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전문직 교육에서 리포팅 가이드라인의 사용과 가치(Acad Med, 2020)
On the Use and Value of Reporting Guidelin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

 

연구 간행물에서의 보고 지침의 사용과 가치에 대한 대화는 종종 양극화된 견해를 이끌어낸다. 그러한 견해는 더 많은 정보와 사려 깊은 고려의 필요성을 나타낸다. 우리 자신의 건강 전문 교육 분야의 한 예로,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유럽 의학 교육 협회의 2019년 회의에서 편집자 패널 토론이 [건강 전문 교육 연구 출판에서의 논쟁과 도전]이라는 제목의 토론은 HPE 연구 출판물의 보고 지침의 사용법을 둘러싼 편집자와 작가들 간의 활발한 토론을 촉발했습니다. 일부 참가자들은 그러한 지침의 사용을 강력히 지지한 반면, 다른 참가자들은 단호하게 반대했다. 이 사설에서, 우리는 보고 지침에 대해 학술 의학 커뮤니티에 알리고, 저널의 편집자로서 이에 대한 우리의 관점을 공유하며, 이러한 지침에 대한 지속적인 대화를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Conversations about the use and value of reporting guidelines in research publications often elicit polarized views. Such views signal a need for more information and thoughtful consideration. As an example from our own field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the editors’ panel discussion at the 2019 meeting of the Association for Medical Education in Europe in Vienna, Austria, entitled Controversies and Challenges in Publishing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 prompted a lively discussion among editors and authors around the use of reporting guidelin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 publications. Some participants strongly endorsed use of such guidelines, while others staunchly opposed them. In this editorial, we aim to inform the Academic Medicine community about reporting guidelines, share our perspective on them as editors of the journal, and promote ongoing dialogue on these guidelines.

보고 지침이란 무엇입니까?
What Are Reporting Guidelines?

보고 지침Reporting guidelines은 독자가 연구 또는 검토를 이해하고 평가 및/또는 복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구 연구 또는 문헌 검토를 설명하는 원고에 저자가 포함해야 하는 주요 정보를 나열하고 설명합니다.1 Reporting guidelines은 저자를 위한 [저널의 지침]을 보완하는데, [저널의 지침]은 단어 수 및 구조와 같은 기술적 요구사항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어서, 원고나 출판물에 제시된 증거의 신뢰성, 관련성 및 품질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비판적 평가 도구]와는 다르다.

  • 일부에서는 불완전한 보고는 실제로 작성자가 단어 제한을 준수하기로 한 결정이거나 단순한 감독일 수 있는 경우 종종 방법론적 품질이 낮다는 신호로 해석되기 때문에, [철저한 정보 보고 평가]는 [비판적 평가 과정]과 구별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 다른 이들은 정보의 [철저한 보고]가 [비판적 평가]의 필수적 선행조건이며 높은 과학적 기준을 충족하는 과정의 일부라고 생각한다.

Reporting guidelines list and describe the key information that authors should include in a manuscript that describes a research study or literature review, to ensure that readers can understand, evaluate, and/or replicate the study or review.1 Reporting guidelines complement a journal’s instructions for authors, which tend to focus on technical requirements such as word count and structure,2 and differ from critical appraisal tools, which are used to assess the trustworthiness, relevance, and quality of evidence presented in a manuscript or publication.3–5 

  • Some maintain that evaluation of thorough information reporting should be kept distinct from the critical appraisal process, since incomplete reporting is often interpreted as a sign of low methodologic quality when, in fact, it may be a decision made by authors to abide by word limits or a simple oversight.6 
  • Others consider thorough reporting of information to be a necessary precursor to critical appraisal and part of a process that fulfills high scientific standards.7,8

보고 지침의 간략한 기록
A Brief History of Reporting Guidelines

보고 지침은 과학 저널에 게재된 증거의 품질과 실제 의사 결정에서 약한 증거로 판명될 수 있는 신뢰와 관련된 위험에 대한 우려에 대응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전되었다. 많은 의학 분야에서, [연구 결과를 복제하여 증거를 검증하려는 연구자들의 노력]은 [연구 방법과 결과에 대한 불충분한 정보]로 인해 혼란스러워졌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물의학 연구에서 [무작위 통제 시험]에 대한 [두 가지 보고 지침]이 독립적으로 개발되었다. 이들은 최종적으로 CONSORT을 구성하기 위해 결합되었습니다.
Reporting guidelines evolved over time in response to concerns about the quality of evidence published in scientific journals and the risks associated with trusting what may turn out to be weak evidence in practical decision making. Across many fields of medicine, researchers’ efforts to verify evidence by replicating study findings have been confounded by insufficient information about study methods and results.9 Two reporting guidelines for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 biomedical research were independently developed to address this problem; the 2 were ultimately combined to form CONSORT (Consolidated Standards of Reporting Trials).9,10

연구의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는 오픈사이언스 운동과 최근 체계적인 검토, 메타분석, 기타 형태의 지식합성 붐 등 현재 학문의 흐름을 감안할 때 보고지침에 대한 인식가치가 높아졌다. CONSORT는 다양한 장르와 학문에 대한 접근 방식에 걸친 후속 보고 지침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The perceived value of reporting guidelines has increased, given current trends in scholarship such as the Open Science movement, which calls for greater transparency in research,11 and the recent boom in systematic reviews, meta-analyses, and other forms of knowledge synthesis.1,12 CONSORT laid the foundation for subsequent reporting guidelines spanning multiple genres and approaches to scholarship—for example,

  • CARE (for case reports),13 
  •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14,15 
  • SQUIRE (Standards for Quality Improvement Reporting Excellence) 2.0,16 
  • COREQ (Consolidated Criteria for Reporting Qualitative Research),17 and
  • STROBE (Strengthening the Reporting of Observational Studies in Epidemiology).18

초기 지침의 대부분은 생물의학과 건강 연구에서 비롯되었지만, 사회과학 및 교육 분야의 학자들은 보고 지침의 자체 버전을 채택하고, 채택하고, 만들었다. 보건 전문직 교육을 위해 개발된 지침으로는 SQUIRE-EDU(교육 품질 향상 보고 우수성 기준), GREET(증거 기반 실무 교육 개입 및 교육 보고 지침), SRQR(질적 연구 보고 기준) 등이 있다. 보건 전문 교육에서 자주 언급되는 다른 지침으로는 CHERRES(인터넷 전자 설문 조사 결과 보고용 체크리스트), PRISMA, RAMESES(실재주의자 및 메타 내러티브 증거 합성: 발전하는 표준) 및 STROBE. 표 1은 보건 전문 교육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지침의 예를 보여줍니다.
While many of the early guidelines originated in biomedical and health research, scholars in the social sciences and education adopted, adapted, and created their own versions of reporting guidelines. Guidelines developed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nclude

  • SQUIRE-EDU (Standards for Quality Improvement Reporting Excellence in Education),19 
  • GREET (Guideline for Reporting Evidence-Based Practice Educational Interventions and Teaching),20 and
  • SRQR (Standards for Reporting on Qualitative Research.21 

Other guidelines frequently referenced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nclude

  • CHERRIES (Checklist for Reporting Results of Internet E-Surveys),22 
  • PRISMA,14,15 
  • RAMESES (Realist and Meta-Narrative Evidence Syntheses: Evolving Standards),23 and
  • STROBE.18

Table 1 presents examples of guidelines that are applicable to research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보고 지침의 확산으로 인해 중복성을 줄이고 보급을 강화하기 위한 품질 관리 및 관리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2008년에 설립된 EQUATOR (Enhancing the Quality and Transparency of Health Research) 네트워크는 [생물의학 및 사회과학]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보고 지침을 개념화하는 방법을 형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해왔다. EQUATOR 네트워크는 보고 지침의 목적이 "연구자들에게 연구 방법을 알려주기 위해서가 아니라, 원고에 어떤 정보를 포함시켜야 하는지 상기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The proliferation of reporting guidelines created a need for quality control and management to reduce redundancy and enhance dissemination. The EQUATOR (Enhancing the Quality and Transparency of Health Research) Network, established in 2008, has played a large role in shaping how members of the biomedical and social science communities conceptualize reporting guidelines.1 The EQUATOR Network states that the purpose of reporting guidelines is “to remind researchers of what information to include in the manuscript, not to tell them how to do research.”9(p73)

보고 지침의 가치에 대한 상반된 주장
Conflicting Arguments on the Value of Reporting Guidelines

보고 지침의 용도는 다양하다.

  • 어떤 저널은 저자가 기사를 제출할 때 보고 가이드라인 체크리스트를 작성하도록 요구하기도 하고, 
  • 어떤 저널은 검토자가 검토를 완료할 때 보고 가이드라인을 참조하도록 권장하기도 하며,
  • 어떤 저널은 보고 가이드라인을 전혀 언급하지 않는다

지지자들은 보고 지침을 투명성을 위한 환영받는 도구로 보는 경향이 있다. 가이드라인은 출판 경험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기본 표준과 기대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지침은 또한 주요 정보의 누락을 줄임으로써 학문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이는 보고서 품질을 위해 출판된 기사를 평가한 여러 연구에서 지적된 문제이다. 연구에 대한 주요 정보를 일관된 방식으로 보고하면, 엄격한 방법론을 위해 노력하는 저자에게 보상할 수 있습니다.
Use of reporting guidelines varies.

  • Some journals require authors to complete reporting guideline checklists when submitting articles,
  • other journals encourage reviewers to refer to reporting guidelines when completing reviews, and
  • still other journals do not mention reporting guidelines at all.24,25 

Proponents tend to view reporting guidelines as a welcome tool for transparency. Guidelines make basic standards and expectations freely available to all, regardless of publication experience. Guidelines may also improve the quality of scholarship by reducing the omission of key information, a problem noted in several studies that have evaluated published articles for reporting quality.7,26 Reporting key information about a study in a consistent way rewards authors who invest in rigorous methodology.27

[보고지침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작성자와 검토자의 [규범적이고 비판적이지 않은 사용]에 대한 우려를 제기한다.28

  • 보고지침이 보고 "체크리스트"로 전환되면 [창의성이 저해]될 수 있으며, [지침을 준수하는 접근방식이나 기법]이 그렇지 않은 접근방식보다 더 가치가 있음을 암시한다.
  • 보고 지침의 사용은 [가시적 한계(예: 설계 결함, 낮은 응답률)]가 있는 [소규모 연구를 보고하는 자원이 적은 연구자]에게 불리할 수 있다.29
  • 또한 일부에서는 [작성자가 제공하는 정보의 충분성을 평가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 설명을 요청하는 것]이 [전문가 검토자의 의무]이기 때문에, 강력한 피어 리뷰 체계에서 지침이 필요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Those opposed to reporting guidelines raise concerns about their prescriptive and uncritical use by authors and reviewers.28 

  • The conversion of reporting guidelines into reporting “checklists” can inhibit creativity and imply that the approaches or techniques that conform to guidelines are more valuable than those that do not.
  • The use of reporting guidelines may disadvantage researchers with fewer resources who report smaller-scale studies with visible limitations (e.g., design flaws, lower response rates).29 
  • Some also argue that guidelines are not necessary in a robust peer review system, as it is the duty of expert reviewers to evaluate the sufficiency of information provided by authors and request additional clarification as needed.29

편집자들과 평론가들은 [뉘앙스의 필요성]을 인정한다. 의학교육연구의 질적 기준은 생물의학연구의 질적 기준에 큰 영향을 받은 것은 사실이지만, 강력한 사회과학연구의 유입은 

  • 검토자 풀을 다양화했고,
  • 저널 편집팀의 전문성을 확장했으며,
  • 과학의 다양한 철학을 반영하고, 다양한 분야의 방법론을 채택하면서도, 원고의 공정하고 정확한 평가를 보장하는 방법에 대한 많은 논의를 장려했다.


Editors and reviewers appreciate the need for nuance. While it is true that the quality standards for medical education research have been heavily influenced by those of biomedical research, the influx of robust social science research has

  • diversified the reviewer pool,
  • expanded the expertise of journals’ editorial teams, and
  • encouraged many thoughtful discussions of how to ensure fair and accurate evaluation of manuscripts that reflect different philosophies of science and employ methodologies from various disciplines.30

우리의 견해
Our View

학술 의학 편집팀으로서, 우리는 [보고 지침의 현명한 사용]을 지지한다. 저자, 검토자 및 저널 편집자는 명확성과 일관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주어진 연구에서 보고되어야 할 정보를 결정할 때 올바른 판단을 적용해야 한다. 어떤 상황에서는 특정 정보(예: 참가자의 익명성을 훼손할 수 있는 정보, 얻을 수 없거나 특정 연구 설계나 방법론 또는 사용 가능한 자원의 맥락에서 타당하지 않은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결국, [많은 중요한 교육적 연구 문제를 조사하려는 노력]은 [그에 대한 답을 목표로 하는 연구의 양과 질]에 의해 제한된다. 이러한 경우, 새로운 연구는 그 자체의 중요한 방법론적 한계를 가지고 있더라도 문헌에 실질적이고 의미 있게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은 우리 모두가 우리의 지식에 무엇을 더하는지에 비추어 연구를 판단하는 데 열려 있어야 하며, 이 분야의 현재 상태를 고려할 때, 지나치게 엄격할 수 있는 보고 기준만으로 연구를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As the editorial team at Academic Medicine, we advocate judicious use of reporting guidelines. Authors, reviewers, and journal editors must apply good judgment when deciding what information must be reported in a given study to maximize clarity and coherence. In some circumstances, it may be acceptable not to include certain information (e.g., information that would compromise participant anonymity, that cannot be obtained, or that does not make sense in the context of the particular study design or methodology or available resources). After all, efforts to investigate many important educational research questions are limited by the amount and quality of the research that aims to answer them. In these cases, new studies, even with important methodological limitations of their own, can substantially and meaningfully add to the literature. This recognition means that we all have to be open to judging research in light of what it adds to our knowledge and not judging that research only by reporting standards that may be overly stringent given the state of a field.

교육 연구는 축적에 의해 성장하며, 작은 이득도 가치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보고 지침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저자는 훌륭한 기사를 쓸 수 있고 검토자는 훌륭한 리뷰를 완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보고 지침의 사용을 의무화하지는 않지만 보고 지침은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음 섹션에서는 보고 지침을 사용하여 작성자, 검토자 및 편집자를 구상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Education research grows by accretion, and small gains can be valuable. Furthermore, authors may write excellent articles and reviewers may complete superb reviews without using reporting guidelines. We therefore do not mandate the use of reporting guidelines, yet we believe that reporting guidelines have value. In the sections that follow, we describe the ways that we envision authors, reviewers, and editors using reporting guidelines.

작가들
Authors

우리는 저자들이 교육 및 심리학 같은 사회과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침뿐만 아니라, EQUATOR 네트워크에서 승인한 보고 지침에 익숙해지도록 권장한다. [분별적 활용]이란 저자가 보고 가이드라인을 꼼꼼히 검토하고, 작업에 가장 적합한 가이드라인을 선정하고, 특정 가이드라인 항목이 적용되지 않을 때를 자신 있게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저자는 자신의 연구에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정보를 제공하도록 요청받는 경우 항상 검토자와 편집자에게 자신의 근거를 설명할 수 있는 선택권이 있다.
We encourage authors to become familiar with reporting guidelines endorsed by the EQUATOR Network as well as those commonly used in social sciences such as education31–33 and psychology.34,35 Judicious use means that authors review reporting guidelines carefully, selecting the guidelines most appropriate for their work, and confidently deciding when certain guideline items do not apply. Authors always have the option to explain their rationale to reviewers and editors if they are asked to provide information that they think is not appropriate for their study.

간단히 말해서, 우리는 저자들이 연구의 설계, 수행 및 기록 전반에 걸쳐 지침을 리소스로 참조할 것을 권고한다. 우리는 학술 의학에 제출할 때 보고 지침의 사용을 의무화하지 않는다.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새로운 학술적 질문] 또는 [lower-resources 환경에서만 다룰 수 있는 질문]은 보고 지침을 더 겸손하거나 덜 준수할 수 있으며, 그렇다 하더라도 여전히 문헌에 대한 진정으로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다. 저자는 주장이나 해석을 할 때 신중해야 하며 작품의 한계를 분명히 밝혀야 한다. 모든 연구 보고서는 방법론에 대한 설명을 투명하게 해야 한다.

In short, we advise authors to refer to guidelines as a resource throughout the design, conduct, and write-up of a study.28 We do not mandate the use of reporting guidelines for any submission to Academic Medicine. As previously indicated, reports involving novel scholarly questions, or questions that can only be addressed in lower-resources settings, may be more modest or less adherent to reporting guidelines and still represent truly important contributions to the literature. Authors must be careful when making claims or interpretations and should clearly state the limitations of their work. All research reports should be transparent in their descriptions of their methodologies.

연구보고서를 지나치게 표준화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청중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 이 야심찬 목표는 작가, 검토자 및 편집자가 사이에서 [미묘한 균형]을 협상할 것을 요구한다.

  • (1) 연구자의 가정, 접근 방식, 프로세스 및 결과에 대한 명확하고 포괄적인 설명과 
  • (2) 연구자의 성실성, 독창성, 판단력에 대한 존중 

이 균형을 찾는 것은 연구자들이 보건 전문 교육 밖에서 잘 확립된 접근법과 방법론을 그릴 때 특히 중요하다.
The goal is to make research accessible to a diverse audience, not to overly standardize research reports. This ambitious goal requires authors, reviewers, and editors to negotiate a delicate balance between

  • (1) a clear, comprehensive description of the researchers’ assumptions, approach, processes, and findings and
  • (2) respect for researchers’ integrity, ingenuity, and judgment.

Finding this balance is particularly important when researchers draw on approaches and methodologies that are well established outside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리뷰어
Reviewers

우리는 학계 및 과정의 중요한 부분인 [피어 리뷰어의 전문성]에 크게 의존한다. 우리는 원고의 품질을 공정하고 비판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전문 지식을 갖춘 리뷰어를 찾는 데 전념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우리는 보건 직업 교육과 같은 [다학제적 분야의 철학적 지향과 방법론의 넓은 폭]이 모든 연구, 특히 보건 전문직 교육 연구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와 접근 방식을 소개하는 [연구에 대한 내용과 방법론적 전문 지식]을 모두 갖춘 검토자를 식별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는 것을 인식한다.

  • 우리는 [보고 지침]이, 콘텐츠 전문지식을 가질 수 있는 영역에서 [생소한 방법론을 접하는 검토자]에게 [잠재적으로 유용한 리소스]로 보고한다.
  • 우리는 또한 [보고 지침]을, 방법론을 잘 알기 때문에 비전문가 독자에게는 더 많은 설명이 필요한 결정, 절차 또는 용어를 당연하게 여길 수 있는 전문가에게 [유용한 리마인더]라고 본다.

요약하면, 우리는 가이드라인을 검토 프로세스를 표준화, 훼손 또는 비숙련화하려는 시도가 아니라, 리뷰어가 각 원고에 가져오는 탁월한 통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도구로 본다.
We rely heavily on the expertise of peer reviewers, who are a critical part of our scholarly community and process. We are committed to finding reviewers with the necessary expertise to fairly and critically judge the quality of manuscripts. At the same time, we recognize that the breadth of philosophical orientations and methodologies in a multidisciplinary field such as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akes it challenging to identify reviewers with both content and methodological expertise for all studies, especially for studies introducing new ideas and approaches to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

  • We see reporting guidelines as a potentially helpful resource for reviewers who encounter unfamiliar methodology in an area where they may have content expertise.
  • We also see reporting guidelines as useful reminders for experts who may know the methodology well and take for granted decisions, procedures, or terminology that warrant more explanation for nonexpert readers.

In sum, we view guidelines as a tool to enhance the excellent insights that reviewers bring to each manuscript, not as an attempt to standardize, undermine, or de-skill the review process.

특히 학술 의학은 연구 원고에 대한 검토 기준을 제공한다. 검토 기준은 검토자가 원고를 평가하고 저자와 편집자에게 유용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Of note, Academic Medicine provides review criteria for research manuscripts (available at https://store.aamc.org/review-criteria-for-research-manuscripts.html). Review criteria are meant to assist reviewers in evaluating manuscripts and providing helpful feedback to authors and editors.

편집자
Editors

이 저널의 편집팀으로서, 우리는 출판을 위해 받아들여진 원고가 독자들에게 연구의 신뢰성을 판단하고 연구 결과를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한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일부 원고들은 그들의 메시지를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제안된 제한보다 더 많은 단어를 필요로 할 것이며, 우리는 이것을 사례별로 고려할 용의가 있다. 학술 의학에 제출된 모든 원고는 편집 및 직원 팀의 최소 2명의 구성원에 의해 평가됩니다. 우리는 스스로 새로운 방법론에 대해 배우고, 우리가 여러 관점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원고에 대한 어려운 결정에 대해 논의한다. 우리는 저자가 보고 지침을 체크리스트로 사용하도록 요구하지는 않지만, 저자가 자신의 작업에 대한 보고를 최적화했는지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특정 지침을 검토할 것을 권고할 수 있다. 
As the journal’s editorial team, we are committed to ensuring that manuscripts accepted for publication provide readers with the information they need to judge the credibility of studies and make informed decisions about how to use study findings. Some manuscripts will require more words than the suggested limits to convey their messages clearly, and we are willing to consider this on a case-by-case basis. Every manuscript submitted to Academic Medicine is also assessed by at least 2 members of the editorial and staff team. We learn about new methodologies ourselves and discuss challenging decisions about manuscripts to ensure that we bring multiple perspectives to bear. While we do not require authors to use reporting guidelines as a checklist, we may recommend that authors review a particular guideline as a way to ensure that they have optimized the reporting of their work.

요약
Summing Up

보고 지침의 현명한 사용에 대한 우리의 권고가 보건 전문 교육 출판물에서 그러한 지침의 역할에 대한 다른 관점을 통합하기를 바란다. 우리는 보고 지침의 존재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이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을 장려하며, 우리 커뮤니티에서 보고 지침 사용에 대한 사려 깊은 대화를 자극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진행 중인 대화에는 보건 전문 교육 연구를 위한 보고 지침의 유용성과 관련성에 대한 고려가 포함되어야 하며, 이상적으로는 명확한 의사소통을 촉진하고 우리 분야의 엄격함을 증진시키는 보고 지침의 가치에 대한 새로운 연구 기회를 이끌 것이다.
Our recommendation of judicious use of reporting guidelines will, we hope, unify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role of such guidelin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publications. We aim to increase awareness of the existence of reporting guidelines, encourage ongoing education about them, and stimulate thoughtful dialogue about the use of reporting guidelines in our community. Ongoing dialogue must include consideration of the utility and relevance of reporting guidelines for research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ideally, will lead to new opportunities for research on the value of reporting guidelines in fostering clear communication and furthering rigor in our field.

 

 


 

Acad Med2020 Nov;95(11):1619-1622.doi: 10.1097/ACM.0000000000003666.

 

On the Use and Value of Reporting Guidelin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Associate editor, Academic Medicine.

2Deputy editor, Academic Medicine.

3Editor-in-chief, Academic Medicine.

PMID: 33109958

DOI: 10.1097/ACM.0000000000003666

No abstract availabl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