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개발(Editorial, Med Educ, 2005)
Faculty development
John Bligh
변화는 조직에 작용하는 힘이 아니다. 변화란 조직이 헤엄치고있는 바로 그 물이다.
…change is not a force acting on organizations, but the very water in which organizations swim.
Watkins and Mohr, 2001, xxxii,1
의학교육자에게 있어서 성공적인 교수개발은 교육능력의 향상을 가져올 것이며, 학생과 의사들이 더 나은 학습성과를 달성하게 해줄 것이다. 교수개발을 통한 향상에는 다음이 있을 수 있다.
For medical educators, successful faculty development results in improved teaching performance and leads to better learning out- comes for students or doctors. These improvements may include:
-
새로운 교수법, 평가법 the development of new teaching skills or assessment techniques which may be directed towards improving clinical care through better teaching;
-
더 나은 교육과정의 계획과 도입방법과 이를 통한 전 기관의 퍼포먼스 향상 better ways of planning or implementing a curri- culum or course, and hence improving institutional perform- ance;
-
교수-학생 관계에 대한 생각 전환 new ways of thinking about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
과목 평가와 피드백에 더 몰입(참여) greater engagement with course evaluation and feedback;
-
교육분야의 학자됨(스칼라십) increased commitment to educational schol- arship, and
-
임상의사-교사로서의 태도 향상 improved attitudes to the task of being a clinician– teacher.4
효과적인 교수개발프로그램의 또 다른 성과로는 교수들의 사기morale을 진작시켜서 교수의 retention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당연하지만, 교수개발프로그램이 한 기관 내에 존재할 때 그것은 그 기관의 문화와 가치를 반영한다. 교수개발프로그램은 한 기관이 그 기관의 인력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내면의 신념이 겉으로 드러난 것이다. Medical Teacher의 가치/신념/행동이 의학교육의 잠재교육과정의 상당한 부분을 구성하듯, workplace의 특성과 기관의 교육문화는 교수개발의 잠재교육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Another outcome from effective staff development programmes is improved staff morale resulting in better staff retention; and, of course, the presence of staff devel- opment programmes within an institution is a reflection of the culture and values of the institu- tion. Faculty development pro- grammes are outward signs of the inner faith that institutions have in their workforce. Just as the values, beliefs and behaviours of medical teachers make up a substantial part of the hidden curriculum of med- ical education, so the nature of the workplace and the educational cul- ture of an institut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hidden cur- riculum of faculty development.
종종 우리는 교수들도 학습자라는 사실을 잊곤 한다. 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을 만들 때 우리는 centering을 생각한다. 즉, 교사와 학습자의 관계에 있어 어느 쪽도 dominate하지 않고, 어느 쪽도 prevail over하지 않게 하는 것이다. 또한 어떻게 학생들의 기여하는 것의 가치를 인정해줄 것인지 생각하며, 교육상황teaching occasion에 교사와 학생이 bring to하는 학생의 요구/관점/생각을 어떻게 존중할 것인지를 고민한다. 이러한 원칙은 교수개발 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Some- times we forget that faculty are learners too. When planning pro- grammes for our students we think about centreing – bala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learner so that neither dominates and no one approach prevails over another; about how best to value our students and their contribu- tions; and about respecting the needs, views and ideas that teacher and learner bring to the teaching occasion. These principles apply equally to faculty development activities.
Irby and Wilkerson 에 따르면 거의 모든 의과대학은 어떤 형태로든 교육과정의 개편과 교육혁신을 진행하고 있으며, 따라서 의사가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갖추기 위한 개발은 오늘날 그 어떤 때보다 더 중요할 것이다. 긍정적인 신호는 TD에 모든 의과대학 졸업생은 교수-학습의 원칙을 aware해야 한다는 것이 포함되었다는 것이다.
According to Irby and Wilkerson almost every medical school has some form of curriculum renewal or educational innovation in pro- gress so the professional develop- ment of clinicians as teachers is important, perhaps even more today than in recent years.6 One very positive sign for the future is the inclusion in Tomorrow’s Doctors of a recommendation that all medical graduates should have an aware- ness of the principles of teaching and learning.11
한 가지 확실한 것은, 효과적인 교수개발은 교수들이 우려하는 것, 아이디어, 열망이 무엇인지 경청하고 능동적 참여와 교육 프로세스에 대한 관심을 장려해야 한다는 점이다.
One thing seems certain though – effective faculty development involves listening to faculty about their concerns, ideas and aspira- tions and then encouraging active involvement and engagement in the educational process.
7 Suchman AL, Williamson PR, Lit- zelman DK, Frankel RM, Mossber- ger DL, Inui TS et al. Toward an informal curriculum that teaches professionalism. J Gen Intern Med 2004;19:501–4.
8 Pololi L, Frankel R. Humanising medical education through faculty development. Med Educ 2005;39: 154–62.
Faculty development.
- PMID:
- 15679676
- [PubMed - indexed for MEDLINE]
'Articles (Medical Education) > 교수개발(Faculty Develop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니펫: 효율적, 효과적 교수개발의 혁신적 방법 (J Grad Med Educ. 2014) (0) | 2016.04.27 |
---|---|
본다, 한다, 그리고는? PGME에서의 교수개발(Postgrad Med J. 2008) (0) | 2016.04.27 |
의학교육환경 해부: 교수개발의 관점에서 본 잠재적 교육과정(Acad Med, 2011) (0) | 2016.04.22 |
효과적인 의학교육자에게 필요한 특성과 책임(Acad Med, 2011) (0) | 2016.04.22 |
의학교육에서 변화하는 교육 테크놀로지 역할에 대한 준비(Acad Med, 2011) (0) | 2016.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