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dartmed.dartmouth.edu/fall12/html/back_to_basics/)





의학교육자들은 인지심리학, 교육심리학과 관련된 이론들을 찾아서 어떠한 학습후 행동(post-learning activities)의 특성이 기억의 장기보존(long-term retention)이나 지식의 전달(transfer of knowledge)에 어떤 정보를 줄 수 있는가를 연구해왔다.

Medical educators increasingly look to related disciplines, particularly those of cognitive and educational psychology, to inform the critical nature of post-learning activities with respect to, for example, long-term retention and the application or transfer of knowledge.


자기설명(self-explanation)이나 시험 강화 학습(Test-enhanced learning)과 같은 학습 기술들의 적절성이나 효과성을 다룬 연구들이 있다. Larsen등은 TEL이 SE와 비교하여 기억의 장기보존에 어떠한 영향을 주며, 두 방법을 혼합했을 때 효과는 어떠한지를 연구했다.

Research has aimed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ness and efficiency of several learning techniques, such as self-explanation (SE) and test-enhanced learning (TEL). In this issue of Medical Education, Larsen et al.1 investigate how TEL compares with SE with regard to long-term retention and explore the added value to be gained by combining the two learning methods.


시험은 대개 평가를 위해 활용되지만, 정보의 보존을 더 높여줄 수 있고 이를 시험효과(testing effect)라고 한다. 기억의 인출(retrieval)은 이 효과의 핵심 기전이며, 기존의 지식에 대한 접근 경로를 더 강화시킨다.

Tests are usually used for assessment, but they can directly influence learning by promoting better retention of information, a phenomenon known as the testing effect.2 Retrieval, presumed to be the central mechanism mediating the effect, is seen as an active process that strengthens the pathway to the given knowledge.


기억의 인출은 지식을 능동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자기 모니터링(self-monitoring)을 하게 되고, 특정 기억을 반복하도록 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It has been suggested that retrieval may involve the active reconstruction of knowledge3 and may induce targeted rehearsal through self-monitoring.4


또한 기억의 인출에 더 많은 노력을 쏟을수록 학습에 대한 효과도 더 높다.

it has been noted that the more ‘effort’ students put into the retrieval process, the more effect it has on learning.2,5


자기설명은 어떤 학습자료가 주어졌을 때 스스로에게 설명을 함으로서 이해를 높이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추론을 하거나 정보간 고리를 만들면서 지식의 재구조화가 일어나고 학습자는 더 일관성있고 통합된 학습을 하게 된다. 자기설명의 긍정적 효과는 다양한 영역에서 보여진 바 있고, 피드백이 없는 상태에서도 효과가 있다고 밝혀져 있다. 자기설명의 이러한 효과는 자기설명에 대한 훈련이 되어 있을 때나 추가적인 단서가 주어질 때 더 효과적이다.

Self-explanation involves generating explanations to oneself while working through given learning material with the purpose of deepening one’s understanding.6,7 As a result of the generation of inferences, or the creation of new links between pieces of information or prior knowledge, and monitoring, knowledge restructuring takes place, allowing the learner to build a more coherent and integrated representation that facilitates the transfer of learning.6 The positive effect of SE on learning has been shown in various domains and even in the absence of specific content feedback. The effects of SE are increased when students are trained to self-explain8 and by the addition of prompts and cues.9 


의학교육에서 자기설명은 임상실습 기간에 익숙하지 않은 케이스에 대한 진단 수행능력에 도움이 되나, 이미 익숙한 케이스에는 별 도움이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설명이 강력하긴 하나, 장기적 효과는 알려져 있지 않다.

In medical education, SE has been shown to have beneficial effects on students’ diagnostic performance on unfamiliar cases during clerkships, but not on familiar ones.10 Despite the robustness of SE, its long-term effects are unknown.


의학의 전문가는 지식을 기반으로 하지만, 단순히 오랜 시간동안 지식을 축적하는 것 이상이다. 의사는 생의학적 지식과 인과관계에 대한 설명, 임상 지식, 질병에 대한 지식들의 상호 네트워크를 구성해서, 질병과 임상표현에 대한 일관된 심적 표상(mental representation)을 가지게 된다.

Medical expertise is knowledge-based, but is much more than an accumulation of retained knowledge over time. It is characterised by complex networks in which biomedical knowledge and causal explanations, clinical knowledge, illness scripts and instances are interconnected and form coherent mental representations of diseases and clinical presentations.11 


의사는 단순히 지식을 적용하거나 기존의 해답을 활용해서 문제를 푸는 사람이 아니다. 더 중요한 것은 지속적으로 변하는 환경과 개별 환자의 특성에 맞춰 해답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는 우수한 의과대학 학생들에게조차 엄청난 양의 학습을 필요로 하며, 다양한 효과적인 학습 기술을 필요로 한다.

Clinicians not only apply knowledge and solve problems using existent solutions, but, more importantly, adapt solutions to the ever-changing context and uniqueness of each patient.12 This represents a tremendous learning challenge, even for highly selected medical students, and thus a variety of effective learning techniques are welcome.


Larsen 등은 의학교육에 있어서 TEL과 SE이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에 덧붙여서 이것들의 장기적인 효과를 언급했다. 저자는 TEL과 SE가 합해지면 교육 성과에 엄청난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Larsen et al.’s study1 adds to the evidence for the long-term effects of TEL and SE in medical education, in addition to providing insight into their abilities to complement one another, despite their differences. The authors observed that TEL and SE combined produced the greatest impact on the educational outcome


실제로 학생들은 '시험에서 답을 할 수 있는 것은 학습자료에 있는 지식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반드시 이해의 수준이 높은 것은 아니다' 라고 말했다. 이것은 SE가 익숙하지 않은 환경에서는 효과적이나 익숙한 환경에서는 그렇지 않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In fact, students commented that ‘the ability to answer the question on a test indicated that they had sufficient knowledge of the material and giving an explanation did not add significantly to their understanding’.1 This is in line with previous studies showing that SE works when it is used in unfamiliar but not in familiar contexts. 10


의학교육자로서 우리는 학생들이 목적의식이 있는 학습을 하고, 지식을 실습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우리는 우리가 가진 형성평가에 TEL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요소들이 포함되도록 만들어야 한다. 시험은 반복적으로, 자주, 일정 기간을 두고 이뤄져야 한다.

As medical educators, we should pursue endeavours that provide purposeful learning and practice retrieval opportunities 

for students, and use available resources efficiently. To do so, we can revisit our formative assessment practices and make sure they incorporate the critical elements that make TEL so effective. Testing should be repeated, frequent and spaced over time. 


또한 시험은 효과적인 기억의 인출과 긍정적 피드백 작용을 하도록 만들어져야 한다. 의학교육자들은 실기시험과 자기설명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효율성이 낮은 강조(highlighting) 반복해서 읽기(rereading), 요약하기(summarising)등의 사용은 지양해야 한다.

It should include production tests that require effortful retrieval on the part of students and provide feedback. Medical educators should promote the use of practice testing and self-explanation and discourage the exclusive use of techniques that have proven to be of low utility, such as highlighting, rereading and summarising.13


선생님으로서, 우리는 TEL과 SE에 더 익숙해져야 하며, 학생들이 학습방법에 대한 조언이 필요하다면 같이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 이들 두 기술을 활용하는데는 복잡한 기술이나 학습자료가 필요한 것이 아니다.

As teachers, we should become familiar with TEL and SE, and should be able to engage in discussions with students and to give advice on learning and study habits when it is required. The implementation by students of these two techniques does not necessarily require advanced technologies or complex materials, and they can be relatively easy to use. 





 2013 Jul;47(7):641-3. doi: 10.1111/medu.12218.

Back to basicskeeping students cognitively active between the classroom and the examination.

Source

Sherbrooke, Quebec, Canada.

PMID:

 

23746152

 

[PubMed - in process]








+ Recent posts