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교육연구자의 연구 패러다임 선택 가이드: 더 나은 연구를 위한 기반 만들기(Med Sci Educ. 2019)
A Medical Science Educator’s Guide to Selecting a Research Paradigm: Building a Basis for Better Research 
Megan E.L. Brown1 & Angelique N. Dueñas1

 

서론
Introduction

최근 의학 교육 내에서 방법론적 엄격성을 높이는 움직임이 있었다[1, 2]. 많은 학자들은 "학문적 정당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3] 강력한 이론적 틀[4,5]이 작품 내에서 지식의 본질에 관한 논의에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6]. 간단히 말해서, 명확한 연구 원칙은 다른 사람들이 당신의 연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There has been a recent movement within medical education towards greater methodological rigor [1, 2]. Many scholars argue that in order to achieve “academic legitimacy” [3] strong theoretical frameworks [4, 5] engaging in discussion concerning the nature of knowledge within a piece of work are required [6]. Put simply, clear research principles assist others in understanding your research.

연구 프로젝트의 패러다임 내에서 작품 내 지식의 본질을 상세히 설명하고 탐구한다. [연구 패러다임]은 "문제를 어떻게 이해하고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해 과학자들 간에 공유되는 공통의 믿음과 합의의 집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7]. 패러다임은 사물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가정이며, 때때로 "현실에 대한 공유된 이해"를 포함하는 "세계관"으로 설명된다[8, 9]. 패러다임은 "문제 해결 방법을 안내"하고, 작가의 방법 선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자신의 연구 패러다임을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10]. 모든 연구자들은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세계의 상태에 대한 가정]을 한다. 그 연구가 양적인지 질적인지에 관계없이, 이러한 가정은 연구 결과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하다. 미트로프와 보노마는 이러한 입장을 요약하고 "실험의 힘은 그 기초가 되는 기본 가정의 명확성만큼만 강력하다. 이러한 가정은 실험실 실험뿐만 아니라 사회적 연구에도 기초를 두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11]. 패러다임은 또한 현상을 관찰할 때 이론의 적용을 위한 [기본 규칙ground rules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기본 규칙은 연구를 위한 "상황을 설정set the scene"하여 새로운 개념을 가장 잘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7].
The nature of knowledge within a piece of work is detailed and explored within a research project’s paradigm. A research paradigm may be defined as “the set of common beliefs and agreements shared between scientists about how problems should be understood and addressed” [7]. A paradigm is an assumption about how things work, sometimes illustrated as a “worldview” involving “shared understandings of reality” [8, 9]. Detailing one’s research paradigm is essential, as paradigms “guide how problems are solved” [10], and directly influence an author’s choice of methods. All researchers make assumptions about the state of the world before undertaking research. Regardless of whether that research is quantitative or qualitative, these assumptions are important as they impact upon the interpretation of a study’s results. Mitroff and Bonoma summarize this position and put forth “the power of an experiment is only as strong as the clarity of the basic assumptions which underlie it. Such assumptions not only underlie laboratory experimentation but social… research as well” [11]. Paradigms also assist in setting ground rules for the application of theory when observing phenomena. Such ground rules “set the scene” for research, providing information as to how best evaluate new concepts [7].

그 결과, 의학 및 보건 전문직 교육은 전통적으로 실증주의 또는 포스트 실증주의 패러다임에서 수행되어 왔으며, 이 두 패러다임 모두 [보편적인 진리가 존재함]을 유지하며, "의학에서는 신체 부위, 상태 및 치료에 대한 강조하는 것은, 보편적으로 일정하게 복제 가능한 팩트가 있음을 가정한다." [12] 이러한 신념이 지배적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의학 교육 내에서는 패러다임적 가정을 명시적으로 상술하는 문학이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이것은 연구 및 강의실 모두에서 결과 해석과 기본 규칙 설정에 있어 가정이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점점 더 널리 인식하면서 변화하고 있다[13, 14]. 이처럼 자신의 패러다임을 명시적으로 인정하는 것이 의료과학교육 연구의 기대 요소가 되고 있다.
Medicine and, as a consequenc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as traditionally been conducted from a positivist or post-positivist paradigm, detailed later in this paper, both of which maintain a universal truth exists, as, “in medicine, the emphasis on… body parts, conditions and treatments assumes that these are universally constant replicable facts” [12]. Given the dominance of this belief, there has been a relative dearth of literature within medical sciences education explicitly detailing paradigmatic assumptions. This is changing, with an increasingly widespread recognition of the important role assumptions play in result interpretation and in setting ground rules, both in research and in classrooms [13, 14]. As such, explicitly acknowledging one’s paradigm is becoming an expected element of medical science education research.

연구의 패러다임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서는 패러다임이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작품의 패러다임은 그림 1에 자세히 나와 있는 여러 개의 "구성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의 첫 번째 집합(축론, 존재론, 인식론, 방법론)은 자신의 방법을 선택하는 것과 같은 "직접적인 사고와 행동"이라는 철학적 가정으로 구성된다[16].
In order to detail your work’s paradigm, it is important to consider what a paradigm consists of. The paradigm of a piece of work is constructed of several “building blocks,” detailed in Fig. 1. The first set of these building blocks (axiology, ontology, epistemology, methodology) are composed of philosophical assumptions that “direct thinking and action” such as selecting one’s methods [16].

프로젝트 패러다임 구축의 첫 번째 "벽돌"인 가치론Axiology는 가치와 윤리에 대한 연구를 포함합니다 [17]. 연구할 가치가 있는 영역이 확인되고 연구 윤리가 고려되면 "현실의 본질"에 대한 질문인 존재론Ontology가 고려되어야 한다[3]. 일단 당신이 당신의 연구 영역의 현실에 대한 확고한 철학적 이해를 가지고 있다면, [그 현실 안에 있는 지식의 본질]은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인식론epistemology이라고 알려져 있다.
Axiology, the first “brick” in the construction of a project’s paradigm involves the study of value and ethics [17]. Once an area of value to study has been identified, and research ethics considered, ontology, which questions “the nature of reality” [3] must be contemplated. Once you possess a firm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your study area’s reality, the nature of knowledge within that reality needs determining—this is known as the epistemology of a piece of work.

작품의 존재론와 인식론에 대한 솔직한 논의를 통해 적절한 방법론Methodology적 접근법을 선택할 수 있고 결과 해석을 둘러싼 모호성을 줄일 수 있다[18]. 그러한 규정regulation이 없으면 "가정의 기본 맥락"이 불분명하기 때문에 "세심하게 수집된 결과도 오해를 일으킬 수 있다" [19]. 이 모노그래프는 의학 교육 연구에 적합한 패러다임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가이드를 구성하는 일련의 고려 사항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Frank discussion of a work’s ontology and epistemology allows an appropriate methodological approach to be selected and reduces the ambiguity surrounding result interpretation [18]. Without such regulation “even carefully collected results can be misleading” as the “underlying context of assumptions” is unclear [19]. This monograph will detail a series of considerations, forming a how-to guide, for selecting an appropriate paradigm for your medical sciences education research.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연구 패러다임을 선택하십시오.
Select your Research Paradigm Before You Begin Researching

패러다임이 양적 및 질적 연구의 설계에 정보를 제공하고 근본적으로 뒷받침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패러다임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erherani 등은 이 필요성을 훌륭하게 설명한다. "연구 접근법의 기초가 되는 신념 체계, 연구 질문, 연구 접근법 사이의 정렬은 엄밀한 연구를 위한 전제 조건이다."[20]. 이러한 정렬은 오로지 전향적으로만 확보될 수 있다.
Given that paradigms inform the design of, and fundamentally underp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it is important to select your paradigm before you begin researching. Teherani et al. emphasize the need for this nicely: “alignment between the belief system underpinning the research approach, the research question, and the research approach itself is a prerequisite for rigorous… research” [20]. Such alignment can only be assured prospectively.

작품의 연구 패러다임을 고려하지 않는 것에 대해 자주 인용되는 한 가지 주장은 이 과정의 시간 소모적인 특성이다. 인정하건대, 연구 패러다임을 선택하는 것은 시간이 걸리며, 잘 수행된다면 그렇게 해야 한다. 연구 프로젝트의 일정표를 작성할 때 이러한 고려 사항을 계획에 포함시키십시오. 해당 프로젝트와 연구팀에 따라 연구 패러다임을 선택하는 데 얼마나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기는 어렵다. 연구 패러다임의 고려사항을 연구의 "설계" 단계에 포함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 작업을 사용하는 것은 또한 이 작업의 시간 소모적인 측면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많은 초보자들에게 패러다임의 언어와 과정에 접근하는 것은 힘들고 시간이 걸릴 수 있다. 그러나 이 작업은 그 과정을 쉽게 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One frequently cited argument for not considering the research paradigm of a piece of work is the time-consuming nature of this process. Admittedly, selecting a research paradigm does (and should if done well) take time. Ensure you factor this consideration into your plans when drafting a timeline for your research project. It is difficult to provide guidance on how much time one should spend selecting a research paradigm as, depending upon the project in question and research team, this may vary. We recommend threading consideration of your research paradigm into the “design” phase of your research. Using the present work will also contribute to reducing the time-consuming aspect of this work; for many novices, approaching the language and process of paradigms can prove daunting and take time. However, this work is designed to ease that process.

유리 상자의 은유를 사용하여 연구 패러다임에 대해 생각해 보세요.
Try Thinking About Research Paradigms Using the Metaphor of a Glass Box

연구 패러다임은 위압적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실제로, 경험이 많은 학자들조차도 패러다임을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구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Varpio[21]가 설명한 바와 같이 [유리 상자의 은유]를 사용하여 연구 패러다임을 생각하는 것은 패러다임의 구성 요소를 더 잘 시각화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 은유에 따르면, 여러분의 패러다임은 여러분이 서 있는 유리 상자입니다. 여러분이 바깥 세상을 어떻게 보는지 틀을 잡습니다. 지식의 존재론과 인식론에 대한 한 사람의 믿음은 다른 방식으로 유리 상자를 색칠하여 개인마다 같은 상황에 다른 빛을 제공한다. 따라서, 같은 영역 내의 동료와 다른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주제를 연구할 수 있습니다.
Research paradigms can seem overwhelming—indeed, even experienced academics may struggle to distinguish between the various building blocks constituting a paradigm. Thinking of one’s research paradigm using the metaphor of a glass box, as described by Varpio [21], may assist in better visualizing and understand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a paradigm. Using this metaphor, your paradigm is the glass box in which you stand, framing how you see the outside world. One’s beliefs regarding the ontology and epistemology of knowledge color the glass box in different ways, lending different lights to the same situation for different individuals. Given this, you may research a topic using a different approach to your colleague within the same area.

연구를 수행하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보세요.
Think About your Reason for Carrying Out the Research

이는 너무나도 당연한 고려사항으로 보일 수 있지만, 의학교육 연구 내에서 의식적으로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많은 분야이다. 이 주제를 공부하게 된 동기가 무엇입니까? 당신은 실질적으로, 학문적으로, 또는 정치적으로 동기부여를 받은 적이 있습니까? 다시 말해,

  • 여러분이 일상 업무에서 깨달은 것이 더 많은 공부가 필요한 것일까요? 
  • 당신은 단순히 더 많은 것을 알고 싶은 걸까요?
  • 당신이나 다른 사람들이 관심이 있는 정치적인 "핫 토픽"이 있는가?

This may seem like an obvious consideration, but it is an area that is often not consciously reflected upon within medical science education research. What is your motivation to study this topic? Have you been practically, academically, or politically motivated? In other words,

  • is it something you have noticed in your day to day work that requires further study;
  • are you simply passionate to know more; or
  • is there a political “hot topic” you or others are interested in researching?

여러분의 동기에 대한 여러분의 초기 생각을 바탕으로, 여러분이 정말로 성취하려고 하는 것에 대해 더 깊이 반성하도록 노력하세요. Chilisa는 표 1 [23]에서 볼 수 있듯이 연구를 수행하는 다양한 패러다임적 이유를 비교합니다. 연구를 하는 당신 자신의 이유를 생각하고 이것을 칠리사의 이유와 비교하는 것은 어떤 패러다임이 당신의 연구에 적합한 선택일 수 있는지를 비추기 위한 시작이 되어야 한다.
Building upon your initial thoughts regarding your motivation, try to reflect more deeply regarding what you are really trying to achieve. Chilisa compares different paradigmatic reasons for doing research, as can be seen in Table 1 [23]. Thinking of your own reason for doing research and comparing this with Chilisa’s reasons should begin to cast light on which paradigm may be an appropriate choice for your research.

당신의 공리학적 접근 방식을 고려하라.
Consider your Axiological Approach

당신의 연구를 위한 적절한 패러다임을 고려하는 다음 단계는 당신의 공리학적 접근 방식을 반영하는 것이다. 전통적으로 구바와 링컨은 패러다임을 [세 가지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존재론, 인식론, 방법론] [24]. 그러나, 패러다임의 네 번째 정의 특성으로 [가치론]을 포함하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있었다[25]. 가치론은 윤리적 고려를 포함하며, 연구 분야 내에서 "무엇이 이뤄져야 하는지" 묻는다 [26]. [연구할 가치가 있는 것이 무엇인지]과 [해당 영역 내에서 윤리적 연구를 수행하는 방법]을 고려하기 때문에 제안된 연구의 중요한 출발점이다[27]. 이를 고려하여 Grix의 패러다임 구성 요소[15]를 수정하여 패러다임 선택의 초기 핵심 고려사항으로 가치론을 포함시켰다(그림 1).

The next step in the consideration of an appropriate paradigm for your research is reflecting upon your axiological approach. Traditionally, Guba and Lincoln describe a paradigm as involving three building blocks: ontology, epistemology, and methodology [24]. However, there has been a move towards including axiology as a fourth defining characteristic of a paradigm [25]. Axiology involves ethical considerations and “asks what ought to be” within a field of research [26]. It i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any proposed research, as it considers what would be of value to research and how to go about conducting ethical research within that area [27]. Given this, we modified Grix’s paradigmatic building blocks [15] to include axiology as a key early consideration in paradigm selection (Fig. 1).

[가치론적 접근 방식]을 고려하는 것은 연구 제안의 계획 단계에서 여러분의 연구 팀의 모든 구성원과 함께 지정된 성찰적 공간에서 수행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연구를 하는 목적을 고려하면서, 당신은 당신의 프로포절에 informing하는 [개인적인 가치]를 고려해야 한다. 자신에게 다음과 같이 물어보세요.

  • 왜 이 연구가 [내 시간과 관심을 기울일 가치]가 있을까요?
  • 무엇이 [나에게 동기를 부여]합니까? 나는 어떤 명령(예: 자금, 사회 정의)에 의해 움직입니까?
  • 아니면, [나는 교육이 본질적으로 가치있]고, [교육실천에 inform하는 모든 연구에 정당성을 제공한다]고 믿습니까? [28]

Considering your axiological approach is best done in a designated reflective space with all members of your research team during the planning phase of a research proposal. Building on considering your purpose in doing research, you must consider the personal values informing your proposal. Ask yourself the following:

  • Why is this research worth my time and attention?
  • What motivates me? Am I driven by imperatives (e.g. funding, social justice)?
  • Or, do I believe education to be inherently valuable, providing justification for any research that informs educational practice? [28]

일단 당신의 연구를 뒷받침하는 [가치가 명확]하고, 당신의 [연구가 정당]하다는 것이 확실하다면, 잠재적인 [윤리적 문제]도 고려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당신의 [가치론적 성찰]이 당신이 [외부의 동기 부여]에 의해 움직인다는 것을 드러낸다면, 당신의 연구 설계 내에서 이것을 공개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대부분의 저널은 당신의 연구를 뒷받침하는 모든 자금과 이해 상충(개인 자금 출처를 포함할 수 있음)에 관한 세부 사항을 포함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커크만 등은 주니어 의사와 의대생에 대한 최근 환자 안전 개입의 결과를 평가하는 체계적 검토에 상세한 "경쟁적 이해관계" 진술을 포함한다[29]. 특히 관련된 것은 영국의 의사 규제 기관인 GMC(General Medical Council)와의 두 저자의 제휴와 여러 저자가 다양한 기관의 환자 안전에 대해 이전에 수행한 자문 작업이다. [어느 기관에 소속되었는지institutional affiliations]는 기관의 가치에 따라 저자의 관점과 해석을 암묵적인 방식으로 물들일 수 있다. 따라서 팀의 가치론적 성찰 내에서, 이러한 [상충하는 이해관계]나 연관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Once the values underpinning your inquiry are clear and it is evident your research is justified, potential ethical issues should also be considered. For example, if your axiological reflection reveals you are being driven by an external motivator, it may be appropriate to disclose this within your research design. Most journals mandate inclusion of detail regarding any funding underpinning your research and any conflicts of interest (which could include sources of personal funding). Kirkman et al. include a detailed “competing interests” statement in their systematic review evaluating the outcomes of recent patient safety interventions for junior doctors and medical students [29]. Particularly relevant are two author’s affiliations with the General Medical Council (GMC), the UK’s regulatory body for physicians, and consultancy work several authors had undertaken previously on the topic of patient safety for a variety of institutions. These institutional affiliations could color the author’s perspectives and interpretations in tacit ways, in line with institutional values. As such, considering any such competing interests or associations within your team’s axiological reflection is the key.

온톨로지적 가정 반영
Reflect upon your Ontological Assumptions

비록 우리가 그것들을 명시적으로 고려하거나 자세히 설명하지 않더라도, 우리는 모두 [존재론적 가정]을 가지고 있다. 그것들을 되돌아보면 [현실의 본질에 대한 자신의 신념]에 따라 패러다임을 선택할 수 있다[3]. 현실은 당신이 연구를 수행하기를 원하는 사회 세계를 의미합니다 [22].
We all hold ontological assumptions, even if we do not explicitly consider or detail them. Reflecting upon them allows you to choose a paradigm in keeping with your beliefs regarding the nature of reality [3]. Reality refers to the social world in which you wish to conduct your research [22].

다른 패러다임은 현실의 본질을 정의하기 위해 다른 접근 방식을 채택한다. 일부 학자들은 최근 몇 년 동안 사회과학 내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정의하려고 시도하기도 한다[30]. 이를 감안할 때, 사용 가능한 모든 패러다임의 온톨로지를 자세히 설명하는 것은 이 기사의 범위를 벗어난다. 그 대신 일반적으로 의학 교육[3]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네 가지 패러다임, 즉 실증주의, 후기 실증주의, 구성주의/해석주의, 비판론에 초점을 맞추겠다.
Different paradigms adopt different approaches to defining the nature of reality. There are many paradigms research may operate within, with some scholars even attempting to define new, albeit contested, paradigms within the social sciences in recent years [30]. Given this, detailing the ontology of every available paradigm is beyond the scope of this article. Instead, we will focus upon the four paradigms most commonly used within general medical education [3]: positivism, post-positivism, constructivism/interpretivism, and critical theory.

존재론적 가정을 평가하기 위해 스스로에게 질문하세요: 당신은 "확인할 수 있는 하나의 현실"이 있다고 믿습니까, 아니면 "여러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이 존재한다고 믿습니까? [21, 31] 

  • 전자의 입장은 "현실주의" 온톨로지적 입장으로 불리며, 
  • 후자의 입장은 "반현실주의" 또는 "상대주의"로 알려져 있다[32]. 

넓게 보면, 의학 교육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네 가지 패러다임은 이 두 가지 범주 중 하나에 속하지만, 표 2에 자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그들의 입장을 구성하는 방법에는 차이가 있다.
To assess your ontological assumptions, ask yourself this: do you believe there is “one verifiable reality,” or that “multiple socially constructed realities” exist? [21, 31]

  • The former stance is sometimes referred to as a “realist” ontological position,
  • with the latter stance known as “anti-realism” or “relativism” [32].

Broadly speaking, the four paradigms most commonly used within medical education fall into either of these two categories,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how they frame their position, detailed in Table 2.

당신의 인식론적 가정을 반성하라.
Reflect upon your Epistemological Assumptions

일단 당신이 [현실의 본질에 대한 당신의 가정]을 인식한다면, [지식의 본질에 대한 당신의 인식론적 가정]을 성찰하는 것은 필요하다. 당신의 연구 인식론을 고려할 때, "세상 내에서 지식으로 간주되는 것"에 대해 숙고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40]. 인식론은 두 가지 질문에 답하고자 합니다.

  • 첫째, 지식이란 무엇인가,
  • 둘째, 지식은 어떻게 획득되는가? [41].

Once you are aware of your assumptions regarding the nature of reality, reflecting upon your epistemological assumptions regarding the nature of knowledge is necessary. When considering your research epistemology, it may be useful to reflect upon “what counts as knowledge within the world” [40]. Epistemology seeks to answer two questions—

  • one, what is knowledge, and
  • two, how is knowledge acquired? [41].

실증주의, 후기 실증주의, 구성주의, 비판론의 인식론적 접근은 다르다. 이러한 내용은 표 3에 요약되어 있습니다.
Again, the epistemological approaches of positivism, post-positivism, constructivism, and critical theory differ. These are outlined within Table 3.

다양한 유형의 패러다임에 익숙해져 자신과 자신의 업무가 적합한지 평가
Become Familiar with Different Types of Paradigm to Evaluate Where You and Your Work Fit

이상에서는 의학교육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네 가지 패러다임으로 실증주의, 사후 실증주의, 구성주의, 비판론에 초점을 맞추었다[37]. 이는 개인의 의료 교육 연구 목표와 일치할 수 있는 패러다임의 일부일 뿐이다[42]. 우리는 연구원들이 가능한 한 많은 다른 유형의 패러다임에 익숙해지고, 연구원으로서 당신이 어디에 있는지 가장 잘 이해할 것을 권고하며, 또한 당신의 팀과 프로젝트가 적합하다.
Above, we have focused on positivism, post-positivism, constructivism, and critical theory as four common paradigms in medical education [37]. These are only a subset of paradigms that might align with an individual’s medical education research aims [42]. We recommend researchers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as many different types of paradigms as possible, to best understand where you as a researcher, but also your team and project fit.

패러다임의 복잡성을 고려할 때 패러다임과 관련된 철학의 뉘앙스를 너무 깊이 파고들기보다는 단순한 인포그래픽과 은유를 찾는 것이 탐구를 더 다루기 쉽게 만들 수 있다. 우리는 이미 몇 가지 간단한 표와 유리집 은유[21]를 소개했지만, 당신은 다음과 같은 다른 시각화를 찾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Given the complexity of paradigms, rather than delving too deeply into the nuances of philosophy associated with paradigms, seeking simple infographics and metaphors can make exploration more manageable. We have already introduced some simple tables and the glass house metaphor [21], but you may find it helpful to seek other visualizations, such as the

"양파" [43, 44] 간단히 말해서, "연구 양파"는 건축 블록이나 유리 벽 대신 층으로 패러다임을 고려합니다.
“research onion” [43, 44]. In brief, the “research onion” depicts paradigmatic considerations as layers, in lieu of building blocks or glass walls.

패러다임을 탐구하는 또 다른 도움이 되는 방법은 문헌 리뷰에서 그러한 점을 염두에 두는 것이다. 작가들은 그들의 패러다임을 명시적으로 논의하고 있는가? 그렇다면, 동의하십니까? 만약 그렇지 않다면, 그들의 연구 세부사항에 근거하여 그들의 패러다임을 어떻게 분류할 것인가? 자이디와 라르센은 자체 해석을 사용하여 연구 패러다임에 따라 논문을 분류하는 훌륭한 논평을 제공한다[45]. 그러한 활동은 패러다임에 대한 이해를 실용적인 방식으로 향상시키기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할 수 있다.
Another helpful way to explore paradigms is to be mindful of such in your own reviews of literature. Are authors explicitly discussing their paradigms? If so, do you agree? If not, how would you categorize their paradigm based on their study details? Zaidi and Larsen provide an excellent commentary where they categorize papers based on research paradigms, using their own interpretations [45]. Such an activity may prove useful to those wishing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paradigms, in a practical fashion.

선택한 패러다임을 사용하여 적절한 방법론 선택
Use your Chosen Paradigm to Select an Appropriate Methodology

다음으로, 지식을 어떻게 "획득"할 수 있으며, 그것이 당신의 패러다임과 자연스럽게 일치할 수 있는지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개인이 단일한 진실이 있고, 그러한 진실이 측정될 수 있다고 믿는 [엄격한 실증주의자]라면, 당신은 그들이 명시적인 가설 테스트를 통해 더 [엄격한 형태의 실험 연구]를 이용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방법론은 다른 패러다임과 가장 잘 일치한다[46].
How you can go about “acquiring” knowledge, so that it aligns naturally with your paradigm, might be considered next. For example, if an individual is a strict positivist, believing that there are single truths, and that such truths can be measured, you would expect them to utilize stricter forms of experimental research, with explicit hypothesis testing. Different methodologies align best with different paradigms [46].

연구팀의 방법론을 고려하는 것은 또한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전에 당신의 패러다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위의 예에 따라, 당신의 연구팀이 당신의 프로젝트에서 [실험 설계]를 가장 자주 사용한다면, 이것은 당신이 [가치있게 여기는 지식과 정보]에 대한 [당신의 관점]에 대해 뭐라고 말할 수 있습니까?
Consideration of research teams’ methodologies can also be helpful in understanding your paradigm, prior to moving forward with research projects. Following the example above, if your research team most often utilizes experimental design in your projects, what might this say about your regard for what knowledge and information you place value in?

적절한 데이터 수집 방법을 선택하려면 방법론을 검토하십시오.
Examine your Methodology in Order to Select an Appropriate Data Gathering Technique

[방법론]과 [방법]은 별개의 개념으로 간주되어야 할 때 초보 연구자에 의해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너무 많다[47].

  • [방법론]은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전략 또는 전체 계획이며,
  • [방법]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되는 실제 기법이다[33].

Too often, methodology and methods are used interchangeably by novice researchers, when they should be regarded as distinct concepts [47].

  • Methodology is the strategy or overall plan to acquire knowledge, and
  • methods are the actual techniques used to gather and analyze data [33].

예를 들어, 의료 환경에서 전문성 간 조사에 관심이 있는 연구팀은 [현실은 개인에 의해 주관적으로 구성된다]고 믿는 [구성주의 패러다임]과 가장 일치할 수 있다.

  • 이 팀은 적절한 [방법론]은 [민족지학]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 그러나 실제 연구 [방법]은 [현장 기록, 오디오 또는 비디오 녹화 또는 정성적 인터뷰]를 통한 다양한 관찰일 수 있다[48].

이러한 방법은 방법론과 일치하지만, 방법의 최종 선택은 패러다임 고려 사항 외에도 그러한 [기술의 실용성]과도 크게 연관될 수 있다.
For example, a research team interested in examining interprofessionalism in a healthcare setting may identify most with a constructivist paradigm, believing reality is subjectively constructed by individuals.

  • Such a team might consider ethnography to be an appropriate methodology.
  • But the actual research methods they undertake might be a variety of observations with field notes, audio or video recordings, or qualitative interviews [48].

These methods align with the methodology, although eventual selection of methods may also be highly associated with the practicality of such techniques, in addition to paradigm considerations.

위의 섹션에서는 연구 프로젝트 패러다임의 "구성 요소"에 대한 개요를 제공했습니다. 참조의 용이성을 위해, 이러한 구성 요소는 의학 교육에서 사용되는 4가지 주요 패러다임에 대해 그림 2에 요약되어 있습니다 [30, 36, 49, 50].
The above sections have provided an overview of the “building blocks” of a research project’s paradigm. For ease of reference, these building blocks are summarized for the four main paradigms used within medical science education, in Fig. 2 [30, 36, 49, 50].

연구에 대해 쓸 때 패러다임과 구성 요소를 명확하게 설명하십시오.
Clearly Detail Your Paradigm and its Building Blocks When You Write about your Research

패러다임은 연구자의 마음속에만 존재하고 명확하게 전달되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 연구자로서의 이해를 위해 패러다임을 명확하게 설명하세요. 그림 1과 같이 빌딩 블록에 요약된 질문에 답함으로써 패러다임을 설명하는 것이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A paradigm does no good if it only exists in the mind of the researcher and is not clearly communicated. Clearly detail your paradigm, for your own understanding as a researcher. It is often helpful to describe your paradigm by answering the questions outlined in the building blocks, as shown in Fig. 1.

그러나 또한 여러분의 연구를 전파할 때, 여러분의 타겟 독자들이 접근 가능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여러분의 패러다임에 대한 세부 사항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을 명심하세요. 연구의 범위와 목표에 따라, 당신의 패러다임에 대한 설명은 출판을 위해 설계된 연구 보고서의 한 두 단락에서 더 큰 보고서나 논문의 여러 페이지 하위 장에 이르기까지 다양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패러다임에 대해 글을 쓰는 것은 독자 분이 패러다임을 전달하는 세부 사항의 수준은 다를 수 있지만 독자 분이 연구한 맥락을 이해하는 데 핵심입니다.
But also keep in mind to make any details of your paradigm accessible and understandable for your target audience when disseminating your research. Depending on the scope and goals of your research, description of your paradigm could range from a paragraph or two in a research report designed for publication, to a multipage subchapter of a larger report or thesis assignment. In either case, writing about the paradigm is key for the audience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your research, although the level of detail in which you communicate your paradigm may vary.

당신의 패러다임에 대해 쓸 때 참고할 수 있는 접근 가능한 문헌을 찾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이 분야에는 패러다임 선택에 대한 시간적 고려에서 앞서 다루었던 것처럼 패러다임의 세계로 진입하는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는 철학적 전문 용어들이 산재해 있다. 이 가이드가 이 분야의 몇 가지 기본 용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관심이 있고 시간이 있다면 지식의 본질과 다양한 패러다임적 입장을 명시적으로 논하는 '과학철학' 분야에는 풍부한 문학이 있다. 일부 중요한 문헌에는 사회 연구의 기초[36], 과학 혁명의 구조[7], 브루노 라투르가 있다. 하이브리드 세계에서의 하이브리드 사고[51]와 패러다임 대화[52].
Locating accessible literature to draw upon when writing about your paradigm can prove difficult. The field is littered with philosophical jargon that can act as a barrier to entry into the world of paradigms, as earlier addressed in time consideration of paradigm selection. We hope this guide will assist you in beginning to understand some of the foundational terms within this field. If you are interested and have time, there is a wealth of literature within the field of “Philosophy of Science” that explicitly discusses the nature of knowledge and varying paradigmatic stances. Some seminal texts include The Foundations of Social Research [36],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7], Bruno Latour: Hybrid thoughts in a Hybrid world [51], and The Paradigm Dialog [52].

몇몇 입문 교과서와 기사들은 다음과 같은 중요한 텍스트의 통합 요약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습니다. 
- Kivunja와 Kuyini의 "교육적 맥락에서 연구 패러다임의 이해와 적용" [53]; 
- Avramidis와 Smith의 "특수 니즈 연구를 위한 주요 연구 패러다임과 방법론적 함의 소개" [54]; 
- Denzin과 Lincoln의 The Sage Handbook of Qualityative Research [55] 및 
- 과학 철학: 매우 짧은 소개 [56].

Several introductory textbooks and articles offer integrated summaries of these seminal text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 Kivunja and Kuyini’s “Understanding and Applying Research Paradigms in Educational Contexts” [53];
- Avramidis and Smith’s “An introduction to the major research paradigms and their methodological implications for special needs research” [54];
- Denzin and Lincoln’s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55];
- Philosophy of Science: A Very Short Introduction [56].

철학에서 실용으로 전환
Move from Philosophy to Practicality

의료 교육의 일상적인 측면에 관련된 사람들에게, 연구의 철학적 토대를 둘러싸고 생각나는 첫 번째 질문 중 하나는 [이것이 어떻게 제 일에 실질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가]하는 것입니다. 철저하게 논의된 바와 같이 엄격성과 이해도를 향상시키는 것 외에도 [연구의 실용적인 측면에 접근하는 두 가지 핵심 방법]이 있다. : 전 그리고 후
For those involved in the day-to-day aspects of healthcare teaching, many times one of the first questions that comes to mind around the philosophical underpinnings of research is: how can this be practically applied to my work? Beyond improving rigor and understanding, as thoroughly discussed, there are two key ways to approach the practical side of research: from the before and the after.

의학 교육자로서 직면하는 실제적인 문제와 질문을 고려한다면, 다른 방식으로 문제에 접근하기 위해 어떻게 다른 패러다임이 사용될 수 있는지를 고려하는 것은 패러다임을 고려하는 실용적인 "전before" 방법이다. 실제 문제가 패러다임 정보에 입각한 관점에서 접근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그림 3에 몇 가지 예를 포함시켰다. 일부 다양한 실제 사례의 경우, 다른 교육 수준에서, 우리는 자연스럽게 다른 패러다임과 일치할 수 있는 연구 접근법의 몇 가지 다른 예를 제공했습니다.
Considering the practical problems and questions you face as a medical sciences educator, then considering how different paradigms could be used to approach problems in different ways, is a practical “before” way to consider paradigms. To elucidate the ways in which real-world problems can be approached from a paradigm-informed perspective, we’ve included some examples in Fig. 3. For somevarious real-world examples, at different educational levels, we have provided some different examples of research approaches, that would naturally align with different paradigms.

["After" 연구 관점]에서, 프락세오로지(praxoology)는 당신이 성찰해야 하는 마지막 '-론 (-ology)'이다. 연구로부터 종종 발생하는 보다 실용적인 권고사항과 관련하여, 프랙세오로지(praxoology)는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의미 있는 방식으로 해석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45]. 만약 당신의 연구가 "지식"에 기여했다면, 이것은 [의학 교육자로서 당신의 일상적인 역할]에 무엇을 의미합니까? 이렇게 하면 연구 과정 이후에 실용성도 중요해질 수 있다. 그림 2의 중간 수준의 예를 이용하여, 구성주의 접근법에서 연구를 완료했다면, [가상 조직학 실험실]의 [셀프-가이드 방법]이 유익한 학습 환경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을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상 조직학 리소스와 함께 사용할 [비디오 가이드]를 만들기로 결정하게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학생들은 처음에 학습을 안내하는 강사 주도 예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om the “after” research perspective, praxeology is the last -ology you may wish to reflect upon. Concerned with the more practical recommendations that often arise from research, praxeology is concerned with not just understanding human actions, but interpreting them in meaningful ways [45]. If your research has contributed to “knowledge,” what does this mean for your day-to-day role as a medical sciences educator? In this way, practicality can be also important after the research process. Using the mid-level example from Fig. 2, if you completed research from a constructivist approach, you may have discovered that self-guided methods in virtual histology labs was not leading to a conducive learning environment. This may lead to your decision to create video guides to accompany virtual histology resources, so students have instructor-led examples to initially guide their learning.

패러다임에 실질적으로 접근하는 위의 방법들 외에도, 연구자들은 [실용주의pragmatism]의 실용적인 패러다임을 고려하기를 원할 수 있다. [실용주의]는 연구 결과에 초점을 맞추고, 따라서 인식론이나 존재론을 고려하는 데 가치를 두지 않는다. 대신, 실용주의는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것에 초점을 맞추려고 노력한다[57]. 실용주의자들은 특정 연구 질문에 답하기 위해 [실제로 가장 잘 작동하는 방법]에 의존하며, 단순히 패러다임 정렬이 아닌 [선택된 접근 방식의 실용성]에 가장 중점을 둔다[58]. 그러나 실용주의는 ["진정한" 패러다임]이라기보다는 [접근법]에 가깝다는 견해가 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다른 공통 패러다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용주의를 자세히 탐구하지 않았다[30].
In addition to the above ways of practically approaching paradigms, researchers may also wish to contemplate the practical paradigm of pragmatism. Pragmatism focuses on research outcomes and, as such, does not place value on considering either epistemology or ontology. Instead, pragmatism strives to focus on what works best for understanding and solving problems [57]. Pragmatists rely on the methods that work best in practice to answer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ocusing most heavily on the practicalities of the chosen approach, not just paradigmatic alignment [58]. However, it is the view of some that pragmatism should be viewed as more of an approach, rather than a “true” paradigm. Consequently, the present work has not explored pragmatism in detail as it has other common paradigms [30].

가능한 경우 숙련된 연구원과의 협업 또는 상담
Collaborate with or Consult Experienced Researchers Where Possible

패러다임은 의학 교육계의 많은 사람들에게 복잡하고 참신해 보일 수 있지만, 연구의 핵심 측면이며 사회학 및 일반 교육과 같은 다른 분야에서는 확실히 새로운 것이 아니다[59,60,61].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협업은 성과를 거둘 수 있으며 성공의 최종 열쇠가 될 수 있습니다. 가능한 경우, 경험 많은 연구원들, 특히 방법론에 집중하는 연구원들과 협력하는 것은 매우 유익할 수 있다. 경험 많은 학자들은 패러다임과 관련된 철학적 질문에 대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연구팀이 어떤 방법론과 방법을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는지 유념할 수 있다. 협업이 불가능할 경우 방법론자 또는 경험이 풍부한 연구자에게 연락하여 연구 접근 방식을 검토할 수 있는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여부를 문의할 수 있습니다.
While paradigms might seem complex and novel for many in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they are a key facet of research, and certainly not new to other disciplines, such as sociology and general education [59,60,61]. Given this, collaboration can prove fruitful and may be the final key to success. When possible, collaborating with experienced researchers, particularly those who focus upon methodology, can be very beneficial. Experienced scholars can provide guidance regarding the philosophical questions associated with paradigms, while keeping in mind which methodology and methods may be best utilized by the research team. Where collaboration is not feasible, you may wish to contact a methodologist or experienced researcher to enquire as to whether they provide consultation services to review your research approach.

연구 능력을 개발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매우 도움이 되지만, 패러다임 선택에 관한 협력은, 특히 연구자들이 [연구에 가장 적합한 패러다임에 대해 동의하지 않을 경우] 긴장을 유발할 수 있다. 협업 프로젝트에 동의하기 전에 잠재적 협력자가 만나 "공유 의제"를 개발할 것을 권장합니다. 공유된 의제에는 공통 목표 집합, 사용 가능한 자원 목록, 관심 있는 연구 질문 및 각 연구자의 개인 패러다임에 대한 토론이 포함됩니다. 개인 입장에 익숙하지 않지만 협력팀의 공유 의제에 가장 적합한 패러다임 내에서 연구해야 하는 한 명 또는 여러 명의 연구자를 대신하여 [타협]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 위에서 소개한 바와 같이, 만약 당신이 엄격한 실용주의자라고 생각한다면, 온톨로지와 현실에 대한 광범위한 논의가 연구 시간을 비생산적으로 사용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 그러나 해석학자 팀과 함께 일하는 경우, 이 과정은 연구 노력과 연구 설계의 핵심 부분으로 간주될 수 있다. 개인적인 입장을 인식하고, 그것에 헌신하는 성찰적 공간에서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됨으로써, 협업이 완화되고 심지어 강화될 수 있다.

Although immensely helpful for those wishing to develop their research skills, collaboration with regard to paradigm choice can generate tension, especially if researchers disagree concerning which paradigm would be best suited for their research. We recommend that, prior to agreeing upon any collaborative projects, potential collaborators meet to develop a “shared agenda.” Shared agendas include a set of common objectives, a list of available resources, research questions of interest, and discussion as to each researcher’s personal paradigm. Compromise may be required on the behalf of one, or several, researchers, who may need to research within a paradigm unfamiliar to their personal stance, but best befitting the shared agenda of the collaborative team. For example,

  • if you consider yourself to be a strict pragmatist, as introduced above, you might find extensive discussions about ontology and reality to be an unproductive use of research time.
  • However, if working with a team of interpretivists, this may be viewed as a key part of their research efforts and study design. Through recognizing personal stances and being able to clearly express them in a dedicated reflexive space, collaboration may be eased, and even enhanced.

마지막으로, 출판을 위해 글을 쓸 때, 우리는 각 팀 [구성원의 패러다임적 입장에 대한 투명성]과 [긴장을 해결하기 위해 성찰성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에 대한 세부 사항을 포함할 것을 권고한다. 이 모노그래프는 공동 집필의 예로 사용될 수 있다. 저자들은 이 주제에 중립적으로 접근했지만 개인 패러다임이 다르다. 한 작가(MB)는 구성주의자이고, 다른 작가(AD)는 실용주의자입니다. 이 작품의 개념과 구성에 있어서, 저자들은 본 논문에서 논의된 과학철학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를 포함하여 그들의 패러다임적 가정에 대한 반사적 논의로 시작했다. 이 연구의 공유 의제는 각 저자가 가지고 있는 잠재적 가정을 인정하면서 가능한 한 중립을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우리는 이것이 이 모노그래프를 더 투명하게 보여줄 수 있기를 바란다.
Lastly, when writing for publication, we recommend transparency as to each team member’s paradigmatic stance and inclusion of detail regarding how reflexivity was used to navigate any tensions. This monograph may be used as an example of collaborative writing. The authors approached this topic neutrally but have different personal paradigms. One author (MB) is a constructivist, and the other (AD) is a pragmatist. In the conception and construction of this work, the authors began with reflexive discussions on their paradigmatic assumptions, including personal views regarding the philosophy of science discussed in this paper. It was determined the shared agenda of this work was to remain as neutral as possible, while acknowledging potential assumptions each author holds. We hope this allows for a more transparent presentation of this monograph.

결론들
Conclusions

초기에는 복잡하지만, 연구 패러다임의 식별은 엄격한 연구 프로젝트의 필수적인 측면이다. 또한 개별 프로젝트를 넘어 지식을 특정 패러다임과 결부시키면 의학교육 내 연구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가 높아져 전체 분야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While initially complex, identification of a research paradigm is an essential aspect of any rigorous research project. Further, beyond individual projects, association of knowledge with specific paradigms may lead to a better overall understanding of research within medical education, furthering the advancement of the entire field.

이 기사를 통해, 우리는 연구 패러다임의 식별을 통해 프로젝트를 개선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을 위한 몇 가지 초기 팁을 간략하게 설명하려고 시도했다. 이러한 팁과 연구 팀 내에서 더 많은 열린 토론을 고려한다면, 여러분의 연구는 새로운 목적을 가지고 더 깊이 있게 이해될 수 있습니다.
Through this article, we have attempted to outline some initial tips for researchers looking to improve on projects via identification of a research paradigm. With consideration of these tips, and more open discussions within research teams, your research can take on new purpose and be understood with greater depth.

 


Med Sci Educ. 2019 Dec 27;30(1):545-553. doi: 10.1007/s40670-019-00898-9. eCollection 2020 Mar.

A Medical Science Educator's Guide to Selecting a Research Paradigm: Building a Basis for Better Research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Health Professions Education Unit, Hull York Medical School, John Hughlings Jackson Building, University Road, Heslington, York, YO10 5DD UK.

PMID: 34457699

PMCID: PMC8368685

DOI: 10.1007/s40670-019-00898-9

Free PMC article

Abstract

A research paradigm, or set of common beliefs about research, should be a key facet of any research project. However, despite its importance, there is a paucity of general understanding in the medical sciences education community regarding what a research paradigm consists of and how to best construct one. With the move within medical sciences education towards greater methodological rigor, it is now more important than ever for all educators to understand simply how to better approach their research via paradigms. In this monograph, a simplified approach to selecting an appropriate research paradigm is outlined. Suggestions are based on broad literature, medical education sources, and the author's own experiences in solidifying and communicating their research paradigms. By assisting in detailing the philosophical underpinnings of individuals research approaches, this guide aims to help all researchers improve the rigor of their projects and improve upon overall understanding in research communication.

Keywords: Medical education; Methodology; Paradigm; Research approach.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