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머니즘 or 프로페셔널리즘? 화이트코트 세러모니와 의학교육(Acad Med, 2008)

Humanism or Professionalism? The White Coat Ceremony and Medical Education

Judah L. Goldberg, MD, MA





대학원생조차 일반적인 소양의 함양을 놓치고는 오직 프로페셔널리즘에만 빠져서는 안됩니다.

-B.A. Hinsdale, 교육학 : 과학, 예술, 역사. 시카고, Ill : Werner School Book Co., 1896

Even the graduate student should not lose sight of general cultivation and fall into stark professionalism. 

—B.A. Hinsdale, Studies in Education: Science, Art, History. Chicago, Ill: Werner School Book Co., 1896.


더 나쁜 것은 프로페셔널리즘 자체로 휴머니즘적 가치를 완전히 포함하며, 따라서 프로페셔널리즘만으로 의학에서의 미덕에 대한 열망을 모두 나타낼 수 있다고 가정하는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나는 프로페셔널 환원주의가 우리의 도덕적 기초를 풍부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빈곤하게 만들며, 궁극적으로는 진정한 휴머니즘적인 도덕적 나침반을 상실하도록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한다.

Worse, there is a growing trend to assume that professionalism itself fully encompasses humanistic values and that professionalism alone can therefore represent the entire aspiration for virtue in medicine. I argue that this tendency towards professional reductionism impoverishes, rather than enriches, our moral base and could ultimately leave medicine bereft of a true humanistic moral compass.



"휴머니즘과 프로페셔널리즘"의 두 가지 가치를 증진시키는 데 있어서, 프로페셔널리즘으로 휴머니즘을 덮어두려는 "휴머니즘은 프로페셔널리즘의 중심이다"와 같은 시도를 함으로써, 의학계는 의과대학생의 도덕적 발달을 분명히하기보다는 더 혼란스럽게 만들며, 깊은 도덕적 발달을 장려하기보다는 방해한다.

In promoting the dual values of “humanism and professionalism,”1 or actually enveloping the former within the latter, as in “humanism is . . . central to professionalism,”2 the medical community confuses more than it clarifies, and it hampers, rather than encourages, deep moral development in medical students.



휴머니즘 vs 프로페셔널리즘

Humanism Versus Professionalism



존경받는 아놀드 피 골드 (Arnold P. Gold) 박사는 어떻게 "학생들은 휴머니즘과 프로페셔널리즘을 과소 평가했다"라고 느끼게 되었는지 묘사하며, 그 계기로 자신과 그의 아내 인 Sandra Gold 박사가 "White Coat Ceremony"의 스폰서 조직인 Gold Foundation을 설립하게 되었는지 말하였다.

The highly respected Dr. Arnold P. Gold has described how he felt that “students were undervaluing humanism and professionalism,”6 motivating him and his wife, Dr. Sandra Gold, to launch the pioneering Gold Foundation, the sponsoring organization for the White Coat Ceremony.7



White Coat Ceremony (WCC)를 묘사하며, 한 최근의 교수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리뷰는 이것을 학생들이 "흰 코트를 입고 책임감의 의미, 휴머니즘과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기대를 배우는 과정"이라고 설명합니다 .1 화이트 코트 의식에 대한 또 다른 해설은 이렇다 "(이 의식은) 화이트코트가 프로페셔널리즘과 인본주의의 상징이라는 의식에서 유래하며, 전 의대에 암묵적 reminder로서 남아있다"8

 Describing the White Coat Ceremony, a recent review of teaching professionalism explains it as a process by which students “learn the meaning of responsibility that comes with wearing the white coat, the expectations for humanism and professionalism.”1 Another commentary on the White Coat Ceremony reflects this language: “the white coat emerges from the ritual as a symbol of professionalism and humanism, and remains a tacit reminder throughout medical school.”8




일부는 휴머니즘과 프로페셔널리즘을 조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프로페셔널리즘 안에 휴머니즘을 찾고자했다. 따라서 미국 내과의위원회의 간행물 인 "Project Professionalism"은 "휴머니즘은 프로페셔널리즘의 중심이다. . .:라고 기술하고 있으며, 이는 "Humanism은 전문성의 중심적인 측면이다."라고 쓰여진 Gold 박사의 기술에서 거의 똑같은 내용을 담고있다. 이 관점에서, "Humanism and professionalism"에 대한 논의는 거의 redundant한 것이었으며, 왜냐하면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이 겉보기에는 예외없이 휴머니즘의 정신과 가치를 받아 들였기 때문이다.

Some have gone even further, not just pairing humanism and professionalism but subsuming humanism within professionalism. Thus, “Project Professionalism,” a publication of the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states that “humanism is . . . central to professionalism.”2 This language is almost exactly duplicated by Dr. Gold, who has written, “Humanism is the central aspect of professionalism.”10 From this perspective, discussion of “humanism and professionalism” is almost redundant because medical professionalism has seemingly embraced the spirit and the values of humanism without reservation or exception.




최근 코헨 (Cohen)은 휴머니즘과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독립적인 정의와, 의학교육에서 각각이 필수불가결함을 주장했다. 코헨 (Cohen)의 경우 휴머니즘과 프로페셔널리즘은 완전히 상호보완적인 것으로, 휴머니즘은 "Authentic 프로페셔널리즘에 생기를 불어넣어주는 열정"을 제공합니다. 이 두 가지는 (내적 긴장이나 모순을 가지고 있지 않은) 의사의 미덕에 대한 통일되고 일관된 비전의 두 부분이다.

More recently, Cohen11 has argued for independent definitions of humanism and professionalism and the indispensability of each for medical education. Still, for Cohen, humanism and professionalism are fully complementary, with humanism providing “the passion that animates authentic professionalism.” Together, they represent two halves of a unified, coherent vision for physician virtue, devoid of any internal tensions or contradictions.


휴머니즘과 프로페셔널리즘을 결합하려는 경향은 아마도 구성 요소의 상당 부분이 겹쳐서 발생했을 것입니다.

The tendency to combine humanism and professionalism probably stems from a considerable overlap in their constituent elements.


휴머니즘과 프로페셔널리즘은 두 가지 매우 다른 의사 실천의 정신ethos을 보여주며, 의사 - 환자 관계에 대한 다양한 시각에서 나온다. 그들은 종종 의사에게 중복되거나 보완적인 요구를 할 수도 있지만, 이 두 가지는 서로 나뉘어서,서로 충돌 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이 둘 사이의 구별을 모호하게 하는 것은 이 두 가지를 모두 훼손할 수 있다.

Humanism and professionalism, in my understanding, identify two very different ethos of physician practice and emerge from divergent visions for the physician– patient relationship. Although they may often make overlapping and complementary demands of a physician, they can also split, run counter to each other, and collide. Furthermore, blurring the distinctions between the two undermines both.



휴머니즘의 특징은 보편성, 평등주의, 범위scope니다. 한편 이것은 모든 인간에게 똑같이 적용됩니다. 휴머니즘 훈련의 장은 대부분 인간과 인류에 대한 경험이다. 궁극적 목표는 가능한 한 광범위하게 생각되는 인간의 복지welfare이다. 그것은 전문적 전문 지식이나 특별한 지식을 요구하지 않으며, 다차원 적으로 서로 참여할 준비가되어있는 사려 깊고 신중한 인간을 필요로 할 뿐이다. 또한, 그것은 임상 의학에 국한되지 않으며, 그것을 초월하여 존재한다.

The hallmarks of humanism are its universality, its egalitarianism, and its scope. Its concerns, on the one hand, and obligations, on the other, apply to all humans equally; its training ground, for the most part, is experience—as a human and with humanity; and its ultimate vision is for human welfare, as broadly conceived as possible. It requires neither professional expertise nor special knowledge, only reflective and thoughtful human beings who are ready to engage one another across multiple dimensions. Furthermore, it is in no way bounded by clinical medicine but transcends it.



대조적으로, 프로페셔널리즘은 사회적으로 구축 된 지역적 현상이다. 그것은 "직업"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에 바탕을두고 있습니다. Eliot Freidson의 고전적 정의에 따르자면, "전문지식이 반-자율적 미니-사회로서 독립적으로 기능할 권한을 부여하는 일군의 특화된 근로자worker". 사회적 단위로서의 profession의 강점은 뚜렷하고 통합된 집단적 정체성을 주장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다음의 통해서 이루어진다. 

  • 전문 단체 참여;

  • 부유하고 내부적인 전문 문화를 양성

  • 직업의 기준에 어긋나는 사람들에 대한 비난.

프로페셔널리즘은 프로페셔널한 행동에 대한 기대를 이데올로기 수준까지 올리며, 모든 구성원이 profession의 전통을 받아들이고, 가능한 한 "프로페셔널"하도록 격려합니다.

Professionalism, in contrast, is a socially constructed, local phenomenon. It is rooted in a sociological understanding of a “profession,” for which I rely on the late Eliot Freidson’s13 classic definition in his landmark Profession of Medicine: a group of specialized workers whose expert knowledge earns them the right to function independently as a semiautonomous mini- society. The strength of a profession as a social unit lies in its members’ assertion of a distinct and consolidated collective identity, whether through 

  •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organizations; 

  • the nurturing of a rich, internal professional culture; or 

  • censure of those who deviate from the profession’s standards of conduct. 

Professionalism raises expectations for professional behavior to the level of ideology, encouraging all members to embrace the traditions of the profession and to be as “professional” as they can.



그러나 프로페셔널하다는 것은 정확히 무엇인가?

But what, exactly, does it mean to be professional?




예를 들어, 공감, 존경, 연민은 확실히 의학의 self-image의 일부이지만, 다음의 것들도 있다.

  • 의사의 적절한 복장, 태도, 언어 및 습관에 대한 특정 표준;

  • 낯선 사람들을 expose하고 touch하는 것에 대한 일반적인 사회적 금기를 trespass하는 것에 대한 일정수준의 인정

  • 임상 상황에서 환자 간호와 학생 멘토링을 조화시킬 준비

  • 의사 책임의 한계에 대한 암묵적인 이해

  • 본질적으로 과학 분야로서의 의학의 비전

Empathy, respect, and compassion, for instance, are certainly part of medicine’s self-image, but so are 

  • certain standards of the appropriate dress, demeanor, language, and habits of a physician; 

  • a level of comfort in trespassing usual social taboos of exposing and touching strangers; 

  • a readiness to blend patient care with student mentoring in clinical contexts; 

  • a tacit understanding of the limits of physician responsibility; and 

  • a vision of medicine as an essentially scientific field. 


이 요소들 중 어느 것도 노골적으로 반대할 것은 없지만, 몇몇은 의심할 여지없이 어떤 '가치'가 담겨있으며, 토론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들도 거의 의학의 전통 그 자체보다 조금 더 정당화된다. 프로페셔널리즘의 이데올로기는 introspection을 위한 어떠한 기초도 제공하지 않고, 무차별적으로 모든 것을 촉진합니다.

None of these elements by themselves are outright objectionable, but several of them are unquestionably value laden and could be subject to discussion, yet they are usually justified by little more than the traditions of medicine themselves. An ideology of professionalism simply promotes all of them indiscriminately without offering any basis for introspection.






휴머니즘은 보편적 가치에 호소하는 반면, 

프로페셔널리즘은 주로 주변의 일반인 공동체와 구별되는 self-identity를 가진 그룹의 local tradition에 뿌리를두고 있습니다.

While humanism appeals to universal values, professionalism is rooted in the local traditions of a group whose self-identity lies primarily in its distinction from the surrounding lay community.



머리가 좋고 민감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휴머니즘에 대해 논평 할 수있는 반면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규범적 이해는 전문 집단에 속해 있다.

Anyone with a good head and sharpened sensitivities may comment on humanism, whereas the normative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belongs to the professional group,




전문가 그룹은 프로페셔널리즘의 내용과 이슈가 무엇인지를 정의하기 때문에, 프로페셔널리즘의 내용 역시 인본주의의 내용보다 좁습니다.

The content of professionalism, too, is narrower than that of humanism because the professional group defines what the content and issues for professionalism will be.



동기 부여 역시 휴머니즘과 프로페셔널리즘을 나눈다. 인본주의는 주로 인류를 향한 의무에서 나온다

한편, 프로페셔널리즘은 사회에만 간접적으로 관련됩니다. 전문직이 사회에 대해 더 나은 service를 하는 것이 결과일 수는 있지만, 프로페셔널리즘 자체는 주로 전문직 자신을 위하여 자율성과 Integrity를 보호하기위한 것이다.

Motivation is also a dividing point for humanism and professionalism. Humanismemanates from a primary duty towards humanity. Professionalism, on the other hand, relates only indirectly to society. Enhancement of the profession’s service to society might be a result, but professionalismitself is aimed primarily towards protecting the autonomy and integrity of the profession for its own sake.14



휴머니즘의 중심은 철학입니다. 사회적 과정이 휴머니즘적 도덕 발달에 기여할지라도, 교리doctrine는 본질적으로 인지적이며 따라서 항상 합리적 담론의 적용을받습니다.

Humanism, at its heart, is a philosophy. Although social processes may contribute to humanistic moral development, the doctrine is an essentially cognitive one and, therefore, always subject to rational discourse.


이와는 대조적으로 전문직과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은 사회적 현상입니다. 프로페셔널리즘을 습득하는 주된 방식은 합리적인 학습을 통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그 집단에 새로운 구성원들이 (집단의 사회적 전통을 흡수하는) 강렬하고 잘 연구 된 사회화 과정을 통해서이다 .16-19

The professions, and medical professionalism, by contrast, are social phenomena. The primary mode of initiation is not through rational learning but, rather, through an intense and well- studied socialization process through which newcomers absorb the social traditions of the group.16–19



도덕 심리학 분야에서 용어를 빌리려면 전문성이 "인습적사고conventional thinking"를 대표하지만 인본주의는 "후인습적사고postconventional thinking"의 예이다.

To borrow terms from the field of moral psychology, professionalism typifies “conventional thinking,” whereas humanism is an example of “postconventional thinking.”20


인습적 사고는 사회 협약의 좁은 시각을 통해 행동을 판단합니다.

Conventional thinking judges behavior through the narrow lens of social convention. 


후인습적 사고는 단순히 받아 들여진 관행을 초월하여, 인간 상호 작용을위한 공정하고 보편적인 지침을 마련하고자한다.

Postconventional thinking, on the other hand, seeks to transcend mere accepted practice and construct fair, universal guidelines for human interaction. 


인습적 사고가 확립 된 사회적 역할과 규범에 대한 과도한 매혹fascination에서 흘러 나오는 반면에, 

후인습적 사고는 종파적 사고와 사회적 계급에서 벗어나 우리의 공통적 인 인간 정체성에 탐닉 할 때 가장 번성합니다.

Whereas conventional thinking flows from an undue fascination with established social roles and norms, postconventional thinking thrives best when we break out of sectarian outlook and social rank, indulging instead in our common human identity. 


인습적 사고는 고립된 그룹의 관례와의 비교에 전적으로 의존하며, 그것이 통과한 판단을 분석할 언어를 제공하지 않는다.

Conventional thinking, on the other hand, relies completely on comparison with an isolated group’s conventions and offers no language through which to actually analyze the judgments it passes.


후인습적 사고는 여러 관점을 고려하고 공통 핵심 가치를 파악하는 숙의 과정입니다.

Postconventional thinking is a deliberative process through which we consider multiple perspectives and identify common core values. 



휴머니즘과 관련하여 의학적 맥락에서 배운 교훈은 유익 할 수도 있지만, 전문직 정체성과 달리 휴머니즘은 자연인 정체성lay identity로서 자연스레 흐른다.

Regarding humanism, lessons learned from the medical context may be instructive, but humanismactually flows most naturally from a lay, rather than a professional, identity.



프로페셔널리즘의 한계도 분명해진다. 모든 형태의 인습적 사고와 마찬가지로, 프로페셔널리즘은 여러 유형의 범법을 합리적으로 구별 할 수 없습니다. 기본 원칙으로부터 논리적으로 구축되고, 따라서 도덕적 책임의 정교한 위계를 개발할 수 있는 휴머니즘과는 달리, 프로페셔널리즘은 도덕적 가중치를 부여하는 분석 도구 없이, 임의arbitrary의 관습에 대한 정적 영역static field에 직면합니다. 프로페셔널하게 행동하지 못한다는 것은 그저 의업의 관행convention에서 일탈했다는 것 정도를 의미할 뿐이다.

The limits of professionalism also become apparent. As with all forms of conventional thinking, professionalism cannot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types of transgressions on a rational basis. In contrast to humanism, which is logically constructed out of foundational principles and can therefore develop a sophisticated hierarchy of moral responsibilities, professionalism confronts a static field of arbitrary conventions without any analytical tool for assigning moral weights. Acting unprofessionally means little more than deviating from the conventions of medicine.



예를 들어 프로페셔널리즘은 환자에게 거짓말하는 것이 왜 티셔츠를 입고 출근하는 보다 나쁜지를 설명 할 수 없다.

for instance, professionalism cannot explain why lying to a patient, is worse than wearing a T-shirt to work,



그러나 이런 것은 철학적 문제가 아니라 사회학적 탐구일 것이다.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이 사회학자들을 매료시킨 것도 당연하다. 반면에 일부 철학적 관심을 가진 임상의는 프로페셔널리즘의 개념이 thin하다고 보았 .24-25 이와 달리 휴머니즘은 (진료실에서 옷을 차려입지 않는 것에 비해서) 왜 환자를 속이는 것이 환자의 본질적인 인간성을 존중하지 않는 것인지에 대한 일관된 주장을 제시 할 수있다.

Such an undertaking, however, would be a sociological inquiry, not a philosophical one. No wonder that medical professionalism has fascinated sociologists,21–23 whereas some philosophically inclined clinicians have regarded it as conceptually thin.24–25 Humanism, on the other hand, can offer a coherent argument for why deception more gravely disrespects a patient’s essential humanity than does dressing down in the clinic.


그렇다고 해서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이 이기적이고, 부정직하고, 익살스럽고, 심지어는 버려도 되는 것임을 의미하지 않는다.

None of this means that medical professionalism is self-serving, disingenuous, farcical, or even dispensable.



프로페셔널리즘을 특징짓는 것은 

  • socially constructed 되었다는 본질이며, 따라서 프로페셔널리즘은 본질적으로 임의적인arbitrariness 것입니다. 

  • 프로페셔널리즘이 중첩되고, 교차하며, 모순적인 목표와 이해의 이질적인 얽힘이라는 것 (예 : Care에 대한 접근성 향상과 의사에 대한 높은 보상의 전통 유지 사이의 갈등); 그리고 

  • 프로페셔널리즘의 숙고적이기보다는 인습적인 특성 

What does mark professionalism, is 

  • its socially constructed nature and, therefore, its essential arbitrariness; 

  • its heterogeneous tangle of overlapping, intersecting, and contradictory goals and interests (e.g., the conflict between improving access to care26 and preserving a long tradition of high compensation for physicians); and 

  • its conventional, rather than deliberated, character. 

여러 의료계가 프로페셔널리즘을 어떻게 다르게 해석했는지 깨닫는 것은, 현재 그것을 맹세하고 있는 사람들이 깨달아야 할 점이다. 예를 들어, 21 세기의 프로페셔널리즘이 과학적 요소를 넘어서서 의학의 기술art을 강조한다면, 20세기 초반에는 정확히 그 반대였는데, 그 당시 프로페셔널리즘은 무엇보다 감정적으로 거리를 두고 과학적 단호함stoicism을 강조했다.

Just realizing how differently various medical circles have interpreted professionalism over time ought to chasten those who currently swear by it. If professionalism in the 21st century emphasizes the art of medicine over its scientific component, for instance, the exact opposite was true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when professionalism in medicine meant emotional distance and scientific stoicism above all else.27



프로페셔널리즘 의제를 담당하는 전문직 societies가 스스로 공범자라면, 비판은 어디에서 올 수 있습니까? 그리고 만약 일반인의 휴머니즘이 실제로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의 중심이된다면, 이러한 관행과 관련하여 대중의 분노와 professional smugness의 불균형을 어떻게 설명 할 수 있을까요?

If the professional societies responsible for the professionalism agenda are themselves complicit,29 from whence can come a critique? And, if lay humanism has indeed become central to medical professionalism, how do we explain the disparity between public outrage and professional smugness with regard to these practices?




의학교육의 "거친 가장자리"에서

At The “Rough Edge” of Medical Education


휴머니즘과 프로페셔널리즘 사이의 긴장을 문서화하려면, 의학지식을 수동적으로 흡수하던 학생이 의료시스템의 능동적 참여자로 전환하는 3학년 임상실습학생을 관찰하면됩니다. 이러한 변화가 스트레스를받는다면 주된 이유 중 하나는 이 임상실습생이 휴버니즘에 대한 근본적으로 다른 문화적 이해 겪게 되면서, 갑자기 순수한 일반인의 정체성을 벗어나 전혀 다른 비-성찰적 문화를 내면화해야하기 때문입니다.

To document the tension between humanism and professionalism, one need only observe third-year medical clerks as they shift from passive absorbers of medical knowledge to active participants in the health care system. If this transition is stressful, one of the primary reasons is because these clerks must suddenly leave behind a purely lay identity and internalize an entirely different,17 unreflective culture,30 including a radically different cultural understanding of humanism.


대학 교육은 무엇보다 인격과 개존중을 옹호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초기 임상 교육은 이제 환자에게 항의protest의 기회를 거의 제공하지 않으면서, 환자에게 스스로 진입, 교란, 깨우기, 옷을 벗기고 조사 할 것을 지시합니다.

Whereas students’ college educations likely championed respect for persons and personal integrity above all else, their early clinical training now instructs themto enter, disturb, wake, undress, and examine at will in an environment that hardly offers the patient a chance to protest.



"종종 병원에서는 입원한 사람들의 삶에 침입하여, 내가 원하는 것만 얻고는 계속 나아 간다."31

“Often in the hospital setting I feel I intrude into people’s lives, take what I want, and move on.”31


우리가 다소 어쩔 수없이 그것이 불가피하다고 가정하더라도, 이러한 행동이 필연적으로 (medical profession이 거의 알아채지 못하는 수준까지) 학생들의 일반적 감수성을 배신하고, 훼손한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Even if we assume, somewhat generously, that it is unavoidable, this doesn’t change the fact that these behaviors inevitably betray and, quite possibly, erode32 the lay sensitivities of medical students to a degree that the medical profession rarely acknowledges.


우리는 의대생의 자체보고 된 내적 긴장과 갈등을 조사함으로써 휴머니즘과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의 거친면을 많이 배울 수 있습니다. 여러 연구에서 의과대학 학생들이 의학교육이 진행되며 관찰하고 참여하는 과정에서 ethical lapses가 어떤 것이 있는지를 보고했을 뿐만 아니라, 점점 standards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했다.

We can learn much about the rough edge of humanism and professionalism education from examining medical students’ self-reported internal tensions and conflicts. Several studies, have documented the ethical lapses that medical students both observe and participate in during medical school, as well as a trend towards lower standards as medical education progresses.31,33–44


그러나 이러한 분석에서 빠진 것은 '비 윤리적'이나 '비전문적'과 같은 가치 판단이 사회 학적 구성 요소라는 인식이다. Charles Bosk 45-46은 "medical error"에서 "오류"의 정의는 "협상 된 개념"이며, 해석의 대상이되고, 보건 의료 시스템에서 개인의 역할이 무엇인지에 영향을 받는다고 강조했다. 이는 행위의 판단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환자가 무례하다고 생각하는 것도 의사에게 받아 들여지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예 : 응급실에서 외상 환자의 즉각적인 전신 노출)

However, what is missing from many of these analyses is the recognition that value judgments such as “unethical” and “unprofessional” have a sociological component to them. Charles Bosk45–46 has emphasized a similar point with regard to medical error, arguing that the very definition of “error” is a “negotiated concept,” subject to interpretation and influenced by one’s role in the health care system. The same holds true for judgments of conduct. What a patient considers rude might seem acceptable to a physician (e.g., immediate total-body exposure of trauma patient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물론, 여기서 엄청난 분열에 휩싸이는 것은 일반인과 전문인의 얇은 경계에 서있는 의과대학생이다. 의료 학생은 하루 또는 그 상사의 분위기에 따라 병원 작업 그룹의 일원으로도, 또는 외부인으로도 대우받을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학생들은 간호사 스테이션의 안쪽과 바깥쪽을 모두를 학습하며, 내부자의 관점은 물론 여전히 존재하는 일반인의 눈으로도 보게됩니다 .40

Straddling the great divide, of course, is the medical student, who lives on the ever-so-thin boundary between lay and professional. Depending on the day, or the mood of their superiors, medical students may either be granted entry into the hospital’s work group or be treated as outsiders. Similarly, students themselves study their environment from both sides of the nurses’ station, viewing it alternatively as insiders or through the eyes of the lay community from which they are still emerging.40


이 사건은 일반인과 전문직, 휴머니즘과 프로페셔널리즘 사이의 투쟁을 볼 수있는 독창적 인 렌즈를 제공 할 수 있다.

The cases can provide a unique lens through which to view the struggles between lay and professional, between humanism and professionalism,


비록이 두 가치 체계가 의대생의 영혼에 평화롭게 공존하면 좋겠으나, 그 데이터는 항상 그런 것은 아니라고 제안합니다.

Although popular wisdom holds that these two value systems should peacefully coexist in the soul of a medical student, the data, suggest that this is not always the case.


외관상으로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것처럼 보이는 의료시스템에 대한 학생의 절망에는 몇 가지 주제가 있다. 가장 흔한 것은 병동의 보건 의료 팀의 권한과 권위에 대한 학생의 불편 함입니다. 학생들이 개업의와 클라이언트 간의 관계를 더 잘 상상하는, 반면 실제로 병원에서는 환자가 자신의 질병을 통제 할 수있는 부분을 상당히 빼앗아간다.

Students’ reported dismay about the seemingly normal functioning of the health care system around them falls along several different themes. By far, the most common is student discomfort with the power and authority of the health care team over its ward. Whereas the students imagine a more even relationship between practitioner and client, the hospital setting in practice robs patients of much of their control over their illnesses, right down to their very diagnoses.



현대 의료 시스템에서 의료 결과는 환자만의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진단 결과를 환자와 언제, 어디서, 어떻게 공유할 것인지는 주치의의 결정사항이다. 학생들의 상사는 정상 참작extenuating 상황에서도 이 소유권을 당연하게 여깁니다. 반면에 학생들은 의사의 전지전능함과 환자의 좌절스러운 blindness 사이에서 불편함을 느끼고, 이러한 형태의 권위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합니다.

In the modern health care system, medical results do not belong to the patient. Rather, they rest with the attending physician, who controls when, where, and how to share themwith a patient. The students’ superiors take this ownership for granted, even in extenuating circumstances. The students, in contrast, express deep misgivings about this formof authority, as they find themselves uncomfortably situated right at the gap between physicians’ medical omniscience and patients’ frustrating blindness.



학생들이 의학의 경계에 대해서 놀라는 것은 휴머니즘과 프로페셔널리즘 사이의 줄다리기를보다 직접적으로 보여준다.

More directly demonstrative of the tug-of-war between humanism and professionalism is students’ surprise with the boundaries of medicine.



학생들이 사회 문제를 포함하는 광범위하고 휴머니즘적 건강과 번영 개념을 가지고 임상적 맥락에 접근하는 반면, 학생들의 종종 superiors들이 사회적 문제를 제외하고 유기적 질병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을 보게 된다.

Whereas the students approach the clinical context with an expansive, humanistic conception of health and flourishing that includes social concerns, they sometimes find that their superiors exclude primarily social problems from the medical realmand focus only on organic disease:




학생은 (주치의가) 심각한 만성 환자의 건강과 복지라는 더 큰 위협을 무시하면서, 급성 호흡기 문제에만 집중하는 데 큰 아이러니를 보게 된다.

The student, apparently, sees great irony in narrowly focusing on an acute respiratory problemwhile ignoring the larger threats to health and well-being in this chronically ill patient.



인턴은 무관심합니다. 냉소주의 때문이든 사직 때문이든, 그 둘 다든, 그 인턴은 자신의 전문적 역할을 좁게 정의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환자가 다시 입원하더라도 그 때는 다른 사람이 볼 것이다.

The intern, however, is uninterested. Whether out of cynicism, resignation, or both, he has learned to define his own professional role just that narrowly. The patient’s next admission will belong to someone else.



파슨스 (Parsons) 등에 따르면, 학생들은 의학 문화에 대해 "외부인" 또는 "내부자"의 입장을 오가며 환자 또는 의사의 관점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실습 초기에는 병원에서 사용되는 속어와 유머 감각을 보고는 그것의 유머 감각의 적절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According to Parsons et al, students may be alternatively “outsiders” or “insiders” to the medical culture, capable of identifying with either the patients’ or the physicians’ perspectives. Early on, students express shock at the slang and humor in the hospital, observing from the sidelines and question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humor:




[레지던트들은] 노인 환자를 두꺼비와 개구리, 고메 (GOMER의 단축 된 형태)로 이야기했습니다. 나는 환자가 그런 식으로 이야기하는 것을 들어 본 적이 없었다. 그리고 교실에서 클리닉으로 갈 때 의사들이 생각했던 것과 같은 이상을 가지고 .... 큰 축구 팀처럼 아침 식사를하면서 20 명의 의사가 환자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것은 매우 실망스러웠다.

[The residents were] talking about older patients as toads and frogs and gomes [a shortened formof GOMER]. I had never heard patients talked about in that way. And just going from the classroom to the clinics with all these ideals of what doctors were supposed to be like....It was 20 [physicians] sitting at breakfast together like a big football team and talking about patients in a way that was very disappointing.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생들은 그들의 superior를 어떻게 identify할지를 배우며, 유머를 더 많이 받아들이며, 심지어 그 유머에 참여하는 방법을 배우게됩니다. 초기에 실망했따고 묘사한 학생이 subinternship을 끝내면서 자신의 태도의 변화를 설명합니다.

Over time, however, the students learn to identify with their superiors, growing more accepting of the humor and even participating. The same student who described initial disappointment then explains the shift in attitudes that came with finishing a subinternship:




의사들이 처음에는 사람들에 관해 이야기하는 방식에 너무 놀라웠습니다. 그러나 피곤하고 수면을 박탈당하는 한 달을 끝내고, 어리석은 것들을 위해 밤새도록 일어나서, 나는 좌절이 어디서 오는 지 볼 수 있습니다. 나는 아직도 그것이 옳다고 생각하지 않지만 조금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제 사람들이 왜 환자와 가족에 관해 그렇게 말하는지를 알 수 있다.

I was so shocked at the way doctors talked about people in the beginning. But having just finished a month of being that tired and sleep deprived, and being up all night for really stupid things, I can see where the frustration comes from. I still don’t think it’s right, but I can understand it a little. Now it’s no longer inconceivable to me why people talk that way about patients and families.




다시 한번 우리는 프로페셔널리즘에 관한 party line에 결코 순응하지 않는 행동 양식을 만나지만, 학생에게는 그 조차 medical profession의 중요한 부분인 것이다.

Yet again, we encounter a formof behavior that by no means conforms to the party line on professionalism, yet is, for the students, part and parcel of belonging to the medical profession.



의미 론적 대담에 빠지기보다는, 하나의 간단한 점을 강조 할 것입니다: 학생들이 보는 방식은 그렇지 않다. 그들에게, 이것은 가장 authentic한 professional medicine이다. 같은 이유로, 저는 두 사람 모두 의과 대학 학생을위한 직업적 규범을 대표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이 상황에서 입소자와 주치의 사이의 구별을 글로 나타내 었습니다. 학생의 관점에서 볼 때, collective, naive 양심은 professional practice의 관습에 어긋나지만, 많은 경우 결국 굴복했다. 데이터가 암시 하듯이, 학생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화하며, 예를 들어 한때 불편해했던 방식으로 환자에 대해 이야기하게 된다. 

Rather than descend into a semantic squabble, I will highlight one simple point: that’s not how the students saw it. For them, this was professional medicine at its most authentic. For the same reason, I have glossed over any distinction between resident and attending behavior in this context because both, I believe, were representative of professional norms for the medical students. from their perspective, their collective, naı¨ve conscience was hitting up against the conventions of professional practice, and, in many cases, it succumbed. As the data suggest, the students evolve over time, willing, for instance, to speak about patients in ways that they themselves used to find disturbing.34,38,40




이러한 변화를 어떻게 정확하게 묘사해야합니까? 이것은 진정한 가치를 잃는 현상입니까 아니면 새로운 전문 가치를 얻는 것인가?

How, exactly, should we describe this transition? Specifically, is this indeed a phenomenon of losing values, or would we better describe it as a gaining of a new set of professional values?



대답은 중요하다. 왜냐하면 윤리적 타락의 스토리가 의학 교육의 프로페셔널리즘의 현재 물결의 중심이기 때문이다.

the answer is crucial because the storyline of ethical erosion is central to the current wave of professionalism in medical education.



의대생이 보고 한 변화를 일반적인 휴머니즘적 가치와 프로페셔널 가치를 거래하는 과정으로 해석하고, 프로페셔널리즘을 더 강하게 요구하는 것은 그 대응이 될 수 없다. 그렇게 한다면, 오히려 의과대학생들에게 우리가 추구하는 바를 정확하게 잃게 할 것이다.

if we interpret the changes that medical students report as a process of trading lay, humanistic values for professional ones, then pushing professionalism even harder cannot be the response. To the contrary, all it does is further befuddle medical students about exactly what we seek from them.



화이트코트 세러모니

The White Coat Ceremony


혼란이 시작되는 미국 의학 교육을위한 거의 보편적 인 오프닝 종인 화이트 코트 의식 (White Coat Ceremony)을 보자. 골드 재단은 프로페셔널리즘을 향한 추세를 좌절시키고 "의학의 휴머니즘"을 주요 미션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7 화이트 코트 의식은 [의식과 보상을 통해 가치와 전통을 구축하려는 노력]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업적입니다. 그것은 휴머니즘을 높이고 확장시킬 것입니다. "10 그러나 금 재단은 이 목적을 위해 어떤 상징을 사용합니까? 하얀 가운, 즉 직업으로 medicine의 최고 아이콘이다.

we come to the White Coat Ceremony, the almost universal opening bell for American medical education, where the confusion begins. The Gold Foundation, to its credit, has bucked the trend towards professionalism and continues to identify “humanism in medicine” as its primary mission.7 The White Coat Ceremony remains its most visible achievement in trying to “build values and traditions through rituals and rewards that would elevate and expand humanism.”10 But what symbol does the Gold Foundation use for this purpose? The white coat, the supreme icon of medicine as a profession.




White Coat Ceremony를 통해 휴머니즘의 locus는 (내부에 숨어있는 알몸의 취약한 일반 인간보다는) 배타적인 외부 유니폼이 된다. 학생들은 의식이 끝날 때 휴머니즘에 빠질뿐만 아니라 자신의 직업적 사회화 (즉, "가운을 입는 것")가 미덕의 원천이며, 의사로서 필요한 민감성, 용기, 겸손을 제공한다는 사실을 알게됩니다. 

Through the White Coat Ceremony, the locus of humanism becomes an external uniformof exclusivity rather than the naked, vulnerable, common human being who hides inside. Not only do students miss the point of humanism in the moment of the ceremony, they also learn that their professional socialization (i.e., “putting on the coat”) is a source of virtue, providing a full dose of the sensitivity, courage, and humility they will need as physicians.




또한 미래에 이 신앙이 흔들릴 때마다 의료계는 프로페셔널리즘 역량에 중점을 두고, 자체보고 된 윤리적 타락의 감각에 답하면서 메시지를 반복합니다. 이렇게 의대생들은 일반인의 휴머니즘과 거부당한 프로페셔널한 가치 사이에서의 내부적 투쟁의 오랜 여정을 시작합니다.

Furthermore, whenever this faith falters in the future, the medical establishment repeats the message, responding to a self- reported sense of ethical erosion with a greater emphasis on competencies in professionalism. So begins a long journey for medical students of having their internal struggles between lay humanistic and professional values denied,



화이트 코트 시상식에 잠복 해있는 문제가되는 주제들이 있다.48-50 Robert Veatch49는 골드 재단이 교수와 학생 간의 "결합 과정bonding process"을 긍정적으로 묘사 한 것에 비판적이었습니다. Veatch는 WCC가 "학생들을 일반인 집단으로부터 상징적으로 분리setting apart시키는 것"으로 묘사되는 것이 정확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Amidst all the acclaim,8,47 some of the problematic themes latent in the White Coat Ceremony have been recognized.48–50 Robert Veatch49 has been particularly sharp in his criticismof what the Gold Foundation positively describes as a “bonding process” between faculty and students.7 Veatch charges that the White Coat Ceremony is better described as “a symbolic ‘setting apart’ of the student from the lay population.” He concludes that



만약 "bonding process"의 진정한 기능이 [상징적으로 학생들을 학생이 미래에 만날 환자들의 문화로부터 분리시키고, 의료직 종사자들의 새로운 문화에 위치시킴으로써, 학생이 원래 유래했던 사람들과 문화로부터 고립시키는 것]이라면 그 과정이 tolerable한지 의심스럽다.

it is doubtful that a “bonding process” is tolerable if its real function is symbolically to remove students from the culture from which they and their future patients come and to place themin a new culture bonded with medical practitioners from all manner of traditions but increasingly isolated from the people and cultures fromwhich they have come.




Veatch가 빼놓은 것은 WCC가 실제로 "의학의 휴머니즘"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된다는 것입니다. WCC는 일반인에서 의학 전문가로의 전환을 보여주는 ritual일 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그 결과로 보편적인 휴머니즘의 가치에 더 연결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What Veatch leaves out is that the ceremony is actually staged in the name of “humanism in medicine.” Not only does it ritualize the conversion of medical students from lay people into professionals, but it claims that the students will be more connected with the universal values of humanism as a result.




Veatch에 대하여, 다른 저자들은 personal value와 professional ethics, 일반 문화와 전문직 문화 사이의 고유한 긴장을 거부한다. 예를 들어, Raanan Gillon (51)은 "bonding process는 의과대학생과 의사의 도덕적, 문화적 약속을 강화하고 확장하는 것으로 의도 한 것이지, 그들이 이미 가지고있는 것들을 대신하는 것이 아니다 "라고 썼다.

Responding to Veatch, other authors8,51 reject what Veatch sees as an inherent tension between personal values and professional ethics, between lay and professional culture. Thus, Raanan Gillon,51 for instance, writes that the bonding process “is intended as an enhancement and expansion of a medical student’s and a doctor’s moral and cultural commitments, not a replacement of those they already have.”



그러나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어떤 의대생이나 사려 깊은 의사도 증명할 수 있듯, 긴장감은 실제로 무척 깊고 체계적이다. 우리가 그들을 인정한다면, 적어도 우리는 그들과 개방적으로 대면 할 수있는 기회를 가질 것입니다. 충분한 겸손으로 우리는 일반인 커뮤니티의 의견을 구할 수도 있습니다. 독선적인 프로페셔널리즘의 변덕에 일반인 커뮤니티의 가치관이 얼마나 쉽게 휘어지는지 대한 의견을 분명히 말해야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그 갈등을 부정한다면, 우리는 대중이 의사의 얇은 베일을 지적할 때를 기다리면서, 휴머니즘과 프로페셔널리즘의 매혹적인 외투로 우리 자신을 더욱 단단히 감쌀 것입니다.

If only it were so simple. As any medical student or reflective physician can attest, the tensions are real, deep, and systematic. If we acknowledge them, we will at least have a chance to confront them openly. With enough humility, we might even seek the input of the lay community, who arguably ought to have a say in how easily its values should bend to the whims of self-righteous professionalism. If we deny the conflict, however, we will only continue to enwrap ourselves ever more tightly in this enchanted cloak of humanism and professionalism, waiting for the public to point out that we are thinly veiled indeed.





아놀드 P 골드의 유산

The Legacy of Dr. Arnold P. Gold


골드 재단이 우연히 프로페셔널리즘 정치에 빠져 들게 된 것은 유감스러운 일입니다. 왜냐하면 그 재단의 mission이 핵심에 근접해있기 때문이다. 아마도 유일한 이유는 Gold에게 화이트코트라는 것은 1950년대의 의학 전통을 상징하기 때문이다.

It is unfortunate that the Gold Foundation has accidentally stumbled into the politics of professionalism, for its mission is genuine to the core. If it has done so, it is only because the white coat for Dr. Gold, it seems, symbolizes the medical tradition of 1954, when, in his words,


(그 시대에는) 오늘날과 같이 경쟁하는 가치나 메시지가 팽배해있지 않았다. 레지던트와 학생들은 그들의 주치의가 모델 한 것을했습니다. 휴머니즘은 원칙이었고, 개인 비용이 무엇이든간에 환자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것이 표준이었습니다. 결과적으로 공식 교육과정과 잠재 교육과정은 동일했고, 성공에 대한 기대가 명확하게 정의되었습니다 .10

There were none of the competing values and messages that are prevalent today. Residents and students did what their attendings modeled. Altruism was the rule, and meeting the needs of the patients, whatever the personal cost, was the norm. In effect, both the formal and the hidden curriculum were one in the same, and expectations for success were clearly defined.10


그러나 아이러니 한 점은 오늘날의 의대생에게 화이트코트는 (1954 년의 의료 전문직이 아니라) (아놀드 박사와 산드라 골드 박사가 골드 재단을 시작하도록 강요한) 현재의 의료 문화를 상징한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골드 재단은 휴머니즘과 프로페셔널리즘 사이의 gap에 붙잡혀버렸으며, 오늘날 의학 문화의 변덕과 환상에 영원한 가치를 부여합니다. 무의식적으로, 그것은 그것이 휴머니즘의 정신을 배반했다고 주장하는 매우 프로페셔널한 개념으로 학생들의 사회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The irony, however, is that to today’s medical students, the white coat symbolizes not the medical profession of 1954 but the current medical culture that compelled Dr. Arnold and Dr. Sandra Gold to launch the Gold Foundation in the first place. In other words, the Gold Foundation has gotten caught in the very gap between humanism and professionalism, tying timeless values to the whims and fancies of today’s medical culture. Unwittingly, it is contributing to the socialization of students into the very professional conception that it claims has betrayed the spirit of humanism.


그러나 여기에는 더 큰 오류가 있습니다.

But there is a greater fallacy here,


Gold 박사가 caring physician이었다면, 그것은 그가 professional ranks에 합류했기 때문이 아니라, 휴머니즘을 의학에 적용할 수 있었던 휴머니즘적 의사들와 함께 훈련했기 때문이다.

If Dr. Gold became a caring physician, I suspect that it was not because he joined the professional ranks of physicians but because he trained with humanistic doctors who brought humanism to their medicine.


나는 골드 박사가 매우 독보적인 인간이나 휴머니스트라고 생각한다. 그의 비서의 말을 자세히 읽어보았다. "환자가 골드 의사를 떠나며 '정말 좋고 친절한 사람이군요'말하지 않은 적은 거의 없다"라고 강조했다. 골드 재단이 수여하는 탁월한 실천 모델은 어떤 프로페셔널 정체성보다도 골드 박사의 핵심 인물에 대해 더 많은 것을 보여줄 것입니다.

My own hunch is that Dr. Gold is an extraordinary human—and humanist—in every sense, and I read his secretary’s words carefully when she comments, “It is rare when a patient leaves Dr. Gold’s office to not mention what a sweet and kind human being he is”52 (emphasis added). I would venture that the outstanding model of practice that the Gold Foundation honors draws more on Dr. Gold’s core person than any professional identity.


이것은, 궁극적으로, 의대생의 필사적 필요성에 대한 Dr. Gold의 유산에 대한 강력한 메시지입니다. 의료계에 사회화됨에 따라 당신은 mixed bag을 받을 것입니다; 당신 자신 이외의 아무도 당신의 성격 개발에 대한 책임을 질 수 없습니다. 그리고 이 character는, 당신의 환자가 의지하는 바로 그것이며, 궁극적으로 (당신이 어떤 의사인가가 아니라) 당신이 어떠한 인간인가에서 자라나는 것이다.

This, ultimately, is the potent message of Dr. Gold’s legacy that medical students so desperately need: your socialization into the medical system will hand you a mixed bag; no one besides yourself can be responsible for your development of character; and this character, on which your patients will rely, will ultimately grow out of what kind of person, not how much of a physician, you are.


우리는 학생들에게 흰 코트를 입는 방법이 아니라, 그것을 벗는 법을 가르쳐야합니다.

We do not need to teach students how to put on their white coats, but how to take themoff.


Sandra Gold 박사의 의견의 정신,

the spirit of a comment by Dr. Sandra Gold,


"훈련중인 모든 의사가 환자로 일주일을 보내야한다는 것입니다."10 엘리트의 코트에 학생들을 가두는 대신, 1991 년 영화 The Doctor에서 한 장면을 빌려서 학생들이 인간의 나약함을 보여주는 '병원 입원복'이라는 공통의 복장을 입히는 것이다.

“One thought is that every physician in training should spend a week as a patient.”10 Rather than cloak the students in the coats of the elite, I would borrow a scene from the 1991 film The Doctor and dress the students in the common garb of human frailty: a hospital gown.


취약하고 약간 노출 된 상태에서, 그들은 평균 병원실의 일일 인구보다 약간 많은 수의 군중 앞에서 설 수 있다. 그리고 그들은 관대하지 못한unforgiving 의료가 환자들을 인간됨의 가장 바닥까지 끌어내릴 수 있음을 잊지 않도록 맹새할 것이다. 그리고 나면, 아마도 학생들은 [환자와 의사를 구분짓는 것]이 아니라, [환자와 의사가 공유하는 것]에서부터 의학교육에 들어서게 될 것입니다.

Vulnerable and slightly exposed, they could stand in front of a crowd that only slightly outnumbers the daily census of an average hospital room and pledge never to forget how unforgiving medical care can be in stripping patients down to their bare humanity. Perhaps students would thus embark on their medical education with a reminder of what they share with their patients rather than what sets them apart.



결론: 프로페셔널리즘보다 휴머니즘

Conclusion: Humanism Over Professionalism in Medical Education


가짜 프로페셔널리즘에 의해 swallowed되기에는 휴머니즘은 의학에 너무 소중하다. 오히려 휴머니즘은 외부 표준으로 남아 있어야합니다. 때때로 우리는 우리의 실천을 비판하고 전문적인 가치를 다시 언급 할 수 있어야 한다.

Humanism is too precious to medicine to be swallowed up by pretentious professionalism. To the contrary, humanism must remain the external standard by which we can occasionally critique our practice and recenter our professional values.


그러나 휴머니즘을 그것의 보편적 가치를 침해하려는 프로페셔널리즘으로부터 보호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우리는 건강과 질병의 특정 영역을 초월하는 광대한 휴머니즘 정신이 끊임없이 우리의 시각을 움직이고 고양시키는 의학의 실천을 추구해야 한다. 아마도 적어도 학부 의학교육의 수준에서는, 편협한 프로페셔널리즘보다는 휴머니즘의 보편적 원칙에 더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But it is not enough just to protect the universal values of humanism from an encroaching professionalism. Rather, we ought to foster a practice of medicine in which an expansive spirit of humanism that transcends the specific realm of health and disease continually animates and elevates our perspectives. Perhaps a greater emphasis on the universal principles of humanism, rather than on parochial professionalism, is in order, at least at the level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유치원에 정치적 배너가 필요하지 않은 것처럼, 의과대학에도 프로페셔널리즘의 슬로건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또한 의학 교육은 이질적인 용어가 뒤죽박죽 섞여있다면 인해 이익을 얻지 못합니다. 유니폼이 되었든 다른 수단이 되었든 프로페셔널 엘리트주의를 보호하는 것만큼 끔찍한 인본주의는 없으며, 그와 같은 개념을 부적절한 지점까지 싸우는 위험을 가장하는 척할 수 있습니다.

Medical schools do not need the slogans of professionalism any more than kindergartens need political banners. Nor does medical education benefit from the jumbling of disparate terms. There is nothing terribly humanistic about protecting professional elitism, whether through uniforms or other means, and to pretend otherwise risks cheapening the very concept to the point of irrelevance.


우리 학생들이 가장 많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지적인 공간과 정서적 인 공간으로, 거침없이 일반인에서 전문직이 되어가는 과정을 성찰할 수 있으며, 그 과정에 대해 멘토의 검증을 받을 수도 있다. 우리는 미래의 의사들이 상충하는 사회적 역할에 대한 자각을 완전히 잃지 않도록하기 위해, 학생들을 긴장을 숨기기보다는 자신의 긴장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우리의 목표는 휴머니즘의 가치를 의학의 그림에 피상적으로 포함시키는 의사가 아니라, 자신이 행하는 의학을 휴머니즘에 대한 헌신의 일부로 보는 의사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그들의 의학적,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본질적인 인간의 성격에 subordinate하는 법을 배우도록 해야 한다.

What our students could use most is the intellectual and emotional space to reflect on their inexorable transition from lay to professional, as well as validation from their mentors about that process. We serve our students best by keeping their tensions alive rather than masking them, lest these future physicians lose total self- awareness of their conflicted social role. Let them learn to subordinate their medical, professional identity to their essential human character, for our goal is physicians who see their medicine as part of a commitment to humanism, not physicians who superficially incorporate values of humanism into their picture of medicine.




40 Parsons GN, Kinsman SB, Bosk CL, Sankar P, Ubel PA. Between two worlds: Medical student perceptions of humor and slang in the hospital setting. J Gen Intern Med. 2001; 16:544–549.






 2008 Aug;83(8):715-22. doi: 10.1097/ACM.0b013e31817eba30.

Humanism or professionalism? The White Coat Ceremony and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New York Hospital Queens, New York, New York 11355, USA. judahg@alumni.upenn.edu

Abstract

In this article, the author challenges the widely held assumption that humanism and professionalism are necessarily complementary themes in medical education. He argues that humanism and professionalism are two very different value systems with different rationales, different goals, and different agendas. Whereas humanism is a universal, egalitarian ideology, professionalism represents the parochial, culturally determined practices of a particular professional group that may or may not conform to lay expectations. Distinguishing professionalism from humanism is crucial to understanding the divergent attitudes of providers and lay persons with regard to health care delivery and physician behavior. Moreover, it highlights the tension that medical students experience as they are tacitly asked to leave behind their lay, humanistic values and embrace a new professional identity, a transition that the common blurring of humanism and professionalism fails to recognize. In this context, the Arnold P. Gold Foundation's widely acclaimed White Coat Ceremony for entering medical students may actually be inhibiting, rather than encouraging, the genuine growth of humanism in medicine.

PMID:
 
18667880
 
DOI:
 
10.1097/ACM.0b013e31817eba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