 좌절되고, 기록이 위조되고, 환자들이 무시당하고, 동료들이 비난을 받는다. 의료계는 수많은 중요한 입장문에서 전문직업성이 무엇인지에 대한 감각을 분명히 밝혔다이러한 진술은 미국 내과 위원회(ABIM)의 프로젝트 프로페셔널리즘에 제시된 분류 체계와 같이 추상화된 원칙과 가치를 바탕으로 작성되는 경향이 있다. 중립성, 책임성, 우수성, 의무, 명예, 진실성 및 타인에 대한 존중.

(긴즈버그 외 연구진으로부터), 전문적 실수의 해부학적 구조 [1])


Despite years of effort to teach and enforce positive professional norms and standards, many reports of challenges to medical professionalism continue to appear, both in the medical and education literature and, often in reaction, in the lay press.1,2,3,4,5 Examples of professional lapses dot the health care landscape: regulations are thwarted, records are falsified, patients are ignored, colleagues are berated.2,4,6 The medical profession has articulated its sense of what professionalism is in a number of important position statements.7,8 These statements tend to be built upon abstracted principles and values, such as the taxonomy presented in the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s (ABIM’s) Project Professionalism: altruism, accountability, excellence, duty, honour, integrity, and respect for others.7

(From Ginsburg et al., The anatomy of a professional lapse [1])

 

이 문장에서 참조 인용(밴쿠버 형식 위첨자 번호 형태)은 지식의 출처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이 구절에는 단순한 언급 이상의 것이 있다. 인용 전략에는 다음의 것들을 특징짓는 기술 방식이 포함된다.

  • 지식의 밀도('수많은 보고서')
  • 시간적 패턴('계속해서 나타난다'),
  • 다양한 기원('의료 및 교육 문헌 모두에서')
  • 사회적 특성('종종 그 반응으로')
  • 사회적 의미/중요성('중요한 입장 진술')

In this passage, citation as referencing (in the form of Vancouver format superscript numbers) is used to acknowledge the source of knowledge. There are more than just references in this passage, however. Citation strategies also include statements that characterize

  • the density of that knowledge (‘many reports’),
  • its temporal patterns (‘continue to appear’),
  • its diverse origins (‘both in the medical and education literature’),
  • its social nature (‘often in reaction’), and
  • its social import (‘important position statements’).

인용문은 당신이 읽은 어떤 것의 출처를 단순히 인정하는 것 이상이다. [인용]이란 [지식의 사회적 본성social nature]을 표현하는 방법이며, 여기에는 지식이 어디에서 왔고, 어떻게 토론되고 발전되어 왔으며, 세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것이 포함된다[2]. 만약 우리가 인용 전략을 모두 제거한다면, 이 구절은 [기껏해야 상식적으로 들리고, 최악의 경우 입증되지 않은 개인적인 의견]처럼 들린다. 다음처럼 말이다.

Citation does more than just acknowledge the source of something you’ve read. It is how you represent the social nature of knowledge as coming from somewhere, being debated and developed, and having impact on the world [2]. If we remove all these citation strategies, the passage sounds at best like common sense or, at worst, like unsubstantiated personal opinion:

긍정적인 직업 규범과 표준을 가르치고 시행하기 위한 수년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의료 전문성에 대한 도전은 계속되고 있다. 의료계에서는 직업적 실수의 예들이 도사리고 있다: 규제가 좌절되고, 기록이 위조되고, 환자들이 무시당하고, 동료들이 비난을 받는다. 전문성은 원칙과 가치의 집합이다: 이타주의, 책임감, 탁월함, 의무, 명예, 진실성, 타인에 대한 존중.
Despite years of effort to teach and enforce positive professional norms and standards, challenges to medical professionalism continue. Examples of professional lapses dot the health care landscape: regulations are thwarted, records are falsified, patients are ignored, colleagues are berated. Professionalism is a set of principles and values: altruism, accountability, excellence, duty, honour, integrity, and respect for others.

아마도 여러분은 문헌 검토가 '객관적'이어야 한다는 말을 들었을 것이다. 즉, 여러분은 그것에 대한 입장을 취하지 않고 알려진 것을 단순히 제시해야 한다. 두 가지 이유로, 이것은 대체로 사실이 아니다.
But perhaps you’ve been told that your literature review should be ‘objective’—that you should simply present what is known without taking a stance on it. This is largely untrue, for two reasons.

첫 번째 이유는 요약과 비판적 요약이 구별되기 때문이다. [요약]은 자료에 대한 중립적인 설명이지만, 잘 된 문헌 검토에는 순수한 요약이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다. 문헌을 검토하며 우리는 우리가 제시할 지식 주장의 품질, 출처 및 신뢰성을 판단하기 때문이다[3]. 이 과정에서 기존 지식을 요약할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입장을 제시하는 비판적 요약을 하게 된다

The first involves the distinction between summary and critical summary. A summary is a neutral description of material, but a good literature review contains very little pure summary because, as we review, we must also judge the quality, source and reliability of the knowledge claims we are presenting [3]. To do this, we engage in critical summary, not only summarizing existing knowledge but offering a stance on it.

두 번째 이유는 우리가 단순한 요약을 목표로 할 때 조차, [지식 주장에 대해 완전한 중립적 보고neutral presentation]를 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우리는 스스로도 깨닫지 못한 상태로 특정 입장을 취한다. 각 문장에서 동사가 해당 분야의 지식 주장의 요약에 어떻게 입장의 풍미를 더하는지 생각해 보십시오.
The second reason is that, even when we’re aiming for simple summary, a completely neutral presentation of knowledge claims is very difficult to achieve. We take a stance in ways we hardly even notice. Consider how the verb in each of these statements adds a flavour of stance to what is otherwise a summary of a knowledge claim in the field:

앤더슨은 응급실에서 사용하기 위해 평가가 얼마나 시간이 많이 걸리는지를 설명한다.

앤더슨은 그 평가가 응급실에서 사용하기에는 너무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것을 발견했다.

앤더슨은 그 평가가 응급실에서 사용하기에는 지나치게 시간이 많이 든다고 주장한다.


Anderson describes how the assessment is overly time-consuming for us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nderson discovered that the assessment was overly time-consuming for us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nderson claims that the assessment is overly time-consuming for us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 첫 번째 동사 'describes'는 중립적이다: 앤더슨이 이 분야에 기여한 지식에 대한 작가의 입장을 확인할 수 없다.
  • 두 번째 동사 'discovered'은 작가 내에서의 소속감이나 긍정적인 입장을 표현한다
  • 세 번째 동사 'claims'에서 작가는 앤더슨의 저술과 거리를 둔다.
  • The first verb, ‘describes’, is neutral: it is not possible to ascertain the writer’s stance on the knowledge Anderson has contributed to the field.
  • The second verb, ‘discovered’, expresses an affiliation or positive stance in the writer, while
  • the third verb, ‘claims’, distances the writer from Anderson’s work.

이처럼, 이렇게 간단한 요약 문장에도 [비판적 요약]의 풍미가 담겨 있다. 이것은 흠이 아니다. 오히려, 연구자가 자신과 논문을 포지셔닝 하게끔 [기존의 지식을 대화로 그려내는portraying 중요한 방법]이다. 하지만 그것은 의식적이고 전략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표 1은 작가들이 자신의 문헌에서 검토한 동사들이 그 분야의 기존 지식과 관련하여 어떻게 위치를 잡을 수 있는지를 생각할 수 있도록 예시를 제시한다. 의미는 문맥에 따라 달라지기에, 이러한 예는 지침으로만 채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suggests'은 중립적인 것 또는 거리를 두는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Even these brief summary sentences contain a flavour of critical summary. This is not a flaw; in fact, it is an important method of portraying existing knowledge as a conversation in which the writer is positioning herself and her work. But it should be done consciously and strategically. Tab. 1 offers examples to help writers think about how the verbs in their literature review position them in relation to existing knowledge in the field. Meaning is subject to context and these examples should only be taken as a guide: e. g., ‘suggests’ can be used to signal neutrality or distancing.

 

 

보통 글을 쓸 때, 우리는 거의 무의식적으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좋아하는 동사(보고, 주장, 서술, 연구, 설명, 주장)가 있다. 하지만 이 동사들이 모두 대등한 것은 아니다. 그들은 [저자의 입장]뿐만 아니라, 지식을 창조한 [연구자의 입장]을 포함하여 [지식에 대한 조금씩 다른 입장]을 새긴다inscribe. [비판적 요약]에서 [원 저자의 입장]을 바르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른 사람의 문헌검토에서 나의 입장이 잘못 표현된 것을 보는 것만큼 짜증나는 것은 없다. 예를 들어, 만약 내가 새로운 아이디어에 대한 잠정적인 성찰을 제공하는 단락을 썼다면, 나는 '링가드가 제안했다'나 '링가드가 탐구했다'라고 기술되길 바라지, '링거드가 언쟁했다argue'라고 쓰여지길 원하지 않는다.
Most of us have favourite verbs that we default to almost unconsciously when we are writing—reports, argues, describes, studies, explains, asserts—but these verbs are not interchangeable. They each inscribe a slightly different stance towards the knowledge—not only the writer’s stance, but also the stance of the researcher who created the knowledge. It is critical to get the original stance right in your critical summary. Nothing irritates me more than seeing my stance mispresented in someone else’s literature review. For example, if I wrote a paragraph offering tentative reflections on a new idea, I don’t want to see that summarized in someone’s literature review as ‘Lingard argues’, when more accurate would be ‘Lingard suggests’ or ‘Lingard explored’.

작가들은 [인용동사 라이브러리]를 확장해 자신이 속한 분야의 저자들이 발표한 지식 주장을 정확하고 설득력 있게 포지셔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어휘를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되는 많은 온라인 리소스를 찾을 수 있습니다. [4]의 온라인 출처에서 가져온 표 2는 몇 가지 제안을 제공합니다. 이와 같은 표는 규칙이 아닌 도구로 간주해야 하며, 단어가 문맥과 목적에 따라 유연한 의미를 갖는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제안했다suggest이나 결론지었다conclude과 같은 단어가 하나 이상의 목록에 나타날 수 있는 이유다.
Writers need to extend their library of citation verbs to allow themselves to accurately and persuasively position knowledge claims published by authors in their field. You can find many online resources to help extend your vocabulary: Tab. 2, adapted from one such online source [4], provides some suggestions. Tables like these should be thought of as tools, not rules—keep in mind that words have flexible meanings depending on context and purpose. This is why one word, such as suggest or conclude, can appear in more than one list.

지식은 사회적 구성이며, 연구자들이 서로의 기여에 대해 토론하고, 확장하고, 다듬으면서 축적된다. 문헌 검토가 [단절된 '사실'의 세탁물 목록]처럼 읽히는 것을 피하려면, 어떤 동사를 사용하는지가 중요하다. 표 3은 검토되고 있는 지식 분야의 저자들 사이의 다른 관계를 반영하기 위해 구성된 동사 선택을 제공한다.
Knowledge is a social construction and it accumulates as researchers debate, extend and refine one another’s contributions. To avoid your literature review reading like a laundry list of disconnected ‘facts’, reporting verbs are an important resource. Tab. 
3 offers a selection of verbs organized to reflect different relationships among authors in the field of knowledge being reviewed.

 

마지막으로, 이 글에서 인용 동사에 초점을 맞췄지만, 부사(예: 유사하게, 결과적으로)와 전치사 구(예: 이와 대조적으로, 추가로)역시 지식 주장 및 저자들 사이의 유사/대조/대응 관계를 표현하는 데 중요하다.
Finally, although we have focused on citation verbs in this article, adverbs (e. g., similarly, consequently) and prepositional phrases (e. g., by contrast, in addition) are also important for expressing similar, contrasting or responding relations among knowledge claims and their authors in the field being reviewed.

요약하자면, 효과적인 문헌 검토는 기존의 지식을 요약할 뿐만 아니라, 특정 연구 영역에서 [진화하는 대화와 이해]를 묘사하기 위한 지식을 [비판적으로 제시]한다. 우리가 언제 요약하고 언제 비판적으로 요약하고 있는지 알아야 할 작가로서, 요약만으로도 소화되지 않은 '세상의 사실들'의 세탁물 목록처럼 읽히는 문학 리뷰를 만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작가는 검토되는 지식과 관련하여 자신과 인용하고 있는 저자를 포지셔닝하기 위해 인용 동사의 미묘한 힘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go-to' 동사의 목록을 넓히는 것은 우리의 글쓰기에 활력을 주고 강화하는 중요한 단계이다.

In summary, an effective literature review not only summarizes existing knowledge, it also critically presents that knowledge to depict an evolving conversation and understanding in a particular domain of study. As writers we need to know when we are summarizing and when we are critically summarizing—summary alone makes for a literature review that reads like a laundry list of undigested ‘facts-in-the-world’. Finally, writers need to attend to the subtle power of citation verbs to position themselves and the authors they are citing in relation to the knowledge being reviewed. Broadening our catalogue of ‘go-to’ verbs is an important step in enlivening and strengthening our writing.

 


Perspect Med Educ. 2018 Apr;7(2):133-135.

 doi: 10.1007/s40037-018-0407-z.

Writing an effective literature review : Part II: Citation technique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Schulich School of Medicine & Dentistry, Health Sciences Addition, Western University, London, Ontario, Canada. lorelei.lingard@schulich.uwo.ca.

PMID: 29500746

PMCID: PMC5889378

DOI: 10.1007/s40037-018-0407-z

효과적인 문헌고찰 쓰기 파트1: 매핑 더 갭 (Perspect Med Educ, 2018)
Writing an effective literature review Part I: Mapping the gap
Lorelei Lingard1

 

간격 매핑
Mapping the gap

논문에서 [문헌 리뷰] 섹션의 목적은 당신의 주제에 대해 알려진 것을 보고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 목적은 알려지지 않은 것(학술적 글쓰기 학자 Janet Giltrow가 '지식적자knowledge deficit'라고 불렀던 것)을 식별하는 것이고, 이로써 연구 연구의 필요성을 확립하기 위해서이다[1]. 이전 Writer's Craft 편에서 [문제-갭-훅 휴리스틱]은 당신의 연구가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그 문제에 대한 우리의 현재 지식의 차이, 그리고 그 차이가 중요한 이유에 대한 명확한 진술과 함께 당신의 논문을 여는 방법으로 소개되었다[2]. 이 글에서는 논문의 문헌 검토 섹션을 사용하여 문제-갭-훅의 갭 주장gap claim을 구성하고 특성화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갭 매핑'이라는 비유는 기존 문헌에 대한 리뷰를 어떻게 선정하고 배열하여 독자들이 왜 당신의 연구가 이뤄져야 하는지, 그리고 그 결과가 왜 그 주제에 대해 이미 알려진 것에 대한 의미 있는 진보를 구성하는지 생각하는 방법이다.

The purpose of the literature review section of a manuscript is not to report what is known about your topic. The purpose is to identify what remains unknown—what academic writing scholar Janet Giltrow has called the ‘knowledge deficit’thus establishing the need for your research study [1]. In an earlier Writer’s Craft instalment, the Problem-Gap-Hook heuristic was introduced as a way of opening your paper with a clear statement of the problem that your work grapples with, the gap in our current knowledge about that problem, and the reason the gap matters [2]. This article explains how to use the literature review section of your paper to build and characterize the Gap claim in your Problem-Gap-Hook. The metaphor of ‘mapping the gap’ is a way of thinking about how to select and arrange your review of the existing literature so that readers can recognize why your research needed to be done, and why its results constitute a meaningful advance on what was already known about the topic.

많은 작가들은 문학평론에서 알려진 것을 묘사해야 한다는 것을 배웠다. 이 접근법의 문제점은 [세상의 사실들에 대한 세탁물 목록laundry list]만 만들어내어, 독자들에게 [현재의 연구가 다음 단계로 필요하다는 것]을 설득하지 못하는 수 있다는 것이다. 대신, 여러분의 문학 리뷰를 여러분의 [연구 영역의 지도에 그리는 것]으로 생각하세요: 여러분이 기존의 지식을 검토할 때, 여러분은 [지도의 일부]를 그리고 있지만, 여러분의 목표는 전체 지도를 완전히 칠하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그 말은 우리가 이 주제에 대해 더 이상 알아야 할 것이 없다는 뜻이고, 그것은 당신의 연구를 위한 여지를 남기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러분이 결국 원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알려진 것들로 둘러싸인 채색된 틈새에서 아직 채색되지 않은 하얀 공간]을 강조하는 지도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문헌 리뷰를 개념화하면 [알려진 것을 제시]하고 [알려지지 않은 것을 지적]하는 이중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Many writers have learned that the literature review should describe what is known. The trouble with this approach is that it can produce a laundry list of facts-in-the-world that does not persuade the reader that the current study is a necessary next step. Instead, think of your literature review as painting in a map of your research domain: as you review existing knowledge, you are painting in sections of the map, but your goal is not to end with the whole map fully painted. That would mean there is nothing more we need to know about the topic, and that leaves no room for your research. What you want to end up with is a map in which painted sections surround and emphasize a white space, a gap in what is known that matters. Conceptualizing your literature review this way helps to ensure that it achieves its dual goal: of presenting what is known and pointing out what is not

초보 연구원이나 대학원생에게 이것은 직관에 반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당신이 현존하는 문헌을 읽는 데 상당한 시간을 투자하셨기를 바라며, 당신이 당신의 주제에 대해 출판된 모든 것을 읽었다는 것을 증명하기를 충분히 열망합니다! 그러나 문학 리뷰 섹션에서 당신이 읽은 모든 문헌을 토해내지regurgitate 않도록 주의하라. 우선, 그것은 끔찍한 독서를 만드는 사실의 세탁물 목록을 만든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법을 피하는 다른 세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 첫째, 당신은 공간이 없습니다. 출판된 의학교육연구논문에서는 문학평가가 몇 단락에서 몇 페이지까지 상당히 짧기 때문에 읽은 내용을 모두 요약할 수는 없다.
  • 둘째, 그러한 작성은 이미 개종자한 사람에게 설교하는 것과 같다. [진행 중인 학술적 대화]에 대한 기여로 논문에 접근한다면, [2] 문학 리뷰는 대화에서 "당신의" 차례가 왔을 때 그 대화가 informed and relevant하게끔 배치하는 데 필요한 측면만을 요약해야 합니다.
  • 셋째, [관련성relevance의 핵심은 알려진 것의 갭]을 지적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려면 알려지지 않은 것을 식별하기 위한 명확한 목적을 위해 알려진 것을 요약합니다. 이렇게 보면, 문학평론은 독자에게 중력을 가하여, 당신이 그들을 위해 그린 [지식의 지도 위의 하얀 공간]으로 독자를 거침없이 이끌어야 한다. 그 하얀 공간은 당신의 연구가 채워주는 공간입니다.

To a novice researcher or graduate student, this may seem counterintuitive. Hopefully you have invested significant time in reading the existing literature, and you are understandably keen to demonstrate that you’ve read everything ever published about your topic! Be careful, though, not to use the literature review section to regurgitate all of your reading in manuscript form. For one thing, it creates a laundry list of facts that makes for horrible reading. But there are three other reasons for avoiding this approach.

  • First, you don’t have the space. In published medical education research papers, the literature review is quite short, ranging from a few paragraphs to a few pages, so you can’t summarize everything you’ve read.
  • Second, you’re preaching to the converted. If you approach your paper as a contribution to an ongoing scholarly conversation,[2] then your literature review should summarize just the aspects of that conversation that are required to situate your conversational turn as informed and relevant.
  • Third, the key to relevance is to point to a gap in what is known. To do so, you summarize what is known for the express purpose of identifying what is not known. Seen this way, the literature review should exert a gravitational pull on the reader, leading them inexorably to the white space on the map of knowledge you’ve painted for them. That white space is the space that your research fills.

지식 주장
Knowledge claims

작가들이 세탁물 목록을 넘어서는 데 있어, '지식 주장knowledge claims'이라는 개념은 유용할 수 있다. 지식 주장은 당신이 연구한 분야를 탐구해 온 연구자 공동체에 대한 이해의 증대를 보여주는 방법이다. 이것들은 밝혀지지 않은 사실들이 아니라, 주제에 대한 그들의 다른 방법론적 접근법과 학문분야적 접근법에 따라, [그 분야의 어떤 사람들은 동의할 수 있고 , 다른 사람은 동의하지 않을 수도 있는] [증분적 통찰력incremental insights]이다. 문헌 리뷰를 그 분야의 연구자들에 의해 만들어진 [지식 주장]의 이야기로 취급하는 것은 문학 리뷰의 가장 정교한 측면 중 하나인 [검토한 지식의 위치 파악locating]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것은 어디서 온 것인가? 무엇이 논의되고 있는가? 다양한 방법론이 축적되는 지식에 어떤 영향을 미칩니까? 기타 등등.
To help writers move beyond the laundry list, the notion of ‘knowledge claims’ can be useful. A knowledge claim is a way of presenting the growing understanding of the community of researchers who have been exploring your topic. These are not disembodied facts, but rather incremental insights that some in the field may agree with and some may not, depending on their different methodological and disciplinary approaches to the topic. Treating the literature review as a story of the knowledge claims being made by researchers in the field can help writers with one of the most sophisticated aspects of a literature review—locating the knowledge being reviewed. Where does it come from? What is debated? How do different methodologies influence the knowledge being accumulated? And so on.

분산된 의료 팀워크에 대한 연구 논문의 문헌 검토 섹션에 대한 지식 주장(KC), 격차 및 후크의 다음 예를 고려해 보십시오.
Consider this example of the knowledge claims (KC), Gap and Hook for the literature review section of a research paper on distributed healthcare teamwork:

KC: 팀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지 않으면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KC: We know that poor team communication can cause errors.

KC: 팀 훈련이 팀 커뮤니케이션 향상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도 알고 있습니다.
KC: And we know that team training can be effective in improving team communication.

KC: 이러한 지식은 건강 직업 교육 커리큘럼에 팀워크 훈련 원칙을 포함하려는 노력을 촉발시켰습니다.
KC: This knowledge has prompted a push to incorporate teamwork training principles into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urricula.

KC: 하지만 팀 트레이닝 연구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대부분 같은 장소의colocated  팀 간의 연구를 통해 얻은 것입니다. 즉, 멤버들이 동일한 시공간에서 일하는 팀들.
KC: However, most of what we know about team training research has come from research with co-located teams—i. e., teams whose members work together in time and space.

격차: 팀워크 훈련 원칙이 [구성원들이 비동기적으로 일하고 다른 장소에 분산되어 있는 팀]들에게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Gap: Little is known about how teamwork training principles would apply in distributed teams, whose members work asynchronously and are spread across different locations.

후크: 많은 보건의료 팀워크가 같은 장소에 존재co-located하기 보다는, 분산되어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우리가 [분산된 업무 상황]뿐만 아니라, [분산된 팀워크 훈련 원칙]을 만들기 전까지는 우리의 커리큘럼은 심각하게 부족할 것입니다.
Hook: Given that much healthcare teamwork is distributed rather than co-located, our curricula will be severely lacking until we create refined teamwork training principles that reflect distributed as well as co-located work contexts.

 

이 예에서 설명하는 ['우리는 알고 있다…' 구조]는 초안 작성과 정리를 돕기 위한 템플릿입니다. 최종 버전에서, 당신의 지식 주장은 더 정교하게 표현될 것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팀 커뮤니케이션 부실이 오류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는 것은 '10년 이상의 환자 안전 연구를 통해 팀 커뮤니케이션 부실이 의료 오류의 지배적인 원인임을 입증했다'와 같은 것이 될 것이다. 그러나 이 간단한 지식 주장 템플릿은 문헌 검토의 단락에 대한 개요를 제공하며, 각 단락은 지식 주장을 설명하기 위한 자세한 증거를 제공합니다. 이 접근법을 사용하면, 문헌 검토의 단락 순서가 전략적이고 설득력이 있어, 독자를 본 연구의 관련성을 포지셔닝하는 [갭 주장gap claim]으로 이끌 수 있다. 이러한 지식 주장을 만들고 논리적으로 연결하며 그 속에 자신을 배치하기 위해 Graff와 Birkenstein의 '템플릿'에 대한 작은 핸드북을 적극 추천한다[3].
The ‘We know that …’ structure illustrated in this example is a template for helping you draft and organize. In your final version, your knowledge claims will be expressed with more sophistication. For instance, ‘We know that poor team communication can cause errors’ will become something like ‘Over a decade of patient safety research has demonstrated that poor team communication is the dominant cause of medical errors.’ This simple template of knowledge claims, though, provides an outline for the paragraphs in your literature review, each of which will provide detailed evidence to illustrate a knowledge claim. Using this approach, the order of the paragraphs in the literature review is strategic and persuasive, leading the reader to the gap claim that positions the relevance of the current study. To expand your vocabulary for creating such knowledge claims, linking them logically and positioning yourself amid them, I highly recommend Graff and Birkenstein’s little handbook of ‘templates’ [3].

여러분의 지식 주장을 정리하면서, 여러분은 또한 [잘 연구된 분야]의 격차를 지도화하려는 것인지, 아니면 상대적으로 [덜 연구된 분야]의 격차를 지도화하려는 것인지도 고려하고 싶을 것입니다. 수사적 도전은 각각의 경우에 다르다. 의학교육의 전문직업성처럼 연구가 잘 된 분야에서는, 갭의 존재를 보여주는 강력하고 명시적인 사례를 만들어야 한다. 독자들은 이 주제에 대해 듣는 것을 지겨워하고, 이 주제에 대해서는 더 많은 지식이 필요할 수 없다고 생각하고 싶은 유혹을 느낄지도 모른다. 지식 클레임을 나열하면 가장 효과적으로 정리하고 연구가 채우려는 빈 공간을 매핑하는 데 불필요한 지식 조각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것은 당신이 관련 정보를 생략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당신의 문헌 리뷰는 여전히 정확해야 한다. 그러나 모든 것을 포함할 수 없기 때문에, [가능한 지식 주장 중에서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은 일관성 있고 논증이 잘 된 문학 리뷰를 만들기 위해 필수적이다.
As you organize your knowledge claims, you will also want to consider whether you are trying to map the gap in a well-studied field, or a relatively understudied one. The rhetorical challenge is different in each case. In a well-studied field, like professionalism in medical education, you must make a strong, explicit case for the existence of a gap. Readers may come to your paper tired of hearing about this topic and tempted to think we can’t possibly need more knowledge about it. Listing the knowledge claims can help you organize them most effectively and determine which pieces of knowledge may be unnecessary to map the white space your research attempts to fill. This does not mean that you leave out relevant information: your literature review must still be accurate. But, since you will not be able to include everything, selecting carefully among the possible knowledge claims is essential to producing a coherent, well-argued literature review.

격차 특징짓기
Characterizing the gap

당신이 그 차이를 확인했으면, 당신의 문학 리뷰는 그것을 특징지어야 한다. 어떤 갭을 발견하셨나요? 갭의 특성을 드러내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Once you’ve identified the gap, your literature review must characterize it. What kind of gap have you found? There are many ways to characterize a gap, but some of the more common include:

  • 완전한 지식의 결여: '종적 통합 사무직과 의대생 학대 사이의 관계를 살펴본 사람은 아무도 없다'
  • 학술적 취약 지점(종종 철학적 또는 방법론적 경향에 따른): '연구자들은 인지주의적 관점에서 x를 해석했지만, 인본주의적 관점은 무시했다' 또는 '우리는 전공의에 의해 자행되는 의학적 오류의 빈도를 조사했지만, 우리는 그러한 오류에 대한 그들의 주관적인 경험을 탐구하지 않았다.'
  • 논란: '의학의 전문직업성에 대한 정의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 널리 퍼져있지만, 증명되지 않은 가정:  '기술 영웅주의-기술이 팀워크를 일으키는 것을 해결할 것이다' - 는 문학에서 어디에나 존재하지만, 그 믿음은 무엇에 기반을 두고 있는가?'

  • a pure knowledge deficit—‘no one has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longitudinal integrated clerkships and medical student abuse’
  • a shortcoming in the scholarship, often due to philosophical or methodological tendencies and oversights—‘scholars have interpreted x from a cognitivist perspective, but ignored the humanist perspective’ or ‘to date, we have surveyed the frequency of medical errors committed by residents, but we have not explored their subjective experience of such errors’
  • a controversy—‘scholars disagree on the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in medicine …’
  • a pervasive and unproven assumption—‘the theme of technological heroism—technology will solve what ails teamwork—is ubiquitous in the literature, but what is that belief based on?’

이러한 격차를 특징짓기 위해서는 문헌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이는 각 논문을 개별적으로 이해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각 논문을 다른 문서와 비교하여 배치하면서 읽어야. 이것은 당신이 논문을 읽는 동안 노트 필기 기술을 바꿀 것을 요구할 수 있다; 각 논문이 지식에 기여하는 것뿐만 아니라 [당신이 읽은 다른 논문]들과 어떻게 연관되는지, 그리고 어떤 종류의 갭을 시사하는지도 메모하라.

To characterize the kind of gap, you need to know the literature thoroughly. That means more than understanding each paper individually; you also need to be placing each paper in relation to others. This may require changing your note-taking technique while you’re reading; take notes on what each paper contributes to knowledge, but also on how it relates to other papers you’ve read, and what it suggests about the kind of gap that is emerging.

요약하자면, 당신의 문헌 리뷰는 단순히 알려진 것을 요약하기 보다는 격차를 지도화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세요. 그리고 여러분이 지도에 [그린 격차의 종류를 특징짓는 것]에 주의를 기울이세요. 이 전략은 당신의 문헌 검토를 사실의 목록이 아닌 설득력 있는 주장으로 만드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것은 독자가 더 이상 알아야 할 절박한 필요가 없다는 의식을 남길 정도로 알려진 것을 충분히 묘사하는 것의 위험성을 상기시켜 줄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은 여러분이 식별한 간격의 종류와 그것을 채우기 위해 사용할 연구 방법론 사이의 일관성을 확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In summary, think of your literature review as mapping the gap rather than simply summarizing the known. And pay attention to characterizing the kind of gap you’ve mapped. This strategy can help to make your literature review into a compelling argument rather than a list of facts. It can remind you of the danger of describing so fully what is known that the reader is left with the sense that there is no pressing need to know more. And it can help you to establish a coherence between the kind of gap you’ve identified and the study methodology you will use to fill it.

 

 


Perspect Med Educ. 2018 Feb;7(1):47-49.

 doi: 10.1007/s40037-017-0401-x.

Writing an effective literature review : Part I: Mapping the gap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Schulich School of Medicine & Dentistry, Health Sciences Addition, Western University, London, Ontario, Canada. lorelei.lingard@schulich.uwo.ca.

PMID: 29260402

PMCID: PMC5807267

DOI: 10.1007/s40037-017-0401-x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