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이성의 일반성(Med Educ, 2003)
On the generality of specificity
Kevin W Eva
성격, 임상전문성, 학생평가, 면접, 문제해결, 전문직업성, 비판적 사고, 인적 특성 공학....이 모든 것에 대한 기초 연구와 적용에는 '맥락특이성'의 영향이 널리 퍼져있다. 맥락특이성은 '특정 상황이나 특정 문제에서 대한 개개인의 수행능력이 다른 상황이나 다른 문제에서의 수행능력을 매우 미약하게만 예측한다'라는 것으로 정의된다.
Personality, clinical expertise, student evaluation, personal interviews, problem solving, professionalism, critical thinking and human factors engineer-ing: central to all of of these seeminglydiverse areas basic research andapplication is a widespread influence ofcontext specificity. Context specificity iscommonly defined by the observationthat an individual’s performance on aparticular problem or in a particularsituation is only weakly predictive of thesame individual’s performance on adifferent problem or in a different situ-ation.
"많은 '기술'과'기질'은 한때 우리가 개개인의 특성이라고 보았으나, 그보다는 어떠한 맥락에 따른 '상태'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Many ‘skills’ and ‘traits’ that wecommonly believe to be indicativeof individuals themselves are often better accounted for by contextual ‘states’
더 일반적으로, 맥락특이성은 학습과 행동의 '기질'적 특성보다 '상태'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고정된 인적 기질(부끄러움, 유머러스함, 외향적인)을 가지고 있다고 믿지만, 이 분야에서는 개개인의 특성에 그러한 딱지를 붙이는 것은 부적절하고, 그러한 '기질'이 맥락에 따라 다르게 드러나는 것이며, 그러한 '상황'이 오히려 '성격'보다 더 미래 행동을 잘 예측해준다는 것이다.
More generally, context specificityillustrates the importance of ‘state’ asopposed to ‘trait’ theories of learningand behaviour. Although most of usbelieve that individuals have stable per-sonality traits (e.g. shy, humorous orextroverted), research in this area sug-gests that it is inappropriate to treatsuch labels as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 (i.e. as traits), but implies ratherthat we should recognise that the ‘traits’individuals exhibit are context-depend-ent and that the situation (i.e. the state)is often a better predictor of behaviourthan personality.3
Darley and Batson4이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students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기질'과 '상태'의 차이를 극적으로 보여주는 예시이다. 여러 상황에서 성격을 측정한 결과들이 있고, 이들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나, 사실 그 상관관계의 크기는 상황의 영향력에 비하면 미미하다.
This difference nicely illus-trates the influential nature of the staterelative to that of the traits of theseindividual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are often found between meas-ures of personality across multiplesituations, but the correlation is rou-tinely tiny (< 0AE3) and pales in compar-ison to the impact of the situation.3
인지 기술과 행동이 맥락 의존적인가 하는 것에 대한 논쟁은 학업에 대한 것 만은 아니다. 이는 우리가 역량을 정의하고 측정하는데도 영향을 준다. OSCE는 다양한 상황에서의 관측을 통해서 한 사람의 역량을 일반화한다. 비슷한 방식이 학생 선발에도 시도되고 있다.
This debate over whether or notcognitive skills and behaviours are con-text-bound is not simply an academicexercise; it has tremendous influence onthe way we define and measure com-petence within the health sciences.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s (OSCEs) have become the goldstandard for evaluating clinical compet-ence due to the recognition that mul-tiple observations are necessary to derive a generalisable assessment ofsomeone’s abilities. This same tech-nique has recently been adopted in anattempt to improve the validity of stu-dent admissions protocols.5
늘 똑같이 불리는 것은 아니지만 '맥락특이성'은 상당히 여러 분야에서 나타나는 광범위한 특성이다.
While not always assigned the same label, ‘context specificity’is a profoundly general phenomenon
맥락특이성이 우리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기평가능력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해 우리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제한된다.
Our ability to self-direct our own learning is handicapped by the impact of context specificity on our ability to self-assess our own abilities
Kruger와 Dunning은 자기평가에서 맥락특이성이 나타나는 한 가지 기전에 대한 실험적 근거를 제시햇다. 특정 업무에 대한 전문성의 함수로 자기평가능력의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Kruger와 Dunnning은 특정 영역에서 더 수행능력이 우수한 사람이 자신의 수행능력을 더 잘 평가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다른 말로 하면, 자기평가에 대한 능력은 generic skill이 아니며, 우리는 우리의 역량을 유지할 수 있는 맥락 안에서만 유능한 자기평가자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타까운 결론은, 현실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외부의 지도 없이 그 누구도 자신의 역량 부족을 알아챌 수 없다는 것이며, 결과적으로 학습자들을 자기주도적이 되게 하려는 교육방식을 둘러싼 레토릭의 타당성을 약화시킨다.
Kruger and Dunning have providedexperimental evidence for at least one ofthe mechanisms whereby specificitymight arise in the context of self-assess-ment.10 By examining the accuracy ofself-assessments as a function of exper-tise on a series of tasks, including theability to recognise humour and logicalreasoning, Kruger and Dunning wereable to show that individuals who per-formed better in a specific domain alsorevealed better calibration in assessmentof their own performance in that do-main. In other words, the ability to self-assess should not be considered ageneric skill; rather, we will only revealourselves to be competent self-assessorsin contexts within which we maintaincompetence. The unfortunate aspect ofthis conclusion, from a practical stand-point, is that one can never know that one is incompetent without externalguidance, thereby reducing the validityof the rhetoric around nurturing learn-ers to be self-directed.
마지막으로, 역설적으로 보자면 특이성을 중요시하는 것이 오히려 여러 기술의 일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개개인이 자가평가능력이 맥락 의존적인 것을 깨닫는다면 외부의 지도를 내면화하기 위한 노력을 더 할 것이며 자기 인식의 타당도도 높아질 것이다.
Finally, in an ironic twist of speculation,nurturing an appreciation of specificity might actually increase the generalityof many skills. For example, if individuals realise that their ability to self-assess is context-dependent, they mightbe more likely to seek and internalise external guidance regarding multiple aspects of their the performance, thereby increasing validity of their self-conceptions.
5 Eva KW, Reiter HI, Rosenfeld J,Norman GR. An Admissions OSCE:MedicalThe Multiple Mini-Interview. Education. In press.
Med Educ. 2003 Jul;37(7):587-8.
On the generality of specificity.
Author information
- 1Department of Clinical Epidemiology and Biostatistics, Programme for Educ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T-13, Room 101,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tario L8S 4K1, Canada. evakw@mcmaster.ca
Comment on
- A longitudinal study of self-assessment accuracy. [Med Educ. 2003]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자기주도학습, 자기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건의료인교육에서의 SDL (Ann Acad Med Singapore, 2008) (0) | 2015.10.07 |
---|---|
자기주도학습 (Arch Dis Child,1996) (0) | 2015.10.07 |
SDL - 개념과 맥락의 중요성 (Med Educ, 2005) (0) | 2015.10.05 |
SDL 교육, 평가, 정책 향상을 위해서는 이론이 필요하다 (Med Educ, 2011) (0) | 2015.10.05 |
학부의학교육에서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SDL: 멘토의 관점 (Med Teach, 2013) (0) | 2015.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