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인성향, 스트레스, 대처효능감이 의학전문대학원생의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1부산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2가천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교육실, 3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교육실


윤소정1, 박귀화2, 정욱진2, 이상엽3






서론

단순히 의과대학 상황이 아니더라도, 높은 능력 수준을 갖춘 학생들로만 구성된 동질집단 내의 학습자들은 일반 학교에서는 겪지 못한 학업적 효능감의 저하나 어려움이 나타날 수 있다[2]. 이러한 현상은 문화적 보편성을 띄는 ‘Big-fish little pond effect’ 이론으로 설명될 수 있다. 즉, 다양한 수준의 학생들과 함께 교육받는 것에 비해 유사한 능력 수준을 가진 우수한 학생들끼리 교육을 받는 경우 상대적으로 학업적 자아효능감이 낮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1].


많은 연구에서 의대생들은 높은 학업능력과 학업동기를 지니고 의과대학에 입학하지만, 과도한 학습량, 잦은 시험, 성적 저하로 인한 유급 등과 같은 학업과 관련한 심리적 스트레스를 많이 겪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5].


또한 학생들이 학업적 어려움의 원인을 지각하는 방식은 스스로의 노력 부족과 같은 내적 요인(내적 귀인성향) 또는 타인이나 환경과 같은 외적 요인(외적 귀인성향)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귀인성향으로 인해 학업 실패 이후 행동의 변화 및 학업적응에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 특히, 내적 귀인성향이 높을수록 학업적응이나 학업성취가 높으며, 의과대학생들의 임상에서의 유능감에도 영향을 미친다[7].



연구 도구

1) 학업적응 척도(Academic adjustment scale)

Baker & Siryk [9]이 개발 제작한 것을 Jung [10]이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안한 4개 하위 척도(학업적응 척도, 사회적응 척도, 개인-정서적응 척도, 대학환경적응 척도) 중 연구목적과 관련이 있는 학업적응 척도만을 사용하였다


2) 귀인성향 척도(Attribution tendencies scale)

Levenson [11]이 개발한 귀인성향 척도를 An [12]이 우리의 실정에 맞게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3) 의학스트레스 척도(Medical stress scale)

의과대학에서 느끼는 스트레스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Vitaliano et al. [13]이 개발한 척도를 An et al. [14]이 우리의 실정에 맞게 번안한 9문항을 사용하였다


4) 대처효능감 척도(Coping efficacy scale)

대처효능감은 복잡하고 어려운 상황을 대처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는 자신감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Klink et al. [15]이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대처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결과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학생들의 학업적응, 귀인성향, 스트레스, 대처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둘째, 학생들의 학년에 따른 학업적응, 귀인성향, 스트레스, 대처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ANOVA를 실시하였다. 셋째, 귀인성향, 학업스트레스, 대처효능감이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였다.


고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학업적응, 내적 귀인성향, 대처효능감이 높았으나, 스트레스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즉, 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높고, 행동결과의 원인을 자신에게서 찾는 경향과 학업적응도 또한 높다는 것을 말해준다. 반면,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미 많은 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일치하는 결과이며[16], 동일한 상황이나 환경에 대해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민감하고 인색하게 반응하는 경향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Radcliffe & Lester [17]의 연구에서는 학생들은 의과대학 입학, 임상실습 시작과 같은 전환기 시점(transition periods)에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The Effects of Attribution Tendencies, Academic Stress, and Coping Efficacy on Academic Adjustment of Medical Students
So-Joung Yune,1 Kwi Hwa Park,2 Wook-Jin Chung,2 and Sang-Yeoup Lee3
1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2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Gach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ncheon, Korea.
3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Busan, Korea.

Corresponding Author: Kwi Hwa Park.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Gach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196-6 Guwol-dong, Namdong-gu, Incheon 405-760, Korea. Tel: +82-70-7120-7931, Fax: +82-32-464-4004, Email: ghpark@gachon.ac.kr 
Received March 23, 2011; Revised June 07, 2011; Accepted June 13, 2011.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types of attribution tendencies, academic stress, coping efficacy, and academic adjustment in medical students and identified the means by which the academic adjustment of medical students can improve.

Methods

Four hundred forty-two subjects from 2 medical schools in Korea were analyzed; 202 were male, 206 were female, and 34 did not identify their gender. We surveyed their academic adjustment, attribution tendencies, academic stress, and coping efficacy.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ale group scored higher on academic adjustment, internal attribution tendency, and coping efficacy but lower on academic stress than the female group. Coping efficacy and internal attribution tendency affected the academic adjustment positively while academic stress influenced it negatively.

Conclusion

The study indicates that students with higher scores on coping efficacy and internal attribution tendency and who have lower scores on academic stress tend to adjust better academically in medical school. Therefore, these findings may be helpful for medical schools in designing effective academic adjustment programs to improve coping efficacy and internal attribution tendency and reduce academic stress. Further, these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planning learning consultation programs, especially in Year 1.

Keywords: Academic adjustmentAttribution tendenciesAcademic stressCoping efficacyMedical studen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