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1의학교육학교실, 2간호학과, 3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4재활복지교육대학

사회복지학과, 5의과대학 약리학교실


이금호1, 고유경2, 강경희3, 이혜경4, 강재구5, 허예라1






서론

대학생활을 하게 되는 20세 전후는 청년기에 접어드는 시기로 Erikson은 이 시기를 심리사회적 유예기간(psychosocial moratorium)이라고 하였는데, 이 기간 동안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인정받기 위해 여러 가지 역할들을 경험해보고 자신의 정체감을 형성해나가게 된다[1].


특히 의과대학생들은 많은 학습량, 긴 학업기간, 유급 및 성적에 대한 불안감 등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겪고 우울증 등 심리적 문제를 겪는다는 선행연구들을 찾아볼 수 있다. Saipanish [2]는 60% 이상의 의과대학생들이 심각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고 보고하였고,


유급에 대한 불안감 등 학업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6,7,8,9]. 그러나 이 외에도 불충분한 휴식시간, 낮은 자아존중감, 수면부족 등도 의과대학생들의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6,7,9,10].


의사나 의과대학생들은 낙인, 오명으로 인해 정신과적 도움을 받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다[13].


첫째, 의과대학생들의 우울, 스트레스, 자아존중감은 어떠하며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의과대학생들의 학업 스트레스는 어떠하며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의과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무엇이며 학년별, 상하집단별 차이가 있는가? 

넷째, 우울, 일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학업 스트레스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 대상 및 도구

Rosenberg가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Rosenberg Self-Esteem Scale, RSE)는 10문항으로 4점 Likert 척도로 이루어져있으며 0.92의 거트만 척도 재생산 계수를 가지고 있다[14].


Zung이 개발한 자기평가 우울반응척도(Self-Rating Depression Scale, SDS)는 우울의 세 가지 측면(파급적인 영향, 생리적인 부수현상, 심리적인 부수현상)을 조사하기 위해 고 안된 도구.


스트레스의 경우 Cohen 등이 개발한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erceived Stress Scale, PPS)를 사용하였는데, 개인의 일상생활에서 건강을 위협하거나 또 다른 대처를 요구하는 스트레스의 전반적인 인지상태를 사정하는 도구로 신뢰도(Cronbach’s α=0.78)와 타당도가 검증된 도구이다[16].


고찰

학년에 따른 우울을 비교해 본 결과, 3, 4, 5학년 학생들이 다른 학년보다 우울 정도가 심각하였는데, 미국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Chandavarkar et al. [17]과 Levine et al. [18]의 연구 결과에서도 1학년에 비해 학년이 올라갈수록 우울증이 심해진다는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임상실습 교육을 할 때 학생들의 스트레스가 가장 높다는 Radcliffe & Lester [19]의 연구와 일치한다.



















Mental Health and Coping Strategies among Medical Students
Keum-ho Lee,1 Yukyung Ko,2 Kyung-hee Kang,3 Hye-kuyung Lee,4 Jaeku Kang,5 and Yera Hur1
1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Daejeon, Korea.
2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Daejeon, Korea.
3Department of Dental Hygiene, College of Medical Science, Konyang University, Daejeon, Korea.
4Department of Social Welfare, College of Rehabilitation & Welfare & Education, Konyang University, Daejeon, Korea.
5Department of Pharmacology,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Daejeon, Korea.

Corresponding Author: Yera Hur.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Ko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158 Gwanjeodong-ro, Seo-gu, Daejeon 302-718, Korea. Tel: +82.42.600.6416 Fax: +82.42.600.6417, Email:shua@konyang.ac.kr Corresponding Author: Jaeku Kang. Department of Pharmacology, Ko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158 Gwanjeodong-ro, Seo-gu, Daejeon 302-718, Korea. Tel: +82.42.600.6415 Fax: +82.42.600.6415, Email: jaeku@konyang.ac.kr 
Received November 22, 2011; Revised December 08, 2011; Accepted December 19, 2011.


Abstract

Purpose

Recently, concern of the college students' mental health has increased due to their continuous psychologic problems such as suicidal attemp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among depression, stress, self-esteem, and coping strategies of the medical students and also according to the academic year.

Methods

The subject was 384 medical students of K medical school in Korea. Self-rating depression scale, stress scale, self-esteem scale was used for the survey, and academic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the students were asked.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t-test,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Results

Third year students were under most stress (F=5.67, p=0.000) and had the most students who were moderately (22.9%) and mildly depressed (6.3%). Stress form academic studies and grade was also the highest in third year students. For English fluency, freshmen students scored the top. Academic career stress and school culture stress were higher for year 3, 4, 5, 6 than year 1, 2 students. Differences of the coping strategies by academic year was significant in emotional display. Students who showed high level of depression and stress, also students with low self-esteem used emotional display as their major coping strategy.

Conclusion

Depending on their academic year medical students' level of depression and stress was different, and they did not use a variety of coping strategies. Therefore, a program which can give a diverse access to variety of coping strategies to relieve students' stress should be developed taking their characteristics of academic year into consideration.

Keywords: StressCoping strategiesMedical student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